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5
-1- 100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manufacture of ceramic mortar using desulfurizing gypsum of exhaust from power-geneator 최종보고서 ( ) 2000. 12. 31

발전용배연탈황부산석고를이용한 세라믹 ... · Table12.세라믹구들의 ... 되어있어건축구조물의경량화가기대된다. 특히기계화시공으로인건비절감및작업장환경개선

  • Upload
    lediep

  • View
    213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1 -

100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manufacture of ceramic mortar

using desulfurizing gypsum of exhaust from

power-geneator

최종보고서( )

2000 12 31

산 업 자 원 부

- 2 -

제 출 문

산업자원부장관 귀하

본 보고서를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에 관한 연ldquo

구 과제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rdquo

2000 12 31

사업주관기관명 주 범 우( )

수 행 책 임 자 고 재 식

연 구 원 정 한 성

연 구 원 이 용 진

연 구 원 안 영 옥

위탁사업기관명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수 행 책 임 자 김 영 만

- 3 -

요 약 문

제 목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에 관한 Ⅰ

연구

기술개발목적 및 중요성Ⅱ

화력발전소에서 배출되는 공해 물질인 SO2로부터 이수석고를 얻는다 이수석고를

도 소성로에서 시간 소성하여 무수석고를 얻는다 화력발전소의 부산물인 석고700 2

와 시멘트 결합제 방사에너지 발열체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성 세라믹 self-leveling

몰탈은 국내의 부존자원이나 산업폐기물의 유효 이용 차원에서 건축재료로의 활용

은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최근 큰 문제로 대두된 환경 개선에 기술개발의

목적을 둔다

신기술 시공의 정밀성 신속성 간편성이 특징인 성 세라믹 몰탈의 시 self- leveling

공 방법은 현장에서 제품에 물만 부어 바닥에 뿌리면 자동적으로 수평한 면이 형성

되므로 기존의 시멘트 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

성 내구성 경량성과 자동 수평이 되는 평활성 때문에 별도의 쇠흙손으로 마감 작

업이 필요 없다 또한 시멘트 몰탈에 비하여 들뜸 현상 및 갈라짐이 없고 가벼운

재질로 되어 있어 건축 구조물의 경량화가 기대 됨과 기존 방식보다 방열성이 높다

는 것은 열효율 면에서 매우 유리한 난방 방식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성 세라믹몰탈은 최근 건축물의 화를 위한 건축 재료로 많이Self-leveling intelligent

사용되고 있다 세라믹몰탈은 유동성이 우수하며 신속한 응결 경화 과정으로 일 1

안에 보행이 가능함은 물론 표면에 기포 자국이나 수축 균열이 없어 백화점 오피

스텔 대규모 건축물의 바닥 미장은 물론 목재 위에 박막이나 후막으로 많이 사용

됨으로서 건설 인력 부족을 대체할 수 있는 신 기능성 제품이다

- 4 -

성 세라믹몰탈재는 사용되는 특수 첨가제에 따라 시멘트계 석고계 혼Self-leveling

합계 특수시멘트 팽창억지제 석고보드 등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각기 특성에 따라

적용되는 분야가 상이함으로 첨가제 혼화제 가 개선되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고부( )

가가치 산업을 창출할 수 있다 석고를 첨가한 시멘트 몰탈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었다

기술개발내용 및 범위Ⅲ

차년도1

산업 폐기물인 이수석고를 무수석고로 만든후 개발된 특수첨가제를 혼합하여 열전

달이나 효율면에서 기존방식보다 향상된 온돌 및 바닥마감용 성 세라self-leveling

믹몰탈 개발

차년도2

차년도에서 개발된 특수첨가제 등을 혼합한 무수석고 세라믹몰탈 시제품에 대한1

문제점 분석 운전 조건 확립 구성 성분 특성평가 성능평가 내구성 향상 석고계

몰탈 개발 부식현상파악 및 현장 시공

기술개발결과 및 활용에 대한 건의Ⅳ

논문 및 특허게재

- A comparative study of thermal efficiency between the present floor and a

ceramic floor Anal Sci Tech 12(2) 166(1999)

- 5 -

- A study on the rebar corrosion in ceramic mortar

게재중Anal Sci Tech 14(1)

특허 출원 건- (2 )

명칭 화력발전소의 부산물을 이용한 유동성 세라믹몰탈 제조방법 및 유동성 세1

라믹몰탈

출원번호 10-1999-0012345

출원인 주식회사 범우

출원일자 19990408

명칭 온돌구조 및 온돌시공 방법2

출원번호 10-2000-0016064

출원인 주식회사 범우

출원일자 20000329

학회 발표 및 제품 설명회 회- 2

폐기물의 유효 적절한 이용으로 고부가가치화와 대기 환경문제 해결에도 많은 기-

표면의 건조시 수축을 극소화함으로서 균열 방지제 개발-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타설 후 시간 내 보행 가능한 바닥제로 활용- 24

기대효과Ⅴ

산업폐기물인 이수석고를 이용한 몰탈 개발로 환경보존 예산절감과 화력발전소의-

부산물을 이용함에 따른 원가절감 등 경제적 파급효과는 상당히 크다

성 세라믹몰탈재를 바닥에 뿌리기만 하면 되므로 업종인 건설현- Self-leveling 3D

장의 막대한 인건비 절약 효과

무수석고의 품질개선평가-

성 세라믹몰탈 개발에 대한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 Self-leveling

- 6 -

건조 수축율 극소화 이하- 004

압축강도 일 기 준 이상 증가- 400 (28 )

휨강도 일 기준 이상 증가- 64 (28 )

자동수평정도 크랙방지제 및 부식방지제 개발- (210 flow)

타설 후 시간 내 보행 가능한 제품 개발- 24

공기단축 및 뛰어난 단열효과-

주택 아파트 온돌에 자동 수평 세라믹몰탈로 적용-

마루 위 온돌시공 철근 구조물 복도나 내부바닥 등 단열 방음과 완전한 레벨효-

- 7 -

목 차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연구Ⅰ

제 장 서 론1

제 장 실 험2

제 절 배연탈황1

제 절 석고소성2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3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4

제 절 특수 첨가재5

세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6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7

제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1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2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3

제 절 특수 첨가재4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5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6

제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7

제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 8 -

제 절 현장 시공9

제 장 결 론4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제 장 실 험2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제 장 결 론4

- 9 -

표 목 차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연구Ⅰ

구미 유럽지역의 재 개발 현황Table 1 Self-leveling

Table 2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Table 3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and binder

Table 4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α

Table 5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LiCO3

Table 6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CAS

Table 7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and CAS

Table 8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a -gypsum LiCO3 CAS

and AI-PC

Table 9 Chemical composition of RCM300

Table 10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sound insulation of floor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구들의 비교Table 11

세라믹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 10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Table 1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V vs CuCUSO4)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 11 -

그 림 목 차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연구Ⅰ

Fig 1 TGA thermal curve of gypsum

Fig 2 Flow diagram of gypsum sintering system

Fig 3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Fig 4 SEM photograph of germany gypsum

Fig 5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after grinding

Fig 6 Present floor of impact sound insulation

Fig 7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each gypsum in sintering condition

Fig 8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gypsum after sieving

Fig 9 Particle distribution chart of gypsum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석고Fig 11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12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l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13 -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Ⅰ

제 장 서 론1

국내에서는 성 세라믹몰탈재를 고급타일 마감재의 수평조정용으로 사self-leveling

용함에 따라 실제적인 의 의미보다는 에 가깝게 적용하여 self-leveling smoothing

대개 시공두께 의 박막으로 시공하기 때문에 일본의 경우 대부분 이3~5 10

상의 후막형 제품들로는 적용이 불가능한 점을 들 수 있다 년 중반에서 수입사 lsquo80

를 통해서 수입하여 건축물에 적용해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년 초까지는 고가 lsquo90

의 재료비로 널리 사용되지는 못하고 대형백화점을 중심으로 시장 확대가 시도되었

으나 국내에서도 시멘트 업계나 건재 생산업체를 중심으로 시멘트계 self-leveling

재의 개발에 착수하기 시작하여 년부터 개 업체에서 판매를 개시함mortar lsquo93 2~3

으로써 시장이 활성화되기 시작하였다

최근에는 대형공장 주차장바닥에 적용할 수 있는 재를 실용화 self-leveling mortar

하여 현재 보급 중에 있으며 석고계 재는 대리점을 통해 수입 self-leveling mortar

품이 고급빌라의 방통 몰탈 대체용으로 각광받고 있어 국내도 다양한 self-leveling

재 제품이 소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및mortar

대형건물 주차장 바닥 몰탈로 성 세라믹몰탈을 사용한 실적은 없다 self-leveling

국외의 경우를 보면 일본에서의 재의 연구는 년에 일본주택self-leveling mortar lsquo73

공단에서 건축물의 요철면을 화하기 위한 바닥공법의 합리화라는 목적으로高精度

석고계 시멘트계 재의 기초연구가 시작되었으나 당시에는 경 self-leveling mortar

제성 때문에 실용화되지는 못하였다 이후 년대 초에서 중반까지는 lsquo70 SO3의 공해

규제에 의한 탈황석고의 효율적인 이용의 관점에서 석고계 self-leveling排煙

재의 실용화 연구에 박차를 가하게 되어 년 시험 시공에 성공하여 년mortar lsquo76 lsquo77

도부터 전국적으로 시판을 개시하기에 이르렀다

- 14 -

년에 최초로 시멘트계 재를 개발 시판하면서 일본내에서 석lsquo82 self-leveling mortar

고계와 시멘트계 재가 함께 사용되기 시작하였다self-leveling mortar

석고계 및 시멘트계 재에는 서로의 장 단점이 있기 때문에 나self-leveling mortar ㆍ

름대로의 판매영역을 구축해 나갔지만 년에 스웨덴의 사로부터 석고계 및 lsquo85 BEPA

시 멘트계의 장 단점을 보완한 무기질계 재 세라믹계 또는 혼self-leveling mortar (ㆍ

합형 재로도 칭함 를 기술도입 함으로써 이후에 일본에서는self-leveling mortar ) 3

종의 재가 시판되기 시작하여 오늘에 이르렀다self-leveling mortar

유럽에서는 오래 전부터 재를 바닥에 사용해 온 것으로 알려져self-leveling mortar

있으며 실제로 다양한 형태의 재가 시판되고 있다 참 self-leveling mortar (Table 1

조 재의 결합재별로 전술한 석고계 시멘트계 혼합계 외에도) Self-leveling mortar

폴리머를 이용한 폴리머시멘트계 또한 시공 두께별로 후막형 및 박막형 등 시공

조건이나 환경에 따라 적용 가능한 여러 제품들이 시판 되고 있다

성 세라믹 구들재에 요구되는 성능은 작업 종료시까지 유동성 확보문Self-leveling

제 응결 경화과정의 요구성능 내구성 측면 등에 좌우된다 유동성과의 균형을 확

보하지 않으면 골재 침강으로 인한 표면 이 심하게 발생되어 표면정도나bleeding

최종 마감재와의 부착 성능을 급격하게 저하시키거나 유동성이 저하되어 세라믹몰

탈재 마감공사가 용이하지 못하기 때문에 세라믹몰탈재 슬러지의 성상과 사용장비

와의 적합성은 공사의 승패를 좌우하는 주요 요인이 된다

- 15 -

구미 유럽지역의 재 개발 현황Table 1 Self -leveling

재 품종Self-leveling 개 발 국 가 참 여 업 체 명( )

석고계미국 등(GYP-CRETE HACKER )독일 등(BAYER KNAUF GUILINY HENCKEL )

시멘트계 스웨덴 등 핀랜드(ABS ZEMENTA ) (PARTEK)

혼합계 독일 등 스웨덴 등(PCI HENCKEL ) (BEPA )

폴리머시멘트계 영국 등 독일 등 웨덴 등(ICI ) (PCI HENCKEL ) (ABS )

무수석고에 첨가되는 시멘트에 대한 수많은 연구 결과가 소개되고 있으나 두 물질

간의 물리화학적인 양론적 문제와 시멘트 화학조성 분말도 발연곡선 응결 수화

열 강도 팽창 수축 화학적저항성 등에 따라 상이하다

신기술 시공의 정밀성 신속성 간편성이 특징인 성 세라믹몰탈의 시공 self-leveling

방법은 현장에서 제품에 물만 부어 바닥에 뿌리면 자동적으로 수평 한 면이 형성되

므로 기존의 시멘트 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

성 내구성 경량성과 자동 수평이 되는 평활성 때문에 별도의 쇠흙손으로 마감이

필요 없다 또한 시멘트 몰탈에 비하여 들뜸 현상 및 갈라짐이 없고 가벼운 재질로

되어 있어 건축 구조물의 경량화가 기대된다

특히 기계화 시공으로 인건비 절감 및 작업장 환경 개선 공기 단축 등으로 경제적

이고 정밀한 시공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기존 방식보다 방열성이 높다는 것

은 열효율 면에서 매우 유리한 난방 방식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성 세라믹몰탈은 최근 건축물의 화를 위한 건축 재료로 많이Self-leveling intelligent

사용되고 있다 세라믹몰탈은 유동성이 우수하며 신속한 응결 경화과정으로 일 1

안에 보행이 가능함은 물론 표면에 기포 자국이나 수축 균열이 없어 백화점 오피스

텔 대규모 건축물의 바닥 미장은 물론 목재 위에 박막이나 후막으로 많이 사용됨

으로서 건설 인력 부족을 대체할 수 있는 신기능성 제품이다

- 16 -

성 세라믹몰탈재는 사용되는 특수 첨가제에 따라 시멘트계 석고계 혼Self-leveling

합계 특수시멘트 팽창억지제 석고보드 등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각기 특성에 따라

적용되는 분야가 상이함으로 첨가제 혼화제 가 개선되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고부( )

가가치 산업을 창출할 수 있다

개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 물질인10 SO2를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하여 아황산석고로 생산되면서 SO2는 제거된다

아황산석고를 반응기에서 반응시켜 부산석고를 얻는다 화력발전소의 부산물인 석

고와 시멘트 결합제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성 세라믹몰탈은 국내의 부 self-leveling

존자원이나 산업폐기물의 유효 이용 차원에서 건축재료로의 활용은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최근 큰 문제로 대두된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일석

이조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됨으로서 국가 경제 발전에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기술적 측면에서 보면 시멘트제품은 응결 경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

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

그러나 과학 및 산업기술들이 고도로 발전되어 감에 따라 건축물 마감공사도 미려

함을 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성 세라믹몰탈재가 건축물 마감공사의self-leveling

성력화를 가능케 한 신 기능성 건축재료의 총아라 할 수 있다

이수석고는 국내 화력발전소에서 배출되는 가장 심각한 공해물질인 SO2 가스를 흡

수액 중 CaCO3과 반응시켜 년간 만톤씩 부산되고 있는 무용한 물질이다 산업폐33

기물의 일종인 이수석고를 소성과정을 거쳐 소석고 로 만든다(calcined gypsum)

소석고에 신 기능성 특수 를 첨가하여 바닥 마감용 성 세라믹몰binder self-leveling

탈재를 생산함으로써

열효율 면에서는 시멘트 제품보다 축열성이 높으며-

미장면이 평활하므로 추가로 보수가 필요 없고-

시멘트보다 압축 및 인장강도 면에서 우수하다-

시중 시멘트제품은 균열에 있어서 완벽한 균열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보

수 후에는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보수 및 면 평활도가 외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 17 -

그러나 본 제품을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하므로 그 파

급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된다

경제적 측면에서 보면 국내 석고 소비량은 연간 만톤으로 선진국의 연간 소비600

율 에도 못 미치는 실정이다 또한 국내에는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10

실정으로 해외에서 톤당 만원 정도의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볼16

때 품질이 좋고 가격이 싼 발전용 배연 탈황 석고의 공급은 국내 관련 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국내 발전용 배연 탈황 석고의 공급이

서기 년도에 이르면 약 만톤으로 국내 석고 수요량 만톤의 약 정2000 110 600 18

도는 충당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진다

현재 아파트 및 오피스텔 공사 등이 전국적으로 그 물량이 대단히 많으나 모든 미

장 마감층에 균열이 생기고 평활도의 문제가 발생되고 있어 입주 전에 균열 보수

재료에 의해 보수를 실시하고 있으나 완전 보수가 불가능하여 입주 후 많은 세대수

에서 하자보수로 인한 손실이 매우 큰 실정이다 또한 바닥면이 수평을 이루지 못

하여 가구 등의 제품에 뒤틀림 등으로 생활에 불편함을 제공하고 있다

본 제품은 상기와 같은 모든 문제점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훨씬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건비 절감 공기 단축 국내의 산업폐기물의 유효이용 차원에서

건축재료로의 활용은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시멘트 건축재 생산업체들을 중심으로 아파트 온돌 부위와 목재 위에 박막

또는 후막으로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용도의 세라믹몰탈 등의 상품화는 년간 500

억원 규모의 사업화가 가능할 것이며 또한 특수 의 개발은 연간 약 억 binder 150

원의 시장 창출이 예측된다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 보면 현대 산업의 고도화 및 복잡화로 환경 오염을 초래하

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각종 환경매체에 대한 환경 오염이 극심해지

고 있는 실정이어서 환경 오염 방지 및 환경보존 개선을 위한 규제가 점점 강화되

고 있다 특히 대기오염 생태계 파괴 등 환경과 보건에 심각한 위해가 초래됨으로

써 규제도 본격화하게 되었다

- 18 -

이산화유황으로 오염된 화력발전소의 배기가스는 석회함수물 또는 석회액과의 화학

적 반응을 통해 탈황된다 이로 인해 산성비 에 대한 원인은 제거된다 이런 중요 ldquo rdquo

한 환경기술적 조치의 반응생산물인 부산석고를 건축 자재로 사용함으로서 대기 환

경보존을 할 수 있다는 차원에서 금액으로 환산할 수 없는 중대한 기여를 할 것이

다 또한 내장 박막 이하 후막 등을 미려하게 함은 mortar(50 ) (5 ) (1O-15 )

물론 수축 팽창 균열 등을 방지함으로 풍요로운 생활공간을 제공할 것이다

위와 같은 평가 기술은 국내 최고의 분석 평가 기관인 특성분석센터와 세라믹KIST

스 연구부 및 주 범우에서 이미 확보되어 있고 국제적으로도 상당한 경쟁력을 갖( )

추고 있다 매우 불활성인 무수석고를 약 시간만에 경화가 시작되도록 활성화하는 2

즉 정해진 특성들을 가진 건축자재를 생산하는 두 가지 방식이 있다 그중 한 방법

은 미세하게 분쇄한 후 풀어짐을 촉진하는 소량의 자극제 즉 분산제의 첨가이며

다른 한 방법은 몰탈 준비 때보다 강력한 혼합을 요구하는 무수석고의 생산이REA

절실히 필요하다

- 19 -

제 장 실 험2

제 절 배연탈황1

화력 발전소에서 부산물로 생성되는 이수석고의 주요 반응은 의 현탁액과limestone

연소가스를 역류 세정시키면서 일어난다 이것은 아래에 열거한 것과 같은 확산과

화학반응으로 구분되어 진행된다

기 액 경계면에 이르기까지의 을 통한- gas film SO① 2의 확산

SO② 2가 상태가 되는aqueous dissolution

상태의Aqueous SO③ 2가 되어hydration H2SO3로 되고 이것이 H+ 와 HSO3-로 존

재하게 됨

HSO④ 3-가 분리되어 SO3

-를 형성함

용역내의 CaCO⑤ 3는 상태로 되고 이것은 다시aqueous dissolution H+이온과 반응

하여 Ca2+ 와 HSO3-를 형성함

및 과정에서 생성된 Ca⑥ ④ ⑤ 2+와 SO32-그리고 물이 반응하여 CaSO3ㆍ12H2 가O

형성됨

CaSO⑦ 3ㆍ12H2 는 물과 물속에 녹아있는 산소와 결합하여O CaSO4 2Hㆍ 2 를 형O

성함

- 20 -

반응식Total

이와 같은 반응들의 반응속도를 비교하여 볼 때 의 단계는 비교적 빠 ③ ④ ⑥ ⑦

른 반응이 되고 제어단계는 크게 가스확산 액체 내에서의 SO2 확산 석회석의

등 단계로 압축시킬 수 있다 위의 메카니즘 가운데 이온들의 화학반응dissolution 3

을 로 규명하기도 한다 이것은 기 액 경계면을 중심으two-reaction-planes model -

로 액체쪽으로 개의 을 설정하고 각각의 다른 반응이 일어난다는 것2 reaction plan

이다

제 절 석고 소성2

전항에서 만들어진 이수석고에 함유된 부착수분과 결정수분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

기로와 열질량분석기 를(thermogravimetric analyzer TGA Perkin-Elmer TGS-2)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에서 보면 공기 중에서 일 방치한 이수석고 중 Fig 1 2 18

정도가 되면 대부분 휘발성 물질들이 날아가서 무게가 정도 감소되었60 5 wt

다 다시 정도가 될 때까지 결정 수분이 정도 감소되었고 190 18 wt 700

가 될 때까지 정도가 휘발되어 날아가 전체 무게 감소는 되고2 wt 25 wt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휘발되는 것이 없이 일정한 무게를 유지하였다 전기로에서

실험한 결과도 부착수분이 건조감량이 로 전체 무게 감소율121 wt 109 wt

은 이였다 이수석고를 세라믹용기 및 용기에 각각230 wt stainless steel 500

씩 분취하여g 150 (2 hrs) 200 (1~2 hrs) 350 (1 hr) 420 (1 hr)

로 유지한 전기로에서 각각 소성하였500 (1 hr) 650 (15 hr) 750 (1 hr)

다 소성 후 를 사용하여 소성 X-Ray Diffractometer (XRD Rigaku DMAX-2500)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CaSO4 2Hㆍ 2 를 대량 소성하기 위하여O

에stainless steel port CaSO4 2H2 씩을 넣고 를 아래와 같O 2 conveyor furnace

은 조건 을 유지하면서 대전 소재 쌍용중앙연구소에서 시간 연속 실험하(Fig 2) 24

였다

- 21 -

Fig 1 TGA thermal curve of gypsum

- 22 -

Fig 2 Flow diagram of gypsum sintering system

- 23 -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3

에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석고에 대하여 표면형상을 관찰하였다Self-leveling

조건으로 국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Hitachi S-4200) 150

산 석고등의 입자를 조사한 결과는 과 에서 보는 바와 같다 과Fig 3 Fig 4 Fig 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국산석고의 크기가 독일산 석고보다 크나 분쇄를 잘하Fig 4

면 공정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추정된다self-leveling

의 입자가 큰 국산석고를 에서 분 분쇄 후 사진 의 결Fig 3 mortar 20 SEM (Fig5)

과를 보면 독일산 석고와 아주 유사한 형태와 로 변하였다 그러므로 분쇄 공정size

만 잘 진행하면 국산 석고도 외국산 석고에 비해 제조에 손색없음을self-leveling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 무수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를 위하여 쌍용연구소의 연속분쇄기

를 사용하여 분쇄하였다 분쇄 조건은 압력(roller mill) roller 6 feeding RPM

시료 투입량 등으로 무수석고를 연속 분쇄하였40 separator RPM 880 6 hr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4

국내산 석고와 외국산 석고들에 대한 화학성분 분석을 위하여 Optical Emission

로 정성분석한 후Spectrometer(OES TJA Atomcomp 81) Atomic Absorption

Sepctrophotometer(AAS Perkin Elmer 5000) 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meter(ICPAES Perkin Elmer Elan 5000) Wet

분석방법 등으로 국산 석고와 외국산 석고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Analysis(WET)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 석고에 대하여도 위에서 분석한 CAS( )

것과 같이 등의 방법으로 성분분석을 하여 석고의 품질OES AAS ICPAES WET

및 특성등을 파악하였다

- 24 -

Fig3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 25 -

Fig4 SEM photograph of germany gypsum

- 26 -

Fig5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after grinding

- 27 -

제 절 특수 첨가재5

기존의 재 에self- leveling 300 g H2 을 혼합한 후 아래와 같은 여러 종류의O 89 g

첨가재를 첨가하면서 초결 종결 등의 경화 응결 및 플로값 등의 물리적인 성질을

측정하였다

또한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

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기존의 재 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O 89g CAS ( )

때의 물리적인 특성뿐 아니라 알미나 포틀랜드 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AI-PC)

때의 물리적인 특성도 비교하였다

가존의 재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 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위에서 측정한 경우와 서로 비교하AI-PC

여 보았다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6

재 제조시 적절한 응결을 위하여 급결제을 사용하는데 통상 물유리를Self -leveling

많이 사용함을 본 연구에서 알았다 급결제의 성분 분석을 위하여 wet analysis

등을 사용하였으며 구조분석을 위하여는 와 을 사용하였OES AAS ICPAES XRD IR

다 법으로는 석고중에 함유되어 있는 물의 함량을 분석하는데 사용하 Karl fischer

였다

- 28 -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7

바닥 충격음 및 소음에 대한 시험은 여주군에 위치한 방재시험연구소에 의뢰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편을 제작하여 측정하였다 바닥 충격음 방지재 (save gum pad

를 사용한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 에 시험재료로 한양 시멘트 제품인6 t) (246 )

레미탈 을 사용하여 몰탈 바닥 넓이 로 작업한 후900 28 m times 42 m times 30

일 간 야외에서 양생하여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참조30 (Fig 6 )

바닥충격음시험은 건축물현장에 있어서의 바닥충격음측정방법 을KSF 2810 ( 1981)

적용하여 음원실 충격음발생실 과 수음실 충격음측정실 로 구성된 잔향실 사이 바( ) ( )

닥개구부에 시험체를 설치한 후 시험체위에서 충격음 경량 태핑 머신 및 중량충 (

격음 타이어 을 발생시켜 주파수범위의 대역별 바닥충격음 ) 63-4000 13 Octave

레벨 회를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하였다25

제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최근 건설 현장에 불기 시작한 주거환경의 쾌적화와 원적외선 방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도 원적외선 방사에 대한 시험을 시행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과 한국원적외선협회에 세라믹몰탈 옥석 맥반석

게르마늄석을 의뢰하여 방사율을 단파장인 영역인 에서 까지 측정하였다3 20

- 29 -

Fig 6 Present floor of impact sound insulation

- 3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1

화력발전소에서 부산물로 생성된 이수석고를 대전소재 쌍용 중앙연구소에서 rotary

을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소성된 석고를kiln X - Ray Diffractometer (XRD Rigaku

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수석고는DMAX-2500) Fig 7

에서는150~200 CaSO 4 2Hㆍ 2 가O CaSO4 12Hㆍ 2 로 변하고 에서O 350 CaSO 4

의 피크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그후 온도를 올림에 따라 무수석고의 결정성이 좋

아짐을 알 수 있었다 참조(Fig 7 )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2

으로 확인한 결과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국산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ig 3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로 단단한 모양으로 균일하게70

구성되어 있는 반면 의 독일산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 Fig 4 70

의 크기가 소수 분포와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분포175

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체로 한 결 -200 mesh sieving

과를 보면 정도의 가 큰 덩어리가 남아 있었다10 size

가 큰 덩어리를 로 확인한 결과 석고로 판명되었다 에서 보면 독일Size XRD Fig 8

산 최초 석고인 BW CaSO4 과 후의 의(GER)-3 sieving XRD pattern BW

CaSO4 와 동일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들은 결과와 결과로(G+200M)-4 XRD TGA

보면 모두 CaSO4로 판명되었다

에서 분쇄된 무수석고의 입자분포도를 보기 위하여Roller mill particle size

로 측정범위 측정 분산매analyzer 01-180 lens focal depth 100 methyl

를 사용하여 초음파 분산 방법으로 입도 분포도를 얻어 에 실었다alcohol Fig 9

- 31 -

Fig7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each gypsum in sintering condition

- 32 -

Fig8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gypsum after sieving

- 33 -

Fig 9 Particle distribution chart of gypsum

- 34 -

에서의 입자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이하의 분포도가 전체의 를Fig 9 5 87

차지하고 있는 반면 마이크론미터 이상이 전체의 밖에 차지하고 있음을 알10 3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보면 외국산 석고에 비해 공정에서는 보다 나 self - leveling

은 작업성과 물성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3

분석방법 등으로 분석한 결과 에서 보OES AAS ICPAES Wet Analysis Table 2

는 바와 같이 독일산석고와 국산석고의 분석결과가 화학성분에서는 아주 유사하다

그러나 독일산 석고에 규사만이 함유되어 있는 것에 비해 국산 석고에는16 wt

규사가 로 작게 함유되어 있었다 이는 원재료의 광산에 함유된 규사에096 wt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석고에 대한 분석 결과를 CAS( ) Table 3

에 실었다 에서 보면 라파석고에 인이 포함되어 있는 반면 인 Table 3 00072 wt

산무수 석고에는 로 많이 포함되어 있어 제조시 인산무0024 wt self- leveling

수 석고를 사용한 결과가 나쁘게 나타났다고 추정되며 지지용 철근의self-leveling

부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이므로 인산석고의 사용을 피함이 좋을 것이다

인산무수 석고는 자체에서 산성 성분을 용출함으로서 콘크리트 중에 함유된 알칼리

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을 혼입시키어 철근을 활성화

상태로 만들고 이로 인해 부식하기 쉽게 된다

- 35 -

Table 2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 36 -

Table 3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and Binder

- 37 -

제 절 특수 첨가재4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의 양을 변화시O 89 g -α

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4

Table 4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a -gypsum

에서 보면 석고의 함량을 증가할수록 초결시간은 빨라지지만 수분증발시Table 4 -α

간이 느리고 기존레벨라보다 종결시간이 느린 것을 보아 석고만을 첨가한다는-α

것은 의미가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화시키

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5

Table 5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LiCO3

- 38 -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기존레벨라에는 이미Table 5 LiCO3이 인 이 포014 042g

함되어 있어 순으로 첨가하였으나 첨가 양에 따른 초결상태의 변화0 15 30 g

는 없었으나 종결상태는 조금씩 첨가 양이 많아지면서 조금씩 지연되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O 89 g CAS ( )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과 같다Table 6

Table 6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CAS

에서 보면 를 씩 증가하면서 첨가함에 따라 초결상태와Table 6 CAS 0 10 20 g

종결상태가 보다 급격히 빨라짐을 알 수 있었다 즉 경화 속도에 의Table 4 5 CAS

함유량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에서 사용한 첨가제를 모두 혼합하여 기존의 재Table 4 5 6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비교해보면O 89 g Table

과 같다7

- 39 -

Table 7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and CAS

에서 보는 것처럼 기존의 재Table 7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O 89 g

라에 석고와- LiCOα 3 만을 혼합하였을 때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의 양을 CAS

증가시키면서 함께 첨가할 수록 경화시간은 단축되었다

에 알미나 포틀랜드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Table 7 (AI-PC)

비교해보면 과 같다Table 8

기존의 재self-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보면 에서 보는 것처럼AI-PC Table 8

함량이 높을수록 경화시간은 너무 단축되어 그만큼 작업하는 시간이 촉박하AI-PC

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모든 결과를 종합해보면 응결시간은 온도와 습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실험할 때마다

기존레벨라를 비교하여 시험했다 가 가장 경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만 입자 CAS

가 뭉쳐 있어 혼합이 잘되지 않았다 그 결과 건조시 표면이 분화구처럼 돌출된 부

분이 많이 생겨났다

- 40 -

Table 8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CAS and Al-PC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5

급결제에 대한 성분 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는 와 같다 중탕Table 9

에서 증발시킨 후 의 잔유물에 대한 분석 결과(100 ) 50 wt Si 438 wt Na

로 나타났다 결정성과 구조분석을 위하여 로 확인한102 wt K 177 wt XRD

결과는 무결정 으로 피크가 나타나지 안했다 법으로 물을(amorphous) Karl fischer

분석시에도 가 잘 나타나지 안해 분석을 할 수 없었다 화학적 결합상태end-point

를 알아보기위해 을 이용하여 해석해본 결과IR Na2SiO3 H2 와O 50 wt 50 wt

의 H2 가 공존함을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O Na2SiO3 H2 와 의O 50 wt 50 wt

H2 를 함께 사용하기로 결정하였고 건설 현장에 시공 또는 제품 생산에 위와 같O

은 혼합비율을 적용하였다

- 41 -

Table 9 Chemical Composition of RCM300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6

측정된 충격음레벨은 ISO 140 Part 6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을 준용하여 수음실 기준 흡음력 에 대한sound insulation of Floors 1978) (10 )

보정 값으로 환산하였다(Table 10)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나타내는 수음실의 바닥충격음레벨 (Ln 은 다음 식 으로) (1)

구하였다

여기서

Ln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흡음력보정 바닥충격음레벨 j ( )

충격음위치 지점수m

상기 식 의 각 충격음 위치마다의 바닥충격음레벨의 평균값(1) (Lj 은 다음식 에) (2)

따라 산출하였다

- 42 -

Table 10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sound insulation of floor

- 43 -

여기서

Lj 수음실내 측정점 에서의 바닥충격음레벨 i ( )

측정점의 수n

또한 상기 바닥충격음레벨 평균값 (Lj 은 수음실의 흡음력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

므로 를 준용 이를 기준흡음력 에 대한 값ISO 140 Part6 (978) (10 ) (L nj 으로)

환산하였으며 그 산출식은 식 과 같다 (3)

여기서

L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평균 바닥충격음레벨 j ( )

AO 기준흡음력 (10 )

수음실 측정실 용적V ( ) ( )

수음실 측정실 잔향시간 초T ( ) ( )

에서 보면 기준판과 시험체의 경량충격음은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Table 10

충격음이 증가하다가 완만한 곡선을 나타내는 반면 중량충격음의 결과를 보면 주파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충격음이 계속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경량 충격음은 음원이 태핑머신인 관계로 주파수 변화에 따른

파장의 작고 큼에 별 영향을 주지 않지만 중량 충격음은 음원이 타이어임으로 고주

파대로 갈수록 파장이 작아서 투과 여건이 적은 관계에 기인함을 알 수 있다 본

바닥충격음과 소음에 대한 실험 결과 기존 시멘트몰탈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

믹몰탈간에 바닥충격음과 소음의 차이는 크게 나지 않음으로 무시할 정도임을 알았

- 44 -

제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7

아래 은 바닥재 시공에 대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과 재래식 시Table 11

멘트몰탈과의 특징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연구연에서 분석한 세라믹구들의 분석 결과를 에Table 12

실었다 현 시험법에 따라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 등의 물성을 공인된 한국건자 KS

재연구원에 의뢰한 결과 압축강도면에서 이 넘는 결과가 나왔으며 다른400 f

물성 또한 기준 물성값을 초과하는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에서 보는 것과 Table 12

같이 길이변화율은 일 경과 후 로서 거의 변화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28 -0046

며 이를 미루어 보아 시멘트몰탈의 수축 팽창에 기인되는 균열 원인을 해결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45 -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 구들의 비교Table 11

구분 단위 재래식 시멘트몰탈 본 제품 세라믹구들( )

시공후상태

몰탈층

바탕면의 균열 발생-바탕면의 평활 수평 이 없다- (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없다-공정 회 이 복잡하다- (3-4 )많은면적을 시공할 수 없다-양생시간이 길다 일- (3-7 )하자 보수비가 필요하다-시멘트 독성에 따른 인체에-해로움

바탕면의 균열이 없다- 바탕면의 평활 수평 성이 양호- ( )일정한 두께유지-공정이 단순 회공정 하다- (1 )많은 면적을 시공할 수 있다-양생시간이 짧다 일- (1 )하자보수비가 필요없다-건강보조기능-항균성 무독성 원적외선( )마감재 시공이 용이하다-에너지절감 효과가 크다-열전도율 및 축열기능이 좋다-차음 방음 효과가 우수하다- ( )건축물의 경량화-

세라믹 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시험 검사 방법 ( ) KS L 5105-97 KS L 5104-96 KS L 5207-rsquo99 KS F2424-rsquo95 KS L 1592 rsquo95시험원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시험일자 2000 OS 09 ~ 09 15

- 46 -

제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석회 광물은 마그네시아 광물과 함께 중요한 조암광물로서 천연에서는 산화물(CaO)

로는 존재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탄산염 황산염 또는 규산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석회질 원료로는 석회석 돌로마이트 형석 석고 규회석 등이었으며 이중 석회석

(CaCO3 과 석고)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만을 에 나타내었다 원적) Fig 10 11

외선 발열체와 세라믹 발열체가 있다 원석 발열체로는 맥반석 게르마늄석 옥석

황토 등이 있다 원적외선의 온열효과는 피부표면에 복사된 원적외선은 인체 중 물

의 진동 파장과 거의 비슷하며 공진 작용으로 일반열이 도달할 수 없는 부위( )共振

까지 도달하게 한다 이러한 심달력은 피하층의 온도상승 미세혈관의 확장 혈액순

환 촉진 선진대사강화 혈류 장해 해소 조직의 재생능력 증가 결련예방 및 암치

료 효과 등의 의학적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혈행이 좋아짐으로서

정상체온 유지 스트레스 해소 소화촉진 근육통 해소 피부 색깔 정상화 꺼칠한

눈이 부드러워지고 감기 예방효과 조직 내에 쌓여 있던 노폐물의 분비도 촉진된

다 또한 세포에 필요로 하는 영양소와 산소를 정상적으로 공급받게 되어 세포와

조직이 활력을 되찾게 되고 적당한 원적외선 활용은 세포의 노화를 막아주는 효과

를 볼 수 있다 원적외선 부작용 없는 건강유지와 질병의 예방치료적 기 (氣

라고 할 수 있다energy)

석회석은 시멘트의 주원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전방사율은 약 정도를085

보이고 있으나 이후와 단파장 영역쪽에 불안정한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보이20

고 있다 이는 공기 중의 습기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그 조성이 일부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시멘트를 측정하여 비교Fig 10 11

한 결과에서는 다소 석회석 자체원료를 측정한 것이 방사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CaSO4 는 외국에서 천연으로 산출된 것과 본 연구에서 제조한 배연 탈황석고)

모두 원적외선 방사특성에 있어서는 석회석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특히

부근에서의 약간의 골이 생겨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87

- 47 -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48 -

석고Fig 11 (CaSO4 의 원작외선 방사특성)

- 49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의 방사율은 에 실었다 현재 원적외선이 다Fig 12

량 방사되는 게르바늄석 참조 옥석 참조 맥반석 참조(Fig 13 ) (Fig 14 ) (Fig 15 )

등에 비해서 같은 수준의 방사에너지 및 방사율이 발현됨을 공인된 시험기간에 의

해서 입증되었다 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를 Fig16 3~20

파장 영역에서 방사특성을 나타내었다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는 이상흑체에

서 방사되는 특성과 같은 모양을 방출하고 있습을 알았다 따라서 세라믹구들은 건

강친화적인 면만 아니라 여러 가지 가능을 가진 차세대 온돌용 세라믹구들이라고

할 수 있다

제 절 현장 시공9

본 세라믹구들의 최적화 조건 조성 및 현장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차로 경기도 광1

주 소재 동심주택 제 차 그린타운 세대를 시험 시공한 바 있으며 위 결과를 토9 19

대로 최적화된 조건에 따라 안양 재건축현장 및 기홍 목조주택 등에 실용화 시공하

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Fig 17

필름 한 장을 깔고 그 위에 외경의 폴리에틸렌 엑셀파이프를 배관한 후 세라15

믹 구들로 타설한 후 수평을 잡으면서 두께를 로 일정하게 하였다40

시멘트 제품은 응결 경화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균열이 발생되

면 더 커지면서 계속 퍼져나가는 경향을 나타낸다 여러 종류의 균열 보수기법이

현재 마련되어 있으나 완벽한 균열 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 보수 후에도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 보수로 인해 외관의 불량 균열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로 시공한 결과는 상기와 같

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할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연구에 의해 일반 콘크리트에도 적

용할 경우 그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균열을 방지함으로서 방

수 강도저하 철근부식 등 내구성저하를 막으므로 고품질의 구조물 공사가 될 것으

로 예상된다

- 50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 51 -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 52 -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 53 -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2 -

제 출 문

산업자원부장관 귀하

본 보고서를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에 관한 연ldquo

구 과제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rdquo

2000 12 31

사업주관기관명 주 범 우( )

수 행 책 임 자 고 재 식

연 구 원 정 한 성

연 구 원 이 용 진

연 구 원 안 영 옥

위탁사업기관명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수 행 책 임 자 김 영 만

- 3 -

요 약 문

제 목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에 관한 Ⅰ

연구

기술개발목적 및 중요성Ⅱ

화력발전소에서 배출되는 공해 물질인 SO2로부터 이수석고를 얻는다 이수석고를

도 소성로에서 시간 소성하여 무수석고를 얻는다 화력발전소의 부산물인 석고700 2

와 시멘트 결합제 방사에너지 발열체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성 세라믹 self-leveling

몰탈은 국내의 부존자원이나 산업폐기물의 유효 이용 차원에서 건축재료로의 활용

은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최근 큰 문제로 대두된 환경 개선에 기술개발의

목적을 둔다

신기술 시공의 정밀성 신속성 간편성이 특징인 성 세라믹 몰탈의 시 self- leveling

공 방법은 현장에서 제품에 물만 부어 바닥에 뿌리면 자동적으로 수평한 면이 형성

되므로 기존의 시멘트 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

성 내구성 경량성과 자동 수평이 되는 평활성 때문에 별도의 쇠흙손으로 마감 작

업이 필요 없다 또한 시멘트 몰탈에 비하여 들뜸 현상 및 갈라짐이 없고 가벼운

재질로 되어 있어 건축 구조물의 경량화가 기대 됨과 기존 방식보다 방열성이 높다

는 것은 열효율 면에서 매우 유리한 난방 방식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성 세라믹몰탈은 최근 건축물의 화를 위한 건축 재료로 많이Self-leveling intelligent

사용되고 있다 세라믹몰탈은 유동성이 우수하며 신속한 응결 경화 과정으로 일 1

안에 보행이 가능함은 물론 표면에 기포 자국이나 수축 균열이 없어 백화점 오피

스텔 대규모 건축물의 바닥 미장은 물론 목재 위에 박막이나 후막으로 많이 사용

됨으로서 건설 인력 부족을 대체할 수 있는 신 기능성 제품이다

- 4 -

성 세라믹몰탈재는 사용되는 특수 첨가제에 따라 시멘트계 석고계 혼Self-leveling

합계 특수시멘트 팽창억지제 석고보드 등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각기 특성에 따라

적용되는 분야가 상이함으로 첨가제 혼화제 가 개선되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고부( )

가가치 산업을 창출할 수 있다 석고를 첨가한 시멘트 몰탈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었다

기술개발내용 및 범위Ⅲ

차년도1

산업 폐기물인 이수석고를 무수석고로 만든후 개발된 특수첨가제를 혼합하여 열전

달이나 효율면에서 기존방식보다 향상된 온돌 및 바닥마감용 성 세라self-leveling

믹몰탈 개발

차년도2

차년도에서 개발된 특수첨가제 등을 혼합한 무수석고 세라믹몰탈 시제품에 대한1

문제점 분석 운전 조건 확립 구성 성분 특성평가 성능평가 내구성 향상 석고계

몰탈 개발 부식현상파악 및 현장 시공

기술개발결과 및 활용에 대한 건의Ⅳ

논문 및 특허게재

- A comparative study of thermal efficiency between the present floor and a

ceramic floor Anal Sci Tech 12(2) 166(1999)

- 5 -

- A study on the rebar corrosion in ceramic mortar

게재중Anal Sci Tech 14(1)

특허 출원 건- (2 )

명칭 화력발전소의 부산물을 이용한 유동성 세라믹몰탈 제조방법 및 유동성 세1

라믹몰탈

출원번호 10-1999-0012345

출원인 주식회사 범우

출원일자 19990408

명칭 온돌구조 및 온돌시공 방법2

출원번호 10-2000-0016064

출원인 주식회사 범우

출원일자 20000329

학회 발표 및 제품 설명회 회- 2

폐기물의 유효 적절한 이용으로 고부가가치화와 대기 환경문제 해결에도 많은 기-

표면의 건조시 수축을 극소화함으로서 균열 방지제 개발-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타설 후 시간 내 보행 가능한 바닥제로 활용- 24

기대효과Ⅴ

산업폐기물인 이수석고를 이용한 몰탈 개발로 환경보존 예산절감과 화력발전소의-

부산물을 이용함에 따른 원가절감 등 경제적 파급효과는 상당히 크다

성 세라믹몰탈재를 바닥에 뿌리기만 하면 되므로 업종인 건설현- Self-leveling 3D

장의 막대한 인건비 절약 효과

무수석고의 품질개선평가-

성 세라믹몰탈 개발에 대한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 Self-leveling

- 6 -

건조 수축율 극소화 이하- 004

압축강도 일 기 준 이상 증가- 400 (28 )

휨강도 일 기준 이상 증가- 64 (28 )

자동수평정도 크랙방지제 및 부식방지제 개발- (210 flow)

타설 후 시간 내 보행 가능한 제품 개발- 24

공기단축 및 뛰어난 단열효과-

주택 아파트 온돌에 자동 수평 세라믹몰탈로 적용-

마루 위 온돌시공 철근 구조물 복도나 내부바닥 등 단열 방음과 완전한 레벨효-

- 7 -

목 차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연구Ⅰ

제 장 서 론1

제 장 실 험2

제 절 배연탈황1

제 절 석고소성2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3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4

제 절 특수 첨가재5

세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6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7

제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1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2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3

제 절 특수 첨가재4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5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6

제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7

제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 8 -

제 절 현장 시공9

제 장 결 론4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제 장 실 험2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제 장 결 론4

- 9 -

표 목 차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연구Ⅰ

구미 유럽지역의 재 개발 현황Table 1 Self-leveling

Table 2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Table 3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and binder

Table 4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α

Table 5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LiCO3

Table 6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CAS

Table 7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and CAS

Table 8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a -gypsum LiCO3 CAS

and AI-PC

Table 9 Chemical composition of RCM300

Table 10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sound insulation of floor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구들의 비교Table 11

세라믹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 10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Table 1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V vs CuCUSO4)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 11 -

그 림 목 차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연구Ⅰ

Fig 1 TGA thermal curve of gypsum

Fig 2 Flow diagram of gypsum sintering system

Fig 3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Fig 4 SEM photograph of germany gypsum

Fig 5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after grinding

Fig 6 Present floor of impact sound insulation

Fig 7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each gypsum in sintering condition

Fig 8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gypsum after sieving

Fig 9 Particle distribution chart of gypsum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석고Fig 11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12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l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13 -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Ⅰ

제 장 서 론1

국내에서는 성 세라믹몰탈재를 고급타일 마감재의 수평조정용으로 사self-leveling

용함에 따라 실제적인 의 의미보다는 에 가깝게 적용하여 self-leveling smoothing

대개 시공두께 의 박막으로 시공하기 때문에 일본의 경우 대부분 이3~5 10

상의 후막형 제품들로는 적용이 불가능한 점을 들 수 있다 년 중반에서 수입사 lsquo80

를 통해서 수입하여 건축물에 적용해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년 초까지는 고가 lsquo90

의 재료비로 널리 사용되지는 못하고 대형백화점을 중심으로 시장 확대가 시도되었

으나 국내에서도 시멘트 업계나 건재 생산업체를 중심으로 시멘트계 self-leveling

재의 개발에 착수하기 시작하여 년부터 개 업체에서 판매를 개시함mortar lsquo93 2~3

으로써 시장이 활성화되기 시작하였다

최근에는 대형공장 주차장바닥에 적용할 수 있는 재를 실용화 self-leveling mortar

하여 현재 보급 중에 있으며 석고계 재는 대리점을 통해 수입 self-leveling mortar

품이 고급빌라의 방통 몰탈 대체용으로 각광받고 있어 국내도 다양한 self-leveling

재 제품이 소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및mortar

대형건물 주차장 바닥 몰탈로 성 세라믹몰탈을 사용한 실적은 없다 self-leveling

국외의 경우를 보면 일본에서의 재의 연구는 년에 일본주택self-leveling mortar lsquo73

공단에서 건축물의 요철면을 화하기 위한 바닥공법의 합리화라는 목적으로高精度

석고계 시멘트계 재의 기초연구가 시작되었으나 당시에는 경 self-leveling mortar

제성 때문에 실용화되지는 못하였다 이후 년대 초에서 중반까지는 lsquo70 SO3의 공해

규제에 의한 탈황석고의 효율적인 이용의 관점에서 석고계 self-leveling排煙

재의 실용화 연구에 박차를 가하게 되어 년 시험 시공에 성공하여 년mortar lsquo76 lsquo77

도부터 전국적으로 시판을 개시하기에 이르렀다

- 14 -

년에 최초로 시멘트계 재를 개발 시판하면서 일본내에서 석lsquo82 self-leveling mortar

고계와 시멘트계 재가 함께 사용되기 시작하였다self-leveling mortar

석고계 및 시멘트계 재에는 서로의 장 단점이 있기 때문에 나self-leveling mortar ㆍ

름대로의 판매영역을 구축해 나갔지만 년에 스웨덴의 사로부터 석고계 및 lsquo85 BEPA

시 멘트계의 장 단점을 보완한 무기질계 재 세라믹계 또는 혼self-leveling mortar (ㆍ

합형 재로도 칭함 를 기술도입 함으로써 이후에 일본에서는self-leveling mortar ) 3

종의 재가 시판되기 시작하여 오늘에 이르렀다self-leveling mortar

유럽에서는 오래 전부터 재를 바닥에 사용해 온 것으로 알려져self-leveling mortar

있으며 실제로 다양한 형태의 재가 시판되고 있다 참 self-leveling mortar (Table 1

조 재의 결합재별로 전술한 석고계 시멘트계 혼합계 외에도) Self-leveling mortar

폴리머를 이용한 폴리머시멘트계 또한 시공 두께별로 후막형 및 박막형 등 시공

조건이나 환경에 따라 적용 가능한 여러 제품들이 시판 되고 있다

성 세라믹 구들재에 요구되는 성능은 작업 종료시까지 유동성 확보문Self-leveling

제 응결 경화과정의 요구성능 내구성 측면 등에 좌우된다 유동성과의 균형을 확

보하지 않으면 골재 침강으로 인한 표면 이 심하게 발생되어 표면정도나bleeding

최종 마감재와의 부착 성능을 급격하게 저하시키거나 유동성이 저하되어 세라믹몰

탈재 마감공사가 용이하지 못하기 때문에 세라믹몰탈재 슬러지의 성상과 사용장비

와의 적합성은 공사의 승패를 좌우하는 주요 요인이 된다

- 15 -

구미 유럽지역의 재 개발 현황Table 1 Self -leveling

재 품종Self-leveling 개 발 국 가 참 여 업 체 명( )

석고계미국 등(GYP-CRETE HACKER )독일 등(BAYER KNAUF GUILINY HENCKEL )

시멘트계 스웨덴 등 핀랜드(ABS ZEMENTA ) (PARTEK)

혼합계 독일 등 스웨덴 등(PCI HENCKEL ) (BEPA )

폴리머시멘트계 영국 등 독일 등 웨덴 등(ICI ) (PCI HENCKEL ) (ABS )

무수석고에 첨가되는 시멘트에 대한 수많은 연구 결과가 소개되고 있으나 두 물질

간의 물리화학적인 양론적 문제와 시멘트 화학조성 분말도 발연곡선 응결 수화

열 강도 팽창 수축 화학적저항성 등에 따라 상이하다

신기술 시공의 정밀성 신속성 간편성이 특징인 성 세라믹몰탈의 시공 self-leveling

방법은 현장에서 제품에 물만 부어 바닥에 뿌리면 자동적으로 수평 한 면이 형성되

므로 기존의 시멘트 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

성 내구성 경량성과 자동 수평이 되는 평활성 때문에 별도의 쇠흙손으로 마감이

필요 없다 또한 시멘트 몰탈에 비하여 들뜸 현상 및 갈라짐이 없고 가벼운 재질로

되어 있어 건축 구조물의 경량화가 기대된다

특히 기계화 시공으로 인건비 절감 및 작업장 환경 개선 공기 단축 등으로 경제적

이고 정밀한 시공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기존 방식보다 방열성이 높다는 것

은 열효율 면에서 매우 유리한 난방 방식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성 세라믹몰탈은 최근 건축물의 화를 위한 건축 재료로 많이Self-leveling intelligent

사용되고 있다 세라믹몰탈은 유동성이 우수하며 신속한 응결 경화과정으로 일 1

안에 보행이 가능함은 물론 표면에 기포 자국이나 수축 균열이 없어 백화점 오피스

텔 대규모 건축물의 바닥 미장은 물론 목재 위에 박막이나 후막으로 많이 사용됨

으로서 건설 인력 부족을 대체할 수 있는 신기능성 제품이다

- 16 -

성 세라믹몰탈재는 사용되는 특수 첨가제에 따라 시멘트계 석고계 혼Self-leveling

합계 특수시멘트 팽창억지제 석고보드 등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각기 특성에 따라

적용되는 분야가 상이함으로 첨가제 혼화제 가 개선되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고부( )

가가치 산업을 창출할 수 있다

개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 물질인10 SO2를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하여 아황산석고로 생산되면서 SO2는 제거된다

아황산석고를 반응기에서 반응시켜 부산석고를 얻는다 화력발전소의 부산물인 석

고와 시멘트 결합제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성 세라믹몰탈은 국내의 부 self-leveling

존자원이나 산업폐기물의 유효 이용 차원에서 건축재료로의 활용은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최근 큰 문제로 대두된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일석

이조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됨으로서 국가 경제 발전에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기술적 측면에서 보면 시멘트제품은 응결 경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

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

그러나 과학 및 산업기술들이 고도로 발전되어 감에 따라 건축물 마감공사도 미려

함을 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성 세라믹몰탈재가 건축물 마감공사의self-leveling

성력화를 가능케 한 신 기능성 건축재료의 총아라 할 수 있다

이수석고는 국내 화력발전소에서 배출되는 가장 심각한 공해물질인 SO2 가스를 흡

수액 중 CaCO3과 반응시켜 년간 만톤씩 부산되고 있는 무용한 물질이다 산업폐33

기물의 일종인 이수석고를 소성과정을 거쳐 소석고 로 만든다(calcined gypsum)

소석고에 신 기능성 특수 를 첨가하여 바닥 마감용 성 세라믹몰binder self-leveling

탈재를 생산함으로써

열효율 면에서는 시멘트 제품보다 축열성이 높으며-

미장면이 평활하므로 추가로 보수가 필요 없고-

시멘트보다 압축 및 인장강도 면에서 우수하다-

시중 시멘트제품은 균열에 있어서 완벽한 균열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보

수 후에는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보수 및 면 평활도가 외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 17 -

그러나 본 제품을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하므로 그 파

급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된다

경제적 측면에서 보면 국내 석고 소비량은 연간 만톤으로 선진국의 연간 소비600

율 에도 못 미치는 실정이다 또한 국내에는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10

실정으로 해외에서 톤당 만원 정도의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볼16

때 품질이 좋고 가격이 싼 발전용 배연 탈황 석고의 공급은 국내 관련 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국내 발전용 배연 탈황 석고의 공급이

서기 년도에 이르면 약 만톤으로 국내 석고 수요량 만톤의 약 정2000 110 600 18

도는 충당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진다

현재 아파트 및 오피스텔 공사 등이 전국적으로 그 물량이 대단히 많으나 모든 미

장 마감층에 균열이 생기고 평활도의 문제가 발생되고 있어 입주 전에 균열 보수

재료에 의해 보수를 실시하고 있으나 완전 보수가 불가능하여 입주 후 많은 세대수

에서 하자보수로 인한 손실이 매우 큰 실정이다 또한 바닥면이 수평을 이루지 못

하여 가구 등의 제품에 뒤틀림 등으로 생활에 불편함을 제공하고 있다

본 제품은 상기와 같은 모든 문제점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훨씬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건비 절감 공기 단축 국내의 산업폐기물의 유효이용 차원에서

건축재료로의 활용은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시멘트 건축재 생산업체들을 중심으로 아파트 온돌 부위와 목재 위에 박막

또는 후막으로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용도의 세라믹몰탈 등의 상품화는 년간 500

억원 규모의 사업화가 가능할 것이며 또한 특수 의 개발은 연간 약 억 binder 150

원의 시장 창출이 예측된다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 보면 현대 산업의 고도화 및 복잡화로 환경 오염을 초래하

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각종 환경매체에 대한 환경 오염이 극심해지

고 있는 실정이어서 환경 오염 방지 및 환경보존 개선을 위한 규제가 점점 강화되

고 있다 특히 대기오염 생태계 파괴 등 환경과 보건에 심각한 위해가 초래됨으로

써 규제도 본격화하게 되었다

- 18 -

이산화유황으로 오염된 화력발전소의 배기가스는 석회함수물 또는 석회액과의 화학

적 반응을 통해 탈황된다 이로 인해 산성비 에 대한 원인은 제거된다 이런 중요 ldquo rdquo

한 환경기술적 조치의 반응생산물인 부산석고를 건축 자재로 사용함으로서 대기 환

경보존을 할 수 있다는 차원에서 금액으로 환산할 수 없는 중대한 기여를 할 것이

다 또한 내장 박막 이하 후막 등을 미려하게 함은 mortar(50 ) (5 ) (1O-15 )

물론 수축 팽창 균열 등을 방지함으로 풍요로운 생활공간을 제공할 것이다

위와 같은 평가 기술은 국내 최고의 분석 평가 기관인 특성분석센터와 세라믹KIST

스 연구부 및 주 범우에서 이미 확보되어 있고 국제적으로도 상당한 경쟁력을 갖( )

추고 있다 매우 불활성인 무수석고를 약 시간만에 경화가 시작되도록 활성화하는 2

즉 정해진 특성들을 가진 건축자재를 생산하는 두 가지 방식이 있다 그중 한 방법

은 미세하게 분쇄한 후 풀어짐을 촉진하는 소량의 자극제 즉 분산제의 첨가이며

다른 한 방법은 몰탈 준비 때보다 강력한 혼합을 요구하는 무수석고의 생산이REA

절실히 필요하다

- 19 -

제 장 실 험2

제 절 배연탈황1

화력 발전소에서 부산물로 생성되는 이수석고의 주요 반응은 의 현탁액과limestone

연소가스를 역류 세정시키면서 일어난다 이것은 아래에 열거한 것과 같은 확산과

화학반응으로 구분되어 진행된다

기 액 경계면에 이르기까지의 을 통한- gas film SO① 2의 확산

SO② 2가 상태가 되는aqueous dissolution

상태의Aqueous SO③ 2가 되어hydration H2SO3로 되고 이것이 H+ 와 HSO3-로 존

재하게 됨

HSO④ 3-가 분리되어 SO3

-를 형성함

용역내의 CaCO⑤ 3는 상태로 되고 이것은 다시aqueous dissolution H+이온과 반응

하여 Ca2+ 와 HSO3-를 형성함

및 과정에서 생성된 Ca⑥ ④ ⑤ 2+와 SO32-그리고 물이 반응하여 CaSO3ㆍ12H2 가O

형성됨

CaSO⑦ 3ㆍ12H2 는 물과 물속에 녹아있는 산소와 결합하여O CaSO4 2Hㆍ 2 를 형O

성함

- 20 -

반응식Total

이와 같은 반응들의 반응속도를 비교하여 볼 때 의 단계는 비교적 빠 ③ ④ ⑥ ⑦

른 반응이 되고 제어단계는 크게 가스확산 액체 내에서의 SO2 확산 석회석의

등 단계로 압축시킬 수 있다 위의 메카니즘 가운데 이온들의 화학반응dissolution 3

을 로 규명하기도 한다 이것은 기 액 경계면을 중심으two-reaction-planes model -

로 액체쪽으로 개의 을 설정하고 각각의 다른 반응이 일어난다는 것2 reaction plan

이다

제 절 석고 소성2

전항에서 만들어진 이수석고에 함유된 부착수분과 결정수분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

기로와 열질량분석기 를(thermogravimetric analyzer TGA Perkin-Elmer TGS-2)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에서 보면 공기 중에서 일 방치한 이수석고 중 Fig 1 2 18

정도가 되면 대부분 휘발성 물질들이 날아가서 무게가 정도 감소되었60 5 wt

다 다시 정도가 될 때까지 결정 수분이 정도 감소되었고 190 18 wt 700

가 될 때까지 정도가 휘발되어 날아가 전체 무게 감소는 되고2 wt 25 wt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휘발되는 것이 없이 일정한 무게를 유지하였다 전기로에서

실험한 결과도 부착수분이 건조감량이 로 전체 무게 감소율121 wt 109 wt

은 이였다 이수석고를 세라믹용기 및 용기에 각각230 wt stainless steel 500

씩 분취하여g 150 (2 hrs) 200 (1~2 hrs) 350 (1 hr) 420 (1 hr)

로 유지한 전기로에서 각각 소성하였500 (1 hr) 650 (15 hr) 750 (1 hr)

다 소성 후 를 사용하여 소성 X-Ray Diffractometer (XRD Rigaku DMAX-2500)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CaSO4 2Hㆍ 2 를 대량 소성하기 위하여O

에stainless steel port CaSO4 2H2 씩을 넣고 를 아래와 같O 2 conveyor furnace

은 조건 을 유지하면서 대전 소재 쌍용중앙연구소에서 시간 연속 실험하(Fig 2) 24

였다

- 21 -

Fig 1 TGA thermal curve of gypsum

- 22 -

Fig 2 Flow diagram of gypsum sintering system

- 23 -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3

에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석고에 대하여 표면형상을 관찰하였다Self-leveling

조건으로 국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Hitachi S-4200) 150

산 석고등의 입자를 조사한 결과는 과 에서 보는 바와 같다 과Fig 3 Fig 4 Fig 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국산석고의 크기가 독일산 석고보다 크나 분쇄를 잘하Fig 4

면 공정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추정된다self-leveling

의 입자가 큰 국산석고를 에서 분 분쇄 후 사진 의 결Fig 3 mortar 20 SEM (Fig5)

과를 보면 독일산 석고와 아주 유사한 형태와 로 변하였다 그러므로 분쇄 공정size

만 잘 진행하면 국산 석고도 외국산 석고에 비해 제조에 손색없음을self-leveling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 무수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를 위하여 쌍용연구소의 연속분쇄기

를 사용하여 분쇄하였다 분쇄 조건은 압력(roller mill) roller 6 feeding RPM

시료 투입량 등으로 무수석고를 연속 분쇄하였40 separator RPM 880 6 hr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4

국내산 석고와 외국산 석고들에 대한 화학성분 분석을 위하여 Optical Emission

로 정성분석한 후Spectrometer(OES TJA Atomcomp 81) Atomic Absorption

Sepctrophotometer(AAS Perkin Elmer 5000) 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meter(ICPAES Perkin Elmer Elan 5000) Wet

분석방법 등으로 국산 석고와 외국산 석고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Analysis(WET)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 석고에 대하여도 위에서 분석한 CAS( )

것과 같이 등의 방법으로 성분분석을 하여 석고의 품질OES AAS ICPAES WET

및 특성등을 파악하였다

- 24 -

Fig3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 25 -

Fig4 SEM photograph of germany gypsum

- 26 -

Fig5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after grinding

- 27 -

제 절 특수 첨가재5

기존의 재 에self- leveling 300 g H2 을 혼합한 후 아래와 같은 여러 종류의O 89 g

첨가재를 첨가하면서 초결 종결 등의 경화 응결 및 플로값 등의 물리적인 성질을

측정하였다

또한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

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기존의 재 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O 89g CAS ( )

때의 물리적인 특성뿐 아니라 알미나 포틀랜드 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AI-PC)

때의 물리적인 특성도 비교하였다

가존의 재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 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위에서 측정한 경우와 서로 비교하AI-PC

여 보았다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6

재 제조시 적절한 응결을 위하여 급결제을 사용하는데 통상 물유리를Self -leveling

많이 사용함을 본 연구에서 알았다 급결제의 성분 분석을 위하여 wet analysis

등을 사용하였으며 구조분석을 위하여는 와 을 사용하였OES AAS ICPAES XRD IR

다 법으로는 석고중에 함유되어 있는 물의 함량을 분석하는데 사용하 Karl fischer

였다

- 28 -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7

바닥 충격음 및 소음에 대한 시험은 여주군에 위치한 방재시험연구소에 의뢰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편을 제작하여 측정하였다 바닥 충격음 방지재 (save gum pad

를 사용한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 에 시험재료로 한양 시멘트 제품인6 t) (246 )

레미탈 을 사용하여 몰탈 바닥 넓이 로 작업한 후900 28 m times 42 m times 30

일 간 야외에서 양생하여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참조30 (Fig 6 )

바닥충격음시험은 건축물현장에 있어서의 바닥충격음측정방법 을KSF 2810 ( 1981)

적용하여 음원실 충격음발생실 과 수음실 충격음측정실 로 구성된 잔향실 사이 바( ) ( )

닥개구부에 시험체를 설치한 후 시험체위에서 충격음 경량 태핑 머신 및 중량충 (

격음 타이어 을 발생시켜 주파수범위의 대역별 바닥충격음 ) 63-4000 13 Octave

레벨 회를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하였다25

제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최근 건설 현장에 불기 시작한 주거환경의 쾌적화와 원적외선 방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도 원적외선 방사에 대한 시험을 시행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과 한국원적외선협회에 세라믹몰탈 옥석 맥반석

게르마늄석을 의뢰하여 방사율을 단파장인 영역인 에서 까지 측정하였다3 20

- 29 -

Fig 6 Present floor of impact sound insulation

- 3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1

화력발전소에서 부산물로 생성된 이수석고를 대전소재 쌍용 중앙연구소에서 rotary

을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소성된 석고를kiln X - Ray Diffractometer (XRD Rigaku

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수석고는DMAX-2500) Fig 7

에서는150~200 CaSO 4 2Hㆍ 2 가O CaSO4 12Hㆍ 2 로 변하고 에서O 350 CaSO 4

의 피크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그후 온도를 올림에 따라 무수석고의 결정성이 좋

아짐을 알 수 있었다 참조(Fig 7 )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2

으로 확인한 결과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국산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ig 3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로 단단한 모양으로 균일하게70

구성되어 있는 반면 의 독일산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 Fig 4 70

의 크기가 소수 분포와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분포175

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체로 한 결 -200 mesh sieving

과를 보면 정도의 가 큰 덩어리가 남아 있었다10 size

가 큰 덩어리를 로 확인한 결과 석고로 판명되었다 에서 보면 독일Size XRD Fig 8

산 최초 석고인 BW CaSO4 과 후의 의(GER)-3 sieving XRD pattern BW

CaSO4 와 동일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들은 결과와 결과로(G+200M)-4 XRD TGA

보면 모두 CaSO4로 판명되었다

에서 분쇄된 무수석고의 입자분포도를 보기 위하여Roller mill particle size

로 측정범위 측정 분산매analyzer 01-180 lens focal depth 100 methyl

를 사용하여 초음파 분산 방법으로 입도 분포도를 얻어 에 실었다alcohol Fig 9

- 31 -

Fig7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each gypsum in sintering condition

- 32 -

Fig8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gypsum after sieving

- 33 -

Fig 9 Particle distribution chart of gypsum

- 34 -

에서의 입자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이하의 분포도가 전체의 를Fig 9 5 87

차지하고 있는 반면 마이크론미터 이상이 전체의 밖에 차지하고 있음을 알10 3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보면 외국산 석고에 비해 공정에서는 보다 나 self - leveling

은 작업성과 물성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3

분석방법 등으로 분석한 결과 에서 보OES AAS ICPAES Wet Analysis Table 2

는 바와 같이 독일산석고와 국산석고의 분석결과가 화학성분에서는 아주 유사하다

그러나 독일산 석고에 규사만이 함유되어 있는 것에 비해 국산 석고에는16 wt

규사가 로 작게 함유되어 있었다 이는 원재료의 광산에 함유된 규사에096 wt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석고에 대한 분석 결과를 CAS( ) Table 3

에 실었다 에서 보면 라파석고에 인이 포함되어 있는 반면 인 Table 3 00072 wt

산무수 석고에는 로 많이 포함되어 있어 제조시 인산무0024 wt self- leveling

수 석고를 사용한 결과가 나쁘게 나타났다고 추정되며 지지용 철근의self-leveling

부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이므로 인산석고의 사용을 피함이 좋을 것이다

인산무수 석고는 자체에서 산성 성분을 용출함으로서 콘크리트 중에 함유된 알칼리

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을 혼입시키어 철근을 활성화

상태로 만들고 이로 인해 부식하기 쉽게 된다

- 35 -

Table 2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 36 -

Table 3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and Binder

- 37 -

제 절 특수 첨가재4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의 양을 변화시O 89 g -α

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4

Table 4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a -gypsum

에서 보면 석고의 함량을 증가할수록 초결시간은 빨라지지만 수분증발시Table 4 -α

간이 느리고 기존레벨라보다 종결시간이 느린 것을 보아 석고만을 첨가한다는-α

것은 의미가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화시키

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5

Table 5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LiCO3

- 38 -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기존레벨라에는 이미Table 5 LiCO3이 인 이 포014 042g

함되어 있어 순으로 첨가하였으나 첨가 양에 따른 초결상태의 변화0 15 30 g

는 없었으나 종결상태는 조금씩 첨가 양이 많아지면서 조금씩 지연되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O 89 g CAS ( )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과 같다Table 6

Table 6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CAS

에서 보면 를 씩 증가하면서 첨가함에 따라 초결상태와Table 6 CAS 0 10 20 g

종결상태가 보다 급격히 빨라짐을 알 수 있었다 즉 경화 속도에 의Table 4 5 CAS

함유량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에서 사용한 첨가제를 모두 혼합하여 기존의 재Table 4 5 6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비교해보면O 89 g Table

과 같다7

- 39 -

Table 7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and CAS

에서 보는 것처럼 기존의 재Table 7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O 89 g

라에 석고와- LiCOα 3 만을 혼합하였을 때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의 양을 CAS

증가시키면서 함께 첨가할 수록 경화시간은 단축되었다

에 알미나 포틀랜드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Table 7 (AI-PC)

비교해보면 과 같다Table 8

기존의 재self-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보면 에서 보는 것처럼AI-PC Table 8

함량이 높을수록 경화시간은 너무 단축되어 그만큼 작업하는 시간이 촉박하AI-PC

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모든 결과를 종합해보면 응결시간은 온도와 습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실험할 때마다

기존레벨라를 비교하여 시험했다 가 가장 경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만 입자 CAS

가 뭉쳐 있어 혼합이 잘되지 않았다 그 결과 건조시 표면이 분화구처럼 돌출된 부

분이 많이 생겨났다

- 40 -

Table 8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CAS and Al-PC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5

급결제에 대한 성분 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는 와 같다 중탕Table 9

에서 증발시킨 후 의 잔유물에 대한 분석 결과(100 ) 50 wt Si 438 wt Na

로 나타났다 결정성과 구조분석을 위하여 로 확인한102 wt K 177 wt XRD

결과는 무결정 으로 피크가 나타나지 안했다 법으로 물을(amorphous) Karl fischer

분석시에도 가 잘 나타나지 안해 분석을 할 수 없었다 화학적 결합상태end-point

를 알아보기위해 을 이용하여 해석해본 결과IR Na2SiO3 H2 와O 50 wt 50 wt

의 H2 가 공존함을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O Na2SiO3 H2 와 의O 50 wt 50 wt

H2 를 함께 사용하기로 결정하였고 건설 현장에 시공 또는 제품 생산에 위와 같O

은 혼합비율을 적용하였다

- 41 -

Table 9 Chemical Composition of RCM300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6

측정된 충격음레벨은 ISO 140 Part 6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을 준용하여 수음실 기준 흡음력 에 대한sound insulation of Floors 1978) (10 )

보정 값으로 환산하였다(Table 10)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나타내는 수음실의 바닥충격음레벨 (Ln 은 다음 식 으로) (1)

구하였다

여기서

Ln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흡음력보정 바닥충격음레벨 j ( )

충격음위치 지점수m

상기 식 의 각 충격음 위치마다의 바닥충격음레벨의 평균값(1) (Lj 은 다음식 에) (2)

따라 산출하였다

- 42 -

Table 10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sound insulation of floor

- 43 -

여기서

Lj 수음실내 측정점 에서의 바닥충격음레벨 i ( )

측정점의 수n

또한 상기 바닥충격음레벨 평균값 (Lj 은 수음실의 흡음력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

므로 를 준용 이를 기준흡음력 에 대한 값ISO 140 Part6 (978) (10 ) (L nj 으로)

환산하였으며 그 산출식은 식 과 같다 (3)

여기서

L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평균 바닥충격음레벨 j ( )

AO 기준흡음력 (10 )

수음실 측정실 용적V ( ) ( )

수음실 측정실 잔향시간 초T ( ) ( )

에서 보면 기준판과 시험체의 경량충격음은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Table 10

충격음이 증가하다가 완만한 곡선을 나타내는 반면 중량충격음의 결과를 보면 주파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충격음이 계속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경량 충격음은 음원이 태핑머신인 관계로 주파수 변화에 따른

파장의 작고 큼에 별 영향을 주지 않지만 중량 충격음은 음원이 타이어임으로 고주

파대로 갈수록 파장이 작아서 투과 여건이 적은 관계에 기인함을 알 수 있다 본

바닥충격음과 소음에 대한 실험 결과 기존 시멘트몰탈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

믹몰탈간에 바닥충격음과 소음의 차이는 크게 나지 않음으로 무시할 정도임을 알았

- 44 -

제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7

아래 은 바닥재 시공에 대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과 재래식 시Table 11

멘트몰탈과의 특징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연구연에서 분석한 세라믹구들의 분석 결과를 에Table 12

실었다 현 시험법에 따라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 등의 물성을 공인된 한국건자 KS

재연구원에 의뢰한 결과 압축강도면에서 이 넘는 결과가 나왔으며 다른400 f

물성 또한 기준 물성값을 초과하는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에서 보는 것과 Table 12

같이 길이변화율은 일 경과 후 로서 거의 변화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28 -0046

며 이를 미루어 보아 시멘트몰탈의 수축 팽창에 기인되는 균열 원인을 해결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45 -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 구들의 비교Table 11

구분 단위 재래식 시멘트몰탈 본 제품 세라믹구들( )

시공후상태

몰탈층

바탕면의 균열 발생-바탕면의 평활 수평 이 없다- (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없다-공정 회 이 복잡하다- (3-4 )많은면적을 시공할 수 없다-양생시간이 길다 일- (3-7 )하자 보수비가 필요하다-시멘트 독성에 따른 인체에-해로움

바탕면의 균열이 없다- 바탕면의 평활 수평 성이 양호- ( )일정한 두께유지-공정이 단순 회공정 하다- (1 )많은 면적을 시공할 수 있다-양생시간이 짧다 일- (1 )하자보수비가 필요없다-건강보조기능-항균성 무독성 원적외선( )마감재 시공이 용이하다-에너지절감 효과가 크다-열전도율 및 축열기능이 좋다-차음 방음 효과가 우수하다- ( )건축물의 경량화-

세라믹 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시험 검사 방법 ( ) KS L 5105-97 KS L 5104-96 KS L 5207-rsquo99 KS F2424-rsquo95 KS L 1592 rsquo95시험원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시험일자 2000 OS 09 ~ 09 15

- 46 -

제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석회 광물은 마그네시아 광물과 함께 중요한 조암광물로서 천연에서는 산화물(CaO)

로는 존재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탄산염 황산염 또는 규산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석회질 원료로는 석회석 돌로마이트 형석 석고 규회석 등이었으며 이중 석회석

(CaCO3 과 석고)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만을 에 나타내었다 원적) Fig 10 11

외선 발열체와 세라믹 발열체가 있다 원석 발열체로는 맥반석 게르마늄석 옥석

황토 등이 있다 원적외선의 온열효과는 피부표면에 복사된 원적외선은 인체 중 물

의 진동 파장과 거의 비슷하며 공진 작용으로 일반열이 도달할 수 없는 부위( )共振

까지 도달하게 한다 이러한 심달력은 피하층의 온도상승 미세혈관의 확장 혈액순

환 촉진 선진대사강화 혈류 장해 해소 조직의 재생능력 증가 결련예방 및 암치

료 효과 등의 의학적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혈행이 좋아짐으로서

정상체온 유지 스트레스 해소 소화촉진 근육통 해소 피부 색깔 정상화 꺼칠한

눈이 부드러워지고 감기 예방효과 조직 내에 쌓여 있던 노폐물의 분비도 촉진된

다 또한 세포에 필요로 하는 영양소와 산소를 정상적으로 공급받게 되어 세포와

조직이 활력을 되찾게 되고 적당한 원적외선 활용은 세포의 노화를 막아주는 효과

를 볼 수 있다 원적외선 부작용 없는 건강유지와 질병의 예방치료적 기 (氣

라고 할 수 있다energy)

석회석은 시멘트의 주원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전방사율은 약 정도를085

보이고 있으나 이후와 단파장 영역쪽에 불안정한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보이20

고 있다 이는 공기 중의 습기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그 조성이 일부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시멘트를 측정하여 비교Fig 10 11

한 결과에서는 다소 석회석 자체원료를 측정한 것이 방사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CaSO4 는 외국에서 천연으로 산출된 것과 본 연구에서 제조한 배연 탈황석고)

모두 원적외선 방사특성에 있어서는 석회석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특히

부근에서의 약간의 골이 생겨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87

- 47 -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48 -

석고Fig 11 (CaSO4 의 원작외선 방사특성)

- 49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의 방사율은 에 실었다 현재 원적외선이 다Fig 12

량 방사되는 게르바늄석 참조 옥석 참조 맥반석 참조(Fig 13 ) (Fig 14 ) (Fig 15 )

등에 비해서 같은 수준의 방사에너지 및 방사율이 발현됨을 공인된 시험기간에 의

해서 입증되었다 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를 Fig16 3~20

파장 영역에서 방사특성을 나타내었다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는 이상흑체에

서 방사되는 특성과 같은 모양을 방출하고 있습을 알았다 따라서 세라믹구들은 건

강친화적인 면만 아니라 여러 가지 가능을 가진 차세대 온돌용 세라믹구들이라고

할 수 있다

제 절 현장 시공9

본 세라믹구들의 최적화 조건 조성 및 현장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차로 경기도 광1

주 소재 동심주택 제 차 그린타운 세대를 시험 시공한 바 있으며 위 결과를 토9 19

대로 최적화된 조건에 따라 안양 재건축현장 및 기홍 목조주택 등에 실용화 시공하

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Fig 17

필름 한 장을 깔고 그 위에 외경의 폴리에틸렌 엑셀파이프를 배관한 후 세라15

믹 구들로 타설한 후 수평을 잡으면서 두께를 로 일정하게 하였다40

시멘트 제품은 응결 경화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균열이 발생되

면 더 커지면서 계속 퍼져나가는 경향을 나타낸다 여러 종류의 균열 보수기법이

현재 마련되어 있으나 완벽한 균열 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 보수 후에도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 보수로 인해 외관의 불량 균열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로 시공한 결과는 상기와 같

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할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연구에 의해 일반 콘크리트에도 적

용할 경우 그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균열을 방지함으로서 방

수 강도저하 철근부식 등 내구성저하를 막으므로 고품질의 구조물 공사가 될 것으

로 예상된다

- 50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 51 -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 52 -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 53 -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3 -

요 약 문

제 목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에 관한 Ⅰ

연구

기술개발목적 및 중요성Ⅱ

화력발전소에서 배출되는 공해 물질인 SO2로부터 이수석고를 얻는다 이수석고를

도 소성로에서 시간 소성하여 무수석고를 얻는다 화력발전소의 부산물인 석고700 2

와 시멘트 결합제 방사에너지 발열체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성 세라믹 self-leveling

몰탈은 국내의 부존자원이나 산업폐기물의 유효 이용 차원에서 건축재료로의 활용

은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최근 큰 문제로 대두된 환경 개선에 기술개발의

목적을 둔다

신기술 시공의 정밀성 신속성 간편성이 특징인 성 세라믹 몰탈의 시 self- leveling

공 방법은 현장에서 제품에 물만 부어 바닥에 뿌리면 자동적으로 수평한 면이 형성

되므로 기존의 시멘트 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

성 내구성 경량성과 자동 수평이 되는 평활성 때문에 별도의 쇠흙손으로 마감 작

업이 필요 없다 또한 시멘트 몰탈에 비하여 들뜸 현상 및 갈라짐이 없고 가벼운

재질로 되어 있어 건축 구조물의 경량화가 기대 됨과 기존 방식보다 방열성이 높다

는 것은 열효율 면에서 매우 유리한 난방 방식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성 세라믹몰탈은 최근 건축물의 화를 위한 건축 재료로 많이Self-leveling intelligent

사용되고 있다 세라믹몰탈은 유동성이 우수하며 신속한 응결 경화 과정으로 일 1

안에 보행이 가능함은 물론 표면에 기포 자국이나 수축 균열이 없어 백화점 오피

스텔 대규모 건축물의 바닥 미장은 물론 목재 위에 박막이나 후막으로 많이 사용

됨으로서 건설 인력 부족을 대체할 수 있는 신 기능성 제품이다

- 4 -

성 세라믹몰탈재는 사용되는 특수 첨가제에 따라 시멘트계 석고계 혼Self-leveling

합계 특수시멘트 팽창억지제 석고보드 등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각기 특성에 따라

적용되는 분야가 상이함으로 첨가제 혼화제 가 개선되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고부( )

가가치 산업을 창출할 수 있다 석고를 첨가한 시멘트 몰탈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었다

기술개발내용 및 범위Ⅲ

차년도1

산업 폐기물인 이수석고를 무수석고로 만든후 개발된 특수첨가제를 혼합하여 열전

달이나 효율면에서 기존방식보다 향상된 온돌 및 바닥마감용 성 세라self-leveling

믹몰탈 개발

차년도2

차년도에서 개발된 특수첨가제 등을 혼합한 무수석고 세라믹몰탈 시제품에 대한1

문제점 분석 운전 조건 확립 구성 성분 특성평가 성능평가 내구성 향상 석고계

몰탈 개발 부식현상파악 및 현장 시공

기술개발결과 및 활용에 대한 건의Ⅳ

논문 및 특허게재

- A comparative study of thermal efficiency between the present floor and a

ceramic floor Anal Sci Tech 12(2) 166(1999)

- 5 -

- A study on the rebar corrosion in ceramic mortar

게재중Anal Sci Tech 14(1)

특허 출원 건- (2 )

명칭 화력발전소의 부산물을 이용한 유동성 세라믹몰탈 제조방법 및 유동성 세1

라믹몰탈

출원번호 10-1999-0012345

출원인 주식회사 범우

출원일자 19990408

명칭 온돌구조 및 온돌시공 방법2

출원번호 10-2000-0016064

출원인 주식회사 범우

출원일자 20000329

학회 발표 및 제품 설명회 회- 2

폐기물의 유효 적절한 이용으로 고부가가치화와 대기 환경문제 해결에도 많은 기-

표면의 건조시 수축을 극소화함으로서 균열 방지제 개발-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타설 후 시간 내 보행 가능한 바닥제로 활용- 24

기대효과Ⅴ

산업폐기물인 이수석고를 이용한 몰탈 개발로 환경보존 예산절감과 화력발전소의-

부산물을 이용함에 따른 원가절감 등 경제적 파급효과는 상당히 크다

성 세라믹몰탈재를 바닥에 뿌리기만 하면 되므로 업종인 건설현- Self-leveling 3D

장의 막대한 인건비 절약 효과

무수석고의 품질개선평가-

성 세라믹몰탈 개발에 대한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 Self-leveling

- 6 -

건조 수축율 극소화 이하- 004

압축강도 일 기 준 이상 증가- 400 (28 )

휨강도 일 기준 이상 증가- 64 (28 )

자동수평정도 크랙방지제 및 부식방지제 개발- (210 flow)

타설 후 시간 내 보행 가능한 제품 개발- 24

공기단축 및 뛰어난 단열효과-

주택 아파트 온돌에 자동 수평 세라믹몰탈로 적용-

마루 위 온돌시공 철근 구조물 복도나 내부바닥 등 단열 방음과 완전한 레벨효-

- 7 -

목 차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연구Ⅰ

제 장 서 론1

제 장 실 험2

제 절 배연탈황1

제 절 석고소성2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3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4

제 절 특수 첨가재5

세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6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7

제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1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2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3

제 절 특수 첨가재4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5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6

제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7

제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 8 -

제 절 현장 시공9

제 장 결 론4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제 장 실 험2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제 장 결 론4

- 9 -

표 목 차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연구Ⅰ

구미 유럽지역의 재 개발 현황Table 1 Self-leveling

Table 2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Table 3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and binder

Table 4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α

Table 5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LiCO3

Table 6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CAS

Table 7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and CAS

Table 8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a -gypsum LiCO3 CAS

and AI-PC

Table 9 Chemical composition of RCM300

Table 10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sound insulation of floor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구들의 비교Table 11

세라믹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 10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Table 1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V vs CuCUSO4)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 11 -

그 림 목 차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연구Ⅰ

Fig 1 TGA thermal curve of gypsum

Fig 2 Flow diagram of gypsum sintering system

Fig 3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Fig 4 SEM photograph of germany gypsum

Fig 5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after grinding

Fig 6 Present floor of impact sound insulation

Fig 7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each gypsum in sintering condition

Fig 8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gypsum after sieving

Fig 9 Particle distribution chart of gypsum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석고Fig 11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12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l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13 -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Ⅰ

제 장 서 론1

국내에서는 성 세라믹몰탈재를 고급타일 마감재의 수평조정용으로 사self-leveling

용함에 따라 실제적인 의 의미보다는 에 가깝게 적용하여 self-leveling smoothing

대개 시공두께 의 박막으로 시공하기 때문에 일본의 경우 대부분 이3~5 10

상의 후막형 제품들로는 적용이 불가능한 점을 들 수 있다 년 중반에서 수입사 lsquo80

를 통해서 수입하여 건축물에 적용해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년 초까지는 고가 lsquo90

의 재료비로 널리 사용되지는 못하고 대형백화점을 중심으로 시장 확대가 시도되었

으나 국내에서도 시멘트 업계나 건재 생산업체를 중심으로 시멘트계 self-leveling

재의 개발에 착수하기 시작하여 년부터 개 업체에서 판매를 개시함mortar lsquo93 2~3

으로써 시장이 활성화되기 시작하였다

최근에는 대형공장 주차장바닥에 적용할 수 있는 재를 실용화 self-leveling mortar

하여 현재 보급 중에 있으며 석고계 재는 대리점을 통해 수입 self-leveling mortar

품이 고급빌라의 방통 몰탈 대체용으로 각광받고 있어 국내도 다양한 self-leveling

재 제품이 소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및mortar

대형건물 주차장 바닥 몰탈로 성 세라믹몰탈을 사용한 실적은 없다 self-leveling

국외의 경우를 보면 일본에서의 재의 연구는 년에 일본주택self-leveling mortar lsquo73

공단에서 건축물의 요철면을 화하기 위한 바닥공법의 합리화라는 목적으로高精度

석고계 시멘트계 재의 기초연구가 시작되었으나 당시에는 경 self-leveling mortar

제성 때문에 실용화되지는 못하였다 이후 년대 초에서 중반까지는 lsquo70 SO3의 공해

규제에 의한 탈황석고의 효율적인 이용의 관점에서 석고계 self-leveling排煙

재의 실용화 연구에 박차를 가하게 되어 년 시험 시공에 성공하여 년mortar lsquo76 lsquo77

도부터 전국적으로 시판을 개시하기에 이르렀다

- 14 -

년에 최초로 시멘트계 재를 개발 시판하면서 일본내에서 석lsquo82 self-leveling mortar

고계와 시멘트계 재가 함께 사용되기 시작하였다self-leveling mortar

석고계 및 시멘트계 재에는 서로의 장 단점이 있기 때문에 나self-leveling mortar ㆍ

름대로의 판매영역을 구축해 나갔지만 년에 스웨덴의 사로부터 석고계 및 lsquo85 BEPA

시 멘트계의 장 단점을 보완한 무기질계 재 세라믹계 또는 혼self-leveling mortar (ㆍ

합형 재로도 칭함 를 기술도입 함으로써 이후에 일본에서는self-leveling mortar ) 3

종의 재가 시판되기 시작하여 오늘에 이르렀다self-leveling mortar

유럽에서는 오래 전부터 재를 바닥에 사용해 온 것으로 알려져self-leveling mortar

있으며 실제로 다양한 형태의 재가 시판되고 있다 참 self-leveling mortar (Table 1

조 재의 결합재별로 전술한 석고계 시멘트계 혼합계 외에도) Self-leveling mortar

폴리머를 이용한 폴리머시멘트계 또한 시공 두께별로 후막형 및 박막형 등 시공

조건이나 환경에 따라 적용 가능한 여러 제품들이 시판 되고 있다

성 세라믹 구들재에 요구되는 성능은 작업 종료시까지 유동성 확보문Self-leveling

제 응결 경화과정의 요구성능 내구성 측면 등에 좌우된다 유동성과의 균형을 확

보하지 않으면 골재 침강으로 인한 표면 이 심하게 발생되어 표면정도나bleeding

최종 마감재와의 부착 성능을 급격하게 저하시키거나 유동성이 저하되어 세라믹몰

탈재 마감공사가 용이하지 못하기 때문에 세라믹몰탈재 슬러지의 성상과 사용장비

와의 적합성은 공사의 승패를 좌우하는 주요 요인이 된다

- 15 -

구미 유럽지역의 재 개발 현황Table 1 Self -leveling

재 품종Self-leveling 개 발 국 가 참 여 업 체 명( )

석고계미국 등(GYP-CRETE HACKER )독일 등(BAYER KNAUF GUILINY HENCKEL )

시멘트계 스웨덴 등 핀랜드(ABS ZEMENTA ) (PARTEK)

혼합계 독일 등 스웨덴 등(PCI HENCKEL ) (BEPA )

폴리머시멘트계 영국 등 독일 등 웨덴 등(ICI ) (PCI HENCKEL ) (ABS )

무수석고에 첨가되는 시멘트에 대한 수많은 연구 결과가 소개되고 있으나 두 물질

간의 물리화학적인 양론적 문제와 시멘트 화학조성 분말도 발연곡선 응결 수화

열 강도 팽창 수축 화학적저항성 등에 따라 상이하다

신기술 시공의 정밀성 신속성 간편성이 특징인 성 세라믹몰탈의 시공 self-leveling

방법은 현장에서 제품에 물만 부어 바닥에 뿌리면 자동적으로 수평 한 면이 형성되

므로 기존의 시멘트 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

성 내구성 경량성과 자동 수평이 되는 평활성 때문에 별도의 쇠흙손으로 마감이

필요 없다 또한 시멘트 몰탈에 비하여 들뜸 현상 및 갈라짐이 없고 가벼운 재질로

되어 있어 건축 구조물의 경량화가 기대된다

특히 기계화 시공으로 인건비 절감 및 작업장 환경 개선 공기 단축 등으로 경제적

이고 정밀한 시공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기존 방식보다 방열성이 높다는 것

은 열효율 면에서 매우 유리한 난방 방식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성 세라믹몰탈은 최근 건축물의 화를 위한 건축 재료로 많이Self-leveling intelligent

사용되고 있다 세라믹몰탈은 유동성이 우수하며 신속한 응결 경화과정으로 일 1

안에 보행이 가능함은 물론 표면에 기포 자국이나 수축 균열이 없어 백화점 오피스

텔 대규모 건축물의 바닥 미장은 물론 목재 위에 박막이나 후막으로 많이 사용됨

으로서 건설 인력 부족을 대체할 수 있는 신기능성 제품이다

- 16 -

성 세라믹몰탈재는 사용되는 특수 첨가제에 따라 시멘트계 석고계 혼Self-leveling

합계 특수시멘트 팽창억지제 석고보드 등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각기 특성에 따라

적용되는 분야가 상이함으로 첨가제 혼화제 가 개선되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고부( )

가가치 산업을 창출할 수 있다

개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 물질인10 SO2를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하여 아황산석고로 생산되면서 SO2는 제거된다

아황산석고를 반응기에서 반응시켜 부산석고를 얻는다 화력발전소의 부산물인 석

고와 시멘트 결합제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성 세라믹몰탈은 국내의 부 self-leveling

존자원이나 산업폐기물의 유효 이용 차원에서 건축재료로의 활용은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최근 큰 문제로 대두된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일석

이조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됨으로서 국가 경제 발전에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기술적 측면에서 보면 시멘트제품은 응결 경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

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

그러나 과학 및 산업기술들이 고도로 발전되어 감에 따라 건축물 마감공사도 미려

함을 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성 세라믹몰탈재가 건축물 마감공사의self-leveling

성력화를 가능케 한 신 기능성 건축재료의 총아라 할 수 있다

이수석고는 국내 화력발전소에서 배출되는 가장 심각한 공해물질인 SO2 가스를 흡

수액 중 CaCO3과 반응시켜 년간 만톤씩 부산되고 있는 무용한 물질이다 산업폐33

기물의 일종인 이수석고를 소성과정을 거쳐 소석고 로 만든다(calcined gypsum)

소석고에 신 기능성 특수 를 첨가하여 바닥 마감용 성 세라믹몰binder self-leveling

탈재를 생산함으로써

열효율 면에서는 시멘트 제품보다 축열성이 높으며-

미장면이 평활하므로 추가로 보수가 필요 없고-

시멘트보다 압축 및 인장강도 면에서 우수하다-

시중 시멘트제품은 균열에 있어서 완벽한 균열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보

수 후에는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보수 및 면 평활도가 외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 17 -

그러나 본 제품을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하므로 그 파

급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된다

경제적 측면에서 보면 국내 석고 소비량은 연간 만톤으로 선진국의 연간 소비600

율 에도 못 미치는 실정이다 또한 국내에는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10

실정으로 해외에서 톤당 만원 정도의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볼16

때 품질이 좋고 가격이 싼 발전용 배연 탈황 석고의 공급은 국내 관련 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국내 발전용 배연 탈황 석고의 공급이

서기 년도에 이르면 약 만톤으로 국내 석고 수요량 만톤의 약 정2000 110 600 18

도는 충당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진다

현재 아파트 및 오피스텔 공사 등이 전국적으로 그 물량이 대단히 많으나 모든 미

장 마감층에 균열이 생기고 평활도의 문제가 발생되고 있어 입주 전에 균열 보수

재료에 의해 보수를 실시하고 있으나 완전 보수가 불가능하여 입주 후 많은 세대수

에서 하자보수로 인한 손실이 매우 큰 실정이다 또한 바닥면이 수평을 이루지 못

하여 가구 등의 제품에 뒤틀림 등으로 생활에 불편함을 제공하고 있다

본 제품은 상기와 같은 모든 문제점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훨씬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건비 절감 공기 단축 국내의 산업폐기물의 유효이용 차원에서

건축재료로의 활용은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시멘트 건축재 생산업체들을 중심으로 아파트 온돌 부위와 목재 위에 박막

또는 후막으로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용도의 세라믹몰탈 등의 상품화는 년간 500

억원 규모의 사업화가 가능할 것이며 또한 특수 의 개발은 연간 약 억 binder 150

원의 시장 창출이 예측된다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 보면 현대 산업의 고도화 및 복잡화로 환경 오염을 초래하

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각종 환경매체에 대한 환경 오염이 극심해지

고 있는 실정이어서 환경 오염 방지 및 환경보존 개선을 위한 규제가 점점 강화되

고 있다 특히 대기오염 생태계 파괴 등 환경과 보건에 심각한 위해가 초래됨으로

써 규제도 본격화하게 되었다

- 18 -

이산화유황으로 오염된 화력발전소의 배기가스는 석회함수물 또는 석회액과의 화학

적 반응을 통해 탈황된다 이로 인해 산성비 에 대한 원인은 제거된다 이런 중요 ldquo rdquo

한 환경기술적 조치의 반응생산물인 부산석고를 건축 자재로 사용함으로서 대기 환

경보존을 할 수 있다는 차원에서 금액으로 환산할 수 없는 중대한 기여를 할 것이

다 또한 내장 박막 이하 후막 등을 미려하게 함은 mortar(50 ) (5 ) (1O-15 )

물론 수축 팽창 균열 등을 방지함으로 풍요로운 생활공간을 제공할 것이다

위와 같은 평가 기술은 국내 최고의 분석 평가 기관인 특성분석센터와 세라믹KIST

스 연구부 및 주 범우에서 이미 확보되어 있고 국제적으로도 상당한 경쟁력을 갖( )

추고 있다 매우 불활성인 무수석고를 약 시간만에 경화가 시작되도록 활성화하는 2

즉 정해진 특성들을 가진 건축자재를 생산하는 두 가지 방식이 있다 그중 한 방법

은 미세하게 분쇄한 후 풀어짐을 촉진하는 소량의 자극제 즉 분산제의 첨가이며

다른 한 방법은 몰탈 준비 때보다 강력한 혼합을 요구하는 무수석고의 생산이REA

절실히 필요하다

- 19 -

제 장 실 험2

제 절 배연탈황1

화력 발전소에서 부산물로 생성되는 이수석고의 주요 반응은 의 현탁액과limestone

연소가스를 역류 세정시키면서 일어난다 이것은 아래에 열거한 것과 같은 확산과

화학반응으로 구분되어 진행된다

기 액 경계면에 이르기까지의 을 통한- gas film SO① 2의 확산

SO② 2가 상태가 되는aqueous dissolution

상태의Aqueous SO③ 2가 되어hydration H2SO3로 되고 이것이 H+ 와 HSO3-로 존

재하게 됨

HSO④ 3-가 분리되어 SO3

-를 형성함

용역내의 CaCO⑤ 3는 상태로 되고 이것은 다시aqueous dissolution H+이온과 반응

하여 Ca2+ 와 HSO3-를 형성함

및 과정에서 생성된 Ca⑥ ④ ⑤ 2+와 SO32-그리고 물이 반응하여 CaSO3ㆍ12H2 가O

형성됨

CaSO⑦ 3ㆍ12H2 는 물과 물속에 녹아있는 산소와 결합하여O CaSO4 2Hㆍ 2 를 형O

성함

- 20 -

반응식Total

이와 같은 반응들의 반응속도를 비교하여 볼 때 의 단계는 비교적 빠 ③ ④ ⑥ ⑦

른 반응이 되고 제어단계는 크게 가스확산 액체 내에서의 SO2 확산 석회석의

등 단계로 압축시킬 수 있다 위의 메카니즘 가운데 이온들의 화학반응dissolution 3

을 로 규명하기도 한다 이것은 기 액 경계면을 중심으two-reaction-planes model -

로 액체쪽으로 개의 을 설정하고 각각의 다른 반응이 일어난다는 것2 reaction plan

이다

제 절 석고 소성2

전항에서 만들어진 이수석고에 함유된 부착수분과 결정수분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

기로와 열질량분석기 를(thermogravimetric analyzer TGA Perkin-Elmer TGS-2)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에서 보면 공기 중에서 일 방치한 이수석고 중 Fig 1 2 18

정도가 되면 대부분 휘발성 물질들이 날아가서 무게가 정도 감소되었60 5 wt

다 다시 정도가 될 때까지 결정 수분이 정도 감소되었고 190 18 wt 700

가 될 때까지 정도가 휘발되어 날아가 전체 무게 감소는 되고2 wt 25 wt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휘발되는 것이 없이 일정한 무게를 유지하였다 전기로에서

실험한 결과도 부착수분이 건조감량이 로 전체 무게 감소율121 wt 109 wt

은 이였다 이수석고를 세라믹용기 및 용기에 각각230 wt stainless steel 500

씩 분취하여g 150 (2 hrs) 200 (1~2 hrs) 350 (1 hr) 420 (1 hr)

로 유지한 전기로에서 각각 소성하였500 (1 hr) 650 (15 hr) 750 (1 hr)

다 소성 후 를 사용하여 소성 X-Ray Diffractometer (XRD Rigaku DMAX-2500)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CaSO4 2Hㆍ 2 를 대량 소성하기 위하여O

에stainless steel port CaSO4 2H2 씩을 넣고 를 아래와 같O 2 conveyor furnace

은 조건 을 유지하면서 대전 소재 쌍용중앙연구소에서 시간 연속 실험하(Fig 2) 24

였다

- 21 -

Fig 1 TGA thermal curve of gypsum

- 22 -

Fig 2 Flow diagram of gypsum sintering system

- 23 -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3

에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석고에 대하여 표면형상을 관찰하였다Self-leveling

조건으로 국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Hitachi S-4200) 150

산 석고등의 입자를 조사한 결과는 과 에서 보는 바와 같다 과Fig 3 Fig 4 Fig 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국산석고의 크기가 독일산 석고보다 크나 분쇄를 잘하Fig 4

면 공정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추정된다self-leveling

의 입자가 큰 국산석고를 에서 분 분쇄 후 사진 의 결Fig 3 mortar 20 SEM (Fig5)

과를 보면 독일산 석고와 아주 유사한 형태와 로 변하였다 그러므로 분쇄 공정size

만 잘 진행하면 국산 석고도 외국산 석고에 비해 제조에 손색없음을self-leveling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 무수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를 위하여 쌍용연구소의 연속분쇄기

를 사용하여 분쇄하였다 분쇄 조건은 압력(roller mill) roller 6 feeding RPM

시료 투입량 등으로 무수석고를 연속 분쇄하였40 separator RPM 880 6 hr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4

국내산 석고와 외국산 석고들에 대한 화학성분 분석을 위하여 Optical Emission

로 정성분석한 후Spectrometer(OES TJA Atomcomp 81) Atomic Absorption

Sepctrophotometer(AAS Perkin Elmer 5000) 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meter(ICPAES Perkin Elmer Elan 5000) Wet

분석방법 등으로 국산 석고와 외국산 석고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Analysis(WET)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 석고에 대하여도 위에서 분석한 CAS( )

것과 같이 등의 방법으로 성분분석을 하여 석고의 품질OES AAS ICPAES WET

및 특성등을 파악하였다

- 24 -

Fig3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 25 -

Fig4 SEM photograph of germany gypsum

- 26 -

Fig5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after grinding

- 27 -

제 절 특수 첨가재5

기존의 재 에self- leveling 300 g H2 을 혼합한 후 아래와 같은 여러 종류의O 89 g

첨가재를 첨가하면서 초결 종결 등의 경화 응결 및 플로값 등의 물리적인 성질을

측정하였다

또한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

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기존의 재 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O 89g CAS ( )

때의 물리적인 특성뿐 아니라 알미나 포틀랜드 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AI-PC)

때의 물리적인 특성도 비교하였다

가존의 재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 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위에서 측정한 경우와 서로 비교하AI-PC

여 보았다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6

재 제조시 적절한 응결을 위하여 급결제을 사용하는데 통상 물유리를Self -leveling

많이 사용함을 본 연구에서 알았다 급결제의 성분 분석을 위하여 wet analysis

등을 사용하였으며 구조분석을 위하여는 와 을 사용하였OES AAS ICPAES XRD IR

다 법으로는 석고중에 함유되어 있는 물의 함량을 분석하는데 사용하 Karl fischer

였다

- 28 -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7

바닥 충격음 및 소음에 대한 시험은 여주군에 위치한 방재시험연구소에 의뢰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편을 제작하여 측정하였다 바닥 충격음 방지재 (save gum pad

를 사용한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 에 시험재료로 한양 시멘트 제품인6 t) (246 )

레미탈 을 사용하여 몰탈 바닥 넓이 로 작업한 후900 28 m times 42 m times 30

일 간 야외에서 양생하여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참조30 (Fig 6 )

바닥충격음시험은 건축물현장에 있어서의 바닥충격음측정방법 을KSF 2810 ( 1981)

적용하여 음원실 충격음발생실 과 수음실 충격음측정실 로 구성된 잔향실 사이 바( ) ( )

닥개구부에 시험체를 설치한 후 시험체위에서 충격음 경량 태핑 머신 및 중량충 (

격음 타이어 을 발생시켜 주파수범위의 대역별 바닥충격음 ) 63-4000 13 Octave

레벨 회를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하였다25

제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최근 건설 현장에 불기 시작한 주거환경의 쾌적화와 원적외선 방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도 원적외선 방사에 대한 시험을 시행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과 한국원적외선협회에 세라믹몰탈 옥석 맥반석

게르마늄석을 의뢰하여 방사율을 단파장인 영역인 에서 까지 측정하였다3 20

- 29 -

Fig 6 Present floor of impact sound insulation

- 3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1

화력발전소에서 부산물로 생성된 이수석고를 대전소재 쌍용 중앙연구소에서 rotary

을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소성된 석고를kiln X - Ray Diffractometer (XRD Rigaku

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수석고는DMAX-2500) Fig 7

에서는150~200 CaSO 4 2Hㆍ 2 가O CaSO4 12Hㆍ 2 로 변하고 에서O 350 CaSO 4

의 피크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그후 온도를 올림에 따라 무수석고의 결정성이 좋

아짐을 알 수 있었다 참조(Fig 7 )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2

으로 확인한 결과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국산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ig 3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로 단단한 모양으로 균일하게70

구성되어 있는 반면 의 독일산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 Fig 4 70

의 크기가 소수 분포와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분포175

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체로 한 결 -200 mesh sieving

과를 보면 정도의 가 큰 덩어리가 남아 있었다10 size

가 큰 덩어리를 로 확인한 결과 석고로 판명되었다 에서 보면 독일Size XRD Fig 8

산 최초 석고인 BW CaSO4 과 후의 의(GER)-3 sieving XRD pattern BW

CaSO4 와 동일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들은 결과와 결과로(G+200M)-4 XRD TGA

보면 모두 CaSO4로 판명되었다

에서 분쇄된 무수석고의 입자분포도를 보기 위하여Roller mill particle size

로 측정범위 측정 분산매analyzer 01-180 lens focal depth 100 methyl

를 사용하여 초음파 분산 방법으로 입도 분포도를 얻어 에 실었다alcohol Fig 9

- 31 -

Fig7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each gypsum in sintering condition

- 32 -

Fig8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gypsum after sieving

- 33 -

Fig 9 Particle distribution chart of gypsum

- 34 -

에서의 입자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이하의 분포도가 전체의 를Fig 9 5 87

차지하고 있는 반면 마이크론미터 이상이 전체의 밖에 차지하고 있음을 알10 3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보면 외국산 석고에 비해 공정에서는 보다 나 self - leveling

은 작업성과 물성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3

분석방법 등으로 분석한 결과 에서 보OES AAS ICPAES Wet Analysis Table 2

는 바와 같이 독일산석고와 국산석고의 분석결과가 화학성분에서는 아주 유사하다

그러나 독일산 석고에 규사만이 함유되어 있는 것에 비해 국산 석고에는16 wt

규사가 로 작게 함유되어 있었다 이는 원재료의 광산에 함유된 규사에096 wt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석고에 대한 분석 결과를 CAS( ) Table 3

에 실었다 에서 보면 라파석고에 인이 포함되어 있는 반면 인 Table 3 00072 wt

산무수 석고에는 로 많이 포함되어 있어 제조시 인산무0024 wt self- leveling

수 석고를 사용한 결과가 나쁘게 나타났다고 추정되며 지지용 철근의self-leveling

부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이므로 인산석고의 사용을 피함이 좋을 것이다

인산무수 석고는 자체에서 산성 성분을 용출함으로서 콘크리트 중에 함유된 알칼리

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을 혼입시키어 철근을 활성화

상태로 만들고 이로 인해 부식하기 쉽게 된다

- 35 -

Table 2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 36 -

Table 3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and Binder

- 37 -

제 절 특수 첨가재4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의 양을 변화시O 89 g -α

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4

Table 4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a -gypsum

에서 보면 석고의 함량을 증가할수록 초결시간은 빨라지지만 수분증발시Table 4 -α

간이 느리고 기존레벨라보다 종결시간이 느린 것을 보아 석고만을 첨가한다는-α

것은 의미가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화시키

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5

Table 5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LiCO3

- 38 -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기존레벨라에는 이미Table 5 LiCO3이 인 이 포014 042g

함되어 있어 순으로 첨가하였으나 첨가 양에 따른 초결상태의 변화0 15 30 g

는 없었으나 종결상태는 조금씩 첨가 양이 많아지면서 조금씩 지연되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O 89 g CAS ( )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과 같다Table 6

Table 6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CAS

에서 보면 를 씩 증가하면서 첨가함에 따라 초결상태와Table 6 CAS 0 10 20 g

종결상태가 보다 급격히 빨라짐을 알 수 있었다 즉 경화 속도에 의Table 4 5 CAS

함유량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에서 사용한 첨가제를 모두 혼합하여 기존의 재Table 4 5 6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비교해보면O 89 g Table

과 같다7

- 39 -

Table 7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and CAS

에서 보는 것처럼 기존의 재Table 7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O 89 g

라에 석고와- LiCOα 3 만을 혼합하였을 때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의 양을 CAS

증가시키면서 함께 첨가할 수록 경화시간은 단축되었다

에 알미나 포틀랜드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Table 7 (AI-PC)

비교해보면 과 같다Table 8

기존의 재self-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보면 에서 보는 것처럼AI-PC Table 8

함량이 높을수록 경화시간은 너무 단축되어 그만큼 작업하는 시간이 촉박하AI-PC

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모든 결과를 종합해보면 응결시간은 온도와 습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실험할 때마다

기존레벨라를 비교하여 시험했다 가 가장 경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만 입자 CAS

가 뭉쳐 있어 혼합이 잘되지 않았다 그 결과 건조시 표면이 분화구처럼 돌출된 부

분이 많이 생겨났다

- 40 -

Table 8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CAS and Al-PC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5

급결제에 대한 성분 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는 와 같다 중탕Table 9

에서 증발시킨 후 의 잔유물에 대한 분석 결과(100 ) 50 wt Si 438 wt Na

로 나타났다 결정성과 구조분석을 위하여 로 확인한102 wt K 177 wt XRD

결과는 무결정 으로 피크가 나타나지 안했다 법으로 물을(amorphous) Karl fischer

분석시에도 가 잘 나타나지 안해 분석을 할 수 없었다 화학적 결합상태end-point

를 알아보기위해 을 이용하여 해석해본 결과IR Na2SiO3 H2 와O 50 wt 50 wt

의 H2 가 공존함을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O Na2SiO3 H2 와 의O 50 wt 50 wt

H2 를 함께 사용하기로 결정하였고 건설 현장에 시공 또는 제품 생산에 위와 같O

은 혼합비율을 적용하였다

- 41 -

Table 9 Chemical Composition of RCM300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6

측정된 충격음레벨은 ISO 140 Part 6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을 준용하여 수음실 기준 흡음력 에 대한sound insulation of Floors 1978) (10 )

보정 값으로 환산하였다(Table 10)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나타내는 수음실의 바닥충격음레벨 (Ln 은 다음 식 으로) (1)

구하였다

여기서

Ln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흡음력보정 바닥충격음레벨 j ( )

충격음위치 지점수m

상기 식 의 각 충격음 위치마다의 바닥충격음레벨의 평균값(1) (Lj 은 다음식 에) (2)

따라 산출하였다

- 42 -

Table 10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sound insulation of floor

- 43 -

여기서

Lj 수음실내 측정점 에서의 바닥충격음레벨 i ( )

측정점의 수n

또한 상기 바닥충격음레벨 평균값 (Lj 은 수음실의 흡음력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

므로 를 준용 이를 기준흡음력 에 대한 값ISO 140 Part6 (978) (10 ) (L nj 으로)

환산하였으며 그 산출식은 식 과 같다 (3)

여기서

L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평균 바닥충격음레벨 j ( )

AO 기준흡음력 (10 )

수음실 측정실 용적V ( ) ( )

수음실 측정실 잔향시간 초T ( ) ( )

에서 보면 기준판과 시험체의 경량충격음은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Table 10

충격음이 증가하다가 완만한 곡선을 나타내는 반면 중량충격음의 결과를 보면 주파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충격음이 계속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경량 충격음은 음원이 태핑머신인 관계로 주파수 변화에 따른

파장의 작고 큼에 별 영향을 주지 않지만 중량 충격음은 음원이 타이어임으로 고주

파대로 갈수록 파장이 작아서 투과 여건이 적은 관계에 기인함을 알 수 있다 본

바닥충격음과 소음에 대한 실험 결과 기존 시멘트몰탈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

믹몰탈간에 바닥충격음과 소음의 차이는 크게 나지 않음으로 무시할 정도임을 알았

- 44 -

제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7

아래 은 바닥재 시공에 대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과 재래식 시Table 11

멘트몰탈과의 특징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연구연에서 분석한 세라믹구들의 분석 결과를 에Table 12

실었다 현 시험법에 따라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 등의 물성을 공인된 한국건자 KS

재연구원에 의뢰한 결과 압축강도면에서 이 넘는 결과가 나왔으며 다른400 f

물성 또한 기준 물성값을 초과하는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에서 보는 것과 Table 12

같이 길이변화율은 일 경과 후 로서 거의 변화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28 -0046

며 이를 미루어 보아 시멘트몰탈의 수축 팽창에 기인되는 균열 원인을 해결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45 -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 구들의 비교Table 11

구분 단위 재래식 시멘트몰탈 본 제품 세라믹구들( )

시공후상태

몰탈층

바탕면의 균열 발생-바탕면의 평활 수평 이 없다- (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없다-공정 회 이 복잡하다- (3-4 )많은면적을 시공할 수 없다-양생시간이 길다 일- (3-7 )하자 보수비가 필요하다-시멘트 독성에 따른 인체에-해로움

바탕면의 균열이 없다- 바탕면의 평활 수평 성이 양호- ( )일정한 두께유지-공정이 단순 회공정 하다- (1 )많은 면적을 시공할 수 있다-양생시간이 짧다 일- (1 )하자보수비가 필요없다-건강보조기능-항균성 무독성 원적외선( )마감재 시공이 용이하다-에너지절감 효과가 크다-열전도율 및 축열기능이 좋다-차음 방음 효과가 우수하다- ( )건축물의 경량화-

세라믹 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시험 검사 방법 ( ) KS L 5105-97 KS L 5104-96 KS L 5207-rsquo99 KS F2424-rsquo95 KS L 1592 rsquo95시험원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시험일자 2000 OS 09 ~ 09 15

- 46 -

제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석회 광물은 마그네시아 광물과 함께 중요한 조암광물로서 천연에서는 산화물(CaO)

로는 존재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탄산염 황산염 또는 규산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석회질 원료로는 석회석 돌로마이트 형석 석고 규회석 등이었으며 이중 석회석

(CaCO3 과 석고)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만을 에 나타내었다 원적) Fig 10 11

외선 발열체와 세라믹 발열체가 있다 원석 발열체로는 맥반석 게르마늄석 옥석

황토 등이 있다 원적외선의 온열효과는 피부표면에 복사된 원적외선은 인체 중 물

의 진동 파장과 거의 비슷하며 공진 작용으로 일반열이 도달할 수 없는 부위( )共振

까지 도달하게 한다 이러한 심달력은 피하층의 온도상승 미세혈관의 확장 혈액순

환 촉진 선진대사강화 혈류 장해 해소 조직의 재생능력 증가 결련예방 및 암치

료 효과 등의 의학적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혈행이 좋아짐으로서

정상체온 유지 스트레스 해소 소화촉진 근육통 해소 피부 색깔 정상화 꺼칠한

눈이 부드러워지고 감기 예방효과 조직 내에 쌓여 있던 노폐물의 분비도 촉진된

다 또한 세포에 필요로 하는 영양소와 산소를 정상적으로 공급받게 되어 세포와

조직이 활력을 되찾게 되고 적당한 원적외선 활용은 세포의 노화를 막아주는 효과

를 볼 수 있다 원적외선 부작용 없는 건강유지와 질병의 예방치료적 기 (氣

라고 할 수 있다energy)

석회석은 시멘트의 주원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전방사율은 약 정도를085

보이고 있으나 이후와 단파장 영역쪽에 불안정한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보이20

고 있다 이는 공기 중의 습기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그 조성이 일부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시멘트를 측정하여 비교Fig 10 11

한 결과에서는 다소 석회석 자체원료를 측정한 것이 방사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CaSO4 는 외국에서 천연으로 산출된 것과 본 연구에서 제조한 배연 탈황석고)

모두 원적외선 방사특성에 있어서는 석회석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특히

부근에서의 약간의 골이 생겨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87

- 47 -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48 -

석고Fig 11 (CaSO4 의 원작외선 방사특성)

- 49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의 방사율은 에 실었다 현재 원적외선이 다Fig 12

량 방사되는 게르바늄석 참조 옥석 참조 맥반석 참조(Fig 13 ) (Fig 14 ) (Fig 15 )

등에 비해서 같은 수준의 방사에너지 및 방사율이 발현됨을 공인된 시험기간에 의

해서 입증되었다 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를 Fig16 3~20

파장 영역에서 방사특성을 나타내었다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는 이상흑체에

서 방사되는 특성과 같은 모양을 방출하고 있습을 알았다 따라서 세라믹구들은 건

강친화적인 면만 아니라 여러 가지 가능을 가진 차세대 온돌용 세라믹구들이라고

할 수 있다

제 절 현장 시공9

본 세라믹구들의 최적화 조건 조성 및 현장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차로 경기도 광1

주 소재 동심주택 제 차 그린타운 세대를 시험 시공한 바 있으며 위 결과를 토9 19

대로 최적화된 조건에 따라 안양 재건축현장 및 기홍 목조주택 등에 실용화 시공하

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Fig 17

필름 한 장을 깔고 그 위에 외경의 폴리에틸렌 엑셀파이프를 배관한 후 세라15

믹 구들로 타설한 후 수평을 잡으면서 두께를 로 일정하게 하였다40

시멘트 제품은 응결 경화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균열이 발생되

면 더 커지면서 계속 퍼져나가는 경향을 나타낸다 여러 종류의 균열 보수기법이

현재 마련되어 있으나 완벽한 균열 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 보수 후에도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 보수로 인해 외관의 불량 균열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로 시공한 결과는 상기와 같

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할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연구에 의해 일반 콘크리트에도 적

용할 경우 그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균열을 방지함으로서 방

수 강도저하 철근부식 등 내구성저하를 막으므로 고품질의 구조물 공사가 될 것으

로 예상된다

- 50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 51 -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 52 -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 53 -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4 -

성 세라믹몰탈재는 사용되는 특수 첨가제에 따라 시멘트계 석고계 혼Self-leveling

합계 특수시멘트 팽창억지제 석고보드 등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각기 특성에 따라

적용되는 분야가 상이함으로 첨가제 혼화제 가 개선되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고부( )

가가치 산업을 창출할 수 있다 석고를 첨가한 시멘트 몰탈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었다

기술개발내용 및 범위Ⅲ

차년도1

산업 폐기물인 이수석고를 무수석고로 만든후 개발된 특수첨가제를 혼합하여 열전

달이나 효율면에서 기존방식보다 향상된 온돌 및 바닥마감용 성 세라self-leveling

믹몰탈 개발

차년도2

차년도에서 개발된 특수첨가제 등을 혼합한 무수석고 세라믹몰탈 시제품에 대한1

문제점 분석 운전 조건 확립 구성 성분 특성평가 성능평가 내구성 향상 석고계

몰탈 개발 부식현상파악 및 현장 시공

기술개발결과 및 활용에 대한 건의Ⅳ

논문 및 특허게재

- A comparative study of thermal efficiency between the present floor and a

ceramic floor Anal Sci Tech 12(2) 166(1999)

- 5 -

- A study on the rebar corrosion in ceramic mortar

게재중Anal Sci Tech 14(1)

특허 출원 건- (2 )

명칭 화력발전소의 부산물을 이용한 유동성 세라믹몰탈 제조방법 및 유동성 세1

라믹몰탈

출원번호 10-1999-0012345

출원인 주식회사 범우

출원일자 19990408

명칭 온돌구조 및 온돌시공 방법2

출원번호 10-2000-0016064

출원인 주식회사 범우

출원일자 20000329

학회 발표 및 제품 설명회 회- 2

폐기물의 유효 적절한 이용으로 고부가가치화와 대기 환경문제 해결에도 많은 기-

표면의 건조시 수축을 극소화함으로서 균열 방지제 개발-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타설 후 시간 내 보행 가능한 바닥제로 활용- 24

기대효과Ⅴ

산업폐기물인 이수석고를 이용한 몰탈 개발로 환경보존 예산절감과 화력발전소의-

부산물을 이용함에 따른 원가절감 등 경제적 파급효과는 상당히 크다

성 세라믹몰탈재를 바닥에 뿌리기만 하면 되므로 업종인 건설현- Self-leveling 3D

장의 막대한 인건비 절약 효과

무수석고의 품질개선평가-

성 세라믹몰탈 개발에 대한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 Self-leveling

- 6 -

건조 수축율 극소화 이하- 004

압축강도 일 기 준 이상 증가- 400 (28 )

휨강도 일 기준 이상 증가- 64 (28 )

자동수평정도 크랙방지제 및 부식방지제 개발- (210 flow)

타설 후 시간 내 보행 가능한 제품 개발- 24

공기단축 및 뛰어난 단열효과-

주택 아파트 온돌에 자동 수평 세라믹몰탈로 적용-

마루 위 온돌시공 철근 구조물 복도나 내부바닥 등 단열 방음과 완전한 레벨효-

- 7 -

목 차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연구Ⅰ

제 장 서 론1

제 장 실 험2

제 절 배연탈황1

제 절 석고소성2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3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4

제 절 특수 첨가재5

세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6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7

제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1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2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3

제 절 특수 첨가재4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5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6

제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7

제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 8 -

제 절 현장 시공9

제 장 결 론4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제 장 실 험2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제 장 결 론4

- 9 -

표 목 차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연구Ⅰ

구미 유럽지역의 재 개발 현황Table 1 Self-leveling

Table 2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Table 3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and binder

Table 4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α

Table 5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LiCO3

Table 6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CAS

Table 7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and CAS

Table 8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a -gypsum LiCO3 CAS

and AI-PC

Table 9 Chemical composition of RCM300

Table 10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sound insulation of floor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구들의 비교Table 11

세라믹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 10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Table 1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V vs CuCUSO4)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 11 -

그 림 목 차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연구Ⅰ

Fig 1 TGA thermal curve of gypsum

Fig 2 Flow diagram of gypsum sintering system

Fig 3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Fig 4 SEM photograph of germany gypsum

Fig 5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after grinding

Fig 6 Present floor of impact sound insulation

Fig 7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each gypsum in sintering condition

Fig 8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gypsum after sieving

Fig 9 Particle distribution chart of gypsum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석고Fig 11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12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l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13 -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Ⅰ

제 장 서 론1

국내에서는 성 세라믹몰탈재를 고급타일 마감재의 수평조정용으로 사self-leveling

용함에 따라 실제적인 의 의미보다는 에 가깝게 적용하여 self-leveling smoothing

대개 시공두께 의 박막으로 시공하기 때문에 일본의 경우 대부분 이3~5 10

상의 후막형 제품들로는 적용이 불가능한 점을 들 수 있다 년 중반에서 수입사 lsquo80

를 통해서 수입하여 건축물에 적용해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년 초까지는 고가 lsquo90

의 재료비로 널리 사용되지는 못하고 대형백화점을 중심으로 시장 확대가 시도되었

으나 국내에서도 시멘트 업계나 건재 생산업체를 중심으로 시멘트계 self-leveling

재의 개발에 착수하기 시작하여 년부터 개 업체에서 판매를 개시함mortar lsquo93 2~3

으로써 시장이 활성화되기 시작하였다

최근에는 대형공장 주차장바닥에 적용할 수 있는 재를 실용화 self-leveling mortar

하여 현재 보급 중에 있으며 석고계 재는 대리점을 통해 수입 self-leveling mortar

품이 고급빌라의 방통 몰탈 대체용으로 각광받고 있어 국내도 다양한 self-leveling

재 제품이 소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및mortar

대형건물 주차장 바닥 몰탈로 성 세라믹몰탈을 사용한 실적은 없다 self-leveling

국외의 경우를 보면 일본에서의 재의 연구는 년에 일본주택self-leveling mortar lsquo73

공단에서 건축물의 요철면을 화하기 위한 바닥공법의 합리화라는 목적으로高精度

석고계 시멘트계 재의 기초연구가 시작되었으나 당시에는 경 self-leveling mortar

제성 때문에 실용화되지는 못하였다 이후 년대 초에서 중반까지는 lsquo70 SO3의 공해

규제에 의한 탈황석고의 효율적인 이용의 관점에서 석고계 self-leveling排煙

재의 실용화 연구에 박차를 가하게 되어 년 시험 시공에 성공하여 년mortar lsquo76 lsquo77

도부터 전국적으로 시판을 개시하기에 이르렀다

- 14 -

년에 최초로 시멘트계 재를 개발 시판하면서 일본내에서 석lsquo82 self-leveling mortar

고계와 시멘트계 재가 함께 사용되기 시작하였다self-leveling mortar

석고계 및 시멘트계 재에는 서로의 장 단점이 있기 때문에 나self-leveling mortar ㆍ

름대로의 판매영역을 구축해 나갔지만 년에 스웨덴의 사로부터 석고계 및 lsquo85 BEPA

시 멘트계의 장 단점을 보완한 무기질계 재 세라믹계 또는 혼self-leveling mortar (ㆍ

합형 재로도 칭함 를 기술도입 함으로써 이후에 일본에서는self-leveling mortar ) 3

종의 재가 시판되기 시작하여 오늘에 이르렀다self-leveling mortar

유럽에서는 오래 전부터 재를 바닥에 사용해 온 것으로 알려져self-leveling mortar

있으며 실제로 다양한 형태의 재가 시판되고 있다 참 self-leveling mortar (Table 1

조 재의 결합재별로 전술한 석고계 시멘트계 혼합계 외에도) Self-leveling mortar

폴리머를 이용한 폴리머시멘트계 또한 시공 두께별로 후막형 및 박막형 등 시공

조건이나 환경에 따라 적용 가능한 여러 제품들이 시판 되고 있다

성 세라믹 구들재에 요구되는 성능은 작업 종료시까지 유동성 확보문Self-leveling

제 응결 경화과정의 요구성능 내구성 측면 등에 좌우된다 유동성과의 균형을 확

보하지 않으면 골재 침강으로 인한 표면 이 심하게 발생되어 표면정도나bleeding

최종 마감재와의 부착 성능을 급격하게 저하시키거나 유동성이 저하되어 세라믹몰

탈재 마감공사가 용이하지 못하기 때문에 세라믹몰탈재 슬러지의 성상과 사용장비

와의 적합성은 공사의 승패를 좌우하는 주요 요인이 된다

- 15 -

구미 유럽지역의 재 개발 현황Table 1 Self -leveling

재 품종Self-leveling 개 발 국 가 참 여 업 체 명( )

석고계미국 등(GYP-CRETE HACKER )독일 등(BAYER KNAUF GUILINY HENCKEL )

시멘트계 스웨덴 등 핀랜드(ABS ZEMENTA ) (PARTEK)

혼합계 독일 등 스웨덴 등(PCI HENCKEL ) (BEPA )

폴리머시멘트계 영국 등 독일 등 웨덴 등(ICI ) (PCI HENCKEL ) (ABS )

무수석고에 첨가되는 시멘트에 대한 수많은 연구 결과가 소개되고 있으나 두 물질

간의 물리화학적인 양론적 문제와 시멘트 화학조성 분말도 발연곡선 응결 수화

열 강도 팽창 수축 화학적저항성 등에 따라 상이하다

신기술 시공의 정밀성 신속성 간편성이 특징인 성 세라믹몰탈의 시공 self-leveling

방법은 현장에서 제품에 물만 부어 바닥에 뿌리면 자동적으로 수평 한 면이 형성되

므로 기존의 시멘트 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

성 내구성 경량성과 자동 수평이 되는 평활성 때문에 별도의 쇠흙손으로 마감이

필요 없다 또한 시멘트 몰탈에 비하여 들뜸 현상 및 갈라짐이 없고 가벼운 재질로

되어 있어 건축 구조물의 경량화가 기대된다

특히 기계화 시공으로 인건비 절감 및 작업장 환경 개선 공기 단축 등으로 경제적

이고 정밀한 시공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기존 방식보다 방열성이 높다는 것

은 열효율 면에서 매우 유리한 난방 방식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성 세라믹몰탈은 최근 건축물의 화를 위한 건축 재료로 많이Self-leveling intelligent

사용되고 있다 세라믹몰탈은 유동성이 우수하며 신속한 응결 경화과정으로 일 1

안에 보행이 가능함은 물론 표면에 기포 자국이나 수축 균열이 없어 백화점 오피스

텔 대규모 건축물의 바닥 미장은 물론 목재 위에 박막이나 후막으로 많이 사용됨

으로서 건설 인력 부족을 대체할 수 있는 신기능성 제품이다

- 16 -

성 세라믹몰탈재는 사용되는 특수 첨가제에 따라 시멘트계 석고계 혼Self-leveling

합계 특수시멘트 팽창억지제 석고보드 등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각기 특성에 따라

적용되는 분야가 상이함으로 첨가제 혼화제 가 개선되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고부( )

가가치 산업을 창출할 수 있다

개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 물질인10 SO2를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하여 아황산석고로 생산되면서 SO2는 제거된다

아황산석고를 반응기에서 반응시켜 부산석고를 얻는다 화력발전소의 부산물인 석

고와 시멘트 결합제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성 세라믹몰탈은 국내의 부 self-leveling

존자원이나 산업폐기물의 유효 이용 차원에서 건축재료로의 활용은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최근 큰 문제로 대두된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일석

이조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됨으로서 국가 경제 발전에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기술적 측면에서 보면 시멘트제품은 응결 경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

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

그러나 과학 및 산업기술들이 고도로 발전되어 감에 따라 건축물 마감공사도 미려

함을 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성 세라믹몰탈재가 건축물 마감공사의self-leveling

성력화를 가능케 한 신 기능성 건축재료의 총아라 할 수 있다

이수석고는 국내 화력발전소에서 배출되는 가장 심각한 공해물질인 SO2 가스를 흡

수액 중 CaCO3과 반응시켜 년간 만톤씩 부산되고 있는 무용한 물질이다 산업폐33

기물의 일종인 이수석고를 소성과정을 거쳐 소석고 로 만든다(calcined gypsum)

소석고에 신 기능성 특수 를 첨가하여 바닥 마감용 성 세라믹몰binder self-leveling

탈재를 생산함으로써

열효율 면에서는 시멘트 제품보다 축열성이 높으며-

미장면이 평활하므로 추가로 보수가 필요 없고-

시멘트보다 압축 및 인장강도 면에서 우수하다-

시중 시멘트제품은 균열에 있어서 완벽한 균열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보

수 후에는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보수 및 면 평활도가 외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 17 -

그러나 본 제품을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하므로 그 파

급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된다

경제적 측면에서 보면 국내 석고 소비량은 연간 만톤으로 선진국의 연간 소비600

율 에도 못 미치는 실정이다 또한 국내에는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10

실정으로 해외에서 톤당 만원 정도의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볼16

때 품질이 좋고 가격이 싼 발전용 배연 탈황 석고의 공급은 국내 관련 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국내 발전용 배연 탈황 석고의 공급이

서기 년도에 이르면 약 만톤으로 국내 석고 수요량 만톤의 약 정2000 110 600 18

도는 충당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진다

현재 아파트 및 오피스텔 공사 등이 전국적으로 그 물량이 대단히 많으나 모든 미

장 마감층에 균열이 생기고 평활도의 문제가 발생되고 있어 입주 전에 균열 보수

재료에 의해 보수를 실시하고 있으나 완전 보수가 불가능하여 입주 후 많은 세대수

에서 하자보수로 인한 손실이 매우 큰 실정이다 또한 바닥면이 수평을 이루지 못

하여 가구 등의 제품에 뒤틀림 등으로 생활에 불편함을 제공하고 있다

본 제품은 상기와 같은 모든 문제점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훨씬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건비 절감 공기 단축 국내의 산업폐기물의 유효이용 차원에서

건축재료로의 활용은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시멘트 건축재 생산업체들을 중심으로 아파트 온돌 부위와 목재 위에 박막

또는 후막으로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용도의 세라믹몰탈 등의 상품화는 년간 500

억원 규모의 사업화가 가능할 것이며 또한 특수 의 개발은 연간 약 억 binder 150

원의 시장 창출이 예측된다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 보면 현대 산업의 고도화 및 복잡화로 환경 오염을 초래하

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각종 환경매체에 대한 환경 오염이 극심해지

고 있는 실정이어서 환경 오염 방지 및 환경보존 개선을 위한 규제가 점점 강화되

고 있다 특히 대기오염 생태계 파괴 등 환경과 보건에 심각한 위해가 초래됨으로

써 규제도 본격화하게 되었다

- 18 -

이산화유황으로 오염된 화력발전소의 배기가스는 석회함수물 또는 석회액과의 화학

적 반응을 통해 탈황된다 이로 인해 산성비 에 대한 원인은 제거된다 이런 중요 ldquo rdquo

한 환경기술적 조치의 반응생산물인 부산석고를 건축 자재로 사용함으로서 대기 환

경보존을 할 수 있다는 차원에서 금액으로 환산할 수 없는 중대한 기여를 할 것이

다 또한 내장 박막 이하 후막 등을 미려하게 함은 mortar(50 ) (5 ) (1O-15 )

물론 수축 팽창 균열 등을 방지함으로 풍요로운 생활공간을 제공할 것이다

위와 같은 평가 기술은 국내 최고의 분석 평가 기관인 특성분석센터와 세라믹KIST

스 연구부 및 주 범우에서 이미 확보되어 있고 국제적으로도 상당한 경쟁력을 갖( )

추고 있다 매우 불활성인 무수석고를 약 시간만에 경화가 시작되도록 활성화하는 2

즉 정해진 특성들을 가진 건축자재를 생산하는 두 가지 방식이 있다 그중 한 방법

은 미세하게 분쇄한 후 풀어짐을 촉진하는 소량의 자극제 즉 분산제의 첨가이며

다른 한 방법은 몰탈 준비 때보다 강력한 혼합을 요구하는 무수석고의 생산이REA

절실히 필요하다

- 19 -

제 장 실 험2

제 절 배연탈황1

화력 발전소에서 부산물로 생성되는 이수석고의 주요 반응은 의 현탁액과limestone

연소가스를 역류 세정시키면서 일어난다 이것은 아래에 열거한 것과 같은 확산과

화학반응으로 구분되어 진행된다

기 액 경계면에 이르기까지의 을 통한- gas film SO① 2의 확산

SO② 2가 상태가 되는aqueous dissolution

상태의Aqueous SO③ 2가 되어hydration H2SO3로 되고 이것이 H+ 와 HSO3-로 존

재하게 됨

HSO④ 3-가 분리되어 SO3

-를 형성함

용역내의 CaCO⑤ 3는 상태로 되고 이것은 다시aqueous dissolution H+이온과 반응

하여 Ca2+ 와 HSO3-를 형성함

및 과정에서 생성된 Ca⑥ ④ ⑤ 2+와 SO32-그리고 물이 반응하여 CaSO3ㆍ12H2 가O

형성됨

CaSO⑦ 3ㆍ12H2 는 물과 물속에 녹아있는 산소와 결합하여O CaSO4 2Hㆍ 2 를 형O

성함

- 20 -

반응식Total

이와 같은 반응들의 반응속도를 비교하여 볼 때 의 단계는 비교적 빠 ③ ④ ⑥ ⑦

른 반응이 되고 제어단계는 크게 가스확산 액체 내에서의 SO2 확산 석회석의

등 단계로 압축시킬 수 있다 위의 메카니즘 가운데 이온들의 화학반응dissolution 3

을 로 규명하기도 한다 이것은 기 액 경계면을 중심으two-reaction-planes model -

로 액체쪽으로 개의 을 설정하고 각각의 다른 반응이 일어난다는 것2 reaction plan

이다

제 절 석고 소성2

전항에서 만들어진 이수석고에 함유된 부착수분과 결정수분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

기로와 열질량분석기 를(thermogravimetric analyzer TGA Perkin-Elmer TGS-2)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에서 보면 공기 중에서 일 방치한 이수석고 중 Fig 1 2 18

정도가 되면 대부분 휘발성 물질들이 날아가서 무게가 정도 감소되었60 5 wt

다 다시 정도가 될 때까지 결정 수분이 정도 감소되었고 190 18 wt 700

가 될 때까지 정도가 휘발되어 날아가 전체 무게 감소는 되고2 wt 25 wt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휘발되는 것이 없이 일정한 무게를 유지하였다 전기로에서

실험한 결과도 부착수분이 건조감량이 로 전체 무게 감소율121 wt 109 wt

은 이였다 이수석고를 세라믹용기 및 용기에 각각230 wt stainless steel 500

씩 분취하여g 150 (2 hrs) 200 (1~2 hrs) 350 (1 hr) 420 (1 hr)

로 유지한 전기로에서 각각 소성하였500 (1 hr) 650 (15 hr) 750 (1 hr)

다 소성 후 를 사용하여 소성 X-Ray Diffractometer (XRD Rigaku DMAX-2500)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CaSO4 2Hㆍ 2 를 대량 소성하기 위하여O

에stainless steel port CaSO4 2H2 씩을 넣고 를 아래와 같O 2 conveyor furnace

은 조건 을 유지하면서 대전 소재 쌍용중앙연구소에서 시간 연속 실험하(Fig 2) 24

였다

- 21 -

Fig 1 TGA thermal curve of gypsum

- 22 -

Fig 2 Flow diagram of gypsum sintering system

- 23 -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3

에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석고에 대하여 표면형상을 관찰하였다Self-leveling

조건으로 국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Hitachi S-4200) 150

산 석고등의 입자를 조사한 결과는 과 에서 보는 바와 같다 과Fig 3 Fig 4 Fig 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국산석고의 크기가 독일산 석고보다 크나 분쇄를 잘하Fig 4

면 공정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추정된다self-leveling

의 입자가 큰 국산석고를 에서 분 분쇄 후 사진 의 결Fig 3 mortar 20 SEM (Fig5)

과를 보면 독일산 석고와 아주 유사한 형태와 로 변하였다 그러므로 분쇄 공정size

만 잘 진행하면 국산 석고도 외국산 석고에 비해 제조에 손색없음을self-leveling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 무수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를 위하여 쌍용연구소의 연속분쇄기

를 사용하여 분쇄하였다 분쇄 조건은 압력(roller mill) roller 6 feeding RPM

시료 투입량 등으로 무수석고를 연속 분쇄하였40 separator RPM 880 6 hr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4

국내산 석고와 외국산 석고들에 대한 화학성분 분석을 위하여 Optical Emission

로 정성분석한 후Spectrometer(OES TJA Atomcomp 81) Atomic Absorption

Sepctrophotometer(AAS Perkin Elmer 5000) 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meter(ICPAES Perkin Elmer Elan 5000) Wet

분석방법 등으로 국산 석고와 외국산 석고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Analysis(WET)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 석고에 대하여도 위에서 분석한 CAS( )

것과 같이 등의 방법으로 성분분석을 하여 석고의 품질OES AAS ICPAES WET

및 특성등을 파악하였다

- 24 -

Fig3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 25 -

Fig4 SEM photograph of germany gypsum

- 26 -

Fig5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after grinding

- 27 -

제 절 특수 첨가재5

기존의 재 에self- leveling 300 g H2 을 혼합한 후 아래와 같은 여러 종류의O 89 g

첨가재를 첨가하면서 초결 종결 등의 경화 응결 및 플로값 등의 물리적인 성질을

측정하였다

또한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

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기존의 재 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O 89g CAS ( )

때의 물리적인 특성뿐 아니라 알미나 포틀랜드 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AI-PC)

때의 물리적인 특성도 비교하였다

가존의 재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 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위에서 측정한 경우와 서로 비교하AI-PC

여 보았다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6

재 제조시 적절한 응결을 위하여 급결제을 사용하는데 통상 물유리를Self -leveling

많이 사용함을 본 연구에서 알았다 급결제의 성분 분석을 위하여 wet analysis

등을 사용하였으며 구조분석을 위하여는 와 을 사용하였OES AAS ICPAES XRD IR

다 법으로는 석고중에 함유되어 있는 물의 함량을 분석하는데 사용하 Karl fischer

였다

- 28 -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7

바닥 충격음 및 소음에 대한 시험은 여주군에 위치한 방재시험연구소에 의뢰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편을 제작하여 측정하였다 바닥 충격음 방지재 (save gum pad

를 사용한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 에 시험재료로 한양 시멘트 제품인6 t) (246 )

레미탈 을 사용하여 몰탈 바닥 넓이 로 작업한 후900 28 m times 42 m times 30

일 간 야외에서 양생하여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참조30 (Fig 6 )

바닥충격음시험은 건축물현장에 있어서의 바닥충격음측정방법 을KSF 2810 ( 1981)

적용하여 음원실 충격음발생실 과 수음실 충격음측정실 로 구성된 잔향실 사이 바( ) ( )

닥개구부에 시험체를 설치한 후 시험체위에서 충격음 경량 태핑 머신 및 중량충 (

격음 타이어 을 발생시켜 주파수범위의 대역별 바닥충격음 ) 63-4000 13 Octave

레벨 회를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하였다25

제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최근 건설 현장에 불기 시작한 주거환경의 쾌적화와 원적외선 방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도 원적외선 방사에 대한 시험을 시행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과 한국원적외선협회에 세라믹몰탈 옥석 맥반석

게르마늄석을 의뢰하여 방사율을 단파장인 영역인 에서 까지 측정하였다3 20

- 29 -

Fig 6 Present floor of impact sound insulation

- 3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1

화력발전소에서 부산물로 생성된 이수석고를 대전소재 쌍용 중앙연구소에서 rotary

을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소성된 석고를kiln X - Ray Diffractometer (XRD Rigaku

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수석고는DMAX-2500) Fig 7

에서는150~200 CaSO 4 2Hㆍ 2 가O CaSO4 12Hㆍ 2 로 변하고 에서O 350 CaSO 4

의 피크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그후 온도를 올림에 따라 무수석고의 결정성이 좋

아짐을 알 수 있었다 참조(Fig 7 )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2

으로 확인한 결과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국산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ig 3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로 단단한 모양으로 균일하게70

구성되어 있는 반면 의 독일산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 Fig 4 70

의 크기가 소수 분포와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분포175

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체로 한 결 -200 mesh sieving

과를 보면 정도의 가 큰 덩어리가 남아 있었다10 size

가 큰 덩어리를 로 확인한 결과 석고로 판명되었다 에서 보면 독일Size XRD Fig 8

산 최초 석고인 BW CaSO4 과 후의 의(GER)-3 sieving XRD pattern BW

CaSO4 와 동일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들은 결과와 결과로(G+200M)-4 XRD TGA

보면 모두 CaSO4로 판명되었다

에서 분쇄된 무수석고의 입자분포도를 보기 위하여Roller mill particle size

로 측정범위 측정 분산매analyzer 01-180 lens focal depth 100 methyl

를 사용하여 초음파 분산 방법으로 입도 분포도를 얻어 에 실었다alcohol Fig 9

- 31 -

Fig7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each gypsum in sintering condition

- 32 -

Fig8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gypsum after sieving

- 33 -

Fig 9 Particle distribution chart of gypsum

- 34 -

에서의 입자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이하의 분포도가 전체의 를Fig 9 5 87

차지하고 있는 반면 마이크론미터 이상이 전체의 밖에 차지하고 있음을 알10 3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보면 외국산 석고에 비해 공정에서는 보다 나 self - leveling

은 작업성과 물성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3

분석방법 등으로 분석한 결과 에서 보OES AAS ICPAES Wet Analysis Table 2

는 바와 같이 독일산석고와 국산석고의 분석결과가 화학성분에서는 아주 유사하다

그러나 독일산 석고에 규사만이 함유되어 있는 것에 비해 국산 석고에는16 wt

규사가 로 작게 함유되어 있었다 이는 원재료의 광산에 함유된 규사에096 wt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석고에 대한 분석 결과를 CAS( ) Table 3

에 실었다 에서 보면 라파석고에 인이 포함되어 있는 반면 인 Table 3 00072 wt

산무수 석고에는 로 많이 포함되어 있어 제조시 인산무0024 wt self- leveling

수 석고를 사용한 결과가 나쁘게 나타났다고 추정되며 지지용 철근의self-leveling

부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이므로 인산석고의 사용을 피함이 좋을 것이다

인산무수 석고는 자체에서 산성 성분을 용출함으로서 콘크리트 중에 함유된 알칼리

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을 혼입시키어 철근을 활성화

상태로 만들고 이로 인해 부식하기 쉽게 된다

- 35 -

Table 2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 36 -

Table 3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and Binder

- 37 -

제 절 특수 첨가재4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의 양을 변화시O 89 g -α

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4

Table 4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a -gypsum

에서 보면 석고의 함량을 증가할수록 초결시간은 빨라지지만 수분증발시Table 4 -α

간이 느리고 기존레벨라보다 종결시간이 느린 것을 보아 석고만을 첨가한다는-α

것은 의미가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화시키

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5

Table 5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LiCO3

- 38 -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기존레벨라에는 이미Table 5 LiCO3이 인 이 포014 042g

함되어 있어 순으로 첨가하였으나 첨가 양에 따른 초결상태의 변화0 15 30 g

는 없었으나 종결상태는 조금씩 첨가 양이 많아지면서 조금씩 지연되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O 89 g CAS ( )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과 같다Table 6

Table 6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CAS

에서 보면 를 씩 증가하면서 첨가함에 따라 초결상태와Table 6 CAS 0 10 20 g

종결상태가 보다 급격히 빨라짐을 알 수 있었다 즉 경화 속도에 의Table 4 5 CAS

함유량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에서 사용한 첨가제를 모두 혼합하여 기존의 재Table 4 5 6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비교해보면O 89 g Table

과 같다7

- 39 -

Table 7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and CAS

에서 보는 것처럼 기존의 재Table 7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O 89 g

라에 석고와- LiCOα 3 만을 혼합하였을 때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의 양을 CAS

증가시키면서 함께 첨가할 수록 경화시간은 단축되었다

에 알미나 포틀랜드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Table 7 (AI-PC)

비교해보면 과 같다Table 8

기존의 재self-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보면 에서 보는 것처럼AI-PC Table 8

함량이 높을수록 경화시간은 너무 단축되어 그만큼 작업하는 시간이 촉박하AI-PC

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모든 결과를 종합해보면 응결시간은 온도와 습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실험할 때마다

기존레벨라를 비교하여 시험했다 가 가장 경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만 입자 CAS

가 뭉쳐 있어 혼합이 잘되지 않았다 그 결과 건조시 표면이 분화구처럼 돌출된 부

분이 많이 생겨났다

- 40 -

Table 8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CAS and Al-PC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5

급결제에 대한 성분 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는 와 같다 중탕Table 9

에서 증발시킨 후 의 잔유물에 대한 분석 결과(100 ) 50 wt Si 438 wt Na

로 나타났다 결정성과 구조분석을 위하여 로 확인한102 wt K 177 wt XRD

결과는 무결정 으로 피크가 나타나지 안했다 법으로 물을(amorphous) Karl fischer

분석시에도 가 잘 나타나지 안해 분석을 할 수 없었다 화학적 결합상태end-point

를 알아보기위해 을 이용하여 해석해본 결과IR Na2SiO3 H2 와O 50 wt 50 wt

의 H2 가 공존함을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O Na2SiO3 H2 와 의O 50 wt 50 wt

H2 를 함께 사용하기로 결정하였고 건설 현장에 시공 또는 제품 생산에 위와 같O

은 혼합비율을 적용하였다

- 41 -

Table 9 Chemical Composition of RCM300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6

측정된 충격음레벨은 ISO 140 Part 6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을 준용하여 수음실 기준 흡음력 에 대한sound insulation of Floors 1978) (10 )

보정 값으로 환산하였다(Table 10)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나타내는 수음실의 바닥충격음레벨 (Ln 은 다음 식 으로) (1)

구하였다

여기서

Ln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흡음력보정 바닥충격음레벨 j ( )

충격음위치 지점수m

상기 식 의 각 충격음 위치마다의 바닥충격음레벨의 평균값(1) (Lj 은 다음식 에) (2)

따라 산출하였다

- 42 -

Table 10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sound insulation of floor

- 43 -

여기서

Lj 수음실내 측정점 에서의 바닥충격음레벨 i ( )

측정점의 수n

또한 상기 바닥충격음레벨 평균값 (Lj 은 수음실의 흡음력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

므로 를 준용 이를 기준흡음력 에 대한 값ISO 140 Part6 (978) (10 ) (L nj 으로)

환산하였으며 그 산출식은 식 과 같다 (3)

여기서

L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평균 바닥충격음레벨 j ( )

AO 기준흡음력 (10 )

수음실 측정실 용적V ( ) ( )

수음실 측정실 잔향시간 초T ( ) ( )

에서 보면 기준판과 시험체의 경량충격음은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Table 10

충격음이 증가하다가 완만한 곡선을 나타내는 반면 중량충격음의 결과를 보면 주파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충격음이 계속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경량 충격음은 음원이 태핑머신인 관계로 주파수 변화에 따른

파장의 작고 큼에 별 영향을 주지 않지만 중량 충격음은 음원이 타이어임으로 고주

파대로 갈수록 파장이 작아서 투과 여건이 적은 관계에 기인함을 알 수 있다 본

바닥충격음과 소음에 대한 실험 결과 기존 시멘트몰탈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

믹몰탈간에 바닥충격음과 소음의 차이는 크게 나지 않음으로 무시할 정도임을 알았

- 44 -

제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7

아래 은 바닥재 시공에 대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과 재래식 시Table 11

멘트몰탈과의 특징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연구연에서 분석한 세라믹구들의 분석 결과를 에Table 12

실었다 현 시험법에 따라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 등의 물성을 공인된 한국건자 KS

재연구원에 의뢰한 결과 압축강도면에서 이 넘는 결과가 나왔으며 다른400 f

물성 또한 기준 물성값을 초과하는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에서 보는 것과 Table 12

같이 길이변화율은 일 경과 후 로서 거의 변화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28 -0046

며 이를 미루어 보아 시멘트몰탈의 수축 팽창에 기인되는 균열 원인을 해결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45 -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 구들의 비교Table 11

구분 단위 재래식 시멘트몰탈 본 제품 세라믹구들( )

시공후상태

몰탈층

바탕면의 균열 발생-바탕면의 평활 수평 이 없다- (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없다-공정 회 이 복잡하다- (3-4 )많은면적을 시공할 수 없다-양생시간이 길다 일- (3-7 )하자 보수비가 필요하다-시멘트 독성에 따른 인체에-해로움

바탕면의 균열이 없다- 바탕면의 평활 수평 성이 양호- ( )일정한 두께유지-공정이 단순 회공정 하다- (1 )많은 면적을 시공할 수 있다-양생시간이 짧다 일- (1 )하자보수비가 필요없다-건강보조기능-항균성 무독성 원적외선( )마감재 시공이 용이하다-에너지절감 효과가 크다-열전도율 및 축열기능이 좋다-차음 방음 효과가 우수하다- ( )건축물의 경량화-

세라믹 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시험 검사 방법 ( ) KS L 5105-97 KS L 5104-96 KS L 5207-rsquo99 KS F2424-rsquo95 KS L 1592 rsquo95시험원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시험일자 2000 OS 09 ~ 09 15

- 46 -

제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석회 광물은 마그네시아 광물과 함께 중요한 조암광물로서 천연에서는 산화물(CaO)

로는 존재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탄산염 황산염 또는 규산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석회질 원료로는 석회석 돌로마이트 형석 석고 규회석 등이었으며 이중 석회석

(CaCO3 과 석고)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만을 에 나타내었다 원적) Fig 10 11

외선 발열체와 세라믹 발열체가 있다 원석 발열체로는 맥반석 게르마늄석 옥석

황토 등이 있다 원적외선의 온열효과는 피부표면에 복사된 원적외선은 인체 중 물

의 진동 파장과 거의 비슷하며 공진 작용으로 일반열이 도달할 수 없는 부위( )共振

까지 도달하게 한다 이러한 심달력은 피하층의 온도상승 미세혈관의 확장 혈액순

환 촉진 선진대사강화 혈류 장해 해소 조직의 재생능력 증가 결련예방 및 암치

료 효과 등의 의학적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혈행이 좋아짐으로서

정상체온 유지 스트레스 해소 소화촉진 근육통 해소 피부 색깔 정상화 꺼칠한

눈이 부드러워지고 감기 예방효과 조직 내에 쌓여 있던 노폐물의 분비도 촉진된

다 또한 세포에 필요로 하는 영양소와 산소를 정상적으로 공급받게 되어 세포와

조직이 활력을 되찾게 되고 적당한 원적외선 활용은 세포의 노화를 막아주는 효과

를 볼 수 있다 원적외선 부작용 없는 건강유지와 질병의 예방치료적 기 (氣

라고 할 수 있다energy)

석회석은 시멘트의 주원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전방사율은 약 정도를085

보이고 있으나 이후와 단파장 영역쪽에 불안정한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보이20

고 있다 이는 공기 중의 습기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그 조성이 일부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시멘트를 측정하여 비교Fig 10 11

한 결과에서는 다소 석회석 자체원료를 측정한 것이 방사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CaSO4 는 외국에서 천연으로 산출된 것과 본 연구에서 제조한 배연 탈황석고)

모두 원적외선 방사특성에 있어서는 석회석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특히

부근에서의 약간의 골이 생겨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87

- 47 -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48 -

석고Fig 11 (CaSO4 의 원작외선 방사특성)

- 49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의 방사율은 에 실었다 현재 원적외선이 다Fig 12

량 방사되는 게르바늄석 참조 옥석 참조 맥반석 참조(Fig 13 ) (Fig 14 ) (Fig 15 )

등에 비해서 같은 수준의 방사에너지 및 방사율이 발현됨을 공인된 시험기간에 의

해서 입증되었다 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를 Fig16 3~20

파장 영역에서 방사특성을 나타내었다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는 이상흑체에

서 방사되는 특성과 같은 모양을 방출하고 있습을 알았다 따라서 세라믹구들은 건

강친화적인 면만 아니라 여러 가지 가능을 가진 차세대 온돌용 세라믹구들이라고

할 수 있다

제 절 현장 시공9

본 세라믹구들의 최적화 조건 조성 및 현장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차로 경기도 광1

주 소재 동심주택 제 차 그린타운 세대를 시험 시공한 바 있으며 위 결과를 토9 19

대로 최적화된 조건에 따라 안양 재건축현장 및 기홍 목조주택 등에 실용화 시공하

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Fig 17

필름 한 장을 깔고 그 위에 외경의 폴리에틸렌 엑셀파이프를 배관한 후 세라15

믹 구들로 타설한 후 수평을 잡으면서 두께를 로 일정하게 하였다40

시멘트 제품은 응결 경화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균열이 발생되

면 더 커지면서 계속 퍼져나가는 경향을 나타낸다 여러 종류의 균열 보수기법이

현재 마련되어 있으나 완벽한 균열 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 보수 후에도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 보수로 인해 외관의 불량 균열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로 시공한 결과는 상기와 같

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할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연구에 의해 일반 콘크리트에도 적

용할 경우 그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균열을 방지함으로서 방

수 강도저하 철근부식 등 내구성저하를 막으므로 고품질의 구조물 공사가 될 것으

로 예상된다

- 50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 51 -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 52 -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 53 -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5 -

- A study on the rebar corrosion in ceramic mortar

게재중Anal Sci Tech 14(1)

특허 출원 건- (2 )

명칭 화력발전소의 부산물을 이용한 유동성 세라믹몰탈 제조방법 및 유동성 세1

라믹몰탈

출원번호 10-1999-0012345

출원인 주식회사 범우

출원일자 19990408

명칭 온돌구조 및 온돌시공 방법2

출원번호 10-2000-0016064

출원인 주식회사 범우

출원일자 20000329

학회 발표 및 제품 설명회 회- 2

폐기물의 유효 적절한 이용으로 고부가가치화와 대기 환경문제 해결에도 많은 기-

표면의 건조시 수축을 극소화함으로서 균열 방지제 개발-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타설 후 시간 내 보행 가능한 바닥제로 활용- 24

기대효과Ⅴ

산업폐기물인 이수석고를 이용한 몰탈 개발로 환경보존 예산절감과 화력발전소의-

부산물을 이용함에 따른 원가절감 등 경제적 파급효과는 상당히 크다

성 세라믹몰탈재를 바닥에 뿌리기만 하면 되므로 업종인 건설현- Self-leveling 3D

장의 막대한 인건비 절약 효과

무수석고의 품질개선평가-

성 세라믹몰탈 개발에 대한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 Self-leveling

- 6 -

건조 수축율 극소화 이하- 004

압축강도 일 기 준 이상 증가- 400 (28 )

휨강도 일 기준 이상 증가- 64 (28 )

자동수평정도 크랙방지제 및 부식방지제 개발- (210 flow)

타설 후 시간 내 보행 가능한 제품 개발- 24

공기단축 및 뛰어난 단열효과-

주택 아파트 온돌에 자동 수평 세라믹몰탈로 적용-

마루 위 온돌시공 철근 구조물 복도나 내부바닥 등 단열 방음과 완전한 레벨효-

- 7 -

목 차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연구Ⅰ

제 장 서 론1

제 장 실 험2

제 절 배연탈황1

제 절 석고소성2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3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4

제 절 특수 첨가재5

세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6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7

제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1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2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3

제 절 특수 첨가재4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5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6

제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7

제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 8 -

제 절 현장 시공9

제 장 결 론4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제 장 실 험2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제 장 결 론4

- 9 -

표 목 차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연구Ⅰ

구미 유럽지역의 재 개발 현황Table 1 Self-leveling

Table 2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Table 3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and binder

Table 4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α

Table 5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LiCO3

Table 6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CAS

Table 7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and CAS

Table 8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a -gypsum LiCO3 CAS

and AI-PC

Table 9 Chemical composition of RCM300

Table 10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sound insulation of floor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구들의 비교Table 11

세라믹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 10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Table 1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V vs CuCUSO4)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 11 -

그 림 목 차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연구Ⅰ

Fig 1 TGA thermal curve of gypsum

Fig 2 Flow diagram of gypsum sintering system

Fig 3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Fig 4 SEM photograph of germany gypsum

Fig 5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after grinding

Fig 6 Present floor of impact sound insulation

Fig 7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each gypsum in sintering condition

Fig 8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gypsum after sieving

Fig 9 Particle distribution chart of gypsum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석고Fig 11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12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l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13 -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Ⅰ

제 장 서 론1

국내에서는 성 세라믹몰탈재를 고급타일 마감재의 수평조정용으로 사self-leveling

용함에 따라 실제적인 의 의미보다는 에 가깝게 적용하여 self-leveling smoothing

대개 시공두께 의 박막으로 시공하기 때문에 일본의 경우 대부분 이3~5 10

상의 후막형 제품들로는 적용이 불가능한 점을 들 수 있다 년 중반에서 수입사 lsquo80

를 통해서 수입하여 건축물에 적용해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년 초까지는 고가 lsquo90

의 재료비로 널리 사용되지는 못하고 대형백화점을 중심으로 시장 확대가 시도되었

으나 국내에서도 시멘트 업계나 건재 생산업체를 중심으로 시멘트계 self-leveling

재의 개발에 착수하기 시작하여 년부터 개 업체에서 판매를 개시함mortar lsquo93 2~3

으로써 시장이 활성화되기 시작하였다

최근에는 대형공장 주차장바닥에 적용할 수 있는 재를 실용화 self-leveling mortar

하여 현재 보급 중에 있으며 석고계 재는 대리점을 통해 수입 self-leveling mortar

품이 고급빌라의 방통 몰탈 대체용으로 각광받고 있어 국내도 다양한 self-leveling

재 제품이 소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및mortar

대형건물 주차장 바닥 몰탈로 성 세라믹몰탈을 사용한 실적은 없다 self-leveling

국외의 경우를 보면 일본에서의 재의 연구는 년에 일본주택self-leveling mortar lsquo73

공단에서 건축물의 요철면을 화하기 위한 바닥공법의 합리화라는 목적으로高精度

석고계 시멘트계 재의 기초연구가 시작되었으나 당시에는 경 self-leveling mortar

제성 때문에 실용화되지는 못하였다 이후 년대 초에서 중반까지는 lsquo70 SO3의 공해

규제에 의한 탈황석고의 효율적인 이용의 관점에서 석고계 self-leveling排煙

재의 실용화 연구에 박차를 가하게 되어 년 시험 시공에 성공하여 년mortar lsquo76 lsquo77

도부터 전국적으로 시판을 개시하기에 이르렀다

- 14 -

년에 최초로 시멘트계 재를 개발 시판하면서 일본내에서 석lsquo82 self-leveling mortar

고계와 시멘트계 재가 함께 사용되기 시작하였다self-leveling mortar

석고계 및 시멘트계 재에는 서로의 장 단점이 있기 때문에 나self-leveling mortar ㆍ

름대로의 판매영역을 구축해 나갔지만 년에 스웨덴의 사로부터 석고계 및 lsquo85 BEPA

시 멘트계의 장 단점을 보완한 무기질계 재 세라믹계 또는 혼self-leveling mortar (ㆍ

합형 재로도 칭함 를 기술도입 함으로써 이후에 일본에서는self-leveling mortar ) 3

종의 재가 시판되기 시작하여 오늘에 이르렀다self-leveling mortar

유럽에서는 오래 전부터 재를 바닥에 사용해 온 것으로 알려져self-leveling mortar

있으며 실제로 다양한 형태의 재가 시판되고 있다 참 self-leveling mortar (Table 1

조 재의 결합재별로 전술한 석고계 시멘트계 혼합계 외에도) Self-leveling mortar

폴리머를 이용한 폴리머시멘트계 또한 시공 두께별로 후막형 및 박막형 등 시공

조건이나 환경에 따라 적용 가능한 여러 제품들이 시판 되고 있다

성 세라믹 구들재에 요구되는 성능은 작업 종료시까지 유동성 확보문Self-leveling

제 응결 경화과정의 요구성능 내구성 측면 등에 좌우된다 유동성과의 균형을 확

보하지 않으면 골재 침강으로 인한 표면 이 심하게 발생되어 표면정도나bleeding

최종 마감재와의 부착 성능을 급격하게 저하시키거나 유동성이 저하되어 세라믹몰

탈재 마감공사가 용이하지 못하기 때문에 세라믹몰탈재 슬러지의 성상과 사용장비

와의 적합성은 공사의 승패를 좌우하는 주요 요인이 된다

- 15 -

구미 유럽지역의 재 개발 현황Table 1 Self -leveling

재 품종Self-leveling 개 발 국 가 참 여 업 체 명( )

석고계미국 등(GYP-CRETE HACKER )독일 등(BAYER KNAUF GUILINY HENCKEL )

시멘트계 스웨덴 등 핀랜드(ABS ZEMENTA ) (PARTEK)

혼합계 독일 등 스웨덴 등(PCI HENCKEL ) (BEPA )

폴리머시멘트계 영국 등 독일 등 웨덴 등(ICI ) (PCI HENCKEL ) (ABS )

무수석고에 첨가되는 시멘트에 대한 수많은 연구 결과가 소개되고 있으나 두 물질

간의 물리화학적인 양론적 문제와 시멘트 화학조성 분말도 발연곡선 응결 수화

열 강도 팽창 수축 화학적저항성 등에 따라 상이하다

신기술 시공의 정밀성 신속성 간편성이 특징인 성 세라믹몰탈의 시공 self-leveling

방법은 현장에서 제품에 물만 부어 바닥에 뿌리면 자동적으로 수평 한 면이 형성되

므로 기존의 시멘트 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

성 내구성 경량성과 자동 수평이 되는 평활성 때문에 별도의 쇠흙손으로 마감이

필요 없다 또한 시멘트 몰탈에 비하여 들뜸 현상 및 갈라짐이 없고 가벼운 재질로

되어 있어 건축 구조물의 경량화가 기대된다

특히 기계화 시공으로 인건비 절감 및 작업장 환경 개선 공기 단축 등으로 경제적

이고 정밀한 시공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기존 방식보다 방열성이 높다는 것

은 열효율 면에서 매우 유리한 난방 방식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성 세라믹몰탈은 최근 건축물의 화를 위한 건축 재료로 많이Self-leveling intelligent

사용되고 있다 세라믹몰탈은 유동성이 우수하며 신속한 응결 경화과정으로 일 1

안에 보행이 가능함은 물론 표면에 기포 자국이나 수축 균열이 없어 백화점 오피스

텔 대규모 건축물의 바닥 미장은 물론 목재 위에 박막이나 후막으로 많이 사용됨

으로서 건설 인력 부족을 대체할 수 있는 신기능성 제품이다

- 16 -

성 세라믹몰탈재는 사용되는 특수 첨가제에 따라 시멘트계 석고계 혼Self-leveling

합계 특수시멘트 팽창억지제 석고보드 등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각기 특성에 따라

적용되는 분야가 상이함으로 첨가제 혼화제 가 개선되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고부( )

가가치 산업을 창출할 수 있다

개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 물질인10 SO2를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하여 아황산석고로 생산되면서 SO2는 제거된다

아황산석고를 반응기에서 반응시켜 부산석고를 얻는다 화력발전소의 부산물인 석

고와 시멘트 결합제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성 세라믹몰탈은 국내의 부 self-leveling

존자원이나 산업폐기물의 유효 이용 차원에서 건축재료로의 활용은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최근 큰 문제로 대두된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일석

이조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됨으로서 국가 경제 발전에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기술적 측면에서 보면 시멘트제품은 응결 경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

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

그러나 과학 및 산업기술들이 고도로 발전되어 감에 따라 건축물 마감공사도 미려

함을 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성 세라믹몰탈재가 건축물 마감공사의self-leveling

성력화를 가능케 한 신 기능성 건축재료의 총아라 할 수 있다

이수석고는 국내 화력발전소에서 배출되는 가장 심각한 공해물질인 SO2 가스를 흡

수액 중 CaCO3과 반응시켜 년간 만톤씩 부산되고 있는 무용한 물질이다 산업폐33

기물의 일종인 이수석고를 소성과정을 거쳐 소석고 로 만든다(calcined gypsum)

소석고에 신 기능성 특수 를 첨가하여 바닥 마감용 성 세라믹몰binder self-leveling

탈재를 생산함으로써

열효율 면에서는 시멘트 제품보다 축열성이 높으며-

미장면이 평활하므로 추가로 보수가 필요 없고-

시멘트보다 압축 및 인장강도 면에서 우수하다-

시중 시멘트제품은 균열에 있어서 완벽한 균열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보

수 후에는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보수 및 면 평활도가 외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 17 -

그러나 본 제품을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하므로 그 파

급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된다

경제적 측면에서 보면 국내 석고 소비량은 연간 만톤으로 선진국의 연간 소비600

율 에도 못 미치는 실정이다 또한 국내에는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10

실정으로 해외에서 톤당 만원 정도의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볼16

때 품질이 좋고 가격이 싼 발전용 배연 탈황 석고의 공급은 국내 관련 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국내 발전용 배연 탈황 석고의 공급이

서기 년도에 이르면 약 만톤으로 국내 석고 수요량 만톤의 약 정2000 110 600 18

도는 충당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진다

현재 아파트 및 오피스텔 공사 등이 전국적으로 그 물량이 대단히 많으나 모든 미

장 마감층에 균열이 생기고 평활도의 문제가 발생되고 있어 입주 전에 균열 보수

재료에 의해 보수를 실시하고 있으나 완전 보수가 불가능하여 입주 후 많은 세대수

에서 하자보수로 인한 손실이 매우 큰 실정이다 또한 바닥면이 수평을 이루지 못

하여 가구 등의 제품에 뒤틀림 등으로 생활에 불편함을 제공하고 있다

본 제품은 상기와 같은 모든 문제점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훨씬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건비 절감 공기 단축 국내의 산업폐기물의 유효이용 차원에서

건축재료로의 활용은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시멘트 건축재 생산업체들을 중심으로 아파트 온돌 부위와 목재 위에 박막

또는 후막으로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용도의 세라믹몰탈 등의 상품화는 년간 500

억원 규모의 사업화가 가능할 것이며 또한 특수 의 개발은 연간 약 억 binder 150

원의 시장 창출이 예측된다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 보면 현대 산업의 고도화 및 복잡화로 환경 오염을 초래하

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각종 환경매체에 대한 환경 오염이 극심해지

고 있는 실정이어서 환경 오염 방지 및 환경보존 개선을 위한 규제가 점점 강화되

고 있다 특히 대기오염 생태계 파괴 등 환경과 보건에 심각한 위해가 초래됨으로

써 규제도 본격화하게 되었다

- 18 -

이산화유황으로 오염된 화력발전소의 배기가스는 석회함수물 또는 석회액과의 화학

적 반응을 통해 탈황된다 이로 인해 산성비 에 대한 원인은 제거된다 이런 중요 ldquo rdquo

한 환경기술적 조치의 반응생산물인 부산석고를 건축 자재로 사용함으로서 대기 환

경보존을 할 수 있다는 차원에서 금액으로 환산할 수 없는 중대한 기여를 할 것이

다 또한 내장 박막 이하 후막 등을 미려하게 함은 mortar(50 ) (5 ) (1O-15 )

물론 수축 팽창 균열 등을 방지함으로 풍요로운 생활공간을 제공할 것이다

위와 같은 평가 기술은 국내 최고의 분석 평가 기관인 특성분석센터와 세라믹KIST

스 연구부 및 주 범우에서 이미 확보되어 있고 국제적으로도 상당한 경쟁력을 갖( )

추고 있다 매우 불활성인 무수석고를 약 시간만에 경화가 시작되도록 활성화하는 2

즉 정해진 특성들을 가진 건축자재를 생산하는 두 가지 방식이 있다 그중 한 방법

은 미세하게 분쇄한 후 풀어짐을 촉진하는 소량의 자극제 즉 분산제의 첨가이며

다른 한 방법은 몰탈 준비 때보다 강력한 혼합을 요구하는 무수석고의 생산이REA

절실히 필요하다

- 19 -

제 장 실 험2

제 절 배연탈황1

화력 발전소에서 부산물로 생성되는 이수석고의 주요 반응은 의 현탁액과limestone

연소가스를 역류 세정시키면서 일어난다 이것은 아래에 열거한 것과 같은 확산과

화학반응으로 구분되어 진행된다

기 액 경계면에 이르기까지의 을 통한- gas film SO① 2의 확산

SO② 2가 상태가 되는aqueous dissolution

상태의Aqueous SO③ 2가 되어hydration H2SO3로 되고 이것이 H+ 와 HSO3-로 존

재하게 됨

HSO④ 3-가 분리되어 SO3

-를 형성함

용역내의 CaCO⑤ 3는 상태로 되고 이것은 다시aqueous dissolution H+이온과 반응

하여 Ca2+ 와 HSO3-를 형성함

및 과정에서 생성된 Ca⑥ ④ ⑤ 2+와 SO32-그리고 물이 반응하여 CaSO3ㆍ12H2 가O

형성됨

CaSO⑦ 3ㆍ12H2 는 물과 물속에 녹아있는 산소와 결합하여O CaSO4 2Hㆍ 2 를 형O

성함

- 20 -

반응식Total

이와 같은 반응들의 반응속도를 비교하여 볼 때 의 단계는 비교적 빠 ③ ④ ⑥ ⑦

른 반응이 되고 제어단계는 크게 가스확산 액체 내에서의 SO2 확산 석회석의

등 단계로 압축시킬 수 있다 위의 메카니즘 가운데 이온들의 화학반응dissolution 3

을 로 규명하기도 한다 이것은 기 액 경계면을 중심으two-reaction-planes model -

로 액체쪽으로 개의 을 설정하고 각각의 다른 반응이 일어난다는 것2 reaction plan

이다

제 절 석고 소성2

전항에서 만들어진 이수석고에 함유된 부착수분과 결정수분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

기로와 열질량분석기 를(thermogravimetric analyzer TGA Perkin-Elmer TGS-2)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에서 보면 공기 중에서 일 방치한 이수석고 중 Fig 1 2 18

정도가 되면 대부분 휘발성 물질들이 날아가서 무게가 정도 감소되었60 5 wt

다 다시 정도가 될 때까지 결정 수분이 정도 감소되었고 190 18 wt 700

가 될 때까지 정도가 휘발되어 날아가 전체 무게 감소는 되고2 wt 25 wt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휘발되는 것이 없이 일정한 무게를 유지하였다 전기로에서

실험한 결과도 부착수분이 건조감량이 로 전체 무게 감소율121 wt 109 wt

은 이였다 이수석고를 세라믹용기 및 용기에 각각230 wt stainless steel 500

씩 분취하여g 150 (2 hrs) 200 (1~2 hrs) 350 (1 hr) 420 (1 hr)

로 유지한 전기로에서 각각 소성하였500 (1 hr) 650 (15 hr) 750 (1 hr)

다 소성 후 를 사용하여 소성 X-Ray Diffractometer (XRD Rigaku DMAX-2500)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CaSO4 2Hㆍ 2 를 대량 소성하기 위하여O

에stainless steel port CaSO4 2H2 씩을 넣고 를 아래와 같O 2 conveyor furnace

은 조건 을 유지하면서 대전 소재 쌍용중앙연구소에서 시간 연속 실험하(Fig 2) 24

였다

- 21 -

Fig 1 TGA thermal curve of gypsum

- 22 -

Fig 2 Flow diagram of gypsum sintering system

- 23 -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3

에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석고에 대하여 표면형상을 관찰하였다Self-leveling

조건으로 국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Hitachi S-4200) 150

산 석고등의 입자를 조사한 결과는 과 에서 보는 바와 같다 과Fig 3 Fig 4 Fig 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국산석고의 크기가 독일산 석고보다 크나 분쇄를 잘하Fig 4

면 공정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추정된다self-leveling

의 입자가 큰 국산석고를 에서 분 분쇄 후 사진 의 결Fig 3 mortar 20 SEM (Fig5)

과를 보면 독일산 석고와 아주 유사한 형태와 로 변하였다 그러므로 분쇄 공정size

만 잘 진행하면 국산 석고도 외국산 석고에 비해 제조에 손색없음을self-leveling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 무수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를 위하여 쌍용연구소의 연속분쇄기

를 사용하여 분쇄하였다 분쇄 조건은 압력(roller mill) roller 6 feeding RPM

시료 투입량 등으로 무수석고를 연속 분쇄하였40 separator RPM 880 6 hr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4

국내산 석고와 외국산 석고들에 대한 화학성분 분석을 위하여 Optical Emission

로 정성분석한 후Spectrometer(OES TJA Atomcomp 81) Atomic Absorption

Sepctrophotometer(AAS Perkin Elmer 5000) 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meter(ICPAES Perkin Elmer Elan 5000) Wet

분석방법 등으로 국산 석고와 외국산 석고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Analysis(WET)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 석고에 대하여도 위에서 분석한 CAS( )

것과 같이 등의 방법으로 성분분석을 하여 석고의 품질OES AAS ICPAES WET

및 특성등을 파악하였다

- 24 -

Fig3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 25 -

Fig4 SEM photograph of germany gypsum

- 26 -

Fig5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after grinding

- 27 -

제 절 특수 첨가재5

기존의 재 에self- leveling 300 g H2 을 혼합한 후 아래와 같은 여러 종류의O 89 g

첨가재를 첨가하면서 초결 종결 등의 경화 응결 및 플로값 등의 물리적인 성질을

측정하였다

또한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

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기존의 재 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O 89g CAS ( )

때의 물리적인 특성뿐 아니라 알미나 포틀랜드 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AI-PC)

때의 물리적인 특성도 비교하였다

가존의 재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 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위에서 측정한 경우와 서로 비교하AI-PC

여 보았다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6

재 제조시 적절한 응결을 위하여 급결제을 사용하는데 통상 물유리를Self -leveling

많이 사용함을 본 연구에서 알았다 급결제의 성분 분석을 위하여 wet analysis

등을 사용하였으며 구조분석을 위하여는 와 을 사용하였OES AAS ICPAES XRD IR

다 법으로는 석고중에 함유되어 있는 물의 함량을 분석하는데 사용하 Karl fischer

였다

- 28 -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7

바닥 충격음 및 소음에 대한 시험은 여주군에 위치한 방재시험연구소에 의뢰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편을 제작하여 측정하였다 바닥 충격음 방지재 (save gum pad

를 사용한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 에 시험재료로 한양 시멘트 제품인6 t) (246 )

레미탈 을 사용하여 몰탈 바닥 넓이 로 작업한 후900 28 m times 42 m times 30

일 간 야외에서 양생하여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참조30 (Fig 6 )

바닥충격음시험은 건축물현장에 있어서의 바닥충격음측정방법 을KSF 2810 ( 1981)

적용하여 음원실 충격음발생실 과 수음실 충격음측정실 로 구성된 잔향실 사이 바( ) ( )

닥개구부에 시험체를 설치한 후 시험체위에서 충격음 경량 태핑 머신 및 중량충 (

격음 타이어 을 발생시켜 주파수범위의 대역별 바닥충격음 ) 63-4000 13 Octave

레벨 회를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하였다25

제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최근 건설 현장에 불기 시작한 주거환경의 쾌적화와 원적외선 방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도 원적외선 방사에 대한 시험을 시행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과 한국원적외선협회에 세라믹몰탈 옥석 맥반석

게르마늄석을 의뢰하여 방사율을 단파장인 영역인 에서 까지 측정하였다3 20

- 29 -

Fig 6 Present floor of impact sound insulation

- 3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1

화력발전소에서 부산물로 생성된 이수석고를 대전소재 쌍용 중앙연구소에서 rotary

을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소성된 석고를kiln X - Ray Diffractometer (XRD Rigaku

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수석고는DMAX-2500) Fig 7

에서는150~200 CaSO 4 2Hㆍ 2 가O CaSO4 12Hㆍ 2 로 변하고 에서O 350 CaSO 4

의 피크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그후 온도를 올림에 따라 무수석고의 결정성이 좋

아짐을 알 수 있었다 참조(Fig 7 )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2

으로 확인한 결과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국산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ig 3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로 단단한 모양으로 균일하게70

구성되어 있는 반면 의 독일산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 Fig 4 70

의 크기가 소수 분포와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분포175

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체로 한 결 -200 mesh sieving

과를 보면 정도의 가 큰 덩어리가 남아 있었다10 size

가 큰 덩어리를 로 확인한 결과 석고로 판명되었다 에서 보면 독일Size XRD Fig 8

산 최초 석고인 BW CaSO4 과 후의 의(GER)-3 sieving XRD pattern BW

CaSO4 와 동일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들은 결과와 결과로(G+200M)-4 XRD TGA

보면 모두 CaSO4로 판명되었다

에서 분쇄된 무수석고의 입자분포도를 보기 위하여Roller mill particle size

로 측정범위 측정 분산매analyzer 01-180 lens focal depth 100 methyl

를 사용하여 초음파 분산 방법으로 입도 분포도를 얻어 에 실었다alcohol Fig 9

- 31 -

Fig7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each gypsum in sintering condition

- 32 -

Fig8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gypsum after sieving

- 33 -

Fig 9 Particle distribution chart of gypsum

- 34 -

에서의 입자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이하의 분포도가 전체의 를Fig 9 5 87

차지하고 있는 반면 마이크론미터 이상이 전체의 밖에 차지하고 있음을 알10 3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보면 외국산 석고에 비해 공정에서는 보다 나 self - leveling

은 작업성과 물성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3

분석방법 등으로 분석한 결과 에서 보OES AAS ICPAES Wet Analysis Table 2

는 바와 같이 독일산석고와 국산석고의 분석결과가 화학성분에서는 아주 유사하다

그러나 독일산 석고에 규사만이 함유되어 있는 것에 비해 국산 석고에는16 wt

규사가 로 작게 함유되어 있었다 이는 원재료의 광산에 함유된 규사에096 wt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석고에 대한 분석 결과를 CAS( ) Table 3

에 실었다 에서 보면 라파석고에 인이 포함되어 있는 반면 인 Table 3 00072 wt

산무수 석고에는 로 많이 포함되어 있어 제조시 인산무0024 wt self- leveling

수 석고를 사용한 결과가 나쁘게 나타났다고 추정되며 지지용 철근의self-leveling

부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이므로 인산석고의 사용을 피함이 좋을 것이다

인산무수 석고는 자체에서 산성 성분을 용출함으로서 콘크리트 중에 함유된 알칼리

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을 혼입시키어 철근을 활성화

상태로 만들고 이로 인해 부식하기 쉽게 된다

- 35 -

Table 2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 36 -

Table 3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and Binder

- 37 -

제 절 특수 첨가재4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의 양을 변화시O 89 g -α

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4

Table 4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a -gypsum

에서 보면 석고의 함량을 증가할수록 초결시간은 빨라지지만 수분증발시Table 4 -α

간이 느리고 기존레벨라보다 종결시간이 느린 것을 보아 석고만을 첨가한다는-α

것은 의미가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화시키

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5

Table 5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LiCO3

- 38 -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기존레벨라에는 이미Table 5 LiCO3이 인 이 포014 042g

함되어 있어 순으로 첨가하였으나 첨가 양에 따른 초결상태의 변화0 15 30 g

는 없었으나 종결상태는 조금씩 첨가 양이 많아지면서 조금씩 지연되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O 89 g CAS ( )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과 같다Table 6

Table 6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CAS

에서 보면 를 씩 증가하면서 첨가함에 따라 초결상태와Table 6 CAS 0 10 20 g

종결상태가 보다 급격히 빨라짐을 알 수 있었다 즉 경화 속도에 의Table 4 5 CAS

함유량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에서 사용한 첨가제를 모두 혼합하여 기존의 재Table 4 5 6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비교해보면O 89 g Table

과 같다7

- 39 -

Table 7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and CAS

에서 보는 것처럼 기존의 재Table 7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O 89 g

라에 석고와- LiCOα 3 만을 혼합하였을 때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의 양을 CAS

증가시키면서 함께 첨가할 수록 경화시간은 단축되었다

에 알미나 포틀랜드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Table 7 (AI-PC)

비교해보면 과 같다Table 8

기존의 재self-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보면 에서 보는 것처럼AI-PC Table 8

함량이 높을수록 경화시간은 너무 단축되어 그만큼 작업하는 시간이 촉박하AI-PC

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모든 결과를 종합해보면 응결시간은 온도와 습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실험할 때마다

기존레벨라를 비교하여 시험했다 가 가장 경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만 입자 CAS

가 뭉쳐 있어 혼합이 잘되지 않았다 그 결과 건조시 표면이 분화구처럼 돌출된 부

분이 많이 생겨났다

- 40 -

Table 8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CAS and Al-PC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5

급결제에 대한 성분 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는 와 같다 중탕Table 9

에서 증발시킨 후 의 잔유물에 대한 분석 결과(100 ) 50 wt Si 438 wt Na

로 나타났다 결정성과 구조분석을 위하여 로 확인한102 wt K 177 wt XRD

결과는 무결정 으로 피크가 나타나지 안했다 법으로 물을(amorphous) Karl fischer

분석시에도 가 잘 나타나지 안해 분석을 할 수 없었다 화학적 결합상태end-point

를 알아보기위해 을 이용하여 해석해본 결과IR Na2SiO3 H2 와O 50 wt 50 wt

의 H2 가 공존함을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O Na2SiO3 H2 와 의O 50 wt 50 wt

H2 를 함께 사용하기로 결정하였고 건설 현장에 시공 또는 제품 생산에 위와 같O

은 혼합비율을 적용하였다

- 41 -

Table 9 Chemical Composition of RCM300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6

측정된 충격음레벨은 ISO 140 Part 6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을 준용하여 수음실 기준 흡음력 에 대한sound insulation of Floors 1978) (10 )

보정 값으로 환산하였다(Table 10)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나타내는 수음실의 바닥충격음레벨 (Ln 은 다음 식 으로) (1)

구하였다

여기서

Ln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흡음력보정 바닥충격음레벨 j ( )

충격음위치 지점수m

상기 식 의 각 충격음 위치마다의 바닥충격음레벨의 평균값(1) (Lj 은 다음식 에) (2)

따라 산출하였다

- 42 -

Table 10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sound insulation of floor

- 43 -

여기서

Lj 수음실내 측정점 에서의 바닥충격음레벨 i ( )

측정점의 수n

또한 상기 바닥충격음레벨 평균값 (Lj 은 수음실의 흡음력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

므로 를 준용 이를 기준흡음력 에 대한 값ISO 140 Part6 (978) (10 ) (L nj 으로)

환산하였으며 그 산출식은 식 과 같다 (3)

여기서

L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평균 바닥충격음레벨 j ( )

AO 기준흡음력 (10 )

수음실 측정실 용적V ( ) ( )

수음실 측정실 잔향시간 초T ( ) ( )

에서 보면 기준판과 시험체의 경량충격음은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Table 10

충격음이 증가하다가 완만한 곡선을 나타내는 반면 중량충격음의 결과를 보면 주파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충격음이 계속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경량 충격음은 음원이 태핑머신인 관계로 주파수 변화에 따른

파장의 작고 큼에 별 영향을 주지 않지만 중량 충격음은 음원이 타이어임으로 고주

파대로 갈수록 파장이 작아서 투과 여건이 적은 관계에 기인함을 알 수 있다 본

바닥충격음과 소음에 대한 실험 결과 기존 시멘트몰탈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

믹몰탈간에 바닥충격음과 소음의 차이는 크게 나지 않음으로 무시할 정도임을 알았

- 44 -

제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7

아래 은 바닥재 시공에 대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과 재래식 시Table 11

멘트몰탈과의 특징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연구연에서 분석한 세라믹구들의 분석 결과를 에Table 12

실었다 현 시험법에 따라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 등의 물성을 공인된 한국건자 KS

재연구원에 의뢰한 결과 압축강도면에서 이 넘는 결과가 나왔으며 다른400 f

물성 또한 기준 물성값을 초과하는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에서 보는 것과 Table 12

같이 길이변화율은 일 경과 후 로서 거의 변화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28 -0046

며 이를 미루어 보아 시멘트몰탈의 수축 팽창에 기인되는 균열 원인을 해결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45 -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 구들의 비교Table 11

구분 단위 재래식 시멘트몰탈 본 제품 세라믹구들( )

시공후상태

몰탈층

바탕면의 균열 발생-바탕면의 평활 수평 이 없다- (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없다-공정 회 이 복잡하다- (3-4 )많은면적을 시공할 수 없다-양생시간이 길다 일- (3-7 )하자 보수비가 필요하다-시멘트 독성에 따른 인체에-해로움

바탕면의 균열이 없다- 바탕면의 평활 수평 성이 양호- ( )일정한 두께유지-공정이 단순 회공정 하다- (1 )많은 면적을 시공할 수 있다-양생시간이 짧다 일- (1 )하자보수비가 필요없다-건강보조기능-항균성 무독성 원적외선( )마감재 시공이 용이하다-에너지절감 효과가 크다-열전도율 및 축열기능이 좋다-차음 방음 효과가 우수하다- ( )건축물의 경량화-

세라믹 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시험 검사 방법 ( ) KS L 5105-97 KS L 5104-96 KS L 5207-rsquo99 KS F2424-rsquo95 KS L 1592 rsquo95시험원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시험일자 2000 OS 09 ~ 09 15

- 46 -

제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석회 광물은 마그네시아 광물과 함께 중요한 조암광물로서 천연에서는 산화물(CaO)

로는 존재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탄산염 황산염 또는 규산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석회질 원료로는 석회석 돌로마이트 형석 석고 규회석 등이었으며 이중 석회석

(CaCO3 과 석고)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만을 에 나타내었다 원적) Fig 10 11

외선 발열체와 세라믹 발열체가 있다 원석 발열체로는 맥반석 게르마늄석 옥석

황토 등이 있다 원적외선의 온열효과는 피부표면에 복사된 원적외선은 인체 중 물

의 진동 파장과 거의 비슷하며 공진 작용으로 일반열이 도달할 수 없는 부위( )共振

까지 도달하게 한다 이러한 심달력은 피하층의 온도상승 미세혈관의 확장 혈액순

환 촉진 선진대사강화 혈류 장해 해소 조직의 재생능력 증가 결련예방 및 암치

료 효과 등의 의학적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혈행이 좋아짐으로서

정상체온 유지 스트레스 해소 소화촉진 근육통 해소 피부 색깔 정상화 꺼칠한

눈이 부드러워지고 감기 예방효과 조직 내에 쌓여 있던 노폐물의 분비도 촉진된

다 또한 세포에 필요로 하는 영양소와 산소를 정상적으로 공급받게 되어 세포와

조직이 활력을 되찾게 되고 적당한 원적외선 활용은 세포의 노화를 막아주는 효과

를 볼 수 있다 원적외선 부작용 없는 건강유지와 질병의 예방치료적 기 (氣

라고 할 수 있다energy)

석회석은 시멘트의 주원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전방사율은 약 정도를085

보이고 있으나 이후와 단파장 영역쪽에 불안정한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보이20

고 있다 이는 공기 중의 습기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그 조성이 일부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시멘트를 측정하여 비교Fig 10 11

한 결과에서는 다소 석회석 자체원료를 측정한 것이 방사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CaSO4 는 외국에서 천연으로 산출된 것과 본 연구에서 제조한 배연 탈황석고)

모두 원적외선 방사특성에 있어서는 석회석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특히

부근에서의 약간의 골이 생겨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87

- 47 -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48 -

석고Fig 11 (CaSO4 의 원작외선 방사특성)

- 49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의 방사율은 에 실었다 현재 원적외선이 다Fig 12

량 방사되는 게르바늄석 참조 옥석 참조 맥반석 참조(Fig 13 ) (Fig 14 ) (Fig 15 )

등에 비해서 같은 수준의 방사에너지 및 방사율이 발현됨을 공인된 시험기간에 의

해서 입증되었다 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를 Fig16 3~20

파장 영역에서 방사특성을 나타내었다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는 이상흑체에

서 방사되는 특성과 같은 모양을 방출하고 있습을 알았다 따라서 세라믹구들은 건

강친화적인 면만 아니라 여러 가지 가능을 가진 차세대 온돌용 세라믹구들이라고

할 수 있다

제 절 현장 시공9

본 세라믹구들의 최적화 조건 조성 및 현장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차로 경기도 광1

주 소재 동심주택 제 차 그린타운 세대를 시험 시공한 바 있으며 위 결과를 토9 19

대로 최적화된 조건에 따라 안양 재건축현장 및 기홍 목조주택 등에 실용화 시공하

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Fig 17

필름 한 장을 깔고 그 위에 외경의 폴리에틸렌 엑셀파이프를 배관한 후 세라15

믹 구들로 타설한 후 수평을 잡으면서 두께를 로 일정하게 하였다40

시멘트 제품은 응결 경화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균열이 발생되

면 더 커지면서 계속 퍼져나가는 경향을 나타낸다 여러 종류의 균열 보수기법이

현재 마련되어 있으나 완벽한 균열 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 보수 후에도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 보수로 인해 외관의 불량 균열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로 시공한 결과는 상기와 같

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할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연구에 의해 일반 콘크리트에도 적

용할 경우 그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균열을 방지함으로서 방

수 강도저하 철근부식 등 내구성저하를 막으므로 고품질의 구조물 공사가 될 것으

로 예상된다

- 50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 51 -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 52 -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 53 -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6 -

건조 수축율 극소화 이하- 004

압축강도 일 기 준 이상 증가- 400 (28 )

휨강도 일 기준 이상 증가- 64 (28 )

자동수평정도 크랙방지제 및 부식방지제 개발- (210 flow)

타설 후 시간 내 보행 가능한 제품 개발- 24

공기단축 및 뛰어난 단열효과-

주택 아파트 온돌에 자동 수평 세라믹몰탈로 적용-

마루 위 온돌시공 철근 구조물 복도나 내부바닥 등 단열 방음과 완전한 레벨효-

- 7 -

목 차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연구Ⅰ

제 장 서 론1

제 장 실 험2

제 절 배연탈황1

제 절 석고소성2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3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4

제 절 특수 첨가재5

세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6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7

제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1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2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3

제 절 특수 첨가재4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5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6

제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7

제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 8 -

제 절 현장 시공9

제 장 결 론4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제 장 실 험2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제 장 결 론4

- 9 -

표 목 차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연구Ⅰ

구미 유럽지역의 재 개발 현황Table 1 Self-leveling

Table 2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Table 3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and binder

Table 4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α

Table 5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LiCO3

Table 6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CAS

Table 7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and CAS

Table 8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a -gypsum LiCO3 CAS

and AI-PC

Table 9 Chemical composition of RCM300

Table 10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sound insulation of floor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구들의 비교Table 11

세라믹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 10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Table 1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V vs CuCUSO4)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 11 -

그 림 목 차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연구Ⅰ

Fig 1 TGA thermal curve of gypsum

Fig 2 Flow diagram of gypsum sintering system

Fig 3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Fig 4 SEM photograph of germany gypsum

Fig 5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after grinding

Fig 6 Present floor of impact sound insulation

Fig 7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each gypsum in sintering condition

Fig 8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gypsum after sieving

Fig 9 Particle distribution chart of gypsum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석고Fig 11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12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l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13 -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Ⅰ

제 장 서 론1

국내에서는 성 세라믹몰탈재를 고급타일 마감재의 수평조정용으로 사self-leveling

용함에 따라 실제적인 의 의미보다는 에 가깝게 적용하여 self-leveling smoothing

대개 시공두께 의 박막으로 시공하기 때문에 일본의 경우 대부분 이3~5 10

상의 후막형 제품들로는 적용이 불가능한 점을 들 수 있다 년 중반에서 수입사 lsquo80

를 통해서 수입하여 건축물에 적용해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년 초까지는 고가 lsquo90

의 재료비로 널리 사용되지는 못하고 대형백화점을 중심으로 시장 확대가 시도되었

으나 국내에서도 시멘트 업계나 건재 생산업체를 중심으로 시멘트계 self-leveling

재의 개발에 착수하기 시작하여 년부터 개 업체에서 판매를 개시함mortar lsquo93 2~3

으로써 시장이 활성화되기 시작하였다

최근에는 대형공장 주차장바닥에 적용할 수 있는 재를 실용화 self-leveling mortar

하여 현재 보급 중에 있으며 석고계 재는 대리점을 통해 수입 self-leveling mortar

품이 고급빌라의 방통 몰탈 대체용으로 각광받고 있어 국내도 다양한 self-leveling

재 제품이 소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및mortar

대형건물 주차장 바닥 몰탈로 성 세라믹몰탈을 사용한 실적은 없다 self-leveling

국외의 경우를 보면 일본에서의 재의 연구는 년에 일본주택self-leveling mortar lsquo73

공단에서 건축물의 요철면을 화하기 위한 바닥공법의 합리화라는 목적으로高精度

석고계 시멘트계 재의 기초연구가 시작되었으나 당시에는 경 self-leveling mortar

제성 때문에 실용화되지는 못하였다 이후 년대 초에서 중반까지는 lsquo70 SO3의 공해

규제에 의한 탈황석고의 효율적인 이용의 관점에서 석고계 self-leveling排煙

재의 실용화 연구에 박차를 가하게 되어 년 시험 시공에 성공하여 년mortar lsquo76 lsquo77

도부터 전국적으로 시판을 개시하기에 이르렀다

- 14 -

년에 최초로 시멘트계 재를 개발 시판하면서 일본내에서 석lsquo82 self-leveling mortar

고계와 시멘트계 재가 함께 사용되기 시작하였다self-leveling mortar

석고계 및 시멘트계 재에는 서로의 장 단점이 있기 때문에 나self-leveling mortar ㆍ

름대로의 판매영역을 구축해 나갔지만 년에 스웨덴의 사로부터 석고계 및 lsquo85 BEPA

시 멘트계의 장 단점을 보완한 무기질계 재 세라믹계 또는 혼self-leveling mortar (ㆍ

합형 재로도 칭함 를 기술도입 함으로써 이후에 일본에서는self-leveling mortar ) 3

종의 재가 시판되기 시작하여 오늘에 이르렀다self-leveling mortar

유럽에서는 오래 전부터 재를 바닥에 사용해 온 것으로 알려져self-leveling mortar

있으며 실제로 다양한 형태의 재가 시판되고 있다 참 self-leveling mortar (Table 1

조 재의 결합재별로 전술한 석고계 시멘트계 혼합계 외에도) Self-leveling mortar

폴리머를 이용한 폴리머시멘트계 또한 시공 두께별로 후막형 및 박막형 등 시공

조건이나 환경에 따라 적용 가능한 여러 제품들이 시판 되고 있다

성 세라믹 구들재에 요구되는 성능은 작업 종료시까지 유동성 확보문Self-leveling

제 응결 경화과정의 요구성능 내구성 측면 등에 좌우된다 유동성과의 균형을 확

보하지 않으면 골재 침강으로 인한 표면 이 심하게 발생되어 표면정도나bleeding

최종 마감재와의 부착 성능을 급격하게 저하시키거나 유동성이 저하되어 세라믹몰

탈재 마감공사가 용이하지 못하기 때문에 세라믹몰탈재 슬러지의 성상과 사용장비

와의 적합성은 공사의 승패를 좌우하는 주요 요인이 된다

- 15 -

구미 유럽지역의 재 개발 현황Table 1 Self -leveling

재 품종Self-leveling 개 발 국 가 참 여 업 체 명( )

석고계미국 등(GYP-CRETE HACKER )독일 등(BAYER KNAUF GUILINY HENCKEL )

시멘트계 스웨덴 등 핀랜드(ABS ZEMENTA ) (PARTEK)

혼합계 독일 등 스웨덴 등(PCI HENCKEL ) (BEPA )

폴리머시멘트계 영국 등 독일 등 웨덴 등(ICI ) (PCI HENCKEL ) (ABS )

무수석고에 첨가되는 시멘트에 대한 수많은 연구 결과가 소개되고 있으나 두 물질

간의 물리화학적인 양론적 문제와 시멘트 화학조성 분말도 발연곡선 응결 수화

열 강도 팽창 수축 화학적저항성 등에 따라 상이하다

신기술 시공의 정밀성 신속성 간편성이 특징인 성 세라믹몰탈의 시공 self-leveling

방법은 현장에서 제품에 물만 부어 바닥에 뿌리면 자동적으로 수평 한 면이 형성되

므로 기존의 시멘트 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

성 내구성 경량성과 자동 수평이 되는 평활성 때문에 별도의 쇠흙손으로 마감이

필요 없다 또한 시멘트 몰탈에 비하여 들뜸 현상 및 갈라짐이 없고 가벼운 재질로

되어 있어 건축 구조물의 경량화가 기대된다

특히 기계화 시공으로 인건비 절감 및 작업장 환경 개선 공기 단축 등으로 경제적

이고 정밀한 시공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기존 방식보다 방열성이 높다는 것

은 열효율 면에서 매우 유리한 난방 방식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성 세라믹몰탈은 최근 건축물의 화를 위한 건축 재료로 많이Self-leveling intelligent

사용되고 있다 세라믹몰탈은 유동성이 우수하며 신속한 응결 경화과정으로 일 1

안에 보행이 가능함은 물론 표면에 기포 자국이나 수축 균열이 없어 백화점 오피스

텔 대규모 건축물의 바닥 미장은 물론 목재 위에 박막이나 후막으로 많이 사용됨

으로서 건설 인력 부족을 대체할 수 있는 신기능성 제품이다

- 16 -

성 세라믹몰탈재는 사용되는 특수 첨가제에 따라 시멘트계 석고계 혼Self-leveling

합계 특수시멘트 팽창억지제 석고보드 등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각기 특성에 따라

적용되는 분야가 상이함으로 첨가제 혼화제 가 개선되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고부( )

가가치 산업을 창출할 수 있다

개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 물질인10 SO2를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하여 아황산석고로 생산되면서 SO2는 제거된다

아황산석고를 반응기에서 반응시켜 부산석고를 얻는다 화력발전소의 부산물인 석

고와 시멘트 결합제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성 세라믹몰탈은 국내의 부 self-leveling

존자원이나 산업폐기물의 유효 이용 차원에서 건축재료로의 활용은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최근 큰 문제로 대두된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일석

이조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됨으로서 국가 경제 발전에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기술적 측면에서 보면 시멘트제품은 응결 경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

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

그러나 과학 및 산업기술들이 고도로 발전되어 감에 따라 건축물 마감공사도 미려

함을 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성 세라믹몰탈재가 건축물 마감공사의self-leveling

성력화를 가능케 한 신 기능성 건축재료의 총아라 할 수 있다

이수석고는 국내 화력발전소에서 배출되는 가장 심각한 공해물질인 SO2 가스를 흡

수액 중 CaCO3과 반응시켜 년간 만톤씩 부산되고 있는 무용한 물질이다 산업폐33

기물의 일종인 이수석고를 소성과정을 거쳐 소석고 로 만든다(calcined gypsum)

소석고에 신 기능성 특수 를 첨가하여 바닥 마감용 성 세라믹몰binder self-leveling

탈재를 생산함으로써

열효율 면에서는 시멘트 제품보다 축열성이 높으며-

미장면이 평활하므로 추가로 보수가 필요 없고-

시멘트보다 압축 및 인장강도 면에서 우수하다-

시중 시멘트제품은 균열에 있어서 완벽한 균열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보

수 후에는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보수 및 면 평활도가 외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 17 -

그러나 본 제품을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하므로 그 파

급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된다

경제적 측면에서 보면 국내 석고 소비량은 연간 만톤으로 선진국의 연간 소비600

율 에도 못 미치는 실정이다 또한 국내에는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10

실정으로 해외에서 톤당 만원 정도의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볼16

때 품질이 좋고 가격이 싼 발전용 배연 탈황 석고의 공급은 국내 관련 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국내 발전용 배연 탈황 석고의 공급이

서기 년도에 이르면 약 만톤으로 국내 석고 수요량 만톤의 약 정2000 110 600 18

도는 충당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진다

현재 아파트 및 오피스텔 공사 등이 전국적으로 그 물량이 대단히 많으나 모든 미

장 마감층에 균열이 생기고 평활도의 문제가 발생되고 있어 입주 전에 균열 보수

재료에 의해 보수를 실시하고 있으나 완전 보수가 불가능하여 입주 후 많은 세대수

에서 하자보수로 인한 손실이 매우 큰 실정이다 또한 바닥면이 수평을 이루지 못

하여 가구 등의 제품에 뒤틀림 등으로 생활에 불편함을 제공하고 있다

본 제품은 상기와 같은 모든 문제점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훨씬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건비 절감 공기 단축 국내의 산업폐기물의 유효이용 차원에서

건축재료로의 활용은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시멘트 건축재 생산업체들을 중심으로 아파트 온돌 부위와 목재 위에 박막

또는 후막으로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용도의 세라믹몰탈 등의 상품화는 년간 500

억원 규모의 사업화가 가능할 것이며 또한 특수 의 개발은 연간 약 억 binder 150

원의 시장 창출이 예측된다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 보면 현대 산업의 고도화 및 복잡화로 환경 오염을 초래하

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각종 환경매체에 대한 환경 오염이 극심해지

고 있는 실정이어서 환경 오염 방지 및 환경보존 개선을 위한 규제가 점점 강화되

고 있다 특히 대기오염 생태계 파괴 등 환경과 보건에 심각한 위해가 초래됨으로

써 규제도 본격화하게 되었다

- 18 -

이산화유황으로 오염된 화력발전소의 배기가스는 석회함수물 또는 석회액과의 화학

적 반응을 통해 탈황된다 이로 인해 산성비 에 대한 원인은 제거된다 이런 중요 ldquo rdquo

한 환경기술적 조치의 반응생산물인 부산석고를 건축 자재로 사용함으로서 대기 환

경보존을 할 수 있다는 차원에서 금액으로 환산할 수 없는 중대한 기여를 할 것이

다 또한 내장 박막 이하 후막 등을 미려하게 함은 mortar(50 ) (5 ) (1O-15 )

물론 수축 팽창 균열 등을 방지함으로 풍요로운 생활공간을 제공할 것이다

위와 같은 평가 기술은 국내 최고의 분석 평가 기관인 특성분석센터와 세라믹KIST

스 연구부 및 주 범우에서 이미 확보되어 있고 국제적으로도 상당한 경쟁력을 갖( )

추고 있다 매우 불활성인 무수석고를 약 시간만에 경화가 시작되도록 활성화하는 2

즉 정해진 특성들을 가진 건축자재를 생산하는 두 가지 방식이 있다 그중 한 방법

은 미세하게 분쇄한 후 풀어짐을 촉진하는 소량의 자극제 즉 분산제의 첨가이며

다른 한 방법은 몰탈 준비 때보다 강력한 혼합을 요구하는 무수석고의 생산이REA

절실히 필요하다

- 19 -

제 장 실 험2

제 절 배연탈황1

화력 발전소에서 부산물로 생성되는 이수석고의 주요 반응은 의 현탁액과limestone

연소가스를 역류 세정시키면서 일어난다 이것은 아래에 열거한 것과 같은 확산과

화학반응으로 구분되어 진행된다

기 액 경계면에 이르기까지의 을 통한- gas film SO① 2의 확산

SO② 2가 상태가 되는aqueous dissolution

상태의Aqueous SO③ 2가 되어hydration H2SO3로 되고 이것이 H+ 와 HSO3-로 존

재하게 됨

HSO④ 3-가 분리되어 SO3

-를 형성함

용역내의 CaCO⑤ 3는 상태로 되고 이것은 다시aqueous dissolution H+이온과 반응

하여 Ca2+ 와 HSO3-를 형성함

및 과정에서 생성된 Ca⑥ ④ ⑤ 2+와 SO32-그리고 물이 반응하여 CaSO3ㆍ12H2 가O

형성됨

CaSO⑦ 3ㆍ12H2 는 물과 물속에 녹아있는 산소와 결합하여O CaSO4 2Hㆍ 2 를 형O

성함

- 20 -

반응식Total

이와 같은 반응들의 반응속도를 비교하여 볼 때 의 단계는 비교적 빠 ③ ④ ⑥ ⑦

른 반응이 되고 제어단계는 크게 가스확산 액체 내에서의 SO2 확산 석회석의

등 단계로 압축시킬 수 있다 위의 메카니즘 가운데 이온들의 화학반응dissolution 3

을 로 규명하기도 한다 이것은 기 액 경계면을 중심으two-reaction-planes model -

로 액체쪽으로 개의 을 설정하고 각각의 다른 반응이 일어난다는 것2 reaction plan

이다

제 절 석고 소성2

전항에서 만들어진 이수석고에 함유된 부착수분과 결정수분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

기로와 열질량분석기 를(thermogravimetric analyzer TGA Perkin-Elmer TGS-2)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에서 보면 공기 중에서 일 방치한 이수석고 중 Fig 1 2 18

정도가 되면 대부분 휘발성 물질들이 날아가서 무게가 정도 감소되었60 5 wt

다 다시 정도가 될 때까지 결정 수분이 정도 감소되었고 190 18 wt 700

가 될 때까지 정도가 휘발되어 날아가 전체 무게 감소는 되고2 wt 25 wt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휘발되는 것이 없이 일정한 무게를 유지하였다 전기로에서

실험한 결과도 부착수분이 건조감량이 로 전체 무게 감소율121 wt 109 wt

은 이였다 이수석고를 세라믹용기 및 용기에 각각230 wt stainless steel 500

씩 분취하여g 150 (2 hrs) 200 (1~2 hrs) 350 (1 hr) 420 (1 hr)

로 유지한 전기로에서 각각 소성하였500 (1 hr) 650 (15 hr) 750 (1 hr)

다 소성 후 를 사용하여 소성 X-Ray Diffractometer (XRD Rigaku DMAX-2500)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CaSO4 2Hㆍ 2 를 대량 소성하기 위하여O

에stainless steel port CaSO4 2H2 씩을 넣고 를 아래와 같O 2 conveyor furnace

은 조건 을 유지하면서 대전 소재 쌍용중앙연구소에서 시간 연속 실험하(Fig 2) 24

였다

- 21 -

Fig 1 TGA thermal curve of gypsum

- 22 -

Fig 2 Flow diagram of gypsum sintering system

- 23 -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3

에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석고에 대하여 표면형상을 관찰하였다Self-leveling

조건으로 국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Hitachi S-4200) 150

산 석고등의 입자를 조사한 결과는 과 에서 보는 바와 같다 과Fig 3 Fig 4 Fig 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국산석고의 크기가 독일산 석고보다 크나 분쇄를 잘하Fig 4

면 공정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추정된다self-leveling

의 입자가 큰 국산석고를 에서 분 분쇄 후 사진 의 결Fig 3 mortar 20 SEM (Fig5)

과를 보면 독일산 석고와 아주 유사한 형태와 로 변하였다 그러므로 분쇄 공정size

만 잘 진행하면 국산 석고도 외국산 석고에 비해 제조에 손색없음을self-leveling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 무수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를 위하여 쌍용연구소의 연속분쇄기

를 사용하여 분쇄하였다 분쇄 조건은 압력(roller mill) roller 6 feeding RPM

시료 투입량 등으로 무수석고를 연속 분쇄하였40 separator RPM 880 6 hr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4

국내산 석고와 외국산 석고들에 대한 화학성분 분석을 위하여 Optical Emission

로 정성분석한 후Spectrometer(OES TJA Atomcomp 81) Atomic Absorption

Sepctrophotometer(AAS Perkin Elmer 5000) 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meter(ICPAES Perkin Elmer Elan 5000) Wet

분석방법 등으로 국산 석고와 외국산 석고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Analysis(WET)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 석고에 대하여도 위에서 분석한 CAS( )

것과 같이 등의 방법으로 성분분석을 하여 석고의 품질OES AAS ICPAES WET

및 특성등을 파악하였다

- 24 -

Fig3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 25 -

Fig4 SEM photograph of germany gypsum

- 26 -

Fig5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after grinding

- 27 -

제 절 특수 첨가재5

기존의 재 에self- leveling 300 g H2 을 혼합한 후 아래와 같은 여러 종류의O 89 g

첨가재를 첨가하면서 초결 종결 등의 경화 응결 및 플로값 등의 물리적인 성질을

측정하였다

또한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

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기존의 재 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O 89g CAS ( )

때의 물리적인 특성뿐 아니라 알미나 포틀랜드 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AI-PC)

때의 물리적인 특성도 비교하였다

가존의 재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 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위에서 측정한 경우와 서로 비교하AI-PC

여 보았다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6

재 제조시 적절한 응결을 위하여 급결제을 사용하는데 통상 물유리를Self -leveling

많이 사용함을 본 연구에서 알았다 급결제의 성분 분석을 위하여 wet analysis

등을 사용하였으며 구조분석을 위하여는 와 을 사용하였OES AAS ICPAES XRD IR

다 법으로는 석고중에 함유되어 있는 물의 함량을 분석하는데 사용하 Karl fischer

였다

- 28 -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7

바닥 충격음 및 소음에 대한 시험은 여주군에 위치한 방재시험연구소에 의뢰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편을 제작하여 측정하였다 바닥 충격음 방지재 (save gum pad

를 사용한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 에 시험재료로 한양 시멘트 제품인6 t) (246 )

레미탈 을 사용하여 몰탈 바닥 넓이 로 작업한 후900 28 m times 42 m times 30

일 간 야외에서 양생하여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참조30 (Fig 6 )

바닥충격음시험은 건축물현장에 있어서의 바닥충격음측정방법 을KSF 2810 ( 1981)

적용하여 음원실 충격음발생실 과 수음실 충격음측정실 로 구성된 잔향실 사이 바( ) ( )

닥개구부에 시험체를 설치한 후 시험체위에서 충격음 경량 태핑 머신 및 중량충 (

격음 타이어 을 발생시켜 주파수범위의 대역별 바닥충격음 ) 63-4000 13 Octave

레벨 회를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하였다25

제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최근 건설 현장에 불기 시작한 주거환경의 쾌적화와 원적외선 방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도 원적외선 방사에 대한 시험을 시행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과 한국원적외선협회에 세라믹몰탈 옥석 맥반석

게르마늄석을 의뢰하여 방사율을 단파장인 영역인 에서 까지 측정하였다3 20

- 29 -

Fig 6 Present floor of impact sound insulation

- 3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1

화력발전소에서 부산물로 생성된 이수석고를 대전소재 쌍용 중앙연구소에서 rotary

을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소성된 석고를kiln X - Ray Diffractometer (XRD Rigaku

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수석고는DMAX-2500) Fig 7

에서는150~200 CaSO 4 2Hㆍ 2 가O CaSO4 12Hㆍ 2 로 변하고 에서O 350 CaSO 4

의 피크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그후 온도를 올림에 따라 무수석고의 결정성이 좋

아짐을 알 수 있었다 참조(Fig 7 )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2

으로 확인한 결과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국산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ig 3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로 단단한 모양으로 균일하게70

구성되어 있는 반면 의 독일산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 Fig 4 70

의 크기가 소수 분포와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분포175

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체로 한 결 -200 mesh sieving

과를 보면 정도의 가 큰 덩어리가 남아 있었다10 size

가 큰 덩어리를 로 확인한 결과 석고로 판명되었다 에서 보면 독일Size XRD Fig 8

산 최초 석고인 BW CaSO4 과 후의 의(GER)-3 sieving XRD pattern BW

CaSO4 와 동일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들은 결과와 결과로(G+200M)-4 XRD TGA

보면 모두 CaSO4로 판명되었다

에서 분쇄된 무수석고의 입자분포도를 보기 위하여Roller mill particle size

로 측정범위 측정 분산매analyzer 01-180 lens focal depth 100 methyl

를 사용하여 초음파 분산 방법으로 입도 분포도를 얻어 에 실었다alcohol Fig 9

- 31 -

Fig7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each gypsum in sintering condition

- 32 -

Fig8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gypsum after sieving

- 33 -

Fig 9 Particle distribution chart of gypsum

- 34 -

에서의 입자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이하의 분포도가 전체의 를Fig 9 5 87

차지하고 있는 반면 마이크론미터 이상이 전체의 밖에 차지하고 있음을 알10 3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보면 외국산 석고에 비해 공정에서는 보다 나 self - leveling

은 작업성과 물성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3

분석방법 등으로 분석한 결과 에서 보OES AAS ICPAES Wet Analysis Table 2

는 바와 같이 독일산석고와 국산석고의 분석결과가 화학성분에서는 아주 유사하다

그러나 독일산 석고에 규사만이 함유되어 있는 것에 비해 국산 석고에는16 wt

규사가 로 작게 함유되어 있었다 이는 원재료의 광산에 함유된 규사에096 wt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석고에 대한 분석 결과를 CAS( ) Table 3

에 실었다 에서 보면 라파석고에 인이 포함되어 있는 반면 인 Table 3 00072 wt

산무수 석고에는 로 많이 포함되어 있어 제조시 인산무0024 wt self- leveling

수 석고를 사용한 결과가 나쁘게 나타났다고 추정되며 지지용 철근의self-leveling

부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이므로 인산석고의 사용을 피함이 좋을 것이다

인산무수 석고는 자체에서 산성 성분을 용출함으로서 콘크리트 중에 함유된 알칼리

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을 혼입시키어 철근을 활성화

상태로 만들고 이로 인해 부식하기 쉽게 된다

- 35 -

Table 2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 36 -

Table 3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and Binder

- 37 -

제 절 특수 첨가재4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의 양을 변화시O 89 g -α

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4

Table 4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a -gypsum

에서 보면 석고의 함량을 증가할수록 초결시간은 빨라지지만 수분증발시Table 4 -α

간이 느리고 기존레벨라보다 종결시간이 느린 것을 보아 석고만을 첨가한다는-α

것은 의미가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화시키

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5

Table 5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LiCO3

- 38 -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기존레벨라에는 이미Table 5 LiCO3이 인 이 포014 042g

함되어 있어 순으로 첨가하였으나 첨가 양에 따른 초결상태의 변화0 15 30 g

는 없었으나 종결상태는 조금씩 첨가 양이 많아지면서 조금씩 지연되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O 89 g CAS ( )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과 같다Table 6

Table 6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CAS

에서 보면 를 씩 증가하면서 첨가함에 따라 초결상태와Table 6 CAS 0 10 20 g

종결상태가 보다 급격히 빨라짐을 알 수 있었다 즉 경화 속도에 의Table 4 5 CAS

함유량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에서 사용한 첨가제를 모두 혼합하여 기존의 재Table 4 5 6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비교해보면O 89 g Table

과 같다7

- 39 -

Table 7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and CAS

에서 보는 것처럼 기존의 재Table 7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O 89 g

라에 석고와- LiCOα 3 만을 혼합하였을 때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의 양을 CAS

증가시키면서 함께 첨가할 수록 경화시간은 단축되었다

에 알미나 포틀랜드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Table 7 (AI-PC)

비교해보면 과 같다Table 8

기존의 재self-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보면 에서 보는 것처럼AI-PC Table 8

함량이 높을수록 경화시간은 너무 단축되어 그만큼 작업하는 시간이 촉박하AI-PC

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모든 결과를 종합해보면 응결시간은 온도와 습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실험할 때마다

기존레벨라를 비교하여 시험했다 가 가장 경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만 입자 CAS

가 뭉쳐 있어 혼합이 잘되지 않았다 그 결과 건조시 표면이 분화구처럼 돌출된 부

분이 많이 생겨났다

- 40 -

Table 8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CAS and Al-PC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5

급결제에 대한 성분 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는 와 같다 중탕Table 9

에서 증발시킨 후 의 잔유물에 대한 분석 결과(100 ) 50 wt Si 438 wt Na

로 나타났다 결정성과 구조분석을 위하여 로 확인한102 wt K 177 wt XRD

결과는 무결정 으로 피크가 나타나지 안했다 법으로 물을(amorphous) Karl fischer

분석시에도 가 잘 나타나지 안해 분석을 할 수 없었다 화학적 결합상태end-point

를 알아보기위해 을 이용하여 해석해본 결과IR Na2SiO3 H2 와O 50 wt 50 wt

의 H2 가 공존함을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O Na2SiO3 H2 와 의O 50 wt 50 wt

H2 를 함께 사용하기로 결정하였고 건설 현장에 시공 또는 제품 생산에 위와 같O

은 혼합비율을 적용하였다

- 41 -

Table 9 Chemical Composition of RCM300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6

측정된 충격음레벨은 ISO 140 Part 6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을 준용하여 수음실 기준 흡음력 에 대한sound insulation of Floors 1978) (10 )

보정 값으로 환산하였다(Table 10)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나타내는 수음실의 바닥충격음레벨 (Ln 은 다음 식 으로) (1)

구하였다

여기서

Ln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흡음력보정 바닥충격음레벨 j ( )

충격음위치 지점수m

상기 식 의 각 충격음 위치마다의 바닥충격음레벨의 평균값(1) (Lj 은 다음식 에) (2)

따라 산출하였다

- 42 -

Table 10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sound insulation of floor

- 43 -

여기서

Lj 수음실내 측정점 에서의 바닥충격음레벨 i ( )

측정점의 수n

또한 상기 바닥충격음레벨 평균값 (Lj 은 수음실의 흡음력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

므로 를 준용 이를 기준흡음력 에 대한 값ISO 140 Part6 (978) (10 ) (L nj 으로)

환산하였으며 그 산출식은 식 과 같다 (3)

여기서

L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평균 바닥충격음레벨 j ( )

AO 기준흡음력 (10 )

수음실 측정실 용적V ( ) ( )

수음실 측정실 잔향시간 초T ( ) ( )

에서 보면 기준판과 시험체의 경량충격음은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Table 10

충격음이 증가하다가 완만한 곡선을 나타내는 반면 중량충격음의 결과를 보면 주파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충격음이 계속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경량 충격음은 음원이 태핑머신인 관계로 주파수 변화에 따른

파장의 작고 큼에 별 영향을 주지 않지만 중량 충격음은 음원이 타이어임으로 고주

파대로 갈수록 파장이 작아서 투과 여건이 적은 관계에 기인함을 알 수 있다 본

바닥충격음과 소음에 대한 실험 결과 기존 시멘트몰탈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

믹몰탈간에 바닥충격음과 소음의 차이는 크게 나지 않음으로 무시할 정도임을 알았

- 44 -

제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7

아래 은 바닥재 시공에 대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과 재래식 시Table 11

멘트몰탈과의 특징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연구연에서 분석한 세라믹구들의 분석 결과를 에Table 12

실었다 현 시험법에 따라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 등의 물성을 공인된 한국건자 KS

재연구원에 의뢰한 결과 압축강도면에서 이 넘는 결과가 나왔으며 다른400 f

물성 또한 기준 물성값을 초과하는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에서 보는 것과 Table 12

같이 길이변화율은 일 경과 후 로서 거의 변화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28 -0046

며 이를 미루어 보아 시멘트몰탈의 수축 팽창에 기인되는 균열 원인을 해결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45 -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 구들의 비교Table 11

구분 단위 재래식 시멘트몰탈 본 제품 세라믹구들( )

시공후상태

몰탈층

바탕면의 균열 발생-바탕면의 평활 수평 이 없다- (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없다-공정 회 이 복잡하다- (3-4 )많은면적을 시공할 수 없다-양생시간이 길다 일- (3-7 )하자 보수비가 필요하다-시멘트 독성에 따른 인체에-해로움

바탕면의 균열이 없다- 바탕면의 평활 수평 성이 양호- ( )일정한 두께유지-공정이 단순 회공정 하다- (1 )많은 면적을 시공할 수 있다-양생시간이 짧다 일- (1 )하자보수비가 필요없다-건강보조기능-항균성 무독성 원적외선( )마감재 시공이 용이하다-에너지절감 효과가 크다-열전도율 및 축열기능이 좋다-차음 방음 효과가 우수하다- ( )건축물의 경량화-

세라믹 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시험 검사 방법 ( ) KS L 5105-97 KS L 5104-96 KS L 5207-rsquo99 KS F2424-rsquo95 KS L 1592 rsquo95시험원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시험일자 2000 OS 09 ~ 09 15

- 46 -

제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석회 광물은 마그네시아 광물과 함께 중요한 조암광물로서 천연에서는 산화물(CaO)

로는 존재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탄산염 황산염 또는 규산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석회질 원료로는 석회석 돌로마이트 형석 석고 규회석 등이었으며 이중 석회석

(CaCO3 과 석고)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만을 에 나타내었다 원적) Fig 10 11

외선 발열체와 세라믹 발열체가 있다 원석 발열체로는 맥반석 게르마늄석 옥석

황토 등이 있다 원적외선의 온열효과는 피부표면에 복사된 원적외선은 인체 중 물

의 진동 파장과 거의 비슷하며 공진 작용으로 일반열이 도달할 수 없는 부위( )共振

까지 도달하게 한다 이러한 심달력은 피하층의 온도상승 미세혈관의 확장 혈액순

환 촉진 선진대사강화 혈류 장해 해소 조직의 재생능력 증가 결련예방 및 암치

료 효과 등의 의학적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혈행이 좋아짐으로서

정상체온 유지 스트레스 해소 소화촉진 근육통 해소 피부 색깔 정상화 꺼칠한

눈이 부드러워지고 감기 예방효과 조직 내에 쌓여 있던 노폐물의 분비도 촉진된

다 또한 세포에 필요로 하는 영양소와 산소를 정상적으로 공급받게 되어 세포와

조직이 활력을 되찾게 되고 적당한 원적외선 활용은 세포의 노화를 막아주는 효과

를 볼 수 있다 원적외선 부작용 없는 건강유지와 질병의 예방치료적 기 (氣

라고 할 수 있다energy)

석회석은 시멘트의 주원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전방사율은 약 정도를085

보이고 있으나 이후와 단파장 영역쪽에 불안정한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보이20

고 있다 이는 공기 중의 습기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그 조성이 일부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시멘트를 측정하여 비교Fig 10 11

한 결과에서는 다소 석회석 자체원료를 측정한 것이 방사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CaSO4 는 외국에서 천연으로 산출된 것과 본 연구에서 제조한 배연 탈황석고)

모두 원적외선 방사특성에 있어서는 석회석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특히

부근에서의 약간의 골이 생겨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87

- 47 -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48 -

석고Fig 11 (CaSO4 의 원작외선 방사특성)

- 49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의 방사율은 에 실었다 현재 원적외선이 다Fig 12

량 방사되는 게르바늄석 참조 옥석 참조 맥반석 참조(Fig 13 ) (Fig 14 ) (Fig 15 )

등에 비해서 같은 수준의 방사에너지 및 방사율이 발현됨을 공인된 시험기간에 의

해서 입증되었다 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를 Fig16 3~20

파장 영역에서 방사특성을 나타내었다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는 이상흑체에

서 방사되는 특성과 같은 모양을 방출하고 있습을 알았다 따라서 세라믹구들은 건

강친화적인 면만 아니라 여러 가지 가능을 가진 차세대 온돌용 세라믹구들이라고

할 수 있다

제 절 현장 시공9

본 세라믹구들의 최적화 조건 조성 및 현장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차로 경기도 광1

주 소재 동심주택 제 차 그린타운 세대를 시험 시공한 바 있으며 위 결과를 토9 19

대로 최적화된 조건에 따라 안양 재건축현장 및 기홍 목조주택 등에 실용화 시공하

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Fig 17

필름 한 장을 깔고 그 위에 외경의 폴리에틸렌 엑셀파이프를 배관한 후 세라15

믹 구들로 타설한 후 수평을 잡으면서 두께를 로 일정하게 하였다40

시멘트 제품은 응결 경화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균열이 발생되

면 더 커지면서 계속 퍼져나가는 경향을 나타낸다 여러 종류의 균열 보수기법이

현재 마련되어 있으나 완벽한 균열 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 보수 후에도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 보수로 인해 외관의 불량 균열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로 시공한 결과는 상기와 같

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할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연구에 의해 일반 콘크리트에도 적

용할 경우 그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균열을 방지함으로서 방

수 강도저하 철근부식 등 내구성저하를 막으므로 고품질의 구조물 공사가 될 것으

로 예상된다

- 50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 51 -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 52 -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 53 -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7 -

목 차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연구Ⅰ

제 장 서 론1

제 장 실 험2

제 절 배연탈황1

제 절 석고소성2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3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4

제 절 특수 첨가재5

세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6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7

제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1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2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3

제 절 특수 첨가재4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5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6

제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7

제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 8 -

제 절 현장 시공9

제 장 결 론4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제 장 실 험2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제 장 결 론4

- 9 -

표 목 차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연구Ⅰ

구미 유럽지역의 재 개발 현황Table 1 Self-leveling

Table 2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Table 3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and binder

Table 4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α

Table 5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LiCO3

Table 6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CAS

Table 7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and CAS

Table 8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a -gypsum LiCO3 CAS

and AI-PC

Table 9 Chemical composition of RCM300

Table 10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sound insulation of floor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구들의 비교Table 11

세라믹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 10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Table 1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V vs CuCUSO4)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 11 -

그 림 목 차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연구Ⅰ

Fig 1 TGA thermal curve of gypsum

Fig 2 Flow diagram of gypsum sintering system

Fig 3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Fig 4 SEM photograph of germany gypsum

Fig 5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after grinding

Fig 6 Present floor of impact sound insulation

Fig 7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each gypsum in sintering condition

Fig 8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gypsum after sieving

Fig 9 Particle distribution chart of gypsum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석고Fig 11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12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l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13 -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Ⅰ

제 장 서 론1

국내에서는 성 세라믹몰탈재를 고급타일 마감재의 수평조정용으로 사self-leveling

용함에 따라 실제적인 의 의미보다는 에 가깝게 적용하여 self-leveling smoothing

대개 시공두께 의 박막으로 시공하기 때문에 일본의 경우 대부분 이3~5 10

상의 후막형 제품들로는 적용이 불가능한 점을 들 수 있다 년 중반에서 수입사 lsquo80

를 통해서 수입하여 건축물에 적용해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년 초까지는 고가 lsquo90

의 재료비로 널리 사용되지는 못하고 대형백화점을 중심으로 시장 확대가 시도되었

으나 국내에서도 시멘트 업계나 건재 생산업체를 중심으로 시멘트계 self-leveling

재의 개발에 착수하기 시작하여 년부터 개 업체에서 판매를 개시함mortar lsquo93 2~3

으로써 시장이 활성화되기 시작하였다

최근에는 대형공장 주차장바닥에 적용할 수 있는 재를 실용화 self-leveling mortar

하여 현재 보급 중에 있으며 석고계 재는 대리점을 통해 수입 self-leveling mortar

품이 고급빌라의 방통 몰탈 대체용으로 각광받고 있어 국내도 다양한 self-leveling

재 제품이 소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및mortar

대형건물 주차장 바닥 몰탈로 성 세라믹몰탈을 사용한 실적은 없다 self-leveling

국외의 경우를 보면 일본에서의 재의 연구는 년에 일본주택self-leveling mortar lsquo73

공단에서 건축물의 요철면을 화하기 위한 바닥공법의 합리화라는 목적으로高精度

석고계 시멘트계 재의 기초연구가 시작되었으나 당시에는 경 self-leveling mortar

제성 때문에 실용화되지는 못하였다 이후 년대 초에서 중반까지는 lsquo70 SO3의 공해

규제에 의한 탈황석고의 효율적인 이용의 관점에서 석고계 self-leveling排煙

재의 실용화 연구에 박차를 가하게 되어 년 시험 시공에 성공하여 년mortar lsquo76 lsquo77

도부터 전국적으로 시판을 개시하기에 이르렀다

- 14 -

년에 최초로 시멘트계 재를 개발 시판하면서 일본내에서 석lsquo82 self-leveling mortar

고계와 시멘트계 재가 함께 사용되기 시작하였다self-leveling mortar

석고계 및 시멘트계 재에는 서로의 장 단점이 있기 때문에 나self-leveling mortar ㆍ

름대로의 판매영역을 구축해 나갔지만 년에 스웨덴의 사로부터 석고계 및 lsquo85 BEPA

시 멘트계의 장 단점을 보완한 무기질계 재 세라믹계 또는 혼self-leveling mortar (ㆍ

합형 재로도 칭함 를 기술도입 함으로써 이후에 일본에서는self-leveling mortar ) 3

종의 재가 시판되기 시작하여 오늘에 이르렀다self-leveling mortar

유럽에서는 오래 전부터 재를 바닥에 사용해 온 것으로 알려져self-leveling mortar

있으며 실제로 다양한 형태의 재가 시판되고 있다 참 self-leveling mortar (Table 1

조 재의 결합재별로 전술한 석고계 시멘트계 혼합계 외에도) Self-leveling mortar

폴리머를 이용한 폴리머시멘트계 또한 시공 두께별로 후막형 및 박막형 등 시공

조건이나 환경에 따라 적용 가능한 여러 제품들이 시판 되고 있다

성 세라믹 구들재에 요구되는 성능은 작업 종료시까지 유동성 확보문Self-leveling

제 응결 경화과정의 요구성능 내구성 측면 등에 좌우된다 유동성과의 균형을 확

보하지 않으면 골재 침강으로 인한 표면 이 심하게 발생되어 표면정도나bleeding

최종 마감재와의 부착 성능을 급격하게 저하시키거나 유동성이 저하되어 세라믹몰

탈재 마감공사가 용이하지 못하기 때문에 세라믹몰탈재 슬러지의 성상과 사용장비

와의 적합성은 공사의 승패를 좌우하는 주요 요인이 된다

- 15 -

구미 유럽지역의 재 개발 현황Table 1 Self -leveling

재 품종Self-leveling 개 발 국 가 참 여 업 체 명( )

석고계미국 등(GYP-CRETE HACKER )독일 등(BAYER KNAUF GUILINY HENCKEL )

시멘트계 스웨덴 등 핀랜드(ABS ZEMENTA ) (PARTEK)

혼합계 독일 등 스웨덴 등(PCI HENCKEL ) (BEPA )

폴리머시멘트계 영국 등 독일 등 웨덴 등(ICI ) (PCI HENCKEL ) (ABS )

무수석고에 첨가되는 시멘트에 대한 수많은 연구 결과가 소개되고 있으나 두 물질

간의 물리화학적인 양론적 문제와 시멘트 화학조성 분말도 발연곡선 응결 수화

열 강도 팽창 수축 화학적저항성 등에 따라 상이하다

신기술 시공의 정밀성 신속성 간편성이 특징인 성 세라믹몰탈의 시공 self-leveling

방법은 현장에서 제품에 물만 부어 바닥에 뿌리면 자동적으로 수평 한 면이 형성되

므로 기존의 시멘트 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

성 내구성 경량성과 자동 수평이 되는 평활성 때문에 별도의 쇠흙손으로 마감이

필요 없다 또한 시멘트 몰탈에 비하여 들뜸 현상 및 갈라짐이 없고 가벼운 재질로

되어 있어 건축 구조물의 경량화가 기대된다

특히 기계화 시공으로 인건비 절감 및 작업장 환경 개선 공기 단축 등으로 경제적

이고 정밀한 시공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기존 방식보다 방열성이 높다는 것

은 열효율 면에서 매우 유리한 난방 방식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성 세라믹몰탈은 최근 건축물의 화를 위한 건축 재료로 많이Self-leveling intelligent

사용되고 있다 세라믹몰탈은 유동성이 우수하며 신속한 응결 경화과정으로 일 1

안에 보행이 가능함은 물론 표면에 기포 자국이나 수축 균열이 없어 백화점 오피스

텔 대규모 건축물의 바닥 미장은 물론 목재 위에 박막이나 후막으로 많이 사용됨

으로서 건설 인력 부족을 대체할 수 있는 신기능성 제품이다

- 16 -

성 세라믹몰탈재는 사용되는 특수 첨가제에 따라 시멘트계 석고계 혼Self-leveling

합계 특수시멘트 팽창억지제 석고보드 등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각기 특성에 따라

적용되는 분야가 상이함으로 첨가제 혼화제 가 개선되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고부( )

가가치 산업을 창출할 수 있다

개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 물질인10 SO2를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하여 아황산석고로 생산되면서 SO2는 제거된다

아황산석고를 반응기에서 반응시켜 부산석고를 얻는다 화력발전소의 부산물인 석

고와 시멘트 결합제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성 세라믹몰탈은 국내의 부 self-leveling

존자원이나 산업폐기물의 유효 이용 차원에서 건축재료로의 활용은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최근 큰 문제로 대두된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일석

이조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됨으로서 국가 경제 발전에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기술적 측면에서 보면 시멘트제품은 응결 경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

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

그러나 과학 및 산업기술들이 고도로 발전되어 감에 따라 건축물 마감공사도 미려

함을 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성 세라믹몰탈재가 건축물 마감공사의self-leveling

성력화를 가능케 한 신 기능성 건축재료의 총아라 할 수 있다

이수석고는 국내 화력발전소에서 배출되는 가장 심각한 공해물질인 SO2 가스를 흡

수액 중 CaCO3과 반응시켜 년간 만톤씩 부산되고 있는 무용한 물질이다 산업폐33

기물의 일종인 이수석고를 소성과정을 거쳐 소석고 로 만든다(calcined gypsum)

소석고에 신 기능성 특수 를 첨가하여 바닥 마감용 성 세라믹몰binder self-leveling

탈재를 생산함으로써

열효율 면에서는 시멘트 제품보다 축열성이 높으며-

미장면이 평활하므로 추가로 보수가 필요 없고-

시멘트보다 압축 및 인장강도 면에서 우수하다-

시중 시멘트제품은 균열에 있어서 완벽한 균열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보

수 후에는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보수 및 면 평활도가 외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 17 -

그러나 본 제품을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하므로 그 파

급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된다

경제적 측면에서 보면 국내 석고 소비량은 연간 만톤으로 선진국의 연간 소비600

율 에도 못 미치는 실정이다 또한 국내에는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10

실정으로 해외에서 톤당 만원 정도의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볼16

때 품질이 좋고 가격이 싼 발전용 배연 탈황 석고의 공급은 국내 관련 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국내 발전용 배연 탈황 석고의 공급이

서기 년도에 이르면 약 만톤으로 국내 석고 수요량 만톤의 약 정2000 110 600 18

도는 충당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진다

현재 아파트 및 오피스텔 공사 등이 전국적으로 그 물량이 대단히 많으나 모든 미

장 마감층에 균열이 생기고 평활도의 문제가 발생되고 있어 입주 전에 균열 보수

재료에 의해 보수를 실시하고 있으나 완전 보수가 불가능하여 입주 후 많은 세대수

에서 하자보수로 인한 손실이 매우 큰 실정이다 또한 바닥면이 수평을 이루지 못

하여 가구 등의 제품에 뒤틀림 등으로 생활에 불편함을 제공하고 있다

본 제품은 상기와 같은 모든 문제점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훨씬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건비 절감 공기 단축 국내의 산업폐기물의 유효이용 차원에서

건축재료로의 활용은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시멘트 건축재 생산업체들을 중심으로 아파트 온돌 부위와 목재 위에 박막

또는 후막으로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용도의 세라믹몰탈 등의 상품화는 년간 500

억원 규모의 사업화가 가능할 것이며 또한 특수 의 개발은 연간 약 억 binder 150

원의 시장 창출이 예측된다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 보면 현대 산업의 고도화 및 복잡화로 환경 오염을 초래하

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각종 환경매체에 대한 환경 오염이 극심해지

고 있는 실정이어서 환경 오염 방지 및 환경보존 개선을 위한 규제가 점점 강화되

고 있다 특히 대기오염 생태계 파괴 등 환경과 보건에 심각한 위해가 초래됨으로

써 규제도 본격화하게 되었다

- 18 -

이산화유황으로 오염된 화력발전소의 배기가스는 석회함수물 또는 석회액과의 화학

적 반응을 통해 탈황된다 이로 인해 산성비 에 대한 원인은 제거된다 이런 중요 ldquo rdquo

한 환경기술적 조치의 반응생산물인 부산석고를 건축 자재로 사용함으로서 대기 환

경보존을 할 수 있다는 차원에서 금액으로 환산할 수 없는 중대한 기여를 할 것이

다 또한 내장 박막 이하 후막 등을 미려하게 함은 mortar(50 ) (5 ) (1O-15 )

물론 수축 팽창 균열 등을 방지함으로 풍요로운 생활공간을 제공할 것이다

위와 같은 평가 기술은 국내 최고의 분석 평가 기관인 특성분석센터와 세라믹KIST

스 연구부 및 주 범우에서 이미 확보되어 있고 국제적으로도 상당한 경쟁력을 갖( )

추고 있다 매우 불활성인 무수석고를 약 시간만에 경화가 시작되도록 활성화하는 2

즉 정해진 특성들을 가진 건축자재를 생산하는 두 가지 방식이 있다 그중 한 방법

은 미세하게 분쇄한 후 풀어짐을 촉진하는 소량의 자극제 즉 분산제의 첨가이며

다른 한 방법은 몰탈 준비 때보다 강력한 혼합을 요구하는 무수석고의 생산이REA

절실히 필요하다

- 19 -

제 장 실 험2

제 절 배연탈황1

화력 발전소에서 부산물로 생성되는 이수석고의 주요 반응은 의 현탁액과limestone

연소가스를 역류 세정시키면서 일어난다 이것은 아래에 열거한 것과 같은 확산과

화학반응으로 구분되어 진행된다

기 액 경계면에 이르기까지의 을 통한- gas film SO① 2의 확산

SO② 2가 상태가 되는aqueous dissolution

상태의Aqueous SO③ 2가 되어hydration H2SO3로 되고 이것이 H+ 와 HSO3-로 존

재하게 됨

HSO④ 3-가 분리되어 SO3

-를 형성함

용역내의 CaCO⑤ 3는 상태로 되고 이것은 다시aqueous dissolution H+이온과 반응

하여 Ca2+ 와 HSO3-를 형성함

및 과정에서 생성된 Ca⑥ ④ ⑤ 2+와 SO32-그리고 물이 반응하여 CaSO3ㆍ12H2 가O

형성됨

CaSO⑦ 3ㆍ12H2 는 물과 물속에 녹아있는 산소와 결합하여O CaSO4 2Hㆍ 2 를 형O

성함

- 20 -

반응식Total

이와 같은 반응들의 반응속도를 비교하여 볼 때 의 단계는 비교적 빠 ③ ④ ⑥ ⑦

른 반응이 되고 제어단계는 크게 가스확산 액체 내에서의 SO2 확산 석회석의

등 단계로 압축시킬 수 있다 위의 메카니즘 가운데 이온들의 화학반응dissolution 3

을 로 규명하기도 한다 이것은 기 액 경계면을 중심으two-reaction-planes model -

로 액체쪽으로 개의 을 설정하고 각각의 다른 반응이 일어난다는 것2 reaction plan

이다

제 절 석고 소성2

전항에서 만들어진 이수석고에 함유된 부착수분과 결정수분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

기로와 열질량분석기 를(thermogravimetric analyzer TGA Perkin-Elmer TGS-2)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에서 보면 공기 중에서 일 방치한 이수석고 중 Fig 1 2 18

정도가 되면 대부분 휘발성 물질들이 날아가서 무게가 정도 감소되었60 5 wt

다 다시 정도가 될 때까지 결정 수분이 정도 감소되었고 190 18 wt 700

가 될 때까지 정도가 휘발되어 날아가 전체 무게 감소는 되고2 wt 25 wt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휘발되는 것이 없이 일정한 무게를 유지하였다 전기로에서

실험한 결과도 부착수분이 건조감량이 로 전체 무게 감소율121 wt 109 wt

은 이였다 이수석고를 세라믹용기 및 용기에 각각230 wt stainless steel 500

씩 분취하여g 150 (2 hrs) 200 (1~2 hrs) 350 (1 hr) 420 (1 hr)

로 유지한 전기로에서 각각 소성하였500 (1 hr) 650 (15 hr) 750 (1 hr)

다 소성 후 를 사용하여 소성 X-Ray Diffractometer (XRD Rigaku DMAX-2500)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CaSO4 2Hㆍ 2 를 대량 소성하기 위하여O

에stainless steel port CaSO4 2H2 씩을 넣고 를 아래와 같O 2 conveyor furnace

은 조건 을 유지하면서 대전 소재 쌍용중앙연구소에서 시간 연속 실험하(Fig 2) 24

였다

- 21 -

Fig 1 TGA thermal curve of gypsum

- 22 -

Fig 2 Flow diagram of gypsum sintering system

- 23 -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3

에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석고에 대하여 표면형상을 관찰하였다Self-leveling

조건으로 국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Hitachi S-4200) 150

산 석고등의 입자를 조사한 결과는 과 에서 보는 바와 같다 과Fig 3 Fig 4 Fig 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국산석고의 크기가 독일산 석고보다 크나 분쇄를 잘하Fig 4

면 공정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추정된다self-leveling

의 입자가 큰 국산석고를 에서 분 분쇄 후 사진 의 결Fig 3 mortar 20 SEM (Fig5)

과를 보면 독일산 석고와 아주 유사한 형태와 로 변하였다 그러므로 분쇄 공정size

만 잘 진행하면 국산 석고도 외국산 석고에 비해 제조에 손색없음을self-leveling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 무수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를 위하여 쌍용연구소의 연속분쇄기

를 사용하여 분쇄하였다 분쇄 조건은 압력(roller mill) roller 6 feeding RPM

시료 투입량 등으로 무수석고를 연속 분쇄하였40 separator RPM 880 6 hr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4

국내산 석고와 외국산 석고들에 대한 화학성분 분석을 위하여 Optical Emission

로 정성분석한 후Spectrometer(OES TJA Atomcomp 81) Atomic Absorption

Sepctrophotometer(AAS Perkin Elmer 5000) 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meter(ICPAES Perkin Elmer Elan 5000) Wet

분석방법 등으로 국산 석고와 외국산 석고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Analysis(WET)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 석고에 대하여도 위에서 분석한 CAS( )

것과 같이 등의 방법으로 성분분석을 하여 석고의 품질OES AAS ICPAES WET

및 특성등을 파악하였다

- 24 -

Fig3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 25 -

Fig4 SEM photograph of germany gypsum

- 26 -

Fig5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after grinding

- 27 -

제 절 특수 첨가재5

기존의 재 에self- leveling 300 g H2 을 혼합한 후 아래와 같은 여러 종류의O 89 g

첨가재를 첨가하면서 초결 종결 등의 경화 응결 및 플로값 등의 물리적인 성질을

측정하였다

또한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

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기존의 재 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O 89g CAS ( )

때의 물리적인 특성뿐 아니라 알미나 포틀랜드 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AI-PC)

때의 물리적인 특성도 비교하였다

가존의 재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 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위에서 측정한 경우와 서로 비교하AI-PC

여 보았다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6

재 제조시 적절한 응결을 위하여 급결제을 사용하는데 통상 물유리를Self -leveling

많이 사용함을 본 연구에서 알았다 급결제의 성분 분석을 위하여 wet analysis

등을 사용하였으며 구조분석을 위하여는 와 을 사용하였OES AAS ICPAES XRD IR

다 법으로는 석고중에 함유되어 있는 물의 함량을 분석하는데 사용하 Karl fischer

였다

- 28 -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7

바닥 충격음 및 소음에 대한 시험은 여주군에 위치한 방재시험연구소에 의뢰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편을 제작하여 측정하였다 바닥 충격음 방지재 (save gum pad

를 사용한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 에 시험재료로 한양 시멘트 제품인6 t) (246 )

레미탈 을 사용하여 몰탈 바닥 넓이 로 작업한 후900 28 m times 42 m times 30

일 간 야외에서 양생하여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참조30 (Fig 6 )

바닥충격음시험은 건축물현장에 있어서의 바닥충격음측정방법 을KSF 2810 ( 1981)

적용하여 음원실 충격음발생실 과 수음실 충격음측정실 로 구성된 잔향실 사이 바( ) ( )

닥개구부에 시험체를 설치한 후 시험체위에서 충격음 경량 태핑 머신 및 중량충 (

격음 타이어 을 발생시켜 주파수범위의 대역별 바닥충격음 ) 63-4000 13 Octave

레벨 회를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하였다25

제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최근 건설 현장에 불기 시작한 주거환경의 쾌적화와 원적외선 방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도 원적외선 방사에 대한 시험을 시행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과 한국원적외선협회에 세라믹몰탈 옥석 맥반석

게르마늄석을 의뢰하여 방사율을 단파장인 영역인 에서 까지 측정하였다3 20

- 29 -

Fig 6 Present floor of impact sound insulation

- 3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1

화력발전소에서 부산물로 생성된 이수석고를 대전소재 쌍용 중앙연구소에서 rotary

을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소성된 석고를kiln X - Ray Diffractometer (XRD Rigaku

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수석고는DMAX-2500) Fig 7

에서는150~200 CaSO 4 2Hㆍ 2 가O CaSO4 12Hㆍ 2 로 변하고 에서O 350 CaSO 4

의 피크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그후 온도를 올림에 따라 무수석고의 결정성이 좋

아짐을 알 수 있었다 참조(Fig 7 )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2

으로 확인한 결과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국산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ig 3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로 단단한 모양으로 균일하게70

구성되어 있는 반면 의 독일산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 Fig 4 70

의 크기가 소수 분포와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분포175

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체로 한 결 -200 mesh sieving

과를 보면 정도의 가 큰 덩어리가 남아 있었다10 size

가 큰 덩어리를 로 확인한 결과 석고로 판명되었다 에서 보면 독일Size XRD Fig 8

산 최초 석고인 BW CaSO4 과 후의 의(GER)-3 sieving XRD pattern BW

CaSO4 와 동일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들은 결과와 결과로(G+200M)-4 XRD TGA

보면 모두 CaSO4로 판명되었다

에서 분쇄된 무수석고의 입자분포도를 보기 위하여Roller mill particle size

로 측정범위 측정 분산매analyzer 01-180 lens focal depth 100 methyl

를 사용하여 초음파 분산 방법으로 입도 분포도를 얻어 에 실었다alcohol Fig 9

- 31 -

Fig7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each gypsum in sintering condition

- 32 -

Fig8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gypsum after sieving

- 33 -

Fig 9 Particle distribution chart of gypsum

- 34 -

에서의 입자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이하의 분포도가 전체의 를Fig 9 5 87

차지하고 있는 반면 마이크론미터 이상이 전체의 밖에 차지하고 있음을 알10 3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보면 외국산 석고에 비해 공정에서는 보다 나 self - leveling

은 작업성과 물성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3

분석방법 등으로 분석한 결과 에서 보OES AAS ICPAES Wet Analysis Table 2

는 바와 같이 독일산석고와 국산석고의 분석결과가 화학성분에서는 아주 유사하다

그러나 독일산 석고에 규사만이 함유되어 있는 것에 비해 국산 석고에는16 wt

규사가 로 작게 함유되어 있었다 이는 원재료의 광산에 함유된 규사에096 wt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석고에 대한 분석 결과를 CAS( ) Table 3

에 실었다 에서 보면 라파석고에 인이 포함되어 있는 반면 인 Table 3 00072 wt

산무수 석고에는 로 많이 포함되어 있어 제조시 인산무0024 wt self- leveling

수 석고를 사용한 결과가 나쁘게 나타났다고 추정되며 지지용 철근의self-leveling

부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이므로 인산석고의 사용을 피함이 좋을 것이다

인산무수 석고는 자체에서 산성 성분을 용출함으로서 콘크리트 중에 함유된 알칼리

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을 혼입시키어 철근을 활성화

상태로 만들고 이로 인해 부식하기 쉽게 된다

- 35 -

Table 2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 36 -

Table 3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and Binder

- 37 -

제 절 특수 첨가재4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의 양을 변화시O 89 g -α

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4

Table 4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a -gypsum

에서 보면 석고의 함량을 증가할수록 초결시간은 빨라지지만 수분증발시Table 4 -α

간이 느리고 기존레벨라보다 종결시간이 느린 것을 보아 석고만을 첨가한다는-α

것은 의미가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화시키

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5

Table 5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LiCO3

- 38 -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기존레벨라에는 이미Table 5 LiCO3이 인 이 포014 042g

함되어 있어 순으로 첨가하였으나 첨가 양에 따른 초결상태의 변화0 15 30 g

는 없었으나 종결상태는 조금씩 첨가 양이 많아지면서 조금씩 지연되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O 89 g CAS ( )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과 같다Table 6

Table 6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CAS

에서 보면 를 씩 증가하면서 첨가함에 따라 초결상태와Table 6 CAS 0 10 20 g

종결상태가 보다 급격히 빨라짐을 알 수 있었다 즉 경화 속도에 의Table 4 5 CAS

함유량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에서 사용한 첨가제를 모두 혼합하여 기존의 재Table 4 5 6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비교해보면O 89 g Table

과 같다7

- 39 -

Table 7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and CAS

에서 보는 것처럼 기존의 재Table 7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O 89 g

라에 석고와- LiCOα 3 만을 혼합하였을 때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의 양을 CAS

증가시키면서 함께 첨가할 수록 경화시간은 단축되었다

에 알미나 포틀랜드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Table 7 (AI-PC)

비교해보면 과 같다Table 8

기존의 재self-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보면 에서 보는 것처럼AI-PC Table 8

함량이 높을수록 경화시간은 너무 단축되어 그만큼 작업하는 시간이 촉박하AI-PC

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모든 결과를 종합해보면 응결시간은 온도와 습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실험할 때마다

기존레벨라를 비교하여 시험했다 가 가장 경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만 입자 CAS

가 뭉쳐 있어 혼합이 잘되지 않았다 그 결과 건조시 표면이 분화구처럼 돌출된 부

분이 많이 생겨났다

- 40 -

Table 8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CAS and Al-PC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5

급결제에 대한 성분 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는 와 같다 중탕Table 9

에서 증발시킨 후 의 잔유물에 대한 분석 결과(100 ) 50 wt Si 438 wt Na

로 나타났다 결정성과 구조분석을 위하여 로 확인한102 wt K 177 wt XRD

결과는 무결정 으로 피크가 나타나지 안했다 법으로 물을(amorphous) Karl fischer

분석시에도 가 잘 나타나지 안해 분석을 할 수 없었다 화학적 결합상태end-point

를 알아보기위해 을 이용하여 해석해본 결과IR Na2SiO3 H2 와O 50 wt 50 wt

의 H2 가 공존함을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O Na2SiO3 H2 와 의O 50 wt 50 wt

H2 를 함께 사용하기로 결정하였고 건설 현장에 시공 또는 제품 생산에 위와 같O

은 혼합비율을 적용하였다

- 41 -

Table 9 Chemical Composition of RCM300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6

측정된 충격음레벨은 ISO 140 Part 6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을 준용하여 수음실 기준 흡음력 에 대한sound insulation of Floors 1978) (10 )

보정 값으로 환산하였다(Table 10)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나타내는 수음실의 바닥충격음레벨 (Ln 은 다음 식 으로) (1)

구하였다

여기서

Ln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흡음력보정 바닥충격음레벨 j ( )

충격음위치 지점수m

상기 식 의 각 충격음 위치마다의 바닥충격음레벨의 평균값(1) (Lj 은 다음식 에) (2)

따라 산출하였다

- 42 -

Table 10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sound insulation of floor

- 43 -

여기서

Lj 수음실내 측정점 에서의 바닥충격음레벨 i ( )

측정점의 수n

또한 상기 바닥충격음레벨 평균값 (Lj 은 수음실의 흡음력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

므로 를 준용 이를 기준흡음력 에 대한 값ISO 140 Part6 (978) (10 ) (L nj 으로)

환산하였으며 그 산출식은 식 과 같다 (3)

여기서

L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평균 바닥충격음레벨 j ( )

AO 기준흡음력 (10 )

수음실 측정실 용적V ( ) ( )

수음실 측정실 잔향시간 초T ( ) ( )

에서 보면 기준판과 시험체의 경량충격음은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Table 10

충격음이 증가하다가 완만한 곡선을 나타내는 반면 중량충격음의 결과를 보면 주파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충격음이 계속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경량 충격음은 음원이 태핑머신인 관계로 주파수 변화에 따른

파장의 작고 큼에 별 영향을 주지 않지만 중량 충격음은 음원이 타이어임으로 고주

파대로 갈수록 파장이 작아서 투과 여건이 적은 관계에 기인함을 알 수 있다 본

바닥충격음과 소음에 대한 실험 결과 기존 시멘트몰탈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

믹몰탈간에 바닥충격음과 소음의 차이는 크게 나지 않음으로 무시할 정도임을 알았

- 44 -

제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7

아래 은 바닥재 시공에 대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과 재래식 시Table 11

멘트몰탈과의 특징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연구연에서 분석한 세라믹구들의 분석 결과를 에Table 12

실었다 현 시험법에 따라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 등의 물성을 공인된 한국건자 KS

재연구원에 의뢰한 결과 압축강도면에서 이 넘는 결과가 나왔으며 다른400 f

물성 또한 기준 물성값을 초과하는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에서 보는 것과 Table 12

같이 길이변화율은 일 경과 후 로서 거의 변화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28 -0046

며 이를 미루어 보아 시멘트몰탈의 수축 팽창에 기인되는 균열 원인을 해결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45 -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 구들의 비교Table 11

구분 단위 재래식 시멘트몰탈 본 제품 세라믹구들( )

시공후상태

몰탈층

바탕면의 균열 발생-바탕면의 평활 수평 이 없다- (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없다-공정 회 이 복잡하다- (3-4 )많은면적을 시공할 수 없다-양생시간이 길다 일- (3-7 )하자 보수비가 필요하다-시멘트 독성에 따른 인체에-해로움

바탕면의 균열이 없다- 바탕면의 평활 수평 성이 양호- ( )일정한 두께유지-공정이 단순 회공정 하다- (1 )많은 면적을 시공할 수 있다-양생시간이 짧다 일- (1 )하자보수비가 필요없다-건강보조기능-항균성 무독성 원적외선( )마감재 시공이 용이하다-에너지절감 효과가 크다-열전도율 및 축열기능이 좋다-차음 방음 효과가 우수하다- ( )건축물의 경량화-

세라믹 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시험 검사 방법 ( ) KS L 5105-97 KS L 5104-96 KS L 5207-rsquo99 KS F2424-rsquo95 KS L 1592 rsquo95시험원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시험일자 2000 OS 09 ~ 09 15

- 46 -

제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석회 광물은 마그네시아 광물과 함께 중요한 조암광물로서 천연에서는 산화물(CaO)

로는 존재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탄산염 황산염 또는 규산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석회질 원료로는 석회석 돌로마이트 형석 석고 규회석 등이었으며 이중 석회석

(CaCO3 과 석고)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만을 에 나타내었다 원적) Fig 10 11

외선 발열체와 세라믹 발열체가 있다 원석 발열체로는 맥반석 게르마늄석 옥석

황토 등이 있다 원적외선의 온열효과는 피부표면에 복사된 원적외선은 인체 중 물

의 진동 파장과 거의 비슷하며 공진 작용으로 일반열이 도달할 수 없는 부위( )共振

까지 도달하게 한다 이러한 심달력은 피하층의 온도상승 미세혈관의 확장 혈액순

환 촉진 선진대사강화 혈류 장해 해소 조직의 재생능력 증가 결련예방 및 암치

료 효과 등의 의학적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혈행이 좋아짐으로서

정상체온 유지 스트레스 해소 소화촉진 근육통 해소 피부 색깔 정상화 꺼칠한

눈이 부드러워지고 감기 예방효과 조직 내에 쌓여 있던 노폐물의 분비도 촉진된

다 또한 세포에 필요로 하는 영양소와 산소를 정상적으로 공급받게 되어 세포와

조직이 활력을 되찾게 되고 적당한 원적외선 활용은 세포의 노화를 막아주는 효과

를 볼 수 있다 원적외선 부작용 없는 건강유지와 질병의 예방치료적 기 (氣

라고 할 수 있다energy)

석회석은 시멘트의 주원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전방사율은 약 정도를085

보이고 있으나 이후와 단파장 영역쪽에 불안정한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보이20

고 있다 이는 공기 중의 습기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그 조성이 일부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시멘트를 측정하여 비교Fig 10 11

한 결과에서는 다소 석회석 자체원료를 측정한 것이 방사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CaSO4 는 외국에서 천연으로 산출된 것과 본 연구에서 제조한 배연 탈황석고)

모두 원적외선 방사특성에 있어서는 석회석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특히

부근에서의 약간의 골이 생겨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87

- 47 -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48 -

석고Fig 11 (CaSO4 의 원작외선 방사특성)

- 49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의 방사율은 에 실었다 현재 원적외선이 다Fig 12

량 방사되는 게르바늄석 참조 옥석 참조 맥반석 참조(Fig 13 ) (Fig 14 ) (Fig 15 )

등에 비해서 같은 수준의 방사에너지 및 방사율이 발현됨을 공인된 시험기간에 의

해서 입증되었다 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를 Fig16 3~20

파장 영역에서 방사특성을 나타내었다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는 이상흑체에

서 방사되는 특성과 같은 모양을 방출하고 있습을 알았다 따라서 세라믹구들은 건

강친화적인 면만 아니라 여러 가지 가능을 가진 차세대 온돌용 세라믹구들이라고

할 수 있다

제 절 현장 시공9

본 세라믹구들의 최적화 조건 조성 및 현장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차로 경기도 광1

주 소재 동심주택 제 차 그린타운 세대를 시험 시공한 바 있으며 위 결과를 토9 19

대로 최적화된 조건에 따라 안양 재건축현장 및 기홍 목조주택 등에 실용화 시공하

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Fig 17

필름 한 장을 깔고 그 위에 외경의 폴리에틸렌 엑셀파이프를 배관한 후 세라15

믹 구들로 타설한 후 수평을 잡으면서 두께를 로 일정하게 하였다40

시멘트 제품은 응결 경화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균열이 발생되

면 더 커지면서 계속 퍼져나가는 경향을 나타낸다 여러 종류의 균열 보수기법이

현재 마련되어 있으나 완벽한 균열 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 보수 후에도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 보수로 인해 외관의 불량 균열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로 시공한 결과는 상기와 같

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할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연구에 의해 일반 콘크리트에도 적

용할 경우 그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균열을 방지함으로서 방

수 강도저하 철근부식 등 내구성저하를 막으므로 고품질의 구조물 공사가 될 것으

로 예상된다

- 50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 51 -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 52 -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 53 -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8 -

제 절 현장 시공9

제 장 결 론4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제 장 실 험2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제 장 결 론4

- 9 -

표 목 차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연구Ⅰ

구미 유럽지역의 재 개발 현황Table 1 Self-leveling

Table 2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Table 3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and binder

Table 4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α

Table 5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LiCO3

Table 6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CAS

Table 7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and CAS

Table 8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a -gypsum LiCO3 CAS

and AI-PC

Table 9 Chemical composition of RCM300

Table 10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sound insulation of floor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구들의 비교Table 11

세라믹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 10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Table 1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V vs CuCUSO4)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 11 -

그 림 목 차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연구Ⅰ

Fig 1 TGA thermal curve of gypsum

Fig 2 Flow diagram of gypsum sintering system

Fig 3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Fig 4 SEM photograph of germany gypsum

Fig 5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after grinding

Fig 6 Present floor of impact sound insulation

Fig 7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each gypsum in sintering condition

Fig 8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gypsum after sieving

Fig 9 Particle distribution chart of gypsum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석고Fig 11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12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l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13 -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Ⅰ

제 장 서 론1

국내에서는 성 세라믹몰탈재를 고급타일 마감재의 수평조정용으로 사self-leveling

용함에 따라 실제적인 의 의미보다는 에 가깝게 적용하여 self-leveling smoothing

대개 시공두께 의 박막으로 시공하기 때문에 일본의 경우 대부분 이3~5 10

상의 후막형 제품들로는 적용이 불가능한 점을 들 수 있다 년 중반에서 수입사 lsquo80

를 통해서 수입하여 건축물에 적용해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년 초까지는 고가 lsquo90

의 재료비로 널리 사용되지는 못하고 대형백화점을 중심으로 시장 확대가 시도되었

으나 국내에서도 시멘트 업계나 건재 생산업체를 중심으로 시멘트계 self-leveling

재의 개발에 착수하기 시작하여 년부터 개 업체에서 판매를 개시함mortar lsquo93 2~3

으로써 시장이 활성화되기 시작하였다

최근에는 대형공장 주차장바닥에 적용할 수 있는 재를 실용화 self-leveling mortar

하여 현재 보급 중에 있으며 석고계 재는 대리점을 통해 수입 self-leveling mortar

품이 고급빌라의 방통 몰탈 대체용으로 각광받고 있어 국내도 다양한 self-leveling

재 제품이 소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및mortar

대형건물 주차장 바닥 몰탈로 성 세라믹몰탈을 사용한 실적은 없다 self-leveling

국외의 경우를 보면 일본에서의 재의 연구는 년에 일본주택self-leveling mortar lsquo73

공단에서 건축물의 요철면을 화하기 위한 바닥공법의 합리화라는 목적으로高精度

석고계 시멘트계 재의 기초연구가 시작되었으나 당시에는 경 self-leveling mortar

제성 때문에 실용화되지는 못하였다 이후 년대 초에서 중반까지는 lsquo70 SO3의 공해

규제에 의한 탈황석고의 효율적인 이용의 관점에서 석고계 self-leveling排煙

재의 실용화 연구에 박차를 가하게 되어 년 시험 시공에 성공하여 년mortar lsquo76 lsquo77

도부터 전국적으로 시판을 개시하기에 이르렀다

- 14 -

년에 최초로 시멘트계 재를 개발 시판하면서 일본내에서 석lsquo82 self-leveling mortar

고계와 시멘트계 재가 함께 사용되기 시작하였다self-leveling mortar

석고계 및 시멘트계 재에는 서로의 장 단점이 있기 때문에 나self-leveling mortar ㆍ

름대로의 판매영역을 구축해 나갔지만 년에 스웨덴의 사로부터 석고계 및 lsquo85 BEPA

시 멘트계의 장 단점을 보완한 무기질계 재 세라믹계 또는 혼self-leveling mortar (ㆍ

합형 재로도 칭함 를 기술도입 함으로써 이후에 일본에서는self-leveling mortar ) 3

종의 재가 시판되기 시작하여 오늘에 이르렀다self-leveling mortar

유럽에서는 오래 전부터 재를 바닥에 사용해 온 것으로 알려져self-leveling mortar

있으며 실제로 다양한 형태의 재가 시판되고 있다 참 self-leveling mortar (Table 1

조 재의 결합재별로 전술한 석고계 시멘트계 혼합계 외에도) Self-leveling mortar

폴리머를 이용한 폴리머시멘트계 또한 시공 두께별로 후막형 및 박막형 등 시공

조건이나 환경에 따라 적용 가능한 여러 제품들이 시판 되고 있다

성 세라믹 구들재에 요구되는 성능은 작업 종료시까지 유동성 확보문Self-leveling

제 응결 경화과정의 요구성능 내구성 측면 등에 좌우된다 유동성과의 균형을 확

보하지 않으면 골재 침강으로 인한 표면 이 심하게 발생되어 표면정도나bleeding

최종 마감재와의 부착 성능을 급격하게 저하시키거나 유동성이 저하되어 세라믹몰

탈재 마감공사가 용이하지 못하기 때문에 세라믹몰탈재 슬러지의 성상과 사용장비

와의 적합성은 공사의 승패를 좌우하는 주요 요인이 된다

- 15 -

구미 유럽지역의 재 개발 현황Table 1 Self -leveling

재 품종Self-leveling 개 발 국 가 참 여 업 체 명( )

석고계미국 등(GYP-CRETE HACKER )독일 등(BAYER KNAUF GUILINY HENCKEL )

시멘트계 스웨덴 등 핀랜드(ABS ZEMENTA ) (PARTEK)

혼합계 독일 등 스웨덴 등(PCI HENCKEL ) (BEPA )

폴리머시멘트계 영국 등 독일 등 웨덴 등(ICI ) (PCI HENCKEL ) (ABS )

무수석고에 첨가되는 시멘트에 대한 수많은 연구 결과가 소개되고 있으나 두 물질

간의 물리화학적인 양론적 문제와 시멘트 화학조성 분말도 발연곡선 응결 수화

열 강도 팽창 수축 화학적저항성 등에 따라 상이하다

신기술 시공의 정밀성 신속성 간편성이 특징인 성 세라믹몰탈의 시공 self-leveling

방법은 현장에서 제품에 물만 부어 바닥에 뿌리면 자동적으로 수평 한 면이 형성되

므로 기존의 시멘트 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

성 내구성 경량성과 자동 수평이 되는 평활성 때문에 별도의 쇠흙손으로 마감이

필요 없다 또한 시멘트 몰탈에 비하여 들뜸 현상 및 갈라짐이 없고 가벼운 재질로

되어 있어 건축 구조물의 경량화가 기대된다

특히 기계화 시공으로 인건비 절감 및 작업장 환경 개선 공기 단축 등으로 경제적

이고 정밀한 시공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기존 방식보다 방열성이 높다는 것

은 열효율 면에서 매우 유리한 난방 방식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성 세라믹몰탈은 최근 건축물의 화를 위한 건축 재료로 많이Self-leveling intelligent

사용되고 있다 세라믹몰탈은 유동성이 우수하며 신속한 응결 경화과정으로 일 1

안에 보행이 가능함은 물론 표면에 기포 자국이나 수축 균열이 없어 백화점 오피스

텔 대규모 건축물의 바닥 미장은 물론 목재 위에 박막이나 후막으로 많이 사용됨

으로서 건설 인력 부족을 대체할 수 있는 신기능성 제품이다

- 16 -

성 세라믹몰탈재는 사용되는 특수 첨가제에 따라 시멘트계 석고계 혼Self-leveling

합계 특수시멘트 팽창억지제 석고보드 등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각기 특성에 따라

적용되는 분야가 상이함으로 첨가제 혼화제 가 개선되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고부( )

가가치 산업을 창출할 수 있다

개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 물질인10 SO2를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하여 아황산석고로 생산되면서 SO2는 제거된다

아황산석고를 반응기에서 반응시켜 부산석고를 얻는다 화력발전소의 부산물인 석

고와 시멘트 결합제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성 세라믹몰탈은 국내의 부 self-leveling

존자원이나 산업폐기물의 유효 이용 차원에서 건축재료로의 활용은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최근 큰 문제로 대두된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일석

이조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됨으로서 국가 경제 발전에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기술적 측면에서 보면 시멘트제품은 응결 경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

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

그러나 과학 및 산업기술들이 고도로 발전되어 감에 따라 건축물 마감공사도 미려

함을 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성 세라믹몰탈재가 건축물 마감공사의self-leveling

성력화를 가능케 한 신 기능성 건축재료의 총아라 할 수 있다

이수석고는 국내 화력발전소에서 배출되는 가장 심각한 공해물질인 SO2 가스를 흡

수액 중 CaCO3과 반응시켜 년간 만톤씩 부산되고 있는 무용한 물질이다 산업폐33

기물의 일종인 이수석고를 소성과정을 거쳐 소석고 로 만든다(calcined gypsum)

소석고에 신 기능성 특수 를 첨가하여 바닥 마감용 성 세라믹몰binder self-leveling

탈재를 생산함으로써

열효율 면에서는 시멘트 제품보다 축열성이 높으며-

미장면이 평활하므로 추가로 보수가 필요 없고-

시멘트보다 압축 및 인장강도 면에서 우수하다-

시중 시멘트제품은 균열에 있어서 완벽한 균열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보

수 후에는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보수 및 면 평활도가 외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 17 -

그러나 본 제품을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하므로 그 파

급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된다

경제적 측면에서 보면 국내 석고 소비량은 연간 만톤으로 선진국의 연간 소비600

율 에도 못 미치는 실정이다 또한 국내에는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10

실정으로 해외에서 톤당 만원 정도의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볼16

때 품질이 좋고 가격이 싼 발전용 배연 탈황 석고의 공급은 국내 관련 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국내 발전용 배연 탈황 석고의 공급이

서기 년도에 이르면 약 만톤으로 국내 석고 수요량 만톤의 약 정2000 110 600 18

도는 충당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진다

현재 아파트 및 오피스텔 공사 등이 전국적으로 그 물량이 대단히 많으나 모든 미

장 마감층에 균열이 생기고 평활도의 문제가 발생되고 있어 입주 전에 균열 보수

재료에 의해 보수를 실시하고 있으나 완전 보수가 불가능하여 입주 후 많은 세대수

에서 하자보수로 인한 손실이 매우 큰 실정이다 또한 바닥면이 수평을 이루지 못

하여 가구 등의 제품에 뒤틀림 등으로 생활에 불편함을 제공하고 있다

본 제품은 상기와 같은 모든 문제점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훨씬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건비 절감 공기 단축 국내의 산업폐기물의 유효이용 차원에서

건축재료로의 활용은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시멘트 건축재 생산업체들을 중심으로 아파트 온돌 부위와 목재 위에 박막

또는 후막으로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용도의 세라믹몰탈 등의 상품화는 년간 500

억원 규모의 사업화가 가능할 것이며 또한 특수 의 개발은 연간 약 억 binder 150

원의 시장 창출이 예측된다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 보면 현대 산업의 고도화 및 복잡화로 환경 오염을 초래하

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각종 환경매체에 대한 환경 오염이 극심해지

고 있는 실정이어서 환경 오염 방지 및 환경보존 개선을 위한 규제가 점점 강화되

고 있다 특히 대기오염 생태계 파괴 등 환경과 보건에 심각한 위해가 초래됨으로

써 규제도 본격화하게 되었다

- 18 -

이산화유황으로 오염된 화력발전소의 배기가스는 석회함수물 또는 석회액과의 화학

적 반응을 통해 탈황된다 이로 인해 산성비 에 대한 원인은 제거된다 이런 중요 ldquo rdquo

한 환경기술적 조치의 반응생산물인 부산석고를 건축 자재로 사용함으로서 대기 환

경보존을 할 수 있다는 차원에서 금액으로 환산할 수 없는 중대한 기여를 할 것이

다 또한 내장 박막 이하 후막 등을 미려하게 함은 mortar(50 ) (5 ) (1O-15 )

물론 수축 팽창 균열 등을 방지함으로 풍요로운 생활공간을 제공할 것이다

위와 같은 평가 기술은 국내 최고의 분석 평가 기관인 특성분석센터와 세라믹KIST

스 연구부 및 주 범우에서 이미 확보되어 있고 국제적으로도 상당한 경쟁력을 갖( )

추고 있다 매우 불활성인 무수석고를 약 시간만에 경화가 시작되도록 활성화하는 2

즉 정해진 특성들을 가진 건축자재를 생산하는 두 가지 방식이 있다 그중 한 방법

은 미세하게 분쇄한 후 풀어짐을 촉진하는 소량의 자극제 즉 분산제의 첨가이며

다른 한 방법은 몰탈 준비 때보다 강력한 혼합을 요구하는 무수석고의 생산이REA

절실히 필요하다

- 19 -

제 장 실 험2

제 절 배연탈황1

화력 발전소에서 부산물로 생성되는 이수석고의 주요 반응은 의 현탁액과limestone

연소가스를 역류 세정시키면서 일어난다 이것은 아래에 열거한 것과 같은 확산과

화학반응으로 구분되어 진행된다

기 액 경계면에 이르기까지의 을 통한- gas film SO① 2의 확산

SO② 2가 상태가 되는aqueous dissolution

상태의Aqueous SO③ 2가 되어hydration H2SO3로 되고 이것이 H+ 와 HSO3-로 존

재하게 됨

HSO④ 3-가 분리되어 SO3

-를 형성함

용역내의 CaCO⑤ 3는 상태로 되고 이것은 다시aqueous dissolution H+이온과 반응

하여 Ca2+ 와 HSO3-를 형성함

및 과정에서 생성된 Ca⑥ ④ ⑤ 2+와 SO32-그리고 물이 반응하여 CaSO3ㆍ12H2 가O

형성됨

CaSO⑦ 3ㆍ12H2 는 물과 물속에 녹아있는 산소와 결합하여O CaSO4 2Hㆍ 2 를 형O

성함

- 20 -

반응식Total

이와 같은 반응들의 반응속도를 비교하여 볼 때 의 단계는 비교적 빠 ③ ④ ⑥ ⑦

른 반응이 되고 제어단계는 크게 가스확산 액체 내에서의 SO2 확산 석회석의

등 단계로 압축시킬 수 있다 위의 메카니즘 가운데 이온들의 화학반응dissolution 3

을 로 규명하기도 한다 이것은 기 액 경계면을 중심으two-reaction-planes model -

로 액체쪽으로 개의 을 설정하고 각각의 다른 반응이 일어난다는 것2 reaction plan

이다

제 절 석고 소성2

전항에서 만들어진 이수석고에 함유된 부착수분과 결정수분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

기로와 열질량분석기 를(thermogravimetric analyzer TGA Perkin-Elmer TGS-2)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에서 보면 공기 중에서 일 방치한 이수석고 중 Fig 1 2 18

정도가 되면 대부분 휘발성 물질들이 날아가서 무게가 정도 감소되었60 5 wt

다 다시 정도가 될 때까지 결정 수분이 정도 감소되었고 190 18 wt 700

가 될 때까지 정도가 휘발되어 날아가 전체 무게 감소는 되고2 wt 25 wt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휘발되는 것이 없이 일정한 무게를 유지하였다 전기로에서

실험한 결과도 부착수분이 건조감량이 로 전체 무게 감소율121 wt 109 wt

은 이였다 이수석고를 세라믹용기 및 용기에 각각230 wt stainless steel 500

씩 분취하여g 150 (2 hrs) 200 (1~2 hrs) 350 (1 hr) 420 (1 hr)

로 유지한 전기로에서 각각 소성하였500 (1 hr) 650 (15 hr) 750 (1 hr)

다 소성 후 를 사용하여 소성 X-Ray Diffractometer (XRD Rigaku DMAX-2500)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CaSO4 2Hㆍ 2 를 대량 소성하기 위하여O

에stainless steel port CaSO4 2H2 씩을 넣고 를 아래와 같O 2 conveyor furnace

은 조건 을 유지하면서 대전 소재 쌍용중앙연구소에서 시간 연속 실험하(Fig 2) 24

였다

- 21 -

Fig 1 TGA thermal curve of gypsum

- 22 -

Fig 2 Flow diagram of gypsum sintering system

- 23 -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3

에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석고에 대하여 표면형상을 관찰하였다Self-leveling

조건으로 국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Hitachi S-4200) 150

산 석고등의 입자를 조사한 결과는 과 에서 보는 바와 같다 과Fig 3 Fig 4 Fig 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국산석고의 크기가 독일산 석고보다 크나 분쇄를 잘하Fig 4

면 공정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추정된다self-leveling

의 입자가 큰 국산석고를 에서 분 분쇄 후 사진 의 결Fig 3 mortar 20 SEM (Fig5)

과를 보면 독일산 석고와 아주 유사한 형태와 로 변하였다 그러므로 분쇄 공정size

만 잘 진행하면 국산 석고도 외국산 석고에 비해 제조에 손색없음을self-leveling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 무수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를 위하여 쌍용연구소의 연속분쇄기

를 사용하여 분쇄하였다 분쇄 조건은 압력(roller mill) roller 6 feeding RPM

시료 투입량 등으로 무수석고를 연속 분쇄하였40 separator RPM 880 6 hr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4

국내산 석고와 외국산 석고들에 대한 화학성분 분석을 위하여 Optical Emission

로 정성분석한 후Spectrometer(OES TJA Atomcomp 81) Atomic Absorption

Sepctrophotometer(AAS Perkin Elmer 5000) 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meter(ICPAES Perkin Elmer Elan 5000) Wet

분석방법 등으로 국산 석고와 외국산 석고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Analysis(WET)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 석고에 대하여도 위에서 분석한 CAS( )

것과 같이 등의 방법으로 성분분석을 하여 석고의 품질OES AAS ICPAES WET

및 특성등을 파악하였다

- 24 -

Fig3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 25 -

Fig4 SEM photograph of germany gypsum

- 26 -

Fig5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after grinding

- 27 -

제 절 특수 첨가재5

기존의 재 에self- leveling 300 g H2 을 혼합한 후 아래와 같은 여러 종류의O 89 g

첨가재를 첨가하면서 초결 종결 등의 경화 응결 및 플로값 등의 물리적인 성질을

측정하였다

또한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

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기존의 재 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O 89g CAS ( )

때의 물리적인 특성뿐 아니라 알미나 포틀랜드 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AI-PC)

때의 물리적인 특성도 비교하였다

가존의 재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 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위에서 측정한 경우와 서로 비교하AI-PC

여 보았다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6

재 제조시 적절한 응결을 위하여 급결제을 사용하는데 통상 물유리를Self -leveling

많이 사용함을 본 연구에서 알았다 급결제의 성분 분석을 위하여 wet analysis

등을 사용하였으며 구조분석을 위하여는 와 을 사용하였OES AAS ICPAES XRD IR

다 법으로는 석고중에 함유되어 있는 물의 함량을 분석하는데 사용하 Karl fischer

였다

- 28 -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7

바닥 충격음 및 소음에 대한 시험은 여주군에 위치한 방재시험연구소에 의뢰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편을 제작하여 측정하였다 바닥 충격음 방지재 (save gum pad

를 사용한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 에 시험재료로 한양 시멘트 제품인6 t) (246 )

레미탈 을 사용하여 몰탈 바닥 넓이 로 작업한 후900 28 m times 42 m times 30

일 간 야외에서 양생하여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참조30 (Fig 6 )

바닥충격음시험은 건축물현장에 있어서의 바닥충격음측정방법 을KSF 2810 ( 1981)

적용하여 음원실 충격음발생실 과 수음실 충격음측정실 로 구성된 잔향실 사이 바( ) ( )

닥개구부에 시험체를 설치한 후 시험체위에서 충격음 경량 태핑 머신 및 중량충 (

격음 타이어 을 발생시켜 주파수범위의 대역별 바닥충격음 ) 63-4000 13 Octave

레벨 회를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하였다25

제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최근 건설 현장에 불기 시작한 주거환경의 쾌적화와 원적외선 방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도 원적외선 방사에 대한 시험을 시행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과 한국원적외선협회에 세라믹몰탈 옥석 맥반석

게르마늄석을 의뢰하여 방사율을 단파장인 영역인 에서 까지 측정하였다3 20

- 29 -

Fig 6 Present floor of impact sound insulation

- 3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1

화력발전소에서 부산물로 생성된 이수석고를 대전소재 쌍용 중앙연구소에서 rotary

을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소성된 석고를kiln X - Ray Diffractometer (XRD Rigaku

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수석고는DMAX-2500) Fig 7

에서는150~200 CaSO 4 2Hㆍ 2 가O CaSO4 12Hㆍ 2 로 변하고 에서O 350 CaSO 4

의 피크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그후 온도를 올림에 따라 무수석고의 결정성이 좋

아짐을 알 수 있었다 참조(Fig 7 )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2

으로 확인한 결과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국산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ig 3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로 단단한 모양으로 균일하게70

구성되어 있는 반면 의 독일산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 Fig 4 70

의 크기가 소수 분포와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분포175

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체로 한 결 -200 mesh sieving

과를 보면 정도의 가 큰 덩어리가 남아 있었다10 size

가 큰 덩어리를 로 확인한 결과 석고로 판명되었다 에서 보면 독일Size XRD Fig 8

산 최초 석고인 BW CaSO4 과 후의 의(GER)-3 sieving XRD pattern BW

CaSO4 와 동일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들은 결과와 결과로(G+200M)-4 XRD TGA

보면 모두 CaSO4로 판명되었다

에서 분쇄된 무수석고의 입자분포도를 보기 위하여Roller mill particle size

로 측정범위 측정 분산매analyzer 01-180 lens focal depth 100 methyl

를 사용하여 초음파 분산 방법으로 입도 분포도를 얻어 에 실었다alcohol Fig 9

- 31 -

Fig7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each gypsum in sintering condition

- 32 -

Fig8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gypsum after sieving

- 33 -

Fig 9 Particle distribution chart of gypsum

- 34 -

에서의 입자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이하의 분포도가 전체의 를Fig 9 5 87

차지하고 있는 반면 마이크론미터 이상이 전체의 밖에 차지하고 있음을 알10 3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보면 외국산 석고에 비해 공정에서는 보다 나 self - leveling

은 작업성과 물성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3

분석방법 등으로 분석한 결과 에서 보OES AAS ICPAES Wet Analysis Table 2

는 바와 같이 독일산석고와 국산석고의 분석결과가 화학성분에서는 아주 유사하다

그러나 독일산 석고에 규사만이 함유되어 있는 것에 비해 국산 석고에는16 wt

규사가 로 작게 함유되어 있었다 이는 원재료의 광산에 함유된 규사에096 wt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석고에 대한 분석 결과를 CAS( ) Table 3

에 실었다 에서 보면 라파석고에 인이 포함되어 있는 반면 인 Table 3 00072 wt

산무수 석고에는 로 많이 포함되어 있어 제조시 인산무0024 wt self- leveling

수 석고를 사용한 결과가 나쁘게 나타났다고 추정되며 지지용 철근의self-leveling

부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이므로 인산석고의 사용을 피함이 좋을 것이다

인산무수 석고는 자체에서 산성 성분을 용출함으로서 콘크리트 중에 함유된 알칼리

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을 혼입시키어 철근을 활성화

상태로 만들고 이로 인해 부식하기 쉽게 된다

- 35 -

Table 2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 36 -

Table 3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and Binder

- 37 -

제 절 특수 첨가재4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의 양을 변화시O 89 g -α

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4

Table 4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a -gypsum

에서 보면 석고의 함량을 증가할수록 초결시간은 빨라지지만 수분증발시Table 4 -α

간이 느리고 기존레벨라보다 종결시간이 느린 것을 보아 석고만을 첨가한다는-α

것은 의미가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화시키

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5

Table 5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LiCO3

- 38 -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기존레벨라에는 이미Table 5 LiCO3이 인 이 포014 042g

함되어 있어 순으로 첨가하였으나 첨가 양에 따른 초결상태의 변화0 15 30 g

는 없었으나 종결상태는 조금씩 첨가 양이 많아지면서 조금씩 지연되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O 89 g CAS ( )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과 같다Table 6

Table 6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CAS

에서 보면 를 씩 증가하면서 첨가함에 따라 초결상태와Table 6 CAS 0 10 20 g

종결상태가 보다 급격히 빨라짐을 알 수 있었다 즉 경화 속도에 의Table 4 5 CAS

함유량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에서 사용한 첨가제를 모두 혼합하여 기존의 재Table 4 5 6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비교해보면O 89 g Table

과 같다7

- 39 -

Table 7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and CAS

에서 보는 것처럼 기존의 재Table 7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O 89 g

라에 석고와- LiCOα 3 만을 혼합하였을 때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의 양을 CAS

증가시키면서 함께 첨가할 수록 경화시간은 단축되었다

에 알미나 포틀랜드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Table 7 (AI-PC)

비교해보면 과 같다Table 8

기존의 재self-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보면 에서 보는 것처럼AI-PC Table 8

함량이 높을수록 경화시간은 너무 단축되어 그만큼 작업하는 시간이 촉박하AI-PC

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모든 결과를 종합해보면 응결시간은 온도와 습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실험할 때마다

기존레벨라를 비교하여 시험했다 가 가장 경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만 입자 CAS

가 뭉쳐 있어 혼합이 잘되지 않았다 그 결과 건조시 표면이 분화구처럼 돌출된 부

분이 많이 생겨났다

- 40 -

Table 8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CAS and Al-PC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5

급결제에 대한 성분 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는 와 같다 중탕Table 9

에서 증발시킨 후 의 잔유물에 대한 분석 결과(100 ) 50 wt Si 438 wt Na

로 나타났다 결정성과 구조분석을 위하여 로 확인한102 wt K 177 wt XRD

결과는 무결정 으로 피크가 나타나지 안했다 법으로 물을(amorphous) Karl fischer

분석시에도 가 잘 나타나지 안해 분석을 할 수 없었다 화학적 결합상태end-point

를 알아보기위해 을 이용하여 해석해본 결과IR Na2SiO3 H2 와O 50 wt 50 wt

의 H2 가 공존함을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O Na2SiO3 H2 와 의O 50 wt 50 wt

H2 를 함께 사용하기로 결정하였고 건설 현장에 시공 또는 제품 생산에 위와 같O

은 혼합비율을 적용하였다

- 41 -

Table 9 Chemical Composition of RCM300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6

측정된 충격음레벨은 ISO 140 Part 6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을 준용하여 수음실 기준 흡음력 에 대한sound insulation of Floors 1978) (10 )

보정 값으로 환산하였다(Table 10)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나타내는 수음실의 바닥충격음레벨 (Ln 은 다음 식 으로) (1)

구하였다

여기서

Ln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흡음력보정 바닥충격음레벨 j ( )

충격음위치 지점수m

상기 식 의 각 충격음 위치마다의 바닥충격음레벨의 평균값(1) (Lj 은 다음식 에) (2)

따라 산출하였다

- 42 -

Table 10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sound insulation of floor

- 43 -

여기서

Lj 수음실내 측정점 에서의 바닥충격음레벨 i ( )

측정점의 수n

또한 상기 바닥충격음레벨 평균값 (Lj 은 수음실의 흡음력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

므로 를 준용 이를 기준흡음력 에 대한 값ISO 140 Part6 (978) (10 ) (L nj 으로)

환산하였으며 그 산출식은 식 과 같다 (3)

여기서

L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평균 바닥충격음레벨 j ( )

AO 기준흡음력 (10 )

수음실 측정실 용적V ( ) ( )

수음실 측정실 잔향시간 초T ( ) ( )

에서 보면 기준판과 시험체의 경량충격음은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Table 10

충격음이 증가하다가 완만한 곡선을 나타내는 반면 중량충격음의 결과를 보면 주파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충격음이 계속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경량 충격음은 음원이 태핑머신인 관계로 주파수 변화에 따른

파장의 작고 큼에 별 영향을 주지 않지만 중량 충격음은 음원이 타이어임으로 고주

파대로 갈수록 파장이 작아서 투과 여건이 적은 관계에 기인함을 알 수 있다 본

바닥충격음과 소음에 대한 실험 결과 기존 시멘트몰탈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

믹몰탈간에 바닥충격음과 소음의 차이는 크게 나지 않음으로 무시할 정도임을 알았

- 44 -

제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7

아래 은 바닥재 시공에 대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과 재래식 시Table 11

멘트몰탈과의 특징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연구연에서 분석한 세라믹구들의 분석 결과를 에Table 12

실었다 현 시험법에 따라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 등의 물성을 공인된 한국건자 KS

재연구원에 의뢰한 결과 압축강도면에서 이 넘는 결과가 나왔으며 다른400 f

물성 또한 기준 물성값을 초과하는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에서 보는 것과 Table 12

같이 길이변화율은 일 경과 후 로서 거의 변화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28 -0046

며 이를 미루어 보아 시멘트몰탈의 수축 팽창에 기인되는 균열 원인을 해결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45 -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 구들의 비교Table 11

구분 단위 재래식 시멘트몰탈 본 제품 세라믹구들( )

시공후상태

몰탈층

바탕면의 균열 발생-바탕면의 평활 수평 이 없다- (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없다-공정 회 이 복잡하다- (3-4 )많은면적을 시공할 수 없다-양생시간이 길다 일- (3-7 )하자 보수비가 필요하다-시멘트 독성에 따른 인체에-해로움

바탕면의 균열이 없다- 바탕면의 평활 수평 성이 양호- ( )일정한 두께유지-공정이 단순 회공정 하다- (1 )많은 면적을 시공할 수 있다-양생시간이 짧다 일- (1 )하자보수비가 필요없다-건강보조기능-항균성 무독성 원적외선( )마감재 시공이 용이하다-에너지절감 효과가 크다-열전도율 및 축열기능이 좋다-차음 방음 효과가 우수하다- ( )건축물의 경량화-

세라믹 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시험 검사 방법 ( ) KS L 5105-97 KS L 5104-96 KS L 5207-rsquo99 KS F2424-rsquo95 KS L 1592 rsquo95시험원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시험일자 2000 OS 09 ~ 09 15

- 46 -

제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석회 광물은 마그네시아 광물과 함께 중요한 조암광물로서 천연에서는 산화물(CaO)

로는 존재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탄산염 황산염 또는 규산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석회질 원료로는 석회석 돌로마이트 형석 석고 규회석 등이었으며 이중 석회석

(CaCO3 과 석고)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만을 에 나타내었다 원적) Fig 10 11

외선 발열체와 세라믹 발열체가 있다 원석 발열체로는 맥반석 게르마늄석 옥석

황토 등이 있다 원적외선의 온열효과는 피부표면에 복사된 원적외선은 인체 중 물

의 진동 파장과 거의 비슷하며 공진 작용으로 일반열이 도달할 수 없는 부위( )共振

까지 도달하게 한다 이러한 심달력은 피하층의 온도상승 미세혈관의 확장 혈액순

환 촉진 선진대사강화 혈류 장해 해소 조직의 재생능력 증가 결련예방 및 암치

료 효과 등의 의학적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혈행이 좋아짐으로서

정상체온 유지 스트레스 해소 소화촉진 근육통 해소 피부 색깔 정상화 꺼칠한

눈이 부드러워지고 감기 예방효과 조직 내에 쌓여 있던 노폐물의 분비도 촉진된

다 또한 세포에 필요로 하는 영양소와 산소를 정상적으로 공급받게 되어 세포와

조직이 활력을 되찾게 되고 적당한 원적외선 활용은 세포의 노화를 막아주는 효과

를 볼 수 있다 원적외선 부작용 없는 건강유지와 질병의 예방치료적 기 (氣

라고 할 수 있다energy)

석회석은 시멘트의 주원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전방사율은 약 정도를085

보이고 있으나 이후와 단파장 영역쪽에 불안정한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보이20

고 있다 이는 공기 중의 습기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그 조성이 일부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시멘트를 측정하여 비교Fig 10 11

한 결과에서는 다소 석회석 자체원료를 측정한 것이 방사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CaSO4 는 외국에서 천연으로 산출된 것과 본 연구에서 제조한 배연 탈황석고)

모두 원적외선 방사특성에 있어서는 석회석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특히

부근에서의 약간의 골이 생겨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87

- 47 -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48 -

석고Fig 11 (CaSO4 의 원작외선 방사특성)

- 49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의 방사율은 에 실었다 현재 원적외선이 다Fig 12

량 방사되는 게르바늄석 참조 옥석 참조 맥반석 참조(Fig 13 ) (Fig 14 ) (Fig 15 )

등에 비해서 같은 수준의 방사에너지 및 방사율이 발현됨을 공인된 시험기간에 의

해서 입증되었다 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를 Fig16 3~20

파장 영역에서 방사특성을 나타내었다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는 이상흑체에

서 방사되는 특성과 같은 모양을 방출하고 있습을 알았다 따라서 세라믹구들은 건

강친화적인 면만 아니라 여러 가지 가능을 가진 차세대 온돌용 세라믹구들이라고

할 수 있다

제 절 현장 시공9

본 세라믹구들의 최적화 조건 조성 및 현장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차로 경기도 광1

주 소재 동심주택 제 차 그린타운 세대를 시험 시공한 바 있으며 위 결과를 토9 19

대로 최적화된 조건에 따라 안양 재건축현장 및 기홍 목조주택 등에 실용화 시공하

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Fig 17

필름 한 장을 깔고 그 위에 외경의 폴리에틸렌 엑셀파이프를 배관한 후 세라15

믹 구들로 타설한 후 수평을 잡으면서 두께를 로 일정하게 하였다40

시멘트 제품은 응결 경화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균열이 발생되

면 더 커지면서 계속 퍼져나가는 경향을 나타낸다 여러 종류의 균열 보수기법이

현재 마련되어 있으나 완벽한 균열 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 보수 후에도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 보수로 인해 외관의 불량 균열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로 시공한 결과는 상기와 같

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할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연구에 의해 일반 콘크리트에도 적

용할 경우 그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균열을 방지함으로서 방

수 강도저하 철근부식 등 내구성저하를 막으므로 고품질의 구조물 공사가 될 것으

로 예상된다

- 50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 51 -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 52 -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 53 -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9 -

표 목 차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연구Ⅰ

구미 유럽지역의 재 개발 현황Table 1 Self-leveling

Table 2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Table 3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and binder

Table 4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α

Table 5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LiCO3

Table 6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CAS

Table 7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and CAS

Table 8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a -gypsum LiCO3 CAS

and AI-PC

Table 9 Chemical composition of RCM300

Table 10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sound insulation of floor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구들의 비교Table 11

세라믹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 10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Table 1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V vs CuCUSO4)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 11 -

그 림 목 차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연구Ⅰ

Fig 1 TGA thermal curve of gypsum

Fig 2 Flow diagram of gypsum sintering system

Fig 3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Fig 4 SEM photograph of germany gypsum

Fig 5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after grinding

Fig 6 Present floor of impact sound insulation

Fig 7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each gypsum in sintering condition

Fig 8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gypsum after sieving

Fig 9 Particle distribution chart of gypsum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석고Fig 11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12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l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13 -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Ⅰ

제 장 서 론1

국내에서는 성 세라믹몰탈재를 고급타일 마감재의 수평조정용으로 사self-leveling

용함에 따라 실제적인 의 의미보다는 에 가깝게 적용하여 self-leveling smoothing

대개 시공두께 의 박막으로 시공하기 때문에 일본의 경우 대부분 이3~5 10

상의 후막형 제품들로는 적용이 불가능한 점을 들 수 있다 년 중반에서 수입사 lsquo80

를 통해서 수입하여 건축물에 적용해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년 초까지는 고가 lsquo90

의 재료비로 널리 사용되지는 못하고 대형백화점을 중심으로 시장 확대가 시도되었

으나 국내에서도 시멘트 업계나 건재 생산업체를 중심으로 시멘트계 self-leveling

재의 개발에 착수하기 시작하여 년부터 개 업체에서 판매를 개시함mortar lsquo93 2~3

으로써 시장이 활성화되기 시작하였다

최근에는 대형공장 주차장바닥에 적용할 수 있는 재를 실용화 self-leveling mortar

하여 현재 보급 중에 있으며 석고계 재는 대리점을 통해 수입 self-leveling mortar

품이 고급빌라의 방통 몰탈 대체용으로 각광받고 있어 국내도 다양한 self-leveling

재 제품이 소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및mortar

대형건물 주차장 바닥 몰탈로 성 세라믹몰탈을 사용한 실적은 없다 self-leveling

국외의 경우를 보면 일본에서의 재의 연구는 년에 일본주택self-leveling mortar lsquo73

공단에서 건축물의 요철면을 화하기 위한 바닥공법의 합리화라는 목적으로高精度

석고계 시멘트계 재의 기초연구가 시작되었으나 당시에는 경 self-leveling mortar

제성 때문에 실용화되지는 못하였다 이후 년대 초에서 중반까지는 lsquo70 SO3의 공해

규제에 의한 탈황석고의 효율적인 이용의 관점에서 석고계 self-leveling排煙

재의 실용화 연구에 박차를 가하게 되어 년 시험 시공에 성공하여 년mortar lsquo76 lsquo77

도부터 전국적으로 시판을 개시하기에 이르렀다

- 14 -

년에 최초로 시멘트계 재를 개발 시판하면서 일본내에서 석lsquo82 self-leveling mortar

고계와 시멘트계 재가 함께 사용되기 시작하였다self-leveling mortar

석고계 및 시멘트계 재에는 서로의 장 단점이 있기 때문에 나self-leveling mortar ㆍ

름대로의 판매영역을 구축해 나갔지만 년에 스웨덴의 사로부터 석고계 및 lsquo85 BEPA

시 멘트계의 장 단점을 보완한 무기질계 재 세라믹계 또는 혼self-leveling mortar (ㆍ

합형 재로도 칭함 를 기술도입 함으로써 이후에 일본에서는self-leveling mortar ) 3

종의 재가 시판되기 시작하여 오늘에 이르렀다self-leveling mortar

유럽에서는 오래 전부터 재를 바닥에 사용해 온 것으로 알려져self-leveling mortar

있으며 실제로 다양한 형태의 재가 시판되고 있다 참 self-leveling mortar (Table 1

조 재의 결합재별로 전술한 석고계 시멘트계 혼합계 외에도) Self-leveling mortar

폴리머를 이용한 폴리머시멘트계 또한 시공 두께별로 후막형 및 박막형 등 시공

조건이나 환경에 따라 적용 가능한 여러 제품들이 시판 되고 있다

성 세라믹 구들재에 요구되는 성능은 작업 종료시까지 유동성 확보문Self-leveling

제 응결 경화과정의 요구성능 내구성 측면 등에 좌우된다 유동성과의 균형을 확

보하지 않으면 골재 침강으로 인한 표면 이 심하게 발생되어 표면정도나bleeding

최종 마감재와의 부착 성능을 급격하게 저하시키거나 유동성이 저하되어 세라믹몰

탈재 마감공사가 용이하지 못하기 때문에 세라믹몰탈재 슬러지의 성상과 사용장비

와의 적합성은 공사의 승패를 좌우하는 주요 요인이 된다

- 15 -

구미 유럽지역의 재 개발 현황Table 1 Self -leveling

재 품종Self-leveling 개 발 국 가 참 여 업 체 명( )

석고계미국 등(GYP-CRETE HACKER )독일 등(BAYER KNAUF GUILINY HENCKEL )

시멘트계 스웨덴 등 핀랜드(ABS ZEMENTA ) (PARTEK)

혼합계 독일 등 스웨덴 등(PCI HENCKEL ) (BEPA )

폴리머시멘트계 영국 등 독일 등 웨덴 등(ICI ) (PCI HENCKEL ) (ABS )

무수석고에 첨가되는 시멘트에 대한 수많은 연구 결과가 소개되고 있으나 두 물질

간의 물리화학적인 양론적 문제와 시멘트 화학조성 분말도 발연곡선 응결 수화

열 강도 팽창 수축 화학적저항성 등에 따라 상이하다

신기술 시공의 정밀성 신속성 간편성이 특징인 성 세라믹몰탈의 시공 self-leveling

방법은 현장에서 제품에 물만 부어 바닥에 뿌리면 자동적으로 수평 한 면이 형성되

므로 기존의 시멘트 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

성 내구성 경량성과 자동 수평이 되는 평활성 때문에 별도의 쇠흙손으로 마감이

필요 없다 또한 시멘트 몰탈에 비하여 들뜸 현상 및 갈라짐이 없고 가벼운 재질로

되어 있어 건축 구조물의 경량화가 기대된다

특히 기계화 시공으로 인건비 절감 및 작업장 환경 개선 공기 단축 등으로 경제적

이고 정밀한 시공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기존 방식보다 방열성이 높다는 것

은 열효율 면에서 매우 유리한 난방 방식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성 세라믹몰탈은 최근 건축물의 화를 위한 건축 재료로 많이Self-leveling intelligent

사용되고 있다 세라믹몰탈은 유동성이 우수하며 신속한 응결 경화과정으로 일 1

안에 보행이 가능함은 물론 표면에 기포 자국이나 수축 균열이 없어 백화점 오피스

텔 대규모 건축물의 바닥 미장은 물론 목재 위에 박막이나 후막으로 많이 사용됨

으로서 건설 인력 부족을 대체할 수 있는 신기능성 제품이다

- 16 -

성 세라믹몰탈재는 사용되는 특수 첨가제에 따라 시멘트계 석고계 혼Self-leveling

합계 특수시멘트 팽창억지제 석고보드 등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각기 특성에 따라

적용되는 분야가 상이함으로 첨가제 혼화제 가 개선되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고부( )

가가치 산업을 창출할 수 있다

개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 물질인10 SO2를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하여 아황산석고로 생산되면서 SO2는 제거된다

아황산석고를 반응기에서 반응시켜 부산석고를 얻는다 화력발전소의 부산물인 석

고와 시멘트 결합제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성 세라믹몰탈은 국내의 부 self-leveling

존자원이나 산업폐기물의 유효 이용 차원에서 건축재료로의 활용은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최근 큰 문제로 대두된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일석

이조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됨으로서 국가 경제 발전에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기술적 측면에서 보면 시멘트제품은 응결 경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

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

그러나 과학 및 산업기술들이 고도로 발전되어 감에 따라 건축물 마감공사도 미려

함을 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성 세라믹몰탈재가 건축물 마감공사의self-leveling

성력화를 가능케 한 신 기능성 건축재료의 총아라 할 수 있다

이수석고는 국내 화력발전소에서 배출되는 가장 심각한 공해물질인 SO2 가스를 흡

수액 중 CaCO3과 반응시켜 년간 만톤씩 부산되고 있는 무용한 물질이다 산업폐33

기물의 일종인 이수석고를 소성과정을 거쳐 소석고 로 만든다(calcined gypsum)

소석고에 신 기능성 특수 를 첨가하여 바닥 마감용 성 세라믹몰binder self-leveling

탈재를 생산함으로써

열효율 면에서는 시멘트 제품보다 축열성이 높으며-

미장면이 평활하므로 추가로 보수가 필요 없고-

시멘트보다 압축 및 인장강도 면에서 우수하다-

시중 시멘트제품은 균열에 있어서 완벽한 균열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보

수 후에는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보수 및 면 평활도가 외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 17 -

그러나 본 제품을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하므로 그 파

급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된다

경제적 측면에서 보면 국내 석고 소비량은 연간 만톤으로 선진국의 연간 소비600

율 에도 못 미치는 실정이다 또한 국내에는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10

실정으로 해외에서 톤당 만원 정도의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볼16

때 품질이 좋고 가격이 싼 발전용 배연 탈황 석고의 공급은 국내 관련 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국내 발전용 배연 탈황 석고의 공급이

서기 년도에 이르면 약 만톤으로 국내 석고 수요량 만톤의 약 정2000 110 600 18

도는 충당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진다

현재 아파트 및 오피스텔 공사 등이 전국적으로 그 물량이 대단히 많으나 모든 미

장 마감층에 균열이 생기고 평활도의 문제가 발생되고 있어 입주 전에 균열 보수

재료에 의해 보수를 실시하고 있으나 완전 보수가 불가능하여 입주 후 많은 세대수

에서 하자보수로 인한 손실이 매우 큰 실정이다 또한 바닥면이 수평을 이루지 못

하여 가구 등의 제품에 뒤틀림 등으로 생활에 불편함을 제공하고 있다

본 제품은 상기와 같은 모든 문제점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훨씬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건비 절감 공기 단축 국내의 산업폐기물의 유효이용 차원에서

건축재료로의 활용은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시멘트 건축재 생산업체들을 중심으로 아파트 온돌 부위와 목재 위에 박막

또는 후막으로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용도의 세라믹몰탈 등의 상품화는 년간 500

억원 규모의 사업화가 가능할 것이며 또한 특수 의 개발은 연간 약 억 binder 150

원의 시장 창출이 예측된다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 보면 현대 산업의 고도화 및 복잡화로 환경 오염을 초래하

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각종 환경매체에 대한 환경 오염이 극심해지

고 있는 실정이어서 환경 오염 방지 및 환경보존 개선을 위한 규제가 점점 강화되

고 있다 특히 대기오염 생태계 파괴 등 환경과 보건에 심각한 위해가 초래됨으로

써 규제도 본격화하게 되었다

- 18 -

이산화유황으로 오염된 화력발전소의 배기가스는 석회함수물 또는 석회액과의 화학

적 반응을 통해 탈황된다 이로 인해 산성비 에 대한 원인은 제거된다 이런 중요 ldquo rdquo

한 환경기술적 조치의 반응생산물인 부산석고를 건축 자재로 사용함으로서 대기 환

경보존을 할 수 있다는 차원에서 금액으로 환산할 수 없는 중대한 기여를 할 것이

다 또한 내장 박막 이하 후막 등을 미려하게 함은 mortar(50 ) (5 ) (1O-15 )

물론 수축 팽창 균열 등을 방지함으로 풍요로운 생활공간을 제공할 것이다

위와 같은 평가 기술은 국내 최고의 분석 평가 기관인 특성분석센터와 세라믹KIST

스 연구부 및 주 범우에서 이미 확보되어 있고 국제적으로도 상당한 경쟁력을 갖( )

추고 있다 매우 불활성인 무수석고를 약 시간만에 경화가 시작되도록 활성화하는 2

즉 정해진 특성들을 가진 건축자재를 생산하는 두 가지 방식이 있다 그중 한 방법

은 미세하게 분쇄한 후 풀어짐을 촉진하는 소량의 자극제 즉 분산제의 첨가이며

다른 한 방법은 몰탈 준비 때보다 강력한 혼합을 요구하는 무수석고의 생산이REA

절실히 필요하다

- 19 -

제 장 실 험2

제 절 배연탈황1

화력 발전소에서 부산물로 생성되는 이수석고의 주요 반응은 의 현탁액과limestone

연소가스를 역류 세정시키면서 일어난다 이것은 아래에 열거한 것과 같은 확산과

화학반응으로 구분되어 진행된다

기 액 경계면에 이르기까지의 을 통한- gas film SO① 2의 확산

SO② 2가 상태가 되는aqueous dissolution

상태의Aqueous SO③ 2가 되어hydration H2SO3로 되고 이것이 H+ 와 HSO3-로 존

재하게 됨

HSO④ 3-가 분리되어 SO3

-를 형성함

용역내의 CaCO⑤ 3는 상태로 되고 이것은 다시aqueous dissolution H+이온과 반응

하여 Ca2+ 와 HSO3-를 형성함

및 과정에서 생성된 Ca⑥ ④ ⑤ 2+와 SO32-그리고 물이 반응하여 CaSO3ㆍ12H2 가O

형성됨

CaSO⑦ 3ㆍ12H2 는 물과 물속에 녹아있는 산소와 결합하여O CaSO4 2Hㆍ 2 를 형O

성함

- 20 -

반응식Total

이와 같은 반응들의 반응속도를 비교하여 볼 때 의 단계는 비교적 빠 ③ ④ ⑥ ⑦

른 반응이 되고 제어단계는 크게 가스확산 액체 내에서의 SO2 확산 석회석의

등 단계로 압축시킬 수 있다 위의 메카니즘 가운데 이온들의 화학반응dissolution 3

을 로 규명하기도 한다 이것은 기 액 경계면을 중심으two-reaction-planes model -

로 액체쪽으로 개의 을 설정하고 각각의 다른 반응이 일어난다는 것2 reaction plan

이다

제 절 석고 소성2

전항에서 만들어진 이수석고에 함유된 부착수분과 결정수분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

기로와 열질량분석기 를(thermogravimetric analyzer TGA Perkin-Elmer TGS-2)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에서 보면 공기 중에서 일 방치한 이수석고 중 Fig 1 2 18

정도가 되면 대부분 휘발성 물질들이 날아가서 무게가 정도 감소되었60 5 wt

다 다시 정도가 될 때까지 결정 수분이 정도 감소되었고 190 18 wt 700

가 될 때까지 정도가 휘발되어 날아가 전체 무게 감소는 되고2 wt 25 wt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휘발되는 것이 없이 일정한 무게를 유지하였다 전기로에서

실험한 결과도 부착수분이 건조감량이 로 전체 무게 감소율121 wt 109 wt

은 이였다 이수석고를 세라믹용기 및 용기에 각각230 wt stainless steel 500

씩 분취하여g 150 (2 hrs) 200 (1~2 hrs) 350 (1 hr) 420 (1 hr)

로 유지한 전기로에서 각각 소성하였500 (1 hr) 650 (15 hr) 750 (1 hr)

다 소성 후 를 사용하여 소성 X-Ray Diffractometer (XRD Rigaku DMAX-2500)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CaSO4 2Hㆍ 2 를 대량 소성하기 위하여O

에stainless steel port CaSO4 2H2 씩을 넣고 를 아래와 같O 2 conveyor furnace

은 조건 을 유지하면서 대전 소재 쌍용중앙연구소에서 시간 연속 실험하(Fig 2) 24

였다

- 21 -

Fig 1 TGA thermal curve of gypsum

- 22 -

Fig 2 Flow diagram of gypsum sintering system

- 23 -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3

에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석고에 대하여 표면형상을 관찰하였다Self-leveling

조건으로 국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Hitachi S-4200) 150

산 석고등의 입자를 조사한 결과는 과 에서 보는 바와 같다 과Fig 3 Fig 4 Fig 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국산석고의 크기가 독일산 석고보다 크나 분쇄를 잘하Fig 4

면 공정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추정된다self-leveling

의 입자가 큰 국산석고를 에서 분 분쇄 후 사진 의 결Fig 3 mortar 20 SEM (Fig5)

과를 보면 독일산 석고와 아주 유사한 형태와 로 변하였다 그러므로 분쇄 공정size

만 잘 진행하면 국산 석고도 외국산 석고에 비해 제조에 손색없음을self-leveling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 무수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를 위하여 쌍용연구소의 연속분쇄기

를 사용하여 분쇄하였다 분쇄 조건은 압력(roller mill) roller 6 feeding RPM

시료 투입량 등으로 무수석고를 연속 분쇄하였40 separator RPM 880 6 hr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4

국내산 석고와 외국산 석고들에 대한 화학성분 분석을 위하여 Optical Emission

로 정성분석한 후Spectrometer(OES TJA Atomcomp 81) Atomic Absorption

Sepctrophotometer(AAS Perkin Elmer 5000) 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meter(ICPAES Perkin Elmer Elan 5000) Wet

분석방법 등으로 국산 석고와 외국산 석고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Analysis(WET)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 석고에 대하여도 위에서 분석한 CAS( )

것과 같이 등의 방법으로 성분분석을 하여 석고의 품질OES AAS ICPAES WET

및 특성등을 파악하였다

- 24 -

Fig3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 25 -

Fig4 SEM photograph of germany gypsum

- 26 -

Fig5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after grinding

- 27 -

제 절 특수 첨가재5

기존의 재 에self- leveling 300 g H2 을 혼합한 후 아래와 같은 여러 종류의O 89 g

첨가재를 첨가하면서 초결 종결 등의 경화 응결 및 플로값 등의 물리적인 성질을

측정하였다

또한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

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기존의 재 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O 89g CAS ( )

때의 물리적인 특성뿐 아니라 알미나 포틀랜드 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AI-PC)

때의 물리적인 특성도 비교하였다

가존의 재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 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위에서 측정한 경우와 서로 비교하AI-PC

여 보았다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6

재 제조시 적절한 응결을 위하여 급결제을 사용하는데 통상 물유리를Self -leveling

많이 사용함을 본 연구에서 알았다 급결제의 성분 분석을 위하여 wet analysis

등을 사용하였으며 구조분석을 위하여는 와 을 사용하였OES AAS ICPAES XRD IR

다 법으로는 석고중에 함유되어 있는 물의 함량을 분석하는데 사용하 Karl fischer

였다

- 28 -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7

바닥 충격음 및 소음에 대한 시험은 여주군에 위치한 방재시험연구소에 의뢰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편을 제작하여 측정하였다 바닥 충격음 방지재 (save gum pad

를 사용한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 에 시험재료로 한양 시멘트 제품인6 t) (246 )

레미탈 을 사용하여 몰탈 바닥 넓이 로 작업한 후900 28 m times 42 m times 30

일 간 야외에서 양생하여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참조30 (Fig 6 )

바닥충격음시험은 건축물현장에 있어서의 바닥충격음측정방법 을KSF 2810 ( 1981)

적용하여 음원실 충격음발생실 과 수음실 충격음측정실 로 구성된 잔향실 사이 바( ) ( )

닥개구부에 시험체를 설치한 후 시험체위에서 충격음 경량 태핑 머신 및 중량충 (

격음 타이어 을 발생시켜 주파수범위의 대역별 바닥충격음 ) 63-4000 13 Octave

레벨 회를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하였다25

제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최근 건설 현장에 불기 시작한 주거환경의 쾌적화와 원적외선 방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도 원적외선 방사에 대한 시험을 시행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과 한국원적외선협회에 세라믹몰탈 옥석 맥반석

게르마늄석을 의뢰하여 방사율을 단파장인 영역인 에서 까지 측정하였다3 20

- 29 -

Fig 6 Present floor of impact sound insulation

- 3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1

화력발전소에서 부산물로 생성된 이수석고를 대전소재 쌍용 중앙연구소에서 rotary

을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소성된 석고를kiln X - Ray Diffractometer (XRD Rigaku

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수석고는DMAX-2500) Fig 7

에서는150~200 CaSO 4 2Hㆍ 2 가O CaSO4 12Hㆍ 2 로 변하고 에서O 350 CaSO 4

의 피크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그후 온도를 올림에 따라 무수석고의 결정성이 좋

아짐을 알 수 있었다 참조(Fig 7 )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2

으로 확인한 결과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국산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ig 3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로 단단한 모양으로 균일하게70

구성되어 있는 반면 의 독일산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 Fig 4 70

의 크기가 소수 분포와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분포175

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체로 한 결 -200 mesh sieving

과를 보면 정도의 가 큰 덩어리가 남아 있었다10 size

가 큰 덩어리를 로 확인한 결과 석고로 판명되었다 에서 보면 독일Size XRD Fig 8

산 최초 석고인 BW CaSO4 과 후의 의(GER)-3 sieving XRD pattern BW

CaSO4 와 동일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들은 결과와 결과로(G+200M)-4 XRD TGA

보면 모두 CaSO4로 판명되었다

에서 분쇄된 무수석고의 입자분포도를 보기 위하여Roller mill particle size

로 측정범위 측정 분산매analyzer 01-180 lens focal depth 100 methyl

를 사용하여 초음파 분산 방법으로 입도 분포도를 얻어 에 실었다alcohol Fig 9

- 31 -

Fig7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each gypsum in sintering condition

- 32 -

Fig8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gypsum after sieving

- 33 -

Fig 9 Particle distribution chart of gypsum

- 34 -

에서의 입자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이하의 분포도가 전체의 를Fig 9 5 87

차지하고 있는 반면 마이크론미터 이상이 전체의 밖에 차지하고 있음을 알10 3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보면 외국산 석고에 비해 공정에서는 보다 나 self - leveling

은 작업성과 물성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3

분석방법 등으로 분석한 결과 에서 보OES AAS ICPAES Wet Analysis Table 2

는 바와 같이 독일산석고와 국산석고의 분석결과가 화학성분에서는 아주 유사하다

그러나 독일산 석고에 규사만이 함유되어 있는 것에 비해 국산 석고에는16 wt

규사가 로 작게 함유되어 있었다 이는 원재료의 광산에 함유된 규사에096 wt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석고에 대한 분석 결과를 CAS( ) Table 3

에 실었다 에서 보면 라파석고에 인이 포함되어 있는 반면 인 Table 3 00072 wt

산무수 석고에는 로 많이 포함되어 있어 제조시 인산무0024 wt self- leveling

수 석고를 사용한 결과가 나쁘게 나타났다고 추정되며 지지용 철근의self-leveling

부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이므로 인산석고의 사용을 피함이 좋을 것이다

인산무수 석고는 자체에서 산성 성분을 용출함으로서 콘크리트 중에 함유된 알칼리

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을 혼입시키어 철근을 활성화

상태로 만들고 이로 인해 부식하기 쉽게 된다

- 35 -

Table 2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 36 -

Table 3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and Binder

- 37 -

제 절 특수 첨가재4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의 양을 변화시O 89 g -α

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4

Table 4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a -gypsum

에서 보면 석고의 함량을 증가할수록 초결시간은 빨라지지만 수분증발시Table 4 -α

간이 느리고 기존레벨라보다 종결시간이 느린 것을 보아 석고만을 첨가한다는-α

것은 의미가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화시키

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5

Table 5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LiCO3

- 38 -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기존레벨라에는 이미Table 5 LiCO3이 인 이 포014 042g

함되어 있어 순으로 첨가하였으나 첨가 양에 따른 초결상태의 변화0 15 30 g

는 없었으나 종결상태는 조금씩 첨가 양이 많아지면서 조금씩 지연되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O 89 g CAS ( )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과 같다Table 6

Table 6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CAS

에서 보면 를 씩 증가하면서 첨가함에 따라 초결상태와Table 6 CAS 0 10 20 g

종결상태가 보다 급격히 빨라짐을 알 수 있었다 즉 경화 속도에 의Table 4 5 CAS

함유량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에서 사용한 첨가제를 모두 혼합하여 기존의 재Table 4 5 6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비교해보면O 89 g Table

과 같다7

- 39 -

Table 7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and CAS

에서 보는 것처럼 기존의 재Table 7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O 89 g

라에 석고와- LiCOα 3 만을 혼합하였을 때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의 양을 CAS

증가시키면서 함께 첨가할 수록 경화시간은 단축되었다

에 알미나 포틀랜드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Table 7 (AI-PC)

비교해보면 과 같다Table 8

기존의 재self-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보면 에서 보는 것처럼AI-PC Table 8

함량이 높을수록 경화시간은 너무 단축되어 그만큼 작업하는 시간이 촉박하AI-PC

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모든 결과를 종합해보면 응결시간은 온도와 습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실험할 때마다

기존레벨라를 비교하여 시험했다 가 가장 경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만 입자 CAS

가 뭉쳐 있어 혼합이 잘되지 않았다 그 결과 건조시 표면이 분화구처럼 돌출된 부

분이 많이 생겨났다

- 40 -

Table 8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CAS and Al-PC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5

급결제에 대한 성분 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는 와 같다 중탕Table 9

에서 증발시킨 후 의 잔유물에 대한 분석 결과(100 ) 50 wt Si 438 wt Na

로 나타났다 결정성과 구조분석을 위하여 로 확인한102 wt K 177 wt XRD

결과는 무결정 으로 피크가 나타나지 안했다 법으로 물을(amorphous) Karl fischer

분석시에도 가 잘 나타나지 안해 분석을 할 수 없었다 화학적 결합상태end-point

를 알아보기위해 을 이용하여 해석해본 결과IR Na2SiO3 H2 와O 50 wt 50 wt

의 H2 가 공존함을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O Na2SiO3 H2 와 의O 50 wt 50 wt

H2 를 함께 사용하기로 결정하였고 건설 현장에 시공 또는 제품 생산에 위와 같O

은 혼합비율을 적용하였다

- 41 -

Table 9 Chemical Composition of RCM300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6

측정된 충격음레벨은 ISO 140 Part 6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을 준용하여 수음실 기준 흡음력 에 대한sound insulation of Floors 1978) (10 )

보정 값으로 환산하였다(Table 10)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나타내는 수음실의 바닥충격음레벨 (Ln 은 다음 식 으로) (1)

구하였다

여기서

Ln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흡음력보정 바닥충격음레벨 j ( )

충격음위치 지점수m

상기 식 의 각 충격음 위치마다의 바닥충격음레벨의 평균값(1) (Lj 은 다음식 에) (2)

따라 산출하였다

- 42 -

Table 10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sound insulation of floor

- 43 -

여기서

Lj 수음실내 측정점 에서의 바닥충격음레벨 i ( )

측정점의 수n

또한 상기 바닥충격음레벨 평균값 (Lj 은 수음실의 흡음력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

므로 를 준용 이를 기준흡음력 에 대한 값ISO 140 Part6 (978) (10 ) (L nj 으로)

환산하였으며 그 산출식은 식 과 같다 (3)

여기서

L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평균 바닥충격음레벨 j ( )

AO 기준흡음력 (10 )

수음실 측정실 용적V ( ) ( )

수음실 측정실 잔향시간 초T ( ) ( )

에서 보면 기준판과 시험체의 경량충격음은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Table 10

충격음이 증가하다가 완만한 곡선을 나타내는 반면 중량충격음의 결과를 보면 주파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충격음이 계속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경량 충격음은 음원이 태핑머신인 관계로 주파수 변화에 따른

파장의 작고 큼에 별 영향을 주지 않지만 중량 충격음은 음원이 타이어임으로 고주

파대로 갈수록 파장이 작아서 투과 여건이 적은 관계에 기인함을 알 수 있다 본

바닥충격음과 소음에 대한 실험 결과 기존 시멘트몰탈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

믹몰탈간에 바닥충격음과 소음의 차이는 크게 나지 않음으로 무시할 정도임을 알았

- 44 -

제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7

아래 은 바닥재 시공에 대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과 재래식 시Table 11

멘트몰탈과의 특징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연구연에서 분석한 세라믹구들의 분석 결과를 에Table 12

실었다 현 시험법에 따라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 등의 물성을 공인된 한국건자 KS

재연구원에 의뢰한 결과 압축강도면에서 이 넘는 결과가 나왔으며 다른400 f

물성 또한 기준 물성값을 초과하는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에서 보는 것과 Table 12

같이 길이변화율은 일 경과 후 로서 거의 변화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28 -0046

며 이를 미루어 보아 시멘트몰탈의 수축 팽창에 기인되는 균열 원인을 해결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45 -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 구들의 비교Table 11

구분 단위 재래식 시멘트몰탈 본 제품 세라믹구들( )

시공후상태

몰탈층

바탕면의 균열 발생-바탕면의 평활 수평 이 없다- (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없다-공정 회 이 복잡하다- (3-4 )많은면적을 시공할 수 없다-양생시간이 길다 일- (3-7 )하자 보수비가 필요하다-시멘트 독성에 따른 인체에-해로움

바탕면의 균열이 없다- 바탕면의 평활 수평 성이 양호- ( )일정한 두께유지-공정이 단순 회공정 하다- (1 )많은 면적을 시공할 수 있다-양생시간이 짧다 일- (1 )하자보수비가 필요없다-건강보조기능-항균성 무독성 원적외선( )마감재 시공이 용이하다-에너지절감 효과가 크다-열전도율 및 축열기능이 좋다-차음 방음 효과가 우수하다- ( )건축물의 경량화-

세라믹 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시험 검사 방법 ( ) KS L 5105-97 KS L 5104-96 KS L 5207-rsquo99 KS F2424-rsquo95 KS L 1592 rsquo95시험원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시험일자 2000 OS 09 ~ 09 15

- 46 -

제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석회 광물은 마그네시아 광물과 함께 중요한 조암광물로서 천연에서는 산화물(CaO)

로는 존재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탄산염 황산염 또는 규산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석회질 원료로는 석회석 돌로마이트 형석 석고 규회석 등이었으며 이중 석회석

(CaCO3 과 석고)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만을 에 나타내었다 원적) Fig 10 11

외선 발열체와 세라믹 발열체가 있다 원석 발열체로는 맥반석 게르마늄석 옥석

황토 등이 있다 원적외선의 온열효과는 피부표면에 복사된 원적외선은 인체 중 물

의 진동 파장과 거의 비슷하며 공진 작용으로 일반열이 도달할 수 없는 부위( )共振

까지 도달하게 한다 이러한 심달력은 피하층의 온도상승 미세혈관의 확장 혈액순

환 촉진 선진대사강화 혈류 장해 해소 조직의 재생능력 증가 결련예방 및 암치

료 효과 등의 의학적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혈행이 좋아짐으로서

정상체온 유지 스트레스 해소 소화촉진 근육통 해소 피부 색깔 정상화 꺼칠한

눈이 부드러워지고 감기 예방효과 조직 내에 쌓여 있던 노폐물의 분비도 촉진된

다 또한 세포에 필요로 하는 영양소와 산소를 정상적으로 공급받게 되어 세포와

조직이 활력을 되찾게 되고 적당한 원적외선 활용은 세포의 노화를 막아주는 효과

를 볼 수 있다 원적외선 부작용 없는 건강유지와 질병의 예방치료적 기 (氣

라고 할 수 있다energy)

석회석은 시멘트의 주원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전방사율은 약 정도를085

보이고 있으나 이후와 단파장 영역쪽에 불안정한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보이20

고 있다 이는 공기 중의 습기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그 조성이 일부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시멘트를 측정하여 비교Fig 10 11

한 결과에서는 다소 석회석 자체원료를 측정한 것이 방사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CaSO4 는 외국에서 천연으로 산출된 것과 본 연구에서 제조한 배연 탈황석고)

모두 원적외선 방사특성에 있어서는 석회석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특히

부근에서의 약간의 골이 생겨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87

- 47 -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48 -

석고Fig 11 (CaSO4 의 원작외선 방사특성)

- 49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의 방사율은 에 실었다 현재 원적외선이 다Fig 12

량 방사되는 게르바늄석 참조 옥석 참조 맥반석 참조(Fig 13 ) (Fig 14 ) (Fig 15 )

등에 비해서 같은 수준의 방사에너지 및 방사율이 발현됨을 공인된 시험기간에 의

해서 입증되었다 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를 Fig16 3~20

파장 영역에서 방사특성을 나타내었다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는 이상흑체에

서 방사되는 특성과 같은 모양을 방출하고 있습을 알았다 따라서 세라믹구들은 건

강친화적인 면만 아니라 여러 가지 가능을 가진 차세대 온돌용 세라믹구들이라고

할 수 있다

제 절 현장 시공9

본 세라믹구들의 최적화 조건 조성 및 현장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차로 경기도 광1

주 소재 동심주택 제 차 그린타운 세대를 시험 시공한 바 있으며 위 결과를 토9 19

대로 최적화된 조건에 따라 안양 재건축현장 및 기홍 목조주택 등에 실용화 시공하

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Fig 17

필름 한 장을 깔고 그 위에 외경의 폴리에틸렌 엑셀파이프를 배관한 후 세라15

믹 구들로 타설한 후 수평을 잡으면서 두께를 로 일정하게 하였다40

시멘트 제품은 응결 경화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균열이 발생되

면 더 커지면서 계속 퍼져나가는 경향을 나타낸다 여러 종류의 균열 보수기법이

현재 마련되어 있으나 완벽한 균열 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 보수 후에도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 보수로 인해 외관의 불량 균열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로 시공한 결과는 상기와 같

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할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연구에 의해 일반 콘크리트에도 적

용할 경우 그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균열을 방지함으로서 방

수 강도저하 철근부식 등 내구성저하를 막으므로 고품질의 구조물 공사가 될 것으

로 예상된다

- 50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 51 -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 52 -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 53 -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10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Table 1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V vs CuCUSO4)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 11 -

그 림 목 차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연구Ⅰ

Fig 1 TGA thermal curve of gypsum

Fig 2 Flow diagram of gypsum sintering system

Fig 3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Fig 4 SEM photograph of germany gypsum

Fig 5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after grinding

Fig 6 Present floor of impact sound insulation

Fig 7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each gypsum in sintering condition

Fig 8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gypsum after sieving

Fig 9 Particle distribution chart of gypsum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석고Fig 11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12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l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13 -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Ⅰ

제 장 서 론1

국내에서는 성 세라믹몰탈재를 고급타일 마감재의 수평조정용으로 사self-leveling

용함에 따라 실제적인 의 의미보다는 에 가깝게 적용하여 self-leveling smoothing

대개 시공두께 의 박막으로 시공하기 때문에 일본의 경우 대부분 이3~5 10

상의 후막형 제품들로는 적용이 불가능한 점을 들 수 있다 년 중반에서 수입사 lsquo80

를 통해서 수입하여 건축물에 적용해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년 초까지는 고가 lsquo90

의 재료비로 널리 사용되지는 못하고 대형백화점을 중심으로 시장 확대가 시도되었

으나 국내에서도 시멘트 업계나 건재 생산업체를 중심으로 시멘트계 self-leveling

재의 개발에 착수하기 시작하여 년부터 개 업체에서 판매를 개시함mortar lsquo93 2~3

으로써 시장이 활성화되기 시작하였다

최근에는 대형공장 주차장바닥에 적용할 수 있는 재를 실용화 self-leveling mortar

하여 현재 보급 중에 있으며 석고계 재는 대리점을 통해 수입 self-leveling mortar

품이 고급빌라의 방통 몰탈 대체용으로 각광받고 있어 국내도 다양한 self-leveling

재 제품이 소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및mortar

대형건물 주차장 바닥 몰탈로 성 세라믹몰탈을 사용한 실적은 없다 self-leveling

국외의 경우를 보면 일본에서의 재의 연구는 년에 일본주택self-leveling mortar lsquo73

공단에서 건축물의 요철면을 화하기 위한 바닥공법의 합리화라는 목적으로高精度

석고계 시멘트계 재의 기초연구가 시작되었으나 당시에는 경 self-leveling mortar

제성 때문에 실용화되지는 못하였다 이후 년대 초에서 중반까지는 lsquo70 SO3의 공해

규제에 의한 탈황석고의 효율적인 이용의 관점에서 석고계 self-leveling排煙

재의 실용화 연구에 박차를 가하게 되어 년 시험 시공에 성공하여 년mortar lsquo76 lsquo77

도부터 전국적으로 시판을 개시하기에 이르렀다

- 14 -

년에 최초로 시멘트계 재를 개발 시판하면서 일본내에서 석lsquo82 self-leveling mortar

고계와 시멘트계 재가 함께 사용되기 시작하였다self-leveling mortar

석고계 및 시멘트계 재에는 서로의 장 단점이 있기 때문에 나self-leveling mortar ㆍ

름대로의 판매영역을 구축해 나갔지만 년에 스웨덴의 사로부터 석고계 및 lsquo85 BEPA

시 멘트계의 장 단점을 보완한 무기질계 재 세라믹계 또는 혼self-leveling mortar (ㆍ

합형 재로도 칭함 를 기술도입 함으로써 이후에 일본에서는self-leveling mortar ) 3

종의 재가 시판되기 시작하여 오늘에 이르렀다self-leveling mortar

유럽에서는 오래 전부터 재를 바닥에 사용해 온 것으로 알려져self-leveling mortar

있으며 실제로 다양한 형태의 재가 시판되고 있다 참 self-leveling mortar (Table 1

조 재의 결합재별로 전술한 석고계 시멘트계 혼합계 외에도) Self-leveling mortar

폴리머를 이용한 폴리머시멘트계 또한 시공 두께별로 후막형 및 박막형 등 시공

조건이나 환경에 따라 적용 가능한 여러 제품들이 시판 되고 있다

성 세라믹 구들재에 요구되는 성능은 작업 종료시까지 유동성 확보문Self-leveling

제 응결 경화과정의 요구성능 내구성 측면 등에 좌우된다 유동성과의 균형을 확

보하지 않으면 골재 침강으로 인한 표면 이 심하게 발생되어 표면정도나bleeding

최종 마감재와의 부착 성능을 급격하게 저하시키거나 유동성이 저하되어 세라믹몰

탈재 마감공사가 용이하지 못하기 때문에 세라믹몰탈재 슬러지의 성상과 사용장비

와의 적합성은 공사의 승패를 좌우하는 주요 요인이 된다

- 15 -

구미 유럽지역의 재 개발 현황Table 1 Self -leveling

재 품종Self-leveling 개 발 국 가 참 여 업 체 명( )

석고계미국 등(GYP-CRETE HACKER )독일 등(BAYER KNAUF GUILINY HENCKEL )

시멘트계 스웨덴 등 핀랜드(ABS ZEMENTA ) (PARTEK)

혼합계 독일 등 스웨덴 등(PCI HENCKEL ) (BEPA )

폴리머시멘트계 영국 등 독일 등 웨덴 등(ICI ) (PCI HENCKEL ) (ABS )

무수석고에 첨가되는 시멘트에 대한 수많은 연구 결과가 소개되고 있으나 두 물질

간의 물리화학적인 양론적 문제와 시멘트 화학조성 분말도 발연곡선 응결 수화

열 강도 팽창 수축 화학적저항성 등에 따라 상이하다

신기술 시공의 정밀성 신속성 간편성이 특징인 성 세라믹몰탈의 시공 self-leveling

방법은 현장에서 제품에 물만 부어 바닥에 뿌리면 자동적으로 수평 한 면이 형성되

므로 기존의 시멘트 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

성 내구성 경량성과 자동 수평이 되는 평활성 때문에 별도의 쇠흙손으로 마감이

필요 없다 또한 시멘트 몰탈에 비하여 들뜸 현상 및 갈라짐이 없고 가벼운 재질로

되어 있어 건축 구조물의 경량화가 기대된다

특히 기계화 시공으로 인건비 절감 및 작업장 환경 개선 공기 단축 등으로 경제적

이고 정밀한 시공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기존 방식보다 방열성이 높다는 것

은 열효율 면에서 매우 유리한 난방 방식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성 세라믹몰탈은 최근 건축물의 화를 위한 건축 재료로 많이Self-leveling intelligent

사용되고 있다 세라믹몰탈은 유동성이 우수하며 신속한 응결 경화과정으로 일 1

안에 보행이 가능함은 물론 표면에 기포 자국이나 수축 균열이 없어 백화점 오피스

텔 대규모 건축물의 바닥 미장은 물론 목재 위에 박막이나 후막으로 많이 사용됨

으로서 건설 인력 부족을 대체할 수 있는 신기능성 제품이다

- 16 -

성 세라믹몰탈재는 사용되는 특수 첨가제에 따라 시멘트계 석고계 혼Self-leveling

합계 특수시멘트 팽창억지제 석고보드 등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각기 특성에 따라

적용되는 분야가 상이함으로 첨가제 혼화제 가 개선되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고부( )

가가치 산업을 창출할 수 있다

개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 물질인10 SO2를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하여 아황산석고로 생산되면서 SO2는 제거된다

아황산석고를 반응기에서 반응시켜 부산석고를 얻는다 화력발전소의 부산물인 석

고와 시멘트 결합제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성 세라믹몰탈은 국내의 부 self-leveling

존자원이나 산업폐기물의 유효 이용 차원에서 건축재료로의 활용은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최근 큰 문제로 대두된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일석

이조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됨으로서 국가 경제 발전에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기술적 측면에서 보면 시멘트제품은 응결 경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

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

그러나 과학 및 산업기술들이 고도로 발전되어 감에 따라 건축물 마감공사도 미려

함을 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성 세라믹몰탈재가 건축물 마감공사의self-leveling

성력화를 가능케 한 신 기능성 건축재료의 총아라 할 수 있다

이수석고는 국내 화력발전소에서 배출되는 가장 심각한 공해물질인 SO2 가스를 흡

수액 중 CaCO3과 반응시켜 년간 만톤씩 부산되고 있는 무용한 물질이다 산업폐33

기물의 일종인 이수석고를 소성과정을 거쳐 소석고 로 만든다(calcined gypsum)

소석고에 신 기능성 특수 를 첨가하여 바닥 마감용 성 세라믹몰binder self-leveling

탈재를 생산함으로써

열효율 면에서는 시멘트 제품보다 축열성이 높으며-

미장면이 평활하므로 추가로 보수가 필요 없고-

시멘트보다 압축 및 인장강도 면에서 우수하다-

시중 시멘트제품은 균열에 있어서 완벽한 균열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보

수 후에는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보수 및 면 평활도가 외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 17 -

그러나 본 제품을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하므로 그 파

급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된다

경제적 측면에서 보면 국내 석고 소비량은 연간 만톤으로 선진국의 연간 소비600

율 에도 못 미치는 실정이다 또한 국내에는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10

실정으로 해외에서 톤당 만원 정도의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볼16

때 품질이 좋고 가격이 싼 발전용 배연 탈황 석고의 공급은 국내 관련 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국내 발전용 배연 탈황 석고의 공급이

서기 년도에 이르면 약 만톤으로 국내 석고 수요량 만톤의 약 정2000 110 600 18

도는 충당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진다

현재 아파트 및 오피스텔 공사 등이 전국적으로 그 물량이 대단히 많으나 모든 미

장 마감층에 균열이 생기고 평활도의 문제가 발생되고 있어 입주 전에 균열 보수

재료에 의해 보수를 실시하고 있으나 완전 보수가 불가능하여 입주 후 많은 세대수

에서 하자보수로 인한 손실이 매우 큰 실정이다 또한 바닥면이 수평을 이루지 못

하여 가구 등의 제품에 뒤틀림 등으로 생활에 불편함을 제공하고 있다

본 제품은 상기와 같은 모든 문제점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훨씬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건비 절감 공기 단축 국내의 산업폐기물의 유효이용 차원에서

건축재료로의 활용은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시멘트 건축재 생산업체들을 중심으로 아파트 온돌 부위와 목재 위에 박막

또는 후막으로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용도의 세라믹몰탈 등의 상품화는 년간 500

억원 규모의 사업화가 가능할 것이며 또한 특수 의 개발은 연간 약 억 binder 150

원의 시장 창출이 예측된다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 보면 현대 산업의 고도화 및 복잡화로 환경 오염을 초래하

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각종 환경매체에 대한 환경 오염이 극심해지

고 있는 실정이어서 환경 오염 방지 및 환경보존 개선을 위한 규제가 점점 강화되

고 있다 특히 대기오염 생태계 파괴 등 환경과 보건에 심각한 위해가 초래됨으로

써 규제도 본격화하게 되었다

- 18 -

이산화유황으로 오염된 화력발전소의 배기가스는 석회함수물 또는 석회액과의 화학

적 반응을 통해 탈황된다 이로 인해 산성비 에 대한 원인은 제거된다 이런 중요 ldquo rdquo

한 환경기술적 조치의 반응생산물인 부산석고를 건축 자재로 사용함으로서 대기 환

경보존을 할 수 있다는 차원에서 금액으로 환산할 수 없는 중대한 기여를 할 것이

다 또한 내장 박막 이하 후막 등을 미려하게 함은 mortar(50 ) (5 ) (1O-15 )

물론 수축 팽창 균열 등을 방지함으로 풍요로운 생활공간을 제공할 것이다

위와 같은 평가 기술은 국내 최고의 분석 평가 기관인 특성분석센터와 세라믹KIST

스 연구부 및 주 범우에서 이미 확보되어 있고 국제적으로도 상당한 경쟁력을 갖( )

추고 있다 매우 불활성인 무수석고를 약 시간만에 경화가 시작되도록 활성화하는 2

즉 정해진 특성들을 가진 건축자재를 생산하는 두 가지 방식이 있다 그중 한 방법

은 미세하게 분쇄한 후 풀어짐을 촉진하는 소량의 자극제 즉 분산제의 첨가이며

다른 한 방법은 몰탈 준비 때보다 강력한 혼합을 요구하는 무수석고의 생산이REA

절실히 필요하다

- 19 -

제 장 실 험2

제 절 배연탈황1

화력 발전소에서 부산물로 생성되는 이수석고의 주요 반응은 의 현탁액과limestone

연소가스를 역류 세정시키면서 일어난다 이것은 아래에 열거한 것과 같은 확산과

화학반응으로 구분되어 진행된다

기 액 경계면에 이르기까지의 을 통한- gas film SO① 2의 확산

SO② 2가 상태가 되는aqueous dissolution

상태의Aqueous SO③ 2가 되어hydration H2SO3로 되고 이것이 H+ 와 HSO3-로 존

재하게 됨

HSO④ 3-가 분리되어 SO3

-를 형성함

용역내의 CaCO⑤ 3는 상태로 되고 이것은 다시aqueous dissolution H+이온과 반응

하여 Ca2+ 와 HSO3-를 형성함

및 과정에서 생성된 Ca⑥ ④ ⑤ 2+와 SO32-그리고 물이 반응하여 CaSO3ㆍ12H2 가O

형성됨

CaSO⑦ 3ㆍ12H2 는 물과 물속에 녹아있는 산소와 결합하여O CaSO4 2Hㆍ 2 를 형O

성함

- 20 -

반응식Total

이와 같은 반응들의 반응속도를 비교하여 볼 때 의 단계는 비교적 빠 ③ ④ ⑥ ⑦

른 반응이 되고 제어단계는 크게 가스확산 액체 내에서의 SO2 확산 석회석의

등 단계로 압축시킬 수 있다 위의 메카니즘 가운데 이온들의 화학반응dissolution 3

을 로 규명하기도 한다 이것은 기 액 경계면을 중심으two-reaction-planes model -

로 액체쪽으로 개의 을 설정하고 각각의 다른 반응이 일어난다는 것2 reaction plan

이다

제 절 석고 소성2

전항에서 만들어진 이수석고에 함유된 부착수분과 결정수분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

기로와 열질량분석기 를(thermogravimetric analyzer TGA Perkin-Elmer TGS-2)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에서 보면 공기 중에서 일 방치한 이수석고 중 Fig 1 2 18

정도가 되면 대부분 휘발성 물질들이 날아가서 무게가 정도 감소되었60 5 wt

다 다시 정도가 될 때까지 결정 수분이 정도 감소되었고 190 18 wt 700

가 될 때까지 정도가 휘발되어 날아가 전체 무게 감소는 되고2 wt 25 wt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휘발되는 것이 없이 일정한 무게를 유지하였다 전기로에서

실험한 결과도 부착수분이 건조감량이 로 전체 무게 감소율121 wt 109 wt

은 이였다 이수석고를 세라믹용기 및 용기에 각각230 wt stainless steel 500

씩 분취하여g 150 (2 hrs) 200 (1~2 hrs) 350 (1 hr) 420 (1 hr)

로 유지한 전기로에서 각각 소성하였500 (1 hr) 650 (15 hr) 750 (1 hr)

다 소성 후 를 사용하여 소성 X-Ray Diffractometer (XRD Rigaku DMAX-2500)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CaSO4 2Hㆍ 2 를 대량 소성하기 위하여O

에stainless steel port CaSO4 2H2 씩을 넣고 를 아래와 같O 2 conveyor furnace

은 조건 을 유지하면서 대전 소재 쌍용중앙연구소에서 시간 연속 실험하(Fig 2) 24

였다

- 21 -

Fig 1 TGA thermal curve of gypsum

- 22 -

Fig 2 Flow diagram of gypsum sintering system

- 23 -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3

에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석고에 대하여 표면형상을 관찰하였다Self-leveling

조건으로 국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Hitachi S-4200) 150

산 석고등의 입자를 조사한 결과는 과 에서 보는 바와 같다 과Fig 3 Fig 4 Fig 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국산석고의 크기가 독일산 석고보다 크나 분쇄를 잘하Fig 4

면 공정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추정된다self-leveling

의 입자가 큰 국산석고를 에서 분 분쇄 후 사진 의 결Fig 3 mortar 20 SEM (Fig5)

과를 보면 독일산 석고와 아주 유사한 형태와 로 변하였다 그러므로 분쇄 공정size

만 잘 진행하면 국산 석고도 외국산 석고에 비해 제조에 손색없음을self-leveling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 무수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를 위하여 쌍용연구소의 연속분쇄기

를 사용하여 분쇄하였다 분쇄 조건은 압력(roller mill) roller 6 feeding RPM

시료 투입량 등으로 무수석고를 연속 분쇄하였40 separator RPM 880 6 hr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4

국내산 석고와 외국산 석고들에 대한 화학성분 분석을 위하여 Optical Emission

로 정성분석한 후Spectrometer(OES TJA Atomcomp 81) Atomic Absorption

Sepctrophotometer(AAS Perkin Elmer 5000) 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meter(ICPAES Perkin Elmer Elan 5000) Wet

분석방법 등으로 국산 석고와 외국산 석고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Analysis(WET)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 석고에 대하여도 위에서 분석한 CAS( )

것과 같이 등의 방법으로 성분분석을 하여 석고의 품질OES AAS ICPAES WET

및 특성등을 파악하였다

- 24 -

Fig3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 25 -

Fig4 SEM photograph of germany gypsum

- 26 -

Fig5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after grinding

- 27 -

제 절 특수 첨가재5

기존의 재 에self- leveling 300 g H2 을 혼합한 후 아래와 같은 여러 종류의O 89 g

첨가재를 첨가하면서 초결 종결 등의 경화 응결 및 플로값 등의 물리적인 성질을

측정하였다

또한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

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기존의 재 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O 89g CAS ( )

때의 물리적인 특성뿐 아니라 알미나 포틀랜드 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AI-PC)

때의 물리적인 특성도 비교하였다

가존의 재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 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위에서 측정한 경우와 서로 비교하AI-PC

여 보았다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6

재 제조시 적절한 응결을 위하여 급결제을 사용하는데 통상 물유리를Self -leveling

많이 사용함을 본 연구에서 알았다 급결제의 성분 분석을 위하여 wet analysis

등을 사용하였으며 구조분석을 위하여는 와 을 사용하였OES AAS ICPAES XRD IR

다 법으로는 석고중에 함유되어 있는 물의 함량을 분석하는데 사용하 Karl fischer

였다

- 28 -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7

바닥 충격음 및 소음에 대한 시험은 여주군에 위치한 방재시험연구소에 의뢰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편을 제작하여 측정하였다 바닥 충격음 방지재 (save gum pad

를 사용한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 에 시험재료로 한양 시멘트 제품인6 t) (246 )

레미탈 을 사용하여 몰탈 바닥 넓이 로 작업한 후900 28 m times 42 m times 30

일 간 야외에서 양생하여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참조30 (Fig 6 )

바닥충격음시험은 건축물현장에 있어서의 바닥충격음측정방법 을KSF 2810 ( 1981)

적용하여 음원실 충격음발생실 과 수음실 충격음측정실 로 구성된 잔향실 사이 바( ) ( )

닥개구부에 시험체를 설치한 후 시험체위에서 충격음 경량 태핑 머신 및 중량충 (

격음 타이어 을 발생시켜 주파수범위의 대역별 바닥충격음 ) 63-4000 13 Octave

레벨 회를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하였다25

제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최근 건설 현장에 불기 시작한 주거환경의 쾌적화와 원적외선 방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도 원적외선 방사에 대한 시험을 시행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과 한국원적외선협회에 세라믹몰탈 옥석 맥반석

게르마늄석을 의뢰하여 방사율을 단파장인 영역인 에서 까지 측정하였다3 20

- 29 -

Fig 6 Present floor of impact sound insulation

- 3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1

화력발전소에서 부산물로 생성된 이수석고를 대전소재 쌍용 중앙연구소에서 rotary

을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소성된 석고를kiln X - Ray Diffractometer (XRD Rigaku

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수석고는DMAX-2500) Fig 7

에서는150~200 CaSO 4 2Hㆍ 2 가O CaSO4 12Hㆍ 2 로 변하고 에서O 350 CaSO 4

의 피크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그후 온도를 올림에 따라 무수석고의 결정성이 좋

아짐을 알 수 있었다 참조(Fig 7 )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2

으로 확인한 결과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국산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ig 3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로 단단한 모양으로 균일하게70

구성되어 있는 반면 의 독일산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 Fig 4 70

의 크기가 소수 분포와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분포175

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체로 한 결 -200 mesh sieving

과를 보면 정도의 가 큰 덩어리가 남아 있었다10 size

가 큰 덩어리를 로 확인한 결과 석고로 판명되었다 에서 보면 독일Size XRD Fig 8

산 최초 석고인 BW CaSO4 과 후의 의(GER)-3 sieving XRD pattern BW

CaSO4 와 동일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들은 결과와 결과로(G+200M)-4 XRD TGA

보면 모두 CaSO4로 판명되었다

에서 분쇄된 무수석고의 입자분포도를 보기 위하여Roller mill particle size

로 측정범위 측정 분산매analyzer 01-180 lens focal depth 100 methyl

를 사용하여 초음파 분산 방법으로 입도 분포도를 얻어 에 실었다alcohol Fig 9

- 31 -

Fig7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each gypsum in sintering condition

- 32 -

Fig8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gypsum after sieving

- 33 -

Fig 9 Particle distribution chart of gypsum

- 34 -

에서의 입자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이하의 분포도가 전체의 를Fig 9 5 87

차지하고 있는 반면 마이크론미터 이상이 전체의 밖에 차지하고 있음을 알10 3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보면 외국산 석고에 비해 공정에서는 보다 나 self - leveling

은 작업성과 물성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3

분석방법 등으로 분석한 결과 에서 보OES AAS ICPAES Wet Analysis Table 2

는 바와 같이 독일산석고와 국산석고의 분석결과가 화학성분에서는 아주 유사하다

그러나 독일산 석고에 규사만이 함유되어 있는 것에 비해 국산 석고에는16 wt

규사가 로 작게 함유되어 있었다 이는 원재료의 광산에 함유된 규사에096 wt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석고에 대한 분석 결과를 CAS( ) Table 3

에 실었다 에서 보면 라파석고에 인이 포함되어 있는 반면 인 Table 3 00072 wt

산무수 석고에는 로 많이 포함되어 있어 제조시 인산무0024 wt self- leveling

수 석고를 사용한 결과가 나쁘게 나타났다고 추정되며 지지용 철근의self-leveling

부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이므로 인산석고의 사용을 피함이 좋을 것이다

인산무수 석고는 자체에서 산성 성분을 용출함으로서 콘크리트 중에 함유된 알칼리

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을 혼입시키어 철근을 활성화

상태로 만들고 이로 인해 부식하기 쉽게 된다

- 35 -

Table 2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 36 -

Table 3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and Binder

- 37 -

제 절 특수 첨가재4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의 양을 변화시O 89 g -α

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4

Table 4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a -gypsum

에서 보면 석고의 함량을 증가할수록 초결시간은 빨라지지만 수분증발시Table 4 -α

간이 느리고 기존레벨라보다 종결시간이 느린 것을 보아 석고만을 첨가한다는-α

것은 의미가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화시키

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5

Table 5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LiCO3

- 38 -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기존레벨라에는 이미Table 5 LiCO3이 인 이 포014 042g

함되어 있어 순으로 첨가하였으나 첨가 양에 따른 초결상태의 변화0 15 30 g

는 없었으나 종결상태는 조금씩 첨가 양이 많아지면서 조금씩 지연되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O 89 g CAS ( )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과 같다Table 6

Table 6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CAS

에서 보면 를 씩 증가하면서 첨가함에 따라 초결상태와Table 6 CAS 0 10 20 g

종결상태가 보다 급격히 빨라짐을 알 수 있었다 즉 경화 속도에 의Table 4 5 CAS

함유량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에서 사용한 첨가제를 모두 혼합하여 기존의 재Table 4 5 6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비교해보면O 89 g Table

과 같다7

- 39 -

Table 7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and CAS

에서 보는 것처럼 기존의 재Table 7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O 89 g

라에 석고와- LiCOα 3 만을 혼합하였을 때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의 양을 CAS

증가시키면서 함께 첨가할 수록 경화시간은 단축되었다

에 알미나 포틀랜드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Table 7 (AI-PC)

비교해보면 과 같다Table 8

기존의 재self-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보면 에서 보는 것처럼AI-PC Table 8

함량이 높을수록 경화시간은 너무 단축되어 그만큼 작업하는 시간이 촉박하AI-PC

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모든 결과를 종합해보면 응결시간은 온도와 습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실험할 때마다

기존레벨라를 비교하여 시험했다 가 가장 경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만 입자 CAS

가 뭉쳐 있어 혼합이 잘되지 않았다 그 결과 건조시 표면이 분화구처럼 돌출된 부

분이 많이 생겨났다

- 40 -

Table 8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CAS and Al-PC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5

급결제에 대한 성분 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는 와 같다 중탕Table 9

에서 증발시킨 후 의 잔유물에 대한 분석 결과(100 ) 50 wt Si 438 wt Na

로 나타났다 결정성과 구조분석을 위하여 로 확인한102 wt K 177 wt XRD

결과는 무결정 으로 피크가 나타나지 안했다 법으로 물을(amorphous) Karl fischer

분석시에도 가 잘 나타나지 안해 분석을 할 수 없었다 화학적 결합상태end-point

를 알아보기위해 을 이용하여 해석해본 결과IR Na2SiO3 H2 와O 50 wt 50 wt

의 H2 가 공존함을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O Na2SiO3 H2 와 의O 50 wt 50 wt

H2 를 함께 사용하기로 결정하였고 건설 현장에 시공 또는 제품 생산에 위와 같O

은 혼합비율을 적용하였다

- 41 -

Table 9 Chemical Composition of RCM300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6

측정된 충격음레벨은 ISO 140 Part 6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을 준용하여 수음실 기준 흡음력 에 대한sound insulation of Floors 1978) (10 )

보정 값으로 환산하였다(Table 10)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나타내는 수음실의 바닥충격음레벨 (Ln 은 다음 식 으로) (1)

구하였다

여기서

Ln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흡음력보정 바닥충격음레벨 j ( )

충격음위치 지점수m

상기 식 의 각 충격음 위치마다의 바닥충격음레벨의 평균값(1) (Lj 은 다음식 에) (2)

따라 산출하였다

- 42 -

Table 10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sound insulation of floor

- 43 -

여기서

Lj 수음실내 측정점 에서의 바닥충격음레벨 i ( )

측정점의 수n

또한 상기 바닥충격음레벨 평균값 (Lj 은 수음실의 흡음력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

므로 를 준용 이를 기준흡음력 에 대한 값ISO 140 Part6 (978) (10 ) (L nj 으로)

환산하였으며 그 산출식은 식 과 같다 (3)

여기서

L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평균 바닥충격음레벨 j ( )

AO 기준흡음력 (10 )

수음실 측정실 용적V ( ) ( )

수음실 측정실 잔향시간 초T ( ) ( )

에서 보면 기준판과 시험체의 경량충격음은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Table 10

충격음이 증가하다가 완만한 곡선을 나타내는 반면 중량충격음의 결과를 보면 주파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충격음이 계속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경량 충격음은 음원이 태핑머신인 관계로 주파수 변화에 따른

파장의 작고 큼에 별 영향을 주지 않지만 중량 충격음은 음원이 타이어임으로 고주

파대로 갈수록 파장이 작아서 투과 여건이 적은 관계에 기인함을 알 수 있다 본

바닥충격음과 소음에 대한 실험 결과 기존 시멘트몰탈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

믹몰탈간에 바닥충격음과 소음의 차이는 크게 나지 않음으로 무시할 정도임을 알았

- 44 -

제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7

아래 은 바닥재 시공에 대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과 재래식 시Table 11

멘트몰탈과의 특징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연구연에서 분석한 세라믹구들의 분석 결과를 에Table 12

실었다 현 시험법에 따라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 등의 물성을 공인된 한국건자 KS

재연구원에 의뢰한 결과 압축강도면에서 이 넘는 결과가 나왔으며 다른400 f

물성 또한 기준 물성값을 초과하는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에서 보는 것과 Table 12

같이 길이변화율은 일 경과 후 로서 거의 변화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28 -0046

며 이를 미루어 보아 시멘트몰탈의 수축 팽창에 기인되는 균열 원인을 해결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45 -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 구들의 비교Table 11

구분 단위 재래식 시멘트몰탈 본 제품 세라믹구들( )

시공후상태

몰탈층

바탕면의 균열 발생-바탕면의 평활 수평 이 없다- (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없다-공정 회 이 복잡하다- (3-4 )많은면적을 시공할 수 없다-양생시간이 길다 일- (3-7 )하자 보수비가 필요하다-시멘트 독성에 따른 인체에-해로움

바탕면의 균열이 없다- 바탕면의 평활 수평 성이 양호- ( )일정한 두께유지-공정이 단순 회공정 하다- (1 )많은 면적을 시공할 수 있다-양생시간이 짧다 일- (1 )하자보수비가 필요없다-건강보조기능-항균성 무독성 원적외선( )마감재 시공이 용이하다-에너지절감 효과가 크다-열전도율 및 축열기능이 좋다-차음 방음 효과가 우수하다- ( )건축물의 경량화-

세라믹 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시험 검사 방법 ( ) KS L 5105-97 KS L 5104-96 KS L 5207-rsquo99 KS F2424-rsquo95 KS L 1592 rsquo95시험원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시험일자 2000 OS 09 ~ 09 15

- 46 -

제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석회 광물은 마그네시아 광물과 함께 중요한 조암광물로서 천연에서는 산화물(CaO)

로는 존재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탄산염 황산염 또는 규산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석회질 원료로는 석회석 돌로마이트 형석 석고 규회석 등이었으며 이중 석회석

(CaCO3 과 석고)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만을 에 나타내었다 원적) Fig 10 11

외선 발열체와 세라믹 발열체가 있다 원석 발열체로는 맥반석 게르마늄석 옥석

황토 등이 있다 원적외선의 온열효과는 피부표면에 복사된 원적외선은 인체 중 물

의 진동 파장과 거의 비슷하며 공진 작용으로 일반열이 도달할 수 없는 부위( )共振

까지 도달하게 한다 이러한 심달력은 피하층의 온도상승 미세혈관의 확장 혈액순

환 촉진 선진대사강화 혈류 장해 해소 조직의 재생능력 증가 결련예방 및 암치

료 효과 등의 의학적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혈행이 좋아짐으로서

정상체온 유지 스트레스 해소 소화촉진 근육통 해소 피부 색깔 정상화 꺼칠한

눈이 부드러워지고 감기 예방효과 조직 내에 쌓여 있던 노폐물의 분비도 촉진된

다 또한 세포에 필요로 하는 영양소와 산소를 정상적으로 공급받게 되어 세포와

조직이 활력을 되찾게 되고 적당한 원적외선 활용은 세포의 노화를 막아주는 효과

를 볼 수 있다 원적외선 부작용 없는 건강유지와 질병의 예방치료적 기 (氣

라고 할 수 있다energy)

석회석은 시멘트의 주원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전방사율은 약 정도를085

보이고 있으나 이후와 단파장 영역쪽에 불안정한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보이20

고 있다 이는 공기 중의 습기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그 조성이 일부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시멘트를 측정하여 비교Fig 10 11

한 결과에서는 다소 석회석 자체원료를 측정한 것이 방사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CaSO4 는 외국에서 천연으로 산출된 것과 본 연구에서 제조한 배연 탈황석고)

모두 원적외선 방사특성에 있어서는 석회석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특히

부근에서의 약간의 골이 생겨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87

- 47 -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48 -

석고Fig 11 (CaSO4 의 원작외선 방사특성)

- 49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의 방사율은 에 실었다 현재 원적외선이 다Fig 12

량 방사되는 게르바늄석 참조 옥석 참조 맥반석 참조(Fig 13 ) (Fig 14 ) (Fig 15 )

등에 비해서 같은 수준의 방사에너지 및 방사율이 발현됨을 공인된 시험기간에 의

해서 입증되었다 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를 Fig16 3~20

파장 영역에서 방사특성을 나타내었다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는 이상흑체에

서 방사되는 특성과 같은 모양을 방출하고 있습을 알았다 따라서 세라믹구들은 건

강친화적인 면만 아니라 여러 가지 가능을 가진 차세대 온돌용 세라믹구들이라고

할 수 있다

제 절 현장 시공9

본 세라믹구들의 최적화 조건 조성 및 현장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차로 경기도 광1

주 소재 동심주택 제 차 그린타운 세대를 시험 시공한 바 있으며 위 결과를 토9 19

대로 최적화된 조건에 따라 안양 재건축현장 및 기홍 목조주택 등에 실용화 시공하

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Fig 17

필름 한 장을 깔고 그 위에 외경의 폴리에틸렌 엑셀파이프를 배관한 후 세라15

믹 구들로 타설한 후 수평을 잡으면서 두께를 로 일정하게 하였다40

시멘트 제품은 응결 경화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균열이 발생되

면 더 커지면서 계속 퍼져나가는 경향을 나타낸다 여러 종류의 균열 보수기법이

현재 마련되어 있으나 완벽한 균열 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 보수 후에도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 보수로 인해 외관의 불량 균열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로 시공한 결과는 상기와 같

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할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연구에 의해 일반 콘크리트에도 적

용할 경우 그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균열을 방지함으로서 방

수 강도저하 철근부식 등 내구성저하를 막으므로 고품질의 구조물 공사가 될 것으

로 예상된다

- 50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 51 -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 52 -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 53 -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11 -

그 림 목 차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연구Ⅰ

Fig 1 TGA thermal curve of gypsum

Fig 2 Flow diagram of gypsum sintering system

Fig 3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Fig 4 SEM photograph of germany gypsum

Fig 5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after grinding

Fig 6 Present floor of impact sound insulation

Fig 7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each gypsum in sintering condition

Fig 8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gypsum after sieving

Fig 9 Particle distribution chart of gypsum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석고Fig 11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12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l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13 -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Ⅰ

제 장 서 론1

국내에서는 성 세라믹몰탈재를 고급타일 마감재의 수평조정용으로 사self-leveling

용함에 따라 실제적인 의 의미보다는 에 가깝게 적용하여 self-leveling smoothing

대개 시공두께 의 박막으로 시공하기 때문에 일본의 경우 대부분 이3~5 10

상의 후막형 제품들로는 적용이 불가능한 점을 들 수 있다 년 중반에서 수입사 lsquo80

를 통해서 수입하여 건축물에 적용해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년 초까지는 고가 lsquo90

의 재료비로 널리 사용되지는 못하고 대형백화점을 중심으로 시장 확대가 시도되었

으나 국내에서도 시멘트 업계나 건재 생산업체를 중심으로 시멘트계 self-leveling

재의 개발에 착수하기 시작하여 년부터 개 업체에서 판매를 개시함mortar lsquo93 2~3

으로써 시장이 활성화되기 시작하였다

최근에는 대형공장 주차장바닥에 적용할 수 있는 재를 실용화 self-leveling mortar

하여 현재 보급 중에 있으며 석고계 재는 대리점을 통해 수입 self-leveling mortar

품이 고급빌라의 방통 몰탈 대체용으로 각광받고 있어 국내도 다양한 self-leveling

재 제품이 소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및mortar

대형건물 주차장 바닥 몰탈로 성 세라믹몰탈을 사용한 실적은 없다 self-leveling

국외의 경우를 보면 일본에서의 재의 연구는 년에 일본주택self-leveling mortar lsquo73

공단에서 건축물의 요철면을 화하기 위한 바닥공법의 합리화라는 목적으로高精度

석고계 시멘트계 재의 기초연구가 시작되었으나 당시에는 경 self-leveling mortar

제성 때문에 실용화되지는 못하였다 이후 년대 초에서 중반까지는 lsquo70 SO3의 공해

규제에 의한 탈황석고의 효율적인 이용의 관점에서 석고계 self-leveling排煙

재의 실용화 연구에 박차를 가하게 되어 년 시험 시공에 성공하여 년mortar lsquo76 lsquo77

도부터 전국적으로 시판을 개시하기에 이르렀다

- 14 -

년에 최초로 시멘트계 재를 개발 시판하면서 일본내에서 석lsquo82 self-leveling mortar

고계와 시멘트계 재가 함께 사용되기 시작하였다self-leveling mortar

석고계 및 시멘트계 재에는 서로의 장 단점이 있기 때문에 나self-leveling mortar ㆍ

름대로의 판매영역을 구축해 나갔지만 년에 스웨덴의 사로부터 석고계 및 lsquo85 BEPA

시 멘트계의 장 단점을 보완한 무기질계 재 세라믹계 또는 혼self-leveling mortar (ㆍ

합형 재로도 칭함 를 기술도입 함으로써 이후에 일본에서는self-leveling mortar ) 3

종의 재가 시판되기 시작하여 오늘에 이르렀다self-leveling mortar

유럽에서는 오래 전부터 재를 바닥에 사용해 온 것으로 알려져self-leveling mortar

있으며 실제로 다양한 형태의 재가 시판되고 있다 참 self-leveling mortar (Table 1

조 재의 결합재별로 전술한 석고계 시멘트계 혼합계 외에도) Self-leveling mortar

폴리머를 이용한 폴리머시멘트계 또한 시공 두께별로 후막형 및 박막형 등 시공

조건이나 환경에 따라 적용 가능한 여러 제품들이 시판 되고 있다

성 세라믹 구들재에 요구되는 성능은 작업 종료시까지 유동성 확보문Self-leveling

제 응결 경화과정의 요구성능 내구성 측면 등에 좌우된다 유동성과의 균형을 확

보하지 않으면 골재 침강으로 인한 표면 이 심하게 발생되어 표면정도나bleeding

최종 마감재와의 부착 성능을 급격하게 저하시키거나 유동성이 저하되어 세라믹몰

탈재 마감공사가 용이하지 못하기 때문에 세라믹몰탈재 슬러지의 성상과 사용장비

와의 적합성은 공사의 승패를 좌우하는 주요 요인이 된다

- 15 -

구미 유럽지역의 재 개발 현황Table 1 Self -leveling

재 품종Self-leveling 개 발 국 가 참 여 업 체 명( )

석고계미국 등(GYP-CRETE HACKER )독일 등(BAYER KNAUF GUILINY HENCKEL )

시멘트계 스웨덴 등 핀랜드(ABS ZEMENTA ) (PARTEK)

혼합계 독일 등 스웨덴 등(PCI HENCKEL ) (BEPA )

폴리머시멘트계 영국 등 독일 등 웨덴 등(ICI ) (PCI HENCKEL ) (ABS )

무수석고에 첨가되는 시멘트에 대한 수많은 연구 결과가 소개되고 있으나 두 물질

간의 물리화학적인 양론적 문제와 시멘트 화학조성 분말도 발연곡선 응결 수화

열 강도 팽창 수축 화학적저항성 등에 따라 상이하다

신기술 시공의 정밀성 신속성 간편성이 특징인 성 세라믹몰탈의 시공 self-leveling

방법은 현장에서 제품에 물만 부어 바닥에 뿌리면 자동적으로 수평 한 면이 형성되

므로 기존의 시멘트 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

성 내구성 경량성과 자동 수평이 되는 평활성 때문에 별도의 쇠흙손으로 마감이

필요 없다 또한 시멘트 몰탈에 비하여 들뜸 현상 및 갈라짐이 없고 가벼운 재질로

되어 있어 건축 구조물의 경량화가 기대된다

특히 기계화 시공으로 인건비 절감 및 작업장 환경 개선 공기 단축 등으로 경제적

이고 정밀한 시공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기존 방식보다 방열성이 높다는 것

은 열효율 면에서 매우 유리한 난방 방식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성 세라믹몰탈은 최근 건축물의 화를 위한 건축 재료로 많이Self-leveling intelligent

사용되고 있다 세라믹몰탈은 유동성이 우수하며 신속한 응결 경화과정으로 일 1

안에 보행이 가능함은 물론 표면에 기포 자국이나 수축 균열이 없어 백화점 오피스

텔 대규모 건축물의 바닥 미장은 물론 목재 위에 박막이나 후막으로 많이 사용됨

으로서 건설 인력 부족을 대체할 수 있는 신기능성 제품이다

- 16 -

성 세라믹몰탈재는 사용되는 특수 첨가제에 따라 시멘트계 석고계 혼Self-leveling

합계 특수시멘트 팽창억지제 석고보드 등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각기 특성에 따라

적용되는 분야가 상이함으로 첨가제 혼화제 가 개선되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고부( )

가가치 산업을 창출할 수 있다

개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 물질인10 SO2를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하여 아황산석고로 생산되면서 SO2는 제거된다

아황산석고를 반응기에서 반응시켜 부산석고를 얻는다 화력발전소의 부산물인 석

고와 시멘트 결합제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성 세라믹몰탈은 국내의 부 self-leveling

존자원이나 산업폐기물의 유효 이용 차원에서 건축재료로의 활용은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최근 큰 문제로 대두된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일석

이조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됨으로서 국가 경제 발전에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기술적 측면에서 보면 시멘트제품은 응결 경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

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

그러나 과학 및 산업기술들이 고도로 발전되어 감에 따라 건축물 마감공사도 미려

함을 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성 세라믹몰탈재가 건축물 마감공사의self-leveling

성력화를 가능케 한 신 기능성 건축재료의 총아라 할 수 있다

이수석고는 국내 화력발전소에서 배출되는 가장 심각한 공해물질인 SO2 가스를 흡

수액 중 CaCO3과 반응시켜 년간 만톤씩 부산되고 있는 무용한 물질이다 산업폐33

기물의 일종인 이수석고를 소성과정을 거쳐 소석고 로 만든다(calcined gypsum)

소석고에 신 기능성 특수 를 첨가하여 바닥 마감용 성 세라믹몰binder self-leveling

탈재를 생산함으로써

열효율 면에서는 시멘트 제품보다 축열성이 높으며-

미장면이 평활하므로 추가로 보수가 필요 없고-

시멘트보다 압축 및 인장강도 면에서 우수하다-

시중 시멘트제품은 균열에 있어서 완벽한 균열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보

수 후에는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보수 및 면 평활도가 외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 17 -

그러나 본 제품을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하므로 그 파

급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된다

경제적 측면에서 보면 국내 석고 소비량은 연간 만톤으로 선진국의 연간 소비600

율 에도 못 미치는 실정이다 또한 국내에는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10

실정으로 해외에서 톤당 만원 정도의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볼16

때 품질이 좋고 가격이 싼 발전용 배연 탈황 석고의 공급은 국내 관련 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국내 발전용 배연 탈황 석고의 공급이

서기 년도에 이르면 약 만톤으로 국내 석고 수요량 만톤의 약 정2000 110 600 18

도는 충당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진다

현재 아파트 및 오피스텔 공사 등이 전국적으로 그 물량이 대단히 많으나 모든 미

장 마감층에 균열이 생기고 평활도의 문제가 발생되고 있어 입주 전에 균열 보수

재료에 의해 보수를 실시하고 있으나 완전 보수가 불가능하여 입주 후 많은 세대수

에서 하자보수로 인한 손실이 매우 큰 실정이다 또한 바닥면이 수평을 이루지 못

하여 가구 등의 제품에 뒤틀림 등으로 생활에 불편함을 제공하고 있다

본 제품은 상기와 같은 모든 문제점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훨씬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건비 절감 공기 단축 국내의 산업폐기물의 유효이용 차원에서

건축재료로의 활용은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시멘트 건축재 생산업체들을 중심으로 아파트 온돌 부위와 목재 위에 박막

또는 후막으로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용도의 세라믹몰탈 등의 상품화는 년간 500

억원 규모의 사업화가 가능할 것이며 또한 특수 의 개발은 연간 약 억 binder 150

원의 시장 창출이 예측된다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 보면 현대 산업의 고도화 및 복잡화로 환경 오염을 초래하

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각종 환경매체에 대한 환경 오염이 극심해지

고 있는 실정이어서 환경 오염 방지 및 환경보존 개선을 위한 규제가 점점 강화되

고 있다 특히 대기오염 생태계 파괴 등 환경과 보건에 심각한 위해가 초래됨으로

써 규제도 본격화하게 되었다

- 18 -

이산화유황으로 오염된 화력발전소의 배기가스는 석회함수물 또는 석회액과의 화학

적 반응을 통해 탈황된다 이로 인해 산성비 에 대한 원인은 제거된다 이런 중요 ldquo rdquo

한 환경기술적 조치의 반응생산물인 부산석고를 건축 자재로 사용함으로서 대기 환

경보존을 할 수 있다는 차원에서 금액으로 환산할 수 없는 중대한 기여를 할 것이

다 또한 내장 박막 이하 후막 등을 미려하게 함은 mortar(50 ) (5 ) (1O-15 )

물론 수축 팽창 균열 등을 방지함으로 풍요로운 생활공간을 제공할 것이다

위와 같은 평가 기술은 국내 최고의 분석 평가 기관인 특성분석센터와 세라믹KIST

스 연구부 및 주 범우에서 이미 확보되어 있고 국제적으로도 상당한 경쟁력을 갖( )

추고 있다 매우 불활성인 무수석고를 약 시간만에 경화가 시작되도록 활성화하는 2

즉 정해진 특성들을 가진 건축자재를 생산하는 두 가지 방식이 있다 그중 한 방법

은 미세하게 분쇄한 후 풀어짐을 촉진하는 소량의 자극제 즉 분산제의 첨가이며

다른 한 방법은 몰탈 준비 때보다 강력한 혼합을 요구하는 무수석고의 생산이REA

절실히 필요하다

- 19 -

제 장 실 험2

제 절 배연탈황1

화력 발전소에서 부산물로 생성되는 이수석고의 주요 반응은 의 현탁액과limestone

연소가스를 역류 세정시키면서 일어난다 이것은 아래에 열거한 것과 같은 확산과

화학반응으로 구분되어 진행된다

기 액 경계면에 이르기까지의 을 통한- gas film SO① 2의 확산

SO② 2가 상태가 되는aqueous dissolution

상태의Aqueous SO③ 2가 되어hydration H2SO3로 되고 이것이 H+ 와 HSO3-로 존

재하게 됨

HSO④ 3-가 분리되어 SO3

-를 형성함

용역내의 CaCO⑤ 3는 상태로 되고 이것은 다시aqueous dissolution H+이온과 반응

하여 Ca2+ 와 HSO3-를 형성함

및 과정에서 생성된 Ca⑥ ④ ⑤ 2+와 SO32-그리고 물이 반응하여 CaSO3ㆍ12H2 가O

형성됨

CaSO⑦ 3ㆍ12H2 는 물과 물속에 녹아있는 산소와 결합하여O CaSO4 2Hㆍ 2 를 형O

성함

- 20 -

반응식Total

이와 같은 반응들의 반응속도를 비교하여 볼 때 의 단계는 비교적 빠 ③ ④ ⑥ ⑦

른 반응이 되고 제어단계는 크게 가스확산 액체 내에서의 SO2 확산 석회석의

등 단계로 압축시킬 수 있다 위의 메카니즘 가운데 이온들의 화학반응dissolution 3

을 로 규명하기도 한다 이것은 기 액 경계면을 중심으two-reaction-planes model -

로 액체쪽으로 개의 을 설정하고 각각의 다른 반응이 일어난다는 것2 reaction plan

이다

제 절 석고 소성2

전항에서 만들어진 이수석고에 함유된 부착수분과 결정수분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

기로와 열질량분석기 를(thermogravimetric analyzer TGA Perkin-Elmer TGS-2)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에서 보면 공기 중에서 일 방치한 이수석고 중 Fig 1 2 18

정도가 되면 대부분 휘발성 물질들이 날아가서 무게가 정도 감소되었60 5 wt

다 다시 정도가 될 때까지 결정 수분이 정도 감소되었고 190 18 wt 700

가 될 때까지 정도가 휘발되어 날아가 전체 무게 감소는 되고2 wt 25 wt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휘발되는 것이 없이 일정한 무게를 유지하였다 전기로에서

실험한 결과도 부착수분이 건조감량이 로 전체 무게 감소율121 wt 109 wt

은 이였다 이수석고를 세라믹용기 및 용기에 각각230 wt stainless steel 500

씩 분취하여g 150 (2 hrs) 200 (1~2 hrs) 350 (1 hr) 420 (1 hr)

로 유지한 전기로에서 각각 소성하였500 (1 hr) 650 (15 hr) 750 (1 hr)

다 소성 후 를 사용하여 소성 X-Ray Diffractometer (XRD Rigaku DMAX-2500)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CaSO4 2Hㆍ 2 를 대량 소성하기 위하여O

에stainless steel port CaSO4 2H2 씩을 넣고 를 아래와 같O 2 conveyor furnace

은 조건 을 유지하면서 대전 소재 쌍용중앙연구소에서 시간 연속 실험하(Fig 2) 24

였다

- 21 -

Fig 1 TGA thermal curve of gypsum

- 22 -

Fig 2 Flow diagram of gypsum sintering system

- 23 -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3

에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석고에 대하여 표면형상을 관찰하였다Self-leveling

조건으로 국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Hitachi S-4200) 150

산 석고등의 입자를 조사한 결과는 과 에서 보는 바와 같다 과Fig 3 Fig 4 Fig 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국산석고의 크기가 독일산 석고보다 크나 분쇄를 잘하Fig 4

면 공정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추정된다self-leveling

의 입자가 큰 국산석고를 에서 분 분쇄 후 사진 의 결Fig 3 mortar 20 SEM (Fig5)

과를 보면 독일산 석고와 아주 유사한 형태와 로 변하였다 그러므로 분쇄 공정size

만 잘 진행하면 국산 석고도 외국산 석고에 비해 제조에 손색없음을self-leveling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 무수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를 위하여 쌍용연구소의 연속분쇄기

를 사용하여 분쇄하였다 분쇄 조건은 압력(roller mill) roller 6 feeding RPM

시료 투입량 등으로 무수석고를 연속 분쇄하였40 separator RPM 880 6 hr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4

국내산 석고와 외국산 석고들에 대한 화학성분 분석을 위하여 Optical Emission

로 정성분석한 후Spectrometer(OES TJA Atomcomp 81) Atomic Absorption

Sepctrophotometer(AAS Perkin Elmer 5000) 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meter(ICPAES Perkin Elmer Elan 5000) Wet

분석방법 등으로 국산 석고와 외국산 석고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Analysis(WET)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 석고에 대하여도 위에서 분석한 CAS( )

것과 같이 등의 방법으로 성분분석을 하여 석고의 품질OES AAS ICPAES WET

및 특성등을 파악하였다

- 24 -

Fig3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 25 -

Fig4 SEM photograph of germany gypsum

- 26 -

Fig5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after grinding

- 27 -

제 절 특수 첨가재5

기존의 재 에self- leveling 300 g H2 을 혼합한 후 아래와 같은 여러 종류의O 89 g

첨가재를 첨가하면서 초결 종결 등의 경화 응결 및 플로값 등의 물리적인 성질을

측정하였다

또한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

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기존의 재 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O 89g CAS ( )

때의 물리적인 특성뿐 아니라 알미나 포틀랜드 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AI-PC)

때의 물리적인 특성도 비교하였다

가존의 재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 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위에서 측정한 경우와 서로 비교하AI-PC

여 보았다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6

재 제조시 적절한 응결을 위하여 급결제을 사용하는데 통상 물유리를Self -leveling

많이 사용함을 본 연구에서 알았다 급결제의 성분 분석을 위하여 wet analysis

등을 사용하였으며 구조분석을 위하여는 와 을 사용하였OES AAS ICPAES XRD IR

다 법으로는 석고중에 함유되어 있는 물의 함량을 분석하는데 사용하 Karl fischer

였다

- 28 -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7

바닥 충격음 및 소음에 대한 시험은 여주군에 위치한 방재시험연구소에 의뢰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편을 제작하여 측정하였다 바닥 충격음 방지재 (save gum pad

를 사용한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 에 시험재료로 한양 시멘트 제품인6 t) (246 )

레미탈 을 사용하여 몰탈 바닥 넓이 로 작업한 후900 28 m times 42 m times 30

일 간 야외에서 양생하여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참조30 (Fig 6 )

바닥충격음시험은 건축물현장에 있어서의 바닥충격음측정방법 을KSF 2810 ( 1981)

적용하여 음원실 충격음발생실 과 수음실 충격음측정실 로 구성된 잔향실 사이 바( ) ( )

닥개구부에 시험체를 설치한 후 시험체위에서 충격음 경량 태핑 머신 및 중량충 (

격음 타이어 을 발생시켜 주파수범위의 대역별 바닥충격음 ) 63-4000 13 Octave

레벨 회를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하였다25

제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최근 건설 현장에 불기 시작한 주거환경의 쾌적화와 원적외선 방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도 원적외선 방사에 대한 시험을 시행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과 한국원적외선협회에 세라믹몰탈 옥석 맥반석

게르마늄석을 의뢰하여 방사율을 단파장인 영역인 에서 까지 측정하였다3 20

- 29 -

Fig 6 Present floor of impact sound insulation

- 3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1

화력발전소에서 부산물로 생성된 이수석고를 대전소재 쌍용 중앙연구소에서 rotary

을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소성된 석고를kiln X - Ray Diffractometer (XRD Rigaku

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수석고는DMAX-2500) Fig 7

에서는150~200 CaSO 4 2Hㆍ 2 가O CaSO4 12Hㆍ 2 로 변하고 에서O 350 CaSO 4

의 피크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그후 온도를 올림에 따라 무수석고의 결정성이 좋

아짐을 알 수 있었다 참조(Fig 7 )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2

으로 확인한 결과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국산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ig 3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로 단단한 모양으로 균일하게70

구성되어 있는 반면 의 독일산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 Fig 4 70

의 크기가 소수 분포와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분포175

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체로 한 결 -200 mesh sieving

과를 보면 정도의 가 큰 덩어리가 남아 있었다10 size

가 큰 덩어리를 로 확인한 결과 석고로 판명되었다 에서 보면 독일Size XRD Fig 8

산 최초 석고인 BW CaSO4 과 후의 의(GER)-3 sieving XRD pattern BW

CaSO4 와 동일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들은 결과와 결과로(G+200M)-4 XRD TGA

보면 모두 CaSO4로 판명되었다

에서 분쇄된 무수석고의 입자분포도를 보기 위하여Roller mill particle size

로 측정범위 측정 분산매analyzer 01-180 lens focal depth 100 methyl

를 사용하여 초음파 분산 방법으로 입도 분포도를 얻어 에 실었다alcohol Fig 9

- 31 -

Fig7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each gypsum in sintering condition

- 32 -

Fig8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gypsum after sieving

- 33 -

Fig 9 Particle distribution chart of gypsum

- 34 -

에서의 입자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이하의 분포도가 전체의 를Fig 9 5 87

차지하고 있는 반면 마이크론미터 이상이 전체의 밖에 차지하고 있음을 알10 3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보면 외국산 석고에 비해 공정에서는 보다 나 self - leveling

은 작업성과 물성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3

분석방법 등으로 분석한 결과 에서 보OES AAS ICPAES Wet Analysis Table 2

는 바와 같이 독일산석고와 국산석고의 분석결과가 화학성분에서는 아주 유사하다

그러나 독일산 석고에 규사만이 함유되어 있는 것에 비해 국산 석고에는16 wt

규사가 로 작게 함유되어 있었다 이는 원재료의 광산에 함유된 규사에096 wt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석고에 대한 분석 결과를 CAS( ) Table 3

에 실었다 에서 보면 라파석고에 인이 포함되어 있는 반면 인 Table 3 00072 wt

산무수 석고에는 로 많이 포함되어 있어 제조시 인산무0024 wt self- leveling

수 석고를 사용한 결과가 나쁘게 나타났다고 추정되며 지지용 철근의self-leveling

부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이므로 인산석고의 사용을 피함이 좋을 것이다

인산무수 석고는 자체에서 산성 성분을 용출함으로서 콘크리트 중에 함유된 알칼리

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을 혼입시키어 철근을 활성화

상태로 만들고 이로 인해 부식하기 쉽게 된다

- 35 -

Table 2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 36 -

Table 3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and Binder

- 37 -

제 절 특수 첨가재4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의 양을 변화시O 89 g -α

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4

Table 4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a -gypsum

에서 보면 석고의 함량을 증가할수록 초결시간은 빨라지지만 수분증발시Table 4 -α

간이 느리고 기존레벨라보다 종결시간이 느린 것을 보아 석고만을 첨가한다는-α

것은 의미가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화시키

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5

Table 5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LiCO3

- 38 -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기존레벨라에는 이미Table 5 LiCO3이 인 이 포014 042g

함되어 있어 순으로 첨가하였으나 첨가 양에 따른 초결상태의 변화0 15 30 g

는 없었으나 종결상태는 조금씩 첨가 양이 많아지면서 조금씩 지연되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O 89 g CAS ( )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과 같다Table 6

Table 6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CAS

에서 보면 를 씩 증가하면서 첨가함에 따라 초결상태와Table 6 CAS 0 10 20 g

종결상태가 보다 급격히 빨라짐을 알 수 있었다 즉 경화 속도에 의Table 4 5 CAS

함유량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에서 사용한 첨가제를 모두 혼합하여 기존의 재Table 4 5 6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비교해보면O 89 g Table

과 같다7

- 39 -

Table 7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and CAS

에서 보는 것처럼 기존의 재Table 7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O 89 g

라에 석고와- LiCOα 3 만을 혼합하였을 때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의 양을 CAS

증가시키면서 함께 첨가할 수록 경화시간은 단축되었다

에 알미나 포틀랜드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Table 7 (AI-PC)

비교해보면 과 같다Table 8

기존의 재self-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보면 에서 보는 것처럼AI-PC Table 8

함량이 높을수록 경화시간은 너무 단축되어 그만큼 작업하는 시간이 촉박하AI-PC

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모든 결과를 종합해보면 응결시간은 온도와 습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실험할 때마다

기존레벨라를 비교하여 시험했다 가 가장 경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만 입자 CAS

가 뭉쳐 있어 혼합이 잘되지 않았다 그 결과 건조시 표면이 분화구처럼 돌출된 부

분이 많이 생겨났다

- 40 -

Table 8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CAS and Al-PC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5

급결제에 대한 성분 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는 와 같다 중탕Table 9

에서 증발시킨 후 의 잔유물에 대한 분석 결과(100 ) 50 wt Si 438 wt Na

로 나타났다 결정성과 구조분석을 위하여 로 확인한102 wt K 177 wt XRD

결과는 무결정 으로 피크가 나타나지 안했다 법으로 물을(amorphous) Karl fischer

분석시에도 가 잘 나타나지 안해 분석을 할 수 없었다 화학적 결합상태end-point

를 알아보기위해 을 이용하여 해석해본 결과IR Na2SiO3 H2 와O 50 wt 50 wt

의 H2 가 공존함을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O Na2SiO3 H2 와 의O 50 wt 50 wt

H2 를 함께 사용하기로 결정하였고 건설 현장에 시공 또는 제품 생산에 위와 같O

은 혼합비율을 적용하였다

- 41 -

Table 9 Chemical Composition of RCM300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6

측정된 충격음레벨은 ISO 140 Part 6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을 준용하여 수음실 기준 흡음력 에 대한sound insulation of Floors 1978) (10 )

보정 값으로 환산하였다(Table 10)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나타내는 수음실의 바닥충격음레벨 (Ln 은 다음 식 으로) (1)

구하였다

여기서

Ln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흡음력보정 바닥충격음레벨 j ( )

충격음위치 지점수m

상기 식 의 각 충격음 위치마다의 바닥충격음레벨의 평균값(1) (Lj 은 다음식 에) (2)

따라 산출하였다

- 42 -

Table 10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sound insulation of floor

- 43 -

여기서

Lj 수음실내 측정점 에서의 바닥충격음레벨 i ( )

측정점의 수n

또한 상기 바닥충격음레벨 평균값 (Lj 은 수음실의 흡음력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

므로 를 준용 이를 기준흡음력 에 대한 값ISO 140 Part6 (978) (10 ) (L nj 으로)

환산하였으며 그 산출식은 식 과 같다 (3)

여기서

L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평균 바닥충격음레벨 j ( )

AO 기준흡음력 (10 )

수음실 측정실 용적V ( ) ( )

수음실 측정실 잔향시간 초T ( ) ( )

에서 보면 기준판과 시험체의 경량충격음은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Table 10

충격음이 증가하다가 완만한 곡선을 나타내는 반면 중량충격음의 결과를 보면 주파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충격음이 계속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경량 충격음은 음원이 태핑머신인 관계로 주파수 변화에 따른

파장의 작고 큼에 별 영향을 주지 않지만 중량 충격음은 음원이 타이어임으로 고주

파대로 갈수록 파장이 작아서 투과 여건이 적은 관계에 기인함을 알 수 있다 본

바닥충격음과 소음에 대한 실험 결과 기존 시멘트몰탈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

믹몰탈간에 바닥충격음과 소음의 차이는 크게 나지 않음으로 무시할 정도임을 알았

- 44 -

제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7

아래 은 바닥재 시공에 대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과 재래식 시Table 11

멘트몰탈과의 특징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연구연에서 분석한 세라믹구들의 분석 결과를 에Table 12

실었다 현 시험법에 따라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 등의 물성을 공인된 한국건자 KS

재연구원에 의뢰한 결과 압축강도면에서 이 넘는 결과가 나왔으며 다른400 f

물성 또한 기준 물성값을 초과하는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에서 보는 것과 Table 12

같이 길이변화율은 일 경과 후 로서 거의 변화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28 -0046

며 이를 미루어 보아 시멘트몰탈의 수축 팽창에 기인되는 균열 원인을 해결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45 -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 구들의 비교Table 11

구분 단위 재래식 시멘트몰탈 본 제품 세라믹구들( )

시공후상태

몰탈층

바탕면의 균열 발생-바탕면의 평활 수평 이 없다- (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없다-공정 회 이 복잡하다- (3-4 )많은면적을 시공할 수 없다-양생시간이 길다 일- (3-7 )하자 보수비가 필요하다-시멘트 독성에 따른 인체에-해로움

바탕면의 균열이 없다- 바탕면의 평활 수평 성이 양호- ( )일정한 두께유지-공정이 단순 회공정 하다- (1 )많은 면적을 시공할 수 있다-양생시간이 짧다 일- (1 )하자보수비가 필요없다-건강보조기능-항균성 무독성 원적외선( )마감재 시공이 용이하다-에너지절감 효과가 크다-열전도율 및 축열기능이 좋다-차음 방음 효과가 우수하다- ( )건축물의 경량화-

세라믹 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시험 검사 방법 ( ) KS L 5105-97 KS L 5104-96 KS L 5207-rsquo99 KS F2424-rsquo95 KS L 1592 rsquo95시험원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시험일자 2000 OS 09 ~ 09 15

- 46 -

제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석회 광물은 마그네시아 광물과 함께 중요한 조암광물로서 천연에서는 산화물(CaO)

로는 존재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탄산염 황산염 또는 규산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석회질 원료로는 석회석 돌로마이트 형석 석고 규회석 등이었으며 이중 석회석

(CaCO3 과 석고)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만을 에 나타내었다 원적) Fig 10 11

외선 발열체와 세라믹 발열체가 있다 원석 발열체로는 맥반석 게르마늄석 옥석

황토 등이 있다 원적외선의 온열효과는 피부표면에 복사된 원적외선은 인체 중 물

의 진동 파장과 거의 비슷하며 공진 작용으로 일반열이 도달할 수 없는 부위( )共振

까지 도달하게 한다 이러한 심달력은 피하층의 온도상승 미세혈관의 확장 혈액순

환 촉진 선진대사강화 혈류 장해 해소 조직의 재생능력 증가 결련예방 및 암치

료 효과 등의 의학적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혈행이 좋아짐으로서

정상체온 유지 스트레스 해소 소화촉진 근육통 해소 피부 색깔 정상화 꺼칠한

눈이 부드러워지고 감기 예방효과 조직 내에 쌓여 있던 노폐물의 분비도 촉진된

다 또한 세포에 필요로 하는 영양소와 산소를 정상적으로 공급받게 되어 세포와

조직이 활력을 되찾게 되고 적당한 원적외선 활용은 세포의 노화를 막아주는 효과

를 볼 수 있다 원적외선 부작용 없는 건강유지와 질병의 예방치료적 기 (氣

라고 할 수 있다energy)

석회석은 시멘트의 주원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전방사율은 약 정도를085

보이고 있으나 이후와 단파장 영역쪽에 불안정한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보이20

고 있다 이는 공기 중의 습기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그 조성이 일부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시멘트를 측정하여 비교Fig 10 11

한 결과에서는 다소 석회석 자체원료를 측정한 것이 방사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CaSO4 는 외국에서 천연으로 산출된 것과 본 연구에서 제조한 배연 탈황석고)

모두 원적외선 방사특성에 있어서는 석회석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특히

부근에서의 약간의 골이 생겨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87

- 47 -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48 -

석고Fig 11 (CaSO4 의 원작외선 방사특성)

- 49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의 방사율은 에 실었다 현재 원적외선이 다Fig 12

량 방사되는 게르바늄석 참조 옥석 참조 맥반석 참조(Fig 13 ) (Fig 14 ) (Fig 15 )

등에 비해서 같은 수준의 방사에너지 및 방사율이 발현됨을 공인된 시험기간에 의

해서 입증되었다 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를 Fig16 3~20

파장 영역에서 방사특성을 나타내었다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는 이상흑체에

서 방사되는 특성과 같은 모양을 방출하고 있습을 알았다 따라서 세라믹구들은 건

강친화적인 면만 아니라 여러 가지 가능을 가진 차세대 온돌용 세라믹구들이라고

할 수 있다

제 절 현장 시공9

본 세라믹구들의 최적화 조건 조성 및 현장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차로 경기도 광1

주 소재 동심주택 제 차 그린타운 세대를 시험 시공한 바 있으며 위 결과를 토9 19

대로 최적화된 조건에 따라 안양 재건축현장 및 기홍 목조주택 등에 실용화 시공하

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Fig 17

필름 한 장을 깔고 그 위에 외경의 폴리에틸렌 엑셀파이프를 배관한 후 세라15

믹 구들로 타설한 후 수평을 잡으면서 두께를 로 일정하게 하였다40

시멘트 제품은 응결 경화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균열이 발생되

면 더 커지면서 계속 퍼져나가는 경향을 나타낸다 여러 종류의 균열 보수기법이

현재 마련되어 있으나 완벽한 균열 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 보수 후에도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 보수로 인해 외관의 불량 균열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로 시공한 결과는 상기와 같

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할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연구에 의해 일반 콘크리트에도 적

용할 경우 그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균열을 방지함으로서 방

수 강도저하 철근부식 등 내구성저하를 막으므로 고품질의 구조물 공사가 될 것으

로 예상된다

- 50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 51 -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 52 -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 53 -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12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l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13 -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Ⅰ

제 장 서 론1

국내에서는 성 세라믹몰탈재를 고급타일 마감재의 수평조정용으로 사self-leveling

용함에 따라 실제적인 의 의미보다는 에 가깝게 적용하여 self-leveling smoothing

대개 시공두께 의 박막으로 시공하기 때문에 일본의 경우 대부분 이3~5 10

상의 후막형 제품들로는 적용이 불가능한 점을 들 수 있다 년 중반에서 수입사 lsquo80

를 통해서 수입하여 건축물에 적용해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년 초까지는 고가 lsquo90

의 재료비로 널리 사용되지는 못하고 대형백화점을 중심으로 시장 확대가 시도되었

으나 국내에서도 시멘트 업계나 건재 생산업체를 중심으로 시멘트계 self-leveling

재의 개발에 착수하기 시작하여 년부터 개 업체에서 판매를 개시함mortar lsquo93 2~3

으로써 시장이 활성화되기 시작하였다

최근에는 대형공장 주차장바닥에 적용할 수 있는 재를 실용화 self-leveling mortar

하여 현재 보급 중에 있으며 석고계 재는 대리점을 통해 수입 self-leveling mortar

품이 고급빌라의 방통 몰탈 대체용으로 각광받고 있어 국내도 다양한 self-leveling

재 제품이 소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및mortar

대형건물 주차장 바닥 몰탈로 성 세라믹몰탈을 사용한 실적은 없다 self-leveling

국외의 경우를 보면 일본에서의 재의 연구는 년에 일본주택self-leveling mortar lsquo73

공단에서 건축물의 요철면을 화하기 위한 바닥공법의 합리화라는 목적으로高精度

석고계 시멘트계 재의 기초연구가 시작되었으나 당시에는 경 self-leveling mortar

제성 때문에 실용화되지는 못하였다 이후 년대 초에서 중반까지는 lsquo70 SO3의 공해

규제에 의한 탈황석고의 효율적인 이용의 관점에서 석고계 self-leveling排煙

재의 실용화 연구에 박차를 가하게 되어 년 시험 시공에 성공하여 년mortar lsquo76 lsquo77

도부터 전국적으로 시판을 개시하기에 이르렀다

- 14 -

년에 최초로 시멘트계 재를 개발 시판하면서 일본내에서 석lsquo82 self-leveling mortar

고계와 시멘트계 재가 함께 사용되기 시작하였다self-leveling mortar

석고계 및 시멘트계 재에는 서로의 장 단점이 있기 때문에 나self-leveling mortar ㆍ

름대로의 판매영역을 구축해 나갔지만 년에 스웨덴의 사로부터 석고계 및 lsquo85 BEPA

시 멘트계의 장 단점을 보완한 무기질계 재 세라믹계 또는 혼self-leveling mortar (ㆍ

합형 재로도 칭함 를 기술도입 함으로써 이후에 일본에서는self-leveling mortar ) 3

종의 재가 시판되기 시작하여 오늘에 이르렀다self-leveling mortar

유럽에서는 오래 전부터 재를 바닥에 사용해 온 것으로 알려져self-leveling mortar

있으며 실제로 다양한 형태의 재가 시판되고 있다 참 self-leveling mortar (Table 1

조 재의 결합재별로 전술한 석고계 시멘트계 혼합계 외에도) Self-leveling mortar

폴리머를 이용한 폴리머시멘트계 또한 시공 두께별로 후막형 및 박막형 등 시공

조건이나 환경에 따라 적용 가능한 여러 제품들이 시판 되고 있다

성 세라믹 구들재에 요구되는 성능은 작업 종료시까지 유동성 확보문Self-leveling

제 응결 경화과정의 요구성능 내구성 측면 등에 좌우된다 유동성과의 균형을 확

보하지 않으면 골재 침강으로 인한 표면 이 심하게 발생되어 표면정도나bleeding

최종 마감재와의 부착 성능을 급격하게 저하시키거나 유동성이 저하되어 세라믹몰

탈재 마감공사가 용이하지 못하기 때문에 세라믹몰탈재 슬러지의 성상과 사용장비

와의 적합성은 공사의 승패를 좌우하는 주요 요인이 된다

- 15 -

구미 유럽지역의 재 개발 현황Table 1 Self -leveling

재 품종Self-leveling 개 발 국 가 참 여 업 체 명( )

석고계미국 등(GYP-CRETE HACKER )독일 등(BAYER KNAUF GUILINY HENCKEL )

시멘트계 스웨덴 등 핀랜드(ABS ZEMENTA ) (PARTEK)

혼합계 독일 등 스웨덴 등(PCI HENCKEL ) (BEPA )

폴리머시멘트계 영국 등 독일 등 웨덴 등(ICI ) (PCI HENCKEL ) (ABS )

무수석고에 첨가되는 시멘트에 대한 수많은 연구 결과가 소개되고 있으나 두 물질

간의 물리화학적인 양론적 문제와 시멘트 화학조성 분말도 발연곡선 응결 수화

열 강도 팽창 수축 화학적저항성 등에 따라 상이하다

신기술 시공의 정밀성 신속성 간편성이 특징인 성 세라믹몰탈의 시공 self-leveling

방법은 현장에서 제품에 물만 부어 바닥에 뿌리면 자동적으로 수평 한 면이 형성되

므로 기존의 시멘트 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

성 내구성 경량성과 자동 수평이 되는 평활성 때문에 별도의 쇠흙손으로 마감이

필요 없다 또한 시멘트 몰탈에 비하여 들뜸 현상 및 갈라짐이 없고 가벼운 재질로

되어 있어 건축 구조물의 경량화가 기대된다

특히 기계화 시공으로 인건비 절감 및 작업장 환경 개선 공기 단축 등으로 경제적

이고 정밀한 시공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기존 방식보다 방열성이 높다는 것

은 열효율 면에서 매우 유리한 난방 방식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성 세라믹몰탈은 최근 건축물의 화를 위한 건축 재료로 많이Self-leveling intelligent

사용되고 있다 세라믹몰탈은 유동성이 우수하며 신속한 응결 경화과정으로 일 1

안에 보행이 가능함은 물론 표면에 기포 자국이나 수축 균열이 없어 백화점 오피스

텔 대규모 건축물의 바닥 미장은 물론 목재 위에 박막이나 후막으로 많이 사용됨

으로서 건설 인력 부족을 대체할 수 있는 신기능성 제품이다

- 16 -

성 세라믹몰탈재는 사용되는 특수 첨가제에 따라 시멘트계 석고계 혼Self-leveling

합계 특수시멘트 팽창억지제 석고보드 등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각기 특성에 따라

적용되는 분야가 상이함으로 첨가제 혼화제 가 개선되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고부( )

가가치 산업을 창출할 수 있다

개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 물질인10 SO2를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하여 아황산석고로 생산되면서 SO2는 제거된다

아황산석고를 반응기에서 반응시켜 부산석고를 얻는다 화력발전소의 부산물인 석

고와 시멘트 결합제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성 세라믹몰탈은 국내의 부 self-leveling

존자원이나 산업폐기물의 유효 이용 차원에서 건축재료로의 활용은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최근 큰 문제로 대두된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일석

이조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됨으로서 국가 경제 발전에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기술적 측면에서 보면 시멘트제품은 응결 경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

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

그러나 과학 및 산업기술들이 고도로 발전되어 감에 따라 건축물 마감공사도 미려

함을 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성 세라믹몰탈재가 건축물 마감공사의self-leveling

성력화를 가능케 한 신 기능성 건축재료의 총아라 할 수 있다

이수석고는 국내 화력발전소에서 배출되는 가장 심각한 공해물질인 SO2 가스를 흡

수액 중 CaCO3과 반응시켜 년간 만톤씩 부산되고 있는 무용한 물질이다 산업폐33

기물의 일종인 이수석고를 소성과정을 거쳐 소석고 로 만든다(calcined gypsum)

소석고에 신 기능성 특수 를 첨가하여 바닥 마감용 성 세라믹몰binder self-leveling

탈재를 생산함으로써

열효율 면에서는 시멘트 제품보다 축열성이 높으며-

미장면이 평활하므로 추가로 보수가 필요 없고-

시멘트보다 압축 및 인장강도 면에서 우수하다-

시중 시멘트제품은 균열에 있어서 완벽한 균열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보

수 후에는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보수 및 면 평활도가 외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 17 -

그러나 본 제품을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하므로 그 파

급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된다

경제적 측면에서 보면 국내 석고 소비량은 연간 만톤으로 선진국의 연간 소비600

율 에도 못 미치는 실정이다 또한 국내에는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10

실정으로 해외에서 톤당 만원 정도의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볼16

때 품질이 좋고 가격이 싼 발전용 배연 탈황 석고의 공급은 국내 관련 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국내 발전용 배연 탈황 석고의 공급이

서기 년도에 이르면 약 만톤으로 국내 석고 수요량 만톤의 약 정2000 110 600 18

도는 충당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진다

현재 아파트 및 오피스텔 공사 등이 전국적으로 그 물량이 대단히 많으나 모든 미

장 마감층에 균열이 생기고 평활도의 문제가 발생되고 있어 입주 전에 균열 보수

재료에 의해 보수를 실시하고 있으나 완전 보수가 불가능하여 입주 후 많은 세대수

에서 하자보수로 인한 손실이 매우 큰 실정이다 또한 바닥면이 수평을 이루지 못

하여 가구 등의 제품에 뒤틀림 등으로 생활에 불편함을 제공하고 있다

본 제품은 상기와 같은 모든 문제점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훨씬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건비 절감 공기 단축 국내의 산업폐기물의 유효이용 차원에서

건축재료로의 활용은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시멘트 건축재 생산업체들을 중심으로 아파트 온돌 부위와 목재 위에 박막

또는 후막으로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용도의 세라믹몰탈 등의 상품화는 년간 500

억원 규모의 사업화가 가능할 것이며 또한 특수 의 개발은 연간 약 억 binder 150

원의 시장 창출이 예측된다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 보면 현대 산업의 고도화 및 복잡화로 환경 오염을 초래하

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각종 환경매체에 대한 환경 오염이 극심해지

고 있는 실정이어서 환경 오염 방지 및 환경보존 개선을 위한 규제가 점점 강화되

고 있다 특히 대기오염 생태계 파괴 등 환경과 보건에 심각한 위해가 초래됨으로

써 규제도 본격화하게 되었다

- 18 -

이산화유황으로 오염된 화력발전소의 배기가스는 석회함수물 또는 석회액과의 화학

적 반응을 통해 탈황된다 이로 인해 산성비 에 대한 원인은 제거된다 이런 중요 ldquo rdquo

한 환경기술적 조치의 반응생산물인 부산석고를 건축 자재로 사용함으로서 대기 환

경보존을 할 수 있다는 차원에서 금액으로 환산할 수 없는 중대한 기여를 할 것이

다 또한 내장 박막 이하 후막 등을 미려하게 함은 mortar(50 ) (5 ) (1O-15 )

물론 수축 팽창 균열 등을 방지함으로 풍요로운 생활공간을 제공할 것이다

위와 같은 평가 기술은 국내 최고의 분석 평가 기관인 특성분석센터와 세라믹KIST

스 연구부 및 주 범우에서 이미 확보되어 있고 국제적으로도 상당한 경쟁력을 갖( )

추고 있다 매우 불활성인 무수석고를 약 시간만에 경화가 시작되도록 활성화하는 2

즉 정해진 특성들을 가진 건축자재를 생산하는 두 가지 방식이 있다 그중 한 방법

은 미세하게 분쇄한 후 풀어짐을 촉진하는 소량의 자극제 즉 분산제의 첨가이며

다른 한 방법은 몰탈 준비 때보다 강력한 혼합을 요구하는 무수석고의 생산이REA

절실히 필요하다

- 19 -

제 장 실 험2

제 절 배연탈황1

화력 발전소에서 부산물로 생성되는 이수석고의 주요 반응은 의 현탁액과limestone

연소가스를 역류 세정시키면서 일어난다 이것은 아래에 열거한 것과 같은 확산과

화학반응으로 구분되어 진행된다

기 액 경계면에 이르기까지의 을 통한- gas film SO① 2의 확산

SO② 2가 상태가 되는aqueous dissolution

상태의Aqueous SO③ 2가 되어hydration H2SO3로 되고 이것이 H+ 와 HSO3-로 존

재하게 됨

HSO④ 3-가 분리되어 SO3

-를 형성함

용역내의 CaCO⑤ 3는 상태로 되고 이것은 다시aqueous dissolution H+이온과 반응

하여 Ca2+ 와 HSO3-를 형성함

및 과정에서 생성된 Ca⑥ ④ ⑤ 2+와 SO32-그리고 물이 반응하여 CaSO3ㆍ12H2 가O

형성됨

CaSO⑦ 3ㆍ12H2 는 물과 물속에 녹아있는 산소와 결합하여O CaSO4 2Hㆍ 2 를 형O

성함

- 20 -

반응식Total

이와 같은 반응들의 반응속도를 비교하여 볼 때 의 단계는 비교적 빠 ③ ④ ⑥ ⑦

른 반응이 되고 제어단계는 크게 가스확산 액체 내에서의 SO2 확산 석회석의

등 단계로 압축시킬 수 있다 위의 메카니즘 가운데 이온들의 화학반응dissolution 3

을 로 규명하기도 한다 이것은 기 액 경계면을 중심으two-reaction-planes model -

로 액체쪽으로 개의 을 설정하고 각각의 다른 반응이 일어난다는 것2 reaction plan

이다

제 절 석고 소성2

전항에서 만들어진 이수석고에 함유된 부착수분과 결정수분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

기로와 열질량분석기 를(thermogravimetric analyzer TGA Perkin-Elmer TGS-2)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에서 보면 공기 중에서 일 방치한 이수석고 중 Fig 1 2 18

정도가 되면 대부분 휘발성 물질들이 날아가서 무게가 정도 감소되었60 5 wt

다 다시 정도가 될 때까지 결정 수분이 정도 감소되었고 190 18 wt 700

가 될 때까지 정도가 휘발되어 날아가 전체 무게 감소는 되고2 wt 25 wt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휘발되는 것이 없이 일정한 무게를 유지하였다 전기로에서

실험한 결과도 부착수분이 건조감량이 로 전체 무게 감소율121 wt 109 wt

은 이였다 이수석고를 세라믹용기 및 용기에 각각230 wt stainless steel 500

씩 분취하여g 150 (2 hrs) 200 (1~2 hrs) 350 (1 hr) 420 (1 hr)

로 유지한 전기로에서 각각 소성하였500 (1 hr) 650 (15 hr) 750 (1 hr)

다 소성 후 를 사용하여 소성 X-Ray Diffractometer (XRD Rigaku DMAX-2500)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CaSO4 2Hㆍ 2 를 대량 소성하기 위하여O

에stainless steel port CaSO4 2H2 씩을 넣고 를 아래와 같O 2 conveyor furnace

은 조건 을 유지하면서 대전 소재 쌍용중앙연구소에서 시간 연속 실험하(Fig 2) 24

였다

- 21 -

Fig 1 TGA thermal curve of gypsum

- 22 -

Fig 2 Flow diagram of gypsum sintering system

- 23 -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3

에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석고에 대하여 표면형상을 관찰하였다Self-leveling

조건으로 국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Hitachi S-4200) 150

산 석고등의 입자를 조사한 결과는 과 에서 보는 바와 같다 과Fig 3 Fig 4 Fig 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국산석고의 크기가 독일산 석고보다 크나 분쇄를 잘하Fig 4

면 공정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추정된다self-leveling

의 입자가 큰 국산석고를 에서 분 분쇄 후 사진 의 결Fig 3 mortar 20 SEM (Fig5)

과를 보면 독일산 석고와 아주 유사한 형태와 로 변하였다 그러므로 분쇄 공정size

만 잘 진행하면 국산 석고도 외국산 석고에 비해 제조에 손색없음을self-leveling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 무수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를 위하여 쌍용연구소의 연속분쇄기

를 사용하여 분쇄하였다 분쇄 조건은 압력(roller mill) roller 6 feeding RPM

시료 투입량 등으로 무수석고를 연속 분쇄하였40 separator RPM 880 6 hr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4

국내산 석고와 외국산 석고들에 대한 화학성분 분석을 위하여 Optical Emission

로 정성분석한 후Spectrometer(OES TJA Atomcomp 81) Atomic Absorption

Sepctrophotometer(AAS Perkin Elmer 5000) 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meter(ICPAES Perkin Elmer Elan 5000) Wet

분석방법 등으로 국산 석고와 외국산 석고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Analysis(WET)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 석고에 대하여도 위에서 분석한 CAS( )

것과 같이 등의 방법으로 성분분석을 하여 석고의 품질OES AAS ICPAES WET

및 특성등을 파악하였다

- 24 -

Fig3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 25 -

Fig4 SEM photograph of germany gypsum

- 26 -

Fig5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after grinding

- 27 -

제 절 특수 첨가재5

기존의 재 에self- leveling 300 g H2 을 혼합한 후 아래와 같은 여러 종류의O 89 g

첨가재를 첨가하면서 초결 종결 등의 경화 응결 및 플로값 등의 물리적인 성질을

측정하였다

또한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

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기존의 재 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O 89g CAS ( )

때의 물리적인 특성뿐 아니라 알미나 포틀랜드 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AI-PC)

때의 물리적인 특성도 비교하였다

가존의 재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 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위에서 측정한 경우와 서로 비교하AI-PC

여 보았다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6

재 제조시 적절한 응결을 위하여 급결제을 사용하는데 통상 물유리를Self -leveling

많이 사용함을 본 연구에서 알았다 급결제의 성분 분석을 위하여 wet analysis

등을 사용하였으며 구조분석을 위하여는 와 을 사용하였OES AAS ICPAES XRD IR

다 법으로는 석고중에 함유되어 있는 물의 함량을 분석하는데 사용하 Karl fischer

였다

- 28 -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7

바닥 충격음 및 소음에 대한 시험은 여주군에 위치한 방재시험연구소에 의뢰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편을 제작하여 측정하였다 바닥 충격음 방지재 (save gum pad

를 사용한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 에 시험재료로 한양 시멘트 제품인6 t) (246 )

레미탈 을 사용하여 몰탈 바닥 넓이 로 작업한 후900 28 m times 42 m times 30

일 간 야외에서 양생하여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참조30 (Fig 6 )

바닥충격음시험은 건축물현장에 있어서의 바닥충격음측정방법 을KSF 2810 ( 1981)

적용하여 음원실 충격음발생실 과 수음실 충격음측정실 로 구성된 잔향실 사이 바( ) ( )

닥개구부에 시험체를 설치한 후 시험체위에서 충격음 경량 태핑 머신 및 중량충 (

격음 타이어 을 발생시켜 주파수범위의 대역별 바닥충격음 ) 63-4000 13 Octave

레벨 회를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하였다25

제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최근 건설 현장에 불기 시작한 주거환경의 쾌적화와 원적외선 방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도 원적외선 방사에 대한 시험을 시행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과 한국원적외선협회에 세라믹몰탈 옥석 맥반석

게르마늄석을 의뢰하여 방사율을 단파장인 영역인 에서 까지 측정하였다3 20

- 29 -

Fig 6 Present floor of impact sound insulation

- 3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1

화력발전소에서 부산물로 생성된 이수석고를 대전소재 쌍용 중앙연구소에서 rotary

을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소성된 석고를kiln X - Ray Diffractometer (XRD Rigaku

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수석고는DMAX-2500) Fig 7

에서는150~200 CaSO 4 2Hㆍ 2 가O CaSO4 12Hㆍ 2 로 변하고 에서O 350 CaSO 4

의 피크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그후 온도를 올림에 따라 무수석고의 결정성이 좋

아짐을 알 수 있었다 참조(Fig 7 )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2

으로 확인한 결과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국산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ig 3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로 단단한 모양으로 균일하게70

구성되어 있는 반면 의 독일산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 Fig 4 70

의 크기가 소수 분포와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분포175

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체로 한 결 -200 mesh sieving

과를 보면 정도의 가 큰 덩어리가 남아 있었다10 size

가 큰 덩어리를 로 확인한 결과 석고로 판명되었다 에서 보면 독일Size XRD Fig 8

산 최초 석고인 BW CaSO4 과 후의 의(GER)-3 sieving XRD pattern BW

CaSO4 와 동일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들은 결과와 결과로(G+200M)-4 XRD TGA

보면 모두 CaSO4로 판명되었다

에서 분쇄된 무수석고의 입자분포도를 보기 위하여Roller mill particle size

로 측정범위 측정 분산매analyzer 01-180 lens focal depth 100 methyl

를 사용하여 초음파 분산 방법으로 입도 분포도를 얻어 에 실었다alcohol Fig 9

- 31 -

Fig7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each gypsum in sintering condition

- 32 -

Fig8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gypsum after sieving

- 33 -

Fig 9 Particle distribution chart of gypsum

- 34 -

에서의 입자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이하의 분포도가 전체의 를Fig 9 5 87

차지하고 있는 반면 마이크론미터 이상이 전체의 밖에 차지하고 있음을 알10 3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보면 외국산 석고에 비해 공정에서는 보다 나 self - leveling

은 작업성과 물성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3

분석방법 등으로 분석한 결과 에서 보OES AAS ICPAES Wet Analysis Table 2

는 바와 같이 독일산석고와 국산석고의 분석결과가 화학성분에서는 아주 유사하다

그러나 독일산 석고에 규사만이 함유되어 있는 것에 비해 국산 석고에는16 wt

규사가 로 작게 함유되어 있었다 이는 원재료의 광산에 함유된 규사에096 wt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석고에 대한 분석 결과를 CAS( ) Table 3

에 실었다 에서 보면 라파석고에 인이 포함되어 있는 반면 인 Table 3 00072 wt

산무수 석고에는 로 많이 포함되어 있어 제조시 인산무0024 wt self- leveling

수 석고를 사용한 결과가 나쁘게 나타났다고 추정되며 지지용 철근의self-leveling

부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이므로 인산석고의 사용을 피함이 좋을 것이다

인산무수 석고는 자체에서 산성 성분을 용출함으로서 콘크리트 중에 함유된 알칼리

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을 혼입시키어 철근을 활성화

상태로 만들고 이로 인해 부식하기 쉽게 된다

- 35 -

Table 2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 36 -

Table 3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and Binder

- 37 -

제 절 특수 첨가재4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의 양을 변화시O 89 g -α

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4

Table 4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a -gypsum

에서 보면 석고의 함량을 증가할수록 초결시간은 빨라지지만 수분증발시Table 4 -α

간이 느리고 기존레벨라보다 종결시간이 느린 것을 보아 석고만을 첨가한다는-α

것은 의미가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화시키

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5

Table 5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LiCO3

- 38 -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기존레벨라에는 이미Table 5 LiCO3이 인 이 포014 042g

함되어 있어 순으로 첨가하였으나 첨가 양에 따른 초결상태의 변화0 15 30 g

는 없었으나 종결상태는 조금씩 첨가 양이 많아지면서 조금씩 지연되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O 89 g CAS ( )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과 같다Table 6

Table 6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CAS

에서 보면 를 씩 증가하면서 첨가함에 따라 초결상태와Table 6 CAS 0 10 20 g

종결상태가 보다 급격히 빨라짐을 알 수 있었다 즉 경화 속도에 의Table 4 5 CAS

함유량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에서 사용한 첨가제를 모두 혼합하여 기존의 재Table 4 5 6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비교해보면O 89 g Table

과 같다7

- 39 -

Table 7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and CAS

에서 보는 것처럼 기존의 재Table 7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O 89 g

라에 석고와- LiCOα 3 만을 혼합하였을 때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의 양을 CAS

증가시키면서 함께 첨가할 수록 경화시간은 단축되었다

에 알미나 포틀랜드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Table 7 (AI-PC)

비교해보면 과 같다Table 8

기존의 재self-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보면 에서 보는 것처럼AI-PC Table 8

함량이 높을수록 경화시간은 너무 단축되어 그만큼 작업하는 시간이 촉박하AI-PC

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모든 결과를 종합해보면 응결시간은 온도와 습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실험할 때마다

기존레벨라를 비교하여 시험했다 가 가장 경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만 입자 CAS

가 뭉쳐 있어 혼합이 잘되지 않았다 그 결과 건조시 표면이 분화구처럼 돌출된 부

분이 많이 생겨났다

- 40 -

Table 8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CAS and Al-PC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5

급결제에 대한 성분 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는 와 같다 중탕Table 9

에서 증발시킨 후 의 잔유물에 대한 분석 결과(100 ) 50 wt Si 438 wt Na

로 나타났다 결정성과 구조분석을 위하여 로 확인한102 wt K 177 wt XRD

결과는 무결정 으로 피크가 나타나지 안했다 법으로 물을(amorphous) Karl fischer

분석시에도 가 잘 나타나지 안해 분석을 할 수 없었다 화학적 결합상태end-point

를 알아보기위해 을 이용하여 해석해본 결과IR Na2SiO3 H2 와O 50 wt 50 wt

의 H2 가 공존함을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O Na2SiO3 H2 와 의O 50 wt 50 wt

H2 를 함께 사용하기로 결정하였고 건설 현장에 시공 또는 제품 생산에 위와 같O

은 혼합비율을 적용하였다

- 41 -

Table 9 Chemical Composition of RCM300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6

측정된 충격음레벨은 ISO 140 Part 6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을 준용하여 수음실 기준 흡음력 에 대한sound insulation of Floors 1978) (10 )

보정 값으로 환산하였다(Table 10)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나타내는 수음실의 바닥충격음레벨 (Ln 은 다음 식 으로) (1)

구하였다

여기서

Ln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흡음력보정 바닥충격음레벨 j ( )

충격음위치 지점수m

상기 식 의 각 충격음 위치마다의 바닥충격음레벨의 평균값(1) (Lj 은 다음식 에) (2)

따라 산출하였다

- 42 -

Table 10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sound insulation of floor

- 43 -

여기서

Lj 수음실내 측정점 에서의 바닥충격음레벨 i ( )

측정점의 수n

또한 상기 바닥충격음레벨 평균값 (Lj 은 수음실의 흡음력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

므로 를 준용 이를 기준흡음력 에 대한 값ISO 140 Part6 (978) (10 ) (L nj 으로)

환산하였으며 그 산출식은 식 과 같다 (3)

여기서

L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평균 바닥충격음레벨 j ( )

AO 기준흡음력 (10 )

수음실 측정실 용적V ( ) ( )

수음실 측정실 잔향시간 초T ( ) ( )

에서 보면 기준판과 시험체의 경량충격음은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Table 10

충격음이 증가하다가 완만한 곡선을 나타내는 반면 중량충격음의 결과를 보면 주파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충격음이 계속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경량 충격음은 음원이 태핑머신인 관계로 주파수 변화에 따른

파장의 작고 큼에 별 영향을 주지 않지만 중량 충격음은 음원이 타이어임으로 고주

파대로 갈수록 파장이 작아서 투과 여건이 적은 관계에 기인함을 알 수 있다 본

바닥충격음과 소음에 대한 실험 결과 기존 시멘트몰탈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

믹몰탈간에 바닥충격음과 소음의 차이는 크게 나지 않음으로 무시할 정도임을 알았

- 44 -

제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7

아래 은 바닥재 시공에 대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과 재래식 시Table 11

멘트몰탈과의 특징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연구연에서 분석한 세라믹구들의 분석 결과를 에Table 12

실었다 현 시험법에 따라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 등의 물성을 공인된 한국건자 KS

재연구원에 의뢰한 결과 압축강도면에서 이 넘는 결과가 나왔으며 다른400 f

물성 또한 기준 물성값을 초과하는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에서 보는 것과 Table 12

같이 길이변화율은 일 경과 후 로서 거의 변화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28 -0046

며 이를 미루어 보아 시멘트몰탈의 수축 팽창에 기인되는 균열 원인을 해결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45 -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 구들의 비교Table 11

구분 단위 재래식 시멘트몰탈 본 제품 세라믹구들( )

시공후상태

몰탈층

바탕면의 균열 발생-바탕면의 평활 수평 이 없다- (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없다-공정 회 이 복잡하다- (3-4 )많은면적을 시공할 수 없다-양생시간이 길다 일- (3-7 )하자 보수비가 필요하다-시멘트 독성에 따른 인체에-해로움

바탕면의 균열이 없다- 바탕면의 평활 수평 성이 양호- ( )일정한 두께유지-공정이 단순 회공정 하다- (1 )많은 면적을 시공할 수 있다-양생시간이 짧다 일- (1 )하자보수비가 필요없다-건강보조기능-항균성 무독성 원적외선( )마감재 시공이 용이하다-에너지절감 효과가 크다-열전도율 및 축열기능이 좋다-차음 방음 효과가 우수하다- ( )건축물의 경량화-

세라믹 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시험 검사 방법 ( ) KS L 5105-97 KS L 5104-96 KS L 5207-rsquo99 KS F2424-rsquo95 KS L 1592 rsquo95시험원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시험일자 2000 OS 09 ~ 09 15

- 46 -

제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석회 광물은 마그네시아 광물과 함께 중요한 조암광물로서 천연에서는 산화물(CaO)

로는 존재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탄산염 황산염 또는 규산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석회질 원료로는 석회석 돌로마이트 형석 석고 규회석 등이었으며 이중 석회석

(CaCO3 과 석고)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만을 에 나타내었다 원적) Fig 10 11

외선 발열체와 세라믹 발열체가 있다 원석 발열체로는 맥반석 게르마늄석 옥석

황토 등이 있다 원적외선의 온열효과는 피부표면에 복사된 원적외선은 인체 중 물

의 진동 파장과 거의 비슷하며 공진 작용으로 일반열이 도달할 수 없는 부위( )共振

까지 도달하게 한다 이러한 심달력은 피하층의 온도상승 미세혈관의 확장 혈액순

환 촉진 선진대사강화 혈류 장해 해소 조직의 재생능력 증가 결련예방 및 암치

료 효과 등의 의학적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혈행이 좋아짐으로서

정상체온 유지 스트레스 해소 소화촉진 근육통 해소 피부 색깔 정상화 꺼칠한

눈이 부드러워지고 감기 예방효과 조직 내에 쌓여 있던 노폐물의 분비도 촉진된

다 또한 세포에 필요로 하는 영양소와 산소를 정상적으로 공급받게 되어 세포와

조직이 활력을 되찾게 되고 적당한 원적외선 활용은 세포의 노화를 막아주는 효과

를 볼 수 있다 원적외선 부작용 없는 건강유지와 질병의 예방치료적 기 (氣

라고 할 수 있다energy)

석회석은 시멘트의 주원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전방사율은 약 정도를085

보이고 있으나 이후와 단파장 영역쪽에 불안정한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보이20

고 있다 이는 공기 중의 습기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그 조성이 일부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시멘트를 측정하여 비교Fig 10 11

한 결과에서는 다소 석회석 자체원료를 측정한 것이 방사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CaSO4 는 외국에서 천연으로 산출된 것과 본 연구에서 제조한 배연 탈황석고)

모두 원적외선 방사특성에 있어서는 석회석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특히

부근에서의 약간의 골이 생겨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87

- 47 -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48 -

석고Fig 11 (CaSO4 의 원작외선 방사특성)

- 49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의 방사율은 에 실었다 현재 원적외선이 다Fig 12

량 방사되는 게르바늄석 참조 옥석 참조 맥반석 참조(Fig 13 ) (Fig 14 ) (Fig 15 )

등에 비해서 같은 수준의 방사에너지 및 방사율이 발현됨을 공인된 시험기간에 의

해서 입증되었다 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를 Fig16 3~20

파장 영역에서 방사특성을 나타내었다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는 이상흑체에

서 방사되는 특성과 같은 모양을 방출하고 있습을 알았다 따라서 세라믹구들은 건

강친화적인 면만 아니라 여러 가지 가능을 가진 차세대 온돌용 세라믹구들이라고

할 수 있다

제 절 현장 시공9

본 세라믹구들의 최적화 조건 조성 및 현장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차로 경기도 광1

주 소재 동심주택 제 차 그린타운 세대를 시험 시공한 바 있으며 위 결과를 토9 19

대로 최적화된 조건에 따라 안양 재건축현장 및 기홍 목조주택 등에 실용화 시공하

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Fig 17

필름 한 장을 깔고 그 위에 외경의 폴리에틸렌 엑셀파이프를 배관한 후 세라15

믹 구들로 타설한 후 수평을 잡으면서 두께를 로 일정하게 하였다40

시멘트 제품은 응결 경화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균열이 발생되

면 더 커지면서 계속 퍼져나가는 경향을 나타낸다 여러 종류의 균열 보수기법이

현재 마련되어 있으나 완벽한 균열 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 보수 후에도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 보수로 인해 외관의 불량 균열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로 시공한 결과는 상기와 같

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할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연구에 의해 일반 콘크리트에도 적

용할 경우 그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균열을 방지함으로서 방

수 강도저하 철근부식 등 내구성저하를 막으므로 고품질의 구조물 공사가 될 것으

로 예상된다

- 50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 51 -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 52 -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 53 -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13 -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Ⅰ

제 장 서 론1

국내에서는 성 세라믹몰탈재를 고급타일 마감재의 수평조정용으로 사self-leveling

용함에 따라 실제적인 의 의미보다는 에 가깝게 적용하여 self-leveling smoothing

대개 시공두께 의 박막으로 시공하기 때문에 일본의 경우 대부분 이3~5 10

상의 후막형 제품들로는 적용이 불가능한 점을 들 수 있다 년 중반에서 수입사 lsquo80

를 통해서 수입하여 건축물에 적용해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년 초까지는 고가 lsquo90

의 재료비로 널리 사용되지는 못하고 대형백화점을 중심으로 시장 확대가 시도되었

으나 국내에서도 시멘트 업계나 건재 생산업체를 중심으로 시멘트계 self-leveling

재의 개발에 착수하기 시작하여 년부터 개 업체에서 판매를 개시함mortar lsquo93 2~3

으로써 시장이 활성화되기 시작하였다

최근에는 대형공장 주차장바닥에 적용할 수 있는 재를 실용화 self-leveling mortar

하여 현재 보급 중에 있으며 석고계 재는 대리점을 통해 수입 self-leveling mortar

품이 고급빌라의 방통 몰탈 대체용으로 각광받고 있어 국내도 다양한 self-leveling

재 제품이 소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및mortar

대형건물 주차장 바닥 몰탈로 성 세라믹몰탈을 사용한 실적은 없다 self-leveling

국외의 경우를 보면 일본에서의 재의 연구는 년에 일본주택self-leveling mortar lsquo73

공단에서 건축물의 요철면을 화하기 위한 바닥공법의 합리화라는 목적으로高精度

석고계 시멘트계 재의 기초연구가 시작되었으나 당시에는 경 self-leveling mortar

제성 때문에 실용화되지는 못하였다 이후 년대 초에서 중반까지는 lsquo70 SO3의 공해

규제에 의한 탈황석고의 효율적인 이용의 관점에서 석고계 self-leveling排煙

재의 실용화 연구에 박차를 가하게 되어 년 시험 시공에 성공하여 년mortar lsquo76 lsquo77

도부터 전국적으로 시판을 개시하기에 이르렀다

- 14 -

년에 최초로 시멘트계 재를 개발 시판하면서 일본내에서 석lsquo82 self-leveling mortar

고계와 시멘트계 재가 함께 사용되기 시작하였다self-leveling mortar

석고계 및 시멘트계 재에는 서로의 장 단점이 있기 때문에 나self-leveling mortar ㆍ

름대로의 판매영역을 구축해 나갔지만 년에 스웨덴의 사로부터 석고계 및 lsquo85 BEPA

시 멘트계의 장 단점을 보완한 무기질계 재 세라믹계 또는 혼self-leveling mortar (ㆍ

합형 재로도 칭함 를 기술도입 함으로써 이후에 일본에서는self-leveling mortar ) 3

종의 재가 시판되기 시작하여 오늘에 이르렀다self-leveling mortar

유럽에서는 오래 전부터 재를 바닥에 사용해 온 것으로 알려져self-leveling mortar

있으며 실제로 다양한 형태의 재가 시판되고 있다 참 self-leveling mortar (Table 1

조 재의 결합재별로 전술한 석고계 시멘트계 혼합계 외에도) Self-leveling mortar

폴리머를 이용한 폴리머시멘트계 또한 시공 두께별로 후막형 및 박막형 등 시공

조건이나 환경에 따라 적용 가능한 여러 제품들이 시판 되고 있다

성 세라믹 구들재에 요구되는 성능은 작업 종료시까지 유동성 확보문Self-leveling

제 응결 경화과정의 요구성능 내구성 측면 등에 좌우된다 유동성과의 균형을 확

보하지 않으면 골재 침강으로 인한 표면 이 심하게 발생되어 표면정도나bleeding

최종 마감재와의 부착 성능을 급격하게 저하시키거나 유동성이 저하되어 세라믹몰

탈재 마감공사가 용이하지 못하기 때문에 세라믹몰탈재 슬러지의 성상과 사용장비

와의 적합성은 공사의 승패를 좌우하는 주요 요인이 된다

- 15 -

구미 유럽지역의 재 개발 현황Table 1 Self -leveling

재 품종Self-leveling 개 발 국 가 참 여 업 체 명( )

석고계미국 등(GYP-CRETE HACKER )독일 등(BAYER KNAUF GUILINY HENCKEL )

시멘트계 스웨덴 등 핀랜드(ABS ZEMENTA ) (PARTEK)

혼합계 독일 등 스웨덴 등(PCI HENCKEL ) (BEPA )

폴리머시멘트계 영국 등 독일 등 웨덴 등(ICI ) (PCI HENCKEL ) (ABS )

무수석고에 첨가되는 시멘트에 대한 수많은 연구 결과가 소개되고 있으나 두 물질

간의 물리화학적인 양론적 문제와 시멘트 화학조성 분말도 발연곡선 응결 수화

열 강도 팽창 수축 화학적저항성 등에 따라 상이하다

신기술 시공의 정밀성 신속성 간편성이 특징인 성 세라믹몰탈의 시공 self-leveling

방법은 현장에서 제품에 물만 부어 바닥에 뿌리면 자동적으로 수평 한 면이 형성되

므로 기존의 시멘트 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

성 내구성 경량성과 자동 수평이 되는 평활성 때문에 별도의 쇠흙손으로 마감이

필요 없다 또한 시멘트 몰탈에 비하여 들뜸 현상 및 갈라짐이 없고 가벼운 재질로

되어 있어 건축 구조물의 경량화가 기대된다

특히 기계화 시공으로 인건비 절감 및 작업장 환경 개선 공기 단축 등으로 경제적

이고 정밀한 시공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기존 방식보다 방열성이 높다는 것

은 열효율 면에서 매우 유리한 난방 방식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성 세라믹몰탈은 최근 건축물의 화를 위한 건축 재료로 많이Self-leveling intelligent

사용되고 있다 세라믹몰탈은 유동성이 우수하며 신속한 응결 경화과정으로 일 1

안에 보행이 가능함은 물론 표면에 기포 자국이나 수축 균열이 없어 백화점 오피스

텔 대규모 건축물의 바닥 미장은 물론 목재 위에 박막이나 후막으로 많이 사용됨

으로서 건설 인력 부족을 대체할 수 있는 신기능성 제품이다

- 16 -

성 세라믹몰탈재는 사용되는 특수 첨가제에 따라 시멘트계 석고계 혼Self-leveling

합계 특수시멘트 팽창억지제 석고보드 등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각기 특성에 따라

적용되는 분야가 상이함으로 첨가제 혼화제 가 개선되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고부( )

가가치 산업을 창출할 수 있다

개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 물질인10 SO2를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하여 아황산석고로 생산되면서 SO2는 제거된다

아황산석고를 반응기에서 반응시켜 부산석고를 얻는다 화력발전소의 부산물인 석

고와 시멘트 결합제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성 세라믹몰탈은 국내의 부 self-leveling

존자원이나 산업폐기물의 유효 이용 차원에서 건축재료로의 활용은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최근 큰 문제로 대두된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일석

이조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됨으로서 국가 경제 발전에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기술적 측면에서 보면 시멘트제품은 응결 경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

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

그러나 과학 및 산업기술들이 고도로 발전되어 감에 따라 건축물 마감공사도 미려

함을 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성 세라믹몰탈재가 건축물 마감공사의self-leveling

성력화를 가능케 한 신 기능성 건축재료의 총아라 할 수 있다

이수석고는 국내 화력발전소에서 배출되는 가장 심각한 공해물질인 SO2 가스를 흡

수액 중 CaCO3과 반응시켜 년간 만톤씩 부산되고 있는 무용한 물질이다 산업폐33

기물의 일종인 이수석고를 소성과정을 거쳐 소석고 로 만든다(calcined gypsum)

소석고에 신 기능성 특수 를 첨가하여 바닥 마감용 성 세라믹몰binder self-leveling

탈재를 생산함으로써

열효율 면에서는 시멘트 제품보다 축열성이 높으며-

미장면이 평활하므로 추가로 보수가 필요 없고-

시멘트보다 압축 및 인장강도 면에서 우수하다-

시중 시멘트제품은 균열에 있어서 완벽한 균열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보

수 후에는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보수 및 면 평활도가 외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 17 -

그러나 본 제품을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하므로 그 파

급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된다

경제적 측면에서 보면 국내 석고 소비량은 연간 만톤으로 선진국의 연간 소비600

율 에도 못 미치는 실정이다 또한 국내에는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10

실정으로 해외에서 톤당 만원 정도의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볼16

때 품질이 좋고 가격이 싼 발전용 배연 탈황 석고의 공급은 국내 관련 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국내 발전용 배연 탈황 석고의 공급이

서기 년도에 이르면 약 만톤으로 국내 석고 수요량 만톤의 약 정2000 110 600 18

도는 충당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진다

현재 아파트 및 오피스텔 공사 등이 전국적으로 그 물량이 대단히 많으나 모든 미

장 마감층에 균열이 생기고 평활도의 문제가 발생되고 있어 입주 전에 균열 보수

재료에 의해 보수를 실시하고 있으나 완전 보수가 불가능하여 입주 후 많은 세대수

에서 하자보수로 인한 손실이 매우 큰 실정이다 또한 바닥면이 수평을 이루지 못

하여 가구 등의 제품에 뒤틀림 등으로 생활에 불편함을 제공하고 있다

본 제품은 상기와 같은 모든 문제점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훨씬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건비 절감 공기 단축 국내의 산업폐기물의 유효이용 차원에서

건축재료로의 활용은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시멘트 건축재 생산업체들을 중심으로 아파트 온돌 부위와 목재 위에 박막

또는 후막으로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용도의 세라믹몰탈 등의 상품화는 년간 500

억원 규모의 사업화가 가능할 것이며 또한 특수 의 개발은 연간 약 억 binder 150

원의 시장 창출이 예측된다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 보면 현대 산업의 고도화 및 복잡화로 환경 오염을 초래하

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각종 환경매체에 대한 환경 오염이 극심해지

고 있는 실정이어서 환경 오염 방지 및 환경보존 개선을 위한 규제가 점점 강화되

고 있다 특히 대기오염 생태계 파괴 등 환경과 보건에 심각한 위해가 초래됨으로

써 규제도 본격화하게 되었다

- 18 -

이산화유황으로 오염된 화력발전소의 배기가스는 석회함수물 또는 석회액과의 화학

적 반응을 통해 탈황된다 이로 인해 산성비 에 대한 원인은 제거된다 이런 중요 ldquo rdquo

한 환경기술적 조치의 반응생산물인 부산석고를 건축 자재로 사용함으로서 대기 환

경보존을 할 수 있다는 차원에서 금액으로 환산할 수 없는 중대한 기여를 할 것이

다 또한 내장 박막 이하 후막 등을 미려하게 함은 mortar(50 ) (5 ) (1O-15 )

물론 수축 팽창 균열 등을 방지함으로 풍요로운 생활공간을 제공할 것이다

위와 같은 평가 기술은 국내 최고의 분석 평가 기관인 특성분석센터와 세라믹KIST

스 연구부 및 주 범우에서 이미 확보되어 있고 국제적으로도 상당한 경쟁력을 갖( )

추고 있다 매우 불활성인 무수석고를 약 시간만에 경화가 시작되도록 활성화하는 2

즉 정해진 특성들을 가진 건축자재를 생산하는 두 가지 방식이 있다 그중 한 방법

은 미세하게 분쇄한 후 풀어짐을 촉진하는 소량의 자극제 즉 분산제의 첨가이며

다른 한 방법은 몰탈 준비 때보다 강력한 혼합을 요구하는 무수석고의 생산이REA

절실히 필요하다

- 19 -

제 장 실 험2

제 절 배연탈황1

화력 발전소에서 부산물로 생성되는 이수석고의 주요 반응은 의 현탁액과limestone

연소가스를 역류 세정시키면서 일어난다 이것은 아래에 열거한 것과 같은 확산과

화학반응으로 구분되어 진행된다

기 액 경계면에 이르기까지의 을 통한- gas film SO① 2의 확산

SO② 2가 상태가 되는aqueous dissolution

상태의Aqueous SO③ 2가 되어hydration H2SO3로 되고 이것이 H+ 와 HSO3-로 존

재하게 됨

HSO④ 3-가 분리되어 SO3

-를 형성함

용역내의 CaCO⑤ 3는 상태로 되고 이것은 다시aqueous dissolution H+이온과 반응

하여 Ca2+ 와 HSO3-를 형성함

및 과정에서 생성된 Ca⑥ ④ ⑤ 2+와 SO32-그리고 물이 반응하여 CaSO3ㆍ12H2 가O

형성됨

CaSO⑦ 3ㆍ12H2 는 물과 물속에 녹아있는 산소와 결합하여O CaSO4 2Hㆍ 2 를 형O

성함

- 20 -

반응식Total

이와 같은 반응들의 반응속도를 비교하여 볼 때 의 단계는 비교적 빠 ③ ④ ⑥ ⑦

른 반응이 되고 제어단계는 크게 가스확산 액체 내에서의 SO2 확산 석회석의

등 단계로 압축시킬 수 있다 위의 메카니즘 가운데 이온들의 화학반응dissolution 3

을 로 규명하기도 한다 이것은 기 액 경계면을 중심으two-reaction-planes model -

로 액체쪽으로 개의 을 설정하고 각각의 다른 반응이 일어난다는 것2 reaction plan

이다

제 절 석고 소성2

전항에서 만들어진 이수석고에 함유된 부착수분과 결정수분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

기로와 열질량분석기 를(thermogravimetric analyzer TGA Perkin-Elmer TGS-2)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에서 보면 공기 중에서 일 방치한 이수석고 중 Fig 1 2 18

정도가 되면 대부분 휘발성 물질들이 날아가서 무게가 정도 감소되었60 5 wt

다 다시 정도가 될 때까지 결정 수분이 정도 감소되었고 190 18 wt 700

가 될 때까지 정도가 휘발되어 날아가 전체 무게 감소는 되고2 wt 25 wt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휘발되는 것이 없이 일정한 무게를 유지하였다 전기로에서

실험한 결과도 부착수분이 건조감량이 로 전체 무게 감소율121 wt 109 wt

은 이였다 이수석고를 세라믹용기 및 용기에 각각230 wt stainless steel 500

씩 분취하여g 150 (2 hrs) 200 (1~2 hrs) 350 (1 hr) 420 (1 hr)

로 유지한 전기로에서 각각 소성하였500 (1 hr) 650 (15 hr) 750 (1 hr)

다 소성 후 를 사용하여 소성 X-Ray Diffractometer (XRD Rigaku DMAX-2500)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CaSO4 2Hㆍ 2 를 대량 소성하기 위하여O

에stainless steel port CaSO4 2H2 씩을 넣고 를 아래와 같O 2 conveyor furnace

은 조건 을 유지하면서 대전 소재 쌍용중앙연구소에서 시간 연속 실험하(Fig 2) 24

였다

- 21 -

Fig 1 TGA thermal curve of gypsum

- 22 -

Fig 2 Flow diagram of gypsum sintering system

- 23 -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3

에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석고에 대하여 표면형상을 관찰하였다Self-leveling

조건으로 국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Hitachi S-4200) 150

산 석고등의 입자를 조사한 결과는 과 에서 보는 바와 같다 과Fig 3 Fig 4 Fig 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국산석고의 크기가 독일산 석고보다 크나 분쇄를 잘하Fig 4

면 공정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추정된다self-leveling

의 입자가 큰 국산석고를 에서 분 분쇄 후 사진 의 결Fig 3 mortar 20 SEM (Fig5)

과를 보면 독일산 석고와 아주 유사한 형태와 로 변하였다 그러므로 분쇄 공정size

만 잘 진행하면 국산 석고도 외국산 석고에 비해 제조에 손색없음을self-leveling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 무수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를 위하여 쌍용연구소의 연속분쇄기

를 사용하여 분쇄하였다 분쇄 조건은 압력(roller mill) roller 6 feeding RPM

시료 투입량 등으로 무수석고를 연속 분쇄하였40 separator RPM 880 6 hr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4

국내산 석고와 외국산 석고들에 대한 화학성분 분석을 위하여 Optical Emission

로 정성분석한 후Spectrometer(OES TJA Atomcomp 81) Atomic Absorption

Sepctrophotometer(AAS Perkin Elmer 5000) 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meter(ICPAES Perkin Elmer Elan 5000) Wet

분석방법 등으로 국산 석고와 외국산 석고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Analysis(WET)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 석고에 대하여도 위에서 분석한 CAS( )

것과 같이 등의 방법으로 성분분석을 하여 석고의 품질OES AAS ICPAES WET

및 특성등을 파악하였다

- 24 -

Fig3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 25 -

Fig4 SEM photograph of germany gypsum

- 26 -

Fig5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after grinding

- 27 -

제 절 특수 첨가재5

기존의 재 에self- leveling 300 g H2 을 혼합한 후 아래와 같은 여러 종류의O 89 g

첨가재를 첨가하면서 초결 종결 등의 경화 응결 및 플로값 등의 물리적인 성질을

측정하였다

또한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

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기존의 재 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O 89g CAS ( )

때의 물리적인 특성뿐 아니라 알미나 포틀랜드 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AI-PC)

때의 물리적인 특성도 비교하였다

가존의 재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 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위에서 측정한 경우와 서로 비교하AI-PC

여 보았다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6

재 제조시 적절한 응결을 위하여 급결제을 사용하는데 통상 물유리를Self -leveling

많이 사용함을 본 연구에서 알았다 급결제의 성분 분석을 위하여 wet analysis

등을 사용하였으며 구조분석을 위하여는 와 을 사용하였OES AAS ICPAES XRD IR

다 법으로는 석고중에 함유되어 있는 물의 함량을 분석하는데 사용하 Karl fischer

였다

- 28 -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7

바닥 충격음 및 소음에 대한 시험은 여주군에 위치한 방재시험연구소에 의뢰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편을 제작하여 측정하였다 바닥 충격음 방지재 (save gum pad

를 사용한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 에 시험재료로 한양 시멘트 제품인6 t) (246 )

레미탈 을 사용하여 몰탈 바닥 넓이 로 작업한 후900 28 m times 42 m times 30

일 간 야외에서 양생하여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참조30 (Fig 6 )

바닥충격음시험은 건축물현장에 있어서의 바닥충격음측정방법 을KSF 2810 ( 1981)

적용하여 음원실 충격음발생실 과 수음실 충격음측정실 로 구성된 잔향실 사이 바( ) ( )

닥개구부에 시험체를 설치한 후 시험체위에서 충격음 경량 태핑 머신 및 중량충 (

격음 타이어 을 발생시켜 주파수범위의 대역별 바닥충격음 ) 63-4000 13 Octave

레벨 회를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하였다25

제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최근 건설 현장에 불기 시작한 주거환경의 쾌적화와 원적외선 방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도 원적외선 방사에 대한 시험을 시행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과 한국원적외선협회에 세라믹몰탈 옥석 맥반석

게르마늄석을 의뢰하여 방사율을 단파장인 영역인 에서 까지 측정하였다3 20

- 29 -

Fig 6 Present floor of impact sound insulation

- 3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1

화력발전소에서 부산물로 생성된 이수석고를 대전소재 쌍용 중앙연구소에서 rotary

을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소성된 석고를kiln X - Ray Diffractometer (XRD Rigaku

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수석고는DMAX-2500) Fig 7

에서는150~200 CaSO 4 2Hㆍ 2 가O CaSO4 12Hㆍ 2 로 변하고 에서O 350 CaSO 4

의 피크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그후 온도를 올림에 따라 무수석고의 결정성이 좋

아짐을 알 수 있었다 참조(Fig 7 )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2

으로 확인한 결과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국산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ig 3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로 단단한 모양으로 균일하게70

구성되어 있는 반면 의 독일산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 Fig 4 70

의 크기가 소수 분포와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분포175

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체로 한 결 -200 mesh sieving

과를 보면 정도의 가 큰 덩어리가 남아 있었다10 size

가 큰 덩어리를 로 확인한 결과 석고로 판명되었다 에서 보면 독일Size XRD Fig 8

산 최초 석고인 BW CaSO4 과 후의 의(GER)-3 sieving XRD pattern BW

CaSO4 와 동일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들은 결과와 결과로(G+200M)-4 XRD TGA

보면 모두 CaSO4로 판명되었다

에서 분쇄된 무수석고의 입자분포도를 보기 위하여Roller mill particle size

로 측정범위 측정 분산매analyzer 01-180 lens focal depth 100 methyl

를 사용하여 초음파 분산 방법으로 입도 분포도를 얻어 에 실었다alcohol Fig 9

- 31 -

Fig7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each gypsum in sintering condition

- 32 -

Fig8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gypsum after sieving

- 33 -

Fig 9 Particle distribution chart of gypsum

- 34 -

에서의 입자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이하의 분포도가 전체의 를Fig 9 5 87

차지하고 있는 반면 마이크론미터 이상이 전체의 밖에 차지하고 있음을 알10 3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보면 외국산 석고에 비해 공정에서는 보다 나 self - leveling

은 작업성과 물성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3

분석방법 등으로 분석한 결과 에서 보OES AAS ICPAES Wet Analysis Table 2

는 바와 같이 독일산석고와 국산석고의 분석결과가 화학성분에서는 아주 유사하다

그러나 독일산 석고에 규사만이 함유되어 있는 것에 비해 국산 석고에는16 wt

규사가 로 작게 함유되어 있었다 이는 원재료의 광산에 함유된 규사에096 wt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석고에 대한 분석 결과를 CAS( ) Table 3

에 실었다 에서 보면 라파석고에 인이 포함되어 있는 반면 인 Table 3 00072 wt

산무수 석고에는 로 많이 포함되어 있어 제조시 인산무0024 wt self- leveling

수 석고를 사용한 결과가 나쁘게 나타났다고 추정되며 지지용 철근의self-leveling

부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이므로 인산석고의 사용을 피함이 좋을 것이다

인산무수 석고는 자체에서 산성 성분을 용출함으로서 콘크리트 중에 함유된 알칼리

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을 혼입시키어 철근을 활성화

상태로 만들고 이로 인해 부식하기 쉽게 된다

- 35 -

Table 2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 36 -

Table 3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and Binder

- 37 -

제 절 특수 첨가재4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의 양을 변화시O 89 g -α

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4

Table 4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a -gypsum

에서 보면 석고의 함량을 증가할수록 초결시간은 빨라지지만 수분증발시Table 4 -α

간이 느리고 기존레벨라보다 종결시간이 느린 것을 보아 석고만을 첨가한다는-α

것은 의미가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화시키

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5

Table 5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LiCO3

- 38 -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기존레벨라에는 이미Table 5 LiCO3이 인 이 포014 042g

함되어 있어 순으로 첨가하였으나 첨가 양에 따른 초결상태의 변화0 15 30 g

는 없었으나 종결상태는 조금씩 첨가 양이 많아지면서 조금씩 지연되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O 89 g CAS ( )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과 같다Table 6

Table 6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CAS

에서 보면 를 씩 증가하면서 첨가함에 따라 초결상태와Table 6 CAS 0 10 20 g

종결상태가 보다 급격히 빨라짐을 알 수 있었다 즉 경화 속도에 의Table 4 5 CAS

함유량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에서 사용한 첨가제를 모두 혼합하여 기존의 재Table 4 5 6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비교해보면O 89 g Table

과 같다7

- 39 -

Table 7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and CAS

에서 보는 것처럼 기존의 재Table 7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O 89 g

라에 석고와- LiCOα 3 만을 혼합하였을 때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의 양을 CAS

증가시키면서 함께 첨가할 수록 경화시간은 단축되었다

에 알미나 포틀랜드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Table 7 (AI-PC)

비교해보면 과 같다Table 8

기존의 재self-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보면 에서 보는 것처럼AI-PC Table 8

함량이 높을수록 경화시간은 너무 단축되어 그만큼 작업하는 시간이 촉박하AI-PC

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모든 결과를 종합해보면 응결시간은 온도와 습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실험할 때마다

기존레벨라를 비교하여 시험했다 가 가장 경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만 입자 CAS

가 뭉쳐 있어 혼합이 잘되지 않았다 그 결과 건조시 표면이 분화구처럼 돌출된 부

분이 많이 생겨났다

- 40 -

Table 8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CAS and Al-PC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5

급결제에 대한 성분 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는 와 같다 중탕Table 9

에서 증발시킨 후 의 잔유물에 대한 분석 결과(100 ) 50 wt Si 438 wt Na

로 나타났다 결정성과 구조분석을 위하여 로 확인한102 wt K 177 wt XRD

결과는 무결정 으로 피크가 나타나지 안했다 법으로 물을(amorphous) Karl fischer

분석시에도 가 잘 나타나지 안해 분석을 할 수 없었다 화학적 결합상태end-point

를 알아보기위해 을 이용하여 해석해본 결과IR Na2SiO3 H2 와O 50 wt 50 wt

의 H2 가 공존함을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O Na2SiO3 H2 와 의O 50 wt 50 wt

H2 를 함께 사용하기로 결정하였고 건설 현장에 시공 또는 제품 생산에 위와 같O

은 혼합비율을 적용하였다

- 41 -

Table 9 Chemical Composition of RCM300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6

측정된 충격음레벨은 ISO 140 Part 6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을 준용하여 수음실 기준 흡음력 에 대한sound insulation of Floors 1978) (10 )

보정 값으로 환산하였다(Table 10)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나타내는 수음실의 바닥충격음레벨 (Ln 은 다음 식 으로) (1)

구하였다

여기서

Ln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흡음력보정 바닥충격음레벨 j ( )

충격음위치 지점수m

상기 식 의 각 충격음 위치마다의 바닥충격음레벨의 평균값(1) (Lj 은 다음식 에) (2)

따라 산출하였다

- 42 -

Table 10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sound insulation of floor

- 43 -

여기서

Lj 수음실내 측정점 에서의 바닥충격음레벨 i ( )

측정점의 수n

또한 상기 바닥충격음레벨 평균값 (Lj 은 수음실의 흡음력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

므로 를 준용 이를 기준흡음력 에 대한 값ISO 140 Part6 (978) (10 ) (L nj 으로)

환산하였으며 그 산출식은 식 과 같다 (3)

여기서

L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평균 바닥충격음레벨 j ( )

AO 기준흡음력 (10 )

수음실 측정실 용적V ( ) ( )

수음실 측정실 잔향시간 초T ( ) ( )

에서 보면 기준판과 시험체의 경량충격음은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Table 10

충격음이 증가하다가 완만한 곡선을 나타내는 반면 중량충격음의 결과를 보면 주파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충격음이 계속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경량 충격음은 음원이 태핑머신인 관계로 주파수 변화에 따른

파장의 작고 큼에 별 영향을 주지 않지만 중량 충격음은 음원이 타이어임으로 고주

파대로 갈수록 파장이 작아서 투과 여건이 적은 관계에 기인함을 알 수 있다 본

바닥충격음과 소음에 대한 실험 결과 기존 시멘트몰탈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

믹몰탈간에 바닥충격음과 소음의 차이는 크게 나지 않음으로 무시할 정도임을 알았

- 44 -

제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7

아래 은 바닥재 시공에 대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과 재래식 시Table 11

멘트몰탈과의 특징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연구연에서 분석한 세라믹구들의 분석 결과를 에Table 12

실었다 현 시험법에 따라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 등의 물성을 공인된 한국건자 KS

재연구원에 의뢰한 결과 압축강도면에서 이 넘는 결과가 나왔으며 다른400 f

물성 또한 기준 물성값을 초과하는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에서 보는 것과 Table 12

같이 길이변화율은 일 경과 후 로서 거의 변화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28 -0046

며 이를 미루어 보아 시멘트몰탈의 수축 팽창에 기인되는 균열 원인을 해결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45 -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 구들의 비교Table 11

구분 단위 재래식 시멘트몰탈 본 제품 세라믹구들( )

시공후상태

몰탈층

바탕면의 균열 발생-바탕면의 평활 수평 이 없다- (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없다-공정 회 이 복잡하다- (3-4 )많은면적을 시공할 수 없다-양생시간이 길다 일- (3-7 )하자 보수비가 필요하다-시멘트 독성에 따른 인체에-해로움

바탕면의 균열이 없다- 바탕면의 평활 수평 성이 양호- ( )일정한 두께유지-공정이 단순 회공정 하다- (1 )많은 면적을 시공할 수 있다-양생시간이 짧다 일- (1 )하자보수비가 필요없다-건강보조기능-항균성 무독성 원적외선( )마감재 시공이 용이하다-에너지절감 효과가 크다-열전도율 및 축열기능이 좋다-차음 방음 효과가 우수하다- ( )건축물의 경량화-

세라믹 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시험 검사 방법 ( ) KS L 5105-97 KS L 5104-96 KS L 5207-rsquo99 KS F2424-rsquo95 KS L 1592 rsquo95시험원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시험일자 2000 OS 09 ~ 09 15

- 46 -

제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석회 광물은 마그네시아 광물과 함께 중요한 조암광물로서 천연에서는 산화물(CaO)

로는 존재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탄산염 황산염 또는 규산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석회질 원료로는 석회석 돌로마이트 형석 석고 규회석 등이었으며 이중 석회석

(CaCO3 과 석고)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만을 에 나타내었다 원적) Fig 10 11

외선 발열체와 세라믹 발열체가 있다 원석 발열체로는 맥반석 게르마늄석 옥석

황토 등이 있다 원적외선의 온열효과는 피부표면에 복사된 원적외선은 인체 중 물

의 진동 파장과 거의 비슷하며 공진 작용으로 일반열이 도달할 수 없는 부위( )共振

까지 도달하게 한다 이러한 심달력은 피하층의 온도상승 미세혈관의 확장 혈액순

환 촉진 선진대사강화 혈류 장해 해소 조직의 재생능력 증가 결련예방 및 암치

료 효과 등의 의학적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혈행이 좋아짐으로서

정상체온 유지 스트레스 해소 소화촉진 근육통 해소 피부 색깔 정상화 꺼칠한

눈이 부드러워지고 감기 예방효과 조직 내에 쌓여 있던 노폐물의 분비도 촉진된

다 또한 세포에 필요로 하는 영양소와 산소를 정상적으로 공급받게 되어 세포와

조직이 활력을 되찾게 되고 적당한 원적외선 활용은 세포의 노화를 막아주는 효과

를 볼 수 있다 원적외선 부작용 없는 건강유지와 질병의 예방치료적 기 (氣

라고 할 수 있다energy)

석회석은 시멘트의 주원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전방사율은 약 정도를085

보이고 있으나 이후와 단파장 영역쪽에 불안정한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보이20

고 있다 이는 공기 중의 습기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그 조성이 일부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시멘트를 측정하여 비교Fig 10 11

한 결과에서는 다소 석회석 자체원료를 측정한 것이 방사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CaSO4 는 외국에서 천연으로 산출된 것과 본 연구에서 제조한 배연 탈황석고)

모두 원적외선 방사특성에 있어서는 석회석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특히

부근에서의 약간의 골이 생겨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87

- 47 -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48 -

석고Fig 11 (CaSO4 의 원작외선 방사특성)

- 49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의 방사율은 에 실었다 현재 원적외선이 다Fig 12

량 방사되는 게르바늄석 참조 옥석 참조 맥반석 참조(Fig 13 ) (Fig 14 ) (Fig 15 )

등에 비해서 같은 수준의 방사에너지 및 방사율이 발현됨을 공인된 시험기간에 의

해서 입증되었다 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를 Fig16 3~20

파장 영역에서 방사특성을 나타내었다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는 이상흑체에

서 방사되는 특성과 같은 모양을 방출하고 있습을 알았다 따라서 세라믹구들은 건

강친화적인 면만 아니라 여러 가지 가능을 가진 차세대 온돌용 세라믹구들이라고

할 수 있다

제 절 현장 시공9

본 세라믹구들의 최적화 조건 조성 및 현장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차로 경기도 광1

주 소재 동심주택 제 차 그린타운 세대를 시험 시공한 바 있으며 위 결과를 토9 19

대로 최적화된 조건에 따라 안양 재건축현장 및 기홍 목조주택 등에 실용화 시공하

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Fig 17

필름 한 장을 깔고 그 위에 외경의 폴리에틸렌 엑셀파이프를 배관한 후 세라15

믹 구들로 타설한 후 수평을 잡으면서 두께를 로 일정하게 하였다40

시멘트 제품은 응결 경화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균열이 발생되

면 더 커지면서 계속 퍼져나가는 경향을 나타낸다 여러 종류의 균열 보수기법이

현재 마련되어 있으나 완벽한 균열 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 보수 후에도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 보수로 인해 외관의 불량 균열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로 시공한 결과는 상기와 같

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할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연구에 의해 일반 콘크리트에도 적

용할 경우 그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균열을 방지함으로서 방

수 강도저하 철근부식 등 내구성저하를 막으므로 고품질의 구조물 공사가 될 것으

로 예상된다

- 50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 51 -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 52 -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 53 -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14 -

년에 최초로 시멘트계 재를 개발 시판하면서 일본내에서 석lsquo82 self-leveling mortar

고계와 시멘트계 재가 함께 사용되기 시작하였다self-leveling mortar

석고계 및 시멘트계 재에는 서로의 장 단점이 있기 때문에 나self-leveling mortar ㆍ

름대로의 판매영역을 구축해 나갔지만 년에 스웨덴의 사로부터 석고계 및 lsquo85 BEPA

시 멘트계의 장 단점을 보완한 무기질계 재 세라믹계 또는 혼self-leveling mortar (ㆍ

합형 재로도 칭함 를 기술도입 함으로써 이후에 일본에서는self-leveling mortar ) 3

종의 재가 시판되기 시작하여 오늘에 이르렀다self-leveling mortar

유럽에서는 오래 전부터 재를 바닥에 사용해 온 것으로 알려져self-leveling mortar

있으며 실제로 다양한 형태의 재가 시판되고 있다 참 self-leveling mortar (Table 1

조 재의 결합재별로 전술한 석고계 시멘트계 혼합계 외에도) Self-leveling mortar

폴리머를 이용한 폴리머시멘트계 또한 시공 두께별로 후막형 및 박막형 등 시공

조건이나 환경에 따라 적용 가능한 여러 제품들이 시판 되고 있다

성 세라믹 구들재에 요구되는 성능은 작업 종료시까지 유동성 확보문Self-leveling

제 응결 경화과정의 요구성능 내구성 측면 등에 좌우된다 유동성과의 균형을 확

보하지 않으면 골재 침강으로 인한 표면 이 심하게 발생되어 표면정도나bleeding

최종 마감재와의 부착 성능을 급격하게 저하시키거나 유동성이 저하되어 세라믹몰

탈재 마감공사가 용이하지 못하기 때문에 세라믹몰탈재 슬러지의 성상과 사용장비

와의 적합성은 공사의 승패를 좌우하는 주요 요인이 된다

- 15 -

구미 유럽지역의 재 개발 현황Table 1 Self -leveling

재 품종Self-leveling 개 발 국 가 참 여 업 체 명( )

석고계미국 등(GYP-CRETE HACKER )독일 등(BAYER KNAUF GUILINY HENCKEL )

시멘트계 스웨덴 등 핀랜드(ABS ZEMENTA ) (PARTEK)

혼합계 독일 등 스웨덴 등(PCI HENCKEL ) (BEPA )

폴리머시멘트계 영국 등 독일 등 웨덴 등(ICI ) (PCI HENCKEL ) (ABS )

무수석고에 첨가되는 시멘트에 대한 수많은 연구 결과가 소개되고 있으나 두 물질

간의 물리화학적인 양론적 문제와 시멘트 화학조성 분말도 발연곡선 응결 수화

열 강도 팽창 수축 화학적저항성 등에 따라 상이하다

신기술 시공의 정밀성 신속성 간편성이 특징인 성 세라믹몰탈의 시공 self-leveling

방법은 현장에서 제품에 물만 부어 바닥에 뿌리면 자동적으로 수평 한 면이 형성되

므로 기존의 시멘트 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

성 내구성 경량성과 자동 수평이 되는 평활성 때문에 별도의 쇠흙손으로 마감이

필요 없다 또한 시멘트 몰탈에 비하여 들뜸 현상 및 갈라짐이 없고 가벼운 재질로

되어 있어 건축 구조물의 경량화가 기대된다

특히 기계화 시공으로 인건비 절감 및 작업장 환경 개선 공기 단축 등으로 경제적

이고 정밀한 시공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기존 방식보다 방열성이 높다는 것

은 열효율 면에서 매우 유리한 난방 방식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성 세라믹몰탈은 최근 건축물의 화를 위한 건축 재료로 많이Self-leveling intelligent

사용되고 있다 세라믹몰탈은 유동성이 우수하며 신속한 응결 경화과정으로 일 1

안에 보행이 가능함은 물론 표면에 기포 자국이나 수축 균열이 없어 백화점 오피스

텔 대규모 건축물의 바닥 미장은 물론 목재 위에 박막이나 후막으로 많이 사용됨

으로서 건설 인력 부족을 대체할 수 있는 신기능성 제품이다

- 16 -

성 세라믹몰탈재는 사용되는 특수 첨가제에 따라 시멘트계 석고계 혼Self-leveling

합계 특수시멘트 팽창억지제 석고보드 등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각기 특성에 따라

적용되는 분야가 상이함으로 첨가제 혼화제 가 개선되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고부( )

가가치 산업을 창출할 수 있다

개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 물질인10 SO2를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하여 아황산석고로 생산되면서 SO2는 제거된다

아황산석고를 반응기에서 반응시켜 부산석고를 얻는다 화력발전소의 부산물인 석

고와 시멘트 결합제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성 세라믹몰탈은 국내의 부 self-leveling

존자원이나 산업폐기물의 유효 이용 차원에서 건축재료로의 활용은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최근 큰 문제로 대두된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일석

이조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됨으로서 국가 경제 발전에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기술적 측면에서 보면 시멘트제품은 응결 경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

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

그러나 과학 및 산업기술들이 고도로 발전되어 감에 따라 건축물 마감공사도 미려

함을 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성 세라믹몰탈재가 건축물 마감공사의self-leveling

성력화를 가능케 한 신 기능성 건축재료의 총아라 할 수 있다

이수석고는 국내 화력발전소에서 배출되는 가장 심각한 공해물질인 SO2 가스를 흡

수액 중 CaCO3과 반응시켜 년간 만톤씩 부산되고 있는 무용한 물질이다 산업폐33

기물의 일종인 이수석고를 소성과정을 거쳐 소석고 로 만든다(calcined gypsum)

소석고에 신 기능성 특수 를 첨가하여 바닥 마감용 성 세라믹몰binder self-leveling

탈재를 생산함으로써

열효율 면에서는 시멘트 제품보다 축열성이 높으며-

미장면이 평활하므로 추가로 보수가 필요 없고-

시멘트보다 압축 및 인장강도 면에서 우수하다-

시중 시멘트제품은 균열에 있어서 완벽한 균열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보

수 후에는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보수 및 면 평활도가 외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 17 -

그러나 본 제품을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하므로 그 파

급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된다

경제적 측면에서 보면 국내 석고 소비량은 연간 만톤으로 선진국의 연간 소비600

율 에도 못 미치는 실정이다 또한 국내에는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10

실정으로 해외에서 톤당 만원 정도의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볼16

때 품질이 좋고 가격이 싼 발전용 배연 탈황 석고의 공급은 국내 관련 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국내 발전용 배연 탈황 석고의 공급이

서기 년도에 이르면 약 만톤으로 국내 석고 수요량 만톤의 약 정2000 110 600 18

도는 충당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진다

현재 아파트 및 오피스텔 공사 등이 전국적으로 그 물량이 대단히 많으나 모든 미

장 마감층에 균열이 생기고 평활도의 문제가 발생되고 있어 입주 전에 균열 보수

재료에 의해 보수를 실시하고 있으나 완전 보수가 불가능하여 입주 후 많은 세대수

에서 하자보수로 인한 손실이 매우 큰 실정이다 또한 바닥면이 수평을 이루지 못

하여 가구 등의 제품에 뒤틀림 등으로 생활에 불편함을 제공하고 있다

본 제품은 상기와 같은 모든 문제점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훨씬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건비 절감 공기 단축 국내의 산업폐기물의 유효이용 차원에서

건축재료로의 활용은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시멘트 건축재 생산업체들을 중심으로 아파트 온돌 부위와 목재 위에 박막

또는 후막으로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용도의 세라믹몰탈 등의 상품화는 년간 500

억원 규모의 사업화가 가능할 것이며 또한 특수 의 개발은 연간 약 억 binder 150

원의 시장 창출이 예측된다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 보면 현대 산업의 고도화 및 복잡화로 환경 오염을 초래하

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각종 환경매체에 대한 환경 오염이 극심해지

고 있는 실정이어서 환경 오염 방지 및 환경보존 개선을 위한 규제가 점점 강화되

고 있다 특히 대기오염 생태계 파괴 등 환경과 보건에 심각한 위해가 초래됨으로

써 규제도 본격화하게 되었다

- 18 -

이산화유황으로 오염된 화력발전소의 배기가스는 석회함수물 또는 석회액과의 화학

적 반응을 통해 탈황된다 이로 인해 산성비 에 대한 원인은 제거된다 이런 중요 ldquo rdquo

한 환경기술적 조치의 반응생산물인 부산석고를 건축 자재로 사용함으로서 대기 환

경보존을 할 수 있다는 차원에서 금액으로 환산할 수 없는 중대한 기여를 할 것이

다 또한 내장 박막 이하 후막 등을 미려하게 함은 mortar(50 ) (5 ) (1O-15 )

물론 수축 팽창 균열 등을 방지함으로 풍요로운 생활공간을 제공할 것이다

위와 같은 평가 기술은 국내 최고의 분석 평가 기관인 특성분석센터와 세라믹KIST

스 연구부 및 주 범우에서 이미 확보되어 있고 국제적으로도 상당한 경쟁력을 갖( )

추고 있다 매우 불활성인 무수석고를 약 시간만에 경화가 시작되도록 활성화하는 2

즉 정해진 특성들을 가진 건축자재를 생산하는 두 가지 방식이 있다 그중 한 방법

은 미세하게 분쇄한 후 풀어짐을 촉진하는 소량의 자극제 즉 분산제의 첨가이며

다른 한 방법은 몰탈 준비 때보다 강력한 혼합을 요구하는 무수석고의 생산이REA

절실히 필요하다

- 19 -

제 장 실 험2

제 절 배연탈황1

화력 발전소에서 부산물로 생성되는 이수석고의 주요 반응은 의 현탁액과limestone

연소가스를 역류 세정시키면서 일어난다 이것은 아래에 열거한 것과 같은 확산과

화학반응으로 구분되어 진행된다

기 액 경계면에 이르기까지의 을 통한- gas film SO① 2의 확산

SO② 2가 상태가 되는aqueous dissolution

상태의Aqueous SO③ 2가 되어hydration H2SO3로 되고 이것이 H+ 와 HSO3-로 존

재하게 됨

HSO④ 3-가 분리되어 SO3

-를 형성함

용역내의 CaCO⑤ 3는 상태로 되고 이것은 다시aqueous dissolution H+이온과 반응

하여 Ca2+ 와 HSO3-를 형성함

및 과정에서 생성된 Ca⑥ ④ ⑤ 2+와 SO32-그리고 물이 반응하여 CaSO3ㆍ12H2 가O

형성됨

CaSO⑦ 3ㆍ12H2 는 물과 물속에 녹아있는 산소와 결합하여O CaSO4 2Hㆍ 2 를 형O

성함

- 20 -

반응식Total

이와 같은 반응들의 반응속도를 비교하여 볼 때 의 단계는 비교적 빠 ③ ④ ⑥ ⑦

른 반응이 되고 제어단계는 크게 가스확산 액체 내에서의 SO2 확산 석회석의

등 단계로 압축시킬 수 있다 위의 메카니즘 가운데 이온들의 화학반응dissolution 3

을 로 규명하기도 한다 이것은 기 액 경계면을 중심으two-reaction-planes model -

로 액체쪽으로 개의 을 설정하고 각각의 다른 반응이 일어난다는 것2 reaction plan

이다

제 절 석고 소성2

전항에서 만들어진 이수석고에 함유된 부착수분과 결정수분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

기로와 열질량분석기 를(thermogravimetric analyzer TGA Perkin-Elmer TGS-2)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에서 보면 공기 중에서 일 방치한 이수석고 중 Fig 1 2 18

정도가 되면 대부분 휘발성 물질들이 날아가서 무게가 정도 감소되었60 5 wt

다 다시 정도가 될 때까지 결정 수분이 정도 감소되었고 190 18 wt 700

가 될 때까지 정도가 휘발되어 날아가 전체 무게 감소는 되고2 wt 25 wt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휘발되는 것이 없이 일정한 무게를 유지하였다 전기로에서

실험한 결과도 부착수분이 건조감량이 로 전체 무게 감소율121 wt 109 wt

은 이였다 이수석고를 세라믹용기 및 용기에 각각230 wt stainless steel 500

씩 분취하여g 150 (2 hrs) 200 (1~2 hrs) 350 (1 hr) 420 (1 hr)

로 유지한 전기로에서 각각 소성하였500 (1 hr) 650 (15 hr) 750 (1 hr)

다 소성 후 를 사용하여 소성 X-Ray Diffractometer (XRD Rigaku DMAX-2500)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CaSO4 2Hㆍ 2 를 대량 소성하기 위하여O

에stainless steel port CaSO4 2H2 씩을 넣고 를 아래와 같O 2 conveyor furnace

은 조건 을 유지하면서 대전 소재 쌍용중앙연구소에서 시간 연속 실험하(Fig 2) 24

였다

- 21 -

Fig 1 TGA thermal curve of gypsum

- 22 -

Fig 2 Flow diagram of gypsum sintering system

- 23 -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3

에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석고에 대하여 표면형상을 관찰하였다Self-leveling

조건으로 국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Hitachi S-4200) 150

산 석고등의 입자를 조사한 결과는 과 에서 보는 바와 같다 과Fig 3 Fig 4 Fig 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국산석고의 크기가 독일산 석고보다 크나 분쇄를 잘하Fig 4

면 공정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추정된다self-leveling

의 입자가 큰 국산석고를 에서 분 분쇄 후 사진 의 결Fig 3 mortar 20 SEM (Fig5)

과를 보면 독일산 석고와 아주 유사한 형태와 로 변하였다 그러므로 분쇄 공정size

만 잘 진행하면 국산 석고도 외국산 석고에 비해 제조에 손색없음을self-leveling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 무수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를 위하여 쌍용연구소의 연속분쇄기

를 사용하여 분쇄하였다 분쇄 조건은 압력(roller mill) roller 6 feeding RPM

시료 투입량 등으로 무수석고를 연속 분쇄하였40 separator RPM 880 6 hr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4

국내산 석고와 외국산 석고들에 대한 화학성분 분석을 위하여 Optical Emission

로 정성분석한 후Spectrometer(OES TJA Atomcomp 81) Atomic Absorption

Sepctrophotometer(AAS Perkin Elmer 5000) 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meter(ICPAES Perkin Elmer Elan 5000) Wet

분석방법 등으로 국산 석고와 외국산 석고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Analysis(WET)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 석고에 대하여도 위에서 분석한 CAS( )

것과 같이 등의 방법으로 성분분석을 하여 석고의 품질OES AAS ICPAES WET

및 특성등을 파악하였다

- 24 -

Fig3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 25 -

Fig4 SEM photograph of germany gypsum

- 26 -

Fig5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after grinding

- 27 -

제 절 특수 첨가재5

기존의 재 에self- leveling 300 g H2 을 혼합한 후 아래와 같은 여러 종류의O 89 g

첨가재를 첨가하면서 초결 종결 등의 경화 응결 및 플로값 등의 물리적인 성질을

측정하였다

또한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

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기존의 재 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O 89g CAS ( )

때의 물리적인 특성뿐 아니라 알미나 포틀랜드 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AI-PC)

때의 물리적인 특성도 비교하였다

가존의 재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 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위에서 측정한 경우와 서로 비교하AI-PC

여 보았다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6

재 제조시 적절한 응결을 위하여 급결제을 사용하는데 통상 물유리를Self -leveling

많이 사용함을 본 연구에서 알았다 급결제의 성분 분석을 위하여 wet analysis

등을 사용하였으며 구조분석을 위하여는 와 을 사용하였OES AAS ICPAES XRD IR

다 법으로는 석고중에 함유되어 있는 물의 함량을 분석하는데 사용하 Karl fischer

였다

- 28 -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7

바닥 충격음 및 소음에 대한 시험은 여주군에 위치한 방재시험연구소에 의뢰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편을 제작하여 측정하였다 바닥 충격음 방지재 (save gum pad

를 사용한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 에 시험재료로 한양 시멘트 제품인6 t) (246 )

레미탈 을 사용하여 몰탈 바닥 넓이 로 작업한 후900 28 m times 42 m times 30

일 간 야외에서 양생하여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참조30 (Fig 6 )

바닥충격음시험은 건축물현장에 있어서의 바닥충격음측정방법 을KSF 2810 ( 1981)

적용하여 음원실 충격음발생실 과 수음실 충격음측정실 로 구성된 잔향실 사이 바( ) ( )

닥개구부에 시험체를 설치한 후 시험체위에서 충격음 경량 태핑 머신 및 중량충 (

격음 타이어 을 발생시켜 주파수범위의 대역별 바닥충격음 ) 63-4000 13 Octave

레벨 회를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하였다25

제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최근 건설 현장에 불기 시작한 주거환경의 쾌적화와 원적외선 방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도 원적외선 방사에 대한 시험을 시행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과 한국원적외선협회에 세라믹몰탈 옥석 맥반석

게르마늄석을 의뢰하여 방사율을 단파장인 영역인 에서 까지 측정하였다3 20

- 29 -

Fig 6 Present floor of impact sound insulation

- 3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1

화력발전소에서 부산물로 생성된 이수석고를 대전소재 쌍용 중앙연구소에서 rotary

을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소성된 석고를kiln X - Ray Diffractometer (XRD Rigaku

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수석고는DMAX-2500) Fig 7

에서는150~200 CaSO 4 2Hㆍ 2 가O CaSO4 12Hㆍ 2 로 변하고 에서O 350 CaSO 4

의 피크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그후 온도를 올림에 따라 무수석고의 결정성이 좋

아짐을 알 수 있었다 참조(Fig 7 )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2

으로 확인한 결과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국산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ig 3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로 단단한 모양으로 균일하게70

구성되어 있는 반면 의 독일산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 Fig 4 70

의 크기가 소수 분포와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분포175

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체로 한 결 -200 mesh sieving

과를 보면 정도의 가 큰 덩어리가 남아 있었다10 size

가 큰 덩어리를 로 확인한 결과 석고로 판명되었다 에서 보면 독일Size XRD Fig 8

산 최초 석고인 BW CaSO4 과 후의 의(GER)-3 sieving XRD pattern BW

CaSO4 와 동일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들은 결과와 결과로(G+200M)-4 XRD TGA

보면 모두 CaSO4로 판명되었다

에서 분쇄된 무수석고의 입자분포도를 보기 위하여Roller mill particle size

로 측정범위 측정 분산매analyzer 01-180 lens focal depth 100 methyl

를 사용하여 초음파 분산 방법으로 입도 분포도를 얻어 에 실었다alcohol Fig 9

- 31 -

Fig7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each gypsum in sintering condition

- 32 -

Fig8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gypsum after sieving

- 33 -

Fig 9 Particle distribution chart of gypsum

- 34 -

에서의 입자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이하의 분포도가 전체의 를Fig 9 5 87

차지하고 있는 반면 마이크론미터 이상이 전체의 밖에 차지하고 있음을 알10 3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보면 외국산 석고에 비해 공정에서는 보다 나 self - leveling

은 작업성과 물성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3

분석방법 등으로 분석한 결과 에서 보OES AAS ICPAES Wet Analysis Table 2

는 바와 같이 독일산석고와 국산석고의 분석결과가 화학성분에서는 아주 유사하다

그러나 독일산 석고에 규사만이 함유되어 있는 것에 비해 국산 석고에는16 wt

규사가 로 작게 함유되어 있었다 이는 원재료의 광산에 함유된 규사에096 wt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석고에 대한 분석 결과를 CAS( ) Table 3

에 실었다 에서 보면 라파석고에 인이 포함되어 있는 반면 인 Table 3 00072 wt

산무수 석고에는 로 많이 포함되어 있어 제조시 인산무0024 wt self- leveling

수 석고를 사용한 결과가 나쁘게 나타났다고 추정되며 지지용 철근의self-leveling

부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이므로 인산석고의 사용을 피함이 좋을 것이다

인산무수 석고는 자체에서 산성 성분을 용출함으로서 콘크리트 중에 함유된 알칼리

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을 혼입시키어 철근을 활성화

상태로 만들고 이로 인해 부식하기 쉽게 된다

- 35 -

Table 2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 36 -

Table 3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and Binder

- 37 -

제 절 특수 첨가재4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의 양을 변화시O 89 g -α

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4

Table 4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a -gypsum

에서 보면 석고의 함량을 증가할수록 초결시간은 빨라지지만 수분증발시Table 4 -α

간이 느리고 기존레벨라보다 종결시간이 느린 것을 보아 석고만을 첨가한다는-α

것은 의미가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화시키

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5

Table 5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LiCO3

- 38 -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기존레벨라에는 이미Table 5 LiCO3이 인 이 포014 042g

함되어 있어 순으로 첨가하였으나 첨가 양에 따른 초결상태의 변화0 15 30 g

는 없었으나 종결상태는 조금씩 첨가 양이 많아지면서 조금씩 지연되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O 89 g CAS ( )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과 같다Table 6

Table 6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CAS

에서 보면 를 씩 증가하면서 첨가함에 따라 초결상태와Table 6 CAS 0 10 20 g

종결상태가 보다 급격히 빨라짐을 알 수 있었다 즉 경화 속도에 의Table 4 5 CAS

함유량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에서 사용한 첨가제를 모두 혼합하여 기존의 재Table 4 5 6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비교해보면O 89 g Table

과 같다7

- 39 -

Table 7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and CAS

에서 보는 것처럼 기존의 재Table 7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O 89 g

라에 석고와- LiCOα 3 만을 혼합하였을 때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의 양을 CAS

증가시키면서 함께 첨가할 수록 경화시간은 단축되었다

에 알미나 포틀랜드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Table 7 (AI-PC)

비교해보면 과 같다Table 8

기존의 재self-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보면 에서 보는 것처럼AI-PC Table 8

함량이 높을수록 경화시간은 너무 단축되어 그만큼 작업하는 시간이 촉박하AI-PC

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모든 결과를 종합해보면 응결시간은 온도와 습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실험할 때마다

기존레벨라를 비교하여 시험했다 가 가장 경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만 입자 CAS

가 뭉쳐 있어 혼합이 잘되지 않았다 그 결과 건조시 표면이 분화구처럼 돌출된 부

분이 많이 생겨났다

- 40 -

Table 8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CAS and Al-PC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5

급결제에 대한 성분 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는 와 같다 중탕Table 9

에서 증발시킨 후 의 잔유물에 대한 분석 결과(100 ) 50 wt Si 438 wt Na

로 나타났다 결정성과 구조분석을 위하여 로 확인한102 wt K 177 wt XRD

결과는 무결정 으로 피크가 나타나지 안했다 법으로 물을(amorphous) Karl fischer

분석시에도 가 잘 나타나지 안해 분석을 할 수 없었다 화학적 결합상태end-point

를 알아보기위해 을 이용하여 해석해본 결과IR Na2SiO3 H2 와O 50 wt 50 wt

의 H2 가 공존함을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O Na2SiO3 H2 와 의O 50 wt 50 wt

H2 를 함께 사용하기로 결정하였고 건설 현장에 시공 또는 제품 생산에 위와 같O

은 혼합비율을 적용하였다

- 41 -

Table 9 Chemical Composition of RCM300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6

측정된 충격음레벨은 ISO 140 Part 6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을 준용하여 수음실 기준 흡음력 에 대한sound insulation of Floors 1978) (10 )

보정 값으로 환산하였다(Table 10)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나타내는 수음실의 바닥충격음레벨 (Ln 은 다음 식 으로) (1)

구하였다

여기서

Ln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흡음력보정 바닥충격음레벨 j ( )

충격음위치 지점수m

상기 식 의 각 충격음 위치마다의 바닥충격음레벨의 평균값(1) (Lj 은 다음식 에) (2)

따라 산출하였다

- 42 -

Table 10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sound insulation of floor

- 43 -

여기서

Lj 수음실내 측정점 에서의 바닥충격음레벨 i ( )

측정점의 수n

또한 상기 바닥충격음레벨 평균값 (Lj 은 수음실의 흡음력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

므로 를 준용 이를 기준흡음력 에 대한 값ISO 140 Part6 (978) (10 ) (L nj 으로)

환산하였으며 그 산출식은 식 과 같다 (3)

여기서

L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평균 바닥충격음레벨 j ( )

AO 기준흡음력 (10 )

수음실 측정실 용적V ( ) ( )

수음실 측정실 잔향시간 초T ( ) ( )

에서 보면 기준판과 시험체의 경량충격음은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Table 10

충격음이 증가하다가 완만한 곡선을 나타내는 반면 중량충격음의 결과를 보면 주파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충격음이 계속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경량 충격음은 음원이 태핑머신인 관계로 주파수 변화에 따른

파장의 작고 큼에 별 영향을 주지 않지만 중량 충격음은 음원이 타이어임으로 고주

파대로 갈수록 파장이 작아서 투과 여건이 적은 관계에 기인함을 알 수 있다 본

바닥충격음과 소음에 대한 실험 결과 기존 시멘트몰탈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

믹몰탈간에 바닥충격음과 소음의 차이는 크게 나지 않음으로 무시할 정도임을 알았

- 44 -

제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7

아래 은 바닥재 시공에 대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과 재래식 시Table 11

멘트몰탈과의 특징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연구연에서 분석한 세라믹구들의 분석 결과를 에Table 12

실었다 현 시험법에 따라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 등의 물성을 공인된 한국건자 KS

재연구원에 의뢰한 결과 압축강도면에서 이 넘는 결과가 나왔으며 다른400 f

물성 또한 기준 물성값을 초과하는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에서 보는 것과 Table 12

같이 길이변화율은 일 경과 후 로서 거의 변화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28 -0046

며 이를 미루어 보아 시멘트몰탈의 수축 팽창에 기인되는 균열 원인을 해결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45 -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 구들의 비교Table 11

구분 단위 재래식 시멘트몰탈 본 제품 세라믹구들( )

시공후상태

몰탈층

바탕면의 균열 발생-바탕면의 평활 수평 이 없다- (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없다-공정 회 이 복잡하다- (3-4 )많은면적을 시공할 수 없다-양생시간이 길다 일- (3-7 )하자 보수비가 필요하다-시멘트 독성에 따른 인체에-해로움

바탕면의 균열이 없다- 바탕면의 평활 수평 성이 양호- ( )일정한 두께유지-공정이 단순 회공정 하다- (1 )많은 면적을 시공할 수 있다-양생시간이 짧다 일- (1 )하자보수비가 필요없다-건강보조기능-항균성 무독성 원적외선( )마감재 시공이 용이하다-에너지절감 효과가 크다-열전도율 및 축열기능이 좋다-차음 방음 효과가 우수하다- ( )건축물의 경량화-

세라믹 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시험 검사 방법 ( ) KS L 5105-97 KS L 5104-96 KS L 5207-rsquo99 KS F2424-rsquo95 KS L 1592 rsquo95시험원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시험일자 2000 OS 09 ~ 09 15

- 46 -

제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석회 광물은 마그네시아 광물과 함께 중요한 조암광물로서 천연에서는 산화물(CaO)

로는 존재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탄산염 황산염 또는 규산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석회질 원료로는 석회석 돌로마이트 형석 석고 규회석 등이었으며 이중 석회석

(CaCO3 과 석고)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만을 에 나타내었다 원적) Fig 10 11

외선 발열체와 세라믹 발열체가 있다 원석 발열체로는 맥반석 게르마늄석 옥석

황토 등이 있다 원적외선의 온열효과는 피부표면에 복사된 원적외선은 인체 중 물

의 진동 파장과 거의 비슷하며 공진 작용으로 일반열이 도달할 수 없는 부위( )共振

까지 도달하게 한다 이러한 심달력은 피하층의 온도상승 미세혈관의 확장 혈액순

환 촉진 선진대사강화 혈류 장해 해소 조직의 재생능력 증가 결련예방 및 암치

료 효과 등의 의학적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혈행이 좋아짐으로서

정상체온 유지 스트레스 해소 소화촉진 근육통 해소 피부 색깔 정상화 꺼칠한

눈이 부드러워지고 감기 예방효과 조직 내에 쌓여 있던 노폐물의 분비도 촉진된

다 또한 세포에 필요로 하는 영양소와 산소를 정상적으로 공급받게 되어 세포와

조직이 활력을 되찾게 되고 적당한 원적외선 활용은 세포의 노화를 막아주는 효과

를 볼 수 있다 원적외선 부작용 없는 건강유지와 질병의 예방치료적 기 (氣

라고 할 수 있다energy)

석회석은 시멘트의 주원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전방사율은 약 정도를085

보이고 있으나 이후와 단파장 영역쪽에 불안정한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보이20

고 있다 이는 공기 중의 습기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그 조성이 일부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시멘트를 측정하여 비교Fig 10 11

한 결과에서는 다소 석회석 자체원료를 측정한 것이 방사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CaSO4 는 외국에서 천연으로 산출된 것과 본 연구에서 제조한 배연 탈황석고)

모두 원적외선 방사특성에 있어서는 석회석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특히

부근에서의 약간의 골이 생겨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87

- 47 -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48 -

석고Fig 11 (CaSO4 의 원작외선 방사특성)

- 49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의 방사율은 에 실었다 현재 원적외선이 다Fig 12

량 방사되는 게르바늄석 참조 옥석 참조 맥반석 참조(Fig 13 ) (Fig 14 ) (Fig 15 )

등에 비해서 같은 수준의 방사에너지 및 방사율이 발현됨을 공인된 시험기간에 의

해서 입증되었다 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를 Fig16 3~20

파장 영역에서 방사특성을 나타내었다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는 이상흑체에

서 방사되는 특성과 같은 모양을 방출하고 있습을 알았다 따라서 세라믹구들은 건

강친화적인 면만 아니라 여러 가지 가능을 가진 차세대 온돌용 세라믹구들이라고

할 수 있다

제 절 현장 시공9

본 세라믹구들의 최적화 조건 조성 및 현장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차로 경기도 광1

주 소재 동심주택 제 차 그린타운 세대를 시험 시공한 바 있으며 위 결과를 토9 19

대로 최적화된 조건에 따라 안양 재건축현장 및 기홍 목조주택 등에 실용화 시공하

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Fig 17

필름 한 장을 깔고 그 위에 외경의 폴리에틸렌 엑셀파이프를 배관한 후 세라15

믹 구들로 타설한 후 수평을 잡으면서 두께를 로 일정하게 하였다40

시멘트 제품은 응결 경화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균열이 발생되

면 더 커지면서 계속 퍼져나가는 경향을 나타낸다 여러 종류의 균열 보수기법이

현재 마련되어 있으나 완벽한 균열 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 보수 후에도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 보수로 인해 외관의 불량 균열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로 시공한 결과는 상기와 같

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할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연구에 의해 일반 콘크리트에도 적

용할 경우 그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균열을 방지함으로서 방

수 강도저하 철근부식 등 내구성저하를 막으므로 고품질의 구조물 공사가 될 것으

로 예상된다

- 50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 51 -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 52 -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 53 -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15 -

구미 유럽지역의 재 개발 현황Table 1 Self -leveling

재 품종Self-leveling 개 발 국 가 참 여 업 체 명( )

석고계미국 등(GYP-CRETE HACKER )독일 등(BAYER KNAUF GUILINY HENCKEL )

시멘트계 스웨덴 등 핀랜드(ABS ZEMENTA ) (PARTEK)

혼합계 독일 등 스웨덴 등(PCI HENCKEL ) (BEPA )

폴리머시멘트계 영국 등 독일 등 웨덴 등(ICI ) (PCI HENCKEL ) (ABS )

무수석고에 첨가되는 시멘트에 대한 수많은 연구 결과가 소개되고 있으나 두 물질

간의 물리화학적인 양론적 문제와 시멘트 화학조성 분말도 발연곡선 응결 수화

열 강도 팽창 수축 화학적저항성 등에 따라 상이하다

신기술 시공의 정밀성 신속성 간편성이 특징인 성 세라믹몰탈의 시공 self-leveling

방법은 현장에서 제품에 물만 부어 바닥에 뿌리면 자동적으로 수평 한 면이 형성되

므로 기존의 시멘트 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

성 내구성 경량성과 자동 수평이 되는 평활성 때문에 별도의 쇠흙손으로 마감이

필요 없다 또한 시멘트 몰탈에 비하여 들뜸 현상 및 갈라짐이 없고 가벼운 재질로

되어 있어 건축 구조물의 경량화가 기대된다

특히 기계화 시공으로 인건비 절감 및 작업장 환경 개선 공기 단축 등으로 경제적

이고 정밀한 시공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기존 방식보다 방열성이 높다는 것

은 열효율 면에서 매우 유리한 난방 방식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성 세라믹몰탈은 최근 건축물의 화를 위한 건축 재료로 많이Self-leveling intelligent

사용되고 있다 세라믹몰탈은 유동성이 우수하며 신속한 응결 경화과정으로 일 1

안에 보행이 가능함은 물론 표면에 기포 자국이나 수축 균열이 없어 백화점 오피스

텔 대규모 건축물의 바닥 미장은 물론 목재 위에 박막이나 후막으로 많이 사용됨

으로서 건설 인력 부족을 대체할 수 있는 신기능성 제품이다

- 16 -

성 세라믹몰탈재는 사용되는 특수 첨가제에 따라 시멘트계 석고계 혼Self-leveling

합계 특수시멘트 팽창억지제 석고보드 등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각기 특성에 따라

적용되는 분야가 상이함으로 첨가제 혼화제 가 개선되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고부( )

가가치 산업을 창출할 수 있다

개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 물질인10 SO2를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하여 아황산석고로 생산되면서 SO2는 제거된다

아황산석고를 반응기에서 반응시켜 부산석고를 얻는다 화력발전소의 부산물인 석

고와 시멘트 결합제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성 세라믹몰탈은 국내의 부 self-leveling

존자원이나 산업폐기물의 유효 이용 차원에서 건축재료로의 활용은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최근 큰 문제로 대두된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일석

이조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됨으로서 국가 경제 발전에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기술적 측면에서 보면 시멘트제품은 응결 경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

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

그러나 과학 및 산업기술들이 고도로 발전되어 감에 따라 건축물 마감공사도 미려

함을 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성 세라믹몰탈재가 건축물 마감공사의self-leveling

성력화를 가능케 한 신 기능성 건축재료의 총아라 할 수 있다

이수석고는 국내 화력발전소에서 배출되는 가장 심각한 공해물질인 SO2 가스를 흡

수액 중 CaCO3과 반응시켜 년간 만톤씩 부산되고 있는 무용한 물질이다 산업폐33

기물의 일종인 이수석고를 소성과정을 거쳐 소석고 로 만든다(calcined gypsum)

소석고에 신 기능성 특수 를 첨가하여 바닥 마감용 성 세라믹몰binder self-leveling

탈재를 생산함으로써

열효율 면에서는 시멘트 제품보다 축열성이 높으며-

미장면이 평활하므로 추가로 보수가 필요 없고-

시멘트보다 압축 및 인장강도 면에서 우수하다-

시중 시멘트제품은 균열에 있어서 완벽한 균열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보

수 후에는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보수 및 면 평활도가 외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 17 -

그러나 본 제품을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하므로 그 파

급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된다

경제적 측면에서 보면 국내 석고 소비량은 연간 만톤으로 선진국의 연간 소비600

율 에도 못 미치는 실정이다 또한 국내에는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10

실정으로 해외에서 톤당 만원 정도의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볼16

때 품질이 좋고 가격이 싼 발전용 배연 탈황 석고의 공급은 국내 관련 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국내 발전용 배연 탈황 석고의 공급이

서기 년도에 이르면 약 만톤으로 국내 석고 수요량 만톤의 약 정2000 110 600 18

도는 충당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진다

현재 아파트 및 오피스텔 공사 등이 전국적으로 그 물량이 대단히 많으나 모든 미

장 마감층에 균열이 생기고 평활도의 문제가 발생되고 있어 입주 전에 균열 보수

재료에 의해 보수를 실시하고 있으나 완전 보수가 불가능하여 입주 후 많은 세대수

에서 하자보수로 인한 손실이 매우 큰 실정이다 또한 바닥면이 수평을 이루지 못

하여 가구 등의 제품에 뒤틀림 등으로 생활에 불편함을 제공하고 있다

본 제품은 상기와 같은 모든 문제점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훨씬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건비 절감 공기 단축 국내의 산업폐기물의 유효이용 차원에서

건축재료로의 활용은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시멘트 건축재 생산업체들을 중심으로 아파트 온돌 부위와 목재 위에 박막

또는 후막으로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용도의 세라믹몰탈 등의 상품화는 년간 500

억원 규모의 사업화가 가능할 것이며 또한 특수 의 개발은 연간 약 억 binder 150

원의 시장 창출이 예측된다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 보면 현대 산업의 고도화 및 복잡화로 환경 오염을 초래하

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각종 환경매체에 대한 환경 오염이 극심해지

고 있는 실정이어서 환경 오염 방지 및 환경보존 개선을 위한 규제가 점점 강화되

고 있다 특히 대기오염 생태계 파괴 등 환경과 보건에 심각한 위해가 초래됨으로

써 규제도 본격화하게 되었다

- 18 -

이산화유황으로 오염된 화력발전소의 배기가스는 석회함수물 또는 석회액과의 화학

적 반응을 통해 탈황된다 이로 인해 산성비 에 대한 원인은 제거된다 이런 중요 ldquo rdquo

한 환경기술적 조치의 반응생산물인 부산석고를 건축 자재로 사용함으로서 대기 환

경보존을 할 수 있다는 차원에서 금액으로 환산할 수 없는 중대한 기여를 할 것이

다 또한 내장 박막 이하 후막 등을 미려하게 함은 mortar(50 ) (5 ) (1O-15 )

물론 수축 팽창 균열 등을 방지함으로 풍요로운 생활공간을 제공할 것이다

위와 같은 평가 기술은 국내 최고의 분석 평가 기관인 특성분석센터와 세라믹KIST

스 연구부 및 주 범우에서 이미 확보되어 있고 국제적으로도 상당한 경쟁력을 갖( )

추고 있다 매우 불활성인 무수석고를 약 시간만에 경화가 시작되도록 활성화하는 2

즉 정해진 특성들을 가진 건축자재를 생산하는 두 가지 방식이 있다 그중 한 방법

은 미세하게 분쇄한 후 풀어짐을 촉진하는 소량의 자극제 즉 분산제의 첨가이며

다른 한 방법은 몰탈 준비 때보다 강력한 혼합을 요구하는 무수석고의 생산이REA

절실히 필요하다

- 19 -

제 장 실 험2

제 절 배연탈황1

화력 발전소에서 부산물로 생성되는 이수석고의 주요 반응은 의 현탁액과limestone

연소가스를 역류 세정시키면서 일어난다 이것은 아래에 열거한 것과 같은 확산과

화학반응으로 구분되어 진행된다

기 액 경계면에 이르기까지의 을 통한- gas film SO① 2의 확산

SO② 2가 상태가 되는aqueous dissolution

상태의Aqueous SO③ 2가 되어hydration H2SO3로 되고 이것이 H+ 와 HSO3-로 존

재하게 됨

HSO④ 3-가 분리되어 SO3

-를 형성함

용역내의 CaCO⑤ 3는 상태로 되고 이것은 다시aqueous dissolution H+이온과 반응

하여 Ca2+ 와 HSO3-를 형성함

및 과정에서 생성된 Ca⑥ ④ ⑤ 2+와 SO32-그리고 물이 반응하여 CaSO3ㆍ12H2 가O

형성됨

CaSO⑦ 3ㆍ12H2 는 물과 물속에 녹아있는 산소와 결합하여O CaSO4 2Hㆍ 2 를 형O

성함

- 20 -

반응식Total

이와 같은 반응들의 반응속도를 비교하여 볼 때 의 단계는 비교적 빠 ③ ④ ⑥ ⑦

른 반응이 되고 제어단계는 크게 가스확산 액체 내에서의 SO2 확산 석회석의

등 단계로 압축시킬 수 있다 위의 메카니즘 가운데 이온들의 화학반응dissolution 3

을 로 규명하기도 한다 이것은 기 액 경계면을 중심으two-reaction-planes model -

로 액체쪽으로 개의 을 설정하고 각각의 다른 반응이 일어난다는 것2 reaction plan

이다

제 절 석고 소성2

전항에서 만들어진 이수석고에 함유된 부착수분과 결정수분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

기로와 열질량분석기 를(thermogravimetric analyzer TGA Perkin-Elmer TGS-2)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에서 보면 공기 중에서 일 방치한 이수석고 중 Fig 1 2 18

정도가 되면 대부분 휘발성 물질들이 날아가서 무게가 정도 감소되었60 5 wt

다 다시 정도가 될 때까지 결정 수분이 정도 감소되었고 190 18 wt 700

가 될 때까지 정도가 휘발되어 날아가 전체 무게 감소는 되고2 wt 25 wt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휘발되는 것이 없이 일정한 무게를 유지하였다 전기로에서

실험한 결과도 부착수분이 건조감량이 로 전체 무게 감소율121 wt 109 wt

은 이였다 이수석고를 세라믹용기 및 용기에 각각230 wt stainless steel 500

씩 분취하여g 150 (2 hrs) 200 (1~2 hrs) 350 (1 hr) 420 (1 hr)

로 유지한 전기로에서 각각 소성하였500 (1 hr) 650 (15 hr) 750 (1 hr)

다 소성 후 를 사용하여 소성 X-Ray Diffractometer (XRD Rigaku DMAX-2500)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CaSO4 2Hㆍ 2 를 대량 소성하기 위하여O

에stainless steel port CaSO4 2H2 씩을 넣고 를 아래와 같O 2 conveyor furnace

은 조건 을 유지하면서 대전 소재 쌍용중앙연구소에서 시간 연속 실험하(Fig 2) 24

였다

- 21 -

Fig 1 TGA thermal curve of gypsum

- 22 -

Fig 2 Flow diagram of gypsum sintering system

- 23 -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3

에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석고에 대하여 표면형상을 관찰하였다Self-leveling

조건으로 국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Hitachi S-4200) 150

산 석고등의 입자를 조사한 결과는 과 에서 보는 바와 같다 과Fig 3 Fig 4 Fig 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국산석고의 크기가 독일산 석고보다 크나 분쇄를 잘하Fig 4

면 공정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추정된다self-leveling

의 입자가 큰 국산석고를 에서 분 분쇄 후 사진 의 결Fig 3 mortar 20 SEM (Fig5)

과를 보면 독일산 석고와 아주 유사한 형태와 로 변하였다 그러므로 분쇄 공정size

만 잘 진행하면 국산 석고도 외국산 석고에 비해 제조에 손색없음을self-leveling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 무수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를 위하여 쌍용연구소의 연속분쇄기

를 사용하여 분쇄하였다 분쇄 조건은 압력(roller mill) roller 6 feeding RPM

시료 투입량 등으로 무수석고를 연속 분쇄하였40 separator RPM 880 6 hr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4

국내산 석고와 외국산 석고들에 대한 화학성분 분석을 위하여 Optical Emission

로 정성분석한 후Spectrometer(OES TJA Atomcomp 81) Atomic Absorption

Sepctrophotometer(AAS Perkin Elmer 5000) 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meter(ICPAES Perkin Elmer Elan 5000) Wet

분석방법 등으로 국산 석고와 외국산 석고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Analysis(WET)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 석고에 대하여도 위에서 분석한 CAS( )

것과 같이 등의 방법으로 성분분석을 하여 석고의 품질OES AAS ICPAES WET

및 특성등을 파악하였다

- 24 -

Fig3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 25 -

Fig4 SEM photograph of germany gypsum

- 26 -

Fig5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after grinding

- 27 -

제 절 특수 첨가재5

기존의 재 에self- leveling 300 g H2 을 혼합한 후 아래와 같은 여러 종류의O 89 g

첨가재를 첨가하면서 초결 종결 등의 경화 응결 및 플로값 등의 물리적인 성질을

측정하였다

또한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

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기존의 재 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O 89g CAS ( )

때의 물리적인 특성뿐 아니라 알미나 포틀랜드 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AI-PC)

때의 물리적인 특성도 비교하였다

가존의 재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 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위에서 측정한 경우와 서로 비교하AI-PC

여 보았다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6

재 제조시 적절한 응결을 위하여 급결제을 사용하는데 통상 물유리를Self -leveling

많이 사용함을 본 연구에서 알았다 급결제의 성분 분석을 위하여 wet analysis

등을 사용하였으며 구조분석을 위하여는 와 을 사용하였OES AAS ICPAES XRD IR

다 법으로는 석고중에 함유되어 있는 물의 함량을 분석하는데 사용하 Karl fischer

였다

- 28 -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7

바닥 충격음 및 소음에 대한 시험은 여주군에 위치한 방재시험연구소에 의뢰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편을 제작하여 측정하였다 바닥 충격음 방지재 (save gum pad

를 사용한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 에 시험재료로 한양 시멘트 제품인6 t) (246 )

레미탈 을 사용하여 몰탈 바닥 넓이 로 작업한 후900 28 m times 42 m times 30

일 간 야외에서 양생하여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참조30 (Fig 6 )

바닥충격음시험은 건축물현장에 있어서의 바닥충격음측정방법 을KSF 2810 ( 1981)

적용하여 음원실 충격음발생실 과 수음실 충격음측정실 로 구성된 잔향실 사이 바( ) ( )

닥개구부에 시험체를 설치한 후 시험체위에서 충격음 경량 태핑 머신 및 중량충 (

격음 타이어 을 발생시켜 주파수범위의 대역별 바닥충격음 ) 63-4000 13 Octave

레벨 회를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하였다25

제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최근 건설 현장에 불기 시작한 주거환경의 쾌적화와 원적외선 방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도 원적외선 방사에 대한 시험을 시행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과 한국원적외선협회에 세라믹몰탈 옥석 맥반석

게르마늄석을 의뢰하여 방사율을 단파장인 영역인 에서 까지 측정하였다3 20

- 29 -

Fig 6 Present floor of impact sound insulation

- 3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1

화력발전소에서 부산물로 생성된 이수석고를 대전소재 쌍용 중앙연구소에서 rotary

을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소성된 석고를kiln X - Ray Diffractometer (XRD Rigaku

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수석고는DMAX-2500) Fig 7

에서는150~200 CaSO 4 2Hㆍ 2 가O CaSO4 12Hㆍ 2 로 변하고 에서O 350 CaSO 4

의 피크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그후 온도를 올림에 따라 무수석고의 결정성이 좋

아짐을 알 수 있었다 참조(Fig 7 )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2

으로 확인한 결과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국산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ig 3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로 단단한 모양으로 균일하게70

구성되어 있는 반면 의 독일산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 Fig 4 70

의 크기가 소수 분포와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분포175

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체로 한 결 -200 mesh sieving

과를 보면 정도의 가 큰 덩어리가 남아 있었다10 size

가 큰 덩어리를 로 확인한 결과 석고로 판명되었다 에서 보면 독일Size XRD Fig 8

산 최초 석고인 BW CaSO4 과 후의 의(GER)-3 sieving XRD pattern BW

CaSO4 와 동일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들은 결과와 결과로(G+200M)-4 XRD TGA

보면 모두 CaSO4로 판명되었다

에서 분쇄된 무수석고의 입자분포도를 보기 위하여Roller mill particle size

로 측정범위 측정 분산매analyzer 01-180 lens focal depth 100 methyl

를 사용하여 초음파 분산 방법으로 입도 분포도를 얻어 에 실었다alcohol Fig 9

- 31 -

Fig7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each gypsum in sintering condition

- 32 -

Fig8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gypsum after sieving

- 33 -

Fig 9 Particle distribution chart of gypsum

- 34 -

에서의 입자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이하의 분포도가 전체의 를Fig 9 5 87

차지하고 있는 반면 마이크론미터 이상이 전체의 밖에 차지하고 있음을 알10 3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보면 외국산 석고에 비해 공정에서는 보다 나 self - leveling

은 작업성과 물성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3

분석방법 등으로 분석한 결과 에서 보OES AAS ICPAES Wet Analysis Table 2

는 바와 같이 독일산석고와 국산석고의 분석결과가 화학성분에서는 아주 유사하다

그러나 독일산 석고에 규사만이 함유되어 있는 것에 비해 국산 석고에는16 wt

규사가 로 작게 함유되어 있었다 이는 원재료의 광산에 함유된 규사에096 wt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석고에 대한 분석 결과를 CAS( ) Table 3

에 실었다 에서 보면 라파석고에 인이 포함되어 있는 반면 인 Table 3 00072 wt

산무수 석고에는 로 많이 포함되어 있어 제조시 인산무0024 wt self- leveling

수 석고를 사용한 결과가 나쁘게 나타났다고 추정되며 지지용 철근의self-leveling

부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이므로 인산석고의 사용을 피함이 좋을 것이다

인산무수 석고는 자체에서 산성 성분을 용출함으로서 콘크리트 중에 함유된 알칼리

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을 혼입시키어 철근을 활성화

상태로 만들고 이로 인해 부식하기 쉽게 된다

- 35 -

Table 2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 36 -

Table 3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and Binder

- 37 -

제 절 특수 첨가재4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의 양을 변화시O 89 g -α

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4

Table 4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a -gypsum

에서 보면 석고의 함량을 증가할수록 초결시간은 빨라지지만 수분증발시Table 4 -α

간이 느리고 기존레벨라보다 종결시간이 느린 것을 보아 석고만을 첨가한다는-α

것은 의미가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화시키

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5

Table 5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LiCO3

- 38 -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기존레벨라에는 이미Table 5 LiCO3이 인 이 포014 042g

함되어 있어 순으로 첨가하였으나 첨가 양에 따른 초결상태의 변화0 15 30 g

는 없었으나 종결상태는 조금씩 첨가 양이 많아지면서 조금씩 지연되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O 89 g CAS ( )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과 같다Table 6

Table 6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CAS

에서 보면 를 씩 증가하면서 첨가함에 따라 초결상태와Table 6 CAS 0 10 20 g

종결상태가 보다 급격히 빨라짐을 알 수 있었다 즉 경화 속도에 의Table 4 5 CAS

함유량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에서 사용한 첨가제를 모두 혼합하여 기존의 재Table 4 5 6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비교해보면O 89 g Table

과 같다7

- 39 -

Table 7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and CAS

에서 보는 것처럼 기존의 재Table 7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O 89 g

라에 석고와- LiCOα 3 만을 혼합하였을 때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의 양을 CAS

증가시키면서 함께 첨가할 수록 경화시간은 단축되었다

에 알미나 포틀랜드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Table 7 (AI-PC)

비교해보면 과 같다Table 8

기존의 재self-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보면 에서 보는 것처럼AI-PC Table 8

함량이 높을수록 경화시간은 너무 단축되어 그만큼 작업하는 시간이 촉박하AI-PC

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모든 결과를 종합해보면 응결시간은 온도와 습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실험할 때마다

기존레벨라를 비교하여 시험했다 가 가장 경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만 입자 CAS

가 뭉쳐 있어 혼합이 잘되지 않았다 그 결과 건조시 표면이 분화구처럼 돌출된 부

분이 많이 생겨났다

- 40 -

Table 8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CAS and Al-PC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5

급결제에 대한 성분 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는 와 같다 중탕Table 9

에서 증발시킨 후 의 잔유물에 대한 분석 결과(100 ) 50 wt Si 438 wt Na

로 나타났다 결정성과 구조분석을 위하여 로 확인한102 wt K 177 wt XRD

결과는 무결정 으로 피크가 나타나지 안했다 법으로 물을(amorphous) Karl fischer

분석시에도 가 잘 나타나지 안해 분석을 할 수 없었다 화학적 결합상태end-point

를 알아보기위해 을 이용하여 해석해본 결과IR Na2SiO3 H2 와O 50 wt 50 wt

의 H2 가 공존함을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O Na2SiO3 H2 와 의O 50 wt 50 wt

H2 를 함께 사용하기로 결정하였고 건설 현장에 시공 또는 제품 생산에 위와 같O

은 혼합비율을 적용하였다

- 41 -

Table 9 Chemical Composition of RCM300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6

측정된 충격음레벨은 ISO 140 Part 6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을 준용하여 수음실 기준 흡음력 에 대한sound insulation of Floors 1978) (10 )

보정 값으로 환산하였다(Table 10)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나타내는 수음실의 바닥충격음레벨 (Ln 은 다음 식 으로) (1)

구하였다

여기서

Ln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흡음력보정 바닥충격음레벨 j ( )

충격음위치 지점수m

상기 식 의 각 충격음 위치마다의 바닥충격음레벨의 평균값(1) (Lj 은 다음식 에) (2)

따라 산출하였다

- 42 -

Table 10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sound insulation of floor

- 43 -

여기서

Lj 수음실내 측정점 에서의 바닥충격음레벨 i ( )

측정점의 수n

또한 상기 바닥충격음레벨 평균값 (Lj 은 수음실의 흡음력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

므로 를 준용 이를 기준흡음력 에 대한 값ISO 140 Part6 (978) (10 ) (L nj 으로)

환산하였으며 그 산출식은 식 과 같다 (3)

여기서

L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평균 바닥충격음레벨 j ( )

AO 기준흡음력 (10 )

수음실 측정실 용적V ( ) ( )

수음실 측정실 잔향시간 초T ( ) ( )

에서 보면 기준판과 시험체의 경량충격음은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Table 10

충격음이 증가하다가 완만한 곡선을 나타내는 반면 중량충격음의 결과를 보면 주파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충격음이 계속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경량 충격음은 음원이 태핑머신인 관계로 주파수 변화에 따른

파장의 작고 큼에 별 영향을 주지 않지만 중량 충격음은 음원이 타이어임으로 고주

파대로 갈수록 파장이 작아서 투과 여건이 적은 관계에 기인함을 알 수 있다 본

바닥충격음과 소음에 대한 실험 결과 기존 시멘트몰탈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

믹몰탈간에 바닥충격음과 소음의 차이는 크게 나지 않음으로 무시할 정도임을 알았

- 44 -

제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7

아래 은 바닥재 시공에 대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과 재래식 시Table 11

멘트몰탈과의 특징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연구연에서 분석한 세라믹구들의 분석 결과를 에Table 12

실었다 현 시험법에 따라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 등의 물성을 공인된 한국건자 KS

재연구원에 의뢰한 결과 압축강도면에서 이 넘는 결과가 나왔으며 다른400 f

물성 또한 기준 물성값을 초과하는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에서 보는 것과 Table 12

같이 길이변화율은 일 경과 후 로서 거의 변화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28 -0046

며 이를 미루어 보아 시멘트몰탈의 수축 팽창에 기인되는 균열 원인을 해결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45 -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 구들의 비교Table 11

구분 단위 재래식 시멘트몰탈 본 제품 세라믹구들( )

시공후상태

몰탈층

바탕면의 균열 발생-바탕면의 평활 수평 이 없다- (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없다-공정 회 이 복잡하다- (3-4 )많은면적을 시공할 수 없다-양생시간이 길다 일- (3-7 )하자 보수비가 필요하다-시멘트 독성에 따른 인체에-해로움

바탕면의 균열이 없다- 바탕면의 평활 수평 성이 양호- ( )일정한 두께유지-공정이 단순 회공정 하다- (1 )많은 면적을 시공할 수 있다-양생시간이 짧다 일- (1 )하자보수비가 필요없다-건강보조기능-항균성 무독성 원적외선( )마감재 시공이 용이하다-에너지절감 효과가 크다-열전도율 및 축열기능이 좋다-차음 방음 효과가 우수하다- ( )건축물의 경량화-

세라믹 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시험 검사 방법 ( ) KS L 5105-97 KS L 5104-96 KS L 5207-rsquo99 KS F2424-rsquo95 KS L 1592 rsquo95시험원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시험일자 2000 OS 09 ~ 09 15

- 46 -

제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석회 광물은 마그네시아 광물과 함께 중요한 조암광물로서 천연에서는 산화물(CaO)

로는 존재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탄산염 황산염 또는 규산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석회질 원료로는 석회석 돌로마이트 형석 석고 규회석 등이었으며 이중 석회석

(CaCO3 과 석고)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만을 에 나타내었다 원적) Fig 10 11

외선 발열체와 세라믹 발열체가 있다 원석 발열체로는 맥반석 게르마늄석 옥석

황토 등이 있다 원적외선의 온열효과는 피부표면에 복사된 원적외선은 인체 중 물

의 진동 파장과 거의 비슷하며 공진 작용으로 일반열이 도달할 수 없는 부위( )共振

까지 도달하게 한다 이러한 심달력은 피하층의 온도상승 미세혈관의 확장 혈액순

환 촉진 선진대사강화 혈류 장해 해소 조직의 재생능력 증가 결련예방 및 암치

료 효과 등의 의학적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혈행이 좋아짐으로서

정상체온 유지 스트레스 해소 소화촉진 근육통 해소 피부 색깔 정상화 꺼칠한

눈이 부드러워지고 감기 예방효과 조직 내에 쌓여 있던 노폐물의 분비도 촉진된

다 또한 세포에 필요로 하는 영양소와 산소를 정상적으로 공급받게 되어 세포와

조직이 활력을 되찾게 되고 적당한 원적외선 활용은 세포의 노화를 막아주는 효과

를 볼 수 있다 원적외선 부작용 없는 건강유지와 질병의 예방치료적 기 (氣

라고 할 수 있다energy)

석회석은 시멘트의 주원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전방사율은 약 정도를085

보이고 있으나 이후와 단파장 영역쪽에 불안정한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보이20

고 있다 이는 공기 중의 습기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그 조성이 일부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시멘트를 측정하여 비교Fig 10 11

한 결과에서는 다소 석회석 자체원료를 측정한 것이 방사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CaSO4 는 외국에서 천연으로 산출된 것과 본 연구에서 제조한 배연 탈황석고)

모두 원적외선 방사특성에 있어서는 석회석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특히

부근에서의 약간의 골이 생겨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87

- 47 -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48 -

석고Fig 11 (CaSO4 의 원작외선 방사특성)

- 49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의 방사율은 에 실었다 현재 원적외선이 다Fig 12

량 방사되는 게르바늄석 참조 옥석 참조 맥반석 참조(Fig 13 ) (Fig 14 ) (Fig 15 )

등에 비해서 같은 수준의 방사에너지 및 방사율이 발현됨을 공인된 시험기간에 의

해서 입증되었다 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를 Fig16 3~20

파장 영역에서 방사특성을 나타내었다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는 이상흑체에

서 방사되는 특성과 같은 모양을 방출하고 있습을 알았다 따라서 세라믹구들은 건

강친화적인 면만 아니라 여러 가지 가능을 가진 차세대 온돌용 세라믹구들이라고

할 수 있다

제 절 현장 시공9

본 세라믹구들의 최적화 조건 조성 및 현장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차로 경기도 광1

주 소재 동심주택 제 차 그린타운 세대를 시험 시공한 바 있으며 위 결과를 토9 19

대로 최적화된 조건에 따라 안양 재건축현장 및 기홍 목조주택 등에 실용화 시공하

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Fig 17

필름 한 장을 깔고 그 위에 외경의 폴리에틸렌 엑셀파이프를 배관한 후 세라15

믹 구들로 타설한 후 수평을 잡으면서 두께를 로 일정하게 하였다40

시멘트 제품은 응결 경화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균열이 발생되

면 더 커지면서 계속 퍼져나가는 경향을 나타낸다 여러 종류의 균열 보수기법이

현재 마련되어 있으나 완벽한 균열 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 보수 후에도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 보수로 인해 외관의 불량 균열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로 시공한 결과는 상기와 같

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할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연구에 의해 일반 콘크리트에도 적

용할 경우 그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균열을 방지함으로서 방

수 강도저하 철근부식 등 내구성저하를 막으므로 고품질의 구조물 공사가 될 것으

로 예상된다

- 50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 51 -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 52 -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 53 -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16 -

성 세라믹몰탈재는 사용되는 특수 첨가제에 따라 시멘트계 석고계 혼Self-leveling

합계 특수시멘트 팽창억지제 석고보드 등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각기 특성에 따라

적용되는 분야가 상이함으로 첨가제 혼화제 가 개선되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고부( )

가가치 산업을 창출할 수 있다

개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 물질인10 SO2를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하여 아황산석고로 생산되면서 SO2는 제거된다

아황산석고를 반응기에서 반응시켜 부산석고를 얻는다 화력발전소의 부산물인 석

고와 시멘트 결합제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성 세라믹몰탈은 국내의 부 self-leveling

존자원이나 산업폐기물의 유효 이용 차원에서 건축재료로의 활용은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최근 큰 문제로 대두된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일석

이조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됨으로서 국가 경제 발전에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기술적 측면에서 보면 시멘트제품은 응결 경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

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

그러나 과학 및 산업기술들이 고도로 발전되어 감에 따라 건축물 마감공사도 미려

함을 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성 세라믹몰탈재가 건축물 마감공사의self-leveling

성력화를 가능케 한 신 기능성 건축재료의 총아라 할 수 있다

이수석고는 국내 화력발전소에서 배출되는 가장 심각한 공해물질인 SO2 가스를 흡

수액 중 CaCO3과 반응시켜 년간 만톤씩 부산되고 있는 무용한 물질이다 산업폐33

기물의 일종인 이수석고를 소성과정을 거쳐 소석고 로 만든다(calcined gypsum)

소석고에 신 기능성 특수 를 첨가하여 바닥 마감용 성 세라믹몰binder self-leveling

탈재를 생산함으로써

열효율 면에서는 시멘트 제품보다 축열성이 높으며-

미장면이 평활하므로 추가로 보수가 필요 없고-

시멘트보다 압축 및 인장강도 면에서 우수하다-

시중 시멘트제품은 균열에 있어서 완벽한 균열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보

수 후에는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보수 및 면 평활도가 외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 17 -

그러나 본 제품을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하므로 그 파

급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된다

경제적 측면에서 보면 국내 석고 소비량은 연간 만톤으로 선진국의 연간 소비600

율 에도 못 미치는 실정이다 또한 국내에는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10

실정으로 해외에서 톤당 만원 정도의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볼16

때 품질이 좋고 가격이 싼 발전용 배연 탈황 석고의 공급은 국내 관련 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국내 발전용 배연 탈황 석고의 공급이

서기 년도에 이르면 약 만톤으로 국내 석고 수요량 만톤의 약 정2000 110 600 18

도는 충당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진다

현재 아파트 및 오피스텔 공사 등이 전국적으로 그 물량이 대단히 많으나 모든 미

장 마감층에 균열이 생기고 평활도의 문제가 발생되고 있어 입주 전에 균열 보수

재료에 의해 보수를 실시하고 있으나 완전 보수가 불가능하여 입주 후 많은 세대수

에서 하자보수로 인한 손실이 매우 큰 실정이다 또한 바닥면이 수평을 이루지 못

하여 가구 등의 제품에 뒤틀림 등으로 생활에 불편함을 제공하고 있다

본 제품은 상기와 같은 모든 문제점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훨씬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건비 절감 공기 단축 국내의 산업폐기물의 유효이용 차원에서

건축재료로의 활용은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시멘트 건축재 생산업체들을 중심으로 아파트 온돌 부위와 목재 위에 박막

또는 후막으로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용도의 세라믹몰탈 등의 상품화는 년간 500

억원 규모의 사업화가 가능할 것이며 또한 특수 의 개발은 연간 약 억 binder 150

원의 시장 창출이 예측된다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 보면 현대 산업의 고도화 및 복잡화로 환경 오염을 초래하

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각종 환경매체에 대한 환경 오염이 극심해지

고 있는 실정이어서 환경 오염 방지 및 환경보존 개선을 위한 규제가 점점 강화되

고 있다 특히 대기오염 생태계 파괴 등 환경과 보건에 심각한 위해가 초래됨으로

써 규제도 본격화하게 되었다

- 18 -

이산화유황으로 오염된 화력발전소의 배기가스는 석회함수물 또는 석회액과의 화학

적 반응을 통해 탈황된다 이로 인해 산성비 에 대한 원인은 제거된다 이런 중요 ldquo rdquo

한 환경기술적 조치의 반응생산물인 부산석고를 건축 자재로 사용함으로서 대기 환

경보존을 할 수 있다는 차원에서 금액으로 환산할 수 없는 중대한 기여를 할 것이

다 또한 내장 박막 이하 후막 등을 미려하게 함은 mortar(50 ) (5 ) (1O-15 )

물론 수축 팽창 균열 등을 방지함으로 풍요로운 생활공간을 제공할 것이다

위와 같은 평가 기술은 국내 최고의 분석 평가 기관인 특성분석센터와 세라믹KIST

스 연구부 및 주 범우에서 이미 확보되어 있고 국제적으로도 상당한 경쟁력을 갖( )

추고 있다 매우 불활성인 무수석고를 약 시간만에 경화가 시작되도록 활성화하는 2

즉 정해진 특성들을 가진 건축자재를 생산하는 두 가지 방식이 있다 그중 한 방법

은 미세하게 분쇄한 후 풀어짐을 촉진하는 소량의 자극제 즉 분산제의 첨가이며

다른 한 방법은 몰탈 준비 때보다 강력한 혼합을 요구하는 무수석고의 생산이REA

절실히 필요하다

- 19 -

제 장 실 험2

제 절 배연탈황1

화력 발전소에서 부산물로 생성되는 이수석고의 주요 반응은 의 현탁액과limestone

연소가스를 역류 세정시키면서 일어난다 이것은 아래에 열거한 것과 같은 확산과

화학반응으로 구분되어 진행된다

기 액 경계면에 이르기까지의 을 통한- gas film SO① 2의 확산

SO② 2가 상태가 되는aqueous dissolution

상태의Aqueous SO③ 2가 되어hydration H2SO3로 되고 이것이 H+ 와 HSO3-로 존

재하게 됨

HSO④ 3-가 분리되어 SO3

-를 형성함

용역내의 CaCO⑤ 3는 상태로 되고 이것은 다시aqueous dissolution H+이온과 반응

하여 Ca2+ 와 HSO3-를 형성함

및 과정에서 생성된 Ca⑥ ④ ⑤ 2+와 SO32-그리고 물이 반응하여 CaSO3ㆍ12H2 가O

형성됨

CaSO⑦ 3ㆍ12H2 는 물과 물속에 녹아있는 산소와 결합하여O CaSO4 2Hㆍ 2 를 형O

성함

- 20 -

반응식Total

이와 같은 반응들의 반응속도를 비교하여 볼 때 의 단계는 비교적 빠 ③ ④ ⑥ ⑦

른 반응이 되고 제어단계는 크게 가스확산 액체 내에서의 SO2 확산 석회석의

등 단계로 압축시킬 수 있다 위의 메카니즘 가운데 이온들의 화학반응dissolution 3

을 로 규명하기도 한다 이것은 기 액 경계면을 중심으two-reaction-planes model -

로 액체쪽으로 개의 을 설정하고 각각의 다른 반응이 일어난다는 것2 reaction plan

이다

제 절 석고 소성2

전항에서 만들어진 이수석고에 함유된 부착수분과 결정수분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

기로와 열질량분석기 를(thermogravimetric analyzer TGA Perkin-Elmer TGS-2)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에서 보면 공기 중에서 일 방치한 이수석고 중 Fig 1 2 18

정도가 되면 대부분 휘발성 물질들이 날아가서 무게가 정도 감소되었60 5 wt

다 다시 정도가 될 때까지 결정 수분이 정도 감소되었고 190 18 wt 700

가 될 때까지 정도가 휘발되어 날아가 전체 무게 감소는 되고2 wt 25 wt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휘발되는 것이 없이 일정한 무게를 유지하였다 전기로에서

실험한 결과도 부착수분이 건조감량이 로 전체 무게 감소율121 wt 109 wt

은 이였다 이수석고를 세라믹용기 및 용기에 각각230 wt stainless steel 500

씩 분취하여g 150 (2 hrs) 200 (1~2 hrs) 350 (1 hr) 420 (1 hr)

로 유지한 전기로에서 각각 소성하였500 (1 hr) 650 (15 hr) 750 (1 hr)

다 소성 후 를 사용하여 소성 X-Ray Diffractometer (XRD Rigaku DMAX-2500)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CaSO4 2Hㆍ 2 를 대량 소성하기 위하여O

에stainless steel port CaSO4 2H2 씩을 넣고 를 아래와 같O 2 conveyor furnace

은 조건 을 유지하면서 대전 소재 쌍용중앙연구소에서 시간 연속 실험하(Fig 2) 24

였다

- 21 -

Fig 1 TGA thermal curve of gypsum

- 22 -

Fig 2 Flow diagram of gypsum sintering system

- 23 -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3

에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석고에 대하여 표면형상을 관찰하였다Self-leveling

조건으로 국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Hitachi S-4200) 150

산 석고등의 입자를 조사한 결과는 과 에서 보는 바와 같다 과Fig 3 Fig 4 Fig 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국산석고의 크기가 독일산 석고보다 크나 분쇄를 잘하Fig 4

면 공정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추정된다self-leveling

의 입자가 큰 국산석고를 에서 분 분쇄 후 사진 의 결Fig 3 mortar 20 SEM (Fig5)

과를 보면 독일산 석고와 아주 유사한 형태와 로 변하였다 그러므로 분쇄 공정size

만 잘 진행하면 국산 석고도 외국산 석고에 비해 제조에 손색없음을self-leveling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 무수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를 위하여 쌍용연구소의 연속분쇄기

를 사용하여 분쇄하였다 분쇄 조건은 압력(roller mill) roller 6 feeding RPM

시료 투입량 등으로 무수석고를 연속 분쇄하였40 separator RPM 880 6 hr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4

국내산 석고와 외국산 석고들에 대한 화학성분 분석을 위하여 Optical Emission

로 정성분석한 후Spectrometer(OES TJA Atomcomp 81) Atomic Absorption

Sepctrophotometer(AAS Perkin Elmer 5000) 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meter(ICPAES Perkin Elmer Elan 5000) Wet

분석방법 등으로 국산 석고와 외국산 석고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Analysis(WET)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 석고에 대하여도 위에서 분석한 CAS( )

것과 같이 등의 방법으로 성분분석을 하여 석고의 품질OES AAS ICPAES WET

및 특성등을 파악하였다

- 24 -

Fig3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 25 -

Fig4 SEM photograph of germany gypsum

- 26 -

Fig5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after grinding

- 27 -

제 절 특수 첨가재5

기존의 재 에self- leveling 300 g H2 을 혼합한 후 아래와 같은 여러 종류의O 89 g

첨가재를 첨가하면서 초결 종결 등의 경화 응결 및 플로값 등의 물리적인 성질을

측정하였다

또한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

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기존의 재 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O 89g CAS ( )

때의 물리적인 특성뿐 아니라 알미나 포틀랜드 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AI-PC)

때의 물리적인 특성도 비교하였다

가존의 재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 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위에서 측정한 경우와 서로 비교하AI-PC

여 보았다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6

재 제조시 적절한 응결을 위하여 급결제을 사용하는데 통상 물유리를Self -leveling

많이 사용함을 본 연구에서 알았다 급결제의 성분 분석을 위하여 wet analysis

등을 사용하였으며 구조분석을 위하여는 와 을 사용하였OES AAS ICPAES XRD IR

다 법으로는 석고중에 함유되어 있는 물의 함량을 분석하는데 사용하 Karl fischer

였다

- 28 -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7

바닥 충격음 및 소음에 대한 시험은 여주군에 위치한 방재시험연구소에 의뢰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편을 제작하여 측정하였다 바닥 충격음 방지재 (save gum pad

를 사용한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 에 시험재료로 한양 시멘트 제품인6 t) (246 )

레미탈 을 사용하여 몰탈 바닥 넓이 로 작업한 후900 28 m times 42 m times 30

일 간 야외에서 양생하여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참조30 (Fig 6 )

바닥충격음시험은 건축물현장에 있어서의 바닥충격음측정방법 을KSF 2810 ( 1981)

적용하여 음원실 충격음발생실 과 수음실 충격음측정실 로 구성된 잔향실 사이 바( ) ( )

닥개구부에 시험체를 설치한 후 시험체위에서 충격음 경량 태핑 머신 및 중량충 (

격음 타이어 을 발생시켜 주파수범위의 대역별 바닥충격음 ) 63-4000 13 Octave

레벨 회를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하였다25

제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최근 건설 현장에 불기 시작한 주거환경의 쾌적화와 원적외선 방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도 원적외선 방사에 대한 시험을 시행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과 한국원적외선협회에 세라믹몰탈 옥석 맥반석

게르마늄석을 의뢰하여 방사율을 단파장인 영역인 에서 까지 측정하였다3 20

- 29 -

Fig 6 Present floor of impact sound insulation

- 3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1

화력발전소에서 부산물로 생성된 이수석고를 대전소재 쌍용 중앙연구소에서 rotary

을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소성된 석고를kiln X - Ray Diffractometer (XRD Rigaku

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수석고는DMAX-2500) Fig 7

에서는150~200 CaSO 4 2Hㆍ 2 가O CaSO4 12Hㆍ 2 로 변하고 에서O 350 CaSO 4

의 피크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그후 온도를 올림에 따라 무수석고의 결정성이 좋

아짐을 알 수 있었다 참조(Fig 7 )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2

으로 확인한 결과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국산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ig 3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로 단단한 모양으로 균일하게70

구성되어 있는 반면 의 독일산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 Fig 4 70

의 크기가 소수 분포와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분포175

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체로 한 결 -200 mesh sieving

과를 보면 정도의 가 큰 덩어리가 남아 있었다10 size

가 큰 덩어리를 로 확인한 결과 석고로 판명되었다 에서 보면 독일Size XRD Fig 8

산 최초 석고인 BW CaSO4 과 후의 의(GER)-3 sieving XRD pattern BW

CaSO4 와 동일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들은 결과와 결과로(G+200M)-4 XRD TGA

보면 모두 CaSO4로 판명되었다

에서 분쇄된 무수석고의 입자분포도를 보기 위하여Roller mill particle size

로 측정범위 측정 분산매analyzer 01-180 lens focal depth 100 methyl

를 사용하여 초음파 분산 방법으로 입도 분포도를 얻어 에 실었다alcohol Fig 9

- 31 -

Fig7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each gypsum in sintering condition

- 32 -

Fig8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gypsum after sieving

- 33 -

Fig 9 Particle distribution chart of gypsum

- 34 -

에서의 입자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이하의 분포도가 전체의 를Fig 9 5 87

차지하고 있는 반면 마이크론미터 이상이 전체의 밖에 차지하고 있음을 알10 3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보면 외국산 석고에 비해 공정에서는 보다 나 self - leveling

은 작업성과 물성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3

분석방법 등으로 분석한 결과 에서 보OES AAS ICPAES Wet Analysis Table 2

는 바와 같이 독일산석고와 국산석고의 분석결과가 화학성분에서는 아주 유사하다

그러나 독일산 석고에 규사만이 함유되어 있는 것에 비해 국산 석고에는16 wt

규사가 로 작게 함유되어 있었다 이는 원재료의 광산에 함유된 규사에096 wt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석고에 대한 분석 결과를 CAS( ) Table 3

에 실었다 에서 보면 라파석고에 인이 포함되어 있는 반면 인 Table 3 00072 wt

산무수 석고에는 로 많이 포함되어 있어 제조시 인산무0024 wt self- leveling

수 석고를 사용한 결과가 나쁘게 나타났다고 추정되며 지지용 철근의self-leveling

부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이므로 인산석고의 사용을 피함이 좋을 것이다

인산무수 석고는 자체에서 산성 성분을 용출함으로서 콘크리트 중에 함유된 알칼리

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을 혼입시키어 철근을 활성화

상태로 만들고 이로 인해 부식하기 쉽게 된다

- 35 -

Table 2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 36 -

Table 3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and Binder

- 37 -

제 절 특수 첨가재4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의 양을 변화시O 89 g -α

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4

Table 4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a -gypsum

에서 보면 석고의 함량을 증가할수록 초결시간은 빨라지지만 수분증발시Table 4 -α

간이 느리고 기존레벨라보다 종결시간이 느린 것을 보아 석고만을 첨가한다는-α

것은 의미가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화시키

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5

Table 5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LiCO3

- 38 -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기존레벨라에는 이미Table 5 LiCO3이 인 이 포014 042g

함되어 있어 순으로 첨가하였으나 첨가 양에 따른 초결상태의 변화0 15 30 g

는 없었으나 종결상태는 조금씩 첨가 양이 많아지면서 조금씩 지연되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O 89 g CAS ( )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과 같다Table 6

Table 6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CAS

에서 보면 를 씩 증가하면서 첨가함에 따라 초결상태와Table 6 CAS 0 10 20 g

종결상태가 보다 급격히 빨라짐을 알 수 있었다 즉 경화 속도에 의Table 4 5 CAS

함유량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에서 사용한 첨가제를 모두 혼합하여 기존의 재Table 4 5 6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비교해보면O 89 g Table

과 같다7

- 39 -

Table 7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and CAS

에서 보는 것처럼 기존의 재Table 7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O 89 g

라에 석고와- LiCOα 3 만을 혼합하였을 때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의 양을 CAS

증가시키면서 함께 첨가할 수록 경화시간은 단축되었다

에 알미나 포틀랜드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Table 7 (AI-PC)

비교해보면 과 같다Table 8

기존의 재self-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보면 에서 보는 것처럼AI-PC Table 8

함량이 높을수록 경화시간은 너무 단축되어 그만큼 작업하는 시간이 촉박하AI-PC

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모든 결과를 종합해보면 응결시간은 온도와 습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실험할 때마다

기존레벨라를 비교하여 시험했다 가 가장 경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만 입자 CAS

가 뭉쳐 있어 혼합이 잘되지 않았다 그 결과 건조시 표면이 분화구처럼 돌출된 부

분이 많이 생겨났다

- 40 -

Table 8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CAS and Al-PC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5

급결제에 대한 성분 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는 와 같다 중탕Table 9

에서 증발시킨 후 의 잔유물에 대한 분석 결과(100 ) 50 wt Si 438 wt Na

로 나타났다 결정성과 구조분석을 위하여 로 확인한102 wt K 177 wt XRD

결과는 무결정 으로 피크가 나타나지 안했다 법으로 물을(amorphous) Karl fischer

분석시에도 가 잘 나타나지 안해 분석을 할 수 없었다 화학적 결합상태end-point

를 알아보기위해 을 이용하여 해석해본 결과IR Na2SiO3 H2 와O 50 wt 50 wt

의 H2 가 공존함을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O Na2SiO3 H2 와 의O 50 wt 50 wt

H2 를 함께 사용하기로 결정하였고 건설 현장에 시공 또는 제품 생산에 위와 같O

은 혼합비율을 적용하였다

- 41 -

Table 9 Chemical Composition of RCM300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6

측정된 충격음레벨은 ISO 140 Part 6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을 준용하여 수음실 기준 흡음력 에 대한sound insulation of Floors 1978) (10 )

보정 값으로 환산하였다(Table 10)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나타내는 수음실의 바닥충격음레벨 (Ln 은 다음 식 으로) (1)

구하였다

여기서

Ln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흡음력보정 바닥충격음레벨 j ( )

충격음위치 지점수m

상기 식 의 각 충격음 위치마다의 바닥충격음레벨의 평균값(1) (Lj 은 다음식 에) (2)

따라 산출하였다

- 42 -

Table 10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sound insulation of floor

- 43 -

여기서

Lj 수음실내 측정점 에서의 바닥충격음레벨 i ( )

측정점의 수n

또한 상기 바닥충격음레벨 평균값 (Lj 은 수음실의 흡음력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

므로 를 준용 이를 기준흡음력 에 대한 값ISO 140 Part6 (978) (10 ) (L nj 으로)

환산하였으며 그 산출식은 식 과 같다 (3)

여기서

L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평균 바닥충격음레벨 j ( )

AO 기준흡음력 (10 )

수음실 측정실 용적V ( ) ( )

수음실 측정실 잔향시간 초T ( ) ( )

에서 보면 기준판과 시험체의 경량충격음은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Table 10

충격음이 증가하다가 완만한 곡선을 나타내는 반면 중량충격음의 결과를 보면 주파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충격음이 계속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경량 충격음은 음원이 태핑머신인 관계로 주파수 변화에 따른

파장의 작고 큼에 별 영향을 주지 않지만 중량 충격음은 음원이 타이어임으로 고주

파대로 갈수록 파장이 작아서 투과 여건이 적은 관계에 기인함을 알 수 있다 본

바닥충격음과 소음에 대한 실험 결과 기존 시멘트몰탈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

믹몰탈간에 바닥충격음과 소음의 차이는 크게 나지 않음으로 무시할 정도임을 알았

- 44 -

제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7

아래 은 바닥재 시공에 대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과 재래식 시Table 11

멘트몰탈과의 특징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연구연에서 분석한 세라믹구들의 분석 결과를 에Table 12

실었다 현 시험법에 따라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 등의 물성을 공인된 한국건자 KS

재연구원에 의뢰한 결과 압축강도면에서 이 넘는 결과가 나왔으며 다른400 f

물성 또한 기준 물성값을 초과하는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에서 보는 것과 Table 12

같이 길이변화율은 일 경과 후 로서 거의 변화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28 -0046

며 이를 미루어 보아 시멘트몰탈의 수축 팽창에 기인되는 균열 원인을 해결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45 -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 구들의 비교Table 11

구분 단위 재래식 시멘트몰탈 본 제품 세라믹구들( )

시공후상태

몰탈층

바탕면의 균열 발생-바탕면의 평활 수평 이 없다- (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없다-공정 회 이 복잡하다- (3-4 )많은면적을 시공할 수 없다-양생시간이 길다 일- (3-7 )하자 보수비가 필요하다-시멘트 독성에 따른 인체에-해로움

바탕면의 균열이 없다- 바탕면의 평활 수평 성이 양호- ( )일정한 두께유지-공정이 단순 회공정 하다- (1 )많은 면적을 시공할 수 있다-양생시간이 짧다 일- (1 )하자보수비가 필요없다-건강보조기능-항균성 무독성 원적외선( )마감재 시공이 용이하다-에너지절감 효과가 크다-열전도율 및 축열기능이 좋다-차음 방음 효과가 우수하다- ( )건축물의 경량화-

세라믹 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시험 검사 방법 ( ) KS L 5105-97 KS L 5104-96 KS L 5207-rsquo99 KS F2424-rsquo95 KS L 1592 rsquo95시험원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시험일자 2000 OS 09 ~ 09 15

- 46 -

제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석회 광물은 마그네시아 광물과 함께 중요한 조암광물로서 천연에서는 산화물(CaO)

로는 존재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탄산염 황산염 또는 규산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석회질 원료로는 석회석 돌로마이트 형석 석고 규회석 등이었으며 이중 석회석

(CaCO3 과 석고)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만을 에 나타내었다 원적) Fig 10 11

외선 발열체와 세라믹 발열체가 있다 원석 발열체로는 맥반석 게르마늄석 옥석

황토 등이 있다 원적외선의 온열효과는 피부표면에 복사된 원적외선은 인체 중 물

의 진동 파장과 거의 비슷하며 공진 작용으로 일반열이 도달할 수 없는 부위( )共振

까지 도달하게 한다 이러한 심달력은 피하층의 온도상승 미세혈관의 확장 혈액순

환 촉진 선진대사강화 혈류 장해 해소 조직의 재생능력 증가 결련예방 및 암치

료 효과 등의 의학적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혈행이 좋아짐으로서

정상체온 유지 스트레스 해소 소화촉진 근육통 해소 피부 색깔 정상화 꺼칠한

눈이 부드러워지고 감기 예방효과 조직 내에 쌓여 있던 노폐물의 분비도 촉진된

다 또한 세포에 필요로 하는 영양소와 산소를 정상적으로 공급받게 되어 세포와

조직이 활력을 되찾게 되고 적당한 원적외선 활용은 세포의 노화를 막아주는 효과

를 볼 수 있다 원적외선 부작용 없는 건강유지와 질병의 예방치료적 기 (氣

라고 할 수 있다energy)

석회석은 시멘트의 주원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전방사율은 약 정도를085

보이고 있으나 이후와 단파장 영역쪽에 불안정한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보이20

고 있다 이는 공기 중의 습기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그 조성이 일부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시멘트를 측정하여 비교Fig 10 11

한 결과에서는 다소 석회석 자체원료를 측정한 것이 방사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CaSO4 는 외국에서 천연으로 산출된 것과 본 연구에서 제조한 배연 탈황석고)

모두 원적외선 방사특성에 있어서는 석회석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특히

부근에서의 약간의 골이 생겨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87

- 47 -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48 -

석고Fig 11 (CaSO4 의 원작외선 방사특성)

- 49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의 방사율은 에 실었다 현재 원적외선이 다Fig 12

량 방사되는 게르바늄석 참조 옥석 참조 맥반석 참조(Fig 13 ) (Fig 14 ) (Fig 15 )

등에 비해서 같은 수준의 방사에너지 및 방사율이 발현됨을 공인된 시험기간에 의

해서 입증되었다 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를 Fig16 3~20

파장 영역에서 방사특성을 나타내었다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는 이상흑체에

서 방사되는 특성과 같은 모양을 방출하고 있습을 알았다 따라서 세라믹구들은 건

강친화적인 면만 아니라 여러 가지 가능을 가진 차세대 온돌용 세라믹구들이라고

할 수 있다

제 절 현장 시공9

본 세라믹구들의 최적화 조건 조성 및 현장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차로 경기도 광1

주 소재 동심주택 제 차 그린타운 세대를 시험 시공한 바 있으며 위 결과를 토9 19

대로 최적화된 조건에 따라 안양 재건축현장 및 기홍 목조주택 등에 실용화 시공하

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Fig 17

필름 한 장을 깔고 그 위에 외경의 폴리에틸렌 엑셀파이프를 배관한 후 세라15

믹 구들로 타설한 후 수평을 잡으면서 두께를 로 일정하게 하였다40

시멘트 제품은 응결 경화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균열이 발생되

면 더 커지면서 계속 퍼져나가는 경향을 나타낸다 여러 종류의 균열 보수기법이

현재 마련되어 있으나 완벽한 균열 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 보수 후에도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 보수로 인해 외관의 불량 균열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로 시공한 결과는 상기와 같

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할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연구에 의해 일반 콘크리트에도 적

용할 경우 그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균열을 방지함으로서 방

수 강도저하 철근부식 등 내구성저하를 막으므로 고품질의 구조물 공사가 될 것으

로 예상된다

- 50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 51 -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 52 -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 53 -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17 -

그러나 본 제품을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하므로 그 파

급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된다

경제적 측면에서 보면 국내 석고 소비량은 연간 만톤으로 선진국의 연간 소비600

율 에도 못 미치는 실정이다 또한 국내에는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10

실정으로 해외에서 톤당 만원 정도의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볼16

때 품질이 좋고 가격이 싼 발전용 배연 탈황 석고의 공급은 국내 관련 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국내 발전용 배연 탈황 석고의 공급이

서기 년도에 이르면 약 만톤으로 국내 석고 수요량 만톤의 약 정2000 110 600 18

도는 충당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진다

현재 아파트 및 오피스텔 공사 등이 전국적으로 그 물량이 대단히 많으나 모든 미

장 마감층에 균열이 생기고 평활도의 문제가 발생되고 있어 입주 전에 균열 보수

재료에 의해 보수를 실시하고 있으나 완전 보수가 불가능하여 입주 후 많은 세대수

에서 하자보수로 인한 손실이 매우 큰 실정이다 또한 바닥면이 수평을 이루지 못

하여 가구 등의 제품에 뒤틀림 등으로 생활에 불편함을 제공하고 있다

본 제품은 상기와 같은 모든 문제점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훨씬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건비 절감 공기 단축 국내의 산업폐기물의 유효이용 차원에서

건축재료로의 활용은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시멘트 건축재 생산업체들을 중심으로 아파트 온돌 부위와 목재 위에 박막

또는 후막으로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용도의 세라믹몰탈 등의 상품화는 년간 500

억원 규모의 사업화가 가능할 것이며 또한 특수 의 개발은 연간 약 억 binder 150

원의 시장 창출이 예측된다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 보면 현대 산업의 고도화 및 복잡화로 환경 오염을 초래하

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각종 환경매체에 대한 환경 오염이 극심해지

고 있는 실정이어서 환경 오염 방지 및 환경보존 개선을 위한 규제가 점점 강화되

고 있다 특히 대기오염 생태계 파괴 등 환경과 보건에 심각한 위해가 초래됨으로

써 규제도 본격화하게 되었다

- 18 -

이산화유황으로 오염된 화력발전소의 배기가스는 석회함수물 또는 석회액과의 화학

적 반응을 통해 탈황된다 이로 인해 산성비 에 대한 원인은 제거된다 이런 중요 ldquo rdquo

한 환경기술적 조치의 반응생산물인 부산석고를 건축 자재로 사용함으로서 대기 환

경보존을 할 수 있다는 차원에서 금액으로 환산할 수 없는 중대한 기여를 할 것이

다 또한 내장 박막 이하 후막 등을 미려하게 함은 mortar(50 ) (5 ) (1O-15 )

물론 수축 팽창 균열 등을 방지함으로 풍요로운 생활공간을 제공할 것이다

위와 같은 평가 기술은 국내 최고의 분석 평가 기관인 특성분석센터와 세라믹KIST

스 연구부 및 주 범우에서 이미 확보되어 있고 국제적으로도 상당한 경쟁력을 갖( )

추고 있다 매우 불활성인 무수석고를 약 시간만에 경화가 시작되도록 활성화하는 2

즉 정해진 특성들을 가진 건축자재를 생산하는 두 가지 방식이 있다 그중 한 방법

은 미세하게 분쇄한 후 풀어짐을 촉진하는 소량의 자극제 즉 분산제의 첨가이며

다른 한 방법은 몰탈 준비 때보다 강력한 혼합을 요구하는 무수석고의 생산이REA

절실히 필요하다

- 19 -

제 장 실 험2

제 절 배연탈황1

화력 발전소에서 부산물로 생성되는 이수석고의 주요 반응은 의 현탁액과limestone

연소가스를 역류 세정시키면서 일어난다 이것은 아래에 열거한 것과 같은 확산과

화학반응으로 구분되어 진행된다

기 액 경계면에 이르기까지의 을 통한- gas film SO① 2의 확산

SO② 2가 상태가 되는aqueous dissolution

상태의Aqueous SO③ 2가 되어hydration H2SO3로 되고 이것이 H+ 와 HSO3-로 존

재하게 됨

HSO④ 3-가 분리되어 SO3

-를 형성함

용역내의 CaCO⑤ 3는 상태로 되고 이것은 다시aqueous dissolution H+이온과 반응

하여 Ca2+ 와 HSO3-를 형성함

및 과정에서 생성된 Ca⑥ ④ ⑤ 2+와 SO32-그리고 물이 반응하여 CaSO3ㆍ12H2 가O

형성됨

CaSO⑦ 3ㆍ12H2 는 물과 물속에 녹아있는 산소와 결합하여O CaSO4 2Hㆍ 2 를 형O

성함

- 20 -

반응식Total

이와 같은 반응들의 반응속도를 비교하여 볼 때 의 단계는 비교적 빠 ③ ④ ⑥ ⑦

른 반응이 되고 제어단계는 크게 가스확산 액체 내에서의 SO2 확산 석회석의

등 단계로 압축시킬 수 있다 위의 메카니즘 가운데 이온들의 화학반응dissolution 3

을 로 규명하기도 한다 이것은 기 액 경계면을 중심으two-reaction-planes model -

로 액체쪽으로 개의 을 설정하고 각각의 다른 반응이 일어난다는 것2 reaction plan

이다

제 절 석고 소성2

전항에서 만들어진 이수석고에 함유된 부착수분과 결정수분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

기로와 열질량분석기 를(thermogravimetric analyzer TGA Perkin-Elmer TGS-2)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에서 보면 공기 중에서 일 방치한 이수석고 중 Fig 1 2 18

정도가 되면 대부분 휘발성 물질들이 날아가서 무게가 정도 감소되었60 5 wt

다 다시 정도가 될 때까지 결정 수분이 정도 감소되었고 190 18 wt 700

가 될 때까지 정도가 휘발되어 날아가 전체 무게 감소는 되고2 wt 25 wt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휘발되는 것이 없이 일정한 무게를 유지하였다 전기로에서

실험한 결과도 부착수분이 건조감량이 로 전체 무게 감소율121 wt 109 wt

은 이였다 이수석고를 세라믹용기 및 용기에 각각230 wt stainless steel 500

씩 분취하여g 150 (2 hrs) 200 (1~2 hrs) 350 (1 hr) 420 (1 hr)

로 유지한 전기로에서 각각 소성하였500 (1 hr) 650 (15 hr) 750 (1 hr)

다 소성 후 를 사용하여 소성 X-Ray Diffractometer (XRD Rigaku DMAX-2500)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CaSO4 2Hㆍ 2 를 대량 소성하기 위하여O

에stainless steel port CaSO4 2H2 씩을 넣고 를 아래와 같O 2 conveyor furnace

은 조건 을 유지하면서 대전 소재 쌍용중앙연구소에서 시간 연속 실험하(Fig 2) 24

였다

- 21 -

Fig 1 TGA thermal curve of gypsum

- 22 -

Fig 2 Flow diagram of gypsum sintering system

- 23 -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3

에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석고에 대하여 표면형상을 관찰하였다Self-leveling

조건으로 국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Hitachi S-4200) 150

산 석고등의 입자를 조사한 결과는 과 에서 보는 바와 같다 과Fig 3 Fig 4 Fig 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국산석고의 크기가 독일산 석고보다 크나 분쇄를 잘하Fig 4

면 공정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추정된다self-leveling

의 입자가 큰 국산석고를 에서 분 분쇄 후 사진 의 결Fig 3 mortar 20 SEM (Fig5)

과를 보면 독일산 석고와 아주 유사한 형태와 로 변하였다 그러므로 분쇄 공정size

만 잘 진행하면 국산 석고도 외국산 석고에 비해 제조에 손색없음을self-leveling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 무수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를 위하여 쌍용연구소의 연속분쇄기

를 사용하여 분쇄하였다 분쇄 조건은 압력(roller mill) roller 6 feeding RPM

시료 투입량 등으로 무수석고를 연속 분쇄하였40 separator RPM 880 6 hr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4

국내산 석고와 외국산 석고들에 대한 화학성분 분석을 위하여 Optical Emission

로 정성분석한 후Spectrometer(OES TJA Atomcomp 81) Atomic Absorption

Sepctrophotometer(AAS Perkin Elmer 5000) 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meter(ICPAES Perkin Elmer Elan 5000) Wet

분석방법 등으로 국산 석고와 외국산 석고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Analysis(WET)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 석고에 대하여도 위에서 분석한 CAS( )

것과 같이 등의 방법으로 성분분석을 하여 석고의 품질OES AAS ICPAES WET

및 특성등을 파악하였다

- 24 -

Fig3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 25 -

Fig4 SEM photograph of germany gypsum

- 26 -

Fig5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after grinding

- 27 -

제 절 특수 첨가재5

기존의 재 에self- leveling 300 g H2 을 혼합한 후 아래와 같은 여러 종류의O 89 g

첨가재를 첨가하면서 초결 종결 등의 경화 응결 및 플로값 등의 물리적인 성질을

측정하였다

또한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

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기존의 재 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O 89g CAS ( )

때의 물리적인 특성뿐 아니라 알미나 포틀랜드 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AI-PC)

때의 물리적인 특성도 비교하였다

가존의 재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 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위에서 측정한 경우와 서로 비교하AI-PC

여 보았다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6

재 제조시 적절한 응결을 위하여 급결제을 사용하는데 통상 물유리를Self -leveling

많이 사용함을 본 연구에서 알았다 급결제의 성분 분석을 위하여 wet analysis

등을 사용하였으며 구조분석을 위하여는 와 을 사용하였OES AAS ICPAES XRD IR

다 법으로는 석고중에 함유되어 있는 물의 함량을 분석하는데 사용하 Karl fischer

였다

- 28 -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7

바닥 충격음 및 소음에 대한 시험은 여주군에 위치한 방재시험연구소에 의뢰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편을 제작하여 측정하였다 바닥 충격음 방지재 (save gum pad

를 사용한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 에 시험재료로 한양 시멘트 제품인6 t) (246 )

레미탈 을 사용하여 몰탈 바닥 넓이 로 작업한 후900 28 m times 42 m times 30

일 간 야외에서 양생하여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참조30 (Fig 6 )

바닥충격음시험은 건축물현장에 있어서의 바닥충격음측정방법 을KSF 2810 ( 1981)

적용하여 음원실 충격음발생실 과 수음실 충격음측정실 로 구성된 잔향실 사이 바( ) ( )

닥개구부에 시험체를 설치한 후 시험체위에서 충격음 경량 태핑 머신 및 중량충 (

격음 타이어 을 발생시켜 주파수범위의 대역별 바닥충격음 ) 63-4000 13 Octave

레벨 회를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하였다25

제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최근 건설 현장에 불기 시작한 주거환경의 쾌적화와 원적외선 방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도 원적외선 방사에 대한 시험을 시행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과 한국원적외선협회에 세라믹몰탈 옥석 맥반석

게르마늄석을 의뢰하여 방사율을 단파장인 영역인 에서 까지 측정하였다3 20

- 29 -

Fig 6 Present floor of impact sound insulation

- 3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1

화력발전소에서 부산물로 생성된 이수석고를 대전소재 쌍용 중앙연구소에서 rotary

을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소성된 석고를kiln X - Ray Diffractometer (XRD Rigaku

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수석고는DMAX-2500) Fig 7

에서는150~200 CaSO 4 2Hㆍ 2 가O CaSO4 12Hㆍ 2 로 변하고 에서O 350 CaSO 4

의 피크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그후 온도를 올림에 따라 무수석고의 결정성이 좋

아짐을 알 수 있었다 참조(Fig 7 )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2

으로 확인한 결과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국산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ig 3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로 단단한 모양으로 균일하게70

구성되어 있는 반면 의 독일산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 Fig 4 70

의 크기가 소수 분포와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분포175

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체로 한 결 -200 mesh sieving

과를 보면 정도의 가 큰 덩어리가 남아 있었다10 size

가 큰 덩어리를 로 확인한 결과 석고로 판명되었다 에서 보면 독일Size XRD Fig 8

산 최초 석고인 BW CaSO4 과 후의 의(GER)-3 sieving XRD pattern BW

CaSO4 와 동일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들은 결과와 결과로(G+200M)-4 XRD TGA

보면 모두 CaSO4로 판명되었다

에서 분쇄된 무수석고의 입자분포도를 보기 위하여Roller mill particle size

로 측정범위 측정 분산매analyzer 01-180 lens focal depth 100 methyl

를 사용하여 초음파 분산 방법으로 입도 분포도를 얻어 에 실었다alcohol Fig 9

- 31 -

Fig7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each gypsum in sintering condition

- 32 -

Fig8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gypsum after sieving

- 33 -

Fig 9 Particle distribution chart of gypsum

- 34 -

에서의 입자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이하의 분포도가 전체의 를Fig 9 5 87

차지하고 있는 반면 마이크론미터 이상이 전체의 밖에 차지하고 있음을 알10 3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보면 외국산 석고에 비해 공정에서는 보다 나 self - leveling

은 작업성과 물성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3

분석방법 등으로 분석한 결과 에서 보OES AAS ICPAES Wet Analysis Table 2

는 바와 같이 독일산석고와 국산석고의 분석결과가 화학성분에서는 아주 유사하다

그러나 독일산 석고에 규사만이 함유되어 있는 것에 비해 국산 석고에는16 wt

규사가 로 작게 함유되어 있었다 이는 원재료의 광산에 함유된 규사에096 wt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석고에 대한 분석 결과를 CAS( ) Table 3

에 실었다 에서 보면 라파석고에 인이 포함되어 있는 반면 인 Table 3 00072 wt

산무수 석고에는 로 많이 포함되어 있어 제조시 인산무0024 wt self- leveling

수 석고를 사용한 결과가 나쁘게 나타났다고 추정되며 지지용 철근의self-leveling

부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이므로 인산석고의 사용을 피함이 좋을 것이다

인산무수 석고는 자체에서 산성 성분을 용출함으로서 콘크리트 중에 함유된 알칼리

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을 혼입시키어 철근을 활성화

상태로 만들고 이로 인해 부식하기 쉽게 된다

- 35 -

Table 2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 36 -

Table 3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and Binder

- 37 -

제 절 특수 첨가재4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의 양을 변화시O 89 g -α

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4

Table 4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a -gypsum

에서 보면 석고의 함량을 증가할수록 초결시간은 빨라지지만 수분증발시Table 4 -α

간이 느리고 기존레벨라보다 종결시간이 느린 것을 보아 석고만을 첨가한다는-α

것은 의미가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화시키

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5

Table 5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LiCO3

- 38 -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기존레벨라에는 이미Table 5 LiCO3이 인 이 포014 042g

함되어 있어 순으로 첨가하였으나 첨가 양에 따른 초결상태의 변화0 15 30 g

는 없었으나 종결상태는 조금씩 첨가 양이 많아지면서 조금씩 지연되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O 89 g CAS ( )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과 같다Table 6

Table 6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CAS

에서 보면 를 씩 증가하면서 첨가함에 따라 초결상태와Table 6 CAS 0 10 20 g

종결상태가 보다 급격히 빨라짐을 알 수 있었다 즉 경화 속도에 의Table 4 5 CAS

함유량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에서 사용한 첨가제를 모두 혼합하여 기존의 재Table 4 5 6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비교해보면O 89 g Table

과 같다7

- 39 -

Table 7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and CAS

에서 보는 것처럼 기존의 재Table 7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O 89 g

라에 석고와- LiCOα 3 만을 혼합하였을 때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의 양을 CAS

증가시키면서 함께 첨가할 수록 경화시간은 단축되었다

에 알미나 포틀랜드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Table 7 (AI-PC)

비교해보면 과 같다Table 8

기존의 재self-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보면 에서 보는 것처럼AI-PC Table 8

함량이 높을수록 경화시간은 너무 단축되어 그만큼 작업하는 시간이 촉박하AI-PC

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모든 결과를 종합해보면 응결시간은 온도와 습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실험할 때마다

기존레벨라를 비교하여 시험했다 가 가장 경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만 입자 CAS

가 뭉쳐 있어 혼합이 잘되지 않았다 그 결과 건조시 표면이 분화구처럼 돌출된 부

분이 많이 생겨났다

- 40 -

Table 8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CAS and Al-PC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5

급결제에 대한 성분 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는 와 같다 중탕Table 9

에서 증발시킨 후 의 잔유물에 대한 분석 결과(100 ) 50 wt Si 438 wt Na

로 나타났다 결정성과 구조분석을 위하여 로 확인한102 wt K 177 wt XRD

결과는 무결정 으로 피크가 나타나지 안했다 법으로 물을(amorphous) Karl fischer

분석시에도 가 잘 나타나지 안해 분석을 할 수 없었다 화학적 결합상태end-point

를 알아보기위해 을 이용하여 해석해본 결과IR Na2SiO3 H2 와O 50 wt 50 wt

의 H2 가 공존함을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O Na2SiO3 H2 와 의O 50 wt 50 wt

H2 를 함께 사용하기로 결정하였고 건설 현장에 시공 또는 제품 생산에 위와 같O

은 혼합비율을 적용하였다

- 41 -

Table 9 Chemical Composition of RCM300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6

측정된 충격음레벨은 ISO 140 Part 6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을 준용하여 수음실 기준 흡음력 에 대한sound insulation of Floors 1978) (10 )

보정 값으로 환산하였다(Table 10)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나타내는 수음실의 바닥충격음레벨 (Ln 은 다음 식 으로) (1)

구하였다

여기서

Ln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흡음력보정 바닥충격음레벨 j ( )

충격음위치 지점수m

상기 식 의 각 충격음 위치마다의 바닥충격음레벨의 평균값(1) (Lj 은 다음식 에) (2)

따라 산출하였다

- 42 -

Table 10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sound insulation of floor

- 43 -

여기서

Lj 수음실내 측정점 에서의 바닥충격음레벨 i ( )

측정점의 수n

또한 상기 바닥충격음레벨 평균값 (Lj 은 수음실의 흡음력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

므로 를 준용 이를 기준흡음력 에 대한 값ISO 140 Part6 (978) (10 ) (L nj 으로)

환산하였으며 그 산출식은 식 과 같다 (3)

여기서

L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평균 바닥충격음레벨 j ( )

AO 기준흡음력 (10 )

수음실 측정실 용적V ( ) ( )

수음실 측정실 잔향시간 초T ( ) ( )

에서 보면 기준판과 시험체의 경량충격음은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Table 10

충격음이 증가하다가 완만한 곡선을 나타내는 반면 중량충격음의 결과를 보면 주파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충격음이 계속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경량 충격음은 음원이 태핑머신인 관계로 주파수 변화에 따른

파장의 작고 큼에 별 영향을 주지 않지만 중량 충격음은 음원이 타이어임으로 고주

파대로 갈수록 파장이 작아서 투과 여건이 적은 관계에 기인함을 알 수 있다 본

바닥충격음과 소음에 대한 실험 결과 기존 시멘트몰탈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

믹몰탈간에 바닥충격음과 소음의 차이는 크게 나지 않음으로 무시할 정도임을 알았

- 44 -

제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7

아래 은 바닥재 시공에 대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과 재래식 시Table 11

멘트몰탈과의 특징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연구연에서 분석한 세라믹구들의 분석 결과를 에Table 12

실었다 현 시험법에 따라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 등의 물성을 공인된 한국건자 KS

재연구원에 의뢰한 결과 압축강도면에서 이 넘는 결과가 나왔으며 다른400 f

물성 또한 기준 물성값을 초과하는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에서 보는 것과 Table 12

같이 길이변화율은 일 경과 후 로서 거의 변화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28 -0046

며 이를 미루어 보아 시멘트몰탈의 수축 팽창에 기인되는 균열 원인을 해결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45 -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 구들의 비교Table 11

구분 단위 재래식 시멘트몰탈 본 제품 세라믹구들( )

시공후상태

몰탈층

바탕면의 균열 발생-바탕면의 평활 수평 이 없다- (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없다-공정 회 이 복잡하다- (3-4 )많은면적을 시공할 수 없다-양생시간이 길다 일- (3-7 )하자 보수비가 필요하다-시멘트 독성에 따른 인체에-해로움

바탕면의 균열이 없다- 바탕면의 평활 수평 성이 양호- ( )일정한 두께유지-공정이 단순 회공정 하다- (1 )많은 면적을 시공할 수 있다-양생시간이 짧다 일- (1 )하자보수비가 필요없다-건강보조기능-항균성 무독성 원적외선( )마감재 시공이 용이하다-에너지절감 효과가 크다-열전도율 및 축열기능이 좋다-차음 방음 효과가 우수하다- ( )건축물의 경량화-

세라믹 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시험 검사 방법 ( ) KS L 5105-97 KS L 5104-96 KS L 5207-rsquo99 KS F2424-rsquo95 KS L 1592 rsquo95시험원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시험일자 2000 OS 09 ~ 09 15

- 46 -

제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석회 광물은 마그네시아 광물과 함께 중요한 조암광물로서 천연에서는 산화물(CaO)

로는 존재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탄산염 황산염 또는 규산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석회질 원료로는 석회석 돌로마이트 형석 석고 규회석 등이었으며 이중 석회석

(CaCO3 과 석고)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만을 에 나타내었다 원적) Fig 10 11

외선 발열체와 세라믹 발열체가 있다 원석 발열체로는 맥반석 게르마늄석 옥석

황토 등이 있다 원적외선의 온열효과는 피부표면에 복사된 원적외선은 인체 중 물

의 진동 파장과 거의 비슷하며 공진 작용으로 일반열이 도달할 수 없는 부위( )共振

까지 도달하게 한다 이러한 심달력은 피하층의 온도상승 미세혈관의 확장 혈액순

환 촉진 선진대사강화 혈류 장해 해소 조직의 재생능력 증가 결련예방 및 암치

료 효과 등의 의학적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혈행이 좋아짐으로서

정상체온 유지 스트레스 해소 소화촉진 근육통 해소 피부 색깔 정상화 꺼칠한

눈이 부드러워지고 감기 예방효과 조직 내에 쌓여 있던 노폐물의 분비도 촉진된

다 또한 세포에 필요로 하는 영양소와 산소를 정상적으로 공급받게 되어 세포와

조직이 활력을 되찾게 되고 적당한 원적외선 활용은 세포의 노화를 막아주는 효과

를 볼 수 있다 원적외선 부작용 없는 건강유지와 질병의 예방치료적 기 (氣

라고 할 수 있다energy)

석회석은 시멘트의 주원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전방사율은 약 정도를085

보이고 있으나 이후와 단파장 영역쪽에 불안정한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보이20

고 있다 이는 공기 중의 습기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그 조성이 일부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시멘트를 측정하여 비교Fig 10 11

한 결과에서는 다소 석회석 자체원료를 측정한 것이 방사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CaSO4 는 외국에서 천연으로 산출된 것과 본 연구에서 제조한 배연 탈황석고)

모두 원적외선 방사특성에 있어서는 석회석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특히

부근에서의 약간의 골이 생겨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87

- 47 -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48 -

석고Fig 11 (CaSO4 의 원작외선 방사특성)

- 49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의 방사율은 에 실었다 현재 원적외선이 다Fig 12

량 방사되는 게르바늄석 참조 옥석 참조 맥반석 참조(Fig 13 ) (Fig 14 ) (Fig 15 )

등에 비해서 같은 수준의 방사에너지 및 방사율이 발현됨을 공인된 시험기간에 의

해서 입증되었다 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를 Fig16 3~20

파장 영역에서 방사특성을 나타내었다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는 이상흑체에

서 방사되는 특성과 같은 모양을 방출하고 있습을 알았다 따라서 세라믹구들은 건

강친화적인 면만 아니라 여러 가지 가능을 가진 차세대 온돌용 세라믹구들이라고

할 수 있다

제 절 현장 시공9

본 세라믹구들의 최적화 조건 조성 및 현장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차로 경기도 광1

주 소재 동심주택 제 차 그린타운 세대를 시험 시공한 바 있으며 위 결과를 토9 19

대로 최적화된 조건에 따라 안양 재건축현장 및 기홍 목조주택 등에 실용화 시공하

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Fig 17

필름 한 장을 깔고 그 위에 외경의 폴리에틸렌 엑셀파이프를 배관한 후 세라15

믹 구들로 타설한 후 수평을 잡으면서 두께를 로 일정하게 하였다40

시멘트 제품은 응결 경화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균열이 발생되

면 더 커지면서 계속 퍼져나가는 경향을 나타낸다 여러 종류의 균열 보수기법이

현재 마련되어 있으나 완벽한 균열 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 보수 후에도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 보수로 인해 외관의 불량 균열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로 시공한 결과는 상기와 같

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할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연구에 의해 일반 콘크리트에도 적

용할 경우 그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균열을 방지함으로서 방

수 강도저하 철근부식 등 내구성저하를 막으므로 고품질의 구조물 공사가 될 것으

로 예상된다

- 50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 51 -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 52 -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 53 -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18 -

이산화유황으로 오염된 화력발전소의 배기가스는 석회함수물 또는 석회액과의 화학

적 반응을 통해 탈황된다 이로 인해 산성비 에 대한 원인은 제거된다 이런 중요 ldquo rdquo

한 환경기술적 조치의 반응생산물인 부산석고를 건축 자재로 사용함으로서 대기 환

경보존을 할 수 있다는 차원에서 금액으로 환산할 수 없는 중대한 기여를 할 것이

다 또한 내장 박막 이하 후막 등을 미려하게 함은 mortar(50 ) (5 ) (1O-15 )

물론 수축 팽창 균열 등을 방지함으로 풍요로운 생활공간을 제공할 것이다

위와 같은 평가 기술은 국내 최고의 분석 평가 기관인 특성분석센터와 세라믹KIST

스 연구부 및 주 범우에서 이미 확보되어 있고 국제적으로도 상당한 경쟁력을 갖( )

추고 있다 매우 불활성인 무수석고를 약 시간만에 경화가 시작되도록 활성화하는 2

즉 정해진 특성들을 가진 건축자재를 생산하는 두 가지 방식이 있다 그중 한 방법

은 미세하게 분쇄한 후 풀어짐을 촉진하는 소량의 자극제 즉 분산제의 첨가이며

다른 한 방법은 몰탈 준비 때보다 강력한 혼합을 요구하는 무수석고의 생산이REA

절실히 필요하다

- 19 -

제 장 실 험2

제 절 배연탈황1

화력 발전소에서 부산물로 생성되는 이수석고의 주요 반응은 의 현탁액과limestone

연소가스를 역류 세정시키면서 일어난다 이것은 아래에 열거한 것과 같은 확산과

화학반응으로 구분되어 진행된다

기 액 경계면에 이르기까지의 을 통한- gas film SO① 2의 확산

SO② 2가 상태가 되는aqueous dissolution

상태의Aqueous SO③ 2가 되어hydration H2SO3로 되고 이것이 H+ 와 HSO3-로 존

재하게 됨

HSO④ 3-가 분리되어 SO3

-를 형성함

용역내의 CaCO⑤ 3는 상태로 되고 이것은 다시aqueous dissolution H+이온과 반응

하여 Ca2+ 와 HSO3-를 형성함

및 과정에서 생성된 Ca⑥ ④ ⑤ 2+와 SO32-그리고 물이 반응하여 CaSO3ㆍ12H2 가O

형성됨

CaSO⑦ 3ㆍ12H2 는 물과 물속에 녹아있는 산소와 결합하여O CaSO4 2Hㆍ 2 를 형O

성함

- 20 -

반응식Total

이와 같은 반응들의 반응속도를 비교하여 볼 때 의 단계는 비교적 빠 ③ ④ ⑥ ⑦

른 반응이 되고 제어단계는 크게 가스확산 액체 내에서의 SO2 확산 석회석의

등 단계로 압축시킬 수 있다 위의 메카니즘 가운데 이온들의 화학반응dissolution 3

을 로 규명하기도 한다 이것은 기 액 경계면을 중심으two-reaction-planes model -

로 액체쪽으로 개의 을 설정하고 각각의 다른 반응이 일어난다는 것2 reaction plan

이다

제 절 석고 소성2

전항에서 만들어진 이수석고에 함유된 부착수분과 결정수분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

기로와 열질량분석기 를(thermogravimetric analyzer TGA Perkin-Elmer TGS-2)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에서 보면 공기 중에서 일 방치한 이수석고 중 Fig 1 2 18

정도가 되면 대부분 휘발성 물질들이 날아가서 무게가 정도 감소되었60 5 wt

다 다시 정도가 될 때까지 결정 수분이 정도 감소되었고 190 18 wt 700

가 될 때까지 정도가 휘발되어 날아가 전체 무게 감소는 되고2 wt 25 wt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휘발되는 것이 없이 일정한 무게를 유지하였다 전기로에서

실험한 결과도 부착수분이 건조감량이 로 전체 무게 감소율121 wt 109 wt

은 이였다 이수석고를 세라믹용기 및 용기에 각각230 wt stainless steel 500

씩 분취하여g 150 (2 hrs) 200 (1~2 hrs) 350 (1 hr) 420 (1 hr)

로 유지한 전기로에서 각각 소성하였500 (1 hr) 650 (15 hr) 750 (1 hr)

다 소성 후 를 사용하여 소성 X-Ray Diffractometer (XRD Rigaku DMAX-2500)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CaSO4 2Hㆍ 2 를 대량 소성하기 위하여O

에stainless steel port CaSO4 2H2 씩을 넣고 를 아래와 같O 2 conveyor furnace

은 조건 을 유지하면서 대전 소재 쌍용중앙연구소에서 시간 연속 실험하(Fig 2) 24

였다

- 21 -

Fig 1 TGA thermal curve of gypsum

- 22 -

Fig 2 Flow diagram of gypsum sintering system

- 23 -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3

에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석고에 대하여 표면형상을 관찰하였다Self-leveling

조건으로 국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Hitachi S-4200) 150

산 석고등의 입자를 조사한 결과는 과 에서 보는 바와 같다 과Fig 3 Fig 4 Fig 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국산석고의 크기가 독일산 석고보다 크나 분쇄를 잘하Fig 4

면 공정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추정된다self-leveling

의 입자가 큰 국산석고를 에서 분 분쇄 후 사진 의 결Fig 3 mortar 20 SEM (Fig5)

과를 보면 독일산 석고와 아주 유사한 형태와 로 변하였다 그러므로 분쇄 공정size

만 잘 진행하면 국산 석고도 외국산 석고에 비해 제조에 손색없음을self-leveling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 무수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를 위하여 쌍용연구소의 연속분쇄기

를 사용하여 분쇄하였다 분쇄 조건은 압력(roller mill) roller 6 feeding RPM

시료 투입량 등으로 무수석고를 연속 분쇄하였40 separator RPM 880 6 hr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4

국내산 석고와 외국산 석고들에 대한 화학성분 분석을 위하여 Optical Emission

로 정성분석한 후Spectrometer(OES TJA Atomcomp 81) Atomic Absorption

Sepctrophotometer(AAS Perkin Elmer 5000) 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meter(ICPAES Perkin Elmer Elan 5000) Wet

분석방법 등으로 국산 석고와 외국산 석고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Analysis(WET)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 석고에 대하여도 위에서 분석한 CAS( )

것과 같이 등의 방법으로 성분분석을 하여 석고의 품질OES AAS ICPAES WET

및 특성등을 파악하였다

- 24 -

Fig3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 25 -

Fig4 SEM photograph of germany gypsum

- 26 -

Fig5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after grinding

- 27 -

제 절 특수 첨가재5

기존의 재 에self- leveling 300 g H2 을 혼합한 후 아래와 같은 여러 종류의O 89 g

첨가재를 첨가하면서 초결 종결 등의 경화 응결 및 플로값 등의 물리적인 성질을

측정하였다

또한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

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기존의 재 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O 89g CAS ( )

때의 물리적인 특성뿐 아니라 알미나 포틀랜드 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AI-PC)

때의 물리적인 특성도 비교하였다

가존의 재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 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위에서 측정한 경우와 서로 비교하AI-PC

여 보았다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6

재 제조시 적절한 응결을 위하여 급결제을 사용하는데 통상 물유리를Self -leveling

많이 사용함을 본 연구에서 알았다 급결제의 성분 분석을 위하여 wet analysis

등을 사용하였으며 구조분석을 위하여는 와 을 사용하였OES AAS ICPAES XRD IR

다 법으로는 석고중에 함유되어 있는 물의 함량을 분석하는데 사용하 Karl fischer

였다

- 28 -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7

바닥 충격음 및 소음에 대한 시험은 여주군에 위치한 방재시험연구소에 의뢰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편을 제작하여 측정하였다 바닥 충격음 방지재 (save gum pad

를 사용한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 에 시험재료로 한양 시멘트 제품인6 t) (246 )

레미탈 을 사용하여 몰탈 바닥 넓이 로 작업한 후900 28 m times 42 m times 30

일 간 야외에서 양생하여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참조30 (Fig 6 )

바닥충격음시험은 건축물현장에 있어서의 바닥충격음측정방법 을KSF 2810 ( 1981)

적용하여 음원실 충격음발생실 과 수음실 충격음측정실 로 구성된 잔향실 사이 바( ) ( )

닥개구부에 시험체를 설치한 후 시험체위에서 충격음 경량 태핑 머신 및 중량충 (

격음 타이어 을 발생시켜 주파수범위의 대역별 바닥충격음 ) 63-4000 13 Octave

레벨 회를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하였다25

제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최근 건설 현장에 불기 시작한 주거환경의 쾌적화와 원적외선 방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도 원적외선 방사에 대한 시험을 시행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과 한국원적외선협회에 세라믹몰탈 옥석 맥반석

게르마늄석을 의뢰하여 방사율을 단파장인 영역인 에서 까지 측정하였다3 20

- 29 -

Fig 6 Present floor of impact sound insulation

- 3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1

화력발전소에서 부산물로 생성된 이수석고를 대전소재 쌍용 중앙연구소에서 rotary

을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소성된 석고를kiln X - Ray Diffractometer (XRD Rigaku

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수석고는DMAX-2500) Fig 7

에서는150~200 CaSO 4 2Hㆍ 2 가O CaSO4 12Hㆍ 2 로 변하고 에서O 350 CaSO 4

의 피크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그후 온도를 올림에 따라 무수석고의 결정성이 좋

아짐을 알 수 있었다 참조(Fig 7 )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2

으로 확인한 결과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국산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ig 3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로 단단한 모양으로 균일하게70

구성되어 있는 반면 의 독일산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 Fig 4 70

의 크기가 소수 분포와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분포175

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체로 한 결 -200 mesh sieving

과를 보면 정도의 가 큰 덩어리가 남아 있었다10 size

가 큰 덩어리를 로 확인한 결과 석고로 판명되었다 에서 보면 독일Size XRD Fig 8

산 최초 석고인 BW CaSO4 과 후의 의(GER)-3 sieving XRD pattern BW

CaSO4 와 동일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들은 결과와 결과로(G+200M)-4 XRD TGA

보면 모두 CaSO4로 판명되었다

에서 분쇄된 무수석고의 입자분포도를 보기 위하여Roller mill particle size

로 측정범위 측정 분산매analyzer 01-180 lens focal depth 100 methyl

를 사용하여 초음파 분산 방법으로 입도 분포도를 얻어 에 실었다alcohol Fig 9

- 31 -

Fig7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each gypsum in sintering condition

- 32 -

Fig8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gypsum after sieving

- 33 -

Fig 9 Particle distribution chart of gypsum

- 34 -

에서의 입자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이하의 분포도가 전체의 를Fig 9 5 87

차지하고 있는 반면 마이크론미터 이상이 전체의 밖에 차지하고 있음을 알10 3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보면 외국산 석고에 비해 공정에서는 보다 나 self - leveling

은 작업성과 물성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3

분석방법 등으로 분석한 결과 에서 보OES AAS ICPAES Wet Analysis Table 2

는 바와 같이 독일산석고와 국산석고의 분석결과가 화학성분에서는 아주 유사하다

그러나 독일산 석고에 규사만이 함유되어 있는 것에 비해 국산 석고에는16 wt

규사가 로 작게 함유되어 있었다 이는 원재료의 광산에 함유된 규사에096 wt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석고에 대한 분석 결과를 CAS( ) Table 3

에 실었다 에서 보면 라파석고에 인이 포함되어 있는 반면 인 Table 3 00072 wt

산무수 석고에는 로 많이 포함되어 있어 제조시 인산무0024 wt self- leveling

수 석고를 사용한 결과가 나쁘게 나타났다고 추정되며 지지용 철근의self-leveling

부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이므로 인산석고의 사용을 피함이 좋을 것이다

인산무수 석고는 자체에서 산성 성분을 용출함으로서 콘크리트 중에 함유된 알칼리

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을 혼입시키어 철근을 활성화

상태로 만들고 이로 인해 부식하기 쉽게 된다

- 35 -

Table 2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 36 -

Table 3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and Binder

- 37 -

제 절 특수 첨가재4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의 양을 변화시O 89 g -α

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4

Table 4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a -gypsum

에서 보면 석고의 함량을 증가할수록 초결시간은 빨라지지만 수분증발시Table 4 -α

간이 느리고 기존레벨라보다 종결시간이 느린 것을 보아 석고만을 첨가한다는-α

것은 의미가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화시키

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5

Table 5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LiCO3

- 38 -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기존레벨라에는 이미Table 5 LiCO3이 인 이 포014 042g

함되어 있어 순으로 첨가하였으나 첨가 양에 따른 초결상태의 변화0 15 30 g

는 없었으나 종결상태는 조금씩 첨가 양이 많아지면서 조금씩 지연되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O 89 g CAS ( )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과 같다Table 6

Table 6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CAS

에서 보면 를 씩 증가하면서 첨가함에 따라 초결상태와Table 6 CAS 0 10 20 g

종결상태가 보다 급격히 빨라짐을 알 수 있었다 즉 경화 속도에 의Table 4 5 CAS

함유량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에서 사용한 첨가제를 모두 혼합하여 기존의 재Table 4 5 6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비교해보면O 89 g Table

과 같다7

- 39 -

Table 7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and CAS

에서 보는 것처럼 기존의 재Table 7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O 89 g

라에 석고와- LiCOα 3 만을 혼합하였을 때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의 양을 CAS

증가시키면서 함께 첨가할 수록 경화시간은 단축되었다

에 알미나 포틀랜드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Table 7 (AI-PC)

비교해보면 과 같다Table 8

기존의 재self-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보면 에서 보는 것처럼AI-PC Table 8

함량이 높을수록 경화시간은 너무 단축되어 그만큼 작업하는 시간이 촉박하AI-PC

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모든 결과를 종합해보면 응결시간은 온도와 습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실험할 때마다

기존레벨라를 비교하여 시험했다 가 가장 경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만 입자 CAS

가 뭉쳐 있어 혼합이 잘되지 않았다 그 결과 건조시 표면이 분화구처럼 돌출된 부

분이 많이 생겨났다

- 40 -

Table 8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CAS and Al-PC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5

급결제에 대한 성분 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는 와 같다 중탕Table 9

에서 증발시킨 후 의 잔유물에 대한 분석 결과(100 ) 50 wt Si 438 wt Na

로 나타났다 결정성과 구조분석을 위하여 로 확인한102 wt K 177 wt XRD

결과는 무결정 으로 피크가 나타나지 안했다 법으로 물을(amorphous) Karl fischer

분석시에도 가 잘 나타나지 안해 분석을 할 수 없었다 화학적 결합상태end-point

를 알아보기위해 을 이용하여 해석해본 결과IR Na2SiO3 H2 와O 50 wt 50 wt

의 H2 가 공존함을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O Na2SiO3 H2 와 의O 50 wt 50 wt

H2 를 함께 사용하기로 결정하였고 건설 현장에 시공 또는 제품 생산에 위와 같O

은 혼합비율을 적용하였다

- 41 -

Table 9 Chemical Composition of RCM300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6

측정된 충격음레벨은 ISO 140 Part 6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을 준용하여 수음실 기준 흡음력 에 대한sound insulation of Floors 1978) (10 )

보정 값으로 환산하였다(Table 10)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나타내는 수음실의 바닥충격음레벨 (Ln 은 다음 식 으로) (1)

구하였다

여기서

Ln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흡음력보정 바닥충격음레벨 j ( )

충격음위치 지점수m

상기 식 의 각 충격음 위치마다의 바닥충격음레벨의 평균값(1) (Lj 은 다음식 에) (2)

따라 산출하였다

- 42 -

Table 10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sound insulation of floor

- 43 -

여기서

Lj 수음실내 측정점 에서의 바닥충격음레벨 i ( )

측정점의 수n

또한 상기 바닥충격음레벨 평균값 (Lj 은 수음실의 흡음력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

므로 를 준용 이를 기준흡음력 에 대한 값ISO 140 Part6 (978) (10 ) (L nj 으로)

환산하였으며 그 산출식은 식 과 같다 (3)

여기서

L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평균 바닥충격음레벨 j ( )

AO 기준흡음력 (10 )

수음실 측정실 용적V ( ) ( )

수음실 측정실 잔향시간 초T ( ) ( )

에서 보면 기준판과 시험체의 경량충격음은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Table 10

충격음이 증가하다가 완만한 곡선을 나타내는 반면 중량충격음의 결과를 보면 주파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충격음이 계속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경량 충격음은 음원이 태핑머신인 관계로 주파수 변화에 따른

파장의 작고 큼에 별 영향을 주지 않지만 중량 충격음은 음원이 타이어임으로 고주

파대로 갈수록 파장이 작아서 투과 여건이 적은 관계에 기인함을 알 수 있다 본

바닥충격음과 소음에 대한 실험 결과 기존 시멘트몰탈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

믹몰탈간에 바닥충격음과 소음의 차이는 크게 나지 않음으로 무시할 정도임을 알았

- 44 -

제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7

아래 은 바닥재 시공에 대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과 재래식 시Table 11

멘트몰탈과의 특징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연구연에서 분석한 세라믹구들의 분석 결과를 에Table 12

실었다 현 시험법에 따라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 등의 물성을 공인된 한국건자 KS

재연구원에 의뢰한 결과 압축강도면에서 이 넘는 결과가 나왔으며 다른400 f

물성 또한 기준 물성값을 초과하는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에서 보는 것과 Table 12

같이 길이변화율은 일 경과 후 로서 거의 변화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28 -0046

며 이를 미루어 보아 시멘트몰탈의 수축 팽창에 기인되는 균열 원인을 해결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45 -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 구들의 비교Table 11

구분 단위 재래식 시멘트몰탈 본 제품 세라믹구들( )

시공후상태

몰탈층

바탕면의 균열 발생-바탕면의 평활 수평 이 없다- (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없다-공정 회 이 복잡하다- (3-4 )많은면적을 시공할 수 없다-양생시간이 길다 일- (3-7 )하자 보수비가 필요하다-시멘트 독성에 따른 인체에-해로움

바탕면의 균열이 없다- 바탕면의 평활 수평 성이 양호- ( )일정한 두께유지-공정이 단순 회공정 하다- (1 )많은 면적을 시공할 수 있다-양생시간이 짧다 일- (1 )하자보수비가 필요없다-건강보조기능-항균성 무독성 원적외선( )마감재 시공이 용이하다-에너지절감 효과가 크다-열전도율 및 축열기능이 좋다-차음 방음 효과가 우수하다- ( )건축물의 경량화-

세라믹 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시험 검사 방법 ( ) KS L 5105-97 KS L 5104-96 KS L 5207-rsquo99 KS F2424-rsquo95 KS L 1592 rsquo95시험원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시험일자 2000 OS 09 ~ 09 15

- 46 -

제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석회 광물은 마그네시아 광물과 함께 중요한 조암광물로서 천연에서는 산화물(CaO)

로는 존재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탄산염 황산염 또는 규산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석회질 원료로는 석회석 돌로마이트 형석 석고 규회석 등이었으며 이중 석회석

(CaCO3 과 석고)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만을 에 나타내었다 원적) Fig 10 11

외선 발열체와 세라믹 발열체가 있다 원석 발열체로는 맥반석 게르마늄석 옥석

황토 등이 있다 원적외선의 온열효과는 피부표면에 복사된 원적외선은 인체 중 물

의 진동 파장과 거의 비슷하며 공진 작용으로 일반열이 도달할 수 없는 부위( )共振

까지 도달하게 한다 이러한 심달력은 피하층의 온도상승 미세혈관의 확장 혈액순

환 촉진 선진대사강화 혈류 장해 해소 조직의 재생능력 증가 결련예방 및 암치

료 효과 등의 의학적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혈행이 좋아짐으로서

정상체온 유지 스트레스 해소 소화촉진 근육통 해소 피부 색깔 정상화 꺼칠한

눈이 부드러워지고 감기 예방효과 조직 내에 쌓여 있던 노폐물의 분비도 촉진된

다 또한 세포에 필요로 하는 영양소와 산소를 정상적으로 공급받게 되어 세포와

조직이 활력을 되찾게 되고 적당한 원적외선 활용은 세포의 노화를 막아주는 효과

를 볼 수 있다 원적외선 부작용 없는 건강유지와 질병의 예방치료적 기 (氣

라고 할 수 있다energy)

석회석은 시멘트의 주원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전방사율은 약 정도를085

보이고 있으나 이후와 단파장 영역쪽에 불안정한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보이20

고 있다 이는 공기 중의 습기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그 조성이 일부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시멘트를 측정하여 비교Fig 10 11

한 결과에서는 다소 석회석 자체원료를 측정한 것이 방사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CaSO4 는 외국에서 천연으로 산출된 것과 본 연구에서 제조한 배연 탈황석고)

모두 원적외선 방사특성에 있어서는 석회석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특히

부근에서의 약간의 골이 생겨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87

- 47 -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48 -

석고Fig 11 (CaSO4 의 원작외선 방사특성)

- 49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의 방사율은 에 실었다 현재 원적외선이 다Fig 12

량 방사되는 게르바늄석 참조 옥석 참조 맥반석 참조(Fig 13 ) (Fig 14 ) (Fig 15 )

등에 비해서 같은 수준의 방사에너지 및 방사율이 발현됨을 공인된 시험기간에 의

해서 입증되었다 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를 Fig16 3~20

파장 영역에서 방사특성을 나타내었다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는 이상흑체에

서 방사되는 특성과 같은 모양을 방출하고 있습을 알았다 따라서 세라믹구들은 건

강친화적인 면만 아니라 여러 가지 가능을 가진 차세대 온돌용 세라믹구들이라고

할 수 있다

제 절 현장 시공9

본 세라믹구들의 최적화 조건 조성 및 현장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차로 경기도 광1

주 소재 동심주택 제 차 그린타운 세대를 시험 시공한 바 있으며 위 결과를 토9 19

대로 최적화된 조건에 따라 안양 재건축현장 및 기홍 목조주택 등에 실용화 시공하

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Fig 17

필름 한 장을 깔고 그 위에 외경의 폴리에틸렌 엑셀파이프를 배관한 후 세라15

믹 구들로 타설한 후 수평을 잡으면서 두께를 로 일정하게 하였다40

시멘트 제품은 응결 경화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균열이 발생되

면 더 커지면서 계속 퍼져나가는 경향을 나타낸다 여러 종류의 균열 보수기법이

현재 마련되어 있으나 완벽한 균열 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 보수 후에도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 보수로 인해 외관의 불량 균열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로 시공한 결과는 상기와 같

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할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연구에 의해 일반 콘크리트에도 적

용할 경우 그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균열을 방지함으로서 방

수 강도저하 철근부식 등 내구성저하를 막으므로 고품질의 구조물 공사가 될 것으

로 예상된다

- 50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 51 -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 52 -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 53 -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19 -

제 장 실 험2

제 절 배연탈황1

화력 발전소에서 부산물로 생성되는 이수석고의 주요 반응은 의 현탁액과limestone

연소가스를 역류 세정시키면서 일어난다 이것은 아래에 열거한 것과 같은 확산과

화학반응으로 구분되어 진행된다

기 액 경계면에 이르기까지의 을 통한- gas film SO① 2의 확산

SO② 2가 상태가 되는aqueous dissolution

상태의Aqueous SO③ 2가 되어hydration H2SO3로 되고 이것이 H+ 와 HSO3-로 존

재하게 됨

HSO④ 3-가 분리되어 SO3

-를 형성함

용역내의 CaCO⑤ 3는 상태로 되고 이것은 다시aqueous dissolution H+이온과 반응

하여 Ca2+ 와 HSO3-를 형성함

및 과정에서 생성된 Ca⑥ ④ ⑤ 2+와 SO32-그리고 물이 반응하여 CaSO3ㆍ12H2 가O

형성됨

CaSO⑦ 3ㆍ12H2 는 물과 물속에 녹아있는 산소와 결합하여O CaSO4 2Hㆍ 2 를 형O

성함

- 20 -

반응식Total

이와 같은 반응들의 반응속도를 비교하여 볼 때 의 단계는 비교적 빠 ③ ④ ⑥ ⑦

른 반응이 되고 제어단계는 크게 가스확산 액체 내에서의 SO2 확산 석회석의

등 단계로 압축시킬 수 있다 위의 메카니즘 가운데 이온들의 화학반응dissolution 3

을 로 규명하기도 한다 이것은 기 액 경계면을 중심으two-reaction-planes model -

로 액체쪽으로 개의 을 설정하고 각각의 다른 반응이 일어난다는 것2 reaction plan

이다

제 절 석고 소성2

전항에서 만들어진 이수석고에 함유된 부착수분과 결정수분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

기로와 열질량분석기 를(thermogravimetric analyzer TGA Perkin-Elmer TGS-2)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에서 보면 공기 중에서 일 방치한 이수석고 중 Fig 1 2 18

정도가 되면 대부분 휘발성 물질들이 날아가서 무게가 정도 감소되었60 5 wt

다 다시 정도가 될 때까지 결정 수분이 정도 감소되었고 190 18 wt 700

가 될 때까지 정도가 휘발되어 날아가 전체 무게 감소는 되고2 wt 25 wt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휘발되는 것이 없이 일정한 무게를 유지하였다 전기로에서

실험한 결과도 부착수분이 건조감량이 로 전체 무게 감소율121 wt 109 wt

은 이였다 이수석고를 세라믹용기 및 용기에 각각230 wt stainless steel 500

씩 분취하여g 150 (2 hrs) 200 (1~2 hrs) 350 (1 hr) 420 (1 hr)

로 유지한 전기로에서 각각 소성하였500 (1 hr) 650 (15 hr) 750 (1 hr)

다 소성 후 를 사용하여 소성 X-Ray Diffractometer (XRD Rigaku DMAX-2500)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CaSO4 2Hㆍ 2 를 대량 소성하기 위하여O

에stainless steel port CaSO4 2H2 씩을 넣고 를 아래와 같O 2 conveyor furnace

은 조건 을 유지하면서 대전 소재 쌍용중앙연구소에서 시간 연속 실험하(Fig 2) 24

였다

- 21 -

Fig 1 TGA thermal curve of gypsum

- 22 -

Fig 2 Flow diagram of gypsum sintering system

- 23 -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3

에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석고에 대하여 표면형상을 관찰하였다Self-leveling

조건으로 국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Hitachi S-4200) 150

산 석고등의 입자를 조사한 결과는 과 에서 보는 바와 같다 과Fig 3 Fig 4 Fig 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국산석고의 크기가 독일산 석고보다 크나 분쇄를 잘하Fig 4

면 공정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추정된다self-leveling

의 입자가 큰 국산석고를 에서 분 분쇄 후 사진 의 결Fig 3 mortar 20 SEM (Fig5)

과를 보면 독일산 석고와 아주 유사한 형태와 로 변하였다 그러므로 분쇄 공정size

만 잘 진행하면 국산 석고도 외국산 석고에 비해 제조에 손색없음을self-leveling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 무수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를 위하여 쌍용연구소의 연속분쇄기

를 사용하여 분쇄하였다 분쇄 조건은 압력(roller mill) roller 6 feeding RPM

시료 투입량 등으로 무수석고를 연속 분쇄하였40 separator RPM 880 6 hr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4

국내산 석고와 외국산 석고들에 대한 화학성분 분석을 위하여 Optical Emission

로 정성분석한 후Spectrometer(OES TJA Atomcomp 81) Atomic Absorption

Sepctrophotometer(AAS Perkin Elmer 5000) 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meter(ICPAES Perkin Elmer Elan 5000) Wet

분석방법 등으로 국산 석고와 외국산 석고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Analysis(WET)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 석고에 대하여도 위에서 분석한 CAS( )

것과 같이 등의 방법으로 성분분석을 하여 석고의 품질OES AAS ICPAES WET

및 특성등을 파악하였다

- 24 -

Fig3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 25 -

Fig4 SEM photograph of germany gypsum

- 26 -

Fig5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after grinding

- 27 -

제 절 특수 첨가재5

기존의 재 에self- leveling 300 g H2 을 혼합한 후 아래와 같은 여러 종류의O 89 g

첨가재를 첨가하면서 초결 종결 등의 경화 응결 및 플로값 등의 물리적인 성질을

측정하였다

또한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

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기존의 재 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O 89g CAS ( )

때의 물리적인 특성뿐 아니라 알미나 포틀랜드 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AI-PC)

때의 물리적인 특성도 비교하였다

가존의 재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 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위에서 측정한 경우와 서로 비교하AI-PC

여 보았다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6

재 제조시 적절한 응결을 위하여 급결제을 사용하는데 통상 물유리를Self -leveling

많이 사용함을 본 연구에서 알았다 급결제의 성분 분석을 위하여 wet analysis

등을 사용하였으며 구조분석을 위하여는 와 을 사용하였OES AAS ICPAES XRD IR

다 법으로는 석고중에 함유되어 있는 물의 함량을 분석하는데 사용하 Karl fischer

였다

- 28 -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7

바닥 충격음 및 소음에 대한 시험은 여주군에 위치한 방재시험연구소에 의뢰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편을 제작하여 측정하였다 바닥 충격음 방지재 (save gum pad

를 사용한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 에 시험재료로 한양 시멘트 제품인6 t) (246 )

레미탈 을 사용하여 몰탈 바닥 넓이 로 작업한 후900 28 m times 42 m times 30

일 간 야외에서 양생하여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참조30 (Fig 6 )

바닥충격음시험은 건축물현장에 있어서의 바닥충격음측정방법 을KSF 2810 ( 1981)

적용하여 음원실 충격음발생실 과 수음실 충격음측정실 로 구성된 잔향실 사이 바( ) ( )

닥개구부에 시험체를 설치한 후 시험체위에서 충격음 경량 태핑 머신 및 중량충 (

격음 타이어 을 발생시켜 주파수범위의 대역별 바닥충격음 ) 63-4000 13 Octave

레벨 회를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하였다25

제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최근 건설 현장에 불기 시작한 주거환경의 쾌적화와 원적외선 방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도 원적외선 방사에 대한 시험을 시행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과 한국원적외선협회에 세라믹몰탈 옥석 맥반석

게르마늄석을 의뢰하여 방사율을 단파장인 영역인 에서 까지 측정하였다3 20

- 29 -

Fig 6 Present floor of impact sound insulation

- 3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1

화력발전소에서 부산물로 생성된 이수석고를 대전소재 쌍용 중앙연구소에서 rotary

을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소성된 석고를kiln X - Ray Diffractometer (XRD Rigaku

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수석고는DMAX-2500) Fig 7

에서는150~200 CaSO 4 2Hㆍ 2 가O CaSO4 12Hㆍ 2 로 변하고 에서O 350 CaSO 4

의 피크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그후 온도를 올림에 따라 무수석고의 결정성이 좋

아짐을 알 수 있었다 참조(Fig 7 )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2

으로 확인한 결과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국산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ig 3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로 단단한 모양으로 균일하게70

구성되어 있는 반면 의 독일산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 Fig 4 70

의 크기가 소수 분포와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분포175

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체로 한 결 -200 mesh sieving

과를 보면 정도의 가 큰 덩어리가 남아 있었다10 size

가 큰 덩어리를 로 확인한 결과 석고로 판명되었다 에서 보면 독일Size XRD Fig 8

산 최초 석고인 BW CaSO4 과 후의 의(GER)-3 sieving XRD pattern BW

CaSO4 와 동일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들은 결과와 결과로(G+200M)-4 XRD TGA

보면 모두 CaSO4로 판명되었다

에서 분쇄된 무수석고의 입자분포도를 보기 위하여Roller mill particle size

로 측정범위 측정 분산매analyzer 01-180 lens focal depth 100 methyl

를 사용하여 초음파 분산 방법으로 입도 분포도를 얻어 에 실었다alcohol Fig 9

- 31 -

Fig7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each gypsum in sintering condition

- 32 -

Fig8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gypsum after sieving

- 33 -

Fig 9 Particle distribution chart of gypsum

- 34 -

에서의 입자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이하의 분포도가 전체의 를Fig 9 5 87

차지하고 있는 반면 마이크론미터 이상이 전체의 밖에 차지하고 있음을 알10 3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보면 외국산 석고에 비해 공정에서는 보다 나 self - leveling

은 작업성과 물성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3

분석방법 등으로 분석한 결과 에서 보OES AAS ICPAES Wet Analysis Table 2

는 바와 같이 독일산석고와 국산석고의 분석결과가 화학성분에서는 아주 유사하다

그러나 독일산 석고에 규사만이 함유되어 있는 것에 비해 국산 석고에는16 wt

규사가 로 작게 함유되어 있었다 이는 원재료의 광산에 함유된 규사에096 wt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석고에 대한 분석 결과를 CAS( ) Table 3

에 실었다 에서 보면 라파석고에 인이 포함되어 있는 반면 인 Table 3 00072 wt

산무수 석고에는 로 많이 포함되어 있어 제조시 인산무0024 wt self- leveling

수 석고를 사용한 결과가 나쁘게 나타났다고 추정되며 지지용 철근의self-leveling

부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이므로 인산석고의 사용을 피함이 좋을 것이다

인산무수 석고는 자체에서 산성 성분을 용출함으로서 콘크리트 중에 함유된 알칼리

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을 혼입시키어 철근을 활성화

상태로 만들고 이로 인해 부식하기 쉽게 된다

- 35 -

Table 2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 36 -

Table 3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and Binder

- 37 -

제 절 특수 첨가재4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의 양을 변화시O 89 g -α

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4

Table 4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a -gypsum

에서 보면 석고의 함량을 증가할수록 초결시간은 빨라지지만 수분증발시Table 4 -α

간이 느리고 기존레벨라보다 종결시간이 느린 것을 보아 석고만을 첨가한다는-α

것은 의미가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화시키

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5

Table 5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LiCO3

- 38 -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기존레벨라에는 이미Table 5 LiCO3이 인 이 포014 042g

함되어 있어 순으로 첨가하였으나 첨가 양에 따른 초결상태의 변화0 15 30 g

는 없었으나 종결상태는 조금씩 첨가 양이 많아지면서 조금씩 지연되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O 89 g CAS ( )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과 같다Table 6

Table 6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CAS

에서 보면 를 씩 증가하면서 첨가함에 따라 초결상태와Table 6 CAS 0 10 20 g

종결상태가 보다 급격히 빨라짐을 알 수 있었다 즉 경화 속도에 의Table 4 5 CAS

함유량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에서 사용한 첨가제를 모두 혼합하여 기존의 재Table 4 5 6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비교해보면O 89 g Table

과 같다7

- 39 -

Table 7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and CAS

에서 보는 것처럼 기존의 재Table 7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O 89 g

라에 석고와- LiCOα 3 만을 혼합하였을 때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의 양을 CAS

증가시키면서 함께 첨가할 수록 경화시간은 단축되었다

에 알미나 포틀랜드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Table 7 (AI-PC)

비교해보면 과 같다Table 8

기존의 재self-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보면 에서 보는 것처럼AI-PC Table 8

함량이 높을수록 경화시간은 너무 단축되어 그만큼 작업하는 시간이 촉박하AI-PC

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모든 결과를 종합해보면 응결시간은 온도와 습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실험할 때마다

기존레벨라를 비교하여 시험했다 가 가장 경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만 입자 CAS

가 뭉쳐 있어 혼합이 잘되지 않았다 그 결과 건조시 표면이 분화구처럼 돌출된 부

분이 많이 생겨났다

- 40 -

Table 8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CAS and Al-PC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5

급결제에 대한 성분 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는 와 같다 중탕Table 9

에서 증발시킨 후 의 잔유물에 대한 분석 결과(100 ) 50 wt Si 438 wt Na

로 나타났다 결정성과 구조분석을 위하여 로 확인한102 wt K 177 wt XRD

결과는 무결정 으로 피크가 나타나지 안했다 법으로 물을(amorphous) Karl fischer

분석시에도 가 잘 나타나지 안해 분석을 할 수 없었다 화학적 결합상태end-point

를 알아보기위해 을 이용하여 해석해본 결과IR Na2SiO3 H2 와O 50 wt 50 wt

의 H2 가 공존함을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O Na2SiO3 H2 와 의O 50 wt 50 wt

H2 를 함께 사용하기로 결정하였고 건설 현장에 시공 또는 제품 생산에 위와 같O

은 혼합비율을 적용하였다

- 41 -

Table 9 Chemical Composition of RCM300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6

측정된 충격음레벨은 ISO 140 Part 6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을 준용하여 수음실 기준 흡음력 에 대한sound insulation of Floors 1978) (10 )

보정 값으로 환산하였다(Table 10)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나타내는 수음실의 바닥충격음레벨 (Ln 은 다음 식 으로) (1)

구하였다

여기서

Ln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흡음력보정 바닥충격음레벨 j ( )

충격음위치 지점수m

상기 식 의 각 충격음 위치마다의 바닥충격음레벨의 평균값(1) (Lj 은 다음식 에) (2)

따라 산출하였다

- 42 -

Table 10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sound insulation of floor

- 43 -

여기서

Lj 수음실내 측정점 에서의 바닥충격음레벨 i ( )

측정점의 수n

또한 상기 바닥충격음레벨 평균값 (Lj 은 수음실의 흡음력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

므로 를 준용 이를 기준흡음력 에 대한 값ISO 140 Part6 (978) (10 ) (L nj 으로)

환산하였으며 그 산출식은 식 과 같다 (3)

여기서

L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평균 바닥충격음레벨 j ( )

AO 기준흡음력 (10 )

수음실 측정실 용적V ( ) ( )

수음실 측정실 잔향시간 초T ( ) ( )

에서 보면 기준판과 시험체의 경량충격음은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Table 10

충격음이 증가하다가 완만한 곡선을 나타내는 반면 중량충격음의 결과를 보면 주파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충격음이 계속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경량 충격음은 음원이 태핑머신인 관계로 주파수 변화에 따른

파장의 작고 큼에 별 영향을 주지 않지만 중량 충격음은 음원이 타이어임으로 고주

파대로 갈수록 파장이 작아서 투과 여건이 적은 관계에 기인함을 알 수 있다 본

바닥충격음과 소음에 대한 실험 결과 기존 시멘트몰탈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

믹몰탈간에 바닥충격음과 소음의 차이는 크게 나지 않음으로 무시할 정도임을 알았

- 44 -

제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7

아래 은 바닥재 시공에 대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과 재래식 시Table 11

멘트몰탈과의 특징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연구연에서 분석한 세라믹구들의 분석 결과를 에Table 12

실었다 현 시험법에 따라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 등의 물성을 공인된 한국건자 KS

재연구원에 의뢰한 결과 압축강도면에서 이 넘는 결과가 나왔으며 다른400 f

물성 또한 기준 물성값을 초과하는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에서 보는 것과 Table 12

같이 길이변화율은 일 경과 후 로서 거의 변화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28 -0046

며 이를 미루어 보아 시멘트몰탈의 수축 팽창에 기인되는 균열 원인을 해결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45 -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 구들의 비교Table 11

구분 단위 재래식 시멘트몰탈 본 제품 세라믹구들( )

시공후상태

몰탈층

바탕면의 균열 발생-바탕면의 평활 수평 이 없다- (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없다-공정 회 이 복잡하다- (3-4 )많은면적을 시공할 수 없다-양생시간이 길다 일- (3-7 )하자 보수비가 필요하다-시멘트 독성에 따른 인체에-해로움

바탕면의 균열이 없다- 바탕면의 평활 수평 성이 양호- ( )일정한 두께유지-공정이 단순 회공정 하다- (1 )많은 면적을 시공할 수 있다-양생시간이 짧다 일- (1 )하자보수비가 필요없다-건강보조기능-항균성 무독성 원적외선( )마감재 시공이 용이하다-에너지절감 효과가 크다-열전도율 및 축열기능이 좋다-차음 방음 효과가 우수하다- ( )건축물의 경량화-

세라믹 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시험 검사 방법 ( ) KS L 5105-97 KS L 5104-96 KS L 5207-rsquo99 KS F2424-rsquo95 KS L 1592 rsquo95시험원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시험일자 2000 OS 09 ~ 09 15

- 46 -

제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석회 광물은 마그네시아 광물과 함께 중요한 조암광물로서 천연에서는 산화물(CaO)

로는 존재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탄산염 황산염 또는 규산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석회질 원료로는 석회석 돌로마이트 형석 석고 규회석 등이었으며 이중 석회석

(CaCO3 과 석고)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만을 에 나타내었다 원적) Fig 10 11

외선 발열체와 세라믹 발열체가 있다 원석 발열체로는 맥반석 게르마늄석 옥석

황토 등이 있다 원적외선의 온열효과는 피부표면에 복사된 원적외선은 인체 중 물

의 진동 파장과 거의 비슷하며 공진 작용으로 일반열이 도달할 수 없는 부위( )共振

까지 도달하게 한다 이러한 심달력은 피하층의 온도상승 미세혈관의 확장 혈액순

환 촉진 선진대사강화 혈류 장해 해소 조직의 재생능력 증가 결련예방 및 암치

료 효과 등의 의학적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혈행이 좋아짐으로서

정상체온 유지 스트레스 해소 소화촉진 근육통 해소 피부 색깔 정상화 꺼칠한

눈이 부드러워지고 감기 예방효과 조직 내에 쌓여 있던 노폐물의 분비도 촉진된

다 또한 세포에 필요로 하는 영양소와 산소를 정상적으로 공급받게 되어 세포와

조직이 활력을 되찾게 되고 적당한 원적외선 활용은 세포의 노화를 막아주는 효과

를 볼 수 있다 원적외선 부작용 없는 건강유지와 질병의 예방치료적 기 (氣

라고 할 수 있다energy)

석회석은 시멘트의 주원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전방사율은 약 정도를085

보이고 있으나 이후와 단파장 영역쪽에 불안정한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보이20

고 있다 이는 공기 중의 습기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그 조성이 일부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시멘트를 측정하여 비교Fig 10 11

한 결과에서는 다소 석회석 자체원료를 측정한 것이 방사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CaSO4 는 외국에서 천연으로 산출된 것과 본 연구에서 제조한 배연 탈황석고)

모두 원적외선 방사특성에 있어서는 석회석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특히

부근에서의 약간의 골이 생겨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87

- 47 -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48 -

석고Fig 11 (CaSO4 의 원작외선 방사특성)

- 49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의 방사율은 에 실었다 현재 원적외선이 다Fig 12

량 방사되는 게르바늄석 참조 옥석 참조 맥반석 참조(Fig 13 ) (Fig 14 ) (Fig 15 )

등에 비해서 같은 수준의 방사에너지 및 방사율이 발현됨을 공인된 시험기간에 의

해서 입증되었다 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를 Fig16 3~20

파장 영역에서 방사특성을 나타내었다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는 이상흑체에

서 방사되는 특성과 같은 모양을 방출하고 있습을 알았다 따라서 세라믹구들은 건

강친화적인 면만 아니라 여러 가지 가능을 가진 차세대 온돌용 세라믹구들이라고

할 수 있다

제 절 현장 시공9

본 세라믹구들의 최적화 조건 조성 및 현장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차로 경기도 광1

주 소재 동심주택 제 차 그린타운 세대를 시험 시공한 바 있으며 위 결과를 토9 19

대로 최적화된 조건에 따라 안양 재건축현장 및 기홍 목조주택 등에 실용화 시공하

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Fig 17

필름 한 장을 깔고 그 위에 외경의 폴리에틸렌 엑셀파이프를 배관한 후 세라15

믹 구들로 타설한 후 수평을 잡으면서 두께를 로 일정하게 하였다40

시멘트 제품은 응결 경화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균열이 발생되

면 더 커지면서 계속 퍼져나가는 경향을 나타낸다 여러 종류의 균열 보수기법이

현재 마련되어 있으나 완벽한 균열 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 보수 후에도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 보수로 인해 외관의 불량 균열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로 시공한 결과는 상기와 같

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할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연구에 의해 일반 콘크리트에도 적

용할 경우 그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균열을 방지함으로서 방

수 강도저하 철근부식 등 내구성저하를 막으므로 고품질의 구조물 공사가 될 것으

로 예상된다

- 50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 51 -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 52 -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 53 -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20 -

반응식Total

이와 같은 반응들의 반응속도를 비교하여 볼 때 의 단계는 비교적 빠 ③ ④ ⑥ ⑦

른 반응이 되고 제어단계는 크게 가스확산 액체 내에서의 SO2 확산 석회석의

등 단계로 압축시킬 수 있다 위의 메카니즘 가운데 이온들의 화학반응dissolution 3

을 로 규명하기도 한다 이것은 기 액 경계면을 중심으two-reaction-planes model -

로 액체쪽으로 개의 을 설정하고 각각의 다른 반응이 일어난다는 것2 reaction plan

이다

제 절 석고 소성2

전항에서 만들어진 이수석고에 함유된 부착수분과 결정수분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

기로와 열질량분석기 를(thermogravimetric analyzer TGA Perkin-Elmer TGS-2)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에서 보면 공기 중에서 일 방치한 이수석고 중 Fig 1 2 18

정도가 되면 대부분 휘발성 물질들이 날아가서 무게가 정도 감소되었60 5 wt

다 다시 정도가 될 때까지 결정 수분이 정도 감소되었고 190 18 wt 700

가 될 때까지 정도가 휘발되어 날아가 전체 무게 감소는 되고2 wt 25 wt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휘발되는 것이 없이 일정한 무게를 유지하였다 전기로에서

실험한 결과도 부착수분이 건조감량이 로 전체 무게 감소율121 wt 109 wt

은 이였다 이수석고를 세라믹용기 및 용기에 각각230 wt stainless steel 500

씩 분취하여g 150 (2 hrs) 200 (1~2 hrs) 350 (1 hr) 420 (1 hr)

로 유지한 전기로에서 각각 소성하였500 (1 hr) 650 (15 hr) 750 (1 hr)

다 소성 후 를 사용하여 소성 X-Ray Diffractometer (XRD Rigaku DMAX-2500)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CaSO4 2Hㆍ 2 를 대량 소성하기 위하여O

에stainless steel port CaSO4 2H2 씩을 넣고 를 아래와 같O 2 conveyor furnace

은 조건 을 유지하면서 대전 소재 쌍용중앙연구소에서 시간 연속 실험하(Fig 2) 24

였다

- 21 -

Fig 1 TGA thermal curve of gypsum

- 22 -

Fig 2 Flow diagram of gypsum sintering system

- 23 -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3

에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석고에 대하여 표면형상을 관찰하였다Self-leveling

조건으로 국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Hitachi S-4200) 150

산 석고등의 입자를 조사한 결과는 과 에서 보는 바와 같다 과Fig 3 Fig 4 Fig 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국산석고의 크기가 독일산 석고보다 크나 분쇄를 잘하Fig 4

면 공정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추정된다self-leveling

의 입자가 큰 국산석고를 에서 분 분쇄 후 사진 의 결Fig 3 mortar 20 SEM (Fig5)

과를 보면 독일산 석고와 아주 유사한 형태와 로 변하였다 그러므로 분쇄 공정size

만 잘 진행하면 국산 석고도 외국산 석고에 비해 제조에 손색없음을self-leveling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 무수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를 위하여 쌍용연구소의 연속분쇄기

를 사용하여 분쇄하였다 분쇄 조건은 압력(roller mill) roller 6 feeding RPM

시료 투입량 등으로 무수석고를 연속 분쇄하였40 separator RPM 880 6 hr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4

국내산 석고와 외국산 석고들에 대한 화학성분 분석을 위하여 Optical Emission

로 정성분석한 후Spectrometer(OES TJA Atomcomp 81) Atomic Absorption

Sepctrophotometer(AAS Perkin Elmer 5000) 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meter(ICPAES Perkin Elmer Elan 5000) Wet

분석방법 등으로 국산 석고와 외국산 석고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Analysis(WET)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 석고에 대하여도 위에서 분석한 CAS( )

것과 같이 등의 방법으로 성분분석을 하여 석고의 품질OES AAS ICPAES WET

및 특성등을 파악하였다

- 24 -

Fig3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 25 -

Fig4 SEM photograph of germany gypsum

- 26 -

Fig5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after grinding

- 27 -

제 절 특수 첨가재5

기존의 재 에self- leveling 300 g H2 을 혼합한 후 아래와 같은 여러 종류의O 89 g

첨가재를 첨가하면서 초결 종결 등의 경화 응결 및 플로값 등의 물리적인 성질을

측정하였다

또한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

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기존의 재 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O 89g CAS ( )

때의 물리적인 특성뿐 아니라 알미나 포틀랜드 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AI-PC)

때의 물리적인 특성도 비교하였다

가존의 재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 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위에서 측정한 경우와 서로 비교하AI-PC

여 보았다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6

재 제조시 적절한 응결을 위하여 급결제을 사용하는데 통상 물유리를Self -leveling

많이 사용함을 본 연구에서 알았다 급결제의 성분 분석을 위하여 wet analysis

등을 사용하였으며 구조분석을 위하여는 와 을 사용하였OES AAS ICPAES XRD IR

다 법으로는 석고중에 함유되어 있는 물의 함량을 분석하는데 사용하 Karl fischer

였다

- 28 -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7

바닥 충격음 및 소음에 대한 시험은 여주군에 위치한 방재시험연구소에 의뢰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편을 제작하여 측정하였다 바닥 충격음 방지재 (save gum pad

를 사용한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 에 시험재료로 한양 시멘트 제품인6 t) (246 )

레미탈 을 사용하여 몰탈 바닥 넓이 로 작업한 후900 28 m times 42 m times 30

일 간 야외에서 양생하여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참조30 (Fig 6 )

바닥충격음시험은 건축물현장에 있어서의 바닥충격음측정방법 을KSF 2810 ( 1981)

적용하여 음원실 충격음발생실 과 수음실 충격음측정실 로 구성된 잔향실 사이 바( ) ( )

닥개구부에 시험체를 설치한 후 시험체위에서 충격음 경량 태핑 머신 및 중량충 (

격음 타이어 을 발생시켜 주파수범위의 대역별 바닥충격음 ) 63-4000 13 Octave

레벨 회를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하였다25

제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최근 건설 현장에 불기 시작한 주거환경의 쾌적화와 원적외선 방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도 원적외선 방사에 대한 시험을 시행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과 한국원적외선협회에 세라믹몰탈 옥석 맥반석

게르마늄석을 의뢰하여 방사율을 단파장인 영역인 에서 까지 측정하였다3 20

- 29 -

Fig 6 Present floor of impact sound insulation

- 3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1

화력발전소에서 부산물로 생성된 이수석고를 대전소재 쌍용 중앙연구소에서 rotary

을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소성된 석고를kiln X - Ray Diffractometer (XRD Rigaku

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수석고는DMAX-2500) Fig 7

에서는150~200 CaSO 4 2Hㆍ 2 가O CaSO4 12Hㆍ 2 로 변하고 에서O 350 CaSO 4

의 피크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그후 온도를 올림에 따라 무수석고의 결정성이 좋

아짐을 알 수 있었다 참조(Fig 7 )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2

으로 확인한 결과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국산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ig 3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로 단단한 모양으로 균일하게70

구성되어 있는 반면 의 독일산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 Fig 4 70

의 크기가 소수 분포와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분포175

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체로 한 결 -200 mesh sieving

과를 보면 정도의 가 큰 덩어리가 남아 있었다10 size

가 큰 덩어리를 로 확인한 결과 석고로 판명되었다 에서 보면 독일Size XRD Fig 8

산 최초 석고인 BW CaSO4 과 후의 의(GER)-3 sieving XRD pattern BW

CaSO4 와 동일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들은 결과와 결과로(G+200M)-4 XRD TGA

보면 모두 CaSO4로 판명되었다

에서 분쇄된 무수석고의 입자분포도를 보기 위하여Roller mill particle size

로 측정범위 측정 분산매analyzer 01-180 lens focal depth 100 methyl

를 사용하여 초음파 분산 방법으로 입도 분포도를 얻어 에 실었다alcohol Fig 9

- 31 -

Fig7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each gypsum in sintering condition

- 32 -

Fig8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gypsum after sieving

- 33 -

Fig 9 Particle distribution chart of gypsum

- 34 -

에서의 입자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이하의 분포도가 전체의 를Fig 9 5 87

차지하고 있는 반면 마이크론미터 이상이 전체의 밖에 차지하고 있음을 알10 3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보면 외국산 석고에 비해 공정에서는 보다 나 self - leveling

은 작업성과 물성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3

분석방법 등으로 분석한 결과 에서 보OES AAS ICPAES Wet Analysis Table 2

는 바와 같이 독일산석고와 국산석고의 분석결과가 화학성분에서는 아주 유사하다

그러나 독일산 석고에 규사만이 함유되어 있는 것에 비해 국산 석고에는16 wt

규사가 로 작게 함유되어 있었다 이는 원재료의 광산에 함유된 규사에096 wt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석고에 대한 분석 결과를 CAS( ) Table 3

에 실었다 에서 보면 라파석고에 인이 포함되어 있는 반면 인 Table 3 00072 wt

산무수 석고에는 로 많이 포함되어 있어 제조시 인산무0024 wt self- leveling

수 석고를 사용한 결과가 나쁘게 나타났다고 추정되며 지지용 철근의self-leveling

부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이므로 인산석고의 사용을 피함이 좋을 것이다

인산무수 석고는 자체에서 산성 성분을 용출함으로서 콘크리트 중에 함유된 알칼리

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을 혼입시키어 철근을 활성화

상태로 만들고 이로 인해 부식하기 쉽게 된다

- 35 -

Table 2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 36 -

Table 3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and Binder

- 37 -

제 절 특수 첨가재4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의 양을 변화시O 89 g -α

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4

Table 4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a -gypsum

에서 보면 석고의 함량을 증가할수록 초결시간은 빨라지지만 수분증발시Table 4 -α

간이 느리고 기존레벨라보다 종결시간이 느린 것을 보아 석고만을 첨가한다는-α

것은 의미가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화시키

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5

Table 5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LiCO3

- 38 -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기존레벨라에는 이미Table 5 LiCO3이 인 이 포014 042g

함되어 있어 순으로 첨가하였으나 첨가 양에 따른 초결상태의 변화0 15 30 g

는 없었으나 종결상태는 조금씩 첨가 양이 많아지면서 조금씩 지연되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O 89 g CAS ( )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과 같다Table 6

Table 6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CAS

에서 보면 를 씩 증가하면서 첨가함에 따라 초결상태와Table 6 CAS 0 10 20 g

종결상태가 보다 급격히 빨라짐을 알 수 있었다 즉 경화 속도에 의Table 4 5 CAS

함유량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에서 사용한 첨가제를 모두 혼합하여 기존의 재Table 4 5 6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비교해보면O 89 g Table

과 같다7

- 39 -

Table 7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and CAS

에서 보는 것처럼 기존의 재Table 7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O 89 g

라에 석고와- LiCOα 3 만을 혼합하였을 때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의 양을 CAS

증가시키면서 함께 첨가할 수록 경화시간은 단축되었다

에 알미나 포틀랜드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Table 7 (AI-PC)

비교해보면 과 같다Table 8

기존의 재self-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보면 에서 보는 것처럼AI-PC Table 8

함량이 높을수록 경화시간은 너무 단축되어 그만큼 작업하는 시간이 촉박하AI-PC

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모든 결과를 종합해보면 응결시간은 온도와 습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실험할 때마다

기존레벨라를 비교하여 시험했다 가 가장 경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만 입자 CAS

가 뭉쳐 있어 혼합이 잘되지 않았다 그 결과 건조시 표면이 분화구처럼 돌출된 부

분이 많이 생겨났다

- 40 -

Table 8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CAS and Al-PC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5

급결제에 대한 성분 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는 와 같다 중탕Table 9

에서 증발시킨 후 의 잔유물에 대한 분석 결과(100 ) 50 wt Si 438 wt Na

로 나타났다 결정성과 구조분석을 위하여 로 확인한102 wt K 177 wt XRD

결과는 무결정 으로 피크가 나타나지 안했다 법으로 물을(amorphous) Karl fischer

분석시에도 가 잘 나타나지 안해 분석을 할 수 없었다 화학적 결합상태end-point

를 알아보기위해 을 이용하여 해석해본 결과IR Na2SiO3 H2 와O 50 wt 50 wt

의 H2 가 공존함을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O Na2SiO3 H2 와 의O 50 wt 50 wt

H2 를 함께 사용하기로 결정하였고 건설 현장에 시공 또는 제품 생산에 위와 같O

은 혼합비율을 적용하였다

- 41 -

Table 9 Chemical Composition of RCM300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6

측정된 충격음레벨은 ISO 140 Part 6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을 준용하여 수음실 기준 흡음력 에 대한sound insulation of Floors 1978) (10 )

보정 값으로 환산하였다(Table 10)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나타내는 수음실의 바닥충격음레벨 (Ln 은 다음 식 으로) (1)

구하였다

여기서

Ln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흡음력보정 바닥충격음레벨 j ( )

충격음위치 지점수m

상기 식 의 각 충격음 위치마다의 바닥충격음레벨의 평균값(1) (Lj 은 다음식 에) (2)

따라 산출하였다

- 42 -

Table 10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sound insulation of floor

- 43 -

여기서

Lj 수음실내 측정점 에서의 바닥충격음레벨 i ( )

측정점의 수n

또한 상기 바닥충격음레벨 평균값 (Lj 은 수음실의 흡음력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

므로 를 준용 이를 기준흡음력 에 대한 값ISO 140 Part6 (978) (10 ) (L nj 으로)

환산하였으며 그 산출식은 식 과 같다 (3)

여기서

L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평균 바닥충격음레벨 j ( )

AO 기준흡음력 (10 )

수음실 측정실 용적V ( ) ( )

수음실 측정실 잔향시간 초T ( ) ( )

에서 보면 기준판과 시험체의 경량충격음은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Table 10

충격음이 증가하다가 완만한 곡선을 나타내는 반면 중량충격음의 결과를 보면 주파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충격음이 계속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경량 충격음은 음원이 태핑머신인 관계로 주파수 변화에 따른

파장의 작고 큼에 별 영향을 주지 않지만 중량 충격음은 음원이 타이어임으로 고주

파대로 갈수록 파장이 작아서 투과 여건이 적은 관계에 기인함을 알 수 있다 본

바닥충격음과 소음에 대한 실험 결과 기존 시멘트몰탈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

믹몰탈간에 바닥충격음과 소음의 차이는 크게 나지 않음으로 무시할 정도임을 알았

- 44 -

제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7

아래 은 바닥재 시공에 대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과 재래식 시Table 11

멘트몰탈과의 특징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연구연에서 분석한 세라믹구들의 분석 결과를 에Table 12

실었다 현 시험법에 따라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 등의 물성을 공인된 한국건자 KS

재연구원에 의뢰한 결과 압축강도면에서 이 넘는 결과가 나왔으며 다른400 f

물성 또한 기준 물성값을 초과하는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에서 보는 것과 Table 12

같이 길이변화율은 일 경과 후 로서 거의 변화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28 -0046

며 이를 미루어 보아 시멘트몰탈의 수축 팽창에 기인되는 균열 원인을 해결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45 -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 구들의 비교Table 11

구분 단위 재래식 시멘트몰탈 본 제품 세라믹구들( )

시공후상태

몰탈층

바탕면의 균열 발생-바탕면의 평활 수평 이 없다- (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없다-공정 회 이 복잡하다- (3-4 )많은면적을 시공할 수 없다-양생시간이 길다 일- (3-7 )하자 보수비가 필요하다-시멘트 독성에 따른 인체에-해로움

바탕면의 균열이 없다- 바탕면의 평활 수평 성이 양호- ( )일정한 두께유지-공정이 단순 회공정 하다- (1 )많은 면적을 시공할 수 있다-양생시간이 짧다 일- (1 )하자보수비가 필요없다-건강보조기능-항균성 무독성 원적외선( )마감재 시공이 용이하다-에너지절감 효과가 크다-열전도율 및 축열기능이 좋다-차음 방음 효과가 우수하다- ( )건축물의 경량화-

세라믹 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시험 검사 방법 ( ) KS L 5105-97 KS L 5104-96 KS L 5207-rsquo99 KS F2424-rsquo95 KS L 1592 rsquo95시험원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시험일자 2000 OS 09 ~ 09 15

- 46 -

제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석회 광물은 마그네시아 광물과 함께 중요한 조암광물로서 천연에서는 산화물(CaO)

로는 존재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탄산염 황산염 또는 규산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석회질 원료로는 석회석 돌로마이트 형석 석고 규회석 등이었으며 이중 석회석

(CaCO3 과 석고)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만을 에 나타내었다 원적) Fig 10 11

외선 발열체와 세라믹 발열체가 있다 원석 발열체로는 맥반석 게르마늄석 옥석

황토 등이 있다 원적외선의 온열효과는 피부표면에 복사된 원적외선은 인체 중 물

의 진동 파장과 거의 비슷하며 공진 작용으로 일반열이 도달할 수 없는 부위( )共振

까지 도달하게 한다 이러한 심달력은 피하층의 온도상승 미세혈관의 확장 혈액순

환 촉진 선진대사강화 혈류 장해 해소 조직의 재생능력 증가 결련예방 및 암치

료 효과 등의 의학적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혈행이 좋아짐으로서

정상체온 유지 스트레스 해소 소화촉진 근육통 해소 피부 색깔 정상화 꺼칠한

눈이 부드러워지고 감기 예방효과 조직 내에 쌓여 있던 노폐물의 분비도 촉진된

다 또한 세포에 필요로 하는 영양소와 산소를 정상적으로 공급받게 되어 세포와

조직이 활력을 되찾게 되고 적당한 원적외선 활용은 세포의 노화를 막아주는 효과

를 볼 수 있다 원적외선 부작용 없는 건강유지와 질병의 예방치료적 기 (氣

라고 할 수 있다energy)

석회석은 시멘트의 주원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전방사율은 약 정도를085

보이고 있으나 이후와 단파장 영역쪽에 불안정한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보이20

고 있다 이는 공기 중의 습기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그 조성이 일부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시멘트를 측정하여 비교Fig 10 11

한 결과에서는 다소 석회석 자체원료를 측정한 것이 방사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CaSO4 는 외국에서 천연으로 산출된 것과 본 연구에서 제조한 배연 탈황석고)

모두 원적외선 방사특성에 있어서는 석회석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특히

부근에서의 약간의 골이 생겨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87

- 47 -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48 -

석고Fig 11 (CaSO4 의 원작외선 방사특성)

- 49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의 방사율은 에 실었다 현재 원적외선이 다Fig 12

량 방사되는 게르바늄석 참조 옥석 참조 맥반석 참조(Fig 13 ) (Fig 14 ) (Fig 15 )

등에 비해서 같은 수준의 방사에너지 및 방사율이 발현됨을 공인된 시험기간에 의

해서 입증되었다 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를 Fig16 3~20

파장 영역에서 방사특성을 나타내었다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는 이상흑체에

서 방사되는 특성과 같은 모양을 방출하고 있습을 알았다 따라서 세라믹구들은 건

강친화적인 면만 아니라 여러 가지 가능을 가진 차세대 온돌용 세라믹구들이라고

할 수 있다

제 절 현장 시공9

본 세라믹구들의 최적화 조건 조성 및 현장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차로 경기도 광1

주 소재 동심주택 제 차 그린타운 세대를 시험 시공한 바 있으며 위 결과를 토9 19

대로 최적화된 조건에 따라 안양 재건축현장 및 기홍 목조주택 등에 실용화 시공하

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Fig 17

필름 한 장을 깔고 그 위에 외경의 폴리에틸렌 엑셀파이프를 배관한 후 세라15

믹 구들로 타설한 후 수평을 잡으면서 두께를 로 일정하게 하였다40

시멘트 제품은 응결 경화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균열이 발생되

면 더 커지면서 계속 퍼져나가는 경향을 나타낸다 여러 종류의 균열 보수기법이

현재 마련되어 있으나 완벽한 균열 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 보수 후에도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 보수로 인해 외관의 불량 균열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로 시공한 결과는 상기와 같

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할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연구에 의해 일반 콘크리트에도 적

용할 경우 그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균열을 방지함으로서 방

수 강도저하 철근부식 등 내구성저하를 막으므로 고품질의 구조물 공사가 될 것으

로 예상된다

- 50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 51 -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 52 -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 53 -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21 -

Fig 1 TGA thermal curve of gypsum

- 22 -

Fig 2 Flow diagram of gypsum sintering system

- 23 -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3

에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석고에 대하여 표면형상을 관찰하였다Self-leveling

조건으로 국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Hitachi S-4200) 150

산 석고등의 입자를 조사한 결과는 과 에서 보는 바와 같다 과Fig 3 Fig 4 Fig 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국산석고의 크기가 독일산 석고보다 크나 분쇄를 잘하Fig 4

면 공정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추정된다self-leveling

의 입자가 큰 국산석고를 에서 분 분쇄 후 사진 의 결Fig 3 mortar 20 SEM (Fig5)

과를 보면 독일산 석고와 아주 유사한 형태와 로 변하였다 그러므로 분쇄 공정size

만 잘 진행하면 국산 석고도 외국산 석고에 비해 제조에 손색없음을self-leveling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 무수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를 위하여 쌍용연구소의 연속분쇄기

를 사용하여 분쇄하였다 분쇄 조건은 압력(roller mill) roller 6 feeding RPM

시료 투입량 등으로 무수석고를 연속 분쇄하였40 separator RPM 880 6 hr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4

국내산 석고와 외국산 석고들에 대한 화학성분 분석을 위하여 Optical Emission

로 정성분석한 후Spectrometer(OES TJA Atomcomp 81) Atomic Absorption

Sepctrophotometer(AAS Perkin Elmer 5000) 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meter(ICPAES Perkin Elmer Elan 5000) Wet

분석방법 등으로 국산 석고와 외국산 석고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Analysis(WET)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 석고에 대하여도 위에서 분석한 CAS( )

것과 같이 등의 방법으로 성분분석을 하여 석고의 품질OES AAS ICPAES WET

및 특성등을 파악하였다

- 24 -

Fig3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 25 -

Fig4 SEM photograph of germany gypsum

- 26 -

Fig5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after grinding

- 27 -

제 절 특수 첨가재5

기존의 재 에self- leveling 300 g H2 을 혼합한 후 아래와 같은 여러 종류의O 89 g

첨가재를 첨가하면서 초결 종결 등의 경화 응결 및 플로값 등의 물리적인 성질을

측정하였다

또한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

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기존의 재 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O 89g CAS ( )

때의 물리적인 특성뿐 아니라 알미나 포틀랜드 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AI-PC)

때의 물리적인 특성도 비교하였다

가존의 재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 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위에서 측정한 경우와 서로 비교하AI-PC

여 보았다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6

재 제조시 적절한 응결을 위하여 급결제을 사용하는데 통상 물유리를Self -leveling

많이 사용함을 본 연구에서 알았다 급결제의 성분 분석을 위하여 wet analysis

등을 사용하였으며 구조분석을 위하여는 와 을 사용하였OES AAS ICPAES XRD IR

다 법으로는 석고중에 함유되어 있는 물의 함량을 분석하는데 사용하 Karl fischer

였다

- 28 -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7

바닥 충격음 및 소음에 대한 시험은 여주군에 위치한 방재시험연구소에 의뢰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편을 제작하여 측정하였다 바닥 충격음 방지재 (save gum pad

를 사용한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 에 시험재료로 한양 시멘트 제품인6 t) (246 )

레미탈 을 사용하여 몰탈 바닥 넓이 로 작업한 후900 28 m times 42 m times 30

일 간 야외에서 양생하여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참조30 (Fig 6 )

바닥충격음시험은 건축물현장에 있어서의 바닥충격음측정방법 을KSF 2810 ( 1981)

적용하여 음원실 충격음발생실 과 수음실 충격음측정실 로 구성된 잔향실 사이 바( ) ( )

닥개구부에 시험체를 설치한 후 시험체위에서 충격음 경량 태핑 머신 및 중량충 (

격음 타이어 을 발생시켜 주파수범위의 대역별 바닥충격음 ) 63-4000 13 Octave

레벨 회를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하였다25

제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최근 건설 현장에 불기 시작한 주거환경의 쾌적화와 원적외선 방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도 원적외선 방사에 대한 시험을 시행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과 한국원적외선협회에 세라믹몰탈 옥석 맥반석

게르마늄석을 의뢰하여 방사율을 단파장인 영역인 에서 까지 측정하였다3 20

- 29 -

Fig 6 Present floor of impact sound insulation

- 3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1

화력발전소에서 부산물로 생성된 이수석고를 대전소재 쌍용 중앙연구소에서 rotary

을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소성된 석고를kiln X - Ray Diffractometer (XRD Rigaku

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수석고는DMAX-2500) Fig 7

에서는150~200 CaSO 4 2Hㆍ 2 가O CaSO4 12Hㆍ 2 로 변하고 에서O 350 CaSO 4

의 피크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그후 온도를 올림에 따라 무수석고의 결정성이 좋

아짐을 알 수 있었다 참조(Fig 7 )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2

으로 확인한 결과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국산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ig 3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로 단단한 모양으로 균일하게70

구성되어 있는 반면 의 독일산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 Fig 4 70

의 크기가 소수 분포와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분포175

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체로 한 결 -200 mesh sieving

과를 보면 정도의 가 큰 덩어리가 남아 있었다10 size

가 큰 덩어리를 로 확인한 결과 석고로 판명되었다 에서 보면 독일Size XRD Fig 8

산 최초 석고인 BW CaSO4 과 후의 의(GER)-3 sieving XRD pattern BW

CaSO4 와 동일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들은 결과와 결과로(G+200M)-4 XRD TGA

보면 모두 CaSO4로 판명되었다

에서 분쇄된 무수석고의 입자분포도를 보기 위하여Roller mill particle size

로 측정범위 측정 분산매analyzer 01-180 lens focal depth 100 methyl

를 사용하여 초음파 분산 방법으로 입도 분포도를 얻어 에 실었다alcohol Fig 9

- 31 -

Fig7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each gypsum in sintering condition

- 32 -

Fig8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gypsum after sieving

- 33 -

Fig 9 Particle distribution chart of gypsum

- 34 -

에서의 입자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이하의 분포도가 전체의 를Fig 9 5 87

차지하고 있는 반면 마이크론미터 이상이 전체의 밖에 차지하고 있음을 알10 3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보면 외국산 석고에 비해 공정에서는 보다 나 self - leveling

은 작업성과 물성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3

분석방법 등으로 분석한 결과 에서 보OES AAS ICPAES Wet Analysis Table 2

는 바와 같이 독일산석고와 국산석고의 분석결과가 화학성분에서는 아주 유사하다

그러나 독일산 석고에 규사만이 함유되어 있는 것에 비해 국산 석고에는16 wt

규사가 로 작게 함유되어 있었다 이는 원재료의 광산에 함유된 규사에096 wt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석고에 대한 분석 결과를 CAS( ) Table 3

에 실었다 에서 보면 라파석고에 인이 포함되어 있는 반면 인 Table 3 00072 wt

산무수 석고에는 로 많이 포함되어 있어 제조시 인산무0024 wt self- leveling

수 석고를 사용한 결과가 나쁘게 나타났다고 추정되며 지지용 철근의self-leveling

부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이므로 인산석고의 사용을 피함이 좋을 것이다

인산무수 석고는 자체에서 산성 성분을 용출함으로서 콘크리트 중에 함유된 알칼리

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을 혼입시키어 철근을 활성화

상태로 만들고 이로 인해 부식하기 쉽게 된다

- 35 -

Table 2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 36 -

Table 3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and Binder

- 37 -

제 절 특수 첨가재4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의 양을 변화시O 89 g -α

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4

Table 4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a -gypsum

에서 보면 석고의 함량을 증가할수록 초결시간은 빨라지지만 수분증발시Table 4 -α

간이 느리고 기존레벨라보다 종결시간이 느린 것을 보아 석고만을 첨가한다는-α

것은 의미가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화시키

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5

Table 5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LiCO3

- 38 -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기존레벨라에는 이미Table 5 LiCO3이 인 이 포014 042g

함되어 있어 순으로 첨가하였으나 첨가 양에 따른 초결상태의 변화0 15 30 g

는 없었으나 종결상태는 조금씩 첨가 양이 많아지면서 조금씩 지연되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O 89 g CAS ( )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과 같다Table 6

Table 6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CAS

에서 보면 를 씩 증가하면서 첨가함에 따라 초결상태와Table 6 CAS 0 10 20 g

종결상태가 보다 급격히 빨라짐을 알 수 있었다 즉 경화 속도에 의Table 4 5 CAS

함유량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에서 사용한 첨가제를 모두 혼합하여 기존의 재Table 4 5 6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비교해보면O 89 g Table

과 같다7

- 39 -

Table 7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and CAS

에서 보는 것처럼 기존의 재Table 7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O 89 g

라에 석고와- LiCOα 3 만을 혼합하였을 때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의 양을 CAS

증가시키면서 함께 첨가할 수록 경화시간은 단축되었다

에 알미나 포틀랜드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Table 7 (AI-PC)

비교해보면 과 같다Table 8

기존의 재self-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보면 에서 보는 것처럼AI-PC Table 8

함량이 높을수록 경화시간은 너무 단축되어 그만큼 작업하는 시간이 촉박하AI-PC

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모든 결과를 종합해보면 응결시간은 온도와 습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실험할 때마다

기존레벨라를 비교하여 시험했다 가 가장 경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만 입자 CAS

가 뭉쳐 있어 혼합이 잘되지 않았다 그 결과 건조시 표면이 분화구처럼 돌출된 부

분이 많이 생겨났다

- 40 -

Table 8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CAS and Al-PC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5

급결제에 대한 성분 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는 와 같다 중탕Table 9

에서 증발시킨 후 의 잔유물에 대한 분석 결과(100 ) 50 wt Si 438 wt Na

로 나타났다 결정성과 구조분석을 위하여 로 확인한102 wt K 177 wt XRD

결과는 무결정 으로 피크가 나타나지 안했다 법으로 물을(amorphous) Karl fischer

분석시에도 가 잘 나타나지 안해 분석을 할 수 없었다 화학적 결합상태end-point

를 알아보기위해 을 이용하여 해석해본 결과IR Na2SiO3 H2 와O 50 wt 50 wt

의 H2 가 공존함을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O Na2SiO3 H2 와 의O 50 wt 50 wt

H2 를 함께 사용하기로 결정하였고 건설 현장에 시공 또는 제품 생산에 위와 같O

은 혼합비율을 적용하였다

- 41 -

Table 9 Chemical Composition of RCM300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6

측정된 충격음레벨은 ISO 140 Part 6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을 준용하여 수음실 기준 흡음력 에 대한sound insulation of Floors 1978) (10 )

보정 값으로 환산하였다(Table 10)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나타내는 수음실의 바닥충격음레벨 (Ln 은 다음 식 으로) (1)

구하였다

여기서

Ln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흡음력보정 바닥충격음레벨 j ( )

충격음위치 지점수m

상기 식 의 각 충격음 위치마다의 바닥충격음레벨의 평균값(1) (Lj 은 다음식 에) (2)

따라 산출하였다

- 42 -

Table 10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sound insulation of floor

- 43 -

여기서

Lj 수음실내 측정점 에서의 바닥충격음레벨 i ( )

측정점의 수n

또한 상기 바닥충격음레벨 평균값 (Lj 은 수음실의 흡음력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

므로 를 준용 이를 기준흡음력 에 대한 값ISO 140 Part6 (978) (10 ) (L nj 으로)

환산하였으며 그 산출식은 식 과 같다 (3)

여기서

L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평균 바닥충격음레벨 j ( )

AO 기준흡음력 (10 )

수음실 측정실 용적V ( ) ( )

수음실 측정실 잔향시간 초T ( ) ( )

에서 보면 기준판과 시험체의 경량충격음은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Table 10

충격음이 증가하다가 완만한 곡선을 나타내는 반면 중량충격음의 결과를 보면 주파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충격음이 계속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경량 충격음은 음원이 태핑머신인 관계로 주파수 변화에 따른

파장의 작고 큼에 별 영향을 주지 않지만 중량 충격음은 음원이 타이어임으로 고주

파대로 갈수록 파장이 작아서 투과 여건이 적은 관계에 기인함을 알 수 있다 본

바닥충격음과 소음에 대한 실험 결과 기존 시멘트몰탈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

믹몰탈간에 바닥충격음과 소음의 차이는 크게 나지 않음으로 무시할 정도임을 알았

- 44 -

제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7

아래 은 바닥재 시공에 대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과 재래식 시Table 11

멘트몰탈과의 특징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연구연에서 분석한 세라믹구들의 분석 결과를 에Table 12

실었다 현 시험법에 따라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 등의 물성을 공인된 한국건자 KS

재연구원에 의뢰한 결과 압축강도면에서 이 넘는 결과가 나왔으며 다른400 f

물성 또한 기준 물성값을 초과하는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에서 보는 것과 Table 12

같이 길이변화율은 일 경과 후 로서 거의 변화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28 -0046

며 이를 미루어 보아 시멘트몰탈의 수축 팽창에 기인되는 균열 원인을 해결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45 -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 구들의 비교Table 11

구분 단위 재래식 시멘트몰탈 본 제품 세라믹구들( )

시공후상태

몰탈층

바탕면의 균열 발생-바탕면의 평활 수평 이 없다- (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없다-공정 회 이 복잡하다- (3-4 )많은면적을 시공할 수 없다-양생시간이 길다 일- (3-7 )하자 보수비가 필요하다-시멘트 독성에 따른 인체에-해로움

바탕면의 균열이 없다- 바탕면의 평활 수평 성이 양호- ( )일정한 두께유지-공정이 단순 회공정 하다- (1 )많은 면적을 시공할 수 있다-양생시간이 짧다 일- (1 )하자보수비가 필요없다-건강보조기능-항균성 무독성 원적외선( )마감재 시공이 용이하다-에너지절감 효과가 크다-열전도율 및 축열기능이 좋다-차음 방음 효과가 우수하다- ( )건축물의 경량화-

세라믹 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시험 검사 방법 ( ) KS L 5105-97 KS L 5104-96 KS L 5207-rsquo99 KS F2424-rsquo95 KS L 1592 rsquo95시험원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시험일자 2000 OS 09 ~ 09 15

- 46 -

제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석회 광물은 마그네시아 광물과 함께 중요한 조암광물로서 천연에서는 산화물(CaO)

로는 존재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탄산염 황산염 또는 규산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석회질 원료로는 석회석 돌로마이트 형석 석고 규회석 등이었으며 이중 석회석

(CaCO3 과 석고)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만을 에 나타내었다 원적) Fig 10 11

외선 발열체와 세라믹 발열체가 있다 원석 발열체로는 맥반석 게르마늄석 옥석

황토 등이 있다 원적외선의 온열효과는 피부표면에 복사된 원적외선은 인체 중 물

의 진동 파장과 거의 비슷하며 공진 작용으로 일반열이 도달할 수 없는 부위( )共振

까지 도달하게 한다 이러한 심달력은 피하층의 온도상승 미세혈관의 확장 혈액순

환 촉진 선진대사강화 혈류 장해 해소 조직의 재생능력 증가 결련예방 및 암치

료 효과 등의 의학적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혈행이 좋아짐으로서

정상체온 유지 스트레스 해소 소화촉진 근육통 해소 피부 색깔 정상화 꺼칠한

눈이 부드러워지고 감기 예방효과 조직 내에 쌓여 있던 노폐물의 분비도 촉진된

다 또한 세포에 필요로 하는 영양소와 산소를 정상적으로 공급받게 되어 세포와

조직이 활력을 되찾게 되고 적당한 원적외선 활용은 세포의 노화를 막아주는 효과

를 볼 수 있다 원적외선 부작용 없는 건강유지와 질병의 예방치료적 기 (氣

라고 할 수 있다energy)

석회석은 시멘트의 주원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전방사율은 약 정도를085

보이고 있으나 이후와 단파장 영역쪽에 불안정한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보이20

고 있다 이는 공기 중의 습기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그 조성이 일부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시멘트를 측정하여 비교Fig 10 11

한 결과에서는 다소 석회석 자체원료를 측정한 것이 방사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CaSO4 는 외국에서 천연으로 산출된 것과 본 연구에서 제조한 배연 탈황석고)

모두 원적외선 방사특성에 있어서는 석회석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특히

부근에서의 약간의 골이 생겨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87

- 47 -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48 -

석고Fig 11 (CaSO4 의 원작외선 방사특성)

- 49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의 방사율은 에 실었다 현재 원적외선이 다Fig 12

량 방사되는 게르바늄석 참조 옥석 참조 맥반석 참조(Fig 13 ) (Fig 14 ) (Fig 15 )

등에 비해서 같은 수준의 방사에너지 및 방사율이 발현됨을 공인된 시험기간에 의

해서 입증되었다 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를 Fig16 3~20

파장 영역에서 방사특성을 나타내었다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는 이상흑체에

서 방사되는 특성과 같은 모양을 방출하고 있습을 알았다 따라서 세라믹구들은 건

강친화적인 면만 아니라 여러 가지 가능을 가진 차세대 온돌용 세라믹구들이라고

할 수 있다

제 절 현장 시공9

본 세라믹구들의 최적화 조건 조성 및 현장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차로 경기도 광1

주 소재 동심주택 제 차 그린타운 세대를 시험 시공한 바 있으며 위 결과를 토9 19

대로 최적화된 조건에 따라 안양 재건축현장 및 기홍 목조주택 등에 실용화 시공하

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Fig 17

필름 한 장을 깔고 그 위에 외경의 폴리에틸렌 엑셀파이프를 배관한 후 세라15

믹 구들로 타설한 후 수평을 잡으면서 두께를 로 일정하게 하였다40

시멘트 제품은 응결 경화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균열이 발생되

면 더 커지면서 계속 퍼져나가는 경향을 나타낸다 여러 종류의 균열 보수기법이

현재 마련되어 있으나 완벽한 균열 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 보수 후에도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 보수로 인해 외관의 불량 균열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로 시공한 결과는 상기와 같

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할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연구에 의해 일반 콘크리트에도 적

용할 경우 그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균열을 방지함으로서 방

수 강도저하 철근부식 등 내구성저하를 막으므로 고품질의 구조물 공사가 될 것으

로 예상된다

- 50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 51 -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 52 -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 53 -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22 -

Fig 2 Flow diagram of gypsum sintering system

- 23 -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3

에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석고에 대하여 표면형상을 관찰하였다Self-leveling

조건으로 국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Hitachi S-4200) 150

산 석고등의 입자를 조사한 결과는 과 에서 보는 바와 같다 과Fig 3 Fig 4 Fig 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국산석고의 크기가 독일산 석고보다 크나 분쇄를 잘하Fig 4

면 공정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추정된다self-leveling

의 입자가 큰 국산석고를 에서 분 분쇄 후 사진 의 결Fig 3 mortar 20 SEM (Fig5)

과를 보면 독일산 석고와 아주 유사한 형태와 로 변하였다 그러므로 분쇄 공정size

만 잘 진행하면 국산 석고도 외국산 석고에 비해 제조에 손색없음을self-leveling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 무수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를 위하여 쌍용연구소의 연속분쇄기

를 사용하여 분쇄하였다 분쇄 조건은 압력(roller mill) roller 6 feeding RPM

시료 투입량 등으로 무수석고를 연속 분쇄하였40 separator RPM 880 6 hr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4

국내산 석고와 외국산 석고들에 대한 화학성분 분석을 위하여 Optical Emission

로 정성분석한 후Spectrometer(OES TJA Atomcomp 81) Atomic Absorption

Sepctrophotometer(AAS Perkin Elmer 5000) 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meter(ICPAES Perkin Elmer Elan 5000) Wet

분석방법 등으로 국산 석고와 외국산 석고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Analysis(WET)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 석고에 대하여도 위에서 분석한 CAS( )

것과 같이 등의 방법으로 성분분석을 하여 석고의 품질OES AAS ICPAES WET

및 특성등을 파악하였다

- 24 -

Fig3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 25 -

Fig4 SEM photograph of germany gypsum

- 26 -

Fig5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after grinding

- 27 -

제 절 특수 첨가재5

기존의 재 에self- leveling 300 g H2 을 혼합한 후 아래와 같은 여러 종류의O 89 g

첨가재를 첨가하면서 초결 종결 등의 경화 응결 및 플로값 등의 물리적인 성질을

측정하였다

또한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

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기존의 재 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O 89g CAS ( )

때의 물리적인 특성뿐 아니라 알미나 포틀랜드 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AI-PC)

때의 물리적인 특성도 비교하였다

가존의 재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 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위에서 측정한 경우와 서로 비교하AI-PC

여 보았다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6

재 제조시 적절한 응결을 위하여 급결제을 사용하는데 통상 물유리를Self -leveling

많이 사용함을 본 연구에서 알았다 급결제의 성분 분석을 위하여 wet analysis

등을 사용하였으며 구조분석을 위하여는 와 을 사용하였OES AAS ICPAES XRD IR

다 법으로는 석고중에 함유되어 있는 물의 함량을 분석하는데 사용하 Karl fischer

였다

- 28 -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7

바닥 충격음 및 소음에 대한 시험은 여주군에 위치한 방재시험연구소에 의뢰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편을 제작하여 측정하였다 바닥 충격음 방지재 (save gum pad

를 사용한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 에 시험재료로 한양 시멘트 제품인6 t) (246 )

레미탈 을 사용하여 몰탈 바닥 넓이 로 작업한 후900 28 m times 42 m times 30

일 간 야외에서 양생하여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참조30 (Fig 6 )

바닥충격음시험은 건축물현장에 있어서의 바닥충격음측정방법 을KSF 2810 ( 1981)

적용하여 음원실 충격음발생실 과 수음실 충격음측정실 로 구성된 잔향실 사이 바( ) ( )

닥개구부에 시험체를 설치한 후 시험체위에서 충격음 경량 태핑 머신 및 중량충 (

격음 타이어 을 발생시켜 주파수범위의 대역별 바닥충격음 ) 63-4000 13 Octave

레벨 회를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하였다25

제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최근 건설 현장에 불기 시작한 주거환경의 쾌적화와 원적외선 방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도 원적외선 방사에 대한 시험을 시행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과 한국원적외선협회에 세라믹몰탈 옥석 맥반석

게르마늄석을 의뢰하여 방사율을 단파장인 영역인 에서 까지 측정하였다3 20

- 29 -

Fig 6 Present floor of impact sound insulation

- 3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1

화력발전소에서 부산물로 생성된 이수석고를 대전소재 쌍용 중앙연구소에서 rotary

을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소성된 석고를kiln X - Ray Diffractometer (XRD Rigaku

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수석고는DMAX-2500) Fig 7

에서는150~200 CaSO 4 2Hㆍ 2 가O CaSO4 12Hㆍ 2 로 변하고 에서O 350 CaSO 4

의 피크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그후 온도를 올림에 따라 무수석고의 결정성이 좋

아짐을 알 수 있었다 참조(Fig 7 )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2

으로 확인한 결과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국산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ig 3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로 단단한 모양으로 균일하게70

구성되어 있는 반면 의 독일산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 Fig 4 70

의 크기가 소수 분포와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분포175

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체로 한 결 -200 mesh sieving

과를 보면 정도의 가 큰 덩어리가 남아 있었다10 size

가 큰 덩어리를 로 확인한 결과 석고로 판명되었다 에서 보면 독일Size XRD Fig 8

산 최초 석고인 BW CaSO4 과 후의 의(GER)-3 sieving XRD pattern BW

CaSO4 와 동일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들은 결과와 결과로(G+200M)-4 XRD TGA

보면 모두 CaSO4로 판명되었다

에서 분쇄된 무수석고의 입자분포도를 보기 위하여Roller mill particle size

로 측정범위 측정 분산매analyzer 01-180 lens focal depth 100 methyl

를 사용하여 초음파 분산 방법으로 입도 분포도를 얻어 에 실었다alcohol Fig 9

- 31 -

Fig7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each gypsum in sintering condition

- 32 -

Fig8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gypsum after sieving

- 33 -

Fig 9 Particle distribution chart of gypsum

- 34 -

에서의 입자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이하의 분포도가 전체의 를Fig 9 5 87

차지하고 있는 반면 마이크론미터 이상이 전체의 밖에 차지하고 있음을 알10 3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보면 외국산 석고에 비해 공정에서는 보다 나 self - leveling

은 작업성과 물성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3

분석방법 등으로 분석한 결과 에서 보OES AAS ICPAES Wet Analysis Table 2

는 바와 같이 독일산석고와 국산석고의 분석결과가 화학성분에서는 아주 유사하다

그러나 독일산 석고에 규사만이 함유되어 있는 것에 비해 국산 석고에는16 wt

규사가 로 작게 함유되어 있었다 이는 원재료의 광산에 함유된 규사에096 wt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석고에 대한 분석 결과를 CAS( ) Table 3

에 실었다 에서 보면 라파석고에 인이 포함되어 있는 반면 인 Table 3 00072 wt

산무수 석고에는 로 많이 포함되어 있어 제조시 인산무0024 wt self- leveling

수 석고를 사용한 결과가 나쁘게 나타났다고 추정되며 지지용 철근의self-leveling

부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이므로 인산석고의 사용을 피함이 좋을 것이다

인산무수 석고는 자체에서 산성 성분을 용출함으로서 콘크리트 중에 함유된 알칼리

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을 혼입시키어 철근을 활성화

상태로 만들고 이로 인해 부식하기 쉽게 된다

- 35 -

Table 2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 36 -

Table 3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and Binder

- 37 -

제 절 특수 첨가재4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의 양을 변화시O 89 g -α

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4

Table 4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a -gypsum

에서 보면 석고의 함량을 증가할수록 초결시간은 빨라지지만 수분증발시Table 4 -α

간이 느리고 기존레벨라보다 종결시간이 느린 것을 보아 석고만을 첨가한다는-α

것은 의미가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화시키

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5

Table 5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LiCO3

- 38 -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기존레벨라에는 이미Table 5 LiCO3이 인 이 포014 042g

함되어 있어 순으로 첨가하였으나 첨가 양에 따른 초결상태의 변화0 15 30 g

는 없었으나 종결상태는 조금씩 첨가 양이 많아지면서 조금씩 지연되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O 89 g CAS ( )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과 같다Table 6

Table 6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CAS

에서 보면 를 씩 증가하면서 첨가함에 따라 초결상태와Table 6 CAS 0 10 20 g

종결상태가 보다 급격히 빨라짐을 알 수 있었다 즉 경화 속도에 의Table 4 5 CAS

함유량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에서 사용한 첨가제를 모두 혼합하여 기존의 재Table 4 5 6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비교해보면O 89 g Table

과 같다7

- 39 -

Table 7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and CAS

에서 보는 것처럼 기존의 재Table 7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O 89 g

라에 석고와- LiCOα 3 만을 혼합하였을 때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의 양을 CAS

증가시키면서 함께 첨가할 수록 경화시간은 단축되었다

에 알미나 포틀랜드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Table 7 (AI-PC)

비교해보면 과 같다Table 8

기존의 재self-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보면 에서 보는 것처럼AI-PC Table 8

함량이 높을수록 경화시간은 너무 단축되어 그만큼 작업하는 시간이 촉박하AI-PC

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모든 결과를 종합해보면 응결시간은 온도와 습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실험할 때마다

기존레벨라를 비교하여 시험했다 가 가장 경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만 입자 CAS

가 뭉쳐 있어 혼합이 잘되지 않았다 그 결과 건조시 표면이 분화구처럼 돌출된 부

분이 많이 생겨났다

- 40 -

Table 8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CAS and Al-PC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5

급결제에 대한 성분 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는 와 같다 중탕Table 9

에서 증발시킨 후 의 잔유물에 대한 분석 결과(100 ) 50 wt Si 438 wt Na

로 나타났다 결정성과 구조분석을 위하여 로 확인한102 wt K 177 wt XRD

결과는 무결정 으로 피크가 나타나지 안했다 법으로 물을(amorphous) Karl fischer

분석시에도 가 잘 나타나지 안해 분석을 할 수 없었다 화학적 결합상태end-point

를 알아보기위해 을 이용하여 해석해본 결과IR Na2SiO3 H2 와O 50 wt 50 wt

의 H2 가 공존함을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O Na2SiO3 H2 와 의O 50 wt 50 wt

H2 를 함께 사용하기로 결정하였고 건설 현장에 시공 또는 제품 생산에 위와 같O

은 혼합비율을 적용하였다

- 41 -

Table 9 Chemical Composition of RCM300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6

측정된 충격음레벨은 ISO 140 Part 6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을 준용하여 수음실 기준 흡음력 에 대한sound insulation of Floors 1978) (10 )

보정 값으로 환산하였다(Table 10)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나타내는 수음실의 바닥충격음레벨 (Ln 은 다음 식 으로) (1)

구하였다

여기서

Ln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흡음력보정 바닥충격음레벨 j ( )

충격음위치 지점수m

상기 식 의 각 충격음 위치마다의 바닥충격음레벨의 평균값(1) (Lj 은 다음식 에) (2)

따라 산출하였다

- 42 -

Table 10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sound insulation of floor

- 43 -

여기서

Lj 수음실내 측정점 에서의 바닥충격음레벨 i ( )

측정점의 수n

또한 상기 바닥충격음레벨 평균값 (Lj 은 수음실의 흡음력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

므로 를 준용 이를 기준흡음력 에 대한 값ISO 140 Part6 (978) (10 ) (L nj 으로)

환산하였으며 그 산출식은 식 과 같다 (3)

여기서

L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평균 바닥충격음레벨 j ( )

AO 기준흡음력 (10 )

수음실 측정실 용적V ( ) ( )

수음실 측정실 잔향시간 초T ( ) ( )

에서 보면 기준판과 시험체의 경량충격음은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Table 10

충격음이 증가하다가 완만한 곡선을 나타내는 반면 중량충격음의 결과를 보면 주파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충격음이 계속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경량 충격음은 음원이 태핑머신인 관계로 주파수 변화에 따른

파장의 작고 큼에 별 영향을 주지 않지만 중량 충격음은 음원이 타이어임으로 고주

파대로 갈수록 파장이 작아서 투과 여건이 적은 관계에 기인함을 알 수 있다 본

바닥충격음과 소음에 대한 실험 결과 기존 시멘트몰탈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

믹몰탈간에 바닥충격음과 소음의 차이는 크게 나지 않음으로 무시할 정도임을 알았

- 44 -

제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7

아래 은 바닥재 시공에 대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과 재래식 시Table 11

멘트몰탈과의 특징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연구연에서 분석한 세라믹구들의 분석 결과를 에Table 12

실었다 현 시험법에 따라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 등의 물성을 공인된 한국건자 KS

재연구원에 의뢰한 결과 압축강도면에서 이 넘는 결과가 나왔으며 다른400 f

물성 또한 기준 물성값을 초과하는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에서 보는 것과 Table 12

같이 길이변화율은 일 경과 후 로서 거의 변화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28 -0046

며 이를 미루어 보아 시멘트몰탈의 수축 팽창에 기인되는 균열 원인을 해결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45 -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 구들의 비교Table 11

구분 단위 재래식 시멘트몰탈 본 제품 세라믹구들( )

시공후상태

몰탈층

바탕면의 균열 발생-바탕면의 평활 수평 이 없다- (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없다-공정 회 이 복잡하다- (3-4 )많은면적을 시공할 수 없다-양생시간이 길다 일- (3-7 )하자 보수비가 필요하다-시멘트 독성에 따른 인체에-해로움

바탕면의 균열이 없다- 바탕면의 평활 수평 성이 양호- ( )일정한 두께유지-공정이 단순 회공정 하다- (1 )많은 면적을 시공할 수 있다-양생시간이 짧다 일- (1 )하자보수비가 필요없다-건강보조기능-항균성 무독성 원적외선( )마감재 시공이 용이하다-에너지절감 효과가 크다-열전도율 및 축열기능이 좋다-차음 방음 효과가 우수하다- ( )건축물의 경량화-

세라믹 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시험 검사 방법 ( ) KS L 5105-97 KS L 5104-96 KS L 5207-rsquo99 KS F2424-rsquo95 KS L 1592 rsquo95시험원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시험일자 2000 OS 09 ~ 09 15

- 46 -

제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석회 광물은 마그네시아 광물과 함께 중요한 조암광물로서 천연에서는 산화물(CaO)

로는 존재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탄산염 황산염 또는 규산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석회질 원료로는 석회석 돌로마이트 형석 석고 규회석 등이었으며 이중 석회석

(CaCO3 과 석고)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만을 에 나타내었다 원적) Fig 10 11

외선 발열체와 세라믹 발열체가 있다 원석 발열체로는 맥반석 게르마늄석 옥석

황토 등이 있다 원적외선의 온열효과는 피부표면에 복사된 원적외선은 인체 중 물

의 진동 파장과 거의 비슷하며 공진 작용으로 일반열이 도달할 수 없는 부위( )共振

까지 도달하게 한다 이러한 심달력은 피하층의 온도상승 미세혈관의 확장 혈액순

환 촉진 선진대사강화 혈류 장해 해소 조직의 재생능력 증가 결련예방 및 암치

료 효과 등의 의학적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혈행이 좋아짐으로서

정상체온 유지 스트레스 해소 소화촉진 근육통 해소 피부 색깔 정상화 꺼칠한

눈이 부드러워지고 감기 예방효과 조직 내에 쌓여 있던 노폐물의 분비도 촉진된

다 또한 세포에 필요로 하는 영양소와 산소를 정상적으로 공급받게 되어 세포와

조직이 활력을 되찾게 되고 적당한 원적외선 활용은 세포의 노화를 막아주는 효과

를 볼 수 있다 원적외선 부작용 없는 건강유지와 질병의 예방치료적 기 (氣

라고 할 수 있다energy)

석회석은 시멘트의 주원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전방사율은 약 정도를085

보이고 있으나 이후와 단파장 영역쪽에 불안정한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보이20

고 있다 이는 공기 중의 습기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그 조성이 일부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시멘트를 측정하여 비교Fig 10 11

한 결과에서는 다소 석회석 자체원료를 측정한 것이 방사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CaSO4 는 외국에서 천연으로 산출된 것과 본 연구에서 제조한 배연 탈황석고)

모두 원적외선 방사특성에 있어서는 석회석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특히

부근에서의 약간의 골이 생겨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87

- 47 -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48 -

석고Fig 11 (CaSO4 의 원작외선 방사특성)

- 49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의 방사율은 에 실었다 현재 원적외선이 다Fig 12

량 방사되는 게르바늄석 참조 옥석 참조 맥반석 참조(Fig 13 ) (Fig 14 ) (Fig 15 )

등에 비해서 같은 수준의 방사에너지 및 방사율이 발현됨을 공인된 시험기간에 의

해서 입증되었다 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를 Fig16 3~20

파장 영역에서 방사특성을 나타내었다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는 이상흑체에

서 방사되는 특성과 같은 모양을 방출하고 있습을 알았다 따라서 세라믹구들은 건

강친화적인 면만 아니라 여러 가지 가능을 가진 차세대 온돌용 세라믹구들이라고

할 수 있다

제 절 현장 시공9

본 세라믹구들의 최적화 조건 조성 및 현장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차로 경기도 광1

주 소재 동심주택 제 차 그린타운 세대를 시험 시공한 바 있으며 위 결과를 토9 19

대로 최적화된 조건에 따라 안양 재건축현장 및 기홍 목조주택 등에 실용화 시공하

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Fig 17

필름 한 장을 깔고 그 위에 외경의 폴리에틸렌 엑셀파이프를 배관한 후 세라15

믹 구들로 타설한 후 수평을 잡으면서 두께를 로 일정하게 하였다40

시멘트 제품은 응결 경화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균열이 발생되

면 더 커지면서 계속 퍼져나가는 경향을 나타낸다 여러 종류의 균열 보수기법이

현재 마련되어 있으나 완벽한 균열 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 보수 후에도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 보수로 인해 외관의 불량 균열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로 시공한 결과는 상기와 같

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할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연구에 의해 일반 콘크리트에도 적

용할 경우 그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균열을 방지함으로서 방

수 강도저하 철근부식 등 내구성저하를 막으므로 고품질의 구조물 공사가 될 것으

로 예상된다

- 50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 51 -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 52 -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 53 -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23 -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3

에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석고에 대하여 표면형상을 관찰하였다Self-leveling

조건으로 국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Hitachi S-4200) 150

산 석고등의 입자를 조사한 결과는 과 에서 보는 바와 같다 과Fig 3 Fig 4 Fig 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국산석고의 크기가 독일산 석고보다 크나 분쇄를 잘하Fig 4

면 공정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추정된다self-leveling

의 입자가 큰 국산석고를 에서 분 분쇄 후 사진 의 결Fig 3 mortar 20 SEM (Fig5)

과를 보면 독일산 석고와 아주 유사한 형태와 로 변하였다 그러므로 분쇄 공정size

만 잘 진행하면 국산 석고도 외국산 석고에 비해 제조에 손색없음을self-leveling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 무수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를 위하여 쌍용연구소의 연속분쇄기

를 사용하여 분쇄하였다 분쇄 조건은 압력(roller mill) roller 6 feeding RPM

시료 투입량 등으로 무수석고를 연속 분쇄하였40 separator RPM 880 6 hr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4

국내산 석고와 외국산 석고들에 대한 화학성분 분석을 위하여 Optical Emission

로 정성분석한 후Spectrometer(OES TJA Atomcomp 81) Atomic Absorption

Sepctrophotometer(AAS Perkin Elmer 5000) 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meter(ICPAES Perkin Elmer Elan 5000) Wet

분석방법 등으로 국산 석고와 외국산 석고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Analysis(WET)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 석고에 대하여도 위에서 분석한 CAS( )

것과 같이 등의 방법으로 성분분석을 하여 석고의 품질OES AAS ICPAES WET

및 특성등을 파악하였다

- 24 -

Fig3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 25 -

Fig4 SEM photograph of germany gypsum

- 26 -

Fig5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after grinding

- 27 -

제 절 특수 첨가재5

기존의 재 에self- leveling 300 g H2 을 혼합한 후 아래와 같은 여러 종류의O 89 g

첨가재를 첨가하면서 초결 종결 등의 경화 응결 및 플로값 등의 물리적인 성질을

측정하였다

또한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

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기존의 재 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O 89g CAS ( )

때의 물리적인 특성뿐 아니라 알미나 포틀랜드 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AI-PC)

때의 물리적인 특성도 비교하였다

가존의 재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 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위에서 측정한 경우와 서로 비교하AI-PC

여 보았다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6

재 제조시 적절한 응결을 위하여 급결제을 사용하는데 통상 물유리를Self -leveling

많이 사용함을 본 연구에서 알았다 급결제의 성분 분석을 위하여 wet analysis

등을 사용하였으며 구조분석을 위하여는 와 을 사용하였OES AAS ICPAES XRD IR

다 법으로는 석고중에 함유되어 있는 물의 함량을 분석하는데 사용하 Karl fischer

였다

- 28 -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7

바닥 충격음 및 소음에 대한 시험은 여주군에 위치한 방재시험연구소에 의뢰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편을 제작하여 측정하였다 바닥 충격음 방지재 (save gum pad

를 사용한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 에 시험재료로 한양 시멘트 제품인6 t) (246 )

레미탈 을 사용하여 몰탈 바닥 넓이 로 작업한 후900 28 m times 42 m times 30

일 간 야외에서 양생하여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참조30 (Fig 6 )

바닥충격음시험은 건축물현장에 있어서의 바닥충격음측정방법 을KSF 2810 ( 1981)

적용하여 음원실 충격음발생실 과 수음실 충격음측정실 로 구성된 잔향실 사이 바( ) ( )

닥개구부에 시험체를 설치한 후 시험체위에서 충격음 경량 태핑 머신 및 중량충 (

격음 타이어 을 발생시켜 주파수범위의 대역별 바닥충격음 ) 63-4000 13 Octave

레벨 회를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하였다25

제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최근 건설 현장에 불기 시작한 주거환경의 쾌적화와 원적외선 방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도 원적외선 방사에 대한 시험을 시행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과 한국원적외선협회에 세라믹몰탈 옥석 맥반석

게르마늄석을 의뢰하여 방사율을 단파장인 영역인 에서 까지 측정하였다3 20

- 29 -

Fig 6 Present floor of impact sound insulation

- 3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1

화력발전소에서 부산물로 생성된 이수석고를 대전소재 쌍용 중앙연구소에서 rotary

을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소성된 석고를kiln X - Ray Diffractometer (XRD Rigaku

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수석고는DMAX-2500) Fig 7

에서는150~200 CaSO 4 2Hㆍ 2 가O CaSO4 12Hㆍ 2 로 변하고 에서O 350 CaSO 4

의 피크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그후 온도를 올림에 따라 무수석고의 결정성이 좋

아짐을 알 수 있었다 참조(Fig 7 )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2

으로 확인한 결과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국산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ig 3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로 단단한 모양으로 균일하게70

구성되어 있는 반면 의 독일산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 Fig 4 70

의 크기가 소수 분포와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분포175

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체로 한 결 -200 mesh sieving

과를 보면 정도의 가 큰 덩어리가 남아 있었다10 size

가 큰 덩어리를 로 확인한 결과 석고로 판명되었다 에서 보면 독일Size XRD Fig 8

산 최초 석고인 BW CaSO4 과 후의 의(GER)-3 sieving XRD pattern BW

CaSO4 와 동일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들은 결과와 결과로(G+200M)-4 XRD TGA

보면 모두 CaSO4로 판명되었다

에서 분쇄된 무수석고의 입자분포도를 보기 위하여Roller mill particle size

로 측정범위 측정 분산매analyzer 01-180 lens focal depth 100 methyl

를 사용하여 초음파 분산 방법으로 입도 분포도를 얻어 에 실었다alcohol Fig 9

- 31 -

Fig7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each gypsum in sintering condition

- 32 -

Fig8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gypsum after sieving

- 33 -

Fig 9 Particle distribution chart of gypsum

- 34 -

에서의 입자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이하의 분포도가 전체의 를Fig 9 5 87

차지하고 있는 반면 마이크론미터 이상이 전체의 밖에 차지하고 있음을 알10 3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보면 외국산 석고에 비해 공정에서는 보다 나 self - leveling

은 작업성과 물성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3

분석방법 등으로 분석한 결과 에서 보OES AAS ICPAES Wet Analysis Table 2

는 바와 같이 독일산석고와 국산석고의 분석결과가 화학성분에서는 아주 유사하다

그러나 독일산 석고에 규사만이 함유되어 있는 것에 비해 국산 석고에는16 wt

규사가 로 작게 함유되어 있었다 이는 원재료의 광산에 함유된 규사에096 wt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석고에 대한 분석 결과를 CAS( ) Table 3

에 실었다 에서 보면 라파석고에 인이 포함되어 있는 반면 인 Table 3 00072 wt

산무수 석고에는 로 많이 포함되어 있어 제조시 인산무0024 wt self- leveling

수 석고를 사용한 결과가 나쁘게 나타났다고 추정되며 지지용 철근의self-leveling

부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이므로 인산석고의 사용을 피함이 좋을 것이다

인산무수 석고는 자체에서 산성 성분을 용출함으로서 콘크리트 중에 함유된 알칼리

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을 혼입시키어 철근을 활성화

상태로 만들고 이로 인해 부식하기 쉽게 된다

- 35 -

Table 2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 36 -

Table 3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and Binder

- 37 -

제 절 특수 첨가재4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의 양을 변화시O 89 g -α

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4

Table 4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a -gypsum

에서 보면 석고의 함량을 증가할수록 초결시간은 빨라지지만 수분증발시Table 4 -α

간이 느리고 기존레벨라보다 종결시간이 느린 것을 보아 석고만을 첨가한다는-α

것은 의미가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화시키

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5

Table 5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LiCO3

- 38 -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기존레벨라에는 이미Table 5 LiCO3이 인 이 포014 042g

함되어 있어 순으로 첨가하였으나 첨가 양에 따른 초결상태의 변화0 15 30 g

는 없었으나 종결상태는 조금씩 첨가 양이 많아지면서 조금씩 지연되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O 89 g CAS ( )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과 같다Table 6

Table 6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CAS

에서 보면 를 씩 증가하면서 첨가함에 따라 초결상태와Table 6 CAS 0 10 20 g

종결상태가 보다 급격히 빨라짐을 알 수 있었다 즉 경화 속도에 의Table 4 5 CAS

함유량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에서 사용한 첨가제를 모두 혼합하여 기존의 재Table 4 5 6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비교해보면O 89 g Table

과 같다7

- 39 -

Table 7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and CAS

에서 보는 것처럼 기존의 재Table 7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O 89 g

라에 석고와- LiCOα 3 만을 혼합하였을 때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의 양을 CAS

증가시키면서 함께 첨가할 수록 경화시간은 단축되었다

에 알미나 포틀랜드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Table 7 (AI-PC)

비교해보면 과 같다Table 8

기존의 재self-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보면 에서 보는 것처럼AI-PC Table 8

함량이 높을수록 경화시간은 너무 단축되어 그만큼 작업하는 시간이 촉박하AI-PC

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모든 결과를 종합해보면 응결시간은 온도와 습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실험할 때마다

기존레벨라를 비교하여 시험했다 가 가장 경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만 입자 CAS

가 뭉쳐 있어 혼합이 잘되지 않았다 그 결과 건조시 표면이 분화구처럼 돌출된 부

분이 많이 생겨났다

- 40 -

Table 8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CAS and Al-PC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5

급결제에 대한 성분 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는 와 같다 중탕Table 9

에서 증발시킨 후 의 잔유물에 대한 분석 결과(100 ) 50 wt Si 438 wt Na

로 나타났다 결정성과 구조분석을 위하여 로 확인한102 wt K 177 wt XRD

결과는 무결정 으로 피크가 나타나지 안했다 법으로 물을(amorphous) Karl fischer

분석시에도 가 잘 나타나지 안해 분석을 할 수 없었다 화학적 결합상태end-point

를 알아보기위해 을 이용하여 해석해본 결과IR Na2SiO3 H2 와O 50 wt 50 wt

의 H2 가 공존함을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O Na2SiO3 H2 와 의O 50 wt 50 wt

H2 를 함께 사용하기로 결정하였고 건설 현장에 시공 또는 제품 생산에 위와 같O

은 혼합비율을 적용하였다

- 41 -

Table 9 Chemical Composition of RCM300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6

측정된 충격음레벨은 ISO 140 Part 6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을 준용하여 수음실 기준 흡음력 에 대한sound insulation of Floors 1978) (10 )

보정 값으로 환산하였다(Table 10)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나타내는 수음실의 바닥충격음레벨 (Ln 은 다음 식 으로) (1)

구하였다

여기서

Ln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흡음력보정 바닥충격음레벨 j ( )

충격음위치 지점수m

상기 식 의 각 충격음 위치마다의 바닥충격음레벨의 평균값(1) (Lj 은 다음식 에) (2)

따라 산출하였다

- 42 -

Table 10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sound insulation of floor

- 43 -

여기서

Lj 수음실내 측정점 에서의 바닥충격음레벨 i ( )

측정점의 수n

또한 상기 바닥충격음레벨 평균값 (Lj 은 수음실의 흡음력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

므로 를 준용 이를 기준흡음력 에 대한 값ISO 140 Part6 (978) (10 ) (L nj 으로)

환산하였으며 그 산출식은 식 과 같다 (3)

여기서

L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평균 바닥충격음레벨 j ( )

AO 기준흡음력 (10 )

수음실 측정실 용적V ( ) ( )

수음실 측정실 잔향시간 초T ( ) ( )

에서 보면 기준판과 시험체의 경량충격음은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Table 10

충격음이 증가하다가 완만한 곡선을 나타내는 반면 중량충격음의 결과를 보면 주파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충격음이 계속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경량 충격음은 음원이 태핑머신인 관계로 주파수 변화에 따른

파장의 작고 큼에 별 영향을 주지 않지만 중량 충격음은 음원이 타이어임으로 고주

파대로 갈수록 파장이 작아서 투과 여건이 적은 관계에 기인함을 알 수 있다 본

바닥충격음과 소음에 대한 실험 결과 기존 시멘트몰탈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

믹몰탈간에 바닥충격음과 소음의 차이는 크게 나지 않음으로 무시할 정도임을 알았

- 44 -

제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7

아래 은 바닥재 시공에 대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과 재래식 시Table 11

멘트몰탈과의 특징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연구연에서 분석한 세라믹구들의 분석 결과를 에Table 12

실었다 현 시험법에 따라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 등의 물성을 공인된 한국건자 KS

재연구원에 의뢰한 결과 압축강도면에서 이 넘는 결과가 나왔으며 다른400 f

물성 또한 기준 물성값을 초과하는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에서 보는 것과 Table 12

같이 길이변화율은 일 경과 후 로서 거의 변화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28 -0046

며 이를 미루어 보아 시멘트몰탈의 수축 팽창에 기인되는 균열 원인을 해결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45 -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 구들의 비교Table 11

구분 단위 재래식 시멘트몰탈 본 제품 세라믹구들( )

시공후상태

몰탈층

바탕면의 균열 발생-바탕면의 평활 수평 이 없다- (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없다-공정 회 이 복잡하다- (3-4 )많은면적을 시공할 수 없다-양생시간이 길다 일- (3-7 )하자 보수비가 필요하다-시멘트 독성에 따른 인체에-해로움

바탕면의 균열이 없다- 바탕면의 평활 수평 성이 양호- ( )일정한 두께유지-공정이 단순 회공정 하다- (1 )많은 면적을 시공할 수 있다-양생시간이 짧다 일- (1 )하자보수비가 필요없다-건강보조기능-항균성 무독성 원적외선( )마감재 시공이 용이하다-에너지절감 효과가 크다-열전도율 및 축열기능이 좋다-차음 방음 효과가 우수하다- ( )건축물의 경량화-

세라믹 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시험 검사 방법 ( ) KS L 5105-97 KS L 5104-96 KS L 5207-rsquo99 KS F2424-rsquo95 KS L 1592 rsquo95시험원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시험일자 2000 OS 09 ~ 09 15

- 46 -

제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석회 광물은 마그네시아 광물과 함께 중요한 조암광물로서 천연에서는 산화물(CaO)

로는 존재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탄산염 황산염 또는 규산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석회질 원료로는 석회석 돌로마이트 형석 석고 규회석 등이었으며 이중 석회석

(CaCO3 과 석고)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만을 에 나타내었다 원적) Fig 10 11

외선 발열체와 세라믹 발열체가 있다 원석 발열체로는 맥반석 게르마늄석 옥석

황토 등이 있다 원적외선의 온열효과는 피부표면에 복사된 원적외선은 인체 중 물

의 진동 파장과 거의 비슷하며 공진 작용으로 일반열이 도달할 수 없는 부위( )共振

까지 도달하게 한다 이러한 심달력은 피하층의 온도상승 미세혈관의 확장 혈액순

환 촉진 선진대사강화 혈류 장해 해소 조직의 재생능력 증가 결련예방 및 암치

료 효과 등의 의학적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혈행이 좋아짐으로서

정상체온 유지 스트레스 해소 소화촉진 근육통 해소 피부 색깔 정상화 꺼칠한

눈이 부드러워지고 감기 예방효과 조직 내에 쌓여 있던 노폐물의 분비도 촉진된

다 또한 세포에 필요로 하는 영양소와 산소를 정상적으로 공급받게 되어 세포와

조직이 활력을 되찾게 되고 적당한 원적외선 활용은 세포의 노화를 막아주는 효과

를 볼 수 있다 원적외선 부작용 없는 건강유지와 질병의 예방치료적 기 (氣

라고 할 수 있다energy)

석회석은 시멘트의 주원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전방사율은 약 정도를085

보이고 있으나 이후와 단파장 영역쪽에 불안정한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보이20

고 있다 이는 공기 중의 습기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그 조성이 일부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시멘트를 측정하여 비교Fig 10 11

한 결과에서는 다소 석회석 자체원료를 측정한 것이 방사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CaSO4 는 외국에서 천연으로 산출된 것과 본 연구에서 제조한 배연 탈황석고)

모두 원적외선 방사특성에 있어서는 석회석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특히

부근에서의 약간의 골이 생겨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87

- 47 -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48 -

석고Fig 11 (CaSO4 의 원작외선 방사특성)

- 49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의 방사율은 에 실었다 현재 원적외선이 다Fig 12

량 방사되는 게르바늄석 참조 옥석 참조 맥반석 참조(Fig 13 ) (Fig 14 ) (Fig 15 )

등에 비해서 같은 수준의 방사에너지 및 방사율이 발현됨을 공인된 시험기간에 의

해서 입증되었다 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를 Fig16 3~20

파장 영역에서 방사특성을 나타내었다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는 이상흑체에

서 방사되는 특성과 같은 모양을 방출하고 있습을 알았다 따라서 세라믹구들은 건

강친화적인 면만 아니라 여러 가지 가능을 가진 차세대 온돌용 세라믹구들이라고

할 수 있다

제 절 현장 시공9

본 세라믹구들의 최적화 조건 조성 및 현장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차로 경기도 광1

주 소재 동심주택 제 차 그린타운 세대를 시험 시공한 바 있으며 위 결과를 토9 19

대로 최적화된 조건에 따라 안양 재건축현장 및 기홍 목조주택 등에 실용화 시공하

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Fig 17

필름 한 장을 깔고 그 위에 외경의 폴리에틸렌 엑셀파이프를 배관한 후 세라15

믹 구들로 타설한 후 수평을 잡으면서 두께를 로 일정하게 하였다40

시멘트 제품은 응결 경화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균열이 발생되

면 더 커지면서 계속 퍼져나가는 경향을 나타낸다 여러 종류의 균열 보수기법이

현재 마련되어 있으나 완벽한 균열 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 보수 후에도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 보수로 인해 외관의 불량 균열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로 시공한 결과는 상기와 같

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할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연구에 의해 일반 콘크리트에도 적

용할 경우 그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균열을 방지함으로서 방

수 강도저하 철근부식 등 내구성저하를 막으므로 고품질의 구조물 공사가 될 것으

로 예상된다

- 50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 51 -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 52 -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 53 -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24 -

Fig3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 25 -

Fig4 SEM photograph of germany gypsum

- 26 -

Fig5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after grinding

- 27 -

제 절 특수 첨가재5

기존의 재 에self- leveling 300 g H2 을 혼합한 후 아래와 같은 여러 종류의O 89 g

첨가재를 첨가하면서 초결 종결 등의 경화 응결 및 플로값 등의 물리적인 성질을

측정하였다

또한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

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기존의 재 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O 89g CAS ( )

때의 물리적인 특성뿐 아니라 알미나 포틀랜드 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AI-PC)

때의 물리적인 특성도 비교하였다

가존의 재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 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위에서 측정한 경우와 서로 비교하AI-PC

여 보았다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6

재 제조시 적절한 응결을 위하여 급결제을 사용하는데 통상 물유리를Self -leveling

많이 사용함을 본 연구에서 알았다 급결제의 성분 분석을 위하여 wet analysis

등을 사용하였으며 구조분석을 위하여는 와 을 사용하였OES AAS ICPAES XRD IR

다 법으로는 석고중에 함유되어 있는 물의 함량을 분석하는데 사용하 Karl fischer

였다

- 28 -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7

바닥 충격음 및 소음에 대한 시험은 여주군에 위치한 방재시험연구소에 의뢰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편을 제작하여 측정하였다 바닥 충격음 방지재 (save gum pad

를 사용한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 에 시험재료로 한양 시멘트 제품인6 t) (246 )

레미탈 을 사용하여 몰탈 바닥 넓이 로 작업한 후900 28 m times 42 m times 30

일 간 야외에서 양생하여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참조30 (Fig 6 )

바닥충격음시험은 건축물현장에 있어서의 바닥충격음측정방법 을KSF 2810 ( 1981)

적용하여 음원실 충격음발생실 과 수음실 충격음측정실 로 구성된 잔향실 사이 바( ) ( )

닥개구부에 시험체를 설치한 후 시험체위에서 충격음 경량 태핑 머신 및 중량충 (

격음 타이어 을 발생시켜 주파수범위의 대역별 바닥충격음 ) 63-4000 13 Octave

레벨 회를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하였다25

제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최근 건설 현장에 불기 시작한 주거환경의 쾌적화와 원적외선 방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도 원적외선 방사에 대한 시험을 시행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과 한국원적외선협회에 세라믹몰탈 옥석 맥반석

게르마늄석을 의뢰하여 방사율을 단파장인 영역인 에서 까지 측정하였다3 20

- 29 -

Fig 6 Present floor of impact sound insulation

- 3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1

화력발전소에서 부산물로 생성된 이수석고를 대전소재 쌍용 중앙연구소에서 rotary

을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소성된 석고를kiln X - Ray Diffractometer (XRD Rigaku

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수석고는DMAX-2500) Fig 7

에서는150~200 CaSO 4 2Hㆍ 2 가O CaSO4 12Hㆍ 2 로 변하고 에서O 350 CaSO 4

의 피크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그후 온도를 올림에 따라 무수석고의 결정성이 좋

아짐을 알 수 있었다 참조(Fig 7 )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2

으로 확인한 결과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국산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ig 3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로 단단한 모양으로 균일하게70

구성되어 있는 반면 의 독일산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 Fig 4 70

의 크기가 소수 분포와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분포175

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체로 한 결 -200 mesh sieving

과를 보면 정도의 가 큰 덩어리가 남아 있었다10 size

가 큰 덩어리를 로 확인한 결과 석고로 판명되었다 에서 보면 독일Size XRD Fig 8

산 최초 석고인 BW CaSO4 과 후의 의(GER)-3 sieving XRD pattern BW

CaSO4 와 동일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들은 결과와 결과로(G+200M)-4 XRD TGA

보면 모두 CaSO4로 판명되었다

에서 분쇄된 무수석고의 입자분포도를 보기 위하여Roller mill particle size

로 측정범위 측정 분산매analyzer 01-180 lens focal depth 100 methyl

를 사용하여 초음파 분산 방법으로 입도 분포도를 얻어 에 실었다alcohol Fig 9

- 31 -

Fig7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each gypsum in sintering condition

- 32 -

Fig8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gypsum after sieving

- 33 -

Fig 9 Particle distribution chart of gypsum

- 34 -

에서의 입자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이하의 분포도가 전체의 를Fig 9 5 87

차지하고 있는 반면 마이크론미터 이상이 전체의 밖에 차지하고 있음을 알10 3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보면 외국산 석고에 비해 공정에서는 보다 나 self - leveling

은 작업성과 물성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3

분석방법 등으로 분석한 결과 에서 보OES AAS ICPAES Wet Analysis Table 2

는 바와 같이 독일산석고와 국산석고의 분석결과가 화학성분에서는 아주 유사하다

그러나 독일산 석고에 규사만이 함유되어 있는 것에 비해 국산 석고에는16 wt

규사가 로 작게 함유되어 있었다 이는 원재료의 광산에 함유된 규사에096 wt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석고에 대한 분석 결과를 CAS( ) Table 3

에 실었다 에서 보면 라파석고에 인이 포함되어 있는 반면 인 Table 3 00072 wt

산무수 석고에는 로 많이 포함되어 있어 제조시 인산무0024 wt self- leveling

수 석고를 사용한 결과가 나쁘게 나타났다고 추정되며 지지용 철근의self-leveling

부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이므로 인산석고의 사용을 피함이 좋을 것이다

인산무수 석고는 자체에서 산성 성분을 용출함으로서 콘크리트 중에 함유된 알칼리

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을 혼입시키어 철근을 활성화

상태로 만들고 이로 인해 부식하기 쉽게 된다

- 35 -

Table 2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 36 -

Table 3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and Binder

- 37 -

제 절 특수 첨가재4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의 양을 변화시O 89 g -α

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4

Table 4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a -gypsum

에서 보면 석고의 함량을 증가할수록 초결시간은 빨라지지만 수분증발시Table 4 -α

간이 느리고 기존레벨라보다 종결시간이 느린 것을 보아 석고만을 첨가한다는-α

것은 의미가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화시키

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5

Table 5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LiCO3

- 38 -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기존레벨라에는 이미Table 5 LiCO3이 인 이 포014 042g

함되어 있어 순으로 첨가하였으나 첨가 양에 따른 초결상태의 변화0 15 30 g

는 없었으나 종결상태는 조금씩 첨가 양이 많아지면서 조금씩 지연되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O 89 g CAS ( )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과 같다Table 6

Table 6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CAS

에서 보면 를 씩 증가하면서 첨가함에 따라 초결상태와Table 6 CAS 0 10 20 g

종결상태가 보다 급격히 빨라짐을 알 수 있었다 즉 경화 속도에 의Table 4 5 CAS

함유량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에서 사용한 첨가제를 모두 혼합하여 기존의 재Table 4 5 6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비교해보면O 89 g Table

과 같다7

- 39 -

Table 7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and CAS

에서 보는 것처럼 기존의 재Table 7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O 89 g

라에 석고와- LiCOα 3 만을 혼합하였을 때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의 양을 CAS

증가시키면서 함께 첨가할 수록 경화시간은 단축되었다

에 알미나 포틀랜드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Table 7 (AI-PC)

비교해보면 과 같다Table 8

기존의 재self-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보면 에서 보는 것처럼AI-PC Table 8

함량이 높을수록 경화시간은 너무 단축되어 그만큼 작업하는 시간이 촉박하AI-PC

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모든 결과를 종합해보면 응결시간은 온도와 습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실험할 때마다

기존레벨라를 비교하여 시험했다 가 가장 경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만 입자 CAS

가 뭉쳐 있어 혼합이 잘되지 않았다 그 결과 건조시 표면이 분화구처럼 돌출된 부

분이 많이 생겨났다

- 40 -

Table 8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CAS and Al-PC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5

급결제에 대한 성분 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는 와 같다 중탕Table 9

에서 증발시킨 후 의 잔유물에 대한 분석 결과(100 ) 50 wt Si 438 wt Na

로 나타났다 결정성과 구조분석을 위하여 로 확인한102 wt K 177 wt XRD

결과는 무결정 으로 피크가 나타나지 안했다 법으로 물을(amorphous) Karl fischer

분석시에도 가 잘 나타나지 안해 분석을 할 수 없었다 화학적 결합상태end-point

를 알아보기위해 을 이용하여 해석해본 결과IR Na2SiO3 H2 와O 50 wt 50 wt

의 H2 가 공존함을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O Na2SiO3 H2 와 의O 50 wt 50 wt

H2 를 함께 사용하기로 결정하였고 건설 현장에 시공 또는 제품 생산에 위와 같O

은 혼합비율을 적용하였다

- 41 -

Table 9 Chemical Composition of RCM300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6

측정된 충격음레벨은 ISO 140 Part 6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을 준용하여 수음실 기준 흡음력 에 대한sound insulation of Floors 1978) (10 )

보정 값으로 환산하였다(Table 10)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나타내는 수음실의 바닥충격음레벨 (Ln 은 다음 식 으로) (1)

구하였다

여기서

Ln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흡음력보정 바닥충격음레벨 j ( )

충격음위치 지점수m

상기 식 의 각 충격음 위치마다의 바닥충격음레벨의 평균값(1) (Lj 은 다음식 에) (2)

따라 산출하였다

- 42 -

Table 10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sound insulation of floor

- 43 -

여기서

Lj 수음실내 측정점 에서의 바닥충격음레벨 i ( )

측정점의 수n

또한 상기 바닥충격음레벨 평균값 (Lj 은 수음실의 흡음력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

므로 를 준용 이를 기준흡음력 에 대한 값ISO 140 Part6 (978) (10 ) (L nj 으로)

환산하였으며 그 산출식은 식 과 같다 (3)

여기서

L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평균 바닥충격음레벨 j ( )

AO 기준흡음력 (10 )

수음실 측정실 용적V ( ) ( )

수음실 측정실 잔향시간 초T ( ) ( )

에서 보면 기준판과 시험체의 경량충격음은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Table 10

충격음이 증가하다가 완만한 곡선을 나타내는 반면 중량충격음의 결과를 보면 주파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충격음이 계속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경량 충격음은 음원이 태핑머신인 관계로 주파수 변화에 따른

파장의 작고 큼에 별 영향을 주지 않지만 중량 충격음은 음원이 타이어임으로 고주

파대로 갈수록 파장이 작아서 투과 여건이 적은 관계에 기인함을 알 수 있다 본

바닥충격음과 소음에 대한 실험 결과 기존 시멘트몰탈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

믹몰탈간에 바닥충격음과 소음의 차이는 크게 나지 않음으로 무시할 정도임을 알았

- 44 -

제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7

아래 은 바닥재 시공에 대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과 재래식 시Table 11

멘트몰탈과의 특징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연구연에서 분석한 세라믹구들의 분석 결과를 에Table 12

실었다 현 시험법에 따라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 등의 물성을 공인된 한국건자 KS

재연구원에 의뢰한 결과 압축강도면에서 이 넘는 결과가 나왔으며 다른400 f

물성 또한 기준 물성값을 초과하는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에서 보는 것과 Table 12

같이 길이변화율은 일 경과 후 로서 거의 변화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28 -0046

며 이를 미루어 보아 시멘트몰탈의 수축 팽창에 기인되는 균열 원인을 해결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45 -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 구들의 비교Table 11

구분 단위 재래식 시멘트몰탈 본 제품 세라믹구들( )

시공후상태

몰탈층

바탕면의 균열 발생-바탕면의 평활 수평 이 없다- (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없다-공정 회 이 복잡하다- (3-4 )많은면적을 시공할 수 없다-양생시간이 길다 일- (3-7 )하자 보수비가 필요하다-시멘트 독성에 따른 인체에-해로움

바탕면의 균열이 없다- 바탕면의 평활 수평 성이 양호- ( )일정한 두께유지-공정이 단순 회공정 하다- (1 )많은 면적을 시공할 수 있다-양생시간이 짧다 일- (1 )하자보수비가 필요없다-건강보조기능-항균성 무독성 원적외선( )마감재 시공이 용이하다-에너지절감 효과가 크다-열전도율 및 축열기능이 좋다-차음 방음 효과가 우수하다- ( )건축물의 경량화-

세라믹 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시험 검사 방법 ( ) KS L 5105-97 KS L 5104-96 KS L 5207-rsquo99 KS F2424-rsquo95 KS L 1592 rsquo95시험원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시험일자 2000 OS 09 ~ 09 15

- 46 -

제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석회 광물은 마그네시아 광물과 함께 중요한 조암광물로서 천연에서는 산화물(CaO)

로는 존재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탄산염 황산염 또는 규산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석회질 원료로는 석회석 돌로마이트 형석 석고 규회석 등이었으며 이중 석회석

(CaCO3 과 석고)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만을 에 나타내었다 원적) Fig 10 11

외선 발열체와 세라믹 발열체가 있다 원석 발열체로는 맥반석 게르마늄석 옥석

황토 등이 있다 원적외선의 온열효과는 피부표면에 복사된 원적외선은 인체 중 물

의 진동 파장과 거의 비슷하며 공진 작용으로 일반열이 도달할 수 없는 부위( )共振

까지 도달하게 한다 이러한 심달력은 피하층의 온도상승 미세혈관의 확장 혈액순

환 촉진 선진대사강화 혈류 장해 해소 조직의 재생능력 증가 결련예방 및 암치

료 효과 등의 의학적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혈행이 좋아짐으로서

정상체온 유지 스트레스 해소 소화촉진 근육통 해소 피부 색깔 정상화 꺼칠한

눈이 부드러워지고 감기 예방효과 조직 내에 쌓여 있던 노폐물의 분비도 촉진된

다 또한 세포에 필요로 하는 영양소와 산소를 정상적으로 공급받게 되어 세포와

조직이 활력을 되찾게 되고 적당한 원적외선 활용은 세포의 노화를 막아주는 효과

를 볼 수 있다 원적외선 부작용 없는 건강유지와 질병의 예방치료적 기 (氣

라고 할 수 있다energy)

석회석은 시멘트의 주원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전방사율은 약 정도를085

보이고 있으나 이후와 단파장 영역쪽에 불안정한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보이20

고 있다 이는 공기 중의 습기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그 조성이 일부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시멘트를 측정하여 비교Fig 10 11

한 결과에서는 다소 석회석 자체원료를 측정한 것이 방사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CaSO4 는 외국에서 천연으로 산출된 것과 본 연구에서 제조한 배연 탈황석고)

모두 원적외선 방사특성에 있어서는 석회석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특히

부근에서의 약간의 골이 생겨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87

- 47 -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48 -

석고Fig 11 (CaSO4 의 원작외선 방사특성)

- 49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의 방사율은 에 실었다 현재 원적외선이 다Fig 12

량 방사되는 게르바늄석 참조 옥석 참조 맥반석 참조(Fig 13 ) (Fig 14 ) (Fig 15 )

등에 비해서 같은 수준의 방사에너지 및 방사율이 발현됨을 공인된 시험기간에 의

해서 입증되었다 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를 Fig16 3~20

파장 영역에서 방사특성을 나타내었다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는 이상흑체에

서 방사되는 특성과 같은 모양을 방출하고 있습을 알았다 따라서 세라믹구들은 건

강친화적인 면만 아니라 여러 가지 가능을 가진 차세대 온돌용 세라믹구들이라고

할 수 있다

제 절 현장 시공9

본 세라믹구들의 최적화 조건 조성 및 현장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차로 경기도 광1

주 소재 동심주택 제 차 그린타운 세대를 시험 시공한 바 있으며 위 결과를 토9 19

대로 최적화된 조건에 따라 안양 재건축현장 및 기홍 목조주택 등에 실용화 시공하

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Fig 17

필름 한 장을 깔고 그 위에 외경의 폴리에틸렌 엑셀파이프를 배관한 후 세라15

믹 구들로 타설한 후 수평을 잡으면서 두께를 로 일정하게 하였다40

시멘트 제품은 응결 경화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균열이 발생되

면 더 커지면서 계속 퍼져나가는 경향을 나타낸다 여러 종류의 균열 보수기법이

현재 마련되어 있으나 완벽한 균열 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 보수 후에도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 보수로 인해 외관의 불량 균열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로 시공한 결과는 상기와 같

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할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연구에 의해 일반 콘크리트에도 적

용할 경우 그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균열을 방지함으로서 방

수 강도저하 철근부식 등 내구성저하를 막으므로 고품질의 구조물 공사가 될 것으

로 예상된다

- 50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 51 -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 52 -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 53 -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25 -

Fig4 SEM photograph of germany gypsum

- 26 -

Fig5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after grinding

- 27 -

제 절 특수 첨가재5

기존의 재 에self- leveling 300 g H2 을 혼합한 후 아래와 같은 여러 종류의O 89 g

첨가재를 첨가하면서 초결 종결 등의 경화 응결 및 플로값 등의 물리적인 성질을

측정하였다

또한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

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기존의 재 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O 89g CAS ( )

때의 물리적인 특성뿐 아니라 알미나 포틀랜드 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AI-PC)

때의 물리적인 특성도 비교하였다

가존의 재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 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위에서 측정한 경우와 서로 비교하AI-PC

여 보았다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6

재 제조시 적절한 응결을 위하여 급결제을 사용하는데 통상 물유리를Self -leveling

많이 사용함을 본 연구에서 알았다 급결제의 성분 분석을 위하여 wet analysis

등을 사용하였으며 구조분석을 위하여는 와 을 사용하였OES AAS ICPAES XRD IR

다 법으로는 석고중에 함유되어 있는 물의 함량을 분석하는데 사용하 Karl fischer

였다

- 28 -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7

바닥 충격음 및 소음에 대한 시험은 여주군에 위치한 방재시험연구소에 의뢰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편을 제작하여 측정하였다 바닥 충격음 방지재 (save gum pad

를 사용한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 에 시험재료로 한양 시멘트 제품인6 t) (246 )

레미탈 을 사용하여 몰탈 바닥 넓이 로 작업한 후900 28 m times 42 m times 30

일 간 야외에서 양생하여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참조30 (Fig 6 )

바닥충격음시험은 건축물현장에 있어서의 바닥충격음측정방법 을KSF 2810 ( 1981)

적용하여 음원실 충격음발생실 과 수음실 충격음측정실 로 구성된 잔향실 사이 바( ) ( )

닥개구부에 시험체를 설치한 후 시험체위에서 충격음 경량 태핑 머신 및 중량충 (

격음 타이어 을 발생시켜 주파수범위의 대역별 바닥충격음 ) 63-4000 13 Octave

레벨 회를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하였다25

제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최근 건설 현장에 불기 시작한 주거환경의 쾌적화와 원적외선 방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도 원적외선 방사에 대한 시험을 시행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과 한국원적외선협회에 세라믹몰탈 옥석 맥반석

게르마늄석을 의뢰하여 방사율을 단파장인 영역인 에서 까지 측정하였다3 20

- 29 -

Fig 6 Present floor of impact sound insulation

- 3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1

화력발전소에서 부산물로 생성된 이수석고를 대전소재 쌍용 중앙연구소에서 rotary

을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소성된 석고를kiln X - Ray Diffractometer (XRD Rigaku

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수석고는DMAX-2500) Fig 7

에서는150~200 CaSO 4 2Hㆍ 2 가O CaSO4 12Hㆍ 2 로 변하고 에서O 350 CaSO 4

의 피크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그후 온도를 올림에 따라 무수석고의 결정성이 좋

아짐을 알 수 있었다 참조(Fig 7 )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2

으로 확인한 결과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국산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ig 3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로 단단한 모양으로 균일하게70

구성되어 있는 반면 의 독일산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 Fig 4 70

의 크기가 소수 분포와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분포175

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체로 한 결 -200 mesh sieving

과를 보면 정도의 가 큰 덩어리가 남아 있었다10 size

가 큰 덩어리를 로 확인한 결과 석고로 판명되었다 에서 보면 독일Size XRD Fig 8

산 최초 석고인 BW CaSO4 과 후의 의(GER)-3 sieving XRD pattern BW

CaSO4 와 동일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들은 결과와 결과로(G+200M)-4 XRD TGA

보면 모두 CaSO4로 판명되었다

에서 분쇄된 무수석고의 입자분포도를 보기 위하여Roller mill particle size

로 측정범위 측정 분산매analyzer 01-180 lens focal depth 100 methyl

를 사용하여 초음파 분산 방법으로 입도 분포도를 얻어 에 실었다alcohol Fig 9

- 31 -

Fig7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each gypsum in sintering condition

- 32 -

Fig8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gypsum after sieving

- 33 -

Fig 9 Particle distribution chart of gypsum

- 34 -

에서의 입자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이하의 분포도가 전체의 를Fig 9 5 87

차지하고 있는 반면 마이크론미터 이상이 전체의 밖에 차지하고 있음을 알10 3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보면 외국산 석고에 비해 공정에서는 보다 나 self - leveling

은 작업성과 물성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3

분석방법 등으로 분석한 결과 에서 보OES AAS ICPAES Wet Analysis Table 2

는 바와 같이 독일산석고와 국산석고의 분석결과가 화학성분에서는 아주 유사하다

그러나 독일산 석고에 규사만이 함유되어 있는 것에 비해 국산 석고에는16 wt

규사가 로 작게 함유되어 있었다 이는 원재료의 광산에 함유된 규사에096 wt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석고에 대한 분석 결과를 CAS( ) Table 3

에 실었다 에서 보면 라파석고에 인이 포함되어 있는 반면 인 Table 3 00072 wt

산무수 석고에는 로 많이 포함되어 있어 제조시 인산무0024 wt self- leveling

수 석고를 사용한 결과가 나쁘게 나타났다고 추정되며 지지용 철근의self-leveling

부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이므로 인산석고의 사용을 피함이 좋을 것이다

인산무수 석고는 자체에서 산성 성분을 용출함으로서 콘크리트 중에 함유된 알칼리

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을 혼입시키어 철근을 활성화

상태로 만들고 이로 인해 부식하기 쉽게 된다

- 35 -

Table 2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 36 -

Table 3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and Binder

- 37 -

제 절 특수 첨가재4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의 양을 변화시O 89 g -α

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4

Table 4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a -gypsum

에서 보면 석고의 함량을 증가할수록 초결시간은 빨라지지만 수분증발시Table 4 -α

간이 느리고 기존레벨라보다 종결시간이 느린 것을 보아 석고만을 첨가한다는-α

것은 의미가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화시키

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5

Table 5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LiCO3

- 38 -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기존레벨라에는 이미Table 5 LiCO3이 인 이 포014 042g

함되어 있어 순으로 첨가하였으나 첨가 양에 따른 초결상태의 변화0 15 30 g

는 없었으나 종결상태는 조금씩 첨가 양이 많아지면서 조금씩 지연되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O 89 g CAS ( )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과 같다Table 6

Table 6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CAS

에서 보면 를 씩 증가하면서 첨가함에 따라 초결상태와Table 6 CAS 0 10 20 g

종결상태가 보다 급격히 빨라짐을 알 수 있었다 즉 경화 속도에 의Table 4 5 CAS

함유량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에서 사용한 첨가제를 모두 혼합하여 기존의 재Table 4 5 6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비교해보면O 89 g Table

과 같다7

- 39 -

Table 7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and CAS

에서 보는 것처럼 기존의 재Table 7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O 89 g

라에 석고와- LiCOα 3 만을 혼합하였을 때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의 양을 CAS

증가시키면서 함께 첨가할 수록 경화시간은 단축되었다

에 알미나 포틀랜드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Table 7 (AI-PC)

비교해보면 과 같다Table 8

기존의 재self-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보면 에서 보는 것처럼AI-PC Table 8

함량이 높을수록 경화시간은 너무 단축되어 그만큼 작업하는 시간이 촉박하AI-PC

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모든 결과를 종합해보면 응결시간은 온도와 습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실험할 때마다

기존레벨라를 비교하여 시험했다 가 가장 경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만 입자 CAS

가 뭉쳐 있어 혼합이 잘되지 않았다 그 결과 건조시 표면이 분화구처럼 돌출된 부

분이 많이 생겨났다

- 40 -

Table 8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CAS and Al-PC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5

급결제에 대한 성분 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는 와 같다 중탕Table 9

에서 증발시킨 후 의 잔유물에 대한 분석 결과(100 ) 50 wt Si 438 wt Na

로 나타났다 결정성과 구조분석을 위하여 로 확인한102 wt K 177 wt XRD

결과는 무결정 으로 피크가 나타나지 안했다 법으로 물을(amorphous) Karl fischer

분석시에도 가 잘 나타나지 안해 분석을 할 수 없었다 화학적 결합상태end-point

를 알아보기위해 을 이용하여 해석해본 결과IR Na2SiO3 H2 와O 50 wt 50 wt

의 H2 가 공존함을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O Na2SiO3 H2 와 의O 50 wt 50 wt

H2 를 함께 사용하기로 결정하였고 건설 현장에 시공 또는 제품 생산에 위와 같O

은 혼합비율을 적용하였다

- 41 -

Table 9 Chemical Composition of RCM300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6

측정된 충격음레벨은 ISO 140 Part 6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을 준용하여 수음실 기준 흡음력 에 대한sound insulation of Floors 1978) (10 )

보정 값으로 환산하였다(Table 10)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나타내는 수음실의 바닥충격음레벨 (Ln 은 다음 식 으로) (1)

구하였다

여기서

Ln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흡음력보정 바닥충격음레벨 j ( )

충격음위치 지점수m

상기 식 의 각 충격음 위치마다의 바닥충격음레벨의 평균값(1) (Lj 은 다음식 에) (2)

따라 산출하였다

- 42 -

Table 10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sound insulation of floor

- 43 -

여기서

Lj 수음실내 측정점 에서의 바닥충격음레벨 i ( )

측정점의 수n

또한 상기 바닥충격음레벨 평균값 (Lj 은 수음실의 흡음력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

므로 를 준용 이를 기준흡음력 에 대한 값ISO 140 Part6 (978) (10 ) (L nj 으로)

환산하였으며 그 산출식은 식 과 같다 (3)

여기서

L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평균 바닥충격음레벨 j ( )

AO 기준흡음력 (10 )

수음실 측정실 용적V ( ) ( )

수음실 측정실 잔향시간 초T ( ) ( )

에서 보면 기준판과 시험체의 경량충격음은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Table 10

충격음이 증가하다가 완만한 곡선을 나타내는 반면 중량충격음의 결과를 보면 주파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충격음이 계속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경량 충격음은 음원이 태핑머신인 관계로 주파수 변화에 따른

파장의 작고 큼에 별 영향을 주지 않지만 중량 충격음은 음원이 타이어임으로 고주

파대로 갈수록 파장이 작아서 투과 여건이 적은 관계에 기인함을 알 수 있다 본

바닥충격음과 소음에 대한 실험 결과 기존 시멘트몰탈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

믹몰탈간에 바닥충격음과 소음의 차이는 크게 나지 않음으로 무시할 정도임을 알았

- 44 -

제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7

아래 은 바닥재 시공에 대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과 재래식 시Table 11

멘트몰탈과의 특징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연구연에서 분석한 세라믹구들의 분석 결과를 에Table 12

실었다 현 시험법에 따라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 등의 물성을 공인된 한국건자 KS

재연구원에 의뢰한 결과 압축강도면에서 이 넘는 결과가 나왔으며 다른400 f

물성 또한 기준 물성값을 초과하는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에서 보는 것과 Table 12

같이 길이변화율은 일 경과 후 로서 거의 변화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28 -0046

며 이를 미루어 보아 시멘트몰탈의 수축 팽창에 기인되는 균열 원인을 해결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45 -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 구들의 비교Table 11

구분 단위 재래식 시멘트몰탈 본 제품 세라믹구들( )

시공후상태

몰탈층

바탕면의 균열 발생-바탕면의 평활 수평 이 없다- (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없다-공정 회 이 복잡하다- (3-4 )많은면적을 시공할 수 없다-양생시간이 길다 일- (3-7 )하자 보수비가 필요하다-시멘트 독성에 따른 인체에-해로움

바탕면의 균열이 없다- 바탕면의 평활 수평 성이 양호- ( )일정한 두께유지-공정이 단순 회공정 하다- (1 )많은 면적을 시공할 수 있다-양생시간이 짧다 일- (1 )하자보수비가 필요없다-건강보조기능-항균성 무독성 원적외선( )마감재 시공이 용이하다-에너지절감 효과가 크다-열전도율 및 축열기능이 좋다-차음 방음 효과가 우수하다- ( )건축물의 경량화-

세라믹 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시험 검사 방법 ( ) KS L 5105-97 KS L 5104-96 KS L 5207-rsquo99 KS F2424-rsquo95 KS L 1592 rsquo95시험원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시험일자 2000 OS 09 ~ 09 15

- 46 -

제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석회 광물은 마그네시아 광물과 함께 중요한 조암광물로서 천연에서는 산화물(CaO)

로는 존재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탄산염 황산염 또는 규산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석회질 원료로는 석회석 돌로마이트 형석 석고 규회석 등이었으며 이중 석회석

(CaCO3 과 석고)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만을 에 나타내었다 원적) Fig 10 11

외선 발열체와 세라믹 발열체가 있다 원석 발열체로는 맥반석 게르마늄석 옥석

황토 등이 있다 원적외선의 온열효과는 피부표면에 복사된 원적외선은 인체 중 물

의 진동 파장과 거의 비슷하며 공진 작용으로 일반열이 도달할 수 없는 부위( )共振

까지 도달하게 한다 이러한 심달력은 피하층의 온도상승 미세혈관의 확장 혈액순

환 촉진 선진대사강화 혈류 장해 해소 조직의 재생능력 증가 결련예방 및 암치

료 효과 등의 의학적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혈행이 좋아짐으로서

정상체온 유지 스트레스 해소 소화촉진 근육통 해소 피부 색깔 정상화 꺼칠한

눈이 부드러워지고 감기 예방효과 조직 내에 쌓여 있던 노폐물의 분비도 촉진된

다 또한 세포에 필요로 하는 영양소와 산소를 정상적으로 공급받게 되어 세포와

조직이 활력을 되찾게 되고 적당한 원적외선 활용은 세포의 노화를 막아주는 효과

를 볼 수 있다 원적외선 부작용 없는 건강유지와 질병의 예방치료적 기 (氣

라고 할 수 있다energy)

석회석은 시멘트의 주원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전방사율은 약 정도를085

보이고 있으나 이후와 단파장 영역쪽에 불안정한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보이20

고 있다 이는 공기 중의 습기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그 조성이 일부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시멘트를 측정하여 비교Fig 10 11

한 결과에서는 다소 석회석 자체원료를 측정한 것이 방사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CaSO4 는 외국에서 천연으로 산출된 것과 본 연구에서 제조한 배연 탈황석고)

모두 원적외선 방사특성에 있어서는 석회석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특히

부근에서의 약간의 골이 생겨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87

- 47 -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48 -

석고Fig 11 (CaSO4 의 원작외선 방사특성)

- 49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의 방사율은 에 실었다 현재 원적외선이 다Fig 12

량 방사되는 게르바늄석 참조 옥석 참조 맥반석 참조(Fig 13 ) (Fig 14 ) (Fig 15 )

등에 비해서 같은 수준의 방사에너지 및 방사율이 발현됨을 공인된 시험기간에 의

해서 입증되었다 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를 Fig16 3~20

파장 영역에서 방사특성을 나타내었다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는 이상흑체에

서 방사되는 특성과 같은 모양을 방출하고 있습을 알았다 따라서 세라믹구들은 건

강친화적인 면만 아니라 여러 가지 가능을 가진 차세대 온돌용 세라믹구들이라고

할 수 있다

제 절 현장 시공9

본 세라믹구들의 최적화 조건 조성 및 현장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차로 경기도 광1

주 소재 동심주택 제 차 그린타운 세대를 시험 시공한 바 있으며 위 결과를 토9 19

대로 최적화된 조건에 따라 안양 재건축현장 및 기홍 목조주택 등에 실용화 시공하

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Fig 17

필름 한 장을 깔고 그 위에 외경의 폴리에틸렌 엑셀파이프를 배관한 후 세라15

믹 구들로 타설한 후 수평을 잡으면서 두께를 로 일정하게 하였다40

시멘트 제품은 응결 경화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균열이 발생되

면 더 커지면서 계속 퍼져나가는 경향을 나타낸다 여러 종류의 균열 보수기법이

현재 마련되어 있으나 완벽한 균열 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 보수 후에도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 보수로 인해 외관의 불량 균열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로 시공한 결과는 상기와 같

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할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연구에 의해 일반 콘크리트에도 적

용할 경우 그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균열을 방지함으로서 방

수 강도저하 철근부식 등 내구성저하를 막으므로 고품질의 구조물 공사가 될 것으

로 예상된다

- 50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 51 -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 52 -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 53 -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26 -

Fig5 SEM photograph of korean gypsum after grinding

- 27 -

제 절 특수 첨가재5

기존의 재 에self- leveling 300 g H2 을 혼합한 후 아래와 같은 여러 종류의O 89 g

첨가재를 첨가하면서 초결 종결 등의 경화 응결 및 플로값 등의 물리적인 성질을

측정하였다

또한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

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기존의 재 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O 89g CAS ( )

때의 물리적인 특성뿐 아니라 알미나 포틀랜드 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AI-PC)

때의 물리적인 특성도 비교하였다

가존의 재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 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위에서 측정한 경우와 서로 비교하AI-PC

여 보았다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6

재 제조시 적절한 응결을 위하여 급결제을 사용하는데 통상 물유리를Self -leveling

많이 사용함을 본 연구에서 알았다 급결제의 성분 분석을 위하여 wet analysis

등을 사용하였으며 구조분석을 위하여는 와 을 사용하였OES AAS ICPAES XRD IR

다 법으로는 석고중에 함유되어 있는 물의 함량을 분석하는데 사용하 Karl fischer

였다

- 28 -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7

바닥 충격음 및 소음에 대한 시험은 여주군에 위치한 방재시험연구소에 의뢰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편을 제작하여 측정하였다 바닥 충격음 방지재 (save gum pad

를 사용한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 에 시험재료로 한양 시멘트 제품인6 t) (246 )

레미탈 을 사용하여 몰탈 바닥 넓이 로 작업한 후900 28 m times 42 m times 30

일 간 야외에서 양생하여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참조30 (Fig 6 )

바닥충격음시험은 건축물현장에 있어서의 바닥충격음측정방법 을KSF 2810 ( 1981)

적용하여 음원실 충격음발생실 과 수음실 충격음측정실 로 구성된 잔향실 사이 바( ) ( )

닥개구부에 시험체를 설치한 후 시험체위에서 충격음 경량 태핑 머신 및 중량충 (

격음 타이어 을 발생시켜 주파수범위의 대역별 바닥충격음 ) 63-4000 13 Octave

레벨 회를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하였다25

제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최근 건설 현장에 불기 시작한 주거환경의 쾌적화와 원적외선 방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도 원적외선 방사에 대한 시험을 시행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과 한국원적외선협회에 세라믹몰탈 옥석 맥반석

게르마늄석을 의뢰하여 방사율을 단파장인 영역인 에서 까지 측정하였다3 20

- 29 -

Fig 6 Present floor of impact sound insulation

- 3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1

화력발전소에서 부산물로 생성된 이수석고를 대전소재 쌍용 중앙연구소에서 rotary

을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소성된 석고를kiln X - Ray Diffractometer (XRD Rigaku

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수석고는DMAX-2500) Fig 7

에서는150~200 CaSO 4 2Hㆍ 2 가O CaSO4 12Hㆍ 2 로 변하고 에서O 350 CaSO 4

의 피크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그후 온도를 올림에 따라 무수석고의 결정성이 좋

아짐을 알 수 있었다 참조(Fig 7 )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2

으로 확인한 결과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국산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ig 3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로 단단한 모양으로 균일하게70

구성되어 있는 반면 의 독일산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 Fig 4 70

의 크기가 소수 분포와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분포175

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체로 한 결 -200 mesh sieving

과를 보면 정도의 가 큰 덩어리가 남아 있었다10 size

가 큰 덩어리를 로 확인한 결과 석고로 판명되었다 에서 보면 독일Size XRD Fig 8

산 최초 석고인 BW CaSO4 과 후의 의(GER)-3 sieving XRD pattern BW

CaSO4 와 동일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들은 결과와 결과로(G+200M)-4 XRD TGA

보면 모두 CaSO4로 판명되었다

에서 분쇄된 무수석고의 입자분포도를 보기 위하여Roller mill particle size

로 측정범위 측정 분산매analyzer 01-180 lens focal depth 100 methyl

를 사용하여 초음파 분산 방법으로 입도 분포도를 얻어 에 실었다alcohol Fig 9

- 31 -

Fig7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each gypsum in sintering condition

- 32 -

Fig8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gypsum after sieving

- 33 -

Fig 9 Particle distribution chart of gypsum

- 34 -

에서의 입자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이하의 분포도가 전체의 를Fig 9 5 87

차지하고 있는 반면 마이크론미터 이상이 전체의 밖에 차지하고 있음을 알10 3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보면 외국산 석고에 비해 공정에서는 보다 나 self - leveling

은 작업성과 물성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3

분석방법 등으로 분석한 결과 에서 보OES AAS ICPAES Wet Analysis Table 2

는 바와 같이 독일산석고와 국산석고의 분석결과가 화학성분에서는 아주 유사하다

그러나 독일산 석고에 규사만이 함유되어 있는 것에 비해 국산 석고에는16 wt

규사가 로 작게 함유되어 있었다 이는 원재료의 광산에 함유된 규사에096 wt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석고에 대한 분석 결과를 CAS( ) Table 3

에 실었다 에서 보면 라파석고에 인이 포함되어 있는 반면 인 Table 3 00072 wt

산무수 석고에는 로 많이 포함되어 있어 제조시 인산무0024 wt self- leveling

수 석고를 사용한 결과가 나쁘게 나타났다고 추정되며 지지용 철근의self-leveling

부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이므로 인산석고의 사용을 피함이 좋을 것이다

인산무수 석고는 자체에서 산성 성분을 용출함으로서 콘크리트 중에 함유된 알칼리

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을 혼입시키어 철근을 활성화

상태로 만들고 이로 인해 부식하기 쉽게 된다

- 35 -

Table 2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 36 -

Table 3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and Binder

- 37 -

제 절 특수 첨가재4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의 양을 변화시O 89 g -α

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4

Table 4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a -gypsum

에서 보면 석고의 함량을 증가할수록 초결시간은 빨라지지만 수분증발시Table 4 -α

간이 느리고 기존레벨라보다 종결시간이 느린 것을 보아 석고만을 첨가한다는-α

것은 의미가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화시키

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5

Table 5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LiCO3

- 38 -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기존레벨라에는 이미Table 5 LiCO3이 인 이 포014 042g

함되어 있어 순으로 첨가하였으나 첨가 양에 따른 초결상태의 변화0 15 30 g

는 없었으나 종결상태는 조금씩 첨가 양이 많아지면서 조금씩 지연되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O 89 g CAS ( )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과 같다Table 6

Table 6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CAS

에서 보면 를 씩 증가하면서 첨가함에 따라 초결상태와Table 6 CAS 0 10 20 g

종결상태가 보다 급격히 빨라짐을 알 수 있었다 즉 경화 속도에 의Table 4 5 CAS

함유량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에서 사용한 첨가제를 모두 혼합하여 기존의 재Table 4 5 6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비교해보면O 89 g Table

과 같다7

- 39 -

Table 7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and CAS

에서 보는 것처럼 기존의 재Table 7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O 89 g

라에 석고와- LiCOα 3 만을 혼합하였을 때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의 양을 CAS

증가시키면서 함께 첨가할 수록 경화시간은 단축되었다

에 알미나 포틀랜드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Table 7 (AI-PC)

비교해보면 과 같다Table 8

기존의 재self-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보면 에서 보는 것처럼AI-PC Table 8

함량이 높을수록 경화시간은 너무 단축되어 그만큼 작업하는 시간이 촉박하AI-PC

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모든 결과를 종합해보면 응결시간은 온도와 습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실험할 때마다

기존레벨라를 비교하여 시험했다 가 가장 경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만 입자 CAS

가 뭉쳐 있어 혼합이 잘되지 않았다 그 결과 건조시 표면이 분화구처럼 돌출된 부

분이 많이 생겨났다

- 40 -

Table 8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CAS and Al-PC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5

급결제에 대한 성분 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는 와 같다 중탕Table 9

에서 증발시킨 후 의 잔유물에 대한 분석 결과(100 ) 50 wt Si 438 wt Na

로 나타났다 결정성과 구조분석을 위하여 로 확인한102 wt K 177 wt XRD

결과는 무결정 으로 피크가 나타나지 안했다 법으로 물을(amorphous) Karl fischer

분석시에도 가 잘 나타나지 안해 분석을 할 수 없었다 화학적 결합상태end-point

를 알아보기위해 을 이용하여 해석해본 결과IR Na2SiO3 H2 와O 50 wt 50 wt

의 H2 가 공존함을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O Na2SiO3 H2 와 의O 50 wt 50 wt

H2 를 함께 사용하기로 결정하였고 건설 현장에 시공 또는 제품 생산에 위와 같O

은 혼합비율을 적용하였다

- 41 -

Table 9 Chemical Composition of RCM300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6

측정된 충격음레벨은 ISO 140 Part 6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을 준용하여 수음실 기준 흡음력 에 대한sound insulation of Floors 1978) (10 )

보정 값으로 환산하였다(Table 10)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나타내는 수음실의 바닥충격음레벨 (Ln 은 다음 식 으로) (1)

구하였다

여기서

Ln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흡음력보정 바닥충격음레벨 j ( )

충격음위치 지점수m

상기 식 의 각 충격음 위치마다의 바닥충격음레벨의 평균값(1) (Lj 은 다음식 에) (2)

따라 산출하였다

- 42 -

Table 10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sound insulation of floor

- 43 -

여기서

Lj 수음실내 측정점 에서의 바닥충격음레벨 i ( )

측정점의 수n

또한 상기 바닥충격음레벨 평균값 (Lj 은 수음실의 흡음력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

므로 를 준용 이를 기준흡음력 에 대한 값ISO 140 Part6 (978) (10 ) (L nj 으로)

환산하였으며 그 산출식은 식 과 같다 (3)

여기서

L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평균 바닥충격음레벨 j ( )

AO 기준흡음력 (10 )

수음실 측정실 용적V ( ) ( )

수음실 측정실 잔향시간 초T ( ) ( )

에서 보면 기준판과 시험체의 경량충격음은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Table 10

충격음이 증가하다가 완만한 곡선을 나타내는 반면 중량충격음의 결과를 보면 주파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충격음이 계속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경량 충격음은 음원이 태핑머신인 관계로 주파수 변화에 따른

파장의 작고 큼에 별 영향을 주지 않지만 중량 충격음은 음원이 타이어임으로 고주

파대로 갈수록 파장이 작아서 투과 여건이 적은 관계에 기인함을 알 수 있다 본

바닥충격음과 소음에 대한 실험 결과 기존 시멘트몰탈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

믹몰탈간에 바닥충격음과 소음의 차이는 크게 나지 않음으로 무시할 정도임을 알았

- 44 -

제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7

아래 은 바닥재 시공에 대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과 재래식 시Table 11

멘트몰탈과의 특징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연구연에서 분석한 세라믹구들의 분석 결과를 에Table 12

실었다 현 시험법에 따라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 등의 물성을 공인된 한국건자 KS

재연구원에 의뢰한 결과 압축강도면에서 이 넘는 결과가 나왔으며 다른400 f

물성 또한 기준 물성값을 초과하는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에서 보는 것과 Table 12

같이 길이변화율은 일 경과 후 로서 거의 변화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28 -0046

며 이를 미루어 보아 시멘트몰탈의 수축 팽창에 기인되는 균열 원인을 해결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45 -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 구들의 비교Table 11

구분 단위 재래식 시멘트몰탈 본 제품 세라믹구들( )

시공후상태

몰탈층

바탕면의 균열 발생-바탕면의 평활 수평 이 없다- (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없다-공정 회 이 복잡하다- (3-4 )많은면적을 시공할 수 없다-양생시간이 길다 일- (3-7 )하자 보수비가 필요하다-시멘트 독성에 따른 인체에-해로움

바탕면의 균열이 없다- 바탕면의 평활 수평 성이 양호- ( )일정한 두께유지-공정이 단순 회공정 하다- (1 )많은 면적을 시공할 수 있다-양생시간이 짧다 일- (1 )하자보수비가 필요없다-건강보조기능-항균성 무독성 원적외선( )마감재 시공이 용이하다-에너지절감 효과가 크다-열전도율 및 축열기능이 좋다-차음 방음 효과가 우수하다- ( )건축물의 경량화-

세라믹 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시험 검사 방법 ( ) KS L 5105-97 KS L 5104-96 KS L 5207-rsquo99 KS F2424-rsquo95 KS L 1592 rsquo95시험원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시험일자 2000 OS 09 ~ 09 15

- 46 -

제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석회 광물은 마그네시아 광물과 함께 중요한 조암광물로서 천연에서는 산화물(CaO)

로는 존재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탄산염 황산염 또는 규산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석회질 원료로는 석회석 돌로마이트 형석 석고 규회석 등이었으며 이중 석회석

(CaCO3 과 석고)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만을 에 나타내었다 원적) Fig 10 11

외선 발열체와 세라믹 발열체가 있다 원석 발열체로는 맥반석 게르마늄석 옥석

황토 등이 있다 원적외선의 온열효과는 피부표면에 복사된 원적외선은 인체 중 물

의 진동 파장과 거의 비슷하며 공진 작용으로 일반열이 도달할 수 없는 부위( )共振

까지 도달하게 한다 이러한 심달력은 피하층의 온도상승 미세혈관의 확장 혈액순

환 촉진 선진대사강화 혈류 장해 해소 조직의 재생능력 증가 결련예방 및 암치

료 효과 등의 의학적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혈행이 좋아짐으로서

정상체온 유지 스트레스 해소 소화촉진 근육통 해소 피부 색깔 정상화 꺼칠한

눈이 부드러워지고 감기 예방효과 조직 내에 쌓여 있던 노폐물의 분비도 촉진된

다 또한 세포에 필요로 하는 영양소와 산소를 정상적으로 공급받게 되어 세포와

조직이 활력을 되찾게 되고 적당한 원적외선 활용은 세포의 노화를 막아주는 효과

를 볼 수 있다 원적외선 부작용 없는 건강유지와 질병의 예방치료적 기 (氣

라고 할 수 있다energy)

석회석은 시멘트의 주원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전방사율은 약 정도를085

보이고 있으나 이후와 단파장 영역쪽에 불안정한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보이20

고 있다 이는 공기 중의 습기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그 조성이 일부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시멘트를 측정하여 비교Fig 10 11

한 결과에서는 다소 석회석 자체원료를 측정한 것이 방사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CaSO4 는 외국에서 천연으로 산출된 것과 본 연구에서 제조한 배연 탈황석고)

모두 원적외선 방사특성에 있어서는 석회석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특히

부근에서의 약간의 골이 생겨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87

- 47 -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48 -

석고Fig 11 (CaSO4 의 원작외선 방사특성)

- 49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의 방사율은 에 실었다 현재 원적외선이 다Fig 12

량 방사되는 게르바늄석 참조 옥석 참조 맥반석 참조(Fig 13 ) (Fig 14 ) (Fig 15 )

등에 비해서 같은 수준의 방사에너지 및 방사율이 발현됨을 공인된 시험기간에 의

해서 입증되었다 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를 Fig16 3~20

파장 영역에서 방사특성을 나타내었다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는 이상흑체에

서 방사되는 특성과 같은 모양을 방출하고 있습을 알았다 따라서 세라믹구들은 건

강친화적인 면만 아니라 여러 가지 가능을 가진 차세대 온돌용 세라믹구들이라고

할 수 있다

제 절 현장 시공9

본 세라믹구들의 최적화 조건 조성 및 현장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차로 경기도 광1

주 소재 동심주택 제 차 그린타운 세대를 시험 시공한 바 있으며 위 결과를 토9 19

대로 최적화된 조건에 따라 안양 재건축현장 및 기홍 목조주택 등에 실용화 시공하

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Fig 17

필름 한 장을 깔고 그 위에 외경의 폴리에틸렌 엑셀파이프를 배관한 후 세라15

믹 구들로 타설한 후 수평을 잡으면서 두께를 로 일정하게 하였다40

시멘트 제품은 응결 경화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균열이 발생되

면 더 커지면서 계속 퍼져나가는 경향을 나타낸다 여러 종류의 균열 보수기법이

현재 마련되어 있으나 완벽한 균열 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 보수 후에도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 보수로 인해 외관의 불량 균열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로 시공한 결과는 상기와 같

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할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연구에 의해 일반 콘크리트에도 적

용할 경우 그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균열을 방지함으로서 방

수 강도저하 철근부식 등 내구성저하를 막으므로 고품질의 구조물 공사가 될 것으

로 예상된다

- 50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 51 -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 52 -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 53 -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27 -

제 절 특수 첨가재5

기존의 재 에self- leveling 300 g H2 을 혼합한 후 아래와 같은 여러 종류의O 89 g

첨가재를 첨가하면서 초결 종결 등의 경화 응결 및 플로값 등의 물리적인 성질을

측정하였다

또한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

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기존의 재 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O 89g CAS ( )

때의 물리적인 특성뿐 아니라 알미나 포틀랜드 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AI-PC)

때의 물리적인 특성도 비교하였다

가존의 재self-leveling 300g + H2 인 기존 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위에서 측정한 경우와 서로 비교하AI-PC

여 보았다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6

재 제조시 적절한 응결을 위하여 급결제을 사용하는데 통상 물유리를Self -leveling

많이 사용함을 본 연구에서 알았다 급결제의 성분 분석을 위하여 wet analysis

등을 사용하였으며 구조분석을 위하여는 와 을 사용하였OES AAS ICPAES XRD IR

다 법으로는 석고중에 함유되어 있는 물의 함량을 분석하는데 사용하 Karl fischer

였다

- 28 -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7

바닥 충격음 및 소음에 대한 시험은 여주군에 위치한 방재시험연구소에 의뢰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편을 제작하여 측정하였다 바닥 충격음 방지재 (save gum pad

를 사용한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 에 시험재료로 한양 시멘트 제품인6 t) (246 )

레미탈 을 사용하여 몰탈 바닥 넓이 로 작업한 후900 28 m times 42 m times 30

일 간 야외에서 양생하여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참조30 (Fig 6 )

바닥충격음시험은 건축물현장에 있어서의 바닥충격음측정방법 을KSF 2810 ( 1981)

적용하여 음원실 충격음발생실 과 수음실 충격음측정실 로 구성된 잔향실 사이 바( ) ( )

닥개구부에 시험체를 설치한 후 시험체위에서 충격음 경량 태핑 머신 및 중량충 (

격음 타이어 을 발생시켜 주파수범위의 대역별 바닥충격음 ) 63-4000 13 Octave

레벨 회를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하였다25

제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최근 건설 현장에 불기 시작한 주거환경의 쾌적화와 원적외선 방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도 원적외선 방사에 대한 시험을 시행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과 한국원적외선협회에 세라믹몰탈 옥석 맥반석

게르마늄석을 의뢰하여 방사율을 단파장인 영역인 에서 까지 측정하였다3 20

- 29 -

Fig 6 Present floor of impact sound insulation

- 3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1

화력발전소에서 부산물로 생성된 이수석고를 대전소재 쌍용 중앙연구소에서 rotary

을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소성된 석고를kiln X - Ray Diffractometer (XRD Rigaku

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수석고는DMAX-2500) Fig 7

에서는150~200 CaSO 4 2Hㆍ 2 가O CaSO4 12Hㆍ 2 로 변하고 에서O 350 CaSO 4

의 피크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그후 온도를 올림에 따라 무수석고의 결정성이 좋

아짐을 알 수 있었다 참조(Fig 7 )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2

으로 확인한 결과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국산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ig 3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로 단단한 모양으로 균일하게70

구성되어 있는 반면 의 독일산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 Fig 4 70

의 크기가 소수 분포와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분포175

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체로 한 결 -200 mesh sieving

과를 보면 정도의 가 큰 덩어리가 남아 있었다10 size

가 큰 덩어리를 로 확인한 결과 석고로 판명되었다 에서 보면 독일Size XRD Fig 8

산 최초 석고인 BW CaSO4 과 후의 의(GER)-3 sieving XRD pattern BW

CaSO4 와 동일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들은 결과와 결과로(G+200M)-4 XRD TGA

보면 모두 CaSO4로 판명되었다

에서 분쇄된 무수석고의 입자분포도를 보기 위하여Roller mill particle size

로 측정범위 측정 분산매analyzer 01-180 lens focal depth 100 methyl

를 사용하여 초음파 분산 방법으로 입도 분포도를 얻어 에 실었다alcohol Fig 9

- 31 -

Fig7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each gypsum in sintering condition

- 32 -

Fig8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gypsum after sieving

- 33 -

Fig 9 Particle distribution chart of gypsum

- 34 -

에서의 입자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이하의 분포도가 전체의 를Fig 9 5 87

차지하고 있는 반면 마이크론미터 이상이 전체의 밖에 차지하고 있음을 알10 3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보면 외국산 석고에 비해 공정에서는 보다 나 self - leveling

은 작업성과 물성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3

분석방법 등으로 분석한 결과 에서 보OES AAS ICPAES Wet Analysis Table 2

는 바와 같이 독일산석고와 국산석고의 분석결과가 화학성분에서는 아주 유사하다

그러나 독일산 석고에 규사만이 함유되어 있는 것에 비해 국산 석고에는16 wt

규사가 로 작게 함유되어 있었다 이는 원재료의 광산에 함유된 규사에096 wt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석고에 대한 분석 결과를 CAS( ) Table 3

에 실었다 에서 보면 라파석고에 인이 포함되어 있는 반면 인 Table 3 00072 wt

산무수 석고에는 로 많이 포함되어 있어 제조시 인산무0024 wt self- leveling

수 석고를 사용한 결과가 나쁘게 나타났다고 추정되며 지지용 철근의self-leveling

부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이므로 인산석고의 사용을 피함이 좋을 것이다

인산무수 석고는 자체에서 산성 성분을 용출함으로서 콘크리트 중에 함유된 알칼리

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을 혼입시키어 철근을 활성화

상태로 만들고 이로 인해 부식하기 쉽게 된다

- 35 -

Table 2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 36 -

Table 3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and Binder

- 37 -

제 절 특수 첨가재4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의 양을 변화시O 89 g -α

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4

Table 4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a -gypsum

에서 보면 석고의 함량을 증가할수록 초결시간은 빨라지지만 수분증발시Table 4 -α

간이 느리고 기존레벨라보다 종결시간이 느린 것을 보아 석고만을 첨가한다는-α

것은 의미가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화시키

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5

Table 5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LiCO3

- 38 -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기존레벨라에는 이미Table 5 LiCO3이 인 이 포014 042g

함되어 있어 순으로 첨가하였으나 첨가 양에 따른 초결상태의 변화0 15 30 g

는 없었으나 종결상태는 조금씩 첨가 양이 많아지면서 조금씩 지연되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O 89 g CAS ( )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과 같다Table 6

Table 6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CAS

에서 보면 를 씩 증가하면서 첨가함에 따라 초결상태와Table 6 CAS 0 10 20 g

종결상태가 보다 급격히 빨라짐을 알 수 있었다 즉 경화 속도에 의Table 4 5 CAS

함유량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에서 사용한 첨가제를 모두 혼합하여 기존의 재Table 4 5 6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비교해보면O 89 g Table

과 같다7

- 39 -

Table 7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and CAS

에서 보는 것처럼 기존의 재Table 7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O 89 g

라에 석고와- LiCOα 3 만을 혼합하였을 때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의 양을 CAS

증가시키면서 함께 첨가할 수록 경화시간은 단축되었다

에 알미나 포틀랜드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Table 7 (AI-PC)

비교해보면 과 같다Table 8

기존의 재self-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보면 에서 보는 것처럼AI-PC Table 8

함량이 높을수록 경화시간은 너무 단축되어 그만큼 작업하는 시간이 촉박하AI-PC

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모든 결과를 종합해보면 응결시간은 온도와 습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실험할 때마다

기존레벨라를 비교하여 시험했다 가 가장 경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만 입자 CAS

가 뭉쳐 있어 혼합이 잘되지 않았다 그 결과 건조시 표면이 분화구처럼 돌출된 부

분이 많이 생겨났다

- 40 -

Table 8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CAS and Al-PC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5

급결제에 대한 성분 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는 와 같다 중탕Table 9

에서 증발시킨 후 의 잔유물에 대한 분석 결과(100 ) 50 wt Si 438 wt Na

로 나타났다 결정성과 구조분석을 위하여 로 확인한102 wt K 177 wt XRD

결과는 무결정 으로 피크가 나타나지 안했다 법으로 물을(amorphous) Karl fischer

분석시에도 가 잘 나타나지 안해 분석을 할 수 없었다 화학적 결합상태end-point

를 알아보기위해 을 이용하여 해석해본 결과IR Na2SiO3 H2 와O 50 wt 50 wt

의 H2 가 공존함을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O Na2SiO3 H2 와 의O 50 wt 50 wt

H2 를 함께 사용하기로 결정하였고 건설 현장에 시공 또는 제품 생산에 위와 같O

은 혼합비율을 적용하였다

- 41 -

Table 9 Chemical Composition of RCM300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6

측정된 충격음레벨은 ISO 140 Part 6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을 준용하여 수음실 기준 흡음력 에 대한sound insulation of Floors 1978) (10 )

보정 값으로 환산하였다(Table 10)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나타내는 수음실의 바닥충격음레벨 (Ln 은 다음 식 으로) (1)

구하였다

여기서

Ln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흡음력보정 바닥충격음레벨 j ( )

충격음위치 지점수m

상기 식 의 각 충격음 위치마다의 바닥충격음레벨의 평균값(1) (Lj 은 다음식 에) (2)

따라 산출하였다

- 42 -

Table 10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sound insulation of floor

- 43 -

여기서

Lj 수음실내 측정점 에서의 바닥충격음레벨 i ( )

측정점의 수n

또한 상기 바닥충격음레벨 평균값 (Lj 은 수음실의 흡음력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

므로 를 준용 이를 기준흡음력 에 대한 값ISO 140 Part6 (978) (10 ) (L nj 으로)

환산하였으며 그 산출식은 식 과 같다 (3)

여기서

L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평균 바닥충격음레벨 j ( )

AO 기준흡음력 (10 )

수음실 측정실 용적V ( ) ( )

수음실 측정실 잔향시간 초T ( ) ( )

에서 보면 기준판과 시험체의 경량충격음은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Table 10

충격음이 증가하다가 완만한 곡선을 나타내는 반면 중량충격음의 결과를 보면 주파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충격음이 계속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경량 충격음은 음원이 태핑머신인 관계로 주파수 변화에 따른

파장의 작고 큼에 별 영향을 주지 않지만 중량 충격음은 음원이 타이어임으로 고주

파대로 갈수록 파장이 작아서 투과 여건이 적은 관계에 기인함을 알 수 있다 본

바닥충격음과 소음에 대한 실험 결과 기존 시멘트몰탈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

믹몰탈간에 바닥충격음과 소음의 차이는 크게 나지 않음으로 무시할 정도임을 알았

- 44 -

제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7

아래 은 바닥재 시공에 대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과 재래식 시Table 11

멘트몰탈과의 특징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연구연에서 분석한 세라믹구들의 분석 결과를 에Table 12

실었다 현 시험법에 따라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 등의 물성을 공인된 한국건자 KS

재연구원에 의뢰한 결과 압축강도면에서 이 넘는 결과가 나왔으며 다른400 f

물성 또한 기준 물성값을 초과하는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에서 보는 것과 Table 12

같이 길이변화율은 일 경과 후 로서 거의 변화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28 -0046

며 이를 미루어 보아 시멘트몰탈의 수축 팽창에 기인되는 균열 원인을 해결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45 -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 구들의 비교Table 11

구분 단위 재래식 시멘트몰탈 본 제품 세라믹구들( )

시공후상태

몰탈층

바탕면의 균열 발생-바탕면의 평활 수평 이 없다- (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없다-공정 회 이 복잡하다- (3-4 )많은면적을 시공할 수 없다-양생시간이 길다 일- (3-7 )하자 보수비가 필요하다-시멘트 독성에 따른 인체에-해로움

바탕면의 균열이 없다- 바탕면의 평활 수평 성이 양호- ( )일정한 두께유지-공정이 단순 회공정 하다- (1 )많은 면적을 시공할 수 있다-양생시간이 짧다 일- (1 )하자보수비가 필요없다-건강보조기능-항균성 무독성 원적외선( )마감재 시공이 용이하다-에너지절감 효과가 크다-열전도율 및 축열기능이 좋다-차음 방음 효과가 우수하다- ( )건축물의 경량화-

세라믹 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시험 검사 방법 ( ) KS L 5105-97 KS L 5104-96 KS L 5207-rsquo99 KS F2424-rsquo95 KS L 1592 rsquo95시험원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시험일자 2000 OS 09 ~ 09 15

- 46 -

제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석회 광물은 마그네시아 광물과 함께 중요한 조암광물로서 천연에서는 산화물(CaO)

로는 존재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탄산염 황산염 또는 규산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석회질 원료로는 석회석 돌로마이트 형석 석고 규회석 등이었으며 이중 석회석

(CaCO3 과 석고)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만을 에 나타내었다 원적) Fig 10 11

외선 발열체와 세라믹 발열체가 있다 원석 발열체로는 맥반석 게르마늄석 옥석

황토 등이 있다 원적외선의 온열효과는 피부표면에 복사된 원적외선은 인체 중 물

의 진동 파장과 거의 비슷하며 공진 작용으로 일반열이 도달할 수 없는 부위( )共振

까지 도달하게 한다 이러한 심달력은 피하층의 온도상승 미세혈관의 확장 혈액순

환 촉진 선진대사강화 혈류 장해 해소 조직의 재생능력 증가 결련예방 및 암치

료 효과 등의 의학적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혈행이 좋아짐으로서

정상체온 유지 스트레스 해소 소화촉진 근육통 해소 피부 색깔 정상화 꺼칠한

눈이 부드러워지고 감기 예방효과 조직 내에 쌓여 있던 노폐물의 분비도 촉진된

다 또한 세포에 필요로 하는 영양소와 산소를 정상적으로 공급받게 되어 세포와

조직이 활력을 되찾게 되고 적당한 원적외선 활용은 세포의 노화를 막아주는 효과

를 볼 수 있다 원적외선 부작용 없는 건강유지와 질병의 예방치료적 기 (氣

라고 할 수 있다energy)

석회석은 시멘트의 주원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전방사율은 약 정도를085

보이고 있으나 이후와 단파장 영역쪽에 불안정한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보이20

고 있다 이는 공기 중의 습기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그 조성이 일부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시멘트를 측정하여 비교Fig 10 11

한 결과에서는 다소 석회석 자체원료를 측정한 것이 방사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CaSO4 는 외국에서 천연으로 산출된 것과 본 연구에서 제조한 배연 탈황석고)

모두 원적외선 방사특성에 있어서는 석회석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특히

부근에서의 약간의 골이 생겨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87

- 47 -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48 -

석고Fig 11 (CaSO4 의 원작외선 방사특성)

- 49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의 방사율은 에 실었다 현재 원적외선이 다Fig 12

량 방사되는 게르바늄석 참조 옥석 참조 맥반석 참조(Fig 13 ) (Fig 14 ) (Fig 15 )

등에 비해서 같은 수준의 방사에너지 및 방사율이 발현됨을 공인된 시험기간에 의

해서 입증되었다 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를 Fig16 3~20

파장 영역에서 방사특성을 나타내었다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는 이상흑체에

서 방사되는 특성과 같은 모양을 방출하고 있습을 알았다 따라서 세라믹구들은 건

강친화적인 면만 아니라 여러 가지 가능을 가진 차세대 온돌용 세라믹구들이라고

할 수 있다

제 절 현장 시공9

본 세라믹구들의 최적화 조건 조성 및 현장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차로 경기도 광1

주 소재 동심주택 제 차 그린타운 세대를 시험 시공한 바 있으며 위 결과를 토9 19

대로 최적화된 조건에 따라 안양 재건축현장 및 기홍 목조주택 등에 실용화 시공하

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Fig 17

필름 한 장을 깔고 그 위에 외경의 폴리에틸렌 엑셀파이프를 배관한 후 세라15

믹 구들로 타설한 후 수평을 잡으면서 두께를 로 일정하게 하였다40

시멘트 제품은 응결 경화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균열이 발생되

면 더 커지면서 계속 퍼져나가는 경향을 나타낸다 여러 종류의 균열 보수기법이

현재 마련되어 있으나 완벽한 균열 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 보수 후에도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 보수로 인해 외관의 불량 균열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로 시공한 결과는 상기와 같

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할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연구에 의해 일반 콘크리트에도 적

용할 경우 그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균열을 방지함으로서 방

수 강도저하 철근부식 등 내구성저하를 막으므로 고품질의 구조물 공사가 될 것으

로 예상된다

- 50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 51 -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 52 -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 53 -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28 -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7

바닥 충격음 및 소음에 대한 시험은 여주군에 위치한 방재시험연구소에 의뢰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편을 제작하여 측정하였다 바닥 충격음 방지재 (save gum pad

를 사용한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 에 시험재료로 한양 시멘트 제품인6 t) (246 )

레미탈 을 사용하여 몰탈 바닥 넓이 로 작업한 후900 28 m times 42 m times 30

일 간 야외에서 양생하여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참조30 (Fig 6 )

바닥충격음시험은 건축물현장에 있어서의 바닥충격음측정방법 을KSF 2810 ( 1981)

적용하여 음원실 충격음발생실 과 수음실 충격음측정실 로 구성된 잔향실 사이 바( ) ( )

닥개구부에 시험체를 설치한 후 시험체위에서 충격음 경량 태핑 머신 및 중량충 (

격음 타이어 을 발생시켜 주파수범위의 대역별 바닥충격음 ) 63-4000 13 Octave

레벨 회를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하였다25

제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최근 건설 현장에 불기 시작한 주거환경의 쾌적화와 원적외선 방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도 원적외선 방사에 대한 시험을 시행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과 한국원적외선협회에 세라믹몰탈 옥석 맥반석

게르마늄석을 의뢰하여 방사율을 단파장인 영역인 에서 까지 측정하였다3 20

- 29 -

Fig 6 Present floor of impact sound insulation

- 3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1

화력발전소에서 부산물로 생성된 이수석고를 대전소재 쌍용 중앙연구소에서 rotary

을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소성된 석고를kiln X - Ray Diffractometer (XRD Rigaku

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수석고는DMAX-2500) Fig 7

에서는150~200 CaSO 4 2Hㆍ 2 가O CaSO4 12Hㆍ 2 로 변하고 에서O 350 CaSO 4

의 피크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그후 온도를 올림에 따라 무수석고의 결정성이 좋

아짐을 알 수 있었다 참조(Fig 7 )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2

으로 확인한 결과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국산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ig 3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로 단단한 모양으로 균일하게70

구성되어 있는 반면 의 독일산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 Fig 4 70

의 크기가 소수 분포와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분포175

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체로 한 결 -200 mesh sieving

과를 보면 정도의 가 큰 덩어리가 남아 있었다10 size

가 큰 덩어리를 로 확인한 결과 석고로 판명되었다 에서 보면 독일Size XRD Fig 8

산 최초 석고인 BW CaSO4 과 후의 의(GER)-3 sieving XRD pattern BW

CaSO4 와 동일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들은 결과와 결과로(G+200M)-4 XRD TGA

보면 모두 CaSO4로 판명되었다

에서 분쇄된 무수석고의 입자분포도를 보기 위하여Roller mill particle size

로 측정범위 측정 분산매analyzer 01-180 lens focal depth 100 methyl

를 사용하여 초음파 분산 방법으로 입도 분포도를 얻어 에 실었다alcohol Fig 9

- 31 -

Fig7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each gypsum in sintering condition

- 32 -

Fig8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gypsum after sieving

- 33 -

Fig 9 Particle distribution chart of gypsum

- 34 -

에서의 입자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이하의 분포도가 전체의 를Fig 9 5 87

차지하고 있는 반면 마이크론미터 이상이 전체의 밖에 차지하고 있음을 알10 3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보면 외국산 석고에 비해 공정에서는 보다 나 self - leveling

은 작업성과 물성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3

분석방법 등으로 분석한 결과 에서 보OES AAS ICPAES Wet Analysis Table 2

는 바와 같이 독일산석고와 국산석고의 분석결과가 화학성분에서는 아주 유사하다

그러나 독일산 석고에 규사만이 함유되어 있는 것에 비해 국산 석고에는16 wt

규사가 로 작게 함유되어 있었다 이는 원재료의 광산에 함유된 규사에096 wt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석고에 대한 분석 결과를 CAS( ) Table 3

에 실었다 에서 보면 라파석고에 인이 포함되어 있는 반면 인 Table 3 00072 wt

산무수 석고에는 로 많이 포함되어 있어 제조시 인산무0024 wt self- leveling

수 석고를 사용한 결과가 나쁘게 나타났다고 추정되며 지지용 철근의self-leveling

부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이므로 인산석고의 사용을 피함이 좋을 것이다

인산무수 석고는 자체에서 산성 성분을 용출함으로서 콘크리트 중에 함유된 알칼리

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을 혼입시키어 철근을 활성화

상태로 만들고 이로 인해 부식하기 쉽게 된다

- 35 -

Table 2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 36 -

Table 3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and Binder

- 37 -

제 절 특수 첨가재4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의 양을 변화시O 89 g -α

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4

Table 4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a -gypsum

에서 보면 석고의 함량을 증가할수록 초결시간은 빨라지지만 수분증발시Table 4 -α

간이 느리고 기존레벨라보다 종결시간이 느린 것을 보아 석고만을 첨가한다는-α

것은 의미가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화시키

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5

Table 5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LiCO3

- 38 -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기존레벨라에는 이미Table 5 LiCO3이 인 이 포014 042g

함되어 있어 순으로 첨가하였으나 첨가 양에 따른 초결상태의 변화0 15 30 g

는 없었으나 종결상태는 조금씩 첨가 양이 많아지면서 조금씩 지연되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O 89 g CAS ( )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과 같다Table 6

Table 6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CAS

에서 보면 를 씩 증가하면서 첨가함에 따라 초결상태와Table 6 CAS 0 10 20 g

종결상태가 보다 급격히 빨라짐을 알 수 있었다 즉 경화 속도에 의Table 4 5 CAS

함유량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에서 사용한 첨가제를 모두 혼합하여 기존의 재Table 4 5 6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비교해보면O 89 g Table

과 같다7

- 39 -

Table 7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and CAS

에서 보는 것처럼 기존의 재Table 7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O 89 g

라에 석고와- LiCOα 3 만을 혼합하였을 때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의 양을 CAS

증가시키면서 함께 첨가할 수록 경화시간은 단축되었다

에 알미나 포틀랜드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Table 7 (AI-PC)

비교해보면 과 같다Table 8

기존의 재self-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보면 에서 보는 것처럼AI-PC Table 8

함량이 높을수록 경화시간은 너무 단축되어 그만큼 작업하는 시간이 촉박하AI-PC

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모든 결과를 종합해보면 응결시간은 온도와 습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실험할 때마다

기존레벨라를 비교하여 시험했다 가 가장 경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만 입자 CAS

가 뭉쳐 있어 혼합이 잘되지 않았다 그 결과 건조시 표면이 분화구처럼 돌출된 부

분이 많이 생겨났다

- 40 -

Table 8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CAS and Al-PC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5

급결제에 대한 성분 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는 와 같다 중탕Table 9

에서 증발시킨 후 의 잔유물에 대한 분석 결과(100 ) 50 wt Si 438 wt Na

로 나타났다 결정성과 구조분석을 위하여 로 확인한102 wt K 177 wt XRD

결과는 무결정 으로 피크가 나타나지 안했다 법으로 물을(amorphous) Karl fischer

분석시에도 가 잘 나타나지 안해 분석을 할 수 없었다 화학적 결합상태end-point

를 알아보기위해 을 이용하여 해석해본 결과IR Na2SiO3 H2 와O 50 wt 50 wt

의 H2 가 공존함을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O Na2SiO3 H2 와 의O 50 wt 50 wt

H2 를 함께 사용하기로 결정하였고 건설 현장에 시공 또는 제품 생산에 위와 같O

은 혼합비율을 적용하였다

- 41 -

Table 9 Chemical Composition of RCM300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6

측정된 충격음레벨은 ISO 140 Part 6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을 준용하여 수음실 기준 흡음력 에 대한sound insulation of Floors 1978) (10 )

보정 값으로 환산하였다(Table 10)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나타내는 수음실의 바닥충격음레벨 (Ln 은 다음 식 으로) (1)

구하였다

여기서

Ln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흡음력보정 바닥충격음레벨 j ( )

충격음위치 지점수m

상기 식 의 각 충격음 위치마다의 바닥충격음레벨의 평균값(1) (Lj 은 다음식 에) (2)

따라 산출하였다

- 42 -

Table 10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sound insulation of floor

- 43 -

여기서

Lj 수음실내 측정점 에서의 바닥충격음레벨 i ( )

측정점의 수n

또한 상기 바닥충격음레벨 평균값 (Lj 은 수음실의 흡음력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

므로 를 준용 이를 기준흡음력 에 대한 값ISO 140 Part6 (978) (10 ) (L nj 으로)

환산하였으며 그 산출식은 식 과 같다 (3)

여기서

L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평균 바닥충격음레벨 j ( )

AO 기준흡음력 (10 )

수음실 측정실 용적V ( ) ( )

수음실 측정실 잔향시간 초T ( ) ( )

에서 보면 기준판과 시험체의 경량충격음은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Table 10

충격음이 증가하다가 완만한 곡선을 나타내는 반면 중량충격음의 결과를 보면 주파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충격음이 계속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경량 충격음은 음원이 태핑머신인 관계로 주파수 변화에 따른

파장의 작고 큼에 별 영향을 주지 않지만 중량 충격음은 음원이 타이어임으로 고주

파대로 갈수록 파장이 작아서 투과 여건이 적은 관계에 기인함을 알 수 있다 본

바닥충격음과 소음에 대한 실험 결과 기존 시멘트몰탈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

믹몰탈간에 바닥충격음과 소음의 차이는 크게 나지 않음으로 무시할 정도임을 알았

- 44 -

제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7

아래 은 바닥재 시공에 대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과 재래식 시Table 11

멘트몰탈과의 특징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연구연에서 분석한 세라믹구들의 분석 결과를 에Table 12

실었다 현 시험법에 따라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 등의 물성을 공인된 한국건자 KS

재연구원에 의뢰한 결과 압축강도면에서 이 넘는 결과가 나왔으며 다른400 f

물성 또한 기준 물성값을 초과하는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에서 보는 것과 Table 12

같이 길이변화율은 일 경과 후 로서 거의 변화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28 -0046

며 이를 미루어 보아 시멘트몰탈의 수축 팽창에 기인되는 균열 원인을 해결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45 -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 구들의 비교Table 11

구분 단위 재래식 시멘트몰탈 본 제품 세라믹구들( )

시공후상태

몰탈층

바탕면의 균열 발생-바탕면의 평활 수평 이 없다- (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없다-공정 회 이 복잡하다- (3-4 )많은면적을 시공할 수 없다-양생시간이 길다 일- (3-7 )하자 보수비가 필요하다-시멘트 독성에 따른 인체에-해로움

바탕면의 균열이 없다- 바탕면의 평활 수평 성이 양호- ( )일정한 두께유지-공정이 단순 회공정 하다- (1 )많은 면적을 시공할 수 있다-양생시간이 짧다 일- (1 )하자보수비가 필요없다-건강보조기능-항균성 무독성 원적외선( )마감재 시공이 용이하다-에너지절감 효과가 크다-열전도율 및 축열기능이 좋다-차음 방음 효과가 우수하다- ( )건축물의 경량화-

세라믹 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시험 검사 방법 ( ) KS L 5105-97 KS L 5104-96 KS L 5207-rsquo99 KS F2424-rsquo95 KS L 1592 rsquo95시험원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시험일자 2000 OS 09 ~ 09 15

- 46 -

제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석회 광물은 마그네시아 광물과 함께 중요한 조암광물로서 천연에서는 산화물(CaO)

로는 존재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탄산염 황산염 또는 규산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석회질 원료로는 석회석 돌로마이트 형석 석고 규회석 등이었으며 이중 석회석

(CaCO3 과 석고)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만을 에 나타내었다 원적) Fig 10 11

외선 발열체와 세라믹 발열체가 있다 원석 발열체로는 맥반석 게르마늄석 옥석

황토 등이 있다 원적외선의 온열효과는 피부표면에 복사된 원적외선은 인체 중 물

의 진동 파장과 거의 비슷하며 공진 작용으로 일반열이 도달할 수 없는 부위( )共振

까지 도달하게 한다 이러한 심달력은 피하층의 온도상승 미세혈관의 확장 혈액순

환 촉진 선진대사강화 혈류 장해 해소 조직의 재생능력 증가 결련예방 및 암치

료 효과 등의 의학적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혈행이 좋아짐으로서

정상체온 유지 스트레스 해소 소화촉진 근육통 해소 피부 색깔 정상화 꺼칠한

눈이 부드러워지고 감기 예방효과 조직 내에 쌓여 있던 노폐물의 분비도 촉진된

다 또한 세포에 필요로 하는 영양소와 산소를 정상적으로 공급받게 되어 세포와

조직이 활력을 되찾게 되고 적당한 원적외선 활용은 세포의 노화를 막아주는 효과

를 볼 수 있다 원적외선 부작용 없는 건강유지와 질병의 예방치료적 기 (氣

라고 할 수 있다energy)

석회석은 시멘트의 주원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전방사율은 약 정도를085

보이고 있으나 이후와 단파장 영역쪽에 불안정한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보이20

고 있다 이는 공기 중의 습기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그 조성이 일부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시멘트를 측정하여 비교Fig 10 11

한 결과에서는 다소 석회석 자체원료를 측정한 것이 방사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CaSO4 는 외국에서 천연으로 산출된 것과 본 연구에서 제조한 배연 탈황석고)

모두 원적외선 방사특성에 있어서는 석회석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특히

부근에서의 약간의 골이 생겨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87

- 47 -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48 -

석고Fig 11 (CaSO4 의 원작외선 방사특성)

- 49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의 방사율은 에 실었다 현재 원적외선이 다Fig 12

량 방사되는 게르바늄석 참조 옥석 참조 맥반석 참조(Fig 13 ) (Fig 14 ) (Fig 15 )

등에 비해서 같은 수준의 방사에너지 및 방사율이 발현됨을 공인된 시험기간에 의

해서 입증되었다 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를 Fig16 3~20

파장 영역에서 방사특성을 나타내었다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는 이상흑체에

서 방사되는 특성과 같은 모양을 방출하고 있습을 알았다 따라서 세라믹구들은 건

강친화적인 면만 아니라 여러 가지 가능을 가진 차세대 온돌용 세라믹구들이라고

할 수 있다

제 절 현장 시공9

본 세라믹구들의 최적화 조건 조성 및 현장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차로 경기도 광1

주 소재 동심주택 제 차 그린타운 세대를 시험 시공한 바 있으며 위 결과를 토9 19

대로 최적화된 조건에 따라 안양 재건축현장 및 기홍 목조주택 등에 실용화 시공하

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Fig 17

필름 한 장을 깔고 그 위에 외경의 폴리에틸렌 엑셀파이프를 배관한 후 세라15

믹 구들로 타설한 후 수평을 잡으면서 두께를 로 일정하게 하였다40

시멘트 제품은 응결 경화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균열이 발생되

면 더 커지면서 계속 퍼져나가는 경향을 나타낸다 여러 종류의 균열 보수기법이

현재 마련되어 있으나 완벽한 균열 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 보수 후에도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 보수로 인해 외관의 불량 균열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로 시공한 결과는 상기와 같

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할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연구에 의해 일반 콘크리트에도 적

용할 경우 그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균열을 방지함으로서 방

수 강도저하 철근부식 등 내구성저하를 막으므로 고품질의 구조물 공사가 될 것으

로 예상된다

- 50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 51 -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 52 -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 53 -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29 -

Fig 6 Present floor of impact sound insulation

- 3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1

화력발전소에서 부산물로 생성된 이수석고를 대전소재 쌍용 중앙연구소에서 rotary

을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소성된 석고를kiln X - Ray Diffractometer (XRD Rigaku

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수석고는DMAX-2500) Fig 7

에서는150~200 CaSO 4 2Hㆍ 2 가O CaSO4 12Hㆍ 2 로 변하고 에서O 350 CaSO 4

의 피크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그후 온도를 올림에 따라 무수석고의 결정성이 좋

아짐을 알 수 있었다 참조(Fig 7 )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2

으로 확인한 결과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국산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ig 3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로 단단한 모양으로 균일하게70

구성되어 있는 반면 의 독일산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 Fig 4 70

의 크기가 소수 분포와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분포175

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체로 한 결 -200 mesh sieving

과를 보면 정도의 가 큰 덩어리가 남아 있었다10 size

가 큰 덩어리를 로 확인한 결과 석고로 판명되었다 에서 보면 독일Size XRD Fig 8

산 최초 석고인 BW CaSO4 과 후의 의(GER)-3 sieving XRD pattern BW

CaSO4 와 동일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들은 결과와 결과로(G+200M)-4 XRD TGA

보면 모두 CaSO4로 판명되었다

에서 분쇄된 무수석고의 입자분포도를 보기 위하여Roller mill particle size

로 측정범위 측정 분산매analyzer 01-180 lens focal depth 100 methyl

를 사용하여 초음파 분산 방법으로 입도 분포도를 얻어 에 실었다alcohol Fig 9

- 31 -

Fig7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each gypsum in sintering condition

- 32 -

Fig8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gypsum after sieving

- 33 -

Fig 9 Particle distribution chart of gypsum

- 34 -

에서의 입자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이하의 분포도가 전체의 를Fig 9 5 87

차지하고 있는 반면 마이크론미터 이상이 전체의 밖에 차지하고 있음을 알10 3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보면 외국산 석고에 비해 공정에서는 보다 나 self - leveling

은 작업성과 물성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3

분석방법 등으로 분석한 결과 에서 보OES AAS ICPAES Wet Analysis Table 2

는 바와 같이 독일산석고와 국산석고의 분석결과가 화학성분에서는 아주 유사하다

그러나 독일산 석고에 규사만이 함유되어 있는 것에 비해 국산 석고에는16 wt

규사가 로 작게 함유되어 있었다 이는 원재료의 광산에 함유된 규사에096 wt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석고에 대한 분석 결과를 CAS( ) Table 3

에 실었다 에서 보면 라파석고에 인이 포함되어 있는 반면 인 Table 3 00072 wt

산무수 석고에는 로 많이 포함되어 있어 제조시 인산무0024 wt self- leveling

수 석고를 사용한 결과가 나쁘게 나타났다고 추정되며 지지용 철근의self-leveling

부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이므로 인산석고의 사용을 피함이 좋을 것이다

인산무수 석고는 자체에서 산성 성분을 용출함으로서 콘크리트 중에 함유된 알칼리

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을 혼입시키어 철근을 활성화

상태로 만들고 이로 인해 부식하기 쉽게 된다

- 35 -

Table 2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 36 -

Table 3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and Binder

- 37 -

제 절 특수 첨가재4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의 양을 변화시O 89 g -α

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4

Table 4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a -gypsum

에서 보면 석고의 함량을 증가할수록 초결시간은 빨라지지만 수분증발시Table 4 -α

간이 느리고 기존레벨라보다 종결시간이 느린 것을 보아 석고만을 첨가한다는-α

것은 의미가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화시키

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5

Table 5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LiCO3

- 38 -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기존레벨라에는 이미Table 5 LiCO3이 인 이 포014 042g

함되어 있어 순으로 첨가하였으나 첨가 양에 따른 초결상태의 변화0 15 30 g

는 없었으나 종결상태는 조금씩 첨가 양이 많아지면서 조금씩 지연되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O 89 g CAS ( )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과 같다Table 6

Table 6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CAS

에서 보면 를 씩 증가하면서 첨가함에 따라 초결상태와Table 6 CAS 0 10 20 g

종결상태가 보다 급격히 빨라짐을 알 수 있었다 즉 경화 속도에 의Table 4 5 CAS

함유량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에서 사용한 첨가제를 모두 혼합하여 기존의 재Table 4 5 6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비교해보면O 89 g Table

과 같다7

- 39 -

Table 7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and CAS

에서 보는 것처럼 기존의 재Table 7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O 89 g

라에 석고와- LiCOα 3 만을 혼합하였을 때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의 양을 CAS

증가시키면서 함께 첨가할 수록 경화시간은 단축되었다

에 알미나 포틀랜드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Table 7 (AI-PC)

비교해보면 과 같다Table 8

기존의 재self-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보면 에서 보는 것처럼AI-PC Table 8

함량이 높을수록 경화시간은 너무 단축되어 그만큼 작업하는 시간이 촉박하AI-PC

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모든 결과를 종합해보면 응결시간은 온도와 습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실험할 때마다

기존레벨라를 비교하여 시험했다 가 가장 경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만 입자 CAS

가 뭉쳐 있어 혼합이 잘되지 않았다 그 결과 건조시 표면이 분화구처럼 돌출된 부

분이 많이 생겨났다

- 40 -

Table 8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CAS and Al-PC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5

급결제에 대한 성분 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는 와 같다 중탕Table 9

에서 증발시킨 후 의 잔유물에 대한 분석 결과(100 ) 50 wt Si 438 wt Na

로 나타났다 결정성과 구조분석을 위하여 로 확인한102 wt K 177 wt XRD

결과는 무결정 으로 피크가 나타나지 안했다 법으로 물을(amorphous) Karl fischer

분석시에도 가 잘 나타나지 안해 분석을 할 수 없었다 화학적 결합상태end-point

를 알아보기위해 을 이용하여 해석해본 결과IR Na2SiO3 H2 와O 50 wt 50 wt

의 H2 가 공존함을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O Na2SiO3 H2 와 의O 50 wt 50 wt

H2 를 함께 사용하기로 결정하였고 건설 현장에 시공 또는 제품 생산에 위와 같O

은 혼합비율을 적용하였다

- 41 -

Table 9 Chemical Composition of RCM300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6

측정된 충격음레벨은 ISO 140 Part 6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을 준용하여 수음실 기준 흡음력 에 대한sound insulation of Floors 1978) (10 )

보정 값으로 환산하였다(Table 10)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나타내는 수음실의 바닥충격음레벨 (Ln 은 다음 식 으로) (1)

구하였다

여기서

Ln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흡음력보정 바닥충격음레벨 j ( )

충격음위치 지점수m

상기 식 의 각 충격음 위치마다의 바닥충격음레벨의 평균값(1) (Lj 은 다음식 에) (2)

따라 산출하였다

- 42 -

Table 10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sound insulation of floor

- 43 -

여기서

Lj 수음실내 측정점 에서의 바닥충격음레벨 i ( )

측정점의 수n

또한 상기 바닥충격음레벨 평균값 (Lj 은 수음실의 흡음력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

므로 를 준용 이를 기준흡음력 에 대한 값ISO 140 Part6 (978) (10 ) (L nj 으로)

환산하였으며 그 산출식은 식 과 같다 (3)

여기서

L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평균 바닥충격음레벨 j ( )

AO 기준흡음력 (10 )

수음실 측정실 용적V ( ) ( )

수음실 측정실 잔향시간 초T ( ) ( )

에서 보면 기준판과 시험체의 경량충격음은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Table 10

충격음이 증가하다가 완만한 곡선을 나타내는 반면 중량충격음의 결과를 보면 주파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충격음이 계속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경량 충격음은 음원이 태핑머신인 관계로 주파수 변화에 따른

파장의 작고 큼에 별 영향을 주지 않지만 중량 충격음은 음원이 타이어임으로 고주

파대로 갈수록 파장이 작아서 투과 여건이 적은 관계에 기인함을 알 수 있다 본

바닥충격음과 소음에 대한 실험 결과 기존 시멘트몰탈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

믹몰탈간에 바닥충격음과 소음의 차이는 크게 나지 않음으로 무시할 정도임을 알았

- 44 -

제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7

아래 은 바닥재 시공에 대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과 재래식 시Table 11

멘트몰탈과의 특징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연구연에서 분석한 세라믹구들의 분석 결과를 에Table 12

실었다 현 시험법에 따라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 등의 물성을 공인된 한국건자 KS

재연구원에 의뢰한 결과 압축강도면에서 이 넘는 결과가 나왔으며 다른400 f

물성 또한 기준 물성값을 초과하는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에서 보는 것과 Table 12

같이 길이변화율은 일 경과 후 로서 거의 변화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28 -0046

며 이를 미루어 보아 시멘트몰탈의 수축 팽창에 기인되는 균열 원인을 해결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45 -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 구들의 비교Table 11

구분 단위 재래식 시멘트몰탈 본 제품 세라믹구들( )

시공후상태

몰탈층

바탕면의 균열 발생-바탕면의 평활 수평 이 없다- (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없다-공정 회 이 복잡하다- (3-4 )많은면적을 시공할 수 없다-양생시간이 길다 일- (3-7 )하자 보수비가 필요하다-시멘트 독성에 따른 인체에-해로움

바탕면의 균열이 없다- 바탕면의 평활 수평 성이 양호- ( )일정한 두께유지-공정이 단순 회공정 하다- (1 )많은 면적을 시공할 수 있다-양생시간이 짧다 일- (1 )하자보수비가 필요없다-건강보조기능-항균성 무독성 원적외선( )마감재 시공이 용이하다-에너지절감 효과가 크다-열전도율 및 축열기능이 좋다-차음 방음 효과가 우수하다- ( )건축물의 경량화-

세라믹 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시험 검사 방법 ( ) KS L 5105-97 KS L 5104-96 KS L 5207-rsquo99 KS F2424-rsquo95 KS L 1592 rsquo95시험원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시험일자 2000 OS 09 ~ 09 15

- 46 -

제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석회 광물은 마그네시아 광물과 함께 중요한 조암광물로서 천연에서는 산화물(CaO)

로는 존재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탄산염 황산염 또는 규산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석회질 원료로는 석회석 돌로마이트 형석 석고 규회석 등이었으며 이중 석회석

(CaCO3 과 석고)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만을 에 나타내었다 원적) Fig 10 11

외선 발열체와 세라믹 발열체가 있다 원석 발열체로는 맥반석 게르마늄석 옥석

황토 등이 있다 원적외선의 온열효과는 피부표면에 복사된 원적외선은 인체 중 물

의 진동 파장과 거의 비슷하며 공진 작용으로 일반열이 도달할 수 없는 부위( )共振

까지 도달하게 한다 이러한 심달력은 피하층의 온도상승 미세혈관의 확장 혈액순

환 촉진 선진대사강화 혈류 장해 해소 조직의 재생능력 증가 결련예방 및 암치

료 효과 등의 의학적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혈행이 좋아짐으로서

정상체온 유지 스트레스 해소 소화촉진 근육통 해소 피부 색깔 정상화 꺼칠한

눈이 부드러워지고 감기 예방효과 조직 내에 쌓여 있던 노폐물의 분비도 촉진된

다 또한 세포에 필요로 하는 영양소와 산소를 정상적으로 공급받게 되어 세포와

조직이 활력을 되찾게 되고 적당한 원적외선 활용은 세포의 노화를 막아주는 효과

를 볼 수 있다 원적외선 부작용 없는 건강유지와 질병의 예방치료적 기 (氣

라고 할 수 있다energy)

석회석은 시멘트의 주원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전방사율은 약 정도를085

보이고 있으나 이후와 단파장 영역쪽에 불안정한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보이20

고 있다 이는 공기 중의 습기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그 조성이 일부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시멘트를 측정하여 비교Fig 10 11

한 결과에서는 다소 석회석 자체원료를 측정한 것이 방사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CaSO4 는 외국에서 천연으로 산출된 것과 본 연구에서 제조한 배연 탈황석고)

모두 원적외선 방사특성에 있어서는 석회석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특히

부근에서의 약간의 골이 생겨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87

- 47 -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48 -

석고Fig 11 (CaSO4 의 원작외선 방사특성)

- 49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의 방사율은 에 실었다 현재 원적외선이 다Fig 12

량 방사되는 게르바늄석 참조 옥석 참조 맥반석 참조(Fig 13 ) (Fig 14 ) (Fig 15 )

등에 비해서 같은 수준의 방사에너지 및 방사율이 발현됨을 공인된 시험기간에 의

해서 입증되었다 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를 Fig16 3~20

파장 영역에서 방사특성을 나타내었다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는 이상흑체에

서 방사되는 특성과 같은 모양을 방출하고 있습을 알았다 따라서 세라믹구들은 건

강친화적인 면만 아니라 여러 가지 가능을 가진 차세대 온돌용 세라믹구들이라고

할 수 있다

제 절 현장 시공9

본 세라믹구들의 최적화 조건 조성 및 현장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차로 경기도 광1

주 소재 동심주택 제 차 그린타운 세대를 시험 시공한 바 있으며 위 결과를 토9 19

대로 최적화된 조건에 따라 안양 재건축현장 및 기홍 목조주택 등에 실용화 시공하

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Fig 17

필름 한 장을 깔고 그 위에 외경의 폴리에틸렌 엑셀파이프를 배관한 후 세라15

믹 구들로 타설한 후 수평을 잡으면서 두께를 로 일정하게 하였다40

시멘트 제품은 응결 경화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균열이 발생되

면 더 커지면서 계속 퍼져나가는 경향을 나타낸다 여러 종류의 균열 보수기법이

현재 마련되어 있으나 완벽한 균열 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 보수 후에도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 보수로 인해 외관의 불량 균열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로 시공한 결과는 상기와 같

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할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연구에 의해 일반 콘크리트에도 적

용할 경우 그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균열을 방지함으로서 방

수 강도저하 철근부식 등 내구성저하를 막으므로 고품질의 구조물 공사가 될 것으

로 예상된다

- 50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 51 -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 52 -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 53 -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3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1

화력발전소에서 부산물로 생성된 이수석고를 대전소재 쌍용 중앙연구소에서 rotary

을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소성된 석고를kiln X - Ray Diffractometer (XRD Rigaku

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수석고는DMAX-2500) Fig 7

에서는150~200 CaSO 4 2Hㆍ 2 가O CaSO4 12Hㆍ 2 로 변하고 에서O 350 CaSO 4

의 피크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그후 온도를 올림에 따라 무수석고의 결정성이 좋

아짐을 알 수 있었다 참조(Fig 7 )

제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2

으로 확인한 결과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국산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ig 3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로 단단한 모양으로 균일하게70

구성되어 있는 반면 의 독일산 석고의 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정도 Fig 4 70

의 크기가 소수 분포와 마이크론미터 정도의 크기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분포175

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체로 한 결 -200 mesh sieving

과를 보면 정도의 가 큰 덩어리가 남아 있었다10 size

가 큰 덩어리를 로 확인한 결과 석고로 판명되었다 에서 보면 독일Size XRD Fig 8

산 최초 석고인 BW CaSO4 과 후의 의(GER)-3 sieving XRD pattern BW

CaSO4 와 동일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들은 결과와 결과로(G+200M)-4 XRD TGA

보면 모두 CaSO4로 판명되었다

에서 분쇄된 무수석고의 입자분포도를 보기 위하여Roller mill particle size

로 측정범위 측정 분산매analyzer 01-180 lens focal depth 100 methyl

를 사용하여 초음파 분산 방법으로 입도 분포도를 얻어 에 실었다alcohol Fig 9

- 31 -

Fig7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each gypsum in sintering condition

- 32 -

Fig8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gypsum after sieving

- 33 -

Fig 9 Particle distribution chart of gypsum

- 34 -

에서의 입자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이하의 분포도가 전체의 를Fig 9 5 87

차지하고 있는 반면 마이크론미터 이상이 전체의 밖에 차지하고 있음을 알10 3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보면 외국산 석고에 비해 공정에서는 보다 나 self - leveling

은 작업성과 물성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3

분석방법 등으로 분석한 결과 에서 보OES AAS ICPAES Wet Analysis Table 2

는 바와 같이 독일산석고와 국산석고의 분석결과가 화학성분에서는 아주 유사하다

그러나 독일산 석고에 규사만이 함유되어 있는 것에 비해 국산 석고에는16 wt

규사가 로 작게 함유되어 있었다 이는 원재료의 광산에 함유된 규사에096 wt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석고에 대한 분석 결과를 CAS( ) Table 3

에 실었다 에서 보면 라파석고에 인이 포함되어 있는 반면 인 Table 3 00072 wt

산무수 석고에는 로 많이 포함되어 있어 제조시 인산무0024 wt self- leveling

수 석고를 사용한 결과가 나쁘게 나타났다고 추정되며 지지용 철근의self-leveling

부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이므로 인산석고의 사용을 피함이 좋을 것이다

인산무수 석고는 자체에서 산성 성분을 용출함으로서 콘크리트 중에 함유된 알칼리

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을 혼입시키어 철근을 활성화

상태로 만들고 이로 인해 부식하기 쉽게 된다

- 35 -

Table 2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 36 -

Table 3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and Binder

- 37 -

제 절 특수 첨가재4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의 양을 변화시O 89 g -α

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4

Table 4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a -gypsum

에서 보면 석고의 함량을 증가할수록 초결시간은 빨라지지만 수분증발시Table 4 -α

간이 느리고 기존레벨라보다 종결시간이 느린 것을 보아 석고만을 첨가한다는-α

것은 의미가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화시키

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5

Table 5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LiCO3

- 38 -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기존레벨라에는 이미Table 5 LiCO3이 인 이 포014 042g

함되어 있어 순으로 첨가하였으나 첨가 양에 따른 초결상태의 변화0 15 30 g

는 없었으나 종결상태는 조금씩 첨가 양이 많아지면서 조금씩 지연되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O 89 g CAS ( )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과 같다Table 6

Table 6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CAS

에서 보면 를 씩 증가하면서 첨가함에 따라 초결상태와Table 6 CAS 0 10 20 g

종결상태가 보다 급격히 빨라짐을 알 수 있었다 즉 경화 속도에 의Table 4 5 CAS

함유량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에서 사용한 첨가제를 모두 혼합하여 기존의 재Table 4 5 6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비교해보면O 89 g Table

과 같다7

- 39 -

Table 7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and CAS

에서 보는 것처럼 기존의 재Table 7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O 89 g

라에 석고와- LiCOα 3 만을 혼합하였을 때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의 양을 CAS

증가시키면서 함께 첨가할 수록 경화시간은 단축되었다

에 알미나 포틀랜드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Table 7 (AI-PC)

비교해보면 과 같다Table 8

기존의 재self-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보면 에서 보는 것처럼AI-PC Table 8

함량이 높을수록 경화시간은 너무 단축되어 그만큼 작업하는 시간이 촉박하AI-PC

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모든 결과를 종합해보면 응결시간은 온도와 습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실험할 때마다

기존레벨라를 비교하여 시험했다 가 가장 경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만 입자 CAS

가 뭉쳐 있어 혼합이 잘되지 않았다 그 결과 건조시 표면이 분화구처럼 돌출된 부

분이 많이 생겨났다

- 40 -

Table 8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CAS and Al-PC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5

급결제에 대한 성분 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는 와 같다 중탕Table 9

에서 증발시킨 후 의 잔유물에 대한 분석 결과(100 ) 50 wt Si 438 wt Na

로 나타났다 결정성과 구조분석을 위하여 로 확인한102 wt K 177 wt XRD

결과는 무결정 으로 피크가 나타나지 안했다 법으로 물을(amorphous) Karl fischer

분석시에도 가 잘 나타나지 안해 분석을 할 수 없었다 화학적 결합상태end-point

를 알아보기위해 을 이용하여 해석해본 결과IR Na2SiO3 H2 와O 50 wt 50 wt

의 H2 가 공존함을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O Na2SiO3 H2 와 의O 50 wt 50 wt

H2 를 함께 사용하기로 결정하였고 건설 현장에 시공 또는 제품 생산에 위와 같O

은 혼합비율을 적용하였다

- 41 -

Table 9 Chemical Composition of RCM300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6

측정된 충격음레벨은 ISO 140 Part 6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을 준용하여 수음실 기준 흡음력 에 대한sound insulation of Floors 1978) (10 )

보정 값으로 환산하였다(Table 10)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나타내는 수음실의 바닥충격음레벨 (Ln 은 다음 식 으로) (1)

구하였다

여기서

Ln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흡음력보정 바닥충격음레벨 j ( )

충격음위치 지점수m

상기 식 의 각 충격음 위치마다의 바닥충격음레벨의 평균값(1) (Lj 은 다음식 에) (2)

따라 산출하였다

- 42 -

Table 10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sound insulation of floor

- 43 -

여기서

Lj 수음실내 측정점 에서의 바닥충격음레벨 i ( )

측정점의 수n

또한 상기 바닥충격음레벨 평균값 (Lj 은 수음실의 흡음력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

므로 를 준용 이를 기준흡음력 에 대한 값ISO 140 Part6 (978) (10 ) (L nj 으로)

환산하였으며 그 산출식은 식 과 같다 (3)

여기서

L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평균 바닥충격음레벨 j ( )

AO 기준흡음력 (10 )

수음실 측정실 용적V ( ) ( )

수음실 측정실 잔향시간 초T ( ) ( )

에서 보면 기준판과 시험체의 경량충격음은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Table 10

충격음이 증가하다가 완만한 곡선을 나타내는 반면 중량충격음의 결과를 보면 주파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충격음이 계속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경량 충격음은 음원이 태핑머신인 관계로 주파수 변화에 따른

파장의 작고 큼에 별 영향을 주지 않지만 중량 충격음은 음원이 타이어임으로 고주

파대로 갈수록 파장이 작아서 투과 여건이 적은 관계에 기인함을 알 수 있다 본

바닥충격음과 소음에 대한 실험 결과 기존 시멘트몰탈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

믹몰탈간에 바닥충격음과 소음의 차이는 크게 나지 않음으로 무시할 정도임을 알았

- 44 -

제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7

아래 은 바닥재 시공에 대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과 재래식 시Table 11

멘트몰탈과의 특징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연구연에서 분석한 세라믹구들의 분석 결과를 에Table 12

실었다 현 시험법에 따라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 등의 물성을 공인된 한국건자 KS

재연구원에 의뢰한 결과 압축강도면에서 이 넘는 결과가 나왔으며 다른400 f

물성 또한 기준 물성값을 초과하는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에서 보는 것과 Table 12

같이 길이변화율은 일 경과 후 로서 거의 변화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28 -0046

며 이를 미루어 보아 시멘트몰탈의 수축 팽창에 기인되는 균열 원인을 해결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45 -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 구들의 비교Table 11

구분 단위 재래식 시멘트몰탈 본 제품 세라믹구들( )

시공후상태

몰탈층

바탕면의 균열 발생-바탕면의 평활 수평 이 없다- (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없다-공정 회 이 복잡하다- (3-4 )많은면적을 시공할 수 없다-양생시간이 길다 일- (3-7 )하자 보수비가 필요하다-시멘트 독성에 따른 인체에-해로움

바탕면의 균열이 없다- 바탕면의 평활 수평 성이 양호- ( )일정한 두께유지-공정이 단순 회공정 하다- (1 )많은 면적을 시공할 수 있다-양생시간이 짧다 일- (1 )하자보수비가 필요없다-건강보조기능-항균성 무독성 원적외선( )마감재 시공이 용이하다-에너지절감 효과가 크다-열전도율 및 축열기능이 좋다-차음 방음 효과가 우수하다- ( )건축물의 경량화-

세라믹 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시험 검사 방법 ( ) KS L 5105-97 KS L 5104-96 KS L 5207-rsquo99 KS F2424-rsquo95 KS L 1592 rsquo95시험원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시험일자 2000 OS 09 ~ 09 15

- 46 -

제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석회 광물은 마그네시아 광물과 함께 중요한 조암광물로서 천연에서는 산화물(CaO)

로는 존재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탄산염 황산염 또는 규산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석회질 원료로는 석회석 돌로마이트 형석 석고 규회석 등이었으며 이중 석회석

(CaCO3 과 석고)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만을 에 나타내었다 원적) Fig 10 11

외선 발열체와 세라믹 발열체가 있다 원석 발열체로는 맥반석 게르마늄석 옥석

황토 등이 있다 원적외선의 온열효과는 피부표면에 복사된 원적외선은 인체 중 물

의 진동 파장과 거의 비슷하며 공진 작용으로 일반열이 도달할 수 없는 부위( )共振

까지 도달하게 한다 이러한 심달력은 피하층의 온도상승 미세혈관의 확장 혈액순

환 촉진 선진대사강화 혈류 장해 해소 조직의 재생능력 증가 결련예방 및 암치

료 효과 등의 의학적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혈행이 좋아짐으로서

정상체온 유지 스트레스 해소 소화촉진 근육통 해소 피부 색깔 정상화 꺼칠한

눈이 부드러워지고 감기 예방효과 조직 내에 쌓여 있던 노폐물의 분비도 촉진된

다 또한 세포에 필요로 하는 영양소와 산소를 정상적으로 공급받게 되어 세포와

조직이 활력을 되찾게 되고 적당한 원적외선 활용은 세포의 노화를 막아주는 효과

를 볼 수 있다 원적외선 부작용 없는 건강유지와 질병의 예방치료적 기 (氣

라고 할 수 있다energy)

석회석은 시멘트의 주원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전방사율은 약 정도를085

보이고 있으나 이후와 단파장 영역쪽에 불안정한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보이20

고 있다 이는 공기 중의 습기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그 조성이 일부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시멘트를 측정하여 비교Fig 10 11

한 결과에서는 다소 석회석 자체원료를 측정한 것이 방사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CaSO4 는 외국에서 천연으로 산출된 것과 본 연구에서 제조한 배연 탈황석고)

모두 원적외선 방사특성에 있어서는 석회석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특히

부근에서의 약간의 골이 생겨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87

- 47 -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48 -

석고Fig 11 (CaSO4 의 원작외선 방사특성)

- 49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의 방사율은 에 실었다 현재 원적외선이 다Fig 12

량 방사되는 게르바늄석 참조 옥석 참조 맥반석 참조(Fig 13 ) (Fig 14 ) (Fig 15 )

등에 비해서 같은 수준의 방사에너지 및 방사율이 발현됨을 공인된 시험기간에 의

해서 입증되었다 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를 Fig16 3~20

파장 영역에서 방사특성을 나타내었다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는 이상흑체에

서 방사되는 특성과 같은 모양을 방출하고 있습을 알았다 따라서 세라믹구들은 건

강친화적인 면만 아니라 여러 가지 가능을 가진 차세대 온돌용 세라믹구들이라고

할 수 있다

제 절 현장 시공9

본 세라믹구들의 최적화 조건 조성 및 현장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차로 경기도 광1

주 소재 동심주택 제 차 그린타운 세대를 시험 시공한 바 있으며 위 결과를 토9 19

대로 최적화된 조건에 따라 안양 재건축현장 및 기홍 목조주택 등에 실용화 시공하

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Fig 17

필름 한 장을 깔고 그 위에 외경의 폴리에틸렌 엑셀파이프를 배관한 후 세라15

믹 구들로 타설한 후 수평을 잡으면서 두께를 로 일정하게 하였다40

시멘트 제품은 응결 경화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균열이 발생되

면 더 커지면서 계속 퍼져나가는 경향을 나타낸다 여러 종류의 균열 보수기법이

현재 마련되어 있으나 완벽한 균열 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 보수 후에도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 보수로 인해 외관의 불량 균열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로 시공한 결과는 상기와 같

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할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연구에 의해 일반 콘크리트에도 적

용할 경우 그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균열을 방지함으로서 방

수 강도저하 철근부식 등 내구성저하를 막으므로 고품질의 구조물 공사가 될 것으

로 예상된다

- 50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 51 -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 52 -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 53 -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31 -

Fig7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each gypsum in sintering condition

- 32 -

Fig8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gypsum after sieving

- 33 -

Fig 9 Particle distribution chart of gypsum

- 34 -

에서의 입자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이하의 분포도가 전체의 를Fig 9 5 87

차지하고 있는 반면 마이크론미터 이상이 전체의 밖에 차지하고 있음을 알10 3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보면 외국산 석고에 비해 공정에서는 보다 나 self - leveling

은 작업성과 물성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3

분석방법 등으로 분석한 결과 에서 보OES AAS ICPAES Wet Analysis Table 2

는 바와 같이 독일산석고와 국산석고의 분석결과가 화학성분에서는 아주 유사하다

그러나 독일산 석고에 규사만이 함유되어 있는 것에 비해 국산 석고에는16 wt

규사가 로 작게 함유되어 있었다 이는 원재료의 광산에 함유된 규사에096 wt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석고에 대한 분석 결과를 CAS( ) Table 3

에 실었다 에서 보면 라파석고에 인이 포함되어 있는 반면 인 Table 3 00072 wt

산무수 석고에는 로 많이 포함되어 있어 제조시 인산무0024 wt self- leveling

수 석고를 사용한 결과가 나쁘게 나타났다고 추정되며 지지용 철근의self-leveling

부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이므로 인산석고의 사용을 피함이 좋을 것이다

인산무수 석고는 자체에서 산성 성분을 용출함으로서 콘크리트 중에 함유된 알칼리

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을 혼입시키어 철근을 활성화

상태로 만들고 이로 인해 부식하기 쉽게 된다

- 35 -

Table 2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 36 -

Table 3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and Binder

- 37 -

제 절 특수 첨가재4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의 양을 변화시O 89 g -α

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4

Table 4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a -gypsum

에서 보면 석고의 함량을 증가할수록 초결시간은 빨라지지만 수분증발시Table 4 -α

간이 느리고 기존레벨라보다 종결시간이 느린 것을 보아 석고만을 첨가한다는-α

것은 의미가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화시키

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5

Table 5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LiCO3

- 38 -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기존레벨라에는 이미Table 5 LiCO3이 인 이 포014 042g

함되어 있어 순으로 첨가하였으나 첨가 양에 따른 초결상태의 변화0 15 30 g

는 없었으나 종결상태는 조금씩 첨가 양이 많아지면서 조금씩 지연되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O 89 g CAS ( )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과 같다Table 6

Table 6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CAS

에서 보면 를 씩 증가하면서 첨가함에 따라 초결상태와Table 6 CAS 0 10 20 g

종결상태가 보다 급격히 빨라짐을 알 수 있었다 즉 경화 속도에 의Table 4 5 CAS

함유량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에서 사용한 첨가제를 모두 혼합하여 기존의 재Table 4 5 6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비교해보면O 89 g Table

과 같다7

- 39 -

Table 7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and CAS

에서 보는 것처럼 기존의 재Table 7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O 89 g

라에 석고와- LiCOα 3 만을 혼합하였을 때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의 양을 CAS

증가시키면서 함께 첨가할 수록 경화시간은 단축되었다

에 알미나 포틀랜드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Table 7 (AI-PC)

비교해보면 과 같다Table 8

기존의 재self-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보면 에서 보는 것처럼AI-PC Table 8

함량이 높을수록 경화시간은 너무 단축되어 그만큼 작업하는 시간이 촉박하AI-PC

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모든 결과를 종합해보면 응결시간은 온도와 습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실험할 때마다

기존레벨라를 비교하여 시험했다 가 가장 경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만 입자 CAS

가 뭉쳐 있어 혼합이 잘되지 않았다 그 결과 건조시 표면이 분화구처럼 돌출된 부

분이 많이 생겨났다

- 40 -

Table 8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CAS and Al-PC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5

급결제에 대한 성분 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는 와 같다 중탕Table 9

에서 증발시킨 후 의 잔유물에 대한 분석 결과(100 ) 50 wt Si 438 wt Na

로 나타났다 결정성과 구조분석을 위하여 로 확인한102 wt K 177 wt XRD

결과는 무결정 으로 피크가 나타나지 안했다 법으로 물을(amorphous) Karl fischer

분석시에도 가 잘 나타나지 안해 분석을 할 수 없었다 화학적 결합상태end-point

를 알아보기위해 을 이용하여 해석해본 결과IR Na2SiO3 H2 와O 50 wt 50 wt

의 H2 가 공존함을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O Na2SiO3 H2 와 의O 50 wt 50 wt

H2 를 함께 사용하기로 결정하였고 건설 현장에 시공 또는 제품 생산에 위와 같O

은 혼합비율을 적용하였다

- 41 -

Table 9 Chemical Composition of RCM300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6

측정된 충격음레벨은 ISO 140 Part 6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을 준용하여 수음실 기준 흡음력 에 대한sound insulation of Floors 1978) (10 )

보정 값으로 환산하였다(Table 10)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나타내는 수음실의 바닥충격음레벨 (Ln 은 다음 식 으로) (1)

구하였다

여기서

Ln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흡음력보정 바닥충격음레벨 j ( )

충격음위치 지점수m

상기 식 의 각 충격음 위치마다의 바닥충격음레벨의 평균값(1) (Lj 은 다음식 에) (2)

따라 산출하였다

- 42 -

Table 10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sound insulation of floor

- 43 -

여기서

Lj 수음실내 측정점 에서의 바닥충격음레벨 i ( )

측정점의 수n

또한 상기 바닥충격음레벨 평균값 (Lj 은 수음실의 흡음력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

므로 를 준용 이를 기준흡음력 에 대한 값ISO 140 Part6 (978) (10 ) (L nj 으로)

환산하였으며 그 산출식은 식 과 같다 (3)

여기서

L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평균 바닥충격음레벨 j ( )

AO 기준흡음력 (10 )

수음실 측정실 용적V ( ) ( )

수음실 측정실 잔향시간 초T ( ) ( )

에서 보면 기준판과 시험체의 경량충격음은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Table 10

충격음이 증가하다가 완만한 곡선을 나타내는 반면 중량충격음의 결과를 보면 주파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충격음이 계속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경량 충격음은 음원이 태핑머신인 관계로 주파수 변화에 따른

파장의 작고 큼에 별 영향을 주지 않지만 중량 충격음은 음원이 타이어임으로 고주

파대로 갈수록 파장이 작아서 투과 여건이 적은 관계에 기인함을 알 수 있다 본

바닥충격음과 소음에 대한 실험 결과 기존 시멘트몰탈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

믹몰탈간에 바닥충격음과 소음의 차이는 크게 나지 않음으로 무시할 정도임을 알았

- 44 -

제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7

아래 은 바닥재 시공에 대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과 재래식 시Table 11

멘트몰탈과의 특징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연구연에서 분석한 세라믹구들의 분석 결과를 에Table 12

실었다 현 시험법에 따라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 등의 물성을 공인된 한국건자 KS

재연구원에 의뢰한 결과 압축강도면에서 이 넘는 결과가 나왔으며 다른400 f

물성 또한 기준 물성값을 초과하는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에서 보는 것과 Table 12

같이 길이변화율은 일 경과 후 로서 거의 변화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28 -0046

며 이를 미루어 보아 시멘트몰탈의 수축 팽창에 기인되는 균열 원인을 해결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45 -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 구들의 비교Table 11

구분 단위 재래식 시멘트몰탈 본 제품 세라믹구들( )

시공후상태

몰탈층

바탕면의 균열 발생-바탕면의 평활 수평 이 없다- (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없다-공정 회 이 복잡하다- (3-4 )많은면적을 시공할 수 없다-양생시간이 길다 일- (3-7 )하자 보수비가 필요하다-시멘트 독성에 따른 인체에-해로움

바탕면의 균열이 없다- 바탕면의 평활 수평 성이 양호- ( )일정한 두께유지-공정이 단순 회공정 하다- (1 )많은 면적을 시공할 수 있다-양생시간이 짧다 일- (1 )하자보수비가 필요없다-건강보조기능-항균성 무독성 원적외선( )마감재 시공이 용이하다-에너지절감 효과가 크다-열전도율 및 축열기능이 좋다-차음 방음 효과가 우수하다- ( )건축물의 경량화-

세라믹 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시험 검사 방법 ( ) KS L 5105-97 KS L 5104-96 KS L 5207-rsquo99 KS F2424-rsquo95 KS L 1592 rsquo95시험원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시험일자 2000 OS 09 ~ 09 15

- 46 -

제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석회 광물은 마그네시아 광물과 함께 중요한 조암광물로서 천연에서는 산화물(CaO)

로는 존재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탄산염 황산염 또는 규산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석회질 원료로는 석회석 돌로마이트 형석 석고 규회석 등이었으며 이중 석회석

(CaCO3 과 석고)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만을 에 나타내었다 원적) Fig 10 11

외선 발열체와 세라믹 발열체가 있다 원석 발열체로는 맥반석 게르마늄석 옥석

황토 등이 있다 원적외선의 온열효과는 피부표면에 복사된 원적외선은 인체 중 물

의 진동 파장과 거의 비슷하며 공진 작용으로 일반열이 도달할 수 없는 부위( )共振

까지 도달하게 한다 이러한 심달력은 피하층의 온도상승 미세혈관의 확장 혈액순

환 촉진 선진대사강화 혈류 장해 해소 조직의 재생능력 증가 결련예방 및 암치

료 효과 등의 의학적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혈행이 좋아짐으로서

정상체온 유지 스트레스 해소 소화촉진 근육통 해소 피부 색깔 정상화 꺼칠한

눈이 부드러워지고 감기 예방효과 조직 내에 쌓여 있던 노폐물의 분비도 촉진된

다 또한 세포에 필요로 하는 영양소와 산소를 정상적으로 공급받게 되어 세포와

조직이 활력을 되찾게 되고 적당한 원적외선 활용은 세포의 노화를 막아주는 효과

를 볼 수 있다 원적외선 부작용 없는 건강유지와 질병의 예방치료적 기 (氣

라고 할 수 있다energy)

석회석은 시멘트의 주원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전방사율은 약 정도를085

보이고 있으나 이후와 단파장 영역쪽에 불안정한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보이20

고 있다 이는 공기 중의 습기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그 조성이 일부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시멘트를 측정하여 비교Fig 10 11

한 결과에서는 다소 석회석 자체원료를 측정한 것이 방사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CaSO4 는 외국에서 천연으로 산출된 것과 본 연구에서 제조한 배연 탈황석고)

모두 원적외선 방사특성에 있어서는 석회석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특히

부근에서의 약간의 골이 생겨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87

- 47 -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48 -

석고Fig 11 (CaSO4 의 원작외선 방사특성)

- 49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의 방사율은 에 실었다 현재 원적외선이 다Fig 12

량 방사되는 게르바늄석 참조 옥석 참조 맥반석 참조(Fig 13 ) (Fig 14 ) (Fig 15 )

등에 비해서 같은 수준의 방사에너지 및 방사율이 발현됨을 공인된 시험기간에 의

해서 입증되었다 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를 Fig16 3~20

파장 영역에서 방사특성을 나타내었다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는 이상흑체에

서 방사되는 특성과 같은 모양을 방출하고 있습을 알았다 따라서 세라믹구들은 건

강친화적인 면만 아니라 여러 가지 가능을 가진 차세대 온돌용 세라믹구들이라고

할 수 있다

제 절 현장 시공9

본 세라믹구들의 최적화 조건 조성 및 현장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차로 경기도 광1

주 소재 동심주택 제 차 그린타운 세대를 시험 시공한 바 있으며 위 결과를 토9 19

대로 최적화된 조건에 따라 안양 재건축현장 및 기홍 목조주택 등에 실용화 시공하

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Fig 17

필름 한 장을 깔고 그 위에 외경의 폴리에틸렌 엑셀파이프를 배관한 후 세라15

믹 구들로 타설한 후 수평을 잡으면서 두께를 로 일정하게 하였다40

시멘트 제품은 응결 경화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균열이 발생되

면 더 커지면서 계속 퍼져나가는 경향을 나타낸다 여러 종류의 균열 보수기법이

현재 마련되어 있으나 완벽한 균열 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 보수 후에도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 보수로 인해 외관의 불량 균열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로 시공한 결과는 상기와 같

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할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연구에 의해 일반 콘크리트에도 적

용할 경우 그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균열을 방지함으로서 방

수 강도저하 철근부식 등 내구성저하를 막으므로 고품질의 구조물 공사가 될 것으

로 예상된다

- 50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 51 -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 52 -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 53 -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32 -

Fig8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gypsum after sieving

- 33 -

Fig 9 Particle distribution chart of gypsum

- 34 -

에서의 입자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이하의 분포도가 전체의 를Fig 9 5 87

차지하고 있는 반면 마이크론미터 이상이 전체의 밖에 차지하고 있음을 알10 3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보면 외국산 석고에 비해 공정에서는 보다 나 self - leveling

은 작업성과 물성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3

분석방법 등으로 분석한 결과 에서 보OES AAS ICPAES Wet Analysis Table 2

는 바와 같이 독일산석고와 국산석고의 분석결과가 화학성분에서는 아주 유사하다

그러나 독일산 석고에 규사만이 함유되어 있는 것에 비해 국산 석고에는16 wt

규사가 로 작게 함유되어 있었다 이는 원재료의 광산에 함유된 규사에096 wt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석고에 대한 분석 결과를 CAS( ) Table 3

에 실었다 에서 보면 라파석고에 인이 포함되어 있는 반면 인 Table 3 00072 wt

산무수 석고에는 로 많이 포함되어 있어 제조시 인산무0024 wt self- leveling

수 석고를 사용한 결과가 나쁘게 나타났다고 추정되며 지지용 철근의self-leveling

부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이므로 인산석고의 사용을 피함이 좋을 것이다

인산무수 석고는 자체에서 산성 성분을 용출함으로서 콘크리트 중에 함유된 알칼리

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을 혼입시키어 철근을 활성화

상태로 만들고 이로 인해 부식하기 쉽게 된다

- 35 -

Table 2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 36 -

Table 3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and Binder

- 37 -

제 절 특수 첨가재4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의 양을 변화시O 89 g -α

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4

Table 4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a -gypsum

에서 보면 석고의 함량을 증가할수록 초결시간은 빨라지지만 수분증발시Table 4 -α

간이 느리고 기존레벨라보다 종결시간이 느린 것을 보아 석고만을 첨가한다는-α

것은 의미가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화시키

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5

Table 5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LiCO3

- 38 -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기존레벨라에는 이미Table 5 LiCO3이 인 이 포014 042g

함되어 있어 순으로 첨가하였으나 첨가 양에 따른 초결상태의 변화0 15 30 g

는 없었으나 종결상태는 조금씩 첨가 양이 많아지면서 조금씩 지연되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O 89 g CAS ( )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과 같다Table 6

Table 6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CAS

에서 보면 를 씩 증가하면서 첨가함에 따라 초결상태와Table 6 CAS 0 10 20 g

종결상태가 보다 급격히 빨라짐을 알 수 있었다 즉 경화 속도에 의Table 4 5 CAS

함유량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에서 사용한 첨가제를 모두 혼합하여 기존의 재Table 4 5 6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비교해보면O 89 g Table

과 같다7

- 39 -

Table 7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and CAS

에서 보는 것처럼 기존의 재Table 7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O 89 g

라에 석고와- LiCOα 3 만을 혼합하였을 때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의 양을 CAS

증가시키면서 함께 첨가할 수록 경화시간은 단축되었다

에 알미나 포틀랜드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Table 7 (AI-PC)

비교해보면 과 같다Table 8

기존의 재self-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보면 에서 보는 것처럼AI-PC Table 8

함량이 높을수록 경화시간은 너무 단축되어 그만큼 작업하는 시간이 촉박하AI-PC

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모든 결과를 종합해보면 응결시간은 온도와 습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실험할 때마다

기존레벨라를 비교하여 시험했다 가 가장 경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만 입자 CAS

가 뭉쳐 있어 혼합이 잘되지 않았다 그 결과 건조시 표면이 분화구처럼 돌출된 부

분이 많이 생겨났다

- 40 -

Table 8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CAS and Al-PC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5

급결제에 대한 성분 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는 와 같다 중탕Table 9

에서 증발시킨 후 의 잔유물에 대한 분석 결과(100 ) 50 wt Si 438 wt Na

로 나타났다 결정성과 구조분석을 위하여 로 확인한102 wt K 177 wt XRD

결과는 무결정 으로 피크가 나타나지 안했다 법으로 물을(amorphous) Karl fischer

분석시에도 가 잘 나타나지 안해 분석을 할 수 없었다 화학적 결합상태end-point

를 알아보기위해 을 이용하여 해석해본 결과IR Na2SiO3 H2 와O 50 wt 50 wt

의 H2 가 공존함을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O Na2SiO3 H2 와 의O 50 wt 50 wt

H2 를 함께 사용하기로 결정하였고 건설 현장에 시공 또는 제품 생산에 위와 같O

은 혼합비율을 적용하였다

- 41 -

Table 9 Chemical Composition of RCM300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6

측정된 충격음레벨은 ISO 140 Part 6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을 준용하여 수음실 기준 흡음력 에 대한sound insulation of Floors 1978) (10 )

보정 값으로 환산하였다(Table 10)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나타내는 수음실의 바닥충격음레벨 (Ln 은 다음 식 으로) (1)

구하였다

여기서

Ln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흡음력보정 바닥충격음레벨 j ( )

충격음위치 지점수m

상기 식 의 각 충격음 위치마다의 바닥충격음레벨의 평균값(1) (Lj 은 다음식 에) (2)

따라 산출하였다

- 42 -

Table 10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sound insulation of floor

- 43 -

여기서

Lj 수음실내 측정점 에서의 바닥충격음레벨 i ( )

측정점의 수n

또한 상기 바닥충격음레벨 평균값 (Lj 은 수음실의 흡음력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

므로 를 준용 이를 기준흡음력 에 대한 값ISO 140 Part6 (978) (10 ) (L nj 으로)

환산하였으며 그 산출식은 식 과 같다 (3)

여기서

L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평균 바닥충격음레벨 j ( )

AO 기준흡음력 (10 )

수음실 측정실 용적V ( ) ( )

수음실 측정실 잔향시간 초T ( ) ( )

에서 보면 기준판과 시험체의 경량충격음은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Table 10

충격음이 증가하다가 완만한 곡선을 나타내는 반면 중량충격음의 결과를 보면 주파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충격음이 계속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경량 충격음은 음원이 태핑머신인 관계로 주파수 변화에 따른

파장의 작고 큼에 별 영향을 주지 않지만 중량 충격음은 음원이 타이어임으로 고주

파대로 갈수록 파장이 작아서 투과 여건이 적은 관계에 기인함을 알 수 있다 본

바닥충격음과 소음에 대한 실험 결과 기존 시멘트몰탈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

믹몰탈간에 바닥충격음과 소음의 차이는 크게 나지 않음으로 무시할 정도임을 알았

- 44 -

제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7

아래 은 바닥재 시공에 대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과 재래식 시Table 11

멘트몰탈과의 특징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연구연에서 분석한 세라믹구들의 분석 결과를 에Table 12

실었다 현 시험법에 따라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 등의 물성을 공인된 한국건자 KS

재연구원에 의뢰한 결과 압축강도면에서 이 넘는 결과가 나왔으며 다른400 f

물성 또한 기준 물성값을 초과하는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에서 보는 것과 Table 12

같이 길이변화율은 일 경과 후 로서 거의 변화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28 -0046

며 이를 미루어 보아 시멘트몰탈의 수축 팽창에 기인되는 균열 원인을 해결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45 -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 구들의 비교Table 11

구분 단위 재래식 시멘트몰탈 본 제품 세라믹구들( )

시공후상태

몰탈층

바탕면의 균열 발생-바탕면의 평활 수평 이 없다- (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없다-공정 회 이 복잡하다- (3-4 )많은면적을 시공할 수 없다-양생시간이 길다 일- (3-7 )하자 보수비가 필요하다-시멘트 독성에 따른 인체에-해로움

바탕면의 균열이 없다- 바탕면의 평활 수평 성이 양호- ( )일정한 두께유지-공정이 단순 회공정 하다- (1 )많은 면적을 시공할 수 있다-양생시간이 짧다 일- (1 )하자보수비가 필요없다-건강보조기능-항균성 무독성 원적외선( )마감재 시공이 용이하다-에너지절감 효과가 크다-열전도율 및 축열기능이 좋다-차음 방음 효과가 우수하다- ( )건축물의 경량화-

세라믹 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시험 검사 방법 ( ) KS L 5105-97 KS L 5104-96 KS L 5207-rsquo99 KS F2424-rsquo95 KS L 1592 rsquo95시험원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시험일자 2000 OS 09 ~ 09 15

- 46 -

제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석회 광물은 마그네시아 광물과 함께 중요한 조암광물로서 천연에서는 산화물(CaO)

로는 존재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탄산염 황산염 또는 규산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석회질 원료로는 석회석 돌로마이트 형석 석고 규회석 등이었으며 이중 석회석

(CaCO3 과 석고)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만을 에 나타내었다 원적) Fig 10 11

외선 발열체와 세라믹 발열체가 있다 원석 발열체로는 맥반석 게르마늄석 옥석

황토 등이 있다 원적외선의 온열효과는 피부표면에 복사된 원적외선은 인체 중 물

의 진동 파장과 거의 비슷하며 공진 작용으로 일반열이 도달할 수 없는 부위( )共振

까지 도달하게 한다 이러한 심달력은 피하층의 온도상승 미세혈관의 확장 혈액순

환 촉진 선진대사강화 혈류 장해 해소 조직의 재생능력 증가 결련예방 및 암치

료 효과 등의 의학적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혈행이 좋아짐으로서

정상체온 유지 스트레스 해소 소화촉진 근육통 해소 피부 색깔 정상화 꺼칠한

눈이 부드러워지고 감기 예방효과 조직 내에 쌓여 있던 노폐물의 분비도 촉진된

다 또한 세포에 필요로 하는 영양소와 산소를 정상적으로 공급받게 되어 세포와

조직이 활력을 되찾게 되고 적당한 원적외선 활용은 세포의 노화를 막아주는 효과

를 볼 수 있다 원적외선 부작용 없는 건강유지와 질병의 예방치료적 기 (氣

라고 할 수 있다energy)

석회석은 시멘트의 주원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전방사율은 약 정도를085

보이고 있으나 이후와 단파장 영역쪽에 불안정한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보이20

고 있다 이는 공기 중의 습기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그 조성이 일부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시멘트를 측정하여 비교Fig 10 11

한 결과에서는 다소 석회석 자체원료를 측정한 것이 방사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CaSO4 는 외국에서 천연으로 산출된 것과 본 연구에서 제조한 배연 탈황석고)

모두 원적외선 방사특성에 있어서는 석회석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특히

부근에서의 약간의 골이 생겨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87

- 47 -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48 -

석고Fig 11 (CaSO4 의 원작외선 방사특성)

- 49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의 방사율은 에 실었다 현재 원적외선이 다Fig 12

량 방사되는 게르바늄석 참조 옥석 참조 맥반석 참조(Fig 13 ) (Fig 14 ) (Fig 15 )

등에 비해서 같은 수준의 방사에너지 및 방사율이 발현됨을 공인된 시험기간에 의

해서 입증되었다 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를 Fig16 3~20

파장 영역에서 방사특성을 나타내었다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는 이상흑체에

서 방사되는 특성과 같은 모양을 방출하고 있습을 알았다 따라서 세라믹구들은 건

강친화적인 면만 아니라 여러 가지 가능을 가진 차세대 온돌용 세라믹구들이라고

할 수 있다

제 절 현장 시공9

본 세라믹구들의 최적화 조건 조성 및 현장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차로 경기도 광1

주 소재 동심주택 제 차 그린타운 세대를 시험 시공한 바 있으며 위 결과를 토9 19

대로 최적화된 조건에 따라 안양 재건축현장 및 기홍 목조주택 등에 실용화 시공하

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Fig 17

필름 한 장을 깔고 그 위에 외경의 폴리에틸렌 엑셀파이프를 배관한 후 세라15

믹 구들로 타설한 후 수평을 잡으면서 두께를 로 일정하게 하였다40

시멘트 제품은 응결 경화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균열이 발생되

면 더 커지면서 계속 퍼져나가는 경향을 나타낸다 여러 종류의 균열 보수기법이

현재 마련되어 있으나 완벽한 균열 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 보수 후에도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 보수로 인해 외관의 불량 균열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로 시공한 결과는 상기와 같

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할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연구에 의해 일반 콘크리트에도 적

용할 경우 그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균열을 방지함으로서 방

수 강도저하 철근부식 등 내구성저하를 막으므로 고품질의 구조물 공사가 될 것으

로 예상된다

- 50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 51 -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 52 -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 53 -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33 -

Fig 9 Particle distribution chart of gypsum

- 34 -

에서의 입자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이하의 분포도가 전체의 를Fig 9 5 87

차지하고 있는 반면 마이크론미터 이상이 전체의 밖에 차지하고 있음을 알10 3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보면 외국산 석고에 비해 공정에서는 보다 나 self - leveling

은 작업성과 물성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3

분석방법 등으로 분석한 결과 에서 보OES AAS ICPAES Wet Analysis Table 2

는 바와 같이 독일산석고와 국산석고의 분석결과가 화학성분에서는 아주 유사하다

그러나 독일산 석고에 규사만이 함유되어 있는 것에 비해 국산 석고에는16 wt

규사가 로 작게 함유되어 있었다 이는 원재료의 광산에 함유된 규사에096 wt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석고에 대한 분석 결과를 CAS( ) Table 3

에 실었다 에서 보면 라파석고에 인이 포함되어 있는 반면 인 Table 3 00072 wt

산무수 석고에는 로 많이 포함되어 있어 제조시 인산무0024 wt self- leveling

수 석고를 사용한 결과가 나쁘게 나타났다고 추정되며 지지용 철근의self-leveling

부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이므로 인산석고의 사용을 피함이 좋을 것이다

인산무수 석고는 자체에서 산성 성분을 용출함으로서 콘크리트 중에 함유된 알칼리

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을 혼입시키어 철근을 활성화

상태로 만들고 이로 인해 부식하기 쉽게 된다

- 35 -

Table 2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 36 -

Table 3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and Binder

- 37 -

제 절 특수 첨가재4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의 양을 변화시O 89 g -α

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4

Table 4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a -gypsum

에서 보면 석고의 함량을 증가할수록 초결시간은 빨라지지만 수분증발시Table 4 -α

간이 느리고 기존레벨라보다 종결시간이 느린 것을 보아 석고만을 첨가한다는-α

것은 의미가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화시키

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5

Table 5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LiCO3

- 38 -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기존레벨라에는 이미Table 5 LiCO3이 인 이 포014 042g

함되어 있어 순으로 첨가하였으나 첨가 양에 따른 초결상태의 변화0 15 30 g

는 없었으나 종결상태는 조금씩 첨가 양이 많아지면서 조금씩 지연되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O 89 g CAS ( )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과 같다Table 6

Table 6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CAS

에서 보면 를 씩 증가하면서 첨가함에 따라 초결상태와Table 6 CAS 0 10 20 g

종결상태가 보다 급격히 빨라짐을 알 수 있었다 즉 경화 속도에 의Table 4 5 CAS

함유량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에서 사용한 첨가제를 모두 혼합하여 기존의 재Table 4 5 6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비교해보면O 89 g Table

과 같다7

- 39 -

Table 7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and CAS

에서 보는 것처럼 기존의 재Table 7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O 89 g

라에 석고와- LiCOα 3 만을 혼합하였을 때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의 양을 CAS

증가시키면서 함께 첨가할 수록 경화시간은 단축되었다

에 알미나 포틀랜드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Table 7 (AI-PC)

비교해보면 과 같다Table 8

기존의 재self-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보면 에서 보는 것처럼AI-PC Table 8

함량이 높을수록 경화시간은 너무 단축되어 그만큼 작업하는 시간이 촉박하AI-PC

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모든 결과를 종합해보면 응결시간은 온도와 습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실험할 때마다

기존레벨라를 비교하여 시험했다 가 가장 경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만 입자 CAS

가 뭉쳐 있어 혼합이 잘되지 않았다 그 결과 건조시 표면이 분화구처럼 돌출된 부

분이 많이 생겨났다

- 40 -

Table 8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CAS and Al-PC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5

급결제에 대한 성분 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는 와 같다 중탕Table 9

에서 증발시킨 후 의 잔유물에 대한 분석 결과(100 ) 50 wt Si 438 wt Na

로 나타났다 결정성과 구조분석을 위하여 로 확인한102 wt K 177 wt XRD

결과는 무결정 으로 피크가 나타나지 안했다 법으로 물을(amorphous) Karl fischer

분석시에도 가 잘 나타나지 안해 분석을 할 수 없었다 화학적 결합상태end-point

를 알아보기위해 을 이용하여 해석해본 결과IR Na2SiO3 H2 와O 50 wt 50 wt

의 H2 가 공존함을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O Na2SiO3 H2 와 의O 50 wt 50 wt

H2 를 함께 사용하기로 결정하였고 건설 현장에 시공 또는 제품 생산에 위와 같O

은 혼합비율을 적용하였다

- 41 -

Table 9 Chemical Composition of RCM300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6

측정된 충격음레벨은 ISO 140 Part 6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을 준용하여 수음실 기준 흡음력 에 대한sound insulation of Floors 1978) (10 )

보정 값으로 환산하였다(Table 10)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나타내는 수음실의 바닥충격음레벨 (Ln 은 다음 식 으로) (1)

구하였다

여기서

Ln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흡음력보정 바닥충격음레벨 j ( )

충격음위치 지점수m

상기 식 의 각 충격음 위치마다의 바닥충격음레벨의 평균값(1) (Lj 은 다음식 에) (2)

따라 산출하였다

- 42 -

Table 10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sound insulation of floor

- 43 -

여기서

Lj 수음실내 측정점 에서의 바닥충격음레벨 i ( )

측정점의 수n

또한 상기 바닥충격음레벨 평균값 (Lj 은 수음실의 흡음력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

므로 를 준용 이를 기준흡음력 에 대한 값ISO 140 Part6 (978) (10 ) (L nj 으로)

환산하였으며 그 산출식은 식 과 같다 (3)

여기서

L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평균 바닥충격음레벨 j ( )

AO 기준흡음력 (10 )

수음실 측정실 용적V ( ) ( )

수음실 측정실 잔향시간 초T ( ) ( )

에서 보면 기준판과 시험체의 경량충격음은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Table 10

충격음이 증가하다가 완만한 곡선을 나타내는 반면 중량충격음의 결과를 보면 주파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충격음이 계속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경량 충격음은 음원이 태핑머신인 관계로 주파수 변화에 따른

파장의 작고 큼에 별 영향을 주지 않지만 중량 충격음은 음원이 타이어임으로 고주

파대로 갈수록 파장이 작아서 투과 여건이 적은 관계에 기인함을 알 수 있다 본

바닥충격음과 소음에 대한 실험 결과 기존 시멘트몰탈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

믹몰탈간에 바닥충격음과 소음의 차이는 크게 나지 않음으로 무시할 정도임을 알았

- 44 -

제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7

아래 은 바닥재 시공에 대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과 재래식 시Table 11

멘트몰탈과의 특징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연구연에서 분석한 세라믹구들의 분석 결과를 에Table 12

실었다 현 시험법에 따라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 등의 물성을 공인된 한국건자 KS

재연구원에 의뢰한 결과 압축강도면에서 이 넘는 결과가 나왔으며 다른400 f

물성 또한 기준 물성값을 초과하는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에서 보는 것과 Table 12

같이 길이변화율은 일 경과 후 로서 거의 변화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28 -0046

며 이를 미루어 보아 시멘트몰탈의 수축 팽창에 기인되는 균열 원인을 해결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45 -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 구들의 비교Table 11

구분 단위 재래식 시멘트몰탈 본 제품 세라믹구들( )

시공후상태

몰탈층

바탕면의 균열 발생-바탕면의 평활 수평 이 없다- (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없다-공정 회 이 복잡하다- (3-4 )많은면적을 시공할 수 없다-양생시간이 길다 일- (3-7 )하자 보수비가 필요하다-시멘트 독성에 따른 인체에-해로움

바탕면의 균열이 없다- 바탕면의 평활 수평 성이 양호- ( )일정한 두께유지-공정이 단순 회공정 하다- (1 )많은 면적을 시공할 수 있다-양생시간이 짧다 일- (1 )하자보수비가 필요없다-건강보조기능-항균성 무독성 원적외선( )마감재 시공이 용이하다-에너지절감 효과가 크다-열전도율 및 축열기능이 좋다-차음 방음 효과가 우수하다- ( )건축물의 경량화-

세라믹 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시험 검사 방법 ( ) KS L 5105-97 KS L 5104-96 KS L 5207-rsquo99 KS F2424-rsquo95 KS L 1592 rsquo95시험원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시험일자 2000 OS 09 ~ 09 15

- 46 -

제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석회 광물은 마그네시아 광물과 함께 중요한 조암광물로서 천연에서는 산화물(CaO)

로는 존재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탄산염 황산염 또는 규산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석회질 원료로는 석회석 돌로마이트 형석 석고 규회석 등이었으며 이중 석회석

(CaCO3 과 석고)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만을 에 나타내었다 원적) Fig 10 11

외선 발열체와 세라믹 발열체가 있다 원석 발열체로는 맥반석 게르마늄석 옥석

황토 등이 있다 원적외선의 온열효과는 피부표면에 복사된 원적외선은 인체 중 물

의 진동 파장과 거의 비슷하며 공진 작용으로 일반열이 도달할 수 없는 부위( )共振

까지 도달하게 한다 이러한 심달력은 피하층의 온도상승 미세혈관의 확장 혈액순

환 촉진 선진대사강화 혈류 장해 해소 조직의 재생능력 증가 결련예방 및 암치

료 효과 등의 의학적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혈행이 좋아짐으로서

정상체온 유지 스트레스 해소 소화촉진 근육통 해소 피부 색깔 정상화 꺼칠한

눈이 부드러워지고 감기 예방효과 조직 내에 쌓여 있던 노폐물의 분비도 촉진된

다 또한 세포에 필요로 하는 영양소와 산소를 정상적으로 공급받게 되어 세포와

조직이 활력을 되찾게 되고 적당한 원적외선 활용은 세포의 노화를 막아주는 효과

를 볼 수 있다 원적외선 부작용 없는 건강유지와 질병의 예방치료적 기 (氣

라고 할 수 있다energy)

석회석은 시멘트의 주원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전방사율은 약 정도를085

보이고 있으나 이후와 단파장 영역쪽에 불안정한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보이20

고 있다 이는 공기 중의 습기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그 조성이 일부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시멘트를 측정하여 비교Fig 10 11

한 결과에서는 다소 석회석 자체원료를 측정한 것이 방사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CaSO4 는 외국에서 천연으로 산출된 것과 본 연구에서 제조한 배연 탈황석고)

모두 원적외선 방사특성에 있어서는 석회석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특히

부근에서의 약간의 골이 생겨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87

- 47 -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48 -

석고Fig 11 (CaSO4 의 원작외선 방사특성)

- 49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의 방사율은 에 실었다 현재 원적외선이 다Fig 12

량 방사되는 게르바늄석 참조 옥석 참조 맥반석 참조(Fig 13 ) (Fig 14 ) (Fig 15 )

등에 비해서 같은 수준의 방사에너지 및 방사율이 발현됨을 공인된 시험기간에 의

해서 입증되었다 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를 Fig16 3~20

파장 영역에서 방사특성을 나타내었다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는 이상흑체에

서 방사되는 특성과 같은 모양을 방출하고 있습을 알았다 따라서 세라믹구들은 건

강친화적인 면만 아니라 여러 가지 가능을 가진 차세대 온돌용 세라믹구들이라고

할 수 있다

제 절 현장 시공9

본 세라믹구들의 최적화 조건 조성 및 현장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차로 경기도 광1

주 소재 동심주택 제 차 그린타운 세대를 시험 시공한 바 있으며 위 결과를 토9 19

대로 최적화된 조건에 따라 안양 재건축현장 및 기홍 목조주택 등에 실용화 시공하

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Fig 17

필름 한 장을 깔고 그 위에 외경의 폴리에틸렌 엑셀파이프를 배관한 후 세라15

믹 구들로 타설한 후 수평을 잡으면서 두께를 로 일정하게 하였다40

시멘트 제품은 응결 경화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균열이 발생되

면 더 커지면서 계속 퍼져나가는 경향을 나타낸다 여러 종류의 균열 보수기법이

현재 마련되어 있으나 완벽한 균열 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 보수 후에도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 보수로 인해 외관의 불량 균열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로 시공한 결과는 상기와 같

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할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연구에 의해 일반 콘크리트에도 적

용할 경우 그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균열을 방지함으로서 방

수 강도저하 철근부식 등 내구성저하를 막으므로 고품질의 구조물 공사가 될 것으

로 예상된다

- 50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 51 -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 52 -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 53 -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34 -

에서의 입자분포도를 보면 마이크론미터 이하의 분포도가 전체의 를Fig 9 5 87

차지하고 있는 반면 마이크론미터 이상이 전체의 밖에 차지하고 있음을 알10 3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보면 외국산 석고에 비해 공정에서는 보다 나 self - leveling

은 작업성과 물성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제 절 석고의 성분 분석3

분석방법 등으로 분석한 결과 에서 보OES AAS ICPAES Wet Analysis Table 2

는 바와 같이 독일산석고와 국산석고의 분석결과가 화학성분에서는 아주 유사하다

그러나 독일산 석고에 규사만이 함유되어 있는 것에 비해 국산 석고에는16 wt

규사가 로 작게 함유되어 있었다 이는 원재료의 광산에 함유된 규사에096 wt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태국석고 급결제 라파석고 인산무수석고에 대한 분석 결과를 CAS( ) Table 3

에 실었다 에서 보면 라파석고에 인이 포함되어 있는 반면 인 Table 3 00072 wt

산무수 석고에는 로 많이 포함되어 있어 제조시 인산무0024 wt self- leveling

수 석고를 사용한 결과가 나쁘게 나타났다고 추정되며 지지용 철근의self-leveling

부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이므로 인산석고의 사용을 피함이 좋을 것이다

인산무수 석고는 자체에서 산성 성분을 용출함으로서 콘크리트 중에 함유된 알칼리

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을 혼입시키어 철근을 활성화

상태로 만들고 이로 인해 부식하기 쉽게 된다

- 35 -

Table 2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 36 -

Table 3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and Binder

- 37 -

제 절 특수 첨가재4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의 양을 변화시O 89 g -α

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4

Table 4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a -gypsum

에서 보면 석고의 함량을 증가할수록 초결시간은 빨라지지만 수분증발시Table 4 -α

간이 느리고 기존레벨라보다 종결시간이 느린 것을 보아 석고만을 첨가한다는-α

것은 의미가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화시키

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5

Table 5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LiCO3

- 38 -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기존레벨라에는 이미Table 5 LiCO3이 인 이 포014 042g

함되어 있어 순으로 첨가하였으나 첨가 양에 따른 초결상태의 변화0 15 30 g

는 없었으나 종결상태는 조금씩 첨가 양이 많아지면서 조금씩 지연되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O 89 g CAS ( )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과 같다Table 6

Table 6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CAS

에서 보면 를 씩 증가하면서 첨가함에 따라 초결상태와Table 6 CAS 0 10 20 g

종결상태가 보다 급격히 빨라짐을 알 수 있었다 즉 경화 속도에 의Table 4 5 CAS

함유량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에서 사용한 첨가제를 모두 혼합하여 기존의 재Table 4 5 6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비교해보면O 89 g Table

과 같다7

- 39 -

Table 7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and CAS

에서 보는 것처럼 기존의 재Table 7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O 89 g

라에 석고와- LiCOα 3 만을 혼합하였을 때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의 양을 CAS

증가시키면서 함께 첨가할 수록 경화시간은 단축되었다

에 알미나 포틀랜드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Table 7 (AI-PC)

비교해보면 과 같다Table 8

기존의 재self-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보면 에서 보는 것처럼AI-PC Table 8

함량이 높을수록 경화시간은 너무 단축되어 그만큼 작업하는 시간이 촉박하AI-PC

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모든 결과를 종합해보면 응결시간은 온도와 습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실험할 때마다

기존레벨라를 비교하여 시험했다 가 가장 경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만 입자 CAS

가 뭉쳐 있어 혼합이 잘되지 않았다 그 결과 건조시 표면이 분화구처럼 돌출된 부

분이 많이 생겨났다

- 40 -

Table 8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CAS and Al-PC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5

급결제에 대한 성분 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는 와 같다 중탕Table 9

에서 증발시킨 후 의 잔유물에 대한 분석 결과(100 ) 50 wt Si 438 wt Na

로 나타났다 결정성과 구조분석을 위하여 로 확인한102 wt K 177 wt XRD

결과는 무결정 으로 피크가 나타나지 안했다 법으로 물을(amorphous) Karl fischer

분석시에도 가 잘 나타나지 안해 분석을 할 수 없었다 화학적 결합상태end-point

를 알아보기위해 을 이용하여 해석해본 결과IR Na2SiO3 H2 와O 50 wt 50 wt

의 H2 가 공존함을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O Na2SiO3 H2 와 의O 50 wt 50 wt

H2 를 함께 사용하기로 결정하였고 건설 현장에 시공 또는 제품 생산에 위와 같O

은 혼합비율을 적용하였다

- 41 -

Table 9 Chemical Composition of RCM300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6

측정된 충격음레벨은 ISO 140 Part 6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을 준용하여 수음실 기준 흡음력 에 대한sound insulation of Floors 1978) (10 )

보정 값으로 환산하였다(Table 10)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나타내는 수음실의 바닥충격음레벨 (Ln 은 다음 식 으로) (1)

구하였다

여기서

Ln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흡음력보정 바닥충격음레벨 j ( )

충격음위치 지점수m

상기 식 의 각 충격음 위치마다의 바닥충격음레벨의 평균값(1) (Lj 은 다음식 에) (2)

따라 산출하였다

- 42 -

Table 10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sound insulation of floor

- 43 -

여기서

Lj 수음실내 측정점 에서의 바닥충격음레벨 i ( )

측정점의 수n

또한 상기 바닥충격음레벨 평균값 (Lj 은 수음실의 흡음력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

므로 를 준용 이를 기준흡음력 에 대한 값ISO 140 Part6 (978) (10 ) (L nj 으로)

환산하였으며 그 산출식은 식 과 같다 (3)

여기서

L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평균 바닥충격음레벨 j ( )

AO 기준흡음력 (10 )

수음실 측정실 용적V ( ) ( )

수음실 측정실 잔향시간 초T ( ) ( )

에서 보면 기준판과 시험체의 경량충격음은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Table 10

충격음이 증가하다가 완만한 곡선을 나타내는 반면 중량충격음의 결과를 보면 주파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충격음이 계속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경량 충격음은 음원이 태핑머신인 관계로 주파수 변화에 따른

파장의 작고 큼에 별 영향을 주지 않지만 중량 충격음은 음원이 타이어임으로 고주

파대로 갈수록 파장이 작아서 투과 여건이 적은 관계에 기인함을 알 수 있다 본

바닥충격음과 소음에 대한 실험 결과 기존 시멘트몰탈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

믹몰탈간에 바닥충격음과 소음의 차이는 크게 나지 않음으로 무시할 정도임을 알았

- 44 -

제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7

아래 은 바닥재 시공에 대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과 재래식 시Table 11

멘트몰탈과의 특징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연구연에서 분석한 세라믹구들의 분석 결과를 에Table 12

실었다 현 시험법에 따라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 등의 물성을 공인된 한국건자 KS

재연구원에 의뢰한 결과 압축강도면에서 이 넘는 결과가 나왔으며 다른400 f

물성 또한 기준 물성값을 초과하는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에서 보는 것과 Table 12

같이 길이변화율은 일 경과 후 로서 거의 변화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28 -0046

며 이를 미루어 보아 시멘트몰탈의 수축 팽창에 기인되는 균열 원인을 해결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45 -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 구들의 비교Table 11

구분 단위 재래식 시멘트몰탈 본 제품 세라믹구들( )

시공후상태

몰탈층

바탕면의 균열 발생-바탕면의 평활 수평 이 없다- (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없다-공정 회 이 복잡하다- (3-4 )많은면적을 시공할 수 없다-양생시간이 길다 일- (3-7 )하자 보수비가 필요하다-시멘트 독성에 따른 인체에-해로움

바탕면의 균열이 없다- 바탕면의 평활 수평 성이 양호- ( )일정한 두께유지-공정이 단순 회공정 하다- (1 )많은 면적을 시공할 수 있다-양생시간이 짧다 일- (1 )하자보수비가 필요없다-건강보조기능-항균성 무독성 원적외선( )마감재 시공이 용이하다-에너지절감 효과가 크다-열전도율 및 축열기능이 좋다-차음 방음 효과가 우수하다- ( )건축물의 경량화-

세라믹 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시험 검사 방법 ( ) KS L 5105-97 KS L 5104-96 KS L 5207-rsquo99 KS F2424-rsquo95 KS L 1592 rsquo95시험원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시험일자 2000 OS 09 ~ 09 15

- 46 -

제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석회 광물은 마그네시아 광물과 함께 중요한 조암광물로서 천연에서는 산화물(CaO)

로는 존재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탄산염 황산염 또는 규산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석회질 원료로는 석회석 돌로마이트 형석 석고 규회석 등이었으며 이중 석회석

(CaCO3 과 석고)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만을 에 나타내었다 원적) Fig 10 11

외선 발열체와 세라믹 발열체가 있다 원석 발열체로는 맥반석 게르마늄석 옥석

황토 등이 있다 원적외선의 온열효과는 피부표면에 복사된 원적외선은 인체 중 물

의 진동 파장과 거의 비슷하며 공진 작용으로 일반열이 도달할 수 없는 부위( )共振

까지 도달하게 한다 이러한 심달력은 피하층의 온도상승 미세혈관의 확장 혈액순

환 촉진 선진대사강화 혈류 장해 해소 조직의 재생능력 증가 결련예방 및 암치

료 효과 등의 의학적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혈행이 좋아짐으로서

정상체온 유지 스트레스 해소 소화촉진 근육통 해소 피부 색깔 정상화 꺼칠한

눈이 부드러워지고 감기 예방효과 조직 내에 쌓여 있던 노폐물의 분비도 촉진된

다 또한 세포에 필요로 하는 영양소와 산소를 정상적으로 공급받게 되어 세포와

조직이 활력을 되찾게 되고 적당한 원적외선 활용은 세포의 노화를 막아주는 효과

를 볼 수 있다 원적외선 부작용 없는 건강유지와 질병의 예방치료적 기 (氣

라고 할 수 있다energy)

석회석은 시멘트의 주원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전방사율은 약 정도를085

보이고 있으나 이후와 단파장 영역쪽에 불안정한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보이20

고 있다 이는 공기 중의 습기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그 조성이 일부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시멘트를 측정하여 비교Fig 10 11

한 결과에서는 다소 석회석 자체원료를 측정한 것이 방사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CaSO4 는 외국에서 천연으로 산출된 것과 본 연구에서 제조한 배연 탈황석고)

모두 원적외선 방사특성에 있어서는 석회석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특히

부근에서의 약간의 골이 생겨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87

- 47 -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48 -

석고Fig 11 (CaSO4 의 원작외선 방사특성)

- 49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의 방사율은 에 실었다 현재 원적외선이 다Fig 12

량 방사되는 게르바늄석 참조 옥석 참조 맥반석 참조(Fig 13 ) (Fig 14 ) (Fig 15 )

등에 비해서 같은 수준의 방사에너지 및 방사율이 발현됨을 공인된 시험기간에 의

해서 입증되었다 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를 Fig16 3~20

파장 영역에서 방사특성을 나타내었다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는 이상흑체에

서 방사되는 특성과 같은 모양을 방출하고 있습을 알았다 따라서 세라믹구들은 건

강친화적인 면만 아니라 여러 가지 가능을 가진 차세대 온돌용 세라믹구들이라고

할 수 있다

제 절 현장 시공9

본 세라믹구들의 최적화 조건 조성 및 현장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차로 경기도 광1

주 소재 동심주택 제 차 그린타운 세대를 시험 시공한 바 있으며 위 결과를 토9 19

대로 최적화된 조건에 따라 안양 재건축현장 및 기홍 목조주택 등에 실용화 시공하

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Fig 17

필름 한 장을 깔고 그 위에 외경의 폴리에틸렌 엑셀파이프를 배관한 후 세라15

믹 구들로 타설한 후 수평을 잡으면서 두께를 로 일정하게 하였다40

시멘트 제품은 응결 경화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균열이 발생되

면 더 커지면서 계속 퍼져나가는 경향을 나타낸다 여러 종류의 균열 보수기법이

현재 마련되어 있으나 완벽한 균열 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 보수 후에도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 보수로 인해 외관의 불량 균열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로 시공한 결과는 상기와 같

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할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연구에 의해 일반 콘크리트에도 적

용할 경우 그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균열을 방지함으로서 방

수 강도저하 철근부식 등 내구성저하를 막으므로 고품질의 구조물 공사가 될 것으

로 예상된다

- 50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 51 -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 52 -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 53 -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35 -

Table 2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 36 -

Table 3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and Binder

- 37 -

제 절 특수 첨가재4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의 양을 변화시O 89 g -α

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4

Table 4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a -gypsum

에서 보면 석고의 함량을 증가할수록 초결시간은 빨라지지만 수분증발시Table 4 -α

간이 느리고 기존레벨라보다 종결시간이 느린 것을 보아 석고만을 첨가한다는-α

것은 의미가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화시키

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5

Table 5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LiCO3

- 38 -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기존레벨라에는 이미Table 5 LiCO3이 인 이 포014 042g

함되어 있어 순으로 첨가하였으나 첨가 양에 따른 초결상태의 변화0 15 30 g

는 없었으나 종결상태는 조금씩 첨가 양이 많아지면서 조금씩 지연되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O 89 g CAS ( )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과 같다Table 6

Table 6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CAS

에서 보면 를 씩 증가하면서 첨가함에 따라 초결상태와Table 6 CAS 0 10 20 g

종결상태가 보다 급격히 빨라짐을 알 수 있었다 즉 경화 속도에 의Table 4 5 CAS

함유량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에서 사용한 첨가제를 모두 혼합하여 기존의 재Table 4 5 6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비교해보면O 89 g Table

과 같다7

- 39 -

Table 7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and CAS

에서 보는 것처럼 기존의 재Table 7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O 89 g

라에 석고와- LiCOα 3 만을 혼합하였을 때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의 양을 CAS

증가시키면서 함께 첨가할 수록 경화시간은 단축되었다

에 알미나 포틀랜드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Table 7 (AI-PC)

비교해보면 과 같다Table 8

기존의 재self-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보면 에서 보는 것처럼AI-PC Table 8

함량이 높을수록 경화시간은 너무 단축되어 그만큼 작업하는 시간이 촉박하AI-PC

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모든 결과를 종합해보면 응결시간은 온도와 습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실험할 때마다

기존레벨라를 비교하여 시험했다 가 가장 경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만 입자 CAS

가 뭉쳐 있어 혼합이 잘되지 않았다 그 결과 건조시 표면이 분화구처럼 돌출된 부

분이 많이 생겨났다

- 40 -

Table 8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CAS and Al-PC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5

급결제에 대한 성분 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는 와 같다 중탕Table 9

에서 증발시킨 후 의 잔유물에 대한 분석 결과(100 ) 50 wt Si 438 wt Na

로 나타났다 결정성과 구조분석을 위하여 로 확인한102 wt K 177 wt XRD

결과는 무결정 으로 피크가 나타나지 안했다 법으로 물을(amorphous) Karl fischer

분석시에도 가 잘 나타나지 안해 분석을 할 수 없었다 화학적 결합상태end-point

를 알아보기위해 을 이용하여 해석해본 결과IR Na2SiO3 H2 와O 50 wt 50 wt

의 H2 가 공존함을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O Na2SiO3 H2 와 의O 50 wt 50 wt

H2 를 함께 사용하기로 결정하였고 건설 현장에 시공 또는 제품 생산에 위와 같O

은 혼합비율을 적용하였다

- 41 -

Table 9 Chemical Composition of RCM300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6

측정된 충격음레벨은 ISO 140 Part 6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을 준용하여 수음실 기준 흡음력 에 대한sound insulation of Floors 1978) (10 )

보정 값으로 환산하였다(Table 10)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나타내는 수음실의 바닥충격음레벨 (Ln 은 다음 식 으로) (1)

구하였다

여기서

Ln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흡음력보정 바닥충격음레벨 j ( )

충격음위치 지점수m

상기 식 의 각 충격음 위치마다의 바닥충격음레벨의 평균값(1) (Lj 은 다음식 에) (2)

따라 산출하였다

- 42 -

Table 10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sound insulation of floor

- 43 -

여기서

Lj 수음실내 측정점 에서의 바닥충격음레벨 i ( )

측정점의 수n

또한 상기 바닥충격음레벨 평균값 (Lj 은 수음실의 흡음력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

므로 를 준용 이를 기준흡음력 에 대한 값ISO 140 Part6 (978) (10 ) (L nj 으로)

환산하였으며 그 산출식은 식 과 같다 (3)

여기서

L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평균 바닥충격음레벨 j ( )

AO 기준흡음력 (10 )

수음실 측정실 용적V ( ) ( )

수음실 측정실 잔향시간 초T ( ) ( )

에서 보면 기준판과 시험체의 경량충격음은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Table 10

충격음이 증가하다가 완만한 곡선을 나타내는 반면 중량충격음의 결과를 보면 주파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충격음이 계속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경량 충격음은 음원이 태핑머신인 관계로 주파수 변화에 따른

파장의 작고 큼에 별 영향을 주지 않지만 중량 충격음은 음원이 타이어임으로 고주

파대로 갈수록 파장이 작아서 투과 여건이 적은 관계에 기인함을 알 수 있다 본

바닥충격음과 소음에 대한 실험 결과 기존 시멘트몰탈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

믹몰탈간에 바닥충격음과 소음의 차이는 크게 나지 않음으로 무시할 정도임을 알았

- 44 -

제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7

아래 은 바닥재 시공에 대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과 재래식 시Table 11

멘트몰탈과의 특징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연구연에서 분석한 세라믹구들의 분석 결과를 에Table 12

실었다 현 시험법에 따라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 등의 물성을 공인된 한국건자 KS

재연구원에 의뢰한 결과 압축강도면에서 이 넘는 결과가 나왔으며 다른400 f

물성 또한 기준 물성값을 초과하는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에서 보는 것과 Table 12

같이 길이변화율은 일 경과 후 로서 거의 변화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28 -0046

며 이를 미루어 보아 시멘트몰탈의 수축 팽창에 기인되는 균열 원인을 해결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45 -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 구들의 비교Table 11

구분 단위 재래식 시멘트몰탈 본 제품 세라믹구들( )

시공후상태

몰탈층

바탕면의 균열 발생-바탕면의 평활 수평 이 없다- (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없다-공정 회 이 복잡하다- (3-4 )많은면적을 시공할 수 없다-양생시간이 길다 일- (3-7 )하자 보수비가 필요하다-시멘트 독성에 따른 인체에-해로움

바탕면의 균열이 없다- 바탕면의 평활 수평 성이 양호- ( )일정한 두께유지-공정이 단순 회공정 하다- (1 )많은 면적을 시공할 수 있다-양생시간이 짧다 일- (1 )하자보수비가 필요없다-건강보조기능-항균성 무독성 원적외선( )마감재 시공이 용이하다-에너지절감 효과가 크다-열전도율 및 축열기능이 좋다-차음 방음 효과가 우수하다- ( )건축물의 경량화-

세라믹 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시험 검사 방법 ( ) KS L 5105-97 KS L 5104-96 KS L 5207-rsquo99 KS F2424-rsquo95 KS L 1592 rsquo95시험원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시험일자 2000 OS 09 ~ 09 15

- 46 -

제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석회 광물은 마그네시아 광물과 함께 중요한 조암광물로서 천연에서는 산화물(CaO)

로는 존재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탄산염 황산염 또는 규산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석회질 원료로는 석회석 돌로마이트 형석 석고 규회석 등이었으며 이중 석회석

(CaCO3 과 석고)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만을 에 나타내었다 원적) Fig 10 11

외선 발열체와 세라믹 발열체가 있다 원석 발열체로는 맥반석 게르마늄석 옥석

황토 등이 있다 원적외선의 온열효과는 피부표면에 복사된 원적외선은 인체 중 물

의 진동 파장과 거의 비슷하며 공진 작용으로 일반열이 도달할 수 없는 부위( )共振

까지 도달하게 한다 이러한 심달력은 피하층의 온도상승 미세혈관의 확장 혈액순

환 촉진 선진대사강화 혈류 장해 해소 조직의 재생능력 증가 결련예방 및 암치

료 효과 등의 의학적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혈행이 좋아짐으로서

정상체온 유지 스트레스 해소 소화촉진 근육통 해소 피부 색깔 정상화 꺼칠한

눈이 부드러워지고 감기 예방효과 조직 내에 쌓여 있던 노폐물의 분비도 촉진된

다 또한 세포에 필요로 하는 영양소와 산소를 정상적으로 공급받게 되어 세포와

조직이 활력을 되찾게 되고 적당한 원적외선 활용은 세포의 노화를 막아주는 효과

를 볼 수 있다 원적외선 부작용 없는 건강유지와 질병의 예방치료적 기 (氣

라고 할 수 있다energy)

석회석은 시멘트의 주원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전방사율은 약 정도를085

보이고 있으나 이후와 단파장 영역쪽에 불안정한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보이20

고 있다 이는 공기 중의 습기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그 조성이 일부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시멘트를 측정하여 비교Fig 10 11

한 결과에서는 다소 석회석 자체원료를 측정한 것이 방사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CaSO4 는 외국에서 천연으로 산출된 것과 본 연구에서 제조한 배연 탈황석고)

모두 원적외선 방사특성에 있어서는 석회석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특히

부근에서의 약간의 골이 생겨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87

- 47 -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48 -

석고Fig 11 (CaSO4 의 원작외선 방사특성)

- 49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의 방사율은 에 실었다 현재 원적외선이 다Fig 12

량 방사되는 게르바늄석 참조 옥석 참조 맥반석 참조(Fig 13 ) (Fig 14 ) (Fig 15 )

등에 비해서 같은 수준의 방사에너지 및 방사율이 발현됨을 공인된 시험기간에 의

해서 입증되었다 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를 Fig16 3~20

파장 영역에서 방사특성을 나타내었다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는 이상흑체에

서 방사되는 특성과 같은 모양을 방출하고 있습을 알았다 따라서 세라믹구들은 건

강친화적인 면만 아니라 여러 가지 가능을 가진 차세대 온돌용 세라믹구들이라고

할 수 있다

제 절 현장 시공9

본 세라믹구들의 최적화 조건 조성 및 현장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차로 경기도 광1

주 소재 동심주택 제 차 그린타운 세대를 시험 시공한 바 있으며 위 결과를 토9 19

대로 최적화된 조건에 따라 안양 재건축현장 및 기홍 목조주택 등에 실용화 시공하

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Fig 17

필름 한 장을 깔고 그 위에 외경의 폴리에틸렌 엑셀파이프를 배관한 후 세라15

믹 구들로 타설한 후 수평을 잡으면서 두께를 로 일정하게 하였다40

시멘트 제품은 응결 경화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균열이 발생되

면 더 커지면서 계속 퍼져나가는 경향을 나타낸다 여러 종류의 균열 보수기법이

현재 마련되어 있으나 완벽한 균열 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 보수 후에도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 보수로 인해 외관의 불량 균열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로 시공한 결과는 상기와 같

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할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연구에 의해 일반 콘크리트에도 적

용할 경우 그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균열을 방지함으로서 방

수 강도저하 철근부식 등 내구성저하를 막으므로 고품질의 구조물 공사가 될 것으

로 예상된다

- 50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 51 -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 52 -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 53 -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36 -

Table 3 Chemical Composition of Gypsum and Binder

- 37 -

제 절 특수 첨가재4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의 양을 변화시O 89 g -α

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4

Table 4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a -gypsum

에서 보면 석고의 함량을 증가할수록 초결시간은 빨라지지만 수분증발시Table 4 -α

간이 느리고 기존레벨라보다 종결시간이 느린 것을 보아 석고만을 첨가한다는-α

것은 의미가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화시키

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5

Table 5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LiCO3

- 38 -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기존레벨라에는 이미Table 5 LiCO3이 인 이 포014 042g

함되어 있어 순으로 첨가하였으나 첨가 양에 따른 초결상태의 변화0 15 30 g

는 없었으나 종결상태는 조금씩 첨가 양이 많아지면서 조금씩 지연되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O 89 g CAS ( )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과 같다Table 6

Table 6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CAS

에서 보면 를 씩 증가하면서 첨가함에 따라 초결상태와Table 6 CAS 0 10 20 g

종결상태가 보다 급격히 빨라짐을 알 수 있었다 즉 경화 속도에 의Table 4 5 CAS

함유량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에서 사용한 첨가제를 모두 혼합하여 기존의 재Table 4 5 6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비교해보면O 89 g Table

과 같다7

- 39 -

Table 7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and CAS

에서 보는 것처럼 기존의 재Table 7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O 89 g

라에 석고와- LiCOα 3 만을 혼합하였을 때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의 양을 CAS

증가시키면서 함께 첨가할 수록 경화시간은 단축되었다

에 알미나 포틀랜드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Table 7 (AI-PC)

비교해보면 과 같다Table 8

기존의 재self-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보면 에서 보는 것처럼AI-PC Table 8

함량이 높을수록 경화시간은 너무 단축되어 그만큼 작업하는 시간이 촉박하AI-PC

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모든 결과를 종합해보면 응결시간은 온도와 습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실험할 때마다

기존레벨라를 비교하여 시험했다 가 가장 경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만 입자 CAS

가 뭉쳐 있어 혼합이 잘되지 않았다 그 결과 건조시 표면이 분화구처럼 돌출된 부

분이 많이 생겨났다

- 40 -

Table 8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CAS and Al-PC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5

급결제에 대한 성분 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는 와 같다 중탕Table 9

에서 증발시킨 후 의 잔유물에 대한 분석 결과(100 ) 50 wt Si 438 wt Na

로 나타났다 결정성과 구조분석을 위하여 로 확인한102 wt K 177 wt XRD

결과는 무결정 으로 피크가 나타나지 안했다 법으로 물을(amorphous) Karl fischer

분석시에도 가 잘 나타나지 안해 분석을 할 수 없었다 화학적 결합상태end-point

를 알아보기위해 을 이용하여 해석해본 결과IR Na2SiO3 H2 와O 50 wt 50 wt

의 H2 가 공존함을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O Na2SiO3 H2 와 의O 50 wt 50 wt

H2 를 함께 사용하기로 결정하였고 건설 현장에 시공 또는 제품 생산에 위와 같O

은 혼합비율을 적용하였다

- 41 -

Table 9 Chemical Composition of RCM300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6

측정된 충격음레벨은 ISO 140 Part 6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을 준용하여 수음실 기준 흡음력 에 대한sound insulation of Floors 1978) (10 )

보정 값으로 환산하였다(Table 10)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나타내는 수음실의 바닥충격음레벨 (Ln 은 다음 식 으로) (1)

구하였다

여기서

Ln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흡음력보정 바닥충격음레벨 j ( )

충격음위치 지점수m

상기 식 의 각 충격음 위치마다의 바닥충격음레벨의 평균값(1) (Lj 은 다음식 에) (2)

따라 산출하였다

- 42 -

Table 10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sound insulation of floor

- 43 -

여기서

Lj 수음실내 측정점 에서의 바닥충격음레벨 i ( )

측정점의 수n

또한 상기 바닥충격음레벨 평균값 (Lj 은 수음실의 흡음력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

므로 를 준용 이를 기준흡음력 에 대한 값ISO 140 Part6 (978) (10 ) (L nj 으로)

환산하였으며 그 산출식은 식 과 같다 (3)

여기서

L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평균 바닥충격음레벨 j ( )

AO 기준흡음력 (10 )

수음실 측정실 용적V ( ) ( )

수음실 측정실 잔향시간 초T ( ) ( )

에서 보면 기준판과 시험체의 경량충격음은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Table 10

충격음이 증가하다가 완만한 곡선을 나타내는 반면 중량충격음의 결과를 보면 주파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충격음이 계속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경량 충격음은 음원이 태핑머신인 관계로 주파수 변화에 따른

파장의 작고 큼에 별 영향을 주지 않지만 중량 충격음은 음원이 타이어임으로 고주

파대로 갈수록 파장이 작아서 투과 여건이 적은 관계에 기인함을 알 수 있다 본

바닥충격음과 소음에 대한 실험 결과 기존 시멘트몰탈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

믹몰탈간에 바닥충격음과 소음의 차이는 크게 나지 않음으로 무시할 정도임을 알았

- 44 -

제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7

아래 은 바닥재 시공에 대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과 재래식 시Table 11

멘트몰탈과의 특징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연구연에서 분석한 세라믹구들의 분석 결과를 에Table 12

실었다 현 시험법에 따라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 등의 물성을 공인된 한국건자 KS

재연구원에 의뢰한 결과 압축강도면에서 이 넘는 결과가 나왔으며 다른400 f

물성 또한 기준 물성값을 초과하는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에서 보는 것과 Table 12

같이 길이변화율은 일 경과 후 로서 거의 변화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28 -0046

며 이를 미루어 보아 시멘트몰탈의 수축 팽창에 기인되는 균열 원인을 해결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45 -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 구들의 비교Table 11

구분 단위 재래식 시멘트몰탈 본 제품 세라믹구들( )

시공후상태

몰탈층

바탕면의 균열 발생-바탕면의 평활 수평 이 없다- (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없다-공정 회 이 복잡하다- (3-4 )많은면적을 시공할 수 없다-양생시간이 길다 일- (3-7 )하자 보수비가 필요하다-시멘트 독성에 따른 인체에-해로움

바탕면의 균열이 없다- 바탕면의 평활 수평 성이 양호- ( )일정한 두께유지-공정이 단순 회공정 하다- (1 )많은 면적을 시공할 수 있다-양생시간이 짧다 일- (1 )하자보수비가 필요없다-건강보조기능-항균성 무독성 원적외선( )마감재 시공이 용이하다-에너지절감 효과가 크다-열전도율 및 축열기능이 좋다-차음 방음 효과가 우수하다- ( )건축물의 경량화-

세라믹 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시험 검사 방법 ( ) KS L 5105-97 KS L 5104-96 KS L 5207-rsquo99 KS F2424-rsquo95 KS L 1592 rsquo95시험원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시험일자 2000 OS 09 ~ 09 15

- 46 -

제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석회 광물은 마그네시아 광물과 함께 중요한 조암광물로서 천연에서는 산화물(CaO)

로는 존재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탄산염 황산염 또는 규산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석회질 원료로는 석회석 돌로마이트 형석 석고 규회석 등이었으며 이중 석회석

(CaCO3 과 석고)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만을 에 나타내었다 원적) Fig 10 11

외선 발열체와 세라믹 발열체가 있다 원석 발열체로는 맥반석 게르마늄석 옥석

황토 등이 있다 원적외선의 온열효과는 피부표면에 복사된 원적외선은 인체 중 물

의 진동 파장과 거의 비슷하며 공진 작용으로 일반열이 도달할 수 없는 부위( )共振

까지 도달하게 한다 이러한 심달력은 피하층의 온도상승 미세혈관의 확장 혈액순

환 촉진 선진대사강화 혈류 장해 해소 조직의 재생능력 증가 결련예방 및 암치

료 효과 등의 의학적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혈행이 좋아짐으로서

정상체온 유지 스트레스 해소 소화촉진 근육통 해소 피부 색깔 정상화 꺼칠한

눈이 부드러워지고 감기 예방효과 조직 내에 쌓여 있던 노폐물의 분비도 촉진된

다 또한 세포에 필요로 하는 영양소와 산소를 정상적으로 공급받게 되어 세포와

조직이 활력을 되찾게 되고 적당한 원적외선 활용은 세포의 노화를 막아주는 효과

를 볼 수 있다 원적외선 부작용 없는 건강유지와 질병의 예방치료적 기 (氣

라고 할 수 있다energy)

석회석은 시멘트의 주원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전방사율은 약 정도를085

보이고 있으나 이후와 단파장 영역쪽에 불안정한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보이20

고 있다 이는 공기 중의 습기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그 조성이 일부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시멘트를 측정하여 비교Fig 10 11

한 결과에서는 다소 석회석 자체원료를 측정한 것이 방사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CaSO4 는 외국에서 천연으로 산출된 것과 본 연구에서 제조한 배연 탈황석고)

모두 원적외선 방사특성에 있어서는 석회석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특히

부근에서의 약간의 골이 생겨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87

- 47 -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48 -

석고Fig 11 (CaSO4 의 원작외선 방사특성)

- 49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의 방사율은 에 실었다 현재 원적외선이 다Fig 12

량 방사되는 게르바늄석 참조 옥석 참조 맥반석 참조(Fig 13 ) (Fig 14 ) (Fig 15 )

등에 비해서 같은 수준의 방사에너지 및 방사율이 발현됨을 공인된 시험기간에 의

해서 입증되었다 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를 Fig16 3~20

파장 영역에서 방사특성을 나타내었다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는 이상흑체에

서 방사되는 특성과 같은 모양을 방출하고 있습을 알았다 따라서 세라믹구들은 건

강친화적인 면만 아니라 여러 가지 가능을 가진 차세대 온돌용 세라믹구들이라고

할 수 있다

제 절 현장 시공9

본 세라믹구들의 최적화 조건 조성 및 현장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차로 경기도 광1

주 소재 동심주택 제 차 그린타운 세대를 시험 시공한 바 있으며 위 결과를 토9 19

대로 최적화된 조건에 따라 안양 재건축현장 및 기홍 목조주택 등에 실용화 시공하

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Fig 17

필름 한 장을 깔고 그 위에 외경의 폴리에틸렌 엑셀파이프를 배관한 후 세라15

믹 구들로 타설한 후 수평을 잡으면서 두께를 로 일정하게 하였다40

시멘트 제품은 응결 경화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균열이 발생되

면 더 커지면서 계속 퍼져나가는 경향을 나타낸다 여러 종류의 균열 보수기법이

현재 마련되어 있으나 완벽한 균열 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 보수 후에도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 보수로 인해 외관의 불량 균열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로 시공한 결과는 상기와 같

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할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연구에 의해 일반 콘크리트에도 적

용할 경우 그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균열을 방지함으로서 방

수 강도저하 철근부식 등 내구성저하를 막으므로 고품질의 구조물 공사가 될 것으

로 예상된다

- 50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 51 -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 52 -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 53 -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37 -

제 절 특수 첨가재4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의 양을 변화시O 89 g -α

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4

Table 4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a -gypsum

에서 보면 석고의 함량을 증가할수록 초결시간은 빨라지지만 수분증발시Table 4 -α

간이 느리고 기존레벨라보다 종결시간이 느린 것을 보아 석고만을 첨가한다는-α

것은 의미가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O 89 g LiCO3 양을 변화시키

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와 같다Table 5

Table 5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LiCO3

- 38 -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기존레벨라에는 이미Table 5 LiCO3이 인 이 포014 042g

함되어 있어 순으로 첨가하였으나 첨가 양에 따른 초결상태의 변화0 15 30 g

는 없었으나 종결상태는 조금씩 첨가 양이 많아지면서 조금씩 지연되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O 89 g CAS ( )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과 같다Table 6

Table 6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CAS

에서 보면 를 씩 증가하면서 첨가함에 따라 초결상태와Table 6 CAS 0 10 20 g

종결상태가 보다 급격히 빨라짐을 알 수 있었다 즉 경화 속도에 의Table 4 5 CAS

함유량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에서 사용한 첨가제를 모두 혼합하여 기존의 재Table 4 5 6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비교해보면O 89 g Table

과 같다7

- 39 -

Table 7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and CAS

에서 보는 것처럼 기존의 재Table 7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O 89 g

라에 석고와- LiCOα 3 만을 혼합하였을 때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의 양을 CAS

증가시키면서 함께 첨가할 수록 경화시간은 단축되었다

에 알미나 포틀랜드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Table 7 (AI-PC)

비교해보면 과 같다Table 8

기존의 재self-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보면 에서 보는 것처럼AI-PC Table 8

함량이 높을수록 경화시간은 너무 단축되어 그만큼 작업하는 시간이 촉박하AI-PC

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모든 결과를 종합해보면 응결시간은 온도와 습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실험할 때마다

기존레벨라를 비교하여 시험했다 가 가장 경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만 입자 CAS

가 뭉쳐 있어 혼합이 잘되지 않았다 그 결과 건조시 표면이 분화구처럼 돌출된 부

분이 많이 생겨났다

- 40 -

Table 8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CAS and Al-PC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5

급결제에 대한 성분 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는 와 같다 중탕Table 9

에서 증발시킨 후 의 잔유물에 대한 분석 결과(100 ) 50 wt Si 438 wt Na

로 나타났다 결정성과 구조분석을 위하여 로 확인한102 wt K 177 wt XRD

결과는 무결정 으로 피크가 나타나지 안했다 법으로 물을(amorphous) Karl fischer

분석시에도 가 잘 나타나지 안해 분석을 할 수 없었다 화학적 결합상태end-point

를 알아보기위해 을 이용하여 해석해본 결과IR Na2SiO3 H2 와O 50 wt 50 wt

의 H2 가 공존함을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O Na2SiO3 H2 와 의O 50 wt 50 wt

H2 를 함께 사용하기로 결정하였고 건설 현장에 시공 또는 제품 생산에 위와 같O

은 혼합비율을 적용하였다

- 41 -

Table 9 Chemical Composition of RCM300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6

측정된 충격음레벨은 ISO 140 Part 6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을 준용하여 수음실 기준 흡음력 에 대한sound insulation of Floors 1978) (10 )

보정 값으로 환산하였다(Table 10)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나타내는 수음실의 바닥충격음레벨 (Ln 은 다음 식 으로) (1)

구하였다

여기서

Ln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흡음력보정 바닥충격음레벨 j ( )

충격음위치 지점수m

상기 식 의 각 충격음 위치마다의 바닥충격음레벨의 평균값(1) (Lj 은 다음식 에) (2)

따라 산출하였다

- 42 -

Table 10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sound insulation of floor

- 43 -

여기서

Lj 수음실내 측정점 에서의 바닥충격음레벨 i ( )

측정점의 수n

또한 상기 바닥충격음레벨 평균값 (Lj 은 수음실의 흡음력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

므로 를 준용 이를 기준흡음력 에 대한 값ISO 140 Part6 (978) (10 ) (L nj 으로)

환산하였으며 그 산출식은 식 과 같다 (3)

여기서

L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평균 바닥충격음레벨 j ( )

AO 기준흡음력 (10 )

수음실 측정실 용적V ( ) ( )

수음실 측정실 잔향시간 초T ( ) ( )

에서 보면 기준판과 시험체의 경량충격음은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Table 10

충격음이 증가하다가 완만한 곡선을 나타내는 반면 중량충격음의 결과를 보면 주파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충격음이 계속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경량 충격음은 음원이 태핑머신인 관계로 주파수 변화에 따른

파장의 작고 큼에 별 영향을 주지 않지만 중량 충격음은 음원이 타이어임으로 고주

파대로 갈수록 파장이 작아서 투과 여건이 적은 관계에 기인함을 알 수 있다 본

바닥충격음과 소음에 대한 실험 결과 기존 시멘트몰탈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

믹몰탈간에 바닥충격음과 소음의 차이는 크게 나지 않음으로 무시할 정도임을 알았

- 44 -

제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7

아래 은 바닥재 시공에 대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과 재래식 시Table 11

멘트몰탈과의 특징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연구연에서 분석한 세라믹구들의 분석 결과를 에Table 12

실었다 현 시험법에 따라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 등의 물성을 공인된 한국건자 KS

재연구원에 의뢰한 결과 압축강도면에서 이 넘는 결과가 나왔으며 다른400 f

물성 또한 기준 물성값을 초과하는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에서 보는 것과 Table 12

같이 길이변화율은 일 경과 후 로서 거의 변화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28 -0046

며 이를 미루어 보아 시멘트몰탈의 수축 팽창에 기인되는 균열 원인을 해결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45 -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 구들의 비교Table 11

구분 단위 재래식 시멘트몰탈 본 제품 세라믹구들( )

시공후상태

몰탈층

바탕면의 균열 발생-바탕면의 평활 수평 이 없다- (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없다-공정 회 이 복잡하다- (3-4 )많은면적을 시공할 수 없다-양생시간이 길다 일- (3-7 )하자 보수비가 필요하다-시멘트 독성에 따른 인체에-해로움

바탕면의 균열이 없다- 바탕면의 평활 수평 성이 양호- ( )일정한 두께유지-공정이 단순 회공정 하다- (1 )많은 면적을 시공할 수 있다-양생시간이 짧다 일- (1 )하자보수비가 필요없다-건강보조기능-항균성 무독성 원적외선( )마감재 시공이 용이하다-에너지절감 효과가 크다-열전도율 및 축열기능이 좋다-차음 방음 효과가 우수하다- ( )건축물의 경량화-

세라믹 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시험 검사 방법 ( ) KS L 5105-97 KS L 5104-96 KS L 5207-rsquo99 KS F2424-rsquo95 KS L 1592 rsquo95시험원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시험일자 2000 OS 09 ~ 09 15

- 46 -

제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석회 광물은 마그네시아 광물과 함께 중요한 조암광물로서 천연에서는 산화물(CaO)

로는 존재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탄산염 황산염 또는 규산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석회질 원료로는 석회석 돌로마이트 형석 석고 규회석 등이었으며 이중 석회석

(CaCO3 과 석고)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만을 에 나타내었다 원적) Fig 10 11

외선 발열체와 세라믹 발열체가 있다 원석 발열체로는 맥반석 게르마늄석 옥석

황토 등이 있다 원적외선의 온열효과는 피부표면에 복사된 원적외선은 인체 중 물

의 진동 파장과 거의 비슷하며 공진 작용으로 일반열이 도달할 수 없는 부위( )共振

까지 도달하게 한다 이러한 심달력은 피하층의 온도상승 미세혈관의 확장 혈액순

환 촉진 선진대사강화 혈류 장해 해소 조직의 재생능력 증가 결련예방 및 암치

료 효과 등의 의학적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혈행이 좋아짐으로서

정상체온 유지 스트레스 해소 소화촉진 근육통 해소 피부 색깔 정상화 꺼칠한

눈이 부드러워지고 감기 예방효과 조직 내에 쌓여 있던 노폐물의 분비도 촉진된

다 또한 세포에 필요로 하는 영양소와 산소를 정상적으로 공급받게 되어 세포와

조직이 활력을 되찾게 되고 적당한 원적외선 활용은 세포의 노화를 막아주는 효과

를 볼 수 있다 원적외선 부작용 없는 건강유지와 질병의 예방치료적 기 (氣

라고 할 수 있다energy)

석회석은 시멘트의 주원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전방사율은 약 정도를085

보이고 있으나 이후와 단파장 영역쪽에 불안정한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보이20

고 있다 이는 공기 중의 습기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그 조성이 일부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시멘트를 측정하여 비교Fig 10 11

한 결과에서는 다소 석회석 자체원료를 측정한 것이 방사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CaSO4 는 외국에서 천연으로 산출된 것과 본 연구에서 제조한 배연 탈황석고)

모두 원적외선 방사특성에 있어서는 석회석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특히

부근에서의 약간의 골이 생겨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87

- 47 -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48 -

석고Fig 11 (CaSO4 의 원작외선 방사특성)

- 49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의 방사율은 에 실었다 현재 원적외선이 다Fig 12

량 방사되는 게르바늄석 참조 옥석 참조 맥반석 참조(Fig 13 ) (Fig 14 ) (Fig 15 )

등에 비해서 같은 수준의 방사에너지 및 방사율이 발현됨을 공인된 시험기간에 의

해서 입증되었다 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를 Fig16 3~20

파장 영역에서 방사특성을 나타내었다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는 이상흑체에

서 방사되는 특성과 같은 모양을 방출하고 있습을 알았다 따라서 세라믹구들은 건

강친화적인 면만 아니라 여러 가지 가능을 가진 차세대 온돌용 세라믹구들이라고

할 수 있다

제 절 현장 시공9

본 세라믹구들의 최적화 조건 조성 및 현장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차로 경기도 광1

주 소재 동심주택 제 차 그린타운 세대를 시험 시공한 바 있으며 위 결과를 토9 19

대로 최적화된 조건에 따라 안양 재건축현장 및 기홍 목조주택 등에 실용화 시공하

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Fig 17

필름 한 장을 깔고 그 위에 외경의 폴리에틸렌 엑셀파이프를 배관한 후 세라15

믹 구들로 타설한 후 수평을 잡으면서 두께를 로 일정하게 하였다40

시멘트 제품은 응결 경화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균열이 발생되

면 더 커지면서 계속 퍼져나가는 경향을 나타낸다 여러 종류의 균열 보수기법이

현재 마련되어 있으나 완벽한 균열 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 보수 후에도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 보수로 인해 외관의 불량 균열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로 시공한 결과는 상기와 같

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할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연구에 의해 일반 콘크리트에도 적

용할 경우 그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균열을 방지함으로서 방

수 강도저하 철근부식 등 내구성저하를 막으므로 고품질의 구조물 공사가 될 것으

로 예상된다

- 50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 51 -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 52 -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 53 -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38 -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기존레벨라에는 이미Table 5 LiCO3이 인 이 포014 042g

함되어 있어 순으로 첨가하였으나 첨가 양에 따른 초결상태의 변화0 15 30 g

는 없었으나 종결상태는 조금씩 첨가 양이 많아지면서 조금씩 지연되었다

기존의 재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급결제 의 양을O 89 g CAS ( )

변화시키면서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과 같다Table 6

Table 6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CAS

에서 보면 를 씩 증가하면서 첨가함에 따라 초결상태와Table 6 CAS 0 10 20 g

종결상태가 보다 급격히 빨라짐을 알 수 있었다 즉 경화 속도에 의Table 4 5 CAS

함유량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에서 사용한 첨가제를 모두 혼합하여 기존의 재Table 4 5 6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비교해보면O 89 g Table

과 같다7

- 39 -

Table 7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and CAS

에서 보는 것처럼 기존의 재Table 7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O 89 g

라에 석고와- LiCOα 3 만을 혼합하였을 때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의 양을 CAS

증가시키면서 함께 첨가할 수록 경화시간은 단축되었다

에 알미나 포틀랜드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Table 7 (AI-PC)

비교해보면 과 같다Table 8

기존의 재self-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보면 에서 보는 것처럼AI-PC Table 8

함량이 높을수록 경화시간은 너무 단축되어 그만큼 작업하는 시간이 촉박하AI-PC

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모든 결과를 종합해보면 응결시간은 온도와 습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실험할 때마다

기존레벨라를 비교하여 시험했다 가 가장 경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만 입자 CAS

가 뭉쳐 있어 혼합이 잘되지 않았다 그 결과 건조시 표면이 분화구처럼 돌출된 부

분이 많이 생겨났다

- 40 -

Table 8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CAS and Al-PC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5

급결제에 대한 성분 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는 와 같다 중탕Table 9

에서 증발시킨 후 의 잔유물에 대한 분석 결과(100 ) 50 wt Si 438 wt Na

로 나타났다 결정성과 구조분석을 위하여 로 확인한102 wt K 177 wt XRD

결과는 무결정 으로 피크가 나타나지 안했다 법으로 물을(amorphous) Karl fischer

분석시에도 가 잘 나타나지 안해 분석을 할 수 없었다 화학적 결합상태end-point

를 알아보기위해 을 이용하여 해석해본 결과IR Na2SiO3 H2 와O 50 wt 50 wt

의 H2 가 공존함을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O Na2SiO3 H2 와 의O 50 wt 50 wt

H2 를 함께 사용하기로 결정하였고 건설 현장에 시공 또는 제품 생산에 위와 같O

은 혼합비율을 적용하였다

- 41 -

Table 9 Chemical Composition of RCM300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6

측정된 충격음레벨은 ISO 140 Part 6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을 준용하여 수음실 기준 흡음력 에 대한sound insulation of Floors 1978) (10 )

보정 값으로 환산하였다(Table 10)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나타내는 수음실의 바닥충격음레벨 (Ln 은 다음 식 으로) (1)

구하였다

여기서

Ln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흡음력보정 바닥충격음레벨 j ( )

충격음위치 지점수m

상기 식 의 각 충격음 위치마다의 바닥충격음레벨의 평균값(1) (Lj 은 다음식 에) (2)

따라 산출하였다

- 42 -

Table 10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sound insulation of floor

- 43 -

여기서

Lj 수음실내 측정점 에서의 바닥충격음레벨 i ( )

측정점의 수n

또한 상기 바닥충격음레벨 평균값 (Lj 은 수음실의 흡음력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

므로 를 준용 이를 기준흡음력 에 대한 값ISO 140 Part6 (978) (10 ) (L nj 으로)

환산하였으며 그 산출식은 식 과 같다 (3)

여기서

L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평균 바닥충격음레벨 j ( )

AO 기준흡음력 (10 )

수음실 측정실 용적V ( ) ( )

수음실 측정실 잔향시간 초T ( ) ( )

에서 보면 기준판과 시험체의 경량충격음은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Table 10

충격음이 증가하다가 완만한 곡선을 나타내는 반면 중량충격음의 결과를 보면 주파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충격음이 계속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경량 충격음은 음원이 태핑머신인 관계로 주파수 변화에 따른

파장의 작고 큼에 별 영향을 주지 않지만 중량 충격음은 음원이 타이어임으로 고주

파대로 갈수록 파장이 작아서 투과 여건이 적은 관계에 기인함을 알 수 있다 본

바닥충격음과 소음에 대한 실험 결과 기존 시멘트몰탈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

믹몰탈간에 바닥충격음과 소음의 차이는 크게 나지 않음으로 무시할 정도임을 알았

- 44 -

제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7

아래 은 바닥재 시공에 대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과 재래식 시Table 11

멘트몰탈과의 특징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연구연에서 분석한 세라믹구들의 분석 결과를 에Table 12

실었다 현 시험법에 따라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 등의 물성을 공인된 한국건자 KS

재연구원에 의뢰한 결과 압축강도면에서 이 넘는 결과가 나왔으며 다른400 f

물성 또한 기준 물성값을 초과하는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에서 보는 것과 Table 12

같이 길이변화율은 일 경과 후 로서 거의 변화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28 -0046

며 이를 미루어 보아 시멘트몰탈의 수축 팽창에 기인되는 균열 원인을 해결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45 -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 구들의 비교Table 11

구분 단위 재래식 시멘트몰탈 본 제품 세라믹구들( )

시공후상태

몰탈층

바탕면의 균열 발생-바탕면의 평활 수평 이 없다- (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없다-공정 회 이 복잡하다- (3-4 )많은면적을 시공할 수 없다-양생시간이 길다 일- (3-7 )하자 보수비가 필요하다-시멘트 독성에 따른 인체에-해로움

바탕면의 균열이 없다- 바탕면의 평활 수평 성이 양호- ( )일정한 두께유지-공정이 단순 회공정 하다- (1 )많은 면적을 시공할 수 있다-양생시간이 짧다 일- (1 )하자보수비가 필요없다-건강보조기능-항균성 무독성 원적외선( )마감재 시공이 용이하다-에너지절감 효과가 크다-열전도율 및 축열기능이 좋다-차음 방음 효과가 우수하다- ( )건축물의 경량화-

세라믹 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시험 검사 방법 ( ) KS L 5105-97 KS L 5104-96 KS L 5207-rsquo99 KS F2424-rsquo95 KS L 1592 rsquo95시험원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시험일자 2000 OS 09 ~ 09 15

- 46 -

제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석회 광물은 마그네시아 광물과 함께 중요한 조암광물로서 천연에서는 산화물(CaO)

로는 존재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탄산염 황산염 또는 규산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석회질 원료로는 석회석 돌로마이트 형석 석고 규회석 등이었으며 이중 석회석

(CaCO3 과 석고)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만을 에 나타내었다 원적) Fig 10 11

외선 발열체와 세라믹 발열체가 있다 원석 발열체로는 맥반석 게르마늄석 옥석

황토 등이 있다 원적외선의 온열효과는 피부표면에 복사된 원적외선은 인체 중 물

의 진동 파장과 거의 비슷하며 공진 작용으로 일반열이 도달할 수 없는 부위( )共振

까지 도달하게 한다 이러한 심달력은 피하층의 온도상승 미세혈관의 확장 혈액순

환 촉진 선진대사강화 혈류 장해 해소 조직의 재생능력 증가 결련예방 및 암치

료 효과 등의 의학적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혈행이 좋아짐으로서

정상체온 유지 스트레스 해소 소화촉진 근육통 해소 피부 색깔 정상화 꺼칠한

눈이 부드러워지고 감기 예방효과 조직 내에 쌓여 있던 노폐물의 분비도 촉진된

다 또한 세포에 필요로 하는 영양소와 산소를 정상적으로 공급받게 되어 세포와

조직이 활력을 되찾게 되고 적당한 원적외선 활용은 세포의 노화를 막아주는 효과

를 볼 수 있다 원적외선 부작용 없는 건강유지와 질병의 예방치료적 기 (氣

라고 할 수 있다energy)

석회석은 시멘트의 주원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전방사율은 약 정도를085

보이고 있으나 이후와 단파장 영역쪽에 불안정한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보이20

고 있다 이는 공기 중의 습기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그 조성이 일부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시멘트를 측정하여 비교Fig 10 11

한 결과에서는 다소 석회석 자체원료를 측정한 것이 방사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CaSO4 는 외국에서 천연으로 산출된 것과 본 연구에서 제조한 배연 탈황석고)

모두 원적외선 방사특성에 있어서는 석회석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특히

부근에서의 약간의 골이 생겨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87

- 47 -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48 -

석고Fig 11 (CaSO4 의 원작외선 방사특성)

- 49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의 방사율은 에 실었다 현재 원적외선이 다Fig 12

량 방사되는 게르바늄석 참조 옥석 참조 맥반석 참조(Fig 13 ) (Fig 14 ) (Fig 15 )

등에 비해서 같은 수준의 방사에너지 및 방사율이 발현됨을 공인된 시험기간에 의

해서 입증되었다 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를 Fig16 3~20

파장 영역에서 방사특성을 나타내었다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는 이상흑체에

서 방사되는 특성과 같은 모양을 방출하고 있습을 알았다 따라서 세라믹구들은 건

강친화적인 면만 아니라 여러 가지 가능을 가진 차세대 온돌용 세라믹구들이라고

할 수 있다

제 절 현장 시공9

본 세라믹구들의 최적화 조건 조성 및 현장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차로 경기도 광1

주 소재 동심주택 제 차 그린타운 세대를 시험 시공한 바 있으며 위 결과를 토9 19

대로 최적화된 조건에 따라 안양 재건축현장 및 기홍 목조주택 등에 실용화 시공하

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Fig 17

필름 한 장을 깔고 그 위에 외경의 폴리에틸렌 엑셀파이프를 배관한 후 세라15

믹 구들로 타설한 후 수평을 잡으면서 두께를 로 일정하게 하였다40

시멘트 제품은 응결 경화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균열이 발생되

면 더 커지면서 계속 퍼져나가는 경향을 나타낸다 여러 종류의 균열 보수기법이

현재 마련되어 있으나 완벽한 균열 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 보수 후에도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 보수로 인해 외관의 불량 균열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로 시공한 결과는 상기와 같

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할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연구에 의해 일반 콘크리트에도 적

용할 경우 그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균열을 방지함으로서 방

수 강도저하 철근부식 등 내구성저하를 막으므로 고품질의 구조물 공사가 될 것으

로 예상된다

- 50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 51 -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 52 -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 53 -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39 -

Table 7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and CAS

에서 보는 것처럼 기존의 재Table 7 self- 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O 89 g

라에 석고와- LiCOα 3 만을 혼합하였을 때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의 양을 CAS

증가시키면서 함께 첨가할 수록 경화시간은 단축되었다

에 알미나 포틀랜드시멘트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Table 7 (AI-PC)

비교해보면 과 같다Table 8

기존의 재self-leveling 300 g + H2 인 기존레벨라에 석고O 89 g - LiCOα 3 CAS

를 더 첨가하였을 때의 물리적인 특성을 보면 에서 보는 것처럼AI-PC Table 8

함량이 높을수록 경화시간은 너무 단축되어 그만큼 작업하는 시간이 촉박하AI-PC

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모든 결과를 종합해보면 응결시간은 온도와 습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실험할 때마다

기존레벨라를 비교하여 시험했다 가 가장 경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만 입자 CAS

가 뭉쳐 있어 혼합이 잘되지 않았다 그 결과 건조시 표면이 분화구처럼 돌출된 부

분이 많이 생겨났다

- 40 -

Table 8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CAS and Al-PC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5

급결제에 대한 성분 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는 와 같다 중탕Table 9

에서 증발시킨 후 의 잔유물에 대한 분석 결과(100 ) 50 wt Si 438 wt Na

로 나타났다 결정성과 구조분석을 위하여 로 확인한102 wt K 177 wt XRD

결과는 무결정 으로 피크가 나타나지 안했다 법으로 물을(amorphous) Karl fischer

분석시에도 가 잘 나타나지 안해 분석을 할 수 없었다 화학적 결합상태end-point

를 알아보기위해 을 이용하여 해석해본 결과IR Na2SiO3 H2 와O 50 wt 50 wt

의 H2 가 공존함을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O Na2SiO3 H2 와 의O 50 wt 50 wt

H2 를 함께 사용하기로 결정하였고 건설 현장에 시공 또는 제품 생산에 위와 같O

은 혼합비율을 적용하였다

- 41 -

Table 9 Chemical Composition of RCM300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6

측정된 충격음레벨은 ISO 140 Part 6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을 준용하여 수음실 기준 흡음력 에 대한sound insulation of Floors 1978) (10 )

보정 값으로 환산하였다(Table 10)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나타내는 수음실의 바닥충격음레벨 (Ln 은 다음 식 으로) (1)

구하였다

여기서

Ln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흡음력보정 바닥충격음레벨 j ( )

충격음위치 지점수m

상기 식 의 각 충격음 위치마다의 바닥충격음레벨의 평균값(1) (Lj 은 다음식 에) (2)

따라 산출하였다

- 42 -

Table 10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sound insulation of floor

- 43 -

여기서

Lj 수음실내 측정점 에서의 바닥충격음레벨 i ( )

측정점의 수n

또한 상기 바닥충격음레벨 평균값 (Lj 은 수음실의 흡음력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

므로 를 준용 이를 기준흡음력 에 대한 값ISO 140 Part6 (978) (10 ) (L nj 으로)

환산하였으며 그 산출식은 식 과 같다 (3)

여기서

L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평균 바닥충격음레벨 j ( )

AO 기준흡음력 (10 )

수음실 측정실 용적V ( ) ( )

수음실 측정실 잔향시간 초T ( ) ( )

에서 보면 기준판과 시험체의 경량충격음은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Table 10

충격음이 증가하다가 완만한 곡선을 나타내는 반면 중량충격음의 결과를 보면 주파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충격음이 계속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경량 충격음은 음원이 태핑머신인 관계로 주파수 변화에 따른

파장의 작고 큼에 별 영향을 주지 않지만 중량 충격음은 음원이 타이어임으로 고주

파대로 갈수록 파장이 작아서 투과 여건이 적은 관계에 기인함을 알 수 있다 본

바닥충격음과 소음에 대한 실험 결과 기존 시멘트몰탈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

믹몰탈간에 바닥충격음과 소음의 차이는 크게 나지 않음으로 무시할 정도임을 알았

- 44 -

제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7

아래 은 바닥재 시공에 대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과 재래식 시Table 11

멘트몰탈과의 특징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연구연에서 분석한 세라믹구들의 분석 결과를 에Table 12

실었다 현 시험법에 따라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 등의 물성을 공인된 한국건자 KS

재연구원에 의뢰한 결과 압축강도면에서 이 넘는 결과가 나왔으며 다른400 f

물성 또한 기준 물성값을 초과하는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에서 보는 것과 Table 12

같이 길이변화율은 일 경과 후 로서 거의 변화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28 -0046

며 이를 미루어 보아 시멘트몰탈의 수축 팽창에 기인되는 균열 원인을 해결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45 -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 구들의 비교Table 11

구분 단위 재래식 시멘트몰탈 본 제품 세라믹구들( )

시공후상태

몰탈층

바탕면의 균열 발생-바탕면의 평활 수평 이 없다- (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없다-공정 회 이 복잡하다- (3-4 )많은면적을 시공할 수 없다-양생시간이 길다 일- (3-7 )하자 보수비가 필요하다-시멘트 독성에 따른 인체에-해로움

바탕면의 균열이 없다- 바탕면의 평활 수평 성이 양호- ( )일정한 두께유지-공정이 단순 회공정 하다- (1 )많은 면적을 시공할 수 있다-양생시간이 짧다 일- (1 )하자보수비가 필요없다-건강보조기능-항균성 무독성 원적외선( )마감재 시공이 용이하다-에너지절감 효과가 크다-열전도율 및 축열기능이 좋다-차음 방음 효과가 우수하다- ( )건축물의 경량화-

세라믹 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시험 검사 방법 ( ) KS L 5105-97 KS L 5104-96 KS L 5207-rsquo99 KS F2424-rsquo95 KS L 1592 rsquo95시험원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시험일자 2000 OS 09 ~ 09 15

- 46 -

제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석회 광물은 마그네시아 광물과 함께 중요한 조암광물로서 천연에서는 산화물(CaO)

로는 존재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탄산염 황산염 또는 규산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석회질 원료로는 석회석 돌로마이트 형석 석고 규회석 등이었으며 이중 석회석

(CaCO3 과 석고)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만을 에 나타내었다 원적) Fig 10 11

외선 발열체와 세라믹 발열체가 있다 원석 발열체로는 맥반석 게르마늄석 옥석

황토 등이 있다 원적외선의 온열효과는 피부표면에 복사된 원적외선은 인체 중 물

의 진동 파장과 거의 비슷하며 공진 작용으로 일반열이 도달할 수 없는 부위( )共振

까지 도달하게 한다 이러한 심달력은 피하층의 온도상승 미세혈관의 확장 혈액순

환 촉진 선진대사강화 혈류 장해 해소 조직의 재생능력 증가 결련예방 및 암치

료 효과 등의 의학적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혈행이 좋아짐으로서

정상체온 유지 스트레스 해소 소화촉진 근육통 해소 피부 색깔 정상화 꺼칠한

눈이 부드러워지고 감기 예방효과 조직 내에 쌓여 있던 노폐물의 분비도 촉진된

다 또한 세포에 필요로 하는 영양소와 산소를 정상적으로 공급받게 되어 세포와

조직이 활력을 되찾게 되고 적당한 원적외선 활용은 세포의 노화를 막아주는 효과

를 볼 수 있다 원적외선 부작용 없는 건강유지와 질병의 예방치료적 기 (氣

라고 할 수 있다energy)

석회석은 시멘트의 주원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전방사율은 약 정도를085

보이고 있으나 이후와 단파장 영역쪽에 불안정한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보이20

고 있다 이는 공기 중의 습기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그 조성이 일부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시멘트를 측정하여 비교Fig 10 11

한 결과에서는 다소 석회석 자체원료를 측정한 것이 방사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CaSO4 는 외국에서 천연으로 산출된 것과 본 연구에서 제조한 배연 탈황석고)

모두 원적외선 방사특성에 있어서는 석회석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특히

부근에서의 약간의 골이 생겨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87

- 47 -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48 -

석고Fig 11 (CaSO4 의 원작외선 방사특성)

- 49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의 방사율은 에 실었다 현재 원적외선이 다Fig 12

량 방사되는 게르바늄석 참조 옥석 참조 맥반석 참조(Fig 13 ) (Fig 14 ) (Fig 15 )

등에 비해서 같은 수준의 방사에너지 및 방사율이 발현됨을 공인된 시험기간에 의

해서 입증되었다 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를 Fig16 3~20

파장 영역에서 방사특성을 나타내었다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는 이상흑체에

서 방사되는 특성과 같은 모양을 방출하고 있습을 알았다 따라서 세라믹구들은 건

강친화적인 면만 아니라 여러 가지 가능을 가진 차세대 온돌용 세라믹구들이라고

할 수 있다

제 절 현장 시공9

본 세라믹구들의 최적화 조건 조성 및 현장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차로 경기도 광1

주 소재 동심주택 제 차 그린타운 세대를 시험 시공한 바 있으며 위 결과를 토9 19

대로 최적화된 조건에 따라 안양 재건축현장 및 기홍 목조주택 등에 실용화 시공하

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Fig 17

필름 한 장을 깔고 그 위에 외경의 폴리에틸렌 엑셀파이프를 배관한 후 세라15

믹 구들로 타설한 후 수평을 잡으면서 두께를 로 일정하게 하였다40

시멘트 제품은 응결 경화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균열이 발생되

면 더 커지면서 계속 퍼져나가는 경향을 나타낸다 여러 종류의 균열 보수기법이

현재 마련되어 있으나 완벽한 균열 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 보수 후에도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 보수로 인해 외관의 불량 균열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로 시공한 결과는 상기와 같

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할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연구에 의해 일반 콘크리트에도 적

용할 경우 그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균열을 방지함으로서 방

수 강도저하 철근부식 등 내구성저하를 막으므로 고품질의 구조물 공사가 될 것으

로 예상된다

- 50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 51 -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 52 -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 53 -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40 -

Table 8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 mortar with -gypsum LiCOα 3

CAS and Al-PC

제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5

급결제에 대한 성분 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는 와 같다 중탕Table 9

에서 증발시킨 후 의 잔유물에 대한 분석 결과(100 ) 50 wt Si 438 wt Na

로 나타났다 결정성과 구조분석을 위하여 로 확인한102 wt K 177 wt XRD

결과는 무결정 으로 피크가 나타나지 안했다 법으로 물을(amorphous) Karl fischer

분석시에도 가 잘 나타나지 안해 분석을 할 수 없었다 화학적 결합상태end-point

를 알아보기위해 을 이용하여 해석해본 결과IR Na2SiO3 H2 와O 50 wt 50 wt

의 H2 가 공존함을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O Na2SiO3 H2 와 의O 50 wt 50 wt

H2 를 함께 사용하기로 결정하였고 건설 현장에 시공 또는 제품 생산에 위와 같O

은 혼합비율을 적용하였다

- 41 -

Table 9 Chemical Composition of RCM300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6

측정된 충격음레벨은 ISO 140 Part 6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을 준용하여 수음실 기준 흡음력 에 대한sound insulation of Floors 1978) (10 )

보정 값으로 환산하였다(Table 10)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나타내는 수음실의 바닥충격음레벨 (Ln 은 다음 식 으로) (1)

구하였다

여기서

Ln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흡음력보정 바닥충격음레벨 j ( )

충격음위치 지점수m

상기 식 의 각 충격음 위치마다의 바닥충격음레벨의 평균값(1) (Lj 은 다음식 에) (2)

따라 산출하였다

- 42 -

Table 10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sound insulation of floor

- 43 -

여기서

Lj 수음실내 측정점 에서의 바닥충격음레벨 i ( )

측정점의 수n

또한 상기 바닥충격음레벨 평균값 (Lj 은 수음실의 흡음력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

므로 를 준용 이를 기준흡음력 에 대한 값ISO 140 Part6 (978) (10 ) (L nj 으로)

환산하였으며 그 산출식은 식 과 같다 (3)

여기서

L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평균 바닥충격음레벨 j ( )

AO 기준흡음력 (10 )

수음실 측정실 용적V ( ) ( )

수음실 측정실 잔향시간 초T ( ) ( )

에서 보면 기준판과 시험체의 경량충격음은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Table 10

충격음이 증가하다가 완만한 곡선을 나타내는 반면 중량충격음의 결과를 보면 주파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충격음이 계속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경량 충격음은 음원이 태핑머신인 관계로 주파수 변화에 따른

파장의 작고 큼에 별 영향을 주지 않지만 중량 충격음은 음원이 타이어임으로 고주

파대로 갈수록 파장이 작아서 투과 여건이 적은 관계에 기인함을 알 수 있다 본

바닥충격음과 소음에 대한 실험 결과 기존 시멘트몰탈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

믹몰탈간에 바닥충격음과 소음의 차이는 크게 나지 않음으로 무시할 정도임을 알았

- 44 -

제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7

아래 은 바닥재 시공에 대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과 재래식 시Table 11

멘트몰탈과의 특징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연구연에서 분석한 세라믹구들의 분석 결과를 에Table 12

실었다 현 시험법에 따라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 등의 물성을 공인된 한국건자 KS

재연구원에 의뢰한 결과 압축강도면에서 이 넘는 결과가 나왔으며 다른400 f

물성 또한 기준 물성값을 초과하는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에서 보는 것과 Table 12

같이 길이변화율은 일 경과 후 로서 거의 변화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28 -0046

며 이를 미루어 보아 시멘트몰탈의 수축 팽창에 기인되는 균열 원인을 해결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45 -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 구들의 비교Table 11

구분 단위 재래식 시멘트몰탈 본 제품 세라믹구들( )

시공후상태

몰탈층

바탕면의 균열 발생-바탕면의 평활 수평 이 없다- (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없다-공정 회 이 복잡하다- (3-4 )많은면적을 시공할 수 없다-양생시간이 길다 일- (3-7 )하자 보수비가 필요하다-시멘트 독성에 따른 인체에-해로움

바탕면의 균열이 없다- 바탕면의 평활 수평 성이 양호- ( )일정한 두께유지-공정이 단순 회공정 하다- (1 )많은 면적을 시공할 수 있다-양생시간이 짧다 일- (1 )하자보수비가 필요없다-건강보조기능-항균성 무독성 원적외선( )마감재 시공이 용이하다-에너지절감 효과가 크다-열전도율 및 축열기능이 좋다-차음 방음 효과가 우수하다- ( )건축물의 경량화-

세라믹 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시험 검사 방법 ( ) KS L 5105-97 KS L 5104-96 KS L 5207-rsquo99 KS F2424-rsquo95 KS L 1592 rsquo95시험원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시험일자 2000 OS 09 ~ 09 15

- 46 -

제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석회 광물은 마그네시아 광물과 함께 중요한 조암광물로서 천연에서는 산화물(CaO)

로는 존재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탄산염 황산염 또는 규산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석회질 원료로는 석회석 돌로마이트 형석 석고 규회석 등이었으며 이중 석회석

(CaCO3 과 석고)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만을 에 나타내었다 원적) Fig 10 11

외선 발열체와 세라믹 발열체가 있다 원석 발열체로는 맥반석 게르마늄석 옥석

황토 등이 있다 원적외선의 온열효과는 피부표면에 복사된 원적외선은 인체 중 물

의 진동 파장과 거의 비슷하며 공진 작용으로 일반열이 도달할 수 없는 부위( )共振

까지 도달하게 한다 이러한 심달력은 피하층의 온도상승 미세혈관의 확장 혈액순

환 촉진 선진대사강화 혈류 장해 해소 조직의 재생능력 증가 결련예방 및 암치

료 효과 등의 의학적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혈행이 좋아짐으로서

정상체온 유지 스트레스 해소 소화촉진 근육통 해소 피부 색깔 정상화 꺼칠한

눈이 부드러워지고 감기 예방효과 조직 내에 쌓여 있던 노폐물의 분비도 촉진된

다 또한 세포에 필요로 하는 영양소와 산소를 정상적으로 공급받게 되어 세포와

조직이 활력을 되찾게 되고 적당한 원적외선 활용은 세포의 노화를 막아주는 효과

를 볼 수 있다 원적외선 부작용 없는 건강유지와 질병의 예방치료적 기 (氣

라고 할 수 있다energy)

석회석은 시멘트의 주원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전방사율은 약 정도를085

보이고 있으나 이후와 단파장 영역쪽에 불안정한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보이20

고 있다 이는 공기 중의 습기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그 조성이 일부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시멘트를 측정하여 비교Fig 10 11

한 결과에서는 다소 석회석 자체원료를 측정한 것이 방사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CaSO4 는 외국에서 천연으로 산출된 것과 본 연구에서 제조한 배연 탈황석고)

모두 원적외선 방사특성에 있어서는 석회석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특히

부근에서의 약간의 골이 생겨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87

- 47 -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48 -

석고Fig 11 (CaSO4 의 원작외선 방사특성)

- 49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의 방사율은 에 실었다 현재 원적외선이 다Fig 12

량 방사되는 게르바늄석 참조 옥석 참조 맥반석 참조(Fig 13 ) (Fig 14 ) (Fig 15 )

등에 비해서 같은 수준의 방사에너지 및 방사율이 발현됨을 공인된 시험기간에 의

해서 입증되었다 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를 Fig16 3~20

파장 영역에서 방사특성을 나타내었다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는 이상흑체에

서 방사되는 특성과 같은 모양을 방출하고 있습을 알았다 따라서 세라믹구들은 건

강친화적인 면만 아니라 여러 가지 가능을 가진 차세대 온돌용 세라믹구들이라고

할 수 있다

제 절 현장 시공9

본 세라믹구들의 최적화 조건 조성 및 현장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차로 경기도 광1

주 소재 동심주택 제 차 그린타운 세대를 시험 시공한 바 있으며 위 결과를 토9 19

대로 최적화된 조건에 따라 안양 재건축현장 및 기홍 목조주택 등에 실용화 시공하

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Fig 17

필름 한 장을 깔고 그 위에 외경의 폴리에틸렌 엑셀파이프를 배관한 후 세라15

믹 구들로 타설한 후 수평을 잡으면서 두께를 로 일정하게 하였다40

시멘트 제품은 응결 경화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균열이 발생되

면 더 커지면서 계속 퍼져나가는 경향을 나타낸다 여러 종류의 균열 보수기법이

현재 마련되어 있으나 완벽한 균열 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 보수 후에도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 보수로 인해 외관의 불량 균열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로 시공한 결과는 상기와 같

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할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연구에 의해 일반 콘크리트에도 적

용할 경우 그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균열을 방지함으로서 방

수 강도저하 철근부식 등 내구성저하를 막으므로 고품질의 구조물 공사가 될 것으

로 예상된다

- 50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 51 -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 52 -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 53 -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41 -

Table 9 Chemical Composition of RCM300

제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6

측정된 충격음레벨은 ISO 140 Part 6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을 준용하여 수음실 기준 흡음력 에 대한sound insulation of Floors 1978) (10 )

보정 값으로 환산하였다(Table 10)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나타내는 수음실의 바닥충격음레벨 (Ln 은 다음 식 으로) (1)

구하였다

여기서

Ln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흡음력보정 바닥충격음레벨 j ( )

충격음위치 지점수m

상기 식 의 각 충격음 위치마다의 바닥충격음레벨의 평균값(1) (Lj 은 다음식 에) (2)

따라 산출하였다

- 42 -

Table 10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sound insulation of floor

- 43 -

여기서

Lj 수음실내 측정점 에서의 바닥충격음레벨 i ( )

측정점의 수n

또한 상기 바닥충격음레벨 평균값 (Lj 은 수음실의 흡음력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

므로 를 준용 이를 기준흡음력 에 대한 값ISO 140 Part6 (978) (10 ) (L nj 으로)

환산하였으며 그 산출식은 식 과 같다 (3)

여기서

L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평균 바닥충격음레벨 j ( )

AO 기준흡음력 (10 )

수음실 측정실 용적V ( ) ( )

수음실 측정실 잔향시간 초T ( ) ( )

에서 보면 기준판과 시험체의 경량충격음은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Table 10

충격음이 증가하다가 완만한 곡선을 나타내는 반면 중량충격음의 결과를 보면 주파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충격음이 계속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경량 충격음은 음원이 태핑머신인 관계로 주파수 변화에 따른

파장의 작고 큼에 별 영향을 주지 않지만 중량 충격음은 음원이 타이어임으로 고주

파대로 갈수록 파장이 작아서 투과 여건이 적은 관계에 기인함을 알 수 있다 본

바닥충격음과 소음에 대한 실험 결과 기존 시멘트몰탈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

믹몰탈간에 바닥충격음과 소음의 차이는 크게 나지 않음으로 무시할 정도임을 알았

- 44 -

제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7

아래 은 바닥재 시공에 대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과 재래식 시Table 11

멘트몰탈과의 특징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연구연에서 분석한 세라믹구들의 분석 결과를 에Table 12

실었다 현 시험법에 따라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 등의 물성을 공인된 한국건자 KS

재연구원에 의뢰한 결과 압축강도면에서 이 넘는 결과가 나왔으며 다른400 f

물성 또한 기준 물성값을 초과하는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에서 보는 것과 Table 12

같이 길이변화율은 일 경과 후 로서 거의 변화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28 -0046

며 이를 미루어 보아 시멘트몰탈의 수축 팽창에 기인되는 균열 원인을 해결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45 -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 구들의 비교Table 11

구분 단위 재래식 시멘트몰탈 본 제품 세라믹구들( )

시공후상태

몰탈층

바탕면의 균열 발생-바탕면의 평활 수평 이 없다- (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없다-공정 회 이 복잡하다- (3-4 )많은면적을 시공할 수 없다-양생시간이 길다 일- (3-7 )하자 보수비가 필요하다-시멘트 독성에 따른 인체에-해로움

바탕면의 균열이 없다- 바탕면의 평활 수평 성이 양호- ( )일정한 두께유지-공정이 단순 회공정 하다- (1 )많은 면적을 시공할 수 있다-양생시간이 짧다 일- (1 )하자보수비가 필요없다-건강보조기능-항균성 무독성 원적외선( )마감재 시공이 용이하다-에너지절감 효과가 크다-열전도율 및 축열기능이 좋다-차음 방음 효과가 우수하다- ( )건축물의 경량화-

세라믹 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시험 검사 방법 ( ) KS L 5105-97 KS L 5104-96 KS L 5207-rsquo99 KS F2424-rsquo95 KS L 1592 rsquo95시험원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시험일자 2000 OS 09 ~ 09 15

- 46 -

제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석회 광물은 마그네시아 광물과 함께 중요한 조암광물로서 천연에서는 산화물(CaO)

로는 존재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탄산염 황산염 또는 규산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석회질 원료로는 석회석 돌로마이트 형석 석고 규회석 등이었으며 이중 석회석

(CaCO3 과 석고)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만을 에 나타내었다 원적) Fig 10 11

외선 발열체와 세라믹 발열체가 있다 원석 발열체로는 맥반석 게르마늄석 옥석

황토 등이 있다 원적외선의 온열효과는 피부표면에 복사된 원적외선은 인체 중 물

의 진동 파장과 거의 비슷하며 공진 작용으로 일반열이 도달할 수 없는 부위( )共振

까지 도달하게 한다 이러한 심달력은 피하층의 온도상승 미세혈관의 확장 혈액순

환 촉진 선진대사강화 혈류 장해 해소 조직의 재생능력 증가 결련예방 및 암치

료 효과 등의 의학적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혈행이 좋아짐으로서

정상체온 유지 스트레스 해소 소화촉진 근육통 해소 피부 색깔 정상화 꺼칠한

눈이 부드러워지고 감기 예방효과 조직 내에 쌓여 있던 노폐물의 분비도 촉진된

다 또한 세포에 필요로 하는 영양소와 산소를 정상적으로 공급받게 되어 세포와

조직이 활력을 되찾게 되고 적당한 원적외선 활용은 세포의 노화를 막아주는 효과

를 볼 수 있다 원적외선 부작용 없는 건강유지와 질병의 예방치료적 기 (氣

라고 할 수 있다energy)

석회석은 시멘트의 주원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전방사율은 약 정도를085

보이고 있으나 이후와 단파장 영역쪽에 불안정한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보이20

고 있다 이는 공기 중의 습기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그 조성이 일부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시멘트를 측정하여 비교Fig 10 11

한 결과에서는 다소 석회석 자체원료를 측정한 것이 방사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CaSO4 는 외국에서 천연으로 산출된 것과 본 연구에서 제조한 배연 탈황석고)

모두 원적외선 방사특성에 있어서는 석회석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특히

부근에서의 약간의 골이 생겨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87

- 47 -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48 -

석고Fig 11 (CaSO4 의 원작외선 방사특성)

- 49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의 방사율은 에 실었다 현재 원적외선이 다Fig 12

량 방사되는 게르바늄석 참조 옥석 참조 맥반석 참조(Fig 13 ) (Fig 14 ) (Fig 15 )

등에 비해서 같은 수준의 방사에너지 및 방사율이 발현됨을 공인된 시험기간에 의

해서 입증되었다 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를 Fig16 3~20

파장 영역에서 방사특성을 나타내었다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는 이상흑체에

서 방사되는 특성과 같은 모양을 방출하고 있습을 알았다 따라서 세라믹구들은 건

강친화적인 면만 아니라 여러 가지 가능을 가진 차세대 온돌용 세라믹구들이라고

할 수 있다

제 절 현장 시공9

본 세라믹구들의 최적화 조건 조성 및 현장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차로 경기도 광1

주 소재 동심주택 제 차 그린타운 세대를 시험 시공한 바 있으며 위 결과를 토9 19

대로 최적화된 조건에 따라 안양 재건축현장 및 기홍 목조주택 등에 실용화 시공하

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Fig 17

필름 한 장을 깔고 그 위에 외경의 폴리에틸렌 엑셀파이프를 배관한 후 세라15

믹 구들로 타설한 후 수평을 잡으면서 두께를 로 일정하게 하였다40

시멘트 제품은 응결 경화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균열이 발생되

면 더 커지면서 계속 퍼져나가는 경향을 나타낸다 여러 종류의 균열 보수기법이

현재 마련되어 있으나 완벽한 균열 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 보수 후에도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 보수로 인해 외관의 불량 균열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로 시공한 결과는 상기와 같

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할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연구에 의해 일반 콘크리트에도 적

용할 경우 그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균열을 방지함으로서 방

수 강도저하 철근부식 등 내구성저하를 막으므로 고품질의 구조물 공사가 될 것으

로 예상된다

- 50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 51 -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 52 -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 53 -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42 -

Table 10 Laboratory measurements of impact sound insulation of floor

- 43 -

여기서

Lj 수음실내 측정점 에서의 바닥충격음레벨 i ( )

측정점의 수n

또한 상기 바닥충격음레벨 평균값 (Lj 은 수음실의 흡음력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

므로 를 준용 이를 기준흡음력 에 대한 값ISO 140 Part6 (978) (10 ) (L nj 으로)

환산하였으며 그 산출식은 식 과 같다 (3)

여기서

L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평균 바닥충격음레벨 j ( )

AO 기준흡음력 (10 )

수음실 측정실 용적V ( ) ( )

수음실 측정실 잔향시간 초T ( ) ( )

에서 보면 기준판과 시험체의 경량충격음은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Table 10

충격음이 증가하다가 완만한 곡선을 나타내는 반면 중량충격음의 결과를 보면 주파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충격음이 계속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경량 충격음은 음원이 태핑머신인 관계로 주파수 변화에 따른

파장의 작고 큼에 별 영향을 주지 않지만 중량 충격음은 음원이 타이어임으로 고주

파대로 갈수록 파장이 작아서 투과 여건이 적은 관계에 기인함을 알 수 있다 본

바닥충격음과 소음에 대한 실험 결과 기존 시멘트몰탈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

믹몰탈간에 바닥충격음과 소음의 차이는 크게 나지 않음으로 무시할 정도임을 알았

- 44 -

제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7

아래 은 바닥재 시공에 대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과 재래식 시Table 11

멘트몰탈과의 특징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연구연에서 분석한 세라믹구들의 분석 결과를 에Table 12

실었다 현 시험법에 따라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 등의 물성을 공인된 한국건자 KS

재연구원에 의뢰한 결과 압축강도면에서 이 넘는 결과가 나왔으며 다른400 f

물성 또한 기준 물성값을 초과하는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에서 보는 것과 Table 12

같이 길이변화율은 일 경과 후 로서 거의 변화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28 -0046

며 이를 미루어 보아 시멘트몰탈의 수축 팽창에 기인되는 균열 원인을 해결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45 -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 구들의 비교Table 11

구분 단위 재래식 시멘트몰탈 본 제품 세라믹구들( )

시공후상태

몰탈층

바탕면의 균열 발생-바탕면의 평활 수평 이 없다- (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없다-공정 회 이 복잡하다- (3-4 )많은면적을 시공할 수 없다-양생시간이 길다 일- (3-7 )하자 보수비가 필요하다-시멘트 독성에 따른 인체에-해로움

바탕면의 균열이 없다- 바탕면의 평활 수평 성이 양호- ( )일정한 두께유지-공정이 단순 회공정 하다- (1 )많은 면적을 시공할 수 있다-양생시간이 짧다 일- (1 )하자보수비가 필요없다-건강보조기능-항균성 무독성 원적외선( )마감재 시공이 용이하다-에너지절감 효과가 크다-열전도율 및 축열기능이 좋다-차음 방음 효과가 우수하다- ( )건축물의 경량화-

세라믹 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시험 검사 방법 ( ) KS L 5105-97 KS L 5104-96 KS L 5207-rsquo99 KS F2424-rsquo95 KS L 1592 rsquo95시험원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시험일자 2000 OS 09 ~ 09 15

- 46 -

제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석회 광물은 마그네시아 광물과 함께 중요한 조암광물로서 천연에서는 산화물(CaO)

로는 존재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탄산염 황산염 또는 규산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석회질 원료로는 석회석 돌로마이트 형석 석고 규회석 등이었으며 이중 석회석

(CaCO3 과 석고)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만을 에 나타내었다 원적) Fig 10 11

외선 발열체와 세라믹 발열체가 있다 원석 발열체로는 맥반석 게르마늄석 옥석

황토 등이 있다 원적외선의 온열효과는 피부표면에 복사된 원적외선은 인체 중 물

의 진동 파장과 거의 비슷하며 공진 작용으로 일반열이 도달할 수 없는 부위( )共振

까지 도달하게 한다 이러한 심달력은 피하층의 온도상승 미세혈관의 확장 혈액순

환 촉진 선진대사강화 혈류 장해 해소 조직의 재생능력 증가 결련예방 및 암치

료 효과 등의 의학적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혈행이 좋아짐으로서

정상체온 유지 스트레스 해소 소화촉진 근육통 해소 피부 색깔 정상화 꺼칠한

눈이 부드러워지고 감기 예방효과 조직 내에 쌓여 있던 노폐물의 분비도 촉진된

다 또한 세포에 필요로 하는 영양소와 산소를 정상적으로 공급받게 되어 세포와

조직이 활력을 되찾게 되고 적당한 원적외선 활용은 세포의 노화를 막아주는 효과

를 볼 수 있다 원적외선 부작용 없는 건강유지와 질병의 예방치료적 기 (氣

라고 할 수 있다energy)

석회석은 시멘트의 주원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전방사율은 약 정도를085

보이고 있으나 이후와 단파장 영역쪽에 불안정한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보이20

고 있다 이는 공기 중의 습기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그 조성이 일부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시멘트를 측정하여 비교Fig 10 11

한 결과에서는 다소 석회석 자체원료를 측정한 것이 방사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CaSO4 는 외국에서 천연으로 산출된 것과 본 연구에서 제조한 배연 탈황석고)

모두 원적외선 방사특성에 있어서는 석회석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특히

부근에서의 약간의 골이 생겨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87

- 47 -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48 -

석고Fig 11 (CaSO4 의 원작외선 방사특성)

- 49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의 방사율은 에 실었다 현재 원적외선이 다Fig 12

량 방사되는 게르바늄석 참조 옥석 참조 맥반석 참조(Fig 13 ) (Fig 14 ) (Fig 15 )

등에 비해서 같은 수준의 방사에너지 및 방사율이 발현됨을 공인된 시험기간에 의

해서 입증되었다 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를 Fig16 3~20

파장 영역에서 방사특성을 나타내었다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는 이상흑체에

서 방사되는 특성과 같은 모양을 방출하고 있습을 알았다 따라서 세라믹구들은 건

강친화적인 면만 아니라 여러 가지 가능을 가진 차세대 온돌용 세라믹구들이라고

할 수 있다

제 절 현장 시공9

본 세라믹구들의 최적화 조건 조성 및 현장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차로 경기도 광1

주 소재 동심주택 제 차 그린타운 세대를 시험 시공한 바 있으며 위 결과를 토9 19

대로 최적화된 조건에 따라 안양 재건축현장 및 기홍 목조주택 등에 실용화 시공하

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Fig 17

필름 한 장을 깔고 그 위에 외경의 폴리에틸렌 엑셀파이프를 배관한 후 세라15

믹 구들로 타설한 후 수평을 잡으면서 두께를 로 일정하게 하였다40

시멘트 제품은 응결 경화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균열이 발생되

면 더 커지면서 계속 퍼져나가는 경향을 나타낸다 여러 종류의 균열 보수기법이

현재 마련되어 있으나 완벽한 균열 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 보수 후에도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 보수로 인해 외관의 불량 균열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로 시공한 결과는 상기와 같

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할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연구에 의해 일반 콘크리트에도 적

용할 경우 그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균열을 방지함으로서 방

수 강도저하 철근부식 등 내구성저하를 막으므로 고품질의 구조물 공사가 될 것으

로 예상된다

- 50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 51 -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 52 -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 53 -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43 -

여기서

Lj 수음실내 측정점 에서의 바닥충격음레벨 i ( )

측정점의 수n

또한 상기 바닥충격음레벨 평균값 (Lj 은 수음실의 흡음력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

므로 를 준용 이를 기준흡음력 에 대한 값ISO 140 Part6 (978) (10 ) (L nj 으로)

환산하였으며 그 산출식은 식 과 같다 (3)

여기서

Lj 충격음위치 에 대한 각 측정점의 평균 바닥충격음레벨 j ( )

AO 기준흡음력 (10 )

수음실 측정실 용적V ( ) ( )

수음실 측정실 잔향시간 초T ( ) ( )

에서 보면 기준판과 시험체의 경량충격음은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Table 10

충격음이 증가하다가 완만한 곡선을 나타내는 반면 중량충격음의 결과를 보면 주파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바닥충격음이 계속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경량 충격음은 음원이 태핑머신인 관계로 주파수 변화에 따른

파장의 작고 큼에 별 영향을 주지 않지만 중량 충격음은 음원이 타이어임으로 고주

파대로 갈수록 파장이 작아서 투과 여건이 적은 관계에 기인함을 알 수 있다 본

바닥충격음과 소음에 대한 실험 결과 기존 시멘트몰탈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

믹몰탈간에 바닥충격음과 소음의 차이는 크게 나지 않음으로 무시할 정도임을 알았

- 44 -

제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7

아래 은 바닥재 시공에 대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과 재래식 시Table 11

멘트몰탈과의 특징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연구연에서 분석한 세라믹구들의 분석 결과를 에Table 12

실었다 현 시험법에 따라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 등의 물성을 공인된 한국건자 KS

재연구원에 의뢰한 결과 압축강도면에서 이 넘는 결과가 나왔으며 다른400 f

물성 또한 기준 물성값을 초과하는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에서 보는 것과 Table 12

같이 길이변화율은 일 경과 후 로서 거의 변화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28 -0046

며 이를 미루어 보아 시멘트몰탈의 수축 팽창에 기인되는 균열 원인을 해결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45 -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 구들의 비교Table 11

구분 단위 재래식 시멘트몰탈 본 제품 세라믹구들( )

시공후상태

몰탈층

바탕면의 균열 발생-바탕면의 평활 수평 이 없다- (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없다-공정 회 이 복잡하다- (3-4 )많은면적을 시공할 수 없다-양생시간이 길다 일- (3-7 )하자 보수비가 필요하다-시멘트 독성에 따른 인체에-해로움

바탕면의 균열이 없다- 바탕면의 평활 수평 성이 양호- ( )일정한 두께유지-공정이 단순 회공정 하다- (1 )많은 면적을 시공할 수 있다-양생시간이 짧다 일- (1 )하자보수비가 필요없다-건강보조기능-항균성 무독성 원적외선( )마감재 시공이 용이하다-에너지절감 효과가 크다-열전도율 및 축열기능이 좋다-차음 방음 효과가 우수하다- ( )건축물의 경량화-

세라믹 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시험 검사 방법 ( ) KS L 5105-97 KS L 5104-96 KS L 5207-rsquo99 KS F2424-rsquo95 KS L 1592 rsquo95시험원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시험일자 2000 OS 09 ~ 09 15

- 46 -

제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석회 광물은 마그네시아 광물과 함께 중요한 조암광물로서 천연에서는 산화물(CaO)

로는 존재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탄산염 황산염 또는 규산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석회질 원료로는 석회석 돌로마이트 형석 석고 규회석 등이었으며 이중 석회석

(CaCO3 과 석고)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만을 에 나타내었다 원적) Fig 10 11

외선 발열체와 세라믹 발열체가 있다 원석 발열체로는 맥반석 게르마늄석 옥석

황토 등이 있다 원적외선의 온열효과는 피부표면에 복사된 원적외선은 인체 중 물

의 진동 파장과 거의 비슷하며 공진 작용으로 일반열이 도달할 수 없는 부위( )共振

까지 도달하게 한다 이러한 심달력은 피하층의 온도상승 미세혈관의 확장 혈액순

환 촉진 선진대사강화 혈류 장해 해소 조직의 재생능력 증가 결련예방 및 암치

료 효과 등의 의학적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혈행이 좋아짐으로서

정상체온 유지 스트레스 해소 소화촉진 근육통 해소 피부 색깔 정상화 꺼칠한

눈이 부드러워지고 감기 예방효과 조직 내에 쌓여 있던 노폐물의 분비도 촉진된

다 또한 세포에 필요로 하는 영양소와 산소를 정상적으로 공급받게 되어 세포와

조직이 활력을 되찾게 되고 적당한 원적외선 활용은 세포의 노화를 막아주는 효과

를 볼 수 있다 원적외선 부작용 없는 건강유지와 질병의 예방치료적 기 (氣

라고 할 수 있다energy)

석회석은 시멘트의 주원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전방사율은 약 정도를085

보이고 있으나 이후와 단파장 영역쪽에 불안정한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보이20

고 있다 이는 공기 중의 습기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그 조성이 일부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시멘트를 측정하여 비교Fig 10 11

한 결과에서는 다소 석회석 자체원료를 측정한 것이 방사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CaSO4 는 외국에서 천연으로 산출된 것과 본 연구에서 제조한 배연 탈황석고)

모두 원적외선 방사특성에 있어서는 석회석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특히

부근에서의 약간의 골이 생겨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87

- 47 -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48 -

석고Fig 11 (CaSO4 의 원작외선 방사특성)

- 49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의 방사율은 에 실었다 현재 원적외선이 다Fig 12

량 방사되는 게르바늄석 참조 옥석 참조 맥반석 참조(Fig 13 ) (Fig 14 ) (Fig 15 )

등에 비해서 같은 수준의 방사에너지 및 방사율이 발현됨을 공인된 시험기간에 의

해서 입증되었다 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를 Fig16 3~20

파장 영역에서 방사특성을 나타내었다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는 이상흑체에

서 방사되는 특성과 같은 모양을 방출하고 있습을 알았다 따라서 세라믹구들은 건

강친화적인 면만 아니라 여러 가지 가능을 가진 차세대 온돌용 세라믹구들이라고

할 수 있다

제 절 현장 시공9

본 세라믹구들의 최적화 조건 조성 및 현장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차로 경기도 광1

주 소재 동심주택 제 차 그린타운 세대를 시험 시공한 바 있으며 위 결과를 토9 19

대로 최적화된 조건에 따라 안양 재건축현장 및 기홍 목조주택 등에 실용화 시공하

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Fig 17

필름 한 장을 깔고 그 위에 외경의 폴리에틸렌 엑셀파이프를 배관한 후 세라15

믹 구들로 타설한 후 수평을 잡으면서 두께를 로 일정하게 하였다40

시멘트 제품은 응결 경화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균열이 발생되

면 더 커지면서 계속 퍼져나가는 경향을 나타낸다 여러 종류의 균열 보수기법이

현재 마련되어 있으나 완벽한 균열 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 보수 후에도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 보수로 인해 외관의 불량 균열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로 시공한 결과는 상기와 같

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할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연구에 의해 일반 콘크리트에도 적

용할 경우 그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균열을 방지함으로서 방

수 강도저하 철근부식 등 내구성저하를 막으므로 고품질의 구조물 공사가 될 것으

로 예상된다

- 50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 51 -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 52 -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 53 -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44 -

제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7

아래 은 바닥재 시공에 대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과 재래식 시Table 11

멘트몰탈과의 특징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공인기관인 한국건자재연구연에서 분석한 세라믹구들의 분석 결과를 에Table 12

실었다 현 시험법에 따라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 등의 물성을 공인된 한국건자 KS

재연구원에 의뢰한 결과 압축강도면에서 이 넘는 결과가 나왔으며 다른400 f

물성 또한 기준 물성값을 초과하는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에서 보는 것과 Table 12

같이 길이변화율은 일 경과 후 로서 거의 변화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28 -0046

며 이를 미루어 보아 시멘트몰탈의 수축 팽창에 기인되는 균열 원인을 해결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45 -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 구들의 비교Table 11

구분 단위 재래식 시멘트몰탈 본 제품 세라믹구들( )

시공후상태

몰탈층

바탕면의 균열 발생-바탕면의 평활 수평 이 없다- (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없다-공정 회 이 복잡하다- (3-4 )많은면적을 시공할 수 없다-양생시간이 길다 일- (3-7 )하자 보수비가 필요하다-시멘트 독성에 따른 인체에-해로움

바탕면의 균열이 없다- 바탕면의 평활 수평 성이 양호- ( )일정한 두께유지-공정이 단순 회공정 하다- (1 )많은 면적을 시공할 수 있다-양생시간이 짧다 일- (1 )하자보수비가 필요없다-건강보조기능-항균성 무독성 원적외선( )마감재 시공이 용이하다-에너지절감 효과가 크다-열전도율 및 축열기능이 좋다-차음 방음 효과가 우수하다- ( )건축물의 경량화-

세라믹 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시험 검사 방법 ( ) KS L 5105-97 KS L 5104-96 KS L 5207-rsquo99 KS F2424-rsquo95 KS L 1592 rsquo95시험원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시험일자 2000 OS 09 ~ 09 15

- 46 -

제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석회 광물은 마그네시아 광물과 함께 중요한 조암광물로서 천연에서는 산화물(CaO)

로는 존재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탄산염 황산염 또는 규산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석회질 원료로는 석회석 돌로마이트 형석 석고 규회석 등이었으며 이중 석회석

(CaCO3 과 석고)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만을 에 나타내었다 원적) Fig 10 11

외선 발열체와 세라믹 발열체가 있다 원석 발열체로는 맥반석 게르마늄석 옥석

황토 등이 있다 원적외선의 온열효과는 피부표면에 복사된 원적외선은 인체 중 물

의 진동 파장과 거의 비슷하며 공진 작용으로 일반열이 도달할 수 없는 부위( )共振

까지 도달하게 한다 이러한 심달력은 피하층의 온도상승 미세혈관의 확장 혈액순

환 촉진 선진대사강화 혈류 장해 해소 조직의 재생능력 증가 결련예방 및 암치

료 효과 등의 의학적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혈행이 좋아짐으로서

정상체온 유지 스트레스 해소 소화촉진 근육통 해소 피부 색깔 정상화 꺼칠한

눈이 부드러워지고 감기 예방효과 조직 내에 쌓여 있던 노폐물의 분비도 촉진된

다 또한 세포에 필요로 하는 영양소와 산소를 정상적으로 공급받게 되어 세포와

조직이 활력을 되찾게 되고 적당한 원적외선 활용은 세포의 노화를 막아주는 효과

를 볼 수 있다 원적외선 부작용 없는 건강유지와 질병의 예방치료적 기 (氣

라고 할 수 있다energy)

석회석은 시멘트의 주원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전방사율은 약 정도를085

보이고 있으나 이후와 단파장 영역쪽에 불안정한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보이20

고 있다 이는 공기 중의 습기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그 조성이 일부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시멘트를 측정하여 비교Fig 10 11

한 결과에서는 다소 석회석 자체원료를 측정한 것이 방사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CaSO4 는 외국에서 천연으로 산출된 것과 본 연구에서 제조한 배연 탈황석고)

모두 원적외선 방사특성에 있어서는 석회석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특히

부근에서의 약간의 골이 생겨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87

- 47 -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48 -

석고Fig 11 (CaSO4 의 원작외선 방사특성)

- 49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의 방사율은 에 실었다 현재 원적외선이 다Fig 12

량 방사되는 게르바늄석 참조 옥석 참조 맥반석 참조(Fig 13 ) (Fig 14 ) (Fig 15 )

등에 비해서 같은 수준의 방사에너지 및 방사율이 발현됨을 공인된 시험기간에 의

해서 입증되었다 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를 Fig16 3~20

파장 영역에서 방사특성을 나타내었다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는 이상흑체에

서 방사되는 특성과 같은 모양을 방출하고 있습을 알았다 따라서 세라믹구들은 건

강친화적인 면만 아니라 여러 가지 가능을 가진 차세대 온돌용 세라믹구들이라고

할 수 있다

제 절 현장 시공9

본 세라믹구들의 최적화 조건 조성 및 현장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차로 경기도 광1

주 소재 동심주택 제 차 그린타운 세대를 시험 시공한 바 있으며 위 결과를 토9 19

대로 최적화된 조건에 따라 안양 재건축현장 및 기홍 목조주택 등에 실용화 시공하

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Fig 17

필름 한 장을 깔고 그 위에 외경의 폴리에틸렌 엑셀파이프를 배관한 후 세라15

믹 구들로 타설한 후 수평을 잡으면서 두께를 로 일정하게 하였다40

시멘트 제품은 응결 경화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균열이 발생되

면 더 커지면서 계속 퍼져나가는 경향을 나타낸다 여러 종류의 균열 보수기법이

현재 마련되어 있으나 완벽한 균열 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 보수 후에도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 보수로 인해 외관의 불량 균열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로 시공한 결과는 상기와 같

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할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연구에 의해 일반 콘크리트에도 적

용할 경우 그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균열을 방지함으로서 방

수 강도저하 철근부식 등 내구성저하를 막으므로 고품질의 구조물 공사가 될 것으

로 예상된다

- 50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 51 -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 52 -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 53 -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45 -

재래식 시멘트몰탈과 세라믹 구들의 비교Table 11

구분 단위 재래식 시멘트몰탈 본 제품 세라믹구들( )

시공후상태

몰탈층

바탕면의 균열 발생-바탕면의 평활 수평 이 없다- (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없다-공정 회 이 복잡하다- (3-4 )많은면적을 시공할 수 없다-양생시간이 길다 일- (3-7 )하자 보수비가 필요하다-시멘트 독성에 따른 인체에-해로움

바탕면의 균열이 없다- 바탕면의 평활 수평 성이 양호- ( )일정한 두께유지-공정이 단순 회공정 하다- (1 )많은 면적을 시공할 수 있다-양생시간이 짧다 일- (1 )하자보수비가 필요없다-건강보조기능-항균성 무독성 원적외선( )마감재 시공이 용이하다-에너지절감 효과가 크다-열전도율 및 축열기능이 좋다-차음 방음 효과가 우수하다- ( )건축물의 경량화-

세라믹 구들의 일반 물성Table 12

시험 검사 방법 ( ) KS L 5105-97 KS L 5104-96 KS L 5207-rsquo99 KS F2424-rsquo95 KS L 1592 rsquo95시험원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시험일자 2000 OS 09 ~ 09 15

- 46 -

제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석회 광물은 마그네시아 광물과 함께 중요한 조암광물로서 천연에서는 산화물(CaO)

로는 존재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탄산염 황산염 또는 규산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석회질 원료로는 석회석 돌로마이트 형석 석고 규회석 등이었으며 이중 석회석

(CaCO3 과 석고)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만을 에 나타내었다 원적) Fig 10 11

외선 발열체와 세라믹 발열체가 있다 원석 발열체로는 맥반석 게르마늄석 옥석

황토 등이 있다 원적외선의 온열효과는 피부표면에 복사된 원적외선은 인체 중 물

의 진동 파장과 거의 비슷하며 공진 작용으로 일반열이 도달할 수 없는 부위( )共振

까지 도달하게 한다 이러한 심달력은 피하층의 온도상승 미세혈관의 확장 혈액순

환 촉진 선진대사강화 혈류 장해 해소 조직의 재생능력 증가 결련예방 및 암치

료 효과 등의 의학적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혈행이 좋아짐으로서

정상체온 유지 스트레스 해소 소화촉진 근육통 해소 피부 색깔 정상화 꺼칠한

눈이 부드러워지고 감기 예방효과 조직 내에 쌓여 있던 노폐물의 분비도 촉진된

다 또한 세포에 필요로 하는 영양소와 산소를 정상적으로 공급받게 되어 세포와

조직이 활력을 되찾게 되고 적당한 원적외선 활용은 세포의 노화를 막아주는 효과

를 볼 수 있다 원적외선 부작용 없는 건강유지와 질병의 예방치료적 기 (氣

라고 할 수 있다energy)

석회석은 시멘트의 주원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전방사율은 약 정도를085

보이고 있으나 이후와 단파장 영역쪽에 불안정한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보이20

고 있다 이는 공기 중의 습기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그 조성이 일부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시멘트를 측정하여 비교Fig 10 11

한 결과에서는 다소 석회석 자체원료를 측정한 것이 방사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CaSO4 는 외국에서 천연으로 산출된 것과 본 연구에서 제조한 배연 탈황석고)

모두 원적외선 방사특성에 있어서는 석회석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특히

부근에서의 약간의 골이 생겨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87

- 47 -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48 -

석고Fig 11 (CaSO4 의 원작외선 방사특성)

- 49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의 방사율은 에 실었다 현재 원적외선이 다Fig 12

량 방사되는 게르바늄석 참조 옥석 참조 맥반석 참조(Fig 13 ) (Fig 14 ) (Fig 15 )

등에 비해서 같은 수준의 방사에너지 및 방사율이 발현됨을 공인된 시험기간에 의

해서 입증되었다 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를 Fig16 3~20

파장 영역에서 방사특성을 나타내었다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는 이상흑체에

서 방사되는 특성과 같은 모양을 방출하고 있습을 알았다 따라서 세라믹구들은 건

강친화적인 면만 아니라 여러 가지 가능을 가진 차세대 온돌용 세라믹구들이라고

할 수 있다

제 절 현장 시공9

본 세라믹구들의 최적화 조건 조성 및 현장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차로 경기도 광1

주 소재 동심주택 제 차 그린타운 세대를 시험 시공한 바 있으며 위 결과를 토9 19

대로 최적화된 조건에 따라 안양 재건축현장 및 기홍 목조주택 등에 실용화 시공하

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Fig 17

필름 한 장을 깔고 그 위에 외경의 폴리에틸렌 엑셀파이프를 배관한 후 세라15

믹 구들로 타설한 후 수평을 잡으면서 두께를 로 일정하게 하였다40

시멘트 제품은 응결 경화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균열이 발생되

면 더 커지면서 계속 퍼져나가는 경향을 나타낸다 여러 종류의 균열 보수기법이

현재 마련되어 있으나 완벽한 균열 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 보수 후에도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 보수로 인해 외관의 불량 균열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로 시공한 결과는 상기와 같

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할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연구에 의해 일반 콘크리트에도 적

용할 경우 그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균열을 방지함으로서 방

수 강도저하 철근부식 등 내구성저하를 막으므로 고품질의 구조물 공사가 될 것으

로 예상된다

- 50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 51 -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 52 -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 53 -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46 -

제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8

석회 광물은 마그네시아 광물과 함께 중요한 조암광물로서 천연에서는 산화물(CaO)

로는 존재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탄산염 황산염 또는 규산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석회질 원료로는 석회석 돌로마이트 형석 석고 규회석 등이었으며 이중 석회석

(CaCO3 과 석고) (CaSO4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만을 에 나타내었다 원적) Fig 10 11

외선 발열체와 세라믹 발열체가 있다 원석 발열체로는 맥반석 게르마늄석 옥석

황토 등이 있다 원적외선의 온열효과는 피부표면에 복사된 원적외선은 인체 중 물

의 진동 파장과 거의 비슷하며 공진 작용으로 일반열이 도달할 수 없는 부위( )共振

까지 도달하게 한다 이러한 심달력은 피하층의 온도상승 미세혈관의 확장 혈액순

환 촉진 선진대사강화 혈류 장해 해소 조직의 재생능력 증가 결련예방 및 암치

료 효과 등의 의학적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혈행이 좋아짐으로서

정상체온 유지 스트레스 해소 소화촉진 근육통 해소 피부 색깔 정상화 꺼칠한

눈이 부드러워지고 감기 예방효과 조직 내에 쌓여 있던 노폐물의 분비도 촉진된

다 또한 세포에 필요로 하는 영양소와 산소를 정상적으로 공급받게 되어 세포와

조직이 활력을 되찾게 되고 적당한 원적외선 활용은 세포의 노화를 막아주는 효과

를 볼 수 있다 원적외선 부작용 없는 건강유지와 질병의 예방치료적 기 (氣

라고 할 수 있다energy)

석회석은 시멘트의 주원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전방사율은 약 정도를085

보이고 있으나 이후와 단파장 영역쪽에 불안정한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보이20

고 있다 이는 공기 중의 습기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그 조성이 일부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시멘트를 측정하여 비교Fig 10 11

한 결과에서는 다소 석회석 자체원료를 측정한 것이 방사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CaSO4 는 외국에서 천연으로 산출된 것과 본 연구에서 제조한 배연 탈황석고)

모두 원적외선 방사특성에 있어서는 석회석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특히

부근에서의 약간의 골이 생겨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87

- 47 -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48 -

석고Fig 11 (CaSO4 의 원작외선 방사특성)

- 49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의 방사율은 에 실었다 현재 원적외선이 다Fig 12

량 방사되는 게르바늄석 참조 옥석 참조 맥반석 참조(Fig 13 ) (Fig 14 ) (Fig 15 )

등에 비해서 같은 수준의 방사에너지 및 방사율이 발현됨을 공인된 시험기간에 의

해서 입증되었다 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를 Fig16 3~20

파장 영역에서 방사특성을 나타내었다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는 이상흑체에

서 방사되는 특성과 같은 모양을 방출하고 있습을 알았다 따라서 세라믹구들은 건

강친화적인 면만 아니라 여러 가지 가능을 가진 차세대 온돌용 세라믹구들이라고

할 수 있다

제 절 현장 시공9

본 세라믹구들의 최적화 조건 조성 및 현장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차로 경기도 광1

주 소재 동심주택 제 차 그린타운 세대를 시험 시공한 바 있으며 위 결과를 토9 19

대로 최적화된 조건에 따라 안양 재건축현장 및 기홍 목조주택 등에 실용화 시공하

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Fig 17

필름 한 장을 깔고 그 위에 외경의 폴리에틸렌 엑셀파이프를 배관한 후 세라15

믹 구들로 타설한 후 수평을 잡으면서 두께를 로 일정하게 하였다40

시멘트 제품은 응결 경화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균열이 발생되

면 더 커지면서 계속 퍼져나가는 경향을 나타낸다 여러 종류의 균열 보수기법이

현재 마련되어 있으나 완벽한 균열 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 보수 후에도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 보수로 인해 외관의 불량 균열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로 시공한 결과는 상기와 같

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할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연구에 의해 일반 콘크리트에도 적

용할 경우 그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균열을 방지함으로서 방

수 강도저하 철근부식 등 내구성저하를 막으므로 고품질의 구조물 공사가 될 것으

로 예상된다

- 50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 51 -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 52 -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 53 -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47 -

석회석Fig 10 (CaCO3 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48 -

석고Fig 11 (CaSO4 의 원작외선 방사특성)

- 49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의 방사율은 에 실었다 현재 원적외선이 다Fig 12

량 방사되는 게르바늄석 참조 옥석 참조 맥반석 참조(Fig 13 ) (Fig 14 ) (Fig 15 )

등에 비해서 같은 수준의 방사에너지 및 방사율이 발현됨을 공인된 시험기간에 의

해서 입증되었다 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를 Fig16 3~20

파장 영역에서 방사특성을 나타내었다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는 이상흑체에

서 방사되는 특성과 같은 모양을 방출하고 있습을 알았다 따라서 세라믹구들은 건

강친화적인 면만 아니라 여러 가지 가능을 가진 차세대 온돌용 세라믹구들이라고

할 수 있다

제 절 현장 시공9

본 세라믹구들의 최적화 조건 조성 및 현장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차로 경기도 광1

주 소재 동심주택 제 차 그린타운 세대를 시험 시공한 바 있으며 위 결과를 토9 19

대로 최적화된 조건에 따라 안양 재건축현장 및 기홍 목조주택 등에 실용화 시공하

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Fig 17

필름 한 장을 깔고 그 위에 외경의 폴리에틸렌 엑셀파이프를 배관한 후 세라15

믹 구들로 타설한 후 수평을 잡으면서 두께를 로 일정하게 하였다40

시멘트 제품은 응결 경화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균열이 발생되

면 더 커지면서 계속 퍼져나가는 경향을 나타낸다 여러 종류의 균열 보수기법이

현재 마련되어 있으나 완벽한 균열 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 보수 후에도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 보수로 인해 외관의 불량 균열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로 시공한 결과는 상기와 같

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할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연구에 의해 일반 콘크리트에도 적

용할 경우 그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균열을 방지함으로서 방

수 강도저하 철근부식 등 내구성저하를 막으므로 고품질의 구조물 공사가 될 것으

로 예상된다

- 50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 51 -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 52 -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 53 -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48 -

석고Fig 11 (CaSO4 의 원작외선 방사특성)

- 49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의 방사율은 에 실었다 현재 원적외선이 다Fig 12

량 방사되는 게르바늄석 참조 옥석 참조 맥반석 참조(Fig 13 ) (Fig 14 ) (Fig 15 )

등에 비해서 같은 수준의 방사에너지 및 방사율이 발현됨을 공인된 시험기간에 의

해서 입증되었다 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를 Fig16 3~20

파장 영역에서 방사특성을 나타내었다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는 이상흑체에

서 방사되는 특성과 같은 모양을 방출하고 있습을 알았다 따라서 세라믹구들은 건

강친화적인 면만 아니라 여러 가지 가능을 가진 차세대 온돌용 세라믹구들이라고

할 수 있다

제 절 현장 시공9

본 세라믹구들의 최적화 조건 조성 및 현장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차로 경기도 광1

주 소재 동심주택 제 차 그린타운 세대를 시험 시공한 바 있으며 위 결과를 토9 19

대로 최적화된 조건에 따라 안양 재건축현장 및 기홍 목조주택 등에 실용화 시공하

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Fig 17

필름 한 장을 깔고 그 위에 외경의 폴리에틸렌 엑셀파이프를 배관한 후 세라15

믹 구들로 타설한 후 수평을 잡으면서 두께를 로 일정하게 하였다40

시멘트 제품은 응결 경화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균열이 발생되

면 더 커지면서 계속 퍼져나가는 경향을 나타낸다 여러 종류의 균열 보수기법이

현재 마련되어 있으나 완벽한 균열 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 보수 후에도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 보수로 인해 외관의 불량 균열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로 시공한 결과는 상기와 같

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할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연구에 의해 일반 콘크리트에도 적

용할 경우 그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균열을 방지함으로서 방

수 강도저하 철근부식 등 내구성저하를 막으므로 고품질의 구조물 공사가 될 것으

로 예상된다

- 50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 51 -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 52 -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 53 -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49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라믹구들의 방사율은 에 실었다 현재 원적외선이 다Fig 12

량 방사되는 게르바늄석 참조 옥석 참조 맥반석 참조(Fig 13 ) (Fig 14 ) (Fig 15 )

등에 비해서 같은 수준의 방사에너지 및 방사율이 발현됨을 공인된 시험기간에 의

해서 입증되었다 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를 Fig16 3~20

파장 영역에서 방사특성을 나타내었다 세라믹구들의 방사에너지는 이상흑체에

서 방사되는 특성과 같은 모양을 방출하고 있습을 알았다 따라서 세라믹구들은 건

강친화적인 면만 아니라 여러 가지 가능을 가진 차세대 온돌용 세라믹구들이라고

할 수 있다

제 절 현장 시공9

본 세라믹구들의 최적화 조건 조성 및 현장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차로 경기도 광1

주 소재 동심주택 제 차 그린타운 세대를 시험 시공한 바 있으며 위 결과를 토9 19

대로 최적화된 조건에 따라 안양 재건축현장 및 기홍 목조주택 등에 실용화 시공하

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Fig 17

필름 한 장을 깔고 그 위에 외경의 폴리에틸렌 엑셀파이프를 배관한 후 세라15

믹 구들로 타설한 후 수평을 잡으면서 두께를 로 일정하게 하였다40

시멘트 제품은 응결 경화과정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라는 치명적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에 항상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균열이 발생되

면 더 커지면서 계속 퍼져나가는 경향을 나타낸다 여러 종류의 균열 보수기법이

현재 마련되어 있으나 완벽한 균열 보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열 보수 후에도

다시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균열 보수로 인해 외관의 불량 균열부의 취약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로 시공한 결과는 상기와 같

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할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연구에 의해 일반 콘크리트에도 적

용할 경우 그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균열을 방지함으로서 방

수 강도저하 철근부식 등 내구성저하를 막으므로 고품질의 구조물 공사가 될 것으

로 예상된다

- 50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 51 -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 52 -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 53 -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50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특성Fig 12

- 51 -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 52 -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 53 -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51 -

게르마늄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3

- 52 -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 53 -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52 -

옥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4

- 53 -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53 -

맥반석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5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54 -

세라믹구들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Fig 16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55 -

바닥면 및 세라믹구들의 현장시공Fig 17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56 -

제 장 결 론4

아파트 및 주택 온돌공사에 사용되는 마감용 미장 몰탈 중의 균열은 특수 혼화재료

와 첨단장비를 사용하고 연속식 믹서를 이용하여 타설하므로 균열을 방지할 수 있

었다 이로 인하여 균열방지로 인한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다 ㆍ

소성된 석고와 특수첨가제를 이용하여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현장에서 물과 모래만

을 이용하여 아파트 주택 및 대형공장 등의 온돌공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세라믹

구들은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여러 가지 특정 및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능성 바닥몰탈이다 첫째로 바닥의 균열과 작업성 그리고 공기단축면에서 월등

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재료의 사용시 규산칼슐 수화물 및 에트링가이트를

현저히 생성시키므로 수화반응에서 오는 건조수축 현상에 보상하여 팽창성을 부여

하여 수화반응시 발생하는 공극감소를 팽창으로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하며 둘째로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작업성 또한 회에서 회에 걸친 손미장이 반드시 걸쳐야 되2 3

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라믹구들은 타설과 동시에 다짐봉을 이용하여 수평을

잡았다 세라믹구들 자체에 이 있어서 바탕면의 수평잡기 쉬웠다 하 self-levelling

지만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은 사람손으로 수평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일이 번거

롭고 바닥면이 평활하지가 않다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음으로서 장판이나 온돌마루

또는 타일과 같은 바닥재 시공시에 균일함을 주지 못해 뒤틀림과 같은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셋째로 기존 재래식 시멘트몰탈에 비해서 차음 면에서도 우수한 효과

가 있음을 정밀한 시험에 의해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

라믹구들은 인간의 질병 특히 전염성 질병등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57 -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Ⅱ

제 장 서 론1

최근 대형 건물 주차장바닥 및 아파트나 주택 등의 온돌 수천 개의 교량 노반

고가도로 그 외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사용하는 것보다 품

질이 균일하고 열효율 강도 접착성 수평조절성 내구성등이 우수한 세라믹구들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석고류 를 시멘트와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성 (gypsum)

분의 양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경화체의 강도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

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천연석고의 부존자원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해외에서 높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형편을 고려해 볼 때 그 생산성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력발전소의 유연탄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인 SO2을 흡수액 중 CaCO3와

반응시켜 만들어진 배연 탈황석고는 품질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수입의존도

를 크게 낮출 수 있어 국내 관련업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 요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개선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

한 반응식을 식 에 나타내었다(1)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라믹구들 내부에는 SO42-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알칼리성이 저하되어 부식이 촉진될 염려가 있다

우선 철근 함유 콘크리트 내부 환경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세공 중의 수분은 포화수

산화칼슘용액과 그 속에 약간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을 함유한 용액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강알칼리성 환경으로 인해 철근 표면에 부동태피막(passive

이라하는 두께의 철수산화물film) 20~60 ( r-FeÅ 2O3middot nHㆍ 2 로 된 얇은 산화피O)

막을 형성하여 철근의 부식작용으로부터 보호된다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58 -

그러나 알칼리성분의 용출과 탄산화에 의해서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 중에 각종 유해성분이 혼입되면 철근은 활성화 상태로 되어 부식하기 쉽

게 된다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는 유해성분에는 할로겐이온 (Cl- Br- I- 황)

산염이온(SO42- 황화물) (S2- 등의 음이온이 있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염소이온은)

씻지 않는 해사를 사용하거나 염분이 많이 함유된 혼화제 등의 사용 해안지역에서

바닷바람에 염분이 날아와서 건축 구조물 표면에 침투하는 경우 겨울철 제설제로

인하여 침투하는 경우 등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에 대한 가장 유해한 이온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바다를 많

이 접하고 있는 나라들은 해변가 구조물에 대한 그 피해가 크다 이렇게 염소이온

이 혼입되면 금속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부식속도가 빨라져서 금속 내부로 부

식이 촉진되는 현상 즉 공식 이 발생하여 철근의 무게 손실이 커 (pitting corrosion)

지게 된다 염소이온 존재 하에서 일어나는 철의 부식 과정을 에 나타냈다 Fig 1

에서 보면 염소이온은 철근 표면을 공격하여 철 염화물을 만들며 다시 수산Fig 1

화기와 반응하여 부식생성물인 수산화철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산화철

의 조직은 매우 다공성을 띠게 되므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철근의 부식량을 늘리는데 기여한다 가능성이 있는 철의 부식 반응을 식 (2) ~

에 나타내었다(9)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59 -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염분에 의해 부식하는 메카니즘은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과

수분의 존재로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고 철근 중에 부식 전지가 형성되는 것

이다 이때 철이 이온화하여 산화된 양극 반응과 산소가 환원하는 음극 (anode)

반응의 생성물질인 수산화 제 철인(cathode) 1 Fe(OH)2가 산화되어 수산화 제 철인2

Fe(OH)3으로 된다 이 화합물에서 물이 빠지면 붉은 녹 또는 FeOOH( ) Fe3O4 검은(

녹 가 되어 철 표면에 녹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식생성물은 본래의 체적에 비해 약 배 팽창하게 되어 구조25

물에 균열을 발생시켜 부식에 필요한 산소 수분 및 염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하력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영

향을 가져다준다

염화물에 의한 철근 부식이 발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제 기로 나눌 수 있다4

제 기는 잠복기로 염화물 이온이 피복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강재 주변에 축1

적되는 과정으로 주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 이온 확산속도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재료에 기인하는 염화물량이 많을 경우 잠복기는 없다

제 기는 진전기로 강재가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기 시작하여 부식생성물이 축적되2

고 그 팽창압에 의해 피복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으로 주로 용존산소와

수분의 공급량 및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에 의해 지배된다

제 기는 가속기로 강재 주변의 균열 축방향 또는 종균열 발생에 의해 부식속도3 ( )

가 촉진되고 피복 콘크리트가 박락되는 과정이다 균열이 발생되어도 정적인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지만 공식 등에 의한 높은 응력이 반복 하중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는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 내력 및 강재 인성의 저하가 발생되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 기는 성능저하기로 강재의 부식이 상당량 진행되어 단면적의 감소4

가 현저하게 되고 내하력 저하가 심한 과정이다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60 -

Fig 1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process at an actively growing pit in

steel

이러한 철근의 부식 문제는 몇 가지 접근 방법에 의해 완화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부식 부위를 주기적으로 보수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음극방식법이

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국부적 보수방법의 비용이 새로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장기간의 유지보수

가 필요하며 연속적으로 전기와 희생양극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

한 고 비용의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하

는 방법은 구조물에 있어 철근부식 반응의 시작과 성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

운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수용성 환경하에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

려진 화학물질은 수백 가지 이상이나 방청제가 콘크리트에 혼입시 혼합제들과 반응

하여 팽창과 풍화물을 생성하여 요구되는 구조물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힘든 점이 있어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방청

제의 종류는 단지 종류 정도뿐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청제로4

는 calcium nitrite( Ca(NO2)2 를 들 수 있는데 콘크리트에 혼입시 풍화작용을 일으)

키지 않고 구조물의 강도저하면에서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크롬화합

물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라는 점이다 이온은 금속철이나 Nitrite Fe3+

와 반응하지 않고 Fe2-와 반응하여 철근 표면에 Fe2O3층을 생성시킴으로서 부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물리적 구조모델은

와 같이 표현되며 콘크리트 매칠자체의 저항 콘크리트와 철근사이의Fig 2 (Rm)

계면저항 및 부식반응에 참여하는 전하이동 저항 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Rf) (Rct)

원리를 이용하여 철근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서 부식생성물의 양을 비파괴적으

로 정량화 할수 있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61 -

본 실험에서는 환경친화적이며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세라믹구들을

콘크리트 철근에 응용하고자 시멘트몰탈 시험체 과 석고를 포함한 시멘트몰탈 시 ( B) (

험체 을 일정량의 염분이 함유된 공시체로 제조하여 부식정도를 비교하고 더불A)

어 석고가 포함된 공시체의 부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를 석고가 포calcium nitrite

함된 시멘트몰탈에 첨가 시험체 하여 그 방식 효과를 보고자 한다( A+)

철근의 부식측정 방법에는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 초음파 탐사 질량 손실

측정 전지저항 측정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법은 자연전위법 교류임피던스법 부식전위측정 분극저항측정 분극곡

선법 직류측정 등이 있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부식이 금속재료의 전기화학적 반

응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

는 방법으로 비파괴적이고 부식과정을 계속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의 부식상태를 비파괴로 진단하기 위하여 에 근거한ASTM C876

철근의 자연전위 측정법을 채택하였다 자연전위란 금속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유지하고 있는 전위를 말하며 이는 환경이나 철근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자연전위법은 정성분석으로서 두 시험체의 상대 비교를 통하여 어느 것이 더 부식

이 잘 되는가를 알아볼 수는 있으나 측정된 값의 크기가 부식정도와 직접 연결된다

고 볼 수는 없으며 단지 부식의 유무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만 활용될 수 있다 이러

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이 시행되는 기간 중과 실험 종료 후 콘크리트 속

의 철근을 꺼내어 표면을 관찰하고 실제 무게 감량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

편의 용출실험을 통해 pH CL- SO42-의 변화와 부식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함과 동

시에 실험을 병행하였다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62 -

Fig 2 Electrochemical structure model of rebar concrete corrosion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63 -

제 장 실 험2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편의 화학 조성은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부식 메Table 1

카니즘을 전기화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철근을 두께로 절단하여 구리도10

선을 연결한 후 철근의 단면적이 전극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하여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전극의 단면적은 이며 알 064 005

루미나 분말에 의해 경면 연마하였다 사용하기 전 연마된 표면은 nital(4 HNO3

에 초간 침지하여 전처리하였고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부식in ethanol) 10

시험을 위한 전기화학적 셀의 구성은 흑연전극을 보조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

을 표준전극으로 하여 준비된 철근 시편을 작동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여 전(SCE) 3

극 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용액은 와 가 주장한 대로 콘크리트Flis Zakroczymski

내부 세공 속의 용액을 모사하여 을 증류수에 녹인 후06M NaOH 018M KOH

Ca(OH)2를 포화시켜 각각의 Cl-농도에 맞게 제조하였으며 이하 라 칭함 제( SPS )

조된 용액의 는 모두 이상이었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과 같으며 측pH 136 Fig 3

정장비로는 사의 를 이용하여EG amp G PARC(USA) potentiogalvanostat M273A

을 수행하였다 또한 용액중의 석고 함량에 따른 의 변cyclic voltamogram SPS pH

화를 고찰하였다

Table l Element Composition of the used reinforcement bar

(UNIT wt)

elements Fe Si Mn Cu Cr C

987 024 061 035 0085 024

analysismethod

AAampWET AAampWET AA AA ICP EA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64 -

Fig 3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본 실험에 사용한 철근 시멘트볼탈 시험체는 의 원통형으로100 times 70 empty는 로 하였고 의 철근을 정 중앙에 매입하였으wc(watercement) 05 120 times 10 empty

며 각각의 염분 농도에 대해 총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은 초기 상태를 24

일정하게 만들어 주기 위하여 를 이용하여 피막을 제거하였으며 이때sand blaster

피막을 제거한 철근은 공기 중의 수분과 염분에 의한 부식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밀봉하여 보판하였다 한 철근에 전위 측정을 위하여 구리 도선을 연 Sand blasting

결한 후 부식범위 약 를 일정하게 하고 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열수축 튜브( 90 )

로 밀봉하였다 염소이온은 을 시험체 중량에 대하여(PVC) NaCl 00 0013 16

의 가지 농도로 하였으며 배합수에 녹여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이때의30 wt 4

농도 는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염화물이온 규제치이며0013 wt

나머지 와 는 단기간의 부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시멘트는16 wt 30 wt

국내에서 생산된 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화학 조성비1

는 와 같으며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몰탈Table 2

과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구들 그리고 에 방청제를 넣어준 몰탈 의 함량(B) (A) A (A+)

비를 에 나타내었다 철근의 부식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에 나타Table 3 Fig 4

낸 조건으로 항온항습조 내부의 환경이 일정 습도와 온도가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시험체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자연전위의 측정 및 교류 임피던스법 측정을 위한 기

준 전극으로는 의 규격을 적용하여 자체 제작한ASTM C186-91 CuCuSO4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제작된 전극의 평형 전위는 였다 0316 V (vs NHE)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65 -

실험장치는 와 같으며 자연전위는 로 측정하여 각각의 염분 농도에Fig 5 voltmeter

대한 시험체간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전위 데이터는 주일을 주기로 측정하였으며 1

로 나타나는 전위는 그 값의 변화가 이내에서 분 정도 안정하게voltmeter plusmn5 10

될 때의 값을 기록하였다 실제로 시험체는 전기적 접촉이 어려워 전위 값의 변동

이 심하고 측정에 장시간 소요되기도 하였으나 에서 규정하는 ASTM wetting

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실험 후 부식 전과 후의 철근 무solution

게 감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철근의 질량은

에 나타내었다Table 4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 부식성을 자연전위차로부터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ASTM

에서 제정된 의 것이 널리 사용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중의 철근의C876 Table 5

부식성과 전위차와의 관계를 확률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66 -

Table 2 Composition of the used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addition of

gypsum

Table 3 Composition of each used cement mortar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67 -

Fig 4 Experimental condition in an acceleration test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68 -

Fig 5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69 -

Table 4 Weight of rebar before experiments

Table 5 Standard potential value for corrosion evaluation

ASTM C876

전위( ) 부식확률

이상-200 이상 부식없음90

-200 ~ -350 불확정

이하-350 이상 부식있음90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70 -

제 장 결과 및 고찰3

제 절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변화1 SPS pH

을 함유한 용액 중에서 철근 시편에 대하여 순환 전류 전위법에 따016N NaCI SPS shy

라서 전위를 인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와Fig 6 J Flis T

이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 에서는 가Zakroczymski -1 Fe Fe(OH)

2 Fe(OH) 3으로 산화되고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물인 -2 Fe(OH)2가 다시 산화하여

가 생성되며 영역 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류값은FeOOH -3 Fe3O4의 양극산화에 기인

한다 부근에서는 안정한 산화피막이 생성되 -02 V (vs SCE) ~ 04 V (vs SCE)

므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못하며 이러한 보호막을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염소 이온이 존재하거나 또는 이상의 영역에서는 부동태 피막이05 V (vs SCE)

국부적으로 파괴되는 이른바 공식 이 일어나게 된다 용액이(pitting corrosion) SPS

강화철근이 놓여지는 콘크리트 환경과 일치하지는 않을지라도 본 실험에서 제조된

용액이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서 얻어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적합한 콘크리

트 내부의 화학적인 환경 모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역 에서는 생성된 가 다시-4 FeOOH Fe(OH)2로 환원하며 영역 에서는 부식생성 -5

물인 Fe3O4가 수산화물인 Fe(OH)2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순환 전류 전위 곡선으 -

로부터 영역 에서만 철근의 부식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피크들에-1

서 나타나는 전류값은 해당 부식생성물의 산화나 환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

한 전류 피크의 크기로부터 부식된 양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주사 회수에

따라서 영역 에서의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전극표-1 -2 -3

면이 활성화되어 부식이 활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은 의 염소이온 농도의 용액에서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시Table 6 0013 wt SPS

간별 변화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석고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의 감소가 선형pH pH

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차이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

른 변화 또한 초기 시간이내에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로는 별다른pH 48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멘트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pH

가가 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pH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71 -

Table 6 pH variation with time in addition of gypsum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72 -

Fig 6 Cyclic voltammogram for reinforcing steel in a simulated pore solution

in addition of 016N NaCI

제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2

모든 금속은 각각의 평형전위를 지니고 있으며 기준전극에 대해 음의 방향으로 큰

값을 나타낼수록 이온화하기 쉬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부식의 유

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철근이 공사체 내에서 갖는 평형전위

를 측정하여 염분농도에 따른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73 -

은 각기 염분 농도를 달리한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 앞의 시험체에Table 7 (A)

방청제가 첨가된 세라믹구들 및 일반 시멘트몰탈 속에 위치한 철근 시편으(A+) (B)

로부터 측정된 자연전위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염분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자연전

위 역시 일반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얄 수 있다 시멘트

몰탈 타설 초기에는 모든 시험체의 자연전위가 비교적 높았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은 시멘트 고유의 강알칼리성에 의해 철근표면에 부동태 피막이 자연

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의 경우 염분 첨가량에 따라 자연전위는 염소이온에 A

의한 공식 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증가함을 알 수(pitting corrosion)

있으며 에 기준되어 있는 이하의 조건에서 약 이상의 부 ASTM C876 -035 V 95

식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 의 염분을 함유한 시험체에 16 30 wt

있게 되는 철근 시편에서는 부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

다 그러나 의 경우 방청제 첨가에도 불구하고 전위는 의 경우에 비해 낮은 값 A+ A

을 나타냈으며 염분량 변화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 경우 역 B

시 와 비슷한 수치들을 나타냈으며 단순히 자연전위 값으로부터 부식유무를 판A+

단한다면 모든 시편에서 부식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자연전위 값이

반드시 부식의 유무를 판가름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즉 염분의 첨가량에 따른 자연전위는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며 감소한다고

는 판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방청제 첨가시 자연전위는 낮아짐으로서 부식현상이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부식현상은 철근 표

면의 외관조사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다 은 시험체로부터 얻어진 철근 표면 Fig 7

의 근접촬영 결과를 주와 주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으로서 주 후의 모습은 철9 16 9

근의 하단부에서 발청이 시작되었으며 공시체 내부 철근의 모습은 석고를 포함한

세라믹 구들 시험체 와 석고와 방청제를 포함한 시험체 의 표면에는 검은 색(A) (A+)

의 부식 생성물을 시멘트만으로 만들어진 시험체 에는 갈색의 부식생성물을 관 (B)

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관 조사에 의한 철근표면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의 결

과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의 경우 와 의 염분 함유시 B 16 wt 3 wt

발청이 많은 진행을 보이지 않았었던 반면 와 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경우A A+

를 포함하여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에서도 발청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 구들 내의 철근의 부식생성물은 Fe3O4계열 보통 시

멘트 몰탈 내의 부식생성물은 계열의 부식생성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FeOOH

되어 및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세 시험체 모두 부 XRD XRF (Table 8)

식생성물이 비슷한 비율의 와FeOOH Fe3O4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 후의 모습에서는 및 의 경우 모두 16 A A+ B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외관조사시 에 비해 와 B A A+

의 경우 철근과 시멘트 몰탈과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74 -

Table 7 The variation of corrosion potential as a function of time in an

acceleration test ( V vs CuCuSO4 )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75 -

(a) A

(b) A+ (c) B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76 -

(d) A

(e) A+ (f) B

Fig 7 Corroded surface of rebar after 9 (a b c)

and after 16 weeks (d e f)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77 -

Table 8 XRF analysis of the rust after 9 weeks

의 외관 사진은 실제로 부식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한Fig 7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의 실험 전 철근 무게에서 주와 주 후의 Table 4 9 16

처리 후 철근의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시험체의 무게차로부터 실제의sand blasting

부식생성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는 주와 주 후의 부식생성량을 나타낸 Table 9 9 16

도표로서 주 후의 결과는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의 경우가 함유되지 않은 경9

우에 비해 부식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주 후의 결과에서도 염분 농도 인 경우를 제외하고 16 16 wt

전반적으로 석고가 함유된 철근의 경우 부식생성물의 양이 높았으며 방청제 첨가

시 부식을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사진과 실제의 부식

생성물의 정량적인 수치와 큰 차이점을 나타내는 현상은 실험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석고가 함유된 세라믹구들의 경우 틈새 부식이 부식현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졌으며 실제로 처리시 틈부식 정도를 확 인할 수 있었다sand blasting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78 -

Table 9 Weight loss of rebar after 9(a) and 16(b) weeks

주 후의 석고가 함유된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하단부를 약 정도 절단9 7~8

하여 그 단면을 한 후 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에polishing EPMA Fig 8

나타내었다 는 염분이 함유되지 않은 철근의 단면 사진으로 의 Fig 8(a) 20~30

산화물층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부동태피막이 철근의 부식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피막

은 부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생성물을 방출하였으며 염소이온

결과에서 부식생성물 층에 염소이온이 고르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mapping

있었다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79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고가 함유된 시편에서의 부식생성물의 증가 현상을 고

찰하기 위해 공시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용출 실험을 행함으로서 변화pH Cl-

농도 및 SO42- 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이를 에 나타내었는데 의 경우Fig9 pH

석고가 들어간 시험체의 경우 평균 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05

SO42-의 경우 석고가 유입되었을 때 약 정도로 보통 시멘트 몰탈에 비 1500 ppm

해 약 배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부식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 및 그 원인3

에 대해 현재로선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석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pH

량보다는 SO42-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

또한 그리고 은 온도가 증가하는A Wright B Verity P Heggen C Subramanian

조건하에서 Cl-과 Ca2+이 반응하여 흡습성의 CaCl2가 생성되는데 이 CaCl2의 존재

로 인하여 몰탈 내의 철근 표면에 심한 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pitting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80 -

(a) No NaCl

(b) 0013 wt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81 -

(c) 16 wt

(d) 30 wt

Fig 8 EPMA analysis and Cl- mapping of the sample A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82 -

(a)

(b)

Fig 9 pH(a) and SO42-(b) variation with time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83 -

제 장 결 론4

염분을 함유한 몰탈 환경하에서 기존의 시멘트몰탈을 대체할 수 있는 석고계 세라

믹구들 내에서의 철근 부식 가속화 현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석고가 첨가된 세라믹구들과 시멘트 몰탈 내의 철근의 부식 현상은 자연전위법1)

에 의해 비파괴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실제 외관조사와 무게

손실정도에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부식가속화 장치를 이용할 때 단기간 내에 부식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2)

시멘트 몰탈 모사 세공용액 내에서의 석고의 첨가로 인한 변화는 작으나3) pH

SO42-의 용출이 큰 것으로 미루어 부식 메카니즘에 SO4

2-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철근의 외관 관찰은 실제로 부식 생성량을 정량화함으로서 각각의 시료에 대한4)

정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하여 염분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의 부동태 피막은 부5) EPMA

식에 의해 고유의 성질을 잃고 부식 생성물을 방출함을 알 수 있었다

석고를 첨가한 세라믹구들은 일반 시멘트 몰탈에 비해 부식생성물의 양이 증가6)

하였으나 방청제 첨가시 염분이 함유되었을 때 부식생성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84 -

References

1 Y M Kim K S Kim B S Choi J S Ko and S K Park Analytical

Science amp Technology 2(2) 169(1999)

2 F Wenger and Metaux Corrosion et Industrie 742(1987)

3 L Hachani E Triki A Raharinaivo and D Moussa Bull Lia LPC(69)

79(990)

4 J L Gallias G Arliguie and J Grandet 2nd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Montreal Canada Supplementary

Papers 111(992)

5 J Bennett Anti-Corrosion 12(1986)

6 M J Collie Corrosion inhibitors Noyes Data Corp New Jersey(1983)

7 K S Rajan and Venkatnath K Non-Chromate Anodic Corrosion Inhibition

with Desired Deposition Control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Proc Int

Conf on Corrosion 628(1997)

8 L Hachani C Fiaud E Triki and A Raharinaivo Brit Carr J 29

122(1994)

9 S C Nam C H Paik W 1 Cho B W Cho K S Yun and H S

Chun J Korean Ind amp Eng Chemistry 9 811(1998)

10 M Itagaki M Tagaki and K Watanabe Electrochim acta 41

1201(1996)

11 I Epelboin C Gabrielli M Keddam and H Takenouti Electrochim acta

20 913(1975)

12 M Keddam O R Mattos and H Takenoiti J Electrochem Soc 128

266(1981)

13 C Y Chao L F Lin and D D Macdonald J Electrochem Soc 129

1874(1982)

14 M G Ali Anti-Corrosion 10(1990)

15 J Flis and T Zakroczymski J Electrochem Soc 143 2458(1996)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

- 85 -

16 A Wright B Verity P Heggen and C Subramanian A Study of

Corrosion in Cement Plant Proc Int Conf on Corrosion Concorn 519

  • 제 출 문
  • 요 약 문
  • Ⅰ 발전용 배연탈황 부산석고를 이용한 세라믹 몰탈의 제조 연구
    • 제 1 장 서 론
    • 제2장 실 험
      • 제 1 절 배연탈황
      • 제 2 절 석고 소성
      • 제 3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4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5 절 특수 첨가재
      • 제 6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7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8 절 석회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배연 탈황석고의 제조 및 소성
          • 제 2 절 석고의 입자크기 규제
          • 제 3 절 석고의 성분 분석
          • 제 4 절 특수 첨가재
          • 제 5 절 급결재에 대한 연구
          • 제 6 절 바닥 충격음 및 소음
          • 제 7 절 세라믹구들 및 시멘트몰탈의 특성분석
          • 제 8 절 원료의 원적외선 방사특성
          • 제 9 절 현장 시공
            • 제 4 장 결 론
              • Ⅱ 철근 부식 방지제 개선 및 성능 평가
                • 제 1 장 서 론
                • 제 2 장 실 험
                • 제 3 장 결과 및 고찰
                  • 제 1 절 SPS 용액에서의 철근의 부식현상 고찰 및 석고 첨가에 따른 pH 변화
                  • 제 2 절 자연전위 변화 및 표면 관찰
                    • 제 4 장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