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
광고학연구 : 제24권 6호(2013년)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Vol.24, No.6 (2013). pp.167190 기업의 CSR커뮤니케이션 효과 분석 연구: 프로그램 유형(기업의 일방적 기부, 소비자 참여형) 과 매체(신문기사, 소셜미디어)의 활용을 중심으로* 김 수 연서강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조교수, 홍보학박사 김 인 기(주)BNRI 김 유 별서강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석사과정 본 연구는 프로그램 유형과 커뮤니케이션 매체를 활용한 기업의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공중들의 평가를 통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프로그램 유형(기업의 일방적 기부, 소비자 참여형)이 커뮤니케이션 매체(전통매체 신문기사, 소셜미 디어 페이스북)보다 주요한 변인으로 부각되었으며, 구체적으로 공중들은 기업이 주도하는 일방적 기부프로그램보다 소비자 참여형의 CSR프로그램 유형을 접했을 때 해당기업에 대한 사회적 연결감을 더 높게 인지하였다. 또한 CSR프로그램 유형과 매체의 조합에서는 유형과 매체가 둘 다 공중들의 CSR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구체적으로 소셜미디어를 통한 소비자 참여형 CSR프로그램 유형에 가장 호의적인 태도를 보인 반면 신문기사를 활용한 기업의 일방적 기부프로그램에 가장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CSR커뮤니케이션에서 프로그램의 유형과 매체의 차이가 공중들의 구매의도까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 따라서 이 연구는 CSR커뮤 니케이션에서 공중의 적극적 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소비자 참여형의 프로그램 유형과 소셜미디어의 조합을 주요하게 부각시켰다는 데 의의가 있다. 주제어 : CSR커뮤니케이션, CSR프로그램 유형, CSR커뮤니케이션 매체, CSR커뮤니케이션 호의도, 구매의도 *이 연구는 2012년도 서강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한 연구임(201210008.01). 1. 문제제기 최근 들어 트위터와 블로그 같은 소셜미디어는 기업의 주요 커뮤니케이션 매체로 각광받고 있다 (DMC미디어, 2010). 2010년 삼성경제연구소 보고 서는 미국의 포천(Fortune) 100대 기업 중 79%가 소셜미디어를 활용하고 있으며, 플랫폼별로는 트위 터를 65%, 페이스북을 54% 유튜브를 50%, 기업 블로그를 33% 순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블로그와 같은 소셜미디어의 등 장은 자유로운 정보의 확산과 쌍방향 소통을 용이하 게 한다는 점에서 크게 주목받고 있으며, 소셜미디어

기업의 Csr커뮤니케이션효과 분석 연구 광고학연구 김유별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1. : 24 6(2013)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Vol.24, No.6 (2013). pp.167190 CSR : ( , ) (, ) * , ()BNRI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 ( , ) ( , ) , CSR . CSR CSR CSR . CSR . CSR .1. , 65%, 54% 50%, 33% . , , (DMC, 2010). 2010 (Fortune) 100 79% , : CSR, CSR , CSR , CSR , * 2012 (201210008.01).

2. 168 ( . , 2011). CSR (Hallahan, 1999; Petty & Cacioppo, 1981), . 2010 2010 2 8,735 , 2013 . LG CSR (corpor- 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 2013. 2. 12.). , CSR CSR 2000 ( (, 201, 2010). CSR2. 8. 17), CSR , 2010 CSR 81% , 48% (, 2013. 5. 16; , 24% , 15%, 2011). CSR CSR . 2011 100 , CSR 55% 23(5 1%) CSR ,(, 2011). CSR100 50% CSR 31(68%) CSR CSR (, 2011). (Ihen et al.,100 2011). CSR CSR , 100 CSR , 25% (, 2011; Ihen, Barlett, & May, CSR 2011). CSR . CSR 2013 (2013 Edel- man Trust Barometer) . 3. CSR 169 CSR & Reber, 2008) (Du, Bhattacharya, & Sen, 2010) , PR 25% . , . CSR CSR CSR 2. (Du, Bhattacharya, & Sen, 2010), PR1) CSR CSR , PR(public relations) CSR . (Grunig & Hunt, 1984), CSR PR CSR ( , 2013; Kim & Reber, 2008). PR(David, Kline, & Dai, 2005). CSR PR (Capriotti, 2011) CSR(significant management role), (tactical tool)(philanthropic role), (value-driven , (strategicrole), (communication role), part) . (no role) , PR ( 10% PR , 2013; Kim & Reber, 2008) CSR CSR , CSR (Kim & Reber, 2008). (2013) . CSR PR CSR , PR , , , . , (Du et al., 2010) CSR . (Kim CSR 4. 170(awareness) CSR . (, 1998). CSR CSR . .CSR (descriptive) . , (2008) 2) CSR CSR 52 , CSR , , CSR . CSR CSR , (, 2009). , CSR . CSR 1 , , 2 , 60% . CSR . (2009) 2000 2008 1 , 2 , 10 25 63% . CSR . , 2000 CSR 265 2008 2,101 , 2000 . (2010) ,CSR ,2008 20% CSR. CSR TV, .. (uncontrolled) 3 (third partyCSR endorsement) . (2011) CSR , (,TV , , 2008), CSR 5. CSR 171 TV CSR , , , , CSR CSR . . CSR CSR . CSR CSR (, , 2008; , , (2008), 2006, Esrock & Leichty, 1998). CSR (2006) 100 CSR , . CSR CSR CSR , 30% CSR . , . , 100 CEO , . . (2008) CSR . , , (2008) 100 CSR , CSR CSR , , . , 2 2 , CSR . 6. 172. CSR . CSR CSR . . , , 3) CSR CSR ( CSR , , 2012). (2011) 100 CSR . (2008) PR CSR interactive PR . , CSR , PR , CSR in- teractive PR .. 79% , CSR CSR , 14% , Bus Concert, Ollh KT , SK Telecom , CSR(Basil, Runte, Easwaramoorthy & Barr, 2009). CJ . CSR CSR , CSR CSR (, 2010). . (2010) (2011) CSR CSR , , , , , CSR . CSR (, 2011). 7. CSR 173CSR . . (2008b) CSR CSR CSR CSR . , , (2011) , CSR, . (/ ), , . CSR . , . (2011) (/) CSR (//) . , , (2011) CSR ,, CSR CSR , . CSR . , CSR . . , , (2011) CSR , 3. (CRM) (/)CSR , , (CRM) 8. 174 (Du et al., 2010). 2010 CSR 3 81% CSR , 24% , 15% HTML CSR . CSR. , 1: CSR , . . 2: CSR , . CSR ., CSR , , CSR (Utz et al., 2012) . CSR CSR . ( , , 2008a; (2010) CSR , 2011) . CSR (Basil et al., 2009) . (2011) CSR CSR (, 2008). , (2008a) CSR , CSR CSR (, 2011). CSR (social CSR connectedness) . CSR (, 2011; 9. CSR 175, 2011), 4. 1) ( , , 2008a). 2 (CSR : CSR vs. ) 2 (CSR : vs. ) (between-subjects factorial design) . . (86%) 20~30 (, 2011), 3: CSR , 20 30 . . CSR2) . CSR ( , 2008; , 2011) CSR CSR . . 2013 1 1: CSR 5,360 CSR ? . 2: CSR 'OO' ? CSR . CSR 10. 176 1 12 .. CSR OO 3) , (1) OO 2 (CSR : vs. ) 2 (CSR : vs. ) . . CSR (Utz et al., 2012) CSR , , ([email protected]) , 140 . , , , . . ( , , 2012; , 2012) (2) , CSR , ,. , . (Utz, Schultz, & Glocka, 2012) . . CSR : (2010) CSR , , 11. CSR 177 , , , 4 7 3 7 . .4) : (Hovland et al., 1953) , , , , 2013 1 5 7 20 30 .40 . ( vs. (social connectedness): ) (2008a) (Lee, 2001) , , (Summers,Gorin, Beretvas, &Svincki, 2005) 6 , . , , , , 10 7 .. 2013 1 2 CSR : CSR 20 30 . , CSR (Mackenzi, Luts & Belch, 1986) , , , 4 ,7 . . : (Broekhuizen, 2006) , 12. 178< 1> n=42n=42 n=40n=41 20~30 6(3.6%), / 2(1.2%), . 1(0.6%), 10(6.1%) . 20~30 58.8% 97 / 37.6% 62 . 216 20~30 / . , 4 47% 77 40 . 100 200 300 216 26(15.9%), 300 400 14 21(10.5%) 80%(8.5%), 400 500 5(3.0%), 500 2(1.2%) . 14(7.0%) 165 . ( ) 2 4 52 , 3 4 40~42 . 3 . CSR 97%(160) 5. CSR CSR 1) . CSR 7 165 56.4% 93, 43.6%4.71(M=4.71, SD=1.05) 72 20 106 65% 30 .57 35% . 79 (47.9%), 54(32.7%), 13(7.9%), 13. CSR 1792) 3) 2 CSR ( 1, 2, 3 vs. ) CSR CSR (covariance) ( vs. ) (ANCOVA) . . 90 84 1: CSR(93.3%) , . . 92 2: CSR81(88.0%) , . .. CSR 84 82(97.6%) 1 (ANCOVA) , 85 83(97.6%) CSR . (F(2,CSR 161)=18.703,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