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1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 판단의 규범성에 관한 연구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2014년 2월 서울대학교 대학원 미학과 이가림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Upload
    others

  • View
    3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문학석사학 논문

미 단의 규범성에 한 연구

:J.Levinson의 미 속성 실재론을 심으로

2014년 2월

서울 학교 학원

미학과

이 가 림

Page 2: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ii -

Page 3: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i -

국문 록

우리는 종종 같은 술 작품을 감상한 뒤 서로 다른,심지어 상

반되는 미 단을 내린다.혹은 같은 작품에 한 나의 미 단이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른 뒤 달라지기도 한다.미 단이 이처럼 다양하

고 상이하게 나타나는 상에 해 개인의 취미,감수성 등의 차이를 들

어 하게 용인하기도 한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여 히 어떤

미 단이 옳거나 그르다거나,하나의 미 단이 다른 것에 비해 보

다 하다 혹은 타당하다고 말한다.이는 그 작품에 해 마땅히 내려

야 할 미 단이 있음을 제하는 것이다.그 다면 이 듯 다양하고

상이하게 나타나는 미 단들 가운데서도 분명 존재하는 규범 직

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이 질문에 한 답을 구하고자 본 논문은

기획되었다.

본 논문은 ‘상 X에 하여 마땅히 내려야 하는 미 단은

특정한 자격을 갖춘 소수의 문가들이 그 상에 하여 내리는 단’

이라는 식의 흄과 골드만의 이론이 갖는 근본 문제 들을 지 하고,

진정한 단자나 이상 비평가의 단과 같은 상 외 인 것에의 호소

가 아닌 상 그 자체에 주목하여 미 규범성을 설명하고자 한다.

흄과 골드만처럼 진정한 단자 는 이상 비평가에 호소하여

규범성을 설명하는 방식은 첫째,진정한 단자 는 이상 비평가를

규정하는데 있어 순환 정의 오류를 벗어나기 힘들며,둘째 그들을 어

떻게 별할 수 있는지,그리고 논쟁이 되고 있는 작품에 한 그들의

미 단의 내용이 무엇인지 우리가 알기 어렵다는 인식론 회의주의

에 빠진다.더욱이 골드만의 경우,흄의 이론을 발 시켜 ‘X에 한 규범

미 단이란,나와 취미가 같은 이상 비평가가 X에 해 내리는

단’이라고 설명하고,취미에 상 으로 이상 비평가의 자격을 수여

할 것을 주장한다.그런데 이 주장에 따르면 비평가들의 미 이견을 단

순히 취미의 차이로 간주함으로써 각각의 비평가들을 모두 이상 비평

가로 인정하게 될 험이 있다.이처럼 지나치게 하게 자격이 수여

된 이상 비평가들은 더 이상 규범 역할을 제 로 수행한다고 보기

어렵다.결국 골드만의 이론은 미 규범성 설명에 실패한다.

Page 4: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ii -

흄과 골드만 이론의 규범성 설명의 실패는 다음의 두 가지를 시

사한다.첫째는 기존의 논의들에서 미 단과 미 규범성은 각각 하

나의 단일한 어떤 것으로 간주되어 논의되어 왔으나 이들 각각의 개념을

세분화시켜 별도로 논의할 필요가 있다는 이다.먼 쟁 에 따르면

미 단은 ‘X는 훌륭하다,’‘X는 아름답다’와 같이 으로 가치 평가

인 평결 미 단(verdictiveaestheticjudgements)과 ‘X는 섬세하

다,’‘X는 웅장하다’와 같이 상에 하여 구체 으로 말해주는 바가 있

는 실질 미 단(substantiveaestheticjudgements)으로 구분된다.

본고에서 그 규범성을 설명할 상은 후자로 제한한다.다음으로 우리는

미 규범성에 해서도 우리의 믿음과 무 하게 상이 지닌 미 속

성으로부터 발생하는 규범성과 가치로부터 발생하는 규범성으로 나

수 있다.본고에서는 자의 규범성만을 논하기로 한다.요컨 본고에서

는 실재 미 속성에 호소하여 실질 미 단의 규범성을 설명

하고자 한다.미 속성에 한 빈슨의 이론은 이러한 시도를 가장 그

럴듯하게 뒷받침해 다.

빈슨에 따르면,미 단은 상이 지닌 가치 립 인 상

미 인상(phenomenalaestheticimpression)에 한 지각과 이에 한

감상자의 평가 반응으로 구성된다. 상 미 인상이란, 상이 자신

을 드러내는 방식(awayofappearing)의 일종으로, 상에 한 우리의

주 믿음과 무 하게 세계에 존재하는 실재 속성이다.따라서 상 X

에 해 우리가 마땅히 내려야 하는 미 단이란 X가 객 으로 가

진 실재 속성,즉 상 미 인상에 부합하는 단이다.이러한 단에

포함되는 술어는 상 미 인상에 결합되는 감상자의 평가 반응에

따라 다양하(고 심지어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이 설명은 미 술어

가 가치 립 인 요소와 평가 요소로 분리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그

러므로 가치 립 요소,즉 실재 미 속성으로부터 발생하는 규범성

과 평가 요소(가 포함된 가치)로부터 발생하는 규범성을 구분하여 논

의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이러한 빈슨의 가치 립 -평가 구분은 실재하는 미

속성으로서의 상 미 인상의 존재가 담보되어야만 가능하다.그런

데 빈슨에게 상 미 인상은 다름 아닌 ‘미 리아’이다.여기서

Page 5: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iii -

‘미 리아’는 최소한 리아가 존재해야만 존재할 수 있으므로, 상

미 인상의 존재는 리아의 존재 여부에 의존 이다. 한 상

미 인상과 그것에 한 평가 반응이 구별되듯, 리아 자체와 이에

한 평가 반응도 분리될 수 있어야 한다.이러한 주장에 해 데넷

등은 리아가 허구라고 반박하지만, 빈슨은 리아가 아니라 리아

에 한 기억이 허구라고 답한다.그러나 데넷은 설령 리아가 허구

가 아니라고 하더라도, 리아와 리아에 한 반응이 구별 불가능하다

고 지 한다.이에 해 빈슨은 최소한 시각과 청각에 해서는 그러

한 구별이 가능하다고 항변한다. 리아에 한 이러한 견해들이 매우

논쟁 인 것은 사실이다.그러나 상 미 인상의 설명 유용성에

주목한다면 ‘미 리아’ 한 그 설명 유용성에 기 어 그 존재를 상

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에서 살펴본 빈슨의 이론은 규범성에 한 논의를 분리함

으로써 서로 상충하는 듯 보이는 미 규범성과 다양성까지도 정합 으

로 설명할 수 있게 되는 장 을 가진다.나아가 그의 이론은 술 비평

장에서의 실효성 측면에서도 유용하다.미 이견으로 인한 논쟁을 해

소하기 하여 우리가 알아내기 어려운 이상 비평가의 단의 내용에

기 어야 했던 흄이나 골드만의 이론과 달리, 빈슨의 이론을 따를 경

우 상에 한 면 한 찰과 토론을 통해 이견을 가진 비평가들이 그

상에 해 공통 으로 지각하는 기반을 찾아내어 그 상의 상 미

인상을 추론할 수 있다.이로써 미 논쟁의 일부는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본 논문을 통해 설명되는 규범성,즉 상이 지닌 실재 속

성에서 기인하는 규범성을 통해 해소될 수 있는 미 논쟁은 수많은 미

이견들 실상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는 비 이 제기될 수 있을 것이

다.가장 논쟁 이며 흥미로운 미 이견들은,본고에서는 다루지 않은,

가치 역에서의 미 단의 불일치라는데 필자도 동의하는 바이다.그

러나 가치 차원에서의 미 단의 불일치에 하여 논하고자 하더라도,

이에 앞서 실재하는 미 속성으로부터 발생한 불일치들을 해소시킴으로

써 논의해야 할 상을 명료히 할 필요가 있다.즉,본 연구는 가치 차원

에서의 미 단의 불일치와 규범성을 직 다루고 있지는 않지만,미

Page 6: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iv -

가치 단의 규범성 논의가 효과 으로 진행될 수 있게끔 단 를 제

공하는 셈이다. 한 본고는 미 가치의 규범성에 해 어떤 입장을 취

하든,심지어 미 가치의 규범성 일체를 부정하는 극단 입장을 취한

다고 할지라도,실재하는 미 속성들로부터 발생하는 규범성을 밝힘으

로써 미 단에 한 최소한의 규범성을 확보하 다는 데 의의가 있

다.

주요어:미 단,규범성, 빈슨,속성 실재론, 상 미 인상, 리아

학번:2006-22788

Page 7: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v -

목 차

리말 ······················································································································ 1

I. 비 고찰

1. 미 판단 ···················································································· 8

2. 미 판단 류: 평결 미 판단(verdictive aesthetic

judgment)과 실질 미 판단(substantive aesthetic judgment) 10

3. 미 규 에 한 들 ································ 15

3.1 미 실재론 ······················································································ 15

3.2 미 규 에 한 실재론 ························ 20

3.3 미 규 에 한 실재론 ···················· 30

4. 결 ············································································································ 38

II. 미 판단 규 에 한 흄 론과

1. 흄 취미 ······················································································ 40

1.1 사 경 ············································································ 40

1.2 취미 수립 당 보 ··················································· 43

1.3 취미 : 진 한 판단 공통 판결 ································· 45

2. 흄에게 되는 비판들 ·········································································· 49

2.1 식론 주 론 ··································································· 49

2.2 순 류 ···················································································· 53

2.3 ‘취미 ’에 한 상 된 해 과 진 한 판단 역할 ····· 57

3. 결 ············································································································· 60

Page 8: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vi -

III. 미 판단 규 에 한 골드만 론과

1. 골드만 론 해 ·················································································· 63

1.1 골드만 론 토 : 흄 계 ································· 63

1.2 흄 계 실재론 해 가능 검토 ····················· 65

1.2.1 상 비평가 비순 건 ······································· 68

1.2.2 상 비평가들 간 판단 건 ································· 71

1.3 골드만 안: 나 취미가 같 상 비평가 판단에 75

2. 골드만 론 규 보 실패 ··························································· 76

2.1 상 비평가 규 ····························································· 77

2.1.1 민 개념 순 류 ··········································· 77

2.1.2 민 한 미 판단에 끼 는 향 ············ 79

2.2 상 비평가 격 수여 지나 ························· 83

3. 골드만 론 한계 그 시사 ·············································· 86

3.1 되지 않는 미 들 ····························································· 86

3.2 한계 생 경: 평가 미 질론 ······················· 87

3.3 평가 /비-평가 리 가능 ····························· 89

4. 결 ············································································································· 95

IV. 미 판단 규 에 한 레빈슨 론과 용

1. 레빈슨 론 해 ·················································································· 97

1.1 상 미 상 ·············································································· 98

1.2 상 상 생: 창 ····························································· 99

1.2.1 수 과 창 ············································································· 99

1.2.2 미 수 과 창 ································································· 103

1.3 상 상 본 : ············································ 111

Page 9: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vii -

2. 상 실재론에 한 규 ··································· 116

2.1.(가 립 ) 과 가 리에 른 ············ 116

2.2 상 체에 하는 ·········································· 120

3. 상 실재론에 한 비판: 퀄리아 논변 심 로 ······ 124

3.1 퀄리아 논변과 에 한 ········································ 126

3.2 퀄리아 체 에 한 리 가능 논변 ·············· 128

4. 결 ········································································································· 130

맺 말 ················································································································· 131

참고 헌 ············································································································ 134

Abstract ············································································································ 138

Page 10: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 -

머리말

사뮤엘 바버(SamuelBarber)의 ‘을 한 아다지오(Adagiofor

Strings)’1)를 듣고 군가는 “이 곡에는 분명 슬픔(sadness)과 시 우아

함(poetry)이 있다”2)고 하는 반면,다른 군가는 신 이고 지루하다고

한다면,이들은 같은 작품에 한 서로 다른 미 단을 내리고 있는

것이다.이처럼 같은 술 작품을 감상한 두 명 이상의 감상자가 서로

다른,심지어 양립 불가능한 미 단으로 논쟁하는 장면을 우리는 종

종 목격할 수 있다. 미학에서는 이를 미 불일치(aesthetic

disagreements) 는 미 논쟁(aestheticdisputes)이라 일컫는다.미

단 불일치 상은 비단 일반인들 사이에서뿐 아니라 문가 집단인

술 비평 장에서도 흔히 찰된다.그 다면 동일 상에 한 상이

한 단들,즉 미 불일치 상은 왜 나타나는 것일까?

미 단은 상에 한 경험에서 우러나며 따라서 감상자의

주 반응에 하게 련된다는 사실에는 이견이 없을 것 같다.이

때 감상자의 주 반응은 그의 태도,선호,취향,감수성 등에 따라 달

라질 수 있기에,동일한 상에 해서라도 미 단이 다양하게 나타

날 수 있는 것이다.그러나 다양한 미 단을 수용하는 이 같은 자세

와 상반되는 직 한 우리는 동시에 지니고 있다.우리는 다양한 미

단들 각각에 해 모두 옳다거나 모두 하다고 하지는 않는다.미

이견으로 논쟁할 때 우리는 어떤 미 단은 옳고 다른 미 단은

그르다, 하다거나 부 하다,혹은 더 는 덜 타당하다고 말한다.

이 같은 논쟁의 기 에는 미 단이 참/거짓의 진리치를 가지며,논쟁

하고 있는 상에 해 마땅히 내려야 하는 한 미 단이 있다는

제가 깔려있는 것이다.즉,우리의 통념 상 미 단에는 규범성이

존재한다.요컨 미 단은 주 경험에 기반한 다양성과,그럼에

도 불구하고 존재하는 일정 정도의 규범성을 동시에 보인다.

1)이 곡은 아인슈타인의 장례 음악, 네디 통령의 서거를 알리는 라디오와

TV 방송의 배경 음악 등으로 쓰이면서 세계 으로 잘 알려지게 된 곡으

로,미국인들이 꼽는 가장 슬 음악 하나이다.

2)음악사학자 바바라 헤이먼(BarbaraHeyman)의 NPR라디오 방송과의 인터

뷰 발췌.

Page 11: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2 -

일견 모순되는 듯한 미 단의 다양성과 규범성,보다 근본

으로는 주 성과 객 성을 조화시키려는 이론 고민은 주 미론이

확립된 서구의 근 시기로 거슬러 올라간다.그 이 까지,즉 고 로부터

르네상스에 이르기까지 미(美)란 비례와 조화 등 상이 지닌 객 성

질로 이해되어 왔다.그러나 이 같은 객 주의 미론은,17세기에 들어

경험주의 철학의 두와 낭만주의 술 경향의 등장으로 쇠퇴하기 시작

한다.미학사 으로 볼 때 객 미론이 주 미론으로 향한 것은

샤 츠베리,허치슨,버크,제라드 등 18세기 국 취미론자들에 의해서

다.이들은 아름다움을 더 이상 상의 객 성질이 아니라, 상의

객 성질로 인해 우리 마음에 환기되는 어떤 즐거움에 기반하는 것,

즉 우리의 마음속에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 다. 컨 상 X가 아

름답다고 할 때,이 까지는 상 X가 아름다움의 성질을 지녔기 때문

에 X가 아름답다고 간주되었다면,주 주의 미론에서는 감상자가 X를

보고 아름답다고 느 기 때문에 X는 아름다운 것이라고 설명한다.3)

이와 같이 미론이 주 화되면 각 개인마다 다양하게 나타나는

미 단들을 포 으로 설명할 수 있는 장 을 갖게 된다.그러나 극

단 인 주 주의는 종국에 모든 미 단,심지어 얼토당토않은 미

단들까지 정당하다고 인정해야 하는 험 부담을 안고 있다.이러한

논리가 극단 으로 치우치면,미 단은 진리치 자체를 소유하지 않는

다는 비인지주의자(non-cognitivists)들의 주장으로 연결되면서 비평과

감상의 기 을 갈구하는 우리의 미 소망을 외면할 험마 발생한다.

요컨 우리는 미 단이 이러 러한 연유로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고 수 하면서도 여 히 미 단의 옳고 그름을 논하고,승인과 불승

인의 태도를 오가며,나와 다른 단을 내린 이를 설득하려 한다.미

단에 한 규범 직 은 일상 감상과 문 비평 곳곳에 뿌리 깊

게 자리하고 있는 것이다.

그 다면 미 단에 해 상반되는 듯 한 이들 두 직 사이

에서 미학이 할 일은 감상과 비평의 다양성을 최 한 보장하면서도 미

단의 최소한의 기 을 지지하는 이론을 구하는 것이라 하겠다.이러한

3) 오병남(2003),미학강의,서울 학교 출 부 “2장 미:그 말과 개념과 이

론”pp.17-55,김진엽(1997)흄의 ‘취미의 기 ’에 하여,미학 22,pp.32-33.

Page 12: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3 -

거시 목표에 이르기 한 작업의 일환으로 본 논문은 미 단의 규

범성 일부는 상이 지닌 미 속성으로부터 발생함을 주장하며,이

를 빈슨(JerroldLevinson)의 속성실재론에 기 어 설명하고자 한다.

기존의 연구들은 미 단의 규범성을 하나의 요소로 보아 그

기원을 한 군데에서 찾으려 해왔다.그러나 본 논문은 ‘미 규범성’이라

통칭되는 것에는 기실 상이 지닌 가치 립 속성으로부터 발생하는

규범성과 가치로부터 발생하는 규범성,두 가지가 있으며,이들 각각의

규범성에 한 개별 논의가 필요하다고 본다.개별 논의를 해서는

각각의 규범성의 향력을 따로 드러낼 수 있는 미 단 분류법이 필

요하다.이에 본고는 미 단을 ‘섬세하다’,‘우아하다’,‘땅딸막하다’처

럼 상에 하여 말해주는 바가 있는 실질 미 단(substantive

aestheticjudgement)과 ‘훌륭하다’,‘좋다’,‘나쁘다’처럼 상에 하여

구체 으로 말해주는 바 없이 순수하게 평가 인 평결 미 단

(verdictiveaestheticjudgment)으로 나 는 쟁 (NickZangwill)의 분

류법을 미 단의 규범성 논의에 도입할 것을 제안한다.

본 논문이 최종 으로 주장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실질 미

단들에 한해서는 상에 상 으로 실재하는 가치 립 미 속

성에 호소하여 그 규범성을 (일부)설명할 수 있다.

이를 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진행 될 것이다.제 1장 비

고찰의 반부에서는 본고의 논의 범 를 좁힘으로써 논의 상을 명

료하게 드러내는 작업을 행할 것이다.먼 술 감상 는 비평 장에

서 찰되는 다양한 불일치의 양상들 본고의 논의 상은 오직 미

불일치로 제한한다. 술 가치 차원의 불일치와 미 가치 단에서의

불일치는 논의에서 제외한다.요컨 본고는 으로 가치 평가 단

인 평결 미 단을 제외하고, 상에 하여 말해주는 바가 있는 실

질 미 단에 한하여 그 규범성을 논할 것이다.후반부에서는 실재

론과 반실재론을 통해 미 규범성이 어떻게 설명되는지 기존의 연구들

을 조사하고 그 한계를 지 한다.쁘띳(PhillipPettit)의 실재론은 규범성

을 설명하는데 있어 주 반응을 충분히 제거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실

재론의 한계를 드러낸다는 비 을 받는다. ,미 술어의 공통 의미

획득 과정에 호소하여 규범성을 설명하는 제마흐(EddyZemach)의 실재

Page 13: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4 -

론은,미 술어들에 한 언어 분석에 그칠 뿐 미 속성의 형이상학

,존재론 지 에 하여 입증하는 바가 없다.한편 타인의 행동,태

도에 한 단을 모델로 삼아 미 단을 설명하는 벤더(John

Bender)의 반실재론은 미 단의 다양성 설명에는 용이하지만,규범성

을 설명하지는 못한다.그 다면 다양성과 규범성을 아우르는 포 이

론의 후보로,미 단을 상의 객 성질과 주 의 평가 반응 간

의 계를 통해 설명하는 계 분석이 가장 유력해 보인다.

제 2장에서는 이러한 계 분석을 최 로 시도한 근 경험주

의 철학자 흄(DavidHume)의 취미의 기 을 비 으로 고찰한다.흄은

취미란 근본 으로 정감(sentiment)에 근거하기에 국가,사회,개인에 따

라 실로 다양하게 나타나지만,그럼에도 불구하고 취미 는 취미 단

들은 어떤 기 을 가질 수 있다는 입장을 피력하 다.그는 비록 실에

서의 취미 단은 개별 감상자들의 내 결함 등의 이유로 다양하게 나

타날지라도,궁극 으로 우리가 마땅히 따라야 하는 취미 단은, 상의

아름다움을 제 로 감상하는데 필요한 조건들을 갖춘 이들이 내리는

단이라고 주장한다.즉,특정 자격을 갖춘 진정한 단자들의 공통된

결이 참된 취미의 기 이자 우리가 마땅히 따라야 할 취미 단이라

는 것이 흄 이론의 요지이다.

그러나 취미 단의 규범성을 진정한 단자들의 결을 통해

구하려는 흄의 주장은 설득력을 잃는다.왜냐하면 이미 많은 연구자들이

지 한바 있듯,진정한 단자 개념이 ‘훌륭한 작품을 훌륭하다고 알아볼

수 있는 단자’라는 식으로 순환 으로 정의되고 있기 때문이다.이 게

순환 으로 정의되는 진정한 단자에 기 어 미 단의 규범성을 설

명한다면,‘어떤 작품에 하여 마땅히 내려야 하는 단을 내리는 단

자가 내리는 단이 우리가 마땅히 내려야 하는 단이다’라고 되어버리

므로,미 단의 규범 기 에 해 아무런 실질 설명을 제공하지

못하는 셈이다.진정한 단자에 호소하여 규범성을 확보할 수 없는 두

번째 이유는 어떤 비평가가 진정한 단자인지 아닌지 우리가 어떻게 식

별할 수 있는지에 한 설명이 충분히 제공되고 있지 않으며,진정한

단자를 가려내더라도 재 논쟁이 되고 있는 바로 이 작품에 하여 그

가 구체 으로 어떤 단을 내릴지 우리가 알 수 있으리라는 보장이 없

Page 14: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5 -

기 때문이다.즉,우리가 마땅히 내려야 하는 미 단의 기 을 그 내

용을 알 수 없거나 알아내기 어려운 단에 의존하는 셈이다.

제 3장에서는 흄의 이론을 계승하고 있는 골드만(Alan H.

Goldman)의 취미에 상 화한 이상 비평가론을 비 으로 고찰한다.

골드만은 미 단의 기 을 진정한 단자로부터 구하는 흄의 통을

따르고 있다.단,흄의 진정한 단자는 그것이 추상 인물인지 아니면

실의 비평가들로부터 추정 가능한 인물이지 불분명한 반면,골드만의

이상 비평가는 실의 비평가로부터 추정할 수 있는 비평가라고 명시

된다.그 다면 충분한 교육과 훈련을 받은 실의 비평가들 사이에서도

미 이견이 발생하는 것으로 미루어,이상 비평가들 사이에서 역시

미 이견이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이에 골드만은 이상 비

평가들 간의 미 이견은 취미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러므로 어떤 작품에 하여 우리가 따라야 할 마땅한 미 단이란,

나와 취미가 같은 (혹은 유사한)이상 비평가가 그 작품에 하여 내

리는 미 단이다.

그러나 골드만의 이론 역시 미 규범성을 확보하는데 실패한다.

왜냐하면 이상 비평가의 자격 조건으로 제시된 민성이 순환 으로

정의될 수밖에 없으며,어떤 경우 민성은 한 미 단을 내리는

데 오히려 방해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더욱이 이상 비평가를 취미에

상 화하는 그의 이론은,미 이견이 발생했을 때 이견의 한 쪽이 실은

잘못된 단일지라도 이를 취미의 차이나 새로운 취미의 등장으로 여기

어 이상 비평가의 자격을 수여하는 지나친 화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흄과 골드만을 통해 살펴본바 진정한 단자 는 이상 비평가

에 호소하는 방식은 그 개념 자체가 지닌 문제들로 말미암아 규범성 설

명에 실패한다.이는 미 단의 규범성 설명을 해서는 이상 비평

가에의 호소가 아닌 다른 방식을 찾아야 함을 시사한다.

골드만 이론의 다른 문제는 모든 미 단에 하여 용하

지 못하는 설명 한계를 갖는다는 이다.골드만의 이론은,미 속성

은 상의 객 성질과 이에 한 주 의 반응 간의 계로 구성되지

만 이 두 요소는 분리될 수 없다는 평가 요소 분리불가능성에 기반을

두는 까닭에,가치 립 인 미 속성에 한 미 단의 규범성을 설

Page 15: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6 -

명하지 못하는 한계를 갖는다.이는 미 규범성에 한 설명이 모든 미

단들에 포 으로 용되기 해서는 미 속성의 평가 요소와

가치 립 요소가 분리 가능해야 함을 시사한다.

제 4장에서는 성공 인 미 규범성 설명을 해 요구되는

두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시키는 이론 모델로 빈슨의 상 속성

실재론을 제시한다. 상 속성론에 따르면,작품을 면했을 때 정상지

각자라면 구나 지각할 수 있는 상 인상(phenomenalimpression)

이 있다. 상 인상은 그 작품의 선,색,모양,질감,무게 등 비미 이

고 객 인 성질들이 상호 작용하며 발생하는 종합 이고 체 인 효

과로서의 미 인상이다.이는 상이 그 자신을 드러내는 일종의 발

속성으로,감상자의 평가 반응에 독립 인 실재 속성이다.따라서 상

에 하여 기술하는 바가 있는 실질 미 단을 내릴 때 우리는 그

상 고유의 상 인상에 부합하는 미 단을 내려야만 한다. 빈

슨은 상 인상에 한 지각과 이에 한 주 의 평가 반응은 분리

가능하다고 본다.즉,실질 미 단의 가치 립 요소와 평가 요

소가 구분되는 것이다.

미 단에서 평가 요소와 가치 립 요소의 분리는 다음의

설명 유용성들을 가져온다.첫째,미 단의 규범성의 기원을 가치

립 미 속성으로부터 발생하는 것과 가치로부터 발생하는 것으로 이

분화 시킬 수 있으며,이로써 미 단의 규범성을 보다 정 하게 설명

할 수 있게 된다.나아가 미 다양성은 가치 차원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설명함으로써 다양성과의 상충을 해소할 수 있는 이론 토 를 마련한

다.둘째,가치 립 미 속성에 해서는 설명하지 못했던 골드만의

이론과 달리, 빈슨의 이론은 모든 속성 는 단에 한 규범성을 설

명할 수 있다. 으로 가치 평가 인 미 단은 가치의 규범성 논의

를 통해 다루어질 수 있을 것이며,그 외의 상에 해 함축하는 바가

있는 모든 실질 미 단들에 해서는 실재 미 속성을 통해 미

규범성을 설명할 수 있다.셋째, 빈슨식 속성 실재론을 수용하면,

미 이견으로 논쟁할 때 이를 해소하기 한 즉각 시도가 가능하다.

이상 비평가에 호소하는 이론은 그런 이상 비평가들이 존재하더라도

그들이 구인지,개별 작품에 하여 어떤 단을 내릴지 우리가 구체

Page 16: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7 -

으로 알기 어렵다는 한계를 갖는다.그러나 속성실재론에 따르면,비평

가들이 구체 인 술 작품을 두고 그것의 미 가치에 해 논할 때,

미 가치 단의 근거로서 실질 미 속성을 지시(refer)할 수 있다.

상에 존재하며 지각 으로 확인할 수 있는 미 속성을 조목조목 지목

하여 왜 내가 이 작품이 러한 가치를 갖는다고 주장하는지 근거를

수 있다는 검에서,어떤 작품이 지닌 속성에 한 정확한 악은 그 작

품의 가치를 논하는 첫걸음이라 하겠다.

본 논문이 목 한 바를 성공 으로 수행한다면,가치 차원에서는

이견을 갖고 논쟁하더라도 미 속성 차원에서만큼은 우리가 마땅히 내

려야 하는 단이 비교 명료해질 것이며,이로써 나와 다른 단을 내

린 이와 보다 생산 인 소통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라 기 한다.

Page 17: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8 -

I. 비 고찰

본격 인 논의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고에서 논하고자 하는 ‘미

불일치’의 종류를 규명할 필요가 있다.이에 본 장에서는 몇 가지 사례를

통해 우리가 ‘미 불일치 상’이라 통칭하는 미 이견들이 사실은 그

층 와 양상이 다양함을 살펴보고,이들 어떤 미 불일치가 본고의

논의 상인지를 명확히 하고자 한다. 한 미 단의 규범성에 한

효과 논의를 하여 쟁 식의 미 단 분류법을 도입할 것을 제안한

다.마지막으로 미 불일치 상에 하여 기존의 실재론자와 반실재론

자들은 각각 어떻게 설명하는지,이 과정에서 미 규범성이 과연 제

로 설명되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1.미 단의 불일치

본 연구는 필자가 술 감상과 비평 장에서의 수많은 불일치

상들을 목격하고,감상의 자율성을 존 하려는 태도와 그럼에도 불구

하고 단의 우열을 가리고자 논쟁하는 모순 행태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지에 한 고민에서 시작되었다.그런데 본고에서 작품의 감상과 비

평에 련된 모든 종류의 불일치 반을 다루는 것은 불가능하다.제한

된 지면이라는 실 어려움도 있지만,보다 근본 인 이유는 술 감

상과 비평 장에서 나타나는 이견과 논쟁들 에는 실은 본질이 서로

다른 불일치들이 뒤섞여 있기 때문이다.따라서 본격 논의에 들어가기

에 앞서 이들을 분류하고 본고의 논의 상을 좁히는 작업이 필요하다.

지 부터 술 감상과 비평 장에서 드러나는 다양한 양상의 불일치들

본고에서 논의 상으로 삼지 않을 불일치들을 하나씩 제거하는 방식

으로 논의 상을 좁 보겠다.

가장 먼 논의 상에서 제외시킬 단의 불일치는 바로 술

가치 단의 불일치이다.오늘날 술 비평 장에서 발생하는 불일

치들 상당수는 통 의미에서의 미 가치에 한 이견이라기보다

Page 18: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9 -

는 술 가치 차원에서의 이견이기도 하다.사실 미 가치와 술

가치라는 용어와 그 쓰임 자체가 미 미학 논의에서 논쟁 이다.미

가치라는 용어는 통 으로 사용되어 온 반면, 술 가치라는 개념은

아방가르드 술과 더불어 등장하 기에 그 역사가 그리 오래되지 않

다.4)즉 통 의미에서 술이란 곧 아름다운 것이었으나,이제는 아

름답지 않은 것도 술 작품으로 인정받게 된 것이다.요컨 술 인

것과 미 인 것의 의미가 분화되었다고 하겠다.이처럼 술 가치라는

새로운 개념의 필요성이 두함에 따라 미 가치 개념에 해서 역시

새로운 규정이 시도되고 있기는 하나,아직 이들 두 개념 모두 하나의

통일된 규정 없이 미학자들 마다의 규정에 따라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

다.각각의 개념에 한 통일된 규정이 없기에 미 가치와 술 가치

간의 계에 한 규정 역시 일반 으로 통용되는 바 없이 어지러운 양

상이다.어떤 이는 미 가치와 술 가치를 분리시키지 않을 것을 주

장하고, 다른 이들은 미 가치와 술 가치를 본질 으로 서로 다

른 것으로 규정하고 반드시 분리시켜 논의할 것을 주장한다.미 가치

와 술 가치의 차이를 인정하여 별도의 용어와 쓰임을 주장하는 입장

안에서도 미 가치를 어떻게 규정할 것인지, 술 가치는 어떻게

규정할 것인지에 한 세부 인 견해 차이가 발견된다.5)

미 가치와 술 가치는 분명 개념 으로 분리해 사용할 필

요가 있다.그러나 미 가치와 술 가치의 서로 다른 의미를 밝히고

그 계를 논하는 것은 본고의 목 에서 벗어나기에 여기에서는 논의 진

행에 필요한 두 개념의 차이만 밝히도록 하겠다.본고에서 논의할 미

불일치의 종류를 명료히 밝히고,논의 상에서 제외할 불일치를 명시하

고자하는 재의 목 에 필요한 두 개념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술

가치는 그 작품이 술 작품으로서 갖는 가치이며,여기에는 인식 가

치,윤리 가치,정서 가치, 술사 가치 등 다양한 가치가 포함될

4) 김정 ,「 술 가치에 한 다원주의:R.Stecker의 비본질주의를 심으

로」,서울 학교 미학과 박사학 논문,2008,p.9.

5) 술 가치와 미 가치의 계에 한 미학자들의 입장은 김정 의 의

책 ‘제1장 술 가치 개념의 필요성’을 참고하라.

Page 19: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0 -

수 있다.6)반면 미 가치는 술 작품뿐 아니라 자연 상도 가질 수

있는 가치로, 개 형식 ,지각 인 특징을 갖는다.7)

컨 피카소가 20세기 최고의 화가로 인정받는 이유는 그의

그림이 통 미 가치인 ‘아름다움’,‘우아함’, 는 ‘숭고함’을 지녔기

때문이라기보다는 오히려 통 조형 질서를 괴하고 자유로운 표 을

추구한 결과 독창 인 조형 언어를 창조해 냈다는 데 있다.이것은 통

의미의 미 가치와는 성질이 다른 술 가치라 하겠다. 다른

로 오 미술에 한 가치 평가를 들 수 있다. 통 의미에서는 미

단 이었던 ‘역겨움’이라는 성질이 오 미술에서는 오히려 술 장

으로 작용하기도 한다.그러나 이와 같은 술 가치에 한 단들

의 규범성에 해서는 본고에서 논하지 않을 것이다.요컨 본고에서는

술 가치에 한 단과 미 가치에 한 단이 서로 다르다는

제 하에 술 가치에 한 모든 단은 논의에서 제외한다.본고의 논

의 상은 미 단의 불일치로 제한한다.

2.미 단의 분류:평결 미 단(verdictive aesthetic

judgment)과 실질 미 단(substantive aesthetic

judgment)

그 다면 본고에서는 모든 종류의 미 단들의 규범성을 논하

려 하는가?그 지 않다.결론부터 미리 말하자면 필자는 미 단의

6) 술 가치에 한 이 설명은 스테커의 입장을 따랐다.Stecker(2003),

“ArtisticValue”inTheOxfordHandbookofAesthetics(ed.)J.Levinson,

New York:OxfordUniversityPress,pp.307-324.김정 ,op.cit.,p.72-96

에서 재인용.

7) 미 가치가 형식 ,지각 인 특징을 갖는다고 할 때,이는 시,소설 등 문

학 작품이 갖는 미 가치를 설명하기 어려운 한계를 갖는다.그러나 이는

회화,조각,음악 등의 시청각 술과 시,소설 등 문학이 갖는 장르 차이

에 따른 것이며,장르에 따른 미 가치, 술 가치 개념의 사용에 한 논

의는 별도의 연구를 요한다.본고에서는 주로 시청각 술에 국한하여 논의

를 진행할 것이기에 미 가치에 한 의 이해가 크게 문제될 것은 없다고

본다.

Page 20: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1 -

규범성이 두 가지 서로 다른 기원을 갖는데,하나는 가치에 따른 규범성

이고 다른 하나는 상 자체로부터 발생하는 규범성이라고 본다.풀어

설명하자면,우리가 어떤 작품을 감상한 뒤 이 작품에 하여 이러 러

한 미 단을 마땅히 내려야 한다고 할 때 이는 두 가지 의미를 갖는

데,하나는 우리가 마땅히 추구해야 하는 어떤 가치가 있으며 그러한 가

치에 근거한 단을 내려야 한다는 의미이고,다른 하나는 그러한 가치

와 무 하게 상 자체가 지닌 성질에 근거해 마땅히 내려야 하는 어떤

단이 있다는 의미이다.본고에서는 자,즉 어떤 가치를 추구해야 하

는지에 한 논의와 이로부터 발생하는 미 단의 규범성에 해서는

다루지 않을 것이다.8)따라서 가치에 한 견해 차이로부터 발생하는 미

불일치를 걸러낼 수 있는 미 단 분류법이 필요하다.

그 다면 언뜻 생각하기에 미 단을 그 내용에 따라 상이

가진 미 속성에 한 진술9)과 미 가치에 한 단으로 나 수 있

을 것 같다.이 분류에 따르면 미 속성에 한 진술이란 상이 갖는

미 속성( 는 미 성질)에 한 진술로서 ‘알 스의 요들이 갖는 성질

하나는 발랄하다는 것이다,’’라 고는 열정 이라 불리는 성질을

갖는다,’ 는 ‘베토벤의 운명 교향곡은 웅장하다’등을 들 수 있을 것이

다.미 가치 단이란 작품이 갖는 미 가치에 한 단을 통칭하는

8) 가치로부터 발생하는 미 단의 규범성을 다루지 않는다고 하여,그 자체

를 부정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오히려 가치 단의 규범성이야말로 흥미로

운 논제라고 필자는 생각한다.다만 가치에 한 논의는 그 자체로 범 하

며 복잡한 하나의 주제이기에,별도의 논의가 필요하다.가치의 규범성에

한 논의가 효율 으로 이루어지기 해서라도 상 자체가 갖는 미 성질에

하여 마땅히 내려야 하는 규범 단을 가려낼 필요가 있으며,이것이 본

고가 하고자하는 작업이다.

9) ‘진술(statement)’과 ‘단(judgment)’라는 두 용어는 유사한 의미를 갖지만

본고에서 필자는 미 속성에 해서는 ‘진술’이란 용어를 사용할 것이다.왜

냐하면 ‘단(judgment)’이라는 용어는 ‘단하다(judge)’라는 단어의 의미

상 이미 그 안에 가치 단을 함축하는 듯한 인상을 주는 반면,미 속성에

한 ‘진술(statement)’은 립 으로 기술한다는 의미가 더 강하다.따라서

미 속성의 비평가 요소에 주목하여 그로부터 미 이견의 해소지 을 찾

고자 하는 본고의 목 을 하여 필자는 ‘미 속성에 한 진술

(statements)’을 사용한다.

Page 21: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2 -

것으로 컨 ‘오나르도 다빈치의 피에타는 숭고하다,’‘신윤복의 미인

도에서 삼회장 고리와 옥색치마,단정하게 빗은 가채와 다소곳한 자세,

매끄러운 얼굴선과 매는 참으로 아름답다’등을 들 수 있겠다.이 때

미 속성에 한 진술은 그것이 지시(refer)하는 미 속성이 평가 속

성인지 아니면 비-평가 속성인지에 따라 평가성을 함축할 수도 있고,

가치 립 일 수도 있는 반면 미 가치 단은 항상 평가성을 함축한

다.

이쯤에서 자연스럽게 한 가지 의문이 생길 것이다. 술하 듯,

미 속성 평가 속성도 있고 가치 립 인 비-평가 속성도 있다

면,평가 속성에 한 진술과 미 가치 단을 어떻게 구분할 수 있

는가?‘이 작품은 우아하다’혹은 ‘이 작품은 아름답다’라는 미 가치

단을 달리 표 하면 ‘이 작품은 우아함이라는 미 속성을 갖는다’ 는

‘이 작품은 아름다움이라는 미 속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의 우아함,아름다움은 평가 미 속성이다.따라서 만약 미

단을 미 속성에 한 진술과 미 가치 단으로 나 는 분류법에 따

라 논의를 진행한다면,평가 미 속성에 한 진술과 미 가치 단

의 구분이 모호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결국 이 분류법은,가치로부터

발생하는 미 단의 규범성은 논의에서 제외하고,감상자가 상에 투

사하는 가치와는 무 하게 상이 가진 성질들로부터 발생하는 미

단의 규범성만으로 논의 상을 좁히고자하는 재의 목 에 부합하지

않는다.그런즉,새로운 미 단 분류법이 필요하다.

이에 필자는 쟁 (NickZangwill)이 제시한 분류법을 따라,미

단을 평결 미 단(verdictiveaestheticjudgment)과 실질 미

단(substantiveaestheticjudgment)으로 나 것을 제안한다.10)그리

고 평결 미 단의 규범성을 본고의 논의에서 제외하고자 한다.

평결 미 단이란, 상이 아름다운지,추한지,어떤 미 장

(aestheticmerit) 는 미 가치(aestheticvalue)를 지녔는지에 한

10) Zangwill(1995),“TheBeautiful,TheDainty and theDumpy,”British

JournalofAesthetics,vol.35.본디 이 분류법은 윤리학에서 얇은 개념(thin

concept)과 두터운 개념(thickconcept)을 나 는 데서 유래한 것이다.

Page 22: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3 -

단을 일컫는다.반면, 상이 ‘앙증맞다’,’땅딸막하다’,’우아하다’,‘섬세하

다’,‘균형 잡혔다’,’따스하다’,‘열정 이다’,‘기괴하다’,’슬 다’,’음울하다’

등의 단들은 실질 미 단에 속한다.말하자면,평결 미 단

은 최종 으로 어떤 평결을 내리는 선언 성격을 띠는 반면,실질 미

단은 그 상이 왜 아름다운지,어떤 방식으로 아름다운지 등을 구

체 으로 설명해주는 단이라 할 수 있다. 상에 한 실질 정보를

담고 있다는 의미에서 실질 미 단이라 일컫는다.이를 앞서 서론

에서 언 했던 ‘을 한 아다지오’에 한 단에 용해보자.

(가)이 곡은 매우 아름답고 훌륭하다

(나)이 곡은 단순하지만,강렬하며,슬픔의 정서를 환기시키고,시 우아

함을 지녔다.

단 (가)는 이 곡의 미 가치에 한 총체 평가이다. 단 (나)는 이

곡이 왜 아름다운지,어떤 방식으로 아름답고 훌륭한지를 상의 구체

성질들을 가리켜 설명해 다. 단 (나)는 단 (가)를 정당화하는 부연

의 성격을 띤다.11)쟁 식의 분류법에서 단과 속성의 계는 간단하

다.실질 미 단이 지시(refer)하는 성질들-단순함,강렬함,슬픔,정

서-환기 임, 시 우아함-이 바로 실질 미 속성(substantive

aestheticproperty)이다.실질 미 속성은 상에 해 구체 으로 말

해주는 바가 있는 속성이며,실질 미 단은 상에 한 구체 진

술인 셈이다.이 듯 실질 미 단은 상에 한 구체 내용을 담

고 있다는 이 평결 미 단과 구분되는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실질 미 단은 상을 어떻게 서술하는가에 따라 가치 립

단일 수도 있고 평가 단일 수도 있다.평가 인 실질 미

단은 상에 한 구체 진술과 함께 이에 한 단자의 평가 태도

가 함축된 진술이다.그 다면 평가 인 실질 미 단은 앞서 미

단을 미 속성에 한 진술과 미 가치 단으로 나 었을 때 미

11) 쟁 은 실질 미 속성과 평결 미 속성 간의 계를 결정

(determination) 계로 보았다.이들 간의 일반 규칙은 없지만,실질 미

속성이 평결 미 속성을 결정한다는 것이다.Zangwill,op.cit.,pp.18-23.

Page 23: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4 -

속성에 한 진술 평가 미 속성에 한 진술과 그 외연이 동일할

것 같다.그 다면 필자는 왜 굳이 쟁 식의 분류법을 따르려 하는가?

앞서 지 하 듯 미 단을 미 속성에 한 진술과 미 가

치 단으로 나 경우,평가 미 속성에 한 한 미 속성 단과

미 가치 단이 구별되지 않는 문제 이 있다.즉 분류는 하 으되 각

각의 범주가 명확히 구분되지 않는 것이다.반면 평결 미 단과 실

질 미 단으로 나 면,비록 실질 미 단에도 평가 단이

포함될지언정,각각의 범주가 명확하게 구분된다는 장 을 지닌다.덕분

에 우리가 논의에서 제외할 수 있는 상이 보다 선명해진다:평결 미

단은 본고의 논의에서 제외한다.나아가 본고가 논의 상으로 삼고

자하는 미 단을 추려내는데 용이하다: 상에 하여 구체 으로 말

해주는 바가 있는 실질 미 단만을 본고의 논의 상으로 삼는다.

본고의 논의 상에서 제외하고자 하는 종류의 단들을 배제시

키고 논의 상으로 삼으려는 특정 종류의 미 단을 명료하게 드러내

고자 하는 목 에 쟁 식의 미 단 분류법이 합하다는 것은 달리

표 하자면 본고에서 최종 으로 주장하려는 바와 이 분류법이 지지하고

있는 이론 배경이 정합 임을 의미한다.결론부터 말하자면 본고는 미

속성이 가치 립 인 상 인상의 형태로 상에 실재한다는 빈

슨식의 상 미 속성론을 옹호하며 이를 기반으로 어떤 미 단들

이 갖는 규범성의 일부는 그 단의 내용이 그 상에 상 으로 실재

하는 미 속성에 부합하는 한 옳거나 타당하거나 하다고 주장할 것

이다.즉 어떤 미 단에 한해서만큼은 상이 지닌 실재 미 속성

에 호소하여 규범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 본고가 최종 으로 주장하

는 바이다.이처럼 실재론을 통하여 미 규범성을 설명하되,미 가치

가 실재하는 가치인지 아닌지,즉 가치에 한 실재론/반실재론 논의는

제외하고 오직 상에 실재하는 속성에 호소하여 실질 미 단의 규

범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이 본고의 핵심이며,이를 해서는 순수하게

가치 평가 인 미 단을 논의에서 제외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그리고

술한 바,쟁 의 분류법이 본고의 이러한 목 에 합하다.본고의 논

Page 24: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5 -

의 상과 논의를 이끌어갈 설명 방식을 간추려 정리해자면 다음과 같다.

(ㄱ)본고는 술 가치 단은 제외하고 오직 미 단의 규범성만을 논

할 것이다.

(ㄴ)미 단들 에서도 으로 가치 평가 이며 상에 하여 구체

이고 실질 으로 말해주는 바가 없는 평결 미 단의 규범성에

한 논의는 제외한다.

(ㄷ)본고에서 그 규범성을 설명하고자 하는 미 단은, 상에 하여 실

질 이고 구체 으로 말해주는 바가 있는 실질 미 단으로 그 상

을 제한한다.

(ㄹ)본고에서는 미 단에 한 규범성 문제를 실재론/반실재론 입장을

통해 설명할 것인데,기존의 실재론/반실재론 논의는 부분 미 속성

과 미 가치의 층 를 구분하지 않고 진행되었다.그러나 이 같은 논

의는 모든 미 속성이 평가 속성임을 제하는 것이며,따라서 가치

립 인 미 속성에 하여 합한 설명을 제공하지 못한다.이에 본

고는 실재론/반실재론 논의는 실질 미 속성과 평결 미 속성로

나 어 별도로 진행되어야 하며,이 실질 미 속성의 실재를 통

해 일부 미 단의 규범성을 설명하고자 한다.

(ㅁ)즉,본고는 실질 미 단이 갖는 규범성의 일부는 상에 실재

하는 미 속성에 호소하여 설명할 수 있다고 최종 으로 주장할 것

이다.

3.미 불일치 규범성에 한 기존의 설명들

3.1미 실재론

미 사고,미 단 는 미 가치가 갖는 객 성 는 규범

성 문제에 한 이론 근은 다양한 방식으로 가능하다.12)그런데 이

12) 여기서 다양한 방식이라 하면 인지주의/비인지주의,상 주의,주 주의/객

Page 25: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6 -

러한 다양한 방식들 에서는 본고는 실재론을 통해 미 단의 규범성

을 설명할 것임을 앞 의 (ㄹ)에서 밝힌 바 있다.미 단의 규범성을

실재론을 통해 설명한다는 것은 곧 실재하는 미 속성 는 (본고의 논

의 상에서는 제외되지만)미 가치에 호소하여 미 단의 객

참을 증명하고 이로써 어떤 미 단이 규범 단인지를 밝힌다는 의

미이다.그 다면 미 논의에서 속성 는 가치가 실재한다는 것은 도

체 어떤 의미인가?미 실재론의 의미를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미 실재론(aestheticrealism)이란 미 인 것(theaesthetic)이

실재함을 주장하는 이론이다.즉 미 실재론은 미 인 것이라 구별해

부를 만한 특별한 것이 있고,그것이 상에 실재한다는 두 가지 주장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13)여기서 미 인 것이란,일상 사고나 언어와

구별되는 것으로서 미 인 것의 개념을 말한다.물론 이 같은 의미에서

의 미 인 것의 개념이 정말 따로 존재하는가에 한 부정 입장도 있

주의 등이 있겠다.이들 인지주의/비인지주의와 실재론/반실재론의 계

를 간단히 살펴 볼 필요가 있다.먼 ,미 단의 진리치(참/거짓)소유 여

부에 따라 인지주의와 비인지주의로 나뉜다.인지주의들은 미 단이 참

는 거짓의 결 상이라 보는 반면,비인지주의자들에 따르면 미 단

이란 미 상에 한 감상자의 호의 /부정 태도의 표 이거나 는 미

상에 한 자신의 반응을 타인에게도 권하는 것일 뿐이며,따라서 진리

치를 소유할 수 없다.그 다면 인지주의와 비인지주의는 실재론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살펴보자.실재론자는 곧 인지주의자라 할 수 있다.왜냐하면 실

재론에 따르면 미 속성 는 미 가치는 상에 객 으로 존재하고 있

으므로,미 술어를 상에 귀속하는 미 단은 미 사실에 부응할 때

참이며,미 사실과 다를 때 거짓이 된다.즉 실재론자는 인지주의를 함축하

는 것이다.그 다면 감상자의 주 이고 평가 인 반응이 상의 미 속

성 는 미 가치를 구성한다고 믿는 반실재론자들은 부분 비인지주의를

지지할 것이라는 을 자연스럽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그러나 모든 반실

재론자들이 반드시 비인지주의를 지지하는 것은 아니다.드물지만 인지주의

를 지지하는 반실재론도 있을 수 있는데, 컨 미 단을 “나는 X를 좋

아한다” 는 “나는 X를 장려할 만 하다고 생각한다”의 형태로 간주하고,이

태도가 단자의 진정한 태도일 때 그 미 단을 참이라고 보는 것이다.

주동률(1995),“결과주의 미 가치 실재론,”『미학』20집, 한국미학회,

_______(1996),“메타미학에서의 여러 입장들,”『음악이 있는 마을-이강숙 회

갑 기념 문집 편집 원회』,민음사.p.747.

13) Bender(2003),“AestheticRealism 2,”TheOxfordHandbookofAesthetics,

(ed.)JerroldLevinson,OxfordUniversityPress.p.81.

Page 26: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7 -

을 수 있으나14),본고에서는 미 인 것의 개념에 한 논의를 더 이상

발 시키지 않고,일상 사고나 언어와 구별되는 특별한 것으로서 미

인 것이 따로 있다는 통 입장을 받아들여 이를 제로 상정하고 논

의를 진행할 것이다.그러나 실재한다는 것이 미 역에서 어떤 의미

로 사용되는지는 밝힐 필요가 있다.

미 속성이 ( 는 미 가치가)실재한다고 할 때 이것이 물리

실재론이기는 어렵다.15)‘우아함’,‘섬세함’,‘란함’,‘음울함’등의 미

속성들이 어떤 상에 물리 으로 존재한다고 생각할 이는 없을 것이다.

그 다면 미 역에서의 실재는 물리 실재가 아닌 다른 방식으로 주

장되어야 할 것이다.한 가지 안은 상의 미 속성( 는 미 가치)

14) 컨 이튼(MarciaEaton)에 따르면 미 속성이라는 것이 따로 있다기보

다 우리가 어떤 것으로부터 미 인 쾌를 느낄 때 그 속성은 미 인 것이 된

다.이튼의 논리 로라면 우리가 빨강색을 보고 이로부터 미 인 쾌를 느낀

다면 빨강 역시 미 속성일 수 있다는 것이다.스크루튼(RogerScruton)역

시 독자 역으로서의 미 인 것의 개념에 회의 이다.그는 어떤 상을

바라볼 때 우리가 취하는 에 따라 그것으로부터 미 인 쾌를 얻어낼 수

있다는 -이론을 주장한다.그러나 미 인 것이라는 독자 개념의 필요

성에 한 논의는 그 자체로 방 한 지면을 요하는 별도의 주제인 반면,본

고의 논의 진행에 필수 인 것은 아니기에 필자의 입장을 밝히는 것으로 만

족하기로 한다.

15) 여기서 물리 미 실재론이란,쟁 의 규정에 따르면,모든 미 사실이

어떤 물리 사실과 동일하거나,모든 미 속성의 화(instantiation)가 물

리 속성의 화로 구성되거나 실 (realizedin)된다고 주장하는 것을 일컫

는다.일례로,물리 실재론에 따르면 “꽃이 아름답다”라고 할 때 아름다움

이란 곧 꽃잎, 기,잎의 물리 배열과 동일시되는 어떤 것이거나 는 그

물리 배열이 꽃의 아름다움을 깨닫게 실 시키거나, 는 바로 그 배열이

아름다움 자체를 구성한다는 것이다.쟁 은 미 실재론이 물리 실재론일

수 없다고 주장하는데,물리 미 실재론에 한 그의 반박은 다음의 두

가지 제를 기반으로 한다.첫째,미 -감각 의존성 이론,둘째,감각 속

성들의 마음-독립성(mind-independence)이론에 한 부정.즉,미 속성은

색 속성 등과 같은 감각 속성에 의존 인데,감각 속성들은 마음에 독립

일 수 없다는 것이다.따라서 그는 이 두 제에 따라 물리 미 실재론

은 거짓이라며,만약 미 속성이 존재한다면,이는 감각 속성들의 형이상

학 지 를 따를 것이며,마음-의존 속성의 한 종류일 것이라고 주장한

다.Zangwill,N.(2000),“SkinDeeporInTheEyeoftheBeholder?:The

Metaphysics of Aesthetics and Sensory Properties,” Philosophy and

PhenomenologicalResearch,vol.61,No.3,pp.595-6.

Page 27: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8 -

에 하여 진술하고 있는 미 단이 진리치를 객 으로 소유한다면,

이때 그 미 속성은 실재한다고 말하는 것이다.즉,미 속성 p에 한

진술인 미 단 J가 객 으로 참일 때,미 속성 p가 실재한다고 하

는 것이다. 컨 베토벤의 운명 교향곡이 웅장하다고 할 때,이 단이

객 참이라면 웅장함이라는 미 속성이 실재한다는 식이다.

그런데 이처럼 미 단의 객 참 여부에 호소하여 그 속성

는 가치의 실재를 주장하는 실재론에 한 반론이 제기될 수 있다.벤

더에 따르면 반실재론자들은 사실과 가치의 차이에 근거해 반박할 것이

다.많은 경우 미 단은 단순한 객 사실의 기술(description)이라

기보다 이미 가치가 개입된 단이다.사실과 가치는 분명 다르다.사실

은 우리와 독립 으로 존재하는 세상의 일부라면,가치는 세상의 일부가

아니라 세상에 한 우리의 의지, ,욕망 등의 투사(projection)라는

것이다.흄 인 투사주의자들을 비롯한 부분의 반실재론자들이 이 같

은 논리로 실재론에 반 한다.이러한 논리에 따르면 미 가치에 한

한 실재론을 주장하기 어려워 보인다.16)

그러나 실재론자들은 객 으로 참 는 거짓인 가치가 분명

있다고 재반박한다.실재론자들이 흔히 로 드는 것은 도덕 선/악의

사례이다. 컨 홀로코스트는 객 으로 악한 행 으며,도움이 필

요한 사람들 돕는 것은 객 으로 옳다는 것이다.17)이와 같은 주장을

16) 그런데 필자의 견해로 사실과 가치의 차이에 근거하는 반론은 가치에 한

미 실재에만 용될 수 있을 뿐,여 히 미 속성에 한 실재론의 가능

성을 열려있다.다만,벤더를 비롯한 반실재론자들은 미 속성과 미 가치

에 한 실재를 구분하지 않았기 때문에 미 가치 실재론에 한 반박이 곧

속성 실재론에 한 반박까지 함축한다고 보는 것 같다.그 다면 자연스럽

게 제기되는 물음은 왜 반실재론자들은 속성과 가치에 한 실재론 논의를

구분하지 않았는가일 것이다. 부분의 반실재론자들은 우리가 어떤 상에

미 술어를 용함으로써 그 상에 미 속성 는 성질을 귀속시키는 행

에는 이미 단자의 평가 태도가 반 된다고 보았다.따라서 반실재론자

들에게 미 속성( 는 미 성질)은 본질 으로 평가 인 것으로 간주된다.

부분 는 모든 미 속성은 본질 으로 가치 평가 이므로,미 가치와

미 속성이 별개의 것이 아닌 셈이다.그런즉 반실재론자들은 미 속성과

미 가치를 굳이 분리시켜 별도로 논의하지 않는 것이다.

17)Bender,op.cit.,p.83. 그러나 홀로코스트는 객 으로 악하며,도움이 필

Page 28: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9 -

받아들인다면,미 실재론에서 어떤 속성이 실재한다는 것은 물리 으

로 존재함을 의미한다기보다,미 술어의 귀속이 객 참 조건을 가

진다고 주장하는 방식으로 개될 수 있는데,더 과 골드만이 바로 이

러한 방식으로 실재론을 다음과 같이 각각 정의하 다.

나는 실재론을 논쟁의 상인 집단(class)이 우리의 앎의 방도와 무

하게 독립 으로 객 인 진리치를 소유한다는 믿음이라고 규정한다

(characterize):즉 그것들은 우리와 무 하게 존재하는(existing)실재

(areality)에 의거하여 참 는 거짓이다.18)

어떤 속성은 그것의 귀속이 주 의 증거와 믿음 체계에 독립 으로

참이라는 의미에서 실재(real)한다.어떤 속성이 마치 (present)하

는 것 같이 보이고 그 속성의 에 한 믿음이 다른 믿음들과 일

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실재 속성의 존(presence)에 한

오류를 범할 수 있다.만약 미 성질들이 상들의 실재 속성들이

라면,그것들이 어떻게 드러나는지(how theyappear)와 그것들의 실

재(how theyare)간에 어떤 차이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19)

쟁 역시 유사한 방식으로,주 의 심 반응과의 독립성을 통해 실재

론을 설명한다.

요한 사람을 돕는 것은 객 으로 선한 행 라고 보는 벤더의 입장에 구

나 즉각 으로 동의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홀로코스트가 정당하다거나 혹은

선한 행 이고,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돕는 것은 옳지 않다는 의미에서 동의

하지 어렵다는 의미가 아니라,그것들이 객 으로 선하거나 악하다고 말할

때 객 성의 의미를 한번쯤 숙고해 볼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객 성의 규정

에 한 논의는 다음의 논문들을 참고하라.Railton,P.(1997),“Aesthetic

Value,MoralValueandAmbitionsofNaturalism”in J.Levinson(ed.),

Aestheticsand Ethics,Cambridge:CambridgeUniversity Press.Miller,

R.(1997),“ThreeVersionsofObjectivity:Aesthetic,MoralandScientific”

in J. Levinson(ed.), Aesthetics and Ethic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Press.

18)Dummett,M.(1978),Truth and Other Enigmas,Cambridge,Mass.:

HarvardUniversityPress,p.146.Bender,op.cit.,p.84에서 재인용.

19)Goldman,Alan H.(1995),Aesthetic Value,Boulder,Colo.:WestView

Press,pp.26-7. Bender,op.cit.,p.84에서 재인용.

Page 29: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20 -

미 실재론은 마음에 독립 인(mind-independent)미 사실 는

상태가 존재한다고 최소한 주장하는 것이다.여기서 마음에 독립 이

라는 것은,어떤 상의 속성 p소유 여부가 우리가 생각하기에 소유

했더라는 것에 의존하지 않음을 말한다.20)

본고는 어떤 미 귀속의 참/거짓 여부가 주 이 마음에 독립 인,혹은

주 의 증거와 믿음 체계에 독립 이라는 의미의 실재론 규정을 따를 것

이다.그러므로 미 속성이 실재한다는 것은 곧 그 속성의 귀속의 참

여부가 감상자의 증거와 믿음 체계에 독립 임을 의미한다.그럼 이제

실재론 그리고 이에 반 하는 반실재론 입장에 따르면 미 불일치 상

이 어떻게 설명되며,이때 각각의 입장에서 미 규범성이 어떻게 설명

되는지 는 설명되지 못하고 포기되는지 살펴보겠다.

3.2미 불일치 규범성에 한 실재론 설명

본고의 주요 심사는 미 단의 규범성인데 미 불일치에

한 실재론/반실재론자들의 설명을 살펴보려는 까닭은,비록 미 불일

치에 한 설명이 그 자체로 곧 실재론 는 반실재론의 입장을 결정하

는 것은 아니지만,미 불일치의 원인을 해명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실재론 는 반실재론 입장이 드러나며,이는 미 단의 규범성에

한 설명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다양하게 나타나는 미 단들 가운데

분명 존재하는 규범 직 을 가장 잘 설명하는 이론을 찾기 하여 기

존의 실재론 는 반실재론을 통해 미 불일치와 규범성이 어떻게 설명

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먼 실재론자들은 미 불일치 상에

하여 어떻게 설명하며,이로부터 미 단의 규범성이 어떻게 설명되는

지 살펴보자.

만약 미 실재론자의 주장 로 미 속성이 우리의 마음 는

믿음체계나 증거에 독립 으로 상에 실재한다면,실재하는 미 속성

즉 미 사실에 한 보고인 미 단은 원칙 으로 동일하게 나타나야

20)Zangwill(2000),op.cit.,p.596.

Page 30: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21 -

한다.즉 상에 실재하는 미 속성을 감상자들이 올바르게 지각하는

한 그 상에 한 미 단들은 일치해야 한다.이런 의미에서 미

속성의 실재는 여러 감상자들의 서로 다른 미 단들이 실은 일치해야

한다는 미 규범성에 한 우리의 통념을 설명해 다 하겠다.21)따라서

만약 감상자들 간 미 단이 불일치한다면 그것은 일부 감상자의 지각

결함이나 상황 조건의 어떤 결함으로 인하여 미 사실이 제 로 지

각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부분의 실재론자들은 설명한다.이 같은 감

상자의 결함 는 상황 결함 등은 교정되어야 하는 것이다.그러므로

결함들이 교정됨에 따라 미 불일치는 해소될 수 있는 것이자 해소되어

야 하는 것이다.

실재하는 미 속성에 한 올바른 진술 즉 미 사실에 부합하

는 미 단은 참인 단이므로 그 상에 하여 마땅히 내려야하는

미 단,즉 규범 미 단이다.그러므로 미 불일치는 상에 실

재하는 미 속성이 어떤 것인지 확인을 통해 해소될 수 있다.이런 의

미에서 미 불일치가 해소되는 그 지 ,다시 말해 상에 실재하는 미

속성들로부터 미 규범성이 발생한다고 하겠다.그런즉 실재론자들

이 미 불일치를 어떻게 해소하려 했는지에 한 조사를 통해 우리는

기존의 실재론자들이 어떻게 미 단의 규범성을 확보하 는지 살펴볼

수 있다.따라서 실재론에서 미 불일치가 갖는 의미를 약술한 뒤,미

불일치를 해소하려는 실재론자들의 시도들을 살펴보겠다.

속성 실재론에 따르면 미 속성은 상에 객 으로 존재한다.

따라서 미 단은 기본 으로 상에 객 으로 실재하는 미 속성

에 한 보고(report)이다.그러므로 미 단은 사실의 문제이다.사실

문제에 한 진술로서의 미 단의 참 는 거짓 여부는 주 의 반응

과 독립 이며,그것이 보고하고 있는 외부 세계 다시 말해 미 사실에

21)쟁 은 미 단의 규범성은 우리로 하여 미 실재론의 입장을 취하도

록 이끄는 강한 동인이라고 설명한다.Zangwill,N.(2003),“AestheticRealism

1,”TheOxfordHandbookofAesthetics,(ed.)JerroldLevinson,Oxford

UniversityPress,pp.67-8.

Page 31: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22 -

부합하는지 여부에 따라 그 진리치가 정해진다.이처럼 미 단의 내

용이 실재하는 속성에 한 사실 보고라면,한 상에 한 서로 다른

감상자 는 비평가들의 미 단이라도 원칙 으로는 모두 일치해야

한다.그러나 우리 실에서는 미 단의 불일치가 분명 발생한다.실

재론자들은 미 불일치가 해소되고 미 단이 일치하는 동의 지 을

반드시 찾아내야 한다.따라서 불일치의 원인을 설명하고,불일치가 해소

되는 지 즉,미 동의 지 을 찾는 것이 실재론자들의 과제이다.

실재론자들이 미 이견을 해소하여 동의 지 을 구하는 기존의

시도들은 그 방식에 따라 크게 가. 하게 포지셔닝 된 감상자에 호

소하는 략(쁘띳),나.언어의 의미에 호소하는 략(제마흐),다.실

재하는 미 속성에 호소하는 략( 빈슨)등으로 나뉠 수 있다.이들

하게 포지셔닝 된 감상자에 호소하여 미 동의 지 을 구하는

쁘띳의 략과 언어의 의미에 호소하여 미 동의 지 을 구하는 제마흐

의 략은 미 규범성을 설명하는데 효과 이지 못하며,미 규범성

설명을 하여 우리가 취해야 할 노선은 실재하는 미 속성에 호소하는

빈슨의 략이라는 것이 본고의 주장이다. 빈슨의 이론은 본고 제 4

장에서 심도있게 다룰 것이다.본 에서는 쁘띳과 제마흐의 실재론이

왜 규범성 확보에 성공 이지 못한지 살펴보겠다.

가. 하게 포지셔닝 된 감상자에 호소하는 략과 문제

쁘띳은 미 속성의 두 가지 문제 특징으로 지각 본성

(perceptual nature)와 지각 으로 포착하기 어려움(perceptual

elusiveness)을 들었다.지각 본성이란,우리가 미 속성을 악하기

해서는 그 상을 직 지각 으로 경험해야만 한다는 특징이다.

내가 어떤 회화 작품을 보고 이를 우아하다 는 기이하다,조 하게

는 느슨하게 구성되었다,몽환 이다 는 에로틱하다,(감상자를)

끌어들인다(inviting) 는 거리감을 유지한다(distancing)이라고 기술

할 때,이것들은 당신이 나의 증언에만 의존하여 알 수 있는 그러한

Page 32: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23 -

것들이 아니다.혹은 나의 증언에만 의존하여 나와 동일한 의미로 이

해할 수 있는 그러한 것들이 아니다.22)

그런데 미 속성은 이 듯 지각 직 경험을 통해서만 포착하고 제

로 이해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에 한 지각 경험,다시 말해

회화 작품에 한 면 한 시각 조사가 곧 그 작품이 지닌 미 속성의

지각을 보장해주지는 않는다.베토벤의 운명 교향곡의 웅장함은 직 들

어야만 지각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곡을 듣는 구나 그 곡의 웅장

함을 느끼는 것은 아니다.고려청자를 수십 번 반복해서 보아도 그 우아

함을 지각하지 못하는 감상자들이 분명 있다는 것이다.이것이 쁘띳이

말한 미 속성의 두 번째 특징,‘지각 으로 포착하기 어려움’이다.단,

유의할 은 쁘띳이 말하는 이 지각 포착의 어려움이 감상자의 결핍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이다.쁘띳은 오리-토끼 그림의 를 들어 설

명한다.어떤 사람이 이 그림을 이미 토끼로 지각하 다면,그 사람에게

아무리 이 그림을 오리-그림으로서 설명하여 다고 해도 그는 이 그림

을 오리-그림으로 승인할 수 있는 치에 이르지 못할 수 있다는 것이

다23).

요컨 ,쁘띳에 따르면,미 속성은 반드시 지각 경험을 통해

서만 포착 가능함에도 불구하고,지각 경험이 그 속성의 포착을 보장

해주지는 않는다는 모순 특징을 갖는다.그리고 이 모순 인 두 특징

이 실재론에 부합한다고 쁘띳은 말한다.미 속성은 상에 실재하며

지각 경험을 통해 포착 가능하지만, 구나 언제든 어떤 상황에서든 그

실재를 그 로 지각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바로 이것이 실재(reality)와

외양(appearance)의 간극이다.

따라서 쁘띳은 실재와 외양의 간극이 사라져 실재를 그 로 지

각할 수 있는 상태로서 하게 포지셔닝 되는 상황 조건 C를 설정하

22) Pettit,P.(1983),“The Possibility of Aesthetic Realism”,Pleasure,

PreferenceandValue:StudiesinPhilosophicalAesthetics,bySchaper,

CambridgePress,p.25.

23)Ibid.,p.56.

Page 33: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24 -

고 이에 한 기술을 시도한다.그리고 이 모든 상황조건이 충족되었을

때 비로소 미 실재는 있는 그 로 지각된다는 것이다.쁘띳의 실재론

이 성립되어 가는 과정을 따라가 보자.

X는 X가 상황 C 하에서 슬퍼 보일 경우 그리고 오직 그 경우에만

슬 다.24)

여기서 상황 조건 C는 작품을 히 감상할 수 있도록 포지셔닝 됨을

의미한다.그리고 쁘띳은 술 작품에서 한 포지셔닝은 a.작품이 보

여 지는 방식의 표 조건,b.기 지식,c.상상력 이 게 세 가지가

필요하다고 보았다.이제 조건들을 함축하도록 다시 도식화 해보면

다음과 같다.

X는 X가 한 포지셔닝 하에서 표 으로 제시되었을 경우 그리

고 오직 그 경우에만 슬 다.25)

24)Ibid.,p.29.

25)Ibid.,p.31.(강조는 필자의 것), 도식에 나타난 ‘ 한 포지셔닝’개념에

해 두 가지 문제 이 제기되었다.월튼에 따르면 미 귀속의 참이 상

이 된다는 것이 첫 번째 비 이다.간단히 소개하자면,작품이 다르게 포지션

될 때마다 각각 다른 미 속성을 갖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면,미 귀속의

참은 기껏해야 참조집단(thereferenceclass)에 상 인 것이 되어버린다는

게 월튼의 비 의 요지이다. 하나의 문제 으로 지 되는 것은 규범 제

한 논변이다.각각의 다양한 포지셔닝의 가능성을 인정하게 되면,이 때의 실

재론은 고작해야 하나의 주 포지션에 특별한 지 를 부여하는 것일 뿐이

다.즉 이에 따르면 한 포지셔닝이란 결국 작품이 슬퍼보이게 하는데 필

요한,혹은 이에 계되는 상상 지각 과정을 규범 으로 기술하는 것일 뿐

이라는 것이 벤더의 비 이다.쁘띳은 이후 보다 세부 인 도식을 제시하

다.

“X는 1) 하게 포지셔닝 되었고 표 으로 제시되었을 때 A로 보

이고 한 (2) 하다고 여겨지는 포지셔닝이 (하나라고 간주하고 이

것이) 한 제약조건들에 의해 승인되었을 경우,그리고 오직 그 경우

에만 X는 A이다.(Pettit1983:37).

그러나 세부 조건을 더한 도식과 필자가 본문에서 제시한 도식 모두

Page 34: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25 -

그런데 바로 이 지 에서 쁘띳의 실재론에 한 비 이 제기될 수 있다.

하게 포지셔닝 된다는 조건에 이미 규범 요소가 함축되어 있다는

것이다.규범 인 요소가 정의에 포함되어 있다는 것은 이미 평가성이

내포됨을 의미한다.즉 작품의 미 속성이 평가 속성이라는 것이며,

보다 엄 하게는 평가성이 미 속성의 정의에 내포된다는 것인데 이는

곧 주 의 평가 반응이 미 속성을 구성한다는 것이므로,실재론이

성립될 수 없다는 것이 쁘띳의 실재론에 한 비 의 요지이다.

벤더는 최 한 하고 유연한 자세를 취하여 쁘띳의 실재론에

한 의 비 에 한 재반박을 시도한다.벤더는 규범 요소를 통해

기술(characterize)한다고 해서 반드시 그 작품에 귀속되는 미 속성이

그 자체로 기술 (descriptive)이지 않고 평가 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

라고 말한다.한 로 “훌륭한 선수들이 선호하는 골 공임”이라는 것은

“훌륭한”이라는 규범 이고 이미 평가 인 듯 한 용어가 사용되고 있지

만 “훌륭함”이라는 것을 “메이 챔피온쉽 회에서 4번 이상 우승한 선

수”라는 식으로 순수하게 기술 인 사실들로 체하여 서술할 수 있다는

것이다.즉,참조 집단 (여기서는 ‘훌륭한 선수들’)을 구체화하는 과정에

서 평가 요소가 개입된다고 해서 그 속성 자체가 평가 속성이라 할

수는 없다는 것이 벤더가 쁘띳을 변호하는 요지이다.

그 다고 해서 벤더가 쁘띳의 실재론 자체를 옹호하는 것은 결

코 아니다.벤더는 쁘띳의 실재론이 의 ‘규범 요소 포함에 따른 평가

성 내포’라는 이유로 인해 문제가 되는 것이 아니라,보다 근본 인 문제

로 인해 실재론이 성립되기 어렵다고 말한다.즉, 에서 벤더가 제안하

듯 규범 인 요소들을 평가 내용들로부터 분리시킨다고 하더라도,

결국 특정 참조 집단에 한 미 귀속의 상 화 일 뿐,미 속성의 실

재를 증명하는 것은 아니라는 이 쁘띳의 이론이 실재론으로서 갖는 치

명 오류라는 것이다.다시 말해 ‘ 한 포지셔닝’개념을 통한 미

‘규범 개념을 이미 내포하고 있다’는 필자가 제기하고자 하는 비 에 동일

하게 노출되고 있다.즉 본문에서 제시한 도식으로 논의를 진행하여도 무방

하다고 본다.

Page 35: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26 -

실재론은,이탈 인 참조집단에 비해 한 것에 한 우선권,특별한

지 의 부여를 함의 하는 것이다.미 실재가 아니라,다양한 미 속성

귀속의 가능성들 특정 집단의 것에 한 특별한 지 부여는 충분한

실재론이 되지 못하다는 것이 벤더의 비 이다.그런즉 쁘띳의 실재론이

입증하는 것은 결국 미 실재가 아닌,반실재론 설명의 우월함이라고

벤더는 평가한다.

벤더의 쁘띳 비 에 필자는 일부 동의한다.특정 참조 집단에 호

소하여 그 실재 지 를 확인하는 쁘띳 실재론의 구조는 기본 으로 흄

이 진정한 비평가에 호소하여 취미와 취미에 한 단의 기 을 확립하

려는 략과 유사한 맥락이다.그리고 필자는 다음 장을 통하여 왜 흄의

이 같은 략이 규범성을 설명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는지 설명

할 것이다.지 까지 살펴본 바,쁘띳의 실재론은 성립하기 어려운 뿐더

러,설사 실재론으로 성립하더라도 이미 규범 지 를 수여 받은 집단

을 통해 미 속성의 실재를 확인하고,그 게 확인된 미 속성의 실재

를 통해 미 단의 규범성을 확보한다는 것은 순환 오류를 범할 뿐

이므로,미 단의 규범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우리의 목 에 합하지

않다.

나.언어의 의미에 호소하는 략과 문제

이제 언어의 의미에 호소하여 미 불일치가 해소되는 지 을

구하고자 하는 제마흐의 실재론을 살펴보겠다.제마흐의 실재론은 크게

다음의 두 가지 논변에 근거 한다: 형 사례에의 호소 논변,과학 실

재론과의 유비를 통한 논변.26)

형 사례에의 호소를 통한 실재론 논변부터 살펴보자.제마흐는

우리가 사용하는 미 술어들 부분이 찰 가능한 속성들에 한 지시

(refer)라는 데에서 논의를 시작한다.제마흐에 따르면 우리는 미 술어

의 의미를 직 으로 실물을 가리킴(ostension)을 통해 배운다.즉 어떤

26)Zemach,E.(1997),RealBeauty,pp.49-56.

Page 36: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27 -

미 술어에 해 우리가 공통 으로 이해된 의미를 갖는다는 것은 다음

을 의미 한다:그 술어가 지시하는 미 속성은 반드시 찰 가능한 것

이고,그 술어가 올바르게 용된 사례들이 충분히 존재하여 우리가 그

형 사례들에 한 찰을 통해 그 술어의 의미를 배웠기에 비로소 어

떤 미 술어는 공통 으로 안정된 의미를 갖는 것이다.그런데 우리

실을 보면 주요한 사례들이나 형들에 있어 분명 의견의 일치가 존재한

다.이는 곧 최소한 어떤 미 속성들은 찰 가능하며,이를 통해 공통

으로 안정된 의미가 있는,즉 실재하는 속성이라는 것이 제마흐의 주

장이다.따라서 제마흐에 따르면 실재 미 귀속을 지지하는 핵심 인

사례들에 있어서는 충분한 동의가 있으며,여 히 남아있는 미 불일치

들은 이견을 가진 비평가 한 쪽이 결함이 있는 비평가로 잘못된 단

을 내린 것이거나,아니면 그 술어가 지시하는 속성의 경계(borderline

cases) 는 주변부(marginalcases)에 치한 사례들이라고 설명한다.

즉 용어의 용이 애매한 경계에 있는 사례들에 한해 불일치가 생기는

것이지,미 속성이 실재하지 않아서가 불일치가 발생하는 것은 아니라

는 것이다.이를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어떤 미 술어가 공통된 의미를 가지려면 반드시 형 사례

들에 있어 일치가 필요하다.[필요조건]

(2)어떤 미 술어의 형 사례들에 해 일치한다면,미 실재

론자들의 설명은 참이다.[충분조건]

제마흐의 형 사례 논변은 일견 그럴 듯하게 보인다.그러나 이

논리 로라면 우아함,숭고함과 같은 추상 인 미 속성들 뿐 아니라

지나치게 많은 상들에 해서까지 실재론을 옹호하게 되어버린다.제

마흐의 이 논변에 따르면 니스호의 괴물이나 유니콘 역시 우리가 모두

동의하는 어떤 공통 의미와 형 사례들이 있으므로 그것들의 실존

까지 인정해야 하는 치에 몰리게 된다고 쟁 은 비 한다.27)벤더 역

27)Zangwill,N.(2001),MetaphysicsofBeauty,CornellUniversity Press,

pp.203-4.

Page 37: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28 -

시 같은 맥락의 비 을 제기한 바 있다.28)요컨 제마흐의 형 사례

논변을 수용하면,실제로 실재하지 않는 속성들까지 무 많은 것의 실

재를 허용해야만 하는 문제 이 있다.

골드만은 보다 다층 으로 제마흐의 논변을 반박하 다.29)제마

흐는 의 설명에서처럼 미 동의 지 을 설명한 뒤,그럼에도 불구하

고 남아있는 미 불일치들은 일부 비평가들의 자질이 부족해서이거나

는 미 술어의 용이 애매한(vague)경계의 사례들에 한해서 불일치

가 발생하는 것이라고 주장하 다.그러나 골드만은 비평가의 결함으로

부터 미 불일치가 발생한다고 간주하더라도,색맹의 색 단의 오류를

쉽게 밝힐 수 있는 것과 달리 미 단에서는 감상자의 단 이외에는

단자의 결함을 증명할 다른 물리 증거를 찾기 어렵다고 반박한다.

미 단은 근본 으로 감상자의 내 인 감각 경험에 기반하는 것으로,

감상자의 미 진술 이외에 이를 제 3자가 객 으로 확인할 방법이 없

다는 것이다.

한 미 단의 불일치가 용어 용이 애매한 경계 사례들에

한해서 발생하는 것이라는 제마흐의 주장에 하여 골드만은 미 이견

으로 논쟁하는 실제 사례들이 모두 미 술어 용의 옳고 그름의 애매

함에서 비롯된 이견은 아니라고 반박한다.‘애매한 경계 사례’들이란,

머리와 숱 많음처럼 회색지 가 존재하는 경우를 일컫는데,미 속성의

귀속에 있어서의 불일치들은 꼭 이런 경우만은 아니다. 컨 군가는

“힘차다,강렬하다(powerful)”는 미 술어를 귀속시키는 작품의 성질에

해 다른 이는 “소란스럽다(raucous)” 는 “귀에 거슬린다(strident)”고

하는 경우,이는 이들 미 술어의 용이 ‘애매한’이유로 이견이 생기

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골드만의 설명이다.차이코 스키의 교향곡 제 6

번에 하여 어떤 이는 “통렬하다(poignant)”고 하고 다른 이는 “신

(maudlin)”이라고 할 때 이들 사이에 회색지 가 있는 것 같지는 않

다.

28)Bender,op.cit,pp.95.

29)Goldman,op.cit.,,pp.31-35.

Page 38: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29 -

마지막으로 골드만은 핵심 인 형 사례들에 한 미 단은

일치하고,그 외에 남아있는 미 불일치들은 미 술어의 애매함과 회

색지 의 존재로 인한 것이라는 제마흐의 주장을 인정한다고 하더라도,

이것이 곧 미 속성의 실재를 입증해주는 것은 아니라고 지 한다.다

시 말해, 형 사례들에 있어 미 단이 일치한다고 해서,이것이 곧

필연 으로 미 속성의 실재를 증명해주는 것은 아니다.미 술어

용에 있어서의 동의는 그 술어에 한 공통 의미를 허용하기에는 충분

하지만,그 술어가 지시하는 속성의 실재까지 입증하는 것은 아니다.어

떤 미 술어는 그 술어의 용에 있어서 최소한의 형 사례들에 해

반드시 일치하지 않더라도 그 술어의 의미는 표 기능에 호소하여 공

유될 수 있다.요는,미 술어의 의미는 술 작품에 한 미 술어

용의 형 사례들에 있어서의 동의를 반드시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제마흐의 논증은 유효하지 않다는 것이다.

이제 제마흐의 두 번째 논변을 검토해보자.이 논변의 요지는 과

학 이론과 유비하여 미 속성의 실재를 주장하는 것이다.제마흐에

따르면 과학 실재론자는 미 속성에 해서도 실재론을 지지해야한

다.왜냐하면 과학 이론의 설명 유용성 단에 흔히 사용하는 기 들

인 단순성,정 함(elegance)30),일 성,통일성 등은 가장 형 인 미

속성들이기 때문이다.따라서 만약 이 미 속성들이 어떤 과학 이론에

실재하는 것이 아니라면,과학자들은 그 과학 이론을 참이라고 믿을 근

거가 무 진다는 것이 제마흐의 논리이다.31)

두 번째 논변 역시 여러 미학자들의 반박을 불러왔다.골드만은

제기한 반론은 두 가지이다.첫 번째는,설사 논변이 타당하여 미

실재론이 성립한다고 할지라도 이 논변은 오직 제한 인 미 속성에

한 실재만을 입증해 다는 이다.구체 으로 말하자면,미 속성들

에서도 형식 미 속성들,그리고 형식 미 속성들 에서도 과학

이론이 추구하는 극히 일부의 속성들만이 논변에 의해 그 실재가 정

30) 어 “elegance”는 미학에서는 우아함,고상함을 의미하지만 과학에서 사용될

때에는 통상 정 함,정확함,간결함을 함축하는 의미로 사용됨에 유의하라.

31)Zemach,op.cit.,pp.56-70.

Page 39: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30 -

당화된다.이 논변의 두 번째 문제 은,어떤 미 술어가 과학 이론에서

설명 유용성의 기 으로 사용되었을 때와 미 역에서 사용되었을

때 이는 같은 의미로 사용된 것이 아니라는 이다. 컨 ‘단순성’이라

는 용어가 술 비평에서 사용될 때 갖는 평가 의미와 요성은 과학

이론의 설명 유용성으로서의 단순성과 다르다는 것이 골드만의 설명이

다.과학에서의 단순성은 항상 이론 장 으로 작용하는 반면, 술 작

품에서는 단순성이 반드시 항상 작품을 좋게 만들지는 않는다.32)여기에

쟁 역시 반론을 보태었다.과학 이론은 추상 상인데,추상 상

이 미 속성을 소유할 수 있는지도 의문스럽거니와,설사 소유할 수 있

다고 하더라도 제마흐가 논변을 통해 밝힌 것은 어떤 과학 이론이 단

순성이라는 속성을 가졌다는 것일 뿐,단순성이라는 미 속성이 실재함

을 밝히지는 못했다고 쟁 은 지 한다.33)

지 까지 우리는 실재론 입장에서 미 불일치를 해소하고 미

동의 지 을 구하려는 이론 노력 첫째,작품 제시와 감상의

한 포지셔닝 개념을 통해 구하려는 시도와 둘째,언어의 의미를 통해

구하려는 시도를 각각 검토해보았다. 술한 바, 두 가지 방법을 통해

실재론이 성립하기는 어려워 보인다.미 속성이 실재함을 입증하지 못

하 기에 규범성 한 설명되지 못하고 있다.그 다면 빈슨의 속성

실재론만이 남아 있다.그러나 본고에서 최종 으로 옹호하려는 빈슨

의 실재론을 수용하기 이 에 먼 반실재론을 통해 미 규범성을 설명

할 수는 없는지 그 가능성을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3.3미 불일치 규범성에 한 반실재론 설명

타인의 행 ,태도,동기 등에 한 단을 모델로 삼는 벤더의 반실재론

술한 바,실재론에 따르면 미 단은 상에 객 으로 실

32)Goldman,op.cit.,pp.35-6.GouldC.S.(1994),“TheRealityofAesthetic

Property:A Response to Goldman,” JournalofAesthetics and Art

Criticism,vol.52,no.3,pp.349-351.

33)Zangwill,op.cit.,pp.203-4.

Page 40: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31 -

재하는 미 속성에 한 사실 진술이기에 만약 미 실재론이 성립한

다면 참인 미 단의 기 이 확립될 것이며,따라서 미 단의 규범

성은 자연스럽게 설명될 수 있다.(비록 에서 살펴본 두 가지 형태의

실재론은 그 성립에 실패하 지만 말이다.)

반면 반실재론은 상에 객 으로 존재하는 미 속성의 실재

를 제하고 있지 않다.미 반실재론이란,앞서 살펴본 실재론의 정의

에 하여 규정해보자면,미 속성( 는 가치)의 귀속이 주 의 증거와

믿음 체계 는 주 의 반응에 의존 이라고 주장하는 입장이다.즉 반

실재론에서 미 단은 주 의 반응에 본질 으로 기반 한다.이 듯

주 의 반응이 미 성질 는 미 속성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본질 으

로 개입하는 바,미 성질 는 미 속성은 본유 으로 평가 인 특징

을 갖는다.이 듯 미 단의 주 성과 경험성에 주목하는 반실재론은

미 단의 다양성을 설명하는데 용이하다.반실재론에 따르면 미 불

일치는 굳이 해소시켜야 하는 문제 상 는 오류라기보다는,개인의

다양한 경험,취미와 감수성의 차이에 따라 발생하는 자연스러운 상인

것이다.달리 말하자면 미 불일치에 하여 반실재론자들은 실재론자

들보다 하다.미 단이 미 사실의 보고(report)라고 보는 실재

론자들은 따라서 미 불일치가 해소되는 동의 지 을 찾아내야 하는 과

제가 주어진 반면,반실재론자들에게 미 단이란 본디 상에 한

감상자의 평가 반응의 표 이기에 굳이 미 동의 지 을 찾아내야 하

는 의무는 없는 것이다.실제로 부분의 반실재론자들은 자신의 이론의

지지 근거로서 미 단의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들을 밝히고 설명할

뿐,미 동의 지 을 찾아내는데 주력하지는 않는다.34)그 다면 미 사

실로서 미 단들이 일치하는 지 에 호소하지 않으면서,즉 실재하는

34) 외가 골드만이다.골드만은 반실재론 노선을 견지하면서도,미 단

의 규범성을 확보하려 노력하 다.골드만에 따르면 개별 감상자와 취미가

동일한 이상 비평가가 내렸을 미 단이 정당한 미 단이라는 식이

다.따라서 골드만 이론 로라면 취미가 동일한 이상 비평가들 간에는 미

단이 일치해야 한다.그러나 이 방식을 성공 이지 못하며 필자는 그

이유를 제 3장을 통해 밝힐 것이다.

Page 41: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32 -

미 속성이나 가치에 호소하지 않고 다른 방식으로 미 단의 규범성

이 설명될 수 있을까?혹은 반실재론자들은 규범성 자체를 부정하는가?

미 단의 규범성에 한 이 물음들을 벤더의 이론35)을 통해 살펴보자.

벤더는 미 이견이 발생하는 원인을 다양한 측면에서 설명하

다.먼 술가의 표 능력에 따라 미 이견이 발생할 수 있다.우리

가 어떤 작품을 보고 그 작품에 컨 ‘우아함’이라는 미 속성이 마치

실재하는 것처럼 여기게 되는 것은 그 작품을 제작한 작가가 ‘우아함’을

표 하고자 했던 의도를 성공 으로 수행하 기 때문이다.그가 달하

고자 했던 메시지가 효과 으로 드러나고 있기에 그 작품을 본 감상자들

이 하나같이 공통된 반응(consensusresponse)을 보이는 것이며 이 때문

에 마치 미 속성이 실재하는 듯 여겨질 수 있다는 것이다.그러나 이

는 어디까지나 그 술가의 뛰어난 실력의 징표일 뿐,미 속성의 실재

를 입증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벤더의 설명이다.반 로 말하자면,

술가가 미 메시지를 효과 으로 달하지 못하면 미 이견이 발생하

게 되는 것이다.

미 이견 발생의 두 번째 원인으로는 평가의 기 의 차이를 들

수 있다.벤더는 평가를 한 공통된 기 이 없거나,공통된 기 들이 있

더라도 각각의 기 에 부여하는 요도가 단자마다 다를 때,미

단의 불일치가 발생한다고 보았다.기 는 기 들 각각에 한 요

도의 차이로 말미암아 발생하는 불일치들 어떤 경우는 단순히 평가

차원에서의 불일치이다.즉,작품의 미 속성이나 해석 속성에 해서

는 동의함에도 불구하고,서로 다른 기 에 근거하 기에 서로 다른 평

가를 내리는 경우를 말한다.그러나 많은 경우,기 의 차이는 미 술어

용 자체의 차이를 가져온다고 벤더는 설명한다.왜냐하면, 부분의 미

용어들은 단순히 기술 이라기보다는 “평가 함축(evaluative

overtones)”36)을 가지기 때문이다.기 의 차이로 인해 미 술어 용

35)Bender,J.W.(1996),“Realism,Supervenience,andIrresolvableDisputes,”

JournalofAesthetics and Art Criticism,vol.54,no.4,pp.371-381.

_________(2001),“Sensitivity,Sensibility,andAestheticRealism,”Journal

ofAestheticsandArtCriticism,vol.59,no.1.73-83.

Page 42: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33 -

자체가 달라지는 경우이든,아니면 작품의 속성과 해석에는 동의하되 이

에 한 평가 차원에서만 의견이 달라지는 경우이든,두 경우 모두 작품

의 비-미 지각 속성에 한 찰자들의 경험은 비슷비슷하다.

그러나 일반 인 기 의 유무가 덜 계되면서 미 평가가 불

일치하는 다른 원인이 있다.바로 감수성(sensibility)의 차이37)이다.

벤더는 감수성을 다음과 같이 규정하 다.

감수성이란,작품에서 미 요성을 갖는,즉 가치를 생성하거나 가

치를 하하는 속성, 특성, 계들을 확인하는(identify) 경향

(disposition) 는 성향(propensity)을 일컫는다.38)

인용에 따르면 감수성의 차이는 작품에서 미 가치가 어디 있는가에

한 견해의 차이이며,감수성 발달의 차이는 가치의 근원으로서 다양한

속성과 계들을 찾아내는 능력의 차이를 말한다.그리고 감수성의 변화

는 특정 속성 는 계가 가치를 고양 시킨다 는 하한다고 보던 시

각의 변화를 의미한다.39)감수성의 차이와 변화,발달에 한 벤더의 설

명은 서로 다른 감상자 간의 미 불일치뿐 아니라 한 개인이 동일한 작

품에 해 서로 다른 시 에서 내린 미 단의 불일치까지 설명할 수

있다.서로 다른 감상자들 간의 미 단 불일치는 감수성의 차이로

는 두 사람 간 감수성 발달의 차이로 설명될 수 있겠다. 어떤 사람이

36)Bender(2001),p.73.

37) 감수성과 기 의 차이를 분류했다고 해서,감성과 기 이 서로 다른

것이라 주장하는 것 한 아니라고 벤더는 밝히고 있다.

38)Bender,op.cit.,p.74.

39)Bender,op.cit.,p.74.벤더는 감수성이 다르다고 해서 반드시 작품의 지각

( 는 상 )속성을 경험하는 방식이 달라지는 것은 아니라고 밝힌다.

그런데 바로 이처럼 상 인 속성에 한 경험은 동일하면서,감수성의 차

이에 의해 평가 미 단이 달라지는 경우,이는 빈슨의 이론으로 충분

히 설명될 수 있는 부분이라고 필자는 생각한다.벤더의 이론 반이 평가

인 미 단에서의 불일치에 한 설명에 주목하고 있음을 고려할 때,만약

벤더의 논의를 가치 립 속성 차원에서의 불일치와 평가 미 불일치로

세 하게 분리해낼 수 있다면 결국 빈슨식의 상 속성 실재론과 양립

가능할 것이라는 것이 필자의 견해이다.

Page 43: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34 -

은 시 내린 미 단과 동일 작품에 해 나이가 들어 내린 미

단이 달라지는 것은 감수성 발달 는 감수성의 변화로 설명된다.

요컨 벤더에 따르면 미 불일치는 술가가 미 메시지를

효과 으로 달하지 못하 거나,평가의 기 이 다르거나 는 감상자

들 간의 감수성이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그런데 이 이유들만

으로는 미 실재론을 반박하기 어렵다.왜냐하면 세 가지 원인 모두

작품에 한 내 경험 자체의 차이라고 보기는 어렵기 때문이다.감수

성이 다르다고 해서 작품의 비-미 인 속성들에 한 지각이 달라질 것

같지 않거니와,비-미 속성들에 한 지각이 동일하게 유지되는 한 작

품에 한 내 경험 역시 동일하게 유지될 것이다.벤더 스스로도 감수

성이 다르다고 해서 반드시 작품의 지각 ( 는 상 )속성을 우리가

경험하는 방식이 달라지는 것은 아니라고 밝힌 바 있다.40)그 다면 감

수성이 달라서 작품에 한 미 단이 다르게 나타난 두 감상자들이라

도 그들 간의 내 경험은 사실 동일하거나 거의 동일했을 수 있다.그

리고 만약 내 경험이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면,바로 그 동일한 내

경험에 호소하여 미 속성의 실재를 주장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벤더가 실재론을 기하고 반실재론 입장을 유지하고

싶다면,미 단의 차이가 반드시 내 경험의 차이에 기인한다는

을 보일 필요가 있다.이에 벤더는 어떤 미 불일치는 민성

(sensitivity)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이라는 주장을 추가한다.41)그 내용

은 이러하다.지각 자극에 한 민성은 사람마다 다르며,같은 사람

에게서도 시간이 흐름에 따라 달라지기도 한다. 컨 나이가 들면 맛

에 한 감각이 둔해지면서 음식의 간이 강해지는 것을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다.사람마다 민성은 각기 다른데,벤더는 이처럼 각기 다른

민성으로 인하여 동일한 상에 한 미 경험의 강도와 정도

(intensity/degree)가 달라진다고 말한다.감상자의 민성의 차이는 상

에 한 내 경험의 차이를 래하며,이는 곧 어떤 작품에 한 가치

40)Bender,op.cit.,p.74.

41)Bender,op.cit.,pp.76-78.

Page 44: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35 -

립 기술과 평가 기술 양자 모두 민성의 변화에 향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벤더의 주장처럼 만약 민성 때문에 작품에 한 지각

과 내 경험 자체가 달라질 수 있고,이것이 그 작품에 한 가치 립

인 기술에도 향을 미칠 수 있다면,이는 미 속성의 귀속이 주 의

증거나 믿음체계에 독립 이지 않음을 보여주는 바,속성 실재론은 성립

되기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빈슨은 민성의 차이로 인한 의견의 불일치는 궁극

으로 해소될 수 있는 것이므로 실재론에 한 반박으로 유효하지 않다고

주장한다.42) 빈슨에 따르면 민성이란 어떤 기 을 세워 조율

(calibrate)할 수 있는 요인이다.우리가 시지각 능력을 일정 기 에 따라

측정하고 보조 도구의 도움을 받아 특정 상을 보기에 최 화 된

벨(optimallevel)로 교정하듯이,혹은 일일이 개별 감상자들의 시지각 능

력을 교정을 통해 통일시킬 수 없을지라도 ‘정상 지각자’개념을 상정할

수 있듯이 다른 지각 능력들 한 그러하다는 것이다.만약 이 게 모든

지각 능력들이 표 화될 수 있다면,지각 속성, 상 속성의 지각 자

체에 있어서의 차이를 근거로 반실재론을 주장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물론 벤더는 민성의 최 화 벨(optimallevel)을 부정한다.

그러나 어떤 경우 상의 지각 속성, 상 속성을 올바르게 지각하

기 해 필요한 시각이나 청각 능력을 표 화하고 그 차이를 측정할 수

있으며,실제로 그러한 사례들을 찾아볼 수 있다.우리는 기본 인 시력,

청력 검사를 행하는데,이는 우리의 시지각 능력,청력을 측정하고 ‘정상’

의 범 를 규정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 그래픽디자이 는 웹상에서

구 하게 될 작품이 최 의 상태로 달되기를 바라며 모니터의 스크린

해상도,색 구 등에 있어 최 화 조건을 따로 표기하기도 한다.오디오

기기의 이 라이 를 이용해 특정 주 수 역을 올리거나 내림으로써

특정 장르에 최 화된 음향으로 조 하는 것 한 특정 장르 는 특정

42) Bender, op. cit., pp. 79. Levinson, J.(2001),“Aesthetic Properties,

EvaluativeForce,and Differences in Sensibility,”in E.Brday and J.

Levinson (eds.), Aesthetic Concepts: Essays after Sibley, Oxford

UniversityPress,pp.61-80.

Page 45: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36 -

한 곡 감상에 최 화 수 이 존재함을 시사한다.물론 후자의 두 가지

사례는 감상자의 시각,청각 능력 자체의 민성을 조 하는 것은 아니

다.하지만 시/청각 능력이 정상 으로 규정되었을 때 특정 장르나 작품

감상에 가장 합한 최 화 벨이라는 것이 표 으로 존재할 수 있음

을 시사한다.요는, 민성으로 인한 내 경험의 차이가 결코 표 화될

수 없거나 주 의 평가 반응과 분리될 수 없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서로 다른 감상자라도 민성이 같다면, 는 같아지도록 교정할 수 있

다면 상에 한 내 경험이 동일할 수 있다.따라서 벤더의 주장에

의해 실재론이 기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어 거나 다양한 원인에 의해 미 단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서로 이견이 생길 수 있다는 벤더의 찰은 동의할 만하다.그 다면 미

단이 이 듯 여러 가지 원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므

로,따라서 모든 개별 단들 각각이 모두 옳다, 하다,타당하다고

인정해야만 하는가?다행히도 벤더 역시 이 같은 극단 인 주 주의는

피하고자 한다.그 다면 어떻게 반실재론 입장을 견지하는 동시에 극

단 주 주의를 피할 수 있을까?

벤더는 미 단은 마치 타인의 행동,태도,동기에 해 우리

가 단하는 행 와 유사하다며,이를 미 반실재론의 모델로 삼을 것

을 제안한다.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다른 이의 행 ,태도,동기 등에

한 우리의 단은 종종 불일치한다.우리가 다른 이의 행 ,태도,동

기 등에 해 단한다는 것은 곧 그 사람에 한 우리의 반응을 표 하

는 것이다.그러나 무작정 아무런 근거 없는 반응을 표 하는 것은 아니

다.우리는 타인의 행동이나 태도에 하여 단을 내릴 때,왜 그런

단을 내렸는지 근거를 제시한다.그리고 이때 단과 근거의 계를 통

해 정당한 귀속과 정당하지 못한 귀속을 구분할 수 있다.그런데 만약

어떤 이의 태도 X에 하여 나의 단과 제 3자와 의견이 불일치 할 경

우,‘그의 태도 X는 나에게 특정 방식으로 다가온다’는 식의 보다 주

인 주장으로 후퇴하기도 한다고 벤더는 말한다.43)미 단도 이와

43)Bender(2003),p.96.

Page 46: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37 -

유사하는 것이다.즉 어떤 미 상에 해 단한다는 것은 그 상에

한 우리의 미 반응을 표 하는 것이다.그러나 아무런 근거 없이 무

작정 “베토벤의 운명 교향곡은 발랄하고 경쾌하다”라고 말하지는 않는

다.벤더에 따르면 미 단은,비록 단자 본인의 반응을 토 로 내리

지만 그 근거는 그 미 상을 통해 제시해야 하며,이때 단과 근거

간의 계에 따라 정당한 미 귀속과 정당하지 못한 미 귀속을 구분

할 수 있다.그리고 미 불일치가 발생할 경우 ‘나는 베토벤의 운명 교

향곡을 웅장하다고 느 다’혹은 ‘베토벤의 운명 교향곡은 내게 웅장하게

다가왔다’는 식의 주 주장으로 일보 후퇴한다.

이처럼 미 단의 규범성에 한 벤더의 논의는 술한 미

단의 정당화 방식에 한 언 에 그친다.즉,그는 상의 속성들을 미

단의 근거로 제시함으로써 미 단을 정당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컨 ,벤더의 설명에 따르면,나는 베토벤의 운명 교향곡을 웅장하고

단했는데, 군가 이와는 다른 미 단을 제시했다면 이때 내

가 왜 이 곡을 웅장하고 단했는지를 음색,화성 개,낮은 음조 등

상의 비미 객 성질들을 통해 정당화 할 수 있어야 한다.그런데

이처럼 상의 객 성질에 호소하여 미 단을 정당화해야 한다는

벤더의 주장이 곧 미 단의 규범성 즉 어떤 작품에 하여 우리가 마

땅히 따라야 하는 단이 있다는 통념을 충분히 설명하는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즉,미 규범성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을 모색하는 본고의 목

에 부합하지 않는다.

나아가 벤더는 민성에 따른 내 경험의 차이를 충분히 입증

하기 못하 다는 은 빈슨식의 속성실재론의 가능성과 양립 가능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데,이는 본고가 궁극 으로 옹호하려는 입장에 힘을

실어주는 셈이다.타인의 행 ,태도,동기에 한 단 행 를 미 반

실재론의 모델로 제안하는 벤더의 이론은 미 가치 단에 한 설명으

로서 고려해 볼 만 하다.따라서 미 실재론을 기하고 반실재론을 주

장하고자한다면 벤더는 동일한 상에 하여 미 이견으로 논쟁하는

감상자들의 내 경험 자체가 다르다는 것을 보여야 한다.이에 벤더는

Page 47: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38 -

후속 논문을 통해 민성의 차이에 의해 지각 자체가 다를 수 있고 따라

서 내 경험 자체가 다를 것이라고 주장하지만,이에 해 빈슨은 감

상자의 민성을 교정하거나 최 의 감상을 한 민성 벨을 표 화

하여 ‘정상’범 를 규정할 수 있다고 반박하 다.결국 벤더는 동일한 미

상에 하여 감상자들의 미 단이 다른 원인이 감상자 각각의

민성이 다르며 따라서 그 상에 한 내 경험 자체가 서로 다르기

때문임을 입증하지는 못한 것이다.만약 감상자마다 동일 상에 한

내 경험 자체는 공통 이고,단지 이에 한 평가 태도만이 달라 미

단이 달라지는 것이라면 이는 결국 빈슨식의 속성 실재론의 가능

성을 여 히 열어두는 셈이다.

4.소결

본 장에서는 먼 술 가치와 구별되는 의미에서 미 단,

그 에서도 으로 평가 인 평결 단은 제외하고 오직 실질 미

단만을 논할 것임을 명시하 다.그리고 후반부에서는 기존의 실재

론이 미 불일치를 설명하는 방식을 크게 세 가지로 나 어 이들 두

가지,즉 쁘띳의 설명과 제마흐의 설명을 검토하 는데,그 결과 이들 모

두 미 규범성 확보에 성공하지 못할 뿐더러 실재론 성립 자체에 어려

움을 겪고 있음을 확인하 다.그 다면 미 규범성 설명을 해 우리

가 취할 수 있는 노선으로 빈슨식의 상 속성 실재론이 남는다.그

러나 이를 최종 으로 택하기 이 에 반실재론을 통한 미 규범성의 설

명 가능성 한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이에 벤더의 이론을 고찰하 다.

벤더는 미 단을 타인의 행동,태도,동기에 한 단에 유비시켜 설

명할 것을 제안하 는데,결론 으로 이 같은 이론은 미 가치에 한

단들에 한 논의에서는 고려해 직 하지만,여 히 미 속성 실재론

의 가능성은 열어둔다는 것이 필자의 분석이었다.

그러나 벤더의 이론 고찰만으로 반실재론을 통한 미 규범성

설명이 실패한다고 결론짓기는 이르다.미 규범성 설명에 효과 인 이

Page 48: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39 -

론으로서 빈슨식의 속성 실재론을 옹호하기에 앞서,보다 설득력 있다

고 여겨지는 반실재론 설명 방식에 한 추가 검토가 선행되어야 한

다.이에 본고는 미 규범성을 설명할 수 있는 가장 유력한 반실재론의

후보로 골드만의 이론을 검토할 것이다(제3장).그러나 골드만 이론에

한 비 검토에 앞서 그의 이론의 모태라 할 수 있는 흄의 이론을 검

토할 필요가 있다.이로써 흄과 골드만식의 이론이 미 규범성 설명에

실패할 수밖에 없는 본질 원인이 드러날 것이기 때문이다.이것이 다

음 장에서 다룰 내용이다.

Page 49: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40 -

II.미 단의 규범성에 한 흄의 이론과 문제

본 장에서는 주 인 미 단들이 다양하게 나타나는 가운

데에서도 객 인 기 을 구하고자 한 시도의 출발 으로 흄(David

Hume)의 취미의 기 을 살펴볼 것이다.흄이 규범 미 단으로서

제시한 취미의 기 은 미 단의 주 성과 객 성,다양성과 객 성의

조화를 모색한 최 의 이론이라 할 수 있다.따라서 그의 이론에 한

이해를 통해 본고의 주요 심사인 미 규범성에 한 이론의 역사를

짚어볼 수 있다.더욱이 흄의 이론은 본고의 제 3장에서 가장 설득력 있

는 미 반실재론으로서 검토할 골드만의 이론 모태이기도 하다.흄이

그러했듯 골드만 역시 특정 자격을 갖춘 소수의 단자들의 단에 호소

하여 미 규범성을 설명하는 방식을 취한다.따라서 본격 으로 골드만

의 논의를 고찰하기에 앞서 흄의 이론을 살핌으로써 골드만 이론의 뿌리

를 이해하고,나아가 그 이론이 본질 으로 지닌 한계를 드러내기 한

석을 마련하고자 한다.이에 본 장의 반부는 흄의 「취미의 기 에

하여」의 사 배경과 논증을 이해하는데 할애할 것이며,후반부에서

는 흄의 취미의 기 에 제기되어온 기존의 비 들 가운데 골드만의 이론

에 공통 으로 용되는 비 들을 심으로 소개할 것이다.

1.흄의 취미의 기

1.1사 배경 의의

‘다양한 미 단들 가운데 존재하는 규범 직 을 어떻게 설

명할 것인가?’에 한 고민의 역사는 국의 경험주의 철학자 흄으로까

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1757년 출간한 『네 개의 논문들(Four

Dissertations)』에 수록된 「취미의 기 에 하여」에서 흄은 취미 그

리고 취미에 한 단들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남에도 불구하고 각각의

취미나 취미 단에 차등 지 가 부여되는 상을 찰하고,이에

Page 50: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41 -

한 설명을 시도하 다.20여 페이지에 달하는 이 논문은 짧은 분량에도

불구하고 미의 주 성과 객 성,취미 단( 는 미 단44))의 다양성

과 규범성,보편자와 개별자의 문제 등 오늘날까지도 심이 이어지고

있는 미 미학의 근본 논제들을 다루고 있다.주제에 있어서 뿐 아니

라 흄의 논증 개 방식과 서술 자체가 이 독해의 가능성을 지닌 까

닭에 다양한 해석을 불러일으키며 250여 년이 지난 오늘날까지도 여 히

지속 인 논쟁과 연구 상이 되고 있다.

흄은 국가,시 ,교육 등의 차이들로 인하여 다양하게 나타나는

개인의 취미들 가운데 어떤 것이 승인할 만 한 것이고 어떤 것이 비난

받을 만 한 것인지를 가름해주며 취미 단의 불일치를 조정해 수

있는 어떤 기 을 구하기 한 목 으로 이 에세이를 집필하 다.그

다면 왜 취미의 기 을 수립하고자 하는 요구가 등장하게 된 것인지 그

역사 배경을 간략히 살펴보자.

흄이 「취미의 기 에 하여」를 술한 18세기 엽 국은

사회 으로는 신흥 부르주아 계층이 정치,경제,문화 등 사회 반에 걸

쳐 향력을 확 시켜 나갔고45),미학사 으로는 고 로부터 이어져 오

던 객 미론이 취미론의 등장과 함께 주 화 된 상황이었다.즉 미

( 술 )으로나 사회 으로나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요하게 여기는 분

기가 빠른 속도로 확산되던 시기 다.이에 따라 각 개인들의 자유와

권리를 보장하면서도 사회 으로 혼란에 빠지는 것을 막기 한 고민,

즉 개인의 자율성과 사회 규범 간의 조율에 한 고민이 사회 반에

걸쳐 나타났다.이 같은 흐름 속에서 흄에게 주어진 시 과제는 다양

하게 나타나는 취미의 기 을 수립하는 것이었다.이는 (다양성의 근원

44) ‘미 단’이라는 용어는 칸트에게서 처음 사용된 것으로 비록 흄은 미

단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지는 않으나,본 논의에서는 흄의 ‘취미에

한 단’을 오늘날 미 미학에서 사용하는 일반 의미의 ‘미 단’과 유

사한 의미로 이해해도 무방하다.

45)정치 으로는 선거권이 주어지며 민주정치의 씨앗이 발아하는 시기 고,경

제 으로는 신분 으로 낮은 계 에 머물던 일반 시민들이 상업를 통해 부를

축 하여 신흥 부르주아라는 새로운 계층으로 떠올랐다.문화 술 역에서

는 17세기 낭만주의 흐름 속에 개인의 창의성의 요성이 부각되었으며 술

창작은 물론이요 향유층도 일반 시민에게까지 리 확산되었다.

Page 51: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42 -

인)주 성과 (규범성의 토 인)객 성이라는 본디 상충 인 두 개념을

합리 으로 조화시켜야 하는 쉽지 않은 작업이었다.더욱이 그 어려움은

흄 자신의 철학 입장으로 인해 가 될 수밖에 없었다.풀어서 설명하

자면, 표 인 정감주의자(sentimentalist)로 일컬어지는 흄에 따르면 취

미는 정감(sentiment)46)에 기반하며 어떤 미 상을 면하고 난 뒤

개개인의 정감이 천편일률 으로 동일하게 나타나지 않는 것이 당연한

만큼 ‘취미의 다양성’은 거부할 수 없는 기본 명제이다.그런데 이와 동

시에 경험주의자로서 흄은 ‘취미의 기 은 수립 가능하다’는 명제 한

포기할 수 없다.왜냐하면 취미의 규범성을 정하는 이 명제는,다년 간

여러 국가와 사회를 거치며 수많은 사람들의 반복된 경험으로부터 산출

되는 ‘술의 규칙’,‘보편 원리’가 분명 존재하더라는 경험 찰을

토 로 하는 명제이기에 때문이다.47)

이에 흄이 고안한 해결책은,미리 결론부터 약술하자면,취미의

근원이 정감이라는 입장은 유지하되 규범 취미 단의 근거로 삼을 정

감을 오로지 특정 자격을 갖춘 이들의 정감만으로 한정하는 것이었다.

즉 흄이 제시한 다섯 가지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단자만이 본래 상이

불러일으키도록 고안된 쾌를 하게 감상할 수 있다는 것이며,이러한

단자를 흄은 ‘진정한 단자(atruejudge)’48)라고 부른다.그리고 다수

의 진정한 단자들의 공통된 결이 바로 취미의 참된 기 이라는 것이

흄의 최종 결론이다.

이처럼 주 성과 객 성이라는 두 마리 토끼 어느 한 마리도

놓치지 않으려 했던 흄의 작업이 과연 성공 인가에 한 의견은 분분하

다.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이론이 재까지도 여 히 미학 논의의

46)원어 ‘sentiment’는 ‘정감’,‘감성’, 는 일부에서는 ‘감정’등으로 번역되고

있다.본고에서는 ‘정감’으로 통일하여 사용하겠다.

47)‘취미의 다양성’과 ‘취미의 기 의 수립 가능성’이라는 이 논제에 한 양

립가능한 해석을 제시한 논문으로는 다음을 참고하라.최도빈,「흄의 미학 사

상 연구 –‘취미의 기 ’을 심으로」,서울 학교 미학과 석사논문(2006).

48)특정 자격을 갖추어 참인 미 단의 기 이 되는 자를 흄은 ‘진정한 단

자(truejudges)’라고 표 하 고,골드만은 이를 ‘이상 비평가(idealcritic)’,

‘이상 감상자(idealviewer)’라고 부른다.

Page 52: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43 -

심에서 다양한 연구자들의 꾸 하고 활발한 심 상으로 머물고 있는

것은 무릇 흄을 고민하게 만들었던 상-취미와 취미 단이 다양하게

나타나는 상-과 상식-어떤 취미 는 취미 단은 보편 으로 옳거

나 타당하다는 규범 통념-이 오늘날에도 유사하게 찰되기 때문일

것이다.그런즉 이 난제를 해결하고자 흄이 제안한 방식에 한 고찰은

다양하게 나타나는 미 단들의 규범성을 설명하는 이론을 구하는데

거름이 된다.

1.2취미의 기 수립의 당 성 확보

흄은 취미가 놀라우리만치 다양하게 나타나는 상에 한 찰

로 머리를 연다.취미는 정감(sentiment)에 기반 하는 바,같은 교육

체제 하에서 동일한 선입견에 젖어있는 이들 간에도 취미의 차이는 존재

하며,시야를 보다 확장하여 서로 다른 국가 는 시 에 존재하는 사람

들의 취미를 비교해보면 그 차이는 더욱 극명하고 다양하게 나타난다는

것이다.(#1,OST 133)49)이와 같은 다양성은 취미와 마찬가지로 정감에

근거하는 도덕50)에서도 찰된다.선을 추구하고 악을 지양해야 한다는

일반 차원의 계율에 해서는 일견 수월하게 동의 지 을 구할 수 있

는 듯 보인다.그러나 구체 인 사례들에서 선행과 악행을 가려내고자

할 때는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다양한 의견들이 제시된다.그 다면

이처럼 미 역과 도덕 역에서 공통 으로 찰되는 단의 불일

치는 어디에서 기인하는 것일까?이에 해 흄은 미 단도 도덕

단도 정감에 근거하기 때문이라고 답한다.그런데,흄은 이어서 말하기

를,미 역에서와 마찬가지로 그 단을 정감에 근거하는 도덕 역

에서 우리는 분명 어떤 기 을 추구한다.이 같은 사실에 미루어 추론하

49)「취미의 기 에 하여(OftheStandardofTaste)」는 약호 OST로 표기

할 것이다. 이 에세이에서의 모든 인용은 쪽수 앞에 단락 번호를 표기할

것이며,뒤따라 표기 할 쪽수는 다음의 책에 근거 한다.Hume,D.“Ofthe

StandardofTaste,”inSelectedEssays,(eds.)CopleyS.andEdgarA.,

OxfordUniversityPress,1998.

50) 흄은 도덕 단 역시 정감에 근거한다고 보는 표 정감주의자이다.

Page 53: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44 -

건 ,미 역에서 역시 단의 기 ,즉 취미의 기 을 수립할 수 있

다는 것이 흄의 입장이다.미 단에 한 기 의 존재 가능성은 이론

을 통해서 뿐 아니라 실의 미 행들을 통해서 역시 유추해 볼 수

있다. 실에서 우리는 미 단에 한 의견을 서로 교환하는 가운데

자연스럽게 취미의 기 을 구하고 있는 우리 자신의 모습을 쉽게 발견

할 수 있기 때문이다.요컨 취미는 정감에 기반을 두는 바 다양하게

나타나지만,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취미의 기 을 갈망하며,취미와

마찬가지로 정감에 기반을 두는 역인 도덕에서도 기 이 수립될 수 있

듯이 취미에서 역시 기 을 구할 수 있다고 흄은 말하고 있는 것이다

(#1~5,OST133-6).그 다면 이로써 취미의 기 수립 가능성이 충분히

입증된 것인가?흄은 취미의 기 수립 가능성에 반 하는 이들의 논변

을 검토하고 이를 부정함으로써 취미의 기 수립 가능성을 다시 강조

하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7~8,OST136-7). 취미의 기 을 수

립하려는 것은 허무맹랑하고 헛되며 불가능한 작업이라며 여기는 철학의

한 분 가 있다.이들의 논증은 취미의 자연 동질성의 원리(the

principleofnaturalequalityofalltaste)를 토 로 한다.취미의 자연

동질성의 원리란 ‘정감에 기반하는 취미는 천부 으로 동등하다’는 것인

데,이 원리를 옹호하는 이들은 취미란 옳고 그름을 따질 수 있는 상

이 아니며 따라서 취미에 해 어떤 기 을 수립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무모하다고 주장한다(#7,OST 136-7).이들의 논증은 다음과 같이 정리

할 수 있다:

i.취미는 정감에 기반 한다.

ii.정감은,오성에 따른 ‘단’과는 달리,자신 이외의 지시 상이 따

로 없다.

iii.즉 본인이 자각하는 한 정감은 실재하는 것으로,따라서 오류란

없다.

iv.따라서 정감에 기반하는 취미는 모두 옳다.

v.그러므로 취미의 기 은 수립될 수 없다.

여기서 흥미로운 은 흄과 회의주의자 양자 모두 ‘취미가 정감에 기반

Page 54: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45 -

한다’는 제에는 동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반되는 결론에 이른다

는 이다.흄은 회의주의자들의 결론과 상반되는 상과 상식을 제시함

으로써 회의주의자들의 결론이 잘못된 것임을 보인다.

회의주의자들의 주장과 반 되는 직 ,즉 취미에는 옳고 그름이

존재하거나 는 최소한 그 지 가 차등 이라는 통념이 분명 존재한다.

서로 동등한 치에 있는 두 상에 해서는 취미의 자연 동질성 원

리가 성립하는 것 같으나, 가 보아도 그 미 가치의 차이가 극명하게

드러나는 두 개의 작품들에 해서까지 취미의 자연 동질성 원리를 근

거로 동등한 지 를 부여해주기를 요청한다면,이는 단연 어리석은 짓이

다. 컨 오길비와 튼을 동 에 놓고 비교하려는 자가 있다면 사람

들의 조롱을 살 것이다(#8,OST 137)51).이와 같은 사례는 얼마든지 쉽

게 찾을 수 있는데,그 까닭은 우리가 어떤 취미들은 다른 취미들보다

낫다고 여기기 때문이다.즉,취미에는 분명 어떤 기 이 존재하는 듯하

다.

요컨 흄은 와 같이 서로 다른 취미에 각기 다른 지 를 부

여하는 우리의 통상 행 들은 기실 취미의 기 이 존재할 수 있다는

믿음에서 기인하는 것이며,나아가 이미 어떤 취미의 기 을 제하고

있음을 암시하는 것이라고 보았다.흄은 실제 실에서 찰되는 우리의

행 들과 그 행 들의 바탕에 제된 상식이 ‘취미의 기 은 수립될

수 있다’는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해 다고 말한다.

1.3취미의 기 :진정한 단자의 공통 결

이 게 취미의 기 이 존재할 수 있으며 존재한다는 을 확인

하고 나면 자연스럽게 뒤따라 나오는 의문은 ‘그 취미의 기 이란 과연

어떤 것이며 어떻게 악될 수 있을까?’라는 이다.흄의 논의를 따

라가 보자.

51)오길비(JohnOgilby,1600-76)는 호머와 베르길리우스의 번역서를 출 한

인물이다. 튼(JohnMilton,1608-74)은 실낙원(1667)으로 잘 알려져 있는

국의 서사 시인으로,셰익스피어 다음가는 지 가 부여되며 칭송되었다.

Page 55: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46 -

흄은 “비록 주 이기는 하나 인간 본성의 공통 감성들에

한 찰에 근거해 봤을 때 취미의 원칙이나 기 이 되는 보편 원리나

모델이 존재한다”(#10,OST 138-9)고 믿었다.이는 여러 시 와 사회의

다양한 문화들을 거치면서도 살아남은 소 “고 ”들의 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다고 한다.

다양하고 변덕스러운 취미에도 불구하고 칭찬 는 비난을 결

정하는 어떤 보편 원칙 존재하며,조심스럽게 살펴보면 마음

의 모든 작용에서 그 향력을 찾아볼 수 있다.(#12,OST140)

경험주의자인 흄에게 이 ‘보편 원리(원칙)’52)은 념들 간의 계 연구

를 통해 오성이 추론해내는 어떤 추상 결론이 아니라,경험에 근거하

여 산출된 원리이다.다시 말해,이 원리는 시공간을 월하여 오랜 기간

범 한 지역에서 인류 사랑을 받는 작품들에 한 일반 찰을

통해 산출된 원리인 것이다.

이 향력(식견 있는 마음에 쾌를 유발시키는 것은 어떤 술

작품인지-필자 주)을 알아낼 수 있는 좋은 방법은 각각의 미의

작동을 조사하기 보다는,양식과 유행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살

아남은 작품들,무지와 선망의 시행착오들에도 불구하고 수 세

기를 거치며 살아남아 지속 으로 존경 받는 작품들에 주목하

는 것이다.(#10,OST138-9)

시 와 국가를 월하여 수직 이고 수평 인 사랑을 리는 작품으로

흄은 다음의 를 든다:

이 천 년 아테네와 로마에서 사랑 받았던 호머는 오늘날에

52)여기서 ‘보편 원리(원칙)’은 ‘술의 규칙’ 는 ‘작품 구성의 원칙’과 동의

어로 이해하여도 무방하다.나아가 흄은 술의 규칙을 작품 구성의 원칙과

감상의 원칙으로 나 지만,맥락 상 별도의 구별 없이 호환 으로 사용한다.

Page 56: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47 -

도 여 히 리와 런던에서 사랑 받고 있다.기후,정권,종교,

언어의 변화 그 어떤 것도 호머의 찬란한 아름다움을 퇴색시키

기 못하 다.(#11,OST139)

그리고 호머와 같이 시공간을 월하여 항구 사랑을 받는 작

품들에 한 면 한 찰을 통해 우리는 도 체 어떤 작품들이 인류 보

편에게 공통 으로 쾌를 제공하는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그 찰의

결과가 바로 ‘보편 원리(원칙)’,즉 술의 규칙,미의 원리인 것이다.

그 다면 이 게 경험 찰을 통해 구한 술의 규칙은 곧 그

자체로 취미의 기 을 제시해주는가?만약 그러했다면,흄의 탐구는 이

쯤에서 만족스럽게 그쳤을 것이다.그러나 인간의 감성이 모든 상황에서

의 원리에 부합하여 반응하지는 않는다. 상이 마땅히 쾌를 유발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인간 내 기 의 결함으로 인해 모두가 동등하게 그

쾌를 느끼지 못하기도 한다.인간의 정감은 연약하고 민하기 때문이다.

내 구조의 기본 조직 상,본유 으로 즐거움 는 불쾌감 주

는 형식이나 특성이 존재한다.그런데 이것들이 효과를 나타내

지 못하고 있다면,그것은 주 의 기 의 이상 는 결함 때문

이다.(#12,OST140)

흄은 그 상이 가진 자연 성질로 말미암아 지각자의 마음에

쾌를 유발하도록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합한 반응을 가로막는 인간

내 구조상의 결함과 외부 상황 조건들을 분석하 고,이 결격 사유

들을 정문으로 환하여 한 감상을 해 반드시 충족되어야 하는

조건으로 제시하 다.보편 원리나 모델을 올바르게 보기 해서 감상

자가 갖추어야 하는 다섯 가지 조건들은 다음과 같다(#13~23,140-7).

가) 취미의 섬세함:주 의 기 이 민하여 그 어떤 미미한 것도

놓치지 않을 뿐 아니라,여러 성질들이 복합 으로 뒤섞여 존재할

Page 57: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48 -

때도 그 혼합구성의 모든 요소 각각을 구별해낼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나) 연습:충분한 연습,동일한 작품의 반복 연습을 통해 미를 식별

하는 훈련을 해야 한다.연습이 부족한 비평가는 단을 내릴 때

혼동하고 머뭇거리기 마련이다.

다) 비교:상이한 종류와 다양한 강도의 탁월함을 비교하고 각각의

비율을 상호 견주어 평가해 야 한다.비교를 통해 칭찬 는 비

난의 형용사를 발 시키고 확립하며,각각에 한 강도를 조

하는 법도 배운다.

라) 선입견으로부터 벗어남: 작업들을 잘 수행하려면,편견으로

부터 자유로워야 하며,오직 그 작품만이 비평가의 고려 상이

되어야 한다.작품이 상정하는 특정 하에서 고찰할 수 있어

야 한다.

마) 훌륭한 감 (goodsense):이성은 취미의 본질 인 부분은 아

닐지라도 최소한 취미를 작동시키는데 꼭 필요하다.이성의 발달

에 기여하는 능력의 탁월함,명료한 개념,정확한 분별,활발한 이

해는 진정한 취미의 작용에 본질 이며 진정한 취미에 수반하는

것이다.훌륭한 감 을 결핍하면,가장 탁월하고 고차원 인 아름

다움인 디자인과 추론의 미를 식별할 수 없다.

의 다섯 조건을 갖춘 감상자,즉 섬세한 감성과 결합되고,연습을 통해

개선되었으며,비교를 통해 완벽해진,그리고 모든 선입견으로부터 벗어

난 그러한 좋은 감 을 가진 자가 바로 진정한 단자이다.그리고

조건들을 모두 갖춘 다수의 진정한 단자들이 공통 으로 내리는 결

이 취미와 미의 참된 기 이라고 흄은 선언하 다.53)

Page 58: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49 -

2.흄에게 제기되는 비 들

흄의 취미의 기 은 후 의 많은 철학자들에 의해 연구됨에 따라 다

양한 해석과 비 을 불러왔다.다양한 비 논증들 에서 본고는 골드

만에게 역시 공통 으로 용될 수 있으며,나아가 그 반박 논증에 의해

궁극 으로는 미 단의 규범 지 가 훼손될 수 있는 논증만을 선별

하여 살펴보려 한다.이 기 에 의거하여 흄에게 제기되는 비 논증들

을 다음의 세 가지로 정리해 보았다:인식론 회의주의 반론,순환성의

오류,취미의 기 에 한 상반된 해석과 진정한 단자의 역할에 한

논란

2.1인식론 회의주의 반론

인식론 회의주의 비 은 흄 스스로도 견하여 에세이에 언

한 바 있는 가장 표 인 반박 논증이다.우리가 흔히 경험하는 미

불일치 상황을 통해 그 내용을 살펴보자. 술 작품 W에 하여 두 명

의 일반 감상자 갑순이와 을돌이가 서로 상충하는 미 단을 내리고

논쟁한다고 상상해보자.이들의 불일치를 해소하고 논쟁을 조정하기

해 우리는 자연스럽게 갑순이와 을돌이 각각의 미 단을 놓고 그 타

당성을 따져 우열을 가리고자 할 것이다.그 다면 이때 각 미 단들

53)왜 한 명의 진정한 단자의 결이 아닌,다수의 진정한 단자의 공통된

결을 기 으로 삼는가라는 물음이 제기될 수 있다.이에 해 코헨은 두

가지 답변을 제시한다.하나는,진정한 단자는 찾기 힘든 존재이므로,우리

가 찾아낸 어떤 단자가 진정한 단자인지 아닌지는 확률 인 문제가 된

다.따라서 여러 명을 찾아내어 공통된 결을 구함으로써 그 확률을 높이려

는 흄의 신 함에서 비롯된 것이다.둘째,만약 흄이 말하는 진정한 단자가

‘이상 ’인 단자를 의미한 것이라면, 실에서는 진정한 단자에 ‘근 한’

단자만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따라서 그들의 공통된 결에 호소함으로

써 신뢰성과 규범성을 확보한다는 것이다.보다 자세한 논의는 다음 논문을

참고하라:TedCohen(1994),‘PartialEnchantmentsoftheQuixoteStory

in Hume’sessay onTaste’in RobertYanal(ed.),InstitutionsofArt,

UniversityPart,PennStateUniversity.

Page 59: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50 -

의 타당성은 무엇에 근거하여,어떤 기 에 입각하여 매겨지는가?

흄의 설명을 충실히 따르자면,갑순이와 을돌이가 내린 미

단들의 타당성은 진정한 단자들이 그 작품에 하여 공통 으로 내리

는 단을 근거로 따져보아야 한다.즉 갑순이의 ( 는 을돌이의)미

단의 내용은 진정한 단자들이 공통 으로 내린 단의 내용에 근

할수록 그 타당성이 높아진다.그 다면 일반 감상자가 내린 미 단

의 타당성의 기 이 되는 진정한 단자들의 공통 결의 내용을 우리

가 미리 알 수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그런데 바로 이 지 에서 흄 이론

의 첫 번째 문제가 드러난다. 재 논의 상이 되고 있는 작품 W에

하여 다수의 진정한 단자들이 어떤 결을 내렸을 지 어떻게 알

수 있는가?이 물음에 내포된 문제들을 풀어내어 하나씩 짚어보자.

가장 먼 제기될 수 있는 물음은,이미 여러 학자들이 언 한

바 있듯이,‘과연 그 가 진정한 단자인지 우리가 실에서 확인 할

수 있는가?’이다.54)흄 역시 이 같은 인식 한계에 따른 회의주의 반론

가능성을 인지하고 있었다는 사실은 다음 구 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비평가를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그들을 어떻게

알아볼 수 있을까?참된 비평가인 척 하는 이들로부터 어떻게

54)골드만 역시 이를 지 한 바 있다.그가 직 으로 흄을 언 하고 있지는

않지만,흄과 마찬가지로 특정한 자격을 갖춘 소수의 단자에 호소하여 미

단의 규범성을 설명하고 있으며,자신의 이론에 제기될 수 있는 비 의

하나로 이 같은 인식론 회의주의를 언 한 바 있다.Goldman(1995),op.

cit.,p.30.그런데 이 문제는 흄이 말하는 ‘진정한 단자’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에 한 문제로 이어진다.흄의 ‘진정한 단자’에 하여 크게 두 가

지 해석이 가능한데,하나는 실과 동떨어진 ‘이상 비평가’로 상정하는 것

이며,다른 하나는 실의 비평가들 에서 찾거나 는 실의 비평가들로

부터 추론해낼 수 있는,즉 실에서 무 멀리 떨어져 있지 않은 ‘진정한

단자’로 이해하는 것이다.만약 실과 동떨어진 이상 비평가로 해석한다

면,이 게 상정된 진정한 단자는 실의 미 불일치 논쟁을 조정하는데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하는 무용지물과 다름없다.따라서 본고는 후자의 해

석을 따를 것이다.그런데 진정한 단자를 실 속에서 존재하는 혹은 존재

할 법한 인물로 간주하더라도 실 으로 그를 식별해낼 수 없다면 우리는

논쟁이 되고 있는 상에 한 그의 결을 들을 수 없고,따라서 흄이 수립

한 취미의 기 은 그 실질 효용에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Page 60: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51 -

구별해낼 수 있을까?이 물음들은 상당히 당혹스럽다.마치 본

에세이를 통해 벗어나려고 했던 불확실성의 구 텅이로 우리를

다시 던져 버리는 듯 한 질문들이다.(#24,OST146)

그러나 흄은 이 같은 반론이 자신에게 치명 이라고 여기지는 않는데,

그 이유는 “곰곰이 생각해보면 이 질문들은 사실에 한 질문이지 감성

에 한 질문이 아니”(#25,OST 146)기 때문이다.‘사실에 한 문제’란

무엇을 의미하는가?이를 이해하기 해 다시 흄의 구 을 인용해보자.

어떤 특정 인물이 훌륭한 감각과 섬세한 상상력을 지녔는지,

선입견으로부터 자유로운지 여부는 종종 논쟁거리이며 좋은 논

의와 탐구거리가 될 수 있다.그러나 이 특징들이 가치 있으며

존 할만하다는 에는 모두가 동의할 것이다.그럼에도 불구

하고 이것들에 의심이 들기 시작한다면,인간이 할 수 있는 최

선은 오성(understanding)을 통하여 다른 문제들을 해결할 때의

방식과 동일하다:독창성을 발휘하여 최선의 논증을 구성하고,

명확하고 참다운 기 이 어딘가에는 사실로서,그리고 실재하

는 것으로서 존재함을 인정해야 한다.(#25,OST146)

이처럼 진정한 단자를 어디에서 찾을 것이며,어떻게 구별해낼 것인가

의 문제를 사실의 문제 역에 치시킴으로써 흄은 두 가지 효과를

리게 된다.하나는 진정한 단자를 어떻게 찾아낼 것인가의 문제는,경

험 과학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에서처럼, 찰과 오성의 활동을 통해

탐구되어야 하는 문제이므로 해결 가능하다는 희망을 시사한다.두 번째

효과는,그럼에도 불구하고 진정한 단자들을 식별하는 실 방법을

찾아내야 한다고 군가 주장한다면,에세이의 집필 의도를 고려해보건

이는 자신의 과제가 아니라는 을 명시하는 것이다.이 에세이의 목

은 “개개인들의 취미가 등한 지 를 갖지 않으며,어떤 이들의 감성

은,비록 그게 구인지 짚어내기란 매우 힘들지만,다른 이들의 감성보

Page 61: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52 -

다 선호할 만한 보편 감성으로 인정받을 것이라는 을 증명”(#25

OST 146)하는 것일 뿐이며,진정한 단자를 찾아내는 것은 자신의 몫

이 아니라는 것이다.이로써 흄은 자신에게 제기될 수 있는 반박을 미리

검토하여 재반박하 다.

그러나 진정한 단자를 ‘허세꾼’들로부터 어떻게 구별해낼 것인

가의 문제를 차치하더라도 우리는 다시 인식 한계에 착한다는 게

필자의 생각이다.흄의 논증을 충실히 따라,진정한 단자를 찾아내는

‘사실의 문제’가 실제로 해결되었다고 가정해보자.즉 스스로를 비평가라

고 부르는 일군의 무리들을 상으로 하여 앞서 제시된 다섯 가지 자격

조건을 면 히 검토한 결과,비평가 A씨가 진정한 단자로 명되었다

고 가정해보자.진정한 단자인 비평가 A씨가 재 갑순이와 을돌이가

논쟁하고 있는 작품 W에 하여 어떤 결을 내릴지 알 수 있어야 비

로소 갑순이와 을돌이가 내린 미 단들에 해 타당성을 따져 볼 수

있을 것이다.그런데 비평가 A씨가 진정한 단자로 명되었다는 사실

이 그 자체로 그가 작품 W를 이미 경험하여 미 단을 내렸으며,그

내용을 우리가 알 수 있음을 보증해주지는 않는다.더욱이 진정한 단

자가 실의 인물이라면 시간과 공간의 한계로 말미암아 미 상들에

한 A씨의 경험은 한정될 수밖에 없다.그 다면 비평가 A씨가 작품

W를 경험하고 결을 내릴 때까지 갑순이와 을돌이의 미 단들에

한 타당성 평가는 유보될 수밖에 없다.회의 상상력을 조 더 어

붙여 보자면,작품 W에 한 비평가 A씨의 결에 한 기다림이 언제

끝날 수 있을지 기약조차 할 수 없을지 모른다.

이에 덧붙여 필자가 제기하고자 하는 문제는,흄의 이론에 따르

면 취미의 기 을 알기 해서는 단 한 명이 아닌 여러 명의 진정한

단자로부터의 결이 요구된다는 데에서 기인하는 실 어려움이라 하

겠다.작품 W에 한 비평가 A씨의 결을 기다리는 동안 우리는 다른

한편으로는 다른 비평가들의 결 역시 기다려야 한다.왜냐하면 흄

에 따르면 진정한 단자 단 한 명의 단은 규범 기 으로서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흄은 “진정한 단자들의 공통된 결”을 취미의 기 으

Page 62: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53 -

로 제시한 바,우리는 다수의 진정한 단자들의 결들을 그러모은 뒤

이들 공통된 결을 추려내야 하는 것이다.따라서 비평가 A씨 한

명의 결을 알아내는데 필요한 시간 부담 는 인식 부담이 (흄이

진정한 단자들의 공통된 결을 끌어내기에 충분하다고 여긴 숫자가

몇 명인가에 따라)수 배,수 십 배 혹은 그 이상으로 가 되는 것이다.

지 까지 인식 한계에서 비롯되는 실 어려움들에 주목하

여 흄이 제안한 취미의 기 을 고찰해본 바,진정한 비평가의 공통된

결에 기 어 규범 단을 구하는 방식으로는 실에서의 미 불일치

와 논쟁들을 조정하기 어려울 것 같다.즉 흄의 이론이 본래 목 하 던

취미의 기 으로서의 효용성에 회의를 품을 수밖에 없다.

2.2 순환성의 오류

앞서 제기된 실 차원에서의 비 ,즉 진정한 단자를 찾아

내고 그들의 공통된 결을 구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인식 한계로 인

해 이론의 유용성이 떨어질 것이라는 반박이 실상 흄에게는 치명 이지

않을 수 있다. 술한 바와 같이 흄은 이를 사실의 문제로 규정하 고,

따라서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부담은 자신이 감당할 몫이 아니라고

명시하고 있기 때문이다.그럼 흄의 심 역에서 벗어난 실 차원

에서의 비 으로부터 을 거두어,흄의 설명이 내부 으로 담고 있는

논리 오류에 한 반박들을 살펴보도록 하자.가장 먼 제기될 수 있

는 비 은 취미의 기 에 한 흄의 설명이 악순환에 빠진다는 것이

다.55)

녹슨(Noxon)은 흄의 논리 구조를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미

으로 가치 있는 것은 어떻게 확인되는가? 문가의 권 있는 단들에

55)녹슨(JamesNoxon)과 키비(PeterKivy)가 순환성의 오류를 지 한 바 있으

며,이에 한 정리는 김진엽의 논문을 참고하 다.Noxon,J.(1961),

“Hume’sOpinionofCritics,”JournalofAestheticsandArtCriticism,vol.

20,no.2,pp.157-62.Kivy,P.(1967),“Hume’sStandardofTaste:Breaking

TheCircle,”BritishJournalofAesthetics,vol.7,no.1,pp.57-66. 김진엽

(1997),「흄의 ‘취미의 기 ’에 하여」,『미학』22집,한국미학회.

Page 63: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54 -

의해 확인된다.그럼 그들은 문가라는 직 에 한 권리를 어떻게 획

득하 는가?미 으로 가치 있는 것을 알아 볼 수 있는 능력을 토 로

문가의 자격과 권 가 획득되었다.56)

키비는 악순환의 고리에서 흄을 탈출시킬 방법을 고안하 다.키

비식으로 구성된 흄의 논증은 다음과 같다:

(ㄱ)훌륭한 술 작품이란 훌륭한 비평가가 승인한 작품을 일컫는

다.

(ㄴ)훌륭한 비평가란 다섯 가지 자격 요건을 갖춘 비평가이다.

(ㄷ)다섯 가지 자격 요건을 갖춘 비평가들은 훌륭한 술작품을 승

인하는 비평가이다.57)

(ㄷ)에서 우리는 다시 출발 인 (ㄱ)로 되돌아오고 있다.그리고 녹슨의

정리에서는 없었던 명제 (ㄴ)이 추가되었다.흄을 악순환 의에서 탈출

시키려는 키비의 략은 진정한 단자의 다섯 가지 자격 조건인 취미의

섬세함,연습,비교,선입견으로부터의 자유로움,그리고 좋은 감 에 따

라 순환의 고리를 다섯 개로 나 어 각각을 개별 으로 고찰하는 것이었

56) Noxon,op.cit.,p.160.허울만 그럴싸해 보이는 흄의 이 순환 논리가 실은

역사 진실의 둘 를 돌고 있는 것이라고 녹슨은 쓰고 있다.실제로 훌륭한

술 작품을 찾아내고 보존하는데 골몰하는 이들로부터 칭송받지 않는 술

작품이 보존될 리 만무하며, 문가들이 그들의 권 를 인정받으려면 바로

그 게 칭송 받음직한 작품들을 알아 으로써 자신의 능력을 입증하는 것 외

에 다른 방법이 쉽게 떠오르지 않는 것이 사실이기 때문이다.즉 흄의 이론

은 실에 합한 설명을 제공하고 있다는 것이다.녹슨은 흄의 이론을 논리

에 치 하여 이론 잣 로 평가하기보다는 실에 한 설명으로서 보다

합하다고 보았다.그러나 필자는 녹슨의 이 같은 평가에 부분 으로만 동의

한다.필자가 동의하는 지 은 흄의 설명이 실제 상을 잘 기술하고 있다는

,그 뿐이다.그러나 철학자라면 실에서 동떨어지지 않되 상에서 보여

지는 것 머의 통찰을 제공할 수 있어야한다.흄이 순환에 빠진 것은 (모순

된 이념이 서로 충돌하던 시 상황을 고려해본다면) 상을 아주 잘 반

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어 되었든 그 설명이 논리 오류를 담고 있다면

그것은 하나의 이론으로서 갖추어야 할 정합성 측면에서는 흠집을 남기는 것

이다.

57)Kivy,op.cit.,p.60

Page 64: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55 -

다.결론부터 말하자면,이들 조건 연습과 비교는 보편 모델을 직

인 훈련 상으로 상정하는바 순환의 고리를 벗어나지 못하지만,나머

지 세 가지 조건은 미 역 이외의 개념에 기 어 정의함으로써 순환

고리를 끊을 수 있다는 것이다.이를 해 키비는 흄의 다른 작들에

흩어져있는 미와 추에 한 흄의 서술들을 토 로 안 정의를 시도하

다.58)

‘취미의 섬세함’조건을 살펴보자.키비는 취미와 련한 흄의

다른 작인「취미와 정념의 섬세함에 하여」를 통해 드러나는 취미의

섬세함과 정념의 섬세함 사이의 긴 한 연 을 제시하면서,이 두 섬세

함의 연 을 토 로 정념의 섬세함에 기 어 취미의 섬세함(delicacyof

taste)을 설명하면 순환 고리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주장한다.59)

키비에 따르면 취미의 섬세함은 비-미 성질(anon-aesthetic

quality),즉 정열의 섬세함에 의해 정의 될 수 있다.따라서 어떤 개인이

취미의 섬세함을 지녔는가 여부를 확인하기 해 반드시 그의 미 단

에 근거하지 않고,비-미 상황에 한 그의 정서 반응에 근거하여

추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60)요는,취미의 섬세함은 정열의 섬세함에 동

반하고,따라서 정열의 섬세함을 통해 취미의 섬세함을 정의할 수 있으

므로 악순환에서 벗어난다는 것이다.

이처럼 취미 역 는 미 역 이외의 개념에 기 어 순환

고리를 끊어내는 키비의 략은 ‘선입견으로부터의 자유’조건에도 이어진

다.키비는 선입견이 미 단 이외 다른 역에 미치는 향을 통해

‘선입견으로부터의 자유로움’에 한 비순환 설명을 시도한다.키비는

흄의 다음 구 을 통해 선입견이 미 단 이외 다른 역에 향을 끼

칠 수 있음을 인정하 다고 보았다.

선입견이 건 한 단에 괴 이며,지 능력들의 모든 작

용들을 왜곡시킨다는 은 잘 알려져 있다.이와 마찬가지로

58) Kivy,op.cit.,pp.60-3.

59)Kivy,op.cit.,,pp.61-2.

60) 김진엽,op.cit.,p.39.

Page 65: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56 -

선입견은 좋은 취미에도 반 된다.그리고 미에 한 우리의

정감을 타락시키는 결과를 낳는다.(#31,OST150-1)

이를 키비는 다음과 같이 풀어 설명한다.선입견은 미 단에 뿐 아니

라 지 단에 역시 부정 인 향을 끼친다.즉 지 단에서 드러나

는 증상을 통해 어느 단자가 선입견에 여 히 매여 있는지 혹은 선입

견의 향권에서 벗어나 있는지를 알 수 있다는 것이다.이처럼 그의 지

단을 통해 단자가 선입견으로부터 벗어나 있는지 여부를 확인 할

수 있다면,이는 분명 순환에서 벗어난다는 것이다.

이어서 키비는 ‘좋은 감 ’역시 와 같은 방식으로 순환의 고리

를 끊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61)키비는 ‘좋은 감 ’에 한 흄의 다음의

설명을 인용하 다.

이성을 개선시키는데 기여하는 것과 동일한 바로 그 능력들의

탁월함,바로 그 개념의 명석함,바로 그 구분의 정확함,바로

그 이해의 활발함이 진정한 취미의 작용에 본질 이며 진정한

취미에 수반한다는 은 말할 나 없다.(#22,OST146-7)

의 인용에서 알 수 있듯,좋은 감 은 감성에 기반하는 미 역뿐

아니라 이성 능력에도 동일한 향을 끼친다.따라서 앞서 선입견에서

와 마찬가지로 이성의 역에서 드러나는 증상들을 통해 우리는 단자

A가 좋은 감 을 지녔는지 아닌지 여부를 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술한 바와 같이 의 세 가지 조건들-취미의 섬세함,선입견으

로부터 자유로울 것,좋은 감 -은 하나의 원인(취미의 섬세함,선입견으

로부터 자유로움, 는 좋은 감 )이 두 개의 역(미 역과 이성의

역)에 동일한 방식으로 향을 끼친다는 을 제로,미 역 이외

의 역에서 드러나는 징표를 통해 단자가 해당 조건을 소유하 는지

여부를 추론할 수 있다는 것이 흄을 악순환에서 구하려는 키비의 요지이다.

61)Kivy,op.cit.,p.64.

Page 66: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57 -

반면,키비 역시 주지하고 있듯,‘연습’과 ‘비교’는 보편 모델이

라 꼽히는 작품들을 그 훈련의 직 인 상으로 삼고 있기에 순환 고

리를 끊어내는 것이 불가능하다.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연습’

은 “개별 종류들의 미에 한 빈번한 조망과 감상”(#18OST 143-4)을

일컫는다.그리고 ‘비교’는 “탁월함의 몇 가지 종류들과 등 들”(#20OST

144-5)을 비교하는 일을 말한다.따라서 만약 군가가 진정한 단자가

되기 해 ‘연습’과 ‘비교’를 하고자 한다면,연습과 비교의 한 상인

‘보편 모델’즉 훌륭한 작품이 어느 것인지 이미 알고 있어야 한다.

단자 A가 연습과 비교가 충분히 잘 되어있는 ‘진정한 단자’인지 확

인하고자 한다면,미리 그 연습과 비교의 상인 미 는 탁월함이 무엇

인지 알고 있어야 한다.그런데 연습과 비교는 미와 탁월함을 지닌 작품

인 보편 모델을 올바로 보기 해서 필요한 선결 조건이므로,‘연습’과

‘비교’는 악순환에 빠진다.

어 거나 앞서 열거한 세 가지 조건-취미의 섬세함,선입견으로

부터의 자유,좋은 감 -은 순환 고리를 끊어내는데 성공하 으므로 흄

은 악순환의 의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것이 키비의 주장이다.그러나

흄이 제시한 조건 다섯 가지 여 히 두 가지 조건은 순환 일 수밖에

없으며,따라서 흄의 취미의 기 이 키비가 주장하듯 순환 정의 오류

에서 완벽하게 벗어나는 것은 결코 아니다.

2.3‘취미의 기 ’에 한 상반된 해석과 진정한 단자의 역할

여기까지 논의를 진행해 오는 동안 우리는 흄이 수립한 취미의

기 을 ‘다섯 가지 조건을 갖춘 진정한 단자들이 공통 으로 내리는

결’이라고 이해하 다.그러나 마더실(MaryMothersill)이 지 하듯62)

‘취미의 기 ’이라는 개념을 흄은 모호하게 서술하고 있기에 기존의 것과

상반된 해석도 가능한 것이다.마더실은「취미의 기 에 하여」에서

62)Mothersill,M.,(1989).“Humeand theParadox ofTaste,”in George

Dickie,RichardSclafaniandRobinRonald(eds.),Aesthetics:A Critical

Anthology,New York:St.Martin'sPress,pp.269–86.

Page 67: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58 -

공식 으로 제시된 취미의 기 이 ‘진정한 단자들의 공통 결’이라

는 에는 동의한다.그러나 에 표층 으로 드러나지 않아 쉽게 악

되지는 않아도 행간에 숨은 의미들을 세심하게 읽어내면,‘술의 규칙’

한 취미의 기 으로 제시되고 있다고 주장한다.그리고 ‘진정한 단자

들의 공통 결’과 ‘술의 규칙’이라는 양립 불가능한 취미의 기 을

동시에 지지한다는 에서 흄은 역설을 낳았다고 마더실은 지 한다.63)

따라서 하나는 포기하고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데,마더실은 ‘술의 규

칙’을 취미의 기 으로 선택할 것을 제안한다.

사실 술의 규칙이 취미의 기 이라고 보든,진정한 단자들의

공통된 결이 취미의 기 이라고 보든 간에 각각의 기 에 의해 칭송

받는 작품들의 외연은 동일할 것임은 쉽게 추론 가능하다.64)그러나 어느

쪽에 우선권을 부여하는가에 따라 술의 규칙,취미의 기 ,진정한

단자들의 단 이 세 요소들의 설명 순서는 달라진다. 술의 규칙을 취

미의 기 으로 보는 입장에 따르면 아래의 (가)와 같이 설명될 것이며,

진정한 단자의 공통된 결에 우선권을 부여한다면 (나)와 같은 순서

63)이처럼 흄이 제시한 취미의 기 이 일반 으로 알려진 데로 ‘진정한 단자

들의 공통된 결’인지 아니면 ‘술의 규칙’( 는’보편 원리’)을 의미하는

것인지에 하여 논리 으로 상반되는 이 인 해석이 출 하는 것을 마더

실은 흄의 역설이라고 불 다.그런데 그의 에세이에서 드러나는 역설은 이

뿐만이 아니다.‘모든 개인의 취미는 옳다’와 ‘취미의 기 을 수립될 수 있다’

는 모순되는 명제를 동시에 주장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그 구보다

도 엄 한 논리 사고력을 지녔다고 칭송되는 흄이 이 듯 역설을 낳고,기

오류인 악순환을 범하는 것을 우리는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이에

해서는 라운의 해석을 참고할 만하다. Stuart G. Brown(1938),

“Observations on Hume’s Theory of Taste”,English Studies 20(5):

193-198. 라운은 흄이 역설을 낳을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시 상황에서

찾는다.주지하는 바와 같이 18세기 국의 상황은,한 편에서는 규칙을 요

시 하는 신고 주의가 차츰 쇠퇴하고 있었으나 여 히 그 정신의 흔 은 살

아 있었으며,다른 한편에서는 자유와 창의성에 주목하는 낭만주의 사상이

빠른 속도로 부흥하고 있었다.이와 같이 옛 이념이 퇴장하고 새로운 이념이

등장하는 길목에서 나타나는 사상의 충돌이 흄 개인에게서도 고스란히 드러

나고 있다는 것이다.

64) 주동률(1998),「흄에서의 취미 단의 기 과 ‘진정한 단자’의 역할」,『미

학』25집,한국미학회,p.182.Wieand의 “Hume’sTwoStandardsofTaste”

참조.

Page 68: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59 -

로 설명될 것이다.

(가)어떤 원리 혹은 규칙이 미의 기 을 제공하는데 ‘진정한 단자들’

은 그 규칙을 어김없이 발견하거나 혹은 따르기 때문에 그들의

단이 언제나 옳다.

(나)미의 기 은 특정인들의 정감이 정하는 것이며,그들의 정감이 때

로는 일정한 패턴을 가진 상 내의 속성들에 의해 발되기 때문

에 규칙이 형성된다.65)

두 설명 어느 것을 택할 것인가?이는 흄의 에세이에서

동시에 지지되고 있는 두 가지 모순되는 논제인 ‘취미의 다양성’과 ‘취미

의 기 수립 가능성’ 어느 것에 방 을 을 것인가 여부에 따라 결

정된다.그리고 이 게 결정된 ‘취미의 기 ’에 한 해석에 따라 진정한

단자의 역할과 기능이 달라진다.그 연결 계를 살펴보자.

두 가지 모순되는 논제 에서 ‘취미의 다양성’에 보다 무게를

두는 진 에서는 단자의 정감을 기반으로 한 ‘진정한 단자의 공통된

결’이 취미의 기 이라 할 것이다.키비,캐롤,김진엽,최도빈 등이 이

입장에 속하는데,이들의 근거는 흄이 미를 상 내의 속성이 아니라

단자가 느낀 정감의 일종으로 보았다는 이다.이들에 따르면 진정한

단자의 감성은 취미의 기 을 구성하는 본질 요소이다.다른 방식으

로 표 하자면,어떤 작품을 면했을 때 진정한 단자들은 자신의 정

감으로 상의 미 는 미 가치를 규정한다.

반면 주동률, 언드,마더실, 일튼 그리고 빈슨은 술의 규

칙이 취미의 기 이라고 보았다.이들은 ‘상에 존재하는 자연 성질로

서 이를 지각한 이의 마음에 특정한 쾌를 불러일으키는 성질’이 주는 힘

과 그 효과에 무게를 두며,진정한 단자들의 공통된 결이 취미의 기

을 구성하거나 규정 는 정의한다는 데에 반 한다. 일튼은 진정한

단자의 역할을 시계에 빗 어 시계가 재 시간을 알려주는 역할을 할

65) 주동률,op.cit.,p.172.

Page 69: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60 -

뿐이지,시간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라고 말한다.같은 의미로 빈슨은

다섯 가지 특성을 갖춘 진정한 단자는 “훌륭한 술 작품을 별해내

는 리트머스 같은 존재”66)라고 쓰고 있으며,같은 논문의 말미에서는 이

상 비평가들을 술 가치에 한 가장 훌륭한 “송로 돼지(truffle

pig)”67)라고 부른다.이 입장에 따르면 진정한 단자들의 역할은 자신들

의 정감을 토 로 취미의 기 을 정의하는 것이 아니다.진정한 단자

들의 역할은 취미의 기 을 내면화하여 어떤 상을 면했을 때 내면화

되어 있던 기 을 근거로 그 상의 미 가치에 한 단을 제시하는

것이다.주동률은 이들의 역할을 ‘술 규칙에 한 안내자’이자 ‘감상의

안내자’라고 불 다.

3.소결

살펴본 바,흄이 취미의 기 으로 제시한 진정한 단자의 공통

된 결은 첫째,진정한 단자를 구별해내는 어려움과 더불어 그들의

단을 우리가 늘 알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인식 회의주의,둘째,진

정한 단자를 규정하는 과정에 이미 “훌륭한”작품이 제되어 있다는

순환의 오류로 말미암아 실에서의 미 불일치를 조율하는 규범 역

할을 수행하지 못한다.나아가 취미의 기 과 진정한 단자의 역할에

한 이 해석과 논란 한 살펴보았다.이 세 가지 반박 논증 는

논란은 특정 자격을 갖춘 소수의 집단에 호소하여 미 규범성을 설명하

려는 방식이 본질 으로 갖는 문제 을 드러내는 것으로,다음 장에서

고찰할 골드만의 이론 역시 흄의 방식을 계승하고 있는 바,이 문제 들

에서 벗어날 수 없는 태생 한계를 지닐 것임을 측할 수 있다.

66)Levinson,J.(2002),“Hume’s Standard ofTaste:The RealPreblem.”

JournalofAestheticsandArtCriticism,vol.60,no.3,p.238.

67)Ibid.,p.238.‘trufflepig’는 돼지 에서도 후각이 발달하고 특하여 냄새

를 통해 땅 속 깊이 묻 있는 송로 버섯을 찾아내도록 훈련된 돼지를 일

컫는다.

Page 70: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61 -

III.미 단의 규범성에 한 골드만의 이론과 문제

미 주 성과 객 성을 다루는 여러 가지 논의 방식들 본고

는 실재론과 반실재론을 통해 미 단의 다양성과 규범성을 설명하고

자 한다.풀어서 말하자면,우리가 지 부터 탐구할 문제는 “어떤 미

상을 보고 ‘우아하다’고 말하는 것은 ‘우아함’이라는 속성이 상에 객

으로 존재하기 때문인가,아니면 상이 그러한 속성을 실제로 지

녔는지 여부와 상 없이 우리가 우아하다고 느끼기 때문에 그 상이

‘우아하다’고 말하는 것인가?”라는 질문으로 좁 진다. 자에 따르면

“ 상 O는 우아하다”고 하는 미 단은 상이 실제로 지니고 있는

‘우아함’이라는 속성을 감상자가 지각하여 이를 보고하는 것으로,이는

미 속성에 한 실재론 입장에서의 설명이다.반면 후자에 따르면

“ 상 O는 우아하다”라는 미 단은 상을 보고 ‘우아하다’라고 느낀

감상자의 반응을 표 (express)하는 것으로 반실재론 입장이라 하겠다.

실재론 는 반실재론 어느 쪽이든 미 단의 핵심 특징인 다양성을

포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두는 동시에 규범성을 확보하는 이론을 찾

는 것이 본고의 궁극 인 목표이다.

앞서 살펴본 흄의 이론은 외부 세계의 이치 탐구라기보다 우리

가 외부 세계를 어떻게 지각하고 사고하는지,즉 인간의 본성에 한 탐

구에 이 맞춰져 있다는 에서 실재론/반실재론의 범주로 분류되기

어렵지만,양 진 의 이론들에서 흄의 향이 찰된다.특히 알란 골드

만(AlanH.Goldman)은 실재론/반실재론 논의에 있어 흄의 이론을 가장

충실히 따르고 있는 철학자라 하겠다.그러나 흄에 이어 우리가 골

드만을 다루는 것이 단지 골드만과 흄의 이론 유사성 때문만은 아니다.

골드만의 이론은 미 단의 다양성과 규범성을 설명하는 데

있어 흄만큼이나 그 어느 것 하나도 놓치지 않으려 애썼다.미 단이

주 의 반응에 기반한다는 그의 반실재론 입장은 미 단의 경험성과

다양성을 설명하기에 수월하다.그러나 골드만은 이에 만족하지 않고,

한 미 단에 유 한 주 의 반응을 ‘이상 비평가’의 반응으로 제

Page 71: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62 -

한하는 방식을 통해 미 단의 규범성까지 설명하고자 하 다.규범성

을 포섭하고자 하 던 그의 의도는 좋았으나 ‘이상 비평가’의 단에

호소하는 방식을 택한 탓에,‘진정한 단자’에 호소하는 흄의 방식에 제

기되는 비 들로부터 골드만 역시 자유롭지 못하다.그리하여 얼핏 (미

불일치라는) 실과 (미 단은 규범성을 가진다는)상식에 가장

잘 부합하는 듯한 그의 설명은,보다 면 히 고찰했을 때,다양한 미

단들의 규범성을 설명해내는 데 큰 성과를 이루지 못하 음이 드러나

며,설명 한계를 지닌다는 것이 필자의 주장이다.

골드만은 흄 인 계 분석의 틀을 실재론 으로 해석한 뒤

이것의 문제 을 지 하고 수정하여,미 단에 한 반실재론 입장

을 개진한다.이 같은 변증법 개방식은 흄의 논의가 실재론/반실재

론을 통해 어떻게 재구성 될 수 있는지를 잘 보여 다.나아가 흄 인

방식을 통해 규범성을 확보하려던 그의 시도의 한계와 이것이 시사하는

바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필자의 견해로 골드만의 이론 약 들은 규

범성 확보를 해 이상 비평가에 호소하는 방식이 아닌 다른 노선을

찾아야 한다는 ,그리고 가치 립 속성에 한 진술을 포함하는 미

단에 요구되는 규범성과 가치 단 차원에서의 규범성을 분리시켜

설명해야할 필요가 있다는 을 시사한다.

본 장의 목표는 첫째,골드만의 이론에 한 비 고찰을 통해

이상 비평가에 호소하여 규범성을 설명하는 방식은 실패할 수밖에 없

음을 입증하고,둘째,미 실재론을 논하고자 할 때 가치 립 일 수도

있는 미 속성 차원과 가치 단 차원을 구분해야 하는 필요성을 역설

하는 것이다.이를 해 반부에서는 미 단들이 다양한 가운데서도

어떻게 규범성을 가질 수 있는지에 한 골드만의 설명을 살펴볼 것이

며,후반부에서는 그의 설명이 규범성에 실패하게 된 요인을 분석한다.

나아가 가치 립 미 속성에 해서는 골드만의 이론이 용되지 않는

설명 한계를 지 함으로써,미 단의 규범성 설명을 한 이론을 모색

할 때 가치 립 인 미 속성까지도 포함하는 방식이 필요하며 이를 해서

는 미 속성의 평가 요소와 비-평가 요소가 분리 가능해야 함을 논하겠다.

Page 72: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63 -

1.골드만 이론의 이해

1.1골드만의 이론 토 :흄 인 계 분석

앞서 제 2장에서 살펴 본 바,미 단에 한 흄의 분석은 다

음 두 가지 특징을 갖는다.하나는 미 단을 상의 객 성질과

이로 인해 주 의 마음에 야기되는 쾌 반응 간의 계를 통해 이해하

다는 이다.다른 하나는 이 때 유의미한 주 의 반응을 특정 자격을

갖춘 이들,즉 진정한 단자의 반응으로 제한하 다는 이다.이 두 가

지 특징이 드러나도록 흄의 미 단을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이 서술된

다.

상 O가 미 속성 P를 가진다 = 상 O는 그것이 가진

보다 기본 인 속성들 B로 인해 이상 감상자 V에게 반응

R을 이끌어 낸다.68)

여기서 좌항은 미 속성의 귀속 즉 미 단이며,우항은 그것의 의미

이다. 컨 내가 고려청자(O)를 보고 우아하다(P)고 하는 것은 “고려

청자(O)는 ‘우아함(P)’이라는 미 속성을 가졌다”라고 말하는 것이며,

이는 다음을 의미한다:고려 청자(O)는 그것이 지닌 부드러운 곡선(),

옥색 빛깔(),비상하는 학 상감 문양()등 보다 기본 인 속성들(,

,,……)로 인해 이상 비평가 V로부터 ‘우아하다(R)’라는 반응을

이끌어낸다.

주의할 은 미 단에 한 계 분석이 그 자체로 실재론

는 반실재론을 함의하거나 결정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계 분

석이라 함은 ‘상이 지닌 객 성질들’과 이에 한 ‘주 의 반응’이라

는 두 가지 계항 사이의 계를 통해 미 단을 설명하는 것을 이른

다.비록 도식의 좌항과 우항이 등호로 연결되어 있기는 하나,미

68)Goldman,A.(1995)AestheticValue,Westview Press,p.21.

Page 73: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64 -

단이 내려지는 과정을 설명할 때 좌항(‘상이 미 속성 P를 가짐’)과

우항(‘이상 비평가V가 R의 반응을 보임’) 어느 것에 방 을 는가

는 설명에서의 선후 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에 따라 미 속성의

존재론 지 가 달라진다.만약 설명에서 좌항에 방 을 었다고 해보

자.이는 달리 표 하자면 ‘상이 미 속성 P를 가짐’이 원인,그리고

우항의 ‘이상 비평가 V가 R의 반응을 보임’은 결과로 보는 것이다.풀

어 쓰면,“고려청자는 ‘우아함’이라는 속성을 가졌기 때문에,이상 비평

가들은 고려청자를 보고 (그것이 가진 부드러운 곡선,옥색 빛깔,비상하

는 학 문양 등 객 속성들로 인하여)‘우아하다’고 느낀 것이다.”이는

흄 인 계 분석을 실재론 으로 해석한 설명이다.

한편,‘고려청자는 우아하다’라는 동일한 미 단의 설명 순서

를 뒤집어 보면 다음과 같다:“이상 비평가들이 고려청자를 보고 (그것

이 가진 부드러운 곡선,옥색 빛깔,비상하는 학 문양 등 객 속성들

로 인하여)‘우아하다’고 느 기 때문에 고려청자는 ‘우아함’이라는 성질

을 가진다.”이와 같은 반실재론 해석은 주 ,보다 정확하게는 이상

감상자의 반응을 설명 순서에서 가장 앞에 놓은 것이다.달리 말하면 이

상 비평가의 반응이 곧 미 단의 근거인 것이다.

실재론과 반실재론의 갈림길에서 우리는 어떤 선택을 해야만 한

다.그런데 미 단에 한 규범 직 은 우리를 실재론으로 강하게

이끈다.왜냐하면 실재론에 따르면 미 속성은 상에 객 으로 존재

하며,미 속성의 귀속이 이 같은 미 사실에 부합할 때 그 미 단

은 참이라는 분명한 기 이 존재하므로,이는 어떤 미 상을 감상한

후 특정한 미 단을 내려야 한다는 우리의 규범 통념에 부합하기

때문이다.즉,실재론이 성립된다면,미 단은 객 진리치를 통해

규범 힘을 확보하는 것이다.그 다면 골드만의 안내를 따라 흄 인

이론을 실재론 으로 해석해보자.만약 흄 계 분석을 토 로 실재

론을 수립할 수만 있다면,우리는 수월하게 다양성과 규범성 모두를 확

보하게 될 것이다.

Page 74: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65 -

1.2흄 인 계 분석의 실재론 해석 가능성 검토

먼 실재론의 주장인 ‘어떤 속성이 실재한다’는 것이 구체 으

로 어떤 의미인지 규정할 필요가 있다.골드만은 “속성 P를 귀속시키는

것의 참/거짓 여부가 주 의 증거(evidence)와 믿음 체계에 독립 일 때

속성 P는 실재한다”고 설명한다.69)즉 미 속성이 실재한다면,그 귀속

의 참/거짓 여부는 내가 지각한바 는 내가 믿는 바에 무 하다.본인

이 색약이라는 사실을 모른 체 살아온 어떤 이가 빨간색 실과 록색 실

로 짜인 스웨터를 선물 받고 “나는 회색 스웨터를 선물 받았다”라고 믿

었다고 해보자.빨강색과 록색이 섞인 스웨터를 ‘회색 스웨터이다’라고

한 이 사람의 귀속은 참이 아니다.‘이 스웨터는 회색이다’라고 그가 아

무리 믿는다고 한들 이 스웨터의 실제 색은 ‘회색’이 아니다.그 스웨터

의 색은 스웨터 제작에 사용된 실의 색상에 련될 뿐,그 사람의 지각

이나 믿음과는 아무런 상 이 없는 것이다.70)이를 달리 표 하자면 내

가 지각하는 어떤 상의 외양(appearance) 는 그 상에 한 나의

믿음은 그 상의 실재(reality)와 다를 수 있다는 것이다.이와 같은

상의 외양과 실재 간에 존재할 수 있는 간극은,주 의 반응이 곧 미

귀속의 근거인 반실재론과 상의 실재가 미 귀속의 근거여야 하는 실

재론의 차이이자 실재론의 특징이라 하겠다71):

69)Ibid.,p.26.

70)이해를 쉽게 하기 해 색 속성의 를 들었다.이튼(Eaton)처럼 간혹 외

으로 색상도 미 속성에 포함될 수 있다고 보는 이도 있기는 하나, 부

분의 미학자들은 색 속성을 미 속성으로 간주하지는 않는다.

71) 상의 실재와 그 외양이 다를 수 있는 가능성이 반드시 존재한다는 골드

만의 인용은,반 의 입장에서의 서술이기는 하지만,앞서 흄이 취미의 기

을 세우고자 함에 반 하던 이들이 내세웠던 ‘취미의 자연 동질성 원리’

와 유사한 논리에서 이해될 수 있다.취미는 정감에 기반하며,주 의 정감

그 이외의 어떤 외부 상을 지시하지 않으므로,그 정감은 지각되는 한

참이며,따라서 오류란 없다는 것이 회의주의자들의 논리 다.동일한 근거와

논리를 반 로 설명해보자.외부에 객 으로 실재하는 속성에 한 단의

참/거짓은,주 의 반응과는 독립 이다.따라서 단의 내용이 외부 지시

Page 75: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66 -

만약 미 속성들이 상의 실재 속성들이라면,그것들이 어떻게 드

러나는지(how theyappear)와 그것들이 어떠한지(how theyare)사

이에 어떤 차이가 반드시 가능해야 한다.실재는 외양으로부터 그리

고 그것에 한 믿음으로부터 항상 차이가 날 수 있다.72)

이처럼 골드만은 실재론을 주장하려면 상의 외양과 실재 간의

차이 가능성을 열어두어야 한다고 보았으며,이상 비평가를 통해 이를

해결하려 한다.실재론에서의 이상 비평가란,그 정의 상, 상의 실체

를 어떤 왜곡이나 오류 없이 악하여 정당한 미 단을 내릴 수 있는

자격을 갖춘,결함 없는 감상자를 말한다.이상 비평가는 상의 실체

를 있는 그 로 지각하므로,그에게 실재와 외양 간의 차이는 없다.반

면,이상 비평가의 자격 조건들을 고루 갖추지 못한,결함이 있는 일반

감상자의 경우,그가 지각하는 상(즉,외양)은 실재와 차이가 있을 수

밖에 없다.(앞서 든 에서 색약으로 인하여 스웨터의 실제 색상을 제

로 지각하지 못하는 것처럼 말이다.)비평가들이 같은 작품을 감상한

뒤 서로 다른 미 단을 내리고 논쟁하는 미 불일치 상을 우리는

종종 목격할 수 있는데,이상 비평가에 호소하는 미 실재론에 따른

다면 미 불일치 상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것이다.동일한 작품에

하여 상이한,심지어 양립 불가능한 미 단으로 논쟁하는 두 비평가

들 최소한 한 명은 이상 비평가가 아니며,이상 비평가로부터 멀

어진 만큼 미 단에 오류를 지닌 것이다. 는 두 명 모두 이상 비

평가가 아니며,서로 다른 오류를 지닌 미 단들을 제시하고 논쟁하

고 있는 것이다.

살펴본 바,실재론에서 왜 이상 비평가를 상정하고,미 단

의 참/거짓을 그들의 미 단에 호소하는지 그 이유가 설명되었다.요

상에 조응하는 한 이는 참이고,조응하지 않는 한 거짓이다.즉,실재하는 속

성의 귀속에 한 단은,주 의 지각 능력 결함이나 외부 상황 조건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잘못된 단일 수 있다.이처럼 실재론에서 미

단의 오류 가능성은 곧 실재와 외양 간 사이에 간극이 있을 수 있음을 의

미한다.

72)Ibid.,p.27.

Page 76: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67 -

컨 ,이상 비평가를 상정함으로써 미 실재론이 얻게 되는 효과들은

다음과 같다:1.미 실재론에서 요구되는 실재와 외양 간 차이 가능성

이 설명되며,2.이상 비평가의 반응이 우리가 내리는 미 단의 참/

거짓 는 타당성의 근거라는 에서 규범성 한 설명된다. 한 3.이

상 비평가가 아닌 우리의 단은 오류 가능성을 지닌다는 에서 실

에서 발견되는 상당수의 미 불일치 사례들을 설명해낼 수 있다.

이로써 이상 비평가의 반응에 호소하는 흄 인 계 분석을

실재론으로 해석할 때 갖는 이론 장 이 확보되었다.그런데 이 같은

장 을 지닌 미 실재론이 과연 성립될 수 있는가?

골드만은 색 속성과의 유비를 통해 미 속성의 실재를 주장하

는 논변을 비 으로 고찰함으로써 미 실재론의 성립 가능성 여부를

검토한다.미 속성은 상의 객 성질과 이에 한 특정 지각자의

반응 간의 계로 구성된다는 에서 2차 성질인 색 속성이 정의되는 방

식과 유사하다고 종종 여겨진다.실재론자들은 이처럼 미 속성과 색

속성이 성질 상 유사하다는 을 근거로,색 속성이 정의되는 방식 혹은

색 속성이 실재 속성으로 규정되는 방식으로 미 속성의 실재를 주장하

기도 한다.색 속성이 정의 되고,나아가 실재 속성으로 규정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색은 본디 상이 빛을 흡수하여 장의 형태로 반사시키

는 것에 한 우리 의 반응일 뿐,“빨강”,“ 랑”,“노랑”등의 색상이

그 자체로 상에 물리 으로 실재하는 것은 아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특정 빛 조건 아래에서 상에 한 정상 지각자의 반응을 통해

그 색상을 규정한다.그리고 다음의 두 가지 조건을 충족시키면 그 색

속성은 실재하는 속성으로 받아들인다.

A.‘정상 지각자’를 비순환 으로 정의할 수 있고,

B.동일 상에 한 다수의 ‘정상 지각자’들의 색 단이 일치한다면,

색 속성은 실재하는 것이다.73)

73)Ibid.,p.27.색 속성의 실재론 정의에 한 보다 자세한 골드만의 논의는

다음의 문헌을 참고하라:A.Goldman,EmpiricalKnowledge (Berkeley,

Page 77: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68 -

골드만은 색 속성을 규정하고 그것의 실재를 주장하는 이와 같은 방식을

미 속성에 용함으로써 실재론이 성립할 수 있는지 검토해본다.

두 조건을 미 언어로 치환해보면 아래와 같이 나타날 수 있을 것이며,

이들 조건이 충족된다면 미 속성에 한 실재론 한 받아들여질 수

있을 것이다.

A’.‘이상 비평가’를 비순환 으로 정의할 수 있어야 한다.

B’.동일 상에 하여 다수의 ‘이상 비평가’들의 미 단이 일치

해야 한다.

앞서 말했듯,이상 비평가에 호소하는 흄 인 방식으로 실재론이 성립

한다면,이는 미 단의 다양성과 규범성을 모두 포섭하는 이론이 될

것이다.그러나 골드만의 결론부터 미리 말하자면,흄 인 분석을 실재론

으로 해석했을 때 A’조건은 충족 가능하지만,B’조건은 끝내 충족되지

않는다.따라서 미 실재론은 성립될 수 없다는 것이 골드만의 주장이

다.다음 에서 이러한 골드만의 주장을 상세히 따라가 보자.

1.2.1이상 비평가 비순환 정의 조건

먼 색 역에서 ‘정상 지각자’가 어떻게 비순환 으로 정의되

는지 먼 살펴보자.색에 한 정상 지각자는 그가 내린 색 단을 제

외한 다른 기 들을 통해 정의될 수 있다.어떤 지각자가 정상인지 아닌

지의 별은 그가 내리는 색 단은 배제하더라도,그의 시건강 상태에

한 다각도의 검사를 통해 알아낼 수 있다.74)그런데 미 역에서도

이처럼 이상 비평가를 그가 내린 미 단에 의존하지 않은 채 정의

할 수 있을까?

바로 이 지 에서 앞서 본고 제 2장에서 흄에 한 비 들

UniversityofCaliforniaPress,1998),pp.281-288.

74)Ibid.,p.28.

Page 78: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69 -

하나로 검토하 던 순환 오류(2.2순환성의 오류(p.53))과 이에 한 반

박을 상기해 보는 것이 유용하다.실재론자들은,흄이 그러했듯,이상

비평가의 조건을 나열하는 방식으로 이상 비평가를 정의하려 할 것이

다.골드만은 이상 비평가의 자격으로 나열할 만한 조건들로 다음을

제시 한다:지식을 갖출 것(knowledgeable),편견에 휘둘리지 않을 것

(unbiased), 민할 것(sensitivity).75)

술 작품을 제 로 감상하기 해서는 그 작품의 장르에 한

지식뿐 아니라,그 작품과 비되는 작품들 반에 한 폭넓고 방 한

지식,그리고 역사 ,사회 문화 지식 반이 필요하다.그러나 필요한

지식 반을 갖추었더라도 편견에 사로잡힌 이는 작품에 한 객 평

가를 내릴 수 없다.따라서 이상 비평가는 작품을 면할 때,그 작품

을 제작한 작가와의 개인 계 등에서 비롯될 수 있는 모든 편견을 제

거해야만 한다.따라서 지식과 더불어 편견으로부터의 자유로움이 요구

된다.마지막으로 제시된 덕목은 민성이다.그런데 골드만은,흄의 ‘섬

세함’조건이 그러하 듯,바로 이 ‘민성’조건이 순환 오류에 빠질

험이 있음을 지 한다. 민성이 다음과 같이 정의 된다면 이는 순환 오

류를 범한다.

민하다 =작품의미 속성과미 가치를제 로감상할수있는능력이다.

미 속성= 민한감상자로하여 특정반응을야기시키는속성이다.76)

‘민성이란, 민한 감상자로 하여 특정 반응을 야기 시키는 속성을

제 로 감상할 수 있는 능력’이라는 악순환에서 벗어나기 해 골드만은

두 가지 안이 가능하다고 서술한다.첫째는 민성에 하여 약한 개

념을 취하는 것이며,두 번째는 형에 호소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골드만에 따르면 형들에 한 호소는 다시 순환의

오류에 빠진다.77) 형이란,각각의 미 속성들에 해 그 귀속의 표

75) Ibid.,p.28.,A.Goldman(1990a),“Aesthetic Versus MoralEvaluations”,

PhilosophyandPhenomenologicalResearch,vol.50,no.4,p.717.

76)Goldman(1995),p.28.

77) Ibid.p.22.

Page 79: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70 -

이 될 만하다고 지정된 작품들이다.그런데 어떤 작품을 형으로 지정

하는 것은 이상 비평가의 몫이다.이상 비평가는 민성을 지닌 감

상자여야 한다.따라서 형에의 호소는 이미 민성을 갖추었다고 확인

된 감상자들이 내린 단에 다시 호소하는 꼴이다.따라서 골드만은

순환 오류에서 벗어나려면 민성을 “감각 차이를 분별하는 능력

(powersofsensorydiscrimination)”이라는 약한 개념으로 이해해야 한

다고 주장한다.78)앞서 민성을 ‘미 속성과 미 가치를 제 로 감상하

는 능력’으로 이해하고,미 속성은 ‘민한 감상자로 하여 특정 반응

을 야기하는 속성’으로 이해했을 때에는 민성과 미 속성이 서로가

서로를 규정하는 꼴이므로 순환 일 수밖에 없었던 반면, 민성을 지각

차이를 구별하는 능력이라는 약한 개념으로 이해한다면 순환성의 문

제를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이다.그러나 골드만은 민성을 차이를 구별

하는 능력으로 이해했을 때에 구체 으로 어떻게 순환성 문제가 해결되

는지에 한 설명은 제공하고 있지 않다.골드만의 의도는 아마도 다음

과 같았을 것이다.

민성 = 상의 감각 차이를 구별하는 능력

미 속성 = 상의 감각 차이를 구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감상자로

하여 특정한 반응을 야기하는속성

이로써 골드만은 민성이 악순환에서 벗어났으며 따라서 이상 비평가

가 비순환 으로 정의된다고 보았다.79)

78)Ibid.p.22.

79) 필자는 이상 비평가의 자격 조건인 ‘민성’이 ‘감각 차이를 구별하는

능력’으로 체될 수 있는지 자체에 의구심이 든다.왜냐하면 골드만이 이상

비평가를 규정할 때의 민성은 단순히 감각 차이를 구별하는 능력 뿐

아니라 그 감각 차이에 따른 감성 반응의 차이까지 인지할 수 있는 능력

을 포함해야 할 것 같기 때문이다.그러므로 민성은 약한 개념으로 체되

어 정의 될 수 없으며,따라서 이상 비평가 정의의 순환성 문제는 골드만

이 주장하는 바와 달리 해결되지 않았다는 것이 필자의 견해이다.(이에

해서는 본 장의 2.1.1(pp.77-9)에서 보다 자세히 개진할 것이다.)앞서 살펴본

흄의 진정한 단자의 순환 오류 논증과 2.1.1 에서 개진할 골드만의 이상

Page 80: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71 -

앞서 살펴본 바,비순환 으로 이상 비평가를 정의할 수 있고,

그 이상 비평가들의 미 단이 일치한다면 미 실재론이 성립된다.

지 까지 미 실재론 성립을 한 첫 번째 조건에 한 골드만의 검토

를 살펴보았는데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이상 비평가는 그

자격 조건을 나열하는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는데,이때 자격 조건들

하나인 ‘민성’이 그 정의상 미 속성을 포함한다면 순환 오류에 빠질

험이 있다.그러나 골드만에 따르면 ‘민성’은 ‘감각 차이를 구별하

는 능력’으로 체함으로써 순환 정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따라

서 이상 비평가는 비순환 으로 정의될 수 있다는 것이 골드만 주장의

요지이다.요컨 골드만에 따르면 미 실재론 성립을 한 첫 번째 조

건인 이상 비평가 개념의 비순환 정의 조건은 충족된 셈이다.

그 다면 이제 미 실재론이 성립하기 한 두 번째 조건,즉

이상 비평가들의 미 단들이 일치해야 한다는 조건이 만족된다면

흄 인 계 분석을 통한 미 실재론이 성립할 것이다.그러나 결론

부터 미리 말하자면,이상 비평가들 간에는 해소될 수 없는 미 단

의 불일치가 남으며,따라서 실재론은 성립될 수 없다는 것이 골드만의

주장이다.

1.2.2이상 비평가들 간의 단 일치 조건

앞서 우리는 이상 비평가에의 호소를 통해 미 불일치 사례

들을 설명할 수 있다고 했다.이상 비평가에 호소하는 실재론 해석

에 따르면, 실에서 찰되는 수많은 미 이견들 상당수는 감상자

들의 결함,즉 이상 비평가로부터 벗어난 정도에서 기인하는 것이라

설명되기 때문이다.그런데 이쯤에서 한 가지 의문이 제기된다.과연 이

상 비평가들 사이에서는 미 단이 불일치할 가능성이 없을까?

비평가 순환 정의 오류는 이상 비평가 는 진정한 단자라는 개념 자

체가 문제를 지니고 있음을 드러내는 목이며,따라서 이상 비평가에 호

소하여 미 단의 규범성을 확보하려는 략은 성공 이지 못하다는 본고

의 주장에 힘을 실어 다.

Page 81: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72 -

실재론을 지지하는 이라면 이 물음에 단호히 ‘그럴 가능성은 없

다’고 답해야만 한다.왜냐하면 실재론에서 미 단은 외부 상 (즉

술 작품)에 객 으로 존재하는 속성들을 지시물로 갖는 단이며,

따라서 이는 사실의 문제이다.때문에 서로 모순되는 두 개의 사실이 동

시에 공존할 수는 없으며,‘상의 객 속성을 그 어떤 오류도 없이

실제 그 로 지각하고 보고하는 능력을 지닌 감상자’라는 이상 비평가

의 정의 상,동일한 미 상에 해서는 동일한 미 단들을 내려야

한다.이상 비평가 두 명이 하나의 상에 하여 서로 모순되고 양립

불가능한 미 단들을 내린다는 것은 사실 원칙에 배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 비평가들 간의 단들은 원칙 상 늘 일치해야만 한다.

그런데 이상 비평가가 오류를 범할 가능성은 정말 없는 것일

까?골드만은 이상 비평가 개념을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실재론

자들은 딜 마에 착한다고 보았다.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만약 이상

비평가들은 그 정의 상 오류를 범할 가능성이 없다고 답한다면,이

때의 이상 비평가는 인간 존재라기보다 지 능한 어떤 존

재에 가깝게 설정되는 것이다.그런데 바로 이 때문에 우리는 인식 한

계에 부딪힌다. 지 능에 가까운 추상 존재, 실에서 동떨어진 존재

로 상정된 이 같은 이상 비평가들이 재 우리의 논쟁 상인 구체

술 작품 W에 하여 어떤 평가를 내릴 지 우리는 알기 어렵다.내용

을 알 수 없는 이상 비평가들의 미 단은 실에서 당장 우리 앞에

서 벌어지고 있는 미 논쟁들을 조율하는데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한다

는 것이 골드만의 설명이다.본고에서 주목하고 있는 ‘미 규범성에

한 설명력’의 에서 부언하자면,이 게 규정된 이상 비평가의 미

단은 그 내용을 알 수 없기에 규범 기 으로 삼기 어렵다. 실에서

의 미 단들의 타당성 는 정당성을 가늠하기 해 이상 비평가의

미 단을 그 근거로 삼아야 하는데,이상 비평가가 재 논쟁이 되

고 있는 상에 해 어떤 단을 내릴지 알 수 없다면,결국 미 논쟁

을 해결하는데 있어 이상 비평가에 호소함으로써 아무런 실질 정보

를 얻지 못하는 것이다.따라서 이상 비평가를 어떤 추상 존재로 상

Page 82: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73 -

정하면,애 이상 비평가 개념을 도입하여 얻고자 했던 설명 유용

성을 결국 얻을 수 없다는 것이 필자의 견해이다.

한편,만약 이상 비평가를 실에서 찾을 수 있는 존재로 설정

하고 실의 비평가들로부터 추론하는 방식을 택한다면,앞서 착했던

인식 한계의 문제는 해소된다.그러나 실의 비평가들이 그러하듯 이

상 비평가라 여겨지는 비평가들 사이에서도 미 이견이 존재할 가능

성은 배제하기 어렵다.

요컨 ,추상 이고 인 존재로 이상 비평가를 상정한다

면 우리는 인식 한계에 착하게 되고,이때의 이상 비평가는 실제

술 장에서 벌어지는 논쟁들에 하여 아무런 정보도 제공해주지 못

한다.그 다고 딜 마의 다른 쪽 뿔을 택하여 실의 비평가들로부터

이상 비평가를 추론하기로 한다면,이 게 상정된 이상 비평가들 사

이에는 미 이견이 발생할 가능성이 여 히 남기 때문에 실재론이 성립

하기 해 요구되는 이상 비평가들 간 미 단의 일치 조건을 충족

시키지 못하여 실재론이 성립될 수 없는 것이다.이것이 골드만이 지

하는 실재론자가 착하는 딜 마이다.따라서 실재론이 성립하려면 이

처럼 해소되지 않고 여 히 남는 미 불일치 상들에 해 실재론자들

은 납득할만한 설명을 제공해야만 한다.

이상 비평가들 간의 미 불일치 문제를 해소하기 해 실재

론자들은 이상 비평가의 자격을 술 형식 는 양식에 따라 세분화

할 것이라고 골드만은 상한다.80) 컨 클래식 음악에 한 이상

비평가와 록 음악에 한 이상 비평가를 따로 지정하는 것이다.그러

나 골드만이 바로 이어서 지 하듯,이 방법은 실재론을 옹호하는 논변

으로 유효하지 않다.왜냐하면,어떤 작품에 해 이견이 발생할 때마다

문 분야를 세분화하여 각각에게 이상 비평가의 지 를 수여해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이 듯 미 이견이 발생할 때마다 지나치게 하

게(lenient)이상 비평가 지 를 수여하게 되면,결국 실재론이 성립하

기 해 필요한 이상 비평가들 간의 동의를 확보할 수 없다.따라서

80)Ibid.,p.30-1.

Page 83: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74 -

이상 비평가의 자격을 술 형식이나 양식에 따라 세분화함으로써 이

상 비평가들 간 미 불일치를 해결하려는 략은 성공 이지 못하다

는 것이 골드만의 논변이다.81)

정리해보자.골드만은 당 흄 인 계 분석이 미 단에

있어 주 성과 객 성을 두루 포섭하는 구조라는 에서 이를 자신의 이

론 모델의 출발 으로 삼았다.그리고 다음의 두 가지가 충족된다면,

색 속성을 실재 속성으로 받아들이듯,미 속성의 실재 역시 주장할 수

있다고 보았다.그 두 가지 조건이란 첫째,이상 비평가를 비순환 으

로 정의할 수 있어야하며 둘째,이상 비평가들 간의 미 단이 일치

해야한다는 것이었다.골드만의 주장에 따르면 이상 비평가의 자격 조

건 하나인 민성을 약한 개념으로 이해함으로써 순환성의 문제를 해

결할 수 있게 되므로 첫 번째 조건이 충족된다고 보았다.그러나 본

에서 살펴본 바,이상 비평가들 간의 미 단의 불일치는 여 히 존

재할 것 같다는 게 골드만의 주장이다.즉 실재론이 성립하기 해 필요

한 두 번째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므로 미 실재론은 성립될 수 없다

고 골드만은 결론 내린다.

이제 비로소 골드만은 자신의 이론을 개진한다.골드만은 에서

언 한 이상 비평가들 간에 여 히 해소되지 않고 남아있는 미 불일

치는 이상 비평가 간의 취미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이며 이는 굳이

해소해야 하는 것이 아닌 자연스러운 상이라고 보았다.흄 인 계

분석을 반실재론 으로 해석하는 것이다.다음 에서 골드만의 반실재

론 계 분석의 내용을 살펴보자.

81)Ibid.,p.30-1.골드만은 이 문제 즉,이상 비평가 자격 수여가 지나치게

해 질 수 있는 험에 하여 따로 이름을 명명하지는 않았다.그런데

골드만이 제기한 이 반론은 취향에 따라 이상 비평가 자격을 따로 수여할

것을 주장하는 골드만의 이론에 동일하게 제기될 수 있다고 필자는 생각하

며,이에 한 논의를 본 장의 2.2 (pp.61-3)에서 개진할 것이다.벤더(1996,

2003)는 이 문제를 ‘지나친 화의 문제(leniencyproblem)’라고 칭한 바 있

다.

Page 84: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75 -

1.3골드만의 제안:나와 취미가 같은 이상 비평가의 단에 호소

앞서 살펴본바 이상 비평가의 단에 호소하는 미 실재론은

기껏해야 결함을 가진 지각자들의 미 단을 걸러내는 정도에서 미

불일치를 부분 으로 해소할 뿐,보다 흥미로운 논쟁거리인 미 이견들,

즉 정상 으로 상을 지각했음에도 불구하고 주 의 반응이 달라 빚어

지는 미 불일치 상들에 해서는 여 히 설명하지 못하는 한계를 드

러냈다.그 다면 이상 비평가에 호소하여도 여 히 남아 있는 미

불일치를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골드만은 이상 비평가들 간에 해소되

지 않고 여 히 남아 있는 미 이견들의 원인을 취미의 차이로 설명한

다.즉,같은 미 상에 해 이상 비평가들이 서로 다른 미 단

을 내놓는 것은 그들의 취미가 다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이상 비평

가들의 취미가 다를 수 있으므로,나의 미 단의 진 여부 는 타

당성은 나와 같은 취미를 가진 이상 비평가들의 미 단에 호소하여

야 한다는 것이 골드만 주장의 핵심이다.82)이를 도식화 하면 다음과 같

다:

상 O가 미 속성 P를 가진다 = 상 O는 그것이 가진 보다 기본

인 속성들 B로 인해 개별 감상자와 동일한( 는 유사한)취미를

가진 이상 감상자 V에게 반응 R을 이끌어 낸다.

골드만의 설명의 특징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첫째,골드만은

미 단을 계 으로 분석하 다.여기서 계 이란, 상이 지닌 객

비-미 속성들이 하나의 계항이요,다른 하나는 이 속성들에

한 주 의 반응이다.이와 같은 계 분석을 기본 틀로 삼음으로써 골

드만은 미 단의 두 가지 핵심 특징인 주 성(경험성)과 객 성(규

범성)을 놓치지 않고자 하 다.둘째,골드만은 한 미 단에 계

되는 주 의 반응을 이상 비평가의 반응으로 제한함으로써 본질 으로

주 의 반응에 의존 인 미 단이 비인지주의 상 주의로 빠질

험을 미리 제거하 다.그리고 특정 자격을 수여 받은 이들의 반응에 호

82)Ibid.,p.38.

Page 85: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76 -

소함으로써 미 단의 규범성을 확보하고자 하 다.골드만 이론의 세

번째 특징은 미 단,정확히는 이상 비평가들의 미 단들을 취

미에 상 화하 다는 이다.이로써 골드만은 이상 비평가들 간에도

여 히 발생 가능한 미 불일치들을 설명하고,동일한 작품에 한 미

단이 다양할 수 있는 합리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2.골드만 이론의 규범성 확보 실패

필자는 골드만의 이론이 갖는 약 을 두 가지 측면에서 지 할

것이다.그 첫 번째는 규범성 확보의 실패이며,두 번째는 골드만의 이론

으로 설명되는 미 단 는 미 속성의 범 가 한정 이라는 이

다.두 번째 비 측면에 한 논증은 3 에서 이어질 것이다.본 에

서는 먼 첫 번째 약 인 미 단의 규범성 확보 실패에 한 비 을

개진할 것이다.

미 단의 규범성 확보 실패에 한 필자의 논변은 다시 두

가지 측면으로 이루어질 것이다.취미에 상 화한 이상 비평가의 단

에 호소하여 미 단의 규범성을 확보하려던 그의 시도는 첫째,이상

비평가라는 개념 자체가 지닌 순환 정의 오류와 인식 한계로 인

하여 규범성 확보에 실패한다.둘째,이상 비평가의 미 단을 취미

에 상 화하자는 골드만의 제안을 따를 경우,이상 비평가 자격 수여

가 지나치게 해질 수 있으며 종국에는 이상 비평가로서의 규범

지 가 훼손될 것이다.

첫 번째 비 논증은 앞서 살펴보았던 흄 이론에 한 비 이

골드만의 이론으로까지 이어지는 것으로,‘진정한 단자’ 는 ‘이상

비평가’에 호소하여 규범성을 설명하려는 략이 지닌 본질 문제 을

드러낸다.두 번째 비 논증은 앞서 골드만이 실재론자들을 비 할 때

용했던 논증을 골드만에게 역으로 용하는 것이다.이상의 논증을 통

해 필자는 이상 비평가에 호소하는 골드만의 방식이 규범성 설명에 실

패한다고 주장할 것이다.

Page 86: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77 -

2.1이상 비평가 규정의 문제

2.1.1 민성 개념의 순환 정의 오류

앞서 (본고의 1.2.1에서 살펴본바)골드만은 이상 비평가들이

갖춰야 할 자격 조건들로 지식을 갖출 것(knowledgeable),편견에 휘둘

리지 않을 것(unbiased), 민할 것(sensitivity)을 꼽았다.이들 순환

오류에 빠질 험이 있다고 지 되었던 ‘민성’에 하여 골드만은 이를

‘감각 차이를 구별하는 능력’정도의 약한 개념으로 이해하면 순환

정의 문제가 해결된다고 하 다.

만약 골드만의 주장 로 이상 비평가에게 요구되는 ‘민성’이

‘감각 차이를 구별할 수 있는 능력’이라는 약한 개념으로 체 될 수

있다면,이상 비평가의 개념은 순환 정의 오류에서 벗어날 것이다.

단,이와 같은 안 정의가 허용되려면,‘감각 차이를 구별할 수 있

는 능력’을 가진 것으로 규정된 이상 비평가의 역할,기능,능력이 ‘

민성’을 가진 이상 비평가의 역할,기능,능력과 반드시 동일한 수 으

로 유지되어야만 한다.만약 ‘민성’을 ‘감각 차이를 구별하는 능력’으

로 체 했을 때,이 게 규정된 이상 비평가의 기능,역할,능력

어떤 본질 이거나 요한 부분이 손실된다면,이상 비평가로서의 규

범 지 가 흔들릴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바로 이러한 이유로 필자는 이상 비평가에게 요구되는

민성이 감각 차이를 구별하는 능력으로 치환될 수 있다는 골드만의

주장에 회의 이다.왜냐하면 민성은 감각 차이를 구별하는 능력 이

외에도 이에 따른 감성 차이를 구별하는 능력까지 포함되어야하기 때

문이다.그 다면 이상 비평가에게 요구되는 ‘민성’에 왜 한 감

성 반응의 차이까지 포함 되어야 하는가 물을 수 있을 것이다.이에

한 필자의 답변은 다음과 같다.

미 단이 감성에 기반을 두는 단임은 부정할 수 없을 것이

다.따라서 이상 비평가의 반응을 미 단의 참 는 타당성의 기

Page 87: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78 -

으로 삼을 때,이상 비평가의 감성이 해야만 타당한 반응이 나올

것이다.그 다면 이상 비평가의 자격 조건 어딘가에는 한 감성

반응을 확보하기 한 요소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이상 비평가

V의 자격 조건 1.지식을 갖출 것,2.편견이 없을 것,3. 민성 감성

역에서의 성을 담보할 수 있는 조항은 3. 민성뿐이라고 보인

다.83)따라서 이상 비평가에게 요구되는 민성에는 단순히 감각 차

이를 분별할 수 있는 능력 뿐 아니라,감각 차이를 인지하고 이에 따

라 달라지는 감성 반응까지 분별할 수 있는 능력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이 필자의 주장이다.

컨 어떤 연주자가 바흐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 4번을 두 차

례 연주하 는데,처음 연주할 때와 두 번째 연주할 때 다른 모든 것은

동일했고 비 라토 구사에 있어서만 아주 미묘한 차이를 보 다고 가정

해보자.일반 감상자들은 지각하기 쉽지 않을 만큼 미묘한 차이 더라도

이상 비평가라면 그 차이를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그런데 이상 비

평가라면 비 라토의 템포가 약간 빨라졌다거나 진폭이 강렬해졌다거나

등과 같은 단순한 지각 차이만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이로 인해 어떻

게 느낌이 달라지는지 느낄 수 있어야 할 것이다.즉 비 라토가 빨라지

거나 강도가 강해지는 등 소리의 차이로 인하여 그 느낌이 어떻게 달라

지며 이로 인해 곡 체의 느낌이 어떻게 달라졌는지-보다 화려해졌는

83)이들 조건들 1.‘지식을 갖출 것’은 인지 능력,이성 능력이기 때문에

한 감성 반응에 직 연 되지는 않는다.2.‘편견을 배제할 것’이라는

조항은 상에 한 태도 측면이라는 에서 감성에 련된다고 볼 수도

있으나, 치 못한 감성을 기반으로 한 근을 차단할 뿐이다.이상 비평

가의 한 반응 감성 부분이 타당하려면,네거티 한 방식으로 뿐 아

니라 포지티 한 방식으로 한 감성을 보장할 장치가 필요하다.필자는

‘민성’이 바로 그러한 장치 역할을 해야 한다고 본다.

흄과 비교해보자.흄의 ‘진정한 단자’의 자격 조건은 다섯 가지 다:

취미의 섬세함,연습,비교,선입견으로부터의 자유로움,좋은 감 (good

sense).이들 특히 취미의 섬세함,좋은 감 의 조건이 감성의 함을

보장하는 역할을 했다고 보여 진다.골드만의 자격 조건에서 이에 응될 만

한 것은 민성이 유일하다.

Page 88: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79 -

지,거칠어졌는지,차분해졌는지 등-그 미묘한 감성 차이까지 인지할

수 있어야 한다.

요는,이상 비평가라면 단지 감각 차이를 구별하는 능력 뿐

아니라 이와 더불어 감각 차이에 따른 감성 차이까지도 인지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되는데,골드만이 제시한 이상 비평가의 자격 요건

세 가지 한 감성 반응을 확보할 수 있는 요소가 별도로 언 되

고 있지 않으므로, 민성 안에 이것이 포함되어야만 한다.그런데 민

성이 감성 차이를 인지하는 능력까지 포함한다면,이 게 규정되는

민성은 감각 차이를 구별하는 능력이라는 약한 개념으로 치환될 수 없

다.따라서 그 외의 다른 이해 방식이 없는 상황에서라면,골드만의 주장

과 달리 민성의 순환 정의 문제는 해결되지 않고 남아있게 된다는

것이 필자의 주장이다.

2.1.2 민성이 한 미 단에 끼치는 부정 향

민성 개념과 련된 두 번째 문제를 살펴보기 해 골드만이

애 이상 비평가를 도입한 본래 목 을 상기해볼 필요가 있다.정당

한 미 단에 유 한 주 의 반응을 특별한 자격을 갖춘 단자들의

반응으로 제한함으로써 골드만이 이루고자 했던 것은 무엇인가?그것은

다름 아닌 규범성이다.객 인 자격 조건들을 갖춘 이상 비평가의

단은 신빙성 있고 정당한,마땅히 따를 만한 미 단이며,일반 감상

자들은 그들의 미 단을 본보기 삼아야 한다는 것이다.이처럼 골드

만은 이상 비평가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미 단에 한 우리의 규범

직 을 설명하고자 하 다.그러나 이상 비평가를 통해 미 단

의 규범성을 설명하려던 골드만의 략은 성공하지 못하는데,그 실패

요인 하나가 바로 민성이 한 미 단에 야기할 수 있는 부정

향이다.즉 이상 비평가의 단이 이상 이 되는 데에 민성이

도리어 방해가 될 수 있으며,마땅히 따라야 할 본보기 단으로서의

지 가 약화될 수 있다는 것이 필자의 주장이다.

Page 89: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80 -

만약 필자의 주장 로 민성이 이상 비평가의 한 반응을

방해할 수 있다면,이는 이상 비평가가 잘못된 단을 내릴 가능성이

존재함을 시사한다.잘못된 단을 내릴 수도 있는 이상 비평가는 더

이상 이상 인 비평가가 아니며,따라서 그에게 주어진 규범 지 는

손상될 수밖에 없다.그 다면 민성이 어떻게 한 반응을 방해할

수 있을까?담스(JustinD’arms)와 제이콥슨(DanielJacobson)에서 인용

하고 있는 다음 우화를 통해 생각해보자.

어떤 왕자가 깃털더미를 쌓아 올려 만든 침 아래 단 한 알의 완두

콩조차 식별할 수 있는 민한(sensitive)공주를 찾으려 했다던 공주

와 완두콩 우화를 떠올려보라.이러한 방식으로 공주를 고르는 것이

수상쩍다는 은 개의치 말자;여기서 요한 은 가장 섬세한

(delicate)여인은 그 사소한 불완 함에도 불구하고 그 깃털 침 를

편안하다고 느낀 것이 아니라,오히려 잠을 이룰 수 없었다는 이다.

진정으로 섬세한 단자는 작은 불완 함으로 인하여 단지 약간의 불

편함만을 느낄 것이라고 주장하고자 할 수 있으나,이는 -어떤 결함

의 향력을 독립 으로 다룰 수 있음을 제하는 것이기에-결국

이상 찰자론을 지지하기 하여 그 기 이 경험 인 것이라는 애

의 취지를 포기하고 마는 것이다.84)

사실 이상 비평가의 자격 조건으로서 민성 개념이 지닌 문제는 새로

운 것은 아니다.흄이 ‘진정한 단자’를 통해 취미에 한 단의 규범

힘을 확보하고자 했을 때부터 이미 견된 문제이다.담스와 제이콥

슨이 이 을 잘 지 하고 있다.다소 길지만 그들의 인용을 빌려와 보

자.

18세기의 취미 개념이 제안하듯이,흄은 미각 모델에 기 해 미

단에 근했다.그는 섬세한 단자의 결들이 규범 기 의 역할

84) D’armsandJacobson(2000),“SentimentandValue,”Ethics,vol.110,p.728.

이 논문에서 담스와 제이콥슨은 ‘섬세함’과 ‘민함’을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

고 있다.

Page 90: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81 -

을 할 수 있다고 주장했는데,여기서 섬세함(delicacy)은 경험 으로

세 하게 구별하고 확인할 수 있는 능력으로 이해된다.흄의 안내를

따라 군가는 어떤 것들이 진정한 Φ인가를 결정하기 해 더욱 일

반 으로는 어떤 섬세한 단자의 반응들에 호소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경험 인 것을 통해 규범 인 것을 이해하려는 이러한 보다

세련된 시도조차 제 로 작동하지는 않을 것이다.섬세함이라는 개념,

그리고 지각 기 들의 건강함 는 기형성이라는 개념은 우리가 미각

인 것에서 미 인 것,그리고 윤리 인 것으로 옮겨감에 따라

더 문젯거리가 된다.게다가,우리는 가장 섬세한 반응이라는 것의 권

조차도,그 개념이 경험 으로 정의될 경우,의심의 상으로 삼을

수 있다:즉,극단 섬세함은 과도하게 세 한 것으로,지나치게

민한 것으로,혹은 심지어 무 제한 것으로 보일 수 있으며,그

기에 우리는 과하게 섬세한 단자가 나무를 보느라 숲을 보지

못할 수 있다고 합리 으로 생각할 수 있다.85)

요는,가장 민한 는 섬세한 반응이 반드시 한 반응을 보증해주

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이제 가장 섬세한 반응의 지 에 의심을 품을

수 있는 근거가 충분히 설명된 것 같다.

담스과 제이콥슨은 이어서 말하기를,만약 그 공주는 ‘진정한

단자’가 아닌 것이다,진정한 단자 다면 작은 결함에도 불구하고

한 반응,즉 침 의 편안함을 느 을 것이라고 군가 반론을 제기 한다

면,이 주장은 우리가 한 단을 해하는 요인들이나 결함들에

해서 독자 인 어떤 기 을 이미 갖고 있음을 제하는 것이라고 지 한

다. 한 반응에 한 기 을 마련하기 해 이상 비평가를 설정하

면서, 한 반응을 해할 수 있는 요인들에 한 지식을 이미 갖고

있다는 것은 순환 이다. 한 반응을 해할 수 있는 요인들을 이미

알고 있고,이를 조 할 능력을 독자 으로 지니고 있다면 이상 비평

가를 굳이 설정해야 할 필요가 없어지는 것이다.

빈슨 역시 유사한 논리로 민성 개념에 기 이상 비평가

85) Ibid.,p.728.(강조는 필자의 것)

Page 91: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82 -

론을 반 한다.그는 극도의 지각 민성이 오히려 작품의 총체 효

과를 지각하는데 방해 요인으로 작동함으로써 작품 감상을 해 필요한

한 반응을 방해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시지각 능력이 극도로 발달

한 이가 (일반인이었다면 지각하지 못하고 지나쳤을)마크 로스코의 색

면 회화에 묻어있는 작은 얼룩을 지각하고 그것이 에 거슬려 결국 로

스코 회화에서 마땅히 느 어야 할 숭고함이라는 감성에 이르지 못하는

사례를 상상해 볼 수 있겠다.

두 화의 공통 은 부분 이고 미세한 차이의 식별 능력이

작품이 주는 총체 이고 체 인 효과에의 주목을 방해하고 있다는

이다.총체 이고 체 인 효과야말로 한 감상을 해 주목해야 하

는 것인 데에도 불구하고,미세한 요인으로 인하여 보다 요한 것을 놓

친 것이다.이 듯 극도의 섬세함 는 민성으로 인한 불편함,성가심

때문에 이상 비평가가 마땅하고 한 반응에 이르지 못한다면,

하지 못한 그 반응에 기반하여 내려진 미 단은 그것의 성이나

정당성에 의구심이 들 수밖에 없다.따라서 골드만이 애 이상 비평

가에 호소함으로써 확보하고자 했던 규범성에 한 설명은 성공 이지

못하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86)

86)‘민성’에 한 다른 측면의 논의도 있다.흄과 골드만에게 ‘민성’은 미

단의 규범 힘을 설명하기 해 사용되는 개념이다.그러나 벤더의 경우,

미 단의 다양성의 근거로 민성의 차이를 이야기 한다.벤더(1996)는 사

람들마다 감수성,취향 등의 차이로 인해 미 단은 당연히 차이날 수 밖

에 없기에 미 불일치는 자연스러운 상이라고 주장하 다.그리고 미

불일치 발생의 근거가 충분히 설명되지 못했다고 단하여 후속 논문(2001)

을 통해 ‘민성’의 차이를 추가하 다.즉 감상자마다의 민성이 다르므로,

동일한 상에 한 내 경험의 강도가 다를 수밖에 없고 따라서 그들의 미

반응과 경험은 차이 날 수 밖에 없다는 것이 요지이다.이에 빈슨은 ‘민성’

역시 어떤 기 을 세워 보정해야 하는 상이라고 반박한다.이 논의들에 해

서는 다음의 문헌들을 참고하라.Bender,J.W.,(1996),“Realism,Supervenience,

andirresolvabledisputes”,JournalofAestheticsandArtCriticism,vol.54,

no.4.Pp.371-381.______(2001),“Sensitivity,Sensibility,andAestheticRealism,”

JournalofAestheticsandArtCriticism,vol.59,no.1,pp.79-83.

Page 92: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83 -

2.2 이상 비평가 자격 수여의 지나친 화 문제

앞서 살펴본바 이상 비평가에의 호소를 통하여 미 단의

규범성을 설명하려는 골드만의 략은 이미 태로워 보인다.그런데 이

같은 불안은 이상 비평가를 취미에 상 화함에 따라 한층 더 증폭된

다.앞서 민성을 심으로 살펴본 이상 비평가 규정의 문제는 이상

비평가 개념 자체가 지닌 문제 이라면,지 부터 살펴보는 것은 골

드만이 이상 비평가를 취미에 상 화함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이다.

앞서 골드만은,실재론자들이 미 불일치를 설명하기 해 술

형식이나 양식에 따라 분야를 세분화하여 각각에 따로 이상 비평가 자

격을 수여하는 것은 지나친 화(leniency)의 문제를 가져올 수 있다고

비 한 바 있다.87)그런데 이상 비평가를 술 형식이나 양식에 따라

분야별로 세분화하면 이상 비평가의 자격이 지나치게 하게 수여될

것이라는 골드만의 논리는 취미에 따라 이상 비평가를 상 화하자는

골드만에게도 동일하게 용 될 수 있다는 것이 필자의 주장이다.

골드만이 실재론에 이의를 제기할 때와 필자가 골드만을 비 할

때 제기하는 이상 비평가 자격 수여의 지나친 화라는 문제는 외견

상 동일해보이지만,골드만이 실재론을 반박하는 논리와 필자가 골드만

은 비 하는 논리의 핵심은 분명 다르다.골드만이 이상 비평가 자격

수여의 지나친 화 문제를 들어 실재론을 비 할 때는, 술 형식이

나 양식에 따라 분야를 세분화하여 이상 비평가 자격을 수여할 경우

결국 그들 간의 미 단 일치를 이끌어내기 어려워진다는 이 핵심이

었다.왜냐하면 실재론이 성립하기 해서는,앞서 골드만이 제시하 던

바,이상 비평가를 비순환 으로 정의할 수 있어야 하며, 한 이들 간

의 미 단이 일치해야 한다는 두 가지 조건을 충족시켜야 했기 때문

이다.그런데 술 형식 는 양식에 따라 하게 자격을 수여해버리

면 결국 실재론 성립을 해 필요한 이상 비평가들 간 미 단의 일

87) 자세한 논의는 앞에서 다루었다.본 장의 1.2.2.이상 비평가들 간의 단

일치 조건(pp.71-4)을 참고하라.

Page 93: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84 -

치 조건이 충족될 수 없다는 것이 골드만의 논지 다.

반면 필자가 골드만에게 ‘이상 비평가 자격 수여의 지나친

화’문제를 제기하는 것은,이 게 하게 자격이 수여되기 시작하면

이상 비평가의 미 단에 한 규범성이 훼손될 수 있다는 을 지

하고자 하는 것이다.요는,동일한 제목의 문제이지만 이 문제를 제기

하는 골드만의 맥락과 필자의 맥락이 서로 다르며,‘지나친 화’로 인

해 골드만이 문제 삼는 결과(미 불일치 상이 해소되지 않고 남을 것

임)와 필자가 문제 삼는 결과(미 단의 규범성이 훼손됨)가 다르다는

이다.

이처럼 세분화의 기 이 술 양식이냐 아니면 취미냐의 단순한

비교가 아니며 비 의 본질 자체가 다르다는 을 필자가 강조하는 이유

는 필자에게 제기 될 수 있는 다음과 같은 반박을 미연에 방지하기 해

서이다.혹자는 필자의 지나친 화 문제를 통한 골드만 비 이 실재

론과 반실재론의 기본 입장 차이를 고려하지 못한 것이라 반박할 수

있을 것이다.그의 반박의 논리는 이러할 것이다:실재론에서는 이상

비평가들 간의 단의 일치가 유지되어야하기 때문에 술 형식 는 양

식별로 이상 비평가를 따로 상정함으로써 발생 가능한 미 불일치들

을 미연에 방지하려던 것이었다.그런데 형식과 양식에 따라 이상 비

평가의 문 분야를 세분화 하다 보면,결국 단의 일치보다 불일치가

훨씬 많아질 것이므로,이상 비평가들의 미 단이 일치해야 한다는

실재론의 조건로부터 멀어지는 셈이다.그러나 이 조건은 반실재론자들

에게는 해당되지 않는다.왜냐하면 반실재론자에게 미 단은 미 사

실의 보고가 아니라 감상자의 미 반응의 표 이기 때문에,감상자의

감수성,취미 등의 차이에 따라 미 반응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따라서

미 단이 다양한 것은 자연스러운 상이기 때문이다.따라서 반실재

론자들이 취미에 상 화하여 이상 비평가를 상정하여도 문제될 것이

없다는 것이 필자의 반 입장에서 가능한 주장일 것이다.

그러나 앞서 밝혔듯 필자가 지나친 화 문제를 통해 지 하

고자 하는 바는, 하게 자격을 수여한 결과 나타나는 규범성 훼손의

Page 94: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85 -

문제이다. 실의 비평가들 간에 미 이견이 발생하 을 때 취미의 차

이라는 범주 속에서 설명될 수 있는 이견의 원인은 다양하다.기존에 존

재하는 술에 한 취미의 차이에 따른 미 이견일 수 있으며, 는

새로운 술에 한 새로운 취미가 등장하면서 미 이견이 발생한 것이

라 할 수도 있다.혹은 이견의 어느 한 쪽이 소수 마니아 취미를 지닌

것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골드만에 따르면 이 모든 취미의 차이에

해 각각 이상 비평가의 자격을 따로 수여해야 한다.그런데 실에

서 비평가들 간 미 이견이 발생하 을 때 이것이 정말 앞서 나열한 취

미의 차이에 따라 발생한 이견인지 아니면 한 쪽이 실은 이상 비평가

가 아니었거나 단 오류를 범한 것인지 구별해내기란 매우 어렵다.따

라서 미 단의 불일치가 등장할 때마다 이를 새로운 취미나 소수 마

니아 취미 라는 이유로 이상 비평가의 자격을 지나치게 하게 수

여하게 될 험이 있다.이는 다양한 미 단들 각각에 모두 정당성을

부여하는 효과는 있을지언정,‘어떤 미 단은 참이고,다른 것은 거짓

이다 는 덜 타당하다’는 미 단의 규범성은 제 로 설명할 수 없게

되고 만다.

지 까지 살펴본바 이상 비평가 개념의 순환 정의 문제는

여 히 해결되지 않고 남아있으며(2.1.1),이상 비평가의 자격 조건인

민성은 오히려 상에 한 미 반응을 방해함으로써 이상 비평

가의 미 단의 규범성을 훼손시키고 만다(2.1.2).나아가 이상 비평

가의 미 단을 취미에 상 화 시키자는 골드만 이론은 지나친 화

의 문제로 인해 이상 비평가의 단에 한 규범 지 를 훼손시키고

만다는 을 확인하 다(2.2).즉,이상 비평가에 호소하는 방식은 그

개념 자체가 지닌 문제들로 말미암아 규범성 설명에 실패하고 만다는

을 확인한 셈이다.이는 역으로,미 규범성을 설명하기 해 이론이 나

가야 하는 방향을 제시해 다.즉,미 단의 규범성 설명을 해서는

이상 비평가에의 호소가 아닌 다른 방식을 찾아야 한다.이 다른 방식

에 한 보다 구체 인 단서는 골드만 이론이 갖는 두 번째 약 인 설명

용의 한계로부터 찾을 수 있다.

Page 95: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86 -

3.골드만 이론의 설명 한계와 그 시사

3.1설명되지 않는 미 속성들

골드만의 이론은 모든 미 속성들에 해 용할 수 없다는 설

명 한계를 갖는다.가치 립 인 미 속성들에 한 미 단에

한 한 그의 이론이 용되지 않기 때문인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골

드만에 따르면 어떤 술 작품에 하여 내가 마땅히 따라야하는 규범

미 단이란 나와 취미가 같은 이상 비평가가 그 작품에 해서 내

리는 단이다.그런데 가치 립 인 미 속성의 경우 그 귀속의 참 여

부가 감상자의 취미에 향을 받지 않으며,나아가 감상자의 증거나 믿

음체계에 독립 이다.즉 가치 립 미 속성에 한 한 실재론의 기

을 충족시키는 것이다.골드만 역시 이 을 시인하고 있음은 다음의

인용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취미에 독립 으로 귀속될 수 있는 표 속성들, 컨 슬픔

과 같은 속성들을 작품에 귀속시키는데 있어서는 이상 비평가

들이 동의할 수도 있다는 은 인정한다.

이는 미 속성에 한 반실재론 입장을 취하는 골드만88)의 이론에

실재론 요소가 혼재됨으로써 부분 모순을 일으켜 이론의 정합성을

훼손시키고 있는 셈이다.골드만 스스로도 자신의 이론에 실재론 요소

가 혼재된다는 은 인정하고 있다.

골드만이 스스로를 반실재론자라고 밝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이론은 실재론의 요건을 일부 충족시킨다는 에서 이론 모순이

88)골드만이 반실재론을 표방함은 다음의 인용을 통해 확인된다.“미 속성의

귀속이 이러한 방식으로 취미에 상 화 되고나면,그 진술들의 참 여부는 더

이상 그러한 취미를 가진 비평가들에게 그 속성들이 드러나는(appear)방식

에 독립 이지 않다.따라서 이러한 분석은 더 이상 실재론이 아니다.”

Goldman,op.cit.,p.37.

Page 96: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87 -

발생한다는 필자의 비 에 하여 혹자는 골드만이 실재론자이든 반실재

론이든 그것이 그리 요한 문제가 아니라고 반박할 수 있을 것이다.즉

그의 이론에 실재론 요소와 반실재론 요소들이 혼재되어 있다는 사

실이 골드만에게 치명 오류가 아닐 수 있다는 것이다.그러나 이론의

비정합성이 야기되는 원인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왜냐하면 이론 정합

성이 발생하고 설명 한계를 갖게 되는 원인 분석을 통해 미 규범성

설명을 해 모색해야하는 다른 방식의 보다 구체 인 내용을 유추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다면 먼 실재론이 성립될 수 없다고 주장하던 골드만의

논변을 상기해보자.골드만은 a.이상 비평가가 비순환 으로 규정될

수 있고,b.그들의 미 단이 일치한다면,미 속성의 실재론이 성립

한다고 하 다.그리고 골드만에 따르면 a.이상 비평가 비순환 정의

조건은 충족되지만,b.이상 비평가들의 단 일치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므로 실재론은 성립될 수 없었다.따라서 그는 반실재론으로 선회하

여 취미에 상 화한 이상 비평가론을 개진하 다.그런데 가치 립

미 속성에 한 단에 한해서만큼은 골드만도 인정하듯 이상 비평

가들 간의 미 단이 일치할 수 있다.그 다면 최소한 가치 립 미

속성에 한 한 조건 a와 조건 b가 모두 충족되었으므로 실재론이

성립하는 것이다.그런데 이는 미 속성과 가치에 하여 반실재론 으

로 설명하고 있는 골드만의 이론과 상충한다.이는 실재론/반실재론 논

의에 있어서 가치 립 미 속성은 평가 미 속성이나 평가 미

단과 구분하여 별도의 분석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그 다면 가치 립 인 미 속성에 한 단의 규범성 역시

평가 미 단에 한 규범성과는 다른 방식으로 설명될 수 있을 것

이다.다시 말해,미 단의 규범성을 설명하는데 있어 평가 미

단과 비-평가 미 단이 별도로 논의되어야 하는 함을 시사한다.

3.2설명 한계 발생의 배경:평가 미 성질론89)

89)골드만은 ‘미 속성’과 ‘미 성질’을 엄격히 구분하지 않고 함께 쓴다.그

Page 97: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88 -

살펴본 바,골드만은 가치 립 미 속성,비-평가 미

단에 한 별도의 논의 필요성을 간과한 탓에 이론 비정합성을 야기하

고 설명 용의 한계를 갖게 되었다.그 다면 골드만은 왜 가치 립

미 속성에 한 별도의 논의 필요성을 간과한 것일까?이는 골드만이

부분의 미 성질들을 본질 으로 평가 이라고 보는데서 기인한 것이

다.미 성질의 평가성을 강조하는 골드만의 설명은 다음의 두 가지 주

장을 함축한다.첫째, 부분의 미 성질이 평가 이라는 것이며,둘째,

이 평가성이 미 속성에 본질 이라는 것이다.

부분의 미 성질이 평가 이라는 은 술 비평에 흔히 사

용되는 부분의 미 용어들이 평가 이라는 사실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고 골드만은 주장한다.“아름다운”,“추한”,“균형 잡힌”,“우아한”,

“활기찬”,“유쾌한”,“독창 인”등 형 인 미 용어들은 부분 가치

평가 이다.미 용어가 평가 힘을 가진다는 것은 곧 그 용어가 지시

하는 미 성질들이 평가성을 지님을 함축한다는 것이다.그리고 골드만

은 이 평가성이 미 속성에 본질 이라고 한다.골드만에게 미 속성

이 본질 으로 평가 인 이론 배경은 다음과 같다.

골드만에 따르면 미 단이란 기본 으로 선,색,질감 등

상의 객 ,비-미 성질들에 한 주 의 반응을 표 하는 것이다.

그는 주 의 반응을 요시하는 반실재론 진 에 속하지만,미 성질에

있어 계성을 여 히 요시 한다.즉,미 성질이란 상의 객 속

성과 주 의 반응 간의 계에서 비롯되는 계 성질90)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주 의 반응에는 감상자의 취미와 감수성에 따른 선호 성향

는 호/불호의 태도가 반 된다.따라서 미 성질은 본질 으로 평가

이다.요컨 미 속성은 상의 객 속성들에 한 주 의 평가

러나 반실재론 입장에서는 일반 으로 상이 객 으로 소유하는 성질을

지시하는 뉘앙스를 지닌 ‘속성’이라는 용어보다는 ‘성질’을 선호한다.

90)골드만은 미 성질의 계성을 강조하는데,이 때 계성은 두 가지 의미

를 가진다.하나는 주 과 객 사이의 계라는 의미에서의 계성이다.

다른 하나는 상의 속성들 간의 계에 의해 새로 어떤 미 성질이 발생한

다는 의미에서의 계성이다.

Page 98: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89 -

반응으로 구성되므로,미 속성의 평가성은 내재 ,본유 이라는 것이다.

부분의 미 성질을 본질 으로 평가 으로 보는 그의 입장은

미 성질 에 한 다른 설명에서도 드러난다.골드만은 미 속성을

“미 가치에 직 으로 련되는 속성”이라고 규정한다.91)즉 골드만

에게 미 속성은 미 가치에 종속 인 개념인 셈이다.이처럼 미 속

성들은 부분 평가 속성이며,이러한 평가성은 미 속성에 본질 이

고 내재 이며 본유 이라고 믿기에 골드만은 굳이 비-평가 인 미

속성에 하여 별도의 설명을 제공할 필요를 느끼지 못하는 것이다.

그런데 만약 어떤 미 속성이 가진 평가 내용과 가치 립

내용이 분리될 수 있다면,각각에 한 별도의 설명을 시도할 수 있을

것이다.그러나 골드만은 미 속성의 평가 요소와 가치 립 요소가

분리될 수 없다고 믿기 때문에,그에 따르면 가치 립 미 속성 는

요소들에 하여 별도로 설명을 제공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미 속성

의 평가 내용과 가치 립 내용의 분리불가능성 논제는 골드만이

빈슨과 첨 하게 립하는 지 이다.앞으로 제 4장에서 살펴볼 빈슨

의 이론과 골드만의 이론의 차이 들은 결국 그 근본 원인이 평가

요소/비-평가 요소 분리 불가능성 논제에서 비롯되고 있음을 알 수 있

다.따라서 평가 요소/비-평가 요소의 분리 불가능성 논제를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3.3평가 요소/비-평가 요소 분리불가능성

골드만은 평가 속성을 비-평가 이고 객 인 속성들과 평가

반응 간의 계로 보았기 때문에 자칫 비-평가 요소와 평가 요

소를 분리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기 쉽다.그러나 골드만은 비록 평가

미 속성이 객 속성과 이에 한 감상자의 평가 태도의 표 으로

91)Goldman(1992),“AestheticProperties,”A CompaniontoAesthetics,(ed.)

DavidCooper,OxfordUniversityPress.p.343.________(1994),“Replyto

GouldandLevinsononAestheticRealism.”JournalofAestheticsandArt

Criticism,vol.52,no.3,p.355.

Page 99: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90 -

구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이를 비-평가 요소와 평가 요소로 분리시

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한다.평가 요소와 비-평가 요소가 분

리 불가능한 이유로 골드만은 다음의 세 가지를 제시한다.첫째, 컨

“아름답다”와 같은 다수의 고차원 평가 속성들(higher-level

evaluativeproperties)은 그 객 측면이 불분명(unspecific)하며,둘째,

미 속성이 지시하고 있는 구체 상에서 객 요소와 주 요소

를 원칙 으로는 분석할 수 있을지라도,속성 그 자체로는 분리 불가능

하다.그리고 셋째,구체 지시 상들에 해서 역시 “원칙 으로”라는

조건은 결코 제거될 수 없다.왜냐하면,그 미 용어를 사용할 때 느껴

지는 주 의 느낌을 표 할 수 있는 체 용어가 없기 때문이다.따라서

평가 속성은 그 안에서 평가 요소와 비-평가 요소로 분리 불가능

하다는 것이 골드만의 주장이다.92)

먼 ,골드만의 말 로 어떤 미 술어가 내재 ,본유 ,비환

원 으로 평가성을 함축한다면 이 술어 자체 그 로는 가치 립 이고

기술 인 속성을 말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그러나 빈슨은 이 술어와

연합된 가치 립 미 속성이 분명 존재한다고 말한다.

만약 어떤 미 술어 P가 어느 정도 평가 벡터를 갖는다고

인정한다면,직 인 는 순수하게 기술 인 속성 P임

(beingP)은 없다는 것이 따라 나올 것이다.그러나, 하게

포지션된 지각자들에게 특정 상 인상을 제공하는 성향으

로서 가치 립 인 미 속성 임(being)은 항상 존재할

것이다.보다 포 으로 말하자면,주어진 상에 하여 같

은 미 술어를 용하지 않는 이상 비평가들도 그 내용이

무엇인지 동의 할 수 있는 기술 미 내용이 있다....(

략)...나아가,그 미 내용이 무엇인지에 한 동의를 분명히

밝힐 수 있는 합한 가치 립 용어가 지 없다고 해서,

그러한 미 내용이 없다고 단정지어버려서는 안 된다.93)

92)Goldman(1995),p.26.

Page 100: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91 -

의 인용에 따르면 골드만이 고차원 미 속성이라 부르는 것에도 가

치 립 내용,즉 객 측면이 있다는 것이다.그 다면 그 객 측

면을 어떻게 구체 으로 악할 수 있을까?비록 골드만은 고차원 미

속성의 객 측면이 불분명하다고 말하지만,필자는 미 귀속 정

당화 과정에 한 골드만의 설명에 따르면 그 객 측면을 기술할 방

법을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골드만은 미 속성들을 다음과 같이 분

류한다.

1.주요하게평가 인용어들:아름다운,추한,숭고한,흥미롭지 못한

2.형식 용어들:균형 잡힌,우아한,간결한,느슨하게 짜인

3.정서 용어들:슬 ,화난,즐거운, 막한

4.환기 용어들:힘찬,고무 인 유쾌한,들뜬,지루한

5.행 용어들:느린,활기찬,의기양양한

6.재 용어들:사실 인,왜곡된,진짜 같은,잘못된(erroneous)

7.이차지각 용어들:선명한,흐릿한,단단한,(색이나음조가)그러진

8.역사 용어들: 생된,독창 인,과감한, 담한,보수 인94)

여기서 1에 해당하는 용어들이 고차원 (higher-level)미 속성이며,

2~8에 해당하는 용어들은 간 수 (middle-level)의 미 속성이다.골

드만에 따르면 고차원 미 속성들은 간 수 의 미 속성들로부터

인과한다.그리고 간 수 의 미 속성들은 형태,색,선 등과 같이 비

-평가 인 객 속성들(골드만은 이를 기 속성baseproperties라 부

른다)로부터 인과한다고 설명한다.달리 말하자면,고차원 미 속성들

은 간 수 의 미 속성들에 근거하고, 간 수 의 미 속성들은 기

속성들에 근거한다는 것이다.즉,궁극 으로는 비-평가 속성들에

호소하여 (평가 속성의)미 귀속을 정당화하는 것이다.95)

93) Levinson, J.(2001), “Aesthetic Properties, Evaluative Force, and

Sensibility”reprintedinContemplatingArt,OxfordUniversityPress,p.320.

94)Goldman,op.cit.,p.17.

Page 101: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92 -

의 골드만의 미 귀속 과정에 한 설명으로부터 추론컨 ,

우리가 “아름다운”이라는 미 귀속을 정당화할 때 그보다 아래 단계의

미 용어들을 통해 설명할 것이다.이 게 소환된 간 수 의 미 용

어들은 이보다 아래 단계의 기 속성들을 통해 정당화된다.그 다면,

“아름다운”이라는 용어가,비록 그 일반 의미에서는 골드만의 주장

로 그 객 측면을 구체 이고 분명하게 악하기 어려울지라도,그

용어를 귀속시켰을 때 그 구체 용례 각각에 해서는 객 측면을

기술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만약 구체 사례들에서만큼은 “아름다운”과 같은 고차

원의 평가 용어들도 그 객 측면을 기술해낼 수 있을 것이라는 필

자의 주장에 반 하는 이가 있어서 이를 입증하더라도,실상 본고의 논

의 진행에는 장애가 되지 않는다.오히려 본고에서 주장하는 가치와 가

치 립 요소에 한 별도의 논의 필요성을 부각시켜 다.왜냐하면

골드만이 주요하게 평가 인 고차원 미 속성이라 부르는 “아름다

운”,“추한”등은 (앞서 제1장에서 소개한)젱 식의 분류법에 따르면 평

결 미 속성에 속하는 것들로, 으로 평가 이며 상에 하여

구체 으로 진술하는 바가 없는 이들 속성은 실체 속성만을 상으로

논하는 본고의 논의에서 벗어나기 때문이다.그런데 만약 “아름다운”이

나 “추한”이 상에 하여 기술해주는 바가 있다고 한다면96),앞서 필

자가 주장했듯,하 단계의 속성들을 통해 정당화하는 과정에서 그 객

측면을 기술할 수 있다.

요컨 , 빈슨의 주장에 따르면 그 속성에 연합되어 있는 가치

립 속성이 분명 존재하며,필자는 그 내용이 하 단계의 객 속

95)단,골드만은 정당화 과정상의 순서와 작품 감상 시의 순서는 무 하다고

말한다.즉,반드시 기 속성들부터 지각한 뒤 간 수 의 평가 속성을

귀속하고 그 다음에 고차원의 평가 속성을 귀속하는 순차 진행이 아니라

는 것이다. 한,비록 고차원 속성이 간 수 의 속성으로부터 인과하고,

간 수 의 속성이 기 속성으로부터 인과한다고 하지만,그 다고 하

단계의 속성들로부터 상 단계의 속성들의 발생을 설명하고 보증하는 어떤

법칙이 있는 것은 아니라고 말한다.

96)젱 은 “아름답다”를 평결 미 단으로 본 반면, 빈슨은 “아름답다”

는 미 술어도 상에 하여 기술하는 바가 있다고 주장한다.

Page 102: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93 -

성들에의 호소를 통해 기술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따라서 부분의 고

차원 미 속성은 그 객 측면이 불분명하며,미 속성이 지시하

고 있는 구체 상에서 객 요소와 주 요소를 원칙 으로는 분

석할 수 있을지라도 속성 그 자체로는 분리 불가능하다는 골드만의 주장

은 설득력을 잃는다.

마지막으로 골드만은 미 용어를 사용할 때 느껴지는 주 의

느낌을 표 할 수 있는 체 용어가 없으므로,설사 미 속성이 지시하

고 있는 구체 상에서 객 요소와 주 요소를 원칙 으로는 분

석할 수 있을지라도,이 “원칙 으로”조건은 결코 제거될 수 없다고 주

장한다.이 때 “주 의 느낌”을 체 언어로 표 하는 것의 어려움에

하여 골드만은 설명 이상의 논의를 진행시키지는 않았다.그런데 이

주 의 느낌을,비록 골드만은 직 언 하고 있지 않지만, 리아

(qualia,감각질)와 이에 한 주 의 평가 반응을 시사 하는 것으로

해석한다면,보다 심도 깊게 논의를 발 시켜볼 수 있다. 리아란,심리

철학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감각이 갖는 독특한 질 특징을 의미한다.

컨 빨간 토마토를 볼 때 우리는 시 치 한 다발을 볼 때와는 다른

독특한 감각 성질을 경험한다.그리고 그 토마토를 한 입 베어 물 때 느

껴지는 감각 성질은 몬을 베어 물 때 느껴지는 것과 다른 느낌이다.97)

그런데 이 때 감각의 독특한 느낌이라는 것은 주 의 내 경험을 통해

서만 알 수 있는 매우 주 이고 사 인 것으로,이를 언어로 표 하여

상호주 으로 소통하기란 매우 어려워 보인다.이를 심리철학에서는

리아의 형언불가능성(ineffability)와 삼인칭 근 불가능성이라고 부른

다. 리아는 언어로 표 되기 어려우며 상호주 소통이 어렵다는

을 근거로 리아는 이론 으로 아무런 기능 구실을 하지 않으며 따라

서 이론에서 제거 가능하다고 주장하는 ‘이론 리아 허무주의’를 주장

하는 이들도 있다. 이보다 강하게, 리아 자체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

며 단지 철학 허구일 뿐이라고 주장하는 ‘철학 리아 허무주의’입

장도 있다.98) 에서 살펴본 골드만의 짧은 설명만으로는 골드만이 리

97)김재권(1996),『심리 철학』,하종호·김선희 역,철학과 실사.p.198,p.270.

Page 103: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94 -

아에 하여 구체 으로 어떤 입장을 지지할지 정확히 알기 어렵다.그

러나 리아의 존재 자체를 부정할 것 같지는 않다. 설명으로부터 추

론컨 골드만은 리아와 리아에 한 주 의 평가 반응이 분리되

기 어려우며,이를 분리시켜서 리아에 해 가치 립 언어로 표 해

내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할 것이다.

이에 하여 빈슨은 술한 인용 통해 그 가치 립 내용을

하고 정확하게 기술해주는 가치 립 언어가 당장 없다고 하여 미

속성의 가치 립 내용(요소)의 존재 자체를 부정할 수 없다고 반

박한다.하나의 언어로는 아닐지라도,여러 술어들의 연언 기술을 통해

리아을 최 한 설명하려는 시도는 분명 가능할 것이다.그러나 리아

와 리아에 한 평가 반응을 진정 분리시킬 수 있는지는 언어 표

의 한계와는 별도의 문제이다.이는 4장에서 빈슨과 데넷의 리아 논

쟁을 통해 상술하도록 하겠다.

골드만의 이론에 한 비 고찰을 통해 우리는 다음의 결론

을 얻을 수 있다.골드만은 미 성질들의 평가성에 주목하며,가치 립

미 속성이나 (평가 미 속성에 내포된)가치 립 요소에 해

서는 주요하게 다루고 있지 않다.이 때문에 그의 이론에서 가치 립

미 속성에 한 단이 제 로 설명되지 못하는 결과를 래한 것이

다.그러므로 미 단의 규범성 확보를 한 이론을 모색할 때 가치

립 미 속성들까지도 포함하는 근 방식이 필요하다.가치 립 미

속성에 한 논의는 술한바와 같이 평가 미 속성이나 평가

미 가치 단과 분리해서 별도로 진행되어야 한다.즉,가치 립 미

속성들까지도 포함하는 이론을 해서는 미 속성 안에서 가치 립

미 요소과 평가 요소가 분리될 수 있어야 한다.

4.소결

본 장을 통해 우리가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골드만은 미

98)김재권,op.cit.,pp.306-310.

Page 104: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95 -

단의 다양성과 규범성을 모두 포섭하는 이론을 구하기 해 흄 인

계 분석을 토 로 미 단의 규범성을 취미에 상 화한 이상 비평

가들의 단에 호소하는 반실재론 분석을 주장하 다.그러나 골드만

의 이 같은 설명은 두 가지 측면에서 규범성 확보에 실패한다.첫 번째

는 이상 비평가 개념 자체가 지닌 문제 으로,이상 비평가의 자격

조건으로 제시된 민성이 순환 으로 정의된다는 이다.나아가 민

성이 한 미 단을 내리는데 오히려 방해가 될 수 있다는 한

이상 비평가의 미 단의 규범 지 를 훼손시킨다.골드만의 이론

이 규범성 확보에 실패하는 두 번째 원인은,이상 비평가를 취미에 상

화함에 따라 이상 비평가 자격 수여가 지나치게 해 질 수 있다

는 이다.이로써,미 단의 규범성을 설명하려면 이상 비평가에

호소하는 방식이 아닌 다른 방안을 모색해야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그 다른 방안에 한 보다 구체 인 내용은,골드만의 이

론이 가치 립 미 속성을 설명하지 못하는 한계를 갖게 된 원인을

분석하여 그것이 시사하는 바를 통해 악하 다.우리가 얻은 결론은,

가치 립 미 속성들을 포함하는 근 방식이 필요하다는 것이었으

며,이를 해서는 미 속성의 가치 립 내용과 가치 평가 내용을

분리시켜 별도의 논의를 진행할 수 있어야 함을 깨달았다.

즉,미 단의 규범성을 설명하기 해서는 이상 비평가에

호소하지 않으면서,가치 립 미 속성과 평가 미 단을 구분하

여 별도로 논의하는 이론이 필요하다.바로 이러한 요구들에 상응하는

이론으로서 빈슨의 상 미 실재론을 다음 장에서 검토하겠다.

Page 105: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96 -

IV.미 단의 규범성에 한 빈슨의 이론과 설명 유용성

앞서 살펴본 골드만은 미 속성과 미 가치에 한 반실재론

입장을 취하면서도,미 단에 진리치가 존재한다는 인지주의 입

장을 고수하 다.따라서 그의 과제는 미 단의 규범성을 실재하는

미 속성이나 가치가 아닌 다른 것을 통하여 설명해야 하는 것이었고,

골드만은 이를 이상 비평가의 단,즉 상 외부 요소에 호소하여

이를 해결하려 하 다.반면,본 장에서 살펴볼 빈슨은 상 내 인 요

소,즉 상에 실재하는 미 속성에 호소하여 미 단의 규범성을 확

보하고자 한다.

빈슨의 이론은 미 속성이 갖는 상 인상과 이에 한 주

의 평가 반응을 인식 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는 제를 토 로 성립

한다. 빈슨에 따르면 미 단은 가치 립 인 상 인상으로서의

미 속성과 이에 한 평가 반응으로 구성되며,따라서 각각에 하

여 별도의 실재론/반실재론 분석이 가능해진다.즉,미 규범성의 근원

이 분화되고,나아가 미 규범성 뿐 아니라 다양성의 기원이 분화되는

것이다.이처럼 규범성 자체의 기원도 분화시키고,규범성과 다양성의 기

원도 분화시킴으로써 궁극 으로는 미 규범성과 다양성이라는 얼핏 모

순되는 듯한 특성을 정합 으로 설명할 수 있는 포 이론의 토 가

마련된다.바로 이러한 설명 유용성에 주목하여,본고는 빈슨식의

상 속성 실재론을 옹호할 것이다.

본 장의 반부에서는 빈슨의 속성실재론을 이해하기 해서

상 미 인상의 창발 발생과 발 본성에 하여 상술한 뒤,이

이론의 설명 유효성을 논할 것이다.그리고 마지막 에서는 이 설명

유용성에 호소하여 리아 부정 논변을 반박함으로써 빈슨의 상

속성 실재론을 옹호할 것이다.

1. 빈슨 이론의 이해: 상 속성 실재론

Page 106: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97 -

1.1 상 미 인상

빈슨에 따르면 우리가 어떤 작품을 면 할 때 정상 지각자라

면 구나 공통 으로 지각 가능한 상 미 인상(phenomenal

aestheticimpression)이 있다. 상 미 인상이란 작품의 객 ,

비미 기 성질들이 상호 작용하면서 발생하는 것으로,그 인상 자체

는 어떠한 평가 힘도 갖지 않은 가치 립 인 것이다.이 가치 립

인 미 인상은 우리가 그 상에 어떤 미 술어를 용 시킬지 그 범

를 제한해 다.이를 빈슨은 기술 제한(descriptivelimit)이라

일컫는다.99) 컨 색 지각 능력이 정상 이며 사회에서 일반 으로 통

용되는 술어들의 쓰임에 한 지식을 갖춘 소 ‘정상 지각자’라면,모노

크롬 회화나 마크 로스코의 색면 회화를 보고 “ 하다”,“단조롭다”

는 “간결하다”라고는 해도 “야하다(gaudy)”라는 술어는 결코 용시키지

않을 것이다.미 술어들마다 이와 연합된(associated)독특한 상

인상 는 효과가 있는데,“ 하다”,“단조롭다”,“간결하다”와 연합된

독특한 인상은 모노크롬 회화가 지닌 색,선,면,모양 등의 여러 비미

요소들이 상호 작용하여 발생한 상 인상에 부합하기 때문이다.즉

“ 하다”,“단조롭다”,“간결하다”라는 술어들에 연합된 인상이 모노크

롬 회화의 상 인상에 의해 주어진 기술 제한 범 안에 머물고 있

기에,이들 미 귀속은 타당하다고 간주되는 것이다.한편,“야하다”라

는 술어는 “밝고,조화롭지 않으며, 을 사로잡는 색들의 조합”이라고

안 으로 기술될 수 있는데,이 술어가 주는 이러한 독특한 인상은 모

노크롬 회화의 상 인상에 부합하지 않는다.따라서 군가 모노크롬

99)Levinson(1994),“Being RealisticAboutAestheticProperties,”Journalof

Aesthetics and Art Criticism, vol.52, no.3, p.353.

________(2006a),“AestheticProperties,EvaluativeForce,andDifferencesof

Sensibility,”ContemplatingArt,OxfordUniversityPress,p.320.(이 논문은

2001년 다음 책을 통해 처음 출 되었다:AestheticsConcepts:Essaysafter

Sibley1sted.EditedbyE.BradyandJ.Levinson.New York,NY:Oxford

UniversityPress.본고에서 이 논문의 인용 쪽수는 2006년 책의 쪽수에 근거

한다.)

Page 107: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98 -

회화를 보고 “야하다”라는 미 술어를 귀속시키는 미 단을 내렸다

면,이는 그 작품의 상 인상에 의해 주어지는 기술 제한에서 벗어

난 바,이 단은 참이 아닌 것이다.100)

빈슨의 설명에 따르면 같은 작품에 하여 서로 다른 미 귀

속을 하는 비평가들도 상이 주는 이 상 미 인상은 공통 으로

지각한다.이 같은 공통 지각 기반(commonperceptualground)을

빈슨이 제시하는 구체 사례를 통해 살펴보자.101)바흐의 하 시코드

주곡 D 단조,BWV 1063을 듣고 “엄숙하다(grimness 는 starkly

grim)”고 표 하는 이와 “맥 풀리게 음침하고 재미없다(depressingly

dour)”고 표 하는 이가 있다고 할 때 이들의 평가 태도는 다를 지라

도,이 두 술어가 공유하고 있는 지각 , 상 기반이 있다.바로 이

공통된 지각 , 상 기반이 있기에 미 이견을 가진 비평가들이 자

신들의 미 반응에 하여 논쟁할 때 본인이 무엇을 보거나 듣고 느

는지 상 방에게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이다.102)

100)Ibid.,p.320.기술 제한이 발생조건(occurrencecondition)으로 작용하는

것인지 의문이 들 수 있다.풀어 설명하자면,어떤 상이 ‘밝음’,‘부조화스러

움’,‘을 사로잡는 색의 조합’등 ‘야하다’를 가치 립 으로 기술하는데 언

된 구조 속성들을 충족시키면 그것이 곧 ‘야함’을 발생시키는 것인가?만약

그 다면 기술 제한이란 결국 구조 속성들의 집합 형태로 이루어진,그

속성의 발생 조건으로 이해될 수 있다.그러나 빈슨에 따르면 기술 제한

은 발생조건이 아니다.발생조건이란,그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이 곧 그것의

발생을 야기하고 보증해주는 것이어야 한다.그러나 기술 제한은 구조 속

성들을 선언 으로(disjunctively)연결시키면 그 속성이 발생한다는 의미의

개념은 아니다.기술 제한은 그 용어와 연합되어 있는 특징 인 상 인

상(phenomenalimpression) 는 외양에 의해 주어지는 것이다.기술 언

어들의 선언으로 표 되는 상 인상이 있고, 상 인상은 그 용어가

용될 범 를 제한할 뿐이다.

101)Ibid.,pp.318-9.

102)Ibid.,,pp.318-9.같은 작품에 한 서로 다른 미 평가로 논쟁하는 비평

가들 간 동의 지 에 한 골드만의 설명은 빈슨의 설명과 다르다.제3장

에서 살펴본 바,골드만에 따르면 미 불일치가 있을 때 비평가들이 동의하

는 지 을 색,형태,리듬,질감,음색 등과 같은 객 이고 구조 인 특성들

로 국한시킨다.그리고 이 게 지각된 구조 ,객 특성에 한 승인/불승

인,호/불호의 주 태도와 평가에 있어 이견이 생기는 것이다.즉 미 귀

속 과정이 두 단계로 설명된다고 하겠다.반면 빈슨은 작품의 객 ,구조

속성들과 이에 한 주 의 평가 반응이라는 두 단계 사이에 ‘상

Page 108: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99 -

이 듯 평가 으로는 조되지만 그 지각 기반은 공통되는 술어

들의 사례는 시블리가 제시한 미 술어의 들에서도 찾을 수 있다.시

블리는 섬세한(delicate)/빈약한(anemic), 담한(bold)/야한(gaudy),진

심어린(heartfelt)/감상 인(maudlin)등 평가 으로 조되는 미 술어

의 을 제시한 바 있는데,이 술어들이 조 인 평가 반응에도 불구

하고 이처럼 하나의 으로 묶일 수 있다는 것은 그 기 에 공유되고 있

는 지각 기반이 있음을 시사한다는 것이 빈슨의 설명이다.103)

만약 그 자체로 칭찬 는 비난하는 반응과 구별 가능한 미

인상의 존재를 상정하지 않는다면,동일한 작품에 한 평가 차이로

논쟁하는 두 비평가가 도 체 무엇에 하여 논하고 있는 것인지 설명하

기 어려워질 것이라고 빈슨은 말한다.104)하나의 작품에 하여 서로

다른 미 귀속을 하고 있는 비평가들이 각자 자신의 미 경험을 설명

하고자 하여도,그 미 경험을 구성하는 핵심 내용에는 분명 그 작품

에 특징 인 어떤 미 인상이 제된다는 것이다. 빈슨에 따르면 비

평가들이 칭찬 는 비난하는 것은 단순히 물리 ,구조 속성들의 배

열이 아니다.그 배열에 의해 발생한 총체 효과를 각각의 비평가가 지

각한 것이다. 빈슨은 물리 ,구조 속성들과 총체 효과 간의 이 발

생 계를 창발 계로 설명한다.그 다면 창발 계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자.

1.2 상 미 인상의 발생:창발

1.2.1수반과 창발

인상’을 추가하여 세 단계로 미 귀속 과정을 설명한다.평가 이견으로 논

쟁하는 비평가들이 실제로 동의하는 지 은 단순히 객 ,구조 특성만이

아니라,그것들이 함께 작동해서 발생시킨 복합 이고 복잡한 지각 인상까

지 동의한다는 것이다.즉 미 이견을 보이는 비평가들 간에 동의되는 지

은 골드만이 상정한 것보다 더 넓을 수 있다는 것이다.

103) Ibid.,p.319.

104)Ibid.,p.319.

Page 109: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00 -

상 미 인상이란 상이 지닌 색,선,모양,질감,무게 등

비-미 성질들로부터 창발(emergence)한 일종의 종합 ,총체 , 체

인 효과로서의 미 인상이며,바로 이 게슈탈트 상 미 인상

이 미 속성의 “핵(core)”이다.105)여기서 창발이란,작품의 부분 요소

들이 서로 상호 작용하여 체로서의 새로운 성질,즉 창발 속성을 만들

어 내는 것을 일컫는다.키비(PeterKivy)는 이를 물,샐러리,완두콩,베

이컨,후추, 로콜리 등을 넣고 완두콩 스 를 끓 을 때 각 재료들의

맛이 상호 작용하여 새로운 맛을 탄생시키는 것에 비유한다.106)다

시 말해 작품의 비미 ,물리 ,구조 성질들이 서로 상호 작용하여,

각각의 성질들의 합과는 다른 새로운 성질로서의 상 미 인상

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창발은 수반의 일종으로,창발의 개념을 이해하기 해 먼 수

반 개념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따라서 철학 일반에서 사용되는 수반의

의미를 먼 살펴본 뒤,미 역에서의 수반과 창발의 의미를 살펴보

도록 하겠다.

수반을 가장 간단히 표 하자면 다음과 같다:만약 A-속성이

B-속성에 수반된다면,B-속성에서의 어떤 변화 없이는 A-속성 차원에

서는 변화가 일어날 수 없다.다시 말해,A-속성 차원에서 어떤 변화가

발생하기 해서는 B-속성 측면에서의 변화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이

때 A-속성을 수반 속성(supervenientproperty)이라 하고,B-속성을 기

속성(baseproperty)107)이라 한다.이 간단한 설명에서도 알 수 있듯

수반 개념은 서로 다른 층 (친족)의 속성들 간의 구조 연결 계를

밝힌다.108)수반은 서로 다른 두 시 에서 하나의 개별자의 상태에 한

105)Levinson(2006b),“WhatAreAestheticProperties?”in Contemplating

Art,p.342-3.(이 논문은 2005년 다음 을 통해 처음 발표되었다:

ProceedingsoftheAristotelianSociety.Supplement78:61-70.본고에서

이 논문의 인용 쪽수는 2006년 책의 쪽수에 근거한다.)

106)Kivy,P.(1979),“AestheticConcepts:SomeFreshConsiderations”,The

JournalofAestheticsandArtCriticism 37,p.427.

107)baseproperty는 ‘기반 속성’ 는 ‘토 속성’이라고 번역되기도 한다.

108) 그러나 이 구조 연결 계가 반드시 형이상학 계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인과 등 의존 계의 본성에 한 함축을 갖는 것도 아니다.김재권

Page 110: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01 -

진술에 용될 수도 있고,두 개별자의 상태를 비교하여 설명하는데

용될 수도 있다.설명하고자 하는 상태의 상이 하나의 개별자이든 두

개별자이든 간에 우리가 알 수 있는 사실은,수반이 공변(covariance)

계를 함축한다는 이다.공변,의존,비환원가능성은 수반을 설명하고

이해하는데 자주 사용되는 개념들이다.109)

공변:수반 속성들은 기 속성들에 따라 공변한다.특히 토 속성에 있

어서의 식별 불가능성은 수반 속성에 있어서의 식별 불가능성을 함축한다.

의존:수반속성들은기 속성들에의존한다.혹은토 속성들에의해결정된다.

비환원가능성:수반은수반속성들의기 속성들에로의환원불가능성과일

이다.110)

김재권의 설명을 통해 속성 집합 A와 속성 집합 B의 계를 서술하

의 인용을 참고하라:

“수반 자체는 설명 계가 아니다.그것은 “심층 인”형이상학

계가 아니다.오히려 그것은 이러한 심층 인 계를 설명할

수 있는 흥미로운 의존 계의 존재를 암시하면서 속성 공변의 패

턴을 보고하는 “표면 인” 계이다.

(Kim,J.,“Postscripts on Supervenience”,Supervenience and Mind:

SelectedPhilosophicalEssays,Cambridge:CambridgeUniversityPress,

1993,p.64.서원주,「미 속성의 의존성의 본성에 한 고찰」,『미학』43

집,2005,p.168.에서 재인용.)

109) 도 드 데이비슨은 심신수반에 한 논문 “MentalEvents(1980)”에서 의존

성과 비환원성 개념을 공변 계에 결부시켜 수반의 이해를 시도한 바 있다.

여기서 데이비슨은 수반의 특징으로 공변성,의존성,비환원성을 꼽았다.(서

원주(2005),p.150.)이 듯 의존,공변,비환원성은 수반 개념과 종종 함께 언

되는데,이에 해 김재권은 이들 종속 개념들을 통해 수반을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사실이나,각각의 함의가 다른 만큼 이들 간 개념 차이를 주지

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Kim,J.(1990),“SupervenienceAsaConcept”,

Metaphilosophy21).공변,의존성,비환원성 각각의 의미에 한 보다 상세

한 설명은 다음 논문을 참고하라:김혜련(1992),「미 수반이론의 가능성

「『철학』,제38집,pp.173-99.김재권(1994),『수반과 심리철학』,철학과

실사 제1부 “철학 개념으로서의 수반”,“심신 이론으로서의 심물수반

론”,“수반개념”.

110)김재권,op.cit.,,p.217.

Page 111: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02 -

는데 있어 공변 개념은 의존이나 결정보다 훨씬 약한 개념임을 유추할 수

있다.공변은 의존이나 결정을 함축하지 않는다.반면 속성 집합 A가 속성

집합 B에 의존 이다 는 속성 집합 B가 속성 집합 A를 결정한다고 하

면,이는 공변을 함축한다.

수반 속성이 기 속성으로 환원 가능한가에 한 입장에 따라

수반의 종류를 나 수 있는데,일반 으로 강한 수반은 환원 가능성을,

그리고 약한 수반은 비환원성 쪽으로 기운다.강한 수반이란,모든 가능

세계에서 필연 참인 수반 계를 말하는 반면,약수반은 그러한 통세

계 인 수반을 의미하지는 않는다.약수반은 단지 하나의 세계에서 속성

속성의 연결 계를 말할 뿐이다.풀어서 설명하자면,A-속성(수반

속성)과 B-속성(기 속성)이 필연 연 성이 결여된 약한 수반의 계

라면,A-속성은 B-속성으로 환원되지 않는다.왜냐하면,어떤 의미에서

는,한 이론의 다른 이론으로 환원 가능성은 두 이론을 연결해주는 연결

법칙(bridgeprinciple)의 존재 여부에 따른 것인데,필연 연 성이 결

여되었다는 것은 두 속성들 간의 연결 법칙이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고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111)

창발(emergence)은 이처럼 비환원 성격을 띠는 약한 수반의

한 형태이다.A-속성이 B-속성으로부터 창발했다는 것은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A-속성들은 B-속성들에 어떤 방식으로건 의존하며,B-속

성의 성질들로 말미암아 A-속성 차원에서 이 과는 그 본성이

새로운 성질이 발생하 다.즉,B-속성들의 단순한 집합 는 총합이

아니라,완 히 새로운 속성이 산출된 것이다. 술한 키비의 완두콩 스

의 맛이 셀러리,물,완두콩,햄,양념과 같은 재료 각각의 맛의 단순한

합이 아니라 이들이 합쳐져서 만들어진 새로운 맛인 것처럼 말이

다.이 새로운 맛은 각각의 재료의 맛으로 환원되지 않는다.112)

지 까지 의존성,공변,비환원성 개념들을 통해 철학 일반 차원

에서 수반의 의미를 살펴보았다.그런데 수반 개념을 미 논의에서 사

용하고자 한다면,이는 강한 수반의 형태이기는 어려울 것 같다.왜냐하

111)김혜련,op.cit.,p.184.

112)Kivy,op.cit.,p.427.

Page 112: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03 -

면 미 수반이 미 속성들과 비미 속성들 간의 강한 수반 계를 주

장하려면,미 속성들과 비미 속성들 사이에 어떤 필연 인 연결 법

칙이 있고 이것이 모든 가능 세계에 동일하게 유지되어야 하는데, 술

역에서 이처럼 통세계 인 필연 연결 법칙을 주장하기란 단히 어

려운 일이기 때문이다.113) 술 감상을 해 필요한 신체 ,지 조건은

우리와 동일하게 갖추었지만 우리와는 다른 술사를 가진 생명체가 존

재하는 가능세계를 가정해보자.그 세계에서 피카소의 게르니카가 갖는

미 성질이 우리 세계에서 갖는 미 성질과 동일하리라 보장할 수 없

을 것이다.114)따라서 미 속성과 비미 속성 간의 의존 계를 수

반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면,약한 수반의 형태를 취하는 것이 설득력

있어 보인다.이런 의미에서 미 역의 특성 상 강한 수반을 주장하기

는 힘들지만,실재론 입장을 견지하기 하여 수반을 포기할 수 없는 미

실재론자들이 취할 수 있는 매력 인 노선이 바로 창발 수반인 것

이다.

1.2.2미 수반과 창발

수반 개념을 미 속성과 비미 속성에 용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 된

다:

미 으로 서로 다른 두 상( 컨 술 작품들)은 필연 으

로 비미 으로 다르다(즉,미 으로 다르면서 비미 으로 동

113)미 역에서 강수반을 주장하는 철학자로 커리를 들 수 있다.그러나 오

종환에 따르면 커리의 강수반은 상의 미 성질을 단하는 데 계되는

모든 성질을 수반의 기 속성에 포함하여 강수반을 주장했을 뿐이다.이는

미 성질은 미 성질에 련되는 모든 속성에 수반한다는 식의 순환 설

명으로,우리가 궁 해하며 수반 개념을 통해 밝히고자하는 비미 기 성

질과 미 성질 간의 계에 한 그 어떤 유의미한 새로운 정보도 제공하는

바 없다고 비 한다.오종환,「총체 수반으로서의 미 수반」,『수반의 형

이상학』,p.160.Currie,G.,(1990),“Supervenience,Essentialism and

AestheticProperties,”PhilosophicalStudies,no.58,pp.243-257.을 참고하라.

114)이는 벤더의 사례이다.Bender(1987),“SupervenienceandtheJustification

ofAestheticJudgments,”TheJournalofAestheticsandArtCriticism 46,

p.37.오종환,op.cit.,p.160.

Page 113: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04 -

일한 두 상은 있을 수 없다:어떤 상의 비미 속성들을

고정하면 그 상의 미 속성들도 고정된다.)115)

이 게 정의된 미 수반 개념에 하여 빈슨은 두 가지 문제 을 지

한다.첫째,이 정의에 따르면 수반 속성인 미 속성과 기 속성인

비미 속성 사이에,논리 필연성에 하는 상당히 강한 필연성을 함

축하는 듯하다는 것이다.둘째,기 속성인 비미 속성이 정확히 무엇

을 가리키는 것인지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고 지 한다. 빈슨은 기

속성에 속한다고 여겨질 수 있는 비미 속성을 세 그룹으로 분류하

다:구조 속성,하부구조 속성,맥락 속성.여기서 유념할 것은,

일반 으로 구조 속성은 물리 속성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는 반면

빈슨의 구조 ,하부 구조 속성에 한 규정은 통상 이해와 다르

다는 이다.

구조 속성,하부구조 속성,맥락 속성에 한 빈슨의 이

해는 다음과 같다.먼 구조 속성이란, 상의 지각 가능하고 내재

인,그러나 비미 인 속성 일반을 가리킨다. 컨 형태,색상,선 등이

이에 속하는데, 요한 은 찰/지각 가능한 속성이라는 이다.하부

구조 속성이란,간단히 표 하자면,물리 속성이지만 우리가 지각할

수 없는 것,즉 동일한 차원에서 어떤 변화가 있더라도 우리의 지각에

포착되지 않는 차이를 불러일으키는 그러한 속성들을 가리킨다.쉬운

로,어떤 선이 “3.3333333cm임”이라는 속성은 그 길이가 3.3333334cm로

늘어나더라도 우리에게 지각 차이를 가져오지는 않을 것이며,따라서

이 선의 구조 속성은 변화하지 않은 셈이다.마지막으로 맥락 속성

이란,그 작품의 발생에 유 한 주요 계들을 일컫는다. 컨 ‘몬드리

안에 의해 그려짐’,‘특정 장르에 속함’,‘모나리자 로부터 향을 받았음’

과 같은 것들이 이에 속한다.

다시 의 미 수반 정의로 돌아가 보자. 의 분류에 의해 ‘미

115)Levinson(2011),“AestheticSupervenience,”Music,ArtandMetaphysics,

OxfordUniversityPress.p.135.(이 논문은 다음 을 통해 처음 발표되

었다.SouthernJournalofPhilosophy,22,Supplement(1983):93-110.)

Page 114: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05 -

차이’를 야기 할 수 있는 요인들은 구조 차이116),하부구조 차이,

맥락 차이로 세 하게 정리된다.따라서 이를 반 하여 미 수반 개

념을 다시 정리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미 으로 다르면서 맥락 배경에 있어서 그리고 (순수히)하부구

조 으로 다르지 않은 두 상 ( 컨 , 술작품)은 필연 으로

구조 으로 (즉 어떤 지각가능한 비미 인 특징에 있어서)다르다.

(즉,미 으로 다르지만 구조 으로 동일하다면,맥락에 있어서 그

리고 하부구조 으로 동일한 두 상은 있을 수 없다:하부구조와

맥락 인 속성이 이미 고정되었을 경우 어떤 상의 구조 속성

을 고정하면 그것의 미 속성도 고정된다.)117)

의 새로운 미 수반 정의는 미 속성들이 ( 빈슨 의미에서의)구

조 속성에 주요하게 수반한다는 을 강조하여 드러낸다.그러나 여

히 수반 속성과 기 속성 간의 논리 연 계를 보다 명료하게 밝힐

필요가 있어 보인다.왜냐하면 미 논의에서 미 수반 개념 자체는 비

교 수월하게 인정되는 편인 반면,실제 미학자들 사이에서 쟁 이 되

는 것은 수반의 강도에 한 입장의 차이인데,이 의존 계의 함의는

미 차원과 비미 (구조 )차원 간의 개념 연결의 강도에 따라 달라

116)구조 속성에 이어,구조 차이에 한 빈슨의 이해 한 통상 이해

와는 다르다.일반 으로 구조 차이란 물리 속성의 변화에 의해 발생하

는 차이로 이해되는 반면, 빈슨은 지각가능성(perceivability)을 기 으로

구조 차이를 규정한다.즉,어떤 하부구조 차이에 의해 지각 으로 식별

가능한 변화가 발생했을 때 이를 구조 차이라 부른다.따라서 본문에서 언

한 식별이 거의 불가능한 0.0000001cm의 길이 차이는 구조 차이를 가져

오지 않는다.

그 다면 구조 차이와 구조 속성 간의 향 계를 살펴보자.통상

용법에 따라 물리 속성이라는 의미로 구조 속성이라는 용어를 쓸 때는 구

조 속성이 변화하면 구조 차이가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그러나 빈슨에

게는그 향의 방향이 반 방향으로 작동하는 것이다.즉,지각 식별 가능성

에 의해 어떤 구조 차이가 발생하면, 상의 구조 속성이 변화한 것이다.

빈슨에게서 지각가능성이 요하게 다루어지는 하나의 목이다.

117)Levinson,op.cit.,p.136.

Page 115: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06 -

지기 때문이다. 빈슨은 미 수반을 그 강도에 따라 정의 환원주의

(definist reductionism), 정 조건 지배론(positive condition

governing),부정 조건 지배론(negativeconditiongoverning),그리고

창발론(emergentism),이 게 4가지로 분류하 다.그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118)

정의 환원주의:정의 환원주의는 비미 용어들로 모든 미 귀

속(속성)을 정의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즉 모든 미 귀속의 비미 필

요충분조건을 제시할 수 있다는 입장인데, 빈슨도 말하고 있듯이,이

입장을 지지하는 이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정 조건 지배론:미 술어의 용에 한 구조 충분조건이

존재한다는 입장이다.즉,구조 조건들로 미 술어를 엄 하고 완 하

게 정의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입장으로,이 입장에 따르면 미 술어들

의 의미란 비미 (구조 )기술이 때로는 미 기술 용을 논리 으로

보증해주기에 충분하다. 표 으로 키비가 이에 속한다.키비는 의미론

규칙에 주목하여,이들 간에 강한 개념 연 이 있음을 지 하 다.

빈슨은 키비의 이 같은 언어 분석을 형이상학 주장,즉 미 술어

들은 근본 으로 구조 속성들의 복합체일 뿐이라는 주장으로 이해하

다.

부정 조건 지배론: 빈슨은 시블리가 이 입장에 속한다고 본다.

시블리는 미 술어의 용이 어떤 비미 술어들의 조건에 의해 지배되

는 것이 아니라고 하 다.즉,“미 용어를 용하기 한 조건으로서

기능을 하는 비미 인 특성은 없다”119)는 것이다. 를 들어,“세 변으로

이루어진 도형”이며,“세 각의 크기가 같고”,“세 변의 길이가 같을 것”

이라는 조건이 충족되면 우리는 이 도형에 “정삼각형”이라는 용어를

용할 수 있는 반면,“우아하다”라는 술어를 용시키기 해 필요충분조

건으로서 존재하는 조건은 없다.앞서 를 들었던 “야하다(gaudy)”로

118)Levinson,op.cit.,pp.138-9.

119)Sibley,F.(1959),“Aesthetic Concept,”PhilosophicalReview,68,p.424.

Levinson,op.cit.,p.139에 재인용.

Page 116: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07 -

설명하자면,“밝고,조화롭지 않은 강렬한 색의 비”라는 기술 술어들

이 곧 “야하다”는 술어의 귀속을 보증해주지 않는다는 것이다.단,미

귀속을 보증하는 비미 술어들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미 귀속을 막

는 비미 술어들은 있다고 보았다.“우아하다”는 술어를 용 가능

하는 성질들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지만,그 용을 막는 성질이 있다는

것이다.즉 시블리는 작품의 구조 성질과 미 인 성질 간에 어떤 약한

의미 계,약한 개념 연결이 존재한다고 인정하는 셈이다.그러나 이

입장으로부터 미 성질과 구조 성질들 간의 형이상학 계에 한

구체 인 정보를 얻기는 어렵다.

창발론:비어즐리가 이 입장에 속한다.120)비어즐리는 미 속성이 비

미 속성에 의존 임은 인정하지만,미 속성을 구역 (regional)성

질121)로 보고, 체 이고 게슈탈트 인 특성을 강조하 다.다시 말해,

120)시블리 역시 몇몇 논문에서 “창발”이라는 표 을 사용했음을 다음 인용들

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 사물의 비미 성질은 그것의 미 성질을 결정한다 … 미 성질은

“창발 ”이다”(Sibley(1965), “Aesthetics and Nonaesthetics,” The

PhilosophicalReview74,p.138)

“미 용어가 정말 속성을 지시/의미(connote)한다고 가정해보자.그 속성

이 색과는 확연히 다른 종류의 것이라는 은 즉각 으로 명백하다.색과 달

리 그 속성은 의존 는 창발 이다.”(Sibley(1968),“Objectivity and

Aesthetics”,TheAristotelianSocietySupplementary,vol.17,p.35)

서원주는 시블리가 미 속성과 비미 속성 간 의존 계에 한

논의의 시 를 제공하 으며,나아가 미 창발론을 주장한 것으로 보았

다.(서원주(2005),p.146-7)

반면,김혜련은 엄 한 의미에서 시블리를 창발론자로 보기는 어렵다고 주

장한다.왜냐하면 창발의 핵심 특징 하나는 창발된 속성이 창발 이 의

기 속성들에서는 없었던 새로운 본성을 가진다는 인데,시블리는 창발된

속성으로서 미 속성이 그 이 에 갖지 않는 그 독특하고 새로운 본성이

무엇인지에 하여 자세히 논하지 않았기 때문이다.(김혜련(1992),p.189.)

121)구역 (regional)성질은 국부 (local)성질의 상반된 개념으로,비어즐리는

구역 성질을 “복합체가 그것의 부분들의 특성과 그것들 간의 계들의 결과

로서 갖게된 성질”이라고 설명한다.“ 컨 랑쿠시의 새가 지닌 우아함은

작품의 부분 성질들의 상호작용으로 창발된 구역 성질이다.반면 종이가

흰색임은 상에 동질 인 국부 성질이다.비어즐리의 설명에 따르면 모든

구역 성질이 미 성질은 아니지만,미 성질은 모두 구역 성질이다.

Beardsley(1973),”WhatisanAestheticQuality?,“Theoria,vol.39.p.51.

Page 117: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08 -

각 부분들의 계에 의해 체로서의 특성이 결정되지만,이 체는 부

분의 단순한 합이 아니다.작품의 부분 요소들은 서로 상호작용하여

체로서의 새로운 성질-창발 속성-을 만들어 낸다. 한 가지 비어즐리

의 미 성질론의 기억할 은 비어즐리는 미 속성의 지각성, 상성

에 주목한다는 것이다.

빈슨은 창발의 핵심 특징인 의존성과 비환원성,그리고 비어즐

리의 지각 상성을 이어 받아 자신의 창발론을 발 시켰다. 빈슨의

창발 속성의 특징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미 속성과 비미 속성

간의 창발은 수반의 개념으로 이해 가능하다.그러나 이 때 수반 기 들

과 수반 속성들은 논리 ,개념 으로 독립 이다.즉,약수반이다.창발

은,항상은 아니지만 종종,구역성(regionality)이 개입된다.그리고 무엇

보다 요한 것은,창발 속성은 그것들이 수반하는 속성들의 단순한 합

이 결코 아니라는 ,즉 비환원 임을 강조한다.122)이로써 빈슨이 제

시한 상 미 인상과 비미 인 속성들 간의 창발 발생 계를 살

펴보았다.

그런데 상 인상으로서 미 속성의 존재를 인정하더라도 이

인상이라는 것이 결국 작품의 비미 물리 속성들의 집합일 뿐이라는

반론이 제기될 수 있다.123)만약 이들의 주장이 옳다면,총체 이고 상

인 인상으로서의 미 속성은 작품의 비미 ,구조 ,물리 속성들로

모두 환원되어버릴 것이다.즉,미 속성의 핵심인 상 속성 개념은

불필요해진다.따라서 빈슨의 속성실재론 옹호를 해서는 환원주의

논변을 기할 수 있는 논박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해 빈슨은 작품의 미 속성은 비미 ,구조 ,물리

122) 유념할 은,모든 창발 속성이 반드시 구역 속성은 아니라는 이다.구

역 속성 아니면서도 창발 속성이 미 속성의 존재를 떠올려볼 수 있다:

vibrancy,coolness,steely,wooly등. 모든 구역 속성이 반드시 창발 속성

도 아니다. 컨 3cm정사각형 6개를 붙여 18cm의 큰 사각형을 만들었다고

할 때,“18cm”임은 창발 속성이 아니다.왜냐하면 기존의 속성에 비하여 그

본성이 달라지지 않았기 때문이다.이 듯 본성에 있어서의 변화는 창발의

핵심이다.(Levinson,op.cit.,p.147)

123) 이러한 의심을 기반으로 상 미 인상의 존재를 부정하는 이들이 있

다.Dennett,Matraverse등 환원주의자 계열이 이에 속한다.

Page 118: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09 -

속성들로부터 창발하는 계로,창발된 속성은 그 정의상 이 의 비미 ,

구조 속성들로 결코 환원되지 않는다고 답변하는데,이는 선결문제요

구의 오류(questionbegging)를 범하는 것으로 환원주의자들에 한 충

분한 반박이 될 수 없다.미 속성은 창발하므로 비환원 이라는 식의

답변은 순환 일 뿐이다. 빈슨은 환원주의 논변에 하여 창발의 정의

에 호소하는 것 이외의 직 이고 명쾌한 반론을 제시하고 있지 않다.

다만 가치 립 미 인상이 정말 미 인가에 한 벤더와의 논쟁 속에

서 미약하게나마 환원주의자들에 한 빈슨의 가능 반론을 유추해볼

수 있다.

벤더는 상 미 인상을 가치 립 술어들로 기술하고 나면,

결국 비-미 객 속성들에 한 진술과 다를 바 없다고 주장한다.

다시 말해,“야하다”를 빈슨식으로 가치 립 으로 풀어 썼을 때 이는

비미 속성의 기술과 별반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A.“야하다”=“밝고 조화롭지 않은 색상들”[ 빈슨의 기술]

B.“야하다”=“강렬하고,상호보완 이지 않은 색상들”[벤더의 기

술]124)

미 속성의 가치 립 내용 기술인 A와 비미 속성의 기술인 B가 벤

더의 주장 로 다르지 않다면,결국 미 술어는 객 ,구조 ,비미

인 술어들의 연언 집합으로 환원될 것이다.이는 환원주의 논변과 같은

맥락의 비 이라 할 수 있다.

벤더와 환원주의자들의 주장을 논박하기 해서 빈슨은, 상

미 인상이 가치 립 임에도 불구하고 작품의 객 ,구조 ,물리

속성들의 연언 기술과는 다른 질 으로 독특한 어떤 특질을 가진다

는 을 밝 야한다.그리고 이 독특한 특질이란,그것으로 인하여 상

인상이 미 인 것일 수 있고,구조 ,물리 속성들로 환원되지 않을

124) Bender(1996),“Realism, Supervenience, and Irresolvable Aesthetic

Disputes,”JournalofAestheticsandArtCriticism,vol.54,no.4,p.375.

Page 119: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10 -

수 있게끔 막아주는 것이어야 한다.

이 독특한 특질이 무엇인지는 가치 립 미 용어에도 이와

연합된 독특한 경험 내용이 있다는 빈슨의 주장을 통해 추론해볼 수

있을 것 같다. 빈슨의 설명에 따르면 우리는 차이코 스키 교향곡 제

4번의 마지막 악장을 듣고 이것의 리듬,하모니,다이나믹스를 인지하여

주요 테마의 “열의 넘치고 거만한 성질(the exuberant,bumptious

quality)”을 지각한다.그런데 감상자의 반응은 시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이 에는 이 곡의 “열의 넘치고 거만한”특정 인상에 하여 “과

장되었다(bombastic)”고 부정 반응을 보이다가,이후 정 반응을

보이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이때 (부정 함축을 지닌)“과장된”을 귀

속하려면 그 교향곡의 가치 립 미 속성에 한 인지와 이에 한

반응 이 게 두 가지가 필요한 반면,가치 립 용어인 “열의 넘치는”

의 귀속을 해서는 이 상 내용에 한 감상자의 직 경험만이 필

요하다는 것이다.그러므로 가치 립 미 인상은 미 이며,단순히 비

미 ,구조 ,객 속성들의 연언 기술과는 다른 독특한 경험 내

용이 있다고 빈슨은 주장한다.125)

그러나 필자의 견해로 빈슨이 제시한 사례는 평가 미

속성이 가치 립 미 요소와 이것에 한 감상자의 평가 반응으로

125)Levinson(1994),“BeingRealisticAboutAestheticProperties,”Journalof

AestheticsandArtCriticism,vol.52,no.3,p.353.이에 해 벤더는 빈슨

이 마치 평가 미 술어의 귀속과 가치 립 미 술어의 귀속이 서로 다

른 인지 과정을 거치는 것처럼 설명하는데,실상 이들 술어들은 하나의 연

속체(continuum)상에 있으며 경험의 강도에 따라 이 연속체 상의 술어들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라고 반박한다.벤더가 로 들고 있는 술어의 연속체

하나는 다음과 같다:

냉정한(cold) - 제된(restrained) - 표 인(expressive) - 감상 인

(emotional)- (지나치게)감상 인(sentimental)- (지나치게)감상 인

(maudlin)

emotional,sentimental,maudlin모두 우리말로는 ‘감상 인’으로 동일하게 번

역되나,뒤로 갈수록 과하게 감상 이라는 부정 의미가 짙어짐을 유의하라.

즉, 연속선 상에 있는 어휘들 강도에 따라 하나를 선택하여 상에 귀

속시킨다는 것이다.Bender,op.cit.,p.376.

Page 120: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11 -

이루어진다는 것을 말해 뿐,논의의 인 가치 립 미 인상의

구조 ,물리 속성으로의 환원불가능성을 충분히 밝히지는 못한 것 같

다.만약 벤더가 주장하듯,“열의 넘치는”이라는 가치 립 미 술어의

느낌이 비미 속성들의 기술로 남김없이 표 될 수 있다면,결국 가치

립 미 인상은 비미 ,구조 ,물리 속성들로 환원될 수 있을 것

이다.따라서 빈슨의 이론이 유지되려면,“열의 넘치는”이 지녔으나 비

미 술어들로는 표 되지 않는 어떤 독특한 느낌에 호소해야 할 것 같

다.물리 ,구조 ,객 언어들로는 표 되지 않는 이 독특한 느낌은

상 느낌으로서의 미 리아 개념을 연상시킨다.즉,환원주의 논증

은 궁극 으로는 미 리아에 한 논쟁으로 수렴하는 양상이다.

그러나 상 미 인상이 곧 미 리아를 의미하는 것은 아

니다.왜냐하면 리아란 지각자가 느끼는 독특한 느낌을 지칭하는 것인

반면, 상 미 인상은 상이 그 자체에서 발 하고 있는 속성이므

로 이 둘은 실상 그것이 존재하는 지 과 주체가 다르다고 하겠다.이

차이를 보다 잘 이해하기 하여 발 속성으로서의 상 미 인상

의 본성을 살펴보도록 하자.

1.3 상 인상의 본성:발 속성

빈슨에 따르면 속성이란 상이 존재하는 방식(waysthings

are,waysofbeing)이다.그리고 외양(appearance)은 상이 드러나는

방식(waysofappearing)으로,이는 상의 존재 방식 하나이다.126)그

126)철학에서 일반 으로 상의 실재와 외양을 립 계로 보는 데 반해,

빈슨은 외양을 상이 드러나는 방식,따라서 상이 존재하는 방식의 하

집합으로 설명한다는 에서 특이하다. 통 으로 실재는 참,필연,불변 등

과 같은 의미를 지닌 반면,외양은 이와 반 로 거짓,우연,가변 등을 의미

하는 개념으로 사용되어 왔다.그러나 빈슨의 경우 실재와 외양의 차이를

구분하여 사용하지 않고 있다.즉, 빈슨은 주 의 경험에 으로 독립

인 어떤 것으로서의 실재 속성을 상정하기 보다는,우리가 지각하는 외양을

곧 실재로 보고 있다.지마흐(EddyZemach)역시 빈슨과 같은 의미로 외

양과 실재를 동치의 개념으로 간주한다. 빈슨의 독특한 외양 개념에 한

설명은 다음 논문을 참고하라.김진아(2012),「 빈슨의 충 실재론에

Page 121: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12 -

리고 상이 드러나는 방식인 외양은,달리 표 하자면,발 속성

(manifestproperty)이다.발 속성(manifestproperty)이란,외양 안에서

그리고 외양을 통해서 그 본질을 드러내는 속성을 말한다. 빈슨에게

미 용어의 본질이 평가 함축이라기보다는 외양(appearance)인 것이

다.그 다면 모든 외양,즉 모든 드러나는 방식은 ( 는 모든 발 속성

은)곧 미 속성인가?그건 아니다.

빈슨은 미 속성은 발 방식 에서도 고차원의 발 방식

(higher-order ways of appearing,higher-order manifest way of

appearing)이라고 말한다.풀어서 말하자면 미 속성이란 섬세하다,우

아하다,멜랑꼴리하다,통일 이다,균형 잡혔다 등과 같이 고차원 으로

그 외양을 드러내는 발 속성이다.그 다면 고차원 발 속성이 개

념 으로 제하는 차원 발 속성으로는 어떤 것이 있을까?작품의

색,크기,높이, 비,음색,형태,질감,리듬,박자 등 일반 으로 작품의

구조 속성 는 지각 가능한 비미 속성들이라 일컬어지는 것들이 여

기 포함된다.그 다면 자연스럽게 드는 물음은 도 체 어떤 것들을 미

속성이라 여기고 어떤 것들을 비미 속성으로 여기는가의 문제이다.

미 속성과 비미 속성의 분류 기 은 미학 논의에서 미 인 것의 개

념에 한 고찰과 함께 빈번하게 다 져온 통 주제이며,미학자마다

그 분류 기 이나 각각의 범주에 귀속시키는 속성이 조 씩 다르기도 하

다.본 논의에서는 빈슨의 설명에 따라,미 속성 역시 시각 는

청각 으로 지각 가능하다는 에서는 색이나 음과 유사하지만,이들보

다 미묘하고 포착하기 까다롭다는 정도로 이해하겠다.(물론 이것이 정

의 규정은 아니다.)

미 속성의 본성을 이해하기 해 한 가지 주목할 것은,

빈슨의 주장에 따르면 미 속성은 고차원 발 속성이지만,그 다고

모든 고차원 발 속성이 미 속성은 아니라는 이다.즉 고차원

발 속성 에서도 미 속성이 되려면 추가 인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 비 고찰-미 단의 일치와 불일치를 심으로」,『미학』,제69집,

pp.94-5.

Page 122: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13 -

하는데,그 조건으로 빈슨은 가치 련성(value-related)을 꼽는다.

비록 모든 미 속성들이 가치-경향 (value-tending)인 것

은 아니지만,어 든 모든 미 속성들은 가치- 련

(value-related)속성이라는 은 참인 것 같다.즉, 견

으로(prima-facie)그 속성들을 소유한 상의 미 평가의

지지 근거로 이해될 수 있는 속성들이다.따라서 어떤 발

방식이 미 속성이 되려면,고차원 지각 속성이거나

는 다른 차원 지각 속성에 비 칭 으로 의존 이며,

가치- 련 이어야 한다.127)

요컨 미 속성이란, 차원 지각 속성들로 인해 발생

한 고차원 지각 속성들 그 작품의 미 가치와 련되는 속성들

을 말한다. 빈슨이 미 속성을 발 속성으로 본다는 것은,외양,지

각 성질을 미 속성의 본성으로 간주함을 의미한다.그리고 미 속

성이 발 속성(manifestproperty)이라는 것은 이미 그 스스로 상

인상을 드러내고 있음을 의미한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빈슨의 미 속

성론은 종종 성향 속성론으로 잘못 이해되기도 한다.128)이러한 이해에

따르면,미 속성은 정상 지각자라는 조건과 한 상황 조건이 만족

되었을 때 비로소 발 되는 성향의 형태로 그 상에 실재한다.성향

속성의 표 인 로 유리의 깨질 수 있음(fragility)이 종종 제시된다.

유리컵은 단단함의 정도가 어느 수 이상인 바닥에 특정 수 이상의

힘을 주어 던져졌을 때 비로소 깨진다.즉,깨질 수 있음이라는 성향이

발 된 것이다.그러나 같은 유리컵을 5cm 높이에서 카펫이 깔린 바닥

에 떨어뜨린다면 아마도 깨지지 않을 것이다.그러나 결과 으로 유리컵

이 깨지지 않았다고 해서 깨질 수 있음의 성질(속성)이 유리컵으로부터

사라진 것이거나 유리컵에 애 부터 존재하지 않았던 것은 아니다.다만,

127)Levinson(2006b),p.342.

128)김진아 역시 빈슨의 속성실재론을 성향 속성으로 이해하고,“깨질수

있음(fragility)”에 비유하여 설명하 다. 김진아,op.cit.,p.92,p.104.

Page 123: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14 -

조건이 충족되지 않았기에 그 속성이 발 되지 않았을 뿐,깨지지 않은

유리컵도 여 히 깨질 수 있음의 성질(속성)을 성향(disposition)의 형태

로 지니고 있는 것이다.

성향 속성 이론은 상이 가진 속성 자체의 성질과 그 속성의

발 조건(지각자 조건과 상황 조건)간의 계로 속성을 분석한다.따라

서 계 속성이 갖는 장 ,즉 속성이 발 되지 않고 찰되지 않더라

도 실재를 설명할 수 있는 장 을 지녔다.그러나 빈슨은 미 속성이

성향 속성이 아니라고 명백히 밝힌다.129)

빈슨은 성향 속성과 발 속성의 차이를 다음과 같이 설

명한다. 술한 바,미 속성은 발 속성으로 직 으로 지각 가능하

다.비록 고차원 지각 속성으로서 차원 지각 속성 – 컨 ,색상,

형태 등 부분의 물리 속성-에 의존 이며 이들보다 미묘하고,따라

서 쉽게 한 에 포착하기 어려운 은 있지만,분명 직 지각 가능한

속성이다.130)반면,성향은 외양을 드러내는 성향일지라도 지각자의 조건

과 상황 조건에 계 인 속성이다.성향은 어떤 힘에 의해 유도된 변화

는 결과로서 사후 으로 추론 가능할 뿐, 상에서 직 드러나는 외

양 속성(appearanceproperties) 는 발 속성(manifestproperties)

은 아니다.

여기서 유념할 것은,지각 가능성이 강조되는 속성이라고 해서

그 개념에 지각자를 어떤 구성 요소로 포함하는 것은 아니라는 이다.

발 속성은 분명 지각 가능한 것이지만,발 속성이라는 개념 자체는

129) 빈슨은 “AestheticProperties,EvaluativeForce,and Differencesof

Sensibility”(2001)320쪽 각주16을 통해 성향 속성이 아니라는 을 간단히

언 한 바 있으며,이후 “WhatAreAestheticProperties?”(2006b)의 343-4쪽

을 통해 성향 속성과 발 속성의 차이를 비시키고 미 속성은 발

속성임을 강조한다.그러나 그 이 까지의 논문에서는 빈슨 스스로 “성

향(disposition)“이라는 용어를 통해 속성을 설명해왔다.이 때문에 빈슨의

이론이 후속 연구자들에 의해 ‘성향 미 속성’으로 잘못 이해되기도 한 것

으로 보인다.

130) 빈슨이 미 속성의 본성에 해 설명할 때 주로 사용하는 어휘들-외양,

상,고차원 지각 방식 등-을 통해 알 수 있듯, 빈슨에게 지각 가능함

(perceivability)은 미 속성의 주요한 특성이다.

Page 124: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15 -

지각자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성향 속성과 비되는 바로 이 에 우

리는 주목할 필요가 있다.엄격한 의미의 ‘성향’은 한 지각자 조건과

합한 상황 조건을 개념 으로 포함한다. 빈슨이 제시한 를 살펴보

자:

어떤 상은 그 상의 독특한 상황으로 말미암아 유 한

찰자에게 특정 방식으로 드러나는 성향을 갖지 않고도 바로

그 게 드러나는 방식을 소유할 수 있다. 컨 ,태양의 핵을

감싸고 있는 구역인 복사층(radiationzone)은 붉은 스펙트럼

빛을 방출한다고 여겨지며 따라서 그 색이 radiantred라고 간

주된다;그러나 그 어떤 정상시력의 찰자도 그러한 찰에

필요한 상황에 존재할 수 없기에,태양의 복사층은 유 한

찰자에게 그러한 방식으로 드러나는 성향을 가졌다고 할 수

없다.물론 어떤 색을 가진 상은 형 으로(일반 으로)그

색으로 드러나는 성향을 가졌다,그러나 그 성향은 색의 결과

이지 색과 동일한 것은 아니다131)

보여지는 방식인 발 속성은,물론 상황 조건과 지각자의 범 가 한정

되며 이에 제한되기는 하지만,이 제한 조건(parameter)이 그 속성의 개

념 자체에 개입되는 것은 아니다.이 에서 외양 속성(보여지는 방식)

은 계 속성이 아니다.132)(반 로,성향은 계 속성이다.)

131)Levinson(2006b),“WhatareAestheticProperties?,”ContemplatingArt,

OxfordUniversityPress,p.343-4.

132)주지하는 바와 같이 빈슨은 미 속성이 계 속성이 아니라고 단언

하 다.그러나 미 단의 주 성과 객 성을 아우르는 설명을 찾고자 하

는 우리의 목 상 계성을 포기하기는 어렵다.이러한 요구를 빈슨을 ‘미

경험’에 한 설명을 통해 해소하는 거으로 보인다. 빈슨에 따르면 미

경험이란, 상이 어떤 미 속성을 가질 것 +속성의 발 조건이 충족 될

것 + 합한 지각자가 이를 인지하고 반응할 것,이 게 세 가지 요소로 구

성된다.따라서 미 단을 미 경험에 한 진술이라고 볼 때,여기에 객

미 속성에 한 보고와 지각자의 반응 표 이 모두 포함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는 조건 발생 (우연 )사건이다:

“보여지는 방식(속성)W에 합한 주체들이 W를 소유한 상을 W로 경

Page 125: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16 -

나아가, 인용구의 마지막 문장에서 명시하듯,성향은 어떤 속

성의 결과 효과로 나타나는 것일 뿐,속성 그 자체와 동일시 될 수 없

다.요는,미 속성은 발 속성으로서 지각가능성이 하나의 주요한 특

성이기는 하지만,성향 속성과 달리,지각자를 개념 자체에 포함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미 속성은 지각자의 존재 유무를 떠나 상이

외양을 통해 본성을 드러내는 속성이다.

미 속성을 성향 속성이 아닌 발 속성으로 설명함으로써

빈슨이 릴 수 있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첫째,지각자를 미 속성의

개념 자체로부터 분리/배제시킴으로써 미 속성의 가치 립성이 유지될

수 있는 기반이 확보되며,둘째,미 속성은 상이 자신을 드러내는 방

식으로서 이미 지각자 없이도 스스로 하고 있는 구나 지각 가능한

상 인상이기에,이를 지각하기 해 지각자로부터의 까다로운 자격

요건들이 요구되지 않는다.즉 이상 비평가가 아니더라도 정상 지각

자라면 구나 그 미 인상을 지각할 수 있다는 이론 토 가 마련된

다.이로써 빈슨의 상 속성론이 미 단의 규범성을 성공 으로

확보하기 하여 가치 립 미 속성들 는 미 속성들의 가치 립

요소들을 포 하면서,미 단의 규범성을 이상 비평가에 호소하

지 않는 다른 방식의 이론을 찾아야 하는 우리의 요청에 부합함을 다시

확인할 수 있다.그 다면 빈슨의 상 속성론을 수용했을 때 미

단의 규범성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지 알아보자.

2. 상 속성 실재론에 기반한 규범성 설명

2.1(가치 립 )속성과 가치 분리에 따른 설명 장

발 속성으로서의 상 미 인상은 지각자의 주 믿음

이나 가치가 개입되지 않으며 지각자의 증거나 믿음 체계와 독립 이다.

즉, 상에 실재하는 속성이다.실재 속성에 한 단의 진리치는 사

험하는 조건 으로 가능한 문제(contingentmatter)이다.”(Ibid.,p.345.)

Page 126: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17 -

실의 문제로, 단의 내용이 미 사실에 부합하는 한 참이다.풀어서 설

명하자면,어떤 작품에 하여 우리가 마땅히 내려야 하는 미 단이

란,그 작품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있는 미 술어가 작품의 상 미

인상에 부합하는 단이다.즉,미 단의 규범성은 그 상의 상

미 인상에 기인하는 것으로 설명된다.단,유념할 것은 모든 미

단의 규범성 일반이 으로 상 미 인상에 기인한다고 주장하

는 것은 아니라는 이다. 상 미 속성론은 미 속성의 평가 요

소가 가치 립 요소와 분리될 수 있다는 제 하에 가치 립 미

요소에 한 단의 규범성을 상 인상을 통해 설명할 뿐이다.평가

요소 는 평가 미 속성이나 평가 미 단의 경우 가치에

한 규범성 논의를 통해 별도로 설명되어야 한다.즉,규범성의 기원이 미

속성의 가치 립 요소에 기인한 규범성과 가치로부터 기인하는 규

범성으로 이분화 되는 것이다.

이처럼 미 단의 규범성의 기원을 가치 립 요소로부터의

규범성과 가치로부터의 규범성으로 이분화함으로써 빈슨의 이론이 갖

게 되는 설명 장 은 크게 두 가지로 보인다.첫째,가치 립 미

속성과 평가 미 속성 반에 하여 규범성을 설명할 수 있는 설명

포 성을 가진다.나아가 서로 상충하는 듯 보이는 미 단의 두

가지 특징인 규범성과 다양성을 모순 없이 조화롭게 설명해낼 수 있는

이론 토 를 마련한다는 것이 두 번째 장 이라 하겠다.

먼 첫 번째 장 인 설명 포 성을 증명하기 하여 미 용

어를 세 가지 범주로 나 어,각각의 범주에 속하는 미 용어들의 귀속

에 한 규범성이 남김없이 설명되는지 확인해보자. 빈슨은 술 비평

에 흔히 사용되는 미 용어들은 평가 요소와 비-평가 요소의 구성

에 따라 다음의 세 가지로 분류하 다:1. 으로 가치 평가 인 용

어들( 컨 훌륭하다,형편없다 등),2.가치 평가 요소와 가치 립

인 기술 요소가 혼재된 용어들(균형 잡 있다,통일되었다,섬세하

다,우아하다,야하다 등),그리고 3. 으로 가치 립 인 용어들(

칭 이다,비 칭 이다 등).

Page 127: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18 -

빈슨은 이들 첫 번째 범주에 속하는 용어들은 생각보다 많

지 않다고 본다.그에 따르면, 표 인 미 가치 용어로 간주되는 “아

름답다”,“추하다”조차 (은유 으로 사용되는 경우를 제외하면) 상의

외양에 해 함축하는 바가 있다.미 용어의 내용에 상에 한 실질

기술이 포함되어 있으므로,“아름답다”,“추하다”를 순수하게 가치 평

가 인 요소로만 이루어진 용어라 보기 어렵다는 것이다.이 듯 첫 번

째 범주에 속하는 미 용어,즉 순수하게 으로 평가 인 요소만으

로 구성된 미 용어는 생각보다 다는 것이 빈슨의 찰이다.이 범

주에 속하는 미 용어 귀속의 규범성은 가치로부터 기인하는 규범성으

로,(비록 본고에서는 논의되지 않지만)가치에 한 미 규범성 논의를

통해 설명된다.

세 번째 범주에 속하는 으로 가치 립 인 미 용어들의

귀속은,그 용어와 연합되어 있는 미 인상이 작품의 상 미 인상

과 부합하는 한 참이다.골드만은 이 용어들의 귀속에 한 규범성을 제

로 설명해내지 못하 던 반면,가치 립 미 요소에 주목하는 빈

슨에게는 이것이 문제되지 않는다.다만,미 용어들 으로

가치 립 인 용어는 그리 많은 것 같지 않다.

결국 술 비평에 사용되는 부분의 미 용어들은 두 번째 범

주에 속하는 용어들,즉 평가 요소와 기술 /가치 립 요소가 혼재

된 용어들로,“균형 잡힌”,“혼란스러운”,“통일된”,“멜랑꼴리한”,“명랑

한”,“섬세한”등이 이에 해당한다. 빈슨은 시블리의 명칭을 빌려와 이

들을 가치 재된 용어라 부른다.가치가 재되었다는 것은 평가 내

용을 함축하고 있다는 의미로,어떤 상에 이 용어들을 용시킨다는

것은 다음의 두 가지를 의미한다:a.어떤 상이 속성 p를 가졌다.b.

화자가 그 속성의 가치를 정 는 부정 으로 평가했다.가치 재

된 용어들에서 평가 요소와 비-평가 요소를 분리해낼 수 없다고 주

장하는 골드만에 따르면 a와 b를 분리시켜 논할 수 없다.반면 빈슨은

평가 내용인 b를 분리시키고 가치 립 언어들로 a를 기술해낼 수

있다고 보았다.평가 내용은 그 미 속성에 본유 인 것이 아니기 때

Page 128: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19 -

문에 분리가능하다는 것이다.

상당수의 가치 재된 용어들이 화자 입장에서의 태도나 평가를

함축하는 듯 보이는 것은 사실이다.그러나 엄 히 분석해보면 용어 자

체에 본유 으로 그 평가성이 함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는 것이 빈

슨의 주장이다. 컨 “야함”은 통상 으로 부정 평가성을 함축한다

고 간주된다.하지만 어떤 상은 “야함”에도 불구하고 칭찬될 수 있고,

심지어 “야함”때문에 칭찬 받을 수도 있다.이는 통상 으로 간주되는

부정 평가 함축이 이 용어의 본질은 아님을 의미한다고 빈슨은 설

명한다.나아가 통상 으로 간주되는 이 부정 함축이 실은 비평의 규

칙이나 행에 의해 사용되어온 평가 암시일 뿐,화자의 태도나 반응

이 부정 임을 뜻하는 것은 아닐 수도 있다고 주장한다.이 때문에 “야

함”이라는 용어는 그 본질 의미에서 벗어나지 않고도, 다른

평가 방향을 갖고 사용되기도 한다는 것이다.

빈슨의 논변이 가치 재된 용어에서 평가 요소와 가치

립 요소를 완 히 분리해낼 수 있음을 보이는데 성공한다면133),평

가 내용을 제거하고 가치 립 으로 기술해냄으로써 이에 연합된 미

인상을 추론해낼 수 있을 것이다.이 게 추론해낸 미 인상이 작품의

상 인상에 부합하는 한 이 미 용어의 귀속은 참 는 정당하다고

정된다.한편 이 용어에 재되었던 평가 내용의 정당성은,앞에서와

같이,가치에 한 규범성 논의를 통해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결론 으로 빈슨의 상 속성론에 따르면 모든 미 용어들

에 하여 그 귀속의 규범성을 논할 수 있어 보인다.골드만이 가치 립

미 속성들로 인하여 설명 한계를 지녔던 것과는 조 으로,

빈슨의 이론은 모든 미 용어들 포 하는 설명 유용성을 지닌다는

133)여기에 조건문을 사용한 것은,필자의 견해로 빈슨의 이 논변은 가치

재된 용어에 가치 립 미 요소가 있다는 사실과 평가 요소가 본질 이

지 않다는 사실을 밝히는 데는 성공하 으나,이 둘을 실제로 분리해낼 수

있음을 보여주기에는 충분하지 않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사실상 평가 요

소와 비-평가 요소를 우리가 의식 으로 분리하여 사고할 수 있음을 증명

하려면, 리아 자체와 리아에 한 반응의 분리 가능성이 먼 입증되어

야 한다.이에 한 논의는 3 에서 후술한다.

Page 129: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20 -

을 확인할 수 있다.

빈슨의 속성 실재론을 수용할 때 얻을 수 있는 두 번째 설명

장 은 일견 모순되는 듯 보이는 미 단의 두 가지 핵심 특성인

규범성과 다양성을 이론 모순 없이 양립가능하게 설명할 수 있는 토

를 마련해 다는 이다. 상 속성 실재론에 따르면,미 단을 가

치 립 인 상 인상과 이에 하 평가 태도로 구성된다.즉,(평결

미 속성을 제외한)미 속성과 가치의 층 를 분리시켜 미 속성

에 해서는 실재론의 입장을 견지하면서, 빈슨이 그러하듯,미 가치

에 해서는 반실재론 입장을 취할 수 있게 된다.미 가치에 한

빈슨의 입장에 반드시 동의하지 않더라도, 상 속성 실재론에 동의

하는 것만으로도 미 단의 규범성의 기원과 다양성의 기원을 분화시

킬 수 있는 토 가 마련된다.이 듯 서로 상충하는 듯 보이는 두 가지

특성의 기원을 서로 분화시킴으로써 미 단의 규범성과 다양성,미

단의 일치와 불일치가 정합 으로 설명될 수 있게 된다.단순한 일례

로,미 단의 다양성은 가치의 다양성134)에서 기인하는 것으로,그리

고 규범성은 상에 실재하는 상 미 인상으로부터 기인하는 것으

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나아가 규범성의 토 역시 상 미 속

성의 실재로부터 오는 규범성과 가치로부터 오는 규범성으로 그 기원이

분화될 수 있다.가치의 규범성에 해 정하는 입장이든,부정하는 입

장이든 간에 각각의 기원들을 세분화함으로써 보다 미 규범성에 한

보다 정교한 논의를 가능 한다.

2.2 상 자체에 호소하는 설명의 장

134) 가치로부터 반드시 다양성만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미 가치의 다양성을

정하면서 동시에 규범성 역시 정하는 입장도 있다. 컨 미 가치에

하여 다원주의 입장을 지지하면서 동시에 결과주의 미 가치 실재론을

지지한다면,가치의 객 성으로부터 규범성을 설명하고,다원성으로부터 미

가치 단의 다양성이 설명될 것이다.보다 자세한 논의는 주동률의 다음 논

문들을 참고하라.주동률(1995),「결과주의 미 가치 실재론」,『미학』20

집,한국 미학회._______(1996),「메타 미학의 여러 가지 입장들」,『음악이

있는 마을-이강숙 회갑 기념 문집 편집 원회』,민음사.

Page 130: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21 -

앞서 골드만은 이상 비평가라는 상 외 인 요인에 호소하여

미 규범성을 설명하고자 하 다.그러나 이상 비평가 규정의 문제와

자격 수여의 지나친 화 문제들로 인하여 이상 비평가의 규범 지

가 훼손되며 따라서 미 단의 규범성 확보 역시 실패하고 말았다.

미 단의 규범성이 상 외 인 요인에 의존 이기에,의존하고 있던

이상 비평가의 지 가 흔들리면 연쇄 으로 미 단의 규범성마

확보될 수 없는 것이다.반면 빈슨의 입장을 따를 경우, 상 외 인

요인에 호소할 때 발생 가능한 부수 문제들로 인하여 미 단의 규

범성까지 훼손될 험 부담이 없다.

술하 듯 발 속성인 상 미 인상은 이를 제 로 지

각하기 하여 특정 자격을 갖춘 이상 비평가 는 진정한 단자를

상정할 필요가 없다.따라서 미 규범성을 ( 상 외 요인에 의존하지

않고) 상 내 인 요인인 상 인상에 기인하는 것으로 설명한다.어

떤 상에 하여 마땅히 내려야 하는 미 단의 기 이 상 그 자체

에 있는 것이다.

상 자체에 호소하여 미 규범성을 확보하는 이 방식은,미

이견이 발생하 을 때 불일치를 해소하는 과정이 이상 비평가에 호소

하는 방식보다 간단하고 효율 이다.이상 비평가에 호소하는 방식의

경우,어떤 작품에 한 규범 미 단을 알아내기 해서는 먼 이

상 비평가를 규정해야 하고,그들을 찾아내야 하며,찾아낸 이상 비

평가가 진정 이상 비평가가 맞는지 식별할 수 있어야 하고,그가 진정

한 이상 비평가임이 확인되었다면 논쟁이 되고 있는 작품에 한 그의

미 단을 우리가 알 수 있어야 한다. 재 논쟁이 되는 작품에 특정

인 규범 미 단을 구하기까지,그 이 에 이론 는 실 인

여러 선결 문제들이 해결되지 않은 채 남아있는 것이다.그리고 이 선결

문제들로 말미암아 인식론 회의주의 비 이 제기됨을 앞서 언 한 바

있다(제2장 2 ).

반면 규범 미 단의 기 을 상 자체로부터 구하는 빈

슨의 방식은 이와 같은 선결 문제들을 갖지 않는다.미 불일치를 야기

Page 131: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22 -

하는 작품이 있고,이에 하여 논쟁하는 비평가들의 미 단만 있으

면 그 작품에 특정 인 규범 미 단에 한 탐구를 시작할 수 있

다.즉 선결문제들로 인하여 규범 미 단을 악하거나 미 불일

치를 해소하는 과정이 지연되는 불편함으로부터 빈슨은 자유롭다.

그런데 지 까지 살펴본바, 상 미 인상을 하나의 술어로

확하게 표 하기 어려운 것은 사실이다.구체 인 언어로 명료하게 드

러내고 확인하기 어려운 상 미 인상의 이 같은 특성 상 빈슨의

이론도 결국,이상 비평가에의 호소 략과 마찬가지로,인식 회의주

의에 빠지게 된다는 비 이 제기될 수 있다.

그러나 상 속성 실재론에 따르면,불일치의 상에 한 정

상 지각자들 간의 의견을 모으고 비교하는 과정을 통해 공통 지각 기

반을 추론할 수 있다.마치 시블리가 제시하 던 평가 으로 조 인

미 용어의 들을 통해 비록 평가 함축은 다르지만 공통 으로 지각

된 인상을 추론할 수 있었듯이,논쟁 상에 한 미 귀속의 비교를

통해 감상자들 간에 공유되고 있는 공통 지각 기반을 추론해낼 수 있

다.그리고 이로부터 가치 립 인 미 술어들로 상 인상을 기술하

려는 시도가 가능하다.비록 언어의 한계와 (후술할) 리아의 특성 상

상 인상 그 자체를 명료하게 드러내기 어려울지라도 그것에 최 한

근 해갈 수 있는 것이다.이런 측면에서 빈슨의 이론은 최소한 골드

만에 비하여 인식론 회의주의 비 으로부터 훨씬 자유롭다.

3. 상 속성 실재론에 한 비 : 리아 논변을 심으로

앞서 우리는 골드만이 가치 립 미 속성을 그의 이론에 포

하지 못한 것은 평가 미 속성론에서 기인한 것이었으며,보다 근

본 으로는 평가 요소 분리불가능성으로부터 기인하는 것임을 제2장 3

에서 살펴보았다.그런데 평가 분리불가능성 논쟁과 (제4장 1 에서

논하 던)환원가능성 논쟁 역시 결국은 리아에 한 문제로 수렴된

다.미 리아가 존재하지 않는다면,미 속성들에 한 빈슨식의

Page 132: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23 -

상학 설명은 당연히 애 에 배제될 것이다.따라서 미 속성에

한 상 설명이 성립하려면 미 리아가 존재해야 하고,미 리

아가 존재하려면 리아 자체의 존재부터 증명되어야 한다.색,맛,냄새,

감,음색과 같은 낮은 단계의 리아가 존재하지 않는다면,높은 단계

의 리아인 미 리아(우아함,섬세함,멜랑콜리함,야함 등)도 당연히

존재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리아는 사 성,형언불가능성,삼인칭 근 불가능성,

본성 /본래 특성(intrinsicness)등과 같은 그 특성 상,그것의 존재와

구체 인 내용이나 느낌을 확인하기 어렵다.박쥐가 되어보지 않는 한

박쥐로 세상을 보는 것이 어떤 느낌인지(whatitisliketobeabat)알

수 없는 것처럼 말이다.135)이 때문에 어떤 철학자들은 리아의 존재를

회의하거나 부정한다.이를 리아 허무주의(qualianihilism)이라 하는데,

리아 허무주의는 두 가지 양상-이론 리아 허무주의,철학 리

아 허무주의-으로 개된다.136)

이론 리아 허무주의란, 리아의 상정 자체를 반 하는 것은

아니지만 리아가 철학 ,이론 논의에 유의미한 역할을 하지

못한다고 주장하는 입장이다.이들의 주장은 리아의 도된 스펙트럼

논증에 근거하는데,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리아는 주 이며 사 이

고 상호주 으로 근이 불가능하다.이것은 주 의 직 경험 외에는

그 내부 특징을 검사하거나 밝 내어 증언/증명할 수 있는 방법이 없

다.서로 다른 두 리아의 차이는 오직 리아 경험에 따른 주 의 행

동 결과에 의존해 짐작할 뿐이다. 컨 ,주머니에서 공을 꺼내서 두

개의 상자에 나 어 담는데,빨간 공은 상자 A에 넣기로 하고 녹색 공

은 상자 B에 넣기로 했다고 가정해보자.정상 시지각 능력을 가진 이

라면,주머니에서 공을 꺼내서 각각의 상자에 나 어 담을 것이다.피실

험자가 오류 없이 공을 규칙 로 넣는 행동 결과를 통해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그녀가 빨간 공과 녹색 공을 식별할 수 있다는 사실 뿐,그녀

135)Nagel,T.(1974),“WhatIsItLiketoBeaBat?”,ThePhilosophical

Review,vol.83,No.4.(1974),pp.435-450.

136)김재권(1996),『심리철학』,하종호·김선희 역,철학과 실사,pp.306-10.

Page 133: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24 -

가 빨간 공을 어떻게 느끼고 있는지 그 본성 특질을 제 3자가 알 수는

없다.그런데 만약 우리와 색에 한 스펙트럼이 정반 인 외계인이 있

다면,그리하여 우리가 빨간색으로 지각하는 것을 그들은 녹색으로 지각

하고 우리가 녹색으로 지각하는 것은 빨간색으로 지각한다면,그들이 빨

간 공을 집었을 때 느끼는 리아는 분명 앞의 피실험자가 그 공을 볼

때 느끼는 리아와 다를지라도,상자에 담아내는 행동 결과만으로는

그 차이를 결코 알 수 없다.따라서 리아의 존재를 제거하여도 이론

으로 아무런 차이를 가져오지 않는다는 것이 이론 리아 회의주의 논

변이다.

반면 철학 리아 회의주의자들은 리아의 존재 자체를 부정

하고,이것은 철학 허구에 지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표 으로는 다

니엘 데넷이 이 입장을 견지한다.데넷의 리아 부정 논변과 이에 한

빈슨의 반박을 살펴보자.

3.1 리아 부정 논변과 이에 한 반박

데넷의 주장은,본인들조차 자신의 리아에 해 오류를 범하며

따라서 옳고 그름의 상으로 여길 수 있는 리아는 애 에 없다는 것

이다.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해 데넷은 커피 맛 평가의 차이와 변

화에 한 사고실험을 제시한다.137)멕스웰 하우스의 커피 맛 감식가 체

이스(Chase)와 산본(Sanborn)은 멕스웰의 하우스 커피를 좋아했었다.그

러나 이제는 더 이상 좋아하지 않는다.체이스는 “맛은 나 지 이나

같지만, 보다 수를 낮게 다.왜냐하면 나의 입맛이 세련되어졌기

때문이다”고 말하는 반면,산본은 “맛이 달라졌다.만약 과 동일한

맛이었다면 처럼 높은 수를 주었을 것이다”고 한다.여기서 둘의

주장은 부분 으로 맛에 한 그들의 기억(에의 신뢰)에 의존하고 있음

을 유념하자.체이스의 입장에서 봤을 때 두 가지 가능성이 제시된다.

137)이 사고실험을 다음의 논문에서 차용한 것이다 Dennett,DanielC.(1988),

“Quining Qualia”in Marcel,A.& Bisiach,E.(eds.)Consciousnessin

ModernScience,OxfordUniversityPress.

Page 134: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25 -

(1)체이스의 커피 리아는 동일하나 이에 한 그의 반응이 달라진 것

이다. 는 (2)체이스의 커피 리아가 세월이 지남에 따라 자연스럽게

조 씩 변화하 으며,본래의(과거의)커피 리아에 한 그의 기억은

믿을 수 없어졌다.만약 본래의 커피 리아를 복구/기억해 낼 수 있다

면 하우스 커피에 한 그의 반응은 같을 것이다.

그런데 우리는 (1)과 (2)의 가능성 어느 것이 옳은지 알 방법

이 없다.왜냐하면 찰 가능한 결과로서 (1)과 (2)의 차이는 없기 때문

이다.따라서 데넷은 주장하기를, 리아를 가정하는 것은 검증할 수 없

으며 정당화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세월의 흐름에 따라 리아가 변화

한 경우,실제로 변화된 리아와 이 에 가졌던 리아의 기억의 변화

간 차이를 경험 으로 구분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가정(1)과 가정(2)의

내용은 아무런 실질 차이를 갖지 못한다.따라서 리아의 개념은 허

구일 뿐이라는 것이 데넷의 주장이다.

이에 빈슨은 허구인 것은 리아 자체가 아니라 리아에

한 기억이라고 반박한다.심리학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우리가 감각 인

데이터를 개념 으로 재 하는 능력에 한계가 있다.우리가 감각 리

아를 내 으로 범주화하고 라벨링 할 수 있는 능력은 제한된 반면,우리

가 감각 인상들을 지각하고 분간(discriminate)할 수 있는 능력은 훨씬

더 섬세하게 발달해있다는 것이다.그 결과,섬세하게 지각되고 분간된

감각 인상들을 개념 으로 가공하는 데에 어려움을 느끼며,따라서 그

인상들에 한 정확한 기억은 거의 불가능해지는 것이다.그러나 각각의

섬세한 감각 지각에 한 기억이 어렵다고 해서,우리가 단히 구체

이고 섬세한 수 으로 그 인상들을 지각할 수 있다는 사실이 부정되지는

않는다.즉, 빈슨의 주장에 따르면 리아가 없는 것이 아니라, 단히

섬세하고 구체 인 감각 리아에 한 한 리아의 기억이 없는 것

이다.

데넷은 앞서 커피 리아의 변화와, 리아는 동일하게 유지되었

으나 그 기억이 변화한 사례에 해 경험 동일성을 근거로 리아 자

체가 허구라고 주장했다.그러나 빈슨은 그러한 사례의 경우 리아가

Page 135: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26 -

허구가 아니라, 리아에 한 기억이 허구라고 설명한다.

3.2 리아 자체와 이에 한 반응의 분리불가능성 논변

데넷의 다른 리아 부정 논변은,설사 리아의 존재를 인정

하더라도, 리아 자체와 그 리아에 한 반응을 결코 분별

(distinguish)할 수 없다는 주장이다.그는 맥주를 좋아하는 사람,싫어

하는 사람,별 심이 없는 사람이 느끼는 맥주맛은 각각 다르다고 말한

다. 장미향을 좋아하다가 이제는 안 좋아하게 된 사람이 있다면,그는

지 과거에 맡았던 것과 정확히 동일한 장미향을 맡고 있는 것이 아니

다.즉 맛이나 냄새에 한 쾌 반응이 곧 그 사람이 느끼는 맛 는

냄새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맛이나 냄새에 한 리아 그 자체와

이에 한 쾌 반응이 구별될 수 없다고 한다.데넷은 한 번 사고

실험을 제시한다.컬리 라워의 맛에 한 것이다.컬리 라워의 맛을 유

독 싫어하는 이가 있다고 해보자.그런데 군가 알약을 주며,이 약을

먹고 나면 당신이 느낄 컬리 라워의 맛 자체는 같지만,당신은 컬리

라워를 좋아하게 될 것이라고 한다.이 약을 받아먹은 그는 즉각 으

로 그 효과를 경험한다.컬리 라워를 좋아하게 된 것이다.그 다면 이

약의 효과를 구체 으로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데넷은 두 가지 가능성

을 제안한다.

(1)맛 리아는 동일하게 유지되었으나 그것에 한 반응이 달

라진 것이다.

(2)맛 리아 자체가 변하 다.

그러나 약을 먹은 이의 경험은 이 두 가능성 답을 가리는 데에 어떤

도움도 되지 않는다.이 사람이 느낀 컬리 라워의 맛은 (어떤 의미로는)

동일하다.그러나 갑자기 새로운 맛( 컨 컬릿 맛)으로 느껴진

것은 아니다.약을 먹은 이의 컬리 라워 경험은 약을 먹기 이 의 컬리

라워에 한 경험과 무 달라서,컬리 라워가 과 맛이 같다고

Page 136: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27 -

하기 어렵게 되었다.데넷은 따라서, 리아에 한 반응으로부터 리아

를 리하게 분간해내는 이론은 유지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이에 해 빈슨은 감각 양상의 차이를 들어 반박한다.맛(미각

리아)에 해서는 데넷의 말처럼 리아와 리아의 반응을 구분하

는 것이 어려워 보인다.미각과 후각이 모두 그 다.그러나 맛 신 색

과 색에 한 쾌 반응을 떠올려 보면 반응 구분이 꼭 어렵거나 불가능

한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빈슨 역시 데넷과 유사한 사고실험을 제시

한다.색을 보면 그 색과 연합된 쾌를 느끼는 사람이 있다고 해보자.이

사람은 핑크색을 보면 매우 즐거워지고(tickledpink), 랑색을 보면 울

(blue)해진다.그런데 데넷이 상상했던 것과 유사한 기능을 하는 알약

을 먹고,이제는 더 이상 그 색을 도 같은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

고 해보자.어 든 그 사람의 색 리아 자체가 달라진 것은 아님은 분

명하다.그가 지각하는 색에 한 상 외양은 동일하다.다만 그 약은

과 같이 지각되는 색에 한 그의 기분에 향을 끼친 것이다.요

컨 빈슨은 리아의 감각 양상에 따라 차별 으로 분리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빈슨의 주장을 받아들인다면,최소한 시각과 청각에 한해서

는 리아 자체와 이에 한 평가 반응을 구분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러나 앞서 살펴보았던 리아의 기억이 허구라는 빈슨의 주장이

리아의 존재를 충분히 입증했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 같다.더욱이 리

아와 리아에 한 평가 반응의 분리가능성을 감각 양상에 따라 상

화시킨 빈슨의 주장 역시 만족스럽지 못하다.최소한 시각과 청각에서

만큼은 리아와 이에 한 반응이 가능하다는 그의 주장은 미 단

논의를 시청각 술 혹은 상으로만 국한시키는 것이다.그러나 미

술어는 분명 후각, 각,심지어 미각에도 사용된다.결국 빈슨은 자신

의 이론이 용될 수 있는 범 를 스스로 제한시켜버리는 것이다.

그런데 리아의 존재를 상정하기 해서는 반드시 그 내용을

경험 과학 으로 증명해야만 하는가? 리아는,김재권도 시인하듯,그

특성 상 존재를 어떤 경험 과학 방법으로 드러내 입증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해 보인다.주지하다시피 리아는 지각자의 내면에서 이루어지는

Page 137: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28 -

경험으로 이를 겉으로 확하게 드러내거나 상호소통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이에 필자는 상 인상의 존재와 그 분리불가능성을 상정하기

해 소모 인 리아 논쟁에 머물기보다는 차라리 상 인상을 상정

했을 때 이 이론이 갖게 되는 설명 효용성에 호소할 것을 주장한다.

이론 리아 허무주의의 도된 스펙트럼 논증이나 데넷의 커

피 리아 사고실험 논증으로 되돌아가보자.이 두 논증이 공통 으로

제하고 있는 것이 있다. 리아의 존재를 상정했을 때나 상정하지 않

았을 때나 행동 결과 상 달라지는 것이 없으므로 리아는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이다.즉, 리아가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거나 행동 결과에

서 실질 으로 보여지는 차이가 없고,따라서 아무런 이론 차이를 야

기하지 않으므로 리아의 존재는 아무런 쓸모가 없고,제거 가능하며

심지어 허구라는 것이다.그 다면 역으로 리아를 상정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론 효용을 통해 리아의 존재 상정을 주장할 수 있을 것이

다.필자는 이미 2 을 통해 빈슨의 상 미 속성에 기반한 미

규범성 설명의 유용성을 피력한 바 있다.그리고 주지하다시피 상

미 인상이 존재하려면 미 리아가 반드시 존재해야 하며,미

리아가 존재하려면 리아가 존재해야한다.그 다면 빈슨 이론의 설

명 유용성에 동의하는 한, 리아를 상정할 수 있다는 것이 필자의 주

장이다.

4. 소결

지 까지 빈슨의 속성 실재론을 통해 미 단의 규범성이

어떻게 설명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빈슨의 이론에 한 고찰을 통

해 필자는 다음의 두 가지를 주장한다.미 단의 규범성을 포 으

로 설명하고 나아가 미 단의 다양성까지 정합 으로 설명할 수 있는

이론 토 를 마련하기 해서는 먼 미 단,미 술어,그리고 미

속성 각각에서 가치 립 내용과 평가 내용을 분리시킬 수 있어야

한다.이 게 미 단을 가치 립 인 미 속성을 포함하는 속성 차

Page 138: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29 -

원과 으로 가치 평가 인 차원으로 분리시켜 각각에 한 별도의 실

재론/반실재론 분석을 개해야 하며,이때 미 속성에 해서만큼은

빈슨식의 상 속성실재론을 수용하여야 한다.필자의 주장을 수용

하면,본고에서 논의 상으로 삼고 있는 실질 미 단들의 미 규

범성은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실질 미 단에 사용되는 실질 미

술어들에서 평가 내용을 분리시키면 가치 립 미 내용이 남는

데,이 가치 립 미 내용이 ( 는 이를 기술하고 있는 미 술어가)

작품의 상 미 인상에 부합할 때 그 미 단은 참이다.달리 말

하자면,어떤 작품에 하여 마땅히 내려야 하는 규범 미 단은 그

작품의 상 미 인상에 근거한다.

그런데 미 규범성의 근원인 상 미 인상이 존재하려면

미 속성의 평가 요소와 가치 립 요소가 분리 가능해야 하는데,

궁극 으로 이는 리아 련 논쟁으로 수렴한다. 상 미 인상이

존재하려면 리아가 존재해야 하며, 리아 자체와 이에 한 반응이

분리 가능해야 한다.그러나 빈슨이 제시하는 논증만으로는 리아 부

정 논변과, 리아 자체와 이에 한 반응 분리불가능성 논변을 반박하

기에 한계가 있어 보인다.이 한계는 일면,그 본래 특성 상 형언하기 어

렵고,상호 주 소통이 어려운 리아의 본성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보인다.이에 필자는 결과 차이가 없다는 이유로 리아의 부재를 주

장하는 데넷의 논변에서 착안하여,역으로 빈슨 이론의 설명 유용성

에 호소하여 리아의 존재를 상정할 것을 주장한다.

Page 139: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30 -

맺음말

실로 다양하게 나타나는 미 단들 가운데 존재하는 규범

직 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이는 고 이래로 이어져 오던 객 주의

미론이 17세기 경험주의 철학과 낭만주의 술 경향으로 인하여 주 화

된 이후 오늘날까지도 지속되어 온 미학의 고 논제이다.지난 4세기

를 거치는 동안 수많은 철학자들이 미 단의 규범성을 논하 음에도

불구하고 여 히 우리는 미 단의 다양성과 규범성,주 성과 객 성

이라는 일견 모순되는 듯한 특징들 사이에서 혼란스럽다.미 단의

규범성을 잘 담아내는 이론들은 자유롭고 다양한 감상을 제한하고,반

로 작품에 한 자유롭고 다양한 감상을 보장하는 이론들은 미 단에

한 옳고 그름이나 타당성에 한 논의를 거부하거나 간과한다.오랜

기간 지속 으로 논의되어 온 미 규범성 논제는 이 듯 만족스러운 답

을 찾지 못한 채 진부한 것이 되어버렸다.그럼에도 불구하고 필자는 왜

이른바 더 이상 새롭지도 흥미롭지도 않다는 미 단의 규범성 문제를

논하려 하는가?그 까닭은,젱 식의 미 단 분류법을 도입하고,여기

에 평가 요소 분리가능성을 토 로 하는 빈슨식의 속성실재론을

목시킴으로써 이 고 논의에 새로운 임을 제시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미 규범성을 다룬 기존의 연구들은 부분 미 단을 하나

의 단일한 상으로 보거나,미 규범성 역시 하나의 단일한 것으로 보

아 그 기원을 한 군데에서 찾았다.그러나 본고에서는 미 단을 평결

미 단과 실질 미 단으로 나 었고,이에 따라 미 속성

역시 평결 미 속성과 실질 미 속성으로 분류하여 논의를 실질

미 단과 실질 미 속성으로 제한하 다.그리고 미 단의 가

치 립 속성과 미 가치를 분리시키는 빈슨의 이론을 수용함으로

써,미 규범성의 기원의 후보를 두 군데로 나 었다.요컨 본고는 일

차 으로 미 단과 미 속성,미 규범성 각각에 한 보다 세 한

분류를 통해 미 단의 규범성에 한 논의가 보다 정확하고 정교하게

진행될 수 있는 토 를 마련하고자 하 다.

Page 140: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31 -

본고는 이 듯 미 규범성 논의를 보다 세분화시켜 진행할 것

을 제안하고 있기는 하나,이 게 분류된 범주들 각각에 하여 모두 논

하지는 못하 다.본고를 통해 설명되는 미 규범성은,실질 미

단이 갖는 미 규범성,그 에서도 상 인상으로부터 발생하는 규

범성으로 제한된다.이 게 해명된 규범성은,미 규범성이라는 논제를

큰 모자이크화에 비유했을 때,이 그림 체를 이루는 작은 조각 하나에

해당한다.이 체 그림의 다른 조각들은 가치에 한 규범성 논의를 통

해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구체 으로는,평결 미 단의 규범성이

나,실질 미 단의 평가 내용이 갖는 규범성 등이 이에 해당한다.

본고는 애 다양하게 나타나는 미 단들에 한 우리의 규

범 직 을 설명하고자하는 의도로 기획되었으나,지면과 능력의 부족

으로 실질 미 속성이 갖는 일부의 규범성만을 논하는데 그쳤다.그

러나 미 규범성이라는 큰 그림이 궁극 으로 완성되기 해서는 가치

로부터 기인하는 미 규범성들에 한 연구가 필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

다.그런고로 가치에 한 규범성 논의는 후속 연구 과제로 남겨둔다.

한편,본고가 해결해야 하는 주요한 과제는 상 미 인상의

존재를 어떻게 입증하는가의 문제 다.본고에서 옹호하고 있는 빈슨

의 상 속성 실재론은 ‘상 미 인상’이라는 추상 개념에 한

실재를 주장하는 것으로,이를 입증하기란 녹록치 않은 것이 사실이다.

빈슨의 설명에 따르면 가치 립 인 상 인상이 작품의 비미 구

조 속성들과 주 의 평가 반응 그 사이 어딘가에 존재한다는 것인

데,이는 형이상학 으로 신비로운 존재를 상정한다는 비 에 노출된다.

더욱이 감상자가 지각한 상 인상 Φ를 직 제시하여 보여 수도

없거니와 어떤 도구를 통해 간 으로 확인할 수도 없다.가치 립

술어들로 풀어 기술한다고 해도 그것은 상 미 인상을 추정해가는

과정일 뿐 상 미 인상에 정확히 응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상 인상의 실존을 직 으로 입증한 방도가 재로서는 없어 보인다.

그 다면 감상자 본인 이외의 제3자는 감상자가 지각한 상 인상을

직 찰할 수 없기에 입증이 어려워 보이는 상 미 인상에 한

Page 141: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32 -

실재 지 부여를 포기해야만 하는 걸까?

그러나 상 인상의 실체를 직 으로 그 로 드러내거나 확

인하기 어렵다고 해서 이것이 상 속성 실재론을 기해야 할 만큼

치명 인 반론 같지는 않다.물리학에서 간 단서들로부터 가상의 존

재를 추정하고,이것이 설명 으로 단히 유용하자 그 존재의 실재를

상정하여 이론을 발 시킨 뒤 훗날 그 실채를 발견하게 되는 사례를 어

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자의 발견이 그러했고,DNA 이 나선 구

조,블랙홀,그리고 최근 실험을 통해 그 존재가 입증된 힉스 입자까지

모두 추상 이며 뚜렷한 형태나 존재를 직 확인할 수 없으나 설명

유용성에 호소하여 그 존재를 상정하 던 개념들이다.다행히도 미 실

재론이 미 속성의 물리 실재를 주장하는 것은 아니므로, 상 미

인상의 실재를 입증하기 해 과학에서만큼의 엄격한 기 이 요구되

지는 않는다.가까이 윤리학에서 역시 설명 유용성을 근거로 도덕

속성의 실재를 주장하는 사례를 찾을 수 있다.이에 본고는 상 미

인상의 존재를 상정함으로써 얻게 되는 설명 유용성들에 호소하여

상 미 인상의 실재를 주장하 다.

빈슨의 이론이 갖는 설명 유용성들은 다음과 같다.첫째,미

단의 규범성의 기원을 가치 립 속성으로부터의 규범성과 가치가

개입된 단으로부터의 규범성으로 이원화 시킬 수 있다. 한 미

단의 다양성과 규범성의 기원을 역시 서로 다른 지 에 결부시킬 수 있

게 됨으로써,상반되는 두 직 을 하나의 이론 틀 안에서 정합 으로 설

명할 수 있는 토 를 마련한다. 컨 미 규범성은 실재하는 실질

미 속성에서 기인하는 반면,미 단의 다양성은 미 가치가 지닌

주 요인으로부터 기인한다는 설명이 가능할 것이다.둘째,가치 립

미 속성에 해서는 설명하지 못했던 골드만의 이론과 달리, 빈

슨의 이론은 모든 속성 는 단에 해 규범성을 설명할 수 있다.평

결 미 단은 미 가치가 갖는 (혹은 갖지 않는)규범성 논의를 통

해 설명될 수 있으며,실질 미 단들에 해서는 실재 미 속성

을 통해 미 규범성의 일부를 설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속성실재론 기 어 미 규범성의 일부를 설명하고자

Page 142: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33 -

한 본고의 목표가 성공 으로 수행되었다면,이로써 다음의 효과들을 기

해 볼 수 있다.첫째,본 논문은 가치 차원에서 미 단의 규범성을

논할 때 논의의 상에서 제외될 수 있는 미 속성에 따른 규범성을 명

료히 함으로써,역으로 가치의 규범성 논의가 생산 으로 진행되는데 이

바지 한다.둘째,본 논문은 비평 장에서의 실효성 측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비록 상 미 인상은 그 특성 상 하나의 언어로 확

하게 표 되거나 물리과학 으로 직 확인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지

만,미 이견으로 논쟁하는 비평가들의 단에서 평가 요소를 제거하

고 가치 립 인 술어들로 풀어쓰다보면,그들 간에 공유되고 있는 공통

지각 기반을 확인할 수 있다.즉,미 실재에 최 한 근할 수 있는

것이다.달리 표 하자면,비평가들이 특정 작품을 두고 그것의 미 가

치에 하여 논할 때,실재하는 미 속성을 구체 으로 지시(refer)함으

로써 단의 구체 근거를 제시함으로써,미 단을 정당화할 수 있

게 된다.이는 미 논의가 보다 실질 이고 구체 으로 진행될 수 있는

이론 토 를 마련하는 셈이다.

본 연구는 비록 미 속성,그 에서도 실질 미 속성만을

다루고 있지만,속성으로부터 기인하는 미 규범성을 명료히 밝 내는

작업은 이를 토 로 가치에 한 논의가 보다 효율 이고 생산 으로 진

행될 수 있는 발 이 된다.이러한 발 을 마련함으로써 궁극 으로는

미 단의 규범성 연구를 진일보시키는데 미약하게나마 일조하리라 기

한다.

Page 143: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34 -

참고 문헌

김재권.1994.『수반과 심리철학』,철학과 실사.

______.1996.『심리철학』,하종호·김선희 역,철학과 실사.

______.2000.『수반의 형이상학』,철학과 실사.

김정 .2008.「 술 가치에 한 다원주의:R.Stecker의 비본질주의를

심으로」,서울 학교 미학과 박사학 논문.

김진아.2012.「 빈슨의 충 실재론에 한 비 고찰-미 단

의 일치와 불일치를 심으로」,『미학』69집,한국미학

회.

김진엽.1997.「흄의 ‘취미의 기 ’에 하여」,『미학』22집,한국미학

회.

김혜련.1992.「미 수반이론의 가능성」,『철학』,제38집.

서원주.2005.「미 속성의 의존성의 본성에 한 고찰」,『미학』43집,

한국미학회.

오병남.2003.『미학 강의』,서울 학교 출 부.

주동률.1998.「흄에서의 취미 단의 기 과 ‘진정한 단자’의 역할」,

『미학』25집,한국미학회.

______.1995.「결과주의 미 가치 실재론」,『미학』20집,한국미학

회.

______.1996.「메타미학에서의 여러 입장들」,『음악이 있는 마을-이

강숙 회갑 기념 문집 편집 원회』,민음사.

최도빈.2006.「흄의 미학 사상 연구-‘취미의 기 ’을 심으로」,서울

학교 미학과 석사학 논문.

Beardsley,MonroeC.1973,”WhatisanAestheticQuality?,“Theoria

39:50-70.

Bender,JohnW.1987."SupervenienceandtheJustificationofAesthetic

Judgments." Journal of Aesthetics and Art Criticism

46(1):31-40.

_________.1996.“Realism,Supervenience,andIrresolvableDisputes.”

JournalofAestheticsandArtCriticism 54(4):371-381.

_________.2001.“Sensitivity,Sensibility,and Aesthetic Realism.”

JournalofAestheticsandArtCriticism 59(1):73-83.

_________.2003.“AestheticRealism 2.”pp.80-98.in The Oxford

HandbookofAesthetics1sted.EditedbyJerroldLevinson.

Page 144: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35 -

New York,NY:OxfordUniversityPress.

Brown,StuartG.1938.“ObservationsonHume’sTheoryofTaste”,

EnglishStudies20(5):193-198.

Carroll,Noel.1984.“Hume’sStandardofTaste.”JournalofAesthetics

andArtCriticism 43(2):181-194.

Goldman,Alan.1988.EmpiricalKnowledgeUniversityofCalifornia

Press.

_________.1990a.“AestheticVersusMoralEvaluations”,Philosophy

andPhenomenologicalResearch50(4):715-730.

_________.1990b.“Aesthetic Qualities and Aesthetic Value.” The

JournalofPhilosophy87(1):23-37.

_________. 1992. “Music, Art, and Metaphysics: Essays in

PhilosophicalAesthetics by Jerrold Levinson.”Journalof

AestheticsandArtCriticism 50(4):327-329.

_________.1992.“Properties,Aesthetics.”pp.342-347inACompanion

toAesthetics1sted.EditedbyDavidE.CooperandRobert

Hopkins.Malden,MA:Blackwell.

_________.1993.“Realism aboutAesthetic Properties.” Journalof

AestheticsandArtCriticism 51(1):31-37.

_________.1994.“ReplytoGouldandLevinsononaestheticrealism.”

JournalofAestheticsandArtCriticism 52(3):354-356.

_________.1995.AestheticValueWestview Press.

_________.2001.“The Aesthetic” pp.333-342 in The Routledge

CompaniontoAesthetics1sted.EditedbyBerysGautand

DominiqueMcIverLopes.New York,NY:Routledge.

Gould,CarolS.“TheRealityofAestheticProperties:A Responseto

Goldman.”JournalofAestheticsand ArtCriticism 52(3):

349-351.

Hume,David.1757.“OftheStandard ofTaste.”Selected Essays

Edited by Stephen Copley and Andrew Edgar.Oxford

UniversityPress,1988.

Kim,Jaegwon.1990.“Supervenience As a PhilosophicalConcept.”

Metaphilosophy21(1):1-27.

Page 145: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36 -

Kivy,Peter.1967.“Hume’sStandardofTaste:BreakingTheCircle.”

BritishJournalofAesthetics 7(1):57-66.

Kulka,Tomas.1981.“TheArtisticandtheAestheticValueofArt.”

BritishJournalofAesthetics21(4):336-350.

Levinson,Jerrold.1980.“AestheticUniqueness,”JournalofAesthetics

andArtCriticism 38(4):435-49.

_________.1984.“Aesthetic Supervenience.” Southern Journal of

Philosophy22(S1):93-110.

_________.1994.“BeingRealisticAboutAestheticProperties.”Journal

ofAestheticsandArtCriticism 52(3):351-354.

_________. 2001. “Aesthetic Properties, Evaluative Force, and

Differences of Sensibility.” pp. 61-80 in Aesthetics

Concepts:EssaysafterSibley1sted.EditedbyE.Brady

andJ.Levinson.New York,NY:OxfordUniversityPress.

_________.2002.“Hume’s Standard ofTaste:The RealPreblem.”

JournalofAestheticsandArtCriticism 60(3):227-38.

_________.2005.“WhatAreAestheticProperties?”Proceedingsofthe

AristotelianSociety.Supplement78:61-70

Matravers,Derek and Jerold Levinson.2005.“WhatareAesthetic

Properties?” Proceedings of the Aristotelian Society

Supplement79(1):211-227.

Mothersill,Mary.1989.“HumeandtheParadoxofTaste,”pp.269–86

in Aesthetics: A CriticalAnthology Edited by George

Dickie,RichardSclafaniandRobinRonald.New York:St.

Martin'sPress.

Nagel,Tomas.1974.“What Is It Like to Be a Bat?.” The

PhilosophicalReview83(4):435-450.

Noxon,James.1961. “Hume’s Opinions of Critics.” Journal of

AestheticsandArtCriticism 20(2):157-162.

Pettit,Philip.1983.“ThePossibilityofAestheticRealism.”pp.17-38

inPleasure,PreferenceandValue:StudiesinPhilosophical

AestheticsEdited by Eva Schaper.Cambridge University

Press.

Page 146: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37 -

Railton, Peter. 1998. "Aesthetic Value, Moral Value, and the

Ambitions ofNaturalism."pp.59-106 in Aesthetics and

Ethics: Essays at the Intersection Edited by Jerold

Levinson.Cambridge:CambridgeUniversityPress.

Sibley,Frank.1959.“A ContemporaryTheoryofAestheticQualities:

AestheticConcepts.”PhilosophicalReview68(4):421-450.

_________.1965.“Aesthetic and Nonaesthetic.” The Philosophical

Review74(2):135-159.

_________.1968.“Objectivity and Aesthetics.”Proceedings ofthe

AristotelianSocietySupplementaryVolumes42:31-72.

Zangwill,Nick.1991.“MetaphorandRealism inAesthetics.”Journal

ofAestheticsandArtCriticism 49(1):57-62

_________.1995.“TheBeautiful,TheDaintyandtheDumpy,”British

JournalofAesthetics35(4):317-329.

_________.1998.“TheConceptofAesthetics.”European Journalof

Philosophy6(1):78-93.

_________.1998.“Aesthetic/Sensory Dependence”,British Journalof

Aesthetics38(1):66.

_________.2000.“Skin-Deep orin the Eye ofthe Beholder? The

MetaphysicsofAestheticandSensoryProperties.”Philosophy

andPhenomenologicalResearch61(3):595-618.

_________.2003.“AestheticRealism 1.”pp.63-79 in The Oxford

HandbookofAesthetics,1sted.EditedbyJerroldLevinson.

New York,NY:OxfordUniversityPress.

Zemach,Eddy.1997.RealBeautyUniversityPark,PA:PennState

Press.

Page 147: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38 -

Abstract

A Study on Normativity of Aesthetic Judgements

: Based on J. Levinson’s Aesthetic Property Realism

Ghalim Lee

Department of Aesthetics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offer a plausible account for

normativity of aesthetic judgements. People often disagree in their

aesthetic judgements on the same artwork. And, without great

difficulty, we admit that these disagreements derive from differences

of taste or sensibilities of individuals. At the same time, we still say

that a judgment is right or wrong, valid or invalid, or that one

judgment is better than another (or others); this postulates that there

is at least one or more aesthetic judgments we ought to make of the

work at stake. Then, how can we explain this normative intuition that

is seemingly contrary to the presence of diverse aesthetic judgments?

This study aims to answer this classical, yet still controversial

question.

My first proposal is to classify the key concepts of the

discourse into subcategories for further elaboration. In the discourse of

Page 148: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39 -

aesthetic normativity, both “aesthetic judgements” and “aesthetic

normativity” have often been understood as a single and unitary

feature by philosophers. However, I assert that each concept should be

subdivided to allow separate discussions for each normativity in each

judgment: (1) aesthetic judgments, according to Zangwill, are classified

into verdictive judgements, judgments that are entirely evaluative such

as “X has or lacks aesthetic value or merit,” and substantive

judgments, judgments that contains some descriptive information of the

work such as “X is dainty, dumpy, delicate, passionate, and sad.” I

limit my discussion only to the latter. (2) Aesthetic normativity, I

argue, should be classified into the normativity originating from real

aesthetic properties an object possesses and the normativity originating

from its aesthetic value. I limit my discussion only to the former. In

sum, I assert that, as far as substantive judgements are concerned, a

part of normativity can be explained by appealing to the real aesthetic

properties of an artwork.

This assertion is best supported by Jerrold Levinson’s aesthetic

property realism. Building up to Levinson’s theory, I critically

examine the two alternative accounts of aesthetic normativity, David

Hume’s standard of taste and Alan H. Goldman’s relatized ideal

critics.

According to Hume, the normative aesthetic judgement we

ought to make of an artwork is what “true judges” would judge of it.

However, appealing to the true judges for normativity is defective

since the “true judge” can only be defined by circular reasoning.

Moreover, his theory hardly resolves any aesthetic dispute in the real

Page 149: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40 -

world since it is hard for us to know what the true judges would say

of the work at stake. These problems are carried over to Goldman

whose theory is rooted in Hume’s theory. Goldman argues to

relativize “ideal critics” according to their taste; that is, one ought to

judge an artwork as the ideal critic who shares one’s taste would

judge of the work. However, as it is hard to discern disagreements

from different taste and from other faulty reasons, his claim puts us

at risk of approving any disputing critic as an ideal critic. As such,

Hume and Goldman’s accounts fails to offer a plausible account for

aesthetic normativity due to their fundamental problems of appealing

to certain qualified critics. Rather, we ought to appeal to an artwork

itself, as Levinson does.

According to Levinson, an object has non-evaluative

phenomenal aesthetic impression—a gestalt, overall impression that

emerges from the object’s non-aesthetic, structural, and physical

properties. This impression is shared by normal perceivers, even

among those who disagree in their aesthetic judgements. In other

words, this impression exists independently of our system of beliefs;

that is, it is real. Therefore, the aesthetic judgments we ought to

make of an artwork are the ones that conforms to its phenomenal

impression. Yet, different aesthetic predicates may be attributed to the

work depending on perceivers’ evaluative reaction toward its

phenomenal impression. In this way, both the normativity and the

diversity of aesthetic judgements are explained; the normativity derives

from the object’s phenomenal impression while the diversity derives

from individual’s different evaluative reaction to the phenomenal

Page 150: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41 -

impression.

However, Levinson’s account is opposed by many including

Dennett, questioning the existence of phenomenal impression and its

separability from a perceiver’s reaction to it. The dispute involves

arguments on qualia since phenomenal impression is “aesthetic-qualia”

that is higher-order qualia. The opponents’ counterargument can be

stated briefly as the following: (1) aesthetic-qualia can only exist

insofar as qualia exist. However, qualia do not exist. Or, even if

they exist, no difference is observable in our behavior, rendering the

term useless. (2) Furthermore, even if we agree that qualia exist, they

are inseparable from one’s evaluative reaction to them, especially in

the case of taste and smell.

Replying to the first argument above, Levinson blames the

opponents for deriving a wrong conclusion; what does not exist is the

memory of qualia, not the qualia themselves. He then contends that at

least for sound and vision, we can separate our evaluative reaction

towards the qualia from qualia themselves. However, I think Levinson

did not fully rebut his opponents. Since qualia is a subject’s private

experience that is hard to be communicated, disputes on qualia are

controversial and not likely to reach an agreement.

Therefore, I propose that we appeal to explanatory power to

defend Levinson’s account, rather than attempting to prove or verify

qualia. Assuming phenomenal impression as real aesthetic properties

enables separate discussions on the two types of aesthetic normativity.

Furthermore, as noted above, this assumption offers an inclusive

account for the two seemingly contradictory features of aesthetic

Page 151: :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s-space.snu.ac.kr/bitstream/10371/132021/1/000000017512.pdf · 문학석사학위논문 미적판단의규범성에관한연구:J.Levinson의미적속성실재론을중심으로

- 142 -

judgements—aesthetic normativity and diversity; while most disputes

are derived from differences of perceivers’ tastes or sensibilities, there

are phenomenal impression shared even among those disputants which

explains our normative intuition. In addition, phenomenal realism is

beneficial to art criticism in the real world as it can actually resolve

some aesthetic disagreements. Rather than depending on Humeian or

Goldmanian qualified critics, inspecting a work thoroughly followed

by discussion could lead us to agree on the common perceptual

ground and speculate its phenomenal impression.

One may question the explanatory power of Levinson’s

approach in that the normativity which originates from real aesthetic

properties merely resolves perceptual disagreements. Indeed, it is true

that the most controversial and interesting disagreements are the ones

regarding aesthetic value, rather than properties. However, that does

not detrac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rticulating the normativity

from real aesthetic properties contributes to the debate on aesthetic

value by eliminating irrelevant disagreements from the discussion. By

this way, this study offers a cornerstone for the discussion on value

even though it does not discuss the normativity originating from

evaluative content of aesthetic judgements.

Key words: aesthetic judgments, normativity, Levinson, aesthetic

property, phenomenal impression.

Student Number: 2006-227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