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도장글씨기와 印刻銘瓦 백제의 암수키와 가운데는 안팎에 도장으로 글자나 기호를 찍어 놓은 도장글씨기와[印刻銘瓦]가 있다. 이 와들에는 1~4글자가 음각 또는 양각으로 찍혀져 있고 도장모양은 네모 또는 둥근 모양이다. 이 도장글씨기와는 평양지역출토품으로 전해지는 고구려 기와에 몇 예가 있으나 삼국 가운데 백제사비시기에 한정되어 집중적으로 제작되었으며 출토지역 또한 부여·익산지역을 중심으로 발견되어 유적의 연대추정·사용처·공급지역 등의 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 이들 글자기와는 정사(丁巳)·을축(乙丑) 등의 간지명(干支名), 갈야성(葛耶城) 등 성의 명칭, 중부을와( 中部 乙瓦) 등의 부명(部名) 또는 기와가 놓일 위치, 대통(大通)과 같은 연호(年號) 또는 절 이름을 나타낸 것 등 양하다. 이 도장글자들은 기와를 만든 사람·사용될 곳·부서명·만든 곳을 표시한 것으로 해석되기도 하며 떤 것은 기호일 가능성이 높다. 글자가 찍힌 수나 내용을 보면, 1) 한 글 자 를 찍 은 것 (또 는 한 글 자 만 확 인 된 것 ) : 갑 (甲 )·을 (乙 )·병 (丙 )·인 (寅 )·신 (申 )·진 (辰 ) ·정 (井)·하(下)·만(卍)·견(犬)·대(大)·모(毛)·부( ? )·미(米)·정(井)·화(和)·사(巳)등 2) 한 자씩 두 글자를 찍은 것(또는 두 글자만 확인되는 것 ) : 사도(巳刀)·사 모(巳毛 )·오조 (午助 )·미신( 申)·신△(申△)·신포(申布)·벌지(伐止)·기유(己酉)·말사(末巳)·사정(巳井)등 3) 두 글자를 한 도장 안 에 새 겨 찍 은 것 : 대통 (大通 )·갑 신(甲申 )·정 사(丁巳 )·을 축 (乙 丑)·을 유 (乙 酉 ) · 을△(乙△)·부하( ? 下)·사륵(斯肋)·사도(巳刀)·사지(巳止)·사모(巳毛)·무지(戊止)·무조(戊助) ·오사 (午斯)·오지(午止)·말사(末斯)·무지(戊助)·신륵 (申肋)·복순(福巡)·수부(首府)·목차(目次 )·본부 [夫(文)]·북 (北 ) 등 4) 네글자 이상 찍은 것 : 상부을와(上? 乙瓦)·중부을와 (中? 乙瓦 )·하부을와(下? 乙 瓦)·전부갑와 (前? 瓦 )·전부을와(前? 乙瓦 )·신부갑와 (神部甲瓦)·비△부불(匕 △? 不 )·우○을와 (右○ 乙 瓦)·상하지와 ( 上下之 瓦)·중하지와 (中下之瓦)·우성갑와 (右城甲瓦 )·임술△△ (壬戌△△ )·갈야성정사와 (葛耶城丁巳瓦) 등 이 다. 이들 글자의 의미에 대해서는, 1) 간지 : 甲·丙·丁·己·丑·巳·午·申 또는 丁巳, 乙丑, 甲申, 己丑 등 두 자가 찍힌 것과 병, 인, 갑, 신, 진 등 한 자만 찍힌 것이 있는데 이를 합해 丙寅이라는 간지로 보기도 한다. 2) 처소명 : ‘ 갈야성정사와’ 같은 성의 명칭[城名]이 찍힌 것, 대통(大通)명과 같이 절 이름 또는 연호가 찍힌 것이 있다. 3) 관부명 : ‘ △부을와’와 같이 부(部 또는 ? )자가 찍혀 있어 백제의 도성을 오부오방(五部五方)으로 나누었 다는 사서의 기록과 연결지어 부명을 찍어 놓은 것으로 추정되는 도장기와 등이 있는데 이 부(部)자와 련된 문자가 찍힌 도장기와는 부여·익산지역에서만 출토되었다.

도장글씨기와 印刻銘瓦 백제의 암수키와 가운데는 안팎에 도장으로 …pds5.egloos.com/pds/200705/13/79/ds-009604-004.pdf · 글귀의 하부(下部)‘는

  • Upload
    others

  • View
    3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도장글씨기와 印刻銘瓦 백제의 암수키와 가운데는 안팎에 도장으로 …pds5.egloos.com/pds/200705/13/79/ds-009604-004.pdf · 글귀의 하부(下部)‘는

도장글씨기와 印刻銘瓦

백제의 암수키와 가운데는 안팎에 도장으로 글자나 기호를 찍어 놓은 도장글씨기와[印刻銘瓦]가 있다. 이 기

와들에는 1~4 글자가 음각 또는 양각으로 찍혀져 있고 도장모양은 네모 또는 둥근 모양이다. 이 도장글씨기와는

평양지역출토품으로 전해지는 고구려 기와에 몇 예가 있으나 삼국 가운데 백제사비시기에 한정되어 집중적으로

제작되었으며 출토지역 또한 부여·익산지역을 중심으로 발견되어 유적의 연대추정·사용처·공급지역 등의 연

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

이들 글자기와는 정사(丁巳)·을축(乙丑) 등의 간지명(干支名), 갈야성(葛耶城) 등 성의 명칭, 중부을와(中部

乙瓦) 등의 부명(部名) 또는 기와가 놓일 위치, 대통(大通)과 같은 연호(年號) 또는 절 이름을 나타낸 것 등 다

양하다. 이 도장글자들은 기와를 만든 사람·사용될 곳·부서명·만든 곳을 표시한 것으로 해석되기도 하며 어

떤 것은 기호일 가능성이 높다.

글자가 찍힌 수나 내용을 보면,

1) 한 글자를 찍은 것(또는 한 글자만 확인된 것) : 갑(甲)·을(乙)·병(丙)·인(寅)·신(申)·진(辰 )·정

(井)·하(下)·만(卍)·견(犬)·대(大)·모(毛)·부(? )·미(米)·정(井)·화(和)·사(巳)등

2) 한 자씩 두 글자를 찍은 것(또는 두 글자만 확인되는 것) : 사도(巳刀)·사모(巳毛)·오조(午助)·미신(未

申)·신△(申△)·신포(申布)·벌지(伐止)·기유(己酉)·말사(末巳)·사정(巳井)등

3) 두 글자를 한 도장 안에 새겨 찍은 것 : 대통(大通)·갑신(甲申)·정사(丁巳)·을축(乙丑)·을유(乙酉)·

을△(乙△)·부하(? 下)·사륵(斯肋)·사도(巳刀)·사지(巳止)·사모(巳毛)·무지(戊止)·무조(戊助)·오사

(午斯)·오지(午止)·말사(末斯)·무지(戊助)·신륵 (申肋)·복순(福巡)·수부(首府)·목차(目次 )·본부 [本

夫(文)]·북 (北 ) 등

4) 네글자 이상 찍은 것 : 상부을와(上? 乙瓦)·중부을와(中? 乙瓦)·하부을와(下? 乙瓦)·전부갑와(前? 甲

瓦)·전부을와(前? 乙瓦)·신부갑와(神部甲瓦)·비△부불(匕△? 不)·우○을와(右○ 乙瓦)·상하지와(上下之

瓦)·중하지와(中下之瓦)·우성갑와(右城甲瓦)·임술△△ (壬戌△△)·갈야성정사와(葛耶城丁巳瓦) 등이 있

다.

이들 글자의 의미에 대해서는,

1) 간지 : 甲·丙·丁·己·丑·巳·午·申 또는 丁巳, 乙丑, 甲申, 己丑 등 두 자가 찍힌 것과 병, 인, 갑, 신,

진 등 한 자만 찍힌 것이 있는데

이를 합해 丙寅이라는 간지로 보기도 한다.

2) 처소명 : ‘갈야성정사와’ 같은 성의 명칭[城名]이 찍힌 것, 대통(大通)명과 같이 절 이름 또는 연호가 찍힌

것이 있다.

3) 관부명 : ‘△부을와’와 같이 부(部 또는 ? )자가 찍혀 있어 백제의 도성을 오부오방(五部五方)으로 나누었

다는 사서의 기록과 연결지어 부명을 찍어 놓은 것으로 추정되는 도장기와 등이 있는데 이 부(部)자와 관

련된 문자가 찍힌 도장기와는 부여·익산지역에서만 출토되었다.

Page 2: 도장글씨기와 印刻銘瓦 백제의 암수키와 가운데는 안팎에 도장으로 …pds5.egloos.com/pds/200705/13/79/ds-009604-004.pdf · 글귀의 하부(下部)‘는

88. ‘부’ 새김수기와 ‘部’銘印刻瓦片 백제 부여 부소산성 길이(下右), 24.1cm 국립부여박물관

Roof Tile with inscription L(BR). 24.1cm

87. ‘갈야성정사’와 새김기와

‘葛耶城丁巳瓦’銘印刻瓦

백제 부여 쌍북리 길이 20.1cm

Roof Tile with inscription L. 20.1cm

Page 3: 도장글씨기와 印刻銘瓦 백제의 암수키와 가운데는 안팎에 도장으로 …pds5.egloos.com/pds/200705/13/79/ds-009604-004.pdf · 글귀의 하부(下部)‘는

백제의 부제도 百濟 部制度

부(部)란 도성 또는 나라전체를 몇 개의 구역으로 나눈 행정구역의 이름으로 백제는 상(上)·중(中)·

하(下)·전(前)·후부(後部)로 구성되는 오부제(五部制)를 실시했다.

백제의 부(部)는 초기의 경우 연맹체를 이루는 하나의 단위였으며, 웅진천도 후에는 도성내 귀족집단

주거지역의 편제단위로 바뀌어졌다.

사비로 도읍을 옮긴 뒤에는 도성 및 지방행정구역인 오방(五方)의 기능을 대신하기도 한다. 즉 중앙 및

지방의 행정구역으로 볼 수 있다. 문헌기록에 따르면 사비도성은 5부로 나누고 다시 부를 오항(五巷)으로

나누었는데, 동남리발견의 전부명표석(前部銘標石)과 상부전부천자차이△△△△(上? 前? 川自此而△△△

△), 궁남지출토 서부후항(西? 後巷)명 목간 등은 이러한 기록과 일치되는 내용이다.

한편 부여·익산지역에서 발견되는 여러 가지 부명(部名)이 찍힌 도장글씨기와를 백제 도성내의 오부제

와 관련된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Page 4: 도장글씨기와 印刻銘瓦 백제의 암수키와 가운데는 안팎에 도장으로 …pds5.egloos.com/pds/200705/13/79/ds-009604-004.pdf · 글귀의 하부(下部)‘는

90. ‘사지’ㆍ’사조’ㆍ’사도’ㆍ’사모’새김기와 ‘巳止’ㆍ’巳助’ㆍ’巳刀’ㆍ’巳毛’ 銘印刻瓦

백제 부여 부소산성 길이(右下), 24.1cm 국립부여박물관ㆍ국립전주박물관 Tile with inscription L(BR). 24.1cm

91. ‘오사’ㆍ’오지’ㆍ’과지’ㆍ’신사’ㆍ’말사’ㆍ’신포’새김기와 ‘午斯’ㆍ’午止’ㆍ’戈止’ㆍ’申斯’ㆍ’末斯’ㆍ’申布’銘印刻瓦

백제 부여 부소산성 길이18.4cm(右下), 국립부여박물관ㆍ국립전주박물관ㆍ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Roof Tile with inscription L(BR). 18.4cm

Page 5: 도장글씨기와 印刻銘瓦 백제의 암수키와 가운데는 안팎에 도장으로 …pds5.egloos.com/pds/200705/13/79/ds-009604-004.pdf · 글귀의 하부(下部)‘는

92. ‘대’ㆍ’견?’ㆍ’만’ㆍ’을부’ 새김기와 ‘大’ㆍ’犬?’ㆍ’卍’ㆍ’乙? ’銘印刻瓦

백제 부여 부소산성 관북리등 길이(右下)17.0cm, 국립부여박물관

Roof Tile with inscription L(BR). 17.0cm

93. ‘복순’새김기와 ‘福巡’銘印刻瓦片

백제 부여 부소산성 길이 15.1cm

국립부여박물관

Tile with inscription L. 15.1cm

94. ‘도하’ㆍ’본문’ㆍ’목차’ 새김기와

‘刀下’ㆍ’本文’ㆍ目次’銘瓦片

백제 부여 부소산성ㆍ익산 왕궁리

길이(下)16.4cm

국립부여박물관ㆍ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Roof Tile with inscription L(B). 16.4cm

Page 6: 도장글씨기와 印刻銘瓦 백제의 암수키와 가운데는 안팎에 도장으로 …pds5.egloos.com/pds/200705/13/79/ds-009604-004.pdf · 글귀의 하부(下部)‘는

95. ‘병’ㆍ’인’ㆍ’기축’ 새김기와 ‘丙’ㆍ’寅’ㆍ’己丑’銘瓦

백제 부여 익산지역 길이16.6cm

국립부여박물관ㆍ국립전주박물관

Roof Tile with inscription L(R). 16.6cm

Page 7: 도장글씨기와 印刻銘瓦 백제의 암수키와 가운데는 안팎에 도장으로 …pds5.egloos.com/pds/200705/13/79/ds-009604-004.pdf · 글귀의 하부(下部)‘는

96. ‘팔육’새김기와 ‘八六’銘瓦

백제 부여 부소산성

길이10.2cm 국립부여박물관

Roof Tile with inscription L. 10.2cm

97. ‘이백팔’새김기와 ‘二百八’銘瓦

백제 부여 정암리가마터

길이 37.2cm 국립부여박물관

Roof Tile with inscription L. 37.2cm

98. ‘삼백’새김기와 ‘三百’銘瓦

백제 익산 왕궁터

길이 12.5cm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Roof Tile with inscription L. 12.5cm

99. ‘십’·’정’새김기와 ‘十’·’丁’銘瓦

백제 보령 성주사터

길이 31.7cm(左) 충남대학교박물관

Roof Tile with inscription L(L). 31.7cm

Page 8: 도장글씨기와 印刻銘瓦 백제의 암수키와 가운데는 안팎에 도장으로 …pds5.egloos.com/pds/200705/13/79/ds-009604-004.pdf · 글귀의 하부(下部)‘는

100. ‘..찰..’새김기와 ‘..紮..’銘瓦

백제 부여 부소산성

길이 6.7cm 국립부여박물관

Roof Tile with inscription L. 6.7cm

101. ‘하필여이’새김기와 ‘何疋如伊’銘瓦片

백제 부여 왕궁리 길이 17.2cm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Roof Tile with inscription L. 17.2cm

102. ‘풍도사전’새김기와 ‘風道使前’銘瓦片

백제 익산 왕궁리 길이 24.2cm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Roof Tile with inscription L. 24.2cm

Page 9: 도장글씨기와 印刻銘瓦 백제의 암수키와 가운데는 안팎에 도장으로 …pds5.egloos.com/pds/200705/13/79/ds-009604-004.pdf · 글귀의 하부(下部)‘는

가야의 문자생활 加耶 文字生活

가야는 변한(弁韓)을 기반으로 하여 성장한 정치집단으로 때에 따라 5가야, 6가야 혹은 가야7국,

포상(浦上)8국, 임나(任那)10국 등 연맹체를 이루었지만 하나의 통일된 집권국가를 이루지 못하였

다. 초기에는 김해의 금관가야를 중심으로 외국과의 교역을 통하여 강력한 국가로 발전해 갔으나

후기에는 고령의 대가야를 중심으로 발전하다가 562년에 신라에게 병합되어 잊혀진 왕국이 되었

다.

창원 다호리유적에서 발견된 북과 삭도, 남해안의 여러 유적에서 발견되는 중국계문자유물, 변한

의 철을 통한 활발한 대외교섭으로 볼 때 변한인의 후예인 가야인들이 일찍부터 문자를 접할 기

회가 많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삼국유사』가락국기(『三國遺事)駕洛國記)에 전하는 내용으

로 본다면 가야인들의 문자 인식도가 높았을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가야인들의 문자생활상이나 문자 또는 기호가 있는 유물은 가야의 역사만큼이나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가야의 대표적인 문자유물로는 대왕(大王)새김단지와 함천 저포리고분 출토의 ‘下部思利利’새

김단지 및 창녕 교동11호출토의 ‘上部先人 貴△刀(?)’새김 환두대도 등이 있다.

Page 10: 도장글씨기와 印刻銘瓦 백제의 암수키와 가운데는 안팎에 도장으로 …pds5.egloos.com/pds/200705/13/79/ds-009604-004.pdf · 글귀의 하부(下部)‘는

금입사글씨원두대도 金入絲圓頭大刀

1919년에 발굴되었으며 ‘乙亥年△汗率△’ 알려져 왔으나 이후 보존처리과정에서 X-선 촬영

을 통하여 ‘상부선인 귀△도(上部先人 貴△刀)’로 재판독되었다. 그러나 ‘上’자가 희미하여 잘

확인되지 않으며, ‘部’자도 우부방[? ]이 탈락되어 있다. 판독문의 상부(上部)는 고구려와 백제

의 부명(部名)에 보이며, 선인(先人) 또는 서인(庶人)이라고도 하는 하위직의 괸등명이다. 이 칼은

일반적으로 상부 출신의 선인이라는 관들을 지닌 기술자가 만든 칼로 해석되고 있으나 제작집

단의 성격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문제를 갖고 있기 때문에 상부에 사는 옛사람의 귀한 칼이라

고 해석하기도 한다.

한편 출토지를 모르지만 가야의 것으로 전해지는 일본 동경국립박물고나 소장 글자새김용무늬

고리칼[銘文龍文環頭大刀]에도 '이 칼이 있으면 두렵지 않다(?). 부귀가 높이 쌓이고(?) 재물

이 많아지기를(口畏也□令此刀(?) □□富貴高遷財物多也)‘라는 글귀가 있다.

Page 11: 도장글씨기와 印刻銘瓦 백제의 암수키와 가운데는 안팎에 도장으로 …pds5.egloos.com/pds/200705/13/79/ds-009604-004.pdf · 글귀의 하부(下部)‘는

‘大王’새김단지 大王銘有蓋長頸壺

대왕새김토기는 합천에서 발견된 것으로 전해지며 대가야 양식의 토기이다. 대왕(大王)이란 글귀가 뚜

껑과 단지 몸통에 각각 새겨져 있다. 이 글귀는 가야의 정치집단 수장의 칭호 및 가야 정치체의 성격과 관

련시킬 수 있는 문자자료이다. 즉 『日本書記』에 가야소국의 수장을 한기(旱岐)라 한 점과 연결지어 소국

(小國)보다 상위에 있는 정치집단의 수장에 대한 칭호로 본다면 대가야의 지배구조와 지배체재 및 대가야

지배세력에 대한 칭호 등에 대한 과제를 제시하는 자료로서 중요하다.

Page 12: 도장글씨기와 印刻銘瓦 백제의 암수키와 가운데는 안팎에 도장으로 …pds5.egloos.com/pds/200705/13/79/ds-009604-004.pdf · 글귀의 하부(下部)‘는

‘하부사리리’ 새김토기 下部思利利銘土器

이 토기는 무덤의 봉토에서 발견된 의례용(儀禮用) 토기로서 아가리에 끝이 날카로운 도구로 행서풍(行

書風)에 가까운 서체로 ‘下部思利利’라는 다섯 글자를 새겨 넣었다. 글귀의 하부(下部)‘는 정치조직, 사리

리(思利利)는 사람이름으로 해석되어 부명(部名)+인명(人名)만을 표기한 예이다.

이 토기의 글귀는 부(部)에 대한 논의 등 가야의 정치발전단계 및 신라·백제와의 관계를 포함한 고대

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다루어지고 있다.

106. ‘하부사리리’새김토기 ‘下部思利利’銘土器

가야 6세기 합천 저포리 높이 22.0cm 부산대학교박물관

Pottery with inscription H. 22.0cm

Page 13: 도장글씨기와 印刻銘瓦 백제의 암수키와 가운데는 안팎에 도장으로 …pds5.egloos.com/pds/200705/13/79/ds-009604-004.pdf · 글귀의 하부(下部)‘는

107. ‘팔’새김뚜껑접시·합 ‘八‘銘蓋杯·盒

가야 합천 봉계리·맥카르트기증품

높이(右) 12.5cm 국립김해박물관· 국립대구박물관

Pottery with inscription H(R). 12.5cm

108. ‘x’기호굽다리접시·손잡이잔

‘x’記號高杯·杷杯

가야 고령 박곡리등 높이12.7cm(右)

계명대학교박물관· 국립김해박물관

Potteries with inscription H(R). 12.7cm

도판 107의 오른쪽 바닥

Bottom of plate No.107

Page 14: 도장글씨기와 印刻銘瓦 백제의 암수키와 가운데는 안팎에 도장으로 …pds5.egloos.com/pds/200705/13/79/ds-009604-004.pdf · 글귀의 하부(下部)‘는

109. ‘M’·’x’기호단지 ‘M’·’x’記號長頸壺 가야 맥타카트기증품

높이 26cm 국립대구박물관

Potteries with inscription H(R). 26cm

110. ’x’기호받침모루 ’x’記號拍子

가야 미상 길이 9.2cm 국립김해박물관

Anvil with inscription L. 9.2cm

111. ’이십’새김병 ’? ’銘甁

가야 맥타카트기증품 높이 9.4cm 국립대구박물관

Botle with inscription H. 9.4cm

Page 15: 도장글씨기와 印刻銘瓦 백제의 암수키와 가운데는 안팎에 도장으로 …pds5.egloos.com/pds/200705/13/79/ds-009604-004.pdf · 글귀의 하부(下部)‘는

신라의 문자생활 新羅 文字生活

신라는 낙동강 동쪽의 여러지역에 있던 진한 12국중의 하나인 사로국(斯盧國)이 주변의 작은 나라

를 정복하여 왕권국가로 발전한 나라이다. 신라는 고구려·백제에 비하여 선진문물의 수용이 더디었

으며 문자와 기호유물도 고구려·백제보다 시기적으로 늦게 나타나고 있다. 신라의 문자생활에 대하

여 양서(梁書) 신라조에는 ‘문자가 없어 나무에 금을 새겨 신표로 삼는다(無文字 刻木爲信)’고 기록

하였다.

그러나 5 ~ 6세기대의 돌무지덧널무덤에서 발견된 고구려의 호우와 서봉총은합·관식·초두·동

합·칠기·마탁(馬鐸) 등의 금속공예품에 새겨진 문자가 있어 5세기부터는 문자사용이 점차 확산되었

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후 6세기 초반의 영일 냉수리비(503년)·울진 봉평비(524년)·영천 청제비(536

년)등의 비석과 신라 대아찬(大阿? ) 거칠부(居漆夫)가 널리 문사(文士)를 모아 국사를 편찬하였다

는 기록이 있어 식자층(識者層)에 한정되었겠지만 한문에 대한 해독력이 상당히 높았을 것으로 생각

된다.

한편, 6세기 중엽 이후 굴식돌방무덤의 확산과 더불어 문자나 기호가 새겨진 토기가 증가하는데 주

로 인명·관명이나 토기공급지·제작자 또는 어떤 특수목적에 의한 부호 등이 새겨지며 목간도 등장

한다. 이 시기 이후에는 경주 이외 지역에서 문자·기호토기 등이 증가하며 이는 당시 지방에서도 문

자를 사용하는 계층이 늘어나고 문자해독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알려준다.

신라의 서체는 대부분 해서체(楷書體)로 고졸하며, 한문 문장에 이두문자(吏讀文字)를 많이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진흥왕대의 영토확장에 다른 북한산·황초령·마운령에 세운 순수비에 이르면

석비 형식의 발전과 함께 문장의 형식이 전형적인 한문투로 바뀌어갔으며 통일신라기로 가면서 보다

세련된 서체로 변해갔다.

Page 16: 도장글씨기와 印刻銘瓦 백제의 암수키와 가운데는 안팎에 도장으로 …pds5.egloos.com/pds/200705/13/79/ds-009604-004.pdf · 글귀의 하부(下部)‘는

112. ‘부인대’새김허리띠장식 ‘夫人帶’ 銘? 帶金具

신라 경주 황남대총남분

길이 12.3cm 국립중앙박물관

Silver Belt Ornament with inscription L. 12.3cm

113. ‘의우양대부귀’새김동탁 ‘宜牛羊大富貴’銘銅鐸

신라 경주 황오리17호분

길이 13.7cm 국립경주박물관

Bronze Bell with inscription L. 13.7cm

Page 17: 도장글씨기와 印刻銘瓦 백제의 암수키와 가운데는 안팎에 도장으로 …pds5.egloos.com/pds/200705/13/79/ds-009604-004.pdf · 글귀의 하부(下部)‘는

문자새김합 銘文銅盒

신라의 돌무지덧널무덤에서는 화려한 금속공예품과 함께 청동용기류가 발견되고

있다. 용기의 바닥에 조(弔)자 또는 대부(大富)자가 새겨진 용기들은 무덤의 부장품

으로 사용된 것으로서 그 글자 뜻 그대로 피장자의 죽음을 애도하거나 다른 세상에

서의 기복을 가원하는 길상구로 보인다.

Page 18: 도장글씨기와 印刻銘瓦 백제의 암수키와 가운데는 안팎에 도장으로 …pds5.egloos.com/pds/200705/13/79/ds-009604-004.pdf · 글귀의 하부(下部)‘는

‘고덕흥장’새긴청동초두 ‘高德興? ’ 銘靑銅? 斗

이 초두에 새겨진 글귀는 덕(德)이 높아지고(高) 모든 것이 잘되

라[興]는 길상구(吉祥句)로 보거나, 인명으로 보기도 한다. 초두는

약·술·음식 등을 끓이거나 데우는데 사용하는 용기로서 원래는

다리가 있는 것만을 초두라 하였다. 중국 한 대부터 사용되기 시작하

여 위진남북조시대에 널리 사용되었다. 우리 나라에서도 삼국시대

이래 사용되었다.

Page 19: 도장글씨기와 印刻銘瓦 백제의 암수키와 가운데는 안팎에 도장으로 …pds5.egloos.com/pds/200705/13/79/ds-009604-004.pdf · 글귀의 하부(下部)‘는

함안 성산산성 목간 咸安 城山山城 木簡

함안산성의 저수지에서 발견된 목간들로 국내에서 발견된 목간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이다. 목간 27점

가운데 24점에서 맨눈 또는 적외선사진 판독으로 200여 자의 붓글씨[墨書銘]를 확인하였다. 글자는 내용도

일정한 정형을 갖추고 있어 신라사 연구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목간에는 벌(伐)·성(城)·촌(村)의 이

름이 많이 등장하고 경북지역의 감문(甘文, 지금의 김천)·본피(本皮, 지금의 성주)·하기(下幾 지금의 풍

산)·급벌(及伐, 영풍 순흥면) 등의 지명이 등장하여 함안산성을 쌓는데 이들 지역민이 동원되었을 것으로

추정하는 견해도 있다 .

또 신라중기의 금석문에 나오는 행정지명이 거의 성촌으로 나타나는데 견주어 벌(伐)의 비중이 높은 것

도 특징적이다. 그리고 목간에 나타난 관등명(官等名) 가운데는 일벌(一伐)이라는 새로운 외이(外伊) 및

이미 바뀐 上干(支), 干(支)과 같은 외위 표기방식과 패일(稗(裨)一), 패석(稗(裨)石)과 같은 외위의 이칭

표기를 사용하였다는 점에서 지방민에 의해 작성된 목간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목간 작성 시기는 외위 표

기방식으로 보아 560년으로 추정된다. 당시 지역민에 의한 문자사용과 지역문화의 수준을 어느 정도 반영

하는 것으로 보인다.

116. 목간 木簡 신라 6세기 함안 성산산성 길이(右) 23.6cm 국립김해박물관

Wooden Strips L(R). 23.6cm

Page 20: 도장글씨기와 印刻銘瓦 백제의 암수키와 가운데는 안팎에 도장으로 …pds5.egloos.com/pds/200705/13/79/ds-009604-004.pdf · 글귀의 하부(下部)‘는

屈굴

仇구

村촌

完완

稗패

石석

仇구

仍잉

支지

稗패

姜강

(利)이

陳진

城성

巴파

兮혜

支지

存존

仇구

伐벌

干간

好호

村촌

卑비

部부

稗패

石석

竹죽

尸시

乎호

干간

支지

稗패

一일

仇구

利리

伐벌

德덕

知지

一일

伐벌

奴노

人인

王왕

松송

鳥조

多다

伊이

伐벌

支지

支지

仇구

利리

伐벌

仇구

? 타

? 이

一일

伐벌

利이

仇구

利리

伐벌

上상

? 삼

者자

村촌

乞걸

利리

仇구

利리

伐벌

上상

? 삼

者자

村촌

波파

婁루

1뒤 2 3 4 5 6뒤 7뒤 8 9 10뒤

도판 116의 뒷면

Back of plate No. 116

Page 21: 도장글씨기와 印刻銘瓦 백제의 암수키와 가운데는 안팎에 도장으로 …pds5.egloos.com/pds/200705/13/79/ds-009604-004.pdf · 글귀의 하부(下部)‘는

117. ‘천‘새김토기 ‘千’銘土器

신라 김해 예안리

길이 13.0cm 부산대학교박물관

Pottery with inscription L. 13.0cm

118. ‘정물‘새김토기병 ‘井勿’銘土器甁 신라 김해 예안리 높이 16.8cm 부산대학교박물관

Bottle with inscription H. 16.8cm

119. ‘오수전‘허리띠장식 ‘五銖錢’? 帶裝飾 신라 김해 예안리 길이(右) 3.8cm 국립김해박물관

Bronze Belt Ornament with inscription L(R). 3.8cm

120. ‘처랑‘새김허리띠장식 ‘處郞’銘靑銅? 帶裝飾 신라 안동 임하동 길이(右) 4.3cm 안동대학교박물관

Bronze Belt Ornament with inscription L(R). 4.3cm

Page 22: 도장글씨기와 印刻銘瓦 백제의 암수키와 가운데는 안팎에 도장으로 …pds5.egloos.com/pds/200705/13/79/ds-009604-004.pdf · 글귀의 하부(下部)‘는

121. ‘ox‘새김굽다리접시 ‘ox‘ 記號高杯 신라 상주 청리 높이(右) 11.6cm 국립대구박물관

Mounted Dishes with inscription H(R). 11.6cm

122. ‘x‘새김굽다리접시 ‘x‘ 記號高杯 신라 상주 청리· 경산 임당동 높이(右) 9.3cm 국립대구박물관

Mounted Dishes with inscription H(R). 9.3cm

Page 23: 도장글씨기와 印刻銘瓦 백제의 암수키와 가운데는 안팎에 도장으로 …pds5.egloos.com/pds/200705/13/79/ds-009604-004.pdf · 글귀의 하부(下部)‘는

123. ‘대‘새김유개고배·합 ‘大‘銘有蓋高杯·盒

신라 경주 손곡동 높이(右) 19.3cm

한국문화재보호재단

Potteries with inscription H(R). 19.3cm

125. ‘천‘·’생’새김토기 ‘川‘·’生’銘土器 신라 월성 높이(右) 9.0cm 국립경주박물관

Potteries with inscription H(R). 9.0cm

124. 기호새김방추차 記號紡錘車

신라 경주 손곡동 지름4.3cm

한국문화재보호재단

Spindle-Whorl with inscription

R. 4.3cm

Page 24: 도장글씨기와 印刻銘瓦 백제의 암수키와 가운데는 안팎에 도장으로 …pds5.egloos.com/pds/200705/13/79/ds-009604-004.pdf · 글귀의 하부(下部)‘는
Page 25: 도장글씨기와 印刻銘瓦 백제의 암수키와 가운데는 안팎에 도장으로 …pds5.egloos.com/pds/200705/13/79/ds-009604-004.pdf · 글귀의 하부(下部)‘는

128. ‘삼십‘새김 굽다리접시‘ ‘銘高杯

신라 김해 예안리

높이 7.1cm 부산대학교박물관

Mounted Dish with inscription H. 7.1cm

127. ‘대간‘새김 굽다리접시 ‘大干‘銘高杯 신라 창녕 계성 높이(左) 11.3cm 부산대학교박물관

Mounted Dishes with inscription H(L). 11.3cm

Page 26: 도장글씨기와 印刻銘瓦 백제의 암수키와 가운데는 안팎에 도장으로 …pds5.egloos.com/pds/200705/13/79/ds-009604-004.pdf · 글귀의 하부(下部)‘는

대간새김토기 大干銘土器

대간(大干)새김토기는 창녕의 계성지역에서만 발견되었으며

주로 굽다리접시의 접시몸통이나 뚜껑에 새겨져 있고, 드물게

병과 완의 몸통에 새겨진 것도 있다. 대부분이 새김글자이나 완

에 찍은 글자도 있어 주목된다. 이 대간에 대하여는 561년 이후

의 신라 관등의 한 예로 보기도 하지만 계성지역에서만 발견되

며 더욱이 대간새김토기가 출토된 무덤이 그 지역의 수장급에

해당하는 사람의 무덤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그보다는 작은 무

덤에 속한다는 점은 문제로 남는다. 그리고 일부 토기에 나타난

글자는 대간으로 보기 어렵고 실제 신(辛)자로 밖에 볼 수 없는

글자들도 있다.

Page 27: 도장글씨기와 印刻銘瓦 백제의 암수키와 가운데는 안팎에 도장으로 …pds5.egloos.com/pds/200705/13/79/ds-009604-004.pdf · 글귀의 하부(下部)‘는

130. ‘x‘새김바리·‘x‘새김굽다리접시 ‘x‘記號鉢·‘x‘記號高杯 신라

맥타카트 기증품 높이(右) 11.7cm 국립대구박물관

Potteries with sign H(R). 11.7cm

131. ‘정‘새김굽다리접시 ‘井‘銘高杯

신라 고령 지산동 높이7.0cm 영남문화재연구원

Mounted Dish with sign H. 7.0cm

132. ‘부‘새김굽다리접시 ‘夫‘記銘高杯

신라 상주 청리 높이 6.0cm 국립대구박물관

Mounted Dish with inscription H. 6.0cm

133. ‘정‘새김토기 ‘井‘銘土器

신라 진주 수정봉 높이 5.5cm 국립김해박물관

Bowl with inscription H. 5.5cm

Page 28: 도장글씨기와 印刻銘瓦 백제의 암수키와 가운데는 안팎에 도장으로 …pds5.egloos.com/pds/200705/13/79/ds-009604-004.pdf · 글귀의 하부(下部)‘는

134. ‘석?‘·‘이십‘새김토기 ‘石?‘·‘? ‘銘土器 신라 청원 미천리 높이(左) 12.0㎝ 국립청주박물관

Potteries with sign H(L). 12.0cm

135. 기호새김토기 記號土器

신라 충주 루암리 높이(中) 21.4㎝ 국립청주박물관

Potteries with sign H(M). 21.4cm

Page 29: 도장글씨기와 印刻銘瓦 백제의 암수키와 가운데는 안팎에 도장으로 …pds5.egloos.com/pds/200705/13/79/ds-009604-004.pdf · 글귀의 하부(下部)‘는

136. 기호새김토기 記號長頸壺 신라 충주 루암리 높이 28.5㎝ 국립청주박물관

Jar with sign H. 28.5cm

137. 기호새김토기 記號土器 신라 충주 탕평리 입지름(右) 12.0㎝ 국립청주박물관

Bar with sign H(R). 12.0cm

Page 30: 도장글씨기와 印刻銘瓦 백제의 암수키와 가운데는 안팎에 도장으로 …pds5.egloos.com/pds/200705/13/79/ds-009604-004.pdf · 글귀의 하부(下部)‘는

138. 순흥읍내리벽화의 먹글씨 順興邑內里壁畵 墨畵銘 신라 순흥 읍내리 국립문화재연구소

Inscription of Mural Painting

순흥읍내리벽화모사도 세부 順興邑內里壁畵模寫圖 細部

Detail of plate No. 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