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
한우의 한우의 주요 주요 질병 질병 한우의 한우의 주요 주요 질병 질병 번식관리 번식관리 번식관리 번식관리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한우시험장 수의연구사 고진성 수의연구사 고진성 naekwan naekwan@rda.go.kr @rda.go.kr 033 335 0630 / 010 7742 7582 033-335-0630 / 010-7742-7582

한우의주요질병및 번식관리 - Egloospds14.egloos.com/pds/200902/03/14/a0109514_49871c44cd49b.pdf · 2009. 2. 2. · 4,000 총마리수 500 1,000 ... 1,7801,780 1,5981,598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한우의한우의 주요주요 질병질병 및및한우의한우의 주요주요 질병질병 및및번식관리번식관리번식관리번식관리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한우시험장

    수의연구사 고진성수의연구사 고진성[email protected]@rda.go.kr

    ☎033 335 0630 / 010 7742 7582☎033-335-0630 / 010-7742-7582

  • 목 차목 차

    Ⅰ. 개요

    Ⅱ. 한우의 주요질병진단 및 예방방법

    Ⅲ 소의 번식장애 치료 및 예방대책Ⅲ. 소의 번식장애 치료 및 예방대책

  • ⅠⅠ개요

    최근 5년간 국내•외의 소 질병발생동향

    3

  • 개요

    최근 5년간 국내•외의 소 질병발생동향

    구제역

    2000년-15건, 2002년-16건(돼지와 소)

    특별방역기간 02년 이후 매년 구제역발생이 높은 3 5월특별방역기간- 02년 이후 매년 구제역발생이 높은 3~5월

    강도 높은 국경 및 국내 방역을 추진하여 02년 청정국 지위 회복 후 계속 유지

    현재- 11개국 (레바논, 이스라엘, 중국, 바레인, 에콰도르, 콜롬비

    아, 나이지리아, 잠비아, 모잠비크, 이집트, 르안다)에서 소, 돼지 염소,

    면양 등에서 발생(2008,6,19, OLE자료)

    4

  • 개요

    최근 5년간 국내•외의 소 질병발생동향

    소 해면상뇌증(BSE)

    국내에서는 현재까지 비 발생

    1986년 영국의 소에서 최초 발견1986년 영국의 소에서 최초 발견

    유럽, 일본, 이스라엘, 캐나다, 미국 등으로 확산

    현재- 캐나다, 아일랜드, 영국 등 3개국에서 발생

    국경방역 - BSE관련 제품 수입금지 및 감시강화

    국내검역 - BSE정밀검사 및 임상예찰과 미국 등 BSE 발생국가산 수입소• 생산

    송아지 관리 등을 강화

    5

  • 개요

    최근 5년 여간 국내•외의 소 질병발생동향

    소 부루세라병

    2000년 이후 계속 감소추세

    2003년 5월 이후 - 방역강화대책에 의한 한우검진확대

    2004년 6월 이후 – “부루세라병 검지우 가축시장 거래제”, “특별관2004년 6월 이후 부루세라병 검지우 가축시장 거래제 , 특별관

    리시 • 군에 대한 한우 부루세라병 일제검사”시행

    숨겨져 있던 감염축의 확인으로 크게 증가숨겨져 있던 감염축의 확인으로 크게 증가

    사육농가에 불안 심리와 큰 피해를 가져다 줌

    6

  • 개요

    최근 5년 여간 국내•외의 소 질병발생동향

    기타

    백혈병, 요네병, 아까바네병 및 네오스포라병 등의 질병이 간헐적 및

    지속적인 발생지속적인 발생

    소 사육농가에 적잖은 불안심리와 피해를 가져다 주고 있음

    철저한 우군의 위생관리와 아울러 청정우군 유지를 위해 차단방역 실시

    국외로부터의 유입우려의 질병 차단방역에 혼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국외로부터의 유입우려의 질병 차단방역에 혼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7

  • ⅡⅡ한우의 주요 질병진단 및 예방방법

    1 소의 최근 5년간 사육두수 추이1. 소의 최근 5년간 사육두수 추이

    2. 소의 최근 주요 질병 발생 현황

    3 소의 주요 질병과 예방

    8

    3. 소의 주요 질병과 예방

  • 한우의 주요질병과 예방대책

    1. 소의 최근 5년간 사육두수추이

    '03 '06 '07 '08 증 감

    (단위 : 천마리, 천가구, %)

    구 분

    03 06 07 08 증 감

    12 12 3 6 9 12 3 6전분기

    전년동기

    총마리수 1 999 2 484 2 504 2 635 2 675 2 654 2 691 2 8942 894 203 259

    총마리수 1,999 2,484 2,504 2,635 2,675 2,654 2,691 2,8942,894 203(7.5)

    259(9.8)

    - 한․육우 1,480 2,020 2,043 2,179 2,220 2,201 2,241 2,4482,448 207(9.2)

    269(12.3)

    중한우․그중한우 1,277 1,841 1,871 2,006 2,051 2,034 2,083 2,2762,276 193 (9.3)

    270(13.5)

    ∙가임암소 622 871 890 933 944 941 974 1,0291,029 55 (5.6)

    96(10.3)

    한 • 육우와 젖소의 경우 점차적으로 대규모 및 전업화 농가가 증가

    한 • 육우는 사육두수가 증가하고 있는 반면 젖소는 감소하고 있는 추세

    9

  • 한우의 주요질병과 예방대책

    1. 소의 최근 5년간 사육두수추이

    (천두,천호) (천원)

    < 한 • 육우 사육동향 및 한우 산지가격 변동추이 >

    2,500

    3,000

    (천두,천 )

    5,000

    6,000

    (천원)

    한우 산지가격

    1,500

    2,000

    3,000

    4,000

    총마리수

    500

    1,000

    1 000

    2,000

    가임암소

    0

    500

    '03.12 '04.6 12 '05.6 12 '06.6 12 '07.6 12 '08.6

    0

    1,000

    사육가구수

    10

  • 한우의 주요질병과 예방대책

    2. 소의 최근 주요 질병발생현황

    < 주요 법정 전염병 발생현황 >(AIMS : 가축전염병 발생자료 관리시스템, 신규발생기준, 단위 : 건수)

    구분 '01년 '02년 '03년 '04년 '05년 '06년 '07년 ‘08년 4월

    결핵병 138 176 169 135 165 115 174 52

    기종저 14 8 8 5 9 4 5 2

    ( S 가축전염병 발생자 관리시 템, 신규발생기준, 단위 건수)

    기종저 14 8 8 5 9 4 5 2

    부루세라병 131 110 172 711 2,590 4,498 2,333 569

    소 류코시스 2 11 9 20 123 56 60 47

    발생증가질병 – 소 부루세라병, 소 류코시스• 소 부루세라병 – “검사증명서 휴대제” 시행과 일제 검사로 크게 증가

    • 소 백혈병 – ’05년 가축혈청검사 사업에 포함되어 ’06년 증가 후 감소추세

    감소질병 - 요네병, 기종저 및 아까바네병

    11

  • 한우의 주요질병과 예방대책

    2. 소의 최근 주요 질병발생현황

    < 소 주요 질병의 병성감정내역(법정가축전염병 제외, 연도별 >

    질병명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4월질병명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4월

    Mastitis(Mastitis(유방염유방염)) 1,7801,780 1,5981,598 1,1441,144 860860 765765 457457 500500 125125

    Colibacillosis(대장균성 설사병) 160 175 160 143 155 138 237 29

    Calf Diarrhoea(송아지 디프테리아) 15 51 54 53 26 37 22 6

    Coccidiosis(Coccidiosis(콕시듐증콕시듐증)) 4646 5757 4747 4747 4747 9090 126126 3434

    BVD(BVD(소소 바이러스설사병바이러스설사병)) 1818 2828 3434 3232 4747 2020 116116 3737

    BRV(rotavirus, (BRV(rotavirus, (소소 로타바이러스감염증로타바이러스감염증)) 2121 2323 1010 7373 1919 2727 7070 3737

    Neosporosis(네오스포라병) 20 24 29 38 30 35 48 14Neosporosis(네오스포라병) 20 24 29 38 30 35 48 14

    Enterotoxemia(장독혈증) 7 14 15 25 16 17 16 7

    P. Pneumonia(파스튜렐라병) 36 18 16 12 31 18 9 5

    Winter dysentery(BCV, 동적리) 101 57 19 3 6 6 5 0

    Theileriosis(타이레리아병) 31 15 19 6 16 2 3 0

    Coronaviral infection(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35 19 24 25 38 34 33 13

    Salmonellosis(살모넬라감염증) 10 11 18 12 16 10 20 2

    12

    Broncopneumonia(기관지폐렴) 32 17 11 3 1 - 1 0

  • 한우의 주요질병과 예방대책

    3. 소의 주요 질병과 예방

    가. 송아지 설사병

    (1) 대장균성 설사병

    (가) 감염경로, 발생 및 원인

    장독소를 생산하는 병원성 대장균이 주로 경구감염이나 배꼽으로 이루어짐- 장독소를 생산하는 병원성 대장균이 주로 경구감염이나, 배꼽으로 이루어짐

    - 큰 목장에서 집단으로 사육시 주로 1~2주 이내의 어린 송아지에 주로 발병

    - 하얀 똥의 심한 설사와 폐사되거나 발육장애를 유발

    송아지에 첫젖 섭취량이 부족 비위생적인 사양관리 우사 내가 춥고 습도가- 송아지에 첫젖 섭취량이 부족, 비위생적인 사양관리, 우사 내가 춥고 습도가

    높을 시, 빈혈, 과식 등도 설사를 일으키는 유인

    (나) 증상원기와 식욕이 없고 악취 및 산취가 나는 황색 또는 회백색의 수양성 똥- 원기와 식욕이 없고 악취 및 산취가 나는 황색 또는 회백색의 수양성 똥

    - 심한 설사시 탈수와 전해질이상으로 영양상태 악화 후 패혈증으로 폐사

    13

  • 한우의 주요질병과 예방대책

    3. 소의 주요 질병과 예방

    가. 송아지 설사병

    (2) 대장균성 설사병 – 전염성 설사병 백리라고 불림(2) 대장균성 설사병 전염성 설사병, 백리라고 불림(가) 바이러스 저항성 및 발생

    - 로타바이러스성 설사병 >> 생후 12시간 ~ 5일령

    - 코로나바이러스성 설사병 >> 생후 5~10일령 송아지에 감수성이 높음- 코로나바이러스성 설사병 >> 생후 5~10일령 송아지에 감수성이 높음

    - 분병 중에는 다량의 바이러스 포함, 비교적 오랫동안 배설되며 저항성이

    강하기 때문에 감염이 쉽게 확산

    - 축사내 송아지에서 폐렴 등 호흡기 질병과 복합되어 발병율이 높음축사내 송아지에서 폐렴 등 호흡기 질병과 복합되어 발병율이 높음

    (나) 증상- 경증 >> 정상변 보다 연변상태

    - 중증 >> 초기에 침울, 식욕감퇴, 악취성, 수양성, 포말성의 심한 회색, 항색중증 >> 초기에 침울, 식욕감퇴, 악취성, 수양성, 포말성의 심한 회색, 항색

    의 설사

    - 피모거칠, 안구함몰, 삭척해지고 심급성의 경우 설사가 일어나기 전에 폐사

    - 대부분의 경우 설사 시작 후 2 ~ 3일 후에 폐사

    14

  • 한우의 주요질병과 예방대책

    3. 소의 주요 질병과 예방

    가. 송아지 설사병(3) 치료 및 예방관리

    - 감염된 송아지는 격리하고 감수성이 높은 항생물질을 2 ~ 3일간 연속 투여

    - 외관상 건강한 동거 송아지도 같이 치료를 실시

    - 탈수증상이 심한 경우는 체액 및 전해질의 불균형을 조정하기 위해 영양제 등탈수증상이 심한 경우는 체액 및 전해질의 불균형을 정하기 위해 영양제 등

    을 보액

    - 초유의 섭취 및 위생환경의 개선과 스트레스 요인을 줄여 줌

    - 출생 후 12 ~ 20시간 이내에 많은 초유를 먹여 모자면역을 조기에 형성 시킴출생 후 0시간 이내에 많은 유를 먹여 자면역을 기에 형성 시킴

    (4) 예방접종

    - 초유섭취전의 송아지에 경구 접종하면 2 ~ 3일 후부터는 면역이 되는 생균백신과

    임신말기의 모우에 4 ~ 6주전 1차 2 ~ 3주전에 2차접종하여 유즙면역에 의해 송아임신말기의 모우에 4 6주전 1차, 2 3주전에 2차접종하여 유즙면역에 의해 송아

    지에 면역을 시키는 불활화 즉 사균백신이 사용되고 있음

    15

  • 한우의 주요질병과 예방대책

    3. 소의 주요 질병과 예방

    나. 호흡기질병

    (1) 폐렴(1) 폐렴

    (가) 원인

    - 바이러스, 세균의 침입이나 이물의 흡입으로 발생

    (나) 증상(나) 증상- 빠르고 얕은 호흡과 고열, 심한 기침, 식욕감퇴, 변비, 개구호흡, 이상호흡음

    - 초기 >> 마른기침, 비공으로 수양성콧물이 나옴

    - 후기 >> 고름양으로 끈적끈적한 콧물이 나옴후기 >> 고름양으로 끈적끈적한 콧물이 나옴

    * 이물성 폐염 - 약을 입으로 먹일 경우나 송아지에 인공포유를 잘못하였을때

    일어남

    (다) 치료 및 예방관리(다) 치료 및 예방관리

    - 항상 조기 발견이 중요, 따뜻한 환경하에서 사육하고 충분한 안정과 보살핌

    이 필요, 항생제, 항히스타민제재 및 거담제 등을 사용하여 치료실시

    16

  • 한우의 주요질병과 예방대책

    3. 소의 주요 질병과 예방

    다. 전염성비기관염(가) 원인 및 감염경로(가) 원인 및 감염경로

    - 전염성비기관염바이러스에 의해 발병, 접촉, 공기 및 오염사료와 물의 의해 전염

    (나) 증상

    호흡기계의 급성염증과 괴사가 특징- 호흡기계의 급성염증과 괴사가 특징

    ① 호흡기형 – 고열, 기침, 콧물② 음문질염 – 외음부의 발적, 종창 및 농포형성③ 생식기형 귀두 음경 포피 등에 종창과 농포형성③ 생식기형 – 귀두, 음경, 포피 등에 종창과 농포형성④ 안형 – 안검의 부종과 눈물을 수반⑤ 뇌염형 – 생후 6개월 이하의 송아지에 뇌염을 일으켜 신경증세, 급사

    (다) 예방관리(다) 예방관리

    - 정기적 예방접종, 환경스트레스요인을 줄여줌

    17

  • 한우의 주요질병과 예방대책

    3. 소의 주요 질병과 예방

    라. 창상성심낭염

    임신말기 분만전 후에 임신자궁의 증대와 분만통에 의한 복압으로 제- 임신말기, 분만전 후에 임신자궁의 증대와 분만통에 의한 복압으로 제

    2위를 압박함으로서 많이 발생

    - 심장의 박동이 강해져서 경정맥이 노장되고 아래턱, 가슴, 배아래, 사

    지 끝에 차가운 부종이 생기며 약간의 미열과 경정맥박동의 증가 및

    맥박의 증가

    - 운동기피, 경사진 비탈길을 걸어 내려오게 하면 고개를 길게 늘어뜨리운동기피, 경사진 비탈길을 걸어 내려오게 하면 고개를 길게 늘어뜨리

    고 등을 구부리고 몹시 고통스런 표정을 지으며 신음함

    18

  • 한우의 주요질병과 예방대책

    3. 소의 주요 질병과 예방

    마. 뇨결석증

    - 방광 요도 내 혼재한 이물이나 응고물 등에 각종 염류가 응결하는 것방광, 요도 내 혼재한 이물이나 응고물 등에 각종 염류가 응결하는 것

    - 농후사료위주로 사육하거나 과다급여로 인한 과산증으로 주로 발생

    - 어려서 거세하면 발병율이 높다.어려서 거세하면 발병율이 높다.

    - 음수량이 적어지고 기후의 변화가 심한 가을과 겨울철에 많이 발생

    - 요도의 폐쇄가 지속되면 산통증상을 일으킴요도의 폐쇄가 지속되면 산통증상을 일으킴

    - 요도의 완전폐쇄가 48 ~ 72시간 지속되면 요도나 방광이 파열되어

    요독증을 일으킴

    - 염화암모니움을 35 ~ 50g을 사료에 참가하여 오줌의 산도를 높이고

    요석의 발생을 감소 시킬 수 있음

    19

  • 한우의 주요질병과 예방대책

    3. 소의 주요 질병과 예방

    바. 방광염- 세균 등이 방광 내에 감염 및 염증을 일으켜 배뇨장애로 오줌이 농축되어 발생세균 등이 방광 내에 감염 및 염증을 일으켜 배뇨장애로 오줌이 농축되어 발생

    - 배뇨시의 자세는 등을 심하게 구부리고 배뇨의 곤란과 오줌을 자주 누고 색깔

    이 혼탁하고 때로는 혈액이 섞인 뇨도 배출

    - 감수성이 높은 항생제와 설파제등을 주사

    사. 과립성질염처녀우 또는 경산우의 약 10 90%에서 발생 자연 교배시에 많이 발생- 처녀우 또는 경산우의 약 10 ~ 90%에서 발생, 자연 교배시에 많이 발생

    - 바이러스 및 세균의 감염에 기인

    - 질점막이 발적, 회백색 좁쌀알만한 크기(약 1 ~2mm)의 농포가 형성도고 농이

    섞인 점액이 배출되고 오줌누는 횟수가 늘어나고 배뇨시 등을 구부리는 자세

    - 저 자극성 소독액으로 세척후 페니실린이나 스트렙토마이신같은 항생물질과

    설파제연고를 3 4회 간격으로 2 3회 도포

    20

    설파제연고를 3 ~ 4회 간격으로 2 ~ 3회 도포

  • 한우의 주요질병과 예방대책

    3. 소의 주요 질병과 예방

    아. 산욕열- 분만 후 질병으로 조기 발견 못하면 치료가 곤란분만 후 질병으로 조기 발견 못하면 치료가 곤란

    - 산도내 상처에 세균이 침입하여 분만 후 4 ~ 5일경 체온이 41℃이상으로 상승

    - 위생적 분만과 자궁과 산도를 소독하고 항생물질, 해열제, 강심제 등을 주사

    자. 소 바이러스성 설사병(BVD)- 감염양식 및 발병 기서에 따라 무증상감염, 지속감염, 점막병, 급성병, 자구내

    감염 등으로 분류감염 등으로 분류

    - 젖소의 경우 일시적으로 유량이 감소

    - 감염 후 4 ~ 5일부터 2주간 이상 바이러스혈증이 된다.(원기소실, 식욕감퇴, 호

    흡촉박, 눈꼽 등이 관찰)

    - 감염우는 바이러스에 대한 특이항체를 산생 >> 일생(생애) 면역 획득

    21

  • 한우의 주요질병과 예방대책

    3. 소의 주요 질병과 예방

    차. 전염성질병(법정전염병)(가) 전염성질병(법정전염병)(가) 전염성질병(법정전염병)

    구 분 전 염 성 질 병 명 비 고

    제 1종우역, 우폐역, 구제역, 가성우역, 불루텅병, 럼프스킨병, 리프트계곡열, 양두 수포성 구내염 아프리카마역 아프리카 돼지콜레라 돼지열병 돼지

    기타 이에 준하는 질병으로서농림부령이 정하는 가축전염

    가축전염병두, 수포성 구내염, 아프리카마역, 아프리카 돼지콜레라, 돼지열병, 돼지수포병, 뉴캣슬병, 고병원성가금인플루엔자(15종)

    농림부령이 정하는 가축전염성 질병

    제 2종

    탄저, 기종저, 브루셀라병, 결핵병, 소해면상뇌증(광우병), 요네병, 소 유행열, 소 아까바네병, 큐열, 비저, 말 전염성빈혈, 말 전염성동맥염, 돼지텟센병 부저병 구역 돼지 오제스키병 돼지 일본뇌염 스크래피 말 전염성자

    기타 이에 준하는 질병으로서제 2종

    가축전염병병, 부저병, 구역, 돼지 오제스키병, 돼지 일본뇌염, 스크래피, 말 전염성자궁염, 동부말뇌염, 서부말뇌염, 베네주엘라말뇌염, 광견병, 추백리, 가금티푸스, 가금 콜레라, 닭마이코플라즈마병, 저병원성가금인플루엔자, 사슴만성소모성질병(29종)

    기타 이에 준하는 질병으로서농림부령이 정하는 가축전염성 질병

    제 3종가축전염병

    소유행열, 소아까바네병, 닭마이코플라즈마병, 저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부저병, 소 전염성 비기관염(전염성비기관염), 소 류코시스(Leukosis, 지방병성 소 류코시스), 소 렙토스피라병(Leptospirosis), 돼지전염성위장염, 돼지단독,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 돼지 유행성설사, 돼지 위축성비염 닭뇌척수염 닭전염성후두기관염 닭전염성기관지염 마렉병

    기타 이에 준하는 질병으로서농림부령이 정하는 가축전염성 질병

    22

    비염, 닭뇌척수염, 닭전염성후두기관염, 닭전염성기관지염, 마렉병(Marek‘s disease), 닭전염성F낭병(18종)

  • 한우의 주요질병과 예방대책

    3. 소의 주요 질병과 예방

    차. 전염성질병(법정전염병)

    (나) 요네병(John’s disease 파라결핵병)(나) 요네병(John s disease, 파라결핵병)

    - 소, 면양, 산양, 때로는 야생반추수가 파라 결핵균의 감염으로 만성적이고 지속

    적인 설사와 심한 수척, 장점막의 비후, 추벽 형성 등을 보이는 만성 전염병적인 설사와 심한 수척, 장점막의 비후, 추벽 형성 등을 이는 만성 전염병

    (다) 아까바네병

    - 모기, 겨모기에 의해 매개하여 소의 번식장애를 일이 키는 바이러스성 질병

    - 조산, 유, 사산과 선천성의 관절만곡증, 두골의 변형, 척추의 S자 만곡, 대뇌결

    손 송아지 등 체형이상을 일으키는 기형태아 등을 분만

    발육불량 포유력 불량 기립불능 등 기립부전 등의 허약송아지 기타 맹목 눈- 발육불량, 포유력 불량, 기립불능 등 기립부전 등의 허약송아지, 기타 맹목, 눈

    의 이상, 혀 및 인후두마비에 의한 호흡곤란이나 연하장애 등을 나타내는 기능

    장애우가 보이는 것이 특징

    23

    장애우가 보이는 것이 특징

  • 한우의 주요질병과 예방대책

    3. 소의 주요 질병과 예방

    차. 전염성질병(법정전염병)

    (라) 네오스포라병(라) 네오스포라병

    ① 원인 및 발생

    • 원충의 일종인 네오스포라에 의해 감염

    • 제 1감염경로 – 우사 내•외에 사육하고 있는 개

    • 제 2감염경로 – 감염우의 태반을 통해 모자감염

    ② 증상 및 특징

    • 유산과 기형송아지 분만

    • 면역글로부린이 증가하여도 원충살멸효과가 없기 때문에 다음 분만 때도 계속• 면역글로부린이 증가하여도 원충살멸효과가 없기 때문에 다음 분만 때도 계속

    유산을 일으키며 태반을 통하여 감염되기 때문에 동일한 가계의 소가 몇 세대에

    걸쳐 유산

    24

  • 한우의 주요질병과 예방대책

    3. 소의 주요 질병과 예방

    차. 전염성질병(법정전염병)

    (라) 네오스포라병(라) 네오스포라병

    ③ 예방관리

    • 발생하고 있는 지역이나 농장에서 소를 구입하지

    않아야 한다.

    • 유산이 발생한 소는 타 지역으로 반출하는 것을

    금지

    • 유산 태아, 미이라 변성 태아, 후산, 송아지의 사

    체 등을 개나 다른 동물이 먹지 않게 매몰체 등을 개나 다른 동물이 먹지 않게 매몰

    • 숙주로 있는 개를 우사 내로 절대로 들여보내서

    는 안된다.

    25

  • 한우의 주요질병과 예방대책

    3. 소의 주요 질병과 예방

    카. 링윔(버짐)- 소에 감염되는 곰팡이에 의한 피부병소에 감염되는 곰팡이에 의한 피부병

    - 눈, 귀, 미근부위 등의 피부에 털이 부스러지고 비늘이 생기고 소양증이 특징

    - 병에 걸리면 격리, 환부의 피부를 빗이나 솔로 긁어낸 후 강옥도나 살리실산을

    알코올에 1 : 1 비율로 3일 간격으로 발라주거나 데푼지트를 발라준다.

    타. 소금중독- 일시에 2 ~ 2 5kg의 소금을 먹으면 일으킴일시에 2 2.5kg의 소금을 먹으면 일으킴

    - 소금섭취가 부족한 소가 갑자기 많은 양의 소금을 먹었을 때 흔히 발생

    - 구토 및 식욕부진, 마비와 함께 복통, 설사 등을 보임

    - 갈증과 탈수증세로 적절한 치유가 안될 시 24시간 이내에 폐사

    - 식물성유(들기름, 콩기름 등)를 2 ~ 3L을 먹여 위 내용물을 배설시키고, 포도당

    과 강심제를 주사

    26

    과 강심제를 주사

  • 한우의 주요질병과 예방대책

    3. 소의 주요 질병과 예방

    파. 송아지의 콕시듐병( Coccidiosis in Calves)- 주로 포유기나 이유직후의 어린 소에서 발생주 유기나 이유직후의 어린 에서 발생

    - 장점막의 상피세포 파괴로 인한 급성출혈성설사, 빈혈을 주 증상으로 하는 질병

    - 만성의 경우 성장지연과 생산성의 저하

    (가) 원인 및 발생(가) 원인 및 발생

    - 밀집사육에 기인한 비위생적인 환경 때문에 젖소에서 더 많이 발병하는 경향

    - 중간숙주 없이 오시스트의 경구감염에 의해서만이 동물에 전파

    - 주로 1주령 이상의 송아지에서 발생

    - 연중 특정한 시기에 발병하며, 이유 후나 동절기에 한 우사 내에 사육 시에 발병

    (나) 증상

    - 감염 후 약 2주일에 갑작스런 악취성의 설사를 하는 것이 특징(Eimeria의 종류에

    따라서 설사를 하는 않은 예도 있음)

    - 설사변에 혈액과 점액이 혼재되며 반복하여 배변 노책을 하는 증상

    27

    설사변에 혈액과 점액이 혼재되며 반복하여 배변 노책을 하는 증상

  • 한우의 주요질병과 예방대책

    3. 소의 주요 질병과 예방

    파. 송아지의 콕시듐병( Coccidiosis in Calves)

    소의 콕시듐병에 보이는 혈변(Eimeria zuernii감염)

    중증예의 점혈변

    28

  • 한우의 주요질병과 예방대책

    3. 소의 주요 질병과 예방

    파. 송아지의 콕시듐병( Coccidiosis in Calves)

    (다) 진단

    - 임상적으로 출혈성설사가 가장 큰 특징

    - 설사변에 출혈이 섞이지 않을 때가 있기

    때문에 oocyst를 검출

    Eimeria zuernii감염소의혈변의 도말(merozoite)

    29

  • 한우의 주요질병과 예방대책

    3. 소의 주요 질병과 예방

    파. 송아지의 콕시듐병( Coccidiosis in Calves)

    (라) 치료(라) 치료

    - 설파디민딘(설파메타진 : sulfamethazine)과 sulfaquinoxaline

    - sulfadimedoxine

    - 암프로리움(amprolium)

    (마) 예방(마) 예방

    - 송아지를 이동축사에 격리사육

    - 매주 깨끗한 곳으로 장소를 바꾸어 주되 최소한 6개월간은 같은 장소로 되돌

    아오지 않게 함아오지 않게 함

    - 축사 및 운동장은 끓는 물에 탄 3% cresol soap solution이나 또는 2%

    sodium hydroxide solution으로 소독하거나 또는 화염소독

    30

  • 한우의 주요질병과 예방대책

    3. 소의 주요 질병과 예방

    하. 소의 예방접종프로그램(예시)전 염 병 명 접 종 대 상 접 종 시 기 접종방법 비 고전 염 병 명 접 종 대 상 접 종 시 기 접종방법 비 고

    탄저+기종저탄저+기종저 ․6개월령 이상․매년 봄철 방목전 1회 추가접종

    ․매년 4월 피하주사

    전염성전염성 비기관염+비기관염+바이러스성바이러스성 설사+설사+파라인 렌자파라인 렌자

    ․성우

    성 및 자

    ․1차:4월․2차:4월

    차 개월령

    근육주사

    파라인프렌자파라인프렌자 ₃₃ ․육성 및 자우 ․1차:3개월령․2차:4개월령

    송아지송아지 설사병설사병((코로나+로타바이러스+코로나+로타바이러스+

    대장균성설사병대장균성설사병))

    ․성우- 분만전 초임우- 이후 매분만전 어미소

    ․1차:분만 5~6주전․2차:분만 2~3주전․분만 2~3주전

    근육주사 송아지설사병예방

    ※※송아지설사병송아지설사병((코로나+로타바이러스코로나+로타바이러스)) ․초유섭취전 ․신생송아지 4㎖구강내 접종

    아까바네병아까바네병 ․성우(1차 기접종우)․임신가능한 소(매년 모기발생이전)

    ․매년3월․1차:3월․2차:4월

    근육주사 생독

    유행열유행열 ․성우(1차기접종우)․12개월령이상성우(매년모기발생이전)

    ․1차:5월․1차:5월․2차:6월

    근육주사☆아까바네와 같이주간격 으로 예방접종

    생독&사독

    호흡기질병호흡기질병 혼합백신혼합백신 ․구입우 ․1차:구입즉시2차:구입후 1개월 이후

    31

    ․2차:구입후 1개월 이후․보강접종 : 6개월 간격

  • ⅢⅢ소의 번식장애 치료 및 예방대책

    32

  • 소의 번식장애의 치료 및 예방대책

    1. 번식장애

    가. 후리마틴(Freemartin)- 이성상태로 분만되어 숫컷과의 사이에서 혈액의 교환이 이뤄져 생식이성상태로 분만되어 숫컷과의 사이에서 혈액의 교환이 이뤄져 생식

    기 이상을 가지는 것

    (1) 증상

    - 생후 1년이 경과하여도 발정주기를 나타내지 않음

    - 유두와 유방이 매우 작다, 외부모습은 거세우와 비슷

    (2) 진단

    - 생후 7 ~ 14개월령시에 직장검사로서 질, 자궁경관, 자궁 및 성선의 현저한

    발육억제로 가능발육억제로 가능

    - 1.0 ~ 1,3cm의 시험관이나 초자로 만든 질경을 질내삽입시 7 ~ 8cm 1/3밖

    에 들어가지 못하나 정상적인 소는 12 ~ 18cm정도

    33

  • 소의 번식장애의 치료 및 예방대책

    1. 번식장애

    나. 후천이상

    분만이나 난산 또는 인공수정 및 자궁이나 난소처치의 실수로 인한- 분만이나 난산, 또는 인공수정 및 자궁이나 난소처치의 실수로 인한

    난소, 난관, 자궁, 자궁경관, 질 등에 손상, 유착, 협착 ~ 폐색이 일어날

    수가 있다.

    - 자궁이나 복막의 염증은 난관에까지 파급되어 난관의 염증, 협착 ~

    폐색이 일어나 난관채나 난소의 유착을 일으킴

    34

  • 소의 번식장애의 치료 및 예방대책

    1. 번식장애

    다. 분만 후 무발정의 원인 및 처치요령- 무발정 분만 후 장기간 발정이 오지 않은 현상(정상 소 : 35일경 첫 발정)무 정 후 장기 정이 지 않 상 정상 경 첫 정

    (1) 원인

    - 임신중의 높은 성호르몬의 농도나 착유자극이 그 원인임신중의 높은 성호르몬의 농도나 착유자극이 그 원인

    임신유지를 위해 장기간에 걸쳐 분비되는 프로게스테론이 뇌의 시상하부나 하수체의 기능을 강하게 억제하고 있기 때문

    35

  • 소의 번식장애의 치료 및 예방대책

    1. 번식장애

    (1) 원인

    - 난소 정지(비교적 높은 비율로 발생), 난소 낭종, 영구황체

    (가) 난소 정지

    - 난소는 어느 정도 발육하고 있으나, 난포를 성숙시키는 에스트로겐을 분비하게 하

    는 작용 있는 황체형성호르몬이 뇌하수체로부터 충분히 분비하지 못하기 때문에는 작용 있는 황체형성 몬이 뇌하수체 부터 충분히 분비하지 못하기 때문에

    난포가 성숙하지 않은 채로 퇴행하는 것

    (나) 난소 낭종

    - 성숙한 난포가 배란되지 않은 채로 남아 점점 커지는 상태

    - 난포낭종 >> 수일간 에스트로겐이 분비되어 발정이 지속되나 난포벽의 세포가 퇴

    36

    행으로 인한 황체화하여 무발정을 나타냄

  • 소의 번식장애의 치료 및 예방대책

    1. 번식장애

    (나) 난소 낭종

    37

  • 소의 번식장애의 치료 및 예방대책

    1. 번식장애

    (나) 난소 낭종

    38

  • 소의 번식장애의 치료 및 예방대책

    1. 번식장애

    (나) 난소 낭종

    (다) 영구 황체(다) 영구 황체- 배란 후 형성된 황체는 발정 후 12~14일에 퇴행하여 다음 발정이

    나타나나 자궁에 이상과 에너지가 부족하게 되면 황체가 퇴행하지않은 채로 남아 무발정이 됨

    39

    않은 채로 남아 무발정이 됨

  • 소의 번식장애의 치료 및 예방대책

    1. 번식장애

    (1) 처치요령처치 령

    (가) 조기발견

    전문 수의사에게 정기검진을 받아 난소의 이상 유무를 체크- 전문 수의사에게 정기검진을 받아 난소의 이상 유무를 체크

    (나) 영양관리에 의한 난소질환의 예방

    (다) 전문수의사에 의한 치료(다) 전문수의사에 의한 치료

    - 난소 정지 >> 영양상태가 좋은 개체에 대해 성선자극방출호르몬의 투여가 권장

    난포 낭종 >> 성선자극방출호르몬 투여- 난포 낭종 >> 성선자극방출호르몬 투여

    - 영구 황체 >> 프로스타그란딘의 투여

    40

  • 소의 번식장애의 치료 및 예방대책

    1. 번식장애

    라. 저 수태우의 발생원인과 처치요령

    인공수정이나 번식기능이 정상인 수소에 의한 자연 종부를 3회 또는 그 이상 실시하여도- 인공수정이나 번식기능이 정상인 수소에 의한 자연 종부를 3회 또는 그 이상 실시하여도

    비수태 되지 않으며, 그 원인이 불명한 소

    (1) 원인(1) 원인

    ① 생식기의 유전적 또는 선천적인 해부학적 결함

    ② 난자, 정자 또는 초기 수정란의 유전적, 선천적 또는 후천적 결함 수정 장애, 조기태

    아사 및 저 수태를 초래

    ③ 생식기의 감염

    조기 태아사에 의한 저수태를 초래a. 조기 태아사에 의한 저수태를 초래

    b. 자궁염, 경관염 및 질염

    c. 소의 전염성 생식기 질병

    41

  • 소의 번식장애의 치료 및 예방대책

    1. 번식장애

    라. 저 수태우의 발생원인과 처치요령

    (1) 원인(1) 원인

    ④ 내분비기능의 이상

    ⑤ 영양불량을 포함하는 사양관리의 부적절

    a. 관리상의 원인 우군의 대규모화와 인공수정

    보급으로 증가

    b. 일반적인 원인 발정관찰 부족으로 수정적기

    분만 후경과일수

    수태율(%)

    자궁

    심부

    61 90 63.7

    >90 65.0

    42

    심부

  • 소의 번식장애의 치료 및 예방대책

    1. 번식장애

    라. 저 수태우의 발생원인과 처치요령

    (2) 발생과 원인

    ① 정상우군의 발생율 : 9.1~11.1% ( 유량이 많은 소, 우군의 규모가 클수록 저

    수태우의 비율 증가

    ② 계절별 : 가을과 겨울(10 2 13 2%) 봄과 여름(7 1 9 4%)② 계절별 : 가을과 겨울(10.2~13.2%), 봄과 여름(7.1~9.4%)

    ③ 연령별 : 초임우(5.2%), 경산우(산차가 증가할수록 발생이 높음 13.3%)

    ★ 수정장애(failure of fertilization) → 비수태성 종모우, 정액의 보존, 취

    급, 인공수정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체크`

    43

  • 소의 번식장애의 치료 및 예방대책

    1. 번식장애

    라. 저 수태우의 발생원인과 처치요령

    (2) 발생과 원인

    ① 조기배아사(early embryonic deaths)

    • 배아기 : 수태에서 임신 45일까지의 시기( 그 이후를 태아기)

    • 조기배아사 : 11~42일 사이에 발생(임신 16일 이후에 일어남)기배아사 일 사이에 발생 임신 일 이후에 일어남

    ② 우군전체에 저 수태우의 비율이 높을 경우 다음 사항을 검토

    • 사용된 정액과 성빈우 종모우의 전염병질병이 이환 유무• 사용된 정액과 성빈우, 종모우의 전염병질병이 이환 유무

    • 발정관찰, 번식기록 및 교배 수정의 실기

    44

  • 소의 번식장애의 치료 및 예방대책

    1. 번식장애

    라. 저 수태우의 발생원인과 처치요령

    (3) 우군에서의 저 수태우의 비율추정과 발생현황(3) 우군에서의 저 수태우의 비율추정과 발생현황

    수정 1회 2회 3회

    수정 1회 2회 3회

    수태율 50% 75% 85~90%

    • 우군의 평균 수태율이 85~95% 이라면 저 수태우는 15~25%의 손실을 추정가능

    • 15% 이상의 저 수태우를 가졌다면 번식에 중대한 문제점

    • 자연종부를 하는 농가는 주기적으로 임신진단을 실시

    45

  • 소의 번식장애의 치료 및 예방대책

    1. 번식장애

    라. 저 수태우의 발생원인과 처치요령

    (4) 치료 및 예방관리

    ① 하절기에 우사는 통풍이 잘되어야 하며, 그늘진 장소에 설치

    ② 충분한 급수와 최소한 섬유질을 함유하는 영양이 풍부한 사료 급여

    ③ 고온스트레스를 감소와 사료섭취를 개선으로 비유를 증가시켜 저 수태우의③ 고온스트레스를 감소와 사료섭취를 개선으로 비유를 증가시켜 저 수태우의

    비율을 감소

    ④ 황체기 발정기의 너무 이른 또는 늦은 시기 분만 후 너무 이른 시기에 수정④ 황체기, 발정기의 너무 이른 또는 늦은 시기, 분만 후 너무 이른 시기에 수정

    하는 것을 지양

    46

  • 소의 번식장애의 치료 및 예방대책

    1. 번식장애

    라. 저 수태우의 발생원인과 처치요령

    (4) 치료 및 예방관리 잠재성 자궁내막염 배란지연 황체발육 불량(4) 치료 및 예방관리 - 잠재성 자궁내막염, 배란지연, 황체발육 불량

    ① 잠재성 자궁내막염

    • 인공 수정하기 전 또는 다음날 12~36시간 안에 자극성이 적은 항생제를 자궁내 주입• 인공 수정하기 전 또는 다음날 12~36시간 안에 자극성이 적은 항생제를 자궁내 주입

    • 다음 발정기에 교배 및 인공 수정하는 즉 휴지기간을 두어 수태율을 증진 하는 방법

    ② 배란지연

    • 매일 주기적으로 반복해서 관찰

    • 수정 후 7~18시간 내에 배란을 유도→수태율을 높임

    ③ 황제발육 불량③ 황제발육 불량

    • 황체기능의 저하에 따른 수정란의 착상장애를 예측하여 수정 후 3~4일 후에 황체호

    르몬의 주사나 수정 후 11~13일에 GnRH제재를 주사하는 방법

    47

  • 소의 번식장애의 치료 및 예방대책

    1. 번식장애

    마. 우군에 적용 가능한 발정동기화 및 계획번식 요령

    가장 널리 이용되는 hormone재

    • PGF₂α- 발정유도와 분만유도

    G RH(성선자극방출호르몬) 배란유도와 난포 낭종 등의 치료• GnRH(성선자극방출호르몬) – 배란유도와 난포 낭종 등의 치료

    이점

    • 번식관리의 성력화

    • 발정발견과 수태율 향상

    • 계획적인 생산

    • 수정란이식 등에의 응용

    48

  • 소의 번식장애의 치료 및 예방대책

    1. 번식장애

    마. 우군에 적용 가능한 발정동기화 및 계획번식 요령

    발정동기화 기술의 조건

    • 처치방법이 간단`

    • 비용이 비교적 적게 든다

    • 처치후 발정이 단기간에 집중

    • 동기화 시킨 발정에서의 수태율이 높다

    49

  • 소의 번식장애의 치료 및 예방대책

    1. 번식장애

    마. 우군에 적용 가능한 발정동기화 및 계획번식 요령

    소기의 번식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계획번식소기의 번식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계획번식

    • 분만 후 65~90일에 수태, 분만간격이 12~13개월이 되도록 노력

    • 특정한 날에 인위적으로 발정을 유도하여, 인공 수정 후에 수태가정 정 , 공 정

    되도록 하는 것

    월 화 수 목 금 토 일

    PGF₂α주사 발정발견, 인공수정

    월 화 수 목 금 토 일

    PGF₂α주사 발정발견 인공수정

    50

    PGF₂α주사 발정발견, 인공수정

  • 소의 번식장애의 치료 및 예방대책

    1. 번식장애

    바. 유산을 일으키는 질병과 위험시기

    (1) 브루셀라병

    • 급성, 열성의 전신질병으로 유, 조산이 일어남, 전염성 유산증이 특징

    • 수컷은 고환염, 부고환염이 생겨서 불임수컷은 고환염, 부고환염이 생겨서 불임

    (2) 캄필로박터병

    • 생식기 전염병으로 수태당 수정회수의 증가를 수반하는 불임증이 특징• 생식기 전염병으로 수태당 수정회수의 증가를 수반하는 불임증이 특징

    • 조기태아사가 많이 관찰, 임신 후기에 유산이 간혹 관찰

    (3) 렙토스피라병(3) 렙토스피라병

    • 임신후반기에서 유산을 많이 일으킴, 야생 및 가축의 많은 종에서 발생

    • 소에서는 증상이 회복후에도 균이 신장에 머물러 약 3개월간 오줌으로 배균

    51

  • 소의 번식장애의 치료 및 예방대책

    1. 번식장애

    바. 유산을 일으키는 질병과 위험시기

    (4) 전염성비기관염

    • 접촉, 공기 및 오염사료와 물에 의해 전염

    • 호흡기계통의 급성염증과 괴사가 특징호흡기계통의 급성염증과 괴사가 특징

    • 호흡기형 – 고열, 기침, 콧물• 음문질염 – 외음부의 발적, 종창 및 농포형성

    생식기형 귀두 음경 포피 등에 종창과 농포형성• 생식기형 – 귀두, 음경, 포피 등에 종창과 농포형성• 안형, 뇌염형 – 안검의 부종과 눈물을 수반

    (5) 소 바이러스성 설사병(5) 소 바이러스성 설사병

    • 성우에서 발열, 원기소실, 식욕감퇴, 설사

    • 임신우에 유산, 조산, 선천이상태아 출생, 드물게 미이라 변성태아가 발생

    52

    임신우에 유산, 산, 선천이상태아 출생, 물게 미이라 변성태아가 발생

  • 소의 번식장애의 치료 및 예방대책

    1. 번식장애

    사. 습관성 및 산발성 유산의 예방요령

    비육우에서는 약 2~3%, 젖소에서는 약 5%로 나타나며 갑자기 보이는 유산을

    말함

    원인 – 염색체의 이상, 내분비이상, 저 영양상태, 비타민 및 광물질부족, 임신우

    의 심한 전신성 질병, 고열질병, 수송 스트레스, 투쟁, 임신우의 복부압박, 넘어

    짐, 타박 등의 물리적인 충격을 가했을 경우, 약물, 유독식물, 화학물질

    습관성 유산 – 태아의 기형 다태 제대염전 등의 태아측의 이상도 유 조 사산습관성 유산 – 태아의 기형, 다태, 제대염전 등의 태아측의 이상도 유, 조, 사산

    의 원인, 임신시 마다 거의 일정한 개월에 유산하는 것

    53

  • 소의 번식장애의 치료 및 예방대책

    1. 번식장애

    사. 습관성 및 산발성 유산의 예방요령

    임신개월령 털 발생부위

    4개월령 눈 주위

    5개월령 입 주위

    6개월령 꼬리 끝 부위

    7개월령 발굽과 뿔이 자라는 부위령

    8개월령 전신에 털이 발생하나 짧고 복부에는 드문드문 나있음

    9개월령 전신에 털이 골고루 발생

    ★ 한우 사육농가는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입수하여 익히는 데 게을리 하여서는 아니 된다 하겠다.

    54

    을리 하여서는 아니 된다 하겠다

  • 감사합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