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
강원도 지방의료원 발전방안 오무경 강원대학교병원 예방의학과 1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병원관리학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강원도 지방의료원 발전방안

오무경강원대학교병원 예방의학과

1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병원관리학

Page 2: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목차

강원도

강원도 건강환경

강원도 지방의료원

강원도 지방의료원의 성과

강원도 지방의료원 발전 방안

강원도 지방의료원 공공의료 강화 방안

2

Page 3: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강원도

3

Page 4: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일반 현황 개요

– 면적: 20,569㎢• 전국의 21%, 서울의 33배)

– 인구: 약 154만명(원주 32만, 춘천 27만, 강릉 22만)

– 인구밀도 : 91.2명/㎢• 전국의 1/5, 서울의 1/183

인구현황– 1990~2010년 평균 인구변화 1.9%

씩 감소 추세• 전국은 2.6%씩 증가

– 원주와 춘천을 포함한 일부 대도시의인구는 계속 증가하는 반면 이외 지역들은 모두 감소

4

Page 5: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주요 현안

5

Page 6: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6

Page 7: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강원도 지방의료원의 위기

7

63 70 75 85 91 44

520 590

664 749

841 884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당기순손실 누적적자

자료원: 강원도, 강원도 지방의료원 발전방안 연구, 2014.

Page 8: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8

5

2

2

42

4

3

2 1

1 16

1

4,417

2,028 1,915 1,725

1,511

1,153 1,120 1,106

439

-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4,500

5,000

경기 경북 경남 전남 충남 강원 전북 충북 제주

시도별 지방의료원 수

시도별 보건예산액 및 보건예산 분율(2014)

1.3 1.1

1.3 1.5

1.2 1.2

1.4

0.0

0.5

1.0

1.5

2.0

2.5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Page 9: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지방의료원에 대한 인식

9자료원: 강원도의회, 제218회 강원도의회 사회문화위원회 1차 회의록. 2012. 4.19.

Page 10: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의료원 현안

10

경영환경의 악화

경제규모 미달에 따른 경쟁력 확보의 구조적 취약성민간병원에 대한 경쟁력 미흡 (인력, 시설, 장비, 재투자 능력, 투자결정기간 등)민간의료기관의 증가 (존립기반 약화)국민의 의료요구수준 상승 (신뢰성 약화 및 이용기피)경영악화 ↔ 진료능력 약화현상이 순환되는 vicious cycle

지방의료원 관리정책의 부정합성

미션 부재 : 요구사항 불명확 장기발전계획 부재 : 땜질식 처방 소유와 관리 책임 부정합 : 기초자치단체의 역할 부재 기회비용 상실에 대한 지원정책 부재 기술지원체계 미비

경영위기누적적자 : 6,563억자생력 상실한계상황 (고비용, 저수익) 직면존립여부에 대한 사회적 논란 확산 밑빠진 독에 물붓기 비판 확대

재무구조 악화취약한 리더쉽관리능력 미숙조직문화 미성숙 : 노조와의 갈등심화

내부경영 능력취약 환자확보 능력 약화우수인력 확보 곤란의사인력의 높은 이직율진료능력에 대한 불신

Page 11: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11

Page 12: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강원도 건강환경

12

Page 13: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건강수준

1313

1.00

1.01

0.98

1.03

1.10

1.13

1.24

1.21

1.19

1.05

1.01

0.98

1.05

1.07

0.95

0.971.031.11

사망률(명/10만 명) 사망률(전국 대비 표준화율)

Page 14: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14자료원: 질병관리본부, 지역사회건강조사, 2012. 강원도 건강지도 재분석

1.130.95

1.01

1.01

1.03

1.10

1.07

1.00

1.19

0.92

1.25

1.09

0.94

0.99

0.91

1.091.131.05

1.07

1.07 1.01

0.99

1.18

1.09

1.09

1.07

1.07

0.79

0.96 1.09

0.84

0.99

강릉시 사망률 원주시 사망률

Page 15: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15

5.6 6.2 6.5 6.6 6.7 6.8 6.8 6.8 6.9 7.1 7.1 7.4 7.8 7.9 7.9 8.0 8.8

0

2

4

6

8

10

경남

제주

울산

광주

경북

대구

대전

충북

전남

부산

전북

서울

경기

충남

강원

인천

세종

당뇨병 의사진단율(%)고혈압 의사진단율(%)

16.7 17 17.3 17.5 17.5 17.7 17.7 17.918.5 18.6 19.5

19.8 20 20.3 20.4 20.820.8

0

5

10

15

20

25

경남

전남

경북

울산

전북

부산

광주

대구

제주

대전

서울

충북

경기

인천

세종

충남

강원

자료원: 질병관리본부, 지역사회건강조사, 2012.

24.527.6 29 29.8 30.3 31.3 31.5 31.5 31.9 32.4 34.5 34.8 36.8 37

40.9 41.9

051015202530354045

전북

울산

대전

대구

전남

충남

경북

경남

강원

충북

광주

부산

인천

제주

경기

서울

당뇨병 안질환 합병증검사 수진율(%)

Page 16: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16

48.1 56.8  57.6  63.5  65.9  67.0 

73.9  74.2  78.1  82.5  85.0  85.2  88.9 101.4  102.2 

115.6 

0.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충남 경기 충북 전남 인천 경남 전북 경북 제주 대전 울산 광주 강원 서울 부산 대구

결핵 유병자 수(명/10만 명)

법정 감염병 발생 현황(명/10만 명)

139.2 162.4  162.9  165.2  167.5  168.8  174.6  180.5 

199.2  201.9 

254.6  267.3  269.7  279.5 293.7 299.1 

0.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경북 전남 충남 서울 대전 전북 경기 경남 충북 광주 부산 울산 대구 인천 강원 제주

자료원: 강원도 내부 자료, 2013.

Page 17: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17

8.07 8.49 8.86 9.3 9.87 10.23 10.5811.7810.91 11.52 12.13 12.75 13.45 13.92

14.3616.04

0

5

10

15

20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2년

2.74

3.82

0.00

1.00

2.00

3.00

4.00

5.00

전국 강원

4.93 

6.54 

0.0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전국 강원

자료원: 질병관리본부, 지역사회건강조사, 2012.

10.2 10.3 10.710.9 11 11.2 11.2 11.5 11.8

12.1 12.2 12.4 12.713.1 13.3 13.6

14.8

0

2

4

6

8

10

12

14

16

전북울산대전강원충북부산세종경기충남경북경남전남인천대구서울광주제주

전국강원도

노인 인구 분율(%)

필요의료서비스 미치료율(%)

기초생활 수급자 분율(%)

장애인 수(명/10만 명)

Page 18: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18

의료취약지 현황(응급의료-분만-2차 필수의료)

자료원: 국민건강보험공단·국립중앙의료원, 지역별 의료실태 분석을 통한 의료취약지 도출 방안 연구 결과 보고서, 2013.

Page 19: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19

진료권 급성기 정신 요양 배경

춘천권 관찰 관찰 부족• 수도권과 지리적 접근성이 향상 및 교통망 확충으로 인구증가 예상

• 일반병상(100, '15~18), 요양병상(350, '15~'18) 증설

원주권 관찰 부족 부족• 수도권과 지리적 접근성이 좋아지고 교통망 확충, 기관· 산업체 등 유

치로 인구증가 지속 증가(환자 증가)

• 일반병상(350, '15~'18), 정신병상(100, '15~'18) 증설

강릉권 관찰 과잉 부족• 의료이용 및 생활여건 등으로 태백 ․ 속초권 병상 증가(정신병상은 타

시․도에서도 이용)

• 요양병상(200,‘15 ~’18) 증설

영월권 과잉 부족 부족

• 병상 대비 인구가 적어 과잉지역으로 분류

• 지역적 특성으로 진,규폐 환자비율 (70~80%)이 높고, 제반 여건(투자․

수익성) 등을 고려 시 병상 확충은 어려움

• 요양병상(200,‘15 ~’18) 증설

속초권 부족 부족 부족

• 고성 ․ 양양지역은 병원이 없음

• 교통망 확충 등으로 강릉권 의료이용 증가 추세

• 유동 인구가 많아 병상확충 잠재요인 내포(금강산관광 등)

• 일반병상(300,‘15~'18) 증설,

• 정신․요양병상은 강릉권을 우선 활용, 병원 신설 시 사전 협의 등을 통

해 유형별 병상확충 적극 유도

병상공급 현황

자료원: 강원도, 제6기 지역보건의료계획, 2014.

Page 20: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필수의료서비스 제공

20

O 진료과목 의사 확보.X 진료과목 의사 미확보O 해당 지역에서 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 전문의 확보

자료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지방의료원 등 지역거점 공공병원의 공공성 및 운영 효율성 강화 방안 연구, 2012.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의료서비스 이용 및 공급 등에 대한 의료권 설정 연구, 2011국민건강보험공단, 지역별 의료실태 분석을 통한 의료 취약지역 도출방안 연구, 2013

내과 외과산부인과

소청진단검사의학

재활의학

영상의학

마취통증의학

가정의학

정형외과

정신건강의학

신경신경외과

비뇨기과

안과이비인후

강릉 O O X O O O O O X O X O X X X X

삼척 O O O O O X O O X O X O X X X X

속초 O O O O O O O O X O O X O X X X

원주 O O O O O O O O X O X O O X X X

영월 O O O O O O O O X O X X O O X X

Page 21: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의료기관 현황

21

의료권명상급종합병원

(기관수)(병상수)종합병원

(기관수)(병상수)병원

(기관수)(병상수)요양병원

(기관수)(병상수)군병원

(기관수)(병상수)

춘천권역 - - 4 1,166 13 1,853 11 1,235 3 499

원주권역 1 824 1 231 19 2,349 5 519 3 29

강릉권역 - - 4 1,609 2 435 2 226 2 184

삼척권역 - - 3 1,035 3 755 3 308 - -

속초권역 - - 1 161 3 485 1 79 - -

영월권역 - - 1 210 5 541 2 156 - -

강원도 전체 1 824 14 4,412 45 6,418 24 2,523 8 712

7%15%

31%

31%

1% 15%

의료기관종별 병상점유율(전국)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요양병원

군병원

의원

5%

24%

36%

14%

4%17%

의료기관종별 병상점유율(강원도)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요양병원

군병원

의원

자료원: 강원도, 강원도 지방의료원 발전방안 연구, 2014.

Page 22: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22

강원지역 권역별 의료기관 친화도

17.08

42.87

50.76

72.63

78.65

67.5

35.18

31.12

27.32

8.06

2.21

3.51

47.74

26.01

21.92

19.31

19.14

28.99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영월권

속초권

삼척권

강릉권

원주권

춘천권

지역 내 타 지역(강원도 내) 타 지역(강원도 외)

자료원: 2010-2012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입원환자 누적. 강원도, 강원도 지방의료원 발전방안 연구, 2014.

Page 23: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23

16,354

12,748

-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8,000

강원도민 의료비 지출 강원도 의료기관

의료수입

’11년 한 해 동안 3,606억원의의료수지 적자

(비급여 및 간접비용 제외)

의료이용의 타시도 유출(억원)

시도별 관내 의료이용 수준(%)

90.1

89.5

88.5

87.5

87.4

85.3

83.2

82.4

78.0

76.9

76.1

74.7

73.7

70.4

68.0

65.1

0.0 20.0 40.0 60.0 80.0 100.0

대구

부산

서울

제주

대전

전북

울산

광주

강원

경남

인천

경기

충북

전남

경북

충남

자료원: 국민건강보험공단, 2011 건강보험통계연보, 2012.

공공보건의료서비스 약화 의료이용의 외부 유출

Page 24: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강원도 지방의료원

24

Page 25: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춘천권

원주권

속초권

강릉권

삼척권

영월권

지방의료원(5개소)

강원대학교병원(1개소)

강원도 지방의료원

25

Page 26: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지방의료원 운영 현황

26

일반현황– 병상수, 인력수준 모두 비교병원보다 낮

은 수준– 100병상당 의료수익, 의료비용 모두 지방

의료원 평균 및 민간병원 대비 낮은 실적– 100병상 당 의료수익은 민간병원의 56%

~58% 수준

구분 강릉 삼척 속초 영월 원주 강원도의료원 지방의료원 민간 200 미만 민간 300 미만

가동병상수 119 117 161 210 231 168 241 163 251

직원수 108 137 136 128 227 147 259 193 332

의사수 12 18 17 16 24 17 33 23 34

전문의수 6 11 11 8 16 10 20 20 31

의료수익 5,014 8,529 9,568 9,868 15,221 9,640 18,575 16,282 26,016

의료비용 8,446 12,210 12,937 12,520 19,416 13,106 23,773 16,600 24,761

100병상당의료수익

4,213 7,290 5,943 4,699 6,589 5,747 7,707 9,989 10,350

100병상당의료비용 7,098 10,436 8,036 5,962 8,405 7,987 9,864 10,184 9,850

(명, 백만원)

4,213

7,2905,943

4,699

6,5897,707

11,3479,830

강릉 삼척 속초 영월 원주 공공 민간

200미만

민간

300미만

100병 상당 의료수익(백만)

7,098

10,4368,036

5,9628,405

9,864 10,8179,371

강릉 삼척 속초 영월 원주 공공 민간

200미만

민간

300미만

100병 상당 의료비용(백만)

Page 27: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27

환자 진료실적– 연 외래환자수, 연 입원환자수 모두 비교병원 대비 낮은 수준– 외래환자 평균진료비, 입원환자 평균진료비 모두 비교병원 대비 낮

은 수준

구분 강릉 삼척 속초 영월 원주 강원도의료원 지방의료원민간 200

미만민간 300

미만

100병상당 연외래환자수

51,928 90,952 57,253 43,707 60,010 60,770 64,195 76,883 75,476

100병상당 연입원환자수

25,799 28,886 26,680 30,080 31,554 28,600 31,536 31,784 32,738

병상이용율 70.7% 79.1% 73.1% 82.4% 86.4% 78.4% 86.4% 87.1% 89.7%

평균 재원일수 18.3 9.5 12.9 17.2 8.3 13.3 13.0 8.5 12.0

외래환자 1인일당평균진료비

25,685 40,454 26,889 29,913 33,793 31,347 35,946 56,879 59,013

입원환자 1인일당평균진료비

102,208 136,678 145,300 99,501 122,948 121,327 130,451 176,691 180,085

(명, 일, 만원)

25,68540,454

26,889 29,913 33,793 35,94654,879

111,570

강릉 삼척 속초 영월 원주 공공 민간

200미만

민간

300미만

외래환자 1인당 평균진료비

102,208136,678 145,300

99,501122,948 130,451

196,691 183,085

강릉 삼척 속초 영월 원주 공공 민간

200미만

민간

300미만

입원환자 1인당 평균진료비

Page 28: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28

구분 강릉 삼척 속초 영월 원주강원도의료원

평균지방의료원

평균민간 200

미만민간 300

미만

의료원가율 168.5% 143.2% 135.2% 126.9% 127.6% 140.3% 128.0% 102.0% 95.2%

인건비비율 100.9% 84.7% 78.1% 69.5% 77.0% 82.0% 68.5% 51.8% 49.9%

재료비비율 26.1% 26.7% 24.5% 23.9% 21.6% 24.6% 26.3% 23.5% 23.8%

관리비비율 41.5% 31.7% 32.6% 33.4% 29.0% 33.6% 33.3% 26.6% 21.5%

168.5%

143.2%135.2%126.9%127.6%128.0%

95.3% 95.3%

의료원가

의료 원가(의료비용/의료수익)– 민간병원의 138% ~147% 규모로

높은 수준– 5개 의료원 중 인건비비율은 강릉의

료원이 가장 높고 영월의료원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

Page 29: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29

구분 강릉 삼척 속초 영월 원주강원도의료원

평균지방의료원

평균민간 200

미만민간 300

미만

직원1인당조정환자수

428 477 441 709 489 509 458 649 595

의사1인당조정환자수

3,853 3,627 3,530 5,673 4,625 4,261 3,595 7,088 5,779

전문의1인당 조정환자수

7,705 5,936 5,456 11,345 6,937 7,476 5,932 9,215 8,498

직원1인당의료수익

46 62 70 77 67 65 72 115 107

의사1인당의료수익

418 474 563 617 634 541 563 1,252 1,041

전문의 1인당의료수익

836 775 870 1,233 951 933 929 1,628 1,530

(명, 백만)

3,853 3,627 3,530

5,673

4,6253,738 3,894

5,391

강릉 삼척 속초 영월 원주 공공 민간

200미만

민간

300미만

의사 1인당 조정환자수

418 474563 617 634 563

757 727

강릉 삼척 속초 영월 원주 공공 민간

200미만

민간

300미만

의사1인당 의료수익(백만)

생산성– 직원 1인당 조정환자수, 의사 1인당

전문의 1인당 조정환자수는 지방의료원 평균 보다는 높으나 민간병원대비는 낮은 수준

– 의사 1인당 의료수익, 전문의 1인당의료수익은 지방의료원 평균과 비슷한 수준이나 민간병원 대비는 낮은수준

Page 30: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직종별 인건비

30

124147 158

132 128 135156 155

강릉 삼척 속초 영월 원주 공공 민간

200미만

민간

300미만

의사직(백만)

4842 41

4944 42

3127

강릉 삼척 속초 영월 원주 공공 민간

200미만

민간

300미만

간호직(백만)

44 43 42 4340

45

3027

강릉 삼척 속초 영월 원주 공공 민간

200미만

민간

300미만

의료기사직(백만)

38 3744 42

5147

3225

강릉 삼척 속초 영월 원주 공공 민간

200미만

민간

300미만

사무직(백만)

Page 31: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31

경영상의 특이사항

– 의료수익이 낮아서 인건비율 등 의료원가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음

① 건강보험 대비 의료급여환자의 진료수가차이

• 의료급여 진료수가는 7%p 낮음

② 민간병원 대비 낮은 비급여진료 수가

③ 민간병원 대비 의사 1인당 낮은 연간 의료수익

• 100병상당 수익기준 40~60%수준

• 손익분기점을 넘는 수익을 올린 전문의는 공중보건의를 제외하고 없음

Page 32: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지역사회의 인식(1)

32

의료원의 가장 우수한 분야 의료원의 가장 취약한 분야

자료원: 강원도, 강원도 지방의료원 발전방안 연구, 2014.

Page 33: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지역사회의 인식(2) 의료원의 가장 큰 문제점

– 낮은 의료서비스 수준(27.2%)– 적자 누적’(22.0%)

최근 1년간 강원도 내 방문 병원– 강릉/삼척/속초 강릉 아산병원– 원주/영월 원주 세브란스기독병원

의료원 발전을 위해 가장 필요한 부분– 정부의 의료원 지원 정책(34.8%)– 직원의 의료원 운영에 대한 공동 책임의식 및 개선노력(21.4%)– 경영진의 책임감 있는 의료원 운영

의료원의 운영에 대한 의견– 응답자 과반수는 ‘예산을 들여서라도 병원규모를 키울 필요가 있다’고 응답

※ ‘병원규모를 키울 필요가 있다’는 응답은 삼척 지역, 40대 이하 연령층에서 높음

33자료원: 강원도, 강원도 지방의료원 발전방안 연구, 2014.

Page 34: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강원도 지방의료원의 성과

34

Page 35: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자료원: 건강보험심사평가원, available URL at http://www.hira.or.kr/re/diag/getDiagEvlList.do?pgmid=HIRAA030004000000, accessed in 30th June, 2014. 중앙응급의료센터, 2013년 응급의료기관평가 결과, 2014.

의료의 질 요양급여적정성평가(2014 상반기)

35

응급의료기관평가(2013)

60.0

15.2

0.0

17.8

0.0 5.7

20.0

27.3

40.0

24.4

60.0

37.1

20.0 18.2

40.0

28.9

20.0 20.0

0.0 6.1

0.0

15.6 20.0

0.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지방의료원 민간병원 지방의료원 민간병원 지방의료원 민간병원

항생제처방률 주사제처방률 유소아중이염항생제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

5등급

(단위: %)

0

6

2

0

2

4

0

7

0

2

4

6

8

상위 40% 중위 40% 하위 20% 미충족

국공립병원

민간병원

(단위: 개소)

Page 36: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취약계층에 대한 건강안전망

36

5.2

2.0

5.6 6.6

3.2

8.0 7.7

3.8

9.5

23.5

15.3

0.0

5.0

10.0

15.0

20.0

25.0

계 입원 외래 계 입원 외래 계 입원 외래 입원 외래

전체 의료기관 상급종합+종합병원+병원 종합+병원 지역거점공공병원

자료원: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2 건강보험통계연보, 2013.보건복지부, 국립중앙의료원, 2013 지역거점공공병원 운영평가 결과보고서.

Page 37: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37

40.9

16.9

0.0

10.0

20.0

30.0

40.0

50.0

의료급여 1계층 2계층 3계층 4계층 5계층

강릉의료원 민간병원

25.1 

16.7 

0.0

10.0

20.0

30.0

40.0

50.0

의료급여 1계층 2계층 3계층 4계층 5계층

삼척의료원 민간병원

28.4 

20.3 

0.0

10.0

20.0

30.0

40.0

50.0

의료급여 1계층 2계층 3계층 4계층 5계층

속초의료원 민간병원

25.0 

11.6 

0.0

10.0

20.0

30.0

40.0

50.0

의료급여 1계층 2계층 3계층 4계층 5계층

원주의료원 민간병원

10.5 8.2 

0.0

10.0

20.0

30.0

40.0

50.0

의료급여 1계층 2계층 3계층 4계층 5계층

영월의료원 민간병원

←소득 하위 계층 소득 상위 계층→

Page 38: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지방의료원의 친화도(RI)

38

7.53

3.73

6.3

13.2

13.44

71.12

68.9

44.46

29.67

3.64

2.21

8.06

27.32

31.12

35.18

19.14

19.31

21.92

26.01

47.74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원주

강릉

삼척

속초

영월

의료원 친화도 민간병원 친화도 타 지역 친화도(강원도 내) 타 지역 친화도(강원도 외)

7.53

3.73

6.3

13.2 13.44

4.42 3.76 2.75

8.47

0.40 0

5

10

15

원주 강릉 삼척 속초 영월

의료원 친화도 병상수 대비 적정 친화도

(단위: %)

(단위: %)

자료원: 2010-2012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입원환자 누적. 강원도, 강원도 지방의료원 발전방안 연구, 2014.

Page 39: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39

10.11

11.76

11.95

12.29

12.45

12.64

17.40

18.85

18.93

20.98

20.98

26.67

33.33

37.80

83.61

64.71

73.45

69.27

76.31

80.98

73.79

67.99

65.04

70.79

54.43

54.67

66.67

55.12

4.33

23.53

14.16

15.46

7.79

4.86

7.05

11.49

15.28

6.94

20.00

17.33

0.00

7.09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피부 및 점막병변이 특징인 바이러스감염

리케차병

감염성 관절병증

바이러스 간염

피부 및 피하조직의 감염

장 감염 질환

기원이 주로 비의약용 물질의 독작용

둔부 및 대퇴의 손상

결핵

인플루엔자 및 폐렴

피부 및 피하조직의 기타 장애

몸통, 사지 또는 신체 부위의 상세불명 부분의 손상

동상

여러 신체 부위를 포함하는 손상

원주의료원 민간병원 강원도 내 강원도 외

자료원: 2010-2012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입원환자 누적. 강원도, 강원도 지방의료원 발전방안 연구, 2014.

Page 40: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40

0.68

0.43

0.00

0.00

6.29

0.21

5.67

1.44

0.55

5.04

5.06

5.95

1.79

5.27

35.54

36.60

42.86

42.86

40.25

46.97

46.26

52.30

54.64

52.46

59.62

58.92

64.80

63.48

63.41

62.13

57.14

57.14

53.46

52.82

47.59

46.12

44.81

42.08

34.82

34.77

33.41

31.05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유방암

중피성 및 연조직의 암

뼈 및 관절연골의 암

눈 및 눈부속기의 악성신생물

뇌의 악성신생물

림프, 조혈 및 관련조직의 암

간암

요로의 암

피부의 악성흑색종

위암

폐암

췌장암

입술, 구강 및 인두암

담낭암

원주의료원 민간병원 강원도 내 강원도 외

자료원: 2010-2012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입원환자 누적. 강원도, 강원도 지방의료원 발전방안 연구, 2014.

Page 41: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강원도 지방의료원 발전방안『강원도 지방의료원 발전방안 연구』 내용을 중심으로

41

Page 42: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강릉의료원(1)

현황– 지역 내 경쟁 과잉

• 인구 천명당 급성기 병상수 9.4개로 전국평균(8.3개) 대비 113% 수준(종합병원 4개, 병원 4개, 의원 100여개 등)

• 영세한 병상 규모• 규모의 경제 병상 수에 미달함에 따른 효율성 및 경쟁력 열위(127병

상)

– 고비용 저효율 구조• 낮은 의료수익 및 높은 의료원가(인건비 비율 100.9% 등)• 누적 적자에 따른 자금상황 악화• 적자의 지속에 따른 미지급금 증가(체불 임금 39억원 등)

– 도민의식조사 결과 ‘의료원의 축소 및 기능전환’ 의견이 5개 의료원 중 가장 높게 나타남(강릉의료원 27.4% > 5개 의료원 평균15.9%)

42

Page 43: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강릉의료원(2)

1안-도립요양병원 위탁 경영

– 개요

• 현재 강릉의료원 내 130병상 규모의 도립요양병원 건립 완료(미개원) 강릉의료원

이 위탁 받아 운영

– 내용

• 요양병원의 원장직을 강릉의료원장이 겸직하고 경리, 기획, 홍보, 구매 등의 업무들

을 통합적으로 처리

• 요양병원과의 공간 공유(현재는 강릉의료원이 11월말까지 무상 임대 중) 및 미개설

진료과의 진료 협력

• 장기입원환자의 요양병상 이송

– 효과

• 인건비 절감(겸직, 업무의 공유에 따른 인력 배치 최소화)

• 환자 이송에 따른 병상의 효율적 활용

43

Page 44: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강릉의료원(3)

2안-요양병원 기능 전환

– 개요

• 강릉시 인구 천명당 요양병상수 0.92개(전국 3.15개) 및 노인 천명당 3.15개(전국

26.8개)로 요양병상수가 낮은 수준

• 강릉의료원이 도립요양병원과 통합하여 하나의 요양병원으로 기능을 전환하는 방안

– 내용

• 현재 강릉지역의 경우 일반 진료를 위한 의료인프라는 충분히 갖추어져 있는 상황

• 만성질환자 및 노인성 질환자, 장기 회복기 환자를 진료하는 요양병원의 역할을 담

• 도립병원으로서 지역 친화적인 의료 및 복지종합센터의 기능 수행

– 효과

• 규모의 경제 (병상당 인력 감소 등 고정비 절감)

• 인건비 감소 (진료과목 축소 등)

44

Page 45: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원주의료원 현황

– 민간위주의 경쟁병원 및 질환별 전문병원의 확대로 지역 내 경쟁 심화

– 시설 및 환경의 노후화와 저소득층이 선호하는 공공병원의 이미지로경쟁병원 대비 경쟁력이 미흡

– 만성 고령환자가 선호 증가, 반면 급성기 중증환자의 수술, 시술 등이감소 추세

발전 방안– 권역 내 2차 의료서비스 제공 기관으로 의료전달체계 내 역할 강화

• 원주권역 내 2차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기관은 원주의료원이 유일(연세대학교원주기독병원(상급종합병원), 원주의료원(종합병원))

• 의료원 입지지역 인근에 혁신도시의 건설로 종합병원의 필요성은 더욱 증가 예상

– 공공의료제공 기관으로서의 역할 수행과 더불어 의료원의 경쟁력을높이기 위한 민간병원과 차별화된 특성화 진료서비스의 개발

45

Page 46: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삼척의료원

현황– 종합병원 대비 소규모로 공공병원으로서 포괄적, 양질의 의료서

비스 제공 및 의료수지에 제한

발전방안– 단기 : 병동운영, 서비스개선, 동선 재검토 등 운영체계 정비– 중장기 : 병원규모(200병상 이상) 확대를 통한 규모의 경제 실현– 도민의식조사 결과 :‘병원규모를 키울 필요가 있다’ 높음

46

Page 47: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속초•영월의료원

속초의료원– 필수의료서비스 제공기능 확보 및 특성화 전략 추진

• 재활의료서비스 제공• 정신건강서비스 제공

영월의료원– 지역 특성화 의료서비스 개발– 향후 진폐병동 기능 전환을 위한 중장기 방안 마련

47

Page 48: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소결-의료원 운영 개선방안

48

강릉의료원

포괄적,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

특성화를 통한 경쟁력 확보

강원도 의료원발전방안 개발

원주의료원

삼척의료원

속초의료원

영월의료원영월의료원

운영체계 확립

병상규모 확대를 통한 규모의 경제

필수의료서비스 제공

진료서비스 특성화

지역 맞춤형 진료서비스 진폐병동 기능 전환을 위한 중장기

방안 마련

1안) 도립요양병원 위탁 경영

2안) 요양병원으로 기능전환

3안) 관동대학교에 매각

Page 49: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강원도 지방의료원공공의료강화방안

49

Page 50: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병원의 유지/공공적기능/발전을 위한재정 구성

50

병원의경상운영비용

공공보건의료사업 비용

병원의자본투자비용

건강보험/의료급여 사업예산 지원 투자예산 지원

병원의 유지/공공적 사업/발전을 위한 적정수익

자료원: 이진석, 공공병원의 공익적 손실계측,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관리학교실 staff lecture 자료, 2013.

Page 51: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공공병원의 만성적인 적자 구조

51자료원: ‘07년 기준, 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지원단. 공공의료 INSIGHT. 2009년, 2010년호), 이진석, ‘공공의료’

에서 재인용.

1.00 1.00

0.80

0.48

0.00

0.20

0.40

0.60

0.80

1.00

1.20

1 2

100병

상당

진료

비수

입비

민간병원

공공병원

건강보험 급여비 수입(비급여 수입 제외)

총 진료비 수입(비급여 수입 포함)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의 100병상당 의료수입 비교

Page 52: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보건분야 예산시도별 보건분야 예산 분율(‘08-’14) 및 예산 규모(‘14)

52

4,417

2,028 1,915 1,725 1,511 1,153 1,120 1,106

439

-

1,000

2,000

3,000

4,000

5,000

경기 경북 경남 전남 충남 강원 전북 충북 제주

자료원: 안전행정부, 연도별 지방자치단체 재정개요(2008-2014)

1.3 1.1

1.3 1.5

1.2 1.2 1.4

0.0

0.5

1.0

1.5

2.0

2.5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단위: 억원)

(단위: %)

Page 53: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강원도 지방의료원 보조금

53

1,834

16,981

562 854

5,621

6,734

11,533

7,64211,355

8,020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국비

도비

자료원: 강원도, 연도별 결산서, 2008-2012.

(단위: 백만원)

Page 54: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공익적 비용

54자료원: 보건복지부, 지방의료원 공익적 비용 계측 및 경영컨설팅 연구, 2014.

729467

-46

-1,103

-1,985

(단위: 백만원)

Page 55: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55

Page 56: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강원도 의료원 인건비 변화 추이

56

77

100.9

78.1 84.7 69.576.287.6

72.5

91.4

69.7

67.480.4

70.8 70.7 71.3

0

20

40

60

80

100

120

원주 강릉 속초 삼척 영월

2012년

2013년 3분기

2014년 1분기

(%)

2012 전국 평균(70.5%)

124.9 122140.9

123.6

154.6

102.1

93.6 100.6 88.8 89.990.9 93.3

78 82.7 66.4 80.1 76.6 79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의료원 평균 원주 강릉 속초 삼척 영월

의료수익증가율 2013년 3분기 의료수익증가율 2014년 1분기 총수지 2013년 3분기

총수지 2014년 1분기 의료수지 2013년 3분기 의료수지 2014년 1분기

강원도 경영수지 변화 추이

자료원: 강원도 의료원경영개선팀 내부 자료, 2014. 4.

Page 57: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57

Page 58: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토론

내가 컨설턴트라면?– 강원도지사는 어떤 결정을 내려야 하나?– 강원도 의회는 어떤 결정을 내려야 하나?– 보건의료 전문가는 어떤 자문을 주어야 하나?

58

Page 59: 강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 - snu-dhpm.ac.kr°•원도지방의료원발전방안_오무경.pdfo 진료과목의사확보.x 진료과목의사미확보 o해당지역에서지역거점공공병원에만전문의확보

감사합니다[email protected]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