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
2018년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사회과학대학원 자체평가 보고서 2019. 2. 25 사회과학대학원

2018년동국대학교경주캠퍼스 사회과학대학원자체평가보고서 - …web.dongguk.ac.kr/mbs/kr/images/editor/2019/03/20190305... · 2019-03-05 · m 대학학사제도과-1251(2015.02.13.),대학원정보공시개선에따른조치안내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2018년�동국대학교�경주캠퍼스

사회과학대학원�자체평가�보고서

2019.� 2.� 25

사회과학대학원

- 2 -

목 차

Ⅰ. 자체평가 개요

1. 자체평가 실시목적 및 근거 ··························································· 3

2. 평가 추진체계 ··········································································· 3

Ⅱ. 자체평가 추진일정 및 평가준거

1. 추진일정 ·················································································· 4

2. 평가준거 ·················································································· 5

Ⅲ. 사회과학대학원 개황

1. 대학원 교육목표/발전계획/특성화계획 ··············································· 7

2. 대학원 연혁 ············································································· 12

3. 대학원 조직도 ··········································································· 13

4. 구성원 현황 ············································································· 13

5. 주요시설 현황 ········································································· 14

Ⅳ. 평가내용

1. 대학원 사명 및 발전계획 ···························································· 16

2. 교육 ····················································································· 17

3. 학생 ····················································································· 23

4. 학위수여체계 ··········································································· 24

5. 교육여건 및 지원 ····································································· 26

6. 자체선정지표 ··········································································· 30

Ⅴ. 종합논의··············································································· 31

- 3 -

Ⅰ � 자체평가�개요

� 1.� 자체평가�실시목적�및� 근거

� �q 실시목적

� � �m 대학원�자체평가를�통한�자기�점검�및� 내실화�도모

� � �m 대학원�경쟁력�강화�및� 대외인지도�제고

� � �m 대학원�운영�효율성�제고를�위한�자체평가�결과�활용

� �q 추진근거

� � �m 「고등교육법」� 제11조의2(평가�등)

� � �m 「고등교육기관의�평가·인증�등에�관한�규정」

� � �m 「고등교육기관의�자체평가에�관한�규칙」

� � �m 「동국대학교�경주캠퍼스�자체평가규정」

� � �m 대학학사제도과-1251(2015.02.13.),� 대학원�정보공시�개선에�따른�조치�안내

� 2.� 평가�추진체계

� �q 추진체계

� � �m 자체평가위원회� :� 정책위원으로�대체

� � �m 자체평가연구위원회

� � � � �

No. 소속부서 직급 성명 구분 위원회�기능1 기획처 처장 문태수 위원장

‧평가지표�개발‧제도�개선방안�연구‧평가결과�분석

2 기획처�경영평가실 실장 어용숙 위원3 기획처�전략예산팀 팀장 김철용 위원4 교무처�교무팀 팀장 임종민 위원5 기획처�경영평가실 팀원 권혁준 간사6 교무처�교무팀 팀원 이상윤 간사

� � �m 자체평가실무위원회� :� 각� 대학원별로�구성

� � � � �

No. 소속학부(과) 직위(급) 성명 구분 위원회�기능

1 행정경찰공공학과사회과학

대학원장오영석 위원장

‧실적확인� 및� 자체평가�보고서�작성

‧관련� 자료� 조사� 및�취합

‧기타�자체평가에�필요한�사항

2 행정경찰공공학과 교수 이준호 위원

3 사회복지학과 교수 설진화 위원

4사회과학대학원‧인문대학‧사회

대학�학사운영실실장 이원재 위원

5사회과학대학원‧인문대학‧사회

대학�학사운영실팀원 정주성 간사

- 4 -

Ⅱ � 자체평가�추진일정�및�평가�준거

� 1.� 추진일정

일정 내용 비고

2018.12월

교무팀�및�각� 대학원�학사운영실�실무자�대상�의견�수렴� � -� 2018.12.4(화)� 15:00,� 중회의실

자체평가연구위원회�구성�및�자체평가지표�검토� � -� 2018.12.13(목)� 16:00,� 중회의실

자체평가지표�확정자체평가실무위원회�구성자체평가실무위원회에서�편람을�기준으로�자체평가�보고서�작성

2019.1월

자체평가연구위원회에서는�자체평가실무위원회에서�작성한�자료� � 검토�및� 피드백

� � -� 자체평가실무위원회에서는� 2019.� 1.� 11(금)까지� 1차� 자료를

� � � 경영평가실로�제출

2019.2월

자체평가연구위원회에서는� 2019.� 2.� 14(목)까지�해당부서로�피드백자체평가실무위원회에서는�연구위원회의�의견을�수렴하여�최종� � 결과물을�자체평가위원회�보고�및� 최종�결과보고

- 5 -

� 2.� 평가준거

평가영역 평가부문지표구분

(정량/정성)

대학원

일반대학원 특수대학원

1. 대학원� 사명� 및�

발전계획

1.1� 교육목표 정성 ● ●

1.2� 발전계획�및�특성화계획 정성 ● ●

2.� 교육

2.1� 교육과정과�교육목표 정성 ● ●

2.2�전임교원�강의담당�비율 정량 ● ●

2.3� 강의평가 정성 ● ●

3.� 학생

3.1� 신입생�충원�현황 정량 ● ●

3.2�본교�출신자�입학�현황 정량 ●

3.3� 재학생�충원�현황 정량 ● ●

3.4� 외국인�유학생�현황 정량 ●

3.5� 중도탈락�학생�현황 정량 ● ●

3.6� 대학원생의�취업률 정량 ●

4.� 연구 4.1� 대학원생의�연구실적 정량 ●

5.� 학위수여체계

5.1� 논문지도�학점화 정성 ●

5.2� 논문제출�및�발표� 의무화 정성 ●

5.3� 논문표절방지�규정화 정성 ●

5.4� 졸업시험�절차�및� 통과기준 정성 ● ●

5.5� 논문심사�절차�및� 논문� 심사위원�구성 정성 ● ●

6.� 교육여건�및� 지원

6.1� 대학원생�연구윤리�교육 정성 ● ●

6.2� 대학원생�복지시설�현황 정성 ● ●

6.3� 대학원생�연구지원�제도 정성 ● ●

6.4� 대학원생�자치조직�구성현황�및�지원 정성 ● ●

6.5� 대학원생�인권보장�제도 정성 ●

6.6� 대학원생�상담�및� 진로취업지도�체계 정성 ●

6.7� 대학원생�장학금�지급률 정량 ● ●

7.� 대학원�자체지표 7.1� 자체지표 정량/정성 ● ●

- 6 -

Ⅲ �사회과학대학원�개황

1. 대학원�교육목표,� 발전계획�및�특성화�계획

2. 대학원�연혁

3. 대학원�조직도

4. 구성원�현황

5. 주요시설�현황

- 7 -

Ⅲ � 사회과학대학원�개황

� 1.� 대학원�교육목표/발전계획/특성화계획

� �q 교육목표

� � � � 본� 대학원은� 사회현상의� 이해� 및� 사회발전에� 관한� 제반이론과� 실제적인� 정책방안들을� � �

� � 연구하고� 교육함으로써� 국가� 및�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할� 유능한� 인재를� 양성하고� 우리� 사� �

� � 회의� 각� 분야에� 필요한� 효율적인� 발전방안을� 창출함과� 동시에� 제반� 사회과학의� 발전에� 이� �

� � 바지�할� 것을�교육목표로�하고�있다.�

� �q 발전계획

� � � � 1)� 발전계획�수립�배경

� � � � � � -� 학령인구의�지속적�감소에�따른�대학원�입학자원�감소� � �

� � � � � � -� 중장년층�증대�및� 성인학습자들의�평생학습�증대에�따른�고등교육기관의�역할�증대

� � � � � � -� 개방적� 대학원� 교육체계와� 일-학습-여가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한� 대학원� 교육의� 평� �

� � � � � � � � 생학습�기능�강화

� � � � � � -� 미래� 지식사회가� 요구하는� 고등교육� 기반의� 실무형� 인재양성� 및� 교육중심� 대학원� � �

� � � � � � � � 교육의�수월성�제고

� � � �

� � � � 2)� 사회과학대학원� SWOT� 분석

� � � � � � -� 사회과학대학원이� 직면한� 내적� 및� 외적� 환경을� 객관적� 상황과� 주관적� 역량을� � � � � � �

� � � � � � � � SWOT� 분석

- 8 -

� � � � � � -� 지역사회의� 폭� 넓은� 분야에서� 활동하는� 동문들과� 선순환적� 네트워크� 활성화를� 통한� �

� � � � � � � � 산학연�협력체계를�마련할�필요성�대두

� � � � � � -� 타� 대학원과� 차별화된� 맞춤식� 교육프로그램� 운영과� 학문간� 연계방안� 구축을� 통한� � �

� � � � � � � � 안정적인�원생�확보�필요

� � � � � � -� GEL� 과정의� 글로벌� 환경변화와� 무한경쟁시대에� 부응하는� 경영혁신� 및� 글로벌� 리더� �

� � � � � � � � 십� 함양�필요

� � � � 3)� 사회과학대학원�비전�체계도

� � � � � � -� 지혜와� 인연을� 함양하여� 창의적� 리더를� 양성하는� 사회과학대학원� 비전을� 달성하기� �

� � � � � � � � 위해� 참사람� 3.0� 3대� 전략(교육서비스� 질� 향상,� 융합네트워크� 교과목� 개발,� 글로벌� �

� � � � � � � � 지도자역량�육성)을�수립하였음� �

� � � � � � -� 성취과제로� 융합형� 3Sector� 전략을� 수립하여� 석사과정과� 최고관리자과정의� 양방향� �

� � � � � � � � 융합을�추진함

� � � � � � -� 또한,� 사회과학대학원의� 핵심가치로� ‘자비’,� ‘소통’,� ‘화합’,� ‘봉사’로� 설정하여� 원생들� �

� � � � � � � � 의� 인성함양을�하고자�함�

- 9 -

� � � � 4)� 단계별�발전목표

� � � � � � -� 사회과학대학원의� 비전을� 구체화하기� 위한� 3대� 성취목표를� ‘따뜻한� 인성의� 지도자� �

� � � � � � � � 육성’,� ‘특화된� 맞춤형� 학습’,� ‘수요자� 중심의� 비전관리’,� ‘스마트한� 교육의� 장� 조성’으� �

� � � � � � � � 로� 설정

� � � � � � -� 성취목표를� 단기(~2018년),� 중기(~2022년),� 장기(2022년� 이후)로� 구분하여� 단계� �

� � � � � � � � 별로�추진� �

- 10 -

융복합�학과융합형Sector

융복합�특성화�과제

사회복지학과

사회심리상담학과융합형�

Ÿ 사회복지학과,� 사회심리상담학과,� 사회체육학과의� 다� 학제

를�건강행복이라는�주제로�융·복합�운영계획

� �q 특성화계획

� � � � 1)� 사회과학대학원�특성화�체계도

� � � � � � -� ‘지역사회를� 선도하는� 창조적� 지역� 혁신가� 및� 행복힐링전문가� 양성’� 목표를� 달성하� �

� � � � � � � � 기� 위해� 3대� 전략을�수립하였음� �

� � � � � � -� 특성화� 영역으로� 융합형� Sector� 1,� Sector� 2� 전략을� 수립하여� 학과와� 학과간의� 교� �

� � � � � � � � 육과정�융복합을�추진하고자�함

� � � � � � -� 3대� 전략을� 달성하기� 위한� 전략과제(융복합� 교과목� 개발� 및� 운영,� 지역사회와� 연계� �

� � � � � � � � 한� 특성화,� 효율적�인프라�확충)를�설정하여�추진하고자�함

� � � � 2)� 융복합�특성화�과제�추진전략

� � � � � � -� 융합형� Sector의� 특성화� 목표(행복힐링� 전문가,� 창조적� 지역� 혁신가)� 달성을� 위해� 융복합� �

� � � � � � � � 특성화�과제를�설정

- 11 -

사회체육학과

Sector1:행복힐링

전문가

Ÿ 신체적,� 정신적� 건강과� 삶의� 질에� 대한� 욕구를� 해결해� 줄�

수� 있는� 건강복지상담사(행복힐링전문가)� 과정을� 융복합� 교

과목�개발을�통해�운영

Ÿ 각� 학과에서� 4학기를� 수강하고� 5학기� 이상� 등록자에� 한해�

건강복지상담사�관련�융복합�교과목�이수를�권장

Ÿ 과정�이수한�원생들에게�수료증�발급

행정학과

국제관계학과

부동산학과

융합형�Sector2:창조적�

지역�혁신가

Ÿ 지방자치시대를� 선도해� 나갈� 행정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운영

Ÿ 지역발전의�역할을�담당할�부동산�개발�전문가�양성

Ÿ 정책분석�평가�전문가와�부동산�전문가의�양성

� � � � �

� � � � 3)� 학과별�특성화�세부�추진과제

� � � � � � -� 융합형� Sector� 특성화를�위해�학과별�특성화�과제를�선정하여�추진

� �

- 12 -

� 2.� 대학원�연혁

1988. 11. 30 교육부 설립인가1989. 03. 02 지역개발대학원 개원, 1개학과 3개전공, 관리자과정

개발행정학과(개발행정전공, 지방자치전공, 지역경제전공)1993. 06. 30 2개 전공(지역사회개발전공, 산업경영전공) 추가증설1995. 03. 01 2개학과 5개전공 개발행정학과, 지역경제학과1997. 09. 01 관리자과정에서 최고관리자과정으로 명칭변경1998. 03. 01 3개학과 9개전공

행정학과, 경제학과, 지역정책학과2000. 10. 30 지역개발대학원에서 사회과학대학원으로 원명변경

4개학과 9개 전공, 최고경영자과정 행정학과, 경제․경영학과, 지역정책학과, 사회복지학과

2001. 07. 26 지역정책학과 폐지(국제관계학전공, 법학전공) 국제관계학과(국제관계전공), 법학과(법학전공) 신설 2004. 03. 01 사회체육학과(사회체육전공) 신설

2007. 03. 01 7개 학과 9개 전공, 최고경영자과정 행정학과, 경영학과, 국제관계학과, 법학과, 사회복지학과, 사회체육 학과, 경찰행정학과

2008. 11. 30 사회과학대학원 설립 20주년2009. 03. 01 경영학과(경영전공, 회계학전공), 경찰행정학과(경찰행정전공) 폐지2012. 09. 01 부동산학과(부동산전공) 신설2016. 03. 02 사회심리상담학과(상담심리전공), 국제관계학과 세부전공(정치학전공) 신설 6개 학과 8개 전공, 최고경영자과정

행정학과, 국제관계학과, 사회복지학과, 사회체육학과, 부동산학과, 사 회심리상담학과

2018. 11. 30 사회과학대학원 설립 30주년

- 13 -

� 3.� 대학원�조직도

� 4.� 구성원�현황

� � 가.� 교원

(기준일:� 2018.04.01.)

구분전임교원 비전임

계 교수 부교수 조교수 계 겸임교수 초빙교수 시간강사 기타

인원(명) 20 16 1 3 18 8 1 7 2

� � 나.� 직원

(기준일:� 2018.04.01.)

구분 합계 정규직 한시계약직 조교

인원(명) 3 1 1 1

� � 다.� 학생

(기준일:� 2018.04.01.)

구분 재학생 휴학생 제적생�

석사 116(정원� 외� 2명� 포함) 18(정원� 외� 1명�포함) 7

- 14 -

� 5.� 주요시설�현황

� � •�사회과학대학원은�대학원생을�위한�전용공간을�갖추어�대학원생이�쾌적한�환경에서�편리하게

� � � � 이용할�수�있도록�지원하고�있음

전용시설�현황

대학원�학생회실

전용강의실

(진흥관� B101)

� � 5.1� 강의실�

� � � � -� 최고관리자과정�전용강의실� :� B101

� � � � -� 행정학과�전용강의실� :� B302,� B310

� � � � -� 국제관계학과�전용강의실� :� B202

� � � � -� 사회복지학과�전용강의실� :� B301,� B402,� B409

� � � � -� 사회체육학과�전용강의실� :� G203�

� � � � -� 부동산학과�전용강의실� :� B206

� � � � -� 사회심리상담학과�전용강의실� :� B201,� B303,� B405,� B406,� B409

� � 5.2� 학생지원시실�

� � � � -� 원생들의�친목도모�및� 자치활동을�위한�학생회실�운영

� � � � -� 도서관�및� 스터디룸,� 건강증진센터�이용�

- 15 -

Ⅳ �평가내용

1. 대학원�사명�및�발전계획

2. 교육

3. 학생

4. 연구

5. 학위수여체계

6. 교육여건�및�지원

7. 자체선정지표

- 16 -

Ⅳ �평가내용

� 1.� 대학원�사명�및� 발전계획

� � 1.1� 교육목표

� �q 본교의� 교육목적을� 구체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 본� 대학원은� 사회현상의� 이해� 및� 사

회발전에� 관한� 제반이론과� 실제적인� 정책방안들을� 연구하고� 교육함으로써� 국가� 및�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할� 유능한� 인재를� 양성하고� 우리� 사회의� 각� 분야에� 필요한� 효율적인� 발전방안을�

창출함과�동시에�제반�사회과학의�발전에�이바지�할� 것을�교육목표로�함

� �q 평가결과

� � -� 사회과학대학원의� 교육목표가� 명료하게� 기술되어� 있으며,� 제반이론과� 정책방안을� 학습하� �

� � � � 여� 국가� 및� 지역사회�발전에� 기여할� 유능한� 인재� 양성� 및� 사회과학�발전에� 이바지할�실� �

� � � � 천적�인재상을�명확하게�정립하고�있음

� � � -� 교육이념-교육목적-교육목표가�체계적으로�제시되어�있음� �

� � 1.2� 발전계획�및� 특성화계획

계획수립여부발전계획�적절성 특성화계획의�구체성

발전계획 특성화계획

O O 적절 구체적

� �q 사회과학대학원�비전�체계도

� � � � � � -� 지혜와� 인연을� 함양하여� 창의적� 리더를� 양성하는� 사회과학대학원� 비전을� 달성하기� �

� � � � � � � � 위해� 참사람� 3.0� 3대� 전략(교육서비스� 질� 향상,� 융합네트워크� 교과목� 개발,� 글로벌� �

� � � � � � � � 지도자역량�육성)을�수립하였음� �

� � � � � � -� 성취과제로� 융합형� 3Sector� 전략을� 수립하여� 석사과정과� 최고관리자과정의� 양방향� �

� � � � � � � � 융합을�추진함

� � � � � � -� 또한,� 사회과학대학원의� 핵심가치로� ‘자비’,� ‘소통’,� ‘화합’,� ‘봉사’로� 설정하여� 원생들� �

� � � � � � � � 의� 인성함양을�하고자�함�

- 17 -

� �q 사회과학대학원�단계별�발전목표

� � � � � � -� 사회과학대학원의� 비전을� 구체화하기� 위한� 3대� 성취목표를� ‘따뜻한� 인성의� 지도자� �

� � � � � � � � 육성’,� ‘특화된� 맞춤형� 학습’,� ‘수요자� 중심의� 비전관리’,� ‘스마트한� 교육의� 장� 조성’으� �

� � � � � � � � 로� 설정

- 18 -

� �q 사회과학대학원�특성화�체계도

� � � � � � -� ‘지역사회를� 선도하는� 창조적� 지역� 혁신가� 및� 행복힐링전문가� 양성’� 목표를� 달성하� �

� � � � � � � � 기� 위해� 3대� 전략을�수립하였음� �

� � � � � � -� 특성화� 영역으로� 융합형� Sector� 1,� Sector� 2� 전략을� 수립하여� 학과와� 학과간의� 교� �

� � � � � � � � 육과정�융복합을�추진하고자�함

� �q 평가결과

� � -� 사회과학대학원� 발전계획� 및� 특성화계획을� 단기,� 중기,� 장기� 3단계로� 수립하였으며,� � � � �

� � � � 2018년까지�단기�발전계획을�성취하기�위해�노력하였음.�

� � -� 각� 학과별� 기초� 역량� 강화를� 위해� 선수과목을� 도입하였고,� 실무와� 현장� 중심의� 교육� 강� �

� � � � 화를�위해�각� 학과별�세미나를�시행하였음.�

� � -� 아울러� 석사과정과� GEL과정� 공동� 참여� 프로그램을� 학기� 중에� 특강� 형태로� 운영하여� 단� �

� � � � 기� 목표의�성취를�위해�부단히�노력함.�

� � -� 중기�계획과�장기�계획도�구체적인�계획을�갖고�있어�성취�할� 수� 있을�것으로�판단됨.�

- 19 -

전공명 이수구분 학점 교과목명공통 선수 2 국제관계학특강공통 선수 2 정치학특강

국제관계전공 전공 2 국제관계론

국제관계전공 전공 2 현대지역정치론

국제관계전공 전공 2 선거론

국제관계전공 전공 2 외교국방정책론

국제관계전공 전공 2 남북한관계세미나국제관계전공 전공 2 전쟁과평화국제관계전공 전공 2 동북아정세와한반도국제관계전공 전공 2 국제정치경제학

� 2.� 교육

� � 2.1� 교육과정과�교육목표

� �q 본� 대학원은� 건학이념� 구현과� 교육목표� 달성을� 위해� 현재와� 미래� 사회에서� 요구되는�

사회현상의� 이해� 및� 사회발전에� 관한� 제반이론과� 실제적인� 정책방안들을� 연구·교육을� 통해�

국가� 및�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할� 유능한� 인재� 양성을� 목표로� 개설� 학과별� 교육과정에� 부합

한�교육을�실시하고�있음� �

� �q 학과별�교육과정

� � � � 가.� 행정학과(※�정책개발,� 지방자치전공�통합운영)

� � � �

전공명 이수구분 학점 교과목명공통 선수 2 � 행정학입문공통 전공 2 � 행정과정책의이해

공통 전공 2 � 행정법이론과실재정책개발전공 전공 2 *정책분석론정책개발전공 전공 2 � 정책집행론정책개발전공 전공 2 *정책평가론정책개발전공 전공 2 *계량분석론정책개발전공 전공 2 � 지도자론

정책개발전공 전공 2 � 사회정책론지방자치전공 전공 2 � 지방자치론지방자치전공 전공 2 � 조직과인적자원관리지방자치전공 전공 2 � 공기업과자원관리지방자치전공 전공 2 � 지역개발성공전략지방자치전공 전공 2 *조사방법론

지방자치전공 전공 2 � 공공관리론지방자치전공 전공 2 � 한국행정의역사와이해

� � � � ※� *표시과목�이수자로서� B이상의�성적을�받은�자는�정책분석평가사� 3급�자격취득�및�

� � � � � � 정책분석평가사� 1급� 1차� 시험�및� 2급� 시험에�가산점�부여.

� � � � 나.� 국제관계학과(※�국제관계,� 정치학전공�통합운영)

- 20 -

국제관계전공 전공 2 한국외교론

국제관계전공 전공 2 국제기구론국제관계전공 전공 2 남북관계의이해국제관계전공 전공 2 현대사회와정치국제관계전공 전공 2 21세기세계질서의변화와한반도통일정치학전공 전공 2 인간과정치정치학전공 전공 2 정치와사회

정치학전공 전공 2 정치학

정치학전공 전공 2 정치리더십론

정치학전공 전공 2 한국정치론정치학전공 전공 2 북한정치론

정치학전공 전공 2 문화와정치정치학전공 전공 2 미국정치론

전공명 이수구분 학점 교과목명사회복지전공 선수 2 사회복지학입문사회복지전공 전필 3 사회복지개론사회복지전공 전필 3 인간행동과사회환경사회복지전공 전필 3 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전공 전필 3 사회복지법제사회복지전공 전필 3 사회복지실천론사회복지전공 전필 3 사회복지실천기술론사회복지전공 전필 3 사회복지조사론사회복지전공 전필 3 사회복지행정론

사회복지전공 전필 3 지역사회복지론

사회복지현장실습3전필사회복지전공

아동복지론3전선사회복지전공

청소년복지론3전선사회복지전공

노인복지론3전선사회복지전공

장애인복지론3전선사회복지전공

자원봉사론3전선사회복지전공

정신보건사회복지론3전선사회복지전공

사회복지지도감독론3전선사회복지전공

프로그램개발과평가세미나3전선사회복지전공

사례관리론3전선사회복지전공

전공명 이수구분 학점 교과목명

사회체육전공 선수 2 스포츠과학연구사회체육전공 전공 2 사회체육론사회체육전공 전공 2 사회체육지도론사회체육전공 전필 2 체력육성방법론

� � � � 다.� 사회복지학과

� � � � 라.� 사회체육학과

- 21 -

사회체육전공 전공 2 트레이닝론

사회체육전공 전공 2 사회체육시설및관리론사회체육전공 전공 2 스포츠생리학사회체육전공 전공 2 운동처방론사회체육전공 전필 2 사회체육경영및마케팅기법사회체육전공 전공 2 사회체육경영론사회체육전공 전공 2 스포츠사회학

사회체육전공 전공 2 스포츠영양학사회체육전공 전공 2 스포츠심리학사회체육전공 전선 2 스포츠센타경영의이론과실제사회체육전공 전선 2 체력측정및평가사회체육전공 전공 2 체육측정및평가사회체육전공 전공 2 운동처방프로그램

사회체육전공 전공 2 기능해부학사회체육전공 전공 2 논문연구(팀티칭)사회체육전공 전공 2 운동역학사회체육전공 전공 2 여가레크리에이션

전공명 이수구분 학점 교과목명

부동산전공 선수 2 한국사회와부동산부동산전공 전공 2 부동산학개론부동산전공 전공 2 조사방법론(부동산)부동산전공 전공 2 부동산민사법부동산전공 전공 2 감정평가실무론부동산전공 전공 2 부동산정책론

부동산전공 전공 2 부동산공법부동산전공 전공 2 부동산금융·투자론부동산전공 전공 2 부동산개발·관리론부동산전공 전공 2 부동산공시론부동산전공 전공 2 부동산경매·공매실무부동산전공 전공 2 부동산세법

부동산전공 전공 2 부동산공인중개사법부동산전공 전공 2 부동산민사법사례연구부동산전공 전공 2 해외부동산의이해부동산전공 전공 2 부동산경제론부동산전공 전공 2 부동산기술론부동산전공 전공 2 부동산중개실무론

부동산전공 전공 2 부동산공법사례연구부동산전공 전공 2 부동산개발실무사례분석부동산전공 전공 2 부동산과풍수지리학

� � � � 마.� 부동산학과

- 22 -

전공명 이수구분 학점 교과목명

상담심리학전공 선수 2 상담심리의기초

상담심리학전공 전선 3 고급성격심리학

상담심리학전공 전선 3 심리학개론

상담심리학전공 전선 3 고급발달심리학

상담심리학전공 전선 3 상담심리학세미나

상담심리학전공 전선 3 학습심리학

상담심리학전공 전선 3 상담의이론과실제

상담심리학전공 전선 3 고급이상심리학

상담심리학전공 전선 3 청소년심리의이해

상담심리학전공 전선 3 아동발달과이상심리

상담심리학전공 전선 3 상담및심리치료의과정과기법

상담심리학전공 전선 3 고급집단상담

상담심리학전공 전선 3 인지행동치료세미나

상담심리학전공 전선 3 상담심리연구방법론

상담심리학전공 전선 3 심리검사와평가

상담심리학전공 전선 3 투사검사

상담심리학전공 전선 3 부부상담실습및사례연구

상담심리학전공 전선 3 성인발달과노인심리학

상담심리학전공 전선 3 가족상담

상담심리학전공 전선 3 진로및직업상담

상담심리학전공 전선 3 긍정심리세미나

상담심리학전공 전선 3 중독의이해와치료

상담심리학전공 전선 3 건강심리학

상담심리학전공 전필 3 상담사례연구

상담심리학전공 전필 3 상담현장실습

� � � � 바.� 사회심리상담학과

� �q 평가결과

� � 각� 학과별� 교육과정은� 교육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설정되어� 있으며,� 해당전공

별로�해당분야의�인재양성에�적합한�과정으로�구성되어�있음.

- 23 -

� � 2.2� 전임교원�강의담당�비율

� � � ■� 연도별�현황

2016학년도 2017학년도

총개설강의학점

(A)

전임교원�

담당학점(B)

비율

(C=B/A*100)

총개설강의학점

(A)

전임교원�

담당학점(B)

비율

(C=B/A*100)

114 78 68.4 114 69.2 60.7

01020304050607080

2016학년도 2017학년도

68.460.7

전임교원 강의 담당비율� �

� �q 평가결과

� � -� 전임교원� 강의담당비율은� 2016학년도에� 68.4%,� 2017학년도에� 60.7%로� 7.7%� 하락� �

� � � � 하였음

� � -� 부동산학과,� 사회심리상담학과는� 학부에� 존재하지� 않는� 과로� 전임교원� 강의담당비율을� � �

� � � � 높이는데� 한계가� 있음.� 또한� 부동산학과의� 팀티칭으로� 인해� 전임교원의� 강의담당비율이� �

� � � � 하락하였음.

- 24 -

� � 2.3� 강의평가

구분

2016학년도 2017학년도

1학기�응답률� :� 29/318� =� 9.11%

1학기�강의평가�결과� :� 90.06점

2학기�응답률� :� 91/271� =� 33.58%�

2학기�강의평가�결과� :� 88.61점

1학기�응답률� :� 152/259� =� 58.69%

1학기�강의평가�결과� :� 89.93점

2학기�응답률� :� 53/206� =� 25.7%

2학기�강의평가�결과� :� 92.98점

※응답률은�전체�교과목�수강인원�대비�응답인원으로�산출

0102030405060708090100

2016-1 2016-2 2017-1 2017-2

90.06 88.61 89.93 92.98

9.11

33.58

58.69

25.7

응답률평균점수

강의평가

� �q 평가결과

� � -� 본� 대학원에서는� uDRIMS를�통한� On-line� 강의평가를�실시하고�있음

� � -� 강의평가� 항목은� 5개의� 문항유형(수강생� 기본정보,� 강의준비,� 강의진행� 및� 방법,� 성적평� �

� � � � 가,� 강의만족도)� 아래�총� 19개의�세부항목으로�구성되어�있음

� � -� 강의평가� 결과� 매학기� 평가결과가� 우상향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원생들의� 강의만족도는� �

� � � � 대체로�우수한�것으로�나타남

- 25 -

� 3.� 학생

� � 3.1� 신입생�충원�현황

� � � ■� 연도별�현황

연도 학위과정 입학인원(A) 입학정원(B) 신입생�충원율(A/BX100)

2017학년도 석사 44 45 95.6

2018학년도 석사 45 45 100

020406080100120

2016학년도 2017학년도

95.6 100

신입생 충원율

신입생 충원율

� �q 평가결과

� � -� 2017학년도�정원�내� 신입생�충원률을� 95.6%로� 45명� 중� 44명을�모집

� � -� 2018학년도에는�정원내�신입생�충원률� 100%를�충족함

� � 3.2� 재학생�충원�현황

� � � ■� 연도별�현황

연도 학위과정 재학생�수(A) 편제정원(B) 재학생�충원율(A/BX100)

2017학년도 석사 109 112.5 96.9

2018학년도 석사 116 112.5 103.1

� �q 평가결과

� � -� 2017학년도와� 2018학년도�모두� 95%를�상회하는�안정적인�재학생�충원률을�보이고�있음.

- 26 -

� � 3.3� 중도탈락�학생�현황

� � � ■� 연도별�현황

연도 학위과정 중도탈락�학생수(A) 재적생수(B) 중도탈락률(A/BX100)

2017학년도 석사 10 144 6.9

2018학년도 석사 8 132 6.1

020406080100120140160

2017학년도 2018학년도

중도탈락 학생수재적생수

� �q 평가결과

� -� 2017학년도�중도탈락률� 6.9%와� 2018학년도�중도�탈락률� 6.1%로� 0.8%�낮아짐.� 교육

� � � 서비스�질� 및� 관련�지원에�대한�만족도�조사를�통한�중도탈락률에�대한�관리가�필요함.

- 27 -

구분 내용

시험과목

구분 내� � 용 비� � 고

외국어시험 영어외국어시험은� 독해를� 측정하는� 필기고사로�

하며,� 60점� 이상을�득점한�경우�합격

종합시험 학과내규에�따름 전체� 2~4과목�중,� 택� 2과목

응시자격

구분 내� � 용

외국어시험 2학기�이상�등록자

종합시험3학기�이상�등록자 전체� 2~4과목�중,� 택� 2과목

12학점이상�취득하고�평균평점� B0이상인�자

신청시기

구분 내� � 용

외국어시험�및� 종합시험전기 4월�초

후기 10월�초

절차

종합시험�절차

학과

학사운영실

원생

학사운영실

종합시험� 기준교

과목�선정종합시험�공고

종합시험� 또는�

대체합격� 신청서�

제출

종합시험� 실시� 및�

대체합격�처리

기타구분 내� � 용

종합시험�면제 시험과목을�수강하여� A0� 학점�이상을�취득한�자

논문심사 절차

논문지도교수�선정 ⇨학위청구논문초록

(작성계획서)� 제출⇨

학위청구논문

초록발표⇨

학위청구논문/연구

보고서�심사신청⇨

학위청구논문/연구

보고서�

심사위원접수

⇨학위청구논문/연구

보고서�본� 심사⇨

학위청구논문/연구

보고서�결과보고⇨학위청구논문/연구보고서

최종제본�제출

5.� 학위수여체계

� �q 사회과학대학원은� 학위청구논문� 제출� 대상� 대학원생의� 기본적인� 전공역량� 수준을� 담보하기� 위

하여� 매학기� 전공� 종합시험을� 시행하고� 있으며,� 본� 종합시험에� 합격한� 학생에� 한해� 학위청구논문� 제

출자격을�부여함

� � 5.1� 졸업시험�절차�및� 통과기준

� � 5.2� 논문심사�절차�및� 논문�심사위원�구성

- 28 -

1.� 논문지도교수�선정� :� 3학기(학위논문연구윤리준수서약서�제출)

2.� 학위청구논문�초록(작성계획서)�제출� :� 4학기/5학기

3.� 학위청구논문�초록발표� :� 학과별�실시

4.� 학위청수논문/연구보고서�심사�신청

5.� 학위청구논문�및� 연구보고서�심사위원�접수(매년� 4월,� 10월� 초)

6.� 학위청구논문�및� 연구보고서�본� 심사� :� 학과별�실시

7.� 학위청구논문심사�결과보고� :� 논문�및� 연구보고서�심사�결과�제출

8.� 학위청구논문�및� 연구보고서�최종제본�제출

� � 가.� 논문대상자� :� 제본논문� 1부�및�학위논문납본증서� 1부

� � 나.� 연구보고서�대상자� :� 제본보고서� 3부

논문심사위원 구성

1.� 심사위원은� 대학원장이� 전임교원� 중에서� 논문� 제출자의� 전공� 등을� 고려하여� 3인� 이상으로� 구� �

� � � 성한다.� 다만�전공특성상�필요한�경우에는�비전임교원도�심사위원으로�위촉할�수� 있다.

2.� 대학원장은� 제1항의� 위원� 중� 1인을� 논문심사위원장으로� 지정하여� 심사의� 진행을� 주도하게� 할� �

� � � 수� 있다.� 다만�위원장은�심사에�있어�심사위원과�동등한�자격을�갖는다.

3.� 논문지도교수도�당해�논문의�심사위원이�될�수�있으나�심사위원장은�될�수� 없다.

4.� 위촉된� 심사위원은� 심사� 개시� 후� 교체할� 수� 없다.� 다만,� 부득이한� 사유로� 심사를� 계속할� 수� 없� �

� � � 을� 경우�학과장의�제청으로�대학원장이�새로�위촉한다.

- 29 -

6.� 교육여건�및�지원

� � 6.1� 대학원생�연구윤리�교육

유 무

O

-� 연구윤리준수서약서�제출� 때� 연구윤리� 교육을� 하고,� 각� 학과별� 지도교수�및� 논문지도� 방법론� 등� �

� � 에서�연구윤리�교육을�실시하고�있음.

� � 6.2� 대학원생�복지시설�현황

유 무

O

복지시설 현황

대학원 학생회실

-� 사회과학대학원�학생회실과�학사운영실에�다과(커피,� 음료,� 과자�등)를� 비치하여�자유롭게�이용

�할� 수� 있도록�함

-� 학생회실의�컴퓨터와�복합기를�이용하여�레포트�및� 논문�자료를�복사,� 출력할�수� 있도록�하여�

� 원생의�학술연구를�지원함

-� 도서관�및� 세미나실을�자유롭게�이용할�수� 있도록�함.�

- 30 -

조직도

사회과학대학원 총학생회

� � 6.3� 대학원생�연구지원�제도

유 무

O

복지시설 현황

자료대여

-� 사회과학대학원�학생회실과�학사운영실에�석사학위�논문을�비치해�두고�논문을�작성하고자�하는

�원생이�편리하게�이용할�수� 있도록�지원하고�있음

� � 6.4� 대학원생�자치조직�구성현황�및� 지원

유 무

O

- 31 -

석사과정 학생회

구분 구성원 및 역할

총학생회 GEL과정�및� 1,� 2학기�석사과정�학생으로�구성

석사과정학생회 3,� 4,� 5학기�석사과정�학생으로�구성

학생회 1학기�학생으로�구성

- 32 -

� � 6.5� 대학원생�장학금�지급률

� � � ■� 연도별�현황

단위:� 명,� 천원

연도 학기 재학생수(A) 교외장학금(B) 교내장학금(C) 계(D=B+C)재학생 1인당 장학금

(E=D/A)

2016학년도

(2017공시)

1학기 122 29,700 258,505 288,205 2,362.3

2학기 96 29,700 195,735 225,435 2,348.3

합계 218 59,400 454,240 513,640 2,355.3

2017학년도

(2018공시)

1학기 109 2,368 251,119 253,487 2,325.6

2학기 89 0 206,907 206,907 2,324.8

합계 198 2,368 458,026 460,394 2,325.2

단위:� 천원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2016 2017

2355.3 2325.2

1인당 장학금

- 33 -

7.� 자체선정지표

� � 7.1� 발전기금�조성

단위: 천원

발전기금 조성액2016년도 2017년도

38,720 33,030

� �q 평가결과

� � -� 2016년도� 사회과학대학원� 발전기금을� 3,800만원을� 조성했으나,� 2017년도에는� 500만� �

� � � � 원이�적은� 3,300만원을�조성하였음.�

� � -� 대학원생이�거주하는�지역(경주,� 포항,� 울산)의� 경기불황으로�인한�발전기금�조성이�갈수� �

� � � � 록� 어려워�질것으로�예상되고�있음

� � -� 발전기금� 조성은� 교육서비스� 질� 개선� 및� 원생만족도� 고취를� 위해� 사회과학대학원� 자체� �

� � � � 지표로�설정함.

- 34 -

Ⅴ �종합논의

1. 대학원�사명�및�발전계획

2. 교육

3. 학생

4. 연구

5. 학위수여체계

6. 교육여건�및�지원

7. 자체선정지표

- 35 -

▪ 평가부문 평가�결과

1.1� 교육목표 충족

1.1� 발전계획�및� 특성화계획 충족

▪ 자체평가결과�요약◦참사람3.0� 비전� 체계도가� 대학원� 교육목표를� 잘� 반영하고� 있으며,� 3Sector의� 성취과제와� 특성� �

� � 화� 계획이�사회과학대학원의�역량과�여건을�잘� 반영하고�있음.

◦지역사회의�인적,� 물적� 네트워크를�기반으로�하여�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지도자� 양성� 등의� 발� �

� � 전전략이�적절하게�수립되어�있음.

◦발전계획이� 대학원의� 교육이념,� 교육목적,� 교육목표에� 부합하여� 수립되어� 있으며,� 특성화� 추진� �

� � 을� 위한�구체적인�계획은�융복합�특성화�영역과�학과별�특성화를�구체적으로�제시함.

▪ 개선점◦사회과학대학원� 중·장기� 발전계획� 및� 특성화� 계획의� 추진력을� 확보하고,� 그� 추진과정에� 대한� � �

� � 적절한�모니터링�및�관리해�나갈�필요성이�있음�

◦사회과학대학원� 특성화는� 학문적� 수월성·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개별� 학과에� 대한� 구체적� �

� � 인� 특성화�실적�관리가�필요해�보임

▪ 평가부문 평가�결과

2.1� 교육과정과�교육목표 충족

2.2� 전임교원�강의담당�비율 충족

2.3� 강의평가 충족

▪ 자체평가결과�요약◦국가사회의� 요구,� 시대적·학문적� 요구� 그리고� 건학이념을� 달성하기� 위한� 교육목표를� 제시하고� �

� � 있으며,� 이의�세부적� 실행을� 위한� 대학조직,� 학사운영� 등의� 주요사항을�학칙에� 규정하고�제도화� �

� � 하여�시행하고�있음�

◦사회과학대학원� 교육과정은� 학과의� 특성을� 고려하여� 5학기제로� 운영하고� 있으며,� 학과별로� 전� �

� � 공교과목을�개설하여�적절히�운영하고�있음

◦사회과학대학원에서는� CO등급� 이상과� P를� 취득학점으로� 인정하고� 있으며,� 특별한� 사유� 없이� � �

� � 수업일수의� 3분의� 1이상� 결석한� 과목의� 성적은� F등급을� 부여하는� 등� 관련� 학칙과� 규정에� 따라� �

� � 엄정하게�성적을�평가�및� 관리하고�있음

◦일반대학원�강의평가는�매� 학기별� 2회(1차,� 2차)� 실시하고� 있으며,� 교과목� 및� 담당교원에� 대한� �

Ⅴ 종합논의

1.� 대학원�사명�및�발전계획

2.� 교육

- 36 -

� � 강의평가를�통해�강의�질� 향상에�노력하고�있음

▪ 개선점◦사회과학대학원� 강의� 질� 향상을� 위하여� 학부과정이� 없는� 학과에� 대한� 대학원� 소속� 전임교원에� �

� � 대한�점진적�확보�및� 우수교원�초빙에�대한�노력이�필요함

◦사회과학대학원�강의평가는�주기적으로�시행되고�있으나,� 강의평가�참여율이�저조하므로�강의� �

� � 평가�참여율�제고�방안�마련이�필요함

◦사회과학대학원�자체�소속�교원�수의�절대적�부족으로�인해�전임교원�강의담당�비율�실적이�저� �

� � 조하므로�이에�대한�보완이�필요함� �

▪ 평가부문 평가�결과

3.1� 신입생�충원�현황 충족

3.3� 재학생�충원�현황 충족

3.5� 중도탈락�학생�현황 충족

▪ 자체평가결과�요약◦경주�인근지역의�장기간�경기침체로�인한�대학원� 입학자원�감소� 현상에도� 불구하고�전년도보다� �

� � 높은�충원율(95.6%�⇒� 100%)을� 보이고�있음

◦재학생�만족도�제고를�위하여�교육·연구�분야�지원을�지속적으로�확대하고�있음

◦사회과학대학원생의�학업� 선택권�보장� 및� 중도이탈�방지를� 위하여�논문지도교수�변경제도를�시� �

� � 행하고�있으며,� 장학금�지급률을�확대하고�있음

▪ 개선점◦사회과학대학원의� 우수� 대학원생� 유치를� 위해� 중·장기� 입시전략을� 수립하고� 및� 다각적인� 추진� �

� � 방안�제시가�필요함

◦사회과학대학원�재학생� 충원율� 제고를� 위한� 대응방안� 마련이� 필요함(장학금� 지원� 확대� 및� 연구� �

� � 지원제도�지원�강화�등)

◦사회과학대학원생� 중도이탈� 방지를� 위해� 다양한� 제도를�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으나,� 재학생� 대� �

� � 부분이� 직장인이라� 타지역으로의� 발령으로� 인해� 휴학� 및� 자퇴하는� 경우가� 있어� 지속적인� 지도� �

� � 와� 개선이�필요함

3.� 학생

4.� 연구� :� “해당사항�없음”

- 37 -

▪ 평가부문 평가�결과

5.4� 졸업시험�절차�및�통과기준 충족

5.5� 논문심사�절차�및�논문�심사위원�구성 충족

▪ 자체평가결과�요약◦사회과학대학원은� 학위청구논문� 제출� 대상� 대학원생의� 기본적인� 전공역량� 수준을� 담보하기� 위� �

� � 하여� 매학기� 전공� 종합시험을� 시행하고� 있으며,� 본� 종합시험에� 합격한� 대학원생에� 한해� 학위청� �

� � 구논문�제출자격을�부여함

◦사회과학대학원은� 학위청구논문� 심사과정에서� 심사자로부터의� 피심사자(대학원생)의� 권익·권리� �

� � 보호하고�있음

◦사회과학대학원은�논문의� 어려움을�겪고� 있는� 학생들에게�연구보고서를� 권장함으로써�학생들의� �

� � 학위취득�비율을�높이고�있음

▪ 개선점◦사회과학대학원생� 학위청구논문� 제출� 및� 발표를� 의무화하고는� 있으나,� 학과� 자체적으로� 논문� � �

� � 발표를� 진행하다보니� 논문� 발표� 및� 심사에� 대한� 절차를� 올바르게� 잘� 지키고� 형식을� 잘� 갖추고� �

� � 있는지에�대한�모니터링이�필요함

▪ 평가부문 평가�결과

6.1� 대학원생�연구윤리�교육 충족

6.2� 대학원생�복지시설�현황 충족

6.3� 대학원생�연구지원�제도 충족

6.4� 대학원생�자치조직�구성현황�및� 지원 충족

▪ 자체평가결과�요약◦사회과학대학원은� 대학원� 내� 표절� 없는� 바람직한� 학술문화� 조성� 및� 연구부정행위� 방지를� 위하� �

� � 여� 관리�강화에�힘쓰고�있음

◦사회과학대학원생의� 쾌적한� 학업생활을� 위하여� 학과별� 전용강의실(진흥관),� 학생회실(진흥관)을� �

� � 갖추고� 있고,� 도서관에서는� 대학원생의� 학술·연구역량� 신장을� 위하여� 다양한� 이용자서비스를지� �

� � 원하고�있음

◦사회과학대학원생�학술역량�신장을� 위하여�레포트� 및� 논문자료를�준비할�수� 있는�학생지원시설� �

� � 이� 있어�원생의�학술연구를�지원하고�있음

◦사회과학대학원생� 자치조직인� 학생회� 구성을� 지원하고� 각종� 지원사업(학생회비� 및� 학술연구비� �

� � 지원,� 학술세미나�지원,� 집행부�공로장학�등)을�시행하고�있음

� 5.� 학위수여체계

6.� 교육여건�및�지원

- 38 -

▪ 개선점◦사회과학대학원생�학술역량�신장을� 위한� 각종�지원제도� 및� 프로그램을�시행하고�있음에도�불구� �

� � 하고,� 실제� 제도를� 활용하는� 대학원생� 수가� 저조하므로,� 제도의� 활성화에� 대한� 방안� 마련이� 필� �

� � 요함�

◦사회과학대학원에서는�現 수준� 보다� 더� 많은� 대학원생� 전용� 강의실� 및� 소규모� 스터디룸� 확보� �� � 가� 필요함�

▪ 평가부문 평가�결과

7.1� 발전기금�조성 충족

▪ 자체평가결과�요약◦사회과학대학원은�경주,� 포항,� 울산�지역으로�동문�네트워크가�잘� 형성되어�있음

◦사회과학대학원생은� 자체행사� 및� 동창회,� 동문회� 행사를� 통해� 재학생과� 동문이� 결속하는� 기회� �

� � 를� 가지고�있으며,� 이는�발전기금�조성의�기반이�되고�있음

◦어려운�지역경제�여건�속에서�사회과학대학원�동문�및� 재학생�네트워크는�기부자�발굴�및� 기금� �

� � 모금에�좋은�기회로�작용함

▪ 개선점

◦지속적인� 지역경제� 불황으로� 인하여� 대학원� 발전기금� 조성의� 어려움이� 있으며,� 대학원� 학령인� �

� � 구� 감소는� 발전기금� 모금에� 부정적인� 영향으로� 작용함으로� 사회과학대학원� 동문� 및� 재학생� 네� �

� � 트워크의�강화가�필요함�

� 7.� 자체선정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