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
- 1 - 거문도 일원 병해충 발생에 거문도 일원 병해충 발생에 따른 생태계 영향 연구 따른 생태계 영향 연구 2005. 11. 2005. 11.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관리공단

거문도 일원 병해충 발생에 따른 생태계 영향 연구따른 …webbook.me.go.kr/DLi-File/010/150587.pdf- 2 - 제 출 문제 출 문 국립공원관리공단 다도해해상관리사무소장

  • Upload
    others

  • View
    9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 1 -

    거문도 일원 병해충 발생에 거문도 일원 병해충 발생에

    따른 생태계 영향 연구따른 생태계 영향 연구

    2005. 11.2005. 11.

    국립공원관리공단국립공원관리공단

  • - 2 -

    제 출 문제 출 문

    국립공원관리공단 다도해해상관리사무소장 귀하

    본 보고서를 “거문도 일원 병해충 발생에 따른 생태계 영향 연구”의 최종보

    고서로 제출합니다.

    2005. 11.

    전남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장

  • - 3 -

    거문도 일원 병해충 발생에 따른거문도 일원 병해충 발생에 따른

    생태계 영향 연구 생태계 영향 연구

    연 구 기 관 : 전남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kkk

    책임연구원 : 박승찬 (전남대학교 교수)

    선임연구원 : 위안진 (전라남도 완도수목원 원장)

    :. 신광하 (영산강유역 환경관리청)

    연구보조원 : 김종영 (전남대학교 박사학위과정)

    보 조 원 : 김현석, 김승진, 차범찬

  • - 4 -

    목 차목 차

    Ⅰ. 총괄 --------------------------------- 1

    1. 연구배경 ------------------------------ 2

    2. 연구목적 ------------------------------ 3

    Ⅱ. 연구방법 ------------------------------ 4

    1. 동물상 현황 조사 ------------------------ 5

    2. 몸큰가지나방의 생태특성 및 산림피해 조사 --------- 7

    3. 몸큰가지나방의 관리방안 -------------------- 9

    Ⅲ. 연구결과 ------------------------------ 12

    1. 거문도의 동물상 ------------------------- 13

    2. 몸큰가지나방의 생태특성 및 산림피해 ------------ 26

    3. 관리방안 ------------------------------ 33

    Ⅳ. 인용문헌 ------------------------------ 38

    Ⅴ. 부록 --------------------------------- 40

  • - 1 -

    Ⅰ. Ⅰ. 총 괄총 괄

  • - 2 -

    1. 연구배경

    ■ 몸큰가지나방(Biston robustum BUTLER)은 곤충강 나비목 자나방과에 속하며, 한국,

    일본, 대만, 만주 등지에 분포하는 곤충으로서 1879년 Ann. Mag. Nat. Hist 제 5권 4

    호에 신종으로 기재되어 있다. 비교적 대형이며 몸의 형태가 마른 가지와 유사하여

    먼 거리에서는 식별하기 어렵고 주로 사과나무, 배나무 등의 과수류를 비롯한 여러

    종의 활엽수를 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국내의 경우, 본 해충은 한국동물명집(1968)에 국내에 분포함이 기록되어 있고,

    임업시험장에서 발간된 한국수목해충총목록(1969)에 의하면 일명 ‘큰자나방’으로도 불

    리며 한국식물보호학회에서 발간된 한국식물병해충잡초명감(1986)에는 일명 ‘몸큰자

    나방’으로도 불리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강원도교육청(1997)에서 출판된 강원도

    자연(곤충편)에는 본 해충이 강원도에 분포함이 기록되어 있다. 1989년 다도해해상

    국립공원 지역인 전라남도 여수시 삼산면 거문리 수월산 일대에서 처음 대형 피해가

    보고된 이래(전라남도 임업시험장 1990.), 해에 따라 이 일대의 상록활엽수 천연림에

    대량 발생하여 산림의 훼손은 물론 탐방객들에게 혐오감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경관

    의 질을 떨어뜨리는 등의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으나 아직까지 이 곤충에 대한 생태

    적 특성이나 방제방법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 외국의 경우, 대만 및 만주에서의 피해는 조사되지 않았으며, 일본에서는

    Nakashima(1912)에 의하여 본 해충의 기초생태가 서술되었고, 江崎悌三등(1971)에 의

    하면 본 해충은 호카이도, 혼슈, 시코쿠, 큐슈, 대마도 등 일본 전역에 분포하며 동경

    부근의 동백림에 가끔 대발생하여 피해를 주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

    일본에서의 구체적 피해발생 기록은 Bureau of Labor and Economic Affairs of

    Tokyo Metropolitan(1999)에 의하면 1989년부터 1991년에 동경부근의 동백림에 대발

    생, 이에 따라 1991년 메프유제(스미치온)을 피해지역에 항공살포를 실시한바 있다.

    1992년에는 피해가 급격히 감소되었으나 그 감소 원인이 항공 살포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다른 이유인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최근 Toshihara Akino박사와의 교류

    (2005.6.26. : 부록 참조)에 의하면 동경으로부터 280km 남쪽 먼바다에 위치한 관광지

    인 Hachijo 섬의 구실잣밤나무, 벚나무류, 사스레피나무, 동백나무림에 1991~1993년,

  • - 3 -

    1997~1999년에 본 해충이 대발생 하였으며 동경 근처의 Miyake섬에도 본 해충 피해

    가 심하였으나 화산 폭발로 인하여 그 이후의 상황은 보고된 바 없다고 한다.

    일본에서의 본 해충에 대한 최근의 연구로는 Yamamoto등(2000)에 의한 성유인페

    로몬 이용연구 및 Akino등(2004)에 의한 기주식물을 모방한 시각적, 화학적 의태로써

    천적으로부터의 몸큰가지나방 유충의 자기방어 현상이 보고된 바 있다.

    ■ 이상의 해충 발생 패턴을 보면, 몸큰가지나방은 비주기적으로 대발생, 2-3년간

    심한 피해를 주고 그 후 밀도가 어떤 요인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감소하는 이른바 돌

    발해충인 것으로 추정된다.

    2. 연구목적

    ■ 본 연구는 몸큰가지나방의 충태별 생활사 및 생태적 특성과 함께 효과적인 방제

    법을 구명하여 이 곤충에 의한 대형 산림피해를 예방하고 효율적 국립공원관리를 위

    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 - 4 -

    Ⅱ. Ⅱ. 연 구 방 법연 구 방 법

  • - 5 -

    1. 동물상 현황 조사

    가. 곤충상 조사(나방류 중심)

    1) 몸큰가지나방과 함께 동백나무를 식해하는 나방류 유충의 채집 및 동정

    2005년 5월 14일부터 15일까지 조사지역의 동백나무를 가해하고 있는 나방류

    유충을 채집하여 실험실로운반, 일본나방유충도감(1969)을 참고하여 동정하였다.

    2) 야간채집

    서도지역 상록수활엽수림의 임연부(나지)에 백색스크린(높이 2m, 길이 3m)을

    허공에 수직으로 설치하고 스크린의 중앙으로부터 30cm 거리에 300와트의 백열

    등을 설치, 불빛에 유인되는 나방류 및 기타 곤충류를 독병(ethyl acetate 처리)

    에 채집하였다.

    3) 채집시기 : 5월 14일, 6월 4일, 7월 18일

    나. 조류 조사

    1) 조사범위

    몸큰가지나방의 피해정도가 심한 서도를 대상으로 변촌마을에서 거문도등대

    사이 탐방로를 탐방객의 이용정도에 따라 2개의 조사구간으로 구분 실시하였으

    며, 구간별 조사경로는 표 1과 같다.

    표 1. 지역별 조류 조사경로

    구간별 조 사 경 로

    Ⅰ구간 유림해수욕장→ 삼거리→ 신선바위→ 보로봉→ 목넘어→ 거문도등대

    Ⅱ구간 변촌마을→ 해군부대→ 불탄봉→ 삼거리→ 유림해수욕장

    2) 조사시기

    몸큰가지나방의 애벌레시기와 번데기시기로 구분하여 2회 실시하였다.

    가) 1차 조사(유충기) : 2005년 6월 11일~12일

    나) 2차 조사(용화기) : 2005년 8월 20일~21일

  • - 6 -

    3) 조사 및 분석방법

    가) 조류상 조사

    조류의 활동이 가장 활발한 일출 후부터 조사경로를 따라 시속 2km 정도로 보행하

    면서 육안 및 쌍안경(8×40)을 이용하여 관찰폭 좌우 각 25m내에 출현하는 조류

    의 종류 및 개체수를 기록하는 선조사법(Line transect)과, 가급적 개시점과 종점

    을 포함하여 어느 정도 시야가 확보되어 조류의 관찰이 용이한 지점을 중심으

    로 20분 이상씩 멈추어서 직접관찰이나 울음소리, 나는 모습 등을 통해 확인된

    종과 개체수를 기록하는 정점조사법(Point sampling)을 병행하여 실시하였으며

    이때에는 동일 개체가 중복되지 않도록 유의하였다. 또한 야간에는 울음소리 청

    취를 통해 야행성 조류를 파악하였으며 조사구간의 인근 해상에서 관찰되는 수

    조류도 목록에 포함하였다.

    한편 조류에 의한 몸큰가지나방의 포식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조류상 조사

    시 조류의 채식행동에 대한 관찰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나) 군집분석

    조사구간별로 관찰된 종들에 대해 매 조사 시 마다 개체수를 기록하여 정량적인

    방법을 도입 군집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비교하는데 사용한 공식은 다음과 같다.

    ① 우점도 (Dominance Index : DI)

    우점도지수는 각 조사지점별로 출현하는 전체 총 개체수를 기록하여 산출하

    였다. (McNaughton, 1967)

    DI = ni/N

    DI : 우점도지수, N : 총개체수, ni : 제 i번째 종의 개체

    ② 종다양도(Biodiversity Index : H')

    군집의 복잡성을 나타내는 지수로서 Margalef(1958)의 정보이론(information

    theory)에 따라 도출된 Shannon-Weaver 지수를 사용하였다.

    H' = −∑Pi logPi

    H' : 다양도, Pi : i번째에 속하는 개체수의 비율(ni/N)로 계산

    (N : 군집내의 전체개체수, ni : 각종의 개체수)

  • - 7 -

    ③ 종풍부도(Richness Index : R' )

    종풍부도지수는 총 개체수와 총 종수만을 가지고 군집의 상태를 표현하는

    지수로서, Margalef(1958)의 지수를 사용하여 산출하였다.

    R' = (S-1)/Ln(N)

    R': 풍부도, S : 전체종수, N : 총 개체수

    2. 몸큰가지나방의 생태특성 및 산림피해 조사

    가. 생태학적 특성 조사

    이 해충 유충기의 기주식물 가해습성 및 용화습성을 야외관찰 및 실내사육에

    의하여 조사하였다.

    나. 관련자료 조사

    몸큰가지나방에 대한 국내 및 국외 연구자료를 수집하여 본 연구에서 조사한

    이 곤충의 생태적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다. 대상지의 식생현황 및 피해목 현황 조사

    1) 피해수종 조사

    서도 지역에 개설된 탐방로를 5개의 조사구간으로 구분하고 고도지역에 1개

    조사구간을 설정하여 각 탐방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주변 입목을 중심으로 몸큰

    가지나방의 유충이 가해하고 있는 현장을 면밀히 관찰하여 피해수종을 조사하고

    목록을 작성하였다.

    표 2. 피해목 현황조사 구간

    구 분 조 사 경 로

    1조사구간 유림해수욕장-삼거리-기와집몰랑-신선바위-365계단

    2조사구간 목넘어-수월산 정상-거문도 등대

    3조사구간 유림해수욕장-삼거리-불탄봉-해군부대

    4조사구간 장촌마을-용연-변촌마을

    5조사구간 서도마을-녹산등대

    6조사구간(고도) 여객터미널-전망대-영국군 묘지

  • - 8 -

    그림 1. 피해수종 조사 경로도

    2) 수종별 몸큰가지나방 유충의 개체군 강도(Population Intensity) 조사

    동물의 표본추출에서 절대밀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는 어려우며 또한 불가능하

    다. 그러나 밀도지수(Index of Density, ID)를 계산하여 비교의 목적으로 이용할

  • - 9 -

    수 있다. 밀도지수는 단위면적 당의 개체수가 아니고 단위 서식지 당의 개체수

    또는 채집활동단위 당의 개체수, 곧 개체군 강도(Population Intensity)로 나타낸

    다. 본 연구에서는 서도지역에 천연분포하는 수종 중에서 몸큰가지나방 유충이

    가해하고 있는 수종만을 선택하여 수종별로 유충의 개체군 강도를 조사함으로써

    이 곤충의 식이선호도 및 수종별 피해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 곤충이 가해 중인 수종을 대상으로 1그루의 입목에서 관찰되는 유충의 개체

    수를 단위시간(5분) 동안 조사하였다. 이 자료의 신뢰도를 고려하여 1수종당 3반

    복 측정하였고, 가급적 산록, 산복, 산정부에서 고르게 표본이 추출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계수기를 사용하여 counting하였다.

    조사된 자료를 바탕으로 수종별 유충의 수를 산술평균하여 개체군 강도를 산출

    한 다음, 비교 연구를 위하여 수종별로 몸큰가지나방 개체군의 상대밀도(Relative

    Density, RD)를 계산하였다.

    RD = (특정 수종에서 조사된 유충의 밀도/모든 수종에서 조사된 유충밀도의 합) × 100(%)

    3) 피해면적 조사

    1)의 조사와 병행하여 각 조사구간 별로 탐방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육안으로

    관찰되는 피해지역을 1/25,000 지형도에 표시하였다.

    3. 몸큰가지나방의 관리방안

    가. 물리․화학적 관리방안 1) 약제방제 시험

    - 공시 농약 선발 기준 :

    ① 환경독성이 낮을 것

    ② 나비목 유충에만 주로 사용되는 농약일 것

    ③ 어류독성이 보고되지 않은 것

    - 살충효과 조사 방법 : 약 50cm길이의 동백나무 가지당 3~4령 유충을 15마리씩

  • - 10 -

    접종하고, 소정농도(표준량은 1,000배, 배량은 500배)의 희석액을 핸드스프레이를 이

    용하여 30cm의 거리에서 20회씩 분무한 다음, 공시충이 분실되지 않도록 망대를 씌

    워 6일 후 및 12일 후에 생충수 및 사충수를 조사하였다(처리규모 : 8처리×3반복).

    표 3. 공시 농약별 특성

    일반명 상표명(제형) 특징, 작용 기작 독성, 부작용선정여부

    여부 근거

    DDVP 디디브이피(유제)광범위 살충제

    (유기인계)2급(고독성) ○

    1990년 공시농약 중, 살충효과 가장 높음.

    (대조약제)

    Teflubenwuron노몰트(액상수화제)

    테프루벤주론(유제)키틴질 형성 억제

    4급(저독성)꿀벌,누에

    4급(저독성)누에

    × 냄새 독함

    Diflubenzuron 디밀린(액상수화제) 키틴질 형성 억제 4급(저독성)누에 × 실험 당시 확보 불가

    Lufenuron 매치(유제) 키틴질 형성 억제 4급(저독성)꿀벌,누에 × 어독성 1급

    Methoxyfenozide팔콘(수화제)

    런너(액상수화제)탈피촉진, 나방류에만 작용 4급(저독성)누에

    × 실험 당시 확보 불가

    B.t (kurstaki)영일비티(수화제)

    엠페릴(액상수화제)생물농약, 나방류에만 작용

    4급(저독성)누에

    4급(저독성)누에

    × 저항성 계통 출현으로 생산 중단

    B.t (aizawai) 비오칸(액상수화제)생물농약,

    나방류에만 작용4급(저독성) ×

    저항성 계통 출현으로 생산 중단

    Indoxacarb 암메이트(수화제)자나방류 특효,즉시 섭식 중단

    4급(저독성) × 어독성 2급

    2) 물리적 방제

    - 잠복소를 이용한 방제방법 연구

    노숙유충이 토중에서 용화하기 직전 줄기를 타고 기어 내려올 것을 예상하여

    천적은 보호하면서 몸큰가지나방의 유충만을 유살할 수 있는 잠복소를 그림 2와

    같이 별도 제작하여 탐방로 주변에 설치하고 유충의 이동을 관찰하였으며, 또한

    실내에서 유충을 사육하며 용화생태를 관찰하였다.

  • - 11 -

    그림 2. 자체 제작한 잠복소를 동백나무 주간에 설치한 모습(좌 : 실내, 우 : 임내)

    나. 생태학적 관리방안

    이 해충의 포식성, 기생성 천적 곤충류 및 육식성 조류를 거문도, 오동도, 향일

    암, 고흥 나로도에서 조사하고 외국에서 천적류로 조사된 생물을 취합하여 장기적

    인 관리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 12 -

    Ⅲ. Ⅲ. 연 구 결 과연 구 결 과

  • - 13 -

    1. 거문도의 동물상

    가. 곤충상 조사 결과

    거문도에서 동백을 가해하는 밤나방과 3종, 자나방과 3종의 나방류를 포함하여

    6목 19과 49종의 곤충류가 조사 되었다.

    표 4. 거문도 곤충상 목록

    목 과 곤 충 명 학 명

    5월 15일

    동백

    가해유충

    유아등

    재검토여부5/14 6/04 7/18

    나비목

    밤나방과

    두점박이밤나방 Hadjina biguttula O

    갈색수염나방 Hypena indicatalis O

    쑥꼬마밤나방 Phyllophila obliterata O

    소루쟁이밤나방 Atrachea niten O O

    남방구리밤나방※ Mecodina nubiferalis O

    띠꼬마짤름나방 Schrankia separatalis O

    벼애나방 Naranga aenescens O

    은빛붉은밤나방 Plusilla rosalia O

    뒷각시노랑수염나방 Hypena claripennis O

    담배나방류 Heliothinae sp. O O

    떠들썩밤나방 Sapporia repetita O

    어두운밤나방 Stygiodrina maurella O

    큰구름무늬밤나방 Mocis undata O

    자나방과

    뒷노랑점가지나방 Arichanna melanaria O

    큰빗줄가지나방 Descoreggba simplex O

    네눈가지나방 Serraca punctinalis O

    네줄가지나방 Hypomecis crassestrigata O

    가지나방류 1,2 Ennominae spp. O

    검정무늬애기가지나방 Peratophyga hyalinata O

    불나방과 홍줄불나방※ Miltochrista striata O O

    명나방과

    왕빗수염줄명나방 Sacada fasciata O

    수수꽃다리명나방※ Palpita nigropunctalis O

    들깨잎말이명나방 Pyrausta panopealis O

    흰무늬노랑들명나방 Cotachena pubescens O

    산명나방류 Scoparia sp. O

    뾰족명나방류 Endotricha sp. O

    솔나방과 천막벌레나방 Malacosoma neustria O

    박각시과 줄박각시※ Theretra japonica O

    잎 말 이

    나 방 과잎말이나방류 Archips sp. O

    ※ 과거 기 조사종

  • - 14 -

    표 4. (계 속)

    목 과 곤 충 명 학 명

    5월 15일

    동백

    가해유충

    유 아 등

    재검토여부5/14 6/04 7/18

    딱정벌레목

    방아벌레과

    방아벌레류 1,2 Elateridae spp. O

    왕빗살방아벌레 Pectocera fortunei O

    방아벌레류 3 Elateridae sp. O

    방아벌레류 4 Elateridae sp. O

    딱정벌레과 먼지벌레류 Harpalinae sp. O O

    풍뎅이과

    검정풍댕이류 Holotrichia sp. O

    청동풍뎅이 Amomala albopilosa O 要

    검정풍뎅이과

    우단풍뎅이류 Maladera sp. O

    알모양우단풍뎅이 Maladera cariniceps O 要

    하늘소과 하늘소류 Cerambycidae sp. O

    잎벌레과 잎벌레류 Chrysomelidae sp. O

    바구미과 바구미류 Curculionidae sp. O

    노린재목

    긴노린재과 애십자무늬긴노린재 Lygaeus hanseni O

    잡초노린재과 잡초노린재류 Rhopalidae sp. O

    메뚜기목 여치과 여치류 Tettigoniidae sp. O

    풀잠자리목 약대벌레과 약대벌레 Inocellia japonica O

    벌 목 맵시벌과

    자루맵시벌류 Ophion sp. O O 要

    맵시벌류 Ichneumonidae sp. O

    나. 조류 조사 결과

    1) 구간별, 시기별 조류군집

    1, 2차 조사를 통해 전체 조사지역 내에서 관찰된 조류는 총 27종(8목 20과)이었으

    며 종별 최대 개체수의 합은 369개체였다.

    월별 관찰조류는 6월에 18종 250개체, 8월에 18종 192개체가 관찰되어 6월이 8

    월에 비해 종수는 같았으나 개체수는 많았다.

  • - 15 -

    구간별로는 Ⅰ구간에서 15종이 관찰되었고, Ⅱ구간에서 22종이 관찰되었다.

    이 중 Ⅰ구간에서만 관찰된 종은 벌매와 후투티, 붉은머리오목눈이, 멧새, 밀화부

    리 등 5종인 반면, Ⅱ구간에서만 관찰된 종은 중대백로, 왜가리, 깝작도요, 괭이

    갈매기, 새매, 흑비둘기, 팔색조, 때까치, 굴뚝새, 되지빠귀, 산솔새, 참새 등 12

    종이었다.

    개체수도 Ⅱ구간에서 268개체가 관찰되어 Ⅰ구간의 106개체에 비해 많았다. 이

    는 Ⅰ구간에 비해 비교적 탐방압이 적게 작용한 Ⅱ구간에서 많은 종과 개체가

    출현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전체 27종 중 매회 조사 시마다 출현한 종은 흑비둘기, 멧비둘기, 칼새,

    제비, 직박구리, 바다직박구리, 박새, 동박새, 참새 등 9종 이었다.

    표 5. 거문도의 조류목록(6월)(단위 : 마리, %)

    번호 국 명 학 명 Ⅰ구간 Ⅱ구간 계 우점도 비 고

    1 벌매 Pernis apivorus 1 1 0.40 滅Ⅰ

    2 새매 Accipiter nisus 1 1 0.40 天

    3 매 Falco peregrinus 7 1 8 3.20 滅Ⅰ,天

    4 흑비둘기 Columba janthina 2 2 0.80 滅Ⅱ,天

    5 멧비둘기 Streptopelia orientalis 5 4 9 3.60

    6 두견 Cuculus poliocephalus 3 2 5 2.00 天

    7 칼새 Apus pacificus 4 5 9 3.60

    8 후투티 Upupa epops 1 1 0.40

    9 팔색조 Pitta brachyura 2 2 0.80 滅Ⅱ,天

    10 제비 Hirundo rustica 3 5 8 3.20

    11 직박구리 Hypsipetes amaurotis 6 7 13 5.20

    12 굴뚝새 Trogoldytes trogoldytes 1 1 0.40

    13 바다직박구리 Monticola solitarius 5 5 2.00

    14 휘파람새 Cettia diphone 8 7 15 6.00

    15 산솔새 Rhylloscopus occipitalis 1 1 0.40

    16 박새 Parus major 15 35 50 20.00

    17 동박새 Zosterops japonica 40 76 116 46.40

    18 참새 Passer montanus 3 3 1.20

    계종 수 12 15 18 - -

    개체수 98 152 250 - -

    註) 滅Ⅰ : 멸종위기Ⅰ급, 滅Ⅱ : 멸종위기Ⅱ급, 天 : 천연기념물

  • - 16 -

    표 6. 거문도의 조류목록(8월)

    (단위 : 마리, %)

    번호 국 명 학 명 Ⅰ지역 Ⅱ지역 계 우점도 비 고

    1 중대백로 Egretta alba 31 31 16.15

    2 왜가리 Ardea cinerea 4 4 2.08

    3 깝작도요 Tringa hypolencos 2 2 1.04

    4 괭이갈매기 Larus crassirostris 53 53 27.60

    5 흑비둘기 Columba janthina 2 2 1.04 滅Ⅱ,天

    6 멧비둘기 Streptopelia orientalis 4 9 13 6.77

    7 칼새 Apus pacificus 3 3 1.56

    8 제비 Hirundo rustica 11 11 5.73

    9 직박구리 Hypsipetes amaurotis 9 15 24 12.50

    10 때까치 Lanius bucephalus 2 2 1.04

    11 바다직박구리 Monticola solitarius 3 1 4 2.08

    12 되지빠귀 Turdus hortulorum 3 3 1.56

    13 붉은머리오목눈이 Paradoxornis webbiana 2 2 1.04

    14 박새 Parus major 4 7 11 5.73

    15 동박새 Zosterops japonica 8 12 20 10.42

    16 멧새 Emberiza cioides 2 2 1.04

    17 밀화부리 Eophona migratoria 1 1 0.52

    18 참새 Passer montanus 4 4 2.08

    계종 수 9 14 18 - -

    개체수 36 156 192 - -

    註) 滅Ⅰ : 멸종위기Ⅰ급, 滅Ⅱ : 멸종위기Ⅱ급, 天 : 천연기념물

  • - 17 -

    표 7. 거문도의 조류목록(전체)

    (단위 : 마리, %)

    번호 목 명 과 명 종 명 학 명최대

    개체수

    우점도

    (%)후조별

    1 황새 백로 중대백로 Egretta alba 31 8.40 S

    2 왜가리 Ardea cinerea 4 1.08 R

    3 매 수리 벌매 Pernis apivorus 1 0.27 S

    4 새매 Accipiter nisus 1 0.27 R

    5 매 매 Falco peregrinus 8 2.17 R

    6 도요 도요 깝작도요 Tringa hypolencos 2 0.54 P

    7 갈매기 괭이갈매기 Larus crassirostris 53 14.36 R

    8 비둘기 비둘기 흑비둘기 Columba janthina 2 0.54 R

    9 멧비둘기 Streptopelia orientalis 13 3.52 R

    10 두견 두견 두견 Cuculus poliocephalus 5 1.36 S

    11 칼새 칼새 칼새 Apus pacificus 9 2.44 S

    12 파랑새 후투티 후투티 Upupa epops 1 0.27 S

    13 참새 팔색조 팔색조 Pitta brachyura 2 0.54 S

    14 제비 제비 Hirundo rustica 11 2.98 S

    15 직박구리 직박구리 Hypsipetes amaurotis 24 6.50 R

    16 때까치 때까치 Lanius bucephalus 2 0.54 R

    17 굴뚝새 굴뚝새 Trogoldytes trogoldytes 1 0.27 R

    18 딱새 바다직박구리 Monticola solitarius 5 1.36 R

    19 되지빠귀 Turdus hortulorum 3 0.81 S

    20 붉은머리오목눈이 Paradoxornis webbiana 2 0.54 R

    21 휘파람새 Cettia diphone 15 4.07 S

    22 산솔새 Rhylloscopus occipitalis 1 0.27 S

    23 박새 박새 Parus major 50 13.55 R

    24 동박새 동박새 Zosterops japonica 116 31.44 R

    25 멧새 멧새 Emberiza cioides 2 0.54 R

    26 되새 밀화부리 Eophona migratoria 1 0.27 S

    27 참새 참새 Passer montanus 4 1.08 R

    註) R : Resident(텃새), S : Summer Visitor(여름철새), P : Passage Migrant(통과새)

  • - 18 -

    0

    50

    100

    150

    200

    250

    300

    Ⅰ 구 간 Ⅱ 구 간 6월 8월

    조 사 구 간 , 조 사 시 기

    개 체 수

    0

    5

    10

    15

    20

    25

    종 수

    개 체 수 종 수

    그림 3. 조사구간별, 시기별 관찰조류의 종수 및 개체수 비교

    2) 우점도

    구간별 우점도는 Ⅰ구간과 Ⅱ구간 모두 번식개체가 포함된 동박새로 각각

    37.74%와 28.36%를 차지하였다. 시기별로는 6월에는 동박새(46.40%)였고, 8월에

    는 괭이갈매기(27.60%)로 괭이갈매기는 번식지에서 번식을 끝내고 번식개체와

    함께 이동해 온 것으로 추정된다.

    표 8. 조류의 구간별, 시기별 우점도 순위(상위 5%이상)

    순위구 간 별 시 기 별

    전 체Ⅰ 구간 Ⅱ 구간 6 월 8 월

    1 동박새(37.74%)동박새

    (28.36%)동박새

    (46.42%)괭이갈매기(27.60%)

    동박새(31.44%)

    2 박새(14.15%)괭이갈매기(19.78%)

    박새(20.00%)

    중대백로(16.15%)

    괭이갈매기(14.36%)

    3 직박구리(8.49%)박새

    (13.06%)휘파람새(6.00%)

    직박구리(12.50%)

    박새(13.55%)

    4 휘파람새(7.55%)중대백로(11.57%)

    직박구리(5.20%)

    동박새(10.42%)

    중대백로(8.40%)

    5 매(6.60%)직박구리(5.60%) -

    멧비둘기(6.77%)

    직박구리(6.50%)

    6 - - - 제비, 박새(5.73%) -

  • - 19 -

    2회 조사 중 최대 출현개체수를 기준으로 전체 우점도를 산출한 결과 최우점

    종은 동박새였으며, 다음으로는 괭이갈매기, 박새, 중대백로, 직박구리 순이었

    다.

    따라서 거문도 일대에서 우점도 5%이상을 차지하는 특징종은 동박새, 괭이갈

    매기, 박새, 중대백로, 직박구리, 휘파람새, 매, 멧비둘기, 제비 등 9종으로 판단

    된다.

    3) 종다양도 및 종풍부도

    종다양도지수는 될수록 많은 종들이 제각기 큰 개체군으로 존재할 때 높은 수

    치를 나타내게 되며, 많은 종이 관찰되더라도 종별 개체수의 폭이 크거나, 개체

    수가 작은 종들이 많을 때는 낮은 수치를 보이게 된다.

    종풍부도지수는 총 개체수와 총 종수만을 가지고 군집의 상태를 표현하는

    지수로서, 지수값이 높을수록 종의 구성이 풍부하게 되므로 환경의 정도가 양

    호하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종다양도와 종풍부도는 Ⅱ구간이 각각 2.23과 3.76으로 Ⅰ구간의 2.12와 3.00

    에 비해 높았으며, 시기별로는 8월이 2.29와 3.23으로 6월의 1.86과 3.08에 비해

    높았다. 이는 Ⅱ구간이 Ⅰ구간에 비해 탐방객의 이용도가 적었고, 8월에는 6월

    에 비해 종별 개체수의 폭이 작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전체적인 종다양도지수(2.35)와 종풍부도지수(4.40)가 비교적 높게 나타

    난 것으로 미루어 거문도의 조류군집은 대체로 안정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

    다.

  • - 20 -

    2.12 2.23

    1.86

    2.29 2.35

    0.0

    0.5

    1.0

    1.5

    2.0

    2.5

    3.0

    Ⅰ구간 Ⅱ구간 6월 8월 전체

    조사구간,조사시기

    종 다양도(H')

    그림 4. 조사구간별, 시기별 종다양도지수 비교

    3.00

    3.76

    3.08 3.23

    4.40

    0.0

    1.0

    2.0

    3.0

    4.0

    5.0

    Ⅰ구간 Ⅱ구간 6월 8월 전체

    조사구간,조사시기

    종 풍부도(R')

    그림 5. 조사구간별, 시기별 종풍부도지수 비교

    4) 생태적 지위

    조사시기(여름철)를 기준으로 관찰조류 27종에 대한 주 채식장소와 주 식성별

    로 분류 비교한 결과 주 채식장소별로는 관목․잡목림에서 채식하는 종이 29.6%(8종)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땅과 교목의 수관이 각각 22.2%(6종), 공중

  • - 21 -

    11.1%(3종), 기타 14.8%(4종)로 나타났다.

    땅22.2%

    관목,잡목림29.6%

    교목의 수관22.2%

    공중11.1%

    기타14.8%

    그림 6. 관찰조류의 주 채식장소별 비율

    주 식성별로는 곤충성이 51.9%(14종)로 가장 많았고, 식물성과 동물성이 14.8%(4

    종), 무척추동물성이 3.7%(1종), 기타 14.8%(4종)이었다.

    동물성14.8%

    곤충성51.9%

    식물성14.8%

    무척추 동물성3.7%

    기타14.8%

      그림 7. 관찰조류의 주 식성별 비율

  • - 22 -

    5) 법정 보호대상 조류

    야생동․식물보호법(멸종위기Ⅰ,Ⅱ급)과 문화재보호법(천연기념물)에 의한 보호대상 조류는 매, 벌매, 새매, 흑비둘기, 두견, 팔색조 등 총 6종이었다.

    이 중 멸종위기 Ⅰ급 종은 매 1종으로 매는 신선바위 일대 해안가 절벽위에서

    성체 1개체와 금년에 부화하여 이소한 어린새 4개체, 그리고 육추 중인 새끼 2

    개체 등 7개체와 Ⅱ지역의 해안가 절벽위에서 관찰된 성체 1개체를 포함하여

    총 8개체가 관찰되었다.

    멸종위기Ⅱ급 종은 벌매, 팔색조 등 2종으로 벌매는 목넘어 상공에서 비행 중

    인 1개체가 관찰되었고, 팔색조는 Ⅱ구간의 동백나무 숲에서 울음소리 청취를

    통해 서식을 확인하였다.

    천연기념물은 새매, 매, 흑비둘기, 두견, 팔색조 등 5종으로 이 중 새매는 덕촌

    리의 KBS 송신소 상공위에서 비행중인 1개체가 관찰되었고, 금년에 천연기념물

    로 새롭게 추가된 두견은 두견科 조류 5종 중 유일하게 울음소리 청취를 통해

    서식이 확인되었다.

    표 9. 법정 보호대상 조류

    국 명 학 명 멸종위기Ⅰ급 멸종위기Ⅱ급 천연기념물

    벌매 Pernis apivorus ◉ 새매 Accipiter nisus ◉ 매 Falco peregrinus ◉ ◉ 흑비둘기 Columba janthina ◉ 두견 Cuculus poliocephalus ◉ 팔색조 Pitta brachyura ◉ ◉

    6) 관찰조류의 이동성 비율

    현지조사 결과 기록된 27종 중 텃새가 15종(55.6%)으로 가장 많았고, 여름새

    가 11종(40.7%), 통과새가 1종(3.7%) 이었다. 조사기간이 여름철에 국한되었기

    때문에 겨울철새는 관찰되지 않았다.

  • - 23 -

    텃새55.6%

    여름새40.7%

    통과새3.7%

     그림 8. 관찰조류의 이동성 비율

    7) 채식행동 관찰

    유충기에는 나뭇가지와 지면을 오가며 유충을 포식하는 바다직박구리

    (Monticola solitarius)의 모습이 관찰되었으나, 용화기에는 땅속을 파헤쳐 번데기

    를 포식하는 조류의 행동은 관찰되지 않았다.

    8) 선행연구 결과와의 비교

    1997년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 실시한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남해

    지구)에서는 봄철과 가을철 조사를 통해 거문도 일대에서 관찰된 조류 31종을 보

    고하였다.

    금번 조사를 통해 새롭게 추가된 종은 벌매, 새매, 매, 깝작도요, 후투티, 팔

    색조, 굴뚝새, 산솔새, 밀화부리 등 9종 이었으며, 과거에는 관찰되었으나 금번

    조사에서 누락된 종은 해오라기, 황로, 흑로, 물수리, 솔개, 노랑발도요, 뻐꾸기,

    물총새, 백할미새, 황금새, 꼬까참새, 방울새, 꾀꼬리 등 13종이었다.

  • - 24 -

    표 10. 연도별 거문도일대 조류상비교

    학 명 국 명 1997년 2005년 비 고

    Nycticorax nycticorax 해오라기 ◉ Bubulcus ibis 황로 ◉ Egretta alba 중대백로 ◉ ◉ Egretta sacra 흑로 ◉ Ardea cinerea 왜가리 ◉ ◉ Pandion haliaetus 물수리 ◉ 滅Ⅱ Pernis apivorus 벌매 ◉ 滅Ⅱ Milvus migrans 솔개 ◉ 滅Ⅱ Accipiter nisus 새매 ◉ 天 Falco peregrinus 매 ◉ 滅Ⅰ,天 Tringa brevipes 노랑발도요 ◉ Tringa hypolencos 깝작도요 ◉ Larus crassirostris 괭이갈매기 ◉ ◉ Columba janthina 흑비둘기 ◉ ◉ 天 Streptopelia orientalis 멧비둘기 ◉ ◉ Cuculus canorus 뻐꾸기 ◉ Cuculus poliocephalus 두견 ◉ ◉ 天 Apus pacificus 칼새 ◉ ◉ Alcedo atthis 물총새 ◉ Upupa epops 후투티 ◉ Pitta brachyura 팔색조 ◉ 滅Ⅱ,天 Hirundo rustica 제비 ◉ ◉ Motacilla alba lugens 백할미새 ◉ Hypsipetes amaurotis 직박구리 ◉ ◉ Lanius bucephalus 때까치 ◉ ◉ Trogoldytes trogoldytes 굴뚝새 ◉ Monticola solitarius 바다직박구리 ◉ ◉

  • - 25 -

    표 10. (계 속)

    학 명 국 명 1997년 2005년 비 고

    Turdus hortulorum 되지빠귀 ◉ ◉ Paradoxornis webbiana 붉은머리오목눈이 ◉ ◉ Cettia diphone 휘파람새 ◉ ◉ Rhylloscopus occipitalis 산솔새 ◉ Ficedula narcissina 황금새 ◉ Parus major 박새 ◉ ◉ Zosterops japonica 동박새 ◉ ◉ Emberiza cioides 멧새 ◉ ◉ Emberiza rutila 꼬까참새 ◉ Carduelis sinica 방울새 ◉ Eophona migratoria 밀화부리 ◉ Passer montanus 참새 ◉ ◉ Oriolus chinensis 꾀꼬리 ◉

    종 수 31종 27종 -

    註) 滅Ⅰ : 멸종위기Ⅰ급, 滅Ⅱ : 멸종위기Ⅱ급, 天 : 천연기념물

    9) 몸큰가지나방과 관련한 조류군집의 생태적 특성

    조류는 자신의 서식장소를 선택할 경우 수림의 밀도와 임상 내 식생의 상태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 선호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거문도의 조사지역 내

    숲속의 식생밀도는 비교적 높은 편으로, 이곳에 서식하는 직박구리와 바다직박구

    리, 후투티, 두견 등과 같이 곤충을 주식으로 하는 중형의 산림성 조류들은 비상을 하

    거나 나무에서 나무사이, 때로는 지상을 이동하는 경우 숲속의 높은 식생밀도로 인

    해 움직임에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중․대형조류가 이곳을 서식장소로 선택하는데 있어서 선호도가 떨어지게 되고, 낮은 선호도에 의해 종수와 서식밀도

    (단위면적당 개체수)는 소형조류들에 비해 낮아지게 된다.

    조류의 대부분은 4월에서 6월 사이에 번식이 이루어지고, 육추기 먹이의 대부분

    이 곤충의 유충이나 성충 등을 위주로 하기 때문에, 거문도에서 우점종을 차지하

    는 동박새나 박새와 같은 소형조류는 유충 초기인 5월 중순 이전에 번식을 끝낸

    개체에 한해서 몸큰가지나방의 유충이나 성충에 대한 포식이 어느 정도 이루어

  • - 26 -

    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나, 용화 직전의 유충들은 체구가 크고, 나뭇가지와 비슷한

    형태로 의태함에 따라 소형조류들이 포식하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예상된다.

    따라서 산림 내에 서식하는 소형조류의 서식밀도가 아무리 높다고 하더라도 후기

    몸큰가지나방의 유충처럼 몸집이 큰 유충은 소형조류가 섭식을 하거나 육추 시

    새끼들의 먹이로 이용하기에는 부적합하므로, 해충구제의 효과를 위해서는 이

    를 먹이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중․대형조류의 서식밀도가 높아야 한다. 하지만 본 조사지역에 있어서는 이들의 서식밀도가 낮기 때문에 조류에 의한 몸큰가지나

    방 유충 후기의 방제 효과는 미약할 것으로 판단된다.

    10) 생태적 관리를 위한 제언

    주로 곤충의 유충이나 번데기를 먹이원으로 하는 식충류인 땃쥐의 사체가 불

    탄봉 주변에서 관찰되었으며, 설치류와 식충성 포유류를 주 먹이원으로 하는

    매가 이곳에서 번식하고 있고, 이들의 천적인 쇠살모사의 출현빈도도 높게 나

    타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거문도에는 땃쥐와 같은 식충목의 포유동물들이

    어느 정도 밀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조류뿐만 아니라 식충목 포유동물을 포함하여 먹이얼개와 관련된 생태

    계 전반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선행되어야하며, 연구결과를 토대로 구체적인 관리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2. 몸큰가지나방의 생태특성 및 산림피해

    본 연구기간 중 조사된 해충의 생태는 1990년초에 전남산림환경연구소에서 수

    행되었던 연구결과와 일치하였으며, 연중 충태별 생활환을 요약하면 그림 9와 같

    다.

  • - 27 -

    유충

    성충

    121110987654321

    유충

    성충

    121110987654321

    그림 9. 몸큰가지나방의 연중 생활환

    가. 대상지의 식생현황 및 피해목 현황

    1) 피해수종 조사

    각 조사구간별로 몸큰가지나방이 식해하는 수종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조사 중 중복된 수종은 생략하였으며, 각 구간의 탐방로 주변에 자생하는 수종만

    을 기재하였다.

    가) 1조사구간 : 유림해수욕장-삼거리-기와집몰랑-신선바위-365계단

    - 피해수종 : 동백나무, 황칠나무, 까마귀쪽나무, 좀굴거리, 방기, 구실잣밤나무, 마

    삭줄, 멀꿀, 으름, 천선과나무, 생달나무, 말오줌때, 새비나무, 흰새덕

    이, 후박나무, 예덕나무, 두릅나무, 남오미자, 쥐똥나무, 다정큼나무,

    보리장나무, 느티나무, 왕작살, 산벚나무, 박달목서, 초피나무, 상동나

    무, 인동덩굴, 육박나무, 조록나무, 동백나무겨우살이, 우묵사스레피,

    자귀나무, 붉나무, 리기다소나무, 검팽나무, 곰솔, 청미래덩굴, 굴거리

    나무, 상수리나무(이상 목본류), 큰기름새(초본)

    이 구간은 전체 조사지역 중에서도 유충의 밀도가 가장 높아 입목이 극심한 피

  • - 28 -

    해를 경험한 지역으로 상록활엽수 뿐만 아니라 낙엽활엽수와 침엽수(곰솔, 리기다

    소나무)까지 식해를 당한 지역이다. 특히 동백나무와 조록나무는 수관부에 잎이

    전혀 남아있지 않을 정도로 극심한 피해를 입은 반면 광나무, 사방오리나무, 개산

    초에서는 유충이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한편 줄을 타고 이동하는 유충들이 탐

    방로에 산재하여 탐방객들의 활동에 지장을 초래할 정도였다.

    나) 2조사구간 : 목넘어-수월산 정상-거문도 등대

    - 피해수종 : 감탕나무, 식나무, 사철나무

    목넘어를 올라서 수월산 정상까지 이어지는 탐방로는 탐방객들의 활동이 드문

    지역이어서인지 동백나무를 제외하고는 입목에 미치는 피해가 1구간보다 상대적

    으로 적었다. 다만, 목넘어에서 거문도 등대로 이어지는 탐방로 주변에서는 1구

    간과 동일한 현상이 관찰되었다.

    다) 3조사구간 : 유림해수욕장-삼거리-불탄봉-해군부대

    - 피해수종 : 거문딸기, 때죽나무, 줄딸기, 참식나무, 팽나무(이상 목본류), 바디나

    물(초본), 쇠무릎(초본)

    이 구간은 1구간과 마찬가지로 피해가 극심한 지역으로, 유충들이 주변에 식이

    할 만한 나무가 충분치 않으면 초본들까지도 가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구간 역시 탐방객의 활동이 많은 곳으로서, 탐방로를 따라 조사를 진행하면서

    사람(탐방객)들의 활동이 많은 곳에서는 그렇지 않은 지역보다 피해가 더 심한 것

    을 관찰할 수 있었는데, ①유충이 탐방객들의 몸에 붙어 이동하는 원인과 ②천적

    곤충류는 탐방객들의 활동에 제한을 받지는 않겠지만, 주로 육식성 조류는 탐방

    객들에 의해 활동의 제한을 받기 때문에 탐방객의 이동이 많은 지역에서 상대적

    으로 이 해충의 밀도가 높게 나타나는 원인 또는 ③몸큰가지나방 성충의 비행거

    리(활동범위)에 의한 원인 등을 고려해 볼 수 있겠으나, 이에 대해서는 보다 자세

    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 29 -

    라) 4조사구간 : 장촌마을-용연-변촌마을

    - 피해수종 : 이나무, 칡, 누리장나무, 좁은잎천선과나무, 섬딸기, 아까시나무, 자금

    우, 협죽도

    서도의 불탄봉을 중심으로 남쪽에는 임관의 층위가 뚜렷하게 구분되지 않은 채

    교목층의 발달이 미약한 반면, 불탄봉의 북쪽으로부터는 교목층과 아교목층의 층

    위가 구분된 임분이 발달한 것을 볼 수 있는데, 후자에 해당하는 이 구간에서는

    주로 아교목층의 입목들에서 피해가 관찰되었다. 교목층에서 곰솔이 우점하고

    동백나무, 광나무, 후박나무, 왕작살, 사스레피나무 등이 아교목층을 구성하여 난

    대림으로의 천이가 진행되고 있으며, 구성종들 또한 남쪽지역보다 다양한 곳이다.

    이 구간은 중층의 동백나무가 주로 피해를 입고 있지만 다른 조사구간에 비해 상

    대적으로 피해정도는 심하지 않으며, 식물군락이 안정화 되어 종다양도가 증가하

    게 되면 그 피해는 더욱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마) 5조사구간 : 서도마을-녹산등대

    이 구간은 곰솔림이 등대 주변에 분포하고 주로 경지 및 초지대가 형성되어 유

    충에 의한 피해는 발견되지 않았다. 다만, 서도마을 북단의 동백나무 임내에서

    유충의 가해 현장을 목격할 수 있었으나 그 피해는 경미한 정도였다.

    바) 6조사구간(고도) : 여객터미널-전망대-영국군 묘지

    - 피해수종 : 찔레꽃, 청가시덩굴

    여객터미널에서 전망대에 이르는 지역은 산정 일부지역의 동백나무에서 피해가

    관찰되었고, 영국군 묘지의 동쪽에 분포하는 동백 숲에서 유충들의 식해를 관찰

    할 수 있었는데 1구간과 5구간의 중간에 해당하는 정도의 피해를 받고 있는 것으

    로 판단하였다.

    2) 수종별 몸큰가지나방 유충의 개체군 강도(Population Intensity) 조사

    서도지역에서 피해가 확인된 57종을 중심으로 수종별 유충의 개체군 강도(PI)를

    조사하고 상대밀도(RD)를 계산한 결과는 표 11과 같다.

  • - 30 -

    표 11. 피해수종별 몸큰가지나방 유충의 개체군 강도 및 상대밀도

    번호 수 종 명 학 명 P. I. R. D.(%)

    1 동백나무 Camellia japonica 95.0 11.30

    2 산벚나무 Prunus sargentii 76.0 9.04

    3 예덕나무 Mallotus japonicus 65.7 7.81

    4 구실잣밤나무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61.7 7.33

    5 후박나무 Machilus thunbergii 47.0 5.59

    6 생달나무 Cinnamomum japonicum 46.7 5.55

    7 조록나무 Distylium racemosum 41.3 4.91

    8 참식나무 Neolitsea sericea 21.7 2.58

    9 육박나무 Actinodaphne lancifolia 20.7 2.46

    10 왕작살 Callicarpa japonica var. luxurians 20.3 2.42

    11 천선과나무 Ficus erecta 17.0 2.02

    12 느티나무 Zelkova serrata 15.7 1.86

    13 다정큼나무 Raphiolepis umbellata 15.7 1.86

    14 좀굴거리 Daphniphyllum glaucescens 15.7 1.86

    15 초피나무 Zanthoxylum piperitum 15.7 1.86

    16 검팽나무 Celtis choseniana 14.7 1.74

    17 팽나무 Celtis sinensis 13.0 1.55

    18 까마귀쪽나무 Litsea japonica 12.7 1.51

    19 상수리나무 Quercus acutissima 12.7 1.51

    20 박달목서 Osmanthus insularis 10.7 1.27

    21 우묵사스레피 Eurya emaginata 10.3 1.23

    22 쥐똥나무 Ligustrum obtusifolium 10.3 1.23

    23 흰새덕이 Neolitsea aciculata 10.3 1.23

    24 자귀나무 Albizzia julibrissin 9.0 1.07

    25 남오미자 Kadsura japonica 8.7 1.03

    26 식나무 Aucuba japonica 8.7 1.03

    27 보리장나무 Elaeagnus glabra 8.0 0.95

    28 좁은잎천선과나무 Ficus erecta var. sieboldii 8.0 0.95

    29 말오줌때 Euscaphis japonica 7.3 0.87

  • - 31 -

    표 11. (계 속)

    번호 수 종 명 학 명 P. I. R. D.(%)

    30 새비나무 Callicarpa mollis 7.3 0.87

    31 두릅나무 Aralia elata 7.0 0.83

    32 섬딸기 Rubus ribesioideus 7.0 0.83

    33 청미래덩굴 Smilax china 7.0 0.83

    34 굴거리나무 Daphniphyllum macropodum 6.3 0.75

    35 줄딸기 Rubus oldhamii 6.3 0.75

    36 찔레꽃 Rosa multiflora 6.0 0.71

    37 아까시나무 Robinia pseudoacacia 5.7 0.67

    38 이나무 Idesia polycarpa 5.7 0.67

    39 황칠나무 Dendropanax morbifera 5.7 0.67

    40 자금우 Ardisia japonica 5.3 0.63

    41 감탕나무 Ilex integra 5.0 0.59

    42 붉나무 Rhus chinensis 5.0 0.59

    43 사철나무 Euonymus japonica 5.0 0.59

    44 상동나무 Sageretia theezans 5.0 0.59

    45 청가시덩굴 Smilax sieboldii 4.7 0.55

    46 으름 Akebia quinata 4.3 0.52

    47 거문딸기 Rubus trifidus 3.7 0.44

    48 때죽나무 Styrax japonica 3.0 0.36

    49 협죽도 Nerium indicum 3.0 0.36

    50 마삭줄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intermedium 2.7 0.32

    51 멀꿀 Stauntonia hexaphylla 2.3 0.28

    52 칡 Pueraria lobata 2.3 0.28

    53 곰솔 Pinus thunbergii 1.7 0.20

    54 누리장나무 Clerodendron trichotomum 1.7 0.20

    55 동백나무겨우살이 Korthalsella japonica 1.0 0.12

    56 방기 Sinomenium acutum 1.0 0.12

    57 리기다소나무 Pinus rigida 0.7 0.08

    합 계 100.00

  • - 32 -

    계산결과 이 곤충이 식이 선호하는 수종은 동백나무, 산벚나무, 예덕나무, 구실

    잣밤나무, 후박나무의 순이었으며, 몇 종을 제외하고는 서도지역에 분포하는 대부

    분의 수종을 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충 초기에는 동백나무와 구실잣

    밤나무의 신엽을 식이하였고, 이후 체구가 발달함에 따라 용화 직전기에는 이들

    나무의 구엽을 포함하여 산벚나무, 예덕나무와 같은 낙엽활엽수뿐만 아니라 큰기

    름새, 바디나물, 쇠무릎과 같은 초본류들까지 가해하였다.

    3) 피해면적 조사

    서도지역을 중심으로 탐방로를 따라 이 곤충의 피해지역을 지형도에 표시한 결

    과는 다음과 같다.

    그림 10. 몸큰가지나방 피해 현황도

  • - 33 -

    3. 몸큰가지나방의 관리방안 연구

    가. 물리․화학적 관리방안 1) 화학적 방제

    - 선발한 농약으로 방제시험한 결과 그림 11과 같았다.

    율(%)

    20

    40

    60

    80

    100

    86.6

    86.6

    51.1

    82. 2

    66. 0

    95.4

    95. 4

    100

    100

    100

    88.6 100

    95. 5

    100

    ab pq

    c

    q

    bc

    pq ap a p

    ab

    p

    ap

    표준량 표준량 배량 표준량 배량 표준량 배량

    (물)

    노몰트

    (액상수화제)

    팔콘

    (수화제)

    영일비티

    (수화제)

    4.4

    처리6일 후

    처리12일 후

    디디브이피

    (유제)

    (0)

    대조구

    율(%)

    20

    40

    60

    80

    100

    86.6

    86.6

    51.1

    82. 2

    66. 0

    95.4

    95. 4

    100

    100

    100

    88.6 100

    95. 5

    100

    ab pq

    c

    q

    bc

    pq ap a p

    ab

    p

    ap

    표준량 표준량 배량 표준량 배량 표준량 배량

    (물)

    노몰트

    (액상수화제)

    팔콘

    (수화제)

    영일비티

    (수화제)

    4.4

    처리6일 후

    처리12일 후

    디디브이피

    (유제)

    (0)

    대조구

    그림 11. 약제방제 실험 결과

    (막대위의 a,b,c 는 처리6일후 처리간 유의성, p와q는 처리 12일 후의 유의성을 나타냄.

    5%수준의 던칸다중검정 결과임.)

    ※ 공시된 농약 노몰트, 팔콘, 영일비티 모두 대조약제로 사용된 디디브이피와

    같거나 이보다 높은 살충효과를 나타내어 약제방제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

    을 것으로 조사되었다. 팔콘 및 영일비티는 수화제이므로 입자가 굵어 항공방

    제용으로는 사용이 불가하지만, 노몰트는 액상수화제로서, 살포 후 살충효과가

    발휘되는 속도가 늦는 반면 항공살포에 이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팔콘과

  • - 34 -

    같은 주성분(Methoxyfenozide)을 가진 런너 액상수화제는 약제시험당시 확보가

    불가하여 공시되지 못하였으나 이것도 높은 살충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보이며,

    앞으로 항공방제 약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나 차후 실내실험에 의

    하여 확인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디밀린 액상 수화제의 약효

    도 검정함이 요구된다. 한편, 비티 수화제는 여러 차례 연용하면 저항성계통

    해충이 쉽게 출현하여 방제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으므로 타약종과 교대로 사

    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인다.

    2) 물리적 방제

    본 해충의 습성이 흰불나방과 마찬가지로, 노숙유충이 나무줄기를 타고 내려

    와 지피물, 토양 속에서 용화할 것으로 기대하여 천적을 보호하는 동시에 몸큰

    가지나방만 유살하는 장치(잠복소)를 제작하여 환경친화적 방제법 개발을 구상

    하였으나, 이 해충은 대부분의 노숙유충이 가지에서 지면으로 낙하하는 것이 확

    인되어 중도에 포기하였다.

    나. 생태학적 관리방안

    천적 곤충류로서, 거문도의 동백림에서 포식성 천적으로 몸큰가지나방 유충을

    포식하는 딱정벌레류 1종(검정명주딱정벌레, Calosoma maximowiczi)을 관찰 채집

    하였으며, 기생벌류 1종이 유충에 산란관을 꽂고 산란함을 관찰하였다. 그러나

    인근 몸큰가지나방의 피해지로 알려진 여수 오동도, 향일암, 그리고 고흥 나로도

    일대에서는 천적류가 관찰되지 않았다.

    조류 중에서는 거문도 내에서 바다직박구리가 유충을 포식하는 것을 확인하였

    고, 이밖에도 유충 초기에는 상당수의 식충성 조류들이 포식할 것으로 예상되나,

    용화 직전의 유충들은 체구가 클 뿐만 아니라 나뭇가지와 비슷한 형태로 의태함

    에 따라 조류들이 포식하기에는 곤란할 것으로 추측된다.

    - 국내외에서 기 조사된 천적류는 다음과 같다.

    일본 : 개미류

  • - 35 -

    ,말벌류

    ,동충하초 (Paecilomyces farinosus, P. lilacinus k-3계통)

    ,기타 진균류 : Metarhizium anisopliae

    ,핵다각체바이러스 (Nuclear polyhedrosis virus) : 未동정

    ,족제비

    , 지네류(이상 Akino등 2004, Akino박사와의 교류 2005.07.26.,

    Masaaki Kiso박사와의 교류 2005.07.20. : 부록참조)

    한국 : 고치벌류 (기생률 33%, 전라남도 임업시험장. 1990.)

    다. 몸큰가지나방의 관리에 관한 고찰

    (1) 대발생의 원인

    최근 국내 일부 관계자들은 거문도 일대의 산림은 관광을 목적으로 동백나무를

    제외한 상록활엽수류를 벌채하였으므로 식물 종다양성이 감소된 관계로 특정 해

    충이 번성하게 되었다는 추측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 Hachijo섬의 경우 피해

    수종이 구실잣밤나무, 벚나무, 동백나무 등 단일 수종이 아닌 것을 보면 이와 같

    은 사항을 쉽게 추론할 수는 없을 것으로 생각이 된다. 또한 일부 언론은 거문

    도의 야생화된 고양이들이 비둘기와 동박새 등을 포식하기 때문에 이들 조류의

    해충 포식력이 감소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하기도 하나, 이들 조류의 주 서식

    지는 고양이가 나무를 타고 올라갈 수 있는 높이보다는 더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

    에 큰 영향은 받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일본에서는 본 해충의 대발생

    이유에 대하여는 섣부른 추정을 삼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Toshihara Akino 박

    사와의 2005.6.26. 교류 및 Masaaki kiso박사와의 2005.7.20. 교류 : 부록참조).

    (2) 천적을 이용한 생태적 접근

    천적을 이용한 생물적 방제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 첫째의

    경우는 대상 해충이 외지에서 도입된 해충일 때 원산지에서 그 해충을 효율적으

    로 억제하여 주던 천적을 도입하여 항구적 방제 효과를 노릴 수 있다. 둘째, 해

    충피해 지역의 천적을 인위적으로 대량 증식시켜 방사하는 방법인데 방사 후 그

    효과가 오래 지속되지 못하므로(다시 방사전의 밀도로 환원되므로) 이는 온실재배

    조건 등 집약적 농업에만 반복적 적용이 가능하며 산림에서는 현실성이 없다.

  • - 36 -

    거문도 몸큰가지나방의 경우 연구진은 본 해충피해가 외지에서 최근 침입한 해

    충에 의한 것으로 추정하고 타 지역에서의 천적 도입을 고려하였으나, 일본에서

    도 1970년 이전부터 간혹 발생이 있었다는 점, 그리고 고흥군, 여수시 등 인근 지

    역에도 본 해충이 분포하는 것으로 보아 이 일대의 토착해충으로 보이므로 천적

    곤충류의 도입 등에 의한 방법은 현재로서는 고려하기 어려운 실정으로 생각된

    다. 다만, 탐방로 주변의 동백나무 피해가 산림 내의 경우보다 더욱 심한 것을

    보면 사람의 잦은 왕래를 꺼리는 새들의 습성상 탐방로 근처의 조류 밀도가 낮은

    것이 원인이 될 가능성도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다 정밀한 조사가 바람직할 것으

    로 보인다.

    (3) 외국의 방제 사업

    일본에서 본 해충 방제를 위하여 사용된 수단은 살충제의 항공살포, 토중에 서

    식하는 용의 굴취 포살, 성충의 등화유살 등이 있으나 용을 굴취한다는 것은 많

    은 인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현실적 적용은 어려워 보인다. 또한, 성충의 등화

    유살시 암컷은 비행능력이 낮아 유살되는 개체수가 적으며 수컷은 대량유살 되더

    라도 나머지 생존 수컷들이 1마리당 여러 마리의 암컷을 수정시키므로 뚜렷한 방

    제 효과는 거두기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다(Bureau of Labor and Economic

    Affairs of Tokyo Metropolitan, 1999.).

    (4) 해충 대발생 후의 경과

    전술한 바와 같이, 본 해충은 수년간 대발생 후 자연히 밀도가 감소되는 종으

    로 추정된다. 일본의 경우 몸큰가지나방이 대발생하여 수목의 잎을 전체적으로

    식해한 후 재생된 신엽은 단백질 함량이 낮아서 그 잎을 먹는 유충이 제대로 발

    육하지 못하고 폐사하기 때문에 해충 밀도가 감소된다고 하였다(Masaaki Kiso박

    사와의 2005.07.20. 교류). 또한 올해의 거문도 피해 상황을 보면 탐방로 및 등산

    로 주변 거의 대부분의 동백나무들은 잎이 전혀 남아있지 않을 정도로 완전히 식

    해되었음이 7월 중순에 관찰되었다. 본 해충은 7월 하순부터 9월 중순에 걸쳐

    용화하는바(연중생활환 그림 참조), 기주 식물이 완전히 고갈된 유충 후기의 개체

    들은 먹이 부족으로 인하여 자멸할 수도 있을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를 뒷받침

    할 수 있는 관찰 결과로써, 용화가 완료될 시기인 9월 하순에 토중 용의 밀도를

  • - 37 -

    조사한바 극소수(1×1m의 면적에서 평균 0.1마리이하)만이 발견되었다는 사실이다.

    2004년의 경우 토중 용의 밀도가 같은 면적에서 약 20마리이었던 것(국립공원관

    리공단 정승준과의 대화)에 비하면 매우 큰 감소율로서, 현재로서는 내년의 몸큰

    가지나방 밀도는 대단히 낮을 가능성이 클 것으로 추측된다.

    (5)방제법 시행에 관한 고찰

    해충 대발생시의 가장 확실하고 속효성인 방제법은 역시 화학적 방제법으로서,

    이를 제외한 다른 방제법의 적용으로 실제적인 방제효과를 거두기 어려울 때 마

    지막 수단으로 적용하게 된다. 상술한 바에 의거하여 본 해충의 경우도 이와 같

    은 것으로 생각되며, 본 연구에서는 생태계에의 부작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약

    종들을 대상으로 선발하였으므로 상황에 따라 항공살포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특히 화학적 방제 수행의 경우 특히 고려할 것은 이른바 Decision-making

    과 Public acceptance로서 꼭 농약 사용이 필요한 상황인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일, 그리고 그 지역 주민과 각종 단체의 정세에 크게 벗어나지 않도록 다방면의

    영향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한 일이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에의 부작용이 비교적 낮은 살충제들이 선발되었으나 이들

    도 여러 차례 사용하게 되면 천적곤충류에 대한 영향, 저항성 계통 몸큰가지나방

    의 출현, 잠재해충(예 : 깍지벌레류)의 해충화 등 부작용이 우려되므로 약제 살포

    가 꼭 필요한 시기, 꼭 필요한 장소에만 적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농약 사용 여부의 결정을 위해서는 사전 조사에 의한 발생예찰이 중요한데, 몸

    큰가지나방의 경우는 (1)월동 전 토중 용의 밀도조사 (2)2월(우화직전) 토중 용의

    밀도조사 (3)유아등에 의한 성충 밀도 조사 (4)성유인페로몬에 의한(일본에서 도입

    이 가능한 경우) 수컷 성충 밀도 조사 (5)4월중 1~2령 유충의 밀도조사 등의 수집

    된 자료를 근거로 농약사용 여부를 결정하여야 할 것이나, 이들 조사 중 어느 것

    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인지는 신중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이

    상의 사전에 조사된 밀도와 실제 동백나무 잎을 식해하여 수목의 생리적, 경관적

    기능을 저해하는 시기의 유충밀도와의 상관관계를 밝히기 위해서는 다년간 이러

    한 제반 충태별 밀도의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본다.

  • - 38 -

    Ⅳ. Ⅳ. 인 용 문 헌인 용 문 헌

  • - 39 -

    강원도 교육청. 1997. 강원의 자연(곤충편). p.172

    국립공원관리공단. 1997. 다도해해상 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남해지구).

    농약공업협회. 2003. 2003농약사용지침서.

    양환승․이두형․이승찬. 1990. 신농약. 향문사여천생태연구회. 1997. 현대 생태학실험서. 교문사

    원병오. 1981. 한국동식물도감 제25권 동물편(조류생태). 문교부.

    원병오. 1992. 천연기념물. 동물편. 대원사. 319pp.

    이범영․정영진. 1997. 한국수목해충. 성안당이창복. 2003. 원색 대한식물도감(상, 하). 향문사

    임업시험장. 1969. 한국수목해충총목록. p.105

    전라남도 임업시험장 시험연구 보고서. 1990. 몸큰가지나방 생태조사 및 방제시험.

    p.252~269

    한국동물학회. 1968. 한국동물명집2. 곤충편. p.64

    한국식물보호학회. 1986. 한국식물병해충 잡초명감. p.217

    환경부. 2001. 제2차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조류). pp.45-59.

    江崎悌三외 6인. 1971. 원색 일본나방류도감(상) 개정신판. p.271~272

    六浦晃외 7인. 1969. 원색일본 나방류 유충도감(하). 보육사. p45~46

    Akino, T외 2인. 2004. Diet-induced chemical phytomimesis by twig-like caterpillar

    of Biston robustum Butler. Chemoecology 14(3-4): 165-174.

    Bureau of Labor and Economic Affairs of Tokyo Metropolitan. 1999. Report on

    outbreaks of giant geometer in Hachijo Island. p.46

    McNaughton(1967)

    Margalef(1958)

    Nakashima, M. 1912. General biology of the giant geometer Biston robustum.

    The Insect World 176:129~132 (일본어)

    Yamamoto, M.외 4인. 2000. Identification of chiral sex pheromone secreted by

    giant geometrid moth, Biston robustum Butler. Jour. Chem. Ecol. 26(11):2579-2590

  • - 40 -

    V. V. 부 록부 록

    (외국 학자들과의 교류 서신 및 주요내용 번역본)

  • - 41 -

    [부록 1] Dr. Tetsu Ando에게 보낸 메일

  • - 42 -

    [부록 2] Dr. Akino에게 보낸 메일

  • - 43 -

    [부록 3] Dr. Tetsu Ando에게 보낸 메일(번역)

    발 신 : 박승찬

    발신일 : 2005. 7. 10.

    수 신 : Testu Ando 박사

    제 목 : 몸큰가지나방에 대하여

    주요내용 :

    저는 전남대학교에서 산림곤충학을 전공하는 박승찬입니다.

    올해 한국 남해안의 섬 동백나무에 몸큰가지나방이 대발생하였습니다.

    저는 당신이 2000년에 발표한 논문에서 20세기 말에 Hachijo섬에서 본 해충의 대발

    생이 있었다는 내용을 읽었습니다.

    다음의 질문에 답하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Hachijo섬에서의 1997-1998 대발생 이외의 국내외에서의 대발생 기록

    2. 대발생의 원인 추정.

    3. 천적류의 목록.

    4. 해충의 기주 수목에 대한 영향.

    5. 일본에서 수행된 방제사업.

    (같은 일자에 Toshihara Akino 박사에게도 유사한 내용의 서신을 발송하였음.)

  • - 44 -

    [부록 4] Dr. Masaaki Kiso에게 보낸 메일

  • - 45 -

    [부록 5] Dr. Masaaki Kiso에게 보낸 메일(번역)

    발 신 : 박승찬

    발신일 : 2005. 7. 14.

    수 신 : Masaaki Kiso 동경 농림업 연구 소장

    제 목 : 몸큰가지나방에 관하여

    주요내용 :

    2000년에 발표된 몸큰가지나방의 성페로몬에 관한 당신의 논문 공동저자인 Ando박

    사에게 이메일을 하였는데 그분이 당신과 연락을 취해보라고 하더군요.

    그리고 그에게 보냈던 저의 이메일을 당신에게 보냈다고 들었습니다.

    저는 올해 몸큰가지나방에 관하여 연구를 시작했는데, 이에 관한 정보를 주시면 감

    사하겠습니다.

  • - 46 -

    [부록 6] Dr. Masaaki Kiso가 보내온 메일

  • - 47 -

    [부록 7] Dr. Masaaki Kiso가 보내온 메일(번역)

    발 신 : Masaaki Kiso

    발신인 : 2005. 7. 20.

    수 신 : 박승찬

    주요내용 :

    몸큰가지나방 대발생의 이유는 모릅니다.

    그러나 솔나방, 짚시나방, 몸큰가지나방 등 여러 종의 해충이 몇 차례 대발생했습니

    다.

    Hachijo섬은 동경에서 남쪽으로 290km에 위치하여 있습니다. Hachijo섬의 천적류는

    매우 드뭅니다만, 동충하초류, 핵다각체바이러스, 족제비, 지네류 등이 있습니다.

    피해수종은 구실잣밤나무, 벚나무류, 동백나무, 사스레피나무 등입니다. 나무들은 잎

    이 전체적으로 식해되지만 다음 해에는 잎이 다시 납니다. 그 신엽은 단백질 함량

    이 낮아 나방 유충의 먹이로 부적합하므로 영양불량에 이르러 높은 폐사율을 나타냅

    니다. 이러한 이유 등으로 2년 후에는 나방 밀도가 줄어듭니다.

  • - 48 -

    [부록 8] Dr. Toshiharu Akino가 보내온 메일(1)

  • - 49 -

    [부록 9] Dr. Toshiharu Akino가 보내온 메일(2)

  • - 50 -

    [부록 10] Dr. Toshiharu Akino가 보내온 메일(번역)

    발 신 : Toshiharu Akino 박사

    발신일 : 2005. 7. 26.

    수 신 : 박승찬

    주요내용 :

    1. Bureau of Labor and Economic Affairs of Tokyo Metropolitan(1999)의 보고에 의

    하면 동경의 Ohshima섬에 1989-1991년에 몸큰가지나방 피해가 있었다고 합니다. 동

    경시는 스미치온 항공살포를 실시했습니다. 그것이 이유인지는 확실치 않으나 1992

    년에는 피해가 없어졌습니다.

    Hachijo섬에서는 1991년에 본 해충 피해가 증가하여 1993년에는 피해가 극심했습니

    다. 그리고는 피해가 줄었다가 1997년에 다시 나타났습니다.

    그 피해는 1999-2000에 없어졌습니다.

    2001년이나 2002년에는 동경의 Miyake섬에서 본 해충 피해가 발생했으나 화산폭발

    로 인하여 해충조사가 단절되었습니다.

    2. 본 해충 대발생의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3. 천적으로는 핵다각체바이러스, 동충하초, 말벌 등이 있습니다.

    4. Hachijo섬에서의 구실잣밤나무는 100%식엽되었으나 그 후 회복되었습니다.

    Ⅰ . Ⅰ . 총 괄 총 괄 1. 연구배경 2. 연구목적

    Ⅱ . Ⅱ . 연 구 방 법 연 구 방 법 1. 동물상 현황 조사 2. 몸큰가지나방의 생태특성 및 산림피해 조사 3. 몸큰가지나방의 관리방안

    Ⅲ . Ⅲ . 연 구 결 과 연 구 결 과 1. 거문도의 동물상 2. 몸큰가지나방의 생태특성 및 산림피해 3. 몸큰가지나방의 관리방안 연구

    Ⅳ . Ⅳ . 인 용 문 헌 인 용 문 헌 V. V. 부 록 부 록 ( 외국 학자들과의 교류 서신 및 주요내용 번역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