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중국어대학 College of Chinese 중국언어문화학부 중국외교통상학부

College of Chinese - hufs.ac.kradms.hufs.ac.kr/enter/pdf/04_chinese.pdf · 화양연화_ 다양한 악기로 중국노래뿐만 아니라 한국노래를 연주하고 노래하는

  • Upload
    others

  • View
    5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College of Chinese - hufs.ac.kradms.hufs.ac.kr/enter/pdf/04_chinese.pdf · 화양연화_ 다양한 악기로 중국노래뿐만 아니라 한국노래를 연주하고 노래하는

중국어대학College of Chinese

중국

언어

문화

학부

중국

외교

통상

학부

Page 2: College of Chinese - hufs.ac.kradms.hufs.ac.kr/enter/pdf/04_chinese.pdf · 화양연화_ 다양한 악기로 중국노래뿐만 아니라 한국노래를 연주하고 노래하는

중국언어문화학부Division of Chinese Language, Literature and Culture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언어문화학부는 국내 최고 랭킹의 중국 전공학부를 지향합니다. 중국어를

체계적으로 습득해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하고, 중국어학·문학·문화 등 인문학 전반을 폭넓게 학습

함으로써 급변하는 21세기의 경쟁력 있는 중국전문가를 만들어 갑니다. 중국 인문학 영역을 다양

하고 깊이 있게 공부할 수 있도록 최고의 교수진과 커리큘럼은 물론, 중국어대학의 7+1 학생파견제

도, BRICs 연계전공, 교환학생, KOTRA 및 해외공관 인턴십 등의 다양한 해외연수 프로그램을 구

축해 놓았습니다. 중국언어문화학부는 미국과 함께 21세기 G2의 강대국으로 군림한 중국을 상대

로 대한민국의 미래를 견인할 인재의 산실이 되고자 합니다.

자유로운 중국어 의사소통을 바탕으로 중국 인문학·문화학·문학·예술 전반을 탐구하고 실무역량

을 습득해 나갑니다. 대(對) 중화권과의 문화교류 및 전 지구적 선린관계 발전에 기여할 리더의 육

성을 위해 다양한 전공분야의 국내 최고 교수진과 중국 대륙, 홍콩, 대만, 서구 출신의 우수한 외

국인 교수진용이 준비돼 있습니다. 최신의 중국학 이론 및 생생한 현지 중국어를 학습하며 레토

릭 리더십, 협상 커뮤니케이션, 통번역, 한시외교, 문화교류실습 등 다양한 현장실무 능력으로 업

그레이드해 나갈 것입니다.

대 중화권 및전 지구적선린관계

리더십 구축

아시아+서구로이뤄진 전공분야 최고의 교수진

언어학습에서실무능력 강화로

업그레이드

학부소개

학부특성

학부정보

맹주억 한국외국어대학교언어학박사 중국응용언어학

김종호 연세대학교언어학박사 중국현대어법

나민구 파리사회과학고등연구원(EHESS)언어학박사 중국수사학

박흥수 台湾师大언어학박사 중국문자학

김태성 台湾东吴大学언어학박사 중국음운학

이영구 연세대학교문학박사 중국현대문학

박재우 台湾大学문학박사 중국현대문학

OlivierBailble 파리사회과학고등연구원(EHESS)언어학박사 중국어학

LuXiaoping吕效平 南京大学문학박사 중국희곡

WuShengShiung吴聖雄 台湾师大언어학박사 중국음성학

교수진

전공과목초급중국어 / 초급중국어회화 / 중국문화의이해 / 중국문학개론

중급중국어 / 중급중국어회화 / 중국어문법작문 / 중국어학개론 /

중국문화정보디자인 / 고대한어기초 / 중국고전문학사

공연예술중국어실습 / 한중언어대조 / 중국말소리의 구조 / 중국 한자문화의 이해 /

중국전통예술실습 / 중국태극권실습 / · 중국현당대문학사 / 중국경서와 현대인의 수양 /

중국현당대소설 / 중국현당대명문감상 / 중국영화와 비평 / 중국문화산업과 문화콘텐츠

중한통번역실습 / 한중현상커뮤니케이션 / 중국어어휘론 / 중국어연설과 리더십 / 중국어레토릭 /

중국시사감상과 한시외교 / 대만과 홍콩의 문학과 문화 / 중국희곡과 경극의 이해 /

한중 인문교류와 실습 / 중국문화스토리텔링 / 사기와 중국인의 지혜 / 중국사회언어학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연락처

02.2173.2296설립연도

1954

입학정원

56명

재학생수

647홈페이지

chufs1.hufs.ac.kr

정시21명수시35명

중국어대학 통합데이터 기준중국어과 설립 기준

102102 103한국외국어대학교 전공가이드북 | 중국어대학

Page 3: College of Chinese - hufs.ac.kradms.hufs.ac.kr/enter/pdf/04_chinese.pdf · 화양연화_ 다양한 악기로 중국노래뿐만 아니라 한국노래를 연주하고 노래하는

중국언어문화학부 졸업생들은 중국전문가를 필요로 하는 학계, 기업, 금융기관, 언론기관, 정부

기관 및 국제기구 등으로 활발하게 진출하고 있습니다. 사회 및 학계의 수요를 반영한 교육제도

와 커리큘럼을 통해 양성된 본 학부의 인재들은 중국의 G2 부상과 함께 높은 취업률을 자랑합니

다. 또한, 우리 사회의 현실적 중국전문가 수요에 크게 부응하며 동시에 한국 최대의 중국학 교육

및 학술연구의 본산으로서 기초학문 분야에서도 출중한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현재 대학교와 전

문 연구기관에서 중국어문학과 중국학 교육 및 연구에 종사하는 박사급 전문인력만 130명 이상!

중국언어문화학부는 대학원 중문과, 국제지역대학원 중국학과, 중국연구소와 유기적으로 연계된

교육 및 연구 과정뿐만 아니라 한국에서 가장 다양한 중국 관련 교육과정의 이수 및 조교 경험 축

적 시스템도 갖추고 있습니다.

진출분야

니엔칭_ 중국 전통노래와 현재 유행하는 가요 등에 맞춰 중국 전통의상을 입고 노래하며 춤추

는 소모임으로, 다양한 교내외 행사에서 중국어대학을 대표해 멋진 축하공연을 보여주곤 합

니다.

마방_ 중국의 정치, 경제, 사회 전반에 걸친 문제를 토론하고 발표하는 지역학 관련 학회입니다.

1년에 한 번씩 정기 심포지엄을 개최하여 중국어대 학우뿐만 아니라 중국지역학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과 심도 깊은 연구를 진행해 나갑니다.

못갖춘마디_ 직접 작사·작곡한 노래를 부르는 과내 소모임. 청년들이 공감할 수 있는 주제들은

물론, 다양한 장르 음악을 부르다 보니 중국어대의 인디밴드와 같은 역할을 소화하고 있습니다.

C&CC(Chinese and Chinese Culture)_ 중국의 다양한 음식 및 전통 문화를 연구하며 직접 체

험도 해보는 중국문학연구학회로 매년 외대 전체학생들을 대상으로 중국음식문화 체험활동을

개최하거나 축제 때 중국문화 관련 행사를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습니다.

중연회_ 직접 대본을 만들고 연출을 하는 중국어 원어연극회입니다. 오랜 전통과 역사를 자랑

하는 중연회는 현재 정기공연 횟수만 50회를 넘긴 관록을 자랑하며, 매해 새로운 공연을 무대

에 올립니다. 중국어대 학생뿐만 아니라 중국인들도 많은 관심을 갖고 보러오는 유명세 덕에 중

국 현지 명문대학교에 초청공연을 가기도 한답니다.

페이후_ 중국어대학 축구소모임인 페이후는 일상에 지친 학우들에게 활력소 역할을 합니다. 학

우들 간의 단합과 협동심을 길러주는 역할도 톡톡히 해낸다고 합니다.

현문_ 중국문화에 관한 토론을 하는 학회로서 고대, 근대 및 현대를 막론하고 중국의 사상가들

을 연구하며 함께 토론하는 모임입니다. 매년 중국문화에 대한 심포지엄을 개최하며, 중국어대

학생들이 자칫 중국의 정치·경제 분야로만 학습하는 데 치우치지 않도록 해주는 보완장치의 역

할을 하고 있습니다.

화양연화_ 다양한 악기로 중국노래뿐만 아니라 한국노래를 연주하고 노래하는 학과 내 밴드공

연 소모임. 학과 내 행사뿐만 아니라 학교의 새내기 새로 배움터를 비롯한 축제들에서도 실력을

인정받은 소모임으로 매해 정기공연과 여름공연, 수시로 펼쳐지는 길거리공연을 개최하고 있습

니다.

휘모리_ 과내 풍물놀이 공연패로서 학과 풍물패뿐만 아니라 타과 풍물패 그리고 중앙 풍물패와

연합해 다양한 학교행사에 참여합니다. 한국외대에서 한국의 멋을 보여주는 모임이라는 자부심

으로 활동 중이며, 전문적인 연수의 기회도 제공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학부활동

중화권을 무대로 영글어갈 당신의 꿈!맹주억 교수 (중국어대학장)

1954년 개교 이래 한국외국어대학교는 대한민국의 각 산업분야, 언론, 국가기관, 학계를 선도하

는 일꾼들을 무수히 배출해왔습니다. 한국전쟁 이후 비약적인 국가 발전의 중심에 한국외대가 있

었다면, 한국외대를 이끌어온 핵심동력에는 우리 중국어대(과)가 차지하는 몫도 분명히 작지 않을

것이라 확신합니다. 이제는 세계 어느 중화권을 가도 한국외대 중국어대학 출신 동문들이 활약하

지 않는 곳이 없습니다. 중국의 경제, 외교, 군사 등 각 분야의 종합적 국력이 신장될수록 중국어

대학의 역할 또한 더욱 중요해질 것입니다.

2008년 10월, 우리는 기존의 중국어 및 중국학 관련 교육이 다소 편중된 것에 대한 한계를 인식

하며 새로이 단과대학으로 출범했습니다. 이후로 우리 대학은 능숙한 중국어 실력은 물론 중국

및 중화권 지역에 대한 인문·사회과학적 지식을 겸비한 인재들의 산실, 더 나아가 타 국가에 대한

이해와 소통, 상생의 정신까지 겸비한 참다운 글로벌 리더의 요람이 돼왔습니다.

중국어대학을 구성하는 중국언어문화학부와 중국외교통상학부에는 국내 최고 수준의 내외국인

교수진이 약 20명가량 포진해 있습니다. 이들은 미래의 주역들을 위한 최적의 조력자가 될 준비

를 마친 채 중국어대학의 일원이 될 여러분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꿈이 우리와 함께 더

욱 알찬 열매로 영글어 가기를 기원합니다.

인터뷰

※중국어대학공통

104104 105한국외국어대학교 전공가이드북 | 중국어대학

Page 4: College of Chinese - hufs.ac.kradms.hufs.ac.kr/enter/pdf/04_chinese.pdf · 화양연화_ 다양한 악기로 중국노래뿐만 아니라 한국노래를 연주하고 노래하는

중국외교통상학부Division of Chinese Foreign Affairs and Commerce

중국외교통상학부는 G2로 급부상한 중국의 위상과 이에 따른 국제질서의 재편에 발 빠르게 대

응하기 위한 21세기형 중국전문가를 양성해 나갑니다. 이를 위해 본 학부는 중국의 외교·통상·법

규·협상·실무 과정을 대폭 확대 및 특화하는 한편 중국학 전반에 관한 종합적인 교과과정을 배치

해 21세기형 중국학의 새로운 지평을 개척하고 있습니다. 기존 한국외대 중국학부가 지녔던 언어

및 인문학적 지식을 기반으로 하되 여기에 중국학의 정치·경제·사회·문화 영역에 대한 심도 있는

학습이 가미됨으로써, 명실상부하게 국내 최고의 중국 관련 외교와 통상 분야 전문가를 육성하

는 것입니다. 거침없는 ‘대국굴기(大国崛起)’의 힘으로 경제·외교를 포함한 전방위적인 면에서 국

제관계의 지형을 재편해 가는 중국. 한국외대 중국외교통상학부가 급변하는 21세기를 향해 본격

적인 웅비를 시작합니다.

한국의 수출 비중 가운데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5%에 달합니다. 뿐만 아니라 중국은 한반도

문제에 있어서 미국과 함께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나라이기도 합니다. 이런 중국과 외교 및

통상 분야에서 맺는 관계는 한국의 미래를 좌우하는 지렛대가 될 수 있기에 탁월한 역량을 지닌

중국전문가의 역할이 더욱더 중요해지는 현실입니다. 중국외교통상학부(중국지역학전공 포함) 졸

업생은 국제지역대학원 석박사과정이나 해외유학 등을 거쳐 중국학교수 또는 연구원, 국립외교

원 입학 후 외교관, 로스쿨 진학 후 법률 및 통상전문가, 공인회계사 및 관세사 등의 분야에서 활

약할 수 있습니다. 또한 KOTRA·중소기업관리공단·한국무역협회·한국관광공사 등의 공공기관은

물론 대기업, 방송 및 언론, 금융기관, 통번역전문가, 시나리오작가, 공연기획자 등 다양한 분야에

서 활동할 수 있을 만큼 넓은 진로선택의 폭을 자랑합니다.

국가 이익과미래를 견인할

역량 강화

국내최고 수준의중국전문가

교육

동북아중심시대의주역 양성

학부소개

학부특성

학부정보

중국정치 _ 중국 국내 및 국제정치·외교·안보의 현재 흐름을 이해하며 방향성을 전망하는 시야

를 갖도록 합니다. 또한 중국학을 연구하는 방법, 중국의 통상법규에 대한 입문적 성격의 이해

를 도모합니다.

중국경제_ 중국경제와 통상의 역사를 짚어보며 현대 중국을 이끌어가는 경제이론의 틀과 경

제·통상의 대외적 접근법을 공부합니다. 중국의 경제, 경영, 금융, 시장 등의 현황과 그들의 통

상협상 전략을 사례별로 살펴보며 이해의 깊이를 더합니다.

중국사회문화_ 중국의 철학, 정치사상, 문명사적 교류, 사회문화적 구조요인들을 역사적 맥락

에서 이해하며, 또한 그것들이 현재 중국을 움직이는 이론적·사상적 원리들에 미친 영향을 함께

연구합니다.

공통과목_ 중국어의 회화, 어법, 독해, 작문 등의 교과목을 개설해 생활중국어에서 시사·경제

등 실무를 위한 고급 수준의 중국어까지 익힐 수 있게 체계적인 과정을 마련했습니다.

전공 세부영역

오승렬 홍콩중문대학교경제학박사 중국경제

강진석 북경대학교철학박사 중국철학

최은경 Univ.ofPrinceton정치학박사 중국정치

정유선 Univ.ofWisconsin-Madison정치학박사 중국정치

JiangZhuHua 국립부산대학교경제학박사 중국경제

JinJiaFei Univ.ofBristol,UK경영학박사 중국경영

교수진

연락처

02.2173.2295설립연도

1954

입학정원

52명

재학생수

647홈페이지

chufs2.hufs.ac.kr

정시18명수시34명

중국어대학 통합데이터 기준중국어과 설립 기준

106106 107한국외국어대학교 전공가이드북 | 중국어대학

Page 5: College of Chinese - hufs.ac.kradms.hufs.ac.kr/enter/pdf/04_chinese.pdf · 화양연화_ 다양한 악기로 중국노래뿐만 아니라 한국노래를 연주하고 노래하는

전공과목기초중국어1~2 / 중국역사의 이해 / 중국학개론1~2 / 중국학독서세미나

생활중국어1~2 / 시사중국어독해1 / 중국경제통상사 / 중국의 외교정책 / 중국철학의 이해 /

중국학영어독해1~2 / 현대중국의 국제관계 / 중국과 국제기구 / 중국사회문화의 이해 /

중국 산업지리와 경제문화 / 중국의 중앙지방관계

중국법제도의 이해 / 중국사회갈등구조의 이해 / 중국안보문제연구 / 중국통상중국어1~2 /

중국학연구방법1~2 / 현대중국경제론 / 중국대외경제관계론 / 중국의 엘리트와 사회변동 /

중국의 정치문화 / 중국정치사상사 / 중국통상법규연구 / 현대중국정치의 이해

대만정치와 양안관계 / 중국경제주제토론 / 중국기업 및 시장연구 / 중국업무문서작성법1~2 /

화인경제네트워크연구 / 중국대중매체연구 / 중국시사문제토론 / 중국어프레젠테이션기법 /

중국통상협상사례연구 / 중화경제권연구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진학 & 교육_ 중국·홍콩·대만 및 영미권·유럽유학, 한국외대 국제지역대학원·동시통역대학원·

일반대학원·교육대학원 석박사과정 진학, 중국학교수, 중국 관련 연구기관 진출

정부 & 공공기관_ 국립외교원 입학 후 외교관 임용, 외교통상부·행정자치부 등의 정부부처,

중소기업관리공단·한국무역협회·해외문화교류원·한국관광공사 등

기업_ 국내 대기업 및 일반기업체·외국계 기업(해외영업) 등, 은행·증권·보험 등의 금융회사

언론 & 기타_ 방송/신문 기자·해외특파원·PD·아나운서 등의 방송언론분야, 공인회계사·

변호사·관세사 등, 통번역전문가, 국제협력 및 국제회의 기획 분야, 공연기획자,

시나리오작가 등

진출분야

동문특강

매 학기 2~4회 진행하는 동문특강은 한국외대 중국어대학을 졸업하고 사회에 진출한 동문선배

들이 재학생들에게 분야별로 생생한 경험과 진로, 취업 등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세미나 형식의 시

간입니다.

중국어대 체육대회

학생들이 다양한 종목을 통해 즐거움을 나누는 단합의 시간. 홍팀과 청팀으로 나뉘어 경기가 진

행되며 학우들이 좀 더 친밀한 우정을 나눌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합니다. 재치 있는 응원전도 구

경할 수 있는 중국어대만의 유쾌한 체육대회입니다.

중대인의 밤

중대인의 밤은 매년 9월 중국어대학생회가 주최하는 행사입니다. 가을밤 잔디광장이나 강당에서

노래경연과 중국어말하기대회를 개최하는데, 평소에 한 자리에 모이기 힘든 선배, 후배, 동기, 교

수님들이 함께하며 추억을 만들어 가는 뜻 깊은 자리입니다.

학부활동

60년 전통의 중국학공동체를 만나십시오 오승렬 교수 (중국경제 전공)

한·중 FTA 발효와 함께 우리의 일상생활이나 기업경영, 그리고 정부의 외교·통상 전략에 이르기까지

모든 선택과 결정 과정에서 ‘중국’이라는 변수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 시대가 도래했습니다. 한국외

대 중국외교통상학부는 바로 이 같은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중국전문가 육성을 위한 최고의

커리큘럼과 교수진을 구축해 놓았습니다. 학생 여러분이 매력적이고 도전적으로, 또 생산적으로 대

학생활을 해나가기 위한 여건을 보장해 놓았다는 의미입니다. 단순히 여러 과목을 섞어 놓았다고 해

서 ‘학문의 융합’을 말할 수는 없습니다. 우리 중국외교통상학부는 전문적인 언어교육에 중국의 경

제·정치·사회에 대한 연구를 ‘화학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우리시대가 필요로 하는 최고 수준의 ‘중국

전문가 대학’을 만들고 있습니다. 60년 이상의 학과 역사를 통해 배출된 여러분의 선배들은 현재 우

리 사회 각계각층에서 진로를 개척해 왔으며, 한·중 양국의 관계 발전에도 선도적 역할을 수행해 나

가고 있습니다. 여러분도 우리 중국어대학이 건설해 온 ‘중국학공동체’ 일원이 돼보시지 않겠습니까.

진취적으로 꿈을 실현해 나가기를고유리 (12학번)

한국외대 중국외교통상학부에서는 훌륭하신 교수님들의 지도하에 중국어를 비롯한 중국 정치·경

제·사회와 문화 등 중국학 전반에 관한 종합적인 교과과정을 배울 수 있습니다. 특히 중국의 외교

와 통상, 법규, 실무과정 등에 관한 체계화된 커리큘럼은 중국전문가를 길러내는 최고의 교육환경

이라고 자부합니다. 외교통상적으로 한국의 가장 중요한 상대국 중 하나인 중국. 여러분도 이 거

대한 기회의 대륙을 무대로 자신의 진취적인 꿈을 실현해 나가기를 바라겠습니다. 최고의 중국 전

문 인재가 되고 싶은 후배님들에게 문은 언제나 열려있습니다.

인터뷰

Q 중국외교통상학부는 전공학습 외에 어떤 교육혜택이 있나요?

A 사회 각계에 진출한 동문들을 모시고 실시하는 다양한 동문특강, 전 주중대사를 비롯해

국립외교원 인사, 동북아역사재단 원장 등의 유명인사 특강이 준비돼 있습니다. 중국연구

소 및 중국학연구회 등에서 실시하는 학술대회들도 참관할 수 있습니다. 해외 파견이나 연

수 프로그램도 참여하시길 권합니다. 7+1 파견제도를 활용하면 중국 북경대에서 6개월간

전공학점이 인정되는 프로그램에 참가할 수 있고, KOTRA 인턴십으로 해외 현지 체험이

나 실무경험도 할 수 있으니까요. 물론 이런 기간도 학점 취득으로 연계가 가능하답니다.

Q 학년별로 배우는 내용은 어떻게 다른가요?

A 1학년 때는 중국지역학 전반, 역사철학을 비롯한 인문학, 중국어학에 대한 기초훈련 등으

로 포괄적인 중국학 공부를 하게 됩니다. 2학년 이후 중국의 정치·경제·사회문화 분야의

전문적인 교과과정을 배우는데, 이때 정치·경제 분야의 전공심화과정을 선택해서 이수할

수 있습니다. 3~4학년에는 중국 외교와 통상에 관한 전문과목도 배정돼 있답니다.

Q 취업 및 사회진출 현황은 주로 중국의 외교통상 영역에 집중되나요?

A 물론 이 분야가 특화돼 있습니다. 최근 우리 학부 선배들이 국립외교원, 로스쿨, 공인회계

사, 사무고시 등에서 거둔 승전보가 자주 들려오고, 유통제조업·금융·서비스업 분야의 대

기업 진출도 뚜렷하게 증가하는 중입니다. 또한 국제지역대학원, 중국유학, 영미권 유학 등

을 선택해서 교육이나 연구 방향으로 나아가는 경우도 꾸준히 증가했고요.

학부 Q&A

※중국어대학공통

108108 109한국외국어대학교 전공가이드북 | 중국어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