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20510708 언론정보학과 박혜진

Igse vs 외대통대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Igse vs 외대통대

20510708

언론정보학과

박 혜 진

Page 2: Igse vs 외대통대

목적

1. 각 학교의 웹언급도를 분석하고 그에 대한

원인 밝혀내기.

2. 이것을 토대로 학교의 웹언급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 도출해 내기

Page 3: Igse vs 외대통대

IGSE (국제영어대학원대학교)

- 2002년 5월 3일 설립.

- 영어지도학과와 영어교재개발학과의 2개 석사 과정.

Page 4: Igse vs 외대통대

한국외대통번역대학원

- 1979.05.01 설립.

- 2개언어(A-B)과정과 3개언어(A-B-C)과정.

-국제회의통역전공/번역,순차통역전공

Page 5: Igse vs 외대통대

Touchgraph

1. IGSE

Page 6: Igse vs 외대통대

Touchgraph

1. IGSE

확대 모습

Page 7: Igse vs 외대통대

Touchgraph

1. IGSE

범위 확장 모습

Page 8: Igse vs 외대통대

Touchgraph

1. IGSE

IGSE는 대학원대학교이다. 즉, 학부과정이 없고 석사과정만 운영하는 학교이다.

그래서인지 주로 타 대학원대학교들과 1차적으로 연결이 되어 있었다. 국제뇌교육

종합대학원대학교,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베뢰나국제대학원대학교가 이에

해당하며, 범위를 좀 더 확장해 봤을 때도 윤선생영어교실, KOTTI, TESOL 등 영어

교육과 관련된 사이트들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age 9: Igse vs 외대통대

Touchgraph

2. 한국외대통번역대학원

Page 10: Igse vs 외대통대

Touchgraph

2. 한국외대통번역대학원

범위 확장 모습

Page 11: Igse vs 외대통대

Touchgraph

2. 한국외대통번역대학원

서울외대 통번역대학원, 이화여대 통번역대학원, 선문대 통번역대학원 등과 같은

통대들과의 연결이 주를 이루었고, 어학원들과도 연결이 되어 있었다. 또한, Naver

의 관련 카페나 Daum지식(입시 관련 질문들이 주를 이룸.) 등에서도 연결하고 있

었다.

Page 12: Igse vs 외대통대

Alexa

1. IGSE

Alexa에서 IGSE의 3개월간의 traffic

rank를 보면 1,587,339로 나와 그래

프가 제공되지 않았다. IGSE에 링크

를 건 사이트는 4개가 있었는데, 그

중 docdax라는 documents나 e-book

을 검색하고 무료로 다운 받을 수 있

는 사이트가 있어 흥미로웠다.

http://www.docjax.com

Page 13: Igse vs 외대통대

Alexa

2. 한국외대통번역대학원

Alexa에서 외대통대 사이트 주소를

입력하니 외대 사이트(hufs.ac.kr)로

검색 결과가 나왔다. (Alexa.com에서의 두 학교 검색 비교 생략.)

Page 14: Igse vs 외대통대

LexiURL

비영리단체나 교육사이트에서도

링크를 걸고 있었다.

(igse에 더 많은 링크 걸고 있음.)

Page 15: Igse vs 외대통대

NetDraw각 각 URLs=2인 Domain으로 제한하여 그림.

Page 16: Igse vs 외대통대

SocSciBot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음.

Page 17: Igse vs 외대통대

IGSE 외대통대

2010.05.13.Thu

Page 18: Igse vs 외대통대

IGSE 외대통대

Page 19: Igse vs 외대통대

Why?

1. AGORA

2. 교재

3. TTI

4. 재학생 및 졸업생들의 웹상에서의 활동.

Page 21: Igse vs 외대통대

IGSE 뉴스

2008년

-국제영어대학원대학교

(www.igse.ac.kr)에서 주한미국대

사관과 함께 청소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인 ‘U.S. Embassy Youth

Outreach Program’을 개최

-‘영어교사 전용 원격교육연수원’

을 유웨이중앙교육과 공동 구축http://www.etnews.co.kr/news/detail.html?id=200804290117

Page 22: Igse vs 외대통대

IGSE 뉴스

2009년- IGSE, 국내최초 영어교수법 화상강의 시행http://www.acrofan.com/ko-kr/life/news/20091112/00000012

- 세계적인 언어교육학자인 하와이대학교 리차드

데이(Richard Day)교수와 로버트깁슨 (Robert

Gibson) 교수의 강연http://www.acrofan.com/ko-kr/life/news/20090521/00000023

- 국내 최고의 영어교육 전문시설인 IGSE 언어교

육원(IGSE Language Center)을 개원http://www.acrofan.com/ko-kr/life/news/20090427/00000038

- 박남식 총장, 속담집 출간http://www.fnn.co.kr/content.asp?aid=d959dbccfdcd431884aa9a7ae36a4d47

2010년- ‘뇌과학으로 알아보는 혁신적 영어 학습법' 출간

- 입시설명회 개최

Page 23: Igse vs 외대통대

뉴스 외대통대

뉴스

-2004년 1개(한국외대 통번역센터 곽

중철 소장 인터뷰)

- 2009년 2개 (개원 30주년 기념 국제

학술대회 개최,번역가 ‥ 문학ㆍ영상

ㆍ산업 등 분 야별 전문가 다수 필요)

Page 24: Igse vs 외대통대

재학생 및 졸업생의 네이버블로그 활동 비율

2010.05.08.18:30

1. IGSE igse.ac.kr 1) 전체 49건

2) 1년 12건

3) 6개월 9건

4) 1개월 2건

5) 1주일 없음

8/49=16.33%2. 외대통대 gsit.hufs.ac.kr1) 전체 38건

2) 1년 11건

3) 6개월 5건

4) 1개월 1건

5) 1주일 없음

2/38=5.26%

Page 25: Igse vs 외대통대

야후 & 구글

< 구글 >

1) 외대 About 2,570 results (0.21 seconds)

2) IGSE About 3,440 results (0.16 seconds)

-신입생 모집 기사 http://www.koreatimes.co.kr/www/news/special/2010/05/139_65016.html

- 재학생의 글 http://www.koreatimes.co.kr/www/news/special/2009/09/181_46623.html

-박명수 교수 블로그 http://www.blogger.com/profile/01923429010360312933

-igse 포럼 http://www.igseitforum.kr/main/65

-박명수 교수 홈페이지 http://www.englishtree.com/entry/박명수교수

-김영우 교수 twitter http://twitter.com/igse_rc

-National Spelling Bee Committee http://www.koreansb.com/main.html

< 야후 >1) 외대 5,000 results

2) IGSE 402 results

- 신입생 모집, 입시설명회 홍보 기사들 많았음.

Page 26: Igse vs 외대통대

Daum 트렌드 차트 2010.06.14

국제영어대학원대학교에서 입시

설명회가 열렸던 3월에 검색 수가

많았음.

Page 27: Igse vs 외대통대

Daum 트렌드 차트 2010.06.14여학생 비율이 높은 두 학교의 특

성을 고려해 볼 때, IGSE의 경우

예상대로 여성의 검색률이 높았음.

외대통대는 남성 여성 각 50%로

동일.

Page 28: Igse vs 외대통대

Daum 트렌드 차트 2010.06.14

IGSE의 입학생들은 현직 영어 교

사들이나 영어교육 관련 일에 종하

사던 30대가 주를 이룸. 검색 연령

에서도 역시 30대가 높음.

Page 29: Igse vs 외대통대

Daum 트렌드 차트 2010.06.14

결론) 최근 1주일간 국제영어대학원

대학교의 검색횟수가 더 많았으며,

여성, 30대, 서울지역 이용자가 많이

찾았음.

Page 30: Igse vs 외대통대

결 론

1. AGORA

2. 교재

3. TTI

4. 재학생 및 졸업생들의 웹상에서의 활동.

( +교수들의 블로그 활동)

+ 5. 교내외 다양한 학술회, 강연 및 대회 개최 -> 기사화

오프라인과 온라인에서의 각 학교 인지도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즉, 오프라인

에서 덜 유명하더라도 웹 상에서 더 인기 많은 학교가 될 수 있다.

IGSE의 경우, 2002년에 설립되어 외대통대에 비해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음에

도 불구하고 웹언급도는 훨씬 높음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재학생 및 졸업생, 그

리고 교수들의 온라인 상에서의 활발한 활동이 가장 큰 몫을 하였다. 또한, 학술회

와 강연 등을 자주 개최하고 입시설명회를 열 때 기사화되는 것도 그 이유 중 하나

이며, 이런 이유들 때문인지 학교 검색수와 인링크의 수도 외대통대에 비해 더 높

았다.

이를 통해 보듯, 오프라인 활동 뿐 아니라 블로그 운영 등의 온라인 활동을 잘 병

행하여 나간다면, 학교를 홍보하는 데 보다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