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 글로벌 항공운송시장 1. 글로벌 항공여객 동향 / 47 1.1 IATA 글로벌 항공운송동향(2월) / 47 1.2 ACI 운항여객 처리실적(1월) / 56 1.3 ICAO 세계 항공 공급력(1월) / 62 2. 글로벌 항공화물 동향 / 63 2.1 IATA 글로벌 화물운송동향(2월) / 63 2.2 ACI 화물 처리실적(1월) / 70 3. 글로벌 정책 동향 / 74 3.1 국제기구 동향(4월) / 74 3.2 항공선진국 동향(4월) / 77 3.3 항공기업 동향(4월) / 80 제 94 호 (2020. 4)

Ⅱ. 글로벌 항공운송시장 ctk actk clf clf(%p) ctk actk clf clf(%p) 국 제 86.8 -0.9 -3.5 52.0 1.4 -2.6 -1.6 49.9 -0.5 전 체 100 -1.4 -4.4 46.4 1.5 -2.7 -1.7 45.5 -0.5 [그림

  • Upload
    others

  • View
    3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Ⅱ. 글로벌 항공운송시장

    1. 글로벌 항공여객 동향 / 471.1 IATA 글로벌 항공운송동향(2월) / 47

    1.2 ACI 운항・여객 처리실적(1월) / 561.3 ICAO 세계 항공 공급력(1월) / 62

    2. 글로벌 항공화물 동향 / 632.1 IATA 글로벌 화물운송동향(2월) / 63

    2.2 ACI 화물 처리실적(1월) / 70

    3. 글로벌 정책 동향 / 743.1 국제기구 동향(4월) / 74

    3.2 항공선진국 동향(4월) / 77

    3.3 항공기업 동향(4월) / 80

    제 94 호 (2020. 4)

  • 63

    Ⅱ. 글로벌 항공운송시장

    2. 글로벌 항공화물 동향

    2.1 IATA 글로벌 화물운송동향(2월)

    가. 개요

    2020.2월 세계 총5) 화물톤킬로미터(CTK)6)는 전년 동월 대비 -1.4% 기록

    - 2월 총 공급화물톤킬로미터(ACTK)는 전년 동월 대비 4.4% 감소

    - 2월 총 화물탑재율(CLF)은 46.4%를 기록

    글로벌 항공화물실적 비교(단위: %)

    구 분CTK시장

    점유율

    전년 동월 대비(’19.2월 vs ’20.2월)

    누적 대비(’19.1∼2월 vs ’20.1∼2월)

    CTK ACTK CLF CLF(%p) CTK ACTK CLF CLF(%p)

    국 제 86.8 -0.9 -3.5 52.0 1.4 -2.6 -1.6 49.9 -0.5

    전 체 100 -1.4 -4.4 46.4 1.5 -2.7 -1.7 45.5 -0.5

    [그림 Ⅱ-6] 전 세계 국제선 CTK 실적 및 증감률 (2018 vs 2019 vs 2020)

    5) 국내선 + 국제선6) 2020.1월부터 IATA는 기존의 FTK, FCTK, FLF 대신 CTK, ACTK, CLF를 사용, 계산방식은

    이전과 동일

  • 64

    항공시장동향 제94호

    2020.2월 전 세계 CTK 성장률은 전년 동월 대비 -1.4% 기록, 1월 -3.9%에서 약간

    개선

    - 1월보다 CTK 성장률이 소폭 상승한 것은 2019년 중국 춘절시기와 중국-미국 무역전쟁에

    의한 낮은 실적에서 기인

    - 2월 계절요인을 제거한 전 세계 CTK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9.1% 기록

    - 계절요인을 제거하지 않은 데이터에서 아태지역, 유럽지역, 북미지역의 CTK는 전년 대비

    소폭 하락, 반면 중동은 견고한 실적 기록

    지난 20년간 항공산업에 있어 중국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전 세계 경제 및 항공교통에

    지대한 영향

    - 코로나-19의 타격은 중국이 가장 컸지만, 바이러스의 확산으로 한국, 일본, 이탈리아 같은

    대규모 경제도 타격, 2월 마지막 주에는 이탈리아에서 대대적으로 공장 폐쇄

    - 2월 중국 공장 폐쇄와 여행 제한으로 제조업 생산이 폭락하여 제조업 PMI는 기록적으로

    낮은 실적을 보임

    수많은 중국 인/아웃바운드 여객편이 취소되고 다른 시장도 타격을 받아 항공화물 시장이

    악화

    - ’19년 전 세계 화물 공급력의 대략 65%가 여객기 하부의 화물칸을 이용했으나 ’20.2월

    비율은 62%로 하락

    - 여객기 하부 화물칸을 통해 제공하던 공급력 감소로 전 세계 항공화물 운송력은 상당히

    감소하였고, 결국 중국과 다른 지역의 물류창고 및 공항에 병목현상이 발생함

    - 전 세계 공급망에 차질이 생기면서 공급업체의 배송 시간 및 신규 수출주문 하락에

    반영되었으며, 2009년 세계금융위기 이래 가장 낮은 신규 수출주문 기록

    2020.2월 전 세계 ACTK는 전년 동월 대비 -4.4% 기록, 1월 0.8%에서 하락

    - 아태지역의 항공편 운항 취소로 인한 공급력 하락(전년 동월 대비 -17.7%)과 유럽지역의

    공급력 3.8% 하락에서 기인

    - 2월 전 세계 CLF는 전년 대비 1.5%p 증가, 아태지역의 CLF는 8.6%p 증가

  • 65

    Ⅱ. 글로벌 항공운송시장

    자료: IATA, Markit

    [그림 Ⅱ-7] 연도별 항공 CTK 및 PMI의 제조업 생산량(계절요인 제거)

    자료: IATA, Markit

    [그림 Ⅱ-8] 국제선 주요 노선의 CTK 성장률 및 주요 지역별 국제선 CTK 성장률

    2020.2월 전 세계 국제선 CTK는 전년 동월 대비 0.9%로 1월(-4.1%)보다 성장함

    - 전 세계 총 CTK와 마찬가지로 ‘19.2월 낮은 실적으로 인해 전년 동월 대비 플러스 성장률을 기록

    - 아프리카와 중동 지역의 국제선 CTK는 성장하였고, 북미 지역에서는 성장이 둔화됨

    2월 아프리카 지역의 국제선 CTK 성장률은 전년 대비 6.5%를 기록하며 1월과 유사한

    기록을 보임

    - 아프리카-아시아, 아프리카-중동의 무역노선 성장이 아프리카 지역의 국제선 CTK 성장에

    기여, 하지만 계절요인을 제거했을 때 ’19년 11월 정점 후 하향세를 보임

  • 66

    항공시장동향 제94호

    2월 아태지역의 국제선 CTK 성장률은 전년 동월 대비 1.8% 기록, 1월 -5.5%에서

    상승

    - 2월 아태지역의 CTK는 중국-미국의 무역 전쟁으로 인해 2019년 실적이 낮았기 때문에

    기저효과로 상승

    - 2월 아태지역의 계절요인을 제거한 국제선 CTK는 2014년 초 실적과 유사한 -12.0%

    기록하였으며 이는 코로나-19가 전체 국제선 CTK의 30%를 차지하는 세계 1차 제조

    및 유통 허브에 관한 지역 수준에 미친 영향을 보여줌

    - 2월 아태지역 국제선 ACTK는 전년 동월 대비 -8.1% 기록했는데 이는 중국 국제선의

    급락으로 여객기 하부 화물칸을 통한 항공화물 공급력이 크게 감소하여 발생

    - 항공사의 항공화물 운송을 위한 여객기 활용 능력에 따라 향후 실적이 좌우될 전망

    2월 중동 지역 국제선 CTK 성장률은 전년 동월 대비 4.3% 기록

    - 2019년 중동 국제선 CTK 성장률 -4.6%에 비하면 크게 향상된 결과임

    - 중동 지역 대형 항공사들의 아태지역발 여객 공급력은 감소했지만, 화물 공급력은

    전년 동월 대비 6% 상승

    2월 남미 지역 국제선 CTK은 전년 동월 대비 -0.5%의 성장률을 보였으며 이는

    1월(1.1%)과 유사한 실적임

    - 남미 지역은 처음에 코로나-19의 영향을 비교적 받지 않았으나 전 세계 공급망 차질과

    경제 상황 약화로 국제선 CTK 성장률 약화

    2월 유럽 지역 국제선 CTK 성장률은 전년 동월 대비 1월과 유사한 -4.1%

    기록

    - 유럽 항공사들은 가장 먼저 아시아지역 인/아웃바운드 항공편을 운항 취소 지역 중

    하나로 2월 성장률 약세에 기여함

    - 제조업이 발달한 이탈리아 북부지역이 전 세계 공급망 차질 및 코로나-19 확산방지

    조치에 영향을 받아 유럽 역내 시장 국제선 CTK도 전년 동월 대비 -7.8%로 크게

    하락

    2월 북미 지역 국제선 CTK 성장률은 전년 대비 -6.1% 기록, 1월 -5.2%에서 더

    하락

    - 아시아 지역의 공장 폐쇄 및 물류창고와 공항의 병목현상으로 아시아-북미 노선의

    항공화물량은 전년 동월 대비 2.4% 감소

    - 북미 지역의 계절요인을 제거한 국제선 CTK의 상승세는 2월에 끝난 것으로 보임

  • 67

    Ⅱ. 글로벌 항공운송시장

    IATA 전년 동월 대비 및 누적 대비 지역별 화물성장률 비교(단위: %)

    구 분CTK시장

    점유율

    전년 동월 대비(’19.2월 vs ’20.2월)

    누적 대비(’19.1~2월 vs ’20.1~2월)

    CTK ACTK CLF CLF(%p) CTK ACTK CLF CLF(%p)

    아시아태평양 30.4 1.8 -8.1 59.2 5.7 -2.3 -3.9 55.7 0.9

    유 럽 23.3 -4.1 -4.1 54.9 0.0 -4.2 -3.0 52.7 -0.7

    북 미 16.0 -6.1 -4.1 46.4 -1.0 -5.6 -2.4 45.7 -1.6

    남 미 2.3 -0.5 -5.9 42.3 2.3 -0.8 -2.8 40.4 0.8

    중 동 13.0 4.3 5.9 46.5 -0.7 1.4 4.3 44.6 -1.2

    아프리카 1.8 6.5 3.3 38.0 1.2 6.6 7.7 36.2 -0.4

    국제선 86.8 -0.9 -3.5 52.0 1.4 -2.6 -1.6 49.9 -0.5

    아시아태평양 34.6 -2.2 -17.7 54.3 8.6 -4.6 -8.8 50.4 2.2

    유 럽 23.6 -4.1 -3.8 53.1 -0.2 -4.2 -2.7 51.0 -0.8

    북 미 24.3 -1.8 4.1 37.2 -2.2 -2.2 3.7 39.6 -2.4

    남 미 2.8 1.8 -2.6 34.2 1.5 1.4 -0.1 32.5 0.5

    중 동 13.0 4.3 6.0 46.1 -0.7 1.5 4.3 44.3 -1.3

    아프리카 1.8 6.2 3.0 36.8 1.1 6.4 6.4 35.5 0.0

    전체 100.0 -1.4 -4.4 46.4 1.5 -2.7 -1.7 45.5 -0.5

  • 68

    항공시장동향 제94호

    IATA 지역 간 화물실적 및 증감률(단위: 톤킬로미터, %)

    구 분

    CTK ACTK CLF

    ’19.2월 ’20.2월 증감률 ’19.2월 ’20.2월 증감률’19.2월

    ’20.2월

    증감(%p)

    아프리카-유럽 420,415 419,869 -0.1 957,974 948,913 -0.9 43.9 44.2 0.4

    아프리카-극동 82,787 90,061 8.8 201,087 175,156 -12.9 41.2 51.4 10.2

    아프리카-중동 185,911 194,060 4.4 517,342 542,109 4.8 35.9 35.8 -0.1

    중미/카리브-남미 29,839 33,635 12.7 97,585 104,376 7.0 30.6 32.2 1.6

    유럽-중미/카리브 214,705 233,588 8.8 565,834 607,738 7.4 37.9 38.4 0.5

    유럽-극동 3,029,316 2,836,903 -6.4 4,923,164 4,481,104 -9.0 61.5 63.3 1.8

    유럽-중동 890,279 923,453 3.7 1,843,304 1,915,876 3.9 48.3 48.2 -0.1

    유럽-북미 2,239,963 2,370,478 5.8 4,143,672 4,409,960 6.4 54.1 53.8 -0.3

    유럽-남미 360,807 369,822 2.5 684,341 652,606 -4.6 52.7 56.7 3.9

    극동-북미 2,978,687 2,907,306 -2.4 5,083,422 4,846,747 -4.7 58.6 60.0 1.4

    극동-남서태평양 418,546 416,899 -0.4 1,136,288 921,224 -18.9 36.8 45.3 8.4

    중동-극동 984,813 1,011,282 2.7 2,240,841 2,245,968 0.2 43.9 45.0 1.1

    중동-북미 401,343 439,515 9.5 755,335 867,568 14.9 53.1 50.7 -2.5

    북미-중미/카리브 121,682 103,132 -15.2 477,748 468,278 -2.0 25.5 22.0 -3.4

    북미-남미 518,080 491,434 -5.1 1,144,749 1,088,737 -4.9 45.3 45.1 -0.1

    북미/남미-남서태평양 135,918 128,641 -5.4 321,739 309,123 -3.9 42.2 41.6 -0.6

    중미역내 4,170 4,028 -3.4 28,689 27,499 -4.1 14.5 14.6 0.1

    유럽역내 403,182 371,795 -7.8 975,717 981,342 0.6 41.3 37.9 -3.4

    극동역내 1,167,202 1,281,476 9.8 2,792,583 2,263,693 -18.9 41.8 56.6 14.8

    남미역내 51,469 51,537 0.1 177,668 156,419 -12.0 29.0 32.9 4.0

    기타 437,514 462,725 5.8 1,210,588 1,284,271 6.1 36.1 36.0 -0.1

    국제선 전체 15,202,030 15,072,542 -0.9 30,046,725 29,007,310 -3.5 50.6 52.0 1.4

  • 69

    Ⅱ. 글로벌 항공운송시장

    IATA 지역 간 누적화물실적 및 증감률(단위: 톤킬로미터, %)

    구 분

    CTK ACTK CLF

    ’19.1~2월 ’20.1~2월 증감률 ’19.1~2월 ’20.1~2월 증감률’19.

    1~2월 ’20.

    1~2월 증감(%p)

    아프리카-유럽 835,226 808,328 -3.2 1,998,869 1,973,651 -1.3 41.8 41.0 -0.8

    아프리카-극동 221,592 232,099 4.7 498,629 501,539 0.6 44.4 46.3 1.8

    아프리카-중동 392,828 389,174 -0.9 1,109,052 1,132,636 2.1 35.4 34.4 -1.1

    중미/카리브-남미 60,015 66,754 11.2 210,127 225,139 7.1 28.6 29.7 1.1

    유럽-중미/카리브 422,896 445,267 5.3 1,175,718 1,262,920 7.4 36.0 35.3 -0.7

    유럽-극동 6,498,029 6,212,163 -4.4 10,539,213 10,196,942 -3.2 61.7 60.9 -0.7

    유럽-중동 1,782,253 1,786,997 0.3 3,787,426 3,874,920 2.3 47.1 46.1 -0.9

    유럽-북미 4,436,972 4,531,691 2.1 8,665,098 9,046,133 4.4 51.2 50.1 -1.1

    유럽-남미 721,566 723,691 0.3 1,403,531 1,329,124 -5.3 51.4 54.4 3.0

    극동-북미 6,793,271 6,609,090 -2.7 11,428,416 11,191,431 -2.1 59.4 59.1 -0.4

    극동-남서태평양 981,890 906,630 -7.7 2,375,736 2,148,226 -9.6 41.3 42.2 0.9

    중동-극동 2,125,651 2,133,016 0.3 4,897,690 4,941,848 0.9 43.4 43.2 -0.2

    중동-북미 787,667 821,671 4.3 1,591,209 1,746,626 9.8 49.5 47.0 -2.5

    북미-중미/카리브 254,365 230,397 -9.4 1,044,808 1,013,155 -3.0 24.3 22.7 -1.6

    북미-남미 1,082,921 1,030,428 -4.8 2,396,743 2,309,075 -3.7 45.2 44.6 -0.6

    북미/남미-남서태평양 265,724 264,508 -0.5 679,292 667,565 -1.7 39.1 39.6 0.5

    중미역내 8,557 8,069 -5.7 62,159 58,746 -5.5 13.8 13.7 0.0

    유럽역내 818,613 779,315 -4.8 2,041,839 2,066,109 1.2 40.1 37.7 -2.4

    극동역내 2,691,612 2,663,003 -1.1 5,855,860 5,311,633 -9.3 46.0 50.1 4.2

    남미역내 100,171 103,033 2.9 354,057 321,107 -9.3 28.3 32.1 3.8

    기타 863,285 937,539 8.6 2,544,568 2,651,427 4.2 33.9 35.4 1.4

    국제선 전체 32,625,717 31,779,502 -2.6 64,774,055 63,740,763 -1.6 50.4 49.9 -0.5

  • 70

    항공시장동향 제94호

    IATA 국제선 월별 총 화물실적(단위: 톤킬로미터, %)

    구 분

    CTK ACTK CLF

    ’19년 ’20년 증감률 ’19년 ’20년 증감률 ’19년 ’20년증감(%p)

    1월 17,423,687 16,706,960 -4.1 34,727,330 34,733,453 0.0 50.2 48.1 -2.1

    2월 15,202,030 15,072,542 -0.9 30,046,725 29,007,310 -3.5 50.6 52.0 1.4

    3월 19,884,270 - - 35,843,964 - - 55.5 - -

    4월 17,854,654 - - 34,697,504 - - 51.5 - -

    5월 18,577,213 - - 35,525,842 - - 52.3 - -

    6월 18,002,369 - - 35,598,822 - - 50.6 - -

    7월 18,620,127 - - 37,386,368 - - 49.8 - -

    8월 18,110,603 - - 37,137,655 - - 48.8 - -

    9월 18,296,367 - - 35,940,425 - - 50.9 - -

    10월 19,520,727 - - 36,578,987 - - 53.4 - -

    11월 20,093,384 - - 35,948,502 - - 55.9 - -

    12월 19,141,580 - - 36,822,218 - - 52.0 - -

    자료: IATA RAS주: IATA의 통계 수정으로 과월호와 실적이 상이할 수 있음

    2.2 ACI 화물 처리실적(1월)

    가. 개요7)

    2020.1월 전 세계 항공화물(Cargo)8)은 전년 동월 대비 -4.1% 기록

    - 1차 조사에 따르면 2019.12월 말까지 항공화물 성장률은 전년 대비 -2.7% 기록

    - 계속되고 있는 공급망 차질 및 세계 경제에 가해진 쇼크로 인해 2020년 말까지 항공화물

    성장률은 더 하락할 전망

    7) 전체(국내+국제) 화물은 Cargo 실적 기준, 국제선 화물은 Freight 실적 기준으로 작성됨8) 화물(Cargo)은 공항에서 적재 또는 하역하는 ‘(순)화물(Freight)+우편물(특송화물 포함)’을 의미하며, 중

    량은 메트릭톤 단위를 사용함

  • 71

    Ⅱ. 글로벌 항공운송시장

    전 세계 ACI 회원공항 화물처리실적 요약(단위: 천톤, %)

    구 분’20. 1월 ’20 .~1월 누적

    화물 증감률 화물 증감률

    국제선9) 5,354 -4.2 5,354 -4.2

    전 체 8,168 -4.1 8,168 -4.1

    주: 통계수치는 각 공항들이 ACI에 매달 제공하는 자료를 기초로 작성되었으며, ACI 회원공항은 전세계 여객 운송량의 약 60%, 화물의 70%를 나타냄

    자료: ACI PaxFlash and FreightFlash

    ACI 회원공항 지역별 화물처리실적(’20.1월 기준, 단위: 천톤, %)

    구 분 지 역 화 물전년 동월 대비

    증감률’20.~1월누적화물

    전년 누적 대비증감률

    국제

    아프리카 156 5.4 156 5.4

    아・태 2,008 -7.6 2,008 -7.6유 럽 1,394 -3.0 1,394 -3.0

    남미・카리브 276 0.2 276 0.2중 동 658 0.6 658 0.6

    북 미 862 -4.7 862 -4.7

    소 계 5,354 -4.2 5,354 -4.2

    전체*

    아프리카 168 6.0 168 6.0

    아・태 2,922 -7.7 2,922 -7.7유 럽 1,555 -2.5 1,555 -2.5

    남미・카리브 387 1.4 387 1.4중 동 671 0.5 671 0.5

    북 미 2,465 -3.2 2,465 -3.2

    합 계 8,168 -4.1 8,168 -4.1

    주: 전체=출발・도착화물(국내+국제)+통과(1회), 자료: ACI

    나. 주요 공항 화물처리실적

    ACI 소속 주요 공항의 1월 화물처리실적

    - 1위 홍콩 첵랍콕, 2위 미국 멤피스, 3위 중국 상하이 푸동, 4위 미국 루이스빌 스탠디포드

    필드, 5위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 우리나라 공항10): 인천국제공항 6위(5위), 김포국제공항 113위(128위), 제주국제공항

    119위(150위), 김해국제공항 198위(236위)

    9) 화물(Freight)은 공항에서 적재 또는 하역하는 (순)화물로 제품, 신문, 외교행낭, 소포(parcel post)와 등

    기소포(express parcel)를 말하며, 여객수하물과 트럭화물은 제외. 중량은 메트릭톤 단위를 사용함10) 괄호 안은 지난 달 1,172개 공항 중 순위

  • 72

    항공시장동향 제94호

    1월 ACI 소속 주요 공항 화물처리 순위11)

    (단위: 톤, %)

    순위공항코드

    도시/공항 국 가 화 물전년대비

    ’20년 누적

    누적대비

    * 1 HKG 홍콩 첵랍콕 홍콩 359,000 -10.5 359,000 -10.5

    * 2 MEM 멤피스 미국 341,082 -10.6 341,082 -10.6

    * 3 PVG 상하이-푸동 중국 266,644 -9.4 266,644 -9.4

    * 4 SDF 루이스빌-스탠디포드 필드 미국 223,306 4.4 223,306 4.4

    * 5 DXB 두바이 아랍에미리트 219,116 -6.5 219,116 -6.5

    * 6 ICN 서울 인천 대한민국 208,064 -4.3 208,064 -4.3

    * 7 ANC 앵커리지-테드 스티븐스 미국 189,772 -10.8 189,772 -10.8

    * 8 DOH 도하 카타르 179,642 9.9 179,642 9.9

    * 9 MIA 마이애미 미국 177,789 -1.7 177,789 -1.7

    * 10 TPE 타이완 타오유완 대만 167,756 -9.6 167,756 -9.6

    * 11 SIN 창이 싱가포르 160,900 -7.8 160,900 -7.8

    * 12 PEK 베이징 캐피탈 중국 159,392 -11.0 159,392 -11.0

    * 13 LAX 로스앤젤레스 미국 156,403 -5.2 156,403 -5.2

    * 14 NRT 도쿄 나리타 일본 150,046 -5.8 150,046 -5.8

    * 15 CDG 파리-샤를 드 골 프랑스 148,000 -2.1 148,000 -2.1

    * 16 FRA 프랑크푸르트-라인 마인 독일 146,645 -9.2 146,645 -9.2

    * 17 CAN 광저우-바이윤 중국 145,655 -12.9 145,655 -12.9

    * 18 LHR 런던-히드로 영국 122,962 -10.8 122,962 -10.8

    * 19 AMS 암스테르담 스키폴 네덜란드 114,988 -7.5 114,988 -7.5

    * 20 BKK 방콕-수완나푸미 태국 104,679 -5.8 104,679 -5.8

    * 21 SZX 쉔젠 바오안 중국 101,148 -6.4 101,148 -6.4

    * 22 HND 도쿄-하네다 일본 99,084 1.5 99,084 1.5

    * 23 JFK 뉴욕 존 F. 케네디 미국 97,174 -9.6 97,174 -9.6

    * 24 LEJ 라이프치히 할레-슈케우디츠 독일 95,965 -3.4 95,965 -3.4

    * 25 CVG 신시내티 노던 켄터키 미국 89,252 -6.3 89,252 -6.3

    * 26 IND 인디애나폴리스 미국 82,529 8.6 82,529 8.6

    * 27 DEL 델리-인디라 간디 인도 81,306 -7.1 81,306 -7.1

    28 DWC 알 막튬 아랍에미리트 74,959 4.0 74,959 4.0

    * 29 BOM 뭄바이-채해트라피티 시버지 인도 73,543 -4.3 73,543 -4.3

    30 LGG 리에주 벨기에 71,658 -3.1 71,658 -3.1

    * 113 GMP 서울 김포 대한민국 12,046 -6.5 12,046 -6.5

    * 119 CJU 제주 대한민국 9,775 -17.6 9,775 -17.6

    * 198 PUS 부산 김해 대한민국 3,063 -23.5 3,063 -23.5

    * 454 TAE 대구 대한민국 153 * 153 *

    주: 1) 순위: 대상공항 1,158개 공항 중 순위2) 주요공항 선정기준: 화물처리실적 30위 공항 + 우리나라 주요 공항3) * : 우리나라 공항기점으로 취항하거나 취항한 적이 있는 공항

    자료: ACI

    11) 화물(Cargo) 기준 실적

  • 73

    Ⅱ. 글로벌 항공운송시장

    1월 ACI 소속 주요 공항 국제선 화물처리 순위(단위: 톤, %)

    순위공항코드

    도시/공항 국 가 화 물전년대비

    ’20년 누적

    누적대비

    * 1 HKG 홍콩 첵랍콕 홍콩 351,000 -10.6 351,000 -10.6

    * 2 DXB 두바이 아랍에미리트 219,116 -6.5 219,116 -6.5

    * 3 PVG 상하이-푸동 중국 202,599 -8.9 202,599 -8.9

    * 4 ICN 서울 인천 대한민국 200,335 -4.3 200,335 -4.3

    * 5 DOH 도하 카타르 176,279 10.0 176,279 10.0

    * 6 TPE 타이완 타오유완 대만 166,428 -9.6 166,428 -9.6

    * 7 SIN 창이 싱가포르 156,900 -8.4 156,900 -8.4

    * 8 MIA 마이애미 미국 146,760 -1.4 146,760 -1.4

    * 9 NRT 도쿄 나리타 일본 145,480 -5.8 145,480 -5.8

    * 10 CDG 파리-샤를 드 골 프랑스 144,790 -2.1 144,790 -2.1

    * 11 ANC 앵커리지-테드 스티븐스 미국 137,896 -8.5 137,896 -8.5

    * 12 FRA 프랑크푸르트-라인 마인 독일 136,534 -9.3 136,534 -9.3

    * 13 LHR 런던-히드로 영국 115,836 -11.4 115,836 -11.4

    * 14 AMS 암스테르담 스키폴 네덜란드 113,080 -7.8 113,080 -7.8

    * 15 BKK 방콕-수완나푸미 태국 102,466 -5.0 102,466 -5.0

    * 16 LAX 로스앤젤레스 미국 95,338 2.1 95,338 2.1

    * 17 ORD 시카고-오헤어 미국 93,485 -4.0 93,485 -4.0

    * 18 LEJ 라이프치히 할레-슈케우디츠 독일 89,826 -2.6 89,826 -2.6

    * 19 CAN 광저우-바이윤 중국 81,329 -10.6 81,329 -10.6

    20 DWC 알 막튬 아랍에미리트 74,959 4.0 74,959 4.0

      21 LGG 리에주 벨기에 71,641 -3.0 71,641 -3.0

    * 22 JFK 뉴욕 존 F. 케네디 미국 71,364 -6.9 71,364 -6.9

    * 23 PEK 베이징 캐피탈 중국 67,680 -8.2 67,680 -8.2

    * 24 LUX 뤽상부르-핀델 룩셈부르크 60,779 -6.0 60,779 -6.0

    * 25 CGN 쾰른 본 독일 58,342 -8.9 58,342 -8.9

    * 26 KIX 오사카-간사이 일본 54,604 -14.1 54,604 -14.1

    * 27 IST 이스탄불 터키 54,360 ***** 54,360 *****

    * 28 DEL 델리-인디라 간디 인도 50,370 0.1 50,370 0.1

    29 ISL 아타튀르크 터키 50,153 -48.9 50,153 -48.9

    * 30 BOM 뭄바이-채해트라피티 시버지 인도 48,608 -6.2 48,608 -6.2

    * 149 GMP 서울 김포 대한민국 2,695 -1.5 2,695 -1.5

    * 181 PUS 부산 김해 대한민국 1,491 -17.9 1,491 -17.9

    * 383 CJU 제주 대한민국 6 * 6 *

    주: 1) 순위: 대상공항 1,120개 공항 중 순위 2) 주요공항 선정기준: 화물처리실적 30위 공항 + 우리나라 주요 공항 3) * : 우리나라 공항기점으로 취항하거나 취항한 적이 있는 공항

    자료: ACI

  • 74

    항공시장동향 제94호

    3. 글로벌 정책 동향

    3.1 국제기구 동향(4월)

    가. IATA(국제항공운송협회)

    1) 항공사의 급속한 현금소진 전망12)

    항공사들 매출 급감하고 손실 치솟을 전망

    - 국제항공운송협회(IATA)는 올해 2분기에 (~2020년 6월 30일) 전 세계 항공사들이 610억

    달러에 달하는 현금을 소진 할 수 있으며, 2분기 순손실이 390억 달러에 이를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음

    - 앞으로 3개월간 전 세계적으로 강력한 수준의 여행 제한이 유지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연간

    여객 수요가 38% 감소하며 연간 여객 매출이 2019년 대비 2,520억 달러 감소하고 2분기

    여객 수요는 무려 71% 급감하여 역대 최대 감소폭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함

    - 매출 및 비용 변화로 인해 전 세계 항공사들의 2분기 순손실이 390억 달러로 예상함

    항공사들의 재정 상황 악화로 정부 지원 절실

    - 항공사들의 2분기 부채는 35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보이며, 현금 지출이 막대할 것이며,

    2분기 최고 610억 달러에 달하는 현금을 소진할 수 있다고 예상함

    - 항공업계에 재정 및 제도적 지원 패키지를 제공하고 있는 나라로는 콜롬비아, 미국, 싱가포르,

    호주, 중국, 뉴질랜드, 노르웨이가 있음

    - 최근 캐나다, 콜롬비아, 네덜란드는 항공사들이 승객들에게 바우처로 항공권을 환불해줄 수

    있도록 관련 규정을 완화함

    2) 2019년 항공사 안전 보고서 발행13)

    IATA(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ciation)는 2018년과 지난 5년 간 항공

    안전의 지속적인 개선을 보여주는‘2019년 안전 보고서’를 발표함

    지역별 기체 손실률

    - 2019년 아태지역, 유럽, 라틴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중동 및 북아프리카, 북미지역은 제트(Jet)

    항공기 손실률 부분에서 지난 5년(2014-2018)에 비해 개선된 모습을 보임

    - 라틴아메리카 및 카리브해를 제외한 모든 지역이 지난 5년 대비 개선된 모습을 보였으며,

    터보프롭 항공기 관련 사고는 2019년 전체 사고의 41.5%와 사망사고의 50%를 차지함

    12) IATA, “Airlines Facing Rapid Cash Burn” (Accessed Mar. 2020)13) IATA, “IATA Releases 2019 Airline Safety Report” (Accessed Apr. 2020)

  • 75

    Ⅱ. 글로벌 항공운송시장

    IOSA(IATA Operational Safety Auditing)

    - 2019년 IOSA를 등록한 항공사의 전체 사고율은 비 IOSA 항공사보다 약 2배 낮았고(0.92

    대 1.63), 2014-2018년에도 2배 이상 낮게 나타남(1.03 대 2.71)

    사망위험

    - 2019년 사망위험은 0.09로 한 사람이 535년 동안 매일 항공기로 이동시 1건의 사망사고를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이며 평균적으로 승객이 사망에 이르는 사고를 경험하기 위해서는 29,586년

    동안 매일 여행을 해야함

    나. ACI(국제공항협회)

    1) ACI, 공항 일자리 보호 위한 재정적 지원 촉구14)

    전 세계 공항 종사자 610만명 보호 필요

    - 코로나-19가 항공산업에 막대한 타격을 입히고 있는 현재, 국제공항협회(ACI)는 전 세계에

    공항 직원들의 생계를 보호해줄 수 있는 지원책을 촉구함

    - ACI 자료에 의하면 공항은 전 세계에서 약 610만 명을 직·간접적으로 채용하고 있으며,

    이는 항공부문 전체 고용의 60%를 차지함

    -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시행된 각국의 여행제한 조치 때문에 공항산업은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하여 최대 700억 달러의 손실을 볼 것이라고 예측되고 있음

    - 연간 4000만 명 이상이 방문하는 일반적인 대형 공항은 연평균 13억 달러의 매출을 창출하기에

    손실 추정액(700억 달러)이 세계에서 가장 붐비는 허브공항 50곳의 연간 매출을 합한 것과

    동일하며 공항의 기타 서비스 제공자들이 불가피하게 안게 될 손실은 수치에 포함되지 않음

    - ACI World는 세계 공항산업에 미치는 코로나-19의 경제적 영향을 추후에 추가적으로 공개할

    예정

    각국 정부의 지원 절실

    - 투어리즘 이코노믹스(Tourism Economics)에 따르면, 미국에서의 외국인 방문객의 소비

    감소가 사스(SARS) 때보다 13배, 9/11테러 때보다 거의 두 배가 될 것이라고 예측함

    - 국제통화기금(IMF)은 코로나-19로 인한 경제활동 감소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의

    소득 손실 수준을 뛰어넘을 것으로 예상함

    - 기튼스 사무총장은 "전체 항공 생태계가 코로나-19로 인해 큰 타격을 입은 만큼, 재정적

    지원은 모두에게 동일하게 적용되어야 하며, 항공업계 일부에만 지원 혜택이 돌아가는 일이

    없어야 한다.”고 강조함

    14) ACI, “ACI urges financial assistance to safeguard millions of airport jobs”(Accessed Mar.

    2020)

  • 76

    항공시장동향 제94호

    - 각국이 고려해볼 수 있는 재정적 지원 조치는 다음과 같음

    보조금을 통한 운영비용 및 공항직원 급여 지원

    우대금리 및 은행보증을 통한 안정적인 자금 조달 및 대출 보장

    2020년에 한하여 모든 국가적, 지역적 항공 관련 세금 면제

    소유권과 상관없이 공항운영자에 납부하는 공항임대료 및 공항이용료(concession fee)

    면제 혹은 납부 연기

    - 각국은 최소한의 공항 운영이 가능하도록, 그리고 신속하게 정상 가동 체재로 전환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인력을 유지해야함

    - 정부는 현직에 있는 인력의 급여를 지원하고, 임시휴직 상태의 직원들은 향후 원만하게 복직할

    수 있도록 Bridge-In Program을 제공하는 것을 고려해야함

    2) 코로나-19, 공항산업에 중대한 위협15)

    코로나-19로 인한 공항산업의 불황

    - ACI(Airports Council International) 세계 경제 분석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세계 공항

    이용자 수가 5분의 2(38.1%, 36억 명 해당)가 감소하며, 공항수익은 절반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함

    - 공항 이용자 수 감소와 항공기 결항 사례는 수익 감소로 이어져 올해 말까지 약 45% 또는

    760억 달러 이상의 손실을 전망함

    - ACI 사무총장인 안젤라 기튼스(Angela Gittens)는 세계 공항 산업에 있어서 이러한 규모의

    급격한 감소는 실존적 위협을 의미하며 수백만 개의 일자리를 보호하고, 항공산업의 빠른

    회복을 위한 정부의 신속하고 효과적인 경제 정책 대응을 촉구함

    코로나-19 회복에 1년 이상 소요예상

    - 세계 공항업계는 이미 2020년 1분기에 수십억 달러의 손실을 입었지만, 이제 코로나-19의

    영향이 2분기뿐만 아니라 하반기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측함

    - 항공 운송 업계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이전의 교통량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12개월에서

    18개월이 걸릴 수 있으며, 2021년 말 이전에 코로나-19 이전의 교통량을 기록하지 못할

    수도 있다고 전망함

    - ACI는 국내선 여객은 빠르게 회복할 것으로 예측했으나 국제선 여객의 경우, 국가 간 상호적인

    허가가 필요하기 때문에, 정상으로 회복하는 데 더 오래 걸릴 것으로 전망함

    15) ACI, “Economic analysis shows COVID-19 is an existential threat to airport business”(Accessed

    Apr. 2020)

  • 77

    Ⅱ. 글로벌 항공운송시장

    3.2 항공선진국 동향(4월)

    가. 중국

    1) 중국 항공산업의 회복세 조짐16)

    국내선 공급량 반등 조짐

    - 중국 정부가 우한 시를 봉쇄한 1월 23일 이래로 중국 항공산업은 역사상 가장 심각한 수준의

    붕괴를 겪음

    - IATA 통계에 의하면 1월 23일부터 3월 중순 사이 중국 민간 항공시장 규모가 무려 80%

    감소하였으며, 중국을 오가는 50만 건의 국내선 및 국제선 항공편이 결항됨

    - 2월부터 중국의 주요 지역들로 봉쇄령이 확대되면서 항공편 운항도 대대적으로 중단되었을

    때, 탑승률이 40% 수준까지 급감했는데, 현재는 60% 수준을 회복함

    - IATA 경제수석인 브라이언 피어스(Brian Pearce)는 “중국에선 이제 경제활동이 재개되고

    있고 중국 내 여행 규제가 완화되고 있으며, 국내선 항공편도 재개되고 있다. 탑승률 60%

    또한 항공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가 회복되고 있음을 반증하고 있다”고 언급

    국제선 제재 강화

    - 중국은 국제선 노선에 대해 이전보다 강력한 제재를 가해 3월 29일부로 중국 항공사들은

    어느 나라든 항공편을 최대 주 1회만 운항할 수 있으며, 탑승률은 75% 이하로 유지해야 함

    - 중국은 전 세계에서 미국 다음으로 가장 큰 시장으로, 작년 중국 국내선 시장은 7.8% 성장했는데,

    이는 IATA가 조사한 모든 시장 중 가장 가파른 성장세를 보임

    - 대체로 2018년부터 2038년 사이 20년 동안 중국 항공시장 성장률은 연간 5.3%로, 이는

    전 세계 평균 성장률 3.8%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

    - IATA는 향후 3년 내로 중국이 연간 13억 명의 승객을 수용하는 세계 최대 항공시장으로

    성장 할 것이라고 예측

    항공화물, 중국의 역할이 중요

    - 중국은 수많은 공장에서 제품을 생산하여 전 세계로 수출하는 항공화물 수송의 강자이며,

    적기공급생산 방식(just-in-time manufacturing)에 있어 핵심적인 연결고리 역할수행

    - 여객기는 전 세계 항공화물의 50%를 담당하는 중요한 운송수단인데, 코로나19로 인한 여행

    금지가 공급망에 큰 차질을 빚음

    - 게다가 현재 화물전용기처럼 활용되는 여객기들이 관료적 형식주의(bureaucratic red tape)에

    발목이 잡혀, 불필요한 절차들 때문에 핵심 의료품 수송이 지연됨

    - 지난 3월 24일 베이징에서 중국 당국은 항공 화물운송에 차질이 없게 하는 것을 최우선

    16) Airlines “China’s domestic aviation industry showing upward trend” (Accessed Mar. 2020)

  • 78

    항공시장동향 제94호

    과제로 삼고, 다른 국가들도 우선순위를 화물운송에 둘 것을 촉구

    - 전 세계가 최악의 보건 재해 및 경제 위기를 겪는 지금, 회복의 기미를 보이는 중국 항공시장이

    이들에게 희망의 징표가 되어줄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됨

    2) CAAC, 중국 주요공항 건설 사업 재개 발표17)

    코로나-19 방지 노력 결실 맺어

    - 중국민용항공국(Civil Aviation Administration of China, CAAC)은 코로나-19로 인해

    중단된 중국 내 공항 프로젝트들을 재개한다고 발표함

    - 코로나-19 발발 이후 CAAC는 다음 세 가지에 역량을 집중함

    적절한 정책 및 대책 수립

    대규모 프로젝트 사업재개 일정 수립 및 적극적 협력을 통한 문제 해결

    주요 민간 항공 사업의 재개 추진

    현장의 의견수렴을 통한 건설재개

    - CAAC는 건설현장에서 전염병 감염예방과 공사 재개 시행을 안내하는 정책과 대응방안을

    만들어 승인업무(approval service)의 효율성 향상과 주요 프로젝트의 사전 작업 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함

    - CAAC는 사업 재개를 적기에 추진하기 위해 주요 민간 항공인프라 사업재개 일정을 수립하고,

    주간 영상회의를 주최하여 주요 사업의 재개 시점을 정함

    - CAAC는 지자체와 건설업체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수렴하여 각종 문제들을 조정하고 해결함

    - CAAC는 당 중앙위원회와 국무원의 결정사항을 계속적으로 이행할 것이며, 코로나-19의

    예방과 통제를 고수하는 동시에 주요 공항 건설 사업을 재개할 것임

    나. 미국

    1) FAA, 초음속 항공기에 대한 소음기준 제안18)

    차세대 초음속 항공기 개발 연구 속도 빨라지나

    - 미연방항공국(FAA)은 초음속(supersonic) 제트기 제한 소음 인증 표준 제정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 표준은 새로운 등급의 초고속 제트기를 허가하기 위한 발판이 될 것으로 전망함

    - FAA는 3월 30일 “특정 등급의 신형 초음속 항공기”의 이륙 및 착륙 소음과 관련된 기준을

    발표하였고 제안된 규정은 설계부터 소음제한을 명시함으로써 항공기의 지속적인 개발을

    17) International Airport Review “CAAC announces all major airport projects in China to recommence” (Accessed Mar. 2020)18) FlightGlobal “FAA proposes noise standards for new class of supersonic civilian jets” (Accessed Apr. 2020)

  • 79

    Ⅱ. 글로벌 항공운송시장

    촉진할 것임

    - FAA는 최대 이륙 중량이 68,000kg, 최대 운항 속도는 마하 1.8인 초음속 항공기를

    포함한“슈퍼소닉 레벨 1”이라 불리는 초음속 항공기 등급 정의를 제안

    - 제안된 규정은 미국 내에서 아음속(subsonic)의 속도로 운항할 때 발생하는 항공기의 소음을

    다룰것이며 민간 항공기가 미국 영공에서 마하 1.0 이상의 속도로 운항하는 것을 금지하는

    규정은 그대로 유지될 예정

    다. 유럽

    1) EASA, 안전한 드론 운영을 위한 규칙 발표19)

    도시 환경에 적합한 드론 규정 구체화

    - EASA(유럽항공안전청)는 드론의 상업성과 편리성을 극대화하고 시민들의 안전과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해 도시환경에서 드론의 이용과 통제에 관한 세계 최초의 규제 규칙들을 발표함

    - 드론을 도시 환경에 통합하는 문제는 지상과 항공 교통과도 관련된 일로 관련 지침을 만들기

    전 상업용 항공기, 기타 민간 항공기 또는 병원 헬기 등을 고려하고 소음, 사생활 침해 및

    드론으로 인한 부상 등 드론에 관련된 사건 사고도 참고함

    - “유-스페이스(U-space)”라는 용어는 다수의 드론을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지원하기 위해 설계된 새로운 서비스로 도시 지역뿐만 아니라 어느 위치에서든 동일한 공간을

    사용하는 모든 주체들의 안전한 상호작용을 보장하기 위한 것

    드론의 상업서비스 규제체계 구축

    - EASA가 발표한 규칙은 드론의 상업적인 서비스가 도시 환경에서 다른 모든 활동과 공존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규제 체계를 제안함

    - 경쟁적인 유-스페이스 서비스 시장의 기반을 조성하는 동시에 안전한 운영을 보장하고, 대중이

    수용할 수 있는 환경 보호, 보안, 프라이버시 수준을 확립하는 것에 목적이 있음

    - 유-스페이스의 초기 범위는 낮은 영공, 인구밀도가 높은 도시 영공 및 공항과 가까운 위치를

    포함하며 시장이 발전하고 데이터가 쌓이면서 범위가 점차 확대될 것으로 기대

    - EASA는 준수방법(acceptable means of compliance, AMC)과 지침(guidance material,

    GM)의 초안을 공개하여 드론 운영자와 EU 회원국들이 새로운 규정을 참고할 수 있도록 함

    - 최종 준수방법과 지침은 유럽위원회가 드론 관련 규정을 채택하고, 이해관계자와의 필요한

    협의가 완료되면 EASA에서 발행될 예정

    19) sUAS News, “EASA publishes first rules for safe drone operations in Europe’s cities” (Accessed

    Apr. 2020)

  • 80

    항공시장동향 제94호

    3.3 항공기업 동향(4월)

    가. 세계 주요 항공사

    1) 전 세계 항공사, 잇따라 화물전용 비행으로 전환20)

    전 세계 화물 공급망, 순조롭게 유지 중

    - 전 세계 항공사들이 국제선 항공편을 취소하고 수많은 자사 항공기들을 지상에 주기

    - 브리티시항공, 버진아틀란틱, 캐시퍼시픽 등 일부 항공사들은 90% 이상의 자사 항공편을

    취소하였으며, 소비자들의 수요도 거의 없는 상황

    - 코로나-19가 발발하고 전 세계적인 봉쇄 조치가 시행되는 현 상황에도 글로벌 공급망이

    전반적으로 유지, 이는 2020년 현재 전 세계가 얼마나 세계화되었고 경제적으로 발전했는지를

    반증하는 대목

    - 전 세계 절반에 가까운 인구의 이동이 봉쇄된 현 상황에서, 소비자들은 온라인으로 많은

    제품을 주문하고 있으며, 이는 글로벌 유통이 계속 순환하고 있어야 함을 의미

    - 보통 여객기 매출의 10-15%는 화물로 창출되며, 승객 수나 수하물 수가 매우 적을 시엔

    화물을 위한 공간이 많아짐

    여객 수요 감소에 화물로 객실 채워

    - 버진아틀란틱은 3월 넷째 주에 첫 화물전용 항공기를 운행하였고, 같은 주에 아메리칸항공도

    1984년 이후 처음으로 화물전용 비행을 운행했으며, 브리티시항공, 루프트한자, 에미레이트,

    유나이티드항공 또한 일부 여객기를 화물전용 항공기로 활용

    - 항공사들은 화물 공간만 활용하는 데 그치지 않고 객실 공간에도 화물을 탑재

    - 수많은 국가에서 여행객들의 입국을 제한하고 있지만 화물은 통제되고 있지 않다는 것은,

    항공운송이 재화의 이동에 있어 중요한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는 뜻

    - 일부 여객전용 항공사들이 화물전용기를 운영하기도 하지만 전체 항공기 중에서의 비중은

    매우 적은 편으로 예를 들어, 카타르항공은 전체 243대의 항공기 중 단 28대 만이 화물전용기임

    - 브리티시항공은 282대의 여객기를 보유하고 있지만, 단 3대의 B747-8F 화물기를 보유

    - 미국에서 여객운송 항공사들이 화물전용기를 운항하는 경우는 거의 없었지만 지금은 화물

    공급량이 급증하여, 델타항공과 에어캐나다는 일부 여객기를 북미와 유럽을 오가는 화물

    전용기로 활용하기 시작

    모든 여객기의 화물전용기 전환여부는 불투명

    - 전 세계적인 비행 통제가 언제 끝날지 모르는 현재, 항공사들이 보유 여객기를 모두 화물전용기로

    전환시킬지는 아직 미지수

    20) Forbes, “Commercial Airlines Are Now Operating Cargo-Only Flights” (Accessed Mar, 2020)

  • 81

    Ⅱ. 글로벌 항공운송시장

    - 승객 좌석을 제거함으로써 항공사들은 화물 공간을 확보하게 될 뿐만 아니라, 무게를 줄여

    화물 용량을 증대 시킬 수 있게 됨

    - 하지만 항공기 용도를 변경하는 데도 비용이 들어, 현재 대부분 여객전용 항공사들은 승객

    좌석을 보호용 플라스틱으로 덮어 공간을 최대한 활용 중

    - IATA는 비행 제재 대상에서 항공화물은 제외해달라고 각국 정부에 요청하였으며, 차질 없는

    의료품 운송을 보장해주길 촉구함

    나. 미국

    1) 뉴욕 뉴왁공항(EWR)의 공항도시로의 변화 계획21)

    뉴왁공항의 “공항도시”로의 변모

    - 미국의 세계적 건축디자인 업체 HOK의 칼 갈리오토(Carl Galioto)와 윌리엄 켄워시(William

    Kenworthey)는 뉴왁공항을 철도, 상업, 지역 공동체가 연계된 공항도시로 탈바꿈하려는

    비전을 제시함

    - 오늘날 세계화된 경제에 중요한 속도, 접근성 및 이동성을 제공할 수 있는 공항의 잠재력을

    인식하면서, 전 세계 도시들은 공항과 바로 인접한 대규모 복합 개발을 적극적으로 추진함

    공항도시의 핵심요소는 지역철도

    - 거의 모든 공항도시들은 여러 교통수단과의 결합과, 기업의 변화하는 글로벌 사고방식으로부터

    이익을 얻고 있으며 공항 중심의 상업 경제구역인 공항도시의 핵심 요소는 철도를 통한

    중심업무지구와의 직접적 연결임

    HOK와 뉴욕빌딩연합회의 세부 구상

    - HOK-뉴욕빌딩연합회는 우선 뉴왁공항 동편에 대합실(Headhouse) 개설을 구상하고 있으며

    대합실은 미국에서 가장 많은 승객이 사용하는 철도와 바로 연결됨

    - 여행객들은 대합실과 공항 터미널 간을 무인 모노레일(automated people mover)로 이동함

    - 대합실과 철도 노선을 연결시키면 대기업이나 IT 업체, 서비스 관련 업체 등이 공항도시에

    입주하는 등 공항도시의 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임

    항공기 탑승뿐만 아니라 다양한 역할 수행

    - 컨퍼런스센터, 사무실, 호텔, 상업 공간 등이 밀집된 뉴왁공항도시는 그 자체로 하나의 목적지가

    될 것이며 전국 평균 실업률의 두 배에 달하는 뉴왁의 시민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해줄 것임

    - 여행객들은 암트랙 아셀라(Amtrak Acela) 열차를 타고 보스턴, 필라델피아, 워싱턴 DC

    등지로 이동하면서 수많은 항공기가 오가는 뉴욕 시 공역의 혼잡도를 완화시켜줄 것임

    21) CNBC, “Trump’s European travel restrictions could drive some airlines out of business, trade

    group warns” (Accessed Mar, 2020)

  • 82

    항공시장동향 제94호

    - 항공사들 또한 단거리 노선을 폐지하고 보다 수익성이 보장되는 장거리 비행에 집중하게 됨

    다. 중국

    1) 중국의 항공사 합병 전망22)

    중국의 현 상황

    - 4월에 발간된 HSBC 글로벌 리서치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항공사들의 합병이 예상됨

    - 현재 중국은 3대 항공사가 시장을 장악하고 있음, 베이징에 허브를 둔 국적항공사인

    중국국제항공(Air China), 상하이에 허브가 있는 동방항공(China Eastern), 그리고 광저우에

    허브를 가진 남방항공(China Southern)이 있으며, 이외에도 하이난(Hainan) 항공이나

    준야오(Juneyao) 항공 등이 뒤를 따름

    - 합병은 더 큰 항공사가 더 작은 항공사를 인수하는 방식이 될 것이며, 하이난항공의 경우

    최근 정부에 재정지원을 요청하였기 때문에 더욱 합병 가능성이 높음

    합병 가능한 항공사

    - 하이난 항공은 A330s, A350s, B737s, B787s로 구성된 200여대의 항공기를 운영

    - 중국국제항공이 베이징에 위치한 하이난의 허브에서 이익을 얻을 수 있겠지만, 3대 항공사가

    각각 가장 유용하고 효율적인 자산을 가져가는 형식으로 병합될 수 있음

    - 샤먼(Xiamen) 항공의 대 주주는 남방항공으로, 샤먼항공은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로 가는

    저렴한 운임으로 시장을 공략하였지만, 항공사의 규모 확장에는 다소 무리가 있었음

    - 샤먼항공의 항공기 대 수는 남방항공 및 동방항공, 심지어 하이난항공과 비교해도 적은 175대

    이하로 맞추어져 있으며, 몇몇의 장거리 노선 운영을 위해 B787을 사용하는데, 비행경로와

    기종 모두 남방항공과 맞물리는 경우가 다수 발생

    - 또 다른 흥미로운 형태는 동방항공이 쓰촨(Sichuan)항공을 인수하는 것으로, 남방항공,

    동방항공 그리고 산둥(Shandong)항공은 모두 쓰촨항공의 지분을 보유

    - 쓰촨항공의 최대 허브 중에 청두(Chengdu)와 쿤밍(Kunming)이 있는데, 이 두 곳의 공항은

    동방항공의 허브기도 함

    - 결과적으로 동방항공의 국제선 시장이 강화되는 효율적 합병이 될 수 있음

    22) Simple Flying “China Could See A Wave Of Airline Mergers”(Accessed Apr, 2020)

  • 83

    Ⅱ. 글로벌 항공운송시장

    결론

    - 이와 같은 사례들은 잠재적인 합병의 몇 가지 예에 불과하지만, 중국 내 항공사가 많은 점을

    감안하면 다른 선택지는 얼마든지 있음

    - 합병은 산업 재편 이후에 흔하며, 미국에서는 2008년 불황으로 델타항공과 노스웨스트항공,

    유나이티드항공과 컨티넨탈항공, 아메리칸항공과 US항공(US Airways)이 각각 합병함

    - 중국에서 항공사들의 합병은 전 세계적 여행 감소와 요금 인하 속에서 경쟁자가 줄어들어

    국제항공, 동방항공, 남방항공의 재정 상태를 강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