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경인운하 무엇이 문제인가 박용신 경인운하 백지화 수도권 공대위 공동 집행위원장 환경정의 협동사무처장

박용신 경인운하백지화수도권공대위공동집행위원장 …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1/499bb10409c31BB.pdf · 연안운송전용서비스의가능성이없음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경인운하 무엇이 문제인가

박용신

경인운하 백지화 수도권 공대위 공동 집행위원장

환경정의 협동사무처장

경인운하 사업 개요

경인운하 사업 개요

인천터미널(인천시 서구 경서동), 김포터미널(김포시 고촌면 전호리)

인천터미널

김포터미널

경인운하 주요 시설

주운수로(18km . 방수로 구간 14.2km 포함. 저폭 80m .수심 6.3m)

주운

수로

교량

현황

경인운하 주요 시설

굴포천 방수로 사업 진행 중 / 겨울철 결빙 / 운하 공사 착공시 추가 굴착 필요

경인운하 공사 현장(현재)

경인운하 사업 10대 쟁점

� 1. 경인운하는 한반도 운하의 시발점� 2. 경인운하를 이용할 컨테이너가 단 한 개도 없다� 3. 운하는 100년 빈도의 홍수를 방제할 수 없다� 4. 수도권 쓰레기 매립지 대안이 없다� 5. 국토해양부가 허위광고를 하고 있다� 6. 경인운하 물동량 허위조작� 7. 항만이 필요하면 인천항을 확장할 것� 8. 국토해양부의 사회적 합의 절차 무시� 9. 해사부두로 인한 생활 피해� 10. 운하 수질 문제와 해양생태계 파괴

한반도 운하의 시발점

� 2월 11일 수도권 3개 광역지자체 단체장들이 경인운하 연계사업추진계획을 발표함

� 주요 내용� 이산포 터미널 신설, 신곡 수중보 하류 이동� 용산과 여의도에 여객 터미널 신설, 한강르네상스 연계� 아시안게임과 연계한 복합개발 사업

� 서울시 내부 계획에 의하면 하남까지 수상버스를 운영한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음

� 결과적으로 경인운하를 시작으로 한강르네상스와 연계하여 팔당까지 주운을 시도하게 됨

� 여주, 충주 지역 등 한강 상류 지역 하천정비를 통해 바닥을 준설해 놓으면

� 팔당 우회노선만 마련하면 자동으로 한강 운하로 탈바꿈함.� 이를 낙동강 운하와 연결하면 경부운하가 되는 것임.

컨테이너 물동량 없음

� 연안 운송 전용 서비스의 가능성이 없음� 과거 부산 – 인천간 연안운송 전용서비스를 운용한 바 있

었음. � 한번 운송에 24시간 소요되나, 이윤이 남지 않아 모든 회

사가 연안 운송 전영 서비스를 포기한 상태 – K D I 연구팀� 경인운하를 만든다고 해도 과거 부산 – 인천간 연안운송

서비스에 비해 18Km 늘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전용서비스가 재개될 가능성이 없음

� 4,000톤 급 R/S로는 동남아, 미주 유럽을 갈수 없음� 배는 크기에 따라 엔진이 커져서 적당한 속도를 낼수 있음� 현재 부산 – 홍콩 간 컨테이너 선이 18,000톤 – 40,000톤

급임� 결과적으로 4,000톤 급 배로는 경제성이 없기 때문에 컨테

이너를 운송할 가능성이 없음

경인운하 물류 시스템

치수목적 달성 불가능

� 경인운하의 시작은 굴포천 유역 홍수 피해 방지를위한 방수로 건설이었음� 굴포천 홍수위 6.5미터, 한강 홍수위 10.6미터� 자연배수 불가능

� 100년 빈도의 홍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저폭 80미터의 방수로가 필요함

� 방수로 바닥고는 -1미터로 홍수위와 7.5미터 차이

� 운하 운영 수위는 2.7미터로 홍수위와 3.8미터 차이

� 수위차가 줄어듦에 따라 홍수 처리능력이 저하되므로 최초의 홍수 피해 저감 목적 달성 불가능

증증 심심 부부 분분

제 안 단 면

거 리 (m)

2.72.7

-3.6Barge(D=5.6m)

Sea-river(D=6.3m)

-2.9

-3.668m

92m운하운영수위운하운영수위

홍수위

제방고

방수로 바닥고(EL-3.0m ~ EL-1.0m)

수도권 쓰레기 매립지 대안 없음

� 현재 수도권 매립지의 수명의 2,045년까지로 되어있음

� 1단계 매립지(112만평)에 매립된 총 쓰레기 양은6,700만톤, 매립기간은 약 9년

� 경인운하 인천터미널은 86만평의 수도권 매립지를잠식함

� 현재 매립속도를 비교할 때 수도권 매립지 수명 10년을 단축하는 효과를 가져옴

� 추가적인 매립지를 확보할 수 없다면, 86만평에 매립할 수 있는 쓰레기를 소각처리를 해야 하며, 이 경우 약 30여개의 소각장이 필요하고, 그 비용은 약 3조원에 가까움

국토해양부 허위 광고

� 국토해양부 광고 내용� 사업예산 2조 2,500억 원� 생산유발효과 : 3조원� 고용창출효과 : 2만 5천(공사기간중)

� KDI 연구결과� 사업예산 2조 1,900 억� 생산유발효과 : 1조 8,800억원� 고용창출효과 : 11,000 여명

� KDI 연구결과와 비교해도 심각한 수준의 뻥튀기 광고를 진행하고 있으며, 국민을 현혹하는 효과를 가져옴

물동량 허위 조작

� 컨테이너 물동량의 경우 경제성때문에 수요가 발생할 가능성이 없음

� 중고차, 철강재의 경우 경인운하를 이용하지 않는 물동량임 – 주변 도로를 이용하여 인천터미널에서 바

로 이동하는 트럭 운송

� 정부가 주장하는 고속페리는 KDI 보고서에서도 타당성이 없는 것으로 결론이 남

� 결과적으로 현실성있는 물동량은 해사밖에 없음

� 해사부두 하나를 조성하기 위해서 경인운하를 조성하는 것은 엄청난 비효율임

인천항만 확장하면 문제해결 끝

� 현재 경인운하의 기본 기능은 항만 기능임

� 현재 인천시의 경우 인천 신항에 40선석의 부두를 확장하는 계획을 가지고 있음

� 결과적으로 인천 신항을 확장하면 경인운하의 경제적 가치는 제로에 가까움

사회적 합의 무시

� 2005년 굴포천 방수로 사업의 진행에 난관에 봉착한건교부(현 국토부)가 경인운하 문제 해결을 위한 민관 협의회 구성을 제안

� ’05년 7월 – ’07년 2월까지 ‘굴포천 유역 지속가능 발전 협의회’(위원장 우원식)를 운영한 바 있음

� 경인운하 사업의 추진여부를 결정하는 3차례의 최종회의에 건교부 담당자와 지역주민 대표, 건교부 추천전문가 전원이 불참함을 통해 사회적 합의 무산을 획책 하여, 정부로서의 권위를 실추시킴

� 이제 와서 국토부가 경인운하를 추진하겠다고 나서는 것은 완전한 자가 당착임

기타 문제점

� 해사부두의 문제� 현재 김포시 고촌면을 중심으로 해사부두 이전 철회를 요구하는

대책위가 구성되어 활동중임� 운하내 수질 문제와 해양 생태계 파괴

� 운하의 유속이 한강에 비해 1/5 -1/10수준이 불과하여 부영양화현상이 고착화 되고,

� 바닷물을 끌어 들이면 많은 유기물이 쌓여 항시 적조현상이 발생할 수 있음

� 항로 개설을 위해 서해 바다에 대한 대규모 준설이 불가피하고, 오염된 운하수에 의해 경기내만의 생태계가 심각하게 파괴될 우려가 있음

� 제항비용과 하역비용 절감편익은 인천항이 증설되면 없는 편익� 토지조성 편익은 경제성 분석에 반영하지 않는것이 타당함

제안 - 친환경적 굴포천 방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