99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l 이차적 저작물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l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 ( Legal Code) 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Disclaimer - dspace.inha.ac.kr ·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l 이차적 저작물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l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2.0/kr/legalcode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2.0/kr/

  • 서천연안 안강망에 어획된 유영생물의 계절별군집구조 및 망목크기에 따른 종조성

    Seasonal species composition and species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codend mesh size of stow net on anchor in Seocheon coast of Korea

    2011年 8月

    仁荷大學校 大學院

    海 洋 科 學 生 物 工 學 科

    金 輝 琓

  • 理學碩士學位論文

    서천연안 안강망에 어획된 유영생물의 계절별군집구조 및 망목크기에 따른 종조성

    Seasonal species composition and species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codend mesh size of stow net on anchor in Seocheon coast of Korea

    指導敎授 韓 慶 男

    이 論文을 碩士學位 論文으로 提出함

    2011年 8月

    仁荷大學校 大學院

    海 洋 科 學 生 物 工 學 科

    金 輝 琓

  • 本 論文을 金輝琓의 碩士學位 論文으로 認定함

    2011年 8月

    主審________________________

    副審________________________

    副審________________________

  • i

    국문 요약

    서천연안에 출현하는 유영생물의 계절별 군집구조 및 종조성을 알아보기 위해

    서 2009년 4월, 5월, 6월, 9월, 10월까지 총 5회에 걸쳐 서천연안에 설치된 연안

    개량안강망 어구를 이용하여 유영생물을 채집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채집된 유영

    생물은 총 67종, 67,838개체, 275,000g이 채집되었다. 이 중 어류는 9목 30과 48

    속 50종 4,236개체가 출현하였고, 갑각류는 2목 6과 11속 12종 37,108개체, 두족

    류는 3목 4과 4속 5종 26,494개체가 출현하였다. 전체 유영생물 중 반원니꼴뚜기

    (Loligo japonica) 38.3%, 산모양깔깔새우(Metapenaeopsis dalei) 33.2%, 꽃새우

    (Trachysalambria curvirostris) 17.6%로 이 들 3종이 총 개체수의 89%을 차지하

    여 우점 하였다. 서천연안의 유영생물의 군집구조는 수온이 높은 시기에는 출현종

    수와 생물량이 많고 수온이 낮은 시기에는 출현종수와 생물량이 적은 전형적인 온

    대 해역의 계절변화를 보였다.

    계절별 종조성을 살펴보면, 4월과 5월, 6월은 멸치(Engraulis japonicus), 실망

    둑(Cryptocentrus filifer), 풀반댕이(Thryssa adelae),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 등의 연안 주거종인 어류가 출현 하였고, 9월과 10월은 갈치(Trichiurus

    lepturus), 밴댕이(Sardinella zunasi), 반지(Setipinna tenuifilis), 청멸(Thryssa

    kammalensis), 정어리(Sardinops melanostictus), 고등어(Scomber japonicus) 등

    의 연안 회유종들과 외해종 어류들이 출현하여 계절별로 어종과 자원량의 변동이

    다소 큰 편이었다.

    망목크기에 따른 종조성은 1차 시험(2009년 5월 12일)에선 총 29종, 498,004

    개체, 242,000g이 채집되었다. 그 중 세망에서는 베도라치 치어(Pholis nebulosa)

    와 젓새우(Acetes japonicus)가 우점 하였고, 15mm 망목크기에선 꽃새우, 멸치,

    베도라치 치어, 반원니꼴뚜기가 우점 했으며, 25mm 망목크기에선 반원니꼴뚜기,

    꽃새우, 멸치, 중하(Metapenaeus joyneri)가 우점 하였고, 35mm 망목크기에선 반

    원니꼴뚜기, 꽃새우, 중하, 갑오징어(Sepia esculenta)가 우점 하였으며, 45mm 망

    목크기에선 반원니꼴뚜기, 갯가재(Oratosquilla oratoria), 꽃새우, 갑오징어가 우점

    하였다.

    2차 시험에선(2009년 9월 16일) 총 26종, 12,082개체, 47,000g이 채집되었다.

    그 중 세망에서는 반원니꼴뚜기, 꽃게(Portunus trituberculatus), 꽃새우가 우점 하

  • ii

    였고, 15mm 망목크기에선 반원니꼴뚜기, 꽃게, 보구치(Pennahia microptera)가 우

    점 했으며, 25mm 망목크기에선 반원니꼴뚜기, 보구치, 정어리가 우점 했다. 35mm

    망목크기에선 꽃게, 보구치, 반원니꼴뚜기가 우점 했고, 45mm 망목크기에선 꽃게,

    보구치, 갑오징어가 우점 했다. 1차와 2차 조사를 통해 망목의 크기에 따른 종조성

    의 변화는 크지 않았고, 단지 개체의 비율만 바뀐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망

    목크기에 따른 어종들의 체장을 분석해 본 결과 망목크기에 따른 체장의 변화는 크

    게 상관없는 것으로 사료되나, 망목의 크기가 증가 할수록 소형 개체의 어획이 감

    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iii

    Abstract

    In order to investigate seasonal community structure and species composition of

    nekton in Seocheon coast, I collected nekton for twenty-four hours a total of five

    times in April, May, June, September and October in 2009 by using coastal stow

    nets set up in Secheon coast. Collected nekton was composed of 67 species,

    67,838 objects and 275,000g in total: fishes (50 species, 4,236 objects), crustacean

    (12 species, 37,108 objects), cephalopods (5 species, 26,494 objects). Of the total

    of collected nekton, Loligo japonica (32.6%), Metapenaeopsis dalei (15.9%),

    Trachysalambria curvirostris (9.9%) were predominated, as these three species

    account for 89% of total objects.

    Regarding the community structure of nekton in Seocheon coast, it showed

    typical seasonal changes in warm-climate areas of the sea, since the number of

    species and biomass were large during the periods of high water temperature,

    whereas they were small during the periods of low water temperature.

    In the examination of species composition by season, the variation of fish

    species and abundance of population were wide. In April, May and June

    coastal-resident fish species were collected such as Engraulis japonicus,

    Cryptocentrus filifer, Thryssa adelae, Sebastes schlegeli etc. During september and

    October sesonal migration species and offshore migration species fishes were

    collected such as Trichiurus lepturus, Sardinella zunasi, Setipinna tenuifilis, Thryssa

    kammalensis, Sardinops melanostictus, Scomber japonicus etc.

    On the first test (May 12, 2009) of species composition by mesh-sizes, 29

    species, 498,004 objects, 242,000g were collected in total. Pholis nebulosa and

    Acetes japonicus were predominated in Racel net. in 15mm mesh size

    Trachysalambria curvirostris, Engraulis japonicus, Pholis nebulosa, Loligo japonica

    were dominant and Loligo japonica, Trachysalambria curvirostris, Engraulis

    japonicus, Metapenaeus joyneri were predominated in 25mm mesh size. in 35mm

    mesh Loligo japonica, Trachysalambria curvirostris, Metapenaeus joyneri, Sepia

    esculenta were dominant and in 45mm mesh size Loligo japonica, Oratosquilla

    oratoria, Trachysalambria curvirostris, Sepia esculenta were predominated.

    On the second test (September 12, 2009) of species composition by mesh-size

  • iv

    26 species, 12,082 objects, 242,000g were collected in total. Loligo japonica,

    Portunus trituberculatus, Trachysalambria curvirostris were predominated in Racel

    net. in 15mm mesh size Trachysalambria curvirostris, Pennahia microptera were

    dominant and Loligo japonica, Pennahia microptera, Sardinops melanostictus were

    predominated in 25mm mesh size. in 35mm mesh Portunus trituberculatus, Pennahia

    microptera, Loligo japonica were dominant and in 45mm mesh size Portunus

    trituberculatus, Pennahia microptera, Sepia esculenta were predominated.

    As a result of the first and second tests, it is found out that only the

    proportion of objects changed, while the variation of species composition in terms

    of mesh size was mere.

    Moreover, in analysis of the body length of fishes in terms of mesh size, it is

    considered that the variation of body length in terms of mesh size was not

    significant, however, it certainly shows the reduction in small nektons catch as

    mesh size increased.

  • v

    목 차

    국 문 요 약·····························································································································Ⅰ

    Abstract····································································································································Ⅲ

    목 차···································································································································Ⅴ

    ListofTables·························································································································Ⅶ

    ListofFigures·······················································································································Ⅹ

    제 1장 서 론·························································································································1

    제 2장 재료 및 방법···········································································································3

    2.1.조사해역 및 환경조사···························································································3

    2.2.조사 방법 ···············································································································5

    2.3.분석 및 통계처리···································································································7

    2.3.1.측정 및 목록작성··························································································7

    2.3.2.군집구조 분석································································································7

    2.3.3유사도 및 종조성 주성분 분석···································································7

    제 3장.결 과························································································································9

    3.1.조사 해역의 환경특성···························································································9

    3.1.1.수 온················································································································9

    3.1.2.염 분 및 수 심··························································································10

    3.2.종조성 및 출현량···································································································11

    3.3.월별 종조성 및 출현량·························································································17

    3.4.망목별 시험 조사···································································································26

    3.4.1.1차 전체 망목 종조성(2009년 5월 12일)·················································26

    3.4.2.1차 각 망목별 종조성··················································································30

    3.4.3.2차 전체 망목 종조성(2009년 9월 16일)·················································37

    3.4.4.2차 각 망목별 종조성··················································································41

    3.5.주요 어종의 체장조성···························································································48

    3.5.1.꽃새우··············································································································48

    3.5.2.중 하················································································································49

    3.5.3.갑오징어··········································································································50

    3.5.4.갯가재··············································································································51

    3.6.망목에 따른 주어종 체장조성 변화···································································52

  • vi

    3.6.1.중 하················································································································52

    3.6.2.꽃새우··············································································································54

    3.6.3.반원니꼴뚜기··································································································56

    3.6.4.꽃 게················································································································58

    3.7.생태학적 지수·········································································································60

    3.7.1.군집구조··········································································································60

    3.7.2.유사도 구조····································································································64

    3.7.3.종조성 주성분 분석······················································································66

    3.8.주요 어종의 출현 빈도·························································································68

    제 4장.고 찰························································································································70

    참고문헌···································································································································77

    감사의 글·································································································································

  • vii

    List of Tables

    Table1. Numberoforders,families,genera and speciesofcoastalfishes

    collectedbyastow netincoastalwatersofSeocheon,Korea.······························14

    Table2. Numberoforders,families,generaandspeciesofcoastalcrustacean

    collectedbyastow netincoastalwatersofSeocheon,Korea.······························15

    Table3.Numberoforders,families,generaandspeciesofcoastalcephalopodas

    collected byastow netincoastalwatersofSeocheon,Korea.····························15

    Table4.Speciescompositionoffaunacollectedbyastow netintheSeocheon

    from ApriltoOctober2009(ExceptJulytoAugust).N andW indicatethe

    numberofindividualsandbiomassingram.

    ···················································································································································19

    Table5. Numberoforders,families,genera and speciesofcoastalfishes

    collected byastow netincoastalwatersofSeocheon,Korea.····························28

    Table6.Numberoforders,families,generaand speciesofcoastalcrustacean

    collectedbyastow netincoastalwatersofSeocheon,Korea.······························29

    Table7.Numberoforders,families,generaandspeciesofcoastalcephalopodas

    collected byastow netincoastalwatersofSeocheon,Korea.····························29

    Table8.Speciescompositionofnektonscollectedbyastow netaccordingtothe

    codendmeshsizeinMay,2009.N andW indicatethenumberofindividuals

    andbiomassingram.

    ···················································································································································32

    Table 9.Numberoforders,families,genera and species ofcoastalfishes

    collected byastow netincoastalwatersofSeocheon,Korea.····························39

    Table10. Numberoforders,families,generaandspeciesofcoastalcrustacean

  • viii

    collected byastow netincoastalwatersofSeocheon,Korea.····························40

    Table 11. Number of orders, families, genera and species of coastal

    cephalopodas collected byastow netincoastalwatersofSeocheon,Korea.

    ···················································································································································40

    Table12.Speciescompositionofnectonscollectedbyastow netaccordingto

    thecodendmeshsizeinSeptember,2009.N andW indicatethenumberof

    individualsandbiomassingram.

    ···················································································································································43

    Table13.Eigen value,varianceand cumulativevarianceofthecomponents

    determined byprincipalcomponentanalysisofspeciescomposition offaunas

    caughtwith a stow netin the Seocheon estuary from Aprilto October

    2009(ExceptJulytoAugust).·····························································································66

    Table14.Observedfrequencyoffishesbyastow netinthecoastofSeochen

    from ApriltoOctober2009(ExceptJulytoAugust).(OF:Observedfrequency,

    OS:Observedspecies,NS:Numbersofspecies)·····················································69

    Table15.Comparisonofthenumberofspeciesand dominantspeciesofthe

    fishessampledinSeocheonareaofKorea.···································································75

  • ix

    List of Figures

    Fig.1.MapshowingthestudyareasincoastalofSeocheon,Korea.················4

    Fig.2.Schematicdiagram show thestow net.··························································6

    Fig.3.Layoutofstow netonanchorthatisbeingusedinthecoastalwatersof

    Seocheon,Korea.···················································································································6

    Fig.4.Monthly variation ofwatertemperaturein thecoastalseawaterof

    Seocheonfrom ApriltoOctober2009(ExceptJulyandAugust).····························9

    Fig.5.MonthlyvariationofsalinityinthecoastalseawaterofSeocheonfrom

    ApriltoOctober2009(ExceptJulyandAugust).·························································10

    Fig. 6. Composition of percentages of fishes, shrimps, other crustacean,

    cephalopodsamongnektoncollectedbyastow netinthecoastalofSeocheon

    from Aprilto October2009 by thenumberofspecies(upper).numberof

    individuals(middle)andbiomass(lower)(ExceptJulyandAugust).

    ···················································································································································16

    Fig.7.SpeciescompositionofnektonineachseasonatSeocheoncoastalfrom

    ApriltoOctober,2009(ExceptJulyandAugust).

    ···················································································································································23

    Fig.8.Catch speciesand proportionaccordingtothecondend mesh sizein

    May,2009.·······························································································································36

    Fig.9.Catch speciesand proportionaccordingtothecondend mesh sizein

    September,2009.····················································································································47

    Fig. 10. Length frequency distribution of Trachysalambria curvirostris

    collectedbyastow netSeocheonfrom MayandSeptember,2009.····················48

  • x

    Fig.11.LengthfrequencydistributionofMetapenaeusjoynericollectedbyastow

    netSeocheonfrom MayandSeptember,2009.··························································49

    Fig.12.LengthfrequencydistributionofSepiaesculentacollectedbyastow net

    Seocheonfrom MayandSeptember,2009.··································································50

    Fig.13.LengthfrequencydistributionofPlatycephalusindicuscollectedbyastow

    netSeocheonfrom MayandSeptember,2009.··························································51

    Fig.14.Length frequencydistribution ofMetapenaeusjoyneriaccordingtothe

    codendmeshsizeinMay,2009·····················································································53

    Fig.15.LengthfrequencydistributionofTrachysalambriacurvirostrisaccordingto

    thecodendmeshsizeinMay.·························································································53

    Fig.16.LengthfrequencydistributionofLoligojaponicaaccordingtothecodend

    meshsizeinMay,2009.·····································································································57

    Fig.17.LengthfrequencydistributionofPortunustrituberculatusaccordingtothe

    codendmeshsizeinMay,2009.······················································································59

    Fig.18.Monthlydistributionslittoralfishescollectedbyastow netinthecoast

    ofSeocheonfrom ApriltoOctober,2009(ExceptJulyandAugust).

    ···················································································································································61

    Fig.19.Meshsizedistributionslittoralfishescollected byastow netinthe

    coastofSeocheonfrom May,2009.·················································································62

    Fig.20.Meshsizedistributionslittoralfishescollected byastow netinthe

    coastofSeocheonfrom September,2009.······································································63

    Fig.21.Dendrogram basedonclusteranalysisofthefishescollectedineach

    monthinthecoastofSeocheonfrom ApriltoOctober2009.(ExceptJuly and

  • xi

    August)····································································································································65

    Fig. 22. Scattered diagram showing the sampling months on the

    principalcomponentaxesdeterminedbyprincipalcomponentanalysisofspecies

    composition.····························································································································67

  • 1

    제 1장 서 론

    황해는 중국 동부 해안과 한반도 사이에 위치한 바다로써 제주도와 양자강 하

    구를 연결하는 선으로 보고 있으며, 면적으로는 발해를 제외하고 약 40만㎢가 되

    고, 평균심도는 44m의 얕은 바다로 대륙붕이 넓게 발달된 세계적인 어장 중에 하

    나이다(이, 1994). 또한, 황해는 저층냉수, 황해난류, 중국대륙 연안수, 한국 남해

    연안수 등 다양한 수괴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들 수괴는 계절변화에 따른 강우, 기

    온 등의 영향으로 분포 및 강도가 변화하게 된다. 이러한 변화로 인하여 서해에 서

    식하는 많은 어종들은 황 - 동중국해를 해류 및 계절에 따라 회유하고 있다(황

    ,2009).

    황해에서 성행하는 주요 어업방식은 안강망어업, 쌍끌이 기선저인망어업, 외끌

    이 기선저인망어업의 순이며, 특히 강한 조류를 이용한 안강망어업은 갈치, 참조기,

    병어, 가자미, 넙치, 민어 등을 주로 어획한다(국립수산진흥원, 1979). 황해의 연간

    어획량은 약 70,000~500,000 톤으로 국내 어업 총 생산량의 약 1/3을 차지한다

    (Zhang et al.,1995). 그 중 근해안강망이 54,614톤을 어획하여 전체어업의 4.2%

    를 차지하고 있으며, 연안개량안강망이 21,707톤으로1.7%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KOSTAT,2008).

    어업허가에 따른 안강망의 종류는 근해안강강, 연안개량안강망, 구획어업안강망

    등이 있다. 이들 안강망 어업 중에서 근해안강망은 망목크기가 35mm, 연안개량안

    강망은 망목크기가 25mm, 구획어업안강망은 망목크기가 15mm 이하의 망목크기를

    가진 그물의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다만, 근해안강망과 구획어업안강망의 경우에

    멸치, 빙어, 보리멸, 문절망둑, 싱어, 반지, 밴댕이, 황강달이, 뱀장어, 갯장어, 붕장

    어, 젓새우, 곤쟁이(이하 멸치를 포함한 13개 어종)를 포획할 경우에는 세망(망목내

    경4mm) 사용이 허용되어 있다(조 등, 2010).

    우리나라에서 황해를 중심으로 보고된 황해 어업자원에 관한 연구는 참조기(황,

    1977; 백 등, 1982; 양과 조, 1982), 고등어(조, 1981), 부세(홍, 1985), 갑오징어

    (백과 박, 1985), 갈치(황과 홍, 1985; 백과 박, 1986), 말쥐치(백과 박, 1990), 고

    군산군도 연안의 어류상(김과 이, 1993), 황해의 어류 자원상태(장, 1994), 황해의

    어류상(이, 1994), 황해의 어류상에 대한 검토(이, 1994), 황해 내만역 저어류 군집

  • 2

    의 계절변화(이, 1994), 황해 내만역 저어류 군집의 계절변화(이, 1994), 서해 고군

    산군도 연안 낭장망 어획 수산생물의 종조성 및 주야 계절변동(황, 1998), 새만금

    일대의 어류상(심과 이, 1999), 서해 태안연안의 어류상(최와 임, 2000), 한국 서해

    어류상의 재검토(이, 2004), 개량 안강망에 채집된 금강하구 어류 종조성의 계절변

    동(황 et al., 2005), 인천연안 낭장망 어획물 종조성의 계절변동(송 et al., 2008),

    등이 있으며, 안강망 어업과 관련된 연구로는 개량식 안강망의 실험 연구(김 et al.,

    1994), 호주 새우 안강망에서의 혼획(Andrew et al., 1995), 선미식 안강망 어구의

    설계에 관한 연구(김 et al., 1999) 등 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수행된 연구들은 안

    강망어구의 어구성능에 관한 것들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 연안에 서

    식하는 수산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어류군집에 대한 연구와 안강망어구

    의 어구성능 뿐만 아니라, 이를 이용한 종조성에 따른 체계적인 연구가 활발히 이

    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태안반도 일대에 출현하는 어류의 자원생물학적 연구의 일환

    으로 연안개량안강망을 이용하여 서천연안 일대에 출현하는 어류의 종조성 및 다양

    성 지수를 구하여 어류의 군집구조를 분석하고, 안강망 그물의 망목크기를 달리하

    여 망목크기에 따른 어류의 종조성과 체장 조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하여 알

    아보고자 하였다.

  • 3

    제 2 장 재료 및 방법

    2.1. 조사해역 및 환경조사

    본 연구는 2009년 4월, 5월, 6월, 9월, 10월에 연안개량안강망을 이용하여

    서천군 홍원항에서 8마일 떨어진 해역(동경 126도20’~126도22’, 북위 36도

    04’~36도08’)에서 매월 1회씩 5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또한, 망목크기에 대한 실험

    은 2009년 5월12일 과 2009년 9월16일 2차례에 걸쳐 시험 조업한 데이터를 이용

    하였다.

    조사해역의 환경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조사시기별로 국립해양조사원

    (www.khoa.go.kr)에서 수온과 염분 측정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수심은 투망한 어

    장의 저층을 기준으로 하여 측정하였다.

  • 4

    Fig. 1. Map showing the study areas in coastal of Seocheon, Korea.

  • 5

    2.2. 조사 방법

    본 연구에 사용된 선박은 연안개량안강망 어선(FRP 7.93톤, 360마력)으로 시

    험어구는 Fig. 2, 3. 와 같이 끝자루를 포함한 어구 전체의 길이가 96.3m이고 힘줄

    의 길이는 95.3m인 안강망 어구를 기본으로 하여 사용하였으며, 끝자루의 망목크

    기가 25mm인 그물을 사용하여 자원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망목크기에 따른 종

    조성과 유영생물의 체장조사를 알아보기 위해 망목크기를 각각 5종류 세망(라셀망

    지, 망목내경7mm), 15mm, 25mm, 35mm, 45mm 로 설계 제작하여 시험 조업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어구를 전개하기 위한 범포의 크기는 폭 방향의

    길이 1.8m, 높이 8m이며, 수중에서 전개 상태를 원활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아래쪽

    은 중량이 무거운 재질인 철봉을 사용하고 위쪽은 스테인리스 파이프로 제작하여

    부착하였다. 시험조업 해역에 시험어구를 설치한 후 끝자루 부분을 열어 놓은 채로

    두었다가 조사를 실시하기 전에 각 어구의 끝자루 부분을 묶어 약 24시간 침지시

    킨 후 각각의 어구에 대하여 동시에 어획시험을 실시하였다. 설치된 어구의 끝자루

    부분을 묶는 것을 투망으로 했을 때 1틀을 투망하고 다음 어구로 이동하는 시간이

    약 5분이 소요되었으므로 5틀의 어구를 투망하는데 약 30분 정도가 소요되었다. 1

    틀의 어구를 양망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약 10분 정도였으며, 1시간 이내에 전체

    어구를 양망할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시험어구에 대하여 약 24시간가량 침지시켰

    으나 멸치의 어획량이 많은 가을 어기에는 약 1시간 이내의 침지시간이 적당한 것

    으로 사료되어 침지시간을 조정하여 양망하였다.

  • 6

    Fig. 2. Schematic diagram show the stow net.

    Fig. 3. Layout of stow net on anchor that is being used in the coastal waters of

    Seocheon, Korea.

  • 7

    2.3. 분석 및 통계처리

    2.3.1. 측정 및 목록 작성

    채집된 어류의 종 동정 및 검색은 Masuda et al.(1984), Nakabo(2002) 및

    김 등(2005)을 참고로 하였으며, 분류체계 및 학명은 김 등(2005)에 따라 정리 하

    였다. 시료는 현장에서 각 종을 갑각류, 두족류, 어류로 구분하여 전량측정을 하였

    고, 어획량이 많은 경우에는 어종별로 약 100마리씩 표본을 추출하여 조사하고 나

    머지에 대해서는 전체 중량을 측정하였다.

    2.3.2. 군집구조 분석

    계절별 망목크기별로 출현종수, 개체수, 생체량에 대하여 양적변동을 비교하

    였다. 군집의 특성을 설명하는 생태지수는 종 다양도 지수(Shannon and Wiener,

    1963), 우점도 지수(Simpson, 1949) 및 균등도 지수(Pielou, 1966) 를 조사시기별

    로 계산하였으며, 각 지수의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종 다양도 지수 : H´=-ΣPi×ln(Pi)

    P : i번째 종의 점유율

    우점도 지수 : D =(Y1 +Y2)/Y

    Y : 총개체수

    Y1 : 첫번째 우점종의 개체수

    Y2 : 두 번째 우점종의 개체수

    균등도 지수 : J=H´/ln(S)

    2.3.3. 유사도 및 종조성 주성분 분석

    월별, 정점별 유사도는 Rescaled Distance Cluster Combine (Pianka, 1973)

    으로 중복도 공식을 이용하여 거리를 구한 다음 가중평균 결합법(WPGMA)에 의해

    수지도(Dendrogram)를 작성하여 추정하였다.

  • 8

    출현 종간 유사성은 조사 기간 동안 3회 이상 출현한 종을 대상으로 Jaccard

    의 유사도 지수 (J)를 이용하여 수상도를 작성하였다(Jaccard, 1908; Ludwig and

    Reynolds,1988). 시기별 군집 구조 변화를 알기 위하여 각 채집 월의 종조성 자료

    를 표본 단위로 보고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을 하였다.

    주성분 분석은 출현 회수가 3회 이상인 14종을 대상으로 Spearman's rank

    correlatio을 계산한 후, Davis (1978)의 프로그램 “PC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 9

    제 3장 결 과

    3.1. 조사 해역의 환경 특성

    3.1.1. 수 온

    월별 수온분포를 조사한 결과(Fig. 4), 2009년 4월에 6.8℃로 가장 낮게 나타

    났으며, 5월과 6월에 점점 오르기 시작하여 20℃이상의 수온을 유지하였고, 9월에

    23.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이후 10월엔 19℃로 점차 수온이 내려갔다.

    Fig. 4. Monthly variation of water temperature in the coastal sea water of

    Seocheon from April to October 2009(Except July and August).

  • 10

    3.1.2. 염 분 및 수 심

    염분은 4월에 32.4‰로 가장 높은 염분을 보였으며, 그 후 5월 이후 수치가 떨

    어져 6월에 가장 낮은 31.3‰의 낮은 염분을 보였다. 9월부터 염분이 상승하기 시

    작하여 10월에 31.8‰의 다소 높은 염분을 나타내었다(Fig. 5). 안강망 어구를 설

    치한 평균 수심 15~20m 였다.

    Fig. 5. Monthly variation of salinity in the coastal sea water of Seocheon from

    April to October 2009(Except July and August).

  • 11

    3.2. 종조성 및 출현량

    조사기간 동안 서천연안 연안개량안강망에 채집된 유영생물은 총 67종, 총

    67,838 개체, 275,000g이 채집 되었다. 채집된 어획물을 분류군 별로 보면 어류,

    갑각류(새우류, 게류 및 기타 갑각류), 두족류 였으며, 이 중 어류가 50종으로 가장

    많았고, 갑각류 12종 두족류 5종이 채집되었다. 또한, 개체수는 갑각류가 전체 개체

    수의 55%로 가장 많이 차지하였으며, 생체량은 어류가 전체 생체량의 39%로 가장

    많이 차지하였다(Fig. 6).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어류는 9목 30과 48속 50종 4,236개체가 출현 하였다

    (Table 1). 이 중 농어목(Perciformes) 어류가 13과 22속 22종으로 가장 많이 출

    현 하였으며, 다음으로는 쏨뱅이목(Scorpaeniformes) 어류가 5과 8속 9종으로 나

    타났다. 가자미목(Pleuronectiformes)어류는 4과 5속 5종이 출현하였고, 청어목

    (Clupeiformes) 어류는 2과 7속 8종이 출현하였다. 복어목(Tetraodontiformes)

    어류는2과 2속 2종이 출현하였고, 동갈치목(Beloniformes), 홍메치목

    (Aulopiformes), 뱀장어목(Anguilliformes), 아귀목(Lophiiformes)어류가 각각 1

    과 1속 1종씩 나타났다. 농어목과 쏨뱅이목에 출현한 어류가 총 31종으로 전 조사

    기간 동안 출현한 종수의 60%로 우점 하였다.

    과별로는 망둑어과(Gobiidae), 멸치과(Engraulidae)가 각각 5종이 채집되었으며,

    양볼락과(Scorpaenidae) 4종, 민어과(Sciaenidae)와 청어과(Clupeidae)가 각각3종씩

    나타났다. 병어과(Stromateidae), 황줄베도라치과(Pholididae), 양태과

    (Platycephalidae), 넙치과(Paralichthyidae)가 각각 2종씩 출현하였다.

    조사기간에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 중, 총 출현 개체수에서 10%이상을 나타낸

    종은 18.6%를 차지한 실망둑(Cryptocentrus filifer)이 가장 우점 하였으며, 다음으

    로는 정어리(Sardinops melanostictus)가 12.1%를 나타냈으며, 밴댕이(Sardinella

    zunasi)가 11.5%를 나타냈다. 또한 멸치(Engraulis japonicus)는 10.9%, 갈치

    (Trichiurus lepturus)가 10.3%를 나타냈고, 보구치(Pennahia microptera)는

    10.2%를 나타냈다. 그 외 나머지 어종 병어(Pampus argenteus)3.6%, 도화망둑

    (Amblychaeturichthys hexanema)은 3.3%, 학꽁치(Hyporhamphus sajori)가 3.3%

    를 나타냈다. 1% 이상 출현한 어종은 청멸(Thryssa kammalensis)이 2.2%, 열동

    가리돔(Apogon lineatus)이 1.7%, 꼬치고기(Sphyraena pinguis)가 1.6%, 반지

  • 12

    (Setipinna tenuifilis)가 1.5%, 풀반댕이(Thryssa adelae)가 1.1% 으로 나타났으

    며, 1%미만 채집된 어종은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등 37종으로써 총 채집량

    의 8%를 차지하였다. 이 중에서 채집량이 0.02%이하인 한 번씩만 출현한 어종은

    덕대(Korean pomfret), 등가시치(Zoarces gilli), 민태(Johnius belengeli), 붕장어

    (Conger myriaster), 성대(Cheildonichthys spinosus), 쑤기미(Inimicus japonocu),

    참복(Takifugu chinensis), 참서대(Cynoglossus joyneri)로 출현종 수의 16%를 차

    지하였으나, 채집량은 전체 출현량의 0.016%에 불과했다.

    생체량의 경우 10%이상 채집된 어종은 넙치가 13.1%(14,053g)로 가장 많았으

    며, 다음으로 갈치가 12.6%(13,542g), 조피볼락이 11.5%(12,320g), 밴댕이가

    10%(10,743g)로 이들 4종이 전체의 47.2%를 차지하였다. 5%이상 출현한 어종은

    황아귀(Lophius itulon)가 7.6%(8,168g), 정어리가 7.5%(8,027g), 병어가

    5.6%(5,975g), 삼치(Scomberomorus niphonius)가 5.5%(5,944g)로 나타났다. 또

    한, 전체 생체량의 1% 이상 출현한 어종은 멸치, 노랑각시서대(Zebrias fasciatus),

    실망둑, 양태(Platycephalus indicus), 학꽁치, 꼬치고기, 보구치로 7종으로 전체 생

    체량의 19%를 차지하였으며, 1%미만 채집된 어종은 매퉁이(Saurida

    undosquamis)등 35종으로 전체 생체량의 7%로 나타났으나, 이 중에서 전체 생체

    량의 0.5% 미만인 어종은 도화망둑, 덕대, 넙치, 고등어(Scomber aponicus),성대

    (Cheildonichthys spinosus), 참복, 풀반댕이, 황해볼락(Sebastes koreanus), 황해

    흰점복(Takifugu alboplumbeus), 열동가리돔, 청멸, 큰눈양태(Suggrundus

    meerdervoorti), 쑤기미, 얼룩통구멍(Uranoscopus japonicus), 참돛양태

    (Repomucenus Koreanus), 붕장어, 빨갱이(Ctenotrypauchen microcephalus), 꼼

    치(Liparis tanakai), 보리멸(Sillago sihama), 황강달이(Collichthys lucidus), 풀망

    둑, 흰베도라치(Enedrias fangi), 참돔(Pagrus major), 베도라치(Pholis nebulosa),

    쉬쉬망둑(Chaeturichtys stigmatias), 참서대, 민태, 웅어(Coilia nasus), 등가시

    치 등 30종으로서 전체 채집종의 60%를 차지하였으나, 생체량은 3.7%에 불과한

    소수종으로 나타났다.

    갑각류는 2목 6과 11속 12종 37,108개체가 출현하였다(Table 2). 이 중 십각

    목(Decapoda)갑각류가 5과 10속 11종으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으며, 다음으로 구

    각목(Stomatopoda)갑각류가 1과 1속 1종으로 나타났다. 십각목에 출현한 갑각류가

    총 11종으로 전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종수의 92.3%로 우점 하였다.

  • 13

    과별로는 보리새우과(Penaeidae)가 3종이 나타나 가장 많이 출현하였으며, 돛

    대기새우과(Pasiphaeidae), 자주새우과(Crangonidae), 딱총새우과(Alpheidae), 갯가

    재과(Squilidae)가 각각 1종씩 출현하였다. 어획된 갑각류의 종조성을 보면, 총 출

    현 개체수의 60.7%을 차지한 산모양깔깔새우(Metapenaeopsis dalei)가 가장 우점

    하였으며, 다음으로는 꽃새우(Trachysalambria curvirostris)가 32.1%로 점유 하여

    이 두 종이 총 출현 개체수의 82.1%를 차지하였다. 5%미만을 나타낸 갑각류 종은

    돛대기새우(Leptochela gracilis) 등 10종으로 그 중 0.5% 미만을 나타낸 갑각류

    종은 갯가재(Oratosquilla oratoria), 깨다시꽃게(Ovalipes punctatus), 대하

    (Fenneropenaeus chinensis), 민꽃게(Charybdis japonica), 중하(Metapenaeus

    joyneri ), 큰손딱총새우(Alpheus rapax)등 출현종의 83%를 차지하였으나, 채집

    개체수는 1.6%에 불과하였다.

    어획된 갑각류의 생체량을 살펴보면 가장 많은 생체량을 나타낸 갑각류는 산모

    양깔깔새우로 42.6%의 생체량을 나타냈다. 그 다음으로는 꽃새우가 38.6%, 꽃게

    (Portunus trituberculatus)가 12%를 차지하여 이 3종의 갑각류가 총 93.2%의 생

    체량을 차지하였다. 갯가재 등 9종의 갑각류들은 2%미만의 생체량을 나타냈으며,

    1%미만의 갑각류들은 깨다시꽃게, 대하, 돛대기새우(Leptochela gracilis), 두점박

    이민꽃게(Charybdis bimaculata), 민꽃게, 큰손딱총새우 등 6종으로 출현어종수의

    50%를 차지하였으나, 생체량은 전체 생체량의 2.9%에 불과했다.

    두족류는 3목 4과 4속 5종 26,494개체가 출현하였다(Table 3). 이 중 갑오징

    어목(Sepiidea)두족류가 2과 2속 2종으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문

    어목(Octopodidae)두족류가 1과 1속 2종으로 출현하였으며, 살오징어목

    (Teuthoidea)두족류는 1과 1속 1종으로 나타났다. 갑오징어목과 문어목에 출현한

    두족류가 총 4종으로 전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종수의 80%를 차지하였다.

    과별로는 문어과(Octopodidae)가 2종으로 가장 많이 출현 하였고, 종으로는 반

    원니꼴뚜기(Loligo japonica)가 전체 개체수의 98.1%을 차지했다. 나머지 귀꼴뚜기

    (Euprymna morsei), 갑오징어(Sepia esculenta), 주꾸미(Octopus ocellatus), 낙지

    (Octopus minor) 등 4종은 1%이하를 나타냈다. 생체량을 알아보면 반원니꼴뚜기

    가 86%, 갑오징어가 10.6%로 이 두 두족류가 전체 두족류의 96.6%차지하였으며,

    귀꼴뚜기, 낙지, 주꾸미가 3.4%의 생체량을 차지하였다.

  • 14

    Table 1. Number of orders, families, genera and species of coastal fishes

    collected by a stow net in coastal waters of Seocheon, Korea.

    Class Orders Families Genera Species

    Actinoerygii

    Anguilliformes 1 1 1

    Aulopiformes 1 1 1

    Beloniformes 1 1 1

    Clupeiformes 2 7 8

    Lophiiformes 1 1 1

    Scorpaeniformes 5 8 9

    Perciformes 13 22 22

    Pleuronectiformes 4 5 5

    Tetraodontiformes 2 2 2

    Total 9 30 48 50

  • 15

    Table 2. Number of orders, families, genera and species of coastal crustacean

    collected by a stow net in coastal waters of Seocheon, Korea.

    Class Orders Families Genera Species

    Crustacea

    Decapoda 5 10 11

    Stomatopoda 1 1 1

    Total 2 6 11 12

    Table 3. Number of orders, families, genera and species of coastal cephalopodas

    collected by a stow net in coastal waters of Seocheon, Korea.

    Class Orders Families Genera Species

    Coleoidea

    Sepiidea 2 2 2

    Octopoda 1 1 2

    Teuthoidea 1 1 1

    Total 3 4 4 5

  • 16

    Fig. 6. Composition of percentages of fishes, shrimps, other crustacean, cephalopods

    among nekton collected by a bag net in the coastal of Seocheon from April to

    October 2009 by the number of species (upper). number of individuals (middle)

    and biomass(lower) (Except July and August).

  • 17

    3.3. 월별 종조성 및 출현량

    4월에는 총 31종 2,319개체가 출현하였으며,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전체 개체

    수의 3.4% 을 차지하였다. 그 중 어류는 20종 303개체, 갑각류는 8종 1,813개체,

    두족류는 3종 203개체가 출현하였다. 4월 조사에서 꽃새우는 1,070개체로 전체 개

    체수의 46.1%를 차지해 가장 우점 하였고, 다음으로는 마루자주새우(Crangon

    hakodatei)가 473개체로 20.4%을 나타냈다. 어류 중에서는 멸치가 101개체로

    4.4%를 나타냈으며, 다음으로는 실망둑이 94개체로 4.1% 을 차지하였다. 두족류

    중에서는 귀꼴뚜기가 173개체, 7.5%를 차지했다(Fig. 7).

    생체량은 전체 생체량의 9.8%을 차지하였으며, 넙치가 6,994g으로 25.9%를

    나타내어 가장 높은 생체량을 나타냈다. 다음으로 황아귀가 5,273g으로 19.5%, 멸

    치 2,768g으로 10.3%, 양태 2,716g으로 10.1%, 꽃새우 1,825g으로 6.8%을 차지

    하였다. 이들 5종이 전체 생체량의 72.6%을 차지하였으며, 꽃게 외 25종은 3%이

    하의 생체량을 나타내었다.

    5월에는 19종 929개체가 출현하였으며, 전체 개체수의 1.4%을 차지하였다. 그

    중 어류는 13종 402개체, 갑각류는 3종 364개체, 두족류는 3종 163개체가 나타났

    다. 그 중 산모양깔깔새우가 360개체로 전체 개체수의 38.8%을 차지해 가장 우점

    하였고, 다음으로는 멸치가 358개체, 38.5%를 점유하였다. 두족류 중에서는 반원니

    꼴뚜기가 134개체, 14.4%을 차지했다(Fig. 7).

    생체량은 전체 생체량의 10.6%을 차지하였으며, 넙치가 6,966g으로 23.9%을

    나타내어 가장 높은 생체량을 차지하였다. 삼치는 4,711g으로 16.2%, 반원니꼴뚜

    기 4,622g으로 15.9%, 노랑각시서대는 3,809g으로 13.1%을 차지하였다. 멸치

    2,484g으로 8.5%을 차지하였다. 이들 4종이 87.4%을 차지 하였으며, 낙지를 포함

    한 13종이 3,672g으로 12%을 차지하였다.

    6월에는 17종 35,495개체가 출현하였으며, 전체 개체수의 52.3%로 가장 많은

    개체수가 나타났다. 그 중 어류는 8종 79개체, 갑각류는 5종 34,681개체, 두족류는

    4종 735개체가 나타났다. 그 중 산모양깔깔새우가 22,150개체로 전체 개체수의

    62.4%을 차지해 가장 우점하였으며, 다음으로는 꽃새우가 30.6%를 점유하였다. 어

    류 중에서는 도화망둑이 40개체가 출현해 가장 우점하였으며, 다음으로 조피볼락이

    20개체가 출현하여 하였다. 두족류에선 반원니꼴뚜기가 720개체로 가장 우점 하였

  • 18

    다(Fig. 7). 6월의 생체량은 82,015g으로 전체 생체량의 30%의 비중을 차지하여

    전체 조사기간 중에 두 번째로 높은 생체량을 나타냈다. 가장 많은 생체량을 나타

    낸 유영생물은 산모양깔깔새우로 31,026g으로 전체 생체량의 37.8%을 차지하여

    개체수와 마찬가지로 가장 높은 생체량을 차지하였다. 다음으로는 꽃새우가

    26,679g으로 32.5%을 차지하였고, 조피볼락 15%, 반원니꼴뚜기는 10.1%을 차지

    하였다. 갑오징어 등 13종은 1%미만의 생체량을 나타냈다.

    9월에는 18종 1,642개체가 출현하였으며, 전체 개체수의 2.4%을 차지하였다.

    그 중 어류는 13종 835개체, 갑각류 3종 49개체, 두족류 2종 758개체가 출현하였

    다. 그 중 반원니꼴뚜기가 753개체로 전체 개체수의 45.9%을 차지해 가장 우점 하

    였다. 다음으로는 보구치가 434개체로 26.4%를 점유 하였다. 갑각류 중에서는 꽃

    게가 31개체로 2%을 차지하였다(Fig. 7). 9월의 생체량은 19,213g 으로 조사기간

    중 가장 낮은 생체량인 7%을 차지하였다. 9월에 가장 높은 생체량을 차지한 유영

    생물은 10,962g을 차지한 갈치가 전체 생체량의 56.6%을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반

    원니꼴뚜기 11.7% 꽃게가 10.9%, 꼬치고기 6.1%, 보구치 5.8%, 정어리 3.5%을

    차지하였으며, 고등어 등 12종은 1%이하의 생체량을 나타냈다.

    10월에는 39종 27,453개체가 출현하여 전체 개체수의 40.5%을 차지하였다.

    10월은 가장 많은 종이 출현한 달 이였다. 그 중 어류가 30종 2,617개체로 가장

    많은 종이 나타났으며, 갑각류 5종 201개체, 두족류는 4종 24,635개체수가 나타났

    다. 그 중 반월니꼴뚜기가 24,360개체로 88.7% 우점 하였다. 다음으로는 실망둑이

    692개체로 2.5%를 차지하였다. 갑각류 중에서는 꽃게가 94개체로 우점 하였다

    (Fig. 7). 생체량 역시 117,123g으로 많은 종이 출현한 만큼 조사기간 중 가장 높

    은 생체량인 42.3%을 차지하였다 가장 높은 생체량을 보인 유영생물은 반원니꼴뚜

    기로 65,115g 으로 55.6%의 생체량을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는 밴댕이 9.2%, 갑

    오징어 7.6%, 정어리 6.3%, 병어 5.1%, 꽃게 3.9%, 실망둑 2.3%, 갈치 2.2%, 학

    꽁치가 1.5%을 차지하였으며, 삼치 등 30종이 1%이하의 생체량을 가졌다.

    월별에 따른 개체수는 6월에 가장 많은 개체수가 출현하였으며, 5월에 가장 낮

    은 개체수를 보였다. 생체량은 10월에 가장 높았으며, 9월에 가장 낮은 생체량을

    보였다(Table 4.).

  • 19

    Table 4. Species composition of fauna collected by a stow net in the Seocheon from April to October 2009(Except July to August). N and W

    indicate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biomass in gram.

    Species April May June September October Total Dominate

    Scientificname N W N W N W N W N W N W N W

    Crustacean                

    Alpheusrapax 40 142.5       30 68.7 70 211.2 0.10 0.08

    Charybdisbimaculata 78 226.2   80 329.0     158 555.2 0.23 0.20

    Charybdisjaponica         30 89.4 30 89.4 0.04 0.03

    Crangon hakodatei 473 730.0         473 730.0 0.70 0.27

    Fenneropenaeuschinensis         4 216.4 4 216.4 0.01 0.08

    Leptochelagracilis     1600 659.0     1600 659.0 2.36 0.24

    Metapenaeopsisdalei   360 470.2 22150 31026.0     22510 31496.2 33.18 11.47

    Metapenaeusjoyneri 140 732.5     14 14.0   154 746.5 0.23 0.27

    Oratosquillaoratoria 6 246.2     4 80.0 43 1075 53 1401.2 0.08 0.51

    Ovalipespunctatus 2 278.0 1 142.0       3 420.0 0.00 0.15

    Portunustrituberculatus 4 986.0 3 870.0 1 332.0 31 2120.0 94 4559 133 8867.0 0.20 3.23

    Trachysalambriacurvirostris 1070 1825.0   10850 26679.0     11920 28504.0 17.57 10.38

    Cephalopods                        

    Euprymnamorsei 173 311.5 26 52 12 10.8   87 200.1 298 574.4 0.44 0.21

    Loligojaponica 29 133.5 134 4622.0 720 8268.3 753 2258.0 24360 65115.0 25996 80396.8 38.32 29.27

    Octopusminor 1 235.5 3 1040 1 279.0     5 1554.5 0.01 0.57

    Octopusocellatus         32 1040.2 32 1040.2 0.05 0.38

    Sepiaesculenta     2 776.3 5 166.0 156 8938.8 163 9881.1 0.24 3.60

  • 20

    Table 4. Continued

    Species April May June September October Total Dominate

    Scientificname N W N W N W N W N W N W N W

    Fishes                        

    Amblychaeturichthyshexanema     40 35.1 3 14.0 98 372.4 141 421.5 0.21 0.15

    Apogonlineatus       42 68.0 30 78.0 72 146.0 0.11 0.05

    Chaeturichtys stigmatias 1 23.9       1 6.6 2 30.5 0.00 0.01

    Cheildonichthysspinosus   1 236.1         1 236.1 0.00 0.09

    Coilianasus 2 4.3         2 4.3 0.00 0.00

    Collichthyslucidus 3 74.0         3 74.0 0.00 0.03

    Congermyriaster   1 92.0       1 92.0 0.00 0.03

    Cryptocentrus filifer 94 559.2       692 2720.3 786 3279.5 1.16 1.19

    Ctenotrypauchenmicrocephalus         30 90.0 30 90.0 0.04 0.03

    Cynoglossusjoyneri     1 27.7     1 27.7 0.00 0.01

    Enedriasfangi 3 25.4   10 11.3   2 22.3 15 59.0 0.02 0.02

    Engraulis japonicus 101 2768.0 358 2484.0     3 19.2 462 5271.2 0.68 1.92

    Hemitripterusvillosus 2 128.5         2 128.5 0.00 0.05

    Hyporhamphussajori 1 10.2       142 1775 143 1785.2 0.21 0.65

    Inimicus japonocu         1 128.0 1 128.0 0.00 0.05

    Johniusgrypotus   1 26       1 26.0 0.00 0.01

    Konosiruspunctatus 12 560.1         12 560.1 0.02 0.20

    Koreanpomfret   1 352.1       1 352.1 0.00 0.13

    Liparis tanakai 14 85.4         14 85.4 0.02 0.03

    Lophiuslitulon 5 5272.5 4 2896.0       9 8168.5 0.01 2.97

  • 21

    Table 4. Continued

    Species April May June September October Total Dominate

    Scientificname N W N W N W N W N W N W N W

    Pagrus major         30 57.3 30 57.3 0.04 0.02

    Pampusargenteus         151 5974.75 151 5974.8 0.22 2.18

    Paralichthysolivaceus 3 6994.0 4 6966.0     2 93.2 9 14053.2 0.01 5.12

    Pennahiamicroptera       434 1128.0   434 1128.0 0.64 0.41

    Pholisnebulosa         3 33.4 3 33.4 0.00 0.01

    Platycephalus indicus 21 2716.0 3 38.0 2 450.1     26 3204.1 0.04 1.17

    Pleuronichthys cornutus 4 568.0         4 568.0 0.01 0.21

    Pseudorhombuscinnamoneus       2 170 1 82.7 3 252.7 0.00 0.09

    RepomucenusKoreanus 8 76.8       2 23.3 10 100.1 0.01 0.04

    Sardinellazunasi 1 9.2       488 10734.21 489 10743.4 0.72 3.91

    Sardinopsmelanostictus       64 680.0 449 7347.15 513 8027.2 0.76 2.92

    Saurida undosquamis   1 232.7 1 188.9 2 16.0 33 537.9 37 975.5 0.05 0.36

    Scomber japonicus       2 250   2 250.0 0.00 0.09

    Scomberomorusniphonius   1 4711.0     5 1233.2 6 5944.2 0.01 2.16

    Sebastes koreanus 2 81.8 3 117.0       5 198.8 0.01 0.07

    Sebastes schlegeli     20 12320.0     20 12320.0 0.03 4.49

    Setipinnatenuifilis       18 58.0 45 780.1 63 838.1 0.09 0.31

    Sillago sihama     1 21.0 2 3.0 30 51.0 33 75.0 0.05 0.03

  • 22

    Table 4. Continued

    Species April May June September October Total Dominate

    Scientificname N W N W N W N W N W N W N W

    Sphyraenapinguis       56 1190.0 12 398.4 68 1588.4 0.10 0.58

    Sphyraenapinguis       56 1190.0 12 398.4 68 1588.4 0.10 0.58

    Stephanolepis cirrhifer 4 828.5     11 36.0 1 50.7 16 915.2 0.02 0.33

    Suggrundus meerdervoorti         2 137.8 2 137.8 0.00 0.05

    Synechogobiushasta         2 66.2 2 66.2 0.00 0.02

    Takifugualboplumbeus       2 166.0   2 166.0 0.00 0.06

    Takifugu chinensis 1 234.0         1 234.0 0.00 0.09

    Thryssa adelae 21 119.7       27 108.0 48 227.7 0.07 0.08

    Thryssakammalensis         90 138.9 90 138.9 0.13 0.05

    Trichiuruslepturus       197 10962.0 240 2579.7 437 13541.7 0.64 4.93

    Uranoscopusjaponicus         4 112.3 4 112.3 0.01 0.04

    Zebrias fasciatus   23 3809.3 4 601.4   1 68.0 28 4478.8 0.04 1.63

    Zoarcesgilli   1 4       1 4.0 0.00 0.00

    Total 2,319 26,986 929 29,160 35,495 82,015 1,642 19,379 27,453 117,123 67,838 274,663 100 100

    Number of species 31   19   17   18   39          

  • 23

    April

    May

  • 24

    June

    September

  • 25

    October

    Fig. 7. Species composition of nekton in each season at Seocheon coastal from

    April to October, 2009(Except July and August).

  • 26

    3.4. 망목별 시험 조사

    3.4.1. 1차 전체 망목 종조성 (2009년 5월 12일)

    2009년 5월 12일 서천연안에서 연안개량안강망의 망목크기별로 채집된 유영

    생물은 총 29종, 총 498,004 개체, 242,000g이 채집되었다. 채집된 어획물을 분류

    군 별로 보면 어류, 갑각류(새우류, 게류 및 기타 갑각류), 두족류였으며, 이 중 어

    류가 17종으로 가장 많았고, 새우류 4종, 기타 갑각류 3종, 두족류 5종이 채집되었

    다.

    개체수에서는 젓새우(Acetes japonicus)가 280,000 개체로 전체 개체수의

    56.2%로 가장 우점 하였으며, 다음으로 베도라치 치어가 213,182개체로 전체 개체

    수의 42.8%로 우점 하였다. 이 두 유영생물이 전체 개체수의 99%을 차지하였다.

    생체량에서도 86,000g로 베도라치 치어 35.5%, 젓새우가 84,000g으로 34.7%로

    전체 생체량의 70.2%을 차지하였다. 다음으로는 황아귀가 9.4%, 반원니꼴뚜기가

    7.1%을 차지하였다. 3%미만 어종은 멸치등 25종으로 13.4%을 차지하였다.

    어류는 5목 12과 17속 17종, 214,225개체, 121,000g이 채집됐다(Table 5).

    채집된 5목 어류 중 쏨뱅이목이 4과 6속 6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농어

    목이 3과 5속5종, 청어목이 2과 3속 3종, 가자미목이 2과 2속 2종, 아귀목이 1과

    1속 1종을 나타냈다.

    과별로 가장 다양한 종이 출현한 어류는 민어과가 3종이 나타났으며, 양볼락과

    와 멸치과가 각각 2종씩 나타났다. 나머지 황줄베도라치과, 등가시치과, 청어과, 삼

    세기과, 꼼치과, 양태과, 아귀과, 넙치과, 납서대과가 각각 1종씩 채집되었다.

    조사기간 중 연안개량안강망에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을 보면, 가장 많은 개체

    수를 보인 어종은 베도라치 치어로 213,182개체로 99.5%을 차지하였다. 멸치, 황

    강달이, 삼세기, 쑤기미, 민태, 전어, 꼼치, 황아귀, 수조기, 비늘양태, 넙치, 양태,

    조피볼락, 반지, 노랑각시서대, 등가시치 등 16종 은 1,043개체로 0.5%을 차지하였

    다. 생체량의 경우도 베도라치 치어가 86,000g으로 70.6%을 차지하였으며, 다음으

    로는 23,000g을 차지한 황아귀가 18.6%을 나타냈다. 멸치는 6.5,000g으로 5.3%을

    차지하였으며, 황강달이, 삼세기, 쑤기미, 민태, 전어, 꼼치, 황아귀, 수조기, 비늘양

    태, 넙치, 양태, 조피볼락, 반지, 노랑각시서대, 등가시치 등 15종은 6,600g로 5.4%

  • 27

    을 차지하였다.

    갑각류는 3목 4과 8속 8종, 282,856 개체, 97,000g이 채집됐다(Table 6). 채

    집된 2목 갑각류중 십각목은 2과 6속 6종 이였으며, 구각목은 1과 1속 1종 을 나

    타내었다.

    과별로는 보리새우과가 3종이 나타났으며, 꽃게과가 2종, 돛대기새우과, 갯가재

    과에서 각각 1종이 출현하였다. 종별로 가장 많이 출현한 종은 젓새우가 280,000

    개체로 98.9%을 차지하였다. 꽃새우, 산모양깔깔새우, 중하, 갯가재, 꽃게, 깨다시

    꽃게가 2,856개체로 1%을 차지하였다. 생체량의 경우도 젓새우가 84,000g으로 전

    체 생체량의 86.9%을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는 꽃새우가 4,600g으로 4.8%을 차

    지하였다. 꽃게는 3,000g으로 3.2%, 중하는 2,000g으로 2.5%, 산모양깔깔새우는

    1,200g으로 1.2%, 갯가재는 1,000g으로 1%을 차지하였다.

    두족류는 3목 4과 4속 5종, 923개체, 23,000g이 채집됐다(Table 7). 채집된 3

    목의 두족류중 갑오징어목이 2과 2속 2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문어목과 살

    오징어목이 각각 1과 1속 1종을 나타냈다. 과별로 가장 다양한 종이 출현한 두족류

    는 문어과 와 꼴뚜기과가 각각 2종씩 나타났으며, 갑오징어과 1종이 출현하였다.

    두족류의 종조성은 반원니꼴뚜기가 657개체로 71.2%을 차지하여 가장 우점 하였

    으며, 다음으로 귀꼴뚜기가 254개체로 27.5%을 차지하였다. 갑오징어 10개체가

    23.7%, 낙지와 주꾸미 각각 1개체가 출현하여 0.1%을 차지하였다. 생체량을 보면

    반원니꼴뚜기가 17,000g으로 71.7%을 차지하여 가장 많은 생체량을 나타냈으며,

    다음으로 갑오징어가 5,600g으로 23.7%의 생체량을 차지하였다. 이 두 어종이 전

    체 생체량의 95.4%을 차지하였고, 귀꼴뚜기 2%, 낙지2%, 주꾸미는 0.4%의 생체량

    을 차지하였다.

  • 28

    Table 5. Number of orders, families, genera and species of coastal fishes

    collected by a stow net in coastal waters of Seocheon, Korea.

    Class Orders Families Genera Species

    Actinoerygii

    Clupeiformes 2 3 3

    Lophiiformes 1 1 1

    Perciformes 3 5 5

    Pleuronectiformes 2 2 2

    Scorpaeniformes 4 6 6

    Total 5 12 17 17

  • 29

    Table 6. Number of orders, families, genera and species of coastal crustacean

    collected by a stow net in coastal waters of Seocheon, Korea.

    Class Orders Families Genera Species

    Crustacea

    Decapoda 2 6 6

    Stomatopoda 1 1 1

    Infraorder

    Caridea1 1 1

    Total 3 4 8 8

    Table 7. Number of orders, families, genera and species of coastal cephalopodas

    collected by a stow net in coastal waters of Seocheon, Korea.

    Class Orders Families Genera Species

    Coleoidea

    Sepiidea 2 2 2

    Octopoda 1 1 2

    Teuthoidea 1 1 1

    Total 3 4 4 5

  • 30

    3.4.2. 1차 각 망목별 종조성

    세망(라셀망지,망목내경7mm)에서는 총 22종이 출현하였고, 개체수는 493,693

    개체, 생체량은 191,069g을 나타냈다. 전체 개체수의 99%, 생체량은 78.9%를 나

    타내어 가장 많은 개체수와 생체량을 나타내었다. 가장 많이 출현한 종은 베도라치

    치어로 총 약 280,000 개체수를 나타냈고, 전체 세망 개체수의 56.7%를 차지하였

    다. 다음으로 약 212,620 개체수가 출현한 젓새우가 43%를 차지하여 이 두 종이

    전체 출현종의 99.7%를 차지하였다(Fig. 8). 생체량은 베도라치 치어가 85,048g으

    로 총 생체량의 44.5%로 가장 많은 생체량을 보였고, 그 다음으로 젓새우가

    84,000g으로 총 생체량의 44%을 차지하였다. 그 다음으로 10개체수를 보인 황아

    귀가 7,710g으로 4%, 반원니꼴뚜기가 185개체 4,006g으로 2.1%를 차지했다.

    15mm망목에서는 총17종이 출현하였고, 개체수는 3576 개체, 생체량은

    24,891g을 나타냈다. 전체 개체수의 0.7%, 생체량 10.3%을 나타냈다. 가장 많이

    출현한 종은 꽃새우로 1,531개체로 전체 개체수의 42.8%을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베도라치 치어가 561개체수가 출현으로 15.7%, 산모양깔깔새우가 530개체로

    14.8%, 멸치가 299개체로 8.3%, 반원니꼴뚜기가 206개체로 5.8%, 중하 198개체

    로 5.5%을 나타냈다(Fig. 8). 생체량은 반원니꼴뚜기가 5,572g 으로 22.4%을 차지

    하였고, 황아귀가 4,996g 으로 20.1%, 꽃새우가 3,890g 으로 15.6%, 갑오징어가

    2,378g 으로 9.6%, 멸치가 2,316g으로 9.3%, 꽃게가 986g으로 4.0%, 산모양깔깔

    새우가 954g으로 3.8%, 중하가 950g으로 역시 3.8%, 베도라치 치어가 933g으로

    3.7% 을 차지하였다.

    25mm 망목에서는 총 17종이 출현하였고, 개체수는 535개체, 생체량은

    11,492g을 나타냈다. 전체 개체수의 0.1% 생체량은 4.7%을 차지하였다. 가장 많이

    출현한 종은 반원니꼴뚜기로 155개체로 전체 출현종의 30% 을 차지하였다. 다음으

    로 꽃새우가 142개체로 26.5%, 멸치가 97개체로 18%, 중하가 72개체로 13.5%,

    귀꼴뚜기 26개체로 4.9%을 차지하였다(Fig. 8). 생체량은 황아귀가 5,052g 으로

    43.96% 을 차지하였고, 반원니꼴뚜기가 3,192g 으로 27.8% 을 나타냈다. 갑오징

    어가 708g으로 6.1%, 멸치가 696g으로 6% 꼼치가 358g 으로3.1%, 중하가346g

    으로3%꽃새우 338g으로 2.9%, 노랑각시서대 258g으로 2.3%, 산모양깔깔새우

    232g으로 2%을 차지하였다.

  • 31

    35mm망목에서는 총 14종이 출현 하였고, 개체수는 186개체, 생체량은

    11,718g을 나타냈다. 전체 개체수의 0.04%, 생체량은 4.8%을 나타냈다. 가장 많이

    출현한 종은 반원니꼴뚜기로 106개체로 전체 개체수의 57% 을 차지했다. 다음으로

    꽃새우가 25개체로 13.4%, 중하가 20개체로 10.7%, 꼼치가 7개체로 3.8%, 갑오징

    어, 황아귀, 멸치, 갯가재가 각각 4개체씩 출현하여 2.2%을 차지하였다(Fig. 8). 생

    체량은 반원니꼴뚜기 4,138g으로 35.3%을 차지했고, 다음으로 황아귀 2,732g으로

    23.3%을 차지했다. 갑오징어 2,084g 으로 17.8%, 양태 436g 으로 3.7%, 쑤기미

    242g으로 2%을 차지했다

    45mm망목에서는 총 7종이 출현 하였고, 개체수는 14개체, 생체량은 3,068g을

    나타냈다. 전체 개체수의 0.003% 생체량은 1.3%을 차지했다. 가장 많이 출현한 종

    은 반원니꼴뚜기 5개체로 35.7%, 갯가재, 꽃새우, 황아귀가 각각 2개체씩 출현하여

    14.3%을 차지하였다. 또한, 갑오징어, 중하도 각각 1개체씩 출현하여, 7.7% 을 차

    지하였다(Fig. 8). 생체량은 황아귀 2,174g 으로 70.9%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는

    갑오징어 478g으로 15.6%을 차지하였다. 삼세기172g으로 5.6%, 반원니꼴뚜기

    160g으로 5.2%을 차지하였다.

    전 망목에서 출현한 어종은 갯가재, 반원니꼴뚜기, 꽃새우, 중하, 황아귀가 있었

    다 가장 많이 출현한 종은 베도라치 치어로 총 약 280,000 개체수를 나타냈고, 전

    체 세망 개체수의 56.7%를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약 212,620 개체수가 출현한 젓

    새우가 43%를 차지하여 이 두 종이 전체 출현종의 99.7%를 차지하였다(Fig. 8).

    생체량은 베도라치 치어가 85,048g으로 총 생체량의 44.5%로 가장 많은 생체량을

    보였고, 그 다음으로 젓새우가 84,000g으로 총 생체량의 44%을 차지하였다.(Table

    8).

  • 32

    Table 8. Species composition of nektons collected by a stow net according to the codend mesh size in May, 2009. N and W indicate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biomass in gram.

    1차 망목별크기 조사 (2009.5.12) 세망 15mm 25mm 35mm 45mm Total Dominance(%)

    species N W N W N W N W N W N W N W

    Cephalopods                            

    Euprymna morsei 50 102 178 358 26 52         254 512 0.051 0.21

    Loligo japonica 185 4,006 206 5,572 155 3,192 106 4,138 5 160 657 17,068 0.132 7.05

    Octopus minor 1 470                 1 470 0.000 0.19

    Octopus ocellatus 1 104                 1 104 0.000 0.04

    Sepia esculenta     4 2,378 1 708 4 2,084 1 478 10 5,648 0.002 2.33

    Crustacean                      

    Acetes japonicus 280,000 84,000                 280,000 84,000 56.224 34.68

    Metapenaeopsis dalei 5 16 530 954 2 232         537 1,202 0.108 0.50

    Metapenaeus joyneri 203 1,060 198 950 72 346 20 96 1 25 494 2,477 0.099 1.02

    Oratosquilla oratoria ( 13 448 14 344 3 96 4 138 2 56 36 1,082 0.007 0.45

    Ovalipes punctatus 1 142         1 92     2 234 0.000 0.10

    Portunus trituberculatus 5 1,200 4 986     3 870     12 3,056 0.002 1.26

    Trachysalambria curvirostris 75 244 1,531 3,890 142 338 25 124 2 3 1,775 4,599 0.356 1.90

    Fishes                        

    Collichthys lucidus             3 74     3 74 0.001 0.03

    Engraulis japonicus 462 3,494 299 2,316 97 696 4 38 862 6,544 0.173 2.70

    Hemitripterus villosus 1 193 1 234     2 410 1 172 5 1,009 0.001 0.42

    Inimicus japonocu     2 46     2 242     4 288 0.001 0.12

    Johniusbelengeli 1 204                 1 204 0.000 0.08

  • 33

    Table 8. Continued

    1차 망목별크기 조사 (2009.5.12) 세망 15mm 25mm 35mm 45mm Total Dominance(%)

    Scientificname N W N W N W N W N W N W N W

    Konosirus punctatus 26 354 20 324 3 34         49 712 0.010 0.29

    Liparis tanakai 16 480     10 358 7 244     33 1,082 0.007 0.45

    Lophius litulon 10 7,710 6 4,996 8 5,052 4 2,732 2 2,174 30 22,664 0.006 9.36

    Nibea albiflora 1 588                 1 588 0.000 0.24

    Onigocia spinosa         1 10         1 10 0.000 0.00

    Paralichthys olivaceus     1 456             1 456 0.000 0.19

    Pholis nebulosa 212,620 85,048 561 933 1 20         213182 86,001 42.807 35.50

    Platycephalus indicus 5 734 5 70 3 38 1 436     14 1,278 0.003 0.53

    Sebastesschlegeli 1 394                 1 394 0.000 0.16

    Setipinna tenuifilis     16 84 7 58         23 142 0.005 0.06

    Zebrias fasciatus         3 258         3 258 0.001 0.11

    Zoarces gilli 11 78     1 4         12 82 0.002 0.03

    Total 493,693 191,069 3,576 24,891 535 11,492 186 11,718 14 3,068 498,004 242,238 100.0 100.0

    species 22   17   17   14   7          

  • 34

    Raschel codend

    15mm codend

  • 35

    25mm codend

    35mm codend

  • 36

    45mm codend

    Fig. 8. Catch species and proportion according to the condend mesh size in

    May, 2009.

  • 37

    3.4.3. 2차 전체 망목의 종조성 (2009년 9월 16일)

    2009년 9월 16일 서천연안에서 연안개량안강망의 망목크기별로 채집된 유영생

    물은, 총 26종, 총 12,082개체, 47,000g이 채집되었다.

    채집된 어획물의 분류군은 어류, 갑각류, 두족류 등이 있는데, 이 중 어류는 18

    종, 갑각류, 두족류가 각각 4종이 출현하였다.

    가장 많이 출현한 개체수는 반원니꼴뚜기가 8,483 개체로 전체 개체수의

    70.2%을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 꽃게가 2,017개체로 16.7% 을 차지하였다. 이 두

    유영생물이 86.9% 을 차지하였으며, 보구치가 623개체로 5% 을 차지하였다. 나머

    지 23종이 959개체로 전체 개체수의 7.9%을 차지하였다. 생체량도 19,300g을 나

    타낸 반원니꼴뚜기가 41.6% 을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11,000g을 차지한 꽃게가

    23.6%을 차지하였으며, 10% 미만을 차지한 유영생물은 갈치 7.5%, 병어 6%, 꼬치

    고기 4.8%, 보구치 4%, 갑오징어 3.6% 등이 있으며, 1%미만의 생체량을 갖는 유

    영생물은 중하 등 총 18종으로 2,700g 으로 5.8% 을 차지하였다.

    어류는 5목 16과 18속 18종 1,328개체 13,600g이 채집됐으며(Table 9), 채집

    된 5목 어류 중 농어목이 9과 10속 10 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청어목이

    2과 3속 3종, 쏨뱅이목이 2과 2속 2종을 나타냈으며, 홍메치목, 가자미목, 복어목

    이 각각 1과 1속 1종을 나타냈다.

    과별로 가장 다양한 종이 출현한 어류는 고등어과 와 멸치과가 각각 2종이 나

    타났으며, 나머지 망둑어과, 동갈돔과, 병어과, 민어과, 돛양태과, 보리멸과, 청어과,

    양태과, 양볼락과, 넙치과, 매퉁이과, 쥐치과가 각각 l종씩 나타났다.

    전체망목별 조사기간 중 어류의 종조성을 살펴보면, 가장 많은 개체수를 나타

    낸 어종은 보구치로 626개체로 전체 어종의 46.9% 을 차지했다. 다음으로는 145

    개체가 출현한 정어리가 10.9% 을 차지하였으며, 112개체가 출현한 꼬치고기는

    8.4%을 차지하였다. 열동가리돔은 7.6%, 갈치는 6.6% 을 차지하였으며 3%이하의

    개체수를 차지한 어종은 쥐치 등 11어종으로 165개체가 채집되여 12.4%의 개체수

    를 차지하였다. 생체량의 경우는 3,500g을 나타낸 갈치가 25.6% 으로 가장 많은

    생체량을 나타냈으며, 2,800g을 나타낸 병어 역시 20.7%의 높은 생체량을 나타냈

    다. 꼬치고기는 16.4%, 보구치는 13.6%, 정어리는 10.2%을 나타냈으며, 도화망둑

    등 13종 어종이 1,800g의 생체량으로 13.5% 을 차지하였다.

  • 38

    갑각류는 2목 3과 4속 4종, 2,216 개체수, 11,800g이 채집됐다(Table 10). 채

    집된 2목 갑각류 중 십각목은 2과 3속 3종 이였으며, 구각목은 1과 1속 1종을 나

    타내었다. 과별로는 보리새우과가 2종이 출현하였으며, 갯가재과, 꽃게과가 각각 1

    종씩 나타났다. 종별로 가장 많이 출현한 갑각류는 꽃게로 2,017개체수가 출현하여

    91%로 우점하였다. 다음으로 꽃새우가 137개체수로 6.2%을 차지하였으며, 중하는

    2.1%, 갯가재는 0.7%을 차지하였다. 생체량의 경우도 꽃게가 11,000g으로 전체 생

    체량의 93%을 차지하였으며, 꽃새우 4,100g으로 3.5%을 차지하였고, 갯가재

    2.3%, 중하는 0.9%을 나타냈다.

    두족류는 3목 3과 3속 4종 8,538개체 21,000g이 채집되었다(Table 11). 채집

    된 3목의 두족류중 문어목은 1과 1속 2종을 나타냈고, 갑오징어목과, 살오징어목은

    각각 1과 1속 1종을 나타냈다. 과별로는 문어과가 2종을 나타냈고, 꼴두기과와 갑

    오징어과가 각각 1종씩 출현하였다. 두족류의 종조성은 반원니꼴뚜기가 총 8,483개

    체로 전체 개체량의 99.3%을 차지하였고, 낙지, 주꾸미, 갑오징어는 55개체로 약

    0.6%을 차지했다. 생체량 역시 반원니꼴뚜기가 19,400g으로 91.8%을 차지하였으

    며, 갑오징어는 1,700g으로 8%, 낙지와 주꾸미는 전체 생체량의 각각 0.1%을 차지

    하였다.

  • 39

    Table 9. Number of orders, families, genera and species of coastal fishes

    collected by a stow net in coastal waters of Seocheon, Korea.

    Class Orders Families Genera Species

    Actinoerygii

    Aulopiformes 1 1 1

    Clupeiformes 2 3 3

    Perciformes 9 10 10

    Pleuronectiformes 1 1 1

    Scorpaeniformes 2 2 2

    Tetraodontiformes 1 1 1

    Total 5 16 18 18

  • 40

    Table 10. Number of orders, families, genera and species of coastal crustacean

    collected by a stow net in coastal waters of Seocheon, Korea.

    Class Orders Families Genera Species

    CrustaceaDecapoda 2 3 3

    Stomatopoda 1 1 1

    Total 2 3 4 4

    Table 11. Number of orders, families, genera and species of coastal

    cephalopodas collected by a stow net in coastal waters of Seocheon, Korea.

    Class Orders Families Genera Species

    ColeoideaSepiidea 1 1 1

    Teuthoidea 1 1 1

    Total 3 3 3 4

  • 41

    3.4.4. 2차 각 망목별 종조성

    세망(라셀망지,망목내경 7mm)에서는 총21종이 출현 하였고, 개체수는 5,565개

    체, 생체량은 16,505g을 나타냈다. 전체 개체수의 46%, 생체량은 35.4%을 나타내

    어 가장 많은 개체가 출현하였고, 생체량도 가장 많았다. 가장 많이 출현한 종은 반

    원니꼴뚜기로 총 4,875개체로 전체 개체수의 87.6%을 차지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꽃게 치게가 309개체로 5.5%을 차지하였다. 꽃새우는 86개체로 1.5%, 정어리는

    52개체로, 0.9%, 반지는 43개체로 0.7%, 갈치는 41개체로 0.7%, 열동가리돔이 33

    개체로 0.6%, 보구치는 30개체로 0.5%, 중하는 21개체로 0.3%, 멸치는 18개체로

    0.3%을 차지하였다(Fig. 9). 생체량은 반원니꼴뚜기가 10,846g으로 전체 생체량의

    65.7%을 차지하였다. 다음으로는 갈치가 1,496g으로 9%을 차지하였다. 꽃게 치게

    가 1374g으로 8.3%, 꽃새우가 260g으로 1.6%을 차지하였다.

    15mm망목에서는 총 19종이 출현하였고, 개체수는 4,239개체, 생체량은

    12,883g을 나타냈다. 전체 개체수의 35%, 생체량은 27.7%을 나타냈다. 가장 많이

    출현한 종은 반원니꼴뚜기로 2,797개체로 66%을 차지하였다. 다음은 꽃게가

    1,145개체로 27%을 차지하였다. 다음으로는 보구치 85개체로 2%을 차지하였다

    (Fig. 9). 생체량은 반원니꼴뚜기가 6,042g으로 65.9%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는

    꽃게 4147g으로 32.1%, 병어 668g으로 5.2%을 차지 하였다.

    25mm망목에서는 총 23종이 출현하였고, 개체수는 1,534개체, 생체량은

    11,909g을 나타냈다. 전체 개체수의 12.7%, 생체량은 25.6%을 나타냈다. 가장 많

    이 출현한 종은 반원니꼴뚜기가 753개체로 49.1%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보

    구치가 434개체로 28.3%, 정어리 64개체로 4.2%을 차지하였다(Fig. 9). 생체량은

    반원니꼴뚜기 2,258g으로 19%을 나타냈고, 병어 1,546g으로 13%, 갈치는 1,258g

    으로 10.6%, 꼬치고기 1,190g으로 10%을 나타냈다.

    35mm망목에서는 총 13종이 출현했고, 개체수는 656개체, 생체량 4,504g을 나

    타냈다. 전체 개체수의 5.4%, 생체량은 9.7%을 나타냈다. 가장 많이 출현한 종으로

    는 꽃게가 467개체로 71.2%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는 보구치 63개체가 9.6%, 반

    원니꼴두기 58개체, 8.8%을 나타냈다(Fig. 9). 생체량은 꽃게 2,802g으로 62.2%을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 병어 368g으로 8.2%, 반원니꼴뚜기 234g으로 5.2%, 보구

    치 232g으로 5.2%을 차지하였다.

  • 42

    45mm망목에서는 총 6종이 출현하였으며, 개체수는 88개체수, 생체량은 766g

    을 나타냈다. 전체 개체수의 0.7%, 생체량은 1.6%을 나타냈다. 가장 많이 출현한

    종은 꽃게 65개체로 73.9%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는 보구치 11개체로 12.5%, 갑

    오징어 5개체로 5.7%을 차지하였다(Fig. 9). 생체량은 꽃게가 556g으로 72.6%을

    차지하였으며, 갑오징어 100g으로 13.1%, 보구치 40g으로 5.2%을 차지하였다.

    전 망목에서 출현한 어종으로는 갑오징어, 꽃게, 갯가재, 보구치, 도화망둑, 쥐

    치가 있었으며, 조사기간 동안 가장 많은 개체수가 어획된 종은 반원니꼴뚜기가

    8,483개체로 총 출현 개체수의 70.21%을 나타내 우점 하였으며, 다음으로는 꽃게

    2,017개체가 16.69%를 점유 하였다. 가장 많이 채집된 생체량은 반원니꼴뚜기

    19,800g으로 전체 어획량의 41.6%을 나타냈으며, 다음으로는 꽃게로 10,999g으로

    23.62%을 차지하였다. 이들 2종이 총 출현 개체수에서는 86.9%, 생체량에서는

    65%을 차지하였다(Table 12).

  • 43

    Table 12. Species composition of nectons collected by a stow net according to the codend mesh size in September, 2009. N and W indicate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biomass in gram.

    2차 망목크기별 조사 (2009.9.16) 세망 15mm 25mm 35mm 45mm Total Dominance(%)

    species N W N W N W N W N W N W N W

    Crustacean                            

    Metapenaeus joyneri 21 54 19 44 7 15         47 113 0.39 0.24

    Oratosquilla oratoria 2 58 4 62 4 76 3 40 2 38 15 274 0.12 0.59

    Portunus trituberculatus 309 1,374 1,145 4,147 31 2,120 467 2,802 65 556 2,017 10,999 16.69 23.62

    Trachysalambria curvirostris 86 260 26 78 8 36 17 38     137 412 1.13 0.88

    Cephalopods                          

    Loligo japonica 4,875 10,846 2,797 6,042 753 2,258 58 234     8,483 19,380 70.21 41.62

    Octopus minor 1 22                 1 22 0.01 0.05

    Octopus ocellatus         1 26         1 26 0.01 0.06

    Sepia esculenta 8 392 9 246 21 686 10 264 5 100 53 1,688 0.44 3.62

    Fishes                          

    Amblychaeturichthys hexanema 2 8 3 14 6 35 2 20 1 10 14 87 0.12 0.19

    Apogon lineatus 33 48 18 20 43 68 7 10     101 146 0.84 0.31

    Engraulis japonicus 18 108 1 4 3 16         22 128 0.18 0.27

    Pampus argenteus 4 246 10 668 17 1,546 6 368     37 2,828 0.31 6.07

    Pennahia microptera 30 138 85 316 434 1,128 63 232 11 40 623 1,854 5.16 3.98

    Platycephalus indicus 3 14 3 10             6 24 0.05 0.05

    Pseudorhombus cinnamoneus         2 170         2 170 0.02 0.37

  • 44

    Table 12. Continued

    2차 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