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KIC News, Volume 10, No. 2, 2007 1 기획특집 디스플레이 기술 인쇄 기술을 이용한 유기 디스플레이 개발 유 충 한조 성 민채 희 엽 성균관대학교 화학공학과 Organic Display Development with Printing Technology Choonghan Ryu, Sung Min Cho, and Heeyeop Chae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Abstract: 디스플레이 기술은 우리 일상 어느 곳에서나 접하게 되는 유비쿼터스 시대의 한 중심 기술이며, 현재는 LCD 와 PDP를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차세대 기술로 유기발광소자에 의한 OLED가 연구되고 있다. 유기디스플레이에 관 한 연구는 제작 과정에서 경제적이며 효율적인 공정 개발을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종이 인쇄 기술에서 시작된 인 쇄기술을 응용하여 디스플레이 기술에 접목하고자 하는 시도가 최근 주목받고 있다. 본 글에서는 그라비어 인쇄, 잉크 젯 인쇄, 스크린 인쇄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인쇄기술들에 대한 소개와 각 기술에 대한 장단점을 비교하였다. Keywords : organic display device, printing, gravure printing, screen printing, inkjet printing 1. 서 1) 유기소자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로서 LCD 디스플레이의 단점을 개선하고 유비쿼터 스 시대에 적합한 디스플레이로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유기소자 가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LCD가 갖고 있는 복잡한 공정, 비싼 제품 가격, 백라이트에 의 한 수동적인 발광방식 등의 한계를 넘어 디스 플레이의 최종적 목표인 유연한 디스플레이 구현까지도 가능하게 할 것이기 때문이다. 브 라운관에서 시작된 디스플레이 산업은 LCD와 PDP를 지나 또 다른 도약을 준비하고 있으며 그 선두에 유기소자가 있다. 유기소자를 구현 하기 위해서는 열승화법과 같은 유기물 적층 기술과 유기물의 손상을 막고 유기소자의 수 명을 연장하기 위한 패키징 기술이 필요하다. 또한 유기소자의 효율이 디스플레이에 적합하 여야 산업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많 주저자 (E-mail: [email protected]) 은 연구 단체에서 유기 재료의 개발과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재료 에 의해 밝기 및 효율이 크게 좌우되는 분야 인 만큼 재료에 대한 연구가 가장 활발히 이 루어지고 있으며, 이와 함께 공정에 대한 연구 또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열승화법은 몇 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열승화법은 진공 반 응기가 필요한 공정으로, 점점 큰 디스플레이 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진공 장비 가동과 반응기 크기 제한에 있어서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둘째, 공정 진행이 진공에서 이루어지고 유기물에 강한 열을 가함에 따라, 비싼 공정비 용과 함께 재료의 손상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공정을 개선하고 대체하기 위한 방법으로 인쇄기술을 유기소자 구현 공 정에 활용하고자 한다. 디스플레이에 응용되고 있는 특수 인쇄 기술은 스크린 인쇄, 그라비어 인쇄, 잉크젯 인쇄 등이 있으며, 이 기술들은 각각 장단점을 가지고 개별적으로 연구되고

기획특집 디스플레이 기술 - CHERIC · 기획특집 - 디스플레이 기술 인쇄 기술을 이용한 유기 디스플레이 개발 유 충 한⋅조 성 민⋅채 희

  • Upload
    others

  • View
    3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기획특집 디스플레이 기술 - CHERIC · 기획특집 - 디스플레이 기술 인쇄 기술을 이용한 유기 디스플레이 개발 유 충 한⋅조 성 민⋅채 희

KIC News, Volume 10, No. 2, 2007 1

기획특집 디스플레이 기술-

인쇄 기술을 이용한 유기 디스플레이 개발

유 충 한⋅조 성 민⋅채 희 엽†

성균 학교 화학공학과

Organic Display Development with Printing Technology

Choonghan Ryu, Sung Min Cho, and Heeyeop Chae†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Abstract: 디스 이 기술은 우리 일상 어느 곳에서나 하게 되는 유비쿼터스 시 의 한 심 기술이며, 재는 LCD

와 PDP를 심으로 발 하고 있으며, 차세 기술로 유기발 소자에 의한 OLED가 연구되고 있다. 유기디스 이에

한 연구는 제작 과정에서 경제 이며 효율 인 공정 개발을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종이 인쇄 기술에서 시작된 인

쇄기술을 응용하여 디스 이 기술에 목하고자 하는 시도가 최근 주목받고 있다. 본 에서는 그라비어 인쇄, 잉크

젯 인쇄, 스크린 인쇄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인쇄기술들에 한 소개와 각 기술에 한 장단 을 비교하 다.

Keywords: organic display device, printing, gravure printing, screen printing, inkjet printing

1. 서 언1)

유기소자는 차세 디스 이 기술로서

LCD 디스 이의 단 을 개선하고 유비쿼터

스 시 에 합한 디스 이로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차세 디스 이로 유기소자

가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LCD가 갖고 있는

복잡한 공정, 비싼 제품 가격, 백라이트에 의

한 수동 인 발 방식 등의 한계를 넘어 디스

이의 최종 목표인 유연한 디스 이

구 까지도 가능하게 할 것이기 때문이다.

라운 에서 시작된 디스 이 산업은 LCD와

PDP를 지나 다른 도약을 비하고 있으며

그 선두에 유기소자가 있다. 유기소자를 구

하기 해서는 열승화법과 같은 유기물 층

기술과 유기물의 손상을 막고 유기소자의 수

명을 연장하기 한 패키징 기술이 필요하다.

한 유기소자의 효율이 디스 이에 합하

여야 산업에 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재 많

†주 자(E-mail: [email protected])

은 연구 단체에서 유기 재료의 개발과 효율을

극 화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재료

에 의해 밝기 효율이 크게 좌우되는 분야

인 만큼 재료에 한 연구가 가장 활발히 이

루어지고 있으며, 이와 함께 공정에 한 연구

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열승화법은 몇 가지

단 을 가지고 있다. 첫째, 열승화법은 진공 반

응기가 필요한 공정으로, 큰 디스 이

에 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진공 장비 가동과

반응기 크기 제한에 있어서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둘째, 공정 진행이 진공에서 이루어지고

유기물에 강한 열을 가함에 따라, 비싼 공정비

용과 함께 재료의 손상도 래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공정을 개선하고 체하기

한 방법으로 인쇄기술을 유기소자 구 공

정에 활용하고자 한다. 디스 이에 응용되고

있는 특수 인쇄 기술은 스크린 인쇄, 그라비어

인쇄, 잉크젯 인쇄 등이 있으며, 이 기술들은

각각 장⋅단 을 가지고 개별 으로 연구되고

Page 2: 기획특집 디스플레이 기술 - CHERIC · 기획특집 - 디스플레이 기술 인쇄 기술을 이용한 유기 디스플레이 개발 유 충 한⋅조 성 민⋅채 희

2 공업화학 전망, 제10권 제2호, 2007

Figure 1. 유기 소자의 구조.

있다. 본 기사에서는 각 공정 기술과 이를 응

용한 사례를 소개하고 각각의 특징을 서술하

다.

2. 유기발광소자의 구조와 공정 개괄

유기발 소자는 1950년에 Bernanose가 유기

색소를 함유한 고분자 박막에 교류 압을 인

가하여 발 성질을 확인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1987년 이스트만 코닥사의 C. Tang이 발표한

이 층 구조가 재 사용되는 유기소자 구조

의 기본이 되고 있다[1]. 유기 소자는 양 극

사이에 얇은 유기 박막층을 가지고 있어 자

와 홀의 재결합에 의해 발 하는 구조를 가지

고 있다.

Figure 1에 기본 인 유기소자의 구조가 표

되어 있다. 양극과 음극사이에 얇은 유기 박

막층에 따라 고분자형 유기소자(PLED), 분

자형 유기소자(OLED)로 구분되며 층의 수에

따라 단일층과 다층 구조가 있다.

분자 유기소자의 경우, Figure 2(a)에 표

된 열승화법에 의해 구 이 가능하다. 열승

화법에 의한 유기막 증착은 쉐도우 마스크를

통해 승화된 유기물질이 ITO glass 에 도포

되는 진공 증착법이다. 열승화법으로 유기막을

증착하면 유기막의 수명이 길고 효율이 좋다

는 장 이 있지만 앞에서도 밝힌 바와 같이

진공장비를 공정상에 사용해야 한다는 에서

경제 인 한계가 있다.

고분자 유기소자의 경우, 분자량이 커서 진

(a) (b)

Figure 2. (a) 열승화법에 의한 분자 유기물질

의 증착 (b) 스핀코 에 의한 고분자 유기물질의

증착.

공 증착에 부 합하기 때문에 Figure 2(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핀코 으로 층한다. 공

정이 간단하고 공정비가 렴하다는 장 이

있지만 조명 기술과 달리 RGB (Red, Green,

Blue) 삼원색이 있어야하는 디스 이에서는

합하지 않다.

3. 인쇄기술을 이용한 OLED 구현

인쇄술은 오래 부터 인류와 함께 하 으

며 정보 달의 가장 요한 매개체로서 존재

하여왔다. 인쇄술은 다양한 종류가 많이 있지

만 이 에서는 산업에 가장 용사례가 많은

인쇄 기술들에 해 서술하고자 한다. 스크린

인쇄, 그라비어 인쇄 그리고 잉크젯 인쇄[2]는

재 사용되고 있는 가장 일반 인 특수 인쇄

방식으로 종이 인쇄 뿐만 아니라 카드 인쇄,

포장지, 벽지 인쇄 가구 외장 인쇄까지 그

응용 분야가 범 하다[2]. 이미 오랫동안

리 사용된 인쇄기술을 새로운 분야에 용한

다면 경제 으로 매우 효율 인 방법이 될 것

이다.

3.1. 스크린 인쇄(Screen Printing) 기술

스크린 인쇄 기술은 망목상의 망사 에 형

을 만들고, 스퀴지(squeeze)나 고무롤러로 망

사의 망목을 통해서 묽은 잉크를 피인쇄체로

어내어 인쇄하는 방법이다. 스크린은 실크,

테 론 는 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실크

스크린으로 시작된 기술이므로 실크스크린이

Page 3: 기획특집 디스플레이 기술 - CHERIC · 기획특집 - 디스플레이 기술 인쇄 기술을 이용한 유기 디스플레이 개발 유 충 한⋅조 성 민⋅채 희

KIC News, Volume 10, No. 2, 2007 3

Figure 3. 스크린 인쇄의 개략도.

라고 많이 칭해진다.

스크린 인쇄는 스크린 에 있는 잉크를 스

퀴지를 이용하여 망목을 강제로 통과하게 하

는 것이므로, 인쇄압의 조 을 하게 해야

하며 높이 조 이 어렵다는 단 이 있다.

스크린 인쇄는 제 이 쉽고 설비가 간단하

기 때문에 은 양의 인쇄에 많이 이용된다.

강제 인 인쇄 형식이라 종이 이외에도 인쇄

가 가능하고 곡면에도 용가능하다. 스크린

인쇄를 이용하여 인쇄할 경우 35~65 LPI

(line per inch)의 해상도를 얻을 수 있다. LPI

는 단 inch당 출력되는 선수를 나타내는 해

상도의 단 로 선수가 많을수록 해상도가 높

은 것이다.

스크린 인쇄는 에서 설명한 간편한 공정

과 렴한 생산단가 때문에 기존의 열승화법

이나 스핀코 다음의 체 기술로서 유기발

소자의 유기물 층과 속 패턴을 해

응용되고 있다. Figure 4는 2000년에 G. E.

Jabbour 그룹에서 스크린 인쇄를 이용하여 붉

은색 발 을 하는 poly-(2-methoxy-5-(2-et-

hylhexyloxy)-1,4-phenylenevinylene) (MEH-

PPV)라는 유기 발 물질을 로고의 형태로

인쇄한 것을 나타내었다[3]. 이 연구의 우수성

은 스핀코 에 의해 주로 층되어지던 MEH-

PPV라는 고분자 물질을 스크린 인쇄라는 새

로운 공정을 도입함으로서 공정의 개선을 제

시한 것이다. 2001년 J. Birnstock 그룹은 붉은

계열로 발 하는 polyfluorene (PF)을 스크린

인쇄하여 최종 인 디스 이 구 까지 진행

Figure 4. 스크린 인쇄 기술을 이용하여 층된

MEH-PPV 발 유기물의 발 이미지[3].

Figure 5. 스크린 인쇄 기술을 이용한 유기 발 소

자의 구 , 각 사각 지역은 8 × 8 pixel로 구성[4].

하 다[4]. Figure 5의 각 사각 지역은 8 × 8

pixel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지역보다 좀 더

밝게 빛나는 pixel 라인은 된 것이 원인이

다.

3.2. 그라비어 인쇄(Gravure Printing) 기술

그라비어 인쇄술은 오목 인쇄법의 일종으

로, 볼록 이나 평 형 인쇄 방식이 망 의 면

비율로 채도를 표 하는 것과 달리 그라비

어는 패턴의 깊이로 농담을 표 한다. 그라비

어 인쇄술의 기본 인 개념도는 Figure 6에

표 된 것과 같다. 그라비어 장비는 패턴이 음

각으로 새겨진 부식롤과 잉크통, 잉크의 사

를 돕기 한 압통(pressure cylinder), 부식롤

에 묻은 잉크를 어 주는 doctor blade로 구

성되어 있다. 여기에 silicone roll을 첨가하여

off-set 인쇄로 변형하는 방법도 있지만 기본

으로 그라비어 인쇄는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

Page 4: 기획특집 디스플레이 기술 - CHERIC · 기획특집 - 디스플레이 기술 인쇄 기술을 이용한 유기 디스플레이 개발 유 충 한⋅조 성 민⋅채 희

4 공업화학 전망, 제10권 제2호, 2007

Figure 6. 그라비어 인쇄 장치의 개 도.

그라비어 인쇄에서 가장 요한 부분은 부

식롤인데 인쇄 상태나 농도와 같은 인쇄 특성

이 모두 부식롤에 의해 좌우되기 때문이다. 따

라서 부식롤의 표면은 고운 연마제로 연마하

여 좋은 균일도를 갖는 것이 요하다.

그라비어 인쇄는 오목 인쇄법으로 Figure

6에 표 된 것과 같이 홈 안에만 잉크를 넣어

주고 나머지 역에는 잉크가 없어야한다. 이

역할을 하는 것이 doctor blade이다. Doctor

blade는 균일한 모서리를 가진 으로 구성되

어 있으며 부식롤에 비해 경도가 낮아야 부식

롤이 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홈에 남은

잉크는 피인쇄체에 인쇄되기 해 압통과 부

식롤 사이에서 합한 압력 하에서 힌 후

Figure 7과 같이 인쇄가 된다. Figure 7의 인

쇄물은 104 mm/sec의 인쇄 속도와 6.5 MPa

의 인쇄 압력으로 ITO 유리 기 에 인쇄한

것을 마이크로 미경으로 촬 한 이미지이다.

그라비어 인쇄 기술은 몇 가지 장 때문에

차세 기술로서 각 받고 있다. 첫째, 공정

이 간단하고 장비의 비용이 렴하다. 그라비

어 인쇄기술은 기압과 상온에서 이루어지며

건조를 한 과정도 많은 에 지를 필요로 하

지 않기 때문에 공정비가 렴하다. 둘째, 공

정이 빠르고 roll to roll 공정이 가능하다. 이

외에도 장비가 렴하고 원하는 부분만 인쇄

가 되기 때문에 재료의 소비가 다는 장 도

있다. 이와 같은 여러 장 들 때문에 여러 응

용분야에 용하기 해 연구되고 있다. 셋째,

스크린 인쇄 보다 높은 해상도를 가지고 있다.

그라비어 인쇄의 해상도는 150~300 LPI로 인

Figure 7. 그라비어 인쇄 방식을 이용하여 인쇄된

로고, 유리 에 인쇄된 12 pt(상부)와 8 pt(하부)

씨, ×40 배율 digital microscope으로 촬 (Source

: NanoProcessLap.).

쇄방식 가장 높은 해상도를 가지고 있다.

그라비어 인쇄 기술을 OLED에 용하기

해 발 성 유기 물질을 용매에 혼합하여 인

쇄용 잉크로 제조한 후 인쇄한다. Figure 8에

서는 청색계열의 발 성 유기물질을 잉크로

사용하여 원, 선 로고를 인쇄하여 photo

luminescence (PL) 방식으로 발 을 확인한

이미지이다. PL은 극을 사용하지 않고 빛

에 지에 의해 여기된 자가 다시 안정화되

면서 빛을 내는 효과를 이용한 방식이다. 이

게 발 을 확인할 경우 소자가 제 로 구성되

었는지는 확인할 수 없지만 유기 물질이 인쇄

되었는지는 쉽게 확인할 수 있다. 2005 국제정

보디스 이학회(2005 SID)에서 일본인쇄

의 H. Nakajima 그룹은 그라비어 인쇄를 이용

하여 세 가지 다른 색으로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유연한 OLED를 구 하여 발표하 다

[5]. 140 × 140 mm2 크기와 0.25 mm의 두께

를 가진 유연한 소자에는 세 가지색의 발

물질이 사용되었으며, 1000 시간 까지 재생이

가능하고 100 cd/m2에서는 그 이상도 가능하

다(Figure 9).

Page 5: 기획특집 디스플레이 기술 - CHERIC · 기획특집 - 디스플레이 기술 인쇄 기술을 이용한 유기 디스플레이 개발 유 충 한⋅조 성 민⋅채 희

KIC News, Volume 10, No. 2, 2007 5

Figure 8. 청색 계열의 발 성 유기 물질 그라비

어 인쇄하여 발 확인, 원: 1 mm, 선: 1mm, 로

고: 0.06~0.08 mm.

Figure 9. 일본인쇄가 그라비어 인쇄를 이용하

여 세 가지 다른 색의 유연한 OLED를 구 한 이

미지[5], 넓이: 140 × 140 mm2, 두께: 0.25 mm.

3.3. 잉크젯 인쇄(Inkjet Printing) 기술

잉크젯 인쇄는 이미지를 형성하고자 하는

피인쇄체 뒤에 기장을 걸어주어, 기장에

의하여 떨어지는 잉크가 이미지를 형성하는

방법이다. 약 0.005 mm의 직경을 가진 노즐이

부착된 통 안에 특수한 잉크가 들어있어서 노

즐을 통해 은 양의 잉크가 분사된다. 잉크젯

용 잉크는 노즐에서 피인쇄체로 사되어 표

면과 잉크의 표면장력, 잉크의 도 그리고 잉

크의 성에 기인한 특수 잉크이다. 한 잉

크젯 인쇄에서 사용하는 노즐은 막히기 쉽고

인쇄물의 농도가 낮은 결 을 가지고 있다.

Ghassan E. Jabbour 그룹은 잉크젯 인쇄법

을 이용하여 기 에 발 소자를 구 하

Figure 10. 잉크젯 인쇄의 개략도.

Figure 11. 잉크젯을 이용한 발 소자의 구 [7,8].

다[7,8] (Figure 11). 2006년에 발표된 것으로

유리 기 에 음극으로 사용되는 poly(3,4-

ethylenedioxy)-thiophene-poly(styrene sulfo-

nate) (PEDOT-PSS)를 220 nm의 두께로 잉

크젯 인쇄하 으며, PL로 발 이미지를 확인

하 다. Figure 12는 잉크젯을 이용한 Cam-

bridge Display Technology (CDT)의 P-

OLED로 1280 × 768 픽셀의 14인치 디스

이이다[9].

스크린 인쇄, 그라비어 인쇄 그리고 잉크젯

인쇄를 이용한 OLED의 구 은 OLED의 시

장 진입을 더욱 가속화 시킬 것이며 유비쿼터

스 시 의 주요 디스 이로 만들것이다. 하

지만 인쇄기술을 OLED 구 에 용하기

한 연구는 재 소수 그룹에서 이루어지고 있

으며 아직 기 단계에 불과하다. 연구 한

기업과 연계되어 연구되는 경우가 부분이기

때문에 정보에 한 근이 어렵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OLED 연구에 있어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

하고 있는 재료 분야 역시 개발이 완료되지

않았으며 재료에 한 많은 연구결과가 산발

으로 나오고 있는 상태이다. 인쇄에서도 유

Page 6: 기획특집 디스플레이 기술 - CHERIC · 기획특집 - 디스플레이 기술 인쇄 기술을 이용한 유기 디스플레이 개발 유 충 한⋅조 성 민⋅채 희

6 공업화학 전망, 제10권 제2호, 2007

Figure 12. 잉크젯인쇄를 이용한 CDT의 14 인치

P-OLED[9].

기 잉크의 종류에 따라 공정 조건이 변하기

때문에 인쇄기술을 이용한 OLED에 한 연

구가 쉽지 않다. 뿐만 아니라, 유기 박막의 경

우 막의 두께가 100 nm 이하로 얇아야 하는

데 박막을 인쇄 기술을 이용하여 인쇄할 경우

핀홀과 같은 결함에 의해 소자가 제 로 작동

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이슈가 있음에도 몇 그룹에서 좋은

성과가 발표되고 있으며, 인쇄 기술을 이용한

OLED 구 에 한 가능성을 계속 제시하고

있다.

4. 기타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인쇄 기술의

적용

디스 이 산업에 인쇄기술이 용되고 있

는 사례는 유기소자 뿐만이 아니라 Plasma

Display Panel (PDP), Field Emission Display

(FED) 등에서도 그 용의 가능성이 연구되

고 있다.

PDP는 형 물질이 도포된 작은 셀을 다수

배치하고 그 상하에 장착된 두 극(어드 스

극(address electrode)과 버스 극(bus elec-

trode, Figure 13) 사이에서 가스(네온과 아르

곤) 방 을 일으켜 발생하는 자외선에 의해

형 물질을 발 시켜 컬러화상을 재 한다.

Figure 13. PDP의 구조[10].

디스 이 분야에서 경쟁이 치열해 지면서

PDP 기술에서도 단가 하락을 해 재료 자체

를 렴하게 바꾸는 방법과 공정을 개선함으

로서 단가를 낮추고자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실버 페이스트(Silver Paste)는 Figure

13에 표 된 PDP 패 에 극[10]을 형성하

는 핵심 소재로 미국 듀폰이 세계시장을 주도

하고 있기 때문에 주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실버 페이스트의 사용을 이기 해,

실버 페이스트를 도포해 회로를 형성한 후 필

요 없는 부분을 제거하는 기존 방식을 필요한

부분에만 극을 형성하는 인쇄 방식으로 바

꾸는 기술도 개발 이다. Figure 14는 스크린

인쇄 방식을 이용하여 인쇄된 30 µm 두께 실

버 페이스트 극의 이미지이다.

FED는 계에 의해 방출된 자를 가속,

충돌시킴으로써 빛을 일으키는 방식으로서

계방출 디스 이라고도 불린다. 즉, 자총

(emitter)으로부터 방출된 자가 발 물질에

부딪히게 하여 빛을 내는 것이다(Figure 15).

FED에서 자총이라고 불리는 음극은 계

방출 횟수에 비례하여 격히 노후되는 문제

를 가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해 탄소나노

튜 (CNT)를 자총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연

Page 7: 기획특집 디스플레이 기술 - CHERIC · 기획특집 - 디스플레이 기술 인쇄 기술을 이용한 유기 디스플레이 개발 유 충 한⋅조 성 민⋅채 희

KIC News, Volume 10, No. 2, 2007 7

Figure 14. 스크린 인쇄된 실버 페이스트 극, 감

성 실버 페이스트의 소성 조건에 따른 이미지[10].

구가 진행되고 있다. 자총이 될 탄소나노튜

의 제조 공정은 매를 기 에 도포한 후

강한 열 는 에 지를 주어 성장시킨다. 탄소

나노튜 를 성장시키기 해서는 매가 사용

되어 진다. 매를 인쇄한 후 탄소나노튜 를

성장시키는 공정을 이용해서 패턴을 형성할

경우, 기존에 사용하던 방식인 탄소나노튜 의

면 성장 후 에칭하는 방법에 비해 공정비와

재료비의 감을 가져올 수 있다. 2006년 F.

G. Jeng 그룹에서는 스크린 인쇄를 이용하여

220 V에서 10,000 cd/m2이 가능한 FED 장치

를 구 하 다[11] (Figure 16).

Figure 15. FED의 구조.

Figure 16. 스크린 인쇄 방식을 이용한 FED 디스

이, 200 V에서 동작한 CNT-FED 이미지[11].

5. 맺는말

디스 이는 출력 장치의 하나로 정보

달에 요한 매체이다. 언제 어디서나 자 장

치를 통해 정보를 달 받을 수 있는 유비쿼

터스 시 를 해서 디스 이 기술의 발

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유비쿼터스에 합

당한 디스 이 기술로 유기소자가 두되고

있는데 이는 유기소자가 유연한 기 제작이

가능하고 LCD에 비해서 얇게 제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인쇄기술을 용한 유기소자의 개발에 한

연구는 아직 기단계이다. 하지만 인쇄기술이

목된 유기소자의 가능성은 여러 가지 어려

움에도 불구하고 기 가 크다. 유기박막을 얇

고 균일하게 인쇄할 수 있도록 공정 개발이

이루어지고 열승화법과 동일한 효율을 만들어

낼 수 있다면 인쇄기술이 목된 유기소자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시 는 더욱 가까운 미래

가 될 것이다.

Page 8: 기획특집 디스플레이 기술 - CHERIC · 기획특집 - 디스플레이 기술 인쇄 기술을 이용한 유기 디스플레이 개발 유 충 한⋅조 성 민⋅채 희

8 공업화학 전망, 제10권 제2호, 2007

참 고 문 헌

1. C. W. Tang and S. A. Vanslyk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odes, Appl. Phys.

Lett., 51, 12, 913 (1987).

2. 안병열, 인쇄공학, 원서출 (1993).

3. D. A. Pardo, G. E. Jabbour, and N.

Peyghambarian, Application of Screen

Printing in the Fabrication of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Adv. Mater., 12,

17 (2000).

4. J. Birnstock, J. Blassing, A. Hunze, M.

Scheffel, M. Stobel, K. Heuser, G.

Wittmann, J. Worle, and A. Winnacker,

Screen-printed passive matrix displays

based on light-emitting polymers, Appl.

Phys. Lett., 78, 24 (2001).

5. H. Nakajima, S. Morito, H. Nakajima, T.

Takeda, M. Kadowaki, K. Kuba, S.

Handa, and D. Aoki, Flexible OLEDs

Poster with Gravure Printing Method, J.

% 자 소 개

유 충 한

2006 성균 학교 학사2006~ 재 성균 학교

화학공학과 석사과정

조 성 민

1985 서울 학교 화학공학과 학사1987 서울 학교 화학공학과 석사1988∼1992 Univ. of Florida 화학공학과

Ph.D1993∼ 재 성균 학교 화학공학과

교수

SID, 1196 (2005).

6. http://adsabs.harvard.edu/abs/2004SPIE.

5363. 77K.

7. Y. Yoshioka and G. E. Jabbour, Desktop

inkjet printer as a tool to print conduct-

ing polymers, Synthetic Metals, 5 (2006).

8. Y. Yoshioka, P. D. Calvert, and G. E.

Jabbour, Simple Modification of Sheet

Resistivity of Conducting Polymeric Anodes

via Combinatorial Ink-Jet Printing Tech-

niques, Macromol. Rapid Commun., 26,

238 (2006).

9. http://www.cdtltd.co.uk/press/current_

press_releases/412.asp.

10. S. Senda, Y. Hayashi, and K. Nakayama,

Application of Photo Sensitive Pastes for

PDP, IEMT/IMC, 77 (1998).

11. Z. Fan-Guang, Z. Chang-Chun, L. Weihua,

and L. Xinghui, The fabrication and op-

eration of fully printed Carbon nanotube

field emission displays, Microelectronics J.,

37, 495 (2006).

채 희 엽

1990 서울 학교 화학공학과 학사1992 서울 학교 화학공학과 석사1993 한국과학기술원(KIST)

연구원2000 M.I.T 박사2000~2004 Applied Materials Inc.2004~ 재 성균 학교 화학공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