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
디지털디지인학과 졸업작품 2013 - 디자인스튜디오 - 학번: 20127200836 이름: 정철훈

디지털디지인학과 졸업작품 2013 -디자인스튜디오-digital_graduation.sdu.ac.kr/2013/project/pdf/13.pdf · 9 디자인 방안 최종점검 > 2차 본설계 10 결과물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디지털디지인학과 졸업작품 2013 -디자인스튜디오-digital_graduation.sdu.ac.kr/2013/project/pdf/13.pdf · 9 디자인 방안 최종점검 > 2차 본설계 10 결과물

디지털디지인학과 졸업작품 2013 -디자인스튜디오-

학번: 20127200836

이름: 정철훈

Page 2: 디지털디지인학과 졸업작품 2013 -디자인스튜디오-digital_graduation.sdu.ac.kr/2013/project/pdf/13.pdf · 9 디자인 방안 최종점검 > 2차 본설계 10 결과물

1. 졸업 작품 소개

서울디지털대학교 디지털디자인학과

이름: 정 철 훈

학번: 2012720086

E-mail: [email protected]

Page 3: 디지털디지인학과 졸업작품 2013 -디자인스튜디오-digital_graduation.sdu.ac.kr/2013/project/pdf/13.pdf · 9 디자인 방안 최종점검 > 2차 본설계 10 결과물

1. 졸업 작품 소개

작품 제품: “미래형 운송수단(The Future transfortation)”

세부 제목: 유비쿼터스 교통표지판 (지능형 교통 시스템)

작품 내용 요약:

- 미래 지능형 교통 표지판는 컴퓨터 같은 시스템으로 형성되어서 차량에 부착되어 있는 네비게이션 같은 역할을 수행 한다. - 목적지를 설정하고 주행시 도로에 있는 교통표지판은 실시간으로 차량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

정철훈씨 “미래형 운송수단의 유비쿼터스 교통 표지판”으로 주제를 정하셨네여? 먼저 유비쿼터스 교통시스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일명 “ITS(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라고 하죠? 이 기술에 대해 우선 조사해보시고 어떤 형태의 교통표지판으로 지원될 것인지를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Page 4: 디지털디지인학과 졸업작품 2013 -디자인스튜디오-digital_graduation.sdu.ac.kr/2013/project/pdf/13.pdf · 9 디자인 방안 최종점검 > 2차 본설계 10 결과물

1. 피드백

ITS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1. ITS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의 이해

가. ITS(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의 정의- 교통수단 및 교통시설에 전자 • 제어 및 통신 등 첨단기술을 접목하여 교통정보 및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교통체계의 운영 및 관리를 과학화 • 자동화하고, 교통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교통체계

- 우리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ITS에는 버스정류장의 버스도착안내 시스템, 교차로에서 교통량에 따라 자동으로 차량신호가 바뀌는 시스템, 네비게이션의 실시간 교통정보, 하이패스가 있습니다. 나. ITS 개념도

다. ITS(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의 요소기술1) 개발분야 : 차량항법 시스템의 고도화, 자동요금징수 시스템, 도로관리/교통관리 최적화 2) 필요기능 : 차량의 위치, 도로/차량으로부터의 모니터링/센싱, 차량식별, 속도제어 3) 정보통신기술

Page 5: 디지털디지인학과 졸업작품 2013 -디자인스튜디오-digital_graduation.sdu.ac.kr/2013/project/pdf/13.pdf · 9 디자인 방안 최종점검 > 2차 본설계 10 결과물

1. 졸업 작품 소개

작품의 개념도 1. 지능형 교통표지판 2. 차량과 교통표지판과 통신 3. 차량 자동제어가 되는 형태에 미래형 교통 표지판

(지능형 교통표지판 형태)

(교통표지판이 차량에게 신호를 전달 )

(차량은 자동으로 제어되는 형태)

출처: http://www.volvocars.com

작품의 필요성 및 중요성 - 미래 운송수단는 사람이 운전하지 않고 자동으로 제어되는 형태에 운송수단이 될 것 이라고 생각됨, 자동 제어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이 교통표지판 이라고 생각 됩니다. 교통 신호가 있으므로 자동제어가 되는 형태.

보통 위의 사례와 같은 경우는 운전하고 있는 운송수단과 연계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표지판의 내용을 증강현실기법을 활용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있습니다. 우선 교통표지판의 종류를 조사해보시고 디자인 범위를 결정하셔야 할 꺼 같습니다. 규제표시, 안내표시, 방향표시, 안전표시 등등 각 전달 목적에 따라 표현방법이 달라질꺼라 생각합니다.

Page 6: 디지털디지인학과 졸업작품 2013 -디자인스튜디오-digital_graduation.sdu.ac.kr/2013/project/pdf/13.pdf · 9 디자인 방안 최종점검 > 2차 본설계 10 결과물

교통 표지판 종류

2. 피드백

Page 7: 디지털디지인학과 졸업작품 2013 -디자인스튜디오-digital_graduation.sdu.ac.kr/2013/project/pdf/13.pdf · 9 디자인 방안 최종점검 > 2차 본설계 10 결과물

2. 졸업 작품의 주제와 내용

주제 설명: “지능형 교통표지판”으로 나오는 신호을 받아서 차량이 자동으로 제어 하는 형태에 교통표지판 이라고 할 수 있다. 목적지를 차량에 입력시 도로에 있는 교통표지판이 신호를 받아서 현재에 도로사항을 판단하여 길 안내 정보를 차량으로 다시 전송하여 자동 제어 하는 형태에 지능형 교통표지판 기존에는 과속 단속를 무인 카메라로 하였지만, 미래에는 교통 표지판에 설정되어 있는 신호을 받아서 운행되기 때문에 과속 및 교통 안전에 크게 기여 할 수 있기에 주제로 설정함.

Page 8: 디지털디지인학과 졸업작품 2013 -디자인스튜디오-digital_graduation.sdu.ac.kr/2013/project/pdf/13.pdf · 9 디자인 방안 최종점검 > 2차 본설계 10 결과물

2. 졸업 작품의 주제와 내용

현황 (사례조사) 볼보 자동차 회사는 첨단기술를 이용하여 차량에 카메라를 탑재하여 도로에 표지판을인식하여 컨트롤 하는방식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단점: 야간에는 보이지 않고, 또한 카메라에 화각에 의해서 결정되기 때문에 표지판에 다른 피사체가 존재 하면 인식이 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출처: http://www.volvocars.com

그리고 설치된 위치도 조사해봐야 합니다. 기존의 교통표지판의 경우 거의 도로 오른편 보도에 세워지거나 아님 자동차 전용 도로의 경우 도로 상단에 양쪽 폴대를 세워 가로 형태로 되어있지요. 그렇다면 2050년의 교통표지판의 형태는? 그리고 표지판이 세워지는 도로의 형태도 같이 생각해보시길 바랍니다.

Page 9: 디지털디지인학과 졸업작품 2013 -디자인스튜디오-digital_graduation.sdu.ac.kr/2013/project/pdf/13.pdf · 9 디자인 방안 최종점검 > 2차 본설계 10 결과물

3. 피드백

1. 2050년의 교통표지판의 위치는 현재와 다르게 중앙 분리대에 위치한다고 생각 됩니다.

> 그목적은 차량을 양쪽 방향 모두 제어 하기 위해서 입니다.

2. 현재에 교통표지판 처럼 한기지 정보만 주는게 아니라 능동력으로 변경 될수 있는 교통 표지판의 형태

3. 교통표지판에 정보가 차량으로 전달되어 하기 그림과 같이 차량에 인식되어 자동으로 조절됨.

Page 10: 디지털디지인학과 졸업작품 2013 -디자인스튜디오-digital_graduation.sdu.ac.kr/2013/project/pdf/13.pdf · 9 디자인 방안 최종점검 > 2차 본설계 10 결과물

2. 졸업 작품의 주제와 내용

내용 및 범위

- 내용 :

교통표지판을 이용하는 차량을 제어하는 Road Signal Technology - 범위 :

속도 표지판

어린이보호 표지판

구간단속 표지판

이 페이지의 내용을 읽어보니 디자인의 범위를 정하셨네여? 그럼 일단 주제 는 “미래형 교통표지판” 컨셉은 “유비쿼터스 기술을 적용한 ITS의 로드 시그널” 디자인범위는 “속도표지판, 어린이보호표지판, 구간단속표지판”으로 정하셨네여? 제 의견은 우선 로드시그널의 기본형을 만들어놓고, 제시한 범위의 내용을 적용할 수 있는 응용형을 디자인 하면 어떨가여? 판넬 구성시 기본형 제시하고, 위의 3가지 범위를 응용형으로 제시하면 좋을꺼 같습니다.

Page 11: 디지털디지인학과 졸업작품 2013 -디자인스튜디오-digital_graduation.sdu.ac.kr/2013/project/pdf/13.pdf · 9 디자인 방안 최종점검 > 2차 본설계 10 결과물

스토리보드 진 척 율

10%

20%

30%

40%

50%

60%

70%

80%

90%

완료

① 국내 및 해외의 유사 사례를 조사

② 관련 이미지, 영상, 사운드를 수집

④ 사용할 폰트의 종류와 크기를 정한다

⑤ 여러 시안 중 몇 가지를 추려낸다.

⑥ 교수님의 피드백을 통해 최종 결과물을 선정하고 수정한다.

⑦ 온라인 웹사이트에 결과물을 전시한다.

③ 심플한 일러스트 또는 픽토그램으로 간단한 시안을 만들어 본다

2. 졸업 작품의 주제와 내용

Page 12: 디지털디지인학과 졸업작품 2013 -디자인스튜디오-digital_graduation.sdu.ac.kr/2013/project/pdf/13.pdf · 9 디자인 방안 최종점검 > 2차 본설계 10 결과물

2. 일정

작품 추진계획 및 진행일정 추진 일정

1주 2주 3주 4주 5주 6주 7주 8주 9주 10주11주12주

1 주제 정하기 >현황 및 사례조사

2 사례 분석 > 계획서 작성

3 컨셉도출 > 컵셉 시각화 > 기초 스케치

4 아이디어 발전 구체화 > 계획서 발표

5 Draft 1,2 > 피드백

6 기초 설계

7 결과물 시각화 방안 > 포로토 제작

8 중간점검 > 본설계

9 디자인 방안 최종점검 > 2차 본설계

10 결과물 시각화 방향 확정 > 정교화 작업

11 최종 수정 및 피드백 > 결과물 제작

12 결과물 완선 > 온라인 전시

Step 1

Step 2

Step 3

Page 13: 디지털디지인학과 졸업작품 2013 -디자인스튜디오-digital_graduation.sdu.ac.kr/2013/project/pdf/13.pdf · 9 디자인 방안 최종점검 > 2차 본설계 10 결과물

2. 일정

결과물의 형식 결과물 제출: A2 size 판넬 + PPT ( 졸업 작품 계획서, 스토리보드) 전시물 : 판넬 A2 Size 작품과 스토리보드 파일 제출 온라인 학과 홈페이지 졸업전 갤러리 전시

Page 14: 디지털디지인학과 졸업작품 2013 -디자인스튜디오-digital_graduation.sdu.ac.kr/2013/project/pdf/13.pdf · 9 디자인 방안 최종점검 > 2차 본설계 10 결과물

3. 본 설계

피드백 1.

Page 15: 디지털디지인학과 졸업작품 2013 -디자인스튜디오-digital_graduation.sdu.ac.kr/2013/project/pdf/13.pdf · 9 디자인 방안 최종점검 > 2차 본설계 10 결과물

3. 본 설계

피드백 2.

Page 16: 디지털디지인학과 졸업작품 2013 -디자인스튜디오-digital_graduation.sdu.ac.kr/2013/project/pdf/13.pdf · 9 디자인 방안 최종점검 > 2차 본설계 10 결과물

3. 본 설계

피드백 4.

Page 17: 디지털디지인학과 졸업작품 2013 -디자인스튜디오-digital_graduation.sdu.ac.kr/2013/project/pdf/13.pdf · 9 디자인 방안 최종점검 > 2차 본설계 10 결과물

4. 최종 설계 판넬

미래형 교통표지판(Traffic Signs of the Future)

ROBO-GUIDER

CONCEPT미래의 운송수단은 공중을 비행하는형태가 다수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하여 교통표지판의 경우도 이를 지원하는 형체로 비행체나 날것을 모티브로하여 디자인을 고려

TECHNOLOGYLBS(Location Based Service) 기술 기반으로 교통관련 정보 및 운행체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를 센싱/트래킹하여표지판이 이동할 수 있도록 네비게이션하는 융합기술을 적용

ROBOTIC BIRD

공중에 탈 것이 지나갈 경우 탈 것의 위치를 감지하여 속도제한 표시 및 주의정보를 디스플레이

공중 운행체의 원활한 운행을 위한 신호등의 역할을 하며, 교통의 흐름을 제어

ROBOTIC BALL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