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마들렌 소피 바라의 영성과 살아있는 성심교육 전통 127 마들렌 소피 바라의 영성과 살아있는 성심교육 전통 최 혜 영 가톨릭대학교, 신약성서신학 1. 들어가는 말 2. 성심수녀회 창설과 교육 정신 3. 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새로운 적용 4. 한국 사회와 성심교육 5. 나가는 말 1. 들어가는 말 성심수녀회가 한국에 진출하여 성심교육을 펼치기 시작한 지 오십 여 년의 세월이 흘렀다. 여성 교육을 위해 성심수녀회가 한국에 들어오면 좋겠다는 여러 차례의 요청에 도 불구하고 그 뜻을 이루지 못하다가, 1956년 서울대목구장 노기남 주교의 정식 요청 으로 한국에 첫 발을 내딛게 된 것이다. 1) 1) 1908년 조선대목구 뮈텔 주교의 요청이 있은 이래, 1911, 1923, 1953년 초청의 기회가 있었다. 한국 진출의 배경에 대하여, 성심수녀회 한국관구 편,『엠마오의 길: 한국성심수녀회 50년사 (1956-2006), (서울: 성심수녀회, 2006), 22-31. 특집: 종교영성과 교육 논문

마들렌 소피 바라의 영성과 살아있는 성심교육 전통theoinst.sogang.ac.kr/theoinst/file/2014-24-06 최혜영... · 2018-02-06 · 24) 1804년 교육계획서는 1806년,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마들렌 소피 바라의 영성과 살아있는 성심교육 전통theoinst.sogang.ac.kr/theoinst/file/2014-24-06 최혜영... · 2018-02-06 · 24) 1804년 교육계획서는 1806년,

마들렌 소피 바라의 영성과 살아있는 성심교육 전통 127

마들렌 소피 바라의 영성과 살아있는 성심교육 전통

최 혜 영

가톨릭대학교, 신약성서신학

1. 들어가는 말

2. 성심수녀회 창설과 교육 정신

3.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새로운 적용

4. 한국 사회와 성심교육

5. 나가는 말

1. 들어가는 말

성심수녀회가 한국에 진출하여 성심교육을 펼치기 시작한 지 오십 여 년의 세월이

흘렀다. 여성 교육을 위해 성심수녀회가 한국에 들어오면 좋겠다는 여러 차례의 요청에

도 불구하고 그 뜻을 이루지 못하다가, 1956년 서울 목구장 노기남 주교의 정식 요청

으로 한국에 첫 발을 내딛게 된 것이다.1)

1) 1908년 조선 목구 뮈텔 주교의 요청이 있은 이래, 1911년, 1923년, 1953년 초청의 기회가 있었다. 한국 진출의 배경에 하여, 성심수녀회 한국관구 편,『엠마오의 길: 한국성심수녀회 50년사

(1956-2006)』, (서울: 성심수녀회, 2006), 22-31.

특집: 종교영성과 교육 논문

Page 2: 마들렌 소피 바라의 영성과 살아있는 성심교육 전통theoinst.sogang.ac.kr/theoinst/file/2014-24-06 최혜영... · 2018-02-06 · 24) 1804년 교육계획서는 1806년,

128 신학과 철학 제24호

프랑스 혁명의 여파로 불신과 반종교적인 성향이 지배적이었던 1800년 프랑스

파리에서 “예수 성심의 영광을 드러내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성심수녀회는, “예수님

의 사랑을 발견하고 알리는 것”을 그 사명으로, 교육, 특히 “젊은이들에 한 교육”을

제4서원으로 봉헌하는 국제 교육 수도회이다. 본 논문은 한국 사회 안에서 성심학교를 비롯한 성심교육이 어떻게 성장 발전하여

왔는지 살펴봄으로써, 한국이라는 고유한 토양에서 가톨릭 교육으로서 성심교육이 지니

는 의의는 무엇인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성심수녀회는 설립 초창기부터 창설자 성녀 마

들렌 소피 바라의 영성과 교육 철학에 바탕을 두고 뚜렷한 교육 이념과 목적, 방법 등

을 모색하며 가톨릭 학교로서의 정체성을 중요하게 생각해 왔기 때문이다. 논문의 순서로는 우선 성심수녀회 창설 배경 및 창설자 성녀 마들렌 소피 바라의 영

성과 교육의 면모를 살펴보고(2장), 다음으로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성심교육이 어

떻게 새롭게 적응되어 왔는지 고등교육을 중심으로 살펴본 뒤(3장), 한국 사회에서 펼

쳐진 성심교육 활동과 그 의의를 살펴보겠다(4장).

2. 성심수녀회 창설과 교육 정신

2.1. 창설을 위한 첫 영감

19세기 유럽 사회에서는 ‘예수 성심과 마리아 성심’에 한 신심이 널리 확산되어, 많

은 수도회들이 ‘성심’이라는 이름으로 창설되었다.2) 따라서 ‘예수성심수녀회(Religieuses du Sacré-Coeur de Jésus)’3)라는 정식 명칭을 가지고 태어난 이 수녀회는 당시 프랑스

의 가톨릭 영성을 표하는 보편적인 이름을 가진 수도회 중 하나라고 하겠다. 프랑스 혁명의 여파로 반성직주의, 반교회적 분위기에서 ‘예수 성심’은 그리스도에

한 신앙을 상징하며 증거 한다고 할 수 있겠는데, 성심수녀회 창립에 한 영감도 어

떤 개인이 아니라 몇 사람의 비전이 모여 서서히 꽃을 피게 된다.

2) 교회사적으로 성심 신심이 중적으로 가장 꽃피우게 되었던 것은 17, 18세기 프랑스 영성에서이며, 성심께 봉헌하는 수도단체들이 1650년과 1668년 사이에 많이 창립되어, 이 신심의 내적 발전도 많

이 이루어지게 된다. 요한 에우데스(Jean Eudes, 1601-1680) 신부가 예수 성심과 성모 성심에 한

신심을 꾸준히 증진시켰고, 1648년 Autum 성당에서 예수성모성심 축일미사가 거행되었다. 3) 따라서 예수성심수녀회 수녀를 RSCJ라고 약칭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성심수녀회’로 칭한다.

Page 3: 마들렌 소피 바라의 영성과 살아있는 성심교육 전통theoinst.sogang.ac.kr/theoinst/file/2014-24-06 최혜영... · 2018-02-06 · 24) 1804년 교육계획서는 1806년,

마들렌 소피 바라의 영성과 살아있는 성심교육 전통 129

첫 번째 영감은 레오노르 드 투르넬리(Léonor de Tournély, 1767-1797)에게서 온다. 파리 생 쉴피스 신학교 사제였던 그는 1794년 예수회를 모델로 창설된 ‘성심사제회

(Pères du Sacré-Coeur)’에 입회하여, 장차 예수 성심을 섬기는 수녀회를 창설해서 젊

은 여성들을 교육시킬 영감을 받게 된다(1795년). 이는 “성 이냐시오의 회헌으로 수녀

회를 창설하되 여성에 맞게 회헌을 적용하여, 봉쇄생활을 하면서 교육과 환자 치료를

담당하도록 하는”4) 것이었고, 수도생활의 틀을 유지하면서도 다양한 방법의 사도적 투

신이 가능한 수도생활 형태를 바랐다.5)

비슷한 시기에 마들렌 소피 바라(Madeleine Sophie Barat, 1779-1865)는 오빠 루이

바라(Louis Barat, 1768-1845)의 지도를 받으며 장차 수도생활을 하기 위해 파리에 와

있었는데, 이때 ‘작은 수녀회’에 한 첫 영감을 품게 된다. “성체께 한 사랑으로 상

처받은 예수 그리스도의 성심을 밤낮으로 조배하는 작은 공동체를 젊은 여성들과 더불

어 이루는 것입니다... 교 로 성체 앞에 나아가 조배를 계속할 수 있는 수녀가 스물네

명이 된다면, 너무나도 숭고한 이 목표를 어느 정도 이룰 수 있으리라 보고 있습니다...”6) 투르넬리 신부와 마들렌 소피 각각의 영감이 서로 만나게 된 것은 조셉 바랭(Joseph Varin, 1769-1850) 신부를 통해서였다. 그는 1797년 투르넬리 신부의 후임으로 ‘성심사

제회’원장이 되어 전임자가 맡은 계획을 실천하게 되는데,7) 1800년 여름 신덕회 분원

과 여성 수도회를 설립하도록 프랑스에 파견된다. 그는 루이 바라를 통해 마들렌 소피

를 만나게 되고 그 해 11월 21일 소피와 다른 세 명의 여성들8)은 ‘예수의 사랑받는

자매회(Dilette di Gésù)’에서 수도 서원을 발하게 된다.9)

4) 마리 프랑스 카렐,『성녀 소피 바라의 성심교육전망: 현 에 적용하기 위하여』, 김효성 옮김, (서울: 성심수녀회), 2007, 27.

5) 카렐,『성녀 소피 바라의 성심교육전망: 현 에 적용하기 위하여』, 28. 6) 여기서 24명이라는 숫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많은 흠숭자가 나오기를 바란다는 표현이다. 카렐,

『성녀 소피 바라의 성심교육전망: 현 에 적용하기 위하여』, 32; 성심수녀회,「수녀님의 추억」, 제1권, 422, 재인용: 마리-떼레즈 비르노(Virnot, Marie-Thérèse RSCJ),『성녀 마들렌 소피이의 은사: 성

심수녀회 창립자』, 최순자 옮김, 서울: 성심수녀회, 1984, 45. 7) ‘성심사제회’는 1799년 ‘신덕회(Pères de la Foi)’에 속하게 되고, 신덕회는 후에 예수회[프랑스에서

1773년 해체되었다가 1814년 복귀]에 소속된다. 그러나 1828년 6월 법령으로 예수회 학교와 신학교

가 다시 폐쇄된다. 8) 옥타비 바이이, 마리 프랑수아즈 로케, 마르그리트 등. 9) 당시 프랑스에서는 수녀들이 수도복을 입거나 공공연하게 서원을 하며 봉쇄생활을 할 수 없었는데, ‘예수의

사랑받는 자매회’는 1799년 6월 로마에서 시작한 수녀회였다(『엠마오의 길』, 15).

Page 4: 마들렌 소피 바라의 영성과 살아있는 성심교육 전통theoinst.sogang.ac.kr/theoinst/file/2014-24-06 최혜영... · 2018-02-06 · 24) 1804년 교육계획서는 1806년,

130 신학과 철학 제24호

투르넬리 신부의 계획과 소피 바라의 계획에 공통점이 있다면 바로 ‘그리스도의 성

심’이라는 상징이며, 부활하신 예수 그리스도의 열린 성심에서 솟아나는 ‘새로운’ 생명

이 모든 순간에 깃들어 있다는 것을 전하는 것으로, 그 방법은 지도 계층의 젊은 여성

들을 교육함으로써 그리스도교 가치관으로 사회에 변혁을 가져오는 것이었다.10) 이처럼

두 사람의 비전이 또 한 사람 바랭 신부를 통하여 이루어져 갔으니, 한 수도회의 창설

은 가히 “개인의 부르심과 교회의 계획이 서로 만나는”11) 공동체적 일이라고 하겠다.

2.2. 창설자의 영성

프랑스 혁명으로 혼란했던 사회 분위기에서 “예수 성심에 한 사랑”과 “교육에

한 열정”으로 태어난 이 여성 공동체는 1801년 아미앵(Amiens)에서 첫 공동체를 열고

기숙학교와 통학학교(가난한 어린이에게 무상으로 교육하는 학교)를 동시에 시작한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예수의 사랑받는 자매회’로마 공동체와 결별하여,12) 이 곳

프랑스 공동체는 ‘그리스도교 교육 수녀회(Des Dames de l'Instruction Chrétienne)’라는

이름으로 독자적 승인을 받게 된다.13) 그 후 1815년 왕정이 복고되면서 ‘성심’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회헌을 쓰게 되었으며, 1826년 교황청 인가를 받아 ‘성심수녀회’라는 이름의 교황청 직속 수녀회가 되었고, 1827년 프랑스 국가의 승인을 받아 합법화되었다. 1806년 총회에서 마들렌 소피는 종신직 총원장에 선출된다. 창설자가 된 마들렌 소피

의 영성에는 가족에게서 받은 신앙의 유산이나 교육, 환경의 영향이 반영되어 있는가 하면,

18ㆍ19세기 프랑스 혁명 전후 프랑스 사회의 영성도 함께 찾아볼 수 있다. 그러면, 마들렌

소피에게 영향을 준 당 영성의 특징과 마들렌 소피 영성의 특징을 간략히 살펴보겠다.

10) 카렐,『성녀 소피 바라의 성심교육전망: 현 에 적용하기 위하여』, 33-34.11) Ibid., 34.12) ‘예수의 사랑받는 자매회’에 하여, 잔 드 샤리,『회헌의 역사: 성심수녀회 초기 형성사』, 최순자

옮김, (서울: 성심수녀회, 2002), 제3,4장을 보라.13) 정부가 수도생활 자체에 부정적이었던 당시 상황에서 ‘성심(Sacré-Coeur)’이라는 말을 쓰기가 어려웠

다. 또한 1804년 6월 22일에 공포된 ‘메시도르 포고령’에 의하면 황제의 칙령에 의한 공식 승인 없

이 여성 수도회나 단체의 구성은 불법이었다(『엠마오의 길』, 16 참조).

Page 5: 마들렌 소피 바라의 영성과 살아있는 성심교육 전통theoinst.sogang.ac.kr/theoinst/file/2014-24-06 최혜영... · 2018-02-06 · 24) 1804년 교육계획서는 1806년,

마들렌 소피 바라의 영성과 살아있는 성심교육 전통 131

2.2.1. 19세기 프랑스 가톨릭의 영향

19세기 초 유럽의 영적, 사회적 유산의 토 가 된 영성으로 얀센주의, 예수 성심에

한 신심, 프랑스 영성학파(l'École Française) 등을 들 수 있겠는데, 마들렌 소피가 간

직한 ‘상처 입은 예수 성심’에 한 신심과 ‘성체성사’를 통한 흠숭과 보상의 정신에는

당시 가톨릭교회의 분위기가 잘 나타나 있다. 동네에 큰 불이 나서 팔삭동이로 태어난 마들렌 소피는 프랑스 혁명의 폭력과 혼란

속에서 젊은 시절 늘 불안과 두려움이 있었고, 또 강한 얀센주의14)의 영향으로 열등감

과 죄의식에 시달려야 했다. 소피의 고향이며 어린 시절을 보낸 욘 강 지역 주와니는

얀센주의의 영향이 강했던 곳이었고, 열 살 위인 오빠 루이는 얀센주의적 신심을 가졌

던 사람으로 소피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그는 신체적으로 허약했던 어린 소피에게 철

저한 고행과 극기, 완벽주의를 추구하는 등 엄격하게 많은 것을 강요하는 동시에 무서

운 하느님 상을 주입하였다.15)

그러나, 마들렌 소피는 파리에서 만난 조셉 바랭 신부를 통해 얀센주의의 영향에서

어느 정도 벗어나 부드럽게 수정되고 위로를 받았는데, 드 투르넬리 신부와 바랭 신부

가 교육 받은 성 쉴피스 신학교는 프랑스 영성학파의 영향권 아래 있었다. 소피는 성

쉴피스의 ‘그리스도의 마음과 성체와의 긴 한 관계’에 하여 깊은 감동을 받았다.16)

1824년 샹베리(Chambéry) 교구 사제인 파브르(Joseph Marie Favre, 1791-1838)를

영적 지도자로 만나면서 새로운 영적 여정을 걸을 수 있게 된다. 파브르 신부는 소피에

게 부드럽고 온화한 하느님 상을 갖게 하고, 하느님의 사랑에 신뢰하도록 안심을 시킨

다.17) 예수 성심의 영성 로 “어린이와 같이 순결하고 단순하라.”고 가르치며 “예수 성

14) 얀센주의는 트리엔트 공의회(1545-1563) 이후 나온 것으로, 예정신학에 뿌리를 두었으며 인간 본성

이 약하고 죄스럽다고 보았다(김희중, “얀센주의”,『한국가톨릭 사전』, 8권, (한국교회사연구소, 2001), 5921-5925).

15) 당시 프랑스에서는 고해성사를 하여도 즉시 사죄를 받지 못하므로 영성체하기가 어려웠다.16) 김효성,『성녀 마들렌 소피이 영성과 ‘예수의 마음’』, 마들렌 소피이 영성 5, (성심수녀회, 1999), 98.17) 소피는 외적으로는 많은 사도직을 수행하면서 놀랄 만한 양의 일을 할 수 있었지만, 내면적으로는

많은 불안과 고통에 시달렸다. 소피가 1833년 총원장직을 그만 두려고 했을 때 파브르 신부는 총원

장직을 수행하는 것이 하느님의 뜻이라고 말하면서, 불신과 두려움이 용기를 잃고 약하게 하고 좌절

시키는 것이라고 경고한다. 그는 “1) 기도와 삶의 균형을 유지하라. 2) 가능하면 일을 다른 사람에게

맡겨라. 3) 보속에 하여 생각하지 말라. 너무 심한 고행을 못하도록 하고, 편식하지 말고 잘 먹고

충분히 자도록” 충고한다. 완벽함을 버리고 자유롭게 살도록 가르쳐 준 파브르 신부의 충고로 총원

장직을 계속 수행하게 된다(필 킬로이,「성녀 마들렌 소피의 영성과 교육」한국방문 강의록, 2006).

Page 6: 마들렌 소피 바라의 영성과 살아있는 성심교육 전통theoinst.sogang.ac.kr/theoinst/file/2014-24-06 최혜영... · 2018-02-06 · 24) 1804년 교육계획서는 1806년,

132 신학과 철학 제24호

심 안에 한 마음 한 뜻(Cor unum et anima una in cor de Jesus)”을 모토로 제시했

다.18) 이 영성은 18세기 투르넬리에게도 영향을 미쳤던 바, 따뜻함과 부드러움이 풍부

하며 하느님의 사랑을 깊이 이해하고, 예수 성심에 한 깊은 신심을 다른 사람과 나누

도록 하였다. 이는 로마에서 생겨난 영성으로 소피가 프랑스 이외의 다른 세계와 접하

게 된 계기를 주었으며 성심수녀회가 새로운 세계에 마음을 열고 국제적 시각을 갖는

데에도 도움을 주었으며, 로마와 교황청, 선교적 열성에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런 영성적 배경 안에서 소피 바라는 수녀회 최고 책임자로서 긴 생애를 통해 내적

변혁의 과정을 지나며 성심수녀회 영성의 주요 특성들을 만들어냈다. 마들렌 소피 영성

의 핵심적인 특징들이 그의 편지글에 잘 나타난다.19)

2.2.2. 예수 성심의 사랑을 드러냄

마들렌 소피 바라를 통해 드러난 성심수녀회 은사는 ‘예수 성심의 영광을 드러내는

것’, 다시 말해 예수님의 사랑을 드러내는 것이었다. 성심수녀들은 사람들이 그 사랑을

알고 살도록 도와주는 것을 사명으로 생각하였다. 소피는 십자가상에서 상처 입은 예수 성심을 지속적으로 묵상하고 관상하는 가운데, 골고타의 그리스도를 따르고 그곳에 항구하게 머무는 데 투신했다. 예수성심은 마음, 동굴, 사랑의 불, 난로, 샘, 우물, 우리(양떼) 등의 이미지로 표현되었는데, 예수를 따르

는 이들은 예수 성심 안에 머물고 그 사랑을 세상에 전파하고자 하였다.20) “소피에게 골고타는 점진적인 공간, 종종 고통스러운, 변모의 장소였으며, 부활과 부활

절의 세계에 들어가기 위한 조건이었다. 다른 길은 없었고 둘러가는 것도 불가능하다. 십자가의 강조는 얀센주의의 그림자가 아니라 그 신학과 많이 갈등해야 했던 점이다. ‘자신

을 내어주는 사랑(self giving Love)이야말로 세상을 변화시키는 힘’이라는 것이 그녀가

의식하고 깨달은 것, 곧 그녀의 확신이었다. 골고타 위에서 창에 찔린 예수 성심은 바로

그 힘이 일어나는 장소이다.”21)

18) 필 킬로이,「성녀 마들렌 소피의 영성과 교육」, 한국방문 강의록, 2006년 참조.19) 소피가 쓴 14,000여 통의 편지가 오늘날 벨기에 브뤼셀의 소피 바라 센터와 로마에 있는 성심수녀

회 모원 고문서자료실에 보관되어 있다.20) 2008년 세계 총회를 준비하기 위해 2006년 우간다에서 열린 관구장 회의에서 성심수녀회의 영성을

주제로 선택하면서 부제로 “성심수녀회의 영성: 모닥불, 촛불, 우물, 식탁 주위의 화”라는 이미지

를 사용한다.

Page 7: 마들렌 소피 바라의 영성과 살아있는 성심교육 전통theoinst.sogang.ac.kr/theoinst/file/2014-24-06 최혜영... · 2018-02-06 · 24) 1804년 교육계획서는 1806년,

마들렌 소피 바라의 영성과 살아있는 성심교육 전통 133

마들렌 소피가 애정을 담아 예수를 가리키는 데 가장 많이 사용한 단어는 ‘예수의

마음’이었는데, 예수의 ‘내면성’을 나타내는 ‘예수 사랑의 거처’, ‘사랑의 기관’이었다. 예수의 인간적 심장은 그 자체로 그의 인격을 찬미하는 것이며, 그것은 그리스도의 신

성과 인성이 결합되는 신비를 나타낸다.22) 인간의 심장으로 상징된 예수의 사랑이 ‘하느님이신 예수의 사랑’, ‘하느님과 사람에 한 인간 예수의 사랑’, 그리고 ‘인간 예수의

애정의 정서적 통합’을 뜻하였다. 소피에게는 예수의 마음이야말로 모든 것이 종착되는

‘중심이자 목적’이며, 따라서 예수의 마음 이외의 다른 모든 것은 이차적인 것이었다.

2.2.3. 성체 신심

19세기 영성 생활의 중심은 ‘예수 그리스도’로서, 사람들은 그리스도를 모방하고, 그

리스도를 따르고, 그리스도와 하나가 되고, 그리스도처럼, 그리스도와 함께 살고자 하는

열망이 컸다. 이러한 영성의 열기를 유지하고 발전 심화시키기 위해서 여러 신심들이

제시되었는데, 수도회와 신심 단체에서는 개인의 성체 조배와 지속적인 성체 조배 운동

이 성행하였다. 성체 조배는 19세기 관상생활을 가장 일반적이고 깊이 있게 표현한 형

태로서, 19세기에 생긴 수도회들은 지속적인 성체 조배, 공동체나 개인의 장시간 성체

조배, 성체 신심 행위 등 성체에 한 특별한 공경을 고백한다. 성심에 한 신심은 그

리스도의 수난을 성체 신심에 결부시키는 관계가 강조된다. 성체성사는 ‘옆구리를 창에 찔리신 예수 성심의 신비에 참여하도록’ 우리를 이끌며, 우리 형제자매들의 고통과 희망 한 가운데서 예수님의 죽음과 부활을 기념하고 실현하

게 한다. 성체성사를 살아계시는 그리스도께 한 흠숭으로 여겼는데, 성체성사는 그리

스도의 고통과 죽음과 창에 찔림, 영광과 변모의 순간을 영원하게 만드는 것이다. “소피에게는 팔을 벌리신 그리스도 가슴의 공간이 우리의 소명, 곧 관상과 활동의

깊은 연관을 통찰하게 해 주며, 그리스도의 성심은 우리 삶의 두 측면을 관상하도록 균

형점이 되어 준다. 여기에서 온전히 관상적이고, 온전히 세상에 개방된 내적 균형이 자

리하게 된다. 이 성심의 공간은 하느님 사랑으로 변모하도록 이끄는 터전이다. 내적 균

21) Phil Kilroy, “The Spirituality of Sophie Barat”, 2008년 강의록.22) 19세기에 성심께 봉헌되는 많은 수도단체들이 설립되고 성심 신앙 실천 운동이 일어났다. 이는 예수

의 육체적 심장이 신앙 실천의 물리적인 상이며, 예수의 사랑이 신앙 실천의 공적 상이다. 신체

적 심장이 사랑의 상징으로 경배되었음을 보여준다.

Page 8: 마들렌 소피 바라의 영성과 살아있는 성심교육 전통theoinst.sogang.ac.kr/theoinst/file/2014-24-06 최혜영... · 2018-02-06 · 24) 1804년 교육계획서는 1806년,

134 신학과 철학 제24호

형과 내적 평정을 확인하도록 회복하는 장소이다. 우리 삶의 한 복판에서 또 존재의 핵

심에서 우리는 이 사랑을 예수성심으로 드러낸다.”23) 예수 성심과 일치하여 그 사랑을

드러내는 바로 그 안에 마들렌 소피와 성심회의 이 영성의 기본적인 면모가 담겨 있다.

2.3. 예수 성심의 영광과 여성교육

마들렌 소피와 성심수녀회가 ‘예수 성심의 영광을 위하여’ 선택한 수단은 교육이었

다.『성심교육 지침서』(Plan of Studies)는 1805년 바라 수녀가 저술한 성심교육을 위

한 기본지침서이다. 이 지침서는 그리스도교 전통에 기반을 두고 우르술라 수녀회

(Ursuline)와 씨스터시안 수녀회(Cistercian)가 경영하던 학교의 지침서와 예수회 학교의

『연학 규정』(Ratio Studiorum)들을 조화시켜 구성한 것이다. 나아가 그리스도교 전통

을 미래 지향적 안목으로 새롭게 고안하여, 이를 여성들에게 맞도록 편찬한 것으로 그

수준 높은 교육은 가히 혁신적이었다. 이 지침서는 1804년 작성된 내용을 기초로, 시

적 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여러 차례에 걸쳐 수정·보완되었으며,24) 그 명칭도『성심

교육정신과 학습계획』(Spirit and Plan of Studies)으로 바뀌었다. 1804년 교육계획안이 진정한 의미의 현 적 요소를 갖추게 된 것은 수사학과 우주론에

한 기초 지식을 선택하면서부터이다. 1805년 교육계획서의 새로운 점은 수사학, 물리학, 천문지리학 등 남학생을 위한 교과목을 담하게 선택하거나, 여학생들에게 맞게 새로운

교과 과목을 선택하거나 축소하였던 점, 성장 단계에 맞춰 교육계획을 잘 조직한 점 등이

다. 수사학까지 포함하는 교과과정을 짜는 일은 당시로서는 담한 시도였으며 여성 교육

의 발전을 의미한다. 여성들도 그리스도교 가치를 바탕으로 사회의 구성원이 될 수 있다

는 사실을 알려주기 때문이다. 19세기 일반적인 여성교육은 학생들이 훌륭한 어머니가 되

게 하는 것, 편지를 잘 쓰고 교양 있게 얘기를 잘 하는 것 정도였으나,25) 마들렌 소피는

23) Phil Kilroy, “The Spirituality of Sophie Barat”, 2008년 강의록.24) 1804년 교육계획서는 1806년, 1810년, 1816년에 점차적으로 수정 보완되었고, 1828년 이후 발달된

교육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25) “롤랭은 ‘여성들이란 국민들을 가르치고 국가를 경영하며, 전쟁을 하고 판결을 내리며, 의명분을 주장

하고 의학적 치료 활동을 할 수 없다.’고 보았다. 여성들은 단지 집에 머물며 보조 역할을 하고 단순한

일을 하는 부드럽고 섬세한 존재라고 보는데, 이는 19세기 당시 여성 교육의 특성을 규정하는 것이었

다. ”C. Rollin, Tracté des Études(교육 개론), tome I, Livre premier, chapitre II, De l'éducation des filles(여학생 교육), 75 재인용;『성심교육전망』, 69. 전통적으로 여성들에게는 라틴어도 철학도 가르치

지 않았는데, 라틴어와 철학은 여성을 깨어나게 하는 위험한 학문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Page 9: 마들렌 소피 바라의 영성과 살아있는 성심교육 전통theoinst.sogang.ac.kr/theoinst/file/2014-24-06 최혜영... · 2018-02-06 · 24) 1804년 교육계획서는 1806년,

마들렌 소피 바라의 영성과 살아있는 성심교육 전통 135

젊은 여성들이 이 세상을 변혁시키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였고, 이는 다분히 정치

적 색채를 띠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것은 특히 당시 보수적 환경에서 받아들이기 힘든

여성의 이미지를 제시했기에, 시 에 앞서 담한 결정을 내린 것으로서 수준 높은 여성

교육의 물꼬가 트인 셈이다.26) 또한 교육이 늘 목표로 삼는 것은 여성들이 장차 자신이

처한 사회 환경에서 복음을 증거하는 데 헌신하도록 준비시키는 것이었다. 성심학교에서는 여성들이 성찰하는 능력을 키워야 한다고 강조했는데, 올바른 가치관

을 가지지 않으면 일생동안 품위를 가지지 못하기 때문에 생각하는 법을 가르쳐야 한

다고 생각한 것이다. 이것은 강하고 독립적인 여성, 당당히 자기주장을 할 수 있는 여

성을 교육함으로써, 당시에는 비록 의식하거나 알지 못했지만 결국 여성운동을 시작하

고 있었다. 성심교육은 여성들의 독립된 판단이나 자율성을 강조하고, 여성들 자신들에

게 주어진 제한된 범위의 책임 영역에서 생각과 행동의 자율성을 지니도록 교육하였다. 이를 통해 장차 주부나 어머니의 역할을 잘 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자유롭게 생각하고

행동할 수 있게 하였다. 즉, 여성으로서 지성과 정서 발달에 유의하여, 모든 학습에 수

반되는 지적 활동을 통해 판단력과 비판력을 기르고 지식을 넓혀 가면서, 자신의 존재

의미와 자신이 속해 있는 우주의 의미를 발견하는 것이다.27) 나아가 마들렌 소피는 경험을 통해 교육에서는 획일화를 엄격히 적용할 수 없다는

것을 알았다. 상황을 정확하게 판단하고 지역 현실에 따라 교육방식을 현명하게 적용하

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나중에 교육계획안을 수정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기본을 세

운 다음 각 나라에 따라 나름 로 맞춰갈 것입니다. 여성교육은 국가마다 다릅니

다...”(1839년 5월 28일 서한)28)

3.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새로운 적용

3.1. 성심교육의 특성

성심수녀회는 설립 이래 지속적으로 세상의 긴급한 필요와 지역 교회의 부름에 창의

적으로 응답할 것을 촉구하며 교육 활동을 수행해 왔다. 이어서 제2차 바티칸 공의회

26)『성심교육전망』, 133.27) Ibid., 70 참조.28) Ibid., 99 참조.

Page 10: 마들렌 소피 바라의 영성과 살아있는 성심교육 전통theoinst.sogang.ac.kr/theoinst/file/2014-24-06 최혜영... · 2018-02-06 · 24) 1804년 교육계획서는 1806년,

136 신학과 철학 제24호

이후에는 교육의 범위를 넓혀 가르치는 일 뿐 아니라 인간발달과 정의구현을 위한 제

반 활동, 사목적 활동 및 신앙생활 지도 및 다양하게 펼쳐지게 된다. “교회는 예수 성

심의 사랑을 알리고 전하도록 우리를 파견하고”(성심수녀회 1982년 회헌 10번), 성심

수녀들은 성녀 마들렌 소피의 영감에 충실하며 또 그분처럼 마음을 열어 새로운 상황

을 받아들이면서, 성녀의 소망을 자신의 것으로 삼고자 하는데, 그 소망은

“모든 사람들이

- 진리와 사랑과 자유에 눈뜨게 되고, - 삶의 의미를 발견하여 남을 위하여 자신을 바치고, - 사회의 변혁을 위하여 자신이 역할을 창의적으로 수행하고, - 예수님의 사랑을 체험하게 되고, - 능동적인 믿음의 생활에 헌신하는 것이다.”(회헌 11번)

이를 위해 세계 성심학교에서는 신앙교육, 학문교육, 공동체 형성 교육, 사회정의 교

육, 인격 형성 교육이라는 다섯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그 목표를 실천하고 있다.29)

3.1.1. 신앙교육

마들렌 소피는 교육의 내용을 구성하는 데 있어서 그리스도교와 복음의 가치를 우선

적으로 생각하였기에 신앙교육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성심교육에서 신앙교육은

모든 교육활동의 기초이다. 신앙교육은 사랑을 기본으로 하는 그리스도교 가치관을 바

탕으로, 삶의 의미를 발견하고 진정한 인간관계를 형성하며 살아가도록 가르친다. 이를

통해 자기 자신을 소중히 여기고, 자신의 삶을 사랑하며, 남도 소중히 여기며 더불어

살아가도록 교육하는 것이다. 신앙은 가톨릭 전통에서 말하는 그리스도교 신앙과 삶의 의미를 추구하는 인격 성장

의 두 측면 모두를 포함한다. 젊은이들로 하여금 ‘생동하는 신앙(living faith)’을 바탕으

로 성체에 한 흠숭과 보상의 정신을 가르쳐, 땅 끝까지 흠숭자들을 길러야 한다고 생

각하였다.

29) 성심수녀회 호주 관구에서는 이 다섯 가지 목표를 ➀ 오늘날 세상과 연계하는 신앙, ➁ 지적인 가

치에 한 깊은 존중, ➂ 그리스도의 가치로 건설하는 공동체, ➃ 행동을 촉구하는 사회의식, ➄ 성

숙한 자유의 분위기 안에서 이루어지는 인격적인 성장으로, 좀 더 상세한 해설을 제공한다. 성심수

녀회 호주ㆍ뉴질랜드 관구,『성심교육 목표 문헌 자료집』, 성심수녀회 옮김, 2002년. 미출판.

Page 11: 마들렌 소피 바라의 영성과 살아있는 성심교육 전통theoinst.sogang.ac.kr/theoinst/file/2014-24-06 최혜영... · 2018-02-06 · 24) 1804년 교육계획서는 1806년,

마들렌 소피 바라의 영성과 살아있는 성심교육 전통 137

“(종교)교육의 세 가지 목적은 신앙을 배우고, 자신의 의무를 수행하고, 신앙을 전파하는 것

이다. 그렇기 때문에 성심에 한 믿음과 봉헌이라는 자체가 선교의 열정을 지니는 것이다. 그러므로 교리 교육과 윤리 교육을 받은 후 선교에 열정을 지니도록 하는 것이 바로 성심학

교의 최종 목표이다.”30)

3.1.2. 학문교육

학문교육은 진리에 한 탐구와 합리적으로 사고하는 힘을 키우기 위해 요청되는 지

적인 성실함과 열린 마음을 기르는 것이다. 이것은 당당하고 떳떳하게 자신에 해 긍

지를 갖기 위해 실력을 기른다는 뜻이다. 여성으로서 지성과 정서 발달에 유의하여, 모

든 학습에 수반되는 지적 활동은 스스로 사물을 생각하는 사고력과 판단력 육성을 목

적으로 한다. 마들렌 소피는 “문화와 종교 사이에 립되는 면은 없고, 오히려 수준 높은 문화를

통해 종교성이 더욱 발전할 수 있다.”31)고 보고, 신앙의 목표에 지적 교육을 포함시켰

다. 지식을 쌓아 가면 자신의 존재 의미를 알게 되고 일상생활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존

재를 알게 된다고 생각하여 학문의 탁월성을 강조했다. 성심학교의 초기 교육계획안은

교육활동과 영적목표를 하나로 아우르고자 하였다. 마들렌 소피는 교육 수준을 높여야 한다고 생각했는데 아미앵 성심학교가 세운 방향

에 분명히 드러났다. “교육을 통해 교육을 이루자는 초기 사상도 받아들였다. 읽고 쓸

줄 알아야 스스로 생각할 수 있으며, 학문에 전념하는 일은 하느님에게서 멀어지는 것

이 아니라 오히려 하느님을 만날 수 있는 수단이 된다는 사상이다.”32) 탁월한 지적 수

준을 중히 여겨, 교사들의 자질 향상을 위한 끊임없는 노력을 강조하였다.33) 학생들의

발전이 부진한 데는 교사들의 책임이 큰 것으로, 예수 성심께서 원하시는 교육을 바르

게 이행하기 위해서는 피땀 흘리는 노력 외에 탁월하고 현명한 두뇌도 필요하다고 지

30)『성심교육전망』, 142.31) Ibid., 92.32) Ibid., 106.33) 마들렌 소피는 교사 양성을 위한 전문 학 창설을 꿈꾸고 추진하다가, 그의 사후 1866년 게츠 총장

수녀에 의해 설립되었다.

Page 12: 마들렌 소피 바라의 영성과 살아있는 성심교육 전통theoinst.sogang.ac.kr/theoinst/file/2014-24-06 최혜영... · 2018-02-06 · 24) 1804년 교육계획서는 1806년,

138 신학과 철학 제24호

적하였다. 교육에서 지적 훈련이라는 막중한 의무를 회피할 수는 없으며, 여성이라고

해서 남성에 비해 지적 수준이 뒤져서는 안 된다고 강조하였다.

3.1.3. 공동체 형성 교육

성심교육은 신앙의 실천을 위해 적극적으로 공동체에 투신하여 참여하도록 하였다. 불경건, 불신심, 각종 무질서와 같은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공동참여와

협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다.34) 성심학교에서는 개인을 소중하게 여기고 따뜻한 인간관계를 중요시하였고, 사람을 중

심에 둔 가족 정신이 바탕이 되고 있다. 이는 인간의 참모습을 살리려는 궁극적인 관심

에서 비롯되었고, 그 궁극적인 참 모습은 그리스도 안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성심교육은 학생들이 하느님의 자녀로서 미래 사회의 주역이 될 귀중한 존재들이므로

개인의 능력과 숨은 잠재력을 발견하여 길러주고자 하였다. 마들렌 소피가 학교를 시작하던 당시 프랑스에서는 여러 계층의 학생들이 함께 공부

하기 어려웠으므로 각 계층에 알맞은 교육을 시행하였다. 즉, 귀족 및 상류층 자녀의

교육을 담당하는 기숙학교와 특권이 없는 계층에 한 무상교육이다.35) 하지만 기숙학

교 학생들의 교육에는 항상 봉사활동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무상학교는 기숙학교의 지

원을 바탕으로 운영되어 기숙학교의 숫자에 따라 그 규모가 조절되었다.36) 기숙학교

학생들은 가난한 사람들에 해 ‘연민과 열정’을 갖도록 교육받았는데 이것은 ‘생동하

는 신앙’을 실천하는 것이었다. 초기 기숙학교와 무상학교 간의 협조 관계에서 드러나는 공동체교육은 사회의 약자와

가난한 이들에 한 관심과 돌봄의 정신을 갖도록 가르치는 것이다. 이것은 믿음, 희망,

34)『성심교육전망』, 143.35) 19세기 프랑스는 계급 사회로서 귀족층, 중상층(사업가), 중하층(소시민, 소상인), 가난한 사람들로 나

뉘어졌다. 성심학교는 1801년 10월 아미앵에서 첫 학교를 시작한 이후 1802년 1월에 무상학교를 시

작하였다. 36) 때로는 무상학교의 숫자가 더 많아 1808년 나폴레옹 1세가 프랑스 내 수녀회의 물자와 인원 상태를

조사한 기록에 따르면, 뿌아띠에 성심수녀원이 ‘젊은 여성들의 교육을 위한 그리스도교 교육 수녀원

으로서, 특히 빈민층 소녀들의 무상교육을 위해 바쳐졌다’고 정의되어 있다. 1865년 마들렌 소피 바

라 수녀 바라 수녀의 임종 당시 89개의 수녀원 중에 84개 학교가 기숙사를 가졌으며, 74개 학교가

무상학교를 운영하였다. 인원수는 기숙생이 3,700명, 무상학교 학생이 5,700명이었다.『성녀 마들렌

소피이의 은사』, 193-194 참조

Page 13: 마들렌 소피 바라의 영성과 살아있는 성심교육 전통theoinst.sogang.ac.kr/theoinst/file/2014-24-06 최혜영... · 2018-02-06 · 24) 1804년 교육계획서는 1806년,

마들렌 소피 바라의 영성과 살아있는 성심교육 전통 139

사랑이라는 그리스도인의 기본적 가치를 드러내는 살아있는 전통으로, 오늘날 ‘정의를 위

해 일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

3.1.4. 사회정의 교육

프랑스 혁명 이후 일어난 무신론 분위기에서 신앙 교육을 통하여 부활하신 예수 그

리스도의 열린 옆구리 상처를 보며 사회 변혁의 힘을 기르게 하는 교육 방법은 가히 새

로운 차원의 사회 변혁적 교육 방법을 제시한 것이다. 예수의 상처야말로 은총의 선물이자

언제나 베푸시는 새 생명의 상징이기 때문이다. 성체조배를 통해 얻어지는 ‘보상

(reparation)’의 자세를 토 로 가난한 사람들의 얼굴에 보이는 예수 그리스도의 모습을 만

나려는 것이다. 보상의 정신을 계승한 정의교육 개념은 1960년 전후 사회, 정치, 경제적 변화에

따른 가톨릭교회의 응답과 더불어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작성된 여러 문헌과 지침

들에 거의 그 로 공식화되었는데, 1979년 멕시코에서 열린 성심수녀회 관구장 회의는

성심교육을 ‘신앙에 기초한 정의 교육’으로 표현한다. 즉, 성심교육은 학생들로 하여금

그리스도교 가치관에 근거하여, 우리 사회에 스며들어 있는 부당한 가치에 하여 건설적인

비판 의식을 기르고, 행동이 따르는 사회 정의 의식을 갖도록 교육한다. 이를 통해 옳고 그

른 것을 바르게 판단하고, 다른 사람과 ‘함께 일하는 태도’를 배우고, 용기 있게 표현하며

실천하는 사람으로 교육하는 것이다. 3.1.5. 인격 형성 교육

인격교육은 자유롭고 성숙한 분위기 안에서 이루어지는 인격 성장을 추구하는 것이

다. 개인 인격의 통합이란 도덕의식, 자아 인식, 가치의 발견과 소유, 마음과 지성의 요

구와 조화를 이루며 일상생활에서 점차적으로 이루어가려는 포괄적 의미이다. 이것은

학생들이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에 토 한 직접적 학습 과정에서 또한 자신들이 사랑과

인간적 돌봄을 받으면서 자신들이 느끼는 분위기를 통해 스스로 진실한 인격을 형성해

가는 것이다. 이로써 학생들은 지적이며 도덕적 훈련을 통해 현명하게 선택하며, 조용

하고 평화로운 분위기에서 생각하는 습관을 들이며, 정확한 판단을 통해 진실을 포기하

지 않는 의지와 책임 있는 삶의 자세를 기르는 것이다.

Page 14: 마들렌 소피 바라의 영성과 살아있는 성심교육 전통theoinst.sogang.ac.kr/theoinst/file/2014-24-06 최혜영... · 2018-02-06 · 24) 1804년 교육계획서는 1806년,

140 신학과 철학 제24호

이를 위해 초기 성심학교에서 가장 중요한 덕목으로 삼은 것은 성모님을 본받아 성

실하게 생활하는 것이었다. 타인과 자신을 존중하는 데 바탕을 둔 인간관계 윤리에서

성실성을 가장 중요하게 여겼다. 성실성을 통해서 가정과 사회가 바르게 건설되며 나아

가 사회적 평화가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서는 판단력 교육이 필요했다. 그 기초는 겸손

함과 자긍심을 일으키는 인간의 존엄을 깨닫는 것이고, 이러한 분별력은 단순 소박하거

나 정숙한 태도 안에서 드러난다. 성모 마리아를 본받아 지적ㆍ영적으로 통합된 전인적

삶에 초 되어 성실함을 배웠다. 성모님의 신중함과 주의력, 신뢰심을 강조했고, 용기와

인내가 이러한 복음적 이상을 특징짓는 것으로 여겼다.37)

3.2. 초기 영감의 확장과 실현

제2차 바티칸 공의회(1962.10-1965.12)는 수도회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다. 시 의 변

화에 부응하기 위하여 원천으로 돌아가 창설자의 은사에 충실하고 수도생활을 쇄신하

라는 요청을 받은 수도회들은 창립 회헌을 바탕으로 새로운 회헌을 쓰고 새로운 생활

형태를 마련하는 등 큰 변화와 쇄신, 적응과 개혁의 노력을 경주하였다. 공의회 공적 참관자로 1963년 제3차 회기에 참석한 성심수녀회 총장 드 발롱(de Valon) 수녀는 이 회의에서 새로운 성령의 기운을 받고 수녀회에 변화의 바람을 불러

일으켰다. 이후 수녀원 안에서만 실시되던 교육은 열린 세계를 향해 폭넓게 실시되었는

데, 성심수녀회 창설 초기의 영감이 어떻게 넓어졌는지 성심수녀회 총회 문서를 바탕으

로 강조점을 살펴보겠다.38)

1964년 총회(제27차)에서 수녀원의 봉쇄 제도가 폐지되고, 교사수녀와 보조수녀의 구

별이 없어져 하나가 되는 변화를 겪게 된다. 젊은이들을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교육하기

위해서 적응과 개방이 필요했는데, 특정 단계의 교육에 치중하기 보다는 교육 전반에

관한 안건을 다루면서 성심교육의 기본 정신을 더욱 강조하였고, 학부모의 협조 및 평

신도 사도들과의 일체감 내지는 전 교직원의 유기적인 협동을 중요하게 다루게 되었다.

37)『성심교육전망』, 135-137 참조.38) 성심수녀회 총회 결과에 해서 성심수녀회,『하느님의 영광을 위하여: 총회문헌 모음(1967년-1982

년)』, 1982 참조.

Page 15: 마들렌 소피 바라의 영성과 살아있는 성심교육 전통theoinst.sogang.ac.kr/theoinst/file/2014-24-06 최혜영... · 2018-02-06 · 24) 1804년 교육계획서는 1806년,

마들렌 소피 바라의 영성과 살아있는 성심교육 전통 141

1967년 총회는 특별 총회로서 성심수녀회를 ‘현 세계에서 사도 생활을 하는 수도회’로 규정하고 교회가 새로운 과업으로 우리를 부르는 모든 활동에서39) 그리스도와 만남

을 준비하였다. 1970년 총회(제28차)는 그 동안 ‘성심교육’이란 이름으로 행해졌던 획일성을 벗어나

각 나라의 문화와 전통에 따른 특수성을 고려하여 ‘다양성 안에서의 일치’를 강조하기

에 이르렀고, 해방신학의 영향으로 ‘가난한 이들에 한 우선적 선택(Option for the Poor)’이 강조되었다. 성심수녀회 교육 사명을 재확인하고 교육의 의미를 확 해석하

게 되었으며, 교육의 역할을 ‘인간 해방’으로 간주하고 교육 방법, 교육 체제, 교육 기

관 등에 관한 도전을 직시하며 동시에 교육자 자신의 계속 교육(평생교육)의 필요성이

두되었다. 1976년 총회(제29차)는 성심수녀회의 교육사명을 ‘정의의 부르심’과 떼어놓을 수 없

는 관계로 강조하였다. “교육자의 마음은 정의를 추구해야 하고, 가난한 이들, 억압받는

이들을 보다 더 사랑하며, 인간관계에서 전인적 성장과 해방을 추구해야 한다.”40)고 표

명하였다. 이후 변화하는 세계 상황에 적응하는 속도가 매우 빨라 서구 유럽 중심의 세계관에

서 아시아, 남미, 아프리카 등, 세계사의 주역으로 등장하기 시작한 각 륙의 소리에

귀 기울여야 했고, 상호 교류하고 배우는 자세가 절실히 요구되었다. 이에 1979년 멕시

코에서 열린 성심수녀회 관구장 회의에서는 교육 방침을 ‘신앙에 기초한 정의 교육’으로 단언하고 다섯 가지 지침, “신앙교육, 학문교육, 정의구현 교육, 공동체 형성 교육, 인격 교육”을 마련하였다.41) 공의회 이후 변화와 쇄신의 시도 및 시험 기간을 거쳐 드디어 1982년 세계 총회(제30차 총회)에서는 총회 의원들이 모여 새 회헌을 쓰게 되었고, 마침내 1987년 바티

칸의 최종 승인을 받아 창립 회헌과 함께 새 회헌을 사용하게 된다. 새 회헌은 성녀

마들렌 소피 바라에서 이어온 창립 정신을 새롭게 하며 교육에 헌신할 것을 재확인한

39) “고통 받는 모든 사람들, 가난한 사람들, 무지한 사람들에게 다가서기, 그들의 이웃이 되십시

오.”(1967년 총회문헌).40) 1976년 총회 문헌,『총회 문헌 모음』, 134-135 참조.41) 최혜영,「성심 수녀회의 모습을 찾아서」,『예수성심의 영광을 위하여: 한국 진출 35주년 기념』,

31-32.

Page 16: 마들렌 소피 바라의 영성과 살아있는 성심교육 전통theoinst.sogang.ac.kr/theoinst/file/2014-24-06 최혜영... · 2018-02-06 · 24) 1804년 교육계획서는 1806년,

142 신학과 철학 제24호

다.42) 교육적 사명은 성심수녀회 은사의 근원적 요소로, 구체적 실천 방법은 시 의 필

요에 따라 융통성 있게 개선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교육의 변화에 하여, 1988년「국제 교육위원회」보고

서43)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1970년 공식화된 ‘가난한 이들에 한 우선 선택’ 만큼

성심수녀회의 교육에 한 이해와 실천에 더 큰 도전을 제시한 것은 없다. 이 선택은

역사의 우발적 사건이 아니며 지나가 버리는 유행도 아니다. 새로운 기술이 가져다 준

세계의식의 혁명과 세계 도처에서 일어나는 사회 정치적 해방 운동의 수렴과 함께,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표현된 교회의 새로운 자기 이해와 깊이 관련되어 있다.”라고 천

명한다.44)

1988년 총회(제31차)는 정치적 차원, 젊은이의 세계, 가난한 이들과 연 , 이주민들

의 세계, 여성 문제, 토착화를 안건으로 다루었다. 총회 문서에 따르면, “성심수녀회 수

녀들이 특별히 깊은 주의를 기울여야 할 젊은이는 가난으로 인한 폭력, 마약 중독, 에

이즈, 이주, 파괴된 가정 문제 등으로 가장 심각하게 상처받고 시달리는 이들이다. 이들

을 환영하고 그들과 함께 상황의 해결책을 찾고 그들에게 전문적 도움을 제안한다. 그

리하여 이들이 자신의 존엄성을 발견하게 하고 일상에서 자기의 자리를 찾게 한다.”45)

1994년 총회(제32차)는 ‘화해교육을 통하여 생명을 키움’, ‘국제적 사도 공동체’, 그

리고 ‘우리 영성의 성체성사적 차원’을 강조하고, 회원들이 이 부르심을 행동에 옮기고

투신하도록 제안하고 초 했다. 넓게 열린 성찬의 식탁에 초 받은 사람들로 ‘젊은이들, 여성들, 가난한 이들, 이주민 그리고 창조물 전체’를 특별히 명시했다. 2000년 총회(제33차)는 창립 200주년을 기념하며, 첫 성심학교를 개교했던 장소이자

창설자 소피 바라 수녀가 첫 총장으로 선출된(1806년) 장소인 아미앵에서 개최되었다. ‘세계화’의 현실에서 ‘변혁을 이루는 교육’을 위해 어떻게 공동협력에서 상호관계로 나

아갈 것인가, 어떻게 문화의 만남에서 문화의 화로 나아갈 것인가, 5개 륙에 걸쳐

42) “우리의 특은에 따라, 우리는 예수 성심의 영광을 드러내기 위하여 봉헌되었다. …중략… 우리는 교

육에 봉사함으로써 교회의 사명에 참여한다. 교육은 그리스도의 일을 계속하는 우리 고유의 방법이

다. 이 교육과 가르침을 통한 봉사를 우선적으로 젊은이들, 그리고 세상의 미래를 짊어지고 나갈 사

람들에게 바친다.”(1982년 회헌 4번, 7번). 43) The Society of the Sacred Heart, Education: A Commitment(1986-1988), International Education

Commission working paper, 1988. 44) 최혜영,「성심 수녀회의 모습을 찾아서」, 32.45) 1988년 총회 문헌, 9.

Page 17: 마들렌 소피 바라의 영성과 살아있는 성심교육 전통theoinst.sogang.ac.kr/theoinst/file/2014-24-06 최혜영... · 2018-02-06 · 24) 1804년 교육계획서는 1806년,

마들렌 소피 바라의 영성과 살아있는 성심교육 전통 143

있는 회원들 사이에 서로 협력하고 행동하기 위한 연 망을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를

논의했다. 이 총회에는 성심수녀회 회원들 뿐 아니라 협력자와 자매회 표들도 함께

참석하여 성심 교육 사명을 확고히 하였다. 2008년 총회(제34차)는 ‘영성 그리고 문화 간의 화’를 주제로 하였는데, 성심수녀

회 영성으로 이끄는 다섯 가지 문으로 ‘친교를 통한 화, 관상, 공동체, 정의·평화·창조

계 보전, 젊은이’를 들고 있다. 회원의 감소, 노령화에도 불구하고 젊은이들에 한 투

신을 새로운 열정으로 갱신하도록 촉구하며, “우리는 계속하여 젊은이들과 함께 걷기를

바란다. 많은 젊은이들은 정의를 향한 열정과 지구의 미래에 한 관심을 갖고 있다... 우리는 하느님을 찾으며 삶의 의미와 가치를 찾고 있는 그들 모두와 함께 현존할 필요

가 있다.”고 확고히 밝힌다.46) 이처럼 성심수녀회는 1801년 아미앵에서 성심학교를 시작한 이래 줄곧, 청소년 교육을

통해 예수성심의 영광을 드러내려는 은사에 근거하여 현 사회에 적응하는 교육 방안을 모

색해왔다. 이러한 과정은 성심교육이 전파되는 여러 나라의 상황에 따라 변화되기는 하였

지만, 기본적으로 가톨릭교육이 추구하는 본래 정신에 따라 현 화해 왔음을 보여준다.

3.3. 성심 고등교육의 전통

마들렌 소피는 성심교육에서 처음부터 학문의 탁월성을 강조해 왔는데, 이는 사회 지

도층을 교육해 왔던 가톨릭 교육의 전통이기도 하다.47) 마들렌 소피가 귀족이 아닌 소

부르조아 출신이었으나 당 여성으로서는 최고 교육을 받을 수 있었던 것은 상스

(Sens) 신학생이었던 오빠 루이(Louis Barat)의 영향이었는데, 성경, 신학, 교부학 및 라

틴어, 히브리어, 그리스어 등 수준 높은 교육을 받았다. 소피는 교육자 수녀로서 ‘학식과 성덕을 갖춘 수도자(saintes savantes)’가 될 것을 요

구했는데, 첫 교무 주임 다브나 수녀에게 보낸 편지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우리 성심회가 학자 성인을 얼마나 필요로 하고 있는지를 아시기만 한다면 수녀님

은 이런 사람이 되기 위해 서두르실 것입니다. 이 곳 로마수련원에는 수많은 성인은 있

46) 2008년 총회문헌, 30.47) 1965년 10월 28일자로 발표된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그리스도인 교육에 관한 선언」에서도 문

서 전체를 통해 가톨릭 교육의 ‘인류에의 봉사, 자유와 사랑의 정신, 탁월성’ 등을 강조한다.

Page 18: 마들렌 소피 바라의 영성과 살아있는 성심교육 전통theoinst.sogang.ac.kr/theoinst/file/2014-24-06 최혜영... · 2018-02-06 · 24) 1804년 교육계획서는 1806년,

144 신학과 철학 제24호

으나 학자는 한 명도 없군요! 확고한 신앙에 기초를 두는 것은 매우 잘된 일이긴 하지

만, 이 신앙과 학문이 일치될 때만이 우리의 일은 완성될 것입니다. 수녀님, 이 두 가

지를 접하게 결합시키십시오. 그러면 수녀님 성소의 전체 범위를 이해하게 되실 것입

니다.”(1833년 2월 12일 로마, 서한집 Ⅱ, 361)48)

19세기 초 성심학교에서는 학생들이 미래 가정주부로서 아내와 어머니의 역할을 잘

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교육만이 세상을 구원할 수 있는 가

장 훌륭한 도구라고 생각하고 있었고, 그 교육이 계속 향상될 것을 지향하고 있었기에

고등교육 기관을 열 가능성은 충분히 있었다. 초기 교육계획서에는 고등학교 이상의 교

육에 한 언급은 없었으나, 상급반에 한 교육과정과 지침이 후에 자연스럽게 고등교

육으로 이어진다. 그러나 마들렌 소피는 모든 학생은 자신의 삶을 위해 학교를 떠나야

한다고 생각하였고, 삶에서 더 큰 요구가 있거나 기회가 주어졌을 때 다시 상급 교육이

필요한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성심수녀회가 실시한 고등 교육은 크게 사범학교 (또는 교원 훈련 과정이나 교육

학), 학생 기숙사(또는 기숙사 정규학생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학(또는 학교)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49) 상세한 내용은 지면 관계상 생략하기로 한다.

4. 한국 사회와 성심교육

4.1. 사회의 필요에 응답하는 성심교육

성심수녀회가 한국에 진출한 1956년 무렵은 한국전쟁의 상흔이 가시지 않은 때여서, 한국 사회의 경제적 여건은 무척 열악한 상태였다. 초기 7명의 외국인 수녀로 시작된

첫 공동체는 곧바로 성심여중 개교 계획에 착수하여 1957년 4월 성심여중을 개교하였

다. 당시에 그것이 가장 긴급한 필요였기 때문이었다. 초 교장은 중국인 주매분 수녀

48) 마가렛 윌리암스,『성심수녀회 창립자 성녀 마들렌 소피이』, Ⅱ, 이경 역, (성심여자 학출판부, 1991), 198-199.

49) Cf. Frances M. Gimber, “Saintes Savantes: Religious of the Sacred Heart in Higher Education”, 2008년 7월 9일 University of San Diego에서 열린 ‘RSCJ Conference on Higher Education’ 발제

문 참조. 19세기말, 20세기초 법령에는 단과 학과 사범학교를 한 부분으로, 상급반 기숙생들

(grandes pensionnaires)을 또 한 부분으로 취급한다. 1953년 무렵에는 법령에서 수녀회가 사도직으

로 이 고등교육 기관들을 운영하는 것을 바람직한 것으로 본다.

Page 19: 마들렌 소피 바라의 영성과 살아있는 성심교육 전통theoinst.sogang.ac.kr/theoinst/file/2014-24-06 최혜영... · 2018-02-06 · 24) 1804년 교육계획서는 1806년,

마들렌 소피 바라의 영성과 살아있는 성심교육 전통 145

였고, 30명 정원에 18명이 합격하여 한국에서 가장 적은 수의 학교로 소개되었다. 1957년 8월에는 외국인 자녀들의 교육을 위해 성심국제학교50)가 개교되었는데, 성심여

중 운영에 재정적인 도움을 주었다. 그 후 연계교육을 위해 1960년에 성심여고가 개

교되었고, 1962년에는 성심 초등학교51)가 작은 규모의 학교로 설립되었다. 초창기 성심 학생들은 서구 유럽에서 시작된 전통적인 형태의 성심교육을 받았고, 이는

우리나라에서는 매우 독특한 형태였으나, 학부모 다수가 외국의 성심학교 전통을 잘 알고

있던 가톨릭 신자여서, 학교를 신뢰하고 모든 것을 교장 수녀에게 맡겼다. 초창기 졸업

생들은 수녀들과 교사들에게 지극한 사랑을 받았고 학교에 한 자부심이 남다르다. 성심수녀회 전통에 따라 학교교육과 함께 가난한 어린이들을 위한 무상교육이 동시

에 실시되었는데,52) 성심 여중·고 학생들을 중심으로 펼쳐진 학교도 있고,53) 춘천 성심

여 학생들이 운영한 야학도 있다.54)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에는 ‘가난한 이들에 한 우선적인 선택’이 강조되면서, 제도교육을 넘어 사회 정의와 평등을 위한 교육 사명을 좀 더 적극적으로 실현하고자

하였다. 우선, 교육의 기회를 놓쳤던 수녀들을 위해 성심여중·고 부설로 문교부 정식 허

가를 받아 ‘특수 과정 야간학교’를 개설하였는데, 성심 수녀들 뿐 아니라 다른 수녀회

수녀들에게도 개방되어 큰 환영을 받았다.55) 1978년부터 가난한 탄광촌 고한에서 본당 사도직56)을 시작하면서 교육의 의미가 더

욱 확산되었다. 이후 빈민사목, 노동사목과 연계하여 가난한 지역에서 다양한 형태의

교육 활동, 비형식 교육을 계속하고 있다.57)

50) 먼저 초등학교 과정이, 그리고 나중에 유치원이 생겼는데, 더 이상 학교를 운영할 외국인 수녀가 없

어 1980년 폐교된다.51) 연계교육을 위해 설립되었으나, 평준화 정책으로 더 이상 동계 중학교에 진학할 수 없게 되자 1982

년 폐교되었다. 52) 성심수녀회의 ‘가난한 이웃과 함께 하는 교육 활동’에 하여,『엠마오의 길』, 224-235 참조.53) 사랑의 학교, 슈가 크릭, 부침학교(Pan Cake School), 봉성학교(봉천동 성심학교)(1965-1968) 지역

사회학교 (1977-1978) 등 그 수나 내용이 다양하다.54) ‘상지반’이라고 하여 가난한 여성을 위해 중학교 1년 과정으로 운영되었다(1973-1974).55) 이 정규 특수 과정은 야간 중학교(1965-1972)와 고등학교(1967-1974)로 운영되다가 지원자가 줄어들

면서 종결되었다(『엠마오의 길』, 221-223 참조).56) 탄광촌이 폐쇄되고 강원랜드 카지노 사업이 들어오면서 식별 끝에 2001년 문을 닫게 된다.57) 상계동 본당 사도직(1982-2000), 상계동 산동네 ‘마음터 공부방(1992-2000)’, ‘고한 공부방

(1993-2000)’, 노동사목(부천과 부평지역 1988- 2013년 현재), 가출 소녀 보호 지도 단기시설인 부천

‘모퉁이 쉼터(1999- 현재)’, 중장기 가출소녀쉼터 ‘성심 디딤돌(2006- 현재)’, 농촌 지역인 괴산 어린이

Page 20: 마들렌 소피 바라의 영성과 살아있는 성심교육 전통theoinst.sogang.ac.kr/theoinst/file/2014-24-06 최혜영... · 2018-02-06 · 24) 1804년 교육계획서는 1806년,

146 신학과 철학 제24호

그 밖에도 성심 수녀들이 교육적 사명으로 기도모임, 피정지도, 영적지도, 상담 등

다양한 형태의 교육 활동을 펴고 있다.58)

4.2. 성심여자대학 역사

성심수녀회가 한국에 초청된 동기는 여성 고등 교육을 맡아 주기를 바라는 것이었다. 1961년 드 발롱(De Valon) 총장 수녀가 한국을 방문했을 때 학부모들의 간청으로 성

심여 창설 계획이 발의되었다.59) 당시 인적, 물적 자원이 매우 빈약한 상태에서도 성

심가족 정신으로 학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많은 분들이 이를 적극적으로 환영하며 도

움을 주고자 한 것이다. 서울과 춘천 두 곳에서 동시에 학 설립의 요청이 있었는데, 한국 사정에 밝지 않았던 외국 수녀들은 외국의 경우 지방에서 훌륭한 학이 운영되

는 모습을 보아온 터라 춘천에서 개교하기로 결정하였다.60) 1964년 춘천에서 성심여 수녀원 공동체가 시작되고, 그 해 3월 성심여자 학이 6개 학과, 정원 100명으로 개교하였다.61) 기숙생 47명과 통학생 52명 모두 합하여 99명

이 첫 학기 등록을 마쳤는데, 학교와 기숙사가 한 건물에 있었다. 성심수녀회 수녀들은

기숙학교 운영에 경험이 많았으나 한국 사정에 익숙하지 않아 모든 것을 새로 배워야

했다. 아직 한국인 수녀는 하나도 없이 ‘덕과 진리(Virtus et Veritas)’를 모토로 성심여

자 학의 기초를 놓기 시작하였다.62)

성심여자 학은 작고 아름답고 알차게 공부하는 학으로 틀이 잡혀 갔다. 철저한 출결 관

리, 어려운 학점 취득 등 엄격한 학사 행정과 교수법 등으로 성심학교 어디서나 추구하는 학

를 위한 ‘하늘지기 꿈터’ 공부방(2005-2011) 등. 58) 피정 사도직으로 ‘예수마음 기도의 집’(원효로 1987-1999), ‘예수마음 배움터’(파주 2000- 현재) 등이

있다.59) 성심여자 학 창립 이야기는『엠마오의 길: 한국성심수녀회 50년사(1956-2006)』, (서울: 성심수녀회,

2006), 212-221 참조.60) 당시 국무총리를 지낸 장면 박사는 수유리의 땅을, 춘천교구장 성골롬반외방선교회 구인란(T.

Quinlan) 주교는 춘천을 제시하였다. 한국전쟁 중 ‘죽음의 행진’의 생존자인 퀸란 주교는 성심수녀회

를 한국에 초 하는 데 많은 기여를 하였다(Ibid., 23-24. 212-213 참조). 61) 1963년 12월 16일 학 설립 인가가 나왔는데, 국어국문학과 15명, 외국어외국문학과(영문학, 불문

학) 15명, 사회사업학과 15명, 음악과 15명, 가정학과 30명, 화학과 30명 등 6개 학과에 한 학년

120명으로, 4개 학년 전체가 480명 학생 규모로 학 인가를 받았다.62) 초 학장은 니콜스 수녀, 교학처장 손튼 수녀, 철학과 종교 교수이며 교목사제로는 서 분도 신부가

활동하였다.

Page 21: 마들렌 소피 바라의 영성과 살아있는 성심교육 전통theoinst.sogang.ac.kr/theoinst/file/2014-24-06 최혜영... · 2018-02-06 · 24) 1804년 교육계획서는 1806년,

마들렌 소피 바라의 영성과 살아있는 성심교육 전통 147

문의 탁월성을 갖추려고 노력했다. 기숙사 생활은 단연코 성심여자 학의 특징이었다. 첫 기

숙생들이 입사하는 날 저녁 식사 때 니콜스 학장 수녀는 첫날부터 학생들이 성심학교의 옛

기숙학교 분위기를 그 로 갖추고 있는 것에 놀랐고, 개학 후 첫 주말을 지내고 돌아온 저녁

식탁에서 다시 함께 기뻐하는 모습이 바로 ‘성심’의 가족적 분위기와 정신이라며 기뻐하였

다.63)

이런 생활은 전통적인 외국의 성심 학과 같은 형태의 것이었는데, 우리나라에서 종

교 성격이 강한 기숙학교, 소수의 학생들을 교육하는 형태의 학교는 매우 생소한 것이

었다. 여러 면에서 예외적인 일이 많이 생겼다.64)

그러나 성심교육을 한국의 문교 정책에 맞춰 시행하는 것은 예상보다 쉽지 않았다. 국가가 학교행정을 통제하거나 지시하였고, 정부의 지시에 따라 입시 정책과 교과과정

이 수없이 변경되었다. 성심교육은 적은 수의 개별교육을 중요시하고, 초기부터 신학을

기초로 하면서 철학을 뼈 로 하는 유기적 연계를 갖는 교과 과정을 추구하였으며, 균

형 잡힌 인문 학으로 성장하려면 많은 학과들의 증설이 필요했는데, 마음 로 학과를

조절할 수가 없었다. 지역 문제는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왔는데, 학 입시 자격 국가고

시에 지방과 서울의 구별이 생기면서 강원도에 위치한 성심여 는 지방 학 취급을 받

게 되어 학생들이 선호하지 않게 되었다.65) 또 첫 회에는 주로 서울에서 온 기숙생과 춘천과 가평의 인근 지역에서 온 통학생들

이 절반씩 되어 매우 희망적이었으나, 그 다음해부터 기숙생이 입학생의 85-90%를 차

지했고 학생들이 전국에서 모이리라는 기 와는 달리 학생과 교수 모두가 서울에서 오

는 상황이 되니, 학교와 기숙사를 동시에 확장해야 했고 이것이 수녀회로서는 힘에 부

치는 일이었다.66)

63)『엠마오의 길』, 214.64) “1·2회 졸업생 70명씩을 배출했을 때, 이 졸업생들은 각 분야에서 환영받았다. 교사, 사회복지사는

물론, 뉴욕 성심수녀원에서 제공한 타자기 30 와 함께... 중략... 영어 속기까지 배운 학생들이 최고

경영자 비서진으로 활동하는 등, 성심여자 학은 우수한 인재들을 배출할 수 있었다... 주로 성심수

녀회 수녀들이 맡은 외국어 과목은 특별한 홍보가 없어도 세상에 알려지고 사회적으로 많은 관심과

인정을 받았다. 당시 문교부는 성심여자 학이 아직 역사가 짧은 학이지만, 열심히 공부하는 곳으

로 만들어 보려는 노력에서 성심여자 학을 실험 학으로 뽑아 교육계의 선도적 역할을 맡기기도

하였다.”(『엠마오의 길』, 214-215).65) Ibid., 215 참조.66) Ibid., 215.

Page 22: 마들렌 소피 바라의 영성과 살아있는 성심교육 전통theoinst.sogang.ac.kr/theoinst/file/2014-24-06 최혜영... · 2018-02-06 · 24) 1804년 교육계획서는 1806년,

148 신학과 철학 제24호

또한 1회, 2회 학생들이 3,4학년이 되었을 때, 서울에 있는 사회복지기관에서 실습을

해야 하는 사회사업학과 학생들과 교생실습이 필요한 학생들을 도울 사무실이 필요하

게 되었고(1969년), 상급 학년 학생들이 서울에서 공부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나왔다. 이러한 제안이 받아들여져 경기도 부천시 역곡동에 임야를 구입하여 1975년 9월 2학기부터 3,4학년 학생들이 부천 캠퍼스로 통학하게 되었고, 결국 기숙사가 딸린

춘천 캠퍼스는 1983년 1월 문을 닫고, 그 자리에 한림 학이 서게 되었다.67) 한편, 1980년 에 이르러서는 한국의 경제 부흥과 함께 학 교육에 한 열의가 커

지고, 단과 학(college)보다 종합 학교(university)를 선호하는 분위기에서 우리나라

학들이 형화되기 시작하였다. 이런 사회 분위기에서 성심여자 학이 시 의 흐름을

거슬러 자그마한 단과 학으로 남기에는 역부족이었다.68) 수녀회 모원에서는 “이미

세계적으로 학들이 무한 경쟁 시 에 돌입하였고, 학 총장은 기부금을 많이 걷어

들여 현 식 경영으로 행정을 평가받는 때가 되었다”고 보았다.69) 외국의 사례를 통해 성심 수녀들은 성심여자 학의 발전을 위해 새로운 방법을 모색

해야 한다는 데 동의하였다. 그러던 중 서울 교구가 ‘교구 설정 200주년’을 경축하면

서 종합 학교 설립을 열망한다는 것을 알고, 두 학의 통합을 추진하게 되었다.70) 가

톨릭 학교와 성심여자 학교의 운영주체인 서울 교구와 성심수녀회는 비 리에 통합

의 실질적 방법을 논의하고 1988년 5월 25일 통합 과정을 공개 발표하기로 정하였는

데, 발표 이전에 이 소식이 학생들에게 미리 전해져 총학생회와 동문회의 강력한 저지

로 통합안이 일단 무산되고 말았다. 그 후 몇 년의 시간이 흐르면서 통합안의 긍정적인

측면에 한 이해 및 공감 가 어느 정도 형성되면서 통합 문제가 다시 거론되어, 우여

곡절 끝에 1995년 ‘가톨릭 학교’라는 이름으로 성심, 성신, 성의 세 개 캠퍼스로 이루

어진 종합 학교가 되어, 통합 이후 처음으로 남녀공학 신입생을 맞게 되었다.71)

67) 학 이전에 관한 이야기는 Ibid., 216-218 참조.68) 1992년 3월 교육부의 정책 변화로 큰 변화 없이 명칭만 ‘성심여자 학교’가 되었다. 69)『엠마오의 길』, 219.70) 가톨릭 학교 신학 학과 의과 학은 각각 특색 있는 단과 학으로 발전해 왔고, 성심여자 학과

중복되는 과가 없어 명실 공히 종합 학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었다. 71) ‘통합의 길’에 하여,『엠마오의 길』, 218-221 참조. 가톨릭 학교 초 총장으로 강우일 주교가 취

임하였고, 통합 당시 성심여자 학교 마지막 총장이었던 김재순 수녀는 가톨릭 학교 성심 교정 담

당 교학 부총장직을 맡았다.

Page 23: 마들렌 소피 바라의 영성과 살아있는 성심교육 전통theoinst.sogang.ac.kr/theoinst/file/2014-24-06 최혜영... · 2018-02-06 · 24) 1804년 교육계획서는 1806년,

마들렌 소피 바라의 영성과 살아있는 성심교육 전통 149

성심수녀들은 학교의 운영권은 넘겼으나 교육적 사명을 포기한 것은 아니라고 생각

하여 학교법인 가톨릭학원의 이사로 참여하고, 교수직에 종사하는 수녀 외에 교목실, 인간학 수업 등을 이어 가고 있다. 현재 가톨릭 학교에서 활동하고 있는 수녀들의 수

가 많지 않아 성심교육을 특색 있게 펴고 있다고 말하기는 어려우나, 성심교육의 뿌리

는 삼십 여년의 역사와 함께 성심 교정 안에 살아있다고 생각한다.

4.3. 한국 사회에서 성심교육이 지니는 의의

격변기 한국 사회에서 학교 교육 정책도 수많은 변화를 겪으며 오늘에 이르렀다. 성

심교육 역시 시 의 변화와 더불어 창설자의 은사를 이 땅의 교육 현실에 맞게 적용하

고자 부단히 노력해 왔다. 사립학교의 자율성이 확보되지 않은 채 성심수녀회가 하고

싶은 학교는 한국 실정에 맞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었고, 아직 국제적으로 개방되지 않

은 사회에서 외국인 수녀들과 교수, 서양식 기숙학교는 특권적으로 인식되었다. 비그리

스도교 사회에서 가톨릭 교육을 실시하는 데 어려움도 있었고, 수녀회의 변화와 조령모

개식 한국 교육 현실에서 시행착오도 적지 않았다. 재정적 어려움은 늘 따라왔고 학교 운영 면이나 시설 면에서 부족함도 있었다. 고교

평준화 정책 이후 국가보조금을 받고 교육청이 배정한 학생들이 입학하는 반공립 형태

의 성심여중·고의 경우도 주어진 상황에 창의적으로 적응해야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심 수녀들은 학생들을 하느님께서 보내주신 선물로 생각하면서 성심교육이 지향하는

그리스도교 전인 교육을 실천하려 최선의 노력을 경주하였다. 성심학교 초창기 학생들

이나 평준화 교육 이후의 학생 모두가 성심 졸업생으로서 크게 자부심을 가질 수 있었

던 것은 예수 성심의 사랑에 바탕을 둔 인격 존중 교육, 사제지간에 친 한 인간관계, 철저한 그리스도교 가치관, 폭넓은 지평의 인문 교육, 가족 같이 보호된 생활 등 성심

학교 특유의 교육 정신이었다고 생각된다. 학교 교육 외에 사회의 필요에 따라 운영되었던 수많은 작은 학교들(앞서 4.1에서

언급한 천막 학교, 지역사회 학교, 수도자를 위한 야간 학교 등)은 사회 복지에 한

개념이 거의 없던 시절(1950년 후반부터 1970년 ) 다양한 형태의 교육에 한 가능

성을 보여 주었다고 하겠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한국 사회 안에서 ‘신앙에 바탕 한

정의 교육’을 확 하도록 원동력이 되었으니, 가난한 이들을 위한 비형식 교육으로서

Page 24: 마들렌 소피 바라의 영성과 살아있는 성심교육 전통theoinst.sogang.ac.kr/theoinst/file/2014-24-06 최혜영... · 2018-02-06 · 24) 1804년 교육계획서는 1806년,

150 신학과 철학 제24호

탄광촌, 빈민촌, 농촌 지역 아동들을 위한 공부방(지역아동센터), 가출 청소녀를 위한

중·장기 쉼터, 노동사목 등은 제도 교육의 한계를 넘어선 안 교육으로서 성심교육을

더욱 창의적으로 적용할 수 있게 해 주었다. 이는 학교 교육을 위해서도 긍정적인 영향

을 주었는데, 미래 교육 방향이 더불어 잘 살 수 있는 공동체를 형성하는 통합교육이

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지난 57년 동안 ‘성심교육’의 이름으로 행해졌던 여러 형태의 교육 활동을 돌아보며, 한국 사회에서 성심교육이 가지는 의의는 무엇이었을까를 생각할 때, 성녀 마들렌 소피

가 가졌던 성심교육의 기본 정신이 급변하는 한국 상황 안에서도 한결같이 유지되어

왔다고 확신한다. 그 정신은 세계 성심교육이 지향하는 바와 같다.72)

첫째, 성심교육의 목적은 그리스도교 교육이다. 예수 성심의 영광을 드러내는 데 가

장 중요한 최선의 방법은 그리스도교 인본주의 교육이다. 그러므로 어떤 과목을 가르치

든지 믿음, 희망, 사랑이라는 절 적 가치로 예수 그리스도에 한 언급을 게을리 할

수 없으며, 비신자들에게도 이를 적용한다. 둘째, 교육은 인격 인격의 만남으로 이루어진다. 각 개인은 유일한 존재이므로 고

유한 개성이 있는 학생들은 사랑받고 이해받아야 하며, 스스로 생각하고 선택할 수 있

도록 교육받아야 한다. 셋째, 교육은 지역에 따라 특유한 생활양식을 만든다. 각 나라에 있는 성심학교들은

각기 나름 로 전통과 특징이 있으나, 어디서나 공통된 성심교육의 핵심은 성심학교 특

유의 언어와 즐거움으로 학구적 분위기를 조성해 가는 것이다. 넷째, 교과 과정은 성심수녀회가 인정하는 그리스도교 가치관에 기저를 둔 유기체이

다. 교과 과정에는 신학을 핵심으로 하고 철학을 뼈 로 삼은 인본적이며 고전적인 내

용을 담아야 하는 동시에, 자연 과학과 실질적 기술을 통합할 수 있도록 고려해야 한

다. 교과 과정의 중점은 시기와 장소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교육의 근본 가치와 그

가치들의 상호 관계는 지속적이다. 다섯째, 교육은 각 시 의 필요에 부응하는 것이어야 하며 서로 생동적 관계를 맺는다.

72)『엠마오의 길』, 192-193.

Page 25: 마들렌 소피 바라의 영성과 살아있는 성심교육 전통theoinst.sogang.ac.kr/theoinst/file/2014-24-06 최혜영... · 2018-02-06 · 24) 1804년 교육계획서는 1806년,

마들렌 소피 바라의 영성과 살아있는 성심교육 전통 151

5. 나가는 말

우리는 앞서 가톨릭 교육 전통의 하나인 성심교육이 한국 사회에서 어떻게 가톨릭

교육 정신을 구현하였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성심수녀회 창설자 마들렌 소피 바라의 영

성과 살아있는 성심교육의 전통을 살펴보는 긴 여정을 거쳐 왔다. “예수 성심의 사랑을 발견하고 알리라”는 사명으로 19세기 프랑스에서 시작된 성심

교육이 시 적, 역사적, 지리적 배경이 전혀 다른 한국 땅에서 50여 년의 전통을 가지

고 계속 뿌리내리며 확장될 수 있었던 것은, 바로 가톨릭 교육의 핵심 정신 곧 ‘인간

개개인에 한 하느님의 사랑’에 바탕을 두고 이루어진 전인교육이야말로 가톨릭 교육

의 핵심이며, 시공을 넘어 모든 교육의 기본 정신이라는 믿음에 바탕을 둔 것이었기 때

문이라고 생각한다. 나아가 성심교육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 인간 성장의 원천이 있

다.”는 교육적 확신으로, 그 어떤 사회정치적 이념이나 시 적 조류가 세상의 변화를

주도하는 것 같을지라도, 이를 뛰어넘는 ‘마음의 교육, 곧 사랑의 교육’으로 이를 과감

히 맞서 처함으로써, 예수 그리스도의 마음을 통한 여성교육으로 모든 시 를 열어나

가고자 하는 교육적 확신을 한 결 같이 선포하고 증거 하였다. 오늘날, 불의와 죄로 상처 입은 세상을 예수 성심 사랑의 힘으로 변혁시키려는 마들

렌 소피의 이러한 교육 비전은, 지나치게 경쟁적이고 물질중심적인 한국 사회에서 큰

도전이며 희망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며, 성심교육을 포함한 모든 가톨릭 교육이 한국

교육의 안적인 가치를 제시하는 교육으로서 이 땅에 깊이 뿌리 내려지기를 기 하는

바이다.

Page 26: 마들렌 소피 바라의 영성과 살아있는 성심교육 전통theoinst.sogang.ac.kr/theoinst/file/2014-24-06 최혜영... · 2018-02-06 · 24) 1804년 교육계획서는 1806년,

152 신학과 철학 제24호

참고문헌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그리스도인 교육에 관한 선언」(Gravissimum Educationis), 1965.

김효성,『성녀 마들렌 소피이 영성과 ‘예수의 마음’』, 마들렌 소피이 영성 5, 서울: 성

심수녀회, 1999.김희중,「얀센주의」,『한국가톨릭 사전』8, 한국교회사연구소, 2001, 5921-5925.드 샤리, 잔(de Charry, Jeanne RSCJ),『회헌의 역사: 성심수녀회 초기 형성사』, 최순자

옮김, 서울: 성심수녀회, 2002.비르노, 마리-떼레즈(Virnot, Marie-Thérèse RSCJ),『성녀 마들렌 소피이의 은사: 성심

수녀회 창립자』, 최순자 옮김, 서울: 성심수녀회, 1984.성심수녀회 호주ㆍ뉴질랜드 관구,『성심교육 목표 문헌 자료집』, 성심수녀회 번역, 미출

판, 2002.성심수녀회,『성심수녀회 교육정신과 학습계획(Plan of Studies)』, 채훈 옮김, 서울: 성

심수녀회, 2008. ,『예수 성심 수녀회 회헌- 교황청 소속 사도적 수도회』, 성심수녀회 번역, 서울:

성심수녀회, 1987. ,『하느님의 영광을 위하여: 총회문헌 모음』, 성심수녀회 번역, 서울: 성심수녀

회, 1982. , 1994, 2000, 2008년 총회문헌.성심수녀회 한국 관구 편,『예수성심의 영광을 위하여: 한국 진출 35주년 기념』, 서울:

성심수녀회, 1991. ,『엠마오의 길: 한국성심수녀회 50년사(1956-2006)』, 서울: 성심수녀회, 2006.성심수녀회 편역,『우리가 태어나던 날들: 짧게 본 성심수녀회 역사』, 서울: 성심수녀회,

1998. 성심여자 학교,『성심여자 학교 30년사(1964-1994)』, 부천: 성심여자 학교 출판부,

1994.

Page 27: 마들렌 소피 바라의 영성과 살아있는 성심교육 전통theoinst.sogang.ac.kr/theoinst/file/2014-24-06 최혜영... · 2018-02-06 · 24) 1804년 교육계획서는 1806년,

마들렌 소피 바라의 영성과 살아있는 성심교육 전통 153

스튜어트, 쟈네트(Stuart, Janet Erskine RSCJ),『생명의 여인으로 키우기까지: 가톨릭

교회 내에서의 성심교육』, 최임수 옮김, 마들렌 소피이 영성 6, 서울: 성심수녀

회, 1999.윌리암스, 마가렛(Williams, Margaret RSCJ),『성심수녀회 창립자 성녀 마들렌 소피이:

예수 성심의 사랑을 온 누리에-』, I-Ⅱ, 이경 옮김, 부천: 성심여자 학 출판

부, 1991.최혜영,「그리스도인 교육에 관한 선언‘교육의 중 성’」,『공의회 학교』제2권, 서울

교구 평신도사도직협의회 편, 서울: 가톨릭출판사, 2008, 221-239. ,「성심 수녀회의 모습을 찾아서」,『예수성심의 영광을 위하여: 한국 진출 35주

년 기념』, 서울: 성심수녀회, 1991, 28-35.카렐, 마리 프랑스(Carreel, Marie-France RSCJ),『성녀 소피 바라의 성심교육전망: 현

에 적용하기 위하여』, 김효성 옮김, 서울: 성심수녀회, 2007.칼란, 루이즈(Callan, Louise RSCJ),『하느님의 등불 성녀 필리핀 뒤셴』, 안은경 옮김,

서울: 미디어나이테, 2013.킬로이, 필(Kilroy, Phil RSCJ),『성녀 마들렌 소피이 바라』, 박은미ㆍ박정미 옮김, 서울:

성바오로출판사, 2012. ,「성녀 마들렌 소피의 영성과 교육」, 한국 방문 강의록, 2006. ,「The Spirituality of Sophie Barat」, 강의록, 2008.Gimber, Frances M., “Saintes Savantes: Religious of the Sacred Heart in Higher

Education”, a transcript of RSCJ Conference on Higher Education, University of San Diego, July 9, 2008.

The Society of the Sacred Heart, Education: A Commitment, International Education Commission working paper, 1988.

Page 28: 마들렌 소피 바라의 영성과 살아있는 성심교육 전통theoinst.sogang.ac.kr/theoinst/file/2014-24-06 최혜영... · 2018-02-06 · 24) 1804년 교육계획서는 1806년,

154 신학과 철학 제24호

마들렌 소피 바라의 영성과 살아있는 성심교육 전통

최혜영

1800년 프랑스에서 시작된 성심수녀회는 창설자 성녀 마들렌 소피 바라(1779-1865)의 교육 영성에 바탕을 두고, “예수성심의 사랑을 발견하고 전하려”는 사명을 젊은이

교육을 통해 수행하여 왔다. 성심교육의 특성은 신앙 교육, 학문 교육, 공동체 형성 교

육, 사회 정의 교육, 인격 형성 교육으로 요약된다. 1956년 한국에 진출한 성심 수녀회는 격변기 한국 사회의 필요에 응답하며 다양한

종류의 학교 교육과 비형식 교육을 실행하였는데, 인간 개개인에 한 하느님 사랑에

바탕을 둔 전인교육이야말로 가톨릭 교육의 핵심이며, 모든 교육의 기초가 된다는 것을

확신하게 된다. 성심여자 학(1964-1994)은 특색 있는 가톨릭 여성 고등 교육기관으로서 한국 교육

사에 족적을 남겼으나, 1995년 가톨릭 학교로 통합되었다. 성심여자중·고등학교는 평

준화 정책 이후 학생 선발권이 없는 반공립 형태의 일반 인문계 학교이나 복음적 가치

를 토 로 인성 교육에 힘쓰고 있다. 예수 성심 사랑의 힘으로 사회를 변혁시키고자 했던 마들렌 소피의 교육 비전은 지

나치게 경쟁적이고 물질중심적인 오늘날 한국 사회 안에서 큰 도전이고 희망이 되며, 가톨릭 교육이 한국 사회 안에서 안 교육이 되어야 함을 말해 준다.

주제어: 성심수녀회, 마들렌 소피의 영성, 성심교육, 여성교육, 고등교육

초 록

Page 29: 마들렌 소피 바라의 영성과 살아있는 성심교육 전통theoinst.sogang.ac.kr/theoinst/file/2014-24-06 최혜영... · 2018-02-06 · 24) 1804년 교육계획서는 1806년,

마들렌 소피 바라의 영성과 살아있는 성심교육 전통 155

Madeleine Sophie Barat’s Spirituality and Living Tradition

of Sacred Heart Education

Choi, Hae-young

The Society of the Sacred Heart which was founded in France in 1800 has carried out the mission of "discovering and manifesting the love of Sacred Heart of Jesus" through education of youth on the basis of the spirituality of its foundress, St. Madeleine Sophie Barat. The characteristics of Sacred Heart Education consist of faith education, intellectual development, community building, social justice, and whole-person education. Since 1956, Sacred Heart Sisters in Korea have tried to respond to the needs of Korean society. Through the various kinds of formal schools and informal educational programs, the Society of the Sacred Heart has affirmed that whole-person education, centered on God's Love for each human person, is the essence of Catholic education and the basis of all education. The educational vision of Sophie who tried to change the society by the love of the Sacred Heart, is a great challenge and hope in this over-competitive and over-materialistic Korean society today. It also shows that Catholic education could and should be an alternative educational vision for our society.

Key Words: the Society of the Sacred Heart, Spirituality of Madeleine Sophie Barat, Sacred Heart Education, Education for Woman, Higher Education

Abstract

Page 30: 마들렌 소피 바라의 영성과 살아있는 성심교육 전통theoinst.sogang.ac.kr/theoinst/file/2014-24-06 최혜영... · 2018-02-06 · 24) 1804년 교육계획서는 1806년,

156 신학과 철학 제24호

논문 접수일 2014년 3월 26일

논문 수정일 2014년 5월 7일

논문게재 확정일 2014년 4월 2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