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cript
Page 1: 당뇨환자 삼계탕 보양식 조심 또 조심pdf.cctimes.kr/2020/07/14/20200714-13.pdf · 2020-07-13 · 열14명,쯔쯔가무시증4005명,렙 토스피라증138명,브루셀라증1명

�� ���� ����� �� �� � ��

지난해 국가감염병감시시스템을

통해 신고된 법정감염병 확진자는

총 15만9496명이며 이 중 402명이

목숨을잃은것으로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는2019 감염병감시

연보를 발간했다고 최근 밝혔다. 연

보에는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

한 법률에 명시된 80종의 법정감염

병통계가수록돼있다.

제1군감염병은전년대비 499.3%

증가했다. 제1군 감염병에서는 콜레

라 1명, 장티푸스 94명, 파라티푸스

55명, 세균성이질 151명, 장출혈성

대장균감염증146명, A형간염 1만

7598명의환자가발생했다.

특히 A형간염은 2018년 2437명

에서 무려 7배 이상 폭증했다. 질병

관리본부는 오염된 조개젓 섭취로

인해전년대비증가했다고말했다.

제2군 감염병은전년대비 14.7%

감소했다. 제2군 감염병에서는 백일

해 496명, 파상풍 31명, 홍역 194명,

유행성이하선염 1만5967명, 풍진 8

명, B형간염 389명, 일본뇌염 34명,

수두 8만2868명, 폐렴구균 526명의

환자가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는 홍역은 전 세계

적 유행에 따른 국외유입 사례 증가

와 다수의 집단 발생으로 전년 대비

13배증가했다고설명했다.

제3군감염병은전년대비 18.0%

감소했다. 제3군감염병에서는말라

리아 559명, 결핵(신환자) 2만3821

명, 한센병 4명, 성홍열 7562명, 수

막구균성수막염 16명, 레지오넬라

증 501명, 비브리왜혈증 42명, 발진

열 14명, 쯔쯔가무시증 4005명, 렙

토스피라증 138명, 브루셀라증 1명

등이다.

제4군 감염병은전년대비 15.7%

증가했다. 뎅기열 273명, 보툴리눔

독소증 1명, 큐열 162명, 라임병23

명, 유비저 8명, 치쿤구니야열 16명,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223명,

지카바이러스감염증3명등이다.

뎅기열은전년대비 71.7% 증가했

는데모두국외유입사례다. 주로동

남아시아여행객에서신고됐다.뉴시스

A형간염환자가지난해전년보다 7배증가한가운데보건당국이올바른손씻기등을당부했다

오는 16일은삼복(三伏) 가운데 초복이

었다.

삼계탕은고단백식품인닭고기와피로를

덜어주는효과가과학적으로입증된인삼으

로 만들어진 여름철 건강을 지키는 대표적

인보양식이다. 35도를웃도는찌는듯한더

위속에삼계탕은원기회복에도움을줘초

에도찾는이가많다.

삼계탕은대부분의사람에게여름철보양

식이되지만일부사람들에게서는닭고기와

인삼의 성질과 효능 때문에 부작용을 일으

킬수있다.

의료계에따르면만성신부전증이나당뇨

병 같은 질환을 앓는 사람들에게는 삼계탕

과 같은 고단백 식품이 좋지 않다. 평소 몸

에열이많은사람은삼계탕에든인삼을과

다하게먹지말아야한다.

만성 신부전과 같은 신장병 환자들은 하

루에 섭취하는 단백질의 양을 엄격하게 조

절해야한다. 고단백식품인삼계탕을의사

의판단없이함부로많이먹을경우신장에

부담을부어신부전이악화될수있다.

당뇨환자들은하루에섭취하는열량을제

한하는 식사요법을 해야한다. 그러나 고열

량의삼계탕을적절한열량조절없이많이

복용할 경우 혈당을 상승시켜 여러가지 합

병증을유발할수있다.

인삼은기운을크게보해주고탈진을막

으며몸의진액을생성하고마음을편안하

게 해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때문에 과

로, 식사량감소, 피곤, 설사,천식, 건망,탈

수 등의 증상이 있을 경우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인삼은여러가지효과가과학적으로입증

된약재이지만성질이매우열한편이다. 몸

에열로인한증상이있거나평소에열이많

은사람이삼계탕에들어있는인삼을과다

하게복용하면오히려해로울수있다.

뉴시스

당뇨환자 삼계탕보양식 조심 또 조심 16일초복 고단백고열량여름철대표보양식

삼계탕속인삼혈당상승 과다복용땐되레독

흔히 겨울철 질환으로 생각하는

폐렴은 여름을 비롯한 사계절 내내

주의가 필요하다. 여름철에는 폐렴

의원인이되는다양한세균, 곰팡이

등의 미생물과 바이러스의 번식이

활발해져더욱기승을부린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질병통계에

따르면 2013년부터 2016년까지 3년

간 폐렴 환자는 14.6% 증가했으며

여름철(78월) 폐렴 환자수도

12% 이상증가한것으로나타났다.

특히 단체생활을 하는 어린이나

면역력이약한노인, 만성질환자, 호

흡기 기저질환자 등은 다양한 원인

에 의해 발생하는 폐렴에 취약하다.

따라서생활환경을점검하고폐렴의

종류와 예방 수칙을 잘 숙지해둬야

한다.

먼저 레지오넬라 폐렴은 에어컨,

샤워기, 장식분수등의오염된물에

존재하던 균이 비말형태로 인체에

흡입돼 전파되는 질환이다. 에어컨

사용이 잦은 68월에 증가하는 경

향이 있다. 레지오넬라증 환자는 해

마다 2030명 정도 발생하는 것으

로 알려졌으나 2015년에는 45명으

로증가하고지난해에는 3배가까이

급증한128명의환자가발생했다.

대형건물, 숙박시설, 노인 복지시

설 등의 에어컨 냉각탑에 서식된 레

지오넬라균이에어로졸형태로배출

시에는 집단으로 감염으로 이어질

수있어각별한주의가필요하다. 따

라서 정부와 지자체 등에서는 숙박

업소 등 다중이용시설의 냉각수와

수계시설을 관리하고, 급수시스템의

소독 점검 등 예방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일상생활에서 레지오넬라 폐

렴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인

청소와 소독을 철저히 해 에어컨 필

터와 냉각수에 세균이 농축되지 않

도록청결하게관리해야한다.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은 59세를

포함한 학령기 아동과 청년층에서

주로 감염을 일으키는 병원균이다.

보통 34년주기, 늦은가을철에유

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2015년 유행 시 여름철에 영유아에

서 일반적인 해열제와 항생제가 듣

지 않는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이 유

행해긴장을유발했다.

마이코플라스마는 호흡기계는 물

론신경, 혈액, 심혈관, 골격계, 신장

계의 다양한 조직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아동의 경우 간염으로까지

이어질수있어주의가필요하다. 질

병관본부는 유치원, 학교 등 집단생

활 시 손 씻기, 입 가리고 기침하기,

개인 식기와 수건 사용하기 등 개인

위생수칙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고

당부했다.

폐렴구균은폐렴을유발하는가장

흔한원인균으로영유아와노인에서

높은 유병률을 나타낸다. 폐렴구균

으로 인해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질

환인 폐렴은 국내에서 높은 사망원

인(지난해기준 4위)을차지하는치

명적인질환이다.

폐렴의 사망률은 시설(외래 환자,

입원환자, 집중치료실환자)에따라

6.4%에서 40% 이상까지 이르는데,

노인에서 사망률은 이보다 높다. 폐

렴구균 질환은 백신을 통해 일부 예

방이 가능하다. 대한감염학회는 65

세이상성인및 18세이상만성질환

자, 면역저하자, COPD 등 호흡기

기저질환자 등에게 폐렴구균 백신

접종을권고하고있다. 당뇨병등만

성질환을 보유하고 있는 18세 이상

성인에서는 13가단백접합백신을우

선 접종하도록 권고하고 있어 주치

의와 상담을 통해 백신 접종 스케줄

을확인한후접종하는것이좋다.

흡인성 폐렴은 입안의 침 같은 분

비물이나 음식물과 같은 위 내용물

등의 이물질이 기도로 흡입되면서

폐에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입

안에 있는 세균이 기관지로 흡인되

는것이가장중요한원인이다. 노인

인구에서 흔하게 발생하며, 뇌혈관

질환, 치매와 같이 연하장애를 유발

하는 질환이 있을 경우 더욱 위험이

높다. 흡인성 폐렴의 예방을 위해서

는 구강을 청결히 관리하고, 앉아서

음식을 섭취하는 등 생활습관을 교

정하는것이중요하다.

뉴시스

‘폐렴’ 여름철에도 극성 왜?에어컨필터·냉각수등관리불결

세균곰팡이등미생물번식활발

지난해 15만9496명 법정감염병 확진

A형간염환자7배늘어… 오염된조개젓섭취때문

국외유입영향뎅기열홍역확진자도전년比증가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