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
일반기계산업의 기초분석 박광순 선임연구위원 [성장동력산업연구센터] 2011.05

일반기계산업의 기초분석 - KIET 일반기계산업의 기초분석 박광순 선임연구위원 [성장동력산업연구센터] 2011.05 !"#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일반기계산업의 기초분석

    박광순 선임연구위원[성장동력산업연구센터]

    2011.05

  • - 1 -

    1. 개관

    (1) 일반특성

    ○ 기계산업은 그 범위가 광범위하나 일반적으로 한국표준산업분류

    (KSIC) 에 의거 금속제품, 일반기계, 전기기계, 정밀기계, 수송기계

    등 5대 분야로 분류함.

    한국표준산업분류(KSIC)에 의거한 분류

    기계산업(KSIC 8차개정 기준)

    금속제품D28

    일반기계D29

    전기기계D31

    수송기계D34∼35(조선제외)

    정밀기계D33

    금속구조물 내연기관 발 전 기전 동 기

    자동차용 엔진 의료용기기

    보 일 러 자동차 측정분석시험기구풍수력기계 전기변환장치금속제탱크및금

    속제용기자동차차체 및

    트레일러 안경전기공급 및제어장치

    밸 브금속압형용품 자동차부품 사진 및

    광학기기동력전달장치 전선 및 케이블 항공기 및 부품공 구시 계산업용로 이륜자동차기계요소 전 지

    자 전 거전구 및 램프운반하역기계

    조명장치냉동공조기계

    액체가스여과청정기

    포장및충진기

    가공공작기계

    농업용기계

    건설광산기계

    섬유기계

    반도체제조용기계

    금 형

    가정용기기

    기타일반기계

    - 5대 업종은 KSIC 8차 개정(2000년) 상 에 해당

  • - 2 -

    기능 및 생산공정에 의한 기계산업 분류

    기계산업

    기초부품 중간조립품 완제품

    소재 소재부품 구조물 능동기계

    주 철 볼트 너트 후레임보디 내연기관 자동차

    주 강 스프링 베 드 전동기 공작기계

    강 판 밸 브 화학장치 냉동기 운반기계

    강 선 기 어 철구조물 펌 프 건설기계

    형 강 베어링 발전기 농기계

    강 관 유압펌프 공기압축기 섬유기계

    특수강 유압실린더 보일러 인쇄기계

    합금철 노 즐 터어빈 의료기기

    비철합금 체 인 계 기 철도차량

    자동밸브

    자동제어기

    ○ 한편, 기계산업은 기능 및 생산공정에 의한 분류에 따라 기초부품,

    중간조립품, 완제품으로 분류도 가능함.

    - 일반기계산업은 제품의 성격상 기초부품, 중간조립품, 완제품 등에

    다양하게 해당

    - 이 가운데 밸브, 스프링, 베어링, 펌프 등은 핵심 기초부품으로 범

    용성이 가장 큼.

  • - 3 -

    ○ 일반기계산업은 한국표준산업분류(KSIC)상 「기타 기계 및 장비제

    조업(29)」을 말하며 2006년의 생산액을 기준으로 기계산업 총생산

    액 278조원 중 약 79조원으로 28.3%를 차지함.

    국내 기계산업 분야별 생산액 (2006년)

    단위 : 조원

    일반기계 전기기계 정밀기계 수송기계 금속제품 합 계

    생산액 78.6 33.6 9.9 112.0 43.6 277.6

    자료 : 한국기계산업진흥회, 「2008 기계산업편람」, 2008. 7.

    주 : 일반기계(KSIC 29), 전기기계((KSIC 31), 정밀기계(KSIC 33), 수송기계(KSIC

    34,35), 금속제품(KSIC 28).

    ○ 일반기계산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제작공정은 설계․제도 → 용

    접․판금 가공․단조․주조․열처리 → 검사 → 절삭․기타가공 →

    검사 → 조립 → 시험 → 도장 → 제품 → 출하 순서임.

    ○ 일반기계산업은 자동차, 철강, 반도체산업 등 수출 주력산업의 설비

    를 공급하는 핵심 기반산업으로서 자본재산업의 핵심이 되는 건설

    기계, 공작기계, 냉동공조기계, 금형, 농기계, 섬유기계, 유체기계,

    정보통신 생산장비, 신 생산장비 등 다양한 품목을 포함.

  • - 4 -

    기계산업의 분류(협의)

    전방산업효과는 기계산업제품이 타 산업에 얼마만큼 판매되고 있는 지

    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일반기계의 경우 일반기계, 수송기계, 건설부문 및

    조립금속부문 등이 주요 수요산업이다.

    한편 후방산업효과는 반대로 기계산업이 타 산업으로부터 얼마만큼 구

    매하는지를 평가하는 지표로서, 일반기계, 1차 금속, 화학제품과 조립금속

    등이 일반기계산업체의 주요 공급원이 되고 있다.

    즉 일반기계산업은 최종재로서 타 산업에 판매되는 비중이 클 뿐만 아

    니라, 일반기계 제품의 생산을 위해서 여타 재화를 필요로 하는 경우도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기계 제품을 잘 만들어야 이를 필요로 하는 자동차 등을 정

    교하게 잘 만들 수 있으며, 일반기계 제품의 성능을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동시에 소재나 주물 등 핵심부품의 공급이 잘 이루어져야 하고 국산화를

    통한 경쟁력도 갖추어야 한다.

    기계산업이 제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 중요하며, 기계산업의 발전

    을 위해서는 주요 소재 및 부품의 질적 제고가 전제되어야 한다고 하는

    것은 동 산업이 갖고 있는 특성에 기인한다고 하겠다.

    ○ 일반기계산업은 수주형 산업으로 산업경기의 선행지표가 되며 각

    산업에 생산설비를 공급하는 기간산업임.

    - 제조업의 경쟁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산업으로 산업간 전․후방 연

  • - 5 -

    관 효과가 매우 큼.

    ○ 일반기계산업에서 사용되는 기술은 오랜 기간 동안 기술혁신을 통

    해 축적되는 축적형 기술임.

    - 일반기계산업에서 사용되는 기술 및 제품은 검증기간과 신뢰성 획

    득기간이 타 산업에 비해 상당히 긴 편임.

    ○ 전체 공정을 자동화하기 어려운 제조특성을 가짐에 따라 기술인력

    에 대한 높은 의존도를 보이며 개발된 신제품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구체적 수요와 품질에 대한 신뢰가 필수적임.

    기계산업의 중요성 및 특성

    (2) 주요 분야별 특성

    ○ 공작기계

    - 공작기계(Machine Tool)는 기계를 만드는 기계(Mother Machine)로

  • - 6 -

    서, 기계산업 및 설비투자의 근간을 이루는 대표적인 자본재임.

    - 공작기계는 공산품의 품질, 생산성 및 기술개발을 좌우하므로 공작

    기계산업의 경쟁력 수준이 여타 산업의 경쟁력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침.

    - 공작기계산업은 제조업의 설비 투자동향과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

    고 있으므로 관련 수요산업의 경기여하에 따라 호․불황의 기복이

    심하고 경기 하강시와 상승시 각각 선행성과 후행성을 나타냄.

    ○ 건설기계

    - 중기 또는 중장비라고도 말하는 건설기계는 모든 토목 및 건설공

    사에 사용되는 기계와 장치를 총칭하는 것으로 굴토, 정지, 수송,

    도로조성, 쇄석 등 장비의 기능에 따라 분류됨.

    - 건설기계는 관계부품산업과 계열화를 이루는 통합조립산업으로 주

    문생산 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주 수요처인 건설업에 대한 의존도

    가 매우 높아 건설경기에 민감한 영향을 받음.

    - 건설기계는 전형적인 기술․자본집약적 산업이며, 생산원가 절감

    및 무역 역마찰 등을 피하기 위해 해외 선진업체들은 개도국에 기

    술 이전 및 OEM 공급관계를 구축함.

    - 건설기계는 고가이고 중량이 무거운 제품으로 수출 시 운송비가

    수출 가격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며, 전자부분의 응용 범위가

    한정되어 있어 제품의 주기가 기계산업 가운데 비교적 긴 산업임.

    ○ 냉동공조기계

    - 냉동공조기계는 물체의 온도를 상온 이하 또는 영하로 냉각하는 제

  • - 7 -

    반 장치와 공기 및 유체의 냉난방 장치를 포함하는 기계들을 말함.

    - 냉동공조기계는 전력 다소비형 기계로 고효율 및 절전형 기계 생

    산의 기술개발이 냉동공조기계산업의 발전을 좌우하며, 지구환경보

    전을 위한 꾸준한 대체물질 개발과 대체물질 관련 기기 개발이 중

    요함.

    - 산업과 생활에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냉동공조기계는 초저온,

    Electronics, Bio Tech 등 High Tech 산업을 지원하는데 반드시 필

    요한 유틸리티성 기계임.

    - 공조기계는 현장설계ㆍ공사 성격이 매우 높은 설비용 기계로 주로

    전문생산업체에 의해 생산되고 있음.

    ○ 금형

    - 금형은 폭넓은 산업연관성을 지니고 있는 분야로 매년 약 2조원대의

    시장규모와 일반산업기계 가운데 드물게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함.

    - 금형은 기술이나 기능을 어느 정도 보유할 경우 소자본과 단순설

    비로 창업이 가능함에 따라 대부분 전형적인 중소기업 형태를 띠

    고 있음.

    - 금형에서 사용되는 기술들은 대부분 현장경험에 의해 전수되나 최

    근 공작기계와 컴퓨터의 발달로 기술자료가 체계화되면서 소프트

    웨어 형태로 축적되고 전수되고 있음.

  • - 8 -

    2. 세계 산업의 주요 트렌드

    (1) 기계산업의 구조변화 요인

    ○ 기계부문은 주요 수요산업의 생산성 제고 및 유연성 요구 증대에

    따라 융합형 제품 및 관련부품의 상품화 요구 확대

    ○ 최대 수요처인 자동차산업의 경우, 기계류 단위장비에 대한 수요보다

    다품종 유연생산체계에 대응할 수 있는 공정상의 시스템 패키지 요구

    - 양산라인의 다품종 유연생산화를 위해 핵심 가공장비의 고유연화,

    지능형 로봇 등을 응용한 전공정 자동화의 필요성 제고

    - 장비간, 공정간 네트워크화를 통한 IT접목형 기계류 생산시스템을

    지향하면서 기계류 융합화를 요구

    기계산업의 융합촉진 요소

    ○ 후발 기계류 경쟁국들의 제품 고부가가치화를 통한 산업고도화와

    강력한 수입설비대체 노력도 융합화 촉진의 간접 요인

    - 2009년도 중국 기계산업의 부가가치증가율이 전년대비 13.8%로 제

    조업 평균치(11.0%)를 2.8%p 상회*

    * 中國機械工業聯合會 사이트(cmif.mei.gov.cn) 참조

  • - 9 -

    (2) 세계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와 과제

    1) 산업주도권의 이동

    □ 여전히 선진국 중심의 생산 및 제품의 고기능화

    ○ 일본, 미국 등 선진국의 전 산업에서 차지하는 기계산업의 비중이

    일정 수준을 계속 유지하거나 증가하는 추세

    - 후발국들의 catch-up이 상대적으로 어렵기 때문이며, 주요 주력기

    간산업 가운데 중국의 추격이 가장 어려울 것으로 판단

    - 일본의 경우 90년대 이후 장기불황에 빠지면서 산업별로 희비가

    교차하고 있으나 일반기계부문(출하액 기준)은 전체 제조업의 10%

    수준을 점유

    ○ 세계 기계산업의 총 수출규모는 1조 971억달러(2006년 기준)를 기록

    하고 있는데 이는 전년대비 22.3%가 증가한 실적임.

    - 이 가운데 독일이 17.2%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다음은

    미국(13.0%), 일본(9.7%)의 순임.

    - 2009년에는 독일이 16.6% (UN Comtrade 기준), 미국 11.4%, 중국

    8.9%, 일본 8.4%로 중국이 일본을 추월함.

    세계 주요 일반기계 수출국의 수출점유율(2009)

    단위 : %

    독일 미국 일본 중국 한국

    비중 (2006) 17.2 13.0 9.7 6.2 2.4

    비중 (2009) 16.6 11.4 8.4 8.9 2.6

  • - 10 -

    ○ 한편 일반기계부문의 수입수요 증가율은 광의의 기계산업 증가율을

    상회하고 있는데 세계 경기상의 큰 변수가 없는 한 이러한 추세는

    계속될 것으로 예상됨.

    - 미국이 13.5%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다음은 독일(7.8%),

    중국(7.0%)의 순임.

    세계 주요 일반기계 수입국의 수입점유율(2007)

    단위 : %

    미국 독일 중국 일본 한국

    비중 13.5 7.8 7.0 2.9 2.7

    ○ 미국, 일본, 독일 등 3대 전통적 기계산업 강국이 세계시장의 40%

    이상을 지배하고 있는 독과점 형태 유지

    - 독일, 일본 등 주요 선진국의 기술차별화 전략은 여전하며, 저가격

    화를 통한 시장 점유율 확보 노력 병행 추진

    - 로봇의 경우 세계적으로 일본이 최대 생산국이면서 사용국으로서

    전 세계 로봇 수요의 60%를 공급하며 가정용을 포함하여 로봇에

    대한 기술개발도 제일 앞서 가고 있는 실정임.

    ○ 플랜트부문도 프로젝트 관리, 파이낸싱 등이 복합된 고부가가치 기

    술집약적 산업으로서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국가들도 자국의 핵

    심 주력산업으로 육성

    □ 중국 등 개도국의 제품차별화 및 저가격화를 통한 세계시장 공략

    ○ 신흥시장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중국의 경우, 초고속, 고정밀 등 차

    세대 기계산업 분야는 아직 진입단계이나 중저급 기종에 대해서는

    규모면에서 급격한 신장세

  • - 11 -

    □ 차세대 신성장 기계분야는 선진국들도 개발 및 상품화 단계

    ○ IT, 광학, 전자, 반도체용 기계설비, 시스템 및 미세 장치, 차세대 나

    노 산업 핵심 기반 제조장비 등으로 대표되는 차세대 성장동력 분

    야의 기계 개발은 선진국 역시 기술개발단계 또는 상품화 진입과정

    - 고부가가치 금형의 경우에도 미국, 일본, 독일 중심의 구도 유지

    예상

    2) 기술 및 신제품 동향

    ○ 기계산업은 21세기 정보통신 및 전자기술의 발달에 따라 메카트로

    닉스 산업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범세계적으로 이러한 추세 확산

    - 기계기술에 전자, 정보기술을 복합하여 지금까지 없었던 신기술,

    신상품을 창출함으로써 영역을 확대

    - 이러한 복합화의 경향은 「옵토 메카트로닉스」,「바이오 메카트로

    닉스」와 같이 타기술과의 복합화로 확대

    - 장래 인간공학이나 심리공학의 지식까지 그 범위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러한 복합화 추세는 그 구성요소 기술간의

    상승적 발전을 촉진

    - 메카트로닉스 기술은 산업의 경쟁력뿐만 아니라, 고용, 노동의 질,

    노동의 모랄과도 같은 사회적 영향, 나아가서 인간복지에도 영향

    ○ 향후의 기계분야는 전통적인 기계기술을 기반으로, 전자, 통신,

    computer, 로봇기술, 나노기술 등이 결합된 형태의 상품으로, 가격

    보다는 기술력 의존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

  • - 12 -

    - 일본은 로봇산업 육성을 위하여 극한 작업용 로봇이나 인간형 로

    봇의 실용화 등 선도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연구개발 투자

    (3) 주요 기업들의 동향

    □ 기존 시장의 성장 둔화를 극복하기 위한 Globalization 가속화

    ○ Globalization의 목표는 부품조달의 글로벌화로 원가절감 및 무역마

    찰 해소하는데 있음. 즉 생산 및 조달기지 세계화를 통한 성장 도

    모를 위해 현지 투자나 OEM을 강화

    ○ 건설기계분야의 주요업체별 동향을 보면 다음과 같음.

    - 캐터필라의 경우 미국 50개 생산기지, 해외 65개 생산기지 11개국,

    26개 부품 공급망 200여개 딜러망 등 전세계 글로벌화.

    ㆍ그리고 2006년까지 중국과 인도, 러시아 등 이머징 마켓에서 30

    억 달러 정도의 매출 달성

    ㆍ특히 중국의 경우 2~2.5%의 매출 비중을 약 5~7%로 확대

    - 히타찌의 경우 유럽시장에 독자적 판매망을 수출하고, 중국 Nefei

    Mining Machinery Works와 굴삭기 합작회사를 설립하였으며, 수

    익성 향상을 위해 중국 공장의 생산능력을 35% 증가

    - 고마츠의 경우 소송산추(중국업체) 인수하여 중국내 굴삭기 생산

    거점화를 시도하며, 중국 저장성에 굴삭기 부품 생산 및 판매 조

    인트 벤쳐를 설립하여 가격경쟁력을 도모.

    □ 지속적인 M&A와 지역별 특성화, 전문화 전략 강화

    ○ 공작기계 그룹인 Thyssen은 미국의 Giddings & Lewis, Fadal, 유럽

  • - 13 -

    의 Hüller Hille 등을 자회사로 두고, 지역별로 특성화 전문화된 공

    작기계 생산 추진

    - 특히 Hüller Hille를 중심으로 고속, 고정밀, 다기능 공작기계 생산

    ○ DMG의 경우, 지속적인 초고속, 고정밀 기계의 상품화를 진행

    - 제3국을 통한 저가격화도 동시 추진하여, 기계의 전영역에서 경쟁

    력유지를 위한 노력 병행

    ○ 기계산업설비 중 중소형 발전터빈분야도 지난 5~6년 전부터 인수

    합병을 통한 시장주도권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는 상태

    - 영국의 Rolls Royce는 미국의 Allison사를 인수하여 5MW급 시장

    을 강화 하였고, 프랑스의 ALSTOM사는 영국의 EGT사를 인수하

    여 5~13MW 가스터빈 제품라인을 보강

    - 프랑스의 최대항공기 엔진업체인 Snecma사도 Turbomeca와

    Micro- turbo를 인수하여 소형터빈 사업분야를 강화

    (4) 주요국과의 기계산업 구조 비교

    ○ 기계산업의 한중간 산업분업구조를 살펴보면 한국-중국은 제품공정

    간 분업(산업내)이 주요

    ○ 제품간 · 공정간 분업이 일정부문 이루어지고 있음.

    - 공작기계의 경우 일본은 high-end 제품과 항공부문 등 특수부문을

    중심으로, 한국, 중국과 차별적 제품구조를 형성

  • - 14 -

    세계 시장에서의 산업분업구도(현재)

    자료 : 일본공작기계공업회 내부자료.

    (5) 향후 경쟁구조 전망과 시사점

    ○ 다만, 향후에는 산업간 분업보다는 경쟁적 구조 확대 등으로 복잡

    한 양상을 보일 것으로 전망

    - 우리나라, 대만 및 일부 중국기업들의 제품경쟁력이 제고되면서 일

    본의 대규모 공작기계 생산업체들과 중간 제품군에서 분업보다는

    경쟁관계 예상

    - 아울러 하스 등 일부 미국기업(B군)들이 가세하면서 보다 경쟁적인

    영역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

    세계시장에서의 전반적인 경쟁구도(향후)

  • - 15 -

    3. 국내산업의 현 좌표

    (1) 일반기계산업의 경제적 위상

    1) 국내경제상의 위상

    ○ 일반기계산업은 한국표준산업분류(KSIC)상「기타 기계 및 장비제조

    업(29)」을 말하며 다시 일반목적용 기계(291), 특수목적용기계(292)

    등 2개 군으로 구분됨.

    - 일반기계산업은 수주형 산업으로 산업경기의 선행지표가 되며 각

    산업에 생산설비를 공급하는 기간산업이며, 제조업의 경쟁력을 결

    정하는 중요한 산업으로서 산업간 전․후방 연관 효과도 매우 큼.

    일반기계산업의 국민경제상 위상변화

    ○ 일반기계는 GDP 비중이 꾸준히 2% 내외를 유지하고 있으며, 중소

    기업 중심의 기업구조로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는 바가 큼.

  • - 16 -

    - 12대 주요업종 중 고용비중이 가장 높은 것이 이를 입증(전체의10.2%).

    ○ 제조업 대비 부가가치 비중이 8.3%(2008년)로 2000년 이후 다소 높

    아지고 있으나 선진국에 비해서는 아직 낮은 편임(일본 : 10% 내외).

    ○ 일반기계부문의 지역별 생산은 수도권과 창원을 중심으로 한 영남

    권 등 2개 권역에서 주도하고 있음.

    지역별 생산액 (2006년 기준)

    ⃞ 전후방 연관효과분석

    ○ 경제 내에서 한 산업이 다른 산업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 방

    법으로 전방연쇄효과의 상대적 크기를 나타내는 감응도계수와 후방

    연쇄효과의 상대적 크기를 나타내는 영향력계수를 사용하여 일반기

    계산업의 전후방연관효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 감응도계수 : 모든 산업부문의 생산물에 대한 최종수요가 각각 1단

    위씩 증가할 때 어떤 산업이 받는 영향을 나타내는 계수로, 특정

    산업의 생산물이 다른 산업의 중간재로 많이 사용될수록 크게 나

    타난다.

    * 영향력계수 : 특정 산업의 생산물에 대한 최종수요가 1단위 증가할

    때 모든 산업부문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계수로, 특정부문의

    생산에 국산중간재가 많이 투입될수록 크게 나타난다.

  • - 17 -

    - 다만 수도권은 부천 등을 중심으로 중소기업형 기계류 업체들이

    주로 생산에 참여하고 있는데 비해, 영남권은 대기업들이 기계류

    생산을 견인하는 가운데 협력업체들이 부품소재를 공급하는 방식

    이 주류를 이루고 있음.

    - 영남권의 생산점유율이 전체의 43.7%(2006년 기준)로 전년대비

    0.4% 증가하였음.

    - 수도권의 동 비율은 38.1%로 2개 권역의 생산집중도가 81.8%로 나

    타났음.

    ○ 일반기계산업의 총 투입규모는 2003년 52조 60억 원에서 2005년에

    는 67조 5,530억 원으로 30% 가까이 증가했음.

    - 일반기계산업의 후방산업은 철강, 특수목적용 기계, 금속제품 및

    일반목적용기계 부품 등으로 전체의 40%를 차지

    - 기본소재인 철강 및 금속제품에 대한 의존도가 높고, 중간투입비율

    은 2003년 69.2%에서 2005년 72.2%로 상승하였음.

    - 부가가치액에서 차지하는 임금도 점유율이 51.3%에서 58.1%로 증

    가하였음.

    ○ 일반기계 산업에서 생산되는 제품구조가 고급화되면서 특수목적용

    기계의 활용도가 높아졌으며, 전동식 기계 및 장비에 투입되는 발

    전, 전동기, 전기변환 장치의 투입규모나 비중이 높아진 것도 동일

    선상에서 설명됨.

  • - 18 -

    일반기계산업의 후방연관효과

    ○ 일반기계산업의 총수요 규모는 불과 2년 사이에 1.3배 증가하였음.

    - 동 기간 중 국내 산출규모가 30% 정도 늘어나고 수입은 비슷한 수

    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 국내 일반기계산업의 경쟁력 향상으로 수출 규모 역시 2003년 13조

    1,980억 원에서 2005년에는 17조 750억 원으로 늘어났음.

    - 자동차 및 조선 등 수송기계산업의 생산이 호조를 보임에 따라 동

    부문의 중간수요 비중이 17.6%(2005년 기준)를 나타내고 있음.

    - 총수요 가운데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도 2000년 15.5%에서 2005년

    18.7%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 - 19 -

    일반기계산업의 전방연관효과

    2) 세계경제상의 위상

    □ 세계 총 교역량에서의 위치

    ○ 세계 기계산업의 총 교역량은 7조 9,354억 달러(2007년 기준)를 기

    록하였으며 이중 일반기계산업이 2조 4,436억 달러를 기록하여 기

    계산업 교역량 대비 30.8%를 차지함.

    - 세계적으로 일반기계산업의 교역량이 가장 큰 나라는 미국으로

    3,195억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독일, 중국, 일본 순임.

    - 일반기계 총 교역규모면에서 중국은 2005년까지 4위를 기록하였으

    나, 2006년 일본을 제치고 미국, 독일에 이어 세계 3위로 올라선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

  • - 20 -

    - 우리나라는 611억 달러로 전년도(518억 달러)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전세계적으로 2.5%의 점유율을 기록(2006년 2.4%에서 0.1%point

    상승)

    세계 교역량에서 한국 일반기계산업의 위상(2007년)

    단위 : 억달러, %

    전 세계 미국 독일 중국 일본 한국

    기계산업

    교역량 79,354 10,876 9,482 6,029 5,055 2,352

    비율

    (2006년

    비율)

    100

    (100)

    13.7

    (14.9)

    11.9

    (12.3)

    7.6

    (6.8)

    6.4

    (6.7)

    3.0

    (2.7)

    일반기계

    산업

    교역량 24,436 3,195 3,027 1,715 1,557 611

    비율

    (2006년

    비율)

    100

    (100)

    13.1

    (14.0)

    12.4

    (12.8)

    7.0

    (6.6)

    6.4

    (6.4)

    2.5

    (2.4)

    자료 : U.N. 「International Trade Statistics Yearbook」.

    주 : 기계산업은 조선을 제외한 수치임.

    □ 세계 총 수출에서의 위치

    ○ 2007년 전 세계 기계산업의 수출액은 4조 618억 달러, 일반기계산

    업의 수출량은 1조 2,528억 달러로 기계산업 전체 수출액의 30.8%

    를 차지함.

    - 2006년에 일반기계부문의 총수출액이 처음으로 1조 달러를 상회

    ○ 세계 일반기계부문의 총수출액 증가율이 전년대비 14.2% 증가

    - 1조 971억 달러(2006년) → 1조 2,528억 달러(2007년)

    - 이는 중국을 중심으로 신흥개도국들의 기계설비 수요 확대에 기인

  • - 21 -

    - 일반기계부문에서 수출량이 가장 많은 국가는 독일로 2007년 한

    해 총 2,099억 달러를 수출, 전세계 수출시장의 16.8%를 차지하였

    으며 그 다음으로 미국이 1,586억 달러를 수출하여 12.7%를 차지

    하였고, 우리나라는 289억로서 시장점유율 2.3%를 기록함.

    세계 수출시장에서 한국 일반기계산업의 위상(2007년)

    단위 : 억달러, %

    전 세계 독일 미국 일본 중국 한국

    기계산업

    수출 40,618 6,383 4,856 3,924 3,368 1,557

    비율

    (2006년

    비율)

    100

    (100)

    15.7

    (16.0)

    12.0

    (12.6)

    9.7

    (10.0)

    8.3

    (6.7)

    3.8

    (3.3)

    일반기계

    산업

    수출 12,528 2,099 1,586 1,210 882 289

    비율

    (2006년

    비율)

    100

    (100)

    16.8

    (17.2)

    12.7

    (13.0)

    9.7

    (9.7)

    7.0

    (6.2)

    2.3

    (2.4)

    자료 : U.N. 「International Trade Statistics Yearbook」.

    주 : 기계산업은 조선을 제외한 수치임.

    □ 세계 총 수입시장에서의 위치

    ○ 2007년 전 세계 기계산업의 수입액은 3조 8,736억 달러, 일반기계산

    업의 수입액은 1조 1,908억 달러로 기계산업 전체 수출액의 30.7%

    를 차지하였음.

    - 일반기계산업의 수입시장에서 가장 큰 수입국가는 미국으로 2007

    년 한 해 총 1,608억 달러를 수입하여 일반기계산업제품 전 세계

    수입시장의 13.5%를 점유함.

    - 그 다음으로 독일이 928억 달러를 수입하여 7.8%를 차지하였고 우리나

    라는 322억 달러를 수입하여 시장점유율 2.7%를 기록함. (2006년 2.5%)

  • - 22 -

    - 중국 일반기계의 세계 수입시장내 점유율이 6.0%(2005년)에서

    7.0%(2007년)로 크게 높아진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

    세계 수입시장에서 한국 일반기계산업의 위상(2007년)

    단위 : 억달러, %

    전 세계 미국 독일 중국 일본 한국

    기계산업

    수입 38,736 6,020 3,099 2,661 1,132 795

    비율

    (2006년

    비율)

    100

    (100)

    15.5

    (17.2)

    8.0

    (8.5)

    6.9

    (6.9)

    2.9

    (3.2)

    2.1

    (2.1)

    일반기계

    산업

    수입 11,908 1,608 928 833 346 322

    비율

    (2006년

    비율)

    100

    (100)

    13.5

    (14.9)

    7.8

    (8.2)

    7.0

    (6.9)

    2.9

    (3.0)

    2.7

    (2.5)

    자료 : U.N. 「International Trade Statistics Yearbook」.

    주 : 기계산업은 조선을 제외한 수치임.

    (2) 일반기계산업의 현황

    1) 수급구조 및 가치사슬

    ○ 일반기계는 자동차, 전자 등 주요 업종에 생산설비를 주로 공급하

    는 산업으로 수요산업의 투자와 가동률 및 발주 추이가 동 산업의

    경영성과를 좌우

    - 국내 일반기계 수요는 전자, 일반기계 산업자체, 자동차, 조선을 포

    함한 기타 운송장비 등 4대 산업이 85% 이상을 차지

    - 특히 반도체 등 IT산업의 성장으로 전자산업 분야에 대한 일반기

    계 수주 비중이 2008년 29.1%에서 2010년에는 44.6%로 확대

  • - 23 -

    기계산업의 수요구조 추이

    자료 : 통계청.

    주 : 설비용 기계류를 생산하는 주요 제조업체(120개사)의 국내 주요산업별 기계

    수주 결과를 집계(제조업 전체=100.0, 물량기준).

    ○ 일반기계산업의 후방구조는 베어링 등 요소부품, 내연기관, 열교환

    기 등 관련 부품·소재부문의 1, 2차 협력업체와 CNC장치 등 핵심

    부품에 대한 해외공급 업체로 구성

    - 이 가운데 국내 1, 2차 협력업체 아닌 해외 공급업체는 핵심 부품

    의 경쟁력과 시장지배력을 바탕으로 국내 모기업과 동등하거나 오

    히려 우월적인 거래 형태를 구축

    국내 기계산업의 수급구조

  • - 24 -

    - 핵심 기계류 부품의 해외의존도가 30%이상으로 높아 모기업의 제

    조원가 인하 및 수익성 제고 한계

    2) 수급현황과 기업수익성

    ○ 일반기계의 생산은 증가율이 12.2%로 비교적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는데, 이는 내수증가와 아울러 중국을 중심으로 한 외부수요가

    늘어나면서 수출이 호조를 보이는데 기인함.

    - 2000~2007년까지의 내수증가율도 9.8%로 비교적 높은 신장세를 유

    지하고 있음.

    ○ 일반기계의 수출증가율은 연평균 18.2%로 2000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2007년에는 250억 달러를 상회하였음.

    - 중국, 인도 등 개발도상국의 설비수요 증가에 따른 수출확대와 아

    울러 한국산 기계류의 성능이 향상되면서 미국, EU 등 선진국 시

    장에 대한 기계류 수출도 꾸준하게 늘어나는데 기인함.

    ○ 향후 수출은 증가율이 현재보다 둔화될 것으로 전망되는데 이는

    2000년 이후 우리나라 기계류 수출을 주도한 대중국 수출이 증가율

    측면에서 낮아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임.

    - 다만, 미국과의 FTA에 이어 독일을 중심으로 한 EU 27개국과의 FTA가

    체결되고 발효될 경우 추가적인 수출확대 요인이 될 것으로 전망됨.

    ○ 반면 일본에 대한 우리의 기계류 수출은 일본의 경기개선에도 불구

    하고 긍정적인 영향을 기대하기는 어려움.

    - 이는 금형 등 일부 품목을 제외하고는 일본시장에서 경쟁우위를

    갖고 있는 분야가 상당히 제한적이기 때문임.

  • - 25 -

    ○ 한편, 수입은 핵심 부품을 중심으로 한 수입의존구조가 다소 개선

    되면서 증가율이 한 자리수(연평균 9.7%)를 기록하고 있으나 수입

    이 212억 1,900만 달러(2007년)로서 연간 수입규모가 처음으로 200

    억 달러를 상회함.

    ○ 교역구조를 보면, 만성적인 무역역조가 2004년에 거의 균형상태로

    개선되었으며 이후 지속적으로 개선되면서 무역흑자액이 2006년에

    19억 6,000만 달러를 기록한데 이어 작년에는 41억 6,400만 달러로

    크게 증가함.

    - 무역특화지수가 -0.17(2000년) ⇒ -0.06(2002년) ⇒ -0.01(2004년) ⇒

    0.09(2007년)로 꾸준히 개선되고 있음.

    ○ 고용은 총 28만 5,000명(2007년 기준)으로 산업의 성장세에 따라 플

    러스를 기록하고 있으나 증가율은 2.1%에 그침.

    우리나라 일반기계산업의 수급구조 변화

    단위 : 백만달러, 명, %

    2000 2004 2006 2007연평균증가율

    (‘00-’07)

    생산 31,766 48,331 63,537 71,260 12.2

    수입 11,103 14,686 18,747 21,219 9.7

    수출 7,887 14,304 20,706 25,383 18.2

    내수 34,981 48,712 61,578 67,096 9.8

    고용 247 273 279 285 2.1

    수입의존도 31.7 30.1 30.4 31.6

    무역특화지수 -0.17 -0.01 0.05 0.09

    주 : 1) 단위 : 백만달러, 고용(노동부) : 천명

    2) 수입의존도=(수입/내수)X100, 무역특화지수=(수출액-수입액)/(수출액+수입액

    3) 생산 및 종업원수는 KSIC 29(일반기계) - KSIC 2951(가정용 전기기기) -

    KSIC 2952(가정용 비전기식 조리 및 난방기구) 기준임.

    4) 2006, 2007년도 생산 및 종업원수는 연평균증가율(00-04년)을 토대로 한 추

    정치임.

  • - 26 -

    - 이는 기계류의 생산이 범용 중심에서 고급형으로 변화하고 있고, 메

    카트로닉스화, 자동화가 확산되면서 인력수요가 크지 않기 때문임.

    3) 해외투자 현황

    ○ 신고액을 기준으로 한 우리나라 일반기계부문의 해외직접투자 규모

    는 2007년에 크게 증가한 5억 6,000만 달러를 기록함.

    - 90년대 중반과 비교해 보면 10배 가까이 늘어난 것이며, 전년대비

    2배에 육박함.

    - 2008년에는 하반기 세계적인 금융위기 등으로 해외투자도 위축되

    면서 5억 4,000만 달러로 다소 감소

    우리나라 일반기계산업의 해외직접투자 추이

    단위 : 백만달러

    63 43

    221 224

    563 540

    0

    100

    200

    300

    400

    500

    600

    95년 00년 05년 06년 07년 08년

    자료 : 산업연구원 주요산업동향지표, 2009.5 참조.

    주 : 신고금액 기준임.

    ○ 기계부문의 해외직접투자는 두산인프라코어, 현대중공업 등 일부

    대기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중소기업들의 해외투자는

  • - 27 -

    독자적으로 추진되기 보다는 대기업들의 해외진출시 관련 부품 및

    소재를 공급하는 병행진출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음.

    - 기계부문의 FDI는 중국이 제일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향후

    베트남, 인도 등 신흥 기계류 수요국가에 대해서도 국내기업들의

    관심이 점차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 특히 인도의 경우, 엔지니어링 인력이 상대적으로 풍부하기 때문에

    상세설계를 목적으로 한 국내 관련업체들의 현지투자 및 진출이

    꾸준히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됨.

    4) 주요 국내 업체 현황

    ○ 기계산업 업계의 대형화가 꾸준히 확산되고 있음.

    - 이는 국내외 주요 기계업체들이 M&A 등을 통한 대형화로 경쟁력

    배가 노력을 가속화 하고 있는데 이는 자동차 등 기계류 관련 전

    후방 업종의 대형화에 따른 영향도 큼.

    국내 기계업체의 중대형화 요인

    5) 향후 투자유망분야

    ○ 투자 필요분야와 유망분야 선정과 관련하여 미국, 독일, 일본 등 주

    요 기계류 선진국의 주력분야와 기술추이 등을 고려

  • - 28 -

    ○ 독일과 일본의 경우, 표준형 CNC선반 등에 대한 후발국과의 가격

    경쟁이 심화되면서 주력제품의 포트폴리오를 고부가가치형 복합가

    공기 분야로 이전

    - 범용 CNC선반이나 머시닝센터와 같은 일반형 복합기의 경우, 모

    듈 설계기반, 부품의 글로벌 소싱, 해외생산 확대, 본체(Trunk

    machine) 생산라인의 통합화 등으로 치열한 가격경쟁 및 수익성

    하락

    ․일본 Makino가 개발한 미세절삭 가공기인 “Hyper 2J”는 선삭,

    밀링 등 다양한 기능이 하나의 기계에서 수행되는 다기능 복합

    기로서, 4만rpm의 주축속도에 10nm(nanometer)의 위치정밀도를

    가지며, 첨단 의료기기, 렌즈금형 및 반도체제작 등에 사용

    ○ 선진국들은 기업측면에서도 5축제어 복합가공기 등의 고효율화, 스

    피드를 중시한 신제품개발 외에 경쟁력제고를 위한 기업간 제휴 및

    해외시장 진출확대 추진

    일반기계 투자 필요분야 및 향후 유망분야

    ○ 한편, 일반기계 관련 기술의 세계적 흐름은 IT 등 이종기술과의 융

    합화․복합화, 고정밀․초고속․다기능화 및 환경관련 기술의 중요

  • - 29 -

    성 부각 등 3가지

    - 이 가운데 이종기술간의 융복합화는 단순히 기존제품의 고도화 차

    원을 넘어 새로운 시장창출로 이어지고 있음.

    ○ 단기적으로는 메카트로닉스기기 분야에 대한 대외시장 확대 및 경

    쟁력 제고를 위한 투자확대

    - 중장기적으로는 무인반송차, 최첨단 지능형 굴삭기와 같은 인공지

    능기계, Micro Factory, MEMS(Micro Electromechanical System),

    Ropeless Lift 등 NIT 정밀기기분야에 대한 투자 강화

    6) 기술동향

    ○ 전자・전기기술,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기계・자동차부품의 디지털화 등 관련 기술의 발달에 따른 부품・소재기술간 융・복합화 현상이 증대되고 있음.

    - 일반기계부품과 IT기술 및 디지털 기술의 융・복합화에 따라 제품의 사용 범위가 계측기기, 의료기기, 원격제어기기, 정밀기기, 광학

    기기 등으로 확대되어 첨단・고부가가치 위주의 제품 생산이 확대되는 추세임.

    - 최근의 신기술은 전(全)산업의 기술이 융합되어 신개념의 제품이 개

    발되는 기술혁신이 진행되는 추세이며 기계기술에 있어서도 전자 전

    기기술, 정보통신기술이 융합된 메카트로닉스기술이 그 동안 진행되

    어 왔으며, 최근에는 바이오, 광학분야 기술이 복합 융합된 바이오메

    카트로닉스, 옵토메카트로닉스 분야가 점차 확대되는 추세임.

    ○ 전 세계적으로 산업의 전반적인 추세가 경량화, 다기능화, 사용자의

    편의성에 중점을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제품의

  • - 30 -

    수요가 확대되고 있음.

    - 이에 따라 일반기계산업의 제품도 MEMS와 관련, 고정밀, 다기능

    및 에너지 절약과 관련된 기술개발이 가속화되고 이에 대한 제품

    의 생산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MEMS 기술은 선진국을 중심으로 하여 기존의 자국 주력산업 및

    미래 전략산업 분야에서 수요가 예상되는 기술 중심으로 기존의

    우위기술과 신기술을 융합 접목시켜 나가고 있으며, 국내의 MEMS

    기술은 정부사업, 정부출연(연), 산업체, 학계 등에서 산발적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동 기술에 가장 접근하기 쉬운 센서류에 집중되

    고 있는 실정임.

    ○ 한편 과거에 비하여 기계산업의 메카트로닉스화가 한층 더 가속되

    어 NC 공작기계, 산업용로봇, 자동화 요소기기 등을 중심으로 한

    자동화기술 및 제품의 개발이 국내 기계산업을 주도할 것으로 전

    망됨.

    - 기계기술에 전자기술, 정보처리기술 등이 융합된 메카트로닉스기기

    의 수요가 크게 확대될 전망됨.

    ○ 전 세계적으로 기계산업부품의 모듈화(Modulization)가 진전되어 과

    거의 자동차산업의 범주에 국한되던 상황에서 벗어나 일반기계부

    품, 전자부품 및 정보통신부품에 있어서 광범위하게 부품의 모듈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남.

    - 이에 따라 일부 선도기업들을 중심으로 자사제품의 모듈화를 가속

    시켜 급변하는 환경에 대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자사제품의

    수요업체에 대한 구속력을 강화하고 있는 실정임.

  • - 31 -

    (3) 기계류 교역변화와 한국의 위상

    1) 1위 교역국인 중국과의 수출입 구조 변화 측면

    □ 한중간 기계부문 수출입 구조

    ○ 국내 일반기계 대중수출은 ‘09년 현재 50억 7,000만 달러, 수입은

    30억 2,100만 달러로 20억 4,800만 달러의 무역수지 흑자를 시현

    - 다만 무역수지 흑자액이 2004년도 31억 3,300만 달러를 정점으로

    계속 감소 추세임.

    ○ 2009년에도 대중국 기계부문 흑자규모가 2008년(21억 3,400만 달러)

    에 비해서 약 8,600만 달러 줄어듦.

    - 대 중국 수출액은 2008년(53억 7,900만 달러) 대비, 3억 900만 달러

    나 감소

    국내 일반기계산업의 대중 무역수지 추이

    주 : MTI 71+72+75+79-714-715 기준임.

  • - 32 -

    ○ 무역특화지수도 0.68(2000년)에서 2007년 0.33에 이어 2008년에는

    0.25로 크게 하락

    - 2009년에 한중간 기계부문 무역특화지수가 0.25로 전년 수준을 유

    지함.

    국내 일반기계산업의 대중 수출입 추이

    단위 : 백만 달러, %

    구분 2000 2005 2006 2007 2008 2009연평균

    (‘00~’09)

    수출 1,232 3,932 4,264 4,967 5,379 5,070 17.0

    수입 237 1,206 1,663 2,476 3,245 3,021 32.7

    무역수지 995 2,726 2,600 2,491 2,134 2,048 -

    무역특화지수 0.68 0.53 0.44 0.33 0.25 0.25 -

    자료 : KOTIS.

    주 : 1) MTI 분류 코드 기준(71+72+75+79-714-715).

    2) 무역특화지수는 +1의 경우 완전 수출특화, -1의 경우 완전 수입특화.

    □ 한국 기계류 전체의 수출입에서 중국의 점유율 추이

    ○ 한국기계류 수출 총액에서 중국에 대한 수출비율은 2000년대 초반까

    지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으나, 2003년 28.6%를 정점으로 지속 하락

    - 2007년에 19.6%를 기록한 데 이어 2008년에도 18.3%로 감소

    - 중국은 11차 5개년 계획 기간 중 “장비제조업”분야의 수입의존도

    를 10차 5개년 계획 추진 말기의 67%에서 30% 미만으로 줄인다는

    목표하에 기계산업 고도화 및 수입대체를 지속적으로 추진

    - 다만, 2009년에는 대중국 수출점유율이 21.5%로 다소 증가했는데

    이는 미국발 금융위기 이후 중국을 제외한 지역들의 수출이 크게

    둔화된 데에 주로 기인

  • - 33 -

    ○ 반면에 대중국 수입의존도는 4.3%(2003년)에서 11.7%(2007년) ⇒

    13.8%(2008년)로 크게 확대

    - 2009년에도 14.0%를 차지

    국내 일반기계 총수출입에서 중국의 점유율 추이

    2) 무역적자국인 일본과의 수출입 구조 변화 측면

    □ 한일간 기계부문 수출입 구조

    ○ 국내 일반기계 대일수출은 ‘09년 현재 17억 4,300만 달러, 수입은

    57억 2,800만 달러로 무역적자가 39억 8,500만 달러에 달함.

    - 다만 무역수지 적자액이 2006년도 49억 8,400만 달러를 정점으로

    감소 추세임.

    ○ 대일 기계류 수출증가율이 연평균 11.5%(2000년~2009년)로서 동기

    간 중 수입증가율(1.8%)을 상회하고 있는 점은 긍정적

  • - 34 -

    국내 일반기계산업의 대일 무역수지 추이

    주 : MTI 71+72+75+79-714-715 기준임.

    ○ 무역특화지수가 -0.76(2000년)에서 2008년 -0.47로 증가하다가 2009

    년에는 -0.53으로 다시 하락

    국내 일반기계산업의 대일 수출입 추이

    단위 : 백만 달러, %

    구분 2000 2005 2006 2007 2008 2009연평균

    (‘00~’09)

    수출 657 1,716 1,864 1,941 2,427 1,743 11.5

    수입 4,869 6,006 6,849 6,481 6,737 5,728 1.8

    무역수지 -4,213 -4,290 -4,984 -4,540 -4,310 -3,985 -

    무역특화지수 -0.76 -0.56 -0.57 -0.54 -0.47 -0.53 -

    자료 : KOTIS

    주 : 1) MTI 분류 코드 기준(71+72+75+79-714-715).

    2) 무역특화지수는 +1의 경우 완전 수출특화, -1의 경우 완전 수입특화.

    □ 한국 기계류 전체의 수출입에서 일본의 점유율 추이

    ○ 한국기계류 수출 총액에서 일본에 대한 수출비율은 2006년까지 비

  • - 35 -

    슷한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2007년부터 감소세

    - 2008년에 8.2%를 기록한 데 이어 2009년에는 7.4%로 감소

    국내 일반기계 총수출입에서 일본의 점유율 추이

    ○ 대일본 수입의존도도 43.9%(2000년)에서 36.5%(2006년) ⇒ 28.7%(2008

    년)로 지속 감소

    - 2009년에도 26.5%를 기록

    3) 기계류 부문의 주요국간 성장변화

    ○ 중국의 경우 2000년대 WTO가입(2002)과 대만기업을 필두로 급증한

    세계 유력기업의 대중국 투자, 그리고 비용 경쟁력 완화를 위한 세

    계시장에서의 저가 중국산 수요확산 등으로 기계 수출순위가 2000

    년 13위에서 2009년 일본을 제치고 3위로 도약

  • - 36 -

    기계류부문의 주요국간 성장변화

    단위 : %

    순위2000

    방향2005

    방향2009

    국가 점유율 국가 점유율 국가 점유율전세계 100.0 전세계 100.0 전세계 100.0

    1 미국 18.7 독일 17.5 독일 16.62 독일 15.0 미국 13.7 미국 11.43 일본 14.0 일본 11.0 중국 8.94 이탈리아 7.6 이탈리아 7.8 일본 8.45 영국 6.2 영국 5.4 이탈리아 7.86 프랑스 5.3 프랑스 5.2 프랑스 4.97 캐나다 3.3 중국 4.8 영국 4.48 스위스 2.6 캐나다 2.8 네덜란드 3.89 벨기에 2.2 네덜란드 2.3 한국 2.6

    10 스웨덴 2.0 벨기에 2.2 캐나다 2.311 네덜란드 2.0 한국 2.2 벨기에 2.212 멕시코 1.9 오스트리아 2.1 오스트리아 2.213 중국 1.9 스위스 2.1 싱가포르 2.114 오스트리아 1.8 스웨덴 1.9 스위스 2.015 한국 1.7 멕시코 1.8 스웨덴 1.716 스페인 1.4 싱가포르 1.6 멕시코 1.617 홍콩 1.4 스페인 1.5 스페인 1.418 싱가포르 1.3 홍콩 1.2 체코 1.219 덴마크 1.0 헝가리 1.1 홍콩 1.120 핀란드 0.8 체코 1.1 폴란드 1.1

    소계 92.1 소계 89.2 소계 87.7

    자료 : UN, Comtrade.

    (4) 일반기계산업의 경쟁력 평가

    1) 교역경쟁력

    □ 세계 최대시장(미국)에서 한국은 9위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고

    급 기종 중심으로 전환

    ○ 한국은 미국 수입시장에서의 점유율이 90년대 중반이후 순위(1993: 9위

    ⇒ 2005: 9위)면에서 변화가 없지만, 수출기종은 범용 기계류 중심에서

    NC선반 및 머시닝센터 등 고기능 기계류 위주로 전환되고 있음.

  • - 37 -

    □ 미국시장에서 일본과의 경합관계도 지속적으로 개선

    ○ 미국시장에서 일본과의 경합도를 보면, 58.7(HS 6단위 기준)로서 기

    계부문에서 독일과 함께 기술력 측면에서 세계 최고 수준을 자랑하

    는 일본과의 경쟁관계가 빠르게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음.

    - HS 6단위를 기준으로 한 일본과의 경합도가 53.2(2003년)⇒ 55.6(2006

    년)⇒ 58.7(2007년)로 지속적으로 제고되고 있음.

    - HS 4단위를 기준할 경우에도 62.9(2003년)에서 67.3(2007년)으로 크

    게 높아졌는데 이는 한국 기계류 제품의 대외경쟁력이 그만큼 미

    국시장에서 향상되고 있음을 의미함.

    미국기계 수입시장에서 일본과의 경합도 변화

    경합도

    2003 2006 2007

    한․일HS 4단위 62.9 65.6 67.3

    HS 6단위 53.2 55.6 58.7

    한․중HS 4단위 53.1 50.5 51.5

    HS 6단위 40.5 34.9 35.5

    자료 : 산업연구원(KIET) 작성.

    ○ 다만, 일본의 대미국 수출은 세부품목별로 고루 분포되어 있는데

    비해 우리나라는 건설중장비, 섬유기계 등 일부품목의 대미수출비

    중이 전체의 50%에 육박해 대미 기계류 수출품목의 다변화를 적극

    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보다 중요함.

    2) 가격경쟁력

    ○ 선진국 제품을 100으로 할 때, 2006년 현재 우리나라 일반기계산업

    의 가격수준은 82로 평가

  • - 38 -

    - 따라서 우리나라 일반기계산업의 가격이 선진국 제품보다 상대적

    으로 낮아 경쟁력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지만, 5년 후에는 90.2로

    높아지면서 가격차이가 줄어들 것으로 평가

    - 현재 가격수준이 가장 낮은 부문은 제작비로 80.9이였으며, 그 다

    음으로 인건비가 81.6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

    - 하지만, 5년 후에는 물류비가 가장 낮은 89.5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인건비 90.3, 원부자재비 90.4로 조사

    ○ 중국은 2006년 현재 62.8로 가격경쟁력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조사

    되었지만, 가파른 인건비의 상승, 위안화의 절상 등으로 가격수준이

    꾸준히 상승할 것으로 예상

    - 그러나, 가격수준이 상승하더라도 우리나라와는 여전히 큰 차이를 보여

    우리나라는 중국과의 가격경쟁에서는 열위를 지속할 것으로 평가됨.

    일반기계산업의 가격경쟁력 비교

    구 분 미 국한 국 중 국

    현 재 5년 후 현 재 5년 후

    인 건 비 100.0 81.6 90.3 58.2 74.0

    원부자재비 100.0 83.0 90.4 65.1 79.2

    제 작 비 100.0 80.9 90.5 61.3 79.3

    물 류 비 100.0 82.4 89.5 66.7 80.8

    가격경쟁력 100.0 82.0 90.2 62.8 78.3

    자료 : 한국기계산업진흥회 설문조사, 2006.

    주 : 가격수준은 점수가 낮을수록 경쟁력이 높은 것을 의미.

    3) 기술경쟁력

    ○ 선진국 제품의 기술경쟁력을 100으로 할 때, 2006년 현재 우리나라

    일반기계산업의 기술경쟁력은 83.4로 나타났음.

  • - 39 -

    ○ 우리나라 일반기계산업에 있어서 경쟁력이 가장 열위를 보이고 있

    는 분야는 소재기술(79.1), 신제품개발(80.6)부문으로 나타났음.

    ○ 반면, 조립기술(89.6), 생산기술(87.1)은 타 항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선진국에 근접한 것으로 보임

    ○ 5년 후에는 조립기술(95.4), 생산기술(95.2)은 선진국과 거의 동등한

    수준을 보일 것으로 보이며, 기술부분 전체로도 92.2로 조사

    - 하지만, 소재기술, 신제품개발 기술 등은 5년 후 경쟁력이 향상되

    더라도 각각 89.4, 89.8에 그쳐 우리나라 기술경쟁력 향상의 걸림돌

    이 되고 있음.

    일반기계산업의 기술경쟁력 비교

    구 분 선진국한 국 중 국

    현 재 5년 후 현재 5년 후

    설계기술 100.0 81.7 91.6 62.7 82.9

    신제품개발 100.0 80.6 89.8 62.3 80.3

    신기술응용 100.0 82.7 92.8 64.3 82.7

    생산기술 100.0 87.1 95.2 67.4 85.9

    소재기술 100.0 79.1 89.4 63.5 82.1

    조립기술 100.0 89.6 95.4 68.7 86.5

    시험검사 100.0 83.2 91.2 64.6 80.1

    기술경쟁력 100.0 83.4 92.2 64.8 82.9

    자료 : 한국기계산업진흥회 설문조사, 2006.

    ○ 중국은 2006년 현재 기술경쟁력이 64.8로 우리나라 및 선진국과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5년 후에는 조립기술, 생산기술 등의 향상으로

    2006년 우리나라의 기술경쟁력과 비슷한 수준을 보일 것으로 조사

    4) 품질경쟁력

  • - 40 -

    ○ 선진국 제품의 경쟁력을 100으로 할 때, 우리나라 일반기계산업의

    품질경쟁력은 87.1로 나타났음.

    ○ 기능․성능, 내구성, 정밀도 등의 품질경쟁력 지표들이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어 일반기계산업의 경쟁력요소 중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이

    고 있는 항목

    ○ 5년 후에는 좀 더 향상되어 선진국 제품에 근접한 수준에 이를 것

    으로 보임

    ○ 2006년 현재 중국제품의 경쟁력은 63.9이었으며, 5년 후에는 80.7에

    이를 것으로 조사

    일반기계산업의 품질경쟁력 비교

    구 분 선진국한 국 중 국

    현 재 5년 후 현 재 5년 후

    기능․성능 100.0 86.8 94.4 62.5 80.2

    내 구 성 100.0 86.8 92.7 65.1 80.6

    정 밀 도 100.0 87.8 94.5 64.3 81.3

    품질경쟁력 100.0 87.1 93.9 63.9 80.7

    자료 : 한국기계산업진흥회 설문조사, 2006.

    5) 기타 비가격경쟁력

    ○ 일반기계산업의 디자인, 브랜드 인지도, 마케팅, 원자재확보의 용이

    성 등 기타 비가격경쟁력의 경우 선진국을 100으로 할 때 우리나라

    는 82.3으로 평가

    ○ 비가격경쟁력 요소 중 디자인은 현재에도 89.4로 상당히 높은 수준

    을 보였으며 5년 후에는 96으로 되어 선진국 제품에 가장 근접하는

    경쟁력 요소

  • - 41 -

    ○ 브랜드 인지도, 마케팅 등 비가격경쟁력 요소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

    일반기계산업의 기타 비가격경쟁력 비교

    구 분 선진국한 국 중 국

    현 재 5년 후 현 재 5년 후

    디 자 인 100.0 89.4 96.0 68.4 82.4

    브 랜 드 100.0 78.7 89.7 57.2 75.2

    마 케 팅 100.0 80.1 90.1 61.7 81.0

    원자재확보 100.0 81.1 88.1 74.0 87.6

    기타수준 100.0 82.3 91.0 65.3 81.6

    자료 : 한국기계산업진흥회 설문조사, 2006.

    6) 경쟁력 종합

    ○ 선진국(미국, 일본 기준) 제품의 경쟁력 수준을 100으로 볼 때, 2006

    년 기준 우리나라 일반기계산업의 종합경쟁력은 83.7로 평가돼 아

    직도 선진국과는 격차가 다소 크게 나타났음.

    - 향후 5년 후에는 91.8로 증가하여 선진국과의 격차가 상당히 줄어

    들 것으로 예상됨.

    ○ 품질수준은 87.1로 다른 경쟁력 요소에 비해 높게 평가되었으며, 5

    년 후에도 93.9로 가장 높은 경쟁요소일 것으로 예상

    ○ 중국은 2006년 현재 64.2로 우리나라와도 상당한 격차를 보이고 있

    으나, 5년 후에는 80.9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

  • - 42 -

    일반기계산업의 종합 경쟁력 비교

    구 분 선진국한 국 중 국

    현 재 5년 후 현재 5년 후

    가격수준 100.0 82.0 90.2 62.8 78.3

    기술수준 100.0 83.4 92.2 64.8 82.9

    품질수준 100.0 87.1 93.9 63.9 80.7

    기 타 100.0 82.3 91.0 65.3 81.6

    종 합 100.0 83.7 91.8 64.2 80.9

    자료 : 한국기계산업진흥회 실태조사, 2006.

    (5) 일본의 경쟁력 강화 사례

    1) 업체간 긴밀한 연대를 통해 신제품 개발기간 단축

    ○ 기업간 협력(interfirm factors)과 기업내 협력(intrafirm factors) 통해

    세계적인 주도권을 잡음

    일본 기계산업 도약의 근본 요인(공작기계 사례)

    ○ 기업간 협력 시스템 (예)

    - 공작기계업체와 CNC업체 간의 긴밀한 협력 관계

    - 외주 정밀부품업체의 적극적인 활용

  • - 43 -

    - 자동차산업의 수요확대와 공동개발 등

    2) 기계류 모기업의 중소기업(부품조달선)에 대한 기술지도 확대

    ○ 협력회사에 대한 기술지도 활발하게 전개

    - 151개 일반기계 업체 (설문조사에 참여한) 가운데 22%가 협력회사

    에 대해서 적극적인 기술지도를 하고 있는 것으로 응답 (일본 경제

    산업성 2009년 1월 조사)

    - 기계류 업체의 기술지도 비중이 자동차를 중심으로 한 수송용 기

    계(동 32.8%)나 정밀기계(동 30.6%)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지만

    일본의 일반기계 업체들이 중소형 업체 위주로 구성되어 있는 점

    을 감안할 때 시사하는 바가 큼

    ○ 기술지도 방식

    - 기술 및 노하우를 갖추고 있는 모기업의 직원들이 관련 협력사를

    방문하여 직접지도 (77.5%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

    일본 기계류 업체들의 부품조달선에 대한 기술지도 비율

    단위 : %

    업종 일반기계 전기기계 수송기계 정밀기계

    부품조달선에 대한

    기술지도 비율21.9 21.0 32.8 30.6

    주 : 經濟産業省 等, 「平成20年度 ものつくり基盤技術の振興施策」, 2009. 5에서 일

    부 발췌하여 도출

    3) 기계류 수요변화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한 부서간 협업 확대

    ○ 개발부서와 생산부서 간의 긴밀한 협력관계를 기반으로 하는 일본

    식 개발 프로세스가 조립 및 가공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조

  • - 44 -

    기에 발견할 수 있게 했으며 개발기간의 단축에도 기여

    개발부서가 DR (Design Review)과정 시 주로 협의하는 부서

    구 분 일본 미국 독일한국

    H사 D사

    조 립 72% 26% 73%30% 20%

    가 공 51% 4% 53%

    마케팅 52% 44% 53% 30% 40%

    자료 : BMR, 내부자료(2007).

    4) 조립공정의 인력투입 감소로 원가절감형 인력구조 마련

    한일 양국간 금형부분의 인력 구성비 차이

    항 목 일 본 한 국

    금형설계 24.6 20.0

    금형가공 53.0 40.0

    금형조립 22.4 40.0

    자료 : 박광순 외, 금형 산업 경쟁력 조사, 산업연구원, 2008. 12.

    주 : 1) 일본 - 실태조사 기업 중 응답한 7개사를 대상.

    2) 한국 - 한국금형공업협동조합 자료.

    5) 일본 기계산업의 생산 및 매출 유형

    일본 공작기계 주요업체의 지역별 매출 비중

    단위 : %

    오꾸마 모리세이끼 마키노밀링 쓰가미

    ‘06년도 ‘07년도 ‘06년도 ‘07년도 ‘06년도 ‘07년도 ‘06년도 ‘07년도

    미주 23.0 19.9 22.0 20.8 20.5 20.2 9.0 5.4

    EU 14.7 20.2 26.8 28.7 10.5 13.5 1.7 9.7

    Asia

    Pacific12.5 15.6 9.1 12.6 31.3 31.0 31.1 32.8

    계 50.2 55.7 57.9 62.1 62.3 64.7 41.8 48.0

    자료 : 각사 별 결산자료.

  • - 45 -

    4. 기계산업의 세계수요 및 기술변화와 전망

    (1) 기계산업의 국내외 수요변화

    ○ 기계산업은 자동차·기계·조선 산업 등 주력제조업 분야의 생산성

    혁신과 새로운 제품경쟁력 창출을 위한 핵심 첨단분야

    - 그린카 분야, 하이브리드카 부품 등 새로운 핵심부품 및 신공정 대

    응 양산가공장비(공작기계)와 자동화 응용시스템(산업로봇)이 대표적

    - 양산라인의 최적운영을 위한 IT융합 생산 운용플랫폼을 포함.

    - 고유연 양산라인을 위한 산업로봇 기반의 자동화 응용시스템은, 미

    국, 일본 등 주요 선진국에서 적극적으로 개발투자를 확대해 나가

    고 있는 산업 공통 기반분야

    ○ 기계산업은 주요 수요산업의 생산성, 유연성 요구 증대로 기술경쟁

    및 시장 차별화 요구

    - 부품 고품질화와 지속적 원가절감 요구에 따라, 선진 업체는 초고

    속, 다기능·복합 고급기종으로 전략품목을 전환

    * 초고속 및 복합가공기는 공작기계산업의 성장률(연10%)을 크게

    상회 : 20% 성장

    ○ 최대 수요처인 자동차(그린카) 생산업체는 단위장비 공급보다 다품

    종 유연생산체계에 대응한 공정상의 시스템 패키지 공급을 요구

    - 양산라인의 다품종 유연생산화를 위해, 핵심 가공장비의 고유연화,

    지능형로봇 등을 응용한 전공정 자동화, 장비·공정간 네트워크화를

    통한 IT통합운용시스템을 추구

  • - 46 -

    - 고객 맞춤형 장비 및 자동화 주변장치에서 IT생산운용시스템까지

    ‘Total Solution Provider (System Integrator) 강조

    * 자동차 업계는 과거 전용FMS/FA 시스템을 통한 변종생산에서,

    확장형 FMS 등으로 신제품 생산대응

    ○ 기계시장은 독일(70~80년), 일본(30~40년) 등 기술개발경험을 보유

    한 업체가 전세계시장의 약 70%를 점유

    * 특히 하이브리드 연삭시스템과 최대 수요처인 자동차 분야

    High-End 특화장비는 일부 선진국이 독과점

    기계류 주요업체와 주력분야

    기계

    (공작

    기계)

    업체명

    Yamazaki

    Mazak

    (日)

    Gild

    Meister

    (獨)

    Trumpf

    (獨)

    Okuma

    (日)

    Amada

    (日)

    MAG

    IAS

    (美)

    Mori-

    Seiki(日)

    주력

    분야

    복합기

    머시닝센터

    5면가공기

    머시닝센터

    레이저

    가공기

    머시닝

    센터

    레이저/

    절곡기

    CNC

    절삭기계

    CNC

    절삭기계

    ○ 산업용로봇은 전세계 시장의 64%를 일본(27%), 미국(21%), 독일

    (16%)이 점유(Yaskawa, FANUC(日), ABB(스웨덴), KUKA(獨))

    ○ 기계 분야 최대 수요처인 자동차의 경우, 세계적인 경기침체 확산

    으로 자동차 신차 판매가 급감하였으나, 최근 5년간 그린카 시장은

    연평균 33.7%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

    자동차의 향후 세계수요 변화

  • - 47 -

    ○ 기계산업(공작기계부문)의 세계 매출 신장세 : 오는 2015년까지

    8.2% 예상

    - 주요국 가운데에서 중국의 성장률이 15.4%로 가장 높을 듯

    주요국 매출 전망(공작기계 부문)

    단위 : 억 달러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연평균

    증가율

    세계 2,344 2,460 2,667 2,933 3,198 3,475 3,771 8.2

    한국 112 141 162 178 194 210 226 12.5

    일본 277 296 305 329 345 360 376 5.2

    미국 236 227 237 255 272 288 305 4.4

    독일 291 289 305 317 328 342 357 3.5

    중국 490 549 631 750 880 1,014 1,156 15.4

    자료 : Global Insight, 2010. 1. 27.

    주 : 단위는 명목 미국 억 달러임.

    (2) 기술동향 및 전망

    ○ 글로벌 메카트로닉스 기술트렌드는 초고속·고정밀화, 다기능/복합

    화, 초정밀화, 고유연·지능화 등으로 요약

    - 가공장비의 첨단화와 함께, 내마모 표면·열처리, 결함검사, 세척 장

    비의 인라인화

    - 선진국은 異種공정 복합화, 유연자동화 대응형 첨단 가공장비를 출시

    - 공정기능 복합화 뿐만 아니라, 하이브리드 연삭공정, 초음파 응용

    절삭 등 절삭공정의 복합메카니즘화 기술개발 및 실용화도 진전

  • - 48 -

    ○ 제어장치 및 로봇시스템은 선진국이 Mid-Tech 이하 제품까지 패키

    지로 공급

    우리나라 기계자동화 관련 기술의 개발 필요성 평가

    공정운영 구분 기술수입대체

    가능성

    국가개발

    필요성

    첨단설비 및 공정관련

    각종 데이터 수집

    생산장비 데이터 수집

    (POP)낮음 중간

    RFID 응용기술 중간 중간

    첨단설비간 네트워크

    (HMI, M2M)높음 높음

    실시간 대용량

    데이터 처리 및 저장중간 중간

    생산정보 분석 및

    생산공정 모니터링

    데이터 웨어하우스

    구축기술중간 중간

    통계분석 및

    데이터마이닝낮음 낮음

    생산현장 모니터링 낮음 중간

    생산정보 통합/연계 및

    설비관리

    생산정보

    통합관리기술낮음 중간

    생산공정 통합/연계

    플랫폼중간 높음

    설비 자가진단 및

    원격 자율제어높음 높음

    웹기반 통합설비관리 높음 높음

    생산관리 및 공정운영

    최적화

    제조실시시스템(MES) 중간 중간생산공정 모델링 &

    시뮬레이션중간 중간

    시뮬레이션 기반

    생산계획 및 스케줄링

    운용 서비스

    높음 높음

    생산운영 통합 플랫폼 중간 높음

    자료 : 지식경제부(2009.9) 내부자료에서 일부 발췌.

    ○ 제조업용 로봇은 종래 대량생산체제에서 최근 다품종 소량생산체제

    상의 유연자동화 생산시스템 대응 로봇 개발

  • - 49 -

    - 장비업체가 양산라인(FMS)를 구축하기 위한 ATC, Tool Magazine

    과 결합된 Base Machine, 보조장비(세척기, 중앙 칩 제거장치), 측

    정장비, 자동물류 이송적재 장비(Conveyor/ AGV/Stacker Crane/

    로봇), 자동창고와 같은 H/W와 통합운용시스템을 패키지로 공급

    - AMADA(日)는 판금가공 FMS를 위한 통합운영시스템인 ASIS1000

    PCL을 개발

    - Mazak(日)은 공장 내를 네트워크화하고 기계, 가공 치공구, 생산스

    케줄 등의 모든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Cyber Production Center 개

    념의 통합 공장 운영시스템을 상품화

    (3) 국내 기업의 기계자동화 사례

    □ 두산인프라코어(주)「수직형 머시닝센터 DNM 시리즈」

    ○ 공작기계 분야에서 두산인프라코어가 빠르게 성장하고 기술적 진보

    를 이룬 바탕에는 첨단 IT를 융합한 장비 스마트화 전략이 주효

    - 두산인프라코어는 지능화 작업을 범용 수직형 머시닝센터에 우선

    적으로 적용

    ○ DNM 시리즈 개발에서 중점을 둔 부분은 이용자의 편의성, 정지시

    간 최소화, 유지보수 용이성 등

    - 정지시간 최소화를 위해 자동 공구교환장치의 제어기능, 테이블 이

    송장치 및 공구 파손검출 등 준비시간 단축과 가공 중에 오류 발

    생으로 인한 정지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화

  • - 50 -

    DNM 시리즈에 탑재된 주요 지능형 기능

    기능 내용

    TOOL DATA REGISTRY TABLE공구 저장장치 내 공구정보 자동 Update 기

    능(2D Graphic 공구 표시)

    TOOL LOAD MONITOR 공구 부하 감지 기능

    TABLE MOVING FOR SET UP한번 조작으로 테이블을 가공물 Setup 위치

    로 자동이동 기능

    BACKUP CUSTOM DATA 공구 부하 데이터 백업 및 복원 기능

    RENISHAW GUI공구 길이, 경 자동 측정/소재 원점 자동 측

    정/공구 파손 검출 기능

    ALARM GUIDANCE 경보 발생시 상세 조치 방법 가이드 기능

    SENSOR STATUS MONITOR장비 센서 및 솔레노이드의 상태 및 위치 정

    보 제공

    ATC RECOVERY HELP자동공구교환장치(ATC)가 회전 중 정지했을

    경우 복구 방법 가이드 기능

    EASY NC PARAMETER HELP NC 파라미터 상세 내용 표시 기능

    USER LOG IN-OPERATION RATE작업자별 장비 사용일에 때한 가동률 측정

    기능

    자료 : 한국기계산업진흥회, 월간 기계산업(2009.9)에서 발췌.

    □ 현대중공업(주) 굴삭기 원격관리시스템‘하이-메이트’

    ○ 현대중공업이 국내에서 처음 개발·적용한 굴삭기 원격관리시스템‘하

    이-메이트(Hi-mate)’는 건설기계들을 꼼꼼히 관리할 수 있는 솔루션

    - 이 시스템을 활용하면 개별 굴삭기들의 가동시간, 고장원인, 소모

    품 사용현황 및 교환주기, 위치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파악

    ○ ‘하이-메이트’시스템이 적용된 굴삭기엔 위성과 통신할 수 있는 안

    테나와 통신단말기(RMCU), 장비 제어 유닛(MCU)이 탑재

  • - 51 -

    하이-메이트 시스템 체계

    (4) 추진 방향

    기계산업의 전개 방향

    ○ 전자・전기기술,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기계・자동차부품의 디지털화 등 관련 기술 발달에 따른 부품・소재기술간 융・복합화

    ○ 최근의 신기술은 전(全)산업의 기술이 융합되어 신개념의 제품이 개

  • - 52 -

    발되는 기술혁신이 진행되는 추세

    - 기계기술에 있어서도 전자 전기기술, 정보통신기술이 융합된 메카

    트로닉스 기술이 진행되어 왔으며, 바이오, 광학분야 기술이 복합

    융합된 바이오 메카트로닉스, 옵토 메카트로닉스 등 분야가 점차

    확대 < 맞춤형 산업기술 및 인력 중요 >

    (5) 세부 추진 방향

    □ 중점육성제품 및 혁신전략

    ○ 복합/다기능 가공기

    - 선삭, 밀링, 연삭, 레이저 응용의 복합화가 증가하여 주력기종이 될

    것으로 예상됨에, 많은 선진 기업들이 이에 관한 준비를 활발히 추진

    - 초정밀/미세 가공 및 터닝, 라인 대응형 터닝, 고능률 복합가공 시

    스템 등 주요 수요산업의 요구에 맞는 다양한 기종 개발

    -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한 지능형 생산시스템 개발

    ○ 머시닝센터

    - 자동차산업 및 IT제품에서 많은 수요가 요구되며, 세계시장에서 가

    장 높은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는 기종임. 국내 공작기계 산업

    이 기술적 강점을 보이고 있는 주력기종임.

    - 고속/고정밀 Direct Drive 유니트 개발 및 신소재응용 고속/고정

    도 구조체 설계기술 개발

    - 고속 고정밀 동기제어 기술 탑재 차세대 CNC 및 HMI 즉 Human

  • - 53 -

    Machine Interface 연동기술 개발

    ○ IT 융합 고효율 가공 시스템

    - 차세대 주력제품이자 타 기종과의 연계기술로 적용이 가능하며, 스

    마트화 트랜드에 따른 기술적 파급효과가 매우 높음

    - 고유연 모듈형 가공시스템 설계 및 시스템 구성 최적화 기술 개발

    - MTConnect/Global HMI 등 생산정보 표준화 기술, USN/RFID 등

    설비네트워킹 지능화 기술 개발

    - Web-based 기계장비 공정 오차 시뮬레이터 구축

    □ 시장 확대/진입 전략

    ○ 현지생산·현지판매 전략 : 해외 생산기반 확충을 통하여 대만, 중국

    등 경쟁국의 저가 Middle-end 에 대응

    ○ 다양한 라인업을 구축하여 High-end급의 이미지 제고

    ○ 신제품 생산 및 생산성 향상 요구에 대응하여 부품의 가공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혁신제품 및 공정 대응

  • - 54 -

    5. 산업의 종합 평가 및 중단기 전망

    (1) SWOT 분석 및 발전 가능성 평가

    가. SWOT 분석

    일반기계산업의 SWOT 분석

    Strength Weakness

    ○미래 일반기계산업의 핵심이 될 기

    술의 융・복합화를 위한 풍부한 IT산업 기반

    ○가공ㆍ조립 등 Mid-Tech 강점

    ○부품ㆍ소재산업 기반 확충 강화

    ○경쟁관계에 있는 선진국에 비하여

    높은 가격경쟁력 보유

    ○풍부한 전문인력 보유

    ○핵심 부품에 대한 높은 해외의존도

    ○산업구조의 미성숙

    - 일부 대기업이 시장의 대부분을

    주도

    ○국산설비 신뢰성 기반 부족

    ○기술 인력의 고령화 급진전

    ○자체기술개발능력 부족

    - 원천기술 확보에 대한 연구개발

    미흡

    Opportunity Threat

    ○BRICs, ASEAN 등 수요시장 확대

    ○반도체, 자동차, 조선산업의 수출 증

    대에 따른 국내 수요 확대

    ○중국 등 후발개도국에 비해 높은

    임금에 따른 가격경쟁력 악화

    ○선진국들의 기술장벽을 중심으로한

    보호무역 움직임 확대

    ○고급인력들의 기피현상

    - 이공계 대학생들의 공급 부족 및

    해외 유출

    ○친환경 설비관련 규제 강화

    ⃞ 강점(Strength)

    ○ 향후 일반기계산업의 미래를 이끌어 갈 한 축인 IT산업분야에서 강

    력한 국내 기반을 보유

  • - 55 -

    - 세계 최고수준의 인터넷 보급률, 세계 유수의 선진국과 어깨를 나

    란히 하는 이동통신산업 기술경쟁력 및 시장여건과 잘 정비된 산

    업인프라 등 미래 일반기계산업 경쟁력강화의 밑거름

    ○ 경쟁관계에 있는 미국, 일본 및 독일 등에 비하여 높은 가격경쟁력

    은 현재 한국 일반기계산업의 강점으로 판단

    - 그러나 동 산업의 가격경쟁력은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저임금을 바탕으로 한 가격경쟁력에 비하여 열위에 처해

    있어 점점 그 경쟁력을 상실하고 있는 상황임.

    ○ 세계 선진국에 비하여 손색이 없는 가공・조립기술은 일반기계산업의 발전에 기반이 될 것으로 판단됨.

    ⃞ 약점(Weakness)

    ○ 과거 가공・조립기술 위주의 발전으로 인하여 핵심소재 및 부품에대한 높은 해외의존도는 동 산업의 가장 취약한 약점으로 판단됨.

    - 특히 NC공작기계를 중심으로 한 메카트로닉스 관련 제품과 건설

    장비, 발전설비 분야에서 고가의 핵심부품에 대한 해외의존도가 상

    대적으로 높음.

    ○ 소수의 대기업과 다수의 영세중소기업이라는 산업구조로 인하여 주

    요 선진국에 비하여 산업기반이 약한 형편임.

    ○ 세계경제의 추세는 지식경영이라는 패러다임(paradigm)하에 산업별

    로 지식산업화를 달성하여 규모의 경제를 추구하여 나가는 데에 비

    해, 상대적으로 국내 일반기계산업의 지식산업화 기반은 미흡한 것

    으로 판단

  • - 56 -

    ○ 또한 설계기술 및 원천기술에 대한 R&D 투자의 부족으로 인하여

    국내 기술개발능력이 주요 선진국에 비하여 열위에 있는 형편이며

    이에 대한 높은 해외의존도는 동 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장애

    ⃞ 기회(Opportunity)

    ○ 반도체, 자동차 및 조선산업의 수출증대에 힘입어 국내 기계류 제

    품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국내 일반

    기계산업의 내수기반확보에 또 다른 기회가 될 것으로 판단됨.

    ⃞ 위협(Threat)

    ○ 중국 등 후발개도국들의 저임금을 바탕으로 한 저가공세는 한국산

    일반기계류제품의 국제경쟁력에 큰 위협이 되고 있으며, 향후 국산

    제품의 가격경쟁력은 점점 더 약해질 것으로 예상

    ○ 미국, EU, 일본 등 선진국들의 기술표준, 품질인증제도를 중심으로

    한 보호무역의 움직임 강화

    ○ 젊은 기술인력들의 생산현장 회피에 따른 동 산업의 인력구조 노령화와

    대학생들의 이공계 기피 현상은 향후 경쟁력 유지를 위한 적정 기술・연구인력확보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며 세대간 기술전수의 단절 우려

    나. 발전가능성에 대한 평가

    ⃞ 발전촉진요인

    ○ IT산업의 폭넓은 저변과 반도체, 자동차, 조선산업, 이동통신산업 등

    관련 산업의 고성장에 따른 국내 수요기반 확대

    ○ 자동화 기계제품에 대한 수요확대와 고부가가치 제품에 대한 R&D

    투자 확대

  • - 57 -

    ○ 선진국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자동화 설비수요의 증대 및 개발도상

    국의 공업화에 따른 일반기계 및 부품의 수요 증대

    ○ IT 응용기술의 상대적 우위와 생산・제조공정상의 강한 경쟁능력 보유

    ⃞ 연구개발

    ・기초기술분야의 경우 취약한 연구기반, 응용기술면에서는 경쟁국 대비차별화된 기술력 부족, 상품개발기술측면에서는 기업단위의 투자과정

    상 자금규모의 어려움과 관련업체와의 협력관계 구축 미흡 등이 약점

    으로 작용하고 있다.

    ⃞ 생산・제조과정・부가가치사슬상 선진국 대비 가장 높은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는 분야로 우수한 생산인력보유와 기업들의 대량생산체제에 적합한 생산시스템

    등이 강점으로 꼽히고 있으나 초정밀 가공 및 고부가가치 생산과정상의

    열위와 전문업체의 부족, 관련 업체와의 협력관계 구축 미흡 등이 향후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 부품 및 소재

    ・범용부품 및 소재의 경우 선진국에 근접하는 개발능력과 생산능력을보유하고 있으나 핵심부품 및 소재의 해외의존도가 높고 특히 독자적

    인 설계기술 보유가 취약하다는 점이 일반기계산업 발전에 장애가 되

    고 있다.

    ⃞ 마케팅

    ・최근 중국 등 동남아 후발개도국 시장에서 한국 기계업체의 위상이 제고되면서 브랜드 인지도가 많이 상승하고 있으며, 풍부한 IT 기반을 보

    유하고 있다는 점이 강점으로 꼽히고 있으나 세계 주요 선진기업과 비

    교하여 여전히 브랜드 인지도가 떨어지고 있으며, 후발개도국들의 가격

    경쟁 심화에 따라 국제시장에서 국산 기계제품의 가격경쟁력이 급속하

    게 저하되고 있다.

  • - 58 -

    ⃞ 발전장애요인

    ○ 주요 선진국들의 높은 기술경쟁력과 후발개도국들의 가격경쟁력에

    밀리는 상황에 처함으로써 해외시장 개척에 애로

    ○ 세계적인 환경규제에 따라 이에 부합하는 신기술 및 제품개발을 위

    해 필요한 R&D 비용 및 각종 추가적인 비용부담 증가

    ○ 핵심기술과 소재・부품에 대한 높은 해외 의존도 및 이에 따른 자생적 기술력 부족

    ○ 국제적 시장에서 한국산 일반기계제품에 대한 인지도 부족

    ○ 지속적인 양질의 기술인력 확보 애로

    ○ 중소기업 중심의 산업구조로 인한 R&D투자 및 설비투자 부족

    ○ 첨단기술 분야 및 고부가가치 분야에 대한 낮은 국제적 인지도

    ○ 연구개발투자의 높은 위험성과 그 성과에 대한 상용화 경험 부족

    (2) 세계 일반기계산업의 현황과 전망

    ○ 일반기계산업은 각 산업에 생산설비를 공급하는 산업으로서 산업의

    특성상 세계의 경기변동과 밀접한 연관성

    ○ 제조업의 핵심설비로서 경쟁력 강화의 원천이 되기 때문에 자동차

    등 일반소비재와는 달리 제품의 차별화를 통한 세계시장 개척 한계

    - 따라서 기술수준과 제품경쟁력이 높은 미국, 독일, 일본 등 주요

    선진국들이 여전히 세계시장의 45%를 차지

  • - 59 -

    - 일부 중저급 기종을 제외하고 고급기종의 경쟁관계는 이들 3개국

    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스위스, 스웨덴 등이 특수기종부문

    에서 경쟁우위

    ○ 세계 일반기계산업의 기술은 기계기술과 전자기술이 융합된 메카트

    로닉스화가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으며, 정보처리기술이 가미되

    고, 광기술과 생물산업의 발전에 따라 옵토 메카트로닉스, 바이오

    메카트로닉스 등 분야가 다른 타 기술과의 융합화도 계속 확대되는

    추세

    ○ 세계시장에서의 경쟁은 여전히 미국, 일본 및 독일이 주축이 될 것

    으로 예상되며, 전자화의 확산과 함께 신소재의 사용증가에 따라

    일반기계분야의 가공기술도 상당한 변화가 예상

    - 레이저, 전자빔, 이온빔 등을 응용한 새로운 가공기술 개발 활기

    (3) 국내 일반기계산업의 중장기 비전

    ○ 국내 일반기계산업은 2015년경 수출 800억 달러로 세계 7위를 차지

    할 것으로 전망되고, 무역흑자규모는 약 200억 달러를 기록할 것으

    로 예상됨.

    - 기계류 중견기업의 경우 2004년 76개사에서 2015년에는 약 300개

    사로 확대

    - 차세대 생산설비 국산화율 : 2005년 22% 수준에서 2015년에는

    70% 제고

  • - 60 -

    6. 발전전략 및 과제

    (1) 구조적 문제점

    ○ 여전히 중소기업 중심의 생산구조 및 기업규모

    ○ 기계산업분야의 젊은 기술인력 기피

    - 생산현장 기피, 신규채용 억제 등이 기계분야 인력의 고령화를 촉

    진하여 세대간 기술전수가 단절

    ○ 일반기계산업은 제조업의 핵심설비로서 자동차 등 소비재와는 달리

    제품 차별화를 통한 시장개척에 애로

    - 기술 및 품질 경쟁력이 높은 선진국이 비교우위 확보

    ○ 중국 등 후발국의 성장에 따른 중저가 제품의 세계시장구조 재편

    - 중저가제품의 경우 후발국의 산업발전과 국내 임금상승 등의 요인

    으로 장기적으로 경쟁력을 상실할 것으로 전망

    - 반면 후발국의 산업발전은 핵심부품 및 기술에 대한 수요를 증대

    시켜 대응 여하에 따라 산업발전의 기회도 가능

    ○ 유럽, 미국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환경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추세

    로 환경규제가 주요한 무역장벽으로 등장

    (2) 발전전략 및 과제

    1) 발전전략

  • - 61 -

    ○ 기술융합화에의 효율적인 대응 및 메카트로닉스화의 적극적인 추진

    - 세계 일반기계산업의 기술은 기계기술과 전자기술이 융합된 메카

    트로닉스화가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으며, 정보처리기술이 가미

    되고, 광기술과 생물산업의 발전에 따라 옵토 메카트로닉스, 바이

    오 메카트로닉스 등 분야가 다른 타 기술과의 융합화도 계속 확대

    되는 추세

    ○ 일반기계산업은 기술인력이 곧 성장의 관건이므로 고급기술인력의

    육성 및 확보가 매우 중요

    - Hub-R&D 센터 설립을 통해 전국 각지에 분산되어 있는 산․학․

    연의 소규모 연구개발조직을 네트워크화하고 기능인력강화를 위해

    직업훈련 및 재훈련제도 확충

    ○ 일반기계산업의 경쟁력 혁신을 위한 지역진흥사업과의 연계성 강화

    - 일반기계 지역클러스터 구축으로 지역 제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

    한 기반 형성

    ○ FTA 체결 대비 일반기계산업의 대응 방안 수립

    - 동시 다발적 FTA가 국내 일반기계산업에 미칠 영향이 최소화되도

    록 협상에 대처해 나가야 할 것임.

    - 한미 산업ㆍ기술 협력 확대, 기계산업 혁신 인프라 강화, 차별화된

    외국인 투자 유치, 대미 수출확대 및 Post FTA 모니터링 강화 등

    이 필요

    - 일반기계산업의 한미간 교역구조가 대체로 보완관계의 성격을 띠

    고 있으나, 국내시장의 개방 확대는 경쟁력 상실 기업을 시장에서

  • - 62 -

    퇴출시키는 산업구조조정이 불가피한 실정

    - 이러한 산업구조조정은 신기술산업의 등장 못지 않게 산업구조 고

    도화 차원에서 중요한 전략

    ○ 산업용 로봇, NC공작기계 등 첨단기계류 부문의 발전을 토대로 규

    모면에서 세계 7위권 이내 진입

    ○ 기계류 핵심기술개발을 통한 경쟁력강화와 무역흑자기반 구축

    ○ 기계부문의 개방적 R&D체제 구축 및 인터페이스 기술 강화

    ○ IT화의 촉진을 위해 기계류관련 각종 표준화 및 통신인프라의 조기

    구축

    ○ 수요확대가 예상되는 중국의 첨단기계 시장에 적극 참여

    2) 과제 및 역할 분담

    ① 정부의 역할과 대응

    ⃞ 향후의 기술수요를 바탕으로 한 연구개발 역량 집중

    ○ 향후 중점 개발되어야 할 기술분야는 디지털화가 필수적인 생산시

    스템분야를 비롯, 정밀/가공기계, 일반산업기계, 열유체기기, 설계부

    문 등으로 압축

    ○ 나노미터 급의 표면 조도를 실현하는 경면 가공기술, 가공 온라인

    시스템 중요, 이외에 고출력 레이저에 의한 3차원 가공기술, 마이크

    로 로봇, 시각 용접 로봇, 자동검사 로봇, 극한 환경 작업 로봇들의

    개발수요도 클 것으로 전망

  • - 63 -

    ⃞ 일반기계분야는 초고속화, 소형화 및 지능화가 대표적인 기술개

    발 방향이며, 신재료를 이용한 기술도 관심의 대상

    ○ 예를 들어 베어링 등 초고속 소형 부품, 극저마찰 정밀 부품도 기

    술수요가 클 것으로 예상

    ⃞ 한편, 국내 기계산업은 아직도 기술수준이 전반적으로 선진국에

    비해 낮은 수준이기 때문에, 취약기술을 중심으로 선진국과의

    기술협력 강화 필요

    ○ 특히 소프트웨어 분야에 대한 기술제휴 및 협력방안 모색

    - 기술도입과 같은 직접적인 기술제휴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는

    추세임을 감안, 선진국과의 공동연구, 대학이나 연구기관에서의 연

    수, 전문가들의 인적교류 등 간접방식을 확대

    - 중장기적으로는 선진국과의 합작투자, 현지공장의 설립 등 해외직

    접투자가 필요하며, 선진국의 국내투자 활성화도 바람직

    □ 기계부문 투자활성화의 관건이 되는 성장중심의 경제정책 추진

    ○ 기업체를 대상으로 한 최근의 설문조사 결과 기업들은 금융세제 지

    원, 규제완화에 앞서서, 성장 중심의 경제정책 추진을 가장 강력히

    요구

    - 일반기계산업의 제조업 설비의 근간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성장을

    중시하는 정부정책(특히 제조분야 대상)은 투자활성화의 가장 큰

    유인으로 작용

    ○ 물론, 투자관련 금융ㆍ세제 지원과 공장입지 등 규제완화를 지적한 기

    업들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