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
미디어개발 2009-312-1015 도·소매업 안전과 건강관리 함께누려요, 행복하고 즐거운 일터

도소매산업 재해예방 ppt

Embed Size (px)

DESCRIPTION

도소매산업 재해예방 ppt

Citation preview

Page 1: 도소매산업 재해예방 ppt

일 반 분 야 ndash 교 육 자 료

미디어개발 2009-312-1015

도middot소매업안전과 건강관리

함께누려요행복하고 즐거운 일터

목 차

공정별 주요현황 및 근골격계 유해위험요인

주요 재해 사례

작업별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근골격계질환 예방 공학적 개선사례

재해현황 분석

제1장

도 middot 소매업

재해현황 분석

2 연도별 전체재해자 대비 도middot소매업 재해자 구성비

재해자수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근로자수

사업장수

230547241285 264022

285030296490

10117741047750

10894431178572

1264303

6166

5219

5677

6456 6970

0

200000

400000

600000

800000

1000000

1200000

140000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0

7000

8000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사업장수 230547 241285 264022 285030 296490

근로자수 1011774 1047750 1089443 1178572 1264303

재해자수 5219 5677 6166 6456 6970

증감재해자수 59 458 489 290 514

증감률() 114 878 861 470 796

재해율 052 054 057 055 055

재해자는 매년약 440명씩지속적으로 증가

최근 5년간도middot소매업 사업장은매년 약 16500개소 근로자는 약 63000명증가

4

2 연도별 전체재해자 대비 도middot소매업 재해자 구성비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전체 재해자수 88874 85411 89910 90147 95806

도middot소매업 재해자수 5219 5677 6166 6456 6970

재해자 구성비() 587 665 686 716 728

재해자 구성비

최근 5년간 전체업종재해자수에 대한도middot소매업종 재해자수의 비율은 계속하여증가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전체재해자수

도middot소매업재해자수

550

600

650

700

750

800

50052195677

6166 6456 6970

88874 8541189910 90147

95806

686

587

665

716728

5

3 연도별 도middot소매업 재해 발생형태

2004년

1000

800

600

400

200

0

1200

1400

1600전도

감김middot 끼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추락

충돌

업무관련성질병

도middot소매업은 전도 작업관련질병(뇌심 근골) 추락 협착 절단베임 등이 주요재해 발생형태임

최근 5년간은 3대다발재해(협착 전도 추락)보다 작업관련질병과 절단베임의증가가 두드러짐

1140

12791374

1326

1464

284268

734

1006

952

569 556608

660792739

723

779

808

676

569

614

784

887

517

6

뇌middot심혈관 질환 등 10

기타질병 2

직업병 1

근골(요통 외) 12

사고성 요통 49

요통 26

4 2008년 도소매업 발생형태별 재해 현황

업무상질병현황

2008년 도middot소매업의 산업재해는 전도 작업관련 질병(뇌심 근골)추락 협착 절단베임 등 5대 재해가 65 점유3대 다발재해(협착 전도 추락)는 42 점유

업무상 질병은 요통 등 근골격계 질환이 87로 대다수를 차지

추락 11

협착 10

절단베임 9

작업관련질병14

기타 형태 35

전도 21

주요재해

발생형태

7

70대 이상 1

6개월~1년미만 15

5년~10년미만 8

10년이상 4

2년~5년미만 16

6개월미만 41

1년~2년미만 16

5 2008년 도소매업 연령근속기간별 재해현황

40대 25

50대 13

60대 4

30대 34

10대 1

20대 22

연령별재해현황

근속기간별

재해현황

도소매업의 산업재해는

20-30대 젊은 층에서

56의 재해가 발생하고

40-50대 중년 층에서

38가 발생

근속기간 6개월 미만의

미숙련자의 재해가 41로

가장 많고

6개월 이상 5년 미만 경력자의

재해도 47를 점유

8

6 2008년 도middot소매업 주요 기인물별 재해현황

상품 등의 인력운반에 따른 재해가 가장 많았고다음으로 각종 기계middot기구 취급에 의한 재해가 많이 발생

사다리 34

바닥통로계단 102

적재물 55

구조물 51

차량 131

운반물 233

기계middot기구 174

지게차 25

칼 25

기타 169

백화점 할인마트

위주

9

제2장

도 middot 소매업

공정별 주요현황 및근골격계 유해위험요인

1 도소매업(유통업)종 업무 특징

장시간 서서작업

반복성 과도한 힘

부자연스런 자세 등

장시간 근로

협력사원 비중

높음

빈번한

인력운반

취급작업

불규칙한

교대작업

11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단순반복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접촉스트레스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일반상품 판매

12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부적절한

자세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bull 부적절한

자세

축산물 판매

13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부적절한

자세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bull 접촉스트레스

bull 부적절한

자세

농수산물 판매

14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단순반복

bull 단순반복

bull 부적절한 자세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제빵 판매

15

제3장

도 middot 소매업

주요 재해사례

1 계단에서 물품 운반 중 전도

1층과 2층 연결계단 사이에서 판매제품 박스를 옮기던 중떨어진 박스 위로 발을 딛어 계단 아래로 미끄러져 넘어짐

계단에서는 각 단을 확실하게 딛고수시로 안전난간을 잡음

계단 물기 장애물 등으로 인한전도 예방교육 강화

예방대책

17

사다리를 내려오던 중 사다리가 넘어지며 추락

이동식사다리를 이용한 작업 시 사다리의

상부를 고정하고 하부에는 미끄럼방지 조치

높이 2m 이상의 추락위험이 있는 적재대

에는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하고 통행할

수 있는 안전난간이 부착된 고정식 사다리

또는 계단 설치

2 사다리를 내려오던 중 추락

예방대책

18

불량하게 적재된 팔레트 위에 올라 서서 물건을 내리던 중 추락

높이가 2m를 초과하는 적재물에 승강 시

안전하게 승강할 수 있는 승강설비를 비치

하여 사용

예방대책

중량물 적재용 팔레트는 충분한 강도를

갖는 것을 사용하고 판재나 각목의 상태를

점검하여 손상된 것은 폐기 조치

3 불량 적재된 팔레트 위에서 추락

19

포대가 기울어져 적재되어 있는 상태에서 포대 출고 시창고 안쪽부터 출고하여 입구쪽 포대가 붕괴

포대 적재 시에는 적재물이 붕괴되지않도록 적정한 적재 높이를 준수하고하단을 넓게 적재하는 등 붕괴방지조치

예방대책

포대 등을 반출할 때에는 위에서부터순차적으로 층계를 만들면서 출고

4 양곡출고 작업 중 붕괴

20

백화점 의료 매장 앞에서 출고된상품을 확인하고자 박스를 열기위해 옮기다가 허리 삐끗

5 근골격계 질환 ①

백화점 내 생선회 조리사로 근무하던중 손목 부위의 반복동작으로 통증이심해져 장기간 병원에서 오른쪽 손목관절 물리치료를 받음

21

지하 3층 쇼핑백 보관창고에서 쇼핑백을 매장으로 옮기던 중 높이 쌓여있는(2m 이상) 쇼핑백 꾸러미를 내려짐카에 옮기려고 쇼핑백 한 꾸러미를(200개묶음)든 순간 허리삐끗

집기(진열대)와 행사박스를 트럭에서내리던 중 어깨와 목 허리에 통증과결림이 발생

6 근골격계 질환 ②

22

제4장

도 middot 소매업

작업별 위험요인 및`안전조치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위험점 원인분석발생형태

요통근골

낙하

전도충돌

끼임

베임

중량 자세

파지 적재

자세 시야

파지 중량 자세

유리

과다한 중량의 물건 인력운반

부적합한 자세로 물건 인력운반

물건을 확실하게 잡지 않음

정리정돈이 불량한 물건 적재

이동방향 시야확보 불량

부적합한 자세로 물건 인력운반

물건의 적절한 손잡이 미확보

과다한 중량의 물건을 취급

무리한 동작으로 물건 인력운반

파손되기 쉬운 유리제품 취급 부주의

파손된 유리 정리정돈 불량

24

분리 가능한 인력 운반물은 10kg 이하의 적정 중량으로 포장

취급 물품의 인력운반 및 취급 방법 자세 등의 안전교육 실시

운반물의 중량 형태 및 취급장소에 따른 적정 인원배치

통행로는 항상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정리정돈

운반물 또는 운반용기(통 바구니 등)에는 적절한 손잡이 부착

운반물의 형태 및 용도에 적합한 이동대차 설치

사업장 내 이동대차 이용을 위해 평탄하고 적정 너비의 통로 확보

중량물 인력운반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게차 등 운반설비 설치

사업장 내 중량물을 올리거나 내리기 위한 화물용 승강기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각 층 탑승장에는 18m 이상 높이의 출입문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문 개방 시 작동이 안되도록 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문 외의 부분은 18m 이상 높이의 방호울 설치

화물용 승강기에는 lsquo화물전용rsquolsquo탑승금지rsquo 표지판을 설치

25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분리 가능한 운반물은 신체무리가 없는 적정 중량으로 나누어 운반

분리되지 않는 중량의 운반물은 적정 인원이 함께 운반

운반시 이동방향의 시야를 확보하여 통로상태를 확인하며 운반

파손될 수 있는 운반물은 주변 물체에 주의하며 천천히 운반

운반물을 운반하기 전 적당한 손잡이를 확보

중량물을 복부에 밀착하여 허리를 펴고 다리 힘으로 일어남

중량물을 운반할 경우 허리를 펴고 다리만 움직여 이동

중량물을 들고 팔다리허리 관절의 무리한 동작 금지

통행로 상에는 통행에 지장을 주는 물건이 없도록 정리정돈

이동대차에는 각 방향의 무게중심을 고려하여 적재

양 다리를 모으고 이동대차를 밀거나 끄는 행동 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 금지

운반 후 운반물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정리정돈하여 적재

26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위험점발생형태

전 도

계단

이물질

장애물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원인분석

계단을 확실히 딛지 않고 이동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계단 모서리 논슬립 미시공

바닥통로계단 이물질 미제거

통행로 상에 장애물 방치

27

계단 모서리의 파손 부위는 수리

계단 모서리에는 논슬립 재료 시공

통로상 눈 또는 빙판은 수시로 제거

바닥통로계단은 깨끗하고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관리

항상 물기 등으로 미끄러운 장소에는 lsquo미끄럼 주의rsquo 표지판 설치

통로상 턱 문지방 등 돌출부는 주변과 구분이 되는 색으로 도장

통로상에는 통행에 지장이 되는 물건이 없도록 관리

작업 전 신발 착용상태 점검 및 작업특성에 맞는 신발 지급

계단 물기 장애물 등으로 인한 전도 예방교육 강화

28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금지

계단에서는 각 단을 확실하게 딛고 수시로 안전난간을 잡음

물건을 운반할 때에는 계단바닥의 상태를 확인

계단 논슬립 난간 등의 파손된 부위는 관리자에 보고

바닥통로계단의 물기 등 이물질은 수시로 청소하여 제거

항상 물기가 있는 장소에서는 뛰거나 급한 행동 금지

통로상에 형성된 빙판은 염화칼슘 또는 모래 등을 뿌려 제거

통로상에 제거되지 않은 빙판이 있을 경우 우회하여 이동

통행로 상에는 각종 물건의 방치 금지

각종 호스 전선 등은 사용 후 정리하여 보관

각종 호스 전선 사용 장소에서는 걸리거나 밟지 않도록 주의

사무업무 외 슬리퍼 등 미끄러질 수 있는 신발은 착용 금지

신발은 바르게 착용하고 적정하게 밀착되도록 끈을 조임

29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원인분석위험점

동력전달부왕복운동부

발생형태

끼임

회전기계감김

전단기계절단

양중기낙하

절단기류비래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정비청소 중 전원동력차단 미실시

왕복회전 작동부위 신체 접근

가공물 투입구에 손으로 투입

탁상드릴 등 회전기계 작업 중 면장갑 착용

회전기계 작동 중 손으로 투입반출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재단 칼날 왕복작동 부위 신체 접근

절단작업 중 절단날 파손

절단작업 중 절단물 비래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30

정비청소 시 전원동력차단 확인 및 표지판 부착

정비 후 동력전달부 방호덮개 원상복귀

개방된 왕복작동 부위에는 협착주의 표지판 설치

회전기계 사용 작업자 면장갑 착용 금지조치

승강기(리프트) 각 층 탑승장에는 안전문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리프트)에는 사람 탑승 금지 조치

육가공야채절단 기계류는 적절한 투입용 수공구 제공

핸드그라인더에는 날접촉 예방 방호덮개 설치

둥근톱 핸드그라인더 작업자에게는 보안경 지급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 묶음상태 확인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줄걸이 이탈 방지 조치

각종 전동공구는 이중절연구조 사용

각종 전기기구는 누전차단기에 연결하여 사용

31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기계middot기구 점검수리청소 전 전원차단 및 표지판 부착

2인이상이 기계기구를 점검수리청소시 서로 신호 실시

기계middot기구를 이용한 작업 시 항상 주의집중

기계middot기구의 왕복운동부에는 신체 접근금지

기계middot기구의 맞물려 회전하는 부분에는 신체 접근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금지

육가공야채 절단기계에는 전용 수공구를 이용하여 투입

탁상드릴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면장갑 착용금지

동력톱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보안경 착용

회전칼날톱 사용 시 절단물을 잡는 손은 10cm이상의 간격 확보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을 확실하게 묶고 훅 이탈 방지조치 실시

페인트 등 인화성물질 부근에서 용접용단 금지

인화성물질 보관용기(폐드럼)는 절단 전 마개 개방환기물을 채워 치환 실시

32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제5장

도 middot 소매업

근골격계질환 예방 공학적 개선사례

33

1 중량물 취급

자세에 따른 허리(L5S1)

부담 정도

작업물과 작업자간 거리

34

bull 어깨 위 적재

bull 무릎 아래 적재

bull 과도한 힘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저장공정-적재작업

35

bull 폴리에틸렌 재질

bull 당기는 힘 증가

bull 손 팔 등 스트레스 발생

bull 15ℓtimes20개 = 약 30kg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저장공정-적재작업

bull 층 사이 lsquo미끌림시트(Slip sheet)rsquo설치

bull 당기는 힘 감소

미끌림시트(Slip sheet)

36

작업대 높이

작업대 높이 권장기준

37

bull 낮은 작업대 높이

bull 부자연스런 자세로 인해 요통 등근골격계 질환 위험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농수산물-농산소분작업

bull 높이 조절 가능 작업대

bull 극단치 설계 (95tile)

bull 키 작은 사람 발판 제공

38

bull 높이가 다른 작업

bull 근골격계 질환 위험이 크므로곧 개선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조리-포장작업

bull 작업대와 작업기기 높이 고려

39

정상middot최대 작업영역

정상 작업영역

bull 25cm 이내

bull 번번한 작업

최대 작업영역

bull 50cm 이내

bull 최대 팔 뻗침 영역 이내

정상 작업영역 최대 작업영역

40

bull 먼 위치의 작업역

bull 부자연스러운 자세

bull 과도한 뻗침

bull 반복작업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일반상품-진열작업

bull 진열대 앞 적재 금지

bull 대차 일체형 보관

및 진열

41

작업설비 도구

42

개선 대책

운반카트

bull 운반 전용 카트 이용

bull 수직형 손잡이 높이92cm

bull 대차 높이 140cm 미만 직경20cm

43

기타 개선사례

bull 반복 작업

bull 접촉 스트레스

bull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포장-포장작업

bull 기기와 작업대 폭을 같게

bull 기기의 날카로운 끝부분에

쿠션 설치 고려

44

  • 슬라이드 번호 1
  • 슬라이드 번호 2
  • 슬라이드 번호 3
  • 슬라이드 번호 4
  • 슬라이드 번호 5
  • 슬라이드 번호 6
  • 슬라이드 번호 7
  • 슬라이드 번호 8
  • 슬라이드 번호 9
  • 슬라이드 번호 10
  • 슬라이드 번호 11
  • 슬라이드 번호 12
  • 슬라이드 번호 13
  • 슬라이드 번호 14
  • 슬라이드 번호 15
  • 슬라이드 번호 16
  • 슬라이드 번호 17
  • 슬라이드 번호 18
  • 슬라이드 번호 19
  • 슬라이드 번호 20
  • 슬라이드 번호 21
  • 슬라이드 번호 22
  • 슬라이드 번호 23
  • 슬라이드 번호 24
  • 슬라이드 번호 25
  • 슬라이드 번호 26
  • 슬라이드 번호 27
  • 슬라이드 번호 28
  • 슬라이드 번호 29
  • 슬라이드 번호 30
  • 슬라이드 번호 31
  • 슬라이드 번호 32
  • 슬라이드 번호 33
  • 슬라이드 번호 34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37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40
  • 사례1
  • 슬라이드 번호 42
  • 슬라이드 번호 43
  • 슬라이드 번호 44
Page 2: 도소매산업 재해예방 ppt

목 차

공정별 주요현황 및 근골격계 유해위험요인

주요 재해 사례

작업별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근골격계질환 예방 공학적 개선사례

재해현황 분석

제1장

도 middot 소매업

재해현황 분석

2 연도별 전체재해자 대비 도middot소매업 재해자 구성비

재해자수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근로자수

사업장수

230547241285 264022

285030296490

10117741047750

10894431178572

1264303

6166

5219

5677

6456 6970

0

200000

400000

600000

800000

1000000

1200000

140000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0

7000

8000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사업장수 230547 241285 264022 285030 296490

근로자수 1011774 1047750 1089443 1178572 1264303

재해자수 5219 5677 6166 6456 6970

증감재해자수 59 458 489 290 514

증감률() 114 878 861 470 796

재해율 052 054 057 055 055

재해자는 매년약 440명씩지속적으로 증가

최근 5년간도middot소매업 사업장은매년 약 16500개소 근로자는 약 63000명증가

4

2 연도별 전체재해자 대비 도middot소매업 재해자 구성비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전체 재해자수 88874 85411 89910 90147 95806

도middot소매업 재해자수 5219 5677 6166 6456 6970

재해자 구성비() 587 665 686 716 728

재해자 구성비

최근 5년간 전체업종재해자수에 대한도middot소매업종 재해자수의 비율은 계속하여증가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전체재해자수

도middot소매업재해자수

550

600

650

700

750

800

50052195677

6166 6456 6970

88874 8541189910 90147

95806

686

587

665

716728

5

3 연도별 도middot소매업 재해 발생형태

2004년

1000

800

600

400

200

0

1200

1400

1600전도

감김middot 끼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추락

충돌

업무관련성질병

도middot소매업은 전도 작업관련질병(뇌심 근골) 추락 협착 절단베임 등이 주요재해 발생형태임

최근 5년간은 3대다발재해(협착 전도 추락)보다 작업관련질병과 절단베임의증가가 두드러짐

1140

12791374

1326

1464

284268

734

1006

952

569 556608

660792739

723

779

808

676

569

614

784

887

517

6

뇌middot심혈관 질환 등 10

기타질병 2

직업병 1

근골(요통 외) 12

사고성 요통 49

요통 26

4 2008년 도소매업 발생형태별 재해 현황

업무상질병현황

2008년 도middot소매업의 산업재해는 전도 작업관련 질병(뇌심 근골)추락 협착 절단베임 등 5대 재해가 65 점유3대 다발재해(협착 전도 추락)는 42 점유

업무상 질병은 요통 등 근골격계 질환이 87로 대다수를 차지

추락 11

협착 10

절단베임 9

작업관련질병14

기타 형태 35

전도 21

주요재해

발생형태

7

70대 이상 1

6개월~1년미만 15

5년~10년미만 8

10년이상 4

2년~5년미만 16

6개월미만 41

1년~2년미만 16

5 2008년 도소매업 연령근속기간별 재해현황

40대 25

50대 13

60대 4

30대 34

10대 1

20대 22

연령별재해현황

근속기간별

재해현황

도소매업의 산업재해는

20-30대 젊은 층에서

56의 재해가 발생하고

40-50대 중년 층에서

38가 발생

근속기간 6개월 미만의

미숙련자의 재해가 41로

가장 많고

6개월 이상 5년 미만 경력자의

재해도 47를 점유

8

6 2008년 도middot소매업 주요 기인물별 재해현황

상품 등의 인력운반에 따른 재해가 가장 많았고다음으로 각종 기계middot기구 취급에 의한 재해가 많이 발생

사다리 34

바닥통로계단 102

적재물 55

구조물 51

차량 131

운반물 233

기계middot기구 174

지게차 25

칼 25

기타 169

백화점 할인마트

위주

9

제2장

도 middot 소매업

공정별 주요현황 및근골격계 유해위험요인

1 도소매업(유통업)종 업무 특징

장시간 서서작업

반복성 과도한 힘

부자연스런 자세 등

장시간 근로

협력사원 비중

높음

빈번한

인력운반

취급작업

불규칙한

교대작업

11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단순반복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접촉스트레스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일반상품 판매

12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부적절한

자세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bull 부적절한

자세

축산물 판매

13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부적절한

자세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bull 접촉스트레스

bull 부적절한

자세

농수산물 판매

14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단순반복

bull 단순반복

bull 부적절한 자세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제빵 판매

15

제3장

도 middot 소매업

주요 재해사례

1 계단에서 물품 운반 중 전도

1층과 2층 연결계단 사이에서 판매제품 박스를 옮기던 중떨어진 박스 위로 발을 딛어 계단 아래로 미끄러져 넘어짐

계단에서는 각 단을 확실하게 딛고수시로 안전난간을 잡음

계단 물기 장애물 등으로 인한전도 예방교육 강화

예방대책

17

사다리를 내려오던 중 사다리가 넘어지며 추락

이동식사다리를 이용한 작업 시 사다리의

상부를 고정하고 하부에는 미끄럼방지 조치

높이 2m 이상의 추락위험이 있는 적재대

에는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하고 통행할

수 있는 안전난간이 부착된 고정식 사다리

또는 계단 설치

2 사다리를 내려오던 중 추락

예방대책

18

불량하게 적재된 팔레트 위에 올라 서서 물건을 내리던 중 추락

높이가 2m를 초과하는 적재물에 승강 시

안전하게 승강할 수 있는 승강설비를 비치

하여 사용

예방대책

중량물 적재용 팔레트는 충분한 강도를

갖는 것을 사용하고 판재나 각목의 상태를

점검하여 손상된 것은 폐기 조치

3 불량 적재된 팔레트 위에서 추락

19

포대가 기울어져 적재되어 있는 상태에서 포대 출고 시창고 안쪽부터 출고하여 입구쪽 포대가 붕괴

포대 적재 시에는 적재물이 붕괴되지않도록 적정한 적재 높이를 준수하고하단을 넓게 적재하는 등 붕괴방지조치

예방대책

포대 등을 반출할 때에는 위에서부터순차적으로 층계를 만들면서 출고

4 양곡출고 작업 중 붕괴

20

백화점 의료 매장 앞에서 출고된상품을 확인하고자 박스를 열기위해 옮기다가 허리 삐끗

5 근골격계 질환 ①

백화점 내 생선회 조리사로 근무하던중 손목 부위의 반복동작으로 통증이심해져 장기간 병원에서 오른쪽 손목관절 물리치료를 받음

21

지하 3층 쇼핑백 보관창고에서 쇼핑백을 매장으로 옮기던 중 높이 쌓여있는(2m 이상) 쇼핑백 꾸러미를 내려짐카에 옮기려고 쇼핑백 한 꾸러미를(200개묶음)든 순간 허리삐끗

집기(진열대)와 행사박스를 트럭에서내리던 중 어깨와 목 허리에 통증과결림이 발생

6 근골격계 질환 ②

22

제4장

도 middot 소매업

작업별 위험요인 및`안전조치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위험점 원인분석발생형태

요통근골

낙하

전도충돌

끼임

베임

중량 자세

파지 적재

자세 시야

파지 중량 자세

유리

과다한 중량의 물건 인력운반

부적합한 자세로 물건 인력운반

물건을 확실하게 잡지 않음

정리정돈이 불량한 물건 적재

이동방향 시야확보 불량

부적합한 자세로 물건 인력운반

물건의 적절한 손잡이 미확보

과다한 중량의 물건을 취급

무리한 동작으로 물건 인력운반

파손되기 쉬운 유리제품 취급 부주의

파손된 유리 정리정돈 불량

24

분리 가능한 인력 운반물은 10kg 이하의 적정 중량으로 포장

취급 물품의 인력운반 및 취급 방법 자세 등의 안전교육 실시

운반물의 중량 형태 및 취급장소에 따른 적정 인원배치

통행로는 항상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정리정돈

운반물 또는 운반용기(통 바구니 등)에는 적절한 손잡이 부착

운반물의 형태 및 용도에 적합한 이동대차 설치

사업장 내 이동대차 이용을 위해 평탄하고 적정 너비의 통로 확보

중량물 인력운반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게차 등 운반설비 설치

사업장 내 중량물을 올리거나 내리기 위한 화물용 승강기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각 층 탑승장에는 18m 이상 높이의 출입문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문 개방 시 작동이 안되도록 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문 외의 부분은 18m 이상 높이의 방호울 설치

화물용 승강기에는 lsquo화물전용rsquolsquo탑승금지rsquo 표지판을 설치

25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분리 가능한 운반물은 신체무리가 없는 적정 중량으로 나누어 운반

분리되지 않는 중량의 운반물은 적정 인원이 함께 운반

운반시 이동방향의 시야를 확보하여 통로상태를 확인하며 운반

파손될 수 있는 운반물은 주변 물체에 주의하며 천천히 운반

운반물을 운반하기 전 적당한 손잡이를 확보

중량물을 복부에 밀착하여 허리를 펴고 다리 힘으로 일어남

중량물을 운반할 경우 허리를 펴고 다리만 움직여 이동

중량물을 들고 팔다리허리 관절의 무리한 동작 금지

통행로 상에는 통행에 지장을 주는 물건이 없도록 정리정돈

이동대차에는 각 방향의 무게중심을 고려하여 적재

양 다리를 모으고 이동대차를 밀거나 끄는 행동 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 금지

운반 후 운반물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정리정돈하여 적재

26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위험점발생형태

전 도

계단

이물질

장애물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원인분석

계단을 확실히 딛지 않고 이동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계단 모서리 논슬립 미시공

바닥통로계단 이물질 미제거

통행로 상에 장애물 방치

27

계단 모서리의 파손 부위는 수리

계단 모서리에는 논슬립 재료 시공

통로상 눈 또는 빙판은 수시로 제거

바닥통로계단은 깨끗하고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관리

항상 물기 등으로 미끄러운 장소에는 lsquo미끄럼 주의rsquo 표지판 설치

통로상 턱 문지방 등 돌출부는 주변과 구분이 되는 색으로 도장

통로상에는 통행에 지장이 되는 물건이 없도록 관리

작업 전 신발 착용상태 점검 및 작업특성에 맞는 신발 지급

계단 물기 장애물 등으로 인한 전도 예방교육 강화

28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금지

계단에서는 각 단을 확실하게 딛고 수시로 안전난간을 잡음

물건을 운반할 때에는 계단바닥의 상태를 확인

계단 논슬립 난간 등의 파손된 부위는 관리자에 보고

바닥통로계단의 물기 등 이물질은 수시로 청소하여 제거

항상 물기가 있는 장소에서는 뛰거나 급한 행동 금지

통로상에 형성된 빙판은 염화칼슘 또는 모래 등을 뿌려 제거

통로상에 제거되지 않은 빙판이 있을 경우 우회하여 이동

통행로 상에는 각종 물건의 방치 금지

각종 호스 전선 등은 사용 후 정리하여 보관

각종 호스 전선 사용 장소에서는 걸리거나 밟지 않도록 주의

사무업무 외 슬리퍼 등 미끄러질 수 있는 신발은 착용 금지

신발은 바르게 착용하고 적정하게 밀착되도록 끈을 조임

29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원인분석위험점

동력전달부왕복운동부

발생형태

끼임

회전기계감김

전단기계절단

양중기낙하

절단기류비래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정비청소 중 전원동력차단 미실시

왕복회전 작동부위 신체 접근

가공물 투입구에 손으로 투입

탁상드릴 등 회전기계 작업 중 면장갑 착용

회전기계 작동 중 손으로 투입반출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재단 칼날 왕복작동 부위 신체 접근

절단작업 중 절단날 파손

절단작업 중 절단물 비래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30

정비청소 시 전원동력차단 확인 및 표지판 부착

정비 후 동력전달부 방호덮개 원상복귀

개방된 왕복작동 부위에는 협착주의 표지판 설치

회전기계 사용 작업자 면장갑 착용 금지조치

승강기(리프트) 각 층 탑승장에는 안전문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리프트)에는 사람 탑승 금지 조치

육가공야채절단 기계류는 적절한 투입용 수공구 제공

핸드그라인더에는 날접촉 예방 방호덮개 설치

둥근톱 핸드그라인더 작업자에게는 보안경 지급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 묶음상태 확인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줄걸이 이탈 방지 조치

각종 전동공구는 이중절연구조 사용

각종 전기기구는 누전차단기에 연결하여 사용

31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기계middot기구 점검수리청소 전 전원차단 및 표지판 부착

2인이상이 기계기구를 점검수리청소시 서로 신호 실시

기계middot기구를 이용한 작업 시 항상 주의집중

기계middot기구의 왕복운동부에는 신체 접근금지

기계middot기구의 맞물려 회전하는 부분에는 신체 접근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금지

육가공야채 절단기계에는 전용 수공구를 이용하여 투입

탁상드릴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면장갑 착용금지

동력톱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보안경 착용

회전칼날톱 사용 시 절단물을 잡는 손은 10cm이상의 간격 확보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을 확실하게 묶고 훅 이탈 방지조치 실시

페인트 등 인화성물질 부근에서 용접용단 금지

인화성물질 보관용기(폐드럼)는 절단 전 마개 개방환기물을 채워 치환 실시

32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제5장

도 middot 소매업

근골격계질환 예방 공학적 개선사례

33

1 중량물 취급

자세에 따른 허리(L5S1)

부담 정도

작업물과 작업자간 거리

34

bull 어깨 위 적재

bull 무릎 아래 적재

bull 과도한 힘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저장공정-적재작업

35

bull 폴리에틸렌 재질

bull 당기는 힘 증가

bull 손 팔 등 스트레스 발생

bull 15ℓtimes20개 = 약 30kg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저장공정-적재작업

bull 층 사이 lsquo미끌림시트(Slip sheet)rsquo설치

bull 당기는 힘 감소

미끌림시트(Slip sheet)

36

작업대 높이

작업대 높이 권장기준

37

bull 낮은 작업대 높이

bull 부자연스런 자세로 인해 요통 등근골격계 질환 위험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농수산물-농산소분작업

bull 높이 조절 가능 작업대

bull 극단치 설계 (95tile)

bull 키 작은 사람 발판 제공

38

bull 높이가 다른 작업

bull 근골격계 질환 위험이 크므로곧 개선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조리-포장작업

bull 작업대와 작업기기 높이 고려

39

정상middot최대 작업영역

정상 작업영역

bull 25cm 이내

bull 번번한 작업

최대 작업영역

bull 50cm 이내

bull 최대 팔 뻗침 영역 이내

정상 작업영역 최대 작업영역

40

bull 먼 위치의 작업역

bull 부자연스러운 자세

bull 과도한 뻗침

bull 반복작업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일반상품-진열작업

bull 진열대 앞 적재 금지

bull 대차 일체형 보관

및 진열

41

작업설비 도구

42

개선 대책

운반카트

bull 운반 전용 카트 이용

bull 수직형 손잡이 높이92cm

bull 대차 높이 140cm 미만 직경20cm

43

기타 개선사례

bull 반복 작업

bull 접촉 스트레스

bull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포장-포장작업

bull 기기와 작업대 폭을 같게

bull 기기의 날카로운 끝부분에

쿠션 설치 고려

44

  • 슬라이드 번호 1
  • 슬라이드 번호 2
  • 슬라이드 번호 3
  • 슬라이드 번호 4
  • 슬라이드 번호 5
  • 슬라이드 번호 6
  • 슬라이드 번호 7
  • 슬라이드 번호 8
  • 슬라이드 번호 9
  • 슬라이드 번호 10
  • 슬라이드 번호 11
  • 슬라이드 번호 12
  • 슬라이드 번호 13
  • 슬라이드 번호 14
  • 슬라이드 번호 15
  • 슬라이드 번호 16
  • 슬라이드 번호 17
  • 슬라이드 번호 18
  • 슬라이드 번호 19
  • 슬라이드 번호 20
  • 슬라이드 번호 21
  • 슬라이드 번호 22
  • 슬라이드 번호 23
  • 슬라이드 번호 24
  • 슬라이드 번호 25
  • 슬라이드 번호 26
  • 슬라이드 번호 27
  • 슬라이드 번호 28
  • 슬라이드 번호 29
  • 슬라이드 번호 30
  • 슬라이드 번호 31
  • 슬라이드 번호 32
  • 슬라이드 번호 33
  • 슬라이드 번호 34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37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40
  • 사례1
  • 슬라이드 번호 42
  • 슬라이드 번호 43
  • 슬라이드 번호 44
Page 3: 도소매산업 재해예방 ppt

제1장

도 middot 소매업

재해현황 분석

2 연도별 전체재해자 대비 도middot소매업 재해자 구성비

재해자수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근로자수

사업장수

230547241285 264022

285030296490

10117741047750

10894431178572

1264303

6166

5219

5677

6456 6970

0

200000

400000

600000

800000

1000000

1200000

140000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0

7000

8000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사업장수 230547 241285 264022 285030 296490

근로자수 1011774 1047750 1089443 1178572 1264303

재해자수 5219 5677 6166 6456 6970

증감재해자수 59 458 489 290 514

증감률() 114 878 861 470 796

재해율 052 054 057 055 055

재해자는 매년약 440명씩지속적으로 증가

최근 5년간도middot소매업 사업장은매년 약 16500개소 근로자는 약 63000명증가

4

2 연도별 전체재해자 대비 도middot소매업 재해자 구성비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전체 재해자수 88874 85411 89910 90147 95806

도middot소매업 재해자수 5219 5677 6166 6456 6970

재해자 구성비() 587 665 686 716 728

재해자 구성비

최근 5년간 전체업종재해자수에 대한도middot소매업종 재해자수의 비율은 계속하여증가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전체재해자수

도middot소매업재해자수

550

600

650

700

750

800

50052195677

6166 6456 6970

88874 8541189910 90147

95806

686

587

665

716728

5

3 연도별 도middot소매업 재해 발생형태

2004년

1000

800

600

400

200

0

1200

1400

1600전도

감김middot 끼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추락

충돌

업무관련성질병

도middot소매업은 전도 작업관련질병(뇌심 근골) 추락 협착 절단베임 등이 주요재해 발생형태임

최근 5년간은 3대다발재해(협착 전도 추락)보다 작업관련질병과 절단베임의증가가 두드러짐

1140

12791374

1326

1464

284268

734

1006

952

569 556608

660792739

723

779

808

676

569

614

784

887

517

6

뇌middot심혈관 질환 등 10

기타질병 2

직업병 1

근골(요통 외) 12

사고성 요통 49

요통 26

4 2008년 도소매업 발생형태별 재해 현황

업무상질병현황

2008년 도middot소매업의 산업재해는 전도 작업관련 질병(뇌심 근골)추락 협착 절단베임 등 5대 재해가 65 점유3대 다발재해(협착 전도 추락)는 42 점유

업무상 질병은 요통 등 근골격계 질환이 87로 대다수를 차지

추락 11

협착 10

절단베임 9

작업관련질병14

기타 형태 35

전도 21

주요재해

발생형태

7

70대 이상 1

6개월~1년미만 15

5년~10년미만 8

10년이상 4

2년~5년미만 16

6개월미만 41

1년~2년미만 16

5 2008년 도소매업 연령근속기간별 재해현황

40대 25

50대 13

60대 4

30대 34

10대 1

20대 22

연령별재해현황

근속기간별

재해현황

도소매업의 산업재해는

20-30대 젊은 층에서

56의 재해가 발생하고

40-50대 중년 층에서

38가 발생

근속기간 6개월 미만의

미숙련자의 재해가 41로

가장 많고

6개월 이상 5년 미만 경력자의

재해도 47를 점유

8

6 2008년 도middot소매업 주요 기인물별 재해현황

상품 등의 인력운반에 따른 재해가 가장 많았고다음으로 각종 기계middot기구 취급에 의한 재해가 많이 발생

사다리 34

바닥통로계단 102

적재물 55

구조물 51

차량 131

운반물 233

기계middot기구 174

지게차 25

칼 25

기타 169

백화점 할인마트

위주

9

제2장

도 middot 소매업

공정별 주요현황 및근골격계 유해위험요인

1 도소매업(유통업)종 업무 특징

장시간 서서작업

반복성 과도한 힘

부자연스런 자세 등

장시간 근로

협력사원 비중

높음

빈번한

인력운반

취급작업

불규칙한

교대작업

11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단순반복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접촉스트레스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일반상품 판매

12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부적절한

자세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bull 부적절한

자세

축산물 판매

13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부적절한

자세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bull 접촉스트레스

bull 부적절한

자세

농수산물 판매

14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단순반복

bull 단순반복

bull 부적절한 자세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제빵 판매

15

제3장

도 middot 소매업

주요 재해사례

1 계단에서 물품 운반 중 전도

1층과 2층 연결계단 사이에서 판매제품 박스를 옮기던 중떨어진 박스 위로 발을 딛어 계단 아래로 미끄러져 넘어짐

계단에서는 각 단을 확실하게 딛고수시로 안전난간을 잡음

계단 물기 장애물 등으로 인한전도 예방교육 강화

예방대책

17

사다리를 내려오던 중 사다리가 넘어지며 추락

이동식사다리를 이용한 작업 시 사다리의

상부를 고정하고 하부에는 미끄럼방지 조치

높이 2m 이상의 추락위험이 있는 적재대

에는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하고 통행할

수 있는 안전난간이 부착된 고정식 사다리

또는 계단 설치

2 사다리를 내려오던 중 추락

예방대책

18

불량하게 적재된 팔레트 위에 올라 서서 물건을 내리던 중 추락

높이가 2m를 초과하는 적재물에 승강 시

안전하게 승강할 수 있는 승강설비를 비치

하여 사용

예방대책

중량물 적재용 팔레트는 충분한 강도를

갖는 것을 사용하고 판재나 각목의 상태를

점검하여 손상된 것은 폐기 조치

3 불량 적재된 팔레트 위에서 추락

19

포대가 기울어져 적재되어 있는 상태에서 포대 출고 시창고 안쪽부터 출고하여 입구쪽 포대가 붕괴

포대 적재 시에는 적재물이 붕괴되지않도록 적정한 적재 높이를 준수하고하단을 넓게 적재하는 등 붕괴방지조치

예방대책

포대 등을 반출할 때에는 위에서부터순차적으로 층계를 만들면서 출고

4 양곡출고 작업 중 붕괴

20

백화점 의료 매장 앞에서 출고된상품을 확인하고자 박스를 열기위해 옮기다가 허리 삐끗

5 근골격계 질환 ①

백화점 내 생선회 조리사로 근무하던중 손목 부위의 반복동작으로 통증이심해져 장기간 병원에서 오른쪽 손목관절 물리치료를 받음

21

지하 3층 쇼핑백 보관창고에서 쇼핑백을 매장으로 옮기던 중 높이 쌓여있는(2m 이상) 쇼핑백 꾸러미를 내려짐카에 옮기려고 쇼핑백 한 꾸러미를(200개묶음)든 순간 허리삐끗

집기(진열대)와 행사박스를 트럭에서내리던 중 어깨와 목 허리에 통증과결림이 발생

6 근골격계 질환 ②

22

제4장

도 middot 소매업

작업별 위험요인 및`안전조치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위험점 원인분석발생형태

요통근골

낙하

전도충돌

끼임

베임

중량 자세

파지 적재

자세 시야

파지 중량 자세

유리

과다한 중량의 물건 인력운반

부적합한 자세로 물건 인력운반

물건을 확실하게 잡지 않음

정리정돈이 불량한 물건 적재

이동방향 시야확보 불량

부적합한 자세로 물건 인력운반

물건의 적절한 손잡이 미확보

과다한 중량의 물건을 취급

무리한 동작으로 물건 인력운반

파손되기 쉬운 유리제품 취급 부주의

파손된 유리 정리정돈 불량

24

분리 가능한 인력 운반물은 10kg 이하의 적정 중량으로 포장

취급 물품의 인력운반 및 취급 방법 자세 등의 안전교육 실시

운반물의 중량 형태 및 취급장소에 따른 적정 인원배치

통행로는 항상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정리정돈

운반물 또는 운반용기(통 바구니 등)에는 적절한 손잡이 부착

운반물의 형태 및 용도에 적합한 이동대차 설치

사업장 내 이동대차 이용을 위해 평탄하고 적정 너비의 통로 확보

중량물 인력운반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게차 등 운반설비 설치

사업장 내 중량물을 올리거나 내리기 위한 화물용 승강기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각 층 탑승장에는 18m 이상 높이의 출입문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문 개방 시 작동이 안되도록 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문 외의 부분은 18m 이상 높이의 방호울 설치

화물용 승강기에는 lsquo화물전용rsquolsquo탑승금지rsquo 표지판을 설치

25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분리 가능한 운반물은 신체무리가 없는 적정 중량으로 나누어 운반

분리되지 않는 중량의 운반물은 적정 인원이 함께 운반

운반시 이동방향의 시야를 확보하여 통로상태를 확인하며 운반

파손될 수 있는 운반물은 주변 물체에 주의하며 천천히 운반

운반물을 운반하기 전 적당한 손잡이를 확보

중량물을 복부에 밀착하여 허리를 펴고 다리 힘으로 일어남

중량물을 운반할 경우 허리를 펴고 다리만 움직여 이동

중량물을 들고 팔다리허리 관절의 무리한 동작 금지

통행로 상에는 통행에 지장을 주는 물건이 없도록 정리정돈

이동대차에는 각 방향의 무게중심을 고려하여 적재

양 다리를 모으고 이동대차를 밀거나 끄는 행동 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 금지

운반 후 운반물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정리정돈하여 적재

26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위험점발생형태

전 도

계단

이물질

장애물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원인분석

계단을 확실히 딛지 않고 이동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계단 모서리 논슬립 미시공

바닥통로계단 이물질 미제거

통행로 상에 장애물 방치

27

계단 모서리의 파손 부위는 수리

계단 모서리에는 논슬립 재료 시공

통로상 눈 또는 빙판은 수시로 제거

바닥통로계단은 깨끗하고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관리

항상 물기 등으로 미끄러운 장소에는 lsquo미끄럼 주의rsquo 표지판 설치

통로상 턱 문지방 등 돌출부는 주변과 구분이 되는 색으로 도장

통로상에는 통행에 지장이 되는 물건이 없도록 관리

작업 전 신발 착용상태 점검 및 작업특성에 맞는 신발 지급

계단 물기 장애물 등으로 인한 전도 예방교육 강화

28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금지

계단에서는 각 단을 확실하게 딛고 수시로 안전난간을 잡음

물건을 운반할 때에는 계단바닥의 상태를 확인

계단 논슬립 난간 등의 파손된 부위는 관리자에 보고

바닥통로계단의 물기 등 이물질은 수시로 청소하여 제거

항상 물기가 있는 장소에서는 뛰거나 급한 행동 금지

통로상에 형성된 빙판은 염화칼슘 또는 모래 등을 뿌려 제거

통로상에 제거되지 않은 빙판이 있을 경우 우회하여 이동

통행로 상에는 각종 물건의 방치 금지

각종 호스 전선 등은 사용 후 정리하여 보관

각종 호스 전선 사용 장소에서는 걸리거나 밟지 않도록 주의

사무업무 외 슬리퍼 등 미끄러질 수 있는 신발은 착용 금지

신발은 바르게 착용하고 적정하게 밀착되도록 끈을 조임

29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원인분석위험점

동력전달부왕복운동부

발생형태

끼임

회전기계감김

전단기계절단

양중기낙하

절단기류비래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정비청소 중 전원동력차단 미실시

왕복회전 작동부위 신체 접근

가공물 투입구에 손으로 투입

탁상드릴 등 회전기계 작업 중 면장갑 착용

회전기계 작동 중 손으로 투입반출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재단 칼날 왕복작동 부위 신체 접근

절단작업 중 절단날 파손

절단작업 중 절단물 비래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30

정비청소 시 전원동력차단 확인 및 표지판 부착

정비 후 동력전달부 방호덮개 원상복귀

개방된 왕복작동 부위에는 협착주의 표지판 설치

회전기계 사용 작업자 면장갑 착용 금지조치

승강기(리프트) 각 층 탑승장에는 안전문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리프트)에는 사람 탑승 금지 조치

육가공야채절단 기계류는 적절한 투입용 수공구 제공

핸드그라인더에는 날접촉 예방 방호덮개 설치

둥근톱 핸드그라인더 작업자에게는 보안경 지급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 묶음상태 확인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줄걸이 이탈 방지 조치

각종 전동공구는 이중절연구조 사용

각종 전기기구는 누전차단기에 연결하여 사용

31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기계middot기구 점검수리청소 전 전원차단 및 표지판 부착

2인이상이 기계기구를 점검수리청소시 서로 신호 실시

기계middot기구를 이용한 작업 시 항상 주의집중

기계middot기구의 왕복운동부에는 신체 접근금지

기계middot기구의 맞물려 회전하는 부분에는 신체 접근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금지

육가공야채 절단기계에는 전용 수공구를 이용하여 투입

탁상드릴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면장갑 착용금지

동력톱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보안경 착용

회전칼날톱 사용 시 절단물을 잡는 손은 10cm이상의 간격 확보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을 확실하게 묶고 훅 이탈 방지조치 실시

페인트 등 인화성물질 부근에서 용접용단 금지

인화성물질 보관용기(폐드럼)는 절단 전 마개 개방환기물을 채워 치환 실시

32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제5장

도 middot 소매업

근골격계질환 예방 공학적 개선사례

33

1 중량물 취급

자세에 따른 허리(L5S1)

부담 정도

작업물과 작업자간 거리

34

bull 어깨 위 적재

bull 무릎 아래 적재

bull 과도한 힘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저장공정-적재작업

35

bull 폴리에틸렌 재질

bull 당기는 힘 증가

bull 손 팔 등 스트레스 발생

bull 15ℓtimes20개 = 약 30kg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저장공정-적재작업

bull 층 사이 lsquo미끌림시트(Slip sheet)rsquo설치

bull 당기는 힘 감소

미끌림시트(Slip sheet)

36

작업대 높이

작업대 높이 권장기준

37

bull 낮은 작업대 높이

bull 부자연스런 자세로 인해 요통 등근골격계 질환 위험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농수산물-농산소분작업

bull 높이 조절 가능 작업대

bull 극단치 설계 (95tile)

bull 키 작은 사람 발판 제공

38

bull 높이가 다른 작업

bull 근골격계 질환 위험이 크므로곧 개선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조리-포장작업

bull 작업대와 작업기기 높이 고려

39

정상middot최대 작업영역

정상 작업영역

bull 25cm 이내

bull 번번한 작업

최대 작업영역

bull 50cm 이내

bull 최대 팔 뻗침 영역 이내

정상 작업영역 최대 작업영역

40

bull 먼 위치의 작업역

bull 부자연스러운 자세

bull 과도한 뻗침

bull 반복작업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일반상품-진열작업

bull 진열대 앞 적재 금지

bull 대차 일체형 보관

및 진열

41

작업설비 도구

42

개선 대책

운반카트

bull 운반 전용 카트 이용

bull 수직형 손잡이 높이92cm

bull 대차 높이 140cm 미만 직경20cm

43

기타 개선사례

bull 반복 작업

bull 접촉 스트레스

bull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포장-포장작업

bull 기기와 작업대 폭을 같게

bull 기기의 날카로운 끝부분에

쿠션 설치 고려

44

  • 슬라이드 번호 1
  • 슬라이드 번호 2
  • 슬라이드 번호 3
  • 슬라이드 번호 4
  • 슬라이드 번호 5
  • 슬라이드 번호 6
  • 슬라이드 번호 7
  • 슬라이드 번호 8
  • 슬라이드 번호 9
  • 슬라이드 번호 10
  • 슬라이드 번호 11
  • 슬라이드 번호 12
  • 슬라이드 번호 13
  • 슬라이드 번호 14
  • 슬라이드 번호 15
  • 슬라이드 번호 16
  • 슬라이드 번호 17
  • 슬라이드 번호 18
  • 슬라이드 번호 19
  • 슬라이드 번호 20
  • 슬라이드 번호 21
  • 슬라이드 번호 22
  • 슬라이드 번호 23
  • 슬라이드 번호 24
  • 슬라이드 번호 25
  • 슬라이드 번호 26
  • 슬라이드 번호 27
  • 슬라이드 번호 28
  • 슬라이드 번호 29
  • 슬라이드 번호 30
  • 슬라이드 번호 31
  • 슬라이드 번호 32
  • 슬라이드 번호 33
  • 슬라이드 번호 34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37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40
  • 사례1
  • 슬라이드 번호 42
  • 슬라이드 번호 43
  • 슬라이드 번호 44
Page 4: 도소매산업 재해예방 ppt

2 연도별 전체재해자 대비 도middot소매업 재해자 구성비

재해자수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근로자수

사업장수

230547241285 264022

285030296490

10117741047750

10894431178572

1264303

6166

5219

5677

6456 6970

0

200000

400000

600000

800000

1000000

1200000

140000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0

7000

8000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사업장수 230547 241285 264022 285030 296490

근로자수 1011774 1047750 1089443 1178572 1264303

재해자수 5219 5677 6166 6456 6970

증감재해자수 59 458 489 290 514

증감률() 114 878 861 470 796

재해율 052 054 057 055 055

재해자는 매년약 440명씩지속적으로 증가

최근 5년간도middot소매업 사업장은매년 약 16500개소 근로자는 약 63000명증가

4

2 연도별 전체재해자 대비 도middot소매업 재해자 구성비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전체 재해자수 88874 85411 89910 90147 95806

도middot소매업 재해자수 5219 5677 6166 6456 6970

재해자 구성비() 587 665 686 716 728

재해자 구성비

최근 5년간 전체업종재해자수에 대한도middot소매업종 재해자수의 비율은 계속하여증가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전체재해자수

도middot소매업재해자수

550

600

650

700

750

800

50052195677

6166 6456 6970

88874 8541189910 90147

95806

686

587

665

716728

5

3 연도별 도middot소매업 재해 발생형태

2004년

1000

800

600

400

200

0

1200

1400

1600전도

감김middot 끼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추락

충돌

업무관련성질병

도middot소매업은 전도 작업관련질병(뇌심 근골) 추락 협착 절단베임 등이 주요재해 발생형태임

최근 5년간은 3대다발재해(협착 전도 추락)보다 작업관련질병과 절단베임의증가가 두드러짐

1140

12791374

1326

1464

284268

734

1006

952

569 556608

660792739

723

779

808

676

569

614

784

887

517

6

뇌middot심혈관 질환 등 10

기타질병 2

직업병 1

근골(요통 외) 12

사고성 요통 49

요통 26

4 2008년 도소매업 발생형태별 재해 현황

업무상질병현황

2008년 도middot소매업의 산업재해는 전도 작업관련 질병(뇌심 근골)추락 협착 절단베임 등 5대 재해가 65 점유3대 다발재해(협착 전도 추락)는 42 점유

업무상 질병은 요통 등 근골격계 질환이 87로 대다수를 차지

추락 11

협착 10

절단베임 9

작업관련질병14

기타 형태 35

전도 21

주요재해

발생형태

7

70대 이상 1

6개월~1년미만 15

5년~10년미만 8

10년이상 4

2년~5년미만 16

6개월미만 41

1년~2년미만 16

5 2008년 도소매업 연령근속기간별 재해현황

40대 25

50대 13

60대 4

30대 34

10대 1

20대 22

연령별재해현황

근속기간별

재해현황

도소매업의 산업재해는

20-30대 젊은 층에서

56의 재해가 발생하고

40-50대 중년 층에서

38가 발생

근속기간 6개월 미만의

미숙련자의 재해가 41로

가장 많고

6개월 이상 5년 미만 경력자의

재해도 47를 점유

8

6 2008년 도middot소매업 주요 기인물별 재해현황

상품 등의 인력운반에 따른 재해가 가장 많았고다음으로 각종 기계middot기구 취급에 의한 재해가 많이 발생

사다리 34

바닥통로계단 102

적재물 55

구조물 51

차량 131

운반물 233

기계middot기구 174

지게차 25

칼 25

기타 169

백화점 할인마트

위주

9

제2장

도 middot 소매업

공정별 주요현황 및근골격계 유해위험요인

1 도소매업(유통업)종 업무 특징

장시간 서서작업

반복성 과도한 힘

부자연스런 자세 등

장시간 근로

협력사원 비중

높음

빈번한

인력운반

취급작업

불규칙한

교대작업

11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단순반복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접촉스트레스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일반상품 판매

12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부적절한

자세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bull 부적절한

자세

축산물 판매

13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부적절한

자세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bull 접촉스트레스

bull 부적절한

자세

농수산물 판매

14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단순반복

bull 단순반복

bull 부적절한 자세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제빵 판매

15

제3장

도 middot 소매업

주요 재해사례

1 계단에서 물품 운반 중 전도

1층과 2층 연결계단 사이에서 판매제품 박스를 옮기던 중떨어진 박스 위로 발을 딛어 계단 아래로 미끄러져 넘어짐

계단에서는 각 단을 확실하게 딛고수시로 안전난간을 잡음

계단 물기 장애물 등으로 인한전도 예방교육 강화

예방대책

17

사다리를 내려오던 중 사다리가 넘어지며 추락

이동식사다리를 이용한 작업 시 사다리의

상부를 고정하고 하부에는 미끄럼방지 조치

높이 2m 이상의 추락위험이 있는 적재대

에는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하고 통행할

수 있는 안전난간이 부착된 고정식 사다리

또는 계단 설치

2 사다리를 내려오던 중 추락

예방대책

18

불량하게 적재된 팔레트 위에 올라 서서 물건을 내리던 중 추락

높이가 2m를 초과하는 적재물에 승강 시

안전하게 승강할 수 있는 승강설비를 비치

하여 사용

예방대책

중량물 적재용 팔레트는 충분한 강도를

갖는 것을 사용하고 판재나 각목의 상태를

점검하여 손상된 것은 폐기 조치

3 불량 적재된 팔레트 위에서 추락

19

포대가 기울어져 적재되어 있는 상태에서 포대 출고 시창고 안쪽부터 출고하여 입구쪽 포대가 붕괴

포대 적재 시에는 적재물이 붕괴되지않도록 적정한 적재 높이를 준수하고하단을 넓게 적재하는 등 붕괴방지조치

예방대책

포대 등을 반출할 때에는 위에서부터순차적으로 층계를 만들면서 출고

4 양곡출고 작업 중 붕괴

20

백화점 의료 매장 앞에서 출고된상품을 확인하고자 박스를 열기위해 옮기다가 허리 삐끗

5 근골격계 질환 ①

백화점 내 생선회 조리사로 근무하던중 손목 부위의 반복동작으로 통증이심해져 장기간 병원에서 오른쪽 손목관절 물리치료를 받음

21

지하 3층 쇼핑백 보관창고에서 쇼핑백을 매장으로 옮기던 중 높이 쌓여있는(2m 이상) 쇼핑백 꾸러미를 내려짐카에 옮기려고 쇼핑백 한 꾸러미를(200개묶음)든 순간 허리삐끗

집기(진열대)와 행사박스를 트럭에서내리던 중 어깨와 목 허리에 통증과결림이 발생

6 근골격계 질환 ②

22

제4장

도 middot 소매업

작업별 위험요인 및`안전조치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위험점 원인분석발생형태

요통근골

낙하

전도충돌

끼임

베임

중량 자세

파지 적재

자세 시야

파지 중량 자세

유리

과다한 중량의 물건 인력운반

부적합한 자세로 물건 인력운반

물건을 확실하게 잡지 않음

정리정돈이 불량한 물건 적재

이동방향 시야확보 불량

부적합한 자세로 물건 인력운반

물건의 적절한 손잡이 미확보

과다한 중량의 물건을 취급

무리한 동작으로 물건 인력운반

파손되기 쉬운 유리제품 취급 부주의

파손된 유리 정리정돈 불량

24

분리 가능한 인력 운반물은 10kg 이하의 적정 중량으로 포장

취급 물품의 인력운반 및 취급 방법 자세 등의 안전교육 실시

운반물의 중량 형태 및 취급장소에 따른 적정 인원배치

통행로는 항상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정리정돈

운반물 또는 운반용기(통 바구니 등)에는 적절한 손잡이 부착

운반물의 형태 및 용도에 적합한 이동대차 설치

사업장 내 이동대차 이용을 위해 평탄하고 적정 너비의 통로 확보

중량물 인력운반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게차 등 운반설비 설치

사업장 내 중량물을 올리거나 내리기 위한 화물용 승강기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각 층 탑승장에는 18m 이상 높이의 출입문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문 개방 시 작동이 안되도록 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문 외의 부분은 18m 이상 높이의 방호울 설치

화물용 승강기에는 lsquo화물전용rsquolsquo탑승금지rsquo 표지판을 설치

25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분리 가능한 운반물은 신체무리가 없는 적정 중량으로 나누어 운반

분리되지 않는 중량의 운반물은 적정 인원이 함께 운반

운반시 이동방향의 시야를 확보하여 통로상태를 확인하며 운반

파손될 수 있는 운반물은 주변 물체에 주의하며 천천히 운반

운반물을 운반하기 전 적당한 손잡이를 확보

중량물을 복부에 밀착하여 허리를 펴고 다리 힘으로 일어남

중량물을 운반할 경우 허리를 펴고 다리만 움직여 이동

중량물을 들고 팔다리허리 관절의 무리한 동작 금지

통행로 상에는 통행에 지장을 주는 물건이 없도록 정리정돈

이동대차에는 각 방향의 무게중심을 고려하여 적재

양 다리를 모으고 이동대차를 밀거나 끄는 행동 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 금지

운반 후 운반물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정리정돈하여 적재

26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위험점발생형태

전 도

계단

이물질

장애물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원인분석

계단을 확실히 딛지 않고 이동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계단 모서리 논슬립 미시공

바닥통로계단 이물질 미제거

통행로 상에 장애물 방치

27

계단 모서리의 파손 부위는 수리

계단 모서리에는 논슬립 재료 시공

통로상 눈 또는 빙판은 수시로 제거

바닥통로계단은 깨끗하고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관리

항상 물기 등으로 미끄러운 장소에는 lsquo미끄럼 주의rsquo 표지판 설치

통로상 턱 문지방 등 돌출부는 주변과 구분이 되는 색으로 도장

통로상에는 통행에 지장이 되는 물건이 없도록 관리

작업 전 신발 착용상태 점검 및 작업특성에 맞는 신발 지급

계단 물기 장애물 등으로 인한 전도 예방교육 강화

28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금지

계단에서는 각 단을 확실하게 딛고 수시로 안전난간을 잡음

물건을 운반할 때에는 계단바닥의 상태를 확인

계단 논슬립 난간 등의 파손된 부위는 관리자에 보고

바닥통로계단의 물기 등 이물질은 수시로 청소하여 제거

항상 물기가 있는 장소에서는 뛰거나 급한 행동 금지

통로상에 형성된 빙판은 염화칼슘 또는 모래 등을 뿌려 제거

통로상에 제거되지 않은 빙판이 있을 경우 우회하여 이동

통행로 상에는 각종 물건의 방치 금지

각종 호스 전선 등은 사용 후 정리하여 보관

각종 호스 전선 사용 장소에서는 걸리거나 밟지 않도록 주의

사무업무 외 슬리퍼 등 미끄러질 수 있는 신발은 착용 금지

신발은 바르게 착용하고 적정하게 밀착되도록 끈을 조임

29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원인분석위험점

동력전달부왕복운동부

발생형태

끼임

회전기계감김

전단기계절단

양중기낙하

절단기류비래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정비청소 중 전원동력차단 미실시

왕복회전 작동부위 신체 접근

가공물 투입구에 손으로 투입

탁상드릴 등 회전기계 작업 중 면장갑 착용

회전기계 작동 중 손으로 투입반출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재단 칼날 왕복작동 부위 신체 접근

절단작업 중 절단날 파손

절단작업 중 절단물 비래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30

정비청소 시 전원동력차단 확인 및 표지판 부착

정비 후 동력전달부 방호덮개 원상복귀

개방된 왕복작동 부위에는 협착주의 표지판 설치

회전기계 사용 작업자 면장갑 착용 금지조치

승강기(리프트) 각 층 탑승장에는 안전문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리프트)에는 사람 탑승 금지 조치

육가공야채절단 기계류는 적절한 투입용 수공구 제공

핸드그라인더에는 날접촉 예방 방호덮개 설치

둥근톱 핸드그라인더 작업자에게는 보안경 지급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 묶음상태 확인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줄걸이 이탈 방지 조치

각종 전동공구는 이중절연구조 사용

각종 전기기구는 누전차단기에 연결하여 사용

31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기계middot기구 점검수리청소 전 전원차단 및 표지판 부착

2인이상이 기계기구를 점검수리청소시 서로 신호 실시

기계middot기구를 이용한 작업 시 항상 주의집중

기계middot기구의 왕복운동부에는 신체 접근금지

기계middot기구의 맞물려 회전하는 부분에는 신체 접근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금지

육가공야채 절단기계에는 전용 수공구를 이용하여 투입

탁상드릴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면장갑 착용금지

동력톱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보안경 착용

회전칼날톱 사용 시 절단물을 잡는 손은 10cm이상의 간격 확보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을 확실하게 묶고 훅 이탈 방지조치 실시

페인트 등 인화성물질 부근에서 용접용단 금지

인화성물질 보관용기(폐드럼)는 절단 전 마개 개방환기물을 채워 치환 실시

32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제5장

도 middot 소매업

근골격계질환 예방 공학적 개선사례

33

1 중량물 취급

자세에 따른 허리(L5S1)

부담 정도

작업물과 작업자간 거리

34

bull 어깨 위 적재

bull 무릎 아래 적재

bull 과도한 힘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저장공정-적재작업

35

bull 폴리에틸렌 재질

bull 당기는 힘 증가

bull 손 팔 등 스트레스 발생

bull 15ℓtimes20개 = 약 30kg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저장공정-적재작업

bull 층 사이 lsquo미끌림시트(Slip sheet)rsquo설치

bull 당기는 힘 감소

미끌림시트(Slip sheet)

36

작업대 높이

작업대 높이 권장기준

37

bull 낮은 작업대 높이

bull 부자연스런 자세로 인해 요통 등근골격계 질환 위험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농수산물-농산소분작업

bull 높이 조절 가능 작업대

bull 극단치 설계 (95tile)

bull 키 작은 사람 발판 제공

38

bull 높이가 다른 작업

bull 근골격계 질환 위험이 크므로곧 개선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조리-포장작업

bull 작업대와 작업기기 높이 고려

39

정상middot최대 작업영역

정상 작업영역

bull 25cm 이내

bull 번번한 작업

최대 작업영역

bull 50cm 이내

bull 최대 팔 뻗침 영역 이내

정상 작업영역 최대 작업영역

40

bull 먼 위치의 작업역

bull 부자연스러운 자세

bull 과도한 뻗침

bull 반복작업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일반상품-진열작업

bull 진열대 앞 적재 금지

bull 대차 일체형 보관

및 진열

41

작업설비 도구

42

개선 대책

운반카트

bull 운반 전용 카트 이용

bull 수직형 손잡이 높이92cm

bull 대차 높이 140cm 미만 직경20cm

43

기타 개선사례

bull 반복 작업

bull 접촉 스트레스

bull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포장-포장작업

bull 기기와 작업대 폭을 같게

bull 기기의 날카로운 끝부분에

쿠션 설치 고려

44

  • 슬라이드 번호 1
  • 슬라이드 번호 2
  • 슬라이드 번호 3
  • 슬라이드 번호 4
  • 슬라이드 번호 5
  • 슬라이드 번호 6
  • 슬라이드 번호 7
  • 슬라이드 번호 8
  • 슬라이드 번호 9
  • 슬라이드 번호 10
  • 슬라이드 번호 11
  • 슬라이드 번호 12
  • 슬라이드 번호 13
  • 슬라이드 번호 14
  • 슬라이드 번호 15
  • 슬라이드 번호 16
  • 슬라이드 번호 17
  • 슬라이드 번호 18
  • 슬라이드 번호 19
  • 슬라이드 번호 20
  • 슬라이드 번호 21
  • 슬라이드 번호 22
  • 슬라이드 번호 23
  • 슬라이드 번호 24
  • 슬라이드 번호 25
  • 슬라이드 번호 26
  • 슬라이드 번호 27
  • 슬라이드 번호 28
  • 슬라이드 번호 29
  • 슬라이드 번호 30
  • 슬라이드 번호 31
  • 슬라이드 번호 32
  • 슬라이드 번호 33
  • 슬라이드 번호 34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37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40
  • 사례1
  • 슬라이드 번호 42
  • 슬라이드 번호 43
  • 슬라이드 번호 44
Page 5: 도소매산업 재해예방 ppt

2 연도별 전체재해자 대비 도middot소매업 재해자 구성비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전체 재해자수 88874 85411 89910 90147 95806

도middot소매업 재해자수 5219 5677 6166 6456 6970

재해자 구성비() 587 665 686 716 728

재해자 구성비

최근 5년간 전체업종재해자수에 대한도middot소매업종 재해자수의 비율은 계속하여증가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전체재해자수

도middot소매업재해자수

550

600

650

700

750

800

50052195677

6166 6456 6970

88874 8541189910 90147

95806

686

587

665

716728

5

3 연도별 도middot소매업 재해 발생형태

2004년

1000

800

600

400

200

0

1200

1400

1600전도

감김middot 끼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추락

충돌

업무관련성질병

도middot소매업은 전도 작업관련질병(뇌심 근골) 추락 협착 절단베임 등이 주요재해 발생형태임

최근 5년간은 3대다발재해(협착 전도 추락)보다 작업관련질병과 절단베임의증가가 두드러짐

1140

12791374

1326

1464

284268

734

1006

952

569 556608

660792739

723

779

808

676

569

614

784

887

517

6

뇌middot심혈관 질환 등 10

기타질병 2

직업병 1

근골(요통 외) 12

사고성 요통 49

요통 26

4 2008년 도소매업 발생형태별 재해 현황

업무상질병현황

2008년 도middot소매업의 산업재해는 전도 작업관련 질병(뇌심 근골)추락 협착 절단베임 등 5대 재해가 65 점유3대 다발재해(협착 전도 추락)는 42 점유

업무상 질병은 요통 등 근골격계 질환이 87로 대다수를 차지

추락 11

협착 10

절단베임 9

작업관련질병14

기타 형태 35

전도 21

주요재해

발생형태

7

70대 이상 1

6개월~1년미만 15

5년~10년미만 8

10년이상 4

2년~5년미만 16

6개월미만 41

1년~2년미만 16

5 2008년 도소매업 연령근속기간별 재해현황

40대 25

50대 13

60대 4

30대 34

10대 1

20대 22

연령별재해현황

근속기간별

재해현황

도소매업의 산업재해는

20-30대 젊은 층에서

56의 재해가 발생하고

40-50대 중년 층에서

38가 발생

근속기간 6개월 미만의

미숙련자의 재해가 41로

가장 많고

6개월 이상 5년 미만 경력자의

재해도 47를 점유

8

6 2008년 도middot소매업 주요 기인물별 재해현황

상품 등의 인력운반에 따른 재해가 가장 많았고다음으로 각종 기계middot기구 취급에 의한 재해가 많이 발생

사다리 34

바닥통로계단 102

적재물 55

구조물 51

차량 131

운반물 233

기계middot기구 174

지게차 25

칼 25

기타 169

백화점 할인마트

위주

9

제2장

도 middot 소매업

공정별 주요현황 및근골격계 유해위험요인

1 도소매업(유통업)종 업무 특징

장시간 서서작업

반복성 과도한 힘

부자연스런 자세 등

장시간 근로

협력사원 비중

높음

빈번한

인력운반

취급작업

불규칙한

교대작업

11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단순반복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접촉스트레스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일반상품 판매

12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부적절한

자세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bull 부적절한

자세

축산물 판매

13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부적절한

자세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bull 접촉스트레스

bull 부적절한

자세

농수산물 판매

14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단순반복

bull 단순반복

bull 부적절한 자세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제빵 판매

15

제3장

도 middot 소매업

주요 재해사례

1 계단에서 물품 운반 중 전도

1층과 2층 연결계단 사이에서 판매제품 박스를 옮기던 중떨어진 박스 위로 발을 딛어 계단 아래로 미끄러져 넘어짐

계단에서는 각 단을 확실하게 딛고수시로 안전난간을 잡음

계단 물기 장애물 등으로 인한전도 예방교육 강화

예방대책

17

사다리를 내려오던 중 사다리가 넘어지며 추락

이동식사다리를 이용한 작업 시 사다리의

상부를 고정하고 하부에는 미끄럼방지 조치

높이 2m 이상의 추락위험이 있는 적재대

에는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하고 통행할

수 있는 안전난간이 부착된 고정식 사다리

또는 계단 설치

2 사다리를 내려오던 중 추락

예방대책

18

불량하게 적재된 팔레트 위에 올라 서서 물건을 내리던 중 추락

높이가 2m를 초과하는 적재물에 승강 시

안전하게 승강할 수 있는 승강설비를 비치

하여 사용

예방대책

중량물 적재용 팔레트는 충분한 강도를

갖는 것을 사용하고 판재나 각목의 상태를

점검하여 손상된 것은 폐기 조치

3 불량 적재된 팔레트 위에서 추락

19

포대가 기울어져 적재되어 있는 상태에서 포대 출고 시창고 안쪽부터 출고하여 입구쪽 포대가 붕괴

포대 적재 시에는 적재물이 붕괴되지않도록 적정한 적재 높이를 준수하고하단을 넓게 적재하는 등 붕괴방지조치

예방대책

포대 등을 반출할 때에는 위에서부터순차적으로 층계를 만들면서 출고

4 양곡출고 작업 중 붕괴

20

백화점 의료 매장 앞에서 출고된상품을 확인하고자 박스를 열기위해 옮기다가 허리 삐끗

5 근골격계 질환 ①

백화점 내 생선회 조리사로 근무하던중 손목 부위의 반복동작으로 통증이심해져 장기간 병원에서 오른쪽 손목관절 물리치료를 받음

21

지하 3층 쇼핑백 보관창고에서 쇼핑백을 매장으로 옮기던 중 높이 쌓여있는(2m 이상) 쇼핑백 꾸러미를 내려짐카에 옮기려고 쇼핑백 한 꾸러미를(200개묶음)든 순간 허리삐끗

집기(진열대)와 행사박스를 트럭에서내리던 중 어깨와 목 허리에 통증과결림이 발생

6 근골격계 질환 ②

22

제4장

도 middot 소매업

작업별 위험요인 및`안전조치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위험점 원인분석발생형태

요통근골

낙하

전도충돌

끼임

베임

중량 자세

파지 적재

자세 시야

파지 중량 자세

유리

과다한 중량의 물건 인력운반

부적합한 자세로 물건 인력운반

물건을 확실하게 잡지 않음

정리정돈이 불량한 물건 적재

이동방향 시야확보 불량

부적합한 자세로 물건 인력운반

물건의 적절한 손잡이 미확보

과다한 중량의 물건을 취급

무리한 동작으로 물건 인력운반

파손되기 쉬운 유리제품 취급 부주의

파손된 유리 정리정돈 불량

24

분리 가능한 인력 운반물은 10kg 이하의 적정 중량으로 포장

취급 물품의 인력운반 및 취급 방법 자세 등의 안전교육 실시

운반물의 중량 형태 및 취급장소에 따른 적정 인원배치

통행로는 항상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정리정돈

운반물 또는 운반용기(통 바구니 등)에는 적절한 손잡이 부착

운반물의 형태 및 용도에 적합한 이동대차 설치

사업장 내 이동대차 이용을 위해 평탄하고 적정 너비의 통로 확보

중량물 인력운반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게차 등 운반설비 설치

사업장 내 중량물을 올리거나 내리기 위한 화물용 승강기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각 층 탑승장에는 18m 이상 높이의 출입문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문 개방 시 작동이 안되도록 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문 외의 부분은 18m 이상 높이의 방호울 설치

화물용 승강기에는 lsquo화물전용rsquolsquo탑승금지rsquo 표지판을 설치

25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분리 가능한 운반물은 신체무리가 없는 적정 중량으로 나누어 운반

분리되지 않는 중량의 운반물은 적정 인원이 함께 운반

운반시 이동방향의 시야를 확보하여 통로상태를 확인하며 운반

파손될 수 있는 운반물은 주변 물체에 주의하며 천천히 운반

운반물을 운반하기 전 적당한 손잡이를 확보

중량물을 복부에 밀착하여 허리를 펴고 다리 힘으로 일어남

중량물을 운반할 경우 허리를 펴고 다리만 움직여 이동

중량물을 들고 팔다리허리 관절의 무리한 동작 금지

통행로 상에는 통행에 지장을 주는 물건이 없도록 정리정돈

이동대차에는 각 방향의 무게중심을 고려하여 적재

양 다리를 모으고 이동대차를 밀거나 끄는 행동 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 금지

운반 후 운반물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정리정돈하여 적재

26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위험점발생형태

전 도

계단

이물질

장애물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원인분석

계단을 확실히 딛지 않고 이동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계단 모서리 논슬립 미시공

바닥통로계단 이물질 미제거

통행로 상에 장애물 방치

27

계단 모서리의 파손 부위는 수리

계단 모서리에는 논슬립 재료 시공

통로상 눈 또는 빙판은 수시로 제거

바닥통로계단은 깨끗하고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관리

항상 물기 등으로 미끄러운 장소에는 lsquo미끄럼 주의rsquo 표지판 설치

통로상 턱 문지방 등 돌출부는 주변과 구분이 되는 색으로 도장

통로상에는 통행에 지장이 되는 물건이 없도록 관리

작업 전 신발 착용상태 점검 및 작업특성에 맞는 신발 지급

계단 물기 장애물 등으로 인한 전도 예방교육 강화

28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금지

계단에서는 각 단을 확실하게 딛고 수시로 안전난간을 잡음

물건을 운반할 때에는 계단바닥의 상태를 확인

계단 논슬립 난간 등의 파손된 부위는 관리자에 보고

바닥통로계단의 물기 등 이물질은 수시로 청소하여 제거

항상 물기가 있는 장소에서는 뛰거나 급한 행동 금지

통로상에 형성된 빙판은 염화칼슘 또는 모래 등을 뿌려 제거

통로상에 제거되지 않은 빙판이 있을 경우 우회하여 이동

통행로 상에는 각종 물건의 방치 금지

각종 호스 전선 등은 사용 후 정리하여 보관

각종 호스 전선 사용 장소에서는 걸리거나 밟지 않도록 주의

사무업무 외 슬리퍼 등 미끄러질 수 있는 신발은 착용 금지

신발은 바르게 착용하고 적정하게 밀착되도록 끈을 조임

29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원인분석위험점

동력전달부왕복운동부

발생형태

끼임

회전기계감김

전단기계절단

양중기낙하

절단기류비래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정비청소 중 전원동력차단 미실시

왕복회전 작동부위 신체 접근

가공물 투입구에 손으로 투입

탁상드릴 등 회전기계 작업 중 면장갑 착용

회전기계 작동 중 손으로 투입반출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재단 칼날 왕복작동 부위 신체 접근

절단작업 중 절단날 파손

절단작업 중 절단물 비래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30

정비청소 시 전원동력차단 확인 및 표지판 부착

정비 후 동력전달부 방호덮개 원상복귀

개방된 왕복작동 부위에는 협착주의 표지판 설치

회전기계 사용 작업자 면장갑 착용 금지조치

승강기(리프트) 각 층 탑승장에는 안전문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리프트)에는 사람 탑승 금지 조치

육가공야채절단 기계류는 적절한 투입용 수공구 제공

핸드그라인더에는 날접촉 예방 방호덮개 설치

둥근톱 핸드그라인더 작업자에게는 보안경 지급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 묶음상태 확인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줄걸이 이탈 방지 조치

각종 전동공구는 이중절연구조 사용

각종 전기기구는 누전차단기에 연결하여 사용

31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기계middot기구 점검수리청소 전 전원차단 및 표지판 부착

2인이상이 기계기구를 점검수리청소시 서로 신호 실시

기계middot기구를 이용한 작업 시 항상 주의집중

기계middot기구의 왕복운동부에는 신체 접근금지

기계middot기구의 맞물려 회전하는 부분에는 신체 접근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금지

육가공야채 절단기계에는 전용 수공구를 이용하여 투입

탁상드릴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면장갑 착용금지

동력톱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보안경 착용

회전칼날톱 사용 시 절단물을 잡는 손은 10cm이상의 간격 확보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을 확실하게 묶고 훅 이탈 방지조치 실시

페인트 등 인화성물질 부근에서 용접용단 금지

인화성물질 보관용기(폐드럼)는 절단 전 마개 개방환기물을 채워 치환 실시

32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제5장

도 middot 소매업

근골격계질환 예방 공학적 개선사례

33

1 중량물 취급

자세에 따른 허리(L5S1)

부담 정도

작업물과 작업자간 거리

34

bull 어깨 위 적재

bull 무릎 아래 적재

bull 과도한 힘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저장공정-적재작업

35

bull 폴리에틸렌 재질

bull 당기는 힘 증가

bull 손 팔 등 스트레스 발생

bull 15ℓtimes20개 = 약 30kg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저장공정-적재작업

bull 층 사이 lsquo미끌림시트(Slip sheet)rsquo설치

bull 당기는 힘 감소

미끌림시트(Slip sheet)

36

작업대 높이

작업대 높이 권장기준

37

bull 낮은 작업대 높이

bull 부자연스런 자세로 인해 요통 등근골격계 질환 위험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농수산물-농산소분작업

bull 높이 조절 가능 작업대

bull 극단치 설계 (95tile)

bull 키 작은 사람 발판 제공

38

bull 높이가 다른 작업

bull 근골격계 질환 위험이 크므로곧 개선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조리-포장작업

bull 작업대와 작업기기 높이 고려

39

정상middot최대 작업영역

정상 작업영역

bull 25cm 이내

bull 번번한 작업

최대 작업영역

bull 50cm 이내

bull 최대 팔 뻗침 영역 이내

정상 작업영역 최대 작업영역

40

bull 먼 위치의 작업역

bull 부자연스러운 자세

bull 과도한 뻗침

bull 반복작업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일반상품-진열작업

bull 진열대 앞 적재 금지

bull 대차 일체형 보관

및 진열

41

작업설비 도구

42

개선 대책

운반카트

bull 운반 전용 카트 이용

bull 수직형 손잡이 높이92cm

bull 대차 높이 140cm 미만 직경20cm

43

기타 개선사례

bull 반복 작업

bull 접촉 스트레스

bull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포장-포장작업

bull 기기와 작업대 폭을 같게

bull 기기의 날카로운 끝부분에

쿠션 설치 고려

44

  • 슬라이드 번호 1
  • 슬라이드 번호 2
  • 슬라이드 번호 3
  • 슬라이드 번호 4
  • 슬라이드 번호 5
  • 슬라이드 번호 6
  • 슬라이드 번호 7
  • 슬라이드 번호 8
  • 슬라이드 번호 9
  • 슬라이드 번호 10
  • 슬라이드 번호 11
  • 슬라이드 번호 12
  • 슬라이드 번호 13
  • 슬라이드 번호 14
  • 슬라이드 번호 15
  • 슬라이드 번호 16
  • 슬라이드 번호 17
  • 슬라이드 번호 18
  • 슬라이드 번호 19
  • 슬라이드 번호 20
  • 슬라이드 번호 21
  • 슬라이드 번호 22
  • 슬라이드 번호 23
  • 슬라이드 번호 24
  • 슬라이드 번호 25
  • 슬라이드 번호 26
  • 슬라이드 번호 27
  • 슬라이드 번호 28
  • 슬라이드 번호 29
  • 슬라이드 번호 30
  • 슬라이드 번호 31
  • 슬라이드 번호 32
  • 슬라이드 번호 33
  • 슬라이드 번호 34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37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40
  • 사례1
  • 슬라이드 번호 42
  • 슬라이드 번호 43
  • 슬라이드 번호 44
Page 6: 도소매산업 재해예방 ppt

3 연도별 도middot소매업 재해 발생형태

2004년

1000

800

600

400

200

0

1200

1400

1600전도

감김middot 끼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추락

충돌

업무관련성질병

도middot소매업은 전도 작업관련질병(뇌심 근골) 추락 협착 절단베임 등이 주요재해 발생형태임

최근 5년간은 3대다발재해(협착 전도 추락)보다 작업관련질병과 절단베임의증가가 두드러짐

1140

12791374

1326

1464

284268

734

1006

952

569 556608

660792739

723

779

808

676

569

614

784

887

517

6

뇌middot심혈관 질환 등 10

기타질병 2

직업병 1

근골(요통 외) 12

사고성 요통 49

요통 26

4 2008년 도소매업 발생형태별 재해 현황

업무상질병현황

2008년 도middot소매업의 산업재해는 전도 작업관련 질병(뇌심 근골)추락 협착 절단베임 등 5대 재해가 65 점유3대 다발재해(협착 전도 추락)는 42 점유

업무상 질병은 요통 등 근골격계 질환이 87로 대다수를 차지

추락 11

협착 10

절단베임 9

작업관련질병14

기타 형태 35

전도 21

주요재해

발생형태

7

70대 이상 1

6개월~1년미만 15

5년~10년미만 8

10년이상 4

2년~5년미만 16

6개월미만 41

1년~2년미만 16

5 2008년 도소매업 연령근속기간별 재해현황

40대 25

50대 13

60대 4

30대 34

10대 1

20대 22

연령별재해현황

근속기간별

재해현황

도소매업의 산업재해는

20-30대 젊은 층에서

56의 재해가 발생하고

40-50대 중년 층에서

38가 발생

근속기간 6개월 미만의

미숙련자의 재해가 41로

가장 많고

6개월 이상 5년 미만 경력자의

재해도 47를 점유

8

6 2008년 도middot소매업 주요 기인물별 재해현황

상품 등의 인력운반에 따른 재해가 가장 많았고다음으로 각종 기계middot기구 취급에 의한 재해가 많이 발생

사다리 34

바닥통로계단 102

적재물 55

구조물 51

차량 131

운반물 233

기계middot기구 174

지게차 25

칼 25

기타 169

백화점 할인마트

위주

9

제2장

도 middot 소매업

공정별 주요현황 및근골격계 유해위험요인

1 도소매업(유통업)종 업무 특징

장시간 서서작업

반복성 과도한 힘

부자연스런 자세 등

장시간 근로

협력사원 비중

높음

빈번한

인력운반

취급작업

불규칙한

교대작업

11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단순반복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접촉스트레스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일반상품 판매

12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부적절한

자세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bull 부적절한

자세

축산물 판매

13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부적절한

자세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bull 접촉스트레스

bull 부적절한

자세

농수산물 판매

14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단순반복

bull 단순반복

bull 부적절한 자세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제빵 판매

15

제3장

도 middot 소매업

주요 재해사례

1 계단에서 물품 운반 중 전도

1층과 2층 연결계단 사이에서 판매제품 박스를 옮기던 중떨어진 박스 위로 발을 딛어 계단 아래로 미끄러져 넘어짐

계단에서는 각 단을 확실하게 딛고수시로 안전난간을 잡음

계단 물기 장애물 등으로 인한전도 예방교육 강화

예방대책

17

사다리를 내려오던 중 사다리가 넘어지며 추락

이동식사다리를 이용한 작업 시 사다리의

상부를 고정하고 하부에는 미끄럼방지 조치

높이 2m 이상의 추락위험이 있는 적재대

에는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하고 통행할

수 있는 안전난간이 부착된 고정식 사다리

또는 계단 설치

2 사다리를 내려오던 중 추락

예방대책

18

불량하게 적재된 팔레트 위에 올라 서서 물건을 내리던 중 추락

높이가 2m를 초과하는 적재물에 승강 시

안전하게 승강할 수 있는 승강설비를 비치

하여 사용

예방대책

중량물 적재용 팔레트는 충분한 강도를

갖는 것을 사용하고 판재나 각목의 상태를

점검하여 손상된 것은 폐기 조치

3 불량 적재된 팔레트 위에서 추락

19

포대가 기울어져 적재되어 있는 상태에서 포대 출고 시창고 안쪽부터 출고하여 입구쪽 포대가 붕괴

포대 적재 시에는 적재물이 붕괴되지않도록 적정한 적재 높이를 준수하고하단을 넓게 적재하는 등 붕괴방지조치

예방대책

포대 등을 반출할 때에는 위에서부터순차적으로 층계를 만들면서 출고

4 양곡출고 작업 중 붕괴

20

백화점 의료 매장 앞에서 출고된상품을 확인하고자 박스를 열기위해 옮기다가 허리 삐끗

5 근골격계 질환 ①

백화점 내 생선회 조리사로 근무하던중 손목 부위의 반복동작으로 통증이심해져 장기간 병원에서 오른쪽 손목관절 물리치료를 받음

21

지하 3층 쇼핑백 보관창고에서 쇼핑백을 매장으로 옮기던 중 높이 쌓여있는(2m 이상) 쇼핑백 꾸러미를 내려짐카에 옮기려고 쇼핑백 한 꾸러미를(200개묶음)든 순간 허리삐끗

집기(진열대)와 행사박스를 트럭에서내리던 중 어깨와 목 허리에 통증과결림이 발생

6 근골격계 질환 ②

22

제4장

도 middot 소매업

작업별 위험요인 및`안전조치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위험점 원인분석발생형태

요통근골

낙하

전도충돌

끼임

베임

중량 자세

파지 적재

자세 시야

파지 중량 자세

유리

과다한 중량의 물건 인력운반

부적합한 자세로 물건 인력운반

물건을 확실하게 잡지 않음

정리정돈이 불량한 물건 적재

이동방향 시야확보 불량

부적합한 자세로 물건 인력운반

물건의 적절한 손잡이 미확보

과다한 중량의 물건을 취급

무리한 동작으로 물건 인력운반

파손되기 쉬운 유리제품 취급 부주의

파손된 유리 정리정돈 불량

24

분리 가능한 인력 운반물은 10kg 이하의 적정 중량으로 포장

취급 물품의 인력운반 및 취급 방법 자세 등의 안전교육 실시

운반물의 중량 형태 및 취급장소에 따른 적정 인원배치

통행로는 항상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정리정돈

운반물 또는 운반용기(통 바구니 등)에는 적절한 손잡이 부착

운반물의 형태 및 용도에 적합한 이동대차 설치

사업장 내 이동대차 이용을 위해 평탄하고 적정 너비의 통로 확보

중량물 인력운반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게차 등 운반설비 설치

사업장 내 중량물을 올리거나 내리기 위한 화물용 승강기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각 층 탑승장에는 18m 이상 높이의 출입문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문 개방 시 작동이 안되도록 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문 외의 부분은 18m 이상 높이의 방호울 설치

화물용 승강기에는 lsquo화물전용rsquolsquo탑승금지rsquo 표지판을 설치

25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분리 가능한 운반물은 신체무리가 없는 적정 중량으로 나누어 운반

분리되지 않는 중량의 운반물은 적정 인원이 함께 운반

운반시 이동방향의 시야를 확보하여 통로상태를 확인하며 운반

파손될 수 있는 운반물은 주변 물체에 주의하며 천천히 운반

운반물을 운반하기 전 적당한 손잡이를 확보

중량물을 복부에 밀착하여 허리를 펴고 다리 힘으로 일어남

중량물을 운반할 경우 허리를 펴고 다리만 움직여 이동

중량물을 들고 팔다리허리 관절의 무리한 동작 금지

통행로 상에는 통행에 지장을 주는 물건이 없도록 정리정돈

이동대차에는 각 방향의 무게중심을 고려하여 적재

양 다리를 모으고 이동대차를 밀거나 끄는 행동 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 금지

운반 후 운반물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정리정돈하여 적재

26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위험점발생형태

전 도

계단

이물질

장애물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원인분석

계단을 확실히 딛지 않고 이동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계단 모서리 논슬립 미시공

바닥통로계단 이물질 미제거

통행로 상에 장애물 방치

27

계단 모서리의 파손 부위는 수리

계단 모서리에는 논슬립 재료 시공

통로상 눈 또는 빙판은 수시로 제거

바닥통로계단은 깨끗하고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관리

항상 물기 등으로 미끄러운 장소에는 lsquo미끄럼 주의rsquo 표지판 설치

통로상 턱 문지방 등 돌출부는 주변과 구분이 되는 색으로 도장

통로상에는 통행에 지장이 되는 물건이 없도록 관리

작업 전 신발 착용상태 점검 및 작업특성에 맞는 신발 지급

계단 물기 장애물 등으로 인한 전도 예방교육 강화

28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금지

계단에서는 각 단을 확실하게 딛고 수시로 안전난간을 잡음

물건을 운반할 때에는 계단바닥의 상태를 확인

계단 논슬립 난간 등의 파손된 부위는 관리자에 보고

바닥통로계단의 물기 등 이물질은 수시로 청소하여 제거

항상 물기가 있는 장소에서는 뛰거나 급한 행동 금지

통로상에 형성된 빙판은 염화칼슘 또는 모래 등을 뿌려 제거

통로상에 제거되지 않은 빙판이 있을 경우 우회하여 이동

통행로 상에는 각종 물건의 방치 금지

각종 호스 전선 등은 사용 후 정리하여 보관

각종 호스 전선 사용 장소에서는 걸리거나 밟지 않도록 주의

사무업무 외 슬리퍼 등 미끄러질 수 있는 신발은 착용 금지

신발은 바르게 착용하고 적정하게 밀착되도록 끈을 조임

29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원인분석위험점

동력전달부왕복운동부

발생형태

끼임

회전기계감김

전단기계절단

양중기낙하

절단기류비래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정비청소 중 전원동력차단 미실시

왕복회전 작동부위 신체 접근

가공물 투입구에 손으로 투입

탁상드릴 등 회전기계 작업 중 면장갑 착용

회전기계 작동 중 손으로 투입반출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재단 칼날 왕복작동 부위 신체 접근

절단작업 중 절단날 파손

절단작업 중 절단물 비래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30

정비청소 시 전원동력차단 확인 및 표지판 부착

정비 후 동력전달부 방호덮개 원상복귀

개방된 왕복작동 부위에는 협착주의 표지판 설치

회전기계 사용 작업자 면장갑 착용 금지조치

승강기(리프트) 각 층 탑승장에는 안전문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리프트)에는 사람 탑승 금지 조치

육가공야채절단 기계류는 적절한 투입용 수공구 제공

핸드그라인더에는 날접촉 예방 방호덮개 설치

둥근톱 핸드그라인더 작업자에게는 보안경 지급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 묶음상태 확인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줄걸이 이탈 방지 조치

각종 전동공구는 이중절연구조 사용

각종 전기기구는 누전차단기에 연결하여 사용

31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기계middot기구 점검수리청소 전 전원차단 및 표지판 부착

2인이상이 기계기구를 점검수리청소시 서로 신호 실시

기계middot기구를 이용한 작업 시 항상 주의집중

기계middot기구의 왕복운동부에는 신체 접근금지

기계middot기구의 맞물려 회전하는 부분에는 신체 접근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금지

육가공야채 절단기계에는 전용 수공구를 이용하여 투입

탁상드릴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면장갑 착용금지

동력톱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보안경 착용

회전칼날톱 사용 시 절단물을 잡는 손은 10cm이상의 간격 확보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을 확실하게 묶고 훅 이탈 방지조치 실시

페인트 등 인화성물질 부근에서 용접용단 금지

인화성물질 보관용기(폐드럼)는 절단 전 마개 개방환기물을 채워 치환 실시

32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제5장

도 middot 소매업

근골격계질환 예방 공학적 개선사례

33

1 중량물 취급

자세에 따른 허리(L5S1)

부담 정도

작업물과 작업자간 거리

34

bull 어깨 위 적재

bull 무릎 아래 적재

bull 과도한 힘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저장공정-적재작업

35

bull 폴리에틸렌 재질

bull 당기는 힘 증가

bull 손 팔 등 스트레스 발생

bull 15ℓtimes20개 = 약 30kg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저장공정-적재작업

bull 층 사이 lsquo미끌림시트(Slip sheet)rsquo설치

bull 당기는 힘 감소

미끌림시트(Slip sheet)

36

작업대 높이

작업대 높이 권장기준

37

bull 낮은 작업대 높이

bull 부자연스런 자세로 인해 요통 등근골격계 질환 위험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농수산물-농산소분작업

bull 높이 조절 가능 작업대

bull 극단치 설계 (95tile)

bull 키 작은 사람 발판 제공

38

bull 높이가 다른 작업

bull 근골격계 질환 위험이 크므로곧 개선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조리-포장작업

bull 작업대와 작업기기 높이 고려

39

정상middot최대 작업영역

정상 작업영역

bull 25cm 이내

bull 번번한 작업

최대 작업영역

bull 50cm 이내

bull 최대 팔 뻗침 영역 이내

정상 작업영역 최대 작업영역

40

bull 먼 위치의 작업역

bull 부자연스러운 자세

bull 과도한 뻗침

bull 반복작업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일반상품-진열작업

bull 진열대 앞 적재 금지

bull 대차 일체형 보관

및 진열

41

작업설비 도구

42

개선 대책

운반카트

bull 운반 전용 카트 이용

bull 수직형 손잡이 높이92cm

bull 대차 높이 140cm 미만 직경20cm

43

기타 개선사례

bull 반복 작업

bull 접촉 스트레스

bull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포장-포장작업

bull 기기와 작업대 폭을 같게

bull 기기의 날카로운 끝부분에

쿠션 설치 고려

44

  • 슬라이드 번호 1
  • 슬라이드 번호 2
  • 슬라이드 번호 3
  • 슬라이드 번호 4
  • 슬라이드 번호 5
  • 슬라이드 번호 6
  • 슬라이드 번호 7
  • 슬라이드 번호 8
  • 슬라이드 번호 9
  • 슬라이드 번호 10
  • 슬라이드 번호 11
  • 슬라이드 번호 12
  • 슬라이드 번호 13
  • 슬라이드 번호 14
  • 슬라이드 번호 15
  • 슬라이드 번호 16
  • 슬라이드 번호 17
  • 슬라이드 번호 18
  • 슬라이드 번호 19
  • 슬라이드 번호 20
  • 슬라이드 번호 21
  • 슬라이드 번호 22
  • 슬라이드 번호 23
  • 슬라이드 번호 24
  • 슬라이드 번호 25
  • 슬라이드 번호 26
  • 슬라이드 번호 27
  • 슬라이드 번호 28
  • 슬라이드 번호 29
  • 슬라이드 번호 30
  • 슬라이드 번호 31
  • 슬라이드 번호 32
  • 슬라이드 번호 33
  • 슬라이드 번호 34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37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40
  • 사례1
  • 슬라이드 번호 42
  • 슬라이드 번호 43
  • 슬라이드 번호 44
Page 7: 도소매산업 재해예방 ppt

뇌middot심혈관 질환 등 10

기타질병 2

직업병 1

근골(요통 외) 12

사고성 요통 49

요통 26

4 2008년 도소매업 발생형태별 재해 현황

업무상질병현황

2008년 도middot소매업의 산업재해는 전도 작업관련 질병(뇌심 근골)추락 협착 절단베임 등 5대 재해가 65 점유3대 다발재해(협착 전도 추락)는 42 점유

업무상 질병은 요통 등 근골격계 질환이 87로 대다수를 차지

추락 11

협착 10

절단베임 9

작업관련질병14

기타 형태 35

전도 21

주요재해

발생형태

7

70대 이상 1

6개월~1년미만 15

5년~10년미만 8

10년이상 4

2년~5년미만 16

6개월미만 41

1년~2년미만 16

5 2008년 도소매업 연령근속기간별 재해현황

40대 25

50대 13

60대 4

30대 34

10대 1

20대 22

연령별재해현황

근속기간별

재해현황

도소매업의 산업재해는

20-30대 젊은 층에서

56의 재해가 발생하고

40-50대 중년 층에서

38가 발생

근속기간 6개월 미만의

미숙련자의 재해가 41로

가장 많고

6개월 이상 5년 미만 경력자의

재해도 47를 점유

8

6 2008년 도middot소매업 주요 기인물별 재해현황

상품 등의 인력운반에 따른 재해가 가장 많았고다음으로 각종 기계middot기구 취급에 의한 재해가 많이 발생

사다리 34

바닥통로계단 102

적재물 55

구조물 51

차량 131

운반물 233

기계middot기구 174

지게차 25

칼 25

기타 169

백화점 할인마트

위주

9

제2장

도 middot 소매업

공정별 주요현황 및근골격계 유해위험요인

1 도소매업(유통업)종 업무 특징

장시간 서서작업

반복성 과도한 힘

부자연스런 자세 등

장시간 근로

협력사원 비중

높음

빈번한

인력운반

취급작업

불규칙한

교대작업

11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단순반복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접촉스트레스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일반상품 판매

12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부적절한

자세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bull 부적절한

자세

축산물 판매

13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부적절한

자세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bull 접촉스트레스

bull 부적절한

자세

농수산물 판매

14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단순반복

bull 단순반복

bull 부적절한 자세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제빵 판매

15

제3장

도 middot 소매업

주요 재해사례

1 계단에서 물품 운반 중 전도

1층과 2층 연결계단 사이에서 판매제품 박스를 옮기던 중떨어진 박스 위로 발을 딛어 계단 아래로 미끄러져 넘어짐

계단에서는 각 단을 확실하게 딛고수시로 안전난간을 잡음

계단 물기 장애물 등으로 인한전도 예방교육 강화

예방대책

17

사다리를 내려오던 중 사다리가 넘어지며 추락

이동식사다리를 이용한 작업 시 사다리의

상부를 고정하고 하부에는 미끄럼방지 조치

높이 2m 이상의 추락위험이 있는 적재대

에는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하고 통행할

수 있는 안전난간이 부착된 고정식 사다리

또는 계단 설치

2 사다리를 내려오던 중 추락

예방대책

18

불량하게 적재된 팔레트 위에 올라 서서 물건을 내리던 중 추락

높이가 2m를 초과하는 적재물에 승강 시

안전하게 승강할 수 있는 승강설비를 비치

하여 사용

예방대책

중량물 적재용 팔레트는 충분한 강도를

갖는 것을 사용하고 판재나 각목의 상태를

점검하여 손상된 것은 폐기 조치

3 불량 적재된 팔레트 위에서 추락

19

포대가 기울어져 적재되어 있는 상태에서 포대 출고 시창고 안쪽부터 출고하여 입구쪽 포대가 붕괴

포대 적재 시에는 적재물이 붕괴되지않도록 적정한 적재 높이를 준수하고하단을 넓게 적재하는 등 붕괴방지조치

예방대책

포대 등을 반출할 때에는 위에서부터순차적으로 층계를 만들면서 출고

4 양곡출고 작업 중 붕괴

20

백화점 의료 매장 앞에서 출고된상품을 확인하고자 박스를 열기위해 옮기다가 허리 삐끗

5 근골격계 질환 ①

백화점 내 생선회 조리사로 근무하던중 손목 부위의 반복동작으로 통증이심해져 장기간 병원에서 오른쪽 손목관절 물리치료를 받음

21

지하 3층 쇼핑백 보관창고에서 쇼핑백을 매장으로 옮기던 중 높이 쌓여있는(2m 이상) 쇼핑백 꾸러미를 내려짐카에 옮기려고 쇼핑백 한 꾸러미를(200개묶음)든 순간 허리삐끗

집기(진열대)와 행사박스를 트럭에서내리던 중 어깨와 목 허리에 통증과결림이 발생

6 근골격계 질환 ②

22

제4장

도 middot 소매업

작업별 위험요인 및`안전조치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위험점 원인분석발생형태

요통근골

낙하

전도충돌

끼임

베임

중량 자세

파지 적재

자세 시야

파지 중량 자세

유리

과다한 중량의 물건 인력운반

부적합한 자세로 물건 인력운반

물건을 확실하게 잡지 않음

정리정돈이 불량한 물건 적재

이동방향 시야확보 불량

부적합한 자세로 물건 인력운반

물건의 적절한 손잡이 미확보

과다한 중량의 물건을 취급

무리한 동작으로 물건 인력운반

파손되기 쉬운 유리제품 취급 부주의

파손된 유리 정리정돈 불량

24

분리 가능한 인력 운반물은 10kg 이하의 적정 중량으로 포장

취급 물품의 인력운반 및 취급 방법 자세 등의 안전교육 실시

운반물의 중량 형태 및 취급장소에 따른 적정 인원배치

통행로는 항상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정리정돈

운반물 또는 운반용기(통 바구니 등)에는 적절한 손잡이 부착

운반물의 형태 및 용도에 적합한 이동대차 설치

사업장 내 이동대차 이용을 위해 평탄하고 적정 너비의 통로 확보

중량물 인력운반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게차 등 운반설비 설치

사업장 내 중량물을 올리거나 내리기 위한 화물용 승강기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각 층 탑승장에는 18m 이상 높이의 출입문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문 개방 시 작동이 안되도록 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문 외의 부분은 18m 이상 높이의 방호울 설치

화물용 승강기에는 lsquo화물전용rsquolsquo탑승금지rsquo 표지판을 설치

25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분리 가능한 운반물은 신체무리가 없는 적정 중량으로 나누어 운반

분리되지 않는 중량의 운반물은 적정 인원이 함께 운반

운반시 이동방향의 시야를 확보하여 통로상태를 확인하며 운반

파손될 수 있는 운반물은 주변 물체에 주의하며 천천히 운반

운반물을 운반하기 전 적당한 손잡이를 확보

중량물을 복부에 밀착하여 허리를 펴고 다리 힘으로 일어남

중량물을 운반할 경우 허리를 펴고 다리만 움직여 이동

중량물을 들고 팔다리허리 관절의 무리한 동작 금지

통행로 상에는 통행에 지장을 주는 물건이 없도록 정리정돈

이동대차에는 각 방향의 무게중심을 고려하여 적재

양 다리를 모으고 이동대차를 밀거나 끄는 행동 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 금지

운반 후 운반물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정리정돈하여 적재

26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위험점발생형태

전 도

계단

이물질

장애물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원인분석

계단을 확실히 딛지 않고 이동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계단 모서리 논슬립 미시공

바닥통로계단 이물질 미제거

통행로 상에 장애물 방치

27

계단 모서리의 파손 부위는 수리

계단 모서리에는 논슬립 재료 시공

통로상 눈 또는 빙판은 수시로 제거

바닥통로계단은 깨끗하고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관리

항상 물기 등으로 미끄러운 장소에는 lsquo미끄럼 주의rsquo 표지판 설치

통로상 턱 문지방 등 돌출부는 주변과 구분이 되는 색으로 도장

통로상에는 통행에 지장이 되는 물건이 없도록 관리

작업 전 신발 착용상태 점검 및 작업특성에 맞는 신발 지급

계단 물기 장애물 등으로 인한 전도 예방교육 강화

28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금지

계단에서는 각 단을 확실하게 딛고 수시로 안전난간을 잡음

물건을 운반할 때에는 계단바닥의 상태를 확인

계단 논슬립 난간 등의 파손된 부위는 관리자에 보고

바닥통로계단의 물기 등 이물질은 수시로 청소하여 제거

항상 물기가 있는 장소에서는 뛰거나 급한 행동 금지

통로상에 형성된 빙판은 염화칼슘 또는 모래 등을 뿌려 제거

통로상에 제거되지 않은 빙판이 있을 경우 우회하여 이동

통행로 상에는 각종 물건의 방치 금지

각종 호스 전선 등은 사용 후 정리하여 보관

각종 호스 전선 사용 장소에서는 걸리거나 밟지 않도록 주의

사무업무 외 슬리퍼 등 미끄러질 수 있는 신발은 착용 금지

신발은 바르게 착용하고 적정하게 밀착되도록 끈을 조임

29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원인분석위험점

동력전달부왕복운동부

발생형태

끼임

회전기계감김

전단기계절단

양중기낙하

절단기류비래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정비청소 중 전원동력차단 미실시

왕복회전 작동부위 신체 접근

가공물 투입구에 손으로 투입

탁상드릴 등 회전기계 작업 중 면장갑 착용

회전기계 작동 중 손으로 투입반출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재단 칼날 왕복작동 부위 신체 접근

절단작업 중 절단날 파손

절단작업 중 절단물 비래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30

정비청소 시 전원동력차단 확인 및 표지판 부착

정비 후 동력전달부 방호덮개 원상복귀

개방된 왕복작동 부위에는 협착주의 표지판 설치

회전기계 사용 작업자 면장갑 착용 금지조치

승강기(리프트) 각 층 탑승장에는 안전문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리프트)에는 사람 탑승 금지 조치

육가공야채절단 기계류는 적절한 투입용 수공구 제공

핸드그라인더에는 날접촉 예방 방호덮개 설치

둥근톱 핸드그라인더 작업자에게는 보안경 지급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 묶음상태 확인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줄걸이 이탈 방지 조치

각종 전동공구는 이중절연구조 사용

각종 전기기구는 누전차단기에 연결하여 사용

31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기계middot기구 점검수리청소 전 전원차단 및 표지판 부착

2인이상이 기계기구를 점검수리청소시 서로 신호 실시

기계middot기구를 이용한 작업 시 항상 주의집중

기계middot기구의 왕복운동부에는 신체 접근금지

기계middot기구의 맞물려 회전하는 부분에는 신체 접근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금지

육가공야채 절단기계에는 전용 수공구를 이용하여 투입

탁상드릴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면장갑 착용금지

동력톱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보안경 착용

회전칼날톱 사용 시 절단물을 잡는 손은 10cm이상의 간격 확보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을 확실하게 묶고 훅 이탈 방지조치 실시

페인트 등 인화성물질 부근에서 용접용단 금지

인화성물질 보관용기(폐드럼)는 절단 전 마개 개방환기물을 채워 치환 실시

32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제5장

도 middot 소매업

근골격계질환 예방 공학적 개선사례

33

1 중량물 취급

자세에 따른 허리(L5S1)

부담 정도

작업물과 작업자간 거리

34

bull 어깨 위 적재

bull 무릎 아래 적재

bull 과도한 힘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저장공정-적재작업

35

bull 폴리에틸렌 재질

bull 당기는 힘 증가

bull 손 팔 등 스트레스 발생

bull 15ℓtimes20개 = 약 30kg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저장공정-적재작업

bull 층 사이 lsquo미끌림시트(Slip sheet)rsquo설치

bull 당기는 힘 감소

미끌림시트(Slip sheet)

36

작업대 높이

작업대 높이 권장기준

37

bull 낮은 작업대 높이

bull 부자연스런 자세로 인해 요통 등근골격계 질환 위험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농수산물-농산소분작업

bull 높이 조절 가능 작업대

bull 극단치 설계 (95tile)

bull 키 작은 사람 발판 제공

38

bull 높이가 다른 작업

bull 근골격계 질환 위험이 크므로곧 개선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조리-포장작업

bull 작업대와 작업기기 높이 고려

39

정상middot최대 작업영역

정상 작업영역

bull 25cm 이내

bull 번번한 작업

최대 작업영역

bull 50cm 이내

bull 최대 팔 뻗침 영역 이내

정상 작업영역 최대 작업영역

40

bull 먼 위치의 작업역

bull 부자연스러운 자세

bull 과도한 뻗침

bull 반복작업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일반상품-진열작업

bull 진열대 앞 적재 금지

bull 대차 일체형 보관

및 진열

41

작업설비 도구

42

개선 대책

운반카트

bull 운반 전용 카트 이용

bull 수직형 손잡이 높이92cm

bull 대차 높이 140cm 미만 직경20cm

43

기타 개선사례

bull 반복 작업

bull 접촉 스트레스

bull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포장-포장작업

bull 기기와 작업대 폭을 같게

bull 기기의 날카로운 끝부분에

쿠션 설치 고려

44

  • 슬라이드 번호 1
  • 슬라이드 번호 2
  • 슬라이드 번호 3
  • 슬라이드 번호 4
  • 슬라이드 번호 5
  • 슬라이드 번호 6
  • 슬라이드 번호 7
  • 슬라이드 번호 8
  • 슬라이드 번호 9
  • 슬라이드 번호 10
  • 슬라이드 번호 11
  • 슬라이드 번호 12
  • 슬라이드 번호 13
  • 슬라이드 번호 14
  • 슬라이드 번호 15
  • 슬라이드 번호 16
  • 슬라이드 번호 17
  • 슬라이드 번호 18
  • 슬라이드 번호 19
  • 슬라이드 번호 20
  • 슬라이드 번호 21
  • 슬라이드 번호 22
  • 슬라이드 번호 23
  • 슬라이드 번호 24
  • 슬라이드 번호 25
  • 슬라이드 번호 26
  • 슬라이드 번호 27
  • 슬라이드 번호 28
  • 슬라이드 번호 29
  • 슬라이드 번호 30
  • 슬라이드 번호 31
  • 슬라이드 번호 32
  • 슬라이드 번호 33
  • 슬라이드 번호 34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37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40
  • 사례1
  • 슬라이드 번호 42
  • 슬라이드 번호 43
  • 슬라이드 번호 44
Page 8: 도소매산업 재해예방 ppt

70대 이상 1

6개월~1년미만 15

5년~10년미만 8

10년이상 4

2년~5년미만 16

6개월미만 41

1년~2년미만 16

5 2008년 도소매업 연령근속기간별 재해현황

40대 25

50대 13

60대 4

30대 34

10대 1

20대 22

연령별재해현황

근속기간별

재해현황

도소매업의 산업재해는

20-30대 젊은 층에서

56의 재해가 발생하고

40-50대 중년 층에서

38가 발생

근속기간 6개월 미만의

미숙련자의 재해가 41로

가장 많고

6개월 이상 5년 미만 경력자의

재해도 47를 점유

8

6 2008년 도middot소매업 주요 기인물별 재해현황

상품 등의 인력운반에 따른 재해가 가장 많았고다음으로 각종 기계middot기구 취급에 의한 재해가 많이 발생

사다리 34

바닥통로계단 102

적재물 55

구조물 51

차량 131

운반물 233

기계middot기구 174

지게차 25

칼 25

기타 169

백화점 할인마트

위주

9

제2장

도 middot 소매업

공정별 주요현황 및근골격계 유해위험요인

1 도소매업(유통업)종 업무 특징

장시간 서서작업

반복성 과도한 힘

부자연스런 자세 등

장시간 근로

협력사원 비중

높음

빈번한

인력운반

취급작업

불규칙한

교대작업

11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단순반복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접촉스트레스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일반상품 판매

12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부적절한

자세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bull 부적절한

자세

축산물 판매

13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부적절한

자세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bull 접촉스트레스

bull 부적절한

자세

농수산물 판매

14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단순반복

bull 단순반복

bull 부적절한 자세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제빵 판매

15

제3장

도 middot 소매업

주요 재해사례

1 계단에서 물품 운반 중 전도

1층과 2층 연결계단 사이에서 판매제품 박스를 옮기던 중떨어진 박스 위로 발을 딛어 계단 아래로 미끄러져 넘어짐

계단에서는 각 단을 확실하게 딛고수시로 안전난간을 잡음

계단 물기 장애물 등으로 인한전도 예방교육 강화

예방대책

17

사다리를 내려오던 중 사다리가 넘어지며 추락

이동식사다리를 이용한 작업 시 사다리의

상부를 고정하고 하부에는 미끄럼방지 조치

높이 2m 이상의 추락위험이 있는 적재대

에는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하고 통행할

수 있는 안전난간이 부착된 고정식 사다리

또는 계단 설치

2 사다리를 내려오던 중 추락

예방대책

18

불량하게 적재된 팔레트 위에 올라 서서 물건을 내리던 중 추락

높이가 2m를 초과하는 적재물에 승강 시

안전하게 승강할 수 있는 승강설비를 비치

하여 사용

예방대책

중량물 적재용 팔레트는 충분한 강도를

갖는 것을 사용하고 판재나 각목의 상태를

점검하여 손상된 것은 폐기 조치

3 불량 적재된 팔레트 위에서 추락

19

포대가 기울어져 적재되어 있는 상태에서 포대 출고 시창고 안쪽부터 출고하여 입구쪽 포대가 붕괴

포대 적재 시에는 적재물이 붕괴되지않도록 적정한 적재 높이를 준수하고하단을 넓게 적재하는 등 붕괴방지조치

예방대책

포대 등을 반출할 때에는 위에서부터순차적으로 층계를 만들면서 출고

4 양곡출고 작업 중 붕괴

20

백화점 의료 매장 앞에서 출고된상품을 확인하고자 박스를 열기위해 옮기다가 허리 삐끗

5 근골격계 질환 ①

백화점 내 생선회 조리사로 근무하던중 손목 부위의 반복동작으로 통증이심해져 장기간 병원에서 오른쪽 손목관절 물리치료를 받음

21

지하 3층 쇼핑백 보관창고에서 쇼핑백을 매장으로 옮기던 중 높이 쌓여있는(2m 이상) 쇼핑백 꾸러미를 내려짐카에 옮기려고 쇼핑백 한 꾸러미를(200개묶음)든 순간 허리삐끗

집기(진열대)와 행사박스를 트럭에서내리던 중 어깨와 목 허리에 통증과결림이 발생

6 근골격계 질환 ②

22

제4장

도 middot 소매업

작업별 위험요인 및`안전조치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위험점 원인분석발생형태

요통근골

낙하

전도충돌

끼임

베임

중량 자세

파지 적재

자세 시야

파지 중량 자세

유리

과다한 중량의 물건 인력운반

부적합한 자세로 물건 인력운반

물건을 확실하게 잡지 않음

정리정돈이 불량한 물건 적재

이동방향 시야확보 불량

부적합한 자세로 물건 인력운반

물건의 적절한 손잡이 미확보

과다한 중량의 물건을 취급

무리한 동작으로 물건 인력운반

파손되기 쉬운 유리제품 취급 부주의

파손된 유리 정리정돈 불량

24

분리 가능한 인력 운반물은 10kg 이하의 적정 중량으로 포장

취급 물품의 인력운반 및 취급 방법 자세 등의 안전교육 실시

운반물의 중량 형태 및 취급장소에 따른 적정 인원배치

통행로는 항상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정리정돈

운반물 또는 운반용기(통 바구니 등)에는 적절한 손잡이 부착

운반물의 형태 및 용도에 적합한 이동대차 설치

사업장 내 이동대차 이용을 위해 평탄하고 적정 너비의 통로 확보

중량물 인력운반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게차 등 운반설비 설치

사업장 내 중량물을 올리거나 내리기 위한 화물용 승강기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각 층 탑승장에는 18m 이상 높이의 출입문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문 개방 시 작동이 안되도록 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문 외의 부분은 18m 이상 높이의 방호울 설치

화물용 승강기에는 lsquo화물전용rsquolsquo탑승금지rsquo 표지판을 설치

25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분리 가능한 운반물은 신체무리가 없는 적정 중량으로 나누어 운반

분리되지 않는 중량의 운반물은 적정 인원이 함께 운반

운반시 이동방향의 시야를 확보하여 통로상태를 확인하며 운반

파손될 수 있는 운반물은 주변 물체에 주의하며 천천히 운반

운반물을 운반하기 전 적당한 손잡이를 확보

중량물을 복부에 밀착하여 허리를 펴고 다리 힘으로 일어남

중량물을 운반할 경우 허리를 펴고 다리만 움직여 이동

중량물을 들고 팔다리허리 관절의 무리한 동작 금지

통행로 상에는 통행에 지장을 주는 물건이 없도록 정리정돈

이동대차에는 각 방향의 무게중심을 고려하여 적재

양 다리를 모으고 이동대차를 밀거나 끄는 행동 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 금지

운반 후 운반물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정리정돈하여 적재

26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위험점발생형태

전 도

계단

이물질

장애물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원인분석

계단을 확실히 딛지 않고 이동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계단 모서리 논슬립 미시공

바닥통로계단 이물질 미제거

통행로 상에 장애물 방치

27

계단 모서리의 파손 부위는 수리

계단 모서리에는 논슬립 재료 시공

통로상 눈 또는 빙판은 수시로 제거

바닥통로계단은 깨끗하고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관리

항상 물기 등으로 미끄러운 장소에는 lsquo미끄럼 주의rsquo 표지판 설치

통로상 턱 문지방 등 돌출부는 주변과 구분이 되는 색으로 도장

통로상에는 통행에 지장이 되는 물건이 없도록 관리

작업 전 신발 착용상태 점검 및 작업특성에 맞는 신발 지급

계단 물기 장애물 등으로 인한 전도 예방교육 강화

28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금지

계단에서는 각 단을 확실하게 딛고 수시로 안전난간을 잡음

물건을 운반할 때에는 계단바닥의 상태를 확인

계단 논슬립 난간 등의 파손된 부위는 관리자에 보고

바닥통로계단의 물기 등 이물질은 수시로 청소하여 제거

항상 물기가 있는 장소에서는 뛰거나 급한 행동 금지

통로상에 형성된 빙판은 염화칼슘 또는 모래 등을 뿌려 제거

통로상에 제거되지 않은 빙판이 있을 경우 우회하여 이동

통행로 상에는 각종 물건의 방치 금지

각종 호스 전선 등은 사용 후 정리하여 보관

각종 호스 전선 사용 장소에서는 걸리거나 밟지 않도록 주의

사무업무 외 슬리퍼 등 미끄러질 수 있는 신발은 착용 금지

신발은 바르게 착용하고 적정하게 밀착되도록 끈을 조임

29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원인분석위험점

동력전달부왕복운동부

발생형태

끼임

회전기계감김

전단기계절단

양중기낙하

절단기류비래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정비청소 중 전원동력차단 미실시

왕복회전 작동부위 신체 접근

가공물 투입구에 손으로 투입

탁상드릴 등 회전기계 작업 중 면장갑 착용

회전기계 작동 중 손으로 투입반출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재단 칼날 왕복작동 부위 신체 접근

절단작업 중 절단날 파손

절단작업 중 절단물 비래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30

정비청소 시 전원동력차단 확인 및 표지판 부착

정비 후 동력전달부 방호덮개 원상복귀

개방된 왕복작동 부위에는 협착주의 표지판 설치

회전기계 사용 작업자 면장갑 착용 금지조치

승강기(리프트) 각 층 탑승장에는 안전문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리프트)에는 사람 탑승 금지 조치

육가공야채절단 기계류는 적절한 투입용 수공구 제공

핸드그라인더에는 날접촉 예방 방호덮개 설치

둥근톱 핸드그라인더 작업자에게는 보안경 지급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 묶음상태 확인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줄걸이 이탈 방지 조치

각종 전동공구는 이중절연구조 사용

각종 전기기구는 누전차단기에 연결하여 사용

31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기계middot기구 점검수리청소 전 전원차단 및 표지판 부착

2인이상이 기계기구를 점검수리청소시 서로 신호 실시

기계middot기구를 이용한 작업 시 항상 주의집중

기계middot기구의 왕복운동부에는 신체 접근금지

기계middot기구의 맞물려 회전하는 부분에는 신체 접근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금지

육가공야채 절단기계에는 전용 수공구를 이용하여 투입

탁상드릴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면장갑 착용금지

동력톱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보안경 착용

회전칼날톱 사용 시 절단물을 잡는 손은 10cm이상의 간격 확보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을 확실하게 묶고 훅 이탈 방지조치 실시

페인트 등 인화성물질 부근에서 용접용단 금지

인화성물질 보관용기(폐드럼)는 절단 전 마개 개방환기물을 채워 치환 실시

32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제5장

도 middot 소매업

근골격계질환 예방 공학적 개선사례

33

1 중량물 취급

자세에 따른 허리(L5S1)

부담 정도

작업물과 작업자간 거리

34

bull 어깨 위 적재

bull 무릎 아래 적재

bull 과도한 힘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저장공정-적재작업

35

bull 폴리에틸렌 재질

bull 당기는 힘 증가

bull 손 팔 등 스트레스 발생

bull 15ℓtimes20개 = 약 30kg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저장공정-적재작업

bull 층 사이 lsquo미끌림시트(Slip sheet)rsquo설치

bull 당기는 힘 감소

미끌림시트(Slip sheet)

36

작업대 높이

작업대 높이 권장기준

37

bull 낮은 작업대 높이

bull 부자연스런 자세로 인해 요통 등근골격계 질환 위험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농수산물-농산소분작업

bull 높이 조절 가능 작업대

bull 극단치 설계 (95tile)

bull 키 작은 사람 발판 제공

38

bull 높이가 다른 작업

bull 근골격계 질환 위험이 크므로곧 개선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조리-포장작업

bull 작업대와 작업기기 높이 고려

39

정상middot최대 작업영역

정상 작업영역

bull 25cm 이내

bull 번번한 작업

최대 작업영역

bull 50cm 이내

bull 최대 팔 뻗침 영역 이내

정상 작업영역 최대 작업영역

40

bull 먼 위치의 작업역

bull 부자연스러운 자세

bull 과도한 뻗침

bull 반복작업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일반상품-진열작업

bull 진열대 앞 적재 금지

bull 대차 일체형 보관

및 진열

41

작업설비 도구

42

개선 대책

운반카트

bull 운반 전용 카트 이용

bull 수직형 손잡이 높이92cm

bull 대차 높이 140cm 미만 직경20cm

43

기타 개선사례

bull 반복 작업

bull 접촉 스트레스

bull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포장-포장작업

bull 기기와 작업대 폭을 같게

bull 기기의 날카로운 끝부분에

쿠션 설치 고려

44

  • 슬라이드 번호 1
  • 슬라이드 번호 2
  • 슬라이드 번호 3
  • 슬라이드 번호 4
  • 슬라이드 번호 5
  • 슬라이드 번호 6
  • 슬라이드 번호 7
  • 슬라이드 번호 8
  • 슬라이드 번호 9
  • 슬라이드 번호 10
  • 슬라이드 번호 11
  • 슬라이드 번호 12
  • 슬라이드 번호 13
  • 슬라이드 번호 14
  • 슬라이드 번호 15
  • 슬라이드 번호 16
  • 슬라이드 번호 17
  • 슬라이드 번호 18
  • 슬라이드 번호 19
  • 슬라이드 번호 20
  • 슬라이드 번호 21
  • 슬라이드 번호 22
  • 슬라이드 번호 23
  • 슬라이드 번호 24
  • 슬라이드 번호 25
  • 슬라이드 번호 26
  • 슬라이드 번호 27
  • 슬라이드 번호 28
  • 슬라이드 번호 29
  • 슬라이드 번호 30
  • 슬라이드 번호 31
  • 슬라이드 번호 32
  • 슬라이드 번호 33
  • 슬라이드 번호 34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37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40
  • 사례1
  • 슬라이드 번호 42
  • 슬라이드 번호 43
  • 슬라이드 번호 44
Page 9: 도소매산업 재해예방 ppt

6 2008년 도middot소매업 주요 기인물별 재해현황

상품 등의 인력운반에 따른 재해가 가장 많았고다음으로 각종 기계middot기구 취급에 의한 재해가 많이 발생

사다리 34

바닥통로계단 102

적재물 55

구조물 51

차량 131

운반물 233

기계middot기구 174

지게차 25

칼 25

기타 169

백화점 할인마트

위주

9

제2장

도 middot 소매업

공정별 주요현황 및근골격계 유해위험요인

1 도소매업(유통업)종 업무 특징

장시간 서서작업

반복성 과도한 힘

부자연스런 자세 등

장시간 근로

협력사원 비중

높음

빈번한

인력운반

취급작업

불규칙한

교대작업

11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단순반복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접촉스트레스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일반상품 판매

12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부적절한

자세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bull 부적절한

자세

축산물 판매

13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부적절한

자세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bull 접촉스트레스

bull 부적절한

자세

농수산물 판매

14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단순반복

bull 단순반복

bull 부적절한 자세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제빵 판매

15

제3장

도 middot 소매업

주요 재해사례

1 계단에서 물품 운반 중 전도

1층과 2층 연결계단 사이에서 판매제품 박스를 옮기던 중떨어진 박스 위로 발을 딛어 계단 아래로 미끄러져 넘어짐

계단에서는 각 단을 확실하게 딛고수시로 안전난간을 잡음

계단 물기 장애물 등으로 인한전도 예방교육 강화

예방대책

17

사다리를 내려오던 중 사다리가 넘어지며 추락

이동식사다리를 이용한 작업 시 사다리의

상부를 고정하고 하부에는 미끄럼방지 조치

높이 2m 이상의 추락위험이 있는 적재대

에는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하고 통행할

수 있는 안전난간이 부착된 고정식 사다리

또는 계단 설치

2 사다리를 내려오던 중 추락

예방대책

18

불량하게 적재된 팔레트 위에 올라 서서 물건을 내리던 중 추락

높이가 2m를 초과하는 적재물에 승강 시

안전하게 승강할 수 있는 승강설비를 비치

하여 사용

예방대책

중량물 적재용 팔레트는 충분한 강도를

갖는 것을 사용하고 판재나 각목의 상태를

점검하여 손상된 것은 폐기 조치

3 불량 적재된 팔레트 위에서 추락

19

포대가 기울어져 적재되어 있는 상태에서 포대 출고 시창고 안쪽부터 출고하여 입구쪽 포대가 붕괴

포대 적재 시에는 적재물이 붕괴되지않도록 적정한 적재 높이를 준수하고하단을 넓게 적재하는 등 붕괴방지조치

예방대책

포대 등을 반출할 때에는 위에서부터순차적으로 층계를 만들면서 출고

4 양곡출고 작업 중 붕괴

20

백화점 의료 매장 앞에서 출고된상품을 확인하고자 박스를 열기위해 옮기다가 허리 삐끗

5 근골격계 질환 ①

백화점 내 생선회 조리사로 근무하던중 손목 부위의 반복동작으로 통증이심해져 장기간 병원에서 오른쪽 손목관절 물리치료를 받음

21

지하 3층 쇼핑백 보관창고에서 쇼핑백을 매장으로 옮기던 중 높이 쌓여있는(2m 이상) 쇼핑백 꾸러미를 내려짐카에 옮기려고 쇼핑백 한 꾸러미를(200개묶음)든 순간 허리삐끗

집기(진열대)와 행사박스를 트럭에서내리던 중 어깨와 목 허리에 통증과결림이 발생

6 근골격계 질환 ②

22

제4장

도 middot 소매업

작업별 위험요인 및`안전조치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위험점 원인분석발생형태

요통근골

낙하

전도충돌

끼임

베임

중량 자세

파지 적재

자세 시야

파지 중량 자세

유리

과다한 중량의 물건 인력운반

부적합한 자세로 물건 인력운반

물건을 확실하게 잡지 않음

정리정돈이 불량한 물건 적재

이동방향 시야확보 불량

부적합한 자세로 물건 인력운반

물건의 적절한 손잡이 미확보

과다한 중량의 물건을 취급

무리한 동작으로 물건 인력운반

파손되기 쉬운 유리제품 취급 부주의

파손된 유리 정리정돈 불량

24

분리 가능한 인력 운반물은 10kg 이하의 적정 중량으로 포장

취급 물품의 인력운반 및 취급 방법 자세 등의 안전교육 실시

운반물의 중량 형태 및 취급장소에 따른 적정 인원배치

통행로는 항상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정리정돈

운반물 또는 운반용기(통 바구니 등)에는 적절한 손잡이 부착

운반물의 형태 및 용도에 적합한 이동대차 설치

사업장 내 이동대차 이용을 위해 평탄하고 적정 너비의 통로 확보

중량물 인력운반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게차 등 운반설비 설치

사업장 내 중량물을 올리거나 내리기 위한 화물용 승강기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각 층 탑승장에는 18m 이상 높이의 출입문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문 개방 시 작동이 안되도록 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문 외의 부분은 18m 이상 높이의 방호울 설치

화물용 승강기에는 lsquo화물전용rsquolsquo탑승금지rsquo 표지판을 설치

25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분리 가능한 운반물은 신체무리가 없는 적정 중량으로 나누어 운반

분리되지 않는 중량의 운반물은 적정 인원이 함께 운반

운반시 이동방향의 시야를 확보하여 통로상태를 확인하며 운반

파손될 수 있는 운반물은 주변 물체에 주의하며 천천히 운반

운반물을 운반하기 전 적당한 손잡이를 확보

중량물을 복부에 밀착하여 허리를 펴고 다리 힘으로 일어남

중량물을 운반할 경우 허리를 펴고 다리만 움직여 이동

중량물을 들고 팔다리허리 관절의 무리한 동작 금지

통행로 상에는 통행에 지장을 주는 물건이 없도록 정리정돈

이동대차에는 각 방향의 무게중심을 고려하여 적재

양 다리를 모으고 이동대차를 밀거나 끄는 행동 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 금지

운반 후 운반물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정리정돈하여 적재

26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위험점발생형태

전 도

계단

이물질

장애물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원인분석

계단을 확실히 딛지 않고 이동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계단 모서리 논슬립 미시공

바닥통로계단 이물질 미제거

통행로 상에 장애물 방치

27

계단 모서리의 파손 부위는 수리

계단 모서리에는 논슬립 재료 시공

통로상 눈 또는 빙판은 수시로 제거

바닥통로계단은 깨끗하고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관리

항상 물기 등으로 미끄러운 장소에는 lsquo미끄럼 주의rsquo 표지판 설치

통로상 턱 문지방 등 돌출부는 주변과 구분이 되는 색으로 도장

통로상에는 통행에 지장이 되는 물건이 없도록 관리

작업 전 신발 착용상태 점검 및 작업특성에 맞는 신발 지급

계단 물기 장애물 등으로 인한 전도 예방교육 강화

28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금지

계단에서는 각 단을 확실하게 딛고 수시로 안전난간을 잡음

물건을 운반할 때에는 계단바닥의 상태를 확인

계단 논슬립 난간 등의 파손된 부위는 관리자에 보고

바닥통로계단의 물기 등 이물질은 수시로 청소하여 제거

항상 물기가 있는 장소에서는 뛰거나 급한 행동 금지

통로상에 형성된 빙판은 염화칼슘 또는 모래 등을 뿌려 제거

통로상에 제거되지 않은 빙판이 있을 경우 우회하여 이동

통행로 상에는 각종 물건의 방치 금지

각종 호스 전선 등은 사용 후 정리하여 보관

각종 호스 전선 사용 장소에서는 걸리거나 밟지 않도록 주의

사무업무 외 슬리퍼 등 미끄러질 수 있는 신발은 착용 금지

신발은 바르게 착용하고 적정하게 밀착되도록 끈을 조임

29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원인분석위험점

동력전달부왕복운동부

발생형태

끼임

회전기계감김

전단기계절단

양중기낙하

절단기류비래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정비청소 중 전원동력차단 미실시

왕복회전 작동부위 신체 접근

가공물 투입구에 손으로 투입

탁상드릴 등 회전기계 작업 중 면장갑 착용

회전기계 작동 중 손으로 투입반출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재단 칼날 왕복작동 부위 신체 접근

절단작업 중 절단날 파손

절단작업 중 절단물 비래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30

정비청소 시 전원동력차단 확인 및 표지판 부착

정비 후 동력전달부 방호덮개 원상복귀

개방된 왕복작동 부위에는 협착주의 표지판 설치

회전기계 사용 작업자 면장갑 착용 금지조치

승강기(리프트) 각 층 탑승장에는 안전문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리프트)에는 사람 탑승 금지 조치

육가공야채절단 기계류는 적절한 투입용 수공구 제공

핸드그라인더에는 날접촉 예방 방호덮개 설치

둥근톱 핸드그라인더 작업자에게는 보안경 지급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 묶음상태 확인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줄걸이 이탈 방지 조치

각종 전동공구는 이중절연구조 사용

각종 전기기구는 누전차단기에 연결하여 사용

31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기계middot기구 점검수리청소 전 전원차단 및 표지판 부착

2인이상이 기계기구를 점검수리청소시 서로 신호 실시

기계middot기구를 이용한 작업 시 항상 주의집중

기계middot기구의 왕복운동부에는 신체 접근금지

기계middot기구의 맞물려 회전하는 부분에는 신체 접근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금지

육가공야채 절단기계에는 전용 수공구를 이용하여 투입

탁상드릴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면장갑 착용금지

동력톱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보안경 착용

회전칼날톱 사용 시 절단물을 잡는 손은 10cm이상의 간격 확보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을 확실하게 묶고 훅 이탈 방지조치 실시

페인트 등 인화성물질 부근에서 용접용단 금지

인화성물질 보관용기(폐드럼)는 절단 전 마개 개방환기물을 채워 치환 실시

32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제5장

도 middot 소매업

근골격계질환 예방 공학적 개선사례

33

1 중량물 취급

자세에 따른 허리(L5S1)

부담 정도

작업물과 작업자간 거리

34

bull 어깨 위 적재

bull 무릎 아래 적재

bull 과도한 힘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저장공정-적재작업

35

bull 폴리에틸렌 재질

bull 당기는 힘 증가

bull 손 팔 등 스트레스 발생

bull 15ℓtimes20개 = 약 30kg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저장공정-적재작업

bull 층 사이 lsquo미끌림시트(Slip sheet)rsquo설치

bull 당기는 힘 감소

미끌림시트(Slip sheet)

36

작업대 높이

작업대 높이 권장기준

37

bull 낮은 작업대 높이

bull 부자연스런 자세로 인해 요통 등근골격계 질환 위험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농수산물-농산소분작업

bull 높이 조절 가능 작업대

bull 극단치 설계 (95tile)

bull 키 작은 사람 발판 제공

38

bull 높이가 다른 작업

bull 근골격계 질환 위험이 크므로곧 개선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조리-포장작업

bull 작업대와 작업기기 높이 고려

39

정상middot최대 작업영역

정상 작업영역

bull 25cm 이내

bull 번번한 작업

최대 작업영역

bull 50cm 이내

bull 최대 팔 뻗침 영역 이내

정상 작업영역 최대 작업영역

40

bull 먼 위치의 작업역

bull 부자연스러운 자세

bull 과도한 뻗침

bull 반복작업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일반상품-진열작업

bull 진열대 앞 적재 금지

bull 대차 일체형 보관

및 진열

41

작업설비 도구

42

개선 대책

운반카트

bull 운반 전용 카트 이용

bull 수직형 손잡이 높이92cm

bull 대차 높이 140cm 미만 직경20cm

43

기타 개선사례

bull 반복 작업

bull 접촉 스트레스

bull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포장-포장작업

bull 기기와 작업대 폭을 같게

bull 기기의 날카로운 끝부분에

쿠션 설치 고려

44

  • 슬라이드 번호 1
  • 슬라이드 번호 2
  • 슬라이드 번호 3
  • 슬라이드 번호 4
  • 슬라이드 번호 5
  • 슬라이드 번호 6
  • 슬라이드 번호 7
  • 슬라이드 번호 8
  • 슬라이드 번호 9
  • 슬라이드 번호 10
  • 슬라이드 번호 11
  • 슬라이드 번호 12
  • 슬라이드 번호 13
  • 슬라이드 번호 14
  • 슬라이드 번호 15
  • 슬라이드 번호 16
  • 슬라이드 번호 17
  • 슬라이드 번호 18
  • 슬라이드 번호 19
  • 슬라이드 번호 20
  • 슬라이드 번호 21
  • 슬라이드 번호 22
  • 슬라이드 번호 23
  • 슬라이드 번호 24
  • 슬라이드 번호 25
  • 슬라이드 번호 26
  • 슬라이드 번호 27
  • 슬라이드 번호 28
  • 슬라이드 번호 29
  • 슬라이드 번호 30
  • 슬라이드 번호 31
  • 슬라이드 번호 32
  • 슬라이드 번호 33
  • 슬라이드 번호 34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37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40
  • 사례1
  • 슬라이드 번호 42
  • 슬라이드 번호 43
  • 슬라이드 번호 44
Page 10: 도소매산업 재해예방 ppt

제2장

도 middot 소매업

공정별 주요현황 및근골격계 유해위험요인

1 도소매업(유통업)종 업무 특징

장시간 서서작업

반복성 과도한 힘

부자연스런 자세 등

장시간 근로

협력사원 비중

높음

빈번한

인력운반

취급작업

불규칙한

교대작업

11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단순반복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접촉스트레스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일반상품 판매

12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부적절한

자세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bull 부적절한

자세

축산물 판매

13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부적절한

자세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bull 접촉스트레스

bull 부적절한

자세

농수산물 판매

14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단순반복

bull 단순반복

bull 부적절한 자세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제빵 판매

15

제3장

도 middot 소매업

주요 재해사례

1 계단에서 물품 운반 중 전도

1층과 2층 연결계단 사이에서 판매제품 박스를 옮기던 중떨어진 박스 위로 발을 딛어 계단 아래로 미끄러져 넘어짐

계단에서는 각 단을 확실하게 딛고수시로 안전난간을 잡음

계단 물기 장애물 등으로 인한전도 예방교육 강화

예방대책

17

사다리를 내려오던 중 사다리가 넘어지며 추락

이동식사다리를 이용한 작업 시 사다리의

상부를 고정하고 하부에는 미끄럼방지 조치

높이 2m 이상의 추락위험이 있는 적재대

에는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하고 통행할

수 있는 안전난간이 부착된 고정식 사다리

또는 계단 설치

2 사다리를 내려오던 중 추락

예방대책

18

불량하게 적재된 팔레트 위에 올라 서서 물건을 내리던 중 추락

높이가 2m를 초과하는 적재물에 승강 시

안전하게 승강할 수 있는 승강설비를 비치

하여 사용

예방대책

중량물 적재용 팔레트는 충분한 강도를

갖는 것을 사용하고 판재나 각목의 상태를

점검하여 손상된 것은 폐기 조치

3 불량 적재된 팔레트 위에서 추락

19

포대가 기울어져 적재되어 있는 상태에서 포대 출고 시창고 안쪽부터 출고하여 입구쪽 포대가 붕괴

포대 적재 시에는 적재물이 붕괴되지않도록 적정한 적재 높이를 준수하고하단을 넓게 적재하는 등 붕괴방지조치

예방대책

포대 등을 반출할 때에는 위에서부터순차적으로 층계를 만들면서 출고

4 양곡출고 작업 중 붕괴

20

백화점 의료 매장 앞에서 출고된상품을 확인하고자 박스를 열기위해 옮기다가 허리 삐끗

5 근골격계 질환 ①

백화점 내 생선회 조리사로 근무하던중 손목 부위의 반복동작으로 통증이심해져 장기간 병원에서 오른쪽 손목관절 물리치료를 받음

21

지하 3층 쇼핑백 보관창고에서 쇼핑백을 매장으로 옮기던 중 높이 쌓여있는(2m 이상) 쇼핑백 꾸러미를 내려짐카에 옮기려고 쇼핑백 한 꾸러미를(200개묶음)든 순간 허리삐끗

집기(진열대)와 행사박스를 트럭에서내리던 중 어깨와 목 허리에 통증과결림이 발생

6 근골격계 질환 ②

22

제4장

도 middot 소매업

작업별 위험요인 및`안전조치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위험점 원인분석발생형태

요통근골

낙하

전도충돌

끼임

베임

중량 자세

파지 적재

자세 시야

파지 중량 자세

유리

과다한 중량의 물건 인력운반

부적합한 자세로 물건 인력운반

물건을 확실하게 잡지 않음

정리정돈이 불량한 물건 적재

이동방향 시야확보 불량

부적합한 자세로 물건 인력운반

물건의 적절한 손잡이 미확보

과다한 중량의 물건을 취급

무리한 동작으로 물건 인력운반

파손되기 쉬운 유리제품 취급 부주의

파손된 유리 정리정돈 불량

24

분리 가능한 인력 운반물은 10kg 이하의 적정 중량으로 포장

취급 물품의 인력운반 및 취급 방법 자세 등의 안전교육 실시

운반물의 중량 형태 및 취급장소에 따른 적정 인원배치

통행로는 항상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정리정돈

운반물 또는 운반용기(통 바구니 등)에는 적절한 손잡이 부착

운반물의 형태 및 용도에 적합한 이동대차 설치

사업장 내 이동대차 이용을 위해 평탄하고 적정 너비의 통로 확보

중량물 인력운반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게차 등 운반설비 설치

사업장 내 중량물을 올리거나 내리기 위한 화물용 승강기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각 층 탑승장에는 18m 이상 높이의 출입문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문 개방 시 작동이 안되도록 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문 외의 부분은 18m 이상 높이의 방호울 설치

화물용 승강기에는 lsquo화물전용rsquolsquo탑승금지rsquo 표지판을 설치

25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분리 가능한 운반물은 신체무리가 없는 적정 중량으로 나누어 운반

분리되지 않는 중량의 운반물은 적정 인원이 함께 운반

운반시 이동방향의 시야를 확보하여 통로상태를 확인하며 운반

파손될 수 있는 운반물은 주변 물체에 주의하며 천천히 운반

운반물을 운반하기 전 적당한 손잡이를 확보

중량물을 복부에 밀착하여 허리를 펴고 다리 힘으로 일어남

중량물을 운반할 경우 허리를 펴고 다리만 움직여 이동

중량물을 들고 팔다리허리 관절의 무리한 동작 금지

통행로 상에는 통행에 지장을 주는 물건이 없도록 정리정돈

이동대차에는 각 방향의 무게중심을 고려하여 적재

양 다리를 모으고 이동대차를 밀거나 끄는 행동 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 금지

운반 후 운반물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정리정돈하여 적재

26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위험점발생형태

전 도

계단

이물질

장애물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원인분석

계단을 확실히 딛지 않고 이동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계단 모서리 논슬립 미시공

바닥통로계단 이물질 미제거

통행로 상에 장애물 방치

27

계단 모서리의 파손 부위는 수리

계단 모서리에는 논슬립 재료 시공

통로상 눈 또는 빙판은 수시로 제거

바닥통로계단은 깨끗하고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관리

항상 물기 등으로 미끄러운 장소에는 lsquo미끄럼 주의rsquo 표지판 설치

통로상 턱 문지방 등 돌출부는 주변과 구분이 되는 색으로 도장

통로상에는 통행에 지장이 되는 물건이 없도록 관리

작업 전 신발 착용상태 점검 및 작업특성에 맞는 신발 지급

계단 물기 장애물 등으로 인한 전도 예방교육 강화

28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금지

계단에서는 각 단을 확실하게 딛고 수시로 안전난간을 잡음

물건을 운반할 때에는 계단바닥의 상태를 확인

계단 논슬립 난간 등의 파손된 부위는 관리자에 보고

바닥통로계단의 물기 등 이물질은 수시로 청소하여 제거

항상 물기가 있는 장소에서는 뛰거나 급한 행동 금지

통로상에 형성된 빙판은 염화칼슘 또는 모래 등을 뿌려 제거

통로상에 제거되지 않은 빙판이 있을 경우 우회하여 이동

통행로 상에는 각종 물건의 방치 금지

각종 호스 전선 등은 사용 후 정리하여 보관

각종 호스 전선 사용 장소에서는 걸리거나 밟지 않도록 주의

사무업무 외 슬리퍼 등 미끄러질 수 있는 신발은 착용 금지

신발은 바르게 착용하고 적정하게 밀착되도록 끈을 조임

29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원인분석위험점

동력전달부왕복운동부

발생형태

끼임

회전기계감김

전단기계절단

양중기낙하

절단기류비래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정비청소 중 전원동력차단 미실시

왕복회전 작동부위 신체 접근

가공물 투입구에 손으로 투입

탁상드릴 등 회전기계 작업 중 면장갑 착용

회전기계 작동 중 손으로 투입반출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재단 칼날 왕복작동 부위 신체 접근

절단작업 중 절단날 파손

절단작업 중 절단물 비래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30

정비청소 시 전원동력차단 확인 및 표지판 부착

정비 후 동력전달부 방호덮개 원상복귀

개방된 왕복작동 부위에는 협착주의 표지판 설치

회전기계 사용 작업자 면장갑 착용 금지조치

승강기(리프트) 각 층 탑승장에는 안전문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리프트)에는 사람 탑승 금지 조치

육가공야채절단 기계류는 적절한 투입용 수공구 제공

핸드그라인더에는 날접촉 예방 방호덮개 설치

둥근톱 핸드그라인더 작업자에게는 보안경 지급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 묶음상태 확인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줄걸이 이탈 방지 조치

각종 전동공구는 이중절연구조 사용

각종 전기기구는 누전차단기에 연결하여 사용

31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기계middot기구 점검수리청소 전 전원차단 및 표지판 부착

2인이상이 기계기구를 점검수리청소시 서로 신호 실시

기계middot기구를 이용한 작업 시 항상 주의집중

기계middot기구의 왕복운동부에는 신체 접근금지

기계middot기구의 맞물려 회전하는 부분에는 신체 접근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금지

육가공야채 절단기계에는 전용 수공구를 이용하여 투입

탁상드릴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면장갑 착용금지

동력톱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보안경 착용

회전칼날톱 사용 시 절단물을 잡는 손은 10cm이상의 간격 확보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을 확실하게 묶고 훅 이탈 방지조치 실시

페인트 등 인화성물질 부근에서 용접용단 금지

인화성물질 보관용기(폐드럼)는 절단 전 마개 개방환기물을 채워 치환 실시

32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제5장

도 middot 소매업

근골격계질환 예방 공학적 개선사례

33

1 중량물 취급

자세에 따른 허리(L5S1)

부담 정도

작업물과 작업자간 거리

34

bull 어깨 위 적재

bull 무릎 아래 적재

bull 과도한 힘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저장공정-적재작업

35

bull 폴리에틸렌 재질

bull 당기는 힘 증가

bull 손 팔 등 스트레스 발생

bull 15ℓtimes20개 = 약 30kg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저장공정-적재작업

bull 층 사이 lsquo미끌림시트(Slip sheet)rsquo설치

bull 당기는 힘 감소

미끌림시트(Slip sheet)

36

작업대 높이

작업대 높이 권장기준

37

bull 낮은 작업대 높이

bull 부자연스런 자세로 인해 요통 등근골격계 질환 위험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농수산물-농산소분작업

bull 높이 조절 가능 작업대

bull 극단치 설계 (95tile)

bull 키 작은 사람 발판 제공

38

bull 높이가 다른 작업

bull 근골격계 질환 위험이 크므로곧 개선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조리-포장작업

bull 작업대와 작업기기 높이 고려

39

정상middot최대 작업영역

정상 작업영역

bull 25cm 이내

bull 번번한 작업

최대 작업영역

bull 50cm 이내

bull 최대 팔 뻗침 영역 이내

정상 작업영역 최대 작업영역

40

bull 먼 위치의 작업역

bull 부자연스러운 자세

bull 과도한 뻗침

bull 반복작업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일반상품-진열작업

bull 진열대 앞 적재 금지

bull 대차 일체형 보관

및 진열

41

작업설비 도구

42

개선 대책

운반카트

bull 운반 전용 카트 이용

bull 수직형 손잡이 높이92cm

bull 대차 높이 140cm 미만 직경20cm

43

기타 개선사례

bull 반복 작업

bull 접촉 스트레스

bull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포장-포장작업

bull 기기와 작업대 폭을 같게

bull 기기의 날카로운 끝부분에

쿠션 설치 고려

44

  • 슬라이드 번호 1
  • 슬라이드 번호 2
  • 슬라이드 번호 3
  • 슬라이드 번호 4
  • 슬라이드 번호 5
  • 슬라이드 번호 6
  • 슬라이드 번호 7
  • 슬라이드 번호 8
  • 슬라이드 번호 9
  • 슬라이드 번호 10
  • 슬라이드 번호 11
  • 슬라이드 번호 12
  • 슬라이드 번호 13
  • 슬라이드 번호 14
  • 슬라이드 번호 15
  • 슬라이드 번호 16
  • 슬라이드 번호 17
  • 슬라이드 번호 18
  • 슬라이드 번호 19
  • 슬라이드 번호 20
  • 슬라이드 번호 21
  • 슬라이드 번호 22
  • 슬라이드 번호 23
  • 슬라이드 번호 24
  • 슬라이드 번호 25
  • 슬라이드 번호 26
  • 슬라이드 번호 27
  • 슬라이드 번호 28
  • 슬라이드 번호 29
  • 슬라이드 번호 30
  • 슬라이드 번호 31
  • 슬라이드 번호 32
  • 슬라이드 번호 33
  • 슬라이드 번호 34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37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40
  • 사례1
  • 슬라이드 번호 42
  • 슬라이드 번호 43
  • 슬라이드 번호 44
Page 11: 도소매산업 재해예방 ppt

1 도소매업(유통업)종 업무 특징

장시간 서서작업

반복성 과도한 힘

부자연스런 자세 등

장시간 근로

협력사원 비중

높음

빈번한

인력운반

취급작업

불규칙한

교대작업

11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단순반복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접촉스트레스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일반상품 판매

12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부적절한

자세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bull 부적절한

자세

축산물 판매

13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부적절한

자세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bull 접촉스트레스

bull 부적절한

자세

농수산물 판매

14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단순반복

bull 단순반복

bull 부적절한 자세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제빵 판매

15

제3장

도 middot 소매업

주요 재해사례

1 계단에서 물품 운반 중 전도

1층과 2층 연결계단 사이에서 판매제품 박스를 옮기던 중떨어진 박스 위로 발을 딛어 계단 아래로 미끄러져 넘어짐

계단에서는 각 단을 확실하게 딛고수시로 안전난간을 잡음

계단 물기 장애물 등으로 인한전도 예방교육 강화

예방대책

17

사다리를 내려오던 중 사다리가 넘어지며 추락

이동식사다리를 이용한 작업 시 사다리의

상부를 고정하고 하부에는 미끄럼방지 조치

높이 2m 이상의 추락위험이 있는 적재대

에는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하고 통행할

수 있는 안전난간이 부착된 고정식 사다리

또는 계단 설치

2 사다리를 내려오던 중 추락

예방대책

18

불량하게 적재된 팔레트 위에 올라 서서 물건을 내리던 중 추락

높이가 2m를 초과하는 적재물에 승강 시

안전하게 승강할 수 있는 승강설비를 비치

하여 사용

예방대책

중량물 적재용 팔레트는 충분한 강도를

갖는 것을 사용하고 판재나 각목의 상태를

점검하여 손상된 것은 폐기 조치

3 불량 적재된 팔레트 위에서 추락

19

포대가 기울어져 적재되어 있는 상태에서 포대 출고 시창고 안쪽부터 출고하여 입구쪽 포대가 붕괴

포대 적재 시에는 적재물이 붕괴되지않도록 적정한 적재 높이를 준수하고하단을 넓게 적재하는 등 붕괴방지조치

예방대책

포대 등을 반출할 때에는 위에서부터순차적으로 층계를 만들면서 출고

4 양곡출고 작업 중 붕괴

20

백화점 의료 매장 앞에서 출고된상품을 확인하고자 박스를 열기위해 옮기다가 허리 삐끗

5 근골격계 질환 ①

백화점 내 생선회 조리사로 근무하던중 손목 부위의 반복동작으로 통증이심해져 장기간 병원에서 오른쪽 손목관절 물리치료를 받음

21

지하 3층 쇼핑백 보관창고에서 쇼핑백을 매장으로 옮기던 중 높이 쌓여있는(2m 이상) 쇼핑백 꾸러미를 내려짐카에 옮기려고 쇼핑백 한 꾸러미를(200개묶음)든 순간 허리삐끗

집기(진열대)와 행사박스를 트럭에서내리던 중 어깨와 목 허리에 통증과결림이 발생

6 근골격계 질환 ②

22

제4장

도 middot 소매업

작업별 위험요인 및`안전조치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위험점 원인분석발생형태

요통근골

낙하

전도충돌

끼임

베임

중량 자세

파지 적재

자세 시야

파지 중량 자세

유리

과다한 중량의 물건 인력운반

부적합한 자세로 물건 인력운반

물건을 확실하게 잡지 않음

정리정돈이 불량한 물건 적재

이동방향 시야확보 불량

부적합한 자세로 물건 인력운반

물건의 적절한 손잡이 미확보

과다한 중량의 물건을 취급

무리한 동작으로 물건 인력운반

파손되기 쉬운 유리제품 취급 부주의

파손된 유리 정리정돈 불량

24

분리 가능한 인력 운반물은 10kg 이하의 적정 중량으로 포장

취급 물품의 인력운반 및 취급 방법 자세 등의 안전교육 실시

운반물의 중량 형태 및 취급장소에 따른 적정 인원배치

통행로는 항상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정리정돈

운반물 또는 운반용기(통 바구니 등)에는 적절한 손잡이 부착

운반물의 형태 및 용도에 적합한 이동대차 설치

사업장 내 이동대차 이용을 위해 평탄하고 적정 너비의 통로 확보

중량물 인력운반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게차 등 운반설비 설치

사업장 내 중량물을 올리거나 내리기 위한 화물용 승강기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각 층 탑승장에는 18m 이상 높이의 출입문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문 개방 시 작동이 안되도록 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문 외의 부분은 18m 이상 높이의 방호울 설치

화물용 승강기에는 lsquo화물전용rsquolsquo탑승금지rsquo 표지판을 설치

25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분리 가능한 운반물은 신체무리가 없는 적정 중량으로 나누어 운반

분리되지 않는 중량의 운반물은 적정 인원이 함께 운반

운반시 이동방향의 시야를 확보하여 통로상태를 확인하며 운반

파손될 수 있는 운반물은 주변 물체에 주의하며 천천히 운반

운반물을 운반하기 전 적당한 손잡이를 확보

중량물을 복부에 밀착하여 허리를 펴고 다리 힘으로 일어남

중량물을 운반할 경우 허리를 펴고 다리만 움직여 이동

중량물을 들고 팔다리허리 관절의 무리한 동작 금지

통행로 상에는 통행에 지장을 주는 물건이 없도록 정리정돈

이동대차에는 각 방향의 무게중심을 고려하여 적재

양 다리를 모으고 이동대차를 밀거나 끄는 행동 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 금지

운반 후 운반물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정리정돈하여 적재

26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위험점발생형태

전 도

계단

이물질

장애물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원인분석

계단을 확실히 딛지 않고 이동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계단 모서리 논슬립 미시공

바닥통로계단 이물질 미제거

통행로 상에 장애물 방치

27

계단 모서리의 파손 부위는 수리

계단 모서리에는 논슬립 재료 시공

통로상 눈 또는 빙판은 수시로 제거

바닥통로계단은 깨끗하고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관리

항상 물기 등으로 미끄러운 장소에는 lsquo미끄럼 주의rsquo 표지판 설치

통로상 턱 문지방 등 돌출부는 주변과 구분이 되는 색으로 도장

통로상에는 통행에 지장이 되는 물건이 없도록 관리

작업 전 신발 착용상태 점검 및 작업특성에 맞는 신발 지급

계단 물기 장애물 등으로 인한 전도 예방교육 강화

28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금지

계단에서는 각 단을 확실하게 딛고 수시로 안전난간을 잡음

물건을 운반할 때에는 계단바닥의 상태를 확인

계단 논슬립 난간 등의 파손된 부위는 관리자에 보고

바닥통로계단의 물기 등 이물질은 수시로 청소하여 제거

항상 물기가 있는 장소에서는 뛰거나 급한 행동 금지

통로상에 형성된 빙판은 염화칼슘 또는 모래 등을 뿌려 제거

통로상에 제거되지 않은 빙판이 있을 경우 우회하여 이동

통행로 상에는 각종 물건의 방치 금지

각종 호스 전선 등은 사용 후 정리하여 보관

각종 호스 전선 사용 장소에서는 걸리거나 밟지 않도록 주의

사무업무 외 슬리퍼 등 미끄러질 수 있는 신발은 착용 금지

신발은 바르게 착용하고 적정하게 밀착되도록 끈을 조임

29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원인분석위험점

동력전달부왕복운동부

발생형태

끼임

회전기계감김

전단기계절단

양중기낙하

절단기류비래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정비청소 중 전원동력차단 미실시

왕복회전 작동부위 신체 접근

가공물 투입구에 손으로 투입

탁상드릴 등 회전기계 작업 중 면장갑 착용

회전기계 작동 중 손으로 투입반출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재단 칼날 왕복작동 부위 신체 접근

절단작업 중 절단날 파손

절단작업 중 절단물 비래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30

정비청소 시 전원동력차단 확인 및 표지판 부착

정비 후 동력전달부 방호덮개 원상복귀

개방된 왕복작동 부위에는 협착주의 표지판 설치

회전기계 사용 작업자 면장갑 착용 금지조치

승강기(리프트) 각 층 탑승장에는 안전문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리프트)에는 사람 탑승 금지 조치

육가공야채절단 기계류는 적절한 투입용 수공구 제공

핸드그라인더에는 날접촉 예방 방호덮개 설치

둥근톱 핸드그라인더 작업자에게는 보안경 지급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 묶음상태 확인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줄걸이 이탈 방지 조치

각종 전동공구는 이중절연구조 사용

각종 전기기구는 누전차단기에 연결하여 사용

31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기계middot기구 점검수리청소 전 전원차단 및 표지판 부착

2인이상이 기계기구를 점검수리청소시 서로 신호 실시

기계middot기구를 이용한 작업 시 항상 주의집중

기계middot기구의 왕복운동부에는 신체 접근금지

기계middot기구의 맞물려 회전하는 부분에는 신체 접근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금지

육가공야채 절단기계에는 전용 수공구를 이용하여 투입

탁상드릴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면장갑 착용금지

동력톱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보안경 착용

회전칼날톱 사용 시 절단물을 잡는 손은 10cm이상의 간격 확보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을 확실하게 묶고 훅 이탈 방지조치 실시

페인트 등 인화성물질 부근에서 용접용단 금지

인화성물질 보관용기(폐드럼)는 절단 전 마개 개방환기물을 채워 치환 실시

32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제5장

도 middot 소매업

근골격계질환 예방 공학적 개선사례

33

1 중량물 취급

자세에 따른 허리(L5S1)

부담 정도

작업물과 작업자간 거리

34

bull 어깨 위 적재

bull 무릎 아래 적재

bull 과도한 힘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저장공정-적재작업

35

bull 폴리에틸렌 재질

bull 당기는 힘 증가

bull 손 팔 등 스트레스 발생

bull 15ℓtimes20개 = 약 30kg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저장공정-적재작업

bull 층 사이 lsquo미끌림시트(Slip sheet)rsquo설치

bull 당기는 힘 감소

미끌림시트(Slip sheet)

36

작업대 높이

작업대 높이 권장기준

37

bull 낮은 작업대 높이

bull 부자연스런 자세로 인해 요통 등근골격계 질환 위험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농수산물-농산소분작업

bull 높이 조절 가능 작업대

bull 극단치 설계 (95tile)

bull 키 작은 사람 발판 제공

38

bull 높이가 다른 작업

bull 근골격계 질환 위험이 크므로곧 개선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조리-포장작업

bull 작업대와 작업기기 높이 고려

39

정상middot최대 작업영역

정상 작업영역

bull 25cm 이내

bull 번번한 작업

최대 작업영역

bull 50cm 이내

bull 최대 팔 뻗침 영역 이내

정상 작업영역 최대 작업영역

40

bull 먼 위치의 작업역

bull 부자연스러운 자세

bull 과도한 뻗침

bull 반복작업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일반상품-진열작업

bull 진열대 앞 적재 금지

bull 대차 일체형 보관

및 진열

41

작업설비 도구

42

개선 대책

운반카트

bull 운반 전용 카트 이용

bull 수직형 손잡이 높이92cm

bull 대차 높이 140cm 미만 직경20cm

43

기타 개선사례

bull 반복 작업

bull 접촉 스트레스

bull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포장-포장작업

bull 기기와 작업대 폭을 같게

bull 기기의 날카로운 끝부분에

쿠션 설치 고려

44

  • 슬라이드 번호 1
  • 슬라이드 번호 2
  • 슬라이드 번호 3
  • 슬라이드 번호 4
  • 슬라이드 번호 5
  • 슬라이드 번호 6
  • 슬라이드 번호 7
  • 슬라이드 번호 8
  • 슬라이드 번호 9
  • 슬라이드 번호 10
  • 슬라이드 번호 11
  • 슬라이드 번호 12
  • 슬라이드 번호 13
  • 슬라이드 번호 14
  • 슬라이드 번호 15
  • 슬라이드 번호 16
  • 슬라이드 번호 17
  • 슬라이드 번호 18
  • 슬라이드 번호 19
  • 슬라이드 번호 20
  • 슬라이드 번호 21
  • 슬라이드 번호 22
  • 슬라이드 번호 23
  • 슬라이드 번호 24
  • 슬라이드 번호 25
  • 슬라이드 번호 26
  • 슬라이드 번호 27
  • 슬라이드 번호 28
  • 슬라이드 번호 29
  • 슬라이드 번호 30
  • 슬라이드 번호 31
  • 슬라이드 번호 32
  • 슬라이드 번호 33
  • 슬라이드 번호 34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37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40
  • 사례1
  • 슬라이드 번호 42
  • 슬라이드 번호 43
  • 슬라이드 번호 44
Page 12: 도소매산업 재해예방 ppt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단순반복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접촉스트레스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일반상품 판매

12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부적절한

자세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bull 부적절한

자세

축산물 판매

13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부적절한

자세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bull 접촉스트레스

bull 부적절한

자세

농수산물 판매

14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단순반복

bull 단순반복

bull 부적절한 자세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제빵 판매

15

제3장

도 middot 소매업

주요 재해사례

1 계단에서 물품 운반 중 전도

1층과 2층 연결계단 사이에서 판매제품 박스를 옮기던 중떨어진 박스 위로 발을 딛어 계단 아래로 미끄러져 넘어짐

계단에서는 각 단을 확실하게 딛고수시로 안전난간을 잡음

계단 물기 장애물 등으로 인한전도 예방교육 강화

예방대책

17

사다리를 내려오던 중 사다리가 넘어지며 추락

이동식사다리를 이용한 작업 시 사다리의

상부를 고정하고 하부에는 미끄럼방지 조치

높이 2m 이상의 추락위험이 있는 적재대

에는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하고 통행할

수 있는 안전난간이 부착된 고정식 사다리

또는 계단 설치

2 사다리를 내려오던 중 추락

예방대책

18

불량하게 적재된 팔레트 위에 올라 서서 물건을 내리던 중 추락

높이가 2m를 초과하는 적재물에 승강 시

안전하게 승강할 수 있는 승강설비를 비치

하여 사용

예방대책

중량물 적재용 팔레트는 충분한 강도를

갖는 것을 사용하고 판재나 각목의 상태를

점검하여 손상된 것은 폐기 조치

3 불량 적재된 팔레트 위에서 추락

19

포대가 기울어져 적재되어 있는 상태에서 포대 출고 시창고 안쪽부터 출고하여 입구쪽 포대가 붕괴

포대 적재 시에는 적재물이 붕괴되지않도록 적정한 적재 높이를 준수하고하단을 넓게 적재하는 등 붕괴방지조치

예방대책

포대 등을 반출할 때에는 위에서부터순차적으로 층계를 만들면서 출고

4 양곡출고 작업 중 붕괴

20

백화점 의료 매장 앞에서 출고된상품을 확인하고자 박스를 열기위해 옮기다가 허리 삐끗

5 근골격계 질환 ①

백화점 내 생선회 조리사로 근무하던중 손목 부위의 반복동작으로 통증이심해져 장기간 병원에서 오른쪽 손목관절 물리치료를 받음

21

지하 3층 쇼핑백 보관창고에서 쇼핑백을 매장으로 옮기던 중 높이 쌓여있는(2m 이상) 쇼핑백 꾸러미를 내려짐카에 옮기려고 쇼핑백 한 꾸러미를(200개묶음)든 순간 허리삐끗

집기(진열대)와 행사박스를 트럭에서내리던 중 어깨와 목 허리에 통증과결림이 발생

6 근골격계 질환 ②

22

제4장

도 middot 소매업

작업별 위험요인 및`안전조치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위험점 원인분석발생형태

요통근골

낙하

전도충돌

끼임

베임

중량 자세

파지 적재

자세 시야

파지 중량 자세

유리

과다한 중량의 물건 인력운반

부적합한 자세로 물건 인력운반

물건을 확실하게 잡지 않음

정리정돈이 불량한 물건 적재

이동방향 시야확보 불량

부적합한 자세로 물건 인력운반

물건의 적절한 손잡이 미확보

과다한 중량의 물건을 취급

무리한 동작으로 물건 인력운반

파손되기 쉬운 유리제품 취급 부주의

파손된 유리 정리정돈 불량

24

분리 가능한 인력 운반물은 10kg 이하의 적정 중량으로 포장

취급 물품의 인력운반 및 취급 방법 자세 등의 안전교육 실시

운반물의 중량 형태 및 취급장소에 따른 적정 인원배치

통행로는 항상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정리정돈

운반물 또는 운반용기(통 바구니 등)에는 적절한 손잡이 부착

운반물의 형태 및 용도에 적합한 이동대차 설치

사업장 내 이동대차 이용을 위해 평탄하고 적정 너비의 통로 확보

중량물 인력운반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게차 등 운반설비 설치

사업장 내 중량물을 올리거나 내리기 위한 화물용 승강기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각 층 탑승장에는 18m 이상 높이의 출입문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문 개방 시 작동이 안되도록 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문 외의 부분은 18m 이상 높이의 방호울 설치

화물용 승강기에는 lsquo화물전용rsquolsquo탑승금지rsquo 표지판을 설치

25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분리 가능한 운반물은 신체무리가 없는 적정 중량으로 나누어 운반

분리되지 않는 중량의 운반물은 적정 인원이 함께 운반

운반시 이동방향의 시야를 확보하여 통로상태를 확인하며 운반

파손될 수 있는 운반물은 주변 물체에 주의하며 천천히 운반

운반물을 운반하기 전 적당한 손잡이를 확보

중량물을 복부에 밀착하여 허리를 펴고 다리 힘으로 일어남

중량물을 운반할 경우 허리를 펴고 다리만 움직여 이동

중량물을 들고 팔다리허리 관절의 무리한 동작 금지

통행로 상에는 통행에 지장을 주는 물건이 없도록 정리정돈

이동대차에는 각 방향의 무게중심을 고려하여 적재

양 다리를 모으고 이동대차를 밀거나 끄는 행동 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 금지

운반 후 운반물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정리정돈하여 적재

26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위험점발생형태

전 도

계단

이물질

장애물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원인분석

계단을 확실히 딛지 않고 이동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계단 모서리 논슬립 미시공

바닥통로계단 이물질 미제거

통행로 상에 장애물 방치

27

계단 모서리의 파손 부위는 수리

계단 모서리에는 논슬립 재료 시공

통로상 눈 또는 빙판은 수시로 제거

바닥통로계단은 깨끗하고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관리

항상 물기 등으로 미끄러운 장소에는 lsquo미끄럼 주의rsquo 표지판 설치

통로상 턱 문지방 등 돌출부는 주변과 구분이 되는 색으로 도장

통로상에는 통행에 지장이 되는 물건이 없도록 관리

작업 전 신발 착용상태 점검 및 작업특성에 맞는 신발 지급

계단 물기 장애물 등으로 인한 전도 예방교육 강화

28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금지

계단에서는 각 단을 확실하게 딛고 수시로 안전난간을 잡음

물건을 운반할 때에는 계단바닥의 상태를 확인

계단 논슬립 난간 등의 파손된 부위는 관리자에 보고

바닥통로계단의 물기 등 이물질은 수시로 청소하여 제거

항상 물기가 있는 장소에서는 뛰거나 급한 행동 금지

통로상에 형성된 빙판은 염화칼슘 또는 모래 등을 뿌려 제거

통로상에 제거되지 않은 빙판이 있을 경우 우회하여 이동

통행로 상에는 각종 물건의 방치 금지

각종 호스 전선 등은 사용 후 정리하여 보관

각종 호스 전선 사용 장소에서는 걸리거나 밟지 않도록 주의

사무업무 외 슬리퍼 등 미끄러질 수 있는 신발은 착용 금지

신발은 바르게 착용하고 적정하게 밀착되도록 끈을 조임

29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원인분석위험점

동력전달부왕복운동부

발생형태

끼임

회전기계감김

전단기계절단

양중기낙하

절단기류비래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정비청소 중 전원동력차단 미실시

왕복회전 작동부위 신체 접근

가공물 투입구에 손으로 투입

탁상드릴 등 회전기계 작업 중 면장갑 착용

회전기계 작동 중 손으로 투입반출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재단 칼날 왕복작동 부위 신체 접근

절단작업 중 절단날 파손

절단작업 중 절단물 비래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30

정비청소 시 전원동력차단 확인 및 표지판 부착

정비 후 동력전달부 방호덮개 원상복귀

개방된 왕복작동 부위에는 협착주의 표지판 설치

회전기계 사용 작업자 면장갑 착용 금지조치

승강기(리프트) 각 층 탑승장에는 안전문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리프트)에는 사람 탑승 금지 조치

육가공야채절단 기계류는 적절한 투입용 수공구 제공

핸드그라인더에는 날접촉 예방 방호덮개 설치

둥근톱 핸드그라인더 작업자에게는 보안경 지급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 묶음상태 확인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줄걸이 이탈 방지 조치

각종 전동공구는 이중절연구조 사용

각종 전기기구는 누전차단기에 연결하여 사용

31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기계middot기구 점검수리청소 전 전원차단 및 표지판 부착

2인이상이 기계기구를 점검수리청소시 서로 신호 실시

기계middot기구를 이용한 작업 시 항상 주의집중

기계middot기구의 왕복운동부에는 신체 접근금지

기계middot기구의 맞물려 회전하는 부분에는 신체 접근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금지

육가공야채 절단기계에는 전용 수공구를 이용하여 투입

탁상드릴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면장갑 착용금지

동력톱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보안경 착용

회전칼날톱 사용 시 절단물을 잡는 손은 10cm이상의 간격 확보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을 확실하게 묶고 훅 이탈 방지조치 실시

페인트 등 인화성물질 부근에서 용접용단 금지

인화성물질 보관용기(폐드럼)는 절단 전 마개 개방환기물을 채워 치환 실시

32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제5장

도 middot 소매업

근골격계질환 예방 공학적 개선사례

33

1 중량물 취급

자세에 따른 허리(L5S1)

부담 정도

작업물과 작업자간 거리

34

bull 어깨 위 적재

bull 무릎 아래 적재

bull 과도한 힘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저장공정-적재작업

35

bull 폴리에틸렌 재질

bull 당기는 힘 증가

bull 손 팔 등 스트레스 발생

bull 15ℓtimes20개 = 약 30kg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저장공정-적재작업

bull 층 사이 lsquo미끌림시트(Slip sheet)rsquo설치

bull 당기는 힘 감소

미끌림시트(Slip sheet)

36

작업대 높이

작업대 높이 권장기준

37

bull 낮은 작업대 높이

bull 부자연스런 자세로 인해 요통 등근골격계 질환 위험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농수산물-농산소분작업

bull 높이 조절 가능 작업대

bull 극단치 설계 (95tile)

bull 키 작은 사람 발판 제공

38

bull 높이가 다른 작업

bull 근골격계 질환 위험이 크므로곧 개선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조리-포장작업

bull 작업대와 작업기기 높이 고려

39

정상middot최대 작업영역

정상 작업영역

bull 25cm 이내

bull 번번한 작업

최대 작업영역

bull 50cm 이내

bull 최대 팔 뻗침 영역 이내

정상 작업영역 최대 작업영역

40

bull 먼 위치의 작업역

bull 부자연스러운 자세

bull 과도한 뻗침

bull 반복작업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일반상품-진열작업

bull 진열대 앞 적재 금지

bull 대차 일체형 보관

및 진열

41

작업설비 도구

42

개선 대책

운반카트

bull 운반 전용 카트 이용

bull 수직형 손잡이 높이92cm

bull 대차 높이 140cm 미만 직경20cm

43

기타 개선사례

bull 반복 작업

bull 접촉 스트레스

bull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포장-포장작업

bull 기기와 작업대 폭을 같게

bull 기기의 날카로운 끝부분에

쿠션 설치 고려

44

  • 슬라이드 번호 1
  • 슬라이드 번호 2
  • 슬라이드 번호 3
  • 슬라이드 번호 4
  • 슬라이드 번호 5
  • 슬라이드 번호 6
  • 슬라이드 번호 7
  • 슬라이드 번호 8
  • 슬라이드 번호 9
  • 슬라이드 번호 10
  • 슬라이드 번호 11
  • 슬라이드 번호 12
  • 슬라이드 번호 13
  • 슬라이드 번호 14
  • 슬라이드 번호 15
  • 슬라이드 번호 16
  • 슬라이드 번호 17
  • 슬라이드 번호 18
  • 슬라이드 번호 19
  • 슬라이드 번호 20
  • 슬라이드 번호 21
  • 슬라이드 번호 22
  • 슬라이드 번호 23
  • 슬라이드 번호 24
  • 슬라이드 번호 25
  • 슬라이드 번호 26
  • 슬라이드 번호 27
  • 슬라이드 번호 28
  • 슬라이드 번호 29
  • 슬라이드 번호 30
  • 슬라이드 번호 31
  • 슬라이드 번호 32
  • 슬라이드 번호 33
  • 슬라이드 번호 34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37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40
  • 사례1
  • 슬라이드 번호 42
  • 슬라이드 번호 43
  • 슬라이드 번호 44
Page 13: 도소매산업 재해예방 ppt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부적절한

자세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bull 부적절한

자세

축산물 판매

13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부적절한

자세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bull 접촉스트레스

bull 부적절한

자세

농수산물 판매

14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단순반복

bull 단순반복

bull 부적절한 자세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제빵 판매

15

제3장

도 middot 소매업

주요 재해사례

1 계단에서 물품 운반 중 전도

1층과 2층 연결계단 사이에서 판매제품 박스를 옮기던 중떨어진 박스 위로 발을 딛어 계단 아래로 미끄러져 넘어짐

계단에서는 각 단을 확실하게 딛고수시로 안전난간을 잡음

계단 물기 장애물 등으로 인한전도 예방교육 강화

예방대책

17

사다리를 내려오던 중 사다리가 넘어지며 추락

이동식사다리를 이용한 작업 시 사다리의

상부를 고정하고 하부에는 미끄럼방지 조치

높이 2m 이상의 추락위험이 있는 적재대

에는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하고 통행할

수 있는 안전난간이 부착된 고정식 사다리

또는 계단 설치

2 사다리를 내려오던 중 추락

예방대책

18

불량하게 적재된 팔레트 위에 올라 서서 물건을 내리던 중 추락

높이가 2m를 초과하는 적재물에 승강 시

안전하게 승강할 수 있는 승강설비를 비치

하여 사용

예방대책

중량물 적재용 팔레트는 충분한 강도를

갖는 것을 사용하고 판재나 각목의 상태를

점검하여 손상된 것은 폐기 조치

3 불량 적재된 팔레트 위에서 추락

19

포대가 기울어져 적재되어 있는 상태에서 포대 출고 시창고 안쪽부터 출고하여 입구쪽 포대가 붕괴

포대 적재 시에는 적재물이 붕괴되지않도록 적정한 적재 높이를 준수하고하단을 넓게 적재하는 등 붕괴방지조치

예방대책

포대 등을 반출할 때에는 위에서부터순차적으로 층계를 만들면서 출고

4 양곡출고 작업 중 붕괴

20

백화점 의료 매장 앞에서 출고된상품을 확인하고자 박스를 열기위해 옮기다가 허리 삐끗

5 근골격계 질환 ①

백화점 내 생선회 조리사로 근무하던중 손목 부위의 반복동작으로 통증이심해져 장기간 병원에서 오른쪽 손목관절 물리치료를 받음

21

지하 3층 쇼핑백 보관창고에서 쇼핑백을 매장으로 옮기던 중 높이 쌓여있는(2m 이상) 쇼핑백 꾸러미를 내려짐카에 옮기려고 쇼핑백 한 꾸러미를(200개묶음)든 순간 허리삐끗

집기(진열대)와 행사박스를 트럭에서내리던 중 어깨와 목 허리에 통증과결림이 발생

6 근골격계 질환 ②

22

제4장

도 middot 소매업

작업별 위험요인 및`안전조치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위험점 원인분석발생형태

요통근골

낙하

전도충돌

끼임

베임

중량 자세

파지 적재

자세 시야

파지 중량 자세

유리

과다한 중량의 물건 인력운반

부적합한 자세로 물건 인력운반

물건을 확실하게 잡지 않음

정리정돈이 불량한 물건 적재

이동방향 시야확보 불량

부적합한 자세로 물건 인력운반

물건의 적절한 손잡이 미확보

과다한 중량의 물건을 취급

무리한 동작으로 물건 인력운반

파손되기 쉬운 유리제품 취급 부주의

파손된 유리 정리정돈 불량

24

분리 가능한 인력 운반물은 10kg 이하의 적정 중량으로 포장

취급 물품의 인력운반 및 취급 방법 자세 등의 안전교육 실시

운반물의 중량 형태 및 취급장소에 따른 적정 인원배치

통행로는 항상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정리정돈

운반물 또는 운반용기(통 바구니 등)에는 적절한 손잡이 부착

운반물의 형태 및 용도에 적합한 이동대차 설치

사업장 내 이동대차 이용을 위해 평탄하고 적정 너비의 통로 확보

중량물 인력운반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게차 등 운반설비 설치

사업장 내 중량물을 올리거나 내리기 위한 화물용 승강기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각 층 탑승장에는 18m 이상 높이의 출입문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문 개방 시 작동이 안되도록 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문 외의 부분은 18m 이상 높이의 방호울 설치

화물용 승강기에는 lsquo화물전용rsquolsquo탑승금지rsquo 표지판을 설치

25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분리 가능한 운반물은 신체무리가 없는 적정 중량으로 나누어 운반

분리되지 않는 중량의 운반물은 적정 인원이 함께 운반

운반시 이동방향의 시야를 확보하여 통로상태를 확인하며 운반

파손될 수 있는 운반물은 주변 물체에 주의하며 천천히 운반

운반물을 운반하기 전 적당한 손잡이를 확보

중량물을 복부에 밀착하여 허리를 펴고 다리 힘으로 일어남

중량물을 운반할 경우 허리를 펴고 다리만 움직여 이동

중량물을 들고 팔다리허리 관절의 무리한 동작 금지

통행로 상에는 통행에 지장을 주는 물건이 없도록 정리정돈

이동대차에는 각 방향의 무게중심을 고려하여 적재

양 다리를 모으고 이동대차를 밀거나 끄는 행동 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 금지

운반 후 운반물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정리정돈하여 적재

26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위험점발생형태

전 도

계단

이물질

장애물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원인분석

계단을 확실히 딛지 않고 이동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계단 모서리 논슬립 미시공

바닥통로계단 이물질 미제거

통행로 상에 장애물 방치

27

계단 모서리의 파손 부위는 수리

계단 모서리에는 논슬립 재료 시공

통로상 눈 또는 빙판은 수시로 제거

바닥통로계단은 깨끗하고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관리

항상 물기 등으로 미끄러운 장소에는 lsquo미끄럼 주의rsquo 표지판 설치

통로상 턱 문지방 등 돌출부는 주변과 구분이 되는 색으로 도장

통로상에는 통행에 지장이 되는 물건이 없도록 관리

작업 전 신발 착용상태 점검 및 작업특성에 맞는 신발 지급

계단 물기 장애물 등으로 인한 전도 예방교육 강화

28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금지

계단에서는 각 단을 확실하게 딛고 수시로 안전난간을 잡음

물건을 운반할 때에는 계단바닥의 상태를 확인

계단 논슬립 난간 등의 파손된 부위는 관리자에 보고

바닥통로계단의 물기 등 이물질은 수시로 청소하여 제거

항상 물기가 있는 장소에서는 뛰거나 급한 행동 금지

통로상에 형성된 빙판은 염화칼슘 또는 모래 등을 뿌려 제거

통로상에 제거되지 않은 빙판이 있을 경우 우회하여 이동

통행로 상에는 각종 물건의 방치 금지

각종 호스 전선 등은 사용 후 정리하여 보관

각종 호스 전선 사용 장소에서는 걸리거나 밟지 않도록 주의

사무업무 외 슬리퍼 등 미끄러질 수 있는 신발은 착용 금지

신발은 바르게 착용하고 적정하게 밀착되도록 끈을 조임

29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원인분석위험점

동력전달부왕복운동부

발생형태

끼임

회전기계감김

전단기계절단

양중기낙하

절단기류비래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정비청소 중 전원동력차단 미실시

왕복회전 작동부위 신체 접근

가공물 투입구에 손으로 투입

탁상드릴 등 회전기계 작업 중 면장갑 착용

회전기계 작동 중 손으로 투입반출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재단 칼날 왕복작동 부위 신체 접근

절단작업 중 절단날 파손

절단작업 중 절단물 비래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30

정비청소 시 전원동력차단 확인 및 표지판 부착

정비 후 동력전달부 방호덮개 원상복귀

개방된 왕복작동 부위에는 협착주의 표지판 설치

회전기계 사용 작업자 면장갑 착용 금지조치

승강기(리프트) 각 층 탑승장에는 안전문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리프트)에는 사람 탑승 금지 조치

육가공야채절단 기계류는 적절한 투입용 수공구 제공

핸드그라인더에는 날접촉 예방 방호덮개 설치

둥근톱 핸드그라인더 작업자에게는 보안경 지급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 묶음상태 확인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줄걸이 이탈 방지 조치

각종 전동공구는 이중절연구조 사용

각종 전기기구는 누전차단기에 연결하여 사용

31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기계middot기구 점검수리청소 전 전원차단 및 표지판 부착

2인이상이 기계기구를 점검수리청소시 서로 신호 실시

기계middot기구를 이용한 작업 시 항상 주의집중

기계middot기구의 왕복운동부에는 신체 접근금지

기계middot기구의 맞물려 회전하는 부분에는 신체 접근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금지

육가공야채 절단기계에는 전용 수공구를 이용하여 투입

탁상드릴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면장갑 착용금지

동력톱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보안경 착용

회전칼날톱 사용 시 절단물을 잡는 손은 10cm이상의 간격 확보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을 확실하게 묶고 훅 이탈 방지조치 실시

페인트 등 인화성물질 부근에서 용접용단 금지

인화성물질 보관용기(폐드럼)는 절단 전 마개 개방환기물을 채워 치환 실시

32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제5장

도 middot 소매업

근골격계질환 예방 공학적 개선사례

33

1 중량물 취급

자세에 따른 허리(L5S1)

부담 정도

작업물과 작업자간 거리

34

bull 어깨 위 적재

bull 무릎 아래 적재

bull 과도한 힘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저장공정-적재작업

35

bull 폴리에틸렌 재질

bull 당기는 힘 증가

bull 손 팔 등 스트레스 발생

bull 15ℓtimes20개 = 약 30kg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저장공정-적재작업

bull 층 사이 lsquo미끌림시트(Slip sheet)rsquo설치

bull 당기는 힘 감소

미끌림시트(Slip sheet)

36

작업대 높이

작업대 높이 권장기준

37

bull 낮은 작업대 높이

bull 부자연스런 자세로 인해 요통 등근골격계 질환 위험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농수산물-농산소분작업

bull 높이 조절 가능 작업대

bull 극단치 설계 (95tile)

bull 키 작은 사람 발판 제공

38

bull 높이가 다른 작업

bull 근골격계 질환 위험이 크므로곧 개선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조리-포장작업

bull 작업대와 작업기기 높이 고려

39

정상middot최대 작업영역

정상 작업영역

bull 25cm 이내

bull 번번한 작업

최대 작업영역

bull 50cm 이내

bull 최대 팔 뻗침 영역 이내

정상 작업영역 최대 작업영역

40

bull 먼 위치의 작업역

bull 부자연스러운 자세

bull 과도한 뻗침

bull 반복작업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일반상품-진열작업

bull 진열대 앞 적재 금지

bull 대차 일체형 보관

및 진열

41

작업설비 도구

42

개선 대책

운반카트

bull 운반 전용 카트 이용

bull 수직형 손잡이 높이92cm

bull 대차 높이 140cm 미만 직경20cm

43

기타 개선사례

bull 반복 작업

bull 접촉 스트레스

bull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포장-포장작업

bull 기기와 작업대 폭을 같게

bull 기기의 날카로운 끝부분에

쿠션 설치 고려

44

  • 슬라이드 번호 1
  • 슬라이드 번호 2
  • 슬라이드 번호 3
  • 슬라이드 번호 4
  • 슬라이드 번호 5
  • 슬라이드 번호 6
  • 슬라이드 번호 7
  • 슬라이드 번호 8
  • 슬라이드 번호 9
  • 슬라이드 번호 10
  • 슬라이드 번호 11
  • 슬라이드 번호 12
  • 슬라이드 번호 13
  • 슬라이드 번호 14
  • 슬라이드 번호 15
  • 슬라이드 번호 16
  • 슬라이드 번호 17
  • 슬라이드 번호 18
  • 슬라이드 번호 19
  • 슬라이드 번호 20
  • 슬라이드 번호 21
  • 슬라이드 번호 22
  • 슬라이드 번호 23
  • 슬라이드 번호 24
  • 슬라이드 번호 25
  • 슬라이드 번호 26
  • 슬라이드 번호 27
  • 슬라이드 번호 28
  • 슬라이드 번호 29
  • 슬라이드 번호 30
  • 슬라이드 번호 31
  • 슬라이드 번호 32
  • 슬라이드 번호 33
  • 슬라이드 번호 34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37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40
  • 사례1
  • 슬라이드 번호 42
  • 슬라이드 번호 43
  • 슬라이드 번호 44
Page 14: 도소매산업 재해예방 ppt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부적절한

자세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bull 접촉스트레스

bull 부적절한

자세

농수산물 판매

14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단순반복

bull 단순반복

bull 부적절한 자세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제빵 판매

15

제3장

도 middot 소매업

주요 재해사례

1 계단에서 물품 운반 중 전도

1층과 2층 연결계단 사이에서 판매제품 박스를 옮기던 중떨어진 박스 위로 발을 딛어 계단 아래로 미끄러져 넘어짐

계단에서는 각 단을 확실하게 딛고수시로 안전난간을 잡음

계단 물기 장애물 등으로 인한전도 예방교육 강화

예방대책

17

사다리를 내려오던 중 사다리가 넘어지며 추락

이동식사다리를 이용한 작업 시 사다리의

상부를 고정하고 하부에는 미끄럼방지 조치

높이 2m 이상의 추락위험이 있는 적재대

에는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하고 통행할

수 있는 안전난간이 부착된 고정식 사다리

또는 계단 설치

2 사다리를 내려오던 중 추락

예방대책

18

불량하게 적재된 팔레트 위에 올라 서서 물건을 내리던 중 추락

높이가 2m를 초과하는 적재물에 승강 시

안전하게 승강할 수 있는 승강설비를 비치

하여 사용

예방대책

중량물 적재용 팔레트는 충분한 강도를

갖는 것을 사용하고 판재나 각목의 상태를

점검하여 손상된 것은 폐기 조치

3 불량 적재된 팔레트 위에서 추락

19

포대가 기울어져 적재되어 있는 상태에서 포대 출고 시창고 안쪽부터 출고하여 입구쪽 포대가 붕괴

포대 적재 시에는 적재물이 붕괴되지않도록 적정한 적재 높이를 준수하고하단을 넓게 적재하는 등 붕괴방지조치

예방대책

포대 등을 반출할 때에는 위에서부터순차적으로 층계를 만들면서 출고

4 양곡출고 작업 중 붕괴

20

백화점 의료 매장 앞에서 출고된상품을 확인하고자 박스를 열기위해 옮기다가 허리 삐끗

5 근골격계 질환 ①

백화점 내 생선회 조리사로 근무하던중 손목 부위의 반복동작으로 통증이심해져 장기간 병원에서 오른쪽 손목관절 물리치료를 받음

21

지하 3층 쇼핑백 보관창고에서 쇼핑백을 매장으로 옮기던 중 높이 쌓여있는(2m 이상) 쇼핑백 꾸러미를 내려짐카에 옮기려고 쇼핑백 한 꾸러미를(200개묶음)든 순간 허리삐끗

집기(진열대)와 행사박스를 트럭에서내리던 중 어깨와 목 허리에 통증과결림이 발생

6 근골격계 질환 ②

22

제4장

도 middot 소매업

작업별 위험요인 및`안전조치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위험점 원인분석발생형태

요통근골

낙하

전도충돌

끼임

베임

중량 자세

파지 적재

자세 시야

파지 중량 자세

유리

과다한 중량의 물건 인력운반

부적합한 자세로 물건 인력운반

물건을 확실하게 잡지 않음

정리정돈이 불량한 물건 적재

이동방향 시야확보 불량

부적합한 자세로 물건 인력운반

물건의 적절한 손잡이 미확보

과다한 중량의 물건을 취급

무리한 동작으로 물건 인력운반

파손되기 쉬운 유리제품 취급 부주의

파손된 유리 정리정돈 불량

24

분리 가능한 인력 운반물은 10kg 이하의 적정 중량으로 포장

취급 물품의 인력운반 및 취급 방법 자세 등의 안전교육 실시

운반물의 중량 형태 및 취급장소에 따른 적정 인원배치

통행로는 항상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정리정돈

운반물 또는 운반용기(통 바구니 등)에는 적절한 손잡이 부착

운반물의 형태 및 용도에 적합한 이동대차 설치

사업장 내 이동대차 이용을 위해 평탄하고 적정 너비의 통로 확보

중량물 인력운반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게차 등 운반설비 설치

사업장 내 중량물을 올리거나 내리기 위한 화물용 승강기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각 층 탑승장에는 18m 이상 높이의 출입문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문 개방 시 작동이 안되도록 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문 외의 부분은 18m 이상 높이의 방호울 설치

화물용 승강기에는 lsquo화물전용rsquolsquo탑승금지rsquo 표지판을 설치

25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분리 가능한 운반물은 신체무리가 없는 적정 중량으로 나누어 운반

분리되지 않는 중량의 운반물은 적정 인원이 함께 운반

운반시 이동방향의 시야를 확보하여 통로상태를 확인하며 운반

파손될 수 있는 운반물은 주변 물체에 주의하며 천천히 운반

운반물을 운반하기 전 적당한 손잡이를 확보

중량물을 복부에 밀착하여 허리를 펴고 다리 힘으로 일어남

중량물을 운반할 경우 허리를 펴고 다리만 움직여 이동

중량물을 들고 팔다리허리 관절의 무리한 동작 금지

통행로 상에는 통행에 지장을 주는 물건이 없도록 정리정돈

이동대차에는 각 방향의 무게중심을 고려하여 적재

양 다리를 모으고 이동대차를 밀거나 끄는 행동 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 금지

운반 후 운반물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정리정돈하여 적재

26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위험점발생형태

전 도

계단

이물질

장애물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원인분석

계단을 확실히 딛지 않고 이동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계단 모서리 논슬립 미시공

바닥통로계단 이물질 미제거

통행로 상에 장애물 방치

27

계단 모서리의 파손 부위는 수리

계단 모서리에는 논슬립 재료 시공

통로상 눈 또는 빙판은 수시로 제거

바닥통로계단은 깨끗하고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관리

항상 물기 등으로 미끄러운 장소에는 lsquo미끄럼 주의rsquo 표지판 설치

통로상 턱 문지방 등 돌출부는 주변과 구분이 되는 색으로 도장

통로상에는 통행에 지장이 되는 물건이 없도록 관리

작업 전 신발 착용상태 점검 및 작업특성에 맞는 신발 지급

계단 물기 장애물 등으로 인한 전도 예방교육 강화

28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금지

계단에서는 각 단을 확실하게 딛고 수시로 안전난간을 잡음

물건을 운반할 때에는 계단바닥의 상태를 확인

계단 논슬립 난간 등의 파손된 부위는 관리자에 보고

바닥통로계단의 물기 등 이물질은 수시로 청소하여 제거

항상 물기가 있는 장소에서는 뛰거나 급한 행동 금지

통로상에 형성된 빙판은 염화칼슘 또는 모래 등을 뿌려 제거

통로상에 제거되지 않은 빙판이 있을 경우 우회하여 이동

통행로 상에는 각종 물건의 방치 금지

각종 호스 전선 등은 사용 후 정리하여 보관

각종 호스 전선 사용 장소에서는 걸리거나 밟지 않도록 주의

사무업무 외 슬리퍼 등 미끄러질 수 있는 신발은 착용 금지

신발은 바르게 착용하고 적정하게 밀착되도록 끈을 조임

29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원인분석위험점

동력전달부왕복운동부

발생형태

끼임

회전기계감김

전단기계절단

양중기낙하

절단기류비래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정비청소 중 전원동력차단 미실시

왕복회전 작동부위 신체 접근

가공물 투입구에 손으로 투입

탁상드릴 등 회전기계 작업 중 면장갑 착용

회전기계 작동 중 손으로 투입반출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재단 칼날 왕복작동 부위 신체 접근

절단작업 중 절단날 파손

절단작업 중 절단물 비래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30

정비청소 시 전원동력차단 확인 및 표지판 부착

정비 후 동력전달부 방호덮개 원상복귀

개방된 왕복작동 부위에는 협착주의 표지판 설치

회전기계 사용 작업자 면장갑 착용 금지조치

승강기(리프트) 각 층 탑승장에는 안전문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리프트)에는 사람 탑승 금지 조치

육가공야채절단 기계류는 적절한 투입용 수공구 제공

핸드그라인더에는 날접촉 예방 방호덮개 설치

둥근톱 핸드그라인더 작업자에게는 보안경 지급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 묶음상태 확인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줄걸이 이탈 방지 조치

각종 전동공구는 이중절연구조 사용

각종 전기기구는 누전차단기에 연결하여 사용

31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기계middot기구 점검수리청소 전 전원차단 및 표지판 부착

2인이상이 기계기구를 점검수리청소시 서로 신호 실시

기계middot기구를 이용한 작업 시 항상 주의집중

기계middot기구의 왕복운동부에는 신체 접근금지

기계middot기구의 맞물려 회전하는 부분에는 신체 접근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금지

육가공야채 절단기계에는 전용 수공구를 이용하여 투입

탁상드릴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면장갑 착용금지

동력톱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보안경 착용

회전칼날톱 사용 시 절단물을 잡는 손은 10cm이상의 간격 확보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을 확실하게 묶고 훅 이탈 방지조치 실시

페인트 등 인화성물질 부근에서 용접용단 금지

인화성물질 보관용기(폐드럼)는 절단 전 마개 개방환기물을 채워 치환 실시

32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제5장

도 middot 소매업

근골격계질환 예방 공학적 개선사례

33

1 중량물 취급

자세에 따른 허리(L5S1)

부담 정도

작업물과 작업자간 거리

34

bull 어깨 위 적재

bull 무릎 아래 적재

bull 과도한 힘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저장공정-적재작업

35

bull 폴리에틸렌 재질

bull 당기는 힘 증가

bull 손 팔 등 스트레스 발생

bull 15ℓtimes20개 = 약 30kg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저장공정-적재작업

bull 층 사이 lsquo미끌림시트(Slip sheet)rsquo설치

bull 당기는 힘 감소

미끌림시트(Slip sheet)

36

작업대 높이

작업대 높이 권장기준

37

bull 낮은 작업대 높이

bull 부자연스런 자세로 인해 요통 등근골격계 질환 위험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농수산물-농산소분작업

bull 높이 조절 가능 작업대

bull 극단치 설계 (95tile)

bull 키 작은 사람 발판 제공

38

bull 높이가 다른 작업

bull 근골격계 질환 위험이 크므로곧 개선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조리-포장작업

bull 작업대와 작업기기 높이 고려

39

정상middot최대 작업영역

정상 작업영역

bull 25cm 이내

bull 번번한 작업

최대 작업영역

bull 50cm 이내

bull 최대 팔 뻗침 영역 이내

정상 작업영역 최대 작업영역

40

bull 먼 위치의 작업역

bull 부자연스러운 자세

bull 과도한 뻗침

bull 반복작업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일반상품-진열작업

bull 진열대 앞 적재 금지

bull 대차 일체형 보관

및 진열

41

작업설비 도구

42

개선 대책

운반카트

bull 운반 전용 카트 이용

bull 수직형 손잡이 높이92cm

bull 대차 높이 140cm 미만 직경20cm

43

기타 개선사례

bull 반복 작업

bull 접촉 스트레스

bull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포장-포장작업

bull 기기와 작업대 폭을 같게

bull 기기의 날카로운 끝부분에

쿠션 설치 고려

44

  • 슬라이드 번호 1
  • 슬라이드 번호 2
  • 슬라이드 번호 3
  • 슬라이드 번호 4
  • 슬라이드 번호 5
  • 슬라이드 번호 6
  • 슬라이드 번호 7
  • 슬라이드 번호 8
  • 슬라이드 번호 9
  • 슬라이드 번호 10
  • 슬라이드 번호 11
  • 슬라이드 번호 12
  • 슬라이드 번호 13
  • 슬라이드 번호 14
  • 슬라이드 번호 15
  • 슬라이드 번호 16
  • 슬라이드 번호 17
  • 슬라이드 번호 18
  • 슬라이드 번호 19
  • 슬라이드 번호 20
  • 슬라이드 번호 21
  • 슬라이드 번호 22
  • 슬라이드 번호 23
  • 슬라이드 번호 24
  • 슬라이드 번호 25
  • 슬라이드 번호 26
  • 슬라이드 번호 27
  • 슬라이드 번호 28
  • 슬라이드 번호 29
  • 슬라이드 번호 30
  • 슬라이드 번호 31
  • 슬라이드 번호 32
  • 슬라이드 번호 33
  • 슬라이드 번호 34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37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40
  • 사례1
  • 슬라이드 번호 42
  • 슬라이드 번호 43
  • 슬라이드 번호 44
Page 15: 도소매산업 재해예방 ppt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과도한 힘

bull 부적절한 자세

bull 단순반복

bull 단순반복

bull 부적절한 자세

2 공정 흐름도 및 위험 요인

제빵 판매

15

제3장

도 middot 소매업

주요 재해사례

1 계단에서 물품 운반 중 전도

1층과 2층 연결계단 사이에서 판매제품 박스를 옮기던 중떨어진 박스 위로 발을 딛어 계단 아래로 미끄러져 넘어짐

계단에서는 각 단을 확실하게 딛고수시로 안전난간을 잡음

계단 물기 장애물 등으로 인한전도 예방교육 강화

예방대책

17

사다리를 내려오던 중 사다리가 넘어지며 추락

이동식사다리를 이용한 작업 시 사다리의

상부를 고정하고 하부에는 미끄럼방지 조치

높이 2m 이상의 추락위험이 있는 적재대

에는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하고 통행할

수 있는 안전난간이 부착된 고정식 사다리

또는 계단 설치

2 사다리를 내려오던 중 추락

예방대책

18

불량하게 적재된 팔레트 위에 올라 서서 물건을 내리던 중 추락

높이가 2m를 초과하는 적재물에 승강 시

안전하게 승강할 수 있는 승강설비를 비치

하여 사용

예방대책

중량물 적재용 팔레트는 충분한 강도를

갖는 것을 사용하고 판재나 각목의 상태를

점검하여 손상된 것은 폐기 조치

3 불량 적재된 팔레트 위에서 추락

19

포대가 기울어져 적재되어 있는 상태에서 포대 출고 시창고 안쪽부터 출고하여 입구쪽 포대가 붕괴

포대 적재 시에는 적재물이 붕괴되지않도록 적정한 적재 높이를 준수하고하단을 넓게 적재하는 등 붕괴방지조치

예방대책

포대 등을 반출할 때에는 위에서부터순차적으로 층계를 만들면서 출고

4 양곡출고 작업 중 붕괴

20

백화점 의료 매장 앞에서 출고된상품을 확인하고자 박스를 열기위해 옮기다가 허리 삐끗

5 근골격계 질환 ①

백화점 내 생선회 조리사로 근무하던중 손목 부위의 반복동작으로 통증이심해져 장기간 병원에서 오른쪽 손목관절 물리치료를 받음

21

지하 3층 쇼핑백 보관창고에서 쇼핑백을 매장으로 옮기던 중 높이 쌓여있는(2m 이상) 쇼핑백 꾸러미를 내려짐카에 옮기려고 쇼핑백 한 꾸러미를(200개묶음)든 순간 허리삐끗

집기(진열대)와 행사박스를 트럭에서내리던 중 어깨와 목 허리에 통증과결림이 발생

6 근골격계 질환 ②

22

제4장

도 middot 소매업

작업별 위험요인 및`안전조치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위험점 원인분석발생형태

요통근골

낙하

전도충돌

끼임

베임

중량 자세

파지 적재

자세 시야

파지 중량 자세

유리

과다한 중량의 물건 인력운반

부적합한 자세로 물건 인력운반

물건을 확실하게 잡지 않음

정리정돈이 불량한 물건 적재

이동방향 시야확보 불량

부적합한 자세로 물건 인력운반

물건의 적절한 손잡이 미확보

과다한 중량의 물건을 취급

무리한 동작으로 물건 인력운반

파손되기 쉬운 유리제품 취급 부주의

파손된 유리 정리정돈 불량

24

분리 가능한 인력 운반물은 10kg 이하의 적정 중량으로 포장

취급 물품의 인력운반 및 취급 방법 자세 등의 안전교육 실시

운반물의 중량 형태 및 취급장소에 따른 적정 인원배치

통행로는 항상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정리정돈

운반물 또는 운반용기(통 바구니 등)에는 적절한 손잡이 부착

운반물의 형태 및 용도에 적합한 이동대차 설치

사업장 내 이동대차 이용을 위해 평탄하고 적정 너비의 통로 확보

중량물 인력운반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게차 등 운반설비 설치

사업장 내 중량물을 올리거나 내리기 위한 화물용 승강기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각 층 탑승장에는 18m 이상 높이의 출입문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문 개방 시 작동이 안되도록 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문 외의 부분은 18m 이상 높이의 방호울 설치

화물용 승강기에는 lsquo화물전용rsquolsquo탑승금지rsquo 표지판을 설치

25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분리 가능한 운반물은 신체무리가 없는 적정 중량으로 나누어 운반

분리되지 않는 중량의 운반물은 적정 인원이 함께 운반

운반시 이동방향의 시야를 확보하여 통로상태를 확인하며 운반

파손될 수 있는 운반물은 주변 물체에 주의하며 천천히 운반

운반물을 운반하기 전 적당한 손잡이를 확보

중량물을 복부에 밀착하여 허리를 펴고 다리 힘으로 일어남

중량물을 운반할 경우 허리를 펴고 다리만 움직여 이동

중량물을 들고 팔다리허리 관절의 무리한 동작 금지

통행로 상에는 통행에 지장을 주는 물건이 없도록 정리정돈

이동대차에는 각 방향의 무게중심을 고려하여 적재

양 다리를 모으고 이동대차를 밀거나 끄는 행동 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 금지

운반 후 운반물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정리정돈하여 적재

26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위험점발생형태

전 도

계단

이물질

장애물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원인분석

계단을 확실히 딛지 않고 이동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계단 모서리 논슬립 미시공

바닥통로계단 이물질 미제거

통행로 상에 장애물 방치

27

계단 모서리의 파손 부위는 수리

계단 모서리에는 논슬립 재료 시공

통로상 눈 또는 빙판은 수시로 제거

바닥통로계단은 깨끗하고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관리

항상 물기 등으로 미끄러운 장소에는 lsquo미끄럼 주의rsquo 표지판 설치

통로상 턱 문지방 등 돌출부는 주변과 구분이 되는 색으로 도장

통로상에는 통행에 지장이 되는 물건이 없도록 관리

작업 전 신발 착용상태 점검 및 작업특성에 맞는 신발 지급

계단 물기 장애물 등으로 인한 전도 예방교육 강화

28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금지

계단에서는 각 단을 확실하게 딛고 수시로 안전난간을 잡음

물건을 운반할 때에는 계단바닥의 상태를 확인

계단 논슬립 난간 등의 파손된 부위는 관리자에 보고

바닥통로계단의 물기 등 이물질은 수시로 청소하여 제거

항상 물기가 있는 장소에서는 뛰거나 급한 행동 금지

통로상에 형성된 빙판은 염화칼슘 또는 모래 등을 뿌려 제거

통로상에 제거되지 않은 빙판이 있을 경우 우회하여 이동

통행로 상에는 각종 물건의 방치 금지

각종 호스 전선 등은 사용 후 정리하여 보관

각종 호스 전선 사용 장소에서는 걸리거나 밟지 않도록 주의

사무업무 외 슬리퍼 등 미끄러질 수 있는 신발은 착용 금지

신발은 바르게 착용하고 적정하게 밀착되도록 끈을 조임

29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원인분석위험점

동력전달부왕복운동부

발생형태

끼임

회전기계감김

전단기계절단

양중기낙하

절단기류비래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정비청소 중 전원동력차단 미실시

왕복회전 작동부위 신체 접근

가공물 투입구에 손으로 투입

탁상드릴 등 회전기계 작업 중 면장갑 착용

회전기계 작동 중 손으로 투입반출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재단 칼날 왕복작동 부위 신체 접근

절단작업 중 절단날 파손

절단작업 중 절단물 비래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30

정비청소 시 전원동력차단 확인 및 표지판 부착

정비 후 동력전달부 방호덮개 원상복귀

개방된 왕복작동 부위에는 협착주의 표지판 설치

회전기계 사용 작업자 면장갑 착용 금지조치

승강기(리프트) 각 층 탑승장에는 안전문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리프트)에는 사람 탑승 금지 조치

육가공야채절단 기계류는 적절한 투입용 수공구 제공

핸드그라인더에는 날접촉 예방 방호덮개 설치

둥근톱 핸드그라인더 작업자에게는 보안경 지급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 묶음상태 확인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줄걸이 이탈 방지 조치

각종 전동공구는 이중절연구조 사용

각종 전기기구는 누전차단기에 연결하여 사용

31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기계middot기구 점검수리청소 전 전원차단 및 표지판 부착

2인이상이 기계기구를 점검수리청소시 서로 신호 실시

기계middot기구를 이용한 작업 시 항상 주의집중

기계middot기구의 왕복운동부에는 신체 접근금지

기계middot기구의 맞물려 회전하는 부분에는 신체 접근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금지

육가공야채 절단기계에는 전용 수공구를 이용하여 투입

탁상드릴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면장갑 착용금지

동력톱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보안경 착용

회전칼날톱 사용 시 절단물을 잡는 손은 10cm이상의 간격 확보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을 확실하게 묶고 훅 이탈 방지조치 실시

페인트 등 인화성물질 부근에서 용접용단 금지

인화성물질 보관용기(폐드럼)는 절단 전 마개 개방환기물을 채워 치환 실시

32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제5장

도 middot 소매업

근골격계질환 예방 공학적 개선사례

33

1 중량물 취급

자세에 따른 허리(L5S1)

부담 정도

작업물과 작업자간 거리

34

bull 어깨 위 적재

bull 무릎 아래 적재

bull 과도한 힘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저장공정-적재작업

35

bull 폴리에틸렌 재질

bull 당기는 힘 증가

bull 손 팔 등 스트레스 발생

bull 15ℓtimes20개 = 약 30kg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저장공정-적재작업

bull 층 사이 lsquo미끌림시트(Slip sheet)rsquo설치

bull 당기는 힘 감소

미끌림시트(Slip sheet)

36

작업대 높이

작업대 높이 권장기준

37

bull 낮은 작업대 높이

bull 부자연스런 자세로 인해 요통 등근골격계 질환 위험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농수산물-농산소분작업

bull 높이 조절 가능 작업대

bull 극단치 설계 (95tile)

bull 키 작은 사람 발판 제공

38

bull 높이가 다른 작업

bull 근골격계 질환 위험이 크므로곧 개선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조리-포장작업

bull 작업대와 작업기기 높이 고려

39

정상middot최대 작업영역

정상 작업영역

bull 25cm 이내

bull 번번한 작업

최대 작업영역

bull 50cm 이내

bull 최대 팔 뻗침 영역 이내

정상 작업영역 최대 작업영역

40

bull 먼 위치의 작업역

bull 부자연스러운 자세

bull 과도한 뻗침

bull 반복작업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일반상품-진열작업

bull 진열대 앞 적재 금지

bull 대차 일체형 보관

및 진열

41

작업설비 도구

42

개선 대책

운반카트

bull 운반 전용 카트 이용

bull 수직형 손잡이 높이92cm

bull 대차 높이 140cm 미만 직경20cm

43

기타 개선사례

bull 반복 작업

bull 접촉 스트레스

bull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포장-포장작업

bull 기기와 작업대 폭을 같게

bull 기기의 날카로운 끝부분에

쿠션 설치 고려

44

  • 슬라이드 번호 1
  • 슬라이드 번호 2
  • 슬라이드 번호 3
  • 슬라이드 번호 4
  • 슬라이드 번호 5
  • 슬라이드 번호 6
  • 슬라이드 번호 7
  • 슬라이드 번호 8
  • 슬라이드 번호 9
  • 슬라이드 번호 10
  • 슬라이드 번호 11
  • 슬라이드 번호 12
  • 슬라이드 번호 13
  • 슬라이드 번호 14
  • 슬라이드 번호 15
  • 슬라이드 번호 16
  • 슬라이드 번호 17
  • 슬라이드 번호 18
  • 슬라이드 번호 19
  • 슬라이드 번호 20
  • 슬라이드 번호 21
  • 슬라이드 번호 22
  • 슬라이드 번호 23
  • 슬라이드 번호 24
  • 슬라이드 번호 25
  • 슬라이드 번호 26
  • 슬라이드 번호 27
  • 슬라이드 번호 28
  • 슬라이드 번호 29
  • 슬라이드 번호 30
  • 슬라이드 번호 31
  • 슬라이드 번호 32
  • 슬라이드 번호 33
  • 슬라이드 번호 34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37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40
  • 사례1
  • 슬라이드 번호 42
  • 슬라이드 번호 43
  • 슬라이드 번호 44
Page 16: 도소매산업 재해예방 ppt

제3장

도 middot 소매업

주요 재해사례

1 계단에서 물품 운반 중 전도

1층과 2층 연결계단 사이에서 판매제품 박스를 옮기던 중떨어진 박스 위로 발을 딛어 계단 아래로 미끄러져 넘어짐

계단에서는 각 단을 확실하게 딛고수시로 안전난간을 잡음

계단 물기 장애물 등으로 인한전도 예방교육 강화

예방대책

17

사다리를 내려오던 중 사다리가 넘어지며 추락

이동식사다리를 이용한 작업 시 사다리의

상부를 고정하고 하부에는 미끄럼방지 조치

높이 2m 이상의 추락위험이 있는 적재대

에는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하고 통행할

수 있는 안전난간이 부착된 고정식 사다리

또는 계단 설치

2 사다리를 내려오던 중 추락

예방대책

18

불량하게 적재된 팔레트 위에 올라 서서 물건을 내리던 중 추락

높이가 2m를 초과하는 적재물에 승강 시

안전하게 승강할 수 있는 승강설비를 비치

하여 사용

예방대책

중량물 적재용 팔레트는 충분한 강도를

갖는 것을 사용하고 판재나 각목의 상태를

점검하여 손상된 것은 폐기 조치

3 불량 적재된 팔레트 위에서 추락

19

포대가 기울어져 적재되어 있는 상태에서 포대 출고 시창고 안쪽부터 출고하여 입구쪽 포대가 붕괴

포대 적재 시에는 적재물이 붕괴되지않도록 적정한 적재 높이를 준수하고하단을 넓게 적재하는 등 붕괴방지조치

예방대책

포대 등을 반출할 때에는 위에서부터순차적으로 층계를 만들면서 출고

4 양곡출고 작업 중 붕괴

20

백화점 의료 매장 앞에서 출고된상품을 확인하고자 박스를 열기위해 옮기다가 허리 삐끗

5 근골격계 질환 ①

백화점 내 생선회 조리사로 근무하던중 손목 부위의 반복동작으로 통증이심해져 장기간 병원에서 오른쪽 손목관절 물리치료를 받음

21

지하 3층 쇼핑백 보관창고에서 쇼핑백을 매장으로 옮기던 중 높이 쌓여있는(2m 이상) 쇼핑백 꾸러미를 내려짐카에 옮기려고 쇼핑백 한 꾸러미를(200개묶음)든 순간 허리삐끗

집기(진열대)와 행사박스를 트럭에서내리던 중 어깨와 목 허리에 통증과결림이 발생

6 근골격계 질환 ②

22

제4장

도 middot 소매업

작업별 위험요인 및`안전조치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위험점 원인분석발생형태

요통근골

낙하

전도충돌

끼임

베임

중량 자세

파지 적재

자세 시야

파지 중량 자세

유리

과다한 중량의 물건 인력운반

부적합한 자세로 물건 인력운반

물건을 확실하게 잡지 않음

정리정돈이 불량한 물건 적재

이동방향 시야확보 불량

부적합한 자세로 물건 인력운반

물건의 적절한 손잡이 미확보

과다한 중량의 물건을 취급

무리한 동작으로 물건 인력운반

파손되기 쉬운 유리제품 취급 부주의

파손된 유리 정리정돈 불량

24

분리 가능한 인력 운반물은 10kg 이하의 적정 중량으로 포장

취급 물품의 인력운반 및 취급 방법 자세 등의 안전교육 실시

운반물의 중량 형태 및 취급장소에 따른 적정 인원배치

통행로는 항상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정리정돈

운반물 또는 운반용기(통 바구니 등)에는 적절한 손잡이 부착

운반물의 형태 및 용도에 적합한 이동대차 설치

사업장 내 이동대차 이용을 위해 평탄하고 적정 너비의 통로 확보

중량물 인력운반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게차 등 운반설비 설치

사업장 내 중량물을 올리거나 내리기 위한 화물용 승강기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각 층 탑승장에는 18m 이상 높이의 출입문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문 개방 시 작동이 안되도록 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문 외의 부분은 18m 이상 높이의 방호울 설치

화물용 승강기에는 lsquo화물전용rsquolsquo탑승금지rsquo 표지판을 설치

25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분리 가능한 운반물은 신체무리가 없는 적정 중량으로 나누어 운반

분리되지 않는 중량의 운반물은 적정 인원이 함께 운반

운반시 이동방향의 시야를 확보하여 통로상태를 확인하며 운반

파손될 수 있는 운반물은 주변 물체에 주의하며 천천히 운반

운반물을 운반하기 전 적당한 손잡이를 확보

중량물을 복부에 밀착하여 허리를 펴고 다리 힘으로 일어남

중량물을 운반할 경우 허리를 펴고 다리만 움직여 이동

중량물을 들고 팔다리허리 관절의 무리한 동작 금지

통행로 상에는 통행에 지장을 주는 물건이 없도록 정리정돈

이동대차에는 각 방향의 무게중심을 고려하여 적재

양 다리를 모으고 이동대차를 밀거나 끄는 행동 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 금지

운반 후 운반물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정리정돈하여 적재

26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위험점발생형태

전 도

계단

이물질

장애물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원인분석

계단을 확실히 딛지 않고 이동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계단 모서리 논슬립 미시공

바닥통로계단 이물질 미제거

통행로 상에 장애물 방치

27

계단 모서리의 파손 부위는 수리

계단 모서리에는 논슬립 재료 시공

통로상 눈 또는 빙판은 수시로 제거

바닥통로계단은 깨끗하고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관리

항상 물기 등으로 미끄러운 장소에는 lsquo미끄럼 주의rsquo 표지판 설치

통로상 턱 문지방 등 돌출부는 주변과 구분이 되는 색으로 도장

통로상에는 통행에 지장이 되는 물건이 없도록 관리

작업 전 신발 착용상태 점검 및 작업특성에 맞는 신발 지급

계단 물기 장애물 등으로 인한 전도 예방교육 강화

28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금지

계단에서는 각 단을 확실하게 딛고 수시로 안전난간을 잡음

물건을 운반할 때에는 계단바닥의 상태를 확인

계단 논슬립 난간 등의 파손된 부위는 관리자에 보고

바닥통로계단의 물기 등 이물질은 수시로 청소하여 제거

항상 물기가 있는 장소에서는 뛰거나 급한 행동 금지

통로상에 형성된 빙판은 염화칼슘 또는 모래 등을 뿌려 제거

통로상에 제거되지 않은 빙판이 있을 경우 우회하여 이동

통행로 상에는 각종 물건의 방치 금지

각종 호스 전선 등은 사용 후 정리하여 보관

각종 호스 전선 사용 장소에서는 걸리거나 밟지 않도록 주의

사무업무 외 슬리퍼 등 미끄러질 수 있는 신발은 착용 금지

신발은 바르게 착용하고 적정하게 밀착되도록 끈을 조임

29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원인분석위험점

동력전달부왕복운동부

발생형태

끼임

회전기계감김

전단기계절단

양중기낙하

절단기류비래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정비청소 중 전원동력차단 미실시

왕복회전 작동부위 신체 접근

가공물 투입구에 손으로 투입

탁상드릴 등 회전기계 작업 중 면장갑 착용

회전기계 작동 중 손으로 투입반출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재단 칼날 왕복작동 부위 신체 접근

절단작업 중 절단날 파손

절단작업 중 절단물 비래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30

정비청소 시 전원동력차단 확인 및 표지판 부착

정비 후 동력전달부 방호덮개 원상복귀

개방된 왕복작동 부위에는 협착주의 표지판 설치

회전기계 사용 작업자 면장갑 착용 금지조치

승강기(리프트) 각 층 탑승장에는 안전문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리프트)에는 사람 탑승 금지 조치

육가공야채절단 기계류는 적절한 투입용 수공구 제공

핸드그라인더에는 날접촉 예방 방호덮개 설치

둥근톱 핸드그라인더 작업자에게는 보안경 지급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 묶음상태 확인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줄걸이 이탈 방지 조치

각종 전동공구는 이중절연구조 사용

각종 전기기구는 누전차단기에 연결하여 사용

31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기계middot기구 점검수리청소 전 전원차단 및 표지판 부착

2인이상이 기계기구를 점검수리청소시 서로 신호 실시

기계middot기구를 이용한 작업 시 항상 주의집중

기계middot기구의 왕복운동부에는 신체 접근금지

기계middot기구의 맞물려 회전하는 부분에는 신체 접근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금지

육가공야채 절단기계에는 전용 수공구를 이용하여 투입

탁상드릴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면장갑 착용금지

동력톱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보안경 착용

회전칼날톱 사용 시 절단물을 잡는 손은 10cm이상의 간격 확보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을 확실하게 묶고 훅 이탈 방지조치 실시

페인트 등 인화성물질 부근에서 용접용단 금지

인화성물질 보관용기(폐드럼)는 절단 전 마개 개방환기물을 채워 치환 실시

32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제5장

도 middot 소매업

근골격계질환 예방 공학적 개선사례

33

1 중량물 취급

자세에 따른 허리(L5S1)

부담 정도

작업물과 작업자간 거리

34

bull 어깨 위 적재

bull 무릎 아래 적재

bull 과도한 힘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저장공정-적재작업

35

bull 폴리에틸렌 재질

bull 당기는 힘 증가

bull 손 팔 등 스트레스 발생

bull 15ℓtimes20개 = 약 30kg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저장공정-적재작업

bull 층 사이 lsquo미끌림시트(Slip sheet)rsquo설치

bull 당기는 힘 감소

미끌림시트(Slip sheet)

36

작업대 높이

작업대 높이 권장기준

37

bull 낮은 작업대 높이

bull 부자연스런 자세로 인해 요통 등근골격계 질환 위험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농수산물-농산소분작업

bull 높이 조절 가능 작업대

bull 극단치 설계 (95tile)

bull 키 작은 사람 발판 제공

38

bull 높이가 다른 작업

bull 근골격계 질환 위험이 크므로곧 개선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조리-포장작업

bull 작업대와 작업기기 높이 고려

39

정상middot최대 작업영역

정상 작업영역

bull 25cm 이내

bull 번번한 작업

최대 작업영역

bull 50cm 이내

bull 최대 팔 뻗침 영역 이내

정상 작업영역 최대 작업영역

40

bull 먼 위치의 작업역

bull 부자연스러운 자세

bull 과도한 뻗침

bull 반복작업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일반상품-진열작업

bull 진열대 앞 적재 금지

bull 대차 일체형 보관

및 진열

41

작업설비 도구

42

개선 대책

운반카트

bull 운반 전용 카트 이용

bull 수직형 손잡이 높이92cm

bull 대차 높이 140cm 미만 직경20cm

43

기타 개선사례

bull 반복 작업

bull 접촉 스트레스

bull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포장-포장작업

bull 기기와 작업대 폭을 같게

bull 기기의 날카로운 끝부분에

쿠션 설치 고려

44

  • 슬라이드 번호 1
  • 슬라이드 번호 2
  • 슬라이드 번호 3
  • 슬라이드 번호 4
  • 슬라이드 번호 5
  • 슬라이드 번호 6
  • 슬라이드 번호 7
  • 슬라이드 번호 8
  • 슬라이드 번호 9
  • 슬라이드 번호 10
  • 슬라이드 번호 11
  • 슬라이드 번호 12
  • 슬라이드 번호 13
  • 슬라이드 번호 14
  • 슬라이드 번호 15
  • 슬라이드 번호 16
  • 슬라이드 번호 17
  • 슬라이드 번호 18
  • 슬라이드 번호 19
  • 슬라이드 번호 20
  • 슬라이드 번호 21
  • 슬라이드 번호 22
  • 슬라이드 번호 23
  • 슬라이드 번호 24
  • 슬라이드 번호 25
  • 슬라이드 번호 26
  • 슬라이드 번호 27
  • 슬라이드 번호 28
  • 슬라이드 번호 29
  • 슬라이드 번호 30
  • 슬라이드 번호 31
  • 슬라이드 번호 32
  • 슬라이드 번호 33
  • 슬라이드 번호 34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37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40
  • 사례1
  • 슬라이드 번호 42
  • 슬라이드 번호 43
  • 슬라이드 번호 44
Page 17: 도소매산업 재해예방 ppt

1 계단에서 물품 운반 중 전도

1층과 2층 연결계단 사이에서 판매제품 박스를 옮기던 중떨어진 박스 위로 발을 딛어 계단 아래로 미끄러져 넘어짐

계단에서는 각 단을 확실하게 딛고수시로 안전난간을 잡음

계단 물기 장애물 등으로 인한전도 예방교육 강화

예방대책

17

사다리를 내려오던 중 사다리가 넘어지며 추락

이동식사다리를 이용한 작업 시 사다리의

상부를 고정하고 하부에는 미끄럼방지 조치

높이 2m 이상의 추락위험이 있는 적재대

에는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하고 통행할

수 있는 안전난간이 부착된 고정식 사다리

또는 계단 설치

2 사다리를 내려오던 중 추락

예방대책

18

불량하게 적재된 팔레트 위에 올라 서서 물건을 내리던 중 추락

높이가 2m를 초과하는 적재물에 승강 시

안전하게 승강할 수 있는 승강설비를 비치

하여 사용

예방대책

중량물 적재용 팔레트는 충분한 강도를

갖는 것을 사용하고 판재나 각목의 상태를

점검하여 손상된 것은 폐기 조치

3 불량 적재된 팔레트 위에서 추락

19

포대가 기울어져 적재되어 있는 상태에서 포대 출고 시창고 안쪽부터 출고하여 입구쪽 포대가 붕괴

포대 적재 시에는 적재물이 붕괴되지않도록 적정한 적재 높이를 준수하고하단을 넓게 적재하는 등 붕괴방지조치

예방대책

포대 등을 반출할 때에는 위에서부터순차적으로 층계를 만들면서 출고

4 양곡출고 작업 중 붕괴

20

백화점 의료 매장 앞에서 출고된상품을 확인하고자 박스를 열기위해 옮기다가 허리 삐끗

5 근골격계 질환 ①

백화점 내 생선회 조리사로 근무하던중 손목 부위의 반복동작으로 통증이심해져 장기간 병원에서 오른쪽 손목관절 물리치료를 받음

21

지하 3층 쇼핑백 보관창고에서 쇼핑백을 매장으로 옮기던 중 높이 쌓여있는(2m 이상) 쇼핑백 꾸러미를 내려짐카에 옮기려고 쇼핑백 한 꾸러미를(200개묶음)든 순간 허리삐끗

집기(진열대)와 행사박스를 트럭에서내리던 중 어깨와 목 허리에 통증과결림이 발생

6 근골격계 질환 ②

22

제4장

도 middot 소매업

작업별 위험요인 및`안전조치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위험점 원인분석발생형태

요통근골

낙하

전도충돌

끼임

베임

중량 자세

파지 적재

자세 시야

파지 중량 자세

유리

과다한 중량의 물건 인력운반

부적합한 자세로 물건 인력운반

물건을 확실하게 잡지 않음

정리정돈이 불량한 물건 적재

이동방향 시야확보 불량

부적합한 자세로 물건 인력운반

물건의 적절한 손잡이 미확보

과다한 중량의 물건을 취급

무리한 동작으로 물건 인력운반

파손되기 쉬운 유리제품 취급 부주의

파손된 유리 정리정돈 불량

24

분리 가능한 인력 운반물은 10kg 이하의 적정 중량으로 포장

취급 물품의 인력운반 및 취급 방법 자세 등의 안전교육 실시

운반물의 중량 형태 및 취급장소에 따른 적정 인원배치

통행로는 항상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정리정돈

운반물 또는 운반용기(통 바구니 등)에는 적절한 손잡이 부착

운반물의 형태 및 용도에 적합한 이동대차 설치

사업장 내 이동대차 이용을 위해 평탄하고 적정 너비의 통로 확보

중량물 인력운반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게차 등 운반설비 설치

사업장 내 중량물을 올리거나 내리기 위한 화물용 승강기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각 층 탑승장에는 18m 이상 높이의 출입문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문 개방 시 작동이 안되도록 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문 외의 부분은 18m 이상 높이의 방호울 설치

화물용 승강기에는 lsquo화물전용rsquolsquo탑승금지rsquo 표지판을 설치

25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분리 가능한 운반물은 신체무리가 없는 적정 중량으로 나누어 운반

분리되지 않는 중량의 운반물은 적정 인원이 함께 운반

운반시 이동방향의 시야를 확보하여 통로상태를 확인하며 운반

파손될 수 있는 운반물은 주변 물체에 주의하며 천천히 운반

운반물을 운반하기 전 적당한 손잡이를 확보

중량물을 복부에 밀착하여 허리를 펴고 다리 힘으로 일어남

중량물을 운반할 경우 허리를 펴고 다리만 움직여 이동

중량물을 들고 팔다리허리 관절의 무리한 동작 금지

통행로 상에는 통행에 지장을 주는 물건이 없도록 정리정돈

이동대차에는 각 방향의 무게중심을 고려하여 적재

양 다리를 모으고 이동대차를 밀거나 끄는 행동 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 금지

운반 후 운반물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정리정돈하여 적재

26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위험점발생형태

전 도

계단

이물질

장애물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원인분석

계단을 확실히 딛지 않고 이동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계단 모서리 논슬립 미시공

바닥통로계단 이물질 미제거

통행로 상에 장애물 방치

27

계단 모서리의 파손 부위는 수리

계단 모서리에는 논슬립 재료 시공

통로상 눈 또는 빙판은 수시로 제거

바닥통로계단은 깨끗하고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관리

항상 물기 등으로 미끄러운 장소에는 lsquo미끄럼 주의rsquo 표지판 설치

통로상 턱 문지방 등 돌출부는 주변과 구분이 되는 색으로 도장

통로상에는 통행에 지장이 되는 물건이 없도록 관리

작업 전 신발 착용상태 점검 및 작업특성에 맞는 신발 지급

계단 물기 장애물 등으로 인한 전도 예방교육 강화

28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금지

계단에서는 각 단을 확실하게 딛고 수시로 안전난간을 잡음

물건을 운반할 때에는 계단바닥의 상태를 확인

계단 논슬립 난간 등의 파손된 부위는 관리자에 보고

바닥통로계단의 물기 등 이물질은 수시로 청소하여 제거

항상 물기가 있는 장소에서는 뛰거나 급한 행동 금지

통로상에 형성된 빙판은 염화칼슘 또는 모래 등을 뿌려 제거

통로상에 제거되지 않은 빙판이 있을 경우 우회하여 이동

통행로 상에는 각종 물건의 방치 금지

각종 호스 전선 등은 사용 후 정리하여 보관

각종 호스 전선 사용 장소에서는 걸리거나 밟지 않도록 주의

사무업무 외 슬리퍼 등 미끄러질 수 있는 신발은 착용 금지

신발은 바르게 착용하고 적정하게 밀착되도록 끈을 조임

29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원인분석위험점

동력전달부왕복운동부

발생형태

끼임

회전기계감김

전단기계절단

양중기낙하

절단기류비래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정비청소 중 전원동력차단 미실시

왕복회전 작동부위 신체 접근

가공물 투입구에 손으로 투입

탁상드릴 등 회전기계 작업 중 면장갑 착용

회전기계 작동 중 손으로 투입반출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재단 칼날 왕복작동 부위 신체 접근

절단작업 중 절단날 파손

절단작업 중 절단물 비래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30

정비청소 시 전원동력차단 확인 및 표지판 부착

정비 후 동력전달부 방호덮개 원상복귀

개방된 왕복작동 부위에는 협착주의 표지판 설치

회전기계 사용 작업자 면장갑 착용 금지조치

승강기(리프트) 각 층 탑승장에는 안전문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리프트)에는 사람 탑승 금지 조치

육가공야채절단 기계류는 적절한 투입용 수공구 제공

핸드그라인더에는 날접촉 예방 방호덮개 설치

둥근톱 핸드그라인더 작업자에게는 보안경 지급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 묶음상태 확인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줄걸이 이탈 방지 조치

각종 전동공구는 이중절연구조 사용

각종 전기기구는 누전차단기에 연결하여 사용

31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기계middot기구 점검수리청소 전 전원차단 및 표지판 부착

2인이상이 기계기구를 점검수리청소시 서로 신호 실시

기계middot기구를 이용한 작업 시 항상 주의집중

기계middot기구의 왕복운동부에는 신체 접근금지

기계middot기구의 맞물려 회전하는 부분에는 신체 접근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금지

육가공야채 절단기계에는 전용 수공구를 이용하여 투입

탁상드릴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면장갑 착용금지

동력톱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보안경 착용

회전칼날톱 사용 시 절단물을 잡는 손은 10cm이상의 간격 확보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을 확실하게 묶고 훅 이탈 방지조치 실시

페인트 등 인화성물질 부근에서 용접용단 금지

인화성물질 보관용기(폐드럼)는 절단 전 마개 개방환기물을 채워 치환 실시

32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제5장

도 middot 소매업

근골격계질환 예방 공학적 개선사례

33

1 중량물 취급

자세에 따른 허리(L5S1)

부담 정도

작업물과 작업자간 거리

34

bull 어깨 위 적재

bull 무릎 아래 적재

bull 과도한 힘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저장공정-적재작업

35

bull 폴리에틸렌 재질

bull 당기는 힘 증가

bull 손 팔 등 스트레스 발생

bull 15ℓtimes20개 = 약 30kg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저장공정-적재작업

bull 층 사이 lsquo미끌림시트(Slip sheet)rsquo설치

bull 당기는 힘 감소

미끌림시트(Slip sheet)

36

작업대 높이

작업대 높이 권장기준

37

bull 낮은 작업대 높이

bull 부자연스런 자세로 인해 요통 등근골격계 질환 위험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농수산물-농산소분작업

bull 높이 조절 가능 작업대

bull 극단치 설계 (95tile)

bull 키 작은 사람 발판 제공

38

bull 높이가 다른 작업

bull 근골격계 질환 위험이 크므로곧 개선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조리-포장작업

bull 작업대와 작업기기 높이 고려

39

정상middot최대 작업영역

정상 작업영역

bull 25cm 이내

bull 번번한 작업

최대 작업영역

bull 50cm 이내

bull 최대 팔 뻗침 영역 이내

정상 작업영역 최대 작업영역

40

bull 먼 위치의 작업역

bull 부자연스러운 자세

bull 과도한 뻗침

bull 반복작업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일반상품-진열작업

bull 진열대 앞 적재 금지

bull 대차 일체형 보관

및 진열

41

작업설비 도구

42

개선 대책

운반카트

bull 운반 전용 카트 이용

bull 수직형 손잡이 높이92cm

bull 대차 높이 140cm 미만 직경20cm

43

기타 개선사례

bull 반복 작업

bull 접촉 스트레스

bull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포장-포장작업

bull 기기와 작업대 폭을 같게

bull 기기의 날카로운 끝부분에

쿠션 설치 고려

44

  • 슬라이드 번호 1
  • 슬라이드 번호 2
  • 슬라이드 번호 3
  • 슬라이드 번호 4
  • 슬라이드 번호 5
  • 슬라이드 번호 6
  • 슬라이드 번호 7
  • 슬라이드 번호 8
  • 슬라이드 번호 9
  • 슬라이드 번호 10
  • 슬라이드 번호 11
  • 슬라이드 번호 12
  • 슬라이드 번호 13
  • 슬라이드 번호 14
  • 슬라이드 번호 15
  • 슬라이드 번호 16
  • 슬라이드 번호 17
  • 슬라이드 번호 18
  • 슬라이드 번호 19
  • 슬라이드 번호 20
  • 슬라이드 번호 21
  • 슬라이드 번호 22
  • 슬라이드 번호 23
  • 슬라이드 번호 24
  • 슬라이드 번호 25
  • 슬라이드 번호 26
  • 슬라이드 번호 27
  • 슬라이드 번호 28
  • 슬라이드 번호 29
  • 슬라이드 번호 30
  • 슬라이드 번호 31
  • 슬라이드 번호 32
  • 슬라이드 번호 33
  • 슬라이드 번호 34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37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40
  • 사례1
  • 슬라이드 번호 42
  • 슬라이드 번호 43
  • 슬라이드 번호 44
Page 18: 도소매산업 재해예방 ppt

사다리를 내려오던 중 사다리가 넘어지며 추락

이동식사다리를 이용한 작업 시 사다리의

상부를 고정하고 하부에는 미끄럼방지 조치

높이 2m 이상의 추락위험이 있는 적재대

에는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하고 통행할

수 있는 안전난간이 부착된 고정식 사다리

또는 계단 설치

2 사다리를 내려오던 중 추락

예방대책

18

불량하게 적재된 팔레트 위에 올라 서서 물건을 내리던 중 추락

높이가 2m를 초과하는 적재물에 승강 시

안전하게 승강할 수 있는 승강설비를 비치

하여 사용

예방대책

중량물 적재용 팔레트는 충분한 강도를

갖는 것을 사용하고 판재나 각목의 상태를

점검하여 손상된 것은 폐기 조치

3 불량 적재된 팔레트 위에서 추락

19

포대가 기울어져 적재되어 있는 상태에서 포대 출고 시창고 안쪽부터 출고하여 입구쪽 포대가 붕괴

포대 적재 시에는 적재물이 붕괴되지않도록 적정한 적재 높이를 준수하고하단을 넓게 적재하는 등 붕괴방지조치

예방대책

포대 등을 반출할 때에는 위에서부터순차적으로 층계를 만들면서 출고

4 양곡출고 작업 중 붕괴

20

백화점 의료 매장 앞에서 출고된상품을 확인하고자 박스를 열기위해 옮기다가 허리 삐끗

5 근골격계 질환 ①

백화점 내 생선회 조리사로 근무하던중 손목 부위의 반복동작으로 통증이심해져 장기간 병원에서 오른쪽 손목관절 물리치료를 받음

21

지하 3층 쇼핑백 보관창고에서 쇼핑백을 매장으로 옮기던 중 높이 쌓여있는(2m 이상) 쇼핑백 꾸러미를 내려짐카에 옮기려고 쇼핑백 한 꾸러미를(200개묶음)든 순간 허리삐끗

집기(진열대)와 행사박스를 트럭에서내리던 중 어깨와 목 허리에 통증과결림이 발생

6 근골격계 질환 ②

22

제4장

도 middot 소매업

작업별 위험요인 및`안전조치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위험점 원인분석발생형태

요통근골

낙하

전도충돌

끼임

베임

중량 자세

파지 적재

자세 시야

파지 중량 자세

유리

과다한 중량의 물건 인력운반

부적합한 자세로 물건 인력운반

물건을 확실하게 잡지 않음

정리정돈이 불량한 물건 적재

이동방향 시야확보 불량

부적합한 자세로 물건 인력운반

물건의 적절한 손잡이 미확보

과다한 중량의 물건을 취급

무리한 동작으로 물건 인력운반

파손되기 쉬운 유리제품 취급 부주의

파손된 유리 정리정돈 불량

24

분리 가능한 인력 운반물은 10kg 이하의 적정 중량으로 포장

취급 물품의 인력운반 및 취급 방법 자세 등의 안전교육 실시

운반물의 중량 형태 및 취급장소에 따른 적정 인원배치

통행로는 항상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정리정돈

운반물 또는 운반용기(통 바구니 등)에는 적절한 손잡이 부착

운반물의 형태 및 용도에 적합한 이동대차 설치

사업장 내 이동대차 이용을 위해 평탄하고 적정 너비의 통로 확보

중량물 인력운반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게차 등 운반설비 설치

사업장 내 중량물을 올리거나 내리기 위한 화물용 승강기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각 층 탑승장에는 18m 이상 높이의 출입문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문 개방 시 작동이 안되도록 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문 외의 부분은 18m 이상 높이의 방호울 설치

화물용 승강기에는 lsquo화물전용rsquolsquo탑승금지rsquo 표지판을 설치

25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분리 가능한 운반물은 신체무리가 없는 적정 중량으로 나누어 운반

분리되지 않는 중량의 운반물은 적정 인원이 함께 운반

운반시 이동방향의 시야를 확보하여 통로상태를 확인하며 운반

파손될 수 있는 운반물은 주변 물체에 주의하며 천천히 운반

운반물을 운반하기 전 적당한 손잡이를 확보

중량물을 복부에 밀착하여 허리를 펴고 다리 힘으로 일어남

중량물을 운반할 경우 허리를 펴고 다리만 움직여 이동

중량물을 들고 팔다리허리 관절의 무리한 동작 금지

통행로 상에는 통행에 지장을 주는 물건이 없도록 정리정돈

이동대차에는 각 방향의 무게중심을 고려하여 적재

양 다리를 모으고 이동대차를 밀거나 끄는 행동 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 금지

운반 후 운반물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정리정돈하여 적재

26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위험점발생형태

전 도

계단

이물질

장애물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원인분석

계단을 확실히 딛지 않고 이동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계단 모서리 논슬립 미시공

바닥통로계단 이물질 미제거

통행로 상에 장애물 방치

27

계단 모서리의 파손 부위는 수리

계단 모서리에는 논슬립 재료 시공

통로상 눈 또는 빙판은 수시로 제거

바닥통로계단은 깨끗하고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관리

항상 물기 등으로 미끄러운 장소에는 lsquo미끄럼 주의rsquo 표지판 설치

통로상 턱 문지방 등 돌출부는 주변과 구분이 되는 색으로 도장

통로상에는 통행에 지장이 되는 물건이 없도록 관리

작업 전 신발 착용상태 점검 및 작업특성에 맞는 신발 지급

계단 물기 장애물 등으로 인한 전도 예방교육 강화

28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금지

계단에서는 각 단을 확실하게 딛고 수시로 안전난간을 잡음

물건을 운반할 때에는 계단바닥의 상태를 확인

계단 논슬립 난간 등의 파손된 부위는 관리자에 보고

바닥통로계단의 물기 등 이물질은 수시로 청소하여 제거

항상 물기가 있는 장소에서는 뛰거나 급한 행동 금지

통로상에 형성된 빙판은 염화칼슘 또는 모래 등을 뿌려 제거

통로상에 제거되지 않은 빙판이 있을 경우 우회하여 이동

통행로 상에는 각종 물건의 방치 금지

각종 호스 전선 등은 사용 후 정리하여 보관

각종 호스 전선 사용 장소에서는 걸리거나 밟지 않도록 주의

사무업무 외 슬리퍼 등 미끄러질 수 있는 신발은 착용 금지

신발은 바르게 착용하고 적정하게 밀착되도록 끈을 조임

29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원인분석위험점

동력전달부왕복운동부

발생형태

끼임

회전기계감김

전단기계절단

양중기낙하

절단기류비래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정비청소 중 전원동력차단 미실시

왕복회전 작동부위 신체 접근

가공물 투입구에 손으로 투입

탁상드릴 등 회전기계 작업 중 면장갑 착용

회전기계 작동 중 손으로 투입반출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재단 칼날 왕복작동 부위 신체 접근

절단작업 중 절단날 파손

절단작업 중 절단물 비래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30

정비청소 시 전원동력차단 확인 및 표지판 부착

정비 후 동력전달부 방호덮개 원상복귀

개방된 왕복작동 부위에는 협착주의 표지판 설치

회전기계 사용 작업자 면장갑 착용 금지조치

승강기(리프트) 각 층 탑승장에는 안전문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리프트)에는 사람 탑승 금지 조치

육가공야채절단 기계류는 적절한 투입용 수공구 제공

핸드그라인더에는 날접촉 예방 방호덮개 설치

둥근톱 핸드그라인더 작업자에게는 보안경 지급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 묶음상태 확인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줄걸이 이탈 방지 조치

각종 전동공구는 이중절연구조 사용

각종 전기기구는 누전차단기에 연결하여 사용

31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기계middot기구 점검수리청소 전 전원차단 및 표지판 부착

2인이상이 기계기구를 점검수리청소시 서로 신호 실시

기계middot기구를 이용한 작업 시 항상 주의집중

기계middot기구의 왕복운동부에는 신체 접근금지

기계middot기구의 맞물려 회전하는 부분에는 신체 접근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금지

육가공야채 절단기계에는 전용 수공구를 이용하여 투입

탁상드릴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면장갑 착용금지

동력톱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보안경 착용

회전칼날톱 사용 시 절단물을 잡는 손은 10cm이상의 간격 확보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을 확실하게 묶고 훅 이탈 방지조치 실시

페인트 등 인화성물질 부근에서 용접용단 금지

인화성물질 보관용기(폐드럼)는 절단 전 마개 개방환기물을 채워 치환 실시

32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제5장

도 middot 소매업

근골격계질환 예방 공학적 개선사례

33

1 중량물 취급

자세에 따른 허리(L5S1)

부담 정도

작업물과 작업자간 거리

34

bull 어깨 위 적재

bull 무릎 아래 적재

bull 과도한 힘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저장공정-적재작업

35

bull 폴리에틸렌 재질

bull 당기는 힘 증가

bull 손 팔 등 스트레스 발생

bull 15ℓtimes20개 = 약 30kg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저장공정-적재작업

bull 층 사이 lsquo미끌림시트(Slip sheet)rsquo설치

bull 당기는 힘 감소

미끌림시트(Slip sheet)

36

작업대 높이

작업대 높이 권장기준

37

bull 낮은 작업대 높이

bull 부자연스런 자세로 인해 요통 등근골격계 질환 위험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농수산물-농산소분작업

bull 높이 조절 가능 작업대

bull 극단치 설계 (95tile)

bull 키 작은 사람 발판 제공

38

bull 높이가 다른 작업

bull 근골격계 질환 위험이 크므로곧 개선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조리-포장작업

bull 작업대와 작업기기 높이 고려

39

정상middot최대 작업영역

정상 작업영역

bull 25cm 이내

bull 번번한 작업

최대 작업영역

bull 50cm 이내

bull 최대 팔 뻗침 영역 이내

정상 작업영역 최대 작업영역

40

bull 먼 위치의 작업역

bull 부자연스러운 자세

bull 과도한 뻗침

bull 반복작업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일반상품-진열작업

bull 진열대 앞 적재 금지

bull 대차 일체형 보관

및 진열

41

작업설비 도구

42

개선 대책

운반카트

bull 운반 전용 카트 이용

bull 수직형 손잡이 높이92cm

bull 대차 높이 140cm 미만 직경20cm

43

기타 개선사례

bull 반복 작업

bull 접촉 스트레스

bull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포장-포장작업

bull 기기와 작업대 폭을 같게

bull 기기의 날카로운 끝부분에

쿠션 설치 고려

44

  • 슬라이드 번호 1
  • 슬라이드 번호 2
  • 슬라이드 번호 3
  • 슬라이드 번호 4
  • 슬라이드 번호 5
  • 슬라이드 번호 6
  • 슬라이드 번호 7
  • 슬라이드 번호 8
  • 슬라이드 번호 9
  • 슬라이드 번호 10
  • 슬라이드 번호 11
  • 슬라이드 번호 12
  • 슬라이드 번호 13
  • 슬라이드 번호 14
  • 슬라이드 번호 15
  • 슬라이드 번호 16
  • 슬라이드 번호 17
  • 슬라이드 번호 18
  • 슬라이드 번호 19
  • 슬라이드 번호 20
  • 슬라이드 번호 21
  • 슬라이드 번호 22
  • 슬라이드 번호 23
  • 슬라이드 번호 24
  • 슬라이드 번호 25
  • 슬라이드 번호 26
  • 슬라이드 번호 27
  • 슬라이드 번호 28
  • 슬라이드 번호 29
  • 슬라이드 번호 30
  • 슬라이드 번호 31
  • 슬라이드 번호 32
  • 슬라이드 번호 33
  • 슬라이드 번호 34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37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40
  • 사례1
  • 슬라이드 번호 42
  • 슬라이드 번호 43
  • 슬라이드 번호 44
Page 19: 도소매산업 재해예방 ppt

불량하게 적재된 팔레트 위에 올라 서서 물건을 내리던 중 추락

높이가 2m를 초과하는 적재물에 승강 시

안전하게 승강할 수 있는 승강설비를 비치

하여 사용

예방대책

중량물 적재용 팔레트는 충분한 강도를

갖는 것을 사용하고 판재나 각목의 상태를

점검하여 손상된 것은 폐기 조치

3 불량 적재된 팔레트 위에서 추락

19

포대가 기울어져 적재되어 있는 상태에서 포대 출고 시창고 안쪽부터 출고하여 입구쪽 포대가 붕괴

포대 적재 시에는 적재물이 붕괴되지않도록 적정한 적재 높이를 준수하고하단을 넓게 적재하는 등 붕괴방지조치

예방대책

포대 등을 반출할 때에는 위에서부터순차적으로 층계를 만들면서 출고

4 양곡출고 작업 중 붕괴

20

백화점 의료 매장 앞에서 출고된상품을 확인하고자 박스를 열기위해 옮기다가 허리 삐끗

5 근골격계 질환 ①

백화점 내 생선회 조리사로 근무하던중 손목 부위의 반복동작으로 통증이심해져 장기간 병원에서 오른쪽 손목관절 물리치료를 받음

21

지하 3층 쇼핑백 보관창고에서 쇼핑백을 매장으로 옮기던 중 높이 쌓여있는(2m 이상) 쇼핑백 꾸러미를 내려짐카에 옮기려고 쇼핑백 한 꾸러미를(200개묶음)든 순간 허리삐끗

집기(진열대)와 행사박스를 트럭에서내리던 중 어깨와 목 허리에 통증과결림이 발생

6 근골격계 질환 ②

22

제4장

도 middot 소매업

작업별 위험요인 및`안전조치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위험점 원인분석발생형태

요통근골

낙하

전도충돌

끼임

베임

중량 자세

파지 적재

자세 시야

파지 중량 자세

유리

과다한 중량의 물건 인력운반

부적합한 자세로 물건 인력운반

물건을 확실하게 잡지 않음

정리정돈이 불량한 물건 적재

이동방향 시야확보 불량

부적합한 자세로 물건 인력운반

물건의 적절한 손잡이 미확보

과다한 중량의 물건을 취급

무리한 동작으로 물건 인력운반

파손되기 쉬운 유리제품 취급 부주의

파손된 유리 정리정돈 불량

24

분리 가능한 인력 운반물은 10kg 이하의 적정 중량으로 포장

취급 물품의 인력운반 및 취급 방법 자세 등의 안전교육 실시

운반물의 중량 형태 및 취급장소에 따른 적정 인원배치

통행로는 항상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정리정돈

운반물 또는 운반용기(통 바구니 등)에는 적절한 손잡이 부착

운반물의 형태 및 용도에 적합한 이동대차 설치

사업장 내 이동대차 이용을 위해 평탄하고 적정 너비의 통로 확보

중량물 인력운반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게차 등 운반설비 설치

사업장 내 중량물을 올리거나 내리기 위한 화물용 승강기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각 층 탑승장에는 18m 이상 높이의 출입문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문 개방 시 작동이 안되도록 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문 외의 부분은 18m 이상 높이의 방호울 설치

화물용 승강기에는 lsquo화물전용rsquolsquo탑승금지rsquo 표지판을 설치

25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분리 가능한 운반물은 신체무리가 없는 적정 중량으로 나누어 운반

분리되지 않는 중량의 운반물은 적정 인원이 함께 운반

운반시 이동방향의 시야를 확보하여 통로상태를 확인하며 운반

파손될 수 있는 운반물은 주변 물체에 주의하며 천천히 운반

운반물을 운반하기 전 적당한 손잡이를 확보

중량물을 복부에 밀착하여 허리를 펴고 다리 힘으로 일어남

중량물을 운반할 경우 허리를 펴고 다리만 움직여 이동

중량물을 들고 팔다리허리 관절의 무리한 동작 금지

통행로 상에는 통행에 지장을 주는 물건이 없도록 정리정돈

이동대차에는 각 방향의 무게중심을 고려하여 적재

양 다리를 모으고 이동대차를 밀거나 끄는 행동 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 금지

운반 후 운반물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정리정돈하여 적재

26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위험점발생형태

전 도

계단

이물질

장애물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원인분석

계단을 확실히 딛지 않고 이동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계단 모서리 논슬립 미시공

바닥통로계단 이물질 미제거

통행로 상에 장애물 방치

27

계단 모서리의 파손 부위는 수리

계단 모서리에는 논슬립 재료 시공

통로상 눈 또는 빙판은 수시로 제거

바닥통로계단은 깨끗하고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관리

항상 물기 등으로 미끄러운 장소에는 lsquo미끄럼 주의rsquo 표지판 설치

통로상 턱 문지방 등 돌출부는 주변과 구분이 되는 색으로 도장

통로상에는 통행에 지장이 되는 물건이 없도록 관리

작업 전 신발 착용상태 점검 및 작업특성에 맞는 신발 지급

계단 물기 장애물 등으로 인한 전도 예방교육 강화

28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금지

계단에서는 각 단을 확실하게 딛고 수시로 안전난간을 잡음

물건을 운반할 때에는 계단바닥의 상태를 확인

계단 논슬립 난간 등의 파손된 부위는 관리자에 보고

바닥통로계단의 물기 등 이물질은 수시로 청소하여 제거

항상 물기가 있는 장소에서는 뛰거나 급한 행동 금지

통로상에 형성된 빙판은 염화칼슘 또는 모래 등을 뿌려 제거

통로상에 제거되지 않은 빙판이 있을 경우 우회하여 이동

통행로 상에는 각종 물건의 방치 금지

각종 호스 전선 등은 사용 후 정리하여 보관

각종 호스 전선 사용 장소에서는 걸리거나 밟지 않도록 주의

사무업무 외 슬리퍼 등 미끄러질 수 있는 신발은 착용 금지

신발은 바르게 착용하고 적정하게 밀착되도록 끈을 조임

29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원인분석위험점

동력전달부왕복운동부

발생형태

끼임

회전기계감김

전단기계절단

양중기낙하

절단기류비래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정비청소 중 전원동력차단 미실시

왕복회전 작동부위 신체 접근

가공물 투입구에 손으로 투입

탁상드릴 등 회전기계 작업 중 면장갑 착용

회전기계 작동 중 손으로 투입반출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재단 칼날 왕복작동 부위 신체 접근

절단작업 중 절단날 파손

절단작업 중 절단물 비래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30

정비청소 시 전원동력차단 확인 및 표지판 부착

정비 후 동력전달부 방호덮개 원상복귀

개방된 왕복작동 부위에는 협착주의 표지판 설치

회전기계 사용 작업자 면장갑 착용 금지조치

승강기(리프트) 각 층 탑승장에는 안전문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리프트)에는 사람 탑승 금지 조치

육가공야채절단 기계류는 적절한 투입용 수공구 제공

핸드그라인더에는 날접촉 예방 방호덮개 설치

둥근톱 핸드그라인더 작업자에게는 보안경 지급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 묶음상태 확인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줄걸이 이탈 방지 조치

각종 전동공구는 이중절연구조 사용

각종 전기기구는 누전차단기에 연결하여 사용

31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기계middot기구 점검수리청소 전 전원차단 및 표지판 부착

2인이상이 기계기구를 점검수리청소시 서로 신호 실시

기계middot기구를 이용한 작업 시 항상 주의집중

기계middot기구의 왕복운동부에는 신체 접근금지

기계middot기구의 맞물려 회전하는 부분에는 신체 접근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금지

육가공야채 절단기계에는 전용 수공구를 이용하여 투입

탁상드릴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면장갑 착용금지

동력톱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보안경 착용

회전칼날톱 사용 시 절단물을 잡는 손은 10cm이상의 간격 확보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을 확실하게 묶고 훅 이탈 방지조치 실시

페인트 등 인화성물질 부근에서 용접용단 금지

인화성물질 보관용기(폐드럼)는 절단 전 마개 개방환기물을 채워 치환 실시

32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제5장

도 middot 소매업

근골격계질환 예방 공학적 개선사례

33

1 중량물 취급

자세에 따른 허리(L5S1)

부담 정도

작업물과 작업자간 거리

34

bull 어깨 위 적재

bull 무릎 아래 적재

bull 과도한 힘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저장공정-적재작업

35

bull 폴리에틸렌 재질

bull 당기는 힘 증가

bull 손 팔 등 스트레스 발생

bull 15ℓtimes20개 = 약 30kg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저장공정-적재작업

bull 층 사이 lsquo미끌림시트(Slip sheet)rsquo설치

bull 당기는 힘 감소

미끌림시트(Slip sheet)

36

작업대 높이

작업대 높이 권장기준

37

bull 낮은 작업대 높이

bull 부자연스런 자세로 인해 요통 등근골격계 질환 위험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농수산물-농산소분작업

bull 높이 조절 가능 작업대

bull 극단치 설계 (95tile)

bull 키 작은 사람 발판 제공

38

bull 높이가 다른 작업

bull 근골격계 질환 위험이 크므로곧 개선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조리-포장작업

bull 작업대와 작업기기 높이 고려

39

정상middot최대 작업영역

정상 작업영역

bull 25cm 이내

bull 번번한 작업

최대 작업영역

bull 50cm 이내

bull 최대 팔 뻗침 영역 이내

정상 작업영역 최대 작업영역

40

bull 먼 위치의 작업역

bull 부자연스러운 자세

bull 과도한 뻗침

bull 반복작업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일반상품-진열작업

bull 진열대 앞 적재 금지

bull 대차 일체형 보관

및 진열

41

작업설비 도구

42

개선 대책

운반카트

bull 운반 전용 카트 이용

bull 수직형 손잡이 높이92cm

bull 대차 높이 140cm 미만 직경20cm

43

기타 개선사례

bull 반복 작업

bull 접촉 스트레스

bull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포장-포장작업

bull 기기와 작업대 폭을 같게

bull 기기의 날카로운 끝부분에

쿠션 설치 고려

44

  • 슬라이드 번호 1
  • 슬라이드 번호 2
  • 슬라이드 번호 3
  • 슬라이드 번호 4
  • 슬라이드 번호 5
  • 슬라이드 번호 6
  • 슬라이드 번호 7
  • 슬라이드 번호 8
  • 슬라이드 번호 9
  • 슬라이드 번호 10
  • 슬라이드 번호 11
  • 슬라이드 번호 12
  • 슬라이드 번호 13
  • 슬라이드 번호 14
  • 슬라이드 번호 15
  • 슬라이드 번호 16
  • 슬라이드 번호 17
  • 슬라이드 번호 18
  • 슬라이드 번호 19
  • 슬라이드 번호 20
  • 슬라이드 번호 21
  • 슬라이드 번호 22
  • 슬라이드 번호 23
  • 슬라이드 번호 24
  • 슬라이드 번호 25
  • 슬라이드 번호 26
  • 슬라이드 번호 27
  • 슬라이드 번호 28
  • 슬라이드 번호 29
  • 슬라이드 번호 30
  • 슬라이드 번호 31
  • 슬라이드 번호 32
  • 슬라이드 번호 33
  • 슬라이드 번호 34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37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40
  • 사례1
  • 슬라이드 번호 42
  • 슬라이드 번호 43
  • 슬라이드 번호 44
Page 20: 도소매산업 재해예방 ppt

포대가 기울어져 적재되어 있는 상태에서 포대 출고 시창고 안쪽부터 출고하여 입구쪽 포대가 붕괴

포대 적재 시에는 적재물이 붕괴되지않도록 적정한 적재 높이를 준수하고하단을 넓게 적재하는 등 붕괴방지조치

예방대책

포대 등을 반출할 때에는 위에서부터순차적으로 층계를 만들면서 출고

4 양곡출고 작업 중 붕괴

20

백화점 의료 매장 앞에서 출고된상품을 확인하고자 박스를 열기위해 옮기다가 허리 삐끗

5 근골격계 질환 ①

백화점 내 생선회 조리사로 근무하던중 손목 부위의 반복동작으로 통증이심해져 장기간 병원에서 오른쪽 손목관절 물리치료를 받음

21

지하 3층 쇼핑백 보관창고에서 쇼핑백을 매장으로 옮기던 중 높이 쌓여있는(2m 이상) 쇼핑백 꾸러미를 내려짐카에 옮기려고 쇼핑백 한 꾸러미를(200개묶음)든 순간 허리삐끗

집기(진열대)와 행사박스를 트럭에서내리던 중 어깨와 목 허리에 통증과결림이 발생

6 근골격계 질환 ②

22

제4장

도 middot 소매업

작업별 위험요인 및`안전조치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위험점 원인분석발생형태

요통근골

낙하

전도충돌

끼임

베임

중량 자세

파지 적재

자세 시야

파지 중량 자세

유리

과다한 중량의 물건 인력운반

부적합한 자세로 물건 인력운반

물건을 확실하게 잡지 않음

정리정돈이 불량한 물건 적재

이동방향 시야확보 불량

부적합한 자세로 물건 인력운반

물건의 적절한 손잡이 미확보

과다한 중량의 물건을 취급

무리한 동작으로 물건 인력운반

파손되기 쉬운 유리제품 취급 부주의

파손된 유리 정리정돈 불량

24

분리 가능한 인력 운반물은 10kg 이하의 적정 중량으로 포장

취급 물품의 인력운반 및 취급 방법 자세 등의 안전교육 실시

운반물의 중량 형태 및 취급장소에 따른 적정 인원배치

통행로는 항상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정리정돈

운반물 또는 운반용기(통 바구니 등)에는 적절한 손잡이 부착

운반물의 형태 및 용도에 적합한 이동대차 설치

사업장 내 이동대차 이용을 위해 평탄하고 적정 너비의 통로 확보

중량물 인력운반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게차 등 운반설비 설치

사업장 내 중량물을 올리거나 내리기 위한 화물용 승강기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각 층 탑승장에는 18m 이상 높이의 출입문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문 개방 시 작동이 안되도록 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문 외의 부분은 18m 이상 높이의 방호울 설치

화물용 승강기에는 lsquo화물전용rsquolsquo탑승금지rsquo 표지판을 설치

25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분리 가능한 운반물은 신체무리가 없는 적정 중량으로 나누어 운반

분리되지 않는 중량의 운반물은 적정 인원이 함께 운반

운반시 이동방향의 시야를 확보하여 통로상태를 확인하며 운반

파손될 수 있는 운반물은 주변 물체에 주의하며 천천히 운반

운반물을 운반하기 전 적당한 손잡이를 확보

중량물을 복부에 밀착하여 허리를 펴고 다리 힘으로 일어남

중량물을 운반할 경우 허리를 펴고 다리만 움직여 이동

중량물을 들고 팔다리허리 관절의 무리한 동작 금지

통행로 상에는 통행에 지장을 주는 물건이 없도록 정리정돈

이동대차에는 각 방향의 무게중심을 고려하여 적재

양 다리를 모으고 이동대차를 밀거나 끄는 행동 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 금지

운반 후 운반물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정리정돈하여 적재

26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위험점발생형태

전 도

계단

이물질

장애물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원인분석

계단을 확실히 딛지 않고 이동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계단 모서리 논슬립 미시공

바닥통로계단 이물질 미제거

통행로 상에 장애물 방치

27

계단 모서리의 파손 부위는 수리

계단 모서리에는 논슬립 재료 시공

통로상 눈 또는 빙판은 수시로 제거

바닥통로계단은 깨끗하고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관리

항상 물기 등으로 미끄러운 장소에는 lsquo미끄럼 주의rsquo 표지판 설치

통로상 턱 문지방 등 돌출부는 주변과 구분이 되는 색으로 도장

통로상에는 통행에 지장이 되는 물건이 없도록 관리

작업 전 신발 착용상태 점검 및 작업특성에 맞는 신발 지급

계단 물기 장애물 등으로 인한 전도 예방교육 강화

28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금지

계단에서는 각 단을 확실하게 딛고 수시로 안전난간을 잡음

물건을 운반할 때에는 계단바닥의 상태를 확인

계단 논슬립 난간 등의 파손된 부위는 관리자에 보고

바닥통로계단의 물기 등 이물질은 수시로 청소하여 제거

항상 물기가 있는 장소에서는 뛰거나 급한 행동 금지

통로상에 형성된 빙판은 염화칼슘 또는 모래 등을 뿌려 제거

통로상에 제거되지 않은 빙판이 있을 경우 우회하여 이동

통행로 상에는 각종 물건의 방치 금지

각종 호스 전선 등은 사용 후 정리하여 보관

각종 호스 전선 사용 장소에서는 걸리거나 밟지 않도록 주의

사무업무 외 슬리퍼 등 미끄러질 수 있는 신발은 착용 금지

신발은 바르게 착용하고 적정하게 밀착되도록 끈을 조임

29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원인분석위험점

동력전달부왕복운동부

발생형태

끼임

회전기계감김

전단기계절단

양중기낙하

절단기류비래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정비청소 중 전원동력차단 미실시

왕복회전 작동부위 신체 접근

가공물 투입구에 손으로 투입

탁상드릴 등 회전기계 작업 중 면장갑 착용

회전기계 작동 중 손으로 투입반출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재단 칼날 왕복작동 부위 신체 접근

절단작업 중 절단날 파손

절단작업 중 절단물 비래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30

정비청소 시 전원동력차단 확인 및 표지판 부착

정비 후 동력전달부 방호덮개 원상복귀

개방된 왕복작동 부위에는 협착주의 표지판 설치

회전기계 사용 작업자 면장갑 착용 금지조치

승강기(리프트) 각 층 탑승장에는 안전문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리프트)에는 사람 탑승 금지 조치

육가공야채절단 기계류는 적절한 투입용 수공구 제공

핸드그라인더에는 날접촉 예방 방호덮개 설치

둥근톱 핸드그라인더 작업자에게는 보안경 지급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 묶음상태 확인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줄걸이 이탈 방지 조치

각종 전동공구는 이중절연구조 사용

각종 전기기구는 누전차단기에 연결하여 사용

31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기계middot기구 점검수리청소 전 전원차단 및 표지판 부착

2인이상이 기계기구를 점검수리청소시 서로 신호 실시

기계middot기구를 이용한 작업 시 항상 주의집중

기계middot기구의 왕복운동부에는 신체 접근금지

기계middot기구의 맞물려 회전하는 부분에는 신체 접근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금지

육가공야채 절단기계에는 전용 수공구를 이용하여 투입

탁상드릴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면장갑 착용금지

동력톱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보안경 착용

회전칼날톱 사용 시 절단물을 잡는 손은 10cm이상의 간격 확보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을 확실하게 묶고 훅 이탈 방지조치 실시

페인트 등 인화성물질 부근에서 용접용단 금지

인화성물질 보관용기(폐드럼)는 절단 전 마개 개방환기물을 채워 치환 실시

32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제5장

도 middot 소매업

근골격계질환 예방 공학적 개선사례

33

1 중량물 취급

자세에 따른 허리(L5S1)

부담 정도

작업물과 작업자간 거리

34

bull 어깨 위 적재

bull 무릎 아래 적재

bull 과도한 힘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저장공정-적재작업

35

bull 폴리에틸렌 재질

bull 당기는 힘 증가

bull 손 팔 등 스트레스 발생

bull 15ℓtimes20개 = 약 30kg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저장공정-적재작업

bull 층 사이 lsquo미끌림시트(Slip sheet)rsquo설치

bull 당기는 힘 감소

미끌림시트(Slip sheet)

36

작업대 높이

작업대 높이 권장기준

37

bull 낮은 작업대 높이

bull 부자연스런 자세로 인해 요통 등근골격계 질환 위험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농수산물-농산소분작업

bull 높이 조절 가능 작업대

bull 극단치 설계 (95tile)

bull 키 작은 사람 발판 제공

38

bull 높이가 다른 작업

bull 근골격계 질환 위험이 크므로곧 개선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조리-포장작업

bull 작업대와 작업기기 높이 고려

39

정상middot최대 작업영역

정상 작업영역

bull 25cm 이내

bull 번번한 작업

최대 작업영역

bull 50cm 이내

bull 최대 팔 뻗침 영역 이내

정상 작업영역 최대 작업영역

40

bull 먼 위치의 작업역

bull 부자연스러운 자세

bull 과도한 뻗침

bull 반복작업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일반상품-진열작업

bull 진열대 앞 적재 금지

bull 대차 일체형 보관

및 진열

41

작업설비 도구

42

개선 대책

운반카트

bull 운반 전용 카트 이용

bull 수직형 손잡이 높이92cm

bull 대차 높이 140cm 미만 직경20cm

43

기타 개선사례

bull 반복 작업

bull 접촉 스트레스

bull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포장-포장작업

bull 기기와 작업대 폭을 같게

bull 기기의 날카로운 끝부분에

쿠션 설치 고려

44

  • 슬라이드 번호 1
  • 슬라이드 번호 2
  • 슬라이드 번호 3
  • 슬라이드 번호 4
  • 슬라이드 번호 5
  • 슬라이드 번호 6
  • 슬라이드 번호 7
  • 슬라이드 번호 8
  • 슬라이드 번호 9
  • 슬라이드 번호 10
  • 슬라이드 번호 11
  • 슬라이드 번호 12
  • 슬라이드 번호 13
  • 슬라이드 번호 14
  • 슬라이드 번호 15
  • 슬라이드 번호 16
  • 슬라이드 번호 17
  • 슬라이드 번호 18
  • 슬라이드 번호 19
  • 슬라이드 번호 20
  • 슬라이드 번호 21
  • 슬라이드 번호 22
  • 슬라이드 번호 23
  • 슬라이드 번호 24
  • 슬라이드 번호 25
  • 슬라이드 번호 26
  • 슬라이드 번호 27
  • 슬라이드 번호 28
  • 슬라이드 번호 29
  • 슬라이드 번호 30
  • 슬라이드 번호 31
  • 슬라이드 번호 32
  • 슬라이드 번호 33
  • 슬라이드 번호 34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37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40
  • 사례1
  • 슬라이드 번호 42
  • 슬라이드 번호 43
  • 슬라이드 번호 44
Page 21: 도소매산업 재해예방 ppt

백화점 의료 매장 앞에서 출고된상품을 확인하고자 박스를 열기위해 옮기다가 허리 삐끗

5 근골격계 질환 ①

백화점 내 생선회 조리사로 근무하던중 손목 부위의 반복동작으로 통증이심해져 장기간 병원에서 오른쪽 손목관절 물리치료를 받음

21

지하 3층 쇼핑백 보관창고에서 쇼핑백을 매장으로 옮기던 중 높이 쌓여있는(2m 이상) 쇼핑백 꾸러미를 내려짐카에 옮기려고 쇼핑백 한 꾸러미를(200개묶음)든 순간 허리삐끗

집기(진열대)와 행사박스를 트럭에서내리던 중 어깨와 목 허리에 통증과결림이 발생

6 근골격계 질환 ②

22

제4장

도 middot 소매업

작업별 위험요인 및`안전조치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위험점 원인분석발생형태

요통근골

낙하

전도충돌

끼임

베임

중량 자세

파지 적재

자세 시야

파지 중량 자세

유리

과다한 중량의 물건 인력운반

부적합한 자세로 물건 인력운반

물건을 확실하게 잡지 않음

정리정돈이 불량한 물건 적재

이동방향 시야확보 불량

부적합한 자세로 물건 인력운반

물건의 적절한 손잡이 미확보

과다한 중량의 물건을 취급

무리한 동작으로 물건 인력운반

파손되기 쉬운 유리제품 취급 부주의

파손된 유리 정리정돈 불량

24

분리 가능한 인력 운반물은 10kg 이하의 적정 중량으로 포장

취급 물품의 인력운반 및 취급 방법 자세 등의 안전교육 실시

운반물의 중량 형태 및 취급장소에 따른 적정 인원배치

통행로는 항상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정리정돈

운반물 또는 운반용기(통 바구니 등)에는 적절한 손잡이 부착

운반물의 형태 및 용도에 적합한 이동대차 설치

사업장 내 이동대차 이용을 위해 평탄하고 적정 너비의 통로 확보

중량물 인력운반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게차 등 운반설비 설치

사업장 내 중량물을 올리거나 내리기 위한 화물용 승강기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각 층 탑승장에는 18m 이상 높이의 출입문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문 개방 시 작동이 안되도록 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문 외의 부분은 18m 이상 높이의 방호울 설치

화물용 승강기에는 lsquo화물전용rsquolsquo탑승금지rsquo 표지판을 설치

25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분리 가능한 운반물은 신체무리가 없는 적정 중량으로 나누어 운반

분리되지 않는 중량의 운반물은 적정 인원이 함께 운반

운반시 이동방향의 시야를 확보하여 통로상태를 확인하며 운반

파손될 수 있는 운반물은 주변 물체에 주의하며 천천히 운반

운반물을 운반하기 전 적당한 손잡이를 확보

중량물을 복부에 밀착하여 허리를 펴고 다리 힘으로 일어남

중량물을 운반할 경우 허리를 펴고 다리만 움직여 이동

중량물을 들고 팔다리허리 관절의 무리한 동작 금지

통행로 상에는 통행에 지장을 주는 물건이 없도록 정리정돈

이동대차에는 각 방향의 무게중심을 고려하여 적재

양 다리를 모으고 이동대차를 밀거나 끄는 행동 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 금지

운반 후 운반물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정리정돈하여 적재

26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위험점발생형태

전 도

계단

이물질

장애물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원인분석

계단을 확실히 딛지 않고 이동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계단 모서리 논슬립 미시공

바닥통로계단 이물질 미제거

통행로 상에 장애물 방치

27

계단 모서리의 파손 부위는 수리

계단 모서리에는 논슬립 재료 시공

통로상 눈 또는 빙판은 수시로 제거

바닥통로계단은 깨끗하고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관리

항상 물기 등으로 미끄러운 장소에는 lsquo미끄럼 주의rsquo 표지판 설치

통로상 턱 문지방 등 돌출부는 주변과 구분이 되는 색으로 도장

통로상에는 통행에 지장이 되는 물건이 없도록 관리

작업 전 신발 착용상태 점검 및 작업특성에 맞는 신발 지급

계단 물기 장애물 등으로 인한 전도 예방교육 강화

28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금지

계단에서는 각 단을 확실하게 딛고 수시로 안전난간을 잡음

물건을 운반할 때에는 계단바닥의 상태를 확인

계단 논슬립 난간 등의 파손된 부위는 관리자에 보고

바닥통로계단의 물기 등 이물질은 수시로 청소하여 제거

항상 물기가 있는 장소에서는 뛰거나 급한 행동 금지

통로상에 형성된 빙판은 염화칼슘 또는 모래 등을 뿌려 제거

통로상에 제거되지 않은 빙판이 있을 경우 우회하여 이동

통행로 상에는 각종 물건의 방치 금지

각종 호스 전선 등은 사용 후 정리하여 보관

각종 호스 전선 사용 장소에서는 걸리거나 밟지 않도록 주의

사무업무 외 슬리퍼 등 미끄러질 수 있는 신발은 착용 금지

신발은 바르게 착용하고 적정하게 밀착되도록 끈을 조임

29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원인분석위험점

동력전달부왕복운동부

발생형태

끼임

회전기계감김

전단기계절단

양중기낙하

절단기류비래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정비청소 중 전원동력차단 미실시

왕복회전 작동부위 신체 접근

가공물 투입구에 손으로 투입

탁상드릴 등 회전기계 작업 중 면장갑 착용

회전기계 작동 중 손으로 투입반출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재단 칼날 왕복작동 부위 신체 접근

절단작업 중 절단날 파손

절단작업 중 절단물 비래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30

정비청소 시 전원동력차단 확인 및 표지판 부착

정비 후 동력전달부 방호덮개 원상복귀

개방된 왕복작동 부위에는 협착주의 표지판 설치

회전기계 사용 작업자 면장갑 착용 금지조치

승강기(리프트) 각 층 탑승장에는 안전문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리프트)에는 사람 탑승 금지 조치

육가공야채절단 기계류는 적절한 투입용 수공구 제공

핸드그라인더에는 날접촉 예방 방호덮개 설치

둥근톱 핸드그라인더 작업자에게는 보안경 지급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 묶음상태 확인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줄걸이 이탈 방지 조치

각종 전동공구는 이중절연구조 사용

각종 전기기구는 누전차단기에 연결하여 사용

31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기계middot기구 점검수리청소 전 전원차단 및 표지판 부착

2인이상이 기계기구를 점검수리청소시 서로 신호 실시

기계middot기구를 이용한 작업 시 항상 주의집중

기계middot기구의 왕복운동부에는 신체 접근금지

기계middot기구의 맞물려 회전하는 부분에는 신체 접근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금지

육가공야채 절단기계에는 전용 수공구를 이용하여 투입

탁상드릴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면장갑 착용금지

동력톱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보안경 착용

회전칼날톱 사용 시 절단물을 잡는 손은 10cm이상의 간격 확보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을 확실하게 묶고 훅 이탈 방지조치 실시

페인트 등 인화성물질 부근에서 용접용단 금지

인화성물질 보관용기(폐드럼)는 절단 전 마개 개방환기물을 채워 치환 실시

32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제5장

도 middot 소매업

근골격계질환 예방 공학적 개선사례

33

1 중량물 취급

자세에 따른 허리(L5S1)

부담 정도

작업물과 작업자간 거리

34

bull 어깨 위 적재

bull 무릎 아래 적재

bull 과도한 힘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저장공정-적재작업

35

bull 폴리에틸렌 재질

bull 당기는 힘 증가

bull 손 팔 등 스트레스 발생

bull 15ℓtimes20개 = 약 30kg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저장공정-적재작업

bull 층 사이 lsquo미끌림시트(Slip sheet)rsquo설치

bull 당기는 힘 감소

미끌림시트(Slip sheet)

36

작업대 높이

작업대 높이 권장기준

37

bull 낮은 작업대 높이

bull 부자연스런 자세로 인해 요통 등근골격계 질환 위험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농수산물-농산소분작업

bull 높이 조절 가능 작업대

bull 극단치 설계 (95tile)

bull 키 작은 사람 발판 제공

38

bull 높이가 다른 작업

bull 근골격계 질환 위험이 크므로곧 개선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조리-포장작업

bull 작업대와 작업기기 높이 고려

39

정상middot최대 작업영역

정상 작업영역

bull 25cm 이내

bull 번번한 작업

최대 작업영역

bull 50cm 이내

bull 최대 팔 뻗침 영역 이내

정상 작업영역 최대 작업영역

40

bull 먼 위치의 작업역

bull 부자연스러운 자세

bull 과도한 뻗침

bull 반복작업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일반상품-진열작업

bull 진열대 앞 적재 금지

bull 대차 일체형 보관

및 진열

41

작업설비 도구

42

개선 대책

운반카트

bull 운반 전용 카트 이용

bull 수직형 손잡이 높이92cm

bull 대차 높이 140cm 미만 직경20cm

43

기타 개선사례

bull 반복 작업

bull 접촉 스트레스

bull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포장-포장작업

bull 기기와 작업대 폭을 같게

bull 기기의 날카로운 끝부분에

쿠션 설치 고려

44

  • 슬라이드 번호 1
  • 슬라이드 번호 2
  • 슬라이드 번호 3
  • 슬라이드 번호 4
  • 슬라이드 번호 5
  • 슬라이드 번호 6
  • 슬라이드 번호 7
  • 슬라이드 번호 8
  • 슬라이드 번호 9
  • 슬라이드 번호 10
  • 슬라이드 번호 11
  • 슬라이드 번호 12
  • 슬라이드 번호 13
  • 슬라이드 번호 14
  • 슬라이드 번호 15
  • 슬라이드 번호 16
  • 슬라이드 번호 17
  • 슬라이드 번호 18
  • 슬라이드 번호 19
  • 슬라이드 번호 20
  • 슬라이드 번호 21
  • 슬라이드 번호 22
  • 슬라이드 번호 23
  • 슬라이드 번호 24
  • 슬라이드 번호 25
  • 슬라이드 번호 26
  • 슬라이드 번호 27
  • 슬라이드 번호 28
  • 슬라이드 번호 29
  • 슬라이드 번호 30
  • 슬라이드 번호 31
  • 슬라이드 번호 32
  • 슬라이드 번호 33
  • 슬라이드 번호 34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37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40
  • 사례1
  • 슬라이드 번호 42
  • 슬라이드 번호 43
  • 슬라이드 번호 44
Page 22: 도소매산업 재해예방 ppt

지하 3층 쇼핑백 보관창고에서 쇼핑백을 매장으로 옮기던 중 높이 쌓여있는(2m 이상) 쇼핑백 꾸러미를 내려짐카에 옮기려고 쇼핑백 한 꾸러미를(200개묶음)든 순간 허리삐끗

집기(진열대)와 행사박스를 트럭에서내리던 중 어깨와 목 허리에 통증과결림이 발생

6 근골격계 질환 ②

22

제4장

도 middot 소매업

작업별 위험요인 및`안전조치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위험점 원인분석발생형태

요통근골

낙하

전도충돌

끼임

베임

중량 자세

파지 적재

자세 시야

파지 중량 자세

유리

과다한 중량의 물건 인력운반

부적합한 자세로 물건 인력운반

물건을 확실하게 잡지 않음

정리정돈이 불량한 물건 적재

이동방향 시야확보 불량

부적합한 자세로 물건 인력운반

물건의 적절한 손잡이 미확보

과다한 중량의 물건을 취급

무리한 동작으로 물건 인력운반

파손되기 쉬운 유리제품 취급 부주의

파손된 유리 정리정돈 불량

24

분리 가능한 인력 운반물은 10kg 이하의 적정 중량으로 포장

취급 물품의 인력운반 및 취급 방법 자세 등의 안전교육 실시

운반물의 중량 형태 및 취급장소에 따른 적정 인원배치

통행로는 항상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정리정돈

운반물 또는 운반용기(통 바구니 등)에는 적절한 손잡이 부착

운반물의 형태 및 용도에 적합한 이동대차 설치

사업장 내 이동대차 이용을 위해 평탄하고 적정 너비의 통로 확보

중량물 인력운반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게차 등 운반설비 설치

사업장 내 중량물을 올리거나 내리기 위한 화물용 승강기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각 층 탑승장에는 18m 이상 높이의 출입문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문 개방 시 작동이 안되도록 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문 외의 부분은 18m 이상 높이의 방호울 설치

화물용 승강기에는 lsquo화물전용rsquolsquo탑승금지rsquo 표지판을 설치

25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분리 가능한 운반물은 신체무리가 없는 적정 중량으로 나누어 운반

분리되지 않는 중량의 운반물은 적정 인원이 함께 운반

운반시 이동방향의 시야를 확보하여 통로상태를 확인하며 운반

파손될 수 있는 운반물은 주변 물체에 주의하며 천천히 운반

운반물을 운반하기 전 적당한 손잡이를 확보

중량물을 복부에 밀착하여 허리를 펴고 다리 힘으로 일어남

중량물을 운반할 경우 허리를 펴고 다리만 움직여 이동

중량물을 들고 팔다리허리 관절의 무리한 동작 금지

통행로 상에는 통행에 지장을 주는 물건이 없도록 정리정돈

이동대차에는 각 방향의 무게중심을 고려하여 적재

양 다리를 모으고 이동대차를 밀거나 끄는 행동 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 금지

운반 후 운반물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정리정돈하여 적재

26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위험점발생형태

전 도

계단

이물질

장애물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원인분석

계단을 확실히 딛지 않고 이동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계단 모서리 논슬립 미시공

바닥통로계단 이물질 미제거

통행로 상에 장애물 방치

27

계단 모서리의 파손 부위는 수리

계단 모서리에는 논슬립 재료 시공

통로상 눈 또는 빙판은 수시로 제거

바닥통로계단은 깨끗하고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관리

항상 물기 등으로 미끄러운 장소에는 lsquo미끄럼 주의rsquo 표지판 설치

통로상 턱 문지방 등 돌출부는 주변과 구분이 되는 색으로 도장

통로상에는 통행에 지장이 되는 물건이 없도록 관리

작업 전 신발 착용상태 점검 및 작업특성에 맞는 신발 지급

계단 물기 장애물 등으로 인한 전도 예방교육 강화

28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금지

계단에서는 각 단을 확실하게 딛고 수시로 안전난간을 잡음

물건을 운반할 때에는 계단바닥의 상태를 확인

계단 논슬립 난간 등의 파손된 부위는 관리자에 보고

바닥통로계단의 물기 등 이물질은 수시로 청소하여 제거

항상 물기가 있는 장소에서는 뛰거나 급한 행동 금지

통로상에 형성된 빙판은 염화칼슘 또는 모래 등을 뿌려 제거

통로상에 제거되지 않은 빙판이 있을 경우 우회하여 이동

통행로 상에는 각종 물건의 방치 금지

각종 호스 전선 등은 사용 후 정리하여 보관

각종 호스 전선 사용 장소에서는 걸리거나 밟지 않도록 주의

사무업무 외 슬리퍼 등 미끄러질 수 있는 신발은 착용 금지

신발은 바르게 착용하고 적정하게 밀착되도록 끈을 조임

29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원인분석위험점

동력전달부왕복운동부

발생형태

끼임

회전기계감김

전단기계절단

양중기낙하

절단기류비래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정비청소 중 전원동력차단 미실시

왕복회전 작동부위 신체 접근

가공물 투입구에 손으로 투입

탁상드릴 등 회전기계 작업 중 면장갑 착용

회전기계 작동 중 손으로 투입반출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재단 칼날 왕복작동 부위 신체 접근

절단작업 중 절단날 파손

절단작업 중 절단물 비래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30

정비청소 시 전원동력차단 확인 및 표지판 부착

정비 후 동력전달부 방호덮개 원상복귀

개방된 왕복작동 부위에는 협착주의 표지판 설치

회전기계 사용 작업자 면장갑 착용 금지조치

승강기(리프트) 각 층 탑승장에는 안전문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리프트)에는 사람 탑승 금지 조치

육가공야채절단 기계류는 적절한 투입용 수공구 제공

핸드그라인더에는 날접촉 예방 방호덮개 설치

둥근톱 핸드그라인더 작업자에게는 보안경 지급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 묶음상태 확인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줄걸이 이탈 방지 조치

각종 전동공구는 이중절연구조 사용

각종 전기기구는 누전차단기에 연결하여 사용

31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기계middot기구 점검수리청소 전 전원차단 및 표지판 부착

2인이상이 기계기구를 점검수리청소시 서로 신호 실시

기계middot기구를 이용한 작업 시 항상 주의집중

기계middot기구의 왕복운동부에는 신체 접근금지

기계middot기구의 맞물려 회전하는 부분에는 신체 접근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금지

육가공야채 절단기계에는 전용 수공구를 이용하여 투입

탁상드릴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면장갑 착용금지

동력톱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보안경 착용

회전칼날톱 사용 시 절단물을 잡는 손은 10cm이상의 간격 확보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을 확실하게 묶고 훅 이탈 방지조치 실시

페인트 등 인화성물질 부근에서 용접용단 금지

인화성물질 보관용기(폐드럼)는 절단 전 마개 개방환기물을 채워 치환 실시

32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제5장

도 middot 소매업

근골격계질환 예방 공학적 개선사례

33

1 중량물 취급

자세에 따른 허리(L5S1)

부담 정도

작업물과 작업자간 거리

34

bull 어깨 위 적재

bull 무릎 아래 적재

bull 과도한 힘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저장공정-적재작업

35

bull 폴리에틸렌 재질

bull 당기는 힘 증가

bull 손 팔 등 스트레스 발생

bull 15ℓtimes20개 = 약 30kg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저장공정-적재작업

bull 층 사이 lsquo미끌림시트(Slip sheet)rsquo설치

bull 당기는 힘 감소

미끌림시트(Slip sheet)

36

작업대 높이

작업대 높이 권장기준

37

bull 낮은 작업대 높이

bull 부자연스런 자세로 인해 요통 등근골격계 질환 위험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농수산물-농산소분작업

bull 높이 조절 가능 작업대

bull 극단치 설계 (95tile)

bull 키 작은 사람 발판 제공

38

bull 높이가 다른 작업

bull 근골격계 질환 위험이 크므로곧 개선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조리-포장작업

bull 작업대와 작업기기 높이 고려

39

정상middot최대 작업영역

정상 작업영역

bull 25cm 이내

bull 번번한 작업

최대 작업영역

bull 50cm 이내

bull 최대 팔 뻗침 영역 이내

정상 작업영역 최대 작업영역

40

bull 먼 위치의 작업역

bull 부자연스러운 자세

bull 과도한 뻗침

bull 반복작업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일반상품-진열작업

bull 진열대 앞 적재 금지

bull 대차 일체형 보관

및 진열

41

작업설비 도구

42

개선 대책

운반카트

bull 운반 전용 카트 이용

bull 수직형 손잡이 높이92cm

bull 대차 높이 140cm 미만 직경20cm

43

기타 개선사례

bull 반복 작업

bull 접촉 스트레스

bull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포장-포장작업

bull 기기와 작업대 폭을 같게

bull 기기의 날카로운 끝부분에

쿠션 설치 고려

44

  • 슬라이드 번호 1
  • 슬라이드 번호 2
  • 슬라이드 번호 3
  • 슬라이드 번호 4
  • 슬라이드 번호 5
  • 슬라이드 번호 6
  • 슬라이드 번호 7
  • 슬라이드 번호 8
  • 슬라이드 번호 9
  • 슬라이드 번호 10
  • 슬라이드 번호 11
  • 슬라이드 번호 12
  • 슬라이드 번호 13
  • 슬라이드 번호 14
  • 슬라이드 번호 15
  • 슬라이드 번호 16
  • 슬라이드 번호 17
  • 슬라이드 번호 18
  • 슬라이드 번호 19
  • 슬라이드 번호 20
  • 슬라이드 번호 21
  • 슬라이드 번호 22
  • 슬라이드 번호 23
  • 슬라이드 번호 24
  • 슬라이드 번호 25
  • 슬라이드 번호 26
  • 슬라이드 번호 27
  • 슬라이드 번호 28
  • 슬라이드 번호 29
  • 슬라이드 번호 30
  • 슬라이드 번호 31
  • 슬라이드 번호 32
  • 슬라이드 번호 33
  • 슬라이드 번호 34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37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40
  • 사례1
  • 슬라이드 번호 42
  • 슬라이드 번호 43
  • 슬라이드 번호 44
Page 23: 도소매산업 재해예방 ppt

제4장

도 middot 소매업

작업별 위험요인 및`안전조치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위험점 원인분석발생형태

요통근골

낙하

전도충돌

끼임

베임

중량 자세

파지 적재

자세 시야

파지 중량 자세

유리

과다한 중량의 물건 인력운반

부적합한 자세로 물건 인력운반

물건을 확실하게 잡지 않음

정리정돈이 불량한 물건 적재

이동방향 시야확보 불량

부적합한 자세로 물건 인력운반

물건의 적절한 손잡이 미확보

과다한 중량의 물건을 취급

무리한 동작으로 물건 인력운반

파손되기 쉬운 유리제품 취급 부주의

파손된 유리 정리정돈 불량

24

분리 가능한 인력 운반물은 10kg 이하의 적정 중량으로 포장

취급 물품의 인력운반 및 취급 방법 자세 등의 안전교육 실시

운반물의 중량 형태 및 취급장소에 따른 적정 인원배치

통행로는 항상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정리정돈

운반물 또는 운반용기(통 바구니 등)에는 적절한 손잡이 부착

운반물의 형태 및 용도에 적합한 이동대차 설치

사업장 내 이동대차 이용을 위해 평탄하고 적정 너비의 통로 확보

중량물 인력운반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게차 등 운반설비 설치

사업장 내 중량물을 올리거나 내리기 위한 화물용 승강기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각 층 탑승장에는 18m 이상 높이의 출입문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문 개방 시 작동이 안되도록 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문 외의 부분은 18m 이상 높이의 방호울 설치

화물용 승강기에는 lsquo화물전용rsquolsquo탑승금지rsquo 표지판을 설치

25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분리 가능한 운반물은 신체무리가 없는 적정 중량으로 나누어 운반

분리되지 않는 중량의 운반물은 적정 인원이 함께 운반

운반시 이동방향의 시야를 확보하여 통로상태를 확인하며 운반

파손될 수 있는 운반물은 주변 물체에 주의하며 천천히 운반

운반물을 운반하기 전 적당한 손잡이를 확보

중량물을 복부에 밀착하여 허리를 펴고 다리 힘으로 일어남

중량물을 운반할 경우 허리를 펴고 다리만 움직여 이동

중량물을 들고 팔다리허리 관절의 무리한 동작 금지

통행로 상에는 통행에 지장을 주는 물건이 없도록 정리정돈

이동대차에는 각 방향의 무게중심을 고려하여 적재

양 다리를 모으고 이동대차를 밀거나 끄는 행동 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 금지

운반 후 운반물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정리정돈하여 적재

26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위험점발생형태

전 도

계단

이물질

장애물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원인분석

계단을 확실히 딛지 않고 이동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계단 모서리 논슬립 미시공

바닥통로계단 이물질 미제거

통행로 상에 장애물 방치

27

계단 모서리의 파손 부위는 수리

계단 모서리에는 논슬립 재료 시공

통로상 눈 또는 빙판은 수시로 제거

바닥통로계단은 깨끗하고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관리

항상 물기 등으로 미끄러운 장소에는 lsquo미끄럼 주의rsquo 표지판 설치

통로상 턱 문지방 등 돌출부는 주변과 구분이 되는 색으로 도장

통로상에는 통행에 지장이 되는 물건이 없도록 관리

작업 전 신발 착용상태 점검 및 작업특성에 맞는 신발 지급

계단 물기 장애물 등으로 인한 전도 예방교육 강화

28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금지

계단에서는 각 단을 확실하게 딛고 수시로 안전난간을 잡음

물건을 운반할 때에는 계단바닥의 상태를 확인

계단 논슬립 난간 등의 파손된 부위는 관리자에 보고

바닥통로계단의 물기 등 이물질은 수시로 청소하여 제거

항상 물기가 있는 장소에서는 뛰거나 급한 행동 금지

통로상에 형성된 빙판은 염화칼슘 또는 모래 등을 뿌려 제거

통로상에 제거되지 않은 빙판이 있을 경우 우회하여 이동

통행로 상에는 각종 물건의 방치 금지

각종 호스 전선 등은 사용 후 정리하여 보관

각종 호스 전선 사용 장소에서는 걸리거나 밟지 않도록 주의

사무업무 외 슬리퍼 등 미끄러질 수 있는 신발은 착용 금지

신발은 바르게 착용하고 적정하게 밀착되도록 끈을 조임

29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원인분석위험점

동력전달부왕복운동부

발생형태

끼임

회전기계감김

전단기계절단

양중기낙하

절단기류비래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정비청소 중 전원동력차단 미실시

왕복회전 작동부위 신체 접근

가공물 투입구에 손으로 투입

탁상드릴 등 회전기계 작업 중 면장갑 착용

회전기계 작동 중 손으로 투입반출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재단 칼날 왕복작동 부위 신체 접근

절단작업 중 절단날 파손

절단작업 중 절단물 비래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30

정비청소 시 전원동력차단 확인 및 표지판 부착

정비 후 동력전달부 방호덮개 원상복귀

개방된 왕복작동 부위에는 협착주의 표지판 설치

회전기계 사용 작업자 면장갑 착용 금지조치

승강기(리프트) 각 층 탑승장에는 안전문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리프트)에는 사람 탑승 금지 조치

육가공야채절단 기계류는 적절한 투입용 수공구 제공

핸드그라인더에는 날접촉 예방 방호덮개 설치

둥근톱 핸드그라인더 작업자에게는 보안경 지급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 묶음상태 확인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줄걸이 이탈 방지 조치

각종 전동공구는 이중절연구조 사용

각종 전기기구는 누전차단기에 연결하여 사용

31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기계middot기구 점검수리청소 전 전원차단 및 표지판 부착

2인이상이 기계기구를 점검수리청소시 서로 신호 실시

기계middot기구를 이용한 작업 시 항상 주의집중

기계middot기구의 왕복운동부에는 신체 접근금지

기계middot기구의 맞물려 회전하는 부분에는 신체 접근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금지

육가공야채 절단기계에는 전용 수공구를 이용하여 투입

탁상드릴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면장갑 착용금지

동력톱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보안경 착용

회전칼날톱 사용 시 절단물을 잡는 손은 10cm이상의 간격 확보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을 확실하게 묶고 훅 이탈 방지조치 실시

페인트 등 인화성물질 부근에서 용접용단 금지

인화성물질 보관용기(폐드럼)는 절단 전 마개 개방환기물을 채워 치환 실시

32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제5장

도 middot 소매업

근골격계질환 예방 공학적 개선사례

33

1 중량물 취급

자세에 따른 허리(L5S1)

부담 정도

작업물과 작업자간 거리

34

bull 어깨 위 적재

bull 무릎 아래 적재

bull 과도한 힘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저장공정-적재작업

35

bull 폴리에틸렌 재질

bull 당기는 힘 증가

bull 손 팔 등 스트레스 발생

bull 15ℓtimes20개 = 약 30kg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저장공정-적재작업

bull 층 사이 lsquo미끌림시트(Slip sheet)rsquo설치

bull 당기는 힘 감소

미끌림시트(Slip sheet)

36

작업대 높이

작업대 높이 권장기준

37

bull 낮은 작업대 높이

bull 부자연스런 자세로 인해 요통 등근골격계 질환 위험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농수산물-농산소분작업

bull 높이 조절 가능 작업대

bull 극단치 설계 (95tile)

bull 키 작은 사람 발판 제공

38

bull 높이가 다른 작업

bull 근골격계 질환 위험이 크므로곧 개선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조리-포장작업

bull 작업대와 작업기기 높이 고려

39

정상middot최대 작업영역

정상 작업영역

bull 25cm 이내

bull 번번한 작업

최대 작업영역

bull 50cm 이내

bull 최대 팔 뻗침 영역 이내

정상 작업영역 최대 작업영역

40

bull 먼 위치의 작업역

bull 부자연스러운 자세

bull 과도한 뻗침

bull 반복작업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일반상품-진열작업

bull 진열대 앞 적재 금지

bull 대차 일체형 보관

및 진열

41

작업설비 도구

42

개선 대책

운반카트

bull 운반 전용 카트 이용

bull 수직형 손잡이 높이92cm

bull 대차 높이 140cm 미만 직경20cm

43

기타 개선사례

bull 반복 작업

bull 접촉 스트레스

bull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포장-포장작업

bull 기기와 작업대 폭을 같게

bull 기기의 날카로운 끝부분에

쿠션 설치 고려

44

  • 슬라이드 번호 1
  • 슬라이드 번호 2
  • 슬라이드 번호 3
  • 슬라이드 번호 4
  • 슬라이드 번호 5
  • 슬라이드 번호 6
  • 슬라이드 번호 7
  • 슬라이드 번호 8
  • 슬라이드 번호 9
  • 슬라이드 번호 10
  • 슬라이드 번호 11
  • 슬라이드 번호 12
  • 슬라이드 번호 13
  • 슬라이드 번호 14
  • 슬라이드 번호 15
  • 슬라이드 번호 16
  • 슬라이드 번호 17
  • 슬라이드 번호 18
  • 슬라이드 번호 19
  • 슬라이드 번호 20
  • 슬라이드 번호 21
  • 슬라이드 번호 22
  • 슬라이드 번호 23
  • 슬라이드 번호 24
  • 슬라이드 번호 25
  • 슬라이드 번호 26
  • 슬라이드 번호 27
  • 슬라이드 번호 28
  • 슬라이드 번호 29
  • 슬라이드 번호 30
  • 슬라이드 번호 31
  • 슬라이드 번호 32
  • 슬라이드 번호 33
  • 슬라이드 번호 34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37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40
  • 사례1
  • 슬라이드 번호 42
  • 슬라이드 번호 43
  • 슬라이드 번호 44
Page 24: 도소매산업 재해예방 ppt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위험점 원인분석발생형태

요통근골

낙하

전도충돌

끼임

베임

중량 자세

파지 적재

자세 시야

파지 중량 자세

유리

과다한 중량의 물건 인력운반

부적합한 자세로 물건 인력운반

물건을 확실하게 잡지 않음

정리정돈이 불량한 물건 적재

이동방향 시야확보 불량

부적합한 자세로 물건 인력운반

물건의 적절한 손잡이 미확보

과다한 중량의 물건을 취급

무리한 동작으로 물건 인력운반

파손되기 쉬운 유리제품 취급 부주의

파손된 유리 정리정돈 불량

24

분리 가능한 인력 운반물은 10kg 이하의 적정 중량으로 포장

취급 물품의 인력운반 및 취급 방법 자세 등의 안전교육 실시

운반물의 중량 형태 및 취급장소에 따른 적정 인원배치

통행로는 항상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정리정돈

운반물 또는 운반용기(통 바구니 등)에는 적절한 손잡이 부착

운반물의 형태 및 용도에 적합한 이동대차 설치

사업장 내 이동대차 이용을 위해 평탄하고 적정 너비의 통로 확보

중량물 인력운반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게차 등 운반설비 설치

사업장 내 중량물을 올리거나 내리기 위한 화물용 승강기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각 층 탑승장에는 18m 이상 높이의 출입문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문 개방 시 작동이 안되도록 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문 외의 부분은 18m 이상 높이의 방호울 설치

화물용 승강기에는 lsquo화물전용rsquolsquo탑승금지rsquo 표지판을 설치

25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분리 가능한 운반물은 신체무리가 없는 적정 중량으로 나누어 운반

분리되지 않는 중량의 운반물은 적정 인원이 함께 운반

운반시 이동방향의 시야를 확보하여 통로상태를 확인하며 운반

파손될 수 있는 운반물은 주변 물체에 주의하며 천천히 운반

운반물을 운반하기 전 적당한 손잡이를 확보

중량물을 복부에 밀착하여 허리를 펴고 다리 힘으로 일어남

중량물을 운반할 경우 허리를 펴고 다리만 움직여 이동

중량물을 들고 팔다리허리 관절의 무리한 동작 금지

통행로 상에는 통행에 지장을 주는 물건이 없도록 정리정돈

이동대차에는 각 방향의 무게중심을 고려하여 적재

양 다리를 모으고 이동대차를 밀거나 끄는 행동 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 금지

운반 후 운반물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정리정돈하여 적재

26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위험점발생형태

전 도

계단

이물질

장애물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원인분석

계단을 확실히 딛지 않고 이동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계단 모서리 논슬립 미시공

바닥통로계단 이물질 미제거

통행로 상에 장애물 방치

27

계단 모서리의 파손 부위는 수리

계단 모서리에는 논슬립 재료 시공

통로상 눈 또는 빙판은 수시로 제거

바닥통로계단은 깨끗하고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관리

항상 물기 등으로 미끄러운 장소에는 lsquo미끄럼 주의rsquo 표지판 설치

통로상 턱 문지방 등 돌출부는 주변과 구분이 되는 색으로 도장

통로상에는 통행에 지장이 되는 물건이 없도록 관리

작업 전 신발 착용상태 점검 및 작업특성에 맞는 신발 지급

계단 물기 장애물 등으로 인한 전도 예방교육 강화

28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금지

계단에서는 각 단을 확실하게 딛고 수시로 안전난간을 잡음

물건을 운반할 때에는 계단바닥의 상태를 확인

계단 논슬립 난간 등의 파손된 부위는 관리자에 보고

바닥통로계단의 물기 등 이물질은 수시로 청소하여 제거

항상 물기가 있는 장소에서는 뛰거나 급한 행동 금지

통로상에 형성된 빙판은 염화칼슘 또는 모래 등을 뿌려 제거

통로상에 제거되지 않은 빙판이 있을 경우 우회하여 이동

통행로 상에는 각종 물건의 방치 금지

각종 호스 전선 등은 사용 후 정리하여 보관

각종 호스 전선 사용 장소에서는 걸리거나 밟지 않도록 주의

사무업무 외 슬리퍼 등 미끄러질 수 있는 신발은 착용 금지

신발은 바르게 착용하고 적정하게 밀착되도록 끈을 조임

29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원인분석위험점

동력전달부왕복운동부

발생형태

끼임

회전기계감김

전단기계절단

양중기낙하

절단기류비래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정비청소 중 전원동력차단 미실시

왕복회전 작동부위 신체 접근

가공물 투입구에 손으로 투입

탁상드릴 등 회전기계 작업 중 면장갑 착용

회전기계 작동 중 손으로 투입반출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재단 칼날 왕복작동 부위 신체 접근

절단작업 중 절단날 파손

절단작업 중 절단물 비래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30

정비청소 시 전원동력차단 확인 및 표지판 부착

정비 후 동력전달부 방호덮개 원상복귀

개방된 왕복작동 부위에는 협착주의 표지판 설치

회전기계 사용 작업자 면장갑 착용 금지조치

승강기(리프트) 각 층 탑승장에는 안전문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리프트)에는 사람 탑승 금지 조치

육가공야채절단 기계류는 적절한 투입용 수공구 제공

핸드그라인더에는 날접촉 예방 방호덮개 설치

둥근톱 핸드그라인더 작업자에게는 보안경 지급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 묶음상태 확인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줄걸이 이탈 방지 조치

각종 전동공구는 이중절연구조 사용

각종 전기기구는 누전차단기에 연결하여 사용

31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기계middot기구 점검수리청소 전 전원차단 및 표지판 부착

2인이상이 기계기구를 점검수리청소시 서로 신호 실시

기계middot기구를 이용한 작업 시 항상 주의집중

기계middot기구의 왕복운동부에는 신체 접근금지

기계middot기구의 맞물려 회전하는 부분에는 신체 접근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금지

육가공야채 절단기계에는 전용 수공구를 이용하여 투입

탁상드릴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면장갑 착용금지

동력톱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보안경 착용

회전칼날톱 사용 시 절단물을 잡는 손은 10cm이상의 간격 확보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을 확실하게 묶고 훅 이탈 방지조치 실시

페인트 등 인화성물질 부근에서 용접용단 금지

인화성물질 보관용기(폐드럼)는 절단 전 마개 개방환기물을 채워 치환 실시

32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제5장

도 middot 소매업

근골격계질환 예방 공학적 개선사례

33

1 중량물 취급

자세에 따른 허리(L5S1)

부담 정도

작업물과 작업자간 거리

34

bull 어깨 위 적재

bull 무릎 아래 적재

bull 과도한 힘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저장공정-적재작업

35

bull 폴리에틸렌 재질

bull 당기는 힘 증가

bull 손 팔 등 스트레스 발생

bull 15ℓtimes20개 = 약 30kg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저장공정-적재작업

bull 층 사이 lsquo미끌림시트(Slip sheet)rsquo설치

bull 당기는 힘 감소

미끌림시트(Slip sheet)

36

작업대 높이

작업대 높이 권장기준

37

bull 낮은 작업대 높이

bull 부자연스런 자세로 인해 요통 등근골격계 질환 위험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농수산물-농산소분작업

bull 높이 조절 가능 작업대

bull 극단치 설계 (95tile)

bull 키 작은 사람 발판 제공

38

bull 높이가 다른 작업

bull 근골격계 질환 위험이 크므로곧 개선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조리-포장작업

bull 작업대와 작업기기 높이 고려

39

정상middot최대 작업영역

정상 작업영역

bull 25cm 이내

bull 번번한 작업

최대 작업영역

bull 50cm 이내

bull 최대 팔 뻗침 영역 이내

정상 작업영역 최대 작업영역

40

bull 먼 위치의 작업역

bull 부자연스러운 자세

bull 과도한 뻗침

bull 반복작업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일반상품-진열작업

bull 진열대 앞 적재 금지

bull 대차 일체형 보관

및 진열

41

작업설비 도구

42

개선 대책

운반카트

bull 운반 전용 카트 이용

bull 수직형 손잡이 높이92cm

bull 대차 높이 140cm 미만 직경20cm

43

기타 개선사례

bull 반복 작업

bull 접촉 스트레스

bull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포장-포장작업

bull 기기와 작업대 폭을 같게

bull 기기의 날카로운 끝부분에

쿠션 설치 고려

44

  • 슬라이드 번호 1
  • 슬라이드 번호 2
  • 슬라이드 번호 3
  • 슬라이드 번호 4
  • 슬라이드 번호 5
  • 슬라이드 번호 6
  • 슬라이드 번호 7
  • 슬라이드 번호 8
  • 슬라이드 번호 9
  • 슬라이드 번호 10
  • 슬라이드 번호 11
  • 슬라이드 번호 12
  • 슬라이드 번호 13
  • 슬라이드 번호 14
  • 슬라이드 번호 15
  • 슬라이드 번호 16
  • 슬라이드 번호 17
  • 슬라이드 번호 18
  • 슬라이드 번호 19
  • 슬라이드 번호 20
  • 슬라이드 번호 21
  • 슬라이드 번호 22
  • 슬라이드 번호 23
  • 슬라이드 번호 24
  • 슬라이드 번호 25
  • 슬라이드 번호 26
  • 슬라이드 번호 27
  • 슬라이드 번호 28
  • 슬라이드 번호 29
  • 슬라이드 번호 30
  • 슬라이드 번호 31
  • 슬라이드 번호 32
  • 슬라이드 번호 33
  • 슬라이드 번호 34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37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40
  • 사례1
  • 슬라이드 번호 42
  • 슬라이드 번호 43
  • 슬라이드 번호 44
Page 25: 도소매산업 재해예방 ppt

분리 가능한 인력 운반물은 10kg 이하의 적정 중량으로 포장

취급 물품의 인력운반 및 취급 방법 자세 등의 안전교육 실시

운반물의 중량 형태 및 취급장소에 따른 적정 인원배치

통행로는 항상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정리정돈

운반물 또는 운반용기(통 바구니 등)에는 적절한 손잡이 부착

운반물의 형태 및 용도에 적합한 이동대차 설치

사업장 내 이동대차 이용을 위해 평탄하고 적정 너비의 통로 확보

중량물 인력운반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게차 등 운반설비 설치

사업장 내 중량물을 올리거나 내리기 위한 화물용 승강기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각 층 탑승장에는 18m 이상 높이의 출입문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문 개방 시 작동이 안되도록 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의 출입문 외의 부분은 18m 이상 높이의 방호울 설치

화물용 승강기에는 lsquo화물전용rsquolsquo탑승금지rsquo 표지판을 설치

25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분리 가능한 운반물은 신체무리가 없는 적정 중량으로 나누어 운반

분리되지 않는 중량의 운반물은 적정 인원이 함께 운반

운반시 이동방향의 시야를 확보하여 통로상태를 확인하며 운반

파손될 수 있는 운반물은 주변 물체에 주의하며 천천히 운반

운반물을 운반하기 전 적당한 손잡이를 확보

중량물을 복부에 밀착하여 허리를 펴고 다리 힘으로 일어남

중량물을 운반할 경우 허리를 펴고 다리만 움직여 이동

중량물을 들고 팔다리허리 관절의 무리한 동작 금지

통행로 상에는 통행에 지장을 주는 물건이 없도록 정리정돈

이동대차에는 각 방향의 무게중심을 고려하여 적재

양 다리를 모으고 이동대차를 밀거나 끄는 행동 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 금지

운반 후 운반물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정리정돈하여 적재

26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위험점발생형태

전 도

계단

이물질

장애물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원인분석

계단을 확실히 딛지 않고 이동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계단 모서리 논슬립 미시공

바닥통로계단 이물질 미제거

통행로 상에 장애물 방치

27

계단 모서리의 파손 부위는 수리

계단 모서리에는 논슬립 재료 시공

통로상 눈 또는 빙판은 수시로 제거

바닥통로계단은 깨끗하고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관리

항상 물기 등으로 미끄러운 장소에는 lsquo미끄럼 주의rsquo 표지판 설치

통로상 턱 문지방 등 돌출부는 주변과 구분이 되는 색으로 도장

통로상에는 통행에 지장이 되는 물건이 없도록 관리

작업 전 신발 착용상태 점검 및 작업특성에 맞는 신발 지급

계단 물기 장애물 등으로 인한 전도 예방교육 강화

28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금지

계단에서는 각 단을 확실하게 딛고 수시로 안전난간을 잡음

물건을 운반할 때에는 계단바닥의 상태를 확인

계단 논슬립 난간 등의 파손된 부위는 관리자에 보고

바닥통로계단의 물기 등 이물질은 수시로 청소하여 제거

항상 물기가 있는 장소에서는 뛰거나 급한 행동 금지

통로상에 형성된 빙판은 염화칼슘 또는 모래 등을 뿌려 제거

통로상에 제거되지 않은 빙판이 있을 경우 우회하여 이동

통행로 상에는 각종 물건의 방치 금지

각종 호스 전선 등은 사용 후 정리하여 보관

각종 호스 전선 사용 장소에서는 걸리거나 밟지 않도록 주의

사무업무 외 슬리퍼 등 미끄러질 수 있는 신발은 착용 금지

신발은 바르게 착용하고 적정하게 밀착되도록 끈을 조임

29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원인분석위험점

동력전달부왕복운동부

발생형태

끼임

회전기계감김

전단기계절단

양중기낙하

절단기류비래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정비청소 중 전원동력차단 미실시

왕복회전 작동부위 신체 접근

가공물 투입구에 손으로 투입

탁상드릴 등 회전기계 작업 중 면장갑 착용

회전기계 작동 중 손으로 투입반출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재단 칼날 왕복작동 부위 신체 접근

절단작업 중 절단날 파손

절단작업 중 절단물 비래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30

정비청소 시 전원동력차단 확인 및 표지판 부착

정비 후 동력전달부 방호덮개 원상복귀

개방된 왕복작동 부위에는 협착주의 표지판 설치

회전기계 사용 작업자 면장갑 착용 금지조치

승강기(리프트) 각 층 탑승장에는 안전문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리프트)에는 사람 탑승 금지 조치

육가공야채절단 기계류는 적절한 투입용 수공구 제공

핸드그라인더에는 날접촉 예방 방호덮개 설치

둥근톱 핸드그라인더 작업자에게는 보안경 지급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 묶음상태 확인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줄걸이 이탈 방지 조치

각종 전동공구는 이중절연구조 사용

각종 전기기구는 누전차단기에 연결하여 사용

31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기계middot기구 점검수리청소 전 전원차단 및 표지판 부착

2인이상이 기계기구를 점검수리청소시 서로 신호 실시

기계middot기구를 이용한 작업 시 항상 주의집중

기계middot기구의 왕복운동부에는 신체 접근금지

기계middot기구의 맞물려 회전하는 부분에는 신체 접근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금지

육가공야채 절단기계에는 전용 수공구를 이용하여 투입

탁상드릴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면장갑 착용금지

동력톱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보안경 착용

회전칼날톱 사용 시 절단물을 잡는 손은 10cm이상의 간격 확보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을 확실하게 묶고 훅 이탈 방지조치 실시

페인트 등 인화성물질 부근에서 용접용단 금지

인화성물질 보관용기(폐드럼)는 절단 전 마개 개방환기물을 채워 치환 실시

32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제5장

도 middot 소매업

근골격계질환 예방 공학적 개선사례

33

1 중량물 취급

자세에 따른 허리(L5S1)

부담 정도

작업물과 작업자간 거리

34

bull 어깨 위 적재

bull 무릎 아래 적재

bull 과도한 힘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저장공정-적재작업

35

bull 폴리에틸렌 재질

bull 당기는 힘 증가

bull 손 팔 등 스트레스 발생

bull 15ℓtimes20개 = 약 30kg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저장공정-적재작업

bull 층 사이 lsquo미끌림시트(Slip sheet)rsquo설치

bull 당기는 힘 감소

미끌림시트(Slip sheet)

36

작업대 높이

작업대 높이 권장기준

37

bull 낮은 작업대 높이

bull 부자연스런 자세로 인해 요통 등근골격계 질환 위험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농수산물-농산소분작업

bull 높이 조절 가능 작업대

bull 극단치 설계 (95tile)

bull 키 작은 사람 발판 제공

38

bull 높이가 다른 작업

bull 근골격계 질환 위험이 크므로곧 개선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조리-포장작업

bull 작업대와 작업기기 높이 고려

39

정상middot최대 작업영역

정상 작업영역

bull 25cm 이내

bull 번번한 작업

최대 작업영역

bull 50cm 이내

bull 최대 팔 뻗침 영역 이내

정상 작업영역 최대 작업영역

40

bull 먼 위치의 작업역

bull 부자연스러운 자세

bull 과도한 뻗침

bull 반복작업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일반상품-진열작업

bull 진열대 앞 적재 금지

bull 대차 일체형 보관

및 진열

41

작업설비 도구

42

개선 대책

운반카트

bull 운반 전용 카트 이용

bull 수직형 손잡이 높이92cm

bull 대차 높이 140cm 미만 직경20cm

43

기타 개선사례

bull 반복 작업

bull 접촉 스트레스

bull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포장-포장작업

bull 기기와 작업대 폭을 같게

bull 기기의 날카로운 끝부분에

쿠션 설치 고려

44

  • 슬라이드 번호 1
  • 슬라이드 번호 2
  • 슬라이드 번호 3
  • 슬라이드 번호 4
  • 슬라이드 번호 5
  • 슬라이드 번호 6
  • 슬라이드 번호 7
  • 슬라이드 번호 8
  • 슬라이드 번호 9
  • 슬라이드 번호 10
  • 슬라이드 번호 11
  • 슬라이드 번호 12
  • 슬라이드 번호 13
  • 슬라이드 번호 14
  • 슬라이드 번호 15
  • 슬라이드 번호 16
  • 슬라이드 번호 17
  • 슬라이드 번호 18
  • 슬라이드 번호 19
  • 슬라이드 번호 20
  • 슬라이드 번호 21
  • 슬라이드 번호 22
  • 슬라이드 번호 23
  • 슬라이드 번호 24
  • 슬라이드 번호 25
  • 슬라이드 번호 26
  • 슬라이드 번호 27
  • 슬라이드 번호 28
  • 슬라이드 번호 29
  • 슬라이드 번호 30
  • 슬라이드 번호 31
  • 슬라이드 번호 32
  • 슬라이드 번호 33
  • 슬라이드 번호 34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37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40
  • 사례1
  • 슬라이드 번호 42
  • 슬라이드 번호 43
  • 슬라이드 번호 44
Page 26: 도소매산업 재해예방 ppt

분리 가능한 운반물은 신체무리가 없는 적정 중량으로 나누어 운반

분리되지 않는 중량의 운반물은 적정 인원이 함께 운반

운반시 이동방향의 시야를 확보하여 통로상태를 확인하며 운반

파손될 수 있는 운반물은 주변 물체에 주의하며 천천히 운반

운반물을 운반하기 전 적당한 손잡이를 확보

중량물을 복부에 밀착하여 허리를 펴고 다리 힘으로 일어남

중량물을 운반할 경우 허리를 펴고 다리만 움직여 이동

중량물을 들고 팔다리허리 관절의 무리한 동작 금지

통행로 상에는 통행에 지장을 주는 물건이 없도록 정리정돈

이동대차에는 각 방향의 무게중심을 고려하여 적재

양 다리를 모으고 이동대차를 밀거나 끄는 행동 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 금지

운반 후 운반물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정리정돈하여 적재

26

1 인력 운반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위험점발생형태

전 도

계단

이물질

장애물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원인분석

계단을 확실히 딛지 않고 이동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계단 모서리 논슬립 미시공

바닥통로계단 이물질 미제거

통행로 상에 장애물 방치

27

계단 모서리의 파손 부위는 수리

계단 모서리에는 논슬립 재료 시공

통로상 눈 또는 빙판은 수시로 제거

바닥통로계단은 깨끗하고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관리

항상 물기 등으로 미끄러운 장소에는 lsquo미끄럼 주의rsquo 표지판 설치

통로상 턱 문지방 등 돌출부는 주변과 구분이 되는 색으로 도장

통로상에는 통행에 지장이 되는 물건이 없도록 관리

작업 전 신발 착용상태 점검 및 작업특성에 맞는 신발 지급

계단 물기 장애물 등으로 인한 전도 예방교육 강화

28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금지

계단에서는 각 단을 확실하게 딛고 수시로 안전난간을 잡음

물건을 운반할 때에는 계단바닥의 상태를 확인

계단 논슬립 난간 등의 파손된 부위는 관리자에 보고

바닥통로계단의 물기 등 이물질은 수시로 청소하여 제거

항상 물기가 있는 장소에서는 뛰거나 급한 행동 금지

통로상에 형성된 빙판은 염화칼슘 또는 모래 등을 뿌려 제거

통로상에 제거되지 않은 빙판이 있을 경우 우회하여 이동

통행로 상에는 각종 물건의 방치 금지

각종 호스 전선 등은 사용 후 정리하여 보관

각종 호스 전선 사용 장소에서는 걸리거나 밟지 않도록 주의

사무업무 외 슬리퍼 등 미끄러질 수 있는 신발은 착용 금지

신발은 바르게 착용하고 적정하게 밀착되도록 끈을 조임

29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원인분석위험점

동력전달부왕복운동부

발생형태

끼임

회전기계감김

전단기계절단

양중기낙하

절단기류비래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정비청소 중 전원동력차단 미실시

왕복회전 작동부위 신체 접근

가공물 투입구에 손으로 투입

탁상드릴 등 회전기계 작업 중 면장갑 착용

회전기계 작동 중 손으로 투입반출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재단 칼날 왕복작동 부위 신체 접근

절단작업 중 절단날 파손

절단작업 중 절단물 비래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30

정비청소 시 전원동력차단 확인 및 표지판 부착

정비 후 동력전달부 방호덮개 원상복귀

개방된 왕복작동 부위에는 협착주의 표지판 설치

회전기계 사용 작업자 면장갑 착용 금지조치

승강기(리프트) 각 층 탑승장에는 안전문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리프트)에는 사람 탑승 금지 조치

육가공야채절단 기계류는 적절한 투입용 수공구 제공

핸드그라인더에는 날접촉 예방 방호덮개 설치

둥근톱 핸드그라인더 작업자에게는 보안경 지급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 묶음상태 확인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줄걸이 이탈 방지 조치

각종 전동공구는 이중절연구조 사용

각종 전기기구는 누전차단기에 연결하여 사용

31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기계middot기구 점검수리청소 전 전원차단 및 표지판 부착

2인이상이 기계기구를 점검수리청소시 서로 신호 실시

기계middot기구를 이용한 작업 시 항상 주의집중

기계middot기구의 왕복운동부에는 신체 접근금지

기계middot기구의 맞물려 회전하는 부분에는 신체 접근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금지

육가공야채 절단기계에는 전용 수공구를 이용하여 투입

탁상드릴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면장갑 착용금지

동력톱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보안경 착용

회전칼날톱 사용 시 절단물을 잡는 손은 10cm이상의 간격 확보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을 확실하게 묶고 훅 이탈 방지조치 실시

페인트 등 인화성물질 부근에서 용접용단 금지

인화성물질 보관용기(폐드럼)는 절단 전 마개 개방환기물을 채워 치환 실시

32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제5장

도 middot 소매업

근골격계질환 예방 공학적 개선사례

33

1 중량물 취급

자세에 따른 허리(L5S1)

부담 정도

작업물과 작업자간 거리

34

bull 어깨 위 적재

bull 무릎 아래 적재

bull 과도한 힘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저장공정-적재작업

35

bull 폴리에틸렌 재질

bull 당기는 힘 증가

bull 손 팔 등 스트레스 발생

bull 15ℓtimes20개 = 약 30kg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저장공정-적재작업

bull 층 사이 lsquo미끌림시트(Slip sheet)rsquo설치

bull 당기는 힘 감소

미끌림시트(Slip sheet)

36

작업대 높이

작업대 높이 권장기준

37

bull 낮은 작업대 높이

bull 부자연스런 자세로 인해 요통 등근골격계 질환 위험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농수산물-농산소분작업

bull 높이 조절 가능 작업대

bull 극단치 설계 (95tile)

bull 키 작은 사람 발판 제공

38

bull 높이가 다른 작업

bull 근골격계 질환 위험이 크므로곧 개선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조리-포장작업

bull 작업대와 작업기기 높이 고려

39

정상middot최대 작업영역

정상 작업영역

bull 25cm 이내

bull 번번한 작업

최대 작업영역

bull 50cm 이내

bull 최대 팔 뻗침 영역 이내

정상 작업영역 최대 작업영역

40

bull 먼 위치의 작업역

bull 부자연스러운 자세

bull 과도한 뻗침

bull 반복작업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일반상품-진열작업

bull 진열대 앞 적재 금지

bull 대차 일체형 보관

및 진열

41

작업설비 도구

42

개선 대책

운반카트

bull 운반 전용 카트 이용

bull 수직형 손잡이 높이92cm

bull 대차 높이 140cm 미만 직경20cm

43

기타 개선사례

bull 반복 작업

bull 접촉 스트레스

bull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포장-포장작업

bull 기기와 작업대 폭을 같게

bull 기기의 날카로운 끝부분에

쿠션 설치 고려

44

  • 슬라이드 번호 1
  • 슬라이드 번호 2
  • 슬라이드 번호 3
  • 슬라이드 번호 4
  • 슬라이드 번호 5
  • 슬라이드 번호 6
  • 슬라이드 번호 7
  • 슬라이드 번호 8
  • 슬라이드 번호 9
  • 슬라이드 번호 10
  • 슬라이드 번호 11
  • 슬라이드 번호 12
  • 슬라이드 번호 13
  • 슬라이드 번호 14
  • 슬라이드 번호 15
  • 슬라이드 번호 16
  • 슬라이드 번호 17
  • 슬라이드 번호 18
  • 슬라이드 번호 19
  • 슬라이드 번호 20
  • 슬라이드 번호 21
  • 슬라이드 번호 22
  • 슬라이드 번호 23
  • 슬라이드 번호 24
  • 슬라이드 번호 25
  • 슬라이드 번호 26
  • 슬라이드 번호 27
  • 슬라이드 번호 28
  • 슬라이드 번호 29
  • 슬라이드 번호 30
  • 슬라이드 번호 31
  • 슬라이드 번호 32
  • 슬라이드 번호 33
  • 슬라이드 번호 34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37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40
  • 사례1
  • 슬라이드 번호 42
  • 슬라이드 번호 43
  • 슬라이드 번호 44
Page 27: 도소매산업 재해예방 ppt

위험점발생형태

전 도

계단

이물질

장애물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원인분석

계단을 확실히 딛지 않고 이동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계단 모서리 논슬립 미시공

바닥통로계단 이물질 미제거

통행로 상에 장애물 방치

27

계단 모서리의 파손 부위는 수리

계단 모서리에는 논슬립 재료 시공

통로상 눈 또는 빙판은 수시로 제거

바닥통로계단은 깨끗하고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관리

항상 물기 등으로 미끄러운 장소에는 lsquo미끄럼 주의rsquo 표지판 설치

통로상 턱 문지방 등 돌출부는 주변과 구분이 되는 색으로 도장

통로상에는 통행에 지장이 되는 물건이 없도록 관리

작업 전 신발 착용상태 점검 및 작업특성에 맞는 신발 지급

계단 물기 장애물 등으로 인한 전도 예방교육 강화

28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금지

계단에서는 각 단을 확실하게 딛고 수시로 안전난간을 잡음

물건을 운반할 때에는 계단바닥의 상태를 확인

계단 논슬립 난간 등의 파손된 부위는 관리자에 보고

바닥통로계단의 물기 등 이물질은 수시로 청소하여 제거

항상 물기가 있는 장소에서는 뛰거나 급한 행동 금지

통로상에 형성된 빙판은 염화칼슘 또는 모래 등을 뿌려 제거

통로상에 제거되지 않은 빙판이 있을 경우 우회하여 이동

통행로 상에는 각종 물건의 방치 금지

각종 호스 전선 등은 사용 후 정리하여 보관

각종 호스 전선 사용 장소에서는 걸리거나 밟지 않도록 주의

사무업무 외 슬리퍼 등 미끄러질 수 있는 신발은 착용 금지

신발은 바르게 착용하고 적정하게 밀착되도록 끈을 조임

29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원인분석위험점

동력전달부왕복운동부

발생형태

끼임

회전기계감김

전단기계절단

양중기낙하

절단기류비래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정비청소 중 전원동력차단 미실시

왕복회전 작동부위 신체 접근

가공물 투입구에 손으로 투입

탁상드릴 등 회전기계 작업 중 면장갑 착용

회전기계 작동 중 손으로 투입반출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재단 칼날 왕복작동 부위 신체 접근

절단작업 중 절단날 파손

절단작업 중 절단물 비래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30

정비청소 시 전원동력차단 확인 및 표지판 부착

정비 후 동력전달부 방호덮개 원상복귀

개방된 왕복작동 부위에는 협착주의 표지판 설치

회전기계 사용 작업자 면장갑 착용 금지조치

승강기(리프트) 각 층 탑승장에는 안전문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리프트)에는 사람 탑승 금지 조치

육가공야채절단 기계류는 적절한 투입용 수공구 제공

핸드그라인더에는 날접촉 예방 방호덮개 설치

둥근톱 핸드그라인더 작업자에게는 보안경 지급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 묶음상태 확인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줄걸이 이탈 방지 조치

각종 전동공구는 이중절연구조 사용

각종 전기기구는 누전차단기에 연결하여 사용

31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기계middot기구 점검수리청소 전 전원차단 및 표지판 부착

2인이상이 기계기구를 점검수리청소시 서로 신호 실시

기계middot기구를 이용한 작업 시 항상 주의집중

기계middot기구의 왕복운동부에는 신체 접근금지

기계middot기구의 맞물려 회전하는 부분에는 신체 접근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금지

육가공야채 절단기계에는 전용 수공구를 이용하여 투입

탁상드릴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면장갑 착용금지

동력톱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보안경 착용

회전칼날톱 사용 시 절단물을 잡는 손은 10cm이상의 간격 확보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을 확실하게 묶고 훅 이탈 방지조치 실시

페인트 등 인화성물질 부근에서 용접용단 금지

인화성물질 보관용기(폐드럼)는 절단 전 마개 개방환기물을 채워 치환 실시

32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제5장

도 middot 소매업

근골격계질환 예방 공학적 개선사례

33

1 중량물 취급

자세에 따른 허리(L5S1)

부담 정도

작업물과 작업자간 거리

34

bull 어깨 위 적재

bull 무릎 아래 적재

bull 과도한 힘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저장공정-적재작업

35

bull 폴리에틸렌 재질

bull 당기는 힘 증가

bull 손 팔 등 스트레스 발생

bull 15ℓtimes20개 = 약 30kg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저장공정-적재작업

bull 층 사이 lsquo미끌림시트(Slip sheet)rsquo설치

bull 당기는 힘 감소

미끌림시트(Slip sheet)

36

작업대 높이

작업대 높이 권장기준

37

bull 낮은 작업대 높이

bull 부자연스런 자세로 인해 요통 등근골격계 질환 위험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농수산물-농산소분작업

bull 높이 조절 가능 작업대

bull 극단치 설계 (95tile)

bull 키 작은 사람 발판 제공

38

bull 높이가 다른 작업

bull 근골격계 질환 위험이 크므로곧 개선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조리-포장작업

bull 작업대와 작업기기 높이 고려

39

정상middot최대 작업영역

정상 작업영역

bull 25cm 이내

bull 번번한 작업

최대 작업영역

bull 50cm 이내

bull 최대 팔 뻗침 영역 이내

정상 작업영역 최대 작업영역

40

bull 먼 위치의 작업역

bull 부자연스러운 자세

bull 과도한 뻗침

bull 반복작업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일반상품-진열작업

bull 진열대 앞 적재 금지

bull 대차 일체형 보관

및 진열

41

작업설비 도구

42

개선 대책

운반카트

bull 운반 전용 카트 이용

bull 수직형 손잡이 높이92cm

bull 대차 높이 140cm 미만 직경20cm

43

기타 개선사례

bull 반복 작업

bull 접촉 스트레스

bull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포장-포장작업

bull 기기와 작업대 폭을 같게

bull 기기의 날카로운 끝부분에

쿠션 설치 고려

44

  • 슬라이드 번호 1
  • 슬라이드 번호 2
  • 슬라이드 번호 3
  • 슬라이드 번호 4
  • 슬라이드 번호 5
  • 슬라이드 번호 6
  • 슬라이드 번호 7
  • 슬라이드 번호 8
  • 슬라이드 번호 9
  • 슬라이드 번호 10
  • 슬라이드 번호 11
  • 슬라이드 번호 12
  • 슬라이드 번호 13
  • 슬라이드 번호 14
  • 슬라이드 번호 15
  • 슬라이드 번호 16
  • 슬라이드 번호 17
  • 슬라이드 번호 18
  • 슬라이드 번호 19
  • 슬라이드 번호 20
  • 슬라이드 번호 21
  • 슬라이드 번호 22
  • 슬라이드 번호 23
  • 슬라이드 번호 24
  • 슬라이드 번호 25
  • 슬라이드 번호 26
  • 슬라이드 번호 27
  • 슬라이드 번호 28
  • 슬라이드 번호 29
  • 슬라이드 번호 30
  • 슬라이드 번호 31
  • 슬라이드 번호 32
  • 슬라이드 번호 33
  • 슬라이드 번호 34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37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40
  • 사례1
  • 슬라이드 번호 42
  • 슬라이드 번호 43
  • 슬라이드 번호 44
Page 28: 도소매산업 재해예방 ppt

계단 모서리의 파손 부위는 수리

계단 모서리에는 논슬립 재료 시공

통로상 눈 또는 빙판은 수시로 제거

바닥통로계단은 깨끗하고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관리

항상 물기 등으로 미끄러운 장소에는 lsquo미끄럼 주의rsquo 표지판 설치

통로상 턱 문지방 등 돌출부는 주변과 구분이 되는 색으로 도장

통로상에는 통행에 지장이 되는 물건이 없도록 관리

작업 전 신발 착용상태 점검 및 작업특성에 맞는 신발 지급

계단 물기 장애물 등으로 인한 전도 예방교육 강화

28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금지

계단에서는 각 단을 확실하게 딛고 수시로 안전난간을 잡음

물건을 운반할 때에는 계단바닥의 상태를 확인

계단 논슬립 난간 등의 파손된 부위는 관리자에 보고

바닥통로계단의 물기 등 이물질은 수시로 청소하여 제거

항상 물기가 있는 장소에서는 뛰거나 급한 행동 금지

통로상에 형성된 빙판은 염화칼슘 또는 모래 등을 뿌려 제거

통로상에 제거되지 않은 빙판이 있을 경우 우회하여 이동

통행로 상에는 각종 물건의 방치 금지

각종 호스 전선 등은 사용 후 정리하여 보관

각종 호스 전선 사용 장소에서는 걸리거나 밟지 않도록 주의

사무업무 외 슬리퍼 등 미끄러질 수 있는 신발은 착용 금지

신발은 바르게 착용하고 적정하게 밀착되도록 끈을 조임

29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원인분석위험점

동력전달부왕복운동부

발생형태

끼임

회전기계감김

전단기계절단

양중기낙하

절단기류비래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정비청소 중 전원동력차단 미실시

왕복회전 작동부위 신체 접근

가공물 투입구에 손으로 투입

탁상드릴 등 회전기계 작업 중 면장갑 착용

회전기계 작동 중 손으로 투입반출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재단 칼날 왕복작동 부위 신체 접근

절단작업 중 절단날 파손

절단작업 중 절단물 비래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30

정비청소 시 전원동력차단 확인 및 표지판 부착

정비 후 동력전달부 방호덮개 원상복귀

개방된 왕복작동 부위에는 협착주의 표지판 설치

회전기계 사용 작업자 면장갑 착용 금지조치

승강기(리프트) 각 층 탑승장에는 안전문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리프트)에는 사람 탑승 금지 조치

육가공야채절단 기계류는 적절한 투입용 수공구 제공

핸드그라인더에는 날접촉 예방 방호덮개 설치

둥근톱 핸드그라인더 작업자에게는 보안경 지급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 묶음상태 확인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줄걸이 이탈 방지 조치

각종 전동공구는 이중절연구조 사용

각종 전기기구는 누전차단기에 연결하여 사용

31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기계middot기구 점검수리청소 전 전원차단 및 표지판 부착

2인이상이 기계기구를 점검수리청소시 서로 신호 실시

기계middot기구를 이용한 작업 시 항상 주의집중

기계middot기구의 왕복운동부에는 신체 접근금지

기계middot기구의 맞물려 회전하는 부분에는 신체 접근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금지

육가공야채 절단기계에는 전용 수공구를 이용하여 투입

탁상드릴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면장갑 착용금지

동력톱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보안경 착용

회전칼날톱 사용 시 절단물을 잡는 손은 10cm이상의 간격 확보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을 확실하게 묶고 훅 이탈 방지조치 실시

페인트 등 인화성물질 부근에서 용접용단 금지

인화성물질 보관용기(폐드럼)는 절단 전 마개 개방환기물을 채워 치환 실시

32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제5장

도 middot 소매업

근골격계질환 예방 공학적 개선사례

33

1 중량물 취급

자세에 따른 허리(L5S1)

부담 정도

작업물과 작업자간 거리

34

bull 어깨 위 적재

bull 무릎 아래 적재

bull 과도한 힘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저장공정-적재작업

35

bull 폴리에틸렌 재질

bull 당기는 힘 증가

bull 손 팔 등 스트레스 발생

bull 15ℓtimes20개 = 약 30kg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저장공정-적재작업

bull 층 사이 lsquo미끌림시트(Slip sheet)rsquo설치

bull 당기는 힘 감소

미끌림시트(Slip sheet)

36

작업대 높이

작업대 높이 권장기준

37

bull 낮은 작업대 높이

bull 부자연스런 자세로 인해 요통 등근골격계 질환 위험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농수산물-농산소분작업

bull 높이 조절 가능 작업대

bull 극단치 설계 (95tile)

bull 키 작은 사람 발판 제공

38

bull 높이가 다른 작업

bull 근골격계 질환 위험이 크므로곧 개선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조리-포장작업

bull 작업대와 작업기기 높이 고려

39

정상middot최대 작업영역

정상 작업영역

bull 25cm 이내

bull 번번한 작업

최대 작업영역

bull 50cm 이내

bull 최대 팔 뻗침 영역 이내

정상 작업영역 최대 작업영역

40

bull 먼 위치의 작업역

bull 부자연스러운 자세

bull 과도한 뻗침

bull 반복작업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일반상품-진열작업

bull 진열대 앞 적재 금지

bull 대차 일체형 보관

및 진열

41

작업설비 도구

42

개선 대책

운반카트

bull 운반 전용 카트 이용

bull 수직형 손잡이 높이92cm

bull 대차 높이 140cm 미만 직경20cm

43

기타 개선사례

bull 반복 작업

bull 접촉 스트레스

bull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포장-포장작업

bull 기기와 작업대 폭을 같게

bull 기기의 날카로운 끝부분에

쿠션 설치 고려

44

  • 슬라이드 번호 1
  • 슬라이드 번호 2
  • 슬라이드 번호 3
  • 슬라이드 번호 4
  • 슬라이드 번호 5
  • 슬라이드 번호 6
  • 슬라이드 번호 7
  • 슬라이드 번호 8
  • 슬라이드 번호 9
  • 슬라이드 번호 10
  • 슬라이드 번호 11
  • 슬라이드 번호 12
  • 슬라이드 번호 13
  • 슬라이드 번호 14
  • 슬라이드 번호 15
  • 슬라이드 번호 16
  • 슬라이드 번호 17
  • 슬라이드 번호 18
  • 슬라이드 번호 19
  • 슬라이드 번호 20
  • 슬라이드 번호 21
  • 슬라이드 번호 22
  • 슬라이드 번호 23
  • 슬라이드 번호 24
  • 슬라이드 번호 25
  • 슬라이드 번호 26
  • 슬라이드 번호 27
  • 슬라이드 번호 28
  • 슬라이드 번호 29
  • 슬라이드 번호 30
  • 슬라이드 번호 31
  • 슬라이드 번호 32
  • 슬라이드 번호 33
  • 슬라이드 번호 34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37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40
  • 사례1
  • 슬라이드 번호 42
  • 슬라이드 번호 43
  • 슬라이드 번호 44
Page 29: 도소매산업 재해예방 ppt

계단에서 뛰거나 급하게 이동 금지

계단에서는 각 단을 확실하게 딛고 수시로 안전난간을 잡음

물건을 운반할 때에는 계단바닥의 상태를 확인

계단 논슬립 난간 등의 파손된 부위는 관리자에 보고

바닥통로계단의 물기 등 이물질은 수시로 청소하여 제거

항상 물기가 있는 장소에서는 뛰거나 급한 행동 금지

통로상에 형성된 빙판은 염화칼슘 또는 모래 등을 뿌려 제거

통로상에 제거되지 않은 빙판이 있을 경우 우회하여 이동

통행로 상에는 각종 물건의 방치 금지

각종 호스 전선 등은 사용 후 정리하여 보관

각종 호스 전선 사용 장소에서는 걸리거나 밟지 않도록 주의

사무업무 외 슬리퍼 등 미끄러질 수 있는 신발은 착용 금지

신발은 바르게 착용하고 적정하게 밀착되도록 끈을 조임

29

2 바닥통로계단 이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원인분석위험점

동력전달부왕복운동부

발생형태

끼임

회전기계감김

전단기계절단

양중기낙하

절단기류비래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정비청소 중 전원동력차단 미실시

왕복회전 작동부위 신체 접근

가공물 투입구에 손으로 투입

탁상드릴 등 회전기계 작업 중 면장갑 착용

회전기계 작동 중 손으로 투입반출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재단 칼날 왕복작동 부위 신체 접근

절단작업 중 절단날 파손

절단작업 중 절단물 비래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30

정비청소 시 전원동력차단 확인 및 표지판 부착

정비 후 동력전달부 방호덮개 원상복귀

개방된 왕복작동 부위에는 협착주의 표지판 설치

회전기계 사용 작업자 면장갑 착용 금지조치

승강기(리프트) 각 층 탑승장에는 안전문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리프트)에는 사람 탑승 금지 조치

육가공야채절단 기계류는 적절한 투입용 수공구 제공

핸드그라인더에는 날접촉 예방 방호덮개 설치

둥근톱 핸드그라인더 작업자에게는 보안경 지급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 묶음상태 확인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줄걸이 이탈 방지 조치

각종 전동공구는 이중절연구조 사용

각종 전기기구는 누전차단기에 연결하여 사용

31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기계middot기구 점검수리청소 전 전원차단 및 표지판 부착

2인이상이 기계기구를 점검수리청소시 서로 신호 실시

기계middot기구를 이용한 작업 시 항상 주의집중

기계middot기구의 왕복운동부에는 신체 접근금지

기계middot기구의 맞물려 회전하는 부분에는 신체 접근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금지

육가공야채 절단기계에는 전용 수공구를 이용하여 투입

탁상드릴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면장갑 착용금지

동력톱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보안경 착용

회전칼날톱 사용 시 절단물을 잡는 손은 10cm이상의 간격 확보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을 확실하게 묶고 훅 이탈 방지조치 실시

페인트 등 인화성물질 부근에서 용접용단 금지

인화성물질 보관용기(폐드럼)는 절단 전 마개 개방환기물을 채워 치환 실시

32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제5장

도 middot 소매업

근골격계질환 예방 공학적 개선사례

33

1 중량물 취급

자세에 따른 허리(L5S1)

부담 정도

작업물과 작업자간 거리

34

bull 어깨 위 적재

bull 무릎 아래 적재

bull 과도한 힘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저장공정-적재작업

35

bull 폴리에틸렌 재질

bull 당기는 힘 증가

bull 손 팔 등 스트레스 발생

bull 15ℓtimes20개 = 약 30kg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저장공정-적재작업

bull 층 사이 lsquo미끌림시트(Slip sheet)rsquo설치

bull 당기는 힘 감소

미끌림시트(Slip sheet)

36

작업대 높이

작업대 높이 권장기준

37

bull 낮은 작업대 높이

bull 부자연스런 자세로 인해 요통 등근골격계 질환 위험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농수산물-농산소분작업

bull 높이 조절 가능 작업대

bull 극단치 설계 (95tile)

bull 키 작은 사람 발판 제공

38

bull 높이가 다른 작업

bull 근골격계 질환 위험이 크므로곧 개선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조리-포장작업

bull 작업대와 작업기기 높이 고려

39

정상middot최대 작업영역

정상 작업영역

bull 25cm 이내

bull 번번한 작업

최대 작업영역

bull 50cm 이내

bull 최대 팔 뻗침 영역 이내

정상 작업영역 최대 작업영역

40

bull 먼 위치의 작업역

bull 부자연스러운 자세

bull 과도한 뻗침

bull 반복작업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일반상품-진열작업

bull 진열대 앞 적재 금지

bull 대차 일체형 보관

및 진열

41

작업설비 도구

42

개선 대책

운반카트

bull 운반 전용 카트 이용

bull 수직형 손잡이 높이92cm

bull 대차 높이 140cm 미만 직경20cm

43

기타 개선사례

bull 반복 작업

bull 접촉 스트레스

bull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포장-포장작업

bull 기기와 작업대 폭을 같게

bull 기기의 날카로운 끝부분에

쿠션 설치 고려

44

  • 슬라이드 번호 1
  • 슬라이드 번호 2
  • 슬라이드 번호 3
  • 슬라이드 번호 4
  • 슬라이드 번호 5
  • 슬라이드 번호 6
  • 슬라이드 번호 7
  • 슬라이드 번호 8
  • 슬라이드 번호 9
  • 슬라이드 번호 10
  • 슬라이드 번호 11
  • 슬라이드 번호 12
  • 슬라이드 번호 13
  • 슬라이드 번호 14
  • 슬라이드 번호 15
  • 슬라이드 번호 16
  • 슬라이드 번호 17
  • 슬라이드 번호 18
  • 슬라이드 번호 19
  • 슬라이드 번호 20
  • 슬라이드 번호 21
  • 슬라이드 번호 22
  • 슬라이드 번호 23
  • 슬라이드 번호 24
  • 슬라이드 번호 25
  • 슬라이드 번호 26
  • 슬라이드 번호 27
  • 슬라이드 번호 28
  • 슬라이드 번호 29
  • 슬라이드 번호 30
  • 슬라이드 번호 31
  • 슬라이드 번호 32
  • 슬라이드 번호 33
  • 슬라이드 번호 34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37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40
  • 사례1
  • 슬라이드 번호 42
  • 슬라이드 번호 43
  • 슬라이드 번호 44
Page 30: 도소매산업 재해예방 ppt

원인분석위험점

동력전달부왕복운동부

발생형태

끼임

회전기계감김

전단기계절단

양중기낙하

절단기류비래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

정비청소 중 전원동력차단 미실시

왕복회전 작동부위 신체 접근

가공물 투입구에 손으로 투입

탁상드릴 등 회전기계 작업 중 면장갑 착용

회전기계 작동 중 손으로 투입반출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재단 칼날 왕복작동 부위 신체 접근

절단작업 중 절단날 파손

절단작업 중 절단물 비래

회전 톱칼날에 근접하여 절단

30

정비청소 시 전원동력차단 확인 및 표지판 부착

정비 후 동력전달부 방호덮개 원상복귀

개방된 왕복작동 부위에는 협착주의 표지판 설치

회전기계 사용 작업자 면장갑 착용 금지조치

승강기(리프트) 각 층 탑승장에는 안전문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리프트)에는 사람 탑승 금지 조치

육가공야채절단 기계류는 적절한 투입용 수공구 제공

핸드그라인더에는 날접촉 예방 방호덮개 설치

둥근톱 핸드그라인더 작업자에게는 보안경 지급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 묶음상태 확인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줄걸이 이탈 방지 조치

각종 전동공구는 이중절연구조 사용

각종 전기기구는 누전차단기에 연결하여 사용

31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기계middot기구 점검수리청소 전 전원차단 및 표지판 부착

2인이상이 기계기구를 점검수리청소시 서로 신호 실시

기계middot기구를 이용한 작업 시 항상 주의집중

기계middot기구의 왕복운동부에는 신체 접근금지

기계middot기구의 맞물려 회전하는 부분에는 신체 접근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금지

육가공야채 절단기계에는 전용 수공구를 이용하여 투입

탁상드릴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면장갑 착용금지

동력톱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보안경 착용

회전칼날톱 사용 시 절단물을 잡는 손은 10cm이상의 간격 확보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을 확실하게 묶고 훅 이탈 방지조치 실시

페인트 등 인화성물질 부근에서 용접용단 금지

인화성물질 보관용기(폐드럼)는 절단 전 마개 개방환기물을 채워 치환 실시

32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제5장

도 middot 소매업

근골격계질환 예방 공학적 개선사례

33

1 중량물 취급

자세에 따른 허리(L5S1)

부담 정도

작업물과 작업자간 거리

34

bull 어깨 위 적재

bull 무릎 아래 적재

bull 과도한 힘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저장공정-적재작업

35

bull 폴리에틸렌 재질

bull 당기는 힘 증가

bull 손 팔 등 스트레스 발생

bull 15ℓtimes20개 = 약 30kg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저장공정-적재작업

bull 층 사이 lsquo미끌림시트(Slip sheet)rsquo설치

bull 당기는 힘 감소

미끌림시트(Slip sheet)

36

작업대 높이

작업대 높이 권장기준

37

bull 낮은 작업대 높이

bull 부자연스런 자세로 인해 요통 등근골격계 질환 위험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농수산물-농산소분작업

bull 높이 조절 가능 작업대

bull 극단치 설계 (95tile)

bull 키 작은 사람 발판 제공

38

bull 높이가 다른 작업

bull 근골격계 질환 위험이 크므로곧 개선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조리-포장작업

bull 작업대와 작업기기 높이 고려

39

정상middot최대 작업영역

정상 작업영역

bull 25cm 이내

bull 번번한 작업

최대 작업영역

bull 50cm 이내

bull 최대 팔 뻗침 영역 이내

정상 작업영역 최대 작업영역

40

bull 먼 위치의 작업역

bull 부자연스러운 자세

bull 과도한 뻗침

bull 반복작업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일반상품-진열작업

bull 진열대 앞 적재 금지

bull 대차 일체형 보관

및 진열

41

작업설비 도구

42

개선 대책

운반카트

bull 운반 전용 카트 이용

bull 수직형 손잡이 높이92cm

bull 대차 높이 140cm 미만 직경20cm

43

기타 개선사례

bull 반복 작업

bull 접촉 스트레스

bull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포장-포장작업

bull 기기와 작업대 폭을 같게

bull 기기의 날카로운 끝부분에

쿠션 설치 고려

44

  • 슬라이드 번호 1
  • 슬라이드 번호 2
  • 슬라이드 번호 3
  • 슬라이드 번호 4
  • 슬라이드 번호 5
  • 슬라이드 번호 6
  • 슬라이드 번호 7
  • 슬라이드 번호 8
  • 슬라이드 번호 9
  • 슬라이드 번호 10
  • 슬라이드 번호 11
  • 슬라이드 번호 12
  • 슬라이드 번호 13
  • 슬라이드 번호 14
  • 슬라이드 번호 15
  • 슬라이드 번호 16
  • 슬라이드 번호 17
  • 슬라이드 번호 18
  • 슬라이드 번호 19
  • 슬라이드 번호 20
  • 슬라이드 번호 21
  • 슬라이드 번호 22
  • 슬라이드 번호 23
  • 슬라이드 번호 24
  • 슬라이드 번호 25
  • 슬라이드 번호 26
  • 슬라이드 번호 27
  • 슬라이드 번호 28
  • 슬라이드 번호 29
  • 슬라이드 번호 30
  • 슬라이드 번호 31
  • 슬라이드 번호 32
  • 슬라이드 번호 33
  • 슬라이드 번호 34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37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40
  • 사례1
  • 슬라이드 번호 42
  • 슬라이드 번호 43
  • 슬라이드 번호 44
Page 31: 도소매산업 재해예방 ppt

정비청소 시 전원동력차단 확인 및 표지판 부착

정비 후 동력전달부 방호덮개 원상복귀

개방된 왕복작동 부위에는 협착주의 표지판 설치

회전기계 사용 작업자 면장갑 착용 금지조치

승강기(리프트) 각 층 탑승장에는 안전문연동장치 설치

화물용 승강기(리프트)에는 사람 탑승 금지 조치

육가공야채절단 기계류는 적절한 투입용 수공구 제공

핸드그라인더에는 날접촉 예방 방호덮개 설치

둥근톱 핸드그라인더 작업자에게는 보안경 지급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 묶음상태 확인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줄걸이 이탈 방지 조치

각종 전동공구는 이중절연구조 사용

각종 전기기구는 누전차단기에 연결하여 사용

31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관리자)

기계middot기구 점검수리청소 전 전원차단 및 표지판 부착

2인이상이 기계기구를 점검수리청소시 서로 신호 실시

기계middot기구를 이용한 작업 시 항상 주의집중

기계middot기구의 왕복운동부에는 신체 접근금지

기계middot기구의 맞물려 회전하는 부분에는 신체 접근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금지

육가공야채 절단기계에는 전용 수공구를 이용하여 투입

탁상드릴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면장갑 착용금지

동력톱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보안경 착용

회전칼날톱 사용 시 절단물을 잡는 손은 10cm이상의 간격 확보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을 확실하게 묶고 훅 이탈 방지조치 실시

페인트 등 인화성물질 부근에서 용접용단 금지

인화성물질 보관용기(폐드럼)는 절단 전 마개 개방환기물을 채워 치환 실시

32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제5장

도 middot 소매업

근골격계질환 예방 공학적 개선사례

33

1 중량물 취급

자세에 따른 허리(L5S1)

부담 정도

작업물과 작업자간 거리

34

bull 어깨 위 적재

bull 무릎 아래 적재

bull 과도한 힘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저장공정-적재작업

35

bull 폴리에틸렌 재질

bull 당기는 힘 증가

bull 손 팔 등 스트레스 발생

bull 15ℓtimes20개 = 약 30kg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저장공정-적재작업

bull 층 사이 lsquo미끌림시트(Slip sheet)rsquo설치

bull 당기는 힘 감소

미끌림시트(Slip sheet)

36

작업대 높이

작업대 높이 권장기준

37

bull 낮은 작업대 높이

bull 부자연스런 자세로 인해 요통 등근골격계 질환 위험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농수산물-농산소분작업

bull 높이 조절 가능 작업대

bull 극단치 설계 (95tile)

bull 키 작은 사람 발판 제공

38

bull 높이가 다른 작업

bull 근골격계 질환 위험이 크므로곧 개선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조리-포장작업

bull 작업대와 작업기기 높이 고려

39

정상middot최대 작업영역

정상 작업영역

bull 25cm 이내

bull 번번한 작업

최대 작업영역

bull 50cm 이내

bull 최대 팔 뻗침 영역 이내

정상 작업영역 최대 작업영역

40

bull 먼 위치의 작업역

bull 부자연스러운 자세

bull 과도한 뻗침

bull 반복작업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일반상품-진열작업

bull 진열대 앞 적재 금지

bull 대차 일체형 보관

및 진열

41

작업설비 도구

42

개선 대책

운반카트

bull 운반 전용 카트 이용

bull 수직형 손잡이 높이92cm

bull 대차 높이 140cm 미만 직경20cm

43

기타 개선사례

bull 반복 작업

bull 접촉 스트레스

bull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포장-포장작업

bull 기기와 작업대 폭을 같게

bull 기기의 날카로운 끝부분에

쿠션 설치 고려

44

  • 슬라이드 번호 1
  • 슬라이드 번호 2
  • 슬라이드 번호 3
  • 슬라이드 번호 4
  • 슬라이드 번호 5
  • 슬라이드 번호 6
  • 슬라이드 번호 7
  • 슬라이드 번호 8
  • 슬라이드 번호 9
  • 슬라이드 번호 10
  • 슬라이드 번호 11
  • 슬라이드 번호 12
  • 슬라이드 번호 13
  • 슬라이드 번호 14
  • 슬라이드 번호 15
  • 슬라이드 번호 16
  • 슬라이드 번호 17
  • 슬라이드 번호 18
  • 슬라이드 번호 19
  • 슬라이드 번호 20
  • 슬라이드 번호 21
  • 슬라이드 번호 22
  • 슬라이드 번호 23
  • 슬라이드 번호 24
  • 슬라이드 번호 25
  • 슬라이드 번호 26
  • 슬라이드 번호 27
  • 슬라이드 번호 28
  • 슬라이드 번호 29
  • 슬라이드 번호 30
  • 슬라이드 번호 31
  • 슬라이드 번호 32
  • 슬라이드 번호 33
  • 슬라이드 번호 34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37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40
  • 사례1
  • 슬라이드 번호 42
  • 슬라이드 번호 43
  • 슬라이드 번호 44
Page 32: 도소매산업 재해예방 ppt

기계middot기구 점검수리청소 전 전원차단 및 표지판 부착

2인이상이 기계기구를 점검수리청소시 서로 신호 실시

기계middot기구를 이용한 작업 시 항상 주의집중

기계middot기구의 왕복운동부에는 신체 접근금지

기계middot기구의 맞물려 회전하는 부분에는 신체 접근금지

화물용 승강기에 사람 탑승금지

육가공야채 절단기계에는 전용 수공구를 이용하여 투입

탁상드릴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면장갑 착용금지

동력톱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보안경 착용

회전칼날톱 사용 시 절단물을 잡는 손은 10cm이상의 간격 확보

크레인(호이스트) 사용 시 운반물을 확실하게 묶고 훅 이탈 방지조치 실시

페인트 등 인화성물질 부근에서 용접용단 금지

인화성물질 보관용기(폐드럼)는 절단 전 마개 개방환기물을 채워 치환 실시

32

3 기계기구 사용작업 위험요인 및 안전조치(근로자)

제5장

도 middot 소매업

근골격계질환 예방 공학적 개선사례

33

1 중량물 취급

자세에 따른 허리(L5S1)

부담 정도

작업물과 작업자간 거리

34

bull 어깨 위 적재

bull 무릎 아래 적재

bull 과도한 힘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저장공정-적재작업

35

bull 폴리에틸렌 재질

bull 당기는 힘 증가

bull 손 팔 등 스트레스 발생

bull 15ℓtimes20개 = 약 30kg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저장공정-적재작업

bull 층 사이 lsquo미끌림시트(Slip sheet)rsquo설치

bull 당기는 힘 감소

미끌림시트(Slip sheet)

36

작업대 높이

작업대 높이 권장기준

37

bull 낮은 작업대 높이

bull 부자연스런 자세로 인해 요통 등근골격계 질환 위험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농수산물-농산소분작업

bull 높이 조절 가능 작업대

bull 극단치 설계 (95tile)

bull 키 작은 사람 발판 제공

38

bull 높이가 다른 작업

bull 근골격계 질환 위험이 크므로곧 개선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조리-포장작업

bull 작업대와 작업기기 높이 고려

39

정상middot최대 작업영역

정상 작업영역

bull 25cm 이내

bull 번번한 작업

최대 작업영역

bull 50cm 이내

bull 최대 팔 뻗침 영역 이내

정상 작업영역 최대 작업영역

40

bull 먼 위치의 작업역

bull 부자연스러운 자세

bull 과도한 뻗침

bull 반복작업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일반상품-진열작업

bull 진열대 앞 적재 금지

bull 대차 일체형 보관

및 진열

41

작업설비 도구

42

개선 대책

운반카트

bull 운반 전용 카트 이용

bull 수직형 손잡이 높이92cm

bull 대차 높이 140cm 미만 직경20cm

43

기타 개선사례

bull 반복 작업

bull 접촉 스트레스

bull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포장-포장작업

bull 기기와 작업대 폭을 같게

bull 기기의 날카로운 끝부분에

쿠션 설치 고려

44

  • 슬라이드 번호 1
  • 슬라이드 번호 2
  • 슬라이드 번호 3
  • 슬라이드 번호 4
  • 슬라이드 번호 5
  • 슬라이드 번호 6
  • 슬라이드 번호 7
  • 슬라이드 번호 8
  • 슬라이드 번호 9
  • 슬라이드 번호 10
  • 슬라이드 번호 11
  • 슬라이드 번호 12
  • 슬라이드 번호 13
  • 슬라이드 번호 14
  • 슬라이드 번호 15
  • 슬라이드 번호 16
  • 슬라이드 번호 17
  • 슬라이드 번호 18
  • 슬라이드 번호 19
  • 슬라이드 번호 20
  • 슬라이드 번호 21
  • 슬라이드 번호 22
  • 슬라이드 번호 23
  • 슬라이드 번호 24
  • 슬라이드 번호 25
  • 슬라이드 번호 26
  • 슬라이드 번호 27
  • 슬라이드 번호 28
  • 슬라이드 번호 29
  • 슬라이드 번호 30
  • 슬라이드 번호 31
  • 슬라이드 번호 32
  • 슬라이드 번호 33
  • 슬라이드 번호 34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37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40
  • 사례1
  • 슬라이드 번호 42
  • 슬라이드 번호 43
  • 슬라이드 번호 44
Page 33: 도소매산업 재해예방 ppt

제5장

도 middot 소매업

근골격계질환 예방 공학적 개선사례

33

1 중량물 취급

자세에 따른 허리(L5S1)

부담 정도

작업물과 작업자간 거리

34

bull 어깨 위 적재

bull 무릎 아래 적재

bull 과도한 힘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저장공정-적재작업

35

bull 폴리에틸렌 재질

bull 당기는 힘 증가

bull 손 팔 등 스트레스 발생

bull 15ℓtimes20개 = 약 30kg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저장공정-적재작업

bull 층 사이 lsquo미끌림시트(Slip sheet)rsquo설치

bull 당기는 힘 감소

미끌림시트(Slip sheet)

36

작업대 높이

작업대 높이 권장기준

37

bull 낮은 작업대 높이

bull 부자연스런 자세로 인해 요통 등근골격계 질환 위험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농수산물-농산소분작업

bull 높이 조절 가능 작업대

bull 극단치 설계 (95tile)

bull 키 작은 사람 발판 제공

38

bull 높이가 다른 작업

bull 근골격계 질환 위험이 크므로곧 개선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조리-포장작업

bull 작업대와 작업기기 높이 고려

39

정상middot최대 작업영역

정상 작업영역

bull 25cm 이내

bull 번번한 작업

최대 작업영역

bull 50cm 이내

bull 최대 팔 뻗침 영역 이내

정상 작업영역 최대 작업영역

40

bull 먼 위치의 작업역

bull 부자연스러운 자세

bull 과도한 뻗침

bull 반복작업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일반상품-진열작업

bull 진열대 앞 적재 금지

bull 대차 일체형 보관

및 진열

41

작업설비 도구

42

개선 대책

운반카트

bull 운반 전용 카트 이용

bull 수직형 손잡이 높이92cm

bull 대차 높이 140cm 미만 직경20cm

43

기타 개선사례

bull 반복 작업

bull 접촉 스트레스

bull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포장-포장작업

bull 기기와 작업대 폭을 같게

bull 기기의 날카로운 끝부분에

쿠션 설치 고려

44

  • 슬라이드 번호 1
  • 슬라이드 번호 2
  • 슬라이드 번호 3
  • 슬라이드 번호 4
  • 슬라이드 번호 5
  • 슬라이드 번호 6
  • 슬라이드 번호 7
  • 슬라이드 번호 8
  • 슬라이드 번호 9
  • 슬라이드 번호 10
  • 슬라이드 번호 11
  • 슬라이드 번호 12
  • 슬라이드 번호 13
  • 슬라이드 번호 14
  • 슬라이드 번호 15
  • 슬라이드 번호 16
  • 슬라이드 번호 17
  • 슬라이드 번호 18
  • 슬라이드 번호 19
  • 슬라이드 번호 20
  • 슬라이드 번호 21
  • 슬라이드 번호 22
  • 슬라이드 번호 23
  • 슬라이드 번호 24
  • 슬라이드 번호 25
  • 슬라이드 번호 26
  • 슬라이드 번호 27
  • 슬라이드 번호 28
  • 슬라이드 번호 29
  • 슬라이드 번호 30
  • 슬라이드 번호 31
  • 슬라이드 번호 32
  • 슬라이드 번호 33
  • 슬라이드 번호 34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37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40
  • 사례1
  • 슬라이드 번호 42
  • 슬라이드 번호 43
  • 슬라이드 번호 44
Page 34: 도소매산업 재해예방 ppt

1 중량물 취급

자세에 따른 허리(L5S1)

부담 정도

작업물과 작업자간 거리

34

bull 어깨 위 적재

bull 무릎 아래 적재

bull 과도한 힘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저장공정-적재작업

35

bull 폴리에틸렌 재질

bull 당기는 힘 증가

bull 손 팔 등 스트레스 발생

bull 15ℓtimes20개 = 약 30kg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저장공정-적재작업

bull 층 사이 lsquo미끌림시트(Slip sheet)rsquo설치

bull 당기는 힘 감소

미끌림시트(Slip sheet)

36

작업대 높이

작업대 높이 권장기준

37

bull 낮은 작업대 높이

bull 부자연스런 자세로 인해 요통 등근골격계 질환 위험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농수산물-농산소분작업

bull 높이 조절 가능 작업대

bull 극단치 설계 (95tile)

bull 키 작은 사람 발판 제공

38

bull 높이가 다른 작업

bull 근골격계 질환 위험이 크므로곧 개선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조리-포장작업

bull 작업대와 작업기기 높이 고려

39

정상middot최대 작업영역

정상 작업영역

bull 25cm 이내

bull 번번한 작업

최대 작업영역

bull 50cm 이내

bull 최대 팔 뻗침 영역 이내

정상 작업영역 최대 작업영역

40

bull 먼 위치의 작업역

bull 부자연스러운 자세

bull 과도한 뻗침

bull 반복작업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일반상품-진열작업

bull 진열대 앞 적재 금지

bull 대차 일체형 보관

및 진열

41

작업설비 도구

42

개선 대책

운반카트

bull 운반 전용 카트 이용

bull 수직형 손잡이 높이92cm

bull 대차 높이 140cm 미만 직경20cm

43

기타 개선사례

bull 반복 작업

bull 접촉 스트레스

bull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포장-포장작업

bull 기기와 작업대 폭을 같게

bull 기기의 날카로운 끝부분에

쿠션 설치 고려

44

  • 슬라이드 번호 1
  • 슬라이드 번호 2
  • 슬라이드 번호 3
  • 슬라이드 번호 4
  • 슬라이드 번호 5
  • 슬라이드 번호 6
  • 슬라이드 번호 7
  • 슬라이드 번호 8
  • 슬라이드 번호 9
  • 슬라이드 번호 10
  • 슬라이드 번호 11
  • 슬라이드 번호 12
  • 슬라이드 번호 13
  • 슬라이드 번호 14
  • 슬라이드 번호 15
  • 슬라이드 번호 16
  • 슬라이드 번호 17
  • 슬라이드 번호 18
  • 슬라이드 번호 19
  • 슬라이드 번호 20
  • 슬라이드 번호 21
  • 슬라이드 번호 22
  • 슬라이드 번호 23
  • 슬라이드 번호 24
  • 슬라이드 번호 25
  • 슬라이드 번호 26
  • 슬라이드 번호 27
  • 슬라이드 번호 28
  • 슬라이드 번호 29
  • 슬라이드 번호 30
  • 슬라이드 번호 31
  • 슬라이드 번호 32
  • 슬라이드 번호 33
  • 슬라이드 번호 34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37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40
  • 사례1
  • 슬라이드 번호 42
  • 슬라이드 번호 43
  • 슬라이드 번호 44
Page 35: 도소매산업 재해예방 ppt

bull 어깨 위 적재

bull 무릎 아래 적재

bull 과도한 힘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저장공정-적재작업

35

bull 폴리에틸렌 재질

bull 당기는 힘 증가

bull 손 팔 등 스트레스 발생

bull 15ℓtimes20개 = 약 30kg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저장공정-적재작업

bull 층 사이 lsquo미끌림시트(Slip sheet)rsquo설치

bull 당기는 힘 감소

미끌림시트(Slip sheet)

36

작업대 높이

작업대 높이 권장기준

37

bull 낮은 작업대 높이

bull 부자연스런 자세로 인해 요통 등근골격계 질환 위험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농수산물-농산소분작업

bull 높이 조절 가능 작업대

bull 극단치 설계 (95tile)

bull 키 작은 사람 발판 제공

38

bull 높이가 다른 작업

bull 근골격계 질환 위험이 크므로곧 개선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조리-포장작업

bull 작업대와 작업기기 높이 고려

39

정상middot최대 작업영역

정상 작업영역

bull 25cm 이내

bull 번번한 작업

최대 작업영역

bull 50cm 이내

bull 최대 팔 뻗침 영역 이내

정상 작업영역 최대 작업영역

40

bull 먼 위치의 작업역

bull 부자연스러운 자세

bull 과도한 뻗침

bull 반복작업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일반상품-진열작업

bull 진열대 앞 적재 금지

bull 대차 일체형 보관

및 진열

41

작업설비 도구

42

개선 대책

운반카트

bull 운반 전용 카트 이용

bull 수직형 손잡이 높이92cm

bull 대차 높이 140cm 미만 직경20cm

43

기타 개선사례

bull 반복 작업

bull 접촉 스트레스

bull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포장-포장작업

bull 기기와 작업대 폭을 같게

bull 기기의 날카로운 끝부분에

쿠션 설치 고려

44

  • 슬라이드 번호 1
  • 슬라이드 번호 2
  • 슬라이드 번호 3
  • 슬라이드 번호 4
  • 슬라이드 번호 5
  • 슬라이드 번호 6
  • 슬라이드 번호 7
  • 슬라이드 번호 8
  • 슬라이드 번호 9
  • 슬라이드 번호 10
  • 슬라이드 번호 11
  • 슬라이드 번호 12
  • 슬라이드 번호 13
  • 슬라이드 번호 14
  • 슬라이드 번호 15
  • 슬라이드 번호 16
  • 슬라이드 번호 17
  • 슬라이드 번호 18
  • 슬라이드 번호 19
  • 슬라이드 번호 20
  • 슬라이드 번호 21
  • 슬라이드 번호 22
  • 슬라이드 번호 23
  • 슬라이드 번호 24
  • 슬라이드 번호 25
  • 슬라이드 번호 26
  • 슬라이드 번호 27
  • 슬라이드 번호 28
  • 슬라이드 번호 29
  • 슬라이드 번호 30
  • 슬라이드 번호 31
  • 슬라이드 번호 32
  • 슬라이드 번호 33
  • 슬라이드 번호 34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37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40
  • 사례1
  • 슬라이드 번호 42
  • 슬라이드 번호 43
  • 슬라이드 번호 44
Page 36: 도소매산업 재해예방 ppt

bull 폴리에틸렌 재질

bull 당기는 힘 증가

bull 손 팔 등 스트레스 발생

bull 15ℓtimes20개 = 약 30kg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저장공정-적재작업

bull 층 사이 lsquo미끌림시트(Slip sheet)rsquo설치

bull 당기는 힘 감소

미끌림시트(Slip sheet)

36

작업대 높이

작업대 높이 권장기준

37

bull 낮은 작업대 높이

bull 부자연스런 자세로 인해 요통 등근골격계 질환 위험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농수산물-농산소분작업

bull 높이 조절 가능 작업대

bull 극단치 설계 (95tile)

bull 키 작은 사람 발판 제공

38

bull 높이가 다른 작업

bull 근골격계 질환 위험이 크므로곧 개선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조리-포장작업

bull 작업대와 작업기기 높이 고려

39

정상middot최대 작업영역

정상 작업영역

bull 25cm 이내

bull 번번한 작업

최대 작업영역

bull 50cm 이내

bull 최대 팔 뻗침 영역 이내

정상 작업영역 최대 작업영역

40

bull 먼 위치의 작업역

bull 부자연스러운 자세

bull 과도한 뻗침

bull 반복작업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일반상품-진열작업

bull 진열대 앞 적재 금지

bull 대차 일체형 보관

및 진열

41

작업설비 도구

42

개선 대책

운반카트

bull 운반 전용 카트 이용

bull 수직형 손잡이 높이92cm

bull 대차 높이 140cm 미만 직경20cm

43

기타 개선사례

bull 반복 작업

bull 접촉 스트레스

bull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포장-포장작업

bull 기기와 작업대 폭을 같게

bull 기기의 날카로운 끝부분에

쿠션 설치 고려

44

  • 슬라이드 번호 1
  • 슬라이드 번호 2
  • 슬라이드 번호 3
  • 슬라이드 번호 4
  • 슬라이드 번호 5
  • 슬라이드 번호 6
  • 슬라이드 번호 7
  • 슬라이드 번호 8
  • 슬라이드 번호 9
  • 슬라이드 번호 10
  • 슬라이드 번호 11
  • 슬라이드 번호 12
  • 슬라이드 번호 13
  • 슬라이드 번호 14
  • 슬라이드 번호 15
  • 슬라이드 번호 16
  • 슬라이드 번호 17
  • 슬라이드 번호 18
  • 슬라이드 번호 19
  • 슬라이드 번호 20
  • 슬라이드 번호 21
  • 슬라이드 번호 22
  • 슬라이드 번호 23
  • 슬라이드 번호 24
  • 슬라이드 번호 25
  • 슬라이드 번호 26
  • 슬라이드 번호 27
  • 슬라이드 번호 28
  • 슬라이드 번호 29
  • 슬라이드 번호 30
  • 슬라이드 번호 31
  • 슬라이드 번호 32
  • 슬라이드 번호 33
  • 슬라이드 번호 34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37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40
  • 사례1
  • 슬라이드 번호 42
  • 슬라이드 번호 43
  • 슬라이드 번호 44
Page 37: 도소매산업 재해예방 ppt

작업대 높이

작업대 높이 권장기준

37

bull 낮은 작업대 높이

bull 부자연스런 자세로 인해 요통 등근골격계 질환 위험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농수산물-농산소분작업

bull 높이 조절 가능 작업대

bull 극단치 설계 (95tile)

bull 키 작은 사람 발판 제공

38

bull 높이가 다른 작업

bull 근골격계 질환 위험이 크므로곧 개선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조리-포장작업

bull 작업대와 작업기기 높이 고려

39

정상middot최대 작업영역

정상 작업영역

bull 25cm 이내

bull 번번한 작업

최대 작업영역

bull 50cm 이내

bull 최대 팔 뻗침 영역 이내

정상 작업영역 최대 작업영역

40

bull 먼 위치의 작업역

bull 부자연스러운 자세

bull 과도한 뻗침

bull 반복작업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일반상품-진열작업

bull 진열대 앞 적재 금지

bull 대차 일체형 보관

및 진열

41

작업설비 도구

42

개선 대책

운반카트

bull 운반 전용 카트 이용

bull 수직형 손잡이 높이92cm

bull 대차 높이 140cm 미만 직경20cm

43

기타 개선사례

bull 반복 작업

bull 접촉 스트레스

bull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포장-포장작업

bull 기기와 작업대 폭을 같게

bull 기기의 날카로운 끝부분에

쿠션 설치 고려

44

  • 슬라이드 번호 1
  • 슬라이드 번호 2
  • 슬라이드 번호 3
  • 슬라이드 번호 4
  • 슬라이드 번호 5
  • 슬라이드 번호 6
  • 슬라이드 번호 7
  • 슬라이드 번호 8
  • 슬라이드 번호 9
  • 슬라이드 번호 10
  • 슬라이드 번호 11
  • 슬라이드 번호 12
  • 슬라이드 번호 13
  • 슬라이드 번호 14
  • 슬라이드 번호 15
  • 슬라이드 번호 16
  • 슬라이드 번호 17
  • 슬라이드 번호 18
  • 슬라이드 번호 19
  • 슬라이드 번호 20
  • 슬라이드 번호 21
  • 슬라이드 번호 22
  • 슬라이드 번호 23
  • 슬라이드 번호 24
  • 슬라이드 번호 25
  • 슬라이드 번호 26
  • 슬라이드 번호 27
  • 슬라이드 번호 28
  • 슬라이드 번호 29
  • 슬라이드 번호 30
  • 슬라이드 번호 31
  • 슬라이드 번호 32
  • 슬라이드 번호 33
  • 슬라이드 번호 34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37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40
  • 사례1
  • 슬라이드 번호 42
  • 슬라이드 번호 43
  • 슬라이드 번호 44
Page 38: 도소매산업 재해예방 ppt

bull 낮은 작업대 높이

bull 부자연스런 자세로 인해 요통 등근골격계 질환 위험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농수산물-농산소분작업

bull 높이 조절 가능 작업대

bull 극단치 설계 (95tile)

bull 키 작은 사람 발판 제공

38

bull 높이가 다른 작업

bull 근골격계 질환 위험이 크므로곧 개선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조리-포장작업

bull 작업대와 작업기기 높이 고려

39

정상middot최대 작업영역

정상 작업영역

bull 25cm 이내

bull 번번한 작업

최대 작업영역

bull 50cm 이내

bull 최대 팔 뻗침 영역 이내

정상 작업영역 최대 작업영역

40

bull 먼 위치의 작업역

bull 부자연스러운 자세

bull 과도한 뻗침

bull 반복작업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일반상품-진열작업

bull 진열대 앞 적재 금지

bull 대차 일체형 보관

및 진열

41

작업설비 도구

42

개선 대책

운반카트

bull 운반 전용 카트 이용

bull 수직형 손잡이 높이92cm

bull 대차 높이 140cm 미만 직경20cm

43

기타 개선사례

bull 반복 작업

bull 접촉 스트레스

bull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포장-포장작업

bull 기기와 작업대 폭을 같게

bull 기기의 날카로운 끝부분에

쿠션 설치 고려

44

  • 슬라이드 번호 1
  • 슬라이드 번호 2
  • 슬라이드 번호 3
  • 슬라이드 번호 4
  • 슬라이드 번호 5
  • 슬라이드 번호 6
  • 슬라이드 번호 7
  • 슬라이드 번호 8
  • 슬라이드 번호 9
  • 슬라이드 번호 10
  • 슬라이드 번호 11
  • 슬라이드 번호 12
  • 슬라이드 번호 13
  • 슬라이드 번호 14
  • 슬라이드 번호 15
  • 슬라이드 번호 16
  • 슬라이드 번호 17
  • 슬라이드 번호 18
  • 슬라이드 번호 19
  • 슬라이드 번호 20
  • 슬라이드 번호 21
  • 슬라이드 번호 22
  • 슬라이드 번호 23
  • 슬라이드 번호 24
  • 슬라이드 번호 25
  • 슬라이드 번호 26
  • 슬라이드 번호 27
  • 슬라이드 번호 28
  • 슬라이드 번호 29
  • 슬라이드 번호 30
  • 슬라이드 번호 31
  • 슬라이드 번호 32
  • 슬라이드 번호 33
  • 슬라이드 번호 34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37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40
  • 사례1
  • 슬라이드 번호 42
  • 슬라이드 번호 43
  • 슬라이드 번호 44
Page 39: 도소매산업 재해예방 ppt

bull 높이가 다른 작업

bull 근골격계 질환 위험이 크므로곧 개선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2

조리-포장작업

bull 작업대와 작업기기 높이 고려

39

정상middot최대 작업영역

정상 작업영역

bull 25cm 이내

bull 번번한 작업

최대 작업영역

bull 50cm 이내

bull 최대 팔 뻗침 영역 이내

정상 작업영역 최대 작업영역

40

bull 먼 위치의 작업역

bull 부자연스러운 자세

bull 과도한 뻗침

bull 반복작업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일반상품-진열작업

bull 진열대 앞 적재 금지

bull 대차 일체형 보관

및 진열

41

작업설비 도구

42

개선 대책

운반카트

bull 운반 전용 카트 이용

bull 수직형 손잡이 높이92cm

bull 대차 높이 140cm 미만 직경20cm

43

기타 개선사례

bull 반복 작업

bull 접촉 스트레스

bull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포장-포장작업

bull 기기와 작업대 폭을 같게

bull 기기의 날카로운 끝부분에

쿠션 설치 고려

44

  • 슬라이드 번호 1
  • 슬라이드 번호 2
  • 슬라이드 번호 3
  • 슬라이드 번호 4
  • 슬라이드 번호 5
  • 슬라이드 번호 6
  • 슬라이드 번호 7
  • 슬라이드 번호 8
  • 슬라이드 번호 9
  • 슬라이드 번호 10
  • 슬라이드 번호 11
  • 슬라이드 번호 12
  • 슬라이드 번호 13
  • 슬라이드 번호 14
  • 슬라이드 번호 15
  • 슬라이드 번호 16
  • 슬라이드 번호 17
  • 슬라이드 번호 18
  • 슬라이드 번호 19
  • 슬라이드 번호 20
  • 슬라이드 번호 21
  • 슬라이드 번호 22
  • 슬라이드 번호 23
  • 슬라이드 번호 24
  • 슬라이드 번호 25
  • 슬라이드 번호 26
  • 슬라이드 번호 27
  • 슬라이드 번호 28
  • 슬라이드 번호 29
  • 슬라이드 번호 30
  • 슬라이드 번호 31
  • 슬라이드 번호 32
  • 슬라이드 번호 33
  • 슬라이드 번호 34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37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40
  • 사례1
  • 슬라이드 번호 42
  • 슬라이드 번호 43
  • 슬라이드 번호 44
Page 40: 도소매산업 재해예방 ppt

정상middot최대 작업영역

정상 작업영역

bull 25cm 이내

bull 번번한 작업

최대 작업영역

bull 50cm 이내

bull 최대 팔 뻗침 영역 이내

정상 작업영역 최대 작업영역

40

bull 먼 위치의 작업역

bull 부자연스러운 자세

bull 과도한 뻗침

bull 반복작업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일반상품-진열작업

bull 진열대 앞 적재 금지

bull 대차 일체형 보관

및 진열

41

작업설비 도구

42

개선 대책

운반카트

bull 운반 전용 카트 이용

bull 수직형 손잡이 높이92cm

bull 대차 높이 140cm 미만 직경20cm

43

기타 개선사례

bull 반복 작업

bull 접촉 스트레스

bull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포장-포장작업

bull 기기와 작업대 폭을 같게

bull 기기의 날카로운 끝부분에

쿠션 설치 고려

44

  • 슬라이드 번호 1
  • 슬라이드 번호 2
  • 슬라이드 번호 3
  • 슬라이드 번호 4
  • 슬라이드 번호 5
  • 슬라이드 번호 6
  • 슬라이드 번호 7
  • 슬라이드 번호 8
  • 슬라이드 번호 9
  • 슬라이드 번호 10
  • 슬라이드 번호 11
  • 슬라이드 번호 12
  • 슬라이드 번호 13
  • 슬라이드 번호 14
  • 슬라이드 번호 15
  • 슬라이드 번호 16
  • 슬라이드 번호 17
  • 슬라이드 번호 18
  • 슬라이드 번호 19
  • 슬라이드 번호 20
  • 슬라이드 번호 21
  • 슬라이드 번호 22
  • 슬라이드 번호 23
  • 슬라이드 번호 24
  • 슬라이드 번호 25
  • 슬라이드 번호 26
  • 슬라이드 번호 27
  • 슬라이드 번호 28
  • 슬라이드 번호 29
  • 슬라이드 번호 30
  • 슬라이드 번호 31
  • 슬라이드 번호 32
  • 슬라이드 번호 33
  • 슬라이드 번호 34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37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40
  • 사례1
  • 슬라이드 번호 42
  • 슬라이드 번호 43
  • 슬라이드 번호 44
Page 41: 도소매산업 재해예방 ppt

bull 먼 위치의 작업역

bull 부자연스러운 자세

bull 과도한 뻗침

bull 반복작업

개선 대책

위험 요인

사례1

일반상품-진열작업

bull 진열대 앞 적재 금지

bull 대차 일체형 보관

및 진열

41

작업설비 도구

42

개선 대책

운반카트

bull 운반 전용 카트 이용

bull 수직형 손잡이 높이92cm

bull 대차 높이 140cm 미만 직경20cm

43

기타 개선사례

bull 반복 작업

bull 접촉 스트레스

bull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포장-포장작업

bull 기기와 작업대 폭을 같게

bull 기기의 날카로운 끝부분에

쿠션 설치 고려

44

  • 슬라이드 번호 1
  • 슬라이드 번호 2
  • 슬라이드 번호 3
  • 슬라이드 번호 4
  • 슬라이드 번호 5
  • 슬라이드 번호 6
  • 슬라이드 번호 7
  • 슬라이드 번호 8
  • 슬라이드 번호 9
  • 슬라이드 번호 10
  • 슬라이드 번호 11
  • 슬라이드 번호 12
  • 슬라이드 번호 13
  • 슬라이드 번호 14
  • 슬라이드 번호 15
  • 슬라이드 번호 16
  • 슬라이드 번호 17
  • 슬라이드 번호 18
  • 슬라이드 번호 19
  • 슬라이드 번호 20
  • 슬라이드 번호 21
  • 슬라이드 번호 22
  • 슬라이드 번호 23
  • 슬라이드 번호 24
  • 슬라이드 번호 25
  • 슬라이드 번호 26
  • 슬라이드 번호 27
  • 슬라이드 번호 28
  • 슬라이드 번호 29
  • 슬라이드 번호 30
  • 슬라이드 번호 31
  • 슬라이드 번호 32
  • 슬라이드 번호 33
  • 슬라이드 번호 34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37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40
  • 사례1
  • 슬라이드 번호 42
  • 슬라이드 번호 43
  • 슬라이드 번호 44
Page 42: 도소매산업 재해예방 ppt

작업설비 도구

42

개선 대책

운반카트

bull 운반 전용 카트 이용

bull 수직형 손잡이 높이92cm

bull 대차 높이 140cm 미만 직경20cm

43

기타 개선사례

bull 반복 작업

bull 접촉 스트레스

bull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포장-포장작업

bull 기기와 작업대 폭을 같게

bull 기기의 날카로운 끝부분에

쿠션 설치 고려

44

  • 슬라이드 번호 1
  • 슬라이드 번호 2
  • 슬라이드 번호 3
  • 슬라이드 번호 4
  • 슬라이드 번호 5
  • 슬라이드 번호 6
  • 슬라이드 번호 7
  • 슬라이드 번호 8
  • 슬라이드 번호 9
  • 슬라이드 번호 10
  • 슬라이드 번호 11
  • 슬라이드 번호 12
  • 슬라이드 번호 13
  • 슬라이드 번호 14
  • 슬라이드 번호 15
  • 슬라이드 번호 16
  • 슬라이드 번호 17
  • 슬라이드 번호 18
  • 슬라이드 번호 19
  • 슬라이드 번호 20
  • 슬라이드 번호 21
  • 슬라이드 번호 22
  • 슬라이드 번호 23
  • 슬라이드 번호 24
  • 슬라이드 번호 25
  • 슬라이드 번호 26
  • 슬라이드 번호 27
  • 슬라이드 번호 28
  • 슬라이드 번호 29
  • 슬라이드 번호 30
  • 슬라이드 번호 31
  • 슬라이드 번호 32
  • 슬라이드 번호 33
  • 슬라이드 번호 34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37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40
  • 사례1
  • 슬라이드 번호 42
  • 슬라이드 번호 43
  • 슬라이드 번호 44
Page 43: 도소매산업 재해예방 ppt

43

기타 개선사례

bull 반복 작업

bull 접촉 스트레스

bull 지속적 관심 필요

개선 대책

위험 요인

포장-포장작업

bull 기기와 작업대 폭을 같게

bull 기기의 날카로운 끝부분에

쿠션 설치 고려

44

  • 슬라이드 번호 1
  • 슬라이드 번호 2
  • 슬라이드 번호 3
  • 슬라이드 번호 4
  • 슬라이드 번호 5
  • 슬라이드 번호 6
  • 슬라이드 번호 7
  • 슬라이드 번호 8
  • 슬라이드 번호 9
  • 슬라이드 번호 10
  • 슬라이드 번호 11
  • 슬라이드 번호 12
  • 슬라이드 번호 13
  • 슬라이드 번호 14
  • 슬라이드 번호 15
  • 슬라이드 번호 16
  • 슬라이드 번호 17
  • 슬라이드 번호 18
  • 슬라이드 번호 19
  • 슬라이드 번호 20
  • 슬라이드 번호 21
  • 슬라이드 번호 22
  • 슬라이드 번호 23
  • 슬라이드 번호 24
  • 슬라이드 번호 25
  • 슬라이드 번호 26
  • 슬라이드 번호 27
  • 슬라이드 번호 28
  • 슬라이드 번호 29
  • 슬라이드 번호 30
  • 슬라이드 번호 31
  • 슬라이드 번호 32
  • 슬라이드 번호 33
  • 슬라이드 번호 34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37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40
  • 사례1
  • 슬라이드 번호 42
  • 슬라이드 번호 43
  • 슬라이드 번호 44
Page 44: 도소매산업 재해예방 ppt

44

  • 슬라이드 번호 1
  • 슬라이드 번호 2
  • 슬라이드 번호 3
  • 슬라이드 번호 4
  • 슬라이드 번호 5
  • 슬라이드 번호 6
  • 슬라이드 번호 7
  • 슬라이드 번호 8
  • 슬라이드 번호 9
  • 슬라이드 번호 10
  • 슬라이드 번호 11
  • 슬라이드 번호 12
  • 슬라이드 번호 13
  • 슬라이드 번호 14
  • 슬라이드 번호 15
  • 슬라이드 번호 16
  • 슬라이드 번호 17
  • 슬라이드 번호 18
  • 슬라이드 번호 19
  • 슬라이드 번호 20
  • 슬라이드 번호 21
  • 슬라이드 번호 22
  • 슬라이드 번호 23
  • 슬라이드 번호 24
  • 슬라이드 번호 25
  • 슬라이드 번호 26
  • 슬라이드 번호 27
  • 슬라이드 번호 28
  • 슬라이드 번호 29
  • 슬라이드 번호 30
  • 슬라이드 번호 31
  • 슬라이드 번호 32
  • 슬라이드 번호 33
  • 슬라이드 번호 34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37
  • 사례1
  • 사례2
  • 슬라이드 번호 40
  • 사례1
  • 슬라이드 번호 42
  • 슬라이드 번호 43
  • 슬라이드 번호 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