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
•• 1. * 2002-072-AM 3 (02). ** 1)

러시아에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s-space.snu.ac.kr/bitstream/10371/88130/1/3. 논문... · 러시아애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러시아에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s-space.snu.ac.kr/bitstream/10371/88130/1/3. 논문... · 러시아애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

러시아에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

엄 순 천 ••

1. 서론

러시아에서 한국문학의 소개는 한국어 소개와 엇비슷하게 19세기말부터 시

작되어 역사적인 매시기마다 굴곡을 거치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1) 러시아

에서 총체적인 동양학의 한 분야로 한국문학이 형성되고 한국문학 번역이 본

격적으로 이루어지게 된 것은 1945년 한국의 일제로부터의 해방 이후이다. 하

지만 1945년의 해방은 남북분단과 남북한 문학의 분화를 초래하였는데 우리

의 이러한 역사적 사실들이 러시아의 한국문학 수용과 연관된다.

러시아에서 이루어진 한국문학에 대한 이론적인 연구와 번역은 거의 대부

분이 고전문학과 1920-30년대 신경향파문학, 카프문학, 비판적 리열리즘문학

그리고 북한의 사회주의 리얼리즘문학에 관한 것으로 북한문학을 떠나서는

생각할 수가 없다. 사실 1945년 해방부터 1990년대 이전까지 남한과 러시아

사이에는 공식적인 외교적, 정치적 경제적 관계가 형성되어 있지 않았기 때

문에 이 시기 러시아에 소개된 한국문학은 북한을 통해 이루어진 것이라고

보아도 무관하다. 따라서 한국문학의 러시아 번역 소개 현황과 양상을 정확하

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북한문학과 러시아문학과의 시기별 교류 양상, 북한과

러시아의 정치-경제 관계의 변화, 역사적인 시기별로 남북한 및 남북한 러

삼국의 관계 변화 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러시아에서 기존의 북한 중심적 한국문학 소개라는 한계 상황을 극복

하고 보다 체계적이고 합리적으로 한국문학을 번역 소개하여야만 한다는 필

요성이 제기되었다. 물론 1990년대 후반에 들어와 한국문학의 해외소개에 대

한 연구가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다.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이 1998년 발

* 본 논문은 한국학술진흥재단 기초학문육성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은 연구임 (KRF-2002-072-AM 3(02).

** 성공회대학교 강사 1) 본 논문은 2003년 2월까지 수집한 자료를 기초로 하고 있다.

Page 2: 러시아에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s-space.snu.ac.kr/bitstream/10371/88130/1/3. 논문... · 러시아애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

60 러시아연구 제 13권 제2호

간한 『한국문학 번역서지목록』이 러시아어로 번역 출판된 한국문학 서지목록

과 관련하여서는 가장 포괄적이지만, 그 서명에서도 드러나듯이 서지목록만을

제공할 뿐 그에 관한 연구 분석은 다루고 있지 않다. 또한 출판된 책을 직접

대조하여 작성한 것이 아니어서 확인미상으로 남겨둔 부분이 적지 않고, 작가

나 번역서명, 출판사명, 역자명 둥에서도 오류가 자주 발견된다. 때문에 보다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는바 본 논문에서는 러시아에서

의 한국문학번역 상황올 일목요연하게 제시할 수 있는 체계적인 한국문학 번

역서지목록을 작성하고 이에 대한 연구 분석을 시도하였다.

현재까지 조사된 서지목록은 단행본 139종, 단행본에 수록된 개별작품

3,245편이다.2) 본 논문에서는 단행본 139종의 서지목록을 토대로 러시아에서

번역된 한국문학을 장르, 작가, 번역가, 번역시기, 출판시기, 출판국, 출판지,

출판사별 등으로 분류하여 통계화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러시아에서

한국문학 번역을 발전시키기 위한 정부나 민간단체 차원의 정책, 러시아에서

기존의 한국문학 번역이 갖는 긍정적인 측면과 문제점 둥을 살펴보고 보다

바람직한 한국문학 번역의 길을 모색하고자 한다.

2. 한국문학 번역의 태동3)과 역사

2) 서지목록의 작성은 한국문학번역원과 연세대 유럽문화정보센터의 공동 프로젝트인 〈외국어로 번역된 한국문학의 데이터베이스화 사업〉 수행의 일환으로 이루어졌으

며, 일차적으로는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의 r한국문학 번역서지목록』에 근거

하여 1차 목록 57종을 작성하였다. 다음 단계에서는 한국문학번역원 소장 목록과

곽효환한국문학의 해외소개 연구J(건국대학교 석사논문, 1998)에 근거하여 10종

을 보완해 모두 67종의 2차 서지목록올 작성하였다. 여기에 인터넷을 통한 도서

추적 및 작성, 해외 연구원의 러시아에서의 도서 구입 및 목록 작성, 구입된 도서

의 서문과 주해, 후기 등의 참조에 의해 25종을 추가하여 총92권의 3차 서지목록

작성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마지막 단계에서는 필자의 러시아 현지 조사를 통하여

47종을 추가, 총 139종의 최종 서지목록을 작성하게 되었다. 이렇게 작성된 서지목

록은 한국문학번역원 홈페이지( www.korealit. net)에서 열람할 수 있다. 3) 한국문학이 최초로 러시아에 소개된 것은 19세기말 r향기로운 봄j 이란 제목의 r춘

향전」이었는데 이는 프랑스어로 된 rPrintemps purfumeJ (Trad. par ]. -H. Rosny. Paris, 1892)를 중역한 것이었다. 따라서 이는 원론적 의미에서 한국문학의 러시아 어 번역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Page 3: 러시아에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s-space.snu.ac.kr/bitstream/10371/88130/1/3. 논문... · 러시아애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

러시아애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 61

2. 1. 한국문학 번역의 태돔과 전개

러시아 최초의 한국문학 번역은 1898년 오늘날의 북한 지방을 여행한 H,

r , 가린-미하일로프스끼 (H, r , rapHH-MHxaRAOBCK~깨)가 한국 전래동화를 수집,

번역하여 출판한 『한국전래동화집』이라고 할 수 있다 r한국전래동화집』은 북

한에서 수집한 전래동화를 번역한 것이어서 북한 전래동화가 지닌 특수성을

많은 부분 반영하고는 있지만 한국 전래동화나 설화에 대한 전반적인 소개라

고 볼 수는 없다. 이렇듯 러시아에서 한국문학의 소개가 처음으로 시작된

1898년 이후 현재까지 거의 100년이라는 시기를 거치면서 러시아의 한국문학

소개는 역사적인 시기에 따라 때로는 활발하게, 때로는 침체된 양상을 띠면서

발전해오고 있다.

러시아에서 한국문학에 대한 소개가 처음으로 이루어진 것은 1900년 『한국

지 (OnHcaHHe KOpeH) .!1가 출판되면서부터이다~한국지』에는 한문문학부터 한국

어로 씌어진 시, 소설, 설화 둥이 다양하게 소개되어 있지만 단순한 소개서

이상은 아니었다. 러시아에서 한국문학에 대한 연구와 번역이 체계적으로 이

루어진 것은 1950년대부터인데 당시 한국문학 전문가들은 황폐한 상태에서

작업을 시작할 수밖에 없었다. 번역서는 물론이거니와 학술 서적도 전무한 상

태였다. 이 당시 한국문학 연구의 중심지는 모스크바와 레닌그라드(현재의 상

-빼쩨르부르끄)였으며 미하일 박을 주축으로 한 모스크바학파는 실용성 위주

의 학문을 지향하는 학풍을 견지하면서 주로 한국사연구에 전념하였으며, A,

A, 할라다비 치 (A, A, XOAO~OBHq)를 중심 축으로 연 구 및 번 역 활동을 전 개 한 레

닌그라드학파는 순수학문을 지향하는 학풍을 견지하고 있었다.

따라서 한국문학 번역은 주로 레닌그라드학파의 한국문학 전문가들을 중심

으로 이루어졌는데 이들은 문학서적을 번역하거나 사전용 소논문, 번역서의

서문이나 후문 둥의 집펼에 전념하였다. 이들은 번역서의 서문과 후기에서 한

국문학 발전의 특수성, 번역 작품이 창작될 당시 한국의 역사적, 사회적, 경제

적인 상황, 번역 작품이 한국문학에서 차지하는 위상, 번역 작품의 역사적, 공

간적 배경, 번역 작품의 작가에 대한 소개, 한국문학 속에서 작가가 차지하는

위상 등을 소개하였다. 레닌그라드학파의 전통은 이후에 A, A, 뜨라쩨비치 (A,

A, TpOQeBI찌), ll, ll, 옐리세프(ll , ll, EAHCeeB), M, 11. 니끼찌나(M , H, HHKHTHHa) 동

Page 4: 러시아에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s-space.snu.ac.kr/bitstream/10371/88130/1/3. 논문... · 러시아애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

62 러시아연구 제 13권 제2호

에 의해 계승되어 현재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1950-60년대 러시아에서는 총 77종의 한국문학 번역서가 출판되었는데 이

를 창작 시기별로 살펴보면 현대문학이 40종, 고전문학이 36종, 고전/현대 혼

합이 1종이다. 고전문학은 주로 전래동화를 중심으로 한 설화와 시조의 번역

에 치우쳐 있었으며, 현대문학은 사실주의문학을 표방하는 이기영, 강경애, 최

서해, 한셜야 등의 소설과 조기천을 펼두로 한 북한 시인들의 작품이 집중적

으로 번역되었다. 또한 1949년부터 조선 민중의 해방을 테마로 한 북한 시인

(월북 작가를 중심으로)들의 시작품이 중앙과 극동 지방의 정기간행물을 중심

으로 번역, 소개되기 시작했다. 이 시기의 가장 큰 특징은 『동양문학선 12호』

(958)에 김소월의 시가 번역 소개되고 『김소월 시집.iJ (962)이 번역된 것 이

외에 남한의 문학 작품은 전혀 번역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광수나 김동인처

럼 러시아에서 반민족적 반민중적인 작가로 평가되는 문학가들의 작품은 연

구되지도, 번역되지도 않았다. 이런 경향성은 1980년대 말까지 지속되었다.

1970년대는 러시아의 한국문학 번역이 새로운 전환기로 들어서게 되는 시

기이다. 이 때부터 러시아의 한국문학 전문가들은 한문으로 씌어진 한국문학

의 번역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하면서 김시습의 〈금오신화>, <패설문학선

집〉등을 번역하였다. 또한 기존의 전래동화 위주의 번역에서 한민족의 생성

과 발전과정, 민족적인 정서 등을 알 수 있는 신화, 전설, 민담 등에 대한 번

역으로 방향 전환을 하였다. 뿐만 아니라 한국 고대시가 번역집이 왕성하게

출판되었다. 즉 이 시기는 한국문학에 대해 민족 문화적, 구조적인 관점으로

접근해 가는 시기로서 개별작품을 통해 우리 민족이 지닌 문화적인 특수성을

파악하려고 하였다. 뿐만 아니라 번역 작품의 범위도 확대되어 한문을 번역한

설화집이 다수 출판되고 국한문소설집 신화 전설집, 박지원의 작품집들이 다

수 번역 출판되었다.

1991년 발생한 구 소련의 붕괴는 한국문학 번역에 있어서 새 국면을 여는

역사적인 사건이었다. 러시아의 개방 정책과 한국 문화에 대한 러시아인들의

관심이 고조되면서 과거의 고전문학, 북한문학 편향의 번역에서 현대문학, 남

한문학으로 관심 영역을 확대해 나간다. 이 시기에 『전숙희 수필집.iJ (993) , 김

소월의 『진달래꽃.iJ (994) , r조명희 시선집.iJ (995) , r 한국현대소설선.iJ (994),

『한국단편소설선.iJ (995) 김주영의 『천둥소리.iJ (999) 정현종 시선집 『환합니

다.iJ (20ü0), 최인훈의 『광장.iJ (2002) 둥이 번역, 출판되었다.

Page 5: 러시아에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s-space.snu.ac.kr/bitstream/10371/88130/1/3. 논문... · 러시아애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

러시아에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 63

2.2. 한국문학 번역의 사회-역사적 배경

한국문학 번역이 시작된 19세기말 러시아는 대아시아 정책으로 말미암아

끊임없이 동양의 국가들에게 관심을 표명하였다. 물론 이것은 순수한 문화적,

문학적 교류를 위해서가 아니라 식민지 팽창 정책의 일환이었다. 따라서 당시

러시아는 한국문학의 연구나 문학 작품의 번역보다는 한국어 교육에 치중하

는 실용성 위주의 정책을 견지하고 있었다. 이러한 경향성은 1940년대 말까지

지속되었다. 따라서 한국문학 번역이 처음으로 시작된 19세기 말 이후 1950년

까지 순수한 한국문학 번역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1950년대 특히 6.25전쟁 이후 구 소련이 해방군의 위치로 북한에 영향력을

행사하기 시작한 이후부터 북한과 러시아의 정치 경제 문화 교류가 빈번해졌

고 한국문학 전문가들이 배출되기 시작하면서 북한문학을 중심으로 한 연구

와 번역 활동이 활발해졌다. 이러한 경향성은 1980년대 말까지 계속되었는데

이는 소련 정부의 정책적인 면보다는 자연발생적인 변에 기인한 측면이 크다

고 할 수 있다. 한편 1990년대 들어 구 소련이 붕괴되면서 세계의 정치 질서

는 재편의 길에 들어서게 되었다. 남한과의 정치, 경제, 문화 교류가 활발해지

면서 러시아의 한국문학 연구와 번역은 기존의 북한문학 중심의 연구와 번역

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국면에 접어틀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국면 전환이

러시아에서의 한국문학 번역과 연구에 활기를 불어넣은 것이 아니라 오히려

침체의 길로 들어서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배태한 원인에 대

해서는 보다 깊이 있는 논의와 연구가 휠요할 것이다.

2.3. 한국문학 번역의 문학적 배경

19세기 러시아 리얼리스트들은 가부장제도와 농노제도가 붕괴되고 자본주

의 요소들이 부단히 발전해 가며 잡 계급 출신의 해방 운동이 폭넓 게 민중들

의 불만을 고조시키는 시대에 살고 있었다. 이때는 또한 서구에서 노동 계급

이 최초로 혁명운동을 일으킨 시기였으며 사회-정치적인 변환기였다. 이와 같

이 복잡하고 불안정한 과도기적 상황은 현실에 대해 비판적인 태도를 갖도록

만들었고, 이런 태도는 러시아 진보적인 리얼리스트들의 문학에 반영되었다.4)

4) 문석 우(1998) r 러 시 아 사실주의 문학의 수용과 그 한국적 변용 - 톨스토이 를 중심

Page 6: 러시아에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s-space.snu.ac.kr/bitstream/10371/88130/1/3. 논문... · 러시아애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

64 러시아연구 제 13권 제2호

19세기 러시아 리얼리즘소설 속에는 격렬한 비판 정신과 지배 계급의 문화

및 생활양식, 정치에 대한 비난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지배 계층

에 대한 비판적인 태도는 19세기 러시아 소설가들에게 민중에 대한 관심을 불

러 일으켰으며 그들은 작품을 매개로 민중들에게 역사적인 각성을 촉구하려고

하였다. 또한 1917년 러시아의 사회주의 혁명과 함께 새롭게 시작된 사회주의

리열리즘문학은 19세기의 비판적 리얼리즘문학을 발전적으로 지양하면서도 프

롤레타리아문학이라는 새로운 문학적인 양식을 만들어가고 있었다. 러시아의

이러한 문학적 토양으로 말미암아 민족해방운동문학과 프롤레타리아문학이 주

도하고 있던 1920-30년대 한국문학은 러시아 문학가들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

하였고 양국의 이러한 문학적 경향성이 1950년 이후 러시아에서 한국문학 특

히 현대문학의 연구와 번역에 활기를 불어넣었던 것이다.

한편 러시아문학에서 상정주의의 뒤를 이은 모더니즘 작가들에게서는 동양

에 대한 관심이 한층 고조되어 있었으며, 그들에게 있어서 동양과 서양의 문

제는 독자적인 주제로 자주 둥장하였다. 이들은 동양의 시 운율과 시어의 주

요 모티브들을 자신들의 작품 속에 이입시키려는 시도를 하기도 하였다. 이러

한 흐름은 일련의 러시아 모더니즘 작가들 특히 A. 아흐마또바 (A. AXMaTOBa)

같은 시인에게 한국 고대시가에 대한 관심을 추동시켰다. 1950년대 한국 고대

시가가 집중적으로 번역된 것은 아흐마또바의 활동에 기인한 변이 크다고 할

수 있다.

2.4. 한국문학 번역의 특성 및 종합

러시아 한국문학 번역의 태동은 1898년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하지만

이후 1950년까지 한국문학 작품은 단 한 권도 번역되지 않았으며 1990년 이

전 번역된 한국문학 작품들은 철저하게 북한편향성을 띠고 있다. 현대문학은

신경향파문학, 카프문학, 비판적 리열리즘문학, 북한의 사회주의 리얼리즘문학

중심으로 번역 소개되었다. 고전문학은 고대시가와 북한에서 혁명적 문화 예

술 전통의 계선에 포함시키지는 않았지만 우수한 문화유산으로 간주하는 실

학파(박지원 등) 작가들의 작품이 집중적으로 번역 소개되었다. 이는 남한과

북한 그리고 러시아 삼국의 정치-경제적인 역학관계와 이데올로기에 의한 것

으로J,한국문학 속의 세계문학.!I, 규장각, 216쪽.

Page 7: 러시아에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s-space.snu.ac.kr/bitstream/10371/88130/1/3. 논문... · 러시아애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

러시아때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 65

이다.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표방하는 러시아가 6.25 전쟁 이후 여러 문학 사

조의 전시장이 된 남한문학보다는 사회주의 리얼리즘과 주체문학론을 표방하

면서 사회주의의 수호자 역할올 하고 있는 북한의 문학 작품에 더 많은 관심

을 기울일 수밖에 없었던 것은 당연한 결과이다. 하지만 1991년 발생한 구 소

련의 붕괴로 인한 세계 질서의 재편은 남한과 러시아 사이의 공식적인 교류

를 추동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분위기에 편승하여 러시아에서는 한국

문학 번역사 100년 만에 처음으로 남한문학이 번역되기 시작하였다. 이런 현

상은 분위기에 편숭한 일회성 사건이 아니라 문화 교류의 차원에서 지속적으

로 이어져가야만 할 것이다.

3. 한국문학 번역 현황 조사 및 분석

3.1. 장르별 번역 현황 조사 및 분석

3. 1.1. 단행본 장르별 번역 현황

1. 시대→장르벌 톨게 (단뺑톨 기좀)

고전/힌대톨lt. 장므흩앙 It “ γ - ...... 닝 ιι

힌대,정기간톨톨

현대 , 회푹짐

힌대.액국

힌대 . 시짙

힌대,시선잉

헌대 . 소샘짙

현대 . 소설

힌대.키타

고전 . 피국

고전,장 ... 흩힐

고전 , 시선짙

고전 . 소셜칠

고전.소설

고전 . 기타 33

o 10 권수 20 30 40

10종 동의 순으로 번역되었다.

〈그래프 1>은 러시아에

서 번역된 한국문학 작품

139종에 대한 시대-장르별

통계이다. 단행본을 기준

으로 할 때 고전 기타 (설

화, 전래통화, 제문, 기행

문, 서 간문 둥)가 33종으로

가장 많이 번역되었으며

다음은 현대 소설 (장편소

설을 의미함)이 22종, 현대

시선집이 17종, 현대 소설

집이 13종, 고전 시선집이

11종, 고전 소설집이 10종,

고전 소설 (국한문소설)이

Page 8: 러시아에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s-space.snu.ac.kr/bitstream/10371/88130/1/3. 논문... · 러시아애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

66

징기깅 ••

기타

장I 흩톨

m 흑 (찌혹짙)

쇼생 (소어짙)

시징(시섣희)

o

2. 장료. 톨져

20

켠후

러시아연구 체 13권 제2호

40

<그래프 2>는 러시아에서 번역

출판된 단행본 139종을 중심으로

살펴본 장르별 통계이다. 그래프에

서 확연히 드러나듯이 소설 (소설

집)이 53종으로 가장 많이 번역되었

으며 다음은 기타 (신화, 전설, 민

801 담, 전래동화, 기행문, 제문 등이 포

합된다)가 36총, 시집 (시선집)이 30

종, 장르혼합이 4종, 희곡 (희곡집)

이 3종, 정기간행물이 11종 퉁의 순으로 번역, 출판되었다.

고힌얻이~V 11

얻대

고전

o

3 시대톨톰껴

20 40 eo 검수

〈그래프 3>에서 보이듯이 러시아

에서 번역된 단행본 139종을 창작시

기별로 살펴보면 고전문학이 68종,

현대문학이 70종, 고전/현대 혼합이

~ I 1종으로 고전문학과 현대문학이 균 둥한 비율로 번역되었음을 알 수 있

다.

3.1 .2. 개별작품 장르별 번역 현황 및 분석

〈그래프 4>는 단행본 139종에 수록된 개별작품 3.245편에 대한 장르별 번

역현황올 보여주고 있다. 번역된 개별작품 3,장5편 중 고전문학 작품이 2,601

편, 현대문학 작품이 644편으로 고전문학 작품이 압도적으로 많다. <그래프

4>에서 알 수 있듯이 고전 시조가 1 ,670편으로 가장 많이 번역되었으며 고전

설화가 687편, 현대시가 503편, 현대단편소설이 102편 풍의 순으로 번역되었

다. 이미 앞에서도 지적했듯이 1950년대 러시아의 모더니즘 작가들은 동양에

대해 지대한 관심올 가지고 있었으며 A. 아흐마또바는 우리나라의 고전시조

가 번역됨에 있어서 2차 번역(또는 윤색 작업)에 참여하여 우리의 시조를 러

시아에 널리 알리는데 큰 공헌을 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의 전통 장르이며 러

시아문학에는 존재하지 않는 시조라는 장르에 대한 러시아 한국문학 전문가

들의 관섬이 반영된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시조라는 장르를 통해 한국문학을

러시아에 소개한다는 차원에서 매우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그래

프4>는 단행본을 기준으로 한 통계 그래프와 일정부분 차별성을 보이고 있는

Page 9: 러시아에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s-space.snu.ac.kr/bitstream/10371/88130/1/3. 논문... · 러시아애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

러시아에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초사 및 분석 67

데, 단행본을 기준으로 했올 때는 고전문학과 현대문학이 같은 비율로 번역되

었지만 개별작품을 기준으로 볼 때는 고전문학이 압도적으로 많이 번역되었

음을 알 수 있다.

미확인1

힌대기타2 V ’,' . 힌대훌를2

현대핵꽉 16

현대셜1f1

힌대장편소연 6양 를대흥흰소어

를대a편소연

연대시

고전기타

고전피픽1

고전한톨소어 1 11

고전엉If

고전기사

고전한시

고정시흐

고전호선가요1

고전고려가요

고전고대가요 14

고전양가 l IB

4 개톨작훌 장르톨 톨찌

o 200 ‘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1800

작룰수

3.2. 작가별 번역 현황5) 조사 및 분석

3.2.1. 고전문학 작가별 번역 현황 조사 및 분석

*향가 및 가요 (고대, 고려, 조선가요)

5) 각 개별작품에는 중복 번역된 작품도 포함되어 있다.

Page 10: 러시아에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s-space.snu.ac.kr/bitstream/10371/88130/1/3. 논문... · 러시아애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

68 러시아연구 제 13권 쩨2호

러시아에서 한국의 고전향가는 총 8편이 16회 번역되었다. 충담대사의〈찬

기파랑가> 4회, 균여대사의 〈보현십원가> 3회, 처용의 〈처용가>, 월명대사의

〈제망매가>, 신충의 〈원가〉 퉁이 각각 2회, 희명대사의 〈도천수관음가>, 득

오의 〈모죽지랑가>, 융천사의 〈혜성가>가 각각 1회 번역되었다.

러시아에서 번역된 한국 고전가요 중 고대가요는 유리왕의 〈황조가〉가 3

회, 작가미상의 작품 〈구지가〉가 1회 번역되어 총 2편이 4회에 걸쳐서 번역

되었고, 고려가요는 작가미상의 작품 4편이 10회 조선가요는 작가미상의 작

품이 1편 번역되어 총 7편이 15회 번역되었다.

*한시

5. 한시 획기’ 깨톨작를수

기획(학톨후 10원이하)

il Jtltl 액믿l

져.y (OIW급)

빠lI:l tI

이욕톨

o 10 20 30

at톨‘F

한국의 고전한시는 총 97편이 번역

되었다. 이 중 최치원의 작품이 94

편으로 가장 많이 번역되었으며 다

음은 박인로의 작품이 11편, 계 생

(이향금)의 작품이 10편, 박지원의

작품이 9편, 이옥봉의 작품이 7편의

401 순으로 번역되었으며 이황, 황진이,

이개, 허난셜헌 둥의 작품이 번역되

었다. 러시아에서 번역된 97편의

한시 중 2편을 제외한 95편은 『한국서정시선(EiaMôYK B cHery) ,g (1978), ~한국중

세 시조선(CBeTJ뻐11 HCTO'lHHK) .!1 (1989) , r중세 한국서정시선(neCHjI Hall 03epoM).!l

(1970, i'동양문학선 3호: 최치원 시선집(BoCTO'lH뼈 aJlbMaHax : Bbln.3 I1CKpbl

nJlaMeHH).!l (1975) , r 인도, 중국, 한국, 베트남, 일본의 고전시 7가}(κKJlacc다대Ht꺼'Iec다Kajl

no。떠3잉3H깨jI 11뻐H때llHH , K재HT뎌ajlκ, Ko야p야eHκBb않e얀T까깨H’a째‘‘Mκ‘

가 수록된 위 5종의 단행본은 모두 1970년대 이후 출판되었는데 이것은 1970

년대 들어 러시아의 한국문학 전문가들이 한문소설이나 설화 등의 번역을 시

도하면서 한시 번역에도 관심을 기울였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시조

고전시조는 총1 ,670편이 번역되었다.<그래프 6>에서 알 수 있듯이 고전시

조는 정철의 작품이 250편으로 가장 많이 번역이었는데 특이한 점은 정철의

작품은 러시아의 여류시인인 A. 아흐마또바가 특별한 관심올 가지고 2차 번역

Page 11: 러시아에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s-space.snu.ac.kr/bitstream/10371/88130/1/3. 논문... · 러시아애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

러시아에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 69

6 시조 작가톨 깨톨작률수

작업에 적극적으로 참가했다는 점

이다. 그 다음으로는 김수장의 작

품이 75편, 윤선도의 작품이 74편,

박인로의 작품이 55편 번역되었으

며 다른 한국 시조 작가들의 작품

도 골고루 번역되었다.

기타(작룰수 g염이하)

획기이상

018

용션도

악인호

킴천“

정월

o 200 400 1m 1m

학률수

*가사

고전가사 작품은 총 13편 이 36회

번역되었다. 가사는 <사미인곡>,

〈속미 인곡>, <관동별곡>, <장진주

사〉 둥 정철의 작품 5편이 17회 번역되어 가장 많이 번역되었다. 그 다음으

로는 박인로의 작품 4편이 9회, 허난설헌, 정극인, 이방익의 작품 1편이 각각

2회씩 번역되었다. 가사는 번역된 36편 중 1편을 제외한 35편이 A. 죠프티스

(A. )J(OBTHC)와 A. 아흐마또바에 의해 번역 또는 윤색되었다.6)

*소설

학가미상

허윤

엄찌

'8~~. 권뭘, 김시슬

킴만톨 . 빠지원

7. 고전 소샘 작가흩 재톨작률수

o 10 20

학톰수

30 40

고전 소설은 국문소설 44편,

한문소설 11편으로 총 55편

이 번역되었다.<춘향전〉이

8회 번역되어 가장 많이 번

역되었으며 〈홍길동전>이 6

회 번역되었다. 러시아어로

번 역 된 〈춘향전〉은 A. 뜨라

쩨비치가 7회 번역하였다.

이는 뜨라쩨비치의 〈춘향전〉이라는 작품에 대한 개인적인 관심도의 반영일

수도 있지 만 러 시 아의 한국문학 전문가들이 〈춘향전>올 한국 중세 봉건사회

의 구조적인 모순과 계급 갈동올 가장 사실적으로 첨예하게 반영하고 있는 중

세 한국 리열리즘문학의 진수라고 평가하고 있는 것에서도 기인한 바가 크다

6) 엄순천(2003) r 러시아의 한국 고대시가 번역현황과 안나 아흐마또바의 역할 분석」

r노어노문학J , 제 15권 제 1호, 33-34쪽.

Page 12: 러시아에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s-space.snu.ac.kr/bitstream/10371/88130/1/3. 논문... · 러시아애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

70 러시아연구 제 13권 쩨2호

고 할 수 있다. 이외에도 김시습의 〈금오신화>, 임제의 〈서옥기>, 남영로의

〈옥루몽>, 김만중의 〈구운몽>, 작가미상의 〈임장군전>, <적성의전 권지단>,

〈쌍천기봉>, <최충전〉 등의 국, 한문소설이 번역되었다.

*절화

8 힐1} 작가톨 깨흩작톨수

기 타 (10윈 미믿외 작가)

작가미상

엉윈

셔거정

김.어

4 1> 7

o 100 200 300 400 500

작톨후

고전설화는 총 681편이 번역

되어 고전 시조 다음으로 많

은 작품들이 번역되었는데 설

화의 특성상 작가미상의 작품

이 그 중 457편을 차지한다.

이는 우리나라의 민족성을 심

도깊게 파악할 수 있는 신화,

전설, 민담, 전래동화 등에 대

한 러시아의 한국문학 전문가

들의 관심도를 반영한 것이라

고 볼 수 있다. 특히 한국문학 번역에 전념해온 러시아 한국문학 전문가인 ll.

옐리세프는 한국중세 패설문학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성현의 작품 번역에 매

진하였다.

뿐만 아니라 1945년 이후부터 북한에서는 북한지역에 산재해 있는 설화를

수집하고 한문으로 기록되어 있는 고대문학을 한글로 번역하기 시작했는데

북한의 이런 분위기가 일정정도 러시아의 한국문학 전문가들의 연구 방향에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70년대 이전까지 한국전래동화나 신화, 전설, 민담 둥

을 수집한 사람들은 한국문학 전문가들이 아니라 주로 선교사, 여행가, 군인

들이었으며 이렇게 수집한 선집에 고전소설을 삽입하기도 하였는데 이는 학

문적인 목적에 의한 것은 아니었다. 따라서 이러한 선집의 내용은 동물들이나

악마, 귀신과 관련한 재미난 이야기를 주제로 한 작품들이 대부분이었기에 한

국 농민들의 생활상이나 정신세계를 엿볼 수 있는 일상적인 이야기들은 전무

하다. 이들 중 가장 홍미를 끄는 것은 1898년 H. r. 가린-미하일로프스끼가 수 집하여 번역한 것으로 설화가 포함되어 있는 『한국전래동화집』인데 19세기

말 한국 구바문학의 생생한 전통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그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연구는 계속적으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적

Page 13: 러시아에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s-space.snu.ac.kr/bitstream/10371/88130/1/3. 논문... · 러시아애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

러시아애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 71

지 않은 전래동화 선집들이 출판되었지만 이미 러시아에 소개된 작품들의 반

복 출판에 불과하였다. 이러한 선집의 가장 큰 문제점은 역자나 수집가들이

이 이야기의 출처나 근원, 작가 또는 어느 지역의 이야기인지를 밝히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1970년 이후 ll. 옐리세프의 『패설문학선집 15-17세기(lIepenaxOB뼈

cyn: KopeRcKHe paCCKa3N 15-17 BeKoB)~의 번역을 필두로 하여 한국민중의 정

서와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설화들이 번역되기 시작하였다 r한국 신화-전설

집 (Y HCTOKOB Kope때CKoR C JlOBeCHocTH)~ (11. 깐쩨 비 치 (11. KOHl.\eBHQ)와 M. 니 끼 찌

나 공동번역 1980), r중세 한국 신화-전설집 (KopeRcKHe npellaHHjI H J1ereHIlbI

H3 cpellHeBeKOBblX KHHr)~ (11. 깐쩨비치 1980), W한국 민담-설화집 (φeH C MMa-

3HblX rop)~(B. naK 1991), W 한국 고대 90산문선 IkTOPHjI l.\BeTOB: KopeRcKajl

KJlaCCHQeCKajl H 90 np03a~ (M. 니끼찌나 1991) 등이 번역되어 한국설화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

3.2.2. 현대문학 작가별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

*현대시

현대시는 총 503편이 번역되었는데, 그 중 '2fJ7편이 북한 시인들의 작품이

다.<그래프 9>에서 드러나듯이 남한의 현대시인 중에는 정현종의 작품이 92

편으로 가장 많이 번역되었으며 김소월의 작품이 75펀, 김양식의 작품이 40편

번역되었다. 재소한인 시인으로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표방한 조명희의 작품이

44펀, 김일성 형상화를 노래한 대표적인 장펀 서사시 <백두산>을 비롯한 조

기천의 작품이 42편 번역되었다. 1990년대 이전에 번역된 현대시는 김소월의

작품을 제외한다면 대부분이 사회주의리얼리즘이나 주체문예론을 표방하는

월북 또는 북한시인들의 작품이다.

*현대-기타

r. 라취꼬프는 현대희곡 5편을 번역하였는데 김숭구, 백문환, 이동춘, 이득 헌, 유기헌 등 북한 극작가들의 작품이다. 이외에 북한의 극작가인 이경순 &

최경의 〈우리는 더 이상 이렇게 살 수 없다〉의 역자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A. 바실리예프에 의해 『전숙희 수필집』이 번역되었지만 전반적으로 현대의 수

Page 14: 러시아에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s-space.snu.ac.kr/bitstream/10371/88130/1/3. 논문... · 러시아애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

72 러시아연구 쩨 13권 쩨2호

필, 서간문, 기 행문 동의 장르에 대한 번역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현대 단편소셜

기타

후섭엄

æ영희

호기헌

정언를

서맘밑

킴양씩

킬소l

9. 현대시 작가톨 깨l짝훌수

러시아에서 한국 현대 단편소설은

총 103편이 번역되었다.7) 이중 최서

해의 작품이 24편으로 가장 많이 번

역되었는데 이 작품들은 북한잡지

『신조선』에 1955-1957년에 게재된

작품들과 1957년 평양에서 발행된

『최서해 작품집』에 실린 것들이다.

〈탈출기〉와 〈홍염>, <기아와 살

육〉과 같은 작품에서 드러나듯이 러

o 50 때 150 때 | 시아어로 번역 소개된 최서해의 단 확를수

10. 힌대단면소얻 작가톨 개톨칙톨수

기타 r -,. ......... ~-------~ • ..-- ---....... ’‘-... .,& -1 칙서에

벅톨곁

깐혈이

æWII !!흩

o 10 20 30 40 50 학톨수

편소설들은 대부분이 1920년대를 시

대적 배경으로 하여 조선 민족의 빈

곤과 민족적 대립 문제가 중심 주제

로 부각되는 신경향파 소설들이다.

또한 박웅걸의 작품이 10편, 한설야

의 작품이 9편, 조명희의 작품이 8

편, 한경 의 작품이 7편 등의 순으로

번역되었다.<그래프10>에서 알 수

있듯이 1990년 이전 러시아어로 번

역된 한국 현대 단편소설은 민족주

의 리열리즘, 사회주의 리얼리즘문학을 대표하는 월북작가들의 작품들이 대부

분이다.

하지만 1990년대 이후 이러한 경향성은 일정정도 해소된다. 손창섭의 <비

오는 날>, 하근찬의 〈수난이대>, 박경리의 〈불신시대>, 김주영의 〈외촌장

기행>, 김영현의 〈멀고먼 해후>, 조세희의 〈기계 도시>, 오정희의 〈동경>,

최인훈의 〈웃음소리>, 최인호의 〈타인의 방〉 등이 수록된『한국현대소설선』

(994)이 번역 출판되었고 이호철의 〈부랑자>, 황석영의 〈삼포가는 길>, 엄

7) 현대 단편소설 개별작품에는 중복 번역된 작품도 포합되어있다.

Page 15: 러시아에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s-space.snu.ac.kr/bitstream/10371/88130/1/3. 논문... · 러시아애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

러시아매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 73

철우의 <아버지의 땅>, 윤홍길의 〈장마>, 황순원의 〈학>, 김숭옥의 〈서울,

1964년 겨울〉이 수록된 『한국단편소설선.!I (995)이 번역 출판되었다. 하지만

1990년 이전과 이후에 이루어진 한국 현대 단편소설 번역의 차별성은 1990년

이전에 이루어진 번역이 러시아 한국문학 전문가들에 의한 자연발생적인 현

상이었다고 한다면 1990년 이후에 이루어진 번역은 문예진흥원의 번역지원

정책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것이라는 점이다. 여하튼 1990년 이전의 북한문학

중심의 번역 경향성을 탈피하여 남한문학 번역으로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했

다는 의의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현대 중-장편소절

러시아에서 번역된 현대 중-장편소설은 장편소설이 22편, 중편소설이 7편을

차지하고 있다. 11 , 얻대흥-장면소잉 작가톨 1톨작를수

작가미상

이문11 , ~명회 , 01 용훈, 이대훈, 강검O/I, tH’ " 식, 깅쭈엉 . 용셰흥. 김현찍. 김훈. 한경, 칙서

에 . 획인톨. 힌셰톨 . 야온효. 김제규. 낀Jli!

힌어 01,악용월

이기엉

o 234 학톨수

5 6

장편소설은 사

회주의 리얼리

즘을 이념적,

미학적 원리로

내세우면서 북

한의 토지개혁

문제를 다룬

〈땅1 11> , 1920 년대 말 일제의

식민통치로 점

점 피폐화 되어 가는 원터마올에서 난관을 극복해 나가는 농민들의 의식 성장

과정을 그린 〈고향〉 등 이기영의 작품이 2편 번역되었고, 식민지 시대 최고

의 리얼리즘소설로 평가되고 있는 강경애의 〈인간문제>, 일제 식민지 치하에

서 수탈 당하는 농촌과 한 혁명가의 비극적인 삶을 그리고 있는 조명희의

〈낙동강〉과 박웅걸의 〈조국〉과 〈교환원〉 동의 장편소설이 번역되었다.

그 밖에도 사회주의적 인간상의 혁명 의식을 다룬 윤세중의 〈시련 속에

서>, 김현직의 〈역사의 전환점에서>, 김준의 <조선의 소나무>, 김재규의

〈행복>, 한경의 〈행복>, 현희균의 〈청춘의 고향〉 동 북한의 장편소설들이

각각 1펀씩 번역되었으며 〈피바다>, <꽃파는 처녀>, <만경대>, <국경 수비

대의 운명>, <백두산 불멸의 역사〉 등 집체작 형식으로 창작된 북한 장편소

Page 16: 러시아에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s-space.snu.ac.kr/bitstream/10371/88130/1/3. 논문... · 러시아애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

74 러시아연구 체 13권 제2호

설 5편이 북한 출판사에 의해서 작가미상, 역자미상으로 번역되었다.

남한의 장편소설로는 해방 직전부터 6.25직후까지의 혼란한 시대 속에서,

전형적인 농촌 마을인 청송군 진보면 월전리에서 온폼으로 부대끼며 힘겹게

살아가는 한 여인의 비극적인 삶을 그리고 있는 김주영의 〈천둥소리>가

1999년 유일하게 1편 번역되었다.

중편소설은 3.1운동 직전 반개울이라는 농촌마을을 배경으로 농촌의 피폐화

를 다루면서 가난한 소작 농민들이 소시민성을 극복해 나가는 과정을 그린

이기영의 <서화>, 이태준의 〈첫전투>, 한봉식의 〈아버지〉 외에 북한의 사회

주의 건설 과정을 그린 박은호의 <되살아나는 그늘>, 천세봉의 〈농촌의 투

사들>이 번역되었고 남한의 작품으로는 이문열의 〈금시조>와 이청준의 <소

문의 벽〉이 번역되었다.

*현대희곡 및 수펼

러시아어로 번역된 6편의 현대희곡 (백문환, 이동춘, 이득헌, 유기헌, 김승

구, 이경순/최경)은 모두 북한작품으로 해방 전후 농민들의 삶이나 농지개혁

과정, 사회주의 건설 현장을 그린 작품들로 북한에서 공연된 작품들이다. 남

한의 희곡작품은 전혀 번역되지 않았으며 수펼은 유일하게 『전숙희 수펼집』

(993)이 번역 출판되었다.

3.3. 번역시기별 번역 현황 조사 및 분석

3.3.1. 번역시기별 통계 러시아에서의 한국문학 번역은 최초의 번역이 이루어진 1898년 이후 1950

년 이전까지 뚜렷한 활동이 없었다. 이는 19()()-1945년까지 한국은 일제의 식

민지 통치를 받고 있었으며 러시아와 직접적인 접촉이나 교류가 거의 없었기

때문이다. 이 때 러시아는 사회주의 혁명과 레닌-스탈린 시대를 경험하면서

사회주의 발전을 위해 매진하던 시기였다.

1950년대는 전 시기에 걸쳐 가장 왕성하게 한국문학 번역이 이루어진 시기

로 총 56종이 번역되었는데 이는 러시아와 북한과의 관계의 긴밀함에 기인한

면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당시 북한과 러시아는 사회주의 건설이라는 공통의

과제를 안고 있었다. 1970년대는 한국문학 번역이 질적 도약을 하는 시기인데

Page 17: 러시아에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s-space.snu.ac.kr/bitstream/10371/88130/1/3. 논문... · 러시아애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

러시아얘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 75

12 번역시기엉 톨계

연도이상 11 2001- 口 2

1991-2000 홉

1981-1990

1971 - 1980 F:t"

1961-1970

1950-1960 ~

1950년 이전 1.1' -

o 20 40

원수

이 때를 기점으로 한국문학 번역은

점차 쇠퇴하여 갔으며 2000년대 들

어서는 단 3권만이 번역되었다.

3.3.2. 번역시기-시대/장르통계

1950년대는 러시아에서 한국문학 번

역이 가장 활발했던 기간으로 총 57

종의 한국문학이 번역되었는데 고전

60 I 설화와 현대시가 집중적으로 번역되 었으며 현대 장편, 중편, 단편소설의

번역도 활발하였다. 이 시기 이기영

의 <땅 1 11> (1953), 한셜야의 <황혼>(1958) , 강경 애의 <인간문제>(1955) 등

의 장편소설과 단편소설들이 번역되었다. 또한 이 시기에 『한국중세소설선』을

비롯하여 『한국고전시가』둥 시조집이 번역되었다. 1960-80년대는 다른 장르에

비해 고전설화와 현대소설 번역이 활발하였고 1990년대는 고전설화와 현대시

번역이 활발했으며 2000년대에 들어서는 현대소설과 현대시선집 2종만이 번역

되어 어떤 뚜렷한 경향성은 발견되지 않고 있다.

한편 현대문학이 더 많이 번역된 1950년대를 제외하면 러시아에서 한국문

학 번역이 이루어진 전 시기 동안 고전문학과 현대문학은 고르게 번역되었다.

이는 러시아의 한국문학 번역이 실용성 위주가 아니라 순수 학문적 목적에

의해서, 정책적인 차원에서가 아니라 자연발생적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인 것으

로 분석된다.

3.3.3. 번역시기-장르통계

한국문학 번역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진 1950년 이후부터 2000년 초까지, 매

시기마다 장르별로 약간의 차별성을 보이고 었다. 하지만 모든 시기를 통틀어

서 소설 (소설집)이 러시아인들이 가장 선호하여 번역한 장르라고 볼 수 있

다. 또한 매 시기별 단행본과 선집의 비율은 50년대 10:47, 60년대 6:14, 70년

대 9:14, 80년대 6:13, 90년대 2:11 , 2(){애년대 0:2 둥으로 여전히 선집 위주의

번역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Page 18: 러시아에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s-space.snu.ac.kr/bitstream/10371/88130/1/3. 논문... · 러시아애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

76 러시아연구 제 13권 쩨2호

3.4. 번역가별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

3.4.1 . 고전문학 번역가별 개별작품수

*고전향가 및 가요(고대, 고려, 조선가요)

고전향가는 A. 죠프티스가 6편으로 가장 많이 번역했고 M. 니끼찌냐 & E.

비 뜨꼬브스끼 (E. BHTKOBCKHR)가 공동으로 2편 올 번 역 했는 데 죠프티 스는 시 조

번역도 활발히 하였다. 가요 (고대, 고려, 조선가요) 번역에서는 아흐마또바와

E. 비뜨꼬브스끼가 활발한 활동올 하였으며 (각각 8편씩 2차 번역 또는 번역)

A. 뜨라쩨비치 (2편), A. 죠프티스(2편), n. 옐리세프o편) 동의 순으로 번역하였 다. 하지만 이들이 향가나 가요라는 장르에 대한 어떤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기보다는 시조를 번역하는 과정에서 고전향가나 가요도 함께 번역을

하게 된 것으로 분석된다.

*고전소셜

13 고전소tI 앤익가'1 ,. 'I5t.후

기티 (atit.;. 3!! 이삐) ’리씨프 A. 리얘효므 r .

프 킥l 비찌 A. 나꺼 l 나 M.

밑*

o 5 10 15 20

씩 it.;.

고전소설은 r . 라취꼬프 (r. Pal! KOB)

가 16편으로 가장 많이 번역했고

A. 뜨라쩨비치 01편), M. 니끼찌나

00편), n. 옐리세프(7편), 임수(6편)

동의 순으로 번역했다. 뜨라쩨비치

와 니끼찌나는 한국고전문학 전문

가들이다. 뜨라쩨비치는 고전소설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전개하였으며

니끼찌나는 고시조에 대해 많은 연구를 하였다. 사실 이 두 학자가 러시아에

서의 한국문학 연구와 번역의 맥올 이어오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고전설화

n. 옐리세프가 가장 많은 양의 설화를 번역했는데 총 210편을 번역했다. 다 음은 한국의 고전설화를 러시아어로 가장 먼저 번역한 H. 가린-미하일로프스

끼 (92편), A. 뜨라쩨비치 (66편), M. 니끼찌나(50편), M. 박(44펀), E. 까따소노바

(E. KaucoBa)(44편) 등의 순으로 번역하였다. n. 옐리세프는 한국 패설문학과

Page 19: 러시아에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s-space.snu.ac.kr/bitstream/10371/88130/1/3. 논문... · 러시아애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

러시아에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 77

기타 (작룰수 쩌원 이하)

효드~H.

톨리셰프Il.

'lt M.

뜨리찌비치 A.

니꺼쩌나 M.

끼따소노바 E.

기윈-이하밑I~스키 H.

o

14. 고전염*1 번역가톨 개톨작훌수

1∞ 200

~톨수

300 400

15. 고전시초및 안시, 가사 번역가. ".작톨수

기타 (쩍톨후%견이하)

‘t밑 죠프티스 A.

이i이또바안나

찌하미호프 g

o 200 400 800 800 1000 1200 ’‘00

ðt톨후

고전 소설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계속하였는

데 특히 러시아어로 번역

된 성현의 작품은 대부분

이 ll. 옐리세프에 의한 것

이다.

*고전시조 및 한시, 가

한국의 고전시조 및 한시,

가사 둥은 A. 죠프티스가

1 ,201편으로 가장 많이

번역하였고 박일이 428펀

번 역 했으며 A. 아흐마또

바는 409편의 2차 번역

과정에 참가하였다. 고전

시조 및 한시, 가사를 러

시아어로 번역한 사람들

은 모두 한국문학 전문가들로서 동시에 시인들이다. 고전시조와 한시, 가사 둥

이 러시아에서 번역되는 과정은 두 단계로 나누어진다. 즉 한국어 원본 텍스

트를 한국어 천공자나 재소 한인문인틀이 1차 번역을 한 뒤에 러시아 작가들

이 2차 번역올 하여 문학적인 완성도를 높이게 된다 w한국시조선(KopeAcKHe

meCTHCTH뻐e) .!I (1956) , r조선고대연정시선(KopeAcKHe 깨p”K”)』 (1958) , 『한국시선

집 (n~TUBeTHNe oõAaKa) .!I (1962)둥의 시조집은 재소한인 시인 박일이 1차 번역을

한 뒤에 죠프티스가 2차 번역을 했고 『한국고대시가집 KopeAcKa~ KAaCCHyeCKa

~ n033H~ .!1 0956, 1958)은 할라다비치가 1차 번역을 하고 아흐마또바가 2차 번

역을 하여 문학적인 완성도를 높이고 있다.

*고전희곡 및 기타

고전 기타에는 박지원의 기행문, 서한 그리고 속담 및 격언집 등이 포함되

는데 이는 주로 장일에 의해 번역 (20편)되었다. 장일은 또 고전희곡 <심청

전〉을 번역했다.

Page 20: 러시아에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s-space.snu.ac.kr/bitstream/10371/88130/1/3. 논문... · 러시아애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

78 러시아연구 체 13권 체2효

3.4.2. 현대문학 번역가별 개별 작품수

*현대시

16. ti 대시 번역가l 게톨학흩수

기타(학.후 20를이삐)

휴Õ!f.혜프 B.

죠프티스 A . & 액엉

이수톨

마I죠프, 5μ ,

김헌. & 이스노프 M.

기포에치 A

o 50 100

학룰수

러시아어로 번역된 한국 현대시는

총 503편으로 현대시 번역에 있어

서는 한국인 번역가들의 활동이

돋보인다. 이수경은 r조명희 시선

집.1 (995)과 김소월 시선집 『진달

래꽃.1 (996)을 번역하였으며 김진

영 은 M. 야스노프(M. 51CHOB)와 공동

150 I 으로 정현종 시선집 『환합니다』

(2α)())를 번역했다. 러시아어로 번

역된 현대시 중 절반에 가까운

220편은 월북 시인이나 북한 시인들의 작품이다. 한편 죠프티스와 박일은 공

동으로 김소월의 시 번역에서 활발한 활동올 하였다.

*현대 단편소젤

러시아어로 번역된 한국 현대 단편소설은 총 102편이다. 이 중 발렌젠 리

17. 언대단면소어 역자톨 개톨작훌수

기티(획톨수 5!! 미믿}

얘!I.연꼬 11 .

서만엉 . 아I쩌미예바 A.

에I믿 E.

리 It'믿윈

라휘포~ r .

김연효

o 10 20 30 40 60

학흩후

(BaJleHTHH 깨)의 활동이

두드러지는데04편), 주

로 조명희와 최서해의

작품올 번역하였다. 특

히 그는 한국의 카프 문

학에 깊은 관심을 가지

고 많은 연구를 하였다.

서만일은 한설야의 작품

을(5편), A. 아르찌미예

바(A. Ap깨tdbeBa)는 송

영, 한인태 등 카프 시

대 작가의 작품을 번역

(5편)하였다. 이외에 E. 베르만(E. BepMaH)03편), 11. 예르멘꼬(끼. EpMeHI<o )(8편),

Page 21: 러시아에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s-space.snu.ac.kr/bitstream/10371/88130/1/3. 논문... · 러시아애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

러시아에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 79

김연호(6편) 모두 북한 작가들의 작품을 번역하였다. 이들 중 예르벤꼬는 한

국의 사실주의문학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한 한국문학 전문가이다. 남

한의 현대 단편소설 번역은 주로 r. 라취꼬프에 의해서 이루어졌다(10편).

*현대 중-장편소설

러시아어로 번역된 한국 현대 중편소설 7편, 장편소설 22편 중 역자 미상의

작품이 가장 많은 11편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집체작 형식으로 창작되어

러시아어로 번역된 북한의 〈불멸의 역사〉 시리즈에 속하거나 북한 작가들의

작품이다. 그 이외에는 E. 쩨 (E. Te)와 10. 까라소프(10. KapaCOB)가 공동으로 이

기영의 〈땅 1 II>와 이태준의 <첫전투>, 한봉식의 〈아버지〉를 번역하였으며

발렌젠 리를 비롯한 그 이외의 번역가들은 모두 월북 작가의 작품이나 북한

작가의 작품을 번역하였다. 이것은 러시아에서 한국문학 연구의 경향성이 북

한 편향성, 사회주의 리얼리즘 편향성을 띠고 있었고 러시아의 한국문학 번역

가들도 이런 경향성을 강하게 지니고 있었기 때문이다. 러시아어로 번역된 남

한의 중편소설인 이문열의 〈금시조〉와 이청준의〈소문의 벽>은 각각 B. M.

찌호노프 (B. M. THXOHOB)과 B. ll. 암킨 (B. ll. AMI<HH)에 의해서 번역되었다.

18. !!대중-장연소영 번역기l 깨톨작흩수

역자이상

.. E . & 까리소프 e

리 *얻원 , 우시호프 a

까띠i노바 E .. 리쩌포프 「 ‘ 이블락크 B. 톨틴포바 M‘ 이I찌미예비 A .• 임힌 B .• 예 효믿꼬 끼, 호명킴 .

한 A. 프리톨스키 E.

o 2 6 8 10 12

학톨‘F

3.4.3. 한국인 및 재러 한인 번역가 번역 현황 및 분석 번역의 성패에 있어서 번역가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Page 22: 러시아에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s-space.snu.ac.kr/bitstream/10371/88130/1/3. 논문... · 러시아애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

80 러시아연구 제 13권 제2호

이 절에서는 한국인 번역가와 재러 한인 번역가의 번역 현황과 그 특성 분석

올 통하여 보다 나은 번역의 방향올 짚어보고자 한다. 한국문학을 러시아어로

번역한 한국인 번역가는 김규철, 김근식, 김연호, 김진영, 서만일, 이수경, 장

일, 주선원, 한병조, 한윤준 둥 모두 10명이며 총 번역 작품은 305편이다. 러

시아어로 번역된 한국문학 개별작품이 3,245편이고 한국인 번역가에 의한 번

역 작품이 305편입올 감안한다면 한국인 번역가들의 활동이 그리 활발하다고

할 수는 없다. 하지만 현대시를 번역한 이수경과 김진영은 러시아시를 연구하

고 있으며, 단편소설올 주로 번역한 서만일, 주선원, 검연호가 단편소설 위주

의 작품 활동올 한 작가들임올 고려한다면 번역가들이 각자의 전문성에 맞는

장르에 대한 번역올 시도했다는 점이 고무적이라고 할 수 있다. 번역이 보다

올바른 방향성을 갖추어 나가기 위해서는 무차별적인 번역보다는 번역가 개

인에게 적합한 장르에 대한 번역이 바람직 할 것이다.

재러한인 번역가들에 의해 번역된 작품은 모두 444편으로 이 중 423편이

박일에 의한 것이다. 이외에도 임수, 조영길, E. 쩨, E. 최, A. 한 등이 한국문

학 번역에 꾸준히 매진해왔다. 한국인들의 러시아 이주사가 근 150년올 넘고

있고 많은 재러 한인들이 러시아에 살고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재러 한인

번역가들의 활동이 그다지 활발하다고 할 수는 없다.

3.5. 출판사 및 출판매체

3.5.1. 출판국 및 출판지별 통계 (단행본 기준)

미.언

러시아

극내

19 . • 판국 •• ,.

러시아어로 번역된 한국문학 139종

중 119종이 러시아에서 출판되어 전

체의 80% 이상올 차지하고 있다. 국

내에서 출판된 17종은 모두 평양에서

출판된 것인데 러시아어로 번역된 한

40 않 120 160 국문학이 러시아에서 번역 출판된 것

은 매우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은 러시아어로 번역된 한국문학 139종의 출판 도시별 통계를 살펴보면

모스크바에서 출판된 작품이 97종으로 압도적으로 많으며 평양 17종, 상-빼쩨

Page 23: 러시아에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s-space.snu.ac.kr/bitstream/10371/88130/1/3. 논문... · 러시아애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

러시아에셔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 81

20 .• 핀지l 톨져

øw 모스크비-에닝그러드 115

모스크바

싱→’" ••• 11 (헤닙그리드} 기타 (5현미하 .믿지)

르부르끄 6종, 모스크바와 레닌그

라드 동시 출판 5종의 순이다. 번

역된 문학 작품이 어느 도시에서

출판되느냐 하는 문제는 번역 도

서가 성공을 거두기 위한 또 하나

o 30 eo 1101 의 필요조건 이 다. 이 런 점 에 서 볼 권후

때 러시아어로 번역된 한국문학

작품들의 65% 정도가 러시아의

수도인 모스크바에서 출판되었다는 점은 다행이라고 할 수 있다.

3.5.2. 출판사별 통계 (단행 본 기 준) 러시아로 번역된 한국문학 139종 중 35종이 러시아에서 비교적 지명도가

높고 영향력 있는 출판사인 문학사에서 출판되었으며 17종은 평양의 외국문

학출판사에서 출판되었고 러시아의 군소 출판사에서 출판된 도서가 53종으로

가장 많다. 번역 도서가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출판지 못지않게 출판사의

선정도 중요하다. 보다 영향력 있는 출판사, 그 중에서도 한국문학 관련 도서

를 지속적으로 출판해 오고 있는 출판사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토대로 지

속적인 연관성을 유지할 펼요가 있다.

*출판사-장르통채

톨악샤

외국어톨피.!!!Af(tI양)

외국톨~.판사

톨양톨m톨판사

of톨톨액사

국매톨m훌쁜시

기타 (5원이아 .롤샤)

이혹인

o

21 . 흩판사톨톨져

10 a 30 월수

<40 50 60

한국문학 작

품의 번역과

출판을 지속

적으로 해

온 러시아의

4개 출판사

와 장르와의

관계에 대한

분석을 시도

해 보았다.

각 출판사마다 선호하는 장르가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분석도 유의미 할 것

이다. 번역 작품올 선정한 뒤에 그 작품의 장르에 적합한 출판사와 접촉을 시

Page 24: 러시아에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s-space.snu.ac.kr/bitstream/10371/88130/1/3. 논문... · 러시아애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

82 러시아연구 제 13권 제2호

도하는 것도 번역 도서가 성공을 거둘 수 있는 한 방안이라고 생각한다.

문학사는 고전문학 출판과 정기간행물 간행에 주력하고 있으며 동양문학출

판사와 아동문학사는 고전문학과 현대문학을 비교적 고른 비율로 출판하고는

있지만 고전문학에 다소 치우친 경향이 있으며, 외국문학출판사는 현대문학

출판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6. 번역지원 정책

러시아의 한국문학 번역에 대한 정부의 지원 정책은 1990년대 이전까지는

전무하였다. 이는 러시아와 우리나라와의 외교적인 교류의 부재라는 객관적인

상황뿐만 아니라 우리 정부의 문예정책과 깊은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196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우리 정부의 문예정책의 초점은 체제의 정당성

입증과 체제 유지에 맞추어져 있었다. 전반적으로 정부는 체제에 대해 비판적

인 입장을 견지하거나 체제비판적 경향성을 띤 작가들의 작품을 해외에 소개

하는 데는 소극적이었다. 그러니 이데올로기적으로 서로 다른 체제를 유지하

고 있는 러시아에서의 한국문학 번역에 대해서도 정부가 어떠한 노력도 기울

이지 않았다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정부의 이런 문예정책이 러시아에서의 한

국문학 번역과 발전을 지연시키는 원인을 제공했다는 것도 부인할 수 없는

현실이다.

이러한 객관적인 현실 이외에도, 1993년 출범하여 한국문학의 해외 소개에

많은 노력을 경주하고 있는 대산문화재단의 한국문학 해외 소개 프로그램에

러시아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8) 하지만 1990년 이후 한국문예진흥원의 지원

으로 『한국현대소설선.!I(1994) , r 한국단편소설선.!I(1995) , l'한국민담집.!I9) (1999) ,

정현종 시선집 『환합니다.!I (2000) 등 4종의 번역서가 러시아에서 출판되었다.

사실 러시아의 남한문학 번역은 1990년대 시작되어 이제 초기 단계라고 해

도 무관할 것이다. 현재 러시아에서 불고 있는 동양에 대한 관심을 고려한다

면, 또 비록 북한 중심적이기는 했지만 기존의 한국문학 번역의 성과물을 고

려한다면, 러시아에 대한 정부나 민간단체 차원의 보다 적극적인 번역 지원

8) 대산문화재단의 한국문학 해외 소개 프로그램에는 영어권, 독일어권, 프랑스어권, 스페인어권 등 4개 언어권이 포함되어있다.

9) 박현섭과 극동국립대학의 한국학 전문가들이 공동 번역하였다.

Page 25: 러시아에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s-space.snu.ac.kr/bitstream/10371/88130/1/3. 논문... · 러시아애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

러시아애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 83

정책이 주어진다면 러시아의 한국문학 번역은 새로운 발전의 길을 걸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3.7. 한국문학 번역현황의 특성 및 종합

러시아의 한국문학 번역의 가장 큰 특정은 현대문학과 고전문학의 거의 모

든 장르에 대한 번역이 이루어졌으며 학문적인 필요성에 의한 자연발생적인

성격이 강하다는 것이다. 러시아에서 번역된 단행본 139종을 기준으로 할 때

장르별로는 소설집(소설)이 53종으로 가장 많이 번역되었으며 시대별로는 고

전문학과 현대문학, 고전/현대 혼합이 각각 68종, 70종, 1종씩 번역되었다.

러시아어로 번역된 한국 고전문학 중 개별작품을 기준으로 할 때 가장 많

이 번역된 장르는 시조로 총 1.670편이 되었는데 정철의 작품이 250편으로 가

장 많이 번역되었다. 그 다음 많이 번역된 장르는 설화로 681편이 번역되었는

데 작가 미상의 작품이 457편으로 가장 많다. 하지만 아직 우리 민중의 생활

상과 우리의 민족성을 알릴 수 있는 방향에서의 번역이 자리잡은 것은 아니

다. 현대문학은 시가 503편, 단편소설이 103편, 중편소설이 7편, 장편소설이

22편 번역되었다.

시기별로는 1950-60년대 번역이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졌는데 이 시기 현대시

와 고전설화가 집중적으로 번역되었다. 이는 당시 사회주의 사회 건설이라는

공통의 과제를 안고 있던 러시아와 북한의 긴밀한 관계에서 기인한 바가 크다

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1960년대를 지나면서 한국문학 번역은 답보 상

태에 머무르게 되며 현재에까지 이르고 있다.

한국문학 번역가로서 고전설화에서는 ll. 옐리세프 고전소설에서는 r. 라취 꼬프, 고전시조에서는 박일과 아흐마또바, 현대시에서는 이수경과 김진영, 현

대 단편소설에서는 리 발렌젠의 활동이 두드러진다.

또한 러시아어로 번역된 한국문학의 가장 주된 특정은 선집 특히 한 작가

의 작품 선집이 아니라 여러 작가의 작품 선집 위주이며, 북한문학 위주인데

현재까지도 이러한 경향성은 해소되지 않고 있다. 이는 러시아의 1세대 한국

문학 전문가들이 이념적, 정치적으로 북한 지향성을 띠고 있으며 이들의 이런

지향성이 2세대 한국문학 전문가들에 와서 많은 부분 해소되고 있다고는 하

지만 아직까지도 그 잔혼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러시아에서 번역된 한국문학

Page 26: 러시아에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s-space.snu.ac.kr/bitstream/10371/88130/1/3. 논문... · 러시아애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

84 러시아연구 제 13권 제2호

의 또 다른 특정 중의 하나는 전래동화 이외에 아동문학에 대한 번역이 부재

하고 정기간행물이나 신문올 통한 한국문학 번역이 활발하지 못하다는 것이

다. 아동문학 번역의 부재는 아동문학을 성인문학의 하부 문학 정도로 파악하

는 기존의 틀에 박힌 사고로 인하여 번역을 기피했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1980년 이후 우리나라의 아동문학은 성인문학 못지 않게 주제와 구성, 장르

면에서 깊이 있는 발전을 하고 있기 때문에 아동문학을 러시아에 번역 소개

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정기간행물이나 신문을 통한

한국문학의 소개는 일회성이라는 한계는 있지만 파급력에 있어서는 단행본보

다 그 효과가 크기 때문에 한국문학을 러시아의 정기간행물과 신문 둥에 소

개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도 다각도의 모색이 필요할 것이다.

4. 한국문학 소개의 문채점과 발전 방향

4. 1. 번역 대상 작가와 작품 선정

우리의 문학 작품이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번역 대상

작품의 다변화 및 질적인 향상이 필요하다. 번역 대상 작품과 작가의 선정에

있어서 우리나라에서 인기 있고 문학성을 인정받은 작품을 가시권에 두는 것

보다는 러시아 독자들의 정서와 취향을 고려하는 것이 더 중요할 것이다. 즉

러시아인들이 선호하는, 러시아인들의 정서에 부합하는 문학 장르는 무엇인지

를 파악해서 번역 작품을 선정해야 할 것이다. 그런 측면에서 이러한 연구 분

석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최근 번역 작품 선정 작업에서 정부의 간섭과 통제는 상당히 완화되

어 있지만, 아직도 관의 지원을 받는 보수일변도의 문화 관련 단체들이 번역

대상 작품들의 성향을 특정한 방향으로 이끌고 있어, 우리 문학의 대외경쟁력

을 약화시 키 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10)

뿐만 아니라 민족적이면서 번역대상 언어의 문화코드에 맞는 작품을 선정

하고 대상 언어의 민족 문학에는 없고 우리 문학만이 있는 독창적인 장르의

10) 설성경 (2002) ~세계속의 한국문학: 통일 한국문학의 진로와 세계화 방안J , 새미출

판사, 587쪽

Page 27: 러시아에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s-space.snu.ac.kr/bitstream/10371/88130/1/3. 논문... · 러시아애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

러시아에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 85

문학 즉 시조와 같은 독특한 형식의 장르를 소개하는 일이 중요하다11) 러시

아에서는 시조가 활발하게 번역되었고 번역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지속적으

로 이어 나갈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모색이 필요할 것이다. 이렇듯 우리의 정

체성을 살리면서 러시아의 보편적인 대중 정서에 부합할 수 있는 작품 선정

과 이에 적합한 작가의 선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2. 전문 번역가 양성

문학 작품 번역의 성패를 논할 때 결코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 번역의 질

문제이다. 전문번역가 양성 문제는 한국문학의 세계화를 논하는 여러 전문가

들에 의해 이미 수차례 지적되고 있다. 번역가는 언어 능력 이외에 일반적으

로 문학적 능력 또는 문학적 감식안이라 불리는 특별한 능력을 갖고 있어야

한다.12) 뛰어난 번역가는 언어능력 이외에 작품 해석 능력 및 문학적 능력을

겸비해야만 한다. 번역은 문학적 감각, 번역할 작품의 성격, 장르, 주제 등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광범위한 문화적 지식이 요구된다. 이는 자연스럽게 전

문 번역가의 양성이라는 문제와 연결될 수밖에 없다. 이 분야의 많은 연구자

들이 여러 방안올 제시하고 있는데 그 방안 중의 하나가 외국문학을 전공하

는 교수들의 업적 가운데 번역 작업이 매우 중요한 업적 중의 하나로 평가되

는 풍토가 조성되어야 하며 번역의 이론과 방법을 체계적으로 교육하는 강좌

가 대학이나 특수 연구 기관에 설치되어야 한다13)는 것이다. 그렇다면 그러한

원론적인 방안이외에 러시아의 특수성을 고려한 전문 번역가 양성에는 어떤

방안이 있을까? 이에 대한 올바른 해답은 러시아에서 한국문학 번역의 질을

향상시키고 번역 도서의 성패를 좌우하게 될 것이다.

한국문학의 올바른 번역은 한국문학에 대한 열정과 이해의 폭이 넓은 외국

인이 자신의 모국어로 번역할 때 가능하다14)는 주장과 또 한편으로는 한국인

이 쓴 시나 소설은 아무래도 한국인의 정서를 김이 이해하는 모국인이 더 자

연스럽고 절실하게 번역하며 문학의 토착성은 단어로 따질 수 없는 분명히

11) 오세영 (2002) r우리 문학의 해외 소개를 위한 몇 가지 제언 J , r2oo2 문학과 번역 서울 심포지엄 자료집, 한국문학 해외소개정책 A , 한국문학번역원 면, 26쪽.

12) 김정란(991) r 한국문학 해외 소개의 현주소J,문화예술A , 24쪽.

13) 이가람(993) r한국문학의 세계화를 위하여 J,문화예술J , 4, 20쪽. 14) 설성경 (2002) 같은 책, 589쪽.

Page 28: 러시아에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s-space.snu.ac.kr/bitstream/10371/88130/1/3. 논문... · 러시아애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

86 러시아연구 제 13권 제2호

존재하는 어떤 감홍이다15)라는 주장이 있다. 물론 두 주장 모두 어느 정도 타

당성은 있다. 하지만 러시아와 같이 한인 교포들이 존재하는 나라에서는 이들

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일 것이다. 그들은 러시아어에도 능통할

뿐 아니라 한국적인 정서도 어느 정도는 이해할 수 있는 계층이기 때문이다.

특히 그들 중 활발한 작품 활동을 하고 있는 작가들을 섭외하여 번역을 의뢰

하고 그들의 번역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어떨까? 이러한 번역 능력을 갖추

고 있으며 현재 활동 중인 재러 한인 작가들에 대해 알아보았다.

1세대 한인 작가로는 중편소설 <순천에서 발견된 공책〉의 작가인 김로만,

단편소설 〈묘코의 들장미>, <벌목꾼>, <쩍쇠풀〉 등과 장편소설 <리스>,

〈다람쥐>의 작가인 아나톨리 김, 장편소설 <해바라기 꽃잎 바람에 날리다〉

의 작가인 미 하일 박,<공상가인 나는 사랑한다면〉의 작가인 시 인 허 진, 극

작가인 한진, 소설가이며 아동문학가인 게느리에타 강, 김준, 한상옥, 시인 이

진, 작가인 블라지미르 렴과 안드레이 한 등이 러시아 문단에서 활발한 활동

을 하고 있다. 2세대 한인 작가로는 1980년 이후 문학잡지 등에 단편소설을

발표한 유병철, 김경자, 김기철, 김보리스, 김오남, 김용택, 남철, 이정희, 양원

식, 명철, 연성용, 장윤기, 전동혁 16) 등과 카자흐스탄 출신의 소설가인 알렉산

드르 강, 시인인 스타니슬라브 리 둥이 있다. 1세대 한인 작가들은 이미 노령

화되어 활발한 활동을 기대하기가 어려우므로 2세대 한인 작가들을 적극 활

용하고 그들의 번역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4.3. 번역 비평의 활성화

러시아로 번역된 대부분의 한국문학 작품집에 있어서 서문과 후기는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서문과 후기는 역자나 한국문학 전문가가 쓰게 되

는데 만일 그가 설화 연구자라면 설화 번역집의 서문이나 후기를 쓰고 한국

현대 단편소설 연구자라면 한국단편소설집의 서문이나 후기를 쓴다. 보통 서

문이나 후기의 내용은 한국문학의 역사적인 성장 과정과 특수성, 번역 작품이

15) 권택영 (2002) r무엇을 소개할 것인가-패러다임의 중요성 J , ~2002 문학과 번역 서울

심포지엄 자료집 A , 한국문학번역원편, 20쪽. 16) 김연수(1986) r소련과 한국 문저11 J , 도서출판 일념, 98-101쪽 참조.

Page 29: 러시아에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s-space.snu.ac.kr/bitstream/10371/88130/1/3. 논문... · 러시아애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

러시아때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 'öl

한국문학에서 차지하는 위상, 번역 작품을 러시아에 소개하게 된 배경, 번역

작품의 역사적, 사회적, 정치학적인 배경 및 문학적인 내용성, 본 작품의 작가

가 한국문학에서 차지하는 위상 본 작품의 작가의 문학관 등을 소개한다. 이

러한 경향성은 매우 고무적인 것이라고 생각한다. 한국문학을 접해보지 못한

러시아 사람들이 (대부분이 이런 부류의 사람들 일 것이다) 한국문학 번역 작

품을 읽을 때 이러한 배경 설명이 주어진다면 훨씬 흥미를 가지고 읽을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작가와 러시아와의 연관성 작가와 문학적인 성향이

유사한 러시아 작가는 누구인가? 둥의 전문적인 소개가 더 주어지는 것이 바

람직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5. 결론

1990년 이후 러시아에서 남한문학에 대한 관심도가 커지고 번역과 연구도

활발해졌지만 이전의 성과물과 비교하여 볼 때 미미한 수준이다. 한때 세계

최고 수준을 자랑하던 러시아의 한국문학 번역은 한 · 러 수교 이후 10여 년

의 시간이 지난 지금까지 별다른 활기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이는 구소련

체제 붕괴와 함께 순수 학문분야에 대한 국가로부터의 지원이 크게 위축된

러시아 측 사정에서 기인한 것이기도 하지만, 한때 러시아인들 사이에서 고조

되던 한국에 대한 관심을 한국문학 발전을 위한 디팀돌로 발전시키지 못한

우리나라의 책임도 적지 않다.

현재 러시아에는 동양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대형 서점에서 동양과

관련된 전문 섹션이 만들어지고 있고 동양에 관한 도서만을 취급하는 서점이

곳곳에 생기는가 하면 동양에 대한 다각도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동양에

대한 이런 열풍 속에서 일본문학과 중국문학 그리고 일본과 중국 관련 도서

가 서점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반면 한국문학이나 한국 관련 도서는 대

형서점이나 동양 관련 서점에서 책꽂이의 한 칸도 차지하지 못하고 있는 실

정이다. 현재 러시아에 불고 있는 동양에 대한 열풍을 고려한다면, 또 비록

북한 중심적이기는 했지만 기존의 러시아에서 이루어진 한국문학 번역의 성

과물을 고려한다면, 정부나 민간단체 차원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러시아의 한

국문학 번역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정책을 수립해 간다면 러시아의 한국문학

Page 30: 러시아에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s-space.snu.ac.kr/bitstream/10371/88130/1/3. 논문... · 러시아애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

88 러시아연구 제 13권 제2호

연구 및 번역과 소개는 새로운 발전의 길올 걸어 나갈 수 있을 것이며 양국

의 문화 교류는 한 차원 높은 수준으로 끌어 올려지게 될 것이다.

Page 31: 러시아에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s-space.snu.ac.kr/bitstream/10371/88130/1/3. 논문... · 러시아애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

러시아애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 89

참고 문현

강거 배 (995) r한국현대문학 50년.!I, 민음사.

곽효환(998) r한국문학의 해외 소개 연구J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곽효환(2002) r한국문학 해외 소개의 현황과 과제. 세계화를 향해 걸어온 긴

여정, 그러나 아직은 먼 길」, 『문예중앙.!I, 봄호, 324-348쪽.

권영민(995) r한국현대문학 50년.!I, 민음사.

권영민(2001) r노벨문학상파 한국문학.!I, 월인.

권택영 (2002) r무엇을 소개할 것인가-패러다임의 중요성 J , 1' 2002 문학과 번역

서울 심포지엄 자료집: 한국문학 해외소개정책.!I, 한국문학번역원.

김연수(1986) l'소련과 한국문저~.!I, 도서출판 일념.

김윤한(2003) , r번역과 텍스트 기능」, 『인문논총.!I,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제48

집, 1-25쪽.

김정란(991) r 한국문학 해외소개의 현주소」, r문화예술.!I, 한국문화예술진흥

원, 10월호.

김종길(9) i'한국문학의 외국어 번역.!I, 민음사.

검홍규 편(998) l'한국문학 번역서지목록.!I, 한국문학 번역금고, 고려대학교 민

족문화연구원 편.

문석우(998) r한국문학 속의 세계문학.!I, 규장각.

박상언(996) r우리문학의 번역 및 출판 실태」, 『문예중앙.!I, 여름호, 36-47쪽.

셜성경 (2002) r세계속의 한국문학/통일한국문학의 진로와 세계화 방안.!I, 세미

출판사.

엄순천 (2003) r 러시아의 한국 고대시가 번역 현황과 안나 아흐마또바의 역할

분석」, 『노어노문학.!I, 제 15권 제 1호, 29-48쪽.

오세영 (2002) r 2002 문학과 번역 서울 심포지엄 자료집, 한국문학 해외소개정

책.!I, 한국문학번역원편.

이가람(993) r 한국문학의 세계화를 위하여」, 『문화예술.!I, 한국문화예술진흥

원, 4월호.

한국문학번 역 원 소식 지 (2001), 겨 울호, 1-40쪽.

(2002), 겨울호, 1-41쪽.

한예경 (2002) r안나 아흐마또바의 시에서 동양의 주저11 J , r 러시아연구.!I, 제 11권

Page 32: 러시아에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s-space.snu.ac.kr/bitstream/10371/88130/1/3. 논문... · 러시아애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

90 러시아연구 체 13권 제2호

제2호, 서울대 러시아연구소, 240-정6쪽.

EJ!HCeeB, ll. 1l.(1968) “KopeRcKa~ CpenHeBeKOBb~ RHTepaTypa nX3CORb(npo6ReMa

npOHCXO:l<lleHH~ H :l<aHpa)," KaHllHllaTCKa~ llHCCepTa뻐~, I1HCTHTyT BOCTOKO­

BelleHH~.

EpMeHKO , J1. E. , I1BaHOB, B. 11.(1964) Kopel1cKaJ/ JlHTepaTypa, MOCKBa: HayKa.

K03y6oBcKa~ r. n., MaRbmeBa E. B. (1998) “BOCTOqH뼈 nepeBOllbl A. AXMaToBoR ,"

KyJlbTypa H TeKCT. JJHTepaTypaBel1eHHe, 4aCTb 1, CC. 62-77.

KOH l.\eBHq, J1. p. (1974) “KopeRcKa~ n03THKa," CJlOBapb JlHTepaTypaBel1tfeCKHX

TepMHHOB, MOCKBa: HayKa, CC. 8-10.

Kopel1cKaß KJlaCCHtfeCKaß n033Hß (1956) nepeBOllbl A. AXMaToBoR, MOCKBa: XYllO-

:l<eCTBeHHa~ RHTepaTypa.

Kopel1cKaß KJlaCCHtfeCKaß n033Hß (1958) nepeBOllN A. AxMaTOBO때, MOCKBa: XYllO-

:l<eCTBeHHa~ RHTepaTypa.

J1H, B. H. (1967) “Kope때CKa~ npOReTapCKa~ RHTepaTypa (20-30 ro때 np03a) ,"

KaHllHllaTCKa~ llHccepTal.\H~ , I1HCTHTyT BOCTOKOBelleHH~.

HHKHTHHa, M. 11. (1987) φeBHßß Kopel1cKaß n033Hß B CBß3H C pHTyaJlOM, MOCKBa:

11311. RHT. Ha HHOCTpaHHNX ~3NKax.

HHKHTHHa, M. 11., TpO l.\eBHq A. 0. (1969) DtfepKH HCTOpHH Kopel1cKol1 JlHTepaTyph/,

MOCKBa: HayKa.

naK , r. A.(1998) “AHTORO대~ KopeRcKoR KRaCCHQeCKOR n033HH B nepeBOlle A.

AxMaTOBoR," KyJlbTypa H TeKCT. JJHTepaTypaBel1eHHe, 4aCTb 1, cc. 57-62.

Page 33: 러시아에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s-space.snu.ac.kr/bitstream/10371/88130/1/3. 논문... · 러시아애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

러시아애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 91

Pe311 .. e

COCTO~HHe H aHanH3 nepeBOna KopeAcKOA nHTepaTypw B POCCHH

0 .. , CYH-4oH

BnepBhle B POCCHH Ha~HnH nepeBOnHTb KopeAcK~ xynO*eCTBeHHy~ nHTepaTy­

py B 1898 r. nO CHX nop npowno y*e nO~TH 100 neT H nepeBeneHbl Bcero 139 C60PHI’KOB H 3245 npOH3BeneHHA KopeAcKoA xyno*eCTBeHHoA nHTepaTypμ. EcnH

nO 1950 r. nepeBO따 npOH3BeneH때 KopeAcKoA nHTepaTyphl B POCCI씨 nmlBJUInHC

b 3nH30마l~eCKH , TO nocne 1950 r. KonH~eCTBO HX MHorOKpaTHO yBenH~HnOCb. B

nepeBonH~eCK~ pa60Ty aKTHBHO BKn~~HnHCb KaK n03Thl H nHcaTenH CTapwer。

nOKOneHH5I, TaK H COBpeMeHHhle nHTepaTOpbl. MHorOKpaTHO nepeBellHhl CHll*O,

Kaca, llpeBH5I5I np03a, COBpeMeHHhlA pOMaH H paCCKa3μ. 11 3Hat써TenbHO BhlpOC

npolþeccHoHanbHhlA H XYllo*eCTBeHHhlA ypoBeHb nepeBolloB C KopeAcKoro. n05l­

BHnHCb Kanp바 nHTepaTypoBelloB, cneUHanH3Hp~~HXC5I no KopeAcKoA nHTepaType.

OHH CBOHMH HccnenOBaHH5IMH H nepeBonaMH nOMornH pOCCHACKOMY ~HTaTe~ WHpe

H rny6*e 3HaKOMHTbC5I C weneBpaMH KopeAcKoA nHTepaTyphl. HY*HO HanOMHHaTb

HccnenOBaTenb H nepeBO~HKH KopeAcKoA xyno*eCTBeHHoA nHTepaTypμ H.

rapHH-MHxaAnOBCKHA , n. n. EnHceeB, R. EpMeHKo, A. TpoueBH~ , M. HHKHTμHa ,

B. I1BaHoB, A. T3H H T. ll.

Ho np06neMa B TOM, ~TO 110 1990 r. poccHAcKHe nepeBOll~HKH nepeBenH B

OCHOBHOM nponeTapcKy~ H ceBepH~ KopeAcKy~ nHTepaTypy. a ~*Hy~ Kope때CKyl。

nHTepaTypy nO~TH He nepeBenH. C onHoA CTOpOHOA, 3TO CB5I 3aHO C 3THM, ~T。nO 1990 r. Me*llY KopeA H Pocce~ He 6ψ10 OIþH띠anbHoe OTHoweHHe. A Tenepb

Y Hac eCTb olþHUHanbHoe OTHoweHHe H pOCCI때CKHe HccnenOBaTenb H nepeBon~H

KH KopeAcKoA xYllo*ecTBeHHoA nHTepaTyp뻐 Ha~HnH 06pa~aTbc5I BHHMaHHe K

~*HoA KopeAcKoH nHTepaType. nocne 1990 r. nepBelleH퍼 17 npOH3BeneHHα

Kope꺼CKoA xyno*ecTBeHHoA nHTepaTypμ. HaM Hy*HO 60nee aKTHBHO H HHTeHCH­

BHO 3aHHMaTbC5I nepeBonOM KopeAcKoA xyno*eCTBeHHoA nHTepaTyphl B POCCHH.

Page 34: 러시아에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s-space.snu.ac.kr/bitstream/10371/88130/1/3. 논문... · 러시아애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조사 및 분석

92 러시아연구 제 13권 제2호

C 3THM 6yneT O*HB~TbC~ KynbTyp~H꺼 。6MeH H pa3BHBaTbC~ ypoBeHb xynO*eCT

BeHHoro nHTepaTypHoro 06MeHa nByx CTpaH~.

논문심사일정

논문투고 2003. 10. 12

논문심사 2003. 10. 31 - 11. 28

심사완료 2003. 12. 5

필자약력(엄순천)

.:,. -, . 성공회대학교 강사

러시아아카데미산하 러시아연구소

러시아 언어학

「러시아의 한국고대시가 번역 현횡괴 안나 아흐마토바의 역할」 (노어노문학.2003)

소 훌 전

신 공

대표논문:

대표저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