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아니강사양반 그게무슨 소리 요?" _[음운]오브음운 _ [ㄱㅐ.ㅌㅔ]

아니강사양반 그게무슨소리요?d1anutt72n1dwl.cloudfront.net/course/1486625135.56_green...l%Ç M ᄀ _"Z 자음子音(닿소리) | 목 안 또는 입안의 어떤 자리가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아니강사양반

    그게무슨소리요?"

    _[음운]오브음운_[ㄱㅐ.ㅌㅔ]

  • 문법은 반복이다문법은 클라스다문법은 클라스다문법은 반복이다문법은 반복이다문법은 클라스다문법은 클라스다문법은 반복이다문법은 반복이다문법은 클라스다문법은 클라스다문법은 반복이다문법은 반복이다문법은 클라스다문법은 클라스다문법은 반복이다문법은 반복이다문법은 클라스다문법은 클라스다문법은 반복이다문법은 반복이다문법은 클라스다문법은 클라스다문법은 반복이다문법은 반복이다문법은 클라스다문법은 클라스다문법은 반복이다문법은 반복이다문법은 클라스다문법은 클라스다문법은 반복이다문법은 반복이다문법은 클라스다문법은 클라스다문법은 반복이다

  • 해적解的 김세환 노략勞略국어문법은 반복이다문법은 클라스다문법은 클라스다문법은 반복이다문법은 반복이다문법은 클라스다문법은 클라스다문법은 반복이다문법은 반복이다문법은 클라스다문법은 클라스다문법은 반복이다문법은 반복이다문법은 클라스다문법은 클라스다문법은 반복이다문법은 반복이다문법은 클라스다문법은 클라스다문법은 반복이다문법은 반복이다문법은 클라스다문법은 클라스다문법은 반복이다문법은 반복이다문법은 클라스다문법은 클라스다문법은 반복이다문법은 반복이다문법은 클라스다문법은 클라스다문법은 반복이다문법은 반복이다문법은 클라스다문법은 클라스다문법은 반복이다

    언어의 특성언어는 여러 특성들이 따로, 혹은 동시에 드러남

    ▘기호성 | �언어는 일정한 말소리가 문자와 의미와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기호

    ▘자의성 | 언어와 의미 사이엔 필연적 관계가 없음

    ▘분절성 | �언어는 연속된 상황을 불연속적으로 끊어 표시할 수 있음

    ▘규칙성 | 언어는 일정한 규칙에 따라 사용됨

    ▘창조성 | �언어는 한정된 음운으로 수많은 단어와 개념을 만들어 낼 수 있음

    ▘추상성 | �언어를 통해 실재하지 않는 대상이나 개념을 드러낼 수 있음

    ▘사회성 | �언어는 사회적 약속이며 개인이 마음대로 바꿀 수 없음

    ▘역사성 | �언어는 세월의 흐름에 따라 말, 소리, 의미, 문법이 생기기도, 바뀌기도, 없어지기도 함

    문법_초록불 활짝_▛ㅊㅗㄹㅗㄱㅊㅐㄱ▟_[개]념으로[선]명한[문]법 | 007

  • 해적解的 김세환 노략勞略국어

    음운|소리音운율韻|▘01_�음소와 운소로 구성된, �

    � 말의 뜻을 구별하여 주는 소리의 가장 작은 단위

    ▘▘음소와 운소

    ▘▘▘음소(분절 음운) | 자음과 모음

    ▘▘▘운소(비분절 음운) | 소리의 장단, 고저, 강약

    ▘▘음운 구별 방법

    ▘▘▘단어의 의미 비교를 통한 구별_

    보리 : 소리 ->'ㅂ' 과 'ㅅ'

    나비 : 노비 -> 'ㅏ'와 'ㅗ'

    ▘▘▘억양의 비교를 통한 구별_

    집에 가↘ (가겠다)

    가↘ (가라)

    가↗ (갈테냐?)

    가! (갈테다!)

    ▘02_음성을 문자로 실현한 것(음절의 재료)

    가 ⇨ 'ㄱ' + 'ㅏ'

    양 ⇨ 'ㅑ' + 'ㅇ'

    +알* 음소문자 | 음소가 모여 음절을 이루는 문자

    'ㄱ''ㅏ''ㅇ' -> 강

    음절문자 | 한 글자로 한 음절을 나타내는 문자

    ばか[빠카], マクドナルド[마쿠도나르도]

    008 | 문법_초록불 활짝_▛ㅊㅗㄹㅗㄱㅊㅐㄱ▟_[개]념으로[선]명한[문]법

  • 해적解的 김세환 노략勞略국어

    국어의 음운▘분절 음운 | �음절이나 단어와 같은, �� 더 큰 단위로부터 쪼개서 분리할 수 있는 음운. � 자음과 모음으로 구성

    ▘▘모음母音(홀소리) | �발음 기관의 아무런 장애를 받지 않고 �� 순조롭게 나는 소리. 홀로 소리를 만들 수 있음

    ▘▘▘모음의 자질_

    ▘▘▘▘_단모음 | �발음 과정에서 입술이나 혀의 위치가 ▢▢ㄱㅈ됨

    'ㅏ' 'ㅐ' 'ㅓ' 'ㅔ' 'ㅗ' 'ㅚ▘' 'ㅜ' 'ㅟ▘' 'ㅡ' 'ㅣ' �

    (▘'ㅚ', 'ㅟ'는 이중모음으로도 발음 허용)

    ▘▘▘▘▘단모음 체계 |

    � 혀의 앞뒤 전설|앞전혀설|모음 후설|뒤후혀설|모음 입술의 모양

    혀의위치평순|평평|

    모음원순|둥근|

    모음평순|평평|

    모음원순|둥근|

    모음고모음 ㅣ ㅟ ㅡ ㅜ

    중모음 ㅔ ㅚ ㅓ ㅗ

    저모음 ㅐ ㅏ

    ▘▘▘▘_이중모음 | �발음 과정에서 입술이나 혀의 위치가 �

    � ▢▢ㅂㅎ(▢▢ㅇㄷ)함

    'ㅑ' 'ㅕ' 'ㅛ' 'ㅠ' 'ㅒ' 'ㅖ' 'ㅘ' 'ㅙ' 'ㅝ' 'ㅞ' 'ㅢ'

    ▘▘▘▘_반모음_�이중모음에서, �

    단모음과 단모음 사이에서 잠깐 보이는 모음�

    'y'계 와 'w'계로 구성되며 자립성이 없음. �

    � 모음과 자음의 성질을 동시에 지니고 있음

    ▘▘▘▘▘반모음 l([j]계)_

    'ㅑ'를 발음할 때, 'ㅣ'와 'ㅏ' 사이에서 잠시 나타나는 모음

    ▘▘▘▘▘반모음 ㅗ/ㅜ(w[w])계_

    'ㅘ'나 'ㅝ'를 발음할 대, �

    � 'ㅗ'와 'ㅏ' 사이에서 잠시 나타나는 모음

    ▘▘▘모음의 종류_

    ▘▘▘▘_양성 모음 | �▢ㅂ고, ▢ㅈ고, ▢▢▢ㄱㅂㅇ 느낌의 모음

    � (a.k.a 'ㅏ'와 'ㅗ'의 친구들)�

    'ㅡ'와 'ㅣ'를 기준으로 위, 오른쪽 방향으로의

    가획으로 이루어짐

    'ㅏ', 'ㅑ', 'ㅗ', 'ㅛ'

    ▘▘▘▘_음성 모음 | �어둡고, 크고, 무거운 느낌의 모음 �

    � (a.k.a 'ㅓ'와 'ㅜ'의 친구들) �

    'ㅡ'와 'ㅣ'를 기준으로 �

    � 아래, 왼쪽으로의 가획으로 이루어짐

    'ㅓ', 'ㅕ', 'ㅜ', 'ㅠ' 'ㅡ' + 'ㅣ'

    ▘▘▘▘모음 조화_�양성 모음은 양성 모음끼리, �

    � 음성 모음은 음성 모음끼리 어울려 쓰임

    또박또박 (양성 모음 조화)

    뚜벅뚜벅 (음성 모음 조화)

    문법_초록불 활짝_▛ㅊㅗㄹㅗㄱㅊㅐㄱ▟_[개]념으로[선]명한[문]법 | 009

  • 해적解的 김세환 노략勞略국어

    ▘▘자음子音(닿소리) | �목 안 또는 입안의 어떤 자리가 완전히 막히거나, 공기가 간신히 지나갈 만큼 좁혀져 발음기관의 장애를 받고 나는 소리. 홀로 소리를 만들지 못함

    ▘▘▘자음의 자질(종류) |

    ▘▘▘▘▢▢ㅇㅅ소리(보통 소리),

    ▘▘▘▘▢ㄷ소리(되게(진하게) 발음하는 소리, 단단하고 강한 느낌),

    ▘▘▘▘▢▢ㄱㅅ소리(숨이 거세게 나오는 소리, �

    � 예사소리+바람소리(▢ㅎㅇ)로 구성)�

    ㄱ : __ : __

    ▘▘▘자음의 명칭 | ㄳ -> ▢▢▢ㄱㅈㅇ, ▢▢▢ㄱㅂㅊ(받침일 때) �

    ㄲ -> ▢▢▢ㅆㅈㅇ, ▢▢▢ㅆㅂㅊ(받침일 때)

    ▘▘▘자음 체계 |

    � 조음� 위치조음방법

    입술소리

    잇몸소리

    센입천장소리

    여린입천장소리

    목청소리

    두 입술 혀끝, 윗잇몸혓바닥,

    센입천장

    혀 뒤,여린

    입천장

    목청사이

    파열음

    예사소리

    ㅂ ㄷ ㄱ

    된소리

    ㅃ ㄸ ㄲ

    거센소리

    ㅍ ㅌ ㅋ

    파찰음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

    마찰음

    예사소리

    ㅅㅎ

    된소리

    비|코|음 ㅁ ㄴ ㅇ

    유|흐를유|음(설측음�|혀옆소리|)

    ▘비분절 음운 | �음절에서 쪼개서 분리하기 어려운 음운. �� 자립성이 없어 늘 분절 음운에 얹혀 드러남. �� 고저, 강약, 장단 등.

    _현대 국어에서, 소리의 고저는 ▢▢억ㅇ의 실현으로 확인할 수 있다.

    _현대 국어에서, 소리의 장단은 어휘의 첫째 음절에서만 나타난다.

    말(horse馬): - 조랑말 / 눈(snow雪): - 첫눈

    010 | 문법_초록불 활짝_▛ㅊㅗㄹㅗㄱㅊㅐㄱ▟_[개]념으로[선]명한[문]법

  • 해적解的 김세환 노략勞略국어

    +알* 음운은 '소리'의 차원에서 파악해야 함,

    '형태'가 아닌 '소리'의 단위

    * 음운과 표기 |

    표음주의 ->▢▢ㅅㄹ, ▢▢ㅂㅇ을 중심으로

    표의주의 -> ▢▢ㅇㅂ에 맞게, ▢▢ㅎㅌ를 중심으로

    구지 : 굳이 / 묻다, 묻고, 물어 : 먹다, 먹고, 먹어

    * 음절 | 음운을 바탕으로 한 발음의 최소 단위,

    우리 말의 모든 음절 수는 (▢▢ㅁㅇ)의 숫자와 같음

    * 음절의 구성 단위 |

    ▢ㅊ성(▢▢▢ㅊㅅㄹ), ▢ㅈ성(▢▢▢▢▢ㄱㅇㄷㅅㄹ), ▢ㅈ성

    (▢ㅁ음/▢▢▢ㄲㅅㄹ)으로 구성

    * 어절 | 띄어쓰기 단위

    눈은 살아 있다.(__)어절

    떨어진 눈은 살아 있다.(__)어절

    마당 위에 떨어진 눈은 살아 있다.(__)어절

    * 한국인이라면 제발, 국어 자, 모음 명칭

    자음

    ㄱ기역

    ㄴ니은

    ㄷ디귿

    ㄹ리을

    ㅁ미음

    ㅂ비읍

    ㅅ시옷

    ㅇ이응

    ㅈ지읒

    ㅊ치읓

    ㅋ키읔

    ㅌ티읕

    ㅍ피읖

    ㅎ히읗

    ㄲ 쌍기역 ㄸ 쌍디귿 ㅃ 쌍비읍 ㅉ쌍지읒

    모음

    ㅏ아

    ㅑ야

    ㅓ어

    ㅕ여

    ㅗ오

    ㅛ요

    ㅜ우

    ㅠ유

    ㅡ으

    ㅣ이

    문법_초록불 활짝_▛ㅊㅗㄹㅗㄱㅊㅐㄱ▟_[개]념으로[선]명한[문]법 | 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