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
4. 한국어 어휘의 특성 . 한국어 어휘의 체계적 특성을 이해한다. . 한국어 어휘의 구조적 특성을 이해한다. . 한국어 어휘의 의미적 특성을 이해한다. . 한국어 어휘의 사회적 특성을 이해한다.

4. 한국어어휘의특성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BUFS/BaeDoyong/03.pdf4. 한국어어휘의특성 가. 한국어어휘의체계적특성을이해한다. 나. 한국어어휘의구조적특성을이해한다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4. 한국어 어휘의 특성

가. 한국어 어휘의 체계적 특성을 이해한다.나. 한국어 어휘의 구조적 특성을 이해한다.다. 한국어 어휘의 의미적 특성을 이해한다.라. 한국어 어휘의 사회적 특성을 이해한다.

가. 기원/어종에 따른 한국어 어휘의 분류

고유어

차용어 한자어(분포, 빈도)

외래어

나. 어휘는 어떤 형식으로 존재하는가?

단어; 관용어/구/표현, 속담; 연어

4.1 체계적 특성

1) 고유어

(1) 고유어와 한자어의 비교

가. 수효: 한자어보다 적다(3:1)

나. 전체 빈도: 한자어보다 중요도가 떨어짐

다. 구어 빈도: 한자어보다 비중이 더 큼

(2) 고유어의 특징-자모 교체를 통해 어감이나 의미에 변화를 줌

가. 상징어(의성어, 의태어), 색채어, 미각어 등

4.1.1 단어 형식 어휘의 체계

나. 소곤소곤; 수군수군; 소곤수군; 수군소곤

오물오물; 우물우물; 오몰오몰; 우몰우몰

보드득; 뽀드득; 포드득

바삭바삭; 빠삭빠삭; 파삭파삭

종알종알; 쫑알쫑알; 총알총알

시꺼멓다; 시커멓다; 시거멓다

다. 미각어-자모교체로인한어감/의미차이

<접미사에의한의미차이

새콤하다; 시큼하다

달+콤+하다, 달+짝지근+하다

2) 외래어: 외국에서 들어온 말로 국어처럼 쓰이는 단어(버스, 컴퓨터, 피아노 따위)

가. 들온말, 전래어, 차용어

외국어(일시적)

기간/빈도외래어

(안정적)

나. 귀화어:

외래어 가운데 오래되어 외국어의 특징을

거의 잃어버리고 고유어와 다름없이 인식

되는 경우.(사전에 등재??)

[보기]

붓, 먹, 배추, 김치

담배(<일>tabako,<에>tabacco, <포>tabaco), 구두

빵(<포>pão), 고무(<프> gomme)

다. 외국어단어나어근을이용해만든외래어

-고스톱, 오토바이, 백미러, 애프터서비스,

핸드폰, 샐러리맨, 골인 등

라. 외래어의 특성

-원래 특징 상실, 새 언어체계에 동화:

음운적/형태적/의미적 측면

-어형(발음/표기)이 불완전한 경우가 많음

[귀띔]

1. 외래어표기규정시먼저결정되어야할문제

가. 당시에 쓰이고 있는 문자만으로 한정할것인지, 또는 새로운 부호를 사용할 것인지?

fry[frai] : 후라이, 프라이 ?????

cake[keik]: 케잌, 케이크 ????

나. 문자 대 문자의 대응 표기를 할 것인지, 소리를 중심으로 표기할 것인지(표음주의)?

book[buk]: 붘, 부크, 북 ????

다. 원음주의 표기 여부는?

Egipt: 이집트(영어), 埃及(중국어)

라. 관용적으로 표기되어 오는 것은?

cut : 커트, 컷, 컽 ???

東京 : 토쿄, 토오쿄오, 도쿄, 동경 ????

2. 외래어 표기법(1986)

제 1장 : 표기의 원칙

제1항 외래어는국어의현용24 자모만으로적는다.

제2항 외래어의 1 음운은 원칙적으로 1 기호로 적는다.

제3항 받침에는'ㄱ,ㄴ,ㄹ,ㅁ,ㅂ,ㅅ,ㅇ' 만을쓴다.

제4항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ㅃ,ㄸ,ㄲ)를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ㅆ,ㅉ 인정. ㅂ:ㅍ, ㄷ:ㅌ, ㄱ:ㅋ

2원 체계로 표기)

제5항 이미 굳어진 외래어는 관용을 존중하되, 그 범위와 용례는 따로 정한다.

3) 한자어(1) 고유어와 한자어의 비교가. 수효: 고유어보다 많다(3:1)나. 전체 빈도: 고유어보다 중요도가 높다다. 단어 생산성: 고유어보다 높다(2) 한자어 결합 구조가. 단일어: 강, 창, 문, 시, 인; 즉; 산호, 독일나. 합성어: 결-혼, 학-교, 화-려(비자립); 시-인, 창-문(자립)다. 파생어: 대-폭발, 소-규모; 사업-가, 물리-적

어근-하(다): 강-하다(형), 망-하다(동)명료/복잡/화려(비자/어근)-하다(접)=>(형)단순/건강/정직(자/명)-하다(접)=>(형)성실/공부/도착(자/명)-하다(동)

(3) 한자어의 의미구조

가. 주술구성: 국립, 일출, 야심, 인조

나. 병렬구성: 강산, 부모, 상하, 토지

다. 목술구성: 등산, 개학, 애국, 피난

라. 한정구성: 고산, 보약, 애인, 장기

(4) 한자어-고유어 동의중복 현상

가. 초가-집, 역전-앞, 면도-칼; 새-신랑,

손-수건; 담-장, 애-간장

나. 유언을 남기다, 넓은 광장,

서로 상의하다

(5) 한자어-고유어 의미 분화 현상

가. 국수: 면, 쇠: 금, 수레: 차

(6) 한국어교육에서의 한자어 이용

가. 한자의 뜻을 알게 되면 오히려 혼란을 겪을 수 있다?

나. 고빈도 한자어는 한국어 교재에서 추출하면 된다?

다. 비한자권 학습자를 위해서 기초 한자, 조어력이 높은 한자를 선정하여야 한다?

라. 사자성어를 언제, 어떻게 익혀야 하나?

고진감래/난형난제/불문가지/사필귀정-이다

동문서답/노심초사/무위도식/환골탈태-하다

1) 관용구

가. 관용구:

두 개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그단어들의 의미만으로는 전체의 의미를 알 수없는, 특수한 의미를 나타내는 어구.

≒관용어, 성어, 숙어, 익은말, 익은이은말.

[보기]발이 넓다: 사교적이어서 아는 사람이 많다.

4.1.2 확장 형식 어휘의 체계

나. 구성 형식에 따른 관용구 분류

가) 체언형/용언형/부사형 관용구

나) 관용구의 통사적 환경 고려

-(목적어+동사)

(N이) 감투를 쓰다

(N을) 비행기를 태우다,

(N에게) 돌을 던지다

다. 관용구의 특성

미역국을먹다, 물을먹다, 어처구니가없다

가) 비합성적이다: a+b=c

나) 중의적이다: 축자적의미+관용적의미

다) 의미의 불투명성을 지닌다:

라. 관용구의 의미 관계

가) 발을빼다/손을떼다, 숟가락을놓다/눈을감다

나) 손을대다/떼다, 입이무겁다/가볍다

*쪽박을차다=?깡통[←can+통(筒)]을차다

마. 관용구는 통사적 변형도 가능하다

ㄱ. 폭우로 여행객이 발이 묶이{-었-겠-}다.

ㄴ. 폭우로 여행객이 발이 묶였{-니?-구나.}

ㄷ. 아이들이 기가 죽었나 보다.(주동)

ㄹ. 아이들 기를 죽이지 마라.(사동)

2) 속담

가. 속담은 예로부터 민간에 전하여 오는 쉬운 격언이나 잠언. ≒언속(言俗).나. 속담의 특성

가) 구조적-운율적/통사적 조화를 이룬다.

가는 날이 장날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

나) 의미적-대조성/점층성의 의미 구조

다) 교화적/풍자적-진리 가르쳐 깨닫게 함

다.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속담은 가르치기가쉽지 않다. 그럼 어떻게 해요?

가) 고난도이거나 현재 잘 쓰지 않는 어휘가포함된 속담이 많다?

나) 고어 투 문법 혹은 문어적 문법이 사용된것이 많다?

다) 의미적으로 모호하거나 의미 조합이 어려운 것이 많다?

라) 외국인에게 생소한 문화를 배경으로 한속담이 많다?

3) 연어

가. 연어는 두 개 이상의 단어가 결합하여 의미적으로 하나의 단위를 이루는 말. ≒이은말.

나. 특성-문법과 어휘의 중간 지대에 위치

다. 연어-어휘 특성에 의존

라. 구조: 연어핵+연어변(하나 혹은 다수)

눈을 감다=연어핵( )+연어변( )

개가 짖다= 연어핵( )+연어변( )

결론을 짓다/내리다/맺다,

결정을 짓다/내리다/하다, 결심을 하다

마. 분류: 어휘적/문법적 연어

개방 어휘 폐쇄 문법

연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