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W S W

ICTSecure Site  · 2020. 8. 6. · 3 무인기ICT – 무인기 ICT 기셶은무인기원격운용을위한 무인기통솟기셶 , 탐지및회피기셶, 숀전운항데이터보호를위한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1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3

    무인기 ICT– 무인기 ICT 기술은무인기원격운용을위한무인기통신기술, 탐지및회피기술

    , 안전운항데이터보호를위한 ICT 보안기술, 도심및인근지역에서승객또는

    화물을운송하는 UAM(Urban Air Mobility) 생태계관련기술(CNS, 교통관리, 인

    프라등) 등을활용하여안전운항을위한기술로정의

    무인기 ICT 표준화개요

  • 4

    표준화추진체계

  • 5

    중점표준화항목

    중점표준화항목 Target SDOs 표준화특성

    무인기통신

    무인기전용통신표준 ITU-R SG4/SG5, ICAO, RTCA, EUROCAE ⑤

    비면허대역무인기통신표준 ITU-R SG5, ISO TC20 SC16 ⑤

    무인기주파수확보및공유 ITU-R SG4/SG5, APT AWG, ICAO FSMP ②

    저고도무인기전용통신표준 (신규) ICAO, JTC1 SC6, ASTM ⑤

    무인기탐지

    및회피

    국가공역운용탐지및회피표준ITU-R SG5, ISO TC20 SC16, ICAO, RTCA,

    EUROCAE, ASTM ②

    저고도소형무인기탐지및회피표준 ICAO, JTC1 SC6, ISO TC20 SC16 ⑤

    도심항공모빌러티(UAM)

    UAM CNS 표준 ICAO, EUROCAE, ASTM, ISO ①

    UATM 표준EUROCAE WG112, ASTM, RTCA, SAE,

    ISO TC20 SC16 ②

    UAM 인프라표준EUROCAE WG112, ASTM F38, RTCA,

    SAE AE-7D, ISO TC20 SC16 ①

    무인기 ICT보안

    ICT 기반무인기식별모듈및인증표준 JTC1 SC17 ⑤

    무인기식별코드및식별체계표준 ITU-T SG17, 3GPP ⑤

    ① : 개념, 정의표준 ② : 유즈케이스및요구사항표준 ③ : 기능 도출 및 참조구조 표준

    ④ : 데이터포맷, 스키마표준 ⑤ : 프로토콜, 인터페이스표준

  • 6

    버전별표준화항목비교표

  • 7

    국내외표준화정책동향

    국내– 2020.6 한국형도심항공교통민관협의체(UAM Team Korea) 발족

    – 2020.6 한국형도심항공교통(K-UAM) 로드맵발표

    – 2020.5 「드론활용촉진및기반조성에관한법률」발효

    – 2019.10 ’25년 UAM 도입 「드론분야선제적규제혁파로드맵」발표

    – 2019.7 드론실증도시(경기화성, 제주) 사업착수

    – 2019.7 에어택시등미래항공기운영체계로드맵마련기획연구

    – 2018.6 드론규제샌드박스시범사업추진

    미국– 2019.7 미행정부 R&D 우선집행대상으로 eVTOL 인증지정

    – 2018.11 NASA AAM NC (Advanced Air Mobility National Campaign) 1단계착수

    – 2018 FAA는 LAANC(무인기운용자와 FAA 간데이터공유서비스) 서비스제공업체(USS : UAS Service Supplier) 13개업체단계적선정

  • 8

    국내외표준화정책동향

    유럽– 2020.5 EASA, eVTOL 인증규정(SC-VTOL-01)에대한인증적합성입증지침발표

    – 2020.2 EASA 자율비행인공지능로드맵발표

    – 2019.8 UAM 도심실증데모비행 (헬싱키반타공항에서도심간)

    – 2019.7 EASA eVTOL 인증규정(SC-VTOL-01) 제정

    일본– 2019.1 JUTM 비가시권비행실증(@후쿠시마로봇테스트필드)

    – 2018.12 국토교통성, 경제산업성주관 UAM 로드맵발표

    중국– 2020.6 중국항공당국(CAAC) eHANG 승객탑승비행허가

    – 2019.2 중국항공당국(CAAC) 에어택시감항지침발표

  • 9

    국내외표준화기술동향

    국내

    – 무인기통신

    • 5,091~5,150㎒대역의임무용통신모뎀개발하여 2020년비행시험진행중

    • 비면허대역활용소형무인기비가시권운용위한주파수확보필요성제기

    • 비가시권 비행 증가 대비 5,030-5,091㎒ 이외의 국제 조화를 고려한 면허 주파수 추가 확보지속적검토합의 (@ 4차산업혁명위원회제3차해커톤, 2018년 4월)

    – 무인기장애물탐지및회피기술

    • ADS-B+영상센서, VFR 조건에서장애물회피기술비행시험진행중(2020년)

    • 저고도드론충돌회피통신네트워크국제표준개발진행(@ISO/IECJTC1SC6,2020년~)

    – 도심항공모빌리티(UAM)

    • UAM 운용고도특성을고려한신뢰성높은고도별통신, 항법, 감시체계구축필요

    • 도심항공교통관리위해기존의 ATM, UTM과는다른개념의교통관리시스템구축필요

    • 경제적효율성을고려하여첨단기술상용인프라를활용한인프라구축방안연구중

    – 무인기 ICT보안

    • 운용고도특성을고려한신뢰성높은고도별통신, 항법, 감시체계구축필요

    • 무인기식별코드및식별체계표준개발필요

  • 10

    국내외표준화기술동향

    국외– 무인기통신

    • NASA, Rockwell Collins사 공동으로 C대역(5,030~5,091㎒) 기반 통신모듈 2단계 시제품개발완료, Thales사 C대역기반무인기제어용위성통신기술개발및표준화진행중

    • uAvionics는 미국 비면허대역인 900MHz 대역용 드론 전용 통신 모듈 개발. 최대 12마일(19km)의통신거리지원 (송신출력: 1 Watt 기준)

    • (ISO/IEC)JTC1 SC6에한국이제안한저고도드론통신시스템 LADAN 표준개발진행중

    – 무인기탐지및회피기술

    • ICAO RPASP WG3에서 무인기 충돌탐지 및 회피 관련 부속서 개정을 위해 국제표준 권고안(SARPs)을항행위원회(ANC)에서 2022년채택예정

    • ADS-B를대신할저고도무인기 DAA용 ACAS sXu의개념과요구사항제정진행중

    – 도심항공모빌리티(UAM)

    • 통신, 항법, 감시용으로기존에공지된스펙트럼효율개선하는새로운접근법모색중

    • 미국, 유럽, 싱가폴등은개발중인 UTM을확장하여 UAM 교통관리에적용방안연구중

    • 대중교통체계구축위한필요인프라논의가전문가워크숍형태로진행중(2020년~)

    – 무인기 ICT보안

    • Airbus사는 레이더와 적외선 카메라, 방위측정 기술을 접목, 5~10㎞ 내의 드론 식별 및 잠재적위험성평가시스템개발

  • 11

    국내외표준화기술동향

    국외• 20년대 중반 서비스를 목표로 전 세계적으로 전기동력 수직이착륙 개인항공기

    (eVTOL) 개발열풍(‘20.6월기준 300여종개발)

    사업자 주요현황

    Airbus • 2020년 5월 UAM용기체인 City airbus 제자리비행성공

    AirMap • 2019년 9월, 미국 ASTM이제정한 Remote ID 구현및시연성공

    eHANG• 2020년 6월중국항공당국으로부터승객수송비행허가

    • 2020년 3월스페인세비아시와 eHANG 기체도입및운용협약체결

    Joby • 2020년 Uber사 Dallas 시범비행및동년 USAF Agility Prime 비행기체로선언

    Uber

    • 2020년 Texas Dallas에서기존헬리패드및헬리콥터운용루트(skylanes)을이

    용하여시험비행개시(Frisco-Downtown) 및 2023년상용승객운송시작예정

    • 스카이포트설계사로 Corgan 선정및 UAM기체제공사로 Joby 우선선정

    WISK• 보잉사와 kitty Hwaktk 간합작회사로 2020년 2월뉴질랜드에서 CORA 기체

    승객수송비행시험착수

  • ICT 표준화전략맵 ver 2020 초안12

    사업자 주요현황

    Airbus • 2020년 5월 UAM용기체인 City airbus 제자리비행성공

    AirMap • 2019년 9월, 미국 ASTM이제정한 Remote ID 구현및시연성공

    eHANG

    • 2020년 6월중국항공당국으로부터승객수송비행허가• 2020년 3월스페인세비아시와 eHANG 기체도입및운용협약체결

    Joby• 2020년 Uber사 Dallas 시범비행및동년 USAF Agility Prime 비행기체로선언

    Uber

    • 2020년 Texas Dallas에서 기존 헬리패드 및 헬리콥터 운용루트(skylanes)을 이용하여 시험비행 개시(Frisco-Downtown) 및 2023년상용승객운송시작예정

    • 스카이포트 설계사로 Corgan 선정 및 UAM기체 제공사로 Joby 우선선정

    WISK• 보잉사와 kitty Hwaktk 간합작회사로 2020년 2월뉴질랜드에서

    CORA 기체승객수송비행시험착수

  • 13

    국내외표준화현황 –국외

    표준화기구 표준화현황

    ITU-R SG4/5

    • WP5B에서진행중인 FSS 위성주파수에서무인기위성제어용통신활용을위한결

    의 155에대한이행방안및위성링크에대한우주국시스템특성연구및무인기탐

    재회의주파수이용방안표준화연구진행중

    ISO TC20 SC16

    • 무인기시스템의일반적인사양(WG1), 생산품, 운용절차, 무인기시스템분류(WG2),

    무인기관련교육, 면허, 식별모듈표준화 (WG3), 저고도내무인기교통관리시스템

    표준화(WG4), 시험평가(WG5), 무인기서브시스템(WG6) 등진행중

    JTC1

    SC17• 무인기식별모듈과무인기면허증(무인기조종, 운영)과관련하여 IC카드형태의식별

    모듈및면허증식별체계에대한표준개발진행중

    SC6 • 저고도소형무인기탐지및회피를위한통신표준개발중

    ICAO

    • RPAS패널은감항, C2, 충돌회피, 자격, 운항, 항공교통관리, 인적영향등 7개분과별

    표준개발중, ICAO 부속서 10 내에 2권, 3권, 5권(주파수활용부분추가)의일부개정,

    C2링크통신만을다루는 6권을신규제정하는방향추진중. 2020년 7월시행, 2021

    년 11월적용을목표로추진중

    ASTM• 25㎏이하의소형무인기를포함한 150㎏이하무인기에대한산업체합의표준안작

    업이진행중으로한국을포함한 12개국이참여중

  • 14

    국내외표준화현황 - 국외

    표준화기구 표준화현황

    JARUS• 2007년부터무인기감항증명에관한일련의기술기준들을개발하고있으며

    • 2015년부터는산업체이해관계자들이참여하여현재 7개의 WG구성및운영중

    RTCA

    • SC228산하 WG2에서 P2P기반무인기제어용지상통신기술표준화가 2016년중순

    완료되고, 2016년하반기부터네트워크기반무인기제어용지상통신기술및무인

    기제어용 Ka/Ku 대역위성통신기술표준화가진행중

    EUROCAE

    • 저고도소형무인기교통관리(UTM), C3통신링크, 충돌회피(DAA), 설계및감항표준,

    특별운용위험분석(SORA), 무인기자동화(ERA) 등 6개의 Focus 팀운영

    • eVTOL 관련표준개발을위해 WG-112(VTOL) 2019년 6월에신설되었으며, 하이브리

    드추진계통을위한 WG-113도신설됨

    Global UTM

    Association

    • 세계 15개국의참여로 2017년 1월설립된비영리민간협회로서, 3개의 WG으로구성

    (Overall Architecture WG, Data Exchange WG, Registration/ Identification WG )

    3GPP

    • LTE을통해무인기지원을위한 LTE 프로토콜최적화표준화를진행하여 LTE Release

    15 규격에반영

    • Release 16 규격에반영하기위해 UTM 지원을위한무인기식별표준화진행중

  • 15

    국내외표준화현황 - 국내

    표준화기구 표준화현황

    TTA

    PG903

    • (특수통신) 무인비행장치자율운항통신물리계층및데이터링크계층통신기술국내

    표준 2019년 6월제정. 향후무인기간통신및제어용통신상위계층기술표준화진행

    예정. 무인기임무용통신에대한물리계층표준이 2019년도부터진행중

    PG1001• (사물인터넷/스마트시티플랫폼) 사물인터넷기반저고도무인항공기관리및운영시

    스템에대한요구사항, 참조모델, 인터페이스및경량인증절차에대한표준화진행중

    PG428

    • (드론시스템) UTM연동기술, 서비스간연동기술, 지능정보기술플랫폼과드론시스템

    간상호운용성,빅데이터클라우드분석, 스마트시티플랫폼과의인터페이스등드론기

    반지능정보연동기술표준화및표준적합/상호운용/시험평가표준화및국제표준화

    협력진행중

    TU-R SG4/5 연구반,

    한국 WRC 준비단

    • WRC-12및15에서무인기지상제어용통신주파수신규분배및 WRC-15에서무인기

    위성제어용주파수신규분배를위한국내연구수행. 현재무인기 FSS 주파수사용연

    구를진행중이며, 향후무인기제어/임무용신규주파수논의시작예정

    국제무인기포럼• 무인기성능및시험, 무인기시스템과부품, 무인기임무서비스, 무인기통신, 탐지및

    회피등관련기술표준화추진중

    사물인터넷융합포럼• 무인기(드론)에서의키은닉요구사항과무인기기반배달서비스, 감시서비스를위한보안요구사항표준화완료

  • 16

    표준화 SWOT 분석

    국내역량요인

    국외환경요인

    【강점】

    � (시장) 무인기민간활용시장급성장, 국내기업들의 UAM 대규모투자

    � (기술) 항공/자동차기술및다수기업ICT 글로벌경쟁력확보

    � (표준) 특정기술분야표준화선도역량보유및활동증대

    【약점】

    � (시장) 서비스제공자중심의시장준비, 인증체계, 인증경험미흡

    � (기술) 인증기반개발경험부족, 사용자와개발자간소통격차

    � (표준) 개념기술표준화미비, 지속가능한장기표준화활동지원부족

    【기회】

    � (시장) 상업용드론연평균 36.5% 급성장, UAM 신산업생태계형성중

    � (기술) 다양한기체(OPPAV, UAM 등) 로의확장및저가기술솔류션등장

    � (표준) 무인기, UAM 관련제도수립위한국제협력증대, 무인기인증체계개발중

    【SO전략】

    � (시장) 정부주도로초기시장형성하고민간시장활성화로이어지는선순환생태계조성전략도출

    � (기술) ICT 기반기술의활용을통해무인기통신분야신기술선도및오픈소스활용통해기술적변화에신속대응

    � (표준) 무인기국가공역진입추진에따른기술표준화주도및 UAM 초기표준화활동주도적참여

    【WO전략】

    � (시장) 무인기, UAM 중장기개발로드맵수립및국제협력강화통한신속한국제수준제도마련

    � (기술)무인기, UAM 핵심기술개발정책지원및체계적표준기술확보

    � (표준) 무인기 , UAM 관련법, 제도, 기술표준태동에따른적극적대응

    【위협】

    � (시장) 소형무인기시장의중국독점(약 90%)과무인기인증적용에따른시장진입장벽

    � (기술) 무인기범용부품및고부가가치부품의수입의존

    � (표준) 기술표준, 항공교통관제통합규정의선진국주도

    【ST전략】

    � (시장) 무인기, UAM 단계적활용서비스실현통한국민편익증진및사회적수용성확대

    � (기술) 무인기, UAM 관련기술개발집중지원통해글로벌플랫폼개발

    � (표준)무인기, UAM 분야국내기술기준마련및국제표준추진

    【WT전략】

    � (시장)시장확대위한무인기, UAM 인증체계및안전운항제도적장치마련

    � (기술) 무인기, UAM 핵심원천기술및표준기술확보

    � (표준)무인기, UAM 표준활동에대한국가적관심유도및관련표준기술확보

  • 17

    표준화 전략

    초 기

    높음

    국내역량

    표준화과제기획

    보통

    낮음

    진 행

    표준안개발

    완 료

    표준안최종검토표준화과제승인 표준채택

    국제표준화단계

    선도경쟁공략

    추격/협력공략

    지속/확산공략

    전략적수용

    차세대공략

    ○ 선행(선표준화후기술개발), ◑병행(표준화-기술개발병행추진), ● 후행(선기술개발후표준화)

    ◑국가공역운용탐지및회피표준

    ◑저고도소형무인기탐지,회피표준

    ◑무인기전용통신표준

    ◑ ICT 기반무인기식별및인증표준

    ◑무인기주파수확보및공유

    ◑저고도무인기전용통신표준

    ◑비면허대역무인기통신표준

    ◑ UAM(Urban Air Mobility)CNS 표준

    ◑Urban ATM 표준

    ◑ UAM 인프라표준

  • 18

    선도경쟁공략/병행 : 무인기전용통신표준[전략적중요도/국내역량] [표준화대응체계]

    [표준화현황]

    • 국제 표준화 대응방안- (국제표준화기구활동적극대응) ICAO RPAS 패널WG2에서개발중인C2 링크SARPs 국제표준화(2021년완료예정)에적극참여하여국내정책및기술반영(ICAO Annex 10 Vol.6 제정작업참여) 추진

    • 국내 표준화 추진계획- (표준화위원회PG활동)한국 ITU-R연구반및WRC준비단에서는WRC-19후속으로무인기주파수사용에관한연구진행중

    • 표준특허 전략- (표준필수특허설계전략)다수무인기지원무인기제어용통신및네트워크기술에대한국내및국제표준필수특허설계및확보추진필요

    [표준화전략]

    • 국제 표준화 현황 및 전망- WRC-12 및15에서자체중량150㎏초과무인기C2용주파수분배

    -중국, 일본은무인이동체상업적활용위한자국내주파수분배

    • 국내 표준화 현황 및 전망- ICAO RPAS패널에서C2용통신에대한SARPs개발완료(2018)하고세부기술사항개발중

    국내 □과제기획↦□과제승인↦■개발↦□검토↦□표준채택

    국제 □과제기획↦□과제승인↦■개발↦□검토↦□표준채택

    [표준화단계]

  • 19

    차세대공략/병행 : 비면허대역무인기통신표준[전략적중요도/국내역량] [표준화대응체계]

    [표준화현황] [표준화전략]

    국내 ■과제기획↦□과제승인↦□개발↦□검토↦□표준채택

    국제 ■과제기획↦□과제승인↦□개발↦□검토↦□표준채택

    [표준화단계]

    • 국제 표준화 현황 및 전망- ITU-R SG5에서는저고도무인기를위한전용주파수확보연구가진행될것으로예상되며, ISO TC20 SC16에서는전용주파수에서의장거리무인기통신기술표준화진행예상

    • 국내 표준화 현황 및 전망-관련기술개발및국내TTA특수통신PG(PG903)을통한표준화진행예상

    • 국제 표준화 대응방안- (국제표준화기구활동적극대응) ITU-R SG5 및 ISO TC20 SC16 표준화회의에적극참여하여관련기술표준화의필요성을제기하고, 표준화시작추진

    • 국내 표준화 추진계획- (표준화위원회 PG활동) 국내 TTA 특수통신 PG(PG903)에서국제표준화에앞서국내표준개발을추진예정중

    • 표준특허 전략- (표준필수특허설계전략)원천기술개발및핵심기술의 IPR확보로표준화제품및표준문서개발과의일치성을확보하기위해표준특허창출관련프로그램과의협력등으로다수무인기지원무인기제어용통신및네트워크기술에대한국내및국제표준필수특허설계및확보추진필요

  • 20

    차세대공략/병행 : 무인기주파수확보및공유[전략적중요도/국내역량] [표준화대응체계]

    [표준화현황] [표준화전략]

    국내 ■과제기획↦□과제승인↦□개발↦□검토↦□표준채택

    국제 ■과제기획↦□과제승인↦□개발↦□검토↦□표준채택

    [표준화단계]

    • 국제 표준화 현황 및 전망- 무인기-위성링크특성연구및무인기탐지회피주파수이용에대한논의가진행중(ITU-R SG4/5)

    - 셀룰러망이용UAS 스펙트럼이용기술및소형UAS 스펙트럼모니터링기술연구제안(APT AWG)

    • 국내 표준화 현황 및 전망-향후비가시권드론비행증가에대비하여 5,030~

    5,091㎒이외의국제조화를고려한드론용면허주파수추가확보를지속적으로검토

    • 국제 표준화 대응방안- (국제표준화기구활동적극대응) ITU-R SG4 / SG5, APT AWG, ICAO FSMP(Frequency Spectrum Management Panel) 등활동에적극참여하여무인기탐지회피주파수이용표준개발참여및제3지역내소형무인기제어및임무장비용주파수확보추진

    • 국내 표준화 추진계획- (표준화포럼신설)소형무인기제어및임무장비용주파수확보및공유기술표준화포럼신설을통해관련면허주파수국내확보및제3지역국가협력및주파수공유기술표준화추진필요

    • 표준특허 전략- (표준필수특허설계전략)소형무인기주파수자원확보는표준특허와직접적연관이없는사항이나,주변국과의조화로운소형무인기주파수확보를통해표준특허확보기반마련필요

  • 21

    차세대공략/병행 : 저고도무인기전용통신표준[전략적중요도/국내역량] [표준화대응체계]

    [표준화현황] [표준화전략]

    국내 ■과제기획↦□과제승인↦□개발↦□검토↦□표준채택

    국제 □과제기획↦□과제승인↦■개발↦□검토↦□표준채택

    [표준화단계]

    • 국제 표준화 현황 및 전망- JTC1 SC6 에서한국이제안한저고도드론통신네트워크LADAN 국제표준(ISO/IEC 4005)이진행

    • 국내 표준화 현황 및 전망- TTA드론시스템 (PG428)에저고도드론영상및제어용통신표준제안예정

    • 국제 표준화 대응방안- (국제표준화기구활동적극대응) 한국은중국, 영국등의국가와협업으로LADAN 드론통신국제표준을함께개발하고있으며, ASTM에서기술된C2 링크요구사항내용을반영하여 ISO에서제어및비디오통신표준개발진행

    • 국내 표준화 추진계획- (표준화위원회 PG활동) 드론시스템(PG428)에서저고도드론제어및영상표준제안

    • 표준특허 전략- (선출원지위확보를위한긴급출원전략)무인기제어와영상전송을위하여다채널자원을할당하는기술및다른채널의간섭을측정하는기술에대한특허가이미국내에출원되었으며,추가IPR확보를위하여다국가에출원중

  • 22

    차세대공략/병행 : 국가공역운용탐지및회피표준[전략적중요도/국내역량] [표준화대응체계]

    [표준화현황] [표준화전략]

    국내 ■과제기획↦□과제승인↦□개발↦□검토↦□표준채택

    국제 □과제기획↦□과제승인↦■개발↦□검토↦□표준채택

    [표준화단계]

    • 국제 표준화 현황 및 전망- EUROCAE WG-105에서무인기의공역운용안전관련UAS, C3, DAA, SORA, ERA을내용으로하는표준문서를개발중

    • 국내 표준화 현황 및 전망- 2018년국내공항에서 ADS-B 항행감시시스템을구축하고운용중에있으며, 무인기탐지및회피기술표준진행과관련하여 ICAO국제기술표준WG활동동향파악중

    • 국제 표준화 대응방안- (국제표준화기구활동적극대응) Class A~C 공역에서충돌탐지및회피기술표준의초안이제정되고, 단계적으로추가기술표준제정이진행되고있어서 ICAO, RTCA, EUROCAE 등국제표준회의참석을통한적극적인국제표준화활동필요

    - (사실표준화기구활동협력대응) 산․학․연연구개발에의한국내기술개발을통한기술표준안도출과적극적인 WG 활동필요

    • 국내 표준화 추진계획- (연구개발표준화연계개발)지역별무인기시험운용지역지정과표준화정책수립을기반으로무인기탐지및회피기술개발,무인기국가공역진입관련항행감시인프라구축및국제기술표준화활동참여필요

    • 표준특허 전략- (표준필수특허설계전략)기존항공기에적용해온ADS-B협업센서기반의차세대항행감시기술이무인기탐지및회피를위한탐지센서로확대사용이진행중으로영상센서와결합및다양한구축시험을통한표준특허확보추진필요

  • 23

    차세대공략/병행 : 저고도소형무인기탐지및회피표준[전략적중요도/국내역량] [표준화대응체계]

    [표준화현황] [표준화전략]

    국내 □과제기획↦□과제승인↦□개발↦□검토↦■표준채택

    국제 □과제기획↦□과제승인↦■개발↦□검토↦□표준채택

    [표준화단계]

    • 국제 표준화 현황 및 전망- 한국이제안한자율충돌회피주제에대하여ISO TC20 SC16에서충돌회피Ad-hoc 그룹이생성되었으며, 2020년에집중적으로논의되어, 이에대한보고서가제출

    • 국내 표준화 현황 및 전망- TTA드론시스템PG(PG428)에서탐지및회피응용표준이제안될예정

    • 국제 표준화 대응방안- (국제표준화기구활동적극대응) JTC1 SC6 통신분과와TC20 SC16 무인기분과의리에종협업을통해서 ISO에서충돌회피표준진행

    • 국내 표준화 추진계획- (표준화위원회 PG활동) PG428(드론시스템)에서저고도탐지및회피응용표준제안

    • 표준특허 전략- (선출원지위확보를위한긴급출원전략)무인기상호간정보교환을수행하여자율적으로충돌을회피하는기능과장애물표식을인지하는기능을기술하는자율운항용통신표준과관련된기술이이미국내출원되었으며, IPR확보를위하여다국가에출원중

  • 24

    차세대공략/병행 : UAM CNS 표준[전략적중요도/국내역량] [표준화대응체계]

    [표준화현황] [표준화전략]

    국내 ■과제기획↦□과제승인↦□개발↦□검토↦□표준채택

    국제 ■과제기획↦□과제승인↦□개발↦□검토↦□표준채택

    [표준화단계]

    • 국제 표준화 현황 및 전망- UAM은현재태동기상태이나UAM 개념이구체화됨에따라가까운미래에산업표준화기구를중심으로표준화활동예상

    • 국내 표준화 현황 및 전망- 2019년부터시작된국토부/산업부 OPPAV개발사업결과를중심으로TTA내관련PG및스마트시티관련PG등에UAM운용을위한CNS(통신·항법·감시)신규과제제안추진

    • 국제 표준화 대응방안- (국제표준화기구적극참여) UAM CNS 관련표준화를위해미국NASA와협력을구체화하여추진, ISO TC20 등에신규WG 신설을적극추진, 국내OPPAV 사업결과에대한적극적인국제표준기고등산업체와유관기관들의적극적대응전략필요

    • 국내 표준화 추진계획- (연구개발표준화연계개발) UAM도심내운용개념개발에있어국제협력강화차원에서표준화연계연구개발강화필요

    • 표준특허 전략- (다양한실시예를반영한특허확보전략)태동기단계인국제표준화에적극참여하고,국내의다양한실시예(R&D수행결과등)를반영한특허확보전략필요

  • 25

    차세대공략/병행 : UATM 표준[전략적중요도/국내역량] [표준화대응체계]

    [표준화현황] [표준화전략]

    국내 ■과제기획↦□과제승인↦□개발↦□검토↦□표준채택

    국제 ■과제기획↦□과제승인↦□개발↦□검토↦□표준채택

    [표준화단계]

    • 국제 표준화 현황 및 전망- UAM은현재태동기상태이나UAM 개념이구체화됨에따라가까운미래에산업표준화기구를중심으로표준화활동예상

    • 국내 표준화 현황 및 전망- 2019년부터시작된국토부/산업부 OPPAV개발사업결과를중심으로TTA내관련PG및스마트시티관련PG등에UAM운용을위한CNS(통신·항법·감시)신규과제제안추진

    • 국제 표준화 대응방안- (국제표준화기구적극참여) UAM CNS 관련표준화를위해미국NASA와협력을구체화하여추진, ISO TC20 등에신규WG 신설을적극추진, 국내OPPAV 사업결과에대한적극적인국제표준기고등산업체와유관기관들의적극적대응전략필요

    • 국내 표준화 추진계획- (연구개발표준화연계개발) UAM도심내운용개념개발에있어국제협력강화차원에서표준화연계연구개발강화필요

    • 표준특허 전략- (다양한실시예를반영한특허확보전략)태동기단계인국제표준화에적극참여하고,국내의다양한실시예(R&D수행결과등)를반영한특허확보전략필요

  • 26

    차세대공략/병행 : UATM 인프라표준[전략적중요도/국내역량] [표준화대응체계]

    [표준화현황] [표준화전략]

    국내 ■과제기획↦□과제승인↦□개발↦□검토↦□표준채택

    국제 ■과제기획↦□과제승인↦□개발↦□검토↦□표준채택

    [표준화단계]

    • 국제 표준화 현황 및 전망-ASTM International은F38(UAS)를통해 vertiport에대한표준화연구에착수

    -EASA는WG112 SG5 활동을통해eVTOL이착륙장사양과충전인프라에대한표준화추진중

    • 국내 표준화 현황 및 전망- 2020년부터 UAM Team Korea를주축으로해외표준화기구WG활동참여를적극추진하면서국내표준화추진

    • 국제 표준화 대응방안- (국제표준화기구 활동적극대응) UAM 표준작업을위해미국ASTM Int및EUROCAE 해당WG에적극참여하여구체적인협력을추진하고, ISO TC20 등에신규WG 신설을적극추진하고국내OPPAV 사업결과들에대한적극적인국제표준기고등산업체와관련기관들의적극적인대응전략필요

    • 국내 표준화 추진계획- (연구개발표준화연계개발) UAM도심내운용개념개발에있어국제협력강화차원에서표준화연계연구개발강화필요

    • 표준특허 전략- (다양한실시예를반영한특허확보전략)태동기단계인국제표준화에적극참여하고,국내의다양한실시예(R&D수행결과등)를반영한특허확보전략필요

  • 27

    선도경쟁공략/병행 : ICT 시반무인기식별모듈및인증표준[전략적중요도/국내역량] [표준화대응체계]

    [표준화현황] [표준화전략]

    국내 □과제기획↦□과제승인↦■개발↦□검토↦□표준채택

    국제 □과제기획↦□과제승인↦■개발↦□검토↦□표준채택

    [표준화단계]

    • 국제 표준화 현황 및 전망- JTC1 SC17 WG12에서드론식별모듈(DIM) 국제표준(ISO/IEC 22460-2) 에디터수행으로국제표준개발진행

    • 국내 표준화 현황 및 전망-포럼서완성된포럼표준을TTA단체표준으로개발하고,높은완성도를가진 TTA단체표준을국가표준으로추진하는선순환표준개발환경구축

    • 국제 표준화 대응방안- (국제표준화기구의장단수임) 드론식별모듈국제표준화를담당하는 JTC1 SC17 WG12에서해당표준문서인 ISO/IEC 22460-2 에디터확보및적극대응추진

    • 국내 표준화 추진계획- (연구개발표준화연계개발)검증된기술력에기반하여표준화를위해연구개발과표준화를직접적으로연계할수있는신규표준화과제적극추진필요

    • 표준특허 전략- (표준필수특허설계전략)국제표준화에적극참여하고,기술개발경험을토대로표준필수특허확보필요

  • 28

    K-UAM 로드맵및 UAM Team Korea

  • 29

  • 30

  • ICT 표준화전략맵 ver 2020 초안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