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6
-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최종보고서/ 2010. 2.

전국 실내라돈 실태조사 (II)

- 다중이용시설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

국립환경과학원

Page 2: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Page 3: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최종보고서/ 2010. 2

전국 실내라돈 실태조사

- 다중이용시설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

국립환경과학원

Page 4: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Page 5: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귀하

본 보고서를 “전국 실내 라돈 실태조사”중 다중이용시설의 2계절(여름, 가을)

조사에 대한 최종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0. 2.

연 구 기 관 명 :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과 제 책 임 자 : 윤 주 용

참 여 연 구 원 : 김병직, 김용재, 노정환, 박원종, 박홍모,

박창수, 변종인, 송명한, 송미숙, 윤석원,

안상면, 임성아, 윤호석, 이길우, 이동명,

이병수, 이상국, 이지연, 이화용, 임성아,

장병욱, 정규환, 최석원, 최희열, 채정석,

허동혜

Page 6: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요약문

I. 연구의 개요

○ 과제명 : 전국 라돈 실태 조사

○ 연구수행기간 : 2009년 4월 8일 - 2010년 2월 19일

○ 주요 수행 내용

-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실내 라돈 조사 (2 계절)

II.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라돈은 인공 방사선과 달리 자연 발생적인 방사선원이나 통제·관리상의 어려움이 수

반 된다는 점에서 외국에서 많은 연구 및 조사가 수행된 반면, 국내의 라돈 조사는 미

흡한 실정이었다. 이에 2007년 6월 환경부는 폐암 위험으로부터 국민건강 보호의 취지

하에 라돈 오염기반 구축, 라돈 오염지도 작성, 건강영향조사, 고노출 경로 관리 체계,

인식제고와 커뮤니케이션 강화 등을 근간으로 「실내 라돈관리 종합대책」을 수립하

였다.

본 과제는 환경부에서 수립한 「실내 라돈관리 종합대책」의 일환으로 전국 실내

라돈의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III. 연구 내용

본 과제에서는 2007년 환경부에 신고된 17개 다중이용시설군의 약 5% 정도에 해당

하는 332개 시설을 대상으로 여름철과 가을철 동안 실내 라돈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실내 라돈 증가의 원인 추적 시도를 위하여 조사 건물에 대한 환경인자를 조사하여

환경인자별 라돈 농도 변화를 평가하였다. 조사된 라돈 농도를 이용하여 다중이용시설

에 출입하는 일반인과 근무자에 대하여 라돈의 방사선 측면에서 위해성(피폭선량)을

평가하였다.

IV. 연구 결과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위하여, 총 332의 다중이용시설에 대하여 라돈 조사를 수행

하였다. 2 계절 평균 실내라돈의 전체 산술평균은 26.7 Bq/m3로 조사되었으며, 표준편

차는 17.7 Bq/m3이었다. 기하평균은 22.5 Bq/m3였으며 기하편차는 1.7 Bq/m3로 조사

Page 7: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되었다. 17개 다중이용시설을 지하시설, 전시시설, 의료시설, 상업시설, 대합실로 재분

류하여 평가했을 때, 각 시설들의 라돈 평균 농도는 각각 20.4 ± 8.3 Bq/m3, 42.4 ±

22.1 Bq/m3, 24.9 ± 15.7 Bq/m3, 24.1 ± 16.2 Bq/m3, 16.8 ± 7.3 Bq/m3이었다. 일반인

의 출입 빈도가 낮은 전시시설의 평균라돈농도가 다른 시설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

타났으며, 전시시설중 1개 시설의 라돈농도가 152 Bq/m3으로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

기질 관리법의 라돈권고치인 148 Bq/m3을 초과하였다. 그러나 보수적 관점에서 일반

인의 다중이용시설 일일 이용시간을 1시간으로 가정하여 라돈농도가 가장 높은 전시

시설(152 Bq/m3)에 출입할 경우 년간 피폭선량은 0.1 mSv으로 평가되었으며 이는

ICRP 신권고의 라돈 연간 선량 제약치가 10 mSv인 점을 감안하면 다중이용시설에 출

입하는 일반인의 라돈 피폭선량은 무시할 만하다. 반면, 년간 노출시간이 2,000 시간인

근무자의 경우 전체 평균 년간 피폭선량은 0.1 mSv이며 라돈 농도가 가장 높은 전시

시설(152 Bq/m3)에서 근무할 경우 받는 연간 피폭선량은 0.7 mSv로 평가되었다. 지역

별로 보면, 전라북도, 충청북도, 강원도 등의 다중이용시설 평균 라돈농도가 전국 평균

보다 높게 라돈이 조사되었으나 조사지점이 많지 않고 다중이용시설 전체의 라돈 농

도가 낮기 때문에 통계적 의미는 크지 않다고 판단된다. 건물의 구조, 건축재료, 환기

시설 등에 따른 영향 또한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일반적으로 라돈 농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하지설에서도 라돈 농도는 20.4 ± 8.3 Bq/m3으로 매우 낮았다. 대

부분 대도시에 존재하는 다중이용시설은 내부 공간이 넓고 콘크리트 구조이므로 건물

이 놓여 있는 주변 토양으로부터의 라돈 유입이 상당히 차단되는 것으로 판단되며 실

내로 유입된 라돈은 내부 공조기 가동과 일반인의 빈번한 출입으로 내부의 라돈이 쉽

게 외부로 빠져 나가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라돈 농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Page 8: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목 차 >

제 1 장 서 론 ···········································································································1

제 1 절 과제 수행의 배경 및 필요성 ·································································1

제 2 절 과제의 목적 및 내용 ···············································································2

제 2 장 라돈 조사 방법 ·····························································································4

1. 과업의 범위 ····································································································4

2. 연구목적 달성을 위한 연구추진체계 및 연구진 구성 세부 내용 ······ 4

3. 조사 및 분석방법 ··························································································6

제 3 장 연구 결과 및 고찰 ·····················································································10

제 1 절 라돈 조사 결과 ·······················································································10

1. 라돈 검출기 설치 및 회수 현황 ······························································10

2. 전국 라돈 농도 조사 결과 ········································································10

3. 각 행정구역별 라돈 평균 농도 ······························································12

제 2 절 환경 인자별 라돈 농도 변화 ·······························································14

1. 층별 라돈 농도 변화 ··················································································15

2. 건축 년도의 영향 ························································································15

3. 건물구조 ········································································································16

4. 건축 재질별 영향 ························································································17

5. 창문 재질의 영향 ························································································23

6. 지하수의 영향 ······························································································25

7. 환기 방식의 영향 ························································································25

제 3 절 실내 라돈 농도 분포도 및 선량평가 ·················································27

1. 실내 라돈 농도 분포도 ··············································································27

2. 라돈에 의한 내부 피폭선량 평가 ····························································29

제 4 절 품질 관리 ·································································································31

1. 타 검출기와의 비교 ····················································································31

2. 현장 백그라운드 ··························································································34

3. 교차분석 및 검출기 교정 ··········································································34

제 4 장 결론 ···············································································································36

Page 9: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제 5 장 연구 개발 목표 달성도 및 대외 기여도 ···············································38

제 6 장 참고 문헌 ·····································································································39

제 7 장 부 록 ·············································································································42

부록 I ····························································································································42

부록 II ···························································································································44

부록 III ·························································································································58

부록 IV ·························································································································68

<표 목차>

표 2-1.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의 시설 재분류 ···························6

표 2-2. 다중이용시설의 조사지점수 ·······································································6

표 2-3. 라돈 조사 기간 ·····························································································8

표 3-1. 검출기 회수율 ·····························································································10

표 3-2. 전국 다중이용시설의 평균 라돈 농도 ·····················································11

표 3-3. 각 조사 그룹별 라돈 농도 ·········································································12

표 3-4. 다중이용시설의 행정구역별 산술 평균 라돈 농도 ·······························13

표 3-5. 라돈 검출기 설치한 층별 실내 라돈 농도 변화 ···································15

표 3-6. 건물 구조에 의한 실내 라돈 농도 변화 ···············································17

표 3-7. 내벽재 종류에 따른 실내 라돈 농도 변화 ···········································18

표 3-8. 내벽 마감재 종류에 따른 실내 라돈 농도 변화 ·································19

표 3-9. 천장 재료에 따른 실내 라돈 농도 변화 ···············································20

표 3-10. 천장 마감재에 따른 실내 라돈 농도 변화 ·········································21

표 3-11. 바닥재 종류에 따른 실내 라돈 농도 변화 ·········································22

표 3-12. 바닥 마감재 종류에 따른 실내 라돈 농도 변화 ·······························23

표 3-13. 창문 재질에 따른 실내 라돈 농도 변화 ·············································24

표 3-14. 단일창 및 이중창 사용에 따른 실내 라돈 농도 변화 ·····················25

표 3-15. 지하수 사용에 따른 실내 라돈 농도 변화 ·········································25

표 3-16. 환기 방식에 따른 실내 라돈 농도 차이 ·············································26

Page 10: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표 3-17. 환풍기 사용에 따른 라돈 농도 변화 ···················································26

표 3-18. 시설별 라돈에 의한 일반인 및 근무자의 평균 및 최고 피폭선량 · 30

표 3-19. Raduet과 국산검출기간의 측정 결과 비교 ··········································32

표 3-20. Raduet의 재현성 비교 ············································································33

표 3-21. 라듀엣 검출기의 각 시리얼 번호별 교정인자 ·····································34

표 3-22. 라돈 교차분석 결과 ·················································································35

<그림 목차>

그림 2-1. 라돈 검출기. 라듀엣 (좌) 및 국산 검출기(우) ·····································7

그림 2-2. Eching unit (좌) 및 판독기 (우) ··························································9

그림 2-3. 알파 비적 자동 판독 화면 ·······································································9

그림 3-1. 라돈 농도 분포 ·····················································································11

그림 3-2. 지역별 라돈 농도 분포 ·········································································13

그림 3-3. 건축년도별 라돈 농도 변화 ·································································16

그림 3-4. 다중이용시설의 평균 실내 라돈 농도 분포도 ·································27

그림 3-5. 국산검출기와 Raduet 검출기간의 bias 분포도 ·······························32

그림 3-6. Raduet의 재현성 비교 (bias 분포도) ···················································33

Page 11: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1 -

제 1 장 서 론

제 1 절 과제 수행의 배경 및 필요성

산업화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도시에 거주하며 하루 24시간 중 80% 이상을 실내에

서 생활하고 있으며, 효율적인 에너지 이용을 위해 건축물의 밀폐화로 실내공간에 분

포되어 있는 환경오염물질은 매우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었다(전재식, 2007). 외부 대기

는 자연적인 희석률이 크고, 사회적 인식 확대, 각종 규제 등으로 오염이 억제되고 있

으나, 실내 공기는 한정된 공간에서 인공적인 설비를 통하여 오염된 공기가 계속적으

로 순환되면서 그 오염물질의 농도가 인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정도로 증가될 수

있다(환경부, 2007). 이런 이유로 환경부는 2003년 5월 29일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

공기질관리법”을 공포하였고, 2004년 5월 30일부터 시행하였다(환경부, 2004). 동 법에

의해 지하역사, 지하도상가, 의료기관, 도서관, 대규모 점포, 찜질방, 터미널 대합실과

같은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실내 공기질 유지기준 및 권고기준이 설정되었으며, 10개

주요 오염물질인 미세먼지, 이산화탄소, 포름알데하이드, 부유세균, 일산화탄소, 이산화

질소, 휘발성유기물, 석면, 오존, 라돈에 대한 실내 공기질 측정이 의무화 되었다. 특

히, 관리대상인 10개 실내 오염물질중에서 라돈은 다른 실내 오염물질과 달리 자연 발

생적인 방사성 물질이기 때문에 통제·관리상 어려움이 수반된다.

라돈은 지각의 암석이나 토양 또는 건축자재 중에 들어 있는 우라늄(238U)과 토륨

(232Th)이 몇 단계의 방사성붕괴 과정을 거친 후 생성되는 알파선방출 핵종이다. 라돈

은 무색무취의 불활성 기체이므로 토양이나 건축 자재로부터 생성된 라돈은 매질에

흡착되거나 반응하지 않고 토양 공극 또는 건물 틈새를 통하여 주변으로 확산되어 건

물 외부와 내부의 공기중에 모두 존재한다. 외부로 방출된 라돈은 대기의 희석배수가

크고 자연 붕괴되어 실외 라돈 농도는 매우 낮은 반면, 환기가 부족한 경우 실내에는

라돈 농도가 높게 된다. 특히 지하광산, 천연동굴, 터널, 온천 등에 실내 공기중 라돈

농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내로 유입된 라돈은 붕괴되어 폴로늄(218Po, 214Po)

과 같은 딸핵종으로 되며 이 딸핵종이 폐로 흡입되어 이 들이 방출하는 알파선에 의

해 폐 조직이 손상되며, 고농도로 장기간 노출될 경우 폐암을 유발할 수도 있다. 결국

천연 방사선에 의한 총 피폭선량중에서 라돈이 큰 비중을 차지하며, 높은 농도의 라돈

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경우 폐암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점과 라돈은 인공방사

선과는 달리 자연 발생적인 방사선원이므로 통제·관리상의 어려움이 수반된다는 점에

서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이 집중되었다. 이에 따라 외국 선진국들은 라돈으로부터 국

민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라돈에 의한 자국민들의 연간 피폭선량을 평가하고, 필

요시 라돈농도에 대한 권고치를 설정하기 위하여 ‘80-’90년대에 국가별로 전국 규모의

Page 12: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2 -

라돈농도 조사를 수행하였다 (UNSCEAR; 1977, 1982, 1988, 1993). 특히, 미국은 전체

가옥의 약 10% 이상의 약 1,800백만 가옥에 대해 라돈 조사를 완료하였으며, 영국은

전체 가옥의 약 2.1%인 약 45만 가옥, 체코는 전체 가옥의 3.8%인 약 15만 가구, 노르

웨이는 전체가옥의 약 3.5%인 약 5만 가옥에 대하여 라돈 조사를 수행하였다.

국내의 라돈 조사는 경북대 강영호 교수 등(강영호; 1982)이 경북일원에서 토양으로

부터 방출되는 라돈기체의 방사능측정을 1981년에 수행한 이후, 2000도 이전까지 국내

에서 라돈의 연구는 대학 또는 연구소에서 소규모로 수행되었다가 2000년도 이후 한

국원자력안전기술원에서 일반 가옥에 대하여 전국 라돈조사가 수행되었다(KINS,

2005). 한편,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라돈조사는 1989년 Kim 등(Kim, 1993)에 의해 서울

지하철역사에 대한 라돈 조사를 시작으로 여러 조사가 수행되었으며(김동술 등, 1993;

김윤신 등, 2003; KINS, 2005; 전재식 등, 2006, Yoon 등, 2009). 특히 전재식 박사에

의하여 1998년부터 2004년까지 서울 지하철 역사에 대해 심도있는 조사가 수행되었다

(전재식, 2007). 한편, 일부 지하 역사(驛舍)에서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 관리

법”의 라돈 권고기준치(148 Bq/m3) 이상의 라돈 농도가 검출되어 언론에 보도되기도

하였다.

1980년대부터 국내 라돈 연구 및 조사가 시작된 이후 간헐적이지만 많은 조사가 진

행되었고 2004년부터 다중이용시설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이 시행되고 있지만, 선진국

에 비하면 국내의 라돈 조사 및 관리는 매우 미흡하며, 특히 라돈 저감화 등에 대한

국내 인프라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런 이유로 2007년 6월 환경부는 폐암 위험

으로부터 국민건강 보호의 취지하에 라돈 오염기반 구축, 라돈 오염지도 작성, 건강영

향조사, 고노출 경로 관리 체계, 인식제고와 커뮤니케이션 강화 등을 근간으로 하는

약 6 년간의 장기적인 「실내 라돈관리 종합대책」을 수립하였고, 2007년 말, 전국 실

내라돈 실태조사를 위한 라돈실태조사지침서를 제작하였으며(KINS, 2007), 2008년부터

공공건물을 시작으로 전국 실내라돈 실태조사를 본격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 라돈관리 종합대책」의 일환으로 2009년 7월부터 3개월씩 2

계절 동안 다중이용시설에 대하여 실내 라돈 실태조사를 수행하였다.

제 2 절 과제의 목적 및 내용

본 과제의 목적은 환경부 「실내 라돈관리 종합대책」의 일환으로 전국 실내 라돈

의 실태를 조사하는 것으로 조사 대상은 다중이용시설이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를 수행하였다. 전국 실내라돈 실태조사는 전국 라돈

Page 13: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3 -

분포지도 작성을 목적으로 전국 1대 5만 지형도에 근거하여 전국을 15‘ x 15'로 격자

하여 조사하는 것이나, 본 연구에서 수행한 라돈 조사 대상은 다중이용시설로써 시설

특성상 다중이용시설은 대도시나 대도시 주변에 주로 분포하고 있다. 이런 이유로 전

국 라돈 분포지도를 고려한 전국적 고른 지점 선정은 불가하여 2007년 환경부에 신고

된 17개 다중이용시설군의 약 5% 정도에 해당하는 지점을 선정하여 실내 라돈 농도를

조사하였다. 조사는 계절변화에 따른 라돈 농도 변화를 고려하여 2계절 조사를 목표로

조사를 수행하였다. 또한 실내라돈 증가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그 해석이 매우 어려우나 실내 라돈 증가의 원인 추적 시도를 위하여 조사 건물에 대

한 환경 인자를 조사하였다. 한편, 조사기간중 검출기의 분실 및 파손의 위험성이 있

어 당초 목표보다 약 10%의 지점을 추가하여 총 332개 지점을 조사하였으며, 검출기

의 품질관리를 위하여 조사지점의 5% 이상은 미개봉 상태(공시료)로 배포 후 회수 및

판독하였으며, 국산검출기와의 비교 평가를 위하여 약 5%의 조사지점에는 국산 검출

기를 동시 배포하여 그 결과를 검토하였다. 라돈 조사 결과를 근거로 다중이용시설을

이용하는 일반인과 근무자에 대하여 라돈의 방사선 측면에서의 위해성(피폭선량)을 평

가하였다.

Page 14: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4 -

제 2 장 라돈 조사 방법

1. 과업의 범위

○ 전국 실내라돈 실태 조사

-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실내라돈 조사

. 조사지점 : 300개 지점

- 조사시기 : 3개월씩 총 2회

○ 공공건물 시설, 이용자 특성에 따른 라돈의 방사선 피폭선량 (위해도) 평가

○ 품질관리

- 국산 검출기의 성능평가를 위하여 조사지점의 5% 이상 지점에 국산검출기 중

복 배포 후 결과판독

- 측정 중 검출기 분실, 파손 등 미회수율을 감안, 전체 조사지점의 10% 이상

추가조사 실시

- 검출기의 성능관리를 위하여 조사지점의 5% 이상은 미개봉 상태(공시료)로 배

포 후 회수 및 판독(백그라운드 평가)

- 1회 이상 타 분석기관을 통한 교차분석(수량은 통계적 유의성 감안)

2. 연구목적 달성을 위한 연구추진체계 및 연구진 구성 세부 내용

○ 연구 추진 체계 및 전략

- 연구 추진 방법

.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이 ‘07년도에 환경부로부터 위탁 연구개발한 “라돈실태

조사 지침”을 근거로 수행

.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에서 ‘99년 4월 1일부터 ’05년 2월 28일까지 수행한 전

국라돈조사(약 4,000지점)시 획득한 전문적 기술 반영

- 문헌조사, 비교·사례 연구

- 국내·외 라돈 조사 방법 및 연구 결과 활용

- 국내·외 라돈 전문가 검토

Page 15: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5 -

○ 연구진 구성 세부 내용

연구분야 직 책 성 명 수행내용

총괄책임

품질관리

통계분석

품질관리

방사선측정

방사선측정

방사선측정

방사선측정

방사선측정

방사선측정

품질관리

조사평가

방사선측정

통계분석

방사선측정

품질관리

방사선측정

방사선측정

방사선측정

행정지원

측정보조

측정보조

측정보조

측정보조

측정보조

측정보조

책임연구원

책임연구원

책임연구원

책임연구원

책임연구원

책임연구원

선임연구원

선임연구원

연구원

책임연구원

책임연구원

선임연구원

책임연구원

책임연구원

책임연구원

선임기술원

선임연구원

선임연구원

선임연구원

선임기술원

고급연구생

연합대학박사과정

연합대학석사과정

고급연구생

고급연구생

고급연구생

윤주용

김용재

장병욱

이병수

이상국

최석원

임성아

이지연

채정석

안상면

노정환

정규환

이동명

박원종

박홍모

이길우

최희열

박창수

김병직

윤호석

허동혜

변종인

송명환

윤석원

이화용

송미숙

사업 총책임

조사결과 평가 총괄 및 보고서 작성

지점선정 및 라돈 지도 작성

품질관리 및 진도평가

라돈 판독 및 라돈 측정결과 평가

라돈 검출기 검교정 및 검출기 교차분석

검출기 선정 구매 및 검출기 관리

건축물 환경인자 평가

토양 공기중 라돈농도 분석

지하수중 라돈 농도 분석

라돈 판독 및 백그라운드 측정관리

라돈에 의한 방사능 피폭량 평가

천연방사성핵종 분석

방사성 핵종분석 결과 평가

천연방사성핵종 분석

방사능 분석장비 유지보수

천연 방사성 핵종 분석

토양 공기중 라돈농도 분석

시료채취 및 토양 전처리

행정, 예산, 시설 및 설비 지원

라돈 판독 지원

방사성핵종 분석 지원

판독장치 유지보수

판독장치 유지보수

문헌조사

문헌조사

Page 16: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6 -

3. 조사 및 분석방법

가. 전체 표본 규모

전국 실내라돈 실태조사의 궁극적인 목적은 우리나라의 라돈 농도를 파악하여 실내

라돈 포텐셜 지도를 작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국을 15' x 15' 격자화하여 격자

별로 조사를 원칙으로 하였으나, 다중이용시설은 주로 대도시나 대도시 주변에 위치하

므로 격자별 조사는 사실상 불가능하였다. 또한 라돈 조사지점수가 총 330개 정도이므

로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에 정의된 17개 시설로 구분하여 조사는 것

은 현실적으로 어려워 다중이용시설을 표 2-1과 같이 업태나 용도가 유사한 시설을 통

합하여 5개의 그룹으로 재분류하였다. 2007년 기준으로 환경부에 신고된 다중이용시설

은 총 6,868개이며 이중 약 5%을 선정하여 실내 라돈농도를 조사하고자 하였으나, 다

중이용시설은 일반 개인 사업체가 많아 라돈 조사 거부가 많았으며, 특히 상업시설이

조사 거부가 많아 조사 비율을 조절하여 최종적으로 332개에 대하여 라돈 조사를 수

행하였다.

시설 그룹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상의 대상시설

지하시설 지하역사, 지하상가, 장례식장

전시시설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의료시설 의료기관, 국공립보육시설, 노인의료복지시설, 산후조리원

상업시설 대규모 점포, 찜질방, 실내 주차장

대합실 자동차, 공항, 항만, 철도 터미널

표 2-1.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의 시설 재분류

비 고 총지점수선정

지점수

실제 조사

지점수비율(%)

지하시설 622 75 72 10.9

전시시설 210 65 60 28.6

의료시설 1,420 100 95 6.7

상업시설 4,554 80 82 1.8

대합실 62 15 23 37.1

합계 6,868 335 332 4.9

표 2-2. 다중이용시설의 조사지점수

* 기준 : 2007년 다중이용시설 현황

Page 17: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7 -

나. 라돈 검출기

라돈 측정기술은 라돈 또는 라돈의 딸핵종들로부터 방출되는 알파, 베타, 또는 감마

선을 검출하는 것이다. 대표적인 검출기로는 펄스 전리함, 충전막 전리함, ZnS(Ag) 섬

광검출기, 표면장벽형 실리콘 검출기 또는 확산접합형 검출기(Diffused junction

detector)를 이용한 알파 스펙트로메터, NaI(Tl) 또는 HPGe를 이용한 감마 스펙트로메

터와 알파입자의 비적을 검출하는 고체비적 검출기 등이 있으나(ICRP-65, 1993), 본 조

사는 전국에 대한 대규모 조사 사업이므로 비용, 운반 용이성, 취급 간편성, 물리적 견

고성 등의 장점을 가진 수동형 검출기를 사용하였다.

우리나라의 라돈 실태파악을 위해서는 국제적으로 신뢰성있는 검출기를 사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므로 2007년에 수행한 라돈실태조사 지침 수립 연구(KINS, 2007)

에서 선정한 라듀엣(Raduet)을 기본 검출기로 사용하였다. 라듀엣은 헝가리 Radosys사

에서 제작한 것으로 검출하한치는 90일 측정시 7 Bq/m3

(0.19 pCi/L)로 라돈 및 토론

을 동시에 검출이 가능한 검출기로 토론의 영향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는 검출기이다.

또한 라돈 측정의 품질관리를 위하여 조사지점의 약 5%는 국산 검출기의 성능 평가를

위하여 현재 국내에서 제조 판매되고 있는 국산 검출기를 설치하였다.

전국적 라돈 조사에 국내 검출기를 사용하는 것이 국내 라돈 측정 기술발달 등을

고려하면 매우 바람직하나 현재 시판되는 국내 라돈 검출기는 종류가 한 두 종류로

매우 한정되어 있고, 검출기는 검출기에 대한 상세 규격, 검출하한치, 성능 평가 결과,

신뢰성 평가 결과 등을 파악할 수 없어 부득히 본 라돈조사에서 제외하였다. 다만, 시

판중인 검출기에 대한 자체 평가를 위하여 본 조사에 일부 사용하였다.

한편, 현장 백그라운드 측정을 위하여 총 조사지점의 5% 해당 하는 지점에 개봉하

지 않은 Raduet 검출기를 동시에 설치하여 판독 결과에 대한 백그라운드를 보정하였

다.

그림 2-1. 라돈 검출기. 라듀엣 (좌) 및 국산 검출기(우)

Page 18: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8 -

다. 라돈 검출기 설치 및 회수

1개 지점에 1개의 라돈계측기를 설치하며, 계측기 설치기간은 3개월 간 4회 실시하

여 1년간 조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라돈 조사는 6월부터

여름철 조사를 시작하려고 했으나 업주의 라돈 측정 동의 확보에 어려움 등으로 7월

부터 여름철 조사를 착수하였다.

조사 분기 측정 개시월 측정 완료월 비고

여름 2009. 7 2009. 9 -

가을 2009. 9. 2009. 12 -

겨울 2009. 12 2010. 3 차기 연구과제

봄 2010.3 2010. 6 차기 연구과제

표 2-3. 라돈 조사 기간

라돈 조사 검출기 설치시 검출기 포장지를 개봉한 후 함께 첨부한 기록양식에 가옥

번호, 주소, 검출기 일련번호와 검출기 설치 날짜 및 시간을 기록하였다. 설치장소는

안내 표지판, 캐비넷, 책장 등 검출기 설치가 가능한 곳에 설치하였으며, 토론의 간섭

을 배제하기 위하여 천장이나 벽으로부터 약 30 cm 이상 이격시켰다. 또한 주변에 전

자파나 정전기가 발생하는 전자 기구 및 전열기, 냉난방기 등 근처에는 라돈 검출기를

설치하지 않았다.

라돈검출기의 설치 및 회수는 조사원이 조사대상 지역을 직접 방문하여 설치 및 회

수하도록 하였으며(라돈검출기의 설치 회수 방법: 부록 I 참조) 라돈검출기 설치 및 회

수에 투입되는 조사원에 대해서는 라돈에 대한 일반적 지식과 라돈검출기 취급 및 설

치 회수방법에 대한 사전교육(조사원 교육자료: 부록 II)을 실시하였고 라돈 관련 팜플

렛(부록 III)을 제작하여 조사대상 지점의 일반인들이 라돈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조사 지점 방문시, 건물형태 및 생활습관과 라돈농도와의 상관성

을 검토하기 위하여 라돈계측기 설치 및 회수시 이와 관련된 사항에 대하여 간단한

설문조사를 병행하였으며 설문조사 내용은 별첨의 내용과 같이 조사대상 건물의 구조

형태 및 생활습관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부록 IV)

검출기 회수시 기록양식에 검출기 회수 날짜와 시간을 기록한후 검출기를 설치시

동봉한 지퍼가 부착된 별도의 라미네이터 봉지에 넣어 완전히 밀봉한 다음 실험실로

이송하였다.

Page 19: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9 -

라. 검출기 판독

회수된 라돈 검출기를 개봉하여 내부의 CR-39 필름을 꺼낸 다음, 90 °C, 25%

NaOH 용액에서 7 시간 동안 화학적 에칭을 수행한 후 관찰되는 비적을 계수하여 다

음 식을 이용하여 라돈 농도를 계산하였다.

TCFBNCRn ´

-=

)(

N : 측정한 CR-39 필름의 단위 면적당 트랙수(tracks/cm2)

B : Background CR-39 필름의 단위 면적당 트랙수(tracks/cm2)

CF : 환산계수, T : 노출시간

그림 2-2. Eching unit (좌) 및 판독기 (우)

그림 2-3. 알파 비적 자동 판독 화면

Page 20: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10 -

제 3 장 연구 결과 및 고찰

제 1 절 라돈 조사 결과

1. 라돈 검출기 설치 및 회수 현황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국 300개 지점 표본 규모 목표치를 당초 목표치보다 약

10% 많은 조사지점을 설정하여 총 332개 지점에 라돈검출기를 설치하였다. 검출기 분

실과 파손으로 인한 판독이 불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표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분

기별 데이터 획득율은 모두 95% 이상이었다. 2 계절 모두 측정 데이터가 있는 총 지

점수는 303개로 총 데이터 획득율은 91.3%였다.

선정

지점수배포수 분실 회수량 판독불가* 회수율(%)

최종 Data

획득율 (%)

여름 335 332 14 318 - 95.8 95.8

가을 335 332 17 315 - 94.9 94.9

* 검출기 파손 등에 따른 판독 불가

- 2계절 데이터가 모두 있는 지점수 : 303개

- 총 데이터 획득율 : 91.3%

표 3-1. 검출기 회수율

2. 전국 라돈 농도 조사 결과

다중이용시설 전체에 대한 실내 라돈 농도 분포를 그림 3-1에 나타내었다. 그림에서

보듯 라돈 농도 빈도분포는 기하정규분포(log-normal distribution)를 보였으며, 조사대

상 전체에 대한 실내 라돈농도의 산술평균은 26.7 ± 17.7 Bq/m3이며 기하평균은 22.5

± 1.7 Bq/m3으로 조사되었다. 과거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이 2002 - 2005년 동안 조사

한 일반 가옥내 라돈 평균 농도(산술평균) 55.5 ± 56.0 Bq/m3에 비하여 매우 낮았다

(KINS, 2005). 여름철에 23.7 ± 17.3 Bq/m3을 가을철에 29.1 ± 20.1 Bq/m3을 보였다

(표 3-2). 두 계절 평균의 최고값은 152 Bq/m3으로 1개 지점이 다중이용시설에 관한

공기질 관리법의 라돈 권고치인 148 Bq/m3을 초과하였다.

Page 21: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11 -

0.00

0.05

0.10

0.15

0.20

0.25

0 40 80 120 160 200

Radon concentration (Bq/m3)

Rela

tive F

requency

148 Bq/m3

그림 3-1. 라돈 농도 분포

여름 가을 평균

산술평균 23.7 ± 17.3 29.1 ± 20.1 26.7 ± 17.7

기하평균 20.0 ± 1.7 24.9 ± 1.7 22.5 ± 1.7

중간값 19.7 23.4 24.1

최고값 186 189 152

표 3-2. 전국 다중이용시설의 평균 라돈 농도 (단위: Bq/m3)

17개 다중이용시설을 업태나 용도를 고려하여 지하시설, 전시시설, 의료시설, 상업시

설, 대합실로 재분류하여 평가했을 때, 각 시설들의 라돈 평균 농도는 각각 20.4 ± 8.3

Bq/m3, 42.4 ± 22.1 Bq/m3, 24.9 ± 15.7 Bq/m3, 24.1 ± 16.2 Bq/m3, 16.8 ± 7.3 Bq/m3

이었다. 일반인의 출입 빈도가 낮은 전시시설의 평균라돈농도가 다른 시설보다 상대적

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전시시설중 1개 시설의 라돈농도가 152 Bq/m3으로 다중이용시

Page 22: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12 -

설의 실내공기질 관리법의 라돈권고치인 148 Bq/m3을 초과하였으나, 아직 다중이용시

설에 대한 라돈 조사가 진행중이므로 한 계절이 148 Bq/m3을 초과하였다고 하여 어

떠한 조치를 취하는 것은 시기상조로 판단된다.

Group 여름 가을 평균

지하시설 19.0 ± 9.4 21.4 ± 8.8 20.4 ± 8.3

전시시설 38.2 ± 18.9 46.3 ± 27.3 42.4 ± 22.1

의료시설 21.5 ± 14.2 27.9 ± 19.5 24.9 ± 15.7

상업시설 21.8 ± 20.2 26.2 ± 14.1 24.1 ± 16.2

대합실 14.1 ± 5.6 20.3 ± 11.5 16.8 ± 7.3

최고값 186 189 152

표 3-3. 각 조사 그룹별 라돈 농도 (단위: Bq/m3)

3. 각 행정구역별 라돈 평균 농도

표 3-4는 각 행정구역별 다중이용시설의 산술평균 라돈농도를 나타낸 것으로, 전라

북도, 충청남도, 강원도의 평균 라돈농도가 각각 53.2 ± 35.2 Bq/m3, 41.0 ± 22.3

Bq/m3, 38.9 ± 31.1 Bq/m3으로 전체 평균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 지역

에 대한 라돈 조사지점이 많지 않고 대부분 라돈 농도가 높지 않기 때문에 행정구역

별 비교는 큰 의미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실관리법의

라돈 권고 기준인 148 Bq/m3을 초과하는 곳은 여름철에 강원도에서 1개 지점, 서울에

서 가을철에 1개 지점으로 나타났으며, 두 계절 평균 농도가 148 Bq/m3을 초과한 곳

은 서울에 있는 전시시설에서 1 곳이 나타났다.

Page 23: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13 -

행정구역 지점수 여름 가을 평균 148 Bq/m3

초과 지점수

강원도 16 40.1 ± 41.2 37.7 ± 23.2 38.9 ± 31.1 -

경기도 73 25.0 ± 11.3 29.5 ± 12.8 27.4 ± 11.1 -

경상남도 8 17.7 ± 4.4 23.7 ± 6.3 20.7 ± 4.5 -

경상북도 18 18.7 ± 13.1 31.4 ± 29.9 25.1 ± 21.1 -

광주광역시 15 21.7 ± 16.9 24.3 ± 15.2 23.1 ± 15.9 -

대구광역시 26 15.5 ± 7.8 24.6 ± 10.4 20.4 ± 8.3 -

대전광역시 14 25.1 ± 17.5 30.0 ± 11.9 27.6 ± 14.2 -

부산광역시 27 14.5 ± 5.4 19.2 ± 7.3 16.1 ± 4.6 -

서울특별시 64 25.7 ± 17.2 29.3 ± 24.3 28.1 ± 20.2 1 (0.3%)

울산광역시 1 11.5 ± 0.0 5.2 ± 0.0 8.3 ± 0.0 -

인천광역시 22 22.1 ± 10.2 21.8 ± 11.0 22.0 ± 9.4 -

전라남도 13 21.0 ± 9.3 20.4 ± 6.0 20.7 ± 6.8 -

전라북도 6 43.0 ± 28.8 61.5 ± 39.3 53.2 ± 35.2 -

제주도 7 26.9 ± 18.2 34.5 ± 20.0 31.9 ± 16.0 -

충청남도 9 32.2 ± 17.7 49.8 ± 28.6 41.0 ± 22.3 -

충청북도 13 21.7 ± 13.1 39.1 ± 22.7 30.8 ± 17.4 -

전국 평균 332 23.7 ± 17.3 29.1 ± 20.0 26.7 ± 17.7

최고값 168 189 152

148 Bq/m3

초과지점수(초과비율)

1

(0.3%)

1

(0.3%)

1

(0.3%)

표 3-4. 다중이용시설의 행정구역별 산술 평균 라돈 농도 (단위: Bq/m3)

53

41 39

32 3128 28 27 27 25 23 22 21 21 20

16

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전북 충남 강원 제주 충북 서울 대전 경기 평균 경북 광주 인천 전남 경남 대구 부산 울산

행정구역

라돈

농도

(B

q/m

3)

그림 3-2. 지역별 라돈 농도 분포

Page 24: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14 -

제 2 절 환경 인자별 라돈 농도 변화

실내 라돈 농도에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실내 라돈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여러 요인에는 토양 공기중 라돈의 실내 유입, 건축재료로부터의

방출, 벽이나 바닥을 통한 확산, 지하수의 영향 등이 있다. 이중 약 85 - 90%는 토양

공기중 라돈의 실내 유입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최근 들어 건물의 열효율

증가를 위하여 외부와의 공기 흐름을 효율적으로 차단하는 건축재료와 각종 단열재가

사용되며, 특히 라돈의 모핵종인 226Ra이 많이 포함된 석고보드와 같은 단열재가 사용

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실내 라돈 농도는 증가할 가능성이 더 커진다. 이런한 이유로

본 조사에서는 건물내 라돈 농도의 상승 원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라돈 농도 조사와

더불어 가옥이 위치한 지역의 지질학적 정보와 가옥의 형태, 건물 구조, 외벽재, 내벽

재, 생활습관 등에 대한 정보의 조사를 병행하였다.

□ 라돈 조사에 필요한 주요 환경인자

- 인적사항 : 연락처, 주소, 직업, 거주 년도,

- 위치정보 : 위도 경도, 거주 위치(산, 들, 강변, 바닷가 등), 가옥사진 등

- 건물정보 : 건축년도, 보수 또는 리모델링 년도 등

- 가옥구조 : 철강재, 철근콘트리트, 석재, 벽돌, 시멘트 블록, 목재, 흙, 조립식 등

- 외벽재 : 흙벽, 콘트리트, 시멘트블럭, 적벽돌, 기타

- 내벽재 : 흙벽, 콘트리트, 시멘트블럭, 적벽돌, 석고보드, 기타

- 마감재 : 콘트리트 및 모르타르, 회반죽, 타일 등 붙임재료, 목재, 벽지, 뿜칠바

름재, 흙벽, 석고 보드 등

- 천장재 : 콘크리트, 시멘트 블록, 석재, 벽돌, 타일, 흙 등

- 창문 구조 : 시스템 복합 창호, 알루미늄 샤시, 나무, 기타

- 베란다 유무, 베란다 알루미늄 샤시 유무

- 건물 층수, 거주층수, 지하 공간 유무, 건축년도 등

- 건축재료, 건축년도, 벽마감재, 천장마감재, 창문 및 현관문 재질 등

- 조리기구, 난방기구, 냉방기구, 환기 빈도, 선풍기/에어컨/환풍기 사용 시간 등

- 공기청정기 사용 여부 및 사용 시간

이상의 주요 환경 인자 획득을 위하여 환경인자 조사표(부록 IV)을 작성하였으며 모

든 조사 지점에 대하여 각 지점 관계자와의 면담을 통하여 환경인자 조사를 하였다.

Page 25: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15 -

1. 층별 라돈 농도 변화

검출기를 설치한 층별로 평균 라돈 농도를 비교한 결과(표 3-5), 1 층과 2 층의 평균

라돈 농도가 각각 29.1 ± 21.7 Bq/m3과 30.2 ± 15.3 Bq/m3으로 전체 평균(26.7 ±

17.7 Bq/m3) 보다 약간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반면, 지하층의 평균 라돈 농도는 1 층

에 비하여 높지 않은 경향을 보였다. 고층으로 올라갈수록 라돈 농도가 낮아지는 경향

을 보였으며, 지하로 내려갈수록 라돈 농도가 올라가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전체적

으로 라돈 농도가 낮기 때문에 층별 변화는 크지 않았다. 대체적으로 다중이용시설이

일반 가옥과 달리 내부 공간이 넓어 주변 토양의 영향이 적을 것으로 판단되며, 일반

인의 빈번한 출입, 공조기 가동 등으로 인하여 내부로 유입된 라돈이 쉽게 외부로 배

출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검출기설치층 라돈농도 (Bq/m3) 지점수

4 층 이상 22.1 ± 9.7 24

3 층 23.0 ± 9.5 24

2 층 30.2 ± 15.3 41

1 층 29.1 ± 21.7 162

지하 1층 20.3 ± 7.6 37

지하 2층 21.8 ± 8.0 31

지하 3층 이하 25.9 ± 13.5 13

계 26.7 ± 17.7 332

표 3-5. 라돈 검출기 설치한 층별 실내 라돈 농도 변화

2. 건축 년도의 영향

건축년도를 2000년이후, 90년대, 80년대 및 80년대 이전으로 구분하여 건축 연도별

실내 라돈 평균 농도를 그림 3-3에 나타내었다. 그림 3-3과 같이 건축년도가 오래된 건

축물일수로 실내 라돈 농도가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1980년대 및 그

이전에 건축된 건물의 실내 평균 라돈 농도는 30.3 Bq/m3로 가장 높았으며, 90년대

건축된 건물과 2000년 이후에 건축된 건물의 라돈 평균 농도는 각각 25.84 Bq/m3과

Page 26: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16 -

26.4 Bq/m3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 건축연도가 오래되어 바닥이나 벽 사이에 틈이

생기게 되면 이 틈을 통하여 라돈이 실내 공간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라돈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전시시설은 건축년도별 경향이 나타나지만 그

외의 시설은 라돈 농도가 낮아 건축년도별 경향성을 보이지 않았다.

0

20

40

60

80

100

80년대 및 이전 90년대 00년대

건축년대

연평

균 실

내 라

돈 농

도 (

Bq/m

3)

전체 지하시설 전시시설 의료시설 상업시설 대합실

그림 3-3. 건축년도별 라돈 농도 변화

3. 건물구조

가. 건물구조에 따른 영향

건물구조에 따른 실내 라돈 농도 변화를 검토하기 위하여 건물 구조별 실내 라돈

농도 평균값을 표 3-6에 나타내었다. 건물 구조별로 철강재, 철근 콘크리트, 석재, 벽

돌, 시멘트 블록으로 구분하였다. 철강재 구조란 주로 고층 건물에 해당하는 것으로

철강빔을 사용하여 건축한 건물을 의미하여 철근 콘크리트 건물은 건물의 기둥내부에

철근 심이 들어 있는 콘크리트 기둥의 건물을 의미한다. 시멘트 블록 건축 구조는 기

둥에 철근이 들어 있지 않고 콘크리트 벽돌을 쌓아 올린 조적식 기둥을 가진 건물을

Page 27: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17 -

의미하며 저층 건물이 해당한다. 본 실태 조사에서 조사된 다중이용시설의 약 87%가

철근 콘크리트 구조이며 약 8%가 철강재 구조였다. 가장 많이 사용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로 된 다중이용시설의 평균 라돈 농도는 27.3 ± 18.5 Bq/m3로 전체 평균 라돈 농

도(26.7 ± 17.7 Bq/m3)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건물구조

라돈농도 (Bq/m3)

지하시설 전시시설 의료시설 상업시설 대합실 전체

철강재14.9±0.0

(2)

32.0±6.6

(3)

24.3±7.9

(6)

20.9±6.2

(12)

18.5±7.3

(6)

22.3±7.9

(29)

철근콘크리트20.5±8.4

(69)

43.8±22.7

(54)

25.3±16.2

(86)

24.8±17.5

(67)

16.6±7.5

(16)

27.3±18.5

(292)

벽돌 -22.7±1.5

(2)- - -

22.7±1.5

(2)

시멘트블럭 -37.1±0.0

(1)

12.7±0.0

(1)- -

24.9±12.2

(2)

조립식 - - -21.4±7.7

(2)-

21.4±7.7

(2)

모름19.7±0.0

(1)-

15.6±4.6

(2)

16.7±0.0

(1)

14.1±0.0

(1)

16.3±3.5

(5)

전체20.4±8.3

(72)

42.4±22.1

(60)

24.9±15.7

(95)

24.1±16.2

(82)

16.8±7.3

(23)

26.7±17.7

(332)

표 3-6. 건물 구조에 의한 실내 라돈 농도 변화

( ) : 조사 지점수

4. 건축 재질별 영향

가. 내벽재의 영향

건물의 내벽재 재질에 따른 실내 라돈 농도 변화를 검토하기 위하여 내벽재 재질

별로 콘크리트, 시멘트블록, 석재, 적벽돌, 타일, 목재 등으로 구분하여 실내 라돈 평균

값을 표 3-7에 나타내었다. 약 70%의 다중이용시설에 콘크리트가 내벽재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평균 라돈농도는 26.8 ± 19.4 Bq/m3로 전체 평균농도(26.7 ± 17.7

Bq/m3)와 비슷하였다. 목재가 내벽재로 사용된 다중이용시설의 전체 평균 농도가 전

시시설에서 37.0±21.9 Bq/m3으로 약간 높게 나타났으나 조사지점수가 2개 밖에 안되

Page 28: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18 -

므로 통계적 의미는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건축구조라돈농도(Bq/m3)

지하시설 전시시설 의료시설 상업시설 대합실 전체

콘크리트19.3±7.4

(57)

44.4±24.1

(39)

25.7±17.9

(64)

24.7±18.7

(55)

16.1±5.3

(16)

26.8±19.4

(231)

시멘트 블록20.1±4.1

(3)

33.0±10.3

(7)

18.5±5.7

(6)

26.6±11.9

(6)

30.0±8.6

(2)

25.9±10.8

(24)

석재37.3±14.3

(2)

34.1±3.6

(3)

18.8±2.1

(7)

21.8±4.0

(2)

6.5±0.0

(1)

24.7±11.1

(15)

적벽돌 -31.4±7.1

(2)

27.4±6.4

(2)

25.1±6.6

(2)-

27.9±7.2

(6)

타일19.0±7.9

(5)- -

25.5±7.2

(3)-

22.2±8.2

(8)

목재29.6±5.1

(2)

57.0±22.3

(2)

26.4±5.3

(5)

15.5±6.1

(2)-

37.0±21.9

(14)

기타19.0±0.0

(1)

36.8±1.4

(2)

21.3±3.1

(6)

23.5±10.4

(8)

15.0±0.0

(3)

23.5±8.8

(20)

모름21.6±1.9

(2)

23.8±0.4

(5)

29.4±12.8

(5)

17.1±3.2

(4)

13.4±0.0

(1)

22.8±9.7

(14)

전체20.4±8.3

(72)

42.4±22.1

(60)

24.9±15.7

(95)

24.1±16.2

(82)16.8± (23)

26.7±17.7

(332)

표 3-7. 내벽재 종류에 따른 실내 라돈 농도 변화

( ) : 조사 지점수

내벽 마감재 종류에 따른 실내 라돈 농도 변화를 검토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및 모

르타르, 회반죽, 타일 및 금속 등 붙임 재료, 목재, 벽지, 뿜칠바름재, 흙벽, 석고보드

등으로 구분하였다. 콘크리트 및 모르타르가 다중이용시설의 내벽재 마감재로 가장 많

이 사용되었으며 실내 평균 라돈농도는 26.6 ± 17.7 Bq/m3으로 전체 평균인 26.7 ±

17.7 Bq/m3과 비슷하였다. 한편, 일반적으로 라돈의 모핵종인 226Ra의 함량이 많은 것

으로 알려진 석고보드를 내벽 마감재로 사용한 다중이용시설의 라돈 평균 농도는 24.2

± 13.2 Bq/m3으로 오히려 평균 보다 낮았다. 석고보드에 대한 조사 지점수가 낮아 통

계적 의미는 낮지만, 석고보드중 226Ra의 함량이 높고 라돈의 방출률이 다른 건축재료

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알려져있기 때문에 향후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전시

시설의 경우, 벽지가 마감재로 사용된 시설에서 실내 평균 라돈농도가 88.7 ± 52.3

Page 29: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19 -

Bq/m3으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조사지점수가 적어 통계적 유의성은 적은 것

으로 판단된다.

건축구조

라돈농도(Bq/m3)

지하시설 전시시설 의료시설 상업시설 대합실 전체

콘크리트 및

모르타르

20.5±7.5

(28)

36.6±10.5

(25)

25.4±17.4

(27)

27.5±26.6

(26)

17.4±8.8

(11)

26.6±17.7

(117)

회반죽24.9±0.0

(2)

27.1±2.8

(3)

101.4±0.0

(1)

41.1±8.3

(2)-

43.8±27.1

(8)

붙임 재료17.9±5.4

(21)

26.5±6.9

(2)

19.6±6.1

(6)

17.3±4.9

(6)

20.8±0.0

(3)

18.7±5.9

(38)

목재 -36.2±18.2

(4)

19.1±6.4

(13)

20.5±6.3

(8)-

22.4±11.3

(25)

벽지15.3±1.0

(3)

88.7±52.3

(3)

40.0±13.1

(12)

24.3±6.6

(4)

15.4±6.0

(3)

38.3±30.0

(25)

뿜칠 바름재20.2±1.2

(2)

45.5±11.1

(5)

22.9±7.7

(5)

23.1±5.3

(2)-

30.6±13.9

(14)

흙벽 -26.2±9.3

(2)-

26.2±9.3

(2)

석고보드28.2±12.3

(4)

59.4±7.3

(3)

20.3±8.0

(12)

20.1±5.4

(18)

15.0±0.0

(1)

24.2±13.2

(38)

기타17.4±3.7

(9)

48.1±19.7

(12)

18.9±4.7

(17)

25.7±9.6

(12)

13.4±2.9

(3)

27.4±16.8

(53)

모름34.2±12.5

(3)

26.0±3.2

(3)

15.6±4.6

(2)

24.2±2.9

(2)

17.5±2.5

(2)

24.6±9.6

(12)

전체20.4±8.3

(72)

42.4±22.1

(60)

24.9±15.7

(95)

24.1±16.2

(82)

16.8±7.3

(23)

26.7±17.7

(332)

표 3-8. 내벽 마감재 종류에 따른 실내 라돈 농도 변화

( ) : 조사 지점수

나. 천장재의 영향

건물의 천장재 재질에 따른 실내 라돈 농도 변화를 검토하기 위하여 천장재 재질별

로 라돈 평균값을 표 3-9에 나타내었다. 콘크리트가 약 65%의 다중이용시설에 천장재

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콘크리트가 천장재로 사용된 다중이용시설의 전체 평균

라돈농도는 26.6±18.5 Bq/m3으로 전체 평균과 비슷하다.

Page 30: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20 -

건축구조라돈농도(Bq/m3)

지하시설 전시시설 의료시설 상업시설 대합실 전체

콘크리트18.7±6.5

(44)

41.9±22.5

(43)

23.8±14.8

(57)

25.3±18.4

(59)

15.1±5.9

(14)

26.6±18.5

(217)

시멘트블럭19.0±0.0

(1)

21.3±0.0

(1)

38.8±21.5

(3)

30.4±0.0

(1)-

31.2±17.4

(6)

석재 -44.0±7.8

(2)

37.6±29.4

(6)

24.7±12.8

(3)-

35.2±24.0

(11)

타일21.4±6.5

(2)

57.6±0.0

(1)

25.6±6.3

(2)

18.0±4.2

(2)-

26.8±13.9

(7)

목재 -64.4±21.2

(3)

21.0±3.9

(3)

20.1±5.5

(6)-

31.4±22.2

(12)

기타23.8±11.9

(13)

42.8±21.0

(7)

19.6±6.7

(16)

20.9±6.2

(9)

21.8±12.1

(4)

24.7±14.2

(49)

모름21.4±6.7

(11)

27.0±4.6

(3)

29.8±10.1

(8)

15.2±1.5

(2)

18.4±2.6

(5)

23.5±8.6

(29)

무응답23.0±0.0

(1)- - - -

23.0±0.0

(1)

전체20.4±8.3

(72)

42.4±22.1

(60)

24.9±15.7

(95)

24.1±16.2

(82)

16.8±7.3

(23)

26.7±17.7

(332)

표 3-9. 천장 재료에 따른 실내 라돈 농도 변화

( ) : 조사 지점수

한편, 천장 마감재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각 천장 마감재에 따른 평균 실내 라

돈 농도를 표 3-10에 나타내었다. 천장 마감재로 텍스 같은 붙임재료와 석고보드가 주

로 많이 사용되었으며, 이 두 재료가 사용된 다중이용시설의 평균 라돈 농도는 각각

25.1 ± 14.4 Bq/m3과 25.6 ± 14.1 Bq/m3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평균 실내라돈 농도와

비슷하였다. 한편, 전시시설에서 벽지가 천장 마감재로 사용된 경우 72.2 ± 13.3

Bq/m3으로 약간 높게 조사되었는데 지점수가 적어 통계적 유의성은 낮은 것으로 판

단된다.

Page 31: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21 -

건축구조라돈농도(Bq/m3)

지하시설 전시시설 의료시설 상업시설 대합실 전체

콘크리트 및

모르타르

18.0±3.7

(6)

63.5±52.7

(4)

28.8±25.4

(10)

30.4±36.9

(14)

23.1±4.5

(4)

31.8±34.4

(38)

회반죽 - -20.7±0.0

(1)

30.4±0.0

(1)-

25.5±4.8

(3)

텍스 등 붙임

재료

19.1±7.1

(32)

42.2±16.9

(20)

20.5±7.4

(22)

24.7±9.6

(11)

10.7±3.2

(5)

25.1±14.4

(90)

목재 -38.7±0.0

(1)

13.8±0.0

(1)

23.8±10.2

(6)-

24.4±10.8

(8)

벽지14.7±1.5

(3)

72.2±13.3

(2)

41.0±13.4

(9)-

21.4±0.0

(1)

39.3±21.6

(15)

뿜칠 바름재18.7±5.2

(3)

52.7±12.4

(2)

25.3±10.0

(5)

27.8±7.0

(6)-

28.4±13.5

(16)

석고보드17.2±5.7

(5)

36.8±14.1

(28)

23.8±15.6

(39)

22.0±8.4

(37)

14.1±2.3

(6)

25.6±14.1

(115)

기타23.6±8.6

(10)

37.1±0.0

(1)

20.7±2.9

(5)

25.0±5.5

(3)

18.6±0.0

(2)

23.4±7.6

(21)

모름25.7±11.3

(12)

36.7±12.5

(2)

18.4±8.4

(3)

20.0±4.8

(5)

24.3±10.5

(4)

224.2±11.0

(26)

전체20.4±8.3

(72)

42.4±22.1

(60)

24.9±15.7

(95)

24.1±16.2

(82)

16.8±7.3

(23)

26.7±17.7

(332)

표 3-10. 천장 마감재에 따른 실내 라돈 농도 변화

( ) : 조사 지점수

다. 바닥재의 영향

실내 라돈 유입원으로는 건축 재료에서의 라돈 방출, 토양 공기중 라돈의 실내 유입

등이 있으나 가장 중요한 유입원은 건물 틈새를 통한 토양 공기중 라돈의 유입이다.

이러한 토양 공기중 라돈의 유입과 관련하여 건물 바닥재에 대한 영향을 검토하기 위

하여, 바닥재로 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콘크리트, 시멘트 블록, 석재, 인조석, 타일,

흙, 목재 등으로 구부하여 실내 라돈농도를 표 3-11에 나타내었다. 전반적으로 바닥재

에 의한 영향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농가 지역이나 산악 지역에 많이 존재하는 일

반 양옥이나 한옥 단독 주택은 토양과 직접 접촉하고 있어 실내로 토양 공기중 라돈

이 쉽게 실내로 유입될 가능성이 크나, 상당수의 다중이용시설은 지하주차장, 기계실

Page 32: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22 -

등의 지하 공간이 있으며, 내부 공간이 일반 가옥보다 크기 때문에 토양 공기중 라돈

이 실내로 유입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아 바닥재의 영향이 크게 나타나지 않은 것

으로 판단된다. 한편, 전시시설중 석재가 바닥재로 사용된 시설에서 실내 라돈 농도가

93.5 ± 46.2 Bq/m3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조사지점 수가 많지 않아 통계적 유의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건축구조

라돈농도(Bq/m3)

지하시설 전시시설 의료시설 상업시설 대합실 전체

콘크리트18.6±7.1

(41)

40.4±16.9

(36)

25.9±18.5

(60)

26.3±19.7

(48)

15.4±7.8

(16)

26.6±18.0

(201)

시멘트블럭19.0±0.0

(1)

34.2±4.3

(2)

22.3±10.7

(4)

23.9±13.7

(3)

24.8±11.4

(10)

석재30.4±15.3

(7)

93.5±46.2

(3)

19.6±6.1

(7)

20.6±5.1

(5)

33.8±33.0

(22)

인조석21.9±4.6

(11)

22.4±1.1

(2)

23.9±7.8

(9)

26.1±6.3

(4)

20.6±5.0

(5)

22.9±6.1

(31)

타일19.1±8.2

(5)

41.5±11.8

(12)

14.8±2.9

(4)

22.4±10.5

(9)-

29.2±14.9

(31)

흙17.0±0.0

(1)

17.0±0.0

(1)

목재14.9±0.0

(1)

65.2±0.0

(1)

29.9±6.2

(4)

22.5±1.8

(3)

29.7±14.1

(9)

기타20.2±0.0

(1)

42.7±6.5

(2)

23.6±4.5

(4)

17.7±6.0

(6)

16.2±0.0

(1)

23.1±9.9

(14)

모름25.6±5.5

(5)

21.0±3.2

(2)

30.8±8.3

(3)

14.1±3.4

(3)

22.6±8.0

(13)

전체20.4±8.3

(72)

42.4±22.1

(60)

24.9±15.7

(95)

24.1±16.2

(82)

16.8±7.3

(23)

26.7±17.7

(332)

표 3-11. 바닥재 종류에 따른 실내 라돈 농도 변화

( ) : 조사 지점수

바닥재 마감재 종류에 따른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바닥 마감재 종류에 따른 실내

라돈 농도를 표 3-35에 나타내었다. 바닥마감재로 인조석 물갈기, 일반 타일 계통, 합

성수지 타일 계통, 합성수지 코팅, 장판, 마루 등 다양한 소재가 사용되었는데 전반적

Page 33: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23 -

으로 바닥재의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전시시설중 마루가 사용된 시설에서 70.1 ±

5.0 Bq/m3으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지점수가 적어 통계적 유의성은 낮은 것

으로 판단된다.

건축구조

라돈농도(Bq/m3)

지하시설 전시시설 의료시설 상업시설 대합실 전체

인조석물갈기21.1±7.4

(23)

34.0±13.5

(8)

20.4±6.0

(19)

21.1±6.2

(10)

20.1±8.9

(9)

22.2±9.1

(69)

일반타일계16.8±4.7

(26)

38.9±12.0

(14)

20.2±3.9

(16)

25.0±9.8

(21)

14.3±3.8

(5)

23.5±11.5

(82)

합성수지타일계21.2±4.6

(2)

41.6±29.4

(17)

26.8±15.0

(12)

20.0±8.8

(14)

9.4±0.0

(1)

29.9±24.7

(46)

합성수지 코팅24.9±0.0

(1)

46.3±26.1

(4)

16.2±0.0

(1)

45.2±51.3

(6)

15.0±0.0

(1)

38.9±38.3

(13)

일반 비닐장판34.6±22.3

(13)

34.6±22.3

(13)

기능성소재장판38.6±18.6

(4)

17.6±1.2

(2)

30.1±17.2

(8)

장판위 니스칠19.0±0.0

(1)

46.9±12.1

(3)

20.6±4.1

(2)

33.5±16.1

(6)

마루70.1±5.0

(2)

36.9±12.3

(8)

26.7±4.3

(3)

21.4±0.0

(2)

39.7±17.0

(13)

기타21.5±10.7

(7)

52.0±18.0

(9)

17.1±4.7

(17)

22.7±7.2

(22)

12.0±4.1

(4)

25.1±15.5

(59)

모름26.7±11.7

(12)

24.0±4.9

(3)

27.3±5.3

(3)

21.3±4.5

(4)

20.1±0.0

(1)

24.9±8.7

(23)

전체20.4±8.3

(72)

42.4±22.1

(60)

24.9±15.7

(95)

24.1±16.2

(82)

16.8±7.3

(23)

26.7±17.7

(332)

표 3-12. 바닥 마감재 종류에 따른 실내 라돈 농도 변화

( ) : 조사 지점수

5. 창문 재질의 영향

창문 재질에 따른 실내 라돈 농도 변화를 검토하기 위하여, 창문의 종류를 시스템

복합 창호와 일반 알루미늄 창, 철재 창, 목재 창으로 구분하여 건물의 실내 라돈 농

Page 34: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24 -

건축구조라돈농도(Bq/m3)

지하시설 전시시설 의료시설 상업시설 대합실 전체

시스템 창20.5±0.0

(1)

42.6±10.3

(8)

23.3±9.8

(12)

22.1±7.6

(6)

29.7±8.9

(3)

28.4±12.6

(30)

일반

알루미늄

21.2±4.6

(2)

34.9±12.5

(34)

24.0±9.8

(50)

22.6±8.4

(25)

16.5±6.3

(9)

26.4±11.7

(120)

철제24.1±10.6

(2)

32.3±1.8

(3)

33.8±22.8

(3)

20.1±0.0

(1)

27.5±8.0

(6)

목제21.7±5.4

(2)

29.0±18.9

(5)

PVC30.4±4.5

(2)

37.2±37.1

(4)

21.4±0.0

(1)

33.0±28.7

(7)

기타30.4±0.0

(1)

20.1±5.7

(3)

22.7±6.7

(4)

창문 없음20.2±8.3

(67)

68.2±21.2

(12)

24.8±19.6

(23)

25.2±19.9

(49)

12.9±3.3

(9)

26.2±21.7

(160)

전체20.4±8.3

(72)

42.4±22.1

(60)

24.9±15.7

(95)

24.1±16.2

(82)

16.8±7.3

(23)

26.7±17.7

(332)

표 3-13. 창문 재질에 따른 실내 라돈 농도 변화

도를 표 3-13에 나타내었다. 다중이용시설은 시설 특성상 창문이 없는 경우가 약 50%

정도 되며, 창문이 없는 시설의 평균 라돈 농도가 26.2 ± 21.7 Bq/m3으로 전체 평균

농도와 비슷하다. 그러나 전시시설중 창문이 없는 경우 실내 평균 라돈농도가 68.2 ±

21.2 Bq/m3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시설 특성상 전시시설은 일반인의 출입 빈도가

상업시설에 비하여 낮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나 지점수가 적어 통계적 유의성은 낮

은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전시시설에 대한 추가 조사가 필요할 것이다. 한편, PVC 계

열의 창문이 사용된 다중이용시설의 전체 평균 라돈 농도가 33.0 ± 28.7 Bq/m3으로

약간 높게 나타났으나 지점수가 적어 통계적 유의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 ) : 조사 지점수

또한, 표 3-14에서 보듯 이중창이 사용된 다중이용시설의 라돈 평균 농도가 28.0 ±

15.7 Bq/m3으로 단일창이 사용된 다중이용시설의 평균 라돈 농도인 26.4 ± 10.9

Bq/m3 보다는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영향은 크지 않으나 단일창보다는 이중

창이 건물의 밀봉성이 좋아 실내라돈 농도 증가에 일부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Page 35: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25 -

이중창라돈농도(Bq/m3)

지하시설 전시시설 의료시설 상업시설 대합실 전체

단일창25.7±7.4

(3)

33.7±10.3

(29)

24.0±10.5

(37)

22.9±8.3

(19)

17.9±6.1

(8)

26.4±10.9

(96)

이중창17.0±3.5

(2)

38.3±13.3

(19)

26.1±17.5

(34)

21.4±7.9

(13)

21.8±9.5

(6)

28.0±15.7

(74)

기타19.9±0.0

(1)

27.1±0.0

(1)

23.5±3.6

(2)

창문 없음20.2±8.3

(67)

68.2±31.2

(12)

24.8±19.6

(23)

25.2±19.9

(49)

12.9±3.3

(9)

26.2±21.7

(160)

전체20.4±8.3

(72)

42.4±22.1

(60)

24.9±15.7

(95)

24.1±16.2

(82)

16.8±7.3

(23)

26.7±17.7

(332)

표 3-14. 단일창 및 이중창 사용에 따른 실내 라돈 농도 변화

( ) : 조사 지점수

6. 지하수의 영향

실내 라돈 유입원의 한가지로 간주되는 지하수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지하수를

사용 여부에 따른 실내 라돈 농도 차이를 표 3-15에 나타내었다. 지하수를 사용하는

다중이용시설의 평균 라돈 농도가 28.0 ± 14.7 Bq/m3로 사용하지 않는 시설의 평균

라돈 농도인 26.4 ± 18.2 Bq/m3보다 약간 높으나 그 영향은 크지 않다.

지하수라돈농도(Bq/m3)

지하시설 전시시설 의료시설 상업시설 대합실 전체

사용25.6±14.8

(11)

51.3±14.3

(7)

24.1±9.7

(11)

23.5±8.8

(22)

21.4±0.0

(2)

28.0±14.7

(53)

사용안함19.4±5.9

(61)

41.3±22.3

(53)

25.0±16.3

(84)

24.3±18.3

(60)

16.6±7.4

(21)

26.4±18.2

(279)

전체20.4±8.3

(72)

42.4±22.1

(60)

24.9±15.7

(95)

24.1±16.2

(82)

16.8±7.3

(23)

26.7±17.7

(332)

표 3-15. 지하수 사용에 따른 실내 라돈 농도 변화

( ) : 조사 지점수

7. 환기 방식의 영향

건물의 환기 방식에 따른 차이를 검토하기 위하여, 중앙공조기, 독립환기, 자연환기

Page 36: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26 -

등으로 구분하여 실내 라돈 농도를 표 3-16에 나타내었다. 독립환기는 건물전체를 중

앙 공조기에 의하여 환기하는 것과는 달리 해당구역 또는 시설 목적상 별도의 독립적

인 환기 시스템을 운영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조사대상 대부분의 다중이용시설이 중앙

공조기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중앙공조기 방식을 사용하는 다중이용시설의 평균 라

돈 농도가 24.5 ± 13.8 Bq/m3으로 독립환기나 자연환기 방식을 사용하는 다중이용시

설보다는 약간 낮았다. 독립환기 방식을 사용하는 다중이용시설의 라돈 농도가 36.9 ±

31.5 Bq/m3으로 약간 높으나 지점수가 적어 통계적 의미는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한

편, 공조 방식외에 별도의 환풍기를 사용하는 다중이용시설의 라돈 농도가 25.9 ± 17.4

Bq/m3으로 사용하지 않는 다중이용시설의 평균 라돈 농도인 25.9 ± 17.4 Bq/m3 보다

는 낮았으나 그 영향은 크지 않았다.

라돈농도(Bq/m3)

지하시설 전시시설 의료시설 상업시설 대합실 전체

중앙 공조기20.6±8.4

(60)

43.6±18.2

(38)

19.2±6.0

(55)

21.4±7.4

(60)

15.7±6.3

(12)

24.5±13.8

(225)

독립환기24.9±0.0

(1)

49.5±46.0

(6)

15.4±0.0

(1)

32.4±6.5

(6)

21.4±0.0

(2)

36.9±31.5

(16)

자연환기16.1±4.6

(6)

35.0±13.4

(13)

33.8±21.2

(36)

33.9±37.8

(11)

15.4±3.2

(7)

30.8±22.8

(73)

기타23.2±9.6

(5)

39.9±3.3

(3)

20.5±0.2

(3)

24.7±14.1

(5)

24.7±14.0

(2)

26.3±12.1

(18)

전체20.4±8.3

(72)

42.4±22.1

(60)

24.9±15.7

(95)

24.1±16.2

(82)

16.8±7.3

(23)

26.7±17.7

(332)

표 3-16. 환기 방식에 따른 실내 라돈 농도 차이

( ) : 조사 지점수

라돈농도(Bq/m3)

지하시설 전시시설 의료시설 상업시설 대합실 전체

사용20.4±8.6

(42)

39.1±13.3

(14)

24.9±17.7

(22)

27.2±22.4

(37)

21.0±8.2

(8)

25.9±17.4

(123)

사용 안함20.4±8.6

(28)

43.9±24.1

(45)

24.9±15.0

(73)

21.5±7.3

(45)

14.9±5.9

(15)

27.2±17.9

(206)

무응답19.7±0.0

(2)

21.3±0.0

(1)- - -

20.5±0.8

(3)

전체20.4±8.3

(72)

42.4±22.1

(60)

24.9±15.7

(95)

24.1±16.2

(82)

16.8±7.3

(23)

26.7±17.7

(332)

표 3-17. 환풍기 사용에 따른 라돈 농도 변화

( ) : 조사 지점수

Page 37: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27 -

제 3 절 실내 라돈 농도 분포도 및 선량평가

1. 실내 라돈 농도 분포도

전국 실내라돈 실태조사는 우리나라의 라돈농도 분포지도를 작성하는 것이 주목적

이나 현재까지 조사된 지점수가 332개 지점에 불과하며, 앞에서 언급하였듯이 다중이

용시설은 대도시나 대도시 주변에 주로 분포하므로 전국 라돈농도 분포지도 작성은

불가하였으며 그 대신, 본 연구에서 조사된 지점별 라돈 농도를 지도에 3가지 단계별

로 표현한 라돈 농도 분포도를 작성하였다(그림 3-4). 다중이용시설별 지점수가 적어

시설 종류에 따라 구분하지 않고 조사대상 모든 다중이용시설의 농도를 하나의 그림

에 표현했다. 농도구간은 다중이용시설등의 실내공기질 관리법의 라돈 권고기준인 4

pCi/L에 근거하여 0 - 75, 75 - 150, 150 - 300 Bq/m3으로 구분하여 3 단계로 표시하

였다. 그림 3-4에서 보듯, 평균 라돈농도 분포도에 대부분의 다중이용시설의 라돈 농도

는 낮게 표현되고 있다.

그림 3-4. 다중이용시설의 평균 실내 라돈 농도 분포도

Page 38: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28 -

실내 라돈 유입원에는 토양공기중 라돈 가스, 건축재료로부터의 라돈 방출, 지하수

사용에 따른 지하수중 라돈 방출 등 크게 3가지로 나누워진다. 이 3가지 라돈 유입원

중 건축재료중 라돈의 모핵종인 226Ra의 함량이 특별히 높지 않는 경우라면 건물이 놓

여 있는 토양에 비하여 그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기 때문에 실내 라돈 농도 증가에 미

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적다. 또한 가정에서 지하수는 목욕, 설거지 등에 사용되며

사용시간이 길지 않기 때문에 실내 라돈 농도 증가에 미치는 지하수의 영향은 1% 미

만이다. 반면, 건물이 놓여 있는 토양은 그 층이 두껍기 때문에 건축재료보다 영향이

크다. 토양중 226Ra 함량 1 Bq/kg은 토양 공기중 라돈농도 약 1,700 Bq/m3에 해당하

기 때문에(Sun 등, 2004), 토양의 일반적인 226Ra 함량이 30 - 100 Bq/kg 정도이므로

토양 공기중 라돈 농도는 50,000 - 170,000 Bq/m3 정도 된다. 이러한 고농도의 토양

공기중 라돈이 건물 바닥의 균열부위, 미세한 공극, 지하수 배관 등을 통하여 실내로

직접 유입되어 실내 라돈 농도를 증가시킨다. 그러나 건축재료에 의해서 토양 공기중

고농도 라돈의 실내로 유입이 저지되는 경우는 실내라돈이 낮게 유지될 수 있다. ‘08

년부터 09년 사이에 수행된 전국 초등학교에 대한 라돈조사 결과에 의하면, 초등학교

의 실내라돈은 읍/면/동사무소나 다중이용시설보다 라돈 농도가 높으며, 라돈 농도가

높은 초등학교중 상당수가 나무 마루를 바닥재로 사용하고 있었으며, 토양 공기중 라

돈농도가 높을수록 실내 라돈 농도가 높았다. 특히, 산간벽지에 위치한 오래된 초등학

교의 경우, 토양과 직접 접촉하고 있고 구식 나무마루가 사용된 1 층 교무실은 토양

공기중 라돈이 틈이 많은 구식 나무 마루를 통하여 매우 쉽게 라돈이 실내로 유입되

어 실내 라돈 농도가 매우 높았다. 그러나 내부 바닥이 콘크리트로 되어 있는 초등학

교의 라돈 농도는 바닥이 마루인 초등학교보다 낮았다. 또한 콘크리트가 주로 바닥재

로 사용된 읍/면/동사무소의 라돈 농도도 낮은 경향을 보였다. 이는 콘크리트 바닥이

토양으로 부터의 라돈 유입 저지력이 구식 나무 마루보다 큰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라돈을 측정한 곳 바로 밑에 지하시설 같은 별도의 공간이 있고 이 공간이 라돈을 측

정한 곳과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으며, 외부로 통하는 별도의 통로가 있는 경우, 예를

들면 지하주차장이 있는 경우, 이러한 학교는 지하공간에 모인 라돈이 외부로 쉽게 배

출되어 실내 라돈 농도는 높지 않았다.

다중이용시설의 경우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다중이용시설은 대도시와 대도시 주변에

존재하며 내부 공간이 넓으며 사용 목적에 따라 여러 구획으로 나누어져 있다. 시설에

따라서는 지하주차장 같은 공간이 다중이용시설 밑에 존재한다. 또한 지하상가와 같은

다중이용시설도 시설아래에 다른 공간이 존재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실

내 라돈을 조사한 대부분의 다중이용시설은 초등학교와 달리 직접 토양과 접촉하고

있지 않고 콘크리트가 건축재료로 사용되있다. 이런 이유로 다중이용시설의 경우, 토

양 공기중 라돈이 실내로의 유입이 상당히 차단되는 것으로 판단되며, 또한 실내로 유

Page 39: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29 -

입된 라돈은 내부 공조기 가동과 일반인의 빈번한 출입으로 내부의 라돈이 쉽게 외부

로 빠져 나갈 수 있기 때문에 다중이용시설의 라돈 농도는 초등학교와 비교해서 매우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2. 라돈에 의한 내부 피폭선량 평가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라돈 실태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실내 라돈에 의한 내부 피폭

선량을 평가하였다. 라돈의 내부 피폭선량 평가를 하는 방식에는 UNSCEAR의 선량

학적 접근방법과 ICRP 65에서의 역학적 접근 방법이 있는데 모두 공기중 라돈 농도에

선량환산계수를 적용하여 유효선량을 평가하는 방식이다. 두 가지 피폭선량 방법의 선

량환산계수를 산출하는 방식이 달라 약간의 차이를 보이나 선량평가의 불확도를 고려

하면 허용할 만한 하다(KINS/GR-300-5, 2005). 본 보고서에서는 ICRP 65에서 적용하

고 있는 선량환산규약을 사용하여 다중이용시설 이용자 및 근무자에 대하여 선량평가

를 하였으며 선량 평가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유효선량 계산식 E = Q·F·T·K (mSv)

여기서 Q : 공기 중 라돈농도 (Bq/m3)

F : 평형인자

T : 거주계수 x 년간시간 (h

K : 선량환산계수(mSv/Bq·h·m-3]

선량평가를 위하여 평형인자는 0.4를 사용하였으며, 선량환산계수는 6.12를 사용하였

다. 다중이용시설 근무자의 년간 근무시간은 ICRP에서 제시하는 근무자의 년간 근무

시간인 2,000 시간을 사용하였다. 일반인의 년간 노출시간은 다중이용시설별로 이용시

간이 많은 차이를 보이므로 보수적 관점에서 일일 1 시간으로 간주하여 365 시간을

사용하였다. 환경부의 한국형 노출지수 개발 및 운영체계 구축 보고서(환경부, 2007)에

의하면, 일일 평균 전철 이용시간, 박물관 이용시간, 의료기관 이용시간, 백화점 쇼핑

시간이 각각 13분, 0분, 3분, 11분으로 조사되었다. 최대 일일 이용시간은 시설별로 지

하철이 410분, 박물관이 230분, 의료시설이 1,440분, 쇼핑시간이 610분으로 조사되었으

나 이 경우는 근무자나 입원환자의 경우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다중

이용시설의 평균적인 이용시간이 일일 1시간 미만이기 때문에 방사선 피폭선량 평가

의 보수적 관점에서 일일 이용시간으로 1 시간을 적용하는 것은 큰 무리가 없을 것으

Page 40: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30 -

로 판단된다.

표 3-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중이용시설을 이용하는 일반인의 평균 라돈 피폭선량

은 대부분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라돈농도가 가장 높은 전시시설(152 Bq/m3)

에 출입하여도 연간 피폭선량은 0.1 mSv로 평가된다. 이는 ICRP 신권고의 라돈에 의

한 연간 선량 제약치가 10 mSv인 점을 감안하면 다중이용시설에 출입하는 일반인의

라돈 피폭선량은 무시할 만하다. 한편, 노출시간이 2,000시간인 근무자의 연간 평균 라

돈 피폭선량은 0.1 mSv이며, 라돈 농도가 가장 높은 전시시설(152 Bq/m3)에서 근무할

경우 받는 연간 피폭선량은 0.7 mSv로 평가되어 다중이용시설에서 받는 일반인 및 근

무자의 라돈 피폭은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라고 판단된다.

 

행정구역

평균

라돈 농도

(Bq/m3)

일반인

라돈 선량 

(mSv/y)

근무자

라돈 선량 

(mSv/y)

라돈 농도

최고치

(Bq/m3)

일반인

라돈 선량 

(mSv/y)

근무자

라돈 선량 

(mSv/y)

지하시설 20 0.0 0.1 52 0.0 0.3

전시시설 42 0.0 0.2 152 0.1 0.7

의료시설 25 0.0 0.1 104 0.1 0.5

상업시설 24 0.0 0.1 146 0.1 0.7

대합실 17 0.0 0.1 39 0.0 0.2

평균 27 0.0 0.1 152 0.1 0.7

표 3-18. 시설별 라돈에 의한 일반인 및 근무자의 평균 및 최고 피폭선량

Page 41: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31 -

제 4 절 품질 관리

전국 실내 라돈 조사에 있어 대표성 있는 표본규모 설정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중

요한 것은 측정 결과의 신뢰성이다. 본 실태조사에서 사용된 Raduet 라돈 검출기는 본

실태조사에 앞서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이 수행한 라돈실태조사지침 수립 연구(KINS,

2007)의 라돈 검출기 성능평가 결과에 따라 선정된 것이었다. 라돈조사의 품질관리를

위하여 총 조사지점수의 약 5% 지점에 Raduet 검출기를 개봉하지 않은 상태(공시료)

로 배포하였으며, 약 5% 지점에는 국산 검출기를 동시 배포하여 라돈 측정 결과를 비

교하였다. 한편, Raduet 검출기의 재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약 30개 지점에 Raduet

검출기를 동시에 2개를 설치하였다.

라돈 검출기를 배포하고 회수하는 현장 조사요원에게는 라돈 검출기 설치 및 회수

방법 절차서(부록 I)를 배포하였으며, 교육(부록 II)을 실시하였다. 또한 조사 건물 관계

자에게 라돈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하여 라돈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한 안내 자료

(부록 III)를 제공하였다.

1. 타 검출기와의 비교

본 다중이용시설 조사시 여름철과 가을철에 5% 정도의 국산 검출기를 동시 배포하

여 판독한 결과를 Raduet 검출기와 비교하여 표 3-19과 그림 3-5에 나타내었다. 검출

기간의 관계를 비교평가하기 위하여 Raduet을 기준으로 bias를 계산하여 평가하였다.

b

ba

RnRnRnbias

][][][ -

=여기서, aRn][ : 검출기 a에서 측정된 라돈 농도

bRn][ : 검출기 b에서 측정된 라돈 농도

Raduet의 라돈 결과를 기준으로 국산검출기의 라돈 결과에 대한 bais는 -0.82에서

3.68 범위에 있으며 그림 3-5에서 보듯 국산 검출기는 Raduet 검출기보다 상대적으로

라돈이 높게 검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두 검출기의 측정 방식이 서로 다르기 때문

에 측정 결과의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국산 검출기의 라돈 측정 결과가 Raduet 검출

기보다 상대적으로 과대평가된 이유는 국산 검출기가 라돈 측정시 토론의 영향을 받

은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측정지점의 라돈 농도가 너무 낮기 때문에 정확한

평가는 곤란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국산 검출기의 정확한 성능 자료를 제조회사

가 제공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국산 검출기의 토론 간섭 여부는 향후에 제조회사가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한편, 약 30개 지점에 동시에 2개를 설치한

Raduet 검출기의 재현성 평가 결과는 표 3-20과 그림 3-6에 나타낸 것과 같이 bais는

-0.51에서 0.94의 범위에 있어 낮은 농도에서도 재현성은 무난한 것으로 판단된다.

Page 42: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32 -

지점 번호 국산검출기 Raduet Bias1 3.0 16.8 -0.822 18.5 38.3 -0.523 33.7 52.1 -0.354 18.9 23.7 -0.205 20.4 22.7 -0.106 13.7 15.1 -0.097 21.1 22.7 -0.078 16.7 17.7 -0.069 30.0 23.4 0.2810 30.7 23.4 0.3111 34.0 18.2 0.8712 25.5 13.5 0.8813 108.0 56.7 0.9014 67.7 35.4 0.9115 34.0 17.6 0.9316 27.8 14.2 0.9517 44.0 22.4 0.9718 54.8 25.4 1.1519 66.6 25.2 1.6520 57.0 20.6 1.7621 18.9 6.7 1.8122 64.4 22.5 1.8623 69.2 23.5 1.9524 93.6 26.7 2.5025 54.8 15.2 2.5926 40.7 10.1 3.0527 80.7 19.3 3.1828 92.1 19.7 3.68

평균 44.3 23.2 1.1

표 3-19. Raduet과 국산검출기간의 측정 결과 비교

-4.00

-3.00

-2.00

-1.00

0.00

1.00

2.00

3.00

4.00

0 5 10 15 20 25 30

Bia

s

그림 3-5. 국산검출기와 Raduet 검출기간의 bias 분포도

Page 43: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33 -

지점번호 Raduet 1 Raduet 2 Bias1 32.8 16.2 -0.512 44.8 23.7 -0.473 24.0 14.7 -0.394 20.5 15.3 -0.255 30.1 23.3 -0.236 20.6 16.8 -0.197 24.6 20.3 -0.188 23.4 20.7 -0.129 23.7 22.5 -0.0510 18.4 18.0 -0.0311 23.1 22.6 -0.0212 15.6 15.3 -0.0213 32.6 32.5 0.0014 23.5 24.8 0.0615 8.3 9.1 0.1116 14.8 17.0 0.1517 16.8 20.5 0.2218 19.3 23.8 0.2319 24.4 30.3 0.2420 18.3 23.1 0.2621 21.0 27.8 0.3222 19.9 26.8 0.3523 33.1 45.0 0.3624 20.0 27.8 0.3925 20.1 28.4 0.4126 26.4 39.7 0.5127 14.9 22.7 0.5228 13.2 24.7 0.8729 16.2 31.4 0.94

평균 22.2 23.6 0.12

표 3-20. Raduet의 재현성 비교

-4.00

-3.00

-2.00

-1.00

0.00

1.00

2.00

3.00

4.00

0 5 10 15 20 25 30

Bia

s

그림 3-6. Raduet의 재현성 비교 (bias 분포도)

Page 44: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34 -

2. 현장 백그라운드

전체 조사 지점의 약 5%는 검출기를 개봉하지 않은 채로 검출기를 동시에 현장에

설치하여 현장 백그라운드를 측정한 결과, 라듀엣 검출기의 현장 백그라운드는 여름철

에는 5.5 Bq/m3, 가을철에는 4.7 Bq/m3으로 라듀엣 검출기의 표준실 백그라운드 4.4

Bq/m3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검출기의 배포, 측정, 회수 및 판독 과정에서

의 오류가 없었음을 의미한다.

3. 교차분석 및 검출기 교정

검출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CR-39 필름의 생산된 생산 배치에 따라 알파선에

의한 감도의 차이가 일부 있기 때문에 생산된 배치별로 검출기를 라돈 표준챔버에서

교정을 해야한다. 현재 국내에는 적절한 라돈 표준챔버가 없는 실정이어서 한국원자력

안전기술원과 기술 협약을 맺고 있는 일본의 국립방사선과학종합연구소의 표준챔버를

이용하여 본 실태조사에 사용된 라듀엣에 대한 교정을 실시하였다. 각 검출기 시리얼

번호별로 얻어진 교정 인자를 표 3-21에 표시하였다.

검출기 시리얼 번호 교정인자

J93700 ~ K39339 35.79

K39340 ~ K69579 35.01

K69580 ~ K98739 37.04

K98740 ~ L38979 36.01

L38980 ~ L69939 36.06

L69940 ~ M13329 35.47

표 3-21. 라듀엣 검출기의 각 시리얼 번호별 교정인자

또한, 라돈 측정 및 판독의 신뢰성 평가를 위하여, 일본의 국립방사선과학종합연구

소와 라돈 측정의 교차분석에 수행하였다. 라돈 표준농도 9,300 Bq/m3에 4.96일 동안

5개의 라듀엣 검출기를 노출시킨 결과, 평균 10,594 Bq/m3로 측정되었으며 reference

값과는 약 13.9% 정도의 차이를 보이는 좋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5개 검출기 간의 표

준편차는 4.0%로 매우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Page 45: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35 -

Reported valueReference

value Relative

bias (%) 

Rn exposeRn conc.

(Bq/m3)계측오차 

Rn conc.

(Bq/m3)

Rn-High 10,963 265 9,300 17.9

Rn-High 10,708 266 9,300 15.1

Rn-High 10,977 270 9,300 18.0

Rn-High 9,997 258 9,300 7.5

Rn-High 10,327 262 9,300 11.0

평균 10,594 265 9,300 13.9

표준편차 4.0%

표 3-22. 라돈 교차분석 결과

Page 46: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36 -

제 4 장 결론

본 연구 개발의 목적은 환경부의 실내라돈종합대책(2007년 6월)의 일환으로 수행된

전국실내라돈실태조사중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라돈 조사를 수행하는 것이다. 연구 목

적 달성을 위하여 전국 6868개 다중이용시설(2007년 기준)중 약 5%에 해당하는 332개

다중이용시설에 대하여 여름철 및 가을철에 대한 실내 라돈 농도를 조사하였다.

본 실태조사에서 2 계절 평균 실내라돈의 전체 산술평균은 26.7 Bq/m3로 조사되었

으며, 표준편차는 17.7 Bq/m3이었다. 기하평균은 22.5 Bq/m3였으며 기하편차는 1.7

Bq/m3로 조사되었다. 17개 다중이용시설을 지하시설, 전시시설, 의료시설, 상업시설,

대합실로 재분류하여 평가했을 때, 각 시설들의 라돈 평균 농도는 각각 20.4 ± 8.3

Bq/m3, 42.4 ± 22.1 Bq/m

3, 24.9 ± 15.7 Bq/m

3, 24.1 ± 16.2 Bq/m

3, 16.8 ± 7.3 Bq/m

3

이었다. 일반인의 출입 빈도가 낮은 전시시설의 평균라돈농도가 다른 시설보다 상대적

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전시시설중 1개 시설의 라돈농도가 152 Bq/m3으로 다중이용시

설의 실내공기질 관리법의 라돈권고치인 148 Bq/m3을 초과하였다.

지역별로 보면, 전라북도, 충청북도, 강원도 등의 다중이용시설 평균 라돈농도가 전

국 평균보다 높게 라돈이 조사되었으나 조사지점이 많지 않고 다중이용시설 전체의

라돈 농도가 낮기 때문에 통계적 의미는 크지 않다고 판단된다. 또한 건물의 구조, 건

축재료, 환기시설 등에 따른 영향은 과거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에서 조사한 일반 가옥

의 조사 결과나 2008년부터 2009년 동안 조사한 학교의 라돈실태조사 결과 달리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일반적으로 라돈 농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하지설에서

도 라돈 농도는 20.4 ± 8.3 Bq/m3으로 매우 낮았다. 강원도나 충청북도의 벽지에 위치

하는 오래된 초등학교의 경우, 1층은 직접 토양과 접촉하고 있고 마루의 틈을 통하여

쉽게 라돈이 실내로 유입될 수 있는 구조이나, 대부분 대도시에 존재하는 다중이용시

설은 내부 공간이 넓고 콘크리트 구조이므로 건물이 놓여 있는 주변 토양으로부터의

라돈 유입이 마루보다 크게 차단되는 것으로 판단되며 설령 실내로 유입된 라돈은 내

부 공조기 가동과 일반인의 빈번한 출입으로 내부의 라돈이 쉽게 외부로 빠져 나갈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2008년부터 2009년 동안 실태조사를 한 관공서와 학교의 결

과에 의하면, 바닥이 콘크리트이고 일반인의 출입이 빈번한 관공서의 라돈 농도는 바

닥이 마루이고 토양과 직접 접하고 있으며 수업시간이나 방과후 출입이 거이 없는 학

교의 라돈 농도 보다 낮게 검출되고 있는 현상과 일치한다고 판단된다.

다중이용시설의 실내 라돈 조사 결과를 근거로 라돈에 의한 내부피폭선량을 평가한

결과, 다중이용시설에 출입하는 일반인의 연간 평균 라돈 피폭선량은 거의 없는 것으

로 나타났으며, 라돈 농도가 가장 높은 전시시설(152 Bq/m3)에 출입할 경우 연간 피폭

선량은 0.1 mSv으로 평가되었으며 이는 ICRP 신권고의 라돈 연간 선량 제약치가 10

Page 47: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37 -

mSv인 점을 감안하면 다중이용시설에 출입하는 일반인의 라돈 피폭선량은 무시할 만

하다. 반면, 년간 노출시간이 2,000 시간인 근무자의 경우 전체 평균 년간 피폭선량은

0.1 mSv이며 라돈 농도가 가장 높은 전시시설(152 Bq/m3)에서 근무할 경우 받는 연간

피폭선량은 0.7 mSv로 평가되어 다중이용시설에서 받는 일반인 및 근무자의 라돈 피

폭은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라고 판단된다. 그러나 최근 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

(ICRP)는 성명서를 통하여 라돈 선량환산인자의 상향조정을 발표하였으며, 이를 근거

로 세계보건기구(WHO)는 라돈의 국가 참조준위 상한치를 600 Bq/m3에서 300 Bq/m3

으로 강화하는 권고안을 발표하였으며 IAEA도 라돈에 대한 기준을 강화할 예정에 있

다. 이러한 국제적 흐름을 감안하면, 비록 다중이용시설의 라돈 농도가 매우 낮게 조

사되었지만 계속적인 감시와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라돈 피폭은 거

주시간이 상대적으로 긴 가옥에서 많이 일어나므로 또한 선진국 대비 일반 가옥에 대

한 라돈 조사가 매우 미진하므로 가옥에 대한 라돈 조사가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Page 48: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38 -

제 5 장 연구 개발 목표 달성도 및 대외 기여도

본 전국 실내 라돈 실태조사에서는 전국 332개의 다중이용시설에 대하여 실내 라돈

농도를 조사하였으며 당초 조사계획대비 목표를 100% 달성하였다.

본 라돈 실태조사는 실내 라돈 종합관리 대책의 일환으로 수행된 전국적인 실내 라

돈 조사로써 본 결과는 향후 정밀한 라돈 포텐셜 지도를 작성함에 있어 매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본 조사 결과는 해당 유의 지역에 대한 라돈 저감화 정책

수립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폐암으로부터의 국민 보호를 위한 정부의

노력에 크게 일조할 것이다. 앞으로도 실내 라돈 실태 조사가 계속 진행되고 라돈에

대한 국내 자료가 축척되면 실내 라돈의 위험에 대한 대중과의 의사소통에서도 중요

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체계적으로 개발된 라돈 조사 방법

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면 현재까지 국내에서 일시적으로 이루어지던 라돈 측정 방법을

개선하고, 기술적으로 차별화된 모니터링을 통해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조사결과

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국내 라돈 조사 결과를 UNSCEAR, IAEA, WHO, OECD 등 국제기구에 제공

함으로써 국제적으로 대한민국의 위상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Page 49: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39 -

제 6 장 참고 문헌

Al-Azmi, D., and Karunakara, N., (2007) Determination of radon concentration in

soil by gamma-ray spectrometry of olive oil, Radiation Measurement, Vol. 42,

486-490

Al-Shereideh, S.A, Bataina, B.A, Ershaidat, N.M., (2006), Seasonal variations and

depth dependence of soil radon concentration levels in difference geological

formations in DeirAbu-Said District, Irbid-Jordan, Radiation Measurement, Vol. 41.

703-707

Greeman, D.J., Rose, A.W., Washington, R.R.D., Ciokosz, E.J., (1999) Geochemistry

of radium in soils of the Eastern United States, Applied Geochemistry, Vol. 14,

365 - 385

Green, B. M. R., Miles, J. C. H., Bradley, E. J., and Rees, D. M., Radon atlas of

England and Wales, NRPB-W26

ICRP-65 (1993). "Protection against radon-222 at home and at work", A Report of a

Task Group of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Pergamon press.

Jonsson, G., (2001), Soil radon depth dependence, Radiation Measurements, Vol. 34.

415-418

Kim, D. S., and Kim, Y. S., (1993) Distribution of airborne radon

concentrations in Seoul Metropolitan subway stations, Health physics 65, 1,

12-16

Kim, Y.J., Kim, C.K., Kim, C.S., Yon, J.Y., and Rho, B.H., (1999) Determinatin of

226Ra in environmental samples using high-resolution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ry, J. Radioanal. Chem. Vol. 240, 613-618.

KINS/G-009, 방사성핵종 표준분석법

KINS (2005) Development of Regulatory Technology on Radiation Safety

(Assessment of Radiation Risk for the Korean Population), KINS/GR-300

KINS (2005) Design and construction of a radiation dose database for Korean

population, KINS/GR-300-5

KINS (2005) 표준방사능분석법 개발, KINS/RR-344

KINS (2007) A Study on the Effective Methodology for Radon Survey in Korea,

KINS/GR-389

Sun, H. and Furbish, D.J., (1995) Moisture content effect on radon emanation in

Page 50: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40 -

porous meida, J. Contaminant Hydrology, Vol. 18, 239-255.

Sun, K., Guo, Q., and Cheng, J., The effect of some soil characteristcs on soil radon

concentration and radon exhalation from soil surface, J. Nucl. and Tech., Vol 41.

No. 11, 1113-1117

UNSCEAR (1977). Sources and Effects of Ionizing Radiation, United Nations

Scientific Committee on the Effects of Atomic Radiation 1977 Report to the

General Assembly, United Nations, New York.

UNSCEAR (1982). Ionizing Radiation : Sources and Biological Effects, United

Nations Scientific Committee on the Effects of Atomic Radiation 1982 Report to

the General Assembly, United Nations, New York.

UNSCEAR (1988). Sources, Effects and risks of ionizing radiation, Untied Nations

Scientific Committe on the Effects of Atomic Radiation, 1988 Report on the

General Assembly, with annexes, Untied Nations, New York.

UNSCEAR (1993). Sources and Effects of Ionizing Radiation, United Nations

Scientific Committee on the Effects of Atomic Radiation 1993 Report to the

General Assembly, United Nations, New York.

UNSCEAR 2000, SOURCES AND EFFECTS OF IONIZING RADIATION, United

Nations Scientific Committee on the Effects of Atomic Radiation UNSCEAR 2000

Report to the General Assembly, with scientific annexes, Volume I: SOURCES,

Annex B: Exposures from natural radiation sources(2000).

Yoon, S., Chang, B. U., Kim, Y. J., Byun, J. I., Yun, J. Y., Indoor distribution

of subway stations in a Korean major city, Journal of Environmental

Radioactivity, 2010 (in press)

강영호, 박장식, 김도성 (1982). “Alpha 입자 비적법에 의한 Radon 측정”, 방사선방어

학회지. vol. 7, 17-21.

김동술, 김윤신, 김신도, 신웅대, 김성천, 유정석 (1993) 서울시 지하철역내의 라

돈 농도 분포 및 저감대책, 한국대기보건학회지 vol. 9, 271-277

김윤신, 홍승철, 이철민, 박원석, 이태형, 전형진, 조정현, 다중이용시설의 실내

공기중 라돈농도분포 특성,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529-530

전재식, 김덕찬, 박영웅, 이지영, 이상수, 김남진, 김민영 (2006) 지하철 승강장

고준위 라돈분포의 원인분석 및 저감방안, 한국대기환경학회 2006 춘계학술

대회 논문집, 552-553

전재식 (2007) 서울지하철역 라돈의 시/공간적 변화와 기여원, 공학박사학위논

Page 51: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41 -

문, 시립대학교 대학원 화학공학과

환경부 (2004) 다중이용시설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 (법률 제6911호)

환경부 (2007)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실태조사(II)

환경부 (2007) 한국형 노출지수 개발 및 운영체계 구축

Page 52: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42 -

제 7 장 부 록

부록 I

라돈검출기 설치 및 회수 방법

1. 가위로 검출기 보호용 봉투(pouch) 상단을 가지런히 자른 후 라돈검출기를 끄집어

냄(그림 참조)

<주의사항>

o 라돈검출기를 설치하기전에 미리 개봉해 두면 절대 안됨.(즉 개봉과 동시에 라

돈측정이 시작되기 때문)

2. 라돈검출기의 일련번호를 확인 대조함

검출기 바닥에 적혀 있는 숫자와 보호용 봉투에 붙여져 있는 숫자와 일치하는지

를 확인함

3. 검출기 종이 부위에 설치날짜 기입함

검정색 볼펜(번지지 않는 것)을 이용하여 설치날짜를 기재함.

4. 라돈검출기설치 정보기록지(Radon Test Detector Log)에 검출기 일련번호, 설치날

짜, 설치장소(주소) 및 설치자 이름을 기재함.

5. 라돈검출기 설치

o 장식장 위, 책장 위, 장롱 위 등에 라돈검출기를 올려 놓음

Page 53: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43 -

<주의사항>

o 주택의 경우 침실이나 거실에 설치(침실을 우선적으로)

o 1층과 2층 모두 사용하는 경우는 원칙적으로 1층 설치

o 설치장소는 천장 및 벽면으로부터 30-50cm 떨어진 곳을 선택

(장식장, 책장, 장롱 등의 위가 적절)

※ 천장에 딱 달라 붙을 정도 높이의 장롱 위는 설치 삼가

o 가능한 창문, 방문, 냉난방기 근처는 피할 것

o 발열이나 정전기 발생 우려가 있는 TV, 냉장고, 에어콘 위는 절대 삼가

o 직사광선에 직접 노출되는 장소는 피할 것

o 기거하지 않는 지하실, 창고, 화장실, 베란다, 창틀 등과 물기가 많은 싱크대 위

는 피할 것

6. 라돈검출기 회수

o 라돈측정이 끝나면(3개월 후) 라돈검출기를 회수하여 검출기 하단에 회수날짜를

설치날짜와 동일한 방법으로 기재하고 설치시에 제공된 지퍼 백에 넣고 밀봉함.

※ 지퍼백을 눌러 보아 공기가 새는 곳이 없는 지 확인함.

※ 지퍼백의 역할은 더 이상 라돈기체가 검출기 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함

7. 라돈검출기설치 정보기록지(Radon Test Detector Log)에 회수날짜 기재

o 라돈검출기의 일련번호를 검출기 설치시에 기재한 것과 동일한지를 반드시 확인

Page 54: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44 -

부록 II

Page 55: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45 -

Page 56: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46 -

Page 57: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47 -

Page 58: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48 -

Page 59: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49 -

Page 60: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50 -

Page 61: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51 -

Page 62: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52 -

Page 63: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53 -

Page 64: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54 -

Page 65: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55 -

Page 66: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56 -

Page 67: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57 -

Page 68: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58 -

부록 III

라돈에 대한 올바른 이해

한 국 원 자 력 안 전 기 술 원

Page 69: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59 -

☎ 라돈(Radon)이란? 라돈은 천연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방사성기체를 말합니다. 우리가 살고 있

는 지구상에는 태초부터 천연방사성물질이 존재하고 있고 있습니다. 그 중의

하나가 라돈이며 아래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라돈은 토양이나 암반내에 천

연적으로 존재하는 우라늄으로부터 자연적으로 발생되고 또한 수명(반감기 :

3.8일)을 다하여 소멸하는 과정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또한 라돈은 아래 그림에

서 보는 바와 같이 그 후손(라돈딸핵종 이라고 함)을 만들고, 이들 역시 방사선

을 내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라돈은 기체상태이기 때문에 지표면으로부터 대기중으로 발산되어 그 양은

아주 적지만 지구환경 어디에나 존재하고 있으며 건물의 틈을 통하여 우리 가

정에까지 들어오게 되는 것입니다.

라돈은 색깔이나 맛이 없고 냄새가 나지 않는 불활성기체로서 천연에 존재

하는 기체중에서 가장 무겁습니다. 다른 물질과 화학적으로는 반응을 하지 않

으나 방사선을 내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물리적으로는 매우 불안정합니다.

또한 먼지 등의 미립자에 잘 달라붙어 떠돌아 다니게 되며 우리가 호흡을 하면

호흡기를 통하여 폐에 들어가게 됩니다.

우라늄

토륨

라듐

라돈

Pb-214

Bi-214 Po-218

Po-214

Pb-210

Bi-210라돈과 그 딸핵종

안정원소

Page 70: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60 -

☎ 천연 방사선(Natural Radiation)이란? 우리 인간은 태초부터 방사선과 함께 살아왔습니다. 20세기에 들어서면서

그 존재를 알게 되었고 암치료나 질병의 진단 등과 같이 매우 유용하게 활용되

고 있는 분야가 있는가 하면 핵무기 등과 같은 공포의 대상이 되기도 하는 동

전의 양면과 같은 속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과거 핵무기가 인류에게 미친 피해

와 공포감이 워낙 컸기 때문에 우리는 방사선의 이로운 면 보다는 어두운 면을

늘 생각하게 되고 막연한 두려움을 가지게 되는 것은 당연할는지 모르겠습니

다.

우리가 생활하고 있는 공간에는 여러 종류의 방사선이 있지만 그것의 기원

을 가지고 분류를 하면 크게 천연(자연)방사선(Natural Radiation)과 인공방사선

(Artificial Radiation)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전자는 말 그대로 우주가 생성된

태고 적부터 존재하는 것이고 후자는 우리 인간의 활동에 의해서 만든 것을 말

합니다.

우리가 현재 조사하고자 하는 라돈을 비롯한 우라늄, 토륨, 라듐, 칼륨우주

방사선 등은 천연방사성핵종으로 분류되고 이로부터의 방사선을 천연방사선이

라 합니다.

아래 그림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우리 생활환경에 있는 모든 방사선의 종류

와 그들의 양을 백분비로 나타내 보면 천연방사선이 85%정도를 차지하고 있음

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그 중에서도 라돈이 전체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지표로부터의 라돈기체 (50%)

의료방사선 (14%)

음식/음료수 (11.5%) 지표,건물 감마선

(14%)

우주방사선 (10%)

<0.1% 원자력산업<0.1% 소비제품 0.2% 낙진

인공방사선 15%천연방사선 85%

Page 71: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61 -

☎ 라돈의 인체영향 (affect the health)은? 북유럽국가(스웨덴, 노르웨이 등)들과 같이 지질적으로 화강암과 화성암이

풍부한 나라의 광산에서 작업한 광부들이 상대적으로 폐암에 많이 걸린다는 것

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그 원인을 조사하는 가운데 라돈이 흡연과 마찬가

지로 폐암의 한가지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 것입니다.

즉 우리가 호흡을 할 때 라돈과 그 딸핵종들이 호흡기 속으로 들어가서 대

부분은 내쉬는 숨에 의해서 다시 나오지만 일부는 기관지 및 폐에 달라붙은 후

붕괴를 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알파선이란 방사선이 나오게 되는데 이것이

폐조직에 손상을 주기도 하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폐조직이 지속적으로 손상

되면 폐암을 일으킬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폐암발생 확률은 개인차가 너무

크고 특히 년령, 흡연습관 등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라돈에 의한 폐

암발생을 평가하기가 대단히 곤란합니다. 다시 말해서 라돈농도가 얼마일 때

어느 정도의 폐암발생확률을 가지고 있는지를 정확히 알 수가 없으며 단지 추

정할 뿐 입니다.

그러나 한가지 분명한 것은 라돈에 의한 폐암 발생확률은 우리가 살아가는

동안 얼마나 많은 라돈을 호흡했느냐에 관계되므로 우리의 주거환경에서 라돈

의 농도를 가능하면 낮추는 노력을 해야 할 것입니다.

Page 72: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62 -

☎ 라돈은 얼마나 위험(Health Risk)한가? 오늘날과 같은 고도의 산업기술 및 정보사회에서 대부분의 우리 생활은 실

내에서 영위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다시 말해서 주간

에는 직장이라는 실내공간에서, 야간에는 가정이라는 실내공간에서 우리의 생

활이 대부분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라돈의 위험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

이 실내에 들어온 라돈의 농도에 비례할 것입니다.

미국 환경보호청(USEPA)이 국민을 대상으로 라돈문제를 홍보하기 위해 발

간한 자료 “라돈에 대한 시민안내서(A Citizen's Guide to Radon)" 에 따르면 담

배를 피우는 사람의 경우, 150Bq/m3(4pCi/L)의 라돈농도가 일정하게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실내공간에서 평생동안 생활하면 1000명중 약 29명이 폐암의 위험이

있다고 합니다. 이것은 항공기사고에 의한 사망확률의 약 100배가 되는 위험

정도입니다. 그러나 담배를 피우지 않는 사람의 경우에는 동일한 라돈농도에서

1000명중 약 2명의 폐암발생 확률이 있다고 합니다. 이 통계자료에 따르면 폐

암의 일차적인 원인은 흡연으로 생각됩니다. 그러나 미국 보건당국은 라돈이

미국에서 폐암을 유발시키는 제2의 원인제공자임을 경고하고 있습니다.

0

10000

20000

30000

년간

사망

자수

(명)

음주

운전

사고

라돈

익사

사고

화재

사고

항공

기사

사고유형별 년간 사망자수(미국)

Page 73: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63 -

☎ 라돈은 어떻게 실내로 들어오는가? 라돈은 우리 생활환경 주변의 토양이나, 암반, 그리고 우리가 생활하는 집

또는 건축물을 지을 때 이용된 건축자재(모래 시멘트, 흙, 벽돌, 타일, 석고보드

등)등으로부터 발생됩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생활하는 건축물의 경우 건물내부의 대기압력이 건물바

깥 보다 낮은 경향이 있기 때문에 아래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라돈기체는

건축물 콘크리트 벽체의 갈라진 틈, 창틈, 마루바닥, 배관 등을 통하여 실내로

스며들어오게 되는 것입니다.

Page 74: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64 -

☎ 우리 집의 실내 라돈농도를 줄이는 방법

(Radon Reduction)은? 우리는 전통적으로 한옥에서 살아 왔읍니다. 그러나 약 30여년 전부터 도시

형 아파트로 우리의 주거문화가 많이 바뀌게 되었습니다. 물론 아직도 농촌에

는 전통적인 가옥이 많이 있지만 인구비로 볼 때 우리 나라 국민들 대부분은

콘크리트 양옥 또는 아파트에서 생활하고 있습니다. 라돈은 집터의 토양층으로

부터 대부분 유입되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라돈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설계시부

터 고려되어야 하나 우리 나라 건축물은 대부분 이러한 개념 없이 지어진 것입

니다.

아래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창문을 많이 열고 생활하는 여름철이 보온을

위해서 창문을 꼭 닫아두고 생활하는 겨울철보다 상대적으로 실내라돈농도가

낮은 것을 실험을 통해서 알 수 있습니다. 또한 하루중도 수시로 변하며 하루

중 기상시간 바로전까지 매우 높고 우리가 활동을 하는 주간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 이것은 실내의 환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말해

주는 것입니다.

실내 라돈농도를 저감시키는 방법으로는 실내공기를 강제로 청정공기로 교

체하는 방법, 실내의 압력을 실외보다 약간 높게 유지하는 방법, 라돈의 주요유

입통로 차단, 배수관, 지하실 벽체, 콘크리트 기초슬래브 밑의 토양층의 배기방

법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라돈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지만

비용이 많이 드는 일입니다.

결국, 현재의 주거환경에서 비용을 들이지 않고 실내 라돈농도를 줄일 수 있

는 최선의 방법은 환기를 자주 시켜주거나 환기팬을 설치하여 실내공기를 순환

시켜주는 방법일 것입니다.

실내라돈농도의 일일변동 특성

0

10

20

30

40

50

0시 3시 6시 9시 12시 15시 18시 21시

상대

농도

기상시간

출근시간

퇴근무렵취침시간

실내라돈농도의 년간변동 특성

0

10

20

30

4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상대

농도

Page 75: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65 -

☎ 라돈은 어떻게 측정(Radon Measurement)하는가? 공기중에 존재하는 라돈의 양은 라돈과 그 딸핵종이 붕괴할 때 내는 방

사선을 측정하고 계수(count)하는 검출기를 이용하여 측정합니다. 우리 주거환

경 특히 실내에서의 라돈농도는 매우 낮고 변동이 심하기 때문에 라돈측정은

보통 3개월에서 1년정도 장기간 측정하여 평균농도를 구하는 방법을 많이 이용

하고 있습니다. 측정된 라돈의 량은 “방사능”이라는 용어로 나타내는데 이것은

단위시간당의 라돈의 붕괴률을 의미하는 것으로 공기중에 존재하는 라돈수에

비례하고 그 단위를 베크렐(Becquerel)로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공기 1입방미터

당 1Bq의 라돈이 들어있다는 것은(1Bq/m3)은 공기 1입방미터내에서 라돈이 1초

에 1개 붕괴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여러분들의 가정에 설치될 라돈검출기는 아래 그림과 같은 것으로 이것을

라돈비적검출기(Radon Track Detector)라 합니다. 이것은 라돈이 붕괴할 때 내는

알파선이 플라스틱 필름에 입사하여 미세한 흔적을 남기게 되는데 이것을 화학

적으로 처리한 후 디지털 카메라와 이미지 프로세스를 통하여 그 숫자를 자동

적으로 계수하는 원리입니다.

Page 76: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66 -

☎ 전국의 실내라돈조사를 왜 하는가? 금번 실시하고자 하는 전국 실내라돈조사는 라돈에 의한 방사선 영향을 최

소화하여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우선 우리 나라 전역의 평균 실내라돈농도를 파악

하고, 건축형태에 따른 차이점 등을 파악하여 실내라돈농도에 대한 국가 저감

화 방안 마련 등 국가 정책수립에 기초자료로 반영하고자 합니다. 이러한 일련

의 전국 실내라돈조사 사업은 국민 건강보호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국가사업중

의 하나입니다.

선진국 대부분은 이러한 조사를 수년간에 걸쳐 모두 마친 상태로 국민 보건

의 차원에서 그 자료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 나라에서도 그 중요성

을 인식하여 환경부에서 본 조사를 추진하게 되었으며 조사기관으로 한국원자

력안전기술원이 맡게 된 것입니다.

우리 나라의 모든 가옥을 대상으로 실내라돈 조사를 수행하게 되면 그 비용

과 시간이 어마어마하게 투자되어야 하기 때문에 지리적분포, 인구분포, 가옥

및 건물형태 등을 고려한 읍/면/동사무소, 학교, 다중이용시설, 일반 가옥 등 전

국 10,000여개 시설 및 가옥에 대해서 표본조사를 수행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여러분의 가옥이 특이하게 라돈농도가 높아서가 아니라 표본으로 선정

된 것이오니 널리 이해하시어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미국의 라돈 분포 지도]

[유럽 각국에서 수행된 실내

라돈 농도 분포 지도 종합]

Page 77: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67 -

☎ 질문사항이 있으면 아래로 연락하십시오

본 안내서를 읽어보시고 궁금하신 점이나 질문사항이 있으시면 아래로 연

락주시면 즉시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305-600, 대전광역시 유성구 구성동

대전 유성우체국 사서함 114호

전화 : (042) 868 - 0260, 0590, 0464

팩스 : (042) 862 - 3680

e-mail :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담당자 : 윤주용, 장병욱, 김용재

(주) 한국리서치

135-080,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 192-19 H타워 한국리서치

전화 : (02) 3014 - 0110, 0145

펙스 : (02) 3014 - 0100

e-mail : [email protected]

담당자 : 조은옥, 이희영

Page 78: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68 -

부록 IV

실내 라돈 평가를 위한 환경인자 조사표

조사지점 ID

안녕하세요? 이번에 환경부가 추진하는 실내 공기질 관리 정책의 일환으로

전국라돈실태조사 연구를 수행중에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실내 라돈 농도 변

화에 미치는 환경 인자를 평가하기 위하여 본 조사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

다. 응답해주신 내용은 통계적 분석에만 이용되며, 조사 연구 결과가 개별적

으로 알려지지 않습니다. 잠시만 시간을 내어 응답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quota 확인을 위한 자료]

건물 종류 건물 구조

1) 지하역사 14) 장례식장 1) 철강재 (철골) 2) 지하도상가 15) 찜질방 2) 철근 콘크리트 3) 자동차터미널 대합실 16) 산후조리원 3) 석재 4) 공항여객터미널 17) 공공건물 (면/동사무소) 4) 벽돌 5) 항만시설 대합실 18) 학교 5) 시멘트 블럭 6) 박물관 및 미술관 19) 기타 : 6) 목재 7) 도서관 7) 흙 8) 의료기관 20) 한옥 8) 조립식 9) 실내 주차장 21) 양옥 9) 기타 : 10) 철도역사 대합실 22) 아파트 10) 모름11) 대규모 점포 23) 연립/빌라12) 보육시설 24) 다세대 주택13) 노인전문요양시설 25) 기타주택 :

기 관 명 : 부서명 : 응답자명 : 전화번호 : 핸드폰 : 건물주소 : 시 구 동 번지

면접일자 : 년 월 일면접원 성명 : (인)

[☞ 검증결과]

검 증 결 과 : 검증원 성명 : (인)

Page 79: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69 -

실내 공기질 및 라돈에 대하여

선문 1. 귀 시설은 앞으로 12개월 안에 본 건물을 이전하거나 폐쇄할 계획이

있으십니까?

(1)있다 → 면접중단 (2)없다

선문 2. 귀 시설에 12개월 동안 라돈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계측기를 설치한 후 3

개 월 마다 4회에 걸쳐 라돈 조사를 합니다. 이 조사에 협조해 주시겠습니까?

(1)하겠다. (2)못하겠다 → 면접중단

문 1. 평소 생활하고 있는 실내 공기 질에 대하여 관심이 어느 정도 있으십니까?

(1) 전혀 관심이 없다 (2) 별로 관심 없다 (3) 보통이다

(4) 약간 관심 있다 (5) 매우 관심있다.

문 2. 실내 공기의 질이 자신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

(1)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느다. (2)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3) 보통이다 (4) 조금 영향을 미친다. (5) 크게 영향을 미친다.

문 3. 다음 중에서 실내 공기질에 영향을 주는 물질이라고 생각하는 것는 모두 선택하

여 주십시오.

(1) 라돈 (2) 포름알데히드 (3) 석면 (4) 일산화탄소 (5) 이산화탄소

(6) 이산화질소 (7) 오존 (8) 미세먼지 (9) 부유세균 (10) 휘발성유기화합물

문 4. 귀하는 라돈에 대하여 어느 정도 알고 계십니까?

(1) 잘 알고 있다 (2) 들어본 적은 있다 (3) 모른다.

문 4-1. 문 4에서 (1)과 (2)번에 응답한 경우만 답변하여 주십시오. 라돈에 대한

정보를 어디에서 알게 되었거나 들으셨는지 모두 말씀해 주십시오.

(1) TV (2) 신문 (3) 라디오 (4) 인터넷 (5) 기타 (_______________)

문 5. 라돈은 우리 몸에 어느 정도 해로운 물질이라고 생각하십니까?

(1) 전혀 해롭지 않다 (2) 별로 해롭지 않다 (3) 보통이다

(4) 약간 해롭다 (5) 매우 해롭다.

Page 80: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70 -

문 6. 라돈은 다른 실내 오염물질인 석면, 포름알테히드,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과 비교

하여 우리 몸에 어느 정도 위험한 물질이라고 생각하십니까?

(1) 전혀 해롭지 않다 (2) 별로 해롭지 않다 (3) 보통이다

(4) 약간 해롭다 (5) 매우 해롭다

문 7. 라돈이 실내로 어떻게 유입된다고 생각하시는지 모두 말씀하여 주십시오

(1) 건물 바닥, 벽 등의 갈라진 틈으로 (2) 건축자재를 통하여 (3) 창문

(5) 지붕 또는 천장 (5) 가구 (6) 기타 :_____________________

문 8. 실내로 들어온 라돈은 집, 직장, 학교 등에서 쉽게 없앨 수 있습니다. 평소 생활

하고 있는 집, 직장, 학교 등에서 라돈 농도를 낮출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아시

면 알고 있는데로 모두 말씀하여 주십시오.

(1) 환기를 자주한다. (2) 흡연, 스프레이, 냉난방 기구 사용을 자제한다.

(3) 공기 청정기를 사용한다. (4) 친환경 생활용품, 사무용품, 건축자재 등을 사

용한다. (5)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6) 기타 (___________________________)

라돈검출기 설치 장소에 대하여

문 1. 측정기를 설치한 곳은 몇 층입니까? ( )층

문 2. 측정기를 설치한 장소는 어디입니까? ( )부서

문 3. 측정기 설치위치는 구체적으로 어디입니까?

(1) 캐비넷 위 (2) 책장 위 (3) 책꽂이 위 (4) 책상 위

(5) 옷장 또는 장롱 위 (6) 침대 부근 (7) 화장대 위 (8) 기타

문 4. 측정기가 설치되어 있는 방의 크기는 어느 정도 입니까?

( ) 평 또는 ( ) ㎡

문 5. 측정기를 벽, 바닥, 천장으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진 곳에 설치하셨습니까?

(1) 벽으로 부터의 거리 : ( )㎝ (가장 가까운 벽으로부터의 거리임)

(2) 바닥으로부터의 거리 : ( )㎝

(3) 천장으로부터의 거리 : ( )㎝

Page 81: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71 -

건물구조에 대하여

문 1. 본 시설은 어디에 해당합니까 ?

(1) 지하역사 및 부설시설 (2) 지하도상가 (3) 여객 자동차터미널 대합실

(4) 공항 여객터미널 (5) 항만시설중 대합실 (6) 박물관 및 미술관 (7) 도서관

(8) 의료기관 (9) 실내주차장 (10) 철도역사 대합실

(11) 대규모 점포 (12) 국공립 보육시설 (13) 국공립 노인 전문 요양시설 등

(14) 장례식장 (15) 찜질방 (16) 산후조리원

(17) 공공건물(면/동사무소) (18) 학교 (19) 기타 :

(20) 한옥 (21) 양옥 (22) 아파트 (23) 연립/빌라 (24) 다세대 주택

(25) 기타주택 : _________

문 2. 본 시설은 총 몇 층 건물입니까? (지상 ______ 층, 지하 ______ 층)

문 3. 본 시설은 언제 건축되었습니까? (재․증축 제외하고)

(1) 년 (2) 모름

문 3-1. 리모델링이 된 경우 본 시설은 언제 리모델 되었습니까?

문 4. 건물 구조는 무었입니까?

(1) 철강재(철골) (2) 철근 콘크리트 (3) 석재 (4) 벽돌 (5) 시멘트 블록

(6) 목재 (7) 흙 (8) 조립식 (9) 기타 (10) 모름

문 5. 측정기가 설치되어 있는 곳의 내벽재는 무엇입니까?

(1) 콘크리트 (2) 시멘트 블럭 (3) 석재 (4) 적벽돌 (5) 타일 (6) 흙

(7) 목재 (8) 기타 (9) 모름

문 5-1. 측정기가 설치되어 있는 곳의 벽체 마감재 종류는 무엇입니까?

(1) 콘크리트 및 모르타르 (2) 회반죽 (3) 타일, 금속판 등 붙임 재료 (4) 목재

(5) 벽지 (6) 뿜칠 바름재 (7) 흙벽 (8) 석고보드 (9) 기타 (10) 모름

문 6. 측정기가 설치되어 있는 곳의 천장의 주요재질은 무엇입니까?

(1) 콘크리드 (2) 시멘트 블럭 (3) 석재 (4) 적벽돌 (5) 타일 (6) 흙

(7) 목재 (8) 기타 (9) 모름

Page 82: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72 -

문 6-1. 측정기가 설치되어 있는 곳의 천장표면 마감재 재질은 무엇입니까?

(1) 콘크리트 및 모르타르 (2) 회반죽 (3) 텍스, 금속판 등 붙임 재료 (4) 목재

(5) 벽지 (6) 뿜칠 바름재 (7) 흙벽 (8) 석고보드 (9) 기타 (10) 모름

문 7. 측정기가 설치되어 있는 곳의 바닥재질은 무엇입니까?

(1) 콘크리드 (2) 시멘트 블럭 (3) 석재 (4) 인조석 (5) 타일 (6) 흙

(7) 목재 (8) 기타 (9) 모름

문 7-1. 측정기가 설치되어 있는 곳의 바닥 마감재는 무엇입니까?

(1) 인조석물갈기 (도끼다시) (2) 일반 타일 계통 (3) 합성수지 타일 계통

(4) 합성수지 코팅 (예, 에폭시 코팅 등) (5) 일반 비닐장판

(6) 기능성 소재 장판 (예, 황토, 맥반석, 숯, 옥 첨가 등), 기능성 소재 장판일

경우 첨가물 이름 또는 제품명: _________

(7) 장판 위 니스칠 (8) 마루 (9) 기타 (10) 모름

문 8. 측정기가 설치되어 있는 곳의 창문은 몇 개 있습니까? ( ) 개

문 8-1. 창문은 어떤 재질 입니까?

(1) 시스템 창 (2) 일반 알루미늄 (3) 철제

(4) 목재 (5) PVC (6) 기타 : ____________

문 8-2. 창문은 어떤 형태입니까?

(1) 단일창 (2) 이중창 (3) 기타 : _____________

문 8-3. 베란다가 있는 경우 알루미늄 샤시가 설치되어 있습니까?

(1) 있다 (2) 없다

문 9. 측정기가 설치되어 있는 곳의 출입문은 몇 개입니까? ( ) 개

문 10. 측정기를 설치한 곳의 바로 아래에 지하공간이 있습니까?

(1) 없음 (2) 지하창고 (3) 지하주차장 (4) 보일러 등 기계실 (5) 기타

문 11. 측정기를 설치한 곳에 지하수를 사용합니까?

(1) 예 (2) 아니오

Page 83: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73 -

생활습관 및 주변환경에 대하여

문 1. 여름철에 창문 여는 횟수는 얼마입니까?

(1) 하루에 2-3회 (2) 하루에 한번정도 (3) 거의 열어놓는다

(4) 거의 열지 않는다 (5) 기타

문 2. 겨울철에는 창문 여는 횟수는 얼마입니까?

(1) 하루에 2-3회 (2) 하루에 한번정도 (3)거의 열어 놓는다

(4) 거의 열지 않는다 (5) 기타

문 3. 측정기가 설치된 곳의 환기 방식은?

(1) 중앙 공조기 (2)독 립 환기 (3) 자연 환기

문 3-1. 문 3에서 (1)과 (2)에 응답한 경우만 표시하여 주십시오. 하루 평균 가동

시간은?

(1) 1-2 시간 (2) 3 - 5 시간 (3) 6시간 이상

문 4. 라돈 측정기가 설치된 곳에 에어콘이 있습니까?

(1) 예 (2) 없음.

문 4-1. 문 4에서 (1)에 응답한 경우, 에어콘의 사용빈도는 얼마입니까?

(1) 1년간 항온 항습 (2) 여름철만 사용 (3) 기타

문 5. 측정기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에서 여름철에 선풍기를 사용하십니까?

(1) 예 (2) 아니오

문 5-1. 문5에서 (1)에 응답한 경우 선풍기의 하루 평균 사용시간은 몇시간입니까?

(1) 1-2 시간 (2) 3 - 5 시간 (3) 6시간 이상

문 6. 측청기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의 겨울철 난방시설 형태는 무엇입니까?

(1) 중앙 공조기 (2) 중앙공급방식(펜코일, 라디에이터 등) (3) 기름 온풍기

(4) 전기 온풍기 (5) 기름 난로 (6) 연탄 난로 (7) 온돌 (8) 기타

문 7. 측정기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에 별도의 환풍기가 설치되어 있습니까?

(1) 예 (2) 아니오

Page 84: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74 -

문 7-1. 문 7에서 (1)에 응답한 경우, 하루평균 환풍기 가동 시간은?

(1) 1-2 시간 (2) 3 - 5 시간 (3) 6시간 이상

문 8. 측정기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에서 공기 청정기를 사용하고 계십니까?

(1) 예 (2) 아니오

문 9. 측정기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에서 12월과 2월 사이에 가습기를 사용하십니까?

(1) 예 (2) 아니오

문 10. 측정기가 설치되어 있는 건물의 주변 환경은 어디에 해당합니까?

(1) 아파트 단지 (2) 일반주택가 (3) 상가지역 (4) 고층빌딩 번화가

(5) 공단 (6) 농가 (7) 산림지역 (8) 주변에 아무것도 없음 (9) 기타

문 11. 근무(또는 거주)하시는 지역의 주변 지형은 어디에 해당합니까?

(1)내륙 (2)해안 (3) 기타 (4)모르겠다

문 12. 검출기가 설치된 곳(또는 가옥내)에 근무(또는 거주)하는 인원은 모두 몇 명입

니까?

(1) 1 - 2명 (2) 3 - 4 명 (3) 5 - 6 명 (4) 7 - 8명

(5) 9 - 10 명 (6) 10명 초과

문 12-1. 인원별 성별과 나이, 하루 평균 사무실 체류시간은 얼마나 됩니까?

구성원성

일일평균

체류시간

건강상

특이사항

근무년수

(또는 거주년수)비 고

1 년 개월2 년 개월3 년 개월4 년 개월5 년 개월6 년 개월7 년 개월8 년 개월9 년 개월10 년 개월

☞ 일반 가옥일 경우는 비고란에 직업을 적어주세요

Page 85: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 75 -

문 13. 실내 평균 근무시간(또는 거주시간)은?

(1) 4시간 미만 (2) 4 - 6 시간 (3) 6 - 8 시간 (4) 8 - 10 시간

(5) 10 - 12 시간 (6) 12 - 14 시간 (7) 14 - 16 시간 (8) 16 시간 이상

문 14. 흡연하시는 분이 몇 분이나 계십니까?

(1) 1명 (2) 2명 (3) 3명

(4) 4명 (5) 5명 이상 (6) 없다

문 14-1. 흡연자 1인당 하루 흡연량은 얼마나 됩니까?

(1) 반 갑 미만 (2) 반갑 - 한 갑 (2) 한 갑 - 두 갑 (3) 두 갑 이상

문 14-2. 흡연 장소는 주로 어디입니까?

(1) 실내 (2) 실외 (3) 베란다 (4) 장소 구분 없이 피운다 (5) 기타 : _______

문 14-3. 별도의 흡연실을 운영하고 있습니까?

(1) 있다 (2) 없다

모두 종료 되었습니다.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Page 86: Nationwide Survey of Indoor Radon In Korea - Public facilitieswebbook.me.go.kr/DLi-File/NIER/06/013/5515630.pdf · 2015-11-03 · “ ” 2 (!", #$) %&'() *+,-. . 2010. 2. /0123:

국립환경과학원 Http://www.nier.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