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쎌바이오텍(049960) BUY / TP 29,000원 Analyst 박한우 02) 3787-2279 [email protected] 현재주가 (2/10) 상승여력 22,900원 26.6% 시가총액 발행주식수 자본금/액면가 2,153억원 9,400천주 5십억원/500원 52주 최고가/최저가 일평균 거래대금 (60일) 23,300원/14,05021억원 외국인지분율 주요주주 7.12% 정명준 외 2인 25.11% 주가상승률 절대주가(%) 상대주가(%p) 1M 10.6 8.9 3M 24.5 23.8 6M 36.3 45.9 당사추정 EPS 컨센서스 EPS 컨센서스 목표주가 1,066원 1,005원 30,933원 ※ K-IFRS 연결 기준 최근 12개월 주가수익률 자료: WiseFn, HMC투자증권 매출액 영업이익 세전이익 순이익 EBITDA EPS 증감율 PER PBR EV/EBITDA ROE 구분 (십억원) (십억원) (십억원) (십억원) (십억원) (원) (%) (배) (배) (배) (%) 2011 23.3 5.7 6.2 5.2 6.5 553 N/A 10.4 1.8 5.6 16.4 2012 25.9 6.5 7.2 6.1 7.3 653 18.0 26.9 4.6 20.0 18.0 2013F 30.9 8.4 9.0 7.0 9.2 749 14.6 25.8 4.4 17.6 17.9 2014F 37.6 11.8 12.8 10.0 13.1 1,066 42.3 21.9 4.4 14.5 21.4 2015F 44.5 14.5 15.5 12.1 15.9 1,290 21.0 18.1 3.6 11.4 21.4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13/02 13/04 13/06 13/08 13/10 13/12 14/02 쎌바이오텍 KOSDAQ 건강과 함께 성장하는 회사 프로바이오틱스 전문 회사 쎌바이오텍은 프로바이오틱스 전문회사로 유산균 배양부터 포장까지 전 공정이 가능 한 회사이며, 덴마크의 크리스찬한센, 다니스코, 프랑스 로셀, 일본 모리나가와 함께 세 계 5대 회사이다. 동사는 세계 최초로 4세대 코팅 기술인 이중 코팅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국내뿐만 아니라 유럽과 일본에 특허 등록되어 있다. 이중 코팅은 위산에 약한 유 산균을 장까지 도달할 수 있게 한다. 쎌바이오텍은 2011년 한국인삼공사에 이어 건강 기능식품 수출 2위를 기록하였고, 유럽, 일본 등에 수출하고 있으며 2012년 기준 수출 비중은 53%이다. B2C확대를 통한 성장 동사의 매출은 주로 OEM/ODM으로 2012년 기준 비중이 약 90% 수준이었다. 동 사는 지속적으로 B2C매출을 확대하고 있으며, 2013년에는 B2C매출 비중이 약 20% 수준으로 확대된 것으로 추정된다. 동사는 그 동안 해외 매출은 OEM/ODM에 의존했 으나, 올해 1월부터 덴마크에 자사 브랜드 듀오락을 출시하여 판매에 들어갔다. 이에 따 라 국내외로 B2C매출 증가가 예상된다. 동사 B2C는 B2B에 비해 판매 단가가 높아 외 형 확대에 도움을 주며 수익성도 높다. 지난해 TV광고를 시작하였고, 올해에도 2월부 터 광고를 재개할 예정으로 동사의 B2C매출은 지난해에 이어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29,000원 제시 국내 프로바이오틱스 시장은 초기 단계로 성장 가능성이 높으며, 2012년 처음으로 국내 건강기능식품 생산액 5위권 안에 진입하였다. 동사는 지난해 B2C매출이 약 100% 성장하였고, 재구매 비율도 65%를 상회하고 있으며, 해외에서도 B2C에 진출을 시작했다. 또한, 국내 프로바이오틱스 시장은 초기 단계로 2012년 성장률 27.9%에 이 르고 있다. 동사는 매출 성장보다 영업이익 성장이 높고, 영업이익률도 30%를 상회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투자의견 BUY와 2014년 목표 PER 27배를 적용한 29,000원을 목표주가로 제시한다. Company Report * K-IFRS 연결 기준

Company Report 쎌바이오텍(049960) 2014. 02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company/1392081470687.pdf · 2014-02-11 · 3 Mid-Small Cap Analyst 박한우 수석연구위원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Company Report 쎌바이오텍(049960) 2014. 02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company/1392081470687.pdf · 2014-02-11 · 3 Mid-Small Cap Analyst 박한우 수석연구위원

쎌바이오텍(049960)

BUY / TP 29,000원

Analyst 박한우 02) 3787-2279

[email protected]

현재주가 (2/10)

상승여력

22,900원

26.6%

시가총액

발행주식수

자본금/액면가

2,153억원

9,400천주

5십억원/500원

52주 최고가/최저가

일평균 거래대금 (60일)

23,300원/14,050원

21억원

외국인지분율

주요주주

7.12%

정명준 외 2인 25.11%

주가상승률

절대주가(%)

상대주가(%p)

1M

10.6

8.9

3M

24.5

23.8

6M

36.3

45.9

당사추정 EPS

컨센서스 EPS

컨센서스 목표주가

1,066원

1,005원

30,933원 ※ K-IFRS 연결 기준

최근 12개월 주가수익률

자료: WiseFn, HMC투자증권

매출액 영업이익 세전이익 순이익 EBITDA EPS 증감율 PER PBR EV/EBITDA ROE 구분

(십억원) (십억원) (십억원) (십억원) (십억원) (원) (%) (배) (배) (배) (%)

2011 23.3 5.7 6.2 5.2 6.5 553 N/A 10.4 1.8 5.6 16.4

2012 25.9 6.5 7.2 6.1 7.3 653 18.0 26.9 4.6 20.0 18.0

2013F 30.9 8.4 9.0 7.0 9.2 749 14.6 25.8 4.4 17.6 17.9

2014F 37.6 11.8 12.8 10.0 13.1 1,066 42.3 21.9 4.4 14.5 21.4

2015F 44.5 14.5 15.5 12.1 15.9 1,290 21.0 18.1 3.6 11.4 21.4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13/02 13/04 13/06 13/08 13/10 13/12 14/02

쎌바이오텍 KOSDAQ

건강과 함께 성장하는 회사

프로바이오틱스 전문 회사

쎌바이오텍은 프로바이오틱스 전문회사로 유산균 배양부터 포장까지 전 공정이 가능

한 회사이며, 덴마크의 크리스찬한센, 다니스코, 프랑스 로셀, 일본 모리나가와 함께 세

계 5대 회사이다. 동사는 세계 최초로 4세대 코팅 기술인 이중 코팅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국내뿐만 아니라 유럽과 일본에 특허 등록되어 있다. 이중 코팅은 위산에 약한 유

산균을 장까지 도달할 수 있게 한다. 쎌바이오텍은 2011년 한국인삼공사에 이어 건강

기능식품 수출 2위를 기록하였고, 유럽, 일본 등에 수출하고 있으며 2012년 기준 수출

비중은 53%이다.

B2C확대를 통한 성장

동사의 매출은 주로 OEM/ODM으로 2012년 기준 비중이 약 90% 수준이었다. 동

사는 지속적으로 B2C매출을 확대하고 있으며, 2013년에는 B2C매출 비중이 약 20%

수준으로 확대된 것으로 추정된다. 동사는 그 동안 해외 매출은 OEM/ODM에 의존했

으나, 올해 1월부터 덴마크에 자사 브랜드 듀오락을 출시하여 판매에 들어갔다. 이에 따

라 국내외로 B2C매출 증가가 예상된다. 동사 B2C는 B2B에 비해 판매 단가가 높아 외

형 확대에 도움을 주며 수익성도 높다. 지난해 TV광고를 시작하였고, 올해에도 2월부

터 광고를 재개할 예정으로 동사의 B2C매출은 지난해에 이어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29,000원 제시

국내 프로바이오틱스 시장은 초기 단계로 성장 가능성이 높으며, 2012년 처음으로

국내 건강기능식품 생산액 5위권 안에 진입하였다. 동사는 지난해 B2C매출이 약

100% 성장하였고, 재구매 비율도 65%를 상회하고 있으며, 해외에서도 B2C에 진출을

시작했다. 또한, 국내 프로바이오틱스 시장은 초기 단계로 2012년 성장률 27.9%에 이

르고 있다. 동사는 매출 성장보다 영업이익 성장이 높고, 영업이익률도 30%를 상회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투자의견 BUY와 2014년 목표 PER 27배를 적용한 29,000원을

목표주가로 제시한다.

Company Report 2014. 02.11

* K-IFRS 연결 기준

Page 2: Company Report 쎌바이오텍(049960) 2014. 02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company/1392081470687.pdf · 2014-02-11 · 3 Mid-Small Cap Analyst 박한우 수석연구위원

2

기아자동차 (000270)

삼영전자(005680) COMPANY REPORT

국내 시장 초기 단계, B2C매출로 성장세

프로바이오틱스 전문 회사

이중코팅 특허 보유 쎌바이오텍은 프로바이오틱스 전문 회사로 종균개발에서 완제품 생산까지 가능하며, 이러한 생

산체제를 구축한 글로벌 기업은 크리스찬 한센, 다니스코(덴마크), 모리나가(일본), 로셀(프랑스)

이 있다. 일반 유산균을 섭취할 경우 위산으로 인해 적은 수만 살아 남는데 동사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4세대 코팅기술인 이중코팅기술을 이용한 프로바이오틱스를 생산하고 있으며, 이 기술은 세

계 최초로 한국, 일본, EU에 특허등록이 되어 있다.

프로바이오틱스의 효능

프로바이오틱스 다양한 효과 프로바이오틱스란 체내에 들어가서 건강에 좋은 효과를 주는 살아있는 균을 말하며, 대부분 유

산균들과 일부 Bacillus 등을 포함하고 있다. 식약처에 의하면 국내 건강기능식품에서 프로바이오

틱스로 사용할 수 있는 균주는 21개이며, 기능성 내용은 유익한 유산균증식, 유해균 억제 또는 배

변활동 원활이다. 프로바이오틱스는 식품, 화장품, 축산, 유가공, 제약 등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효능은 식약처에서 정의한 것 외에 정장작용, 혈중콜레스테롤 감소, 면역증강, 내인성 감염억

제기능, 항암효과 등으로 다양하여 동 기능과 관련된 항궤양제, 항생제, 콜레스테롤 저하제, 항암제

등 의약품으로 적용되고 있다.

쎌바이오텍의 경쟁력

이중코팅 특허

연구개발 인력 보유

치료목적 연구 진행

우수 생산시설

각종 인증 취득

동사는 앞서 언급한 이중코팅 프로바이오틱스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이중코팅이란 단백질로 코

팅한 후 다당류로 한번 더 코팅한 기술로, 내산성을 강화하여 장내 도달률을 향상시키고 단백질이

체네에서 잘 분해되어 장에 도달한 프로바이오틱스가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온에

서의 보존성과 제품에 대한 응용성을 높여 추어블 제품 등 다양하게 생산이 가능하다.

동사의 최고 경영자는 유산균발효를 전공한 이학박사로 연구개발에 대한 의지가 강하여, 다수의

연구개발인력(박사 7, 석사 13)을 보유하고 있다. 현재 프로바이오틱스를 이용한 과민성 대장

증후군, 장누수 증후군, 염증성 장질환, 아토피, 여드름, 골다공증 등에 대한 치료목적 연구를 하

고 있으며, 기존 건강기능식품 임상을 통해 구축한 다양한 대학병원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다.

건강기능식품법에 준한 우수건강기능식품 제조기준(KGMP)인증 및 의약품 생산을 위한 우수

원료의약품 생산허가(BGMP) 인증을 받았으며, ISO(국제표준화기구), HACCP(위해 요소 중점

관리 기준), Kosher(유대인 청결식품 인증마크), Halal( 이슬람교도인이 먹고 쓸 수 있는 제품)인

증을 받았다.

Page 3: Company Report 쎌바이오텍(049960) 2014. 02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company/1392081470687.pdf · 2014-02-11 · 3 Mid-Small Cap Analyst 박한우 수석연구위원

3

Mid-Small Cap Analyst 박한우 수석연구위원 02) 3787-2279 / [email protected]

건강기능식품 수출 2위 업체

2011년 수출 2위

프로바이오틱스

선진국 중심으로 거대 시장

쎌바이오텍은 프로바이오틱스 원말을 이용한 자사브랜드인 듀오락(DUOLAC) 판매와 국내외

모두 원말(중간재) 및 완제(최종제품)를 OEM/ODM의 형태로 공급하고 있다. 2003년 암웨이와

전략적 제휴 및 물품공급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2008년 이중코팅유산균의 유럽 특허 등록하였고,

2010년 수출액이 108억 원을 기록하면서 최초로 수출 100억 원을 돌파하였다. 한국암웨이는 건

강기능식품 수입실적 2010년 기준 1위 업체로 동사 제품을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도 판매하고

있다. 국내 건강기능식품제조업체 중 수출 1위 업체는 한국인삼공사로 2011년 기준 1,577만 달

러를 수출하였고, 그 뒤를 이어 쎌바이오텍이 983만 달러로 2위를 차지하였다. 프로바이오틱스는

유럽, 일본, 미국 등 선진국 중심으로 거대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다양한 기능성 식품 및 식품 첨

가물 중심으로 수요를 형성하고 있으며, 2011년 기준 전세계 프로바이오틱스 시장은 22.7b$ 이

며 2008년부터 2014년까지 CAGR 12.6%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생산비중은 유럽, 미

국, 일본 순이며 아시아시장은 4.8% 수준이다. 동사는 2012년까지 덴마크 현지 기업 악타비스를

통해 판매하였으며, 2013년 계약이 끝나 1월부터 자체 브랜드 듀오락 판매를 시작하였다. 이로써

해외에서도 자체 브랜드 판매가 시작되어 성공 시 외형 및 수익성 개선에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

된다.

<그림1> 건강기능식품 수입실적 상위업체(2010년) <그림2> 건강기능식품 수출 실적 상위업체(2011년)

843

487

200127 95

0100200300400500600700800900

한국

암웨

에센

무역

코스

트코

코리

한국

허벌

라이

동원

에프

앤비

(억 원)

1577

983 908

239 195

0200400600800

10001200140016001800

한국

인삼

공사

쎌바

이오

텍일

화대

고려

인삼

과학

(만 달러)

자료 : 식약처, HMC투자증권 자료 : 식약처, HMC투자증권

<그림3> 프로바이오틱스 글로벌 시장 추이 및 전망 <그림4> 프로바이오틱스 지역별 생산 비중

0

5

10

15

20

25

30

35

08 09 10 11 12 13 14

(b$)

유럽33%

미국

일본19%

기타19%

아시아5%

자료 : Markets&Markets 자료 : Markets&Markets

Page 4: Company Report 쎌바이오텍(049960) 2014. 02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company/1392081470687.pdf · 2014-02-11 · 3 Mid-Small Cap Analyst 박한우 수석연구위원

4

기아자동차 (000270)

삼영전자(005680) COMPANY REPORT

2012년 국내 건강 기능 식품 생산기준 1조 4천억 원

프로바이오틱스

국내 5위

식품의약품안전처의 ‘12년 건강기능식품 생산실적 분석결과 발표 자료에 의하면 2012년 국

내 건강기능식품 총생산액은 1조 4,091억 원으로 2011년대비 3% 증가하였지만, 예년에 비하면

둔화세를 나타냈다. 이는 2012년 국내외 전반적인 경기침체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수요 감소 및

중저가 제품 선호 등의 이유로 둔화세를 보였으나,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은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동 자료에 의하면 2012년 전체 건강기능식품 생산액 중 46%를 차지한 홍삼제품이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였지만, 2011년 점유율 53%에 비해서 크게 감소하였다. 홍삼에 이어 비타민ㆍ무기

질(11.7%), 알로에(4.9%), 프로바이오틱스(3.7%), 오메가-3지방산함유유지(3.5%) 제품 순

으로 높은 점유율을 보였다. 급격한 성장세를 나타낸 제품은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추출물 제품이

112.6%로 가장 높았고, 식이섬유 제품 44.8%, 프로바이오틱스 제품 27.9%로 조사되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자료에 의하면 건강에 대한 관심 고조, 삶의 질 향상, 인구고령화에 따른

만성질환 증가와 질병예방개념의 도입 등으로 자기관리(Self Care)를 위한 건강기능식품의 사회

적 필요성과 수요가 지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고, Nutrition Business journal(‘12)의 자료

에 따르면 ‘10년 세계시장규모는 약 3,014억 달러로 추정되며, 연평균 6.6% 성장을 기록하고

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주요국 기능성식품 소재의 동향과 소비자 트렌드”자료에 따르면 미국

에서 가장 인기를 끌고 있는 품목은 프로바이오틱스, 비타민, 오메가3 제품이며, 프로바이오틱스

는 미국 식이보충제 시장의 23%를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비중이 크다.

국내 프로바이오틱스 시장은 지난 4개년 동안 20% 이상 고성장하고 있으며, 아직 인지도가 높

지 않아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국내 점유율 1위 업체인 동사의 수혜가 예

상된다. 지난해 국내 생산 실적은 518억 원이나 수입 및 유통 시장 규모는 생산실적의 3~4배 수

준일 것으로 추정된다.

<표1> 건강기능식품 생산실적 현황

내수용 수출용

총생산액

(억원)

총 생산량

(톤) 생산액(억원) 생산량(톤) 생산액(억원) 생산량(톤) 2004 2,506 4,764 2,263 4,250 242 514

2007 7,235 10,578 6,888 10,239 346 339

2008 8,031 13,687 7,516 12,990 514 697

2009 9,598 19,885 9,184 19,293 415 592

2010 10,671 25,361 10,211 24,994 460 367

2011 13,682 40,258 13,126 39,611 556 647

2012 14,091 34,599 13,507 33,735 584 864

자료 : 식약처, HMC투자증권.

Page 5: Company Report 쎌바이오텍(049960) 2014. 02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company/1392081470687.pdf · 2014-02-11 · 3 Mid-Small Cap Analyst 박한우 수석연구위원

5

Mid-Small Cap Analyst 박한우 수석연구위원 02) 3787-2279 / [email protected]

<그림5> 건강기능식품생산액 및 성장률 추이 <그림6> 국내 프로바이오틱스 생산실적 및 증가율 추이

-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07 08 09 10 11 12

0%

5%

10%

15%

20%

25%

30%

건강기능식품생산액

성장률

(억 원)

190

254

317

405

518

0

100

200

300

400

500

600

08 09 10 11 12

0%

5%

10%

15%

20%

25%

30%

35%

40%

생산실적

증가율(억 원)

자료 : 식약처, HMC투자증권 자료 : 식약처, HMC투자증권

<표2> 품목별 생산실적 현황(상위 10개 품목)

총생산액 증가율(%) 구 분

2008 2009 2010 2011 2012 (` 12/` 11) 순위

총생산액(억원) 8,031 9,598 1,0671 1,3682 1,4091 3.0

1 홍삼 4,184 4,995 5,817 7,191 6,484 -9.8

2 개별인정 416 799 1,129 1,435 1,807 25.9

3 비타민ㆍ무기질 531 761 991 1,561 1,646 5.4

4 알로에 639 648 584 692 687 -0.7

5 프로바이오틱스 190 254 317 405 518 27.9

누계(5품목) 5,960 7,457 8,838 11,284 11,142 -1.3

6 오메가-3지방산함유유지 266 334 348 509 497 -2.4

7 인삼 413 364 341 381 450 18.1

8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추출물) 208 207 440 112.5

9 식이섬유 1 99 117 116 168 44.8

10 감마리놀렌산 145 108 93 224 152 -32.1

누계(10품목) 6,785 8,363 9,945 12,719 12,849 1.0

11 기타품목 1,246 1,235 726 963 1,232 27.9 자료 : 식약처, HMC투자증권

자체 브랜드 듀오락 성장에 주목 해야

B2C 매출 지난해

100% 성장

동사의 자체브랜드 듀오락은 2009년 B2C판매를 시작하여 매년 성장하고 있다. 2011년까지

매출은 미미한 수준이었으나, 2012년 매출 비중이 10%를 넘어섰으며, 2013년에는 20% 수준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자체 브랜드의 매출 증가는 외형 성장으로 이어진다. OEM/ODM 보다 고

객에 직접 팔 수 있어 단가가 높다. 또한, 수익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마케팅비를 투입해야 되는

단점도 있지만, 외형 성장으로 인한 매출 변동비는 충분히 상쇄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2013년 B2C 매출은 전년 동기대비 100% 정도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동사는 온라인판매뿐만

아니라 약국, 병의원, 한의원 등에 유통을 하고 있으며, 2007년 창립한 유산균바이오테라피 연구

회를 통해 교수, 의사, 약사, 한의사로 구성한 연구회 활동을 진행하고 있어 유통뿐 아니라 확산에

도 힘을 기울이고 있다. 아직 국내 인지도가 높지 않은 상태에서 프로바이오틱스의 효능에 대한 인

지도가 높아가고 있어 긍정적이다.

Page 6: Company Report 쎌바이오텍(049960) 2014. 02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company/1392081470687.pdf · 2014-02-11 · 3 Mid-Small Cap Analyst 박한우 수석연구위원

6

기아자동차 (000270)

삼영전자(005680) COMPANY REPORT

2014년 매출액 376억 원, 영업이익 118억 원 추정

2014년

영업이익 41% 성장 예상

2014년 동사의 실적을 매출액 376억 원(YoY +21.9%), 영업이익 118억 원(YoY +40.6%)

으로 추정하였다. 동사의 자체 브랜드 제품인 듀오락의 국내 B2C매출이 증가하고 있어, 외형 성장

과 더불어 수익성도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동사는 지난해 9월 공장 증설을 완료하여 생산능력

이 300억 원에서 600억 원으로 향상되어, 2014년에는 대규모 설비 투자도 없을 것으로 판단된

다. 자체 브랜드 매출은 OEM/ODM 매출에 비해 단가가 높아 마케팅비에도 불구 수익성이 좋으

며, 2013년 예상 영업이익 27.3%에서 31.4%로 4.1%p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국내뿐만

아니라 덴마크에서도 자체 브랜드를 1월부터 출시하여 판매에 들어가 해외에서도 B2C매출이 증

가가 예상된다.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29,000원 제시

높은 성장성 반영 덴마크의 크리스찬한센의 경우 2014년 기준 PER 27배를 적용 받고 있으며, 동사도 2012년,

2013년 평균 PER 26배를 상회하고 있다. 국내 건강기능식품관련 회사인 내츄럴엔도텍, 서흥캅셀

등의 실적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국내 프로바이오틱스 시장은 생산기준 수출을 제외할 경

우 2012년 약 380억 원 시장이며, 아직 인지도가 높지 않아 성장가능성이 높고, 프로바이오틱스

의 효능이 점차 확대되고 있어 이에 따른 수혜가 예상된다. 듀오락은 효능에 대한 구전 효과 등으

로 재구매비율은 65%를 상회하고 있으며, 동사 제품은 남녀노소 구분 없이 복용이 가능하여 성장

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동사의 2014년 EPS 성장률도 40%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된

다. 동사의 목표주가는 앞서 언급한 높은 성장요인을 감안하여 2014년 추정 EPS 1,066원에 목

표 PER 27 배를 적용한 29,000원과 투자의견 BUY를 제시한다.

<그림7> 쎌바이오텍 매출 및 증감률 추이 및 전망 <그림8> 쎌바이오텍 영업이익 및 증감률 추이 및 전망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10 11 12 13F 14F

0%

5%

10%

15%

20%

25%

30%매출액

(증감률)

(억 원)

0

20

40

60

80

100

120

140

10 11 12 13F 14F

0%

5%

10%

15%

20%

25%

30%

35%

40%

45%영업이익

(증감률)

(억 원)

자료 : 쎌바이오텍, HMC투자증권 자료 : 쎌바이오텍, HMC투자증권

<표3> 쎌바이오텍 실적 추정 (단위: 억원)

1Q13 2Q13 3Q13F 4Q1F 1Q14F 2Q14F 3Q14F 4Q14F 2013F 2014F 매출액 62 79 73 93 88 90 93 105 309 376

원말 14 14 12 18 15 15 13 20 59 65

완제품 48 65 61 75 73 75 80 85 248 311

영업이익 7 26 24 27 24 29 31 34 84 118

지배주주순익 7 23 19 22 21 24 27 29 70 100

OPM 11.1% 33.1% 32.5% 29.0% 27.3% 32.2% 33.3% 33.3% 27.3% 31.5% 자료 : 쎌바이오텍, HMC투자증권.

Page 7: Company Report 쎌바이오텍(049960) 2014. 02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company/1392081470687.pdf · 2014-02-11 · 3 Mid-Small Cap Analyst 박한우 수석연구위원

7

Mid-Small Cap Analyst 박한우 수석연구위원 02) 3787-2279 / [email protected]

(단위:십억원) (단위:십억원)

포괄손익계산서 2011 2012 2013F 2014F 2015F 재무상태표 2011 2012 2013F 2014F 2015F

매출액 23 26 31 38 44 유동자산 26 27 28 38 48

증가율 (%) N/A 11.0 19.2 21.9 18.2 현금성자산 8 5 0 3 4

매출원가 8 9 10 13 15 단기투자자산 10 15 20 26 33

매출원가율 (%) 35.6 33.3 32.4 33.9 33.8 매출채권 4 3 3 4 5

매출총이익 15 17 21 25 29 재고자산 3 3 3 4 4

매출이익률 (%) 64.4 66.7 67.6 66.1 66.2 기타유동자산 0 1 1 1 2

증가율 (%) N/A 15.1 20.7 19.2 18.4 비유동자산 11 14 19 19 20

판매관리비 9 11 12 13 15 유형자산 8 11 16 16 17

판관비율 (%) 39.8 41.5 40.3 34.6 33.6 무형자산 1 1 1 1 1

EBITDA 6 7 9 13 16 투자자산 1 1 1 1 2

EBITDA 이익률 (%) 27.9 28.2 29.8 34.9 35.7 기타비유동자산 1 0 0 0 0

증가율 (%) N/A 12.4 25.8 43 21.0 기타금융업자산 0 0 0 0 0

영업이익 6 7 8 12 14 자산총계 37 40 47 56 69

영업이익률 (%) 24.6 25.2 27.3 31.5 32.6 유동부채 5 4 4 5 7

증가율 (%) N/A 13.8 29.0 40.6 22.3 단기차입금 0 1 0 0 0

영업외손익 0 1 1 1 1 매입채무 2 1 1 2 2

금융수익 1 1 1 1 1 유동성장기부채 0 0 0 0 0

금융비용 0 0 0 0 0 기타유동부채 2 2 3 4 5

기타영업외손익 0 0 0 0 0 비유동부채 0 0 0 0 0

종속/관계기업관련손익 0 0 0 0 0 사채 0 0 0 0 0

세전계속사업이익 6 7 9 13 16 장기차입금 0 0 0 0 0

세전계속사업이익률 (%) 26.7 27.9 29.1 33.9 35.0 장기금융부채(리스포함) 0 0 0 0 0

증가율 (%) N/A 15.7 24.3 42.3 21.8 기타비유동부채 0 0 0 0 0

법인세비용 1 1 2 3 3 기타금융업부채 0 0 0 0 0

계속사업이익 5 6 7 10 12 부채총계 5 4 4 5 7

중단사업이익 0 0 0 0 0 지배주주지분 32 36 42 51 62

당기순이익 5 6 7 10 12 자본금 5 5 5 5 5

당기순이익률 (%) 22.4 23.7 22.8 26.6 27.3 자본잉여금 13 13 13 13 13

증가율 (%) N/A 17.4 14.9 42.3 21.0 자본조정 등 -5 -5 -5 -5 -5

지배주주지분 순이익 5 6 7 10 12 기타포괄이익누계액 0 0 0 0 0

비지배주주지분 순이익 0 0 0 0 0 이익잉여금 19 24 30 39 50

기타포괄이익 0 0 0 0 0 비지배주주지분 0 0 0 0 0

총포괄이익 5 6 7 10 12 자본총계 32 36 42 51 62

(단위:십억원) (단위: 원,배,%)

현금흐름표 2011 2012 2013F 2014F 2015F 주요투자지표 2011 2012 2013F 2014F 2015F

영업활동으로인한현금흐름 5 6 8 11 13 EPS(당기순이익 기준) 555 652 749 1,066 1,290

당기순이익 5 6 7 10 12 EPS(지배순이익 기준) 553 653 749 1,066 1,290

유형자산 상각비 1 1 1 1 1 BPS(자본총계 기준) 3,295 3,785 4,407 5,351 6,519

무형자산 상각비 0 0 0 0 0 BPS(지배지분 기준) 3,286 3,785 4,407 5,351 6,519

외환손익 0 0 0 0 0 DPS 150 150 150 150 150

운전자본의 감소(증가) 0 -1 0 0 -1 PER(당기순이익 기준) 10.4 26.9 25.8 21.9 18.1

기타 0 1 0 0 0 PER(지배순이익 기준) 10.4 26.9 25.8 21.9 18.1

투자활동으로인한현금흐름 -3 -8 -11 -8 -10 PBR(자본총계 기준) 1.8 4.6 4.4 4.4 3.6

투자자산의 감소(증가) -1 0 0 0 0 PBR(지배지분 기준) 1.8 4.6 4.4 4.4 3.6

유형자산의 감소 0 0 0 0 0 EV/EBITDA(Reported) 5.6 20.0 17.6 14.5 11.4

유형자산의 증가(CAPEX) -1 -3 -6 -1 -3 배당수익률 2.6 0.9 0.8 0.6 0.6

기타 -2 -5 -5 -7 -7 성장성 (%)

재무활동으로인한현금흐름 -2 0 -2 -1 -1 EPS(당기순이익 기준) N/A 17.4 14.9 42.3 21.0

장기차입금의 증가(감소) 0 1 -1 0 0 EPS(지배순이익 기준) N/A 18.0 14.6 42.3 21.0

사채의증가(감소) 0 0 0 0 0 수익성 (%)

자본의 증가 17 0 0 0 0 ROE(당기순이익 기준) 16.4 18.0 17.9 21.4 21.4

배당금 -1 -1 -1 -1 -1 ROE(지배순이익 기준) 16.4 18.0 17.9 21.4 21.4

기타 -18 0 0 0 0 ROA 14.2 15.9 16.2 19.4 19.4

기타현금흐름 0 0 0 0 0 안정성 (%)

현금의증가(감소) 0 -3 -5 2 2 부채비율 15.7 10.7 10.3 10.4 10.6

기초현금 7 8 5 0 3 순차입금비율 -56.6 -52.8 -47.8 -56.7 -60.5

기말현금 8 5 0 3 4 이자보상배율 1,074.3 671.6 4,245.4 N/A N/A

*K-IFRS 연결 기준

Page 8: Company Report 쎌바이오텍(049960) 2014. 02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company/1392081470687.pdf · 2014-02-11 · 3 Mid-Small Cap Analyst 박한우 수석연구위원

8

기아자동차 (000270)

삼영전자(005680) COMPANY REPORT

▶ 투자의견 및 목표주가 추이 ▶ 최근 2년간 쎌바이오텍 주가 및 목표주가 일 자 투자의견 목표주가 일 자 투자의견 목표주가

14/02/11 BUY 29,000원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35,000

12/02/10 12/06/10 12/10/10 13/02/10 13/06/10 13/10/10 14/02/10

쎌바이오텍종가

목표주가

▶ Compliance Note • 본 자료를 작성한 애널리스트는 해당 회사의 유가증권을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 본 자료는 기관투자자 또는 제3자에게 제공된 사실이 없습니다.

• 당사는 추천일 현재 해당회사와 관련하여 특별한 이해관계가 없습니다.

• 이 자료에 게재된 내용들은 자료작성자 박한우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작성되었음을 확인합니다.

▶ 투자의견 분류 ▶ HMC투자증권의 업종투자의견은 3등급으로 구분되며 향후 6개월간 업종 펀더멘털과 업종주가의 전망을 의미함.

• Overweight : 업종 펀더멘털의 개선과 함께 업종주가의 상승 기대

• Neutral : 업종 펀더멘털상의 유의미한 변화가 예상되지 않음

• Underweight : 업종 펀더멘털의 악화와 함께 업종주가의 하락 기대

▶ HMC투자증권의 종목투자의견은 3등급으로 구분되며 향후 6개월간 추천기준일 종가대비 추천종목의 예상 상대수익률을 의미함.

• BUY : 추천일 종가대비 초과수익률 +15%P 이상

• HOLD : 추천일 종가대비 초과수익률 -15%∼+15%P 이내

• SELL : 추천일 종가대비 초과수익률 -15%P 이하

• 본 조사자료는 투자자들에게 도움이 될 만한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당사의 사전 동의 없이 무단복제 및 배포할 수 없습니다.

• 본 자료에 수록된 내용은 당사가 신뢰할 만한 자료 및 정보로 얻어진 것이나,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투자자 자신의 판단과 책임하에 최종결정을 하시기 바랍니다.

• 본 자료는 어떠한 경우에도 고객의 주식투자의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