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Vo l. XX , No. 3 , 1984 -Abstrac t- Comput ed Tomograph y in Lumb ar He rni ated Di sc Chul Soo n Choi, M.D., Kee Hy un Chang , M.D. , Ma n Chun g Han , M.D. D epartment of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197 spine CTs were perfo rm ed fro m 29 th , Marc h 1 982 to 7th Marc h , 1 984 . Among them , 39 patients pr eo perati ve ly d iag nosed as h ern iate d nucleus pu lp osus o r bu lg ing d isc w ith CT and mye lography were ope rated. 43 d isc spaces of disc disease are a nalysed in true pos itive and false negat ive cases. F in a ll y the accu racy , sen sit ivit y and specif icity of spine CT and m yelog raphy are caic ul ated. Th e resu lts are as fo ll ows: 1. Th e CT f indings of disc diseases are in order of frequencY, asymmet ri ca l ob li terat io n of ep i du ral fat (82% ), ve ntr al inde n tat io n o r com pressio n o n d ura l sac (72%) , foca l prot rusi on of disc (64 %), roo t changes . ob li tera tion , d is pl aceme nt , compress io n, non-f illing of metrizam ide - (54%), d iffuse disc bulging (36% ) , d isc at body leve l (31 %), disc ca lcifications (26%), d isc vacuum (10%) and olher associated fi nd in gs - sp in al stenosis , forami nal stenosis , li game nt flavum t hi cke nin g , facet jo in t hyper trop hy -(26%). 2. Sensitivities of spine CT and mye log rap hy are 95% and 94% , spec ificit ies are 67%, 50% a nd overa ll acc ur ac ies 93% , 87%, respe ct ive ly. 3. Th er efo re, it is reco mm end ed th at lhe sp in e CT be used as a pr i mary di agnos t ic method and the myelograph y as a seco nda ry co mplemen ta ry study whe n the CT gives no co nc lu sive fi nd in gs. 1. (Spi nal canal) , FlR * (Herni ated nu cieus pulpo- sus) (Mye l ography C 3) - 407-

體推間板脫出tJE에 서의 電算化斷層擺影術* · 2017-01-19 · Herniated nucleus pulposus with free fragment, L4-L5; There is irregular hig h density mass in left epidural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體推間板脫出tJE에 서의 電算化斷層擺影術* · 2017-01-19 · Herniated nucleus pulposus with free fragment, L4-L5; There is irregular hig h density mass in left epidural

大함放f,j Wí!~욕적'~~,It. Vol. XX , No. 3 , 1984

體推間板脫出 tJE에 서의 電算化斷層擺影術*

서울大學校 醫科大學 放射線科學敎室

崔 喆 海 · 張 基 賢 ·韓 萬 좁

-Abstract-

Computed Tomography in Lumba r H e rnia t e d Disc

Chul Soo n Cho i, M.D., Kee Hyun Chang , M. D.,

Ma n Chung Han , M.D.

Department of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1 97 sp ine CTs we re pe rfo rm ed fro m 29th , Marc h 1982 to 7th Marc h , 1984 . Among them , 39 patients

preo perati ve ly d iag nosed as hern iated nucleus pu lposus o r bu lg ing d isc w ith CT and myelography were

ope rated . 43 d isc spaces of d isc d isease are a na lysed in true pos itive and false negat ive cases. F ina ll y

t he acc u racy , sensit ivity and specificity of sp ine CT a nd myelog raphy are caicul ated.

The resu lts a re as fo ll ows:

1. The CT f indings of disc diseases are in o rder of frequencY, asymmet ri ca l ob li terat io n of ep idu ral fat

(82% ), ventra l indentat io n o r com press io n o n d ura l sac (72%) , foca l prot ru s ion of disc (64%), roo t

changes . ob li teratio n, d ispl aceme nt , compress io n, non-f illing of metrizam ide - (54%), d iffuse disc

bulgi ng (36%), d isc at body leve l (31 %), disc ca lc if ications (26%), d isc vacuum (10%) and olher

assoc iated fi nd ings - sp inal stenosis, fo rami nal stenosis, ligamen t flav um t hi cke ning, facet jo in t

hype rtrop hy -(26%).

2. Sens it iviti es o f spi ne CT and mye log rap hy are 95 % a nd 94% , spec if icit ies are 67%, 50% a nd overa ll

accurac ies 93% , 87% , respect ive ly.

3. Th erefo re, it is reco mm end ed th at l he sp in e CT be used as a pr imary d iagnost ic method a nd t he

mye logra ph y as a seco nda ry co m plementa ry study whe n the CT gives no co nc lu sive fi nd ings .

1. 序 論

좁推電算化 斷f함據影術〔이하 휴推 C . T로 함 〕로 좁

推용 (Spina l canal) , 척 추주위의 軟部組織 및 推|댐板을

이미지화 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고분해능의 C-T가 FlR

* 본 논문은 1 984년도 서 올대학교벙원 임상연구비의

보조로 이 루어진 것 임.

이 논문은 84년 7원 30일에 채택되었유

發됨에 따라 홉推間板의 脫出 ( H e rniated nucieus pulpo­

sus) 및 gfl逢 (Bulging)을 正確히 등?斷하게 되 었 다 J,ι3)

최근 홉隨造影術 (Mye lography )은 推間板훗,뽕、에서 C

. T의 二次的 검 사방법으호 使用되는 추세에 있요며 그

정확도도 홉*훌 C.T보다 낮은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3 )

우리나리에서는 아직까지 일차적 검사방법으로 즙隨

造影術이 보다 많이 利用되고 있고, 홉堆 C.T 와 좁廣

造影術의 진단의 정 확성에 대한 보고가 없는 실정이다

따리서 저자들은 顆推間板脫出lIE에서 C . T 所見을 分折

- 407-

Page 2: 體推間板脫出tJE에 서의 電算化斷層擺影術* · 2017-01-19 · Herniated nucleus pulposus with free fragment, L4-L5; There is irregular hig h density mass in left epidural

하고 척추 C.T 의 정확성 을 척추조영숲과 비교 겸로하 Table I. CT findings 0 1' lumbar herniat ed int erver tebral

여 향후 임 상이 용의 자료를 삼고자 본 %究를 시행 하였 d미lκS

9 다 n=39

11. 대상 및 방법

1 982년 3월 29열부터 1984년 3원 7일까지 홉堆 C-T

를 시행한 193 例중에서 수솔로 確談된 43 推間板을 對

象으로 하였다. 推間板脫出효이 없는 홉推흩俠쩔(spínal

stenosís )의 1lEí쩌j와 이 미 f좋推手i힘 을 받았던 1lE í히j는 저l

외하였다.

홉推 C-T는 General Electric CT / T 8800 을 flJ用하

였£며 , 모든 환자는 앙와위 ( supine posítion )에 서 주사

( scanning) 하였 으며 제 3 . 4 , 제 4 . 5 , 요추간 및 제 5 體

推, 제 1천추간을 5mm 두께 3mm 간격으호 주사하였다.

각 요추간은 척추경 (pedicle)의 하연에서부터, 다음 척

추경의 상연까지 5~7번 절단하였다. 절단방향은 각 추

간판에 평행 이 되도콕 Gantry 각을 조철하였 다. 모든例

에 서 초영 전주사( preenhancement scan) 만을 시 행 하였

고 단순 C.T는 25예에서, metrízamide C.T는 14 예에

서 시행하였다. 촬영조건은 120KVp , 614~960 mAS.

9.6 S ec Scanning time 였고 320 x 320 ma띠x플 이용하

였다.

모든 환자에서 C-T소견과 척추조영좋 소견을 수술소

견을 모르는 상태에서 소급하여 , 각각 지| 판옥을 하였으

며, 수술소견은 병 츄지의 수술기 」한11 의존하였다( R e-

trospect ive study) . 진단의 정확성의 분석에서 휩陽性

( true posítive ) 에 는 추간판탈촌로 진 단하고 수숭로 확

인된 例를 포항하였고 가양성(false pos i tive) 은 추간판

탈출로 진단하였으나, 정상 추간판 또는 팽융( diffuse bu-

19ing) 으로 판영된 예를 對象으로 하였다 진유성은 정

상 추간판으로 진단하여 정상S로 판명된 예를 대상으

로 하였고, 가음성 C fals e negative )은 수술전 정 상 또는

팽융으후 진단하였a나 추간판탈촌로 판명펜 f71j쓸 對象

으로 하였다

추간판 탈출 및 팽융의 소견분석은 진양성 ( true posi­

tive) 과 가음성 ( false negative) 의 예 만 대 상으로 하

였다.

III. 結 果

Findings

Asymmetricalobliteration 。 f epidura l fa t

ventral ind entation or compression o n dural sac

Focal protrus io n 0 1' disc

Root cha nges (obliteration ,

displacement , cO ll1 pression

no n-filling 0 1'‘ ll1et riza ll1 ide)

Diffuse disc bulgjng

Disc at body level

Disc ca lcitïcation

Disc vaC lI U Ill

Associated findings

spinal stenosis

foram inal stenosis

liga ll1ent tlavu ll1 thickening

facet jo int hypertrophy

No . 0 1' disc spaces (%)

32 (82)

28 (72)

25 (64)

21 (54)

14 (3 6)

12 (31)

10 (26)

4 (1 0)

10 (26)

2

4

3

Fig. 1. Herniated nucleus pulposus with fo cal protrusion 0 1' disc, L5-S 1; There is focal protrusio n of disc with left epidural fat obliteration. Dural sac is compressed on left anterior side.

다. 이들의 C.T소견은 Table -1 과 같다-

비대칭 적 경막외 지방경손 (Fig- 1) 이 32예 (82%) , 국

소적 추간관 돌출 (F i g -1)이 25예 (67%) , 경막낭( dural

총 43例중 推間板脫出로 확진된 예는 39예였고, 요추 sac) 의 벤헛은 28예 (72%) , (Fig- l) 에서 신경근 결

간판중 L ‘ - s 가 19예 L sS , 이 16 예로 전체의 97 %였 손 및 metri zam i de 도 조영이 안된 신경근등, 신경근의

- 408-

Page 3: 體推間板脫出tJE에 서의 電算化斷層擺影術* · 2017-01-19 · Herniated nucleus pulposus with free fragment, L4-L5; There is irregular hig h density mass in left epidural

Herniated nucleus pulposus with free fragment , L4-L5; There is irregular h igh density mass in left epidura l space with ob1iteration 0 1' epidura l fa t and com pressio n 0 1' ventra l surface of du ra l sac. Left root is obliterated with hcrniated nucleus pulposus (free fragment) ‘

Fig. 3. Herniated nucleus pulposus with nonfilling o f root sleeve of L5 -s 1; Right roo t sleeve is no t filled with met rizamid e. Vent ral ind entation of

Fig. 4. Diffu se bulging disc with vacuum phenomenon, L4-5; Generalized bulging disc with s1ight asym­metric oblitera tion of anterior epidural fa t is no ted. T he dural sac is ind ented ventrally with bulging disc. Central small round air density in disc indicates vacuum ph enomenon. Asso­ciated with facet jo int hypert rophy is noted .

dural sac is also noted with h ernia ted nucleus Fig. S. Herniated nucleus pulposus with disc calcifica-pulposus on right side. tion, L5-S1 ; Focal protrusion of disc with calci­

fica tion obliterates epidural fat and compresses the ventral surfa ce of dural sac

이상소견이 2 1예 (54%) ( Fi g -2 . 3 ) 에서 있었다- 미만성

원판 팽융이 1 3예 (33% ) 였는데 이풍 5예 는 수술 소견

상 推間板팽융( Bu lging d j sc ) 민 있 었디 (Fi g - 4) . 唯 !해

板의 石%化는 10예 ( 26%) (F i g - 5) 에서, 唯|해板따옐現

象 (Vacuurn phenomenon ) 은 1예 ( 10%) (Fi g - 1 , 6) 에 서

있었다. 척추처l 위치 (vertebra l body leve 1 ) 에 서의 추간

판은 1 2예 ( 31% )에 서 보였고, 이 중 2예에서 소위 free

fr agment 로 판명되었 다 ( Fi g - 2) 기 타 척추강협 착(sp ­

ina l stenosis ). 黃色聊帶의 HE大 ( Fi g - 7). 小面( facet)

관절의 把大, 척 추간공협 착 ( inte rvertebr al foraminal ste­

nos is) 등 부수적 소견이 1 0예에서 있였다

409 -

Page 4: 體推間板脫出tJE에 서의 電算化斷層擺影術* · 2017-01-19 · Herniated nucleus pulposus with free fragment, L4-L5; There is irregular hig h density mass in left epidural

Fig.6. Lateral herniated nueleus pulposus with vacuum phenomenon, L34 ; Left laterally protruded disc (arrowheads) with central air density is noted . Operation proved it laterally herniated nucleus pulposus.

Fig. 7. Ligament flavum thickening with calcified herniated nucleus pulposus, L4.5; Ligament f1avum is thickened upto 5mm with right calci. fied protruded herniated nucleus pulposus .

43예의 척추C-T와 39예의 척추조영술의 결 과는 Ta­

ble rr . m 와 같다. 이좋 척추 C.T상 추간판팽융으로

진단하고, 수술로 원판탈출로 판병원 예 를 가음성으로

하였는데 1예에서 있였다 (Fig-8). 가양성 ( fals e post i­

ve) 의 2예는 한 환자의 L5 5 ,. L'- 5 에서 나왔는데,

- 410

Table 11. Diagnostic accuracy and frrors 0 1" spine CT

L4-L5

L5-S1

Total

TP

18

16

*38

TN

2

FP

2

n=43

FN

1

0

TP: True positive , TN: True negative , FP: False positive,

FN: False negative

* Other levels are included

Table IlI. Diagnostic accuracy and errors of myelography

n=39

TP TN FP FN

L4.L5 16 0 2

L5.S1 13 2

Total *32 2 3 2

TP: True positive , TN: True negative , FP: False positive,

FN: False negative

* Other levels are included

Fig.8. False negative, L4-5; There is poor distinction bct \Veen posterior d isc margin and dura l sac with non-visualizat io n 0 1' epidural fat in ventral aspcct. T his was preo pcrat ively interpreted as dit‘fuse bulging disc but at o pcration, it turned out to bc actual disc hcrniation in left side.

Page 5: 體推間板脫出tJE에 서의 電算化斷層擺影術* · 2017-01-19 · Herniated nucleus pulposus with free fragment, L4-L5; There is irregular hig h density mass in left epidural

Fig.9. False positive. L4-5; La teral protrusion of disc into left side beyond vertebral ou t1ine is ap­parent. which is pre-operatively diagnosed as lateral disc herruation. But at operation it proved normal. This false positive finding is probably caused by scoliosis

Table IV. Diagnostic accuracy of CT vs myelography

CT (%) Myelography (%)

Sensitivity 95 91

L4-L5 95 89

L5-S1 94 93

Specificity 67 50

L4-L5 50 0

L5-S1 100 60

Accuracy 93 87

L4-L5 91 84

L5-S1 95 88

FN) 는 각각 67%와 50%. 정확도 CTP+TNjTP+FP

+TN+FN) 는 각각 93%와 87%로 척 추 C.T의 진단

성이 더 우수하였다.

N. 考 按

요추간판탈출증의 진단방법으로, 척 수조영술이 主流를

이루어 왔으나 최근 고분해능 C-T 의 개발로 척추의 연

부조직과 척추간판의 정확한 이미지화가 가능해졌고, 점

차 요추간판탈출증에서의 C-T활용이 활발해지고 있£

며, 일차적인 검사방볍으로 정착되어 가고 있다 1 , 2 ,3)

특히 C-T는 척추간판칠환과 잘 동반할 수 있는 척추

강 및 척추간공협 착(5pinal stenosis. f,αaminal stenosis)

을 동시에 볼 수 있다는데도 의의가 있S며, 척수조영술

상 진단이 어려운 측면탈출증(lateral disc )(Fig - 6 ) 을

쉽게 진단할 수 있고. 9) 또한 척수천자를 않고 시행

하는 단순 C.T로도 척추간판탈출의 진단이 가능하므로

척수천자플 시행하는 척수조영울에 비해 위험도 적다 1 , 2, 3)

추간판탈출증의 C-T소견으로 경막외의 지방손실, 경

막낭의 변형 , 지방조직안의 추간판조직체, 신경근의 이

상( defect) 등이 보고되고 있다 ζ3) 저자들의 예에서

C-T소견상 경막외의 지방의 비대칭적 소실과 국소돌출

이 82%와 64%에서 각각 보였는데 (Fig-l. Table-I )

100%의 소견을 보인 문헌 2) 보다 낮았다. 이는 환자의

체질에 따라 경막외 지방이 적어 감지가 안되었던 예와

미만성 추각판팽융의 경우 경막외 지방소설이 대칭적이어

서, 실질적으로 지 방소실의 유무판단을 내렬 수 없는 것

은 포항시키지 않았기 때문으후 생각된다. 특히 추간판

팽융(Bulging disc) 의 C-T소견은 미만성 원판의 척추체

외로의 팽 융과 정막외의 지방결손이 대칭적인 것이 C-T

소견이며 9) C-T로 그 진단은 매우 정확한 것으로 보고

L5 -5. 에서 추간판이 경막외의 지방경손과 경막냥(dmal 되고 있다 9, 10) 이번 즘례에서 6례의 추간판팽융만을

sac) 의 변현을 초래하고, L‘ -5 에선 좌측 추간판돌출 진단하여 5예에서 추간판팽융만 나오고 (Fig -4) 1예에

소견과 경막외의 지방경손 및 추간판의 진공현상으로원 서 추간판탈출이 동반되어 있었다 (Fig -8) . 그러나 추

판 탈출로 수술전 진단을 하였으나 정 상으호판명되었다 간판탈출의 8예에서 팽융은 어느정도 동반되는것 같았

(Fig-9). 다. 저자들의 증례에서 추간판팽융의 척추 C-T진단은 그

진음성 (true negat ive )인 예는 L'_5. L 5 -5. 에서 정확도 (92%) 가 높다 하겠다.

각각 1예씩 있었다 C-T상 정상이였고 척수조영숭상 추간판탈출의 경우 팽융성 탈출(protraded herniation)

신경근의 절단 현상 및 경 막냥의 변현을 보여 수숭하였 과 돌출성 탈출(extruded herniation) 의 C-T감별 이 어

으나 정상 추간판으로 판영되었다 려운 것으호 보고되고 있으며 3,4) 저자들의 증례에서도

이들의 Ðata 를 이용한 민감도 특이도 및 정확도는 수술기록이 불완전하여 정확한 판단이 어 려워 , 이들의

Table- N와 같다. 척추C-T 와 척수초영술의 민감도 (TP C-T소견의 차이 점의 분석이 불가능하였다 4)

/TP+FP) 는 각각 95%.91%. 특이도 CTN j TN + 신결근의 변위 (displacement) 나, 압박(compression)

- 411-

Page 6: 體推間板脫出tJE에 서의 電算化斷層擺影術* · 2017-01-19 · Herniated nucleus pulposus with free fragment, L4-L5; There is irregular hig h density mass in left epidural

은 약 6%에서 보고되나 2) 저자들의 예에서 신경근의 소 진음성 (true nega tive) 으로 밝혀진 예는 척수조영숭

실 (Fig-2) 이냐 metrizamide 의 신경근 非造影 (Fig-3) 에서 Pantopague 의 點性 (Viscosity) 으로 인해 신경근

등 신경근의 異常소견을 보인예는 21 예로 54%냐 보였 이 마치 절단 (Cut -of f) 된 것처 럼 보여 수숭하였으냐 추

다. 추간판석회화는 10예(31%)(Fig-5). 추간판 진공 간판은 정상이었다. 이와같이 책수조영숭은 기숭상의 문

현상은 4예(l0%)(Fig-4.6)에서 보였는데 추간판 제로 오류를 범힐 수 있으냐 척추 C.T의 경운테크닉에

의 석회화냐 진공현상은 C.T 이후 그 발견 빈도가 높아 좌우되지 않는 점이 장점이 되겠다

지고 있다 3, 11, 12)

소위 free fragment 의 예는 2예에서 (Fig-2) 있었

으나 이들의 수술전 진단은 못하였는데 이 들이 탈출된

추간판과 연속성을 유지하였기 때문이었다.

황색인대 ( igament f Iavum )의 비대 및 소연관절 (fa­

cet joint)의 비대와 척추공 협착등의 부소견이 7예에

서 있었으며 3예에서 (Fig -7) 추간판제거술 및 근원적

신 경 궁 제 거 술( ext ended radical laminectomy) 을 시 행

하였다. 한 문헌에 의하연 임상적으로 추간판탈출로 진

단된 56%가 추간판 탈출이 없이 측강 (Iateral recess)

나 척추강 협 착 (stenosis) 이라는 보고가 있다 13) 척추

C-T로써 수술전이 부위의 검사가 척추조영술보다 쉽고

정확하여 수술의 범위 및 계획을 세우는 데 큰 지표가

되 여 수술후에 생 기 는 f ai1ed back syndrome 의 감소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3, 13)

기존 문헌상 척추 C-T 의 정확도는 92%. 척추조영숭

은 89-90% 로 C.T가 보다 우수하다고 보고 되 고 있

고, 특히 L 5 -S , level 에서는 경막외 지방조직이 풍

부하여 추간판 탈출이 있어도 척 수조영술에서 가음성으

로 나타나는 경우에서도 C-T가 탐지하는 빈도가 높은

것으로 보고 되어 있다 ζ 옥… . 저자들의 예에서 C-T와

그러나 C.T는 비만성(fatty) 환자의 과다한 지 방조직

이 나 근육조직에 서 생 기는, 소위 말하는 l!oise냐, 과거

사용한 pantopague. 수술시 넣 은 금속 (예 를 들어 meta­

lic clip)에 의해 생기는 noise에 의해 이미지의 신빙도

가 떨어질 수 있으며 비록 경미한 환자의 위치변화에 의

해 주사부위 ( scan level) 가 틀려 져 , 추간판 탈출을

놓치거나 한정된 주사의 추간판의 숫자로 인해 L 2 - L3

나 그 이상의 추간판 탈출을 놓치는 수가 있£며 ,또 C .T

scanning 의 기술상의 인자 즉 KVp냐 mAS에 의해 이

미지의 신벙도가 떨어질 수 있는 점 이 단점 이 되겠다 3)

그러나 척추 C-T-는 비 침윤성인 방법이며 또한 기존의

방사선학적 방법으후 볼 수 없는 연부조직을 볼 수 있으

며 정확한 척추공협착과 척추간공협착의 평가가 우수하

므로 추간판탈출의 I차적 검사로 시행하고, 척추 C.T

소견이 애매할 때 척추조영술을 시행하는 것이 권장되고

있다 1-9)

v. 結 論

1 982년 3월 29일부터 1984년 3월 7일까지 척추 C.T 를

시행하고 수술로 확진된 43례의 추간판을 대 상으로C.T

척수조영숭의 민감도는 각각 95%와 91%. 특이도는 각 소견을 분석하고 C.T 및 척수조영술의 진단의 정확성

각 67%와 50%. 정 확도는 각각 93%와 87%로 외 국

문헌과 비슷한 통계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 나 L5

-S , 의 경우 척수조영술의 민감도가 93 %로 상당히 높

은 수치를 보이는데 이것은 수술자가 아직도척수조영울

에 의존하여 수숭하는 경우가 높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

된다.

저자들의 증례중 가양성으로 나타난 2예는 (Fig -9 )

요추의 측만증이 심한 환자였는데, 이런 척추의 측만변

형 (sco liosis )으로 인하여 추간판이 마치 척추체외로

돌출한 것처럼 C.T 이미지가 나타날 수 있S므로 판독

에 주의를 요한다 3) 가응성으로 나타난 1예의 경우

(Fig -8). 경막외 지방이 적어 좌측 추간판 탈출을 발

견 할 수 없었는데 이와같이 CT상 추간판 탈출의 증거

가 충분치 알지만 임상적으로 의성 이 되면 척수조영술

을 시행하는 것이 도움이 되겠다 3 )

을 평 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 추간판탈출증의 C.T소견은 비 대 칭 성 경 막외 지방

의 소실 (82%). 정막낭의 변형 (72%). 추간판핵의 국

소돌출 (64%). 신경근의 이상 (54%). 미만성 추간판

팽융 (33%). 추간판의 석회화 (26%) . 추간판의 진공

현상 (10%). 척추체부위의 추간판 (3 1%). 기타 척추

강협 착, 척추간공협착, 황색인대의 비후, 소연관절의 비

대등 부수소견 ( 26%)이 있었다.

2. 척추 C.T와 척 수조영숭의 민감도는 각각 95 %. 91%. 특이도는 각각 67%. 50% 그리고 정확도는 93

%. 87%로 척 추 C .1가 진단상의 발견율이 나 전반적 정

확도 그리 고 특이도가 척 수조영 술보다 높았다.

3. 따라서 요추추간판탈출증의 진단을 위해서는 척추

C.T를 일차적검사로 시행하고, 보다 외상성인 척추조

영술은 보조적방법으로 시행하는 것이 권장된다.

- 412-

Page 7: 體推間板脫出tJE에 서의 電算化斷層擺影術* · 2017-01-19 · Herniated nucleus pulposus with free fragment, L4-L5; There is irregular hig h density mass in left epidural

Neuroradio logical evaluation of lateral recess syn­

REFERENCES drome. Radiology 740:97- 70 7, July 7987

9. Williams AL , Haughton VM , Meyer GA, Ho KC

1. Haughton VM, Syvertsen A , Williams AL Soft- Computed tomographic appearance of the bulging

tissue anatomy within spinal canal as seen on compu- annulus. Radiology 142:403-408, February 1982

ted tomography. Radiology 734:649-655, Mar. 10. Kieffer SA, Sherry RG , Wellenstein DE , King RB:

7980 Bulging lumbar intervertebral disc: Myelographic

2. William AL, Haughton VM , Syvertsen A : Computed differentiation from herniated disc with nerve root

tomography in diagnosis of h erniat ed nuc/eus compression. AJ R 738: 709-776, April 7982

pulposus. Radiology 735:95-9κ April 7980 11. Haughton VM, Villiam A L : Computed tomography

3. Teplick ) H, Hask in M E : CT of lumbar spine. RCNA of the spine. The C. V. Mosby Company, 7982

Vol. 27, No. 2, June 7983 12. Orrison WW, Li lleas FG CT demonstration of

4. Ullrich CG, Binet EF , Saneckle MG Quantitative gas in herniated nucleus pulposus. JCA T 6(4):807-

assessment of the lumber spinal canal by computed 808, August 7982

tomography. Radiology 734:737-743, January 7980 13. Teplick JG, Hask in ME Computed tomography

5. Sheldon J), Sersland T , Leborgne ) Computed of the post-operative lumbar spíne. AJNR 4:7053-

tomography of the lower vertebral column. Radiolo- 70 72, Sep. Oct. 7983

gy 724:773-778, July 7977 14. Haketius A, Hindmarsh ) The siψnificance of

7. Carrera GF , Haughton VM , Syverton A , Williams neurrologícal signs and myelographic findíngs in

A L Computed tomography of the lumbar facet the diagnosis of lumbar root compression. A cta

joints. Radiology 734: 745-748, January 7980 Orthop. Scandinav. 43:239-246, 7972

8. Mihkael MA, Ciric 1, Tarkington JA, Vick NA

- 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