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
2차년도 원전기자재 중소기업 마케팅지원사업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 Upload
    tranque

  • View
    235

  • Download
    5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중소기업 마케팅지원사업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

2014. 7. 31

Page 2: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목차

1.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 ········································ 1

1.1 주요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국내 주요 수출입업체 ··················· 1

1.2 제3의 통합검증기관 ··········································································· 62

1.3 KEPIC, ASME 개요 및 인증절차 ···················································· 138

Page 3: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

1.1 주요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국내 주요 수출입업체

1) 원전기자재 시장 수출현황

원전설비기자재 업체 중 절반 이상이 수출을 목적으로 하고 있어 원전설

비기자재가 국가별 전력산업화와 지역에 따라 장애요인만 완화된다면 원

전설비기자재들은 향후 상당한 국제시장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됨

⃝ 그러나 현 수준에서 수출에 성공한 업체는 1/3 수준에 불과하고 나머지

는 수출에 실패한 것으로 나타나 그만큼 원전설비기자재 산업에서 산업

특성상 수출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지원이 절실함

⃝ 원전설비기자재 수출 의향을 기업 규모별로 보면, 현재 수출중이거나 수

출을 시도한 적이 있는 업체 비중은 소기업이 가장 작으나 기업 규모가

작을수록 수출 의향이 큰 것으로 나타남

⃝ 이는 기업규모가 클수록 내수 시장을 주 타깃으로 하는 경향이 더 강하

며, 중소기업들은 수출 시장 개척을 통한 시장 확대 의지가 강한 것으로

조사됨

⃝ 그러나 소기업의 경우 수출 의향이 크게 낮으며, 이는 수출을 하기에는

기업 내부 역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됨

⃝ 원전설비기자재 수출 업체의 수출 비중은 기업 규모가 클수록 크며, 소기

업의 수출 비중이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중소기업들이 수

출 시장 개척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 중소기업에서 수출 비중이 크게 낮은 것은 원전설비기자재가 부품 혹은

단품으로 수출되기 어려운 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중소기업의 수출 확

대는 결국 Package 혹은 턴키 방식의 수출만이 방법이 없다는 증거

Page 4: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

- 2 -

⃝ 즉, 중소기업의 수출 확대를 위해서는 국가 혹은 산업 차원에서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협력이 필요한 산업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하며 국내 대

기업, 중소기업 간의 상생 관계가 잘 형성된다면 이러한 산업 특성을 잘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확대만이 아니 우리나라 원전설비 기자재 산

업의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을 것임

현재 국내 원전기자재 산업의 주요 수출시장

⃝ 원전설비기자재의 주요 수출선은 동남아와 중동이며, 미국과 일본 등 선

진국도 우리나라 원전설비기자재의 주요한 수출선임

⃝ 원전설비기자재 수출선을 기업 규모별로 보면, 소기업은 동남아와 일본

지역에 수출을 가장 많이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기업에서는 중동

지역과 중국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수출선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 반면 중견기업은 미국과 인도가 중요한 수출선이고, 대기업은 미국이 중

요한 수출선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1-1) 수출확대모색

원전설비기자재의 수출확대를 위해 중요한 전략 요인으로는 제품의 고품

질 및 저가격이 가장 중요하고, 그 다음으로 철저한 시장/수요조사와 전

출국의 규제 대응 능력, 해외 전담 조직의 역량 확보(해외 업무 경험 등)

등의 순으로 조사됨

⃝ 즉, 원전설비기자재의 수출 확대를 위해서는 시장 조사 및 정보 제공이나

진출국과의 협력 체계 강화, 현지 마케팅 활동 지원 등이 필요함

⃝ 원전설비기자재의 수출 확대를 위해 전략 요인별 중요도를 기업 규모별

로 보면, 소기업은 전반적으로 모든 전략 요인을 중요시하여 정책 수요가

크며, 중기업은 제품의 고품질 및 저가격을, 중견기업은 제휴/합자 기업

과의 공조와 진출국의 규제 대응능력을, 대기업은 철저한 시장/수요조사,

제품의 고품질 및 저가격, 제휴/합자 기업과의 공조 등을 상대적으로 중

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남

Page 5: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3 -

1-2) 공급체인별 수출 구조적 특징

원자력 계통, 원자로, 터빈, 해수순환펌프, 전력/전자케이블, 계장/계측설

비, 기타 펌프/여과기, 기계가공부품, 피복관, 보조건물 등은 수출업체 비

중이 상대적으로 적은 품목으로 보다 적극적인 수출 지원 혹은 장려가 필

요한 부문으로 나타나고 있음

2) 수출 경쟁력 현황

2-1) 경쟁 수준

원전설비기자재 업체들은 비교적 높은 국제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며, 가격

경쟁력보다는 품질경쟁력과 기술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원전설비기자재 산업에서는 품질경쟁력과 기술경쟁력 강화의 필요성도

있지만 상대적으로 가격경쟁력확보가 더 크게 요구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 원전설비기자재의 경쟁력 수준을 기업 규모별로 보면, 기업 규모가 작을

수록 기술경쟁력이 낮고, 대기업은 가격경쟁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중

소기업에 대해서는 기술 개발 지원을 통한 경쟁력 강화가 필요하고, 대기

업에서는 원가절감이나 비용절감과 관련된 지원을 통한 경쟁력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보임

2-2) 경쟁력 우선 확보 요소

원전설비기자재 산업에서는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고급 기술 인력의 확

보와 시장선점이 가장 중요하며, 그리고 지속적인 제품/기술의 혁신성과

기업 내부 역량을 강화하는 것도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 이는 상당 수준의 기술 확보가 이루어져 있으므로 무엇보다도 단기간에

필요 인력을 확보하여 시장이 요구하는 시점에서 우선적으로 해외 진출

을 하는 것이 최선의 수출 확대 전략이며, 그 다음으로 내부적 요소인 제

품/기술 혁신성과 기업 내부 역량강화가 중요함을 말함

Page 6: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

- 4 -

⃝ 특히 고급 기술 인력의 단기간의 확보는 우리로서는 시장선점이나 적시

공급에서 매우 중요한 현안이며, 인력 양성을 통한 공급은 현실적으로 상

당한 시간을 요구하는 것임을 감안하면 개방형 기술 혁신 체계의도입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음

⃝ 범세계적인 고급 인력들의 활용이나 전 세계적으로 흩어져 있는 우리나

라 기술자들을 적극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여 인력난 해소나 경쟁력 확

보를 도모할 필요가 있음

⃝ 원전설비기자재의 경쟁력 확보 요소를 기업 규모별로 보면, 공통적으로

고급 기술 인력의 확보를 중시하고 있는 가운데 소기업과 중소기업은 제

품/기술의 혁신성, 기업 내부 역량 강화, 자금력 확보를 상대적으로 더

중요시하는 반면, 중견기업과 대기업은 시장 선점을 상대적으로 중요시

하는 것으로 조사됨

Page 7: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5 -

3) 수출유망품목 LIST

3-1) 수출유망품목 LIST 개요

수 출 유 망 품 목 L I S T 개 요

개요

⃝ 아래의 원전 기자재는 한국수력원자력(주)에서 수입해서 사용하는 제품

들과 국내에서 제조 성공 시, 바로 장기 벤더 등록을 보장하고 역수출

전망이 밝은 품목을 정리해놓은 것임

⃝ 하기의 원전기자재 품목 51가지는 국산화를 목표로 하는 제품으로, 원

전 당 수량이 많이 필요한 품목보다 하나가 필요하더라도 금액이 고가

인 원전 기자재의 국산화를 선호함

품질등급 구분 방법

⃝ 원자력 품질 등급은 Q(안정성 등급 : 고장 또는 결함 발생 시 일반인

에게 방사선 장애를 직간접적으로 미칠 가능성이 있는 원자로 및 원자

로의 안전관련 계통, 기자재 및 용역), T(안전성영향 등급 : 고장 또는

결함 발생 시 일반인에게 방사선 장애를 직간접으로 미칠 가능성이 있

는 원자로 및 원자로의 안전관련 계통, 기자재 및 용역), R(신뢰성 등

급 : 고장 또는 결함발생시 전력설비의 운영에 영향을 주거나 대규모

의 복구작업이 필요한 품목 또는 용역), S(일반산업 등급 : Q, T 및 R

등급으로 분류되지 않는 모든 품목 및 용역)에서 Q(안정성 등급 : 이

전 Q등급), A(안정성 등급 : 이전 대부분 T, 일부 R등급), S(일반산업

등급 : 이전 S, 대부분 R등급)으로 변경되었음

Page 8: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

- 6 -

3-2) 한국수력원자력(주) 국산화 추진 수입 원전기자재 품목

표1: DIFF EXP DETECTOR

분류 계측 설치기기 저압 터빈 자재번호 400018508 품질등급 S

자재규격

- 타입(TYPE) DIFF

- 기능(FUNCTION) LP SHAFT ABS EXPANSION

- 입력 데이터 -16~+30mm

- 출력 데이터 -235~+262mV

- 온도 200DEG C

- 운전 방법 24VDC/60Hz

- 설치기기 정보 VERTICAL MOUNTING

적용 발전소 울진 1 발전소호기 당

설치수량1

담당부서 기술실 / 계측제어팀 INC CODE

61282

[변환기, 선형

변위측정용]

적용기술기준 IEEE 336

기타

설치기기

정보

DIFFERENTIAL LP EXPANSION

Page 9: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7 -

표2: LIQUID METER(TURBINE METER)

분류 계측 설치기기액체방사선

폐기물처리계통자재번호 400018251 품질등급 S

자재규격

- 타입(TYPE) LIQUID

- 타입1(TYPE) END FITTINGS AND FLANGES

- 사이즈 2″

- END CONNECTIONS 3″150# RF 리

- 몸체재질 316SS/EPT 0-RINGS

- 베어링 재질 440C SS BALL BEARINGS

- 기타PGS-HP PULSE TRANSMITTER WITH

RADIATION RESISTANT COIL

적용 발전소 고리 2 발전소호기 당

설치수량1

담당부서 기술실 / 계측제어팀 INC CODE61955

[계기, 다중눈금식]

적용기술기준 IEEE-323

기타

설치기기

정보

RLS DRN TK PUMP DISCH HDR FLOW

LRS ADSORPTION INLET FLOW TX

Page 10: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

- 8 -

표3: PROBE

분류 계측 설치기기 노내 핵계측계통 자재번호 400008260 품질등급 S

자재규격

- 단위품명(별칭) IN-CORE DETECTOR CABLE ASS'Y

- 타입(TYPE) IN-CORE DETECTOR CABLE ASS'Y

- 규격 O.D : 0.75, 4.76

- 재질(MATERIAL) PROBE : S.S(Z2 CN 18.10)

- 전기 데이터 150 ~ 200VDC

- 탐침(PROBE) 데이터 FILLING GAS(ARGON 99.9995%)

- 방사능(RADIATION) 규모

(SCALE)URANIUM 90% IN U235

- 연결(CONNECTION) 데

이터COAXIAL CABLE

- 부속품목1 C/W CABLE ASSY

- 특수사항 CABLE LENGTH : 54METER

- 품질서류1 CERTIFICATE OF CONFORMANCE

- 품질서류2 TEST REPORT

적용 발전소 고리 2 발전소호기 당

설치수량4

담당부서 기술실 / 계측제어팀 INC CODE322

[케이블, 전력용]

기타

설치기기

정보

DRIVE A DETECTOR

DRIVE B DETECTOR

DRIVE D DETECTOR

DRIVE C DETECTOR

Page 11: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9 -

표4: PZR LEVEL TRANSMITTER

분류 계측 설치기기 가압기수위전송 자재번호 200383501 품질등급 Q

자재규격

- 타입(TYPE) LIQUID

- 측정범위 0~110MBAR FOR 4~20

- 입력 데이터 862.9~390.1MBAR

- 출력 데이터 4~20

- 전기 데이터 20~45V

- 압력 3000PSIG, 20.68 G

- 동체(BODY) 또는 해드재질 SUS316

- 다이아프램 재질 SUS316

- 충진(FILL) 데이터 SILICONE OIL FILLED

- 송신기(TRANSMITTER) 데이터 2 WIRE

- 연결(CONNECTION) 데이터 QUICK DISCONNECT, 1/4 IN NPT

- 설치기기 정보 2 IN PIPE MOUNTING

- 부속품목1 2*4PIN CONN, PIPE MTG BRACKET

- 품질서류1 C OF C, CALIBRATION REPORT

적용 발전소 울진 3 발전소호기 당

설치수량9

담당부서 기술실 / 계측제어팀 INC CODE03375

[전송기, 압력]

적용기술기준 ASTM, IEEE

기타

설치기기

정보

PRESSURIZER LEVEL 1P

PRESSURIZER LEVEL 2P

PRESSURIZER LEVEL 3P

Page 12: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

- 10 -

표5: SSPS RELAY-ROTARY

분류 계측 설치기기 원자로 보호계통 자재번호 200146130 품질등급 Q

자재규격

- 단위품명(별칭) SSPS RELAY-ROTARY

- 타입(TYPE) NON-LATCHING

- 코일(COIL) 전압 118VAC

- 코일(COIL) 저항 66Ω±10% TOTAL

- 주파수 60

- 위상(PHASE) 수 OPERATE TIME : 20 MAX

- 전극(ELECTRODE) 개수 RELEASE TIME : 34 MAX

- 복귀방법 전기적(원방)

- 접촉 최대전류DROP OUTPUT VOLT : 12VAC OR

MORE

- 접촉 최대전압PULL IN VOLTAGE : 94VAC OR

LESS

- 접촉자(CONTACT) 데이터 8PDT(8 FORM C)

- 설치기기 정보 PNL MTG

- 특수사항 SUPPLY : 27 SCREWS

- 품질서류1 C OF C

적용 발전소 고리 2 발전소호기 당

설치수량88

담당부서 기술실 / 계측제어팀 INC CODE03890

[계전기, 회전식]

기타

설치기기

정보

원자로 보호계통

Page 13: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1 -

표6: PRESSURE TRANSMITTER

분류 계측 설치기기제1정지계통

(유량)자재번호 200338109

품질등

급Q

자재규격

- 타입(TYPE) DP

- 측정범위 0~17 TO 0~100 PSI

- 출력 데이터 4~20

- 압력 2000PSIG

- 다이아프램 재질 316L SST

- 충진(FILL) 데이터 SILICONE OIL

- 송신기(TRANSMITTER) 데

이터200~700

- 품질서류1 CERTIFICATE OF CONFORMANCE

적용 발전소 월성 2 발전소호기 당

설치수량12

담당부서 기술실 / 계측제어팀 INC CODE03375

[전송기, 압력]

적용기술기준NEMA IC-56 NEMA 250 ISA-S26-1968(ISA)

S&2-01(ANSI) S&2-03(ANSI) 323(IEEE)

기타

설치기기

정보

제1정지계통 냉각재 D,E,F, 유량채널 전송기

Page 14: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

- 12 -

표7: SOLENOID OPERATED VALVE

분류 계측 설치기기 격남용기 열제거계통 자재번호 200379531 품질등급 Q

자재규격

- 밸브사이즈 1/2 IN

- 밸브재질 ASME SA479 TYPE 316

- 정격전압 125 VDC

- 사용압력(상한) 5~60 PSIG

- 밸브접속타입 1/2 IN

- 사용매체 AIR

- 밸브운전방법 FAIL OPEN

- 특수사항 NEMA4

- 적용기술기준 CLASS H INSULATION

- 품질보증서류 CERTIFICATE OF CONFORMANCE

- 시험성적서류 TEST REPORT

적용 발전소 고리 2 발전소호기 당

설치수량4

담당부서 기술실 / 계측제어팀 INC CODE10998

[밸브, 솔레노이드]

적용기술기준 IEEE-323, 344

기타

설치기기

정보

CTMT PR TX

CTMT WIDE PR TX

CTMT AMBIENT PRESS TR

Page 15: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3 -

표8: TIMER

분류 계측 자재번호 200338792 품질등급 A

자재규격

- 타이머용도 시간조절형

- 타이머타입 COUNTER/TIMER

- 시간범위 0~990SEC

- 정격전압 48VDC

- 연결전압 16 PIN

- 표시장치타입 3 DIGIT

- 특수사항 3 MODE

- 품질보증서류 CERTIFICATE OF CONFORMANCE

적용 발전소 울진 1 발전소호기 당

설치수량10

담당부서 기술실 / 계측제어팀INC

CODE

4842

[타이머, 시간조절형]

기타

설치기기

정보

TIME DELAYED DE ENERGIZING FOR INSERTION

TIME DELAYED DE ENERGIZING FOR RESET SEC

Page 16: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

- 14 -

표9: 차압전송기

분류 계측 설치기기 Cavity Leak Detection 자재번호 400016422 품질등급 A

자재규격

- 전송기타입 DIFFERENTIAL PRESSURE

- 측정범위(상한) 0~10 TO 0~400 INCHES

- 출력전류 4~20 MA

- 사용압력(상한) 13.1 MPAG

- 사용온도(상한) 70

- 프로세스 연결사이즈 1/4 IN

- 프로세스 연결타입 NPT

- 부속품목 REMOTE AMPLIFIER

- 적용품질기준 CSA N285.0 CLASS 3

- 품질보증서류 CERTIFICATE OF CONFORMANCE

적용 발전소 월성 2 발전소호기 당

설치수량8

담당부서 기술실 / 계측제어팀 INC CODE03375

[전송기, 압력]

적용기술기준 CSA N285.0 CLASS 3

기타

설치기기

정보

3523-PT33 SNOUT LEAK DETECTION_HD7

3523-PT33 SNOUT LEAK DETECTION_HD5

3523-PT033 H2-Cavity Leak Detection

3523-PT033 H3-Cavity Leak Detection

3523-PT33 SNOUT LEAK DETECTION_HD3

3523-PT33 SNOUT LEAK DETECTION_HD6

Page 17: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5 -

표10: 초음파 감지센서

분류 계측 설치기기 음향누설감시계통 자재번호 200163658 품질등급 A

자재규격

- 타입(TYPE) ACOUSTIC EMISSION TRANSDUCER

- 연결(CONNECTION) 데

이터JAEGER PULG MALE 3 PINS 532853

- 측정범위 200~400

- 응답 시간 RESPONSE FREQUENCY : 300

- 특수사항LENGTH : 1.5M, TEMPERATURE :

310

- 품질서류1 C OF C, TEST REPORT

적용 발전소 울진 1 발전소호기 당

설치수량32

담당부서 기술실 / 계측제어팀 INC CODEF4307

[변환기, 전기용]

적용기술기준 IEEE 336

기타

설치기기

정보

SENSOR SUPPORY STAND

ACCUSTIC TRANSDUCER - CH.1~CH.16

Page 18: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

- 16 -

표11: SOLENOID VALVE

분류 계측 설치기기화확 및 체적제어계

통, 안전주입계통자재번호 200227967 품질등급 A

자재규격

- 단위품명(별칭) 3WAY SOLENOID VALVE

- 운전방법 MANUAL OPERATED

- 재질(MATERIAL) BRASS

- 타입(TYPE) 3WAY

- 규격 3/8IN

- 압력 250 PSI MAX

- 온도 32~140DEG F

- 전기 데이터 125VDC

- 유량(FLOW RATE) ORIFICE SIZE : 5/8IN

- 솔레노이드 개수 SGL

- 디스크 재질 ETHYLENE PROPYLENE

- 피스톤 재질 SPRING : 302SS AND 17-7 PH

- 설계 매체1 OIL OR AIR

- 밸브 데이터 CV 3 FLOW FACTOR

- 연결(CONNECTION) 데

이터3/8IN FEMALE NPT

- 품질서류1 C OF C

- 품질서류2 TEST REPORT

적용 발전소 고리 2 발전소호기 당

설치수량60

담당부서 기술실 / 계측제어팀 INC CODE10998

[밸브, 솔레노이드]

적용기술기준 IEEE-323, IEEE-344

기타

설치기기

정보

MAKE-UP to C

BTRS INLET ISOL

THML REGENT DE

THML REGENT DEM RETURN HDR

ACCUM TANKS N

Page 19: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7 -

표12: LOCAL DISPLAY UNIT

분류 계측 설치기기액체 방사선

감시기 측정박스자재번호 200387205 품질등급 A

자재규격

- 타입(TYPE) CURRENT TO PURSE CONVETER

- 규격 524.5*465*218

- 주파수 60

- 기능(FUNCTION) LOCAL DISPLAY UNIT

- 연결 전기 데이터 120VAC

- 설치기기 정보 WALL MTD

- 부속품목1WATER TIGHT &

DECONTAMINABLE BOX

- 품질서류1 CERTIFICATE OF CONFORMANCE

적용 발전소 울진 1 발전소호기 당

설치수량1

담당부서 기술실 / 계측제어팀 INC CODE36647

[전자 모듈, 표준화형]

적용기술기준 IEEE 336

기타

설치기기

정보

GAMMA ACT OF LIQUID WASTE FROM ATE

Page 20: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

- 18 -

표13: 레벨스위치

분류 계측 설치기기탱크 수위 측정

(Float type)자재번호 200136502 품질등급 A

자재규격

- 동체(BODY) 재질 CS BODY

- 전압(VOLTAGE) 48VDC

- 전류 2A

- 접촉자(CONTACT) 데이터 1DPDT

- 구동(ACTUATION) 방법 FLOAT ACTUATION

- 구동기혹은탐침(PROBE) 재질 SUS316 FLOAT

- 환경보호 NEMA 4

- 특수사항 FXD DEADBAND

- 품질서류1 C OF C, O&M

적용 발전소 월성 2 발전소호기 당

설치수량26

담당부서 기술실 / 계측제어팀 INC CODE37187

[스위치, 레벨용]

적용기술기준 CSA TYPE 4X

기타

설치기기

정보

고압가열기 5A 고수위 스위치

RCW 팽창탱크 저수위

복수기 2 저수위

RCW 팽창탱크 저저수위

복수기 1 고수위

고압가열기 5B 고수위 스위치

고압가열기 5A 고수위 스위치

복수기 3 저수위

고압가열기 5A 저수위 스위치

RCW 팽창탱크 저수위

복수기 3 고수위

복수기 3 고수위

복수기 2 저수위

복수기 1 저수위

Page 21: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9 -

표14: LEVEL SWITCH

분류 계측 설치기기HTR 3A VERY

HIGH LEVEL자재번호 200135571 품질등급 R

자재규격

- 타입(TYPE) FLOAT, MAGNETIC

- 동체(BODY) 재질 SUS316

- 출력 데이터 DPDT RELAY

- 접촉자(CONTACT) 데이터 DPDT

- 구동(ACTUATION) 방법 SNAP-ACTING

- 품질서류1 CERTIFICATE OF CONFORMANCE

적용 발전소 월성 1 발전소호기 당

설치수량1

담당부서 기술실 / 계측제어팀 INC CODE37187

[스위치, 레벨용]

적용기술기준 ASME NQA-1

기타

설치기기

정보

4312-HTR 3A VERY HIGH LEVEL SWITCH

Page 22: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

- 20 -

표15: BEARING RING

분류 기계 설치기기MAIN FEEDWATER

PUMP자재번호 200323188 품질등급 S

자재규격

- 단위품명(별칭) LOOSE OIL RING

- 타입(TYPE) RING

- 내경 190

- 외경 219.8

- 폭(WIDTH) 19.9

- 재질(MATERIAL) BRS

- 부속품목1 HEXAGON GEAD CAP SCREWS 2

- 품질서류1 CERTIFICATE OF CONFORMANCE

적용 발전소 월성 1 발전소호기 당

설치수량6

담당부서 기술실 / 기계팀 INC CODE28

[링, 베어링, 내부용]

적용기술기준 ASME

기타

설치기기

정보

MAIN FEEDWATER PM 101

MAIN FEEDWATER PM 102

MAIN FEEDWATER PM 103

Page 23: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21 -

표16: ROTOR

분류 기계 설치기기

액체폐기물 계통

원심분리기 슬러지 이송

펌프

자재번호 200367811 품질등급 S

자재규격

- 단위품명(별칭) MONO ROTOR

- 타입(TYPE) LRS SLURRY PUMP

- 규격 20GRD 038-1S04 1.4571

- 품질서류1 CERTIFICATE OF CONFORMANCE

적용 발전소 영광 3 발전소호기 당

설치수량4

담당부서 기술실 / 기계팀 INC CODE36137

[로타, 펌프용]

기타

설치기기

정보

SLURRY PUMP MOTOR

Page 24: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

- 22 -

표17: NOZZLE

분류 기계 설치기기 가압기 안전밸브 노즐 자재번호 200392721 품질등급 Q

자재규격

- 단위품명(별칭) PZR PSV NOZZLE(SEAT)

- 타입(TYPE) SAFETY VALVE

- 압력 #2500

- 밸브규격 6 IN

- 품질서류1 CERTIFICATE OF CONFORMANCE

- 품질서류2 CERTIFIED MATERIAL TEST REPORT

적용 발전소 고리 2 발전소호기 당

설치수량12

담당부서 기술실 / 기계팀 INC CODE18310

[노즐, 분배기, 물용]

적용기술기준 ASME Sec.Ⅲ.DIV.1

기타

설치기기

정보

PZR SAFETY VALVE PSV-008

PZR SAFETY VALVE PSV-010

PZR SAFETY VALVE PSV-009

PZR RELIEF VALVE PSV-009

PZR SAFETY RELIEF VALVE

Page 25: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23 -

표18: ACCUMULATOR SEAL KIT

분류 기계 설치기기 주증기차단밸브 자재번호 200101765 품질등급 Q

자재규격- 작동압력 3000PSIG

- 품질서류1 CERTIFICATE OF CONFORMANCE

적용 발전소 고리 2 발전소호기 당

설치수량18

담당부서 기술실 / 기계팀 INC CODEF3015

[씰 세트]

기타

설치기기

정보

SG A MS ISOLATION VV

SG B MS ISOLATION VV

SG C MS ISOLATION VV

Page 26: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

- 24 -

표19: 방진기

분류 기계 설치기기 스너버 AD-150 자재번호 400021190 품질등급 Q

자재규격

- 타입(TYPE) 유압식

- 별칭 MECHANICAL SNUBBER ASSEMBLY

- 압력 RATED LOAD : 1500LBS

- 특수사항 STROKE : 3.91IN

- 품질서류1 HISTORY DOCKET

적용 발전소 월성 2 발전소호기 당

설치수량78

담당부서 기술실 / 기계팀 INC CODE19138

[완충기, 유압식]

적용기술기준 ASME Sec.Ⅲ.DIV.1 NF(1989)

기타

설치기기

정보

PHT PURIFICATION SYSTEM

SHUT DOWN COOLING SYSTEM

ECC SYSTEM

P & IC SYSTEM

Page 27: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25 -

표20: GLOBE VALVE

분류 기계 설치기기공기구동용

글로브밸브자재번호 200053906 품질등급 Q

자재규격

- 운전방법 AIR OPER, FAIL CLOSE

- 재질(MATERIAL) SA182 GR F316

- 타입(TYPE) BELLOWS SEAL GLOBE VALVE

- 규격 1/2 IN

- 디스크 재질SA479GR410 DELORO50

HARDFACING

- 스템(STEM) 재질 SUS

- 플랜지(FLANGE) 테이

블CL 150

- 연결(CONNECTION) 데

이터SW CONN SCH 40

- 특수사항 (VALVE+ACTUATOR) ASSEMBLY

- 품질서류1 C OF C

- 품질서류2 HISTORY DOCUMENT

적용 발전소 월성 1 발전소호기 당

설치수량4

담당부서 기술실 / 기계팀 INC CODE05485

[밸브, 글로브형]

적용기술기준 ASME

기타

설치기기

정보

GADOLINIUM INJECTION V/V

CP1 OUTLET BYPASS V/V

CP2 OUTLET BYPASS V/V

BORON INJECTION V/V

Page 28: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

- 26 -

표21: 스템

분류 기계 설치기기중수공급계통

수동 격리 밸브자재번호 200382706 품질등급 Q

자재규격

- 단위품명(별칭)BONNET BELLOWS STEM &

CONNECTOR

- 길이(LENGTH) 219.6 C.G OF VALVE

- 재질(MATERIAL) ASME SA564 GR630 COND1100

- 품질서류1CERTIFICATE OF COMFORMANC,

CMTR

- 품질서류2 NDE(UT & PT), DATA REPORT

적용 발전소 월성 2 발전소호기 당

설치수량4

담당부서 기술실 / 기계팀 INC CODE32528

[스템, 밸브용]

적용기술기준 CSA Z299.3

기타

설치기기

정보

중수공급계통

Page 29: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27 -

표22: 로커암

분류 기계 설치기기비상디젤발전기

엔진포핏밸브용 로커암자재번호 200000943 품질등급 Q

자재규격

- 단위품명(별칭) EXHAUST ROCKER ARM ASSEMBLY

- 품질서류1 C OF C

- 품질서류2 CMTR

- 품질서류3 NDE REPORT

적용 발전소 고리 1 발전소호기 당

설치수량55

담당부서 기술실 / 기계팀 INC CODE

60983

[로커암, 엔진 포핏

밸브용]

기타

설치기기

정보

D/G LB #1 ROCKARM & SUBCOVER

D/G LB #2 ROCKARM & SUBCOVER

D/G LB #3 ROCKARM & SUBCOVER

D/G LB #4 ROCKARM & SUBCOVER

D/G LB #5 ROCKARM & SUBCOVER

D/G LB #6 ROCKARM & SUBCOVER

D/G LB #7 ROCKARM & SUBCOVER

D/G LB #8 ROCKARM & SUBCOVER

D/G INTAKE AIR SILENCER Z188

Page 30: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

- 28 -

표23: SAFETY VALVE

분류 기계 설치기기붕산주입 모관

안전밸브자재번호 200382706 품질등급 Q

자재규격

- 단위품명(별칭) SAFETY VALVE ASS'Y

- 타입(TYPE) SAFETY VALVE ASS'Y

- 규격 3/4*1 IN

- 압력(PRESSURE) 범위 SET PR. 2735PSIG

- 품질서류1 C OF C, CMTR, NDE REPORT

- 품질서류2 TEST REPORT (HYDRO & SET PR.)

적용 발전소 고리 2 발전소호기 당

설치수량2

담당부서 기술실 / 기계팀 INC CODE05488

[밸브, 안전방출]

적용기술기준 ASME Sec.Ⅲ

기타

설치기기

정보

BORON INJECTION HEADER PSV

BORON INJECTION HEADER PSV

Page 31: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29 -

표24: 밸브 디스크

분류 기계 설치기기 가압기 안절밸브 자재번호 200392722 품질등급 Q

자재규격

- 밸브타입 SAFETY VALVE

- 밸브사이즈 6 IN

- 사용압력(상한) #2500

- 품질보증서류 CERTIFICATE OF CONFORMANCE

- 시험성적서류 CERTIFIED MATERIAL TEST REPORT

적용 발전소 고리 2 발전소호기 당

설치수량12

담당부서 기술실 / 기계팀 INC CODE35224

[디스크, 밸브용]

적용기술기준 ASME Sec.Ⅲ.DIV.1 NB

기타

설치기기

정보

PZR RELIEF VALVE PSV-008

PZR RELIEF VALVE PSV-009

PZR RELIEF VALVE PSV-010

PZR SAFETY VALVE

PZR SAFETY VALVE

Page 32: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

- 30 -

표25: VALVE

분류 기계 설치기기디젤발전기 연료

가압 안전방출자재번호 200359066 품질등급 Q

자재규격

- 단위품명(별칭) D/G F.O BACKPRESSURE REG.

- 재질(MATERIAL) CAST STEEL

- 규격 1(1/2) IN

- 압력(PRESSURE) 범위 0~40/

- 운전 압력 40/

- 설계매체1 F.O

- 연결(CONNECTION) 데이터 FLANGED CONNECTION

- 품질서류1 CERTIFICATE OF CONFORMANCE

적용 발전소 고리 2 발전소호기 당

설치수량32

담당부서 기술실 / 기계팀 INC CODE05488

[밸브, 안전방출]

적용기술기준 ASME NQA-1

기타

설치기기

정보

STANDBY DIESEL ENGINE 'A'

STANDBY DIESEL ENGINE 'B'

Page 33: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31 -

표26: EXPANSION JOINT

분류 기계 설치기기 비상디젤발전기 자재번호 200382574 품질등급 Q

자재규격

- 용도(USE) 배관용

- 타입(TYPE) EXPANSION JOINT (T/C)

- 연결(CONNECTION) 데

이터FLEXIBLE CONNECTOR(FLANGE)

- 기능(FUNCTION) EDG CHAMBER EXHAUST

- 부속품목1 CHAMBER ASM

- 특수사항 ADAPTER TO EXPANSION JOINT

- 품질서류1 CERTIFICATE OF CONFORMANCE

적용 발전소 고리 1 발전소호기 당

설치수량2

담당부서 기술실 / 기계팀 INC CODE

61414

[벨로우즈(주름관),

배관용]

적용기술기준 ASME Sec.Ⅲ

기타

설치기기

정보

EMER DIESEL GENERATOR #1

EMER DIESEL GENERATOR #2

Page 34: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

- 32 -

표27: 커플링

분류 기계 설치기기격납용기

열제거계통자재번호 200379531 품질등급 Q

자재규격

- 커플링재질 AISI 4140HT

- 직경 SHAFT SEPARATION SIZE : 16 IN

- 플랜지형태 FLANGE TO FLANGE SIZE : 15.59

- 특수사항 MAIN FEED PUMP COUPLING(K3)

- 품질보증서류 CERTIFICATE OF CONFORMANCE

- 시험성적서류 BALANCE REPORT, CMTR

적용 발전소 고리 2 발전소호기 당

설치수량5

담당부서 기술실 / 기계팀 INC CODE04459

[커플링, 플렉시블, 축용]

적용기술기준 ASME Sec.Ⅲ

기타

설치기기

정보

MAIN FEED PUMP TURBINE A

MAIN FEED PUMP TURBINE B

MAIN FEED PUMP TURBINE C

Page 35: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33 -

표28: 실린더 헤드

분류 기계 설치기기 비상 디젤 발전기 자재번호 200000824 품질등급 Q

자재규격

- 용도(USE) 디젤엔진용

- 실린더(CYLINDERS) 개수 16 EA

- 헤드(HEAD) 데이터 645E4B ENGINE

- 연결(CONNECTION) 데이터 LINER STUD

- 특수사항 ENGINE CY

- 품질서류1 CERTIFICATE OF CONFORMANCE

적용 발전소 고리 1 발전소호기 당

설치수량21

담당부서 기술실 / 기계팀 INC CODE61616

[실린더 헤드, 압축기용]

적용기술기준 ASME Sec.Ⅲ

기타

설치기기

정보

EMER DIESEL GENERATOR

Page 36: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

- 34 -

표29: SAFETY VALVE ASS'Y

분류 기계 설치기기원자로 냉각재펌프

열차폐벽 안전밸브자재번호 200395212 품질등급 Q

자재규격

- 단위품명(별칭) SAFETY VALVE ASS'Y

- 재질(MATERIAL) BODY SA216-WCB/FLANGE SA105

- 타입(TYPE) SAFETY VALVE ASS'Y

- 규격 3/4*1 IN

- 압력(PRESSURE) 범위 SET PR. 2500PSIG

- 품질서류1 C OF C, CMTR

적용 발전소 고리 2 발전소호기 당

설치수량3

담당부서 기술실 / 기계팀 INC CODE05488

[밸브, 안전방출]

적용기술기준 ASME Sec.Ⅲ

기타

설치기기

정보

RCP A THERMAL BARRIER PSV-434

RCP B THERMAL BARRIER PSV-432

RCP C THERMAL BARRIER PSV-430

Page 37: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35 -

표30: AIR STARTER MOTOR

분류 기계 설치기기 비상디젤발전기 자재번호 200001759 품질등급 Q

자재규격

- 타입(TYPE) DUAL AIR START MOTOR

- 설치기기 정보 BRACKE(LEFT BANK MOUNTED)

- 특수사항 645E4B ENGINE-LIST NO.B25

- 품질서류1 CERTIFICATE OF CONFORMANCE

적용 발전소 고리 1 발전소호기 당

설치수량4

담당부서 기술실 / 기계팀 INC CODE38478

[전동기, 공기식]

적용기술기준 ASME Sec.Ⅲ

기타

설치기기

정보

EMER DIESEL GENERATOR #1

EMER DG GEN UNIT TRAIN B

Page 38: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

- 36 -

표31: COOLING PUMP

분류 기계 설치기기 냉각수 펌프 자재번호 200197016 품질등급 Q

자재규격

- 단위품명(별칭) COOLING PUMP

- 용도(USE) ENGINE COOLING PUMP

- 타입(TYPE) RIGHT BANK PUMP

- 특수사항 R16, RIGHT BANK

- 품질서류1 CERTIFICATE OF COMFORMANCE

적용 발전소 고리 1 발전소호기 당

설치수량4

담당부서 기술실 / 기계팀 INC CODE14741

[펌프, 원심식]

적용기술기준 ASME Sec.Ⅲ

기타

설치기기

정보

EMER DG GEN UNIT TRAIN B

EMER DIESEL GENERATOR #1

AC SOCK BACK PP B

Page 39: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37 -

표32: 샤프트

분류 기계 설치기기모터구동

보조급수펌프자재번호 500021374 품질등급 Q

자재규격

- 단위품명(별칭) AF제 MOTOR DRIVEN SHAFT

- 용도(USE) MOTOR DRIVEN PUMP SHAFT

- 타입(TYPE) MSD CW

- 재질(MATERIAL) ASTM A479 T410

- 단자(END) 데이터1 PUMP HYDRAULIC : B

- 표면처리(FINISH) PUMP S/N : 1A849, 850, 851, 852

- 부속품목1 P/P DISCHARGE PIPE SIZE : 4 IN

- 부속품목2 P/P SECTION PIPE SIZE : 6 IN

- 부속품목3 P/P IMPELLER DIA SIZE : 10 IN B

- 특수사항 SULZER PUMP P/N : 204716774200

- 품질서류1 C OF C, CMTR

- 품질서류2 NDE REPORT(P.T TEST REPORT)

적용 발전소 고리 2 발전소호기 당

설치수량2

담당부서 기술실 / 기계팀 INC CODE22109

[샤프트, 직선형]

기타

설치기기

정보

AUX FW PUMP-A(MOTOR DRIVEN)

AUX FW PUMP-B(MOTOR DRIVEN)

Page 40: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

- 38 -

표33: SOLENOID OPERATED VALVE

분류 기계 설치기기비상디젤발전기

기동용공기차단밸브자재번호 200341140 품질등급 Q

자재규격

- 단위품명(별칭) D/G BLOCK VALVE AIR START

- 운전방법 AUTO

- 재질(MATERIAL) CAST STEEL

- 타입(TYPE) BLOCK VALVE-2WAY TYPE

- 규격 3 IN

- 압력 300 PSI

- 솔레노이드 개수 SGL

- 설계매체1 AIR

- 품질서류1 C OF C

- 품질서류 2 FUNCTIONAL TEST REPORT

적용 발전소 고리 2 발전소호기 당

설치수량32

담당부서 기술실 / 기계팀 INC CODE10998

[밸브, 솔레노이드]

적용기술기준 10CFR50 APP.B, ASME NQA-B

기타

설치기기

정보

STANDBY DIESEL GENERATOR A

STANDBY DIESEL GENERATOR B

Page 41: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39 -

표34: 다이아프램 밸브

분류 기계 설치기기원자로냉각재

분기과(2 inch) 격리자재번호 200395519 품질등급 Q

자재규격

- 단위품명(별칭) METAL DIAPHRAGM VALVE

- 운전방법 MANUAL

- 재질(MATERIAL) BODY ASME SA182-F316

- 타입(TYPE)Y-TYPE METAL DIAPHRAGM

VALVE

- 규격 2 IN

- 압력 CL 1680

- 다이아프램 재질 B637-UNS NO7718(INCONEL 718)

- 연결(CONNECTION) 데

이터WOCKWELD END

- 품질서류1 CERTIFICATE OF CONFORMANCE

적용 발전소 고리 2 발전소호기 당

설치수량21

담당부서 기술실 / 기계팀 INC CODE

13619

[밸브, 다이아프램,

개폐용]

적용기술기준 ASME Sec Ⅲ

기타

설치기기

정보

RCS LOOP2 HOT LEG TO RCDT PP ISOLATION V

RCP B TO RCDT PP VV

RCS LOOP2 COLD LEG TO DRAIN VV

Page 42: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

- 40 -

표35: GEAR PUMP

분류 기계 설치기기 비상디젤발전기(연료) 자재번호 200382567 품질등급 Q

자재규격

- 단위품명(별칭) FUEL MOTOR DRIVEN PUMP ASSY

- 운전방법 회전식

- 타입(TYPE) GEAR PUMP

- 설계 매체1 FUEL OIL

- 연결(CONNECTION) 데이

터COMMON MOTOR

- 펌프 데이터 FLEXIBLE HOSE

- 설치기기 정보 HORIZONTAL

- 특수사항 VIKING HEVY-DUTY PUMP

- 품질서류1 C OF C

적용 발전소 고리 1 발전소호기 당

설치수량2

담당부서 기술실 / 기계팀 INC CODE14741

[펌프, 원심식]

적용기술기준 ASME Sec Ⅲ

기타

설치기기

정보

EMER DG GEN UNIT TRAIN B

EMER DIESEL GENERATOR #1

Page 43: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41 -

표36: RACHET WHEEL

분류 기계 설치기기 터빈 자재번호 200003600 품질등급 A

자재규격

- 단위품명(별칭) FOR HP TBN

- 타입(TYPE) 슬라이딩 형

- 내경 350

- 외경 380

- 폭(WIDTH) 200

- 최소포장단위 SET

- 특수사항 AUTO CLUTCH

- 품질서류1 CERTIFICATE OF CONFORMANCE

적용 발전소 고리 1 발전소호기 당

설치수량3

담당부서 기술실 / 기계팀 INC CODE

61511

[톱니바퀴,

역회전방지형]

적용기술기준 ASME SECTION 3

기타

설치기기

정보

L.P TURBINE NO.1

L.P TURBINE NO.2

HP TBN

Page 44: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

- 42 -

표37: SEAL RING

분류 기계 설치기기원자로냉각재펌프

(RCP)자재번호 200318201 품질등급 A

자재규격

- 단위품명(별칭) RCP Seal-Rotating

- 타입(TYPE) ROT

- 샤프트 직경 199

- 씰 직경 10 Inch

- 유체종류 붕산수

- 재질 SiC

- 설계압력(psia) 2500

- 운전온도() 15.6 - 65.6

- 품질서류1 CERTIFICATE OF CONFORMANCE

적용 발전소울진 2,3발, 영광 2,3발,

신고리 1발, 신월성 1발

호기 당

설치수량5

담당부서 기술실 / 기계팀 INC CODE21205

[씰링, 금속제]

적용기술기준 ASME NQA-1, ASTM, ANSI/ASME B31.1

기타

설치기기

정보

REACTOR COOLANT PUMP

Page 45: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43 -

표38: 송풍기

분류 기계 설치기기윤활유 저장탱크

배기용 팬자재번호 200397875 품질등급 A

자재규격

- 단위품명(별칭) MF제-TBN L.O TANK 배기 FAN

- 타입(TYPE)DEVELOPMENT BLOWER-VAPOUR

EXT.

- 규격 1 1/2IN*1 1/2IN, ROOTS BLOWER

- 전력 0.75KW

- 전기 데이터 480V*3P*0.75KW*60

- 회전속도(ROTATIONAL

SPEED)1725RPM

- 유량(FLOW RATE) 46CFM AT 13.6INH2O

- 하우징 재질 ASTM A536 GR60-40-18

- 품질서류1 C OF C, CMTR, 비파괴시험보고서

- 품질서류2 열처리보고서, 치수검사보고서 등

적용 발전소 고리 2 발전소호기 당

설치수량6

담당부서 기술실 / 기계팀 INC CODE04262

[송풍기, 환기용]

적용기술기준 ASME PTC9, AMCA 210, ASME Sec.Ⅲ, ASTM A29 GR 4140

기타

설치기기

정보

MFWP "A"RESERVOIR VAPOR EXTRAC FAN

MFWP "B"RESERVOIR VAPOR EXTRAC FAN

MFWP "C"RESERVOIR VAPOR EXTRAC FAN

Page 46: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

- 44 -

표39: BEARING

분류 기계 설치기기 터빈 자재번호 200208836 품질등급 A

자재규격

- 단위품명(별칭) THRUST BEARING

- 타입(TYPE) THRUST

- 윤활 데이터 SK TBN OIL 32

- 품질서류1 C OF C, NDE REPORT

- 품질서류2 C OF C, MILL SHEET

적용 발전소 영광 1 발전소호기 당

설치수량3

담당부서 기술실 / 기계팀 INC CODE

13211

[베어링, 평면와셔형,

스러스트]

적용기술기준 ASME

기타

설치기기

정보

LP TRUBINE A

LP TRUBINE A

LP TRUBINE A

Page 47: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45 -

표40: BOWL

분류 기계 설치기기 수직 다단펌프 자재번호 200413289 품질등급 A

자재규격

- 단위품명(별칭) COP BOWL

- 용도(USE) PUMP, VERTICAL

- 타입(TYPE) STGS 2-8

- 재질(MATERIAL) ASTM A743 GR. CA6NM

- 품질서류1 C OF C, CMTR, NDE REPORT

- 품질서류2 HYDRO' TEST REPORT

적용 발전소 영광 1 발전소호기 당

설치수량28

담당부서 기술실 / 기계팀 INC CODE3948

[헤드, 살수기, 방화용]

적용기술기준 ASTM A743

기타

설치기기

정보

CONDENSATE PUMP A

CONDENSATE PUMP B

Page 48: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

- 46 -

표41: PUMP

분류 기계 자재번호 200383431 품질등급 A

자재규격

- 단위품명(별칭) BEARING OIL LIFT SYSTEM ASS'Y

- 형태(SHAPE) 회전식

- 타입(TYPE) GEAR PUMP

- 규격 754J180G03

- 유량(FLOW RATE) 3~5GPM

- 품질서류1 CERTIFICATE OF CONFORMANCE

적용 발전소 영광 1 발전소호기 당

설치수량1

담당부서 기술실 / 기계팀 INC CODE14741

[펌프, 원심식]

적용기술기준 ASME

기타

설치기기

정보

BEARING LIFT PUMP NO.1

Page 49: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47 -

표42: CYLINDER

분류 기계 설치기기 터빈밸브 구동기 자재번호 200007786 품질등급 A

자재규격

- 용도(USE) TBN VALVE ACTUATOR

- 실린더(CYLINDER) 액

션HYDRAULIC

- 스트로크(STROKE) 길이 10IN STROKE

- 구멍(BORE) 데이터 6IN BORE

- 품질서류1 CERTIFICATE OF CONFORMANCE

적용 발전소 영광 1 발전소호기 당

설치수량12

담당부서 기술실 / 기계팀 INC CODE31310

[실린더, 유체작동식]

적용기술기준 ASME

기타

설치기기

정보

LP REHEATER STOP VALVE

LP INTERCEPTOR VALVE

Page 50: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

- 48 -

표43: BEARING HOUSING

분류 기계 설치기기 주급수 펌프 베어링 자재번호 200418096 품질등급 A

자재규격

- 단위품명(별칭) BRG HOUSING, BOTTOM, NDE

- 재질(MATERIAL) BS1504 161A

- 샤프트(SHAFT) 직경 4.4955IN

- 품질서류1 CERTIFICATE OF CONFORMANCE

적용 발전소 고리 1 발전소호기 당

설치수량3

담당부서 기술실 / 기계팀 INC CODE30559

[베어링 하우징]

적용기술기준 ASME Sec.Ⅲ

기타

설치기기

정보

MAIN FEED WATER PUMP A

MAIN FEED WATER PUMP B

MAIN FEED WATER PUMP C

Page 51: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49 -

표44: IMPELLER

분류 기계 설치기기주급수공급라인

기동용펌프자재번호 200019594 품질등급 A

자재규격

- 임펠러용도 START-UP F/W PP

- 사용매체 CONDENSATE WTR

- 품질보증서류 C OF C, LP NDE REPORT(PT)

- 시험성적서류 CERTIFIED MATERIAL TEST REPORT

적용 발전소 고리 2 발전소호기 당

설치수량1

담당부서 기술실 / 기계팀 INC CODE10089

[임펠러, 펌프식, 원심식]

적용기술기준 ASME Sec.Ⅲ

기타

설치기기

정보

START-UP FEEDWATER PUMP

Page 52: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

- 50 -

표45: 감속기

분류 기계 설치기기 연료취급용 자재번호 200379702 품질등급 A

자재규격

- 감속기타입 RED

- 입력속도 1750RPM

- 비율(RATIO) 180-1

- 품질서류1 CERTIFICATE OF CONFORMANCE

적용 발전소 월성 2 발전소호기 당

설치수량4

담당부서 기술실 / 연료팀 INC CODE05372

[감속기]

기타

설치기기

정보

TRANSFER RAM

Page 53: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51 -

표46: CHECK VALVE

분류 기계 설치기기 TRF 헬륨냉동계통 자재번호 200395576 품질등급 T

자재규격

- 단위품명(별칭) DOULBE DISK CHECK VALVE

- 재질(MATERIAL) CARBON

- 타입(TYPE) DOUBLE DISK

- 규격 6 IN

- 압력 329. 4PSIA

- 온도 97.07

- 설계매체1 HELIUM GAS AND OIL MIXING

- 디스크 재질 CS

- 스템(STEM) 재질 SUS316

- 시트(SEAT) 재질 NEOPRENE

- 트림(TRIM) 재질 SUS316

- 본네트(BONNET) 데이터 ASTM A216 WCB

- 연결(CONNECTION) 데이터 FLAT FACE

- 품질서류1 CERTIFICATE OF CONFORMANCE

- 품질서류2 VALVE LEAK TEST REPORT

적용 발전소 월성 1 발전소호기 당

설치수량2

담당부서 기술실 / 기계팀 INC CODE05487

[밸브, 체크형]

적용기술기준 ASTM

기타

설치기기

정보

E-1401 HE OUTLET CHK. V/V

E-1001 HE OUTLET CHK. V/V

Page 54: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

- 52 -

표47: BELLOWS VACUUM PUMP

분류 기계 설치기기TRF TGHS

밸로우즈 진공펌프자재번호 200390333 품질등급 T

자재규격

- 형태(SHAPE) 진공펌프, 회전식

- 타입(TYPE) METAL BELLOWS

- 유량(FLOW RATE) 7.2/HR

- 입구(INLET) 규격 3/8 IN

- 출구(OUTLET) 규격 3/8 IN

- 설계 매체1 TRITIUM, AIR

- 모터(MOTOR) 타입 MAN

- 구동장치(DRIVE) 데이터 115VAC, 60, 1PH, 3/4HP

- 하우징 재질 CAST AL

- 연결(CONNECTION) 데

이터3/8 IN VCR

- 펌프 데이터 5~100(A)

- 설치기기 정보 HORIZ

- 특수 사항CHANGED IN/OUTLET

CONNECTIONS

- 적용 기술 기준 8609-70820-TS-003

- 적용 품질 기준 CSA Z299.3/ISO-9001

- 품질서류1 TEST REPORT

- 품질서류 CERTIFICATE OF CONFORMANCE

적용 발전소 월성 1 발전소호기 당

설치수량1

담당부서 기술실 / 기계팀 INC CODE14741

[펌프, 원심식]

적용기술기준 CSA Z299.3

기타

설치기기

정보

BELLOWS VACUUM P/P

Page 55: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53 -

표48: BUTTERFLY VALVE

분류 기계 설치기기 삼중수소제거설비 자재번호 200395526 품질등급 T

자재규격

- 단위품명(별칭)6″HIGH PERFORMANCE

BUTTERFLY

- 운전 방법 MANUAL OPERATED

- 동체(BODY) 재질 C.S ASTM A216-WCB

- 타입(TYPE) BUTTERFLY

- 규격 6 IN

- 압력 VACUUM~25BAR

- 온도 97.07

- 설계매체1 OIL/GAS(HE)

- 디스크 재질 SUS316, ASTM A351-CF8M

- 시트(SEAT) 재질 UHMWPE

- 트림(TRIM) 재질 CODE NO 106

- 스템(STEM) 혹은 샤프트

(SHAFT)17-4PH SS

- 끝단 연결 데이터 FF FLG

- 품질서류1 CERTIFICATE OF COMPLIANCE

- 품질서류2 VALVE LEAK TEST REPORT, CMTR

적용 발전소 월성 1 발전소호기 당

설치수량2

담당부서 기술실 / 기계팀 INC CODE05489

[밸브, 나비형]

적용기술기준 ASTM

기타

설치기기

정보

E-1401 TUBE OUTLET V/V

E-1001 TUBE OUTLET V/V

Page 56: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

- 54 -

표49: VALVE CAGE

분류 기계 설치기기 주증기 배수 밸브 자재번호 200055930 품질등급 R

자재규격

- 타입(TYPE) EQUAL.% MULTI FLOW

- 재질(MATERIAL) A276-420

- 밸브타입 GLOBE

- 밸브규격 100

- 적용기술기준 60463-5301

- 품질서류1 CERTIFICATE OF CONFORMANCE

적용 발전소 월성 2 발전소호기 당

설치수량4

담당부서 기술실 / 기계팀 INC CODE37291

[케이지, 밸브용]

적용기술기준 ASME ANSI ASTM

기타

설치기기

정보

DRIP LEG NO.14 & 15 DISCH TO CONDENSER

Page 57: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55 -

표50: MAGAZINE DRIVE CONTROL PACKAGE

분류 기계 설치기기 중수로 연료교환기 자재번호 200348346 품질등급 R

자재규격

- 용도(USE) 방향제어용

- 운전방법 SINGLE DIRECT ACTING

- 설계매체1 OIL

- 위치갯수 2POSN

- 솔레노니드 개수 SGL

- 코일(COIL) 전압 120VAC

- 품질서류1 C OF C, AS-BUILT DRAWING

- 품질서류2 PRESSURE TEST RPT, MTR

적용 발전소 월성 1 발전소호기 당

설치수량26

담당부서 기술실 / 연료팀 INC CODE

35377

[밸브, 회전식,

방향제어용]

기타

설치기기

정보

3524-PRV2-Magzine Drive Prr. Regulator

3524-FRV1-Controls Spee-Mag Rotation

3524-NV1-Hydraulic Locking for 3524-M1

3524-V6-Gauge Tap for Setting of PRV2

Page 58: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 56 -

2.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

표51: RELAY

분류 전기 설치기기복수펌프 유량

제어밸브자재번호 200224907 품질등급 R

자재규격

- 타입(TYPE) SIGNALLING & TRIPPING RELAY

- 규격 3U 6C

- 전류 5A

- 제어 전압 48DCV

- 코일(COIL) 저항 2020Ω

- 코일(COIL) 전압 48VDC

- 접촉자(CONTACT) 데이터 4CO/1NO

- 터미널(TERMINAL) 데이터 48VDC

- 계전기(RELAY) 데이터 1.6W*3.4H*5.2IN LG

- 설치기기 정보 PNL MTG

- 품질서류1 CERTIFICATE OF CONFORMANCE

적용 발전소 월성 2 발전소호기 당

설치수량260

담당부서 기술실 / 전기팀 INC CODE32512

[계전기, 전자식]

기타

설치기기

정보

복수펌프 재순환 유량제어밸브 열림 경보

탈기기 저장탱크 최고수위 스위치

복수기 저수위 제어 계전기

고압급수가열기 A 그룹 MV55/57 격리 경보

주증기 우회 밸브 열림 감지

Page 59: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57 -

4) 2014년 국내 원전기자재 주요 수출입 업체(2014년 부산국제원자력산업전 참가기업)

하기의 업체들은 2014년도 국내 원전기자재업체로써 가장 활발하게 수출입

활동을 행한 기업들임

4-1) 구주기술주식회사

2014년 부산국제원자력산업전

상 담 내 역- 한국수력원자력(주) 협력사 부스 내에 위치해 있었음

∙실리콘건설자재, 방재공사를 하는 업체로 국내 원전 밀폐공사에 참여하였음

∙미국 CURTISS WRIGHT Flow Control Company의 대리점을 담당하며

원자력 발전소에 HydraNut(유압너트)를 공급을 통해 원전의 정비시간

단축 및 피폭저감 효과에 도움을 주고 있음

- 원자력 발전소 공급 현황

연도 발전소 설치2006 고리 1, 2기 Turbine bearing keeper & housing

2008 고리 3기 PZ manway2008 한울 5기 Ventury block2009 한울 6기 Ventury block2010 한빛 1, 2기 Reactor head(Q Class)2011 한울 3, 4기 Reactor head(Q Class) / Ventury block2011 고리 3, 4기 Turbine stop v/v

2012 한빛 5, 6기 Ventury block2012 한울 Ventury block

- 인증 보유 현황

ASME NCA-4000/NCA-3800 MPT/MO ASME ISO-9001 Certification

NVLAP accredited Laboratory 10CFR50 Appendix B

10CFR71 Subpart H NQA 1

NUPIC audited SQIG audited

NIAC Audited

Page 60: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3. 국내외 주요기관 현황

- 58 -

4-2) (주)미래와도전

2014년 부산국제원자력산업전

상 담 내 역

- 한국수력원자력(주) 협력사 부스 내에 위치해 있었음

∙원자력 발전소 내 안전분석 및 기기적 결함, 방사능과 핵폐기물에 대한

분석을 담당하며 안전사고를 대비한 시스템을 개발 & 보유하고 있음

4-3) (주)와이즈산전

2014년 부산국제원자력산업전

상 담 내 역

- 원전 기자재 관련 부품 중 Pressure Gauge, Flow Restriction Element &

Venturi Tubes 등을 생산 하고 있으며, 영광 3,4,5,6기 울진 3,4,5,6기 신고

리 1,2기 신월성 1,2기,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리장 등에 납품 되었고,

신울진 1,2기, UAE 1,2,3,4기에는 납품 진행 중에 있음

∙압력시장에서 5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이전 명칭이 우진기기공업

(주)이었음

∙원전기자재 제품과 관련하여서는 원자력 품질인증을 획득하였음

- 원전기자재 산업과 관련하여 애로사항은 홍보이며 해외 전시회 참가를 통

해 홍보를 진행하고 있으며, 해외 대리점에 대한 애로사항도 있다고 밝힘

Page 61: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59 -

4-4) (주)진영정기

2014년 부산국제원자력산업전

상 담 내 역

- 금형가공제조업체이며 융합 금형 기술로 원자력연료 지지격자판을 생산하고 있음

∙3개의 국산화 개발(지지격자, 연료봉, 원자재) 중 지지격자 국산화의 성공

∙Westinghouse에서 수입하여 국산화, 양산까지 5년의 연구시간이 소요되었음

∙중성자 반응의 효율 및 안정성을 인정받아 2002년부터 Westinghouse에

역 수출 중인 것으로 답변함

- 원전기자재 R&D 애로사항으로는 계약기간이 짧은 것이 있었음

∙원전기자재의 계약기간은 최장 3년, 따라서 공격적 투자를 하지 못하며

이에 따라 품질 및 생산성이 저하

∙수출시 언어적 지원이 미비한 점도 애로사항으로 밝힘

4-5) 포스라인

2014년 부산국제원자력산업전

상 담 내 역

- EITITE의 대리점으로 550 이상을 견디는 고온 유압 너트를 판매하고 있음

∙유압너트의 특성상 압력을 이용하여 고정을 하기 때문에 일반 너트보다

안전함

- 원자력 발전소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

Page 62: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3. 국내외 주요기관 현황

- 60 -

4-6) 케이코텍(주)

2014년 부산국제원자력산업전

상 담 내 역

- 아치코트 제품을 배관에 페인트처럼 발라서 침부식 방지

∙일반 페인트가 아닌 유리조각으로 겹겹이 되어 있는 구조로 배관 내부

의 칠함으로써 물에 의한 침부식 속도를 늦춤

∙원자력 품질등급 Q Class 획득

∙2004년 이전까지는 보수용으로 사용되다 2004년 이후부터는 원전 건설

시 함께 사용되기 시작함

- 영국 Denso의 대리점으로 부식방지 테이프를 취급중

∙원전 외부 배관에 설치되므로 따로 원자력 품질 인증이 필요하지 않음

4-7) 디에스과학

2014년 부산국제원자력산업전

상 담 내 역

- (주)디에스과학은 분석기기 전문 개발 업체로 방사성 비활성 기체 제거 장

치를 연구 / 제조하고 있음

∙한국, 중국, UAE에 특허 출원

- 국내에서 해외로 수출할 계획을 목적으로 연구 / 개발을 하고 있음

Page 63: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61 -

4-8) (주)한국노드락(Sweden)

2014년 부산국제원자력산업전

상 담 내 역

- (주)한국노드락(Sweden)은 볼트 풀림 방지 장치를 생산하는 업체임

∙볼트와 너트 사이에 제품을 끼워 넣음으로써 마찰력을 증가시켜 풀림방지

∙원전 산업뿐 아니라 운송업, 해양플랜트, 광산업, 건축 / 교량, 조선엔

진, 중장비 차량 등 다양하게 사용 가능함

∙원자력 발전소와 크게 연관이 없는 일반 부품으로 원자력 품질인증이

필요하지 않음

- 한국수력원자력(주)에 (주)한국노드락(Sweden)의 볼트 풀림 방지 장치를

설명하였으나 유지 보수 및 점검을 자주하는 원자력 발전소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설명

Page 64: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3. 국내외 주요기관 현황

- 62 -

1.2 제3의 통합검증기관

2014.06월부터 총 11개 기관의 원자력 전문가에게 인터뷰를 시도했으며 이

중 모든 질문에 응답한 기관은 총 6군데임

⃝ 인터뷰에 응답한 곳은 하기 6개 기관으로 질의응답 시간은 평균 25분가

량으로 이는 질문에 대한 순수 응답시간임

<제 3 통합검증기관 관련 인터뷰 POOL>

인터뷰 기관(담당부서) 인터뷰 일시

한국원자력산업회의 2014.07.0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2014.07.07

한국수력원자력 구매사업단 SCM팀 2014.07.15

한국수력원자력 해외사업팀 2014.07.15

한국 원자력 통제 기술원 2014.07.17

한국전력기술 원전기기안전센터 2014.07.21

Page 65: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63 -

진행되었던 설문의 주요 안건은 크게 3가지로 첫째, 통합검증기관 설립에

대한 견해와 둘째, 수출 가능한 품목에 대한 의견, 마지막으로 검증기관이

어떠한 검증장비를 보유하고 있는지 조사하는 것이었음

⃝ 응답자 모두 모든 답변에는 답하지 못했으나 주요 안건인 통합검증기관

에 대해선 각자의 입장을 충분히 표명하였으며 국내 원전기자재 산업의

육성을 위한 통합검증기관 검토를 위한 초석을 마련할 수 있었음

⃝ 결론적으로 설립 자체에 대해 몇 가지 우려하는 바가 있었으나 모두 긍

정적인 반응이었음. 추측되는 애로사항은 하기와 같음

- 우려사항 1 : 기존의 검증기관들의 반발과 이를 설득할 논리, 아직 만연

해있는 소위 원전마피아의 존재

- 우려사항 2 : 검증을 위한 또 하나의 검증이 되어 업체들이 되려 부담을

느낄 수도 있음

- 우려사항 3 : 일반적인 시험테스트는 문제없으나 내 환경시험의 경우

Pre-Test 과정에서 제품에 손상이 갈 여지가 있음

- 우려사항 4 : 생각보다 안전등급 검증에 크게 수요가 없는 것이 또 하나

의 현실이며 검증기관이 되기 위해서는 고압의 Steam설비가 필요한데 고

가의 설비 구축이 관건

6개 기관의 전문가 모두 처음에는 회의적인 반응이었으나 설립 취지와 그

목적을 숙지하고 국내 Pre-Test 통합 검증 기관설립에 만장일치로 좋은 취

지라고 언급함

⃝ 그러나 상기의 몇 가지 애로사항에 대해선 반드시 해결하고 넘어갈 것을

거듭 강조했으며 또한 실 수혜자인 업체들의 수요가 많은지 파악하는 것

이 옳을 것으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바라봐야 할 것이라고 덧붙임

Page 66: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3. 국내외 주요기관 현황

- 64 -

특히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에서는 통합검증기관 설립 이전에 실질적으로 업

체들이 고충을 겪고 있는 쌓여있는 원전 기자재 재고 처리 방안이 현실적

으로 매우 중요하다고 언급하며 Auction과 같은 거래장터를 마련해야 한

다고 강조함

⃝ 기자재 업체들은 납품 대수를 맞춰 수요/공급자가 간의 활발한 구매행위

를 유도함으로써 원전기자재 유통을 활성화 하고 재고 처리하는 판매 기

업에게는 검증을 받은 제품의 날짜를 위조하여 판매하는 불법 관행이 없

어질 수 있도록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율적인 시스템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전함

⃝ 하기는 상세 인터뷰 내역임

Page 67: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65 -

안건.1 통합검증기관에 대한 견해

1. 실제 원전 기자재들은 검증을 받기 위해 많은 시간과 비용이 투자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만약, Pre-Test 개념으로 원전기자재를 제조하는 업체들이 실제 검증을 받기 전에 모

의 테스트를 받을 수 있다면, 그런 관련 통합검증기관이 설립된다고 가정할 때, 기존

의 인증체계에 미치는 여파, 통합검증기관의 실현가능성(업체 수요가 있을 것인가?)

안건.251개 품목 리스트(원전기자재 관련) 품목의

수출가능성 판단

1. 폐사가 기 확보한 51개 품목 이외에 수출 가능 품목에 대해 자문

(가능성확인)

2. 중소기업이 어떠한 원전기자재 품목을 제조하는 것이 차후에라도 수출 가능

성이 있을 것인지?(ex : 밸브류, 탱크류)

3. (중소기업이 직접 원전기자재를 수출할 수 있는 가능성은 희박하지만)수출가

능성이 있는 나라가 있다면?

안건.3 시험검증기기 보유기관

원전기자재 검증기관 및 보유장비 파악

1) 경북TP 2차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인터뷰 상세결과

[On/Off-line 인터뷰 설문지 양식]

Page 68: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3. 국내외 주요기관 현황

- 66 -

안건.1 통합인증기관에 대한 견해

1. 통합인증기관이 설립된다고 가정할 때, 기존의 인증체계에 미치는 여파, 통합

인증기관의 역할, 설립목적 및 실현가능성(업체 수요예측)

- 통합인증기관이라기 보다 통합검증기관이라는 표현이 적절함. 기존 검증체계에 미

치는 여파는 클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통합검증기관의 출현이 기존 검증기관들

의 수익 구조 약화를 초래하기 때문임. 현재 원자력 산업의 폐해는 소위 원전마피

아로 인한 시험성적서 조작, 업체의 자체 성적서 조작으로 인해 일어나고 있음

- 이를 뿌리 뽑기 위해서는 법 선결이 우선 시 되어야 하나 법제처를 움직이기 위

해서는 이들 기존 기관도 같이 설득해야 할지도 모름. 그러나 정식 통합검증기관

이 아닌 Pre-Test 검증을 해주는 단순히 도움을 제공하는 기관이라면 법안이 통과

되지 않아도 설립 가능할 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도 됨

- 통합검증기관의 역할은 크게 4가지로 나뉠 수 있음

1) 성적서 관리(진본인지 아닌지) 여부 파악 : 어느 기관도 성적서 진본 유무는 관

리 인력도 없고 하지도 않는 상황에서 가장 필요한 일

2) 원본대조가능

3) 기술, 학문적 도움

4) 국내에서 진행 불가능한 검증장비 Searching(외국만 보유한 장비)

5) 국내에서 검증수요가 많아 장비가 Capa가 넘칠 때, 해외장비 구입 혹은 대여하

여 검사 진행

- 기존 검증기관은 합격, 불합격 결과만 제공하는데 기술적으로 컨설팅도 제공할 수

있단 점에서 강점을 지님

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Interviewee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남대근 박사님, 김병준 박사님

진행시간 : 약 1시간 15분

인터뷰 진행형태 : 질의응답

Page 69: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67 -

2. 검증 test 진행범위는?

- Pre-Test의 형태로 진행되며 실제 검증이 한 번에 통과할 수 있도록 수 차례 시

뮬레이션을 진행할 것임. 재검증 비용은 실비용 보다 저렴하게 진행될 것임. 한

수원이나 정부 유관기관 차원에서 애초에 검증비용을 업체의 수준에 맞게 비용

현실화 시킨다면 가장 이상적임

안건.251개 품목 리스트(원전기자재 관련) 품목의

수출가능성 판단

1. 폐사가 기 확보한 51개 품목 이외에 수출 가능 품목에 대해 자문

(가능성확인)

- 한수원이 뽑았다면 국산화 및 수출이 가능한 품목일 수 있지만 범용품에 한해 원

전기기 자체에 대한 기술진입장벽은 낮을 수 있음. 기술이 부족해서 못 만드는 업

체도 존재하겠지만 대다수의 업체가 설비투자하여 제품을 만들어도 납품할 곳이

없거나 납품 대수가 한정적일 경우, 재고가 많이 쌓이게 되는데 이는 재무리스크

로 이어지게 되므로 섣불리 원전산업에 나서지 않는 것이라 판단됨

- 51개 품목에 대해서는 호기 당 설치대수가 작다고 혹은 많다고 해서 가치여부를 판

단할 수 없음. 숫자가 작아도 단가가 비싸면 가치 있고 얼마나 자주 교체될 수 있는

품목인지 여부에 따라 생산투자가 가능할 것임

- 남는 재고에 대한 해결방안은 Auction장을 만드는 것임. 일종의 쇼핑몰처럼 진행되

는데 판매자 입장에선 검증은 받았으나 납품할 곳을 찾기 힘들고 구매자 입장에서

한 곳에서 필요자재를 구입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유용하다고 생각됨

안건.3 시험검증기기 보유기관

원전기자재 검증기관 및 보유장비 파악

- Searching을 통한 정보검색 혹은 유무선 경로를 통해 획득할 수밖에 없음

Page 70: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3. 국내외 주요기관 현황

- 68 -

안건.1 통합인증기관에 대한 견해

1. 통합인증기관이 설립된다고 가정할 때, 기존의 인증체계에 미치는 여파, 통합

인증기관의 역할, 설립목적 및 실현가능성(업체 수요예측)

- 취지와 아이디어는 좋다고 생각한다. 연구개발을 목적으로 한다면 더욱 그러하다.

그러나 설립 조건에는 몇 가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 첫째, 실 검증 시, 완벽한 한 번의 통과를 위해 Pre-Test를 진행하다보면 오히려

필요 이상의 과도한 검증이 진행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둘째, Pre-Test 개념의 통합검증기관이 설립되고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이 Test범

주가 어떻게 될지는 모르겠으나 일반 성능만을 테스트하는 수준이 되어야 한다고

본다.

- 특히 내환경 시험을 진행하게 될 경우, 제품 테스트 시에 제품에 과도한 리스크를

주게 되어 실 검증 시 문제가 발생할지도 모르겠다.

- 실제로 통합검증기관이 설립되면 단순히 도움을 주는 기관을 넘어선 그 이상의

역할이 될 텐데 명확한 정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기존 기관의 반발을 우려

하는 느낌을 받았음)

- 원전에 적용되는 제품은 말 그대로 Customizing되는 특수한 제품으로 설치수량이

많지 않아 중소업체들이 시간 및 비용을 투자하기엔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 때문에 원전에만 사용되는 특수용도 이외에 타 산업에서도 광범위하게 쓰일 수

있는 제품이 필요하다.

1-2) 한국수력원자력 구매사업단 SCM팀

Interviewee : 한국수력원자력 구매사업단 SCM팀 최창연 차장님

진행시간 : 약 30분

인터뷰 진행형태 : 질의응답

Page 71: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69 -

안건.251개 품목 리스트(원전기자재 관련) 품목의

수출가능성 판단

1. 폐사가 기 확보한 51개 품목 이외에 수출 가능 품목에 대해 자문

(가능성확인)

- 국산화 추진품목을 국내 원전기자재업체들이 제작할 수 있는 기술조건은 충족한다

고 판단한다.

- 수출 가능성도 상대적으로 높다고 생각함. 기술이 뛰어난 중소기업들의 경우, Copy

만 잘한다면 리스트에 있는 대다수의 품목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다. 물론 국

내에서 제조된 적이 없는 스펙을 지닌 제품이라고 봄

- 그러나 대상 품목을 역수출 한다는 것은 지적재산권 문제 소지가 있으며 특히 미국

의 경우 그러한 관련 법규가 까다롭다. 타 국가는 잘 모르겠다.

- 리스트에 있는 품목 중 밸브는 특히 여러 종류가 존재하므로 수출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생각한다.

- 다른 품목에 대해서는 우위를 정할 수 없는 이유가 원자력 기자재만을 수출하여

집계된 통계도 따로 자료가 없기도 하지만 보통 타 산업(수력, 화력 혹은 플랜트

사업 등등 타 산업 포트폴리오)에 쓰일 용도로 제작되는 동일 형태의 제품이 많기

때문에 중소기업의 수출가능 품목을 잡기는 어렵다.

- Q-class 기준이 높은 제품에 대해서는 제작할 수 있는 기업이 많지 않으므로 이러

한 틈새를 중소기업들이 적극적으로 공략해야 할 것이다.

Page 72: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3. 국내외 주요기관 현황

- 70 -

안건.1 통합인증기관에 대한 견해

1. 통합인증기관이 설립된다고 가정할 때, 기존의 인증체계에 미치는 여파, 통합

인증기관의 역할, 설립목적 및 실현가능성(업체 수요예측)

- 좋은 비즈니스 혹은 지원 모델이라고 생각한다. 현재 품질 관련하여 안전등급

(Q-Class)을 제대로 검증할 수 있는 기관은 전 세계 딱 2군데 뿐이라고 생각한

다. 한 곳이 미국의 와일리 랩이며 나머지 한 곳은 독일은 TUV 라인란트이다.

- 중요한 것은 국내에서 생각보다 안전등급에 대한 수요가 많지 않다는 점이다. 안

전성에 대한 수요가 많지 않은데다가 제대로 된 검증기관이 되려면 높은 압력 테

스트 장비인 Steam 증기 설비를 갖춘 곳이여야 하는데 여건이 쉽지 많은 않을

것이다.

안건 2.51개 품목 리스트(원전기자재 관련) 품목의

수출가능성 판단

1. 폐사가 기 확보한 51개 품목 이외에 수출 가능 품목에 대해 자문

(가능성확인)

- 현재 Westing House나 Areva에 등록된 한국 원전기자재 업체 수는 약 25~30군데

로 많지 않은데 아직까진 상기(Westing House나 Areva)에 벤더 등록하여 수출하

는 것이 현실적이다.

- 현재 일반 기계류는 경쟁밀도가 너무 높다. 오히려 계측기기나 열교환기나 탱크류

가 경쟁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1-3) 한국수력원자력 해외사업팀

Interviewee : 한국수력원자력 해외사업팀 정기준 차장님

진행시간 : 약 25분

인터뷰 진행형태 : 질의응답

Page 73: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71 -

안건 1. 통합인증기관에 대한 견해

1. 통합인증기관이 설립된다고 가정할 때, 기존의 인증체계에 미치는 여파, 통합

인증기관의 역할, 설립목적 및 실현가능성(업체 수요예측)

- 우선 원자력산업회의는 국내 원전산업체계를 정립하는 일이 기관의 목적으로 인

터뷰 항목과는 연관성이 없는 것 같음

- 중소기업을 위한 실질적인 도움을 위해 검증과 관련한 일이 많이 회자되고 있다면

전문가 차원에서 논의가 많이 이뤄져야 하는 것은 당연할 일임. 그러나 예민한 사항

으로 언급으로 인한 여파가 있을까 우려됨

안건 2.51개 품목 리스트(원전기자재 관련) 품목의

수출가능성 판단

1. 폐사가 기 확보한 51개 품목 이외에 수출 가능 품목에 대해 자문

(가능성확인)

- 냉각재펌프 RC, 계측제어 MMIC, 노심설계 코드 쪽 제품은 국내에서 제조한다면

수출가능성이 높을 수 있음

- 다른 기술(화력 혹은 타 산업)로의 파급효과 여부를 따졌을 때, 기술지원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중소기업이 해당 품목을 설계 및 투자 시 적극적으로 도움을

주어야 함

1-4) 한국원자력산업회의 산업진흥실

Interviewee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산업진흥실 김학모 실장님

진행시간 : 약 30분

인터뷰 진행형태 : 질의응답

Page 74: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3. 국내외 주요기관 현황

- 72 -

안건.1 통합인증기관에 대한 견해

1. 통합인증기관이 설립된다고 가정할 때, 기존의 인증체계에 미치는 여파, 통합

인증기관의 역할, 설립목적 및 실현가능성(업체 수요예측)

- 개인적으로 실현되면 좋을 것이라고 판단한다. 통합검증기관이 만약에 설립된다면

사실 우리가 일이 편한 점도 있어 오히려 좋을 수 있음. 그러나 업체들 입장에서

는 통과해야 하는 또 하나의 관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음

EC21 : (도움을 주는 형태의 사업체이고 제품 검증은 업체 자율이다.)

한국전력기술 : 공식화 되고 Issue가 되면 필수적으로 거쳐야 하는 절차가 될 수도 있다.

안건.251개 품목 리스트(원전기자재 관련) 품목의

수출가능성 판단

1. 폐사가 기 확보한 51개 품목 이외에 수출 가능 품목에 대해 자문

(가능성확인)

- 참고로 한국전력기술은 애초에 구매할 때에, 약 40~60년 정도 사용할 수 있는 제

품을 구매함

- 중소기업이 수출가능 회사가 되기 위해서는 품질관리 업체가 되어야 하고 만약 해

결되면 중소기업도 충분히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음

- 가격경쟁력이 있어 대기업도 입찰서에 싼 가격을 내어 팔아 중소기업이 설 자리가

없는 것이 현실이다.

1-5) 한국전력기술 원전기기안전센터

Interviewee : 한국전력기술 원전기기안전센터 최OO 차장님

진행시간 : 약 15분

인터뷰 진행형태 : 질의응답

Page 75: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73 -

안건.1 통합인증기관에 대한 견해

1. 통합인증기관이 설립된다고 가정할 때, 기존의 인증체계에 미치는 여파, 통합

인증기관의 역할, 설립목적 및 실현가능성(업체 수요예측)

- Pre-Test 검증기관이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1차적인 문제점은 기존 검

증기관들의 부정적인 견해일 것임. 그런 이해관계를 어떻게 풀어나갈 것인지에

대한 해결방법이 필요함

안건.251개 품목 리스트(원전기자재 관련) 품목의

수출가능성 판단

1. 폐사가 기 확보한 51개 품목 이외에 수출 가능 품목에 대해 자문

(가능성확인)

- 수출가능 품목은 2차 품목인 배관, 밸브 쪽이라고 생각하는데 1차 계통 품목은

이미 Major업체들이 많아 진출이 힘들 것으로 예상됨

1-6)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수출통제실

Interviewee :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김종숙 수출입통제실장

진행시간 : 약 15분

인터뷰 진행형태 : 질의응답

Page 76: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3. 국내외 주요기관 현황

- 74 -

1.3 KEPIC, ASME 개요 및 인증절차

1) KEPIC(Korea Electric Power Industry Code : 전력산업기술기준)

KEPIC 자격인증(인정)

⃝ 전력설비(특히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 및 신뢰성 확보를 위하여 일정한

자격을 갖춘 조직 및 인원이 KEPIC에서 규정한 업무를 수행하도록

KEPIC 주관기관인 대한전기협회가 그 자격을 평가 및 관리하는 인증제도

⃝ 국내에서 적용하던 외국 기술표준에 의한 제도를 참조하여 우리 실정에

맞도록 제도화 함

- 권한이 없는 외국 제도를 국내에서 적용해야 하던 모순 개선

- 국내기관에 의한 인증제도 운영으로 관련 정보입수 및 자격취득 용이

- 각종 외국 자격 취득 및 유지에 소요되는 비용 절감

KEPIC 자격인증제도의 종류

⃝ 조직에 대한 자격인증 : 발전사업자, 설계자, 제조자, 시공자, 재료업체, 역

무업체 / 공인검사기관 압력방출장치(안전밸브)

시험 및 용량인증 기관 / 기기검증(EQ) 기관

⃝ 개인의 자격인정 : 공인검사감독원 /공인검사원 / 등록기술자

Page 77: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75 -

출처 : 전력산업기술기준

그림 1. KEPIC 인증제도의 목적

⃝ 원전 참여조직에 대하여 KEPIC 위원회가 승인한 전문 심사반이 품질시

스템을 심사, 평가하여 품질보증능력을 확인 후 자격인증서 발행

⃝ 설계단계에서 등록기술자가 설계시방서, 설계보고서 등의 주요 설계문서

들이 KEPIC에 따라 작성 되었는지를 확인 후 인증(소정의 등록기술자

스탬프 날인)

⃝ 압력용기 제조 및 시공과정에서 공인검사원이 재료, 용접, 열처리, 비파괴

검사, 수압시험 등의 공정이 KEPIC 요건을 준수하는지를 공인검사 완료

후 자료보고서 서명 및 명판에 KEPIC 상징스탬프를 각인

⃝ KEPIC 자격인증제도는 규제기관 및 사업자와는 별도로 제3자의 입장에

서 산업계가 KEPIC을 준수하는지를 확인하여 전력설비(특히, 원전)의 안

전성 향상에 기여하기 위한 제도임

KEPIC 분류기호 및 구성

⃝ 영문 대문자 3 자로 구성되며 기술기준의 범위 및 특성과 관련 기술기준

과의 상관관계에 따라 대분류, 중분류 및 소분류로 분류

M N B

소분류 (단위기준별 특성 또는 순서)

중분류 (분야별 단위기준의 적용범위 및 특성)

대분류 (분야)

Page 78: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3. 국내외 주요기관 현황

- 76 -

- 대분류 : 관련 영문 첫자 사용

Q(Quality) : 품질보증 F(Fire) : 화재예방

M(Mechanical) : 기계 N(Nuclear) : 원자력

E(Electrical) : 전기 G(Gleen) : 환경

S(Structure) : 토목구조

- 중분류 : 영문 둘째자리는 분야별 연관성 있는 단위 기술기준을 중간 그룹

으로 분류하여 관련 영문 명칭의 약자를 부여

QA (Quality Assurance) : 품질보증 MG (Mechanical General) : 일반기계

ND (Nuclear Design) : 원전설계 MD (Mechanical KS-D) : 재료

NF (Nuclear Fuel) : 핵연료 MF (Mechanical Function) : 기기성능 검증

FP (Fire Protection) : 화재예방 MO (Mechanical Operation) : 가동중시험

SG (Structure General) : 일반구조 MB (Mechanical Boiler) : 보일러

MN (Mechanical Nuclear) : 원자력기계 EN (Electrical Nuclear) : 원자력전기

MN (Mechanical Nuclear) : 원자력기계 ET (Electrical Transmission) : 송․변․배전

- 소분류 : 가능한 한 A는 일반요건 또는 공통요건으로 사용하고 중분류 기준내에 분류항목이 많을 시는 해당 기준의 의미와 상관없이 알파벳순서대로 부여

MG 일반기계 MI 원전가동중검사

MGA : 일반요건 MGF : 펌프 MIA : 일반요건 MIF : 기기 지지물

MGB : 압력용기 MGG : 밸브 MIB : 1등급 기기 MIG : 콘크리트격납용기

MGC : 열교환기 MGH : 복수기 MIC : 2등급 기기 MIZ : 부록

MGD : 저장탱크 MGI : 급수가열기 MID : 3등급 기기

MGE : 배관MIE : 금속격납용기 및 금속라이너

· 단위 기준 내에 소분류 항목이 적을 시는 알파벳 순서 관련 없이 해당 기

준을 의미하는 특정의 영문 첫 글자를 부여

MDF(Ferrous) : 철강재료 FPF(Fossil) : 화전 화재예방

MDN(Nonferrous) : 비철재료 MQW(Welding) : 용접인정

FPN(Nuclear) : 원전 화재예방 MQB(Brazing) : 경납 땜인정

Page 79: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77 -

표52: 공인검사기관 목록 및 담당자 연락처

기관명 주소 자격인증분야 전화번호 담당자

한국기계연구원부설재료연구소

경상남도창원시성산구창원대로 797

원자력기계가동중검사원자력구조

055) 280-3424 손영호

더하트포드스팀보일러인스펙숀앤드인슈런스컴패니

한국지점(www.hsbglobalstandards.com)

서울특별시중구세종대로 39(상공회의소빌딩 14층)

원자력기계일반기계

02) 757-4991 전기원

로이드레지스터아시아(www.lr.org)

서울특별시영등포구여의나루로 67(신송빌딩 11층)

원자력기계원자력구조

02) 3703-7540 김영수

에이비에스지컨설팅인크ABS Consulting

(www.absconsulting.co.kr)

서울특별시강남구삼성대로 434 원자력기계 02) 552-4661 박준극

표53: 원자력 품질보증 자격인증 업체 현황

분류 업체명

전기분야

제작자

JS전선, LS산전, LS전선, 광명전기, 국제전기, 극동일렉콤, 극동전선, 대양

계기, 대양전기공업, 대원전선, 대한전선, 동우전기, 두산엔진, 두산중공업,

두온시스템, 디이시스, 라텍, 맥스컴, 맥스파워, 무진기연, 비츠로시스, 비

츠로테크, 비케이전자, 빅텍, 산일전기, 삼화기전, 서울계전 Co, 서울전선,

서일전자, 서진인스텍, 선도전기, 세방전지, 세아에스에이, 세영엔디씨, 시

그마전기, 시티이텍, 신일전기, 씨에이앤에이, 씨이에스, 엠에스피, 영텍,

와이즈산전, 와이피피, 용성전기, 우리기술, 우진, 유림산전, 유호전기공업,

이성씨엔아이, 이투에스, 이화전기공업, 인벤시스코리아,

인텍전기전자, 일진전기, 전오, 천인이엠, 코암플랜텍, 티엠씨, 포뉴텍, 하

이트롤, 한국지노, 현대중공업 엔진기계사업본부, 현대중공업 전기전자시

스템사업본부, 효성 제3공장, 효성1,4공장

재료업체

T.F. TECH, 가나스텐레스, 강림 C.S.P., 건세고압, 대양계기, 동국제강_인

천공장, 동국제강_포항공장, 동양이앤씨, 마이스코, 부원비엠에스, 삼미정

공, 삼진화스너, 상신기공, 선진금속, 세아베스틸, 세아에삽, 세화엠피, 승

림특수금속, 승일, 신우금속, 신이피엔씨, 신진화스너공업, 신한글로벌, 에

스앤더블류, 에이치케이금속, 연합화스너, 와이즈산전, 와이케이스틸,

용현BM, 우진, 유봉, 유진코메탈, 케이피엘인더스트리, 태웅, 파이프앤튜

브, 포스코_포항제철소, 포스코특수강, 풍성정밀관, 한국철강, 현대제철_당

진공장, 현대제철_인천공장, 현대제철_포항공장, 현대피팅, 현진소재,

화성금속, 화신볼트산업, 환영철강공업

역무업체 삼영이엔지

Page 80: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3. 국내외 주요기관 현황

- 78 -

설치(시공자)

GS건설, SK건설, STX건설, UAE BNPP 시공2사(현대건설, 삼성물산),

경남기업, 극동건설, 금호산업, 대림산업, 대우건설, 동부건설, 동아건설산

업, 두산중공업, 롯데건설, 삼부토건, 삼성물산, 신고리 3,4 시공3사(현대,두

산,SK), 신울진1,2호기 시공3사(현대건설, SK건설, GS건설), 신월성 1,2호

기 시공3사 대우,삼성,GS, 쌍용건설, 울트라건설, 코오롱글로벌, 태영건설,

포스코건설, 한라건설, 한전KPS, 한진중공업, 한화건설, 현대건설, 현대산업

개발, 현대중공업 플랜트사업본부

기기검증시험

수행조직

유비콘 엔지니어링, 코넥, 한국기계연구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한국수력원

자력_중앙연구원, 한국에스지에스

설계업체

건화, 대우건설, 도화엔지니어링, 동일기술공사, 벽산엔지니어링, 삼성물산_

건설부문, 삼안, 수성엔지니어링, 유신, 한국전력기술, 한국종합기술, 현대엔

지니어링

공조분야

제작자LG전자, 삼광피에스, 센추리, 캐리어, 태일송풍기, 하이에어코리아

기계분야

제조자

제조자 GS중공업, KB중공업, LG전자, NSV, S&TC, SBC벤드, STX중공업,

TCC벤드코리아, 가나중공업, 건화, 건화기업, 경성전기, 고월특수강, 귀뚜라

미 범양냉방, 금우산기, 대경기계기술, 대봉아크로텍, 대우건설, 대원열판,

덕천, 동연스틸, 동화엔텍, 두산건설 메카텍비즈니스그룹, 두산엔진, 두산중

공업, 디에이치에이치아이, 디케이락, 디케이티, 마이텍, 무진기연, 비에이치

아이, 비엠티, 삼성물산_건설부문, 삼신, 삼영중공업, 삼영피팅, 삼우엠씨피,

서진인스텍, 성광벤드, 성원기업, 성일 SIM, 성화산업, 세대에너텍, 세안정

기, 세원셀론텍, 센추리, 수력, 스틸플라워, 신신기계, 신우디텍, 신택, 씨씨

아이, 에스더불유아이, 에스씨티, 에스엔에스밸브, 에스티벤드앤플랜트, 에쓰

디디, 에쓰브이씨, 에이치케이알, 엘에치이, 와이즈산전, 원일티엔아이, 위어

인터내셔날, 유니슨이테크, 유진티엠씨, 이케이중공업, 일신밸브, 일진에너

지, 정우산기, 청우하이드로, 캐리어, 케이엔아이, 코밸, 태광, 태광SCT, 티

에스엠텍, 포스코플랜텍, 피케이밸브, 하이록코리아, 하이에어코리아, 하이텍

산업개발, 하이트롤, 한국미크로, 한국전력기술, 한국키스톤발부, 한라정공,

한전kps, 한진중공업, 현대 RB, 현대중공업 엔진기계사업본부, 현대중공업

플랜트사업본부, 협신금속, 효성굿스프링스

구조분야

제조자

S&TC, STX중공업, 가나중공업, 건화, 건화기업, 경수제철, 국제금속, 금우

산기, 대봉아크로텍, 대우에스티, 두산메카텍, 두산중공업, 디에이치에이치아

이, 보성파워텍, 비에이치아이, 세대에너텍, 세원셀론텍, 신텍, 영화엔지니어

링, 원일티엔아이, 유아산업, 일진에너지, 티에스엠텍, 포스코플랜텍, 한진중

공업, 해성기공, 현대스틸산업, 현대중공업 플랜트사업본부

발전사업자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전력공사 UAE 원자력사업본부(BRAKA)

Page 81: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79 -

1-1) 원자력품질보증 자격인증 개요

배경 및 개요

⃝ ASME 코드에 의한 인증제도와 유사하게, KEPIC 원자력기계(MN), 원자

력 전기 및 계측제어(EN), 원자력구조(SN) 및 공조기기(MH) 적용품목의

제조자 및 시공자 등은 대한전기협회로부터 소정의 자격인증서를 취득하

도록 KEPIC에서 규정한 제도

⃝ 원전의 자격인증제도는 ASME Code에서 유래하여 국내 원전의 안전성

확보에 기여하고 있는데 KEPIC에서도 이 제도를 채택하여 원자력 안전

성 품목의 제조, 시공에 참여를 희망하는 업체는 KEPIC에서 요구하는 품

질보증계획을 수립한 후 KEPIC을 준수할 수 있음을 심사받아 협회로부

터 자격인증서를 취득하도록 규정

⃝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 품목의 설계, 기자재 제조(제작) 또는 시공(설치)

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먼저 협회에 문의하거나 인터넷을 사용하여

KEPIC 홈페이지(www.kepic.or.kr)를 검색하여 우선 KEPIC 자격인증서

취득에 관한 정보를 입수하고 준비를 해야 하고 경험이 없는 회사의 경

우에는 KEPIC을 잘 이해하는 전문가의 자문을 받을 것을 권함

⃝ 심사준비는 해당 품목을 위한 품질보증계획서와 절차서를 갖추고 KEPIC

에 따른 설계, 구매, 제작, 시험검사, 감사 등의 데모작업(Demonstration)

을 통하여 KEPIC 준수능력을 확인

⃝ 심사원은 기술품질전문위원회가 승인한 인원 중에서 구성되며 심사반의

독자적인 판단과 심사결과에 대한 기술품질전문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승

인 시 협회 명의로 3년 유효기간의 KEPIC 자격인증서가 발행됨

Page 82: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3. 국내외 주요기관 현황

- 80 -

표54: 인증 대상 조직 및 범위

분야 관련기준 인증 대상 조직 인증범위

원자력기계 KEPIC-MN발전사업자, 제조자, 설치자,

재료업체, 역무업체1/2/3/MC/CS등급으로분류된

품목관련해당역무

원자력 전기 및계측제어

KEPIC-EN발전사업자, 제작자, 설치자, 기기

검증시험수행조직전기1급기기로분류된품목관련

해당역무

원자력구조 KEPIC-SN발전사업자, 설계자,

보조품목제작자, 시공자, 재료업체,역무업체

내진 I급구조물또는기기로분류된품목관련해당역무

공조기기 KEPIC-MH 제작자, 설치자안전등급공기정화기/공기조화기

및구성품

그림 2. KEPIC 인증 관련 조직

그림 3. KEPIC 인증 추진절차

Page 83: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81 -

그림 4. KEPIC 모의사업(Demonstration) 수행 절차

그림 5. KEPIC 심사신청 절차

Page 84: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3. 국내외 주요기관 현황

- 82 -

⃝ 심사신청 : 전력기준에 따라 원자력 품질보증 자격인증서를 취득하고자

하는 조직은 지정된 양식에 의거 협회에 회사 현황표 및 신

청서를 제출하여 대한전기협회와 인증심사 계약 체결

⃝ 심사팀 구성

- 심사팀은 선임심사원 1명을 포함하여 필요에 따라 규제기관/발전사업자/

공인 검사기관/기타 기관 등의 인력으로 구성

- 심사팀의 규모는 인증범위, 심사대상 조직의 규모,공정 또는 제품의 복잡

성, 중요도 등에 따라 약 3∼5명으로 구성

- 심사 실시 : 선임심사원 지휘하에 심사원의 업무를 분담하여 실시

(소요기간 : 약 3~4 일)

- 판정 : 중대한 지적사항이 확인 되었거나, 경미한 지적사항에 대한 시정조치가

심사기간 중에 이루어지지 아니한 업체는 인증 부적격 업체로 평가

⃝ 심사결과 보고 및 승인 : 심사 종료 후 선임심사원은 심사보고서를 작성,

협회에 제출 / 협회는 심사결과 심의를 위하여

품질전문위원회에 상정

⃝ 인증서 발행 : 품질전문위원회에서 심의결과 인증 적격업체로 승인되면

제조자(제작자),설치자(시공자), 설계자, 발전 사업자는 자

격인증서 또는 재료업체는 품질시스템인증서 획득 / 인증

범위가 다양할 경우, 복수로 나누어 인증서를 발행

Page 85: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83 -

1-2) KEPIC 원자력품질보증 대표 품목 분야(KEPIC-MN, EN, SN, MH)

가) KEPIC-MN(원자력기계)

<원자력기계(KEPIC-MN)분야>

기 기 보조품목 기타품목

용기

펌프

압력방출밸브

라인밸브

저장탱크

배관계통

노심지지구조물

저장용차폐용기

이송용차폐용기

관제품(용가재 사용)

부품

부속품

배관반조립품

지지물

차폐용기 부품

차폐용기 현장밀봉용접

제어봉구동하우징

가열기부재

유체조절기와 유량제어기

(밸브제외)

관통부조립체

파열판

`KEPIC-MN(원자력 기계 기술기준)은 미국의 ASME Boiler and Pressure

Vessel Code, Section III, Div. 1을 범위로 하여 제정된 것

KEPIC-MN의 제정은 제도적 요건과 기술적 요건으로 구분할 수 있음

⃝ `제도적인 요건은 기술기준의 적용방법, 품질보증요건 및 원자력 기계 기

술기준을 적용하는 관련 조직의 자격인증제도, 공인검사제도, 설계문서의

인증제도, 기술기준의 운영 및 관리주체 등과 관련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

으로 참조로 한 ASME Section III, Subsection NCA상의 요건을 우리나

라의 법체계와 전력산업 구조 및 실정에 맞도록 조정하고 우리나라의 관

계기관 및 산업계가 주체가 되어 운영될 수 있도록 하였음

⃝ `기술적 요건에 있어서는 ASME Section III, Div. 1의 요건을 번안하여

제정하는 방법을 채택하였음

⃝ `번안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이유는 영어를 우리나라 말로 옮기는 것을 원칙

으로 하되 우리 실정에 맞지 않는 부분은 우리 실정에 적합하도록 수정 반

영하였음을 의미

Page 86: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3. 국내외 주요기관 현황

- 84 -

`MN은 MNA(일반요건), MNB(1등급 기기), MNC(2등급 기기), MND(3등급 기기),

MNE(금속격납용기), MNF(지지물), MNG(노심지지구조물), MNZ(부록)로 나뉨

KEPIC-MN의 구성은 국내 산업계가 ASME Code에 친숙한 상태이므로 사

용자의 혼선을 최소화하고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ASME Code Section

Ⅲ Division 1의 각 Subsection의 구성 체계를 그대로 따랐고, 관련 항목도

대조할 수 있도록 번호 체계도 그대로 적용하였음

표55: KEPIC-MN과 ASME Code의 관계

구분 KEPIC-MN ASME Code

일반요건 MNA 원자력기계 일반요건 Section Ⅲ, NCA General Requirements

기기 요건

MNB 1등급 기기 Section Ⅲ, NB Class 1 Components

MNC 2등급 기기 Section Ⅲ, NC Class 2 Components

MND 3등급 기기 Section Ⅲ, ND Class 3 Components

MNE 금속 격납용기 Section Ⅲ, NE Class MC Components

MNF 지지물 Section Ⅲ, NF Component Supports

MNG노심지지 구조물 Section Ⅲ, NG Core Support Structure

MNZ 부록 Section Ⅲ, Appendices

MN은 발전사업자, 제조자, 설치자, 재료업체, 역무업체가 인증대상이 되

며, 1/2/3/MC/CS등급으로 분류된 품목 관련 해당역무가 범위가 됨

Page 87: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85 -

표56: MN의 인증범위

조직 신 청 품 목

발전사업자 KEPIC-MN에 의해 관리되는 모든 품목

제조자

기기

용기 Class1 / Class2 / Class3 / Class MC

펌프 Class1 / Class2 / Class3

압력방출밸브 Class1 / Class2 / Class3

라인밸브 Class1 / Class2 / Class3

저장탱크 Class2 / Class3

배관계통 Class1 / Class2 / Class3

노심지지구조물 Class CS

저장용차폐용기 Class SC

이송용차페용기 Class TC

보조품목

관제품(용가재 사용) Class1 / Class2 / Class3 //Class MCP

부품 Class1 / Class2 / Class3 / Class MCP / CSP

부속물 Class1 / Class2 / Class3 //Class MCP / CSP

배관반조립품 Class1 / Class2 / Class3

지지물 Class1 / Class2 / Class3 / Class MCP

차폐용기 부품 Class SCP / Class TCP

현장밀봉용접 Class SCP / Class TCP

기타품목

제어봉구동하우징 Class1

가열기 부재 Class1 / Class2 / Class3

유체조절기/유량제어기(밸브 제외)

Class1 / Class2 / Class3

관통구조립체 Class1 / Class2 / Class3 / Class MC

공장조립 Class1 / Class2 / Class3 / Class MC

설치자 전 품 목 Class1 / Class2 / Class3 / Class MC / ClassCS

역무업체

비파괴검사열처리설계기타

 

KEPIC-MNA(일반요건)

⃝ 전력기준의 적용범위 및 한계, 품질보증요건 및 품질보증 요건의 이행 방법,

원자력 기계 전력기준을 적용하는 관련 조직의 전력기준 준수 능력을 확인하

는 자격인증제도, 전력기준의 올바르고 일관된 적용을 위한 공인검사제도, 설

계출력문서의 인증제도 등과 같은 제도 관리 및 운영 요건을 체계적으로 규정

Page 88: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3. 국내외 주요기관 현황

- 86 -

⃝ 참조기준 ASME Section III, Subsection NCA상의 요건을 우리나라의 법

체계와 전력산업 구조 및 실정에 맞도록 전환하고 우리나라의 관계기관

및 산업계가 주체가 되어 운영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력산업분야의 고

유 제도를 정립하고자 제정된 것

⃝ KEPIC-MNA는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관련 압력기기 및 지지물의 구조적

건전성을 확보에 필요한 재료, 설계, 제작, 설치, 시험 및 검사 등에 공통

적인 요건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음

⃝ 2010년 적용판은 2005년판 발간 이후 전력기준의 연도별 추록 발간계획에

따라 발간된 2006년 추록에서 2009년 추록까지를 통합하고, 전력기준 적용

상의 개선 사항 및 타 전력기준(SN, EN, MH, MF, ND 등)과의 연계성 확

보, ASME Section III, Subsection NCA의 개정사항을 반영하여 발간한 것

⃝ 구성 체계는 원자력 및 비원자력 분야의 제도적 요건을 규정하는 기타

일반요건과 동일한 구성을 갖도록 다음을 기본으로 설정

1000 일반사항 6000 문서

2000 등급분류 7000 (기술 분야별로 요건을 추가하는 경우 제목 설정)

3000 책임과 의무 8000 자격 인증

4000 품질보증 9000 용어

5000 공인검사 -

KEPIC-MNⅩ(MNB~MBG, 기기별 기술기준)

⃝ MNB(1등급 기기), MNC(2등급 기기), MND(3등급 기기), MNE(금속격납

용기), MNF(지지물), MNG(노심지지구조물)는 세부항목이 동일하기 때문

에 MNⅩ로 표기함

⃝ MNX(기기별 기술기준)는 ASME Section III, Divsion 1의 NⅩ(NB∼NG)

와 범위와 내용이 동일함

⃝ 일반요건인 MNA가 ASME의 NCA를 우리의 실정에 맞도록 전체적으로

수정을 한 반면에 MNⅩ는 ASME의 NⅩ의 번호 체계를 그대로 수용

Page 89: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87 -

⃝ KEPIC 원자력기계 기술기준(KEPIC-MNB~MNG)의 구성체계 및 내용은

1000~8000까지 구성되어 있음

표57: KEPIC 원자력기계 기술기준(KEPIC-MNB~MNG)의 구성체계

1000 일반사항해당 기기등급별 기술기준의 적용하는 범위와 관할영역경계,

기기의 경계, 기기와 부착물간의 경계 등을 정의

2000 재료

KEPIC-MD에서 규정하는 원자력 등급용 재료의 요건에 추가하

여 해당 기기등급별 기술기준에서 특별히 추가하는 시험, 검사,

열처리 등의 요건

3000 설계

원자력기계의 해당 기기등급별 설계 일반사항, 해석에 의한 설

계 등의 기본요건과 압력용기, 펌프, 밸브, 배관 탱크, 관통구

등의 기기에 대한 설계 요건

4000 제작 및 설치제작에 관한 인증, 재료의 식별, 성형 및 정렬, 용접인정, 제작,

열처리 등의 요건

5000 검사용접부 비파괴검사 방법, 절차, 검사, 합격기준 및 용기의 최종

검사 요건

6000 시험

압력시험의 시기, 준비사항, 시험관리 등의 일반사항과 수압 및

기압시험 절차, 시험매체, 온도, 압력 및 측정기기 등에 대한

시험요건

7000 과압보호과압보호를 위한 압력방출장치의 종류, 방출용량, 설정압력, 운전

및 설계, 방출용량인증, 과압보고서 및 자료보고서 등의 요건

8000 명관, 인증부호표시 및 보고서

명판 인증부호 표시 및 보고서에 대한 일반요건(KEPIC-MNA)

관련 항목을 기술

KEPIC-MNZ(부록)

⃝ MNZ(부록)은 부록Ⅰ부터 시작하여 ⅩⅫ까지(Ⅰ, Ⅱ, Ⅲ, Ⅳ, Ⅴ, Ⅵ, Ⅶ,

Ⅺ, Ⅻ, ⅩⅢ, ⅩⅣ, ⅩⅧ, ⅩⅨ, ⅩⅩ, ⅩⅪ, ⅩⅫ)이며 ASME Code

Section Ⅲ, Appendices 항목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음

Page 90: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3. 국내외 주요기관 현황

- 88 -

표58: MNZ 참조 내역

KEPIC-MNZ ASME Code Section Ⅲ

항목번호 제목 항목번호 제목

부록 Ⅰ설계응력강도, 허용응력, 재료물성치 및 설계피로곡선

Appendix Ⅰ

Design Stress Intensity Values,Allowable Stresses, MaterialProperties, and Design FatigueCurves

부록 Ⅱ 실험적 응력해석 Appendix Ⅱ Experimental Stress Analysis

부록 Ⅲ설계응력강도와 허용응력의 결정기준

Appendix ⅢBasis for Establishing DesignStress Intensity Values andAllowable Stress Values

부록 Ⅳ신재료의 KEPIC-MN 적용에 관한 승인규정

Appendix ⅣApproval of New Materials Underthe ASME Boiler and PressureVessel Code

부록 Ⅴ자료보고서 양식, 작성지침및 자격인증신청양식

Appendix Ⅴ

Certificate Holders' Data ReportForms, Instructions, andApplication Forms for Certificatesof Authorization for Use of CodeSymbol Stamps

부록 Ⅵ 원형지시 Appendix Ⅵ Rounded Indications

부록 Ⅶ외압을받는 원통형 및 구형기기의동체두께결정사전 및표

Appendix Ⅶ

Charts and Tables for DeterminingShell Thickness of Cylindrical andSpherical Components UnderExternal Pressure

부록 Ⅺ2, 3등급 기기 및 MC등급 용기에대한 볼트체결 플랜지연결부규정

Appendix ⅪRules for Bolted FlangeConnections and Class MC Vessels

부록 Ⅻ볼트 플랜지이음에 대한 설계 고려사항

Appendix ⅫDesign Considerations for BoltedFlange Connections

부록 ⅩⅢKEPIC-MNC 3200에따른용기의응력해석에의한설계

Appendix ⅩⅢDesign Based on Stress Analysisfor Vessels Designed inAccordance With NC-3200

부록 ⅩⅣKEPIC-MNC 3200에따른용기의피로해석에의한설계

Appendix ⅩⅣ Design Based on Fatigue

부록 ⅩⅧ 압력방출밸브의용량변환 Appendix ⅩⅧCapacity Conversions for PressureRelief Valves

부록 ⅩⅨ 큰구멍이있는일체형평경판 Appendix ⅩⅨIntegral Flat Head With a LargeOpening

부록 ⅩⅩ 협회에제출할기술질의서작성 Appendix ⅩⅩSubmittal of Technical Inquires tothe Boiler and Pressure VesselCommittee

부록 ⅩⅪ 접착제를사용한명판부착 Appendix ⅩⅪAdhesive Attachment ofNameplates

부록 ⅩⅫ외압을 받는 원뿔-원통이음의 보강을위한규정

Appendix ⅩⅫDesign of Reinforcement forCone-Cylinder Junction UnderExternal Pressure

Page 91: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89 -

나) KEPIC-EN(원자력전기)

<원자력전기(KEPIC-EN)분야>

기 기

전기1급 스위치기어

전기1급 변압기

전기1급 디젤발전기

전기1급 제어반

전기1급 전동기제어반

전기1급 축전지

전기1급 교류무정전전원장치

전기1급 전동기

전기1급 관통부집합체

전기1급 케이블, 전선부속재

전기1급 밸브작동기

전기1급 계측 및 제어기기

전기1급 계통(제어, 경보, 감시 등)

전기1급 모듈

전기1급 부품

EN(원자력 전기 및 계측제어 기술기준)은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 관련 전

기 기기에 대한 설계, 검증, 설치, 시험 및 검사에 관한 기술기준임

KEPIC-EN은 IEEE, ANSI, ISA 등 외국의 기술기준을 참조하여 이를 번안

하는 방법으로 제정된 것

KEPIC-EN의 제정은 제도적 요건과 기술적 요건으로 구분할 수 있음

⃝ 제도적인 요건은 기술기준의 적용방법, 품질보증요건 및 원자력 기계 기

술기준을 적용하는 관련 조직의 자격인증제도, 공인검사제도, 설계문서의

인증제도, 기술기준의 운영 및 관리주체 등과 관련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

으로 참조로 한 ASME Section III, Subsection NCA상의 요건을 우리나

라의 법체계와 전력산업 구조 및 실정에 맞도록 조정하고 우리나라의 관

계기관 및 산업계가 주체가 되어 운영될 수 있도록 하였음

⃝ 기술적 요건에 있어서는 IEEE, ANSI, ISA 등 지금까지 원전 건설에 적용

하여 온 외국 기술기준의 요건을 번안하여 제정하는 방법을 채택하였음

EN은 ENA(일반요건), ENB(설계), END(검증), ENE(설치), ENF(시험 및검사)로 나뉨

⃝ 전기기기 기술기준인 KEPIC-ENB~ENF는 원자력 발전소의 전기 1급

(Class1E) 에 적용되는 미국의 기술기준을 참조하였으며, 참조한 기술기

준의 번호 체계를 그대로 수용하여 번안하였음

Page 92: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3. 국내외 주요기관 현황

- 90 -

⃝ 원자력 전기 및 계측제어기술기준의 기술적 요건은 지금까지 원전 건설

에 적용하여온 미국의 기술기준을 사용에 편리하도록 설계(ENB), 검증

(END), 설치(ENE), 시험 및 검사(ENF)로 그룹화 하였음

EN은 제도적 요건인 일반요건과 설계, 검증, 설치 그리고 시험 및 검사의

4개영역으로 그룹화 하여 구성된 기술적 요건으로 구분되며 EN은 우리나

라 산업계에서 친숙한 미국의 기술기준을 참조하였고 기술기준 사용자의

혼선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그 내용과 작성방법을 따랐으며, 사용에 편리하

도록 그룹화 하였음

표59: KEPIC-EN 참조 기술기준과의 관계

KEPIC - EN 참조 기술기준

ENA : 일반요건 ASME Sec.Ⅲ Div.1 Subsec. NCA, ANSI, 51.1

ENB : 설계IEEE 7-4.3.2, 279, 308, 317, 352, 379, 384, 387, 420, 494, 497, 567, 577,603, 622, 628, 690, 741, 765, 833, 946, 1023, N42.18,ANS 4.5, 58.6, ISA S67.04.01

END : 검증IEEE 323, 334, 344, 381, 382, 383, 420, 535, 572, 600, 627, 628,638, 649, 650,C37.81, C37.82, C37.105

ENE : 설치IEEE 336, 628, 690,ISA S67.01, S67.02.01, S67.10, N42.4,

ENF : 시험 및 검사 IEEE 336, 338, 415, 450, 498, 749, 934, N323, ISA S67.06

EN은 발전사업자, 제작자, 설치자, 기기 검증시험 수행조직이 인증대상이

되며, 전기1급 기기로 분류된 품목 관련 해당역무가 범위가 됨

Page 93: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91 -

표60: EN의 인증범위

조직 신 청 품 목

발전사업자 KEPIC-EN(전기1급)에 의해 관리되는 모든 품목

제작자

※ 공장조립에 해당하는 경우

별도 명시

전기1급 스위치기어

전기1급 변압기

전기1급 디젤발전기

전기1급 제어반

전기1급 전동기제어반

전기1급 축전지

전기1급 교류무정전전원장치

전기1급 전동기

전기1급 관통부집합체

전기1급 케이블, 전선부속재

전기1급 밸브작동기

전기1급 계측 및 제어기기

전기1급 계통(제어, 경보, 감시 등)

전기1급 모듈

전기1급 부품

설치자 KEPIC-EN(전기1급)에 의해 관리되는 모든 품목

KEPIC-ENA(일반요건)

⃝ KEPIC-EN의 정확한 이해와 올바른 적용을 통해 원자력 전기기기의 안전

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이에 필요한 기술관리 차원의 절차와 방법론을

규정하는 것

⃝ ENA는 기술기준의 적용범위 및 한계, 품질보증요건 및 품질보증 요건의

이행 방법, 원자력 전기 기술기준을 적용하는 관련 조직의 기술기준 준수

능력을 확인하는 자격인증제 등과 같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측면의

제도 관리 및 운영 요건을 체계적으로 규정하고 있음

⃝ 구성체계

1000 일반사항 4000 품질보증

2000 기기의 등급분류 6000 문서

3000 책임과 의무 8000 인증

Page 94: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3. 국내외 주요기관 현황

- 92 -

표61: 일반요건의 세부 항목별 참조기준 항목

항목 제 목 참조기준 비고

ENA 1000 일반사항

ENA 1110 적용범위ASME Sec.III Div.1, NAC1100

기술기준 적용판 및 추록

ENA 1120 기술기준의 적용ASME Sec.III Div.1, NCA1100

적용범위 및 원칙 명시

ENA 1130 KEPIC-EN 구성 -원자력전기 기술 기준 구성체계

ENA 1140 참조기준과의 관계 -KEPIC-EN과 참조 기준의대응관계

ENA 1200 품목의 구성과 정의 -KEPIC-EN에 따른 품목의정의

ENA 1300 조직의 구분과 정의 -

관련 조직의 구분과 정의ENA 2000

전기 계통 및 기기등급 분류

ANS 51.1, IEEE 379, 384,603

ENA 2100 등급분류의 목적 - 등급분류의 목적

ENA 2200 등급 분류의 원칙 IEEE Std. 603, ANS 51.1안전등급과 전기등급과의관계와 정의

ENA 2300전기 1급 기기 설계기준

IEEE 379, 603, ANS 51.1설계시 고려되어야 할주요설계 기준

ENA 2400전기 비1급 설계기준

IEEE Std. 384 전기 1급과의 독립성 요건

ENA 3000 책임과 의무 ASME Sec.III NCA 3000

ASME NCA의 형태를참조하고, 국내 관행과실정을 반영하여 조직의책임사항 규정

ENA 3100 일반사항 ASME Sec.III NCA 3100

ENA 3200 발전사업자의 책임 ASME Sec.III NCA 3200

ENA 3300 제작자의 책임ASME Sec.III NCA 3500,3600

ENA 3400 설치자의 책임 ASME Sec.III NCA 3700

ENA 4000 품질보증 ASME Sec.III NCA 4000

전기 1급 계통, 기기 및부품인증업체의품질보증계획 요건

ENA 4100 일반사항 ASME Sec.III NCA 4100

ENA 4110 범위 및 적용 ASME Sec.III NCA 4110

ENA 4120 용어 정의 ASME Sec.III NCA 4120

ENA 4200인증업체의 품질보증계획 요건

ASME Sec.III NCA 4130

ENA 6000 문서 ASME Sec.III NCA 3000

Page 95: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93 -

항목 제 목 참조기준 비고

ENA 6100 발전사업자 제공문서 ASME Sec.III NCA 3200 발전사업자가 제공하는 문서

ENA 6200 제작자 문서ASME Sec.III NCA 3500,3600

전기 1급 기기 제작자 및설치자가 작성하여야 할문서ENA 6300 설치자 문서

ASME Sec.III NCA 3500,3600

ENA 6400 품질보증계획서ASME Sec.III NCA 3600,3760

인증업체의 품질 보증계획서

ENA 8000 자격인증 ASME Sec.III NCA 8000KEPIC 자격인증 절차 및방법에 대한 사항ENA내에서 사용된 중요한용어를 정의함

ENA 9000 용어정의ASME Sec.III NCA 9000IEEE 379, 384, 603

KEPIC-ENB(설계)

표62: ENB 참조 내역

KEPIC 번호 KEPIC 제목 참조 기술기준부합화정도

ENB 1000ENB 1100ENB 1200ENB 2000ENB 2100ENB 3000ENB 4000ENB 4100ENB 4200ENB 5000ENB 6000ENB 6100ENB 6200ENB 6210ENB 6220ENB 6230ENB 6240ENB 6300ENB 6310ENB 6320ENB 6330ENB 6340ENB 6350ENB 6360ENB 6370ENB 6380ENB 6400ENB 6410ENB 6420ENB 6430ENB 6500ENB 6700

설계 일반사항안전계통 설계전기1급 기기 및 계통관련 문서 식별방법전기1급기기 및 회로 독립성전기1급 기기 및 회로 격리 기준안전계통 단일 고장 기준신뢰도 분석안전계통 신뢰도 분석 일반지침안전계통 설계 및 운전신뢰도 분석요건전기1급 전력 계통 및 기기보호설비 및 기기 설계보호계통 설계전력계통 설계전기1급 전력계통 설계우선전력 공급 계통 설계직류 보조전력 계통 설계예비전력 공급용 디젤 발전기 유니트계측제어 계통 설계제어실 설계원격정지 제어반 설계사고감시용 계측 설비 설계전기1급 제어반, 패널 및 래크 설계안전성 관련 계측기기 설정치인간공학 적용 지침안전계통 디지털 컴퓨터방사능 유출물 감시용 계측설비전선 및 전로용품 설계전기1급 케이블 계통 설게전기1급 전선로 계통 설계격납용기 구조물 전기 관통부 집합체 설계전기열선 보호설비의 설계 및 설치원전전기기 수해방호기준

IEEE 603('98 Edition)IEEE 494('74 Edition, Reaf. '90)IEEE 384('92 Edition, Reaf. '98)IEEE 384'92 Edition, Reaf. '98)IEEE 379('00 Edition)

-IEEE 352('87 Edition, Reaf. '99)IEEE 577('04 Edition)IEEE 741('97 Edition, Reaf. '02)

-IEEE 279('71 Edition, Reaf. '78)

-IEEE 308('01 Edition)IEEE 765('02 Edition)IEEE 946('92 Edition)IEEE 387('95 Edition, Reaf. '02)

-IEEE 567('80 Edition)문 58.6(‘96 Edition)IEEE 497('81 Edition, '02 Edd)IEEE 420('01 Edition)ISA S67.04.01('00 Edition)IEEE 1023('88 Edition, Reaf.'02)IEEE 7-4.3.2('03 Edition)IEEE N42.18('80 Edition, Reaf.'91)

-IEEE 690('84 Edition, Reaf. '02)IEEE 628('01 Edition)IEEE 317('83 Edition, Reaf. '96)IEEE 622('87 Edition, Reaf. 94)IEEE 833('88 Edition, Reaf. 95)

일치/IDT일치/IDT일치/IDT일치/IDT일치/IDT

일치/IDT일치/IDT일치/IDT

일치/IDT

일치/IDT일치/IDT일치/IDT일치/IDT

일치/IDT일치/IDT일치/IDT일치/IDT일치/IDT일치/IDT일치/IDT일치/IDT

일치/IDT일치/IDT일치/IDT일치/IDT일치/IDT

Page 96: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3. 국내외 주요기관 현황

- 94 -

KEPIC-END(검증)

표63: END 참조 내역

KEPIC 번호 KEPIC 제목 참조 기술기준부합화정도

END 1000

END 1100

END 1200

END 2000

END 3000

END 3100

END 3150

END 3211

END 3212

END 3220

END 3230

END 3300

END 3400

END 3500

END 3600

END 3700

END 3800

END 3810

END 3820

END 3830

END 3900

검증 일반사항

전기1급 기기검증

안전계통 기기검증시험 수행 조직

전기1급 기기 내진검증

설비 및 기기 검증

안전 계통 기기 설계 검증

전기1급 변압기검증

스위치기어 및 집합체검증

전기1급 금속외장스위치기어 내진검증

전기1급 전동기 제어반 검증

전기1급 제어반 페널 및 랙 검증

연속사용 전기1급 전동기의 검증 요건

전기1급 보호계전기 및 보조기기 검증

전기1급 납축전지 검증

전기1급 정지형 축전지용 충전기 및 인버터 검증

안전성 관련 동력 구동밸브 작동기 검증

-

전기1급 케이블 및 접속부 형식 시험

전기1급 전선로 계통 검증

전기1급 접속 집합체 검증

전기1급 모듈의 형식 시험

IEEE 323('03 Edition)

IEEE 600('83 Edition)

IEEE 344('87 Edition, Reaf. '93)-

-

IEEE 627('80 Edition, Reaf. '97)

IEEE 638('C 1999)

IEEE C37.82('87 Edition, Reaf. '98)

IEEE C37.81('89 Edition, Reaf. '99)

IEEE 649('91 Edition, Reaf. '99)

IEEE 420('01 Edition)

IEEE 334('94 Edition,Reaf. 99)

IEEE C37.105(‘87 Edition, Rev. '99)

IEEE 535('86 Edition, Reaf. '94)

IEEE 650('90 Edition)

IEEE 382('96 Edition)

-

IEEE 383('03 Edition, Reaf. '92)

IEEE 628('01 Edition)

IEEE 572('85 Edition, Reaf. '92)

IEEE 381('77 Edition, Reaf. 84)

일치/IDT

일치/IDT

일치/IDT

일치/IDT

일치/IDT

일치/IDT

일치/IDT

일치/IDT

일치/IDT

일치/IDT

일치/IDT

일치/IDT

일치/IDT

일치/IDT

일치/IDT

일치/IDT

일치/IDT

일치/IDT

KEPIC-ENE(설치)

표64: ENE 참조 내역

KEPIC 번호 KEPIC 제목 참조 기술기준부합화정도

ENE 1000

ENE 1100

ENE 2000

ENE 2100

ENE 2200

ENE 2300

ENE 2400

ENE 2410

ENE 2420

ENE 2430

설치 일반사항

전력, 계측 및 제어기기 설치요건

설비 및 기기 설치

전기1급 케이블 계통 설치

전기1급 전선로 계통 설치

안전성 관련 신호 전송기 및 변환기 설치

계기용 배관 및 튜브

안전성 관련 계기용 감지 배관 및 튜브

시험채취용 배관 및 튜브

원전 계기용 고압 접속재

-

IEEE 336('85 Edition, Reaf. '91)

-

IEEE 690('84 Edition, Reaf. '02)

IEEE 628('01 Edition)

ISA S67.01('94 Edition)

-

ISA S67.02.01('99 Edition)

ISA S67.10('94 Edition)

ANSI/IEEE N42.4(R 1991)

수정/MOD

일치/IDT

일치/IDT

일치/IDT

일치/IDT

일치/IDT

일치/IDT

Page 97: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95 -

KEPIC-ENF(시험 및 검사)

표65: ENF 참조 내역

KEPIC 번호 KEPIC 제목 참조 기술기준부합화정도

ENF 1000ENF 1100ENF 2000ENF 3000ENF 3100ENF 3200ENF 3300ENF 3400ENF 3500ENF 3600ENF 3610ENF 3620

시험 및 검사 일반사항전력, 계측 및 제어기기 시험 및 검사요건전기1급 전력계통 가동전 시험 계획 작성지침설비 및 기기시험안전계통 주기 시험안전성 관련 계기 채널 응답시간 시험예비전력 공급용 디젤발전기 유닛 주기시험개방형 납축전지 보수, 시험 및 교체전기1급 기기의 교체 부품 요건계측기기 시험계측 및 시험기기의 교정 및 관리방사선 방호 계측기 시험 및 교정

-IEEE 336(‘85 Edition, Reaf. '91)IEEE 415('86 Edition, Reaf. '92)

-IEEE 338('87 Edition, Reaf. '00)ISA S67.06('84 Edition)IEEE 749('83 Edition)IEEE 450('02 Edition)IEEE 934('87 Edition, Reaf. '92)

-IEEE 498('90Edition)IEEE N323(R 1993)

수정/MOD일치/IDT

일치/IDT일치/IDT일치/IDT일치/IDT일치/IDT

일치/IDT일치/IDT

Page 98: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3. 국내외 주요기관 현황

- 96 -

다) KEPIC-SN(원자력구조)

<원자력구조(KEPIC-SN)분야>

원자력구조 품목

격납구조 구성품과 부속물

내진 Ⅰ급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구성품과 부속물

내진 Ⅰ급 강구조물의 구성품과 부속물

SN(원자력 구조 기술기준)은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 관련 전기 기기에 대

한 설계, 검증, 설치, 시험 및 검사에 관한 기술기준임

KEPIC-SN은 원자력 발전소의 격납구조 및 내진 I급 구조물의 설계, 시공

에 적용하여온 미국의 ASME Boiler and Pressure Vessel Code, Section

III, Div. 2,와 ACI 349 및 AISC N690을 참조하여 이를 번안하는 방법으

로 제정된 것

KEPIC-SN의 제정은 제도적 요건과 기술적 요건으로 구분할 수 있음

⃝ 제도적인 요건은 기술기준의 적용방법, 품질보증요건 및 원자력 기계 기

술기준을 적용하는 관련 조직의 자격인증제도, 공인검사제도, 설계문서의

인증제도, 기술기준의 운영 및 관리주체 등과 관련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

으로 참조로 한 ASME Section III, Subsection NCA상의 요건을 우리나

라의 법체계와 전력산업 구조 및 실정에 맞도록 조정하고 우리나라의 관

계기관 및 산업계가 주체가 되어 운영될 수 있도록 하였음

⃝ 기술적 요건에 있어서는 ASME Section III, Div. 2와 ACI 349 및 AISC

N690의 요건을 번안하여 제정함으로써 참조기준과 기술적 사항이 대응

되게 제정하는 방법을 채택하였음

SN은 SNA(일반요건), SNB(격납구조), SNC(철근콘크리트구조), SND(강구

조)로 나뉨

⃝ 원자력 구조 기술기준은 원자력발전소의 내진 Ⅰ급 구조물의 설계 및 시

공에 적용하기 위한 기술기준으로 제정된 것임

Page 99: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97 -

⃝ 구조물의 내진등급은 내진 Ⅰ급, 내진 Ⅱ급으로 나누고 있으며, 대표적인

내진 Ⅰ급 구조물은 원자로 격납건물, 보조건물, 핵연료 건물, 기기냉각수

열교환기 건물, 1차 계측 기기냉각해수 취수 구조물 등

⃝ 격납구조(원자로 격납건물 외벽)는 내진 Ⅰ급에 포함되나 설계상의 특성

이나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별도의 기술

기준이 개발되어 사용재료나 품질관리 면에서 일반 내진 Ⅰ급 구조와 적

용을 달리하고 있음

표66: 원자력 구조의 각 기술기준별 적용범위

SNB — 격납구조 기술기준 :

격납건물 외벽 및 기초

SNA

일반요건

SNC — 철근콘크리트구조 기술기준 :

내진Ⅰ급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SND — 강구조 기술기준 :

내진 Ⅰ급 강구조물

격납구조 기술기준은 ASME Code Section Ⅲ, Div. 2의 구성체계 및 번호

체계와 기술적 요건을 그대로 따르나 기준의 분류 기호는 CC(Code for

Concrete Containments)대신 SNB로 하였으며, 재료와 비파괴검사 및 용접

에 관련된 ASME Code Section Ⅱ와 Section Ⅴ 및 Section Ⅸ과 같이 공

통적으로 적용되는 기술기준은 KEPIC-MD(재료), KEPIC-MEN(비파괴검

사), KEPIC-MQ(용접 및 경납땜 인정) 기술기준을 제정하여 원자력 구조

기술기준의 관련요건에서 인용하였음

철근콘크리트구조 기술기준은 미국 콘크리트학회의 ACI 349 번호체계와

기술요건을 그대로 따름

강구조 기술기준은 미국 AISC N690의 기술적인 요건을 그대로 따랐으나

번호체계는 따르지 않음

Page 100: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3. 국내외 주요기관 현황

- 98 -

표67: KEPIC-SN 참조 기술기준과의 관계

KEPIC - SN 참조 기술기준

SNA : 일반요건 ASME Sect. Ⅲ, NCA “General Requirements”

SNB : 격납구조 ASME Sect. Ⅲ, Div. 2 CC “Code for Concrete Containments”

SNC : 철근콘크리트구조

ACI 349 “Code Requirements for Nuclear Safety-Related ConcreteStructures”

SND : 강구조AISC-N690 “Specification for the Design, Fabrication, and Erection ofSteel Safety- Related Structures for Nuclear Facilities"

SN은 발전사업자, 설계자, 보조품목제작자, 시공자, 재료업체, 역무업체가

인증대상이 되며, 내진Ⅰ급 구조물 또는 기기로 분류된 품목 관련 해당역

무가 범위가 됨

표68: SN의 인증범위

조직 신 청 품 목

발전사업자 KEPIC-SN에 의해 관리되는 모든 품목

설계자

격납구조 및 그 구성품과 부속물(SNB)

내진1급 철근콘크리트구조 및 그 구성품과 부속믈(SNC)

내진1급 강구조물 및 그 구성품과 부속물

시공자

격납구조 및 그 구성품과 부속물(SNB)

내진1급 철근콘크리트구조 및 그 구성품과 부속물(SNC)

내진1급 강구조물 및 그 구성품과 부속물

보조품목

격납구조 구성품과 부속물(SNB)

내진1급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구성품과 부속물(SNC)

내진1급 강구조물의 구성품과 부속물(SND)

역무업체

비파괴검사

열처리

기타

Page 101: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99 -

KEPIC-SNA(일반요건)

⃝ SNA는 전력기준의 적용범위 및 한계, 품질보증요건 및 품질보증 요건의 이행

방법, 원자력 구조 전력기준을 적용하는 관련 조직의 전력기준 준수 능력을 확

인하는 자격인증제도, 전력기준의 올바르고 일관된 적용을 위한 공인검사제도,

설계문서의 인증제도 등과 같은 제도 관리 및 운영 요건을 체계적으로 규정

⃝ 참조로 한 ASME Section III, Subsection NCA상의 요건을 우리나라의 법

체계와 전력산업 구조 및 실정에 맞도록 전환하고 우리나라의 관계기관

및 산업계가 주체가 되어 운영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력산업분야의 고

유 제도를 정립하고자 제정된 것

⃝ 원자력발전소의 격납구조,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및 강구조물의 구조적 건

전성을 확보에 필요한 설계 및 시공에 공통적으로 관계되는 제도관련 요

건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음

⃝ KEPIC-SN은 원자력 발전소의 콘크리트 격납구조와 내진 I급 철근콘크리

트구조 및 강구조에 대한 설계와 시공에 관한 요건을 규정함

⃝ 콘크리트 격납구조는 강재와 콘크리트의 복합 구조물로서 내부의 안전관

련 기기들을 방호하고 이들로부터 나오는 방사성 물질이나 위험 물질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설계한 내압 구조물임

⃝ 내진 I급 구조란 안전 정지 지진(SSE) 발생시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에 관

련된 기기 및 부품들이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수용하고, 지지하는

구조물로 철근콘크리트구조 또는 강구조로 되어있음

⃝ 시공에는 설계자가 작성한 시공시방서와 설계도면에 따라 구조 요소와

구성품 및 부속물을 건설하는 모든 작업이 포함됨. 구성체계는 원자력 및

비원자력 분야의 제도적 요건을 규정하는 기타 일반요건과 동일한 구성

을 갖도록 다음을 기본으로 설정

1000 일반사항 6000 문서

2000 등급분류 7000 (기술 분야별로 요건을 추가하는 경우 제목 설정)

3000 책임과 의무 8000 자격 인증

4000 품질보증 9000 용어

5000 공인검사

Page 102: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3. 국내외 주요기관 현황

- 100 -

KEPIC-SNB(격납구조)

⃝ SNB는 원자력발전소 구조물 중 압력경계(Pressure Boundary)구조물에 해

당되는 격납구조물의 재료, 설계, 제작, 시공, 시험, 검사 및 건전성시험에

적용되는 기술기준으로 미국의 ASME Section III, Div. 2, CC의 기술적

사항을 동일하게 준용하여 작성한 것

⃝ 이 기술기준을 적용하는 격납구조는 아래 사항을 포함하며 구성 및 번호

체계는 참조기준인 ASME Section Ⅲ, Div. 2, CC와 동일하게 작성하였음

- 구조적인 콘크리트 내압(耐壓) 쉘 및 구성품

- 금속 쉘 라이너

- 격납구조 라이너에서 연장되어 라이너를 둘러싸고 있는 쉘 콘크리트를

통과하는 관통라이너

Page 103: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01 -

표69: SNB 참조 내역

SNB번호 제목참조기준

번호참조기준 제목

SNB 1000

SNB 1100

SNB 2000

SNB 2100

SNB 2200

SNB 2300

SNB 2400

SNB 2500

SNB 2600

SNB 2700

SNB 2800

SNB 3000

SNB 3100

SNB 3200

SNB 3300

SNB 3400

SNB 3500

SNB 3600

SNB 3700

SNB 3800

SNB 3900

SNB 4000

SNB 4100

SNB 4200

SNB 4300

SNB 4400

SNB 4500

SNB 4600

SNB 5000

SNB 5100

SNB 5200

SNB 5300

SNB 5400

SNB 5500

개요

적용범위와 일반사항

재료

일반요건

콘크리트와 콘크리트 구성 재료

철근

프리스트레싱 계통의 재료

라이너 재료

용접재료

묻힘앵커의 재료

재료업체의 품질시스템 계획

설계

일반설계

하중기준

격납구조 설계해석의 절차

콘크리트 격납구조의 설계허용값

격납구조 상세 설계

라이너 설계해석의 절차

라이너 설계

라이너 상세설계

충격 하중과 비산물 충격에 대한 설계기준

제작 및 시공

일반요건

콘크리트

철근의 가공

프리스트레싱 계통의 제작과 설치

라이너 제작

묻힘앵커의 제작

시험 및 검사

검사에 요구되는 일반요건

콘크리트 검사

철근의 검사

프리스트레싱 계통의 검사

용접검사

CC 1000

CC 1100

CC 2000

CC 2100

CC 2200

CC 2300

CC 2400

CC 2500

CC 2600

CC 2700

CC 2800

CC 3000

CC 3100

CC 3200

CC 3300

CC 3400

CC 3500

CC 3600

CC 3700

CC 3800

CC 3900

CC 4000

CC 4100

CC 4200

CC 4300

CC 4400

CC 4500

CC 4600

CC 5000

CC 5100

CC 5200

CC 5300

CC 5400

CC 5500

Introduction

Scope and General Requirements

Material

General Requirements for Material

Concrete and Concrete Constituents

Material for Reinforcing Systems

Material for Prestressing Systems

Material for Liners

Welding Material

Material for Embedment Anchors

Material Manufacturer's Quality System

Programs

Design

General Design

Load Criteria

Containment Design Analysis Procedures

Concrete Containment Structure Design

Allowables

Containment Design Details

Liner Design Analysis Procedures

Liner Design

Liner Design Details

Design Criteria for Impulse Loadings

and Missile Impact

Fabrication and Construction

General Requirements

Concrete

Fabrication of Reinforcing Systems

Fabrication and Installation of

Prestressing Systems

Fabrication of Liners

Fabrication of Embedment Anchors

Construction Testing and Examination

General Requirements for Examination

Concrete Examination

Examination of Reinforcing Systems

Examination of Prestressing Systems

Examination of Welds

Page 104: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3. 국내외 주요기관 현황

- 102 -

SNB 6000

SNB 6100

SNB 6200

SNB 6300

SNB 6400

SNB 6500

부록 I

부록 III

부록 IV

부록 VI

부록 VII

부록 IX

부록 XI

부록 C

부록 D

부록 E

부록 F

부록 G

부록 H

건전성 시험

일반요건

시험절차

구조시험 요건

시험결과의 평가

자료분석과 보고서 작성

프리스트레싱 재료와 라이너 재료에 관

한 자료표

용어와 기호

재료의 신규허가

원형지시

콘크리트 검사요원의 자격인정

비파괴 검사 방법

철근의 아크용접 인정

콘크리트 원자로 격납용기의 전형적인

하중조합

예열절차 임의요건

I급과 II급 콘크리트 검사요원의 자격인증

라이너의 치수공차

라이너 재료의 재료시험성적서

철근의 가공공차와 배근공차

CC 6000

CC 6100

CC 6200

CC 6300

CC 6400

CC 6500

Appendix I

Appendix III

Appendix IV

Appendix VI

Appendix VII

Appendix IX

Appendix XI

Appendix C

Appendix D

Appendix E

Appendix F

Appendix G

Appendix H

Structural Integrity Test of Concrete

Containments

General Requirements

Test Procedure

Structural Test Requirements

Evaluation of Test Results

Analysis of Data and Preparation of Report

Tables of Prestessing and Liner Material

Glosssry of Terms and Nomenclature

Approval of New Material

Rounded Indications

Qualifications of Concrete Inspection Personnel

Nondestructive Examination Methods

Qualifications for Arc Welding Reinforcing Bars

Typical CRV Load Combinations (Optional)

Nonmandatory Preheat Procedures

Certification of Level I and II Concrete

Inspection Personnel

Liner Dimensional Tolerances

Certified Material Test Reports for

Liner Materials

Reinforcement Fabrication and Placing

Tolerances

KEPIC-SNC(철근콘크리트구조)

⃝ SNC는 SNB가 적용되는 원자력발전소의 원자로 격납구조물을 제외한 내

진범주 I급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설계 및 시공에 적용하기 위하여 제정

한 것으로 미국의 ACI 349(2001년판) “Code Requirements for Nuclear

Safety Related Concrete Structures"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음

⃝ ACI 349는 모(母) 기준인 ACI 318을 근간으로 원자력구조에 적용해야

할 별도요건들을 추가하여 작성되었으며 이러한 이유로 원자력구조-철근

콘크리트구조의 설계 및 시공은 일반적으로 ACI 318과 ACI 349를 포괄

하는 요건을 적용하여 수행되고 있으나 ACI 318이 기능 유지와는 무관

하게 대규모 인명 피해를 유발할 수 있는 급격한 붕괴 방지를 목표로 하

Page 105: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03 -

고 있는 반면 ACI 349는 설계기준사건에 대하여 원자력구조물 및 설비의

기능 유지를 목표로 하고 있으므로 ACI 318에 비하여 보수적인 하중조합

및 설계 요건들을 규정하고 있음

⃝ ACI 349에서 인용하고 있는 참고문헌도 동일하게 인용하였고 현재 국내

원자력발전소의 철근콘크리트구조 설계 및 시공에 적용되고 있는 단위계

를 고려하여 ft-lbs 단위와 MKS-cgs 단위를 병기하고 재료 및 시험은

ASTM을 표준규격으로 적용하고 있음

⃝ SNC는 적법한 절차에 의해 발전소 부지 내에 건설되는 안전관련 구조물

인 내진범주Ⅰ급 구조물의 철근콘크리트 구조요소에 대한 최소한의 요건

을 규정

⃝ SNC의 규정이 적용되는 안전관련 구조물 및 구조부재는 원자력 안전성

등급 시스템 또는 구성 요소를 지지하거나, 수용하거나, 또는 보호하는

원자력 안전성 등급 시스템 구성요소의 일부분인 콘크리트 구조물이지만

콘크리트 격납구조는 SN 중 SNB를 우선적으로 적용하며 격납구조 기술

기준에서 규정하지 않은 사항에 대해서는 SNC를 적용하여야 함

⃝ 제도와 관련된 부분은 원자력발전소 안전관련 구조물에 적용되는 SNA를

준용함

Page 106: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3. 국내외 주요기관 현황

- 104 -

표70: SNC 참조 내역

SNC번호 제목참조기준

번호참조기준 제목

SNC 1장

SNC 2장

SNC 3장

SNC 4장

SNC 5장

SNC 6장

SNC 7장

SNC 8장

SNC 9장

SNC 10장

SNC 11장

SNC 12장

SNC 13장

SNC 14장

SNC 15장

SNC 16장

SNC 17장

SNC 18장

SNC 19장

SNC 20장

SNC 21장

SNC App. A

SNC App. B

SNC App. C

일반요건

용어 정의

재료

내구성 요건

콘크리트, 품질, 비비기 및 타설

거푸집, 매설배관 및 시공이음

철근 상세

해석 및 설계

강도 및 사용성 요건

휨과 축방향하중

전단과 비틀림

철근의 정착과 이음

2방향 슬래브

벽체

기초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콘크리트 휨 부재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기존 구조물의 강도 평가

내진설계를 위한 특별규정

열응력에 대한 고려사항

콘크리트에 대한 앵커 설계

충동 및 충격효과에 대한 고려사항

Chapter 1

Chapter 2

Chapter 3.

Chapter 4

Chapter 5

Chapter 6

Chapter 7

Chapter 8

Chapter 9

Chapter 10

Chapter 11

Chapter 12

Chapter 13

Chapter 14

Chapter 15

Chapter 16

Chapter 17

Chapter 18

Chapter 19

Chapter 20

Chapter 21

Appendix A

Appendix B

Appendix C

General Requirements

Definitions

Materials

Durability Requirements

Concrete Quality, Mixing, and Placing

Formwork, Embedded Pipes, and Construction Joints

Details of Reinforcement

Analysis and Design : General Considerations

Strength and Serviceability Requirements

Flexure and Axial Loads

Shear and Torsion

Development and Splices of Reinforcement

Two-Way Slab Systems

Walls

Footings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ncrete Flexural Members

Prestressed Concrete

Shells

Strength Evaluation of Existing Structures

Special Provisions for Seismic Design

Thermal Considerations

Anchoring to Concrete

Special Provisions for Impulsive and Impactive Effects

KEPIC-SND(강구조)

⃝ SND는 원자력 발전소의 내진 I급 강구조물의 설계에 적용하기 위하여

제정한 것으로 미국의 ANSI/AISC-N690(1994) "Specification for the

Design, Fabrication, and Erection of Steel Safety-Related Structures for

Nuclear Facilities 및 ANSI/AISC-N690 Supplement No.1(2002)을 근간으

로 작성되었음

⃝ AISC N690은 AISC-ASD의 9판(1989)을 기본 내용으로 하며, 원자력발전소에

고려해야 될 하중, 용접, 시공, 품질관리 등의 특별요건을 강화하여 제정된 것

Page 107: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05 -

⃝ SND는 원자력 시설 안전 관련 강구조물 및 강구조 요소의 설계, 제작 및

설치에 적용됨(구조용 강재와 콘크리트로 구성된 합성 구조물에도 적용)

⃝ SND의 적용을 받는 구조물 및 구조요소는 원자력 안전 관련 계통의 일부

가 되는 강구조와 안전관련 계통 또는 관련 기기를 지지 혹은 보호하는 강

구조임

⃝ 원자력 안전관련 강구조물 및 강구조 요소의 안전 관련 등급의 분류에

대한 책임은 발전사업자나 그의 대리인에게 있음

⃝ 압력용기, 밸브, 펌프 및 배관 등과 같은 압력유지 부품은 SND의 적용범

위에서 제외됨

⃝ 원자력 안전관련 강구조물에 대한 품질보증프로그램은 작업 착수 전에

작성되어야 하고 원자력시설의 설계 및 시공 단계에서 품질보증프로그램

을 설정하고 수행하기 위한 일반 요건 및 지침은 미연방법 제 10편에 제

정되어 있는데, 원자력 발전소 및 독립된 상업용 원자로의 사용 후 핵연

료 저장시설에 대해서는 제 50장(10CFR50) Appendix B를, 미정부 에너

지성의 원자력시설에 관하여는 제 830.120절(10CFR830.120)을 적용함

⃝ SND 기술기준은 기호 및 부록을 포함함

⃝ L 형강 부재의 설계는 AISC "Specification for Allowable Stress Design

of Single Angle Member" 및 SND를 따름

⃝ 구조용 접합부의 설계는 AISC "Specification for Structural Joints Using

ASTM A325 or A490 Bolts", KEPIC- SWS(구조용접-강구조) 및 SND를

따름

⃝ 제도와 관련된 부분은 원자력발전소 안전관련 구조물에 적용되는 SNA를

준용함

Page 108: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3. 국내외 주요기관 현황

- 106 -

표71: SND 참조 내역

SND번호 제목 참조기준(AISC) 관련항목

1000 일반사항N 690 : 1.0~1.5ASD : A5

2000 설계요건N 690 : 1.8~1.10, 1.12ASD : B5, C1

3000 부재설계N 690 : 1.5, 1.6, 1.8, 1.10, 1.18ASD : D, E, F, G, H

4000 합성부재설계N 690 : 1.11ASD : I

5000 접합부 설계N 690 : 1.5, 1.6, 1.10, 1.14~1.17, 1.22, 1.23ASD : J1, J5

6000 특별 설계 고려사항N 690 : 1.6, 1.7, 1.10, 1.13, 1.15ASD : K1

7000 사용성 설계고려사항N 690 : 1.13, 1.19, 1.20ASD : L4, L5

8000 제작, 설치 및 품질관리 N 690 : 1.1, 1.21, 1.23~1.28

9000 소성 솔계 N 690 : 2.1~2.10

Page 109: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07 -

라) KEPIC-MH(공조기기)

<원자력공조기기(KEPIC-MH)분야>

기 기

공기정화 및 공기조화

송풍기

댐퍼 및 루버

덕트설비

냉동기

공기조화기

습분분리기

중급효율 필터

헤파필터

흡착기(Ⅱ형)

흡착기(Ⅲ형)

흡착제

프레임

계측 및 제어

발전소내의 공조기기는 온도, 습도, 청정도를 적절하게 유지하고 오염된 공

기를 처리하여, 작업자에게 쾌적한 근무환경을 제공하고 발전설비 및 기기

들이 적절한 환경에서 가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원자력발전소에서

는 사고시에 안전성관련 기능을 수행하기도 하는 중요한 기기임

원자력 발전소에서는 공기의 청정 및 조화를 통한 안전성를 확보하기 위

하여 공조기기의 재료, 설계, 제작, 설치, 시험, 검사, 품질보증 등을 규정

한 기술기준의 개발이 필요하였음

MH(공조기기 기술기준)는 Mechanical HVAC (Heating, Ventilating, and

Air-Conditioning Systems and Equipment)의 첫 글자를 합성하여 만들었으며,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성관련 공기조화설비 계통에 사용되는 공조기기에 적용

MH는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성관련 공기조화설비 계통에서 사용되는 설비

가 적합하게 사용되도록 성능, 설계, 제작, 합격시험 및 품질보증에 대한

최소 요건을 기술

⃝ MH는 계통 내에 있는 개별적인 구성 기기에만 적용하며, 기능상의 계통

설계요건, 전체 계통의 용량 산정 또는 계통의 운전특성에 대해서는 규정

하지 않음

⃝ ASME AG-1의 내용을 제정범위로 하고 비안전성관련 공조기기나 화력발

전소에 설치되는 공조기기는 별도로 기술기준을 제정하지 않고 안전성관

련 공조기기의 기술기준을 준용하도록 하였음

Page 110: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3. 국내외 주요기관 현황

- 108 -

MH는 MHA(공통요건), MHB(공기정화 및 공기조화), MHC(시험절차)로 나뉨

KEPIC-MH는 ASME AG-1을 근간으로 하고, 제도상의 차이로 인하여 국

내실정과 부합되지 않는 내용이 있는 경우는 국내 법규나 규제지침 또는

산업계의 관례를 참조하여 보완 제정하였으며, KEPIC으로 대체가 가능한

내용은 KEPIC으로 대체하였음

구성체계는 주 참조기준인 ASME AG-1 "Code on Nuclear Air and Gas

Treatment", 2003년판을 따랐으며, 개정관리 및 기술기준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자 ASME AG-1의 분류기호를 반영하였음

표72: KEPIC-MH 참조 기술기준과의 관계

KEPIC-MH ASME AG-1

MHA 일반요건 Division Ⅰ General Requirements

MHA-AA 공통요건 Section AA Common Articles

MHB 공기정화 및 공기조화 Division Ⅱ Ventilation Air Cleaning and Ventilation Air Conditioning

MHB-BA 송풍기 Section BA Fans and Blowers

MHB-DA 댐퍼 및 루버 Section DA Dampers and Louvers

MHB-SA 덕트설비 Section SA Ductwork

MHB-RA 냉동기 Section RA Refrigeration Equipment

MHB-CA 공기조화기 Section CA Conditioning Equipment

MHB-FA 습분분리기 Section FA Moisture Separators

MHB-FB 중급효율 필터 Section FB Filters Medium Efficiency

MHB-FC 헤파필터 Section FC HEPA filters

MHB-FD 흡착기(Ⅱ형) Section FD Type Ⅱ Adsorber Cells

MHB-FE 흡착기(Ⅲ형) Section FE Type Ⅲ Adsorber Cells

MHB-FF 흡착제 Section FF Adsorbent Media

MHB-FG 프레임 Section FGMounting Frames Conagt-Air Cleaning Equipment

Nuclear Safety-Related Equipment

MHB-IA 계측 및 제어 Section IA Instrumentation and Controls

MHD 시험절차 Division Ⅳ Testing Procedures

MHD-TA 공기처리계통의 현장시험 Section TA Field Testing of Air Treatment Systems

Page 111: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09 -

MH의 개발을 위한 주 참조 기술기준으로 ASME AG-1을 선정하였으며

재료, 용기, 배관 비파괴검사, 기기검증, 품질보증 등의 참조 기준은 아래

와 같이 적용하였음

표73: ASME AG-1와KEPIC-MH의 참조기준

ASME AG-1의 참조기준 KEPIC-MH의 참조기준 관련내용

ASME Section Ⅱ KEPIC-MD 재료

ASME Section Ⅲ KEPIC-MN 원자력기계

ASME Section Ⅴ KEPIC-MEN 비파괴검사

ASME Section Ⅷ KEPIC-MGB 압력용기

ASME Section Ⅸ KEPIC-MQ 용접

ASME Section Ⅺ KEPIC-MI 원전가동중검사

ASME B31.1 KEPIC-MGE 배관

ASME NQA KEPIC-QAP 원자력 품질보증

IEEE 323 KEPIC-END 1100 전기1급 기기검증

IEEE 334 KEPIC-END 3300 전기1급 전동기의 검증요건

IEEE 382 KEPIC-END 3700 안전성관련 밸브 작동기 검증

AWS D1.1 KEPIC-SWS 강구조

AWS D1.3 KEPIC-SWT 박강판구조

ASME Appendix ⅩⅦ-83 KEPIC-MNF 3300 선형 지지물의 설계규정

MH는 제작자, 설치자가 인증대상이 되며, 안전등급공기정화기/공기조화

기 및 구성품이 범위가 됨

Page 112: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3. 국내외 주요기관 현황

- 110 -

기술적인 사항은 참조기준의 내용을 번안수준으로 작성하였고, 제도와 절

차에 관한 사항은 국내 실정에 맞도록 제정하였으며 사용단위는 ft-lb 단

위를 사용하였고 참조기준과 같이 SI단위를 병기하였음

표74: KEPIC 공조기기와 관련 기술기준의 구성

MHA 일반요건

MHA-AA 공통요건

MHB 공기정화 및 공기조화

MHB-BA 송풍기 구 성 KEPIC-MD

재료 기술기준KEPIC-MN

원자력기계 기술기준

MHB-DA 댐퍼 및 루버 일반사항

MHB-SA 덕트설비 참조기준 KEPIC-MEN

비파괴검사 기술기준KEPIC-EN

원자력전기 기술기준

MHB-RA 냉동기 재 료

MHB-CA 공기조화기 설 계 KEPIC-MQ

용접 기술기준KEPIC-MG

일반기계 기술기준

MHB-FA 습분분리기 시험 및 검사

MHB-FB 중급효율 필터 제작 및 설치 KEPIC-SW

구조용접 기술기준MHB-FC 헤파필터 저장 및 취급

MHB-FD 흡착기(Ⅱ형) 품질보증 KEPIC-QAP

원자력 품질보증MHB-FE 흡착기(Ⅲ형) 명판 및 인증

MHB-FF 흡착제

MHB-FG 프레임

MHB-IA 계측 및 제어

MHD 시험절차

MHD-TA 공기처리계통의 현장시험

냉동기와 공기조화기의 압력유지기기 중에서 ASME Section Ⅲ의 적용을 받

는 기기는 KEPIC-MN을, ASME Section Ⅷ의 적용을 받는 기기는

KEPIC-MG를, 전기1급 계측 및 제어기기는 KEPIC-EN의 요건을 적용하였음

⃝ 재료, 비파괴검사, 용접 기술기준 등의 지원기준(Service Code)은 KEPIC

1995년판으로 발행되어 산업계의 적용과정에서 제기된 문제점을 개선, 보

Page 113: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11 -

완한 KEPIC 2000년판의 MD, MEN, MQ 등을 우선적으로 적용하고,

KEPIC으로 개발되지 않은 기술기준은 참조기준을 적용, 품질보증요건은

원자력 품질보증 요건인 KEPIC-QAP를 적용하였음

표75: MH의 인증범위

조직구분 신 청 품 목

제조자

송풍기 (MHB BA)

댐퍼 및 루버 (MHB DA)

냉동기 (MHB RA)

공기조화기 (MHB CA)

중급효율 필터 (MHB FB)

헤파필터 (MHB FC)

공기정화기

덕트설비

설치자 원자력발전소 안전성관련 공조기기 및 관련품목

MHA(일반요건), MHB(공기정화 및 공기조화) 및 MHD(시험절차)의 목차

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참조기준의 구성을 그대로 따름

Page 114: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3. 국내외 주요기관 현황

- 112 -

표76: MHA, MHB 참조 내역

항목 번호 MHA / MHB 제목 참조기준(ASME AG-1, AA) 관련항목

1000 일반사항 Introduction

2000 참조 기술기준 Referenced Documents

3000 재료 Materials

4000 설계 Structural Design

5000 시험 및 검사 Inspection and Testing

6000 제작 및 설치Fabrication, Joining, Welding,

Brazing, Protective Coating and Installation

7000 저장 및 취급Packaging, Shipping, Receiving,

Storage and Handling

8000 품질보증 Quality Assurance

9000 명판 및 인증 Nameplates and Stamping

표77: MHD 참조 내역

항목 번호 MHD 제목 참조기준(ASME AG-1, AT) 관련항목

1000 일반사항 Introduction

2000 참조 기술기준 Referenced Documents

3000 일반검사 및 시험요건 General Inspection and Test Requirements

4000 현장인수시험 Field Acceptance Tests

5000 시정조치 Corrective Action Requirements

6000 품질보증 Quality Assurance

Page 115: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13 -

1-3) 원자력 검사업무 자격인증(KEPIC-QAI, KEPIC-QAR, KEPIC-MEN 1002)

가) 공인검사기관/검사원 자격인증(KEPIC-QAI)

원자력발전소에서는 검사업무를 크게 4단계로 나누어 수행하는데 KEPIC

에서도 각종 산업분야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의 배경을 고려할 때 객관적

이고 공정한 검사체제가 정립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공인검사원과 감독

원, 그리고 이들을 고용하는 공인검사기관의 자격요건과 의무사항을 제정

하였음

⃝ 제작자 또는 설치자의 자체적인 검사

⃝ 발전사업자 검사

⃝ 제 3의 기관에 의한 공인검사

⃝ 정부 규제기관이 수행하는 법정 검사

공인검사기관이 되기 위해서는 필요한 공인검사원/감독원을 확보하고 공

인검사프로그램을 수립한 후 협회에 신청하여 심사를 받아야 하며 공인검

사원/감독원이 되기 위해서는 협회가 실시하는 약 2주의 교육과정을 수

료하고 시험에 합격한 후 공인검사기관을 통하여 협회에 등록을 신청하면

품질전문위원회의 심의를 받아 협회가 자격 인정서를 발급함

표78: 공인검사분야

분 야 적용 KEPIC 공인검사요건

원자력 기계 MN

KEPIC-QAI

원전 가동중검사 MI

원자력 토목구조 SN

일반기계 MG

Page 116: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3. 국내외 주요기관 현황

- 114 -

나) 등록기술자 자격인정(KEPIC-QAR)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ASME Code Sec. Ⅲ에 준하여 원전 설계를 수행하면

서 설계문서 인증 제도를 그대로 적용하여온 관계로 미국의 기술사인

PE(Professional Engineer) 자격 취득자를 고용하고 있지 못하여 설계문서의

인증에 어려움을 겪고 있던 중 KEPIC을 개발하면서 우리 실정에 맞는 제도

적 요건을 수립한다는 취지에 맞추어 등록기술자의 자격인정기준을 제정

KEPIC 등록기술자가 되려면 KEPIC-QAR에서 정한 기술사 또는 기사 자

격을 취득하고 정해진 경력이 있어야 하는데 이 경력을 증빙하려면 원자

력 압력용기 설계문서를 작성, 검토 승인한 증거를 제시하여야 함

KEPIC 등록기술자는 원자력 압력용기 설계문서인 설계시방서, 설계보고

서, 과압보호보고서, 시공시방서, 도면 등을 검토 후 만족시 소정의

KEPIC 등록기술자 스탬프를 날인하여 인증을 표시

표79: 등록기술자인증 분야 및 업무

분 야 업 무 내 용고용자

(업무위임자)

원자력기계

ㆍ설계시방서 인증ㆍ설계보고서 및 설계요약보고서 검토

발전사업자

ㆍ하중용량 자료표 인증ㆍ설계보고서 및 설계요약보고서인증

원자력 제조자

ㆍ과압보호보고서 인증 발전사업자

원자력구조

ㆍ설계시방서 인증ㆍ설계보고서 검토

발전산업자

ㆍ시공시방서, 설계도면, 설계보고서인증 설계자

Page 117: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15 -

다) 비파괴검사원 자격인정(KEPIC-MEN 1002)

비파괴검사는 전력설비의 제작, 시공, 보수과정에서 특수공정으로 분류될

만큼 중요한 공정으로서 KEPIC에서는 ASME Sec.Ⅴ 등을 참조하여 비파

괴검사(KEPIC-MEN)분야를 제정

국내 원전에서 비파괴검사원의 자격인정으로 적용하던 미국의 SNT-TC

-1A를 대체할 수 있도록 KEPIC에서는 국가기술자격을 기본요건으로 한

비파괴 검사원 자격인정기준(KEPIC MEN 1002)을 제정

KEPIC에 의한 비파괴검사원이 되려면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해당 기능

사, 기사 자격을 취득한 후 소정의 교육(4~8시간)을 받고 협회에 등록신

청을 하면 심의위원회의 승인 후 자격인정서를 발급

표80: 비파괴검사 자격대상 및 적용요건

분 야 비파괴검사원 요건 비고

비파괴검사 방법RT/UT/PT/MT/ECT/LT/VT

등 7개분야KEPIC-MEN 1002

2002. 6. 30까지 SNT-TC-1A에 따라취득한 자격도 기본 자격으로 인정

(단, 육안검사 방법은 계속인정)

Page 118: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3. 국내외 주요기관 현황

- 116 -

1-4) KEPIC의 참조기준

표81: KEPIC의 ASME 참조기준 표

분야분류기호

제목 참조기준

QA

품질

보증

QAP 원자력 품질보증ASME NQA-1 (’94 edition, ’95

addenda)

QAI 공인검사ASME QAI-1 (’01 edition, ‘03

addenda)

QAR등록기술자의 자격

인정

ASME Appendix XXIII (’01

edition~’03 addenda)

MN

원자력기계

MNA 일반요건ASME III NCA

('95 edition~’03 addenda)

MNB 1등급 기기ASME III Div.1 NB

('95 edition~’04 edition)

MNC 2등급 기기ASME III Div.1 NC

('95 edition~’04 edition)

MND 3등급 기기ASME III Div.1 ND

('95 edition~’04 edition)

MNE 금속격납용기ASME III Div.1 NE

('95 edition~’04 edition)

MNF 지지물ASME III Div.1 NF

('95 edition~’04 edition)

MNG 노심지지구조물ASME III Div.1 NG

('95 edition~’04 edition)

MNZ 부록ASME III Div.1 NZ

('95 edition~’04 edition)

Page 119: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17 -

분야분류기호

제목 참조기준

MI

원전

가동중검사

MIA 일반요건ASME XI Div.1 IWA

('95 edition~’04 edition)

MIB 1등급 기기ASME XI Div.1 IWB

('95 edition~’04 edition)

MIC 2등급 기기ASME XI Div.1 IWC

('95 edition~’04 edition)

MID 3등급 기기ASME XI Div.1 IWD

('95 edition~’04 edition)

MIE금속격납용기 및

금속라이너

ASME XI Div.1 IWE

('95 edition~’04 edition)

MIF 지지물ASME XI Div.1 IWF

('95 edition~’04 edition)

MIL 격납구조ASME XI Div.1 IWL

('95 edition~’03 addenda)

MIZ 부록ASME XI Div.1 Appedix ('95

edition~’04 edition)

MO

원전

가동중시험

MOA 일반요건ASME OM-ISTA

(‘95 edition~’04 edition)

MOB 펌프 가동중시험ASME OM-ISTB

(‘95 edition~’02 addenda)

MOC 밸브 가동중시험ASME OM-ISTC

(‘95 edition~’04 edition)

MOD압력방출장치

가동중시험

ASME OM-App. I

(‘95 edition~’04 edition)

MOE 방진기 가동중시험ASME OM-lSTD

(‘95 edition~’02 addenda)

MOF 냉각계통 성능시험ASME OM-Part 2

('94 edition, ’03 addenda)

MOG 배관 진동시험ASME OM-Part 3

('94 edition~’02 addenda)

MOH동력구동 압력방출밸브

성능시험

ASME OM-Part 13

('94 edition~’02 addenda)

MOI디젤구동장치

가동중시험

ASME OM-Part 16

('94 edition, ’03 addenda)

MON 적용사례ASME OMN Code Case

('98 edition~’04 edition)

Page 120: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3. 국내외 주요기관 현황

- 118 -

분야분류기호

제목 참조기준

MF

원전기계기기

의 성능

검증

MFA 일반요건ASME QME-1 Sec.QR

('97 edition~’04 edition)

MFB능동펌프 조립품의

성능검증

ASME QME-1 Sec.QP

('97 edition~’02 addenda)

MFC능동밸브 조립품의

성능검증

ASME QME-1 Sec.QV

('97 edition~’02 addenda)

MFD 동적구속물의 성능검증ASME QME-1 Sec.QDR

('02 addenda)

MH

공조

기기

MHA 일반요건ASME AG-1 Div.I

('97 edition~’04 addenda)

MHB 공기정화 및 공기 조화ASME AG-1 Div.II

('97 edition~’04 addenda)

MHD 시험절차ASME AG-1 Div.IV

('97 edition~’04 addenda)

MC 크레인 MCN 원자력발전소 크레인ASME NOG-1('02 edition~ ’04

edition)

EN원자력

전기기기

ENA 일반요건 ANSI/ANS 51.1-1983 (R1988)

ENB 설계

IEEE 279(R78), 308('01), 317 ('96),352('87, R99), 379('94, '00), 384('92,R97), 387('01), 420('01), 494('74,R90), 497('02), 577('04), 603('98),741('02), 765('06), 946('04),7-4.3.2('03), ANSI/ISA S67.04.01('94, '00)

END 검증

IEEE 323('83, R96, '03), 334('99),344('87, '04), 382('96), 383('74, '03),535('94), 572('92), 627('80, R96),649('99), 650('06)

ENE 설치IEEE 336('91), 628('01), 690('02),ANSI/ISA S67.01('94)

ENF 시험 및 검사 IEEE 336('91), 338('87, R00)

Page 121: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19 -

분야분류기호

제목 참조기준

EM계측 및제어기기

EMC 신호변환 IEEE 1050('99)

EME 소프트웨어 검증IEEE 828('05), 829('98), 830('98),1008('02), 1012 ('04), 1016(‘98),1028('02), 1074('06), 1228(‘94)

SN원자력구조

SNA 일반요건ASME III, NCA('95 edition~‘03 addenda)

SNB 격납구조ASME III, Div.2 CC('95 edition~'04 edition)

SNC 철근콘크리트구조 ACI 349('01)

SND 강구조 AISC N690('94)

SNE 방호도장

ASTM D 3359('95), 3843('00),3911('95), 3912('95), 4082('95),4227('95), 4228('95), 4537('96),4538('95), 4541('95), 5139('96),5144('00), 5163('96), 5498('94),5962('96)

ST구조 총칙

STA 설계하중ASCE 7 ('98 edition~'02 edition)건축물 하중기준 및 해설/건축학회 발행(‘00)

STB지진해석 및내진성능평가

ASCE 4('98), IEEE 344('04), ASMEQME-1. APP. QR-A ('02),ANSI/ANS-2.2('88)

FP화재 예방

FPN원자력발전소 화재 예방

NFPA 803(’98 edition), 804(’01edition)

Page 122: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3. 국내외 주요기관 현황

- 120 -

2) ASME(The Americ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미국기계학회)

ASME 자격인증

⃝ ASME의 자격인증제도는 ASME Boiler and Pressure Vessel Code라는

규격의 요구에 따라 설계, 제작, 시공 등 여러 가지 활동을 할 수 있는

자격이 있는 회사를 인증하기 위한 절차를 설정한 것

⃝ 전 산업에 사용되는 보일러/압력용기 등에 대한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ASME Code에 따른 제품별 품질 및 시스템인증

⃝ 비영리 단체로서 미국 내의 보일러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ASME규격을

제정하기 시작하여 현재 일반산업 및 원자력산업에 사용되는 모든 압력

용기에 대한 ASME 규격을 제정하고 관련된 ASME 인증심사를 실시

⃝ 이 자격을 갖고 있는 회사는 ASME Code의 요건에 따라 품목을 설계,

제작, 설치하고 Authorized Inspection Agency(공인검사기관)의 소정의

검사를 받은 후 ASME Code의 모든 요건을 만족하였다는 표시로서

ASME의 스탬프를 제품에 각인함으로서 궁극적으로 품목이 일정수준의

품질을 유지하고 있음을 객관적으로 증명하게 됨

⃝ ASME는 보일러나 압력 용기 등 기기의 사용자, 감독관청 및 이들 인증

의 보유자 자체의 이익을 위하여 ASEM Code Symbol 스탬프의 권위를

유지하고자 노력하고 있음

⃝ 오랜 경험을 통해 축적된 기술을 담고 있는 ASME Code의 기술적 요건

과 품질프로그램 등 관리요건을 만족하고 그 위에 공인 검사기관에 의한

독립적 검사에 의해 그 품질이 확인된 것만으로도 유례를 찾을 수 없을

만큼 엄격한 품질보증제도임

⃝ 일반 사업분야에 사용되는 모든 압력용기 및 원자력 사업에 사용되는 모

든 압력관련 자재, 제품에 대하여 매우 선호되고 있는 인증임

Page 123: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21 -

표82: ASME Code 구성

Section Title

I Rules for Construction of Power Boilers

II

MaterialsPart A - Ferrous Material SpecificationsPart B - Nonferrous Material SpecificationsPart C - Specifications for Welding Rods, Electrodes, and Filler MetalsPart D - Properties

III

Subsection NCA - General Requirements for Division 1 and DivisionDivision 1 RULES FOR CONSTRUCTION OF NUCLEAR FACILITY COMPONENTSDivision 2 - Code for Concrete Reactor Vessels and ContainmentsDivision 3 - Containment Systems for Storage and Transport Packagings of Spent

Nuclear Fuel and High Level Radioactive Material and Waste

IV Rules for Construction of Heating Boilers

V Nondestructive Examination

VI Recommended Rules for the Care and Operation of Heating Boilers

VII Recommended Guidelines for the Care of Power Boilers

VIII

Rules for Construction of Pressure VesselsDivision 1.Division 2 - Alternative RulesDivision 3 - Alternative Rules for Construction of High Pressure Vessels

IX Welding and Brazing Qualifications

X Fiber-Reinforced Plastic Pressure Vessels

XI Rules for Inservice Inspection of Nuclear Power Plant Components

XII Rules for Construction and Continued Service of Transport Tanks

Page 124: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3. 국내외 주요기관 현황

- 122 -

표83: 각 Section간의 관계

Design & Fabrication Stage Operation Stage

Vessel Sections

Sect.Ⅰ

Sect.Ⅲ Div.1,2,3

Sect.Ⅳ

Sect.Ⅷ Dic.1,2,3

Sect.Ⅹ

User's Sections

Sect.Ⅶ

Sect.Ⅺ

Sect.Ⅵ

None(NBIC)

None

R Service Sections

Sect.Ⅲ

Sect.Ⅴ

Sect.Ⅸ

R

R

Other Code & Standard

ASTM, MSS, AWS, ASNT, TEMA

Page 125: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23 -

2-1) ASME 인증자격의 종류

ASME Code가 적용되는 기기의 계획, 설계, 구매, 제조, 설치, 운전이라고

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련의 흐름의 각 단계에 직접 관계를 갖는

조직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가 있음

⃝ 기기를 설치한 플랜트 소유자 또는 운전자 및 그 대행기관(원자력에서는

Owner, 비원자력에서는 Owner 또는 User)

⃝ 재료의 제조 또는 설치자(Material Manufacturer)

⃝ 재료의 보관, 공급자(Material Supplier)

⃝ 기기의 제조자(Manufacturer, Constructor, Certificate Holder, Holder of

Certificate of Authorization)

⃝ Service의 하청업자(비파괴시험, 열처리, Bending, 가공, 보수 등의 Service

제공자)

⃝ 설계자(Section Ⅲ, Division 2에서는 Designer라고 부르며, 그 외의 경우

는 상기의 Service 하청업자로 분류될 수 있음)

이 조직은 제품의 형태변화와 대응하도록 구분되어 있으며, 각 조직의 책

임자 권한이 ASME Code에 명확히 규정되어 있음

각 조직은 자기의 책임을 충분히 부과하여 그것을 보증하도록 하는 품질

프로그램을 설정해야 하며 그 품질프로그램의 적절성 및 이행 능력을 평

가해서 각 조직을 인증하고 그 책임범위의 일을 할 수 있도록 자격을 부

여하도록 하는 것

Page 126: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3. 국내외 주요기관 현황

- 124 -

표84: ASME Code 관련 품질기관 및 프로그램

Certificate of Authorization incl NS and Corporate

QA Program CertificateQuality System CertificateOwner's Certificate

Nuclear Component Certification Program (N-Type Stamps)

N - Nuclear vessels, pumps, valves, piping systems, storage tanks, core support structures,and concrete containments

NA - Field installation and shop assemblyNPT - Fabrication, with or without design responsibility, for nuclear appurtenances and

supportsNS - Nuclear supportsNV - Pressure relief valvesN3 - Containment for spent fuel and radioactive waste

QSC-Quality System Certificate for Nuclear Material Organizations아래재료에 대한 제조 및 공급을 그 범위로 함(ASME Boiler and Pressure Vessel Code, Section III, NCA-3800참조)

Product Forms- bars, plates, tubular products- forgings, castings- fasteners, flanges, fittings

Welding Materials- electrodes, wires, filler metal

Prestressing Systems (Div. 2)- strands, wires, bars, anchorages, couplings

Semi-finished product forms- round, billets, ingots, rods, wires, strips

Concrete Reinforcing Systems (Div. 2)- bars, splice products

발전사업자(Owner), 기기의 제조자(N) 및 부품제조자(NPT), 조립설치자

(NA)에 대해서, ASME Code에 따라 품질프로그램을 수립하여 ASME 인

증을 받을 것을 요구하고 있고 재료의 제조자 및 공급자에 대한 품질프로

그램의 요구도 정해져 있으며 ASME의 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음

단, ASME의자격인증을받지않는경우에는인증업체로부터자격심사를받아인증되어야함

Service의 하청업체는 발주자에 의해 그 자격이 인증되는 것만이 요구되고

ASME에 의한 인증제도는 없고 설계자는 Engineering Organization으로서의

ASME 인증제도가 있었지만 폐지되었으며 Service 하청업체와 동일하게 취급

Page 127: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25 -

원자력 이외의 경우는, 기기의 제조자와 조립설치업자만이 자격인증의 대

상이며, 그 외의 단체에 대한 특별한 요구는 없음

이 자격은 특정의 인증 마크를 부여하여, 그것을 제품에 표시하는 것을 허

가하는 것과 특정의 스탬프는 없지만, 특정의 책임, 권한을 부여하여, 서류

의 증명 등에 따라 그것을 표시하는 것으로 나누어짐

⃝ 특정 인증 마크가 부여되는 것

- Section Ⅰ 적용기기 (A, E, M, PP, S, V)

- Section Ⅲ 적용기기 (N, NPT, NV, NA, NS)

- Section Ⅹ 적용기기 (RP, UV)

- Section Ⅳ 적용기기 (H, HLW, HV)

- Section VIII 적용기기 (U, U2, UM, UV)

- National Board가 부여하는것 (RP, UV)

⃝ 특정 인증 마크가 부여되지 않는 것

- Section Ⅲ 적용기기용 재료(QSC : 재료제조자와 재료공급자에 적용)

⃝ Owners Certificate of Authorization : 원자력발전소의 소유자에 적용

Page 128: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3. 국내외 주요기관 현황

- 126 -

표85: ASME 관련 특정 인증마크

CODE SECTION STAMP ITEM

A

S

M

E

PP

V

Assembly of Poer Boilers

Power Boilers

Miniature Boilers

Electric Boilers

Power Piping

Boilers Safety Valves

N

NA

NPT

NV

NS

N3

Nuclear Components

Nuclear Shop Assembly and Installation

Nuclear Parts

Nuclear Valves

Nuclear supports

Containment for spent fuel and radioactive waste

ⅣH

HLW

Heating Boilers

Lined potable water heaters

Ⅷ, Division 1

Ⅷ, Division 2

Ⅷ, Division 3

U

UM

UV

U2

U3

Pressure Vessels

Miniature Pressure Vessels

Pressure Vessel Safety Valves

Pressure Vessels

Pressure Vessels

Ⅺ RP Fiberglass Reinforced Plastic Pressure Vessels

NATIONAL

BOARD

INSPECTION

CODE

R

REPAIRS AND ALTERATIONS OF PREVIOUSLY

ASME "CODE STAMPED" VESSELS, BOILERS AND

PIPING

Page 129: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27 -

2-2) ASME 인증자격의 취득

ASME의 자격은 제조 또는 설치하는 장소마다 주어지는 것이므로 동일

회사에 있어서도 제조하는 공장의 주소가 다르면, 별도의 인증을 취득해

야 하지만 동일회사에서 제조를 담당하는 부문과 설계 및 구매부문이 떨

어져서 별개의 주소로 되어있는 경우에는 제조부문이 있는 공장에서 취득

해도 상관없음

⃝ 원자력발전소의 소유자 자격은 원자력규제위원회(NRC)에 건설허가(CP)신

청서를 제출하여 품질보증 수립 시점에 ASME에 신청하여 취득하며 발

전소 현장에 취득해야 함

⃝ 원자력발전소의 현장 설치자의 경우에도 현장별로 취득해야 하나, 처음에

특정 설치현장을 고정하지 않고 전체 품질프로그램만을 심사 받은 후에

설치현장마다 다시 심사를 받아 인증서를 취득

원자력의 경우에는 특히 생산하는 기기 및 재료의 종류를 하나하나 증명

서상에 명시하여야 하며 각 품목에 대한 역무범위도 구체적으로 규정하여

야 함

⃝ 증명서상에 나타난 인증범위 밖의 품목 및 업무는 취급할 수 없으므로

인증을 접수하여 검토하는 경우 이에 유의하여야 하며 재료의 경우에는

판(Plate), 단조품(Forging), 파이프, 용접봉 같은 제품의 형태와 탄소강,

저합금강, Ni합금과 같은 화학성분, 특히 발주자 인정시스템의 유무도 인

정범위를 제한하는 요소가 되어 있음

⃝ 인정서의 범위가 정확하게 기술되어 있지 않으면 계약이 이루어졌을 때

인정서의 범위와 계약범위가 서로 다를 경우가 발생할 수 있음

ASME 인증을 취득하기 이전에 시행된 작업에도 인증 마크 적용이 가능

하나 공인검사원이 증명서 취득이전에 수행된 업무에 대해 사후 확인하여

적용할 수 있는 성질의 업무만을 수행할 수 있음

⃝ 한 Project(플랜트 건설) 시작 전 또는 품목의 구매계약 전에 반드시

ASME 인증을 획득할 필요는 없음

Page 130: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3. 국내외 주요기관 현황

- 128 -

⃝ 많은 공정을 수행한 후에도 ASME 심사를 받아 인증을 획득하여 전 공정

에 인증 마크를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이나 실제로는 공인 원자력 검

사원이 직접 확인해야 하는 공정이 이미 진행되었는지도 모르므로 어느

정도 업무가 진행된 후 심사를 받는 경우가 많음

⃝ Owner는 현장건설업무 개시 전에 취득하여야 하며 구매계약을 체결하는 시점

에서 ASME 인증을 취득하고 있어야 하는 것은 Code 요건이 아님을 유의할 필

요가 있음

ASME 인증은 3년간 유효하며 인증 만료일자 6개월 전에 갱신(Renewal) 신청서

를 ASME에 제출해야 함(갱신 심사의 절차와 정도는 최초 심사와 동일)

인증 마크가 적용되는 품목에는 Code 건설이 완결된 후 명판을 부착하고 명판에

ASME Code 인증 마크를 인증 지정인과 함께 스탬핑해야 함

⃝ Core Support와 용접에 의한 Tubular Product의 경우는 명판 없이 직접 인증

마크을 해야 하고 만약 치수 또는 기타 고려사항으로 인해 명판이 직접 부품에

부착될 수 없을 경우 인정 시 보유자는 AIA에 의해 동의된 방법으로 명판을

품목에 부착하며 해당 Data Report에 이를 식별표시 해야 함

2-3) 공인검사제도

Owner, N, NPT, NA 및 NV(Safety Valve 제작자) 인증을 취득하기 위해

서는 미리 공인검사기관을 선정하여 검사계약을 맺어야 하며 이 검사계약

은 공인검사기관에 검사비용을 지불하기 위한 계약으로서 순전히 공인검

사만을 위한 것이며 보험과 관련되는 것은 아님

보험회사들은 사고로 인한 보험보상액을 줄이기 위해 압력용기 제작분야에

관심을 기울일 수밖에 없으므로 보험회사들이 기보유하고 있던 검사기술과

인력을 이용하여 공인검사라는 시스템을 ASME Code에서 채택하게 된 것

이며 현재 공인검사 기관은 보험회사 이외의 조직도 수행 할 수 있음

안전에 관련된 내압계통 기기가 설계요건 및 관련기준(ASME CODE)에 적

합하게 제작, 설치 및 운전되는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3의 검사기관(공인

기관)에서 주요 작업과 시험과정에 입회검사하고, 각종 절차서 및 기록을

Page 131: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29 -

검토하여 안전성을 객관적으로 입증하는 제도로서 제작 및 건설단계에서는

ASME SEC.Ⅲ, 운전단계에서는 ASME SEC.XI에따른 공인검사를 받아야 함

공인검사원의 자격요건은 ANSI/ASME N626.0 & 2(건설-제작, 시공) 및

ANSI/ASME N626.1(운전, 가동 중)에 따른 자격을 보유하여야 함

공인검사기관(AIA : Authorized Inspection Agency)

⃝ Authorized Inspection Agency는 ASME Code 요구사항에 대한 공인검사

를 수행하는 기관으로서 미국 및 캐나다의 주, 시정부에 의해 인가된 조

직으로 통상 보험회사가 많으며 Enforcement Authority(주·시정부)가 자

체검사 조직을 가지고 있음

⃝ AIA는 공인검사 기능을 갖추기 위한 유자격 공인원자력검사원과 공인원

자력검사 감독원을 고용하여야 함

공인원자력검사 감독원(ANIS : Authorized Nuclear Inspector Supervisor)

⃝ ANI의 자격을 가진자로서 ANSI/ASME N626에 따른 추가 자격요건을 갖추

고 National Board에서 실시하는 자격시험에 합격한 자중 AIA가 지명한 자

- ASME Survey에 Survey Team Member로 참여

- 인정서 보유자의 품질보증계획서에 대한 변경사항의 검토 및 승인

- 관할 ANI에 대하여 1년에 2회이상 감사 실시

- 재료를 제조 또는 공급하는 Certificate Holder에 대한 감사(1년에 1회 이상)

- 관할인정서 보유자에 대한 업무기록의 관리유지

공인원자력 검사원(ANI : Authorized Nuclear Inspector)

⃝ ANI는 National Board에 의해 수행되는 자격시험에 합격한 자로서 AIA에 의해 고용된

자를말하며 ANI가되기위한자격기준은 ANSI/ASME N626(Div.1)에규정되어있음

Page 132: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3. 국내외 주요기관 현황

- 130 -

- 수행될 작업이 ASME 인정서상의 범위와 합치되는지의 확인

- 인증서 보유자 및 그 하청자의 품질보증계획 감시

- 인정서 보유자의 자격인정 기록 검토

- 재료의 확인

- 작업, 시험 및 검사에 입회 또는 확인

- 최종압력시험 및 입회

- Data Report 및 Construction Report 인정

- 도면검토 및 업무의 도면과의 일치성 검사

- RPE가 인정하지 않는 Design Report의 Availability 확인

- Safety Valve의 시험기록 확인

- Owner의 Code 활동 감시

- 기타 ANSI/ASME N626에 의해 요구되는 사항

Page 133: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31 -

2-4) 각 인증의 비교

표86: ASME Code의 인증방법

ASMECODE

스탬프 AIA계약

인증방법Data

ReportProgram승인

공장심사 성능검증

Ⅰ A, M, E, S, PP 필요 AI JA/ASME, AI 불필요 필요

Ⅳ H, HLW 필요 AI JA/ASME, AI 불필요 필요

Ⅷ U, UM, U2, U3 필요 AI JA/ASME, AI 불필요 필요

Ⅹ RP 필요 AI JA/ASME, AI 불필요 필요

Ⅰ, Ⅳ,Ⅷ, Ⅹ

V, HV, UV, UD,UV3

불필요National

Board

National

Board- 불필요

N, NA, NPT 필요 ANIS ASME, AIA 불필요 필요

NV 필요 ANIS ASME, AIA - 필요

QSC 불필요 ASME ASME 불필요 불필요

그림 6. ASME 인증서(Stamping)구분하는 방법

Page 134: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3. 국내외 주요기관 현황

- 132 -

표87: ASME 코드 관계도

2-5) ASEM Sec.Ⅲ 인증추진 절차

표88: ASME Sec.Ⅲ의 구성

Page 135: 원전기자재 수출현황 및 인증절차m.k-neisc.or.kr/sa_upload/board_10701/102__upfile_1413339775.pdf ·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 - 1. 원전기자재

2차년도 원전기자재 기술동향분석

- 133 -

표89: ASME Sec.Ⅲ의 인증추진 절차

표90: ASME Survey 절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