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403 English Teaching, Vol. 65, No. 4 Winter 2010 말뭉치를 통한 한국대학생의 전치사 동사 사용분석 유태하 (서강대학교) ** 유원호 (서강대학교) Yu, Taeha & Yoo, Isaiah WonHo. (2010). Korean university students’ use of prepositional verbs: A corpus-based study. English Teaching, 65(4), 403-424.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rrors of prepositional verbs in Korean university students' essays and alert teachers to the necessity of a more systematic instruction of prepositional verbs. Prepositional-verb errors found in the learner corpus of essays written by 416 Korean university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a) preposition omission, (b) wrong prepositions, (c) preposition addition, (d) misordering, and (e) others. Of the 1317 tokens of prepositional verbs retrieved from the corpus, 448 were found to be used erroneously, over half of which were instances of preposition omission. No tokens of misordering errors were found (e.g., *to go school / *go school to). A careful analysis of these errors also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students were not able to discern the difference between a verb used transitively and the same verb used as a prepositional verb (e.g., believe and believe in). Second, the inability to distinguish transitive verbs from intransitive ones also resulted in a considerable number of errors in preposition omission (e.g., *listen music) and preposition addition (e.g., *enter in university). Third, using wrong prepositions (e.g., *worried at me) was also a rather common occurrence, accounting for 18% of the all the errors related to prepositional verbs. I. 서론 영어의 다어 동사(multi-word lexical verb)의미적 관용성과 통사적 복잡성 때문에 영어 학습자에게 이해와 활용에 부담을 주는 영역으로 알려져 있다 (Collins COBUILD Phrasal Verbs Dictionary, 2002). Biber, Johansson, Leech, Conrad 연구는 2010년도 서강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한 연구임(201010027.01). 유태하: 1저자; 유원호: 교신저자

말뭉치를 통한 한국대학생의 전치사 동사 사용분석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5_4... · 2015-01-31 · 하고 구분하고 있는 반면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말뭉치를 통한 한국대학생의 전치사 동사 사용분석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5_4... · 2015-01-31 · 하고 구분하고 있는 반면

403

English Teaching, Vol. 65, No. 4 Winter 2010

말뭉치를 통한 한국대학생의 전치사 동사 사용분석

유태하 (서강대학교)**

유원호 (서강대학교)

Yu, Taeha & Yoo, Isaiah WonHo. (2010). Korean university students’ use of

prepositional verbs: A corpus-based study. English Teaching, 65(4), 403-424.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rrors of prepositional verbs in Korean university

students' essays and alert teachers to the necessity of a more systematic instruction of

prepositional verbs. Prepositional-verb errors found in the learner corpus of essays

written by 416 Korean university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a)

preposition omission, (b) wrong prepositions, (c) preposition addition, (d) misordering,

and (e) others. Of the 1317 tokens of prepositional verbs retrieved from the corpus, 448

were found to be used erroneously, over half of which were instances of preposition

omission. No tokens of misordering errors were found (e.g., *to go school / *go school

to). A careful analysis of these errors also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students were

not able to discern the difference between a verb used transitively and the same verb

used as a prepositional verb (e.g., believe and believe in). Second, the inability to

distinguish transitive verbs from intransitive ones also resulted in a considerable number

of errors in preposition omission (e.g., *listen music) and preposition addition (e.g.,

*enter in university). Third, using wrong prepositions (e.g., *worried at me) was also a

rather common occurrence, accounting for 18% of the all the errors related to

prepositional verbs.

I. 서론

영어의 다어 동사(multi-word lexical verb)는 의미적 관용성과 통사적 복잡성

때문에 영어 학습자에게 이해와 활용에 부담을 주는 영역으로 알려져 있다

(Collins COBUILD Phrasal Verbs Dictionary, 2002). Biber, Johansson, Leech, Conrad와

이 연구는 2010년도 서강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한 연구임(201010027.01). 유태하: 제 1저자; 유원호: 교신저자

Page 2: 말뭉치를 통한 한국대학생의 전치사 동사 사용분석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5_4... · 2015-01-31 · 하고 구분하고 있는 반면

404 유태하 ∙ 유원호

Finegan(1999, p. 403)은 다어 동사를 크게 (1a)와 같은 구 동사(phrasal verb), (1b)

와 같은 전치사 동사(prepositional verb), (1c)와 같은 구 전치사 동사

(phrasal-prepositional verb), 그리고 (1d)와 같이 그 외 다어 동사(other multi-word

verb construction)로 구분하고 있다.

(1) a. Pick it up.

b. I looked at him

c. You won't get away with that.

d. We'll have to make do with what we have.

(1a)는 동사 pick과 불변화사 up이 결합한 구 동사이며, (1b)는 동사 look과 전

치사 at이 결합한 전치사 동사이다. (1c)는 동사 get에 불변화사 away와 전치사

with가 함께 사용된 구 전치사 동사이며, (1d)는 그 외 다어 동사 범주에 해당하

는 경우로 동사 make와 동사 do가 결합한 형태이다. 다어 동사는 (1d)에 제시

된 경우 이 외에도 fall in love와 같은 동사 + 전치사구 형태나 take care of와 같

은 동사 + 명사구 형태도 포함한다.

지금까지 다어 동사에 대한 국내 연구들을 보면 대부분이 구 동사 중심의

편향적인 연구 성향을 보였으며(Kweon, 2006; Oh, 2004; Song, 2008; You, 1999), 전

치사 동사는 구 동사 연구 내에서 통사적으로 구별하는 정도로만 일부 언급되

는 수준이었다. 다어 동사에 대해 통사적 관점뿐만 아니라 화용적 관점에서도

살펴보고자 했던 현완송(2009)의 연구에서도 마찬가지로 전치사 동사는 구 동

사와 통사적 구조를 비교하는 데에 그쳤다.

그러나 4천만 개 이상의 단어들로 구축된 방대한 말뭉치(corpus) 자료를 토대

로 다어 동사들의 실질적인 사용 빈도를 제시한 Biber 외(1999, p. 415)의 통계자

료에 따르면 전치사 동사가 다어 동사들 중에서 사용역(register)의 범위나 사용

빈도 면에서 월등히 높은 활용성을 보인다고 하였다. 예를 들어, 구 동사는 대

화(conversation), 소설(fiction)에서 주로 쓰이고 학문체(academic prose)에서는 거

의 사용되지 않는 반면에 전치사 동사는 사용역의 제한 없이 일상적인 대화에

서 학문적인 영역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사용되며 그 빈도 또한 구 동사의 3~4

배에 이른다(Biber 외, 1999, p. 415).1 따라서 구 동사뿐만 아니라 전치사 동사에

대한 학습도 중요하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한국 대학생들의 실제 에세이에서 관찰되는 전치사 동사의 사용 상

1

Biber 외(1999)는 이러한 전치사 동사의 높은 사용 빈도의 원인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구 동사의 경우 동사와 함께 사용되는 불변화사(adverbial particle)가 방향이나 위치를 의미하는 것들로 제한을 받는 반면 전치사 동사의 경우는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전치사의 폭이 자유롭고 다양하여 구 동사보다 더 높은 활용도를 보이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비공간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with, for, of는 구 동사에서는 쓰이지 않지만 전치사 동사에서는 함께 사용될 수 있다.

Page 3: 말뭉치를 통한 한국대학생의 전치사 동사 사용분석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5_4... · 2015-01-31 · 하고 구분하고 있는 반면

말뭉치를 통한 한국대학생의 전치사 동사 사용분석 405

황을 살펴보면 전치사 동사에 대한 학습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생긴다. 아래 제시된 예문들은 대학생들의 작문에서 발췌한 전치사 동

사의 예이다.

(2) a. Free time isn't playing game, watching movies, listening *(to) music.

b. First, it's so useless that I couldn't believe *(in) God.

(3) a. I'll diminish using computer time, and I spend more time *for reading books.

b. When I was a high school student, my mother worried *in me, because I am

a bad son.

(2a), (2b)와 같이 꼭 사용해야 하는 전치사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도 있고 (3a),

(3b)와 같이 적절하지 못한 전치사를 사용하는 오류를 보이기도 한다. 위의 동

사들이 중•고등학교 교과과정에서 빈번히 사용되는 상당히 쉬운 단어들임을

감안할 때 대학생들의 전치사 동사 사용 실태를 파악하고 진단하는 일은 시급

한 문제라고 생각된다. 실제로 우리나라 영어 교육 현장에서 전치사 동사는 영

어 교수와 학습 과정의 어느 단계에서도 체계적이며 집중적으로 다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따로 구분하지 않은 채 등한시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신명신,

2008).

한국 대학생 134명의 구어/문어 말뭉치를 토대로 오류를 분석한 M. Kim

(2009)의 연구에서도 연어 오류(collocational error)영역 중에서 전치사 동사의 사

용 오류가 가장 많았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이 연구는 전치사 동사의 단편적

인 오류율만을 제시했을 뿐 전치사 동사의 어떤 오류 형태가 가장 빈번했고

어떤 전치사 동사를 학생들이 가장 어려워했는지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다. 따

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대학생 416명의 에세이를 토대로 학습자 말뭉치

(learner corpus)를 구축하여 대학생들의 실질적인 전치사 동사 사용 실태를 파악

하고 오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전치사 동사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한

다. 본 연구를 통해서 알아보고자 하는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한국 대학생들이 전치사 동사를 사용할 때 어떠한 오류를 가장 많이

범하는가?

2) 구체적으로 각 오류의 영역 내에서 오류율이 높은 전치사 동사들은

무엇인가?

II. 이론적 배경

전치사 동사는 명칭과 정의에 있어서 학자마다 의견을 조금씩 달리하고 있

다. 신명신(2008)은 1990년부터 2006년에 출간된 영문법 책 5권에서 정의하고

Page 4: 말뭉치를 통한 한국대학생의 전치사 동사 사용분석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5_4... · 2015-01-31 · 하고 구분하고 있는 반면

406 유태하 ∙ 유원호

있는 다어 동사 유형을 표로 정리했는데 이에 따르면 Greenbaum과 Quirk(1990),

Biber 외(2002), Carter와 McCarthy(2006)는 구 동사와 전치사 동사를 따로 정의

하고 구분하고 있는 반면 Collins COBUILD English Grammar(1990), Celce-Murcia

와 Larsen-Freeman(1999)의 경우는 전치사 동사라는 명칭을 별도로 규정하고 있

지 않다. Collins COBUILD English Grammar(1990)는 전치사 동사를 전치사를 수

반하는 구 동사(phrasal verb with a preposition)라고 정의했고 Celce-Murcia와

Larsen-Freeman(1999)은 전치사 동사를 타동사적 구 동사(transitive phrasal verb)라

는 범주에 함께 넣어서 동사와 불변화사의 분리가 가능한지 여부 만을 구분하

고 있다.

Biber 외(1999, pp. 413-414)는 (4), (5)와 같이 전치사 동사를 1형과 2형으로 나

누어 제시한다. 1형 전치사 동사는 1개의 목적어를 갖는 "NP + 동사 + 전치사

+ NP" 형태이며 2형 전치사 동사는 2개의 목적어를 갖는 "NP + 동사 + NP + 전

치사 + NP" 구조이다.

(4) 1형 전치사 동사: NP + 동사 + 전치사 + NP

a. It just looks like [the barrel].

b. Britannia said he had asked for [permission to see the flight deck].

(5) 2형 전치사 동사: NP + 동사 + NP + 전치사 + NP

a. No, they like to accuse women of [being mechanically inept].

b. But McGaughey based his prediction on [first-hand experience].

2형 전치사 동사는 (6)과 같이 수동형으로도 흔히 사용된다(Biber 외, 1999, p.

414). Biber 외(1999)의 말뭉치 분석 자료에 따르면, 일반 대화나 소설에서는 1

형 전치사 동사의 선호도가 무척 강한 반면에 학문체에서는 2형 전치사 동사

의 수동형 형태가 빈번하게 쓰인다고 한다. 학문적인 글의 경우 행동을 하는

주체보다도 무생물체간의 관계에 초점을 두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수동형을

선호하게 되는 것이다.

(6) a. I think the media is falsely accused of [a lot of things].

b. The initiative is based on [a Scottish scheme].

이렇게 전치사 동사의 정의는 학자마다 다르기 때문에 용어의 일관성을 위

하여 전치사 동사의 의미를 규정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치사 구를

보충어(complement)로 선택하는 모든 동사를 전치사 동사로 규정한다. 그러므로

전치사 동사와 자유결합(free combination)을 구별한 Biber 외(1999)와 달리 go to,

Page 5: 말뭉치를 통한 한국대학생의 전치사 동사 사용분석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5_4... · 2015-01-31 · 하고 구분하고 있는 반면

말뭉치를 통한 한국대학생의 전치사 동사 사용분석 407

live in과 같은 자유결합 표현들도 분석 범주에 포함하여 오류를 조사하였다.2

표 1은 Biber 외(1999, pp. 416~419)가 1형, 2형 고빈도 전치사 동사들을 7가지 의

미 영역(semantic domain)으로 분류한 것을 토대로(부록 1 참고) 전치사 동사의

핵(head)이 되는 동사들을 나열한 것이다.3

표 1

의미 영역에 따른 고빈도 전치사 동사 목록

의미영역 전치사 동사

Activity

look, go, wait, deal, pay, get, turn, play, stare, glance, smile, serve, apply,

use, do, make, aim, send, give, derive, fill, accuse, charge, jail, divide,

obtain, arrive, break, connect, engage, laugh, meet, point, stay, succeed,

suffer, work, attach, keep, place, provide, put, reduce, spend, take

Communication talk, speak, ask, refer, write, call, say, express, bet, respond, explain

Mental think, listen, worry, know, hear, add, believe, occur, see, regard, consider,

define, agree, conceive, concentrate, cope, feel, sound, face

Causative lead, come, result, contribute, allow, require, call

Existence or

relationship

depend, belong, account, consist, differ, base, involve, associate, relate,

include, compose, live, rely, stand, compare

Occurrence look, happen, occur, fall, run, cover

Aspectual begin, enter, start

III. 연구 내용 및 방법

1.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본 연구는 서울 소재 한 대학의 필수 교양 영어 과목의 수준별 수업을 위해

치뤄진 배치고사(placement test)자료를 토대로 이루어졌다. 배치고사는 온라인

영어쓰기 평가 및 학습 시스템인 CriterionⓇ

Online Writing Evaluation Service를

사용하였다. Criterion은 TOEIC, TOEFL 시험을 주관하는 교육평가 연구기관인

Educational Testing Service(ETS)에서 개발한 웹 기반 영어쓰기 평가 프로그램으

로서 다양한 에세이 토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e-rater이라는 자동 첨삭시스템

으로 정확하고 신속한 채점과 평가를 가능하게 해준다(P. Kim, 2009). 본 연구에

서는 2010년 신입생 중 공학부 416명의 작문을 분석하였으며 새터민(탈북자),

재외국민, 외국어 특별전형 입학자들은 제외하였다. 이들은 한국에서 10년 간

초•중•고등학교 교과과정을 통해 영어를 배웠으며 수능 외국어(영어) 영역 백

2 Biber 외(1999)는 전치사 뒤에 오는 NP가 사람 또는 사물을 나타낼 경우는 전치사 동사로 NP가 위치나 시간을 나타낼 경우는 자유결합으로 구별하였다.

3 Biber 외(1999, pp. 360~361)는 모든 동사를 activity, communication, mental, causative, occurrence, existence/relationship, aspectual의 7가지 의미 영역으로 분류하여 설명하였다.

Page 6: 말뭉치를 통한 한국대학생의 전치사 동사 사용분석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5_4... · 2015-01-31 · 하고 구분하고 있는 반면

408 유태하 ∙ 유원호

분위 평균성적이 95% 이상으로 상위권의 영어실력을 갖추고 있다고 볼 수 있

다. 학생들은 캠퍼스 내 10개의 컴퓨터실에서 조교들에게 Criterion에 로그인하

는 방법을 배운 후 오후 1시부터 1시 50분까지 50분 동안 다음의 주제에 대해

에세이를 작성하였다.

If you could make one important change in a school that you attended, what change

would you make? Use reasons and specific examples to support your answer.

2. 말뭉치 자료 분석 및 절차

본 연구에 사용된 공학부 신입생 416개의 에세이는 총 98,351개의 단어로 이

루어져 있으며 이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쳐 말뭉치를

구축하였다. 우선 Criterion에서 416명의 에세이를 불러온 후, 점수별로(1~6점)

20명씩 묶어 Word파일 형태로 저장을 하였다.4 총 24개의 Word파일이 완성되

었으며 그 이후에는 틀린 철자를 찾아서 수정하는 작업을 하였다. 철자가 틀리

면 용어색인 소프트웨어(concordance software)로 검색할 때 누락될 수 있기 때문

에 철자 수정 작업은 필수적이다. 철자 수정이 완료된 후에는 용어색인 검색이

가능하도록 텍스트 파일로 변환하였다.

아직 품사분석처리(part-of-speech tagging)가 되어 있지 않은 말뭉치에서 모든

전치사 동사를 파악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표 1에 제시되어 있는 106개

의 고빈도 전치사 동사를 MonoConc Pro 2.2라는 용어색인 소프트웨어를 사용하

여 검색하였다. 이 때 각 동사의 5가지 형태인 동사원형, 현재, 과거, 과거분사

와 현재분사/동명사를 모두 찾았다. 예를 들어 think가 포함된 전치사 동사를

찾고자 한다면 think, thinks, thought, thinking 형태가 사용된 모든 문장을 검색하

였으며 다음에 이루어질 오류 유형 분류 작업이 용이하도록 엑셀 파일로 저장

하였다. 우선 검색된 문장들을 면밀히 검토하여 전치사 동사가 올바르게 사용

된 경우와 오류의 경우를 나누었다. 그 후에는 오류를 유형별로 세분화하여 구

체적인 오류 형태별 분포 상황 및 수치를 도출해 내었다.

오류의 유형은 Dulay, Burt와 Krashen(1982)이 제시하는 오류 분류 기준을 참

고로 하였다. Dulay 외(1982, pp. 166~170)는 제 2언어 학습자의 오류를 표면 구

조에 따라 1) 누락(omission), 예: Billy (has) no milk, 2) 추가(addition), 예: Put it

down card, 3) 오형성(misformation), 예: He gots a flower, 4) 오순서(misordering), 예:

What this is?의 4가지로 분류하였다. 이 기준을 전치사 동사 오류 유형에 적용하

여, (7a)와 같이 전치사를 빠트리고 사용한 경우는 1) 전치사 누락, (7b)와 같이

불필요한 전치사를 사용한 경우는 2) 전치사 추가, (7c)와 같이 적절치 못한 전

4

점수별로 20명씩 묶어서 파일을 저장한 이유는 학습자 말뭉치가 완전히 구축된 후 학부별이 아닌 점수별 분석을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10만 단어가 채 되지않은 현재 자료를 점수별로 비교분석하는 것은 유의미하지 않다고 판단되었다.

Page 7: 말뭉치를 통한 한국대학생의 전치사 동사 사용분석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5_4... · 2015-01-31 · 하고 구분하고 있는 반면

말뭉치를 통한 한국대학생의 전치사 동사 사용분석 409

치사를 사용한 경우는 3) 틀린 전치사, (7d)와 같이 전치사의 위치가 올바르지

못한 경우를 4) 오순서로 분류하였다.

(7) a. She is looking *(at) me.

b. We discussed *about it.

c. He is waiting *at her.

d. I *to go school / I go school *to.

IV. 연구 결과

학생들은 표 1에 제시된 106개의 전치사 동사 중 82개의 전치사 동사를 총

1317회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중에서 잘못 사용하여 오류로 구분된 경

우가 448회로 집계되었다(부록 2 참고). 따라서 전체 전치사 동사 사용에 대한

오류율은 34%로 나타났다. 아래의 표 2는 오류 범주 내에서의 각 오류 유형별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오류의 유형 중에서 전치사 누락

의 경우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240개가 발견되어 전체 오류의 54%를 차지하여

두 번째로 높은 오류 유형인 틀린 전치사(18%)보다 3배나 높은 수치를 나타내

었다. 즉 전치사 누락과 틀린 전치사가 전체 오류의 2/3이상을 차지하였고 전

치사 추가가 12% 그 외의 경우가 1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순서의

경우는 한 번도 발견되지 않았는데 이는 학생들이 기본적으로 전치사가 동사

뒤에 위치한다는 전치사 동사의 어순 형태에 대한 인식은 분명히 가지고 있다

는 것을 보여준다.

표 2 유형별 오류율

전치사누락 전치사추가 틀린전치사 오순서 그 외 합계

개수 240 52 80 0 76 448

비율 54% 12% 18% 0% 16% 100%

이제는 각 오류의 유형별로 오류율이 높은 동사들과 그 구체적인 실례를 살

펴보겠다. 동사 목록은 우선적으로 해당 오류가 적어도 세 번 이상 발생하는 동

사들로 한정하여 추린 후 오류율을 산출하여 높은 값 순서대로 나열한 것이다.

1. 전치사 누락

표 3은 각 동사별 전치사 누락 오류율을 계산한 결과이다. (8)~(23)은 학생들

의 글 속에서 발췌한 오류의 실례로서 동사 당 1개씩 예문을 들었다. 분석 결

Page 8: 말뭉치를 통한 한국대학생의 전치사 동사 사용분석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5_4... · 2015-01-31 · 하고 구분하고 있는 반면

410 유태하 ∙ 유원호

과에 따르면 오류율이 가장 높았던 전치사 동사는 believe in이였다. 총 네 번을

사용하였는데 네 번 모두 실수를 하여 오류율이 100%였다. 학생들 모두 "~(신)

의 존재를 믿다"의 의미를 표현하고 싶어 했으나 (8)의 경우처럼 전치사 in을

빠뜨리고 사용하였다. 즉 believe와 believe in의 의미 차이를 구별하지 못하고 있

음을 알 수 있으며 함께 쓰이는 전치사에 따라서 변화하는 의미 차이에 대한

학습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5

(8) Until I was 16-year-old, I had not believed *(in) God.

표 3에서 believe in을 제외한 나머지 전치사 동사들의 누락 오류는 의미 차이

로 인한 오류가 아니라 (9)와 같이 동사 live가 전치사를 필요로 하는 동사라는

것을 인식하지 못한데서 비롯된 오류라고 볼 수 있다.

(9) If we fail dormitory, we may live *(in) one room, HaSuk or GoSiOne.

listen to의 경우 총 45회 사용됐는데 36회를 실수하여 두 번째로 오류 횟수가

높은 동사로 나타났다. (10)의 경우처럼, 전치사 to를 빠트리고 사용하였는데 초

•중등 수준의 교과서에서도 무척 빈번하게 노출되는 동사인데도 불구하고 상

당히 높은 오류율(80%)을 보였다.

(10) Seeing movie, playing the piano, and listening *(to) music are all cultural

activity.

5 대학생들의 문자 채팅영어의 정확성에 대한 연구를 한 한종임(2005)은 빈번하게 발생하는 누락 오류에 대해서 맥락에 의해 의미 해석이 가능할 경우 문장 성분을 생략할 수 있는 한국어의 특성이 전이된 결과라는 의견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즉 believe와 believe in을 한국어로 바꾸었을 때 차이가 없기 때문에 전치사를 누락시키는 오류 현상이 일어나는 것이라고 이해할 수 있겠다.

Page 9: 말뭉치를 통한 한국대학생의 전치사 동사 사용분석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5_4... · 2015-01-31 · 하고 구분하고 있는 반면

말뭉치를 통한 한국대학생의 전치사 동사 사용분석 411

표 3 전치사 누락 오류율이 높은 동사

동사 총 사용 횟수 누락 횟수 오류율

believe in 4 4 100%

listen to 45 36 80%

wait for 7 5 71%

agree with 16 7 44%

think about 82 35 43%

apply for 11 4 36%

come from 41 11 27%

speak to 22 5 23%

go to 252 54 21%

look at 20 4 20%

talk to 70 12 17%

work at 35 6 17%

say to 31 5 16%

live in 85 13 15%

concentrate on 24 3 13%

give NP to 49 5 10%

합계 794 209

(11)~(15)도 전치사 to를 빠트려 사용한 경우로서 전치사 중에서 to의 누락이

가장 많이 발견되었다. (11)은 speak to + NP, (12)는 go to + NP, (13)은 talk to + NP,

(14)는 say to + NP, (15)는 give + NP + to의 형태를 사용해야 한다.

(11) In my opinion, at first meeting, use respect speaking *(to) each other.

(12) Second, when we are sophomore, we have to go *(to) foreign countries to study

other things.

(13) So when I talk *(to) friends, I feel that I don't know many things.

(14) He said *(to) son when you grow up, would you be the winner?

(15) The school has to give a chance *(to) students that could study many

Engineering at the same time.

wait for의 경우 총 일곱 번이 사용되었는데 다섯 번을 (16)과 같이 for를 빠

트리는 실수를 하였다. 마찬가지로 apply for도 (17)과 같이 for를 빠트리는 오류

가 11회 중 네 번이 있었다. (18)과 (19)에서는 각각 look at + NP와 work at + NP

에서 at이 빠진 경우이다.

(16) Also they can use useless time like waiting *(for) bus, subway, or friend.

Page 10: 말뭉치를 통한 한국대학생의 전치사 동사 사용분석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5_4... · 2015-01-31 · 하고 구분하고 있는 반면

412 유태하 ∙ 유원호

(17) As a result, I applied *(for) dormitory but I failed.

(18) First of all, many people look *(at) building’s appearances and judge that a

school is good, clean, and new.

(19) I’ll work *(at) a lot of place and got a responsibility from them.

agree with의 경우 (20)과 같이 총 16회 중 일곱 번을 with를 빠트려 사용하여

44%의 오류율을 기록했고 think about은 (21)과 같이 총 82회 중 35회 전치사를

누락하여 43%의 오류율을 나타내었다. come from은 (22)과 같이 41회 중 11회

전치사를 누락하여 27%의 오류율을 보였다.

(20) His homeroom teacher don’t agree *(with) him and force him to take self study

system.

(21) If I hear his lesson, I can think *(about) my major again.

(22) My music talent comes *(from) my history I have played piano since I am 6

years old.

표 3에 나타난 결과 중 또 하나의 흥미로운 사실은 동사들 중에서 가장 난

이도가 높다고 생각되는 concentrate on의 누락 오류율이 낮게 나타났다는 점이

다. (23)과 같은 누락 오류가 총 24회 중 세 번 나타나 오류율이 13%밖에 되지

않았다. 또한 나머지 21회의 사용 횟수 내에서 나타난 틀린 전치사 오류 네 번

을 합한다 하더라도 총 오류율은 29%정도이다. 이것은 가장 먼저 학습하는 기

초 동사중 하나인 listen to의 오류율이 80%에 육박하고 있다는 점과 비교해 보

았을 때 상당히 흥미로운 결과로 여겨진다.

(23) When we concentrate *(on) a movie, we can forget stressful life.

2. 전치사 추가

엄밀하게 말하면 전치사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는 전치사 동사라고 할 수 없

다. 그러나 전치사 추가 오류는 특정 동사를 전치사 동사로 오인하여 전치사를

붙여 사용한 경우이기 때문에 오류 분석 범주에 넣었다. 실제로 영어의 동사들

은 자동사와 타동사로 모두 쓰이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예문 (8)에 쓰인 동사

believe와 같이 전치사를 반드시 필요로 하기도 하고(예: I believe in God) 전치사

없이 쓰이기도 해서(예: I believe you) 학습자들에게 사용상의 혼동을 줄 수가 있

다. 동사 know도 I don't know about that과 같이 전치사를 수반할 수 있으나 (24)

와 같이 "~을 알다"의 뜻으로 쓰일 때는 타동사로 쓰인다.

(24) I don't know *about English, Japanese, business, etc.

Page 11: 말뭉치를 통한 한국대학생의 전치사 동사 사용분석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5_4... · 2015-01-31 · 하고 구분하고 있는 반면

말뭉치를 통한 한국대학생의 전치사 동사 사용분석 413

표 4에서 볼 수 있듯이, 전치사 추가 오류율이 가장 높은 동사는 enter이다.

(25)에서 enter는 타동사라서 뒤에 오는 NP를 전치사 없이 바로 갖기 때문에

전치사 in, at, into는 빠져야 한다. 총 여섯 번의 사용 횟수 중에 세 번은 in을

사용하였고 at와 into는 각각 한 번씩 사용하였다.

(25) a. As I entered *in university, many things existed around me are changing.

b. This is because we think only entering *at famous university gives good life,

jobs.

c. And then most students enter *into a university, having no exact purpose.

enter와 마찬가지로 add의 총 사용 횟수도 불과 네 번밖에 되지 않지만 그중

세 번을 (26)과 같이 전치사 to와 함께 사용하였고, (27)과 같이 동사 give와도

불필요하게 전치사 to를 붙여 사용하고 있는 경우가 발견되었다.

(26) So if I could change, I'll add *to the meaning of building's name under the name

of buildings.

(27) If the school really give *to me the right, I'll change the seat-sitting system.

enter, add, know, give와 달리 go, live, look의 전치사 추가 오류는 (28), (29), (30)

과 같이 부사나 형용사를 NP로 잘못 인식하여 발생한 오류이다. 전치사 없이

go overseas, lived there, look upset으로 사용해야 하는데 학생들은 다음과 같이

overseas, there와 같은 부사나 upset과 같은 형용사에도 전치사를 붙여서 사용하

고 있다.

(28) Third, I want to go *to overseas alone.

(29) I hope I support my home town; Gwangju that having a poor structure and the

medical center because when I lived *in there, I think it has few of hospital for

elders.

(30) I have stress too much because of my characteristic, so I always look *like

upset.

Page 12: 말뭉치를 통한 한국대학생의 전치사 동사 사용분석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5_4... · 2015-01-31 · 하고 구분하고 있는 반면

414 유태하 ∙ 유원호

표 4

전치사 추가 오류율이 높은 동사

동사 총 사용 횟수 추가 횟수 오류율

enter + in, at, into 6 5 83%

add + to 4 3 75%

look (like) 20 3 15%

give + to 49 6 12%

know + about 48 3 6%

live (in) 85 3 4%

go (to) 252 7 3%

합계 470 33

3. 틀린 전치사

틀린 전치사는 전치사 동사가 맞지 않는 전치사와 결합하여 쓰인 경우를 말

하며 총 오류 중에서 18%를 차지하여 두 번째로 빈번하게 일어난 오류의 유형

이다. 표 5은 틀린 전치사의 오류율이 높은 동사들의 목록을 나타낸 것이다.

틀린 전치사 오류율이 가장 높았던 동사는 spend + NP + on이였는데 총 22회의

사용 횟수 중 10회를 잘못 사용하여 45%의 오류율을 나타내었다. (31a)와 같이

전치사 for를 쓴 오류가 다섯 번, (31b)와 같이 to를 쓴 오류는 세 번, (31c)와 같

이 with를 쓴 오류는 두 번 발견되었다.

(31) a. Students who spend 2 hour *for going to school can't live in dormitory

because it is full.

b. When I was about to playing, I thought that I should play more because I

spend 3 years *to studying.

c. I always waked up late in weekend and spend more time *with computer

game until now.

두 번째로 높은 오류율을 보였던 동사는 worry(26%)였다. worry는 전치사 about

과 쓰여야 하는데 (32a)처럼 in과 함께 쓰이는 오류가 세 번 관찰되었고 (32b),

(32c), (32d)처럼 at, by, for와 함께 쓰이는 오류가 각각 한 번씩 관찰되었다.

(32) a. When I was a high school student, my mother worried *in me.

b. I played soccer all day and I had a girl friend, so my mother was always

worried *at me.

c. I am not worried *by her.

d. We just worry *for new 3rd graders.

Page 13: 말뭉치를 통한 한국대학생의 전치사 동사 사용분석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5_4... · 2015-01-31 · 하고 구분하고 있는 반면

말뭉치를 통한 한국대학생의 전치사 동사 사용분석 415

give + NP + to도 20%대의 오류율을 보인 동사로서 (33)과 같이 to대신 for를

사용한 오류가 10회 관찰되었고 (34)처럼 agree with를 agree to로 잘못 사용한

오류도 세 번 발견되었다.

(33) I think our school give more money *for student that is hard to commute school.

(34) Sometimes I can't agree *to the people whose opinion is not same as my

opinion.

총 24회 사용된 동사 concentrate의 경우는 앞서 언급한 세 번의 전치사 누락

오류와 더불어 네 번의 틀린 전치사 오류가 발견되었다. 전치사 on대신에 (35a)

-(35d)와 같이 각각 at, in, to, for가 한 번씩 사용되었다.

(35) a. We can more concentrate *at studying.

b. I will study very hard in my class and I concentrate *in some world's popular

issue of chemistry, physics, biology.

c. First, I have to concentrate *to teacher's saying.

d. Likewise, if I find what I like, I concentrate all of my mind *for it.

마지막으로 (36), (37)과 같이 come과 go가 전치사 to대신 in, on, over등의 틀린

전치사와 결합하여 쓰인 오류들도 관찰되었다.

(36) When I have gone to high school, my goal is only thing that I go to good

university, and now I came *in this university.

(37) a. Students who have more points than others will go *on popular foreign

universities, like Harvard, Yale, MIT and so on.

b. And the clever students are going *in another medical university.

c. And like this students graduate and go *over the school.

Page 14: 말뭉치를 통한 한국대학생의 전치사 동사 사용분석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5_4... · 2015-01-31 · 하고 구분하고 있는 반면

416 유태하 ∙ 유원호

표 5

틀린 전치사 오류율이 높은 동사

동사 총 사용 횟수 틀린 전치사 총 횟수

오류율 틀린 전치사(횟수)

spend NP on 22 10

45% for(5), to(3), with(2)

worry about 23 6

26% in(3), at(1), by(1), for(1)

give NP to 49 10

20% for(10)

agree with 16 3

19% with(3)

concentrate on 24 4

17% at(1), in(1), to(1), for(1)

come to 41 4

10% in(4)

go to 252 5

2% on(3), in(1), over(1)

합계 439 46

4. 그 외

표 2 유형별 오류율의 마지막 범주인 "그 외"는 앞에서 다룬 전치사 누락,

전치사 추가, 틀린 전치사에 포함될 수 없는 전치사 동사 오류의 경우를 말한

다. 총 25개의 전치사 동사가 이 영역에 해당하였는데 대부분의 경우가 문장

자체를 이해할 수 없거나 실제로 쓰이지 않는 어색한 표현들이었다. 그러나 이

중에서 논의의 가치가 있다고 여겨지는 두 가지를 언급하고자 한다. 우선 오류

율 100%를 보였던 consist of는 총 세 번 사용되었는데 세 학생 모두 (39)와 같

이 수동형으로 잘못 사용하였다.

(38) I think that making a group which is consisted of some students whose major is

different is the best way to study broadly.

Oshita(2001, p. 281)는 자동사를 습득할 때 나타나는 이와 같은 L2 학습자의

오류를 "과수동화 오류(overpassivization error)"라고 하였는데, 과수동화 오류는

수동화가 불가능한 비대격(unaccusative) 자동사를 아래 (40)과 같이 수동화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주로 나타난다. 이러한 비문법적이고 문맥상 부적절한 비대격

수동태 문장을 문법적으로 옳다고 판단하는 오류들이 다양한 L2 학습자에게서

두루 나타난다고 하였다.

Page 15: 말뭉치를 통한 한국대학생의 전치사 동사 사용분석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5_4... · 2015-01-31 · 하고 구분하고 있는 반면

말뭉치를 통한 한국대학생의 전치사 동사 사용분석 417

(39) *An accident was happened.

학생들의 주의를 요하는 또 다른 것은 (41)과 같이 전치사 to를 to부정사와

혼동하는 경우다. look forward to와 같이 contribute to는 전치사 동사로서 to뒤에

동사원형이 아닌 NP를 사용해야 한다.

(40) Through enough counseling, maybe he can reorganize his human relation, so

counselor office will contribute to *make happy school life.

V. 결론 및 제언

지금까지는 전치사 동사 사용에 대한 오류 분석 결과를 살펴 보았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전치사 동사 학습을 도모하기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한국 대학생들은 전치사 동사를 사용할 때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보였

다. 첫째, 학생들은 전치사에 따라서 변화하는 전치사 동사의 의미적 차이를

잘 파악하고 있지 못했다. 표 2에 따르면 오류 형태 중에서 전치사를 빠트리고

사용하는 경우(전치사 누락, 54%)가 가장 많았는데 그중 가장 높은 오류율을

보인 believe in은 전치사에 따른 의미적 변화를 잘 알지 못했기 때문에 일어났

다(예: *Until I was 16-year-old, I had not believed GOD). 따라서 교사는 함께 쓰이는

전치사에 따라 변화하는 전치사 동사의 의미적 차이를 학생들에게 확실히 주

지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학생들은 전치사 동사의 개념 및 형태에 대한 인식이 부족했다. 즉, 전

치사 동사가 언제 쓰일 수 있고 어떠한 형태로 쓰이는 지에 대하여 잘 모르고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학생들이 자동사와 타동사의 차이점을 구별하지 못하고

있으며 품사에 대한 학습이 아직도 미흡하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3의 listen의 경우 자동사이기 때문에 NP를 갖기 위해서는

반드시 전치사 to가 필요한데 상당히 많은 학생들이 to를 빠트리고 사용하여

listen의 전치사 누락 오류율은 80%에 이른다(예: *listening music). 마찬가지로

표 4에서 볼 수 있듯이 타동사라서 전치사가 없이 사용되는 enter의 경우에도

전치사 in을 붙여 사용하여 전치사 추가 오류율은 83%를 기록하였다(예: *enter

in university).

모두 초•중등 교과서에서 빈번히 등장하는 동사들인데 이토록 학생들의 오

류가 심각하다는 것은 영어의 정확성(accuracy)에 대한 교육이 절실하다는 사실

을 시사한다. 품사뿐만 아니라 자동사와 타동사에 대한 구별 및 전치사 동사의

형태와 쓰임에 대한 재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 단어를 배울 때 의미 이외에도

그 어휘가 속한 통사적인 범주 또한 정확히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listen의 경우 본래 자동사이며 NP 목적어를 가질 경우에는 전치사 to와 함께

Page 16: 말뭉치를 통한 한국대학생의 전치사 동사 사용분석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5_4... · 2015-01-31 · 하고 구분하고 있는 반면

418 유태하 ∙ 유원호

쓰여야 한다는 점을 명시해주는 것이 오류를 줄이고 더 나아가서 표현의 정확

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전치사 동사는 우리나라 교육

현장에서 주목받지 못한 채 숙어 정도로 취급되어 왔지만(신명신, 2008) 앞에서

도 언급했듯이 전치사 동사가 영어의 모든 사용역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만

큼(Biber 외, 1999) 현 영어 교육 과정에서도 전치사 동사에 대한 학습에 좀 더

관심을 갖고 다루어야 할 것이다.

부록 3은 본 연구의 오류 분석을 통해 도출된 오류율 데이터를 토대로 수업

시간에 꼭 다루어야 할 동사 25개를 간추린 것이다. 오류의 횟수가 세 번 이상

나타난 동사로 제한하였으며 각 동사의 오류율은 전치사 누락, 전치사 추가,

틀린 전치사 세 영역에서 나타난 분석 결과를 합산한 값이다. 교사들이 부록 3

에서 제시하고 있는 동사들을 우선적으로 수업 시간에 다루어 학습하게 한다

면 학생들이 보다 정확하고 자신 있게 전치사 동사를 구사하는 데 도움이 되

리라 생각한다.

셋째, 표 2의 분석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잘못된 전치사와 사용하여 발생

하는 오류(틀린 전치사, 18%)가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학생들이 동

사와 함께 쓰이는 전치사를 선택하는 데에 많은 혼란을 겪고 있으며 단순히

단어의 정의에만 초점을 두는 전통적인 어휘 학습의 문제점을 보여주는 결과

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순히 look의 정의만을 학습한 학생은 look이 어

떠한 전치사와 함께 쓰이는지 혼동할 수밖에 없다.

김경희와 이성원(2008)의 어휘 지도 방법에 관련한 설문 조사 결과에 따르면,

아직까지 어휘의 의미 설명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교수 방법이며 연어나 말뭉

치를 통한 어휘 지도 방법은 많이 실시되지 않는 양상을 보인다고 하였다. 그

러나 전치사 동사 사용 오류를 줄이고 연어적 패턴에 대한 감각을 기르기 위

해서는 그 어휘가 사용되는 실제적인 맥락(context)을 학생들에게 최대한 자주

노출시켜 줄 필요가 있다. 앞으로 말뭉치를 교실 상황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

한 연구와 노력이 계속된다면 보다 발전된 영어 교육을 기대할 수 있으리라

본다.

참고문헌

김경희, 이성원. (2008). 어휘 지도 현황과 지도 효과 분석. 영어교과교육, 7(1),

125-153.

신명신. (2008). 영어 다어 동사 교수의 문제와 제안. 영어학, 8(2), 179-206.

한종임. (2005). 대학교 영어 학습자의 문자 채팅영어의 정확성 및 형태초점 상

호작용에 대한 사례연구. 멀티미디어 언어교육, 8(2), 262-287.

현완송. (2009). 다어동사에 대한 고찰: 구동사를 중심으로. 영어어문교육, 15(1),

391-408.

Page 17: 말뭉치를 통한 한국대학생의 전치사 동사 사용분석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5_4... · 2015-01-31 · 하고 구분하고 있는 반면

말뭉치를 통한 한국대학생의 전치사 동사 사용분석 419

Biber, D., Conrad, S., & Leech, G. (1999). Longman student grammar of spoken and

written English. Harlow, Essex: Pearson Education Limited.

Biber, D., Johansson, S., Leech, G., Conrad, S., & Finegan, E. (1999). Longman grammar

of spoken and written English. Harlow, Essex: Pearson Education Limited.

Carter, R., & McCarthy, M. (2006). Cambridge grammar of English.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elce-Murcia, M., & Larsen-Freeman, D. (1999). The grammar book: An ESL/EFL

teacher’s course (2nd ed.). Boston: Heinle & Heinle.

Collins COBUILD English grammar. (1990). Glasgow: HarperCollins Publishers.

Collins COBUILD phrasal verbs dictionary (2nd ed.). (2002). Glasgow: HarperCollins

Publishers.

Dulay, H., Burt, M., & Krashen, S. (1982). Language two.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Greenbaum, S., & Quirk, R. (1990). A student's grammar of the English language. Harlow,

Essex: Longman Group Limited.

Kim, M. (2009). An error analysis of a learner corpus of written and spoken English

produced by Korean university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Kim, P. (2009). CriterionⓇ program summary. KATE Forum, 34(3), 20-24.

Kweon, S. (2006). Avoidance of phrasal verbs by Korean EFL learners. Studies in Modern

Grammar, 45, 175-197.

Oh, J. (2004). Learning English phrasal verbs through the cognitive approach. Journal of

Language Sciences, 11(1), 145-164.

Oshita, H. (2001). The unaccusative trap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Studie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23, 279-304.

Song, B. (2008). A cognitive linguistic approach to English phrasal verbs. Modern Studies

in English Language & Literature, 52(4), 141-162.

You, Y. (1999). Avoidance phenomena of phrasal verbs by Korean learners of English.

English Teaching, 54(3), 135-155.

Page 18: 말뭉치를 통한 한국대학생의 전치사 동사 사용분석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5_4... · 2015-01-31 · 하고 구분하고 있는 반면

420 유태하 ∙ 유원호

부록 1

고빈도 전치사 동사 목록(Biber 외, 1999, pp. 416-419)

의미영역 1 형 (V + Prep. + NP) 2 형 (V + NP + Prep. + NP)

Activity

look at/for, go for/through be applied to, be used in

wait for, deal with, pay for do NP for, be made of

get into, turn to, play with/for be aimed at, send NP to, give NP to

stare at, glance at, smile at be derived from, fill NP with

serve as, apply for, arrive at be accused of, be charged with

break into, connect with be jailed for, be divided into

engage in, get at/over/through obtain NP from, use NP as

go on, laugh at attach NP to, do NP about, keep NP in

look after/into, meet with make NP for/from, place NP in

point to, stay with provide NP for, put NP into/on

succeed in, suffer from reduce NP to, spend NP on

work at/for/on/with take NP from, use NP for

Communication

talk to/about, speak to/of say to NP + Quote/say NP to

ask for, refer to, write to be expressed in

bet on, respond to explain NP to, say NP about

Mental

think of/about, listen to be known as, be seen in

worry about, know about be regarded as, be seen as

hear of, add to, believe in be considered as, be defined as

occur to, agree with add NP to, be faced with

conceive of, concentrate on hear NP from

cope with, feel like, hear about

sound like, know of

Causative

lead to, come from, result in

be required for contribute to, allow for

call for

Occurrence look like, happen to, occur in

be covered with fall into, run into

Existence or

relationship

depend on, belong to be based on, be involved in

account for, consist of be associated with, be related to

differ from, refer to, live with be included in, be composed of

rely on, stand for be compared with, be involved with

Aspectual begin with, enter into

start with

Page 19: 말뭉치를 통한 한국대학생의 전치사 동사 사용분석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5_4... · 2015-01-31 · 하고 구분하고 있는 반면

말뭉치를 통한 한국대학생의 전치사 동사 사용분석 421

부록 2

유형별 오류 개수

의미영역 동사 전치사 동사

사용 횟수

전치사

누락

전치사

추가

틀린

전치사 그 외

Activity

look 20 4 3 1

go 252 54 8 11 2

wait 7 5

deal 2

pay 15 2 1 3

get 22 2 2 3

turn 6 1

play 40 1

serve 3 1

apply 11 4 1

use 18 2 1 3

do 31 1

make 20 2

aim 1 1

send 4 1

give 49 5 6 10

fill 3

divide 3

arrive 3 1

break 6 6

connect 1

engage 2

meet 6 1 2 1 1

point 4 3

stay 5 2

succeed 4 3

suffer 8

work 35 6 1

attach 2 2

keep 6 1 2 3

place 4 1

provide 8 2 2

spend 22 10 5

take 8 1

Page 20: 말뭉치를 통한 한국대학생의 전치사 동사 사용분석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5_4... · 2015-01-31 · 하고 구분하고 있는 반면

422 유태하 ∙ 유원호

Communication

talk 70 12 1 1

speak 22 5 3

ask 13 1 6

write 14 1 4

call 1 1

say 31 5

explain 2

Mental

think 82 35 6

listen 45 36 2

worry 23 6

know 48 2 3 5

hear 10

add 4 3 1

believe 4 4

occur 2 1

see 7 3

regard 3

consider 7 1

agree 16 7 3

concentrate 24 3 4

cope 2

feel 8 2

face 4

Causative

lead 5 1

come 41 11 2 4 1

result 2 1

contribute 4 2 1

allow 1 1

require 2 2

Occurrence

happen 7 1 1 1

fall 7 1 3

run 4 2

cover 9 2 1

depend 12

Page 21: 말뭉치를 통한 한국대학생의 전치사 동사 사용분석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5_4... · 2015-01-31 · 하고 구분하고 있는 반면

말뭉치를 통한 한국대학생의 전치사 동사 사용분석 423

Existence

or relationship

belong 5 1

consist 3 3

differ 1 1

base 4 1

involve 2

associate 3

relate 10 1 2 2

include 5 3

live 85 13 3 1 2

rely 2

stand 4 1 1

compare 11 2

Aspectual enter 6 5

start 9 1 2 1

합계 82 1317 240 52 80 76

부록 3 교실에서 다루어야 할 동사 목록

동사의 종류 총 사용 횟수 오류의 개수 오류율

1 add 4 4 100%

2 believe 4 4 100%

3 listen 45 38 84%

4 enter 6 5 83%

5 point 4 3 75%

6 wait 7 5 71%

7 meet 6 4 67%

8 agree 16 10 63%

9 ask 13 7 54%

10 keep 6 3 50%

11 provide 8 4 50%

12 think 82 39 48%

13 spend 22 10 45%

Page 22: 말뭉치를 통한 한국대학생의 전치사 동사 사용분석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5_4... · 2015-01-31 · 하고 구분하고 있는 반면

424 유태하 ∙ 유원호

14 apply 11 5 45%

15 start 9 4 44%

16 give 49 21 43%

17 come 41 17 41%

18 look 20 8 40%

19 write 14 5 36%

20 cover 9 3 33%

21 relate 10 3 30%

22 go 252 73 29%

23 concentrate 24 7 29%

24 worry 23 6 26%

25 speak 22 5 23%

교육단계(applicable levels): 고등 교육(tertiary education)

주제어(key words): 학습자 말뭉치(learner corpus), 전치사 동사(prepositional verb), 전치사

누락(preposition omission), 전치사 추가(preposition addition), 틀린 전치사(wrong prepositions)

유태하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어교육과

121-742 서울특별시 마포구 신수동 1번지

Tel: 010-8733-3355

Email: [email protected]

유원호

서강대학교 영미어문학과

121-742 서울특별시 마포구 신수동 1번지

Tel: (02) 705-8340

Fax: (02) 715-0705

Email: [email protected]

Received in 2010

Reviewed in 2010

Revised version received in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