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
- 1 - 韓國敎員敎育硏究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011, Vol.28, No.3, pp.128 교사의 핵심역량에 근거한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수업연한 The Years for Gradu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in Junior Colleges based on Core Competencies of Teachers 1) 김 병 주(영남대학교)* 박 승 태(경산1대학)** 이 연구는 전문대학 수업연한 다양화를 촉진하고 유아교육 당사자 간의 원활한 합의 도출 을 하기 위해 전문대학 유아교육과의 적정한 수업 연한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문대학 유아교육과의 현황, 유치원 교사의 핵심역량 분석, 정 수업연한 분석 및 효율적 운영방안을 살펴 보았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제도적 검토, 직업 사회의 변화와 외국 사례의 종합, 국내 전문대학 유아교육과의 현황 등을 고려할 때 전문대학 유아교육과의 수업 연한에 대한 조정이 필요하다. 둘째, 전문대학 3년제 졸업생의 유아 교사로서 핵심역량을 고 려했을 때 전문대학 유아교육과의 수업연한은 연장되어야 한다. 셋째, 이해 당사자의 수업연 한에 대한 의견을 고려했을 때 전문대학 유아교육과는 4년제로 전환하여야 한다. 넷째, 유아 교육과의 수업연한을 4년제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개발, 교사의 처우 개선, 교수확보 율 제고 등이 마련되어야 한다. 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연구 과제를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교사의 핵심역량을 4년제 대학교의 졸업생과 비교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보육교사 자 격과의 연관성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셋째, 전문대학 유아교육과에서 특성화를 위해 운영할 독창적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주제어 :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수업연한, 교사 핵심역량 * [email protected] ** [email protected] *** 원고접수(11.07.31). 심사(11.08.29). 수정완료(11.09.13)

교사의 핵심역량에 근거한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수업연한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_5XpY8... · 2015-01-28 · 교사의 핵심역량에

  • Upload
    others

  • View
    5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1 -

韓國敎員敎育硏究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2011, Vol.28, No.3, pp.1~28

교사의 핵심역량에 근거한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수업연한The Years for Gradu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in Junior Colleges based on Core Competencies of Teachers1)

김 병 주( 남 학교)*

박 승 태(경산1 학)**

요 약

이 연구는 문 학 수업연한 다양화를 진하고 유아교육 당사자 간의 원활한 합의 도출

을 하기 해 문 학 유아교육과의 정한 수업 연한을 검토하는 것을 목 으로 한다. 이

러한 목 을 달성하기 하여 문 학 유아교육과의 황, 유치원 교사의 핵심역량 분석,

정 수업연한 분석 효율 운 방안을 살펴 보았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 다. 첫째, 제도 검토, 직업 사회의 변화와 외국

사례의 종합, 국내 문 학 유아교육과의 황 등을 고려할 때 문 학 유아교육과의 수업

연한에 한 조정이 필요하다. 둘째, 문 학 3년제 졸업생의 유아 교사로서 핵심역량을 고

려했을 때 문 학 유아교육과의 수업연한은 연장되어야 한다. 셋째, 이해 당사자의 수업연

한에 한 의견을 고려했을 때 문 학 유아교육과는 4년제로 환하여야 한다. 넷째, 유아

교육과의 수업연한을 4년제로 운 하기 해서는 교육과정 개발, 교사의 처우 개선, 교수확보

율 제고 등이 마련되어야 한다.

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한 연구 과제를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

아교사의 핵심역량을 4년제 학교의 졸업생과 비교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보육교사 자

격과의 연 성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셋째, 문 학 유아교육과에서 특성화를 해 운 할

독창 교육과정에 한 연구가 필요하다.

주제어 : 문 학, 유아교육과, 수업연한, 교사 핵심역량

* [email protected]

** [email protected]

*** 원고 수(11.07.31). 심사(11.08.29). 수정완료(11.09.13)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8권 제3호

- 2 -

Ⅰ. 서 론

유치원 교사 다수가 문 학 유아교육과 출신인 실에서 유치원 교사의 문성은

논의의 상이 된다. 즉 유치원 교사의 문성을 높이기 해 문 학 출신 유치원 임

교사의 학력 수 강화를 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나정, 2001; 양옥승, 2002; 조형숙·

이경민, 2004; 신은수, 2007). 유치원 학부모의 학력이 상향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학

부모의 교사에 한 기 수 도 증가하고 있다. 한 출산으로 유치원생은 감소하지만,

유치원 교사 양성과정의 정원은 감축되지 않음에 따라 유치원 교사가 과잉 배출되고 있

는 상황에서 제도 변화를 통한 유아교육 교사의 문성 향상은 시 한 과제이다.

유아교육과는 문 학 학제 개편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핵심학과로 분류된다(이희경,

2010). 교육과학기술부에서도 2009년 시 요구를 반 하여 인 라 교육과정, 교원

정책 등 유아교육 반에 걸친 선진화 추진계획을 설정하 다. 이 과정에서 유아교육의

질 수 을 선진국 수 으로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문 학 유아교육과 4년제 단일

화 방안이 제시되었다. 한 2010년 ‘한국 문 학유아교육과교수 의회’에서도 문 학

유아교육과 수업연한을 4년으로 단일화하는 방안으로 합의하자는 의견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유아교육과를 비롯한 문 학의 수업연한에 한 구체 인

법규 개정이나 실질 인 행정 차가 진행되지 않는 것이 실이다. 문 학 유아교육과

가 4년제로 환할 경우에 비한 교육과정의 변환 과제, 문 학 유아교육과 임 교원

확보 문제, 유아교육 련 당사자 간의 합의 불충분 등이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문 학 수업연한 다양화를 진하고 유아교육 당사자 간의 원활한

합의 도출을 하기 해 문 학 유아교육과의 정한 수업 연한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 을 달성하기 하여 문 학 유아교육과의 황, 유치원 교사의 핵심역량 분

석, 정 수업연한 분석 효율 운 방안을 살펴 볼 것이다.

Ⅱ. 이론 배경 선행연구 분석

1. 문 학 유아교육과의 황

문 학 내에서 수업연한의 필요성이 제기된 선두학과 하나가 유아교육과이다. 교사

교사의 핵심역량에 근거한 문 학 유아교육과 수업연한

- 3 -

양성 학의 수업연한이 이미 4년으로 모두 연장된 상황에서 유치원 교사를 양성하는 유아

교육과만이 아직 3년 과정에 묶여있다. 부분의 아이들이 유치원을 거쳐 등학교로 진학

하고 있는 실정을 감안할 때, 문 학 유아교육과의 수업연한 연장은 시 히 해결할 과제

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하여 먼 문 학 유아교육과의 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 문 학 유아교육과의 학과 설치 황

2010년 문 학의 유아교육과 모집 학은 100개로서, 3년제가 84개(84%), 2년제가 16개

(16%)이다. 지역별로 볼 때, 주로 도시보다는 도지역에서 아직 2년제 유아교육과가 많다.

지역학수

2년제 3년제 계

서울 5 5

경기 . 17 17

인천 . 2 2

부산 2 6 8

구 . 6 6

주 . 4 4

. 3 3

울산 . 1 1

강원 . 7 7

충북 2 1 3

충남 2 2 4

북 2 5 7

남 4 6 10

경북 3 13 16

경남 1 3 4

제주 . 3 3

계 16 84 100

<표 1> 문 학 유아교육과 설치 황

나. 문 학 유아교육과의 학생 황

2009년 문 학 유아교육과의 입학 정원은 8,574명으로 4년제 학의 4.5배에 해당한다.

실제 입학생은 7,364명이며, 그 에 3년제가 82.1%에 해당한다. 재 문 학 유아교육과

의 모집정원 입학률과 지원율은 다음 <표 2>와 같다.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8권 제3호

- 4 -

<표 2> 2009학년도 문 학 유아교육과 모집정원 입학률

지역 설립합 계

모집정원 등록인원 지원율 입학율

서울  사립 5 504 504 21.9 100.0

부산  사립 8 832 688 3.5 84.0

구  사립 6 694 566 5.3 85.1

인천 사립2 공립1  256 256 14.6 100.0

주 사립 4 464 441 2.1 94.3

사립 4  312 312 6.2 100.0

울산 사립 1 80 80 3.1 100.0

경기 사립17  1,338 1,335 12.0 99.6

강원 사립7 430 305 2.4 74.2

충북  사립3  208 199 4.1 95.3

충남 사립4 400 396 3.0 99.2

북  사립7 616 482 1.6 84.3

남 사립9공립1  774 599 1.3 81.4

경북 사립15공립1  1,150 727 2.2 66.7

경남  사립4  318 299 2.2 94.8

제주  사립3  198 175 2.2 88.0

계 102 8,574 7,364 5.6 85.9

출처: 한국 문 학교육 의회(2009).

문 학 유아교육과의 학과별 정원은 최소 30명에서 최 180명, 평균 84.2명으로, 4년

제 학 33.2명(방송 학 제외)보다 두 배 이상 많다. 체 평균 입학률은 85.9%이고, 서울,

인천, , 울산의 4개 도시 지역은 100%의 입학률을 보인다.

2008년도부터 실시된 공심화과정은 문학사 이상의 자격을 가지고 유아교육 장에서

의 교육 경험을 가진 사람에 한해서 입학이 허가되며, 학사학 자격을 취득하는 과정이다.

문 학 유아교육 공심화 과정은 2008년도에 11개 학 320명 인가로 시작되어 2010년

재 27개 학에서 660명을 모집하고 있는데, 그 모집 인원의 수가 차 증가하고 있다.

<표 3> 공심화과정 연도별 인가 학 학생 정원

구분 2008 2009 2010 계

학수 11 9 7 27(개)

정원 320 190 150 660(명)

출처: 한국 문 학교육 의회(2009).

교사의 핵심역량에 근거한 문 학 유아교육과 수업연한

- 5 -

2. 유아교육 교사의 핵심 역량과 수업연한

교원의 핵심역량을 규명하고, 이를 기 로 교사교육 체제를 구축하는 것은 매우 요하

다. 이 연구에서는 우선 유아교육 교사의 핵심역량의 개념과 국내외의 연구 결과들을 검토

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유아교육 교사의 핵심 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

를 추출할 것이다. 이 도구를 바탕으로 3년제와 4년제 유아교육과 졸업생의 유아교육 교사

로서의 핵심역량을 악하고 이를 근거로 한 유아교사 양성 과정의 정한 수업연한을 제

시하고자 한다.

가. 유아교육 교사의 핵심 역량

역량의 개념은 20세기 반부터 경 학, 심리학, 교육학 등 주로 기업경 과 련하여 사

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정치, 교육 분야 등으로 그 범 가 확 되고 있다. ‘역량’이란 조

직 환경 속에서 탁월하고 효과 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행동특성이다. ‘핵심역량’은

말 그 로 역량 에서도 더욱 강조되는 역량을 의미한다(이경진 외, 2009).

교원 핵심역량은 교수 역량(teaching competency)과 교원 역량(teacher competency)으로

구분된다. 교수 역량은 교과교육을 성공 으로 수행하기 해 필요한 이론 교수 역량과

실천 교수 역량의 총체라고 볼 수 있다. 이론 교수 역량은 ‘아는 능력’과 련이 깊고

주로 지필검사를 통해 측정하며, 실천 교수 역량은 ‘행하는 능력’과 련이 깊고 교사의

실제 수업장면에 한 찰과 분석을 통해 평가할 수 있다(황은희 외, 2008).

교원 역량은 교사의 역할과 직무, 자질 능력에 련된 것으로 교사가 갖추어야 할 능

력과 자질을 보여주는 교원 문성 기 과 련된다. 이경진 외(2009)는 교사의 핵심역량은

학교라는 환경 속에서 탁월하고 효과 으로 업무를 실행하기 한 교사의 행동 특성, 지식,

수행, 태도로 구성된다고 보았다. 성병창 외(2009)는 유치원 교사의 핵심역량을 유치원 교

사의 특성, 유치원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문성, 유치원 교사의 역할, 유치원 교사로서의

자질 등을 포 하는 일종의 핵심 인 직무수행능력이라고 보았다.

나. 유아교육 교사 핵심역량 측정 도구

유아교육 교사의 핵심역량을 규정하고 그 내용을 역과 요소별로 분류하는 것은 유아

교육 양성과정의 교육과정을 결정하고 그에 따른 수업연한을 결정하는 요한 기 이 된

다. 한 교사의 핵심역량은 유아교육을 담당하는 교사의 평가와 계발을 해서도 요한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8권 제3호

- 6 -

역 내용

유아교육정책, 제도 유아

교육행정조직에 한 이해

유아교육 목표, 유아교육 법규와 제도, 유아교육 정책, 앙 지방의

유아교육 조직

교직 인성 문성

계발

교육 개선을 한 지속 탐구, 다양한 상황과 조건의 수용, 새로운 가

치와 아이디어 창출, 반성 사고 개발, 문 발달을 한 노력, 유치

원 교사로서 바른 근무 자세 유지

학습자에 한 이해유아 발달의 개념 발달 이론, 유아의 신체, 언어, 인지, 사회, 정서

역의 발달 특성, 유아의 발달에 련된 개인 , 사회 , 문화 요인

자료가 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국내·외의 유아교사 핵심 역량과 련된 자료들을 바

탕으로 유아교사 핵심 역량의 역과 요소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제작하려고 한다.

선행연구에서 공통 으로 제시되는 유아 교사의 핵심 역량을 역별로 살펴보면 유아교

육 제도 정책에 한 이해, 교직 문성 개발, 유아의 발달 학습에 한 이해,

유아교육과정 교과지식에 한 이해 실행, 유아 교수학습 과정 평가에 한 이해

활용, 다 학문 지식 교양 지식, 인 계 의사소통 능력, 정보화 소양 능력, 학

경 능력 등으로 나 어 볼 수 있다.

그런데 이제까지의 교사 핵심 역량에서는 교육 조직에 한 이해 부분을 다소 간과하고

있다. 교육조직도 하나의 조직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교육 조직의 구성원인 교사도 교육

조직의 특징과 구성 원리에 해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교육조직의 특성을 잘 이해하는

교사가 해당 조직의 구성원으로서의 역량을 더욱 잘 갖춘 것이다. 한 교사는 해당 교육

기 의 경 에 참여하게 된다. 그러나 실제 교육 장에서 교육정책이나 교육행정의 역

에 있어서 교사들이 상 으로 소외된 채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그러다 보

니 장과 괴리된 교육정책이 수립·집행되며 교사와 학생들에게 불리하게 개되는 경우가

많다(김병주, 2000). 교육기 의 경 에 한 교사의 참여가 교육기 의 올바른 교육활동에

많은 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유치원 교사의 핵심 역량 에 학 경 에 한 역량과

함께, 유아교육기 의 경 에 한 이해 역량은 필요한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을 감안하여 유치원 교사의 핵심역량에 한 각 역과 요소를 다음 <표 4>와 같이 10개

역으로 분류해 볼 수 있다. 각 역은 다시 구체 인 역량을 나타내는 요소별로 나 었

다. 이는 수업 연한의 정화를 측정하기 한 도구로 사용할 것이다.

<표 4> 유아교육 교사의 핵심 역량

교사의 핵심역량에 근거한 문 학 유아교육과 수업연한

- 7 -

유아교육과정에 한

이해 실행

유아교육과정의 이론, 유아핵심역량, 국가수 유치원 교육과정, 유아

언어․수학․과학․사회․ 술․체육 교과 내용 지식, 유아 건강 안

정 교과 내용 지식, 유아 놀이 교과 내용 지식

유아교육에서

교수-학습과정 평가의

이해 활용

유아 교수-학습방법에 한 지식, 개별화 교수-학습방법의 용, 효율

교수-학습을 한 환경구성, 합한 교수자료의 발굴, 개발, 활용, 유아

의 개인 특성에 한 평가 방법 이해 실행, 교육과정 평가 이해

실행, 평가 결과의 활용

다학문 지식의 이해

활용

인문학․과학기술․사회학․ 술 등의 폭넓은 교양지식 이해 탐구,

다학문 지식의 교육과정 용

인 계 의사소통

교육 공동체 존 , 부모와의 력, 동료교사와의 력, 지역사회와의

력, 유아교육 지원 정책의 이해 달, 언어 /비언어 의사소통 기

술 형성

정보화 소양 능력

새로운 정보화 기술에 한 심, 교육, 행정, 재정 업무 처리를 한

정보화 기술, 폭넓은 정보교류, 유용한 정보의 조직 활용, 교수매체

로써 정보화 기술의 비 활용

유치원 운 에 한

이해

유치원의 효율 인 경 방법, 유치원 경 에 있어서 시설 리, 인사

리, 재정 리, 문서 리, 유치원 재정 확보, 유치원 회계

학 운유아와 정 인 계 형성, 교실 운 과 리, 유아 행동지도, 학 운

련 문서 작성 리, 외 련 공문서 작성 리

3. 문 학 유아교육과의 수업연한에 한 선행 연구 분석

문 학 유아교육과의 수업연한에 한 국내의 선행연구는 다음과 같이 크게 세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교사의 문성을 향상시키기 하여 수업연한을 연장하는 방안을 제시한 연구에는

유아교육 교사의 학력 기 과 자격증의 강화를 통해 교사의 문성을 신장시키기 한 방

안으로써 유아교육 학제개편 필요성을 제기한 박은혜(2006)와 문 학 교육의 국제화를

지향하여 공분야에 따라 수업연한의 다양화해야 함을 주장하는 이정표(2010)가 있다.

둘째, 산업체와 사회의 요구에 탄력 으로 응하기 해 수업연한 연장 방안을 제시한

연구로 문 학 유아교육과의 수업연한 기 학제가 장에서 요구하는 직무와 능력

에 기 하여 탄력 으로 개편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면서, 인 자원 개발의 맥락에서 학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8권 제3호

- 8 -

제개편의 방향을 다양화, 유연화, 개방화, 연계성 강화 등으로 제시한 박동열(2006)이 있다.

셋째, 학력 수 에 의한 유아 교사의 역량 차이를 극복하기 하여 수업연한을 연장하는

방안을 제시한 연구는 다음과 같다. 나정(2001), 양옥승(2002), 조형숙 외(2004), 신은수

(2007)는 교원양성기 의 수업 연한 차이에서 비롯되는 교사 수 의 차이에 한 우려

문 학 출신 임교사 학력 수 강화의 필요성 제기 차원에서 교사의 문성 신장을

해 교사의 최 학력 수 은 학사 이상이어야 한다고 주장하 다. 그리고 문 학 출신

에 한 추가 교육으로 자격 강화방안, 졸업과 자격의 분리 자격증의 차등화, 교사 양

성체제에 한 종합 인 질 리 등 유치원 교사 양성체제 개선 방안을 제시하 다.

Ⅲ. 연구 방법

1. 설문 조사

문 학 유아교육과 졸업생의 유아교사 핵심역량과 정 수업연한을 조사하기 하여

문 학 유아교육과 학생, 유치원 교사, 유아교육과 교수, 유치원 원장 등을 상으로 설

문조사를 실시하 다. 조사기간은 2010년 10월 1일부터 12월 10일까지이다. 학생 상 설문

지 314부, 유치원 교사 상 설문지 140부, 유아교육과 교수 상 178부, 유치원 원장 상

설문지 74부가 회수되었다. 조사 상의 배경변인별 황은 <표 5>와 같다.

배경변인  학생 교사 교수 원장

수도권 107 40 45 17

역시 139 60 74 39

도 68 40 59 18

체 314 140 178 74

<표 5> 배경변인별 응답 황

(단 : 명)

설문의 내용은 유치원 교사의 핵심 역량 51문항(10개 소 역으로 구분)과 유치원 교원

양성기 의 수업연한 13문항 등 크게 2개 역과 11개 소 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필

교사의 핵심역량에 근거한 문 학 유아교육과 수업연한

- 9 -

구분 설문 내용문항

형식

유치원 교사의 핵심 역량

유아교육 제도 정책,

유아교육 행정조직에

한 이해

유아교육 목표에 한 이해

Likert식

유아교육 법규와 제도에 한 이해

유아교육 정책에 한 이해

앙 지방의 유아교육 행정조직에 한 이해

교직인성 문성 개발

역량

교육개선을 한 지속 탐구

다양한 상황과 조건 수용

새로운 가치와 아이디어 창출

반성 사고 개발

문 발달을 한 노력

유치원 교사로서 바른 근무자세 유지

학습자에 한 이해 역량

유아 발달의 개념 발달이론 이해

유아의 신체, 언어, 인지, 사회, 정서 역의 발달 특성 이해

유아의 발달에 련된 개인 , 사회 문화 요인 이해

유아 교육과정에 한 이해

실행

유아교육과정에 한 이론 이해

유아핵심역량에 한 이해

국가수 유치원 교육과정 이해

유아 언어, 수학, 과학, 사회, 술, 체육 교과 내용 지식 이해

유아건강 안 교과내용 지식 이해

유아 놀이 교과 내용지식 이해

교수학습과정 평가의

이해 활용

유아 교수 학습방법에 한 지식

개별화 교수-학습방법의 용

효율 교수-학습을 한 환경구성

합한 교수자료의 발굴, 개발, 활용

유아의 개인 특성에 한 평가 방법 이해 실행

교육과정 평가 이해 실행

평가 결과의 활용

다학문 지식 이해 활용

인문학, 과학기술, 사회학, 술 등 폭넓은 교양지식 이해 탐구

다학문 지식의 교육과정 용

인 계 의사소통 역량

교육 공동체 존

부모와의 력

동료교사와의 력

지역사회와의 력

유아교육 지원 정책의 이해 달

언어 /비언어 의사소통 기술 형성

<표 6> 설문지의 문항 구성

요에 따라 4 척 Likert척도와 선다형 문항으로 구성하 다. 설문지 구성은 <표 6>과 같다.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8권 제3호

- 10 -

정보화 소양 역량

새로운 정보화 기술에 한 심

교육, 행정, 재정 업무 처리를 한 정보화 기술이해

폭넓은 정보교류

유용한 정보의 조직 활용

교수매체로써 정보화 기술의 비 활용

유치원 운 역량

유치원의 효율 인 경 방법에 한 이해

유치원 경 에 있어서 시설 리의 이해

유치원 경 에 있어서 인사 리의 이해

유치원 경 에 있어서 재정 리의 이해

유치원 경 에 있어서 문서 리의 이해

유치원 재정 확보의 이해

유치원 회계에 한 이해

학 운 역량

유아와 정 인 계 형성

교실 운 과 리

유아 행동지도

학 운 련 문서 작성 리

외 련 공문서 작성 리

유치원 교원 양성

기 의 수업연한

수업연한의 4년 과정 단일화 방안에 한 찬성 정도 Likert식

유치원교사를 양성하는데 필요한 정 수업연한

선다형

유아교육과가 3년제 학과이기 때문에 졸업생이 받는 불이익(1, 2순 )

문 학 유아교육과의 수업연한을 4년 과정으로 단일화하기 하여 가장 시 하게 해결해야 할 과제(1, 2순 )

유아교육과 4년 과정 환과 동시에 유치원 교사 자격증을 연계하는 방안

4년 과정으로의 단일화 방안이 가져올 효과(1, 2순 )

4년 과정으로 단일화 방안이 추진될 경우의 문제 (1, 2순 )

3년제 유아교육과의 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졸업 후 진로

3년제 유아교육과의 학생들이 가장 많이 갖고 있는 교육포부수

3년제 유아교육과 졸업생이 4년제 학 취득을 목 으로 많이 활용하는 방법

3년제 유아교육과 교육과정과 4년제 유아교육학과 교육과정의 차이

3년제 유아교육과 교육과정과 4년제 유아교육학과 교육과정의 차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1, 2순 )

문 학 3년제가 4년 과정으로 바뀔 경우, 교사의 임

본 연구에서는 SPSS 18.0 통계 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 다. 첫째, 문 학

유아교육과 교육과정을 이수․졸업하 을 때 유치원 교사의 핵심역량의 정도에 한 Likert

4 척도에 따른 응답에 하여 t-test를 실시하 다. 둘째, 유치원 교원 양성기 의 수업연

한에 한 의견의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기 해서는 t-test x2검증을 사용하 다.

교사의 핵심역량에 근거한 문 학 유아교육과 수업연한

- 11 -

2. 심층 면담

문 학 유아교육과의 수업 효과를 조사하기 하여 문 학 유아교육과 학생, 유치원

교사, 유아교육과 교수, 유치원 원장 등을 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 다. 조사기간은

2010년 12월 1일부터 2011년 2월 10일까지이다. 학생 25명, 유치원 교사 25명, 유아교육과

교수 11명, 유치원 원장 6명을 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 다.

Ⅳ. 결과 분석

1. 문 학 유아교육과 졸업생의 유아교사 핵심 역량의 실제

가. 유아교육 제도 정책, 유아교육 행정조직에 한 이해 역량

문 3년제 유아교육과 졸업생의 유아교육 목표 이해 수 에 한 인식은 학생, 교사,

교사, 원장에게서 골고루 높게 평가되었다. 그리고 유아교육 법규와 제도에 한 이해, 유

아교육 정책에 한 이해에서의 핵심 역량에 한 평가는 학생은 다소 높게 평가하 으나

교사나 교수, 원장은 다소 낮게 인식하 다. 특히 앙 지방 교육 행정 조직에 한 이

해에 해서는 학생, 교사, 교수, 원장이 모두 낮게 평가하 다.

네 개 항목 모두 학생들이 가장 높은 척도의 평가 수를 보이고 다음은 교수, 교사, 원

장의 차례로 나타났다. 장의 교사나 원장보다 교육기 의 교수나 학생이 문 학 3년제

유아교육과 졸업생의 핵심 역량을 높이 평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나. 교직 인성 문성 개발 역량

문 3년제 유아교육과 졸업생의 교직 인성 문성 개발 역량에 한 인식의 정도

는 반 으로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치원 교사로서 바른 근무 자세 유지 항목

에서의 핵심역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인식했으며 나머지 항목들은 핵심역량의 정도가 비

슷하게 나타났다. 이는 문 학 3년제 유아교육과 졸업생이 유치원 교사로서 창의 이고

발 인 부분보다는 실 인 바른 근무 자세를 유지하는 역량이 다소 높게 나타난다고

해석할 수 있다.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8권 제3호

- 12 -

교직인성 문성 개발 역량 역에서 상별로는 학생들이 반 으로 가장 높은

수를 보 고 다음은 교사의 수가 높았다. 유치원 원장과 문 학 교수는 비슷한 수를

보 는데 학생과 교사에 비해서는 상 으로 그 인식의 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교직인성

과 문성 개발 역량 부문에서 그 당사자인 학생이나 교사보다 이들을 교육하고 리하는

교수나 원장의 입장에서 다소 부족함을 느끼고 있다고 해석된다.

심층 면담 결과에서도 문 학 유아교육과 졸업생이 유치원에 채용될 때, 가장 부족한

면에 해 유치원 원장들과 문 학 유아교육과 교수들은 교직 과 교사로서의 인성이라

고 다수가 지 하 다.

다. 학습자에 한 이해 역량

학습자에 한 이해 역량은 3개의 세부 항목으로 구성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 다. 각

항목별 핵심역량에 한 인식 정도는 유아발달의 개념 발달 이론의 이해, 유아의 신체,

언어, 인지, 사회, 정서 역의 발달 특성 이해 부분에서 높은 수가 나타났다. 상 으로

유아의 발달에 련된 개인 , 사회 문화 유인 이해 항목은 다소 핵심역량에 한 인식

이 낮게 나타났다.

상별로는 학생이 세 항목에 해 모두 가장 높은 수를 나타내었고 교사, 교수, 원장

은 모두 비슷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에 한 이해 역량의 지역별 변

인에서는 유아의 발달에 련된 개인 , 사회 문화 요인 이해 항목에서 교수의 인식 정

도가 역시보다 도 지역이 높은 것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 다.

심층 면담의 내용에서도 문 학 유아교육과 학생들과 유치원 교사들이 가장 요하게

생각하고 조 더 배웠으면 하는 과목이 유아의 발달과 심리에 한 내용이었다. 그리고

유치원 원장과 문 학 유아교육과 교수들도 장에 채용될 때, 가장 도움이 되는 과목이

유아의 발달과 심리에 한 과목이라고 의견을 밝혔다. 이를 통해서 유아교육에 련된 당

사자들이 유아교육 학습자에 한 이해 역량을 요하게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리고 설문조사 결과에서 학습자에 한 이해 역량이 가장 높은 척도 수를 나타나는 것

은 문 학 유아교육과의 교육 과정에서 이에 한 교육을 상 으로 많이 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라. 유아 교육과정에 한 이해 실행 역량

유아 교육과정에 한 이해 실행 역량의 각 항목에 한 수가 반 으로 높게 나

교사의 핵심역량에 근거한 문 학 유아교육과 수업연한

- 13 -

타났다. 그 에서도 유아교육과정에 한 이론 이해, 유아 각 교과 내용 지식 이해, 유아

건강 안 교과내용 지식 이해, 유아 놀이 교과 내용 지식 이해 항목에서 유아교육과 학

생들이 유아 교육 핵심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별 수 면에서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고 비슷한 인식을 보 으며 지역별로는 각

교과 내용 지식 이해 항목의 교수들의 인식에서 수도권보다 도 지역의 학생들이 핵심역량

을 더욱 많이 갖춘 것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 다. 그리고 유아 건강 안 교과 내용

지식 이해 항목의 학생의 인식에서 수도권보다 역시 학생들이 핵심 역량을 더 많이 갖

추고 있는 것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심층 면 에서도 학생, 교사, 교수, 원장 모두에게서 유아교육 교육과정을 이해하고 각

과목의 교육과정에 해 핵심역량을 갖추는 것이 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마. 교수학습과정 평가의 이해 활용 역량

교수학습과정 평가의 이해 활용 역량 역은 7개의 세부 항목으로 구성해서 설문

조사를 실시하 다. 각 항목에 한 핵심역량 척도 수는 반 으로 다른 역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역 내에서 교수-학습 방법과 교수-학습 환경 구성, 교수자료 활용 항목은

척도 수가 높았고 평가 방법 이해 실행, 평가 결과의 활용 면에서는 상 으로 척도

수가 낮았다. 상별로는 교사, 교수, 원장에 비해 학생들의 평가척도 수가 상 으로

높게 나타났고 교사, 교수, 원장의 인식 정도 차이는 크게 드러나지 않았다.

심층 면담에서도 학생, 교사, 교수, 원장 모두에게서 교수-학습 과정과 평가가 유아교육

장에서 필요한 요 핵심역량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교사와 교수는

개별화 교수-학습 과정과 평가에 한 교육이 더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 다.

바. 다학문 지식 이해 활용 역량

다학문 지식 이해 활용 역량 역은 두 항목으로 나 어 설문조사를 실시하 다.

각 항목에 한 수는 다른 역에 비해 매우 낮았다. 이는 문 학 유아교육과 졸업생

이 유치원에 채용될 때 다학문 지식 이해 활용 역량 면에서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

음을 나타낸다. 문 학 유아교육과 학생의 인식이 가장 높고 유치원 교사와 원장, 문

학 유아교육과 교수의 순으로 높게 인식하 다.

심층 면담에서도 문 학 유아교육과 교수는 교양 지식이 많이 쌓이면 결국 사고력이

발달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창의성과 응용력이 생겨나서 다양하고 생동감 있는 유아교육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8권 제3호

- 14 -

을 하게 된다고 의견을 밝히며 다 학문 지식의 요성을 밝혔다. 하지만 문 학 유아

교육과의 다 학문 지식 이해 활용을 한 교육이 짧은 수업 연한으로 인해 4년제

학에 비해 소홀히 교육되고 있음을 지 하 다.

사. 인 계 의사소통 역량

인 계 의사소통 역량은 6개의 항목으로 나 어 설문조사를 실시하 다. 인 계

의사소통 역량의 각 항목에 한 수는 체 으로 보통 수 으로 나왔다.

각 항목에 한 인식 정도를 살펴보면 교육 공동체 존 과 동료 교사와의 력 항목에

서는 높은 수가 나왔고 지역사회와의 력, 유아교육 지원 정책의 이해 달 항목에

서는 다른 항목에 비해 낮은 수가 나왔다. 상별 차이는 학생과 원장의 척도 수가 교

사와 교사에 비해 비교 높게 나온 것이 특징이다.

심층 면담에서 문 학 교수와 유치원 교사가 인 계 의사소통 역량을 향상하기

해 유아나 유아의 부모와의 문성 있는 의사소통을 해 상담 과목의 확장과 실습에

한 필요성을 제기하 다.

아. 정보화 소양 역량

정보화 소양 역량 역은 5개의 항목으로 분류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 다. 문 학 유

아교육과 졸업생의 정보화 소양 역량에 해서 조사한 설문조사의 결과는 다른 역에 비

해 척도 수가 비교 낮은 결과가 나타났다.

각 항목별 척도 수를 살펴보면 새로운 정보와 기술에 한 심, 폭넓은 정보 교류,

유용한 정보의 조직 활용에서는 상 으로 높은 수를 보 다. 반면 교육·행정·재정

업무 처리를 한 정보화 기술 이해, 교수매체로써 정보화 기술의 비 활용 역에서는

상 으로 낮은 수가 나타났다. 이는 일반 인 정보 활용 기술은 어느 정도 갖추고 있

으나 이에 한 교육 활용 면에서는 다소 역량이 낮다고 볼 수 있다. 정보화 소양 능력

에 한 상별 차이는 학생이 가장 높은 수를 나타내고 교사, 교수, 원장에서는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자. 유치원 경 과정에 한 이해 역량

유치원 경 과정에 한 이해 역량 역은 7개 항목으로 나 어 설문조사를 실시하

다. 유치원 경 과정에 한 이해 역량 역은 문 학 유아교육과 졸업생의 유치원 교

교사의 핵심역량에 근거한 문 학 유아교육과 수업연한

- 15 -

사 역량 에서 반 으로 가장 낮은 수 척도를 보 다.

각 항목별 차이는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재정 리나 재정 확보, 회계에 한

이해 부문이 다른 항목에 비해 상 으로 낮게 나타났다. 상별로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

지 않았다. 지역별로는 유치원의 효율 인 경 방법에 한 이해에서 학생의 경우 역시

가 수도권보다 높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 다.

차. 학 운 역량

학 운 역량 역은 5개의 항목으로 나 어 설문조사를 실시하 다. 문 학 유아교

육과 졸업생의 학 운 역량 역에 한 인식의 정도는 다른 역에 비해 다소 높은

수가 나타났다. 각 항목별 차이를 살펴보면 유아와 정 인 계 형성, 교실 운 과

리, 유아 행동 지도 역에서는 상 으로 높은 수가 나왔는데 학 운 련 문서 작

성 리, 외 련 공문서 작성 리 항목에서는 상 으로 낮은 수가 나왔다.

이는 문 학 유아교육과 졸업생들이 유치원 교사의 핵심 역량 학 운 역량에서

유아 지도 부분에 한 핵심 역량은 잘 갖추고 있으나 행정 인 학 운 역량 면에서는

다소 부족함을 보인다고 볼 수 있다.

상별로는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고 지역별 변인에서 약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유

아 행동 지도 역의 교사에게서 도 지역이 수도권보다 높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 고 교

수에게서 도 지역이 수도권과 역시보다 높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2. 문 학 유아교육과 정 수업연한

가. 문 학 3년제 유아교육과 학생들의 졸업 후 진로 학업 활동

3년제 유아교육과의 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졸업 후 진로에 한 응답은 학생(60.9%),

교사(60.0%), 교수(71.9%), 원장(71.6%)로 네 집단 모두 취업이라는 응답이 많았고 그 다음

으로 취업과 편입 병행이었다.

3년제 유아교육과 학생들이 가장 많이 갖고 있는 교육포부수 에 한 응답은 교사

(58.3%), 교수(73.0%), 원장(78.4%)은 학사학 의 응답이 가장 많은데 비해, 학생(48.7%)은

문학사 학 취득이 가장 많았다. 이를 통하여 원장과 교수는 3년제 유아교육과 학생들

의 교육포부수 을 실제 해당 당사자인 학생들과 교사들보다 높게 평가하고 있다는 것을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8권 제3호

- 16 -

알 수 있다. 이것은 한 유아교사의 질 향상에 한 기 감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심층 면담에서도 3년제 유아교육과 학생의 상당수가 그리 한 가정형편으로 생활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등록 에 한 부담감도 있고 빨리 취업을 해서 경제 활동을 해

야 하는 상황을 반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3년제 유아교육과 졸업생이 4년제 학 취득을 목 으로 가장 많이 활용하는 방법은 학

생(32.2%), 교사(42.3%), 교수(37.3%), 원장(40.5%) 모두 방송 학이나 사이버 학 3학년 편

입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학생(27.0%) 교사(34.3%)는 학 은행제를 이용한

학 취득이, 교수(32.2%) 원장(31.1%)은 문 학의 공심화과정을 이용한 학 취득의

순이었다. 유아교육과 졸업생이 4년제 학 취득을 목 으로 가장 많이 활용하는 방법은

방송 학이나 사이버 학 진학이었는데, 그 이유는 시간이 2년이나 걸리지만 취업을 한

상태에서 학 를 취득하기가 상 으로 용이하기 때문이다.

유아교육과가 3년제이기 때문에 졸업생이 받는 불이익에 해 가장 많은 의견은 4년제

학 편입 시 3학년에 편입하게 되므로 1년을 손해 보게 된다는 의견이었다. 그리고 학생

교사는 취업 후 4년제 학 졸업자와의 채용 시 불리, 임 격차 등 차별이라는 응답을,

교수 원장은 4년제 유아교육과의 비교우 로 경쟁력 감소라는 응답을 하 다.

이러한 의견은 심층 면 과정에서도 나타나는데 채용 과정에서 3년제 문 학 졸업자

의 경우 자격 조건으로 제한하는 경우가 많았고 4년제 유아교육과 졸업생에 해 가산

을 부여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리고 채용이 되더라도 직무 배정에서도 차이가 나타나는 것

으로 악되었다.

채용 과정에서 4년제 유치원만 지원할 수 있는 유치원도 꽤 많아서 면 볼 기회가 주어지

지 않은 경우도 많습니다. 아직까지 사회 인식이 3년제는 문 라는 안 좋은 인식이 있어서

4년제 졸업한 선생님들에 비해 문성이 부족한 교사라고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교사 18).

원장님이 사람을 채용하실 때 면 을 보면 3년제 보다는 4년제 나온 사람을 좋게 평가하시

고 3년제 보다는 많이 배우고 왔다고 생각하십니다. 그래서 면 시 러스 수의 요인이 작

용합니다(교사 19).

체로 규모가 크고 우수하다고 자부하는 유치원에서는 교사 채용에서 3년제 유아교육과 졸

업자보다 4년제 졸업자를 우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교수 2).

4년제만을 채용하는 기 이 있고 이 기 은 3년제를 채용하지 않거나 보조교사로 채용하기

때문에 단순 여의 차이가 아니라 채용이 되느냐 안 되느냐의 차이가 크다고 니다. 즉 여

보다 문이 열려지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교수 5).

3년제와 4년제 졸업 후 유치원에 채용될 때, 차이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선 처음 면 을

볼 때부터 학교 이야기가 가장 먼 나오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면 에서 3년제라는 이유로

떨어지는 경우도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학생 12).

교사의 핵심역량에 근거한 문 학 유아교육과 수업연한

- 17 -

면담 결과에서 나타나듯이 채용과정에서의 3년제와 4년제 유아교육과 졸업자에 한 차

이에 한 인식은 유치원 원장보다는 유치원 교사나 문 학의 교수, 학생에게서 뚜렷하

게 나타났다. 이는 앞으로 채용을 앞두고 있는 문 학 유아교육과 학생들과 이들의 채용

을 목 으로 교육하는 문 학 교수에게서 더욱 큰 부담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

다. 채용 자격에서 3년제 문 학 졸업자를 제한하는 경우가 많았고, 채용을 하더라도 정

교사나 부교사 등의 직무 배정에서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채용 과정에서

4년제 유아교육과 졸업생에 해 가산 을 부여하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나. 문 학 3년제 유아교육과와 4년제 유아교육과의 교육과정 차이

3년제 유아교육과 교육과정과 4년제 유아교육과의 교육과정 차이에 한 응답 학생

(40.0%) 원장(39.2%)은 공지식 정도 심화 련 교과목이라는 의견이, 교사(41.4%)

교수(51.7%)는 인성 등 일반 교양지식 정도 함양 련 교과목이라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유치원 원장들과의 심층 면담에서도 4년제 유아교육과 출신 교사와 3년제 유아교육과

출신의 채용 당시 공과목의 이론 인 측면에서 차이가 남을 밝혔다. 그리고 문 학 교

수들도 교양지식의 수 과 사고력의 장 응력, 문제 해결력 등에서 차이가 나는데 이는

교육과정의 차이로 인함이라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유치원 교사들도 다양한 교양 지식

과 유아교육에 한 문 지식에서 4년제 유아교육과를 졸업한 학생들이 유아교사의 핵심

역량을 더 많이 갖추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3년제 유아교육과와 4년제 유아교육과의 교육과정 차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1순 )에

한 응답 학생(25.9%), 교사(35.0%), 교수(52.2%)는 인성 등 일반 교양지식 함양 강화라

는 의견이, 원장 (51.7%)은 교직성향 강화를 한 교직 련 지식 강화라는 의견이 가장 많

았다. 그리고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2순 )에 한 응답 학생(31.7%)은 학사학

공심화과정 도입이라는 의견이, 교사(33.8%)는 문 공지식 강화라는 의견이 많았

고, 교수(31.5%)는 직업기 능력( 인 계, 자기개발 등) 련 교과목 개설 강화라는 의견

이, 원장은 실습 실무능력 강화를 통한 장 응능력 향상(28.4%)과 문 공지식 정도

강화(28.4%)라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이러한 의견은 심층 면 에서도 나타나는데 유치원 원장이 채용 당시 교사들에게서 가

장 느끼는 부족함은 교사로서의 사명감과 인성, 그리고 역량임을 주장하 다. 특히 핵심

역량 차이의 내용에서는 4년제를 졸업한 유아교사가 채용 시에 공과목의 이론 측면,

교양 인 측면에서 다양한 지식을 가지며 유아들과의 상호작용이나 학부모 상담 시 인간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8권 제3호

- 18 -

계 능력에서도 차이가 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문 학 교수들도 이 에 해서 동의

하면서 교육에 한 지식의 필요성과 유아교육 교수-학습 평가 과정에 한 실제 인

지식을 갖추기 한 교육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 다. 유아교육과정을 이해하고 이에

따른 교수-학습을 계획하고 실시하는 과목이 요하다는 의견들도 교수, 학생, 원장, 교사

에게서 반 으로 나타났다.

개인별 성격이나 성향의 차이는 있겠지만 체 으로 3년제와 4년제, 학별로 약간의 차이

는 있습니다. 4년제 학을 나온 교사들은 학교 때 공에 해서 더 깊이 있는 수업, 다양한

수업을 들을 수 있어서 창의 연구에 한 열의가 더 있습니다(원장 1).

물론 학 을 운 하는 역량 면에서 조 씩 차이가 나타나는 것 같아요. 유아들의 연령 특성

등 문 인 지식을 가지고 유아들을 지도하고 상호작용하여 유아들의 반응이 다르게 나타나며

특히 학부모와의 상담 시 더욱 큰 차이가 나타납니다(원장 2).

이론 배경이 4년제가 더 좋을 것 같습니다. 한 교양 인 측면에서 더 다양한 지식을 가

진 것 같습니다(원장 4).

처음에는 3년제 출신이 더 잘한다고 합니다. 장 응과 기술 주로 배우고 나왔기 때문에

이론 심으로 배우고 나온 4년제가 기에는 더 못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기

술과 장에 한 이해가 어느 정도 경력에 따라 커버되면 사고의 힘이 강하고 문제해결력이

높은 4년제 교사들이 더 잘하게 된다고 합니다(교수 5).

3년제 유아교육과 교육과정과 4년제 유아교육과의 교육과정 차이와 이를 해결하기 한

방안으로는 공지식 심화 련 교과목, 인성 등 일반 교양지식 함양 련 교과목을 개설

하는 등의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었다. 문 학 유아교육과의 교육과정 개편을 해서는

재의 수업연한으로는 부족하기 때문에 수업연한의 연장이 불가피하다고 할 수 있다.

다. 문 학 유아교육과의 정 수업연한과 과제

문 학 유아교육과의 2년제 는 3년제 수업연한을 4년으로 단일화하는 방안에 한

찬성 의견은 4.00 만 에 학생 3.44, 교사 3.14, 교수 3.46, 원장 3.34로서 네 집단 모두

간보다 다소 높은 인식을 보여주었다. 이는 학생 집단에서 지역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 는데, 사후검증 결과 도지역보다 수도권이 상 으로 높은 응답을 보여주었다.

문 학 유아교육과의 수업연한을 4년 과정으로 단일화하기 해 가장 시 하게 해결

해야 할 과제에 한 응답 교사 ․교수 ․원장은 사립유치원 교사의 처우를 국공립 교사수

으로 개선하는 것이라는 응답을, 학생은 3년제와 4년제의 교육과정 표 화 작업 시행이

라는 응답을 하 다. 2순 로 교사 ․교수 ․원장은 유아교육의 공교육화 실 이라는 응답을,

교사의 핵심역량에 근거한 문 학 유아교육과 수업연한

- 19 -

학생은 사립유치원 교사의 처우 개선이라는 응답을 하 다. 문 학 3년제가 4년 과정으

로 바뀔 경우, 교사의 임 수 에 한 응답 학생(63.5%) 원장(52.7%)은 1년의 수학

기간이 늘었으므로 1호 을 인상하여 지 하는 방안을 주장하 고, 교사(52.1%) 교수

(63.5%)는 유아교육의 요성과 교사라는 직업의 안정성은 불가분의 계이므로 이 시기에

기본임 의 극 인 인상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심층 면담에서도 유치원 원

장들은 임 실화를 국가 수 의 지원이 필요함을 밝혔다. 교사 ․교수 ․학생들도 수업연

한의 연장에 따른 문 학 유아교육과 학생들의 등록 인상에 한 책과 사립유치원

교사들에 한 임 복지를 개선하는 것이 우선 으로 필요함을 피력하 다.

문 학 유아교육과가 4년 과정으로 환됨과 동시에 유치원 교사 자격증을 연계하는

방안에 한 응답에서는 네 집단 모두 과반수(학생 55.2%, 교사 51.1%, 교수 82.4%, 원장

56.8%)가 문 학 유아교육과가 4년 과정으로 일 환하며 졸업과 동시에 정교사 자격

증을 부여하는 방안을 선택하 다.

4년 과정으로의 단일화 방안이 가져 올 효과(1순 )에 한 응답 학생(54.0%) 교사

(63.2%) 집단은 과반수가, 교수(83.1%) 원장(79.7%) 집단은 부분이 유아교육 유치원

교사의 질 향상이라는 응답을 하 다. 4년 과정으로의 단일화 방안이 가져 올 효과(2순 )

에 한 응답 학생은 문 학과 4년제 학 출신 간 차별과 화감 약화(30.7%)를, 교

사 원장은 교사의 사회 지 상승(각 29.8%, 31.1%), 교수 원장은 부모와 지역사회

의 교사에 한 신뢰감(각 39.4%, 31.1%)이라는 응답을 하 다. 심층 면담에서도 4년제 단

일화에 찬성하는 이유로 유치원 원장은 교사의 문성 신장과 학부모의 인식 변화 고, 유

치원 교사도 문성 신장과 학부모의 인식 변화, 국공립 유치원과의 교수 임 차별 해소

를 이유로 들었다. 문 학 교수들은 취업 과정에서의 차별 해소와 문 학과 교수들의

상이 높아질 것에 한 기 를 이유로 들었고, 학생들은 취업 시 차별이 없어질 것에

한 기 로 찬성하 다.

4년 과정으로 단일화 방안이 추진될 경우의 문제 (1순 )에 한 응답에서는 네 집단

모두(학생 52.2%, 교사 60.1%, 교수 55.6%, 원장 62.2%) 과반수가 교사들의 처우 개선이 이

루어지지 않는다면 단일화는 의미 없다는 응답을 하 다. 4년 과정으로 단일화 방안이 추

진될 경우의 문제 (2순 )에 한 응답에서는 교사(37.6%) 원장(35.1%)은 수업연한 단

일화보다 교사 문성 향상, 교육력 제고를 한 연수 시스템이 우선 강화되어야 한다는

응답을, 학생(30.1%)은 교사 채용 시 문 학 4년 과정 졸업자 비선호로 인한 구직난 가

을, 교수(27.0%)는 4년제 학과정을 선호하기 때문에 문 학 유아교육과에 진학하지 않

으려는 경향을 들었다. 심층 면담에서도 4년제 단일화 방안의 문제 으로 유치원 원장은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8권 제3호

- 20 -

임 교사의 인건비 상승으로 인한 문제를 들었고, 유치원 교사들은 수학기간 연장에 따른

학비 부담을 제기하 다. 문 학 교수들은 4년제 단일화 과정에 해 학생 정원을 조정

하고 교육과정을 조 하는 것과 4년제 일반 학과의 차별성 문제, 같은 학 타 공과의

차별성 문제와 학생 유치 문제 등의 문제를 들었다.

V. 유아교사의 핵심역량 향상을 한

정 수업 연한 운 방안

1. 유아교사의 핵심역량 향상을 한 문 학 유아교육과의 교육 방향

문 학 3년제 유아교육과 졸업생이 유치원에 취업할 때 유아교사로서 가지는 핵심역

량에 한 설문조사와 심층 면담을 통해, 다음과 같은 문 학 유아교육과의 교육방향을

설정하 다.

가. 핵심역량의 역별 검토를 통한 문 학 유아교육과의 교육 방향

문 학 3년제 유아교육과 졸업생의 핵심역량을 역별로 검토해 볼 때, 학습자에 한

이해 역량과 유아 교육과정에 한 이해 실행 역량, 교수-학습 과정 평가의 활용 역

량 역에서 높은 핵심역량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다학문 지식 이해

활용 역과 유치원 운 역량 역에서 가장 낮은 핵심역량을 갖추고 졸업을 하는 것

으로 드러났다.

3년제 유아교육과의 교육과정에서 유치원 교사로서의 핵심역량을 높은 수 에서 갖추기

해서는 다학문 지식 이해 활용 역과 유치원 운 역량 역에 한 수업이 강화

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해서는 문 학 유아교육과의 교양 과목을 다양하게 개설하여

야 한다. 유치원 경 의 이해 역량 면에서는 특히 교직 과목에서 유치원 재정 회계에

한 과목의 요성이 강조되어야 한다.

의 두 역 외에도 유아교육 정책, 유아교육 조직에 한 이해 역량, 교수-학습 평가의

이해 활용 역량, 유치원 경 에 한 반 인 내용에서 낮은 수를 보 다. 따라서

유치원 교사의 핵심역량 향상을 해 문 학 유아교육과 교육과정에서 이들 과목에

교사의 핵심역량에 근거한 문 학 유아교육과 수업연한

- 21 -

한 시간을 늘리는 심층 인 교육이 필요하다. 이러한 유아교사의 핵심역량을 갖춘 졸업생

을 배출하기 해서는 교육과정 개선과 수업 연한의 연장이 필수 이다.

나. 핵심역량의 상별 검토를 통한 문 학 유아교육과의 교육 방향

문 학 3년제 유아교육과 졸업생의 핵심역량에 해 설문조사한 내용을 학생, 교사, 교

수, 원장 별로 검토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 유아교육 제도 정책, 행정조직에 한 이해 역에서는 학생-교수-교사-원장의

순으로 수가 낮아졌다. 교직 인성 문성 개발 역량에서는 학생-교사-교수-원장의 순

으로 수가 높았고, 학습자에 한 이해 역량 역에서는 학생-교수-교사-원장의 순으로

수가 높았다. 유아 교육과정에 한 이해 실행 역량에서는 학생-교수-교사-원장 순으

로 수가 높았고, 교수-학습 과정 평가의 이해 활용 역량 역에서는 학생-교사-원

장-교수 순으로 수가 높았다. 다학문 지식 이해 활용 역에서는 학생-교사-원장-교

수 순으로 나타났고, 인 계 의사소통 역량 역에서는 학생-원장-교사-교수 순으로

나타났다. 정보화 소양 역량 역에서는 학생-원장-교사-교사 순으로 나타났고, 유치원 경

과정 이해 역량 역에서는 학생-원장-교수-교사 순으로, 학 운 역량 역에서는 학생-

원장-교사-교수 순으로 나타났다.

종합해 볼 때, 문 학 유아교육과 졸업생의 유치원 취업 시 유아교사 핵심역량에 해

서 학생 자신이 가장 높게 인식하 고, 유치원 원장과 교수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문성의 측면과 채용의 측면에서 학생과 교사보다 더 객 인 입장에 있는 문 학

교수나 유치원 원장의 의견을 보면, 먼 교수들은 재 3년의 교육과정으로는 유치원 교

사로서 핵심역량을 충분히 갖춘 교사로 교육하기에 부족함을 인식하고 있다. 유치원 원장

도 문 학 3년제 유아교육과 출신 교사의 유치원 교사 핵심역량에 해 부족함을 느끼

고 있다. 따라서 문 학 유아교육과에서는 졸업생의 유아교사 핵심 역량 강화를 해 심

화된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2. 문 학 유아교육과를 정 수업연한으로 운 하기 한 방안

가. 문 학 유아교육과의 독창 교육과정 개발

설문조사와 심층 면담 결과 유아교육과 교수와 학생, 유치원의 원장과 교사는 반 으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8권 제3호

- 22 -

로 유아교육과의 수업연한을 4년제로 단일화하는 것에 해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 학 유아교육과가 4년으로 수업연한이 조정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결과로는 교사의 핵

심역량 강화를 통하여 유아교육의 질이 향상될 것에 한 기 감이 가장 높았다. 그 외에

도 문 학과 4년제 학 출신 간 차별과 화감 약화, 취업 과정에서의 차별 해소, 학부

모나 지역사회의 신뢰감 형성 등의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정 인 상을 하고 있었다.

문 학의 유아교육과가 4년제로 환하는 데 가장 우려되는 것 가운데 하나는 4년제

에 비해 수업연한과 학비 부담 등에서 차이가 없어지면서 학생 수 에 곤란을 겪게 되리

라는 이다. 문 학은 수업연한 연장과 동시에 문 학 자체만의 독창 이고 우수한

교육과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설문조사에서도 문 학 유아교육과가 4년제로 수업연한

을 조정하기 해 가장 시 하게 해결해야 할 과제 가장 첫 번째가 표 화된 교육과정

마련의 필요성을 제기하 다.

유아교육과의 교육과정은 교사의 역량을 결정하는 요한 요소이다. 유아교육과 교육과

정은 교양과목을 포함해 국가 자격증 취득에 요구되는 과목으로 구성된다. 즉 학 자체의

편성에 의한 공과목과 교육과학기술부가 정한 교원검정기 에 의해 자격 취득에 필요한

과목 이수 규정에 의해 교직 공과목으로 편성된다. 재 3년제 유아교육과의 총 개설

학 은 120∼148학 의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평균 130학 을 개설하 다. 4년제 학 유

아교육과와 비교하면 교양과정의 비 이 낮고 공과정의 비 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문 학 유아교육과는 유아교사 핵심역량을 고려하여 4년제 수업연한에 합한 교육과

정을 개발하여야 한다. 즉 다학문 지식의 활용과 사고력과 교수-학습 과정에서의 창의력

을 신장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운 하여야 한다.

유아교육기 의 표 화된 교육과정을 고려하여 문 학 유아교육과는 자신만의 강 을

가질 수 있는 독창 인 교육과정 개발이 필수 이다. 심층면담에서 문 학 유아교육과

교수나 학생들은 유아교육과의 수업연한이 4년으로 단일화된다면 인지도가 높은 기존의

일반 학 유아교육과로 학생들의 지원이 집 될 가능성을 우려하 다. 따라서 문 학 유

아교육과가 그 존재성을 확보하려면 국가 수 의 표 교육과정 외에 그 학만의 독창

인 교육과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를 해 수요자인 유아들과 학부모의 요구를 충족시

키기 한 핵심역량을 가진 유아교사를 양성할 수 있는 교육과정 개발과 실행이 필요하다.

나. 문 학 입학 정원 조정과 교수확보율 조정

문 학 유아교육과를 4년제로 운 함으로써 얻는 효과 가장 큰 것은 유치원 교사

교사의 핵심역량에 근거한 문 학 유아교육과 수업연한

- 23 -

의 우수성과 문성 향상이다. 유아 교사의 우수성 문성은 유아교육의 질 향상을

불러오게 된다(신은수, 2007). 하지만 문 학 유아교육과가 재의 입학 정원을 그 로

유지하면서 4년제로 수업연한이 연장된다면 비 유아교사는 계속 늘어날 것이고, 수 불

균형으로 인해 교사 취업이 어려울 뿐 아니라 교사에 한 우도 악화될 것이다. 따라서

문 학 유아교육과의 수업연한 연장과 함께 학생 정원을 감축하고 교수확보율을 4년제

수 까지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설문조사에서도 유아교육과가 4년제로 화되면서 가장

시 하게 해결해야 할 과제는 교사의 처우 개선, 교육과정 표 화, 교수확보율 제고 순이

었다. 이러한 의견은 심층면담에서도 나타났다.

2009년 문 학의 입학 정원은 8,574명으로 4년제 학의 4.5배에 달한다. 졸업생의 취

업률을 보면 문 학 유아교육과 졸업생은 91.8%, 일반 학 유아교육과 졸업생은 79.1%,

체 85.5%이다(교육통계서비스, 2009). 유아교육과 졸업생의 취업률은 타 학과 졸업생의

취업률보다 상당히 높은 편이다. 그러나 부분 문 학 유아교육과를 졸업한 취업자가

사립유치원이나 보육시설에 취업하는 것을 감안하면, 앞으로 4년제로 단일화할 경우 재

의 임 과 복지로는 투자 비 수익률이 히 낮아진다. 이에 한 책이 필요하다.

2010년 국 문 학 유아교육과 학과장 51명을 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의하면, 조사

상의 56.9%(29명)가 ‘유아교육 교사의 수 망에 따라 조정’하는 방안에, 29,4%(15명)가

‘ 재 정원의 1/4로 조정’하는 방안에 찬성하여 단일화에 따른 정원 감축조정의 불가피성

을 수용하고 있다. 입학 정원의 조정 방식은 진 으로 지역별 유아수, 취원율, 교사수

요를 고려하고, 학별로 유아교육과를 다른 학과로 개편하는 노력 등을 통하여 진 정

원 조정 방향을 제시하 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4년제 단일화와 유아교육과 정원 조정 방

안이 함께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문 학의 교수 확보율도 함께 조정되어야 할 과제이다. 문 학 임교원 1인당 학생

수는 54.6명인데, 이는 4년제 일반 학의 36.4명과 비교할 때 큰 차이를 보인다. 임교원 1

인당 학생수는 요한 교육지표라는 을 고려할 때, 문 학 유아교육과가 4년제 학의

유아교육과에 비해 교육여건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다. 유치원 교사의 보수와 복지에 한 행·재정 지원 강화

교원의 보수는 우 되어야 한다고 각종 법률과 규정을 통해 밝히고 있지만, 실제로는 그

지 못하다. 교원의 수 은 같은 학력의 타 직종에 비해 상 으로 미흡하다고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교원의 사기가 하되고 있다(윤정일 외, 2002). 사립유치원의 경우는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8권 제3호

- 24 -

그 보수와 복지가 더욱 열악하다. 따라서 장기 으로 유아교육의 발 과 유아교육 교사의

질 향상을 해서 사립유치원에 한 재정 지원은 강화되어야 한다.

이 연구의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에서도 볼 수 있듯이 유아교육과의 4년제 단일화가 추진

되었을 때 제기되는 가장 요한 문제 에 하나가 유치원 교사에 한 처우 문제이다.

재의 사립유치원 교사에 한 보수와 복지로는 4년제 유아교육과를 지원하는 학생들에게

충분한 지원 동기를 부여하지 못한다. 물론 교직은 성직 인 속성을 가지고 있으며, 교

사를 지원하는 사람은 보수나 복지보다 학생들을 사랑하고 교육하는 보람을 요하게 생

각해야 하는 측면도 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교직도 직업이고 경제 효율성 측면에서도

고려되고 있다. 따라서 유아교육을 담당하는 우수한 교사 자원을 확보하려면 재 사립유

치원 교사의 보수와 복지를 차 으로 개선하여 공립 유치원 교사의 수 까지 도달하도

록 하는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Ⅵ. 결 론

교사의 핵심역량에 근거한 문 학 유아교육과의 수업연한에 한 연구를 통하여 다음

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제도 검토, 직업 사회의 변화와 외국 사례의 종합, 국내 문 학 유아교육과의

황 등을 고려할 때 문 학 유아교육과의 수업연한에 한 조정이 필요하다. 문 학

의 수업연한에 한 법률 제한은 문 학의 자율권을 억제하고 있다. 외국의 경우 문

학이 표 인 고등직업교육기 으로서 산업 장에서 요구하는 문기술인력을 양성하

고 학생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해서 1~4년에 걸친 유연한 수업연한을 운 하고 있었다.

문 학의 교육과정을 보면, 교양과목 학 이 4년제 일반 학교보다 25학 이나 었다.

충분한 교양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유아교육과의 수업연한을 조정하여야 한다.

둘째, 문 학 3년제 졸업생의 유아 교사로서 핵심역량을 고려했을 때 문 학 유아교

육과의 수업연한은 연장되어야 한다.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통해 문 학 3년제 유아교

육과 졸업생의 핵심역량을 역별로 검토해 볼 때, 다학문 지식 이해 활용 역과 유

치원 운 역량 역에서 비교 낮은 핵심역량을 갖추고 졸업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3

년제 문 학 유아교육과의 교육과정에서 유치원 교사로서의 핵심역량을 더욱 높은 수

에서 갖추기 해서는 다학문 지식 이해 활용 역과 유치원 운 역량 역에 한

교사의 핵심역량에 근거한 문 학 유아교육과 수업연한

- 25 -

수업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해서는 문 학 유아교육과의 교양과목을 다양하게

개설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유치원 경 의 이해 역량 면에서는 특히 유치원의 재정 확

보와 리, 유치원 회계 부분에 한 이해도가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교직

과목에서 그에 한 과목의 요성이 강조되어야 한다. 따라서 재의 교육과정보다 질

인 면과 양 인 면에서 더욱 심화된 교육과정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이해 당사자의 수업연한에 한 의견을 고려했을 때 문 학 유아교육과는 4년제

로 환하여야 한다. 문 학 유아교육과의 정한 수업연한의 설문조사 결과에서 4년 단

일화 방안이 가장 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 학 유아교육과 3년제를 졸업한 졸업생들

은 상당수가 졸업이나 취업 후에도 학사학 취득을 한 학업을 계속 원하고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그 원인은 취업시의 차별이나 임 등의 우에 한 차별을 극복하기 함

이라고 볼 수 있다. 3년제 유아교육과 교육과정과 4년제 유아교육과의 교육과정 차이와 이

를 해결하기 해서는 인성 등 일반 교양지식 함양 강화와 교직성향 강화를 한 교직

련 지식 강화가 필요하다. 이러한 교육과정 개편을 해서는 재의 수업연한으로는 불가

능하므로 수업연한의 조정이 불가피하다고 할 수 있다.

넷째, 문 학 유아교육과의 수업연한을 4년제로 운 하기 해서는 다음 사항들을 고

려하여야 한다. 먼 유아교육기 의 표 화된 교육과정을 고려하여 문 학 유아교육과

는 자신만의 강 을 가질 수 있는 독창 인 교육과정 개발이 필수 이다. 유아교육과의 수

업연한이 4년으로 단일화되면 인지도가 높은 기존의 일반 학교 유아교육과로 학생들의

지원이 집 될 가능성이 높다. 이와 같은 실에서 문 학 유아교육과가 그 존재성을 확

보하려면 국가 수 의 표 교육과정 외에 그 학만의 독창 인 교육과정을 개발할 필요

가 있다. 이를 해 장에서 필요로 하는 교사의 핵심역량을 연구하고 수요자인 유아들과

학부모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한 핵심역량을 가진 유아교사를 양성할 수 있는 교육과정

개발과 실행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문 학의 교수확보율을 4년제 수 으로 높일 필요가

있다. 결국 교수확보율은 학생 정원과도 상 이 있다. 한 학생 정원은 유아교사 취업률

과도 직 인 련성이 있으므로 수업연한 에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유

아교육과의 4년제 단일화가 추진되었을 때 제기되는 가장 요한 문제 에 하나가 유치

원 교사에 한 처우 문제이다. 따라서 유아교육을 담당하는 우수한 교사 자원을 확보하려

면 재 사립유치원 교사들의 보수와 복지를 차 으로 개선하여 공립 유치원 교사의 수

까지 도달하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한 연구 과제를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핵심역량을 4년제 학교의 졸업생과 비교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8권 제3호

- 26 -

구는 유아교사의 핵심역량을 3년제 문 학 졸업생만을 상으로 조사하 다. 단일 표본

으로 핵심역량을 연구하 기에 일반 학 4년제 유아교육과 졸업생과의 핵심역량에 한

비교를 하지 않았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 유아교사의 핵심역량을 3년제 문 학을 졸업

한 유아 교사와 4년제 일반 학을 졸업한 유아 교사를 비교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보육교사 자격과의 연 성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유아교사가 되기

한 수업연한을 4년으로 일원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문 학 유아교육

과 수업 연한 연장은 궁극 으로 유아교육의 질을 향상하기 함이다. 그런데 재 유아교

사 자격과는 별개로 보육교사 자격이 있고 보육교사의 자격만으로도 유아를 가르치는 자

격이 주어진다. 이는 수업 연한의 측면이나 교육과정의 운 측면, 유아교사의 핵심역량

측면에서도 다각 으로 검토해야 할 문제이다. 따라서 이에 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앞으로 문 학 유아교육과에서 특성화를 해 운 할 독창 교육과정에 한

연구가 필요하다. 교직과목과 공과목의 학 이수기 은 2009학번부터 문 학과 4년제

학 그리고 등학교 교사양성 학에 동일하게 용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재 유

아교육과의 표 교육과정을 개발 이다. 표 교육과정을 마련하더라도 각 문 학 유아

교육과에서는 유아교사의 핵심역량 강화를 한 해당 학 자체만의 독창 인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핵심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각 학의 독창 교육과정 마련

을 한 연구가 필요하다.

교사의 핵심역량에 근거한 문 학 유아교육과 수업연한

- 27 -

▣ 참 고 문 헌 ▣

김병주(2000). 행정 심의 교육 풍토, 김호권 외 엮음. 학교가 무 지면 미래는 없다. 교육과학사.

김병주, 조형숙(2011). 만 5세 공통교육과정 도입을 한 법 , 재정 가능성 검토. 한국교육개발원.

나정(2001). 유아교육의 기능변화와 교원양성정책. 교육이론과 실천. 11(2).

박은혜(2006). 유아교사 측면에서 본 학제개편. 유아교육 표자연 제2차 정책토론회. 서울.

성병창 외(2009). 교사의 핵심역량에 한 교육공동체의 인식 조사. 수산해양교육연구. 21(1). 78-95.

신은수(2007). 유치원 교사의 자격기 요구 지원과제. 교육력 제고를 한 교사자격기 개선 정

책 워크 . 한국교육발원.

양옥승(2002). 유치원교사 양성체제와 유아교육의 문선 신장. 한국교원교육연구, 19(1).

윤정일(2000). 교육재정의 이론과 실제. 세 사.

윤정일(2002). 학교조직과 교사. 윤정일 외 편. 훌륭한 교사가 되는 길. 서울: 교육과학사.

이경진 외(2009). 등교사의 핵심역량 수 교직경력별 핵심역량 수 차이 분석. 한국교원교육

연구. 26(3).

이정표(2010). 문 학 교육의 국제화 방안. 문 학 교육의 경쟁력 제고 국제화방안 세미나. 한

국 문 학교육 의회.

이희경(2010). 문 학 유아교육과 황과 학제 개편의 필요성. 유아교육선진화 방안: 2010년 한국

문 학유아교육과교수 의회· 유아교육학회 토론회(2010. 2. 18). 한국 문 학교육 의회.

조형숙 외(2004). 유아교육의 문성 신장을 한 유아교사 양성체제 확립 방안. 유아교육론집

8(4).

한국 문 학교육 의회(2009). 2009학년도 문 학 교육지표.

황은희 외(2008). 등교사의 실천 교수역량에 한 자기평가와 문가평가의 비교연구. 교육평가

연구 21(2).

International Affairs Office, U.S. Department of Education. (2008, February). Structure of the U.S.

Education System: Associate Degree. Washington, DC: Author.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8권 제3호

- 28 -

ABSTRACT

The Years for Gradu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in

Junior Colleges based on Core Competencies of Teachers

Kim, Byoung-Joo (Yeungnam University),

Park, Seung-Tae (Gyeongsan First Colle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years for gradu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in junior colleges based on core competencies of teacher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following methodologies were adopted.

1) Review of the related literatures, statistical data, and previous studies concerning the

years for gradu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and core capacities of

teachers.

2) Interview with teachers and principals of kindergartens and professors of junior colleges

majo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3) Survey about the years for gradu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and

core capacities of teachers. The subjects of survey was professors and college stud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and teachers and principals of kindergartens.

Based on the analysis and discussion, the conclusions and further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years for gradu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in junior colleges

should be adjusted based on institutional analysis, change of vocational society, foreign

cases, and current condition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in junior colleges.

Second, the years for gradu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in junior colleges

should be extended based on core capacities as kindergarten teachers of graduates of junior

colleges.

Third, the years for gradu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in junior colleges

should be extended based on the results of survey.

Fourth, In order to extend the years for gradu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in junior colleges, following matters should be considered: development of

unique curriculum, employment of more professors, and improvement of rewards of

kindergarten teachers.

Key words: Years for Gradu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Junior College, Core Competencies of Teac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