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51, No. 2, pp. 337~354, 2012. 시각 되먹임 훈련을 병행한 상상연습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과 보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차 현 규 * 박 지 영 ** 지 상 구 *** 김 명 권 **** 이 동 걸 ***** < 요 약 > 본 연구는 시각 되먹임 훈련을 병행한 상상연습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과 보행 능력에 미 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30명의 뇌졸중 환자들을 실험군 15명, 대조 군 15명씩 각각 배정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시각 되먹임 훈련을 하루 30분씩 주 5 회, 6주 동안 훈련을 받았다. 실험군은 추가적으로 10분 동안 상상연습을 시행하였다. 본 연 구의 측정은 동적 균형 검사, 정적 균형 검사, 일어나 걷기 검사, 6분 걷기 검사, 균형 수행 능력 검사를 사용하였다. 결과 측정은 훈련 전, 훈련 6주 후 시행되었다. 집단 내와 집단 간 비교를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과 독립표본 t-검정을 각각 시행하였다. 두 군 간 훈련 후 측정 사이에 동적 균형 검사, 정적 균형 검사, 6분 걷기 검사, 균형 수행 능력 검사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5). 또한 각 군 간 훈련 후 측정 사이에 동적 균형 검사, 정적 균형 검사, 일어나 걷기 검사, 6분 걷기 검사, 균형 수행 능력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 대전 을지대학병원 물리치료사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Daejeon Eulgi University Hospital ** 대전 을지대학병원 재활의학과 의사(교신저자 : [email protected]) Department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Daejeon Eulgi University Hospital *** 대전 을지대학병원 물리치료사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Daejeon Eulgi University Hospital **** 영산대학교 보건의료대학 물리치료학과 교수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College of Health Science, Youngsan University ***** 충남대학병원 물리치료사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시각 되먹임 훈련을 병행한 상상연습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과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7-%C2%F7%C7%F...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시각 되먹임 훈련을 병행한 상상연습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과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7-%C2%F7%C7%F...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51, No. 2, pp. 337~354, 2012.

시각 되먹임 훈련을 병행한 상상연습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과 보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차 현 규* ㆍ 박 지 영** ㆍ 지 상 구*** ㆍ 김 명 권**** ㆍ 이 동 걸*****

< 요 약 >

본 연구는 시각 되먹임 훈련을 병행한 상상연습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과 보행 능력에 미

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30명의 뇌졸중 환자들을 실험군 15명, 대조

군 15명씩 각각 배정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시각 되먹임 훈련을 하루 30분씩 주 5

회, 6주 동안 훈련을 받았다. 실험군은 추가적으로 10분 동안 상상연습을 시행하였다. 본 연

구의 측정은 동적 균형 검사, 정적 균형 검사, 일어나 걷기 검사, 6분 걷기 검사, 균형 수행

능력 검사를 사용하였다. 결과 측정은 훈련 전, 훈련 6주 후 시행되었다. 집단 내와 집단 간

비교를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과 독립표본 t-검정을 각각 시행하였다. 두 군 간 훈련 후

측정 사이에 동적 균형 검사, 정적 균형 검사, 6분 걷기 검사, 균형 수행 능력 검사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또한 각 군 간 훈련 후 측정 사이에 동적 균형

검사, 정적 균형 검사, 일어나 걷기 검사, 6분 걷기 검사, 균형 수행 능력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 대전 을지대학병원 물리치료사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Daejeon Eulgi University Hospital

** 대전 을지대학병원 재활의학과 의사(교신저자 : [email protected])

Department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Daejeon Eulgi University Hospital

*** 대전 을지대학병원 물리치료사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Daejeon Eulgi University Hospital

**** 영산대학교 보건의료대학 물리치료학과 교수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College of Health Science, Youngsan University

***** 충남대학병원 물리치료사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Page 2: 시각 되먹임 훈련을 병행한 상상연습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과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7-%C2%F7%C7%F...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1권 제2호)338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본 연구 결과 시각 되먹임 훈련을 병행한 상상연습이 편마

비 환자의 균형과 보행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제안한다. 향후 연구에서

는 대상자의 수와 치료 시간을 늘리고, 장기간 추적을 통하여 본 연구를 일반화 할 필요가

있다.

핵심어 : 균형, 상상연습. 시각 되먹임

Ⅰ. 서 론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는 마비측의 체간과 상지ㆍ하지 등에 경직 및 근력 약화, 감각

결손 등이 발생하는 병변으로 기능적 이동성과 기립 자세 유지 능력에 장애를 일으킨다

(Michael et al., 2005; Swanson & Sandford, 1995). 대부분의 편마비 환자들의 무게

중심이 신체의 체중 지지면(base of support) 안에서 벗어나 체중의 61-80%가 비마비

측 하지에 편중되어 마비측보다 비마비측에 더 많은 체중을 줌으로써 비대칭적인 기립균

형을 유지한다(Nyberg & Gustafson, 1995). 이로 인해 뇌졸중 환자는 마비측 하지 지

지 시간의 감소, 활보장 길이와 보행율(cadence)의 감소, 협응 능력의 저하로 다양한 환

경과 과제에 적절히 반응하는 능력이 감소된다(Roerdink et al., 2007).

편마비 환자들의 기립 상태에서의 자세 불균형은 환자의 적극적인 재활에 방해가 되며,

독립 보행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대칭적인 기립에 대한 재활은 치료 과정 중 반

드시 필요하다(Nyberg & Gustafson, 1995). Dunsky 등(2008)은 기립 자세를 향상시

키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 균형적인 체중 지지 훈련을 추천하였으며, 이를 통해 환자들에

게 체중 부하 형태의 오류를 인식시키고 서기 및 보행 기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편마비 환자의 대칭적 자세를 향상시키는 치료 방법에는 시각(visual) 및 청각

(auditory) 등의 되먹임(feedback)을 사용하여 자세를 교정하는 방법(Moore et al.,

1993; Sackley et al., 1997), 치료 공(therapeutic ball)을 이용한 자세 대칭성 운동

(Edwards, 1996), 일정 높이의 발판에 비마비측 발을 올리는 방법(Shumway-Cook et

al., 2000), 체성 감각 운동법(Cheng et al., 2001; 배은희와 오덕원, 2011)등의 균형 향

상 프로그램이 제시되고 있다.

시각은 다른 감각보다 정확하게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어 시각 되먹임을 이용한 운동

학습법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 훈련에 널리 사용된다(Sackley et al., 1997). 편마비 환자

의 균형 유지 훈련에서 시각 되먹임을 이용한 운동 학습 방법은 전통적인 균형 훈련 방법

Page 3: 시각 되먹임 훈련을 병행한 상상연습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과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7-%C2%F7%C7%F...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시각 되먹임 훈련을 병행한 상상연습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과 보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339

보다 편마비 환자의 대칭적 자세 유지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Moore et al.,

1993; Sackley et al., 1997).

최근에는 편마비 환자의 운동 기술 습득과 운동 학습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상상

연습이 다양한 분야에서 제시되고 있다(김경 등, 2010; Roure et al., 1999). 상상연습은

신체의 움직임 없이 운동 장면을 머릿속으로 생각하여 운동기술을 습득하고 증진시키는

운동학습 방법이다(Dickstein 등, 2004). Gerardin 등(2000)은 운동 장면을 상상하는

것과 운동을 수행하는 것이 뇌의 전두엽(frontal lobe) 영역을 동일하게 활성화시킨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유은영 (2000)은 시각 되먹임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의 대칭적 체중지

지 훈련에 있어서 상상연습 병행은 정적 균형 능력의 회복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보

고하였다.

현재까지 상상연습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으나, 편마비 환자의 상지 기능

및 보행 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균형 능력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인 치료

방법 중의 하나로 제시하고 있는 시각 되먹임을 병행한 상상연습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

루어지지 않았다(유은영, 2000; Dickstein 등, 2004; Sackley et al., 1997).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 되먹임 훈련을 병행한 상상연습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과 보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자

본 연구는 발병 후 12개월 이상 경과한 뇌졸중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유병 기

간을 12개월 이후로 선정한 이유는 훈련 효과에 대한 오염변인을 줄이기 위해 초기 기능

적 회복이 지난(발병 후 3개월 이상) 대상을 선정하기 위함이었다(Weiss 등, 1994). 그

리고 대상자들은 모두 실험에 참여할 것을 서면으로 동의하였으며, 실험 전 대상자들에게

실험 절차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하였다. 대상자의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보조 기구

없이 독립 보행이 가능한 자, 간이 정신 상태 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orean version)에서 24점 이상인 자, 편측 무시(unilateral neglect)가 없는 자, 운동

장면 상상 검사(vividness of movement imagery questionnaire)에서 평균 2.26 이하

인 자로 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의 초기 평가나 최종 평가에 누락된 경우와 출석률이 50%

이하인 경우는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Page 4: 시각 되먹임 훈련을 병행한 상상연습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과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7-%C2%F7%C7%F...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1권 제2호)340

2. 평가 도구 및 절차

1) 동적 균형(dynamic balance) 검사

대상자의 동적 균형 능력(Balance system, Biodex, USA)은 안정 지수(stability

index)로 나타냈으며, 이는 생체역학을 기준으로 몸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이탈 각도를

의미한다. 안정지수로 균형 능력의 변화를 알 수 있으며, 수치가 높을수록 자세 동요

(disturbance)가 많이 일어났다는 것을 의미한다. 검사 전 대상자는 고정된 발판에 올라

가 양 발로 서도록 한 다음 장비에 적응할 수 있도록 3번의 준비 연습을 한 후 검사를 시

작하였다. 검사는 30초 동안 진행되었으며, 발판의 적용 범위는 1부터 8까지이다. 1은 발

판의 움직임이 가장 많은 수준이며 8은 움직임이 가장 적은 수준을 의미한다(Srivastava

et al., 2009) <그림 2-1>.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낙상의 위험 요소가

가장 적은 수준인 8에서 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중재 전과 후에 각각 3회 측정하여 균

형 능력의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동적 균형 검사의 측정자내 신뢰도와 측정자간 신뢰도는

각각 r=.82, r=.70로 높은 수준으로 보고되었다.

<그림 2-1> 동적 균형 검사

2) 정적 균형(static balance) 검사

대상자의 정적 균형 검사(Gaitview System AFA-50, 알푸스(주), 대한민국)를 평가

하기위해서 양쪽 발바닥의 압력 분포와 자세 동요를 측정하였다. 정적 균형 검사 장비는

전체 크기가 550×480×35mm이며, 압력 센서의 두께는 0.15mm, 센서의 크기는 0.73cm2,

Page 5: 시각 되먹임 훈련을 병행한 상상연습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과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7-%C2%F7%C7%F...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시각 되먹임 훈련을 병행한 상상연습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과 보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341

센서의 수는 2,304(48×48)개이다. 정적 균형 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foot scan board

를 바닥에 설치하고, static test mode를 선택한 후 환자를 foot board 위로 올라가게

하여 “최대한 똑바른 자세로 유지하세요”라는 구두지시를 하였다. 대상자가 기립자세에서

10초 동안 유지한 상태에서 중재 전과 후에 각각 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그림

2-2>.

<그림 2-2> 정적 균형 검사

3) 일어나 걷기 검사(Time up and go) 검사

일어나 걷기 검사는 기능적 운동성을 측정할 수 있는 검사 방법으로, 46cm 높이의 팔

걸이가 있는 의자에 앉은 자세에서 일어나 3m를 왕복하여 돌아와 다시 앉는 시간을 측정

하는 것이다. 측정 시 평상시 착용하던 신발과 보행 보조 도구를 사용할 수 있으나,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지 않는다. 또한 중재 전과 후에 각각 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산출하였

다. 일어나 걷기 검사의 측정자내 신뢰도와 측정자간 신뢰도는 각각 r=.99, r=.98로 높

은 수준으로 보고되었다(Shumway-Cook et al., 2000).

4) 6분 걷기(six minute walking) 검사

보행 지구력을 알아보기 위해 6분 걷기 검사를 실시하였다. 6분 걷기 검사는 6분 동안

걸은 거리를 측정하며, 실내의 바닥 위에 출발점과 반환점까지 20m의 거리에 기준점을

표시한 후 6분 동안 최대한 많이 반복하여 걷도록 방법을 설명하고, 객관적인 평가를 위

Page 6: 시각 되먹임 훈련을 병행한 상상연습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과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7-%C2%F7%C7%F...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1권 제2호)342

해 측정자는 가운데서 매 분당 시간 경과를 알려주었다. 측정은 출발점과 시작점 간의 반

복 횟수를 포함하는 전체 보행 거리를 미터(m) 단위로 기록하였다. 또한 중재 전과 후에

각각 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6분 걷기 검사는 높은 측정자내 신뢰도(r=.91)

을 가지고 있다(Mossberg, 2003).

5) 균형 수행 능력(berg balance scale) 검사

편마비 환자의 기능적 수행과 균형 능력을 측정하기위해서 신뢰도와 타당도가 인정된

Berg 균형척도를 이용하였다. 균형 수행 능력 척도는 14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앉기, 서기, 자세 변화의 3개 영역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최소 0점에서 최고 4점을 적용

하고 14개 항목에 대한 총 점수는 56점이다. 또한 중재 전과 후에 각각 3회 측정하여 평

균값을 산출하였다. 전체 항목을 수행하는 데에는 약 15분이 소요되고 높은 측정자내 신

뢰도(r=.99)을 가지고 있다((Berg et al., 1995)

3. 중재방법

연구의 대상자들은 동전 던지기를 통한 무작위 방법에 따라 실험군 15명과 대조군 15

명씩 각각 배정하여 두 군 모두 하루 30분, 주 5회, 6주간 시각 되먹임 훈련을 실시하였

다. 추가적으로 실험군에는 상상훈련을 10분 동안 적용하였다.

1) 시각 되먹임(visualfeedback) 훈련

시각을 이용한 균형 훈련은 Srivastava 등(2009)이 제시한 자세 조절(postural

stability) 훈련과 제한된 안정성 조절(limited of stability)을 사용하였다. <그림 2-3>은

자세 조절 훈련 화면이며, 정적 균형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훈련 방법으로 대상자가 기

립 자세에서 무게 중심 유지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훈련하는 것이다. <그림 2-4>는

제한된 안정성 조절 훈련 화면이며, 동적 균형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훈련 방법으로 무

게 중심을 순차적으로 9개의 표적에 3초간 유지하게 하는 것이다. 훈련은 대상자가 발판

위에 올라가서 자신의 양발을 맞추어 서게 한 후 정면에 있는 화면을 보면서 양발에 체중

을 주어 무게 중심을 최대한 가운데 유지하게 하였다. 또한 훈련은 각각 15분간 시행되었

으며, 대상자가 균형을 잃었을 때 넘어지지 않도록 양쪽 팔걸이를 잡도록 하였다(Walker

et al., 2000).

Page 7: 시각 되먹임 훈련을 병행한 상상연습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과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7-%C2%F7%C7%F...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시각 되먹임 훈련을 병행한 상상연습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과 보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343

<그림 2-3> 자세 조절 훈련

<그림 2-4> 제한된 안정성 조절 훈련

2) 상상연습(mental practice)

상상연습 기간 동안 상상연습은 대상자가 집중을 잘 할 수 있도록 조용한 치료실에서

편안하게 의자에 앉아 눈을 감은 상태에서 상상연습의 목적을 설명한 후 하루에 1회씩 시

행되었다. 상상연습 내용은 대상자가 시각 되먹임을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무게 중심을 최

대한 가운데 유지하게 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상상연습은 구체적인 자세 조절과

제한된 안정성 조절에 대한 구분 동작으로 이루어졌으며, 상상연습의 내용은 <부록 1>에

제시되었다. 상상연습 분량은 전체 10분 가량 되었으며, 미리 녹음된 상상연습 내용을 헤

드셋을 이용하여 대상자에게 들려줌으로써 이를 상상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실제로 훈

련 장면을 상상하고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상상내용 중간에 질문을 하여 적극적으로 참여

할 수 있게 하였다(유은영, 2000; 김경 등, 2010; Dickstein et al., 2004).

4. 자료 처리

측정하여 수집된 자료들은 윈도우용 SPSS ver.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해 분석하였

으며, 중재 전 대상자들의 두 군 간에 일반적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Pearson 카이제곱

Page 8: 시각 되먹임 훈련을 병행한 상상연습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과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7-%C2%F7%C7%F...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1권 제2호)344

과 맨 휘트니(Mann-Whitney) U 검정 방법을 통해 변수들의 동질성 검정을 이용하였다.

중재 전과 중재 후에 두 군 간의 결과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모수 검정 방법인 독립표

본(Independent) t-검정을 이용하였고, 각 군 간의 중재 전과 중재 후에 결과 차이를 비

교하기위해 대응표본(paired) t-검정을 이용하였다. 통계적 유의성을 분석하기 위해 유의

수준은 α=.05로 정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실험 전 대상자들에게 실험 절차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하였으며, 대상자들은 모두 실

험에 참여할 것을 서면으로 동의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표 3-1>과 같

다. 나이(t=-.31, p=.75), 병력 기간(t=-.81, p=.42)은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

한 차이가 없었다.

<표 3-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실험군(n =15) 대조군(n =15)

나이 57.46±9.27a

58.40±6.66

성별(남자/여자) 9/6 8/7

마비측(오른쪽/왼쪽) 9/6 11/4

손상 유형(경색/출혈) 7/8 5/10

발병 기간(월) 24.33±10.11 27.33±10.15

근 긴장도 평가(G0/G1/G1+) 6/7/2 7/7/1

a평균 ± 표준편차

1) 실험군과 대조군의 균형 및 보행 능력 비교

각 항목별 하지의 균형 및 보행 능력 평가에서 중재 전, 후의 변화 양상과 두 군 간의

치료 전과 치료 후의 비교는 <표 3-2>에 제시되었다. 중재 전에 평가된 동적 균형 검사,

정적 균형 검사(압력, 자세 동요, 전체 압력), 일어나 걷기 검사, 6분 걷기 검사, 균형 수

행 능력 검사는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중재 후에는 실험

군과 대조군이 모든 변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Page 9: 시각 되먹임 훈련을 병행한 상상연습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과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7-%C2%F7%C7%F...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시각 되먹임 훈련을 병행한 상상연습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과 보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345

두 군 간의 중재 전과 중재 후의 균형 능력 평가 비교에서 동적 균형 검사, 정적 균형

검사(압력, 자세 동요, 전체 압력), 6분 걷기 검사, 균형 수행 능력 검사에서 유의한 차이

가 있었다(p<.05). 반면에 일어나 걷기 검사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표 3-2> 실험군과 대조군의 균형 및 보행 능력 비교 (N=30)

실험군(n=15) 대조군(n=15) t

동적 균형 검사(점)

중재전 4.90±1.34a

4.66±1.44 .47

중재후 2.09±.89 3.08±.98 -2.86**

t 5.94**

4.79**

정적 균형 검사

압력(%)

중재전 32.33±6.99 34.60±6.49 -.92

중재후 48.67±7.81 41.40±7.30 2.63*

t -6.38**

-3.84**

자세 동요(mn)

중재전 115.60±19.49 113.33±20.33 .31

중재후 90.60±13.33 104.07±13.59 -2.73*

t 6.35**

3.16**

전체 압력(Kpa) 중재전 76.67±11.40 78.33±11.45 -3.99

중재후 103.87±14.99 90.13±18.30 2.24*

t -7.81**

-3.70**

일어나 걷기 검사(초)

중재전 24.40±6.99 23.20±10.54 .36

중재후 15.73±4.18 20.53±8.70 -1.92

t 4.66**

2.80*

6분 걷기 검사(m)

중재전 200.60±50.72 206.13±49.02 -.30

중재후 306.06±48.90 267.53±46.74 2.20*

t -6.16**

-3.63**

균형 수행 능력 검사(점)

중재전 43.13±5.50 42.13±5.04 .51

중재후 51.46±3.71 46.40±4.70 3.27**

t -5.59**

-2.73*

a평균±표준편차,

*p< .05, **p< .01

Page 10: 시각 되먹임 훈련을 병행한 상상연습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과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7-%C2%F7%C7%F...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1권 제2호)346

Ⅳ. 논 의

본 연구는 균형능력이 저하된 편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시각 되먹임 훈련을 병행한 상상

연습이 균형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였다. 중재 후에 상상연습이 균형과 보행 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상상연습의 정확한 수행을 위하여 한국판 간이 정신 상태 검사와 운동

장면 상상 검사를 통한 대상자의 인지 기능 및 움직임 상상 능력을 확인하였다. 한국 간

이 정신 상태 검사는 총 30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24점 이하일 경우 인지 능력 장애가

있다고 간주한다(Dijkerman 등, 2004). 본 연구의 대상자는 이 검사 상 평균 24점 이상

을 획득하여 인지 기능 장애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운동 장면 상상 검사는 Isaac과

Marks(1994)에 의해 개발된 것으로 정상 범위의 점수를 2.26점 이하로 보고 있는데, 본

연구의 대상자는 이 검사 상 평균 1점 이하를 받아 운동 장면 상상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여졌다. 상상연습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수로는 연습 방법, 과제 선정, 훈련 시간, 그

리고 횟수를 꼽을 수 있다(유은영, 2000). 상상연습은 시각적 상상과 구체적 동작 상상을

함께 병행하는 방법이 효율적이며(Hall 등, 1995), 신경계 병변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상상연습의 적정 시간은 10분 이내가 좋다(Dunsky 등, 2006). 또한 Dickstein 등

(2004)이 상상연습은 5일 이상 매일 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제안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의

상상연습은 상상연습 기간 동안 매일 시행되었다. 이러한 선행 연구들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상상연습 프로그램은 10분 동안 시행되도록 구성되었으며,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시각적 상상과 움직임에 대한 구체적 상상을 함께 병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균형 능력과 보행 속도는 뇌졸중 환자의 임상적 추이와 전체적 기능 상태

를 알 수 있는 유용한 지표가 된다(Graham & Newton, 1999). 따라서 정량적인 평가

도구를 이용한 동적 균형 능력과 정적 균형 능력을 측정하였고, 기능적 이동 능력과 보행

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일어나 걷기 검사를 적용하였다. 또한 6분 걷기 검사는 뇌졸중 환

자의 보행 지구력을 빠르고 쉽게 검사할 수 있는 방법으로 임상에서 선호되고 있는 평가

도구이며, 균형 수행 능력 검사는 뇌졸중 환자의 균형 지수와 낙상의 위험 지수를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평가 도구이다.

본 연구의 주된 결과는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상상연습을 적용한 이후 동적 균형

능력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는 것이다. 이는 상상연습이 고유수용성 감각, 운동 감각, 협

응 능력과 같은 신경계의 활성화에 영향을 미쳐 동적 균형능력을 증진시킨다는 연구 결과

와 유사한 것이다(Dunsky et al., 2008). 움직임에 대한 상상연습과 실제 움직임을 뇌

영상으로 비교한 연구에서 전운동영역(premotor area), 두정엽(parietal lobe), 기저핵

Page 11: 시각 되먹임 훈련을 병행한 상상연습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과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7-%C2%F7%C7%F...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시각 되먹임 훈련을 병행한 상상연습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과 보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347

(basal ganglia), 소뇌(cerebellum)에서 서로 동일한 신경망을 형성하는 것으로 보고하였

다(Gerardin et al., 2000). 이러한 결과는 대뇌 및 소뇌의 활성화로 인해 균형 능력을

담당하는 시각, 전정 기관, 고유수용성 감각에 영향을 주어 동적 균형 능력을 향상시킨 것

으로 보인다. 뇌졸중으로 인한 고유수용성 감각과 체성감각의 결손은 균형과 자세 조절

능력을 감소시킨다(Srivastava et al., 2009). 상상연습으로 체성감각과 이와 관련된 신

경 회로망이 활성화되어 동적 균형 능력의 향상을 가져온 것으로 사료된다.

상상연습에 대한 본 연구의 결과,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중재 후 정적 균형 능력(압력,

자세 동요, 전체 압력)에서 측정값이 유의하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실험

군 대상자들에게 적용된 상상연습이 정적 균형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유은영(2000)이 시각 되먹임을 이용한 대칭적 체중지지 훈련과

상상연습이 뇌졸중 환자의 자세 대칭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한 연구에서, 상상연습

을 병행하였을 때가 시각 되먹임만 실시하였을 때보다 마비측으로의 체중 지지율이 높았

으며, 이 효과가 1시간 이후에도 유지되었다고 보고한 연구 결과를 지지하는 것이다. 또한

Van Leeuwen와 Inglis(1998)의 연구에서 상상연습은 일상생활동작을 사전에 연습해 봄

으로써 과제 수행에 대한 자신감을 증진시키고, 자세 조절 능력을 향상시킨다고 보고하였

다. 이는상상연습이 자세 대칭성을 향상시키고 기립 자세에서의 자세 조절 능력을 증진시

키는데 계속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일어서기와 앉기 과제와 관련된

균형 능력에 있어서 상상연습의 효과를 평가하였는데, 보존적 물리치료만 시행하는 것보

다 상상연습을 병행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고 보고하였다(Dickstein et al., 2004)

Shumway-Cook 등(2000)은 일어나 걷기 검사의 점수가 14초 이상이면 낙상의 위험

이 크다고 보고하였으나, 서양인에 비해 동양인의 하지길이가 짧음을 고려할 때 비교가

될 수 없다. 본 연구 결과에서 상상연습으로 인한 낙상의 감소 효과는 있었지만 두 군 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6분 걷기 검사에 대한 본 연구의 결과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중재 후 보행 거리가 유의

하게 증가 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상상연습이 뇌졸중 환자의 대뇌와 소뇌의 신경 회

로망을 활성화시키고 손상된 뇌의 가소성을 증진시켜 보행 능력의 향상을 가져온다고 보

고한 연구 결과와 비슷하다(Dunsky et al., 2008). 또한 이러한 결과는 오랜 시간동안

대근육 활동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이 증가되었음을 말하며, 걷기나 쇼핑, 관광 레크레이

션 활동과 같은 독립적인 활동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Lafleur 등(2002)

은 특정 움직임 과제를 상상할 때와 실제로 해당 과제를 수행할 때 뇌 활성 영역과 활성

정도가 유사하게 나타나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뇌 영상을 통하여 상상연습과 실제 움직임

을 비교한 연구에서 일차 피질의 활성화 수준이 실제 움직임 보다는 감소되어 있지만 유

사한 뇌 활성화 패턴이 발생한다고 하였다. 또한 뇌파 변화를 검사한 연구에서도 두 조건

Page 12: 시각 되먹임 훈련을 병행한 상상연습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과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7-%C2%F7%C7%F...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1권 제2호)348

모두 유사한 파형이 발생한다고 하였다(Lafleur et al., 2002). 이는 상상연습이 고유수용

성 감각 및 보행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일차 피질 영역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는 본 연구

의 결과를 지지하는 것이다(Gerardin et al., 2000; Lafleur et al., 2002).

본 연구 결과에서 6주의 상상연습 훈련 후 균형 수행 능력의 향상을 발견할 수 있었는

데, 이는 낙상 위험 예방과 독립 보행이 향상되었음을 뒷받침 해주고 있다. 균형 수행 능

력 검사 상 56점 만점 중 40점 이상일 경우 낙상의 위험이 적고 독립 보행이 가능하다고

하였다(Graham & Newton, 1999). 이는 상상훈련을 적용하기 전에 연구 대상자들의 균

형 수행 능력 평가 점수가 42점 이상이었음을 감안할 때 상상연습 효과를 충분히 설명할

수 없다는 제한점이 있다.

상상연습은 뇌졸중 환자의 운동 능력 증진과 운동 학습을 위한 유용한 방법으로 활용되

고 있다(Stevens & Stoykov, 2003). 또한 치료 도구 없이 시행이 가능하며, 시간과 장

소에 구애 받지 않고 다양한 일상생활에서 적용할 수 있어 장기간 재활치료가 필요한 환

자의 치료 접근 방법으로 효율성이 높다(Dickstein 등, 2004). 또한 상상연습은 적은 에

너지 소모와 비용으로 운동 기술을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고 대상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Lafleur et al., 2002).

본 연구는 대상자가 많지 않았기 때문에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향후에 이러한 점을 보완하여 더 많은 대상자를 포함시키고, 오랜 기간 동안 상

상연습을 적용한 연구가 계속적으로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과제들에 대한

상상연습의 효과를 평가하고, 그 효과를 평가함에 있어서 과제 특성에 대한 정량적 평가

를 포함시키는 연구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Ⅴ. 결 론

본 연구 결과 뇌졸중 환자의 균형 능력 훈련에 있어서 시각 되먹임만 주는 것보다 시각

되먹임과 상상연습을 병행하는 것이 균형과 보행 능력을 향상시켰다. 이는 상상연습이 전

반적인 균형과 보행 능력 증진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편마비 환자의 치료 효율

성을 높일 수 있는 긍정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향후 체계적

이고 지속적인 상상훈련이 계획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뇌졸중 환자들에 대한 다양한 상

상훈련들에 대한 연구들과 일상생활동작과 기능 수준 등 환자들의 다양한 측면을 평가하

는 연구들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Page 13: 시각 되먹임 훈련을 병행한 상상연습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과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7-%C2%F7%C7%F...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시각 되먹임 훈련을 병행한 상상연습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과 보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349

참 고 문 헌

김 경, 김진섭, 오덕원 (2010).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하지와 상지 기능 향상을 위한 상상연습의

임상적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49(4), 201-220.

배은희, 오덕원 (2011). 만성 뇌졸중환자의 견관절 위치감각에 대한 수동운동과 능동운동의 효과 비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0(2), 167-180.

유은영 (2000). 시각피드백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의 대칭적 체중지지 훈련에 있어서 상상연습 병행의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Berg, K. O., Wood-Dauphinee, S. L., & Williams, J. I. (1995). The Balance Scale: eliability

assessments with elderly residents and patients with an acute stroke. Scand J Rehabil

Med, 27, 27-36.

Cheng, P. T., Wu, S. H., & Liaw, M. Y. (2001). Symmetrical body-weight distribution training in

stroke patients and its effect on fall prevention. Arch Phys Med Rehabil, 82(12), 1650-

1654.

Dickstein, R., Dunsky, A., & Marcovitz, E. (2004). Motor imagery for gait rehabilitation in

post-stroke hemiparesis. PhysTher, 84(12), 117-1177.

Dijkerman, H. C., Letswaart, M., & Johnston, M. (2004). Does motor imagery training improve

hand func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Apilot study. Clin Rehabil, 18(5), 538-549.

Dunsky, A., Dickstein, R., & Ariav, C. (2006) Motor imagery practice in gait rehabilitation of chronic

post-stroke hemiparesis: four case studies. Int J Rehabil Res, 29(4), 351 356.

Dunsky, R., Dickstein, R., Marcovitz, E., & Levy, S. (2008). Home-based motor imagery training

for gait rehabilitation of people with chronic post stroke hemiparesis. Arch Phys Med Rehabil,

89(8), 1580-1588.

Edwards, S. (1996). Neurological Physiotherapy: A problem-solving approach. New York: Churchill

Livingstone.

Gerardin, E., Sirigu, A., & Lehericy, S. (2000). Partially overlapping neural networks for real and

imagined hand movements. Cerebral Cortex, 10(11), 1093-1104.

Graham, D., & Newton, R. A. (1999). Relationship between balance abilities and mobility aids

in elderly patients at discharge from an acute care setting. Physiother Res Int, 4(4), 293-

301.

Hall, C., Geronities, L., & Schmidt, D. (1995). Interference effects of mental imagery in a motor

task. Br J Psychol, 86(2), 181-190.

Isaac, A., & Marks, D. F. (1994). Individual differences in mental imagery experience: Develop

mental change and specialization.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85, 479-500.

Lafleur, M. F., Jackson, P. L., Richards, C., Malouin, F., Evans, A., & Doyon, J. (2002). Motor

learning produces parallel dynamic functional changes during the executionand imagination

Page 14: 시각 되먹임 훈련을 병행한 상상연습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과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7-%C2%F7%C7%F...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1권 제2호)350

of sequential foot movements. Neuroimage, 16(1), 142-157.

Michael, K. M., Allen, J. K., & Macko, R. F. (2005). Reduced ambulatory activity after stroke the

role balance, gait, and cardiovascular fitness. Arch Phys Med Rehabil, 86(8), 1552-1556.

Moore, S., & Woollacott, M. N. (1993). The use of biofeedback devicesto improve postural stability.

Physical Therapy Practice, 2, 1-19.

Mossberg, K. A. (2003). Reliability of a timed walk test in persons with acquired brain injury.

Am J Phys Med Rehabil, 82(5), 385-390.

Nyberg, L., & Gustafson, Y. (1995). Patient falls in stroke rehabilitation. A challenge to rehabilitation

strategies. Stroke, 26(5), 838-842.

Roerdink, M., Lamoth, C. J., & Kwakkel, G. (2007). Gait coordination after stroke: Benefits of

acoustically paced treadmill walking. Phys Ther, 87(8), 1009-1022.

Roure, R., Collet, C., Deschaumes-Molinaro, C., Delhomme, G., Dittmar, A., & Vernet-Maury, E.

(1999). Imagery quality estimated by autonomic response is correlated to sporting performance

enhancement. Phys Behav, 66(1), 63-72.

Sackley, C. M., & Lincoln, N. B. (1997). Single 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visualfeedback

after stroke: effect on stance symmetry and function. Disability Rehabilitation, 19, 536-546.

Shumway-Cook, A., Brauer, S., & Woollacott, M. (2000). Predicting the probability for falls in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using the timed up & go test. Phys Ther, 80(9), 896-

903.

Srivastava, A., Taly, A. B., & Gupta, A. (2009). Post-stroke balance training: Role of force

platform with visual feedback technique. J Neurol Sci, 287(1), 89-93.

Stevens, J. A., & Stoykov, M. E. (2003). Using motor imagery in the rehabilitation of hemiparesi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4, 1090-1092.

Swanson, L. R., & Sandford, J. A. (1995). Motor learning concepts applied rehabilitation. In; Pickles

B, Compton A, Cott C, (Eds) Physotherapy with older people. London: WB Saunders, 224-

257.

Van, Leeuwen. R., & Inglis, J. T. (1998). Mental practice and imagery: a potential role in stroke

rehabilitation. Phys Ther Rev, 3, 47-52.

Walker, C., Brouwer, B. J., & Culham, E. G. (2000). Use of visual feedback in retraining balance

following acute stroke. Phys Ther, 80(9), 886-95.

Weiss, T., Hansen, E., & Beyer, L. (1994). Activation process during mental practice in stroke

pati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physiology, 17(1), 91-100.

Page 15: 시각 되먹임 훈련을 병행한 상상연습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과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7-%C2%F7%C7%F...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시각 되먹임 훈련을 병행한 상상연습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과 보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351

<Abstract>

The Effect of visual feedback Training integrated Mental Practice

on the Balance Function and Walking Ability of hemiplegia

Cha, Hyun Gyu ㆍ Park, JI Young ㆍ Ji, Sang Gu ㆍ Kim, Myung Kwon ㆍ Lee, Dong Geo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visual feedback

training integrated mental practice on the balance function and walking ability of

hemiplegia. 30 patients with hemiplegia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

group(EG) of 15 people, control group(CG) of 15 people - were conducted. The

two groups received visual feedback Training for 30 minutes, once a day, 5 times

a week, for 6 weeks. The EG was additionally conducted which was performed

mental practice for 10 minutes. The evaluation of this study were dynamic

balance and static balance test, time up and go test, 6 minute walking test, berg

balance test. Outcome measurements were before and after a 6-week training.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he dynamic balance and static balance test,

time up and go test, 6 minute walking test, berg balance test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n the 2 groups (p<0.05). Also, the dynamic balance and static

balance test, time up and go test, 6 minute walking test, berg balance tes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at groups at post-test (p<0.05).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visual feedback training plus mental practice can

improve balance function and walking ability in patient of hemiplegia. Further

studies with a greater sample size and a longer intervention period, including the

follow-up period, are needed to generalize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Key Words : Balance, Mental Practice, Visual feedback

논문접수 : 2012. 04. 18 / 논문심사일 : 2012. 05. 04 / 게재승인 : 2012. 06. 30

Page 16: 시각 되먹임 훈련을 병행한 상상연습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과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7-%C2%F7%C7%F...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1권 제2호)352

<부록 1> 상상연습 대본

(이완훈련)

1. 지금 조용한 방안에 앉아 있습니다.

2. 천천히 눈을 감으세요. 숨을 깊게 들이쉬세요. 하나, 둘, 셋, 자! 천천히 숨을 내쉬세요.

하나, 둘, 셋, 자! 몸과 팔, 다리가 이완되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3. 당신의 마비 측 다리 근육을 순서대로 쭉 펴세요. 발가락, 발, 종아리, 허벅지.

4. 유지하시고 하나, 둘, 셋, 넷, 다섯, 자! 다리에 힘을 빼세요.

5. 당신의 체간과 엉덩이를 수축 시키세요. 하나, 둘, 셋, 넷, 다섯, 자! 몸에 힘을 빼세요.

(상상훈련)

1. 편안하게 의자에 앉아 있는 모습을 생각해 보세요.

2. 지금부터 동그란 발판 위에 서서 균형 잡는 모습을 상상해 보겠습니다.

3. 이제 의자에서 천천히 일어나겠습니다.

4. 당신 앞에는 체중계 모양의 균형 연습 발판이 하나가 있습니다.

5. 발판 위에 천천히 올라가겠습니다. 먼저 건강한 다리를 발판 위에 올려놓습니다. 나머지

발도 발판 위에 올려놓습니다.

6. 당신은 건강한 쪽과 마비된 쪽 발을 발판 위에 올려놓고 똑바로 잘 서 있습니다. 그리고

몸 앞에는 발판에 연결되어 있는 하나의 화면이 있습니다. 화면에는 십자가가 그려진

동그란 과녁판이 있습니다.

7. 과녁판에는 점 하나가 깜박깜박 거리고 있습니다. 보이십니까? 그 점은 당신의 무게 중심

점입니다. 그리고 당신이 양쪽 다리에 균등하게 체중을 주어 발판을 움직여서 무게 중심

점을 원하는 위치에 이동할 수 있습니다.

8. 무게 중심점이 십자가가 그려진 과녁판의 중심선에서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은

몸의 무게 중심점이 벗어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9. 지금은 무게 중심점이 과녁판의 중심선으로부터 건강한 쪽으로 더 많이 치우쳐져 있습니다.

10. 편안히 서있는 자세를 유지하면서 무게 중심점이 과녁판의 중심선에 오도록 체중을

마비 쪽으로 옮깁니다.

Page 17: 시각 되먹임 훈련을 병행한 상상연습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과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7-%C2%F7%C7%F...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시각 되먹임 훈련을 병행한 상상연습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과 보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353

11. 건강한 쪽과 마비 쪽의 균형이 거의 같아지면서 무게 중심점이 중심선으로 오고 있습

니다.

12. 무게 중심점이 과녁판의 중심선에 있다는 것은 몸의 자세가 올바르고 양쪽 발에 체중

을 똑같이 힘을 주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13. 무게 중심점이 과녁판의 중심선에 있다면 고개를 끄덕여 주세요.(끄덕)

14. 그 상태에서 20초 동안 유지 합니다.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 중심을 잘 잡고 계십니까?

15. 그런데 무게 중심점이 중심선으로부터 벗어나 건강한 쪽으로 많이 흔들리고 있습니다.

무게 중심점이 흔들린다는 것은 기립 자세가 흔들린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16. 체중이 마비 쪽에 주어지도록 마비 쪽 발로 바닥을 누르면서 다리에 힘을 줍니다.

17. 건강한 쪽과 마비 쪽에 똑같은 체중을 주고 마비 쪽으로 넘어지지 않게 올바른 자세를

유지합니다.

18. 무게 중심점이 과녁판의 중심선에 오고 있습니다.

19. 무게 중심점이 과녁판의 중심선에 있다면 고개를 끄덕여 주세요.(끄덕)

20. 그 상태에서 20초 동안 유지합니다.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 중심을 잘 잡고 계십니까?

21. 무게 중심점이 과녁판의 중심선에 똑같이 유지되고 있다면 마비 쪽에 체중이 잘 실리고

있으며 힘이 충분히 주어지고 있고 자세의 흔들림이 없다는 증거입니다. 아주 잘하고

계십니다.

22. 당신은 첫 번째 균형 훈련을 훌륭하게 마쳤습니다.

23. 자! 이젠 두 번째 균형 훈련을 상상해 보겠습니다.

24. 당신은 건강한 쪽 과 마비된 쪽 발을 발판 위에 올려놓고 똑바로 잘 서 있습니다.

그리고 몸 앞에는 발판에 연결되어 있는 하나의 화면이 있습니다. 화면에는 9개의

사각형 모양의 타켓이 평행하게 일렬로 깜박거리고 있습니다.

25. 화면 하단에는 추가적으로 점 하나가 더 깜박 거리고 있습니다. 보이십니까? 그 점은

당신의 무게 중심점입니다. 그리고 당신이 양쪽 다리에 균등하게 체중을 주어 발판을

움직여서 무게 중심점을 원하는 위치에 이동할 수 있습니다.

26. 그리고 1번부터 9번의 사각형 타켓이 하나씩 무작위로 깜박일 것입니다. 지금까지의

모든 내용을 이해하셨습니까?

Page 18: 시각 되먹임 훈련을 병행한 상상연습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과 ...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17-%C2%F7%C7%F...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1권 제2호)354

27. 당신은 건강한쪽과 마비 쪽에 똑같은 체중을 주고 마비 쪽으로 넘어지지 않게 올바른

자세를 유지합니다.

28. 당신은 지금 화면을 보고 있습니다. 당신의 무게 중심점을 발판을 움직여서 1번째

사각형 타켓에 유지시킵니다. 그리고 10번째 타켓에 유지 시킵니다.

29. 무게 중심점이 타켓에 유지가 되도록 양쪽 다리에 힘을 주어 체중을 균등하게 합니다.

30. 자! 다음은 무게 중심점을 2번째 타켓에 유지 시킵니다. 유지 시켰습니까?

31. 그리고 9번째 타켓에 유지, 8번째 타켓에 유지, 3번째 타켓에 유지, 4번째 타켓에 유지,

7번째 타켓에 유지 6번째 타켓에 유지, 마지막으로 5번째 타켓에 유지합니다.

32. 당신은 균형 훈련을 훌륭하게 잘 마쳤습니다.

33. 자 이제 발판에서 내려옵니다.

34. 그리고 천천히 의자에 앉은 후 건강한 쪽과 마비 쪽에 힘을 천천히 빼고 편하게 이완

하세요.

35. 양쪽 다리의 체중 지지가 균형적으로 잘 이루어졌습니다.

36. 천천히 의자에 앉아서 편하게 쉬고 있는 모습을 잠시 상상하고, 눈을 떠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