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한국어어휘의특성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BUFS/BaeDoyong/03.pdf4....

Preview:

Citation preview

4. 한국어 어휘의 특성

가. 한국어 어휘의 체계적 특성을 이해한다.나. 한국어 어휘의 구조적 특성을 이해한다.다. 한국어 어휘의 의미적 특성을 이해한다.라. 한국어 어휘의 사회적 특성을 이해한다.

가. 기원/어종에 따른 한국어 어휘의 분류

고유어

차용어 한자어(분포, 빈도)

외래어

나. 어휘는 어떤 형식으로 존재하는가?

단어; 관용어/구/표현, 속담; 연어

4.1 체계적 특성

1) 고유어

(1) 고유어와 한자어의 비교

가. 수효: 한자어보다 적다(3:1)

나. 전체 빈도: 한자어보다 중요도가 떨어짐

다. 구어 빈도: 한자어보다 비중이 더 큼

(2) 고유어의 특징-자모 교체를 통해 어감이나 의미에 변화를 줌

가. 상징어(의성어, 의태어), 색채어, 미각어 등

4.1.1 단어 형식 어휘의 체계

나. 소곤소곤; 수군수군; 소곤수군; 수군소곤

오물오물; 우물우물; 오몰오몰; 우몰우몰

보드득; 뽀드득; 포드득

바삭바삭; 빠삭빠삭; 파삭파삭

종알종알; 쫑알쫑알; 총알총알

시꺼멓다; 시커멓다; 시거멓다

다. 미각어-자모교체로인한어감/의미차이

<접미사에의한의미차이

새콤하다; 시큼하다

달+콤+하다, 달+짝지근+하다

2) 외래어: 외국에서 들어온 말로 국어처럼 쓰이는 단어(버스, 컴퓨터, 피아노 따위)

가. 들온말, 전래어, 차용어

외국어(일시적)

기간/빈도외래어

(안정적)

나. 귀화어:

외래어 가운데 오래되어 외국어의 특징을

거의 잃어버리고 고유어와 다름없이 인식

되는 경우.(사전에 등재??)

[보기]

붓, 먹, 배추, 김치

담배(<일>tabako,<에>tabacco, <포>tabaco), 구두

빵(<포>pão), 고무(<프> gomme)

다. 외국어단어나어근을이용해만든외래어

-고스톱, 오토바이, 백미러, 애프터서비스,

핸드폰, 샐러리맨, 골인 등

라. 외래어의 특성

-원래 특징 상실, 새 언어체계에 동화:

음운적/형태적/의미적 측면

-어형(발음/표기)이 불완전한 경우가 많음

[귀띔]

1. 외래어표기규정시먼저결정되어야할문제

가. 당시에 쓰이고 있는 문자만으로 한정할것인지, 또는 새로운 부호를 사용할 것인지?

fry[frai] : 후라이, 프라이 ?????

cake[keik]: 케잌, 케이크 ????

나. 문자 대 문자의 대응 표기를 할 것인지, 소리를 중심으로 표기할 것인지(표음주의)?

book[buk]: 붘, 부크, 북 ????

다. 원음주의 표기 여부는?

Egipt: 이집트(영어), 埃及(중국어)

라. 관용적으로 표기되어 오는 것은?

cut : 커트, 컷, 컽 ???

東京 : 토쿄, 토오쿄오, 도쿄, 동경 ????

2. 외래어 표기법(1986)

제 1장 : 표기의 원칙

제1항 외래어는국어의현용24 자모만으로적는다.

제2항 외래어의 1 음운은 원칙적으로 1 기호로 적는다.

제3항 받침에는'ㄱ,ㄴ,ㄹ,ㅁ,ㅂ,ㅅ,ㅇ' 만을쓴다.

제4항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ㅃ,ㄸ,ㄲ)를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ㅆ,ㅉ 인정. ㅂ:ㅍ, ㄷ:ㅌ, ㄱ:ㅋ

2원 체계로 표기)

제5항 이미 굳어진 외래어는 관용을 존중하되, 그 범위와 용례는 따로 정한다.

3) 한자어(1) 고유어와 한자어의 비교가. 수효: 고유어보다 많다(3:1)나. 전체 빈도: 고유어보다 중요도가 높다다. 단어 생산성: 고유어보다 높다(2) 한자어 결합 구조가. 단일어: 강, 창, 문, 시, 인; 즉; 산호, 독일나. 합성어: 결-혼, 학-교, 화-려(비자립); 시-인, 창-문(자립)다. 파생어: 대-폭발, 소-규모; 사업-가, 물리-적

어근-하(다): 강-하다(형), 망-하다(동)명료/복잡/화려(비자/어근)-하다(접)=>(형)단순/건강/정직(자/명)-하다(접)=>(형)성실/공부/도착(자/명)-하다(동)

(3) 한자어의 의미구조

가. 주술구성: 국립, 일출, 야심, 인조

나. 병렬구성: 강산, 부모, 상하, 토지

다. 목술구성: 등산, 개학, 애국, 피난

라. 한정구성: 고산, 보약, 애인, 장기

(4) 한자어-고유어 동의중복 현상

가. 초가-집, 역전-앞, 면도-칼; 새-신랑,

손-수건; 담-장, 애-간장

나. 유언을 남기다, 넓은 광장,

서로 상의하다

(5) 한자어-고유어 의미 분화 현상

가. 국수: 면, 쇠: 금, 수레: 차

(6) 한국어교육에서의 한자어 이용

가. 한자의 뜻을 알게 되면 오히려 혼란을 겪을 수 있다?

나. 고빈도 한자어는 한국어 교재에서 추출하면 된다?

다. 비한자권 학습자를 위해서 기초 한자, 조어력이 높은 한자를 선정하여야 한다?

라. 사자성어를 언제, 어떻게 익혀야 하나?

고진감래/난형난제/불문가지/사필귀정-이다

동문서답/노심초사/무위도식/환골탈태-하다

1) 관용구

가. 관용구:

두 개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그단어들의 의미만으로는 전체의 의미를 알 수없는, 특수한 의미를 나타내는 어구.

≒관용어, 성어, 숙어, 익은말, 익은이은말.

[보기]발이 넓다: 사교적이어서 아는 사람이 많다.

4.1.2 확장 형식 어휘의 체계

나. 구성 형식에 따른 관용구 분류

가) 체언형/용언형/부사형 관용구

나) 관용구의 통사적 환경 고려

-(목적어+동사)

(N이) 감투를 쓰다

(N을) 비행기를 태우다,

(N에게) 돌을 던지다

다. 관용구의 특성

미역국을먹다, 물을먹다, 어처구니가없다

가) 비합성적이다: a+b=c

나) 중의적이다: 축자적의미+관용적의미

다) 의미의 불투명성을 지닌다:

라. 관용구의 의미 관계

가) 발을빼다/손을떼다, 숟가락을놓다/눈을감다

나) 손을대다/떼다, 입이무겁다/가볍다

*쪽박을차다=?깡통[←can+통(筒)]을차다

마. 관용구는 통사적 변형도 가능하다

ㄱ. 폭우로 여행객이 발이 묶이{-었-겠-}다.

ㄴ. 폭우로 여행객이 발이 묶였{-니?-구나.}

ㄷ. 아이들이 기가 죽었나 보다.(주동)

ㄹ. 아이들 기를 죽이지 마라.(사동)

2) 속담

가. 속담은 예로부터 민간에 전하여 오는 쉬운 격언이나 잠언. ≒언속(言俗).나. 속담의 특성

가) 구조적-운율적/통사적 조화를 이룬다.

가는 날이 장날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

나) 의미적-대조성/점층성의 의미 구조

다) 교화적/풍자적-진리 가르쳐 깨닫게 함

다.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속담은 가르치기가쉽지 않다. 그럼 어떻게 해요?

가) 고난도이거나 현재 잘 쓰지 않는 어휘가포함된 속담이 많다?

나) 고어 투 문법 혹은 문어적 문법이 사용된것이 많다?

다) 의미적으로 모호하거나 의미 조합이 어려운 것이 많다?

라) 외국인에게 생소한 문화를 배경으로 한속담이 많다?

3) 연어

가. 연어는 두 개 이상의 단어가 결합하여 의미적으로 하나의 단위를 이루는 말. ≒이은말.

나. 특성-문법과 어휘의 중간 지대에 위치

다. 연어-어휘 특성에 의존

라. 구조: 연어핵+연어변(하나 혹은 다수)

눈을 감다=연어핵( )+연어변( )

개가 짖다= 연어핵( )+연어변( )

결론을 짓다/내리다/맺다,

결정을 짓다/내리다/하다, 결심을 하다

마. 분류: 어휘적/문법적 연어

개방 어휘 폐쇄 문법

연어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