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 ** *** **** , ([email protected]) * ** *** ****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 1 3 . 32 21 , 11 , The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Second Edition(BOT-2) . SPSS 12.0 , Mann-Whitney U . , ADHD Total Motor Composite standard score(p=.002), Fine Motor Precision(p=.021), Balance(p=.001), Running Speed and Agility(p=.048) .

김은성외 201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일반아동의_실행능력_비교

  • Upload
    -

  • View
    96

  • Download
    1

Embed Size (px)

DESCRIPTION

 

Citation preview

Page 1: 김은성외 201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일반아동의_실행능력_비교

- 175 -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행동과학연구소

**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정신과학교실

****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정신과학교실, 교신저자([email protected])

학습장애연구, 제8권 제3호

The Korea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2011, Vol. 8, No. 3, pp.175-193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실행능력 비교

김 은 성* 김 경 미** 강 철 중*** 김 지 훈****

< 요 약>

본 연구에서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아

동의 실행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남지역에 거주하는 일반초등학교 1학

년~3학년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총 32명의 대상자 중 실험군은 21명, 대조군은 11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들의 운동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The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Second Edition(BOT-2)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

으며, 두 군 간의 운동기능을 비교하기 위해 Mann-Whitney U 검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ADHD 아동의 Total Motor Composite standard score(p=.002), 그에 따른 하위항목별 비교

결과 Fine Motor Precision(p=.021), Balance(p=.001), Running Speed and Agility(p=.048)에서 유의

한 차이가 있었다.

주요어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실행능력

Page 2: 김은성외 201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일반아동의_실행능력_비교

학습장애연구, 제8권 제3호

- 176 -

Ⅰ. 서 론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는 학령 전기와 학령

기에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는 아동기의 신경행동학적장애로서, 주의력결핍(inattention), 과잉

행동(hyperactivity), 충동성(impulsivity)을 주요한 일차적 증상으로 가진다(APA, 1994). 그와 관

련하여 부모, 또래, 교사와의 문제를 포함하는 사회 부적응과 낮은 자존감이나 우울감과 같

은 정서문제 등의 이차적 증상을 나타내는 아동기 발달장애 중의 하나이다(Barkley, 1990;

Hart et al., 1995). 또한 이 장애는 주의와 학업성취에서의 결함을 포함한 자기 통제(self-

control)와 관련된 발달적 장애로도 볼 수 있다(Morris & Collier, 1987). ADHD는 학교, 가정

그리고 사회적 환경에서 작업을 수행하는데 장애를 초래한다(APA, 1994). 특히, 운동을 계획

하고 실행하는데 문제를 보이며 새로운 상황이나 예측하지 못한 상황에 대해 적응하거나

움직임과 관련된 문제를 해석하기 어려워 아동 스스로 상황을 회피하거나 과잉반응을 보이

기도 한다(Cermak, 1988). 이러한 증상을 보이는 ADHD는 가장 흔한 아동기 장애의 하나로,

유병율은 학령기 아동의 2-14%로 추정되며(Gaub & Carlson, 1997; KadesjO & Gillberg, 2001)

아동에게 미치는 그 영향은 상당하다고 할 수 있다(Schachar, 2000). ADHD의 원인을 명확하

게 밝히기는 어려우나, 미세한 뇌 또는 대뇌의 손상으로 발현될 수 있는 증상군으로 알려

져 왔다. ADHD 아동들이 나타내는 행동적 특징에 대한 원인론적 설명은 지금까지 여러 가

지로 제안되어 왔으며 그 중 이효신과 손양희(2003) 그리고 Douglas(1988)는 ADHD 아동들이

언어를 내재화하는 것과 관련된 자기조절 능력이 부족하여 자기조절의 손상과 억제된 행동

을 나타낸다고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행동 억제의 근본적 결함이 나아가서 실행기능의 발

달을 방해한다고 주장하였다(Barkley, 1997).

감각통합은 자신의 신체와 환경으로부터 주어지는 감각들을 조직화하고, 그 환경 속에서

신체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신경학적 과정(neurological process)이다(Ayres,

1989). 감각통합기능은 감각통합 과정이 잘 이루어지면 일상생활 수행은 물론 학령기 아동

의 주된 활동인 놀이와 학습, 또래 간 상호관계 유지에 있어서도 어려움 없이 수행 가능하

다(Ayres, 1979). 이에 반해, 감각통합에 문제가 있는 사람들은 환경에 적응하는 것이 어렵고,

이것은 혼란스러운 사회적 행동으로 나타난다(Case-smith & Bryan, 1999). 감각통합과정에 문

제를 가진 아동들은 감각자극들을 처리하고 통합하는 과정에서, 개념을 이해하고 운동을

학습하여 행동을 계획하고 표현하는 것에 문제를 보인다. 이러한 감각통합능력의 문제들은

행동반응이나 감정반응, 신체적인 반응이 비적응적인 반응으로 표출되어 주위 사람들로부

터 신경질적이거나 예민한 아이, 이상하고 피해를 주는 아동으로 여겨지게 된다(Ayres, 1979;

Murray & Anzalone, 1991). 그리고 아동이 의미 있는 활동이나 상황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하

며, 심각한 경우 대부분의 아동들이 관심을 갖는 일상적인 놀이에 대한 내적욕구까지도 상

Page 3: 김은성외 201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일반아동의_실행능력_비교

김은성 등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실행능력 비교

- 177 -

실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문제가 장기간 지속되면 아동의 발달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감각통합장애는 운동, 자세 조절의 문제를 지닌 실행장애와 감각에 저반응/과잉반응을 보

이는 조절장애로 크게 나뉘며, 이러한 감각통합장애는 뇌성마비, 발달장애, 자폐 등의 여러

진단군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Miller et al., 2001). ADHD

아동 또한 감각처리에 문제를 가지고 있다는 연구가 있었으며(Miller et al., 2001) 이러한 문

제가 지속되는 경우, 아동의 사회성과 학습 능력에 문제가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ADHD 아동들이 행동특성을 나타내는 것에 대한 원인론적 설명은 지금까지 여러 가지로

제안되어 왔다. Glow와 Glow(1979)는 동기 부족이 ADHD의 주된 원인적 특성이라고 설명하

였고 Still(1902)은 ADHD 아동에 대한 최초의 연구에서 ADHD가 대뇌의 손상과 유전적

요인 때문에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고 추측하였다. 그 외 연구자들도 ADHD 증상이 좀 일

반적으로는 전두엽 특히, 전전두엽의 손상과 상해로 인한 증상과 비슷하다고 하였다(Mattes

,1980; Benton, 1991; Heilman et al., 1991). 전전두엽 부위에 손상을 입은 아동들과 성인들은

지속적으로 주의하기, 억제, 정서와 동기의 조정, 그리고 시간에 걸쳐 행동을 조직화하는

능력의 결함을 보인다(Fuster, 1989; Grattan & Eslinger, 1991; Stuss & Benson, 1986). Fisher 등

(1991)의 연구에 따르면 실행 장애를 가지는 경우 사람과 사물의 효과적인 상호작용기술이

부족하여 자존감이 낮아지며 운동계획이 다른 인지영역의 수행에 비해 확연히 지연되어 익

숙하지 않은 활동을 수행하고 계획하는데 느리고 비능률적인 상태를 보인다. 이로 인해 신

체적으로 부족함을 다른 것으로 보상하려 하고 같은 것을 반복하고 새로운 상황을 회피하

는 경향을 보여 한 과제에 집중하지 못하고 산만한 행동 특징을 나타낸다.

Douglas(1988)는 ADHD 아동들이 언어를 내재화하는 것과 관련된 자기조절 능력이 부족

하다고 주장하였는데, 이것은 자기조절이 뇌의 전두엽에서 담당하는 기능이고, ADHD 아동

들이 전두엽 기능 손상을 가진다는 신경심리학적 연구결과(Barkley et al., 1992; Zametkin et

al., 1990)와 맥을 같이 하고 있다. 한편 행동억제의 손상이라는 설명은 ADHD 아동들이 사

건에 대한 초기 반응을 지연시키거나 행동을 멈추게 하는 기본적 능력이 부족한 것이라는

설명이다. Barkley(1997)는 이러한 행동 억제의 근본적 결함이 나아가서 실행기능의 발달을

방해한다고 주장하였다.

아동이 보이는 증상들을 이해하는 것은 ADHD 아동의 많은 문제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MTA Cooperative Group, 1999a, b; Anastopoulos, 2000). 따라서 ADHD 아동을

총체적인 한 인간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행동특성과 함께 그 원인에 관한 연구와

평가가 필요할 것이다. 그러나 국내에서 감각통합의 문제로 발생하는 아동의 부주의와 과

잉행동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상태이고, 이들 문제를 평가하기 위한 행동지표 또한

전무한 실정이다. 특히 ADHD 아동의 경우 대부분의 치료접근이 약물치료를 동반한 심리치

Page 4: 김은성외 201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일반아동의_실행능력_비교

학습장애연구, 제8권 제3호

- 178 -

특성 구분실험군 대조군

명(%) 평균±표준편차 명(%) 평균±표준편차

성별남 19(90.5) 5(45.5)

여 2(9.5) 6(54.5)

연령(개월) 98.81±8.88 96.82±11.16

<표 1> 대상자의 특성

료에 있어 감각통합 장애로 인한 문제는 소홀히 다뤄지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감각통합

과정의 문제를 조기 발견하기 위해서는 ADHD 아동의 감각통합기능에 대한 기초조사가 시

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ADHD 아동과 비ADHD 아동의 실행능력을 운동기능 평가를 통해 비교하

여 일반초등학교 저학년 아동 중 ADHD로 진단받은 아동의 실행능력의 차이를 규명하고,

이를 기초로 ADHD 아동의 실행 장애를 조기에 선별하여 치료의 기회를 제공하는데 도움

이 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경남지역에 거주하는 일반초등학교 1학년~3학년의 아동 중 ADHD로 진단받

은 아동과 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2008년 8월 11일부터 2008년 8월 28일까지 ADHD

진단아동과 대조군 총32명을 대상으로 운동기능평가를 실시하였다. ADHD 아동은 아동

및 청소년들의 주의력 문제를 진단하는 전산화된 시스템인 주의력 장애 진단 시스템(ADS:

ADHD Diagnostic System)을 통해 검사한 결과 누락횟수(부주의) 혹은 오경보 횟수(충동성)의

T-score가 60점 이상으로 정상범위에서 벗어난 경우와 소아정신과 의사에 의해 ADHD로 진

단을 받은 아동으로 하였다. 대조군은 선착순 신청을 받는 과정에서 미리 실시한 주의력결

핍-과잉행동장애 평정척도-Ⅳ(ADHD Rating Scale-Ⅳ, ARS-Ⅳ) 결과 19점 미만이고, 코너스 단

축형 평정척도(Conners Abbreviated Parent Rating Scale, CAPRS) 결과 16점 미만인 아동만을 평

가 대상자로 선택하였다. 또한 ADHD 의심이 전혀 없는 아동 선별을 위해 주의력 장애 진

단 시스템 시각 검사를 실시해 누락 횟수 및 오경보 횟수의 T-score가 60점 미만으로 정상

범주에 포함되는 아동만을 대조군으로 분류하였다. ADHD진단 아동은 남아 19명, 여아 2명

으로 총 21명, 대조군은 남아 5명, 여아 6명으로 총11명이 참여하였다. ADHD 진단군의 평

Page 5: 김은성외 201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일반아동의_실행능력_비교

김은성 등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실행능력 비교

- 179 -

균연령은 8.2세이었고, 대조군의 평균연령은 8.1세이었다<표 1>.

2. 연구도구

1) 운동기능 평가

아동의 고위수준의 운동능력을 평가하는 도구 중 실행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The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Second Edition(BOT-2)을 사용하였다. 2002년 초,

평가개발의 최근 표준치를 구하여 기준을 제공하고 검사 조직과 내용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된 BOT-2는 4세에서 21세까지 개인의 광범위한 운동기술을 측정하기 위해 목표지향적

인 활동과 참여를 유도하여 개별적으로 시행한다.

BOT-2는 안전성(stability), 움직임(mobility), 힘(strength), 협응(coordination) 그리고 물체 조작

(object manipulation)의 넓은 기능 영역에서 운동 수행을 강조하는 혼합구조와 하위항목을 사

용한다. 이 도구는 8영역 하위검사로 구성되어 총 53항목을 포함하고 각 영역은 소동작 정

밀성(Fine Motor Precision), 소동작 통합(Fine Motor Integration), 손의 기민성(Manual Dexterity),

양측 협응(Bilateral Coordination), 균형(Balance), 달리기 속도와 민첩성(running speed & agility),

상지 협응(upper-limb coordination), 근력(strength)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 개의 연령 그룹 내

하위항목 신뢰도는 .70~.80이고 composite 신뢰계수는 .80~.90이다. 전체 운동 혼합(Total

Motor Composite)의 신뢰도는 .90이다(Robert H. & Brett D., 2005).

3. 연구절차

본 연구 대상자 섭외는 경남지역 S병원과 M 보건센터를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의 목적과

내용이 첨부된 안내문을 전자 우편을 이용하여 각 기관에 보내었으며 우편 발송전에 각 기

관의 담당자와 전화연락 및 직접 대면 절차를 통해 협조를 요청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경

남지역에서 선정하였으며 안내문 공고 후 1주일에 걸쳐 선착순으로 신청 접수를 받았다.

운동기능평가는 각 기관에 마련된 장소에서 아동을 대상으로 평가자와 보조자가 직접 평

가하였다. 운동기능평가를 실시한 평가자는 작업치료사 면허 소지자 한명을 포함하여 BOT-

2에 대해 사전에 교육을 받은 작업치료학과 학생 2명으로 총 3명이 평가를 실시하였다. 사

전교육은 평가 실시 전 BOT-2 매뉴얼을 통해 항목별 시행 방법을 숙지하고 교육한 내용은

평가자와 보조자가 서로 피검자가 되어 항목 실시 방법을 실제로 시행해 보고 잘못된 점을

수정하여 오류 횟수를 감소시켰다. 평가실은 햇빛이 잘 들고 운동기능 평가 도구 세팅과

자유로운 움직임이 충분히 가능한 공간이었으며 외부와의 접촉 없이 평가자와 아동만 있어

조용한 상태에서 평가를 진행하였다<그림 1>.

Page 6: 김은성외 201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일반아동의_실행능력_비교

학습장애연구, 제8권 제3호

- 180 -

<그림 1> 연구 과정

4. 분석방법

자료분석은 SPSS Version 12.0을 사용하였으며, 연구목적과 연구변수의 특성에 따라 다음

과 같이 분석하였다.

1.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정은 1-표본 Kolmogorov-Smirnov 검정을 사용하였다.

2.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기술통계량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3. 실험군과 대조군의 운동기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Mann-Whitney U 검정을 사용하

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의 BOT-2 하위항목 총점을 비교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실험군과 대조군의 운동기능 Total Motor Composite 비교

BOT-2의 표준점수로 Total Motor Composite(p=.022)를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이가 있었다<그림 2>.

Page 7: 김은성외 201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일반아동의_실행능력_비교

김은성 등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실행능력 비교

- 181 -

<그림 2> 실험군과 대조군의 운동기능 Total Motor Composite 비교

2. 실험군과 대조군의 BOT-2 총점에 따른 Descriptive category 분포

Total Motor Composite 비교 결과 실험군의 경우 운동기능이 “Average(평균)”에 해당하는 아

동이 16명(76%), “Below Average(평균이하)"에 해당하는 아동이 5명(24%)으로 나타났고 대조

군의 경우, 운동기능이 “Well Above Average(매우 뛰어남)”에 해당하는 아동이 1명(9%),

“Above(평균이상)”는 3명(27%), “Average”는 6명(55%), “Below Average”는 1명(9%)으로 나타났

다<그림 3>.

<그림 3> 실험군과 대조군의 BOT-2 총점에 따른 Descriptive category 분포

3. BOT-2 영역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의 운동기능 비교

BOT-2의 영역별로 두 군 간의 운동기능을 비교한 결과, Fine Manual Control(소손동작 조

절), Body Coordination(신체협응)의 표준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실험군

Page 8: 김은성외 201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일반아동의_실행능력_비교

학습장애연구, 제8권 제3호

- 182 -

BOT-2 하위항목 실험군 대조군 U p

Fine Motor Precision 13.29±5.24 17.27±5.53 57.50 .021*

Fine Motor Integration 12.86±2.92 15.18±3.92 77.50 .129

Manual Dexterity 16.29±3.39 18.36±3.59 75.50 .111

Upper-Limb Coordination 10.81±5.03 12.45±6.22 96.00 .438

Bilateral Coordination 13.86±3.64 16.36±3.80 74.50 .102

Balance 12.29±2.87 16.82±3.19 31.50 .001*

Running Speed and Agility 15.05±4.78 19.55±5.57 66.00 .048*

Strength 17.62±5.97 17.09±3.36 87.50 .264

*p<.05

<표 3> BOT-2 하위항목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의 운동기능 비교

은 Body Coordination 영역의 점수가 44.90으로 가장 낮았고 Strength and Agility(근력 및 민첩

성) 영역의 점수가 53.7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조군은 Manual Coordination 영역의 점수

가 51.00으로 가장 낮았고 Strength and Agility 영역의 점수가 58.00으로 가장 높았다<표

2>.

BOT-2 영역 실험군 대조군 U p

Fine Manual Control 45.19±8.53 53.64±10.39 57.50 .021*

Manual Coordination 46.48±7.49 51.00±10.05 80.50 .164

Body Coordination 44.90±6.19 53.73±8.37 53.00 .013*

Strength and Agility 53.71±12.19 58.00±10.16 92.00 .350

Total Motor Composite 46.57±7.43 55.73±10.36 58.00 .022*

*p<.05

<표 2> BOT-2 영역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의 운동기능 비교

4. BOT-2 하위항목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의 운동기능 비교

8개의 하위항목으로 두 군간의 운동기능을 비교한 결과, Fine Motor Precision(소동작 정확

성), Balance(균형), Running Speed and Agility(달리기 속도 및 민첩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그 외 나머지 항목인 Fine Motor Integration(소동작 통합), Manual Dexterity

(손 기민성), Bilateral Coordination(양측 협응), Upper-Limb Coordination(상지 협응), Strength(근력)

Page 9: 김은성외 201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일반아동의_실행능력_비교

김은성 등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실행능력 비교

- 183 -

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실험군은 Upper-Limb Coordination 항목

의 점수가 10.81로 가장 낮았고 Strength 항목의 점수가 17.62로 가장 높았으며 대조군은

Upper-Limb Coordination 항목의 점수가 12.45로 가장 낮았고 Running Speed and Agility 항목의

점수가 19.5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표 3>.

5. Fine Motor Precision 세부 항목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의 운동기능 비교

Fine Motor Precision 항목에서도 특히, Filling in Shapes-Star(별모양 채우기), Drawing Lines

through Paths-Curved(곡선 따라 선 그리기), Folding Paper(종이접기) 세부 항목에서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Fine Motor Precision 세부 항목간의 비교를 위해 5점 만점으로 변

환한 값을 괄호 안에 제시하였다. 실험군은 Drawing Lines through Paths-Curved 항목이 2.86으

로 가장 낮았고 Drawing Lines through Paths-Crooked(구부러진 길 따라 선 그리기) 항목이 4.

56으로 가장 높았으며 대조군은 Drawing Lines through Paths-Curved 항목이 3.70으로 가장 낮

았고 Filling in Shapes-Circle(원모양 채우기) 항목이 5.00으로 가장 높았다<표 4>.

Fine Motor Precision 세부 항목실험군

(변환값)

대조군

(변환값)U p

Filling in Shapes-Circle2.57±.81

(4.29±1.35)

3.00±.00

(5.00±.00)82.50 .054

Filling in Shapes-Star2.33±.80

(3.89±1.33)

2.91±.30

(4.85±.50)64.50 .018*

Drawing Lines through Paths-Crooked6.38±1.12

(4.56±.80)

6.36±1.03

(4.55±.73)112.00 .869

Drawing Lines through Paths-Curved4.00±1.38

(2.86±.98)

5.18±1.54

(3.70±1.10)66.50 .047*

Connecting Dots5.38±.97

(3.84±.70)

5.64±.81

(4.03±.58)92.00 .323

Folding Paper5.29±1.35

(3.78±.96)

6.64±.51

(4.74±.36)51.00 .007*

Cutting Out a Circle5.00±2.03

(3.57±1.45)

5.91±1.14

(4.22±.81)86.50 .236

*p<.05

<표 4> Fine Motor Precision 세부 항목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의 운동기능 비교

Page 10: 김은성외 201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일반아동의_실행능력_비교

학습장애연구, 제8권 제3호

- 184 -

Balance 세부 항목실험군

(변환 값)

대조군

(변환 값)U p

Standing with Feet Apart

on a Line - Eyes Open

4.00±.00

(5.00±.00)

4.00±.00

(5.00±.00)115.50 1.00

Walking Forward on a Line3.90±.44

(4.88±.55)

4.00±.00

(5.00±.00)110.00 .47

Standing on One Leg

on a Line - Eyes Open

3.62±.67

(4.52±.84)

4.00±.00

(5.00±.00)82.50 .05

Standing with Feet Apart

on a Line - Eyes Closed

3.76±.54

(4.70±.67)

4.00±.00

(5.00±.00)93.50 .13

Walking Forward

Heel-to-Toe on a Line

3.43±.98

(4.29±1.22)

3.91±.30

(4.89±.38)90.50 .17

Standing on One Leg

on a Line - Eyes Closed

2.48±1.12

(3.10±1.40)

3.45±1.04

(4.32±1.29)62.50 .03*

Standing on One Leg

on a Balance Beam - Eyes Open

2.95±1.12

(3.69±1.40)

3.64±.81

(4.55±1.01)72.50 .06

Standing Heel-to-Toe

on a Balance Beam

3.57±.75

(4.46±.93)

3.91±.30

(4.89±.38)91.50 .19

Standing on One Leg

on a Balance Beam - Eyes Closed

1.76±.70

(1.76±.70)

2.55±.93

(2.55±.93)60.50 .02*

*p<.05

<표 5> Balance 세부 항목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의 운동기능 비교

6. Balance 세부 항목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의 운동기능 비교

Balance 세부 항목에서는 Standing on One Leg on a Line-Eyes Closed(눈감고 한발서기),

Standing on One Leg on a Balance Beam-Eyes Closed(눈감고 균형대에 한발서기) 항목에서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Balance 세부 항목간의 비교를 위해 5점 만점으로 변환한 값

을 괄호 안에 제시하였다. 실험군은 Standing on One Leg on a Balance Beam - Eyes Closed 항

목이 1.76으로 가장 낮았고 Standing with Feet Apart on a Line - Eyes Open(눈뜨고 선위에 양

발 길게 모아서기) 항목이 5.00으로 가장 높았으며 대조군은 Standing on One Leg on a

Balance Beam - Eyes Closed 항목이 2.55로 가장 낮았고 Standing with Feet Apart on a Line -

Eyes Open, Walking Forward on a Line(선따라 걷기), Standing on One Leg on a Line - Eyes

Page 11: 김은성외 201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일반아동의_실행능력_비교

김은성 등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실행능력 비교

- 185 -

Open(눈뜨고 한발서기), Standing with Feet Apart on a Line - Eyes Closed(눈감고 선위에 양발

길게 모아서기) 항목이 각각 5.00으로 가장 높았다<표 5>.

7. Running Speed and Agility 세부 항목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의 운동기능 비교

Running Speed and Agility 세부 항목에서는 Shuttle Run(왕복달리기), One-Legged Stationary

Hop(제자리 한발뛰기)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Running Speed and Agility

세부항목간의 비교를 위해 5점 만점으로 변환한 값을 괄호 안에 제시하였다. 실험군은

One-Legged Side Hop(양측 한발 뛰기) 항목이 1.83으로 가장 낮았고 Stepping Sideways over a

Balance Beam(균형대 넘어뛰기) 항목이 4.02로 가장 높았으며 대조군은 One-Legged Side Hop

항목이 2.45로 가장 낮았고 One-Legged Stationary Hop 항목이 각각 4.64로 가장 높았다<표

6>.

Running Speed and Agility

세부 항목

실험군

(변환 값)

대조군

(변환 값)U p

Shuttle Run5.76±1.84

(2.40±.77)

7.55±1.21

(3.14±.51)42.00 .003*

Stepping Sideways

over a Balance Beam

8.05±1.28

(4.02±.64)

8.18±.98

(4.09±.49)109.50 .801

One-Legged Stationary Hop7.90±2.49

(3.95±1.24)

9.27±.65

(4.64±.32)62.50 .026*

One-Legged Side Hop3.67±1.98

(1.83±.99)

4.91±2.02

(2.45±1.01)79.00 .143

Two-Legged Side Hop5.05±2.29

(2.52±1.15)

5.91±1.97

(2.95±.99)96.50 .444

*p<.05

<표 6> Running Speed and Agility 세부 항목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의 운동기능 비교

Ⅳ. 고 찰

본 연구는 ADHD 아동의 실행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군과 대조군의 운동기능평가를

통해 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운동기능평가에서 BOT-2의 총점과 소동작

Page 12: 김은성외 201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일반아동의_실행능력_비교

학습장애연구, 제8권 제3호

- 186 -

정확성, 균형, 달리기 속도와 민첩성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실험군과 대조군의 실행능력에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실험군 아동 21명 중 남자는 19명, 여자는 2명이었으며 진단군 아동 11명

중 남자는 5명, 여자는 6명으로 총 32명의 아동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실험군의 경우,

남자가 여자에 비해 약 9배의 분포를 보였다. 1994년, APA에 의하면 ADHD의 유병률에 대

한 남녀의 비율은 여성보다 남성에게 훨씬 더 흔하게 나타나 일반인구의 경우는 남아가 여

아에 비해 3~4배 정도, 병원 등의 임상집단에서는 6~9배 정도 높은 비율로 보고되었다.

국내외의 연구결과 남성 대 여성의 비율을 2:1에서 10:1까지로 여아보다 남아에게서 더 흔

히 발병된다고 한다(조수철, 1990; Ross & Ross, 1982; Wicks-Nelson & Israel, 2000). 이는 본

연구 대상자의 성비가 여아에 비해 남아가 더 많음을 지지한다.

대조군은 대상자 선별 과정에서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평정척도-Ⅳ(ADHD Rating Scale-

Ⅳ)와 코너스 단축형 증상질문지-부모용(Conners Abbreviated Symptom Questionnaire-Parent)을

미리 실시하였다.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평정척도-Ⅳ 결과 19점 미만이고 코너스 단축형

증상질문지-부모용 결과 16점 미만인 아동만을 평가 대상자로 선택하였다. 사전 평가 결과,

ARS-Ⅳ 평균은 9.73으로 최하 3점에서 최고 14점의 분포를 보였으며, CASQ-P 평균은 7.55점

으로 최하 3점에서 최고 11점의 분포를 보였다. 김재원 등(2004)은 ARS-Ⅳ의 총점이 부모용

의 경우 19점 이상일 때 ADHD가 의심된다고 하였고, CAPRS는 오경자(1990)의 연구에서 국

내에서는 총점 16점을 ADHD 진단기준으로 삼는다고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준점수

미만에 해당하는 점수를 대조군 선별기준 점수로 사용하였다. 그 후, ADHD 의심 가능성이

없음을 선별하기 위해 주의력장애 진단 시스템(ADS) 실시하였고, 누락 횟수(부주의)와 오경

보 횟수(충동성)의 T 값이 60미만인 아동만을 운동기능평가와 감각처리능력 평가 대상자로

선별하였다.

대상자의 운동기능 평가는 1인당 약 1시간 정도가 소요되었고 대상자의 여름방학 기간을

이용하여 짧은 기간 안에 아동을 평가하기 위하여 연구자 외 2명의 평가자가 평가를 실시

하였다. 연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평가 전 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사전 평가를 통해 평

가자간 신뢰도를 측정하였다. 통계학적으로 급간내 상관계수는 2명 이상의 평가자들간 일

치도를 한 개의 지수로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급간내 상관계수 값의 범위는

0~+1 사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급간내 상관계수 값이 .75 이상이면 높은 신뢰도(good

reliability), .75 이하이면 낮은~보통 신뢰도(poor~moderate reliability)라고 한다(이충휘, 2008).

본 연구의 평가자간 신뢰도 측정 결과, 급간내 상관계수 값이 .992로 나타나 평가자간의 신

뢰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특성상 섭외 장소가 달라 평가 또한 다른 곳에서 이루어졌다. 평가

환경으로 인해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평가 환

Page 13: 김은성외 201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일반아동의_실행능력_비교

김은성 등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실행능력 비교

- 187 -

경을 최대한 동일하게 세팅하였다. 외부와의 접촉을 피하고 아동이 운동평가를 위해 움직

일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된 장소에 평가에 필요한 도구를 세팅한 후, 아동과 평가자,

보호자만 있어 조용한 상태에서 평가를 실시하였다. 특히, 달리기와 같은 하위 항목 평가는

평가 매뉴얼에 명시된 정확한 길이를 줄자로 측정한 후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외에도 특

정 거리 내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평가는 모두 동일한 조건을 충족시킨 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표본수가 총 32명으로 정규분포를 하지 않아 본 연구의 가설 검정을 위해

비모수 통계 방법인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여 결과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의 실행능력의 차이를 살펴보면, 두 그룹 간 운동기능이 통

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운동기능을 평가한 BOT-2는 standard score, scale score,

point score로 나타나며 대상자의 전반적인 운동기능과 기능적 영역을 비교할 때에는 standard

score를 사용하고 하위 항목별 비교는 scale score를 사용한다(Bruininks et al., 1990).

ADHD 아동은 행동면에서 충동적이고, 쉽게 산만하며, 과제를 계획하여 수행하는 능력이

부족한데, 특별히 의자에 지속적으로 앉아서 과제를 수행해야 하는 소근육 활동에 현저한

어려움을 보인다(Bundy et al., 2002). 본 연구에서 BOT-2의 scale score U-test 결과를 보면 Fine

Motor Precision(p=.021)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Fine Motor Precision

세부 항목의 point score U-test 결과, Filling in Shapes-Star(p=.018), Drawing Lines through Paths-

Curved(p=.047), Folding Paper(p=.007)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실행

장애 아동들이 움직임이 어눌하기 때문에 운동을 회피하고 일상생활동작기술이 늦게 발달

하고 의존적이며, 만들기나 글씨쓰기 등 미세운동 기술이 부족하고 과제를 완성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연구 내용(Fredericks & Saladin, 1996)을 뒷받침하였다. 또한 Ayres

(1979)는 감각통합 장애로 낮은 근긴장, 불안정한 자세 등이 운동 기능의 문제로 나타날 수

있다고 하였다. 상지의 근 긴장이 떨어지고 앉은 자세의 불안정함으로 인해 손으로 쓰는

것과 미술 과제 외에도 미세 과제수행에서 어려움을 경험할 수 있다(김미혜 등, 2003).

감각통합은 일상생활 활동수행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뇌의 정보처리 과정으로 감각통합

의 문제는 일상생활에서의 적응, 정서, 감정 등의 문제로 이어질 뿐만 아니라 운동기능 장

애로도 표출된다. 감각통합 장애에서 기인한 운동 기능의 문제는 균형과 협응 능력의 저하

의 형태로 나타난다(Ayres, 1979). 이는 Balance 하위 항목의 point score U-test 결과, Standing

on One Leg on a Line-Eyes Closed(p=.03), Standing on One Leg on a Balance Beam-Eyes Closed (p

=.02) 항목에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음을 지지한다.

또한 Running Speed and Agility 하위 항목의 point score U-test 결과, Shuttle Run(p=.003), One-

Legged Stationary Hop(p=.026)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일반아동과 감각

통합 장애를 가지고 있는 아동들의 운동 기능을 평가한 연구(Ayres, 1979)에서 감각통합 장

애 아동은 둔한 동작을 보이고 새로운 활동이나 익숙하지 않은 운동의 시작에 어려움을 겪

Page 14: 김은성외 201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일반아동의_실행능력_비교

학습장애연구, 제8권 제3호

- 188 -

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ADHD 아동들은 낮은 근긴장, 균형과 협응 능력의 저

하, 불안정한 자세, 둔한 동작 등의 운동 기능 문제들로 인해 학습의 기초가 되는 미세 손

운동 뿐만 아니라, 또래간 상호작용을 위한 대동작 수행과 움직임 계획에 어려움을 보인다

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을 살펴보면 첫째, 전체 연구대상자의 수가 적어 전체로 해석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특히, 대조군의 경우, 대상자 배제 조건에 의해 탈락한 대상자가 많았기 때

문에 부득이 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 참여한 실험군의 경우, 연구가 진행되는 기간에

ADHD로 진단받고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아동과 그렇지 않은 아동의 구분이 없었다. 사전

연구에 의하면 약물치료가 ADHD 아동들이 보이는 여러 가지 습관화된 충동적인 행동양식

을 인식하게 하고 자기조절 능력을 학습시키는 데는 거의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제한점(박

난숙, 1992; Whalen et al., 1989)이 밝혀졌었다. Barbara 등(1995)도 약물로는 장기적인 운동기

능의 향상을 가져올 수 없다고 하였으며 하은혜와 오경자(1992)도 사회, 학습, 정서적 부적

응 등의 이차적 증상은 약물치료만으로는 쉽게 변화되지 않기 때문에 약물치료와 다른 치

료방법을 병행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반해 박난숙과 오경자(1992)의 연구

에 따르면 중추신경각성제인 Methlyphenidate 치료가 ADHD 아동의 인지․행동, 정서적 적응

에 효과가 있음을 밝혔다. 그 외에도 Methlyphenidate가 ADHD 아동의 손상된 정보 처리 능

력에도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Ozdag et al., 2004) 감각 정보 통합에 효과가 있다(Tucha et

al., 2006)는 연구들을 통해 ADHD 아동에게 약물이 미치는 효과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약물 복용여부를 고려하지 않고 연구를 진행하여 평가 결과에 약물

복용 여부가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는 제한점이 있다. 셋째, 실험군과 대조군의 운동기능평

가가 서로 다른 공간에서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위해 대상자를 섭외하는 과정에서 아동의

특성상 서로 다른 기관을 통해 대상자를 선정하여 각각 다른 공간에서 평가가 이루어져 이

로 인해 평가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가 있었다는 한계가 있다.

이상의 본 연구 결과에 따른 향후 제안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지역과 연구 대상자의 수를 늘여 연구의 신뢰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실험군과 대조군의 실행능력 평가 결과 운동기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향후 연

구에서는 실행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표준화된 다른 평가도구를 추가로 이용하여 실행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셋째, 실험군의 경우, 약물 복용과 관련해 약물 복용군과 미복

용군으로 나누어 약물이 감각통합기능에 영향을 미치는지, 어떠한 기능 향상에 큰 도움이

되는지 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넷째, 실험군과 대조군의 남․여 성비를 맞추어

연구 결과의 일반화를 이끄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 ADHD 아동의 실행능력에는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아동의 부모와 교

사, 그리고 치료사가 아동을 평가․치료 및 교육을 할 때 아동의 감각통합기능 장애를 조

Page 15: 김은성외 201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일반아동의_실행능력_비교

김은성 등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실행능력 비교

- 189 -

기에 선별하여 치료의 기회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ADHD 아동의 실행능력 차이를 비ADHD 아동과의 비교를 통해 알아본 최초

의 논문이라는 점에서 연구의 의미가 있다. 또한 연구를 통해 조기 평가의 중요성을 제시

하였고 연구 참여를 통해 보호자의 아동 기능에 대한 관심 및 이해도가 증가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연구 대상자의 수가 적고 감각통합기능을 평가하는 표준화된 도구가

적어 일반화시키기에는 제한이 있으므로 향후에는 인원수 및 평가도구를 고려하여야 할 것

이다.

참고문헌

김미혜, 남궁은영, 부경희, 심현아, 이은숙. (2003). 학령기 정상아동의 운동 기술 및 자세 조

절에 관한 임상관찰.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1(1), 17-23.

김재원, 박기홍, 최민정. (2004). 지역사회에서의 주의력결핍. 신경정신의학, 43(2), 200-208.

박난숙. (1992). Methylphenidate치료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아의 인지․행동 및 사회, 학습,

정서적 적응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난숙, 오경자 (1992). Methylphenidate치료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아의 인지․행동 및 사회,

학습, 정서적 적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1(1), 235-248.

오경자. (1990). 주의력 결핍과잉활동장애의 평가. 소아․청소년정신의학, 1, 65-76.

이충휘. (2008).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를 위한 연구방법론. 서울: 계축문화사.

이효신, 손양희. (2003). 주의력결핍과잉행동 장애 아동의 실행기능 분석. 정서․행동장애연

구, 19(4), 243-263.

조수철. (1990).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의 개념과 생물학적 연구. 소아․청소년정신의학,

1(1), 5-26.

하은혜, 오경자. (1992).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아의 약물치료에 따른 모-자 상호 행동과 인지

적․행동적 증상의 변화.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1(1), 145-160.

Ayres, A. J. (1979). Sensory integration and the child. LA: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Ayres, A. J. (1989). Sensory integration and praxis tests. Los Angeles: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4th ed.).

Page 16: 김은성외 201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일반아동의_실행능력_비교

학습장애연구, 제8권 제3호

- 190 -

Washington, DC: Author.

Anastopoulos AD. (2000). The MTA study and parent training in managing ADHD. ADHD report,

8, 7-9.

Barbara, G., Burcham, Stephen, T., & DeMers. (1995). Comprehensive assessment of children and

youth with ADHD. Intervention in School & Clinic, 30(4), 211-220.

Barkley. R. A. (1990).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handbook for diagnosis and treatment. New

York: Guilford Press.

Barkley. R. A. (1997). Behavioral inhibition, sustained attention, and executive functions: constructing

a unifying theory of ADHD. Psychological Bulletin, 121(1), 65-94.

Barkley. R. A., Grodzinsky, G. M., & Dupaul, G. (1992). Frontal lobe functions in attention deficit

disorder with and without hyperactivity.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20, 163-188.

Benton, A. (1991). Prefrontal injury and behavior in children.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7, 275-

282.

Bruininks, R. H., Steffens, K., Spiegel, A., & Werder, J. K. (1990). The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Development, research, and intervention strategies. In H. Van Coppenolle & J. Simons

(Eds.), Better by moving: Proceedings of the 2nd International Symposium Psychomotor Therapy and

Adapted Physical Activity(pp.17-41). Lueven, Belgium: Acco.

Bundy, A. C., Lane, S. J., & Murray, E. A. (2002). Sensory integration theory and practice. Philadelphia:

F. A. Davis.

Case-Smith. J., & Bryan. T. (1999). The effects of occupational therapy with sensory interaction

emphasis on preschool-age children with autism.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3,

489-497.

Cermak, S. A. (1988). The relationship between attention and sensory integration dysfunction(Part 1),

Sensory Integration Special Interest Section Newsletter, 11, 1-4.(Published by AOTA, Bethesda, MD)

Douglas, V. I. (1988). Cognitive deficits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disorder with hyperactivity.

In L. M. Bloomingdale & J. A. Sergeant(Eds.), Attention deficit disorder: Criteria, cognition,

intervention(pp.65-82). Lodon: Pergamon Press.

Fisher, A. G., Murray, E. A., & Bundy, A. C. (1991). Sensory integration: Theory and practice.

Philadelphia: F. A. Davis.

Fredericks, C. M., & Saladin, L. (1996). Pathophysiology of motor systems. Philadelphia: FA, Davis.

Fuster, J. M. (1989). The prefrontal cortex. New York: Raven Press.

Gaub, M., & Carlson, C. L. (1997). Gender differences in ADHD: A meta-analysis and critical

review. Journal of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36, 1036-1045.

Page 17: 김은성외 201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일반아동의_실행능력_비교

김은성 등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실행능력 비교

- 191 -

Glow, P. H., & Glow, R. A. (1979). Hyperkinetic impulse disorder: A developmental defect of

motivation. Genetic Psychological Monographs, 100, 159-231.

Grattan, L. M., & Eslinger, P. J. (1991). Frontal lobe damage in children and adults: A comparative

review.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7, 283-326.

Hart, E. L., Lahey, B. B., Loeber, R., Applegate, B., Green, S., & Frick, P. J. (1995).

Developmental changes in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boys: A four-year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23, 729-749.

Heilman, K. M., Voeller, K. K. S., & Nadeau, S. E. (1991). A possible pathophysiological substrate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Journal of Child Neyrology, 6, 74-79.

KadesjO, B., & Gillberg, C. (2001). The comorbidity of ADHD in the general population of

Swedish school age children.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2, 487-492.

Mattes, J. A. (1980). The role of frontal lobe dysfunction in childhood hyperkinesis. Comprehensive

Psychiatry, 21, 358-369.

Miller, L. J., Reisman, J. E., McIntosh, D. N., & Simon, J. (2001). An ecological model of sensory

modulation: Performance of children with Fragile X syndrome, autistic disorder,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sensory modulation dysfunction. In Roley, S. S., Blanche, E. I., &

Schaaf, R. C.,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ensory Integration With Diverse Populations(Eds.,

pp.57-82). Texas: PRO-ED.

Morris, R. J., & Collier, S. J. (1987). Assessment of attention deficit disorder and hyperactivity. In

C. L. Frame & J. L. Matson(Eds.). Handbook of assessment in childhood psychology. New York:

Plenum Press.

MTA Cooperactive Group. (1999a). A 14-month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treatment strategies for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56, 1073-86.

MTA Cooperactive Group. (1999b). Moderators and mediators of treatment response for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56, 1088-96.

Murray, E. A., & Anzalone, M. (1991). Integrating sensory integration theory and practice with other

intervention approaches. In: Fisher, A. G., Murray, E. A., & Bundy, A. C., Sensory integration:

Theory and practice. Philadelphia, F. A. Davis, 354-384.

Ozdag, M. F., Yorbik, O., Ulas U. H., Hamamcioglu, K., & Vural, O. (2004). Effect of

methlyphenidate on auditory event related potential in boy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ternational Journal of Pediatric Otorhinolaryngology, 68(10), 1267-1272.

Ross, D. M., & Ross, S. A. (1982). Hyperactivity: Research, theory and action. New York: Wiley.

Schachar, R. (2000). The MTA Study: implications for medication management. ADHD Report, 8, 2-6.

Page 18: 김은성외 201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일반아동의_실행능력_비교

학습장애연구, 제8권 제3호

- 192 -

Still, G. F. (1902). Some abnormal psychical conditions in children. Lancet, 1, 1008-1012, 1077-

1082, 1163-1168.

Stuss, D. T., & Benson, D. F. (1986). The frontal lobes. New York: Raven Press.

Tucha, O., Prell, S., Mecklinger, L., Bormann-Kischkel, C., Kubber, S., Linder, M., et al. (2006).

Effects of methylphenidate on multiple components of attention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Psychopharmacology, 185(3), 315-326.

Whalen, C. K., Henker, B., Buhrmester, D., Hinshaw, S. P., Huber, A., & Laski, K. (1989). Dose

stimulant medication improve the peer status of hyperactive childre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7, 545-549.

Wicks-Nelson, R., & Israel, A. C. (2000). Behavior disorder of childhood(4th ed.). New Jersey: Prantice-

Hall.

Zametkin, A. J., Nordahl, T. E., Gross, M., King, A. C., Semple, W. E., Rumsey, J., et al. (1990).

Cerebral glucose metabolism in adults with hyperactivity of childhood onset.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23, 1361-1366.

게재신청일: 2011년 11월 10일 / 수정제출일: 2011년 12월 13일 / 게재확정일: 2011년 12월 20일

Page 19: 김은성외 201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일반아동의_실행능력_비교

김은성 등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실행능력 비교

- 193 -

* Department of medical behavioral scienc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 Department of Psychia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Department of Psychia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Abstract

Comparison of Executive Function in Children

with ADHD and Children without ADHD

Kim, Eunseong * Kims, Kyeongmi ** Kang, Cheoljoong *** Kim, Jiho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udy on the praxis function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The children on the first to the third grade in elementary school in

Kyoung-Nam Region were chosen to be the subject of researches, who were then classifi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with children diagnosed as ADHD and the control group. 21 experimental

group and 11 control group, out of total 32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To evaluate the motor

function of children, The Bruininks- 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Second Edition(BOT-2) was used.

The collected material was put in analysis performed by SPSS 12.0, and Mann-Whitney U test was

employed in order to compare motor function between two group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the

comparison, we could find out the noticeable difference in Total motor composite standard score between

two groups(p=.002). And in the comparison, we could find out the noticeable difference in Fine Motor

Precision(p=.021), Balance(p=.001), Running Speed and Agility(p=.048). The study suggests that we are

able to conclude that there are apparent difference between the children with ADHD and control group.

Moreover, especially ADHD children showed quite lower on the score in Fine Motor Precision, Balance,

Running Speed and Agility. This study has a meaningful significance because of the first paper of

comparison of executive function between children with non ADHD and children with ADHD. But still

we'll have to consider carefully about researching environment because we didn’t perform the research with

good assessment devices and plenty number of the sample children, ultimately limiting the generalization

of the study result.

Key words :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Executive fun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