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
- 53 - 노 주적 건강상태 및 건강심도와 생활만족도와 분석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Degree of Interest in Health Status, and the Life Satisfaction Outcomes of the Elderly 강수균 ** 향숙 *** 김정모 *** 박규 *** 전영숙 *** 최희 *** 박선희 **** Kang, Soo-Kyoon Goo, Hyang-Sook Kim, Jung-Mo Park, Kyung-Gyu Jeon, Young-Sook Choi, Kyung-Hee Park, Sun-Hee 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mong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degree of health status,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with the 222 elderly participa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frequency analysis, the Chi-square test, the t-test, and the analysis of variance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the subjective health condition of the elderly is more positive in males than in females. Secondly, among the sub-items regarding the degree of interest in health status, the largest number of participants answered affirmatively to the regular participation in the medical checkups. Thirdly, the life satisfaction measures were the highest in the group of participants with higher satisfaction rate in their health status and in their body weight. 년도 한학술진흥재단 연비에 하여 지되었 * 2003 (KRF-99-005-B0007). This work was supported by Korea Research Foundation Grant(KRF-99-005-B0007). 대대학 언어료학 수 ** Department of Speech & Language Pathology, Daegu University 대대학 특수재활학연소 연수 ***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Daegu University 대대학 특수재활학연소 연 ****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Daegu University 特殊育再活學硏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42, No. 2, pp. 53 72, 2003.

노인의주관적건강상태및건강관심도와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420204[1].pdf위와노인의생활만족도와의관계를살펴본후노인들이건강을증진시키고

  • Upload
    others

  • View
    5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53 -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및 건강관심도와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분석*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Degreeof Interest in Health Status, and the Life Satisfaction Outcomes

of the Elderly

강 수 균**구 향 숙․ ***

김 정 모․ ***박 경 규․ ***

전 영 숙*** 최 경 희․ ***박 선 희․ ****

Kang, Soo-KyoonGoo, Hyang-SookKim, Jung-MoPark, Kyung-Gyu․ ․ ․Jeon, Young-SookChoi, Kyung-HeePark, Sun-Hee․ ․

1)

<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mong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degree of health status,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population.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with the 222

elderly participa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frequency analysis, theChi-square test, the t-test, and the analysis of variance (ANOVA).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First, the subjective health condition of the elderly is more positive in males than

in females.Secondly, among the sub-items regarding the degree of interest in health status,

the largest number of participants answered affirmatively to the regular participationin the medical checkups.Thirdly, the life satisfaction measures were the highest in the group of

participants with higher satisfaction rate in their health status and in their bodyweight.

이 논문은 년도 한국학술진흥재단 연구비에 의하여 지원되었음* 2003 (KRF-99-005-B0007).

This work was supported by Korea Research Foundation Grant(KRF-99-005-B0007).

대구대학교 언어치료학과 교수**

Department of Speech & Language Pathology, Daegu University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연구교수***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Daegu University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연구원****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Daegu University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Science

Vol. 42, No. 2, pp. 53 72, 2003.~

( 42 2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卷 第 號

- 54 -

Key words : Degree of interest in health status, life satisfaction주관적 건강상태 생활만족도,

Ⅰ 서 론.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는 보건 부양 복지 등 여러, ,

분야에서 아주 다양하게 일어날 것이며 최근에는 궁극적으로 노화에 의해,

사회적 역할과 기능이 박탈됨으로서 파생되는 본질적인 소외와 건강 그리고

종속성의 증대가 노인의 개인 및 가정생활 뿐 아니라 사회적 문제로서 제기

되는 것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에 대해 정책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의료기술의 발달로 인해 노인의 평균수명의 증가는 노인의 생존 기간을 길게

했을 뿐만 아니라 노인이 각종 질병으로 인해 고통을 받는 시간의 증가도 같

이 한다 노인은 일반성인들과 달리 생리적 기능적 상태가 작은 스트레스나. , ,

충격에도 쉽게 장애를 일으키며 일단 장애가 발생하면 회복이 느리고 어렵

다.

노화와 함께 건강의 쇠퇴와 적응력 감소를 경험하게 되는 노인들은 건강에

대한 관심과 염려가 매우 많으며 우리나라 노인들도 역시 노화로 인한 신체,

적 변화와 건강 문제가 일차적 근심 걱정의 대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서현미 실제로 우리나라 노인의 만성질환에 대해 한국보건사(1990; , 2001).

회연구원이 년 천 명에 대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조사 대상 노인의1994 2 58

가 개월 이상 지속된 만성질환에 시달리고 있으며 년의 조사에85.9% 3 , 1998

서는 세 이상 노인의 가 만성질환 한 가지 이상 않고 있는 것으로65 86.7%

나타났다 송미순 의 연구에 의하면 노인들은 질병에 대한 공포 저편에. (1997)

안녕감과 기능을 유지해야 한다는 자각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목표를 향한

노력을 해야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등 은 건강에 대한 자기사정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가장 강력Larson (1978)

한 단일 예측인자라고 밝히고 있다 노인에게 주관적 건강상태가 중요한 이.

유는 그것이 안녕이나 생활만족도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신은(

영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생활만족도 사이에 직접적인 상관관계, 1996).

를 보이고 있는 논문들이 있다 그러나 노인들이 지각한 건강상태 및 건강관.

심도 건강실천행위와 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살펴 본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및 건강관심도와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분석

- 55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인들이 지각한 건강상태 건강관심도 및 건강실천행,

위와 노인의 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살펴본 후 노인들이 건강을 증진시키고

유지하면서 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파악하여 노인

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또한 노후생활을 위한 복지정,

책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및 건강관심도간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 ?

셋째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및 건강관심도에 따라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차,

이가 있는가?

Ⅱ 이론적 배경.노인 건강1.

에서는 변화되는 건강의식에 발맞추어 기존의 건강에 대한 정의WHO(1974)

를 수정보완 하였다 건강이란 다만 질병이나 불구의 상태가 아닌 것만을 의. ‘

미하는 것이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그리고 사회적으로 만족한 안녕의 상태,

가 유지되는 것 이라고 하여 건강의 질에 대한 관심을 표명하였다’ .

은 또한 건강을 인간과 그의 환경간의 조화와 균형의 상태로Newman(1986)

정의한다 건강은 안녕 의 수준이며 적응과 관계되는 것으로 건강. (wellness)

과 질병의 두 갈래가 아닌 일직선상에 있는 것으로 보았다 심용훈 재( , 2001;

인용).

의료기술의 발달로 고령 인구층의 생명은 크게 연장되고 있으나 실제로 건강

에 문제가 없거나 건강에 문제가 있어도 일상 생활하는데 지장이 없는 여명

의 기간은 연장되고 있지만 고령화에 따른 신체적 허약 질병 장애 등으로, ,

사망 시까지 타인의 도움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리.

하여 노령기 후기의 의존적 생활기간은 인생의 보편적이고 정상적인 생활주

기의 일부가 되고 있다 노인은 건강과 질병의 연속선상에 건강과 노화의 상.

호작용 영역에서의 기능력 감소를 나타내는 기능상태로 돌아간다 즉 생리적.

측면에서의 신체의 건강 예비력 감퇴와 정신건강의 변화를 가져오는 등 신체

( 42 2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卷 第 號

- 56 -

적 정신적 사회정신적 건강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상호작용하여 그 결, ,

과로서 노인건강의 변화를 가져오므로 세 가지 측면 중 어느 하나도 소홀히

다루거나 단독으로 다룰 수 없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와 은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Edwards Klemmack(1973)

고 예측한 개의 변수 중에서 자신의 건강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가 가장18

설명력 있는 변수중의 하나라고 보고했다 노인이 주관적 건강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가 중요한 이유는 노인 스스로 인식한 건강상태별로

주요 인구사회학적 특징 신체적 정신적 건강기능 수준 의료이용 등 관련, , , ,

된 특성을 규명함으로써 노인보건 복지사업의 주 대상자 선정과 효과적인 방

향제시에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또한 주관적 건강평가는 신체적 건강상태를.

반영하고 부분적으로는 정신적 건강상태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이나 아직도

상당한 부분이 설명되지 않고 있다 와 이 노인. Hanner(1986) Riffle(1989) 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와 건강증진 생활양식이 순상관

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대상자가 현재의 건강상태를 긍정적으,

로 지각하는가에 따라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참여도가 달라짐을 나타낸다.

노인을 대상으로 한 등 연구에서 현재 지각한 건강상태는 생Speake (1989)

활양식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서순림 의 연구에서 주관적, (1988)

건강평가가 좋다 고 응답한 집단의 건강행위 점수는 나쁘다고 응답한 집단‘ ’ ‘ ’

의 건강행위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건강습관과 건강상태는 평균수명에도 높은 연관성으로 작용하여 건강습관,

및 행위의 긍정적 실천자는 비실천자에 비하여 장수하며 건강상태도 양호하

다 개인의 건강상태도 개인이 조절 가능한 생활습관으로 결정된다고 보고된.

바 있다 노인건강은 노화과정과 그에 따르는 변화를 고(Schoenborn, 1988).

려할 때 인체의 생리적 변화를 중심으로 신체적 측면과 정신적 측면 노후,

사회생활 적응을 중심으로 하는 사회 심리적 측면을 대별할 수 있으며 이들

신체적 정신정서적 사회적 건강상태는 서로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상호, ,․작용하여 그 결과로서 노인의 건강의 변화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노년학에서 당면한 가장 큰 과제는 어떻게 노년기의 장애와 만성질환을 줄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가 하는 것이다.

노인의 생활만족도2.생활만족도에 대한 학문 각 분야의 지속적인 관심과 꾸준한 연구에도 불구하

고 생활만족도에 대한 개념은 학자마다 다르게 정의되고 있는데 생활만족을,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및 건강관심도와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분석

- 57 -

다차원적으로 구성한 과 는 생의 만족을 현재Neugarten Havighurst(1969)

생활을 구성하고 있는 활동으로부터 얻은 생에 대한 만족 정도 본인의 인생,

을 의미 있는 것으로 여기고 지금까지의 생활에 대한 절대적 수용 기대했던,

목적과 성취한 목적간의 부합성에 기초하여 인생의 주요 목적을 달성하였다

는 감정 긍정적인 자아상 행복 및 낙관적인 태도와 기분에 대한 유지 등으, ,

로 나누어 개념화하였다 는 생활만족도를 삶에 대한 인지적이. Kalish(1975)

고 감정적인 평가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자신의 생애를 의미 있게 받아들이

고 주요한 목표를 성취하였다고 느끼며 효율적으로 주위의 환경과 변화에, ,

잘 대응해서 정서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어려움을 겪지 않으면서도 개인의 욕

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상태라고 정의하였다 는 노인의 생활. Graney(1975)

만족의 개념을 생활만족의 주체인 노인이 갖는 생활 전반에 대한 행복과 만

족의 주관적 감정 또는 태도라고 정의하였으며 이효재 는 노인의 생활, (1979)

만족도 개념을 일상적인 활동에 기쁨을 얻을 수 있고 자신의 생애를 의미‘

있게 받아들이며 적어도 주요한 목표를 성취하였다고 느끼고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영상을 갖고 대체로 행복하다고 느끼는 낙관적인 태도와 기분을 유

지할 수 있는 상태라고 정의하였다 최혜경 은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 (1985)

생활에 대한 기대와 현실적인 충족감의 합치에서 오는 만족감으로서 그 개인

의 생리적 심리적 사회적 조건 속에서 노인 자신의 과거 현재의 전반적인, , ,

생활에 대해 갖는 주관적이며 개인적인 만족감이라 하였다.

한편 생활만족도와 관련된 연구를 보면 등 은 노인생활만족, Cavan (1949)

연구 이후 노인 생활만족 관련변인을 다각적인 측면에서 탐색하였다 생활만.

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매우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으나 대체적으로 성

별 연령 건강 교육수준 경제상태 배우자 유무 종교 사회참가 자녀의 유, , , , , , , ,

대관계 노년기 발달과업 성역할 정체감 등으로 집약된다 김태현, , ( , 1994;

김영우 는 한국 노인의Markides & Martin, 1979; Medley, 1976). (1998)

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서 연금제도와 의료보험제도의 정비를 생

각하는 연구와 가정내의 역할 정도나 월 수입액 종교 따로 사는 자녀와의, ,

만남 횟수 등에 따라 생활만족도가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김재동

의 연구가 있으며 이우복 의 연구에서는 노인의 생활수준을 유(1996) , (1993)

지할 수 있을 때 노년기에 생활만족이 더 높다고 했으며 김수연 은 건, (1987)

강상태가 좋다고 평가할수록 생활만족도가 높다고 했다 한편 또한 김명자.

와 의 연구에서 노인의 건강은 노인의 생활(1982), Spreitzer Synder(1974)

만족도의 이상을 설명할 정도로 생활만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40%

서 노인의 악화된 건강상태는 노인의 사기 저하는 물론 가족간의 결속도 및

( 42 2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卷 第 號

- 58 -

만족도를 저해한다고 했다.

Ⅲ 연구방법.연구대상 및 자료수집기간1.본 연구의 대상은 대구경북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노인정 노인대학 자택방, ,․문 등을 통하여 세 이상의 노인 명을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기간65 222 .

은 년 월 일부터 년 월 일까지 질문지와 면접법을 같이 실2003 6 20 2003 7 4

시하였다.

측정도구 및 분석방법2.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건강관심도의 척도는 김영숙, (2002)

이 사용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생활만족도는 윤진 이 개발한 노, (1982)

인들의 심리적 적응 정신건강 수준 그리고 심리적 행복과 복지상태 등을 측, ,

정하는 노인생활 적응 척도를 기초로 작성하여 사용한 윤희영 의 생활(2000)

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분석 방법으로는 빈도분석 검증 등을 사용하였다, ² , ANOVA, t-test .χ

Ⅳ 연구결과.1.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및 건강관심도

일반적 사항1)본 조사에서는 성별 나이 학력 배우자 유무 배우자 선택방법 직업 경제, , , , , ,

적 수준 주 수입원 등의 일반적 사항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러한 일반적, .

사항에 대해서는 표 에서 자세하게 기술하였다< .1> .Ⅳ

표< Ⅳ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1>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및 건강관심도와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분석

- 59 -

변 수 구 분 N(%)

성별남 77(34.7)

녀 145(65.3)

나이

세65 70~ 90(40.5)

세71 75~ 59(26.6)

세76 80~ 39(17.6)

세81 85~ 24(10.8)

세 이상86 90~ 10(4.5)

학력

무학 및 초졸 160(72.1)

중학교 중퇴 및 졸업 34(15.3)

고등학교 중퇴 및 졸업 20(9.0)

대학교 이상 8(3.6)

( 42 2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卷 第 號

- 60 -

변 수 구 분 N(%)

배우자 유무있다 106(47.7)

없다 116(52.3)

배우자 없는 이유사별 117(98.3)

기타 2(1.7)

배우자 선택방법

초혼 150(67.6)

재혼 5(2.3)

동거 1(0.5)

기타 2(0.9)

무응답 64(28.8)

직업유무있다 21(9.5)

없다 201(90.5)

수입

만원 이하50 164(73.9)

만원50 100~ 29(13.1)

만원 이상100 150~ 16(7.2)

경제적 수준

높다 7(3.2)

중간 116(52.3)

낮다 98(44.1)

무응답 1(0.4)

주 수입원

월급 17(7.7)

퇴직연금 7(3.2)

임대소득 10(4.5)

은행이자 6(2.7)

보험배당금 1(0.5)

자녀들이 주는 생활비 130(58.6)

기타 23(10.4)

무응답 28(12.6)

본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을 보면 성별에서 여자 가 남자(65.3%) (34.7%)

보다 배 정도 많음을 알 수 있고 나이에서는 세 세2 , 65 70 , 71 75 , 76 80~ ~ ~

세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학력에서는 무학 및 초졸 로 절반 이상을. (72.1%)

차지하고 있으며 배우자 유무에서는 없다 라고 응답한 비율이 많았, ‘ (52.3%)’

다 배우자가 없는 이유로는 사별 이 가장 많았고 배우자 선택 방법으로는. ‘ ’ ,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및 건강관심도와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분석

- 61 -

초혼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직업유무에서는 이상이 직업이 없는 것. 90%

으로 조사되었으며 수입면에서도 만원 이하 가 가장 많았고 주, ‘50 (73.9%)’ ,

수입원으로 자녀들이 주는 생활비 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본인이 생‘ (58.8%)’ .

각하는 경제적 수준으로는 중간 정도이다 낮다 높다‘ (52.3%)’, ‘ (44.1%)’, ‘

순으로 나타났다(3.2%)’ .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2)성별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1)

노인이 주관적으로 느끼는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한 질문을 성별에 따라서 알

아보았다 주관적 건강상태에는 건강상태 일상생활 방해정도 타인과의 건강. , ,

비교 정도로 구분하여 다음의 표 에 제시하였다< .2> .Ⅳ

표 성별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 차이검증< .2>Ⅳ변 수

성별 (N(%))²χ

남 녀

건강상태

좋다 29(37.7) 26(17.9)

10.649**그저그렇다 25(32.5) 66(45.5)

나쁘다 23(29.9) 91(36.6)

전체 77(100.0) 145(100.0)

일상생활

방해정도

전혀 방해가 안 된다 26(34.2) 51(35.2)

2.138

대체로 방해가 안 된다 19(25.0) 30(20.7)

약간 방해가 된다 23(30.3) 39(26.9)

상당히 방해가 된다. 8(10.5) 25(17.2)

전체 76(100.0) 145(100.0)

타인과 건강비교

정도

좋다 32(41.6) 40(27.6)

6.053*비슷하다 30(39.0) 58(40.0)

나쁘다 15(19.5) 47(32.4)

전체 77(100.0) 145(100.0)

성별에 따른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차이를 보면 본인의 건강상태가 좋다, ‘ ’

( 42 2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卷 第 號

- 62 -

라고 응답한 비율이 남자 가 여자 보다 많았고 반면 나쁘다(37.7%) (17.9%) , ‘ ’

라고 응답한 비율에서는 여자 가 남자 보다 높았으며 통계적으(36.6) (29.9%) ,

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타인과의 건강비교 정도에서도 좋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남자 가 여‘ ’ (41.6%)

자 보다 높았으며 나쁘다 라고 응답한 비율에서는 여자 가 남(27.6%) , ‘ ’ (32.4%)

자 보다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일상생활(19.5%) , .

방해정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위의 결과에서 노인스스로 지각한 건강상태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자신의 건

강상태에 불만과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나이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2)

노인이 주관적으로 느끼는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한 질문을 나이에 따라서 알

아본 후 표 에 제시하였다< .3> .Ⅳ

표< Ⅳ 나이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 차이검증.3>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및 건강관심도와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분석

- 63 -

변수

나이 (N(%))

²χ65~70

71~75

76~80

81~85

86~90

세이상

건강

상태

좋다 25(27.8) 18(30.5) 8(20.5) 2(8.3) 2(20.0)

11.48

3

그저그렇다 43(47.8) 20(33.9) 14(35.9) 10(41.7) 4(40.0)

나쁘다 22(24.4) 21(35.6) 17(43.6) 12(50.0) 4(40.0)

전체90(100.0

)

59(100.0

)

39(100.0

)

24(100.0

)

10(100.0

)

일상생활

방해정도

전혀 방해가

안 된다35(38.9) 25(43.1) 13(33.3) 3(12.5) 1(10.0)

19.13

9

대체로 방해가

안 된다24(26.7) 10(17.2) 6(15.4) 5(20.8) 4(40.0)

약간 방해가

된다22(24.4) 13(22.4) 14(36.9) 11(45.8) 2(20.0)

상당히 방해가

된다9(10.0) 10(17.2) 6(15.4) 5(20.8) 3(30.0)

전체90(100.0

)

58(100.0

)

39(100.0

)

24(100.0

)

10(100.0

)

타인과

비교건강

정도

좋다 34(37.8) 25(42.4) 9(23.1) 3(12.5) 1(10.0)

12.26

3

비슷하다 33(36.7) 20(33.9) 17(43.6) 13(54.2) 5(50.0)

나쁘다 23(25.6) 14(23.7) 13(33.3) 8(33.3) 4(40.0)

전체90(100.0

)

59(100.0

)

39(100.0

)

24(100.0

)

10(100.0

)

나이에 따른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를 보면 건강상태는 나이가 들수록 나쁘

다고 느끼는 경향일 두드러졌다 일상생활 방해전도에서는 세 이하 노인에. 75

서는 전혀 방해가 안 된다가 많은 비율을 보였으나 세 이상의 노인들은‘ ’ 76

대체로 방해가 된다 혹은 약간 방해가 된다로 응답한 경우가 많았다 타‘ ’, ‘ ’ .

인과의 비교 건강 정도에서는 나이가 들수록 타인과 비슷하다고 느끼는 경우

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나이에 따른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차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우자 유무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3)

배우자 유무에 따라 노인들이 주관적으로 느끼는 건강상태에 대하여 표<

에서 제시하였다.4> .Ⅳ

( 42 2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卷 第 號

- 64 -

표< Ⅳ 배우자 유무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 차이검증.4>변수

배우자 유무(N(%))²χ

있다 없다

건강상태

좋다 35(33.0) 20(17.2)

8.459*그저 그렇다 42(39.6) 49(42.2)

나쁘다 29(27.4) 47(40.5)

전체 106(100.0) 116(100.0)

일상생활

방해정도

전혀 방해가 안 된다 40(38.1) 37(31.9)

4.010

대체로 방해가 안 된다 26(24.8) 23(19.8)

약간 방해가 된다 28(26.7) 34(29.3)

상당히 방해가 된다 11(10.5) 22(19.0)

전체 105(100.0) 116(100.0)

타인과

건강비교

정도

좋다 42(39.6) 30(25.9)

5.019비슷하다 39(36.8) 49(42.2)

나쁘다 25(23.6) 37(31.9)

전체 106(100.0) 116(100.0)

배우자 유무에 따른 건강상태 차이를 보면 건강상태가 배우자가 없는 집단

에서 나쁘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배우자가 있는 집단 보다 높(40.5%) ‘ ’ (27.4%)

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일상생활방해정도 타, . ,

인과 건강비교 정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지만,

배우자가 없는 집단에서 일상생활 방해정도와 타인과 건강비교 정도에서는

부정적임을 알 수 있다.

수입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5)

수입에 따른 노인들의 주관적 건강상태를 알아보았다 표 참고(< .5> ).Ⅳ

표< Ⅳ 수입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 차이 검증.5>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및 건강관심도와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분석

- 65 -

변수

수입 N(%)

²χ만원50

이하

50~ 만100

100~ 만원150

이상

건강상태

좋다 34(20.7) 10(34.5) 8(50.0)

12.530*그저그렇다 67(40.9) 13(44.8) 7(43.8)

나쁘다 63(38.4) 6(20.7) 1(6.3)

전체 164(100.0) 29(100.0) 16(100.0)

일상생활

방해정도

전혀 방해가 안 된다 51(31.1) 10(35.7) 11(68.8)

16.381*

대체로 방해가

안 된다33(20.1) 9(32.1) 4(25.0)

조금 방해가 된다 52(31.7) 8(28.6) 1(6.3)

상당히 방해가 된다 28(17.1) 1(3.6) .

전체 164(100.0) 28(100.0) 16(100.0)

타인과

건강비교

정도

좋다 43(26.2) 13(44.8) 10(62.5)

12.512*비슷하다 70(42.7) 9(31.0) 5(31.3)

나쁘다 51(31.1) 7(24.1) 1(6.3)

전체 164(100.0) 29(100.0) 16(100.0)

수입정도에 따른 건강상태 차이를 보면 수입이 많을 수록 노인이 지각한 건

강상태뿐만아니라 일상 생활방해 정도 타인과 건강비교 정도에서도 역시 좋, ‘

다 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 .

경제적 수준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6)

경제적 수준에 따른 노인들의 건강상태를 조사하여 표 에서 제시하였< .6>Ⅳ

다.

표< Ⅳ 경제적 수준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 차이검증.6>

( 42 2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卷 第 號

- 66 -

변수경제적 수준 N(%)

²χ높다 중간정도 낮다

건강상태

좋다 1(14.3) 37(31.9) 16(16.3)

21.392***

그저그렇다 2(28.6) 55(47.4) 34(34.7)

나쁘다 4(57.1) 24(20.7) 48(49.0)

전체 7(100.0)116(100.

0)98(100.0)

일상생활

방해정도

전혀 방해가 안 된다 . 57(49.6) 19(19.4)

36.755***

대체로 방해가

안 된다2(28.6) 29(25.2) 18(18.4)

조금 방해가 된다 3(42.9) 17(14.8) 42(42.9)

상당히 방해가 된다 2(28.6) 12(10.4) 19(19.4)

전체 7(100.0)115(100.

0)98(100.0)

타인과

건강비교

정도

좋다 . 45(38.8) 26(26.5)

8.717

비슷하다 5(71.4) 44(37.9) 39(39.8)

나쁘다 2(28.6) 27(23.3) 33(33.7)

전체 7(100.0)116(100.

0)98(100.0)

경제적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 차이에서는 경제적 수준이 중간정도 라고 응답‘ ’

한 집단에서 노인이 지각한 건강상태와 일상생활방해정도에서 좋다 라고 응‘ ’

답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반면 타, .

인과 건강비교정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건강관심도3)건강관심도 분석(1)

조사 대상자들의 건강관심도에 대하여 건강진단 건강관리 건강에 대한 정보, ,

를 얻는 방법으로 구분하여 알아본 후 표 에서 제시하였다< .7> .Ⅳ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및 건강관심도와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분석

- 67 -

표< Ⅳ 건강관심도 빈도분석.7>변수 구분 N(%)

건강진단

예 171(77.0)

아니오 49(22.1)

무응답 2(0.9)

건강관리

정기검진 109(49.1)

운동 68(30.6)

식이요법 3(1.4)

영양제나 보약 3(1.4)

휴식을 취함 2(0.9)

기타 1(0.5)

없다 36(16.2)

정보 얻는 방법

텔레비전 154(69.4)

라디오 3(1.4)

신문 잡지, 3(1.4)

병원이나 보건소의 비치자료 19(8.6)

이웃 및 친구들의 대화 14(6.3)

기타 5(2.3)

없다 24(10.8)

건강관심도의 빈도분석 결과 년 이내 건강검진을 받아보았는가의 응답에는1

가 그렇다 라고 응답하였고 건강관리 방법으로는 정기검진 이77% ‘ ’ , ‘ (49.1%)’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운동 순으로 나타났다, ‘ (30.6%)’ .

건강에 대한 정보를 얻는 방법으로는 텔레비전 이 가장 높은 비중을‘ (69.4%)’

나타냈다.

건강진단(2)

사회인구학적 변인 즉 성별 나이 배우자 유무 수입정도 경제적 수준에 따, , , , ,

른 건강진단 여부를 알아본 후 표 에서 제시하였다< .8> .Ⅳ

( 42 2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卷 第 號

- 68 -

표< Ⅳ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건강진단 여부 차이.8>변수

건강진단 N(%)²χ

예 아니오 total

성별

남 55(72.4) 21(27.6) 76(100.0)

1.926녀 116(80.6) 28(19.4)

144(100.0

)

나이

세65 70~ 68(77.3) 20(22.7) 88(100.0)

2.996

세71 75~ 45(76.2) 14(23.8) 59(100.0)

세76 80~ 33(84.6) 6(16.4) 39(100.0)

세81 85~ 19(79.2) 5(20.8) 24(100.0)

세 이상86 90~ 6(60.0) 4(40.0) 10(100.0)

배우자 유무

있다 82(78.8) 22(21.2)104(100.0

)

3.600

없다 89(76.7) 27(23.3)116(100.0

)

수입정도

만원 이하50 131(80.4) 32(19.6)163(100.0

)

만원50 100~ 22(78.6) 6(21.4) 28(100.0)

만원 이상100 150~ 10(62.5) 6(21.4) 16(100.0)

경제적 수준

높다 6(85.7) 1(14.3) 7(100.0)

중간 95(82.6) 20(17.4)115(100.0

)

낮다 70(72.2) 27(27.8) 97(100.0)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건강관심도중 지난 년간 건강검진을 받았는지에1

대한 응답에서 성별 나이 교육수준 배우자 유무 수입정도 경제적 수준에, , , , ,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즉 성별 나이 및 배우자. ,

유무 수입정도 경제, , 적 수준에 관계없이 모든 노인들이 건강진단검사를 잘

받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생활만족도2.사회인구학적 변인 즉 성별 나이 교육수준 수입정도 경제적 수준 등에 따, , , , ,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및 건강관심도와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분석

- 69 -

른 생활만족도를 표 에서 제시하였다< .15> .Ⅳ

( 42 2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卷 第 號

- 70 -

표< Ⅳ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생활만족도 차이검증.15>변수

생활만족도

M SD D

성 별

남 1.56 .49

녀 1.48 .50

값t 1.027

나 이

세65 70~ 1.51 .50

세71 75~ 1,60 .49

세76 80~ 1.41 .49

세81 85~ 1.50 .51

세 이상86 90~ 1.60 .54

값F .840

교육수준

무학 및 초졸 1.50 .50

중학교 졸업 1.43 .50

고등학교 졸업 1.68 .48

대학교 이상 1.67 .52

값F 1.187

수입정도

높다 1.73 .46

중간 1.64 .49

낮다 1.46 .50

값F 3.263*

경제적 수준

높다 1.86 .38

중간 1.63 .48

낮다 1.34 .48

값F 10.177***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노인의 생활만족도 차이를 보면 수입정도와 경제

적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수입이 많을수록 경,

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성별 나이. ,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및 건강관심도와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분석

- 71 -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이는 노인의 생활만.

족도에는 노인의 경제적 부분이 큰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겠다.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및 건강관심도와 생활만족도3.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른 생활만족도1)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른 생활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건강상태 일,

상생활 방해 정도 타인과의 건강비교 정도 등으로 구분하여 알아보았다 표, (<

.16>).Ⅳ

표< Ⅳ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 노인의 생활만족도 차이 검증.16>변수

생활만족도

M SD D

건강상태

좋다 1.78 .42 C

그저그렇다 1.53 .50 B

나쁘다 1.29 .45 A

값F 16.271***

일상생활

방해정도

전혀 방해가 되지 않는다 1.74 .44 C

대체로 방해가 되지 않는다 1.49 .51 B

약간 방해가 된다 1.39 .49 AB

상당히 방해가 된다 1.27 .45 A

값F 9.226***

타인과

건강비교정도

좋다 1.67 .47 B

비슷하다 1.55 .50 B

나쁘다 1.26 .45 A

값F 11.375***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른 노인의 생활만족도 차이를 보면 건강상태,

일상생활방해정도 타인과의 건강비교정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즉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일상생활방해정도가 없을수록 타인과. , ,

( 42 2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卷 第 號

- 72 -

건강을 비교했을 때 좋다고 생각할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노인의 건강관심도에 따른 생활만족도2)노인의 건강관심도는 건강진단 여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건강진.

단을 통한 생활만족도는 표 에서 제시하였다< .17> .Ⅳ

표< Ⅳ 노인의 건강진단여부 따른 생활만족도 차이 검증.17>

변수생활만족도

M SD

건강진단

예 1.53 .50

아니오 1.47 .50

값t .576

노인의 건강관심도에 따라 생활만족에의 차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이지 않고 있다.

Ⅴ 논의 및 결론.본 연구는 대구경북지역에 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이 지각하는 건강222․상태 및 건강관심도와 생활만족도에 대하여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

었다.

첫째 사회인구학적변인에 따른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차이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그리고 배우자가 있는 집단에서 자신에 대한 건강상태를 좋게 평가

하고 수입이 높고 경제적 수준이 중간정도 라고 응답한 집단에서 자신의, , ‘ ’

건강상태와 일상생활방해 정도에 대해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 이는 경제적.

으로 여유가 있는 노인이 건강상태가 좋게 나타난다는 것은 경제적 능력이

건강상태를 유지하고 일상생활활동 능력을 양호하게 한다는 조성이 의(2000)

연구결과와 같은 맥을 이루고 있다.

건강관심도 중 건강진단 여부에서는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는데 즉 노인들이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관계,

없이 건강진단 검사를 잘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강관리방법으.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및 건강관심도와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분석

- 73 -

로도 건강진단 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운동 이었으며 건강정보를 얻‘ ’ , ‘ ’ ,

는 방법으로는 텔레비전을 통해서가 가장 많았다.

둘째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생활만족도에서는 수입이 많을수록 경제적, ,

수준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는 높았다 이 결과는 배영숙 의 연구에서. (1993)

배우자와 함께 사는 노인이 이혼한 노인의 건강상태보다 높게 나타났다는 연

구결과와 도 결혼상태가 유지되는 노인의 건강상태가 좋게 나타난다, Rogers

고 언급하여 본 연구와 같은 맥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른 노인의 생활만족도 차이에서는 건강상,

태가 좋을수록 일상생활에 방해가 적을수록 타인과 건강비교에서 좋다라, , ‘ ’

고 생각할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으며 건강관심도에 따른 차이에서는 통계적,

으로 아무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이는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건강태도에 긍정적이고 건강관심도가,

많을수록 편안한 마음 유지 관계망 형성에 긍정적이다 라는 김영숙 의, (2002)

연구결과가 본 연구의 결과를 뒷받침하고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노인의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생활만족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또 경제상태,

와 배우자 유무가 노인의 주관적인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므로 노인의 기본

적인 생활과 의료 및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통합된 노인정책

이 마련되어야 하며 노인 복지시설을 통한 배우자가 없는 노인을 위한 취미,

활동 여가활동 프로그램 등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다양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42 2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 第 卷 第 號

- 74 -

참 고 문 헌

김영숙(2002). 노인의 건강관심도 및 건강태도와 주관적인 건강상태 및 건강실천행

위와의 관련성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박상훈(2001). 집단미술치료가 시설노인의 고독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미

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배영숙(1993). 노인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건강상태와의 관계연구. 미간행 석사학

위논문전남대학교 대학원.

서현미(2001). 노인의 건강증진행위 모형구축.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심용훈(2001). 중소도시 노인들이 인지하는 운동과 건강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

학위논문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윤진(1993). 노인심리학.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윤희영(2000). 실버타운 거주노인의 거주 경험과 자녀와의 관계가 생활만족도에 미

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이가영박태진(1997)․ 노인에서의 건강행위와 신체적 건강상태의 관련성. 한국노인문

제연구소

이성철(2003). 노인의 사회체육활동과 생활만족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대구

대 재활과학대학원.

장인협최성재(1987).․ 노인복지학.

정주애 외 2(1994). 부산지역 노인들의 자가 건강관리에 대한 연구. 한국노인문제연

구소.

조무향 노인에 대한 보건의료의 개발을 위한 조사연구(1986). . 한림대 사회의학연구

소, 5-6

조성이(2000). 노인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건강상태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고신대학교 보건대학원.

최성재(1998). 노인 장기 요양보호에 대한 사회복지 정책방안.

최순남(2000). 현대노인복지론. 한신대학교 출판부.

Breen, L. B. (1960). The Aging Individual. In Handbook of Social

Gerontololgy, pp145-162. Edited by C. Tibbit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avan, R. S., Burgess, E. W., Havighurst, R. J., & Goldhammer, H. (1949).

Personal adjustment in old age. Science Research Associates: Chicago.

Graney, M. J. (1975). Happiness and social participation in aging. Journal of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및 건강관심도와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분석

- 75 -

Leisure Research, 11, 165-181

Havighurst, R., Neugarten, B., & Tobin, S. (1968). Disengagement and

patterns of aging. In B. Neugarten(Ed). Middle age and ag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Rogers R. G., Rogers, Andrei & Belanger, Alain(1992). Disability-Free Life

Among the Elderly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Aging and Health,

4(1), 19-42.

Riffle, K. L. J., Yoho & J Sams. (1989). Health Promoting Behaviors,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elf-reported Health of Appalachian

Elderly. Public Health Nursing, 6(4), 204-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