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목 차 - council.jp.go.krcouncil.jp.go.kr/CLRecords/Files/FileAppendix/a4/A002252.pdf · 행복학습 공동체 운영 : 180백만원 (지특 162, 군비 18) - 행복학습 거점센터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목 차 - council.jp.go.krcouncil.jp.go.kr/CLRecords/Files/FileAppendix/a4/A002252.pdf · 행복학습 공동체 운영 : 180백만원 (지특 162, 군비 18) - 행복학습 거점센터

2016년 주요업무계획

Page 2: 목 차 - council.jp.go.krcouncil.jp.go.kr/CLRecords/Files/FileAppendix/a4/A002252.pdf · 행복학습 공동체 운영 : 180백만원 (지특 162, 군비 18) - 행복학습 거점센터

목 차

Ⅰ. 기본현황

Ⅱ. 2015년도 성과평가 및 시사점

Ⅲ. 2016년도 비전 및 전략목표

Ⅳ. 전략목표별 핵심과제 1. 창의적인 미래도시, 지역발전 기반 구축 2. 열정적인 학습도시, 사람중심 증평 건설 3. 함께하는 지식도시, 군민친화 도서관 육성

Ⅴ. 신규 및 현안사업

Page 3: 목 차 - council.jp.go.krcouncil.jp.go.kr/CLRecords/Files/FileAppendix/a4/A002252.pdf · 행복학습 공동체 운영 : 180백만원 (지특 162, 군비 18) - 행복학습 거점센터

Ⅰ. 기 본 현 황

11 조직 및 인력 (3팀 14명)

미래전략과장

미래전략팀(4) 평생교육팀(3) 도서관팀(6)

21 주요업무

미래전략팀

∙미래전략 시책 발굴

∙각종 공모사업 총괄

∙지역균형발전사업 기획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 기획

∙지역행복생활권사업 기획

∙창조지역사업 발굴 및 시행

∙생산성향상 시책 추진

평생교육팀

∙교육지원정책 수립 및 지역 인재육성 지원

∙평생학습관 운영 및 프로그램 활성화

∙군민 장학회 운영 및 명문학교 육성

∙학교 교육지원 추진

도 서 관 팀

∙군립도서관 운영 및 프로그램 활성화

∙군립도서관 시설 관리

∙작은도서관 운영

∙독서 진흥시책 추진

Page 4: 목 차 - council.jp.go.krcouncil.jp.go.kr/CLRecords/Files/FileAppendix/a4/A002252.pdf · 행복학습 공동체 운영 : 180백만원 (지특 162, 군비 18) - 행복학습 거점센터

Ⅱ.Ⅱ.Ⅱ. 2015년도 성과평가 및 시사점 성과평가 및 시사점 성과평가 및 시사점

2015년 성과와 반성

잘 된 점

❍ 제2단계 지역균형발사업의 내실 있는 추진으로 성과 창출

- 지역균형발전 전략사업 실적 평가 1위(2년 연속)

- 지역균형발전 공모사업 선정 평가 1위(3년 연속 선정)

❍ 지역발전 및 생활권정책 선도, 신규사업 적극 발굴

- 지역발전사업평가 우수 지자체 선정(2년 연속)

- 행복마을만들기 콘테스트 국무총리 및 2년 연속 장관상 수상

- 일반농산어촌개발(시․군자율편성) 신규사업 선정(7건) : 7,658백만원

- 생활권 선도사업 선정(2건) : 1,167백만원(농어촌473, 중추도시694)

❍ 평생학습공동체 기반 구축 및 활성화

- 2015 지역평생교육 활성화 지원 공모사업 선정 : 31.5백만원

❍ 군립도서관을 지식․문화․학습이 있는 복합문화공간화

- 2014년 4월 개관 이후 누적 이용자수 : 43만명 달성

미흡한 점

❍ 지역균형발전사업 추진 성과에 대한 대민 인지도 향상 시책 미흡

❍ 군민 교육수준 지속 향상을 위한 보다 다양한 정책 발굴 필요

시 사 점

❍ 지역발전사업의 파급력 대민 홍보 강화

❍ 지역 평생교육 활성화 프로그램의 체계화

❍ 군립도서관 운영 안정화에 따른 지속화 방안 마련

Page 5: 목 차 - council.jp.go.krcouncil.jp.go.kr/CLRecords/Files/FileAppendix/a4/A002252.pdf · 행복학습 공동체 운영 : 180백만원 (지특 162, 군비 18) - 행복학습 거점센터

Ⅲ. 2016년도 비전 및 전략목표

비비비전전전

전전전략략략

창의적인 미래도시,창의적인 미래도시,창의적인 미래도시,

지역발전 기반 구축지역발전 기반 구축지역발전 기반 구축

열정적인 학습도시,열정적인 학습도시,열정적인 학습도시,

사람중심 증평 건설사람중심 증평 건설사람중심 증평 건설

함께하는 지식도시,함께하는 지식도시,함께하는 지식도시,

군민친화 도서관 육성군민친화 도서관 육성군민친화 도서관 육성

핵핵핵

심심심

과과과

제제제

❶ 2단계 균형발전사업의

성공적인 마무리

❶ 인재육성의 지속화로

희망증평 실현

❶ 배움과 문화가 가득한

도서관 프로그램 운영

❷ 창조적 마을사업 발굴로

마을만들기 활성화

❷ 군민이 함께하는

평생학습 공동체 실현

❷ 찾고 싶은 도서관

머물고 싶은 도서관 운영

❸ 창의와 연계협력형

행복생활권 활성화

신신신규규규사사사업업업

❶ 행복마을 만들기 및 역량강화 추진

❷ 동네방네 도서관! “아고라 광장” 프로젝트

❸ 도서관 3GO 프로그램 운영

❹ 북(book)적 북(book)적 작은 영화관 운영

미래도시, 학습도시, 지식도시 - 살기좋은증평실현

Page 6: 목 차 - council.jp.go.krcouncil.jp.go.kr/CLRecords/Files/FileAppendix/a4/A002252.pdf · 행복학습 공동체 운영 : 180백만원 (지특 162, 군비 18) - 행복학습 거점센터

Ⅳ. 전략목표별 핵심과제

1. 창의적인 미래도시, 지역발전 기반 구축

여 건❍ 주민의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상향식 시책,

주민 체감형 발전전략 창출 필요성 증대

❍ 3단계 지역균형발전사업을 준비해야 하는 시기로 새로운

성장동력 창출에 대한 군민의 기대감 상승

- 2단계 지역균형발전사업 추진 과정 피드백을 통한 신사업

발굴 도모

❍ 창조적마을 만들기 단계별 추진 정착을 위한 지원체계 확립 및

중간지원조직 활성화 필요

❍ 중앙정부의 행복생활권 및 지역발전 정책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함으로써 주민이 공감할 수 있는 사업 발굴․시행

➡ 정부 정책을 적극 반영하면서도 군민이 공감하고 체감할 수

있는 맞춤형 지역발전 시책 추진

핵 심 과 제 2단계 균형발전사업의 성공적인 마무리

창조적 마을사업 발굴로 마을만들기 활성화

창의와 연계협력형 행복생활권 활성화

Page 7: 목 차 - council.jp.go.krcouncil.jp.go.kr/CLRecords/Files/FileAppendix/a4/A002252.pdf · 행복학습 공동체 운영 : 180백만원 (지특 162, 군비 18) - 행복학습 거점센터

1 2단계 균형발전사업의 성공적인 마무리

◇ 2단계 지역균형발전사업의 성공적인 마무리를 통한 지역발전 견인

◇ 전략적 신 사업 발굴로 군민이 행복한 살기좋은 증평 만들기 추진

□ 2단계 지역균형발전 전략사업(JUMP2)의 성공적 마무리

❍ 사업기간 : 2012년 ~ 2016년 (5개년)

❍ 사 업 비 : 20,000백만원(도비 12,000, 군비 8,000)

- 2016년 : 4,000백만원(도비 2,400, 군비 1,600)

❍ 사업내용 : 바이오 & 솔라밸리 기반구축을 위한 7개 세부사업

①인삼상설판매장(완료) ④태양광 랜드마크 도서관(완료)

②빛과 꽃 테마 트레킹코스 ⑤솔라시티 기반조성

③홍삼포크판매장(완료) ⑥태양광 전문 산업단지 조성 지원

⑦지역역량강화(분야별 역량강화 프로그램 등)

❍ 추진전략

- 민․관․학 협업체계 구축 : 총괄부서-사업부서-전문가-주민 협력 강화

- 자체 모니터링 강화 : 추진상황 점검, 컨설팅 및 자문회의 추진

□ 지역균형발전 공모사업 적극 발굴 및 전략사업 평가 성과 창출

❍ 대상지역 : 6개군(증평,괴산,영동,보은,옥천,단양 / *제천은 제외)

❍ 규 모 : 연간 도비 2,000백만원(평가를 통해 도비 차등지원)

❍ 2015년 선정 결과 : 충북도 1위(우리군 2013, 2014, 2015년 연속 선정)

- 선정사업 : 미루나무 숲 친환경 생활공간 물빛공원 조성

❍ 향후계획 : 2016년 공모 신규사업 발굴 및 전략사업 평가 성과 창출

□ 3단계 지역균형발전사업(2017~2021) 대상지역 선정 선제적 대응

❍ 사업계획 수립 및 타당성 검토 등 준비를 통한 대상지역 선정

❍ 전략적 사업 아이템 발굴 : 정주여건 개선을 통한 주민행복 향상 도모

Page 8: 목 차 - council.jp.go.krcouncil.jp.go.kr/CLRecords/Files/FileAppendix/a4/A002252.pdf · 행복학습 공동체 운영 : 180백만원 (지특 162, 군비 18) - 행복학습 거점센터

2 창조적 마을사업 발굴로 마을만들기 활성화

◇ 정부의 단계별(예비→진입→발전→자립) 지원체계 도입 대응

◇ 주민역량강화를 기반으로 한 마을사업 발굴로 주민 행복 실현

◇ 중간지원체계 및 전문기관 활용을 통한 맞춤형 신규사업 적극 발굴

☐ 지역역량강화 사업의 전략적 추진

❍ 중간지원조직(행복마을 만들기 지원센터) 기능 강화

❍ 맞춤형 예비 역량강화마을 현장포럼 및 주민교육 추진

- 주민참여를 통한 신규 창조적 마을 만들기 사업 발굴․공모

- 마을단위 3개 이상 공모, 2건 이상 선정 추진

❍ 사업추진 완료 마을에 대한 지속적인 역량강화로 자립 도모

☐ 행복마을 만들기 정책 선도

❍ 행복마을 만들기, 함께 가꾸는 농촌운동의 지속 추진

- 상향식 마을 만들기 사업 발굴․추진

- 농촌 클린행사 등 관련 시책간 연계․협력으로 성과 창출

❍ 행복마을 만들기 콘테스트 3년 연속 참가

- 시․군 분야를 중심으로 참여하여 마을 만들기(가꾸기) 정책 홍보

❍ 자체 추진, 소규모 행복마을 만들기 사업 시행

- 증평군 행복마을 만들기(소규모 마을가꾸기 4개소) : 43백만원

- 충북도 행복마을 만들기(소규모 마을가꾸기 2개소) : 36백만원

☐ 지역발전사업 모니터링을 통한 정부평가 적극 대응

❍ 3년 연속 평가 우수등급 확보를 위해 사업부서와 협력체계 구축

- 예산집행실적 제고, 성과창출 도모, 우수사례 적극 발굴 추진

❍ 인센티브사업비 확보 및 시급한 사업에 예산 우선 배분 추진

Page 9: 목 차 - council.jp.go.krcouncil.jp.go.kr/CLRecords/Files/FileAppendix/a4/A002252.pdf · 행복학습 공동체 운영 : 180백만원 (지특 162, 군비 18) - 행복학습 거점센터

3 창의와 연계협력형 행복생활권 활성화

◇ 창의․창조․생활권사업의 지자체간 신규사업 발굴․확보를 위한 경쟁

심화에 따른 전략적 접근의 중요성 증대

◇ 민․관 합동 역량강화 등을 통한 주민 체감형 시책 및 사업 발굴

☐ 창의․창조사업의 지속 발굴

❍ 도내 最多 사업 선정 지속을 통한 선도 지자체의 이미지 강화

- 선정현황 : 총 7건(시․군창의 3, 창조지역 3, 새뜰마을 1)

❍ 2016 ~ 2017년 신규사업 발굴의 지속화 : 2건 이상 선정

- 시․군창의사업, 창조지역사업, 새뜰마을사업 등의 발굴

☐ 지역행복생활권 선도사업 지속 발굴 및 추진

❍ 지역행복생활권 발전계획 수정․보완 및 신규 사업 발굴

중추도시생활권 : 청주(주관) + 증평 + 보은 + 진천 + 괴산

농 어 촌 생 활 권 : 증평(주관) + 진천 + 음성 + 괴산

- 2016년 생활권별 신규사업 발굴 및 선정 추진 : 1건 이상 선정

❍ 연도별 생활권 선도사업 선정 현황

선정연도 사 업 명 비고

2013 세종대왕 힐링로드 100리길 조성 참여

유기농관광거점 구축 참여

2014 증평군립도서관을 활용한 행복학습 공동체 주관

청주권 일자리중심 허브센터 참여

2015 공예디자인 창조벨트 조성 참여

창의적 생태복원을 위한 꿀벌랜드 조성 참여

※세종대왕 힐링로드 100리길 조성 : 2015 우수사업 선정 및 표창

Page 10: 목 차 - council.jp.go.krcouncil.jp.go.kr/CLRecords/Files/FileAppendix/a4/A002252.pdf · 행복학습 공동체 운영 : 180백만원 (지특 162, 군비 18) - 행복학습 거점센터

2. 열정적인 학습도시, 사람중심 증평건설

여 건 ❍ 지속적인 장학사업과 교육지원사업으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분석 결과 지역의 교육여건 개선

(단위 : %)

구분 2011 2012 2013 2014 2015

우수학력 4.59 7.41 12.21 10.14 13.61

보통학력 59.20 71.11 79.65 79.20 77.78

기초학력 33.05 20.99 8.14 9.33 8.61

기초학력미달 3.16 0.49 0 1.33 0

☞ 장학기금 지속 확충 및 지원으로 학업수준 향상

❍ 2014년 평생학습도시 지정 이후 지역행복생활권 선도사업

(행복학습공동체) 선정에 다른 평생학습도시 안착

☞ 다양한 프로그램 참여 욕구 증대와 체험형 평생학습에 대한

필요성 또한 증대

➡ 교육 여건 개선을 통한 학업수준 지속 향상

➡ 평생학습을 통한 군민 만족도 증대 및 참여 확대

핵 심 과 제 인재육성 지속화로 희망증평 실현

군민이 함께하는 평생학습 공동체 실현

Page 11: 목 차 - council.jp.go.krcouncil.jp.go.kr/CLRecords/Files/FileAppendix/a4/A002252.pdf · 행복학습 공동체 운영 : 180백만원 (지특 162, 군비 18) - 행복학습 거점센터

1 인재육성 지속화로 희망증평 실현

◇ 사람이 미래인 도시 증평 건설을 위한 인재육성 투자 강화

◇ 교육여건 개선을 통한 정주환경 지원으로 지역발전 견인

□ 군민장학기금의 지속 확충 공약

❍ 군민장학기금 확충 목표액(2016년 누계) : 6,300백만원

- 2016년도 목표액 : 479백만원(수입 : 950백만원 → 지출 : 471백만원)

출연: 700백만원,기탁․후원금: 150백만원,기타(이자수익등) : 100백만원

기탁금 및 후원 확대 :기탁금 (50건이상), 후원회비 (월 350만원이상)

□ 군민장학기금 활용 지역 우수인재 육성 지원

❍ 우수인재 육성 장학금 지원(200여명) : 200백만원

- 초․중․고․우수대학교 장학금 및 공통․특별장학금 지원

❍ 우수학생 배출 학교 인센티브(6개교) : 68백만원

❍ 도․농 교육 격차 해소 맞춤형 학습 지원(2개 프로그램) : 177백만원

- 맞춤형 학습교재 구입(중학교)

- 명문학교 육성지원 On-Off라인 프로그램 운영(인문고)

❍ 지역 우수인재 육성 간접지원 프로그램 운영(3회) : 26백만원

- 지역 인재양성 워크숍(장학금 수혜 중․고등학생 80명/ 1회)

- 비전투어(중․고등학생 80명 국내 우수 대학교 투어/ 2회)

□ 충북인재양성재단과의 업무협력 체계 구축

❍ 체험연수, 리더십 캠프 등 프로그램 참여 활성화 및 홍보 강화

❍ 충북인재양성재단 장학생 선발 지원(상․하반기 40명) : 50백만원

□ 무상급식 및 친환경 우수농산물 급식비 지원

❍ 유치원 및 각급 초․중․고교 대상(12개소 / 5,800여명) : 1,135백만원

- 무상급식(의무교육대상 초․중학교 7개교) : 865백만원

- 쌀, 잡곡 등 친환경농산물(유치원, 초․중․고교 2개소) : 270백만원

Page 12: 목 차 - council.jp.go.krcouncil.jp.go.kr/CLRecords/Files/FileAppendix/a4/A002252.pdf · 행복학습 공동체 운영 : 180백만원 (지특 162, 군비 18) - 행복학습 거점센터

2 군민이 함께하는 평생학습 공동체 실현

◇ 인생 100세 시대 평생학습 강화를 통한 주민 만족도 향상

◇ 지역특성에 적합한 맞춤형 프로그램 지속 발굴과 지원 강화

□ 지역행복생활권 행복학습 공동체 기반 구축

❍ 행복학습 공동체 운영 : 180백만원 (지특 162, 군비 18) 공약

- 행복학습 거점센터 프로그램 운영 : 지역행복생활권 주민 참여

- 민․관․학․군 연계 협력형 행복학습 프로그램 발굴․운영

- 행복학습 우수동아리 활성화 도모 : 재능기부로 지역사회 환원

- 중부4군 행복학습 네트워크 구축 및 성과공유 : 박람회 공동 참여

□ 맞춤형 평생학습 프로그램 운영 및 네트워크 강화 공약

❍ 찾아가는 평생학습 역량강화 프로그램 운영 : 30백만원

- 주민자치센터 연계 역량강화 및 마을 공동체 학습 프로그램 운영

❍ 평생학습 On-Line 사이버 학습 프로그램 운영

- 사이버 학습 프로그램 상시 운영 : 인문, 건강, 취미, 외국어 등

❍ 테마형 군민 아카데미 운영 : 10백만원

❍ 평생학습 활성화를 위한 네트워크 구축 및 평생학습 확산

- 평생학습협의회와 실무협의회 및 관계자 워크숍 개최

- 개인의 학습능력 기부 및 재능 기부자 자원봉사마일리지 적립

- 평생학습박람회 참가를 통한 성과 홍보 및 사례 공유

□ 소통․연결고리형 학습 프로그램 발굴․운영

❍『주말 행복 꾸러미』사업으로 부모와 자녀 소통 고리 형성

- 엄마와 아이가 함께하는 주말 평생학습 프로그램 발굴․운영

❍ 1․3세대 연결 고리 할머니․할아버지가 들려 주는 은빛 동화 구연

- 유아대상 : 유치원, 어린이집 - 성인대상 : 요양원, 병원

Page 13: 목 차 - council.jp.go.krcouncil.jp.go.kr/CLRecords/Files/FileAppendix/a4/A002252.pdf · 행복학습 공동체 운영 : 180백만원 (지특 162, 군비 18) - 행복학습 거점센터

3. 함께하는 지식도시 군민친화 도서관 육성

여 건 ❍ 군립도서관 개관 이후 안정화 및 지역의 대표적 복합문화

공간으로 자리매김

☞ 책만 읽고 공부만 하던 도서관에서 벗어나 책과 문화 그리고

학습이 함께하는 3위1체형 복합문화공간화

❍ 다양한 계층의 지식과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프로

그램 개발의 필요성 증대

☞ 다양한 연령층과 분야를 고려한 독서․문화 프로그램 운영으로

군민의 참여 기회 제공

❍ 찾아오는 도서관으로서의 역할 뿐 아니라 먼저 찾아가는 적

극적인 도서관 이미지 제고

☞ 어린이와 취약계층 소외해소 및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하는

평생학습기관으로서의 역할 제고

➡ 군민과 함께하는 복합문화 공간 기반 확충

➡ 보다 다양한 이용자 중심의 프로그램 발굴․제공

핵 심 과 제 배움과 문화가 가득한 도서관 프로그램 운영

찾고 싶은 도서관, 머물고 싶은 도서관 운영

Page 14: 목 차 - council.jp.go.krcouncil.jp.go.kr/CLRecords/Files/FileAppendix/a4/A002252.pdf · 행복학습 공동체 운영 : 180백만원 (지특 162, 군비 18) - 행복학습 거점센터

1 배움과 문화가 가득한 도서관 프로그램 운영

◇ 독서와 문화가 어우러지고 서로 소통하는 열린 도서관 만들기

◇ 군민의 문화적 욕구 충족에 부응하는 복합 공간 창출

□ 배움의 열정이 가득한 도서관 프로그램 발굴․운영

❍ 독서 문화 확산 프로그램 운영

- 상․하반기 독서․문화 프로그램 운영

- 성인 독서회,어르신 독서회 등 성인학습 프로그램 운영

❍ 부모와 자녀가 함께하는 프로그램 운영 : 도서관에서 1박 2일

❍ 어린이 대상 체험․학습 교실 운영 : 여름 및 겨울 방학 프로그램

❍ 아기와 함께하는 책사랑 운동 북스타트 활성화

- 아기 책 체험 프로그램 운영 : 딩동댕 플레이 키즈스쿨, 책놀이

- 부모교육 프로그램 운영 : 육아 정보 제공

❍ 도서관 옥상 활용 이동 천문대 운영(좌구산천문대 연계)

❍ 도서관 3go 프로그램 운영(연간 10회 이내) : 비예산 신규

□ 문화와 감동이 가득한 도서관 프로그램 발굴․운영

❍ 동書남book 책으로 소통하는 증평 추진 : 작가와의 만남 북 콘서트

❍ 도서관 주간 및 독서의 달 프로그램 운영

- 도서관 주간 및 세계 책의 날 프로그램 운영 : 4월

- 공감과 소통의 한마당 독서의 달 프로그램 운영 : 9월

❍ 다목적홀 활용 문화 프로그램 운영

- 북(book)적 북(book)적 작은영화관 운영(정기 및 비정기) : 비예산 신규

- 정기적인 문화행사 발굴․운영 : 문화공연, 세미나, 강연회 등

❍ 도서관 로비를 활용한 테마가 있는 전시홀 운영

- 세계 인형 전시관 운영 : 민속체험박물관 연계

- 다양한 기획 전시관 운영 : 세계 책, 원화, 시화 등

- 평생학습 관련 전시관 운영 : 프로그램 수료자 작품 전시

Page 15: 목 차 - council.jp.go.krcouncil.jp.go.kr/CLRecords/Files/FileAppendix/a4/A002252.pdf · 행복학습 공동체 운영 : 180백만원 (지특 162, 군비 18) - 행복학습 거점센터

2 찾고 싶은 도서관, 머물고 싶은 도서관 운영

◇ 생활속의 도서관 만들기로 가족 단위 독서문화 활성화 도모

◇ 다양한 계층의 마음을 배려한 서비스형 도서관 만들기 추진

□ 생활주변 책 읽는 공간 운영 활성화 도모 공약

❍ 좌구산 휴양랜드 일원 작은 책 읽는 공간 운영 활성화 : 4개소

❍ 작은도서관 기반 확충 및 이용자 편의 제공 활성화

- 도서 확충 및 도서 정리 자원 활동가 지원 : 3개소

- DVD 대여 및 동화구연 희망 작은도서관 지원 협조

❍ 보강천 김득신 이동 도서관 운영 활성화 : 자원봉사 단체 연계

❍ 독서왕 김득신 전시 및 책 읽는 공간 운영 : 율리 한옥시설 연계

❍ 책책빵빵 1:1 도서 자율 교환소 운영 활성화: 도서 교환 이벤트 추진

□ 군립 도서관 이용자 자료․정보 서비스 확충 및 제공

❍ 이용자 수요에 맞춘 도서자료 및 정보서비스 제공

- 군립도서관 홈페이지 및 방문을 통한 희망도서 접수

- 비도서 자료 확충 : 전자책 (e-book), 오디오북 등

❍「사서에게 물어 보세요!」코너 활성화 및 책읽는 가족 선정

- 홈페이지를 이용한 협력형 온라인 지식정보 서비스 제공

- 한국도서관협회와 공동으로 책읽는 가족 선정 : 연간 3가족

□ 도서관 이용 취약계층을 위한 프로그램 및 서비스 지원

❍ 다문화 자료실 활성화 및 다문화 프로그램 발굴․운영

- 다문화 가정을 위한 어울림 프로그램 : 문체부 다문화 프로그램 신청

❍「장애인 정보누리터」독서 보조기기 등을 활용한 장애인 이용자 서비스

❍ 집으로 찾아가는 책나래 (배달) 서비스 운영 활성화

- 시각 1~6급, 청각·지체·신장 등 1~3급에 해당하는 장애인

- 장기요양 1~2등급, 국가유공상이자 상이등급 1~3급에 해당하는 사람

Page 16: 목 차 - council.jp.go.krcouncil.jp.go.kr/CLRecords/Files/FileAppendix/a4/A002252.pdf · 행복학습 공동체 운영 : 180백만원 (지특 162, 군비 18) - 행복학습 거점센터

Ⅴ. 신규 및 현안사업

1 행복마을 만들기 및 역량강화 추진

◇ 현장포럼, 주민교육 등을 전제로 마을 소규모사업 우선 지원

◇ 함께 가꾸는 농촌운동과 병행 추진하여 마을의 경관을 개선

☐ 사업개요

❍ 사 업 명 : 지역역량강화 및 농촌현장포럼 사업

❍ 사 업 비 : 108백만원(국비 11, 지특 60.2, 도비 5.3, 군비 31.5)

- 지역역량강화 사업 : 80백만원(지특 56, 도비 4.8, 군비 19.2)

- 농촌현장포럼 사업 : 22백만원(국비11, 군비 11)

- 명시이월(역량강화) : 6백만원(지특 4.2, 도비 0.5, 군비 1.3)

❍ 사업내용

- 농촌현장포럼(농촌 클린행사 등 병행) 추진 : 3개 마을

- 마을별 자체 소규모 마을 가꾸기 사업(행복마을) : 4개 마을

- 일반농산어촌 활성화 방안 및 마을발전계획 수립

- 민․관 합동 워크숍, 역량강화 프로그램 지원 등

☐ 필 요 성

❍ 행복마을 만들기의 체계적 추진으로 농촌개발 활성화

❍ 창조적마을 만들기 등 예비단계로서의 주민 역량강화 도모

☐ 추진상황 및 향후 계획

❍ 행복마을 만들기 지원센터(중간지원조직) 구성 : 2015. 1.

❍ 제1~2회 행복마을 만들기 콘테스트 참가 2년 연속 수상 : 2015. 9.

- 제2회 마을가꾸기 분야 국무총리상 수상

❍ 행복마을 만들기 사업 추진 세부계획(안) 수립 및 시행 : 2016. 1.

부서명 미래전략과(미래전략팀) 담당자 직 농업7급, 성명 김재겸

Page 17: 목 차 - council.jp.go.krcouncil.jp.go.kr/CLRecords/Files/FileAppendix/a4/A002252.pdf · 행복학습 공동체 운영 : 180백만원 (지특 162, 군비 18) - 행복학습 거점센터

2 동네방네 도서관!“아고라 광장”프로젝트

◇ 도서관 옥상 및 도서관 주변 일대의 문화․예술 중심 공간화

◇ 농촌 지역의 문화․예술 관련 소외해소 및 지역 중심지화

□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6년 ~ 2020년(5년간)

- 농림축산식품부 공모 2015년 시․군창의사업 일환

❍ 총사업비 : 1,500백만원(지특 1,050, 도비 90, 군비 360)

- 2016년도 사업비 : 420백만원(지특 294, 도비 25, 군비 101)

❍ 사업내용

-“하늘하늘”옥상 아고라 만들기 : 옥상 문화, 예술 공간 조성

-“아기자기”광장 아고라 만들기 : 도서관 주변 경관 개선

-“시끌벅적”문화 공동체 프로그램 운영

-“싱글벙글”역량강화 및 학습프로그램 운영

아고라(Agora) : “사람들이 모이는 곳”이라는 뜻으로 고대 그리스에서 시민들의 일상생

활이 이루어지던 공공의 광장. 아크로폴리스가 종교와 정치의 중심지였다면, 이곳은

시민의 경제생활과 예술 활동이 이루어졌던 장소

□ 필 요 성

❍ 도서관 옥상 및 주변 광장에 문화적 기능 부여 및 장소 가치 재창조

❍ 문화 가치를 바탕으로 한 특화된 문화 콘텐츠 발굴로 지역 경쟁력 강화

□ 추진계획

❍ 아고라 광장 프로젝트 추진 계획 수립 : 2016. 1.

❍ 아고라 광장 프로젝트 설계 용역 추진 : 2016. 3. ~ 9.

❍ 아고라 광장 프로젝트 추진 : 2016. 10. ~

부서명 미래전략과(미래전략팀) 담당자 직 : 농업7급 성명 : 김재겸

직 : 공업7급 성명 : 유재문

Page 18: 목 차 - council.jp.go.krcouncil.jp.go.kr/CLRecords/Files/FileAppendix/a4/A002252.pdf · 행복학습 공동체 운영 : 180백만원 (지특 162, 군비 18) - 행복학습 거점센터

3 도서관 3GO 프로그램 운영

◇ 지역내 어린이집 대상 찾아가는 도서관 프로그램 운영

◇ 찾아가는 도서관을 통한 독서의 중요성 홍보확산

□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6년 1월 ~ 12월

❍ 사 업 량 : 연간 10회 이내

❍ 사업대상 : 지역내 어린이집 및 작은도서관 등

❍ 사업내용

-“찾아가GO”프로그램 : 사서와 동화 구연 강사 어린이집 방문

⦁취학 전 아동 대상으로 도서관 이용 안내

⦁책 읽는 법, 동화 구연 등을 통한 독서의 중요성 홍보

⦁독서 흥미 유발로 친근한 도서관 이미지 제고

-“찾아오GO”프로그램 : 도서관에서의 하루밤 프로그램

⦁창조지역사업 도깨비 도서관 1박 2일 프로그램

-“함께하GO”프로그램 : 주민과 함께하는 프로그램

⦁창조지역사업 도깨비 동극단 활용 찾아가는 공연서비스

□ 필 요 성

❍ 올바른 책 읽기 유도 및 지역과 함께하는 평생학습기관 역할 제고

❍ 찾아가는 문화 프로그램 제공 및 작은도서관 연계 협력 체계 구축

□ 추진계획

❍ 도서관 3GO 프로그램 운영계획 수립 : 2016. 1.

❍ 도서관 3GO 프로그램 홍보 및 참여대상 접수 : 2016. 2.

❍ 도서관 3GO 프로그램 운영 : 2016. 3. ~ 12.

부서명 미래전략과(도서관팀) 담당자 직 : 사서8급 성명 : 정민용

Page 19: 목 차 - council.jp.go.krcouncil.jp.go.kr/CLRecords/Files/FileAppendix/a4/A002252.pdf · 행복학습 공동체 운영 : 180백만원 (지특 162, 군비 18) - 행복학습 거점센터

4 북(book)적 북(book)적 작은 영화관 운영

◇ 군립도서관 다목적홀을 활용한 작은 영화관 운영 및 영화상영

◇ 지역 주민의 문화적 수요 충족 및 보다 친근한 도서관 운영

◇ 군립도서관의 지역 복합문화 공간으로써의 위상 제고

□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6년 1월 ~ 12월

❍ 사업위치 : 증평군립도서관 3층 다목적홀

❍ 시설현황 : 좌석수(150석), 영사기(3D), 서라운드 입체음향설비

❍ 사업내용

- 주말 가족 극장 운영 : 매주 일요일 오후 3시 가족 대상

- 금요 야간 극장 운영 : 매월 마지막주 금요일 오후 7시

- 실버 영화관 운영 : 매월 둘째주 토요일 오후 3시(주민복지실 협업)

- 기타 비정기 영화관 운영 : 도서관 주간, 가정의 달 및 독서의 달 등

- 개봉작 수준의 영화 상영 : 분기별 1회(잠자는 책1권 기증 유도)

□ 필 요 성

❍ 폭넓은 문화생활을 통해 지역의 삶의 질 개선 및 도․농간 문화

격차 해소에 기여

❍ 도서관을 즐겨 찾는 가족단위 이용객들에게 다양한 문화를 접할

수 있는 기회 제공

□ 향후계획

❍ 북(book)적 북(book)적 작은 영화관 운영 : 2016. 1. ~ 12.

부서명 미래전략과(도서관팀) 담당자 직 : 공업7급 성명 : 유재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