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
발달협응장애를 보이는 아동의 공존병리에 관한 문헌연구 *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 A Review of Research on Comorbidityes 송호준 ** ᆞ이상복 *** ᆞ강경희 **** ᆞ이은진 **** Song, Ho Jun ㆍ Lee, Sang Bok ㆍ Kang, Kyung Hee ㆍ Lee, Eun Jin * 이 논문은 년 정부 교육과학기술부 의 재원으로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2008 ( ) 수행된 연구임(KRF-2008-05-J01702)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Grant funded by the Korean Government(KRF-2008-05-J01702)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연구원 교신저자 ( : [email protected])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Daegu University *** 대구대학교 유아특수교육과 교수 Department of Early Special Education, Daegu University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연구교수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Daegu University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48, No. 3, pp. 171~197, 2009. < > 발달장애 아동들이 보여주는 운동협응성장애는 흔히 아동기 때 보이는 장애로 학령 기에 정도 발생된다 이러한 운동협응문제는 학습문제와 관련된 주의력결핍과잉행 6% . 동장애 읽기장애 쓰기장애 언어장애 등과도 동반되어 나타나기도 하며 차적으로 아 , , , ,2 동의 정서적 문제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대개 운동협응 문제는 장애의 고유 특성으로 파악되어져 교육목표에서 우선순위가 밀려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운동협응장애는 . 운동성만이 문제가 아니라 여러 장애와 공존하는 것으로 각 장애영역의 특성과 운동협 응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각 장애 영역별 운동협응장애의 공존성과 연관성을 국내 외 문헌연 구를 통해 포괄적으로 알아보고 운동협응장애와 동반된 공존병리의 이해를 통하여 운 , 동성 향상과 교육적 지원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핵심어 : 운동협응장애 공존병리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특정언어장애 학습장애 , , , ,

발달협응장애를 보이는 아동의 공존병리에 관한 문헌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9-%BC%DB%C8%A3%C1%D8,%C0… · 애로 세아동의 를차지하며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발달협응장애를 보이는 아동의

    공존병리에 관한 문헌연구*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 A Review of Research on Comorbidityes

    송 호 준**ᆞ이 상 복***ᆞ강 경 희****ᆞ이 은 진****

    Song, Ho Jun ㆍ Lee, Sang Bok ㆍ Kang, Kyung Hee ㆍ Lee, Eun Jin

    * 이 논문은 년 정부 교육과학기술부 의 재원으로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2008 ( )수행된 연구임(KRF-2008-05-J01702)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Grant funded bythe Korean Government(KRF-2008-05-J01702)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연구원 교신저자( : [email protected])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Daegu University

    *** 대구대학교 유아특수교육과 교수Department of Early Special Education, Daegu University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연구교수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Daegu University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Vol. 48, No. 3, pp. 171~197, 2009.

    요 약< >

    발달장애 아동들이 보여주는 운동협응성장애는 흔히 아동기 때 보이는 장애로 학령기에 정도 발생된다 이러한 운동협응문제는 학습문제와 관련된 주의력결핍과잉행6% .동장애 읽기장애 쓰기장애 언어장애 등과도 동반되어 나타나기도 하며 차적으로 아, , , , 2동의 정서적 문제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대개 운동협응 문제는 장애의 고유 특성으로파악되어져 교육목표에서 우선순위가 밀려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운동협응장애는.운동성만이 문제가 아니라 여러 장애와 공존하는 것으로 각 장애영역의 특성과 운동협응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를 할 필요성이 있다.본 연구에서는 각 장애 영역별 운동협응장애의 공존성과 연관성을 국내 외 문헌연ᆞ

    구를 통해 포괄적으로 알아보고 운동협응장애와 동반된 공존병리의 이해를 통하여 운,동성 향상과 교육적 지원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핵심어 : 운동협응장애 공존병리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특정언어장애 학습장애, , , ,

  • ( 48 3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倦 第 號

    Ⅰ 서 론.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1.

    운동협응은 인간의 전반적인 발달에 관여하며 특히 아동기의 신체활동은 신체

    의식을 만들고 나아가 환경에 대하여 적응성을 높이며 사회성과 정서적 발달의, ,

    토대를 만드는 기본적 요소로 이러한 신체협응에 관한 문제의( , 2003),飯村敦子

    컨셉은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발달협응장애란 용어로 정립되기 전까100

    지 소아 신경학자 체육교사 운동과학자 작업 및 물리치료사 심리학자 신경심, , , , ,

    리학자가 지식의 기초를 끌었고 연구자들의 관점에서의 많은 연구가 되어왔다,

    (Cermak & Larkin, 2001).

    운동협응 문제는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Clumsy, develop

    등의 다양한 용어로 불려 왔지만 현mental dyspraxia, handwriting problems

    재 발달협응장애로 가장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Magalhaes, Missiuna, &

    Wong, 2006).

    협응의 문제는 대개 일상생활의 불편 어둔함 정도로 파악되어져 단순히 일상,

    생활에 불편함 정도로 생각되어져 중요성을 간과하기 쉬운 장애로 운동협응의

    일차적인 문제에 그치지 않고 이차적으로 정서적 문제까지 야기시키게 되는데

    발달협응장애의 종단연구에서 발달협응장애 아동들은 심한 운동 어려움 주의력,

    결핍 그리고 학습문제를 갖게 되게 되어 결과적으로 사회에 대한 부정적 정서를

    갖음을 지적했다(Cantell, Smith, & Ahonen, 2003); Hadders-Algra, 2002;

    Hellgren et al., 1994; Losse et al., 1991; Rasmussen & Gillberg, 2000).

    은 운동협응 문제는 성장 중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거나(2003)飯村敦子

    성장하면서 소거되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문제를 발생하게 되며 특히 아동

    의 교육 및 많은 능력에 중대한 지장과 장애를 초래한다고 하였다.

    발달협응장애 는 아동기에 흔한 장(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애로 세 아동의 를 차지하며 장애를 보이는 많은 아동들5-11 6% (APA, 2000),

    이 운동협응에 문제를 함께 보이는데 일찍이 는 정서장애의Kiphard(1973)

    언어지체아의 정신지체아의 가 운동협응문제 를 보이47%, 53%, 98% (Clumsy)

    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발달지체 아동에 있어 협응문제는 발달의 위협요인으로 뽑을 수 있으며 정영(

    숙 등 발달장애인에게 있어 운동 협응문제는 신경증 유발과 함께 충동, 2001),

    및 공격성을 유발시키는 인자로 분류되었다 그래서 협응문제를 포함한 미성숙.

  • 발달협응장애를 보이는 아동의 공존병리에 관한 문헌연구

    요인에 대한 조기 평가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정영숙 이상복( , , 2002).

    운동협응의 초기연구는 영국의 과 는 영국의 의학Walton, Ellis Court(1962)

    저널에“Clumsy Children”란 논문을 발표 후 소아 신경학에 관한 의료관련 영,

    역에서 관심을 받게 되었고 이후 은 그들은 정상지능에 불구하Gubbay(1965)

    고 간단한 운동평가에서 운동 퇴행의 문제를 보이는 아동이라고 밝혔다.

    과 의 연구가 오늘날 운동협응 연구의 시작으로 자리매임 되었Walton Gubbay

    고 년에 이르러 국제회의가 열렸고 최근 회의에서( , 2003), 1994 DCD飯村敦子

    는 많은 연구자들이 참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본에서의 운동협응장애에 관한 연구는 년 가 정서 행동장애 아동1973 山口 ᆞ

    의 운동성 결함에 관한 연구 후 와 에 의하여 미세뇌병변, , (1983)八島 園部 渡辺장애 연구 와 의 학습장애 연구를 시작으로 협응문제에, , (1989)緖方 小林 森永

    관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국내의 운동협응 연구는 체육학 특수체육 유아체육 운동역학 스포츠심리학, , , ,

    회 물리치료학회 작업치료 및 특수교육영역 등 다양한 영역에서 연구되어 왔지, ,

    만 운동학습 허진영 최승오 김선응 원주연 정봉( , 1998; , 1998, 2003; , 2004; ,

    해 김선진 최범규 박지원 등 중재효과 최유진 김경미, 2002; , , 2001; , 2002), ( , ,

    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 운동협응과 관련2008) .

    된 부가문제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발달협응장애에 대한 정의 및 분류에 대한

    문헌연구도 부족한 실정이다.

    은 발달적 관점에서 운동협응 문제는 조기에 발견되어Hadders-Algra(2002)

    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학령기에서 학습문제 주의력 결핍 등 그 밖의 문제가, ,

    발생되는 등 조기개입을 강조하였다.

    하지만 운동협응 문제는 장애의 주요한 장애로 무시되거나 운동협응 문제는,

    장애의 기본적인 특성으로 파악되어져 운동협응 문제에 대한 교육적 지원이 부

    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협응장애의 정의 및 원인 등에 관.

    한 기초 연구와 동반장애 및 정서문제에 관한 문헌 연구를 통하여 발달협응장애

    를 이해하고 운동성 향상 및 교육적 지원방안을 제언하는데 있다, .

  • ( 48 3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倦 第 號

    Ⅱ 연구 방법.

    분석대상논문 검색 방법1.

    본 연구는 발달협응장애를 보이는 아동의 공존병리를 연구하는 것으로 국내ᆞ

    외문헌을 중심으로 고찰후 먼저 운동협응장애에 대한 관련된 용어 출현률 및, , ,

    원인에 대하여 살펴보고 그와 관련된 장애를 제시는 것으로 검색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협응장애에 대한 관련 도서 및 논문을 찾기 위한 문헌 검색 사이트로,

    의 학술검색 및 국내학술검색은Google , ELSEVIER, ERIC, EBSCOhost DBpia,

    국회도서관을 이용하였고 검색어로 국내문헌에서는 협응 운동협응 발달KISS, , , ,

    협응장애 해외문헌검색 용어로는, Clumsiness, Clumsy, Motor difficultes,

    Physically awkward child,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Attention

    Deficits, Hyperactivity, Reading Disability, Dyslexia, Specific Language

    로 검색Impairment, Comorbidity, and Subtypes, ,不用器 發達性協調運動障害

    하였다.

    둘째 검색된 논문을 수집하고 수집된 논문중 대상논문으로 선정이 되면 해당,

    논문의 참조문헌을 역으로 추적하여 검색하였다.

    대상문헌 선정기준 및 분석과정 분석2.

    학회지에 발표된 학술문헌으로 제한하였으며 관련학위 및 단행본 및 학술지,

    에 등록되지 않은 논단 등을 제외한 결과 검색결과 관련 연구지는 Human

    편Movement Science(5 ), Developmantal Medicine and Children Neurology(4

    편), 편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1 )을 비롯한 종류의 학술지가 검색되12

    었고 연구의 다양성을 위하여 특정 학회지로 한정하지 않았으며 다음과 같은,

    절차로 선정하였다.

    첫째 년 이후에 이루어진 논문으로 한정하였다 피험자선정 실험도구로, 1994 . ,

    년에 개정된 와 도구를1994 DCD- M-ABC(Henderson & Sugden, 1992)Ⅳ

    적용한 논문에 한하며 종단연구의 경우 대상선정기준을 운동성문제까지 허용하,

    지만 문헌연구는 제외하였다.

    둘째 검색어 선정된 편의 논문을 발달협응장애에 대한 정의 진단기준 출, 20 , ,

    현률 및 유형을 제시한다.

  • 발달협응장애를 보이는 아동의 공존병리에 관한 문헌연구

    셋째 공존병리에 대하여 유목화 하고 참고문헌을 검토하여 관련 논문을 수작.

    업으로 찾아 분석하는데 공존장애에 대한 논문은 표 와 같이 권이 선, < 3-2> 20

    정되었고 선정된 논문의 참조문헌을 바탕으로 공존장애에 대하여 유목화하여 정

    리한다.

    Ⅲ 연구 결과.

    발달협응장애의 정의 및 진단기준1.

    운동협응장애에 대한 용어의 정의1)

    근래에는 미국 정신의학회 의(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발달협응장애 이하 나(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DCD) WHO「 」

    의 운동 기능의 특이적 발달 장애(1992) (Specific Developmental Disorder「 」

    이하 라고 하는 용어가 정식적 진단명으로 사용되of Motor Function, SDDMF)

    고 있다 특히 전자는 서투름이 가져오는 아이의 심리적 사회적 측면의 영향이. , , ,

    운동 그 자체의 문제보다 중요하다고 보았기 때문에 정신의학분류인 에DSM-IV

    넣게 된 경위가 되었다.

    발달협응장애의 핵심적 특성은 또래 아동들과 비교하였을 때 부족한 운동기술

    로 기기 걷기 점프 한발 서기 공 잡기 운동화 끈매기 및 언어적 표현의 발달, , , , ,

    에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은 발달협응장애에 대한 용어가 정립Orton(1937)

    되기 전부터 운동협응 문제는 언어 쓰기 신체움직임의 학습에 어려움을 준다고, ,

    주장하였다.

    이후 지금까지 다양한 연구자들에 의하여 다양한 용어가 사용되어 왔다 예. 

    를 들어 어둔한 아동“clu sy childrenm : ”(Dare & Gordon, 1970; Geuze &

    Kalverboer, 1994; Keogh et al., 1979; Lord & Hulme, 1987; Losse et

    어둔한 증후군아al., 1991),“clumsy child syndrome: ”(Gubbay, 1975),

    또는 협응문제 등의 곤란“coordination problems difficulty: ”(O’Beirne,

    Larkin, Cable, 1994; Sugden & Henderson, 1994),“movement skill probl

    움직임 기술의 문제ems: ”(Sugden & Sugden, 1991),“movement problems

    움직임 문제 등의 곤란or difficulties: ”(Sugden & Keogh, 1990; Wright et

    시각 운동기능부전al., 1994),“preceptuo-motor dysfuntion: - ”(Laszlo et

    통합운동장애al., 1988),“dyspraxia: ”(Iloeje, 1987; McGovern, 1991;

  • ( 48 3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倦 第 號

    발달협응장Walton et al., 1962),“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애”(APA, 1987, 1994, 2000; Henderson, 1992; Hoare, 1994; Missiuna,

    1994; Mon-Williams, Pascal, & Wann, 1994; World Health Organization

    등이 있다WHO 1992a, 1992b, 1993; Wright & Sugden, 1997) .

    과 에 의하면Henderson Hall(1982) ,“clumsy”란 주의력 산만이나 과잉행동,

    때문에 자주 물건을 다루지 못하는 아이를 가리켜 일부에는 모멸적인 용어라,

    하여 최근의 의학이나 교육학의 전문 잡지에서는 이용되지 않게 되어 오히려,

    로서 적어 왔다 이것은 광범위한 행동에 관한 서투름보physical awkwardness .

    다 오히려 운동 문제에 한정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

    운동협응장애는 년 미국정신의학회 의 에 최초로 분류1987 (APA) DSM- -RⅢ

    되었다 이 분류에는 어둔한 아동의 장애를 밝혀내는 것에만 그치지 않고 매뉴. ,

    얼을 제공하고 있어 신빙성이 높아지고 있다 와 에서. DSM- ICD-10 DSM-Ⅳ

    는 발달협응장애 에는 운동기능의 특이적 발달장애로 분류되고-TR , ICD-10 ,Ⅳ

    현재의 정식 진단명으로 되고 있다.

    발달협응장애의 진단 및 분류기준2)

    운동협응에 어려움을 보이는 장애에 대하여 다소 달리 정의 되고 있는데 미국

    정신의학회 에서는 발달협응장애로 국제 보건기구 에서는 운동기능(APA) , (WHO)

    의 특이적 발달장애로 분류하고 있다 의 진단기준은 표. DSM- < 3-1>,Ⅳ

    의 진단기준은 표 와 같이 진단되어지며 두 평가의 진단기준이ICD-10 < 3-2> ,

    다른 점은 에서는 가 운동의 문제가 일상생활과 학교생활에 영향을 주DSM DCD

    는지에 대한 것이며 에서는 표준화된 운동발달검사에서 미만으로, SDDMF 2SD

    결정하며 표본의 득점의 분포에 의존하고 상대평가에 진단을 내린다는 점이다, ,

    (Miyahara & Mobs, 1995).

  • 발달협응장애를 보이는 아동의 공존병리에 관한 문헌연구

    표< 3-1> 에서의 진단기준DSM- DCDⅣ

    근육운동의 조정이 요구되는 일상생활에서의 수행능력이 개인의 생활 연령A. ,

    측정된 지능에 비해 기대되는 정도보다 현저하게 낮다 이는 운동 발달과업.

    예( : 걷기 기어다니기 앉기 의 현저한 지연 물건 떨어뜨리기 서투른 동작, , ) , ,“ ”,

    운동이나 글씨 쓰기를 잘하지 못함에서 나타난다.

    기준 항의 장애가 학업의 성취나 일상생활의 활동을 현저하게 방해한다B. A .

    장해가 일상적인 의학적 상태 예 뇌성마비 편마비 근이양증 로 인한 것이C. ( : , , )

    아니고 광범위성 발달장애의 진단 기준에 맞지 않는다, .

    만약 정신지체가 있다면 운동장애는 통상적으로 정신지체에 동반되는 정도를D. ,

    초과해서 심한 정도를 나타난다.

    부호화할 때 주의할 점: 만약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 예 신경학적인 또는 감각결함이( : )

    있다면 이는 축 에 기록한다, 3 .

    표< 3-2> 에서의 진단기준ICD-10 SDDMF

    운동기능의 특정 발달 장애 는 전반적 지적지연이나 선천 혹은 후천적 신경(SDDMR)

    학적 장애로는 설명할 수 없는 운동조정발달의 심각한 장애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경우에서 주의 깊은 임상적 검사로 뚜렷한 신경발달상의 미성숙이 발견된다 즉 사지의.

    무도형 운동이나 반사 운동 기타 연관된 운동 양상 등과 섬세하고 또한 대형의 운동조, ,

    정능력의 상실이 나타난다 어색한 행동을 하는 소아증후군. (Clumsy child syndrome),

    발달협응장애 발달상의 통합운동장애 표준화된 검(DCD), (Developmental dyspraxia),

    사에 있어 미세운동 만약 조대 운동의 득점이 아동의 연령을 고려했을 때 표준에, ( )粗大

    서 이하일 경우 그래서 그 장애가 학업성적 일상생활의 활동에서 뚜렷하게 장애2SD , ,

    를 주는 경우로 또한 진단 가능한 신경장애가 없고 개별 실시한 표준화 검사에 의한, ,

    지능검사가 미만인 경우도 제외한다70 .

    제외 보행과 운동성의 비정상 조정력 부족: (abnormalities of gait and mobility),

    정신 발육지연에 이차적인 조정력 부족(lack of coordination), (lack of

    coordination secondary to mental retardation)

  • ( 48 3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倦 第 號

    발달협응장애의 출현율 및 원인2.

    출현율1)

    발달협응장애는 신체교육에서 특히 많은 어려움을 주는 장애로 에서는APA

    에서 까지 세 학령기의 정도 발생된DSM- -R DSM- -TR(2000) 6-11 6%Ⅲ Ⅳ

    다고 보고 있으며 학자들에 따라 출현율이 달리 보고 되고 있는데 아동 및 청, ,

    소년기에 작게는 많게는 에 달한다고 보았다3%, 22% (Cermak & Larkin,

    또한 남녀의 비율에도 차이를 보이는데 여자에 비하여 남자가 높으며2001). ,

    높게는 배 정도 많이 나타난다3 (Sugden & Henderson, 1994).

    발달협응장애의 원인2)

    은 어둔함의 주요 요인을 뇌손상으로 보고 유전과 환경 사이의Orton(1937)

    조절을 통한 운동발달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였다 이후 신경학자들의 영향으로.

    운동계획력 부족 혹은 운동협응 결핍의 원인을 미세신경손상이라는 용어를 사용

    하게 되었고 또 특별히 운동학습은 언어 글씨쓰기와 신체움직임이 관련 되어있,

    다고 강조하였다.

    은 발달협응장애의 원인은 명확하지 않지만 뇌Wall, Reid, & Paton(1990)

    기능과 구조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뇌의 운동수행과 계획에 관련된 영역의 문제

    로 지목하였고 등 은 운동협응의 문제는 의학적 상태의 문제Jongmans (1998)

    가 아니며 미성숙의 원인과 그리고 약간의 신경학적 손상으로 보고 있다, .

    발달협응장애의 유형 및 공존병리3.

    발달협응장애의 유형1) (subtype)

    는 운동발달에 문제가 있는 아동을 실인증 또는 실행증과 신Gubbay(1965)

    경계 문제 의 두 가지 유형으로 보았지만 경험(paramidal, cerebellar pathways)

    적 증거를 발표하지는 못하였고 이후 과(Cratty, 1994) Henderson Hall(1982)

    은 어둔한 아동에 있어 행동문제 학업능력 운동에 문제를 보이는 세 그룹의 행, ,

    동특성에 근거한 특성 연구가 시작되었다 년 이후 통계를 기반으로 하는. 1994

    의 특성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는데DCD (Hoare, 1994; Dewey & Kaplan,

    이러한 유형별 특성의 공통점은 감각 운동영역의 측1994; Miyahara, 1994) -

    정 차이를 특징으로 한다는 점이다(Visser, 2003).

  • 발달협응장애를 보이는 아동의 공존병리에 관한 문헌연구

    한편 의 유형연구에 있어 군집분석이 어렵고 대상 및 원인분석의 불일, DCD ,

    치가 지적됨에 따라 의 유형연구보다 동반장애에 관한 연구가 아동에DCD DCD

    대한 이해를 돕는다고 보고 있다(Visser, 2003).

    발달협응장애와 동반하는 장애2)

    운동성 문제는 자주 읽기 쓰기 등에서도 문제가 있음을 보고되고 있다,

    (Iversen et al., 2005; Jongmans et al., 2003; Kaplan et al., 1998; Nicolson

    & Fawcett, 1999; Nicolson et al., 2001; Ramus, Pidgeon, & Frith, 2003).

    운동협응장애는 여러 가지 동반장애를 갖고 있음이 명확하고 이러한 증거들을

    볼 때 운동협응장애는 획일적인 장애가 아니며 발달협응장애는 크게 발달장애,

    의 용어로 기술되고 있으며 발달협응장애아의 특(developmental disabilities) ,

    징으로 주의력결핍 언어문제 글자학습 사회기술 및 운동협응영역을 포함하고, , , ,

    종종 난독증 자폐증 특정언어장애 발달협응장애 영역에서 특별한 어, ADHD, , ,

    려움을 포함한다고 기술된다(Chambers & Sugden, 2006).

    자폐아동 및 아스퍼거 증후군의 경우 의사소통의 손상과 제한된 행동 패턴의

    특징을 갖으며 자주 발달협응장애의 특징을 동반 한다고 보고하고 있다(Dewey,

    Kaplan, Crawford, & Wilson, 2002; O’Hare & Khalid, 2002; Visser,

    2003) 발달협응장애로 평가되면 반드시 정신의학적 학습 장애에 대한 높은 의. ,

    심을 해보아야 한다고 하는데 발달협응장애와 함께 보이(Fox & Lent, 1996),

    는 장애는 표 과 같다< 3-3> .

    특정언어장애 와(1) (Special Language Impairment) DCD

    특정언어장애 이하 는 신체적 결함 없(Special Language Impairment, ; SLI)

    이 언어습득을 위한 충분한 기회를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언어적 결함을 보이는

    경우 진단되는데 이러한 는 학령기전 에 달하며 영어를, SLI 7.4% (Silva, 1980),

    모국으로 사용하는 미국 유치원의 경우 6 ~ 정도 발생한다8% (Tomblin et al.,

    또한 와 의 상관은1997). SLI DCD 40 ~ 로 높은 상관을 보이고90% (Robinson,

    아동의 가 기준 준거에 일치한다1991), SLI 60% DCD (Hill, 1998; Hill, Bishop,

    & Nimmo-Smith, 1998).

    이처럼 는 취학 전 아동에게 많이 발생하는 장애로 운동문제와 높은 상관SLI

    을 보이지만 를 보이는 아동들이 운동영역에(Tannock & Brown, 2000), SLI

    특히 낮다거나 혹은 신경학적으로 특이성을 보이더라도 운동협응문제가 로, SLI

    예언할 수 없다(Trauner et al., 2000).

  • ( 48 3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倦 第 號

    는 인지적 혹은 생물학적 요인으로 구분하였을 때 인지 문제 보다 운동SLI ,

    기능의 문제를 두고 있으며 는 일반적 생물학적 문제로 보고 있다SLI .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와(2) (ADHD) DCD

    최근까지 아동 연구에서 운동협응문제가 공존한다는 연구가 많은 관심ADHD

    을 받고 있다(Landgren, Kjellman, & Gillberg, 1998; Kadesjö & Gillberg,

    1999; Piek, Pitcher, & Hay, 1999; Kalff et al., 2003; Slaats-Willemse et

    또 중 발달협응장애를 함께 보이는 아동이 많으며al., 2005). ADHD (Neuman et

    동작성 검사에서 유의하게 낮은 특성을 보인다al., 2001), (Nicolson & Fawcett,

    1999; Nicolson, Fawcett, & Dean, 2001; Jongmans, Smits-Engelsman, &

    Shoemaker, 2003; Ramus, Pidgeon, & Frith, 2003; Iversen et al., 2005).

    아동은 읽기 및 셈하기 어려움 및 협응문제에 기인하는 쓰기 문제를ADHD

    가지며 주의력결핍 과잉행(Barkley, 1990; Semrud-Clikeman et al., 1992)

    동장애 특성이 읽기장애로 나타날 수 있다고 하였다(Wood & Felton, 1994).

    는 남자 아동의 유형별 운동특성을 조사Pitcher, Piek, & Hay(2003) ADHD

    에서 모든 유형에서 일반 아동에 비하여 운동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중에서는 과잉행동 충동형 타입이 근소하게 양호하며 소근육 기능이 떨어지/

    지만 운동기능과 주의집중과 관련성에 있어 한계를 두었다.

    와 가 함께 존재하는 것처럼 보여지만 병인론에서 증거가 부족하DCD ADHD

    여 그 관련성에 대하여 운동연합 문제 및 실행기능결함과(Licari et al., 2006)

    부주의 문제로 한정 시켰다.

    등 는 의 부주의와 낮은 운동능력에 관련하여 주의 문제Piek (2004) ADHD

    혹은 운동협응의 진행에서 겹치는 부분은 많지 않으며 등 들, Hellgren (1994)

    은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로 보지 않고 주의력 운동조절과 지각의(ADHD) ,

    장애 로 분류하(Deficits in attention, motor control and perception: DAMP)

    고 있다.

  • 발달협응장애를 보이는 아동의 공존병리에 관한 문헌연구

    표< 3-3> 발달협응장애와 공존장애

    저 자 대상 정서 사회성ᆞ 학습 언어

    Cantell, Smith, &Ahonen(1994)

    DCD운동협응에 어려움을 보이는 세 년 후 아5 , 10 46%동이 지각과제 및 운동조절의 지연과 비교군과 비교했을 때 학업성취 욕구가 낮고 비사회적 취미를 가짐

    Hellgren et al.(1994)

    DAMP아동은 정서적문제 축 축 주DAMP 40%, 58%Ⅰ Ⅱ

    의 집중에 문제를 보임 가 약물 남용 자, 15.5% , 4%살시도

    Landgren et al.(1996)

    MBD의 가 운동지각의 문제를 보이는DCD 45% ADHD아동의 아동의 가MBD ADHD 45% DCD

    Owen &McKinlay(1997) SLI

    아동은 속도 정SLI확도에서 떨어지며 특히손을활용하는과제에서어려움을보였다.

    Fletcher-Flinn,Elmes, &

    Stragnell(1997)DCD

    아동의 가 또래보다 년 이상 늦되며DCD 25% 2 ,가 지필에 문제 가 또래보다 년 늦됨 대93% 30% 2 .

    부분 음운발달이 늦은데 가 읽기에 문제보임68%

    Hill et al.(1998)DCDSLI

    와 가DCD SLI준함60%

    Kaplan etal.(1998)

    DCD/일반아동

    명의 학령기 아동 중 명이 아동으로 아379 81 DCD : ADHD동의 가 의 아동이 읽기 문제를 보이41% DCD 28% ADHD는 등 의 가 읽기 문제 보임D 55%

    Rintala etal.(1998)

    SLI(N=76)

    아동 중SLI아동이71%와DCD SLI

    준거에 일치함

    Kadesjö &Gillberg(1999)

    운동손상

    명 세 의 운동협응에 어려움을 보이는 아동을 대34 (6 )상으로 년 후 추적조사결과 의 아동이 학교에10 82%서 주의집중 정서 품행에 문제를 보였고 가 사, . 47%회적 자아개념이 낮음 가 학업 문제를 보임, 71% .

    Rasmussen &Gillberg(2000)

    DCD청년

    명의 아동을 년 후 재평가 하였을 때44 MBD 15 DCD를 가진 가 낮은 사회성을 보임60% ADHD

    Skinner & Piek(2001)

    DCD아동 청소년 과 비 아동 청소년DCD (N=116) DCD (N=102)ᆞ

    을 비교 하였을 때 학업능력 및 운동성이 낮고 또 낮은 자아개념을 보였다 특히 청소년에게서 불안이 더욱 높았다. DCD .

  • ( 48 3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倦 第 號

    학습장애 와(3) (Learning Disorder) DCD

    일찍부터 운동협응 발달은 학업기술 특히 읽고 쓰기와 관련이 되어 있다고 보

    았다(Orton, 1937; Kaplan et al., 1998; Fletcher-Flinn, Elmes, & Stranell,

    1997; Nicolson & Fawcett, 1999; O’Hare & Khalid, 2002).

    과 은 학습장애로 평가되어진 아동의 는 운동Tarnopol Tarnopol(1997) 90%

    협응 문제를 갖고 있으며 등 은 읽기 주의력 장애를 보이는, Kaplan (1998) / 224

    Dewey et al.(2002)

    DCD

    의심 대조군 두 집DCD(N=45), DCD (N=51), (N=75).단이 대조군에 비하여 읽고 쓰기 및 철자쓰기에서 낮은 성취를 보였고 사회적 문제와 신체적 불만을 보였고 위험군, ,으로 분류됨.

    O’Hare &Khalid(2002)

    세7-10DCD

    아동은 발달상 자주 주의력결핍 학습장애 및 사회심리적응과 비행을DCD ,동반하거나 학습 주의력 사회심리기능에서 위험에 놓인다 읽기 지연과 청, , .각 처리와 관련성을 보임.

    Sigurdsson, vanOs, & Fombonne

    (2002)운동손상

    운동손상을 보이는 세 아동을 추적 조사 하였을7때 남자아동 불안에 대한 위험성이 높다, .

    Jongmans et al.(2003)

    일반 및DCD(749)

    명의 아동 중 일반 명 운동성문제 명749 (535 ) (N=214 ) DCD와 는 지각(22%), DCD + LD(21%), LD(27%) LD DCD -

    운동에 관련된 것으로 나타남

    Pitcher, Piek, &Hay(2003)

    ADHD

    아동 과 비ADHD N=104(PI-50, HI-16, C-38)교군 을 비교하였을 때 형과 형이 소근육(N=39) PI C과제에서 떨어지며 아동의 의 아동, ADHD 30-50%이 운동성이 떨어짐.

    Kaneko, &Okamura(2005)

    DCD운동협응과 자아개념 및 사회성은 상관관계가 높게나타났음.

    Licari, Larkin, &Miyahara(2006)

    세9-17대조군DCD(N=10), DCD+ADHD(N=10), (N=10).

    운동수행과 과잉행동은 관련성이 있으며 운동기능과,학습 행동장애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

    Green, Baird, &Sugden(2006)

    DCD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정서 평가를 했을 때47 DCD아동의 정서문제 품행문제DCD 70% , 38% , 68%

    과잉행동문제 또래관계 문제를 보임, 51%

    Crawford &Dewey(2008)

    DCD한 가지 이상 복합 대조DCD(N=27), ADHD(N=11), RD(N=14), (N=63),

    군 특수학교 클리닉을 다니는 발달장애아동 중 이상이(73) , 56% DCD,두 가지 이상을 가지며 그들은 공통적으로 시각적 문제를 보였다ADHD, RD .

  • 발달협응장애를 보이는 아동의 공존병리에 관한 문헌연구

    명의 캐나다 아동의 가 운동협응장애 준거에 일치하며 또55% , Fletcher-Flinn,

    과 은 운동협응 문제를 가진 아동 중 의 아동이 읽기Elmes Stranell(1997) 68%

    문제 의 아동이 또래에 비하여 년 정도 늦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28% 2 .

    아동은 언어배열 뿐만 아니라 몸짓DCD (verbal sequencing) (gesture execu

    및 팔다리 조직운동 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으며tion) (limb action sequencing) ,

    타이밍과 전반적 순서에 어려움과 언어와 운동의 병합과 같은 동시적 연속에 영

    향을 주는데(Dewey et al. 이러한 부분은 읽기 쓰기 주의력 등의 학, 1988), , ,

    습에 중요한 기능으로 관련되어 있다(Rasmussen & Gillberg, 2000).

    일본의 경우 오래전부터 운동성 문제에 기인하는 학습 문제 발생에 대한 연구

    가 시작되었는데 는 학습장애아동에서 운동실조 와 어둔함이(1973) (praxis)山口

    발견하였고 이후 와 는 학습장애를 미세뇌장애증후군의, , (1983)八島 園部 渡辺관점에서 실조 에 관한 연구의 관점으로 돌렸고 와(praxis) ,緖方 小林 森永

    는 학습장애아동의 핵심문제를 운동협응 문제로 눈을 돌리게 되었다(1989) .

    이후 신경학적 미세증후에 기초하여 조기발견과 진단을 의도한 연구가 시작되

    었는데 등 은 초등학교의 일반학급에 재적된 아동 중 교육상 특별한(1994)小林

    배려가 필요한 아동의 실태조사에서 교과학습간의 차가 크고 집중력과 주의력,

    에 문제 및 움직임에 문제를 보이는 아동들 중에서 특별한 학습지도가 필요한

    아동이 에 달했고 이러한 학습곤란아1.7% , “ ”는 여자에 비하여 남자가 배 많3.9

    았고 이들의 특징은 신체적 어둔함 이동성영역에서 문제를 갖는 것이었다, , .

    발달 난독증 과(4) (Developmental Dyslexia) DCD

    난독증은 글자 쓰기와 단어 인식의 능숙함 및 정확성에 어려움을 갖는데 주의

    집중문제 혹은 학습문제 등도 함께 보이기도 한다 그래서 결과(Visser, 2003).

    적으로 언어 인지를 비롯한 음성 언어 결함과 종종 다른 인지영역에서도 낮은 기

    대를 갖게 하며 독서에서 이해 문제를 유발시키며 또한 독서 경험을 감소시켜, ,

    학습의 배경지식 단어발달과 일상생활 및 학업을 방해한다, (Hulme & Snowling,

    1997; Snowling, 2000).

    학교에서의 발달 난독증은 학교에서의 어울림에 어려움을 가져다주고 부적절,

    한 단어와 때때로 부적절한 구를 많이 쓰는 경향이 있는데 등 은Chaix (2007)

    난독증은 음운장애와 자주 다른 발달장애와 연합되는 복합 증후이며 운동 문제

    의 영향이라고 보면서도 운동 손상이 주의 장애 읽기장애 사이에 관련된 명확,

    한 근거는 부족하다고 보았다.

  • ( 48 3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倦 第 號

    등 은 발달실조 아동을 대상으로 읽기관련 인지특징Ho (2005) , ADHD, DCD

    을 조사하였을 때 다른 그룹에 비하여 난독증 이름대기와 정서에 가장 많은 어

    려움을 보이고 난독증 그룹이 다른 집단을 닮은 특징이 있다고 하였다+DCD .

    과 는 음성장애를 갖고 있는 난독증 아동의 운Ramus, Pidgeon Frith(2003)

    동성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에서 운동성의 문제를 갖고 있지만 뇌의 장애의 가

    설을 받아들일 수 없고 난독증의 약 가 음성능력이 이상 벗어나며77% 1% ,

    가 운동능력에서 손상을 보였고 또 난독증의 의 는 운동성에 문제가59% , 50%

    있지만 운동기술과 손 음성 읽기의 증거는 없다고 보았다, , .

    과 는 난독증이 보이는 어둔함이 보Peters, Barnett Henderson(2001) DCD

    다 더욱 익숙하게 사용된다고 보았으며 그래서 난독증 및 가 보이는 운동, DCD

    성의 문제가 더욱 부각되는 점에서 전문가들의 논의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정서적 문제 와(5) (Emotional difficults) DCD

    운동협응문제는 단순히 운동협응문제 및 동반된 장애에 한정되지 않고 이차적

    으로 정서적 문제를 유발시키는데 는 열등의식 중에서 신체기관에, Adler(1982)

    대한 열등으로 발생되는 패배의식 열등을 기관열등감으로 정의하고 신체에 기,

    인하여 정서적 어려움을 밝혔다 다시 말해 신체적으로 정신 병리학을 이해하는.

    필수요인으로 열등감으로 보고 신체장애 학습부적응 정서 및 행동장애의 근본, , ,

    원인은 열등감이며 열등감이 정신병리 현상의 이해의 열쇠라고 보았다, .

    운동능력은 학교상황에서 여러 영향을 주는데 특히 낮은 소근육 능력은 교실

    상황에서 학업능력을 낮게 하며 특히 남자 아동의 경우(Cantell et al., 1994),

    또한 운동성은 또래관계에서 사회적 위치결정에 중요한 요인이 된다(Chase &

    또한 운동성 문제와 사회성숙도 지연은 같은 경향성을 보이Dummer, 1992).

    는데 특히 동적 정적 균형성이 운동협응 및 사회성 지표로 평가 되었다,

    운동문제가 있는 아동은 운동문제가 없는 아동(Kaneko & Okamura, 2005).

    에 비하여 사회성 및 신체를 활용한 과제 수행력이 낮고 더욱 불안을 보인다

    (Schoemaker & Kalverboer, 1994).

    과 는 운동능력과 경기능력은 관련 있는데 부족Piek, Baynam Barrett(2006) ,

    한 대근육 능력은 낮은 자기가치와 사회성 및 정서적 문제에 위험에 놓이기 쉽

    다고 보았다 또한 낮은 운동협응력은 친구와 급우들에게 낮은 지지를 보이며.

    과 는 나아가 이러한 여러 요인에 기인하여 교실내Rose, Larkin Berger(1994)

    에서 집단 활동 장면에서 위축 경향을 언급 하였다(withdrawn) (Crifford,

    1985).

  • 발달협응장애를 보이는 아동의 공존병리에 관한 문헌연구

    발달협응장애는 운동 학습의 어려움을 비롯하여 기대치보다 낮은 학업수행,

    낮은 자아개념 글쓰기 스포츠 활동 등에서 사회심리적 어려움으로 위험군, , “ ”에

    놓여 질 수 있다(Cousins & Smyth, 2003).

    발달장애에서는 아스퍼거증후군의 경우 아동뿐만 아니라 성인에게서도 50 ~

    가 운동협응에 어려움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90% (Ehlers & Gillberg, 1995;

    Ghaziuddin et al., 1994).

    는 운동성과 사회성에 어려움을 보이는 아스퍼그 아동과 고기능자(1999)川崎

    폐아동의 비교 연구에서 이러한 문제가 시각운동계에 있음을 밝혔고 최근 운동,

    협응 및 정서문제가 시지각의 문제와 관련성에 관한 연구 경향이 있다(Tsai,

    Wilson, & Wu, 2008; Bloch et al., 2006; Bonifacci, 2004).

    Ⅳ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에서 운동협응장애는 운동성 문제에 한정되지 않고 과잉행동장애 학,

    습장애 언어장애등의 여러 장애가 공존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또한 이차적으로, ,

    정서 및 행동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본 연구 결과 나

    타났다.

    정영숙 이상복 에 의하여 운동협응이 정서문제를 유발하는 주요 요인, (2002)

    으로 대두 되었지만 운동협응의 문제가 장애영역의 고유특성으로 인식되어져 운

    동협응문제는 교육 목표에서 밀려나는 경향이 있다.

    국외에서는 년을 시작으로 발달협응장애 국제학술 대회가 개최되고 있1994

    고 일본의 경우 발달협응장애가 정서행동장애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것과 비교,

    하면 국내의 운동협응에 관한 연구가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현실을.

    고려할 때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할 수 있다.

    첫째 운동협응장애의 조기선별 및 조기중재가 필요하다 운동협응장애는 학령, .

    기에 3 ~ 가 발생하는 것으로 현재 운동협응장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점22% ,

    운동협응 문제가 학습 및 학교 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등 아동의 교육 및

    생활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므로 조기선별 및 중재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장애영역별 운동협응 특성을 고려한 교육이 되어져야한다 각 장애 영역, .

    의 고유특성과 공존 장애에 대한 고려를 통한 교육계획이 되어져야한다 협응문.

    제가 발달지연 및 발달장애아동에게 문제행동의 심화시킬 가능성을 본다면 정서

    행동장애 아동의 운동협응 평가를 통한 교육적 지원이 고려되어야 한다.

  • ( 48 3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倦 第 號

    셋째 발달협응장애를 보이는 아동들에 대한 국내 공존장애에 관한 연구가 필,

    요하다 국내 운동협응장애의 공존병리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현실을 고려할 때.

    장애영역별 운동특성이 파악되어져야하며 아동 평가 영역에 운동협응이 고려되,

    어야한다 예들 들어 학습장애 평가의 경우 지능검사로 선별이 어려운 점 학습. ,

    장애와 운동협응장애가 공존한다는 점에서 학습장애 평가에 적용가치가 있다.

    넷째 운동협응 평가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국내 운동성 평가 도구들은 재, .

    표준화가 필요한 도구들이 많으며 발달장애아동을 평가하기 위한 적절한 평가,

    도구가 부족하며 나아가 조기평가 및 개입을 위한 운동협응성 평가 체크리스트,

    가 개발되어야 한다.

    참 고 문 헌

    김선진 최범규 운동기술 획득에 따른 운동협응 형태의 변화와 발달적, (2001).

    특성.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1(1). 39-55.

    김선응 기초운동기능 수행에 있어서 협응성의 특성과 그 공헌도(2004). . 발육

    발달, 12(2), 9-23.

    박지원 김종만 서정환 김연희 편측 협응훈련에 의한 운동신경망의, , , (2002).

    재조직 및 교차훈련의 효과 사례연구-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9(3),

    67-76.

    정봉해 (2000). 이 의 에 미치는運動技術學習 身體分節 協應 形態 影響 미간행 박사.

    학위 논문 한국체육대학교, .

    정영숙 이상복 아동의 발달장애 구조함수모형의 측정과 개발, (2002). . 정서ᆞ

    학습장애연구, 18(1), 19-36.

    정영숙 이상복 정보인 홍강의 발달장애 발생요인의 예측과 장애아동, , , (2001).

    가족의 복지모형 개발 인과모형- DCRW -.Ⅱ 정서 행동장애아 연구, 17(2),

    203-231.

    최승오 발달성협응력장애 학생의 심리운동적 특성과 체육교육론적 제언(1998). .

    한국체육학회지, 37(3), 407-418.

    최승오 발달성 협응력 장애인의 운동감각에 대한 심리물리학적 분석(2003). .

    한국특수체육학회지, 11(1), 157-169.

    최유진 김경미 발달성협응장애, (2008). (Devel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아동을 위한 과제 중재효과에 관한 근거(task-orentation) . 대한작업치료

    학회 16(3), 13-22.

  • 발달협응장애를 보이는 아동의 공존병리에 관한 문헌연구

    원주연 정봉해 운동기술학습과 협응, (2002). . 한국사회체육학회지, 17, 281-295.

    허진영 (1998). Children with Development Coordination Disorders: Who

    is it and how can we help? 한국특수체육학회지, 6(1), 117-129.

    (2003).飯村敦子 Clumsiness 呈 就學前兒童 發達評 支援 關 實を する の と に する価的硏究証 . : .東京 多賀出版(1973). Clumsy Children 3 .山口俊郞 病例の , 14,兒精醫誌 237-253.

    , , (1989). LD .緖方千加子 小林芳文 森永良子他 兒 身 協 性の について体 応 小兒の, 29(1 2)精神 神經と ᆞ , 34-39.

    , , , (1994).小林芳文 是枝喜代治 永松祐希 飯村敦子他 學習困難兒のためのスクリ

    .試作ングテストの― , 34,橫浜國立大學敎育紀要 33-47.

    , , (1983). .八島裕子 園部夏美 渡 美他 發達觀點 見 發達性失行失認症候から た辺, 29(1 2)腦 神經と ᆞ , 65-73.

    Adler, H. (1982). Children with problems in physical education in school

    2. Social factor, school performance, and attitudes to wards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Acta peadonpschiatra, 47, 313-326.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87).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3rd ed., rev.). Washington, DC: Author.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Washington, DC: Author.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text revision, ed.), Washington, DC: Author.

    Barkley, R. A. (1990).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Handbook

    for Diagnosis and Treatment. New York: Guilford.

    Bloch, M. H., Sukhodolsky, D. G., Leckman, J. F., & Schultz, R. T.

    (2006). Fine-motor skill deficits in childhood predict adulthood tic

    severity and global psychosocial functioning in Tourette’s syndrome.

    Journal of Child Psychology & Psychiatry, 47(6), 551-559.

    Bonifacci, P. (2004). Children with low motor ability have lower visual-motor

    integration ability but unaffected perceptual skills. Human Movement

    Science, 23(2), 157-168.

    Chambers, M., & Sugden, D. (2006). Early years movement skills.

    Description, Diagnosis, and Intervention. London: Whurr.

    Cantell, M. H., Smith, M. M., & Ahonen, T. P. (1994). Clumsiness in

    adolescence: Educational, motor, and social outcomes of motor

  • ( 48 3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倦 第 號

    delay detected at 5 years, Adapted Physical Activity Quarterly,

    11, 115-129.

    Cantell, M. H., Smith, M. M., & Ahonen, T. P. (2003). Two distinct

    pathways for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Persistence and

    resolution. Human Movement Science, 17, 413-431.

    Cermak, S. A., & Larkin, D. (2001). Issues in identification and assessment

    of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In: S. Cermak and D. Larkin,

    Editors,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New York: Delmar

    Cermak, S. A,, Ward, E. A., & Ward, L. M. (1986). The relationship

    between articulation disorder and motor coordination in children.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0, 546-550.

    Chaix, Y., Albaret, J. M., Brassard, C., Cheuret, E., de Castelnau, P.,

    Benesteau, J., Karsenty, C., & Demonet, J. F. (2007). Motor impairment

    in dyslexia: The influence of attention disorders. European Journal of

    Paediatric Neurology, 11(6), 368-374.

    Chase, M. A., & Dummer, G. M. (1992). The role of sports as a social

    status determinant for children.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63, 418-424.

    Cousins, M., & Smyth, M. M.(2003). Developmental coordination impairments

    in adulthood. Human Movement Science, 22, 433-459.

    Cratty, B. J. (1994). Clumsy child syndromes, descriptions, evaluation

    and remediation. Chur, Switzerland: Harwood Academic Publishers.

    Crawford, S. G., & Dewey, D. (2008). Co-occurring disorders: A possible

    key to visual perceptual deficit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Human Movement Science, 27, 154-169.

    Crifford, L. L. (1985). A profile of the leisure pursuits of seven physical

    awkward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Alberta, Edmonton.

    Dare, M. T., & Gordon, N. (1970). Clumsy children: A disorder of

    perception and motor organisation.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12, 178-185.

    Dewey, D., & Kaplan, B. J. (1994). Subtyping of developmental motor 

    deficits.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10, 265-284.

  • 발달협응장애를 보이는 아동의 공존병리에 관한 문헌연구

    Dewey, D., Roy, E. A., Square-Storer, P. A., & Hayden, D. (1988). Lim

    and oral praxic abilites in children with verbal sequencing deficits.

    Deveolpmental Mecicine and Child Neurology, 30, 743-751.

    Dewey, D., Kaplan, B. J., Crawford, S. G., & Wilson, B. N. (2002).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Associated problems in attention,

    learning, and psychosocial adjustment. Human Movement Science, 21,

    905-918.

    Ehlers, S., & Gillberg, C. (1995). The epidemiology of Asperger’s syndrome

    : A total population study. Journal of Child Psychology, 34, 1327-

    1350.

    Fletcher-Flinn, C., Elmes, H., & Stragnell, D. (1997). Visual-perceptual

    and phonological factors in the acquisition of literacy among children

    with congenital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39, 158-166.

    Fox, A. M., & Lent, B. (1996). Clumsy children. Primer on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Can Fam Physician. 42, 1965-1971.

    Geuze, R. H., & Kalverboer, A. F. (1994). Tapping a Rhythm: A

    Problem of Timing for Children Who Are Clumsy and Dyslexic?

    Adapted Physical Activity Quarterly, 11, 203-213.

    Ghaziuddin, M., Butler, E., Tsai, L., & Ghaziuddin, N. (1994). Is clumsiness

    a maker for Asperger’s Syndrome?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38, 519-527.

    Green, D., Baird, G., & Sugden, D. (2006). A pilot study of psychopathology

    in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Child: Care, Health &

    Development, 32(6), 741-750.

    Gubbay, S. S. (1965). The clumsy child: A study of developmental

    apraxic and agnosic ataxia. W.B. Sanders: Philadelphia.

    Gubbay, S. S. (1975). The clumsy child: Philadelphia: Saunders.

    Hadders-Algra, M. (2002). Two distinct forms of minor neurological

    dysfunction: perspectives emerging from a review of the Groningen

    perinatal project.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44,

    561-571.

    Hellgren, L., Gillberg, C., Bagenholm, A., & Gillberg C. (1994). Children

    with deficits in attention, motor control and perception(DAMP)

  • ( 48 3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倦 第 號

    almost grown up: psychiatric and personality disorders at age 16

    years. Journal of Child Psychiatry and Psychology, 35, 1255-1271.

    Henderson, S. E. (1992). Clumsiness or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A neglected handicap. Current Paediatrics, 2, 158-162.

    Henderson, S. E., & Hall. D. (1982). Concomitants of clumsiness in

    young schoolchildren.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24, 448-460.

    Henderson, S. E., & Sugden, D. A. (1992). Movement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 London: The Psychological Corporation.

    Hill, E. L. (1998). A dyspraxic deficit in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nd development and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Evidence

    from hand and arm movements.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ren Neurology, 40, 388-395.

    Hill, E. L., Bishop, D. V. M., & Nimmo-Smith, . (1998). RepresentationalⅠ

    gestures in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and specific

    language imparement: error-types and the reliability of ratings.

    Human Movement Science, 17, 655-678.

    Ho, C. S. H., Chan, D. W. O., Leung, P. W. L., & Lee, S. M. (2005).

    Reading-related cognitive deficits in developmental dyslexia,

    Reading Research Quarterly, 40(3), 318-337.

    Hoare, D. (1994). Subtypes of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Adapted Physical Activity Quarterly, 11, 158-169.

    Hulme, L., & Snowling, M. (1997). Dyslexia: Biology, Cognition and

    intervention. London: Whurr.

    Iloeje, S. O. (1987). Developmental apraxia among Nigerian children in

    Enugu, Nigeria.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29,

    502-507.

    Iversen, S., Berg, K. Ellertsen, B., & Tonnesen, F. E. (2005). Motor

    coordination difficulties in a municipality group and in a clinical

    sample of poor readers. Dyslexia, 11, 217-231.

    Piek, J. P., Baynam, G. B., & Barrett, N. C.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fine and gross motor ability, self-perceptions and

    self-worth in children and adolescents. Human Movement Science,

    25(1), 65-75.

  • 발달협응장애를 보이는 아동의 공존병리에 관한 문헌연구

    Jongmans, M. J., Mercuri, E., Dubowitz, L. M. S., & Henderson, S. E.

    (1998). Perceptual-motor difficulties and their concomitants in

    six-year-old children born prematurely. Human Movement

    Science, 17, 629-653.

    Jongmans, M. J., Smits-Engelsman, B. C. M., & Shoemaker, M. M.

    (2003). Consequences of comorbidity of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s and learning disabilities for severity and pattern of

    perceptual-motor dysfunction,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36,

    528-537.

    Kadesjö, B., & Gillberg, C. (1999).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in Swedish 7-year-old children. Journal of American Academy of

    Children and Adolescent Psychiatry, 38, 820-828.

    Kaneko, F., & Okamura, H. (2005). Study on the Social Maturity, Self

    -Perception, and Associated Factors, Including Motor Coordination,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Physical &

    Occupational Therapy in Pediatrics, 25(4), 45-58.

    Kalff, A. C., de Sonneville, L. M. J., Hurks, P. P. M., Hendriksen, J. G.

    M., Kroes, M., Feron, F. J. M., Steyarert, J., van Zeben, T. M.,

    Vles, J. S. H., & Jolles, J. (2003). Low-and high-level controlled

    processing in executive motor control tasks in 5-6-year-old

    children at risk for ADHD.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4, 1049-1057.

    Kaplan, B. J., Wilson, B. N., Dewey, D., & Crawford, S. G. (1998). DCD

    may not be a discrete disorder. Human Movement Science, 17,

    471-490.

    Keogh, J. F., Sugden, D. A., Reynard, C. L., and Calkins, J. A. 1979).(

    Identification of clumsy children: Comparisons and comments.

    Journal of Human Movement Studies, 5, 32-41.

    Kiphard, E. J. (1973). Erziehung durch Bewegung. Verlag Durrsche:

    Buchhandlung.

    Landgren, M., Kjellman, B., & Gillberg, C. (1998). Attention deficit

    disorder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Archives of

    Disease in Childhood, 79, 207-212.

  • ( 48 3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倦 第 號

    Landgren, M., Pettersson, R., Kjellman, B., & Gillberg, C. (1996). ADHD,

    DAMP and other neurodevelopmental/psychiatric disorders in 6-

    years old children: epidemiology and co-morbidity. Developmantal

    Medicine and Children Neurolog, 38, 891-906.

    Laszlo J. I., Bairstow, P. J., Bartrip, J., & Rolfe, V. T. (1988). Clumsiness

    or perceptuo-motor dysfunction? In Colley, A. & Beech, J.(Eds.),

    Cognition and Action in Skilled Behaviour. Amsterdam: North Holland.

    Licari, M., Dawne Larkina, D., & Miyahara, M. (2006). The influence of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and attention deficits on

    associated movements in children. Human Movement Science, 25,

    90-99.

    Lord, R., & Hulme, C. (1987). Perceptual judgements of normal and

    clumsy children.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29,

    250-257.

    Losse, A., Henderson, S. E., Elliman, D., Hall, D., Knight, E., &

    Jongmans, M. (1991). Clumsiness in Children-Do they Grow out

    Of It? A 10-Year Follow-Up Study.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33, 55-68.

    Magalhaes, L. C., Missiuna, C. M., & Wong, S. (2006). Terminology

    used in reserch reports of developmental coordinational disorder.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48, 937-941.

    McGovern, R. (1991). Developmental dyspraxia: Or just plain clumsy?

    Early years, 12, 37-38.

    Missiuna, C. (1994). Motor skill acquisition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Adapted Physical Activity Quarterly, 11, 214

    -235.

    Miyahara, M. (1994). Sub-types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based

    upon gross motor functions. Adapted Physical Activity Quarterly, 11,

    368-382.

    Miyahara, M., & Mobs, I. (1995). Developmental dyspraxia and developmental

    coordinatial disorder. Neuropsychology Review, 5(4), 245-268.

    Mon-Williams M. A., Pascal, E., & Wann, J. P. (1994). Ophthalmic

    factors in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Adapt Adaptive

    Activity Quarterly, 11, 170-178.

  • 발달협응장애를 보이는 아동의 공존병리에 관한 문헌연구

    Neuman, R. J., Heath, A. C., Hudziak, J. J., Reich, W., Bucholz, K. K.,

    Madden, P. A. F., & Todd, R. D. (2001). Latent class analysis of

    ADHD and comorbid symptoms in a population sample of adolescent

    female twin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2,

    933-942.

    Nicolson, R. I., & Fawcett, A. J. (1999). Developmental dyslexia: The

    role of the cerebellum. Dyslexia, 5, 155-177.

    Nicolson, R.I., Fawcett, A., & Dean, P. (2001). Dyslexia, development

    and the cerebellum. Trends in Neurosciences, 24, 508-511.

    O’Beirne, C., Larkin, D., & Cable, T. (1994). Coordination problems and

    anaerobic performance in children. Adaptive Physical Activity

    Quarterly, 11, 141-149.

    O’Hare. A., & Khalid, S. (2002). The association of abnormal cerebellar

    function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and

    reading difficulties. Dyslexia, 8, 234-248.

    Orton, S. T. (1937). Reading, writing and speech problems in children.

    New York: Norton.

    Owen, S. E., & Mckinlay, I. A. (1997). Motor difficultie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of speech and language.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23(4), 315-325.

    Peters, J. M., Barnett, A. L., & Henderson, S. E. (2001). Clumsiness,

    Dyspraxia and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how do

    health and educational professionals in the UK define the terms?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27, 399-412.

    Piek, J. P., Pitcher, T. M., & Hay, D. A. (1999). Motor coordination and

    kinaesthesis in boys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disorder,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41, 159-165.

    Piek, J. P., Dycka, M. J., Niemana, A. Andersonb, M., Haya, D., Smitha,

    L. M., McCoyc, M., & Hallmayer, J. (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motor coordination, executive functioning and attention in

    school aged children. Archives of Clinical Neuropsychology 19(8)

    1063-1076.

  • ( 48 3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倦 第 號

    Pitcher, T. M., Piek, J. P., & Hay, D. A. (2003). Find and gross motor

    ability in males with ADHD.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45(8), 525-535.

    Ramus, F., Pidgeon E., & Frith, U. (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motor control and phonology in dyslexic children.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and Allied Disciplines, 11, 712-722.

    Rasmussen, P., & Gillberg, C. (2000). Natural outcome of ADHD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at age 22 years: a controlled,

    longitudinal, community-based study,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39, 1424-1431.

    Rintala, P., Pienimaki, K., Ahonen, T., Cantella, M., & Kooistrac, L.

    (1998). The effects of a psychomotor training programme on

    motor skill developmental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s. Human Movement Science, 17, 721-737.

    Robinson, R. J. (1991). Cause and associations of servere and persistent

    specific speech and language disorders in children.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ren Neurology, 33, 943-962.

    Rose, B., Larkin, D., & Berger, B. (1994). Perceptions of social support

    in children of low, moderate and high levels of coordination.

    ACHPER Healthy Lifestyle Journal, 41(4), 18-21.

    Schoemaker, M. M., & Kalverboer, A. F. (1994). Social and affective

    problems of children who are clumsy: how early do they begain?

    Adapted Physical Activity Quarterly, 11, 130-140.

    Semrud-Clikeman, M., Biederman, J., Sprich-Buckminster, S., Lehman,

    B. K., Faraone, S. V., & Norman, D.(1992). Comorbidity between

    ADHD and learning disablity: A review and report in a clinically

    referred sample.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Adolescent

    Psychiatry, 31, 439-448.

    Sigurdsson, E., van Os, J., & Fombonne, E. (2002). Are impared childhood

    motor skills a risk factor for adolescent anxiety? Result from the

    1958 UK birth cohorts and the National Child Development Study.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9, 1044-1046.

    Silva, P. A. (1980). A study of the prevalence stability and significance

    of developmental language delays in preschool children. Developmental

  • 발달협응장애를 보이는 아동의 공존병리에 관한 문헌연구

    Medicine & Child Neurology, 1980(22), 768-777.

    Skinner, R. A., Piek, J. P. (2001). Psychosocial implications of poor

    motor coordina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Human Movement

    Science, 20, 73-94.

    Slaats-Willemse, D., de Sonneville, L., Swaab-Barneweld, H., & Buitelaar,

    J. (2005). Motor flexibility problems as a marker for genetic

    susceptibility to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Biological

    Psychiatry, 58, 233-238.

    Snowling, M. J. (2000). (2nd eds) Dyslexia. Malden, MA: Blackwell

    Publishers.

    Sugden, D. A., & Sugden, L. (1991). The assessment of movement skill

    problems in 7- and 9-year-old children.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61, 329-345.

    Sugden, D. A., & Keogh, J. F. (1990). Problems in movement skill

    development. Columbia :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Sugden, D., & Henderson, S. (1994). Back to basics: Help with

    movement, Special Children, 75, 57-61.

    Tannock, R., & Brown, T. E. (2000). Attention-deficit disorders with

    learning disorde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Brown, T. E.,

    (ed.), Attention Deficit Disorders and Cognitive Comorbidities in

    Children, Adolescents and Adult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ress.

    Tomblin, J. B., Records, N. L., Buckwalter, P., Zhang, X., & Smith, E.

    (1997). Prevalence of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in Kindergarten

    Childre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0,

    1245-1260.

    Tarnopol, L., & Tarnopol, M. (1997). Brain Function and Reading

    Disabilites. Baltimore. MD: University Park Press.

    Trauner, D., Wulfeck, B., Tallal. P., & Hesselink, J. (2000). Neurological

    and MRI profil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language impairment.

    Dev Med Child Neurol. 42, 470-475.

    Tsai, C. L., Wilson, P. H., & Wu, S. K. (2008). Role of visual-perceptual

    skills (non-motor)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Human Movement Science, 27, 649-664.

  • ( 48 3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倦 第 號

    Visser, J. (2003).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a review of

    research on subtypes and comorbidities. Human Movement Science,

    22, 479-493.

    Wall, A. E., Reid, G., & Paton, J. (1990). The syndrome of physical

    awkwardness. In G. Reid(Ed.), Problems in movement control (pp.

    283-315). Amsterdam: Elsevier Science.

    Walton, J. N., Ellis, E., & Court, S. D. M. (1962). Clumsy children: a

    study of developmental apraxia and agnosia. Brain, 85, 603-612.

    Wood, F. B., & Felton, R. H. (1994). Separate linguistic and attentional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reading. Topics in Language Disorders,

    14, 42-57.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2a). Classification of mental and behavioural

    disorder: Clinical descriptions and diagnostic guidelines. Guneva,

    Switzerland: Author. Medicine 57.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2b). International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and related health problems(10th ed., Vol.1). Geneva,

    Switzerland: Author.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3). Classification of mental and behavioural

    disorder: Clinical descriptions and diagnostic guidelines. Geneva,

    Switzerland: Author.

    Wright, H.C., Sugden, D.A., Ng, R., & Tan, J. (1994). Identification of

    children with movement problems in Singapore: Usefulness of the

    Movement ABC Checklist. Adapted Physical Activity Quarterly, 11,

    150-157.

    Wright, H. C., & Sugden, D. A. (1997).‘Management of children aged 6-9

    years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in I. Morisbak & P.

    E. Jorgensen(Eds.), Proceedings of the 10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adapted physical activity, 1995, 287-311, Oslo/Beitostolen: ISAPA.

  • 발달협응장애를 보이는 아동의 공존병리에 관한 문헌연구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 A Review of Research on Comorbidityes

    Song, Ho Jun ㆍ Lee, Sang Bok ㆍ Kang, Kyung Hee ㆍ Lee, Eun Jin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DCD) is characterized by being

    detected in the period of childhood and its prevalence in school age is

    6%. DCD is accompanied with some types of learning disorder such as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developmental dyslexia,

    reading disability, and special language impairment and may negatively

    affect on emotional development of the childre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DCD and

    some types of learning disord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mmarize the domestic and abroad papers that DCD has relation with

    some leaning disorders, and to suggest the conclusion resulting from

    evidence-based research for the treatment and education of the child

    of developmental disability.

    Key Words :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comobidity,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special language impairment, learning

    disorder

    논문접수 수정본 접수 게재 승인: 2009. 7. 30 / : 2009. 9. 17 / : 2009. 9.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