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선적분의 기본 정리 Theorem. 영역 D 에서 F = f 인 미분 가능한 함수 f 가 존재하고 곡선 C D A 에서 점 B 로 간다고 하자. 그러면 다음이 성립한다. C F · dr = C f · dr = f(B) - f(A) Proof. D R 2 이고 곡선 C 의 매개 방정식이 x = x(t), y = y(t)(a t b) 이면 연쇄 법칙에 의해 다음을 얻는다. C f · dr = C f x (x, y) dx + f y (x, y) dy = b a { f x (x(t), y(t)) x (t)+ f y (x(t), y(t)) y (t) } dt = b a d dt f(x(t), y(t)) dt = f(x(b), y(b)) - f(x(a), y(a)) 1

선적분의기본정리math.kangwon.ac.kr/~kimky/vector_calculus/15.3.pdf · 2020-04-15 · 보존벡터장(Conservative Vector Field) Definition.F = ∇f인스칼라함수f가존재할때,F를보존벡터장이라하고f는

  • Upload
    others

  • View
    5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선적분의기본정리math.kangwon.ac.kr/~kimky/vector_calculus/15.3.pdf · 2020-04-15 · 보존벡터장(Conservative Vector Field) Definition.F = ∇f인스칼라함수f가존재할때,F를보존벡터장이라하고f는

선적분의기본정리

Theorem. 영역 D에서 F = ∇f 인 미분 가능한 함수 f가 존재하고 곡선 C ⊂ D는

점 A에서 점 B로 간다고 하자. 그러면 다음이 성립한다.∫C

F · dr =

∫C∇f · dr = f(B)− f(A)

Proof. D ⊂ R2이고 곡선 C의 매개 방정식이 x = x(t), y = y(t) (a ≤ t ≤ b)이면

연쇄 법칙에 의해 다음을 얻는다.∫C∇f · dr =

∫C

∂f∂x (x, y) dx +

∂f∂y (x, y) dy

=

∫ b

a

{∂f∂x (x(t), y(t)) x′(t) + ∂f

∂y (x(t), y(t)) y′(t)}

dt

=

∫ b

a

ddt f(x(t), y(t)) dt = f(x(b), y(b))− f(x(a), y(a))

1

Page 2: 선적분의기본정리math.kangwon.ac.kr/~kimky/vector_calculus/15.3.pdf · 2020-04-15 · 보존벡터장(Conservative Vector Field) Definition.F = ∇f인스칼라함수f가존재할때,F를보존벡터장이라하고f는

보존벡터장(Conservative Vector Field)

Definition. F = ∇f인 스칼라 함수 f가 존재할 때, F를 보존 벡터장이라 하고 f는F의 포텐셜 함수라고 한다.

Example. 다음 주어진 벡터장이 보존적인지 아닌지 판정하고, 보존 벡터장이면

포텐셜 함수를 찾아라.

(1) D(x, y) = 4x cos2(y/2)i − x2 sin y j

(2) E(x, y) = xy i + (x + y)j

(3) F(x, y, z) = (x + yz)i + (y + xz)j + (z + xy)k

(4) G(x, y, z) = xz i + yz j + xy k

2

Page 3: 선적분의기본정리math.kangwon.ac.kr/~kimky/vector_calculus/15.3.pdf · 2020-04-15 · 보존벡터장(Conservative Vector Field) Definition.F = ∇f인스칼라함수f가존재할때,F를보존벡터장이라하고f는

보존벡터장(Conservative Vector Field)

포텐셜 함수 f를 직접 구하지 않고 주어진 벡터장이 보존적인지 아닌지를 어떻게

판정할 수 있을까?

Theorem. 평면 영역 D ⊂ R2에서 함수 P와 Q의 일계 편도함수들이 연속이고

F(x, y) = P(x, y)i + Q(x, y)j가 보존 벡터장이면, D에서 다음 등식이 성립한다.

∂P∂y =

∂Q∂x

Theorem. 공간 영역 D ⊂ R3에서 함수 P,Q,R의 일계 편도함수들이 연속이고

F = Pi + Qj + Rk가 보존 벡터장이면, D에서 다음 등식이 성립한다.

∇× F = ⟨0, 0, 0⟩, 즉∂P∂y =

∂Q∂x ,

∂P∂z =

∂R∂x ,

∂Q∂z =

∂R∂y

3

Page 4: 선적분의기본정리math.kangwon.ac.kr/~kimky/vector_calculus/15.3.pdf · 2020-04-15 · 보존벡터장(Conservative Vector Field) Definition.F = ∇f인스칼라함수f가존재할때,F를보존벡터장이라하고f는

단순연결영역(Simply Connected Domain)

Definition. 단순 곡선(simple curve)은 양 끝 점 사이에 있는 어떤 점에서도

교차하지 않는 곡선을 말한다.

평면 영역 D ⊂ R2가 연결 영역이고 D에 위치한 모든 단순 닫힌 곡선이 D에

속하는 점들만 둘러싸는 경우 D를 단순 연결 영역이라고 한다.

4

Page 5: 선적분의기본정리math.kangwon.ac.kr/~kimky/vector_calculus/15.3.pdf · 2020-04-15 · 보존벡터장(Conservative Vector Field) Definition.F = ∇f인스칼라함수f가존재할때,F를보존벡터장이라하고f는

보존벡터장(Conservative Vector Field)

Theorem. 단순 연결 영역 D ⊂ R2에서 P,Q의일계편도함수들이연속이고등식

∂P∂y =

∂Q∂x

가 성립하면, F(x, y) = P(x, y)i + Q(x, y)j는 영역 D에서 보존 벡터장이다.

Proof. 15.4절에서 배우는 그린의 정리를 이용하여 증명한다.

Theorem. 단순 연결 영역 D ⊂ R3에서 벡터장 F의 일계 편도함수들이 연속이고

∇× F = 0이면, F는 영역 D에서 보존 벡터장이다.

Proof. 15.8절에서 배우는 스토크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증명한다.

5

Page 6: 선적분의기본정리math.kangwon.ac.kr/~kimky/vector_calculus/15.3.pdf · 2020-04-15 · 보존벡터장(Conservative Vector Field) Definition.F = ∇f인스칼라함수f가존재할때,F를보존벡터장이라하고f는

보존벡터장(Conservative Vector Field)

Example. 영역 D = R2 − {(0, 0)}에서 벡터장 F =−y i + x jx2 + y2

는 위의 등식을

만족함을 보여라. F는 보존 벡터장인가? 영역 {(x, y) : y > 0}에서는 어떠한가?

Example. F = (x2 − 3y)i + (ax + byz)j + (y2 + 2z)k가보존벡터장이되기위한

상수 a, b의 값을 구하여라.

Example. 다음벡터장의정의역은 D = R3 −{(0, 0, z) : z ∈ R}이다. 이영역에서

∇× F = 0을 만족하는지 확인하고, 보존 벡터장인지 아닌지 판별하여라.

(1) F =−y

x2 + y2i + x

x2 + y2j + zk (2) F =

xx2 + y2

i + yx2 + y2

j + zk

Note: D = R3 − {(0, 0, z) : z ∈ R}은 단순 연결 영역이 아니다.

6

Page 7: 선적분의기본정리math.kangwon.ac.kr/~kimky/vector_calculus/15.3.pdf · 2020-04-15 · 보존벡터장(Conservative Vector Field) Definition.F = ∇f인스칼라함수f가존재할때,F를보존벡터장이라하고f는

보존벡터장과선적분

Example. 다음 선적분의 값을 구하여라.

(1) C가 점 (−1,−1)부터 점 (1, 1)까지 곡선 x2 + y2 = 2를 따라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움직일 때

∫C(3 + 2xy) dx + (x2 − 3y2) dy

(2) C의 매개 방정식이 x =√1 + t, y =

√1 + t3 (0 ≤ t ≤ 1)이고

F = x3y4i + x4y3j일 때

∫C

F · dr

(3) C가 점 (1, 0), (2,−1), (3, 0), (2, 1)을 꼭지점으로 갖는 사각형의 경계일 때∫C

−y dx + x dyx2 + y2

7

Page 8: 선적분의기본정리math.kangwon.ac.kr/~kimky/vector_calculus/15.3.pdf · 2020-04-15 · 보존벡터장(Conservative Vector Field) Definition.F = ∇f인스칼라함수f가존재할때,F를보존벡터장이라하고f는

보존벡터장과선적분

(4) C의 매개 방정식이 x = t, y = t2, z = t3 (0 ≤ t ≤ 1)일 때∫C

ey dx + (xey + ez) dy + yez dz

(5) C의매개방정식이 x =1

1 + t , y =√2 + t2, z = cos(πt2) (0 ≤ t ≤ 1)일때∫

C(2xz + y2) dx + 2xy dy + (x2 + 3z2) dz

(6) C가 점 (1, 0, 0)에서 출발하여 (0, 1, 0), (0, 0,−1)을 거쳐 (2, 1, 2)까지

두 점 사이를 직선을 따라서 움직이는 경로일 때

∫C

x dx + y dy + z dz(x2 + y2 + z2) 3

2

8

Page 9: 선적분의기본정리math.kangwon.ac.kr/~kimky/vector_calculus/15.3.pdf · 2020-04-15 · 보존벡터장(Conservative Vector Field) Definition.F = ∇f인스칼라함수f가존재할때,F를보존벡터장이라하고f는

보존벡터장과선적분의경로독립성

Theorem. 벡터장 F가 연결 영역 D에서 연속이면, 다음 문장들은 서로 동치이다.

(1) F는 D에서 보존 벡터장이다.

(2) D의 내부에 놓여 있는 모든 닫힌 경로 C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C

F · dr = 0

(3) D의 내부에 있으면서 점 A에서 점 B로 가는 임의의 두 경로 C1,C2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C1

F · dr =

∫C2

F · dr

즉, 선적분

∫C

F · dr은 영역 D에서 경로와 독립적이다.

9

Page 10: 선적분의기본정리math.kangwon.ac.kr/~kimky/vector_calculus/15.3.pdf · 2020-04-15 · 보존벡터장(Conservative Vector Field) Definition.F = ∇f인스칼라함수f가존재할때,F를보존벡터장이라하고f는

보존벡터장과선적분의경로독립성

Proof. (1) ⇒ (2): 선적분의 기본 정리를 이용한다.

(2) ⇒ (3): 아래 그림과 같이, C1을 따라 점 A에서 점 B로 이동하고 −C2를 따라

다시 점 A로 돌아오는 경로를 C라고 하자. 그러면 다음을 얻는다.

0 =

∮C

F · dr =

∫C1

F · dr +

∫−C2

F · dr =

∫C1

F · dr −∫

C2

F · dr

10

Page 11: 선적분의기본정리math.kangwon.ac.kr/~kimky/vector_calculus/15.3.pdf · 2020-04-15 · 보존벡터장(Conservative Vector Field) Definition.F = ∇f인스칼라함수f가존재할때,F를보존벡터장이라하고f는

보존벡터장과선적분의경로독립성

(3) ⇒ (1): D ⊂ R2일때기준점 (a, b) ∈ D를정하고임의의 (x, y) ∈ D에대하여

f(x, y) =∫ (x,y)

(a,b)F · dr

이라고 정의한다. 주어진 조건에 의해 이 선적분은 점 (a, b)에서 점 (x, y)로 가는

경로에 상관없으므로 f는 D에서 잘 정의된 함수이다. F = Pi + Qj라고 두면

f(x0 +∆x, y0)− f(x0, y0)

∆x =1

∆x

∫ (x0+∆x,y0)

(x0,y0)P dx + Q dy

이다. 점 (x0, y0)에서 점 (x0 +∆x, y0)로 가는 선분을 따라서 선적분을 구하면

1

∆x

∫ (x0+∆x,y0)

(x0,y0)P dx + Q dy =

1

∆x

∫ x0+∆x

x0P(t, y0) dt

가 되므로∂f∂x (x0, y0) = P(x0, y0)를 얻는다. 비슷하게

∂f∂y = Q를 얻을 수 있다.

11

Page 12: 선적분의기본정리math.kangwon.ac.kr/~kimky/vector_calculus/15.3.pdf · 2020-04-15 · 보존벡터장(Conservative Vector Field) Definition.F = ∇f인스칼라함수f가존재할때,F를보존벡터장이라하고f는

보존벡터장과선적분의경로독립성

Example. 다음 선적분의 값을 구하여라.

(1) C가 포물선 y = x − x2에서 점 (0, 0)에서 (1, 0)까지의 호일 때∫C2x cos y dx − x2 sin y dy

(2) C가 원점에서 출발하여 점 (0, 1), (−1, 0), (0,−1)을 거쳐 (1, 1)까지

두 점 사이를 직선을 따라서 움직이는 경로일 때∫C

2xy2 + 1

dx − 2y(x2 + 1)

(y2 + 1)2dy

(3) C의 매개 방정식이 x = cos5 t, y = t, z = sin3 t (0 ≤ t ≤ π) 일 때∫C6xy cos z dx + 3x2 cos z dy − 3x2y sin z dz

12

Page 13: 선적분의기본정리math.kangwon.ac.kr/~kimky/vector_calculus/15.3.pdf · 2020-04-15 · 보존벡터장(Conservative Vector Field) Definition.F = ∇f인스칼라함수f가존재할때,F를보존벡터장이라하고f는

보존벡터장과선적분의경로독립성

Example. F(x, y) = −y i + x jx2 + y2

라고 하자.

(1) C1과 C2가 각각 점 (1, 0)부터 점 (−1, 0)까지 원 x2 + y2 = 1의 위쪽과

아래쪽 반일 때,

∫C1

F · dr과∫

C2

F · dr을 각각 구하여라.

(2) C가 원 x2 + y2 = 1일 때,

∮C

F · dr을 구하여라.

(3) F가 영역 R2 − {(0, 0)}에서 보존 벡터장이 아닌 이유를 설명하여라.

13

Page 14: 선적분의기본정리math.kangwon.ac.kr/~kimky/vector_calculus/15.3.pdf · 2020-04-15 · 보존벡터장(Conservative Vector Field) Definition.F = ∇f인스칼라함수f가존재할때,F를보존벡터장이라하고f는

보존벡터장과선적분

(4) C가 곡선 x = cos3 t, y = sin3 t (0 ≤ t ≤ π)일 때,

∫C

F · dr을 구하여라.

(5) C가 포물선 y = x2 − 1 (−1 ≤ x ≤ 1)일 때,

∫C

F · dr을 구하여라.

(6) C가점 (2, 0), (0, 1), (−1, 0), (0,−1)을꼭지점으로갖는사각형의경계일때,∫C

F · dr을 구하여라.

14

Page 15: 선적분의기본정리math.kangwon.ac.kr/~kimky/vector_calculus/15.3.pdf · 2020-04-15 · 보존벡터장(Conservative Vector Field) Definition.F = ∇f인스칼라함수f가존재할때,F를보존벡터장이라하고f는

에너지보존법칙

힘 F가 가해지는 물체가 벡터 방정식 r = r(t) (a ≤ t ≤ b)로 정의된 경로 C를

따라서 움직일 때, Newton의 제 2 운동 법칙에 의해 다음이 성립한다.

F(r(t)) = mr′′(t)

따라서 힘 F가 물체에 한 일은 다음과 같다.

W =

∫C

F · dr =

∫ b

aF(r(t)) · r′(t) dt =

∫ b

amr′′(t) · r′(t) dt

=m2

∫ b

a

ddt{r′(t) · r′(t)} dt = m

2

∫ b

a

ddt |r

′(t)|2 dt

=m2(|r′(b)|2 − |r′(a)|2) = 1

2m|v(b)|2 − 1

2m|v(a)|2

이는 경로 C의 양 끝점에서 운동 에너지의 변화와 같다.

15

Page 16: 선적분의기본정리math.kangwon.ac.kr/~kimky/vector_calculus/15.3.pdf · 2020-04-15 · 보존벡터장(Conservative Vector Field) Definition.F = ∇f인스칼라함수f가존재할때,F를보존벡터장이라하고f는

에너지보존법칙

만약 힘 F가 보존 벡터장이면 F = −∇P인 위치 에너지 또는 포텐셜 에너지 함수

P가 존재하고 다음을 얻는다.

W =

∫C

F · dr = −∫

C∇P · dr = P(r(a))− P(r(b))

따라서 다음 등식이 성립한다.

1

2m|v(b)|2 + P(r(b)) = 1

2m|v(a)|2 + P(r(a))

이는 운동 에너지와 위치 에너지의 합이 일정하게 보존됨을 의미한다.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