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018년 6월 22일 금요일 7 8면 당찬 맛짐을 찾아서 제대로된 참치의 맛 느껴보세9면 저자와 함께 조선시대 이상기후 분석 김오진씨 10면 스포츠 한국-멕시코전 더위 새로운 변수 산허리는 온통 메밀밭이어서 피기 시작한 꽃 이 소금을 뿌린 듯이 흐붓한 달빛에 숨이 막힐 지경이다. 이효석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 의 한 구절 이다. 소설의 주인공 허생원과 동이가 걸었던 강원도 봉평의 한 산길, 부서지는 달빛과 메밀 꽃을 묘사한 이 장면은 소설의 내용과 절묘하 게 맞물려 꽤나 인상적이다. 때문일까. 메밀하 면 강원도 봉평, 달빛 등이 우선 떠오른다. 많 은 사람들이 메밀의 주산지를 강원도로 오해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메밀 주생산지 =전국에서 메밀 생 산량이 가장 많고 재배면적이 가장 넓은 곳은 바로 제주다. 제주 메밀의 생산량은 태풍 피해 로 생산량이 급감한 2016년을 제외하고 30%가 량으로 전국 최고다. 제주도내 메밀 재배면적 도 지난해 845㏊로 전국 메밀 생산면적의 37% 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지난 2016년 제주도내 메밀 재배 면적은 1382㏊로 전국 메밀 생산면 적의 43.5%를 차지했다. 이는 타 지역의 3배 가량 넓은 수준이다. 때문에 하얀 메밀밭 장관 은 제주 곳곳에서 만날 수 있다. 특히 제주는 기후적으로 메밀을 2모작으로 재배할 수 있어 파종시기에 따라 5~10월까지 메밀꽃을 볼 수 있다. 9~10월 가을로 향하는 길목이 아닌 5~6월 여름의 문턱에서 하얀 장 관을 만날 수 있는 셈이다. 개화기간도 20~30 일로 비교적 길다. 6월의 대표 메밀꽃축=제주에서는 9~10 월이 아닌 5~6월에도 메밀꽃 축제가 열린다. 대표적인 축제는 제주도 서귀포시 표선면에 위치한 보롬왓 에서 펼쳐지며, 지난달 19일 부터 네번째 메밀꽃 이야기 축제가 진행되 고 있다. 축제기간엔 무지개빛 깡통기차를 탈 수 있고, 연날리기와 뻥튀기도 즐길 수 있다. 6월 들어 슬슬 메밀 열매가 영글기 시작했 지만 너른 들판 곳곳 하얀 메밀꽃이 박혀있다. 누렇게 익은 보리와 이달 만개한 보라빛 라벤 더, 보름왓 초입 수국이 아쉬움을 달랜다. 무 료 입장이 가능했던 보롬왓은 올해부터 입장 료 3000원을 받는다. 보롬왓 내 위치한 카페에 서는 직접 재배한 메밀로 만든 세련된 갈레트 도 선보인다. 메밀꽃 축제장이 아니라도 하얀 메밀꽃 장 관을 즐길 곳은 많다. 동쪽 백약이오름으로 가 는 길목, 1100도로에서 산록도로로 향하는 길 목, 송당마을 안 카페 인근 등. 하얀 메밀밭은 푸른 하늘과 오름, 검은 돌담과 어우러지며 가 슴뛰는 장관을 선사한다. 단 대부분의 메밀밭 이 농경지인만큼 함부로 들어가는 일은 자제 하는 것이 좋겠다. 채해원[email protected] 여름의 문턱 제주 곳곳서 펼쳐지는 하얀 장관 메밀 주민속촌 통음식만들체험에 여해 빙떡을 만들고 있는 참가자들. 일보DB 메밀은 제주 자청비 신화에 등장하는 작물 로, 제주의 신화 역사 생활과 관련된 이야기 적 요소가 많다. 자청비 신화에는 제주에서 메밀을 키우게 이야기가 담겼다. 하늘나라를 어지럽힌 반란군을 진압한 자청비는 옥황상제는 주는 큰 상을 마다하고 오곡 씨앗을 받는다. 씨앗 을 파종하고 보니 종자 하나가 비어 다시 하 늘로 향한 자청비는 땅이 없는 사람들이 들 에 뿌려도 열매를 거둘 수 있는 곡식이 필요 하다 며 씨앗을 받아온다. 그것이 바로 메밀 씨앗이고, 메밀은 다른 작물보다 늦게 척박 한 땅에 뿌려도 잘 자라 사람들의 양식이 돼 주었다는 얘기다.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라는 메밀은 제주 신화에 등장할 만큼 오랜기간 구황작물로 활 용됐다. 제주의 문화와 환경에 맞게 융합되 고 발전돼 관혼상제 음식은 물론 다양한 형 태로 제주만의 독특한 음식문화를 창출하고 있다. 옛 제주사람들은 소화가 잘 되지 않는 메 밀을 소화효소가 뛰어난 무와 함께 섭취했 고, 그 대표적인 것이 빙떡 이다. 빙떡은 메 밀전을 얇게 부쳐 그 위에 무채를 넣어 싸서 먹는 것으로, 명절이나 제사 때 꼭 조상께 올 렸다고 한다. 사람이 돌아가셔서 저승사자를 위한 떡을 만들 때도 메밀가루를 반죽해 을 만들었다. 개떡은 상여가 나갈 때 이 떡을 길에 버리면 혼백을 모셔가는 개가 이 떡을 먹는다고 해 이같은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그 외에도 돼지사골에 모자반(몸)과 메밀 을 넣어 만든 몸국 은 해녀들의 허기를 채 워줬고, 메밀가루로 만든 수제비과 미역을 함께 끓인 메밀수제비(메밀조배기) 는나 쁜 피를 배출시켜 혈액을 맑게 해 산모들을 위해 많이 만들었다고 한다. 제주사람들은 옛부터 쉽게 구할 수 있던 꿩으로 육수를 내 고 여기에 메밀과 무를 넣어 꿩메밀칼국수 를 끓여먹기도 했다. 채해원서귀포면에 위치한 보롬왓에서 방문객들을 찍으며 추억을 남고 있다. 일보DB

여름의문턱제주곳곳서펼쳐지는하얀장관메밀pdf.ihalla.com/sectionpdf/20180622-75717.pdf서는직접재배한메밀로만든세련된갈레트 도선보인다. 메밀꽃축제장이아니라도하얀메밀꽃장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여름의문턱제주곳곳서펼쳐지는하얀장관메밀pdf.ihalla.com/sectionpdf/20180622-75717.pdf서는직접재배한메밀로만든세련된갈레트 도선보인다. 메밀꽃축제장이아니라도하얀메밀꽃장

2018년 6월 22일 금요일 7

8면당찬맛짐을찾아서

제대로된 참치의 맛 느껴보세요

9면저자와함께

조선시대 이상기후 분석

김오진씨

10면스포츠

한국-멕시코전 더위 가

새로운 변수

산허리는 온통 메밀밭이어서 피기 시작한 꽃

이 소금을 뿌린 듯이 흐붓한 달빛에 숨이 막힐

지경이다.

이효석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 의 한 구절

이다. 소설의 주인공 허생원과 동이가 걸었던

강원도 봉평의 한 산길, 부서지는 달빛과 메밀

꽃을 묘사한 이 장면은 소설의 내용과 절묘하

게 맞물려 꽤나 인상적이다. 때문일까. 메밀하

면 강원도 봉평, 달빛 등이 우선 떠오른다. 많

은 사람들이 메밀의 주산지를 강원도로 오해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메밀 주생산지 제주 =전국에서 메밀 생

산량이 가장 많고 재배면적이 가장 넓은 곳은

바로 제주다. 제주 메밀의 생산량은 태풍 피해

로 생산량이 급감한 2016년을 제외하고 30%가

량으로 전국 최고다. 제주도내 메밀 재배면적

도 지난해 845㏊로 전국 메밀 생산면적의 37%

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지난 2016년 제주도내

메밀 재배 면적은 1382㏊로 전국 메밀 생산면

적의 43.5%를 차지했다. 이는 타 지역의 3배

가량 넓은 수준이다. 때문에 하얀 메밀밭 장관

은 제주 곳곳에서 만날 수 있다.

특히 제주는 기후적으로 메밀을 2모작으로

재배할 수 있어 파종시기에 따라 5~10월까지

메밀꽃을 볼 수 있다. 9~10월 가을로 향하는

길목이 아닌 5~6월 여름의 문턱에서 하얀 장

관을 만날 수 있는 셈이다. 개화기간도 20~30

일로 비교적 길다.

▶6월의 대표 메밀꽃축제=제주에서는 9~10

월이 아닌 5~6월에도 메밀꽃 축제가 열린다.

대표적인 축제는 제주도 서귀포시 표선면에

위치한 보롬왓 에서 펼쳐지며, 지난달 19일

부터 네번째 메밀꽃 이야기 축제가 진행되

고 있다. 축제기간엔 무지개빛 깡통기차를 탈

수 있고, 연날리기와 뻥튀기도 즐길 수 있다.

6월 들어 슬슬 메밀 열매가 영글기 시작했

지만 너른 들판 곳곳 하얀 메밀꽃이 박혀있다.

누렇게 익은 보리와 이달 만개한 보라빛 라벤

더, 보름왓 초입 수국이 아쉬움을 달랜다. 무

료 입장이 가능했던 보롬왓은 올해부터 입장

료 3000원을 받는다. 보롬왓 내 위치한 카페에

서는 직접 재배한 메밀로 만든 세련된 갈레트

도 선보인다.

메밀꽃 축제장이 아니라도 하얀 메밀꽃 장

관을 즐길 곳은 많다. 동쪽 백약이오름으로 가

는 길목, 1100도로에서 산록도로로 향하는 길

목, 송당마을 안 카페 인근 등. 하얀 메밀밭은

푸른 하늘과 오름, 검은 돌담과 어우러지며 가

슴뛰는 장관을 선사한다. 단 대부분의 메밀밭

이 농경지인만큼 함부로 들어가는 일은 자제

하는 것이 좋겠다.

채해원기자 [email protected]

여름의 문턱 제주 곳곳서 펼쳐지는 하얀 장관 메밀

제주민속촌 전통음식만들기 체험에 참여해 빙떡을 만들고 있는 참가자들. 한라일보DB

메밀은 제주 자청비 신화에 등장하는 작물

로, 제주의 신화 역사 생활과 관련된 이야기

적 요소가 많다.

자청비 신화에는 제주에서 메밀을 키우게

된 이야기가 담겼다. 하늘나라를 어지럽힌

반란군을 진압한 자청비는 옥황상제는 주는

큰 상을 마다하고 오곡 씨앗을 받는다. 씨앗

을 파종하고 보니 종자 하나가 비어 다시 하

늘로 향한 자청비는 땅이 없는 사람들이 들

에 뿌려도 열매를 거둘 수 있는 곡식이 필요

하다 며 씨앗을 받아온다. 그것이 바로 메밀

씨앗이고, 메밀은 다른 작물보다 늦게 척박

한 땅에 뿌려도 잘 자라 사람들의 양식이 돼

주었다는 얘기다.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라는 메밀은 제주

신화에 등장할 만큼 오랜기간 구황작물로 활

용됐다. 제주의 문화와 환경에 맞게 융합되

고 발전돼 관혼상제 음식은 물론 다양한 형

태로 제주만의 독특한 음식문화를 창출하고

있다.

옛 제주사람들은 소화가 잘 되지 않는 메

밀을 소화효소가 뛰어난 무와 함께 섭취했

고, 그 대표적인 것이 빙떡 이다. 빙떡은 메

밀전을 얇게 부쳐 그 위에 무채를 넣어 싸서

먹는 것으로, 명절이나 제사 때 꼭 조상께 올

렸다고 한다. 사람이 돌아가셔서 저승사자를

위한 떡을 만들 때도 메밀가루를 반죽해 개

떡 을 만들었다. 개떡은 상여가 나갈 때 이

떡을 길에 버리면 혼백을 모셔가는 개가 이

떡을 먹는다고 해 이같은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그 외에도 돼지사골에 모자반(몸)과 메밀

을 넣어 만든 몸국 은 해녀들의 허기를 채

워줬고, 메밀가루로 만든 수제비과 미역을

함께 끓인 메밀수제비(메밀조배기) 는 나

쁜 피를 배출시켜 혈액을 맑게 해 산모들을

위해 많이 만들었다고 한다. 제주사람들은

옛부터 쉽게 구할 수 있던 꿩으로 육수를 내

고 여기에 메밀과 무를 넣어 꿩메밀칼국수

를 끓여먹기도 했다. 채해원기자

서귀포시 표선면에 위치한 보롬왓에서 방문객들이 사

진을 찍으며 추억을 남기고 있다. 한라일보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