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
59page 팀 명 팀 원 강성민, 구명우, 김은진, 김종선, 이규현, 이서우, 이영은, 임효진, 차안호 탐방 일자 2015/01/05 – 2015/01/13 작성 일자 2015/02/01 제출 일자 2015/02/05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해 외 탐 방 보 고 서

59page

팀 명

팀 원 강성민 구명우 김은진 김종선 이규현 이서우 이영은 임효진 차안호

탐방 일자 20150105 ndash 20150113

작성 일자 20150201

제출 일자 20150205

목 차

1 요약 내용 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 3p(1) 방문 기업 요약 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 3p(2) 예산 사용 내역 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 6p(3) 해외 탐방 성과 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 7p

2 본문 내용 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 8P(1) 팀 소개 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 8p(2) 대만 소개 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 11p(3) 탐방 목적 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 16p(4) 사전조사 활동 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 17p(5) 화장품 산업 및 환경 분석 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 18p(6) 탐방 상세 일정 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 21p(7) 방문 기업 소개 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 24p(8) 현지 시장조사 활동 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 33p(9) 설문조사 통계 분석 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 38p(10) 대만 명소 소개 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 43p(11) 시사점 및 차후 활용계획 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 49p

3 부록 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 51P(1) 개인 탐방 후기 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 51p(2) 개선책or보완점 및 건의사항 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 53p(3) 여행 시 주의사항(현지 문화) 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 55p(4) 컨택 시 유의사항(비즈니스 측면) 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 57p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 -

1 방문 기업 요약 (업체명위치담당자연락처주요업무)

1-1 KOTRA 대만 지사

-2015년 1월 5일 월요일 1700~1900 인터뷰-위치 台北市 基隆路 1段 333號 22樓 14室(2214室) Intl Trade Building 22층-전화 (886-2)2725-2324 -팩스(886-2) 2757-7240

1-2 SISDORA luxury beauty care

-1월 6일 화요일 1400~1700 인터뷰주소 No9Aly 10Ln265Sec 4Xinyi RdDaan Dist Taipei City 106대표 Mr Chung-Cheng Lee 전화886-2-27040889URL httpwwwsisdoracom

1-3 가오슝 한인협회

-1월 8일 목요일 1400~1600 인터뷰주소 高雄市鼓山區二路37巷弄43-2號(고웅시고산구이로37항81롱43-2호)대표 尹桓鎬(윤환호) HP 0932-740-538 電話 07-5211933 傅眞 07-5214031

요약 내용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 -

1-4 국립성공대학(國立成功大學)

-1월 9일 금요일 1500~1700 인터뷰주소 No1 University Road Tainan Taiwan연락처06-2757575 홈페이지 wwwnckuedutw

1-5 WABFENIX RENIX GLORY GLORIA GUA

-1월 12일 월요일 1300~1500 인터뷰주소 14F-1 No420 Sec 4 Xinyi Rd Xinyi Dist Taipei City 110 Taiwan (ROC)대표 Mr KEN 전화886-5569-0555URL httpswwwfacebookcomrenixfanspage httpwwwwabfenixcom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 -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6 -

2 예산 사용 내역 (항공편숙박비식비기타비용)

2-1 종합 예산

사용 내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7 -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8 -

3 해외 탐방 성과 (종합적인 의견)

3-1 대만 일정 간 EST팀 성과

대만 현지 기업 2곳 방문 및 인터뷰(SISDORAcoltd Wabfenixcoltd) 대만 지사 코트라 방문 및 인터뷰 대만 lsquo성공대학(成功大學)rsquo MIS학과 진정충(陳正忠) 교수 및 학생들과 미팅 가오슝 한인협회 회장 인터뷰 시먼딩(西門丁)에서 현지인을 대상으로 한 화장품 설문조사 실시

시먼딩은 한국 화장품 거리로 불리는 lsquo명동rsquo과 비교되는 동 단위의 지역으로 평가받는다

3-2 기업 측면

대덕밸리 스타트업 기업(주)셀아이콘 랩의 대만 시장 진출 가능성을 탐색 대만 시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대만의 화장품 기업들의 홍보 효과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품에 대한 인식 조사 대만에 진출해 있는 한국 화장품 기업의 입지 조사 대만 화장품 시장의 유통경로 조사 새로운 홍보 전략의 일환으로 관계 유지 가능

3-3 학생 측면

모든 일정을 학생들이 직접 나서서 해야 한다는 점에서 자립심과 해결능력을 함양 해외의 이머징 마켓을 직접 보고 느끼면서 글로벌 마인드의 함양 학생들의 리더쉽과 자신감 획득 영어 및 중국어 능력 향상

3-4 사업단 측면

CK-1 사업 목표 및 취지에 부합한 성공적인 프로젝트 선례로 활용 가능 글로벌 IT 경영학과 및 글로벌 비즈니스 학과 홍보 전략으로 활용 가능

학생이라는 신분으로 대만 현지에 있는 기업들을 마주하는 일은 정말로 어려운 일이었다 하지만 출국 전부터 기업과의 꾸준한 연락과 철저한 준비로 마침내 미팅 날짜를 잡고 대만 현지에서 연락하던 기업들과 직접 만나 대만 화장품 시장에 대해 조사를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우리가 일정동안 찾았던 기업은 총 5곳으로써 국내외 기업간의 투자 및 산업기술 협력의 지원등을 맡고 있는 KOTRA in Taiwan 그리고 대만에서 기능성 화장품으로 유명한 SISDORA 대만의 타이난 지역 내에서 한국과 대만의 화장품 중개무역을 담당하시는 대표님 마스크 팩의 중국진출과 번뜩이는 아이템으로 중국 화장품 시장 내에서 대박을 생각 중이신 MrKen 등 정말 다양한 위치에서 일하고 계신 분들을 만났다 또한 -EST 는 그곳에서 만난 인연으로 101타워의 프리미엄 퍼스널 릴렉스 트레이닝 센터와 디저트로 유명한 Mango 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이뿐만 아니라 대만의 명동과 같은 ldquo시먼딩rdquo에서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품에 대한 인식을 조사 할 수 있었으며 화장으로 대표적인 5개국의 화장법을 두고 투표를 하여 한국 화장품 기업의 미래가 밝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번 프로젝트는 이머징 마켓으로써 시장 조사 뿐만 대만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시민의식 등을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101타워 용산사 예류 지질 공원 스펀 지우펀 진과스 온천 등과 같은 대만을 충분히 느낄 수 있는 다양한 관광지를 방문했으며 특히 친절한 대만인들과의 소통으로 대만이 어떠한 나리인지 뼈 속 까지 알게 되는 느낌이었다

이 모든 활동을 통하여 대만 화장품 시장의 특성을 명확히 이해하게 되었으며 넓게는 대만의 미래가 굉장히 밝다는 느낌을 들게 해주었다 또한 학생들 개인적인 측면으로 9명 모두에게 자립심과 도전심을 가지게 해준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9 -

좋은 기회였다

3-5 기대효과

현지 시장조사 자료 획득 자사 시제품 반응결과 파악 사업단과의 지속적인 연계

3-6 사업단 측면 효과

학과 내 MIS-DAY 또는 관련 과목 강의에서 특강 해외탐방 동아리 개설 차기 CK프로젝트 멘토 활동 가능

1 팀 소개 (사진이름담당역할)1-1 팀 소개

EST팀 지도교수 및 멤버

강성민(25) - 조장전체 계획 수립 및 제안

김종선(25)국내 및 국제 시장 조사

차안호(25)프로젝트 연구 통계 분석

이서우(24)예산 수립 및 예산 관리

본문 내용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0 -

구명우(24)투어 일정 수립

김은진(22)

현지 시장 조사

임효진(24)

공고인터뷰일정 및 숙소 예약

이영은(22)

보고서 작성 및 프리젠테이션 제작

이규현(23)

사진 및 동영상 촬영 편집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1 -

2 대만 소개 (국가 기본정보한국과의 관계)

국호臺灣(Taiwan)

- 대만의 공식국호는 lsquo中華民國(Republic of China)rsquo - 국제 행사에서는 lsquoChinese Taipeirsquo 사용

위치 동남아시아

면적 36193(한반도의 16배 남한면적의 13배)

기후 아열대 몬순 기후권

수도 타이베이(Taipei 台北 서울의 약 12크기)

인구 약 2천 3백만 명

주요도시Taipei City(269만명) New Taipei City(390만명)

Kaohsiung City(277만명) Taichung City(265만명)Tainan City(187만명)

민족구성 민남인(74) 외성인(13) 객가인(15) 원주민(2)

언어 공용어(중국어)상용어(민남어 객가어 원주민어)

종교 불교(35) 도교(33) 기독교(26) 천주교(13) 회교(02) 등

건국일 191211(중화민국건국일)

정치형태 입헌민주공화국

국가원수총 통 마잉주(馬英九 Ma Ying-Jiou)

2012114 재선성공 2012520 취임식부총통 우둔이(吳敦義 Wu Den-yih)

GDP ㅇ2012년 US$ 4804억ㅇ2013년 US$ 4789억

2-1 대만 소개

국가 개요

경제 지표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2 -

ㅇ20141~6월년 US$ 2433억

경제성장률ㅇ2012년 148ㅇ2013년 219ㅇ2014년 2분기 384

1인당 GDP ㅇ2011년 US$ 20246ㅇ2012년 US$ 20502ㅇ2013년 US$ 20984

실업률ㅇ2012년 424ㅇ2013년 418ㅇ2014년 2분기 397

물가상승률ㅇ2012년 193ㅇ2013년 079ㅇ2014년 2분기 121

외환보유고ㅇ2012년 US$ 3942억ㅇ2013년 US$ 4168억ㅇ20146월 US$ 4235억

산업구조 제조업(233) 도소매업(181) 부동산업(85) 금융보험업(65) 농업(187)

교역규모ㅇ2012년US$ 3012억(수출) US$ 2705억(수입) 무역수지US$ 307억ㅇ2013년US$ 3055억(수출) US$ 2701억(수입) 무역수지 US$ 354억ㅇ20141~6월US$ 1534억(수출) US$ 1372억(수입) 무역수지 US$ 162억

주요교역품 ㅇ수출 전자제품 기본 금속 제품 플라스틱 및 고무 제품 광학기기 화학품ㅇ수입 광물 전자제품 화학품 기계 기본 금속 제품

환율ㅇ2012년 US$ 1=NT$ 2962ㅇ2013년 US$ 1=NT$ 2977ㅇ2014 6월 US$ 1=NT$ 3004

화폐단위 New Taiwan Dollar(NT$)

외교 관계

ㅇ 1948 8월 대만정부 대한민국 정식 승인ㅇ 1949 8월 주타이베이 한국대사관 개설ㅇ 1992 8월 한국-대만 단교ㅇ 1993 11월 주타이베이 한국대표부 개설ㅇ 1994 1월 주한 타이베이대표부 개설

교역 규모 ㅇ 2011년

한국-대만 외교 관계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3 -

(한국 기준)

- 수출 US$182억 수입 US$1469억 무역수지 US$35억ㅇ 2012년 - 수출 US$148억 수입 US$140억 무역수지 US$8억ㅇ 2013년 - 수출 US$157억 수입 US$146억 무역수지 US$107억ㅇ 20141~6월 - 수출 US$75억 수입 US$75억 무역수지 US$04억

주요교역 품목ㅇ 수출 반도체 기초유분 철강판 석유화학 중간원료 컴퓨터 정밀화학원료 반

도체 제조용 장비 광학기기 석유제품 선박 등ㅇ 수입 반도체 컴퓨터 기구부품 철강판 무선통신기기 기타 중전기기 평판디

스플레이 및 센서 기타 석유화학제품 플라스틱 제품 정밀화학원료 등

상호 투자

ㅇ 우리나라의 對대만 투자 - 2010년 43건 US$1400만 2011년 42건 US$4700만 - 2012년 38건 US$950만 2013년 26건 US$1700만 - 1968~2013년 624건 US$ 5억 6300만ㅇ 대만의 對한국 투자 - 2010년 5건 US$340만 2011년 7건 US$2800만 - 2012년 9건 US$2100만 2013년 14건 US$6100만 - 1962~2013년 181건 US$ 6억 1200만

교민 총 교민수 약 3천 4백여명

양국 간 교역 동향

수출입 동향

Ÿ 한국과 대만은 주요 수출입 품목이 반도체 철강 컴퓨터 화학원료 등으로 중복되는 경향이 강하며 상호비교우위 품목을 위주로 교역이 이뤄지고 있음

Ÿ 전년도 수출 급감에 따른 기저효과 스마트기기 및 테블릿 산업의 성장과 이에 따른 부품 수요 증가 한류영향 품목의 수출 확대 등으로 인하여 2013년도 한국의 對대만 수출은 전년대비 6 늘어났으며 수입 역시 44의 증가세를 보임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4 -

구분2012년 2013년 2014년 1~6월

금액 증감 금액 증감 금액 증감

총계 2882 -124 3033 52 1502 -328

수출 1481 -186 1570 60 753 -726

수입 1401 -46 1463 44 749 135

수지 8 -771 10 25 04 -945

순위 품 목2012년 2013년 2014년

1~6월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1 반도체 3578 -342 3742 46 2169 1572 석유제품 2239 -29 2810 255 953 -3563 기초유분 1381 198 1314 -48 531 -2084 정밀화학원료 406 -426 477 176 272 1835 석유화학중간원료 532 -376 586 101 220 -516 반도체제조용장비 311 -222 344 107 195 -107 자동차부품 239 209 168 -298 159 8728 광학기기 238 -248 283 188 151 969 기구부품 217 111 375 727 147 -28210 플라스틱 제품 250 -124 286 147 142 16

lt 한국-대만 수출입 동향gt (단위 억 달러 )

자료원 한국 관세청

lt한국의 對대만 10대 수출 품목gt (단위 백만 달러 )

주 MTI 3분류 2013년 수출액순 자료원 한국 관세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5 -

순위 품 목 2012년 2013년 2014년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1 반도체 8114 117 8874 94 4438 -102 기구부품 757 124 867 146 341 -2343 철강판 420 -312 398 -52 181 -1474 컴퓨터 616 -570 356 -422 171 -635 기타석유화학제품 227 -103 199 -125 143 9856 플라스틱 제품 324 229 288 -111 136 -1057 동제품 156 46 194 245 125 2108 합성수지 159 -19 172 81 108 2739 평판디스플레이및센서 133 -215 138 35 106 29110 기초유분 155 -250 132 -143 98 425

lt한국의 對대만 10대 수입 품목gt (단위 백만 달러 )

주 MTI 3 분류 2013년 수입액 순 자료원 한국 관세청

양국 간 상호 투자현황

대만의 對 한국 투자현황lt대만의 對韓 투자동향gt

(단위 건 백만 달러)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1~6월 누계(62~2014)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5 34 7 280 9 21 14 61 3 3 184 615

자료원 대만 경제부 투자심의위원회 신고 기준

Ÿ 대만기업의 對韓 투자는 10~20만 달러 규모의 판매법인 설립이 대부분이며 대규모 그린필드형 투자는 중국 및 동남아지역에 RampD형 투자는 미국과 일본에 집중되고 있음thorn 대만기업의 對韓 투자는 지난 5년간 연평균 25천만 달러에 불과

Ÿ 또한 중국 투자환경 악화로 동남아 등지의 신흥시장으로의 제조기반 이동에 대한 투자가 늘고 있으며 유턴투자도 증가

Ÿ 한편 주요 산업분야에서 대만은 한국과 경쟁적 보완관계이며 일본과는 보완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음thorn 특히 한 대만간 반도체 디스플레이 기업간 경쟁이 심해지면서 대만 IT업계를 중심으로 lsquo聯日抗韓(일본

과 연합하여 한국을 견제하자)는 주장이 제기되는 등 대만기업의 일본 편중현상은 심화되고 있음Ÿ 지금까지 대만의 대표적인 對韓 투자사례로는 2007년 IC디자인 기업인 SIMO의 FCI 인수(8800만 달러)

2010년 대만의 최대 철강회사 CSC의 동부메탈 지분인수(4200만 달러) 2010년 IC 테스팅 업체 Ardentec 웨이퍼 테스팅 공장 설립(4000만 달러) 2012년 6월 반도체 패키징 업체인 ASE의 라인증설(8000만 달러) 등이 있음

Ÿ 최근에는 금융권을 중심으로 한국기업에 대한 MampA SI 투자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어 주목받고 있음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6 -

thorn 2013년에는 대만의 1위 증권사 위안타가 한국의 동양증권 인수를 발표 양국의 금융감독기관 허가를 받아 2014년 연내 합병 추진 중(25억 달러)

thorn 또한 다국적 제약회사 Alvogen은 대만 LOTUS를 인수 동아시아 HQ로 삼고 한국 제약회사(드림파머) 인수를 추진 중

우리나라의 對 대만 투자현황

lt한국의 對대만 투자동향gt (단위 건 백만 달러)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1~3월 누계(lsquo68~lsquo14)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43 13 44 47 38 9 34 68 15 5 646 617

자료원 한국수출입은행 신고 기준

Ÿ 제조업 분야에서의 對대만 투자는 시장개척 및 고객사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임

Ÿ 우리기업의 대표적 투자 사례로는 2005년 LCD 장비 업체 PKL사의 LCD용 포토마스크 공장설립(4000만 달러) 2007년 게임업체 넥슨의 감마니아 지분인수(2100만 달러) 등이 있음

Ÿ 2011년 4월 미래에셋(Mirae Asset Global Investments)은 타이완라이프자산운용에 약 1000만 달러를 투자 자산운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Ÿ 2014년에는 PCB 기판 업체 달마전자가 가오슝에 공장을 설립 9월 준공식을 앞두고 있음

3 탐방 목적 (주요 목표부가 목표기대 효과)3-1 탐방 목적

주요 목표 1 대덕밸리 스타트업기업 (주)셀아이콘랩의 대만진출 가능성 탐색 2 대만 소비자들의 기능성 화장품 인식 조사 3 대만화장품시장의 유통경로 조사

기대 효과기업측면 기대 효과

⓵ 현지 시장조사 자료 획득⓶ 자사 시제품 반응결과 파악⓷ 사업단과의 지속적인 연계

사업단측면 기대 효과⓵ CK 사업 목표 또는 취지에 부합(CK ndash University for Creative Korea)⓶ 새롭게 출발하는 lsquo글로벌IT경영학과rsquo의 홍보전략으로 활용 가능

학생측면 기대 효과

⓵ EST팀 특강 ndash 학과 내 MIS Day 혹은 관련 과목 강의에서 특강⓶ 해외 탐구 동아리 개설⓷ CK 멘토와 후원 활동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7 -

4 사전조사 활동 (셀아이콘랩)

4-1 기능성 화장품 연구amp제조 기업 lsquo셀아이콘랩rsquo 기업 인터뷰

회사 소개

회사명 셀아이콘랩주소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대로 1646 한남대학교 사이언스파크 312호 대표자명 성민규 대표 사업분야 코스메슈티컬 펩타이드 소재개발 피부 전문가용 코스메슈티컬 화장품 OEMODM 주문 생산 방식

인터뷰 내용 1) 셀아이콘랩 2014년도에 많은 해외 박람회에 참여하고 있는데 해외시장 진출 의사가 있으신가요= 저희 회사의 사업화 로드맵을 보시면 2014년에 해외영업 마케팅 판매가 계획되어 있고 올해 들어 중국 러시아 카자흐스탄 말레이시아 등 여러 나라를 방문하여 박람회에 참가하고 실질적으로 상품을 판매하고 반응을 살피고 있습니다

2) 그렇다면 대만 화장품 시장 진출에 대해 고려해본 적은 있으신가요 만약 진출을 고려해보았다면 대만의 화장품시장에서 원하는 자료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대만시장을 접할 기회가 부족했을 뿐 내년에 대만 시장진출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셀아이콘랩은 현재 거래중인 중국 카자흐스탄 등지의 국가들에서 더 나아가 대만이나 홍콩과 같은 중화권 시장의 가능성을 느끼고 해당나라에 진출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요구사항 대만의 수출수입 인허가 절차 관세 세금 시장가격 형성 요인 화장품 유통 채널 구매경로 트렌드 또한 대만 시장에 뷰티샾(우리나라의 올리브 영)같은 종합 매장이 형성과정 실질적인 구매력을 알아보기 위한 대학 졸업생의 평균 초봉 등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8 -

5 화장품 산업 및 환경 분석 (연구자료 첨부)

구분 2011 2012 2013(1월 ~ 11월)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및 성장률 19427798 42 19421349 00 191454345 08

5-1 화장품 시장 동향

시장규모 및 전망thorn 대만의 약품 및 화장품 시장규모는 2013년 기준 1914억 달러로 2012년 대비 008 증가

최근 3년간 대만 약품 및 화장품 시장규모 및 성장률 (단위 천 달러)

자료원 대만경제부 통계처

시장전망thorn 수요 감소 예상 요인 대만 화장품시장은 다양한 국산 수입제품들이 오랜 시간 경쟁하는 포화된 시장thorn 종합의견 다수 유명 외국 브랜드(예 SHISEIDO KOSE 등)는 대만에 공장을 설립해 국산 브랜드와

경쟁하고 있으며 대만 정부의 각종 규제가 엄격하고 많아 허가 관련 등록서류 및 비용으로 인한 진입 장벽이 큼

소비자 구매 패턴thorn 주요 소비자 계층 14~55세 등 다양thorn 소비자 구매 동기 귀엽고 여성스러운 디자인 미백 보습 등과 같은 눈으로 확인 가능한 기능성 민감

성 피부에 바로 사용 가능한 화장품을 선호하는 추세

제품 트렌드thorn 대만 시장에서 국산 브랜드보다 수입 브랜드의 인기가 더 높으며 그중 일본 브랜드가 장시간 많은 인

기를 유지하여 왔음thorn 최근 한국 드라마에서 스타들이 연출하는 화장법 또는 유명 스타가 광고하는 한국 화장품이 큰 인기

를 얻고 있으며 한류 열풍으로 대만에서 수입 화장품 판매량이 늘어나면서 국산 화장품의 신제품 개발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

thorn 피부과 및 의학미용센터에서 다양한 시술(보톡스 반점 제거 여드름 크리닉 모공축소 레이저 비지 제거 등)을 받아 꾸준히 피부관리를 받고 다니는 여성들이 많아지는 추세에 따라 기능성을 강조하는 의학미용(aesthetic medicine) 화장품 혹은 시술 받고 나서도 바로 사용 가능한 기초화장품(무자극 보습효과 강조)이 유행하기 시작함

해당 산업 관련 정부 정책thorn GMP 정책 글로벌 추세에 따라 대만 화장품의 품질middot제조 수준 및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대만 경

제부공업국과 대만 위생서는 2008년 9월 4일부터 lsquo자발성 화장품 우량제조규범 검증제도(自願性化妝品優良製造規範驗證制度)rsquo를 실시한다고 발표함 약품 의료기기 식품을 이어 화장품이 네 번째로 GMP검증을 받는 산업이 되었음 ISO 22716 규범으로 주요 참고 근거로 보고 있음 동시에 화장품 GMP 추진 플랫폼을 설립하고 기업 문의에 대한 상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9 -

구분 2011 2012 2013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및 성장률 614293 1192 600356 -227 557784 -085

순위 국가 금액 점유율 증감율2011 2012 2013 2011 2012 2013 1312

총계 614293 600356 557784 100 100 100 -0851 일본 248980 237052 199987 40531 39485 35854 -113212 프랑스 116031 111983 110509 18888 18653 19812 45333 미국 89984 96689 89924 14648 16105 16122 -03914 한국 29779 29329 36746 4848 4885 6588 386345 중국 23444 30114 30138 3816 5016 5403 99486 영국 15895 14619 14482 259 2435 2596 29227 독일 16799 14327 14159 274 2386 2538 96758 스위스 13631 12401 11151 222 2066 1999 -5329 태국 9929 9214 8943 162 1535 1603 533310 이탈리아 12312 8853 8632 2 1475 1548 7727

5-2 수입동향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동향 (단위 천 달러 )

주 대만 국제무역국

최근 3년간 상위 10개국의 수입통계

주요 수입국 현황(HS Code 330499 기준) (단위 천 달러 )

자료원 대만 경제부 국제무역국 중화민국수출입무역통계(httpcus93tradegovtwFSCI)

수입관세 및 관련 제도thorn 관세 0thorn 통관 시 유의사항 대만에서 화장품은 의료용 또는 약품을 함유하지 않은 lsquo일반화장품rsquo과 lsquo함약화장

품rsquo 등 세 종류로 나눠져 있음 함약화장품의 경우 통관 시 대만 위생서에서 발행한 위생허가증을 제시해야 함

thorn 필수 인증 현황 함약화장품(예 염색제 파마제 자외선차단제 땀 억제제 치아미백제 등)은 대만 위생서 허가를 받아야 수입 및 제조판매를 할 수 있음 허가 신청 시 제품명 성분 제조업체명 제조업체주소 해외 수입업체명 수입업체주소 제품 전성분 용량 용도 사용법 유효기간 샘플 Certificate of Analysis Certificate of Sales SPF ampUVA 검사보고서 등이 필요함(세부사항은 대만 위생서 홈페이지 참조바람)

5-3 유통구조

유통채널 종류thorn 오프라인 백화점 H ampB(Watsons Cosmed SaSa 등) 방문판매 약국 각종 마트 편의점 피부과

피부관리센터 전문판매점(로드숍)thorn 온라인(여기는 virtual channel을 뜻함) 홈쇼핑 온라인 쇼핑몰(경매 브랜드 홈페이지 등 포함) 우편

주문(郵購) 등이 있음

유통채널 점유율 오프라인 유통채널의 점유율은 여전히 70~90 정도로 높게 차지하고 있으나 온라인 유통채널의 점유율도 빠른 속도로 상승하고 있음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0 -

브랜드명 제품명 가격 판매순위

SHISEIDO 100 1

SKII 133 2

ESTEE LAUDER 100 3

항목 내용전시회명(현지어명) 2014春夏國際美容化妝品展전시회명(한국어) 2014 춘하 국제미용화장품 전시회

전시품목 미용 화장품개최국가도시 타이베이

유통채널 활용 방안 아직까지 온라인 채널의 점유율이 높지 않으나 대만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블로그 등)에 영향을 많이 받는 편이어서 오프라인 채널에 진입하기 전에 온라인으로 먼저 마케팅(브랜드 이미지메이킹 블로거 마케팅 등)을 진행하는 방법을 추천함 대만 오프라인 채널의 진입장벽은 매우 높으며 비교적으로 이윤이 많이 남는 온라인시장에서 브랜드 파워를 먼저 키우면 오프라인 채널에 들어가는 길이 훨씬 수월해질 것으로 예상함

5-4 경쟁동향

경쟁제품 현황주요 경쟁제품 현황

(단위 달러)

한국 제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 및 선호 브랜드 현황thorn 한국 제품 현지 인지도 높음thorn 선호 브랜드 3CE INNISFREE NUTURE PUBLIC MISSHA THE FACE SHOP LANEIGE 등

5-5 효과적인 시장 진출 전략

타깃 고객층thorn 타깃 고객층 20~30대 초반thorn 타깃 사유 유행에 따라 새로운 것을 많이 도전하고 한류의 영향도 가장 많이 받는 젊은 층이 한국

화장품을 소비하는 경우가 많음 35세 이후의 직장 여성 혹은 가정주부들은 여전히 일본 혹은 유럽 미국의 고가 화장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활용 가능한 마케팅 방안 ⓵ 현지 전시회 정보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1 -

개최주기 3월경개최기간(2014년) 0321~0325

웹사이트 httpwwwudnicecom

⓶ 전시회 이외의 주요 마케팅 방안 블로거 마케팅 등 ⓷ 유력 홍보 방안(전문잡지 온라인 매체 등)

thorn 온라인 매체 Fashion guide(httpwwwfashio guidecomtw) UrCosme(httpwwwurcosmecom)

thorn 전문잡지 VIVI BEAUTY 大美人 Style W Marie laire Fashion Guide 등

시장 확대를 위한 무역관 의견 대만 화장품시장은 가격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 시장 진입 시 확실한 브랜드 포지션을 정해야 하며 해당 포지션의 대만 제품 가격을 조사한 후에 대만 최종 소비가격을 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

또한 소비자들은 할인세트 및 사은품에 약하여 각종 행사 진행 시 사은품 증정 혹은 묶음세트로 판매하는 것을 추천 보습(특히 히알루론산 성분 강조) 및 미백(대만 정부에서 인증된 미백성분이어야 함) 제품을 매우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6 탐방 상세 일정 (일정표 - 기간 지역)

날짜 지역105(월) 인천 ~ 대만 타이페이

시간 일정0600 인천공항 도착

0600 ~ 0920 인천공항 대기0920 ~ 1140 인천공항 rarr 대만 1140 ~ 1230 대만 입국 수속1230 ~ 1320 숙소 이동 (용산사 역)1320 ~ 1500 짐정리1500 ~ 1600 회의 및 일정정리1600 ~ 163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630 ~ 1800 KOTRA방문 및 인터뷰1800 ~ 1830 101타워 딘 타이 펑 이동(도보)1830 ~ 1910 저녁식사 - 딘 타이 펑1930 ~ 2100 101 타워 야경감상2100 ~ 2130 숙소로 이동2130 ~ 223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6(화) 타이페이

시간 일정0900 기상

0900 ~ 110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30 ~ 1230 점심식사 - 마라훠거1230 ~ 1300 SISDORA 본사로 이동

6-1 8박 9일 대만 일정 (150105 ~ 150113)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2 -

1300 ~ 1530 SISDORA 방문 및 인터뷰1600 ~ 1800 101타워 퍼스널 트레이닝 센터 방문1800 ~ 1930 저녁식사 - 카렌 레스토랑1930 ~ 2000 숙소로 이동2000 ~ 2100 개인 휴식2100 ~ 223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7(수) 타이페이

시간 일정0900 기상

0900 ~ 113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30 ~ 120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200 ~ 1250 점심식사 - 키키 레스토랑1250 ~ 1300 시먼딩 이동1300 ~ 1530 화장품 설문조사1530 ~ 1830 한국 화장품 매장 제품 조사1830 ~ 1900 야시장 이동(MRT)1900 ~ 2000 저녁식사 ndash 야시장 음식2000 ~ 2030 숙소로 이동2030 ~ 2130 개인 휴식2130 ~ 230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30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8(목) 타이페이 ~ 타이난

시간 일정0830 기상

0830 ~ 110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00 ~ 1200 체크아웃 및 고속철도역 이동1200 ~ 1340 타이페이 rarr 타이난 이동1340 ~ 1400 짐 보관 및 인터뷰 장소 물색1400 ~ 1600 가오슝 한인협회장 인터뷰1600 ~ 1700 숙소도착 및 짐정리1700 ~ 1800 개인 휴식1800 ~ 1900 저녁식사 - 새우롤2000 ~ 2230 중간 정리 및 보고서 작성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9(금) 타이난

시간 일정0800 기상

0830 ~ 0900 아침 식사0900 ~ 1130 타이난 일정 브리핑 및 팀 미팅1130 ~ 1210 타이난 시내로 이동(TAXI)1210 ~ 1320 점심식사 - 스시1320 ~ 1350 성공대학 이동(도보)1350 ~ 1700 성공대학 방문1700 ~ 1800 성공대학 캠퍼스 탐방 및 대학원생들과 대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3 -

1800 ~ 1830 저녁식사 - 대만 전통 음식점1830 ~ 1900 타이난 RT마트 이동(도보)1900 ~ 2030 RT 마트 장보기2030 ~ 2100 숙소로 이동2100 ~ 2200 개인 휴식2200 ~ 2330 팀 회의 및 예산 정리

23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12(월) 타이페이

시간 일정0800 기상

0800 ~ 0900 아침식사(호텔 조식 제공-선택)0900 ~ 1130 호텔 개인시간1130 ~ 123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230 ~ 130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300 ~ 1600 Wabfenix 방문 및 인터뷰1600 ~ 1630 간식 - 망고차차1630 ~ 1700 시먼딩 이동(MRT)1700 ~ 1830 화장품 설문조사 활동1830 ~ 1930 저녁 식사 - 코코이찌방야2030 ~ 2130 개인 휴식2130 ~ 2300 팀 회의 및 예산 정리

230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13(화) 대만 ~ 인천공항

시간 일정0800 기상

0800 ~ 0900 아침 식사0900 ~ 1130 짐정리1130 ~ 1200 체크아웃1300 ~ 1400 점심식사 - 스시(시먼딩)1400 ~ 1430 쑹산 공항 이동(TAXI)1430 ~ 1530 시먼딩 rarr 쑹산공항1530 ~ 1730 출국 대기1730 ~ 2100 대만 출국 rarr 대한민국

2100 대한민국 입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4 -

7 방문 기업 소개 (인터뷰 내용)

7-1 대만 KOTRA

-2015년 1월 5일 월요일 1630~1800 인터뷰-위치 台北市 基隆路 1段 333號 22樓 14室(2214室) Intl Trade Building 22층-전화 (886-2)2725-2324 -팩스(886-2) 2757-7240

Q대만에 대하여 간단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우선 대만은 남한의 13의 해당하는 영토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구역시 남한에 비해 적은 2천 3백만 명 정도이며 기후는 아열대 몬순 기후권으로 비교적 따듯한 날씨입니다여러분이 대만에 와보셔서 알겠지만 대체로 습한느낌을 받으셨을 탠대 대만은 겨울에도 남한만큼은 춥지 않습니다 언어는 주로 중국어를 사용하며 문자는 중국과 살짝 다른 번자체를 사용합니다1인당 GDP는 2013년 기준 20984 달러 정도이며 산업구조는 제조업과 도소매업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Q현재 우리나라의 어떤 기업들이 대만에 진출해 있는지 궁금합니다

A최근에는 화장품을 주력 제품으로 아모레퍼시픽등 화장품 대기업들이 타이페이 시내에 로드샵을 많이 개점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대만은 제조업과 도소매업이 주를 이루다 보니 20~30년 전부터 진출한 기업들이 계속해서 입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주로 삼성물산 현대종합상사 LG상사 LG전자등 대기업이 주를 이루고 있고 우리나라 기업은 1년에 한 기업정도 대만에 진출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Q그렇다면 대기업을 제외한 중소기업들이 대만시장에 진출하지 않는 이유가 따로 있습니까

A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아무래도 중국시장이 개방을 하면서 인 것 같습니다 기존에 진출해있는 기업들은 과거 대만이 인프라 구축이 미흡했을 당시 해외투자를 많이 받으면서 비교적 좋은 조건으로 대만에 진출하고 인프라 구축등 사업을 진행하면서 기반을 다졌을 겁니다 그 기반으로 지금까지 대만시장에 진출해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중소기업의 경우는 해외투자가 너무 모험적이며 대만 시장과 중국의 시장을 비교하여 봤을 때 인구가 차이가 약 8배 정도 나며 중국에 비해 비교적 작은 시장이라고 느껴 대만보다는 중국에 많이 진출하는 것 같습니다

Q마지막 질문으로 만약 우리나라 중소기업이 대만시장에 진출할 때 유의해야 할 점이나 좋은 팁이 있을까요

A대만 시장에 완전히 진출해야겠다는 생각보다는 중국이나 다른 중화권 나라의 진출하기전 시험의 장소로 생각하고 진출해보는 것은 나쁘지 않다 생각 합니다 아무래도 대만의 인구가 많은 편이 아니다보니 불리한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5 -

조건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이나 다른 큰 중화권 시장으로 진출하기 전에 언어나 문화 중화권사람들의 사고방식등 여러방면에서 시험해 볼 수 있는 좋은 장소는 틀림없습니다 중소기업이 대만시장에 진출할 때는 코트라를 이용하여 각종 정보나 현지 인프라등을 이용하는 것 또한 하나의 방법이며 무엇보다 중화권의 문화와 중화권 대중들의 생각을 잘 공부하고 언어를 습득하여 오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7-2 SISDORA luxury beauty care

-1월 6일 화요일 1300~1530 인터뷰 1600~1800 101타워 퍼스널트레이닝 센터-주소 No9Aly 10Ln265Sec 4Xinyi RdDaan Dist Taipei City 106-대표 Mr Chung-Cheng Lee -전화886-2-27040889-URL httpwwwsisdoracom

Q 간략한 회사 소개와 SISDORA의 유래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A Isadora는 고대 이집트의 가장 강력한 여신의 이름입니다 Sisdora는 이 여신의 이름을 따서 만든 브랜드 이름입니다 이집트의 고대 여신인 Isadora의 이시스는 선물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고 생명과 건강 아름다움을 담당하는 여신으로도 유명합니다 저희 SISDORA는 비슷한 동음 이의어로 동양의lsquoISIS(이시스)rsquo라는 단어가 있어 브랜드 명을 SISDORA로 정하게 되었습니다Q Sisdora 제품 소개 부탁드립니다

A저희 제품은 안티에이징 미백 마스크 제품을 주력으로 하고 있습니다 동일 제품군을 비교해 봤을 때 가격 및 품질은 상위에 속하는 최상품의 제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마스크 팩 대부분은 종이섬유로 제조하는 반면 저희 Sisdora는 누에의 실(실크)로 만든 마스크 팩 입니다 실크마스크 팩을 제조할 때에는 피부 건강에 좋은 약재 및 약초등을 배합하여 제조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피부에 자극적인 향로를 첨가하지 않았고 수분이 빠르게 흡수 될 수 있습니다 덕분에 저희 마스크 팩을 사용하는 고객들은 부드럽고 산뜻한 느낌을 받으실 수 있을 겁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6 -

Q 귀하의 회사는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어떤 마케팅을 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A 저희는 해마다 대만 타이페이 글로벌 미스코리아 대회에 제품을 협찬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대만 유명 가수들과 함께 제품을 결합시킨 뮤직비디오를 제작하여 마케팅에 힘쓰고 있습니다뿐만 아니라 제품의 품질인증을 바탕으로 러시아 중국 동남아 지역에 진출하는대 힘쓰고 있습니다 저희 제품은 대만 내에서 스킨케어 제품으로써 유일하게 지정 브랜드 수상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저희는 주로 매스컴이나 인터넷을 통한 마케팅이나 엔터테이먼트 컨벤션 산업을 활용하여 마케팅을 하고 있습니다

Q 그렇다면 대한민국의 화장품 제품이 대만에 진출해 있는데 대한민국 화장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는 어떤지 궁금합니다

A 최근 5년 사이에 한국의 드라마 음악등 한류를 타고 대만에도 많은 한국 제품이 등장하였습니다 하지만 대만에는 오래전부터 수입화장품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이탈리아의 산타 마리아 노벨라 프랑스의 아이젠버그등 명품 화장품 브랜드가 오래전부터 입점해 현지 화장품시장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 때문인지 한국 화장품의 인지도는 크게 높지는 않습니다 아무래도 유럽 브랜드 그 다음으로 대만 기업의 브랜드 그 다음으로 한국의 화장품 브랜드 순으로 인지도가 형성되어 있다고 생각됩니다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한국화장품은 다른 명품 화장품들의 가격보다 저렴하고 성능이나 효과 면에서 절대 뒤처지지 않아 한류가 지속되고 마케팅이 잘 이루어진다면 충분히 유럽의 명품화장품의 인지도를 뛰어 넘을 수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Q 한국의 중소기업의 화장품이 대만 시장에 진출하는 것에 대해서는 어떤 의견을 갖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A 한국의 대기업 화장품 브랜드가 아닌 중소기업의 화장품 브랜드가 대만에 진출하는 것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겁니다 하지만 저희 회사도 중소기업으로 시작하여 마케팅 전략을 잘 활용 하여 많이 성장하였습니다 아무래도 한국의 중소기업의 화장품이 대만에 진출하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있겠지만 어떤 마케팅 전략을 선택하느냐가 가장 중요하고 마케팅이 잘 이루어지고 입소문이 퍼진다면 한국의 중소기업 화장품 또한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7 -

7-3 가오슝 한인협회

-1월 8일 목요일 1400~1600 인터뷰-주소 高雄市鼓山區二路37巷弄43-2號(고웅시고산구이로37항81롱43-2호)-대표 尹桓鎬(윤환호) HP 0932-740-538 -電話 07-5211933 -傅眞 07-5214031

Q 대만과 한국과의 무역 관계가 어떠한지 궁금합니다

A 한국과 대만과의 무역은 크게 활발하게 이루어 질 수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대만의 시장 자체가 매우 작기 때문에 대만에 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국내 시장이나 다른 큰 해외 시장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대만 시장을 거쳐서 동남아나 중국 시장으로 진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여서 기존에 존재하는 대기업이나 저처럼 오래 전부터 이민한 분들이 소규모로 중개무역을 하고 있는 정도입니다

Q 현재 한인협회 회장님께서 직접적으로 하는 일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현재 저는 한국의 화장품을 수입하여 대만 현지 기업에게 판매하는 중개무역을 하고 있습니다 대만에 온지 20년이 넘었는데 이런 저런 일을 하다가 기회가 되어 이쪽 일을 하게 되었는데요 처음에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인식이 없어 가격은 비싸고 품질의 보증은 되어 있지 않은 제품이라 소비가 크게 늘지 않았는데 한류 열풍이 불고 한국 드라마의 성공과 그 배우들이 광고하는 화장품의 수요가 크게 늘어 몇 년 전부터 시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Q 한국과 대만과 중국의 관계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해 주세요

A 앞서 말씀 드린 것 같이 한국의 기업은 대만을 통하여 중국 시장의 진출을 위하여 대만 시장을 많이 찾습니다 그 이유는 한국 기업이 대만 시장을 통해서 제품을 인정받는다면 대만과 중국은 같은 언어권의 나라로 대만기업을 통해 중국으로의 활로를 개척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왜 이렇게 돌아서 진출을 하려고 물으셨는데 그것은 쉽게 말해서 말이 잘 통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의 중국어를 잘 구사하는 사람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보다는 대만의 사람이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주고 인정을 해준다면 더욱 쉽게 자리를 잡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8 -

Q 스타트 기업의 대만 진출 성공여부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중소기업이 대만에 들어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현재 한국 내에서의 위치를 높이는데 주력하는 것이 좀 더 낫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대만은 아주 뛰어난 기술력을 가지고 있지만 자체 제품을 생산하지 않습니다 예로 Apple에서 전체 아이디어를 미국에서 한다면 그 아이디어 실행은 대만에서 이루어집니다 그리고 제품의 생산은 대부분 중국에서 이루어 지구요 이렇듯 대만의 기술력과 제품에 대한 이해가 빠르기 때문에 수입을 많이 의존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중소기업이 들어와서 제품을 판매한다 쉽게 성공할 수 없죠

Q 회장님께서는 중국과의 중개무역은 생각하고 있으시지 않습니까

A 네 저는 지금의 생활에 만족하고 있습니다 지금 저의 파트너들과의 관계도 좋고 따로 중국 진출은 생각하고 있지 않습니다 만약에 제가 중국을 진출하게 된다면 현재의 기업들과도 경쟁상대가 되어 저는 생각이 없습니다

7-4 국립성공대학(國立成功大學)

-1월 9일 1350~1700 인터뷰-주소 701 臺南市東區大學路1號-연락처06-2757575 -홈페이지 wwwnckuedutw

대만 국립 성공대학은 931년 타이난에 설립된 이공계 명문 대학입니다 국립성공대학은 66개의 캠퍼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각 캠퍼스마다 특징과 분위기가 다릅니다 우리 국립성공대학은 ldquo북대대 남성공(北臺大 南成功)rdquo 이라는 말이 있듯이 역사는 대만대학의 바로 다음갑니다

국립성공대학의 이름의 의미는 성공은 무엇을 성취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대만의 민족영웅인 정성공(鄣成功)을 기념하기 위한 대학이라는 뜻입니다 성공대학은 정성공이 있던 역사명승 적감루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해 있기도 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9 -

이후 인터뷰로 대만의 소개와 간단한 전공 소개가 있었다

7-5 WABFENIX RENIX GLORY GLORIA GUA

-1월 12일 월요일 1300~1500 인터뷰-주소 14F-1 No420 Sec 4 Xinyi Rd Xinyi Dist Taipei City 110 Taiwan (ROC)-대표 Mr KEN -전화886-5569-0555-URL httpswwwfacebookcomrenixfanspage httpwwwwabfenixcom

Q Wabfenix가 어떤 기업인지 소개 해주세요

A 저희 회사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으로 현재는 매장은 없지만 개발한 제품을 바탕으로 사업을 진행 중이고 대만현지에 저희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저희 회사는 제품의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화장품을 개발하여 대만시장 뿐만 아니라 중국시장의 진출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Q 귀하의 제품은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제품이라 하셨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제품 등이 있습니까

A 우선 Heymore 제품군의 블랙 마스크 팩과 Renix 제품군의 일반 마스크 팩을 출시했습니다Heymore의 경우 선물용임을 부각시키기 위해 디자인에 특히 많은 투자를 하였습니다 중국 중산층을 겨냥한 제품으로 가격대 1봉지에 한화 ₩40000 정도로 높게 책정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가격을 높게 측정한 이유에는 중국 화장품 소비문화 속에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 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에 저가 보급형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0 -

제품인 Renix와 차별을 두는 판매 전략을 선택하였습니다 현재 판매되는 제품은 마스크 팩을 주력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Q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인데 중국을 대상으로 어떤 진출 전략을 갖고 있습니까

A중국에서 열리는 화장품 전시회 화장품 엑스포 행사 바이어 미팅 등 꾸준히 참가중이며 바이어들에게 저희 제품을 어필하고 있습니다 물론 신생기업인 만큼 아직 중국 내에서 뚜렷한 판매 실적을 기록하진 못했지만 타 화장품 기업들과 다른 마케팅 방식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디자인이나 제품의 아이디어를 강조하고 있는데 대표 적인 상품으로 오뚝이 모양을 한 화장품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이 오뚝이 제품을 바이어들에게 어필해 보았는데 대단히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Q 해외시장 마케팅과 대만 시장마케팅의 차이점이 있습니까

A 우선 중국에서의 마케팅은 행사나 전시회에 참여하고 바이어들을 개인적으로 만나는 것에 치중해 있다면 국내 대만시장의 마케팅 전략은 페이스북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대만은 중국에 비해 SNS가 많이 발달되어 있어 자금이 많이 들어가지 않는 SNS마케팅을 하고 있고 각종 자선행사에 참여하여 저희 기업을 홍보하고 있습니다

Q 귀사의 제품을 중국보다 비싼 인건비가드는 대만 제조공장에서 생산하는 겁니까

A타이중에 소재하는 공장에서 마스크를 제조 하고 있습니다 인건비가 비싼 것은 대만 수도인 타이페이에만 주로 해당이 됩니다 지방 소도시에서도 외곽으로 들어가면 저렴한 인건비와 공장 가동비용으로도 제조가 가능 합니다 굳이 중국에 제조공장을 갖지 않는 이유는 신생기업이라 자금문제도 있지만 대만은 OEMampODM에 특화된 국가이기 때문에 품질 좋은 다양한 제품주문이 가능하고 중국 사람들에게도 자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 보다 외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가 더 좋기 때문에 대만에서 생산한 뒤 수출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Q 대만에 한국 화장품 기업이 진출한다면 어떠한 마케팅 전략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 생각 하십니까

A 이미 대만에 한국의 화장품 제품들이 많이 들어와 있습니다 하지만 대만 자체의 화장품 기업들이 기존에 많은 시장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성공을 거두기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최근 한국에 대한 이미지가 많이 좋아졌고 한국의 영화나 드라마 등이 많이 알려지면서 인지도가 높아졌습니다 한국의 대기업의 경우 이러한 대규모 마케팅을 할 수 있으므로 큰 무리가 없겠지만 한국의 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한다면 최종 시장 공략 층은 대만이 아닌 중국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대만은 중화권으로 가기 위한 연결다리라고 생각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또한 중소기업은 큰 마케팅 비용을 부담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대만에서는 SNS나 각종 자선 행사에 참여하여 인지도를 높이는 것을 추천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1 -

Q 같은 제품이지만 대만과 중국에서 판매할 때 가격 책정이 다른 이유가 무엇인가요

A 그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해드리자면 국가마다 소비 성향이나 구매 능력 환율 경제 상황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경영 에서는 가격 차별화(Price discrimination)이라 부르는데요 각 나라의 시장 특성에 적정한 가격대를 책정해서 제품을 판매하는 전략입니다 혹시 중국 상류층이 몇 명인지 알고 있나요 제가 알기로는 대만 인구의 2배인 4000만 명이라는군요 아마도 한국 인구랑 비슷한 규모 일겁니다 게다가 중산층은 약 4억 명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4억 명의 중국 소비자들이 우리 제품을 1개씩만 구입 한다면hellip 상상만 해도 엄청 나겠죠 이야기를 하다 보니 다른 쪽으로 빠졌는데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이야기하면 물론 좋은 제품을 모든 곳에 저렴하게 제공 하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 그러나 항상 시장에서 저렴한 제품만이 성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대만이나 한국처럼 고도의 산업화가 이루어지고 시장이 크게 발전한 안정적인 단계는 좋은 제품이라도 가격 경쟁력에 신경 써야 합니다 왜냐하면 소비자들이 똑똑하기 때문에 정보력이 넓고 합리적인 소비를 지향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가격 성능 디자인 등 많은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중국 시장은 대만이나 한국과는 특성이 다릅니다 저렴하다고 해서 많이 제품이 많이 팔리기 보다는 가격대가 어느 정도 있는 제품일수록 또는 가격대가 높을수록 소비자들이 관심을 보입니다 대체적으로 중국 소비자들은 lsquo저렴한 제품은 품질이 낮거나 효능이 좋지 않은 제품일거야rsquo 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 때문에 화장품 박람회나 전시회에 저가 화장품을 가져와 홍보하더라도 중국 바이어나 소비자들은 큰 관심을 주지 않습니다 처음에 말했듯이 중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2 -

국 소비문화가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라는 심리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Wabfenix의 경우에는 신생기업이라 많은 투자 금액이 없을 뿐 더러 대만 화장품 시장에 진출하기에는 리스크가

크고 진입 장벽이 높습니다 그리고 이미 한국 화장품 기업들이 대부분 점유를 한 상황이기 때문에 대만 내수시장에만 집중하기에는 경쟁력이 부족하죠 그래서 중국을 주력 수출시장으로 삼고 있는데요 저희는 제품 성능 보다는 소비자의 이목을 끌 수 있는 디자인에 더 많은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중국에 Wabfenix만의 화장품 선물 문화를 정착 시키는 것이 목적인데요 높은 제품 가격만큼 소비자의 관심을 끌 수 있고 선물 문화나 꽌시(关系)가 많은 중국 문화 특성에 맞추어 선물용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중국 시장은 현재 젊은 중산층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품질이 낮은 화장품 보다는 수입 화장품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점으로 미루어볼 때 높은 가격 차별화와 Wabfenix만의 디자인 마케팅은 좋은 경쟁력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3 -

8 현지 시장조사 활동 (시장동향사진설문조사 자료)

8-1 시먼딩 설문조사

목적 대만 사람들의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및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대상 10대~20대 여성 및 화장품 전문매장 종사자장소 시먼딩시간 2015년 1월 7일 12일 총 두 차례에 걸쳐 진행방법 ①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 판넬에 국가별로 메이크업 사진을 표시하고 스티커를 붙이는 방식으로 투표함 공정성을 위해 국가 이름은 블라인드로 처리하였고 모두 동일 인물의 사진을 사용함②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표본집단을 50명으로 설정함 설문조사가 끝나면 사은품으로 한국 브랜드 마스크팩 증정함

8-2 사전 기획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판넬 기획도gt

化妝辦法喜好度的調查화장법 선호도 조사

大家給自己喜歡的化妝貼貼紙 여러분이 선호하는 메이크업에 스티커를 붙여 주세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4 -

대만의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안녕하십니까

다음의 내용은 대만 화장품 트렌드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자 관련조사를 실시하고자 하오니

있는 그대로의 생각을 기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귀하의 응답은 통계적 목적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본 설문은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물음에 대한 답변이나 해당란에 v 표를 해 주십시오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7) ② 화장품 전문매장(34) ③ 마트(5) ④ 홈쇼핑(2)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합계 총 50 명

바쁘신 시간에 의견을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지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5 -

8-3 설문조사 활동

lt2015년 1월 7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6 -

lt2015년 1월 12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7 -

lt활동 결과 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8 -

9 설문조사 통계 분석 (설문조사 응답 수분석결과)

9-1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결과gt

설문 조사 질문지 양식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12)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③ 마트(5) ④ 홈쇼핑(6)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9 -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gt

9-2 설문조사 항목 별 의견 및 추측

설문 조사 질문지 항목 (최다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② 20 ~ 25세 (13)

0

5

10

15

20

25

30

20대 이하 20세~24세 25세~29세 30세~39세 40대 이상

rarr 시먼딩은 대만의 홍대거리라 불리는 lsquo융캉제rsquo나 서울의 lsquo명동rsquo과 같이 젊은 층이 주로 활동하는 지역이다 설문조사 중에도 교복이나 체육복을 입은 학생들과 길거리에서 쇼핑을 즐기는 20대가 즐비할 만큼 활기 있는 거리다 덥고 습한 대만 기후 특성 상 과거엔 화장법이 크게 발전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국의 자연스러운 화장법이 큰 인기를 끌면서 시먼딩에 화장품 거리가 조성되어 있을 만큼 유동 인구가 많다 이 점으로 추측해보았을 때 압도적으로 10대와 20대 층이 많은 응답 수를 기록했다고 본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0 -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051015202530

온라인 화장품전문매장 마트 홈쇼핑 방문판매

rarr 대만 또한 한국과 비슷하게 시내에 많은 수의 화장품 전문매장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접근성이 굉장히 높았다 더불어 각 화장품 매장에서는 상품 할인과 같은 각종 프로모션을 진행하기 때문에 구매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 구매한다는 대답도 높은 편이었는데 거의 대부분이 와이파이존이어서 어디서나 인터넷을 한 활발히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온라인에서의 구매율도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0

5

10

15

20

25

30

NT$300 미만 NT$300~NT899 NT$900~NT$1499 NT$1500~NT2999 NT$3000

rarr 응답자들은 대부분이 한 달 간 화장품에 쓰는 돈을 최저 1만원 이상(NT$300 이상)이라고 답했는데 이는 70가 넘어가는 결과로 화장품에 대한 지출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만원 이상이라고 대답한 응답자들 또한 4분의 1을 넘기는데 이것은 젊은 연령층부터 시작하여 최근 피부 관리와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대만의 소비 수준에 대비하여 화장품 소비율이 높은 것도 이 때문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1 -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③ 성능(23)

051015202530

가격 디자인 성능 화장품 모델 브랜드

rarr 아열대 기후에 속하는 대만은 높은 기온과 습한 날씨 탓에 에어컨 환경에 자주 노출돼 피부 수분을 잃기 쉬워 기능성 화장품의 소비가 두드러진다 대만 화장품 시장은 토너 세럼 에센스 로션 크림 등의 모든 스킨케어 제품들이 보습기능을 강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백이나 안티에이징 리프팅 저자극 오일프리(Oil-free) 등의 기능까지 추가된 스킨케어 제품들이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조 화장품 소비가 늘어난 것은 최근 몇 년 들어 다양한 화장품 브랜드 접촉기회가 많아지고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젊은 여성의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색조화장품 또한 메이크업베이스와 BB크림 립스틱과 같은 베이스 메이크업이 수요가 많았다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④인터넷(22)

0

5

10

15

20

25

30

TV 잡지 친구 인터넷 메이크업샵

rarr 최근 빠른 인터넷망과 스마트폰 태블릿PC의 보급으로 인해 사람들과 사람사이의 연결망이 견고히 형성되고 있고 이것이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방법을 얻는 경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만 소비자들은 주로 인터넷 블로그 가족과 친구로부터 메이크업 정보를 획득 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만의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이므로 입소문마케팅과 판매를 바로바로 할 수 있는 유통구조가 도움이 될 것 같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2 -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0

5

10

15

20

25

30

청순 독특 귀여움 섹시

rarr 앞서 살펴보았듯이 대만은 한국과 비슷한 메이크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이것은 곧 청순한 메이크업 컨셉에 관심 있어 한다는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실제로 대만 여성소비자들은 깨끗한 피부 NATURAL한 베이스메이크업을 선호한다 한 듯 안 한 듯 자연스럽고 깨끗한 느낌의 한국식 lsquo생얼rsquo 화장법은 대만에서 한국 드라마 열풍과 함께 유명세를 타기 시작해 현지 각종 온라인 뷰티 사이트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래서 응답의 대부분이 한 곳에 치우쳤고 비교적 개성 있는 메이크업 방법이 드물 것이라는 것을 유추해낼 수 있다

본 설문 조사를 통한 한국 화장품 기업에 대한 시사점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수입 절차로 오랜 시간을 허비해야 하는 반면 대만은 자외선 차단제 성분 함유 제품과 약용 화장품을 제외한 일반 화장품은 별도의 수입 검사 없이 수입할 수 있으므로 대개 중국보다 1~2년 먼저 신상품이 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한류 효과를 겨냥한 중화권 화장품 시장으로 대만을 우선 공략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대만은 대부분이 화장품에 대한 소비를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고 한국 화장품이 많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시장 접근법만 제대로 수립하면 매출이 나는 구조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대만인들이 선호하는 메이크업 방법이 한국과 비슷하기 때문에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은 마케팅 방안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최종분석설문 조사 대상은 대부분 10대~20대의 연령층이었으며 화장품의 주된 구입경로는 lsquo온라인(24)rsquo과 lsquo화장품 전문매장(50)rsquo이 압도적이었다 더불어 한 달 간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lsquo1만 원 이상(72)rsquo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이것은 실제 생활수준에 대비하여 높은 소비량이므로 대만의 화장품 시장 전망이 밝다고 할 수 있다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부분은 lsquo성능(46)rsquo이었는데 이는 스타트업 기업 중소기업에게 유리한 조건이다 메이크업 방법을 얻는 방법으로는 lsquo인터넷(44)rsquo과 lsquo친구(30)rsquo가 높은 비율을 차지했는데 판촉활동으로는 인터넷을 활용한 SNS 홍보 바이럴 마케팅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가장 관심있는 화장 컨셉은 lsquo청순rsquo 이었고 이것은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와 맞물려 우리나라와 비슷한 메이크업 방법을 추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3 -

10 대만 명소 소개 (명소음식행사숙소 소개)

10-1 고궁박물관

대만 고궁박물원은 영국의 대영 박물관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 미국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과 함께 세계 4대 박물관으로 손꼽힐 만큼 세계적은 소장 문물을 자랑한다 건물 규모는 그다지 크지 않지만 소장한 문물의 질과 양은 세계 최상급이다 중화 보물 중에서도 최고의 보물들이 모여 있어 진귀하기 그지없고 수량 역시 워낙 방대하여 3개월 단위로 1만여점을 돌아가면서 전시해도 다보려면 10년이 넘게 걸린다고 전해지고 있다 중국의 국공내전 당시 장제스가 이끌던 중국 국민당이 전쟁에서 패하며 중국을 탈출해 대만으로 향했다 당시 장제스는 난징에 있던 정부를 타이페이로 이전하면서 자금성에 보관되어있던 중국역대 왕조 보물 수십만 점을 배를 이용해 운반해 왔다 중국의 유물을 가진 자가 진정한 통치자라고 생각했던 장제스는 ldquo공산군에게 영토는 내줘도 문화유산만큼은 내줄 수 없다ldquo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대표적인 유물은 취옥배추 육형석 모공정 산씨반 등이 있다

10-2 용산사

루강의 초입에 있는 이 사찰은 타이완에서 가장 오래되고 아름답다고 하여 타이완의 자금성이라고 부른다 각 건물의 기둥 벽 그리고 천장 등에 새겨진 조각은 특히 빼어나다 이 조각상과 함께 이곳의 명물로 알려진 것은 사찰 경내에 있는 2마리의 용상인데 삼천전 앞마당 좌우에 서서 룽산사를 호위하고 있다

10-3 타이페이 101 빌딩

타이베이 101빌딩rsquo이라 부르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로서 빌딩 모습은 하늘로 뻗어나가는 대나무 위에 꽃잎이 겹겹이 포개진 형상이다 본래 타이베이 금융기관이 모인 건물이지만 대형 쇼핑센터와 푸드코트 고급 레스토랑이 있어 여행자들이 많이 찾는다 건물에는 8개 마디가 있는데 이는 중화 문화권에서 부와 번영을 의미하는 숫자 lsquo8rsquo을 염두에 둔 것이다 타이베이 시내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는 높이 508m로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히는 높은 건물이다 지상 1~5층에는 소고 백화점 뷰티 플라자 애버뉴 101 등 다양한 패션∙뷰티용품을 구입할 수 있는 상점이 있다 또한 레스토랑 시티 스퀘어 대형 서점 등 쇼핑과 오락 식사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복합시설이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4 -

잘 알려진 식당으로는 딘 타이 펑(Din Tai Fung) 이 있다 101타워 지하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샤오롱바오(고기만두) 새우 샤오마이(새우만두) 탄탄면(우육면)이 가장 대표적인 메뉴이며 대만에 방문한 많은 사람들이 찾는 식당이다

10-4 지우펀

대만여행의 백미로 꼽히는 지우펀은 타이페이시 북부의 루이팡 지역의 작은 산골 마을로 과거에는 아홉가구만 살고 있어서 지우펀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예전에는 작은 산골 마을에 불과 했지만 이 지역에서 금맥이 발견되면서 호황을 맞이하게 된다 특히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일본풍의 건물들이 남아 있어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결합된 독특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비탈길을 따라 하늘로 이어진 예스러운 건물 그리고 골목마다 빨간 홍등과 함께 묻어나는 옛 풍경은 여행객들에게 인기 여행지이다

10-5 스린야시장

타이베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야시장 가운데 하나이다 독특하면서도 다양한 전통 먹을거리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이곳을 찾는 관광객이 많다 시장 부근에 학교가 많아 학생들이 많이 찾으며 포장마차 등의 노점상이 많아 가격도 저렴하다 칭런샹[情人巷]에는 가구 의류 액세서리 사진현상점 애완용품점 등이 모여 있어 학생뿐 아니라 관광객들도 자주 찾는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5 -

10-6 예류 지질 공원

타이완 북해안에 자리한 예류는 해수욕장과 온천 기암괴석으로 유명한 관광지다 특히 예류지질공원은 희귀한 모형의 바위와 암석이 모여 있어 예류 관광의 필수코스로 꼽힌다 작은 곶으로 된 예류지질공원은 침식과 풍화 작용을 거쳐 자연적으로 형성된 기암을 보러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지질공원으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것이 선상암 군락이다 암석 하나하나의 모습은 마치 거대한 버섯이 큰 머리로 하늘을 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선상암 가운데 가장 유명한 암석은 이집트 왕비의 옆모습을 닮은 여왕 두상 바위다

10-7 스펀(Shifen)

스펀(十分)은 옛 광산마을로써 천으로 만든 등이 유명하다 또한 이 곳 스펀은 대만 최대의 폭포 스펀(SE-FEN) 폭포가 있다 미니기차와 천으로 만든 등을 날릴 수도 있다 마을의 한가운데 긴 철길이 놓여 있고 30분에 한 대씩 기차가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것도 볼 수가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6 -

10-8 진과스(金瓜石)

진과스(金瓜石)는 타이완 타이베이 근교에 있는 옛 탄광 유적이다 20세기 전반에 금 채굴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20세기 후반에 금이 차차 고갈되기 시작하자 점점 위축되어 폐광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관광 명소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하루에도 수백명이 들렀다 가는 대만의 대표 관광지이다 진과스 내에 있는 황금 박물관에는 220kg 의 금이 전시 되어 있는데 손을 넣어 직접 만져 볼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진과스에서는 과거 광부들이 먹었던 도시락을 그대로 만들어 판매하는 광부 도시락도 굉장히 인기가 많다

10-9 국립 성공대학

대만의 타이난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1931년에 개교하였다 2010년 QS대학순위에서 283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대만 대학중 2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총 9개의 캠퍼스로 이루어져 있어 굉장히 큰 면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만 교육청에서 인정한 9개의 주요대학 중 하나이고 대만 기업체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학이다 이공계열이 가장 뛰어나며 중문 역사 법학 경제학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10 시먼딩

타이베이시에 위치한 시먼딩은 한국의 명동과 같은 거리이다 대한민국의 명동에도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과 외국인이 많다고 알려져 있는데 시먼딩 또한 명동 못지않은 다양함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대만의 패션과 놀이 문화 음식 등을 한눈에 경험 할 수 있는 공간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7 -

10-11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

중정기념당은 타이완 총통 장제스(蔣介石)를 기리는 전당이다 lsquo중정rsquo은 장제스의 본명이다 그가 서거한 후 1980년 기념당을 세웠다 25만에 이르는 넓은 중정공원 안에 우뚝 선 높이 70m의 기념물이 중정기념당이다 기념당 1층에는 장제스 생애를 엿볼 수 있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거대한 장제스 동상은 항상 근위병이 동상 앞을 지키고 있다 중정공원 안에는 중정기념당 외에 국립 희극원과 국립 음악청이 있는데 이곳에서 연극과 콘서트를 한다 공원 조경 또한 잘 조성되어 있어 산책하며 천천히 둘러보기에 좋다

10-12 안핑지구(安平地區)

대만의 문화와 역사는 안핑지구에서 시작되었다 안핑구바오는 17세기 중엽 네덜란드인들이 지은 요새로 정성공이 빼앗아 번영하다가 황폐해져 지금은 보루의 대부분이 없어지고 설탕과 굴껍데기와 찹쌀가루를 버무려 만든 빨간벽돌로 된 장벽(臺灣城殘蹟)만이 남아 나무뿌리와 존립의 사투를 벌이고 있다 감시탑 옆 건물 안에는 네덜란드와 정성공의 전투에 대한 이야기와 중세갑옷 등이 전시 중이다 이 주변에는 대만에서 가장 오래된 상업거리 옌핑제(延平街)가 있는데 옛 명성이 다한 거리의 골목 사이사이 수백년 된 가옥을 구경하는 것도 소소한 즐거움이다 1867년 영국인 상점과 물류창고로 이용하던 건물에 노용수(老榕樹)가 멋대로 자라 건물을 집어삼키듯 뒤덮은 나무집으로 불리는 안핑수우도 안핑지구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진귀한 볼거리다

10-13 미라마 관람차

대만에서 가장 큰 관람차로 알려져 있는 미라마 관람차는 타이페이 시의 야경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관람차 크기가 큰 것으로 유명하지만 가격 또한 저렴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유스트래블 카드를 이용하면 50 할인이 적용되므로 꼭 지참하도록 하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8 -

lt미라마 관람차 티켓gt lt유스트래블 카드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9 -

11 시사점 및 차후 활용계획 (LGC 프로그램을 통한 구체적인 효과 및 연구결과)

11-1 LGC 프로젝트 만족도

구분 항목 전 후 한줄 평

사업단

프로젝트 취지- 린튼 글로벌 학과와 경영정보학과 학생들이 함께

하는 프로젝트 해외시장탐방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사전교육 활동- 출국 전 각 나라에 대한 유의사항 안전교육이 체

계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개략적인 보고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었다

행정지원 절차- CK사업단 린튼 글로벌 학과 경영정보학과 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히 되지 않아 사전 계획에서 많은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협동력 향상- 출발 전 잦은 팀 회의와 8박 9일 간에 일정에도

불구하고 불화 없이 좋은 분위기 속에서 프로젝트를 완수 했다

추진력 향상- 일정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 한 점 추가 자료조

사를 위해 현지에서 새로운 일정을 추가 됐을 때 팀원들이 일사불란하게 따라주었다

문제해결 능력- 교통편 문제와 기업 측 내부 문제로 일부 일정에

변동이 있었지만 신속한 조율과 전화 통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개인

동기부여 자극- 현지인들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국어 영어 능

력의 필요성을 실감했다 특히 중국어는 소통 유무에 따라 현지 반응이 극명하게 갈렸다

진로설계 도움- 프로젝트 전에 비해 새로운 직업 분야에 대한 관심

이 증가했다

취업능력 향상-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한 내용을 살려 구술 면접이

나 자기소개서 작성에 참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11-2 LGC프로젝트 연구 결과 - 대만 시장

⓵ 중국시장을 주목하는 대만 화장품 기업- EST팀은 현지 대만 화장품 기업으로 SISDORA와 WABFENIX를 선택했다 두 회사를 선정한 배경에는

명확한 의도를 두고 정했다 SISDORA는 설립한 지 10년이 넘는 회사로 직접 화장품을 개발 및 연구하고 판매하는 중소기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과 주름개선 크림으로 중년 여성을 타깃 층으로 하는 화장품 회사다 반면 WABFENIX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스타트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 이지만 기술개발 보다는 디자인 마케팅에 중점을 두었고 판매 층도 10대-20대의 젊은 층을 타깃 층으로 한다 시장 전략이 완연히 다른 두 기업이 유일하게 공통점이 있다면 중국시장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선정 이유에는 많은 인구의 소비력을 꼽지만 뒤이어 언급하는 이야기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자사 제품의 경쟁력 약화를 말한다 현재 대만 기업 대부분은 내수 시장 대신에 중국을 겨냥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국가 산업 특성상 제조amp연구 분야가 강세인 대만에서는 중국 바이어 또는 미국 유럽 바이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직접 판매 보다는 기술 협력을 통해 이익을 창출한다고 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0 -

⓶ 대만 시장을 점령한 한국 화장품

- 앞서 말했듯이 2012년 이후부터 급속히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한국 화장품은 대만 시장을 점령하고 있다 이미 시먼딩에 들어서면 다양한 한국 화장품 매장이 눈에 띌 만큼 들어섰으며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중앙 광장에 입점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매장 안에는 많은 대만 사람들이 화장품을 보고 있는 광경을 흔히 본다 화장품 매장을 이용하는 연령층은 주로 10대-20대들이다 화장품 가격이 한국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주 애용하는 이유는 한류 열풍으로 인한 한국 연예인들에 대한 관심과 화장법이 크게 유행하고 있음을 현지 설문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⓷ 체감할 수 있을 만큼 커다란 한류열풍

- 뉴스에서만 듣던 한류 이야기를 대만에서 직접 느낄 수 있을 정도로 한류열풍은 크다 특히 삼성이나 LG의 TV나 스마트폰은 어딜 가든 항상 보이고 한국 화장품 선물에 대한 반응이 무척이나 뜨겁다 원활한 현지 조사를 위하여 사은품으로 준비한 한국 마스크 팩 100개는 오히려 현지인들이 참여 의사를 표현할 만큼 열정적이었다 일부 대만 사람 중에는 어디서 왔냐는 질문에 한국이라는 답변을 하니 같이 사진 찍기를 제안하기도 했다

⓸ 중소기업에게 있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는 대만 시장진출- 대만 시장 진출에 앞서 한국 화장품 중소기업이라면 전략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크게 대만 시장을 겨냥

할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할지 선택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3CE는 한국 화장품 회사다 대만에서 젊은 연령층이 자주 이용하고 이미 대만 내에서는 유명하다 3CE는 오프라인 매장 없이 순수 온라인 매장으로 운영하면서 대만 사람들을 위한 전용 웹사이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윤을 창출 하고 있다 신중해야 할 점은 현재 온라인 오프라인 등 한국 화장품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신규 진입에 있어서 장벽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대만 시장을 활용한다면 동남아 시장까지 한 번에 내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출입통관 절차가 간단하고 관세가 낮기 때문에 중소기업에게 유리하다 아직까지 중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1 -

에 대한 직접적인 수출이 가능한 곳은 상해나 항주 같이 중국에서 허가한 무역항 도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내륙까지 시장을 확대하기는 불가능하지만 같은 언어권인 대만을 거치면 보다 쉽게 바이어나 에이전트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인맥을 통한 꽌시와 수수료 명목으로 뒷돈을 요구하는 중국 바이어의 관행은 자금 순환이 원활치 않은 중소기업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11-3 LGC 프로젝트 종합 의견 및 전망

우리 lsquoEST팀은 출국 전 국내 화장품 시장 조사를 할 때 대덕 밸리 스타트업 기업 셀아이콘 랩의 영향으로 대만의 화장품 산업에 대해 큰 관심과 가능성을 보고 2015년 1월 5일부터 1월 13일까지 8박9일이라는 시간동안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 나라 중에 하나인 대만에서 rsquo대만의 화장품 시장lsquo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사를 했다 대만에서는 3개의 기업 (KOTRA SISDORA WABFENIX) 을 방문해 전반적인 대만의 화장품 시장과 판매전략 한류에 대한 보다 사실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1개의 대학 (국립성공대학 國立成功大學)에서 MBA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또 타이난에서는 대만에서 오랫동안 사업하시는 한인협회 회장을 만나 PLC (Product Life Cycle)를 통해 대만에서의 특정 시장이 도입기에 있는지 또 어떠한 시장이 쇠퇴기에 놓여있는지 다양한 시야에서 대만시장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노력은 CK 사업단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교육부 CK-1 프로젝트의 일부인 Linton Global Challenge는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몇 년을 내다보는 지속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기업들과 더욱 더 활발한 교류와 연구를 한다면 기업과 CK 사업단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리라고 본다

1 개인 탐방 후기 (팀원 개인 소감)

1-1 개인 탐방 후기

강성민탐방 후기 기업 컨택 부터 인터뷰 일정 계획까지 8박 9일간의 대만 화장품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 출국 전까지 준비 과정부터 탈도 많았고 대만에 와서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 원하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매일이 항상 회의와 고민의 연속이었다 하루하루 충실히 계획을 진행시켜 나갔고 좋은 팀 분위기 속에서 무사히 대만 프로

부록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2 -

젝트를 완수했다 그리고 마침내 한국으로 돌아왔다 과정은 항상 오르막 길이였지만 돌이켜 보면 마지막 대학 시절을 기념할만한 좋은 추억이자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느끼는 바가 많았던 프로젝트로 기억 될 것이다

김은진탐방 후기 글로벌 챌린지를 한마디로 정의하라고 한다면 도종환 시인의 lsquo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lsquo라는 시가 떠오른다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대만기업컨택 설문조사 등 많은 것을 경험했다 처음엔 모든 것이 나에겐 버거운 산이라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도전이 계속 될수록 이젠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이 모든 도전들에 흥미가 생겼다 나 자신도 책임감과 자신감이 생기고 한층 성숙해 진 것을 내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소중한 동료와 추억은 평생 나의 가슴속에 남을 것이다 우린 앞으로도 많이 도전하고 경험하여 우리들의 삶이 활짝 만개하리라 다짐한다 끊임없이 도전하는 20대의 청춘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프로그램이었다 김종선탐방 후기 한국에서 준비하면서 조사했던 내용과 비교하며 인터뷰를 해보니 실제로 많이 다른 부분도 있었고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 비슷한 내용도 있었다 현지의 기업들을 방문해 우리가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직접 매장에 가서 느껴보니 앉아서 컴퓨터만 볼 때랑 많이 달랐다 그리고 직접 대만인들에게 설문조사를 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그리고 대만의 실제 문화와 환경 그들의 생활을 잠시나마 볼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

구명우탐방 후기 며칠간의 꿈만 같았던 대만에서의 시간이 지나갔다 대만으로 출국하기 전 사전조사 기간에는 확신이 없었다 사전조사와 기업과의 인터뷰 그리고 9일간의 일정조율 및 숙박과 모든 대만에서의 연구와 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보고서까지 무엇하나 확신이 드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도전과 해결능력을 배웠고 아시아에서 급성장 중인 대만에 대해서 배우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다음기수로 가게 될 관심 있는 학우들에게 진심으로 추천해주고 싶다

이규현탐방 후기 CK-1 프로그램 중 하나인 lsquo린튼 글로벌 챌린지lsquo 프로그램을 통해 약 8박 9일이라는 시간 동안 emerging market 중 하나인 대만에 거주하면서 한국 화장품의 대만시장 점유율과 진출 가능성을 몸으로 체감하고 자료들을 모아 통계 내어 정리할 수 있었다 우리 팀 lsquoEST가 성공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충분한 국내조사 기간을 갖고 대만의 화장품 회사들을 방문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대만의 특정한 기업을 찾기도 어려웠고 기업 컨택은 번번히 거절당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회사 두 군데에서는 답장조차 오지 않았고 설문조사할 때에는 반한감정의 대만인을 만나 고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팀의 단결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리더의 통솔력으로 정해진 스케줄대로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회사를 방문하고 학교교수를 만나고 길거리에서 설문조사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팀원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또한 대학생으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을 한 것 같아서 스스로도 너무 뿌듯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팀을 믿고 지지해주신 LGSB 교수님들과 CK-1 프로그램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영은탐방 후기 처음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렇게 준비는 열심히 하지만 정말 우리가 계획한 100대로 대만을 다녀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기우가 무색하게도 대만은 우리에게 기획안 그 이상의 것들을 보여주었다 사장님들의 생생한 사업 이야기와 대만의 색채가 묻어있는 아이템들 하며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여 알아보는 비즈니스 마켓의 현장은 나에게 두고두고 잊지 못할 자산으로 남았다 또한 펑리수 버블티를 비롯한 대만의 맛있는 먹거리들과 스린 야시장이나 지우펀 같은 명소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열심히 고생해준 팀원들과의 추억들도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3 -

이서우탐방 후기 이번 글로벌 첼린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서 쉽게 할 수 없는 해외 기업 탐방과 해당 국가의 산업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임효진탐방 후기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팀이 대만을 방문 한다고 했을 때 많이 의아해 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만을 직접 방문해보고 많은 사업자들을 만난 결과 대만은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라고 생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아직 공산주의라는 정치적 특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다른 곳보다 훨씬 어렵지만 대만은 자유시장체제 이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쉽다 특히 외국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만 시장에서 한국제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추고 중국 시장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성공가능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그리고 대만의 바이어들을 통해 중국의 시장진출을 하게 된다면 사업자가 직접 중국시장에 진출 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성공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만은 문화적으로 다른 아시아권보다 선진화 되었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대도시에 속하지만 모두다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골고루 섞여 대만만의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차안호탐방 후기 9박 10일간의 대만을 다녀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넓고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이번 대만 여행은 처음으로 경험한 해외여행 경험이여서 그런지 순탄치 않은 면도 있었지만 팀원들 서로가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만시장은 중국시장으로 가기위한 좋은 시험의 장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대만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영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더 나아가 미래에는 중국어야말로 영어와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성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또 하나 놀란 점은 대만이 반 한류 감정을 많이 갖고 있는 줄 알았지만 대부분의 대만 일반 시민들이 굉장히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에 놀랐고 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CK-1 사업의 챌린지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대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계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보완점 및 건의사항 (문제점개선책건의사항)

2-1 기업 컨택의 어려움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에 있는 기업과 연결하여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대해서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조사 및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시간을 내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로써 그들의 귀한시간이 아깝게 쓰이지 않을 것을 강조하여 만남을 만들어야 한다

2-2 사업단과 의사소통의 불편함

Challeng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CK-1 사업단과의 지속되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가령 누군가를 통해서 전해지는 소문이나 촉박한 시간을 제시하고 일 처리를 원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단과 각 팀의 대표간의 분명한 의사소통과 증빙자료 등이 필요하다

2-3 정보 부재 이번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이머징 마켓에서의 유망 산업 조사 및 연구였다 대만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2: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목 차

1 요약 내용 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 3p(1) 방문 기업 요약 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 3p(2) 예산 사용 내역 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 6p(3) 해외 탐방 성과 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 7p

2 본문 내용 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 8P(1) 팀 소개 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 8p(2) 대만 소개 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 11p(3) 탐방 목적 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 16p(4) 사전조사 활동 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 17p(5) 화장품 산업 및 환경 분석 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 18p(6) 탐방 상세 일정 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 21p(7) 방문 기업 소개 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 24p(8) 현지 시장조사 활동 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 33p(9) 설문조사 통계 분석 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 38p(10) 대만 명소 소개 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 43p(11) 시사점 및 차후 활용계획 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 49p

3 부록 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 51P(1) 개인 탐방 후기 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 51p(2) 개선책or보완점 및 건의사항 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 53p(3) 여행 시 주의사항(현지 문화) 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 55p(4) 컨택 시 유의사항(비즈니스 측면) 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hellip 57p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 -

1 방문 기업 요약 (업체명위치담당자연락처주요업무)

1-1 KOTRA 대만 지사

-2015년 1월 5일 월요일 1700~1900 인터뷰-위치 台北市 基隆路 1段 333號 22樓 14室(2214室) Intl Trade Building 22층-전화 (886-2)2725-2324 -팩스(886-2) 2757-7240

1-2 SISDORA luxury beauty care

-1월 6일 화요일 1400~1700 인터뷰주소 No9Aly 10Ln265Sec 4Xinyi RdDaan Dist Taipei City 106대표 Mr Chung-Cheng Lee 전화886-2-27040889URL httpwwwsisdoracom

1-3 가오슝 한인협회

-1월 8일 목요일 1400~1600 인터뷰주소 高雄市鼓山區二路37巷弄43-2號(고웅시고산구이로37항81롱43-2호)대표 尹桓鎬(윤환호) HP 0932-740-538 電話 07-5211933 傅眞 07-5214031

요약 내용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 -

1-4 국립성공대학(國立成功大學)

-1월 9일 금요일 1500~1700 인터뷰주소 No1 University Road Tainan Taiwan연락처06-2757575 홈페이지 wwwnckuedutw

1-5 WABFENIX RENIX GLORY GLORIA GUA

-1월 12일 월요일 1300~1500 인터뷰주소 14F-1 No420 Sec 4 Xinyi Rd Xinyi Dist Taipei City 110 Taiwan (ROC)대표 Mr KEN 전화886-5569-0555URL httpswwwfacebookcomrenixfanspage httpwwwwabfenixcom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 -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6 -

2 예산 사용 내역 (항공편숙박비식비기타비용)

2-1 종합 예산

사용 내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7 -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8 -

3 해외 탐방 성과 (종합적인 의견)

3-1 대만 일정 간 EST팀 성과

대만 현지 기업 2곳 방문 및 인터뷰(SISDORAcoltd Wabfenixcoltd) 대만 지사 코트라 방문 및 인터뷰 대만 lsquo성공대학(成功大學)rsquo MIS학과 진정충(陳正忠) 교수 및 학생들과 미팅 가오슝 한인협회 회장 인터뷰 시먼딩(西門丁)에서 현지인을 대상으로 한 화장품 설문조사 실시

시먼딩은 한국 화장품 거리로 불리는 lsquo명동rsquo과 비교되는 동 단위의 지역으로 평가받는다

3-2 기업 측면

대덕밸리 스타트업 기업(주)셀아이콘 랩의 대만 시장 진출 가능성을 탐색 대만 시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대만의 화장품 기업들의 홍보 효과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품에 대한 인식 조사 대만에 진출해 있는 한국 화장품 기업의 입지 조사 대만 화장품 시장의 유통경로 조사 새로운 홍보 전략의 일환으로 관계 유지 가능

3-3 학생 측면

모든 일정을 학생들이 직접 나서서 해야 한다는 점에서 자립심과 해결능력을 함양 해외의 이머징 마켓을 직접 보고 느끼면서 글로벌 마인드의 함양 학생들의 리더쉽과 자신감 획득 영어 및 중국어 능력 향상

3-4 사업단 측면

CK-1 사업 목표 및 취지에 부합한 성공적인 프로젝트 선례로 활용 가능 글로벌 IT 경영학과 및 글로벌 비즈니스 학과 홍보 전략으로 활용 가능

학생이라는 신분으로 대만 현지에 있는 기업들을 마주하는 일은 정말로 어려운 일이었다 하지만 출국 전부터 기업과의 꾸준한 연락과 철저한 준비로 마침내 미팅 날짜를 잡고 대만 현지에서 연락하던 기업들과 직접 만나 대만 화장품 시장에 대해 조사를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우리가 일정동안 찾았던 기업은 총 5곳으로써 국내외 기업간의 투자 및 산업기술 협력의 지원등을 맡고 있는 KOTRA in Taiwan 그리고 대만에서 기능성 화장품으로 유명한 SISDORA 대만의 타이난 지역 내에서 한국과 대만의 화장품 중개무역을 담당하시는 대표님 마스크 팩의 중국진출과 번뜩이는 아이템으로 중국 화장품 시장 내에서 대박을 생각 중이신 MrKen 등 정말 다양한 위치에서 일하고 계신 분들을 만났다 또한 -EST 는 그곳에서 만난 인연으로 101타워의 프리미엄 퍼스널 릴렉스 트레이닝 센터와 디저트로 유명한 Mango 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이뿐만 아니라 대만의 명동과 같은 ldquo시먼딩rdquo에서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품에 대한 인식을 조사 할 수 있었으며 화장으로 대표적인 5개국의 화장법을 두고 투표를 하여 한국 화장품 기업의 미래가 밝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번 프로젝트는 이머징 마켓으로써 시장 조사 뿐만 대만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시민의식 등을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101타워 용산사 예류 지질 공원 스펀 지우펀 진과스 온천 등과 같은 대만을 충분히 느낄 수 있는 다양한 관광지를 방문했으며 특히 친절한 대만인들과의 소통으로 대만이 어떠한 나리인지 뼈 속 까지 알게 되는 느낌이었다

이 모든 활동을 통하여 대만 화장품 시장의 특성을 명확히 이해하게 되었으며 넓게는 대만의 미래가 굉장히 밝다는 느낌을 들게 해주었다 또한 학생들 개인적인 측면으로 9명 모두에게 자립심과 도전심을 가지게 해준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9 -

좋은 기회였다

3-5 기대효과

현지 시장조사 자료 획득 자사 시제품 반응결과 파악 사업단과의 지속적인 연계

3-6 사업단 측면 효과

학과 내 MIS-DAY 또는 관련 과목 강의에서 특강 해외탐방 동아리 개설 차기 CK프로젝트 멘토 활동 가능

1 팀 소개 (사진이름담당역할)1-1 팀 소개

EST팀 지도교수 및 멤버

강성민(25) - 조장전체 계획 수립 및 제안

김종선(25)국내 및 국제 시장 조사

차안호(25)프로젝트 연구 통계 분석

이서우(24)예산 수립 및 예산 관리

본문 내용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0 -

구명우(24)투어 일정 수립

김은진(22)

현지 시장 조사

임효진(24)

공고인터뷰일정 및 숙소 예약

이영은(22)

보고서 작성 및 프리젠테이션 제작

이규현(23)

사진 및 동영상 촬영 편집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1 -

2 대만 소개 (국가 기본정보한국과의 관계)

국호臺灣(Taiwan)

- 대만의 공식국호는 lsquo中華民國(Republic of China)rsquo - 국제 행사에서는 lsquoChinese Taipeirsquo 사용

위치 동남아시아

면적 36193(한반도의 16배 남한면적의 13배)

기후 아열대 몬순 기후권

수도 타이베이(Taipei 台北 서울의 약 12크기)

인구 약 2천 3백만 명

주요도시Taipei City(269만명) New Taipei City(390만명)

Kaohsiung City(277만명) Taichung City(265만명)Tainan City(187만명)

민족구성 민남인(74) 외성인(13) 객가인(15) 원주민(2)

언어 공용어(중국어)상용어(민남어 객가어 원주민어)

종교 불교(35) 도교(33) 기독교(26) 천주교(13) 회교(02) 등

건국일 191211(중화민국건국일)

정치형태 입헌민주공화국

국가원수총 통 마잉주(馬英九 Ma Ying-Jiou)

2012114 재선성공 2012520 취임식부총통 우둔이(吳敦義 Wu Den-yih)

GDP ㅇ2012년 US$ 4804억ㅇ2013년 US$ 4789억

2-1 대만 소개

국가 개요

경제 지표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2 -

ㅇ20141~6월년 US$ 2433억

경제성장률ㅇ2012년 148ㅇ2013년 219ㅇ2014년 2분기 384

1인당 GDP ㅇ2011년 US$ 20246ㅇ2012년 US$ 20502ㅇ2013년 US$ 20984

실업률ㅇ2012년 424ㅇ2013년 418ㅇ2014년 2분기 397

물가상승률ㅇ2012년 193ㅇ2013년 079ㅇ2014년 2분기 121

외환보유고ㅇ2012년 US$ 3942억ㅇ2013년 US$ 4168억ㅇ20146월 US$ 4235억

산업구조 제조업(233) 도소매업(181) 부동산업(85) 금융보험업(65) 농업(187)

교역규모ㅇ2012년US$ 3012억(수출) US$ 2705억(수입) 무역수지US$ 307억ㅇ2013년US$ 3055억(수출) US$ 2701억(수입) 무역수지 US$ 354억ㅇ20141~6월US$ 1534억(수출) US$ 1372억(수입) 무역수지 US$ 162억

주요교역품 ㅇ수출 전자제품 기본 금속 제품 플라스틱 및 고무 제품 광학기기 화학품ㅇ수입 광물 전자제품 화학품 기계 기본 금속 제품

환율ㅇ2012년 US$ 1=NT$ 2962ㅇ2013년 US$ 1=NT$ 2977ㅇ2014 6월 US$ 1=NT$ 3004

화폐단위 New Taiwan Dollar(NT$)

외교 관계

ㅇ 1948 8월 대만정부 대한민국 정식 승인ㅇ 1949 8월 주타이베이 한국대사관 개설ㅇ 1992 8월 한국-대만 단교ㅇ 1993 11월 주타이베이 한국대표부 개설ㅇ 1994 1월 주한 타이베이대표부 개설

교역 규모 ㅇ 2011년

한국-대만 외교 관계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3 -

(한국 기준)

- 수출 US$182억 수입 US$1469억 무역수지 US$35억ㅇ 2012년 - 수출 US$148억 수입 US$140억 무역수지 US$8억ㅇ 2013년 - 수출 US$157억 수입 US$146억 무역수지 US$107억ㅇ 20141~6월 - 수출 US$75억 수입 US$75억 무역수지 US$04억

주요교역 품목ㅇ 수출 반도체 기초유분 철강판 석유화학 중간원료 컴퓨터 정밀화학원료 반

도체 제조용 장비 광학기기 석유제품 선박 등ㅇ 수입 반도체 컴퓨터 기구부품 철강판 무선통신기기 기타 중전기기 평판디

스플레이 및 센서 기타 석유화학제품 플라스틱 제품 정밀화학원료 등

상호 투자

ㅇ 우리나라의 對대만 투자 - 2010년 43건 US$1400만 2011년 42건 US$4700만 - 2012년 38건 US$950만 2013년 26건 US$1700만 - 1968~2013년 624건 US$ 5억 6300만ㅇ 대만의 對한국 투자 - 2010년 5건 US$340만 2011년 7건 US$2800만 - 2012년 9건 US$2100만 2013년 14건 US$6100만 - 1962~2013년 181건 US$ 6억 1200만

교민 총 교민수 약 3천 4백여명

양국 간 교역 동향

수출입 동향

Ÿ 한국과 대만은 주요 수출입 품목이 반도체 철강 컴퓨터 화학원료 등으로 중복되는 경향이 강하며 상호비교우위 품목을 위주로 교역이 이뤄지고 있음

Ÿ 전년도 수출 급감에 따른 기저효과 스마트기기 및 테블릿 산업의 성장과 이에 따른 부품 수요 증가 한류영향 품목의 수출 확대 등으로 인하여 2013년도 한국의 對대만 수출은 전년대비 6 늘어났으며 수입 역시 44의 증가세를 보임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4 -

구분2012년 2013년 2014년 1~6월

금액 증감 금액 증감 금액 증감

총계 2882 -124 3033 52 1502 -328

수출 1481 -186 1570 60 753 -726

수입 1401 -46 1463 44 749 135

수지 8 -771 10 25 04 -945

순위 품 목2012년 2013년 2014년

1~6월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1 반도체 3578 -342 3742 46 2169 1572 석유제품 2239 -29 2810 255 953 -3563 기초유분 1381 198 1314 -48 531 -2084 정밀화학원료 406 -426 477 176 272 1835 석유화학중간원료 532 -376 586 101 220 -516 반도체제조용장비 311 -222 344 107 195 -107 자동차부품 239 209 168 -298 159 8728 광학기기 238 -248 283 188 151 969 기구부품 217 111 375 727 147 -28210 플라스틱 제품 250 -124 286 147 142 16

lt 한국-대만 수출입 동향gt (단위 억 달러 )

자료원 한국 관세청

lt한국의 對대만 10대 수출 품목gt (단위 백만 달러 )

주 MTI 3분류 2013년 수출액순 자료원 한국 관세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5 -

순위 품 목 2012년 2013년 2014년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1 반도체 8114 117 8874 94 4438 -102 기구부품 757 124 867 146 341 -2343 철강판 420 -312 398 -52 181 -1474 컴퓨터 616 -570 356 -422 171 -635 기타석유화학제품 227 -103 199 -125 143 9856 플라스틱 제품 324 229 288 -111 136 -1057 동제품 156 46 194 245 125 2108 합성수지 159 -19 172 81 108 2739 평판디스플레이및센서 133 -215 138 35 106 29110 기초유분 155 -250 132 -143 98 425

lt한국의 對대만 10대 수입 품목gt (단위 백만 달러 )

주 MTI 3 분류 2013년 수입액 순 자료원 한국 관세청

양국 간 상호 투자현황

대만의 對 한국 투자현황lt대만의 對韓 투자동향gt

(단위 건 백만 달러)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1~6월 누계(62~2014)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5 34 7 280 9 21 14 61 3 3 184 615

자료원 대만 경제부 투자심의위원회 신고 기준

Ÿ 대만기업의 對韓 투자는 10~20만 달러 규모의 판매법인 설립이 대부분이며 대규모 그린필드형 투자는 중국 및 동남아지역에 RampD형 투자는 미국과 일본에 집중되고 있음thorn 대만기업의 對韓 투자는 지난 5년간 연평균 25천만 달러에 불과

Ÿ 또한 중국 투자환경 악화로 동남아 등지의 신흥시장으로의 제조기반 이동에 대한 투자가 늘고 있으며 유턴투자도 증가

Ÿ 한편 주요 산업분야에서 대만은 한국과 경쟁적 보완관계이며 일본과는 보완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음thorn 특히 한 대만간 반도체 디스플레이 기업간 경쟁이 심해지면서 대만 IT업계를 중심으로 lsquo聯日抗韓(일본

과 연합하여 한국을 견제하자)는 주장이 제기되는 등 대만기업의 일본 편중현상은 심화되고 있음Ÿ 지금까지 대만의 대표적인 對韓 투자사례로는 2007년 IC디자인 기업인 SIMO의 FCI 인수(8800만 달러)

2010년 대만의 최대 철강회사 CSC의 동부메탈 지분인수(4200만 달러) 2010년 IC 테스팅 업체 Ardentec 웨이퍼 테스팅 공장 설립(4000만 달러) 2012년 6월 반도체 패키징 업체인 ASE의 라인증설(8000만 달러) 등이 있음

Ÿ 최근에는 금융권을 중심으로 한국기업에 대한 MampA SI 투자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어 주목받고 있음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6 -

thorn 2013년에는 대만의 1위 증권사 위안타가 한국의 동양증권 인수를 발표 양국의 금융감독기관 허가를 받아 2014년 연내 합병 추진 중(25억 달러)

thorn 또한 다국적 제약회사 Alvogen은 대만 LOTUS를 인수 동아시아 HQ로 삼고 한국 제약회사(드림파머) 인수를 추진 중

우리나라의 對 대만 투자현황

lt한국의 對대만 투자동향gt (단위 건 백만 달러)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1~3월 누계(lsquo68~lsquo14)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43 13 44 47 38 9 34 68 15 5 646 617

자료원 한국수출입은행 신고 기준

Ÿ 제조업 분야에서의 對대만 투자는 시장개척 및 고객사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임

Ÿ 우리기업의 대표적 투자 사례로는 2005년 LCD 장비 업체 PKL사의 LCD용 포토마스크 공장설립(4000만 달러) 2007년 게임업체 넥슨의 감마니아 지분인수(2100만 달러) 등이 있음

Ÿ 2011년 4월 미래에셋(Mirae Asset Global Investments)은 타이완라이프자산운용에 약 1000만 달러를 투자 자산운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Ÿ 2014년에는 PCB 기판 업체 달마전자가 가오슝에 공장을 설립 9월 준공식을 앞두고 있음

3 탐방 목적 (주요 목표부가 목표기대 효과)3-1 탐방 목적

주요 목표 1 대덕밸리 스타트업기업 (주)셀아이콘랩의 대만진출 가능성 탐색 2 대만 소비자들의 기능성 화장품 인식 조사 3 대만화장품시장의 유통경로 조사

기대 효과기업측면 기대 효과

⓵ 현지 시장조사 자료 획득⓶ 자사 시제품 반응결과 파악⓷ 사업단과의 지속적인 연계

사업단측면 기대 효과⓵ CK 사업 목표 또는 취지에 부합(CK ndash University for Creative Korea)⓶ 새롭게 출발하는 lsquo글로벌IT경영학과rsquo의 홍보전략으로 활용 가능

학생측면 기대 효과

⓵ EST팀 특강 ndash 학과 내 MIS Day 혹은 관련 과목 강의에서 특강⓶ 해외 탐구 동아리 개설⓷ CK 멘토와 후원 활동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7 -

4 사전조사 활동 (셀아이콘랩)

4-1 기능성 화장품 연구amp제조 기업 lsquo셀아이콘랩rsquo 기업 인터뷰

회사 소개

회사명 셀아이콘랩주소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대로 1646 한남대학교 사이언스파크 312호 대표자명 성민규 대표 사업분야 코스메슈티컬 펩타이드 소재개발 피부 전문가용 코스메슈티컬 화장품 OEMODM 주문 생산 방식

인터뷰 내용 1) 셀아이콘랩 2014년도에 많은 해외 박람회에 참여하고 있는데 해외시장 진출 의사가 있으신가요= 저희 회사의 사업화 로드맵을 보시면 2014년에 해외영업 마케팅 판매가 계획되어 있고 올해 들어 중국 러시아 카자흐스탄 말레이시아 등 여러 나라를 방문하여 박람회에 참가하고 실질적으로 상품을 판매하고 반응을 살피고 있습니다

2) 그렇다면 대만 화장품 시장 진출에 대해 고려해본 적은 있으신가요 만약 진출을 고려해보았다면 대만의 화장품시장에서 원하는 자료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대만시장을 접할 기회가 부족했을 뿐 내년에 대만 시장진출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셀아이콘랩은 현재 거래중인 중국 카자흐스탄 등지의 국가들에서 더 나아가 대만이나 홍콩과 같은 중화권 시장의 가능성을 느끼고 해당나라에 진출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요구사항 대만의 수출수입 인허가 절차 관세 세금 시장가격 형성 요인 화장품 유통 채널 구매경로 트렌드 또한 대만 시장에 뷰티샾(우리나라의 올리브 영)같은 종합 매장이 형성과정 실질적인 구매력을 알아보기 위한 대학 졸업생의 평균 초봉 등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8 -

5 화장품 산업 및 환경 분석 (연구자료 첨부)

구분 2011 2012 2013(1월 ~ 11월)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및 성장률 19427798 42 19421349 00 191454345 08

5-1 화장품 시장 동향

시장규모 및 전망thorn 대만의 약품 및 화장품 시장규모는 2013년 기준 1914억 달러로 2012년 대비 008 증가

최근 3년간 대만 약품 및 화장품 시장규모 및 성장률 (단위 천 달러)

자료원 대만경제부 통계처

시장전망thorn 수요 감소 예상 요인 대만 화장품시장은 다양한 국산 수입제품들이 오랜 시간 경쟁하는 포화된 시장thorn 종합의견 다수 유명 외국 브랜드(예 SHISEIDO KOSE 등)는 대만에 공장을 설립해 국산 브랜드와

경쟁하고 있으며 대만 정부의 각종 규제가 엄격하고 많아 허가 관련 등록서류 및 비용으로 인한 진입 장벽이 큼

소비자 구매 패턴thorn 주요 소비자 계층 14~55세 등 다양thorn 소비자 구매 동기 귀엽고 여성스러운 디자인 미백 보습 등과 같은 눈으로 확인 가능한 기능성 민감

성 피부에 바로 사용 가능한 화장품을 선호하는 추세

제품 트렌드thorn 대만 시장에서 국산 브랜드보다 수입 브랜드의 인기가 더 높으며 그중 일본 브랜드가 장시간 많은 인

기를 유지하여 왔음thorn 최근 한국 드라마에서 스타들이 연출하는 화장법 또는 유명 스타가 광고하는 한국 화장품이 큰 인기

를 얻고 있으며 한류 열풍으로 대만에서 수입 화장품 판매량이 늘어나면서 국산 화장품의 신제품 개발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

thorn 피부과 및 의학미용센터에서 다양한 시술(보톡스 반점 제거 여드름 크리닉 모공축소 레이저 비지 제거 등)을 받아 꾸준히 피부관리를 받고 다니는 여성들이 많아지는 추세에 따라 기능성을 강조하는 의학미용(aesthetic medicine) 화장품 혹은 시술 받고 나서도 바로 사용 가능한 기초화장품(무자극 보습효과 강조)이 유행하기 시작함

해당 산업 관련 정부 정책thorn GMP 정책 글로벌 추세에 따라 대만 화장품의 품질middot제조 수준 및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대만 경

제부공업국과 대만 위생서는 2008년 9월 4일부터 lsquo자발성 화장품 우량제조규범 검증제도(自願性化妝品優良製造規範驗證制度)rsquo를 실시한다고 발표함 약품 의료기기 식품을 이어 화장품이 네 번째로 GMP검증을 받는 산업이 되었음 ISO 22716 규범으로 주요 참고 근거로 보고 있음 동시에 화장품 GMP 추진 플랫폼을 설립하고 기업 문의에 대한 상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9 -

구분 2011 2012 2013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및 성장률 614293 1192 600356 -227 557784 -085

순위 국가 금액 점유율 증감율2011 2012 2013 2011 2012 2013 1312

총계 614293 600356 557784 100 100 100 -0851 일본 248980 237052 199987 40531 39485 35854 -113212 프랑스 116031 111983 110509 18888 18653 19812 45333 미국 89984 96689 89924 14648 16105 16122 -03914 한국 29779 29329 36746 4848 4885 6588 386345 중국 23444 30114 30138 3816 5016 5403 99486 영국 15895 14619 14482 259 2435 2596 29227 독일 16799 14327 14159 274 2386 2538 96758 스위스 13631 12401 11151 222 2066 1999 -5329 태국 9929 9214 8943 162 1535 1603 533310 이탈리아 12312 8853 8632 2 1475 1548 7727

5-2 수입동향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동향 (단위 천 달러 )

주 대만 국제무역국

최근 3년간 상위 10개국의 수입통계

주요 수입국 현황(HS Code 330499 기준) (단위 천 달러 )

자료원 대만 경제부 국제무역국 중화민국수출입무역통계(httpcus93tradegovtwFSCI)

수입관세 및 관련 제도thorn 관세 0thorn 통관 시 유의사항 대만에서 화장품은 의료용 또는 약품을 함유하지 않은 lsquo일반화장품rsquo과 lsquo함약화장

품rsquo 등 세 종류로 나눠져 있음 함약화장품의 경우 통관 시 대만 위생서에서 발행한 위생허가증을 제시해야 함

thorn 필수 인증 현황 함약화장품(예 염색제 파마제 자외선차단제 땀 억제제 치아미백제 등)은 대만 위생서 허가를 받아야 수입 및 제조판매를 할 수 있음 허가 신청 시 제품명 성분 제조업체명 제조업체주소 해외 수입업체명 수입업체주소 제품 전성분 용량 용도 사용법 유효기간 샘플 Certificate of Analysis Certificate of Sales SPF ampUVA 검사보고서 등이 필요함(세부사항은 대만 위생서 홈페이지 참조바람)

5-3 유통구조

유통채널 종류thorn 오프라인 백화점 H ampB(Watsons Cosmed SaSa 등) 방문판매 약국 각종 마트 편의점 피부과

피부관리센터 전문판매점(로드숍)thorn 온라인(여기는 virtual channel을 뜻함) 홈쇼핑 온라인 쇼핑몰(경매 브랜드 홈페이지 등 포함) 우편

주문(郵購) 등이 있음

유통채널 점유율 오프라인 유통채널의 점유율은 여전히 70~90 정도로 높게 차지하고 있으나 온라인 유통채널의 점유율도 빠른 속도로 상승하고 있음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0 -

브랜드명 제품명 가격 판매순위

SHISEIDO 100 1

SKII 133 2

ESTEE LAUDER 100 3

항목 내용전시회명(현지어명) 2014春夏國際美容化妝品展전시회명(한국어) 2014 춘하 국제미용화장품 전시회

전시품목 미용 화장품개최국가도시 타이베이

유통채널 활용 방안 아직까지 온라인 채널의 점유율이 높지 않으나 대만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블로그 등)에 영향을 많이 받는 편이어서 오프라인 채널에 진입하기 전에 온라인으로 먼저 마케팅(브랜드 이미지메이킹 블로거 마케팅 등)을 진행하는 방법을 추천함 대만 오프라인 채널의 진입장벽은 매우 높으며 비교적으로 이윤이 많이 남는 온라인시장에서 브랜드 파워를 먼저 키우면 오프라인 채널에 들어가는 길이 훨씬 수월해질 것으로 예상함

5-4 경쟁동향

경쟁제품 현황주요 경쟁제품 현황

(단위 달러)

한국 제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 및 선호 브랜드 현황thorn 한국 제품 현지 인지도 높음thorn 선호 브랜드 3CE INNISFREE NUTURE PUBLIC MISSHA THE FACE SHOP LANEIGE 등

5-5 효과적인 시장 진출 전략

타깃 고객층thorn 타깃 고객층 20~30대 초반thorn 타깃 사유 유행에 따라 새로운 것을 많이 도전하고 한류의 영향도 가장 많이 받는 젊은 층이 한국

화장품을 소비하는 경우가 많음 35세 이후의 직장 여성 혹은 가정주부들은 여전히 일본 혹은 유럽 미국의 고가 화장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활용 가능한 마케팅 방안 ⓵ 현지 전시회 정보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1 -

개최주기 3월경개최기간(2014년) 0321~0325

웹사이트 httpwwwudnicecom

⓶ 전시회 이외의 주요 마케팅 방안 블로거 마케팅 등 ⓷ 유력 홍보 방안(전문잡지 온라인 매체 등)

thorn 온라인 매체 Fashion guide(httpwwwfashio guidecomtw) UrCosme(httpwwwurcosmecom)

thorn 전문잡지 VIVI BEAUTY 大美人 Style W Marie laire Fashion Guide 등

시장 확대를 위한 무역관 의견 대만 화장품시장은 가격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 시장 진입 시 확실한 브랜드 포지션을 정해야 하며 해당 포지션의 대만 제품 가격을 조사한 후에 대만 최종 소비가격을 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

또한 소비자들은 할인세트 및 사은품에 약하여 각종 행사 진행 시 사은품 증정 혹은 묶음세트로 판매하는 것을 추천 보습(특히 히알루론산 성분 강조) 및 미백(대만 정부에서 인증된 미백성분이어야 함) 제품을 매우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6 탐방 상세 일정 (일정표 - 기간 지역)

날짜 지역105(월) 인천 ~ 대만 타이페이

시간 일정0600 인천공항 도착

0600 ~ 0920 인천공항 대기0920 ~ 1140 인천공항 rarr 대만 1140 ~ 1230 대만 입국 수속1230 ~ 1320 숙소 이동 (용산사 역)1320 ~ 1500 짐정리1500 ~ 1600 회의 및 일정정리1600 ~ 163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630 ~ 1800 KOTRA방문 및 인터뷰1800 ~ 1830 101타워 딘 타이 펑 이동(도보)1830 ~ 1910 저녁식사 - 딘 타이 펑1930 ~ 2100 101 타워 야경감상2100 ~ 2130 숙소로 이동2130 ~ 223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6(화) 타이페이

시간 일정0900 기상

0900 ~ 110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30 ~ 1230 점심식사 - 마라훠거1230 ~ 1300 SISDORA 본사로 이동

6-1 8박 9일 대만 일정 (150105 ~ 150113)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2 -

1300 ~ 1530 SISDORA 방문 및 인터뷰1600 ~ 1800 101타워 퍼스널 트레이닝 센터 방문1800 ~ 1930 저녁식사 - 카렌 레스토랑1930 ~ 2000 숙소로 이동2000 ~ 2100 개인 휴식2100 ~ 223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7(수) 타이페이

시간 일정0900 기상

0900 ~ 113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30 ~ 120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200 ~ 1250 점심식사 - 키키 레스토랑1250 ~ 1300 시먼딩 이동1300 ~ 1530 화장품 설문조사1530 ~ 1830 한국 화장품 매장 제품 조사1830 ~ 1900 야시장 이동(MRT)1900 ~ 2000 저녁식사 ndash 야시장 음식2000 ~ 2030 숙소로 이동2030 ~ 2130 개인 휴식2130 ~ 230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30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8(목) 타이페이 ~ 타이난

시간 일정0830 기상

0830 ~ 110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00 ~ 1200 체크아웃 및 고속철도역 이동1200 ~ 1340 타이페이 rarr 타이난 이동1340 ~ 1400 짐 보관 및 인터뷰 장소 물색1400 ~ 1600 가오슝 한인협회장 인터뷰1600 ~ 1700 숙소도착 및 짐정리1700 ~ 1800 개인 휴식1800 ~ 1900 저녁식사 - 새우롤2000 ~ 2230 중간 정리 및 보고서 작성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9(금) 타이난

시간 일정0800 기상

0830 ~ 0900 아침 식사0900 ~ 1130 타이난 일정 브리핑 및 팀 미팅1130 ~ 1210 타이난 시내로 이동(TAXI)1210 ~ 1320 점심식사 - 스시1320 ~ 1350 성공대학 이동(도보)1350 ~ 1700 성공대학 방문1700 ~ 1800 성공대학 캠퍼스 탐방 및 대학원생들과 대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3 -

1800 ~ 1830 저녁식사 - 대만 전통 음식점1830 ~ 1900 타이난 RT마트 이동(도보)1900 ~ 2030 RT 마트 장보기2030 ~ 2100 숙소로 이동2100 ~ 2200 개인 휴식2200 ~ 2330 팀 회의 및 예산 정리

23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12(월) 타이페이

시간 일정0800 기상

0800 ~ 0900 아침식사(호텔 조식 제공-선택)0900 ~ 1130 호텔 개인시간1130 ~ 123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230 ~ 130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300 ~ 1600 Wabfenix 방문 및 인터뷰1600 ~ 1630 간식 - 망고차차1630 ~ 1700 시먼딩 이동(MRT)1700 ~ 1830 화장품 설문조사 활동1830 ~ 1930 저녁 식사 - 코코이찌방야2030 ~ 2130 개인 휴식2130 ~ 2300 팀 회의 및 예산 정리

230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13(화) 대만 ~ 인천공항

시간 일정0800 기상

0800 ~ 0900 아침 식사0900 ~ 1130 짐정리1130 ~ 1200 체크아웃1300 ~ 1400 점심식사 - 스시(시먼딩)1400 ~ 1430 쑹산 공항 이동(TAXI)1430 ~ 1530 시먼딩 rarr 쑹산공항1530 ~ 1730 출국 대기1730 ~ 2100 대만 출국 rarr 대한민국

2100 대한민국 입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4 -

7 방문 기업 소개 (인터뷰 내용)

7-1 대만 KOTRA

-2015년 1월 5일 월요일 1630~1800 인터뷰-위치 台北市 基隆路 1段 333號 22樓 14室(2214室) Intl Trade Building 22층-전화 (886-2)2725-2324 -팩스(886-2) 2757-7240

Q대만에 대하여 간단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우선 대만은 남한의 13의 해당하는 영토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구역시 남한에 비해 적은 2천 3백만 명 정도이며 기후는 아열대 몬순 기후권으로 비교적 따듯한 날씨입니다여러분이 대만에 와보셔서 알겠지만 대체로 습한느낌을 받으셨을 탠대 대만은 겨울에도 남한만큼은 춥지 않습니다 언어는 주로 중국어를 사용하며 문자는 중국과 살짝 다른 번자체를 사용합니다1인당 GDP는 2013년 기준 20984 달러 정도이며 산업구조는 제조업과 도소매업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Q현재 우리나라의 어떤 기업들이 대만에 진출해 있는지 궁금합니다

A최근에는 화장품을 주력 제품으로 아모레퍼시픽등 화장품 대기업들이 타이페이 시내에 로드샵을 많이 개점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대만은 제조업과 도소매업이 주를 이루다 보니 20~30년 전부터 진출한 기업들이 계속해서 입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주로 삼성물산 현대종합상사 LG상사 LG전자등 대기업이 주를 이루고 있고 우리나라 기업은 1년에 한 기업정도 대만에 진출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Q그렇다면 대기업을 제외한 중소기업들이 대만시장에 진출하지 않는 이유가 따로 있습니까

A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아무래도 중국시장이 개방을 하면서 인 것 같습니다 기존에 진출해있는 기업들은 과거 대만이 인프라 구축이 미흡했을 당시 해외투자를 많이 받으면서 비교적 좋은 조건으로 대만에 진출하고 인프라 구축등 사업을 진행하면서 기반을 다졌을 겁니다 그 기반으로 지금까지 대만시장에 진출해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중소기업의 경우는 해외투자가 너무 모험적이며 대만 시장과 중국의 시장을 비교하여 봤을 때 인구가 차이가 약 8배 정도 나며 중국에 비해 비교적 작은 시장이라고 느껴 대만보다는 중국에 많이 진출하는 것 같습니다

Q마지막 질문으로 만약 우리나라 중소기업이 대만시장에 진출할 때 유의해야 할 점이나 좋은 팁이 있을까요

A대만 시장에 완전히 진출해야겠다는 생각보다는 중국이나 다른 중화권 나라의 진출하기전 시험의 장소로 생각하고 진출해보는 것은 나쁘지 않다 생각 합니다 아무래도 대만의 인구가 많은 편이 아니다보니 불리한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5 -

조건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이나 다른 큰 중화권 시장으로 진출하기 전에 언어나 문화 중화권사람들의 사고방식등 여러방면에서 시험해 볼 수 있는 좋은 장소는 틀림없습니다 중소기업이 대만시장에 진출할 때는 코트라를 이용하여 각종 정보나 현지 인프라등을 이용하는 것 또한 하나의 방법이며 무엇보다 중화권의 문화와 중화권 대중들의 생각을 잘 공부하고 언어를 습득하여 오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7-2 SISDORA luxury beauty care

-1월 6일 화요일 1300~1530 인터뷰 1600~1800 101타워 퍼스널트레이닝 센터-주소 No9Aly 10Ln265Sec 4Xinyi RdDaan Dist Taipei City 106-대표 Mr Chung-Cheng Lee -전화886-2-27040889-URL httpwwwsisdoracom

Q 간략한 회사 소개와 SISDORA의 유래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A Isadora는 고대 이집트의 가장 강력한 여신의 이름입니다 Sisdora는 이 여신의 이름을 따서 만든 브랜드 이름입니다 이집트의 고대 여신인 Isadora의 이시스는 선물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고 생명과 건강 아름다움을 담당하는 여신으로도 유명합니다 저희 SISDORA는 비슷한 동음 이의어로 동양의lsquoISIS(이시스)rsquo라는 단어가 있어 브랜드 명을 SISDORA로 정하게 되었습니다Q Sisdora 제품 소개 부탁드립니다

A저희 제품은 안티에이징 미백 마스크 제품을 주력으로 하고 있습니다 동일 제품군을 비교해 봤을 때 가격 및 품질은 상위에 속하는 최상품의 제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마스크 팩 대부분은 종이섬유로 제조하는 반면 저희 Sisdora는 누에의 실(실크)로 만든 마스크 팩 입니다 실크마스크 팩을 제조할 때에는 피부 건강에 좋은 약재 및 약초등을 배합하여 제조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피부에 자극적인 향로를 첨가하지 않았고 수분이 빠르게 흡수 될 수 있습니다 덕분에 저희 마스크 팩을 사용하는 고객들은 부드럽고 산뜻한 느낌을 받으실 수 있을 겁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6 -

Q 귀하의 회사는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어떤 마케팅을 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A 저희는 해마다 대만 타이페이 글로벌 미스코리아 대회에 제품을 협찬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대만 유명 가수들과 함께 제품을 결합시킨 뮤직비디오를 제작하여 마케팅에 힘쓰고 있습니다뿐만 아니라 제품의 품질인증을 바탕으로 러시아 중국 동남아 지역에 진출하는대 힘쓰고 있습니다 저희 제품은 대만 내에서 스킨케어 제품으로써 유일하게 지정 브랜드 수상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저희는 주로 매스컴이나 인터넷을 통한 마케팅이나 엔터테이먼트 컨벤션 산업을 활용하여 마케팅을 하고 있습니다

Q 그렇다면 대한민국의 화장품 제품이 대만에 진출해 있는데 대한민국 화장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는 어떤지 궁금합니다

A 최근 5년 사이에 한국의 드라마 음악등 한류를 타고 대만에도 많은 한국 제품이 등장하였습니다 하지만 대만에는 오래전부터 수입화장품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이탈리아의 산타 마리아 노벨라 프랑스의 아이젠버그등 명품 화장품 브랜드가 오래전부터 입점해 현지 화장품시장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 때문인지 한국 화장품의 인지도는 크게 높지는 않습니다 아무래도 유럽 브랜드 그 다음으로 대만 기업의 브랜드 그 다음으로 한국의 화장품 브랜드 순으로 인지도가 형성되어 있다고 생각됩니다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한국화장품은 다른 명품 화장품들의 가격보다 저렴하고 성능이나 효과 면에서 절대 뒤처지지 않아 한류가 지속되고 마케팅이 잘 이루어진다면 충분히 유럽의 명품화장품의 인지도를 뛰어 넘을 수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Q 한국의 중소기업의 화장품이 대만 시장에 진출하는 것에 대해서는 어떤 의견을 갖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A 한국의 대기업 화장품 브랜드가 아닌 중소기업의 화장품 브랜드가 대만에 진출하는 것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겁니다 하지만 저희 회사도 중소기업으로 시작하여 마케팅 전략을 잘 활용 하여 많이 성장하였습니다 아무래도 한국의 중소기업의 화장품이 대만에 진출하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있겠지만 어떤 마케팅 전략을 선택하느냐가 가장 중요하고 마케팅이 잘 이루어지고 입소문이 퍼진다면 한국의 중소기업 화장품 또한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7 -

7-3 가오슝 한인협회

-1월 8일 목요일 1400~1600 인터뷰-주소 高雄市鼓山區二路37巷弄43-2號(고웅시고산구이로37항81롱43-2호)-대표 尹桓鎬(윤환호) HP 0932-740-538 -電話 07-5211933 -傅眞 07-5214031

Q 대만과 한국과의 무역 관계가 어떠한지 궁금합니다

A 한국과 대만과의 무역은 크게 활발하게 이루어 질 수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대만의 시장 자체가 매우 작기 때문에 대만에 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국내 시장이나 다른 큰 해외 시장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대만 시장을 거쳐서 동남아나 중국 시장으로 진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여서 기존에 존재하는 대기업이나 저처럼 오래 전부터 이민한 분들이 소규모로 중개무역을 하고 있는 정도입니다

Q 현재 한인협회 회장님께서 직접적으로 하는 일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현재 저는 한국의 화장품을 수입하여 대만 현지 기업에게 판매하는 중개무역을 하고 있습니다 대만에 온지 20년이 넘었는데 이런 저런 일을 하다가 기회가 되어 이쪽 일을 하게 되었는데요 처음에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인식이 없어 가격은 비싸고 품질의 보증은 되어 있지 않은 제품이라 소비가 크게 늘지 않았는데 한류 열풍이 불고 한국 드라마의 성공과 그 배우들이 광고하는 화장품의 수요가 크게 늘어 몇 년 전부터 시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Q 한국과 대만과 중국의 관계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해 주세요

A 앞서 말씀 드린 것 같이 한국의 기업은 대만을 통하여 중국 시장의 진출을 위하여 대만 시장을 많이 찾습니다 그 이유는 한국 기업이 대만 시장을 통해서 제품을 인정받는다면 대만과 중국은 같은 언어권의 나라로 대만기업을 통해 중국으로의 활로를 개척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왜 이렇게 돌아서 진출을 하려고 물으셨는데 그것은 쉽게 말해서 말이 잘 통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의 중국어를 잘 구사하는 사람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보다는 대만의 사람이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주고 인정을 해준다면 더욱 쉽게 자리를 잡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8 -

Q 스타트 기업의 대만 진출 성공여부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중소기업이 대만에 들어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현재 한국 내에서의 위치를 높이는데 주력하는 것이 좀 더 낫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대만은 아주 뛰어난 기술력을 가지고 있지만 자체 제품을 생산하지 않습니다 예로 Apple에서 전체 아이디어를 미국에서 한다면 그 아이디어 실행은 대만에서 이루어집니다 그리고 제품의 생산은 대부분 중국에서 이루어 지구요 이렇듯 대만의 기술력과 제품에 대한 이해가 빠르기 때문에 수입을 많이 의존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중소기업이 들어와서 제품을 판매한다 쉽게 성공할 수 없죠

Q 회장님께서는 중국과의 중개무역은 생각하고 있으시지 않습니까

A 네 저는 지금의 생활에 만족하고 있습니다 지금 저의 파트너들과의 관계도 좋고 따로 중국 진출은 생각하고 있지 않습니다 만약에 제가 중국을 진출하게 된다면 현재의 기업들과도 경쟁상대가 되어 저는 생각이 없습니다

7-4 국립성공대학(國立成功大學)

-1월 9일 1350~1700 인터뷰-주소 701 臺南市東區大學路1號-연락처06-2757575 -홈페이지 wwwnckuedutw

대만 국립 성공대학은 931년 타이난에 설립된 이공계 명문 대학입니다 국립성공대학은 66개의 캠퍼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각 캠퍼스마다 특징과 분위기가 다릅니다 우리 국립성공대학은 ldquo북대대 남성공(北臺大 南成功)rdquo 이라는 말이 있듯이 역사는 대만대학의 바로 다음갑니다

국립성공대학의 이름의 의미는 성공은 무엇을 성취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대만의 민족영웅인 정성공(鄣成功)을 기념하기 위한 대학이라는 뜻입니다 성공대학은 정성공이 있던 역사명승 적감루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해 있기도 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9 -

이후 인터뷰로 대만의 소개와 간단한 전공 소개가 있었다

7-5 WABFENIX RENIX GLORY GLORIA GUA

-1월 12일 월요일 1300~1500 인터뷰-주소 14F-1 No420 Sec 4 Xinyi Rd Xinyi Dist Taipei City 110 Taiwan (ROC)-대표 Mr KEN -전화886-5569-0555-URL httpswwwfacebookcomrenixfanspage httpwwwwabfenixcom

Q Wabfenix가 어떤 기업인지 소개 해주세요

A 저희 회사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으로 현재는 매장은 없지만 개발한 제품을 바탕으로 사업을 진행 중이고 대만현지에 저희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저희 회사는 제품의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화장품을 개발하여 대만시장 뿐만 아니라 중국시장의 진출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Q 귀하의 제품은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제품이라 하셨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제품 등이 있습니까

A 우선 Heymore 제품군의 블랙 마스크 팩과 Renix 제품군의 일반 마스크 팩을 출시했습니다Heymore의 경우 선물용임을 부각시키기 위해 디자인에 특히 많은 투자를 하였습니다 중국 중산층을 겨냥한 제품으로 가격대 1봉지에 한화 ₩40000 정도로 높게 책정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가격을 높게 측정한 이유에는 중국 화장품 소비문화 속에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 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에 저가 보급형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0 -

제품인 Renix와 차별을 두는 판매 전략을 선택하였습니다 현재 판매되는 제품은 마스크 팩을 주력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Q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인데 중국을 대상으로 어떤 진출 전략을 갖고 있습니까

A중국에서 열리는 화장품 전시회 화장품 엑스포 행사 바이어 미팅 등 꾸준히 참가중이며 바이어들에게 저희 제품을 어필하고 있습니다 물론 신생기업인 만큼 아직 중국 내에서 뚜렷한 판매 실적을 기록하진 못했지만 타 화장품 기업들과 다른 마케팅 방식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디자인이나 제품의 아이디어를 강조하고 있는데 대표 적인 상품으로 오뚝이 모양을 한 화장품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이 오뚝이 제품을 바이어들에게 어필해 보았는데 대단히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Q 해외시장 마케팅과 대만 시장마케팅의 차이점이 있습니까

A 우선 중국에서의 마케팅은 행사나 전시회에 참여하고 바이어들을 개인적으로 만나는 것에 치중해 있다면 국내 대만시장의 마케팅 전략은 페이스북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대만은 중국에 비해 SNS가 많이 발달되어 있어 자금이 많이 들어가지 않는 SNS마케팅을 하고 있고 각종 자선행사에 참여하여 저희 기업을 홍보하고 있습니다

Q 귀사의 제품을 중국보다 비싼 인건비가드는 대만 제조공장에서 생산하는 겁니까

A타이중에 소재하는 공장에서 마스크를 제조 하고 있습니다 인건비가 비싼 것은 대만 수도인 타이페이에만 주로 해당이 됩니다 지방 소도시에서도 외곽으로 들어가면 저렴한 인건비와 공장 가동비용으로도 제조가 가능 합니다 굳이 중국에 제조공장을 갖지 않는 이유는 신생기업이라 자금문제도 있지만 대만은 OEMampODM에 특화된 국가이기 때문에 품질 좋은 다양한 제품주문이 가능하고 중국 사람들에게도 자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 보다 외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가 더 좋기 때문에 대만에서 생산한 뒤 수출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Q 대만에 한국 화장품 기업이 진출한다면 어떠한 마케팅 전략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 생각 하십니까

A 이미 대만에 한국의 화장품 제품들이 많이 들어와 있습니다 하지만 대만 자체의 화장품 기업들이 기존에 많은 시장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성공을 거두기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최근 한국에 대한 이미지가 많이 좋아졌고 한국의 영화나 드라마 등이 많이 알려지면서 인지도가 높아졌습니다 한국의 대기업의 경우 이러한 대규모 마케팅을 할 수 있으므로 큰 무리가 없겠지만 한국의 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한다면 최종 시장 공략 층은 대만이 아닌 중국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대만은 중화권으로 가기 위한 연결다리라고 생각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또한 중소기업은 큰 마케팅 비용을 부담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대만에서는 SNS나 각종 자선 행사에 참여하여 인지도를 높이는 것을 추천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1 -

Q 같은 제품이지만 대만과 중국에서 판매할 때 가격 책정이 다른 이유가 무엇인가요

A 그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해드리자면 국가마다 소비 성향이나 구매 능력 환율 경제 상황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경영 에서는 가격 차별화(Price discrimination)이라 부르는데요 각 나라의 시장 특성에 적정한 가격대를 책정해서 제품을 판매하는 전략입니다 혹시 중국 상류층이 몇 명인지 알고 있나요 제가 알기로는 대만 인구의 2배인 4000만 명이라는군요 아마도 한국 인구랑 비슷한 규모 일겁니다 게다가 중산층은 약 4억 명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4억 명의 중국 소비자들이 우리 제품을 1개씩만 구입 한다면hellip 상상만 해도 엄청 나겠죠 이야기를 하다 보니 다른 쪽으로 빠졌는데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이야기하면 물론 좋은 제품을 모든 곳에 저렴하게 제공 하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 그러나 항상 시장에서 저렴한 제품만이 성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대만이나 한국처럼 고도의 산업화가 이루어지고 시장이 크게 발전한 안정적인 단계는 좋은 제품이라도 가격 경쟁력에 신경 써야 합니다 왜냐하면 소비자들이 똑똑하기 때문에 정보력이 넓고 합리적인 소비를 지향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가격 성능 디자인 등 많은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중국 시장은 대만이나 한국과는 특성이 다릅니다 저렴하다고 해서 많이 제품이 많이 팔리기 보다는 가격대가 어느 정도 있는 제품일수록 또는 가격대가 높을수록 소비자들이 관심을 보입니다 대체적으로 중국 소비자들은 lsquo저렴한 제품은 품질이 낮거나 효능이 좋지 않은 제품일거야rsquo 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 때문에 화장품 박람회나 전시회에 저가 화장품을 가져와 홍보하더라도 중국 바이어나 소비자들은 큰 관심을 주지 않습니다 처음에 말했듯이 중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2 -

국 소비문화가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라는 심리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Wabfenix의 경우에는 신생기업이라 많은 투자 금액이 없을 뿐 더러 대만 화장품 시장에 진출하기에는 리스크가

크고 진입 장벽이 높습니다 그리고 이미 한국 화장품 기업들이 대부분 점유를 한 상황이기 때문에 대만 내수시장에만 집중하기에는 경쟁력이 부족하죠 그래서 중국을 주력 수출시장으로 삼고 있는데요 저희는 제품 성능 보다는 소비자의 이목을 끌 수 있는 디자인에 더 많은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중국에 Wabfenix만의 화장품 선물 문화를 정착 시키는 것이 목적인데요 높은 제품 가격만큼 소비자의 관심을 끌 수 있고 선물 문화나 꽌시(关系)가 많은 중국 문화 특성에 맞추어 선물용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중국 시장은 현재 젊은 중산층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품질이 낮은 화장품 보다는 수입 화장품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점으로 미루어볼 때 높은 가격 차별화와 Wabfenix만의 디자인 마케팅은 좋은 경쟁력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3 -

8 현지 시장조사 활동 (시장동향사진설문조사 자료)

8-1 시먼딩 설문조사

목적 대만 사람들의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및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대상 10대~20대 여성 및 화장품 전문매장 종사자장소 시먼딩시간 2015년 1월 7일 12일 총 두 차례에 걸쳐 진행방법 ①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 판넬에 국가별로 메이크업 사진을 표시하고 스티커를 붙이는 방식으로 투표함 공정성을 위해 국가 이름은 블라인드로 처리하였고 모두 동일 인물의 사진을 사용함②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표본집단을 50명으로 설정함 설문조사가 끝나면 사은품으로 한국 브랜드 마스크팩 증정함

8-2 사전 기획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판넬 기획도gt

化妝辦法喜好度的調查화장법 선호도 조사

大家給自己喜歡的化妝貼貼紙 여러분이 선호하는 메이크업에 스티커를 붙여 주세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4 -

대만의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안녕하십니까

다음의 내용은 대만 화장품 트렌드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자 관련조사를 실시하고자 하오니

있는 그대로의 생각을 기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귀하의 응답은 통계적 목적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본 설문은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물음에 대한 답변이나 해당란에 v 표를 해 주십시오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7) ② 화장품 전문매장(34) ③ 마트(5) ④ 홈쇼핑(2)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합계 총 50 명

바쁘신 시간에 의견을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지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5 -

8-3 설문조사 활동

lt2015년 1월 7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6 -

lt2015년 1월 12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7 -

lt활동 결과 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8 -

9 설문조사 통계 분석 (설문조사 응답 수분석결과)

9-1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결과gt

설문 조사 질문지 양식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12)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③ 마트(5) ④ 홈쇼핑(6)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9 -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gt

9-2 설문조사 항목 별 의견 및 추측

설문 조사 질문지 항목 (최다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② 20 ~ 25세 (13)

0

5

10

15

20

25

30

20대 이하 20세~24세 25세~29세 30세~39세 40대 이상

rarr 시먼딩은 대만의 홍대거리라 불리는 lsquo융캉제rsquo나 서울의 lsquo명동rsquo과 같이 젊은 층이 주로 활동하는 지역이다 설문조사 중에도 교복이나 체육복을 입은 학생들과 길거리에서 쇼핑을 즐기는 20대가 즐비할 만큼 활기 있는 거리다 덥고 습한 대만 기후 특성 상 과거엔 화장법이 크게 발전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국의 자연스러운 화장법이 큰 인기를 끌면서 시먼딩에 화장품 거리가 조성되어 있을 만큼 유동 인구가 많다 이 점으로 추측해보았을 때 압도적으로 10대와 20대 층이 많은 응답 수를 기록했다고 본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0 -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051015202530

온라인 화장품전문매장 마트 홈쇼핑 방문판매

rarr 대만 또한 한국과 비슷하게 시내에 많은 수의 화장품 전문매장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접근성이 굉장히 높았다 더불어 각 화장품 매장에서는 상품 할인과 같은 각종 프로모션을 진행하기 때문에 구매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 구매한다는 대답도 높은 편이었는데 거의 대부분이 와이파이존이어서 어디서나 인터넷을 한 활발히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온라인에서의 구매율도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0

5

10

15

20

25

30

NT$300 미만 NT$300~NT899 NT$900~NT$1499 NT$1500~NT2999 NT$3000

rarr 응답자들은 대부분이 한 달 간 화장품에 쓰는 돈을 최저 1만원 이상(NT$300 이상)이라고 답했는데 이는 70가 넘어가는 결과로 화장품에 대한 지출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만원 이상이라고 대답한 응답자들 또한 4분의 1을 넘기는데 이것은 젊은 연령층부터 시작하여 최근 피부 관리와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대만의 소비 수준에 대비하여 화장품 소비율이 높은 것도 이 때문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1 -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③ 성능(23)

051015202530

가격 디자인 성능 화장품 모델 브랜드

rarr 아열대 기후에 속하는 대만은 높은 기온과 습한 날씨 탓에 에어컨 환경에 자주 노출돼 피부 수분을 잃기 쉬워 기능성 화장품의 소비가 두드러진다 대만 화장품 시장은 토너 세럼 에센스 로션 크림 등의 모든 스킨케어 제품들이 보습기능을 강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백이나 안티에이징 리프팅 저자극 오일프리(Oil-free) 등의 기능까지 추가된 스킨케어 제품들이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조 화장품 소비가 늘어난 것은 최근 몇 년 들어 다양한 화장품 브랜드 접촉기회가 많아지고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젊은 여성의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색조화장품 또한 메이크업베이스와 BB크림 립스틱과 같은 베이스 메이크업이 수요가 많았다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④인터넷(22)

0

5

10

15

20

25

30

TV 잡지 친구 인터넷 메이크업샵

rarr 최근 빠른 인터넷망과 스마트폰 태블릿PC의 보급으로 인해 사람들과 사람사이의 연결망이 견고히 형성되고 있고 이것이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방법을 얻는 경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만 소비자들은 주로 인터넷 블로그 가족과 친구로부터 메이크업 정보를 획득 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만의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이므로 입소문마케팅과 판매를 바로바로 할 수 있는 유통구조가 도움이 될 것 같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2 -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0

5

10

15

20

25

30

청순 독특 귀여움 섹시

rarr 앞서 살펴보았듯이 대만은 한국과 비슷한 메이크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이것은 곧 청순한 메이크업 컨셉에 관심 있어 한다는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실제로 대만 여성소비자들은 깨끗한 피부 NATURAL한 베이스메이크업을 선호한다 한 듯 안 한 듯 자연스럽고 깨끗한 느낌의 한국식 lsquo생얼rsquo 화장법은 대만에서 한국 드라마 열풍과 함께 유명세를 타기 시작해 현지 각종 온라인 뷰티 사이트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래서 응답의 대부분이 한 곳에 치우쳤고 비교적 개성 있는 메이크업 방법이 드물 것이라는 것을 유추해낼 수 있다

본 설문 조사를 통한 한국 화장품 기업에 대한 시사점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수입 절차로 오랜 시간을 허비해야 하는 반면 대만은 자외선 차단제 성분 함유 제품과 약용 화장품을 제외한 일반 화장품은 별도의 수입 검사 없이 수입할 수 있으므로 대개 중국보다 1~2년 먼저 신상품이 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한류 효과를 겨냥한 중화권 화장품 시장으로 대만을 우선 공략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대만은 대부분이 화장품에 대한 소비를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고 한국 화장품이 많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시장 접근법만 제대로 수립하면 매출이 나는 구조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대만인들이 선호하는 메이크업 방법이 한국과 비슷하기 때문에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은 마케팅 방안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최종분석설문 조사 대상은 대부분 10대~20대의 연령층이었으며 화장품의 주된 구입경로는 lsquo온라인(24)rsquo과 lsquo화장품 전문매장(50)rsquo이 압도적이었다 더불어 한 달 간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lsquo1만 원 이상(72)rsquo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이것은 실제 생활수준에 대비하여 높은 소비량이므로 대만의 화장품 시장 전망이 밝다고 할 수 있다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부분은 lsquo성능(46)rsquo이었는데 이는 스타트업 기업 중소기업에게 유리한 조건이다 메이크업 방법을 얻는 방법으로는 lsquo인터넷(44)rsquo과 lsquo친구(30)rsquo가 높은 비율을 차지했는데 판촉활동으로는 인터넷을 활용한 SNS 홍보 바이럴 마케팅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가장 관심있는 화장 컨셉은 lsquo청순rsquo 이었고 이것은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와 맞물려 우리나라와 비슷한 메이크업 방법을 추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3 -

10 대만 명소 소개 (명소음식행사숙소 소개)

10-1 고궁박물관

대만 고궁박물원은 영국의 대영 박물관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 미국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과 함께 세계 4대 박물관으로 손꼽힐 만큼 세계적은 소장 문물을 자랑한다 건물 규모는 그다지 크지 않지만 소장한 문물의 질과 양은 세계 최상급이다 중화 보물 중에서도 최고의 보물들이 모여 있어 진귀하기 그지없고 수량 역시 워낙 방대하여 3개월 단위로 1만여점을 돌아가면서 전시해도 다보려면 10년이 넘게 걸린다고 전해지고 있다 중국의 국공내전 당시 장제스가 이끌던 중국 국민당이 전쟁에서 패하며 중국을 탈출해 대만으로 향했다 당시 장제스는 난징에 있던 정부를 타이페이로 이전하면서 자금성에 보관되어있던 중국역대 왕조 보물 수십만 점을 배를 이용해 운반해 왔다 중국의 유물을 가진 자가 진정한 통치자라고 생각했던 장제스는 ldquo공산군에게 영토는 내줘도 문화유산만큼은 내줄 수 없다ldquo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대표적인 유물은 취옥배추 육형석 모공정 산씨반 등이 있다

10-2 용산사

루강의 초입에 있는 이 사찰은 타이완에서 가장 오래되고 아름답다고 하여 타이완의 자금성이라고 부른다 각 건물의 기둥 벽 그리고 천장 등에 새겨진 조각은 특히 빼어나다 이 조각상과 함께 이곳의 명물로 알려진 것은 사찰 경내에 있는 2마리의 용상인데 삼천전 앞마당 좌우에 서서 룽산사를 호위하고 있다

10-3 타이페이 101 빌딩

타이베이 101빌딩rsquo이라 부르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로서 빌딩 모습은 하늘로 뻗어나가는 대나무 위에 꽃잎이 겹겹이 포개진 형상이다 본래 타이베이 금융기관이 모인 건물이지만 대형 쇼핑센터와 푸드코트 고급 레스토랑이 있어 여행자들이 많이 찾는다 건물에는 8개 마디가 있는데 이는 중화 문화권에서 부와 번영을 의미하는 숫자 lsquo8rsquo을 염두에 둔 것이다 타이베이 시내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는 높이 508m로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히는 높은 건물이다 지상 1~5층에는 소고 백화점 뷰티 플라자 애버뉴 101 등 다양한 패션∙뷰티용품을 구입할 수 있는 상점이 있다 또한 레스토랑 시티 스퀘어 대형 서점 등 쇼핑과 오락 식사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복합시설이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4 -

잘 알려진 식당으로는 딘 타이 펑(Din Tai Fung) 이 있다 101타워 지하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샤오롱바오(고기만두) 새우 샤오마이(새우만두) 탄탄면(우육면)이 가장 대표적인 메뉴이며 대만에 방문한 많은 사람들이 찾는 식당이다

10-4 지우펀

대만여행의 백미로 꼽히는 지우펀은 타이페이시 북부의 루이팡 지역의 작은 산골 마을로 과거에는 아홉가구만 살고 있어서 지우펀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예전에는 작은 산골 마을에 불과 했지만 이 지역에서 금맥이 발견되면서 호황을 맞이하게 된다 특히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일본풍의 건물들이 남아 있어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결합된 독특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비탈길을 따라 하늘로 이어진 예스러운 건물 그리고 골목마다 빨간 홍등과 함께 묻어나는 옛 풍경은 여행객들에게 인기 여행지이다

10-5 스린야시장

타이베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야시장 가운데 하나이다 독특하면서도 다양한 전통 먹을거리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이곳을 찾는 관광객이 많다 시장 부근에 학교가 많아 학생들이 많이 찾으며 포장마차 등의 노점상이 많아 가격도 저렴하다 칭런샹[情人巷]에는 가구 의류 액세서리 사진현상점 애완용품점 등이 모여 있어 학생뿐 아니라 관광객들도 자주 찾는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5 -

10-6 예류 지질 공원

타이완 북해안에 자리한 예류는 해수욕장과 온천 기암괴석으로 유명한 관광지다 특히 예류지질공원은 희귀한 모형의 바위와 암석이 모여 있어 예류 관광의 필수코스로 꼽힌다 작은 곶으로 된 예류지질공원은 침식과 풍화 작용을 거쳐 자연적으로 형성된 기암을 보러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지질공원으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것이 선상암 군락이다 암석 하나하나의 모습은 마치 거대한 버섯이 큰 머리로 하늘을 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선상암 가운데 가장 유명한 암석은 이집트 왕비의 옆모습을 닮은 여왕 두상 바위다

10-7 스펀(Shifen)

스펀(十分)은 옛 광산마을로써 천으로 만든 등이 유명하다 또한 이 곳 스펀은 대만 최대의 폭포 스펀(SE-FEN) 폭포가 있다 미니기차와 천으로 만든 등을 날릴 수도 있다 마을의 한가운데 긴 철길이 놓여 있고 30분에 한 대씩 기차가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것도 볼 수가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6 -

10-8 진과스(金瓜石)

진과스(金瓜石)는 타이완 타이베이 근교에 있는 옛 탄광 유적이다 20세기 전반에 금 채굴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20세기 후반에 금이 차차 고갈되기 시작하자 점점 위축되어 폐광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관광 명소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하루에도 수백명이 들렀다 가는 대만의 대표 관광지이다 진과스 내에 있는 황금 박물관에는 220kg 의 금이 전시 되어 있는데 손을 넣어 직접 만져 볼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진과스에서는 과거 광부들이 먹었던 도시락을 그대로 만들어 판매하는 광부 도시락도 굉장히 인기가 많다

10-9 국립 성공대학

대만의 타이난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1931년에 개교하였다 2010년 QS대학순위에서 283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대만 대학중 2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총 9개의 캠퍼스로 이루어져 있어 굉장히 큰 면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만 교육청에서 인정한 9개의 주요대학 중 하나이고 대만 기업체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학이다 이공계열이 가장 뛰어나며 중문 역사 법학 경제학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10 시먼딩

타이베이시에 위치한 시먼딩은 한국의 명동과 같은 거리이다 대한민국의 명동에도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과 외국인이 많다고 알려져 있는데 시먼딩 또한 명동 못지않은 다양함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대만의 패션과 놀이 문화 음식 등을 한눈에 경험 할 수 있는 공간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7 -

10-11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

중정기념당은 타이완 총통 장제스(蔣介石)를 기리는 전당이다 lsquo중정rsquo은 장제스의 본명이다 그가 서거한 후 1980년 기념당을 세웠다 25만에 이르는 넓은 중정공원 안에 우뚝 선 높이 70m의 기념물이 중정기념당이다 기념당 1층에는 장제스 생애를 엿볼 수 있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거대한 장제스 동상은 항상 근위병이 동상 앞을 지키고 있다 중정공원 안에는 중정기념당 외에 국립 희극원과 국립 음악청이 있는데 이곳에서 연극과 콘서트를 한다 공원 조경 또한 잘 조성되어 있어 산책하며 천천히 둘러보기에 좋다

10-12 안핑지구(安平地區)

대만의 문화와 역사는 안핑지구에서 시작되었다 안핑구바오는 17세기 중엽 네덜란드인들이 지은 요새로 정성공이 빼앗아 번영하다가 황폐해져 지금은 보루의 대부분이 없어지고 설탕과 굴껍데기와 찹쌀가루를 버무려 만든 빨간벽돌로 된 장벽(臺灣城殘蹟)만이 남아 나무뿌리와 존립의 사투를 벌이고 있다 감시탑 옆 건물 안에는 네덜란드와 정성공의 전투에 대한 이야기와 중세갑옷 등이 전시 중이다 이 주변에는 대만에서 가장 오래된 상업거리 옌핑제(延平街)가 있는데 옛 명성이 다한 거리의 골목 사이사이 수백년 된 가옥을 구경하는 것도 소소한 즐거움이다 1867년 영국인 상점과 물류창고로 이용하던 건물에 노용수(老榕樹)가 멋대로 자라 건물을 집어삼키듯 뒤덮은 나무집으로 불리는 안핑수우도 안핑지구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진귀한 볼거리다

10-13 미라마 관람차

대만에서 가장 큰 관람차로 알려져 있는 미라마 관람차는 타이페이 시의 야경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관람차 크기가 큰 것으로 유명하지만 가격 또한 저렴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유스트래블 카드를 이용하면 50 할인이 적용되므로 꼭 지참하도록 하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8 -

lt미라마 관람차 티켓gt lt유스트래블 카드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9 -

11 시사점 및 차후 활용계획 (LGC 프로그램을 통한 구체적인 효과 및 연구결과)

11-1 LGC 프로젝트 만족도

구분 항목 전 후 한줄 평

사업단

프로젝트 취지- 린튼 글로벌 학과와 경영정보학과 학생들이 함께

하는 프로젝트 해외시장탐방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사전교육 활동- 출국 전 각 나라에 대한 유의사항 안전교육이 체

계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개략적인 보고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었다

행정지원 절차- CK사업단 린튼 글로벌 학과 경영정보학과 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히 되지 않아 사전 계획에서 많은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협동력 향상- 출발 전 잦은 팀 회의와 8박 9일 간에 일정에도

불구하고 불화 없이 좋은 분위기 속에서 프로젝트를 완수 했다

추진력 향상- 일정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 한 점 추가 자료조

사를 위해 현지에서 새로운 일정을 추가 됐을 때 팀원들이 일사불란하게 따라주었다

문제해결 능력- 교통편 문제와 기업 측 내부 문제로 일부 일정에

변동이 있었지만 신속한 조율과 전화 통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개인

동기부여 자극- 현지인들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국어 영어 능

력의 필요성을 실감했다 특히 중국어는 소통 유무에 따라 현지 반응이 극명하게 갈렸다

진로설계 도움- 프로젝트 전에 비해 새로운 직업 분야에 대한 관심

이 증가했다

취업능력 향상-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한 내용을 살려 구술 면접이

나 자기소개서 작성에 참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11-2 LGC프로젝트 연구 결과 - 대만 시장

⓵ 중국시장을 주목하는 대만 화장품 기업- EST팀은 현지 대만 화장품 기업으로 SISDORA와 WABFENIX를 선택했다 두 회사를 선정한 배경에는

명확한 의도를 두고 정했다 SISDORA는 설립한 지 10년이 넘는 회사로 직접 화장품을 개발 및 연구하고 판매하는 중소기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과 주름개선 크림으로 중년 여성을 타깃 층으로 하는 화장품 회사다 반면 WABFENIX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스타트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 이지만 기술개발 보다는 디자인 마케팅에 중점을 두었고 판매 층도 10대-20대의 젊은 층을 타깃 층으로 한다 시장 전략이 완연히 다른 두 기업이 유일하게 공통점이 있다면 중국시장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선정 이유에는 많은 인구의 소비력을 꼽지만 뒤이어 언급하는 이야기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자사 제품의 경쟁력 약화를 말한다 현재 대만 기업 대부분은 내수 시장 대신에 중국을 겨냥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국가 산업 특성상 제조amp연구 분야가 강세인 대만에서는 중국 바이어 또는 미국 유럽 바이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직접 판매 보다는 기술 협력을 통해 이익을 창출한다고 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0 -

⓶ 대만 시장을 점령한 한국 화장품

- 앞서 말했듯이 2012년 이후부터 급속히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한국 화장품은 대만 시장을 점령하고 있다 이미 시먼딩에 들어서면 다양한 한국 화장품 매장이 눈에 띌 만큼 들어섰으며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중앙 광장에 입점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매장 안에는 많은 대만 사람들이 화장품을 보고 있는 광경을 흔히 본다 화장품 매장을 이용하는 연령층은 주로 10대-20대들이다 화장품 가격이 한국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주 애용하는 이유는 한류 열풍으로 인한 한국 연예인들에 대한 관심과 화장법이 크게 유행하고 있음을 현지 설문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⓷ 체감할 수 있을 만큼 커다란 한류열풍

- 뉴스에서만 듣던 한류 이야기를 대만에서 직접 느낄 수 있을 정도로 한류열풍은 크다 특히 삼성이나 LG의 TV나 스마트폰은 어딜 가든 항상 보이고 한국 화장품 선물에 대한 반응이 무척이나 뜨겁다 원활한 현지 조사를 위하여 사은품으로 준비한 한국 마스크 팩 100개는 오히려 현지인들이 참여 의사를 표현할 만큼 열정적이었다 일부 대만 사람 중에는 어디서 왔냐는 질문에 한국이라는 답변을 하니 같이 사진 찍기를 제안하기도 했다

⓸ 중소기업에게 있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는 대만 시장진출- 대만 시장 진출에 앞서 한국 화장품 중소기업이라면 전략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크게 대만 시장을 겨냥

할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할지 선택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3CE는 한국 화장품 회사다 대만에서 젊은 연령층이 자주 이용하고 이미 대만 내에서는 유명하다 3CE는 오프라인 매장 없이 순수 온라인 매장으로 운영하면서 대만 사람들을 위한 전용 웹사이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윤을 창출 하고 있다 신중해야 할 점은 현재 온라인 오프라인 등 한국 화장품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신규 진입에 있어서 장벽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대만 시장을 활용한다면 동남아 시장까지 한 번에 내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출입통관 절차가 간단하고 관세가 낮기 때문에 중소기업에게 유리하다 아직까지 중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1 -

에 대한 직접적인 수출이 가능한 곳은 상해나 항주 같이 중국에서 허가한 무역항 도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내륙까지 시장을 확대하기는 불가능하지만 같은 언어권인 대만을 거치면 보다 쉽게 바이어나 에이전트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인맥을 통한 꽌시와 수수료 명목으로 뒷돈을 요구하는 중국 바이어의 관행은 자금 순환이 원활치 않은 중소기업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11-3 LGC 프로젝트 종합 의견 및 전망

우리 lsquoEST팀은 출국 전 국내 화장품 시장 조사를 할 때 대덕 밸리 스타트업 기업 셀아이콘 랩의 영향으로 대만의 화장품 산업에 대해 큰 관심과 가능성을 보고 2015년 1월 5일부터 1월 13일까지 8박9일이라는 시간동안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 나라 중에 하나인 대만에서 rsquo대만의 화장품 시장lsquo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사를 했다 대만에서는 3개의 기업 (KOTRA SISDORA WABFENIX) 을 방문해 전반적인 대만의 화장품 시장과 판매전략 한류에 대한 보다 사실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1개의 대학 (국립성공대학 國立成功大學)에서 MBA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또 타이난에서는 대만에서 오랫동안 사업하시는 한인협회 회장을 만나 PLC (Product Life Cycle)를 통해 대만에서의 특정 시장이 도입기에 있는지 또 어떠한 시장이 쇠퇴기에 놓여있는지 다양한 시야에서 대만시장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노력은 CK 사업단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교육부 CK-1 프로젝트의 일부인 Linton Global Challenge는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몇 년을 내다보는 지속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기업들과 더욱 더 활발한 교류와 연구를 한다면 기업과 CK 사업단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리라고 본다

1 개인 탐방 후기 (팀원 개인 소감)

1-1 개인 탐방 후기

강성민탐방 후기 기업 컨택 부터 인터뷰 일정 계획까지 8박 9일간의 대만 화장품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 출국 전까지 준비 과정부터 탈도 많았고 대만에 와서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 원하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매일이 항상 회의와 고민의 연속이었다 하루하루 충실히 계획을 진행시켜 나갔고 좋은 팀 분위기 속에서 무사히 대만 프로

부록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2 -

젝트를 완수했다 그리고 마침내 한국으로 돌아왔다 과정은 항상 오르막 길이였지만 돌이켜 보면 마지막 대학 시절을 기념할만한 좋은 추억이자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느끼는 바가 많았던 프로젝트로 기억 될 것이다

김은진탐방 후기 글로벌 챌린지를 한마디로 정의하라고 한다면 도종환 시인의 lsquo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lsquo라는 시가 떠오른다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대만기업컨택 설문조사 등 많은 것을 경험했다 처음엔 모든 것이 나에겐 버거운 산이라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도전이 계속 될수록 이젠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이 모든 도전들에 흥미가 생겼다 나 자신도 책임감과 자신감이 생기고 한층 성숙해 진 것을 내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소중한 동료와 추억은 평생 나의 가슴속에 남을 것이다 우린 앞으로도 많이 도전하고 경험하여 우리들의 삶이 활짝 만개하리라 다짐한다 끊임없이 도전하는 20대의 청춘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프로그램이었다 김종선탐방 후기 한국에서 준비하면서 조사했던 내용과 비교하며 인터뷰를 해보니 실제로 많이 다른 부분도 있었고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 비슷한 내용도 있었다 현지의 기업들을 방문해 우리가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직접 매장에 가서 느껴보니 앉아서 컴퓨터만 볼 때랑 많이 달랐다 그리고 직접 대만인들에게 설문조사를 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그리고 대만의 실제 문화와 환경 그들의 생활을 잠시나마 볼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

구명우탐방 후기 며칠간의 꿈만 같았던 대만에서의 시간이 지나갔다 대만으로 출국하기 전 사전조사 기간에는 확신이 없었다 사전조사와 기업과의 인터뷰 그리고 9일간의 일정조율 및 숙박과 모든 대만에서의 연구와 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보고서까지 무엇하나 확신이 드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도전과 해결능력을 배웠고 아시아에서 급성장 중인 대만에 대해서 배우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다음기수로 가게 될 관심 있는 학우들에게 진심으로 추천해주고 싶다

이규현탐방 후기 CK-1 프로그램 중 하나인 lsquo린튼 글로벌 챌린지lsquo 프로그램을 통해 약 8박 9일이라는 시간 동안 emerging market 중 하나인 대만에 거주하면서 한국 화장품의 대만시장 점유율과 진출 가능성을 몸으로 체감하고 자료들을 모아 통계 내어 정리할 수 있었다 우리 팀 lsquoEST가 성공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충분한 국내조사 기간을 갖고 대만의 화장품 회사들을 방문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대만의 특정한 기업을 찾기도 어려웠고 기업 컨택은 번번히 거절당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회사 두 군데에서는 답장조차 오지 않았고 설문조사할 때에는 반한감정의 대만인을 만나 고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팀의 단결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리더의 통솔력으로 정해진 스케줄대로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회사를 방문하고 학교교수를 만나고 길거리에서 설문조사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팀원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또한 대학생으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을 한 것 같아서 스스로도 너무 뿌듯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팀을 믿고 지지해주신 LGSB 교수님들과 CK-1 프로그램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영은탐방 후기 처음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렇게 준비는 열심히 하지만 정말 우리가 계획한 100대로 대만을 다녀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기우가 무색하게도 대만은 우리에게 기획안 그 이상의 것들을 보여주었다 사장님들의 생생한 사업 이야기와 대만의 색채가 묻어있는 아이템들 하며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여 알아보는 비즈니스 마켓의 현장은 나에게 두고두고 잊지 못할 자산으로 남았다 또한 펑리수 버블티를 비롯한 대만의 맛있는 먹거리들과 스린 야시장이나 지우펀 같은 명소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열심히 고생해준 팀원들과의 추억들도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3 -

이서우탐방 후기 이번 글로벌 첼린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서 쉽게 할 수 없는 해외 기업 탐방과 해당 국가의 산업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임효진탐방 후기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팀이 대만을 방문 한다고 했을 때 많이 의아해 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만을 직접 방문해보고 많은 사업자들을 만난 결과 대만은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라고 생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아직 공산주의라는 정치적 특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다른 곳보다 훨씬 어렵지만 대만은 자유시장체제 이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쉽다 특히 외국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만 시장에서 한국제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추고 중국 시장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성공가능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그리고 대만의 바이어들을 통해 중국의 시장진출을 하게 된다면 사업자가 직접 중국시장에 진출 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성공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만은 문화적으로 다른 아시아권보다 선진화 되었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대도시에 속하지만 모두다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골고루 섞여 대만만의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차안호탐방 후기 9박 10일간의 대만을 다녀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넓고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이번 대만 여행은 처음으로 경험한 해외여행 경험이여서 그런지 순탄치 않은 면도 있었지만 팀원들 서로가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만시장은 중국시장으로 가기위한 좋은 시험의 장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대만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영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더 나아가 미래에는 중국어야말로 영어와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성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또 하나 놀란 점은 대만이 반 한류 감정을 많이 갖고 있는 줄 알았지만 대부분의 대만 일반 시민들이 굉장히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에 놀랐고 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CK-1 사업의 챌린지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대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계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보완점 및 건의사항 (문제점개선책건의사항)

2-1 기업 컨택의 어려움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에 있는 기업과 연결하여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대해서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조사 및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시간을 내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로써 그들의 귀한시간이 아깝게 쓰이지 않을 것을 강조하여 만남을 만들어야 한다

2-2 사업단과 의사소통의 불편함

Challeng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CK-1 사업단과의 지속되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가령 누군가를 통해서 전해지는 소문이나 촉박한 시간을 제시하고 일 처리를 원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단과 각 팀의 대표간의 분명한 의사소통과 증빙자료 등이 필요하다

2-3 정보 부재 이번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이머징 마켓에서의 유망 산업 조사 및 연구였다 대만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3: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 -

1 방문 기업 요약 (업체명위치담당자연락처주요업무)

1-1 KOTRA 대만 지사

-2015년 1월 5일 월요일 1700~1900 인터뷰-위치 台北市 基隆路 1段 333號 22樓 14室(2214室) Intl Trade Building 22층-전화 (886-2)2725-2324 -팩스(886-2) 2757-7240

1-2 SISDORA luxury beauty care

-1월 6일 화요일 1400~1700 인터뷰주소 No9Aly 10Ln265Sec 4Xinyi RdDaan Dist Taipei City 106대표 Mr Chung-Cheng Lee 전화886-2-27040889URL httpwwwsisdoracom

1-3 가오슝 한인협회

-1월 8일 목요일 1400~1600 인터뷰주소 高雄市鼓山區二路37巷弄43-2號(고웅시고산구이로37항81롱43-2호)대표 尹桓鎬(윤환호) HP 0932-740-538 電話 07-5211933 傅眞 07-5214031

요약 내용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 -

1-4 국립성공대학(國立成功大學)

-1월 9일 금요일 1500~1700 인터뷰주소 No1 University Road Tainan Taiwan연락처06-2757575 홈페이지 wwwnckuedutw

1-5 WABFENIX RENIX GLORY GLORIA GUA

-1월 12일 월요일 1300~1500 인터뷰주소 14F-1 No420 Sec 4 Xinyi Rd Xinyi Dist Taipei City 110 Taiwan (ROC)대표 Mr KEN 전화886-5569-0555URL httpswwwfacebookcomrenixfanspage httpwwwwabfenixcom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 -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6 -

2 예산 사용 내역 (항공편숙박비식비기타비용)

2-1 종합 예산

사용 내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7 -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8 -

3 해외 탐방 성과 (종합적인 의견)

3-1 대만 일정 간 EST팀 성과

대만 현지 기업 2곳 방문 및 인터뷰(SISDORAcoltd Wabfenixcoltd) 대만 지사 코트라 방문 및 인터뷰 대만 lsquo성공대학(成功大學)rsquo MIS학과 진정충(陳正忠) 교수 및 학생들과 미팅 가오슝 한인협회 회장 인터뷰 시먼딩(西門丁)에서 현지인을 대상으로 한 화장품 설문조사 실시

시먼딩은 한국 화장품 거리로 불리는 lsquo명동rsquo과 비교되는 동 단위의 지역으로 평가받는다

3-2 기업 측면

대덕밸리 스타트업 기업(주)셀아이콘 랩의 대만 시장 진출 가능성을 탐색 대만 시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대만의 화장품 기업들의 홍보 효과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품에 대한 인식 조사 대만에 진출해 있는 한국 화장품 기업의 입지 조사 대만 화장품 시장의 유통경로 조사 새로운 홍보 전략의 일환으로 관계 유지 가능

3-3 학생 측면

모든 일정을 학생들이 직접 나서서 해야 한다는 점에서 자립심과 해결능력을 함양 해외의 이머징 마켓을 직접 보고 느끼면서 글로벌 마인드의 함양 학생들의 리더쉽과 자신감 획득 영어 및 중국어 능력 향상

3-4 사업단 측면

CK-1 사업 목표 및 취지에 부합한 성공적인 프로젝트 선례로 활용 가능 글로벌 IT 경영학과 및 글로벌 비즈니스 학과 홍보 전략으로 활용 가능

학생이라는 신분으로 대만 현지에 있는 기업들을 마주하는 일은 정말로 어려운 일이었다 하지만 출국 전부터 기업과의 꾸준한 연락과 철저한 준비로 마침내 미팅 날짜를 잡고 대만 현지에서 연락하던 기업들과 직접 만나 대만 화장품 시장에 대해 조사를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우리가 일정동안 찾았던 기업은 총 5곳으로써 국내외 기업간의 투자 및 산업기술 협력의 지원등을 맡고 있는 KOTRA in Taiwan 그리고 대만에서 기능성 화장품으로 유명한 SISDORA 대만의 타이난 지역 내에서 한국과 대만의 화장품 중개무역을 담당하시는 대표님 마스크 팩의 중국진출과 번뜩이는 아이템으로 중국 화장품 시장 내에서 대박을 생각 중이신 MrKen 등 정말 다양한 위치에서 일하고 계신 분들을 만났다 또한 -EST 는 그곳에서 만난 인연으로 101타워의 프리미엄 퍼스널 릴렉스 트레이닝 센터와 디저트로 유명한 Mango 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이뿐만 아니라 대만의 명동과 같은 ldquo시먼딩rdquo에서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품에 대한 인식을 조사 할 수 있었으며 화장으로 대표적인 5개국의 화장법을 두고 투표를 하여 한국 화장품 기업의 미래가 밝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번 프로젝트는 이머징 마켓으로써 시장 조사 뿐만 대만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시민의식 등을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101타워 용산사 예류 지질 공원 스펀 지우펀 진과스 온천 등과 같은 대만을 충분히 느낄 수 있는 다양한 관광지를 방문했으며 특히 친절한 대만인들과의 소통으로 대만이 어떠한 나리인지 뼈 속 까지 알게 되는 느낌이었다

이 모든 활동을 통하여 대만 화장품 시장의 특성을 명확히 이해하게 되었으며 넓게는 대만의 미래가 굉장히 밝다는 느낌을 들게 해주었다 또한 학생들 개인적인 측면으로 9명 모두에게 자립심과 도전심을 가지게 해준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9 -

좋은 기회였다

3-5 기대효과

현지 시장조사 자료 획득 자사 시제품 반응결과 파악 사업단과의 지속적인 연계

3-6 사업단 측면 효과

학과 내 MIS-DAY 또는 관련 과목 강의에서 특강 해외탐방 동아리 개설 차기 CK프로젝트 멘토 활동 가능

1 팀 소개 (사진이름담당역할)1-1 팀 소개

EST팀 지도교수 및 멤버

강성민(25) - 조장전체 계획 수립 및 제안

김종선(25)국내 및 국제 시장 조사

차안호(25)프로젝트 연구 통계 분석

이서우(24)예산 수립 및 예산 관리

본문 내용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0 -

구명우(24)투어 일정 수립

김은진(22)

현지 시장 조사

임효진(24)

공고인터뷰일정 및 숙소 예약

이영은(22)

보고서 작성 및 프리젠테이션 제작

이규현(23)

사진 및 동영상 촬영 편집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1 -

2 대만 소개 (국가 기본정보한국과의 관계)

국호臺灣(Taiwan)

- 대만의 공식국호는 lsquo中華民國(Republic of China)rsquo - 국제 행사에서는 lsquoChinese Taipeirsquo 사용

위치 동남아시아

면적 36193(한반도의 16배 남한면적의 13배)

기후 아열대 몬순 기후권

수도 타이베이(Taipei 台北 서울의 약 12크기)

인구 약 2천 3백만 명

주요도시Taipei City(269만명) New Taipei City(390만명)

Kaohsiung City(277만명) Taichung City(265만명)Tainan City(187만명)

민족구성 민남인(74) 외성인(13) 객가인(15) 원주민(2)

언어 공용어(중국어)상용어(민남어 객가어 원주민어)

종교 불교(35) 도교(33) 기독교(26) 천주교(13) 회교(02) 등

건국일 191211(중화민국건국일)

정치형태 입헌민주공화국

국가원수총 통 마잉주(馬英九 Ma Ying-Jiou)

2012114 재선성공 2012520 취임식부총통 우둔이(吳敦義 Wu Den-yih)

GDP ㅇ2012년 US$ 4804억ㅇ2013년 US$ 4789억

2-1 대만 소개

국가 개요

경제 지표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2 -

ㅇ20141~6월년 US$ 2433억

경제성장률ㅇ2012년 148ㅇ2013년 219ㅇ2014년 2분기 384

1인당 GDP ㅇ2011년 US$ 20246ㅇ2012년 US$ 20502ㅇ2013년 US$ 20984

실업률ㅇ2012년 424ㅇ2013년 418ㅇ2014년 2분기 397

물가상승률ㅇ2012년 193ㅇ2013년 079ㅇ2014년 2분기 121

외환보유고ㅇ2012년 US$ 3942억ㅇ2013년 US$ 4168억ㅇ20146월 US$ 4235억

산업구조 제조업(233) 도소매업(181) 부동산업(85) 금융보험업(65) 농업(187)

교역규모ㅇ2012년US$ 3012억(수출) US$ 2705억(수입) 무역수지US$ 307억ㅇ2013년US$ 3055억(수출) US$ 2701억(수입) 무역수지 US$ 354억ㅇ20141~6월US$ 1534억(수출) US$ 1372억(수입) 무역수지 US$ 162억

주요교역품 ㅇ수출 전자제품 기본 금속 제품 플라스틱 및 고무 제품 광학기기 화학품ㅇ수입 광물 전자제품 화학품 기계 기본 금속 제품

환율ㅇ2012년 US$ 1=NT$ 2962ㅇ2013년 US$ 1=NT$ 2977ㅇ2014 6월 US$ 1=NT$ 3004

화폐단위 New Taiwan Dollar(NT$)

외교 관계

ㅇ 1948 8월 대만정부 대한민국 정식 승인ㅇ 1949 8월 주타이베이 한국대사관 개설ㅇ 1992 8월 한국-대만 단교ㅇ 1993 11월 주타이베이 한국대표부 개설ㅇ 1994 1월 주한 타이베이대표부 개설

교역 규모 ㅇ 2011년

한국-대만 외교 관계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3 -

(한국 기준)

- 수출 US$182억 수입 US$1469억 무역수지 US$35억ㅇ 2012년 - 수출 US$148억 수입 US$140억 무역수지 US$8억ㅇ 2013년 - 수출 US$157억 수입 US$146억 무역수지 US$107억ㅇ 20141~6월 - 수출 US$75억 수입 US$75억 무역수지 US$04억

주요교역 품목ㅇ 수출 반도체 기초유분 철강판 석유화학 중간원료 컴퓨터 정밀화학원료 반

도체 제조용 장비 광학기기 석유제품 선박 등ㅇ 수입 반도체 컴퓨터 기구부품 철강판 무선통신기기 기타 중전기기 평판디

스플레이 및 센서 기타 석유화학제품 플라스틱 제품 정밀화학원료 등

상호 투자

ㅇ 우리나라의 對대만 투자 - 2010년 43건 US$1400만 2011년 42건 US$4700만 - 2012년 38건 US$950만 2013년 26건 US$1700만 - 1968~2013년 624건 US$ 5억 6300만ㅇ 대만의 對한국 투자 - 2010년 5건 US$340만 2011년 7건 US$2800만 - 2012년 9건 US$2100만 2013년 14건 US$6100만 - 1962~2013년 181건 US$ 6억 1200만

교민 총 교민수 약 3천 4백여명

양국 간 교역 동향

수출입 동향

Ÿ 한국과 대만은 주요 수출입 품목이 반도체 철강 컴퓨터 화학원료 등으로 중복되는 경향이 강하며 상호비교우위 품목을 위주로 교역이 이뤄지고 있음

Ÿ 전년도 수출 급감에 따른 기저효과 스마트기기 및 테블릿 산업의 성장과 이에 따른 부품 수요 증가 한류영향 품목의 수출 확대 등으로 인하여 2013년도 한국의 對대만 수출은 전년대비 6 늘어났으며 수입 역시 44의 증가세를 보임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4 -

구분2012년 2013년 2014년 1~6월

금액 증감 금액 증감 금액 증감

총계 2882 -124 3033 52 1502 -328

수출 1481 -186 1570 60 753 -726

수입 1401 -46 1463 44 749 135

수지 8 -771 10 25 04 -945

순위 품 목2012년 2013년 2014년

1~6월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1 반도체 3578 -342 3742 46 2169 1572 석유제품 2239 -29 2810 255 953 -3563 기초유분 1381 198 1314 -48 531 -2084 정밀화학원료 406 -426 477 176 272 1835 석유화학중간원료 532 -376 586 101 220 -516 반도체제조용장비 311 -222 344 107 195 -107 자동차부품 239 209 168 -298 159 8728 광학기기 238 -248 283 188 151 969 기구부품 217 111 375 727 147 -28210 플라스틱 제품 250 -124 286 147 142 16

lt 한국-대만 수출입 동향gt (단위 억 달러 )

자료원 한국 관세청

lt한국의 對대만 10대 수출 품목gt (단위 백만 달러 )

주 MTI 3분류 2013년 수출액순 자료원 한국 관세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5 -

순위 품 목 2012년 2013년 2014년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1 반도체 8114 117 8874 94 4438 -102 기구부품 757 124 867 146 341 -2343 철강판 420 -312 398 -52 181 -1474 컴퓨터 616 -570 356 -422 171 -635 기타석유화학제품 227 -103 199 -125 143 9856 플라스틱 제품 324 229 288 -111 136 -1057 동제품 156 46 194 245 125 2108 합성수지 159 -19 172 81 108 2739 평판디스플레이및센서 133 -215 138 35 106 29110 기초유분 155 -250 132 -143 98 425

lt한국의 對대만 10대 수입 품목gt (단위 백만 달러 )

주 MTI 3 분류 2013년 수입액 순 자료원 한국 관세청

양국 간 상호 투자현황

대만의 對 한국 투자현황lt대만의 對韓 투자동향gt

(단위 건 백만 달러)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1~6월 누계(62~2014)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5 34 7 280 9 21 14 61 3 3 184 615

자료원 대만 경제부 투자심의위원회 신고 기준

Ÿ 대만기업의 對韓 투자는 10~20만 달러 규모의 판매법인 설립이 대부분이며 대규모 그린필드형 투자는 중국 및 동남아지역에 RampD형 투자는 미국과 일본에 집중되고 있음thorn 대만기업의 對韓 투자는 지난 5년간 연평균 25천만 달러에 불과

Ÿ 또한 중국 투자환경 악화로 동남아 등지의 신흥시장으로의 제조기반 이동에 대한 투자가 늘고 있으며 유턴투자도 증가

Ÿ 한편 주요 산업분야에서 대만은 한국과 경쟁적 보완관계이며 일본과는 보완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음thorn 특히 한 대만간 반도체 디스플레이 기업간 경쟁이 심해지면서 대만 IT업계를 중심으로 lsquo聯日抗韓(일본

과 연합하여 한국을 견제하자)는 주장이 제기되는 등 대만기업의 일본 편중현상은 심화되고 있음Ÿ 지금까지 대만의 대표적인 對韓 투자사례로는 2007년 IC디자인 기업인 SIMO의 FCI 인수(8800만 달러)

2010년 대만의 최대 철강회사 CSC의 동부메탈 지분인수(4200만 달러) 2010년 IC 테스팅 업체 Ardentec 웨이퍼 테스팅 공장 설립(4000만 달러) 2012년 6월 반도체 패키징 업체인 ASE의 라인증설(8000만 달러) 등이 있음

Ÿ 최근에는 금융권을 중심으로 한국기업에 대한 MampA SI 투자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어 주목받고 있음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6 -

thorn 2013년에는 대만의 1위 증권사 위안타가 한국의 동양증권 인수를 발표 양국의 금융감독기관 허가를 받아 2014년 연내 합병 추진 중(25억 달러)

thorn 또한 다국적 제약회사 Alvogen은 대만 LOTUS를 인수 동아시아 HQ로 삼고 한국 제약회사(드림파머) 인수를 추진 중

우리나라의 對 대만 투자현황

lt한국의 對대만 투자동향gt (단위 건 백만 달러)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1~3월 누계(lsquo68~lsquo14)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43 13 44 47 38 9 34 68 15 5 646 617

자료원 한국수출입은행 신고 기준

Ÿ 제조업 분야에서의 對대만 투자는 시장개척 및 고객사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임

Ÿ 우리기업의 대표적 투자 사례로는 2005년 LCD 장비 업체 PKL사의 LCD용 포토마스크 공장설립(4000만 달러) 2007년 게임업체 넥슨의 감마니아 지분인수(2100만 달러) 등이 있음

Ÿ 2011년 4월 미래에셋(Mirae Asset Global Investments)은 타이완라이프자산운용에 약 1000만 달러를 투자 자산운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Ÿ 2014년에는 PCB 기판 업체 달마전자가 가오슝에 공장을 설립 9월 준공식을 앞두고 있음

3 탐방 목적 (주요 목표부가 목표기대 효과)3-1 탐방 목적

주요 목표 1 대덕밸리 스타트업기업 (주)셀아이콘랩의 대만진출 가능성 탐색 2 대만 소비자들의 기능성 화장품 인식 조사 3 대만화장품시장의 유통경로 조사

기대 효과기업측면 기대 효과

⓵ 현지 시장조사 자료 획득⓶ 자사 시제품 반응결과 파악⓷ 사업단과의 지속적인 연계

사업단측면 기대 효과⓵ CK 사업 목표 또는 취지에 부합(CK ndash University for Creative Korea)⓶ 새롭게 출발하는 lsquo글로벌IT경영학과rsquo의 홍보전략으로 활용 가능

학생측면 기대 효과

⓵ EST팀 특강 ndash 학과 내 MIS Day 혹은 관련 과목 강의에서 특강⓶ 해외 탐구 동아리 개설⓷ CK 멘토와 후원 활동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7 -

4 사전조사 활동 (셀아이콘랩)

4-1 기능성 화장품 연구amp제조 기업 lsquo셀아이콘랩rsquo 기업 인터뷰

회사 소개

회사명 셀아이콘랩주소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대로 1646 한남대학교 사이언스파크 312호 대표자명 성민규 대표 사업분야 코스메슈티컬 펩타이드 소재개발 피부 전문가용 코스메슈티컬 화장품 OEMODM 주문 생산 방식

인터뷰 내용 1) 셀아이콘랩 2014년도에 많은 해외 박람회에 참여하고 있는데 해외시장 진출 의사가 있으신가요= 저희 회사의 사업화 로드맵을 보시면 2014년에 해외영업 마케팅 판매가 계획되어 있고 올해 들어 중국 러시아 카자흐스탄 말레이시아 등 여러 나라를 방문하여 박람회에 참가하고 실질적으로 상품을 판매하고 반응을 살피고 있습니다

2) 그렇다면 대만 화장품 시장 진출에 대해 고려해본 적은 있으신가요 만약 진출을 고려해보았다면 대만의 화장품시장에서 원하는 자료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대만시장을 접할 기회가 부족했을 뿐 내년에 대만 시장진출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셀아이콘랩은 현재 거래중인 중국 카자흐스탄 등지의 국가들에서 더 나아가 대만이나 홍콩과 같은 중화권 시장의 가능성을 느끼고 해당나라에 진출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요구사항 대만의 수출수입 인허가 절차 관세 세금 시장가격 형성 요인 화장품 유통 채널 구매경로 트렌드 또한 대만 시장에 뷰티샾(우리나라의 올리브 영)같은 종합 매장이 형성과정 실질적인 구매력을 알아보기 위한 대학 졸업생의 평균 초봉 등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8 -

5 화장품 산업 및 환경 분석 (연구자료 첨부)

구분 2011 2012 2013(1월 ~ 11월)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및 성장률 19427798 42 19421349 00 191454345 08

5-1 화장품 시장 동향

시장규모 및 전망thorn 대만의 약품 및 화장품 시장규모는 2013년 기준 1914억 달러로 2012년 대비 008 증가

최근 3년간 대만 약품 및 화장품 시장규모 및 성장률 (단위 천 달러)

자료원 대만경제부 통계처

시장전망thorn 수요 감소 예상 요인 대만 화장품시장은 다양한 국산 수입제품들이 오랜 시간 경쟁하는 포화된 시장thorn 종합의견 다수 유명 외국 브랜드(예 SHISEIDO KOSE 등)는 대만에 공장을 설립해 국산 브랜드와

경쟁하고 있으며 대만 정부의 각종 규제가 엄격하고 많아 허가 관련 등록서류 및 비용으로 인한 진입 장벽이 큼

소비자 구매 패턴thorn 주요 소비자 계층 14~55세 등 다양thorn 소비자 구매 동기 귀엽고 여성스러운 디자인 미백 보습 등과 같은 눈으로 확인 가능한 기능성 민감

성 피부에 바로 사용 가능한 화장품을 선호하는 추세

제품 트렌드thorn 대만 시장에서 국산 브랜드보다 수입 브랜드의 인기가 더 높으며 그중 일본 브랜드가 장시간 많은 인

기를 유지하여 왔음thorn 최근 한국 드라마에서 스타들이 연출하는 화장법 또는 유명 스타가 광고하는 한국 화장품이 큰 인기

를 얻고 있으며 한류 열풍으로 대만에서 수입 화장품 판매량이 늘어나면서 국산 화장품의 신제품 개발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

thorn 피부과 및 의학미용센터에서 다양한 시술(보톡스 반점 제거 여드름 크리닉 모공축소 레이저 비지 제거 등)을 받아 꾸준히 피부관리를 받고 다니는 여성들이 많아지는 추세에 따라 기능성을 강조하는 의학미용(aesthetic medicine) 화장품 혹은 시술 받고 나서도 바로 사용 가능한 기초화장품(무자극 보습효과 강조)이 유행하기 시작함

해당 산업 관련 정부 정책thorn GMP 정책 글로벌 추세에 따라 대만 화장품의 품질middot제조 수준 및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대만 경

제부공업국과 대만 위생서는 2008년 9월 4일부터 lsquo자발성 화장품 우량제조규범 검증제도(自願性化妝品優良製造規範驗證制度)rsquo를 실시한다고 발표함 약품 의료기기 식품을 이어 화장품이 네 번째로 GMP검증을 받는 산업이 되었음 ISO 22716 규범으로 주요 참고 근거로 보고 있음 동시에 화장품 GMP 추진 플랫폼을 설립하고 기업 문의에 대한 상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9 -

구분 2011 2012 2013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및 성장률 614293 1192 600356 -227 557784 -085

순위 국가 금액 점유율 증감율2011 2012 2013 2011 2012 2013 1312

총계 614293 600356 557784 100 100 100 -0851 일본 248980 237052 199987 40531 39485 35854 -113212 프랑스 116031 111983 110509 18888 18653 19812 45333 미국 89984 96689 89924 14648 16105 16122 -03914 한국 29779 29329 36746 4848 4885 6588 386345 중국 23444 30114 30138 3816 5016 5403 99486 영국 15895 14619 14482 259 2435 2596 29227 독일 16799 14327 14159 274 2386 2538 96758 스위스 13631 12401 11151 222 2066 1999 -5329 태국 9929 9214 8943 162 1535 1603 533310 이탈리아 12312 8853 8632 2 1475 1548 7727

5-2 수입동향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동향 (단위 천 달러 )

주 대만 국제무역국

최근 3년간 상위 10개국의 수입통계

주요 수입국 현황(HS Code 330499 기준) (단위 천 달러 )

자료원 대만 경제부 국제무역국 중화민국수출입무역통계(httpcus93tradegovtwFSCI)

수입관세 및 관련 제도thorn 관세 0thorn 통관 시 유의사항 대만에서 화장품은 의료용 또는 약품을 함유하지 않은 lsquo일반화장품rsquo과 lsquo함약화장

품rsquo 등 세 종류로 나눠져 있음 함약화장품의 경우 통관 시 대만 위생서에서 발행한 위생허가증을 제시해야 함

thorn 필수 인증 현황 함약화장품(예 염색제 파마제 자외선차단제 땀 억제제 치아미백제 등)은 대만 위생서 허가를 받아야 수입 및 제조판매를 할 수 있음 허가 신청 시 제품명 성분 제조업체명 제조업체주소 해외 수입업체명 수입업체주소 제품 전성분 용량 용도 사용법 유효기간 샘플 Certificate of Analysis Certificate of Sales SPF ampUVA 검사보고서 등이 필요함(세부사항은 대만 위생서 홈페이지 참조바람)

5-3 유통구조

유통채널 종류thorn 오프라인 백화점 H ampB(Watsons Cosmed SaSa 등) 방문판매 약국 각종 마트 편의점 피부과

피부관리센터 전문판매점(로드숍)thorn 온라인(여기는 virtual channel을 뜻함) 홈쇼핑 온라인 쇼핑몰(경매 브랜드 홈페이지 등 포함) 우편

주문(郵購) 등이 있음

유통채널 점유율 오프라인 유통채널의 점유율은 여전히 70~90 정도로 높게 차지하고 있으나 온라인 유통채널의 점유율도 빠른 속도로 상승하고 있음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0 -

브랜드명 제품명 가격 판매순위

SHISEIDO 100 1

SKII 133 2

ESTEE LAUDER 100 3

항목 내용전시회명(현지어명) 2014春夏國際美容化妝品展전시회명(한국어) 2014 춘하 국제미용화장품 전시회

전시품목 미용 화장품개최국가도시 타이베이

유통채널 활용 방안 아직까지 온라인 채널의 점유율이 높지 않으나 대만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블로그 등)에 영향을 많이 받는 편이어서 오프라인 채널에 진입하기 전에 온라인으로 먼저 마케팅(브랜드 이미지메이킹 블로거 마케팅 등)을 진행하는 방법을 추천함 대만 오프라인 채널의 진입장벽은 매우 높으며 비교적으로 이윤이 많이 남는 온라인시장에서 브랜드 파워를 먼저 키우면 오프라인 채널에 들어가는 길이 훨씬 수월해질 것으로 예상함

5-4 경쟁동향

경쟁제품 현황주요 경쟁제품 현황

(단위 달러)

한국 제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 및 선호 브랜드 현황thorn 한국 제품 현지 인지도 높음thorn 선호 브랜드 3CE INNISFREE NUTURE PUBLIC MISSHA THE FACE SHOP LANEIGE 등

5-5 효과적인 시장 진출 전략

타깃 고객층thorn 타깃 고객층 20~30대 초반thorn 타깃 사유 유행에 따라 새로운 것을 많이 도전하고 한류의 영향도 가장 많이 받는 젊은 층이 한국

화장품을 소비하는 경우가 많음 35세 이후의 직장 여성 혹은 가정주부들은 여전히 일본 혹은 유럽 미국의 고가 화장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활용 가능한 마케팅 방안 ⓵ 현지 전시회 정보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1 -

개최주기 3월경개최기간(2014년) 0321~0325

웹사이트 httpwwwudnicecom

⓶ 전시회 이외의 주요 마케팅 방안 블로거 마케팅 등 ⓷ 유력 홍보 방안(전문잡지 온라인 매체 등)

thorn 온라인 매체 Fashion guide(httpwwwfashio guidecomtw) UrCosme(httpwwwurcosmecom)

thorn 전문잡지 VIVI BEAUTY 大美人 Style W Marie laire Fashion Guide 등

시장 확대를 위한 무역관 의견 대만 화장품시장은 가격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 시장 진입 시 확실한 브랜드 포지션을 정해야 하며 해당 포지션의 대만 제품 가격을 조사한 후에 대만 최종 소비가격을 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

또한 소비자들은 할인세트 및 사은품에 약하여 각종 행사 진행 시 사은품 증정 혹은 묶음세트로 판매하는 것을 추천 보습(특히 히알루론산 성분 강조) 및 미백(대만 정부에서 인증된 미백성분이어야 함) 제품을 매우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6 탐방 상세 일정 (일정표 - 기간 지역)

날짜 지역105(월) 인천 ~ 대만 타이페이

시간 일정0600 인천공항 도착

0600 ~ 0920 인천공항 대기0920 ~ 1140 인천공항 rarr 대만 1140 ~ 1230 대만 입국 수속1230 ~ 1320 숙소 이동 (용산사 역)1320 ~ 1500 짐정리1500 ~ 1600 회의 및 일정정리1600 ~ 163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630 ~ 1800 KOTRA방문 및 인터뷰1800 ~ 1830 101타워 딘 타이 펑 이동(도보)1830 ~ 1910 저녁식사 - 딘 타이 펑1930 ~ 2100 101 타워 야경감상2100 ~ 2130 숙소로 이동2130 ~ 223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6(화) 타이페이

시간 일정0900 기상

0900 ~ 110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30 ~ 1230 점심식사 - 마라훠거1230 ~ 1300 SISDORA 본사로 이동

6-1 8박 9일 대만 일정 (150105 ~ 150113)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2 -

1300 ~ 1530 SISDORA 방문 및 인터뷰1600 ~ 1800 101타워 퍼스널 트레이닝 센터 방문1800 ~ 1930 저녁식사 - 카렌 레스토랑1930 ~ 2000 숙소로 이동2000 ~ 2100 개인 휴식2100 ~ 223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7(수) 타이페이

시간 일정0900 기상

0900 ~ 113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30 ~ 120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200 ~ 1250 점심식사 - 키키 레스토랑1250 ~ 1300 시먼딩 이동1300 ~ 1530 화장품 설문조사1530 ~ 1830 한국 화장품 매장 제품 조사1830 ~ 1900 야시장 이동(MRT)1900 ~ 2000 저녁식사 ndash 야시장 음식2000 ~ 2030 숙소로 이동2030 ~ 2130 개인 휴식2130 ~ 230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30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8(목) 타이페이 ~ 타이난

시간 일정0830 기상

0830 ~ 110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00 ~ 1200 체크아웃 및 고속철도역 이동1200 ~ 1340 타이페이 rarr 타이난 이동1340 ~ 1400 짐 보관 및 인터뷰 장소 물색1400 ~ 1600 가오슝 한인협회장 인터뷰1600 ~ 1700 숙소도착 및 짐정리1700 ~ 1800 개인 휴식1800 ~ 1900 저녁식사 - 새우롤2000 ~ 2230 중간 정리 및 보고서 작성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9(금) 타이난

시간 일정0800 기상

0830 ~ 0900 아침 식사0900 ~ 1130 타이난 일정 브리핑 및 팀 미팅1130 ~ 1210 타이난 시내로 이동(TAXI)1210 ~ 1320 점심식사 - 스시1320 ~ 1350 성공대학 이동(도보)1350 ~ 1700 성공대학 방문1700 ~ 1800 성공대학 캠퍼스 탐방 및 대학원생들과 대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3 -

1800 ~ 1830 저녁식사 - 대만 전통 음식점1830 ~ 1900 타이난 RT마트 이동(도보)1900 ~ 2030 RT 마트 장보기2030 ~ 2100 숙소로 이동2100 ~ 2200 개인 휴식2200 ~ 2330 팀 회의 및 예산 정리

23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12(월) 타이페이

시간 일정0800 기상

0800 ~ 0900 아침식사(호텔 조식 제공-선택)0900 ~ 1130 호텔 개인시간1130 ~ 123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230 ~ 130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300 ~ 1600 Wabfenix 방문 및 인터뷰1600 ~ 1630 간식 - 망고차차1630 ~ 1700 시먼딩 이동(MRT)1700 ~ 1830 화장품 설문조사 활동1830 ~ 1930 저녁 식사 - 코코이찌방야2030 ~ 2130 개인 휴식2130 ~ 2300 팀 회의 및 예산 정리

230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13(화) 대만 ~ 인천공항

시간 일정0800 기상

0800 ~ 0900 아침 식사0900 ~ 1130 짐정리1130 ~ 1200 체크아웃1300 ~ 1400 점심식사 - 스시(시먼딩)1400 ~ 1430 쑹산 공항 이동(TAXI)1430 ~ 1530 시먼딩 rarr 쑹산공항1530 ~ 1730 출국 대기1730 ~ 2100 대만 출국 rarr 대한민국

2100 대한민국 입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4 -

7 방문 기업 소개 (인터뷰 내용)

7-1 대만 KOTRA

-2015년 1월 5일 월요일 1630~1800 인터뷰-위치 台北市 基隆路 1段 333號 22樓 14室(2214室) Intl Trade Building 22층-전화 (886-2)2725-2324 -팩스(886-2) 2757-7240

Q대만에 대하여 간단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우선 대만은 남한의 13의 해당하는 영토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구역시 남한에 비해 적은 2천 3백만 명 정도이며 기후는 아열대 몬순 기후권으로 비교적 따듯한 날씨입니다여러분이 대만에 와보셔서 알겠지만 대체로 습한느낌을 받으셨을 탠대 대만은 겨울에도 남한만큼은 춥지 않습니다 언어는 주로 중국어를 사용하며 문자는 중국과 살짝 다른 번자체를 사용합니다1인당 GDP는 2013년 기준 20984 달러 정도이며 산업구조는 제조업과 도소매업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Q현재 우리나라의 어떤 기업들이 대만에 진출해 있는지 궁금합니다

A최근에는 화장품을 주력 제품으로 아모레퍼시픽등 화장품 대기업들이 타이페이 시내에 로드샵을 많이 개점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대만은 제조업과 도소매업이 주를 이루다 보니 20~30년 전부터 진출한 기업들이 계속해서 입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주로 삼성물산 현대종합상사 LG상사 LG전자등 대기업이 주를 이루고 있고 우리나라 기업은 1년에 한 기업정도 대만에 진출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Q그렇다면 대기업을 제외한 중소기업들이 대만시장에 진출하지 않는 이유가 따로 있습니까

A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아무래도 중국시장이 개방을 하면서 인 것 같습니다 기존에 진출해있는 기업들은 과거 대만이 인프라 구축이 미흡했을 당시 해외투자를 많이 받으면서 비교적 좋은 조건으로 대만에 진출하고 인프라 구축등 사업을 진행하면서 기반을 다졌을 겁니다 그 기반으로 지금까지 대만시장에 진출해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중소기업의 경우는 해외투자가 너무 모험적이며 대만 시장과 중국의 시장을 비교하여 봤을 때 인구가 차이가 약 8배 정도 나며 중국에 비해 비교적 작은 시장이라고 느껴 대만보다는 중국에 많이 진출하는 것 같습니다

Q마지막 질문으로 만약 우리나라 중소기업이 대만시장에 진출할 때 유의해야 할 점이나 좋은 팁이 있을까요

A대만 시장에 완전히 진출해야겠다는 생각보다는 중국이나 다른 중화권 나라의 진출하기전 시험의 장소로 생각하고 진출해보는 것은 나쁘지 않다 생각 합니다 아무래도 대만의 인구가 많은 편이 아니다보니 불리한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5 -

조건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이나 다른 큰 중화권 시장으로 진출하기 전에 언어나 문화 중화권사람들의 사고방식등 여러방면에서 시험해 볼 수 있는 좋은 장소는 틀림없습니다 중소기업이 대만시장에 진출할 때는 코트라를 이용하여 각종 정보나 현지 인프라등을 이용하는 것 또한 하나의 방법이며 무엇보다 중화권의 문화와 중화권 대중들의 생각을 잘 공부하고 언어를 습득하여 오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7-2 SISDORA luxury beauty care

-1월 6일 화요일 1300~1530 인터뷰 1600~1800 101타워 퍼스널트레이닝 센터-주소 No9Aly 10Ln265Sec 4Xinyi RdDaan Dist Taipei City 106-대표 Mr Chung-Cheng Lee -전화886-2-27040889-URL httpwwwsisdoracom

Q 간략한 회사 소개와 SISDORA의 유래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A Isadora는 고대 이집트의 가장 강력한 여신의 이름입니다 Sisdora는 이 여신의 이름을 따서 만든 브랜드 이름입니다 이집트의 고대 여신인 Isadora의 이시스는 선물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고 생명과 건강 아름다움을 담당하는 여신으로도 유명합니다 저희 SISDORA는 비슷한 동음 이의어로 동양의lsquoISIS(이시스)rsquo라는 단어가 있어 브랜드 명을 SISDORA로 정하게 되었습니다Q Sisdora 제품 소개 부탁드립니다

A저희 제품은 안티에이징 미백 마스크 제품을 주력으로 하고 있습니다 동일 제품군을 비교해 봤을 때 가격 및 품질은 상위에 속하는 최상품의 제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마스크 팩 대부분은 종이섬유로 제조하는 반면 저희 Sisdora는 누에의 실(실크)로 만든 마스크 팩 입니다 실크마스크 팩을 제조할 때에는 피부 건강에 좋은 약재 및 약초등을 배합하여 제조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피부에 자극적인 향로를 첨가하지 않았고 수분이 빠르게 흡수 될 수 있습니다 덕분에 저희 마스크 팩을 사용하는 고객들은 부드럽고 산뜻한 느낌을 받으실 수 있을 겁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6 -

Q 귀하의 회사는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어떤 마케팅을 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A 저희는 해마다 대만 타이페이 글로벌 미스코리아 대회에 제품을 협찬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대만 유명 가수들과 함께 제품을 결합시킨 뮤직비디오를 제작하여 마케팅에 힘쓰고 있습니다뿐만 아니라 제품의 품질인증을 바탕으로 러시아 중국 동남아 지역에 진출하는대 힘쓰고 있습니다 저희 제품은 대만 내에서 스킨케어 제품으로써 유일하게 지정 브랜드 수상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저희는 주로 매스컴이나 인터넷을 통한 마케팅이나 엔터테이먼트 컨벤션 산업을 활용하여 마케팅을 하고 있습니다

Q 그렇다면 대한민국의 화장품 제품이 대만에 진출해 있는데 대한민국 화장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는 어떤지 궁금합니다

A 최근 5년 사이에 한국의 드라마 음악등 한류를 타고 대만에도 많은 한국 제품이 등장하였습니다 하지만 대만에는 오래전부터 수입화장품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이탈리아의 산타 마리아 노벨라 프랑스의 아이젠버그등 명품 화장품 브랜드가 오래전부터 입점해 현지 화장품시장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 때문인지 한국 화장품의 인지도는 크게 높지는 않습니다 아무래도 유럽 브랜드 그 다음으로 대만 기업의 브랜드 그 다음으로 한국의 화장품 브랜드 순으로 인지도가 형성되어 있다고 생각됩니다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한국화장품은 다른 명품 화장품들의 가격보다 저렴하고 성능이나 효과 면에서 절대 뒤처지지 않아 한류가 지속되고 마케팅이 잘 이루어진다면 충분히 유럽의 명품화장품의 인지도를 뛰어 넘을 수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Q 한국의 중소기업의 화장품이 대만 시장에 진출하는 것에 대해서는 어떤 의견을 갖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A 한국의 대기업 화장품 브랜드가 아닌 중소기업의 화장품 브랜드가 대만에 진출하는 것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겁니다 하지만 저희 회사도 중소기업으로 시작하여 마케팅 전략을 잘 활용 하여 많이 성장하였습니다 아무래도 한국의 중소기업의 화장품이 대만에 진출하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있겠지만 어떤 마케팅 전략을 선택하느냐가 가장 중요하고 마케팅이 잘 이루어지고 입소문이 퍼진다면 한국의 중소기업 화장품 또한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7 -

7-3 가오슝 한인협회

-1월 8일 목요일 1400~1600 인터뷰-주소 高雄市鼓山區二路37巷弄43-2號(고웅시고산구이로37항81롱43-2호)-대표 尹桓鎬(윤환호) HP 0932-740-538 -電話 07-5211933 -傅眞 07-5214031

Q 대만과 한국과의 무역 관계가 어떠한지 궁금합니다

A 한국과 대만과의 무역은 크게 활발하게 이루어 질 수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대만의 시장 자체가 매우 작기 때문에 대만에 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국내 시장이나 다른 큰 해외 시장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대만 시장을 거쳐서 동남아나 중국 시장으로 진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여서 기존에 존재하는 대기업이나 저처럼 오래 전부터 이민한 분들이 소규모로 중개무역을 하고 있는 정도입니다

Q 현재 한인협회 회장님께서 직접적으로 하는 일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현재 저는 한국의 화장품을 수입하여 대만 현지 기업에게 판매하는 중개무역을 하고 있습니다 대만에 온지 20년이 넘었는데 이런 저런 일을 하다가 기회가 되어 이쪽 일을 하게 되었는데요 처음에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인식이 없어 가격은 비싸고 품질의 보증은 되어 있지 않은 제품이라 소비가 크게 늘지 않았는데 한류 열풍이 불고 한국 드라마의 성공과 그 배우들이 광고하는 화장품의 수요가 크게 늘어 몇 년 전부터 시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Q 한국과 대만과 중국의 관계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해 주세요

A 앞서 말씀 드린 것 같이 한국의 기업은 대만을 통하여 중국 시장의 진출을 위하여 대만 시장을 많이 찾습니다 그 이유는 한국 기업이 대만 시장을 통해서 제품을 인정받는다면 대만과 중국은 같은 언어권의 나라로 대만기업을 통해 중국으로의 활로를 개척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왜 이렇게 돌아서 진출을 하려고 물으셨는데 그것은 쉽게 말해서 말이 잘 통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의 중국어를 잘 구사하는 사람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보다는 대만의 사람이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주고 인정을 해준다면 더욱 쉽게 자리를 잡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8 -

Q 스타트 기업의 대만 진출 성공여부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중소기업이 대만에 들어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현재 한국 내에서의 위치를 높이는데 주력하는 것이 좀 더 낫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대만은 아주 뛰어난 기술력을 가지고 있지만 자체 제품을 생산하지 않습니다 예로 Apple에서 전체 아이디어를 미국에서 한다면 그 아이디어 실행은 대만에서 이루어집니다 그리고 제품의 생산은 대부분 중국에서 이루어 지구요 이렇듯 대만의 기술력과 제품에 대한 이해가 빠르기 때문에 수입을 많이 의존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중소기업이 들어와서 제품을 판매한다 쉽게 성공할 수 없죠

Q 회장님께서는 중국과의 중개무역은 생각하고 있으시지 않습니까

A 네 저는 지금의 생활에 만족하고 있습니다 지금 저의 파트너들과의 관계도 좋고 따로 중국 진출은 생각하고 있지 않습니다 만약에 제가 중국을 진출하게 된다면 현재의 기업들과도 경쟁상대가 되어 저는 생각이 없습니다

7-4 국립성공대학(國立成功大學)

-1월 9일 1350~1700 인터뷰-주소 701 臺南市東區大學路1號-연락처06-2757575 -홈페이지 wwwnckuedutw

대만 국립 성공대학은 931년 타이난에 설립된 이공계 명문 대학입니다 국립성공대학은 66개의 캠퍼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각 캠퍼스마다 특징과 분위기가 다릅니다 우리 국립성공대학은 ldquo북대대 남성공(北臺大 南成功)rdquo 이라는 말이 있듯이 역사는 대만대학의 바로 다음갑니다

국립성공대학의 이름의 의미는 성공은 무엇을 성취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대만의 민족영웅인 정성공(鄣成功)을 기념하기 위한 대학이라는 뜻입니다 성공대학은 정성공이 있던 역사명승 적감루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해 있기도 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9 -

이후 인터뷰로 대만의 소개와 간단한 전공 소개가 있었다

7-5 WABFENIX RENIX GLORY GLORIA GUA

-1월 12일 월요일 1300~1500 인터뷰-주소 14F-1 No420 Sec 4 Xinyi Rd Xinyi Dist Taipei City 110 Taiwan (ROC)-대표 Mr KEN -전화886-5569-0555-URL httpswwwfacebookcomrenixfanspage httpwwwwabfenixcom

Q Wabfenix가 어떤 기업인지 소개 해주세요

A 저희 회사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으로 현재는 매장은 없지만 개발한 제품을 바탕으로 사업을 진행 중이고 대만현지에 저희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저희 회사는 제품의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화장품을 개발하여 대만시장 뿐만 아니라 중국시장의 진출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Q 귀하의 제품은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제품이라 하셨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제품 등이 있습니까

A 우선 Heymore 제품군의 블랙 마스크 팩과 Renix 제품군의 일반 마스크 팩을 출시했습니다Heymore의 경우 선물용임을 부각시키기 위해 디자인에 특히 많은 투자를 하였습니다 중국 중산층을 겨냥한 제품으로 가격대 1봉지에 한화 ₩40000 정도로 높게 책정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가격을 높게 측정한 이유에는 중국 화장품 소비문화 속에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 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에 저가 보급형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0 -

제품인 Renix와 차별을 두는 판매 전략을 선택하였습니다 현재 판매되는 제품은 마스크 팩을 주력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Q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인데 중국을 대상으로 어떤 진출 전략을 갖고 있습니까

A중국에서 열리는 화장품 전시회 화장품 엑스포 행사 바이어 미팅 등 꾸준히 참가중이며 바이어들에게 저희 제품을 어필하고 있습니다 물론 신생기업인 만큼 아직 중국 내에서 뚜렷한 판매 실적을 기록하진 못했지만 타 화장품 기업들과 다른 마케팅 방식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디자인이나 제품의 아이디어를 강조하고 있는데 대표 적인 상품으로 오뚝이 모양을 한 화장품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이 오뚝이 제품을 바이어들에게 어필해 보았는데 대단히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Q 해외시장 마케팅과 대만 시장마케팅의 차이점이 있습니까

A 우선 중국에서의 마케팅은 행사나 전시회에 참여하고 바이어들을 개인적으로 만나는 것에 치중해 있다면 국내 대만시장의 마케팅 전략은 페이스북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대만은 중국에 비해 SNS가 많이 발달되어 있어 자금이 많이 들어가지 않는 SNS마케팅을 하고 있고 각종 자선행사에 참여하여 저희 기업을 홍보하고 있습니다

Q 귀사의 제품을 중국보다 비싼 인건비가드는 대만 제조공장에서 생산하는 겁니까

A타이중에 소재하는 공장에서 마스크를 제조 하고 있습니다 인건비가 비싼 것은 대만 수도인 타이페이에만 주로 해당이 됩니다 지방 소도시에서도 외곽으로 들어가면 저렴한 인건비와 공장 가동비용으로도 제조가 가능 합니다 굳이 중국에 제조공장을 갖지 않는 이유는 신생기업이라 자금문제도 있지만 대만은 OEMampODM에 특화된 국가이기 때문에 품질 좋은 다양한 제품주문이 가능하고 중국 사람들에게도 자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 보다 외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가 더 좋기 때문에 대만에서 생산한 뒤 수출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Q 대만에 한국 화장품 기업이 진출한다면 어떠한 마케팅 전략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 생각 하십니까

A 이미 대만에 한국의 화장품 제품들이 많이 들어와 있습니다 하지만 대만 자체의 화장품 기업들이 기존에 많은 시장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성공을 거두기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최근 한국에 대한 이미지가 많이 좋아졌고 한국의 영화나 드라마 등이 많이 알려지면서 인지도가 높아졌습니다 한국의 대기업의 경우 이러한 대규모 마케팅을 할 수 있으므로 큰 무리가 없겠지만 한국의 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한다면 최종 시장 공략 층은 대만이 아닌 중국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대만은 중화권으로 가기 위한 연결다리라고 생각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또한 중소기업은 큰 마케팅 비용을 부담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대만에서는 SNS나 각종 자선 행사에 참여하여 인지도를 높이는 것을 추천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1 -

Q 같은 제품이지만 대만과 중국에서 판매할 때 가격 책정이 다른 이유가 무엇인가요

A 그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해드리자면 국가마다 소비 성향이나 구매 능력 환율 경제 상황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경영 에서는 가격 차별화(Price discrimination)이라 부르는데요 각 나라의 시장 특성에 적정한 가격대를 책정해서 제품을 판매하는 전략입니다 혹시 중국 상류층이 몇 명인지 알고 있나요 제가 알기로는 대만 인구의 2배인 4000만 명이라는군요 아마도 한국 인구랑 비슷한 규모 일겁니다 게다가 중산층은 약 4억 명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4억 명의 중국 소비자들이 우리 제품을 1개씩만 구입 한다면hellip 상상만 해도 엄청 나겠죠 이야기를 하다 보니 다른 쪽으로 빠졌는데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이야기하면 물론 좋은 제품을 모든 곳에 저렴하게 제공 하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 그러나 항상 시장에서 저렴한 제품만이 성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대만이나 한국처럼 고도의 산업화가 이루어지고 시장이 크게 발전한 안정적인 단계는 좋은 제품이라도 가격 경쟁력에 신경 써야 합니다 왜냐하면 소비자들이 똑똑하기 때문에 정보력이 넓고 합리적인 소비를 지향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가격 성능 디자인 등 많은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중국 시장은 대만이나 한국과는 특성이 다릅니다 저렴하다고 해서 많이 제품이 많이 팔리기 보다는 가격대가 어느 정도 있는 제품일수록 또는 가격대가 높을수록 소비자들이 관심을 보입니다 대체적으로 중국 소비자들은 lsquo저렴한 제품은 품질이 낮거나 효능이 좋지 않은 제품일거야rsquo 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 때문에 화장품 박람회나 전시회에 저가 화장품을 가져와 홍보하더라도 중국 바이어나 소비자들은 큰 관심을 주지 않습니다 처음에 말했듯이 중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2 -

국 소비문화가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라는 심리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Wabfenix의 경우에는 신생기업이라 많은 투자 금액이 없을 뿐 더러 대만 화장품 시장에 진출하기에는 리스크가

크고 진입 장벽이 높습니다 그리고 이미 한국 화장품 기업들이 대부분 점유를 한 상황이기 때문에 대만 내수시장에만 집중하기에는 경쟁력이 부족하죠 그래서 중국을 주력 수출시장으로 삼고 있는데요 저희는 제품 성능 보다는 소비자의 이목을 끌 수 있는 디자인에 더 많은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중국에 Wabfenix만의 화장품 선물 문화를 정착 시키는 것이 목적인데요 높은 제품 가격만큼 소비자의 관심을 끌 수 있고 선물 문화나 꽌시(关系)가 많은 중국 문화 특성에 맞추어 선물용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중국 시장은 현재 젊은 중산층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품질이 낮은 화장품 보다는 수입 화장품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점으로 미루어볼 때 높은 가격 차별화와 Wabfenix만의 디자인 마케팅은 좋은 경쟁력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3 -

8 현지 시장조사 활동 (시장동향사진설문조사 자료)

8-1 시먼딩 설문조사

목적 대만 사람들의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및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대상 10대~20대 여성 및 화장품 전문매장 종사자장소 시먼딩시간 2015년 1월 7일 12일 총 두 차례에 걸쳐 진행방법 ①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 판넬에 국가별로 메이크업 사진을 표시하고 스티커를 붙이는 방식으로 투표함 공정성을 위해 국가 이름은 블라인드로 처리하였고 모두 동일 인물의 사진을 사용함②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표본집단을 50명으로 설정함 설문조사가 끝나면 사은품으로 한국 브랜드 마스크팩 증정함

8-2 사전 기획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판넬 기획도gt

化妝辦法喜好度的調查화장법 선호도 조사

大家給自己喜歡的化妝貼貼紙 여러분이 선호하는 메이크업에 스티커를 붙여 주세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4 -

대만의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안녕하십니까

다음의 내용은 대만 화장품 트렌드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자 관련조사를 실시하고자 하오니

있는 그대로의 생각을 기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귀하의 응답은 통계적 목적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본 설문은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물음에 대한 답변이나 해당란에 v 표를 해 주십시오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7) ② 화장품 전문매장(34) ③ 마트(5) ④ 홈쇼핑(2)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합계 총 50 명

바쁘신 시간에 의견을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지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5 -

8-3 설문조사 활동

lt2015년 1월 7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6 -

lt2015년 1월 12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7 -

lt활동 결과 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8 -

9 설문조사 통계 분석 (설문조사 응답 수분석결과)

9-1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결과gt

설문 조사 질문지 양식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12)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③ 마트(5) ④ 홈쇼핑(6)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9 -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gt

9-2 설문조사 항목 별 의견 및 추측

설문 조사 질문지 항목 (최다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② 20 ~ 25세 (13)

0

5

10

15

20

25

30

20대 이하 20세~24세 25세~29세 30세~39세 40대 이상

rarr 시먼딩은 대만의 홍대거리라 불리는 lsquo융캉제rsquo나 서울의 lsquo명동rsquo과 같이 젊은 층이 주로 활동하는 지역이다 설문조사 중에도 교복이나 체육복을 입은 학생들과 길거리에서 쇼핑을 즐기는 20대가 즐비할 만큼 활기 있는 거리다 덥고 습한 대만 기후 특성 상 과거엔 화장법이 크게 발전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국의 자연스러운 화장법이 큰 인기를 끌면서 시먼딩에 화장품 거리가 조성되어 있을 만큼 유동 인구가 많다 이 점으로 추측해보았을 때 압도적으로 10대와 20대 층이 많은 응답 수를 기록했다고 본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0 -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051015202530

온라인 화장품전문매장 마트 홈쇼핑 방문판매

rarr 대만 또한 한국과 비슷하게 시내에 많은 수의 화장품 전문매장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접근성이 굉장히 높았다 더불어 각 화장품 매장에서는 상품 할인과 같은 각종 프로모션을 진행하기 때문에 구매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 구매한다는 대답도 높은 편이었는데 거의 대부분이 와이파이존이어서 어디서나 인터넷을 한 활발히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온라인에서의 구매율도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0

5

10

15

20

25

30

NT$300 미만 NT$300~NT899 NT$900~NT$1499 NT$1500~NT2999 NT$3000

rarr 응답자들은 대부분이 한 달 간 화장품에 쓰는 돈을 최저 1만원 이상(NT$300 이상)이라고 답했는데 이는 70가 넘어가는 결과로 화장품에 대한 지출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만원 이상이라고 대답한 응답자들 또한 4분의 1을 넘기는데 이것은 젊은 연령층부터 시작하여 최근 피부 관리와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대만의 소비 수준에 대비하여 화장품 소비율이 높은 것도 이 때문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1 -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③ 성능(23)

051015202530

가격 디자인 성능 화장품 모델 브랜드

rarr 아열대 기후에 속하는 대만은 높은 기온과 습한 날씨 탓에 에어컨 환경에 자주 노출돼 피부 수분을 잃기 쉬워 기능성 화장품의 소비가 두드러진다 대만 화장품 시장은 토너 세럼 에센스 로션 크림 등의 모든 스킨케어 제품들이 보습기능을 강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백이나 안티에이징 리프팅 저자극 오일프리(Oil-free) 등의 기능까지 추가된 스킨케어 제품들이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조 화장품 소비가 늘어난 것은 최근 몇 년 들어 다양한 화장품 브랜드 접촉기회가 많아지고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젊은 여성의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색조화장품 또한 메이크업베이스와 BB크림 립스틱과 같은 베이스 메이크업이 수요가 많았다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④인터넷(22)

0

5

10

15

20

25

30

TV 잡지 친구 인터넷 메이크업샵

rarr 최근 빠른 인터넷망과 스마트폰 태블릿PC의 보급으로 인해 사람들과 사람사이의 연결망이 견고히 형성되고 있고 이것이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방법을 얻는 경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만 소비자들은 주로 인터넷 블로그 가족과 친구로부터 메이크업 정보를 획득 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만의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이므로 입소문마케팅과 판매를 바로바로 할 수 있는 유통구조가 도움이 될 것 같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2 -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0

5

10

15

20

25

30

청순 독특 귀여움 섹시

rarr 앞서 살펴보았듯이 대만은 한국과 비슷한 메이크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이것은 곧 청순한 메이크업 컨셉에 관심 있어 한다는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실제로 대만 여성소비자들은 깨끗한 피부 NATURAL한 베이스메이크업을 선호한다 한 듯 안 한 듯 자연스럽고 깨끗한 느낌의 한국식 lsquo생얼rsquo 화장법은 대만에서 한국 드라마 열풍과 함께 유명세를 타기 시작해 현지 각종 온라인 뷰티 사이트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래서 응답의 대부분이 한 곳에 치우쳤고 비교적 개성 있는 메이크업 방법이 드물 것이라는 것을 유추해낼 수 있다

본 설문 조사를 통한 한국 화장품 기업에 대한 시사점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수입 절차로 오랜 시간을 허비해야 하는 반면 대만은 자외선 차단제 성분 함유 제품과 약용 화장품을 제외한 일반 화장품은 별도의 수입 검사 없이 수입할 수 있으므로 대개 중국보다 1~2년 먼저 신상품이 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한류 효과를 겨냥한 중화권 화장품 시장으로 대만을 우선 공략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대만은 대부분이 화장품에 대한 소비를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고 한국 화장품이 많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시장 접근법만 제대로 수립하면 매출이 나는 구조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대만인들이 선호하는 메이크업 방법이 한국과 비슷하기 때문에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은 마케팅 방안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최종분석설문 조사 대상은 대부분 10대~20대의 연령층이었으며 화장품의 주된 구입경로는 lsquo온라인(24)rsquo과 lsquo화장품 전문매장(50)rsquo이 압도적이었다 더불어 한 달 간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lsquo1만 원 이상(72)rsquo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이것은 실제 생활수준에 대비하여 높은 소비량이므로 대만의 화장품 시장 전망이 밝다고 할 수 있다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부분은 lsquo성능(46)rsquo이었는데 이는 스타트업 기업 중소기업에게 유리한 조건이다 메이크업 방법을 얻는 방법으로는 lsquo인터넷(44)rsquo과 lsquo친구(30)rsquo가 높은 비율을 차지했는데 판촉활동으로는 인터넷을 활용한 SNS 홍보 바이럴 마케팅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가장 관심있는 화장 컨셉은 lsquo청순rsquo 이었고 이것은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와 맞물려 우리나라와 비슷한 메이크업 방법을 추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3 -

10 대만 명소 소개 (명소음식행사숙소 소개)

10-1 고궁박물관

대만 고궁박물원은 영국의 대영 박물관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 미국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과 함께 세계 4대 박물관으로 손꼽힐 만큼 세계적은 소장 문물을 자랑한다 건물 규모는 그다지 크지 않지만 소장한 문물의 질과 양은 세계 최상급이다 중화 보물 중에서도 최고의 보물들이 모여 있어 진귀하기 그지없고 수량 역시 워낙 방대하여 3개월 단위로 1만여점을 돌아가면서 전시해도 다보려면 10년이 넘게 걸린다고 전해지고 있다 중국의 국공내전 당시 장제스가 이끌던 중국 국민당이 전쟁에서 패하며 중국을 탈출해 대만으로 향했다 당시 장제스는 난징에 있던 정부를 타이페이로 이전하면서 자금성에 보관되어있던 중국역대 왕조 보물 수십만 점을 배를 이용해 운반해 왔다 중국의 유물을 가진 자가 진정한 통치자라고 생각했던 장제스는 ldquo공산군에게 영토는 내줘도 문화유산만큼은 내줄 수 없다ldquo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대표적인 유물은 취옥배추 육형석 모공정 산씨반 등이 있다

10-2 용산사

루강의 초입에 있는 이 사찰은 타이완에서 가장 오래되고 아름답다고 하여 타이완의 자금성이라고 부른다 각 건물의 기둥 벽 그리고 천장 등에 새겨진 조각은 특히 빼어나다 이 조각상과 함께 이곳의 명물로 알려진 것은 사찰 경내에 있는 2마리의 용상인데 삼천전 앞마당 좌우에 서서 룽산사를 호위하고 있다

10-3 타이페이 101 빌딩

타이베이 101빌딩rsquo이라 부르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로서 빌딩 모습은 하늘로 뻗어나가는 대나무 위에 꽃잎이 겹겹이 포개진 형상이다 본래 타이베이 금융기관이 모인 건물이지만 대형 쇼핑센터와 푸드코트 고급 레스토랑이 있어 여행자들이 많이 찾는다 건물에는 8개 마디가 있는데 이는 중화 문화권에서 부와 번영을 의미하는 숫자 lsquo8rsquo을 염두에 둔 것이다 타이베이 시내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는 높이 508m로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히는 높은 건물이다 지상 1~5층에는 소고 백화점 뷰티 플라자 애버뉴 101 등 다양한 패션∙뷰티용품을 구입할 수 있는 상점이 있다 또한 레스토랑 시티 스퀘어 대형 서점 등 쇼핑과 오락 식사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복합시설이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4 -

잘 알려진 식당으로는 딘 타이 펑(Din Tai Fung) 이 있다 101타워 지하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샤오롱바오(고기만두) 새우 샤오마이(새우만두) 탄탄면(우육면)이 가장 대표적인 메뉴이며 대만에 방문한 많은 사람들이 찾는 식당이다

10-4 지우펀

대만여행의 백미로 꼽히는 지우펀은 타이페이시 북부의 루이팡 지역의 작은 산골 마을로 과거에는 아홉가구만 살고 있어서 지우펀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예전에는 작은 산골 마을에 불과 했지만 이 지역에서 금맥이 발견되면서 호황을 맞이하게 된다 특히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일본풍의 건물들이 남아 있어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결합된 독특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비탈길을 따라 하늘로 이어진 예스러운 건물 그리고 골목마다 빨간 홍등과 함께 묻어나는 옛 풍경은 여행객들에게 인기 여행지이다

10-5 스린야시장

타이베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야시장 가운데 하나이다 독특하면서도 다양한 전통 먹을거리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이곳을 찾는 관광객이 많다 시장 부근에 학교가 많아 학생들이 많이 찾으며 포장마차 등의 노점상이 많아 가격도 저렴하다 칭런샹[情人巷]에는 가구 의류 액세서리 사진현상점 애완용품점 등이 모여 있어 학생뿐 아니라 관광객들도 자주 찾는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5 -

10-6 예류 지질 공원

타이완 북해안에 자리한 예류는 해수욕장과 온천 기암괴석으로 유명한 관광지다 특히 예류지질공원은 희귀한 모형의 바위와 암석이 모여 있어 예류 관광의 필수코스로 꼽힌다 작은 곶으로 된 예류지질공원은 침식과 풍화 작용을 거쳐 자연적으로 형성된 기암을 보러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지질공원으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것이 선상암 군락이다 암석 하나하나의 모습은 마치 거대한 버섯이 큰 머리로 하늘을 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선상암 가운데 가장 유명한 암석은 이집트 왕비의 옆모습을 닮은 여왕 두상 바위다

10-7 스펀(Shifen)

스펀(十分)은 옛 광산마을로써 천으로 만든 등이 유명하다 또한 이 곳 스펀은 대만 최대의 폭포 스펀(SE-FEN) 폭포가 있다 미니기차와 천으로 만든 등을 날릴 수도 있다 마을의 한가운데 긴 철길이 놓여 있고 30분에 한 대씩 기차가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것도 볼 수가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6 -

10-8 진과스(金瓜石)

진과스(金瓜石)는 타이완 타이베이 근교에 있는 옛 탄광 유적이다 20세기 전반에 금 채굴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20세기 후반에 금이 차차 고갈되기 시작하자 점점 위축되어 폐광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관광 명소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하루에도 수백명이 들렀다 가는 대만의 대표 관광지이다 진과스 내에 있는 황금 박물관에는 220kg 의 금이 전시 되어 있는데 손을 넣어 직접 만져 볼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진과스에서는 과거 광부들이 먹었던 도시락을 그대로 만들어 판매하는 광부 도시락도 굉장히 인기가 많다

10-9 국립 성공대학

대만의 타이난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1931년에 개교하였다 2010년 QS대학순위에서 283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대만 대학중 2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총 9개의 캠퍼스로 이루어져 있어 굉장히 큰 면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만 교육청에서 인정한 9개의 주요대학 중 하나이고 대만 기업체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학이다 이공계열이 가장 뛰어나며 중문 역사 법학 경제학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10 시먼딩

타이베이시에 위치한 시먼딩은 한국의 명동과 같은 거리이다 대한민국의 명동에도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과 외국인이 많다고 알려져 있는데 시먼딩 또한 명동 못지않은 다양함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대만의 패션과 놀이 문화 음식 등을 한눈에 경험 할 수 있는 공간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7 -

10-11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

중정기념당은 타이완 총통 장제스(蔣介石)를 기리는 전당이다 lsquo중정rsquo은 장제스의 본명이다 그가 서거한 후 1980년 기념당을 세웠다 25만에 이르는 넓은 중정공원 안에 우뚝 선 높이 70m의 기념물이 중정기념당이다 기념당 1층에는 장제스 생애를 엿볼 수 있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거대한 장제스 동상은 항상 근위병이 동상 앞을 지키고 있다 중정공원 안에는 중정기념당 외에 국립 희극원과 국립 음악청이 있는데 이곳에서 연극과 콘서트를 한다 공원 조경 또한 잘 조성되어 있어 산책하며 천천히 둘러보기에 좋다

10-12 안핑지구(安平地區)

대만의 문화와 역사는 안핑지구에서 시작되었다 안핑구바오는 17세기 중엽 네덜란드인들이 지은 요새로 정성공이 빼앗아 번영하다가 황폐해져 지금은 보루의 대부분이 없어지고 설탕과 굴껍데기와 찹쌀가루를 버무려 만든 빨간벽돌로 된 장벽(臺灣城殘蹟)만이 남아 나무뿌리와 존립의 사투를 벌이고 있다 감시탑 옆 건물 안에는 네덜란드와 정성공의 전투에 대한 이야기와 중세갑옷 등이 전시 중이다 이 주변에는 대만에서 가장 오래된 상업거리 옌핑제(延平街)가 있는데 옛 명성이 다한 거리의 골목 사이사이 수백년 된 가옥을 구경하는 것도 소소한 즐거움이다 1867년 영국인 상점과 물류창고로 이용하던 건물에 노용수(老榕樹)가 멋대로 자라 건물을 집어삼키듯 뒤덮은 나무집으로 불리는 안핑수우도 안핑지구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진귀한 볼거리다

10-13 미라마 관람차

대만에서 가장 큰 관람차로 알려져 있는 미라마 관람차는 타이페이 시의 야경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관람차 크기가 큰 것으로 유명하지만 가격 또한 저렴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유스트래블 카드를 이용하면 50 할인이 적용되므로 꼭 지참하도록 하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8 -

lt미라마 관람차 티켓gt lt유스트래블 카드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9 -

11 시사점 및 차후 활용계획 (LGC 프로그램을 통한 구체적인 효과 및 연구결과)

11-1 LGC 프로젝트 만족도

구분 항목 전 후 한줄 평

사업단

프로젝트 취지- 린튼 글로벌 학과와 경영정보학과 학생들이 함께

하는 프로젝트 해외시장탐방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사전교육 활동- 출국 전 각 나라에 대한 유의사항 안전교육이 체

계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개략적인 보고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었다

행정지원 절차- CK사업단 린튼 글로벌 학과 경영정보학과 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히 되지 않아 사전 계획에서 많은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협동력 향상- 출발 전 잦은 팀 회의와 8박 9일 간에 일정에도

불구하고 불화 없이 좋은 분위기 속에서 프로젝트를 완수 했다

추진력 향상- 일정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 한 점 추가 자료조

사를 위해 현지에서 새로운 일정을 추가 됐을 때 팀원들이 일사불란하게 따라주었다

문제해결 능력- 교통편 문제와 기업 측 내부 문제로 일부 일정에

변동이 있었지만 신속한 조율과 전화 통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개인

동기부여 자극- 현지인들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국어 영어 능

력의 필요성을 실감했다 특히 중국어는 소통 유무에 따라 현지 반응이 극명하게 갈렸다

진로설계 도움- 프로젝트 전에 비해 새로운 직업 분야에 대한 관심

이 증가했다

취업능력 향상-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한 내용을 살려 구술 면접이

나 자기소개서 작성에 참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11-2 LGC프로젝트 연구 결과 - 대만 시장

⓵ 중국시장을 주목하는 대만 화장품 기업- EST팀은 현지 대만 화장품 기업으로 SISDORA와 WABFENIX를 선택했다 두 회사를 선정한 배경에는

명확한 의도를 두고 정했다 SISDORA는 설립한 지 10년이 넘는 회사로 직접 화장품을 개발 및 연구하고 판매하는 중소기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과 주름개선 크림으로 중년 여성을 타깃 층으로 하는 화장품 회사다 반면 WABFENIX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스타트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 이지만 기술개발 보다는 디자인 마케팅에 중점을 두었고 판매 층도 10대-20대의 젊은 층을 타깃 층으로 한다 시장 전략이 완연히 다른 두 기업이 유일하게 공통점이 있다면 중국시장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선정 이유에는 많은 인구의 소비력을 꼽지만 뒤이어 언급하는 이야기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자사 제품의 경쟁력 약화를 말한다 현재 대만 기업 대부분은 내수 시장 대신에 중국을 겨냥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국가 산업 특성상 제조amp연구 분야가 강세인 대만에서는 중국 바이어 또는 미국 유럽 바이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직접 판매 보다는 기술 협력을 통해 이익을 창출한다고 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0 -

⓶ 대만 시장을 점령한 한국 화장품

- 앞서 말했듯이 2012년 이후부터 급속히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한국 화장품은 대만 시장을 점령하고 있다 이미 시먼딩에 들어서면 다양한 한국 화장품 매장이 눈에 띌 만큼 들어섰으며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중앙 광장에 입점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매장 안에는 많은 대만 사람들이 화장품을 보고 있는 광경을 흔히 본다 화장품 매장을 이용하는 연령층은 주로 10대-20대들이다 화장품 가격이 한국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주 애용하는 이유는 한류 열풍으로 인한 한국 연예인들에 대한 관심과 화장법이 크게 유행하고 있음을 현지 설문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⓷ 체감할 수 있을 만큼 커다란 한류열풍

- 뉴스에서만 듣던 한류 이야기를 대만에서 직접 느낄 수 있을 정도로 한류열풍은 크다 특히 삼성이나 LG의 TV나 스마트폰은 어딜 가든 항상 보이고 한국 화장품 선물에 대한 반응이 무척이나 뜨겁다 원활한 현지 조사를 위하여 사은품으로 준비한 한국 마스크 팩 100개는 오히려 현지인들이 참여 의사를 표현할 만큼 열정적이었다 일부 대만 사람 중에는 어디서 왔냐는 질문에 한국이라는 답변을 하니 같이 사진 찍기를 제안하기도 했다

⓸ 중소기업에게 있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는 대만 시장진출- 대만 시장 진출에 앞서 한국 화장품 중소기업이라면 전략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크게 대만 시장을 겨냥

할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할지 선택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3CE는 한국 화장품 회사다 대만에서 젊은 연령층이 자주 이용하고 이미 대만 내에서는 유명하다 3CE는 오프라인 매장 없이 순수 온라인 매장으로 운영하면서 대만 사람들을 위한 전용 웹사이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윤을 창출 하고 있다 신중해야 할 점은 현재 온라인 오프라인 등 한국 화장품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신규 진입에 있어서 장벽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대만 시장을 활용한다면 동남아 시장까지 한 번에 내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출입통관 절차가 간단하고 관세가 낮기 때문에 중소기업에게 유리하다 아직까지 중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1 -

에 대한 직접적인 수출이 가능한 곳은 상해나 항주 같이 중국에서 허가한 무역항 도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내륙까지 시장을 확대하기는 불가능하지만 같은 언어권인 대만을 거치면 보다 쉽게 바이어나 에이전트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인맥을 통한 꽌시와 수수료 명목으로 뒷돈을 요구하는 중국 바이어의 관행은 자금 순환이 원활치 않은 중소기업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11-3 LGC 프로젝트 종합 의견 및 전망

우리 lsquoEST팀은 출국 전 국내 화장품 시장 조사를 할 때 대덕 밸리 스타트업 기업 셀아이콘 랩의 영향으로 대만의 화장품 산업에 대해 큰 관심과 가능성을 보고 2015년 1월 5일부터 1월 13일까지 8박9일이라는 시간동안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 나라 중에 하나인 대만에서 rsquo대만의 화장품 시장lsquo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사를 했다 대만에서는 3개의 기업 (KOTRA SISDORA WABFENIX) 을 방문해 전반적인 대만의 화장품 시장과 판매전략 한류에 대한 보다 사실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1개의 대학 (국립성공대학 國立成功大學)에서 MBA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또 타이난에서는 대만에서 오랫동안 사업하시는 한인협회 회장을 만나 PLC (Product Life Cycle)를 통해 대만에서의 특정 시장이 도입기에 있는지 또 어떠한 시장이 쇠퇴기에 놓여있는지 다양한 시야에서 대만시장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노력은 CK 사업단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교육부 CK-1 프로젝트의 일부인 Linton Global Challenge는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몇 년을 내다보는 지속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기업들과 더욱 더 활발한 교류와 연구를 한다면 기업과 CK 사업단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리라고 본다

1 개인 탐방 후기 (팀원 개인 소감)

1-1 개인 탐방 후기

강성민탐방 후기 기업 컨택 부터 인터뷰 일정 계획까지 8박 9일간의 대만 화장품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 출국 전까지 준비 과정부터 탈도 많았고 대만에 와서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 원하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매일이 항상 회의와 고민의 연속이었다 하루하루 충실히 계획을 진행시켜 나갔고 좋은 팀 분위기 속에서 무사히 대만 프로

부록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2 -

젝트를 완수했다 그리고 마침내 한국으로 돌아왔다 과정은 항상 오르막 길이였지만 돌이켜 보면 마지막 대학 시절을 기념할만한 좋은 추억이자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느끼는 바가 많았던 프로젝트로 기억 될 것이다

김은진탐방 후기 글로벌 챌린지를 한마디로 정의하라고 한다면 도종환 시인의 lsquo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lsquo라는 시가 떠오른다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대만기업컨택 설문조사 등 많은 것을 경험했다 처음엔 모든 것이 나에겐 버거운 산이라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도전이 계속 될수록 이젠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이 모든 도전들에 흥미가 생겼다 나 자신도 책임감과 자신감이 생기고 한층 성숙해 진 것을 내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소중한 동료와 추억은 평생 나의 가슴속에 남을 것이다 우린 앞으로도 많이 도전하고 경험하여 우리들의 삶이 활짝 만개하리라 다짐한다 끊임없이 도전하는 20대의 청춘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프로그램이었다 김종선탐방 후기 한국에서 준비하면서 조사했던 내용과 비교하며 인터뷰를 해보니 실제로 많이 다른 부분도 있었고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 비슷한 내용도 있었다 현지의 기업들을 방문해 우리가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직접 매장에 가서 느껴보니 앉아서 컴퓨터만 볼 때랑 많이 달랐다 그리고 직접 대만인들에게 설문조사를 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그리고 대만의 실제 문화와 환경 그들의 생활을 잠시나마 볼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

구명우탐방 후기 며칠간의 꿈만 같았던 대만에서의 시간이 지나갔다 대만으로 출국하기 전 사전조사 기간에는 확신이 없었다 사전조사와 기업과의 인터뷰 그리고 9일간의 일정조율 및 숙박과 모든 대만에서의 연구와 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보고서까지 무엇하나 확신이 드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도전과 해결능력을 배웠고 아시아에서 급성장 중인 대만에 대해서 배우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다음기수로 가게 될 관심 있는 학우들에게 진심으로 추천해주고 싶다

이규현탐방 후기 CK-1 프로그램 중 하나인 lsquo린튼 글로벌 챌린지lsquo 프로그램을 통해 약 8박 9일이라는 시간 동안 emerging market 중 하나인 대만에 거주하면서 한국 화장품의 대만시장 점유율과 진출 가능성을 몸으로 체감하고 자료들을 모아 통계 내어 정리할 수 있었다 우리 팀 lsquoEST가 성공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충분한 국내조사 기간을 갖고 대만의 화장품 회사들을 방문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대만의 특정한 기업을 찾기도 어려웠고 기업 컨택은 번번히 거절당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회사 두 군데에서는 답장조차 오지 않았고 설문조사할 때에는 반한감정의 대만인을 만나 고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팀의 단결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리더의 통솔력으로 정해진 스케줄대로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회사를 방문하고 학교교수를 만나고 길거리에서 설문조사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팀원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또한 대학생으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을 한 것 같아서 스스로도 너무 뿌듯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팀을 믿고 지지해주신 LGSB 교수님들과 CK-1 프로그램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영은탐방 후기 처음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렇게 준비는 열심히 하지만 정말 우리가 계획한 100대로 대만을 다녀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기우가 무색하게도 대만은 우리에게 기획안 그 이상의 것들을 보여주었다 사장님들의 생생한 사업 이야기와 대만의 색채가 묻어있는 아이템들 하며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여 알아보는 비즈니스 마켓의 현장은 나에게 두고두고 잊지 못할 자산으로 남았다 또한 펑리수 버블티를 비롯한 대만의 맛있는 먹거리들과 스린 야시장이나 지우펀 같은 명소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열심히 고생해준 팀원들과의 추억들도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3 -

이서우탐방 후기 이번 글로벌 첼린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서 쉽게 할 수 없는 해외 기업 탐방과 해당 국가의 산업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임효진탐방 후기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팀이 대만을 방문 한다고 했을 때 많이 의아해 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만을 직접 방문해보고 많은 사업자들을 만난 결과 대만은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라고 생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아직 공산주의라는 정치적 특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다른 곳보다 훨씬 어렵지만 대만은 자유시장체제 이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쉽다 특히 외국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만 시장에서 한국제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추고 중국 시장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성공가능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그리고 대만의 바이어들을 통해 중국의 시장진출을 하게 된다면 사업자가 직접 중국시장에 진출 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성공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만은 문화적으로 다른 아시아권보다 선진화 되었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대도시에 속하지만 모두다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골고루 섞여 대만만의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차안호탐방 후기 9박 10일간의 대만을 다녀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넓고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이번 대만 여행은 처음으로 경험한 해외여행 경험이여서 그런지 순탄치 않은 면도 있었지만 팀원들 서로가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만시장은 중국시장으로 가기위한 좋은 시험의 장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대만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영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더 나아가 미래에는 중국어야말로 영어와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성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또 하나 놀란 점은 대만이 반 한류 감정을 많이 갖고 있는 줄 알았지만 대부분의 대만 일반 시민들이 굉장히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에 놀랐고 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CK-1 사업의 챌린지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대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계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보완점 및 건의사항 (문제점개선책건의사항)

2-1 기업 컨택의 어려움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에 있는 기업과 연결하여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대해서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조사 및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시간을 내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로써 그들의 귀한시간이 아깝게 쓰이지 않을 것을 강조하여 만남을 만들어야 한다

2-2 사업단과 의사소통의 불편함

Challeng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CK-1 사업단과의 지속되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가령 누군가를 통해서 전해지는 소문이나 촉박한 시간을 제시하고 일 처리를 원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단과 각 팀의 대표간의 분명한 의사소통과 증빙자료 등이 필요하다

2-3 정보 부재 이번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이머징 마켓에서의 유망 산업 조사 및 연구였다 대만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4: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 -

1-4 국립성공대학(國立成功大學)

-1월 9일 금요일 1500~1700 인터뷰주소 No1 University Road Tainan Taiwan연락처06-2757575 홈페이지 wwwnckuedutw

1-5 WABFENIX RENIX GLORY GLORIA GUA

-1월 12일 월요일 1300~1500 인터뷰주소 14F-1 No420 Sec 4 Xinyi Rd Xinyi Dist Taipei City 110 Taiwan (ROC)대표 Mr KEN 전화886-5569-0555URL httpswwwfacebookcomrenixfanspage httpwwwwabfenixcom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 -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6 -

2 예산 사용 내역 (항공편숙박비식비기타비용)

2-1 종합 예산

사용 내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7 -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8 -

3 해외 탐방 성과 (종합적인 의견)

3-1 대만 일정 간 EST팀 성과

대만 현지 기업 2곳 방문 및 인터뷰(SISDORAcoltd Wabfenixcoltd) 대만 지사 코트라 방문 및 인터뷰 대만 lsquo성공대학(成功大學)rsquo MIS학과 진정충(陳正忠) 교수 및 학생들과 미팅 가오슝 한인협회 회장 인터뷰 시먼딩(西門丁)에서 현지인을 대상으로 한 화장품 설문조사 실시

시먼딩은 한국 화장품 거리로 불리는 lsquo명동rsquo과 비교되는 동 단위의 지역으로 평가받는다

3-2 기업 측면

대덕밸리 스타트업 기업(주)셀아이콘 랩의 대만 시장 진출 가능성을 탐색 대만 시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대만의 화장품 기업들의 홍보 효과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품에 대한 인식 조사 대만에 진출해 있는 한국 화장품 기업의 입지 조사 대만 화장품 시장의 유통경로 조사 새로운 홍보 전략의 일환으로 관계 유지 가능

3-3 학생 측면

모든 일정을 학생들이 직접 나서서 해야 한다는 점에서 자립심과 해결능력을 함양 해외의 이머징 마켓을 직접 보고 느끼면서 글로벌 마인드의 함양 학생들의 리더쉽과 자신감 획득 영어 및 중국어 능력 향상

3-4 사업단 측면

CK-1 사업 목표 및 취지에 부합한 성공적인 프로젝트 선례로 활용 가능 글로벌 IT 경영학과 및 글로벌 비즈니스 학과 홍보 전략으로 활용 가능

학생이라는 신분으로 대만 현지에 있는 기업들을 마주하는 일은 정말로 어려운 일이었다 하지만 출국 전부터 기업과의 꾸준한 연락과 철저한 준비로 마침내 미팅 날짜를 잡고 대만 현지에서 연락하던 기업들과 직접 만나 대만 화장품 시장에 대해 조사를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우리가 일정동안 찾았던 기업은 총 5곳으로써 국내외 기업간의 투자 및 산업기술 협력의 지원등을 맡고 있는 KOTRA in Taiwan 그리고 대만에서 기능성 화장품으로 유명한 SISDORA 대만의 타이난 지역 내에서 한국과 대만의 화장품 중개무역을 담당하시는 대표님 마스크 팩의 중국진출과 번뜩이는 아이템으로 중국 화장품 시장 내에서 대박을 생각 중이신 MrKen 등 정말 다양한 위치에서 일하고 계신 분들을 만났다 또한 -EST 는 그곳에서 만난 인연으로 101타워의 프리미엄 퍼스널 릴렉스 트레이닝 센터와 디저트로 유명한 Mango 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이뿐만 아니라 대만의 명동과 같은 ldquo시먼딩rdquo에서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품에 대한 인식을 조사 할 수 있었으며 화장으로 대표적인 5개국의 화장법을 두고 투표를 하여 한국 화장품 기업의 미래가 밝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번 프로젝트는 이머징 마켓으로써 시장 조사 뿐만 대만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시민의식 등을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101타워 용산사 예류 지질 공원 스펀 지우펀 진과스 온천 등과 같은 대만을 충분히 느낄 수 있는 다양한 관광지를 방문했으며 특히 친절한 대만인들과의 소통으로 대만이 어떠한 나리인지 뼈 속 까지 알게 되는 느낌이었다

이 모든 활동을 통하여 대만 화장품 시장의 특성을 명확히 이해하게 되었으며 넓게는 대만의 미래가 굉장히 밝다는 느낌을 들게 해주었다 또한 학생들 개인적인 측면으로 9명 모두에게 자립심과 도전심을 가지게 해준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9 -

좋은 기회였다

3-5 기대효과

현지 시장조사 자료 획득 자사 시제품 반응결과 파악 사업단과의 지속적인 연계

3-6 사업단 측면 효과

학과 내 MIS-DAY 또는 관련 과목 강의에서 특강 해외탐방 동아리 개설 차기 CK프로젝트 멘토 활동 가능

1 팀 소개 (사진이름담당역할)1-1 팀 소개

EST팀 지도교수 및 멤버

강성민(25) - 조장전체 계획 수립 및 제안

김종선(25)국내 및 국제 시장 조사

차안호(25)프로젝트 연구 통계 분석

이서우(24)예산 수립 및 예산 관리

본문 내용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0 -

구명우(24)투어 일정 수립

김은진(22)

현지 시장 조사

임효진(24)

공고인터뷰일정 및 숙소 예약

이영은(22)

보고서 작성 및 프리젠테이션 제작

이규현(23)

사진 및 동영상 촬영 편집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1 -

2 대만 소개 (국가 기본정보한국과의 관계)

국호臺灣(Taiwan)

- 대만의 공식국호는 lsquo中華民國(Republic of China)rsquo - 국제 행사에서는 lsquoChinese Taipeirsquo 사용

위치 동남아시아

면적 36193(한반도의 16배 남한면적의 13배)

기후 아열대 몬순 기후권

수도 타이베이(Taipei 台北 서울의 약 12크기)

인구 약 2천 3백만 명

주요도시Taipei City(269만명) New Taipei City(390만명)

Kaohsiung City(277만명) Taichung City(265만명)Tainan City(187만명)

민족구성 민남인(74) 외성인(13) 객가인(15) 원주민(2)

언어 공용어(중국어)상용어(민남어 객가어 원주민어)

종교 불교(35) 도교(33) 기독교(26) 천주교(13) 회교(02) 등

건국일 191211(중화민국건국일)

정치형태 입헌민주공화국

국가원수총 통 마잉주(馬英九 Ma Ying-Jiou)

2012114 재선성공 2012520 취임식부총통 우둔이(吳敦義 Wu Den-yih)

GDP ㅇ2012년 US$ 4804억ㅇ2013년 US$ 4789억

2-1 대만 소개

국가 개요

경제 지표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2 -

ㅇ20141~6월년 US$ 2433억

경제성장률ㅇ2012년 148ㅇ2013년 219ㅇ2014년 2분기 384

1인당 GDP ㅇ2011년 US$ 20246ㅇ2012년 US$ 20502ㅇ2013년 US$ 20984

실업률ㅇ2012년 424ㅇ2013년 418ㅇ2014년 2분기 397

물가상승률ㅇ2012년 193ㅇ2013년 079ㅇ2014년 2분기 121

외환보유고ㅇ2012년 US$ 3942억ㅇ2013년 US$ 4168억ㅇ20146월 US$ 4235억

산업구조 제조업(233) 도소매업(181) 부동산업(85) 금융보험업(65) 농업(187)

교역규모ㅇ2012년US$ 3012억(수출) US$ 2705억(수입) 무역수지US$ 307억ㅇ2013년US$ 3055억(수출) US$ 2701억(수입) 무역수지 US$ 354억ㅇ20141~6월US$ 1534억(수출) US$ 1372억(수입) 무역수지 US$ 162억

주요교역품 ㅇ수출 전자제품 기본 금속 제품 플라스틱 및 고무 제품 광학기기 화학품ㅇ수입 광물 전자제품 화학품 기계 기본 금속 제품

환율ㅇ2012년 US$ 1=NT$ 2962ㅇ2013년 US$ 1=NT$ 2977ㅇ2014 6월 US$ 1=NT$ 3004

화폐단위 New Taiwan Dollar(NT$)

외교 관계

ㅇ 1948 8월 대만정부 대한민국 정식 승인ㅇ 1949 8월 주타이베이 한국대사관 개설ㅇ 1992 8월 한국-대만 단교ㅇ 1993 11월 주타이베이 한국대표부 개설ㅇ 1994 1월 주한 타이베이대표부 개설

교역 규모 ㅇ 2011년

한국-대만 외교 관계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3 -

(한국 기준)

- 수출 US$182억 수입 US$1469억 무역수지 US$35억ㅇ 2012년 - 수출 US$148억 수입 US$140억 무역수지 US$8억ㅇ 2013년 - 수출 US$157억 수입 US$146억 무역수지 US$107억ㅇ 20141~6월 - 수출 US$75억 수입 US$75억 무역수지 US$04억

주요교역 품목ㅇ 수출 반도체 기초유분 철강판 석유화학 중간원료 컴퓨터 정밀화학원료 반

도체 제조용 장비 광학기기 석유제품 선박 등ㅇ 수입 반도체 컴퓨터 기구부품 철강판 무선통신기기 기타 중전기기 평판디

스플레이 및 센서 기타 석유화학제품 플라스틱 제품 정밀화학원료 등

상호 투자

ㅇ 우리나라의 對대만 투자 - 2010년 43건 US$1400만 2011년 42건 US$4700만 - 2012년 38건 US$950만 2013년 26건 US$1700만 - 1968~2013년 624건 US$ 5억 6300만ㅇ 대만의 對한국 투자 - 2010년 5건 US$340만 2011년 7건 US$2800만 - 2012년 9건 US$2100만 2013년 14건 US$6100만 - 1962~2013년 181건 US$ 6억 1200만

교민 총 교민수 약 3천 4백여명

양국 간 교역 동향

수출입 동향

Ÿ 한국과 대만은 주요 수출입 품목이 반도체 철강 컴퓨터 화학원료 등으로 중복되는 경향이 강하며 상호비교우위 품목을 위주로 교역이 이뤄지고 있음

Ÿ 전년도 수출 급감에 따른 기저효과 스마트기기 및 테블릿 산업의 성장과 이에 따른 부품 수요 증가 한류영향 품목의 수출 확대 등으로 인하여 2013년도 한국의 對대만 수출은 전년대비 6 늘어났으며 수입 역시 44의 증가세를 보임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4 -

구분2012년 2013년 2014년 1~6월

금액 증감 금액 증감 금액 증감

총계 2882 -124 3033 52 1502 -328

수출 1481 -186 1570 60 753 -726

수입 1401 -46 1463 44 749 135

수지 8 -771 10 25 04 -945

순위 품 목2012년 2013년 2014년

1~6월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1 반도체 3578 -342 3742 46 2169 1572 석유제품 2239 -29 2810 255 953 -3563 기초유분 1381 198 1314 -48 531 -2084 정밀화학원료 406 -426 477 176 272 1835 석유화학중간원료 532 -376 586 101 220 -516 반도체제조용장비 311 -222 344 107 195 -107 자동차부품 239 209 168 -298 159 8728 광학기기 238 -248 283 188 151 969 기구부품 217 111 375 727 147 -28210 플라스틱 제품 250 -124 286 147 142 16

lt 한국-대만 수출입 동향gt (단위 억 달러 )

자료원 한국 관세청

lt한국의 對대만 10대 수출 품목gt (단위 백만 달러 )

주 MTI 3분류 2013년 수출액순 자료원 한국 관세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5 -

순위 품 목 2012년 2013년 2014년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1 반도체 8114 117 8874 94 4438 -102 기구부품 757 124 867 146 341 -2343 철강판 420 -312 398 -52 181 -1474 컴퓨터 616 -570 356 -422 171 -635 기타석유화학제품 227 -103 199 -125 143 9856 플라스틱 제품 324 229 288 -111 136 -1057 동제품 156 46 194 245 125 2108 합성수지 159 -19 172 81 108 2739 평판디스플레이및센서 133 -215 138 35 106 29110 기초유분 155 -250 132 -143 98 425

lt한국의 對대만 10대 수입 품목gt (단위 백만 달러 )

주 MTI 3 분류 2013년 수입액 순 자료원 한국 관세청

양국 간 상호 투자현황

대만의 對 한국 투자현황lt대만의 對韓 투자동향gt

(단위 건 백만 달러)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1~6월 누계(62~2014)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5 34 7 280 9 21 14 61 3 3 184 615

자료원 대만 경제부 투자심의위원회 신고 기준

Ÿ 대만기업의 對韓 투자는 10~20만 달러 규모의 판매법인 설립이 대부분이며 대규모 그린필드형 투자는 중국 및 동남아지역에 RampD형 투자는 미국과 일본에 집중되고 있음thorn 대만기업의 對韓 투자는 지난 5년간 연평균 25천만 달러에 불과

Ÿ 또한 중국 투자환경 악화로 동남아 등지의 신흥시장으로의 제조기반 이동에 대한 투자가 늘고 있으며 유턴투자도 증가

Ÿ 한편 주요 산업분야에서 대만은 한국과 경쟁적 보완관계이며 일본과는 보완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음thorn 특히 한 대만간 반도체 디스플레이 기업간 경쟁이 심해지면서 대만 IT업계를 중심으로 lsquo聯日抗韓(일본

과 연합하여 한국을 견제하자)는 주장이 제기되는 등 대만기업의 일본 편중현상은 심화되고 있음Ÿ 지금까지 대만의 대표적인 對韓 투자사례로는 2007년 IC디자인 기업인 SIMO의 FCI 인수(8800만 달러)

2010년 대만의 최대 철강회사 CSC의 동부메탈 지분인수(4200만 달러) 2010년 IC 테스팅 업체 Ardentec 웨이퍼 테스팅 공장 설립(4000만 달러) 2012년 6월 반도체 패키징 업체인 ASE의 라인증설(8000만 달러) 등이 있음

Ÿ 최근에는 금융권을 중심으로 한국기업에 대한 MampA SI 투자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어 주목받고 있음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6 -

thorn 2013년에는 대만의 1위 증권사 위안타가 한국의 동양증권 인수를 발표 양국의 금융감독기관 허가를 받아 2014년 연내 합병 추진 중(25억 달러)

thorn 또한 다국적 제약회사 Alvogen은 대만 LOTUS를 인수 동아시아 HQ로 삼고 한국 제약회사(드림파머) 인수를 추진 중

우리나라의 對 대만 투자현황

lt한국의 對대만 투자동향gt (단위 건 백만 달러)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1~3월 누계(lsquo68~lsquo14)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43 13 44 47 38 9 34 68 15 5 646 617

자료원 한국수출입은행 신고 기준

Ÿ 제조업 분야에서의 對대만 투자는 시장개척 및 고객사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임

Ÿ 우리기업의 대표적 투자 사례로는 2005년 LCD 장비 업체 PKL사의 LCD용 포토마스크 공장설립(4000만 달러) 2007년 게임업체 넥슨의 감마니아 지분인수(2100만 달러) 등이 있음

Ÿ 2011년 4월 미래에셋(Mirae Asset Global Investments)은 타이완라이프자산운용에 약 1000만 달러를 투자 자산운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Ÿ 2014년에는 PCB 기판 업체 달마전자가 가오슝에 공장을 설립 9월 준공식을 앞두고 있음

3 탐방 목적 (주요 목표부가 목표기대 효과)3-1 탐방 목적

주요 목표 1 대덕밸리 스타트업기업 (주)셀아이콘랩의 대만진출 가능성 탐색 2 대만 소비자들의 기능성 화장품 인식 조사 3 대만화장품시장의 유통경로 조사

기대 효과기업측면 기대 효과

⓵ 현지 시장조사 자료 획득⓶ 자사 시제품 반응결과 파악⓷ 사업단과의 지속적인 연계

사업단측면 기대 효과⓵ CK 사업 목표 또는 취지에 부합(CK ndash University for Creative Korea)⓶ 새롭게 출발하는 lsquo글로벌IT경영학과rsquo의 홍보전략으로 활용 가능

학생측면 기대 효과

⓵ EST팀 특강 ndash 학과 내 MIS Day 혹은 관련 과목 강의에서 특강⓶ 해외 탐구 동아리 개설⓷ CK 멘토와 후원 활동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7 -

4 사전조사 활동 (셀아이콘랩)

4-1 기능성 화장품 연구amp제조 기업 lsquo셀아이콘랩rsquo 기업 인터뷰

회사 소개

회사명 셀아이콘랩주소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대로 1646 한남대학교 사이언스파크 312호 대표자명 성민규 대표 사업분야 코스메슈티컬 펩타이드 소재개발 피부 전문가용 코스메슈티컬 화장품 OEMODM 주문 생산 방식

인터뷰 내용 1) 셀아이콘랩 2014년도에 많은 해외 박람회에 참여하고 있는데 해외시장 진출 의사가 있으신가요= 저희 회사의 사업화 로드맵을 보시면 2014년에 해외영업 마케팅 판매가 계획되어 있고 올해 들어 중국 러시아 카자흐스탄 말레이시아 등 여러 나라를 방문하여 박람회에 참가하고 실질적으로 상품을 판매하고 반응을 살피고 있습니다

2) 그렇다면 대만 화장품 시장 진출에 대해 고려해본 적은 있으신가요 만약 진출을 고려해보았다면 대만의 화장품시장에서 원하는 자료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대만시장을 접할 기회가 부족했을 뿐 내년에 대만 시장진출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셀아이콘랩은 현재 거래중인 중국 카자흐스탄 등지의 국가들에서 더 나아가 대만이나 홍콩과 같은 중화권 시장의 가능성을 느끼고 해당나라에 진출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요구사항 대만의 수출수입 인허가 절차 관세 세금 시장가격 형성 요인 화장품 유통 채널 구매경로 트렌드 또한 대만 시장에 뷰티샾(우리나라의 올리브 영)같은 종합 매장이 형성과정 실질적인 구매력을 알아보기 위한 대학 졸업생의 평균 초봉 등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8 -

5 화장품 산업 및 환경 분석 (연구자료 첨부)

구분 2011 2012 2013(1월 ~ 11월)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및 성장률 19427798 42 19421349 00 191454345 08

5-1 화장품 시장 동향

시장규모 및 전망thorn 대만의 약품 및 화장품 시장규모는 2013년 기준 1914억 달러로 2012년 대비 008 증가

최근 3년간 대만 약품 및 화장품 시장규모 및 성장률 (단위 천 달러)

자료원 대만경제부 통계처

시장전망thorn 수요 감소 예상 요인 대만 화장품시장은 다양한 국산 수입제품들이 오랜 시간 경쟁하는 포화된 시장thorn 종합의견 다수 유명 외국 브랜드(예 SHISEIDO KOSE 등)는 대만에 공장을 설립해 국산 브랜드와

경쟁하고 있으며 대만 정부의 각종 규제가 엄격하고 많아 허가 관련 등록서류 및 비용으로 인한 진입 장벽이 큼

소비자 구매 패턴thorn 주요 소비자 계층 14~55세 등 다양thorn 소비자 구매 동기 귀엽고 여성스러운 디자인 미백 보습 등과 같은 눈으로 확인 가능한 기능성 민감

성 피부에 바로 사용 가능한 화장품을 선호하는 추세

제품 트렌드thorn 대만 시장에서 국산 브랜드보다 수입 브랜드의 인기가 더 높으며 그중 일본 브랜드가 장시간 많은 인

기를 유지하여 왔음thorn 최근 한국 드라마에서 스타들이 연출하는 화장법 또는 유명 스타가 광고하는 한국 화장품이 큰 인기

를 얻고 있으며 한류 열풍으로 대만에서 수입 화장품 판매량이 늘어나면서 국산 화장품의 신제품 개발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

thorn 피부과 및 의학미용센터에서 다양한 시술(보톡스 반점 제거 여드름 크리닉 모공축소 레이저 비지 제거 등)을 받아 꾸준히 피부관리를 받고 다니는 여성들이 많아지는 추세에 따라 기능성을 강조하는 의학미용(aesthetic medicine) 화장품 혹은 시술 받고 나서도 바로 사용 가능한 기초화장품(무자극 보습효과 강조)이 유행하기 시작함

해당 산업 관련 정부 정책thorn GMP 정책 글로벌 추세에 따라 대만 화장품의 품질middot제조 수준 및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대만 경

제부공업국과 대만 위생서는 2008년 9월 4일부터 lsquo자발성 화장품 우량제조규범 검증제도(自願性化妝品優良製造規範驗證制度)rsquo를 실시한다고 발표함 약품 의료기기 식품을 이어 화장품이 네 번째로 GMP검증을 받는 산업이 되었음 ISO 22716 규범으로 주요 참고 근거로 보고 있음 동시에 화장품 GMP 추진 플랫폼을 설립하고 기업 문의에 대한 상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9 -

구분 2011 2012 2013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및 성장률 614293 1192 600356 -227 557784 -085

순위 국가 금액 점유율 증감율2011 2012 2013 2011 2012 2013 1312

총계 614293 600356 557784 100 100 100 -0851 일본 248980 237052 199987 40531 39485 35854 -113212 프랑스 116031 111983 110509 18888 18653 19812 45333 미국 89984 96689 89924 14648 16105 16122 -03914 한국 29779 29329 36746 4848 4885 6588 386345 중국 23444 30114 30138 3816 5016 5403 99486 영국 15895 14619 14482 259 2435 2596 29227 독일 16799 14327 14159 274 2386 2538 96758 스위스 13631 12401 11151 222 2066 1999 -5329 태국 9929 9214 8943 162 1535 1603 533310 이탈리아 12312 8853 8632 2 1475 1548 7727

5-2 수입동향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동향 (단위 천 달러 )

주 대만 국제무역국

최근 3년간 상위 10개국의 수입통계

주요 수입국 현황(HS Code 330499 기준) (단위 천 달러 )

자료원 대만 경제부 국제무역국 중화민국수출입무역통계(httpcus93tradegovtwFSCI)

수입관세 및 관련 제도thorn 관세 0thorn 통관 시 유의사항 대만에서 화장품은 의료용 또는 약품을 함유하지 않은 lsquo일반화장품rsquo과 lsquo함약화장

품rsquo 등 세 종류로 나눠져 있음 함약화장품의 경우 통관 시 대만 위생서에서 발행한 위생허가증을 제시해야 함

thorn 필수 인증 현황 함약화장품(예 염색제 파마제 자외선차단제 땀 억제제 치아미백제 등)은 대만 위생서 허가를 받아야 수입 및 제조판매를 할 수 있음 허가 신청 시 제품명 성분 제조업체명 제조업체주소 해외 수입업체명 수입업체주소 제품 전성분 용량 용도 사용법 유효기간 샘플 Certificate of Analysis Certificate of Sales SPF ampUVA 검사보고서 등이 필요함(세부사항은 대만 위생서 홈페이지 참조바람)

5-3 유통구조

유통채널 종류thorn 오프라인 백화점 H ampB(Watsons Cosmed SaSa 등) 방문판매 약국 각종 마트 편의점 피부과

피부관리센터 전문판매점(로드숍)thorn 온라인(여기는 virtual channel을 뜻함) 홈쇼핑 온라인 쇼핑몰(경매 브랜드 홈페이지 등 포함) 우편

주문(郵購) 등이 있음

유통채널 점유율 오프라인 유통채널의 점유율은 여전히 70~90 정도로 높게 차지하고 있으나 온라인 유통채널의 점유율도 빠른 속도로 상승하고 있음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0 -

브랜드명 제품명 가격 판매순위

SHISEIDO 100 1

SKII 133 2

ESTEE LAUDER 100 3

항목 내용전시회명(현지어명) 2014春夏國際美容化妝品展전시회명(한국어) 2014 춘하 국제미용화장품 전시회

전시품목 미용 화장품개최국가도시 타이베이

유통채널 활용 방안 아직까지 온라인 채널의 점유율이 높지 않으나 대만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블로그 등)에 영향을 많이 받는 편이어서 오프라인 채널에 진입하기 전에 온라인으로 먼저 마케팅(브랜드 이미지메이킹 블로거 마케팅 등)을 진행하는 방법을 추천함 대만 오프라인 채널의 진입장벽은 매우 높으며 비교적으로 이윤이 많이 남는 온라인시장에서 브랜드 파워를 먼저 키우면 오프라인 채널에 들어가는 길이 훨씬 수월해질 것으로 예상함

5-4 경쟁동향

경쟁제품 현황주요 경쟁제품 현황

(단위 달러)

한국 제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 및 선호 브랜드 현황thorn 한국 제품 현지 인지도 높음thorn 선호 브랜드 3CE INNISFREE NUTURE PUBLIC MISSHA THE FACE SHOP LANEIGE 등

5-5 효과적인 시장 진출 전략

타깃 고객층thorn 타깃 고객층 20~30대 초반thorn 타깃 사유 유행에 따라 새로운 것을 많이 도전하고 한류의 영향도 가장 많이 받는 젊은 층이 한국

화장품을 소비하는 경우가 많음 35세 이후의 직장 여성 혹은 가정주부들은 여전히 일본 혹은 유럽 미국의 고가 화장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활용 가능한 마케팅 방안 ⓵ 현지 전시회 정보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1 -

개최주기 3월경개최기간(2014년) 0321~0325

웹사이트 httpwwwudnicecom

⓶ 전시회 이외의 주요 마케팅 방안 블로거 마케팅 등 ⓷ 유력 홍보 방안(전문잡지 온라인 매체 등)

thorn 온라인 매체 Fashion guide(httpwwwfashio guidecomtw) UrCosme(httpwwwurcosmecom)

thorn 전문잡지 VIVI BEAUTY 大美人 Style W Marie laire Fashion Guide 등

시장 확대를 위한 무역관 의견 대만 화장품시장은 가격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 시장 진입 시 확실한 브랜드 포지션을 정해야 하며 해당 포지션의 대만 제품 가격을 조사한 후에 대만 최종 소비가격을 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

또한 소비자들은 할인세트 및 사은품에 약하여 각종 행사 진행 시 사은품 증정 혹은 묶음세트로 판매하는 것을 추천 보습(특히 히알루론산 성분 강조) 및 미백(대만 정부에서 인증된 미백성분이어야 함) 제품을 매우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6 탐방 상세 일정 (일정표 - 기간 지역)

날짜 지역105(월) 인천 ~ 대만 타이페이

시간 일정0600 인천공항 도착

0600 ~ 0920 인천공항 대기0920 ~ 1140 인천공항 rarr 대만 1140 ~ 1230 대만 입국 수속1230 ~ 1320 숙소 이동 (용산사 역)1320 ~ 1500 짐정리1500 ~ 1600 회의 및 일정정리1600 ~ 163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630 ~ 1800 KOTRA방문 및 인터뷰1800 ~ 1830 101타워 딘 타이 펑 이동(도보)1830 ~ 1910 저녁식사 - 딘 타이 펑1930 ~ 2100 101 타워 야경감상2100 ~ 2130 숙소로 이동2130 ~ 223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6(화) 타이페이

시간 일정0900 기상

0900 ~ 110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30 ~ 1230 점심식사 - 마라훠거1230 ~ 1300 SISDORA 본사로 이동

6-1 8박 9일 대만 일정 (150105 ~ 150113)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2 -

1300 ~ 1530 SISDORA 방문 및 인터뷰1600 ~ 1800 101타워 퍼스널 트레이닝 센터 방문1800 ~ 1930 저녁식사 - 카렌 레스토랑1930 ~ 2000 숙소로 이동2000 ~ 2100 개인 휴식2100 ~ 223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7(수) 타이페이

시간 일정0900 기상

0900 ~ 113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30 ~ 120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200 ~ 1250 점심식사 - 키키 레스토랑1250 ~ 1300 시먼딩 이동1300 ~ 1530 화장품 설문조사1530 ~ 1830 한국 화장품 매장 제품 조사1830 ~ 1900 야시장 이동(MRT)1900 ~ 2000 저녁식사 ndash 야시장 음식2000 ~ 2030 숙소로 이동2030 ~ 2130 개인 휴식2130 ~ 230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30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8(목) 타이페이 ~ 타이난

시간 일정0830 기상

0830 ~ 110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00 ~ 1200 체크아웃 및 고속철도역 이동1200 ~ 1340 타이페이 rarr 타이난 이동1340 ~ 1400 짐 보관 및 인터뷰 장소 물색1400 ~ 1600 가오슝 한인협회장 인터뷰1600 ~ 1700 숙소도착 및 짐정리1700 ~ 1800 개인 휴식1800 ~ 1900 저녁식사 - 새우롤2000 ~ 2230 중간 정리 및 보고서 작성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9(금) 타이난

시간 일정0800 기상

0830 ~ 0900 아침 식사0900 ~ 1130 타이난 일정 브리핑 및 팀 미팅1130 ~ 1210 타이난 시내로 이동(TAXI)1210 ~ 1320 점심식사 - 스시1320 ~ 1350 성공대학 이동(도보)1350 ~ 1700 성공대학 방문1700 ~ 1800 성공대학 캠퍼스 탐방 및 대학원생들과 대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3 -

1800 ~ 1830 저녁식사 - 대만 전통 음식점1830 ~ 1900 타이난 RT마트 이동(도보)1900 ~ 2030 RT 마트 장보기2030 ~ 2100 숙소로 이동2100 ~ 2200 개인 휴식2200 ~ 2330 팀 회의 및 예산 정리

23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12(월) 타이페이

시간 일정0800 기상

0800 ~ 0900 아침식사(호텔 조식 제공-선택)0900 ~ 1130 호텔 개인시간1130 ~ 123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230 ~ 130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300 ~ 1600 Wabfenix 방문 및 인터뷰1600 ~ 1630 간식 - 망고차차1630 ~ 1700 시먼딩 이동(MRT)1700 ~ 1830 화장품 설문조사 활동1830 ~ 1930 저녁 식사 - 코코이찌방야2030 ~ 2130 개인 휴식2130 ~ 2300 팀 회의 및 예산 정리

230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13(화) 대만 ~ 인천공항

시간 일정0800 기상

0800 ~ 0900 아침 식사0900 ~ 1130 짐정리1130 ~ 1200 체크아웃1300 ~ 1400 점심식사 - 스시(시먼딩)1400 ~ 1430 쑹산 공항 이동(TAXI)1430 ~ 1530 시먼딩 rarr 쑹산공항1530 ~ 1730 출국 대기1730 ~ 2100 대만 출국 rarr 대한민국

2100 대한민국 입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4 -

7 방문 기업 소개 (인터뷰 내용)

7-1 대만 KOTRA

-2015년 1월 5일 월요일 1630~1800 인터뷰-위치 台北市 基隆路 1段 333號 22樓 14室(2214室) Intl Trade Building 22층-전화 (886-2)2725-2324 -팩스(886-2) 2757-7240

Q대만에 대하여 간단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우선 대만은 남한의 13의 해당하는 영토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구역시 남한에 비해 적은 2천 3백만 명 정도이며 기후는 아열대 몬순 기후권으로 비교적 따듯한 날씨입니다여러분이 대만에 와보셔서 알겠지만 대체로 습한느낌을 받으셨을 탠대 대만은 겨울에도 남한만큼은 춥지 않습니다 언어는 주로 중국어를 사용하며 문자는 중국과 살짝 다른 번자체를 사용합니다1인당 GDP는 2013년 기준 20984 달러 정도이며 산업구조는 제조업과 도소매업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Q현재 우리나라의 어떤 기업들이 대만에 진출해 있는지 궁금합니다

A최근에는 화장품을 주력 제품으로 아모레퍼시픽등 화장품 대기업들이 타이페이 시내에 로드샵을 많이 개점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대만은 제조업과 도소매업이 주를 이루다 보니 20~30년 전부터 진출한 기업들이 계속해서 입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주로 삼성물산 현대종합상사 LG상사 LG전자등 대기업이 주를 이루고 있고 우리나라 기업은 1년에 한 기업정도 대만에 진출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Q그렇다면 대기업을 제외한 중소기업들이 대만시장에 진출하지 않는 이유가 따로 있습니까

A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아무래도 중국시장이 개방을 하면서 인 것 같습니다 기존에 진출해있는 기업들은 과거 대만이 인프라 구축이 미흡했을 당시 해외투자를 많이 받으면서 비교적 좋은 조건으로 대만에 진출하고 인프라 구축등 사업을 진행하면서 기반을 다졌을 겁니다 그 기반으로 지금까지 대만시장에 진출해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중소기업의 경우는 해외투자가 너무 모험적이며 대만 시장과 중국의 시장을 비교하여 봤을 때 인구가 차이가 약 8배 정도 나며 중국에 비해 비교적 작은 시장이라고 느껴 대만보다는 중국에 많이 진출하는 것 같습니다

Q마지막 질문으로 만약 우리나라 중소기업이 대만시장에 진출할 때 유의해야 할 점이나 좋은 팁이 있을까요

A대만 시장에 완전히 진출해야겠다는 생각보다는 중국이나 다른 중화권 나라의 진출하기전 시험의 장소로 생각하고 진출해보는 것은 나쁘지 않다 생각 합니다 아무래도 대만의 인구가 많은 편이 아니다보니 불리한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5 -

조건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이나 다른 큰 중화권 시장으로 진출하기 전에 언어나 문화 중화권사람들의 사고방식등 여러방면에서 시험해 볼 수 있는 좋은 장소는 틀림없습니다 중소기업이 대만시장에 진출할 때는 코트라를 이용하여 각종 정보나 현지 인프라등을 이용하는 것 또한 하나의 방법이며 무엇보다 중화권의 문화와 중화권 대중들의 생각을 잘 공부하고 언어를 습득하여 오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7-2 SISDORA luxury beauty care

-1월 6일 화요일 1300~1530 인터뷰 1600~1800 101타워 퍼스널트레이닝 센터-주소 No9Aly 10Ln265Sec 4Xinyi RdDaan Dist Taipei City 106-대표 Mr Chung-Cheng Lee -전화886-2-27040889-URL httpwwwsisdoracom

Q 간략한 회사 소개와 SISDORA의 유래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A Isadora는 고대 이집트의 가장 강력한 여신의 이름입니다 Sisdora는 이 여신의 이름을 따서 만든 브랜드 이름입니다 이집트의 고대 여신인 Isadora의 이시스는 선물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고 생명과 건강 아름다움을 담당하는 여신으로도 유명합니다 저희 SISDORA는 비슷한 동음 이의어로 동양의lsquoISIS(이시스)rsquo라는 단어가 있어 브랜드 명을 SISDORA로 정하게 되었습니다Q Sisdora 제품 소개 부탁드립니다

A저희 제품은 안티에이징 미백 마스크 제품을 주력으로 하고 있습니다 동일 제품군을 비교해 봤을 때 가격 및 품질은 상위에 속하는 최상품의 제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마스크 팩 대부분은 종이섬유로 제조하는 반면 저희 Sisdora는 누에의 실(실크)로 만든 마스크 팩 입니다 실크마스크 팩을 제조할 때에는 피부 건강에 좋은 약재 및 약초등을 배합하여 제조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피부에 자극적인 향로를 첨가하지 않았고 수분이 빠르게 흡수 될 수 있습니다 덕분에 저희 마스크 팩을 사용하는 고객들은 부드럽고 산뜻한 느낌을 받으실 수 있을 겁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6 -

Q 귀하의 회사는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어떤 마케팅을 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A 저희는 해마다 대만 타이페이 글로벌 미스코리아 대회에 제품을 협찬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대만 유명 가수들과 함께 제품을 결합시킨 뮤직비디오를 제작하여 마케팅에 힘쓰고 있습니다뿐만 아니라 제품의 품질인증을 바탕으로 러시아 중국 동남아 지역에 진출하는대 힘쓰고 있습니다 저희 제품은 대만 내에서 스킨케어 제품으로써 유일하게 지정 브랜드 수상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저희는 주로 매스컴이나 인터넷을 통한 마케팅이나 엔터테이먼트 컨벤션 산업을 활용하여 마케팅을 하고 있습니다

Q 그렇다면 대한민국의 화장품 제품이 대만에 진출해 있는데 대한민국 화장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는 어떤지 궁금합니다

A 최근 5년 사이에 한국의 드라마 음악등 한류를 타고 대만에도 많은 한국 제품이 등장하였습니다 하지만 대만에는 오래전부터 수입화장품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이탈리아의 산타 마리아 노벨라 프랑스의 아이젠버그등 명품 화장품 브랜드가 오래전부터 입점해 현지 화장품시장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 때문인지 한국 화장품의 인지도는 크게 높지는 않습니다 아무래도 유럽 브랜드 그 다음으로 대만 기업의 브랜드 그 다음으로 한국의 화장품 브랜드 순으로 인지도가 형성되어 있다고 생각됩니다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한국화장품은 다른 명품 화장품들의 가격보다 저렴하고 성능이나 효과 면에서 절대 뒤처지지 않아 한류가 지속되고 마케팅이 잘 이루어진다면 충분히 유럽의 명품화장품의 인지도를 뛰어 넘을 수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Q 한국의 중소기업의 화장품이 대만 시장에 진출하는 것에 대해서는 어떤 의견을 갖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A 한국의 대기업 화장품 브랜드가 아닌 중소기업의 화장품 브랜드가 대만에 진출하는 것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겁니다 하지만 저희 회사도 중소기업으로 시작하여 마케팅 전략을 잘 활용 하여 많이 성장하였습니다 아무래도 한국의 중소기업의 화장품이 대만에 진출하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있겠지만 어떤 마케팅 전략을 선택하느냐가 가장 중요하고 마케팅이 잘 이루어지고 입소문이 퍼진다면 한국의 중소기업 화장품 또한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7 -

7-3 가오슝 한인협회

-1월 8일 목요일 1400~1600 인터뷰-주소 高雄市鼓山區二路37巷弄43-2號(고웅시고산구이로37항81롱43-2호)-대표 尹桓鎬(윤환호) HP 0932-740-538 -電話 07-5211933 -傅眞 07-5214031

Q 대만과 한국과의 무역 관계가 어떠한지 궁금합니다

A 한국과 대만과의 무역은 크게 활발하게 이루어 질 수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대만의 시장 자체가 매우 작기 때문에 대만에 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국내 시장이나 다른 큰 해외 시장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대만 시장을 거쳐서 동남아나 중국 시장으로 진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여서 기존에 존재하는 대기업이나 저처럼 오래 전부터 이민한 분들이 소규모로 중개무역을 하고 있는 정도입니다

Q 현재 한인협회 회장님께서 직접적으로 하는 일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현재 저는 한국의 화장품을 수입하여 대만 현지 기업에게 판매하는 중개무역을 하고 있습니다 대만에 온지 20년이 넘었는데 이런 저런 일을 하다가 기회가 되어 이쪽 일을 하게 되었는데요 처음에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인식이 없어 가격은 비싸고 품질의 보증은 되어 있지 않은 제품이라 소비가 크게 늘지 않았는데 한류 열풍이 불고 한국 드라마의 성공과 그 배우들이 광고하는 화장품의 수요가 크게 늘어 몇 년 전부터 시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Q 한국과 대만과 중국의 관계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해 주세요

A 앞서 말씀 드린 것 같이 한국의 기업은 대만을 통하여 중국 시장의 진출을 위하여 대만 시장을 많이 찾습니다 그 이유는 한국 기업이 대만 시장을 통해서 제품을 인정받는다면 대만과 중국은 같은 언어권의 나라로 대만기업을 통해 중국으로의 활로를 개척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왜 이렇게 돌아서 진출을 하려고 물으셨는데 그것은 쉽게 말해서 말이 잘 통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의 중국어를 잘 구사하는 사람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보다는 대만의 사람이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주고 인정을 해준다면 더욱 쉽게 자리를 잡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8 -

Q 스타트 기업의 대만 진출 성공여부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중소기업이 대만에 들어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현재 한국 내에서의 위치를 높이는데 주력하는 것이 좀 더 낫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대만은 아주 뛰어난 기술력을 가지고 있지만 자체 제품을 생산하지 않습니다 예로 Apple에서 전체 아이디어를 미국에서 한다면 그 아이디어 실행은 대만에서 이루어집니다 그리고 제품의 생산은 대부분 중국에서 이루어 지구요 이렇듯 대만의 기술력과 제품에 대한 이해가 빠르기 때문에 수입을 많이 의존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중소기업이 들어와서 제품을 판매한다 쉽게 성공할 수 없죠

Q 회장님께서는 중국과의 중개무역은 생각하고 있으시지 않습니까

A 네 저는 지금의 생활에 만족하고 있습니다 지금 저의 파트너들과의 관계도 좋고 따로 중국 진출은 생각하고 있지 않습니다 만약에 제가 중국을 진출하게 된다면 현재의 기업들과도 경쟁상대가 되어 저는 생각이 없습니다

7-4 국립성공대학(國立成功大學)

-1월 9일 1350~1700 인터뷰-주소 701 臺南市東區大學路1號-연락처06-2757575 -홈페이지 wwwnckuedutw

대만 국립 성공대학은 931년 타이난에 설립된 이공계 명문 대학입니다 국립성공대학은 66개의 캠퍼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각 캠퍼스마다 특징과 분위기가 다릅니다 우리 국립성공대학은 ldquo북대대 남성공(北臺大 南成功)rdquo 이라는 말이 있듯이 역사는 대만대학의 바로 다음갑니다

국립성공대학의 이름의 의미는 성공은 무엇을 성취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대만의 민족영웅인 정성공(鄣成功)을 기념하기 위한 대학이라는 뜻입니다 성공대학은 정성공이 있던 역사명승 적감루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해 있기도 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9 -

이후 인터뷰로 대만의 소개와 간단한 전공 소개가 있었다

7-5 WABFENIX RENIX GLORY GLORIA GUA

-1월 12일 월요일 1300~1500 인터뷰-주소 14F-1 No420 Sec 4 Xinyi Rd Xinyi Dist Taipei City 110 Taiwan (ROC)-대표 Mr KEN -전화886-5569-0555-URL httpswwwfacebookcomrenixfanspage httpwwwwabfenixcom

Q Wabfenix가 어떤 기업인지 소개 해주세요

A 저희 회사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으로 현재는 매장은 없지만 개발한 제품을 바탕으로 사업을 진행 중이고 대만현지에 저희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저희 회사는 제품의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화장품을 개발하여 대만시장 뿐만 아니라 중국시장의 진출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Q 귀하의 제품은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제품이라 하셨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제품 등이 있습니까

A 우선 Heymore 제품군의 블랙 마스크 팩과 Renix 제품군의 일반 마스크 팩을 출시했습니다Heymore의 경우 선물용임을 부각시키기 위해 디자인에 특히 많은 투자를 하였습니다 중국 중산층을 겨냥한 제품으로 가격대 1봉지에 한화 ₩40000 정도로 높게 책정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가격을 높게 측정한 이유에는 중국 화장품 소비문화 속에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 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에 저가 보급형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0 -

제품인 Renix와 차별을 두는 판매 전략을 선택하였습니다 현재 판매되는 제품은 마스크 팩을 주력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Q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인데 중국을 대상으로 어떤 진출 전략을 갖고 있습니까

A중국에서 열리는 화장품 전시회 화장품 엑스포 행사 바이어 미팅 등 꾸준히 참가중이며 바이어들에게 저희 제품을 어필하고 있습니다 물론 신생기업인 만큼 아직 중국 내에서 뚜렷한 판매 실적을 기록하진 못했지만 타 화장품 기업들과 다른 마케팅 방식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디자인이나 제품의 아이디어를 강조하고 있는데 대표 적인 상품으로 오뚝이 모양을 한 화장품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이 오뚝이 제품을 바이어들에게 어필해 보았는데 대단히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Q 해외시장 마케팅과 대만 시장마케팅의 차이점이 있습니까

A 우선 중국에서의 마케팅은 행사나 전시회에 참여하고 바이어들을 개인적으로 만나는 것에 치중해 있다면 국내 대만시장의 마케팅 전략은 페이스북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대만은 중국에 비해 SNS가 많이 발달되어 있어 자금이 많이 들어가지 않는 SNS마케팅을 하고 있고 각종 자선행사에 참여하여 저희 기업을 홍보하고 있습니다

Q 귀사의 제품을 중국보다 비싼 인건비가드는 대만 제조공장에서 생산하는 겁니까

A타이중에 소재하는 공장에서 마스크를 제조 하고 있습니다 인건비가 비싼 것은 대만 수도인 타이페이에만 주로 해당이 됩니다 지방 소도시에서도 외곽으로 들어가면 저렴한 인건비와 공장 가동비용으로도 제조가 가능 합니다 굳이 중국에 제조공장을 갖지 않는 이유는 신생기업이라 자금문제도 있지만 대만은 OEMampODM에 특화된 국가이기 때문에 품질 좋은 다양한 제품주문이 가능하고 중국 사람들에게도 자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 보다 외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가 더 좋기 때문에 대만에서 생산한 뒤 수출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Q 대만에 한국 화장품 기업이 진출한다면 어떠한 마케팅 전략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 생각 하십니까

A 이미 대만에 한국의 화장품 제품들이 많이 들어와 있습니다 하지만 대만 자체의 화장품 기업들이 기존에 많은 시장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성공을 거두기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최근 한국에 대한 이미지가 많이 좋아졌고 한국의 영화나 드라마 등이 많이 알려지면서 인지도가 높아졌습니다 한국의 대기업의 경우 이러한 대규모 마케팅을 할 수 있으므로 큰 무리가 없겠지만 한국의 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한다면 최종 시장 공략 층은 대만이 아닌 중국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대만은 중화권으로 가기 위한 연결다리라고 생각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또한 중소기업은 큰 마케팅 비용을 부담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대만에서는 SNS나 각종 자선 행사에 참여하여 인지도를 높이는 것을 추천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1 -

Q 같은 제품이지만 대만과 중국에서 판매할 때 가격 책정이 다른 이유가 무엇인가요

A 그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해드리자면 국가마다 소비 성향이나 구매 능력 환율 경제 상황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경영 에서는 가격 차별화(Price discrimination)이라 부르는데요 각 나라의 시장 특성에 적정한 가격대를 책정해서 제품을 판매하는 전략입니다 혹시 중국 상류층이 몇 명인지 알고 있나요 제가 알기로는 대만 인구의 2배인 4000만 명이라는군요 아마도 한국 인구랑 비슷한 규모 일겁니다 게다가 중산층은 약 4억 명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4억 명의 중국 소비자들이 우리 제품을 1개씩만 구입 한다면hellip 상상만 해도 엄청 나겠죠 이야기를 하다 보니 다른 쪽으로 빠졌는데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이야기하면 물론 좋은 제품을 모든 곳에 저렴하게 제공 하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 그러나 항상 시장에서 저렴한 제품만이 성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대만이나 한국처럼 고도의 산업화가 이루어지고 시장이 크게 발전한 안정적인 단계는 좋은 제품이라도 가격 경쟁력에 신경 써야 합니다 왜냐하면 소비자들이 똑똑하기 때문에 정보력이 넓고 합리적인 소비를 지향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가격 성능 디자인 등 많은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중국 시장은 대만이나 한국과는 특성이 다릅니다 저렴하다고 해서 많이 제품이 많이 팔리기 보다는 가격대가 어느 정도 있는 제품일수록 또는 가격대가 높을수록 소비자들이 관심을 보입니다 대체적으로 중국 소비자들은 lsquo저렴한 제품은 품질이 낮거나 효능이 좋지 않은 제품일거야rsquo 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 때문에 화장품 박람회나 전시회에 저가 화장품을 가져와 홍보하더라도 중국 바이어나 소비자들은 큰 관심을 주지 않습니다 처음에 말했듯이 중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2 -

국 소비문화가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라는 심리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Wabfenix의 경우에는 신생기업이라 많은 투자 금액이 없을 뿐 더러 대만 화장품 시장에 진출하기에는 리스크가

크고 진입 장벽이 높습니다 그리고 이미 한국 화장품 기업들이 대부분 점유를 한 상황이기 때문에 대만 내수시장에만 집중하기에는 경쟁력이 부족하죠 그래서 중국을 주력 수출시장으로 삼고 있는데요 저희는 제품 성능 보다는 소비자의 이목을 끌 수 있는 디자인에 더 많은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중국에 Wabfenix만의 화장품 선물 문화를 정착 시키는 것이 목적인데요 높은 제품 가격만큼 소비자의 관심을 끌 수 있고 선물 문화나 꽌시(关系)가 많은 중국 문화 특성에 맞추어 선물용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중국 시장은 현재 젊은 중산층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품질이 낮은 화장품 보다는 수입 화장품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점으로 미루어볼 때 높은 가격 차별화와 Wabfenix만의 디자인 마케팅은 좋은 경쟁력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3 -

8 현지 시장조사 활동 (시장동향사진설문조사 자료)

8-1 시먼딩 설문조사

목적 대만 사람들의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및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대상 10대~20대 여성 및 화장품 전문매장 종사자장소 시먼딩시간 2015년 1월 7일 12일 총 두 차례에 걸쳐 진행방법 ①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 판넬에 국가별로 메이크업 사진을 표시하고 스티커를 붙이는 방식으로 투표함 공정성을 위해 국가 이름은 블라인드로 처리하였고 모두 동일 인물의 사진을 사용함②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표본집단을 50명으로 설정함 설문조사가 끝나면 사은품으로 한국 브랜드 마스크팩 증정함

8-2 사전 기획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판넬 기획도gt

化妝辦法喜好度的調查화장법 선호도 조사

大家給自己喜歡的化妝貼貼紙 여러분이 선호하는 메이크업에 스티커를 붙여 주세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4 -

대만의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안녕하십니까

다음의 내용은 대만 화장품 트렌드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자 관련조사를 실시하고자 하오니

있는 그대로의 생각을 기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귀하의 응답은 통계적 목적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본 설문은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물음에 대한 답변이나 해당란에 v 표를 해 주십시오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7) ② 화장품 전문매장(34) ③ 마트(5) ④ 홈쇼핑(2)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합계 총 50 명

바쁘신 시간에 의견을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지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5 -

8-3 설문조사 활동

lt2015년 1월 7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6 -

lt2015년 1월 12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7 -

lt활동 결과 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8 -

9 설문조사 통계 분석 (설문조사 응답 수분석결과)

9-1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결과gt

설문 조사 질문지 양식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12)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③ 마트(5) ④ 홈쇼핑(6)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9 -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gt

9-2 설문조사 항목 별 의견 및 추측

설문 조사 질문지 항목 (최다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② 20 ~ 25세 (13)

0

5

10

15

20

25

30

20대 이하 20세~24세 25세~29세 30세~39세 40대 이상

rarr 시먼딩은 대만의 홍대거리라 불리는 lsquo융캉제rsquo나 서울의 lsquo명동rsquo과 같이 젊은 층이 주로 활동하는 지역이다 설문조사 중에도 교복이나 체육복을 입은 학생들과 길거리에서 쇼핑을 즐기는 20대가 즐비할 만큼 활기 있는 거리다 덥고 습한 대만 기후 특성 상 과거엔 화장법이 크게 발전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국의 자연스러운 화장법이 큰 인기를 끌면서 시먼딩에 화장품 거리가 조성되어 있을 만큼 유동 인구가 많다 이 점으로 추측해보았을 때 압도적으로 10대와 20대 층이 많은 응답 수를 기록했다고 본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0 -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051015202530

온라인 화장품전문매장 마트 홈쇼핑 방문판매

rarr 대만 또한 한국과 비슷하게 시내에 많은 수의 화장품 전문매장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접근성이 굉장히 높았다 더불어 각 화장품 매장에서는 상품 할인과 같은 각종 프로모션을 진행하기 때문에 구매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 구매한다는 대답도 높은 편이었는데 거의 대부분이 와이파이존이어서 어디서나 인터넷을 한 활발히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온라인에서의 구매율도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0

5

10

15

20

25

30

NT$300 미만 NT$300~NT899 NT$900~NT$1499 NT$1500~NT2999 NT$3000

rarr 응답자들은 대부분이 한 달 간 화장품에 쓰는 돈을 최저 1만원 이상(NT$300 이상)이라고 답했는데 이는 70가 넘어가는 결과로 화장품에 대한 지출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만원 이상이라고 대답한 응답자들 또한 4분의 1을 넘기는데 이것은 젊은 연령층부터 시작하여 최근 피부 관리와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대만의 소비 수준에 대비하여 화장품 소비율이 높은 것도 이 때문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1 -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③ 성능(23)

051015202530

가격 디자인 성능 화장품 모델 브랜드

rarr 아열대 기후에 속하는 대만은 높은 기온과 습한 날씨 탓에 에어컨 환경에 자주 노출돼 피부 수분을 잃기 쉬워 기능성 화장품의 소비가 두드러진다 대만 화장품 시장은 토너 세럼 에센스 로션 크림 등의 모든 스킨케어 제품들이 보습기능을 강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백이나 안티에이징 리프팅 저자극 오일프리(Oil-free) 등의 기능까지 추가된 스킨케어 제품들이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조 화장품 소비가 늘어난 것은 최근 몇 년 들어 다양한 화장품 브랜드 접촉기회가 많아지고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젊은 여성의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색조화장품 또한 메이크업베이스와 BB크림 립스틱과 같은 베이스 메이크업이 수요가 많았다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④인터넷(22)

0

5

10

15

20

25

30

TV 잡지 친구 인터넷 메이크업샵

rarr 최근 빠른 인터넷망과 스마트폰 태블릿PC의 보급으로 인해 사람들과 사람사이의 연결망이 견고히 형성되고 있고 이것이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방법을 얻는 경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만 소비자들은 주로 인터넷 블로그 가족과 친구로부터 메이크업 정보를 획득 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만의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이므로 입소문마케팅과 판매를 바로바로 할 수 있는 유통구조가 도움이 될 것 같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2 -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0

5

10

15

20

25

30

청순 독특 귀여움 섹시

rarr 앞서 살펴보았듯이 대만은 한국과 비슷한 메이크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이것은 곧 청순한 메이크업 컨셉에 관심 있어 한다는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실제로 대만 여성소비자들은 깨끗한 피부 NATURAL한 베이스메이크업을 선호한다 한 듯 안 한 듯 자연스럽고 깨끗한 느낌의 한국식 lsquo생얼rsquo 화장법은 대만에서 한국 드라마 열풍과 함께 유명세를 타기 시작해 현지 각종 온라인 뷰티 사이트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래서 응답의 대부분이 한 곳에 치우쳤고 비교적 개성 있는 메이크업 방법이 드물 것이라는 것을 유추해낼 수 있다

본 설문 조사를 통한 한국 화장품 기업에 대한 시사점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수입 절차로 오랜 시간을 허비해야 하는 반면 대만은 자외선 차단제 성분 함유 제품과 약용 화장품을 제외한 일반 화장품은 별도의 수입 검사 없이 수입할 수 있으므로 대개 중국보다 1~2년 먼저 신상품이 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한류 효과를 겨냥한 중화권 화장품 시장으로 대만을 우선 공략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대만은 대부분이 화장품에 대한 소비를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고 한국 화장품이 많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시장 접근법만 제대로 수립하면 매출이 나는 구조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대만인들이 선호하는 메이크업 방법이 한국과 비슷하기 때문에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은 마케팅 방안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최종분석설문 조사 대상은 대부분 10대~20대의 연령층이었으며 화장품의 주된 구입경로는 lsquo온라인(24)rsquo과 lsquo화장품 전문매장(50)rsquo이 압도적이었다 더불어 한 달 간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lsquo1만 원 이상(72)rsquo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이것은 실제 생활수준에 대비하여 높은 소비량이므로 대만의 화장품 시장 전망이 밝다고 할 수 있다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부분은 lsquo성능(46)rsquo이었는데 이는 스타트업 기업 중소기업에게 유리한 조건이다 메이크업 방법을 얻는 방법으로는 lsquo인터넷(44)rsquo과 lsquo친구(30)rsquo가 높은 비율을 차지했는데 판촉활동으로는 인터넷을 활용한 SNS 홍보 바이럴 마케팅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가장 관심있는 화장 컨셉은 lsquo청순rsquo 이었고 이것은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와 맞물려 우리나라와 비슷한 메이크업 방법을 추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3 -

10 대만 명소 소개 (명소음식행사숙소 소개)

10-1 고궁박물관

대만 고궁박물원은 영국의 대영 박물관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 미국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과 함께 세계 4대 박물관으로 손꼽힐 만큼 세계적은 소장 문물을 자랑한다 건물 규모는 그다지 크지 않지만 소장한 문물의 질과 양은 세계 최상급이다 중화 보물 중에서도 최고의 보물들이 모여 있어 진귀하기 그지없고 수량 역시 워낙 방대하여 3개월 단위로 1만여점을 돌아가면서 전시해도 다보려면 10년이 넘게 걸린다고 전해지고 있다 중국의 국공내전 당시 장제스가 이끌던 중국 국민당이 전쟁에서 패하며 중국을 탈출해 대만으로 향했다 당시 장제스는 난징에 있던 정부를 타이페이로 이전하면서 자금성에 보관되어있던 중국역대 왕조 보물 수십만 점을 배를 이용해 운반해 왔다 중국의 유물을 가진 자가 진정한 통치자라고 생각했던 장제스는 ldquo공산군에게 영토는 내줘도 문화유산만큼은 내줄 수 없다ldquo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대표적인 유물은 취옥배추 육형석 모공정 산씨반 등이 있다

10-2 용산사

루강의 초입에 있는 이 사찰은 타이완에서 가장 오래되고 아름답다고 하여 타이완의 자금성이라고 부른다 각 건물의 기둥 벽 그리고 천장 등에 새겨진 조각은 특히 빼어나다 이 조각상과 함께 이곳의 명물로 알려진 것은 사찰 경내에 있는 2마리의 용상인데 삼천전 앞마당 좌우에 서서 룽산사를 호위하고 있다

10-3 타이페이 101 빌딩

타이베이 101빌딩rsquo이라 부르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로서 빌딩 모습은 하늘로 뻗어나가는 대나무 위에 꽃잎이 겹겹이 포개진 형상이다 본래 타이베이 금융기관이 모인 건물이지만 대형 쇼핑센터와 푸드코트 고급 레스토랑이 있어 여행자들이 많이 찾는다 건물에는 8개 마디가 있는데 이는 중화 문화권에서 부와 번영을 의미하는 숫자 lsquo8rsquo을 염두에 둔 것이다 타이베이 시내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는 높이 508m로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히는 높은 건물이다 지상 1~5층에는 소고 백화점 뷰티 플라자 애버뉴 101 등 다양한 패션∙뷰티용품을 구입할 수 있는 상점이 있다 또한 레스토랑 시티 스퀘어 대형 서점 등 쇼핑과 오락 식사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복합시설이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4 -

잘 알려진 식당으로는 딘 타이 펑(Din Tai Fung) 이 있다 101타워 지하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샤오롱바오(고기만두) 새우 샤오마이(새우만두) 탄탄면(우육면)이 가장 대표적인 메뉴이며 대만에 방문한 많은 사람들이 찾는 식당이다

10-4 지우펀

대만여행의 백미로 꼽히는 지우펀은 타이페이시 북부의 루이팡 지역의 작은 산골 마을로 과거에는 아홉가구만 살고 있어서 지우펀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예전에는 작은 산골 마을에 불과 했지만 이 지역에서 금맥이 발견되면서 호황을 맞이하게 된다 특히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일본풍의 건물들이 남아 있어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결합된 독특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비탈길을 따라 하늘로 이어진 예스러운 건물 그리고 골목마다 빨간 홍등과 함께 묻어나는 옛 풍경은 여행객들에게 인기 여행지이다

10-5 스린야시장

타이베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야시장 가운데 하나이다 독특하면서도 다양한 전통 먹을거리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이곳을 찾는 관광객이 많다 시장 부근에 학교가 많아 학생들이 많이 찾으며 포장마차 등의 노점상이 많아 가격도 저렴하다 칭런샹[情人巷]에는 가구 의류 액세서리 사진현상점 애완용품점 등이 모여 있어 학생뿐 아니라 관광객들도 자주 찾는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5 -

10-6 예류 지질 공원

타이완 북해안에 자리한 예류는 해수욕장과 온천 기암괴석으로 유명한 관광지다 특히 예류지질공원은 희귀한 모형의 바위와 암석이 모여 있어 예류 관광의 필수코스로 꼽힌다 작은 곶으로 된 예류지질공원은 침식과 풍화 작용을 거쳐 자연적으로 형성된 기암을 보러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지질공원으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것이 선상암 군락이다 암석 하나하나의 모습은 마치 거대한 버섯이 큰 머리로 하늘을 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선상암 가운데 가장 유명한 암석은 이집트 왕비의 옆모습을 닮은 여왕 두상 바위다

10-7 스펀(Shifen)

스펀(十分)은 옛 광산마을로써 천으로 만든 등이 유명하다 또한 이 곳 스펀은 대만 최대의 폭포 스펀(SE-FEN) 폭포가 있다 미니기차와 천으로 만든 등을 날릴 수도 있다 마을의 한가운데 긴 철길이 놓여 있고 30분에 한 대씩 기차가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것도 볼 수가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6 -

10-8 진과스(金瓜石)

진과스(金瓜石)는 타이완 타이베이 근교에 있는 옛 탄광 유적이다 20세기 전반에 금 채굴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20세기 후반에 금이 차차 고갈되기 시작하자 점점 위축되어 폐광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관광 명소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하루에도 수백명이 들렀다 가는 대만의 대표 관광지이다 진과스 내에 있는 황금 박물관에는 220kg 의 금이 전시 되어 있는데 손을 넣어 직접 만져 볼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진과스에서는 과거 광부들이 먹었던 도시락을 그대로 만들어 판매하는 광부 도시락도 굉장히 인기가 많다

10-9 국립 성공대학

대만의 타이난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1931년에 개교하였다 2010년 QS대학순위에서 283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대만 대학중 2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총 9개의 캠퍼스로 이루어져 있어 굉장히 큰 면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만 교육청에서 인정한 9개의 주요대학 중 하나이고 대만 기업체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학이다 이공계열이 가장 뛰어나며 중문 역사 법학 경제학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10 시먼딩

타이베이시에 위치한 시먼딩은 한국의 명동과 같은 거리이다 대한민국의 명동에도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과 외국인이 많다고 알려져 있는데 시먼딩 또한 명동 못지않은 다양함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대만의 패션과 놀이 문화 음식 등을 한눈에 경험 할 수 있는 공간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7 -

10-11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

중정기념당은 타이완 총통 장제스(蔣介石)를 기리는 전당이다 lsquo중정rsquo은 장제스의 본명이다 그가 서거한 후 1980년 기념당을 세웠다 25만에 이르는 넓은 중정공원 안에 우뚝 선 높이 70m의 기념물이 중정기념당이다 기념당 1층에는 장제스 생애를 엿볼 수 있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거대한 장제스 동상은 항상 근위병이 동상 앞을 지키고 있다 중정공원 안에는 중정기념당 외에 국립 희극원과 국립 음악청이 있는데 이곳에서 연극과 콘서트를 한다 공원 조경 또한 잘 조성되어 있어 산책하며 천천히 둘러보기에 좋다

10-12 안핑지구(安平地區)

대만의 문화와 역사는 안핑지구에서 시작되었다 안핑구바오는 17세기 중엽 네덜란드인들이 지은 요새로 정성공이 빼앗아 번영하다가 황폐해져 지금은 보루의 대부분이 없어지고 설탕과 굴껍데기와 찹쌀가루를 버무려 만든 빨간벽돌로 된 장벽(臺灣城殘蹟)만이 남아 나무뿌리와 존립의 사투를 벌이고 있다 감시탑 옆 건물 안에는 네덜란드와 정성공의 전투에 대한 이야기와 중세갑옷 등이 전시 중이다 이 주변에는 대만에서 가장 오래된 상업거리 옌핑제(延平街)가 있는데 옛 명성이 다한 거리의 골목 사이사이 수백년 된 가옥을 구경하는 것도 소소한 즐거움이다 1867년 영국인 상점과 물류창고로 이용하던 건물에 노용수(老榕樹)가 멋대로 자라 건물을 집어삼키듯 뒤덮은 나무집으로 불리는 안핑수우도 안핑지구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진귀한 볼거리다

10-13 미라마 관람차

대만에서 가장 큰 관람차로 알려져 있는 미라마 관람차는 타이페이 시의 야경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관람차 크기가 큰 것으로 유명하지만 가격 또한 저렴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유스트래블 카드를 이용하면 50 할인이 적용되므로 꼭 지참하도록 하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8 -

lt미라마 관람차 티켓gt lt유스트래블 카드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9 -

11 시사점 및 차후 활용계획 (LGC 프로그램을 통한 구체적인 효과 및 연구결과)

11-1 LGC 프로젝트 만족도

구분 항목 전 후 한줄 평

사업단

프로젝트 취지- 린튼 글로벌 학과와 경영정보학과 학생들이 함께

하는 프로젝트 해외시장탐방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사전교육 활동- 출국 전 각 나라에 대한 유의사항 안전교육이 체

계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개략적인 보고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었다

행정지원 절차- CK사업단 린튼 글로벌 학과 경영정보학과 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히 되지 않아 사전 계획에서 많은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협동력 향상- 출발 전 잦은 팀 회의와 8박 9일 간에 일정에도

불구하고 불화 없이 좋은 분위기 속에서 프로젝트를 완수 했다

추진력 향상- 일정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 한 점 추가 자료조

사를 위해 현지에서 새로운 일정을 추가 됐을 때 팀원들이 일사불란하게 따라주었다

문제해결 능력- 교통편 문제와 기업 측 내부 문제로 일부 일정에

변동이 있었지만 신속한 조율과 전화 통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개인

동기부여 자극- 현지인들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국어 영어 능

력의 필요성을 실감했다 특히 중국어는 소통 유무에 따라 현지 반응이 극명하게 갈렸다

진로설계 도움- 프로젝트 전에 비해 새로운 직업 분야에 대한 관심

이 증가했다

취업능력 향상-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한 내용을 살려 구술 면접이

나 자기소개서 작성에 참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11-2 LGC프로젝트 연구 결과 - 대만 시장

⓵ 중국시장을 주목하는 대만 화장품 기업- EST팀은 현지 대만 화장품 기업으로 SISDORA와 WABFENIX를 선택했다 두 회사를 선정한 배경에는

명확한 의도를 두고 정했다 SISDORA는 설립한 지 10년이 넘는 회사로 직접 화장품을 개발 및 연구하고 판매하는 중소기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과 주름개선 크림으로 중년 여성을 타깃 층으로 하는 화장품 회사다 반면 WABFENIX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스타트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 이지만 기술개발 보다는 디자인 마케팅에 중점을 두었고 판매 층도 10대-20대의 젊은 층을 타깃 층으로 한다 시장 전략이 완연히 다른 두 기업이 유일하게 공통점이 있다면 중국시장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선정 이유에는 많은 인구의 소비력을 꼽지만 뒤이어 언급하는 이야기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자사 제품의 경쟁력 약화를 말한다 현재 대만 기업 대부분은 내수 시장 대신에 중국을 겨냥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국가 산업 특성상 제조amp연구 분야가 강세인 대만에서는 중국 바이어 또는 미국 유럽 바이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직접 판매 보다는 기술 협력을 통해 이익을 창출한다고 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0 -

⓶ 대만 시장을 점령한 한국 화장품

- 앞서 말했듯이 2012년 이후부터 급속히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한국 화장품은 대만 시장을 점령하고 있다 이미 시먼딩에 들어서면 다양한 한국 화장품 매장이 눈에 띌 만큼 들어섰으며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중앙 광장에 입점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매장 안에는 많은 대만 사람들이 화장품을 보고 있는 광경을 흔히 본다 화장품 매장을 이용하는 연령층은 주로 10대-20대들이다 화장품 가격이 한국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주 애용하는 이유는 한류 열풍으로 인한 한국 연예인들에 대한 관심과 화장법이 크게 유행하고 있음을 현지 설문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⓷ 체감할 수 있을 만큼 커다란 한류열풍

- 뉴스에서만 듣던 한류 이야기를 대만에서 직접 느낄 수 있을 정도로 한류열풍은 크다 특히 삼성이나 LG의 TV나 스마트폰은 어딜 가든 항상 보이고 한국 화장품 선물에 대한 반응이 무척이나 뜨겁다 원활한 현지 조사를 위하여 사은품으로 준비한 한국 마스크 팩 100개는 오히려 현지인들이 참여 의사를 표현할 만큼 열정적이었다 일부 대만 사람 중에는 어디서 왔냐는 질문에 한국이라는 답변을 하니 같이 사진 찍기를 제안하기도 했다

⓸ 중소기업에게 있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는 대만 시장진출- 대만 시장 진출에 앞서 한국 화장품 중소기업이라면 전략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크게 대만 시장을 겨냥

할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할지 선택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3CE는 한국 화장품 회사다 대만에서 젊은 연령층이 자주 이용하고 이미 대만 내에서는 유명하다 3CE는 오프라인 매장 없이 순수 온라인 매장으로 운영하면서 대만 사람들을 위한 전용 웹사이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윤을 창출 하고 있다 신중해야 할 점은 현재 온라인 오프라인 등 한국 화장품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신규 진입에 있어서 장벽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대만 시장을 활용한다면 동남아 시장까지 한 번에 내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출입통관 절차가 간단하고 관세가 낮기 때문에 중소기업에게 유리하다 아직까지 중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1 -

에 대한 직접적인 수출이 가능한 곳은 상해나 항주 같이 중국에서 허가한 무역항 도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내륙까지 시장을 확대하기는 불가능하지만 같은 언어권인 대만을 거치면 보다 쉽게 바이어나 에이전트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인맥을 통한 꽌시와 수수료 명목으로 뒷돈을 요구하는 중국 바이어의 관행은 자금 순환이 원활치 않은 중소기업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11-3 LGC 프로젝트 종합 의견 및 전망

우리 lsquoEST팀은 출국 전 국내 화장품 시장 조사를 할 때 대덕 밸리 스타트업 기업 셀아이콘 랩의 영향으로 대만의 화장품 산업에 대해 큰 관심과 가능성을 보고 2015년 1월 5일부터 1월 13일까지 8박9일이라는 시간동안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 나라 중에 하나인 대만에서 rsquo대만의 화장품 시장lsquo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사를 했다 대만에서는 3개의 기업 (KOTRA SISDORA WABFENIX) 을 방문해 전반적인 대만의 화장품 시장과 판매전략 한류에 대한 보다 사실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1개의 대학 (국립성공대학 國立成功大學)에서 MBA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또 타이난에서는 대만에서 오랫동안 사업하시는 한인협회 회장을 만나 PLC (Product Life Cycle)를 통해 대만에서의 특정 시장이 도입기에 있는지 또 어떠한 시장이 쇠퇴기에 놓여있는지 다양한 시야에서 대만시장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노력은 CK 사업단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교육부 CK-1 프로젝트의 일부인 Linton Global Challenge는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몇 년을 내다보는 지속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기업들과 더욱 더 활발한 교류와 연구를 한다면 기업과 CK 사업단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리라고 본다

1 개인 탐방 후기 (팀원 개인 소감)

1-1 개인 탐방 후기

강성민탐방 후기 기업 컨택 부터 인터뷰 일정 계획까지 8박 9일간의 대만 화장품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 출국 전까지 준비 과정부터 탈도 많았고 대만에 와서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 원하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매일이 항상 회의와 고민의 연속이었다 하루하루 충실히 계획을 진행시켜 나갔고 좋은 팀 분위기 속에서 무사히 대만 프로

부록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2 -

젝트를 완수했다 그리고 마침내 한국으로 돌아왔다 과정은 항상 오르막 길이였지만 돌이켜 보면 마지막 대학 시절을 기념할만한 좋은 추억이자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느끼는 바가 많았던 프로젝트로 기억 될 것이다

김은진탐방 후기 글로벌 챌린지를 한마디로 정의하라고 한다면 도종환 시인의 lsquo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lsquo라는 시가 떠오른다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대만기업컨택 설문조사 등 많은 것을 경험했다 처음엔 모든 것이 나에겐 버거운 산이라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도전이 계속 될수록 이젠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이 모든 도전들에 흥미가 생겼다 나 자신도 책임감과 자신감이 생기고 한층 성숙해 진 것을 내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소중한 동료와 추억은 평생 나의 가슴속에 남을 것이다 우린 앞으로도 많이 도전하고 경험하여 우리들의 삶이 활짝 만개하리라 다짐한다 끊임없이 도전하는 20대의 청춘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프로그램이었다 김종선탐방 후기 한국에서 준비하면서 조사했던 내용과 비교하며 인터뷰를 해보니 실제로 많이 다른 부분도 있었고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 비슷한 내용도 있었다 현지의 기업들을 방문해 우리가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직접 매장에 가서 느껴보니 앉아서 컴퓨터만 볼 때랑 많이 달랐다 그리고 직접 대만인들에게 설문조사를 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그리고 대만의 실제 문화와 환경 그들의 생활을 잠시나마 볼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

구명우탐방 후기 며칠간의 꿈만 같았던 대만에서의 시간이 지나갔다 대만으로 출국하기 전 사전조사 기간에는 확신이 없었다 사전조사와 기업과의 인터뷰 그리고 9일간의 일정조율 및 숙박과 모든 대만에서의 연구와 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보고서까지 무엇하나 확신이 드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도전과 해결능력을 배웠고 아시아에서 급성장 중인 대만에 대해서 배우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다음기수로 가게 될 관심 있는 학우들에게 진심으로 추천해주고 싶다

이규현탐방 후기 CK-1 프로그램 중 하나인 lsquo린튼 글로벌 챌린지lsquo 프로그램을 통해 약 8박 9일이라는 시간 동안 emerging market 중 하나인 대만에 거주하면서 한국 화장품의 대만시장 점유율과 진출 가능성을 몸으로 체감하고 자료들을 모아 통계 내어 정리할 수 있었다 우리 팀 lsquoEST가 성공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충분한 국내조사 기간을 갖고 대만의 화장품 회사들을 방문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대만의 특정한 기업을 찾기도 어려웠고 기업 컨택은 번번히 거절당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회사 두 군데에서는 답장조차 오지 않았고 설문조사할 때에는 반한감정의 대만인을 만나 고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팀의 단결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리더의 통솔력으로 정해진 스케줄대로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회사를 방문하고 학교교수를 만나고 길거리에서 설문조사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팀원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또한 대학생으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을 한 것 같아서 스스로도 너무 뿌듯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팀을 믿고 지지해주신 LGSB 교수님들과 CK-1 프로그램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영은탐방 후기 처음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렇게 준비는 열심히 하지만 정말 우리가 계획한 100대로 대만을 다녀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기우가 무색하게도 대만은 우리에게 기획안 그 이상의 것들을 보여주었다 사장님들의 생생한 사업 이야기와 대만의 색채가 묻어있는 아이템들 하며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여 알아보는 비즈니스 마켓의 현장은 나에게 두고두고 잊지 못할 자산으로 남았다 또한 펑리수 버블티를 비롯한 대만의 맛있는 먹거리들과 스린 야시장이나 지우펀 같은 명소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열심히 고생해준 팀원들과의 추억들도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3 -

이서우탐방 후기 이번 글로벌 첼린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서 쉽게 할 수 없는 해외 기업 탐방과 해당 국가의 산업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임효진탐방 후기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팀이 대만을 방문 한다고 했을 때 많이 의아해 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만을 직접 방문해보고 많은 사업자들을 만난 결과 대만은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라고 생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아직 공산주의라는 정치적 특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다른 곳보다 훨씬 어렵지만 대만은 자유시장체제 이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쉽다 특히 외국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만 시장에서 한국제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추고 중국 시장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성공가능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그리고 대만의 바이어들을 통해 중국의 시장진출을 하게 된다면 사업자가 직접 중국시장에 진출 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성공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만은 문화적으로 다른 아시아권보다 선진화 되었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대도시에 속하지만 모두다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골고루 섞여 대만만의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차안호탐방 후기 9박 10일간의 대만을 다녀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넓고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이번 대만 여행은 처음으로 경험한 해외여행 경험이여서 그런지 순탄치 않은 면도 있었지만 팀원들 서로가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만시장은 중국시장으로 가기위한 좋은 시험의 장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대만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영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더 나아가 미래에는 중국어야말로 영어와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성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또 하나 놀란 점은 대만이 반 한류 감정을 많이 갖고 있는 줄 알았지만 대부분의 대만 일반 시민들이 굉장히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에 놀랐고 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CK-1 사업의 챌린지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대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계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보완점 및 건의사항 (문제점개선책건의사항)

2-1 기업 컨택의 어려움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에 있는 기업과 연결하여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대해서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조사 및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시간을 내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로써 그들의 귀한시간이 아깝게 쓰이지 않을 것을 강조하여 만남을 만들어야 한다

2-2 사업단과 의사소통의 불편함

Challeng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CK-1 사업단과의 지속되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가령 누군가를 통해서 전해지는 소문이나 촉박한 시간을 제시하고 일 처리를 원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단과 각 팀의 대표간의 분명한 의사소통과 증빙자료 등이 필요하다

2-3 정보 부재 이번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이머징 마켓에서의 유망 산업 조사 및 연구였다 대만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5: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 -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6 -

2 예산 사용 내역 (항공편숙박비식비기타비용)

2-1 종합 예산

사용 내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7 -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8 -

3 해외 탐방 성과 (종합적인 의견)

3-1 대만 일정 간 EST팀 성과

대만 현지 기업 2곳 방문 및 인터뷰(SISDORAcoltd Wabfenixcoltd) 대만 지사 코트라 방문 및 인터뷰 대만 lsquo성공대학(成功大學)rsquo MIS학과 진정충(陳正忠) 교수 및 학생들과 미팅 가오슝 한인협회 회장 인터뷰 시먼딩(西門丁)에서 현지인을 대상으로 한 화장품 설문조사 실시

시먼딩은 한국 화장품 거리로 불리는 lsquo명동rsquo과 비교되는 동 단위의 지역으로 평가받는다

3-2 기업 측면

대덕밸리 스타트업 기업(주)셀아이콘 랩의 대만 시장 진출 가능성을 탐색 대만 시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대만의 화장품 기업들의 홍보 효과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품에 대한 인식 조사 대만에 진출해 있는 한국 화장품 기업의 입지 조사 대만 화장품 시장의 유통경로 조사 새로운 홍보 전략의 일환으로 관계 유지 가능

3-3 학생 측면

모든 일정을 학생들이 직접 나서서 해야 한다는 점에서 자립심과 해결능력을 함양 해외의 이머징 마켓을 직접 보고 느끼면서 글로벌 마인드의 함양 학생들의 리더쉽과 자신감 획득 영어 및 중국어 능력 향상

3-4 사업단 측면

CK-1 사업 목표 및 취지에 부합한 성공적인 프로젝트 선례로 활용 가능 글로벌 IT 경영학과 및 글로벌 비즈니스 학과 홍보 전략으로 활용 가능

학생이라는 신분으로 대만 현지에 있는 기업들을 마주하는 일은 정말로 어려운 일이었다 하지만 출국 전부터 기업과의 꾸준한 연락과 철저한 준비로 마침내 미팅 날짜를 잡고 대만 현지에서 연락하던 기업들과 직접 만나 대만 화장품 시장에 대해 조사를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우리가 일정동안 찾았던 기업은 총 5곳으로써 국내외 기업간의 투자 및 산업기술 협력의 지원등을 맡고 있는 KOTRA in Taiwan 그리고 대만에서 기능성 화장품으로 유명한 SISDORA 대만의 타이난 지역 내에서 한국과 대만의 화장품 중개무역을 담당하시는 대표님 마스크 팩의 중국진출과 번뜩이는 아이템으로 중국 화장품 시장 내에서 대박을 생각 중이신 MrKen 등 정말 다양한 위치에서 일하고 계신 분들을 만났다 또한 -EST 는 그곳에서 만난 인연으로 101타워의 프리미엄 퍼스널 릴렉스 트레이닝 센터와 디저트로 유명한 Mango 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이뿐만 아니라 대만의 명동과 같은 ldquo시먼딩rdquo에서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품에 대한 인식을 조사 할 수 있었으며 화장으로 대표적인 5개국의 화장법을 두고 투표를 하여 한국 화장품 기업의 미래가 밝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번 프로젝트는 이머징 마켓으로써 시장 조사 뿐만 대만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시민의식 등을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101타워 용산사 예류 지질 공원 스펀 지우펀 진과스 온천 등과 같은 대만을 충분히 느낄 수 있는 다양한 관광지를 방문했으며 특히 친절한 대만인들과의 소통으로 대만이 어떠한 나리인지 뼈 속 까지 알게 되는 느낌이었다

이 모든 활동을 통하여 대만 화장품 시장의 특성을 명확히 이해하게 되었으며 넓게는 대만의 미래가 굉장히 밝다는 느낌을 들게 해주었다 또한 학생들 개인적인 측면으로 9명 모두에게 자립심과 도전심을 가지게 해준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9 -

좋은 기회였다

3-5 기대효과

현지 시장조사 자료 획득 자사 시제품 반응결과 파악 사업단과의 지속적인 연계

3-6 사업단 측면 효과

학과 내 MIS-DAY 또는 관련 과목 강의에서 특강 해외탐방 동아리 개설 차기 CK프로젝트 멘토 활동 가능

1 팀 소개 (사진이름담당역할)1-1 팀 소개

EST팀 지도교수 및 멤버

강성민(25) - 조장전체 계획 수립 및 제안

김종선(25)국내 및 국제 시장 조사

차안호(25)프로젝트 연구 통계 분석

이서우(24)예산 수립 및 예산 관리

본문 내용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0 -

구명우(24)투어 일정 수립

김은진(22)

현지 시장 조사

임효진(24)

공고인터뷰일정 및 숙소 예약

이영은(22)

보고서 작성 및 프리젠테이션 제작

이규현(23)

사진 및 동영상 촬영 편집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1 -

2 대만 소개 (국가 기본정보한국과의 관계)

국호臺灣(Taiwan)

- 대만의 공식국호는 lsquo中華民國(Republic of China)rsquo - 국제 행사에서는 lsquoChinese Taipeirsquo 사용

위치 동남아시아

면적 36193(한반도의 16배 남한면적의 13배)

기후 아열대 몬순 기후권

수도 타이베이(Taipei 台北 서울의 약 12크기)

인구 약 2천 3백만 명

주요도시Taipei City(269만명) New Taipei City(390만명)

Kaohsiung City(277만명) Taichung City(265만명)Tainan City(187만명)

민족구성 민남인(74) 외성인(13) 객가인(15) 원주민(2)

언어 공용어(중국어)상용어(민남어 객가어 원주민어)

종교 불교(35) 도교(33) 기독교(26) 천주교(13) 회교(02) 등

건국일 191211(중화민국건국일)

정치형태 입헌민주공화국

국가원수총 통 마잉주(馬英九 Ma Ying-Jiou)

2012114 재선성공 2012520 취임식부총통 우둔이(吳敦義 Wu Den-yih)

GDP ㅇ2012년 US$ 4804억ㅇ2013년 US$ 4789억

2-1 대만 소개

국가 개요

경제 지표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2 -

ㅇ20141~6월년 US$ 2433억

경제성장률ㅇ2012년 148ㅇ2013년 219ㅇ2014년 2분기 384

1인당 GDP ㅇ2011년 US$ 20246ㅇ2012년 US$ 20502ㅇ2013년 US$ 20984

실업률ㅇ2012년 424ㅇ2013년 418ㅇ2014년 2분기 397

물가상승률ㅇ2012년 193ㅇ2013년 079ㅇ2014년 2분기 121

외환보유고ㅇ2012년 US$ 3942억ㅇ2013년 US$ 4168억ㅇ20146월 US$ 4235억

산업구조 제조업(233) 도소매업(181) 부동산업(85) 금융보험업(65) 농업(187)

교역규모ㅇ2012년US$ 3012억(수출) US$ 2705억(수입) 무역수지US$ 307억ㅇ2013년US$ 3055억(수출) US$ 2701억(수입) 무역수지 US$ 354억ㅇ20141~6월US$ 1534억(수출) US$ 1372억(수입) 무역수지 US$ 162억

주요교역품 ㅇ수출 전자제품 기본 금속 제품 플라스틱 및 고무 제품 광학기기 화학품ㅇ수입 광물 전자제품 화학품 기계 기본 금속 제품

환율ㅇ2012년 US$ 1=NT$ 2962ㅇ2013년 US$ 1=NT$ 2977ㅇ2014 6월 US$ 1=NT$ 3004

화폐단위 New Taiwan Dollar(NT$)

외교 관계

ㅇ 1948 8월 대만정부 대한민국 정식 승인ㅇ 1949 8월 주타이베이 한국대사관 개설ㅇ 1992 8월 한국-대만 단교ㅇ 1993 11월 주타이베이 한국대표부 개설ㅇ 1994 1월 주한 타이베이대표부 개설

교역 규모 ㅇ 2011년

한국-대만 외교 관계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3 -

(한국 기준)

- 수출 US$182억 수입 US$1469억 무역수지 US$35억ㅇ 2012년 - 수출 US$148억 수입 US$140억 무역수지 US$8억ㅇ 2013년 - 수출 US$157억 수입 US$146억 무역수지 US$107억ㅇ 20141~6월 - 수출 US$75억 수입 US$75억 무역수지 US$04억

주요교역 품목ㅇ 수출 반도체 기초유분 철강판 석유화학 중간원료 컴퓨터 정밀화학원료 반

도체 제조용 장비 광학기기 석유제품 선박 등ㅇ 수입 반도체 컴퓨터 기구부품 철강판 무선통신기기 기타 중전기기 평판디

스플레이 및 센서 기타 석유화학제품 플라스틱 제품 정밀화학원료 등

상호 투자

ㅇ 우리나라의 對대만 투자 - 2010년 43건 US$1400만 2011년 42건 US$4700만 - 2012년 38건 US$950만 2013년 26건 US$1700만 - 1968~2013년 624건 US$ 5억 6300만ㅇ 대만의 對한국 투자 - 2010년 5건 US$340만 2011년 7건 US$2800만 - 2012년 9건 US$2100만 2013년 14건 US$6100만 - 1962~2013년 181건 US$ 6억 1200만

교민 총 교민수 약 3천 4백여명

양국 간 교역 동향

수출입 동향

Ÿ 한국과 대만은 주요 수출입 품목이 반도체 철강 컴퓨터 화학원료 등으로 중복되는 경향이 강하며 상호비교우위 품목을 위주로 교역이 이뤄지고 있음

Ÿ 전년도 수출 급감에 따른 기저효과 스마트기기 및 테블릿 산업의 성장과 이에 따른 부품 수요 증가 한류영향 품목의 수출 확대 등으로 인하여 2013년도 한국의 對대만 수출은 전년대비 6 늘어났으며 수입 역시 44의 증가세를 보임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4 -

구분2012년 2013년 2014년 1~6월

금액 증감 금액 증감 금액 증감

총계 2882 -124 3033 52 1502 -328

수출 1481 -186 1570 60 753 -726

수입 1401 -46 1463 44 749 135

수지 8 -771 10 25 04 -945

순위 품 목2012년 2013년 2014년

1~6월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1 반도체 3578 -342 3742 46 2169 1572 석유제품 2239 -29 2810 255 953 -3563 기초유분 1381 198 1314 -48 531 -2084 정밀화학원료 406 -426 477 176 272 1835 석유화학중간원료 532 -376 586 101 220 -516 반도체제조용장비 311 -222 344 107 195 -107 자동차부품 239 209 168 -298 159 8728 광학기기 238 -248 283 188 151 969 기구부품 217 111 375 727 147 -28210 플라스틱 제품 250 -124 286 147 142 16

lt 한국-대만 수출입 동향gt (단위 억 달러 )

자료원 한국 관세청

lt한국의 對대만 10대 수출 품목gt (단위 백만 달러 )

주 MTI 3분류 2013년 수출액순 자료원 한국 관세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5 -

순위 품 목 2012년 2013년 2014년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1 반도체 8114 117 8874 94 4438 -102 기구부품 757 124 867 146 341 -2343 철강판 420 -312 398 -52 181 -1474 컴퓨터 616 -570 356 -422 171 -635 기타석유화학제품 227 -103 199 -125 143 9856 플라스틱 제품 324 229 288 -111 136 -1057 동제품 156 46 194 245 125 2108 합성수지 159 -19 172 81 108 2739 평판디스플레이및센서 133 -215 138 35 106 29110 기초유분 155 -250 132 -143 98 425

lt한국의 對대만 10대 수입 품목gt (단위 백만 달러 )

주 MTI 3 분류 2013년 수입액 순 자료원 한국 관세청

양국 간 상호 투자현황

대만의 對 한국 투자현황lt대만의 對韓 투자동향gt

(단위 건 백만 달러)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1~6월 누계(62~2014)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5 34 7 280 9 21 14 61 3 3 184 615

자료원 대만 경제부 투자심의위원회 신고 기준

Ÿ 대만기업의 對韓 투자는 10~20만 달러 규모의 판매법인 설립이 대부분이며 대규모 그린필드형 투자는 중국 및 동남아지역에 RampD형 투자는 미국과 일본에 집중되고 있음thorn 대만기업의 對韓 투자는 지난 5년간 연평균 25천만 달러에 불과

Ÿ 또한 중국 투자환경 악화로 동남아 등지의 신흥시장으로의 제조기반 이동에 대한 투자가 늘고 있으며 유턴투자도 증가

Ÿ 한편 주요 산업분야에서 대만은 한국과 경쟁적 보완관계이며 일본과는 보완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음thorn 특히 한 대만간 반도체 디스플레이 기업간 경쟁이 심해지면서 대만 IT업계를 중심으로 lsquo聯日抗韓(일본

과 연합하여 한국을 견제하자)는 주장이 제기되는 등 대만기업의 일본 편중현상은 심화되고 있음Ÿ 지금까지 대만의 대표적인 對韓 투자사례로는 2007년 IC디자인 기업인 SIMO의 FCI 인수(8800만 달러)

2010년 대만의 최대 철강회사 CSC의 동부메탈 지분인수(4200만 달러) 2010년 IC 테스팅 업체 Ardentec 웨이퍼 테스팅 공장 설립(4000만 달러) 2012년 6월 반도체 패키징 업체인 ASE의 라인증설(8000만 달러) 등이 있음

Ÿ 최근에는 금융권을 중심으로 한국기업에 대한 MampA SI 투자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어 주목받고 있음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6 -

thorn 2013년에는 대만의 1위 증권사 위안타가 한국의 동양증권 인수를 발표 양국의 금융감독기관 허가를 받아 2014년 연내 합병 추진 중(25억 달러)

thorn 또한 다국적 제약회사 Alvogen은 대만 LOTUS를 인수 동아시아 HQ로 삼고 한국 제약회사(드림파머) 인수를 추진 중

우리나라의 對 대만 투자현황

lt한국의 對대만 투자동향gt (단위 건 백만 달러)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1~3월 누계(lsquo68~lsquo14)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43 13 44 47 38 9 34 68 15 5 646 617

자료원 한국수출입은행 신고 기준

Ÿ 제조업 분야에서의 對대만 투자는 시장개척 및 고객사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임

Ÿ 우리기업의 대표적 투자 사례로는 2005년 LCD 장비 업체 PKL사의 LCD용 포토마스크 공장설립(4000만 달러) 2007년 게임업체 넥슨의 감마니아 지분인수(2100만 달러) 등이 있음

Ÿ 2011년 4월 미래에셋(Mirae Asset Global Investments)은 타이완라이프자산운용에 약 1000만 달러를 투자 자산운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Ÿ 2014년에는 PCB 기판 업체 달마전자가 가오슝에 공장을 설립 9월 준공식을 앞두고 있음

3 탐방 목적 (주요 목표부가 목표기대 효과)3-1 탐방 목적

주요 목표 1 대덕밸리 스타트업기업 (주)셀아이콘랩의 대만진출 가능성 탐색 2 대만 소비자들의 기능성 화장품 인식 조사 3 대만화장품시장의 유통경로 조사

기대 효과기업측면 기대 효과

⓵ 현지 시장조사 자료 획득⓶ 자사 시제품 반응결과 파악⓷ 사업단과의 지속적인 연계

사업단측면 기대 효과⓵ CK 사업 목표 또는 취지에 부합(CK ndash University for Creative Korea)⓶ 새롭게 출발하는 lsquo글로벌IT경영학과rsquo의 홍보전략으로 활용 가능

학생측면 기대 효과

⓵ EST팀 특강 ndash 학과 내 MIS Day 혹은 관련 과목 강의에서 특강⓶ 해외 탐구 동아리 개설⓷ CK 멘토와 후원 활동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7 -

4 사전조사 활동 (셀아이콘랩)

4-1 기능성 화장품 연구amp제조 기업 lsquo셀아이콘랩rsquo 기업 인터뷰

회사 소개

회사명 셀아이콘랩주소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대로 1646 한남대학교 사이언스파크 312호 대표자명 성민규 대표 사업분야 코스메슈티컬 펩타이드 소재개발 피부 전문가용 코스메슈티컬 화장품 OEMODM 주문 생산 방식

인터뷰 내용 1) 셀아이콘랩 2014년도에 많은 해외 박람회에 참여하고 있는데 해외시장 진출 의사가 있으신가요= 저희 회사의 사업화 로드맵을 보시면 2014년에 해외영업 마케팅 판매가 계획되어 있고 올해 들어 중국 러시아 카자흐스탄 말레이시아 등 여러 나라를 방문하여 박람회에 참가하고 실질적으로 상품을 판매하고 반응을 살피고 있습니다

2) 그렇다면 대만 화장품 시장 진출에 대해 고려해본 적은 있으신가요 만약 진출을 고려해보았다면 대만의 화장품시장에서 원하는 자료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대만시장을 접할 기회가 부족했을 뿐 내년에 대만 시장진출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셀아이콘랩은 현재 거래중인 중국 카자흐스탄 등지의 국가들에서 더 나아가 대만이나 홍콩과 같은 중화권 시장의 가능성을 느끼고 해당나라에 진출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요구사항 대만의 수출수입 인허가 절차 관세 세금 시장가격 형성 요인 화장품 유통 채널 구매경로 트렌드 또한 대만 시장에 뷰티샾(우리나라의 올리브 영)같은 종합 매장이 형성과정 실질적인 구매력을 알아보기 위한 대학 졸업생의 평균 초봉 등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8 -

5 화장품 산업 및 환경 분석 (연구자료 첨부)

구분 2011 2012 2013(1월 ~ 11월)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및 성장률 19427798 42 19421349 00 191454345 08

5-1 화장품 시장 동향

시장규모 및 전망thorn 대만의 약품 및 화장품 시장규모는 2013년 기준 1914억 달러로 2012년 대비 008 증가

최근 3년간 대만 약품 및 화장품 시장규모 및 성장률 (단위 천 달러)

자료원 대만경제부 통계처

시장전망thorn 수요 감소 예상 요인 대만 화장품시장은 다양한 국산 수입제품들이 오랜 시간 경쟁하는 포화된 시장thorn 종합의견 다수 유명 외국 브랜드(예 SHISEIDO KOSE 등)는 대만에 공장을 설립해 국산 브랜드와

경쟁하고 있으며 대만 정부의 각종 규제가 엄격하고 많아 허가 관련 등록서류 및 비용으로 인한 진입 장벽이 큼

소비자 구매 패턴thorn 주요 소비자 계층 14~55세 등 다양thorn 소비자 구매 동기 귀엽고 여성스러운 디자인 미백 보습 등과 같은 눈으로 확인 가능한 기능성 민감

성 피부에 바로 사용 가능한 화장품을 선호하는 추세

제품 트렌드thorn 대만 시장에서 국산 브랜드보다 수입 브랜드의 인기가 더 높으며 그중 일본 브랜드가 장시간 많은 인

기를 유지하여 왔음thorn 최근 한국 드라마에서 스타들이 연출하는 화장법 또는 유명 스타가 광고하는 한국 화장품이 큰 인기

를 얻고 있으며 한류 열풍으로 대만에서 수입 화장품 판매량이 늘어나면서 국산 화장품의 신제품 개발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

thorn 피부과 및 의학미용센터에서 다양한 시술(보톡스 반점 제거 여드름 크리닉 모공축소 레이저 비지 제거 등)을 받아 꾸준히 피부관리를 받고 다니는 여성들이 많아지는 추세에 따라 기능성을 강조하는 의학미용(aesthetic medicine) 화장품 혹은 시술 받고 나서도 바로 사용 가능한 기초화장품(무자극 보습효과 강조)이 유행하기 시작함

해당 산업 관련 정부 정책thorn GMP 정책 글로벌 추세에 따라 대만 화장품의 품질middot제조 수준 및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대만 경

제부공업국과 대만 위생서는 2008년 9월 4일부터 lsquo자발성 화장품 우량제조규범 검증제도(自願性化妝品優良製造規範驗證制度)rsquo를 실시한다고 발표함 약품 의료기기 식품을 이어 화장품이 네 번째로 GMP검증을 받는 산업이 되었음 ISO 22716 규범으로 주요 참고 근거로 보고 있음 동시에 화장품 GMP 추진 플랫폼을 설립하고 기업 문의에 대한 상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9 -

구분 2011 2012 2013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및 성장률 614293 1192 600356 -227 557784 -085

순위 국가 금액 점유율 증감율2011 2012 2013 2011 2012 2013 1312

총계 614293 600356 557784 100 100 100 -0851 일본 248980 237052 199987 40531 39485 35854 -113212 프랑스 116031 111983 110509 18888 18653 19812 45333 미국 89984 96689 89924 14648 16105 16122 -03914 한국 29779 29329 36746 4848 4885 6588 386345 중국 23444 30114 30138 3816 5016 5403 99486 영국 15895 14619 14482 259 2435 2596 29227 독일 16799 14327 14159 274 2386 2538 96758 스위스 13631 12401 11151 222 2066 1999 -5329 태국 9929 9214 8943 162 1535 1603 533310 이탈리아 12312 8853 8632 2 1475 1548 7727

5-2 수입동향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동향 (단위 천 달러 )

주 대만 국제무역국

최근 3년간 상위 10개국의 수입통계

주요 수입국 현황(HS Code 330499 기준) (단위 천 달러 )

자료원 대만 경제부 국제무역국 중화민국수출입무역통계(httpcus93tradegovtwFSCI)

수입관세 및 관련 제도thorn 관세 0thorn 통관 시 유의사항 대만에서 화장품은 의료용 또는 약품을 함유하지 않은 lsquo일반화장품rsquo과 lsquo함약화장

품rsquo 등 세 종류로 나눠져 있음 함약화장품의 경우 통관 시 대만 위생서에서 발행한 위생허가증을 제시해야 함

thorn 필수 인증 현황 함약화장품(예 염색제 파마제 자외선차단제 땀 억제제 치아미백제 등)은 대만 위생서 허가를 받아야 수입 및 제조판매를 할 수 있음 허가 신청 시 제품명 성분 제조업체명 제조업체주소 해외 수입업체명 수입업체주소 제품 전성분 용량 용도 사용법 유효기간 샘플 Certificate of Analysis Certificate of Sales SPF ampUVA 검사보고서 등이 필요함(세부사항은 대만 위생서 홈페이지 참조바람)

5-3 유통구조

유통채널 종류thorn 오프라인 백화점 H ampB(Watsons Cosmed SaSa 등) 방문판매 약국 각종 마트 편의점 피부과

피부관리센터 전문판매점(로드숍)thorn 온라인(여기는 virtual channel을 뜻함) 홈쇼핑 온라인 쇼핑몰(경매 브랜드 홈페이지 등 포함) 우편

주문(郵購) 등이 있음

유통채널 점유율 오프라인 유통채널의 점유율은 여전히 70~90 정도로 높게 차지하고 있으나 온라인 유통채널의 점유율도 빠른 속도로 상승하고 있음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0 -

브랜드명 제품명 가격 판매순위

SHISEIDO 100 1

SKII 133 2

ESTEE LAUDER 100 3

항목 내용전시회명(현지어명) 2014春夏國際美容化妝品展전시회명(한국어) 2014 춘하 국제미용화장품 전시회

전시품목 미용 화장품개최국가도시 타이베이

유통채널 활용 방안 아직까지 온라인 채널의 점유율이 높지 않으나 대만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블로그 등)에 영향을 많이 받는 편이어서 오프라인 채널에 진입하기 전에 온라인으로 먼저 마케팅(브랜드 이미지메이킹 블로거 마케팅 등)을 진행하는 방법을 추천함 대만 오프라인 채널의 진입장벽은 매우 높으며 비교적으로 이윤이 많이 남는 온라인시장에서 브랜드 파워를 먼저 키우면 오프라인 채널에 들어가는 길이 훨씬 수월해질 것으로 예상함

5-4 경쟁동향

경쟁제품 현황주요 경쟁제품 현황

(단위 달러)

한국 제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 및 선호 브랜드 현황thorn 한국 제품 현지 인지도 높음thorn 선호 브랜드 3CE INNISFREE NUTURE PUBLIC MISSHA THE FACE SHOP LANEIGE 등

5-5 효과적인 시장 진출 전략

타깃 고객층thorn 타깃 고객층 20~30대 초반thorn 타깃 사유 유행에 따라 새로운 것을 많이 도전하고 한류의 영향도 가장 많이 받는 젊은 층이 한국

화장품을 소비하는 경우가 많음 35세 이후의 직장 여성 혹은 가정주부들은 여전히 일본 혹은 유럽 미국의 고가 화장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활용 가능한 마케팅 방안 ⓵ 현지 전시회 정보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1 -

개최주기 3월경개최기간(2014년) 0321~0325

웹사이트 httpwwwudnicecom

⓶ 전시회 이외의 주요 마케팅 방안 블로거 마케팅 등 ⓷ 유력 홍보 방안(전문잡지 온라인 매체 등)

thorn 온라인 매체 Fashion guide(httpwwwfashio guidecomtw) UrCosme(httpwwwurcosmecom)

thorn 전문잡지 VIVI BEAUTY 大美人 Style W Marie laire Fashion Guide 등

시장 확대를 위한 무역관 의견 대만 화장품시장은 가격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 시장 진입 시 확실한 브랜드 포지션을 정해야 하며 해당 포지션의 대만 제품 가격을 조사한 후에 대만 최종 소비가격을 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

또한 소비자들은 할인세트 및 사은품에 약하여 각종 행사 진행 시 사은품 증정 혹은 묶음세트로 판매하는 것을 추천 보습(특히 히알루론산 성분 강조) 및 미백(대만 정부에서 인증된 미백성분이어야 함) 제품을 매우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6 탐방 상세 일정 (일정표 - 기간 지역)

날짜 지역105(월) 인천 ~ 대만 타이페이

시간 일정0600 인천공항 도착

0600 ~ 0920 인천공항 대기0920 ~ 1140 인천공항 rarr 대만 1140 ~ 1230 대만 입국 수속1230 ~ 1320 숙소 이동 (용산사 역)1320 ~ 1500 짐정리1500 ~ 1600 회의 및 일정정리1600 ~ 163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630 ~ 1800 KOTRA방문 및 인터뷰1800 ~ 1830 101타워 딘 타이 펑 이동(도보)1830 ~ 1910 저녁식사 - 딘 타이 펑1930 ~ 2100 101 타워 야경감상2100 ~ 2130 숙소로 이동2130 ~ 223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6(화) 타이페이

시간 일정0900 기상

0900 ~ 110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30 ~ 1230 점심식사 - 마라훠거1230 ~ 1300 SISDORA 본사로 이동

6-1 8박 9일 대만 일정 (150105 ~ 150113)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2 -

1300 ~ 1530 SISDORA 방문 및 인터뷰1600 ~ 1800 101타워 퍼스널 트레이닝 센터 방문1800 ~ 1930 저녁식사 - 카렌 레스토랑1930 ~ 2000 숙소로 이동2000 ~ 2100 개인 휴식2100 ~ 223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7(수) 타이페이

시간 일정0900 기상

0900 ~ 113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30 ~ 120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200 ~ 1250 점심식사 - 키키 레스토랑1250 ~ 1300 시먼딩 이동1300 ~ 1530 화장품 설문조사1530 ~ 1830 한국 화장품 매장 제품 조사1830 ~ 1900 야시장 이동(MRT)1900 ~ 2000 저녁식사 ndash 야시장 음식2000 ~ 2030 숙소로 이동2030 ~ 2130 개인 휴식2130 ~ 230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30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8(목) 타이페이 ~ 타이난

시간 일정0830 기상

0830 ~ 110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00 ~ 1200 체크아웃 및 고속철도역 이동1200 ~ 1340 타이페이 rarr 타이난 이동1340 ~ 1400 짐 보관 및 인터뷰 장소 물색1400 ~ 1600 가오슝 한인협회장 인터뷰1600 ~ 1700 숙소도착 및 짐정리1700 ~ 1800 개인 휴식1800 ~ 1900 저녁식사 - 새우롤2000 ~ 2230 중간 정리 및 보고서 작성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9(금) 타이난

시간 일정0800 기상

0830 ~ 0900 아침 식사0900 ~ 1130 타이난 일정 브리핑 및 팀 미팅1130 ~ 1210 타이난 시내로 이동(TAXI)1210 ~ 1320 점심식사 - 스시1320 ~ 1350 성공대학 이동(도보)1350 ~ 1700 성공대학 방문1700 ~ 1800 성공대학 캠퍼스 탐방 및 대학원생들과 대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3 -

1800 ~ 1830 저녁식사 - 대만 전통 음식점1830 ~ 1900 타이난 RT마트 이동(도보)1900 ~ 2030 RT 마트 장보기2030 ~ 2100 숙소로 이동2100 ~ 2200 개인 휴식2200 ~ 2330 팀 회의 및 예산 정리

23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12(월) 타이페이

시간 일정0800 기상

0800 ~ 0900 아침식사(호텔 조식 제공-선택)0900 ~ 1130 호텔 개인시간1130 ~ 123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230 ~ 130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300 ~ 1600 Wabfenix 방문 및 인터뷰1600 ~ 1630 간식 - 망고차차1630 ~ 1700 시먼딩 이동(MRT)1700 ~ 1830 화장품 설문조사 활동1830 ~ 1930 저녁 식사 - 코코이찌방야2030 ~ 2130 개인 휴식2130 ~ 2300 팀 회의 및 예산 정리

230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13(화) 대만 ~ 인천공항

시간 일정0800 기상

0800 ~ 0900 아침 식사0900 ~ 1130 짐정리1130 ~ 1200 체크아웃1300 ~ 1400 점심식사 - 스시(시먼딩)1400 ~ 1430 쑹산 공항 이동(TAXI)1430 ~ 1530 시먼딩 rarr 쑹산공항1530 ~ 1730 출국 대기1730 ~ 2100 대만 출국 rarr 대한민국

2100 대한민국 입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4 -

7 방문 기업 소개 (인터뷰 내용)

7-1 대만 KOTRA

-2015년 1월 5일 월요일 1630~1800 인터뷰-위치 台北市 基隆路 1段 333號 22樓 14室(2214室) Intl Trade Building 22층-전화 (886-2)2725-2324 -팩스(886-2) 2757-7240

Q대만에 대하여 간단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우선 대만은 남한의 13의 해당하는 영토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구역시 남한에 비해 적은 2천 3백만 명 정도이며 기후는 아열대 몬순 기후권으로 비교적 따듯한 날씨입니다여러분이 대만에 와보셔서 알겠지만 대체로 습한느낌을 받으셨을 탠대 대만은 겨울에도 남한만큼은 춥지 않습니다 언어는 주로 중국어를 사용하며 문자는 중국과 살짝 다른 번자체를 사용합니다1인당 GDP는 2013년 기준 20984 달러 정도이며 산업구조는 제조업과 도소매업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Q현재 우리나라의 어떤 기업들이 대만에 진출해 있는지 궁금합니다

A최근에는 화장품을 주력 제품으로 아모레퍼시픽등 화장품 대기업들이 타이페이 시내에 로드샵을 많이 개점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대만은 제조업과 도소매업이 주를 이루다 보니 20~30년 전부터 진출한 기업들이 계속해서 입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주로 삼성물산 현대종합상사 LG상사 LG전자등 대기업이 주를 이루고 있고 우리나라 기업은 1년에 한 기업정도 대만에 진출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Q그렇다면 대기업을 제외한 중소기업들이 대만시장에 진출하지 않는 이유가 따로 있습니까

A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아무래도 중국시장이 개방을 하면서 인 것 같습니다 기존에 진출해있는 기업들은 과거 대만이 인프라 구축이 미흡했을 당시 해외투자를 많이 받으면서 비교적 좋은 조건으로 대만에 진출하고 인프라 구축등 사업을 진행하면서 기반을 다졌을 겁니다 그 기반으로 지금까지 대만시장에 진출해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중소기업의 경우는 해외투자가 너무 모험적이며 대만 시장과 중국의 시장을 비교하여 봤을 때 인구가 차이가 약 8배 정도 나며 중국에 비해 비교적 작은 시장이라고 느껴 대만보다는 중국에 많이 진출하는 것 같습니다

Q마지막 질문으로 만약 우리나라 중소기업이 대만시장에 진출할 때 유의해야 할 점이나 좋은 팁이 있을까요

A대만 시장에 완전히 진출해야겠다는 생각보다는 중국이나 다른 중화권 나라의 진출하기전 시험의 장소로 생각하고 진출해보는 것은 나쁘지 않다 생각 합니다 아무래도 대만의 인구가 많은 편이 아니다보니 불리한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5 -

조건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이나 다른 큰 중화권 시장으로 진출하기 전에 언어나 문화 중화권사람들의 사고방식등 여러방면에서 시험해 볼 수 있는 좋은 장소는 틀림없습니다 중소기업이 대만시장에 진출할 때는 코트라를 이용하여 각종 정보나 현지 인프라등을 이용하는 것 또한 하나의 방법이며 무엇보다 중화권의 문화와 중화권 대중들의 생각을 잘 공부하고 언어를 습득하여 오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7-2 SISDORA luxury beauty care

-1월 6일 화요일 1300~1530 인터뷰 1600~1800 101타워 퍼스널트레이닝 센터-주소 No9Aly 10Ln265Sec 4Xinyi RdDaan Dist Taipei City 106-대표 Mr Chung-Cheng Lee -전화886-2-27040889-URL httpwwwsisdoracom

Q 간략한 회사 소개와 SISDORA의 유래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A Isadora는 고대 이집트의 가장 강력한 여신의 이름입니다 Sisdora는 이 여신의 이름을 따서 만든 브랜드 이름입니다 이집트의 고대 여신인 Isadora의 이시스는 선물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고 생명과 건강 아름다움을 담당하는 여신으로도 유명합니다 저희 SISDORA는 비슷한 동음 이의어로 동양의lsquoISIS(이시스)rsquo라는 단어가 있어 브랜드 명을 SISDORA로 정하게 되었습니다Q Sisdora 제품 소개 부탁드립니다

A저희 제품은 안티에이징 미백 마스크 제품을 주력으로 하고 있습니다 동일 제품군을 비교해 봤을 때 가격 및 품질은 상위에 속하는 최상품의 제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마스크 팩 대부분은 종이섬유로 제조하는 반면 저희 Sisdora는 누에의 실(실크)로 만든 마스크 팩 입니다 실크마스크 팩을 제조할 때에는 피부 건강에 좋은 약재 및 약초등을 배합하여 제조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피부에 자극적인 향로를 첨가하지 않았고 수분이 빠르게 흡수 될 수 있습니다 덕분에 저희 마스크 팩을 사용하는 고객들은 부드럽고 산뜻한 느낌을 받으실 수 있을 겁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6 -

Q 귀하의 회사는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어떤 마케팅을 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A 저희는 해마다 대만 타이페이 글로벌 미스코리아 대회에 제품을 협찬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대만 유명 가수들과 함께 제품을 결합시킨 뮤직비디오를 제작하여 마케팅에 힘쓰고 있습니다뿐만 아니라 제품의 품질인증을 바탕으로 러시아 중국 동남아 지역에 진출하는대 힘쓰고 있습니다 저희 제품은 대만 내에서 스킨케어 제품으로써 유일하게 지정 브랜드 수상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저희는 주로 매스컴이나 인터넷을 통한 마케팅이나 엔터테이먼트 컨벤션 산업을 활용하여 마케팅을 하고 있습니다

Q 그렇다면 대한민국의 화장품 제품이 대만에 진출해 있는데 대한민국 화장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는 어떤지 궁금합니다

A 최근 5년 사이에 한국의 드라마 음악등 한류를 타고 대만에도 많은 한국 제품이 등장하였습니다 하지만 대만에는 오래전부터 수입화장품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이탈리아의 산타 마리아 노벨라 프랑스의 아이젠버그등 명품 화장품 브랜드가 오래전부터 입점해 현지 화장품시장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 때문인지 한국 화장품의 인지도는 크게 높지는 않습니다 아무래도 유럽 브랜드 그 다음으로 대만 기업의 브랜드 그 다음으로 한국의 화장품 브랜드 순으로 인지도가 형성되어 있다고 생각됩니다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한국화장품은 다른 명품 화장품들의 가격보다 저렴하고 성능이나 효과 면에서 절대 뒤처지지 않아 한류가 지속되고 마케팅이 잘 이루어진다면 충분히 유럽의 명품화장품의 인지도를 뛰어 넘을 수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Q 한국의 중소기업의 화장품이 대만 시장에 진출하는 것에 대해서는 어떤 의견을 갖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A 한국의 대기업 화장품 브랜드가 아닌 중소기업의 화장품 브랜드가 대만에 진출하는 것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겁니다 하지만 저희 회사도 중소기업으로 시작하여 마케팅 전략을 잘 활용 하여 많이 성장하였습니다 아무래도 한국의 중소기업의 화장품이 대만에 진출하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있겠지만 어떤 마케팅 전략을 선택하느냐가 가장 중요하고 마케팅이 잘 이루어지고 입소문이 퍼진다면 한국의 중소기업 화장품 또한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7 -

7-3 가오슝 한인협회

-1월 8일 목요일 1400~1600 인터뷰-주소 高雄市鼓山區二路37巷弄43-2號(고웅시고산구이로37항81롱43-2호)-대표 尹桓鎬(윤환호) HP 0932-740-538 -電話 07-5211933 -傅眞 07-5214031

Q 대만과 한국과의 무역 관계가 어떠한지 궁금합니다

A 한국과 대만과의 무역은 크게 활발하게 이루어 질 수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대만의 시장 자체가 매우 작기 때문에 대만에 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국내 시장이나 다른 큰 해외 시장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대만 시장을 거쳐서 동남아나 중국 시장으로 진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여서 기존에 존재하는 대기업이나 저처럼 오래 전부터 이민한 분들이 소규모로 중개무역을 하고 있는 정도입니다

Q 현재 한인협회 회장님께서 직접적으로 하는 일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현재 저는 한국의 화장품을 수입하여 대만 현지 기업에게 판매하는 중개무역을 하고 있습니다 대만에 온지 20년이 넘었는데 이런 저런 일을 하다가 기회가 되어 이쪽 일을 하게 되었는데요 처음에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인식이 없어 가격은 비싸고 품질의 보증은 되어 있지 않은 제품이라 소비가 크게 늘지 않았는데 한류 열풍이 불고 한국 드라마의 성공과 그 배우들이 광고하는 화장품의 수요가 크게 늘어 몇 년 전부터 시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Q 한국과 대만과 중국의 관계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해 주세요

A 앞서 말씀 드린 것 같이 한국의 기업은 대만을 통하여 중국 시장의 진출을 위하여 대만 시장을 많이 찾습니다 그 이유는 한국 기업이 대만 시장을 통해서 제품을 인정받는다면 대만과 중국은 같은 언어권의 나라로 대만기업을 통해 중국으로의 활로를 개척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왜 이렇게 돌아서 진출을 하려고 물으셨는데 그것은 쉽게 말해서 말이 잘 통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의 중국어를 잘 구사하는 사람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보다는 대만의 사람이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주고 인정을 해준다면 더욱 쉽게 자리를 잡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8 -

Q 스타트 기업의 대만 진출 성공여부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중소기업이 대만에 들어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현재 한국 내에서의 위치를 높이는데 주력하는 것이 좀 더 낫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대만은 아주 뛰어난 기술력을 가지고 있지만 자체 제품을 생산하지 않습니다 예로 Apple에서 전체 아이디어를 미국에서 한다면 그 아이디어 실행은 대만에서 이루어집니다 그리고 제품의 생산은 대부분 중국에서 이루어 지구요 이렇듯 대만의 기술력과 제품에 대한 이해가 빠르기 때문에 수입을 많이 의존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중소기업이 들어와서 제품을 판매한다 쉽게 성공할 수 없죠

Q 회장님께서는 중국과의 중개무역은 생각하고 있으시지 않습니까

A 네 저는 지금의 생활에 만족하고 있습니다 지금 저의 파트너들과의 관계도 좋고 따로 중국 진출은 생각하고 있지 않습니다 만약에 제가 중국을 진출하게 된다면 현재의 기업들과도 경쟁상대가 되어 저는 생각이 없습니다

7-4 국립성공대학(國立成功大學)

-1월 9일 1350~1700 인터뷰-주소 701 臺南市東區大學路1號-연락처06-2757575 -홈페이지 wwwnckuedutw

대만 국립 성공대학은 931년 타이난에 설립된 이공계 명문 대학입니다 국립성공대학은 66개의 캠퍼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각 캠퍼스마다 특징과 분위기가 다릅니다 우리 국립성공대학은 ldquo북대대 남성공(北臺大 南成功)rdquo 이라는 말이 있듯이 역사는 대만대학의 바로 다음갑니다

국립성공대학의 이름의 의미는 성공은 무엇을 성취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대만의 민족영웅인 정성공(鄣成功)을 기념하기 위한 대학이라는 뜻입니다 성공대학은 정성공이 있던 역사명승 적감루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해 있기도 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9 -

이후 인터뷰로 대만의 소개와 간단한 전공 소개가 있었다

7-5 WABFENIX RENIX GLORY GLORIA GUA

-1월 12일 월요일 1300~1500 인터뷰-주소 14F-1 No420 Sec 4 Xinyi Rd Xinyi Dist Taipei City 110 Taiwan (ROC)-대표 Mr KEN -전화886-5569-0555-URL httpswwwfacebookcomrenixfanspage httpwwwwabfenixcom

Q Wabfenix가 어떤 기업인지 소개 해주세요

A 저희 회사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으로 현재는 매장은 없지만 개발한 제품을 바탕으로 사업을 진행 중이고 대만현지에 저희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저희 회사는 제품의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화장품을 개발하여 대만시장 뿐만 아니라 중국시장의 진출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Q 귀하의 제품은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제품이라 하셨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제품 등이 있습니까

A 우선 Heymore 제품군의 블랙 마스크 팩과 Renix 제품군의 일반 마스크 팩을 출시했습니다Heymore의 경우 선물용임을 부각시키기 위해 디자인에 특히 많은 투자를 하였습니다 중국 중산층을 겨냥한 제품으로 가격대 1봉지에 한화 ₩40000 정도로 높게 책정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가격을 높게 측정한 이유에는 중국 화장품 소비문화 속에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 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에 저가 보급형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0 -

제품인 Renix와 차별을 두는 판매 전략을 선택하였습니다 현재 판매되는 제품은 마스크 팩을 주력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Q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인데 중국을 대상으로 어떤 진출 전략을 갖고 있습니까

A중국에서 열리는 화장품 전시회 화장품 엑스포 행사 바이어 미팅 등 꾸준히 참가중이며 바이어들에게 저희 제품을 어필하고 있습니다 물론 신생기업인 만큼 아직 중국 내에서 뚜렷한 판매 실적을 기록하진 못했지만 타 화장품 기업들과 다른 마케팅 방식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디자인이나 제품의 아이디어를 강조하고 있는데 대표 적인 상품으로 오뚝이 모양을 한 화장품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이 오뚝이 제품을 바이어들에게 어필해 보았는데 대단히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Q 해외시장 마케팅과 대만 시장마케팅의 차이점이 있습니까

A 우선 중국에서의 마케팅은 행사나 전시회에 참여하고 바이어들을 개인적으로 만나는 것에 치중해 있다면 국내 대만시장의 마케팅 전략은 페이스북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대만은 중국에 비해 SNS가 많이 발달되어 있어 자금이 많이 들어가지 않는 SNS마케팅을 하고 있고 각종 자선행사에 참여하여 저희 기업을 홍보하고 있습니다

Q 귀사의 제품을 중국보다 비싼 인건비가드는 대만 제조공장에서 생산하는 겁니까

A타이중에 소재하는 공장에서 마스크를 제조 하고 있습니다 인건비가 비싼 것은 대만 수도인 타이페이에만 주로 해당이 됩니다 지방 소도시에서도 외곽으로 들어가면 저렴한 인건비와 공장 가동비용으로도 제조가 가능 합니다 굳이 중국에 제조공장을 갖지 않는 이유는 신생기업이라 자금문제도 있지만 대만은 OEMampODM에 특화된 국가이기 때문에 품질 좋은 다양한 제품주문이 가능하고 중국 사람들에게도 자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 보다 외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가 더 좋기 때문에 대만에서 생산한 뒤 수출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Q 대만에 한국 화장품 기업이 진출한다면 어떠한 마케팅 전략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 생각 하십니까

A 이미 대만에 한국의 화장품 제품들이 많이 들어와 있습니다 하지만 대만 자체의 화장품 기업들이 기존에 많은 시장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성공을 거두기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최근 한국에 대한 이미지가 많이 좋아졌고 한국의 영화나 드라마 등이 많이 알려지면서 인지도가 높아졌습니다 한국의 대기업의 경우 이러한 대규모 마케팅을 할 수 있으므로 큰 무리가 없겠지만 한국의 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한다면 최종 시장 공략 층은 대만이 아닌 중국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대만은 중화권으로 가기 위한 연결다리라고 생각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또한 중소기업은 큰 마케팅 비용을 부담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대만에서는 SNS나 각종 자선 행사에 참여하여 인지도를 높이는 것을 추천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1 -

Q 같은 제품이지만 대만과 중국에서 판매할 때 가격 책정이 다른 이유가 무엇인가요

A 그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해드리자면 국가마다 소비 성향이나 구매 능력 환율 경제 상황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경영 에서는 가격 차별화(Price discrimination)이라 부르는데요 각 나라의 시장 특성에 적정한 가격대를 책정해서 제품을 판매하는 전략입니다 혹시 중국 상류층이 몇 명인지 알고 있나요 제가 알기로는 대만 인구의 2배인 4000만 명이라는군요 아마도 한국 인구랑 비슷한 규모 일겁니다 게다가 중산층은 약 4억 명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4억 명의 중국 소비자들이 우리 제품을 1개씩만 구입 한다면hellip 상상만 해도 엄청 나겠죠 이야기를 하다 보니 다른 쪽으로 빠졌는데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이야기하면 물론 좋은 제품을 모든 곳에 저렴하게 제공 하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 그러나 항상 시장에서 저렴한 제품만이 성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대만이나 한국처럼 고도의 산업화가 이루어지고 시장이 크게 발전한 안정적인 단계는 좋은 제품이라도 가격 경쟁력에 신경 써야 합니다 왜냐하면 소비자들이 똑똑하기 때문에 정보력이 넓고 합리적인 소비를 지향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가격 성능 디자인 등 많은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중국 시장은 대만이나 한국과는 특성이 다릅니다 저렴하다고 해서 많이 제품이 많이 팔리기 보다는 가격대가 어느 정도 있는 제품일수록 또는 가격대가 높을수록 소비자들이 관심을 보입니다 대체적으로 중국 소비자들은 lsquo저렴한 제품은 품질이 낮거나 효능이 좋지 않은 제품일거야rsquo 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 때문에 화장품 박람회나 전시회에 저가 화장품을 가져와 홍보하더라도 중국 바이어나 소비자들은 큰 관심을 주지 않습니다 처음에 말했듯이 중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2 -

국 소비문화가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라는 심리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Wabfenix의 경우에는 신생기업이라 많은 투자 금액이 없을 뿐 더러 대만 화장품 시장에 진출하기에는 리스크가

크고 진입 장벽이 높습니다 그리고 이미 한국 화장품 기업들이 대부분 점유를 한 상황이기 때문에 대만 내수시장에만 집중하기에는 경쟁력이 부족하죠 그래서 중국을 주력 수출시장으로 삼고 있는데요 저희는 제품 성능 보다는 소비자의 이목을 끌 수 있는 디자인에 더 많은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중국에 Wabfenix만의 화장품 선물 문화를 정착 시키는 것이 목적인데요 높은 제품 가격만큼 소비자의 관심을 끌 수 있고 선물 문화나 꽌시(关系)가 많은 중국 문화 특성에 맞추어 선물용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중국 시장은 현재 젊은 중산층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품질이 낮은 화장품 보다는 수입 화장품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점으로 미루어볼 때 높은 가격 차별화와 Wabfenix만의 디자인 마케팅은 좋은 경쟁력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3 -

8 현지 시장조사 활동 (시장동향사진설문조사 자료)

8-1 시먼딩 설문조사

목적 대만 사람들의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및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대상 10대~20대 여성 및 화장품 전문매장 종사자장소 시먼딩시간 2015년 1월 7일 12일 총 두 차례에 걸쳐 진행방법 ①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 판넬에 국가별로 메이크업 사진을 표시하고 스티커를 붙이는 방식으로 투표함 공정성을 위해 국가 이름은 블라인드로 처리하였고 모두 동일 인물의 사진을 사용함②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표본집단을 50명으로 설정함 설문조사가 끝나면 사은품으로 한국 브랜드 마스크팩 증정함

8-2 사전 기획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판넬 기획도gt

化妝辦法喜好度的調查화장법 선호도 조사

大家給自己喜歡的化妝貼貼紙 여러분이 선호하는 메이크업에 스티커를 붙여 주세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4 -

대만의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안녕하십니까

다음의 내용은 대만 화장품 트렌드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자 관련조사를 실시하고자 하오니

있는 그대로의 생각을 기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귀하의 응답은 통계적 목적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본 설문은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물음에 대한 답변이나 해당란에 v 표를 해 주십시오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7) ② 화장품 전문매장(34) ③ 마트(5) ④ 홈쇼핑(2)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합계 총 50 명

바쁘신 시간에 의견을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지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5 -

8-3 설문조사 활동

lt2015년 1월 7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6 -

lt2015년 1월 12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7 -

lt활동 결과 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8 -

9 설문조사 통계 분석 (설문조사 응답 수분석결과)

9-1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결과gt

설문 조사 질문지 양식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12)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③ 마트(5) ④ 홈쇼핑(6)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9 -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gt

9-2 설문조사 항목 별 의견 및 추측

설문 조사 질문지 항목 (최다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② 20 ~ 25세 (13)

0

5

10

15

20

25

30

20대 이하 20세~24세 25세~29세 30세~39세 40대 이상

rarr 시먼딩은 대만의 홍대거리라 불리는 lsquo융캉제rsquo나 서울의 lsquo명동rsquo과 같이 젊은 층이 주로 활동하는 지역이다 설문조사 중에도 교복이나 체육복을 입은 학생들과 길거리에서 쇼핑을 즐기는 20대가 즐비할 만큼 활기 있는 거리다 덥고 습한 대만 기후 특성 상 과거엔 화장법이 크게 발전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국의 자연스러운 화장법이 큰 인기를 끌면서 시먼딩에 화장품 거리가 조성되어 있을 만큼 유동 인구가 많다 이 점으로 추측해보았을 때 압도적으로 10대와 20대 층이 많은 응답 수를 기록했다고 본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0 -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051015202530

온라인 화장품전문매장 마트 홈쇼핑 방문판매

rarr 대만 또한 한국과 비슷하게 시내에 많은 수의 화장품 전문매장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접근성이 굉장히 높았다 더불어 각 화장품 매장에서는 상품 할인과 같은 각종 프로모션을 진행하기 때문에 구매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 구매한다는 대답도 높은 편이었는데 거의 대부분이 와이파이존이어서 어디서나 인터넷을 한 활발히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온라인에서의 구매율도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0

5

10

15

20

25

30

NT$300 미만 NT$300~NT899 NT$900~NT$1499 NT$1500~NT2999 NT$3000

rarr 응답자들은 대부분이 한 달 간 화장품에 쓰는 돈을 최저 1만원 이상(NT$300 이상)이라고 답했는데 이는 70가 넘어가는 결과로 화장품에 대한 지출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만원 이상이라고 대답한 응답자들 또한 4분의 1을 넘기는데 이것은 젊은 연령층부터 시작하여 최근 피부 관리와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대만의 소비 수준에 대비하여 화장품 소비율이 높은 것도 이 때문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1 -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③ 성능(23)

051015202530

가격 디자인 성능 화장품 모델 브랜드

rarr 아열대 기후에 속하는 대만은 높은 기온과 습한 날씨 탓에 에어컨 환경에 자주 노출돼 피부 수분을 잃기 쉬워 기능성 화장품의 소비가 두드러진다 대만 화장품 시장은 토너 세럼 에센스 로션 크림 등의 모든 스킨케어 제품들이 보습기능을 강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백이나 안티에이징 리프팅 저자극 오일프리(Oil-free) 등의 기능까지 추가된 스킨케어 제품들이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조 화장품 소비가 늘어난 것은 최근 몇 년 들어 다양한 화장품 브랜드 접촉기회가 많아지고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젊은 여성의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색조화장품 또한 메이크업베이스와 BB크림 립스틱과 같은 베이스 메이크업이 수요가 많았다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④인터넷(22)

0

5

10

15

20

25

30

TV 잡지 친구 인터넷 메이크업샵

rarr 최근 빠른 인터넷망과 스마트폰 태블릿PC의 보급으로 인해 사람들과 사람사이의 연결망이 견고히 형성되고 있고 이것이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방법을 얻는 경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만 소비자들은 주로 인터넷 블로그 가족과 친구로부터 메이크업 정보를 획득 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만의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이므로 입소문마케팅과 판매를 바로바로 할 수 있는 유통구조가 도움이 될 것 같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2 -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0

5

10

15

20

25

30

청순 독특 귀여움 섹시

rarr 앞서 살펴보았듯이 대만은 한국과 비슷한 메이크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이것은 곧 청순한 메이크업 컨셉에 관심 있어 한다는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실제로 대만 여성소비자들은 깨끗한 피부 NATURAL한 베이스메이크업을 선호한다 한 듯 안 한 듯 자연스럽고 깨끗한 느낌의 한국식 lsquo생얼rsquo 화장법은 대만에서 한국 드라마 열풍과 함께 유명세를 타기 시작해 현지 각종 온라인 뷰티 사이트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래서 응답의 대부분이 한 곳에 치우쳤고 비교적 개성 있는 메이크업 방법이 드물 것이라는 것을 유추해낼 수 있다

본 설문 조사를 통한 한국 화장품 기업에 대한 시사점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수입 절차로 오랜 시간을 허비해야 하는 반면 대만은 자외선 차단제 성분 함유 제품과 약용 화장품을 제외한 일반 화장품은 별도의 수입 검사 없이 수입할 수 있으므로 대개 중국보다 1~2년 먼저 신상품이 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한류 효과를 겨냥한 중화권 화장품 시장으로 대만을 우선 공략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대만은 대부분이 화장품에 대한 소비를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고 한국 화장품이 많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시장 접근법만 제대로 수립하면 매출이 나는 구조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대만인들이 선호하는 메이크업 방법이 한국과 비슷하기 때문에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은 마케팅 방안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최종분석설문 조사 대상은 대부분 10대~20대의 연령층이었으며 화장품의 주된 구입경로는 lsquo온라인(24)rsquo과 lsquo화장품 전문매장(50)rsquo이 압도적이었다 더불어 한 달 간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lsquo1만 원 이상(72)rsquo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이것은 실제 생활수준에 대비하여 높은 소비량이므로 대만의 화장품 시장 전망이 밝다고 할 수 있다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부분은 lsquo성능(46)rsquo이었는데 이는 스타트업 기업 중소기업에게 유리한 조건이다 메이크업 방법을 얻는 방법으로는 lsquo인터넷(44)rsquo과 lsquo친구(30)rsquo가 높은 비율을 차지했는데 판촉활동으로는 인터넷을 활용한 SNS 홍보 바이럴 마케팅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가장 관심있는 화장 컨셉은 lsquo청순rsquo 이었고 이것은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와 맞물려 우리나라와 비슷한 메이크업 방법을 추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3 -

10 대만 명소 소개 (명소음식행사숙소 소개)

10-1 고궁박물관

대만 고궁박물원은 영국의 대영 박물관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 미국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과 함께 세계 4대 박물관으로 손꼽힐 만큼 세계적은 소장 문물을 자랑한다 건물 규모는 그다지 크지 않지만 소장한 문물의 질과 양은 세계 최상급이다 중화 보물 중에서도 최고의 보물들이 모여 있어 진귀하기 그지없고 수량 역시 워낙 방대하여 3개월 단위로 1만여점을 돌아가면서 전시해도 다보려면 10년이 넘게 걸린다고 전해지고 있다 중국의 국공내전 당시 장제스가 이끌던 중국 국민당이 전쟁에서 패하며 중국을 탈출해 대만으로 향했다 당시 장제스는 난징에 있던 정부를 타이페이로 이전하면서 자금성에 보관되어있던 중국역대 왕조 보물 수십만 점을 배를 이용해 운반해 왔다 중국의 유물을 가진 자가 진정한 통치자라고 생각했던 장제스는 ldquo공산군에게 영토는 내줘도 문화유산만큼은 내줄 수 없다ldquo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대표적인 유물은 취옥배추 육형석 모공정 산씨반 등이 있다

10-2 용산사

루강의 초입에 있는 이 사찰은 타이완에서 가장 오래되고 아름답다고 하여 타이완의 자금성이라고 부른다 각 건물의 기둥 벽 그리고 천장 등에 새겨진 조각은 특히 빼어나다 이 조각상과 함께 이곳의 명물로 알려진 것은 사찰 경내에 있는 2마리의 용상인데 삼천전 앞마당 좌우에 서서 룽산사를 호위하고 있다

10-3 타이페이 101 빌딩

타이베이 101빌딩rsquo이라 부르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로서 빌딩 모습은 하늘로 뻗어나가는 대나무 위에 꽃잎이 겹겹이 포개진 형상이다 본래 타이베이 금융기관이 모인 건물이지만 대형 쇼핑센터와 푸드코트 고급 레스토랑이 있어 여행자들이 많이 찾는다 건물에는 8개 마디가 있는데 이는 중화 문화권에서 부와 번영을 의미하는 숫자 lsquo8rsquo을 염두에 둔 것이다 타이베이 시내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는 높이 508m로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히는 높은 건물이다 지상 1~5층에는 소고 백화점 뷰티 플라자 애버뉴 101 등 다양한 패션∙뷰티용품을 구입할 수 있는 상점이 있다 또한 레스토랑 시티 스퀘어 대형 서점 등 쇼핑과 오락 식사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복합시설이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4 -

잘 알려진 식당으로는 딘 타이 펑(Din Tai Fung) 이 있다 101타워 지하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샤오롱바오(고기만두) 새우 샤오마이(새우만두) 탄탄면(우육면)이 가장 대표적인 메뉴이며 대만에 방문한 많은 사람들이 찾는 식당이다

10-4 지우펀

대만여행의 백미로 꼽히는 지우펀은 타이페이시 북부의 루이팡 지역의 작은 산골 마을로 과거에는 아홉가구만 살고 있어서 지우펀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예전에는 작은 산골 마을에 불과 했지만 이 지역에서 금맥이 발견되면서 호황을 맞이하게 된다 특히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일본풍의 건물들이 남아 있어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결합된 독특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비탈길을 따라 하늘로 이어진 예스러운 건물 그리고 골목마다 빨간 홍등과 함께 묻어나는 옛 풍경은 여행객들에게 인기 여행지이다

10-5 스린야시장

타이베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야시장 가운데 하나이다 독특하면서도 다양한 전통 먹을거리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이곳을 찾는 관광객이 많다 시장 부근에 학교가 많아 학생들이 많이 찾으며 포장마차 등의 노점상이 많아 가격도 저렴하다 칭런샹[情人巷]에는 가구 의류 액세서리 사진현상점 애완용품점 등이 모여 있어 학생뿐 아니라 관광객들도 자주 찾는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5 -

10-6 예류 지질 공원

타이완 북해안에 자리한 예류는 해수욕장과 온천 기암괴석으로 유명한 관광지다 특히 예류지질공원은 희귀한 모형의 바위와 암석이 모여 있어 예류 관광의 필수코스로 꼽힌다 작은 곶으로 된 예류지질공원은 침식과 풍화 작용을 거쳐 자연적으로 형성된 기암을 보러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지질공원으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것이 선상암 군락이다 암석 하나하나의 모습은 마치 거대한 버섯이 큰 머리로 하늘을 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선상암 가운데 가장 유명한 암석은 이집트 왕비의 옆모습을 닮은 여왕 두상 바위다

10-7 스펀(Shifen)

스펀(十分)은 옛 광산마을로써 천으로 만든 등이 유명하다 또한 이 곳 스펀은 대만 최대의 폭포 스펀(SE-FEN) 폭포가 있다 미니기차와 천으로 만든 등을 날릴 수도 있다 마을의 한가운데 긴 철길이 놓여 있고 30분에 한 대씩 기차가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것도 볼 수가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6 -

10-8 진과스(金瓜石)

진과스(金瓜石)는 타이완 타이베이 근교에 있는 옛 탄광 유적이다 20세기 전반에 금 채굴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20세기 후반에 금이 차차 고갈되기 시작하자 점점 위축되어 폐광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관광 명소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하루에도 수백명이 들렀다 가는 대만의 대표 관광지이다 진과스 내에 있는 황금 박물관에는 220kg 의 금이 전시 되어 있는데 손을 넣어 직접 만져 볼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진과스에서는 과거 광부들이 먹었던 도시락을 그대로 만들어 판매하는 광부 도시락도 굉장히 인기가 많다

10-9 국립 성공대학

대만의 타이난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1931년에 개교하였다 2010년 QS대학순위에서 283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대만 대학중 2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총 9개의 캠퍼스로 이루어져 있어 굉장히 큰 면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만 교육청에서 인정한 9개의 주요대학 중 하나이고 대만 기업체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학이다 이공계열이 가장 뛰어나며 중문 역사 법학 경제학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10 시먼딩

타이베이시에 위치한 시먼딩은 한국의 명동과 같은 거리이다 대한민국의 명동에도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과 외국인이 많다고 알려져 있는데 시먼딩 또한 명동 못지않은 다양함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대만의 패션과 놀이 문화 음식 등을 한눈에 경험 할 수 있는 공간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7 -

10-11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

중정기념당은 타이완 총통 장제스(蔣介石)를 기리는 전당이다 lsquo중정rsquo은 장제스의 본명이다 그가 서거한 후 1980년 기념당을 세웠다 25만에 이르는 넓은 중정공원 안에 우뚝 선 높이 70m의 기념물이 중정기념당이다 기념당 1층에는 장제스 생애를 엿볼 수 있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거대한 장제스 동상은 항상 근위병이 동상 앞을 지키고 있다 중정공원 안에는 중정기념당 외에 국립 희극원과 국립 음악청이 있는데 이곳에서 연극과 콘서트를 한다 공원 조경 또한 잘 조성되어 있어 산책하며 천천히 둘러보기에 좋다

10-12 안핑지구(安平地區)

대만의 문화와 역사는 안핑지구에서 시작되었다 안핑구바오는 17세기 중엽 네덜란드인들이 지은 요새로 정성공이 빼앗아 번영하다가 황폐해져 지금은 보루의 대부분이 없어지고 설탕과 굴껍데기와 찹쌀가루를 버무려 만든 빨간벽돌로 된 장벽(臺灣城殘蹟)만이 남아 나무뿌리와 존립의 사투를 벌이고 있다 감시탑 옆 건물 안에는 네덜란드와 정성공의 전투에 대한 이야기와 중세갑옷 등이 전시 중이다 이 주변에는 대만에서 가장 오래된 상업거리 옌핑제(延平街)가 있는데 옛 명성이 다한 거리의 골목 사이사이 수백년 된 가옥을 구경하는 것도 소소한 즐거움이다 1867년 영국인 상점과 물류창고로 이용하던 건물에 노용수(老榕樹)가 멋대로 자라 건물을 집어삼키듯 뒤덮은 나무집으로 불리는 안핑수우도 안핑지구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진귀한 볼거리다

10-13 미라마 관람차

대만에서 가장 큰 관람차로 알려져 있는 미라마 관람차는 타이페이 시의 야경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관람차 크기가 큰 것으로 유명하지만 가격 또한 저렴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유스트래블 카드를 이용하면 50 할인이 적용되므로 꼭 지참하도록 하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8 -

lt미라마 관람차 티켓gt lt유스트래블 카드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9 -

11 시사점 및 차후 활용계획 (LGC 프로그램을 통한 구체적인 효과 및 연구결과)

11-1 LGC 프로젝트 만족도

구분 항목 전 후 한줄 평

사업단

프로젝트 취지- 린튼 글로벌 학과와 경영정보학과 학생들이 함께

하는 프로젝트 해외시장탐방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사전교육 활동- 출국 전 각 나라에 대한 유의사항 안전교육이 체

계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개략적인 보고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었다

행정지원 절차- CK사업단 린튼 글로벌 학과 경영정보학과 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히 되지 않아 사전 계획에서 많은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협동력 향상- 출발 전 잦은 팀 회의와 8박 9일 간에 일정에도

불구하고 불화 없이 좋은 분위기 속에서 프로젝트를 완수 했다

추진력 향상- 일정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 한 점 추가 자료조

사를 위해 현지에서 새로운 일정을 추가 됐을 때 팀원들이 일사불란하게 따라주었다

문제해결 능력- 교통편 문제와 기업 측 내부 문제로 일부 일정에

변동이 있었지만 신속한 조율과 전화 통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개인

동기부여 자극- 현지인들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국어 영어 능

력의 필요성을 실감했다 특히 중국어는 소통 유무에 따라 현지 반응이 극명하게 갈렸다

진로설계 도움- 프로젝트 전에 비해 새로운 직업 분야에 대한 관심

이 증가했다

취업능력 향상-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한 내용을 살려 구술 면접이

나 자기소개서 작성에 참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11-2 LGC프로젝트 연구 결과 - 대만 시장

⓵ 중국시장을 주목하는 대만 화장품 기업- EST팀은 현지 대만 화장품 기업으로 SISDORA와 WABFENIX를 선택했다 두 회사를 선정한 배경에는

명확한 의도를 두고 정했다 SISDORA는 설립한 지 10년이 넘는 회사로 직접 화장품을 개발 및 연구하고 판매하는 중소기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과 주름개선 크림으로 중년 여성을 타깃 층으로 하는 화장품 회사다 반면 WABFENIX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스타트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 이지만 기술개발 보다는 디자인 마케팅에 중점을 두었고 판매 층도 10대-20대의 젊은 층을 타깃 층으로 한다 시장 전략이 완연히 다른 두 기업이 유일하게 공통점이 있다면 중국시장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선정 이유에는 많은 인구의 소비력을 꼽지만 뒤이어 언급하는 이야기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자사 제품의 경쟁력 약화를 말한다 현재 대만 기업 대부분은 내수 시장 대신에 중국을 겨냥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국가 산업 특성상 제조amp연구 분야가 강세인 대만에서는 중국 바이어 또는 미국 유럽 바이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직접 판매 보다는 기술 협력을 통해 이익을 창출한다고 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0 -

⓶ 대만 시장을 점령한 한국 화장품

- 앞서 말했듯이 2012년 이후부터 급속히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한국 화장품은 대만 시장을 점령하고 있다 이미 시먼딩에 들어서면 다양한 한국 화장품 매장이 눈에 띌 만큼 들어섰으며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중앙 광장에 입점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매장 안에는 많은 대만 사람들이 화장품을 보고 있는 광경을 흔히 본다 화장품 매장을 이용하는 연령층은 주로 10대-20대들이다 화장품 가격이 한국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주 애용하는 이유는 한류 열풍으로 인한 한국 연예인들에 대한 관심과 화장법이 크게 유행하고 있음을 현지 설문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⓷ 체감할 수 있을 만큼 커다란 한류열풍

- 뉴스에서만 듣던 한류 이야기를 대만에서 직접 느낄 수 있을 정도로 한류열풍은 크다 특히 삼성이나 LG의 TV나 스마트폰은 어딜 가든 항상 보이고 한국 화장품 선물에 대한 반응이 무척이나 뜨겁다 원활한 현지 조사를 위하여 사은품으로 준비한 한국 마스크 팩 100개는 오히려 현지인들이 참여 의사를 표현할 만큼 열정적이었다 일부 대만 사람 중에는 어디서 왔냐는 질문에 한국이라는 답변을 하니 같이 사진 찍기를 제안하기도 했다

⓸ 중소기업에게 있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는 대만 시장진출- 대만 시장 진출에 앞서 한국 화장품 중소기업이라면 전략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크게 대만 시장을 겨냥

할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할지 선택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3CE는 한국 화장품 회사다 대만에서 젊은 연령층이 자주 이용하고 이미 대만 내에서는 유명하다 3CE는 오프라인 매장 없이 순수 온라인 매장으로 운영하면서 대만 사람들을 위한 전용 웹사이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윤을 창출 하고 있다 신중해야 할 점은 현재 온라인 오프라인 등 한국 화장품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신규 진입에 있어서 장벽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대만 시장을 활용한다면 동남아 시장까지 한 번에 내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출입통관 절차가 간단하고 관세가 낮기 때문에 중소기업에게 유리하다 아직까지 중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1 -

에 대한 직접적인 수출이 가능한 곳은 상해나 항주 같이 중국에서 허가한 무역항 도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내륙까지 시장을 확대하기는 불가능하지만 같은 언어권인 대만을 거치면 보다 쉽게 바이어나 에이전트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인맥을 통한 꽌시와 수수료 명목으로 뒷돈을 요구하는 중국 바이어의 관행은 자금 순환이 원활치 않은 중소기업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11-3 LGC 프로젝트 종합 의견 및 전망

우리 lsquoEST팀은 출국 전 국내 화장품 시장 조사를 할 때 대덕 밸리 스타트업 기업 셀아이콘 랩의 영향으로 대만의 화장품 산업에 대해 큰 관심과 가능성을 보고 2015년 1월 5일부터 1월 13일까지 8박9일이라는 시간동안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 나라 중에 하나인 대만에서 rsquo대만의 화장품 시장lsquo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사를 했다 대만에서는 3개의 기업 (KOTRA SISDORA WABFENIX) 을 방문해 전반적인 대만의 화장품 시장과 판매전략 한류에 대한 보다 사실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1개의 대학 (국립성공대학 國立成功大學)에서 MBA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또 타이난에서는 대만에서 오랫동안 사업하시는 한인협회 회장을 만나 PLC (Product Life Cycle)를 통해 대만에서의 특정 시장이 도입기에 있는지 또 어떠한 시장이 쇠퇴기에 놓여있는지 다양한 시야에서 대만시장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노력은 CK 사업단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교육부 CK-1 프로젝트의 일부인 Linton Global Challenge는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몇 년을 내다보는 지속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기업들과 더욱 더 활발한 교류와 연구를 한다면 기업과 CK 사업단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리라고 본다

1 개인 탐방 후기 (팀원 개인 소감)

1-1 개인 탐방 후기

강성민탐방 후기 기업 컨택 부터 인터뷰 일정 계획까지 8박 9일간의 대만 화장품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 출국 전까지 준비 과정부터 탈도 많았고 대만에 와서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 원하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매일이 항상 회의와 고민의 연속이었다 하루하루 충실히 계획을 진행시켜 나갔고 좋은 팀 분위기 속에서 무사히 대만 프로

부록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2 -

젝트를 완수했다 그리고 마침내 한국으로 돌아왔다 과정은 항상 오르막 길이였지만 돌이켜 보면 마지막 대학 시절을 기념할만한 좋은 추억이자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느끼는 바가 많았던 프로젝트로 기억 될 것이다

김은진탐방 후기 글로벌 챌린지를 한마디로 정의하라고 한다면 도종환 시인의 lsquo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lsquo라는 시가 떠오른다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대만기업컨택 설문조사 등 많은 것을 경험했다 처음엔 모든 것이 나에겐 버거운 산이라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도전이 계속 될수록 이젠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이 모든 도전들에 흥미가 생겼다 나 자신도 책임감과 자신감이 생기고 한층 성숙해 진 것을 내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소중한 동료와 추억은 평생 나의 가슴속에 남을 것이다 우린 앞으로도 많이 도전하고 경험하여 우리들의 삶이 활짝 만개하리라 다짐한다 끊임없이 도전하는 20대의 청춘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프로그램이었다 김종선탐방 후기 한국에서 준비하면서 조사했던 내용과 비교하며 인터뷰를 해보니 실제로 많이 다른 부분도 있었고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 비슷한 내용도 있었다 현지의 기업들을 방문해 우리가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직접 매장에 가서 느껴보니 앉아서 컴퓨터만 볼 때랑 많이 달랐다 그리고 직접 대만인들에게 설문조사를 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그리고 대만의 실제 문화와 환경 그들의 생활을 잠시나마 볼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

구명우탐방 후기 며칠간의 꿈만 같았던 대만에서의 시간이 지나갔다 대만으로 출국하기 전 사전조사 기간에는 확신이 없었다 사전조사와 기업과의 인터뷰 그리고 9일간의 일정조율 및 숙박과 모든 대만에서의 연구와 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보고서까지 무엇하나 확신이 드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도전과 해결능력을 배웠고 아시아에서 급성장 중인 대만에 대해서 배우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다음기수로 가게 될 관심 있는 학우들에게 진심으로 추천해주고 싶다

이규현탐방 후기 CK-1 프로그램 중 하나인 lsquo린튼 글로벌 챌린지lsquo 프로그램을 통해 약 8박 9일이라는 시간 동안 emerging market 중 하나인 대만에 거주하면서 한국 화장품의 대만시장 점유율과 진출 가능성을 몸으로 체감하고 자료들을 모아 통계 내어 정리할 수 있었다 우리 팀 lsquoEST가 성공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충분한 국내조사 기간을 갖고 대만의 화장품 회사들을 방문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대만의 특정한 기업을 찾기도 어려웠고 기업 컨택은 번번히 거절당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회사 두 군데에서는 답장조차 오지 않았고 설문조사할 때에는 반한감정의 대만인을 만나 고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팀의 단결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리더의 통솔력으로 정해진 스케줄대로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회사를 방문하고 학교교수를 만나고 길거리에서 설문조사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팀원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또한 대학생으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을 한 것 같아서 스스로도 너무 뿌듯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팀을 믿고 지지해주신 LGSB 교수님들과 CK-1 프로그램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영은탐방 후기 처음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렇게 준비는 열심히 하지만 정말 우리가 계획한 100대로 대만을 다녀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기우가 무색하게도 대만은 우리에게 기획안 그 이상의 것들을 보여주었다 사장님들의 생생한 사업 이야기와 대만의 색채가 묻어있는 아이템들 하며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여 알아보는 비즈니스 마켓의 현장은 나에게 두고두고 잊지 못할 자산으로 남았다 또한 펑리수 버블티를 비롯한 대만의 맛있는 먹거리들과 스린 야시장이나 지우펀 같은 명소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열심히 고생해준 팀원들과의 추억들도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3 -

이서우탐방 후기 이번 글로벌 첼린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서 쉽게 할 수 없는 해외 기업 탐방과 해당 국가의 산업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임효진탐방 후기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팀이 대만을 방문 한다고 했을 때 많이 의아해 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만을 직접 방문해보고 많은 사업자들을 만난 결과 대만은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라고 생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아직 공산주의라는 정치적 특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다른 곳보다 훨씬 어렵지만 대만은 자유시장체제 이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쉽다 특히 외국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만 시장에서 한국제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추고 중국 시장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성공가능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그리고 대만의 바이어들을 통해 중국의 시장진출을 하게 된다면 사업자가 직접 중국시장에 진출 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성공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만은 문화적으로 다른 아시아권보다 선진화 되었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대도시에 속하지만 모두다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골고루 섞여 대만만의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차안호탐방 후기 9박 10일간의 대만을 다녀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넓고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이번 대만 여행은 처음으로 경험한 해외여행 경험이여서 그런지 순탄치 않은 면도 있었지만 팀원들 서로가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만시장은 중국시장으로 가기위한 좋은 시험의 장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대만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영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더 나아가 미래에는 중국어야말로 영어와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성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또 하나 놀란 점은 대만이 반 한류 감정을 많이 갖고 있는 줄 알았지만 대부분의 대만 일반 시민들이 굉장히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에 놀랐고 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CK-1 사업의 챌린지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대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계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보완점 및 건의사항 (문제점개선책건의사항)

2-1 기업 컨택의 어려움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에 있는 기업과 연결하여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대해서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조사 및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시간을 내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로써 그들의 귀한시간이 아깝게 쓰이지 않을 것을 강조하여 만남을 만들어야 한다

2-2 사업단과 의사소통의 불편함

Challeng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CK-1 사업단과의 지속되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가령 누군가를 통해서 전해지는 소문이나 촉박한 시간을 제시하고 일 처리를 원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단과 각 팀의 대표간의 분명한 의사소통과 증빙자료 등이 필요하다

2-3 정보 부재 이번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이머징 마켓에서의 유망 산업 조사 및 연구였다 대만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6: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6 -

2 예산 사용 내역 (항공편숙박비식비기타비용)

2-1 종합 예산

사용 내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7 -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8 -

3 해외 탐방 성과 (종합적인 의견)

3-1 대만 일정 간 EST팀 성과

대만 현지 기업 2곳 방문 및 인터뷰(SISDORAcoltd Wabfenixcoltd) 대만 지사 코트라 방문 및 인터뷰 대만 lsquo성공대학(成功大學)rsquo MIS학과 진정충(陳正忠) 교수 및 학생들과 미팅 가오슝 한인협회 회장 인터뷰 시먼딩(西門丁)에서 현지인을 대상으로 한 화장품 설문조사 실시

시먼딩은 한국 화장품 거리로 불리는 lsquo명동rsquo과 비교되는 동 단위의 지역으로 평가받는다

3-2 기업 측면

대덕밸리 스타트업 기업(주)셀아이콘 랩의 대만 시장 진출 가능성을 탐색 대만 시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대만의 화장품 기업들의 홍보 효과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품에 대한 인식 조사 대만에 진출해 있는 한국 화장품 기업의 입지 조사 대만 화장품 시장의 유통경로 조사 새로운 홍보 전략의 일환으로 관계 유지 가능

3-3 학생 측면

모든 일정을 학생들이 직접 나서서 해야 한다는 점에서 자립심과 해결능력을 함양 해외의 이머징 마켓을 직접 보고 느끼면서 글로벌 마인드의 함양 학생들의 리더쉽과 자신감 획득 영어 및 중국어 능력 향상

3-4 사업단 측면

CK-1 사업 목표 및 취지에 부합한 성공적인 프로젝트 선례로 활용 가능 글로벌 IT 경영학과 및 글로벌 비즈니스 학과 홍보 전략으로 활용 가능

학생이라는 신분으로 대만 현지에 있는 기업들을 마주하는 일은 정말로 어려운 일이었다 하지만 출국 전부터 기업과의 꾸준한 연락과 철저한 준비로 마침내 미팅 날짜를 잡고 대만 현지에서 연락하던 기업들과 직접 만나 대만 화장품 시장에 대해 조사를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우리가 일정동안 찾았던 기업은 총 5곳으로써 국내외 기업간의 투자 및 산업기술 협력의 지원등을 맡고 있는 KOTRA in Taiwan 그리고 대만에서 기능성 화장품으로 유명한 SISDORA 대만의 타이난 지역 내에서 한국과 대만의 화장품 중개무역을 담당하시는 대표님 마스크 팩의 중국진출과 번뜩이는 아이템으로 중국 화장품 시장 내에서 대박을 생각 중이신 MrKen 등 정말 다양한 위치에서 일하고 계신 분들을 만났다 또한 -EST 는 그곳에서 만난 인연으로 101타워의 프리미엄 퍼스널 릴렉스 트레이닝 센터와 디저트로 유명한 Mango 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이뿐만 아니라 대만의 명동과 같은 ldquo시먼딩rdquo에서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품에 대한 인식을 조사 할 수 있었으며 화장으로 대표적인 5개국의 화장법을 두고 투표를 하여 한국 화장품 기업의 미래가 밝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번 프로젝트는 이머징 마켓으로써 시장 조사 뿐만 대만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시민의식 등을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101타워 용산사 예류 지질 공원 스펀 지우펀 진과스 온천 등과 같은 대만을 충분히 느낄 수 있는 다양한 관광지를 방문했으며 특히 친절한 대만인들과의 소통으로 대만이 어떠한 나리인지 뼈 속 까지 알게 되는 느낌이었다

이 모든 활동을 통하여 대만 화장품 시장의 특성을 명확히 이해하게 되었으며 넓게는 대만의 미래가 굉장히 밝다는 느낌을 들게 해주었다 또한 학생들 개인적인 측면으로 9명 모두에게 자립심과 도전심을 가지게 해준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9 -

좋은 기회였다

3-5 기대효과

현지 시장조사 자료 획득 자사 시제품 반응결과 파악 사업단과의 지속적인 연계

3-6 사업단 측면 효과

학과 내 MIS-DAY 또는 관련 과목 강의에서 특강 해외탐방 동아리 개설 차기 CK프로젝트 멘토 활동 가능

1 팀 소개 (사진이름담당역할)1-1 팀 소개

EST팀 지도교수 및 멤버

강성민(25) - 조장전체 계획 수립 및 제안

김종선(25)국내 및 국제 시장 조사

차안호(25)프로젝트 연구 통계 분석

이서우(24)예산 수립 및 예산 관리

본문 내용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0 -

구명우(24)투어 일정 수립

김은진(22)

현지 시장 조사

임효진(24)

공고인터뷰일정 및 숙소 예약

이영은(22)

보고서 작성 및 프리젠테이션 제작

이규현(23)

사진 및 동영상 촬영 편집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1 -

2 대만 소개 (국가 기본정보한국과의 관계)

국호臺灣(Taiwan)

- 대만의 공식국호는 lsquo中華民國(Republic of China)rsquo - 국제 행사에서는 lsquoChinese Taipeirsquo 사용

위치 동남아시아

면적 36193(한반도의 16배 남한면적의 13배)

기후 아열대 몬순 기후권

수도 타이베이(Taipei 台北 서울의 약 12크기)

인구 약 2천 3백만 명

주요도시Taipei City(269만명) New Taipei City(390만명)

Kaohsiung City(277만명) Taichung City(265만명)Tainan City(187만명)

민족구성 민남인(74) 외성인(13) 객가인(15) 원주민(2)

언어 공용어(중국어)상용어(민남어 객가어 원주민어)

종교 불교(35) 도교(33) 기독교(26) 천주교(13) 회교(02) 등

건국일 191211(중화민국건국일)

정치형태 입헌민주공화국

국가원수총 통 마잉주(馬英九 Ma Ying-Jiou)

2012114 재선성공 2012520 취임식부총통 우둔이(吳敦義 Wu Den-yih)

GDP ㅇ2012년 US$ 4804억ㅇ2013년 US$ 4789억

2-1 대만 소개

국가 개요

경제 지표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2 -

ㅇ20141~6월년 US$ 2433억

경제성장률ㅇ2012년 148ㅇ2013년 219ㅇ2014년 2분기 384

1인당 GDP ㅇ2011년 US$ 20246ㅇ2012년 US$ 20502ㅇ2013년 US$ 20984

실업률ㅇ2012년 424ㅇ2013년 418ㅇ2014년 2분기 397

물가상승률ㅇ2012년 193ㅇ2013년 079ㅇ2014년 2분기 121

외환보유고ㅇ2012년 US$ 3942억ㅇ2013년 US$ 4168억ㅇ20146월 US$ 4235억

산업구조 제조업(233) 도소매업(181) 부동산업(85) 금융보험업(65) 농업(187)

교역규모ㅇ2012년US$ 3012억(수출) US$ 2705억(수입) 무역수지US$ 307억ㅇ2013년US$ 3055억(수출) US$ 2701억(수입) 무역수지 US$ 354억ㅇ20141~6월US$ 1534억(수출) US$ 1372억(수입) 무역수지 US$ 162억

주요교역품 ㅇ수출 전자제품 기본 금속 제품 플라스틱 및 고무 제품 광학기기 화학품ㅇ수입 광물 전자제품 화학품 기계 기본 금속 제품

환율ㅇ2012년 US$ 1=NT$ 2962ㅇ2013년 US$ 1=NT$ 2977ㅇ2014 6월 US$ 1=NT$ 3004

화폐단위 New Taiwan Dollar(NT$)

외교 관계

ㅇ 1948 8월 대만정부 대한민국 정식 승인ㅇ 1949 8월 주타이베이 한국대사관 개설ㅇ 1992 8월 한국-대만 단교ㅇ 1993 11월 주타이베이 한국대표부 개설ㅇ 1994 1월 주한 타이베이대표부 개설

교역 규모 ㅇ 2011년

한국-대만 외교 관계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3 -

(한국 기준)

- 수출 US$182억 수입 US$1469억 무역수지 US$35억ㅇ 2012년 - 수출 US$148억 수입 US$140억 무역수지 US$8억ㅇ 2013년 - 수출 US$157억 수입 US$146억 무역수지 US$107억ㅇ 20141~6월 - 수출 US$75억 수입 US$75억 무역수지 US$04억

주요교역 품목ㅇ 수출 반도체 기초유분 철강판 석유화학 중간원료 컴퓨터 정밀화학원료 반

도체 제조용 장비 광학기기 석유제품 선박 등ㅇ 수입 반도체 컴퓨터 기구부품 철강판 무선통신기기 기타 중전기기 평판디

스플레이 및 센서 기타 석유화학제품 플라스틱 제품 정밀화학원료 등

상호 투자

ㅇ 우리나라의 對대만 투자 - 2010년 43건 US$1400만 2011년 42건 US$4700만 - 2012년 38건 US$950만 2013년 26건 US$1700만 - 1968~2013년 624건 US$ 5억 6300만ㅇ 대만의 對한국 투자 - 2010년 5건 US$340만 2011년 7건 US$2800만 - 2012년 9건 US$2100만 2013년 14건 US$6100만 - 1962~2013년 181건 US$ 6억 1200만

교민 총 교민수 약 3천 4백여명

양국 간 교역 동향

수출입 동향

Ÿ 한국과 대만은 주요 수출입 품목이 반도체 철강 컴퓨터 화학원료 등으로 중복되는 경향이 강하며 상호비교우위 품목을 위주로 교역이 이뤄지고 있음

Ÿ 전년도 수출 급감에 따른 기저효과 스마트기기 및 테블릿 산업의 성장과 이에 따른 부품 수요 증가 한류영향 품목의 수출 확대 등으로 인하여 2013년도 한국의 對대만 수출은 전년대비 6 늘어났으며 수입 역시 44의 증가세를 보임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4 -

구분2012년 2013년 2014년 1~6월

금액 증감 금액 증감 금액 증감

총계 2882 -124 3033 52 1502 -328

수출 1481 -186 1570 60 753 -726

수입 1401 -46 1463 44 749 135

수지 8 -771 10 25 04 -945

순위 품 목2012년 2013년 2014년

1~6월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1 반도체 3578 -342 3742 46 2169 1572 석유제품 2239 -29 2810 255 953 -3563 기초유분 1381 198 1314 -48 531 -2084 정밀화학원료 406 -426 477 176 272 1835 석유화학중간원료 532 -376 586 101 220 -516 반도체제조용장비 311 -222 344 107 195 -107 자동차부품 239 209 168 -298 159 8728 광학기기 238 -248 283 188 151 969 기구부품 217 111 375 727 147 -28210 플라스틱 제품 250 -124 286 147 142 16

lt 한국-대만 수출입 동향gt (단위 억 달러 )

자료원 한국 관세청

lt한국의 對대만 10대 수출 품목gt (단위 백만 달러 )

주 MTI 3분류 2013년 수출액순 자료원 한국 관세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5 -

순위 품 목 2012년 2013년 2014년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1 반도체 8114 117 8874 94 4438 -102 기구부품 757 124 867 146 341 -2343 철강판 420 -312 398 -52 181 -1474 컴퓨터 616 -570 356 -422 171 -635 기타석유화학제품 227 -103 199 -125 143 9856 플라스틱 제품 324 229 288 -111 136 -1057 동제품 156 46 194 245 125 2108 합성수지 159 -19 172 81 108 2739 평판디스플레이및센서 133 -215 138 35 106 29110 기초유분 155 -250 132 -143 98 425

lt한국의 對대만 10대 수입 품목gt (단위 백만 달러 )

주 MTI 3 분류 2013년 수입액 순 자료원 한국 관세청

양국 간 상호 투자현황

대만의 對 한국 투자현황lt대만의 對韓 투자동향gt

(단위 건 백만 달러)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1~6월 누계(62~2014)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5 34 7 280 9 21 14 61 3 3 184 615

자료원 대만 경제부 투자심의위원회 신고 기준

Ÿ 대만기업의 對韓 투자는 10~20만 달러 규모의 판매법인 설립이 대부분이며 대규모 그린필드형 투자는 중국 및 동남아지역에 RampD형 투자는 미국과 일본에 집중되고 있음thorn 대만기업의 對韓 투자는 지난 5년간 연평균 25천만 달러에 불과

Ÿ 또한 중국 투자환경 악화로 동남아 등지의 신흥시장으로의 제조기반 이동에 대한 투자가 늘고 있으며 유턴투자도 증가

Ÿ 한편 주요 산업분야에서 대만은 한국과 경쟁적 보완관계이며 일본과는 보완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음thorn 특히 한 대만간 반도체 디스플레이 기업간 경쟁이 심해지면서 대만 IT업계를 중심으로 lsquo聯日抗韓(일본

과 연합하여 한국을 견제하자)는 주장이 제기되는 등 대만기업의 일본 편중현상은 심화되고 있음Ÿ 지금까지 대만의 대표적인 對韓 투자사례로는 2007년 IC디자인 기업인 SIMO의 FCI 인수(8800만 달러)

2010년 대만의 최대 철강회사 CSC의 동부메탈 지분인수(4200만 달러) 2010년 IC 테스팅 업체 Ardentec 웨이퍼 테스팅 공장 설립(4000만 달러) 2012년 6월 반도체 패키징 업체인 ASE의 라인증설(8000만 달러) 등이 있음

Ÿ 최근에는 금융권을 중심으로 한국기업에 대한 MampA SI 투자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어 주목받고 있음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6 -

thorn 2013년에는 대만의 1위 증권사 위안타가 한국의 동양증권 인수를 발표 양국의 금융감독기관 허가를 받아 2014년 연내 합병 추진 중(25억 달러)

thorn 또한 다국적 제약회사 Alvogen은 대만 LOTUS를 인수 동아시아 HQ로 삼고 한국 제약회사(드림파머) 인수를 추진 중

우리나라의 對 대만 투자현황

lt한국의 對대만 투자동향gt (단위 건 백만 달러)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1~3월 누계(lsquo68~lsquo14)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43 13 44 47 38 9 34 68 15 5 646 617

자료원 한국수출입은행 신고 기준

Ÿ 제조업 분야에서의 對대만 투자는 시장개척 및 고객사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임

Ÿ 우리기업의 대표적 투자 사례로는 2005년 LCD 장비 업체 PKL사의 LCD용 포토마스크 공장설립(4000만 달러) 2007년 게임업체 넥슨의 감마니아 지분인수(2100만 달러) 등이 있음

Ÿ 2011년 4월 미래에셋(Mirae Asset Global Investments)은 타이완라이프자산운용에 약 1000만 달러를 투자 자산운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Ÿ 2014년에는 PCB 기판 업체 달마전자가 가오슝에 공장을 설립 9월 준공식을 앞두고 있음

3 탐방 목적 (주요 목표부가 목표기대 효과)3-1 탐방 목적

주요 목표 1 대덕밸리 스타트업기업 (주)셀아이콘랩의 대만진출 가능성 탐색 2 대만 소비자들의 기능성 화장품 인식 조사 3 대만화장품시장의 유통경로 조사

기대 효과기업측면 기대 효과

⓵ 현지 시장조사 자료 획득⓶ 자사 시제품 반응결과 파악⓷ 사업단과의 지속적인 연계

사업단측면 기대 효과⓵ CK 사업 목표 또는 취지에 부합(CK ndash University for Creative Korea)⓶ 새롭게 출발하는 lsquo글로벌IT경영학과rsquo의 홍보전략으로 활용 가능

학생측면 기대 효과

⓵ EST팀 특강 ndash 학과 내 MIS Day 혹은 관련 과목 강의에서 특강⓶ 해외 탐구 동아리 개설⓷ CK 멘토와 후원 활동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7 -

4 사전조사 활동 (셀아이콘랩)

4-1 기능성 화장품 연구amp제조 기업 lsquo셀아이콘랩rsquo 기업 인터뷰

회사 소개

회사명 셀아이콘랩주소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대로 1646 한남대학교 사이언스파크 312호 대표자명 성민규 대표 사업분야 코스메슈티컬 펩타이드 소재개발 피부 전문가용 코스메슈티컬 화장품 OEMODM 주문 생산 방식

인터뷰 내용 1) 셀아이콘랩 2014년도에 많은 해외 박람회에 참여하고 있는데 해외시장 진출 의사가 있으신가요= 저희 회사의 사업화 로드맵을 보시면 2014년에 해외영업 마케팅 판매가 계획되어 있고 올해 들어 중국 러시아 카자흐스탄 말레이시아 등 여러 나라를 방문하여 박람회에 참가하고 실질적으로 상품을 판매하고 반응을 살피고 있습니다

2) 그렇다면 대만 화장품 시장 진출에 대해 고려해본 적은 있으신가요 만약 진출을 고려해보았다면 대만의 화장품시장에서 원하는 자료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대만시장을 접할 기회가 부족했을 뿐 내년에 대만 시장진출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셀아이콘랩은 현재 거래중인 중국 카자흐스탄 등지의 국가들에서 더 나아가 대만이나 홍콩과 같은 중화권 시장의 가능성을 느끼고 해당나라에 진출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요구사항 대만의 수출수입 인허가 절차 관세 세금 시장가격 형성 요인 화장품 유통 채널 구매경로 트렌드 또한 대만 시장에 뷰티샾(우리나라의 올리브 영)같은 종합 매장이 형성과정 실질적인 구매력을 알아보기 위한 대학 졸업생의 평균 초봉 등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8 -

5 화장품 산업 및 환경 분석 (연구자료 첨부)

구분 2011 2012 2013(1월 ~ 11월)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및 성장률 19427798 42 19421349 00 191454345 08

5-1 화장품 시장 동향

시장규모 및 전망thorn 대만의 약품 및 화장품 시장규모는 2013년 기준 1914억 달러로 2012년 대비 008 증가

최근 3년간 대만 약품 및 화장품 시장규모 및 성장률 (단위 천 달러)

자료원 대만경제부 통계처

시장전망thorn 수요 감소 예상 요인 대만 화장품시장은 다양한 국산 수입제품들이 오랜 시간 경쟁하는 포화된 시장thorn 종합의견 다수 유명 외국 브랜드(예 SHISEIDO KOSE 등)는 대만에 공장을 설립해 국산 브랜드와

경쟁하고 있으며 대만 정부의 각종 규제가 엄격하고 많아 허가 관련 등록서류 및 비용으로 인한 진입 장벽이 큼

소비자 구매 패턴thorn 주요 소비자 계층 14~55세 등 다양thorn 소비자 구매 동기 귀엽고 여성스러운 디자인 미백 보습 등과 같은 눈으로 확인 가능한 기능성 민감

성 피부에 바로 사용 가능한 화장품을 선호하는 추세

제품 트렌드thorn 대만 시장에서 국산 브랜드보다 수입 브랜드의 인기가 더 높으며 그중 일본 브랜드가 장시간 많은 인

기를 유지하여 왔음thorn 최근 한국 드라마에서 스타들이 연출하는 화장법 또는 유명 스타가 광고하는 한국 화장품이 큰 인기

를 얻고 있으며 한류 열풍으로 대만에서 수입 화장품 판매량이 늘어나면서 국산 화장품의 신제품 개발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

thorn 피부과 및 의학미용센터에서 다양한 시술(보톡스 반점 제거 여드름 크리닉 모공축소 레이저 비지 제거 등)을 받아 꾸준히 피부관리를 받고 다니는 여성들이 많아지는 추세에 따라 기능성을 강조하는 의학미용(aesthetic medicine) 화장품 혹은 시술 받고 나서도 바로 사용 가능한 기초화장품(무자극 보습효과 강조)이 유행하기 시작함

해당 산업 관련 정부 정책thorn GMP 정책 글로벌 추세에 따라 대만 화장품의 품질middot제조 수준 및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대만 경

제부공업국과 대만 위생서는 2008년 9월 4일부터 lsquo자발성 화장품 우량제조규범 검증제도(自願性化妝品優良製造規範驗證制度)rsquo를 실시한다고 발표함 약품 의료기기 식품을 이어 화장품이 네 번째로 GMP검증을 받는 산업이 되었음 ISO 22716 규범으로 주요 참고 근거로 보고 있음 동시에 화장품 GMP 추진 플랫폼을 설립하고 기업 문의에 대한 상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9 -

구분 2011 2012 2013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및 성장률 614293 1192 600356 -227 557784 -085

순위 국가 금액 점유율 증감율2011 2012 2013 2011 2012 2013 1312

총계 614293 600356 557784 100 100 100 -0851 일본 248980 237052 199987 40531 39485 35854 -113212 프랑스 116031 111983 110509 18888 18653 19812 45333 미국 89984 96689 89924 14648 16105 16122 -03914 한국 29779 29329 36746 4848 4885 6588 386345 중국 23444 30114 30138 3816 5016 5403 99486 영국 15895 14619 14482 259 2435 2596 29227 독일 16799 14327 14159 274 2386 2538 96758 스위스 13631 12401 11151 222 2066 1999 -5329 태국 9929 9214 8943 162 1535 1603 533310 이탈리아 12312 8853 8632 2 1475 1548 7727

5-2 수입동향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동향 (단위 천 달러 )

주 대만 국제무역국

최근 3년간 상위 10개국의 수입통계

주요 수입국 현황(HS Code 330499 기준) (단위 천 달러 )

자료원 대만 경제부 국제무역국 중화민국수출입무역통계(httpcus93tradegovtwFSCI)

수입관세 및 관련 제도thorn 관세 0thorn 통관 시 유의사항 대만에서 화장품은 의료용 또는 약품을 함유하지 않은 lsquo일반화장품rsquo과 lsquo함약화장

품rsquo 등 세 종류로 나눠져 있음 함약화장품의 경우 통관 시 대만 위생서에서 발행한 위생허가증을 제시해야 함

thorn 필수 인증 현황 함약화장품(예 염색제 파마제 자외선차단제 땀 억제제 치아미백제 등)은 대만 위생서 허가를 받아야 수입 및 제조판매를 할 수 있음 허가 신청 시 제품명 성분 제조업체명 제조업체주소 해외 수입업체명 수입업체주소 제품 전성분 용량 용도 사용법 유효기간 샘플 Certificate of Analysis Certificate of Sales SPF ampUVA 검사보고서 등이 필요함(세부사항은 대만 위생서 홈페이지 참조바람)

5-3 유통구조

유통채널 종류thorn 오프라인 백화점 H ampB(Watsons Cosmed SaSa 등) 방문판매 약국 각종 마트 편의점 피부과

피부관리센터 전문판매점(로드숍)thorn 온라인(여기는 virtual channel을 뜻함) 홈쇼핑 온라인 쇼핑몰(경매 브랜드 홈페이지 등 포함) 우편

주문(郵購) 등이 있음

유통채널 점유율 오프라인 유통채널의 점유율은 여전히 70~90 정도로 높게 차지하고 있으나 온라인 유통채널의 점유율도 빠른 속도로 상승하고 있음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0 -

브랜드명 제품명 가격 판매순위

SHISEIDO 100 1

SKII 133 2

ESTEE LAUDER 100 3

항목 내용전시회명(현지어명) 2014春夏國際美容化妝品展전시회명(한국어) 2014 춘하 국제미용화장품 전시회

전시품목 미용 화장품개최국가도시 타이베이

유통채널 활용 방안 아직까지 온라인 채널의 점유율이 높지 않으나 대만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블로그 등)에 영향을 많이 받는 편이어서 오프라인 채널에 진입하기 전에 온라인으로 먼저 마케팅(브랜드 이미지메이킹 블로거 마케팅 등)을 진행하는 방법을 추천함 대만 오프라인 채널의 진입장벽은 매우 높으며 비교적으로 이윤이 많이 남는 온라인시장에서 브랜드 파워를 먼저 키우면 오프라인 채널에 들어가는 길이 훨씬 수월해질 것으로 예상함

5-4 경쟁동향

경쟁제품 현황주요 경쟁제품 현황

(단위 달러)

한국 제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 및 선호 브랜드 현황thorn 한국 제품 현지 인지도 높음thorn 선호 브랜드 3CE INNISFREE NUTURE PUBLIC MISSHA THE FACE SHOP LANEIGE 등

5-5 효과적인 시장 진출 전략

타깃 고객층thorn 타깃 고객층 20~30대 초반thorn 타깃 사유 유행에 따라 새로운 것을 많이 도전하고 한류의 영향도 가장 많이 받는 젊은 층이 한국

화장품을 소비하는 경우가 많음 35세 이후의 직장 여성 혹은 가정주부들은 여전히 일본 혹은 유럽 미국의 고가 화장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활용 가능한 마케팅 방안 ⓵ 현지 전시회 정보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1 -

개최주기 3월경개최기간(2014년) 0321~0325

웹사이트 httpwwwudnicecom

⓶ 전시회 이외의 주요 마케팅 방안 블로거 마케팅 등 ⓷ 유력 홍보 방안(전문잡지 온라인 매체 등)

thorn 온라인 매체 Fashion guide(httpwwwfashio guidecomtw) UrCosme(httpwwwurcosmecom)

thorn 전문잡지 VIVI BEAUTY 大美人 Style W Marie laire Fashion Guide 등

시장 확대를 위한 무역관 의견 대만 화장품시장은 가격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 시장 진입 시 확실한 브랜드 포지션을 정해야 하며 해당 포지션의 대만 제품 가격을 조사한 후에 대만 최종 소비가격을 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

또한 소비자들은 할인세트 및 사은품에 약하여 각종 행사 진행 시 사은품 증정 혹은 묶음세트로 판매하는 것을 추천 보습(특히 히알루론산 성분 강조) 및 미백(대만 정부에서 인증된 미백성분이어야 함) 제품을 매우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6 탐방 상세 일정 (일정표 - 기간 지역)

날짜 지역105(월) 인천 ~ 대만 타이페이

시간 일정0600 인천공항 도착

0600 ~ 0920 인천공항 대기0920 ~ 1140 인천공항 rarr 대만 1140 ~ 1230 대만 입국 수속1230 ~ 1320 숙소 이동 (용산사 역)1320 ~ 1500 짐정리1500 ~ 1600 회의 및 일정정리1600 ~ 163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630 ~ 1800 KOTRA방문 및 인터뷰1800 ~ 1830 101타워 딘 타이 펑 이동(도보)1830 ~ 1910 저녁식사 - 딘 타이 펑1930 ~ 2100 101 타워 야경감상2100 ~ 2130 숙소로 이동2130 ~ 223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6(화) 타이페이

시간 일정0900 기상

0900 ~ 110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30 ~ 1230 점심식사 - 마라훠거1230 ~ 1300 SISDORA 본사로 이동

6-1 8박 9일 대만 일정 (150105 ~ 150113)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2 -

1300 ~ 1530 SISDORA 방문 및 인터뷰1600 ~ 1800 101타워 퍼스널 트레이닝 센터 방문1800 ~ 1930 저녁식사 - 카렌 레스토랑1930 ~ 2000 숙소로 이동2000 ~ 2100 개인 휴식2100 ~ 223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7(수) 타이페이

시간 일정0900 기상

0900 ~ 113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30 ~ 120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200 ~ 1250 점심식사 - 키키 레스토랑1250 ~ 1300 시먼딩 이동1300 ~ 1530 화장품 설문조사1530 ~ 1830 한국 화장품 매장 제품 조사1830 ~ 1900 야시장 이동(MRT)1900 ~ 2000 저녁식사 ndash 야시장 음식2000 ~ 2030 숙소로 이동2030 ~ 2130 개인 휴식2130 ~ 230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30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8(목) 타이페이 ~ 타이난

시간 일정0830 기상

0830 ~ 110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00 ~ 1200 체크아웃 및 고속철도역 이동1200 ~ 1340 타이페이 rarr 타이난 이동1340 ~ 1400 짐 보관 및 인터뷰 장소 물색1400 ~ 1600 가오슝 한인협회장 인터뷰1600 ~ 1700 숙소도착 및 짐정리1700 ~ 1800 개인 휴식1800 ~ 1900 저녁식사 - 새우롤2000 ~ 2230 중간 정리 및 보고서 작성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9(금) 타이난

시간 일정0800 기상

0830 ~ 0900 아침 식사0900 ~ 1130 타이난 일정 브리핑 및 팀 미팅1130 ~ 1210 타이난 시내로 이동(TAXI)1210 ~ 1320 점심식사 - 스시1320 ~ 1350 성공대학 이동(도보)1350 ~ 1700 성공대학 방문1700 ~ 1800 성공대학 캠퍼스 탐방 및 대학원생들과 대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3 -

1800 ~ 1830 저녁식사 - 대만 전통 음식점1830 ~ 1900 타이난 RT마트 이동(도보)1900 ~ 2030 RT 마트 장보기2030 ~ 2100 숙소로 이동2100 ~ 2200 개인 휴식2200 ~ 2330 팀 회의 및 예산 정리

23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12(월) 타이페이

시간 일정0800 기상

0800 ~ 0900 아침식사(호텔 조식 제공-선택)0900 ~ 1130 호텔 개인시간1130 ~ 123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230 ~ 130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300 ~ 1600 Wabfenix 방문 및 인터뷰1600 ~ 1630 간식 - 망고차차1630 ~ 1700 시먼딩 이동(MRT)1700 ~ 1830 화장품 설문조사 활동1830 ~ 1930 저녁 식사 - 코코이찌방야2030 ~ 2130 개인 휴식2130 ~ 2300 팀 회의 및 예산 정리

230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13(화) 대만 ~ 인천공항

시간 일정0800 기상

0800 ~ 0900 아침 식사0900 ~ 1130 짐정리1130 ~ 1200 체크아웃1300 ~ 1400 점심식사 - 스시(시먼딩)1400 ~ 1430 쑹산 공항 이동(TAXI)1430 ~ 1530 시먼딩 rarr 쑹산공항1530 ~ 1730 출국 대기1730 ~ 2100 대만 출국 rarr 대한민국

2100 대한민국 입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4 -

7 방문 기업 소개 (인터뷰 내용)

7-1 대만 KOTRA

-2015년 1월 5일 월요일 1630~1800 인터뷰-위치 台北市 基隆路 1段 333號 22樓 14室(2214室) Intl Trade Building 22층-전화 (886-2)2725-2324 -팩스(886-2) 2757-7240

Q대만에 대하여 간단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우선 대만은 남한의 13의 해당하는 영토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구역시 남한에 비해 적은 2천 3백만 명 정도이며 기후는 아열대 몬순 기후권으로 비교적 따듯한 날씨입니다여러분이 대만에 와보셔서 알겠지만 대체로 습한느낌을 받으셨을 탠대 대만은 겨울에도 남한만큼은 춥지 않습니다 언어는 주로 중국어를 사용하며 문자는 중국과 살짝 다른 번자체를 사용합니다1인당 GDP는 2013년 기준 20984 달러 정도이며 산업구조는 제조업과 도소매업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Q현재 우리나라의 어떤 기업들이 대만에 진출해 있는지 궁금합니다

A최근에는 화장품을 주력 제품으로 아모레퍼시픽등 화장품 대기업들이 타이페이 시내에 로드샵을 많이 개점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대만은 제조업과 도소매업이 주를 이루다 보니 20~30년 전부터 진출한 기업들이 계속해서 입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주로 삼성물산 현대종합상사 LG상사 LG전자등 대기업이 주를 이루고 있고 우리나라 기업은 1년에 한 기업정도 대만에 진출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Q그렇다면 대기업을 제외한 중소기업들이 대만시장에 진출하지 않는 이유가 따로 있습니까

A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아무래도 중국시장이 개방을 하면서 인 것 같습니다 기존에 진출해있는 기업들은 과거 대만이 인프라 구축이 미흡했을 당시 해외투자를 많이 받으면서 비교적 좋은 조건으로 대만에 진출하고 인프라 구축등 사업을 진행하면서 기반을 다졌을 겁니다 그 기반으로 지금까지 대만시장에 진출해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중소기업의 경우는 해외투자가 너무 모험적이며 대만 시장과 중국의 시장을 비교하여 봤을 때 인구가 차이가 약 8배 정도 나며 중국에 비해 비교적 작은 시장이라고 느껴 대만보다는 중국에 많이 진출하는 것 같습니다

Q마지막 질문으로 만약 우리나라 중소기업이 대만시장에 진출할 때 유의해야 할 점이나 좋은 팁이 있을까요

A대만 시장에 완전히 진출해야겠다는 생각보다는 중국이나 다른 중화권 나라의 진출하기전 시험의 장소로 생각하고 진출해보는 것은 나쁘지 않다 생각 합니다 아무래도 대만의 인구가 많은 편이 아니다보니 불리한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5 -

조건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이나 다른 큰 중화권 시장으로 진출하기 전에 언어나 문화 중화권사람들의 사고방식등 여러방면에서 시험해 볼 수 있는 좋은 장소는 틀림없습니다 중소기업이 대만시장에 진출할 때는 코트라를 이용하여 각종 정보나 현지 인프라등을 이용하는 것 또한 하나의 방법이며 무엇보다 중화권의 문화와 중화권 대중들의 생각을 잘 공부하고 언어를 습득하여 오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7-2 SISDORA luxury beauty care

-1월 6일 화요일 1300~1530 인터뷰 1600~1800 101타워 퍼스널트레이닝 센터-주소 No9Aly 10Ln265Sec 4Xinyi RdDaan Dist Taipei City 106-대표 Mr Chung-Cheng Lee -전화886-2-27040889-URL httpwwwsisdoracom

Q 간략한 회사 소개와 SISDORA의 유래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A Isadora는 고대 이집트의 가장 강력한 여신의 이름입니다 Sisdora는 이 여신의 이름을 따서 만든 브랜드 이름입니다 이집트의 고대 여신인 Isadora의 이시스는 선물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고 생명과 건강 아름다움을 담당하는 여신으로도 유명합니다 저희 SISDORA는 비슷한 동음 이의어로 동양의lsquoISIS(이시스)rsquo라는 단어가 있어 브랜드 명을 SISDORA로 정하게 되었습니다Q Sisdora 제품 소개 부탁드립니다

A저희 제품은 안티에이징 미백 마스크 제품을 주력으로 하고 있습니다 동일 제품군을 비교해 봤을 때 가격 및 품질은 상위에 속하는 최상품의 제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마스크 팩 대부분은 종이섬유로 제조하는 반면 저희 Sisdora는 누에의 실(실크)로 만든 마스크 팩 입니다 실크마스크 팩을 제조할 때에는 피부 건강에 좋은 약재 및 약초등을 배합하여 제조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피부에 자극적인 향로를 첨가하지 않았고 수분이 빠르게 흡수 될 수 있습니다 덕분에 저희 마스크 팩을 사용하는 고객들은 부드럽고 산뜻한 느낌을 받으실 수 있을 겁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6 -

Q 귀하의 회사는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어떤 마케팅을 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A 저희는 해마다 대만 타이페이 글로벌 미스코리아 대회에 제품을 협찬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대만 유명 가수들과 함께 제품을 결합시킨 뮤직비디오를 제작하여 마케팅에 힘쓰고 있습니다뿐만 아니라 제품의 품질인증을 바탕으로 러시아 중국 동남아 지역에 진출하는대 힘쓰고 있습니다 저희 제품은 대만 내에서 스킨케어 제품으로써 유일하게 지정 브랜드 수상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저희는 주로 매스컴이나 인터넷을 통한 마케팅이나 엔터테이먼트 컨벤션 산업을 활용하여 마케팅을 하고 있습니다

Q 그렇다면 대한민국의 화장품 제품이 대만에 진출해 있는데 대한민국 화장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는 어떤지 궁금합니다

A 최근 5년 사이에 한국의 드라마 음악등 한류를 타고 대만에도 많은 한국 제품이 등장하였습니다 하지만 대만에는 오래전부터 수입화장품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이탈리아의 산타 마리아 노벨라 프랑스의 아이젠버그등 명품 화장품 브랜드가 오래전부터 입점해 현지 화장품시장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 때문인지 한국 화장품의 인지도는 크게 높지는 않습니다 아무래도 유럽 브랜드 그 다음으로 대만 기업의 브랜드 그 다음으로 한국의 화장품 브랜드 순으로 인지도가 형성되어 있다고 생각됩니다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한국화장품은 다른 명품 화장품들의 가격보다 저렴하고 성능이나 효과 면에서 절대 뒤처지지 않아 한류가 지속되고 마케팅이 잘 이루어진다면 충분히 유럽의 명품화장품의 인지도를 뛰어 넘을 수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Q 한국의 중소기업의 화장품이 대만 시장에 진출하는 것에 대해서는 어떤 의견을 갖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A 한국의 대기업 화장품 브랜드가 아닌 중소기업의 화장품 브랜드가 대만에 진출하는 것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겁니다 하지만 저희 회사도 중소기업으로 시작하여 마케팅 전략을 잘 활용 하여 많이 성장하였습니다 아무래도 한국의 중소기업의 화장품이 대만에 진출하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있겠지만 어떤 마케팅 전략을 선택하느냐가 가장 중요하고 마케팅이 잘 이루어지고 입소문이 퍼진다면 한국의 중소기업 화장품 또한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7 -

7-3 가오슝 한인협회

-1월 8일 목요일 1400~1600 인터뷰-주소 高雄市鼓山區二路37巷弄43-2號(고웅시고산구이로37항81롱43-2호)-대표 尹桓鎬(윤환호) HP 0932-740-538 -電話 07-5211933 -傅眞 07-5214031

Q 대만과 한국과의 무역 관계가 어떠한지 궁금합니다

A 한국과 대만과의 무역은 크게 활발하게 이루어 질 수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대만의 시장 자체가 매우 작기 때문에 대만에 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국내 시장이나 다른 큰 해외 시장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대만 시장을 거쳐서 동남아나 중국 시장으로 진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여서 기존에 존재하는 대기업이나 저처럼 오래 전부터 이민한 분들이 소규모로 중개무역을 하고 있는 정도입니다

Q 현재 한인협회 회장님께서 직접적으로 하는 일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현재 저는 한국의 화장품을 수입하여 대만 현지 기업에게 판매하는 중개무역을 하고 있습니다 대만에 온지 20년이 넘었는데 이런 저런 일을 하다가 기회가 되어 이쪽 일을 하게 되었는데요 처음에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인식이 없어 가격은 비싸고 품질의 보증은 되어 있지 않은 제품이라 소비가 크게 늘지 않았는데 한류 열풍이 불고 한국 드라마의 성공과 그 배우들이 광고하는 화장품의 수요가 크게 늘어 몇 년 전부터 시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Q 한국과 대만과 중국의 관계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해 주세요

A 앞서 말씀 드린 것 같이 한국의 기업은 대만을 통하여 중국 시장의 진출을 위하여 대만 시장을 많이 찾습니다 그 이유는 한국 기업이 대만 시장을 통해서 제품을 인정받는다면 대만과 중국은 같은 언어권의 나라로 대만기업을 통해 중국으로의 활로를 개척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왜 이렇게 돌아서 진출을 하려고 물으셨는데 그것은 쉽게 말해서 말이 잘 통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의 중국어를 잘 구사하는 사람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보다는 대만의 사람이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주고 인정을 해준다면 더욱 쉽게 자리를 잡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8 -

Q 스타트 기업의 대만 진출 성공여부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중소기업이 대만에 들어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현재 한국 내에서의 위치를 높이는데 주력하는 것이 좀 더 낫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대만은 아주 뛰어난 기술력을 가지고 있지만 자체 제품을 생산하지 않습니다 예로 Apple에서 전체 아이디어를 미국에서 한다면 그 아이디어 실행은 대만에서 이루어집니다 그리고 제품의 생산은 대부분 중국에서 이루어 지구요 이렇듯 대만의 기술력과 제품에 대한 이해가 빠르기 때문에 수입을 많이 의존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중소기업이 들어와서 제품을 판매한다 쉽게 성공할 수 없죠

Q 회장님께서는 중국과의 중개무역은 생각하고 있으시지 않습니까

A 네 저는 지금의 생활에 만족하고 있습니다 지금 저의 파트너들과의 관계도 좋고 따로 중국 진출은 생각하고 있지 않습니다 만약에 제가 중국을 진출하게 된다면 현재의 기업들과도 경쟁상대가 되어 저는 생각이 없습니다

7-4 국립성공대학(國立成功大學)

-1월 9일 1350~1700 인터뷰-주소 701 臺南市東區大學路1號-연락처06-2757575 -홈페이지 wwwnckuedutw

대만 국립 성공대학은 931년 타이난에 설립된 이공계 명문 대학입니다 국립성공대학은 66개의 캠퍼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각 캠퍼스마다 특징과 분위기가 다릅니다 우리 국립성공대학은 ldquo북대대 남성공(北臺大 南成功)rdquo 이라는 말이 있듯이 역사는 대만대학의 바로 다음갑니다

국립성공대학의 이름의 의미는 성공은 무엇을 성취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대만의 민족영웅인 정성공(鄣成功)을 기념하기 위한 대학이라는 뜻입니다 성공대학은 정성공이 있던 역사명승 적감루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해 있기도 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9 -

이후 인터뷰로 대만의 소개와 간단한 전공 소개가 있었다

7-5 WABFENIX RENIX GLORY GLORIA GUA

-1월 12일 월요일 1300~1500 인터뷰-주소 14F-1 No420 Sec 4 Xinyi Rd Xinyi Dist Taipei City 110 Taiwan (ROC)-대표 Mr KEN -전화886-5569-0555-URL httpswwwfacebookcomrenixfanspage httpwwwwabfenixcom

Q Wabfenix가 어떤 기업인지 소개 해주세요

A 저희 회사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으로 현재는 매장은 없지만 개발한 제품을 바탕으로 사업을 진행 중이고 대만현지에 저희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저희 회사는 제품의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화장품을 개발하여 대만시장 뿐만 아니라 중국시장의 진출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Q 귀하의 제품은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제품이라 하셨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제품 등이 있습니까

A 우선 Heymore 제품군의 블랙 마스크 팩과 Renix 제품군의 일반 마스크 팩을 출시했습니다Heymore의 경우 선물용임을 부각시키기 위해 디자인에 특히 많은 투자를 하였습니다 중국 중산층을 겨냥한 제품으로 가격대 1봉지에 한화 ₩40000 정도로 높게 책정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가격을 높게 측정한 이유에는 중국 화장품 소비문화 속에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 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에 저가 보급형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0 -

제품인 Renix와 차별을 두는 판매 전략을 선택하였습니다 현재 판매되는 제품은 마스크 팩을 주력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Q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인데 중국을 대상으로 어떤 진출 전략을 갖고 있습니까

A중국에서 열리는 화장품 전시회 화장품 엑스포 행사 바이어 미팅 등 꾸준히 참가중이며 바이어들에게 저희 제품을 어필하고 있습니다 물론 신생기업인 만큼 아직 중국 내에서 뚜렷한 판매 실적을 기록하진 못했지만 타 화장품 기업들과 다른 마케팅 방식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디자인이나 제품의 아이디어를 강조하고 있는데 대표 적인 상품으로 오뚝이 모양을 한 화장품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이 오뚝이 제품을 바이어들에게 어필해 보았는데 대단히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Q 해외시장 마케팅과 대만 시장마케팅의 차이점이 있습니까

A 우선 중국에서의 마케팅은 행사나 전시회에 참여하고 바이어들을 개인적으로 만나는 것에 치중해 있다면 국내 대만시장의 마케팅 전략은 페이스북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대만은 중국에 비해 SNS가 많이 발달되어 있어 자금이 많이 들어가지 않는 SNS마케팅을 하고 있고 각종 자선행사에 참여하여 저희 기업을 홍보하고 있습니다

Q 귀사의 제품을 중국보다 비싼 인건비가드는 대만 제조공장에서 생산하는 겁니까

A타이중에 소재하는 공장에서 마스크를 제조 하고 있습니다 인건비가 비싼 것은 대만 수도인 타이페이에만 주로 해당이 됩니다 지방 소도시에서도 외곽으로 들어가면 저렴한 인건비와 공장 가동비용으로도 제조가 가능 합니다 굳이 중국에 제조공장을 갖지 않는 이유는 신생기업이라 자금문제도 있지만 대만은 OEMampODM에 특화된 국가이기 때문에 품질 좋은 다양한 제품주문이 가능하고 중국 사람들에게도 자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 보다 외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가 더 좋기 때문에 대만에서 생산한 뒤 수출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Q 대만에 한국 화장품 기업이 진출한다면 어떠한 마케팅 전략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 생각 하십니까

A 이미 대만에 한국의 화장품 제품들이 많이 들어와 있습니다 하지만 대만 자체의 화장품 기업들이 기존에 많은 시장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성공을 거두기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최근 한국에 대한 이미지가 많이 좋아졌고 한국의 영화나 드라마 등이 많이 알려지면서 인지도가 높아졌습니다 한국의 대기업의 경우 이러한 대규모 마케팅을 할 수 있으므로 큰 무리가 없겠지만 한국의 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한다면 최종 시장 공략 층은 대만이 아닌 중국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대만은 중화권으로 가기 위한 연결다리라고 생각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또한 중소기업은 큰 마케팅 비용을 부담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대만에서는 SNS나 각종 자선 행사에 참여하여 인지도를 높이는 것을 추천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1 -

Q 같은 제품이지만 대만과 중국에서 판매할 때 가격 책정이 다른 이유가 무엇인가요

A 그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해드리자면 국가마다 소비 성향이나 구매 능력 환율 경제 상황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경영 에서는 가격 차별화(Price discrimination)이라 부르는데요 각 나라의 시장 특성에 적정한 가격대를 책정해서 제품을 판매하는 전략입니다 혹시 중국 상류층이 몇 명인지 알고 있나요 제가 알기로는 대만 인구의 2배인 4000만 명이라는군요 아마도 한국 인구랑 비슷한 규모 일겁니다 게다가 중산층은 약 4억 명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4억 명의 중국 소비자들이 우리 제품을 1개씩만 구입 한다면hellip 상상만 해도 엄청 나겠죠 이야기를 하다 보니 다른 쪽으로 빠졌는데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이야기하면 물론 좋은 제품을 모든 곳에 저렴하게 제공 하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 그러나 항상 시장에서 저렴한 제품만이 성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대만이나 한국처럼 고도의 산업화가 이루어지고 시장이 크게 발전한 안정적인 단계는 좋은 제품이라도 가격 경쟁력에 신경 써야 합니다 왜냐하면 소비자들이 똑똑하기 때문에 정보력이 넓고 합리적인 소비를 지향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가격 성능 디자인 등 많은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중국 시장은 대만이나 한국과는 특성이 다릅니다 저렴하다고 해서 많이 제품이 많이 팔리기 보다는 가격대가 어느 정도 있는 제품일수록 또는 가격대가 높을수록 소비자들이 관심을 보입니다 대체적으로 중국 소비자들은 lsquo저렴한 제품은 품질이 낮거나 효능이 좋지 않은 제품일거야rsquo 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 때문에 화장품 박람회나 전시회에 저가 화장품을 가져와 홍보하더라도 중국 바이어나 소비자들은 큰 관심을 주지 않습니다 처음에 말했듯이 중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2 -

국 소비문화가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라는 심리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Wabfenix의 경우에는 신생기업이라 많은 투자 금액이 없을 뿐 더러 대만 화장품 시장에 진출하기에는 리스크가

크고 진입 장벽이 높습니다 그리고 이미 한국 화장품 기업들이 대부분 점유를 한 상황이기 때문에 대만 내수시장에만 집중하기에는 경쟁력이 부족하죠 그래서 중국을 주력 수출시장으로 삼고 있는데요 저희는 제품 성능 보다는 소비자의 이목을 끌 수 있는 디자인에 더 많은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중국에 Wabfenix만의 화장품 선물 문화를 정착 시키는 것이 목적인데요 높은 제품 가격만큼 소비자의 관심을 끌 수 있고 선물 문화나 꽌시(关系)가 많은 중국 문화 특성에 맞추어 선물용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중국 시장은 현재 젊은 중산층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품질이 낮은 화장품 보다는 수입 화장품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점으로 미루어볼 때 높은 가격 차별화와 Wabfenix만의 디자인 마케팅은 좋은 경쟁력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3 -

8 현지 시장조사 활동 (시장동향사진설문조사 자료)

8-1 시먼딩 설문조사

목적 대만 사람들의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및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대상 10대~20대 여성 및 화장품 전문매장 종사자장소 시먼딩시간 2015년 1월 7일 12일 총 두 차례에 걸쳐 진행방법 ①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 판넬에 국가별로 메이크업 사진을 표시하고 스티커를 붙이는 방식으로 투표함 공정성을 위해 국가 이름은 블라인드로 처리하였고 모두 동일 인물의 사진을 사용함②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표본집단을 50명으로 설정함 설문조사가 끝나면 사은품으로 한국 브랜드 마스크팩 증정함

8-2 사전 기획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판넬 기획도gt

化妝辦法喜好度的調查화장법 선호도 조사

大家給自己喜歡的化妝貼貼紙 여러분이 선호하는 메이크업에 스티커를 붙여 주세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4 -

대만의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안녕하십니까

다음의 내용은 대만 화장품 트렌드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자 관련조사를 실시하고자 하오니

있는 그대로의 생각을 기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귀하의 응답은 통계적 목적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본 설문은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물음에 대한 답변이나 해당란에 v 표를 해 주십시오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7) ② 화장품 전문매장(34) ③ 마트(5) ④ 홈쇼핑(2)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합계 총 50 명

바쁘신 시간에 의견을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지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5 -

8-3 설문조사 활동

lt2015년 1월 7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6 -

lt2015년 1월 12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7 -

lt활동 결과 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8 -

9 설문조사 통계 분석 (설문조사 응답 수분석결과)

9-1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결과gt

설문 조사 질문지 양식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12)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③ 마트(5) ④ 홈쇼핑(6)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9 -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gt

9-2 설문조사 항목 별 의견 및 추측

설문 조사 질문지 항목 (최다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② 20 ~ 25세 (13)

0

5

10

15

20

25

30

20대 이하 20세~24세 25세~29세 30세~39세 40대 이상

rarr 시먼딩은 대만의 홍대거리라 불리는 lsquo융캉제rsquo나 서울의 lsquo명동rsquo과 같이 젊은 층이 주로 활동하는 지역이다 설문조사 중에도 교복이나 체육복을 입은 학생들과 길거리에서 쇼핑을 즐기는 20대가 즐비할 만큼 활기 있는 거리다 덥고 습한 대만 기후 특성 상 과거엔 화장법이 크게 발전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국의 자연스러운 화장법이 큰 인기를 끌면서 시먼딩에 화장품 거리가 조성되어 있을 만큼 유동 인구가 많다 이 점으로 추측해보았을 때 압도적으로 10대와 20대 층이 많은 응답 수를 기록했다고 본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0 -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051015202530

온라인 화장품전문매장 마트 홈쇼핑 방문판매

rarr 대만 또한 한국과 비슷하게 시내에 많은 수의 화장품 전문매장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접근성이 굉장히 높았다 더불어 각 화장품 매장에서는 상품 할인과 같은 각종 프로모션을 진행하기 때문에 구매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 구매한다는 대답도 높은 편이었는데 거의 대부분이 와이파이존이어서 어디서나 인터넷을 한 활발히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온라인에서의 구매율도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0

5

10

15

20

25

30

NT$300 미만 NT$300~NT899 NT$900~NT$1499 NT$1500~NT2999 NT$3000

rarr 응답자들은 대부분이 한 달 간 화장품에 쓰는 돈을 최저 1만원 이상(NT$300 이상)이라고 답했는데 이는 70가 넘어가는 결과로 화장품에 대한 지출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만원 이상이라고 대답한 응답자들 또한 4분의 1을 넘기는데 이것은 젊은 연령층부터 시작하여 최근 피부 관리와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대만의 소비 수준에 대비하여 화장품 소비율이 높은 것도 이 때문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1 -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③ 성능(23)

051015202530

가격 디자인 성능 화장품 모델 브랜드

rarr 아열대 기후에 속하는 대만은 높은 기온과 습한 날씨 탓에 에어컨 환경에 자주 노출돼 피부 수분을 잃기 쉬워 기능성 화장품의 소비가 두드러진다 대만 화장품 시장은 토너 세럼 에센스 로션 크림 등의 모든 스킨케어 제품들이 보습기능을 강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백이나 안티에이징 리프팅 저자극 오일프리(Oil-free) 등의 기능까지 추가된 스킨케어 제품들이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조 화장품 소비가 늘어난 것은 최근 몇 년 들어 다양한 화장품 브랜드 접촉기회가 많아지고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젊은 여성의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색조화장품 또한 메이크업베이스와 BB크림 립스틱과 같은 베이스 메이크업이 수요가 많았다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④인터넷(22)

0

5

10

15

20

25

30

TV 잡지 친구 인터넷 메이크업샵

rarr 최근 빠른 인터넷망과 스마트폰 태블릿PC의 보급으로 인해 사람들과 사람사이의 연결망이 견고히 형성되고 있고 이것이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방법을 얻는 경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만 소비자들은 주로 인터넷 블로그 가족과 친구로부터 메이크업 정보를 획득 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만의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이므로 입소문마케팅과 판매를 바로바로 할 수 있는 유통구조가 도움이 될 것 같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2 -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0

5

10

15

20

25

30

청순 독특 귀여움 섹시

rarr 앞서 살펴보았듯이 대만은 한국과 비슷한 메이크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이것은 곧 청순한 메이크업 컨셉에 관심 있어 한다는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실제로 대만 여성소비자들은 깨끗한 피부 NATURAL한 베이스메이크업을 선호한다 한 듯 안 한 듯 자연스럽고 깨끗한 느낌의 한국식 lsquo생얼rsquo 화장법은 대만에서 한국 드라마 열풍과 함께 유명세를 타기 시작해 현지 각종 온라인 뷰티 사이트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래서 응답의 대부분이 한 곳에 치우쳤고 비교적 개성 있는 메이크업 방법이 드물 것이라는 것을 유추해낼 수 있다

본 설문 조사를 통한 한국 화장품 기업에 대한 시사점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수입 절차로 오랜 시간을 허비해야 하는 반면 대만은 자외선 차단제 성분 함유 제품과 약용 화장품을 제외한 일반 화장품은 별도의 수입 검사 없이 수입할 수 있으므로 대개 중국보다 1~2년 먼저 신상품이 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한류 효과를 겨냥한 중화권 화장품 시장으로 대만을 우선 공략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대만은 대부분이 화장품에 대한 소비를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고 한국 화장품이 많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시장 접근법만 제대로 수립하면 매출이 나는 구조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대만인들이 선호하는 메이크업 방법이 한국과 비슷하기 때문에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은 마케팅 방안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최종분석설문 조사 대상은 대부분 10대~20대의 연령층이었으며 화장품의 주된 구입경로는 lsquo온라인(24)rsquo과 lsquo화장품 전문매장(50)rsquo이 압도적이었다 더불어 한 달 간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lsquo1만 원 이상(72)rsquo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이것은 실제 생활수준에 대비하여 높은 소비량이므로 대만의 화장품 시장 전망이 밝다고 할 수 있다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부분은 lsquo성능(46)rsquo이었는데 이는 스타트업 기업 중소기업에게 유리한 조건이다 메이크업 방법을 얻는 방법으로는 lsquo인터넷(44)rsquo과 lsquo친구(30)rsquo가 높은 비율을 차지했는데 판촉활동으로는 인터넷을 활용한 SNS 홍보 바이럴 마케팅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가장 관심있는 화장 컨셉은 lsquo청순rsquo 이었고 이것은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와 맞물려 우리나라와 비슷한 메이크업 방법을 추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3 -

10 대만 명소 소개 (명소음식행사숙소 소개)

10-1 고궁박물관

대만 고궁박물원은 영국의 대영 박물관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 미국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과 함께 세계 4대 박물관으로 손꼽힐 만큼 세계적은 소장 문물을 자랑한다 건물 규모는 그다지 크지 않지만 소장한 문물의 질과 양은 세계 최상급이다 중화 보물 중에서도 최고의 보물들이 모여 있어 진귀하기 그지없고 수량 역시 워낙 방대하여 3개월 단위로 1만여점을 돌아가면서 전시해도 다보려면 10년이 넘게 걸린다고 전해지고 있다 중국의 국공내전 당시 장제스가 이끌던 중국 국민당이 전쟁에서 패하며 중국을 탈출해 대만으로 향했다 당시 장제스는 난징에 있던 정부를 타이페이로 이전하면서 자금성에 보관되어있던 중국역대 왕조 보물 수십만 점을 배를 이용해 운반해 왔다 중국의 유물을 가진 자가 진정한 통치자라고 생각했던 장제스는 ldquo공산군에게 영토는 내줘도 문화유산만큼은 내줄 수 없다ldquo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대표적인 유물은 취옥배추 육형석 모공정 산씨반 등이 있다

10-2 용산사

루강의 초입에 있는 이 사찰은 타이완에서 가장 오래되고 아름답다고 하여 타이완의 자금성이라고 부른다 각 건물의 기둥 벽 그리고 천장 등에 새겨진 조각은 특히 빼어나다 이 조각상과 함께 이곳의 명물로 알려진 것은 사찰 경내에 있는 2마리의 용상인데 삼천전 앞마당 좌우에 서서 룽산사를 호위하고 있다

10-3 타이페이 101 빌딩

타이베이 101빌딩rsquo이라 부르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로서 빌딩 모습은 하늘로 뻗어나가는 대나무 위에 꽃잎이 겹겹이 포개진 형상이다 본래 타이베이 금융기관이 모인 건물이지만 대형 쇼핑센터와 푸드코트 고급 레스토랑이 있어 여행자들이 많이 찾는다 건물에는 8개 마디가 있는데 이는 중화 문화권에서 부와 번영을 의미하는 숫자 lsquo8rsquo을 염두에 둔 것이다 타이베이 시내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는 높이 508m로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히는 높은 건물이다 지상 1~5층에는 소고 백화점 뷰티 플라자 애버뉴 101 등 다양한 패션∙뷰티용품을 구입할 수 있는 상점이 있다 또한 레스토랑 시티 스퀘어 대형 서점 등 쇼핑과 오락 식사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복합시설이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4 -

잘 알려진 식당으로는 딘 타이 펑(Din Tai Fung) 이 있다 101타워 지하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샤오롱바오(고기만두) 새우 샤오마이(새우만두) 탄탄면(우육면)이 가장 대표적인 메뉴이며 대만에 방문한 많은 사람들이 찾는 식당이다

10-4 지우펀

대만여행의 백미로 꼽히는 지우펀은 타이페이시 북부의 루이팡 지역의 작은 산골 마을로 과거에는 아홉가구만 살고 있어서 지우펀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예전에는 작은 산골 마을에 불과 했지만 이 지역에서 금맥이 발견되면서 호황을 맞이하게 된다 특히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일본풍의 건물들이 남아 있어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결합된 독특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비탈길을 따라 하늘로 이어진 예스러운 건물 그리고 골목마다 빨간 홍등과 함께 묻어나는 옛 풍경은 여행객들에게 인기 여행지이다

10-5 스린야시장

타이베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야시장 가운데 하나이다 독특하면서도 다양한 전통 먹을거리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이곳을 찾는 관광객이 많다 시장 부근에 학교가 많아 학생들이 많이 찾으며 포장마차 등의 노점상이 많아 가격도 저렴하다 칭런샹[情人巷]에는 가구 의류 액세서리 사진현상점 애완용품점 등이 모여 있어 학생뿐 아니라 관광객들도 자주 찾는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5 -

10-6 예류 지질 공원

타이완 북해안에 자리한 예류는 해수욕장과 온천 기암괴석으로 유명한 관광지다 특히 예류지질공원은 희귀한 모형의 바위와 암석이 모여 있어 예류 관광의 필수코스로 꼽힌다 작은 곶으로 된 예류지질공원은 침식과 풍화 작용을 거쳐 자연적으로 형성된 기암을 보러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지질공원으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것이 선상암 군락이다 암석 하나하나의 모습은 마치 거대한 버섯이 큰 머리로 하늘을 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선상암 가운데 가장 유명한 암석은 이집트 왕비의 옆모습을 닮은 여왕 두상 바위다

10-7 스펀(Shifen)

스펀(十分)은 옛 광산마을로써 천으로 만든 등이 유명하다 또한 이 곳 스펀은 대만 최대의 폭포 스펀(SE-FEN) 폭포가 있다 미니기차와 천으로 만든 등을 날릴 수도 있다 마을의 한가운데 긴 철길이 놓여 있고 30분에 한 대씩 기차가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것도 볼 수가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6 -

10-8 진과스(金瓜石)

진과스(金瓜石)는 타이완 타이베이 근교에 있는 옛 탄광 유적이다 20세기 전반에 금 채굴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20세기 후반에 금이 차차 고갈되기 시작하자 점점 위축되어 폐광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관광 명소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하루에도 수백명이 들렀다 가는 대만의 대표 관광지이다 진과스 내에 있는 황금 박물관에는 220kg 의 금이 전시 되어 있는데 손을 넣어 직접 만져 볼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진과스에서는 과거 광부들이 먹었던 도시락을 그대로 만들어 판매하는 광부 도시락도 굉장히 인기가 많다

10-9 국립 성공대학

대만의 타이난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1931년에 개교하였다 2010년 QS대학순위에서 283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대만 대학중 2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총 9개의 캠퍼스로 이루어져 있어 굉장히 큰 면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만 교육청에서 인정한 9개의 주요대학 중 하나이고 대만 기업체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학이다 이공계열이 가장 뛰어나며 중문 역사 법학 경제학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10 시먼딩

타이베이시에 위치한 시먼딩은 한국의 명동과 같은 거리이다 대한민국의 명동에도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과 외국인이 많다고 알려져 있는데 시먼딩 또한 명동 못지않은 다양함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대만의 패션과 놀이 문화 음식 등을 한눈에 경험 할 수 있는 공간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7 -

10-11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

중정기념당은 타이완 총통 장제스(蔣介石)를 기리는 전당이다 lsquo중정rsquo은 장제스의 본명이다 그가 서거한 후 1980년 기념당을 세웠다 25만에 이르는 넓은 중정공원 안에 우뚝 선 높이 70m의 기념물이 중정기념당이다 기념당 1층에는 장제스 생애를 엿볼 수 있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거대한 장제스 동상은 항상 근위병이 동상 앞을 지키고 있다 중정공원 안에는 중정기념당 외에 국립 희극원과 국립 음악청이 있는데 이곳에서 연극과 콘서트를 한다 공원 조경 또한 잘 조성되어 있어 산책하며 천천히 둘러보기에 좋다

10-12 안핑지구(安平地區)

대만의 문화와 역사는 안핑지구에서 시작되었다 안핑구바오는 17세기 중엽 네덜란드인들이 지은 요새로 정성공이 빼앗아 번영하다가 황폐해져 지금은 보루의 대부분이 없어지고 설탕과 굴껍데기와 찹쌀가루를 버무려 만든 빨간벽돌로 된 장벽(臺灣城殘蹟)만이 남아 나무뿌리와 존립의 사투를 벌이고 있다 감시탑 옆 건물 안에는 네덜란드와 정성공의 전투에 대한 이야기와 중세갑옷 등이 전시 중이다 이 주변에는 대만에서 가장 오래된 상업거리 옌핑제(延平街)가 있는데 옛 명성이 다한 거리의 골목 사이사이 수백년 된 가옥을 구경하는 것도 소소한 즐거움이다 1867년 영국인 상점과 물류창고로 이용하던 건물에 노용수(老榕樹)가 멋대로 자라 건물을 집어삼키듯 뒤덮은 나무집으로 불리는 안핑수우도 안핑지구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진귀한 볼거리다

10-13 미라마 관람차

대만에서 가장 큰 관람차로 알려져 있는 미라마 관람차는 타이페이 시의 야경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관람차 크기가 큰 것으로 유명하지만 가격 또한 저렴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유스트래블 카드를 이용하면 50 할인이 적용되므로 꼭 지참하도록 하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8 -

lt미라마 관람차 티켓gt lt유스트래블 카드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9 -

11 시사점 및 차후 활용계획 (LGC 프로그램을 통한 구체적인 효과 및 연구결과)

11-1 LGC 프로젝트 만족도

구분 항목 전 후 한줄 평

사업단

프로젝트 취지- 린튼 글로벌 학과와 경영정보학과 학생들이 함께

하는 프로젝트 해외시장탐방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사전교육 활동- 출국 전 각 나라에 대한 유의사항 안전교육이 체

계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개략적인 보고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었다

행정지원 절차- CK사업단 린튼 글로벌 학과 경영정보학과 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히 되지 않아 사전 계획에서 많은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협동력 향상- 출발 전 잦은 팀 회의와 8박 9일 간에 일정에도

불구하고 불화 없이 좋은 분위기 속에서 프로젝트를 완수 했다

추진력 향상- 일정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 한 점 추가 자료조

사를 위해 현지에서 새로운 일정을 추가 됐을 때 팀원들이 일사불란하게 따라주었다

문제해결 능력- 교통편 문제와 기업 측 내부 문제로 일부 일정에

변동이 있었지만 신속한 조율과 전화 통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개인

동기부여 자극- 현지인들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국어 영어 능

력의 필요성을 실감했다 특히 중국어는 소통 유무에 따라 현지 반응이 극명하게 갈렸다

진로설계 도움- 프로젝트 전에 비해 새로운 직업 분야에 대한 관심

이 증가했다

취업능력 향상-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한 내용을 살려 구술 면접이

나 자기소개서 작성에 참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11-2 LGC프로젝트 연구 결과 - 대만 시장

⓵ 중국시장을 주목하는 대만 화장품 기업- EST팀은 현지 대만 화장품 기업으로 SISDORA와 WABFENIX를 선택했다 두 회사를 선정한 배경에는

명확한 의도를 두고 정했다 SISDORA는 설립한 지 10년이 넘는 회사로 직접 화장품을 개발 및 연구하고 판매하는 중소기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과 주름개선 크림으로 중년 여성을 타깃 층으로 하는 화장품 회사다 반면 WABFENIX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스타트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 이지만 기술개발 보다는 디자인 마케팅에 중점을 두었고 판매 층도 10대-20대의 젊은 층을 타깃 층으로 한다 시장 전략이 완연히 다른 두 기업이 유일하게 공통점이 있다면 중국시장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선정 이유에는 많은 인구의 소비력을 꼽지만 뒤이어 언급하는 이야기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자사 제품의 경쟁력 약화를 말한다 현재 대만 기업 대부분은 내수 시장 대신에 중국을 겨냥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국가 산업 특성상 제조amp연구 분야가 강세인 대만에서는 중국 바이어 또는 미국 유럽 바이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직접 판매 보다는 기술 협력을 통해 이익을 창출한다고 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0 -

⓶ 대만 시장을 점령한 한국 화장품

- 앞서 말했듯이 2012년 이후부터 급속히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한국 화장품은 대만 시장을 점령하고 있다 이미 시먼딩에 들어서면 다양한 한국 화장품 매장이 눈에 띌 만큼 들어섰으며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중앙 광장에 입점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매장 안에는 많은 대만 사람들이 화장품을 보고 있는 광경을 흔히 본다 화장품 매장을 이용하는 연령층은 주로 10대-20대들이다 화장품 가격이 한국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주 애용하는 이유는 한류 열풍으로 인한 한국 연예인들에 대한 관심과 화장법이 크게 유행하고 있음을 현지 설문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⓷ 체감할 수 있을 만큼 커다란 한류열풍

- 뉴스에서만 듣던 한류 이야기를 대만에서 직접 느낄 수 있을 정도로 한류열풍은 크다 특히 삼성이나 LG의 TV나 스마트폰은 어딜 가든 항상 보이고 한국 화장품 선물에 대한 반응이 무척이나 뜨겁다 원활한 현지 조사를 위하여 사은품으로 준비한 한국 마스크 팩 100개는 오히려 현지인들이 참여 의사를 표현할 만큼 열정적이었다 일부 대만 사람 중에는 어디서 왔냐는 질문에 한국이라는 답변을 하니 같이 사진 찍기를 제안하기도 했다

⓸ 중소기업에게 있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는 대만 시장진출- 대만 시장 진출에 앞서 한국 화장품 중소기업이라면 전략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크게 대만 시장을 겨냥

할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할지 선택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3CE는 한국 화장품 회사다 대만에서 젊은 연령층이 자주 이용하고 이미 대만 내에서는 유명하다 3CE는 오프라인 매장 없이 순수 온라인 매장으로 운영하면서 대만 사람들을 위한 전용 웹사이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윤을 창출 하고 있다 신중해야 할 점은 현재 온라인 오프라인 등 한국 화장품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신규 진입에 있어서 장벽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대만 시장을 활용한다면 동남아 시장까지 한 번에 내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출입통관 절차가 간단하고 관세가 낮기 때문에 중소기업에게 유리하다 아직까지 중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1 -

에 대한 직접적인 수출이 가능한 곳은 상해나 항주 같이 중국에서 허가한 무역항 도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내륙까지 시장을 확대하기는 불가능하지만 같은 언어권인 대만을 거치면 보다 쉽게 바이어나 에이전트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인맥을 통한 꽌시와 수수료 명목으로 뒷돈을 요구하는 중국 바이어의 관행은 자금 순환이 원활치 않은 중소기업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11-3 LGC 프로젝트 종합 의견 및 전망

우리 lsquoEST팀은 출국 전 국내 화장품 시장 조사를 할 때 대덕 밸리 스타트업 기업 셀아이콘 랩의 영향으로 대만의 화장품 산업에 대해 큰 관심과 가능성을 보고 2015년 1월 5일부터 1월 13일까지 8박9일이라는 시간동안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 나라 중에 하나인 대만에서 rsquo대만의 화장품 시장lsquo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사를 했다 대만에서는 3개의 기업 (KOTRA SISDORA WABFENIX) 을 방문해 전반적인 대만의 화장품 시장과 판매전략 한류에 대한 보다 사실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1개의 대학 (국립성공대학 國立成功大學)에서 MBA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또 타이난에서는 대만에서 오랫동안 사업하시는 한인협회 회장을 만나 PLC (Product Life Cycle)를 통해 대만에서의 특정 시장이 도입기에 있는지 또 어떠한 시장이 쇠퇴기에 놓여있는지 다양한 시야에서 대만시장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노력은 CK 사업단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교육부 CK-1 프로젝트의 일부인 Linton Global Challenge는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몇 년을 내다보는 지속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기업들과 더욱 더 활발한 교류와 연구를 한다면 기업과 CK 사업단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리라고 본다

1 개인 탐방 후기 (팀원 개인 소감)

1-1 개인 탐방 후기

강성민탐방 후기 기업 컨택 부터 인터뷰 일정 계획까지 8박 9일간의 대만 화장품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 출국 전까지 준비 과정부터 탈도 많았고 대만에 와서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 원하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매일이 항상 회의와 고민의 연속이었다 하루하루 충실히 계획을 진행시켜 나갔고 좋은 팀 분위기 속에서 무사히 대만 프로

부록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2 -

젝트를 완수했다 그리고 마침내 한국으로 돌아왔다 과정은 항상 오르막 길이였지만 돌이켜 보면 마지막 대학 시절을 기념할만한 좋은 추억이자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느끼는 바가 많았던 프로젝트로 기억 될 것이다

김은진탐방 후기 글로벌 챌린지를 한마디로 정의하라고 한다면 도종환 시인의 lsquo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lsquo라는 시가 떠오른다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대만기업컨택 설문조사 등 많은 것을 경험했다 처음엔 모든 것이 나에겐 버거운 산이라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도전이 계속 될수록 이젠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이 모든 도전들에 흥미가 생겼다 나 자신도 책임감과 자신감이 생기고 한층 성숙해 진 것을 내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소중한 동료와 추억은 평생 나의 가슴속에 남을 것이다 우린 앞으로도 많이 도전하고 경험하여 우리들의 삶이 활짝 만개하리라 다짐한다 끊임없이 도전하는 20대의 청춘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프로그램이었다 김종선탐방 후기 한국에서 준비하면서 조사했던 내용과 비교하며 인터뷰를 해보니 실제로 많이 다른 부분도 있었고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 비슷한 내용도 있었다 현지의 기업들을 방문해 우리가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직접 매장에 가서 느껴보니 앉아서 컴퓨터만 볼 때랑 많이 달랐다 그리고 직접 대만인들에게 설문조사를 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그리고 대만의 실제 문화와 환경 그들의 생활을 잠시나마 볼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

구명우탐방 후기 며칠간의 꿈만 같았던 대만에서의 시간이 지나갔다 대만으로 출국하기 전 사전조사 기간에는 확신이 없었다 사전조사와 기업과의 인터뷰 그리고 9일간의 일정조율 및 숙박과 모든 대만에서의 연구와 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보고서까지 무엇하나 확신이 드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도전과 해결능력을 배웠고 아시아에서 급성장 중인 대만에 대해서 배우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다음기수로 가게 될 관심 있는 학우들에게 진심으로 추천해주고 싶다

이규현탐방 후기 CK-1 프로그램 중 하나인 lsquo린튼 글로벌 챌린지lsquo 프로그램을 통해 약 8박 9일이라는 시간 동안 emerging market 중 하나인 대만에 거주하면서 한국 화장품의 대만시장 점유율과 진출 가능성을 몸으로 체감하고 자료들을 모아 통계 내어 정리할 수 있었다 우리 팀 lsquoEST가 성공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충분한 국내조사 기간을 갖고 대만의 화장품 회사들을 방문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대만의 특정한 기업을 찾기도 어려웠고 기업 컨택은 번번히 거절당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회사 두 군데에서는 답장조차 오지 않았고 설문조사할 때에는 반한감정의 대만인을 만나 고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팀의 단결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리더의 통솔력으로 정해진 스케줄대로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회사를 방문하고 학교교수를 만나고 길거리에서 설문조사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팀원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또한 대학생으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을 한 것 같아서 스스로도 너무 뿌듯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팀을 믿고 지지해주신 LGSB 교수님들과 CK-1 프로그램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영은탐방 후기 처음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렇게 준비는 열심히 하지만 정말 우리가 계획한 100대로 대만을 다녀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기우가 무색하게도 대만은 우리에게 기획안 그 이상의 것들을 보여주었다 사장님들의 생생한 사업 이야기와 대만의 색채가 묻어있는 아이템들 하며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여 알아보는 비즈니스 마켓의 현장은 나에게 두고두고 잊지 못할 자산으로 남았다 또한 펑리수 버블티를 비롯한 대만의 맛있는 먹거리들과 스린 야시장이나 지우펀 같은 명소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열심히 고생해준 팀원들과의 추억들도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3 -

이서우탐방 후기 이번 글로벌 첼린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서 쉽게 할 수 없는 해외 기업 탐방과 해당 국가의 산업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임효진탐방 후기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팀이 대만을 방문 한다고 했을 때 많이 의아해 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만을 직접 방문해보고 많은 사업자들을 만난 결과 대만은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라고 생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아직 공산주의라는 정치적 특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다른 곳보다 훨씬 어렵지만 대만은 자유시장체제 이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쉽다 특히 외국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만 시장에서 한국제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추고 중국 시장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성공가능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그리고 대만의 바이어들을 통해 중국의 시장진출을 하게 된다면 사업자가 직접 중국시장에 진출 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성공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만은 문화적으로 다른 아시아권보다 선진화 되었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대도시에 속하지만 모두다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골고루 섞여 대만만의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차안호탐방 후기 9박 10일간의 대만을 다녀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넓고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이번 대만 여행은 처음으로 경험한 해외여행 경험이여서 그런지 순탄치 않은 면도 있었지만 팀원들 서로가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만시장은 중국시장으로 가기위한 좋은 시험의 장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대만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영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더 나아가 미래에는 중국어야말로 영어와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성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또 하나 놀란 점은 대만이 반 한류 감정을 많이 갖고 있는 줄 알았지만 대부분의 대만 일반 시민들이 굉장히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에 놀랐고 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CK-1 사업의 챌린지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대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계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보완점 및 건의사항 (문제점개선책건의사항)

2-1 기업 컨택의 어려움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에 있는 기업과 연결하여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대해서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조사 및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시간을 내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로써 그들의 귀한시간이 아깝게 쓰이지 않을 것을 강조하여 만남을 만들어야 한다

2-2 사업단과 의사소통의 불편함

Challeng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CK-1 사업단과의 지속되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가령 누군가를 통해서 전해지는 소문이나 촉박한 시간을 제시하고 일 처리를 원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단과 각 팀의 대표간의 분명한 의사소통과 증빙자료 등이 필요하다

2-3 정보 부재 이번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이머징 마켓에서의 유망 산업 조사 및 연구였다 대만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7: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7 -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8 -

3 해외 탐방 성과 (종합적인 의견)

3-1 대만 일정 간 EST팀 성과

대만 현지 기업 2곳 방문 및 인터뷰(SISDORAcoltd Wabfenixcoltd) 대만 지사 코트라 방문 및 인터뷰 대만 lsquo성공대학(成功大學)rsquo MIS학과 진정충(陳正忠) 교수 및 학생들과 미팅 가오슝 한인협회 회장 인터뷰 시먼딩(西門丁)에서 현지인을 대상으로 한 화장품 설문조사 실시

시먼딩은 한국 화장품 거리로 불리는 lsquo명동rsquo과 비교되는 동 단위의 지역으로 평가받는다

3-2 기업 측면

대덕밸리 스타트업 기업(주)셀아이콘 랩의 대만 시장 진출 가능성을 탐색 대만 시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대만의 화장품 기업들의 홍보 효과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품에 대한 인식 조사 대만에 진출해 있는 한국 화장품 기업의 입지 조사 대만 화장품 시장의 유통경로 조사 새로운 홍보 전략의 일환으로 관계 유지 가능

3-3 학생 측면

모든 일정을 학생들이 직접 나서서 해야 한다는 점에서 자립심과 해결능력을 함양 해외의 이머징 마켓을 직접 보고 느끼면서 글로벌 마인드의 함양 학생들의 리더쉽과 자신감 획득 영어 및 중국어 능력 향상

3-4 사업단 측면

CK-1 사업 목표 및 취지에 부합한 성공적인 프로젝트 선례로 활용 가능 글로벌 IT 경영학과 및 글로벌 비즈니스 학과 홍보 전략으로 활용 가능

학생이라는 신분으로 대만 현지에 있는 기업들을 마주하는 일은 정말로 어려운 일이었다 하지만 출국 전부터 기업과의 꾸준한 연락과 철저한 준비로 마침내 미팅 날짜를 잡고 대만 현지에서 연락하던 기업들과 직접 만나 대만 화장품 시장에 대해 조사를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우리가 일정동안 찾았던 기업은 총 5곳으로써 국내외 기업간의 투자 및 산업기술 협력의 지원등을 맡고 있는 KOTRA in Taiwan 그리고 대만에서 기능성 화장품으로 유명한 SISDORA 대만의 타이난 지역 내에서 한국과 대만의 화장품 중개무역을 담당하시는 대표님 마스크 팩의 중국진출과 번뜩이는 아이템으로 중국 화장품 시장 내에서 대박을 생각 중이신 MrKen 등 정말 다양한 위치에서 일하고 계신 분들을 만났다 또한 -EST 는 그곳에서 만난 인연으로 101타워의 프리미엄 퍼스널 릴렉스 트레이닝 센터와 디저트로 유명한 Mango 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이뿐만 아니라 대만의 명동과 같은 ldquo시먼딩rdquo에서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품에 대한 인식을 조사 할 수 있었으며 화장으로 대표적인 5개국의 화장법을 두고 투표를 하여 한국 화장품 기업의 미래가 밝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번 프로젝트는 이머징 마켓으로써 시장 조사 뿐만 대만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시민의식 등을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101타워 용산사 예류 지질 공원 스펀 지우펀 진과스 온천 등과 같은 대만을 충분히 느낄 수 있는 다양한 관광지를 방문했으며 특히 친절한 대만인들과의 소통으로 대만이 어떠한 나리인지 뼈 속 까지 알게 되는 느낌이었다

이 모든 활동을 통하여 대만 화장품 시장의 특성을 명확히 이해하게 되었으며 넓게는 대만의 미래가 굉장히 밝다는 느낌을 들게 해주었다 또한 학생들 개인적인 측면으로 9명 모두에게 자립심과 도전심을 가지게 해준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9 -

좋은 기회였다

3-5 기대효과

현지 시장조사 자료 획득 자사 시제품 반응결과 파악 사업단과의 지속적인 연계

3-6 사업단 측면 효과

학과 내 MIS-DAY 또는 관련 과목 강의에서 특강 해외탐방 동아리 개설 차기 CK프로젝트 멘토 활동 가능

1 팀 소개 (사진이름담당역할)1-1 팀 소개

EST팀 지도교수 및 멤버

강성민(25) - 조장전체 계획 수립 및 제안

김종선(25)국내 및 국제 시장 조사

차안호(25)프로젝트 연구 통계 분석

이서우(24)예산 수립 및 예산 관리

본문 내용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0 -

구명우(24)투어 일정 수립

김은진(22)

현지 시장 조사

임효진(24)

공고인터뷰일정 및 숙소 예약

이영은(22)

보고서 작성 및 프리젠테이션 제작

이규현(23)

사진 및 동영상 촬영 편집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1 -

2 대만 소개 (국가 기본정보한국과의 관계)

국호臺灣(Taiwan)

- 대만의 공식국호는 lsquo中華民國(Republic of China)rsquo - 국제 행사에서는 lsquoChinese Taipeirsquo 사용

위치 동남아시아

면적 36193(한반도의 16배 남한면적의 13배)

기후 아열대 몬순 기후권

수도 타이베이(Taipei 台北 서울의 약 12크기)

인구 약 2천 3백만 명

주요도시Taipei City(269만명) New Taipei City(390만명)

Kaohsiung City(277만명) Taichung City(265만명)Tainan City(187만명)

민족구성 민남인(74) 외성인(13) 객가인(15) 원주민(2)

언어 공용어(중국어)상용어(민남어 객가어 원주민어)

종교 불교(35) 도교(33) 기독교(26) 천주교(13) 회교(02) 등

건국일 191211(중화민국건국일)

정치형태 입헌민주공화국

국가원수총 통 마잉주(馬英九 Ma Ying-Jiou)

2012114 재선성공 2012520 취임식부총통 우둔이(吳敦義 Wu Den-yih)

GDP ㅇ2012년 US$ 4804억ㅇ2013년 US$ 4789억

2-1 대만 소개

국가 개요

경제 지표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2 -

ㅇ20141~6월년 US$ 2433억

경제성장률ㅇ2012년 148ㅇ2013년 219ㅇ2014년 2분기 384

1인당 GDP ㅇ2011년 US$ 20246ㅇ2012년 US$ 20502ㅇ2013년 US$ 20984

실업률ㅇ2012년 424ㅇ2013년 418ㅇ2014년 2분기 397

물가상승률ㅇ2012년 193ㅇ2013년 079ㅇ2014년 2분기 121

외환보유고ㅇ2012년 US$ 3942억ㅇ2013년 US$ 4168억ㅇ20146월 US$ 4235억

산업구조 제조업(233) 도소매업(181) 부동산업(85) 금융보험업(65) 농업(187)

교역규모ㅇ2012년US$ 3012억(수출) US$ 2705억(수입) 무역수지US$ 307억ㅇ2013년US$ 3055억(수출) US$ 2701억(수입) 무역수지 US$ 354억ㅇ20141~6월US$ 1534억(수출) US$ 1372억(수입) 무역수지 US$ 162억

주요교역품 ㅇ수출 전자제품 기본 금속 제품 플라스틱 및 고무 제품 광학기기 화학품ㅇ수입 광물 전자제품 화학품 기계 기본 금속 제품

환율ㅇ2012년 US$ 1=NT$ 2962ㅇ2013년 US$ 1=NT$ 2977ㅇ2014 6월 US$ 1=NT$ 3004

화폐단위 New Taiwan Dollar(NT$)

외교 관계

ㅇ 1948 8월 대만정부 대한민국 정식 승인ㅇ 1949 8월 주타이베이 한국대사관 개설ㅇ 1992 8월 한국-대만 단교ㅇ 1993 11월 주타이베이 한국대표부 개설ㅇ 1994 1월 주한 타이베이대표부 개설

교역 규모 ㅇ 2011년

한국-대만 외교 관계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3 -

(한국 기준)

- 수출 US$182억 수입 US$1469억 무역수지 US$35억ㅇ 2012년 - 수출 US$148억 수입 US$140억 무역수지 US$8억ㅇ 2013년 - 수출 US$157억 수입 US$146억 무역수지 US$107억ㅇ 20141~6월 - 수출 US$75억 수입 US$75억 무역수지 US$04억

주요교역 품목ㅇ 수출 반도체 기초유분 철강판 석유화학 중간원료 컴퓨터 정밀화학원료 반

도체 제조용 장비 광학기기 석유제품 선박 등ㅇ 수입 반도체 컴퓨터 기구부품 철강판 무선통신기기 기타 중전기기 평판디

스플레이 및 센서 기타 석유화학제품 플라스틱 제품 정밀화학원료 등

상호 투자

ㅇ 우리나라의 對대만 투자 - 2010년 43건 US$1400만 2011년 42건 US$4700만 - 2012년 38건 US$950만 2013년 26건 US$1700만 - 1968~2013년 624건 US$ 5억 6300만ㅇ 대만의 對한국 투자 - 2010년 5건 US$340만 2011년 7건 US$2800만 - 2012년 9건 US$2100만 2013년 14건 US$6100만 - 1962~2013년 181건 US$ 6억 1200만

교민 총 교민수 약 3천 4백여명

양국 간 교역 동향

수출입 동향

Ÿ 한국과 대만은 주요 수출입 품목이 반도체 철강 컴퓨터 화학원료 등으로 중복되는 경향이 강하며 상호비교우위 품목을 위주로 교역이 이뤄지고 있음

Ÿ 전년도 수출 급감에 따른 기저효과 스마트기기 및 테블릿 산업의 성장과 이에 따른 부품 수요 증가 한류영향 품목의 수출 확대 등으로 인하여 2013년도 한국의 對대만 수출은 전년대비 6 늘어났으며 수입 역시 44의 증가세를 보임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4 -

구분2012년 2013년 2014년 1~6월

금액 증감 금액 증감 금액 증감

총계 2882 -124 3033 52 1502 -328

수출 1481 -186 1570 60 753 -726

수입 1401 -46 1463 44 749 135

수지 8 -771 10 25 04 -945

순위 품 목2012년 2013년 2014년

1~6월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1 반도체 3578 -342 3742 46 2169 1572 석유제품 2239 -29 2810 255 953 -3563 기초유분 1381 198 1314 -48 531 -2084 정밀화학원료 406 -426 477 176 272 1835 석유화학중간원료 532 -376 586 101 220 -516 반도체제조용장비 311 -222 344 107 195 -107 자동차부품 239 209 168 -298 159 8728 광학기기 238 -248 283 188 151 969 기구부품 217 111 375 727 147 -28210 플라스틱 제품 250 -124 286 147 142 16

lt 한국-대만 수출입 동향gt (단위 억 달러 )

자료원 한국 관세청

lt한국의 對대만 10대 수출 품목gt (단위 백만 달러 )

주 MTI 3분류 2013년 수출액순 자료원 한국 관세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5 -

순위 품 목 2012년 2013년 2014년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1 반도체 8114 117 8874 94 4438 -102 기구부품 757 124 867 146 341 -2343 철강판 420 -312 398 -52 181 -1474 컴퓨터 616 -570 356 -422 171 -635 기타석유화학제품 227 -103 199 -125 143 9856 플라스틱 제품 324 229 288 -111 136 -1057 동제품 156 46 194 245 125 2108 합성수지 159 -19 172 81 108 2739 평판디스플레이및센서 133 -215 138 35 106 29110 기초유분 155 -250 132 -143 98 425

lt한국의 對대만 10대 수입 품목gt (단위 백만 달러 )

주 MTI 3 분류 2013년 수입액 순 자료원 한국 관세청

양국 간 상호 투자현황

대만의 對 한국 투자현황lt대만의 對韓 투자동향gt

(단위 건 백만 달러)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1~6월 누계(62~2014)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5 34 7 280 9 21 14 61 3 3 184 615

자료원 대만 경제부 투자심의위원회 신고 기준

Ÿ 대만기업의 對韓 투자는 10~20만 달러 규모의 판매법인 설립이 대부분이며 대규모 그린필드형 투자는 중국 및 동남아지역에 RampD형 투자는 미국과 일본에 집중되고 있음thorn 대만기업의 對韓 투자는 지난 5년간 연평균 25천만 달러에 불과

Ÿ 또한 중국 투자환경 악화로 동남아 등지의 신흥시장으로의 제조기반 이동에 대한 투자가 늘고 있으며 유턴투자도 증가

Ÿ 한편 주요 산업분야에서 대만은 한국과 경쟁적 보완관계이며 일본과는 보완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음thorn 특히 한 대만간 반도체 디스플레이 기업간 경쟁이 심해지면서 대만 IT업계를 중심으로 lsquo聯日抗韓(일본

과 연합하여 한국을 견제하자)는 주장이 제기되는 등 대만기업의 일본 편중현상은 심화되고 있음Ÿ 지금까지 대만의 대표적인 對韓 투자사례로는 2007년 IC디자인 기업인 SIMO의 FCI 인수(8800만 달러)

2010년 대만의 최대 철강회사 CSC의 동부메탈 지분인수(4200만 달러) 2010년 IC 테스팅 업체 Ardentec 웨이퍼 테스팅 공장 설립(4000만 달러) 2012년 6월 반도체 패키징 업체인 ASE의 라인증설(8000만 달러) 등이 있음

Ÿ 최근에는 금융권을 중심으로 한국기업에 대한 MampA SI 투자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어 주목받고 있음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6 -

thorn 2013년에는 대만의 1위 증권사 위안타가 한국의 동양증권 인수를 발표 양국의 금융감독기관 허가를 받아 2014년 연내 합병 추진 중(25억 달러)

thorn 또한 다국적 제약회사 Alvogen은 대만 LOTUS를 인수 동아시아 HQ로 삼고 한국 제약회사(드림파머) 인수를 추진 중

우리나라의 對 대만 투자현황

lt한국의 對대만 투자동향gt (단위 건 백만 달러)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1~3월 누계(lsquo68~lsquo14)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43 13 44 47 38 9 34 68 15 5 646 617

자료원 한국수출입은행 신고 기준

Ÿ 제조업 분야에서의 對대만 투자는 시장개척 및 고객사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임

Ÿ 우리기업의 대표적 투자 사례로는 2005년 LCD 장비 업체 PKL사의 LCD용 포토마스크 공장설립(4000만 달러) 2007년 게임업체 넥슨의 감마니아 지분인수(2100만 달러) 등이 있음

Ÿ 2011년 4월 미래에셋(Mirae Asset Global Investments)은 타이완라이프자산운용에 약 1000만 달러를 투자 자산운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Ÿ 2014년에는 PCB 기판 업체 달마전자가 가오슝에 공장을 설립 9월 준공식을 앞두고 있음

3 탐방 목적 (주요 목표부가 목표기대 효과)3-1 탐방 목적

주요 목표 1 대덕밸리 스타트업기업 (주)셀아이콘랩의 대만진출 가능성 탐색 2 대만 소비자들의 기능성 화장품 인식 조사 3 대만화장품시장의 유통경로 조사

기대 효과기업측면 기대 효과

⓵ 현지 시장조사 자료 획득⓶ 자사 시제품 반응결과 파악⓷ 사업단과의 지속적인 연계

사업단측면 기대 효과⓵ CK 사업 목표 또는 취지에 부합(CK ndash University for Creative Korea)⓶ 새롭게 출발하는 lsquo글로벌IT경영학과rsquo의 홍보전략으로 활용 가능

학생측면 기대 효과

⓵ EST팀 특강 ndash 학과 내 MIS Day 혹은 관련 과목 강의에서 특강⓶ 해외 탐구 동아리 개설⓷ CK 멘토와 후원 활동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7 -

4 사전조사 활동 (셀아이콘랩)

4-1 기능성 화장품 연구amp제조 기업 lsquo셀아이콘랩rsquo 기업 인터뷰

회사 소개

회사명 셀아이콘랩주소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대로 1646 한남대학교 사이언스파크 312호 대표자명 성민규 대표 사업분야 코스메슈티컬 펩타이드 소재개발 피부 전문가용 코스메슈티컬 화장품 OEMODM 주문 생산 방식

인터뷰 내용 1) 셀아이콘랩 2014년도에 많은 해외 박람회에 참여하고 있는데 해외시장 진출 의사가 있으신가요= 저희 회사의 사업화 로드맵을 보시면 2014년에 해외영업 마케팅 판매가 계획되어 있고 올해 들어 중국 러시아 카자흐스탄 말레이시아 등 여러 나라를 방문하여 박람회에 참가하고 실질적으로 상품을 판매하고 반응을 살피고 있습니다

2) 그렇다면 대만 화장품 시장 진출에 대해 고려해본 적은 있으신가요 만약 진출을 고려해보았다면 대만의 화장품시장에서 원하는 자료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대만시장을 접할 기회가 부족했을 뿐 내년에 대만 시장진출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셀아이콘랩은 현재 거래중인 중국 카자흐스탄 등지의 국가들에서 더 나아가 대만이나 홍콩과 같은 중화권 시장의 가능성을 느끼고 해당나라에 진출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요구사항 대만의 수출수입 인허가 절차 관세 세금 시장가격 형성 요인 화장품 유통 채널 구매경로 트렌드 또한 대만 시장에 뷰티샾(우리나라의 올리브 영)같은 종합 매장이 형성과정 실질적인 구매력을 알아보기 위한 대학 졸업생의 평균 초봉 등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8 -

5 화장품 산업 및 환경 분석 (연구자료 첨부)

구분 2011 2012 2013(1월 ~ 11월)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및 성장률 19427798 42 19421349 00 191454345 08

5-1 화장품 시장 동향

시장규모 및 전망thorn 대만의 약품 및 화장품 시장규모는 2013년 기준 1914억 달러로 2012년 대비 008 증가

최근 3년간 대만 약품 및 화장품 시장규모 및 성장률 (단위 천 달러)

자료원 대만경제부 통계처

시장전망thorn 수요 감소 예상 요인 대만 화장품시장은 다양한 국산 수입제품들이 오랜 시간 경쟁하는 포화된 시장thorn 종합의견 다수 유명 외국 브랜드(예 SHISEIDO KOSE 등)는 대만에 공장을 설립해 국산 브랜드와

경쟁하고 있으며 대만 정부의 각종 규제가 엄격하고 많아 허가 관련 등록서류 및 비용으로 인한 진입 장벽이 큼

소비자 구매 패턴thorn 주요 소비자 계층 14~55세 등 다양thorn 소비자 구매 동기 귀엽고 여성스러운 디자인 미백 보습 등과 같은 눈으로 확인 가능한 기능성 민감

성 피부에 바로 사용 가능한 화장품을 선호하는 추세

제품 트렌드thorn 대만 시장에서 국산 브랜드보다 수입 브랜드의 인기가 더 높으며 그중 일본 브랜드가 장시간 많은 인

기를 유지하여 왔음thorn 최근 한국 드라마에서 스타들이 연출하는 화장법 또는 유명 스타가 광고하는 한국 화장품이 큰 인기

를 얻고 있으며 한류 열풍으로 대만에서 수입 화장품 판매량이 늘어나면서 국산 화장품의 신제품 개발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

thorn 피부과 및 의학미용센터에서 다양한 시술(보톡스 반점 제거 여드름 크리닉 모공축소 레이저 비지 제거 등)을 받아 꾸준히 피부관리를 받고 다니는 여성들이 많아지는 추세에 따라 기능성을 강조하는 의학미용(aesthetic medicine) 화장품 혹은 시술 받고 나서도 바로 사용 가능한 기초화장품(무자극 보습효과 강조)이 유행하기 시작함

해당 산업 관련 정부 정책thorn GMP 정책 글로벌 추세에 따라 대만 화장품의 품질middot제조 수준 및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대만 경

제부공업국과 대만 위생서는 2008년 9월 4일부터 lsquo자발성 화장품 우량제조규범 검증제도(自願性化妝品優良製造規範驗證制度)rsquo를 실시한다고 발표함 약품 의료기기 식품을 이어 화장품이 네 번째로 GMP검증을 받는 산업이 되었음 ISO 22716 규범으로 주요 참고 근거로 보고 있음 동시에 화장품 GMP 추진 플랫폼을 설립하고 기업 문의에 대한 상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9 -

구분 2011 2012 2013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및 성장률 614293 1192 600356 -227 557784 -085

순위 국가 금액 점유율 증감율2011 2012 2013 2011 2012 2013 1312

총계 614293 600356 557784 100 100 100 -0851 일본 248980 237052 199987 40531 39485 35854 -113212 프랑스 116031 111983 110509 18888 18653 19812 45333 미국 89984 96689 89924 14648 16105 16122 -03914 한국 29779 29329 36746 4848 4885 6588 386345 중국 23444 30114 30138 3816 5016 5403 99486 영국 15895 14619 14482 259 2435 2596 29227 독일 16799 14327 14159 274 2386 2538 96758 스위스 13631 12401 11151 222 2066 1999 -5329 태국 9929 9214 8943 162 1535 1603 533310 이탈리아 12312 8853 8632 2 1475 1548 7727

5-2 수입동향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동향 (단위 천 달러 )

주 대만 국제무역국

최근 3년간 상위 10개국의 수입통계

주요 수입국 현황(HS Code 330499 기준) (단위 천 달러 )

자료원 대만 경제부 국제무역국 중화민국수출입무역통계(httpcus93tradegovtwFSCI)

수입관세 및 관련 제도thorn 관세 0thorn 통관 시 유의사항 대만에서 화장품은 의료용 또는 약품을 함유하지 않은 lsquo일반화장품rsquo과 lsquo함약화장

품rsquo 등 세 종류로 나눠져 있음 함약화장품의 경우 통관 시 대만 위생서에서 발행한 위생허가증을 제시해야 함

thorn 필수 인증 현황 함약화장품(예 염색제 파마제 자외선차단제 땀 억제제 치아미백제 등)은 대만 위생서 허가를 받아야 수입 및 제조판매를 할 수 있음 허가 신청 시 제품명 성분 제조업체명 제조업체주소 해외 수입업체명 수입업체주소 제품 전성분 용량 용도 사용법 유효기간 샘플 Certificate of Analysis Certificate of Sales SPF ampUVA 검사보고서 등이 필요함(세부사항은 대만 위생서 홈페이지 참조바람)

5-3 유통구조

유통채널 종류thorn 오프라인 백화점 H ampB(Watsons Cosmed SaSa 등) 방문판매 약국 각종 마트 편의점 피부과

피부관리센터 전문판매점(로드숍)thorn 온라인(여기는 virtual channel을 뜻함) 홈쇼핑 온라인 쇼핑몰(경매 브랜드 홈페이지 등 포함) 우편

주문(郵購) 등이 있음

유통채널 점유율 오프라인 유통채널의 점유율은 여전히 70~90 정도로 높게 차지하고 있으나 온라인 유통채널의 점유율도 빠른 속도로 상승하고 있음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0 -

브랜드명 제품명 가격 판매순위

SHISEIDO 100 1

SKII 133 2

ESTEE LAUDER 100 3

항목 내용전시회명(현지어명) 2014春夏國際美容化妝品展전시회명(한국어) 2014 춘하 국제미용화장품 전시회

전시품목 미용 화장품개최국가도시 타이베이

유통채널 활용 방안 아직까지 온라인 채널의 점유율이 높지 않으나 대만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블로그 등)에 영향을 많이 받는 편이어서 오프라인 채널에 진입하기 전에 온라인으로 먼저 마케팅(브랜드 이미지메이킹 블로거 마케팅 등)을 진행하는 방법을 추천함 대만 오프라인 채널의 진입장벽은 매우 높으며 비교적으로 이윤이 많이 남는 온라인시장에서 브랜드 파워를 먼저 키우면 오프라인 채널에 들어가는 길이 훨씬 수월해질 것으로 예상함

5-4 경쟁동향

경쟁제품 현황주요 경쟁제품 현황

(단위 달러)

한국 제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 및 선호 브랜드 현황thorn 한국 제품 현지 인지도 높음thorn 선호 브랜드 3CE INNISFREE NUTURE PUBLIC MISSHA THE FACE SHOP LANEIGE 등

5-5 효과적인 시장 진출 전략

타깃 고객층thorn 타깃 고객층 20~30대 초반thorn 타깃 사유 유행에 따라 새로운 것을 많이 도전하고 한류의 영향도 가장 많이 받는 젊은 층이 한국

화장품을 소비하는 경우가 많음 35세 이후의 직장 여성 혹은 가정주부들은 여전히 일본 혹은 유럽 미국의 고가 화장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활용 가능한 마케팅 방안 ⓵ 현지 전시회 정보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1 -

개최주기 3월경개최기간(2014년) 0321~0325

웹사이트 httpwwwudnicecom

⓶ 전시회 이외의 주요 마케팅 방안 블로거 마케팅 등 ⓷ 유력 홍보 방안(전문잡지 온라인 매체 등)

thorn 온라인 매체 Fashion guide(httpwwwfashio guidecomtw) UrCosme(httpwwwurcosmecom)

thorn 전문잡지 VIVI BEAUTY 大美人 Style W Marie laire Fashion Guide 등

시장 확대를 위한 무역관 의견 대만 화장품시장은 가격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 시장 진입 시 확실한 브랜드 포지션을 정해야 하며 해당 포지션의 대만 제품 가격을 조사한 후에 대만 최종 소비가격을 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

또한 소비자들은 할인세트 및 사은품에 약하여 각종 행사 진행 시 사은품 증정 혹은 묶음세트로 판매하는 것을 추천 보습(특히 히알루론산 성분 강조) 및 미백(대만 정부에서 인증된 미백성분이어야 함) 제품을 매우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6 탐방 상세 일정 (일정표 - 기간 지역)

날짜 지역105(월) 인천 ~ 대만 타이페이

시간 일정0600 인천공항 도착

0600 ~ 0920 인천공항 대기0920 ~ 1140 인천공항 rarr 대만 1140 ~ 1230 대만 입국 수속1230 ~ 1320 숙소 이동 (용산사 역)1320 ~ 1500 짐정리1500 ~ 1600 회의 및 일정정리1600 ~ 163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630 ~ 1800 KOTRA방문 및 인터뷰1800 ~ 1830 101타워 딘 타이 펑 이동(도보)1830 ~ 1910 저녁식사 - 딘 타이 펑1930 ~ 2100 101 타워 야경감상2100 ~ 2130 숙소로 이동2130 ~ 223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6(화) 타이페이

시간 일정0900 기상

0900 ~ 110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30 ~ 1230 점심식사 - 마라훠거1230 ~ 1300 SISDORA 본사로 이동

6-1 8박 9일 대만 일정 (150105 ~ 150113)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2 -

1300 ~ 1530 SISDORA 방문 및 인터뷰1600 ~ 1800 101타워 퍼스널 트레이닝 센터 방문1800 ~ 1930 저녁식사 - 카렌 레스토랑1930 ~ 2000 숙소로 이동2000 ~ 2100 개인 휴식2100 ~ 223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7(수) 타이페이

시간 일정0900 기상

0900 ~ 113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30 ~ 120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200 ~ 1250 점심식사 - 키키 레스토랑1250 ~ 1300 시먼딩 이동1300 ~ 1530 화장품 설문조사1530 ~ 1830 한국 화장품 매장 제품 조사1830 ~ 1900 야시장 이동(MRT)1900 ~ 2000 저녁식사 ndash 야시장 음식2000 ~ 2030 숙소로 이동2030 ~ 2130 개인 휴식2130 ~ 230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30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8(목) 타이페이 ~ 타이난

시간 일정0830 기상

0830 ~ 110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00 ~ 1200 체크아웃 및 고속철도역 이동1200 ~ 1340 타이페이 rarr 타이난 이동1340 ~ 1400 짐 보관 및 인터뷰 장소 물색1400 ~ 1600 가오슝 한인협회장 인터뷰1600 ~ 1700 숙소도착 및 짐정리1700 ~ 1800 개인 휴식1800 ~ 1900 저녁식사 - 새우롤2000 ~ 2230 중간 정리 및 보고서 작성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9(금) 타이난

시간 일정0800 기상

0830 ~ 0900 아침 식사0900 ~ 1130 타이난 일정 브리핑 및 팀 미팅1130 ~ 1210 타이난 시내로 이동(TAXI)1210 ~ 1320 점심식사 - 스시1320 ~ 1350 성공대학 이동(도보)1350 ~ 1700 성공대학 방문1700 ~ 1800 성공대학 캠퍼스 탐방 및 대학원생들과 대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3 -

1800 ~ 1830 저녁식사 - 대만 전통 음식점1830 ~ 1900 타이난 RT마트 이동(도보)1900 ~ 2030 RT 마트 장보기2030 ~ 2100 숙소로 이동2100 ~ 2200 개인 휴식2200 ~ 2330 팀 회의 및 예산 정리

23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12(월) 타이페이

시간 일정0800 기상

0800 ~ 0900 아침식사(호텔 조식 제공-선택)0900 ~ 1130 호텔 개인시간1130 ~ 123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230 ~ 130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300 ~ 1600 Wabfenix 방문 및 인터뷰1600 ~ 1630 간식 - 망고차차1630 ~ 1700 시먼딩 이동(MRT)1700 ~ 1830 화장품 설문조사 활동1830 ~ 1930 저녁 식사 - 코코이찌방야2030 ~ 2130 개인 휴식2130 ~ 2300 팀 회의 및 예산 정리

230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13(화) 대만 ~ 인천공항

시간 일정0800 기상

0800 ~ 0900 아침 식사0900 ~ 1130 짐정리1130 ~ 1200 체크아웃1300 ~ 1400 점심식사 - 스시(시먼딩)1400 ~ 1430 쑹산 공항 이동(TAXI)1430 ~ 1530 시먼딩 rarr 쑹산공항1530 ~ 1730 출국 대기1730 ~ 2100 대만 출국 rarr 대한민국

2100 대한민국 입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4 -

7 방문 기업 소개 (인터뷰 내용)

7-1 대만 KOTRA

-2015년 1월 5일 월요일 1630~1800 인터뷰-위치 台北市 基隆路 1段 333號 22樓 14室(2214室) Intl Trade Building 22층-전화 (886-2)2725-2324 -팩스(886-2) 2757-7240

Q대만에 대하여 간단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우선 대만은 남한의 13의 해당하는 영토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구역시 남한에 비해 적은 2천 3백만 명 정도이며 기후는 아열대 몬순 기후권으로 비교적 따듯한 날씨입니다여러분이 대만에 와보셔서 알겠지만 대체로 습한느낌을 받으셨을 탠대 대만은 겨울에도 남한만큼은 춥지 않습니다 언어는 주로 중국어를 사용하며 문자는 중국과 살짝 다른 번자체를 사용합니다1인당 GDP는 2013년 기준 20984 달러 정도이며 산업구조는 제조업과 도소매업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Q현재 우리나라의 어떤 기업들이 대만에 진출해 있는지 궁금합니다

A최근에는 화장품을 주력 제품으로 아모레퍼시픽등 화장품 대기업들이 타이페이 시내에 로드샵을 많이 개점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대만은 제조업과 도소매업이 주를 이루다 보니 20~30년 전부터 진출한 기업들이 계속해서 입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주로 삼성물산 현대종합상사 LG상사 LG전자등 대기업이 주를 이루고 있고 우리나라 기업은 1년에 한 기업정도 대만에 진출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Q그렇다면 대기업을 제외한 중소기업들이 대만시장에 진출하지 않는 이유가 따로 있습니까

A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아무래도 중국시장이 개방을 하면서 인 것 같습니다 기존에 진출해있는 기업들은 과거 대만이 인프라 구축이 미흡했을 당시 해외투자를 많이 받으면서 비교적 좋은 조건으로 대만에 진출하고 인프라 구축등 사업을 진행하면서 기반을 다졌을 겁니다 그 기반으로 지금까지 대만시장에 진출해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중소기업의 경우는 해외투자가 너무 모험적이며 대만 시장과 중국의 시장을 비교하여 봤을 때 인구가 차이가 약 8배 정도 나며 중국에 비해 비교적 작은 시장이라고 느껴 대만보다는 중국에 많이 진출하는 것 같습니다

Q마지막 질문으로 만약 우리나라 중소기업이 대만시장에 진출할 때 유의해야 할 점이나 좋은 팁이 있을까요

A대만 시장에 완전히 진출해야겠다는 생각보다는 중국이나 다른 중화권 나라의 진출하기전 시험의 장소로 생각하고 진출해보는 것은 나쁘지 않다 생각 합니다 아무래도 대만의 인구가 많은 편이 아니다보니 불리한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5 -

조건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이나 다른 큰 중화권 시장으로 진출하기 전에 언어나 문화 중화권사람들의 사고방식등 여러방면에서 시험해 볼 수 있는 좋은 장소는 틀림없습니다 중소기업이 대만시장에 진출할 때는 코트라를 이용하여 각종 정보나 현지 인프라등을 이용하는 것 또한 하나의 방법이며 무엇보다 중화권의 문화와 중화권 대중들의 생각을 잘 공부하고 언어를 습득하여 오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7-2 SISDORA luxury beauty care

-1월 6일 화요일 1300~1530 인터뷰 1600~1800 101타워 퍼스널트레이닝 센터-주소 No9Aly 10Ln265Sec 4Xinyi RdDaan Dist Taipei City 106-대표 Mr Chung-Cheng Lee -전화886-2-27040889-URL httpwwwsisdoracom

Q 간략한 회사 소개와 SISDORA의 유래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A Isadora는 고대 이집트의 가장 강력한 여신의 이름입니다 Sisdora는 이 여신의 이름을 따서 만든 브랜드 이름입니다 이집트의 고대 여신인 Isadora의 이시스는 선물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고 생명과 건강 아름다움을 담당하는 여신으로도 유명합니다 저희 SISDORA는 비슷한 동음 이의어로 동양의lsquoISIS(이시스)rsquo라는 단어가 있어 브랜드 명을 SISDORA로 정하게 되었습니다Q Sisdora 제품 소개 부탁드립니다

A저희 제품은 안티에이징 미백 마스크 제품을 주력으로 하고 있습니다 동일 제품군을 비교해 봤을 때 가격 및 품질은 상위에 속하는 최상품의 제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마스크 팩 대부분은 종이섬유로 제조하는 반면 저희 Sisdora는 누에의 실(실크)로 만든 마스크 팩 입니다 실크마스크 팩을 제조할 때에는 피부 건강에 좋은 약재 및 약초등을 배합하여 제조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피부에 자극적인 향로를 첨가하지 않았고 수분이 빠르게 흡수 될 수 있습니다 덕분에 저희 마스크 팩을 사용하는 고객들은 부드럽고 산뜻한 느낌을 받으실 수 있을 겁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6 -

Q 귀하의 회사는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어떤 마케팅을 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A 저희는 해마다 대만 타이페이 글로벌 미스코리아 대회에 제품을 협찬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대만 유명 가수들과 함께 제품을 결합시킨 뮤직비디오를 제작하여 마케팅에 힘쓰고 있습니다뿐만 아니라 제품의 품질인증을 바탕으로 러시아 중국 동남아 지역에 진출하는대 힘쓰고 있습니다 저희 제품은 대만 내에서 스킨케어 제품으로써 유일하게 지정 브랜드 수상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저희는 주로 매스컴이나 인터넷을 통한 마케팅이나 엔터테이먼트 컨벤션 산업을 활용하여 마케팅을 하고 있습니다

Q 그렇다면 대한민국의 화장품 제품이 대만에 진출해 있는데 대한민국 화장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는 어떤지 궁금합니다

A 최근 5년 사이에 한국의 드라마 음악등 한류를 타고 대만에도 많은 한국 제품이 등장하였습니다 하지만 대만에는 오래전부터 수입화장품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이탈리아의 산타 마리아 노벨라 프랑스의 아이젠버그등 명품 화장품 브랜드가 오래전부터 입점해 현지 화장품시장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 때문인지 한국 화장품의 인지도는 크게 높지는 않습니다 아무래도 유럽 브랜드 그 다음으로 대만 기업의 브랜드 그 다음으로 한국의 화장품 브랜드 순으로 인지도가 형성되어 있다고 생각됩니다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한국화장품은 다른 명품 화장품들의 가격보다 저렴하고 성능이나 효과 면에서 절대 뒤처지지 않아 한류가 지속되고 마케팅이 잘 이루어진다면 충분히 유럽의 명품화장품의 인지도를 뛰어 넘을 수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Q 한국의 중소기업의 화장품이 대만 시장에 진출하는 것에 대해서는 어떤 의견을 갖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A 한국의 대기업 화장품 브랜드가 아닌 중소기업의 화장품 브랜드가 대만에 진출하는 것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겁니다 하지만 저희 회사도 중소기업으로 시작하여 마케팅 전략을 잘 활용 하여 많이 성장하였습니다 아무래도 한국의 중소기업의 화장품이 대만에 진출하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있겠지만 어떤 마케팅 전략을 선택하느냐가 가장 중요하고 마케팅이 잘 이루어지고 입소문이 퍼진다면 한국의 중소기업 화장품 또한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7 -

7-3 가오슝 한인협회

-1월 8일 목요일 1400~1600 인터뷰-주소 高雄市鼓山區二路37巷弄43-2號(고웅시고산구이로37항81롱43-2호)-대표 尹桓鎬(윤환호) HP 0932-740-538 -電話 07-5211933 -傅眞 07-5214031

Q 대만과 한국과의 무역 관계가 어떠한지 궁금합니다

A 한국과 대만과의 무역은 크게 활발하게 이루어 질 수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대만의 시장 자체가 매우 작기 때문에 대만에 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국내 시장이나 다른 큰 해외 시장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대만 시장을 거쳐서 동남아나 중국 시장으로 진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여서 기존에 존재하는 대기업이나 저처럼 오래 전부터 이민한 분들이 소규모로 중개무역을 하고 있는 정도입니다

Q 현재 한인협회 회장님께서 직접적으로 하는 일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현재 저는 한국의 화장품을 수입하여 대만 현지 기업에게 판매하는 중개무역을 하고 있습니다 대만에 온지 20년이 넘었는데 이런 저런 일을 하다가 기회가 되어 이쪽 일을 하게 되었는데요 처음에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인식이 없어 가격은 비싸고 품질의 보증은 되어 있지 않은 제품이라 소비가 크게 늘지 않았는데 한류 열풍이 불고 한국 드라마의 성공과 그 배우들이 광고하는 화장품의 수요가 크게 늘어 몇 년 전부터 시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Q 한국과 대만과 중국의 관계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해 주세요

A 앞서 말씀 드린 것 같이 한국의 기업은 대만을 통하여 중국 시장의 진출을 위하여 대만 시장을 많이 찾습니다 그 이유는 한국 기업이 대만 시장을 통해서 제품을 인정받는다면 대만과 중국은 같은 언어권의 나라로 대만기업을 통해 중국으로의 활로를 개척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왜 이렇게 돌아서 진출을 하려고 물으셨는데 그것은 쉽게 말해서 말이 잘 통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의 중국어를 잘 구사하는 사람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보다는 대만의 사람이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주고 인정을 해준다면 더욱 쉽게 자리를 잡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8 -

Q 스타트 기업의 대만 진출 성공여부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중소기업이 대만에 들어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현재 한국 내에서의 위치를 높이는데 주력하는 것이 좀 더 낫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대만은 아주 뛰어난 기술력을 가지고 있지만 자체 제품을 생산하지 않습니다 예로 Apple에서 전체 아이디어를 미국에서 한다면 그 아이디어 실행은 대만에서 이루어집니다 그리고 제품의 생산은 대부분 중국에서 이루어 지구요 이렇듯 대만의 기술력과 제품에 대한 이해가 빠르기 때문에 수입을 많이 의존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중소기업이 들어와서 제품을 판매한다 쉽게 성공할 수 없죠

Q 회장님께서는 중국과의 중개무역은 생각하고 있으시지 않습니까

A 네 저는 지금의 생활에 만족하고 있습니다 지금 저의 파트너들과의 관계도 좋고 따로 중국 진출은 생각하고 있지 않습니다 만약에 제가 중국을 진출하게 된다면 현재의 기업들과도 경쟁상대가 되어 저는 생각이 없습니다

7-4 국립성공대학(國立成功大學)

-1월 9일 1350~1700 인터뷰-주소 701 臺南市東區大學路1號-연락처06-2757575 -홈페이지 wwwnckuedutw

대만 국립 성공대학은 931년 타이난에 설립된 이공계 명문 대학입니다 국립성공대학은 66개의 캠퍼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각 캠퍼스마다 특징과 분위기가 다릅니다 우리 국립성공대학은 ldquo북대대 남성공(北臺大 南成功)rdquo 이라는 말이 있듯이 역사는 대만대학의 바로 다음갑니다

국립성공대학의 이름의 의미는 성공은 무엇을 성취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대만의 민족영웅인 정성공(鄣成功)을 기념하기 위한 대학이라는 뜻입니다 성공대학은 정성공이 있던 역사명승 적감루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해 있기도 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9 -

이후 인터뷰로 대만의 소개와 간단한 전공 소개가 있었다

7-5 WABFENIX RENIX GLORY GLORIA GUA

-1월 12일 월요일 1300~1500 인터뷰-주소 14F-1 No420 Sec 4 Xinyi Rd Xinyi Dist Taipei City 110 Taiwan (ROC)-대표 Mr KEN -전화886-5569-0555-URL httpswwwfacebookcomrenixfanspage httpwwwwabfenixcom

Q Wabfenix가 어떤 기업인지 소개 해주세요

A 저희 회사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으로 현재는 매장은 없지만 개발한 제품을 바탕으로 사업을 진행 중이고 대만현지에 저희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저희 회사는 제품의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화장품을 개발하여 대만시장 뿐만 아니라 중국시장의 진출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Q 귀하의 제품은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제품이라 하셨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제품 등이 있습니까

A 우선 Heymore 제품군의 블랙 마스크 팩과 Renix 제품군의 일반 마스크 팩을 출시했습니다Heymore의 경우 선물용임을 부각시키기 위해 디자인에 특히 많은 투자를 하였습니다 중국 중산층을 겨냥한 제품으로 가격대 1봉지에 한화 ₩40000 정도로 높게 책정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가격을 높게 측정한 이유에는 중국 화장품 소비문화 속에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 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에 저가 보급형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0 -

제품인 Renix와 차별을 두는 판매 전략을 선택하였습니다 현재 판매되는 제품은 마스크 팩을 주력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Q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인데 중국을 대상으로 어떤 진출 전략을 갖고 있습니까

A중국에서 열리는 화장품 전시회 화장품 엑스포 행사 바이어 미팅 등 꾸준히 참가중이며 바이어들에게 저희 제품을 어필하고 있습니다 물론 신생기업인 만큼 아직 중국 내에서 뚜렷한 판매 실적을 기록하진 못했지만 타 화장품 기업들과 다른 마케팅 방식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디자인이나 제품의 아이디어를 강조하고 있는데 대표 적인 상품으로 오뚝이 모양을 한 화장품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이 오뚝이 제품을 바이어들에게 어필해 보았는데 대단히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Q 해외시장 마케팅과 대만 시장마케팅의 차이점이 있습니까

A 우선 중국에서의 마케팅은 행사나 전시회에 참여하고 바이어들을 개인적으로 만나는 것에 치중해 있다면 국내 대만시장의 마케팅 전략은 페이스북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대만은 중국에 비해 SNS가 많이 발달되어 있어 자금이 많이 들어가지 않는 SNS마케팅을 하고 있고 각종 자선행사에 참여하여 저희 기업을 홍보하고 있습니다

Q 귀사의 제품을 중국보다 비싼 인건비가드는 대만 제조공장에서 생산하는 겁니까

A타이중에 소재하는 공장에서 마스크를 제조 하고 있습니다 인건비가 비싼 것은 대만 수도인 타이페이에만 주로 해당이 됩니다 지방 소도시에서도 외곽으로 들어가면 저렴한 인건비와 공장 가동비용으로도 제조가 가능 합니다 굳이 중국에 제조공장을 갖지 않는 이유는 신생기업이라 자금문제도 있지만 대만은 OEMampODM에 특화된 국가이기 때문에 품질 좋은 다양한 제품주문이 가능하고 중국 사람들에게도 자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 보다 외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가 더 좋기 때문에 대만에서 생산한 뒤 수출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Q 대만에 한국 화장품 기업이 진출한다면 어떠한 마케팅 전략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 생각 하십니까

A 이미 대만에 한국의 화장품 제품들이 많이 들어와 있습니다 하지만 대만 자체의 화장품 기업들이 기존에 많은 시장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성공을 거두기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최근 한국에 대한 이미지가 많이 좋아졌고 한국의 영화나 드라마 등이 많이 알려지면서 인지도가 높아졌습니다 한국의 대기업의 경우 이러한 대규모 마케팅을 할 수 있으므로 큰 무리가 없겠지만 한국의 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한다면 최종 시장 공략 층은 대만이 아닌 중국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대만은 중화권으로 가기 위한 연결다리라고 생각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또한 중소기업은 큰 마케팅 비용을 부담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대만에서는 SNS나 각종 자선 행사에 참여하여 인지도를 높이는 것을 추천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1 -

Q 같은 제품이지만 대만과 중국에서 판매할 때 가격 책정이 다른 이유가 무엇인가요

A 그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해드리자면 국가마다 소비 성향이나 구매 능력 환율 경제 상황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경영 에서는 가격 차별화(Price discrimination)이라 부르는데요 각 나라의 시장 특성에 적정한 가격대를 책정해서 제품을 판매하는 전략입니다 혹시 중국 상류층이 몇 명인지 알고 있나요 제가 알기로는 대만 인구의 2배인 4000만 명이라는군요 아마도 한국 인구랑 비슷한 규모 일겁니다 게다가 중산층은 약 4억 명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4억 명의 중국 소비자들이 우리 제품을 1개씩만 구입 한다면hellip 상상만 해도 엄청 나겠죠 이야기를 하다 보니 다른 쪽으로 빠졌는데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이야기하면 물론 좋은 제품을 모든 곳에 저렴하게 제공 하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 그러나 항상 시장에서 저렴한 제품만이 성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대만이나 한국처럼 고도의 산업화가 이루어지고 시장이 크게 발전한 안정적인 단계는 좋은 제품이라도 가격 경쟁력에 신경 써야 합니다 왜냐하면 소비자들이 똑똑하기 때문에 정보력이 넓고 합리적인 소비를 지향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가격 성능 디자인 등 많은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중국 시장은 대만이나 한국과는 특성이 다릅니다 저렴하다고 해서 많이 제품이 많이 팔리기 보다는 가격대가 어느 정도 있는 제품일수록 또는 가격대가 높을수록 소비자들이 관심을 보입니다 대체적으로 중국 소비자들은 lsquo저렴한 제품은 품질이 낮거나 효능이 좋지 않은 제품일거야rsquo 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 때문에 화장품 박람회나 전시회에 저가 화장품을 가져와 홍보하더라도 중국 바이어나 소비자들은 큰 관심을 주지 않습니다 처음에 말했듯이 중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2 -

국 소비문화가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라는 심리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Wabfenix의 경우에는 신생기업이라 많은 투자 금액이 없을 뿐 더러 대만 화장품 시장에 진출하기에는 리스크가

크고 진입 장벽이 높습니다 그리고 이미 한국 화장품 기업들이 대부분 점유를 한 상황이기 때문에 대만 내수시장에만 집중하기에는 경쟁력이 부족하죠 그래서 중국을 주력 수출시장으로 삼고 있는데요 저희는 제품 성능 보다는 소비자의 이목을 끌 수 있는 디자인에 더 많은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중국에 Wabfenix만의 화장품 선물 문화를 정착 시키는 것이 목적인데요 높은 제품 가격만큼 소비자의 관심을 끌 수 있고 선물 문화나 꽌시(关系)가 많은 중국 문화 특성에 맞추어 선물용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중국 시장은 현재 젊은 중산층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품질이 낮은 화장품 보다는 수입 화장품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점으로 미루어볼 때 높은 가격 차별화와 Wabfenix만의 디자인 마케팅은 좋은 경쟁력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3 -

8 현지 시장조사 활동 (시장동향사진설문조사 자료)

8-1 시먼딩 설문조사

목적 대만 사람들의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및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대상 10대~20대 여성 및 화장품 전문매장 종사자장소 시먼딩시간 2015년 1월 7일 12일 총 두 차례에 걸쳐 진행방법 ①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 판넬에 국가별로 메이크업 사진을 표시하고 스티커를 붙이는 방식으로 투표함 공정성을 위해 국가 이름은 블라인드로 처리하였고 모두 동일 인물의 사진을 사용함②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표본집단을 50명으로 설정함 설문조사가 끝나면 사은품으로 한국 브랜드 마스크팩 증정함

8-2 사전 기획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판넬 기획도gt

化妝辦法喜好度的調查화장법 선호도 조사

大家給自己喜歡的化妝貼貼紙 여러분이 선호하는 메이크업에 스티커를 붙여 주세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4 -

대만의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안녕하십니까

다음의 내용은 대만 화장품 트렌드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자 관련조사를 실시하고자 하오니

있는 그대로의 생각을 기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귀하의 응답은 통계적 목적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본 설문은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물음에 대한 답변이나 해당란에 v 표를 해 주십시오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7) ② 화장품 전문매장(34) ③ 마트(5) ④ 홈쇼핑(2)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합계 총 50 명

바쁘신 시간에 의견을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지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5 -

8-3 설문조사 활동

lt2015년 1월 7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6 -

lt2015년 1월 12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7 -

lt활동 결과 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8 -

9 설문조사 통계 분석 (설문조사 응답 수분석결과)

9-1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결과gt

설문 조사 질문지 양식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12)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③ 마트(5) ④ 홈쇼핑(6)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9 -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gt

9-2 설문조사 항목 별 의견 및 추측

설문 조사 질문지 항목 (최다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② 20 ~ 25세 (13)

0

5

10

15

20

25

30

20대 이하 20세~24세 25세~29세 30세~39세 40대 이상

rarr 시먼딩은 대만의 홍대거리라 불리는 lsquo융캉제rsquo나 서울의 lsquo명동rsquo과 같이 젊은 층이 주로 활동하는 지역이다 설문조사 중에도 교복이나 체육복을 입은 학생들과 길거리에서 쇼핑을 즐기는 20대가 즐비할 만큼 활기 있는 거리다 덥고 습한 대만 기후 특성 상 과거엔 화장법이 크게 발전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국의 자연스러운 화장법이 큰 인기를 끌면서 시먼딩에 화장품 거리가 조성되어 있을 만큼 유동 인구가 많다 이 점으로 추측해보았을 때 압도적으로 10대와 20대 층이 많은 응답 수를 기록했다고 본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0 -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051015202530

온라인 화장품전문매장 마트 홈쇼핑 방문판매

rarr 대만 또한 한국과 비슷하게 시내에 많은 수의 화장품 전문매장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접근성이 굉장히 높았다 더불어 각 화장품 매장에서는 상품 할인과 같은 각종 프로모션을 진행하기 때문에 구매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 구매한다는 대답도 높은 편이었는데 거의 대부분이 와이파이존이어서 어디서나 인터넷을 한 활발히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온라인에서의 구매율도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0

5

10

15

20

25

30

NT$300 미만 NT$300~NT899 NT$900~NT$1499 NT$1500~NT2999 NT$3000

rarr 응답자들은 대부분이 한 달 간 화장품에 쓰는 돈을 최저 1만원 이상(NT$300 이상)이라고 답했는데 이는 70가 넘어가는 결과로 화장품에 대한 지출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만원 이상이라고 대답한 응답자들 또한 4분의 1을 넘기는데 이것은 젊은 연령층부터 시작하여 최근 피부 관리와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대만의 소비 수준에 대비하여 화장품 소비율이 높은 것도 이 때문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1 -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③ 성능(23)

051015202530

가격 디자인 성능 화장품 모델 브랜드

rarr 아열대 기후에 속하는 대만은 높은 기온과 습한 날씨 탓에 에어컨 환경에 자주 노출돼 피부 수분을 잃기 쉬워 기능성 화장품의 소비가 두드러진다 대만 화장품 시장은 토너 세럼 에센스 로션 크림 등의 모든 스킨케어 제품들이 보습기능을 강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백이나 안티에이징 리프팅 저자극 오일프리(Oil-free) 등의 기능까지 추가된 스킨케어 제품들이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조 화장품 소비가 늘어난 것은 최근 몇 년 들어 다양한 화장품 브랜드 접촉기회가 많아지고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젊은 여성의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색조화장품 또한 메이크업베이스와 BB크림 립스틱과 같은 베이스 메이크업이 수요가 많았다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④인터넷(22)

0

5

10

15

20

25

30

TV 잡지 친구 인터넷 메이크업샵

rarr 최근 빠른 인터넷망과 스마트폰 태블릿PC의 보급으로 인해 사람들과 사람사이의 연결망이 견고히 형성되고 있고 이것이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방법을 얻는 경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만 소비자들은 주로 인터넷 블로그 가족과 친구로부터 메이크업 정보를 획득 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만의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이므로 입소문마케팅과 판매를 바로바로 할 수 있는 유통구조가 도움이 될 것 같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2 -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0

5

10

15

20

25

30

청순 독특 귀여움 섹시

rarr 앞서 살펴보았듯이 대만은 한국과 비슷한 메이크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이것은 곧 청순한 메이크업 컨셉에 관심 있어 한다는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실제로 대만 여성소비자들은 깨끗한 피부 NATURAL한 베이스메이크업을 선호한다 한 듯 안 한 듯 자연스럽고 깨끗한 느낌의 한국식 lsquo생얼rsquo 화장법은 대만에서 한국 드라마 열풍과 함께 유명세를 타기 시작해 현지 각종 온라인 뷰티 사이트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래서 응답의 대부분이 한 곳에 치우쳤고 비교적 개성 있는 메이크업 방법이 드물 것이라는 것을 유추해낼 수 있다

본 설문 조사를 통한 한국 화장품 기업에 대한 시사점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수입 절차로 오랜 시간을 허비해야 하는 반면 대만은 자외선 차단제 성분 함유 제품과 약용 화장품을 제외한 일반 화장품은 별도의 수입 검사 없이 수입할 수 있으므로 대개 중국보다 1~2년 먼저 신상품이 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한류 효과를 겨냥한 중화권 화장품 시장으로 대만을 우선 공략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대만은 대부분이 화장품에 대한 소비를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고 한국 화장품이 많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시장 접근법만 제대로 수립하면 매출이 나는 구조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대만인들이 선호하는 메이크업 방법이 한국과 비슷하기 때문에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은 마케팅 방안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최종분석설문 조사 대상은 대부분 10대~20대의 연령층이었으며 화장품의 주된 구입경로는 lsquo온라인(24)rsquo과 lsquo화장품 전문매장(50)rsquo이 압도적이었다 더불어 한 달 간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lsquo1만 원 이상(72)rsquo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이것은 실제 생활수준에 대비하여 높은 소비량이므로 대만의 화장품 시장 전망이 밝다고 할 수 있다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부분은 lsquo성능(46)rsquo이었는데 이는 스타트업 기업 중소기업에게 유리한 조건이다 메이크업 방법을 얻는 방법으로는 lsquo인터넷(44)rsquo과 lsquo친구(30)rsquo가 높은 비율을 차지했는데 판촉활동으로는 인터넷을 활용한 SNS 홍보 바이럴 마케팅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가장 관심있는 화장 컨셉은 lsquo청순rsquo 이었고 이것은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와 맞물려 우리나라와 비슷한 메이크업 방법을 추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3 -

10 대만 명소 소개 (명소음식행사숙소 소개)

10-1 고궁박물관

대만 고궁박물원은 영국의 대영 박물관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 미국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과 함께 세계 4대 박물관으로 손꼽힐 만큼 세계적은 소장 문물을 자랑한다 건물 규모는 그다지 크지 않지만 소장한 문물의 질과 양은 세계 최상급이다 중화 보물 중에서도 최고의 보물들이 모여 있어 진귀하기 그지없고 수량 역시 워낙 방대하여 3개월 단위로 1만여점을 돌아가면서 전시해도 다보려면 10년이 넘게 걸린다고 전해지고 있다 중국의 국공내전 당시 장제스가 이끌던 중국 국민당이 전쟁에서 패하며 중국을 탈출해 대만으로 향했다 당시 장제스는 난징에 있던 정부를 타이페이로 이전하면서 자금성에 보관되어있던 중국역대 왕조 보물 수십만 점을 배를 이용해 운반해 왔다 중국의 유물을 가진 자가 진정한 통치자라고 생각했던 장제스는 ldquo공산군에게 영토는 내줘도 문화유산만큼은 내줄 수 없다ldquo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대표적인 유물은 취옥배추 육형석 모공정 산씨반 등이 있다

10-2 용산사

루강의 초입에 있는 이 사찰은 타이완에서 가장 오래되고 아름답다고 하여 타이완의 자금성이라고 부른다 각 건물의 기둥 벽 그리고 천장 등에 새겨진 조각은 특히 빼어나다 이 조각상과 함께 이곳의 명물로 알려진 것은 사찰 경내에 있는 2마리의 용상인데 삼천전 앞마당 좌우에 서서 룽산사를 호위하고 있다

10-3 타이페이 101 빌딩

타이베이 101빌딩rsquo이라 부르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로서 빌딩 모습은 하늘로 뻗어나가는 대나무 위에 꽃잎이 겹겹이 포개진 형상이다 본래 타이베이 금융기관이 모인 건물이지만 대형 쇼핑센터와 푸드코트 고급 레스토랑이 있어 여행자들이 많이 찾는다 건물에는 8개 마디가 있는데 이는 중화 문화권에서 부와 번영을 의미하는 숫자 lsquo8rsquo을 염두에 둔 것이다 타이베이 시내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는 높이 508m로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히는 높은 건물이다 지상 1~5층에는 소고 백화점 뷰티 플라자 애버뉴 101 등 다양한 패션∙뷰티용품을 구입할 수 있는 상점이 있다 또한 레스토랑 시티 스퀘어 대형 서점 등 쇼핑과 오락 식사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복합시설이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4 -

잘 알려진 식당으로는 딘 타이 펑(Din Tai Fung) 이 있다 101타워 지하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샤오롱바오(고기만두) 새우 샤오마이(새우만두) 탄탄면(우육면)이 가장 대표적인 메뉴이며 대만에 방문한 많은 사람들이 찾는 식당이다

10-4 지우펀

대만여행의 백미로 꼽히는 지우펀은 타이페이시 북부의 루이팡 지역의 작은 산골 마을로 과거에는 아홉가구만 살고 있어서 지우펀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예전에는 작은 산골 마을에 불과 했지만 이 지역에서 금맥이 발견되면서 호황을 맞이하게 된다 특히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일본풍의 건물들이 남아 있어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결합된 독특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비탈길을 따라 하늘로 이어진 예스러운 건물 그리고 골목마다 빨간 홍등과 함께 묻어나는 옛 풍경은 여행객들에게 인기 여행지이다

10-5 스린야시장

타이베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야시장 가운데 하나이다 독특하면서도 다양한 전통 먹을거리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이곳을 찾는 관광객이 많다 시장 부근에 학교가 많아 학생들이 많이 찾으며 포장마차 등의 노점상이 많아 가격도 저렴하다 칭런샹[情人巷]에는 가구 의류 액세서리 사진현상점 애완용품점 등이 모여 있어 학생뿐 아니라 관광객들도 자주 찾는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5 -

10-6 예류 지질 공원

타이완 북해안에 자리한 예류는 해수욕장과 온천 기암괴석으로 유명한 관광지다 특히 예류지질공원은 희귀한 모형의 바위와 암석이 모여 있어 예류 관광의 필수코스로 꼽힌다 작은 곶으로 된 예류지질공원은 침식과 풍화 작용을 거쳐 자연적으로 형성된 기암을 보러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지질공원으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것이 선상암 군락이다 암석 하나하나의 모습은 마치 거대한 버섯이 큰 머리로 하늘을 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선상암 가운데 가장 유명한 암석은 이집트 왕비의 옆모습을 닮은 여왕 두상 바위다

10-7 스펀(Shifen)

스펀(十分)은 옛 광산마을로써 천으로 만든 등이 유명하다 또한 이 곳 스펀은 대만 최대의 폭포 스펀(SE-FEN) 폭포가 있다 미니기차와 천으로 만든 등을 날릴 수도 있다 마을의 한가운데 긴 철길이 놓여 있고 30분에 한 대씩 기차가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것도 볼 수가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6 -

10-8 진과스(金瓜石)

진과스(金瓜石)는 타이완 타이베이 근교에 있는 옛 탄광 유적이다 20세기 전반에 금 채굴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20세기 후반에 금이 차차 고갈되기 시작하자 점점 위축되어 폐광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관광 명소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하루에도 수백명이 들렀다 가는 대만의 대표 관광지이다 진과스 내에 있는 황금 박물관에는 220kg 의 금이 전시 되어 있는데 손을 넣어 직접 만져 볼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진과스에서는 과거 광부들이 먹었던 도시락을 그대로 만들어 판매하는 광부 도시락도 굉장히 인기가 많다

10-9 국립 성공대학

대만의 타이난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1931년에 개교하였다 2010년 QS대학순위에서 283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대만 대학중 2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총 9개의 캠퍼스로 이루어져 있어 굉장히 큰 면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만 교육청에서 인정한 9개의 주요대학 중 하나이고 대만 기업체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학이다 이공계열이 가장 뛰어나며 중문 역사 법학 경제학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10 시먼딩

타이베이시에 위치한 시먼딩은 한국의 명동과 같은 거리이다 대한민국의 명동에도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과 외국인이 많다고 알려져 있는데 시먼딩 또한 명동 못지않은 다양함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대만의 패션과 놀이 문화 음식 등을 한눈에 경험 할 수 있는 공간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7 -

10-11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

중정기념당은 타이완 총통 장제스(蔣介石)를 기리는 전당이다 lsquo중정rsquo은 장제스의 본명이다 그가 서거한 후 1980년 기념당을 세웠다 25만에 이르는 넓은 중정공원 안에 우뚝 선 높이 70m의 기념물이 중정기념당이다 기념당 1층에는 장제스 생애를 엿볼 수 있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거대한 장제스 동상은 항상 근위병이 동상 앞을 지키고 있다 중정공원 안에는 중정기념당 외에 국립 희극원과 국립 음악청이 있는데 이곳에서 연극과 콘서트를 한다 공원 조경 또한 잘 조성되어 있어 산책하며 천천히 둘러보기에 좋다

10-12 안핑지구(安平地區)

대만의 문화와 역사는 안핑지구에서 시작되었다 안핑구바오는 17세기 중엽 네덜란드인들이 지은 요새로 정성공이 빼앗아 번영하다가 황폐해져 지금은 보루의 대부분이 없어지고 설탕과 굴껍데기와 찹쌀가루를 버무려 만든 빨간벽돌로 된 장벽(臺灣城殘蹟)만이 남아 나무뿌리와 존립의 사투를 벌이고 있다 감시탑 옆 건물 안에는 네덜란드와 정성공의 전투에 대한 이야기와 중세갑옷 등이 전시 중이다 이 주변에는 대만에서 가장 오래된 상업거리 옌핑제(延平街)가 있는데 옛 명성이 다한 거리의 골목 사이사이 수백년 된 가옥을 구경하는 것도 소소한 즐거움이다 1867년 영국인 상점과 물류창고로 이용하던 건물에 노용수(老榕樹)가 멋대로 자라 건물을 집어삼키듯 뒤덮은 나무집으로 불리는 안핑수우도 안핑지구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진귀한 볼거리다

10-13 미라마 관람차

대만에서 가장 큰 관람차로 알려져 있는 미라마 관람차는 타이페이 시의 야경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관람차 크기가 큰 것으로 유명하지만 가격 또한 저렴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유스트래블 카드를 이용하면 50 할인이 적용되므로 꼭 지참하도록 하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8 -

lt미라마 관람차 티켓gt lt유스트래블 카드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9 -

11 시사점 및 차후 활용계획 (LGC 프로그램을 통한 구체적인 효과 및 연구결과)

11-1 LGC 프로젝트 만족도

구분 항목 전 후 한줄 평

사업단

프로젝트 취지- 린튼 글로벌 학과와 경영정보학과 학생들이 함께

하는 프로젝트 해외시장탐방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사전교육 활동- 출국 전 각 나라에 대한 유의사항 안전교육이 체

계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개략적인 보고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었다

행정지원 절차- CK사업단 린튼 글로벌 학과 경영정보학과 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히 되지 않아 사전 계획에서 많은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협동력 향상- 출발 전 잦은 팀 회의와 8박 9일 간에 일정에도

불구하고 불화 없이 좋은 분위기 속에서 프로젝트를 완수 했다

추진력 향상- 일정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 한 점 추가 자료조

사를 위해 현지에서 새로운 일정을 추가 됐을 때 팀원들이 일사불란하게 따라주었다

문제해결 능력- 교통편 문제와 기업 측 내부 문제로 일부 일정에

변동이 있었지만 신속한 조율과 전화 통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개인

동기부여 자극- 현지인들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국어 영어 능

력의 필요성을 실감했다 특히 중국어는 소통 유무에 따라 현지 반응이 극명하게 갈렸다

진로설계 도움- 프로젝트 전에 비해 새로운 직업 분야에 대한 관심

이 증가했다

취업능력 향상-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한 내용을 살려 구술 면접이

나 자기소개서 작성에 참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11-2 LGC프로젝트 연구 결과 - 대만 시장

⓵ 중국시장을 주목하는 대만 화장품 기업- EST팀은 현지 대만 화장품 기업으로 SISDORA와 WABFENIX를 선택했다 두 회사를 선정한 배경에는

명확한 의도를 두고 정했다 SISDORA는 설립한 지 10년이 넘는 회사로 직접 화장품을 개발 및 연구하고 판매하는 중소기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과 주름개선 크림으로 중년 여성을 타깃 층으로 하는 화장품 회사다 반면 WABFENIX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스타트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 이지만 기술개발 보다는 디자인 마케팅에 중점을 두었고 판매 층도 10대-20대의 젊은 층을 타깃 층으로 한다 시장 전략이 완연히 다른 두 기업이 유일하게 공통점이 있다면 중국시장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선정 이유에는 많은 인구의 소비력을 꼽지만 뒤이어 언급하는 이야기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자사 제품의 경쟁력 약화를 말한다 현재 대만 기업 대부분은 내수 시장 대신에 중국을 겨냥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국가 산업 특성상 제조amp연구 분야가 강세인 대만에서는 중국 바이어 또는 미국 유럽 바이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직접 판매 보다는 기술 협력을 통해 이익을 창출한다고 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0 -

⓶ 대만 시장을 점령한 한국 화장품

- 앞서 말했듯이 2012년 이후부터 급속히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한국 화장품은 대만 시장을 점령하고 있다 이미 시먼딩에 들어서면 다양한 한국 화장품 매장이 눈에 띌 만큼 들어섰으며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중앙 광장에 입점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매장 안에는 많은 대만 사람들이 화장품을 보고 있는 광경을 흔히 본다 화장품 매장을 이용하는 연령층은 주로 10대-20대들이다 화장품 가격이 한국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주 애용하는 이유는 한류 열풍으로 인한 한국 연예인들에 대한 관심과 화장법이 크게 유행하고 있음을 현지 설문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⓷ 체감할 수 있을 만큼 커다란 한류열풍

- 뉴스에서만 듣던 한류 이야기를 대만에서 직접 느낄 수 있을 정도로 한류열풍은 크다 특히 삼성이나 LG의 TV나 스마트폰은 어딜 가든 항상 보이고 한국 화장품 선물에 대한 반응이 무척이나 뜨겁다 원활한 현지 조사를 위하여 사은품으로 준비한 한국 마스크 팩 100개는 오히려 현지인들이 참여 의사를 표현할 만큼 열정적이었다 일부 대만 사람 중에는 어디서 왔냐는 질문에 한국이라는 답변을 하니 같이 사진 찍기를 제안하기도 했다

⓸ 중소기업에게 있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는 대만 시장진출- 대만 시장 진출에 앞서 한국 화장품 중소기업이라면 전략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크게 대만 시장을 겨냥

할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할지 선택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3CE는 한국 화장품 회사다 대만에서 젊은 연령층이 자주 이용하고 이미 대만 내에서는 유명하다 3CE는 오프라인 매장 없이 순수 온라인 매장으로 운영하면서 대만 사람들을 위한 전용 웹사이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윤을 창출 하고 있다 신중해야 할 점은 현재 온라인 오프라인 등 한국 화장품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신규 진입에 있어서 장벽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대만 시장을 활용한다면 동남아 시장까지 한 번에 내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출입통관 절차가 간단하고 관세가 낮기 때문에 중소기업에게 유리하다 아직까지 중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1 -

에 대한 직접적인 수출이 가능한 곳은 상해나 항주 같이 중국에서 허가한 무역항 도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내륙까지 시장을 확대하기는 불가능하지만 같은 언어권인 대만을 거치면 보다 쉽게 바이어나 에이전트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인맥을 통한 꽌시와 수수료 명목으로 뒷돈을 요구하는 중국 바이어의 관행은 자금 순환이 원활치 않은 중소기업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11-3 LGC 프로젝트 종합 의견 및 전망

우리 lsquoEST팀은 출국 전 국내 화장품 시장 조사를 할 때 대덕 밸리 스타트업 기업 셀아이콘 랩의 영향으로 대만의 화장품 산업에 대해 큰 관심과 가능성을 보고 2015년 1월 5일부터 1월 13일까지 8박9일이라는 시간동안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 나라 중에 하나인 대만에서 rsquo대만의 화장품 시장lsquo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사를 했다 대만에서는 3개의 기업 (KOTRA SISDORA WABFENIX) 을 방문해 전반적인 대만의 화장품 시장과 판매전략 한류에 대한 보다 사실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1개의 대학 (국립성공대학 國立成功大學)에서 MBA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또 타이난에서는 대만에서 오랫동안 사업하시는 한인협회 회장을 만나 PLC (Product Life Cycle)를 통해 대만에서의 특정 시장이 도입기에 있는지 또 어떠한 시장이 쇠퇴기에 놓여있는지 다양한 시야에서 대만시장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노력은 CK 사업단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교육부 CK-1 프로젝트의 일부인 Linton Global Challenge는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몇 년을 내다보는 지속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기업들과 더욱 더 활발한 교류와 연구를 한다면 기업과 CK 사업단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리라고 본다

1 개인 탐방 후기 (팀원 개인 소감)

1-1 개인 탐방 후기

강성민탐방 후기 기업 컨택 부터 인터뷰 일정 계획까지 8박 9일간의 대만 화장품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 출국 전까지 준비 과정부터 탈도 많았고 대만에 와서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 원하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매일이 항상 회의와 고민의 연속이었다 하루하루 충실히 계획을 진행시켜 나갔고 좋은 팀 분위기 속에서 무사히 대만 프로

부록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2 -

젝트를 완수했다 그리고 마침내 한국으로 돌아왔다 과정은 항상 오르막 길이였지만 돌이켜 보면 마지막 대학 시절을 기념할만한 좋은 추억이자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느끼는 바가 많았던 프로젝트로 기억 될 것이다

김은진탐방 후기 글로벌 챌린지를 한마디로 정의하라고 한다면 도종환 시인의 lsquo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lsquo라는 시가 떠오른다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대만기업컨택 설문조사 등 많은 것을 경험했다 처음엔 모든 것이 나에겐 버거운 산이라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도전이 계속 될수록 이젠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이 모든 도전들에 흥미가 생겼다 나 자신도 책임감과 자신감이 생기고 한층 성숙해 진 것을 내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소중한 동료와 추억은 평생 나의 가슴속에 남을 것이다 우린 앞으로도 많이 도전하고 경험하여 우리들의 삶이 활짝 만개하리라 다짐한다 끊임없이 도전하는 20대의 청춘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프로그램이었다 김종선탐방 후기 한국에서 준비하면서 조사했던 내용과 비교하며 인터뷰를 해보니 실제로 많이 다른 부분도 있었고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 비슷한 내용도 있었다 현지의 기업들을 방문해 우리가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직접 매장에 가서 느껴보니 앉아서 컴퓨터만 볼 때랑 많이 달랐다 그리고 직접 대만인들에게 설문조사를 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그리고 대만의 실제 문화와 환경 그들의 생활을 잠시나마 볼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

구명우탐방 후기 며칠간의 꿈만 같았던 대만에서의 시간이 지나갔다 대만으로 출국하기 전 사전조사 기간에는 확신이 없었다 사전조사와 기업과의 인터뷰 그리고 9일간의 일정조율 및 숙박과 모든 대만에서의 연구와 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보고서까지 무엇하나 확신이 드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도전과 해결능력을 배웠고 아시아에서 급성장 중인 대만에 대해서 배우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다음기수로 가게 될 관심 있는 학우들에게 진심으로 추천해주고 싶다

이규현탐방 후기 CK-1 프로그램 중 하나인 lsquo린튼 글로벌 챌린지lsquo 프로그램을 통해 약 8박 9일이라는 시간 동안 emerging market 중 하나인 대만에 거주하면서 한국 화장품의 대만시장 점유율과 진출 가능성을 몸으로 체감하고 자료들을 모아 통계 내어 정리할 수 있었다 우리 팀 lsquoEST가 성공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충분한 국내조사 기간을 갖고 대만의 화장품 회사들을 방문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대만의 특정한 기업을 찾기도 어려웠고 기업 컨택은 번번히 거절당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회사 두 군데에서는 답장조차 오지 않았고 설문조사할 때에는 반한감정의 대만인을 만나 고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팀의 단결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리더의 통솔력으로 정해진 스케줄대로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회사를 방문하고 학교교수를 만나고 길거리에서 설문조사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팀원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또한 대학생으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을 한 것 같아서 스스로도 너무 뿌듯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팀을 믿고 지지해주신 LGSB 교수님들과 CK-1 프로그램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영은탐방 후기 처음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렇게 준비는 열심히 하지만 정말 우리가 계획한 100대로 대만을 다녀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기우가 무색하게도 대만은 우리에게 기획안 그 이상의 것들을 보여주었다 사장님들의 생생한 사업 이야기와 대만의 색채가 묻어있는 아이템들 하며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여 알아보는 비즈니스 마켓의 현장은 나에게 두고두고 잊지 못할 자산으로 남았다 또한 펑리수 버블티를 비롯한 대만의 맛있는 먹거리들과 스린 야시장이나 지우펀 같은 명소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열심히 고생해준 팀원들과의 추억들도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3 -

이서우탐방 후기 이번 글로벌 첼린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서 쉽게 할 수 없는 해외 기업 탐방과 해당 국가의 산업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임효진탐방 후기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팀이 대만을 방문 한다고 했을 때 많이 의아해 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만을 직접 방문해보고 많은 사업자들을 만난 결과 대만은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라고 생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아직 공산주의라는 정치적 특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다른 곳보다 훨씬 어렵지만 대만은 자유시장체제 이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쉽다 특히 외국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만 시장에서 한국제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추고 중국 시장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성공가능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그리고 대만의 바이어들을 통해 중국의 시장진출을 하게 된다면 사업자가 직접 중국시장에 진출 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성공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만은 문화적으로 다른 아시아권보다 선진화 되었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대도시에 속하지만 모두다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골고루 섞여 대만만의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차안호탐방 후기 9박 10일간의 대만을 다녀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넓고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이번 대만 여행은 처음으로 경험한 해외여행 경험이여서 그런지 순탄치 않은 면도 있었지만 팀원들 서로가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만시장은 중국시장으로 가기위한 좋은 시험의 장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대만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영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더 나아가 미래에는 중국어야말로 영어와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성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또 하나 놀란 점은 대만이 반 한류 감정을 많이 갖고 있는 줄 알았지만 대부분의 대만 일반 시민들이 굉장히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에 놀랐고 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CK-1 사업의 챌린지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대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계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보완점 및 건의사항 (문제점개선책건의사항)

2-1 기업 컨택의 어려움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에 있는 기업과 연결하여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대해서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조사 및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시간을 내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로써 그들의 귀한시간이 아깝게 쓰이지 않을 것을 강조하여 만남을 만들어야 한다

2-2 사업단과 의사소통의 불편함

Challeng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CK-1 사업단과의 지속되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가령 누군가를 통해서 전해지는 소문이나 촉박한 시간을 제시하고 일 처리를 원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단과 각 팀의 대표간의 분명한 의사소통과 증빙자료 등이 필요하다

2-3 정보 부재 이번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이머징 마켓에서의 유망 산업 조사 및 연구였다 대만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8: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8 -

3 해외 탐방 성과 (종합적인 의견)

3-1 대만 일정 간 EST팀 성과

대만 현지 기업 2곳 방문 및 인터뷰(SISDORAcoltd Wabfenixcoltd) 대만 지사 코트라 방문 및 인터뷰 대만 lsquo성공대학(成功大學)rsquo MIS학과 진정충(陳正忠) 교수 및 학생들과 미팅 가오슝 한인협회 회장 인터뷰 시먼딩(西門丁)에서 현지인을 대상으로 한 화장품 설문조사 실시

시먼딩은 한국 화장품 거리로 불리는 lsquo명동rsquo과 비교되는 동 단위의 지역으로 평가받는다

3-2 기업 측면

대덕밸리 스타트업 기업(주)셀아이콘 랩의 대만 시장 진출 가능성을 탐색 대만 시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대만의 화장품 기업들의 홍보 효과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품에 대한 인식 조사 대만에 진출해 있는 한국 화장품 기업의 입지 조사 대만 화장품 시장의 유통경로 조사 새로운 홍보 전략의 일환으로 관계 유지 가능

3-3 학생 측면

모든 일정을 학생들이 직접 나서서 해야 한다는 점에서 자립심과 해결능력을 함양 해외의 이머징 마켓을 직접 보고 느끼면서 글로벌 마인드의 함양 학생들의 리더쉽과 자신감 획득 영어 및 중국어 능력 향상

3-4 사업단 측면

CK-1 사업 목표 및 취지에 부합한 성공적인 프로젝트 선례로 활용 가능 글로벌 IT 경영학과 및 글로벌 비즈니스 학과 홍보 전략으로 활용 가능

학생이라는 신분으로 대만 현지에 있는 기업들을 마주하는 일은 정말로 어려운 일이었다 하지만 출국 전부터 기업과의 꾸준한 연락과 철저한 준비로 마침내 미팅 날짜를 잡고 대만 현지에서 연락하던 기업들과 직접 만나 대만 화장품 시장에 대해 조사를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우리가 일정동안 찾았던 기업은 총 5곳으로써 국내외 기업간의 투자 및 산업기술 협력의 지원등을 맡고 있는 KOTRA in Taiwan 그리고 대만에서 기능성 화장품으로 유명한 SISDORA 대만의 타이난 지역 내에서 한국과 대만의 화장품 중개무역을 담당하시는 대표님 마스크 팩의 중국진출과 번뜩이는 아이템으로 중국 화장품 시장 내에서 대박을 생각 중이신 MrKen 등 정말 다양한 위치에서 일하고 계신 분들을 만났다 또한 -EST 는 그곳에서 만난 인연으로 101타워의 프리미엄 퍼스널 릴렉스 트레이닝 센터와 디저트로 유명한 Mango 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이뿐만 아니라 대만의 명동과 같은 ldquo시먼딩rdquo에서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품에 대한 인식을 조사 할 수 있었으며 화장으로 대표적인 5개국의 화장법을 두고 투표를 하여 한국 화장품 기업의 미래가 밝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번 프로젝트는 이머징 마켓으로써 시장 조사 뿐만 대만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시민의식 등을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101타워 용산사 예류 지질 공원 스펀 지우펀 진과스 온천 등과 같은 대만을 충분히 느낄 수 있는 다양한 관광지를 방문했으며 특히 친절한 대만인들과의 소통으로 대만이 어떠한 나리인지 뼈 속 까지 알게 되는 느낌이었다

이 모든 활동을 통하여 대만 화장품 시장의 특성을 명확히 이해하게 되었으며 넓게는 대만의 미래가 굉장히 밝다는 느낌을 들게 해주었다 또한 학생들 개인적인 측면으로 9명 모두에게 자립심과 도전심을 가지게 해준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9 -

좋은 기회였다

3-5 기대효과

현지 시장조사 자료 획득 자사 시제품 반응결과 파악 사업단과의 지속적인 연계

3-6 사업단 측면 효과

학과 내 MIS-DAY 또는 관련 과목 강의에서 특강 해외탐방 동아리 개설 차기 CK프로젝트 멘토 활동 가능

1 팀 소개 (사진이름담당역할)1-1 팀 소개

EST팀 지도교수 및 멤버

강성민(25) - 조장전체 계획 수립 및 제안

김종선(25)국내 및 국제 시장 조사

차안호(25)프로젝트 연구 통계 분석

이서우(24)예산 수립 및 예산 관리

본문 내용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0 -

구명우(24)투어 일정 수립

김은진(22)

현지 시장 조사

임효진(24)

공고인터뷰일정 및 숙소 예약

이영은(22)

보고서 작성 및 프리젠테이션 제작

이규현(23)

사진 및 동영상 촬영 편집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1 -

2 대만 소개 (국가 기본정보한국과의 관계)

국호臺灣(Taiwan)

- 대만의 공식국호는 lsquo中華民國(Republic of China)rsquo - 국제 행사에서는 lsquoChinese Taipeirsquo 사용

위치 동남아시아

면적 36193(한반도의 16배 남한면적의 13배)

기후 아열대 몬순 기후권

수도 타이베이(Taipei 台北 서울의 약 12크기)

인구 약 2천 3백만 명

주요도시Taipei City(269만명) New Taipei City(390만명)

Kaohsiung City(277만명) Taichung City(265만명)Tainan City(187만명)

민족구성 민남인(74) 외성인(13) 객가인(15) 원주민(2)

언어 공용어(중국어)상용어(민남어 객가어 원주민어)

종교 불교(35) 도교(33) 기독교(26) 천주교(13) 회교(02) 등

건국일 191211(중화민국건국일)

정치형태 입헌민주공화국

국가원수총 통 마잉주(馬英九 Ma Ying-Jiou)

2012114 재선성공 2012520 취임식부총통 우둔이(吳敦義 Wu Den-yih)

GDP ㅇ2012년 US$ 4804억ㅇ2013년 US$ 4789억

2-1 대만 소개

국가 개요

경제 지표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2 -

ㅇ20141~6월년 US$ 2433억

경제성장률ㅇ2012년 148ㅇ2013년 219ㅇ2014년 2분기 384

1인당 GDP ㅇ2011년 US$ 20246ㅇ2012년 US$ 20502ㅇ2013년 US$ 20984

실업률ㅇ2012년 424ㅇ2013년 418ㅇ2014년 2분기 397

물가상승률ㅇ2012년 193ㅇ2013년 079ㅇ2014년 2분기 121

외환보유고ㅇ2012년 US$ 3942억ㅇ2013년 US$ 4168억ㅇ20146월 US$ 4235억

산업구조 제조업(233) 도소매업(181) 부동산업(85) 금융보험업(65) 농업(187)

교역규모ㅇ2012년US$ 3012억(수출) US$ 2705억(수입) 무역수지US$ 307억ㅇ2013년US$ 3055억(수출) US$ 2701억(수입) 무역수지 US$ 354억ㅇ20141~6월US$ 1534억(수출) US$ 1372억(수입) 무역수지 US$ 162억

주요교역품 ㅇ수출 전자제품 기본 금속 제품 플라스틱 및 고무 제품 광학기기 화학품ㅇ수입 광물 전자제품 화학품 기계 기본 금속 제품

환율ㅇ2012년 US$ 1=NT$ 2962ㅇ2013년 US$ 1=NT$ 2977ㅇ2014 6월 US$ 1=NT$ 3004

화폐단위 New Taiwan Dollar(NT$)

외교 관계

ㅇ 1948 8월 대만정부 대한민국 정식 승인ㅇ 1949 8월 주타이베이 한국대사관 개설ㅇ 1992 8월 한국-대만 단교ㅇ 1993 11월 주타이베이 한국대표부 개설ㅇ 1994 1월 주한 타이베이대표부 개설

교역 규모 ㅇ 2011년

한국-대만 외교 관계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3 -

(한국 기준)

- 수출 US$182억 수입 US$1469억 무역수지 US$35억ㅇ 2012년 - 수출 US$148억 수입 US$140억 무역수지 US$8억ㅇ 2013년 - 수출 US$157억 수입 US$146억 무역수지 US$107억ㅇ 20141~6월 - 수출 US$75억 수입 US$75억 무역수지 US$04억

주요교역 품목ㅇ 수출 반도체 기초유분 철강판 석유화학 중간원료 컴퓨터 정밀화학원료 반

도체 제조용 장비 광학기기 석유제품 선박 등ㅇ 수입 반도체 컴퓨터 기구부품 철강판 무선통신기기 기타 중전기기 평판디

스플레이 및 센서 기타 석유화학제품 플라스틱 제품 정밀화학원료 등

상호 투자

ㅇ 우리나라의 對대만 투자 - 2010년 43건 US$1400만 2011년 42건 US$4700만 - 2012년 38건 US$950만 2013년 26건 US$1700만 - 1968~2013년 624건 US$ 5억 6300만ㅇ 대만의 對한국 투자 - 2010년 5건 US$340만 2011년 7건 US$2800만 - 2012년 9건 US$2100만 2013년 14건 US$6100만 - 1962~2013년 181건 US$ 6억 1200만

교민 총 교민수 약 3천 4백여명

양국 간 교역 동향

수출입 동향

Ÿ 한국과 대만은 주요 수출입 품목이 반도체 철강 컴퓨터 화학원료 등으로 중복되는 경향이 강하며 상호비교우위 품목을 위주로 교역이 이뤄지고 있음

Ÿ 전년도 수출 급감에 따른 기저효과 스마트기기 및 테블릿 산업의 성장과 이에 따른 부품 수요 증가 한류영향 품목의 수출 확대 등으로 인하여 2013년도 한국의 對대만 수출은 전년대비 6 늘어났으며 수입 역시 44의 증가세를 보임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4 -

구분2012년 2013년 2014년 1~6월

금액 증감 금액 증감 금액 증감

총계 2882 -124 3033 52 1502 -328

수출 1481 -186 1570 60 753 -726

수입 1401 -46 1463 44 749 135

수지 8 -771 10 25 04 -945

순위 품 목2012년 2013년 2014년

1~6월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1 반도체 3578 -342 3742 46 2169 1572 석유제품 2239 -29 2810 255 953 -3563 기초유분 1381 198 1314 -48 531 -2084 정밀화학원료 406 -426 477 176 272 1835 석유화학중간원료 532 -376 586 101 220 -516 반도체제조용장비 311 -222 344 107 195 -107 자동차부품 239 209 168 -298 159 8728 광학기기 238 -248 283 188 151 969 기구부품 217 111 375 727 147 -28210 플라스틱 제품 250 -124 286 147 142 16

lt 한국-대만 수출입 동향gt (단위 억 달러 )

자료원 한국 관세청

lt한국의 對대만 10대 수출 품목gt (단위 백만 달러 )

주 MTI 3분류 2013년 수출액순 자료원 한국 관세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5 -

순위 품 목 2012년 2013년 2014년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1 반도체 8114 117 8874 94 4438 -102 기구부품 757 124 867 146 341 -2343 철강판 420 -312 398 -52 181 -1474 컴퓨터 616 -570 356 -422 171 -635 기타석유화학제품 227 -103 199 -125 143 9856 플라스틱 제품 324 229 288 -111 136 -1057 동제품 156 46 194 245 125 2108 합성수지 159 -19 172 81 108 2739 평판디스플레이및센서 133 -215 138 35 106 29110 기초유분 155 -250 132 -143 98 425

lt한국의 對대만 10대 수입 품목gt (단위 백만 달러 )

주 MTI 3 분류 2013년 수입액 순 자료원 한국 관세청

양국 간 상호 투자현황

대만의 對 한국 투자현황lt대만의 對韓 투자동향gt

(단위 건 백만 달러)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1~6월 누계(62~2014)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5 34 7 280 9 21 14 61 3 3 184 615

자료원 대만 경제부 투자심의위원회 신고 기준

Ÿ 대만기업의 對韓 투자는 10~20만 달러 규모의 판매법인 설립이 대부분이며 대규모 그린필드형 투자는 중국 및 동남아지역에 RampD형 투자는 미국과 일본에 집중되고 있음thorn 대만기업의 對韓 투자는 지난 5년간 연평균 25천만 달러에 불과

Ÿ 또한 중국 투자환경 악화로 동남아 등지의 신흥시장으로의 제조기반 이동에 대한 투자가 늘고 있으며 유턴투자도 증가

Ÿ 한편 주요 산업분야에서 대만은 한국과 경쟁적 보완관계이며 일본과는 보완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음thorn 특히 한 대만간 반도체 디스플레이 기업간 경쟁이 심해지면서 대만 IT업계를 중심으로 lsquo聯日抗韓(일본

과 연합하여 한국을 견제하자)는 주장이 제기되는 등 대만기업의 일본 편중현상은 심화되고 있음Ÿ 지금까지 대만의 대표적인 對韓 투자사례로는 2007년 IC디자인 기업인 SIMO의 FCI 인수(8800만 달러)

2010년 대만의 최대 철강회사 CSC의 동부메탈 지분인수(4200만 달러) 2010년 IC 테스팅 업체 Ardentec 웨이퍼 테스팅 공장 설립(4000만 달러) 2012년 6월 반도체 패키징 업체인 ASE의 라인증설(8000만 달러) 등이 있음

Ÿ 최근에는 금융권을 중심으로 한국기업에 대한 MampA SI 투자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어 주목받고 있음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6 -

thorn 2013년에는 대만의 1위 증권사 위안타가 한국의 동양증권 인수를 발표 양국의 금융감독기관 허가를 받아 2014년 연내 합병 추진 중(25억 달러)

thorn 또한 다국적 제약회사 Alvogen은 대만 LOTUS를 인수 동아시아 HQ로 삼고 한국 제약회사(드림파머) 인수를 추진 중

우리나라의 對 대만 투자현황

lt한국의 對대만 투자동향gt (단위 건 백만 달러)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1~3월 누계(lsquo68~lsquo14)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43 13 44 47 38 9 34 68 15 5 646 617

자료원 한국수출입은행 신고 기준

Ÿ 제조업 분야에서의 對대만 투자는 시장개척 및 고객사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임

Ÿ 우리기업의 대표적 투자 사례로는 2005년 LCD 장비 업체 PKL사의 LCD용 포토마스크 공장설립(4000만 달러) 2007년 게임업체 넥슨의 감마니아 지분인수(2100만 달러) 등이 있음

Ÿ 2011년 4월 미래에셋(Mirae Asset Global Investments)은 타이완라이프자산운용에 약 1000만 달러를 투자 자산운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Ÿ 2014년에는 PCB 기판 업체 달마전자가 가오슝에 공장을 설립 9월 준공식을 앞두고 있음

3 탐방 목적 (주요 목표부가 목표기대 효과)3-1 탐방 목적

주요 목표 1 대덕밸리 스타트업기업 (주)셀아이콘랩의 대만진출 가능성 탐색 2 대만 소비자들의 기능성 화장품 인식 조사 3 대만화장품시장의 유통경로 조사

기대 효과기업측면 기대 효과

⓵ 현지 시장조사 자료 획득⓶ 자사 시제품 반응결과 파악⓷ 사업단과의 지속적인 연계

사업단측면 기대 효과⓵ CK 사업 목표 또는 취지에 부합(CK ndash University for Creative Korea)⓶ 새롭게 출발하는 lsquo글로벌IT경영학과rsquo의 홍보전략으로 활용 가능

학생측면 기대 효과

⓵ EST팀 특강 ndash 학과 내 MIS Day 혹은 관련 과목 강의에서 특강⓶ 해외 탐구 동아리 개설⓷ CK 멘토와 후원 활동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7 -

4 사전조사 활동 (셀아이콘랩)

4-1 기능성 화장품 연구amp제조 기업 lsquo셀아이콘랩rsquo 기업 인터뷰

회사 소개

회사명 셀아이콘랩주소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대로 1646 한남대학교 사이언스파크 312호 대표자명 성민규 대표 사업분야 코스메슈티컬 펩타이드 소재개발 피부 전문가용 코스메슈티컬 화장품 OEMODM 주문 생산 방식

인터뷰 내용 1) 셀아이콘랩 2014년도에 많은 해외 박람회에 참여하고 있는데 해외시장 진출 의사가 있으신가요= 저희 회사의 사업화 로드맵을 보시면 2014년에 해외영업 마케팅 판매가 계획되어 있고 올해 들어 중국 러시아 카자흐스탄 말레이시아 등 여러 나라를 방문하여 박람회에 참가하고 실질적으로 상품을 판매하고 반응을 살피고 있습니다

2) 그렇다면 대만 화장품 시장 진출에 대해 고려해본 적은 있으신가요 만약 진출을 고려해보았다면 대만의 화장품시장에서 원하는 자료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대만시장을 접할 기회가 부족했을 뿐 내년에 대만 시장진출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셀아이콘랩은 현재 거래중인 중국 카자흐스탄 등지의 국가들에서 더 나아가 대만이나 홍콩과 같은 중화권 시장의 가능성을 느끼고 해당나라에 진출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요구사항 대만의 수출수입 인허가 절차 관세 세금 시장가격 형성 요인 화장품 유통 채널 구매경로 트렌드 또한 대만 시장에 뷰티샾(우리나라의 올리브 영)같은 종합 매장이 형성과정 실질적인 구매력을 알아보기 위한 대학 졸업생의 평균 초봉 등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8 -

5 화장품 산업 및 환경 분석 (연구자료 첨부)

구분 2011 2012 2013(1월 ~ 11월)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및 성장률 19427798 42 19421349 00 191454345 08

5-1 화장품 시장 동향

시장규모 및 전망thorn 대만의 약품 및 화장품 시장규모는 2013년 기준 1914억 달러로 2012년 대비 008 증가

최근 3년간 대만 약품 및 화장품 시장규모 및 성장률 (단위 천 달러)

자료원 대만경제부 통계처

시장전망thorn 수요 감소 예상 요인 대만 화장품시장은 다양한 국산 수입제품들이 오랜 시간 경쟁하는 포화된 시장thorn 종합의견 다수 유명 외국 브랜드(예 SHISEIDO KOSE 등)는 대만에 공장을 설립해 국산 브랜드와

경쟁하고 있으며 대만 정부의 각종 규제가 엄격하고 많아 허가 관련 등록서류 및 비용으로 인한 진입 장벽이 큼

소비자 구매 패턴thorn 주요 소비자 계층 14~55세 등 다양thorn 소비자 구매 동기 귀엽고 여성스러운 디자인 미백 보습 등과 같은 눈으로 확인 가능한 기능성 민감

성 피부에 바로 사용 가능한 화장품을 선호하는 추세

제품 트렌드thorn 대만 시장에서 국산 브랜드보다 수입 브랜드의 인기가 더 높으며 그중 일본 브랜드가 장시간 많은 인

기를 유지하여 왔음thorn 최근 한국 드라마에서 스타들이 연출하는 화장법 또는 유명 스타가 광고하는 한국 화장품이 큰 인기

를 얻고 있으며 한류 열풍으로 대만에서 수입 화장품 판매량이 늘어나면서 국산 화장품의 신제품 개발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

thorn 피부과 및 의학미용센터에서 다양한 시술(보톡스 반점 제거 여드름 크리닉 모공축소 레이저 비지 제거 등)을 받아 꾸준히 피부관리를 받고 다니는 여성들이 많아지는 추세에 따라 기능성을 강조하는 의학미용(aesthetic medicine) 화장품 혹은 시술 받고 나서도 바로 사용 가능한 기초화장품(무자극 보습효과 강조)이 유행하기 시작함

해당 산업 관련 정부 정책thorn GMP 정책 글로벌 추세에 따라 대만 화장품의 품질middot제조 수준 및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대만 경

제부공업국과 대만 위생서는 2008년 9월 4일부터 lsquo자발성 화장품 우량제조규범 검증제도(自願性化妝品優良製造規範驗證制度)rsquo를 실시한다고 발표함 약품 의료기기 식품을 이어 화장품이 네 번째로 GMP검증을 받는 산업이 되었음 ISO 22716 규범으로 주요 참고 근거로 보고 있음 동시에 화장품 GMP 추진 플랫폼을 설립하고 기업 문의에 대한 상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9 -

구분 2011 2012 2013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및 성장률 614293 1192 600356 -227 557784 -085

순위 국가 금액 점유율 증감율2011 2012 2013 2011 2012 2013 1312

총계 614293 600356 557784 100 100 100 -0851 일본 248980 237052 199987 40531 39485 35854 -113212 프랑스 116031 111983 110509 18888 18653 19812 45333 미국 89984 96689 89924 14648 16105 16122 -03914 한국 29779 29329 36746 4848 4885 6588 386345 중국 23444 30114 30138 3816 5016 5403 99486 영국 15895 14619 14482 259 2435 2596 29227 독일 16799 14327 14159 274 2386 2538 96758 스위스 13631 12401 11151 222 2066 1999 -5329 태국 9929 9214 8943 162 1535 1603 533310 이탈리아 12312 8853 8632 2 1475 1548 7727

5-2 수입동향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동향 (단위 천 달러 )

주 대만 국제무역국

최근 3년간 상위 10개국의 수입통계

주요 수입국 현황(HS Code 330499 기준) (단위 천 달러 )

자료원 대만 경제부 국제무역국 중화민국수출입무역통계(httpcus93tradegovtwFSCI)

수입관세 및 관련 제도thorn 관세 0thorn 통관 시 유의사항 대만에서 화장품은 의료용 또는 약품을 함유하지 않은 lsquo일반화장품rsquo과 lsquo함약화장

품rsquo 등 세 종류로 나눠져 있음 함약화장품의 경우 통관 시 대만 위생서에서 발행한 위생허가증을 제시해야 함

thorn 필수 인증 현황 함약화장품(예 염색제 파마제 자외선차단제 땀 억제제 치아미백제 등)은 대만 위생서 허가를 받아야 수입 및 제조판매를 할 수 있음 허가 신청 시 제품명 성분 제조업체명 제조업체주소 해외 수입업체명 수입업체주소 제품 전성분 용량 용도 사용법 유효기간 샘플 Certificate of Analysis Certificate of Sales SPF ampUVA 검사보고서 등이 필요함(세부사항은 대만 위생서 홈페이지 참조바람)

5-3 유통구조

유통채널 종류thorn 오프라인 백화점 H ampB(Watsons Cosmed SaSa 등) 방문판매 약국 각종 마트 편의점 피부과

피부관리센터 전문판매점(로드숍)thorn 온라인(여기는 virtual channel을 뜻함) 홈쇼핑 온라인 쇼핑몰(경매 브랜드 홈페이지 등 포함) 우편

주문(郵購) 등이 있음

유통채널 점유율 오프라인 유통채널의 점유율은 여전히 70~90 정도로 높게 차지하고 있으나 온라인 유통채널의 점유율도 빠른 속도로 상승하고 있음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0 -

브랜드명 제품명 가격 판매순위

SHISEIDO 100 1

SKII 133 2

ESTEE LAUDER 100 3

항목 내용전시회명(현지어명) 2014春夏國際美容化妝品展전시회명(한국어) 2014 춘하 국제미용화장품 전시회

전시품목 미용 화장품개최국가도시 타이베이

유통채널 활용 방안 아직까지 온라인 채널의 점유율이 높지 않으나 대만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블로그 등)에 영향을 많이 받는 편이어서 오프라인 채널에 진입하기 전에 온라인으로 먼저 마케팅(브랜드 이미지메이킹 블로거 마케팅 등)을 진행하는 방법을 추천함 대만 오프라인 채널의 진입장벽은 매우 높으며 비교적으로 이윤이 많이 남는 온라인시장에서 브랜드 파워를 먼저 키우면 오프라인 채널에 들어가는 길이 훨씬 수월해질 것으로 예상함

5-4 경쟁동향

경쟁제품 현황주요 경쟁제품 현황

(단위 달러)

한국 제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 및 선호 브랜드 현황thorn 한국 제품 현지 인지도 높음thorn 선호 브랜드 3CE INNISFREE NUTURE PUBLIC MISSHA THE FACE SHOP LANEIGE 등

5-5 효과적인 시장 진출 전략

타깃 고객층thorn 타깃 고객층 20~30대 초반thorn 타깃 사유 유행에 따라 새로운 것을 많이 도전하고 한류의 영향도 가장 많이 받는 젊은 층이 한국

화장품을 소비하는 경우가 많음 35세 이후의 직장 여성 혹은 가정주부들은 여전히 일본 혹은 유럽 미국의 고가 화장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활용 가능한 마케팅 방안 ⓵ 현지 전시회 정보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1 -

개최주기 3월경개최기간(2014년) 0321~0325

웹사이트 httpwwwudnicecom

⓶ 전시회 이외의 주요 마케팅 방안 블로거 마케팅 등 ⓷ 유력 홍보 방안(전문잡지 온라인 매체 등)

thorn 온라인 매체 Fashion guide(httpwwwfashio guidecomtw) UrCosme(httpwwwurcosmecom)

thorn 전문잡지 VIVI BEAUTY 大美人 Style W Marie laire Fashion Guide 등

시장 확대를 위한 무역관 의견 대만 화장품시장은 가격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 시장 진입 시 확실한 브랜드 포지션을 정해야 하며 해당 포지션의 대만 제품 가격을 조사한 후에 대만 최종 소비가격을 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

또한 소비자들은 할인세트 및 사은품에 약하여 각종 행사 진행 시 사은품 증정 혹은 묶음세트로 판매하는 것을 추천 보습(특히 히알루론산 성분 강조) 및 미백(대만 정부에서 인증된 미백성분이어야 함) 제품을 매우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6 탐방 상세 일정 (일정표 - 기간 지역)

날짜 지역105(월) 인천 ~ 대만 타이페이

시간 일정0600 인천공항 도착

0600 ~ 0920 인천공항 대기0920 ~ 1140 인천공항 rarr 대만 1140 ~ 1230 대만 입국 수속1230 ~ 1320 숙소 이동 (용산사 역)1320 ~ 1500 짐정리1500 ~ 1600 회의 및 일정정리1600 ~ 163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630 ~ 1800 KOTRA방문 및 인터뷰1800 ~ 1830 101타워 딘 타이 펑 이동(도보)1830 ~ 1910 저녁식사 - 딘 타이 펑1930 ~ 2100 101 타워 야경감상2100 ~ 2130 숙소로 이동2130 ~ 223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6(화) 타이페이

시간 일정0900 기상

0900 ~ 110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30 ~ 1230 점심식사 - 마라훠거1230 ~ 1300 SISDORA 본사로 이동

6-1 8박 9일 대만 일정 (150105 ~ 150113)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2 -

1300 ~ 1530 SISDORA 방문 및 인터뷰1600 ~ 1800 101타워 퍼스널 트레이닝 센터 방문1800 ~ 1930 저녁식사 - 카렌 레스토랑1930 ~ 2000 숙소로 이동2000 ~ 2100 개인 휴식2100 ~ 223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7(수) 타이페이

시간 일정0900 기상

0900 ~ 113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30 ~ 120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200 ~ 1250 점심식사 - 키키 레스토랑1250 ~ 1300 시먼딩 이동1300 ~ 1530 화장품 설문조사1530 ~ 1830 한국 화장품 매장 제품 조사1830 ~ 1900 야시장 이동(MRT)1900 ~ 2000 저녁식사 ndash 야시장 음식2000 ~ 2030 숙소로 이동2030 ~ 2130 개인 휴식2130 ~ 230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30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8(목) 타이페이 ~ 타이난

시간 일정0830 기상

0830 ~ 110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00 ~ 1200 체크아웃 및 고속철도역 이동1200 ~ 1340 타이페이 rarr 타이난 이동1340 ~ 1400 짐 보관 및 인터뷰 장소 물색1400 ~ 1600 가오슝 한인협회장 인터뷰1600 ~ 1700 숙소도착 및 짐정리1700 ~ 1800 개인 휴식1800 ~ 1900 저녁식사 - 새우롤2000 ~ 2230 중간 정리 및 보고서 작성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9(금) 타이난

시간 일정0800 기상

0830 ~ 0900 아침 식사0900 ~ 1130 타이난 일정 브리핑 및 팀 미팅1130 ~ 1210 타이난 시내로 이동(TAXI)1210 ~ 1320 점심식사 - 스시1320 ~ 1350 성공대학 이동(도보)1350 ~ 1700 성공대학 방문1700 ~ 1800 성공대학 캠퍼스 탐방 및 대학원생들과 대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3 -

1800 ~ 1830 저녁식사 - 대만 전통 음식점1830 ~ 1900 타이난 RT마트 이동(도보)1900 ~ 2030 RT 마트 장보기2030 ~ 2100 숙소로 이동2100 ~ 2200 개인 휴식2200 ~ 2330 팀 회의 및 예산 정리

23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12(월) 타이페이

시간 일정0800 기상

0800 ~ 0900 아침식사(호텔 조식 제공-선택)0900 ~ 1130 호텔 개인시간1130 ~ 123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230 ~ 130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300 ~ 1600 Wabfenix 방문 및 인터뷰1600 ~ 1630 간식 - 망고차차1630 ~ 1700 시먼딩 이동(MRT)1700 ~ 1830 화장품 설문조사 활동1830 ~ 1930 저녁 식사 - 코코이찌방야2030 ~ 2130 개인 휴식2130 ~ 2300 팀 회의 및 예산 정리

230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13(화) 대만 ~ 인천공항

시간 일정0800 기상

0800 ~ 0900 아침 식사0900 ~ 1130 짐정리1130 ~ 1200 체크아웃1300 ~ 1400 점심식사 - 스시(시먼딩)1400 ~ 1430 쑹산 공항 이동(TAXI)1430 ~ 1530 시먼딩 rarr 쑹산공항1530 ~ 1730 출국 대기1730 ~ 2100 대만 출국 rarr 대한민국

2100 대한민국 입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4 -

7 방문 기업 소개 (인터뷰 내용)

7-1 대만 KOTRA

-2015년 1월 5일 월요일 1630~1800 인터뷰-위치 台北市 基隆路 1段 333號 22樓 14室(2214室) Intl Trade Building 22층-전화 (886-2)2725-2324 -팩스(886-2) 2757-7240

Q대만에 대하여 간단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우선 대만은 남한의 13의 해당하는 영토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구역시 남한에 비해 적은 2천 3백만 명 정도이며 기후는 아열대 몬순 기후권으로 비교적 따듯한 날씨입니다여러분이 대만에 와보셔서 알겠지만 대체로 습한느낌을 받으셨을 탠대 대만은 겨울에도 남한만큼은 춥지 않습니다 언어는 주로 중국어를 사용하며 문자는 중국과 살짝 다른 번자체를 사용합니다1인당 GDP는 2013년 기준 20984 달러 정도이며 산업구조는 제조업과 도소매업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Q현재 우리나라의 어떤 기업들이 대만에 진출해 있는지 궁금합니다

A최근에는 화장품을 주력 제품으로 아모레퍼시픽등 화장품 대기업들이 타이페이 시내에 로드샵을 많이 개점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대만은 제조업과 도소매업이 주를 이루다 보니 20~30년 전부터 진출한 기업들이 계속해서 입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주로 삼성물산 현대종합상사 LG상사 LG전자등 대기업이 주를 이루고 있고 우리나라 기업은 1년에 한 기업정도 대만에 진출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Q그렇다면 대기업을 제외한 중소기업들이 대만시장에 진출하지 않는 이유가 따로 있습니까

A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아무래도 중국시장이 개방을 하면서 인 것 같습니다 기존에 진출해있는 기업들은 과거 대만이 인프라 구축이 미흡했을 당시 해외투자를 많이 받으면서 비교적 좋은 조건으로 대만에 진출하고 인프라 구축등 사업을 진행하면서 기반을 다졌을 겁니다 그 기반으로 지금까지 대만시장에 진출해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중소기업의 경우는 해외투자가 너무 모험적이며 대만 시장과 중국의 시장을 비교하여 봤을 때 인구가 차이가 약 8배 정도 나며 중국에 비해 비교적 작은 시장이라고 느껴 대만보다는 중국에 많이 진출하는 것 같습니다

Q마지막 질문으로 만약 우리나라 중소기업이 대만시장에 진출할 때 유의해야 할 점이나 좋은 팁이 있을까요

A대만 시장에 완전히 진출해야겠다는 생각보다는 중국이나 다른 중화권 나라의 진출하기전 시험의 장소로 생각하고 진출해보는 것은 나쁘지 않다 생각 합니다 아무래도 대만의 인구가 많은 편이 아니다보니 불리한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5 -

조건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이나 다른 큰 중화권 시장으로 진출하기 전에 언어나 문화 중화권사람들의 사고방식등 여러방면에서 시험해 볼 수 있는 좋은 장소는 틀림없습니다 중소기업이 대만시장에 진출할 때는 코트라를 이용하여 각종 정보나 현지 인프라등을 이용하는 것 또한 하나의 방법이며 무엇보다 중화권의 문화와 중화권 대중들의 생각을 잘 공부하고 언어를 습득하여 오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7-2 SISDORA luxury beauty care

-1월 6일 화요일 1300~1530 인터뷰 1600~1800 101타워 퍼스널트레이닝 센터-주소 No9Aly 10Ln265Sec 4Xinyi RdDaan Dist Taipei City 106-대표 Mr Chung-Cheng Lee -전화886-2-27040889-URL httpwwwsisdoracom

Q 간략한 회사 소개와 SISDORA의 유래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A Isadora는 고대 이집트의 가장 강력한 여신의 이름입니다 Sisdora는 이 여신의 이름을 따서 만든 브랜드 이름입니다 이집트의 고대 여신인 Isadora의 이시스는 선물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고 생명과 건강 아름다움을 담당하는 여신으로도 유명합니다 저희 SISDORA는 비슷한 동음 이의어로 동양의lsquoISIS(이시스)rsquo라는 단어가 있어 브랜드 명을 SISDORA로 정하게 되었습니다Q Sisdora 제품 소개 부탁드립니다

A저희 제품은 안티에이징 미백 마스크 제품을 주력으로 하고 있습니다 동일 제품군을 비교해 봤을 때 가격 및 품질은 상위에 속하는 최상품의 제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마스크 팩 대부분은 종이섬유로 제조하는 반면 저희 Sisdora는 누에의 실(실크)로 만든 마스크 팩 입니다 실크마스크 팩을 제조할 때에는 피부 건강에 좋은 약재 및 약초등을 배합하여 제조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피부에 자극적인 향로를 첨가하지 않았고 수분이 빠르게 흡수 될 수 있습니다 덕분에 저희 마스크 팩을 사용하는 고객들은 부드럽고 산뜻한 느낌을 받으실 수 있을 겁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6 -

Q 귀하의 회사는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어떤 마케팅을 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A 저희는 해마다 대만 타이페이 글로벌 미스코리아 대회에 제품을 협찬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대만 유명 가수들과 함께 제품을 결합시킨 뮤직비디오를 제작하여 마케팅에 힘쓰고 있습니다뿐만 아니라 제품의 품질인증을 바탕으로 러시아 중국 동남아 지역에 진출하는대 힘쓰고 있습니다 저희 제품은 대만 내에서 스킨케어 제품으로써 유일하게 지정 브랜드 수상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저희는 주로 매스컴이나 인터넷을 통한 마케팅이나 엔터테이먼트 컨벤션 산업을 활용하여 마케팅을 하고 있습니다

Q 그렇다면 대한민국의 화장품 제품이 대만에 진출해 있는데 대한민국 화장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는 어떤지 궁금합니다

A 최근 5년 사이에 한국의 드라마 음악등 한류를 타고 대만에도 많은 한국 제품이 등장하였습니다 하지만 대만에는 오래전부터 수입화장품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이탈리아의 산타 마리아 노벨라 프랑스의 아이젠버그등 명품 화장품 브랜드가 오래전부터 입점해 현지 화장품시장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 때문인지 한국 화장품의 인지도는 크게 높지는 않습니다 아무래도 유럽 브랜드 그 다음으로 대만 기업의 브랜드 그 다음으로 한국의 화장품 브랜드 순으로 인지도가 형성되어 있다고 생각됩니다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한국화장품은 다른 명품 화장품들의 가격보다 저렴하고 성능이나 효과 면에서 절대 뒤처지지 않아 한류가 지속되고 마케팅이 잘 이루어진다면 충분히 유럽의 명품화장품의 인지도를 뛰어 넘을 수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Q 한국의 중소기업의 화장품이 대만 시장에 진출하는 것에 대해서는 어떤 의견을 갖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A 한국의 대기업 화장품 브랜드가 아닌 중소기업의 화장품 브랜드가 대만에 진출하는 것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겁니다 하지만 저희 회사도 중소기업으로 시작하여 마케팅 전략을 잘 활용 하여 많이 성장하였습니다 아무래도 한국의 중소기업의 화장품이 대만에 진출하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있겠지만 어떤 마케팅 전략을 선택하느냐가 가장 중요하고 마케팅이 잘 이루어지고 입소문이 퍼진다면 한국의 중소기업 화장품 또한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7 -

7-3 가오슝 한인협회

-1월 8일 목요일 1400~1600 인터뷰-주소 高雄市鼓山區二路37巷弄43-2號(고웅시고산구이로37항81롱43-2호)-대표 尹桓鎬(윤환호) HP 0932-740-538 -電話 07-5211933 -傅眞 07-5214031

Q 대만과 한국과의 무역 관계가 어떠한지 궁금합니다

A 한국과 대만과의 무역은 크게 활발하게 이루어 질 수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대만의 시장 자체가 매우 작기 때문에 대만에 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국내 시장이나 다른 큰 해외 시장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대만 시장을 거쳐서 동남아나 중국 시장으로 진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여서 기존에 존재하는 대기업이나 저처럼 오래 전부터 이민한 분들이 소규모로 중개무역을 하고 있는 정도입니다

Q 현재 한인협회 회장님께서 직접적으로 하는 일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현재 저는 한국의 화장품을 수입하여 대만 현지 기업에게 판매하는 중개무역을 하고 있습니다 대만에 온지 20년이 넘었는데 이런 저런 일을 하다가 기회가 되어 이쪽 일을 하게 되었는데요 처음에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인식이 없어 가격은 비싸고 품질의 보증은 되어 있지 않은 제품이라 소비가 크게 늘지 않았는데 한류 열풍이 불고 한국 드라마의 성공과 그 배우들이 광고하는 화장품의 수요가 크게 늘어 몇 년 전부터 시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Q 한국과 대만과 중국의 관계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해 주세요

A 앞서 말씀 드린 것 같이 한국의 기업은 대만을 통하여 중국 시장의 진출을 위하여 대만 시장을 많이 찾습니다 그 이유는 한국 기업이 대만 시장을 통해서 제품을 인정받는다면 대만과 중국은 같은 언어권의 나라로 대만기업을 통해 중국으로의 활로를 개척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왜 이렇게 돌아서 진출을 하려고 물으셨는데 그것은 쉽게 말해서 말이 잘 통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의 중국어를 잘 구사하는 사람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보다는 대만의 사람이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주고 인정을 해준다면 더욱 쉽게 자리를 잡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8 -

Q 스타트 기업의 대만 진출 성공여부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중소기업이 대만에 들어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현재 한국 내에서의 위치를 높이는데 주력하는 것이 좀 더 낫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대만은 아주 뛰어난 기술력을 가지고 있지만 자체 제품을 생산하지 않습니다 예로 Apple에서 전체 아이디어를 미국에서 한다면 그 아이디어 실행은 대만에서 이루어집니다 그리고 제품의 생산은 대부분 중국에서 이루어 지구요 이렇듯 대만의 기술력과 제품에 대한 이해가 빠르기 때문에 수입을 많이 의존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중소기업이 들어와서 제품을 판매한다 쉽게 성공할 수 없죠

Q 회장님께서는 중국과의 중개무역은 생각하고 있으시지 않습니까

A 네 저는 지금의 생활에 만족하고 있습니다 지금 저의 파트너들과의 관계도 좋고 따로 중국 진출은 생각하고 있지 않습니다 만약에 제가 중국을 진출하게 된다면 현재의 기업들과도 경쟁상대가 되어 저는 생각이 없습니다

7-4 국립성공대학(國立成功大學)

-1월 9일 1350~1700 인터뷰-주소 701 臺南市東區大學路1號-연락처06-2757575 -홈페이지 wwwnckuedutw

대만 국립 성공대학은 931년 타이난에 설립된 이공계 명문 대학입니다 국립성공대학은 66개의 캠퍼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각 캠퍼스마다 특징과 분위기가 다릅니다 우리 국립성공대학은 ldquo북대대 남성공(北臺大 南成功)rdquo 이라는 말이 있듯이 역사는 대만대학의 바로 다음갑니다

국립성공대학의 이름의 의미는 성공은 무엇을 성취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대만의 민족영웅인 정성공(鄣成功)을 기념하기 위한 대학이라는 뜻입니다 성공대학은 정성공이 있던 역사명승 적감루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해 있기도 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9 -

이후 인터뷰로 대만의 소개와 간단한 전공 소개가 있었다

7-5 WABFENIX RENIX GLORY GLORIA GUA

-1월 12일 월요일 1300~1500 인터뷰-주소 14F-1 No420 Sec 4 Xinyi Rd Xinyi Dist Taipei City 110 Taiwan (ROC)-대표 Mr KEN -전화886-5569-0555-URL httpswwwfacebookcomrenixfanspage httpwwwwabfenixcom

Q Wabfenix가 어떤 기업인지 소개 해주세요

A 저희 회사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으로 현재는 매장은 없지만 개발한 제품을 바탕으로 사업을 진행 중이고 대만현지에 저희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저희 회사는 제품의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화장품을 개발하여 대만시장 뿐만 아니라 중국시장의 진출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Q 귀하의 제품은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제품이라 하셨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제품 등이 있습니까

A 우선 Heymore 제품군의 블랙 마스크 팩과 Renix 제품군의 일반 마스크 팩을 출시했습니다Heymore의 경우 선물용임을 부각시키기 위해 디자인에 특히 많은 투자를 하였습니다 중국 중산층을 겨냥한 제품으로 가격대 1봉지에 한화 ₩40000 정도로 높게 책정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가격을 높게 측정한 이유에는 중국 화장품 소비문화 속에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 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에 저가 보급형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0 -

제품인 Renix와 차별을 두는 판매 전략을 선택하였습니다 현재 판매되는 제품은 마스크 팩을 주력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Q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인데 중국을 대상으로 어떤 진출 전략을 갖고 있습니까

A중국에서 열리는 화장품 전시회 화장품 엑스포 행사 바이어 미팅 등 꾸준히 참가중이며 바이어들에게 저희 제품을 어필하고 있습니다 물론 신생기업인 만큼 아직 중국 내에서 뚜렷한 판매 실적을 기록하진 못했지만 타 화장품 기업들과 다른 마케팅 방식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디자인이나 제품의 아이디어를 강조하고 있는데 대표 적인 상품으로 오뚝이 모양을 한 화장품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이 오뚝이 제품을 바이어들에게 어필해 보았는데 대단히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Q 해외시장 마케팅과 대만 시장마케팅의 차이점이 있습니까

A 우선 중국에서의 마케팅은 행사나 전시회에 참여하고 바이어들을 개인적으로 만나는 것에 치중해 있다면 국내 대만시장의 마케팅 전략은 페이스북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대만은 중국에 비해 SNS가 많이 발달되어 있어 자금이 많이 들어가지 않는 SNS마케팅을 하고 있고 각종 자선행사에 참여하여 저희 기업을 홍보하고 있습니다

Q 귀사의 제품을 중국보다 비싼 인건비가드는 대만 제조공장에서 생산하는 겁니까

A타이중에 소재하는 공장에서 마스크를 제조 하고 있습니다 인건비가 비싼 것은 대만 수도인 타이페이에만 주로 해당이 됩니다 지방 소도시에서도 외곽으로 들어가면 저렴한 인건비와 공장 가동비용으로도 제조가 가능 합니다 굳이 중국에 제조공장을 갖지 않는 이유는 신생기업이라 자금문제도 있지만 대만은 OEMampODM에 특화된 국가이기 때문에 품질 좋은 다양한 제품주문이 가능하고 중국 사람들에게도 자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 보다 외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가 더 좋기 때문에 대만에서 생산한 뒤 수출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Q 대만에 한국 화장품 기업이 진출한다면 어떠한 마케팅 전략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 생각 하십니까

A 이미 대만에 한국의 화장품 제품들이 많이 들어와 있습니다 하지만 대만 자체의 화장품 기업들이 기존에 많은 시장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성공을 거두기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최근 한국에 대한 이미지가 많이 좋아졌고 한국의 영화나 드라마 등이 많이 알려지면서 인지도가 높아졌습니다 한국의 대기업의 경우 이러한 대규모 마케팅을 할 수 있으므로 큰 무리가 없겠지만 한국의 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한다면 최종 시장 공략 층은 대만이 아닌 중국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대만은 중화권으로 가기 위한 연결다리라고 생각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또한 중소기업은 큰 마케팅 비용을 부담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대만에서는 SNS나 각종 자선 행사에 참여하여 인지도를 높이는 것을 추천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1 -

Q 같은 제품이지만 대만과 중국에서 판매할 때 가격 책정이 다른 이유가 무엇인가요

A 그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해드리자면 국가마다 소비 성향이나 구매 능력 환율 경제 상황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경영 에서는 가격 차별화(Price discrimination)이라 부르는데요 각 나라의 시장 특성에 적정한 가격대를 책정해서 제품을 판매하는 전략입니다 혹시 중국 상류층이 몇 명인지 알고 있나요 제가 알기로는 대만 인구의 2배인 4000만 명이라는군요 아마도 한국 인구랑 비슷한 규모 일겁니다 게다가 중산층은 약 4억 명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4억 명의 중국 소비자들이 우리 제품을 1개씩만 구입 한다면hellip 상상만 해도 엄청 나겠죠 이야기를 하다 보니 다른 쪽으로 빠졌는데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이야기하면 물론 좋은 제품을 모든 곳에 저렴하게 제공 하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 그러나 항상 시장에서 저렴한 제품만이 성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대만이나 한국처럼 고도의 산업화가 이루어지고 시장이 크게 발전한 안정적인 단계는 좋은 제품이라도 가격 경쟁력에 신경 써야 합니다 왜냐하면 소비자들이 똑똑하기 때문에 정보력이 넓고 합리적인 소비를 지향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가격 성능 디자인 등 많은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중국 시장은 대만이나 한국과는 특성이 다릅니다 저렴하다고 해서 많이 제품이 많이 팔리기 보다는 가격대가 어느 정도 있는 제품일수록 또는 가격대가 높을수록 소비자들이 관심을 보입니다 대체적으로 중국 소비자들은 lsquo저렴한 제품은 품질이 낮거나 효능이 좋지 않은 제품일거야rsquo 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 때문에 화장품 박람회나 전시회에 저가 화장품을 가져와 홍보하더라도 중국 바이어나 소비자들은 큰 관심을 주지 않습니다 처음에 말했듯이 중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2 -

국 소비문화가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라는 심리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Wabfenix의 경우에는 신생기업이라 많은 투자 금액이 없을 뿐 더러 대만 화장품 시장에 진출하기에는 리스크가

크고 진입 장벽이 높습니다 그리고 이미 한국 화장품 기업들이 대부분 점유를 한 상황이기 때문에 대만 내수시장에만 집중하기에는 경쟁력이 부족하죠 그래서 중국을 주력 수출시장으로 삼고 있는데요 저희는 제품 성능 보다는 소비자의 이목을 끌 수 있는 디자인에 더 많은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중국에 Wabfenix만의 화장품 선물 문화를 정착 시키는 것이 목적인데요 높은 제품 가격만큼 소비자의 관심을 끌 수 있고 선물 문화나 꽌시(关系)가 많은 중국 문화 특성에 맞추어 선물용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중국 시장은 현재 젊은 중산층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품질이 낮은 화장품 보다는 수입 화장품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점으로 미루어볼 때 높은 가격 차별화와 Wabfenix만의 디자인 마케팅은 좋은 경쟁력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3 -

8 현지 시장조사 활동 (시장동향사진설문조사 자료)

8-1 시먼딩 설문조사

목적 대만 사람들의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및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대상 10대~20대 여성 및 화장품 전문매장 종사자장소 시먼딩시간 2015년 1월 7일 12일 총 두 차례에 걸쳐 진행방법 ①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 판넬에 국가별로 메이크업 사진을 표시하고 스티커를 붙이는 방식으로 투표함 공정성을 위해 국가 이름은 블라인드로 처리하였고 모두 동일 인물의 사진을 사용함②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표본집단을 50명으로 설정함 설문조사가 끝나면 사은품으로 한국 브랜드 마스크팩 증정함

8-2 사전 기획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판넬 기획도gt

化妝辦法喜好度的調查화장법 선호도 조사

大家給自己喜歡的化妝貼貼紙 여러분이 선호하는 메이크업에 스티커를 붙여 주세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4 -

대만의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안녕하십니까

다음의 내용은 대만 화장품 트렌드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자 관련조사를 실시하고자 하오니

있는 그대로의 생각을 기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귀하의 응답은 통계적 목적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본 설문은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물음에 대한 답변이나 해당란에 v 표를 해 주십시오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7) ② 화장품 전문매장(34) ③ 마트(5) ④ 홈쇼핑(2)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합계 총 50 명

바쁘신 시간에 의견을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지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5 -

8-3 설문조사 활동

lt2015년 1월 7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6 -

lt2015년 1월 12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7 -

lt활동 결과 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8 -

9 설문조사 통계 분석 (설문조사 응답 수분석결과)

9-1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결과gt

설문 조사 질문지 양식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12)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③ 마트(5) ④ 홈쇼핑(6)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9 -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gt

9-2 설문조사 항목 별 의견 및 추측

설문 조사 질문지 항목 (최다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② 20 ~ 25세 (13)

0

5

10

15

20

25

30

20대 이하 20세~24세 25세~29세 30세~39세 40대 이상

rarr 시먼딩은 대만의 홍대거리라 불리는 lsquo융캉제rsquo나 서울의 lsquo명동rsquo과 같이 젊은 층이 주로 활동하는 지역이다 설문조사 중에도 교복이나 체육복을 입은 학생들과 길거리에서 쇼핑을 즐기는 20대가 즐비할 만큼 활기 있는 거리다 덥고 습한 대만 기후 특성 상 과거엔 화장법이 크게 발전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국의 자연스러운 화장법이 큰 인기를 끌면서 시먼딩에 화장품 거리가 조성되어 있을 만큼 유동 인구가 많다 이 점으로 추측해보았을 때 압도적으로 10대와 20대 층이 많은 응답 수를 기록했다고 본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0 -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051015202530

온라인 화장품전문매장 마트 홈쇼핑 방문판매

rarr 대만 또한 한국과 비슷하게 시내에 많은 수의 화장품 전문매장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접근성이 굉장히 높았다 더불어 각 화장품 매장에서는 상품 할인과 같은 각종 프로모션을 진행하기 때문에 구매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 구매한다는 대답도 높은 편이었는데 거의 대부분이 와이파이존이어서 어디서나 인터넷을 한 활발히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온라인에서의 구매율도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0

5

10

15

20

25

30

NT$300 미만 NT$300~NT899 NT$900~NT$1499 NT$1500~NT2999 NT$3000

rarr 응답자들은 대부분이 한 달 간 화장품에 쓰는 돈을 최저 1만원 이상(NT$300 이상)이라고 답했는데 이는 70가 넘어가는 결과로 화장품에 대한 지출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만원 이상이라고 대답한 응답자들 또한 4분의 1을 넘기는데 이것은 젊은 연령층부터 시작하여 최근 피부 관리와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대만의 소비 수준에 대비하여 화장품 소비율이 높은 것도 이 때문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1 -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③ 성능(23)

051015202530

가격 디자인 성능 화장품 모델 브랜드

rarr 아열대 기후에 속하는 대만은 높은 기온과 습한 날씨 탓에 에어컨 환경에 자주 노출돼 피부 수분을 잃기 쉬워 기능성 화장품의 소비가 두드러진다 대만 화장품 시장은 토너 세럼 에센스 로션 크림 등의 모든 스킨케어 제품들이 보습기능을 강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백이나 안티에이징 리프팅 저자극 오일프리(Oil-free) 등의 기능까지 추가된 스킨케어 제품들이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조 화장품 소비가 늘어난 것은 최근 몇 년 들어 다양한 화장품 브랜드 접촉기회가 많아지고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젊은 여성의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색조화장품 또한 메이크업베이스와 BB크림 립스틱과 같은 베이스 메이크업이 수요가 많았다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④인터넷(22)

0

5

10

15

20

25

30

TV 잡지 친구 인터넷 메이크업샵

rarr 최근 빠른 인터넷망과 스마트폰 태블릿PC의 보급으로 인해 사람들과 사람사이의 연결망이 견고히 형성되고 있고 이것이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방법을 얻는 경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만 소비자들은 주로 인터넷 블로그 가족과 친구로부터 메이크업 정보를 획득 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만의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이므로 입소문마케팅과 판매를 바로바로 할 수 있는 유통구조가 도움이 될 것 같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2 -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0

5

10

15

20

25

30

청순 독특 귀여움 섹시

rarr 앞서 살펴보았듯이 대만은 한국과 비슷한 메이크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이것은 곧 청순한 메이크업 컨셉에 관심 있어 한다는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실제로 대만 여성소비자들은 깨끗한 피부 NATURAL한 베이스메이크업을 선호한다 한 듯 안 한 듯 자연스럽고 깨끗한 느낌의 한국식 lsquo생얼rsquo 화장법은 대만에서 한국 드라마 열풍과 함께 유명세를 타기 시작해 현지 각종 온라인 뷰티 사이트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래서 응답의 대부분이 한 곳에 치우쳤고 비교적 개성 있는 메이크업 방법이 드물 것이라는 것을 유추해낼 수 있다

본 설문 조사를 통한 한국 화장품 기업에 대한 시사점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수입 절차로 오랜 시간을 허비해야 하는 반면 대만은 자외선 차단제 성분 함유 제품과 약용 화장품을 제외한 일반 화장품은 별도의 수입 검사 없이 수입할 수 있으므로 대개 중국보다 1~2년 먼저 신상품이 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한류 효과를 겨냥한 중화권 화장품 시장으로 대만을 우선 공략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대만은 대부분이 화장품에 대한 소비를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고 한국 화장품이 많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시장 접근법만 제대로 수립하면 매출이 나는 구조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대만인들이 선호하는 메이크업 방법이 한국과 비슷하기 때문에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은 마케팅 방안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최종분석설문 조사 대상은 대부분 10대~20대의 연령층이었으며 화장품의 주된 구입경로는 lsquo온라인(24)rsquo과 lsquo화장품 전문매장(50)rsquo이 압도적이었다 더불어 한 달 간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lsquo1만 원 이상(72)rsquo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이것은 실제 생활수준에 대비하여 높은 소비량이므로 대만의 화장품 시장 전망이 밝다고 할 수 있다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부분은 lsquo성능(46)rsquo이었는데 이는 스타트업 기업 중소기업에게 유리한 조건이다 메이크업 방법을 얻는 방법으로는 lsquo인터넷(44)rsquo과 lsquo친구(30)rsquo가 높은 비율을 차지했는데 판촉활동으로는 인터넷을 활용한 SNS 홍보 바이럴 마케팅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가장 관심있는 화장 컨셉은 lsquo청순rsquo 이었고 이것은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와 맞물려 우리나라와 비슷한 메이크업 방법을 추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3 -

10 대만 명소 소개 (명소음식행사숙소 소개)

10-1 고궁박물관

대만 고궁박물원은 영국의 대영 박물관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 미국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과 함께 세계 4대 박물관으로 손꼽힐 만큼 세계적은 소장 문물을 자랑한다 건물 규모는 그다지 크지 않지만 소장한 문물의 질과 양은 세계 최상급이다 중화 보물 중에서도 최고의 보물들이 모여 있어 진귀하기 그지없고 수량 역시 워낙 방대하여 3개월 단위로 1만여점을 돌아가면서 전시해도 다보려면 10년이 넘게 걸린다고 전해지고 있다 중국의 국공내전 당시 장제스가 이끌던 중국 국민당이 전쟁에서 패하며 중국을 탈출해 대만으로 향했다 당시 장제스는 난징에 있던 정부를 타이페이로 이전하면서 자금성에 보관되어있던 중국역대 왕조 보물 수십만 점을 배를 이용해 운반해 왔다 중국의 유물을 가진 자가 진정한 통치자라고 생각했던 장제스는 ldquo공산군에게 영토는 내줘도 문화유산만큼은 내줄 수 없다ldquo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대표적인 유물은 취옥배추 육형석 모공정 산씨반 등이 있다

10-2 용산사

루강의 초입에 있는 이 사찰은 타이완에서 가장 오래되고 아름답다고 하여 타이완의 자금성이라고 부른다 각 건물의 기둥 벽 그리고 천장 등에 새겨진 조각은 특히 빼어나다 이 조각상과 함께 이곳의 명물로 알려진 것은 사찰 경내에 있는 2마리의 용상인데 삼천전 앞마당 좌우에 서서 룽산사를 호위하고 있다

10-3 타이페이 101 빌딩

타이베이 101빌딩rsquo이라 부르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로서 빌딩 모습은 하늘로 뻗어나가는 대나무 위에 꽃잎이 겹겹이 포개진 형상이다 본래 타이베이 금융기관이 모인 건물이지만 대형 쇼핑센터와 푸드코트 고급 레스토랑이 있어 여행자들이 많이 찾는다 건물에는 8개 마디가 있는데 이는 중화 문화권에서 부와 번영을 의미하는 숫자 lsquo8rsquo을 염두에 둔 것이다 타이베이 시내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는 높이 508m로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히는 높은 건물이다 지상 1~5층에는 소고 백화점 뷰티 플라자 애버뉴 101 등 다양한 패션∙뷰티용품을 구입할 수 있는 상점이 있다 또한 레스토랑 시티 스퀘어 대형 서점 등 쇼핑과 오락 식사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복합시설이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4 -

잘 알려진 식당으로는 딘 타이 펑(Din Tai Fung) 이 있다 101타워 지하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샤오롱바오(고기만두) 새우 샤오마이(새우만두) 탄탄면(우육면)이 가장 대표적인 메뉴이며 대만에 방문한 많은 사람들이 찾는 식당이다

10-4 지우펀

대만여행의 백미로 꼽히는 지우펀은 타이페이시 북부의 루이팡 지역의 작은 산골 마을로 과거에는 아홉가구만 살고 있어서 지우펀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예전에는 작은 산골 마을에 불과 했지만 이 지역에서 금맥이 발견되면서 호황을 맞이하게 된다 특히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일본풍의 건물들이 남아 있어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결합된 독특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비탈길을 따라 하늘로 이어진 예스러운 건물 그리고 골목마다 빨간 홍등과 함께 묻어나는 옛 풍경은 여행객들에게 인기 여행지이다

10-5 스린야시장

타이베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야시장 가운데 하나이다 독특하면서도 다양한 전통 먹을거리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이곳을 찾는 관광객이 많다 시장 부근에 학교가 많아 학생들이 많이 찾으며 포장마차 등의 노점상이 많아 가격도 저렴하다 칭런샹[情人巷]에는 가구 의류 액세서리 사진현상점 애완용품점 등이 모여 있어 학생뿐 아니라 관광객들도 자주 찾는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5 -

10-6 예류 지질 공원

타이완 북해안에 자리한 예류는 해수욕장과 온천 기암괴석으로 유명한 관광지다 특히 예류지질공원은 희귀한 모형의 바위와 암석이 모여 있어 예류 관광의 필수코스로 꼽힌다 작은 곶으로 된 예류지질공원은 침식과 풍화 작용을 거쳐 자연적으로 형성된 기암을 보러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지질공원으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것이 선상암 군락이다 암석 하나하나의 모습은 마치 거대한 버섯이 큰 머리로 하늘을 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선상암 가운데 가장 유명한 암석은 이집트 왕비의 옆모습을 닮은 여왕 두상 바위다

10-7 스펀(Shifen)

스펀(十分)은 옛 광산마을로써 천으로 만든 등이 유명하다 또한 이 곳 스펀은 대만 최대의 폭포 스펀(SE-FEN) 폭포가 있다 미니기차와 천으로 만든 등을 날릴 수도 있다 마을의 한가운데 긴 철길이 놓여 있고 30분에 한 대씩 기차가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것도 볼 수가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6 -

10-8 진과스(金瓜石)

진과스(金瓜石)는 타이완 타이베이 근교에 있는 옛 탄광 유적이다 20세기 전반에 금 채굴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20세기 후반에 금이 차차 고갈되기 시작하자 점점 위축되어 폐광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관광 명소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하루에도 수백명이 들렀다 가는 대만의 대표 관광지이다 진과스 내에 있는 황금 박물관에는 220kg 의 금이 전시 되어 있는데 손을 넣어 직접 만져 볼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진과스에서는 과거 광부들이 먹었던 도시락을 그대로 만들어 판매하는 광부 도시락도 굉장히 인기가 많다

10-9 국립 성공대학

대만의 타이난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1931년에 개교하였다 2010년 QS대학순위에서 283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대만 대학중 2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총 9개의 캠퍼스로 이루어져 있어 굉장히 큰 면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만 교육청에서 인정한 9개의 주요대학 중 하나이고 대만 기업체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학이다 이공계열이 가장 뛰어나며 중문 역사 법학 경제학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10 시먼딩

타이베이시에 위치한 시먼딩은 한국의 명동과 같은 거리이다 대한민국의 명동에도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과 외국인이 많다고 알려져 있는데 시먼딩 또한 명동 못지않은 다양함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대만의 패션과 놀이 문화 음식 등을 한눈에 경험 할 수 있는 공간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7 -

10-11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

중정기념당은 타이완 총통 장제스(蔣介石)를 기리는 전당이다 lsquo중정rsquo은 장제스의 본명이다 그가 서거한 후 1980년 기념당을 세웠다 25만에 이르는 넓은 중정공원 안에 우뚝 선 높이 70m의 기념물이 중정기념당이다 기념당 1층에는 장제스 생애를 엿볼 수 있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거대한 장제스 동상은 항상 근위병이 동상 앞을 지키고 있다 중정공원 안에는 중정기념당 외에 국립 희극원과 국립 음악청이 있는데 이곳에서 연극과 콘서트를 한다 공원 조경 또한 잘 조성되어 있어 산책하며 천천히 둘러보기에 좋다

10-12 안핑지구(安平地區)

대만의 문화와 역사는 안핑지구에서 시작되었다 안핑구바오는 17세기 중엽 네덜란드인들이 지은 요새로 정성공이 빼앗아 번영하다가 황폐해져 지금은 보루의 대부분이 없어지고 설탕과 굴껍데기와 찹쌀가루를 버무려 만든 빨간벽돌로 된 장벽(臺灣城殘蹟)만이 남아 나무뿌리와 존립의 사투를 벌이고 있다 감시탑 옆 건물 안에는 네덜란드와 정성공의 전투에 대한 이야기와 중세갑옷 등이 전시 중이다 이 주변에는 대만에서 가장 오래된 상업거리 옌핑제(延平街)가 있는데 옛 명성이 다한 거리의 골목 사이사이 수백년 된 가옥을 구경하는 것도 소소한 즐거움이다 1867년 영국인 상점과 물류창고로 이용하던 건물에 노용수(老榕樹)가 멋대로 자라 건물을 집어삼키듯 뒤덮은 나무집으로 불리는 안핑수우도 안핑지구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진귀한 볼거리다

10-13 미라마 관람차

대만에서 가장 큰 관람차로 알려져 있는 미라마 관람차는 타이페이 시의 야경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관람차 크기가 큰 것으로 유명하지만 가격 또한 저렴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유스트래블 카드를 이용하면 50 할인이 적용되므로 꼭 지참하도록 하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8 -

lt미라마 관람차 티켓gt lt유스트래블 카드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9 -

11 시사점 및 차후 활용계획 (LGC 프로그램을 통한 구체적인 효과 및 연구결과)

11-1 LGC 프로젝트 만족도

구분 항목 전 후 한줄 평

사업단

프로젝트 취지- 린튼 글로벌 학과와 경영정보학과 학생들이 함께

하는 프로젝트 해외시장탐방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사전교육 활동- 출국 전 각 나라에 대한 유의사항 안전교육이 체

계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개략적인 보고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었다

행정지원 절차- CK사업단 린튼 글로벌 학과 경영정보학과 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히 되지 않아 사전 계획에서 많은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협동력 향상- 출발 전 잦은 팀 회의와 8박 9일 간에 일정에도

불구하고 불화 없이 좋은 분위기 속에서 프로젝트를 완수 했다

추진력 향상- 일정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 한 점 추가 자료조

사를 위해 현지에서 새로운 일정을 추가 됐을 때 팀원들이 일사불란하게 따라주었다

문제해결 능력- 교통편 문제와 기업 측 내부 문제로 일부 일정에

변동이 있었지만 신속한 조율과 전화 통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개인

동기부여 자극- 현지인들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국어 영어 능

력의 필요성을 실감했다 특히 중국어는 소통 유무에 따라 현지 반응이 극명하게 갈렸다

진로설계 도움- 프로젝트 전에 비해 새로운 직업 분야에 대한 관심

이 증가했다

취업능력 향상-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한 내용을 살려 구술 면접이

나 자기소개서 작성에 참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11-2 LGC프로젝트 연구 결과 - 대만 시장

⓵ 중국시장을 주목하는 대만 화장품 기업- EST팀은 현지 대만 화장품 기업으로 SISDORA와 WABFENIX를 선택했다 두 회사를 선정한 배경에는

명확한 의도를 두고 정했다 SISDORA는 설립한 지 10년이 넘는 회사로 직접 화장품을 개발 및 연구하고 판매하는 중소기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과 주름개선 크림으로 중년 여성을 타깃 층으로 하는 화장품 회사다 반면 WABFENIX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스타트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 이지만 기술개발 보다는 디자인 마케팅에 중점을 두었고 판매 층도 10대-20대의 젊은 층을 타깃 층으로 한다 시장 전략이 완연히 다른 두 기업이 유일하게 공통점이 있다면 중국시장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선정 이유에는 많은 인구의 소비력을 꼽지만 뒤이어 언급하는 이야기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자사 제품의 경쟁력 약화를 말한다 현재 대만 기업 대부분은 내수 시장 대신에 중국을 겨냥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국가 산업 특성상 제조amp연구 분야가 강세인 대만에서는 중국 바이어 또는 미국 유럽 바이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직접 판매 보다는 기술 협력을 통해 이익을 창출한다고 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0 -

⓶ 대만 시장을 점령한 한국 화장품

- 앞서 말했듯이 2012년 이후부터 급속히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한국 화장품은 대만 시장을 점령하고 있다 이미 시먼딩에 들어서면 다양한 한국 화장품 매장이 눈에 띌 만큼 들어섰으며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중앙 광장에 입점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매장 안에는 많은 대만 사람들이 화장품을 보고 있는 광경을 흔히 본다 화장품 매장을 이용하는 연령층은 주로 10대-20대들이다 화장품 가격이 한국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주 애용하는 이유는 한류 열풍으로 인한 한국 연예인들에 대한 관심과 화장법이 크게 유행하고 있음을 현지 설문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⓷ 체감할 수 있을 만큼 커다란 한류열풍

- 뉴스에서만 듣던 한류 이야기를 대만에서 직접 느낄 수 있을 정도로 한류열풍은 크다 특히 삼성이나 LG의 TV나 스마트폰은 어딜 가든 항상 보이고 한국 화장품 선물에 대한 반응이 무척이나 뜨겁다 원활한 현지 조사를 위하여 사은품으로 준비한 한국 마스크 팩 100개는 오히려 현지인들이 참여 의사를 표현할 만큼 열정적이었다 일부 대만 사람 중에는 어디서 왔냐는 질문에 한국이라는 답변을 하니 같이 사진 찍기를 제안하기도 했다

⓸ 중소기업에게 있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는 대만 시장진출- 대만 시장 진출에 앞서 한국 화장품 중소기업이라면 전략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크게 대만 시장을 겨냥

할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할지 선택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3CE는 한국 화장품 회사다 대만에서 젊은 연령층이 자주 이용하고 이미 대만 내에서는 유명하다 3CE는 오프라인 매장 없이 순수 온라인 매장으로 운영하면서 대만 사람들을 위한 전용 웹사이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윤을 창출 하고 있다 신중해야 할 점은 현재 온라인 오프라인 등 한국 화장품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신규 진입에 있어서 장벽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대만 시장을 활용한다면 동남아 시장까지 한 번에 내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출입통관 절차가 간단하고 관세가 낮기 때문에 중소기업에게 유리하다 아직까지 중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1 -

에 대한 직접적인 수출이 가능한 곳은 상해나 항주 같이 중국에서 허가한 무역항 도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내륙까지 시장을 확대하기는 불가능하지만 같은 언어권인 대만을 거치면 보다 쉽게 바이어나 에이전트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인맥을 통한 꽌시와 수수료 명목으로 뒷돈을 요구하는 중국 바이어의 관행은 자금 순환이 원활치 않은 중소기업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11-3 LGC 프로젝트 종합 의견 및 전망

우리 lsquoEST팀은 출국 전 국내 화장품 시장 조사를 할 때 대덕 밸리 스타트업 기업 셀아이콘 랩의 영향으로 대만의 화장품 산업에 대해 큰 관심과 가능성을 보고 2015년 1월 5일부터 1월 13일까지 8박9일이라는 시간동안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 나라 중에 하나인 대만에서 rsquo대만의 화장품 시장lsquo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사를 했다 대만에서는 3개의 기업 (KOTRA SISDORA WABFENIX) 을 방문해 전반적인 대만의 화장품 시장과 판매전략 한류에 대한 보다 사실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1개의 대학 (국립성공대학 國立成功大學)에서 MBA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또 타이난에서는 대만에서 오랫동안 사업하시는 한인협회 회장을 만나 PLC (Product Life Cycle)를 통해 대만에서의 특정 시장이 도입기에 있는지 또 어떠한 시장이 쇠퇴기에 놓여있는지 다양한 시야에서 대만시장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노력은 CK 사업단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교육부 CK-1 프로젝트의 일부인 Linton Global Challenge는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몇 년을 내다보는 지속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기업들과 더욱 더 활발한 교류와 연구를 한다면 기업과 CK 사업단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리라고 본다

1 개인 탐방 후기 (팀원 개인 소감)

1-1 개인 탐방 후기

강성민탐방 후기 기업 컨택 부터 인터뷰 일정 계획까지 8박 9일간의 대만 화장품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 출국 전까지 준비 과정부터 탈도 많았고 대만에 와서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 원하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매일이 항상 회의와 고민의 연속이었다 하루하루 충실히 계획을 진행시켜 나갔고 좋은 팀 분위기 속에서 무사히 대만 프로

부록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2 -

젝트를 완수했다 그리고 마침내 한국으로 돌아왔다 과정은 항상 오르막 길이였지만 돌이켜 보면 마지막 대학 시절을 기념할만한 좋은 추억이자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느끼는 바가 많았던 프로젝트로 기억 될 것이다

김은진탐방 후기 글로벌 챌린지를 한마디로 정의하라고 한다면 도종환 시인의 lsquo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lsquo라는 시가 떠오른다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대만기업컨택 설문조사 등 많은 것을 경험했다 처음엔 모든 것이 나에겐 버거운 산이라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도전이 계속 될수록 이젠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이 모든 도전들에 흥미가 생겼다 나 자신도 책임감과 자신감이 생기고 한층 성숙해 진 것을 내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소중한 동료와 추억은 평생 나의 가슴속에 남을 것이다 우린 앞으로도 많이 도전하고 경험하여 우리들의 삶이 활짝 만개하리라 다짐한다 끊임없이 도전하는 20대의 청춘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프로그램이었다 김종선탐방 후기 한국에서 준비하면서 조사했던 내용과 비교하며 인터뷰를 해보니 실제로 많이 다른 부분도 있었고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 비슷한 내용도 있었다 현지의 기업들을 방문해 우리가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직접 매장에 가서 느껴보니 앉아서 컴퓨터만 볼 때랑 많이 달랐다 그리고 직접 대만인들에게 설문조사를 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그리고 대만의 실제 문화와 환경 그들의 생활을 잠시나마 볼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

구명우탐방 후기 며칠간의 꿈만 같았던 대만에서의 시간이 지나갔다 대만으로 출국하기 전 사전조사 기간에는 확신이 없었다 사전조사와 기업과의 인터뷰 그리고 9일간의 일정조율 및 숙박과 모든 대만에서의 연구와 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보고서까지 무엇하나 확신이 드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도전과 해결능력을 배웠고 아시아에서 급성장 중인 대만에 대해서 배우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다음기수로 가게 될 관심 있는 학우들에게 진심으로 추천해주고 싶다

이규현탐방 후기 CK-1 프로그램 중 하나인 lsquo린튼 글로벌 챌린지lsquo 프로그램을 통해 약 8박 9일이라는 시간 동안 emerging market 중 하나인 대만에 거주하면서 한국 화장품의 대만시장 점유율과 진출 가능성을 몸으로 체감하고 자료들을 모아 통계 내어 정리할 수 있었다 우리 팀 lsquoEST가 성공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충분한 국내조사 기간을 갖고 대만의 화장품 회사들을 방문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대만의 특정한 기업을 찾기도 어려웠고 기업 컨택은 번번히 거절당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회사 두 군데에서는 답장조차 오지 않았고 설문조사할 때에는 반한감정의 대만인을 만나 고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팀의 단결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리더의 통솔력으로 정해진 스케줄대로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회사를 방문하고 학교교수를 만나고 길거리에서 설문조사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팀원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또한 대학생으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을 한 것 같아서 스스로도 너무 뿌듯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팀을 믿고 지지해주신 LGSB 교수님들과 CK-1 프로그램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영은탐방 후기 처음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렇게 준비는 열심히 하지만 정말 우리가 계획한 100대로 대만을 다녀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기우가 무색하게도 대만은 우리에게 기획안 그 이상의 것들을 보여주었다 사장님들의 생생한 사업 이야기와 대만의 색채가 묻어있는 아이템들 하며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여 알아보는 비즈니스 마켓의 현장은 나에게 두고두고 잊지 못할 자산으로 남았다 또한 펑리수 버블티를 비롯한 대만의 맛있는 먹거리들과 스린 야시장이나 지우펀 같은 명소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열심히 고생해준 팀원들과의 추억들도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3 -

이서우탐방 후기 이번 글로벌 첼린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서 쉽게 할 수 없는 해외 기업 탐방과 해당 국가의 산업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임효진탐방 후기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팀이 대만을 방문 한다고 했을 때 많이 의아해 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만을 직접 방문해보고 많은 사업자들을 만난 결과 대만은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라고 생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아직 공산주의라는 정치적 특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다른 곳보다 훨씬 어렵지만 대만은 자유시장체제 이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쉽다 특히 외국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만 시장에서 한국제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추고 중국 시장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성공가능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그리고 대만의 바이어들을 통해 중국의 시장진출을 하게 된다면 사업자가 직접 중국시장에 진출 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성공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만은 문화적으로 다른 아시아권보다 선진화 되었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대도시에 속하지만 모두다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골고루 섞여 대만만의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차안호탐방 후기 9박 10일간의 대만을 다녀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넓고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이번 대만 여행은 처음으로 경험한 해외여행 경험이여서 그런지 순탄치 않은 면도 있었지만 팀원들 서로가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만시장은 중국시장으로 가기위한 좋은 시험의 장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대만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영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더 나아가 미래에는 중국어야말로 영어와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성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또 하나 놀란 점은 대만이 반 한류 감정을 많이 갖고 있는 줄 알았지만 대부분의 대만 일반 시민들이 굉장히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에 놀랐고 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CK-1 사업의 챌린지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대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계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보완점 및 건의사항 (문제점개선책건의사항)

2-1 기업 컨택의 어려움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에 있는 기업과 연결하여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대해서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조사 및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시간을 내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로써 그들의 귀한시간이 아깝게 쓰이지 않을 것을 강조하여 만남을 만들어야 한다

2-2 사업단과 의사소통의 불편함

Challeng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CK-1 사업단과의 지속되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가령 누군가를 통해서 전해지는 소문이나 촉박한 시간을 제시하고 일 처리를 원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단과 각 팀의 대표간의 분명한 의사소통과 증빙자료 등이 필요하다

2-3 정보 부재 이번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이머징 마켓에서의 유망 산업 조사 및 연구였다 대만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9: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9 -

좋은 기회였다

3-5 기대효과

현지 시장조사 자료 획득 자사 시제품 반응결과 파악 사업단과의 지속적인 연계

3-6 사업단 측면 효과

학과 내 MIS-DAY 또는 관련 과목 강의에서 특강 해외탐방 동아리 개설 차기 CK프로젝트 멘토 활동 가능

1 팀 소개 (사진이름담당역할)1-1 팀 소개

EST팀 지도교수 및 멤버

강성민(25) - 조장전체 계획 수립 및 제안

김종선(25)국내 및 국제 시장 조사

차안호(25)프로젝트 연구 통계 분석

이서우(24)예산 수립 및 예산 관리

본문 내용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0 -

구명우(24)투어 일정 수립

김은진(22)

현지 시장 조사

임효진(24)

공고인터뷰일정 및 숙소 예약

이영은(22)

보고서 작성 및 프리젠테이션 제작

이규현(23)

사진 및 동영상 촬영 편집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1 -

2 대만 소개 (국가 기본정보한국과의 관계)

국호臺灣(Taiwan)

- 대만의 공식국호는 lsquo中華民國(Republic of China)rsquo - 국제 행사에서는 lsquoChinese Taipeirsquo 사용

위치 동남아시아

면적 36193(한반도의 16배 남한면적의 13배)

기후 아열대 몬순 기후권

수도 타이베이(Taipei 台北 서울의 약 12크기)

인구 약 2천 3백만 명

주요도시Taipei City(269만명) New Taipei City(390만명)

Kaohsiung City(277만명) Taichung City(265만명)Tainan City(187만명)

민족구성 민남인(74) 외성인(13) 객가인(15) 원주민(2)

언어 공용어(중국어)상용어(민남어 객가어 원주민어)

종교 불교(35) 도교(33) 기독교(26) 천주교(13) 회교(02) 등

건국일 191211(중화민국건국일)

정치형태 입헌민주공화국

국가원수총 통 마잉주(馬英九 Ma Ying-Jiou)

2012114 재선성공 2012520 취임식부총통 우둔이(吳敦義 Wu Den-yih)

GDP ㅇ2012년 US$ 4804억ㅇ2013년 US$ 4789억

2-1 대만 소개

국가 개요

경제 지표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2 -

ㅇ20141~6월년 US$ 2433억

경제성장률ㅇ2012년 148ㅇ2013년 219ㅇ2014년 2분기 384

1인당 GDP ㅇ2011년 US$ 20246ㅇ2012년 US$ 20502ㅇ2013년 US$ 20984

실업률ㅇ2012년 424ㅇ2013년 418ㅇ2014년 2분기 397

물가상승률ㅇ2012년 193ㅇ2013년 079ㅇ2014년 2분기 121

외환보유고ㅇ2012년 US$ 3942억ㅇ2013년 US$ 4168억ㅇ20146월 US$ 4235억

산업구조 제조업(233) 도소매업(181) 부동산업(85) 금융보험업(65) 농업(187)

교역규모ㅇ2012년US$ 3012억(수출) US$ 2705억(수입) 무역수지US$ 307억ㅇ2013년US$ 3055억(수출) US$ 2701억(수입) 무역수지 US$ 354억ㅇ20141~6월US$ 1534억(수출) US$ 1372억(수입) 무역수지 US$ 162억

주요교역품 ㅇ수출 전자제품 기본 금속 제품 플라스틱 및 고무 제품 광학기기 화학품ㅇ수입 광물 전자제품 화학품 기계 기본 금속 제품

환율ㅇ2012년 US$ 1=NT$ 2962ㅇ2013년 US$ 1=NT$ 2977ㅇ2014 6월 US$ 1=NT$ 3004

화폐단위 New Taiwan Dollar(NT$)

외교 관계

ㅇ 1948 8월 대만정부 대한민국 정식 승인ㅇ 1949 8월 주타이베이 한국대사관 개설ㅇ 1992 8월 한국-대만 단교ㅇ 1993 11월 주타이베이 한국대표부 개설ㅇ 1994 1월 주한 타이베이대표부 개설

교역 규모 ㅇ 2011년

한국-대만 외교 관계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3 -

(한국 기준)

- 수출 US$182억 수입 US$1469억 무역수지 US$35억ㅇ 2012년 - 수출 US$148억 수입 US$140억 무역수지 US$8억ㅇ 2013년 - 수출 US$157억 수입 US$146억 무역수지 US$107억ㅇ 20141~6월 - 수출 US$75억 수입 US$75억 무역수지 US$04억

주요교역 품목ㅇ 수출 반도체 기초유분 철강판 석유화학 중간원료 컴퓨터 정밀화학원료 반

도체 제조용 장비 광학기기 석유제품 선박 등ㅇ 수입 반도체 컴퓨터 기구부품 철강판 무선통신기기 기타 중전기기 평판디

스플레이 및 센서 기타 석유화학제품 플라스틱 제품 정밀화학원료 등

상호 투자

ㅇ 우리나라의 對대만 투자 - 2010년 43건 US$1400만 2011년 42건 US$4700만 - 2012년 38건 US$950만 2013년 26건 US$1700만 - 1968~2013년 624건 US$ 5억 6300만ㅇ 대만의 對한국 투자 - 2010년 5건 US$340만 2011년 7건 US$2800만 - 2012년 9건 US$2100만 2013년 14건 US$6100만 - 1962~2013년 181건 US$ 6억 1200만

교민 총 교민수 약 3천 4백여명

양국 간 교역 동향

수출입 동향

Ÿ 한국과 대만은 주요 수출입 품목이 반도체 철강 컴퓨터 화학원료 등으로 중복되는 경향이 강하며 상호비교우위 품목을 위주로 교역이 이뤄지고 있음

Ÿ 전년도 수출 급감에 따른 기저효과 스마트기기 및 테블릿 산업의 성장과 이에 따른 부품 수요 증가 한류영향 품목의 수출 확대 등으로 인하여 2013년도 한국의 對대만 수출은 전년대비 6 늘어났으며 수입 역시 44의 증가세를 보임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4 -

구분2012년 2013년 2014년 1~6월

금액 증감 금액 증감 금액 증감

총계 2882 -124 3033 52 1502 -328

수출 1481 -186 1570 60 753 -726

수입 1401 -46 1463 44 749 135

수지 8 -771 10 25 04 -945

순위 품 목2012년 2013년 2014년

1~6월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1 반도체 3578 -342 3742 46 2169 1572 석유제품 2239 -29 2810 255 953 -3563 기초유분 1381 198 1314 -48 531 -2084 정밀화학원료 406 -426 477 176 272 1835 석유화학중간원료 532 -376 586 101 220 -516 반도체제조용장비 311 -222 344 107 195 -107 자동차부품 239 209 168 -298 159 8728 광학기기 238 -248 283 188 151 969 기구부품 217 111 375 727 147 -28210 플라스틱 제품 250 -124 286 147 142 16

lt 한국-대만 수출입 동향gt (단위 억 달러 )

자료원 한국 관세청

lt한국의 對대만 10대 수출 품목gt (단위 백만 달러 )

주 MTI 3분류 2013년 수출액순 자료원 한국 관세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5 -

순위 품 목 2012년 2013년 2014년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1 반도체 8114 117 8874 94 4438 -102 기구부품 757 124 867 146 341 -2343 철강판 420 -312 398 -52 181 -1474 컴퓨터 616 -570 356 -422 171 -635 기타석유화학제품 227 -103 199 -125 143 9856 플라스틱 제품 324 229 288 -111 136 -1057 동제품 156 46 194 245 125 2108 합성수지 159 -19 172 81 108 2739 평판디스플레이및센서 133 -215 138 35 106 29110 기초유분 155 -250 132 -143 98 425

lt한국의 對대만 10대 수입 품목gt (단위 백만 달러 )

주 MTI 3 분류 2013년 수입액 순 자료원 한국 관세청

양국 간 상호 투자현황

대만의 對 한국 투자현황lt대만의 對韓 투자동향gt

(단위 건 백만 달러)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1~6월 누계(62~2014)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5 34 7 280 9 21 14 61 3 3 184 615

자료원 대만 경제부 투자심의위원회 신고 기준

Ÿ 대만기업의 對韓 투자는 10~20만 달러 규모의 판매법인 설립이 대부분이며 대규모 그린필드형 투자는 중국 및 동남아지역에 RampD형 투자는 미국과 일본에 집중되고 있음thorn 대만기업의 對韓 투자는 지난 5년간 연평균 25천만 달러에 불과

Ÿ 또한 중국 투자환경 악화로 동남아 등지의 신흥시장으로의 제조기반 이동에 대한 투자가 늘고 있으며 유턴투자도 증가

Ÿ 한편 주요 산업분야에서 대만은 한국과 경쟁적 보완관계이며 일본과는 보완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음thorn 특히 한 대만간 반도체 디스플레이 기업간 경쟁이 심해지면서 대만 IT업계를 중심으로 lsquo聯日抗韓(일본

과 연합하여 한국을 견제하자)는 주장이 제기되는 등 대만기업의 일본 편중현상은 심화되고 있음Ÿ 지금까지 대만의 대표적인 對韓 투자사례로는 2007년 IC디자인 기업인 SIMO의 FCI 인수(8800만 달러)

2010년 대만의 최대 철강회사 CSC의 동부메탈 지분인수(4200만 달러) 2010년 IC 테스팅 업체 Ardentec 웨이퍼 테스팅 공장 설립(4000만 달러) 2012년 6월 반도체 패키징 업체인 ASE의 라인증설(8000만 달러) 등이 있음

Ÿ 최근에는 금융권을 중심으로 한국기업에 대한 MampA SI 투자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어 주목받고 있음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6 -

thorn 2013년에는 대만의 1위 증권사 위안타가 한국의 동양증권 인수를 발표 양국의 금융감독기관 허가를 받아 2014년 연내 합병 추진 중(25억 달러)

thorn 또한 다국적 제약회사 Alvogen은 대만 LOTUS를 인수 동아시아 HQ로 삼고 한국 제약회사(드림파머) 인수를 추진 중

우리나라의 對 대만 투자현황

lt한국의 對대만 투자동향gt (단위 건 백만 달러)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1~3월 누계(lsquo68~lsquo14)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43 13 44 47 38 9 34 68 15 5 646 617

자료원 한국수출입은행 신고 기준

Ÿ 제조업 분야에서의 對대만 투자는 시장개척 및 고객사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임

Ÿ 우리기업의 대표적 투자 사례로는 2005년 LCD 장비 업체 PKL사의 LCD용 포토마스크 공장설립(4000만 달러) 2007년 게임업체 넥슨의 감마니아 지분인수(2100만 달러) 등이 있음

Ÿ 2011년 4월 미래에셋(Mirae Asset Global Investments)은 타이완라이프자산운용에 약 1000만 달러를 투자 자산운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Ÿ 2014년에는 PCB 기판 업체 달마전자가 가오슝에 공장을 설립 9월 준공식을 앞두고 있음

3 탐방 목적 (주요 목표부가 목표기대 효과)3-1 탐방 목적

주요 목표 1 대덕밸리 스타트업기업 (주)셀아이콘랩의 대만진출 가능성 탐색 2 대만 소비자들의 기능성 화장품 인식 조사 3 대만화장품시장의 유통경로 조사

기대 효과기업측면 기대 효과

⓵ 현지 시장조사 자료 획득⓶ 자사 시제품 반응결과 파악⓷ 사업단과의 지속적인 연계

사업단측면 기대 효과⓵ CK 사업 목표 또는 취지에 부합(CK ndash University for Creative Korea)⓶ 새롭게 출발하는 lsquo글로벌IT경영학과rsquo의 홍보전략으로 활용 가능

학생측면 기대 효과

⓵ EST팀 특강 ndash 학과 내 MIS Day 혹은 관련 과목 강의에서 특강⓶ 해외 탐구 동아리 개설⓷ CK 멘토와 후원 활동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7 -

4 사전조사 활동 (셀아이콘랩)

4-1 기능성 화장품 연구amp제조 기업 lsquo셀아이콘랩rsquo 기업 인터뷰

회사 소개

회사명 셀아이콘랩주소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대로 1646 한남대학교 사이언스파크 312호 대표자명 성민규 대표 사업분야 코스메슈티컬 펩타이드 소재개발 피부 전문가용 코스메슈티컬 화장품 OEMODM 주문 생산 방식

인터뷰 내용 1) 셀아이콘랩 2014년도에 많은 해외 박람회에 참여하고 있는데 해외시장 진출 의사가 있으신가요= 저희 회사의 사업화 로드맵을 보시면 2014년에 해외영업 마케팅 판매가 계획되어 있고 올해 들어 중국 러시아 카자흐스탄 말레이시아 등 여러 나라를 방문하여 박람회에 참가하고 실질적으로 상품을 판매하고 반응을 살피고 있습니다

2) 그렇다면 대만 화장품 시장 진출에 대해 고려해본 적은 있으신가요 만약 진출을 고려해보았다면 대만의 화장품시장에서 원하는 자료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대만시장을 접할 기회가 부족했을 뿐 내년에 대만 시장진출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셀아이콘랩은 현재 거래중인 중국 카자흐스탄 등지의 국가들에서 더 나아가 대만이나 홍콩과 같은 중화권 시장의 가능성을 느끼고 해당나라에 진출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요구사항 대만의 수출수입 인허가 절차 관세 세금 시장가격 형성 요인 화장품 유통 채널 구매경로 트렌드 또한 대만 시장에 뷰티샾(우리나라의 올리브 영)같은 종합 매장이 형성과정 실질적인 구매력을 알아보기 위한 대학 졸업생의 평균 초봉 등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8 -

5 화장품 산업 및 환경 분석 (연구자료 첨부)

구분 2011 2012 2013(1월 ~ 11월)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및 성장률 19427798 42 19421349 00 191454345 08

5-1 화장품 시장 동향

시장규모 및 전망thorn 대만의 약품 및 화장품 시장규모는 2013년 기준 1914억 달러로 2012년 대비 008 증가

최근 3년간 대만 약품 및 화장품 시장규모 및 성장률 (단위 천 달러)

자료원 대만경제부 통계처

시장전망thorn 수요 감소 예상 요인 대만 화장품시장은 다양한 국산 수입제품들이 오랜 시간 경쟁하는 포화된 시장thorn 종합의견 다수 유명 외국 브랜드(예 SHISEIDO KOSE 등)는 대만에 공장을 설립해 국산 브랜드와

경쟁하고 있으며 대만 정부의 각종 규제가 엄격하고 많아 허가 관련 등록서류 및 비용으로 인한 진입 장벽이 큼

소비자 구매 패턴thorn 주요 소비자 계층 14~55세 등 다양thorn 소비자 구매 동기 귀엽고 여성스러운 디자인 미백 보습 등과 같은 눈으로 확인 가능한 기능성 민감

성 피부에 바로 사용 가능한 화장품을 선호하는 추세

제품 트렌드thorn 대만 시장에서 국산 브랜드보다 수입 브랜드의 인기가 더 높으며 그중 일본 브랜드가 장시간 많은 인

기를 유지하여 왔음thorn 최근 한국 드라마에서 스타들이 연출하는 화장법 또는 유명 스타가 광고하는 한국 화장품이 큰 인기

를 얻고 있으며 한류 열풍으로 대만에서 수입 화장품 판매량이 늘어나면서 국산 화장품의 신제품 개발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

thorn 피부과 및 의학미용센터에서 다양한 시술(보톡스 반점 제거 여드름 크리닉 모공축소 레이저 비지 제거 등)을 받아 꾸준히 피부관리를 받고 다니는 여성들이 많아지는 추세에 따라 기능성을 강조하는 의학미용(aesthetic medicine) 화장품 혹은 시술 받고 나서도 바로 사용 가능한 기초화장품(무자극 보습효과 강조)이 유행하기 시작함

해당 산업 관련 정부 정책thorn GMP 정책 글로벌 추세에 따라 대만 화장품의 품질middot제조 수준 및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대만 경

제부공업국과 대만 위생서는 2008년 9월 4일부터 lsquo자발성 화장품 우량제조규범 검증제도(自願性化妝品優良製造規範驗證制度)rsquo를 실시한다고 발표함 약품 의료기기 식품을 이어 화장품이 네 번째로 GMP검증을 받는 산업이 되었음 ISO 22716 규범으로 주요 참고 근거로 보고 있음 동시에 화장품 GMP 추진 플랫폼을 설립하고 기업 문의에 대한 상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9 -

구분 2011 2012 2013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및 성장률 614293 1192 600356 -227 557784 -085

순위 국가 금액 점유율 증감율2011 2012 2013 2011 2012 2013 1312

총계 614293 600356 557784 100 100 100 -0851 일본 248980 237052 199987 40531 39485 35854 -113212 프랑스 116031 111983 110509 18888 18653 19812 45333 미국 89984 96689 89924 14648 16105 16122 -03914 한국 29779 29329 36746 4848 4885 6588 386345 중국 23444 30114 30138 3816 5016 5403 99486 영국 15895 14619 14482 259 2435 2596 29227 독일 16799 14327 14159 274 2386 2538 96758 스위스 13631 12401 11151 222 2066 1999 -5329 태국 9929 9214 8943 162 1535 1603 533310 이탈리아 12312 8853 8632 2 1475 1548 7727

5-2 수입동향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동향 (단위 천 달러 )

주 대만 국제무역국

최근 3년간 상위 10개국의 수입통계

주요 수입국 현황(HS Code 330499 기준) (단위 천 달러 )

자료원 대만 경제부 국제무역국 중화민국수출입무역통계(httpcus93tradegovtwFSCI)

수입관세 및 관련 제도thorn 관세 0thorn 통관 시 유의사항 대만에서 화장품은 의료용 또는 약품을 함유하지 않은 lsquo일반화장품rsquo과 lsquo함약화장

품rsquo 등 세 종류로 나눠져 있음 함약화장품의 경우 통관 시 대만 위생서에서 발행한 위생허가증을 제시해야 함

thorn 필수 인증 현황 함약화장품(예 염색제 파마제 자외선차단제 땀 억제제 치아미백제 등)은 대만 위생서 허가를 받아야 수입 및 제조판매를 할 수 있음 허가 신청 시 제품명 성분 제조업체명 제조업체주소 해외 수입업체명 수입업체주소 제품 전성분 용량 용도 사용법 유효기간 샘플 Certificate of Analysis Certificate of Sales SPF ampUVA 검사보고서 등이 필요함(세부사항은 대만 위생서 홈페이지 참조바람)

5-3 유통구조

유통채널 종류thorn 오프라인 백화점 H ampB(Watsons Cosmed SaSa 등) 방문판매 약국 각종 마트 편의점 피부과

피부관리센터 전문판매점(로드숍)thorn 온라인(여기는 virtual channel을 뜻함) 홈쇼핑 온라인 쇼핑몰(경매 브랜드 홈페이지 등 포함) 우편

주문(郵購) 등이 있음

유통채널 점유율 오프라인 유통채널의 점유율은 여전히 70~90 정도로 높게 차지하고 있으나 온라인 유통채널의 점유율도 빠른 속도로 상승하고 있음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0 -

브랜드명 제품명 가격 판매순위

SHISEIDO 100 1

SKII 133 2

ESTEE LAUDER 100 3

항목 내용전시회명(현지어명) 2014春夏國際美容化妝品展전시회명(한국어) 2014 춘하 국제미용화장품 전시회

전시품목 미용 화장품개최국가도시 타이베이

유통채널 활용 방안 아직까지 온라인 채널의 점유율이 높지 않으나 대만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블로그 등)에 영향을 많이 받는 편이어서 오프라인 채널에 진입하기 전에 온라인으로 먼저 마케팅(브랜드 이미지메이킹 블로거 마케팅 등)을 진행하는 방법을 추천함 대만 오프라인 채널의 진입장벽은 매우 높으며 비교적으로 이윤이 많이 남는 온라인시장에서 브랜드 파워를 먼저 키우면 오프라인 채널에 들어가는 길이 훨씬 수월해질 것으로 예상함

5-4 경쟁동향

경쟁제품 현황주요 경쟁제품 현황

(단위 달러)

한국 제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 및 선호 브랜드 현황thorn 한국 제품 현지 인지도 높음thorn 선호 브랜드 3CE INNISFREE NUTURE PUBLIC MISSHA THE FACE SHOP LANEIGE 등

5-5 효과적인 시장 진출 전략

타깃 고객층thorn 타깃 고객층 20~30대 초반thorn 타깃 사유 유행에 따라 새로운 것을 많이 도전하고 한류의 영향도 가장 많이 받는 젊은 층이 한국

화장품을 소비하는 경우가 많음 35세 이후의 직장 여성 혹은 가정주부들은 여전히 일본 혹은 유럽 미국의 고가 화장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활용 가능한 마케팅 방안 ⓵ 현지 전시회 정보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1 -

개최주기 3월경개최기간(2014년) 0321~0325

웹사이트 httpwwwudnicecom

⓶ 전시회 이외의 주요 마케팅 방안 블로거 마케팅 등 ⓷ 유력 홍보 방안(전문잡지 온라인 매체 등)

thorn 온라인 매체 Fashion guide(httpwwwfashio guidecomtw) UrCosme(httpwwwurcosmecom)

thorn 전문잡지 VIVI BEAUTY 大美人 Style W Marie laire Fashion Guide 등

시장 확대를 위한 무역관 의견 대만 화장품시장은 가격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 시장 진입 시 확실한 브랜드 포지션을 정해야 하며 해당 포지션의 대만 제품 가격을 조사한 후에 대만 최종 소비가격을 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

또한 소비자들은 할인세트 및 사은품에 약하여 각종 행사 진행 시 사은품 증정 혹은 묶음세트로 판매하는 것을 추천 보습(특히 히알루론산 성분 강조) 및 미백(대만 정부에서 인증된 미백성분이어야 함) 제품을 매우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6 탐방 상세 일정 (일정표 - 기간 지역)

날짜 지역105(월) 인천 ~ 대만 타이페이

시간 일정0600 인천공항 도착

0600 ~ 0920 인천공항 대기0920 ~ 1140 인천공항 rarr 대만 1140 ~ 1230 대만 입국 수속1230 ~ 1320 숙소 이동 (용산사 역)1320 ~ 1500 짐정리1500 ~ 1600 회의 및 일정정리1600 ~ 163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630 ~ 1800 KOTRA방문 및 인터뷰1800 ~ 1830 101타워 딘 타이 펑 이동(도보)1830 ~ 1910 저녁식사 - 딘 타이 펑1930 ~ 2100 101 타워 야경감상2100 ~ 2130 숙소로 이동2130 ~ 223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6(화) 타이페이

시간 일정0900 기상

0900 ~ 110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30 ~ 1230 점심식사 - 마라훠거1230 ~ 1300 SISDORA 본사로 이동

6-1 8박 9일 대만 일정 (150105 ~ 150113)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2 -

1300 ~ 1530 SISDORA 방문 및 인터뷰1600 ~ 1800 101타워 퍼스널 트레이닝 센터 방문1800 ~ 1930 저녁식사 - 카렌 레스토랑1930 ~ 2000 숙소로 이동2000 ~ 2100 개인 휴식2100 ~ 223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7(수) 타이페이

시간 일정0900 기상

0900 ~ 113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30 ~ 120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200 ~ 1250 점심식사 - 키키 레스토랑1250 ~ 1300 시먼딩 이동1300 ~ 1530 화장품 설문조사1530 ~ 1830 한국 화장품 매장 제품 조사1830 ~ 1900 야시장 이동(MRT)1900 ~ 2000 저녁식사 ndash 야시장 음식2000 ~ 2030 숙소로 이동2030 ~ 2130 개인 휴식2130 ~ 230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30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8(목) 타이페이 ~ 타이난

시간 일정0830 기상

0830 ~ 110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00 ~ 1200 체크아웃 및 고속철도역 이동1200 ~ 1340 타이페이 rarr 타이난 이동1340 ~ 1400 짐 보관 및 인터뷰 장소 물색1400 ~ 1600 가오슝 한인협회장 인터뷰1600 ~ 1700 숙소도착 및 짐정리1700 ~ 1800 개인 휴식1800 ~ 1900 저녁식사 - 새우롤2000 ~ 2230 중간 정리 및 보고서 작성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9(금) 타이난

시간 일정0800 기상

0830 ~ 0900 아침 식사0900 ~ 1130 타이난 일정 브리핑 및 팀 미팅1130 ~ 1210 타이난 시내로 이동(TAXI)1210 ~ 1320 점심식사 - 스시1320 ~ 1350 성공대학 이동(도보)1350 ~ 1700 성공대학 방문1700 ~ 1800 성공대학 캠퍼스 탐방 및 대학원생들과 대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3 -

1800 ~ 1830 저녁식사 - 대만 전통 음식점1830 ~ 1900 타이난 RT마트 이동(도보)1900 ~ 2030 RT 마트 장보기2030 ~ 2100 숙소로 이동2100 ~ 2200 개인 휴식2200 ~ 2330 팀 회의 및 예산 정리

23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12(월) 타이페이

시간 일정0800 기상

0800 ~ 0900 아침식사(호텔 조식 제공-선택)0900 ~ 1130 호텔 개인시간1130 ~ 123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230 ~ 130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300 ~ 1600 Wabfenix 방문 및 인터뷰1600 ~ 1630 간식 - 망고차차1630 ~ 1700 시먼딩 이동(MRT)1700 ~ 1830 화장품 설문조사 활동1830 ~ 1930 저녁 식사 - 코코이찌방야2030 ~ 2130 개인 휴식2130 ~ 2300 팀 회의 및 예산 정리

230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13(화) 대만 ~ 인천공항

시간 일정0800 기상

0800 ~ 0900 아침 식사0900 ~ 1130 짐정리1130 ~ 1200 체크아웃1300 ~ 1400 점심식사 - 스시(시먼딩)1400 ~ 1430 쑹산 공항 이동(TAXI)1430 ~ 1530 시먼딩 rarr 쑹산공항1530 ~ 1730 출국 대기1730 ~ 2100 대만 출국 rarr 대한민국

2100 대한민국 입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4 -

7 방문 기업 소개 (인터뷰 내용)

7-1 대만 KOTRA

-2015년 1월 5일 월요일 1630~1800 인터뷰-위치 台北市 基隆路 1段 333號 22樓 14室(2214室) Intl Trade Building 22층-전화 (886-2)2725-2324 -팩스(886-2) 2757-7240

Q대만에 대하여 간단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우선 대만은 남한의 13의 해당하는 영토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구역시 남한에 비해 적은 2천 3백만 명 정도이며 기후는 아열대 몬순 기후권으로 비교적 따듯한 날씨입니다여러분이 대만에 와보셔서 알겠지만 대체로 습한느낌을 받으셨을 탠대 대만은 겨울에도 남한만큼은 춥지 않습니다 언어는 주로 중국어를 사용하며 문자는 중국과 살짝 다른 번자체를 사용합니다1인당 GDP는 2013년 기준 20984 달러 정도이며 산업구조는 제조업과 도소매업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Q현재 우리나라의 어떤 기업들이 대만에 진출해 있는지 궁금합니다

A최근에는 화장품을 주력 제품으로 아모레퍼시픽등 화장품 대기업들이 타이페이 시내에 로드샵을 많이 개점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대만은 제조업과 도소매업이 주를 이루다 보니 20~30년 전부터 진출한 기업들이 계속해서 입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주로 삼성물산 현대종합상사 LG상사 LG전자등 대기업이 주를 이루고 있고 우리나라 기업은 1년에 한 기업정도 대만에 진출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Q그렇다면 대기업을 제외한 중소기업들이 대만시장에 진출하지 않는 이유가 따로 있습니까

A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아무래도 중국시장이 개방을 하면서 인 것 같습니다 기존에 진출해있는 기업들은 과거 대만이 인프라 구축이 미흡했을 당시 해외투자를 많이 받으면서 비교적 좋은 조건으로 대만에 진출하고 인프라 구축등 사업을 진행하면서 기반을 다졌을 겁니다 그 기반으로 지금까지 대만시장에 진출해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중소기업의 경우는 해외투자가 너무 모험적이며 대만 시장과 중국의 시장을 비교하여 봤을 때 인구가 차이가 약 8배 정도 나며 중국에 비해 비교적 작은 시장이라고 느껴 대만보다는 중국에 많이 진출하는 것 같습니다

Q마지막 질문으로 만약 우리나라 중소기업이 대만시장에 진출할 때 유의해야 할 점이나 좋은 팁이 있을까요

A대만 시장에 완전히 진출해야겠다는 생각보다는 중국이나 다른 중화권 나라의 진출하기전 시험의 장소로 생각하고 진출해보는 것은 나쁘지 않다 생각 합니다 아무래도 대만의 인구가 많은 편이 아니다보니 불리한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5 -

조건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이나 다른 큰 중화권 시장으로 진출하기 전에 언어나 문화 중화권사람들의 사고방식등 여러방면에서 시험해 볼 수 있는 좋은 장소는 틀림없습니다 중소기업이 대만시장에 진출할 때는 코트라를 이용하여 각종 정보나 현지 인프라등을 이용하는 것 또한 하나의 방법이며 무엇보다 중화권의 문화와 중화권 대중들의 생각을 잘 공부하고 언어를 습득하여 오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7-2 SISDORA luxury beauty care

-1월 6일 화요일 1300~1530 인터뷰 1600~1800 101타워 퍼스널트레이닝 센터-주소 No9Aly 10Ln265Sec 4Xinyi RdDaan Dist Taipei City 106-대표 Mr Chung-Cheng Lee -전화886-2-27040889-URL httpwwwsisdoracom

Q 간략한 회사 소개와 SISDORA의 유래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A Isadora는 고대 이집트의 가장 강력한 여신의 이름입니다 Sisdora는 이 여신의 이름을 따서 만든 브랜드 이름입니다 이집트의 고대 여신인 Isadora의 이시스는 선물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고 생명과 건강 아름다움을 담당하는 여신으로도 유명합니다 저희 SISDORA는 비슷한 동음 이의어로 동양의lsquoISIS(이시스)rsquo라는 단어가 있어 브랜드 명을 SISDORA로 정하게 되었습니다Q Sisdora 제품 소개 부탁드립니다

A저희 제품은 안티에이징 미백 마스크 제품을 주력으로 하고 있습니다 동일 제품군을 비교해 봤을 때 가격 및 품질은 상위에 속하는 최상품의 제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마스크 팩 대부분은 종이섬유로 제조하는 반면 저희 Sisdora는 누에의 실(실크)로 만든 마스크 팩 입니다 실크마스크 팩을 제조할 때에는 피부 건강에 좋은 약재 및 약초등을 배합하여 제조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피부에 자극적인 향로를 첨가하지 않았고 수분이 빠르게 흡수 될 수 있습니다 덕분에 저희 마스크 팩을 사용하는 고객들은 부드럽고 산뜻한 느낌을 받으실 수 있을 겁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6 -

Q 귀하의 회사는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어떤 마케팅을 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A 저희는 해마다 대만 타이페이 글로벌 미스코리아 대회에 제품을 협찬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대만 유명 가수들과 함께 제품을 결합시킨 뮤직비디오를 제작하여 마케팅에 힘쓰고 있습니다뿐만 아니라 제품의 품질인증을 바탕으로 러시아 중국 동남아 지역에 진출하는대 힘쓰고 있습니다 저희 제품은 대만 내에서 스킨케어 제품으로써 유일하게 지정 브랜드 수상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저희는 주로 매스컴이나 인터넷을 통한 마케팅이나 엔터테이먼트 컨벤션 산업을 활용하여 마케팅을 하고 있습니다

Q 그렇다면 대한민국의 화장품 제품이 대만에 진출해 있는데 대한민국 화장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는 어떤지 궁금합니다

A 최근 5년 사이에 한국의 드라마 음악등 한류를 타고 대만에도 많은 한국 제품이 등장하였습니다 하지만 대만에는 오래전부터 수입화장품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이탈리아의 산타 마리아 노벨라 프랑스의 아이젠버그등 명품 화장품 브랜드가 오래전부터 입점해 현지 화장품시장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 때문인지 한국 화장품의 인지도는 크게 높지는 않습니다 아무래도 유럽 브랜드 그 다음으로 대만 기업의 브랜드 그 다음으로 한국의 화장품 브랜드 순으로 인지도가 형성되어 있다고 생각됩니다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한국화장품은 다른 명품 화장품들의 가격보다 저렴하고 성능이나 효과 면에서 절대 뒤처지지 않아 한류가 지속되고 마케팅이 잘 이루어진다면 충분히 유럽의 명품화장품의 인지도를 뛰어 넘을 수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Q 한국의 중소기업의 화장품이 대만 시장에 진출하는 것에 대해서는 어떤 의견을 갖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A 한국의 대기업 화장품 브랜드가 아닌 중소기업의 화장품 브랜드가 대만에 진출하는 것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겁니다 하지만 저희 회사도 중소기업으로 시작하여 마케팅 전략을 잘 활용 하여 많이 성장하였습니다 아무래도 한국의 중소기업의 화장품이 대만에 진출하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있겠지만 어떤 마케팅 전략을 선택하느냐가 가장 중요하고 마케팅이 잘 이루어지고 입소문이 퍼진다면 한국의 중소기업 화장품 또한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7 -

7-3 가오슝 한인협회

-1월 8일 목요일 1400~1600 인터뷰-주소 高雄市鼓山區二路37巷弄43-2號(고웅시고산구이로37항81롱43-2호)-대표 尹桓鎬(윤환호) HP 0932-740-538 -電話 07-5211933 -傅眞 07-5214031

Q 대만과 한국과의 무역 관계가 어떠한지 궁금합니다

A 한국과 대만과의 무역은 크게 활발하게 이루어 질 수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대만의 시장 자체가 매우 작기 때문에 대만에 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국내 시장이나 다른 큰 해외 시장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대만 시장을 거쳐서 동남아나 중국 시장으로 진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여서 기존에 존재하는 대기업이나 저처럼 오래 전부터 이민한 분들이 소규모로 중개무역을 하고 있는 정도입니다

Q 현재 한인협회 회장님께서 직접적으로 하는 일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현재 저는 한국의 화장품을 수입하여 대만 현지 기업에게 판매하는 중개무역을 하고 있습니다 대만에 온지 20년이 넘었는데 이런 저런 일을 하다가 기회가 되어 이쪽 일을 하게 되었는데요 처음에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인식이 없어 가격은 비싸고 품질의 보증은 되어 있지 않은 제품이라 소비가 크게 늘지 않았는데 한류 열풍이 불고 한국 드라마의 성공과 그 배우들이 광고하는 화장품의 수요가 크게 늘어 몇 년 전부터 시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Q 한국과 대만과 중국의 관계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해 주세요

A 앞서 말씀 드린 것 같이 한국의 기업은 대만을 통하여 중국 시장의 진출을 위하여 대만 시장을 많이 찾습니다 그 이유는 한국 기업이 대만 시장을 통해서 제품을 인정받는다면 대만과 중국은 같은 언어권의 나라로 대만기업을 통해 중국으로의 활로를 개척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왜 이렇게 돌아서 진출을 하려고 물으셨는데 그것은 쉽게 말해서 말이 잘 통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의 중국어를 잘 구사하는 사람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보다는 대만의 사람이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주고 인정을 해준다면 더욱 쉽게 자리를 잡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8 -

Q 스타트 기업의 대만 진출 성공여부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중소기업이 대만에 들어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현재 한국 내에서의 위치를 높이는데 주력하는 것이 좀 더 낫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대만은 아주 뛰어난 기술력을 가지고 있지만 자체 제품을 생산하지 않습니다 예로 Apple에서 전체 아이디어를 미국에서 한다면 그 아이디어 실행은 대만에서 이루어집니다 그리고 제품의 생산은 대부분 중국에서 이루어 지구요 이렇듯 대만의 기술력과 제품에 대한 이해가 빠르기 때문에 수입을 많이 의존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중소기업이 들어와서 제품을 판매한다 쉽게 성공할 수 없죠

Q 회장님께서는 중국과의 중개무역은 생각하고 있으시지 않습니까

A 네 저는 지금의 생활에 만족하고 있습니다 지금 저의 파트너들과의 관계도 좋고 따로 중국 진출은 생각하고 있지 않습니다 만약에 제가 중국을 진출하게 된다면 현재의 기업들과도 경쟁상대가 되어 저는 생각이 없습니다

7-4 국립성공대학(國立成功大學)

-1월 9일 1350~1700 인터뷰-주소 701 臺南市東區大學路1號-연락처06-2757575 -홈페이지 wwwnckuedutw

대만 국립 성공대학은 931년 타이난에 설립된 이공계 명문 대학입니다 국립성공대학은 66개의 캠퍼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각 캠퍼스마다 특징과 분위기가 다릅니다 우리 국립성공대학은 ldquo북대대 남성공(北臺大 南成功)rdquo 이라는 말이 있듯이 역사는 대만대학의 바로 다음갑니다

국립성공대학의 이름의 의미는 성공은 무엇을 성취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대만의 민족영웅인 정성공(鄣成功)을 기념하기 위한 대학이라는 뜻입니다 성공대학은 정성공이 있던 역사명승 적감루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해 있기도 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9 -

이후 인터뷰로 대만의 소개와 간단한 전공 소개가 있었다

7-5 WABFENIX RENIX GLORY GLORIA GUA

-1월 12일 월요일 1300~1500 인터뷰-주소 14F-1 No420 Sec 4 Xinyi Rd Xinyi Dist Taipei City 110 Taiwan (ROC)-대표 Mr KEN -전화886-5569-0555-URL httpswwwfacebookcomrenixfanspage httpwwwwabfenixcom

Q Wabfenix가 어떤 기업인지 소개 해주세요

A 저희 회사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으로 현재는 매장은 없지만 개발한 제품을 바탕으로 사업을 진행 중이고 대만현지에 저희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저희 회사는 제품의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화장품을 개발하여 대만시장 뿐만 아니라 중국시장의 진출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Q 귀하의 제품은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제품이라 하셨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제품 등이 있습니까

A 우선 Heymore 제품군의 블랙 마스크 팩과 Renix 제품군의 일반 마스크 팩을 출시했습니다Heymore의 경우 선물용임을 부각시키기 위해 디자인에 특히 많은 투자를 하였습니다 중국 중산층을 겨냥한 제품으로 가격대 1봉지에 한화 ₩40000 정도로 높게 책정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가격을 높게 측정한 이유에는 중국 화장품 소비문화 속에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 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에 저가 보급형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0 -

제품인 Renix와 차별을 두는 판매 전략을 선택하였습니다 현재 판매되는 제품은 마스크 팩을 주력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Q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인데 중국을 대상으로 어떤 진출 전략을 갖고 있습니까

A중국에서 열리는 화장품 전시회 화장품 엑스포 행사 바이어 미팅 등 꾸준히 참가중이며 바이어들에게 저희 제품을 어필하고 있습니다 물론 신생기업인 만큼 아직 중국 내에서 뚜렷한 판매 실적을 기록하진 못했지만 타 화장품 기업들과 다른 마케팅 방식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디자인이나 제품의 아이디어를 강조하고 있는데 대표 적인 상품으로 오뚝이 모양을 한 화장품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이 오뚝이 제품을 바이어들에게 어필해 보았는데 대단히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Q 해외시장 마케팅과 대만 시장마케팅의 차이점이 있습니까

A 우선 중국에서의 마케팅은 행사나 전시회에 참여하고 바이어들을 개인적으로 만나는 것에 치중해 있다면 국내 대만시장의 마케팅 전략은 페이스북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대만은 중국에 비해 SNS가 많이 발달되어 있어 자금이 많이 들어가지 않는 SNS마케팅을 하고 있고 각종 자선행사에 참여하여 저희 기업을 홍보하고 있습니다

Q 귀사의 제품을 중국보다 비싼 인건비가드는 대만 제조공장에서 생산하는 겁니까

A타이중에 소재하는 공장에서 마스크를 제조 하고 있습니다 인건비가 비싼 것은 대만 수도인 타이페이에만 주로 해당이 됩니다 지방 소도시에서도 외곽으로 들어가면 저렴한 인건비와 공장 가동비용으로도 제조가 가능 합니다 굳이 중국에 제조공장을 갖지 않는 이유는 신생기업이라 자금문제도 있지만 대만은 OEMampODM에 특화된 국가이기 때문에 품질 좋은 다양한 제품주문이 가능하고 중국 사람들에게도 자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 보다 외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가 더 좋기 때문에 대만에서 생산한 뒤 수출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Q 대만에 한국 화장품 기업이 진출한다면 어떠한 마케팅 전략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 생각 하십니까

A 이미 대만에 한국의 화장품 제품들이 많이 들어와 있습니다 하지만 대만 자체의 화장품 기업들이 기존에 많은 시장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성공을 거두기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최근 한국에 대한 이미지가 많이 좋아졌고 한국의 영화나 드라마 등이 많이 알려지면서 인지도가 높아졌습니다 한국의 대기업의 경우 이러한 대규모 마케팅을 할 수 있으므로 큰 무리가 없겠지만 한국의 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한다면 최종 시장 공략 층은 대만이 아닌 중국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대만은 중화권으로 가기 위한 연결다리라고 생각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또한 중소기업은 큰 마케팅 비용을 부담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대만에서는 SNS나 각종 자선 행사에 참여하여 인지도를 높이는 것을 추천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1 -

Q 같은 제품이지만 대만과 중국에서 판매할 때 가격 책정이 다른 이유가 무엇인가요

A 그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해드리자면 국가마다 소비 성향이나 구매 능력 환율 경제 상황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경영 에서는 가격 차별화(Price discrimination)이라 부르는데요 각 나라의 시장 특성에 적정한 가격대를 책정해서 제품을 판매하는 전략입니다 혹시 중국 상류층이 몇 명인지 알고 있나요 제가 알기로는 대만 인구의 2배인 4000만 명이라는군요 아마도 한국 인구랑 비슷한 규모 일겁니다 게다가 중산층은 약 4억 명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4억 명의 중국 소비자들이 우리 제품을 1개씩만 구입 한다면hellip 상상만 해도 엄청 나겠죠 이야기를 하다 보니 다른 쪽으로 빠졌는데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이야기하면 물론 좋은 제품을 모든 곳에 저렴하게 제공 하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 그러나 항상 시장에서 저렴한 제품만이 성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대만이나 한국처럼 고도의 산업화가 이루어지고 시장이 크게 발전한 안정적인 단계는 좋은 제품이라도 가격 경쟁력에 신경 써야 합니다 왜냐하면 소비자들이 똑똑하기 때문에 정보력이 넓고 합리적인 소비를 지향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가격 성능 디자인 등 많은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중국 시장은 대만이나 한국과는 특성이 다릅니다 저렴하다고 해서 많이 제품이 많이 팔리기 보다는 가격대가 어느 정도 있는 제품일수록 또는 가격대가 높을수록 소비자들이 관심을 보입니다 대체적으로 중국 소비자들은 lsquo저렴한 제품은 품질이 낮거나 효능이 좋지 않은 제품일거야rsquo 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 때문에 화장품 박람회나 전시회에 저가 화장품을 가져와 홍보하더라도 중국 바이어나 소비자들은 큰 관심을 주지 않습니다 처음에 말했듯이 중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2 -

국 소비문화가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라는 심리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Wabfenix의 경우에는 신생기업이라 많은 투자 금액이 없을 뿐 더러 대만 화장품 시장에 진출하기에는 리스크가

크고 진입 장벽이 높습니다 그리고 이미 한국 화장품 기업들이 대부분 점유를 한 상황이기 때문에 대만 내수시장에만 집중하기에는 경쟁력이 부족하죠 그래서 중국을 주력 수출시장으로 삼고 있는데요 저희는 제품 성능 보다는 소비자의 이목을 끌 수 있는 디자인에 더 많은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중국에 Wabfenix만의 화장품 선물 문화를 정착 시키는 것이 목적인데요 높은 제품 가격만큼 소비자의 관심을 끌 수 있고 선물 문화나 꽌시(关系)가 많은 중국 문화 특성에 맞추어 선물용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중국 시장은 현재 젊은 중산층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품질이 낮은 화장품 보다는 수입 화장품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점으로 미루어볼 때 높은 가격 차별화와 Wabfenix만의 디자인 마케팅은 좋은 경쟁력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3 -

8 현지 시장조사 활동 (시장동향사진설문조사 자료)

8-1 시먼딩 설문조사

목적 대만 사람들의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및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대상 10대~20대 여성 및 화장품 전문매장 종사자장소 시먼딩시간 2015년 1월 7일 12일 총 두 차례에 걸쳐 진행방법 ①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 판넬에 국가별로 메이크업 사진을 표시하고 스티커를 붙이는 방식으로 투표함 공정성을 위해 국가 이름은 블라인드로 처리하였고 모두 동일 인물의 사진을 사용함②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표본집단을 50명으로 설정함 설문조사가 끝나면 사은품으로 한국 브랜드 마스크팩 증정함

8-2 사전 기획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판넬 기획도gt

化妝辦法喜好度的調查화장법 선호도 조사

大家給自己喜歡的化妝貼貼紙 여러분이 선호하는 메이크업에 스티커를 붙여 주세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4 -

대만의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안녕하십니까

다음의 내용은 대만 화장품 트렌드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자 관련조사를 실시하고자 하오니

있는 그대로의 생각을 기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귀하의 응답은 통계적 목적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본 설문은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물음에 대한 답변이나 해당란에 v 표를 해 주십시오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7) ② 화장품 전문매장(34) ③ 마트(5) ④ 홈쇼핑(2)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합계 총 50 명

바쁘신 시간에 의견을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지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5 -

8-3 설문조사 활동

lt2015년 1월 7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6 -

lt2015년 1월 12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7 -

lt활동 결과 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8 -

9 설문조사 통계 분석 (설문조사 응답 수분석결과)

9-1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결과gt

설문 조사 질문지 양식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12)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③ 마트(5) ④ 홈쇼핑(6)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9 -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gt

9-2 설문조사 항목 별 의견 및 추측

설문 조사 질문지 항목 (최다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② 20 ~ 25세 (13)

0

5

10

15

20

25

30

20대 이하 20세~24세 25세~29세 30세~39세 40대 이상

rarr 시먼딩은 대만의 홍대거리라 불리는 lsquo융캉제rsquo나 서울의 lsquo명동rsquo과 같이 젊은 층이 주로 활동하는 지역이다 설문조사 중에도 교복이나 체육복을 입은 학생들과 길거리에서 쇼핑을 즐기는 20대가 즐비할 만큼 활기 있는 거리다 덥고 습한 대만 기후 특성 상 과거엔 화장법이 크게 발전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국의 자연스러운 화장법이 큰 인기를 끌면서 시먼딩에 화장품 거리가 조성되어 있을 만큼 유동 인구가 많다 이 점으로 추측해보았을 때 압도적으로 10대와 20대 층이 많은 응답 수를 기록했다고 본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0 -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051015202530

온라인 화장품전문매장 마트 홈쇼핑 방문판매

rarr 대만 또한 한국과 비슷하게 시내에 많은 수의 화장품 전문매장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접근성이 굉장히 높았다 더불어 각 화장품 매장에서는 상품 할인과 같은 각종 프로모션을 진행하기 때문에 구매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 구매한다는 대답도 높은 편이었는데 거의 대부분이 와이파이존이어서 어디서나 인터넷을 한 활발히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온라인에서의 구매율도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0

5

10

15

20

25

30

NT$300 미만 NT$300~NT899 NT$900~NT$1499 NT$1500~NT2999 NT$3000

rarr 응답자들은 대부분이 한 달 간 화장품에 쓰는 돈을 최저 1만원 이상(NT$300 이상)이라고 답했는데 이는 70가 넘어가는 결과로 화장품에 대한 지출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만원 이상이라고 대답한 응답자들 또한 4분의 1을 넘기는데 이것은 젊은 연령층부터 시작하여 최근 피부 관리와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대만의 소비 수준에 대비하여 화장품 소비율이 높은 것도 이 때문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1 -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③ 성능(23)

051015202530

가격 디자인 성능 화장품 모델 브랜드

rarr 아열대 기후에 속하는 대만은 높은 기온과 습한 날씨 탓에 에어컨 환경에 자주 노출돼 피부 수분을 잃기 쉬워 기능성 화장품의 소비가 두드러진다 대만 화장품 시장은 토너 세럼 에센스 로션 크림 등의 모든 스킨케어 제품들이 보습기능을 강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백이나 안티에이징 리프팅 저자극 오일프리(Oil-free) 등의 기능까지 추가된 스킨케어 제품들이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조 화장품 소비가 늘어난 것은 최근 몇 년 들어 다양한 화장품 브랜드 접촉기회가 많아지고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젊은 여성의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색조화장품 또한 메이크업베이스와 BB크림 립스틱과 같은 베이스 메이크업이 수요가 많았다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④인터넷(22)

0

5

10

15

20

25

30

TV 잡지 친구 인터넷 메이크업샵

rarr 최근 빠른 인터넷망과 스마트폰 태블릿PC의 보급으로 인해 사람들과 사람사이의 연결망이 견고히 형성되고 있고 이것이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방법을 얻는 경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만 소비자들은 주로 인터넷 블로그 가족과 친구로부터 메이크업 정보를 획득 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만의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이므로 입소문마케팅과 판매를 바로바로 할 수 있는 유통구조가 도움이 될 것 같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2 -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0

5

10

15

20

25

30

청순 독특 귀여움 섹시

rarr 앞서 살펴보았듯이 대만은 한국과 비슷한 메이크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이것은 곧 청순한 메이크업 컨셉에 관심 있어 한다는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실제로 대만 여성소비자들은 깨끗한 피부 NATURAL한 베이스메이크업을 선호한다 한 듯 안 한 듯 자연스럽고 깨끗한 느낌의 한국식 lsquo생얼rsquo 화장법은 대만에서 한국 드라마 열풍과 함께 유명세를 타기 시작해 현지 각종 온라인 뷰티 사이트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래서 응답의 대부분이 한 곳에 치우쳤고 비교적 개성 있는 메이크업 방법이 드물 것이라는 것을 유추해낼 수 있다

본 설문 조사를 통한 한국 화장품 기업에 대한 시사점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수입 절차로 오랜 시간을 허비해야 하는 반면 대만은 자외선 차단제 성분 함유 제품과 약용 화장품을 제외한 일반 화장품은 별도의 수입 검사 없이 수입할 수 있으므로 대개 중국보다 1~2년 먼저 신상품이 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한류 효과를 겨냥한 중화권 화장품 시장으로 대만을 우선 공략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대만은 대부분이 화장품에 대한 소비를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고 한국 화장품이 많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시장 접근법만 제대로 수립하면 매출이 나는 구조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대만인들이 선호하는 메이크업 방법이 한국과 비슷하기 때문에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은 마케팅 방안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최종분석설문 조사 대상은 대부분 10대~20대의 연령층이었으며 화장품의 주된 구입경로는 lsquo온라인(24)rsquo과 lsquo화장품 전문매장(50)rsquo이 압도적이었다 더불어 한 달 간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lsquo1만 원 이상(72)rsquo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이것은 실제 생활수준에 대비하여 높은 소비량이므로 대만의 화장품 시장 전망이 밝다고 할 수 있다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부분은 lsquo성능(46)rsquo이었는데 이는 스타트업 기업 중소기업에게 유리한 조건이다 메이크업 방법을 얻는 방법으로는 lsquo인터넷(44)rsquo과 lsquo친구(30)rsquo가 높은 비율을 차지했는데 판촉활동으로는 인터넷을 활용한 SNS 홍보 바이럴 마케팅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가장 관심있는 화장 컨셉은 lsquo청순rsquo 이었고 이것은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와 맞물려 우리나라와 비슷한 메이크업 방법을 추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3 -

10 대만 명소 소개 (명소음식행사숙소 소개)

10-1 고궁박물관

대만 고궁박물원은 영국의 대영 박물관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 미국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과 함께 세계 4대 박물관으로 손꼽힐 만큼 세계적은 소장 문물을 자랑한다 건물 규모는 그다지 크지 않지만 소장한 문물의 질과 양은 세계 최상급이다 중화 보물 중에서도 최고의 보물들이 모여 있어 진귀하기 그지없고 수량 역시 워낙 방대하여 3개월 단위로 1만여점을 돌아가면서 전시해도 다보려면 10년이 넘게 걸린다고 전해지고 있다 중국의 국공내전 당시 장제스가 이끌던 중국 국민당이 전쟁에서 패하며 중국을 탈출해 대만으로 향했다 당시 장제스는 난징에 있던 정부를 타이페이로 이전하면서 자금성에 보관되어있던 중국역대 왕조 보물 수십만 점을 배를 이용해 운반해 왔다 중국의 유물을 가진 자가 진정한 통치자라고 생각했던 장제스는 ldquo공산군에게 영토는 내줘도 문화유산만큼은 내줄 수 없다ldquo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대표적인 유물은 취옥배추 육형석 모공정 산씨반 등이 있다

10-2 용산사

루강의 초입에 있는 이 사찰은 타이완에서 가장 오래되고 아름답다고 하여 타이완의 자금성이라고 부른다 각 건물의 기둥 벽 그리고 천장 등에 새겨진 조각은 특히 빼어나다 이 조각상과 함께 이곳의 명물로 알려진 것은 사찰 경내에 있는 2마리의 용상인데 삼천전 앞마당 좌우에 서서 룽산사를 호위하고 있다

10-3 타이페이 101 빌딩

타이베이 101빌딩rsquo이라 부르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로서 빌딩 모습은 하늘로 뻗어나가는 대나무 위에 꽃잎이 겹겹이 포개진 형상이다 본래 타이베이 금융기관이 모인 건물이지만 대형 쇼핑센터와 푸드코트 고급 레스토랑이 있어 여행자들이 많이 찾는다 건물에는 8개 마디가 있는데 이는 중화 문화권에서 부와 번영을 의미하는 숫자 lsquo8rsquo을 염두에 둔 것이다 타이베이 시내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는 높이 508m로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히는 높은 건물이다 지상 1~5층에는 소고 백화점 뷰티 플라자 애버뉴 101 등 다양한 패션∙뷰티용품을 구입할 수 있는 상점이 있다 또한 레스토랑 시티 스퀘어 대형 서점 등 쇼핑과 오락 식사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복합시설이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4 -

잘 알려진 식당으로는 딘 타이 펑(Din Tai Fung) 이 있다 101타워 지하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샤오롱바오(고기만두) 새우 샤오마이(새우만두) 탄탄면(우육면)이 가장 대표적인 메뉴이며 대만에 방문한 많은 사람들이 찾는 식당이다

10-4 지우펀

대만여행의 백미로 꼽히는 지우펀은 타이페이시 북부의 루이팡 지역의 작은 산골 마을로 과거에는 아홉가구만 살고 있어서 지우펀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예전에는 작은 산골 마을에 불과 했지만 이 지역에서 금맥이 발견되면서 호황을 맞이하게 된다 특히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일본풍의 건물들이 남아 있어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결합된 독특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비탈길을 따라 하늘로 이어진 예스러운 건물 그리고 골목마다 빨간 홍등과 함께 묻어나는 옛 풍경은 여행객들에게 인기 여행지이다

10-5 스린야시장

타이베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야시장 가운데 하나이다 독특하면서도 다양한 전통 먹을거리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이곳을 찾는 관광객이 많다 시장 부근에 학교가 많아 학생들이 많이 찾으며 포장마차 등의 노점상이 많아 가격도 저렴하다 칭런샹[情人巷]에는 가구 의류 액세서리 사진현상점 애완용품점 등이 모여 있어 학생뿐 아니라 관광객들도 자주 찾는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5 -

10-6 예류 지질 공원

타이완 북해안에 자리한 예류는 해수욕장과 온천 기암괴석으로 유명한 관광지다 특히 예류지질공원은 희귀한 모형의 바위와 암석이 모여 있어 예류 관광의 필수코스로 꼽힌다 작은 곶으로 된 예류지질공원은 침식과 풍화 작용을 거쳐 자연적으로 형성된 기암을 보러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지질공원으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것이 선상암 군락이다 암석 하나하나의 모습은 마치 거대한 버섯이 큰 머리로 하늘을 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선상암 가운데 가장 유명한 암석은 이집트 왕비의 옆모습을 닮은 여왕 두상 바위다

10-7 스펀(Shifen)

스펀(十分)은 옛 광산마을로써 천으로 만든 등이 유명하다 또한 이 곳 스펀은 대만 최대의 폭포 스펀(SE-FEN) 폭포가 있다 미니기차와 천으로 만든 등을 날릴 수도 있다 마을의 한가운데 긴 철길이 놓여 있고 30분에 한 대씩 기차가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것도 볼 수가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6 -

10-8 진과스(金瓜石)

진과스(金瓜石)는 타이완 타이베이 근교에 있는 옛 탄광 유적이다 20세기 전반에 금 채굴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20세기 후반에 금이 차차 고갈되기 시작하자 점점 위축되어 폐광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관광 명소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하루에도 수백명이 들렀다 가는 대만의 대표 관광지이다 진과스 내에 있는 황금 박물관에는 220kg 의 금이 전시 되어 있는데 손을 넣어 직접 만져 볼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진과스에서는 과거 광부들이 먹었던 도시락을 그대로 만들어 판매하는 광부 도시락도 굉장히 인기가 많다

10-9 국립 성공대학

대만의 타이난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1931년에 개교하였다 2010년 QS대학순위에서 283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대만 대학중 2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총 9개의 캠퍼스로 이루어져 있어 굉장히 큰 면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만 교육청에서 인정한 9개의 주요대학 중 하나이고 대만 기업체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학이다 이공계열이 가장 뛰어나며 중문 역사 법학 경제학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10 시먼딩

타이베이시에 위치한 시먼딩은 한국의 명동과 같은 거리이다 대한민국의 명동에도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과 외국인이 많다고 알려져 있는데 시먼딩 또한 명동 못지않은 다양함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대만의 패션과 놀이 문화 음식 등을 한눈에 경험 할 수 있는 공간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7 -

10-11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

중정기념당은 타이완 총통 장제스(蔣介石)를 기리는 전당이다 lsquo중정rsquo은 장제스의 본명이다 그가 서거한 후 1980년 기념당을 세웠다 25만에 이르는 넓은 중정공원 안에 우뚝 선 높이 70m의 기념물이 중정기념당이다 기념당 1층에는 장제스 생애를 엿볼 수 있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거대한 장제스 동상은 항상 근위병이 동상 앞을 지키고 있다 중정공원 안에는 중정기념당 외에 국립 희극원과 국립 음악청이 있는데 이곳에서 연극과 콘서트를 한다 공원 조경 또한 잘 조성되어 있어 산책하며 천천히 둘러보기에 좋다

10-12 안핑지구(安平地區)

대만의 문화와 역사는 안핑지구에서 시작되었다 안핑구바오는 17세기 중엽 네덜란드인들이 지은 요새로 정성공이 빼앗아 번영하다가 황폐해져 지금은 보루의 대부분이 없어지고 설탕과 굴껍데기와 찹쌀가루를 버무려 만든 빨간벽돌로 된 장벽(臺灣城殘蹟)만이 남아 나무뿌리와 존립의 사투를 벌이고 있다 감시탑 옆 건물 안에는 네덜란드와 정성공의 전투에 대한 이야기와 중세갑옷 등이 전시 중이다 이 주변에는 대만에서 가장 오래된 상업거리 옌핑제(延平街)가 있는데 옛 명성이 다한 거리의 골목 사이사이 수백년 된 가옥을 구경하는 것도 소소한 즐거움이다 1867년 영국인 상점과 물류창고로 이용하던 건물에 노용수(老榕樹)가 멋대로 자라 건물을 집어삼키듯 뒤덮은 나무집으로 불리는 안핑수우도 안핑지구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진귀한 볼거리다

10-13 미라마 관람차

대만에서 가장 큰 관람차로 알려져 있는 미라마 관람차는 타이페이 시의 야경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관람차 크기가 큰 것으로 유명하지만 가격 또한 저렴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유스트래블 카드를 이용하면 50 할인이 적용되므로 꼭 지참하도록 하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8 -

lt미라마 관람차 티켓gt lt유스트래블 카드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9 -

11 시사점 및 차후 활용계획 (LGC 프로그램을 통한 구체적인 효과 및 연구결과)

11-1 LGC 프로젝트 만족도

구분 항목 전 후 한줄 평

사업단

프로젝트 취지- 린튼 글로벌 학과와 경영정보학과 학생들이 함께

하는 프로젝트 해외시장탐방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사전교육 활동- 출국 전 각 나라에 대한 유의사항 안전교육이 체

계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개략적인 보고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었다

행정지원 절차- CK사업단 린튼 글로벌 학과 경영정보학과 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히 되지 않아 사전 계획에서 많은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협동력 향상- 출발 전 잦은 팀 회의와 8박 9일 간에 일정에도

불구하고 불화 없이 좋은 분위기 속에서 프로젝트를 완수 했다

추진력 향상- 일정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 한 점 추가 자료조

사를 위해 현지에서 새로운 일정을 추가 됐을 때 팀원들이 일사불란하게 따라주었다

문제해결 능력- 교통편 문제와 기업 측 내부 문제로 일부 일정에

변동이 있었지만 신속한 조율과 전화 통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개인

동기부여 자극- 현지인들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국어 영어 능

력의 필요성을 실감했다 특히 중국어는 소통 유무에 따라 현지 반응이 극명하게 갈렸다

진로설계 도움- 프로젝트 전에 비해 새로운 직업 분야에 대한 관심

이 증가했다

취업능력 향상-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한 내용을 살려 구술 면접이

나 자기소개서 작성에 참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11-2 LGC프로젝트 연구 결과 - 대만 시장

⓵ 중국시장을 주목하는 대만 화장품 기업- EST팀은 현지 대만 화장품 기업으로 SISDORA와 WABFENIX를 선택했다 두 회사를 선정한 배경에는

명확한 의도를 두고 정했다 SISDORA는 설립한 지 10년이 넘는 회사로 직접 화장품을 개발 및 연구하고 판매하는 중소기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과 주름개선 크림으로 중년 여성을 타깃 층으로 하는 화장품 회사다 반면 WABFENIX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스타트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 이지만 기술개발 보다는 디자인 마케팅에 중점을 두었고 판매 층도 10대-20대의 젊은 층을 타깃 층으로 한다 시장 전략이 완연히 다른 두 기업이 유일하게 공통점이 있다면 중국시장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선정 이유에는 많은 인구의 소비력을 꼽지만 뒤이어 언급하는 이야기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자사 제품의 경쟁력 약화를 말한다 현재 대만 기업 대부분은 내수 시장 대신에 중국을 겨냥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국가 산업 특성상 제조amp연구 분야가 강세인 대만에서는 중국 바이어 또는 미국 유럽 바이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직접 판매 보다는 기술 협력을 통해 이익을 창출한다고 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0 -

⓶ 대만 시장을 점령한 한국 화장품

- 앞서 말했듯이 2012년 이후부터 급속히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한국 화장품은 대만 시장을 점령하고 있다 이미 시먼딩에 들어서면 다양한 한국 화장품 매장이 눈에 띌 만큼 들어섰으며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중앙 광장에 입점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매장 안에는 많은 대만 사람들이 화장품을 보고 있는 광경을 흔히 본다 화장품 매장을 이용하는 연령층은 주로 10대-20대들이다 화장품 가격이 한국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주 애용하는 이유는 한류 열풍으로 인한 한국 연예인들에 대한 관심과 화장법이 크게 유행하고 있음을 현지 설문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⓷ 체감할 수 있을 만큼 커다란 한류열풍

- 뉴스에서만 듣던 한류 이야기를 대만에서 직접 느낄 수 있을 정도로 한류열풍은 크다 특히 삼성이나 LG의 TV나 스마트폰은 어딜 가든 항상 보이고 한국 화장품 선물에 대한 반응이 무척이나 뜨겁다 원활한 현지 조사를 위하여 사은품으로 준비한 한국 마스크 팩 100개는 오히려 현지인들이 참여 의사를 표현할 만큼 열정적이었다 일부 대만 사람 중에는 어디서 왔냐는 질문에 한국이라는 답변을 하니 같이 사진 찍기를 제안하기도 했다

⓸ 중소기업에게 있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는 대만 시장진출- 대만 시장 진출에 앞서 한국 화장품 중소기업이라면 전략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크게 대만 시장을 겨냥

할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할지 선택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3CE는 한국 화장품 회사다 대만에서 젊은 연령층이 자주 이용하고 이미 대만 내에서는 유명하다 3CE는 오프라인 매장 없이 순수 온라인 매장으로 운영하면서 대만 사람들을 위한 전용 웹사이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윤을 창출 하고 있다 신중해야 할 점은 현재 온라인 오프라인 등 한국 화장품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신규 진입에 있어서 장벽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대만 시장을 활용한다면 동남아 시장까지 한 번에 내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출입통관 절차가 간단하고 관세가 낮기 때문에 중소기업에게 유리하다 아직까지 중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1 -

에 대한 직접적인 수출이 가능한 곳은 상해나 항주 같이 중국에서 허가한 무역항 도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내륙까지 시장을 확대하기는 불가능하지만 같은 언어권인 대만을 거치면 보다 쉽게 바이어나 에이전트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인맥을 통한 꽌시와 수수료 명목으로 뒷돈을 요구하는 중국 바이어의 관행은 자금 순환이 원활치 않은 중소기업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11-3 LGC 프로젝트 종합 의견 및 전망

우리 lsquoEST팀은 출국 전 국내 화장품 시장 조사를 할 때 대덕 밸리 스타트업 기업 셀아이콘 랩의 영향으로 대만의 화장품 산업에 대해 큰 관심과 가능성을 보고 2015년 1월 5일부터 1월 13일까지 8박9일이라는 시간동안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 나라 중에 하나인 대만에서 rsquo대만의 화장품 시장lsquo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사를 했다 대만에서는 3개의 기업 (KOTRA SISDORA WABFENIX) 을 방문해 전반적인 대만의 화장품 시장과 판매전략 한류에 대한 보다 사실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1개의 대학 (국립성공대학 國立成功大學)에서 MBA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또 타이난에서는 대만에서 오랫동안 사업하시는 한인협회 회장을 만나 PLC (Product Life Cycle)를 통해 대만에서의 특정 시장이 도입기에 있는지 또 어떠한 시장이 쇠퇴기에 놓여있는지 다양한 시야에서 대만시장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노력은 CK 사업단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교육부 CK-1 프로젝트의 일부인 Linton Global Challenge는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몇 년을 내다보는 지속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기업들과 더욱 더 활발한 교류와 연구를 한다면 기업과 CK 사업단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리라고 본다

1 개인 탐방 후기 (팀원 개인 소감)

1-1 개인 탐방 후기

강성민탐방 후기 기업 컨택 부터 인터뷰 일정 계획까지 8박 9일간의 대만 화장품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 출국 전까지 준비 과정부터 탈도 많았고 대만에 와서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 원하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매일이 항상 회의와 고민의 연속이었다 하루하루 충실히 계획을 진행시켜 나갔고 좋은 팀 분위기 속에서 무사히 대만 프로

부록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2 -

젝트를 완수했다 그리고 마침내 한국으로 돌아왔다 과정은 항상 오르막 길이였지만 돌이켜 보면 마지막 대학 시절을 기념할만한 좋은 추억이자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느끼는 바가 많았던 프로젝트로 기억 될 것이다

김은진탐방 후기 글로벌 챌린지를 한마디로 정의하라고 한다면 도종환 시인의 lsquo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lsquo라는 시가 떠오른다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대만기업컨택 설문조사 등 많은 것을 경험했다 처음엔 모든 것이 나에겐 버거운 산이라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도전이 계속 될수록 이젠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이 모든 도전들에 흥미가 생겼다 나 자신도 책임감과 자신감이 생기고 한층 성숙해 진 것을 내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소중한 동료와 추억은 평생 나의 가슴속에 남을 것이다 우린 앞으로도 많이 도전하고 경험하여 우리들의 삶이 활짝 만개하리라 다짐한다 끊임없이 도전하는 20대의 청춘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프로그램이었다 김종선탐방 후기 한국에서 준비하면서 조사했던 내용과 비교하며 인터뷰를 해보니 실제로 많이 다른 부분도 있었고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 비슷한 내용도 있었다 현지의 기업들을 방문해 우리가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직접 매장에 가서 느껴보니 앉아서 컴퓨터만 볼 때랑 많이 달랐다 그리고 직접 대만인들에게 설문조사를 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그리고 대만의 실제 문화와 환경 그들의 생활을 잠시나마 볼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

구명우탐방 후기 며칠간의 꿈만 같았던 대만에서의 시간이 지나갔다 대만으로 출국하기 전 사전조사 기간에는 확신이 없었다 사전조사와 기업과의 인터뷰 그리고 9일간의 일정조율 및 숙박과 모든 대만에서의 연구와 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보고서까지 무엇하나 확신이 드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도전과 해결능력을 배웠고 아시아에서 급성장 중인 대만에 대해서 배우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다음기수로 가게 될 관심 있는 학우들에게 진심으로 추천해주고 싶다

이규현탐방 후기 CK-1 프로그램 중 하나인 lsquo린튼 글로벌 챌린지lsquo 프로그램을 통해 약 8박 9일이라는 시간 동안 emerging market 중 하나인 대만에 거주하면서 한국 화장품의 대만시장 점유율과 진출 가능성을 몸으로 체감하고 자료들을 모아 통계 내어 정리할 수 있었다 우리 팀 lsquoEST가 성공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충분한 국내조사 기간을 갖고 대만의 화장품 회사들을 방문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대만의 특정한 기업을 찾기도 어려웠고 기업 컨택은 번번히 거절당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회사 두 군데에서는 답장조차 오지 않았고 설문조사할 때에는 반한감정의 대만인을 만나 고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팀의 단결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리더의 통솔력으로 정해진 스케줄대로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회사를 방문하고 학교교수를 만나고 길거리에서 설문조사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팀원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또한 대학생으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을 한 것 같아서 스스로도 너무 뿌듯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팀을 믿고 지지해주신 LGSB 교수님들과 CK-1 프로그램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영은탐방 후기 처음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렇게 준비는 열심히 하지만 정말 우리가 계획한 100대로 대만을 다녀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기우가 무색하게도 대만은 우리에게 기획안 그 이상의 것들을 보여주었다 사장님들의 생생한 사업 이야기와 대만의 색채가 묻어있는 아이템들 하며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여 알아보는 비즈니스 마켓의 현장은 나에게 두고두고 잊지 못할 자산으로 남았다 또한 펑리수 버블티를 비롯한 대만의 맛있는 먹거리들과 스린 야시장이나 지우펀 같은 명소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열심히 고생해준 팀원들과의 추억들도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3 -

이서우탐방 후기 이번 글로벌 첼린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서 쉽게 할 수 없는 해외 기업 탐방과 해당 국가의 산업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임효진탐방 후기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팀이 대만을 방문 한다고 했을 때 많이 의아해 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만을 직접 방문해보고 많은 사업자들을 만난 결과 대만은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라고 생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아직 공산주의라는 정치적 특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다른 곳보다 훨씬 어렵지만 대만은 자유시장체제 이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쉽다 특히 외국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만 시장에서 한국제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추고 중국 시장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성공가능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그리고 대만의 바이어들을 통해 중국의 시장진출을 하게 된다면 사업자가 직접 중국시장에 진출 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성공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만은 문화적으로 다른 아시아권보다 선진화 되었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대도시에 속하지만 모두다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골고루 섞여 대만만의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차안호탐방 후기 9박 10일간의 대만을 다녀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넓고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이번 대만 여행은 처음으로 경험한 해외여행 경험이여서 그런지 순탄치 않은 면도 있었지만 팀원들 서로가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만시장은 중국시장으로 가기위한 좋은 시험의 장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대만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영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더 나아가 미래에는 중국어야말로 영어와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성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또 하나 놀란 점은 대만이 반 한류 감정을 많이 갖고 있는 줄 알았지만 대부분의 대만 일반 시민들이 굉장히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에 놀랐고 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CK-1 사업의 챌린지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대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계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보완점 및 건의사항 (문제점개선책건의사항)

2-1 기업 컨택의 어려움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에 있는 기업과 연결하여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대해서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조사 및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시간을 내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로써 그들의 귀한시간이 아깝게 쓰이지 않을 것을 강조하여 만남을 만들어야 한다

2-2 사업단과 의사소통의 불편함

Challeng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CK-1 사업단과의 지속되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가령 누군가를 통해서 전해지는 소문이나 촉박한 시간을 제시하고 일 처리를 원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단과 각 팀의 대표간의 분명한 의사소통과 증빙자료 등이 필요하다

2-3 정보 부재 이번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이머징 마켓에서의 유망 산업 조사 및 연구였다 대만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10: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0 -

구명우(24)투어 일정 수립

김은진(22)

현지 시장 조사

임효진(24)

공고인터뷰일정 및 숙소 예약

이영은(22)

보고서 작성 및 프리젠테이션 제작

이규현(23)

사진 및 동영상 촬영 편집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1 -

2 대만 소개 (국가 기본정보한국과의 관계)

국호臺灣(Taiwan)

- 대만의 공식국호는 lsquo中華民國(Republic of China)rsquo - 국제 행사에서는 lsquoChinese Taipeirsquo 사용

위치 동남아시아

면적 36193(한반도의 16배 남한면적의 13배)

기후 아열대 몬순 기후권

수도 타이베이(Taipei 台北 서울의 약 12크기)

인구 약 2천 3백만 명

주요도시Taipei City(269만명) New Taipei City(390만명)

Kaohsiung City(277만명) Taichung City(265만명)Tainan City(187만명)

민족구성 민남인(74) 외성인(13) 객가인(15) 원주민(2)

언어 공용어(중국어)상용어(민남어 객가어 원주민어)

종교 불교(35) 도교(33) 기독교(26) 천주교(13) 회교(02) 등

건국일 191211(중화민국건국일)

정치형태 입헌민주공화국

국가원수총 통 마잉주(馬英九 Ma Ying-Jiou)

2012114 재선성공 2012520 취임식부총통 우둔이(吳敦義 Wu Den-yih)

GDP ㅇ2012년 US$ 4804억ㅇ2013년 US$ 4789억

2-1 대만 소개

국가 개요

경제 지표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2 -

ㅇ20141~6월년 US$ 2433억

경제성장률ㅇ2012년 148ㅇ2013년 219ㅇ2014년 2분기 384

1인당 GDP ㅇ2011년 US$ 20246ㅇ2012년 US$ 20502ㅇ2013년 US$ 20984

실업률ㅇ2012년 424ㅇ2013년 418ㅇ2014년 2분기 397

물가상승률ㅇ2012년 193ㅇ2013년 079ㅇ2014년 2분기 121

외환보유고ㅇ2012년 US$ 3942억ㅇ2013년 US$ 4168억ㅇ20146월 US$ 4235억

산업구조 제조업(233) 도소매업(181) 부동산업(85) 금융보험업(65) 농업(187)

교역규모ㅇ2012년US$ 3012억(수출) US$ 2705억(수입) 무역수지US$ 307억ㅇ2013년US$ 3055억(수출) US$ 2701억(수입) 무역수지 US$ 354억ㅇ20141~6월US$ 1534억(수출) US$ 1372억(수입) 무역수지 US$ 162억

주요교역품 ㅇ수출 전자제품 기본 금속 제품 플라스틱 및 고무 제품 광학기기 화학품ㅇ수입 광물 전자제품 화학품 기계 기본 금속 제품

환율ㅇ2012년 US$ 1=NT$ 2962ㅇ2013년 US$ 1=NT$ 2977ㅇ2014 6월 US$ 1=NT$ 3004

화폐단위 New Taiwan Dollar(NT$)

외교 관계

ㅇ 1948 8월 대만정부 대한민국 정식 승인ㅇ 1949 8월 주타이베이 한국대사관 개설ㅇ 1992 8월 한국-대만 단교ㅇ 1993 11월 주타이베이 한국대표부 개설ㅇ 1994 1월 주한 타이베이대표부 개설

교역 규모 ㅇ 2011년

한국-대만 외교 관계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3 -

(한국 기준)

- 수출 US$182억 수입 US$1469억 무역수지 US$35억ㅇ 2012년 - 수출 US$148억 수입 US$140억 무역수지 US$8억ㅇ 2013년 - 수출 US$157억 수입 US$146억 무역수지 US$107억ㅇ 20141~6월 - 수출 US$75억 수입 US$75억 무역수지 US$04억

주요교역 품목ㅇ 수출 반도체 기초유분 철강판 석유화학 중간원료 컴퓨터 정밀화학원료 반

도체 제조용 장비 광학기기 석유제품 선박 등ㅇ 수입 반도체 컴퓨터 기구부품 철강판 무선통신기기 기타 중전기기 평판디

스플레이 및 센서 기타 석유화학제품 플라스틱 제품 정밀화학원료 등

상호 투자

ㅇ 우리나라의 對대만 투자 - 2010년 43건 US$1400만 2011년 42건 US$4700만 - 2012년 38건 US$950만 2013년 26건 US$1700만 - 1968~2013년 624건 US$ 5억 6300만ㅇ 대만의 對한국 투자 - 2010년 5건 US$340만 2011년 7건 US$2800만 - 2012년 9건 US$2100만 2013년 14건 US$6100만 - 1962~2013년 181건 US$ 6억 1200만

교민 총 교민수 약 3천 4백여명

양국 간 교역 동향

수출입 동향

Ÿ 한국과 대만은 주요 수출입 품목이 반도체 철강 컴퓨터 화학원료 등으로 중복되는 경향이 강하며 상호비교우위 품목을 위주로 교역이 이뤄지고 있음

Ÿ 전년도 수출 급감에 따른 기저효과 스마트기기 및 테블릿 산업의 성장과 이에 따른 부품 수요 증가 한류영향 품목의 수출 확대 등으로 인하여 2013년도 한국의 對대만 수출은 전년대비 6 늘어났으며 수입 역시 44의 증가세를 보임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4 -

구분2012년 2013년 2014년 1~6월

금액 증감 금액 증감 금액 증감

총계 2882 -124 3033 52 1502 -328

수출 1481 -186 1570 60 753 -726

수입 1401 -46 1463 44 749 135

수지 8 -771 10 25 04 -945

순위 품 목2012년 2013년 2014년

1~6월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1 반도체 3578 -342 3742 46 2169 1572 석유제품 2239 -29 2810 255 953 -3563 기초유분 1381 198 1314 -48 531 -2084 정밀화학원료 406 -426 477 176 272 1835 석유화학중간원료 532 -376 586 101 220 -516 반도체제조용장비 311 -222 344 107 195 -107 자동차부품 239 209 168 -298 159 8728 광학기기 238 -248 283 188 151 969 기구부품 217 111 375 727 147 -28210 플라스틱 제품 250 -124 286 147 142 16

lt 한국-대만 수출입 동향gt (단위 억 달러 )

자료원 한국 관세청

lt한국의 對대만 10대 수출 품목gt (단위 백만 달러 )

주 MTI 3분류 2013년 수출액순 자료원 한국 관세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5 -

순위 품 목 2012년 2013년 2014년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1 반도체 8114 117 8874 94 4438 -102 기구부품 757 124 867 146 341 -2343 철강판 420 -312 398 -52 181 -1474 컴퓨터 616 -570 356 -422 171 -635 기타석유화학제품 227 -103 199 -125 143 9856 플라스틱 제품 324 229 288 -111 136 -1057 동제품 156 46 194 245 125 2108 합성수지 159 -19 172 81 108 2739 평판디스플레이및센서 133 -215 138 35 106 29110 기초유분 155 -250 132 -143 98 425

lt한국의 對대만 10대 수입 품목gt (단위 백만 달러 )

주 MTI 3 분류 2013년 수입액 순 자료원 한국 관세청

양국 간 상호 투자현황

대만의 對 한국 투자현황lt대만의 對韓 투자동향gt

(단위 건 백만 달러)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1~6월 누계(62~2014)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5 34 7 280 9 21 14 61 3 3 184 615

자료원 대만 경제부 투자심의위원회 신고 기준

Ÿ 대만기업의 對韓 투자는 10~20만 달러 규모의 판매법인 설립이 대부분이며 대규모 그린필드형 투자는 중국 및 동남아지역에 RampD형 투자는 미국과 일본에 집중되고 있음thorn 대만기업의 對韓 투자는 지난 5년간 연평균 25천만 달러에 불과

Ÿ 또한 중국 투자환경 악화로 동남아 등지의 신흥시장으로의 제조기반 이동에 대한 투자가 늘고 있으며 유턴투자도 증가

Ÿ 한편 주요 산업분야에서 대만은 한국과 경쟁적 보완관계이며 일본과는 보완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음thorn 특히 한 대만간 반도체 디스플레이 기업간 경쟁이 심해지면서 대만 IT업계를 중심으로 lsquo聯日抗韓(일본

과 연합하여 한국을 견제하자)는 주장이 제기되는 등 대만기업의 일본 편중현상은 심화되고 있음Ÿ 지금까지 대만의 대표적인 對韓 투자사례로는 2007년 IC디자인 기업인 SIMO의 FCI 인수(8800만 달러)

2010년 대만의 최대 철강회사 CSC의 동부메탈 지분인수(4200만 달러) 2010년 IC 테스팅 업체 Ardentec 웨이퍼 테스팅 공장 설립(4000만 달러) 2012년 6월 반도체 패키징 업체인 ASE의 라인증설(8000만 달러) 등이 있음

Ÿ 최근에는 금융권을 중심으로 한국기업에 대한 MampA SI 투자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어 주목받고 있음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6 -

thorn 2013년에는 대만의 1위 증권사 위안타가 한국의 동양증권 인수를 발표 양국의 금융감독기관 허가를 받아 2014년 연내 합병 추진 중(25억 달러)

thorn 또한 다국적 제약회사 Alvogen은 대만 LOTUS를 인수 동아시아 HQ로 삼고 한국 제약회사(드림파머) 인수를 추진 중

우리나라의 對 대만 투자현황

lt한국의 對대만 투자동향gt (단위 건 백만 달러)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1~3월 누계(lsquo68~lsquo14)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43 13 44 47 38 9 34 68 15 5 646 617

자료원 한국수출입은행 신고 기준

Ÿ 제조업 분야에서의 對대만 투자는 시장개척 및 고객사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임

Ÿ 우리기업의 대표적 투자 사례로는 2005년 LCD 장비 업체 PKL사의 LCD용 포토마스크 공장설립(4000만 달러) 2007년 게임업체 넥슨의 감마니아 지분인수(2100만 달러) 등이 있음

Ÿ 2011년 4월 미래에셋(Mirae Asset Global Investments)은 타이완라이프자산운용에 약 1000만 달러를 투자 자산운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Ÿ 2014년에는 PCB 기판 업체 달마전자가 가오슝에 공장을 설립 9월 준공식을 앞두고 있음

3 탐방 목적 (주요 목표부가 목표기대 효과)3-1 탐방 목적

주요 목표 1 대덕밸리 스타트업기업 (주)셀아이콘랩의 대만진출 가능성 탐색 2 대만 소비자들의 기능성 화장품 인식 조사 3 대만화장품시장의 유통경로 조사

기대 효과기업측면 기대 효과

⓵ 현지 시장조사 자료 획득⓶ 자사 시제품 반응결과 파악⓷ 사업단과의 지속적인 연계

사업단측면 기대 효과⓵ CK 사업 목표 또는 취지에 부합(CK ndash University for Creative Korea)⓶ 새롭게 출발하는 lsquo글로벌IT경영학과rsquo의 홍보전략으로 활용 가능

학생측면 기대 효과

⓵ EST팀 특강 ndash 학과 내 MIS Day 혹은 관련 과목 강의에서 특강⓶ 해외 탐구 동아리 개설⓷ CK 멘토와 후원 활동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7 -

4 사전조사 활동 (셀아이콘랩)

4-1 기능성 화장품 연구amp제조 기업 lsquo셀아이콘랩rsquo 기업 인터뷰

회사 소개

회사명 셀아이콘랩주소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대로 1646 한남대학교 사이언스파크 312호 대표자명 성민규 대표 사업분야 코스메슈티컬 펩타이드 소재개발 피부 전문가용 코스메슈티컬 화장품 OEMODM 주문 생산 방식

인터뷰 내용 1) 셀아이콘랩 2014년도에 많은 해외 박람회에 참여하고 있는데 해외시장 진출 의사가 있으신가요= 저희 회사의 사업화 로드맵을 보시면 2014년에 해외영업 마케팅 판매가 계획되어 있고 올해 들어 중국 러시아 카자흐스탄 말레이시아 등 여러 나라를 방문하여 박람회에 참가하고 실질적으로 상품을 판매하고 반응을 살피고 있습니다

2) 그렇다면 대만 화장품 시장 진출에 대해 고려해본 적은 있으신가요 만약 진출을 고려해보았다면 대만의 화장품시장에서 원하는 자료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대만시장을 접할 기회가 부족했을 뿐 내년에 대만 시장진출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셀아이콘랩은 현재 거래중인 중국 카자흐스탄 등지의 국가들에서 더 나아가 대만이나 홍콩과 같은 중화권 시장의 가능성을 느끼고 해당나라에 진출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요구사항 대만의 수출수입 인허가 절차 관세 세금 시장가격 형성 요인 화장품 유통 채널 구매경로 트렌드 또한 대만 시장에 뷰티샾(우리나라의 올리브 영)같은 종합 매장이 형성과정 실질적인 구매력을 알아보기 위한 대학 졸업생의 평균 초봉 등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8 -

5 화장품 산업 및 환경 분석 (연구자료 첨부)

구분 2011 2012 2013(1월 ~ 11월)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및 성장률 19427798 42 19421349 00 191454345 08

5-1 화장품 시장 동향

시장규모 및 전망thorn 대만의 약품 및 화장품 시장규모는 2013년 기준 1914억 달러로 2012년 대비 008 증가

최근 3년간 대만 약품 및 화장품 시장규모 및 성장률 (단위 천 달러)

자료원 대만경제부 통계처

시장전망thorn 수요 감소 예상 요인 대만 화장품시장은 다양한 국산 수입제품들이 오랜 시간 경쟁하는 포화된 시장thorn 종합의견 다수 유명 외국 브랜드(예 SHISEIDO KOSE 등)는 대만에 공장을 설립해 국산 브랜드와

경쟁하고 있으며 대만 정부의 각종 규제가 엄격하고 많아 허가 관련 등록서류 및 비용으로 인한 진입 장벽이 큼

소비자 구매 패턴thorn 주요 소비자 계층 14~55세 등 다양thorn 소비자 구매 동기 귀엽고 여성스러운 디자인 미백 보습 등과 같은 눈으로 확인 가능한 기능성 민감

성 피부에 바로 사용 가능한 화장품을 선호하는 추세

제품 트렌드thorn 대만 시장에서 국산 브랜드보다 수입 브랜드의 인기가 더 높으며 그중 일본 브랜드가 장시간 많은 인

기를 유지하여 왔음thorn 최근 한국 드라마에서 스타들이 연출하는 화장법 또는 유명 스타가 광고하는 한국 화장품이 큰 인기

를 얻고 있으며 한류 열풍으로 대만에서 수입 화장품 판매량이 늘어나면서 국산 화장품의 신제품 개발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

thorn 피부과 및 의학미용센터에서 다양한 시술(보톡스 반점 제거 여드름 크리닉 모공축소 레이저 비지 제거 등)을 받아 꾸준히 피부관리를 받고 다니는 여성들이 많아지는 추세에 따라 기능성을 강조하는 의학미용(aesthetic medicine) 화장품 혹은 시술 받고 나서도 바로 사용 가능한 기초화장품(무자극 보습효과 강조)이 유행하기 시작함

해당 산업 관련 정부 정책thorn GMP 정책 글로벌 추세에 따라 대만 화장품의 품질middot제조 수준 및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대만 경

제부공업국과 대만 위생서는 2008년 9월 4일부터 lsquo자발성 화장품 우량제조규범 검증제도(自願性化妝品優良製造規範驗證制度)rsquo를 실시한다고 발표함 약품 의료기기 식품을 이어 화장품이 네 번째로 GMP검증을 받는 산업이 되었음 ISO 22716 규범으로 주요 참고 근거로 보고 있음 동시에 화장품 GMP 추진 플랫폼을 설립하고 기업 문의에 대한 상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9 -

구분 2011 2012 2013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및 성장률 614293 1192 600356 -227 557784 -085

순위 국가 금액 점유율 증감율2011 2012 2013 2011 2012 2013 1312

총계 614293 600356 557784 100 100 100 -0851 일본 248980 237052 199987 40531 39485 35854 -113212 프랑스 116031 111983 110509 18888 18653 19812 45333 미국 89984 96689 89924 14648 16105 16122 -03914 한국 29779 29329 36746 4848 4885 6588 386345 중국 23444 30114 30138 3816 5016 5403 99486 영국 15895 14619 14482 259 2435 2596 29227 독일 16799 14327 14159 274 2386 2538 96758 스위스 13631 12401 11151 222 2066 1999 -5329 태국 9929 9214 8943 162 1535 1603 533310 이탈리아 12312 8853 8632 2 1475 1548 7727

5-2 수입동향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동향 (단위 천 달러 )

주 대만 국제무역국

최근 3년간 상위 10개국의 수입통계

주요 수입국 현황(HS Code 330499 기준) (단위 천 달러 )

자료원 대만 경제부 국제무역국 중화민국수출입무역통계(httpcus93tradegovtwFSCI)

수입관세 및 관련 제도thorn 관세 0thorn 통관 시 유의사항 대만에서 화장품은 의료용 또는 약품을 함유하지 않은 lsquo일반화장품rsquo과 lsquo함약화장

품rsquo 등 세 종류로 나눠져 있음 함약화장품의 경우 통관 시 대만 위생서에서 발행한 위생허가증을 제시해야 함

thorn 필수 인증 현황 함약화장품(예 염색제 파마제 자외선차단제 땀 억제제 치아미백제 등)은 대만 위생서 허가를 받아야 수입 및 제조판매를 할 수 있음 허가 신청 시 제품명 성분 제조업체명 제조업체주소 해외 수입업체명 수입업체주소 제품 전성분 용량 용도 사용법 유효기간 샘플 Certificate of Analysis Certificate of Sales SPF ampUVA 검사보고서 등이 필요함(세부사항은 대만 위생서 홈페이지 참조바람)

5-3 유통구조

유통채널 종류thorn 오프라인 백화점 H ampB(Watsons Cosmed SaSa 등) 방문판매 약국 각종 마트 편의점 피부과

피부관리센터 전문판매점(로드숍)thorn 온라인(여기는 virtual channel을 뜻함) 홈쇼핑 온라인 쇼핑몰(경매 브랜드 홈페이지 등 포함) 우편

주문(郵購) 등이 있음

유통채널 점유율 오프라인 유통채널의 점유율은 여전히 70~90 정도로 높게 차지하고 있으나 온라인 유통채널의 점유율도 빠른 속도로 상승하고 있음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0 -

브랜드명 제품명 가격 판매순위

SHISEIDO 100 1

SKII 133 2

ESTEE LAUDER 100 3

항목 내용전시회명(현지어명) 2014春夏國際美容化妝品展전시회명(한국어) 2014 춘하 국제미용화장품 전시회

전시품목 미용 화장품개최국가도시 타이베이

유통채널 활용 방안 아직까지 온라인 채널의 점유율이 높지 않으나 대만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블로그 등)에 영향을 많이 받는 편이어서 오프라인 채널에 진입하기 전에 온라인으로 먼저 마케팅(브랜드 이미지메이킹 블로거 마케팅 등)을 진행하는 방법을 추천함 대만 오프라인 채널의 진입장벽은 매우 높으며 비교적으로 이윤이 많이 남는 온라인시장에서 브랜드 파워를 먼저 키우면 오프라인 채널에 들어가는 길이 훨씬 수월해질 것으로 예상함

5-4 경쟁동향

경쟁제품 현황주요 경쟁제품 현황

(단위 달러)

한국 제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 및 선호 브랜드 현황thorn 한국 제품 현지 인지도 높음thorn 선호 브랜드 3CE INNISFREE NUTURE PUBLIC MISSHA THE FACE SHOP LANEIGE 등

5-5 효과적인 시장 진출 전략

타깃 고객층thorn 타깃 고객층 20~30대 초반thorn 타깃 사유 유행에 따라 새로운 것을 많이 도전하고 한류의 영향도 가장 많이 받는 젊은 층이 한국

화장품을 소비하는 경우가 많음 35세 이후의 직장 여성 혹은 가정주부들은 여전히 일본 혹은 유럽 미국의 고가 화장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활용 가능한 마케팅 방안 ⓵ 현지 전시회 정보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1 -

개최주기 3월경개최기간(2014년) 0321~0325

웹사이트 httpwwwudnicecom

⓶ 전시회 이외의 주요 마케팅 방안 블로거 마케팅 등 ⓷ 유력 홍보 방안(전문잡지 온라인 매체 등)

thorn 온라인 매체 Fashion guide(httpwwwfashio guidecomtw) UrCosme(httpwwwurcosmecom)

thorn 전문잡지 VIVI BEAUTY 大美人 Style W Marie laire Fashion Guide 등

시장 확대를 위한 무역관 의견 대만 화장품시장은 가격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 시장 진입 시 확실한 브랜드 포지션을 정해야 하며 해당 포지션의 대만 제품 가격을 조사한 후에 대만 최종 소비가격을 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

또한 소비자들은 할인세트 및 사은품에 약하여 각종 행사 진행 시 사은품 증정 혹은 묶음세트로 판매하는 것을 추천 보습(특히 히알루론산 성분 강조) 및 미백(대만 정부에서 인증된 미백성분이어야 함) 제품을 매우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6 탐방 상세 일정 (일정표 - 기간 지역)

날짜 지역105(월) 인천 ~ 대만 타이페이

시간 일정0600 인천공항 도착

0600 ~ 0920 인천공항 대기0920 ~ 1140 인천공항 rarr 대만 1140 ~ 1230 대만 입국 수속1230 ~ 1320 숙소 이동 (용산사 역)1320 ~ 1500 짐정리1500 ~ 1600 회의 및 일정정리1600 ~ 163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630 ~ 1800 KOTRA방문 및 인터뷰1800 ~ 1830 101타워 딘 타이 펑 이동(도보)1830 ~ 1910 저녁식사 - 딘 타이 펑1930 ~ 2100 101 타워 야경감상2100 ~ 2130 숙소로 이동2130 ~ 223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6(화) 타이페이

시간 일정0900 기상

0900 ~ 110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30 ~ 1230 점심식사 - 마라훠거1230 ~ 1300 SISDORA 본사로 이동

6-1 8박 9일 대만 일정 (150105 ~ 150113)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2 -

1300 ~ 1530 SISDORA 방문 및 인터뷰1600 ~ 1800 101타워 퍼스널 트레이닝 센터 방문1800 ~ 1930 저녁식사 - 카렌 레스토랑1930 ~ 2000 숙소로 이동2000 ~ 2100 개인 휴식2100 ~ 223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7(수) 타이페이

시간 일정0900 기상

0900 ~ 113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30 ~ 120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200 ~ 1250 점심식사 - 키키 레스토랑1250 ~ 1300 시먼딩 이동1300 ~ 1530 화장품 설문조사1530 ~ 1830 한국 화장품 매장 제품 조사1830 ~ 1900 야시장 이동(MRT)1900 ~ 2000 저녁식사 ndash 야시장 음식2000 ~ 2030 숙소로 이동2030 ~ 2130 개인 휴식2130 ~ 230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30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8(목) 타이페이 ~ 타이난

시간 일정0830 기상

0830 ~ 110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00 ~ 1200 체크아웃 및 고속철도역 이동1200 ~ 1340 타이페이 rarr 타이난 이동1340 ~ 1400 짐 보관 및 인터뷰 장소 물색1400 ~ 1600 가오슝 한인협회장 인터뷰1600 ~ 1700 숙소도착 및 짐정리1700 ~ 1800 개인 휴식1800 ~ 1900 저녁식사 - 새우롤2000 ~ 2230 중간 정리 및 보고서 작성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9(금) 타이난

시간 일정0800 기상

0830 ~ 0900 아침 식사0900 ~ 1130 타이난 일정 브리핑 및 팀 미팅1130 ~ 1210 타이난 시내로 이동(TAXI)1210 ~ 1320 점심식사 - 스시1320 ~ 1350 성공대학 이동(도보)1350 ~ 1700 성공대학 방문1700 ~ 1800 성공대학 캠퍼스 탐방 및 대학원생들과 대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3 -

1800 ~ 1830 저녁식사 - 대만 전통 음식점1830 ~ 1900 타이난 RT마트 이동(도보)1900 ~ 2030 RT 마트 장보기2030 ~ 2100 숙소로 이동2100 ~ 2200 개인 휴식2200 ~ 2330 팀 회의 및 예산 정리

23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12(월) 타이페이

시간 일정0800 기상

0800 ~ 0900 아침식사(호텔 조식 제공-선택)0900 ~ 1130 호텔 개인시간1130 ~ 123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230 ~ 130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300 ~ 1600 Wabfenix 방문 및 인터뷰1600 ~ 1630 간식 - 망고차차1630 ~ 1700 시먼딩 이동(MRT)1700 ~ 1830 화장품 설문조사 활동1830 ~ 1930 저녁 식사 - 코코이찌방야2030 ~ 2130 개인 휴식2130 ~ 2300 팀 회의 및 예산 정리

230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13(화) 대만 ~ 인천공항

시간 일정0800 기상

0800 ~ 0900 아침 식사0900 ~ 1130 짐정리1130 ~ 1200 체크아웃1300 ~ 1400 점심식사 - 스시(시먼딩)1400 ~ 1430 쑹산 공항 이동(TAXI)1430 ~ 1530 시먼딩 rarr 쑹산공항1530 ~ 1730 출국 대기1730 ~ 2100 대만 출국 rarr 대한민국

2100 대한민국 입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4 -

7 방문 기업 소개 (인터뷰 내용)

7-1 대만 KOTRA

-2015년 1월 5일 월요일 1630~1800 인터뷰-위치 台北市 基隆路 1段 333號 22樓 14室(2214室) Intl Trade Building 22층-전화 (886-2)2725-2324 -팩스(886-2) 2757-7240

Q대만에 대하여 간단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우선 대만은 남한의 13의 해당하는 영토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구역시 남한에 비해 적은 2천 3백만 명 정도이며 기후는 아열대 몬순 기후권으로 비교적 따듯한 날씨입니다여러분이 대만에 와보셔서 알겠지만 대체로 습한느낌을 받으셨을 탠대 대만은 겨울에도 남한만큼은 춥지 않습니다 언어는 주로 중국어를 사용하며 문자는 중국과 살짝 다른 번자체를 사용합니다1인당 GDP는 2013년 기준 20984 달러 정도이며 산업구조는 제조업과 도소매업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Q현재 우리나라의 어떤 기업들이 대만에 진출해 있는지 궁금합니다

A최근에는 화장품을 주력 제품으로 아모레퍼시픽등 화장품 대기업들이 타이페이 시내에 로드샵을 많이 개점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대만은 제조업과 도소매업이 주를 이루다 보니 20~30년 전부터 진출한 기업들이 계속해서 입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주로 삼성물산 현대종합상사 LG상사 LG전자등 대기업이 주를 이루고 있고 우리나라 기업은 1년에 한 기업정도 대만에 진출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Q그렇다면 대기업을 제외한 중소기업들이 대만시장에 진출하지 않는 이유가 따로 있습니까

A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아무래도 중국시장이 개방을 하면서 인 것 같습니다 기존에 진출해있는 기업들은 과거 대만이 인프라 구축이 미흡했을 당시 해외투자를 많이 받으면서 비교적 좋은 조건으로 대만에 진출하고 인프라 구축등 사업을 진행하면서 기반을 다졌을 겁니다 그 기반으로 지금까지 대만시장에 진출해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중소기업의 경우는 해외투자가 너무 모험적이며 대만 시장과 중국의 시장을 비교하여 봤을 때 인구가 차이가 약 8배 정도 나며 중국에 비해 비교적 작은 시장이라고 느껴 대만보다는 중국에 많이 진출하는 것 같습니다

Q마지막 질문으로 만약 우리나라 중소기업이 대만시장에 진출할 때 유의해야 할 점이나 좋은 팁이 있을까요

A대만 시장에 완전히 진출해야겠다는 생각보다는 중국이나 다른 중화권 나라의 진출하기전 시험의 장소로 생각하고 진출해보는 것은 나쁘지 않다 생각 합니다 아무래도 대만의 인구가 많은 편이 아니다보니 불리한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5 -

조건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이나 다른 큰 중화권 시장으로 진출하기 전에 언어나 문화 중화권사람들의 사고방식등 여러방면에서 시험해 볼 수 있는 좋은 장소는 틀림없습니다 중소기업이 대만시장에 진출할 때는 코트라를 이용하여 각종 정보나 현지 인프라등을 이용하는 것 또한 하나의 방법이며 무엇보다 중화권의 문화와 중화권 대중들의 생각을 잘 공부하고 언어를 습득하여 오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7-2 SISDORA luxury beauty care

-1월 6일 화요일 1300~1530 인터뷰 1600~1800 101타워 퍼스널트레이닝 센터-주소 No9Aly 10Ln265Sec 4Xinyi RdDaan Dist Taipei City 106-대표 Mr Chung-Cheng Lee -전화886-2-27040889-URL httpwwwsisdoracom

Q 간략한 회사 소개와 SISDORA의 유래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A Isadora는 고대 이집트의 가장 강력한 여신의 이름입니다 Sisdora는 이 여신의 이름을 따서 만든 브랜드 이름입니다 이집트의 고대 여신인 Isadora의 이시스는 선물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고 생명과 건강 아름다움을 담당하는 여신으로도 유명합니다 저희 SISDORA는 비슷한 동음 이의어로 동양의lsquoISIS(이시스)rsquo라는 단어가 있어 브랜드 명을 SISDORA로 정하게 되었습니다Q Sisdora 제품 소개 부탁드립니다

A저희 제품은 안티에이징 미백 마스크 제품을 주력으로 하고 있습니다 동일 제품군을 비교해 봤을 때 가격 및 품질은 상위에 속하는 최상품의 제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마스크 팩 대부분은 종이섬유로 제조하는 반면 저희 Sisdora는 누에의 실(실크)로 만든 마스크 팩 입니다 실크마스크 팩을 제조할 때에는 피부 건강에 좋은 약재 및 약초등을 배합하여 제조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피부에 자극적인 향로를 첨가하지 않았고 수분이 빠르게 흡수 될 수 있습니다 덕분에 저희 마스크 팩을 사용하는 고객들은 부드럽고 산뜻한 느낌을 받으실 수 있을 겁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6 -

Q 귀하의 회사는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어떤 마케팅을 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A 저희는 해마다 대만 타이페이 글로벌 미스코리아 대회에 제품을 협찬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대만 유명 가수들과 함께 제품을 결합시킨 뮤직비디오를 제작하여 마케팅에 힘쓰고 있습니다뿐만 아니라 제품의 품질인증을 바탕으로 러시아 중국 동남아 지역에 진출하는대 힘쓰고 있습니다 저희 제품은 대만 내에서 스킨케어 제품으로써 유일하게 지정 브랜드 수상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저희는 주로 매스컴이나 인터넷을 통한 마케팅이나 엔터테이먼트 컨벤션 산업을 활용하여 마케팅을 하고 있습니다

Q 그렇다면 대한민국의 화장품 제품이 대만에 진출해 있는데 대한민국 화장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는 어떤지 궁금합니다

A 최근 5년 사이에 한국의 드라마 음악등 한류를 타고 대만에도 많은 한국 제품이 등장하였습니다 하지만 대만에는 오래전부터 수입화장품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이탈리아의 산타 마리아 노벨라 프랑스의 아이젠버그등 명품 화장품 브랜드가 오래전부터 입점해 현지 화장품시장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 때문인지 한국 화장품의 인지도는 크게 높지는 않습니다 아무래도 유럽 브랜드 그 다음으로 대만 기업의 브랜드 그 다음으로 한국의 화장품 브랜드 순으로 인지도가 형성되어 있다고 생각됩니다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한국화장품은 다른 명품 화장품들의 가격보다 저렴하고 성능이나 효과 면에서 절대 뒤처지지 않아 한류가 지속되고 마케팅이 잘 이루어진다면 충분히 유럽의 명품화장품의 인지도를 뛰어 넘을 수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Q 한국의 중소기업의 화장품이 대만 시장에 진출하는 것에 대해서는 어떤 의견을 갖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A 한국의 대기업 화장품 브랜드가 아닌 중소기업의 화장품 브랜드가 대만에 진출하는 것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겁니다 하지만 저희 회사도 중소기업으로 시작하여 마케팅 전략을 잘 활용 하여 많이 성장하였습니다 아무래도 한국의 중소기업의 화장품이 대만에 진출하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있겠지만 어떤 마케팅 전략을 선택하느냐가 가장 중요하고 마케팅이 잘 이루어지고 입소문이 퍼진다면 한국의 중소기업 화장품 또한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7 -

7-3 가오슝 한인협회

-1월 8일 목요일 1400~1600 인터뷰-주소 高雄市鼓山區二路37巷弄43-2號(고웅시고산구이로37항81롱43-2호)-대표 尹桓鎬(윤환호) HP 0932-740-538 -電話 07-5211933 -傅眞 07-5214031

Q 대만과 한국과의 무역 관계가 어떠한지 궁금합니다

A 한국과 대만과의 무역은 크게 활발하게 이루어 질 수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대만의 시장 자체가 매우 작기 때문에 대만에 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국내 시장이나 다른 큰 해외 시장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대만 시장을 거쳐서 동남아나 중국 시장으로 진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여서 기존에 존재하는 대기업이나 저처럼 오래 전부터 이민한 분들이 소규모로 중개무역을 하고 있는 정도입니다

Q 현재 한인협회 회장님께서 직접적으로 하는 일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현재 저는 한국의 화장품을 수입하여 대만 현지 기업에게 판매하는 중개무역을 하고 있습니다 대만에 온지 20년이 넘었는데 이런 저런 일을 하다가 기회가 되어 이쪽 일을 하게 되었는데요 처음에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인식이 없어 가격은 비싸고 품질의 보증은 되어 있지 않은 제품이라 소비가 크게 늘지 않았는데 한류 열풍이 불고 한국 드라마의 성공과 그 배우들이 광고하는 화장품의 수요가 크게 늘어 몇 년 전부터 시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Q 한국과 대만과 중국의 관계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해 주세요

A 앞서 말씀 드린 것 같이 한국의 기업은 대만을 통하여 중국 시장의 진출을 위하여 대만 시장을 많이 찾습니다 그 이유는 한국 기업이 대만 시장을 통해서 제품을 인정받는다면 대만과 중국은 같은 언어권의 나라로 대만기업을 통해 중국으로의 활로를 개척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왜 이렇게 돌아서 진출을 하려고 물으셨는데 그것은 쉽게 말해서 말이 잘 통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의 중국어를 잘 구사하는 사람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보다는 대만의 사람이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주고 인정을 해준다면 더욱 쉽게 자리를 잡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8 -

Q 스타트 기업의 대만 진출 성공여부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중소기업이 대만에 들어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현재 한국 내에서의 위치를 높이는데 주력하는 것이 좀 더 낫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대만은 아주 뛰어난 기술력을 가지고 있지만 자체 제품을 생산하지 않습니다 예로 Apple에서 전체 아이디어를 미국에서 한다면 그 아이디어 실행은 대만에서 이루어집니다 그리고 제품의 생산은 대부분 중국에서 이루어 지구요 이렇듯 대만의 기술력과 제품에 대한 이해가 빠르기 때문에 수입을 많이 의존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중소기업이 들어와서 제품을 판매한다 쉽게 성공할 수 없죠

Q 회장님께서는 중국과의 중개무역은 생각하고 있으시지 않습니까

A 네 저는 지금의 생활에 만족하고 있습니다 지금 저의 파트너들과의 관계도 좋고 따로 중국 진출은 생각하고 있지 않습니다 만약에 제가 중국을 진출하게 된다면 현재의 기업들과도 경쟁상대가 되어 저는 생각이 없습니다

7-4 국립성공대학(國立成功大學)

-1월 9일 1350~1700 인터뷰-주소 701 臺南市東區大學路1號-연락처06-2757575 -홈페이지 wwwnckuedutw

대만 국립 성공대학은 931년 타이난에 설립된 이공계 명문 대학입니다 국립성공대학은 66개의 캠퍼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각 캠퍼스마다 특징과 분위기가 다릅니다 우리 국립성공대학은 ldquo북대대 남성공(北臺大 南成功)rdquo 이라는 말이 있듯이 역사는 대만대학의 바로 다음갑니다

국립성공대학의 이름의 의미는 성공은 무엇을 성취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대만의 민족영웅인 정성공(鄣成功)을 기념하기 위한 대학이라는 뜻입니다 성공대학은 정성공이 있던 역사명승 적감루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해 있기도 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9 -

이후 인터뷰로 대만의 소개와 간단한 전공 소개가 있었다

7-5 WABFENIX RENIX GLORY GLORIA GUA

-1월 12일 월요일 1300~1500 인터뷰-주소 14F-1 No420 Sec 4 Xinyi Rd Xinyi Dist Taipei City 110 Taiwan (ROC)-대표 Mr KEN -전화886-5569-0555-URL httpswwwfacebookcomrenixfanspage httpwwwwabfenixcom

Q Wabfenix가 어떤 기업인지 소개 해주세요

A 저희 회사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으로 현재는 매장은 없지만 개발한 제품을 바탕으로 사업을 진행 중이고 대만현지에 저희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저희 회사는 제품의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화장품을 개발하여 대만시장 뿐만 아니라 중국시장의 진출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Q 귀하의 제품은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제품이라 하셨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제품 등이 있습니까

A 우선 Heymore 제품군의 블랙 마스크 팩과 Renix 제품군의 일반 마스크 팩을 출시했습니다Heymore의 경우 선물용임을 부각시키기 위해 디자인에 특히 많은 투자를 하였습니다 중국 중산층을 겨냥한 제품으로 가격대 1봉지에 한화 ₩40000 정도로 높게 책정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가격을 높게 측정한 이유에는 중국 화장품 소비문화 속에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 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에 저가 보급형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0 -

제품인 Renix와 차별을 두는 판매 전략을 선택하였습니다 현재 판매되는 제품은 마스크 팩을 주력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Q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인데 중국을 대상으로 어떤 진출 전략을 갖고 있습니까

A중국에서 열리는 화장품 전시회 화장품 엑스포 행사 바이어 미팅 등 꾸준히 참가중이며 바이어들에게 저희 제품을 어필하고 있습니다 물론 신생기업인 만큼 아직 중국 내에서 뚜렷한 판매 실적을 기록하진 못했지만 타 화장품 기업들과 다른 마케팅 방식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디자인이나 제품의 아이디어를 강조하고 있는데 대표 적인 상품으로 오뚝이 모양을 한 화장품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이 오뚝이 제품을 바이어들에게 어필해 보았는데 대단히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Q 해외시장 마케팅과 대만 시장마케팅의 차이점이 있습니까

A 우선 중국에서의 마케팅은 행사나 전시회에 참여하고 바이어들을 개인적으로 만나는 것에 치중해 있다면 국내 대만시장의 마케팅 전략은 페이스북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대만은 중국에 비해 SNS가 많이 발달되어 있어 자금이 많이 들어가지 않는 SNS마케팅을 하고 있고 각종 자선행사에 참여하여 저희 기업을 홍보하고 있습니다

Q 귀사의 제품을 중국보다 비싼 인건비가드는 대만 제조공장에서 생산하는 겁니까

A타이중에 소재하는 공장에서 마스크를 제조 하고 있습니다 인건비가 비싼 것은 대만 수도인 타이페이에만 주로 해당이 됩니다 지방 소도시에서도 외곽으로 들어가면 저렴한 인건비와 공장 가동비용으로도 제조가 가능 합니다 굳이 중국에 제조공장을 갖지 않는 이유는 신생기업이라 자금문제도 있지만 대만은 OEMampODM에 특화된 국가이기 때문에 품질 좋은 다양한 제품주문이 가능하고 중국 사람들에게도 자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 보다 외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가 더 좋기 때문에 대만에서 생산한 뒤 수출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Q 대만에 한국 화장품 기업이 진출한다면 어떠한 마케팅 전략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 생각 하십니까

A 이미 대만에 한국의 화장품 제품들이 많이 들어와 있습니다 하지만 대만 자체의 화장품 기업들이 기존에 많은 시장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성공을 거두기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최근 한국에 대한 이미지가 많이 좋아졌고 한국의 영화나 드라마 등이 많이 알려지면서 인지도가 높아졌습니다 한국의 대기업의 경우 이러한 대규모 마케팅을 할 수 있으므로 큰 무리가 없겠지만 한국의 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한다면 최종 시장 공략 층은 대만이 아닌 중국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대만은 중화권으로 가기 위한 연결다리라고 생각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또한 중소기업은 큰 마케팅 비용을 부담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대만에서는 SNS나 각종 자선 행사에 참여하여 인지도를 높이는 것을 추천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1 -

Q 같은 제품이지만 대만과 중국에서 판매할 때 가격 책정이 다른 이유가 무엇인가요

A 그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해드리자면 국가마다 소비 성향이나 구매 능력 환율 경제 상황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경영 에서는 가격 차별화(Price discrimination)이라 부르는데요 각 나라의 시장 특성에 적정한 가격대를 책정해서 제품을 판매하는 전략입니다 혹시 중국 상류층이 몇 명인지 알고 있나요 제가 알기로는 대만 인구의 2배인 4000만 명이라는군요 아마도 한국 인구랑 비슷한 규모 일겁니다 게다가 중산층은 약 4억 명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4억 명의 중국 소비자들이 우리 제품을 1개씩만 구입 한다면hellip 상상만 해도 엄청 나겠죠 이야기를 하다 보니 다른 쪽으로 빠졌는데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이야기하면 물론 좋은 제품을 모든 곳에 저렴하게 제공 하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 그러나 항상 시장에서 저렴한 제품만이 성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대만이나 한국처럼 고도의 산업화가 이루어지고 시장이 크게 발전한 안정적인 단계는 좋은 제품이라도 가격 경쟁력에 신경 써야 합니다 왜냐하면 소비자들이 똑똑하기 때문에 정보력이 넓고 합리적인 소비를 지향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가격 성능 디자인 등 많은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중국 시장은 대만이나 한국과는 특성이 다릅니다 저렴하다고 해서 많이 제품이 많이 팔리기 보다는 가격대가 어느 정도 있는 제품일수록 또는 가격대가 높을수록 소비자들이 관심을 보입니다 대체적으로 중국 소비자들은 lsquo저렴한 제품은 품질이 낮거나 효능이 좋지 않은 제품일거야rsquo 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 때문에 화장품 박람회나 전시회에 저가 화장품을 가져와 홍보하더라도 중국 바이어나 소비자들은 큰 관심을 주지 않습니다 처음에 말했듯이 중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2 -

국 소비문화가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라는 심리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Wabfenix의 경우에는 신생기업이라 많은 투자 금액이 없을 뿐 더러 대만 화장품 시장에 진출하기에는 리스크가

크고 진입 장벽이 높습니다 그리고 이미 한국 화장품 기업들이 대부분 점유를 한 상황이기 때문에 대만 내수시장에만 집중하기에는 경쟁력이 부족하죠 그래서 중국을 주력 수출시장으로 삼고 있는데요 저희는 제품 성능 보다는 소비자의 이목을 끌 수 있는 디자인에 더 많은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중국에 Wabfenix만의 화장품 선물 문화를 정착 시키는 것이 목적인데요 높은 제품 가격만큼 소비자의 관심을 끌 수 있고 선물 문화나 꽌시(关系)가 많은 중국 문화 특성에 맞추어 선물용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중국 시장은 현재 젊은 중산층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품질이 낮은 화장품 보다는 수입 화장품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점으로 미루어볼 때 높은 가격 차별화와 Wabfenix만의 디자인 마케팅은 좋은 경쟁력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3 -

8 현지 시장조사 활동 (시장동향사진설문조사 자료)

8-1 시먼딩 설문조사

목적 대만 사람들의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및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대상 10대~20대 여성 및 화장품 전문매장 종사자장소 시먼딩시간 2015년 1월 7일 12일 총 두 차례에 걸쳐 진행방법 ①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 판넬에 국가별로 메이크업 사진을 표시하고 스티커를 붙이는 방식으로 투표함 공정성을 위해 국가 이름은 블라인드로 처리하였고 모두 동일 인물의 사진을 사용함②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표본집단을 50명으로 설정함 설문조사가 끝나면 사은품으로 한국 브랜드 마스크팩 증정함

8-2 사전 기획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판넬 기획도gt

化妝辦法喜好度的調查화장법 선호도 조사

大家給自己喜歡的化妝貼貼紙 여러분이 선호하는 메이크업에 스티커를 붙여 주세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4 -

대만의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안녕하십니까

다음의 내용은 대만 화장품 트렌드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자 관련조사를 실시하고자 하오니

있는 그대로의 생각을 기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귀하의 응답은 통계적 목적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본 설문은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물음에 대한 답변이나 해당란에 v 표를 해 주십시오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7) ② 화장품 전문매장(34) ③ 마트(5) ④ 홈쇼핑(2)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합계 총 50 명

바쁘신 시간에 의견을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지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5 -

8-3 설문조사 활동

lt2015년 1월 7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6 -

lt2015년 1월 12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7 -

lt활동 결과 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8 -

9 설문조사 통계 분석 (설문조사 응답 수분석결과)

9-1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결과gt

설문 조사 질문지 양식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12)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③ 마트(5) ④ 홈쇼핑(6)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9 -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gt

9-2 설문조사 항목 별 의견 및 추측

설문 조사 질문지 항목 (최다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② 20 ~ 25세 (13)

0

5

10

15

20

25

30

20대 이하 20세~24세 25세~29세 30세~39세 40대 이상

rarr 시먼딩은 대만의 홍대거리라 불리는 lsquo융캉제rsquo나 서울의 lsquo명동rsquo과 같이 젊은 층이 주로 활동하는 지역이다 설문조사 중에도 교복이나 체육복을 입은 학생들과 길거리에서 쇼핑을 즐기는 20대가 즐비할 만큼 활기 있는 거리다 덥고 습한 대만 기후 특성 상 과거엔 화장법이 크게 발전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국의 자연스러운 화장법이 큰 인기를 끌면서 시먼딩에 화장품 거리가 조성되어 있을 만큼 유동 인구가 많다 이 점으로 추측해보았을 때 압도적으로 10대와 20대 층이 많은 응답 수를 기록했다고 본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0 -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051015202530

온라인 화장품전문매장 마트 홈쇼핑 방문판매

rarr 대만 또한 한국과 비슷하게 시내에 많은 수의 화장품 전문매장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접근성이 굉장히 높았다 더불어 각 화장품 매장에서는 상품 할인과 같은 각종 프로모션을 진행하기 때문에 구매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 구매한다는 대답도 높은 편이었는데 거의 대부분이 와이파이존이어서 어디서나 인터넷을 한 활발히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온라인에서의 구매율도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0

5

10

15

20

25

30

NT$300 미만 NT$300~NT899 NT$900~NT$1499 NT$1500~NT2999 NT$3000

rarr 응답자들은 대부분이 한 달 간 화장품에 쓰는 돈을 최저 1만원 이상(NT$300 이상)이라고 답했는데 이는 70가 넘어가는 결과로 화장품에 대한 지출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만원 이상이라고 대답한 응답자들 또한 4분의 1을 넘기는데 이것은 젊은 연령층부터 시작하여 최근 피부 관리와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대만의 소비 수준에 대비하여 화장품 소비율이 높은 것도 이 때문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1 -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③ 성능(23)

051015202530

가격 디자인 성능 화장품 모델 브랜드

rarr 아열대 기후에 속하는 대만은 높은 기온과 습한 날씨 탓에 에어컨 환경에 자주 노출돼 피부 수분을 잃기 쉬워 기능성 화장품의 소비가 두드러진다 대만 화장품 시장은 토너 세럼 에센스 로션 크림 등의 모든 스킨케어 제품들이 보습기능을 강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백이나 안티에이징 리프팅 저자극 오일프리(Oil-free) 등의 기능까지 추가된 스킨케어 제품들이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조 화장품 소비가 늘어난 것은 최근 몇 년 들어 다양한 화장품 브랜드 접촉기회가 많아지고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젊은 여성의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색조화장품 또한 메이크업베이스와 BB크림 립스틱과 같은 베이스 메이크업이 수요가 많았다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④인터넷(22)

0

5

10

15

20

25

30

TV 잡지 친구 인터넷 메이크업샵

rarr 최근 빠른 인터넷망과 스마트폰 태블릿PC의 보급으로 인해 사람들과 사람사이의 연결망이 견고히 형성되고 있고 이것이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방법을 얻는 경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만 소비자들은 주로 인터넷 블로그 가족과 친구로부터 메이크업 정보를 획득 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만의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이므로 입소문마케팅과 판매를 바로바로 할 수 있는 유통구조가 도움이 될 것 같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2 -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0

5

10

15

20

25

30

청순 독특 귀여움 섹시

rarr 앞서 살펴보았듯이 대만은 한국과 비슷한 메이크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이것은 곧 청순한 메이크업 컨셉에 관심 있어 한다는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실제로 대만 여성소비자들은 깨끗한 피부 NATURAL한 베이스메이크업을 선호한다 한 듯 안 한 듯 자연스럽고 깨끗한 느낌의 한국식 lsquo생얼rsquo 화장법은 대만에서 한국 드라마 열풍과 함께 유명세를 타기 시작해 현지 각종 온라인 뷰티 사이트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래서 응답의 대부분이 한 곳에 치우쳤고 비교적 개성 있는 메이크업 방법이 드물 것이라는 것을 유추해낼 수 있다

본 설문 조사를 통한 한국 화장품 기업에 대한 시사점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수입 절차로 오랜 시간을 허비해야 하는 반면 대만은 자외선 차단제 성분 함유 제품과 약용 화장품을 제외한 일반 화장품은 별도의 수입 검사 없이 수입할 수 있으므로 대개 중국보다 1~2년 먼저 신상품이 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한류 효과를 겨냥한 중화권 화장품 시장으로 대만을 우선 공략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대만은 대부분이 화장품에 대한 소비를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고 한국 화장품이 많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시장 접근법만 제대로 수립하면 매출이 나는 구조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대만인들이 선호하는 메이크업 방법이 한국과 비슷하기 때문에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은 마케팅 방안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최종분석설문 조사 대상은 대부분 10대~20대의 연령층이었으며 화장품의 주된 구입경로는 lsquo온라인(24)rsquo과 lsquo화장품 전문매장(50)rsquo이 압도적이었다 더불어 한 달 간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lsquo1만 원 이상(72)rsquo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이것은 실제 생활수준에 대비하여 높은 소비량이므로 대만의 화장품 시장 전망이 밝다고 할 수 있다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부분은 lsquo성능(46)rsquo이었는데 이는 스타트업 기업 중소기업에게 유리한 조건이다 메이크업 방법을 얻는 방법으로는 lsquo인터넷(44)rsquo과 lsquo친구(30)rsquo가 높은 비율을 차지했는데 판촉활동으로는 인터넷을 활용한 SNS 홍보 바이럴 마케팅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가장 관심있는 화장 컨셉은 lsquo청순rsquo 이었고 이것은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와 맞물려 우리나라와 비슷한 메이크업 방법을 추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3 -

10 대만 명소 소개 (명소음식행사숙소 소개)

10-1 고궁박물관

대만 고궁박물원은 영국의 대영 박물관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 미국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과 함께 세계 4대 박물관으로 손꼽힐 만큼 세계적은 소장 문물을 자랑한다 건물 규모는 그다지 크지 않지만 소장한 문물의 질과 양은 세계 최상급이다 중화 보물 중에서도 최고의 보물들이 모여 있어 진귀하기 그지없고 수량 역시 워낙 방대하여 3개월 단위로 1만여점을 돌아가면서 전시해도 다보려면 10년이 넘게 걸린다고 전해지고 있다 중국의 국공내전 당시 장제스가 이끌던 중국 국민당이 전쟁에서 패하며 중국을 탈출해 대만으로 향했다 당시 장제스는 난징에 있던 정부를 타이페이로 이전하면서 자금성에 보관되어있던 중국역대 왕조 보물 수십만 점을 배를 이용해 운반해 왔다 중국의 유물을 가진 자가 진정한 통치자라고 생각했던 장제스는 ldquo공산군에게 영토는 내줘도 문화유산만큼은 내줄 수 없다ldquo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대표적인 유물은 취옥배추 육형석 모공정 산씨반 등이 있다

10-2 용산사

루강의 초입에 있는 이 사찰은 타이완에서 가장 오래되고 아름답다고 하여 타이완의 자금성이라고 부른다 각 건물의 기둥 벽 그리고 천장 등에 새겨진 조각은 특히 빼어나다 이 조각상과 함께 이곳의 명물로 알려진 것은 사찰 경내에 있는 2마리의 용상인데 삼천전 앞마당 좌우에 서서 룽산사를 호위하고 있다

10-3 타이페이 101 빌딩

타이베이 101빌딩rsquo이라 부르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로서 빌딩 모습은 하늘로 뻗어나가는 대나무 위에 꽃잎이 겹겹이 포개진 형상이다 본래 타이베이 금융기관이 모인 건물이지만 대형 쇼핑센터와 푸드코트 고급 레스토랑이 있어 여행자들이 많이 찾는다 건물에는 8개 마디가 있는데 이는 중화 문화권에서 부와 번영을 의미하는 숫자 lsquo8rsquo을 염두에 둔 것이다 타이베이 시내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는 높이 508m로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히는 높은 건물이다 지상 1~5층에는 소고 백화점 뷰티 플라자 애버뉴 101 등 다양한 패션∙뷰티용품을 구입할 수 있는 상점이 있다 또한 레스토랑 시티 스퀘어 대형 서점 등 쇼핑과 오락 식사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복합시설이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4 -

잘 알려진 식당으로는 딘 타이 펑(Din Tai Fung) 이 있다 101타워 지하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샤오롱바오(고기만두) 새우 샤오마이(새우만두) 탄탄면(우육면)이 가장 대표적인 메뉴이며 대만에 방문한 많은 사람들이 찾는 식당이다

10-4 지우펀

대만여행의 백미로 꼽히는 지우펀은 타이페이시 북부의 루이팡 지역의 작은 산골 마을로 과거에는 아홉가구만 살고 있어서 지우펀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예전에는 작은 산골 마을에 불과 했지만 이 지역에서 금맥이 발견되면서 호황을 맞이하게 된다 특히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일본풍의 건물들이 남아 있어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결합된 독특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비탈길을 따라 하늘로 이어진 예스러운 건물 그리고 골목마다 빨간 홍등과 함께 묻어나는 옛 풍경은 여행객들에게 인기 여행지이다

10-5 스린야시장

타이베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야시장 가운데 하나이다 독특하면서도 다양한 전통 먹을거리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이곳을 찾는 관광객이 많다 시장 부근에 학교가 많아 학생들이 많이 찾으며 포장마차 등의 노점상이 많아 가격도 저렴하다 칭런샹[情人巷]에는 가구 의류 액세서리 사진현상점 애완용품점 등이 모여 있어 학생뿐 아니라 관광객들도 자주 찾는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5 -

10-6 예류 지질 공원

타이완 북해안에 자리한 예류는 해수욕장과 온천 기암괴석으로 유명한 관광지다 특히 예류지질공원은 희귀한 모형의 바위와 암석이 모여 있어 예류 관광의 필수코스로 꼽힌다 작은 곶으로 된 예류지질공원은 침식과 풍화 작용을 거쳐 자연적으로 형성된 기암을 보러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지질공원으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것이 선상암 군락이다 암석 하나하나의 모습은 마치 거대한 버섯이 큰 머리로 하늘을 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선상암 가운데 가장 유명한 암석은 이집트 왕비의 옆모습을 닮은 여왕 두상 바위다

10-7 스펀(Shifen)

스펀(十分)은 옛 광산마을로써 천으로 만든 등이 유명하다 또한 이 곳 스펀은 대만 최대의 폭포 스펀(SE-FEN) 폭포가 있다 미니기차와 천으로 만든 등을 날릴 수도 있다 마을의 한가운데 긴 철길이 놓여 있고 30분에 한 대씩 기차가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것도 볼 수가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6 -

10-8 진과스(金瓜石)

진과스(金瓜石)는 타이완 타이베이 근교에 있는 옛 탄광 유적이다 20세기 전반에 금 채굴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20세기 후반에 금이 차차 고갈되기 시작하자 점점 위축되어 폐광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관광 명소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하루에도 수백명이 들렀다 가는 대만의 대표 관광지이다 진과스 내에 있는 황금 박물관에는 220kg 의 금이 전시 되어 있는데 손을 넣어 직접 만져 볼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진과스에서는 과거 광부들이 먹었던 도시락을 그대로 만들어 판매하는 광부 도시락도 굉장히 인기가 많다

10-9 국립 성공대학

대만의 타이난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1931년에 개교하였다 2010년 QS대학순위에서 283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대만 대학중 2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총 9개의 캠퍼스로 이루어져 있어 굉장히 큰 면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만 교육청에서 인정한 9개의 주요대학 중 하나이고 대만 기업체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학이다 이공계열이 가장 뛰어나며 중문 역사 법학 경제학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10 시먼딩

타이베이시에 위치한 시먼딩은 한국의 명동과 같은 거리이다 대한민국의 명동에도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과 외국인이 많다고 알려져 있는데 시먼딩 또한 명동 못지않은 다양함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대만의 패션과 놀이 문화 음식 등을 한눈에 경험 할 수 있는 공간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7 -

10-11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

중정기념당은 타이완 총통 장제스(蔣介石)를 기리는 전당이다 lsquo중정rsquo은 장제스의 본명이다 그가 서거한 후 1980년 기념당을 세웠다 25만에 이르는 넓은 중정공원 안에 우뚝 선 높이 70m의 기념물이 중정기념당이다 기념당 1층에는 장제스 생애를 엿볼 수 있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거대한 장제스 동상은 항상 근위병이 동상 앞을 지키고 있다 중정공원 안에는 중정기념당 외에 국립 희극원과 국립 음악청이 있는데 이곳에서 연극과 콘서트를 한다 공원 조경 또한 잘 조성되어 있어 산책하며 천천히 둘러보기에 좋다

10-12 안핑지구(安平地區)

대만의 문화와 역사는 안핑지구에서 시작되었다 안핑구바오는 17세기 중엽 네덜란드인들이 지은 요새로 정성공이 빼앗아 번영하다가 황폐해져 지금은 보루의 대부분이 없어지고 설탕과 굴껍데기와 찹쌀가루를 버무려 만든 빨간벽돌로 된 장벽(臺灣城殘蹟)만이 남아 나무뿌리와 존립의 사투를 벌이고 있다 감시탑 옆 건물 안에는 네덜란드와 정성공의 전투에 대한 이야기와 중세갑옷 등이 전시 중이다 이 주변에는 대만에서 가장 오래된 상업거리 옌핑제(延平街)가 있는데 옛 명성이 다한 거리의 골목 사이사이 수백년 된 가옥을 구경하는 것도 소소한 즐거움이다 1867년 영국인 상점과 물류창고로 이용하던 건물에 노용수(老榕樹)가 멋대로 자라 건물을 집어삼키듯 뒤덮은 나무집으로 불리는 안핑수우도 안핑지구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진귀한 볼거리다

10-13 미라마 관람차

대만에서 가장 큰 관람차로 알려져 있는 미라마 관람차는 타이페이 시의 야경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관람차 크기가 큰 것으로 유명하지만 가격 또한 저렴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유스트래블 카드를 이용하면 50 할인이 적용되므로 꼭 지참하도록 하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8 -

lt미라마 관람차 티켓gt lt유스트래블 카드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9 -

11 시사점 및 차후 활용계획 (LGC 프로그램을 통한 구체적인 효과 및 연구결과)

11-1 LGC 프로젝트 만족도

구분 항목 전 후 한줄 평

사업단

프로젝트 취지- 린튼 글로벌 학과와 경영정보학과 학생들이 함께

하는 프로젝트 해외시장탐방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사전교육 활동- 출국 전 각 나라에 대한 유의사항 안전교육이 체

계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개략적인 보고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었다

행정지원 절차- CK사업단 린튼 글로벌 학과 경영정보학과 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히 되지 않아 사전 계획에서 많은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협동력 향상- 출발 전 잦은 팀 회의와 8박 9일 간에 일정에도

불구하고 불화 없이 좋은 분위기 속에서 프로젝트를 완수 했다

추진력 향상- 일정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 한 점 추가 자료조

사를 위해 현지에서 새로운 일정을 추가 됐을 때 팀원들이 일사불란하게 따라주었다

문제해결 능력- 교통편 문제와 기업 측 내부 문제로 일부 일정에

변동이 있었지만 신속한 조율과 전화 통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개인

동기부여 자극- 현지인들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국어 영어 능

력의 필요성을 실감했다 특히 중국어는 소통 유무에 따라 현지 반응이 극명하게 갈렸다

진로설계 도움- 프로젝트 전에 비해 새로운 직업 분야에 대한 관심

이 증가했다

취업능력 향상-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한 내용을 살려 구술 면접이

나 자기소개서 작성에 참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11-2 LGC프로젝트 연구 결과 - 대만 시장

⓵ 중국시장을 주목하는 대만 화장품 기업- EST팀은 현지 대만 화장품 기업으로 SISDORA와 WABFENIX를 선택했다 두 회사를 선정한 배경에는

명확한 의도를 두고 정했다 SISDORA는 설립한 지 10년이 넘는 회사로 직접 화장품을 개발 및 연구하고 판매하는 중소기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과 주름개선 크림으로 중년 여성을 타깃 층으로 하는 화장품 회사다 반면 WABFENIX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스타트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 이지만 기술개발 보다는 디자인 마케팅에 중점을 두었고 판매 층도 10대-20대의 젊은 층을 타깃 층으로 한다 시장 전략이 완연히 다른 두 기업이 유일하게 공통점이 있다면 중국시장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선정 이유에는 많은 인구의 소비력을 꼽지만 뒤이어 언급하는 이야기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자사 제품의 경쟁력 약화를 말한다 현재 대만 기업 대부분은 내수 시장 대신에 중국을 겨냥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국가 산업 특성상 제조amp연구 분야가 강세인 대만에서는 중국 바이어 또는 미국 유럽 바이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직접 판매 보다는 기술 협력을 통해 이익을 창출한다고 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0 -

⓶ 대만 시장을 점령한 한국 화장품

- 앞서 말했듯이 2012년 이후부터 급속히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한국 화장품은 대만 시장을 점령하고 있다 이미 시먼딩에 들어서면 다양한 한국 화장품 매장이 눈에 띌 만큼 들어섰으며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중앙 광장에 입점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매장 안에는 많은 대만 사람들이 화장품을 보고 있는 광경을 흔히 본다 화장품 매장을 이용하는 연령층은 주로 10대-20대들이다 화장품 가격이 한국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주 애용하는 이유는 한류 열풍으로 인한 한국 연예인들에 대한 관심과 화장법이 크게 유행하고 있음을 현지 설문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⓷ 체감할 수 있을 만큼 커다란 한류열풍

- 뉴스에서만 듣던 한류 이야기를 대만에서 직접 느낄 수 있을 정도로 한류열풍은 크다 특히 삼성이나 LG의 TV나 스마트폰은 어딜 가든 항상 보이고 한국 화장품 선물에 대한 반응이 무척이나 뜨겁다 원활한 현지 조사를 위하여 사은품으로 준비한 한국 마스크 팩 100개는 오히려 현지인들이 참여 의사를 표현할 만큼 열정적이었다 일부 대만 사람 중에는 어디서 왔냐는 질문에 한국이라는 답변을 하니 같이 사진 찍기를 제안하기도 했다

⓸ 중소기업에게 있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는 대만 시장진출- 대만 시장 진출에 앞서 한국 화장품 중소기업이라면 전략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크게 대만 시장을 겨냥

할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할지 선택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3CE는 한국 화장품 회사다 대만에서 젊은 연령층이 자주 이용하고 이미 대만 내에서는 유명하다 3CE는 오프라인 매장 없이 순수 온라인 매장으로 운영하면서 대만 사람들을 위한 전용 웹사이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윤을 창출 하고 있다 신중해야 할 점은 현재 온라인 오프라인 등 한국 화장품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신규 진입에 있어서 장벽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대만 시장을 활용한다면 동남아 시장까지 한 번에 내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출입통관 절차가 간단하고 관세가 낮기 때문에 중소기업에게 유리하다 아직까지 중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1 -

에 대한 직접적인 수출이 가능한 곳은 상해나 항주 같이 중국에서 허가한 무역항 도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내륙까지 시장을 확대하기는 불가능하지만 같은 언어권인 대만을 거치면 보다 쉽게 바이어나 에이전트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인맥을 통한 꽌시와 수수료 명목으로 뒷돈을 요구하는 중국 바이어의 관행은 자금 순환이 원활치 않은 중소기업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11-3 LGC 프로젝트 종합 의견 및 전망

우리 lsquoEST팀은 출국 전 국내 화장품 시장 조사를 할 때 대덕 밸리 스타트업 기업 셀아이콘 랩의 영향으로 대만의 화장품 산업에 대해 큰 관심과 가능성을 보고 2015년 1월 5일부터 1월 13일까지 8박9일이라는 시간동안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 나라 중에 하나인 대만에서 rsquo대만의 화장품 시장lsquo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사를 했다 대만에서는 3개의 기업 (KOTRA SISDORA WABFENIX) 을 방문해 전반적인 대만의 화장품 시장과 판매전략 한류에 대한 보다 사실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1개의 대학 (국립성공대학 國立成功大學)에서 MBA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또 타이난에서는 대만에서 오랫동안 사업하시는 한인협회 회장을 만나 PLC (Product Life Cycle)를 통해 대만에서의 특정 시장이 도입기에 있는지 또 어떠한 시장이 쇠퇴기에 놓여있는지 다양한 시야에서 대만시장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노력은 CK 사업단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교육부 CK-1 프로젝트의 일부인 Linton Global Challenge는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몇 년을 내다보는 지속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기업들과 더욱 더 활발한 교류와 연구를 한다면 기업과 CK 사업단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리라고 본다

1 개인 탐방 후기 (팀원 개인 소감)

1-1 개인 탐방 후기

강성민탐방 후기 기업 컨택 부터 인터뷰 일정 계획까지 8박 9일간의 대만 화장품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 출국 전까지 준비 과정부터 탈도 많았고 대만에 와서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 원하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매일이 항상 회의와 고민의 연속이었다 하루하루 충실히 계획을 진행시켜 나갔고 좋은 팀 분위기 속에서 무사히 대만 프로

부록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2 -

젝트를 완수했다 그리고 마침내 한국으로 돌아왔다 과정은 항상 오르막 길이였지만 돌이켜 보면 마지막 대학 시절을 기념할만한 좋은 추억이자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느끼는 바가 많았던 프로젝트로 기억 될 것이다

김은진탐방 후기 글로벌 챌린지를 한마디로 정의하라고 한다면 도종환 시인의 lsquo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lsquo라는 시가 떠오른다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대만기업컨택 설문조사 등 많은 것을 경험했다 처음엔 모든 것이 나에겐 버거운 산이라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도전이 계속 될수록 이젠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이 모든 도전들에 흥미가 생겼다 나 자신도 책임감과 자신감이 생기고 한층 성숙해 진 것을 내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소중한 동료와 추억은 평생 나의 가슴속에 남을 것이다 우린 앞으로도 많이 도전하고 경험하여 우리들의 삶이 활짝 만개하리라 다짐한다 끊임없이 도전하는 20대의 청춘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프로그램이었다 김종선탐방 후기 한국에서 준비하면서 조사했던 내용과 비교하며 인터뷰를 해보니 실제로 많이 다른 부분도 있었고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 비슷한 내용도 있었다 현지의 기업들을 방문해 우리가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직접 매장에 가서 느껴보니 앉아서 컴퓨터만 볼 때랑 많이 달랐다 그리고 직접 대만인들에게 설문조사를 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그리고 대만의 실제 문화와 환경 그들의 생활을 잠시나마 볼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

구명우탐방 후기 며칠간의 꿈만 같았던 대만에서의 시간이 지나갔다 대만으로 출국하기 전 사전조사 기간에는 확신이 없었다 사전조사와 기업과의 인터뷰 그리고 9일간의 일정조율 및 숙박과 모든 대만에서의 연구와 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보고서까지 무엇하나 확신이 드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도전과 해결능력을 배웠고 아시아에서 급성장 중인 대만에 대해서 배우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다음기수로 가게 될 관심 있는 학우들에게 진심으로 추천해주고 싶다

이규현탐방 후기 CK-1 프로그램 중 하나인 lsquo린튼 글로벌 챌린지lsquo 프로그램을 통해 약 8박 9일이라는 시간 동안 emerging market 중 하나인 대만에 거주하면서 한국 화장품의 대만시장 점유율과 진출 가능성을 몸으로 체감하고 자료들을 모아 통계 내어 정리할 수 있었다 우리 팀 lsquoEST가 성공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충분한 국내조사 기간을 갖고 대만의 화장품 회사들을 방문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대만의 특정한 기업을 찾기도 어려웠고 기업 컨택은 번번히 거절당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회사 두 군데에서는 답장조차 오지 않았고 설문조사할 때에는 반한감정의 대만인을 만나 고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팀의 단결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리더의 통솔력으로 정해진 스케줄대로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회사를 방문하고 학교교수를 만나고 길거리에서 설문조사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팀원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또한 대학생으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을 한 것 같아서 스스로도 너무 뿌듯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팀을 믿고 지지해주신 LGSB 교수님들과 CK-1 프로그램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영은탐방 후기 처음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렇게 준비는 열심히 하지만 정말 우리가 계획한 100대로 대만을 다녀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기우가 무색하게도 대만은 우리에게 기획안 그 이상의 것들을 보여주었다 사장님들의 생생한 사업 이야기와 대만의 색채가 묻어있는 아이템들 하며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여 알아보는 비즈니스 마켓의 현장은 나에게 두고두고 잊지 못할 자산으로 남았다 또한 펑리수 버블티를 비롯한 대만의 맛있는 먹거리들과 스린 야시장이나 지우펀 같은 명소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열심히 고생해준 팀원들과의 추억들도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3 -

이서우탐방 후기 이번 글로벌 첼린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서 쉽게 할 수 없는 해외 기업 탐방과 해당 국가의 산업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임효진탐방 후기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팀이 대만을 방문 한다고 했을 때 많이 의아해 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만을 직접 방문해보고 많은 사업자들을 만난 결과 대만은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라고 생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아직 공산주의라는 정치적 특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다른 곳보다 훨씬 어렵지만 대만은 자유시장체제 이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쉽다 특히 외국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만 시장에서 한국제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추고 중국 시장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성공가능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그리고 대만의 바이어들을 통해 중국의 시장진출을 하게 된다면 사업자가 직접 중국시장에 진출 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성공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만은 문화적으로 다른 아시아권보다 선진화 되었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대도시에 속하지만 모두다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골고루 섞여 대만만의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차안호탐방 후기 9박 10일간의 대만을 다녀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넓고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이번 대만 여행은 처음으로 경험한 해외여행 경험이여서 그런지 순탄치 않은 면도 있었지만 팀원들 서로가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만시장은 중국시장으로 가기위한 좋은 시험의 장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대만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영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더 나아가 미래에는 중국어야말로 영어와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성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또 하나 놀란 점은 대만이 반 한류 감정을 많이 갖고 있는 줄 알았지만 대부분의 대만 일반 시민들이 굉장히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에 놀랐고 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CK-1 사업의 챌린지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대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계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보완점 및 건의사항 (문제점개선책건의사항)

2-1 기업 컨택의 어려움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에 있는 기업과 연결하여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대해서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조사 및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시간을 내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로써 그들의 귀한시간이 아깝게 쓰이지 않을 것을 강조하여 만남을 만들어야 한다

2-2 사업단과 의사소통의 불편함

Challeng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CK-1 사업단과의 지속되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가령 누군가를 통해서 전해지는 소문이나 촉박한 시간을 제시하고 일 처리를 원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단과 각 팀의 대표간의 분명한 의사소통과 증빙자료 등이 필요하다

2-3 정보 부재 이번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이머징 마켓에서의 유망 산업 조사 및 연구였다 대만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11: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1 -

2 대만 소개 (국가 기본정보한국과의 관계)

국호臺灣(Taiwan)

- 대만의 공식국호는 lsquo中華民國(Republic of China)rsquo - 국제 행사에서는 lsquoChinese Taipeirsquo 사용

위치 동남아시아

면적 36193(한반도의 16배 남한면적의 13배)

기후 아열대 몬순 기후권

수도 타이베이(Taipei 台北 서울의 약 12크기)

인구 약 2천 3백만 명

주요도시Taipei City(269만명) New Taipei City(390만명)

Kaohsiung City(277만명) Taichung City(265만명)Tainan City(187만명)

민족구성 민남인(74) 외성인(13) 객가인(15) 원주민(2)

언어 공용어(중국어)상용어(민남어 객가어 원주민어)

종교 불교(35) 도교(33) 기독교(26) 천주교(13) 회교(02) 등

건국일 191211(중화민국건국일)

정치형태 입헌민주공화국

국가원수총 통 마잉주(馬英九 Ma Ying-Jiou)

2012114 재선성공 2012520 취임식부총통 우둔이(吳敦義 Wu Den-yih)

GDP ㅇ2012년 US$ 4804억ㅇ2013년 US$ 4789억

2-1 대만 소개

국가 개요

경제 지표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2 -

ㅇ20141~6월년 US$ 2433억

경제성장률ㅇ2012년 148ㅇ2013년 219ㅇ2014년 2분기 384

1인당 GDP ㅇ2011년 US$ 20246ㅇ2012년 US$ 20502ㅇ2013년 US$ 20984

실업률ㅇ2012년 424ㅇ2013년 418ㅇ2014년 2분기 397

물가상승률ㅇ2012년 193ㅇ2013년 079ㅇ2014년 2분기 121

외환보유고ㅇ2012년 US$ 3942억ㅇ2013년 US$ 4168억ㅇ20146월 US$ 4235억

산업구조 제조업(233) 도소매업(181) 부동산업(85) 금융보험업(65) 농업(187)

교역규모ㅇ2012년US$ 3012억(수출) US$ 2705억(수입) 무역수지US$ 307억ㅇ2013년US$ 3055억(수출) US$ 2701억(수입) 무역수지 US$ 354억ㅇ20141~6월US$ 1534억(수출) US$ 1372억(수입) 무역수지 US$ 162억

주요교역품 ㅇ수출 전자제품 기본 금속 제품 플라스틱 및 고무 제품 광학기기 화학품ㅇ수입 광물 전자제품 화학품 기계 기본 금속 제품

환율ㅇ2012년 US$ 1=NT$ 2962ㅇ2013년 US$ 1=NT$ 2977ㅇ2014 6월 US$ 1=NT$ 3004

화폐단위 New Taiwan Dollar(NT$)

외교 관계

ㅇ 1948 8월 대만정부 대한민국 정식 승인ㅇ 1949 8월 주타이베이 한국대사관 개설ㅇ 1992 8월 한국-대만 단교ㅇ 1993 11월 주타이베이 한국대표부 개설ㅇ 1994 1월 주한 타이베이대표부 개설

교역 규모 ㅇ 2011년

한국-대만 외교 관계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3 -

(한국 기준)

- 수출 US$182억 수입 US$1469억 무역수지 US$35억ㅇ 2012년 - 수출 US$148억 수입 US$140억 무역수지 US$8억ㅇ 2013년 - 수출 US$157억 수입 US$146억 무역수지 US$107억ㅇ 20141~6월 - 수출 US$75억 수입 US$75억 무역수지 US$04억

주요교역 품목ㅇ 수출 반도체 기초유분 철강판 석유화학 중간원료 컴퓨터 정밀화학원료 반

도체 제조용 장비 광학기기 석유제품 선박 등ㅇ 수입 반도체 컴퓨터 기구부품 철강판 무선통신기기 기타 중전기기 평판디

스플레이 및 센서 기타 석유화학제품 플라스틱 제품 정밀화학원료 등

상호 투자

ㅇ 우리나라의 對대만 투자 - 2010년 43건 US$1400만 2011년 42건 US$4700만 - 2012년 38건 US$950만 2013년 26건 US$1700만 - 1968~2013년 624건 US$ 5억 6300만ㅇ 대만의 對한국 투자 - 2010년 5건 US$340만 2011년 7건 US$2800만 - 2012년 9건 US$2100만 2013년 14건 US$6100만 - 1962~2013년 181건 US$ 6억 1200만

교민 총 교민수 약 3천 4백여명

양국 간 교역 동향

수출입 동향

Ÿ 한국과 대만은 주요 수출입 품목이 반도체 철강 컴퓨터 화학원료 등으로 중복되는 경향이 강하며 상호비교우위 품목을 위주로 교역이 이뤄지고 있음

Ÿ 전년도 수출 급감에 따른 기저효과 스마트기기 및 테블릿 산업의 성장과 이에 따른 부품 수요 증가 한류영향 품목의 수출 확대 등으로 인하여 2013년도 한국의 對대만 수출은 전년대비 6 늘어났으며 수입 역시 44의 증가세를 보임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4 -

구분2012년 2013년 2014년 1~6월

금액 증감 금액 증감 금액 증감

총계 2882 -124 3033 52 1502 -328

수출 1481 -186 1570 60 753 -726

수입 1401 -46 1463 44 749 135

수지 8 -771 10 25 04 -945

순위 품 목2012년 2013년 2014년

1~6월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1 반도체 3578 -342 3742 46 2169 1572 석유제품 2239 -29 2810 255 953 -3563 기초유분 1381 198 1314 -48 531 -2084 정밀화학원료 406 -426 477 176 272 1835 석유화학중간원료 532 -376 586 101 220 -516 반도체제조용장비 311 -222 344 107 195 -107 자동차부품 239 209 168 -298 159 8728 광학기기 238 -248 283 188 151 969 기구부품 217 111 375 727 147 -28210 플라스틱 제품 250 -124 286 147 142 16

lt 한국-대만 수출입 동향gt (단위 억 달러 )

자료원 한국 관세청

lt한국의 對대만 10대 수출 품목gt (단위 백만 달러 )

주 MTI 3분류 2013년 수출액순 자료원 한국 관세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5 -

순위 품 목 2012년 2013년 2014년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1 반도체 8114 117 8874 94 4438 -102 기구부품 757 124 867 146 341 -2343 철강판 420 -312 398 -52 181 -1474 컴퓨터 616 -570 356 -422 171 -635 기타석유화학제품 227 -103 199 -125 143 9856 플라스틱 제품 324 229 288 -111 136 -1057 동제품 156 46 194 245 125 2108 합성수지 159 -19 172 81 108 2739 평판디스플레이및센서 133 -215 138 35 106 29110 기초유분 155 -250 132 -143 98 425

lt한국의 對대만 10대 수입 품목gt (단위 백만 달러 )

주 MTI 3 분류 2013년 수입액 순 자료원 한국 관세청

양국 간 상호 투자현황

대만의 對 한국 투자현황lt대만의 對韓 투자동향gt

(단위 건 백만 달러)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1~6월 누계(62~2014)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5 34 7 280 9 21 14 61 3 3 184 615

자료원 대만 경제부 투자심의위원회 신고 기준

Ÿ 대만기업의 對韓 투자는 10~20만 달러 규모의 판매법인 설립이 대부분이며 대규모 그린필드형 투자는 중국 및 동남아지역에 RampD형 투자는 미국과 일본에 집중되고 있음thorn 대만기업의 對韓 투자는 지난 5년간 연평균 25천만 달러에 불과

Ÿ 또한 중국 투자환경 악화로 동남아 등지의 신흥시장으로의 제조기반 이동에 대한 투자가 늘고 있으며 유턴투자도 증가

Ÿ 한편 주요 산업분야에서 대만은 한국과 경쟁적 보완관계이며 일본과는 보완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음thorn 특히 한 대만간 반도체 디스플레이 기업간 경쟁이 심해지면서 대만 IT업계를 중심으로 lsquo聯日抗韓(일본

과 연합하여 한국을 견제하자)는 주장이 제기되는 등 대만기업의 일본 편중현상은 심화되고 있음Ÿ 지금까지 대만의 대표적인 對韓 투자사례로는 2007년 IC디자인 기업인 SIMO의 FCI 인수(8800만 달러)

2010년 대만의 최대 철강회사 CSC의 동부메탈 지분인수(4200만 달러) 2010년 IC 테스팅 업체 Ardentec 웨이퍼 테스팅 공장 설립(4000만 달러) 2012년 6월 반도체 패키징 업체인 ASE의 라인증설(8000만 달러) 등이 있음

Ÿ 최근에는 금융권을 중심으로 한국기업에 대한 MampA SI 투자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어 주목받고 있음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6 -

thorn 2013년에는 대만의 1위 증권사 위안타가 한국의 동양증권 인수를 발표 양국의 금융감독기관 허가를 받아 2014년 연내 합병 추진 중(25억 달러)

thorn 또한 다국적 제약회사 Alvogen은 대만 LOTUS를 인수 동아시아 HQ로 삼고 한국 제약회사(드림파머) 인수를 추진 중

우리나라의 對 대만 투자현황

lt한국의 對대만 투자동향gt (단위 건 백만 달러)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1~3월 누계(lsquo68~lsquo14)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43 13 44 47 38 9 34 68 15 5 646 617

자료원 한국수출입은행 신고 기준

Ÿ 제조업 분야에서의 對대만 투자는 시장개척 및 고객사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임

Ÿ 우리기업의 대표적 투자 사례로는 2005년 LCD 장비 업체 PKL사의 LCD용 포토마스크 공장설립(4000만 달러) 2007년 게임업체 넥슨의 감마니아 지분인수(2100만 달러) 등이 있음

Ÿ 2011년 4월 미래에셋(Mirae Asset Global Investments)은 타이완라이프자산운용에 약 1000만 달러를 투자 자산운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Ÿ 2014년에는 PCB 기판 업체 달마전자가 가오슝에 공장을 설립 9월 준공식을 앞두고 있음

3 탐방 목적 (주요 목표부가 목표기대 효과)3-1 탐방 목적

주요 목표 1 대덕밸리 스타트업기업 (주)셀아이콘랩의 대만진출 가능성 탐색 2 대만 소비자들의 기능성 화장품 인식 조사 3 대만화장품시장의 유통경로 조사

기대 효과기업측면 기대 효과

⓵ 현지 시장조사 자료 획득⓶ 자사 시제품 반응결과 파악⓷ 사업단과의 지속적인 연계

사업단측면 기대 효과⓵ CK 사업 목표 또는 취지에 부합(CK ndash University for Creative Korea)⓶ 새롭게 출발하는 lsquo글로벌IT경영학과rsquo의 홍보전략으로 활용 가능

학생측면 기대 효과

⓵ EST팀 특강 ndash 학과 내 MIS Day 혹은 관련 과목 강의에서 특강⓶ 해외 탐구 동아리 개설⓷ CK 멘토와 후원 활동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7 -

4 사전조사 활동 (셀아이콘랩)

4-1 기능성 화장품 연구amp제조 기업 lsquo셀아이콘랩rsquo 기업 인터뷰

회사 소개

회사명 셀아이콘랩주소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대로 1646 한남대학교 사이언스파크 312호 대표자명 성민규 대표 사업분야 코스메슈티컬 펩타이드 소재개발 피부 전문가용 코스메슈티컬 화장품 OEMODM 주문 생산 방식

인터뷰 내용 1) 셀아이콘랩 2014년도에 많은 해외 박람회에 참여하고 있는데 해외시장 진출 의사가 있으신가요= 저희 회사의 사업화 로드맵을 보시면 2014년에 해외영업 마케팅 판매가 계획되어 있고 올해 들어 중국 러시아 카자흐스탄 말레이시아 등 여러 나라를 방문하여 박람회에 참가하고 실질적으로 상품을 판매하고 반응을 살피고 있습니다

2) 그렇다면 대만 화장품 시장 진출에 대해 고려해본 적은 있으신가요 만약 진출을 고려해보았다면 대만의 화장품시장에서 원하는 자료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대만시장을 접할 기회가 부족했을 뿐 내년에 대만 시장진출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셀아이콘랩은 현재 거래중인 중국 카자흐스탄 등지의 국가들에서 더 나아가 대만이나 홍콩과 같은 중화권 시장의 가능성을 느끼고 해당나라에 진출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요구사항 대만의 수출수입 인허가 절차 관세 세금 시장가격 형성 요인 화장품 유통 채널 구매경로 트렌드 또한 대만 시장에 뷰티샾(우리나라의 올리브 영)같은 종합 매장이 형성과정 실질적인 구매력을 알아보기 위한 대학 졸업생의 평균 초봉 등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8 -

5 화장품 산업 및 환경 분석 (연구자료 첨부)

구분 2011 2012 2013(1월 ~ 11월)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및 성장률 19427798 42 19421349 00 191454345 08

5-1 화장품 시장 동향

시장규모 및 전망thorn 대만의 약품 및 화장품 시장규모는 2013년 기준 1914억 달러로 2012년 대비 008 증가

최근 3년간 대만 약품 및 화장품 시장규모 및 성장률 (단위 천 달러)

자료원 대만경제부 통계처

시장전망thorn 수요 감소 예상 요인 대만 화장품시장은 다양한 국산 수입제품들이 오랜 시간 경쟁하는 포화된 시장thorn 종합의견 다수 유명 외국 브랜드(예 SHISEIDO KOSE 등)는 대만에 공장을 설립해 국산 브랜드와

경쟁하고 있으며 대만 정부의 각종 규제가 엄격하고 많아 허가 관련 등록서류 및 비용으로 인한 진입 장벽이 큼

소비자 구매 패턴thorn 주요 소비자 계층 14~55세 등 다양thorn 소비자 구매 동기 귀엽고 여성스러운 디자인 미백 보습 등과 같은 눈으로 확인 가능한 기능성 민감

성 피부에 바로 사용 가능한 화장품을 선호하는 추세

제품 트렌드thorn 대만 시장에서 국산 브랜드보다 수입 브랜드의 인기가 더 높으며 그중 일본 브랜드가 장시간 많은 인

기를 유지하여 왔음thorn 최근 한국 드라마에서 스타들이 연출하는 화장법 또는 유명 스타가 광고하는 한국 화장품이 큰 인기

를 얻고 있으며 한류 열풍으로 대만에서 수입 화장품 판매량이 늘어나면서 국산 화장품의 신제품 개발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

thorn 피부과 및 의학미용센터에서 다양한 시술(보톡스 반점 제거 여드름 크리닉 모공축소 레이저 비지 제거 등)을 받아 꾸준히 피부관리를 받고 다니는 여성들이 많아지는 추세에 따라 기능성을 강조하는 의학미용(aesthetic medicine) 화장품 혹은 시술 받고 나서도 바로 사용 가능한 기초화장품(무자극 보습효과 강조)이 유행하기 시작함

해당 산업 관련 정부 정책thorn GMP 정책 글로벌 추세에 따라 대만 화장품의 품질middot제조 수준 및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대만 경

제부공업국과 대만 위생서는 2008년 9월 4일부터 lsquo자발성 화장품 우량제조규범 검증제도(自願性化妝品優良製造規範驗證制度)rsquo를 실시한다고 발표함 약품 의료기기 식품을 이어 화장품이 네 번째로 GMP검증을 받는 산업이 되었음 ISO 22716 규범으로 주요 참고 근거로 보고 있음 동시에 화장품 GMP 추진 플랫폼을 설립하고 기업 문의에 대한 상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9 -

구분 2011 2012 2013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및 성장률 614293 1192 600356 -227 557784 -085

순위 국가 금액 점유율 증감율2011 2012 2013 2011 2012 2013 1312

총계 614293 600356 557784 100 100 100 -0851 일본 248980 237052 199987 40531 39485 35854 -113212 프랑스 116031 111983 110509 18888 18653 19812 45333 미국 89984 96689 89924 14648 16105 16122 -03914 한국 29779 29329 36746 4848 4885 6588 386345 중국 23444 30114 30138 3816 5016 5403 99486 영국 15895 14619 14482 259 2435 2596 29227 독일 16799 14327 14159 274 2386 2538 96758 스위스 13631 12401 11151 222 2066 1999 -5329 태국 9929 9214 8943 162 1535 1603 533310 이탈리아 12312 8853 8632 2 1475 1548 7727

5-2 수입동향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동향 (단위 천 달러 )

주 대만 국제무역국

최근 3년간 상위 10개국의 수입통계

주요 수입국 현황(HS Code 330499 기준) (단위 천 달러 )

자료원 대만 경제부 국제무역국 중화민국수출입무역통계(httpcus93tradegovtwFSCI)

수입관세 및 관련 제도thorn 관세 0thorn 통관 시 유의사항 대만에서 화장품은 의료용 또는 약품을 함유하지 않은 lsquo일반화장품rsquo과 lsquo함약화장

품rsquo 등 세 종류로 나눠져 있음 함약화장품의 경우 통관 시 대만 위생서에서 발행한 위생허가증을 제시해야 함

thorn 필수 인증 현황 함약화장품(예 염색제 파마제 자외선차단제 땀 억제제 치아미백제 등)은 대만 위생서 허가를 받아야 수입 및 제조판매를 할 수 있음 허가 신청 시 제품명 성분 제조업체명 제조업체주소 해외 수입업체명 수입업체주소 제품 전성분 용량 용도 사용법 유효기간 샘플 Certificate of Analysis Certificate of Sales SPF ampUVA 검사보고서 등이 필요함(세부사항은 대만 위생서 홈페이지 참조바람)

5-3 유통구조

유통채널 종류thorn 오프라인 백화점 H ampB(Watsons Cosmed SaSa 등) 방문판매 약국 각종 마트 편의점 피부과

피부관리센터 전문판매점(로드숍)thorn 온라인(여기는 virtual channel을 뜻함) 홈쇼핑 온라인 쇼핑몰(경매 브랜드 홈페이지 등 포함) 우편

주문(郵購) 등이 있음

유통채널 점유율 오프라인 유통채널의 점유율은 여전히 70~90 정도로 높게 차지하고 있으나 온라인 유통채널의 점유율도 빠른 속도로 상승하고 있음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0 -

브랜드명 제품명 가격 판매순위

SHISEIDO 100 1

SKII 133 2

ESTEE LAUDER 100 3

항목 내용전시회명(현지어명) 2014春夏國際美容化妝品展전시회명(한국어) 2014 춘하 국제미용화장품 전시회

전시품목 미용 화장품개최국가도시 타이베이

유통채널 활용 방안 아직까지 온라인 채널의 점유율이 높지 않으나 대만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블로그 등)에 영향을 많이 받는 편이어서 오프라인 채널에 진입하기 전에 온라인으로 먼저 마케팅(브랜드 이미지메이킹 블로거 마케팅 등)을 진행하는 방법을 추천함 대만 오프라인 채널의 진입장벽은 매우 높으며 비교적으로 이윤이 많이 남는 온라인시장에서 브랜드 파워를 먼저 키우면 오프라인 채널에 들어가는 길이 훨씬 수월해질 것으로 예상함

5-4 경쟁동향

경쟁제품 현황주요 경쟁제품 현황

(단위 달러)

한국 제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 및 선호 브랜드 현황thorn 한국 제품 현지 인지도 높음thorn 선호 브랜드 3CE INNISFREE NUTURE PUBLIC MISSHA THE FACE SHOP LANEIGE 등

5-5 효과적인 시장 진출 전략

타깃 고객층thorn 타깃 고객층 20~30대 초반thorn 타깃 사유 유행에 따라 새로운 것을 많이 도전하고 한류의 영향도 가장 많이 받는 젊은 층이 한국

화장품을 소비하는 경우가 많음 35세 이후의 직장 여성 혹은 가정주부들은 여전히 일본 혹은 유럽 미국의 고가 화장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활용 가능한 마케팅 방안 ⓵ 현지 전시회 정보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1 -

개최주기 3월경개최기간(2014년) 0321~0325

웹사이트 httpwwwudnicecom

⓶ 전시회 이외의 주요 마케팅 방안 블로거 마케팅 등 ⓷ 유력 홍보 방안(전문잡지 온라인 매체 등)

thorn 온라인 매체 Fashion guide(httpwwwfashio guidecomtw) UrCosme(httpwwwurcosmecom)

thorn 전문잡지 VIVI BEAUTY 大美人 Style W Marie laire Fashion Guide 등

시장 확대를 위한 무역관 의견 대만 화장품시장은 가격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 시장 진입 시 확실한 브랜드 포지션을 정해야 하며 해당 포지션의 대만 제품 가격을 조사한 후에 대만 최종 소비가격을 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

또한 소비자들은 할인세트 및 사은품에 약하여 각종 행사 진행 시 사은품 증정 혹은 묶음세트로 판매하는 것을 추천 보습(특히 히알루론산 성분 강조) 및 미백(대만 정부에서 인증된 미백성분이어야 함) 제품을 매우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6 탐방 상세 일정 (일정표 - 기간 지역)

날짜 지역105(월) 인천 ~ 대만 타이페이

시간 일정0600 인천공항 도착

0600 ~ 0920 인천공항 대기0920 ~ 1140 인천공항 rarr 대만 1140 ~ 1230 대만 입국 수속1230 ~ 1320 숙소 이동 (용산사 역)1320 ~ 1500 짐정리1500 ~ 1600 회의 및 일정정리1600 ~ 163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630 ~ 1800 KOTRA방문 및 인터뷰1800 ~ 1830 101타워 딘 타이 펑 이동(도보)1830 ~ 1910 저녁식사 - 딘 타이 펑1930 ~ 2100 101 타워 야경감상2100 ~ 2130 숙소로 이동2130 ~ 223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6(화) 타이페이

시간 일정0900 기상

0900 ~ 110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30 ~ 1230 점심식사 - 마라훠거1230 ~ 1300 SISDORA 본사로 이동

6-1 8박 9일 대만 일정 (150105 ~ 150113)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2 -

1300 ~ 1530 SISDORA 방문 및 인터뷰1600 ~ 1800 101타워 퍼스널 트레이닝 센터 방문1800 ~ 1930 저녁식사 - 카렌 레스토랑1930 ~ 2000 숙소로 이동2000 ~ 2100 개인 휴식2100 ~ 223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7(수) 타이페이

시간 일정0900 기상

0900 ~ 113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30 ~ 120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200 ~ 1250 점심식사 - 키키 레스토랑1250 ~ 1300 시먼딩 이동1300 ~ 1530 화장품 설문조사1530 ~ 1830 한국 화장품 매장 제품 조사1830 ~ 1900 야시장 이동(MRT)1900 ~ 2000 저녁식사 ndash 야시장 음식2000 ~ 2030 숙소로 이동2030 ~ 2130 개인 휴식2130 ~ 230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30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8(목) 타이페이 ~ 타이난

시간 일정0830 기상

0830 ~ 110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00 ~ 1200 체크아웃 및 고속철도역 이동1200 ~ 1340 타이페이 rarr 타이난 이동1340 ~ 1400 짐 보관 및 인터뷰 장소 물색1400 ~ 1600 가오슝 한인협회장 인터뷰1600 ~ 1700 숙소도착 및 짐정리1700 ~ 1800 개인 휴식1800 ~ 1900 저녁식사 - 새우롤2000 ~ 2230 중간 정리 및 보고서 작성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9(금) 타이난

시간 일정0800 기상

0830 ~ 0900 아침 식사0900 ~ 1130 타이난 일정 브리핑 및 팀 미팅1130 ~ 1210 타이난 시내로 이동(TAXI)1210 ~ 1320 점심식사 - 스시1320 ~ 1350 성공대학 이동(도보)1350 ~ 1700 성공대학 방문1700 ~ 1800 성공대학 캠퍼스 탐방 및 대학원생들과 대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3 -

1800 ~ 1830 저녁식사 - 대만 전통 음식점1830 ~ 1900 타이난 RT마트 이동(도보)1900 ~ 2030 RT 마트 장보기2030 ~ 2100 숙소로 이동2100 ~ 2200 개인 휴식2200 ~ 2330 팀 회의 및 예산 정리

23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12(월) 타이페이

시간 일정0800 기상

0800 ~ 0900 아침식사(호텔 조식 제공-선택)0900 ~ 1130 호텔 개인시간1130 ~ 123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230 ~ 130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300 ~ 1600 Wabfenix 방문 및 인터뷰1600 ~ 1630 간식 - 망고차차1630 ~ 1700 시먼딩 이동(MRT)1700 ~ 1830 화장품 설문조사 활동1830 ~ 1930 저녁 식사 - 코코이찌방야2030 ~ 2130 개인 휴식2130 ~ 2300 팀 회의 및 예산 정리

230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13(화) 대만 ~ 인천공항

시간 일정0800 기상

0800 ~ 0900 아침 식사0900 ~ 1130 짐정리1130 ~ 1200 체크아웃1300 ~ 1400 점심식사 - 스시(시먼딩)1400 ~ 1430 쑹산 공항 이동(TAXI)1430 ~ 1530 시먼딩 rarr 쑹산공항1530 ~ 1730 출국 대기1730 ~ 2100 대만 출국 rarr 대한민국

2100 대한민국 입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4 -

7 방문 기업 소개 (인터뷰 내용)

7-1 대만 KOTRA

-2015년 1월 5일 월요일 1630~1800 인터뷰-위치 台北市 基隆路 1段 333號 22樓 14室(2214室) Intl Trade Building 22층-전화 (886-2)2725-2324 -팩스(886-2) 2757-7240

Q대만에 대하여 간단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우선 대만은 남한의 13의 해당하는 영토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구역시 남한에 비해 적은 2천 3백만 명 정도이며 기후는 아열대 몬순 기후권으로 비교적 따듯한 날씨입니다여러분이 대만에 와보셔서 알겠지만 대체로 습한느낌을 받으셨을 탠대 대만은 겨울에도 남한만큼은 춥지 않습니다 언어는 주로 중국어를 사용하며 문자는 중국과 살짝 다른 번자체를 사용합니다1인당 GDP는 2013년 기준 20984 달러 정도이며 산업구조는 제조업과 도소매업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Q현재 우리나라의 어떤 기업들이 대만에 진출해 있는지 궁금합니다

A최근에는 화장품을 주력 제품으로 아모레퍼시픽등 화장품 대기업들이 타이페이 시내에 로드샵을 많이 개점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대만은 제조업과 도소매업이 주를 이루다 보니 20~30년 전부터 진출한 기업들이 계속해서 입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주로 삼성물산 현대종합상사 LG상사 LG전자등 대기업이 주를 이루고 있고 우리나라 기업은 1년에 한 기업정도 대만에 진출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Q그렇다면 대기업을 제외한 중소기업들이 대만시장에 진출하지 않는 이유가 따로 있습니까

A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아무래도 중국시장이 개방을 하면서 인 것 같습니다 기존에 진출해있는 기업들은 과거 대만이 인프라 구축이 미흡했을 당시 해외투자를 많이 받으면서 비교적 좋은 조건으로 대만에 진출하고 인프라 구축등 사업을 진행하면서 기반을 다졌을 겁니다 그 기반으로 지금까지 대만시장에 진출해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중소기업의 경우는 해외투자가 너무 모험적이며 대만 시장과 중국의 시장을 비교하여 봤을 때 인구가 차이가 약 8배 정도 나며 중국에 비해 비교적 작은 시장이라고 느껴 대만보다는 중국에 많이 진출하는 것 같습니다

Q마지막 질문으로 만약 우리나라 중소기업이 대만시장에 진출할 때 유의해야 할 점이나 좋은 팁이 있을까요

A대만 시장에 완전히 진출해야겠다는 생각보다는 중국이나 다른 중화권 나라의 진출하기전 시험의 장소로 생각하고 진출해보는 것은 나쁘지 않다 생각 합니다 아무래도 대만의 인구가 많은 편이 아니다보니 불리한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5 -

조건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이나 다른 큰 중화권 시장으로 진출하기 전에 언어나 문화 중화권사람들의 사고방식등 여러방면에서 시험해 볼 수 있는 좋은 장소는 틀림없습니다 중소기업이 대만시장에 진출할 때는 코트라를 이용하여 각종 정보나 현지 인프라등을 이용하는 것 또한 하나의 방법이며 무엇보다 중화권의 문화와 중화권 대중들의 생각을 잘 공부하고 언어를 습득하여 오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7-2 SISDORA luxury beauty care

-1월 6일 화요일 1300~1530 인터뷰 1600~1800 101타워 퍼스널트레이닝 센터-주소 No9Aly 10Ln265Sec 4Xinyi RdDaan Dist Taipei City 106-대표 Mr Chung-Cheng Lee -전화886-2-27040889-URL httpwwwsisdoracom

Q 간략한 회사 소개와 SISDORA의 유래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A Isadora는 고대 이집트의 가장 강력한 여신의 이름입니다 Sisdora는 이 여신의 이름을 따서 만든 브랜드 이름입니다 이집트의 고대 여신인 Isadora의 이시스는 선물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고 생명과 건강 아름다움을 담당하는 여신으로도 유명합니다 저희 SISDORA는 비슷한 동음 이의어로 동양의lsquoISIS(이시스)rsquo라는 단어가 있어 브랜드 명을 SISDORA로 정하게 되었습니다Q Sisdora 제품 소개 부탁드립니다

A저희 제품은 안티에이징 미백 마스크 제품을 주력으로 하고 있습니다 동일 제품군을 비교해 봤을 때 가격 및 품질은 상위에 속하는 최상품의 제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마스크 팩 대부분은 종이섬유로 제조하는 반면 저희 Sisdora는 누에의 실(실크)로 만든 마스크 팩 입니다 실크마스크 팩을 제조할 때에는 피부 건강에 좋은 약재 및 약초등을 배합하여 제조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피부에 자극적인 향로를 첨가하지 않았고 수분이 빠르게 흡수 될 수 있습니다 덕분에 저희 마스크 팩을 사용하는 고객들은 부드럽고 산뜻한 느낌을 받으실 수 있을 겁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6 -

Q 귀하의 회사는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어떤 마케팅을 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A 저희는 해마다 대만 타이페이 글로벌 미스코리아 대회에 제품을 협찬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대만 유명 가수들과 함께 제품을 결합시킨 뮤직비디오를 제작하여 마케팅에 힘쓰고 있습니다뿐만 아니라 제품의 품질인증을 바탕으로 러시아 중국 동남아 지역에 진출하는대 힘쓰고 있습니다 저희 제품은 대만 내에서 스킨케어 제품으로써 유일하게 지정 브랜드 수상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저희는 주로 매스컴이나 인터넷을 통한 마케팅이나 엔터테이먼트 컨벤션 산업을 활용하여 마케팅을 하고 있습니다

Q 그렇다면 대한민국의 화장품 제품이 대만에 진출해 있는데 대한민국 화장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는 어떤지 궁금합니다

A 최근 5년 사이에 한국의 드라마 음악등 한류를 타고 대만에도 많은 한국 제품이 등장하였습니다 하지만 대만에는 오래전부터 수입화장품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이탈리아의 산타 마리아 노벨라 프랑스의 아이젠버그등 명품 화장품 브랜드가 오래전부터 입점해 현지 화장품시장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 때문인지 한국 화장품의 인지도는 크게 높지는 않습니다 아무래도 유럽 브랜드 그 다음으로 대만 기업의 브랜드 그 다음으로 한국의 화장품 브랜드 순으로 인지도가 형성되어 있다고 생각됩니다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한국화장품은 다른 명품 화장품들의 가격보다 저렴하고 성능이나 효과 면에서 절대 뒤처지지 않아 한류가 지속되고 마케팅이 잘 이루어진다면 충분히 유럽의 명품화장품의 인지도를 뛰어 넘을 수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Q 한국의 중소기업의 화장품이 대만 시장에 진출하는 것에 대해서는 어떤 의견을 갖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A 한국의 대기업 화장품 브랜드가 아닌 중소기업의 화장품 브랜드가 대만에 진출하는 것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겁니다 하지만 저희 회사도 중소기업으로 시작하여 마케팅 전략을 잘 활용 하여 많이 성장하였습니다 아무래도 한국의 중소기업의 화장품이 대만에 진출하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있겠지만 어떤 마케팅 전략을 선택하느냐가 가장 중요하고 마케팅이 잘 이루어지고 입소문이 퍼진다면 한국의 중소기업 화장품 또한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7 -

7-3 가오슝 한인협회

-1월 8일 목요일 1400~1600 인터뷰-주소 高雄市鼓山區二路37巷弄43-2號(고웅시고산구이로37항81롱43-2호)-대표 尹桓鎬(윤환호) HP 0932-740-538 -電話 07-5211933 -傅眞 07-5214031

Q 대만과 한국과의 무역 관계가 어떠한지 궁금합니다

A 한국과 대만과의 무역은 크게 활발하게 이루어 질 수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대만의 시장 자체가 매우 작기 때문에 대만에 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국내 시장이나 다른 큰 해외 시장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대만 시장을 거쳐서 동남아나 중국 시장으로 진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여서 기존에 존재하는 대기업이나 저처럼 오래 전부터 이민한 분들이 소규모로 중개무역을 하고 있는 정도입니다

Q 현재 한인협회 회장님께서 직접적으로 하는 일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현재 저는 한국의 화장품을 수입하여 대만 현지 기업에게 판매하는 중개무역을 하고 있습니다 대만에 온지 20년이 넘었는데 이런 저런 일을 하다가 기회가 되어 이쪽 일을 하게 되었는데요 처음에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인식이 없어 가격은 비싸고 품질의 보증은 되어 있지 않은 제품이라 소비가 크게 늘지 않았는데 한류 열풍이 불고 한국 드라마의 성공과 그 배우들이 광고하는 화장품의 수요가 크게 늘어 몇 년 전부터 시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Q 한국과 대만과 중국의 관계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해 주세요

A 앞서 말씀 드린 것 같이 한국의 기업은 대만을 통하여 중국 시장의 진출을 위하여 대만 시장을 많이 찾습니다 그 이유는 한국 기업이 대만 시장을 통해서 제품을 인정받는다면 대만과 중국은 같은 언어권의 나라로 대만기업을 통해 중국으로의 활로를 개척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왜 이렇게 돌아서 진출을 하려고 물으셨는데 그것은 쉽게 말해서 말이 잘 통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의 중국어를 잘 구사하는 사람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보다는 대만의 사람이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주고 인정을 해준다면 더욱 쉽게 자리를 잡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8 -

Q 스타트 기업의 대만 진출 성공여부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중소기업이 대만에 들어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현재 한국 내에서의 위치를 높이는데 주력하는 것이 좀 더 낫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대만은 아주 뛰어난 기술력을 가지고 있지만 자체 제품을 생산하지 않습니다 예로 Apple에서 전체 아이디어를 미국에서 한다면 그 아이디어 실행은 대만에서 이루어집니다 그리고 제품의 생산은 대부분 중국에서 이루어 지구요 이렇듯 대만의 기술력과 제품에 대한 이해가 빠르기 때문에 수입을 많이 의존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중소기업이 들어와서 제품을 판매한다 쉽게 성공할 수 없죠

Q 회장님께서는 중국과의 중개무역은 생각하고 있으시지 않습니까

A 네 저는 지금의 생활에 만족하고 있습니다 지금 저의 파트너들과의 관계도 좋고 따로 중국 진출은 생각하고 있지 않습니다 만약에 제가 중국을 진출하게 된다면 현재의 기업들과도 경쟁상대가 되어 저는 생각이 없습니다

7-4 국립성공대학(國立成功大學)

-1월 9일 1350~1700 인터뷰-주소 701 臺南市東區大學路1號-연락처06-2757575 -홈페이지 wwwnckuedutw

대만 국립 성공대학은 931년 타이난에 설립된 이공계 명문 대학입니다 국립성공대학은 66개의 캠퍼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각 캠퍼스마다 특징과 분위기가 다릅니다 우리 국립성공대학은 ldquo북대대 남성공(北臺大 南成功)rdquo 이라는 말이 있듯이 역사는 대만대학의 바로 다음갑니다

국립성공대학의 이름의 의미는 성공은 무엇을 성취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대만의 민족영웅인 정성공(鄣成功)을 기념하기 위한 대학이라는 뜻입니다 성공대학은 정성공이 있던 역사명승 적감루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해 있기도 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9 -

이후 인터뷰로 대만의 소개와 간단한 전공 소개가 있었다

7-5 WABFENIX RENIX GLORY GLORIA GUA

-1월 12일 월요일 1300~1500 인터뷰-주소 14F-1 No420 Sec 4 Xinyi Rd Xinyi Dist Taipei City 110 Taiwan (ROC)-대표 Mr KEN -전화886-5569-0555-URL httpswwwfacebookcomrenixfanspage httpwwwwabfenixcom

Q Wabfenix가 어떤 기업인지 소개 해주세요

A 저희 회사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으로 현재는 매장은 없지만 개발한 제품을 바탕으로 사업을 진행 중이고 대만현지에 저희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저희 회사는 제품의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화장품을 개발하여 대만시장 뿐만 아니라 중국시장의 진출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Q 귀하의 제품은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제품이라 하셨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제품 등이 있습니까

A 우선 Heymore 제품군의 블랙 마스크 팩과 Renix 제품군의 일반 마스크 팩을 출시했습니다Heymore의 경우 선물용임을 부각시키기 위해 디자인에 특히 많은 투자를 하였습니다 중국 중산층을 겨냥한 제품으로 가격대 1봉지에 한화 ₩40000 정도로 높게 책정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가격을 높게 측정한 이유에는 중국 화장품 소비문화 속에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 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에 저가 보급형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0 -

제품인 Renix와 차별을 두는 판매 전략을 선택하였습니다 현재 판매되는 제품은 마스크 팩을 주력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Q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인데 중국을 대상으로 어떤 진출 전략을 갖고 있습니까

A중국에서 열리는 화장품 전시회 화장품 엑스포 행사 바이어 미팅 등 꾸준히 참가중이며 바이어들에게 저희 제품을 어필하고 있습니다 물론 신생기업인 만큼 아직 중국 내에서 뚜렷한 판매 실적을 기록하진 못했지만 타 화장품 기업들과 다른 마케팅 방식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디자인이나 제품의 아이디어를 강조하고 있는데 대표 적인 상품으로 오뚝이 모양을 한 화장품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이 오뚝이 제품을 바이어들에게 어필해 보았는데 대단히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Q 해외시장 마케팅과 대만 시장마케팅의 차이점이 있습니까

A 우선 중국에서의 마케팅은 행사나 전시회에 참여하고 바이어들을 개인적으로 만나는 것에 치중해 있다면 국내 대만시장의 마케팅 전략은 페이스북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대만은 중국에 비해 SNS가 많이 발달되어 있어 자금이 많이 들어가지 않는 SNS마케팅을 하고 있고 각종 자선행사에 참여하여 저희 기업을 홍보하고 있습니다

Q 귀사의 제품을 중국보다 비싼 인건비가드는 대만 제조공장에서 생산하는 겁니까

A타이중에 소재하는 공장에서 마스크를 제조 하고 있습니다 인건비가 비싼 것은 대만 수도인 타이페이에만 주로 해당이 됩니다 지방 소도시에서도 외곽으로 들어가면 저렴한 인건비와 공장 가동비용으로도 제조가 가능 합니다 굳이 중국에 제조공장을 갖지 않는 이유는 신생기업이라 자금문제도 있지만 대만은 OEMampODM에 특화된 국가이기 때문에 품질 좋은 다양한 제품주문이 가능하고 중국 사람들에게도 자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 보다 외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가 더 좋기 때문에 대만에서 생산한 뒤 수출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Q 대만에 한국 화장품 기업이 진출한다면 어떠한 마케팅 전략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 생각 하십니까

A 이미 대만에 한국의 화장품 제품들이 많이 들어와 있습니다 하지만 대만 자체의 화장품 기업들이 기존에 많은 시장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성공을 거두기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최근 한국에 대한 이미지가 많이 좋아졌고 한국의 영화나 드라마 등이 많이 알려지면서 인지도가 높아졌습니다 한국의 대기업의 경우 이러한 대규모 마케팅을 할 수 있으므로 큰 무리가 없겠지만 한국의 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한다면 최종 시장 공략 층은 대만이 아닌 중국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대만은 중화권으로 가기 위한 연결다리라고 생각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또한 중소기업은 큰 마케팅 비용을 부담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대만에서는 SNS나 각종 자선 행사에 참여하여 인지도를 높이는 것을 추천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1 -

Q 같은 제품이지만 대만과 중국에서 판매할 때 가격 책정이 다른 이유가 무엇인가요

A 그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해드리자면 국가마다 소비 성향이나 구매 능력 환율 경제 상황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경영 에서는 가격 차별화(Price discrimination)이라 부르는데요 각 나라의 시장 특성에 적정한 가격대를 책정해서 제품을 판매하는 전략입니다 혹시 중국 상류층이 몇 명인지 알고 있나요 제가 알기로는 대만 인구의 2배인 4000만 명이라는군요 아마도 한국 인구랑 비슷한 규모 일겁니다 게다가 중산층은 약 4억 명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4억 명의 중국 소비자들이 우리 제품을 1개씩만 구입 한다면hellip 상상만 해도 엄청 나겠죠 이야기를 하다 보니 다른 쪽으로 빠졌는데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이야기하면 물론 좋은 제품을 모든 곳에 저렴하게 제공 하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 그러나 항상 시장에서 저렴한 제품만이 성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대만이나 한국처럼 고도의 산업화가 이루어지고 시장이 크게 발전한 안정적인 단계는 좋은 제품이라도 가격 경쟁력에 신경 써야 합니다 왜냐하면 소비자들이 똑똑하기 때문에 정보력이 넓고 합리적인 소비를 지향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가격 성능 디자인 등 많은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중국 시장은 대만이나 한국과는 특성이 다릅니다 저렴하다고 해서 많이 제품이 많이 팔리기 보다는 가격대가 어느 정도 있는 제품일수록 또는 가격대가 높을수록 소비자들이 관심을 보입니다 대체적으로 중국 소비자들은 lsquo저렴한 제품은 품질이 낮거나 효능이 좋지 않은 제품일거야rsquo 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 때문에 화장품 박람회나 전시회에 저가 화장품을 가져와 홍보하더라도 중국 바이어나 소비자들은 큰 관심을 주지 않습니다 처음에 말했듯이 중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2 -

국 소비문화가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라는 심리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Wabfenix의 경우에는 신생기업이라 많은 투자 금액이 없을 뿐 더러 대만 화장품 시장에 진출하기에는 리스크가

크고 진입 장벽이 높습니다 그리고 이미 한국 화장품 기업들이 대부분 점유를 한 상황이기 때문에 대만 내수시장에만 집중하기에는 경쟁력이 부족하죠 그래서 중국을 주력 수출시장으로 삼고 있는데요 저희는 제품 성능 보다는 소비자의 이목을 끌 수 있는 디자인에 더 많은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중국에 Wabfenix만의 화장품 선물 문화를 정착 시키는 것이 목적인데요 높은 제품 가격만큼 소비자의 관심을 끌 수 있고 선물 문화나 꽌시(关系)가 많은 중국 문화 특성에 맞추어 선물용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중국 시장은 현재 젊은 중산층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품질이 낮은 화장품 보다는 수입 화장품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점으로 미루어볼 때 높은 가격 차별화와 Wabfenix만의 디자인 마케팅은 좋은 경쟁력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3 -

8 현지 시장조사 활동 (시장동향사진설문조사 자료)

8-1 시먼딩 설문조사

목적 대만 사람들의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및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대상 10대~20대 여성 및 화장품 전문매장 종사자장소 시먼딩시간 2015년 1월 7일 12일 총 두 차례에 걸쳐 진행방법 ①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 판넬에 국가별로 메이크업 사진을 표시하고 스티커를 붙이는 방식으로 투표함 공정성을 위해 국가 이름은 블라인드로 처리하였고 모두 동일 인물의 사진을 사용함②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표본집단을 50명으로 설정함 설문조사가 끝나면 사은품으로 한국 브랜드 마스크팩 증정함

8-2 사전 기획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판넬 기획도gt

化妝辦法喜好度的調查화장법 선호도 조사

大家給自己喜歡的化妝貼貼紙 여러분이 선호하는 메이크업에 스티커를 붙여 주세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4 -

대만의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안녕하십니까

다음의 내용은 대만 화장품 트렌드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자 관련조사를 실시하고자 하오니

있는 그대로의 생각을 기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귀하의 응답은 통계적 목적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본 설문은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물음에 대한 답변이나 해당란에 v 표를 해 주십시오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7) ② 화장품 전문매장(34) ③ 마트(5) ④ 홈쇼핑(2)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합계 총 50 명

바쁘신 시간에 의견을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지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5 -

8-3 설문조사 활동

lt2015년 1월 7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6 -

lt2015년 1월 12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7 -

lt활동 결과 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8 -

9 설문조사 통계 분석 (설문조사 응답 수분석결과)

9-1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결과gt

설문 조사 질문지 양식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12)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③ 마트(5) ④ 홈쇼핑(6)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9 -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gt

9-2 설문조사 항목 별 의견 및 추측

설문 조사 질문지 항목 (최다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② 20 ~ 25세 (13)

0

5

10

15

20

25

30

20대 이하 20세~24세 25세~29세 30세~39세 40대 이상

rarr 시먼딩은 대만의 홍대거리라 불리는 lsquo융캉제rsquo나 서울의 lsquo명동rsquo과 같이 젊은 층이 주로 활동하는 지역이다 설문조사 중에도 교복이나 체육복을 입은 학생들과 길거리에서 쇼핑을 즐기는 20대가 즐비할 만큼 활기 있는 거리다 덥고 습한 대만 기후 특성 상 과거엔 화장법이 크게 발전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국의 자연스러운 화장법이 큰 인기를 끌면서 시먼딩에 화장품 거리가 조성되어 있을 만큼 유동 인구가 많다 이 점으로 추측해보았을 때 압도적으로 10대와 20대 층이 많은 응답 수를 기록했다고 본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0 -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051015202530

온라인 화장품전문매장 마트 홈쇼핑 방문판매

rarr 대만 또한 한국과 비슷하게 시내에 많은 수의 화장품 전문매장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접근성이 굉장히 높았다 더불어 각 화장품 매장에서는 상품 할인과 같은 각종 프로모션을 진행하기 때문에 구매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 구매한다는 대답도 높은 편이었는데 거의 대부분이 와이파이존이어서 어디서나 인터넷을 한 활발히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온라인에서의 구매율도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0

5

10

15

20

25

30

NT$300 미만 NT$300~NT899 NT$900~NT$1499 NT$1500~NT2999 NT$3000

rarr 응답자들은 대부분이 한 달 간 화장품에 쓰는 돈을 최저 1만원 이상(NT$300 이상)이라고 답했는데 이는 70가 넘어가는 결과로 화장품에 대한 지출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만원 이상이라고 대답한 응답자들 또한 4분의 1을 넘기는데 이것은 젊은 연령층부터 시작하여 최근 피부 관리와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대만의 소비 수준에 대비하여 화장품 소비율이 높은 것도 이 때문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1 -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③ 성능(23)

051015202530

가격 디자인 성능 화장품 모델 브랜드

rarr 아열대 기후에 속하는 대만은 높은 기온과 습한 날씨 탓에 에어컨 환경에 자주 노출돼 피부 수분을 잃기 쉬워 기능성 화장품의 소비가 두드러진다 대만 화장품 시장은 토너 세럼 에센스 로션 크림 등의 모든 스킨케어 제품들이 보습기능을 강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백이나 안티에이징 리프팅 저자극 오일프리(Oil-free) 등의 기능까지 추가된 스킨케어 제품들이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조 화장품 소비가 늘어난 것은 최근 몇 년 들어 다양한 화장품 브랜드 접촉기회가 많아지고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젊은 여성의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색조화장품 또한 메이크업베이스와 BB크림 립스틱과 같은 베이스 메이크업이 수요가 많았다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④인터넷(22)

0

5

10

15

20

25

30

TV 잡지 친구 인터넷 메이크업샵

rarr 최근 빠른 인터넷망과 스마트폰 태블릿PC의 보급으로 인해 사람들과 사람사이의 연결망이 견고히 형성되고 있고 이것이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방법을 얻는 경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만 소비자들은 주로 인터넷 블로그 가족과 친구로부터 메이크업 정보를 획득 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만의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이므로 입소문마케팅과 판매를 바로바로 할 수 있는 유통구조가 도움이 될 것 같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2 -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0

5

10

15

20

25

30

청순 독특 귀여움 섹시

rarr 앞서 살펴보았듯이 대만은 한국과 비슷한 메이크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이것은 곧 청순한 메이크업 컨셉에 관심 있어 한다는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실제로 대만 여성소비자들은 깨끗한 피부 NATURAL한 베이스메이크업을 선호한다 한 듯 안 한 듯 자연스럽고 깨끗한 느낌의 한국식 lsquo생얼rsquo 화장법은 대만에서 한국 드라마 열풍과 함께 유명세를 타기 시작해 현지 각종 온라인 뷰티 사이트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래서 응답의 대부분이 한 곳에 치우쳤고 비교적 개성 있는 메이크업 방법이 드물 것이라는 것을 유추해낼 수 있다

본 설문 조사를 통한 한국 화장품 기업에 대한 시사점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수입 절차로 오랜 시간을 허비해야 하는 반면 대만은 자외선 차단제 성분 함유 제품과 약용 화장품을 제외한 일반 화장품은 별도의 수입 검사 없이 수입할 수 있으므로 대개 중국보다 1~2년 먼저 신상품이 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한류 효과를 겨냥한 중화권 화장품 시장으로 대만을 우선 공략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대만은 대부분이 화장품에 대한 소비를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고 한국 화장품이 많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시장 접근법만 제대로 수립하면 매출이 나는 구조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대만인들이 선호하는 메이크업 방법이 한국과 비슷하기 때문에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은 마케팅 방안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최종분석설문 조사 대상은 대부분 10대~20대의 연령층이었으며 화장품의 주된 구입경로는 lsquo온라인(24)rsquo과 lsquo화장품 전문매장(50)rsquo이 압도적이었다 더불어 한 달 간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lsquo1만 원 이상(72)rsquo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이것은 실제 생활수준에 대비하여 높은 소비량이므로 대만의 화장품 시장 전망이 밝다고 할 수 있다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부분은 lsquo성능(46)rsquo이었는데 이는 스타트업 기업 중소기업에게 유리한 조건이다 메이크업 방법을 얻는 방법으로는 lsquo인터넷(44)rsquo과 lsquo친구(30)rsquo가 높은 비율을 차지했는데 판촉활동으로는 인터넷을 활용한 SNS 홍보 바이럴 마케팅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가장 관심있는 화장 컨셉은 lsquo청순rsquo 이었고 이것은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와 맞물려 우리나라와 비슷한 메이크업 방법을 추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3 -

10 대만 명소 소개 (명소음식행사숙소 소개)

10-1 고궁박물관

대만 고궁박물원은 영국의 대영 박물관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 미국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과 함께 세계 4대 박물관으로 손꼽힐 만큼 세계적은 소장 문물을 자랑한다 건물 규모는 그다지 크지 않지만 소장한 문물의 질과 양은 세계 최상급이다 중화 보물 중에서도 최고의 보물들이 모여 있어 진귀하기 그지없고 수량 역시 워낙 방대하여 3개월 단위로 1만여점을 돌아가면서 전시해도 다보려면 10년이 넘게 걸린다고 전해지고 있다 중국의 국공내전 당시 장제스가 이끌던 중국 국민당이 전쟁에서 패하며 중국을 탈출해 대만으로 향했다 당시 장제스는 난징에 있던 정부를 타이페이로 이전하면서 자금성에 보관되어있던 중국역대 왕조 보물 수십만 점을 배를 이용해 운반해 왔다 중국의 유물을 가진 자가 진정한 통치자라고 생각했던 장제스는 ldquo공산군에게 영토는 내줘도 문화유산만큼은 내줄 수 없다ldquo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대표적인 유물은 취옥배추 육형석 모공정 산씨반 등이 있다

10-2 용산사

루강의 초입에 있는 이 사찰은 타이완에서 가장 오래되고 아름답다고 하여 타이완의 자금성이라고 부른다 각 건물의 기둥 벽 그리고 천장 등에 새겨진 조각은 특히 빼어나다 이 조각상과 함께 이곳의 명물로 알려진 것은 사찰 경내에 있는 2마리의 용상인데 삼천전 앞마당 좌우에 서서 룽산사를 호위하고 있다

10-3 타이페이 101 빌딩

타이베이 101빌딩rsquo이라 부르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로서 빌딩 모습은 하늘로 뻗어나가는 대나무 위에 꽃잎이 겹겹이 포개진 형상이다 본래 타이베이 금융기관이 모인 건물이지만 대형 쇼핑센터와 푸드코트 고급 레스토랑이 있어 여행자들이 많이 찾는다 건물에는 8개 마디가 있는데 이는 중화 문화권에서 부와 번영을 의미하는 숫자 lsquo8rsquo을 염두에 둔 것이다 타이베이 시내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는 높이 508m로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히는 높은 건물이다 지상 1~5층에는 소고 백화점 뷰티 플라자 애버뉴 101 등 다양한 패션∙뷰티용품을 구입할 수 있는 상점이 있다 또한 레스토랑 시티 스퀘어 대형 서점 등 쇼핑과 오락 식사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복합시설이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4 -

잘 알려진 식당으로는 딘 타이 펑(Din Tai Fung) 이 있다 101타워 지하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샤오롱바오(고기만두) 새우 샤오마이(새우만두) 탄탄면(우육면)이 가장 대표적인 메뉴이며 대만에 방문한 많은 사람들이 찾는 식당이다

10-4 지우펀

대만여행의 백미로 꼽히는 지우펀은 타이페이시 북부의 루이팡 지역의 작은 산골 마을로 과거에는 아홉가구만 살고 있어서 지우펀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예전에는 작은 산골 마을에 불과 했지만 이 지역에서 금맥이 발견되면서 호황을 맞이하게 된다 특히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일본풍의 건물들이 남아 있어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결합된 독특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비탈길을 따라 하늘로 이어진 예스러운 건물 그리고 골목마다 빨간 홍등과 함께 묻어나는 옛 풍경은 여행객들에게 인기 여행지이다

10-5 스린야시장

타이베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야시장 가운데 하나이다 독특하면서도 다양한 전통 먹을거리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이곳을 찾는 관광객이 많다 시장 부근에 학교가 많아 학생들이 많이 찾으며 포장마차 등의 노점상이 많아 가격도 저렴하다 칭런샹[情人巷]에는 가구 의류 액세서리 사진현상점 애완용품점 등이 모여 있어 학생뿐 아니라 관광객들도 자주 찾는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5 -

10-6 예류 지질 공원

타이완 북해안에 자리한 예류는 해수욕장과 온천 기암괴석으로 유명한 관광지다 특히 예류지질공원은 희귀한 모형의 바위와 암석이 모여 있어 예류 관광의 필수코스로 꼽힌다 작은 곶으로 된 예류지질공원은 침식과 풍화 작용을 거쳐 자연적으로 형성된 기암을 보러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지질공원으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것이 선상암 군락이다 암석 하나하나의 모습은 마치 거대한 버섯이 큰 머리로 하늘을 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선상암 가운데 가장 유명한 암석은 이집트 왕비의 옆모습을 닮은 여왕 두상 바위다

10-7 스펀(Shifen)

스펀(十分)은 옛 광산마을로써 천으로 만든 등이 유명하다 또한 이 곳 스펀은 대만 최대의 폭포 스펀(SE-FEN) 폭포가 있다 미니기차와 천으로 만든 등을 날릴 수도 있다 마을의 한가운데 긴 철길이 놓여 있고 30분에 한 대씩 기차가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것도 볼 수가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6 -

10-8 진과스(金瓜石)

진과스(金瓜石)는 타이완 타이베이 근교에 있는 옛 탄광 유적이다 20세기 전반에 금 채굴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20세기 후반에 금이 차차 고갈되기 시작하자 점점 위축되어 폐광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관광 명소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하루에도 수백명이 들렀다 가는 대만의 대표 관광지이다 진과스 내에 있는 황금 박물관에는 220kg 의 금이 전시 되어 있는데 손을 넣어 직접 만져 볼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진과스에서는 과거 광부들이 먹었던 도시락을 그대로 만들어 판매하는 광부 도시락도 굉장히 인기가 많다

10-9 국립 성공대학

대만의 타이난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1931년에 개교하였다 2010년 QS대학순위에서 283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대만 대학중 2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총 9개의 캠퍼스로 이루어져 있어 굉장히 큰 면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만 교육청에서 인정한 9개의 주요대학 중 하나이고 대만 기업체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학이다 이공계열이 가장 뛰어나며 중문 역사 법학 경제학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10 시먼딩

타이베이시에 위치한 시먼딩은 한국의 명동과 같은 거리이다 대한민국의 명동에도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과 외국인이 많다고 알려져 있는데 시먼딩 또한 명동 못지않은 다양함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대만의 패션과 놀이 문화 음식 등을 한눈에 경험 할 수 있는 공간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7 -

10-11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

중정기념당은 타이완 총통 장제스(蔣介石)를 기리는 전당이다 lsquo중정rsquo은 장제스의 본명이다 그가 서거한 후 1980년 기념당을 세웠다 25만에 이르는 넓은 중정공원 안에 우뚝 선 높이 70m의 기념물이 중정기념당이다 기념당 1층에는 장제스 생애를 엿볼 수 있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거대한 장제스 동상은 항상 근위병이 동상 앞을 지키고 있다 중정공원 안에는 중정기념당 외에 국립 희극원과 국립 음악청이 있는데 이곳에서 연극과 콘서트를 한다 공원 조경 또한 잘 조성되어 있어 산책하며 천천히 둘러보기에 좋다

10-12 안핑지구(安平地區)

대만의 문화와 역사는 안핑지구에서 시작되었다 안핑구바오는 17세기 중엽 네덜란드인들이 지은 요새로 정성공이 빼앗아 번영하다가 황폐해져 지금은 보루의 대부분이 없어지고 설탕과 굴껍데기와 찹쌀가루를 버무려 만든 빨간벽돌로 된 장벽(臺灣城殘蹟)만이 남아 나무뿌리와 존립의 사투를 벌이고 있다 감시탑 옆 건물 안에는 네덜란드와 정성공의 전투에 대한 이야기와 중세갑옷 등이 전시 중이다 이 주변에는 대만에서 가장 오래된 상업거리 옌핑제(延平街)가 있는데 옛 명성이 다한 거리의 골목 사이사이 수백년 된 가옥을 구경하는 것도 소소한 즐거움이다 1867년 영국인 상점과 물류창고로 이용하던 건물에 노용수(老榕樹)가 멋대로 자라 건물을 집어삼키듯 뒤덮은 나무집으로 불리는 안핑수우도 안핑지구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진귀한 볼거리다

10-13 미라마 관람차

대만에서 가장 큰 관람차로 알려져 있는 미라마 관람차는 타이페이 시의 야경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관람차 크기가 큰 것으로 유명하지만 가격 또한 저렴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유스트래블 카드를 이용하면 50 할인이 적용되므로 꼭 지참하도록 하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8 -

lt미라마 관람차 티켓gt lt유스트래블 카드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9 -

11 시사점 및 차후 활용계획 (LGC 프로그램을 통한 구체적인 효과 및 연구결과)

11-1 LGC 프로젝트 만족도

구분 항목 전 후 한줄 평

사업단

프로젝트 취지- 린튼 글로벌 학과와 경영정보학과 학생들이 함께

하는 프로젝트 해외시장탐방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사전교육 활동- 출국 전 각 나라에 대한 유의사항 안전교육이 체

계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개략적인 보고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었다

행정지원 절차- CK사업단 린튼 글로벌 학과 경영정보학과 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히 되지 않아 사전 계획에서 많은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협동력 향상- 출발 전 잦은 팀 회의와 8박 9일 간에 일정에도

불구하고 불화 없이 좋은 분위기 속에서 프로젝트를 완수 했다

추진력 향상- 일정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 한 점 추가 자료조

사를 위해 현지에서 새로운 일정을 추가 됐을 때 팀원들이 일사불란하게 따라주었다

문제해결 능력- 교통편 문제와 기업 측 내부 문제로 일부 일정에

변동이 있었지만 신속한 조율과 전화 통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개인

동기부여 자극- 현지인들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국어 영어 능

력의 필요성을 실감했다 특히 중국어는 소통 유무에 따라 현지 반응이 극명하게 갈렸다

진로설계 도움- 프로젝트 전에 비해 새로운 직업 분야에 대한 관심

이 증가했다

취업능력 향상-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한 내용을 살려 구술 면접이

나 자기소개서 작성에 참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11-2 LGC프로젝트 연구 결과 - 대만 시장

⓵ 중국시장을 주목하는 대만 화장품 기업- EST팀은 현지 대만 화장품 기업으로 SISDORA와 WABFENIX를 선택했다 두 회사를 선정한 배경에는

명확한 의도를 두고 정했다 SISDORA는 설립한 지 10년이 넘는 회사로 직접 화장품을 개발 및 연구하고 판매하는 중소기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과 주름개선 크림으로 중년 여성을 타깃 층으로 하는 화장품 회사다 반면 WABFENIX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스타트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 이지만 기술개발 보다는 디자인 마케팅에 중점을 두었고 판매 층도 10대-20대의 젊은 층을 타깃 층으로 한다 시장 전략이 완연히 다른 두 기업이 유일하게 공통점이 있다면 중국시장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선정 이유에는 많은 인구의 소비력을 꼽지만 뒤이어 언급하는 이야기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자사 제품의 경쟁력 약화를 말한다 현재 대만 기업 대부분은 내수 시장 대신에 중국을 겨냥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국가 산업 특성상 제조amp연구 분야가 강세인 대만에서는 중국 바이어 또는 미국 유럽 바이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직접 판매 보다는 기술 협력을 통해 이익을 창출한다고 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0 -

⓶ 대만 시장을 점령한 한국 화장품

- 앞서 말했듯이 2012년 이후부터 급속히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한국 화장품은 대만 시장을 점령하고 있다 이미 시먼딩에 들어서면 다양한 한국 화장품 매장이 눈에 띌 만큼 들어섰으며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중앙 광장에 입점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매장 안에는 많은 대만 사람들이 화장품을 보고 있는 광경을 흔히 본다 화장품 매장을 이용하는 연령층은 주로 10대-20대들이다 화장품 가격이 한국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주 애용하는 이유는 한류 열풍으로 인한 한국 연예인들에 대한 관심과 화장법이 크게 유행하고 있음을 현지 설문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⓷ 체감할 수 있을 만큼 커다란 한류열풍

- 뉴스에서만 듣던 한류 이야기를 대만에서 직접 느낄 수 있을 정도로 한류열풍은 크다 특히 삼성이나 LG의 TV나 스마트폰은 어딜 가든 항상 보이고 한국 화장품 선물에 대한 반응이 무척이나 뜨겁다 원활한 현지 조사를 위하여 사은품으로 준비한 한국 마스크 팩 100개는 오히려 현지인들이 참여 의사를 표현할 만큼 열정적이었다 일부 대만 사람 중에는 어디서 왔냐는 질문에 한국이라는 답변을 하니 같이 사진 찍기를 제안하기도 했다

⓸ 중소기업에게 있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는 대만 시장진출- 대만 시장 진출에 앞서 한국 화장품 중소기업이라면 전략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크게 대만 시장을 겨냥

할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할지 선택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3CE는 한국 화장품 회사다 대만에서 젊은 연령층이 자주 이용하고 이미 대만 내에서는 유명하다 3CE는 오프라인 매장 없이 순수 온라인 매장으로 운영하면서 대만 사람들을 위한 전용 웹사이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윤을 창출 하고 있다 신중해야 할 점은 현재 온라인 오프라인 등 한국 화장품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신규 진입에 있어서 장벽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대만 시장을 활용한다면 동남아 시장까지 한 번에 내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출입통관 절차가 간단하고 관세가 낮기 때문에 중소기업에게 유리하다 아직까지 중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1 -

에 대한 직접적인 수출이 가능한 곳은 상해나 항주 같이 중국에서 허가한 무역항 도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내륙까지 시장을 확대하기는 불가능하지만 같은 언어권인 대만을 거치면 보다 쉽게 바이어나 에이전트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인맥을 통한 꽌시와 수수료 명목으로 뒷돈을 요구하는 중국 바이어의 관행은 자금 순환이 원활치 않은 중소기업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11-3 LGC 프로젝트 종합 의견 및 전망

우리 lsquoEST팀은 출국 전 국내 화장품 시장 조사를 할 때 대덕 밸리 스타트업 기업 셀아이콘 랩의 영향으로 대만의 화장품 산업에 대해 큰 관심과 가능성을 보고 2015년 1월 5일부터 1월 13일까지 8박9일이라는 시간동안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 나라 중에 하나인 대만에서 rsquo대만의 화장품 시장lsquo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사를 했다 대만에서는 3개의 기업 (KOTRA SISDORA WABFENIX) 을 방문해 전반적인 대만의 화장품 시장과 판매전략 한류에 대한 보다 사실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1개의 대학 (국립성공대학 國立成功大學)에서 MBA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또 타이난에서는 대만에서 오랫동안 사업하시는 한인협회 회장을 만나 PLC (Product Life Cycle)를 통해 대만에서의 특정 시장이 도입기에 있는지 또 어떠한 시장이 쇠퇴기에 놓여있는지 다양한 시야에서 대만시장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노력은 CK 사업단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교육부 CK-1 프로젝트의 일부인 Linton Global Challenge는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몇 년을 내다보는 지속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기업들과 더욱 더 활발한 교류와 연구를 한다면 기업과 CK 사업단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리라고 본다

1 개인 탐방 후기 (팀원 개인 소감)

1-1 개인 탐방 후기

강성민탐방 후기 기업 컨택 부터 인터뷰 일정 계획까지 8박 9일간의 대만 화장품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 출국 전까지 준비 과정부터 탈도 많았고 대만에 와서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 원하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매일이 항상 회의와 고민의 연속이었다 하루하루 충실히 계획을 진행시켜 나갔고 좋은 팀 분위기 속에서 무사히 대만 프로

부록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2 -

젝트를 완수했다 그리고 마침내 한국으로 돌아왔다 과정은 항상 오르막 길이였지만 돌이켜 보면 마지막 대학 시절을 기념할만한 좋은 추억이자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느끼는 바가 많았던 프로젝트로 기억 될 것이다

김은진탐방 후기 글로벌 챌린지를 한마디로 정의하라고 한다면 도종환 시인의 lsquo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lsquo라는 시가 떠오른다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대만기업컨택 설문조사 등 많은 것을 경험했다 처음엔 모든 것이 나에겐 버거운 산이라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도전이 계속 될수록 이젠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이 모든 도전들에 흥미가 생겼다 나 자신도 책임감과 자신감이 생기고 한층 성숙해 진 것을 내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소중한 동료와 추억은 평생 나의 가슴속에 남을 것이다 우린 앞으로도 많이 도전하고 경험하여 우리들의 삶이 활짝 만개하리라 다짐한다 끊임없이 도전하는 20대의 청춘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프로그램이었다 김종선탐방 후기 한국에서 준비하면서 조사했던 내용과 비교하며 인터뷰를 해보니 실제로 많이 다른 부분도 있었고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 비슷한 내용도 있었다 현지의 기업들을 방문해 우리가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직접 매장에 가서 느껴보니 앉아서 컴퓨터만 볼 때랑 많이 달랐다 그리고 직접 대만인들에게 설문조사를 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그리고 대만의 실제 문화와 환경 그들의 생활을 잠시나마 볼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

구명우탐방 후기 며칠간의 꿈만 같았던 대만에서의 시간이 지나갔다 대만으로 출국하기 전 사전조사 기간에는 확신이 없었다 사전조사와 기업과의 인터뷰 그리고 9일간의 일정조율 및 숙박과 모든 대만에서의 연구와 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보고서까지 무엇하나 확신이 드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도전과 해결능력을 배웠고 아시아에서 급성장 중인 대만에 대해서 배우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다음기수로 가게 될 관심 있는 학우들에게 진심으로 추천해주고 싶다

이규현탐방 후기 CK-1 프로그램 중 하나인 lsquo린튼 글로벌 챌린지lsquo 프로그램을 통해 약 8박 9일이라는 시간 동안 emerging market 중 하나인 대만에 거주하면서 한국 화장품의 대만시장 점유율과 진출 가능성을 몸으로 체감하고 자료들을 모아 통계 내어 정리할 수 있었다 우리 팀 lsquoEST가 성공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충분한 국내조사 기간을 갖고 대만의 화장품 회사들을 방문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대만의 특정한 기업을 찾기도 어려웠고 기업 컨택은 번번히 거절당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회사 두 군데에서는 답장조차 오지 않았고 설문조사할 때에는 반한감정의 대만인을 만나 고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팀의 단결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리더의 통솔력으로 정해진 스케줄대로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회사를 방문하고 학교교수를 만나고 길거리에서 설문조사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팀원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또한 대학생으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을 한 것 같아서 스스로도 너무 뿌듯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팀을 믿고 지지해주신 LGSB 교수님들과 CK-1 프로그램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영은탐방 후기 처음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렇게 준비는 열심히 하지만 정말 우리가 계획한 100대로 대만을 다녀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기우가 무색하게도 대만은 우리에게 기획안 그 이상의 것들을 보여주었다 사장님들의 생생한 사업 이야기와 대만의 색채가 묻어있는 아이템들 하며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여 알아보는 비즈니스 마켓의 현장은 나에게 두고두고 잊지 못할 자산으로 남았다 또한 펑리수 버블티를 비롯한 대만의 맛있는 먹거리들과 스린 야시장이나 지우펀 같은 명소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열심히 고생해준 팀원들과의 추억들도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3 -

이서우탐방 후기 이번 글로벌 첼린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서 쉽게 할 수 없는 해외 기업 탐방과 해당 국가의 산업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임효진탐방 후기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팀이 대만을 방문 한다고 했을 때 많이 의아해 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만을 직접 방문해보고 많은 사업자들을 만난 결과 대만은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라고 생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아직 공산주의라는 정치적 특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다른 곳보다 훨씬 어렵지만 대만은 자유시장체제 이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쉽다 특히 외국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만 시장에서 한국제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추고 중국 시장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성공가능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그리고 대만의 바이어들을 통해 중국의 시장진출을 하게 된다면 사업자가 직접 중국시장에 진출 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성공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만은 문화적으로 다른 아시아권보다 선진화 되었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대도시에 속하지만 모두다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골고루 섞여 대만만의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차안호탐방 후기 9박 10일간의 대만을 다녀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넓고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이번 대만 여행은 처음으로 경험한 해외여행 경험이여서 그런지 순탄치 않은 면도 있었지만 팀원들 서로가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만시장은 중국시장으로 가기위한 좋은 시험의 장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대만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영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더 나아가 미래에는 중국어야말로 영어와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성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또 하나 놀란 점은 대만이 반 한류 감정을 많이 갖고 있는 줄 알았지만 대부분의 대만 일반 시민들이 굉장히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에 놀랐고 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CK-1 사업의 챌린지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대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계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보완점 및 건의사항 (문제점개선책건의사항)

2-1 기업 컨택의 어려움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에 있는 기업과 연결하여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대해서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조사 및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시간을 내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로써 그들의 귀한시간이 아깝게 쓰이지 않을 것을 강조하여 만남을 만들어야 한다

2-2 사업단과 의사소통의 불편함

Challeng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CK-1 사업단과의 지속되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가령 누군가를 통해서 전해지는 소문이나 촉박한 시간을 제시하고 일 처리를 원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단과 각 팀의 대표간의 분명한 의사소통과 증빙자료 등이 필요하다

2-3 정보 부재 이번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이머징 마켓에서의 유망 산업 조사 및 연구였다 대만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12: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2 -

ㅇ20141~6월년 US$ 2433억

경제성장률ㅇ2012년 148ㅇ2013년 219ㅇ2014년 2분기 384

1인당 GDP ㅇ2011년 US$ 20246ㅇ2012년 US$ 20502ㅇ2013년 US$ 20984

실업률ㅇ2012년 424ㅇ2013년 418ㅇ2014년 2분기 397

물가상승률ㅇ2012년 193ㅇ2013년 079ㅇ2014년 2분기 121

외환보유고ㅇ2012년 US$ 3942억ㅇ2013년 US$ 4168억ㅇ20146월 US$ 4235억

산업구조 제조업(233) 도소매업(181) 부동산업(85) 금융보험업(65) 농업(187)

교역규모ㅇ2012년US$ 3012억(수출) US$ 2705억(수입) 무역수지US$ 307억ㅇ2013년US$ 3055억(수출) US$ 2701억(수입) 무역수지 US$ 354억ㅇ20141~6월US$ 1534억(수출) US$ 1372억(수입) 무역수지 US$ 162억

주요교역품 ㅇ수출 전자제품 기본 금속 제품 플라스틱 및 고무 제품 광학기기 화학품ㅇ수입 광물 전자제품 화학품 기계 기본 금속 제품

환율ㅇ2012년 US$ 1=NT$ 2962ㅇ2013년 US$ 1=NT$ 2977ㅇ2014 6월 US$ 1=NT$ 3004

화폐단위 New Taiwan Dollar(NT$)

외교 관계

ㅇ 1948 8월 대만정부 대한민국 정식 승인ㅇ 1949 8월 주타이베이 한국대사관 개설ㅇ 1992 8월 한국-대만 단교ㅇ 1993 11월 주타이베이 한국대표부 개설ㅇ 1994 1월 주한 타이베이대표부 개설

교역 규모 ㅇ 2011년

한국-대만 외교 관계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3 -

(한국 기준)

- 수출 US$182억 수입 US$1469억 무역수지 US$35억ㅇ 2012년 - 수출 US$148억 수입 US$140억 무역수지 US$8억ㅇ 2013년 - 수출 US$157억 수입 US$146억 무역수지 US$107억ㅇ 20141~6월 - 수출 US$75억 수입 US$75억 무역수지 US$04억

주요교역 품목ㅇ 수출 반도체 기초유분 철강판 석유화학 중간원료 컴퓨터 정밀화학원료 반

도체 제조용 장비 광학기기 석유제품 선박 등ㅇ 수입 반도체 컴퓨터 기구부품 철강판 무선통신기기 기타 중전기기 평판디

스플레이 및 센서 기타 석유화학제품 플라스틱 제품 정밀화학원료 등

상호 투자

ㅇ 우리나라의 對대만 투자 - 2010년 43건 US$1400만 2011년 42건 US$4700만 - 2012년 38건 US$950만 2013년 26건 US$1700만 - 1968~2013년 624건 US$ 5억 6300만ㅇ 대만의 對한국 투자 - 2010년 5건 US$340만 2011년 7건 US$2800만 - 2012년 9건 US$2100만 2013년 14건 US$6100만 - 1962~2013년 181건 US$ 6억 1200만

교민 총 교민수 약 3천 4백여명

양국 간 교역 동향

수출입 동향

Ÿ 한국과 대만은 주요 수출입 품목이 반도체 철강 컴퓨터 화학원료 등으로 중복되는 경향이 강하며 상호비교우위 품목을 위주로 교역이 이뤄지고 있음

Ÿ 전년도 수출 급감에 따른 기저효과 스마트기기 및 테블릿 산업의 성장과 이에 따른 부품 수요 증가 한류영향 품목의 수출 확대 등으로 인하여 2013년도 한국의 對대만 수출은 전년대비 6 늘어났으며 수입 역시 44의 증가세를 보임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4 -

구분2012년 2013년 2014년 1~6월

금액 증감 금액 증감 금액 증감

총계 2882 -124 3033 52 1502 -328

수출 1481 -186 1570 60 753 -726

수입 1401 -46 1463 44 749 135

수지 8 -771 10 25 04 -945

순위 품 목2012년 2013년 2014년

1~6월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1 반도체 3578 -342 3742 46 2169 1572 석유제품 2239 -29 2810 255 953 -3563 기초유분 1381 198 1314 -48 531 -2084 정밀화학원료 406 -426 477 176 272 1835 석유화학중간원료 532 -376 586 101 220 -516 반도체제조용장비 311 -222 344 107 195 -107 자동차부품 239 209 168 -298 159 8728 광학기기 238 -248 283 188 151 969 기구부품 217 111 375 727 147 -28210 플라스틱 제품 250 -124 286 147 142 16

lt 한국-대만 수출입 동향gt (단위 억 달러 )

자료원 한국 관세청

lt한국의 對대만 10대 수출 품목gt (단위 백만 달러 )

주 MTI 3분류 2013년 수출액순 자료원 한국 관세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5 -

순위 품 목 2012년 2013년 2014년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1 반도체 8114 117 8874 94 4438 -102 기구부품 757 124 867 146 341 -2343 철강판 420 -312 398 -52 181 -1474 컴퓨터 616 -570 356 -422 171 -635 기타석유화학제품 227 -103 199 -125 143 9856 플라스틱 제품 324 229 288 -111 136 -1057 동제품 156 46 194 245 125 2108 합성수지 159 -19 172 81 108 2739 평판디스플레이및센서 133 -215 138 35 106 29110 기초유분 155 -250 132 -143 98 425

lt한국의 對대만 10대 수입 품목gt (단위 백만 달러 )

주 MTI 3 분류 2013년 수입액 순 자료원 한국 관세청

양국 간 상호 투자현황

대만의 對 한국 투자현황lt대만의 對韓 투자동향gt

(단위 건 백만 달러)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1~6월 누계(62~2014)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5 34 7 280 9 21 14 61 3 3 184 615

자료원 대만 경제부 투자심의위원회 신고 기준

Ÿ 대만기업의 對韓 투자는 10~20만 달러 규모의 판매법인 설립이 대부분이며 대규모 그린필드형 투자는 중국 및 동남아지역에 RampD형 투자는 미국과 일본에 집중되고 있음thorn 대만기업의 對韓 투자는 지난 5년간 연평균 25천만 달러에 불과

Ÿ 또한 중국 투자환경 악화로 동남아 등지의 신흥시장으로의 제조기반 이동에 대한 투자가 늘고 있으며 유턴투자도 증가

Ÿ 한편 주요 산업분야에서 대만은 한국과 경쟁적 보완관계이며 일본과는 보완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음thorn 특히 한 대만간 반도체 디스플레이 기업간 경쟁이 심해지면서 대만 IT업계를 중심으로 lsquo聯日抗韓(일본

과 연합하여 한국을 견제하자)는 주장이 제기되는 등 대만기업의 일본 편중현상은 심화되고 있음Ÿ 지금까지 대만의 대표적인 對韓 투자사례로는 2007년 IC디자인 기업인 SIMO의 FCI 인수(8800만 달러)

2010년 대만의 최대 철강회사 CSC의 동부메탈 지분인수(4200만 달러) 2010년 IC 테스팅 업체 Ardentec 웨이퍼 테스팅 공장 설립(4000만 달러) 2012년 6월 반도체 패키징 업체인 ASE의 라인증설(8000만 달러) 등이 있음

Ÿ 최근에는 금융권을 중심으로 한국기업에 대한 MampA SI 투자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어 주목받고 있음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6 -

thorn 2013년에는 대만의 1위 증권사 위안타가 한국의 동양증권 인수를 발표 양국의 금융감독기관 허가를 받아 2014년 연내 합병 추진 중(25억 달러)

thorn 또한 다국적 제약회사 Alvogen은 대만 LOTUS를 인수 동아시아 HQ로 삼고 한국 제약회사(드림파머) 인수를 추진 중

우리나라의 對 대만 투자현황

lt한국의 對대만 투자동향gt (단위 건 백만 달러)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1~3월 누계(lsquo68~lsquo14)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43 13 44 47 38 9 34 68 15 5 646 617

자료원 한국수출입은행 신고 기준

Ÿ 제조업 분야에서의 對대만 투자는 시장개척 및 고객사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임

Ÿ 우리기업의 대표적 투자 사례로는 2005년 LCD 장비 업체 PKL사의 LCD용 포토마스크 공장설립(4000만 달러) 2007년 게임업체 넥슨의 감마니아 지분인수(2100만 달러) 등이 있음

Ÿ 2011년 4월 미래에셋(Mirae Asset Global Investments)은 타이완라이프자산운용에 약 1000만 달러를 투자 자산운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Ÿ 2014년에는 PCB 기판 업체 달마전자가 가오슝에 공장을 설립 9월 준공식을 앞두고 있음

3 탐방 목적 (주요 목표부가 목표기대 효과)3-1 탐방 목적

주요 목표 1 대덕밸리 스타트업기업 (주)셀아이콘랩의 대만진출 가능성 탐색 2 대만 소비자들의 기능성 화장품 인식 조사 3 대만화장품시장의 유통경로 조사

기대 효과기업측면 기대 효과

⓵ 현지 시장조사 자료 획득⓶ 자사 시제품 반응결과 파악⓷ 사업단과의 지속적인 연계

사업단측면 기대 효과⓵ CK 사업 목표 또는 취지에 부합(CK ndash University for Creative Korea)⓶ 새롭게 출발하는 lsquo글로벌IT경영학과rsquo의 홍보전략으로 활용 가능

학생측면 기대 효과

⓵ EST팀 특강 ndash 학과 내 MIS Day 혹은 관련 과목 강의에서 특강⓶ 해외 탐구 동아리 개설⓷ CK 멘토와 후원 활동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7 -

4 사전조사 활동 (셀아이콘랩)

4-1 기능성 화장품 연구amp제조 기업 lsquo셀아이콘랩rsquo 기업 인터뷰

회사 소개

회사명 셀아이콘랩주소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대로 1646 한남대학교 사이언스파크 312호 대표자명 성민규 대표 사업분야 코스메슈티컬 펩타이드 소재개발 피부 전문가용 코스메슈티컬 화장품 OEMODM 주문 생산 방식

인터뷰 내용 1) 셀아이콘랩 2014년도에 많은 해외 박람회에 참여하고 있는데 해외시장 진출 의사가 있으신가요= 저희 회사의 사업화 로드맵을 보시면 2014년에 해외영업 마케팅 판매가 계획되어 있고 올해 들어 중국 러시아 카자흐스탄 말레이시아 등 여러 나라를 방문하여 박람회에 참가하고 실질적으로 상품을 판매하고 반응을 살피고 있습니다

2) 그렇다면 대만 화장품 시장 진출에 대해 고려해본 적은 있으신가요 만약 진출을 고려해보았다면 대만의 화장품시장에서 원하는 자료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대만시장을 접할 기회가 부족했을 뿐 내년에 대만 시장진출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셀아이콘랩은 현재 거래중인 중국 카자흐스탄 등지의 국가들에서 더 나아가 대만이나 홍콩과 같은 중화권 시장의 가능성을 느끼고 해당나라에 진출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요구사항 대만의 수출수입 인허가 절차 관세 세금 시장가격 형성 요인 화장품 유통 채널 구매경로 트렌드 또한 대만 시장에 뷰티샾(우리나라의 올리브 영)같은 종합 매장이 형성과정 실질적인 구매력을 알아보기 위한 대학 졸업생의 평균 초봉 등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8 -

5 화장품 산업 및 환경 분석 (연구자료 첨부)

구분 2011 2012 2013(1월 ~ 11월)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및 성장률 19427798 42 19421349 00 191454345 08

5-1 화장품 시장 동향

시장규모 및 전망thorn 대만의 약품 및 화장품 시장규모는 2013년 기준 1914억 달러로 2012년 대비 008 증가

최근 3년간 대만 약품 및 화장품 시장규모 및 성장률 (단위 천 달러)

자료원 대만경제부 통계처

시장전망thorn 수요 감소 예상 요인 대만 화장품시장은 다양한 국산 수입제품들이 오랜 시간 경쟁하는 포화된 시장thorn 종합의견 다수 유명 외국 브랜드(예 SHISEIDO KOSE 등)는 대만에 공장을 설립해 국산 브랜드와

경쟁하고 있으며 대만 정부의 각종 규제가 엄격하고 많아 허가 관련 등록서류 및 비용으로 인한 진입 장벽이 큼

소비자 구매 패턴thorn 주요 소비자 계층 14~55세 등 다양thorn 소비자 구매 동기 귀엽고 여성스러운 디자인 미백 보습 등과 같은 눈으로 확인 가능한 기능성 민감

성 피부에 바로 사용 가능한 화장품을 선호하는 추세

제품 트렌드thorn 대만 시장에서 국산 브랜드보다 수입 브랜드의 인기가 더 높으며 그중 일본 브랜드가 장시간 많은 인

기를 유지하여 왔음thorn 최근 한국 드라마에서 스타들이 연출하는 화장법 또는 유명 스타가 광고하는 한국 화장품이 큰 인기

를 얻고 있으며 한류 열풍으로 대만에서 수입 화장품 판매량이 늘어나면서 국산 화장품의 신제품 개발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

thorn 피부과 및 의학미용센터에서 다양한 시술(보톡스 반점 제거 여드름 크리닉 모공축소 레이저 비지 제거 등)을 받아 꾸준히 피부관리를 받고 다니는 여성들이 많아지는 추세에 따라 기능성을 강조하는 의학미용(aesthetic medicine) 화장품 혹은 시술 받고 나서도 바로 사용 가능한 기초화장품(무자극 보습효과 강조)이 유행하기 시작함

해당 산업 관련 정부 정책thorn GMP 정책 글로벌 추세에 따라 대만 화장품의 품질middot제조 수준 및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대만 경

제부공업국과 대만 위생서는 2008년 9월 4일부터 lsquo자발성 화장품 우량제조규범 검증제도(自願性化妝品優良製造規範驗證制度)rsquo를 실시한다고 발표함 약품 의료기기 식품을 이어 화장품이 네 번째로 GMP검증을 받는 산업이 되었음 ISO 22716 규범으로 주요 참고 근거로 보고 있음 동시에 화장품 GMP 추진 플랫폼을 설립하고 기업 문의에 대한 상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9 -

구분 2011 2012 2013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및 성장률 614293 1192 600356 -227 557784 -085

순위 국가 금액 점유율 증감율2011 2012 2013 2011 2012 2013 1312

총계 614293 600356 557784 100 100 100 -0851 일본 248980 237052 199987 40531 39485 35854 -113212 프랑스 116031 111983 110509 18888 18653 19812 45333 미국 89984 96689 89924 14648 16105 16122 -03914 한국 29779 29329 36746 4848 4885 6588 386345 중국 23444 30114 30138 3816 5016 5403 99486 영국 15895 14619 14482 259 2435 2596 29227 독일 16799 14327 14159 274 2386 2538 96758 스위스 13631 12401 11151 222 2066 1999 -5329 태국 9929 9214 8943 162 1535 1603 533310 이탈리아 12312 8853 8632 2 1475 1548 7727

5-2 수입동향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동향 (단위 천 달러 )

주 대만 국제무역국

최근 3년간 상위 10개국의 수입통계

주요 수입국 현황(HS Code 330499 기준) (단위 천 달러 )

자료원 대만 경제부 국제무역국 중화민국수출입무역통계(httpcus93tradegovtwFSCI)

수입관세 및 관련 제도thorn 관세 0thorn 통관 시 유의사항 대만에서 화장품은 의료용 또는 약품을 함유하지 않은 lsquo일반화장품rsquo과 lsquo함약화장

품rsquo 등 세 종류로 나눠져 있음 함약화장품의 경우 통관 시 대만 위생서에서 발행한 위생허가증을 제시해야 함

thorn 필수 인증 현황 함약화장품(예 염색제 파마제 자외선차단제 땀 억제제 치아미백제 등)은 대만 위생서 허가를 받아야 수입 및 제조판매를 할 수 있음 허가 신청 시 제품명 성분 제조업체명 제조업체주소 해외 수입업체명 수입업체주소 제품 전성분 용량 용도 사용법 유효기간 샘플 Certificate of Analysis Certificate of Sales SPF ampUVA 검사보고서 등이 필요함(세부사항은 대만 위생서 홈페이지 참조바람)

5-3 유통구조

유통채널 종류thorn 오프라인 백화점 H ampB(Watsons Cosmed SaSa 등) 방문판매 약국 각종 마트 편의점 피부과

피부관리센터 전문판매점(로드숍)thorn 온라인(여기는 virtual channel을 뜻함) 홈쇼핑 온라인 쇼핑몰(경매 브랜드 홈페이지 등 포함) 우편

주문(郵購) 등이 있음

유통채널 점유율 오프라인 유통채널의 점유율은 여전히 70~90 정도로 높게 차지하고 있으나 온라인 유통채널의 점유율도 빠른 속도로 상승하고 있음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0 -

브랜드명 제품명 가격 판매순위

SHISEIDO 100 1

SKII 133 2

ESTEE LAUDER 100 3

항목 내용전시회명(현지어명) 2014春夏國際美容化妝品展전시회명(한국어) 2014 춘하 국제미용화장품 전시회

전시품목 미용 화장품개최국가도시 타이베이

유통채널 활용 방안 아직까지 온라인 채널의 점유율이 높지 않으나 대만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블로그 등)에 영향을 많이 받는 편이어서 오프라인 채널에 진입하기 전에 온라인으로 먼저 마케팅(브랜드 이미지메이킹 블로거 마케팅 등)을 진행하는 방법을 추천함 대만 오프라인 채널의 진입장벽은 매우 높으며 비교적으로 이윤이 많이 남는 온라인시장에서 브랜드 파워를 먼저 키우면 오프라인 채널에 들어가는 길이 훨씬 수월해질 것으로 예상함

5-4 경쟁동향

경쟁제품 현황주요 경쟁제품 현황

(단위 달러)

한국 제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 및 선호 브랜드 현황thorn 한국 제품 현지 인지도 높음thorn 선호 브랜드 3CE INNISFREE NUTURE PUBLIC MISSHA THE FACE SHOP LANEIGE 등

5-5 효과적인 시장 진출 전략

타깃 고객층thorn 타깃 고객층 20~30대 초반thorn 타깃 사유 유행에 따라 새로운 것을 많이 도전하고 한류의 영향도 가장 많이 받는 젊은 층이 한국

화장품을 소비하는 경우가 많음 35세 이후의 직장 여성 혹은 가정주부들은 여전히 일본 혹은 유럽 미국의 고가 화장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활용 가능한 마케팅 방안 ⓵ 현지 전시회 정보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1 -

개최주기 3월경개최기간(2014년) 0321~0325

웹사이트 httpwwwudnicecom

⓶ 전시회 이외의 주요 마케팅 방안 블로거 마케팅 등 ⓷ 유력 홍보 방안(전문잡지 온라인 매체 등)

thorn 온라인 매체 Fashion guide(httpwwwfashio guidecomtw) UrCosme(httpwwwurcosmecom)

thorn 전문잡지 VIVI BEAUTY 大美人 Style W Marie laire Fashion Guide 등

시장 확대를 위한 무역관 의견 대만 화장품시장은 가격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 시장 진입 시 확실한 브랜드 포지션을 정해야 하며 해당 포지션의 대만 제품 가격을 조사한 후에 대만 최종 소비가격을 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

또한 소비자들은 할인세트 및 사은품에 약하여 각종 행사 진행 시 사은품 증정 혹은 묶음세트로 판매하는 것을 추천 보습(특히 히알루론산 성분 강조) 및 미백(대만 정부에서 인증된 미백성분이어야 함) 제품을 매우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6 탐방 상세 일정 (일정표 - 기간 지역)

날짜 지역105(월) 인천 ~ 대만 타이페이

시간 일정0600 인천공항 도착

0600 ~ 0920 인천공항 대기0920 ~ 1140 인천공항 rarr 대만 1140 ~ 1230 대만 입국 수속1230 ~ 1320 숙소 이동 (용산사 역)1320 ~ 1500 짐정리1500 ~ 1600 회의 및 일정정리1600 ~ 163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630 ~ 1800 KOTRA방문 및 인터뷰1800 ~ 1830 101타워 딘 타이 펑 이동(도보)1830 ~ 1910 저녁식사 - 딘 타이 펑1930 ~ 2100 101 타워 야경감상2100 ~ 2130 숙소로 이동2130 ~ 223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6(화) 타이페이

시간 일정0900 기상

0900 ~ 110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30 ~ 1230 점심식사 - 마라훠거1230 ~ 1300 SISDORA 본사로 이동

6-1 8박 9일 대만 일정 (150105 ~ 150113)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2 -

1300 ~ 1530 SISDORA 방문 및 인터뷰1600 ~ 1800 101타워 퍼스널 트레이닝 센터 방문1800 ~ 1930 저녁식사 - 카렌 레스토랑1930 ~ 2000 숙소로 이동2000 ~ 2100 개인 휴식2100 ~ 223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7(수) 타이페이

시간 일정0900 기상

0900 ~ 113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30 ~ 120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200 ~ 1250 점심식사 - 키키 레스토랑1250 ~ 1300 시먼딩 이동1300 ~ 1530 화장품 설문조사1530 ~ 1830 한국 화장품 매장 제품 조사1830 ~ 1900 야시장 이동(MRT)1900 ~ 2000 저녁식사 ndash 야시장 음식2000 ~ 2030 숙소로 이동2030 ~ 2130 개인 휴식2130 ~ 230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30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8(목) 타이페이 ~ 타이난

시간 일정0830 기상

0830 ~ 110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00 ~ 1200 체크아웃 및 고속철도역 이동1200 ~ 1340 타이페이 rarr 타이난 이동1340 ~ 1400 짐 보관 및 인터뷰 장소 물색1400 ~ 1600 가오슝 한인협회장 인터뷰1600 ~ 1700 숙소도착 및 짐정리1700 ~ 1800 개인 휴식1800 ~ 1900 저녁식사 - 새우롤2000 ~ 2230 중간 정리 및 보고서 작성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9(금) 타이난

시간 일정0800 기상

0830 ~ 0900 아침 식사0900 ~ 1130 타이난 일정 브리핑 및 팀 미팅1130 ~ 1210 타이난 시내로 이동(TAXI)1210 ~ 1320 점심식사 - 스시1320 ~ 1350 성공대학 이동(도보)1350 ~ 1700 성공대학 방문1700 ~ 1800 성공대학 캠퍼스 탐방 및 대학원생들과 대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3 -

1800 ~ 1830 저녁식사 - 대만 전통 음식점1830 ~ 1900 타이난 RT마트 이동(도보)1900 ~ 2030 RT 마트 장보기2030 ~ 2100 숙소로 이동2100 ~ 2200 개인 휴식2200 ~ 2330 팀 회의 및 예산 정리

23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12(월) 타이페이

시간 일정0800 기상

0800 ~ 0900 아침식사(호텔 조식 제공-선택)0900 ~ 1130 호텔 개인시간1130 ~ 123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230 ~ 130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300 ~ 1600 Wabfenix 방문 및 인터뷰1600 ~ 1630 간식 - 망고차차1630 ~ 1700 시먼딩 이동(MRT)1700 ~ 1830 화장품 설문조사 활동1830 ~ 1930 저녁 식사 - 코코이찌방야2030 ~ 2130 개인 휴식2130 ~ 2300 팀 회의 및 예산 정리

230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13(화) 대만 ~ 인천공항

시간 일정0800 기상

0800 ~ 0900 아침 식사0900 ~ 1130 짐정리1130 ~ 1200 체크아웃1300 ~ 1400 점심식사 - 스시(시먼딩)1400 ~ 1430 쑹산 공항 이동(TAXI)1430 ~ 1530 시먼딩 rarr 쑹산공항1530 ~ 1730 출국 대기1730 ~ 2100 대만 출국 rarr 대한민국

2100 대한민국 입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4 -

7 방문 기업 소개 (인터뷰 내용)

7-1 대만 KOTRA

-2015년 1월 5일 월요일 1630~1800 인터뷰-위치 台北市 基隆路 1段 333號 22樓 14室(2214室) Intl Trade Building 22층-전화 (886-2)2725-2324 -팩스(886-2) 2757-7240

Q대만에 대하여 간단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우선 대만은 남한의 13의 해당하는 영토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구역시 남한에 비해 적은 2천 3백만 명 정도이며 기후는 아열대 몬순 기후권으로 비교적 따듯한 날씨입니다여러분이 대만에 와보셔서 알겠지만 대체로 습한느낌을 받으셨을 탠대 대만은 겨울에도 남한만큼은 춥지 않습니다 언어는 주로 중국어를 사용하며 문자는 중국과 살짝 다른 번자체를 사용합니다1인당 GDP는 2013년 기준 20984 달러 정도이며 산업구조는 제조업과 도소매업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Q현재 우리나라의 어떤 기업들이 대만에 진출해 있는지 궁금합니다

A최근에는 화장품을 주력 제품으로 아모레퍼시픽등 화장품 대기업들이 타이페이 시내에 로드샵을 많이 개점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대만은 제조업과 도소매업이 주를 이루다 보니 20~30년 전부터 진출한 기업들이 계속해서 입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주로 삼성물산 현대종합상사 LG상사 LG전자등 대기업이 주를 이루고 있고 우리나라 기업은 1년에 한 기업정도 대만에 진출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Q그렇다면 대기업을 제외한 중소기업들이 대만시장에 진출하지 않는 이유가 따로 있습니까

A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아무래도 중국시장이 개방을 하면서 인 것 같습니다 기존에 진출해있는 기업들은 과거 대만이 인프라 구축이 미흡했을 당시 해외투자를 많이 받으면서 비교적 좋은 조건으로 대만에 진출하고 인프라 구축등 사업을 진행하면서 기반을 다졌을 겁니다 그 기반으로 지금까지 대만시장에 진출해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중소기업의 경우는 해외투자가 너무 모험적이며 대만 시장과 중국의 시장을 비교하여 봤을 때 인구가 차이가 약 8배 정도 나며 중국에 비해 비교적 작은 시장이라고 느껴 대만보다는 중국에 많이 진출하는 것 같습니다

Q마지막 질문으로 만약 우리나라 중소기업이 대만시장에 진출할 때 유의해야 할 점이나 좋은 팁이 있을까요

A대만 시장에 완전히 진출해야겠다는 생각보다는 중국이나 다른 중화권 나라의 진출하기전 시험의 장소로 생각하고 진출해보는 것은 나쁘지 않다 생각 합니다 아무래도 대만의 인구가 많은 편이 아니다보니 불리한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5 -

조건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이나 다른 큰 중화권 시장으로 진출하기 전에 언어나 문화 중화권사람들의 사고방식등 여러방면에서 시험해 볼 수 있는 좋은 장소는 틀림없습니다 중소기업이 대만시장에 진출할 때는 코트라를 이용하여 각종 정보나 현지 인프라등을 이용하는 것 또한 하나의 방법이며 무엇보다 중화권의 문화와 중화권 대중들의 생각을 잘 공부하고 언어를 습득하여 오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7-2 SISDORA luxury beauty care

-1월 6일 화요일 1300~1530 인터뷰 1600~1800 101타워 퍼스널트레이닝 센터-주소 No9Aly 10Ln265Sec 4Xinyi RdDaan Dist Taipei City 106-대표 Mr Chung-Cheng Lee -전화886-2-27040889-URL httpwwwsisdoracom

Q 간략한 회사 소개와 SISDORA의 유래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A Isadora는 고대 이집트의 가장 강력한 여신의 이름입니다 Sisdora는 이 여신의 이름을 따서 만든 브랜드 이름입니다 이집트의 고대 여신인 Isadora의 이시스는 선물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고 생명과 건강 아름다움을 담당하는 여신으로도 유명합니다 저희 SISDORA는 비슷한 동음 이의어로 동양의lsquoISIS(이시스)rsquo라는 단어가 있어 브랜드 명을 SISDORA로 정하게 되었습니다Q Sisdora 제품 소개 부탁드립니다

A저희 제품은 안티에이징 미백 마스크 제품을 주력으로 하고 있습니다 동일 제품군을 비교해 봤을 때 가격 및 품질은 상위에 속하는 최상품의 제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마스크 팩 대부분은 종이섬유로 제조하는 반면 저희 Sisdora는 누에의 실(실크)로 만든 마스크 팩 입니다 실크마스크 팩을 제조할 때에는 피부 건강에 좋은 약재 및 약초등을 배합하여 제조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피부에 자극적인 향로를 첨가하지 않았고 수분이 빠르게 흡수 될 수 있습니다 덕분에 저희 마스크 팩을 사용하는 고객들은 부드럽고 산뜻한 느낌을 받으실 수 있을 겁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6 -

Q 귀하의 회사는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어떤 마케팅을 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A 저희는 해마다 대만 타이페이 글로벌 미스코리아 대회에 제품을 협찬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대만 유명 가수들과 함께 제품을 결합시킨 뮤직비디오를 제작하여 마케팅에 힘쓰고 있습니다뿐만 아니라 제품의 품질인증을 바탕으로 러시아 중국 동남아 지역에 진출하는대 힘쓰고 있습니다 저희 제품은 대만 내에서 스킨케어 제품으로써 유일하게 지정 브랜드 수상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저희는 주로 매스컴이나 인터넷을 통한 마케팅이나 엔터테이먼트 컨벤션 산업을 활용하여 마케팅을 하고 있습니다

Q 그렇다면 대한민국의 화장품 제품이 대만에 진출해 있는데 대한민국 화장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는 어떤지 궁금합니다

A 최근 5년 사이에 한국의 드라마 음악등 한류를 타고 대만에도 많은 한국 제품이 등장하였습니다 하지만 대만에는 오래전부터 수입화장품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이탈리아의 산타 마리아 노벨라 프랑스의 아이젠버그등 명품 화장품 브랜드가 오래전부터 입점해 현지 화장품시장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 때문인지 한국 화장품의 인지도는 크게 높지는 않습니다 아무래도 유럽 브랜드 그 다음으로 대만 기업의 브랜드 그 다음으로 한국의 화장품 브랜드 순으로 인지도가 형성되어 있다고 생각됩니다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한국화장품은 다른 명품 화장품들의 가격보다 저렴하고 성능이나 효과 면에서 절대 뒤처지지 않아 한류가 지속되고 마케팅이 잘 이루어진다면 충분히 유럽의 명품화장품의 인지도를 뛰어 넘을 수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Q 한국의 중소기업의 화장품이 대만 시장에 진출하는 것에 대해서는 어떤 의견을 갖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A 한국의 대기업 화장품 브랜드가 아닌 중소기업의 화장품 브랜드가 대만에 진출하는 것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겁니다 하지만 저희 회사도 중소기업으로 시작하여 마케팅 전략을 잘 활용 하여 많이 성장하였습니다 아무래도 한국의 중소기업의 화장품이 대만에 진출하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있겠지만 어떤 마케팅 전략을 선택하느냐가 가장 중요하고 마케팅이 잘 이루어지고 입소문이 퍼진다면 한국의 중소기업 화장품 또한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7 -

7-3 가오슝 한인협회

-1월 8일 목요일 1400~1600 인터뷰-주소 高雄市鼓山區二路37巷弄43-2號(고웅시고산구이로37항81롱43-2호)-대표 尹桓鎬(윤환호) HP 0932-740-538 -電話 07-5211933 -傅眞 07-5214031

Q 대만과 한국과의 무역 관계가 어떠한지 궁금합니다

A 한국과 대만과의 무역은 크게 활발하게 이루어 질 수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대만의 시장 자체가 매우 작기 때문에 대만에 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국내 시장이나 다른 큰 해외 시장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대만 시장을 거쳐서 동남아나 중국 시장으로 진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여서 기존에 존재하는 대기업이나 저처럼 오래 전부터 이민한 분들이 소규모로 중개무역을 하고 있는 정도입니다

Q 현재 한인협회 회장님께서 직접적으로 하는 일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현재 저는 한국의 화장품을 수입하여 대만 현지 기업에게 판매하는 중개무역을 하고 있습니다 대만에 온지 20년이 넘었는데 이런 저런 일을 하다가 기회가 되어 이쪽 일을 하게 되었는데요 처음에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인식이 없어 가격은 비싸고 품질의 보증은 되어 있지 않은 제품이라 소비가 크게 늘지 않았는데 한류 열풍이 불고 한국 드라마의 성공과 그 배우들이 광고하는 화장품의 수요가 크게 늘어 몇 년 전부터 시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Q 한국과 대만과 중국의 관계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해 주세요

A 앞서 말씀 드린 것 같이 한국의 기업은 대만을 통하여 중국 시장의 진출을 위하여 대만 시장을 많이 찾습니다 그 이유는 한국 기업이 대만 시장을 통해서 제품을 인정받는다면 대만과 중국은 같은 언어권의 나라로 대만기업을 통해 중국으로의 활로를 개척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왜 이렇게 돌아서 진출을 하려고 물으셨는데 그것은 쉽게 말해서 말이 잘 통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의 중국어를 잘 구사하는 사람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보다는 대만의 사람이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주고 인정을 해준다면 더욱 쉽게 자리를 잡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8 -

Q 스타트 기업의 대만 진출 성공여부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중소기업이 대만에 들어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현재 한국 내에서의 위치를 높이는데 주력하는 것이 좀 더 낫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대만은 아주 뛰어난 기술력을 가지고 있지만 자체 제품을 생산하지 않습니다 예로 Apple에서 전체 아이디어를 미국에서 한다면 그 아이디어 실행은 대만에서 이루어집니다 그리고 제품의 생산은 대부분 중국에서 이루어 지구요 이렇듯 대만의 기술력과 제품에 대한 이해가 빠르기 때문에 수입을 많이 의존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중소기업이 들어와서 제품을 판매한다 쉽게 성공할 수 없죠

Q 회장님께서는 중국과의 중개무역은 생각하고 있으시지 않습니까

A 네 저는 지금의 생활에 만족하고 있습니다 지금 저의 파트너들과의 관계도 좋고 따로 중국 진출은 생각하고 있지 않습니다 만약에 제가 중국을 진출하게 된다면 현재의 기업들과도 경쟁상대가 되어 저는 생각이 없습니다

7-4 국립성공대학(國立成功大學)

-1월 9일 1350~1700 인터뷰-주소 701 臺南市東區大學路1號-연락처06-2757575 -홈페이지 wwwnckuedutw

대만 국립 성공대학은 931년 타이난에 설립된 이공계 명문 대학입니다 국립성공대학은 66개의 캠퍼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각 캠퍼스마다 특징과 분위기가 다릅니다 우리 국립성공대학은 ldquo북대대 남성공(北臺大 南成功)rdquo 이라는 말이 있듯이 역사는 대만대학의 바로 다음갑니다

국립성공대학의 이름의 의미는 성공은 무엇을 성취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대만의 민족영웅인 정성공(鄣成功)을 기념하기 위한 대학이라는 뜻입니다 성공대학은 정성공이 있던 역사명승 적감루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해 있기도 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9 -

이후 인터뷰로 대만의 소개와 간단한 전공 소개가 있었다

7-5 WABFENIX RENIX GLORY GLORIA GUA

-1월 12일 월요일 1300~1500 인터뷰-주소 14F-1 No420 Sec 4 Xinyi Rd Xinyi Dist Taipei City 110 Taiwan (ROC)-대표 Mr KEN -전화886-5569-0555-URL httpswwwfacebookcomrenixfanspage httpwwwwabfenixcom

Q Wabfenix가 어떤 기업인지 소개 해주세요

A 저희 회사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으로 현재는 매장은 없지만 개발한 제품을 바탕으로 사업을 진행 중이고 대만현지에 저희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저희 회사는 제품의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화장품을 개발하여 대만시장 뿐만 아니라 중국시장의 진출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Q 귀하의 제품은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제품이라 하셨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제품 등이 있습니까

A 우선 Heymore 제품군의 블랙 마스크 팩과 Renix 제품군의 일반 마스크 팩을 출시했습니다Heymore의 경우 선물용임을 부각시키기 위해 디자인에 특히 많은 투자를 하였습니다 중국 중산층을 겨냥한 제품으로 가격대 1봉지에 한화 ₩40000 정도로 높게 책정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가격을 높게 측정한 이유에는 중국 화장품 소비문화 속에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 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에 저가 보급형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0 -

제품인 Renix와 차별을 두는 판매 전략을 선택하였습니다 현재 판매되는 제품은 마스크 팩을 주력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Q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인데 중국을 대상으로 어떤 진출 전략을 갖고 있습니까

A중국에서 열리는 화장품 전시회 화장품 엑스포 행사 바이어 미팅 등 꾸준히 참가중이며 바이어들에게 저희 제품을 어필하고 있습니다 물론 신생기업인 만큼 아직 중국 내에서 뚜렷한 판매 실적을 기록하진 못했지만 타 화장품 기업들과 다른 마케팅 방식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디자인이나 제품의 아이디어를 강조하고 있는데 대표 적인 상품으로 오뚝이 모양을 한 화장품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이 오뚝이 제품을 바이어들에게 어필해 보았는데 대단히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Q 해외시장 마케팅과 대만 시장마케팅의 차이점이 있습니까

A 우선 중국에서의 마케팅은 행사나 전시회에 참여하고 바이어들을 개인적으로 만나는 것에 치중해 있다면 국내 대만시장의 마케팅 전략은 페이스북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대만은 중국에 비해 SNS가 많이 발달되어 있어 자금이 많이 들어가지 않는 SNS마케팅을 하고 있고 각종 자선행사에 참여하여 저희 기업을 홍보하고 있습니다

Q 귀사의 제품을 중국보다 비싼 인건비가드는 대만 제조공장에서 생산하는 겁니까

A타이중에 소재하는 공장에서 마스크를 제조 하고 있습니다 인건비가 비싼 것은 대만 수도인 타이페이에만 주로 해당이 됩니다 지방 소도시에서도 외곽으로 들어가면 저렴한 인건비와 공장 가동비용으로도 제조가 가능 합니다 굳이 중국에 제조공장을 갖지 않는 이유는 신생기업이라 자금문제도 있지만 대만은 OEMampODM에 특화된 국가이기 때문에 품질 좋은 다양한 제품주문이 가능하고 중국 사람들에게도 자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 보다 외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가 더 좋기 때문에 대만에서 생산한 뒤 수출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Q 대만에 한국 화장품 기업이 진출한다면 어떠한 마케팅 전략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 생각 하십니까

A 이미 대만에 한국의 화장품 제품들이 많이 들어와 있습니다 하지만 대만 자체의 화장품 기업들이 기존에 많은 시장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성공을 거두기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최근 한국에 대한 이미지가 많이 좋아졌고 한국의 영화나 드라마 등이 많이 알려지면서 인지도가 높아졌습니다 한국의 대기업의 경우 이러한 대규모 마케팅을 할 수 있으므로 큰 무리가 없겠지만 한국의 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한다면 최종 시장 공략 층은 대만이 아닌 중국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대만은 중화권으로 가기 위한 연결다리라고 생각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또한 중소기업은 큰 마케팅 비용을 부담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대만에서는 SNS나 각종 자선 행사에 참여하여 인지도를 높이는 것을 추천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1 -

Q 같은 제품이지만 대만과 중국에서 판매할 때 가격 책정이 다른 이유가 무엇인가요

A 그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해드리자면 국가마다 소비 성향이나 구매 능력 환율 경제 상황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경영 에서는 가격 차별화(Price discrimination)이라 부르는데요 각 나라의 시장 특성에 적정한 가격대를 책정해서 제품을 판매하는 전략입니다 혹시 중국 상류층이 몇 명인지 알고 있나요 제가 알기로는 대만 인구의 2배인 4000만 명이라는군요 아마도 한국 인구랑 비슷한 규모 일겁니다 게다가 중산층은 약 4억 명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4억 명의 중국 소비자들이 우리 제품을 1개씩만 구입 한다면hellip 상상만 해도 엄청 나겠죠 이야기를 하다 보니 다른 쪽으로 빠졌는데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이야기하면 물론 좋은 제품을 모든 곳에 저렴하게 제공 하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 그러나 항상 시장에서 저렴한 제품만이 성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대만이나 한국처럼 고도의 산업화가 이루어지고 시장이 크게 발전한 안정적인 단계는 좋은 제품이라도 가격 경쟁력에 신경 써야 합니다 왜냐하면 소비자들이 똑똑하기 때문에 정보력이 넓고 합리적인 소비를 지향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가격 성능 디자인 등 많은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중국 시장은 대만이나 한국과는 특성이 다릅니다 저렴하다고 해서 많이 제품이 많이 팔리기 보다는 가격대가 어느 정도 있는 제품일수록 또는 가격대가 높을수록 소비자들이 관심을 보입니다 대체적으로 중국 소비자들은 lsquo저렴한 제품은 품질이 낮거나 효능이 좋지 않은 제품일거야rsquo 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 때문에 화장품 박람회나 전시회에 저가 화장품을 가져와 홍보하더라도 중국 바이어나 소비자들은 큰 관심을 주지 않습니다 처음에 말했듯이 중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2 -

국 소비문화가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라는 심리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Wabfenix의 경우에는 신생기업이라 많은 투자 금액이 없을 뿐 더러 대만 화장품 시장에 진출하기에는 리스크가

크고 진입 장벽이 높습니다 그리고 이미 한국 화장품 기업들이 대부분 점유를 한 상황이기 때문에 대만 내수시장에만 집중하기에는 경쟁력이 부족하죠 그래서 중국을 주력 수출시장으로 삼고 있는데요 저희는 제품 성능 보다는 소비자의 이목을 끌 수 있는 디자인에 더 많은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중국에 Wabfenix만의 화장품 선물 문화를 정착 시키는 것이 목적인데요 높은 제품 가격만큼 소비자의 관심을 끌 수 있고 선물 문화나 꽌시(关系)가 많은 중국 문화 특성에 맞추어 선물용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중국 시장은 현재 젊은 중산층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품질이 낮은 화장품 보다는 수입 화장품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점으로 미루어볼 때 높은 가격 차별화와 Wabfenix만의 디자인 마케팅은 좋은 경쟁력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3 -

8 현지 시장조사 활동 (시장동향사진설문조사 자료)

8-1 시먼딩 설문조사

목적 대만 사람들의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및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대상 10대~20대 여성 및 화장품 전문매장 종사자장소 시먼딩시간 2015년 1월 7일 12일 총 두 차례에 걸쳐 진행방법 ①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 판넬에 국가별로 메이크업 사진을 표시하고 스티커를 붙이는 방식으로 투표함 공정성을 위해 국가 이름은 블라인드로 처리하였고 모두 동일 인물의 사진을 사용함②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표본집단을 50명으로 설정함 설문조사가 끝나면 사은품으로 한국 브랜드 마스크팩 증정함

8-2 사전 기획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판넬 기획도gt

化妝辦法喜好度的調查화장법 선호도 조사

大家給自己喜歡的化妝貼貼紙 여러분이 선호하는 메이크업에 스티커를 붙여 주세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4 -

대만의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안녕하십니까

다음의 내용은 대만 화장품 트렌드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자 관련조사를 실시하고자 하오니

있는 그대로의 생각을 기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귀하의 응답은 통계적 목적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본 설문은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물음에 대한 답변이나 해당란에 v 표를 해 주십시오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7) ② 화장품 전문매장(34) ③ 마트(5) ④ 홈쇼핑(2)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합계 총 50 명

바쁘신 시간에 의견을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지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5 -

8-3 설문조사 활동

lt2015년 1월 7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6 -

lt2015년 1월 12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7 -

lt활동 결과 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8 -

9 설문조사 통계 분석 (설문조사 응답 수분석결과)

9-1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결과gt

설문 조사 질문지 양식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12)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③ 마트(5) ④ 홈쇼핑(6)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9 -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gt

9-2 설문조사 항목 별 의견 및 추측

설문 조사 질문지 항목 (최다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② 20 ~ 25세 (13)

0

5

10

15

20

25

30

20대 이하 20세~24세 25세~29세 30세~39세 40대 이상

rarr 시먼딩은 대만의 홍대거리라 불리는 lsquo융캉제rsquo나 서울의 lsquo명동rsquo과 같이 젊은 층이 주로 활동하는 지역이다 설문조사 중에도 교복이나 체육복을 입은 학생들과 길거리에서 쇼핑을 즐기는 20대가 즐비할 만큼 활기 있는 거리다 덥고 습한 대만 기후 특성 상 과거엔 화장법이 크게 발전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국의 자연스러운 화장법이 큰 인기를 끌면서 시먼딩에 화장품 거리가 조성되어 있을 만큼 유동 인구가 많다 이 점으로 추측해보았을 때 압도적으로 10대와 20대 층이 많은 응답 수를 기록했다고 본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0 -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051015202530

온라인 화장품전문매장 마트 홈쇼핑 방문판매

rarr 대만 또한 한국과 비슷하게 시내에 많은 수의 화장품 전문매장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접근성이 굉장히 높았다 더불어 각 화장품 매장에서는 상품 할인과 같은 각종 프로모션을 진행하기 때문에 구매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 구매한다는 대답도 높은 편이었는데 거의 대부분이 와이파이존이어서 어디서나 인터넷을 한 활발히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온라인에서의 구매율도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0

5

10

15

20

25

30

NT$300 미만 NT$300~NT899 NT$900~NT$1499 NT$1500~NT2999 NT$3000

rarr 응답자들은 대부분이 한 달 간 화장품에 쓰는 돈을 최저 1만원 이상(NT$300 이상)이라고 답했는데 이는 70가 넘어가는 결과로 화장품에 대한 지출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만원 이상이라고 대답한 응답자들 또한 4분의 1을 넘기는데 이것은 젊은 연령층부터 시작하여 최근 피부 관리와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대만의 소비 수준에 대비하여 화장품 소비율이 높은 것도 이 때문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1 -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③ 성능(23)

051015202530

가격 디자인 성능 화장품 모델 브랜드

rarr 아열대 기후에 속하는 대만은 높은 기온과 습한 날씨 탓에 에어컨 환경에 자주 노출돼 피부 수분을 잃기 쉬워 기능성 화장품의 소비가 두드러진다 대만 화장품 시장은 토너 세럼 에센스 로션 크림 등의 모든 스킨케어 제품들이 보습기능을 강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백이나 안티에이징 리프팅 저자극 오일프리(Oil-free) 등의 기능까지 추가된 스킨케어 제품들이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조 화장품 소비가 늘어난 것은 최근 몇 년 들어 다양한 화장품 브랜드 접촉기회가 많아지고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젊은 여성의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색조화장품 또한 메이크업베이스와 BB크림 립스틱과 같은 베이스 메이크업이 수요가 많았다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④인터넷(22)

0

5

10

15

20

25

30

TV 잡지 친구 인터넷 메이크업샵

rarr 최근 빠른 인터넷망과 스마트폰 태블릿PC의 보급으로 인해 사람들과 사람사이의 연결망이 견고히 형성되고 있고 이것이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방법을 얻는 경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만 소비자들은 주로 인터넷 블로그 가족과 친구로부터 메이크업 정보를 획득 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만의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이므로 입소문마케팅과 판매를 바로바로 할 수 있는 유통구조가 도움이 될 것 같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2 -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0

5

10

15

20

25

30

청순 독특 귀여움 섹시

rarr 앞서 살펴보았듯이 대만은 한국과 비슷한 메이크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이것은 곧 청순한 메이크업 컨셉에 관심 있어 한다는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실제로 대만 여성소비자들은 깨끗한 피부 NATURAL한 베이스메이크업을 선호한다 한 듯 안 한 듯 자연스럽고 깨끗한 느낌의 한국식 lsquo생얼rsquo 화장법은 대만에서 한국 드라마 열풍과 함께 유명세를 타기 시작해 현지 각종 온라인 뷰티 사이트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래서 응답의 대부분이 한 곳에 치우쳤고 비교적 개성 있는 메이크업 방법이 드물 것이라는 것을 유추해낼 수 있다

본 설문 조사를 통한 한국 화장품 기업에 대한 시사점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수입 절차로 오랜 시간을 허비해야 하는 반면 대만은 자외선 차단제 성분 함유 제품과 약용 화장품을 제외한 일반 화장품은 별도의 수입 검사 없이 수입할 수 있으므로 대개 중국보다 1~2년 먼저 신상품이 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한류 효과를 겨냥한 중화권 화장품 시장으로 대만을 우선 공략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대만은 대부분이 화장품에 대한 소비를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고 한국 화장품이 많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시장 접근법만 제대로 수립하면 매출이 나는 구조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대만인들이 선호하는 메이크업 방법이 한국과 비슷하기 때문에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은 마케팅 방안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최종분석설문 조사 대상은 대부분 10대~20대의 연령층이었으며 화장품의 주된 구입경로는 lsquo온라인(24)rsquo과 lsquo화장품 전문매장(50)rsquo이 압도적이었다 더불어 한 달 간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lsquo1만 원 이상(72)rsquo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이것은 실제 생활수준에 대비하여 높은 소비량이므로 대만의 화장품 시장 전망이 밝다고 할 수 있다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부분은 lsquo성능(46)rsquo이었는데 이는 스타트업 기업 중소기업에게 유리한 조건이다 메이크업 방법을 얻는 방법으로는 lsquo인터넷(44)rsquo과 lsquo친구(30)rsquo가 높은 비율을 차지했는데 판촉활동으로는 인터넷을 활용한 SNS 홍보 바이럴 마케팅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가장 관심있는 화장 컨셉은 lsquo청순rsquo 이었고 이것은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와 맞물려 우리나라와 비슷한 메이크업 방법을 추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3 -

10 대만 명소 소개 (명소음식행사숙소 소개)

10-1 고궁박물관

대만 고궁박물원은 영국의 대영 박물관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 미국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과 함께 세계 4대 박물관으로 손꼽힐 만큼 세계적은 소장 문물을 자랑한다 건물 규모는 그다지 크지 않지만 소장한 문물의 질과 양은 세계 최상급이다 중화 보물 중에서도 최고의 보물들이 모여 있어 진귀하기 그지없고 수량 역시 워낙 방대하여 3개월 단위로 1만여점을 돌아가면서 전시해도 다보려면 10년이 넘게 걸린다고 전해지고 있다 중국의 국공내전 당시 장제스가 이끌던 중국 국민당이 전쟁에서 패하며 중국을 탈출해 대만으로 향했다 당시 장제스는 난징에 있던 정부를 타이페이로 이전하면서 자금성에 보관되어있던 중국역대 왕조 보물 수십만 점을 배를 이용해 운반해 왔다 중국의 유물을 가진 자가 진정한 통치자라고 생각했던 장제스는 ldquo공산군에게 영토는 내줘도 문화유산만큼은 내줄 수 없다ldquo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대표적인 유물은 취옥배추 육형석 모공정 산씨반 등이 있다

10-2 용산사

루강의 초입에 있는 이 사찰은 타이완에서 가장 오래되고 아름답다고 하여 타이완의 자금성이라고 부른다 각 건물의 기둥 벽 그리고 천장 등에 새겨진 조각은 특히 빼어나다 이 조각상과 함께 이곳의 명물로 알려진 것은 사찰 경내에 있는 2마리의 용상인데 삼천전 앞마당 좌우에 서서 룽산사를 호위하고 있다

10-3 타이페이 101 빌딩

타이베이 101빌딩rsquo이라 부르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로서 빌딩 모습은 하늘로 뻗어나가는 대나무 위에 꽃잎이 겹겹이 포개진 형상이다 본래 타이베이 금융기관이 모인 건물이지만 대형 쇼핑센터와 푸드코트 고급 레스토랑이 있어 여행자들이 많이 찾는다 건물에는 8개 마디가 있는데 이는 중화 문화권에서 부와 번영을 의미하는 숫자 lsquo8rsquo을 염두에 둔 것이다 타이베이 시내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는 높이 508m로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히는 높은 건물이다 지상 1~5층에는 소고 백화점 뷰티 플라자 애버뉴 101 등 다양한 패션∙뷰티용품을 구입할 수 있는 상점이 있다 또한 레스토랑 시티 스퀘어 대형 서점 등 쇼핑과 오락 식사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복합시설이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4 -

잘 알려진 식당으로는 딘 타이 펑(Din Tai Fung) 이 있다 101타워 지하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샤오롱바오(고기만두) 새우 샤오마이(새우만두) 탄탄면(우육면)이 가장 대표적인 메뉴이며 대만에 방문한 많은 사람들이 찾는 식당이다

10-4 지우펀

대만여행의 백미로 꼽히는 지우펀은 타이페이시 북부의 루이팡 지역의 작은 산골 마을로 과거에는 아홉가구만 살고 있어서 지우펀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예전에는 작은 산골 마을에 불과 했지만 이 지역에서 금맥이 발견되면서 호황을 맞이하게 된다 특히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일본풍의 건물들이 남아 있어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결합된 독특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비탈길을 따라 하늘로 이어진 예스러운 건물 그리고 골목마다 빨간 홍등과 함께 묻어나는 옛 풍경은 여행객들에게 인기 여행지이다

10-5 스린야시장

타이베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야시장 가운데 하나이다 독특하면서도 다양한 전통 먹을거리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이곳을 찾는 관광객이 많다 시장 부근에 학교가 많아 학생들이 많이 찾으며 포장마차 등의 노점상이 많아 가격도 저렴하다 칭런샹[情人巷]에는 가구 의류 액세서리 사진현상점 애완용품점 등이 모여 있어 학생뿐 아니라 관광객들도 자주 찾는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5 -

10-6 예류 지질 공원

타이완 북해안에 자리한 예류는 해수욕장과 온천 기암괴석으로 유명한 관광지다 특히 예류지질공원은 희귀한 모형의 바위와 암석이 모여 있어 예류 관광의 필수코스로 꼽힌다 작은 곶으로 된 예류지질공원은 침식과 풍화 작용을 거쳐 자연적으로 형성된 기암을 보러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지질공원으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것이 선상암 군락이다 암석 하나하나의 모습은 마치 거대한 버섯이 큰 머리로 하늘을 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선상암 가운데 가장 유명한 암석은 이집트 왕비의 옆모습을 닮은 여왕 두상 바위다

10-7 스펀(Shifen)

스펀(十分)은 옛 광산마을로써 천으로 만든 등이 유명하다 또한 이 곳 스펀은 대만 최대의 폭포 스펀(SE-FEN) 폭포가 있다 미니기차와 천으로 만든 등을 날릴 수도 있다 마을의 한가운데 긴 철길이 놓여 있고 30분에 한 대씩 기차가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것도 볼 수가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6 -

10-8 진과스(金瓜石)

진과스(金瓜石)는 타이완 타이베이 근교에 있는 옛 탄광 유적이다 20세기 전반에 금 채굴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20세기 후반에 금이 차차 고갈되기 시작하자 점점 위축되어 폐광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관광 명소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하루에도 수백명이 들렀다 가는 대만의 대표 관광지이다 진과스 내에 있는 황금 박물관에는 220kg 의 금이 전시 되어 있는데 손을 넣어 직접 만져 볼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진과스에서는 과거 광부들이 먹었던 도시락을 그대로 만들어 판매하는 광부 도시락도 굉장히 인기가 많다

10-9 국립 성공대학

대만의 타이난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1931년에 개교하였다 2010년 QS대학순위에서 283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대만 대학중 2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총 9개의 캠퍼스로 이루어져 있어 굉장히 큰 면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만 교육청에서 인정한 9개의 주요대학 중 하나이고 대만 기업체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학이다 이공계열이 가장 뛰어나며 중문 역사 법학 경제학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10 시먼딩

타이베이시에 위치한 시먼딩은 한국의 명동과 같은 거리이다 대한민국의 명동에도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과 외국인이 많다고 알려져 있는데 시먼딩 또한 명동 못지않은 다양함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대만의 패션과 놀이 문화 음식 등을 한눈에 경험 할 수 있는 공간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7 -

10-11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

중정기념당은 타이완 총통 장제스(蔣介石)를 기리는 전당이다 lsquo중정rsquo은 장제스의 본명이다 그가 서거한 후 1980년 기념당을 세웠다 25만에 이르는 넓은 중정공원 안에 우뚝 선 높이 70m의 기념물이 중정기념당이다 기념당 1층에는 장제스 생애를 엿볼 수 있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거대한 장제스 동상은 항상 근위병이 동상 앞을 지키고 있다 중정공원 안에는 중정기념당 외에 국립 희극원과 국립 음악청이 있는데 이곳에서 연극과 콘서트를 한다 공원 조경 또한 잘 조성되어 있어 산책하며 천천히 둘러보기에 좋다

10-12 안핑지구(安平地區)

대만의 문화와 역사는 안핑지구에서 시작되었다 안핑구바오는 17세기 중엽 네덜란드인들이 지은 요새로 정성공이 빼앗아 번영하다가 황폐해져 지금은 보루의 대부분이 없어지고 설탕과 굴껍데기와 찹쌀가루를 버무려 만든 빨간벽돌로 된 장벽(臺灣城殘蹟)만이 남아 나무뿌리와 존립의 사투를 벌이고 있다 감시탑 옆 건물 안에는 네덜란드와 정성공의 전투에 대한 이야기와 중세갑옷 등이 전시 중이다 이 주변에는 대만에서 가장 오래된 상업거리 옌핑제(延平街)가 있는데 옛 명성이 다한 거리의 골목 사이사이 수백년 된 가옥을 구경하는 것도 소소한 즐거움이다 1867년 영국인 상점과 물류창고로 이용하던 건물에 노용수(老榕樹)가 멋대로 자라 건물을 집어삼키듯 뒤덮은 나무집으로 불리는 안핑수우도 안핑지구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진귀한 볼거리다

10-13 미라마 관람차

대만에서 가장 큰 관람차로 알려져 있는 미라마 관람차는 타이페이 시의 야경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관람차 크기가 큰 것으로 유명하지만 가격 또한 저렴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유스트래블 카드를 이용하면 50 할인이 적용되므로 꼭 지참하도록 하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8 -

lt미라마 관람차 티켓gt lt유스트래블 카드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9 -

11 시사점 및 차후 활용계획 (LGC 프로그램을 통한 구체적인 효과 및 연구결과)

11-1 LGC 프로젝트 만족도

구분 항목 전 후 한줄 평

사업단

프로젝트 취지- 린튼 글로벌 학과와 경영정보학과 학생들이 함께

하는 프로젝트 해외시장탐방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사전교육 활동- 출국 전 각 나라에 대한 유의사항 안전교육이 체

계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개략적인 보고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었다

행정지원 절차- CK사업단 린튼 글로벌 학과 경영정보학과 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히 되지 않아 사전 계획에서 많은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협동력 향상- 출발 전 잦은 팀 회의와 8박 9일 간에 일정에도

불구하고 불화 없이 좋은 분위기 속에서 프로젝트를 완수 했다

추진력 향상- 일정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 한 점 추가 자료조

사를 위해 현지에서 새로운 일정을 추가 됐을 때 팀원들이 일사불란하게 따라주었다

문제해결 능력- 교통편 문제와 기업 측 내부 문제로 일부 일정에

변동이 있었지만 신속한 조율과 전화 통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개인

동기부여 자극- 현지인들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국어 영어 능

력의 필요성을 실감했다 특히 중국어는 소통 유무에 따라 현지 반응이 극명하게 갈렸다

진로설계 도움- 프로젝트 전에 비해 새로운 직업 분야에 대한 관심

이 증가했다

취업능력 향상-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한 내용을 살려 구술 면접이

나 자기소개서 작성에 참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11-2 LGC프로젝트 연구 결과 - 대만 시장

⓵ 중국시장을 주목하는 대만 화장품 기업- EST팀은 현지 대만 화장품 기업으로 SISDORA와 WABFENIX를 선택했다 두 회사를 선정한 배경에는

명확한 의도를 두고 정했다 SISDORA는 설립한 지 10년이 넘는 회사로 직접 화장품을 개발 및 연구하고 판매하는 중소기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과 주름개선 크림으로 중년 여성을 타깃 층으로 하는 화장품 회사다 반면 WABFENIX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스타트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 이지만 기술개발 보다는 디자인 마케팅에 중점을 두었고 판매 층도 10대-20대의 젊은 층을 타깃 층으로 한다 시장 전략이 완연히 다른 두 기업이 유일하게 공통점이 있다면 중국시장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선정 이유에는 많은 인구의 소비력을 꼽지만 뒤이어 언급하는 이야기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자사 제품의 경쟁력 약화를 말한다 현재 대만 기업 대부분은 내수 시장 대신에 중국을 겨냥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국가 산업 특성상 제조amp연구 분야가 강세인 대만에서는 중국 바이어 또는 미국 유럽 바이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직접 판매 보다는 기술 협력을 통해 이익을 창출한다고 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0 -

⓶ 대만 시장을 점령한 한국 화장품

- 앞서 말했듯이 2012년 이후부터 급속히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한국 화장품은 대만 시장을 점령하고 있다 이미 시먼딩에 들어서면 다양한 한국 화장품 매장이 눈에 띌 만큼 들어섰으며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중앙 광장에 입점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매장 안에는 많은 대만 사람들이 화장품을 보고 있는 광경을 흔히 본다 화장품 매장을 이용하는 연령층은 주로 10대-20대들이다 화장품 가격이 한국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주 애용하는 이유는 한류 열풍으로 인한 한국 연예인들에 대한 관심과 화장법이 크게 유행하고 있음을 현지 설문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⓷ 체감할 수 있을 만큼 커다란 한류열풍

- 뉴스에서만 듣던 한류 이야기를 대만에서 직접 느낄 수 있을 정도로 한류열풍은 크다 특히 삼성이나 LG의 TV나 스마트폰은 어딜 가든 항상 보이고 한국 화장품 선물에 대한 반응이 무척이나 뜨겁다 원활한 현지 조사를 위하여 사은품으로 준비한 한국 마스크 팩 100개는 오히려 현지인들이 참여 의사를 표현할 만큼 열정적이었다 일부 대만 사람 중에는 어디서 왔냐는 질문에 한국이라는 답변을 하니 같이 사진 찍기를 제안하기도 했다

⓸ 중소기업에게 있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는 대만 시장진출- 대만 시장 진출에 앞서 한국 화장품 중소기업이라면 전략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크게 대만 시장을 겨냥

할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할지 선택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3CE는 한국 화장품 회사다 대만에서 젊은 연령층이 자주 이용하고 이미 대만 내에서는 유명하다 3CE는 오프라인 매장 없이 순수 온라인 매장으로 운영하면서 대만 사람들을 위한 전용 웹사이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윤을 창출 하고 있다 신중해야 할 점은 현재 온라인 오프라인 등 한국 화장품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신규 진입에 있어서 장벽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대만 시장을 활용한다면 동남아 시장까지 한 번에 내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출입통관 절차가 간단하고 관세가 낮기 때문에 중소기업에게 유리하다 아직까지 중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1 -

에 대한 직접적인 수출이 가능한 곳은 상해나 항주 같이 중국에서 허가한 무역항 도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내륙까지 시장을 확대하기는 불가능하지만 같은 언어권인 대만을 거치면 보다 쉽게 바이어나 에이전트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인맥을 통한 꽌시와 수수료 명목으로 뒷돈을 요구하는 중국 바이어의 관행은 자금 순환이 원활치 않은 중소기업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11-3 LGC 프로젝트 종합 의견 및 전망

우리 lsquoEST팀은 출국 전 국내 화장품 시장 조사를 할 때 대덕 밸리 스타트업 기업 셀아이콘 랩의 영향으로 대만의 화장품 산업에 대해 큰 관심과 가능성을 보고 2015년 1월 5일부터 1월 13일까지 8박9일이라는 시간동안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 나라 중에 하나인 대만에서 rsquo대만의 화장품 시장lsquo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사를 했다 대만에서는 3개의 기업 (KOTRA SISDORA WABFENIX) 을 방문해 전반적인 대만의 화장품 시장과 판매전략 한류에 대한 보다 사실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1개의 대학 (국립성공대학 國立成功大學)에서 MBA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또 타이난에서는 대만에서 오랫동안 사업하시는 한인협회 회장을 만나 PLC (Product Life Cycle)를 통해 대만에서의 특정 시장이 도입기에 있는지 또 어떠한 시장이 쇠퇴기에 놓여있는지 다양한 시야에서 대만시장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노력은 CK 사업단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교육부 CK-1 프로젝트의 일부인 Linton Global Challenge는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몇 년을 내다보는 지속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기업들과 더욱 더 활발한 교류와 연구를 한다면 기업과 CK 사업단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리라고 본다

1 개인 탐방 후기 (팀원 개인 소감)

1-1 개인 탐방 후기

강성민탐방 후기 기업 컨택 부터 인터뷰 일정 계획까지 8박 9일간의 대만 화장품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 출국 전까지 준비 과정부터 탈도 많았고 대만에 와서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 원하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매일이 항상 회의와 고민의 연속이었다 하루하루 충실히 계획을 진행시켜 나갔고 좋은 팀 분위기 속에서 무사히 대만 프로

부록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2 -

젝트를 완수했다 그리고 마침내 한국으로 돌아왔다 과정은 항상 오르막 길이였지만 돌이켜 보면 마지막 대학 시절을 기념할만한 좋은 추억이자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느끼는 바가 많았던 프로젝트로 기억 될 것이다

김은진탐방 후기 글로벌 챌린지를 한마디로 정의하라고 한다면 도종환 시인의 lsquo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lsquo라는 시가 떠오른다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대만기업컨택 설문조사 등 많은 것을 경험했다 처음엔 모든 것이 나에겐 버거운 산이라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도전이 계속 될수록 이젠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이 모든 도전들에 흥미가 생겼다 나 자신도 책임감과 자신감이 생기고 한층 성숙해 진 것을 내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소중한 동료와 추억은 평생 나의 가슴속에 남을 것이다 우린 앞으로도 많이 도전하고 경험하여 우리들의 삶이 활짝 만개하리라 다짐한다 끊임없이 도전하는 20대의 청춘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프로그램이었다 김종선탐방 후기 한국에서 준비하면서 조사했던 내용과 비교하며 인터뷰를 해보니 실제로 많이 다른 부분도 있었고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 비슷한 내용도 있었다 현지의 기업들을 방문해 우리가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직접 매장에 가서 느껴보니 앉아서 컴퓨터만 볼 때랑 많이 달랐다 그리고 직접 대만인들에게 설문조사를 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그리고 대만의 실제 문화와 환경 그들의 생활을 잠시나마 볼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

구명우탐방 후기 며칠간의 꿈만 같았던 대만에서의 시간이 지나갔다 대만으로 출국하기 전 사전조사 기간에는 확신이 없었다 사전조사와 기업과의 인터뷰 그리고 9일간의 일정조율 및 숙박과 모든 대만에서의 연구와 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보고서까지 무엇하나 확신이 드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도전과 해결능력을 배웠고 아시아에서 급성장 중인 대만에 대해서 배우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다음기수로 가게 될 관심 있는 학우들에게 진심으로 추천해주고 싶다

이규현탐방 후기 CK-1 프로그램 중 하나인 lsquo린튼 글로벌 챌린지lsquo 프로그램을 통해 약 8박 9일이라는 시간 동안 emerging market 중 하나인 대만에 거주하면서 한국 화장품의 대만시장 점유율과 진출 가능성을 몸으로 체감하고 자료들을 모아 통계 내어 정리할 수 있었다 우리 팀 lsquoEST가 성공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충분한 국내조사 기간을 갖고 대만의 화장품 회사들을 방문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대만의 특정한 기업을 찾기도 어려웠고 기업 컨택은 번번히 거절당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회사 두 군데에서는 답장조차 오지 않았고 설문조사할 때에는 반한감정의 대만인을 만나 고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팀의 단결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리더의 통솔력으로 정해진 스케줄대로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회사를 방문하고 학교교수를 만나고 길거리에서 설문조사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팀원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또한 대학생으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을 한 것 같아서 스스로도 너무 뿌듯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팀을 믿고 지지해주신 LGSB 교수님들과 CK-1 프로그램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영은탐방 후기 처음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렇게 준비는 열심히 하지만 정말 우리가 계획한 100대로 대만을 다녀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기우가 무색하게도 대만은 우리에게 기획안 그 이상의 것들을 보여주었다 사장님들의 생생한 사업 이야기와 대만의 색채가 묻어있는 아이템들 하며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여 알아보는 비즈니스 마켓의 현장은 나에게 두고두고 잊지 못할 자산으로 남았다 또한 펑리수 버블티를 비롯한 대만의 맛있는 먹거리들과 스린 야시장이나 지우펀 같은 명소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열심히 고생해준 팀원들과의 추억들도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3 -

이서우탐방 후기 이번 글로벌 첼린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서 쉽게 할 수 없는 해외 기업 탐방과 해당 국가의 산업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임효진탐방 후기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팀이 대만을 방문 한다고 했을 때 많이 의아해 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만을 직접 방문해보고 많은 사업자들을 만난 결과 대만은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라고 생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아직 공산주의라는 정치적 특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다른 곳보다 훨씬 어렵지만 대만은 자유시장체제 이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쉽다 특히 외국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만 시장에서 한국제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추고 중국 시장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성공가능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그리고 대만의 바이어들을 통해 중국의 시장진출을 하게 된다면 사업자가 직접 중국시장에 진출 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성공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만은 문화적으로 다른 아시아권보다 선진화 되었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대도시에 속하지만 모두다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골고루 섞여 대만만의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차안호탐방 후기 9박 10일간의 대만을 다녀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넓고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이번 대만 여행은 처음으로 경험한 해외여행 경험이여서 그런지 순탄치 않은 면도 있었지만 팀원들 서로가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만시장은 중국시장으로 가기위한 좋은 시험의 장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대만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영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더 나아가 미래에는 중국어야말로 영어와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성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또 하나 놀란 점은 대만이 반 한류 감정을 많이 갖고 있는 줄 알았지만 대부분의 대만 일반 시민들이 굉장히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에 놀랐고 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CK-1 사업의 챌린지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대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계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보완점 및 건의사항 (문제점개선책건의사항)

2-1 기업 컨택의 어려움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에 있는 기업과 연결하여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대해서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조사 및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시간을 내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로써 그들의 귀한시간이 아깝게 쓰이지 않을 것을 강조하여 만남을 만들어야 한다

2-2 사업단과 의사소통의 불편함

Challeng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CK-1 사업단과의 지속되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가령 누군가를 통해서 전해지는 소문이나 촉박한 시간을 제시하고 일 처리를 원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단과 각 팀의 대표간의 분명한 의사소통과 증빙자료 등이 필요하다

2-3 정보 부재 이번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이머징 마켓에서의 유망 산업 조사 및 연구였다 대만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13: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3 -

(한국 기준)

- 수출 US$182억 수입 US$1469억 무역수지 US$35억ㅇ 2012년 - 수출 US$148억 수입 US$140억 무역수지 US$8억ㅇ 2013년 - 수출 US$157억 수입 US$146억 무역수지 US$107억ㅇ 20141~6월 - 수출 US$75억 수입 US$75억 무역수지 US$04억

주요교역 품목ㅇ 수출 반도체 기초유분 철강판 석유화학 중간원료 컴퓨터 정밀화학원료 반

도체 제조용 장비 광학기기 석유제품 선박 등ㅇ 수입 반도체 컴퓨터 기구부품 철강판 무선통신기기 기타 중전기기 평판디

스플레이 및 센서 기타 석유화학제품 플라스틱 제품 정밀화학원료 등

상호 투자

ㅇ 우리나라의 對대만 투자 - 2010년 43건 US$1400만 2011년 42건 US$4700만 - 2012년 38건 US$950만 2013년 26건 US$1700만 - 1968~2013년 624건 US$ 5억 6300만ㅇ 대만의 對한국 투자 - 2010년 5건 US$340만 2011년 7건 US$2800만 - 2012년 9건 US$2100만 2013년 14건 US$6100만 - 1962~2013년 181건 US$ 6억 1200만

교민 총 교민수 약 3천 4백여명

양국 간 교역 동향

수출입 동향

Ÿ 한국과 대만은 주요 수출입 품목이 반도체 철강 컴퓨터 화학원료 등으로 중복되는 경향이 강하며 상호비교우위 품목을 위주로 교역이 이뤄지고 있음

Ÿ 전년도 수출 급감에 따른 기저효과 스마트기기 및 테블릿 산업의 성장과 이에 따른 부품 수요 증가 한류영향 품목의 수출 확대 등으로 인하여 2013년도 한국의 對대만 수출은 전년대비 6 늘어났으며 수입 역시 44의 증가세를 보임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4 -

구분2012년 2013년 2014년 1~6월

금액 증감 금액 증감 금액 증감

총계 2882 -124 3033 52 1502 -328

수출 1481 -186 1570 60 753 -726

수입 1401 -46 1463 44 749 135

수지 8 -771 10 25 04 -945

순위 품 목2012년 2013년 2014년

1~6월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1 반도체 3578 -342 3742 46 2169 1572 석유제품 2239 -29 2810 255 953 -3563 기초유분 1381 198 1314 -48 531 -2084 정밀화학원료 406 -426 477 176 272 1835 석유화학중간원료 532 -376 586 101 220 -516 반도체제조용장비 311 -222 344 107 195 -107 자동차부품 239 209 168 -298 159 8728 광학기기 238 -248 283 188 151 969 기구부품 217 111 375 727 147 -28210 플라스틱 제품 250 -124 286 147 142 16

lt 한국-대만 수출입 동향gt (단위 억 달러 )

자료원 한국 관세청

lt한국의 對대만 10대 수출 품목gt (단위 백만 달러 )

주 MTI 3분류 2013년 수출액순 자료원 한국 관세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5 -

순위 품 목 2012년 2013년 2014년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1 반도체 8114 117 8874 94 4438 -102 기구부품 757 124 867 146 341 -2343 철강판 420 -312 398 -52 181 -1474 컴퓨터 616 -570 356 -422 171 -635 기타석유화학제품 227 -103 199 -125 143 9856 플라스틱 제품 324 229 288 -111 136 -1057 동제품 156 46 194 245 125 2108 합성수지 159 -19 172 81 108 2739 평판디스플레이및센서 133 -215 138 35 106 29110 기초유분 155 -250 132 -143 98 425

lt한국의 對대만 10대 수입 품목gt (단위 백만 달러 )

주 MTI 3 분류 2013년 수입액 순 자료원 한국 관세청

양국 간 상호 투자현황

대만의 對 한국 투자현황lt대만의 對韓 투자동향gt

(단위 건 백만 달러)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1~6월 누계(62~2014)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5 34 7 280 9 21 14 61 3 3 184 615

자료원 대만 경제부 투자심의위원회 신고 기준

Ÿ 대만기업의 對韓 투자는 10~20만 달러 규모의 판매법인 설립이 대부분이며 대규모 그린필드형 투자는 중국 및 동남아지역에 RampD형 투자는 미국과 일본에 집중되고 있음thorn 대만기업의 對韓 투자는 지난 5년간 연평균 25천만 달러에 불과

Ÿ 또한 중국 투자환경 악화로 동남아 등지의 신흥시장으로의 제조기반 이동에 대한 투자가 늘고 있으며 유턴투자도 증가

Ÿ 한편 주요 산업분야에서 대만은 한국과 경쟁적 보완관계이며 일본과는 보완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음thorn 특히 한 대만간 반도체 디스플레이 기업간 경쟁이 심해지면서 대만 IT업계를 중심으로 lsquo聯日抗韓(일본

과 연합하여 한국을 견제하자)는 주장이 제기되는 등 대만기업의 일본 편중현상은 심화되고 있음Ÿ 지금까지 대만의 대표적인 對韓 투자사례로는 2007년 IC디자인 기업인 SIMO의 FCI 인수(8800만 달러)

2010년 대만의 최대 철강회사 CSC의 동부메탈 지분인수(4200만 달러) 2010년 IC 테스팅 업체 Ardentec 웨이퍼 테스팅 공장 설립(4000만 달러) 2012년 6월 반도체 패키징 업체인 ASE의 라인증설(8000만 달러) 등이 있음

Ÿ 최근에는 금융권을 중심으로 한국기업에 대한 MampA SI 투자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어 주목받고 있음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6 -

thorn 2013년에는 대만의 1위 증권사 위안타가 한국의 동양증권 인수를 발표 양국의 금융감독기관 허가를 받아 2014년 연내 합병 추진 중(25억 달러)

thorn 또한 다국적 제약회사 Alvogen은 대만 LOTUS를 인수 동아시아 HQ로 삼고 한국 제약회사(드림파머) 인수를 추진 중

우리나라의 對 대만 투자현황

lt한국의 對대만 투자동향gt (단위 건 백만 달러)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1~3월 누계(lsquo68~lsquo14)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43 13 44 47 38 9 34 68 15 5 646 617

자료원 한국수출입은행 신고 기준

Ÿ 제조업 분야에서의 對대만 투자는 시장개척 및 고객사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임

Ÿ 우리기업의 대표적 투자 사례로는 2005년 LCD 장비 업체 PKL사의 LCD용 포토마스크 공장설립(4000만 달러) 2007년 게임업체 넥슨의 감마니아 지분인수(2100만 달러) 등이 있음

Ÿ 2011년 4월 미래에셋(Mirae Asset Global Investments)은 타이완라이프자산운용에 약 1000만 달러를 투자 자산운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Ÿ 2014년에는 PCB 기판 업체 달마전자가 가오슝에 공장을 설립 9월 준공식을 앞두고 있음

3 탐방 목적 (주요 목표부가 목표기대 효과)3-1 탐방 목적

주요 목표 1 대덕밸리 스타트업기업 (주)셀아이콘랩의 대만진출 가능성 탐색 2 대만 소비자들의 기능성 화장품 인식 조사 3 대만화장품시장의 유통경로 조사

기대 효과기업측면 기대 효과

⓵ 현지 시장조사 자료 획득⓶ 자사 시제품 반응결과 파악⓷ 사업단과의 지속적인 연계

사업단측면 기대 효과⓵ CK 사업 목표 또는 취지에 부합(CK ndash University for Creative Korea)⓶ 새롭게 출발하는 lsquo글로벌IT경영학과rsquo의 홍보전략으로 활용 가능

학생측면 기대 효과

⓵ EST팀 특강 ndash 학과 내 MIS Day 혹은 관련 과목 강의에서 특강⓶ 해외 탐구 동아리 개설⓷ CK 멘토와 후원 활동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7 -

4 사전조사 활동 (셀아이콘랩)

4-1 기능성 화장품 연구amp제조 기업 lsquo셀아이콘랩rsquo 기업 인터뷰

회사 소개

회사명 셀아이콘랩주소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대로 1646 한남대학교 사이언스파크 312호 대표자명 성민규 대표 사업분야 코스메슈티컬 펩타이드 소재개발 피부 전문가용 코스메슈티컬 화장품 OEMODM 주문 생산 방식

인터뷰 내용 1) 셀아이콘랩 2014년도에 많은 해외 박람회에 참여하고 있는데 해외시장 진출 의사가 있으신가요= 저희 회사의 사업화 로드맵을 보시면 2014년에 해외영업 마케팅 판매가 계획되어 있고 올해 들어 중국 러시아 카자흐스탄 말레이시아 등 여러 나라를 방문하여 박람회에 참가하고 실질적으로 상품을 판매하고 반응을 살피고 있습니다

2) 그렇다면 대만 화장품 시장 진출에 대해 고려해본 적은 있으신가요 만약 진출을 고려해보았다면 대만의 화장품시장에서 원하는 자료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대만시장을 접할 기회가 부족했을 뿐 내년에 대만 시장진출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셀아이콘랩은 현재 거래중인 중국 카자흐스탄 등지의 국가들에서 더 나아가 대만이나 홍콩과 같은 중화권 시장의 가능성을 느끼고 해당나라에 진출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요구사항 대만의 수출수입 인허가 절차 관세 세금 시장가격 형성 요인 화장품 유통 채널 구매경로 트렌드 또한 대만 시장에 뷰티샾(우리나라의 올리브 영)같은 종합 매장이 형성과정 실질적인 구매력을 알아보기 위한 대학 졸업생의 평균 초봉 등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8 -

5 화장품 산업 및 환경 분석 (연구자료 첨부)

구분 2011 2012 2013(1월 ~ 11월)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및 성장률 19427798 42 19421349 00 191454345 08

5-1 화장품 시장 동향

시장규모 및 전망thorn 대만의 약품 및 화장품 시장규모는 2013년 기준 1914억 달러로 2012년 대비 008 증가

최근 3년간 대만 약품 및 화장품 시장규모 및 성장률 (단위 천 달러)

자료원 대만경제부 통계처

시장전망thorn 수요 감소 예상 요인 대만 화장품시장은 다양한 국산 수입제품들이 오랜 시간 경쟁하는 포화된 시장thorn 종합의견 다수 유명 외국 브랜드(예 SHISEIDO KOSE 등)는 대만에 공장을 설립해 국산 브랜드와

경쟁하고 있으며 대만 정부의 각종 규제가 엄격하고 많아 허가 관련 등록서류 및 비용으로 인한 진입 장벽이 큼

소비자 구매 패턴thorn 주요 소비자 계층 14~55세 등 다양thorn 소비자 구매 동기 귀엽고 여성스러운 디자인 미백 보습 등과 같은 눈으로 확인 가능한 기능성 민감

성 피부에 바로 사용 가능한 화장품을 선호하는 추세

제품 트렌드thorn 대만 시장에서 국산 브랜드보다 수입 브랜드의 인기가 더 높으며 그중 일본 브랜드가 장시간 많은 인

기를 유지하여 왔음thorn 최근 한국 드라마에서 스타들이 연출하는 화장법 또는 유명 스타가 광고하는 한국 화장품이 큰 인기

를 얻고 있으며 한류 열풍으로 대만에서 수입 화장품 판매량이 늘어나면서 국산 화장품의 신제품 개발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

thorn 피부과 및 의학미용센터에서 다양한 시술(보톡스 반점 제거 여드름 크리닉 모공축소 레이저 비지 제거 등)을 받아 꾸준히 피부관리를 받고 다니는 여성들이 많아지는 추세에 따라 기능성을 강조하는 의학미용(aesthetic medicine) 화장품 혹은 시술 받고 나서도 바로 사용 가능한 기초화장품(무자극 보습효과 강조)이 유행하기 시작함

해당 산업 관련 정부 정책thorn GMP 정책 글로벌 추세에 따라 대만 화장품의 품질middot제조 수준 및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대만 경

제부공업국과 대만 위생서는 2008년 9월 4일부터 lsquo자발성 화장품 우량제조규범 검증제도(自願性化妝品優良製造規範驗證制度)rsquo를 실시한다고 발표함 약품 의료기기 식품을 이어 화장품이 네 번째로 GMP검증을 받는 산업이 되었음 ISO 22716 규범으로 주요 참고 근거로 보고 있음 동시에 화장품 GMP 추진 플랫폼을 설립하고 기업 문의에 대한 상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9 -

구분 2011 2012 2013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및 성장률 614293 1192 600356 -227 557784 -085

순위 국가 금액 점유율 증감율2011 2012 2013 2011 2012 2013 1312

총계 614293 600356 557784 100 100 100 -0851 일본 248980 237052 199987 40531 39485 35854 -113212 프랑스 116031 111983 110509 18888 18653 19812 45333 미국 89984 96689 89924 14648 16105 16122 -03914 한국 29779 29329 36746 4848 4885 6588 386345 중국 23444 30114 30138 3816 5016 5403 99486 영국 15895 14619 14482 259 2435 2596 29227 독일 16799 14327 14159 274 2386 2538 96758 스위스 13631 12401 11151 222 2066 1999 -5329 태국 9929 9214 8943 162 1535 1603 533310 이탈리아 12312 8853 8632 2 1475 1548 7727

5-2 수입동향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동향 (단위 천 달러 )

주 대만 국제무역국

최근 3년간 상위 10개국의 수입통계

주요 수입국 현황(HS Code 330499 기준) (단위 천 달러 )

자료원 대만 경제부 국제무역국 중화민국수출입무역통계(httpcus93tradegovtwFSCI)

수입관세 및 관련 제도thorn 관세 0thorn 통관 시 유의사항 대만에서 화장품은 의료용 또는 약품을 함유하지 않은 lsquo일반화장품rsquo과 lsquo함약화장

품rsquo 등 세 종류로 나눠져 있음 함약화장품의 경우 통관 시 대만 위생서에서 발행한 위생허가증을 제시해야 함

thorn 필수 인증 현황 함약화장품(예 염색제 파마제 자외선차단제 땀 억제제 치아미백제 등)은 대만 위생서 허가를 받아야 수입 및 제조판매를 할 수 있음 허가 신청 시 제품명 성분 제조업체명 제조업체주소 해외 수입업체명 수입업체주소 제품 전성분 용량 용도 사용법 유효기간 샘플 Certificate of Analysis Certificate of Sales SPF ampUVA 검사보고서 등이 필요함(세부사항은 대만 위생서 홈페이지 참조바람)

5-3 유통구조

유통채널 종류thorn 오프라인 백화점 H ampB(Watsons Cosmed SaSa 등) 방문판매 약국 각종 마트 편의점 피부과

피부관리센터 전문판매점(로드숍)thorn 온라인(여기는 virtual channel을 뜻함) 홈쇼핑 온라인 쇼핑몰(경매 브랜드 홈페이지 등 포함) 우편

주문(郵購) 등이 있음

유통채널 점유율 오프라인 유통채널의 점유율은 여전히 70~90 정도로 높게 차지하고 있으나 온라인 유통채널의 점유율도 빠른 속도로 상승하고 있음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0 -

브랜드명 제품명 가격 판매순위

SHISEIDO 100 1

SKII 133 2

ESTEE LAUDER 100 3

항목 내용전시회명(현지어명) 2014春夏國際美容化妝品展전시회명(한국어) 2014 춘하 국제미용화장품 전시회

전시품목 미용 화장품개최국가도시 타이베이

유통채널 활용 방안 아직까지 온라인 채널의 점유율이 높지 않으나 대만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블로그 등)에 영향을 많이 받는 편이어서 오프라인 채널에 진입하기 전에 온라인으로 먼저 마케팅(브랜드 이미지메이킹 블로거 마케팅 등)을 진행하는 방법을 추천함 대만 오프라인 채널의 진입장벽은 매우 높으며 비교적으로 이윤이 많이 남는 온라인시장에서 브랜드 파워를 먼저 키우면 오프라인 채널에 들어가는 길이 훨씬 수월해질 것으로 예상함

5-4 경쟁동향

경쟁제품 현황주요 경쟁제품 현황

(단위 달러)

한국 제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 및 선호 브랜드 현황thorn 한국 제품 현지 인지도 높음thorn 선호 브랜드 3CE INNISFREE NUTURE PUBLIC MISSHA THE FACE SHOP LANEIGE 등

5-5 효과적인 시장 진출 전략

타깃 고객층thorn 타깃 고객층 20~30대 초반thorn 타깃 사유 유행에 따라 새로운 것을 많이 도전하고 한류의 영향도 가장 많이 받는 젊은 층이 한국

화장품을 소비하는 경우가 많음 35세 이후의 직장 여성 혹은 가정주부들은 여전히 일본 혹은 유럽 미국의 고가 화장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활용 가능한 마케팅 방안 ⓵ 현지 전시회 정보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1 -

개최주기 3월경개최기간(2014년) 0321~0325

웹사이트 httpwwwudnicecom

⓶ 전시회 이외의 주요 마케팅 방안 블로거 마케팅 등 ⓷ 유력 홍보 방안(전문잡지 온라인 매체 등)

thorn 온라인 매체 Fashion guide(httpwwwfashio guidecomtw) UrCosme(httpwwwurcosmecom)

thorn 전문잡지 VIVI BEAUTY 大美人 Style W Marie laire Fashion Guide 등

시장 확대를 위한 무역관 의견 대만 화장품시장은 가격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 시장 진입 시 확실한 브랜드 포지션을 정해야 하며 해당 포지션의 대만 제품 가격을 조사한 후에 대만 최종 소비가격을 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

또한 소비자들은 할인세트 및 사은품에 약하여 각종 행사 진행 시 사은품 증정 혹은 묶음세트로 판매하는 것을 추천 보습(특히 히알루론산 성분 강조) 및 미백(대만 정부에서 인증된 미백성분이어야 함) 제품을 매우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6 탐방 상세 일정 (일정표 - 기간 지역)

날짜 지역105(월) 인천 ~ 대만 타이페이

시간 일정0600 인천공항 도착

0600 ~ 0920 인천공항 대기0920 ~ 1140 인천공항 rarr 대만 1140 ~ 1230 대만 입국 수속1230 ~ 1320 숙소 이동 (용산사 역)1320 ~ 1500 짐정리1500 ~ 1600 회의 및 일정정리1600 ~ 163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630 ~ 1800 KOTRA방문 및 인터뷰1800 ~ 1830 101타워 딘 타이 펑 이동(도보)1830 ~ 1910 저녁식사 - 딘 타이 펑1930 ~ 2100 101 타워 야경감상2100 ~ 2130 숙소로 이동2130 ~ 223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6(화) 타이페이

시간 일정0900 기상

0900 ~ 110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30 ~ 1230 점심식사 - 마라훠거1230 ~ 1300 SISDORA 본사로 이동

6-1 8박 9일 대만 일정 (150105 ~ 150113)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2 -

1300 ~ 1530 SISDORA 방문 및 인터뷰1600 ~ 1800 101타워 퍼스널 트레이닝 센터 방문1800 ~ 1930 저녁식사 - 카렌 레스토랑1930 ~ 2000 숙소로 이동2000 ~ 2100 개인 휴식2100 ~ 223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7(수) 타이페이

시간 일정0900 기상

0900 ~ 113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30 ~ 120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200 ~ 1250 점심식사 - 키키 레스토랑1250 ~ 1300 시먼딩 이동1300 ~ 1530 화장품 설문조사1530 ~ 1830 한국 화장품 매장 제품 조사1830 ~ 1900 야시장 이동(MRT)1900 ~ 2000 저녁식사 ndash 야시장 음식2000 ~ 2030 숙소로 이동2030 ~ 2130 개인 휴식2130 ~ 230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30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8(목) 타이페이 ~ 타이난

시간 일정0830 기상

0830 ~ 110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00 ~ 1200 체크아웃 및 고속철도역 이동1200 ~ 1340 타이페이 rarr 타이난 이동1340 ~ 1400 짐 보관 및 인터뷰 장소 물색1400 ~ 1600 가오슝 한인협회장 인터뷰1600 ~ 1700 숙소도착 및 짐정리1700 ~ 1800 개인 휴식1800 ~ 1900 저녁식사 - 새우롤2000 ~ 2230 중간 정리 및 보고서 작성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9(금) 타이난

시간 일정0800 기상

0830 ~ 0900 아침 식사0900 ~ 1130 타이난 일정 브리핑 및 팀 미팅1130 ~ 1210 타이난 시내로 이동(TAXI)1210 ~ 1320 점심식사 - 스시1320 ~ 1350 성공대학 이동(도보)1350 ~ 1700 성공대학 방문1700 ~ 1800 성공대학 캠퍼스 탐방 및 대학원생들과 대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3 -

1800 ~ 1830 저녁식사 - 대만 전통 음식점1830 ~ 1900 타이난 RT마트 이동(도보)1900 ~ 2030 RT 마트 장보기2030 ~ 2100 숙소로 이동2100 ~ 2200 개인 휴식2200 ~ 2330 팀 회의 및 예산 정리

23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12(월) 타이페이

시간 일정0800 기상

0800 ~ 0900 아침식사(호텔 조식 제공-선택)0900 ~ 1130 호텔 개인시간1130 ~ 123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230 ~ 130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300 ~ 1600 Wabfenix 방문 및 인터뷰1600 ~ 1630 간식 - 망고차차1630 ~ 1700 시먼딩 이동(MRT)1700 ~ 1830 화장품 설문조사 활동1830 ~ 1930 저녁 식사 - 코코이찌방야2030 ~ 2130 개인 휴식2130 ~ 2300 팀 회의 및 예산 정리

230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13(화) 대만 ~ 인천공항

시간 일정0800 기상

0800 ~ 0900 아침 식사0900 ~ 1130 짐정리1130 ~ 1200 체크아웃1300 ~ 1400 점심식사 - 스시(시먼딩)1400 ~ 1430 쑹산 공항 이동(TAXI)1430 ~ 1530 시먼딩 rarr 쑹산공항1530 ~ 1730 출국 대기1730 ~ 2100 대만 출국 rarr 대한민국

2100 대한민국 입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4 -

7 방문 기업 소개 (인터뷰 내용)

7-1 대만 KOTRA

-2015년 1월 5일 월요일 1630~1800 인터뷰-위치 台北市 基隆路 1段 333號 22樓 14室(2214室) Intl Trade Building 22층-전화 (886-2)2725-2324 -팩스(886-2) 2757-7240

Q대만에 대하여 간단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우선 대만은 남한의 13의 해당하는 영토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구역시 남한에 비해 적은 2천 3백만 명 정도이며 기후는 아열대 몬순 기후권으로 비교적 따듯한 날씨입니다여러분이 대만에 와보셔서 알겠지만 대체로 습한느낌을 받으셨을 탠대 대만은 겨울에도 남한만큼은 춥지 않습니다 언어는 주로 중국어를 사용하며 문자는 중국과 살짝 다른 번자체를 사용합니다1인당 GDP는 2013년 기준 20984 달러 정도이며 산업구조는 제조업과 도소매업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Q현재 우리나라의 어떤 기업들이 대만에 진출해 있는지 궁금합니다

A최근에는 화장품을 주력 제품으로 아모레퍼시픽등 화장품 대기업들이 타이페이 시내에 로드샵을 많이 개점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대만은 제조업과 도소매업이 주를 이루다 보니 20~30년 전부터 진출한 기업들이 계속해서 입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주로 삼성물산 현대종합상사 LG상사 LG전자등 대기업이 주를 이루고 있고 우리나라 기업은 1년에 한 기업정도 대만에 진출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Q그렇다면 대기업을 제외한 중소기업들이 대만시장에 진출하지 않는 이유가 따로 있습니까

A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아무래도 중국시장이 개방을 하면서 인 것 같습니다 기존에 진출해있는 기업들은 과거 대만이 인프라 구축이 미흡했을 당시 해외투자를 많이 받으면서 비교적 좋은 조건으로 대만에 진출하고 인프라 구축등 사업을 진행하면서 기반을 다졌을 겁니다 그 기반으로 지금까지 대만시장에 진출해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중소기업의 경우는 해외투자가 너무 모험적이며 대만 시장과 중국의 시장을 비교하여 봤을 때 인구가 차이가 약 8배 정도 나며 중국에 비해 비교적 작은 시장이라고 느껴 대만보다는 중국에 많이 진출하는 것 같습니다

Q마지막 질문으로 만약 우리나라 중소기업이 대만시장에 진출할 때 유의해야 할 점이나 좋은 팁이 있을까요

A대만 시장에 완전히 진출해야겠다는 생각보다는 중국이나 다른 중화권 나라의 진출하기전 시험의 장소로 생각하고 진출해보는 것은 나쁘지 않다 생각 합니다 아무래도 대만의 인구가 많은 편이 아니다보니 불리한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5 -

조건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이나 다른 큰 중화권 시장으로 진출하기 전에 언어나 문화 중화권사람들의 사고방식등 여러방면에서 시험해 볼 수 있는 좋은 장소는 틀림없습니다 중소기업이 대만시장에 진출할 때는 코트라를 이용하여 각종 정보나 현지 인프라등을 이용하는 것 또한 하나의 방법이며 무엇보다 중화권의 문화와 중화권 대중들의 생각을 잘 공부하고 언어를 습득하여 오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7-2 SISDORA luxury beauty care

-1월 6일 화요일 1300~1530 인터뷰 1600~1800 101타워 퍼스널트레이닝 센터-주소 No9Aly 10Ln265Sec 4Xinyi RdDaan Dist Taipei City 106-대표 Mr Chung-Cheng Lee -전화886-2-27040889-URL httpwwwsisdoracom

Q 간략한 회사 소개와 SISDORA의 유래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A Isadora는 고대 이집트의 가장 강력한 여신의 이름입니다 Sisdora는 이 여신의 이름을 따서 만든 브랜드 이름입니다 이집트의 고대 여신인 Isadora의 이시스는 선물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고 생명과 건강 아름다움을 담당하는 여신으로도 유명합니다 저희 SISDORA는 비슷한 동음 이의어로 동양의lsquoISIS(이시스)rsquo라는 단어가 있어 브랜드 명을 SISDORA로 정하게 되었습니다Q Sisdora 제품 소개 부탁드립니다

A저희 제품은 안티에이징 미백 마스크 제품을 주력으로 하고 있습니다 동일 제품군을 비교해 봤을 때 가격 및 품질은 상위에 속하는 최상품의 제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마스크 팩 대부분은 종이섬유로 제조하는 반면 저희 Sisdora는 누에의 실(실크)로 만든 마스크 팩 입니다 실크마스크 팩을 제조할 때에는 피부 건강에 좋은 약재 및 약초등을 배합하여 제조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피부에 자극적인 향로를 첨가하지 않았고 수분이 빠르게 흡수 될 수 있습니다 덕분에 저희 마스크 팩을 사용하는 고객들은 부드럽고 산뜻한 느낌을 받으실 수 있을 겁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6 -

Q 귀하의 회사는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어떤 마케팅을 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A 저희는 해마다 대만 타이페이 글로벌 미스코리아 대회에 제품을 협찬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대만 유명 가수들과 함께 제품을 결합시킨 뮤직비디오를 제작하여 마케팅에 힘쓰고 있습니다뿐만 아니라 제품의 품질인증을 바탕으로 러시아 중국 동남아 지역에 진출하는대 힘쓰고 있습니다 저희 제품은 대만 내에서 스킨케어 제품으로써 유일하게 지정 브랜드 수상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저희는 주로 매스컴이나 인터넷을 통한 마케팅이나 엔터테이먼트 컨벤션 산업을 활용하여 마케팅을 하고 있습니다

Q 그렇다면 대한민국의 화장품 제품이 대만에 진출해 있는데 대한민국 화장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는 어떤지 궁금합니다

A 최근 5년 사이에 한국의 드라마 음악등 한류를 타고 대만에도 많은 한국 제품이 등장하였습니다 하지만 대만에는 오래전부터 수입화장품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이탈리아의 산타 마리아 노벨라 프랑스의 아이젠버그등 명품 화장품 브랜드가 오래전부터 입점해 현지 화장품시장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 때문인지 한국 화장품의 인지도는 크게 높지는 않습니다 아무래도 유럽 브랜드 그 다음으로 대만 기업의 브랜드 그 다음으로 한국의 화장품 브랜드 순으로 인지도가 형성되어 있다고 생각됩니다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한국화장품은 다른 명품 화장품들의 가격보다 저렴하고 성능이나 효과 면에서 절대 뒤처지지 않아 한류가 지속되고 마케팅이 잘 이루어진다면 충분히 유럽의 명품화장품의 인지도를 뛰어 넘을 수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Q 한국의 중소기업의 화장품이 대만 시장에 진출하는 것에 대해서는 어떤 의견을 갖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A 한국의 대기업 화장품 브랜드가 아닌 중소기업의 화장품 브랜드가 대만에 진출하는 것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겁니다 하지만 저희 회사도 중소기업으로 시작하여 마케팅 전략을 잘 활용 하여 많이 성장하였습니다 아무래도 한국의 중소기업의 화장품이 대만에 진출하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있겠지만 어떤 마케팅 전략을 선택하느냐가 가장 중요하고 마케팅이 잘 이루어지고 입소문이 퍼진다면 한국의 중소기업 화장품 또한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7 -

7-3 가오슝 한인협회

-1월 8일 목요일 1400~1600 인터뷰-주소 高雄市鼓山區二路37巷弄43-2號(고웅시고산구이로37항81롱43-2호)-대표 尹桓鎬(윤환호) HP 0932-740-538 -電話 07-5211933 -傅眞 07-5214031

Q 대만과 한국과의 무역 관계가 어떠한지 궁금합니다

A 한국과 대만과의 무역은 크게 활발하게 이루어 질 수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대만의 시장 자체가 매우 작기 때문에 대만에 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국내 시장이나 다른 큰 해외 시장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대만 시장을 거쳐서 동남아나 중국 시장으로 진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여서 기존에 존재하는 대기업이나 저처럼 오래 전부터 이민한 분들이 소규모로 중개무역을 하고 있는 정도입니다

Q 현재 한인협회 회장님께서 직접적으로 하는 일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현재 저는 한국의 화장품을 수입하여 대만 현지 기업에게 판매하는 중개무역을 하고 있습니다 대만에 온지 20년이 넘었는데 이런 저런 일을 하다가 기회가 되어 이쪽 일을 하게 되었는데요 처음에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인식이 없어 가격은 비싸고 품질의 보증은 되어 있지 않은 제품이라 소비가 크게 늘지 않았는데 한류 열풍이 불고 한국 드라마의 성공과 그 배우들이 광고하는 화장품의 수요가 크게 늘어 몇 년 전부터 시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Q 한국과 대만과 중국의 관계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해 주세요

A 앞서 말씀 드린 것 같이 한국의 기업은 대만을 통하여 중국 시장의 진출을 위하여 대만 시장을 많이 찾습니다 그 이유는 한국 기업이 대만 시장을 통해서 제품을 인정받는다면 대만과 중국은 같은 언어권의 나라로 대만기업을 통해 중국으로의 활로를 개척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왜 이렇게 돌아서 진출을 하려고 물으셨는데 그것은 쉽게 말해서 말이 잘 통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의 중국어를 잘 구사하는 사람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보다는 대만의 사람이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주고 인정을 해준다면 더욱 쉽게 자리를 잡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8 -

Q 스타트 기업의 대만 진출 성공여부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중소기업이 대만에 들어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현재 한국 내에서의 위치를 높이는데 주력하는 것이 좀 더 낫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대만은 아주 뛰어난 기술력을 가지고 있지만 자체 제품을 생산하지 않습니다 예로 Apple에서 전체 아이디어를 미국에서 한다면 그 아이디어 실행은 대만에서 이루어집니다 그리고 제품의 생산은 대부분 중국에서 이루어 지구요 이렇듯 대만의 기술력과 제품에 대한 이해가 빠르기 때문에 수입을 많이 의존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중소기업이 들어와서 제품을 판매한다 쉽게 성공할 수 없죠

Q 회장님께서는 중국과의 중개무역은 생각하고 있으시지 않습니까

A 네 저는 지금의 생활에 만족하고 있습니다 지금 저의 파트너들과의 관계도 좋고 따로 중국 진출은 생각하고 있지 않습니다 만약에 제가 중국을 진출하게 된다면 현재의 기업들과도 경쟁상대가 되어 저는 생각이 없습니다

7-4 국립성공대학(國立成功大學)

-1월 9일 1350~1700 인터뷰-주소 701 臺南市東區大學路1號-연락처06-2757575 -홈페이지 wwwnckuedutw

대만 국립 성공대학은 931년 타이난에 설립된 이공계 명문 대학입니다 국립성공대학은 66개의 캠퍼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각 캠퍼스마다 특징과 분위기가 다릅니다 우리 국립성공대학은 ldquo북대대 남성공(北臺大 南成功)rdquo 이라는 말이 있듯이 역사는 대만대학의 바로 다음갑니다

국립성공대학의 이름의 의미는 성공은 무엇을 성취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대만의 민족영웅인 정성공(鄣成功)을 기념하기 위한 대학이라는 뜻입니다 성공대학은 정성공이 있던 역사명승 적감루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해 있기도 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9 -

이후 인터뷰로 대만의 소개와 간단한 전공 소개가 있었다

7-5 WABFENIX RENIX GLORY GLORIA GUA

-1월 12일 월요일 1300~1500 인터뷰-주소 14F-1 No420 Sec 4 Xinyi Rd Xinyi Dist Taipei City 110 Taiwan (ROC)-대표 Mr KEN -전화886-5569-0555-URL httpswwwfacebookcomrenixfanspage httpwwwwabfenixcom

Q Wabfenix가 어떤 기업인지 소개 해주세요

A 저희 회사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으로 현재는 매장은 없지만 개발한 제품을 바탕으로 사업을 진행 중이고 대만현지에 저희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저희 회사는 제품의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화장품을 개발하여 대만시장 뿐만 아니라 중국시장의 진출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Q 귀하의 제품은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제품이라 하셨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제품 등이 있습니까

A 우선 Heymore 제품군의 블랙 마스크 팩과 Renix 제품군의 일반 마스크 팩을 출시했습니다Heymore의 경우 선물용임을 부각시키기 위해 디자인에 특히 많은 투자를 하였습니다 중국 중산층을 겨냥한 제품으로 가격대 1봉지에 한화 ₩40000 정도로 높게 책정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가격을 높게 측정한 이유에는 중국 화장품 소비문화 속에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 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에 저가 보급형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0 -

제품인 Renix와 차별을 두는 판매 전략을 선택하였습니다 현재 판매되는 제품은 마스크 팩을 주력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Q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인데 중국을 대상으로 어떤 진출 전략을 갖고 있습니까

A중국에서 열리는 화장품 전시회 화장품 엑스포 행사 바이어 미팅 등 꾸준히 참가중이며 바이어들에게 저희 제품을 어필하고 있습니다 물론 신생기업인 만큼 아직 중국 내에서 뚜렷한 판매 실적을 기록하진 못했지만 타 화장품 기업들과 다른 마케팅 방식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디자인이나 제품의 아이디어를 강조하고 있는데 대표 적인 상품으로 오뚝이 모양을 한 화장품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이 오뚝이 제품을 바이어들에게 어필해 보았는데 대단히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Q 해외시장 마케팅과 대만 시장마케팅의 차이점이 있습니까

A 우선 중국에서의 마케팅은 행사나 전시회에 참여하고 바이어들을 개인적으로 만나는 것에 치중해 있다면 국내 대만시장의 마케팅 전략은 페이스북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대만은 중국에 비해 SNS가 많이 발달되어 있어 자금이 많이 들어가지 않는 SNS마케팅을 하고 있고 각종 자선행사에 참여하여 저희 기업을 홍보하고 있습니다

Q 귀사의 제품을 중국보다 비싼 인건비가드는 대만 제조공장에서 생산하는 겁니까

A타이중에 소재하는 공장에서 마스크를 제조 하고 있습니다 인건비가 비싼 것은 대만 수도인 타이페이에만 주로 해당이 됩니다 지방 소도시에서도 외곽으로 들어가면 저렴한 인건비와 공장 가동비용으로도 제조가 가능 합니다 굳이 중국에 제조공장을 갖지 않는 이유는 신생기업이라 자금문제도 있지만 대만은 OEMampODM에 특화된 국가이기 때문에 품질 좋은 다양한 제품주문이 가능하고 중국 사람들에게도 자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 보다 외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가 더 좋기 때문에 대만에서 생산한 뒤 수출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Q 대만에 한국 화장품 기업이 진출한다면 어떠한 마케팅 전략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 생각 하십니까

A 이미 대만에 한국의 화장품 제품들이 많이 들어와 있습니다 하지만 대만 자체의 화장품 기업들이 기존에 많은 시장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성공을 거두기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최근 한국에 대한 이미지가 많이 좋아졌고 한국의 영화나 드라마 등이 많이 알려지면서 인지도가 높아졌습니다 한국의 대기업의 경우 이러한 대규모 마케팅을 할 수 있으므로 큰 무리가 없겠지만 한국의 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한다면 최종 시장 공략 층은 대만이 아닌 중국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대만은 중화권으로 가기 위한 연결다리라고 생각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또한 중소기업은 큰 마케팅 비용을 부담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대만에서는 SNS나 각종 자선 행사에 참여하여 인지도를 높이는 것을 추천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1 -

Q 같은 제품이지만 대만과 중국에서 판매할 때 가격 책정이 다른 이유가 무엇인가요

A 그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해드리자면 국가마다 소비 성향이나 구매 능력 환율 경제 상황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경영 에서는 가격 차별화(Price discrimination)이라 부르는데요 각 나라의 시장 특성에 적정한 가격대를 책정해서 제품을 판매하는 전략입니다 혹시 중국 상류층이 몇 명인지 알고 있나요 제가 알기로는 대만 인구의 2배인 4000만 명이라는군요 아마도 한국 인구랑 비슷한 규모 일겁니다 게다가 중산층은 약 4억 명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4억 명의 중국 소비자들이 우리 제품을 1개씩만 구입 한다면hellip 상상만 해도 엄청 나겠죠 이야기를 하다 보니 다른 쪽으로 빠졌는데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이야기하면 물론 좋은 제품을 모든 곳에 저렴하게 제공 하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 그러나 항상 시장에서 저렴한 제품만이 성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대만이나 한국처럼 고도의 산업화가 이루어지고 시장이 크게 발전한 안정적인 단계는 좋은 제품이라도 가격 경쟁력에 신경 써야 합니다 왜냐하면 소비자들이 똑똑하기 때문에 정보력이 넓고 합리적인 소비를 지향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가격 성능 디자인 등 많은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중국 시장은 대만이나 한국과는 특성이 다릅니다 저렴하다고 해서 많이 제품이 많이 팔리기 보다는 가격대가 어느 정도 있는 제품일수록 또는 가격대가 높을수록 소비자들이 관심을 보입니다 대체적으로 중국 소비자들은 lsquo저렴한 제품은 품질이 낮거나 효능이 좋지 않은 제품일거야rsquo 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 때문에 화장품 박람회나 전시회에 저가 화장품을 가져와 홍보하더라도 중국 바이어나 소비자들은 큰 관심을 주지 않습니다 처음에 말했듯이 중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2 -

국 소비문화가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라는 심리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Wabfenix의 경우에는 신생기업이라 많은 투자 금액이 없을 뿐 더러 대만 화장품 시장에 진출하기에는 리스크가

크고 진입 장벽이 높습니다 그리고 이미 한국 화장품 기업들이 대부분 점유를 한 상황이기 때문에 대만 내수시장에만 집중하기에는 경쟁력이 부족하죠 그래서 중국을 주력 수출시장으로 삼고 있는데요 저희는 제품 성능 보다는 소비자의 이목을 끌 수 있는 디자인에 더 많은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중국에 Wabfenix만의 화장품 선물 문화를 정착 시키는 것이 목적인데요 높은 제품 가격만큼 소비자의 관심을 끌 수 있고 선물 문화나 꽌시(关系)가 많은 중국 문화 특성에 맞추어 선물용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중국 시장은 현재 젊은 중산층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품질이 낮은 화장품 보다는 수입 화장품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점으로 미루어볼 때 높은 가격 차별화와 Wabfenix만의 디자인 마케팅은 좋은 경쟁력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3 -

8 현지 시장조사 활동 (시장동향사진설문조사 자료)

8-1 시먼딩 설문조사

목적 대만 사람들의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및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대상 10대~20대 여성 및 화장품 전문매장 종사자장소 시먼딩시간 2015년 1월 7일 12일 총 두 차례에 걸쳐 진행방법 ①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 판넬에 국가별로 메이크업 사진을 표시하고 스티커를 붙이는 방식으로 투표함 공정성을 위해 국가 이름은 블라인드로 처리하였고 모두 동일 인물의 사진을 사용함②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표본집단을 50명으로 설정함 설문조사가 끝나면 사은품으로 한국 브랜드 마스크팩 증정함

8-2 사전 기획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판넬 기획도gt

化妝辦法喜好度的調查화장법 선호도 조사

大家給自己喜歡的化妝貼貼紙 여러분이 선호하는 메이크업에 스티커를 붙여 주세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4 -

대만의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안녕하십니까

다음의 내용은 대만 화장품 트렌드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자 관련조사를 실시하고자 하오니

있는 그대로의 생각을 기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귀하의 응답은 통계적 목적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본 설문은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물음에 대한 답변이나 해당란에 v 표를 해 주십시오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7) ② 화장품 전문매장(34) ③ 마트(5) ④ 홈쇼핑(2)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합계 총 50 명

바쁘신 시간에 의견을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지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5 -

8-3 설문조사 활동

lt2015년 1월 7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6 -

lt2015년 1월 12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7 -

lt활동 결과 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8 -

9 설문조사 통계 분석 (설문조사 응답 수분석결과)

9-1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결과gt

설문 조사 질문지 양식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12)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③ 마트(5) ④ 홈쇼핑(6)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9 -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gt

9-2 설문조사 항목 별 의견 및 추측

설문 조사 질문지 항목 (최다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② 20 ~ 25세 (13)

0

5

10

15

20

25

30

20대 이하 20세~24세 25세~29세 30세~39세 40대 이상

rarr 시먼딩은 대만의 홍대거리라 불리는 lsquo융캉제rsquo나 서울의 lsquo명동rsquo과 같이 젊은 층이 주로 활동하는 지역이다 설문조사 중에도 교복이나 체육복을 입은 학생들과 길거리에서 쇼핑을 즐기는 20대가 즐비할 만큼 활기 있는 거리다 덥고 습한 대만 기후 특성 상 과거엔 화장법이 크게 발전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국의 자연스러운 화장법이 큰 인기를 끌면서 시먼딩에 화장품 거리가 조성되어 있을 만큼 유동 인구가 많다 이 점으로 추측해보았을 때 압도적으로 10대와 20대 층이 많은 응답 수를 기록했다고 본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0 -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051015202530

온라인 화장품전문매장 마트 홈쇼핑 방문판매

rarr 대만 또한 한국과 비슷하게 시내에 많은 수의 화장품 전문매장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접근성이 굉장히 높았다 더불어 각 화장품 매장에서는 상품 할인과 같은 각종 프로모션을 진행하기 때문에 구매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 구매한다는 대답도 높은 편이었는데 거의 대부분이 와이파이존이어서 어디서나 인터넷을 한 활발히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온라인에서의 구매율도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0

5

10

15

20

25

30

NT$300 미만 NT$300~NT899 NT$900~NT$1499 NT$1500~NT2999 NT$3000

rarr 응답자들은 대부분이 한 달 간 화장품에 쓰는 돈을 최저 1만원 이상(NT$300 이상)이라고 답했는데 이는 70가 넘어가는 결과로 화장품에 대한 지출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만원 이상이라고 대답한 응답자들 또한 4분의 1을 넘기는데 이것은 젊은 연령층부터 시작하여 최근 피부 관리와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대만의 소비 수준에 대비하여 화장품 소비율이 높은 것도 이 때문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1 -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③ 성능(23)

051015202530

가격 디자인 성능 화장품 모델 브랜드

rarr 아열대 기후에 속하는 대만은 높은 기온과 습한 날씨 탓에 에어컨 환경에 자주 노출돼 피부 수분을 잃기 쉬워 기능성 화장품의 소비가 두드러진다 대만 화장품 시장은 토너 세럼 에센스 로션 크림 등의 모든 스킨케어 제품들이 보습기능을 강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백이나 안티에이징 리프팅 저자극 오일프리(Oil-free) 등의 기능까지 추가된 스킨케어 제품들이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조 화장품 소비가 늘어난 것은 최근 몇 년 들어 다양한 화장품 브랜드 접촉기회가 많아지고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젊은 여성의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색조화장품 또한 메이크업베이스와 BB크림 립스틱과 같은 베이스 메이크업이 수요가 많았다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④인터넷(22)

0

5

10

15

20

25

30

TV 잡지 친구 인터넷 메이크업샵

rarr 최근 빠른 인터넷망과 스마트폰 태블릿PC의 보급으로 인해 사람들과 사람사이의 연결망이 견고히 형성되고 있고 이것이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방법을 얻는 경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만 소비자들은 주로 인터넷 블로그 가족과 친구로부터 메이크업 정보를 획득 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만의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이므로 입소문마케팅과 판매를 바로바로 할 수 있는 유통구조가 도움이 될 것 같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2 -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0

5

10

15

20

25

30

청순 독특 귀여움 섹시

rarr 앞서 살펴보았듯이 대만은 한국과 비슷한 메이크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이것은 곧 청순한 메이크업 컨셉에 관심 있어 한다는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실제로 대만 여성소비자들은 깨끗한 피부 NATURAL한 베이스메이크업을 선호한다 한 듯 안 한 듯 자연스럽고 깨끗한 느낌의 한국식 lsquo생얼rsquo 화장법은 대만에서 한국 드라마 열풍과 함께 유명세를 타기 시작해 현지 각종 온라인 뷰티 사이트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래서 응답의 대부분이 한 곳에 치우쳤고 비교적 개성 있는 메이크업 방법이 드물 것이라는 것을 유추해낼 수 있다

본 설문 조사를 통한 한국 화장품 기업에 대한 시사점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수입 절차로 오랜 시간을 허비해야 하는 반면 대만은 자외선 차단제 성분 함유 제품과 약용 화장품을 제외한 일반 화장품은 별도의 수입 검사 없이 수입할 수 있으므로 대개 중국보다 1~2년 먼저 신상품이 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한류 효과를 겨냥한 중화권 화장품 시장으로 대만을 우선 공략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대만은 대부분이 화장품에 대한 소비를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고 한국 화장품이 많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시장 접근법만 제대로 수립하면 매출이 나는 구조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대만인들이 선호하는 메이크업 방법이 한국과 비슷하기 때문에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은 마케팅 방안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최종분석설문 조사 대상은 대부분 10대~20대의 연령층이었으며 화장품의 주된 구입경로는 lsquo온라인(24)rsquo과 lsquo화장품 전문매장(50)rsquo이 압도적이었다 더불어 한 달 간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lsquo1만 원 이상(72)rsquo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이것은 실제 생활수준에 대비하여 높은 소비량이므로 대만의 화장품 시장 전망이 밝다고 할 수 있다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부분은 lsquo성능(46)rsquo이었는데 이는 스타트업 기업 중소기업에게 유리한 조건이다 메이크업 방법을 얻는 방법으로는 lsquo인터넷(44)rsquo과 lsquo친구(30)rsquo가 높은 비율을 차지했는데 판촉활동으로는 인터넷을 활용한 SNS 홍보 바이럴 마케팅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가장 관심있는 화장 컨셉은 lsquo청순rsquo 이었고 이것은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와 맞물려 우리나라와 비슷한 메이크업 방법을 추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3 -

10 대만 명소 소개 (명소음식행사숙소 소개)

10-1 고궁박물관

대만 고궁박물원은 영국의 대영 박물관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 미국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과 함께 세계 4대 박물관으로 손꼽힐 만큼 세계적은 소장 문물을 자랑한다 건물 규모는 그다지 크지 않지만 소장한 문물의 질과 양은 세계 최상급이다 중화 보물 중에서도 최고의 보물들이 모여 있어 진귀하기 그지없고 수량 역시 워낙 방대하여 3개월 단위로 1만여점을 돌아가면서 전시해도 다보려면 10년이 넘게 걸린다고 전해지고 있다 중국의 국공내전 당시 장제스가 이끌던 중국 국민당이 전쟁에서 패하며 중국을 탈출해 대만으로 향했다 당시 장제스는 난징에 있던 정부를 타이페이로 이전하면서 자금성에 보관되어있던 중국역대 왕조 보물 수십만 점을 배를 이용해 운반해 왔다 중국의 유물을 가진 자가 진정한 통치자라고 생각했던 장제스는 ldquo공산군에게 영토는 내줘도 문화유산만큼은 내줄 수 없다ldquo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대표적인 유물은 취옥배추 육형석 모공정 산씨반 등이 있다

10-2 용산사

루강의 초입에 있는 이 사찰은 타이완에서 가장 오래되고 아름답다고 하여 타이완의 자금성이라고 부른다 각 건물의 기둥 벽 그리고 천장 등에 새겨진 조각은 특히 빼어나다 이 조각상과 함께 이곳의 명물로 알려진 것은 사찰 경내에 있는 2마리의 용상인데 삼천전 앞마당 좌우에 서서 룽산사를 호위하고 있다

10-3 타이페이 101 빌딩

타이베이 101빌딩rsquo이라 부르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로서 빌딩 모습은 하늘로 뻗어나가는 대나무 위에 꽃잎이 겹겹이 포개진 형상이다 본래 타이베이 금융기관이 모인 건물이지만 대형 쇼핑센터와 푸드코트 고급 레스토랑이 있어 여행자들이 많이 찾는다 건물에는 8개 마디가 있는데 이는 중화 문화권에서 부와 번영을 의미하는 숫자 lsquo8rsquo을 염두에 둔 것이다 타이베이 시내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는 높이 508m로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히는 높은 건물이다 지상 1~5층에는 소고 백화점 뷰티 플라자 애버뉴 101 등 다양한 패션∙뷰티용품을 구입할 수 있는 상점이 있다 또한 레스토랑 시티 스퀘어 대형 서점 등 쇼핑과 오락 식사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복합시설이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4 -

잘 알려진 식당으로는 딘 타이 펑(Din Tai Fung) 이 있다 101타워 지하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샤오롱바오(고기만두) 새우 샤오마이(새우만두) 탄탄면(우육면)이 가장 대표적인 메뉴이며 대만에 방문한 많은 사람들이 찾는 식당이다

10-4 지우펀

대만여행의 백미로 꼽히는 지우펀은 타이페이시 북부의 루이팡 지역의 작은 산골 마을로 과거에는 아홉가구만 살고 있어서 지우펀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예전에는 작은 산골 마을에 불과 했지만 이 지역에서 금맥이 발견되면서 호황을 맞이하게 된다 특히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일본풍의 건물들이 남아 있어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결합된 독특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비탈길을 따라 하늘로 이어진 예스러운 건물 그리고 골목마다 빨간 홍등과 함께 묻어나는 옛 풍경은 여행객들에게 인기 여행지이다

10-5 스린야시장

타이베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야시장 가운데 하나이다 독특하면서도 다양한 전통 먹을거리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이곳을 찾는 관광객이 많다 시장 부근에 학교가 많아 학생들이 많이 찾으며 포장마차 등의 노점상이 많아 가격도 저렴하다 칭런샹[情人巷]에는 가구 의류 액세서리 사진현상점 애완용품점 등이 모여 있어 학생뿐 아니라 관광객들도 자주 찾는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5 -

10-6 예류 지질 공원

타이완 북해안에 자리한 예류는 해수욕장과 온천 기암괴석으로 유명한 관광지다 특히 예류지질공원은 희귀한 모형의 바위와 암석이 모여 있어 예류 관광의 필수코스로 꼽힌다 작은 곶으로 된 예류지질공원은 침식과 풍화 작용을 거쳐 자연적으로 형성된 기암을 보러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지질공원으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것이 선상암 군락이다 암석 하나하나의 모습은 마치 거대한 버섯이 큰 머리로 하늘을 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선상암 가운데 가장 유명한 암석은 이집트 왕비의 옆모습을 닮은 여왕 두상 바위다

10-7 스펀(Shifen)

스펀(十分)은 옛 광산마을로써 천으로 만든 등이 유명하다 또한 이 곳 스펀은 대만 최대의 폭포 스펀(SE-FEN) 폭포가 있다 미니기차와 천으로 만든 등을 날릴 수도 있다 마을의 한가운데 긴 철길이 놓여 있고 30분에 한 대씩 기차가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것도 볼 수가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6 -

10-8 진과스(金瓜石)

진과스(金瓜石)는 타이완 타이베이 근교에 있는 옛 탄광 유적이다 20세기 전반에 금 채굴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20세기 후반에 금이 차차 고갈되기 시작하자 점점 위축되어 폐광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관광 명소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하루에도 수백명이 들렀다 가는 대만의 대표 관광지이다 진과스 내에 있는 황금 박물관에는 220kg 의 금이 전시 되어 있는데 손을 넣어 직접 만져 볼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진과스에서는 과거 광부들이 먹었던 도시락을 그대로 만들어 판매하는 광부 도시락도 굉장히 인기가 많다

10-9 국립 성공대학

대만의 타이난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1931년에 개교하였다 2010년 QS대학순위에서 283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대만 대학중 2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총 9개의 캠퍼스로 이루어져 있어 굉장히 큰 면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만 교육청에서 인정한 9개의 주요대학 중 하나이고 대만 기업체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학이다 이공계열이 가장 뛰어나며 중문 역사 법학 경제학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10 시먼딩

타이베이시에 위치한 시먼딩은 한국의 명동과 같은 거리이다 대한민국의 명동에도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과 외국인이 많다고 알려져 있는데 시먼딩 또한 명동 못지않은 다양함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대만의 패션과 놀이 문화 음식 등을 한눈에 경험 할 수 있는 공간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7 -

10-11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

중정기념당은 타이완 총통 장제스(蔣介石)를 기리는 전당이다 lsquo중정rsquo은 장제스의 본명이다 그가 서거한 후 1980년 기념당을 세웠다 25만에 이르는 넓은 중정공원 안에 우뚝 선 높이 70m의 기념물이 중정기념당이다 기념당 1층에는 장제스 생애를 엿볼 수 있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거대한 장제스 동상은 항상 근위병이 동상 앞을 지키고 있다 중정공원 안에는 중정기념당 외에 국립 희극원과 국립 음악청이 있는데 이곳에서 연극과 콘서트를 한다 공원 조경 또한 잘 조성되어 있어 산책하며 천천히 둘러보기에 좋다

10-12 안핑지구(安平地區)

대만의 문화와 역사는 안핑지구에서 시작되었다 안핑구바오는 17세기 중엽 네덜란드인들이 지은 요새로 정성공이 빼앗아 번영하다가 황폐해져 지금은 보루의 대부분이 없어지고 설탕과 굴껍데기와 찹쌀가루를 버무려 만든 빨간벽돌로 된 장벽(臺灣城殘蹟)만이 남아 나무뿌리와 존립의 사투를 벌이고 있다 감시탑 옆 건물 안에는 네덜란드와 정성공의 전투에 대한 이야기와 중세갑옷 등이 전시 중이다 이 주변에는 대만에서 가장 오래된 상업거리 옌핑제(延平街)가 있는데 옛 명성이 다한 거리의 골목 사이사이 수백년 된 가옥을 구경하는 것도 소소한 즐거움이다 1867년 영국인 상점과 물류창고로 이용하던 건물에 노용수(老榕樹)가 멋대로 자라 건물을 집어삼키듯 뒤덮은 나무집으로 불리는 안핑수우도 안핑지구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진귀한 볼거리다

10-13 미라마 관람차

대만에서 가장 큰 관람차로 알려져 있는 미라마 관람차는 타이페이 시의 야경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관람차 크기가 큰 것으로 유명하지만 가격 또한 저렴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유스트래블 카드를 이용하면 50 할인이 적용되므로 꼭 지참하도록 하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8 -

lt미라마 관람차 티켓gt lt유스트래블 카드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9 -

11 시사점 및 차후 활용계획 (LGC 프로그램을 통한 구체적인 효과 및 연구결과)

11-1 LGC 프로젝트 만족도

구분 항목 전 후 한줄 평

사업단

프로젝트 취지- 린튼 글로벌 학과와 경영정보학과 학생들이 함께

하는 프로젝트 해외시장탐방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사전교육 활동- 출국 전 각 나라에 대한 유의사항 안전교육이 체

계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개략적인 보고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었다

행정지원 절차- CK사업단 린튼 글로벌 학과 경영정보학과 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히 되지 않아 사전 계획에서 많은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협동력 향상- 출발 전 잦은 팀 회의와 8박 9일 간에 일정에도

불구하고 불화 없이 좋은 분위기 속에서 프로젝트를 완수 했다

추진력 향상- 일정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 한 점 추가 자료조

사를 위해 현지에서 새로운 일정을 추가 됐을 때 팀원들이 일사불란하게 따라주었다

문제해결 능력- 교통편 문제와 기업 측 내부 문제로 일부 일정에

변동이 있었지만 신속한 조율과 전화 통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개인

동기부여 자극- 현지인들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국어 영어 능

력의 필요성을 실감했다 특히 중국어는 소통 유무에 따라 현지 반응이 극명하게 갈렸다

진로설계 도움- 프로젝트 전에 비해 새로운 직업 분야에 대한 관심

이 증가했다

취업능력 향상-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한 내용을 살려 구술 면접이

나 자기소개서 작성에 참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11-2 LGC프로젝트 연구 결과 - 대만 시장

⓵ 중국시장을 주목하는 대만 화장품 기업- EST팀은 현지 대만 화장품 기업으로 SISDORA와 WABFENIX를 선택했다 두 회사를 선정한 배경에는

명확한 의도를 두고 정했다 SISDORA는 설립한 지 10년이 넘는 회사로 직접 화장품을 개발 및 연구하고 판매하는 중소기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과 주름개선 크림으로 중년 여성을 타깃 층으로 하는 화장품 회사다 반면 WABFENIX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스타트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 이지만 기술개발 보다는 디자인 마케팅에 중점을 두었고 판매 층도 10대-20대의 젊은 층을 타깃 층으로 한다 시장 전략이 완연히 다른 두 기업이 유일하게 공통점이 있다면 중국시장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선정 이유에는 많은 인구의 소비력을 꼽지만 뒤이어 언급하는 이야기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자사 제품의 경쟁력 약화를 말한다 현재 대만 기업 대부분은 내수 시장 대신에 중국을 겨냥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국가 산업 특성상 제조amp연구 분야가 강세인 대만에서는 중국 바이어 또는 미국 유럽 바이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직접 판매 보다는 기술 협력을 통해 이익을 창출한다고 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0 -

⓶ 대만 시장을 점령한 한국 화장품

- 앞서 말했듯이 2012년 이후부터 급속히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한국 화장품은 대만 시장을 점령하고 있다 이미 시먼딩에 들어서면 다양한 한국 화장품 매장이 눈에 띌 만큼 들어섰으며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중앙 광장에 입점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매장 안에는 많은 대만 사람들이 화장품을 보고 있는 광경을 흔히 본다 화장품 매장을 이용하는 연령층은 주로 10대-20대들이다 화장품 가격이 한국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주 애용하는 이유는 한류 열풍으로 인한 한국 연예인들에 대한 관심과 화장법이 크게 유행하고 있음을 현지 설문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⓷ 체감할 수 있을 만큼 커다란 한류열풍

- 뉴스에서만 듣던 한류 이야기를 대만에서 직접 느낄 수 있을 정도로 한류열풍은 크다 특히 삼성이나 LG의 TV나 스마트폰은 어딜 가든 항상 보이고 한국 화장품 선물에 대한 반응이 무척이나 뜨겁다 원활한 현지 조사를 위하여 사은품으로 준비한 한국 마스크 팩 100개는 오히려 현지인들이 참여 의사를 표현할 만큼 열정적이었다 일부 대만 사람 중에는 어디서 왔냐는 질문에 한국이라는 답변을 하니 같이 사진 찍기를 제안하기도 했다

⓸ 중소기업에게 있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는 대만 시장진출- 대만 시장 진출에 앞서 한국 화장품 중소기업이라면 전략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크게 대만 시장을 겨냥

할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할지 선택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3CE는 한국 화장품 회사다 대만에서 젊은 연령층이 자주 이용하고 이미 대만 내에서는 유명하다 3CE는 오프라인 매장 없이 순수 온라인 매장으로 운영하면서 대만 사람들을 위한 전용 웹사이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윤을 창출 하고 있다 신중해야 할 점은 현재 온라인 오프라인 등 한국 화장품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신규 진입에 있어서 장벽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대만 시장을 활용한다면 동남아 시장까지 한 번에 내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출입통관 절차가 간단하고 관세가 낮기 때문에 중소기업에게 유리하다 아직까지 중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1 -

에 대한 직접적인 수출이 가능한 곳은 상해나 항주 같이 중국에서 허가한 무역항 도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내륙까지 시장을 확대하기는 불가능하지만 같은 언어권인 대만을 거치면 보다 쉽게 바이어나 에이전트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인맥을 통한 꽌시와 수수료 명목으로 뒷돈을 요구하는 중국 바이어의 관행은 자금 순환이 원활치 않은 중소기업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11-3 LGC 프로젝트 종합 의견 및 전망

우리 lsquoEST팀은 출국 전 국내 화장품 시장 조사를 할 때 대덕 밸리 스타트업 기업 셀아이콘 랩의 영향으로 대만의 화장품 산업에 대해 큰 관심과 가능성을 보고 2015년 1월 5일부터 1월 13일까지 8박9일이라는 시간동안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 나라 중에 하나인 대만에서 rsquo대만의 화장품 시장lsquo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사를 했다 대만에서는 3개의 기업 (KOTRA SISDORA WABFENIX) 을 방문해 전반적인 대만의 화장품 시장과 판매전략 한류에 대한 보다 사실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1개의 대학 (국립성공대학 國立成功大學)에서 MBA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또 타이난에서는 대만에서 오랫동안 사업하시는 한인협회 회장을 만나 PLC (Product Life Cycle)를 통해 대만에서의 특정 시장이 도입기에 있는지 또 어떠한 시장이 쇠퇴기에 놓여있는지 다양한 시야에서 대만시장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노력은 CK 사업단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교육부 CK-1 프로젝트의 일부인 Linton Global Challenge는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몇 년을 내다보는 지속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기업들과 더욱 더 활발한 교류와 연구를 한다면 기업과 CK 사업단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리라고 본다

1 개인 탐방 후기 (팀원 개인 소감)

1-1 개인 탐방 후기

강성민탐방 후기 기업 컨택 부터 인터뷰 일정 계획까지 8박 9일간의 대만 화장품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 출국 전까지 준비 과정부터 탈도 많았고 대만에 와서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 원하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매일이 항상 회의와 고민의 연속이었다 하루하루 충실히 계획을 진행시켜 나갔고 좋은 팀 분위기 속에서 무사히 대만 프로

부록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2 -

젝트를 완수했다 그리고 마침내 한국으로 돌아왔다 과정은 항상 오르막 길이였지만 돌이켜 보면 마지막 대학 시절을 기념할만한 좋은 추억이자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느끼는 바가 많았던 프로젝트로 기억 될 것이다

김은진탐방 후기 글로벌 챌린지를 한마디로 정의하라고 한다면 도종환 시인의 lsquo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lsquo라는 시가 떠오른다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대만기업컨택 설문조사 등 많은 것을 경험했다 처음엔 모든 것이 나에겐 버거운 산이라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도전이 계속 될수록 이젠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이 모든 도전들에 흥미가 생겼다 나 자신도 책임감과 자신감이 생기고 한층 성숙해 진 것을 내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소중한 동료와 추억은 평생 나의 가슴속에 남을 것이다 우린 앞으로도 많이 도전하고 경험하여 우리들의 삶이 활짝 만개하리라 다짐한다 끊임없이 도전하는 20대의 청춘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프로그램이었다 김종선탐방 후기 한국에서 준비하면서 조사했던 내용과 비교하며 인터뷰를 해보니 실제로 많이 다른 부분도 있었고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 비슷한 내용도 있었다 현지의 기업들을 방문해 우리가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직접 매장에 가서 느껴보니 앉아서 컴퓨터만 볼 때랑 많이 달랐다 그리고 직접 대만인들에게 설문조사를 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그리고 대만의 실제 문화와 환경 그들의 생활을 잠시나마 볼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

구명우탐방 후기 며칠간의 꿈만 같았던 대만에서의 시간이 지나갔다 대만으로 출국하기 전 사전조사 기간에는 확신이 없었다 사전조사와 기업과의 인터뷰 그리고 9일간의 일정조율 및 숙박과 모든 대만에서의 연구와 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보고서까지 무엇하나 확신이 드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도전과 해결능력을 배웠고 아시아에서 급성장 중인 대만에 대해서 배우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다음기수로 가게 될 관심 있는 학우들에게 진심으로 추천해주고 싶다

이규현탐방 후기 CK-1 프로그램 중 하나인 lsquo린튼 글로벌 챌린지lsquo 프로그램을 통해 약 8박 9일이라는 시간 동안 emerging market 중 하나인 대만에 거주하면서 한국 화장품의 대만시장 점유율과 진출 가능성을 몸으로 체감하고 자료들을 모아 통계 내어 정리할 수 있었다 우리 팀 lsquoEST가 성공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충분한 국내조사 기간을 갖고 대만의 화장품 회사들을 방문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대만의 특정한 기업을 찾기도 어려웠고 기업 컨택은 번번히 거절당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회사 두 군데에서는 답장조차 오지 않았고 설문조사할 때에는 반한감정의 대만인을 만나 고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팀의 단결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리더의 통솔력으로 정해진 스케줄대로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회사를 방문하고 학교교수를 만나고 길거리에서 설문조사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팀원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또한 대학생으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을 한 것 같아서 스스로도 너무 뿌듯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팀을 믿고 지지해주신 LGSB 교수님들과 CK-1 프로그램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영은탐방 후기 처음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렇게 준비는 열심히 하지만 정말 우리가 계획한 100대로 대만을 다녀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기우가 무색하게도 대만은 우리에게 기획안 그 이상의 것들을 보여주었다 사장님들의 생생한 사업 이야기와 대만의 색채가 묻어있는 아이템들 하며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여 알아보는 비즈니스 마켓의 현장은 나에게 두고두고 잊지 못할 자산으로 남았다 또한 펑리수 버블티를 비롯한 대만의 맛있는 먹거리들과 스린 야시장이나 지우펀 같은 명소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열심히 고생해준 팀원들과의 추억들도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3 -

이서우탐방 후기 이번 글로벌 첼린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서 쉽게 할 수 없는 해외 기업 탐방과 해당 국가의 산업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임효진탐방 후기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팀이 대만을 방문 한다고 했을 때 많이 의아해 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만을 직접 방문해보고 많은 사업자들을 만난 결과 대만은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라고 생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아직 공산주의라는 정치적 특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다른 곳보다 훨씬 어렵지만 대만은 자유시장체제 이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쉽다 특히 외국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만 시장에서 한국제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추고 중국 시장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성공가능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그리고 대만의 바이어들을 통해 중국의 시장진출을 하게 된다면 사업자가 직접 중국시장에 진출 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성공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만은 문화적으로 다른 아시아권보다 선진화 되었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대도시에 속하지만 모두다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골고루 섞여 대만만의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차안호탐방 후기 9박 10일간의 대만을 다녀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넓고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이번 대만 여행은 처음으로 경험한 해외여행 경험이여서 그런지 순탄치 않은 면도 있었지만 팀원들 서로가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만시장은 중국시장으로 가기위한 좋은 시험의 장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대만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영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더 나아가 미래에는 중국어야말로 영어와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성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또 하나 놀란 점은 대만이 반 한류 감정을 많이 갖고 있는 줄 알았지만 대부분의 대만 일반 시민들이 굉장히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에 놀랐고 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CK-1 사업의 챌린지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대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계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보완점 및 건의사항 (문제점개선책건의사항)

2-1 기업 컨택의 어려움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에 있는 기업과 연결하여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대해서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조사 및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시간을 내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로써 그들의 귀한시간이 아깝게 쓰이지 않을 것을 강조하여 만남을 만들어야 한다

2-2 사업단과 의사소통의 불편함

Challeng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CK-1 사업단과의 지속되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가령 누군가를 통해서 전해지는 소문이나 촉박한 시간을 제시하고 일 처리를 원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단과 각 팀의 대표간의 분명한 의사소통과 증빙자료 등이 필요하다

2-3 정보 부재 이번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이머징 마켓에서의 유망 산업 조사 및 연구였다 대만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14: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4 -

구분2012년 2013년 2014년 1~6월

금액 증감 금액 증감 금액 증감

총계 2882 -124 3033 52 1502 -328

수출 1481 -186 1570 60 753 -726

수입 1401 -46 1463 44 749 135

수지 8 -771 10 25 04 -945

순위 품 목2012년 2013년 2014년

1~6월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1 반도체 3578 -342 3742 46 2169 1572 석유제품 2239 -29 2810 255 953 -3563 기초유분 1381 198 1314 -48 531 -2084 정밀화학원료 406 -426 477 176 272 1835 석유화학중간원료 532 -376 586 101 220 -516 반도체제조용장비 311 -222 344 107 195 -107 자동차부품 239 209 168 -298 159 8728 광학기기 238 -248 283 188 151 969 기구부품 217 111 375 727 147 -28210 플라스틱 제품 250 -124 286 147 142 16

lt 한국-대만 수출입 동향gt (단위 억 달러 )

자료원 한국 관세청

lt한국의 對대만 10대 수출 품목gt (단위 백만 달러 )

주 MTI 3분류 2013년 수출액순 자료원 한국 관세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5 -

순위 품 목 2012년 2013년 2014년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1 반도체 8114 117 8874 94 4438 -102 기구부품 757 124 867 146 341 -2343 철강판 420 -312 398 -52 181 -1474 컴퓨터 616 -570 356 -422 171 -635 기타석유화학제품 227 -103 199 -125 143 9856 플라스틱 제품 324 229 288 -111 136 -1057 동제품 156 46 194 245 125 2108 합성수지 159 -19 172 81 108 2739 평판디스플레이및센서 133 -215 138 35 106 29110 기초유분 155 -250 132 -143 98 425

lt한국의 對대만 10대 수입 품목gt (단위 백만 달러 )

주 MTI 3 분류 2013년 수입액 순 자료원 한국 관세청

양국 간 상호 투자현황

대만의 對 한국 투자현황lt대만의 對韓 투자동향gt

(단위 건 백만 달러)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1~6월 누계(62~2014)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5 34 7 280 9 21 14 61 3 3 184 615

자료원 대만 경제부 투자심의위원회 신고 기준

Ÿ 대만기업의 對韓 투자는 10~20만 달러 규모의 판매법인 설립이 대부분이며 대규모 그린필드형 투자는 중국 및 동남아지역에 RampD형 투자는 미국과 일본에 집중되고 있음thorn 대만기업의 對韓 투자는 지난 5년간 연평균 25천만 달러에 불과

Ÿ 또한 중국 투자환경 악화로 동남아 등지의 신흥시장으로의 제조기반 이동에 대한 투자가 늘고 있으며 유턴투자도 증가

Ÿ 한편 주요 산업분야에서 대만은 한국과 경쟁적 보완관계이며 일본과는 보완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음thorn 특히 한 대만간 반도체 디스플레이 기업간 경쟁이 심해지면서 대만 IT업계를 중심으로 lsquo聯日抗韓(일본

과 연합하여 한국을 견제하자)는 주장이 제기되는 등 대만기업의 일본 편중현상은 심화되고 있음Ÿ 지금까지 대만의 대표적인 對韓 투자사례로는 2007년 IC디자인 기업인 SIMO의 FCI 인수(8800만 달러)

2010년 대만의 최대 철강회사 CSC의 동부메탈 지분인수(4200만 달러) 2010년 IC 테스팅 업체 Ardentec 웨이퍼 테스팅 공장 설립(4000만 달러) 2012년 6월 반도체 패키징 업체인 ASE의 라인증설(8000만 달러) 등이 있음

Ÿ 최근에는 금융권을 중심으로 한국기업에 대한 MampA SI 투자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어 주목받고 있음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6 -

thorn 2013년에는 대만의 1위 증권사 위안타가 한국의 동양증권 인수를 발표 양국의 금융감독기관 허가를 받아 2014년 연내 합병 추진 중(25억 달러)

thorn 또한 다국적 제약회사 Alvogen은 대만 LOTUS를 인수 동아시아 HQ로 삼고 한국 제약회사(드림파머) 인수를 추진 중

우리나라의 對 대만 투자현황

lt한국의 對대만 투자동향gt (단위 건 백만 달러)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1~3월 누계(lsquo68~lsquo14)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43 13 44 47 38 9 34 68 15 5 646 617

자료원 한국수출입은행 신고 기준

Ÿ 제조업 분야에서의 對대만 투자는 시장개척 및 고객사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임

Ÿ 우리기업의 대표적 투자 사례로는 2005년 LCD 장비 업체 PKL사의 LCD용 포토마스크 공장설립(4000만 달러) 2007년 게임업체 넥슨의 감마니아 지분인수(2100만 달러) 등이 있음

Ÿ 2011년 4월 미래에셋(Mirae Asset Global Investments)은 타이완라이프자산운용에 약 1000만 달러를 투자 자산운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Ÿ 2014년에는 PCB 기판 업체 달마전자가 가오슝에 공장을 설립 9월 준공식을 앞두고 있음

3 탐방 목적 (주요 목표부가 목표기대 효과)3-1 탐방 목적

주요 목표 1 대덕밸리 스타트업기업 (주)셀아이콘랩의 대만진출 가능성 탐색 2 대만 소비자들의 기능성 화장품 인식 조사 3 대만화장품시장의 유통경로 조사

기대 효과기업측면 기대 효과

⓵ 현지 시장조사 자료 획득⓶ 자사 시제품 반응결과 파악⓷ 사업단과의 지속적인 연계

사업단측면 기대 효과⓵ CK 사업 목표 또는 취지에 부합(CK ndash University for Creative Korea)⓶ 새롭게 출발하는 lsquo글로벌IT경영학과rsquo의 홍보전략으로 활용 가능

학생측면 기대 효과

⓵ EST팀 특강 ndash 학과 내 MIS Day 혹은 관련 과목 강의에서 특강⓶ 해외 탐구 동아리 개설⓷ CK 멘토와 후원 활동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7 -

4 사전조사 활동 (셀아이콘랩)

4-1 기능성 화장품 연구amp제조 기업 lsquo셀아이콘랩rsquo 기업 인터뷰

회사 소개

회사명 셀아이콘랩주소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대로 1646 한남대학교 사이언스파크 312호 대표자명 성민규 대표 사업분야 코스메슈티컬 펩타이드 소재개발 피부 전문가용 코스메슈티컬 화장품 OEMODM 주문 생산 방식

인터뷰 내용 1) 셀아이콘랩 2014년도에 많은 해외 박람회에 참여하고 있는데 해외시장 진출 의사가 있으신가요= 저희 회사의 사업화 로드맵을 보시면 2014년에 해외영업 마케팅 판매가 계획되어 있고 올해 들어 중국 러시아 카자흐스탄 말레이시아 등 여러 나라를 방문하여 박람회에 참가하고 실질적으로 상품을 판매하고 반응을 살피고 있습니다

2) 그렇다면 대만 화장품 시장 진출에 대해 고려해본 적은 있으신가요 만약 진출을 고려해보았다면 대만의 화장품시장에서 원하는 자료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대만시장을 접할 기회가 부족했을 뿐 내년에 대만 시장진출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셀아이콘랩은 현재 거래중인 중국 카자흐스탄 등지의 국가들에서 더 나아가 대만이나 홍콩과 같은 중화권 시장의 가능성을 느끼고 해당나라에 진출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요구사항 대만의 수출수입 인허가 절차 관세 세금 시장가격 형성 요인 화장품 유통 채널 구매경로 트렌드 또한 대만 시장에 뷰티샾(우리나라의 올리브 영)같은 종합 매장이 형성과정 실질적인 구매력을 알아보기 위한 대학 졸업생의 평균 초봉 등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8 -

5 화장품 산업 및 환경 분석 (연구자료 첨부)

구분 2011 2012 2013(1월 ~ 11월)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및 성장률 19427798 42 19421349 00 191454345 08

5-1 화장품 시장 동향

시장규모 및 전망thorn 대만의 약품 및 화장품 시장규모는 2013년 기준 1914억 달러로 2012년 대비 008 증가

최근 3년간 대만 약품 및 화장품 시장규모 및 성장률 (단위 천 달러)

자료원 대만경제부 통계처

시장전망thorn 수요 감소 예상 요인 대만 화장품시장은 다양한 국산 수입제품들이 오랜 시간 경쟁하는 포화된 시장thorn 종합의견 다수 유명 외국 브랜드(예 SHISEIDO KOSE 등)는 대만에 공장을 설립해 국산 브랜드와

경쟁하고 있으며 대만 정부의 각종 규제가 엄격하고 많아 허가 관련 등록서류 및 비용으로 인한 진입 장벽이 큼

소비자 구매 패턴thorn 주요 소비자 계층 14~55세 등 다양thorn 소비자 구매 동기 귀엽고 여성스러운 디자인 미백 보습 등과 같은 눈으로 확인 가능한 기능성 민감

성 피부에 바로 사용 가능한 화장품을 선호하는 추세

제품 트렌드thorn 대만 시장에서 국산 브랜드보다 수입 브랜드의 인기가 더 높으며 그중 일본 브랜드가 장시간 많은 인

기를 유지하여 왔음thorn 최근 한국 드라마에서 스타들이 연출하는 화장법 또는 유명 스타가 광고하는 한국 화장품이 큰 인기

를 얻고 있으며 한류 열풍으로 대만에서 수입 화장품 판매량이 늘어나면서 국산 화장품의 신제품 개발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

thorn 피부과 및 의학미용센터에서 다양한 시술(보톡스 반점 제거 여드름 크리닉 모공축소 레이저 비지 제거 등)을 받아 꾸준히 피부관리를 받고 다니는 여성들이 많아지는 추세에 따라 기능성을 강조하는 의학미용(aesthetic medicine) 화장품 혹은 시술 받고 나서도 바로 사용 가능한 기초화장품(무자극 보습효과 강조)이 유행하기 시작함

해당 산업 관련 정부 정책thorn GMP 정책 글로벌 추세에 따라 대만 화장품의 품질middot제조 수준 및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대만 경

제부공업국과 대만 위생서는 2008년 9월 4일부터 lsquo자발성 화장품 우량제조규범 검증제도(自願性化妝品優良製造規範驗證制度)rsquo를 실시한다고 발표함 약품 의료기기 식품을 이어 화장품이 네 번째로 GMP검증을 받는 산업이 되었음 ISO 22716 규범으로 주요 참고 근거로 보고 있음 동시에 화장품 GMP 추진 플랫폼을 설립하고 기업 문의에 대한 상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9 -

구분 2011 2012 2013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및 성장률 614293 1192 600356 -227 557784 -085

순위 국가 금액 점유율 증감율2011 2012 2013 2011 2012 2013 1312

총계 614293 600356 557784 100 100 100 -0851 일본 248980 237052 199987 40531 39485 35854 -113212 프랑스 116031 111983 110509 18888 18653 19812 45333 미국 89984 96689 89924 14648 16105 16122 -03914 한국 29779 29329 36746 4848 4885 6588 386345 중국 23444 30114 30138 3816 5016 5403 99486 영국 15895 14619 14482 259 2435 2596 29227 독일 16799 14327 14159 274 2386 2538 96758 스위스 13631 12401 11151 222 2066 1999 -5329 태국 9929 9214 8943 162 1535 1603 533310 이탈리아 12312 8853 8632 2 1475 1548 7727

5-2 수입동향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동향 (단위 천 달러 )

주 대만 국제무역국

최근 3년간 상위 10개국의 수입통계

주요 수입국 현황(HS Code 330499 기준) (단위 천 달러 )

자료원 대만 경제부 국제무역국 중화민국수출입무역통계(httpcus93tradegovtwFSCI)

수입관세 및 관련 제도thorn 관세 0thorn 통관 시 유의사항 대만에서 화장품은 의료용 또는 약품을 함유하지 않은 lsquo일반화장품rsquo과 lsquo함약화장

품rsquo 등 세 종류로 나눠져 있음 함약화장품의 경우 통관 시 대만 위생서에서 발행한 위생허가증을 제시해야 함

thorn 필수 인증 현황 함약화장품(예 염색제 파마제 자외선차단제 땀 억제제 치아미백제 등)은 대만 위생서 허가를 받아야 수입 및 제조판매를 할 수 있음 허가 신청 시 제품명 성분 제조업체명 제조업체주소 해외 수입업체명 수입업체주소 제품 전성분 용량 용도 사용법 유효기간 샘플 Certificate of Analysis Certificate of Sales SPF ampUVA 검사보고서 등이 필요함(세부사항은 대만 위생서 홈페이지 참조바람)

5-3 유통구조

유통채널 종류thorn 오프라인 백화점 H ampB(Watsons Cosmed SaSa 등) 방문판매 약국 각종 마트 편의점 피부과

피부관리센터 전문판매점(로드숍)thorn 온라인(여기는 virtual channel을 뜻함) 홈쇼핑 온라인 쇼핑몰(경매 브랜드 홈페이지 등 포함) 우편

주문(郵購) 등이 있음

유통채널 점유율 오프라인 유통채널의 점유율은 여전히 70~90 정도로 높게 차지하고 있으나 온라인 유통채널의 점유율도 빠른 속도로 상승하고 있음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0 -

브랜드명 제품명 가격 판매순위

SHISEIDO 100 1

SKII 133 2

ESTEE LAUDER 100 3

항목 내용전시회명(현지어명) 2014春夏國際美容化妝品展전시회명(한국어) 2014 춘하 국제미용화장품 전시회

전시품목 미용 화장품개최국가도시 타이베이

유통채널 활용 방안 아직까지 온라인 채널의 점유율이 높지 않으나 대만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블로그 등)에 영향을 많이 받는 편이어서 오프라인 채널에 진입하기 전에 온라인으로 먼저 마케팅(브랜드 이미지메이킹 블로거 마케팅 등)을 진행하는 방법을 추천함 대만 오프라인 채널의 진입장벽은 매우 높으며 비교적으로 이윤이 많이 남는 온라인시장에서 브랜드 파워를 먼저 키우면 오프라인 채널에 들어가는 길이 훨씬 수월해질 것으로 예상함

5-4 경쟁동향

경쟁제품 현황주요 경쟁제품 현황

(단위 달러)

한국 제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 및 선호 브랜드 현황thorn 한국 제품 현지 인지도 높음thorn 선호 브랜드 3CE INNISFREE NUTURE PUBLIC MISSHA THE FACE SHOP LANEIGE 등

5-5 효과적인 시장 진출 전략

타깃 고객층thorn 타깃 고객층 20~30대 초반thorn 타깃 사유 유행에 따라 새로운 것을 많이 도전하고 한류의 영향도 가장 많이 받는 젊은 층이 한국

화장품을 소비하는 경우가 많음 35세 이후의 직장 여성 혹은 가정주부들은 여전히 일본 혹은 유럽 미국의 고가 화장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활용 가능한 마케팅 방안 ⓵ 현지 전시회 정보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1 -

개최주기 3월경개최기간(2014년) 0321~0325

웹사이트 httpwwwudnicecom

⓶ 전시회 이외의 주요 마케팅 방안 블로거 마케팅 등 ⓷ 유력 홍보 방안(전문잡지 온라인 매체 등)

thorn 온라인 매체 Fashion guide(httpwwwfashio guidecomtw) UrCosme(httpwwwurcosmecom)

thorn 전문잡지 VIVI BEAUTY 大美人 Style W Marie laire Fashion Guide 등

시장 확대를 위한 무역관 의견 대만 화장품시장은 가격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 시장 진입 시 확실한 브랜드 포지션을 정해야 하며 해당 포지션의 대만 제품 가격을 조사한 후에 대만 최종 소비가격을 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

또한 소비자들은 할인세트 및 사은품에 약하여 각종 행사 진행 시 사은품 증정 혹은 묶음세트로 판매하는 것을 추천 보습(특히 히알루론산 성분 강조) 및 미백(대만 정부에서 인증된 미백성분이어야 함) 제품을 매우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6 탐방 상세 일정 (일정표 - 기간 지역)

날짜 지역105(월) 인천 ~ 대만 타이페이

시간 일정0600 인천공항 도착

0600 ~ 0920 인천공항 대기0920 ~ 1140 인천공항 rarr 대만 1140 ~ 1230 대만 입국 수속1230 ~ 1320 숙소 이동 (용산사 역)1320 ~ 1500 짐정리1500 ~ 1600 회의 및 일정정리1600 ~ 163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630 ~ 1800 KOTRA방문 및 인터뷰1800 ~ 1830 101타워 딘 타이 펑 이동(도보)1830 ~ 1910 저녁식사 - 딘 타이 펑1930 ~ 2100 101 타워 야경감상2100 ~ 2130 숙소로 이동2130 ~ 223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6(화) 타이페이

시간 일정0900 기상

0900 ~ 110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30 ~ 1230 점심식사 - 마라훠거1230 ~ 1300 SISDORA 본사로 이동

6-1 8박 9일 대만 일정 (150105 ~ 150113)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2 -

1300 ~ 1530 SISDORA 방문 및 인터뷰1600 ~ 1800 101타워 퍼스널 트레이닝 센터 방문1800 ~ 1930 저녁식사 - 카렌 레스토랑1930 ~ 2000 숙소로 이동2000 ~ 2100 개인 휴식2100 ~ 223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7(수) 타이페이

시간 일정0900 기상

0900 ~ 113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30 ~ 120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200 ~ 1250 점심식사 - 키키 레스토랑1250 ~ 1300 시먼딩 이동1300 ~ 1530 화장품 설문조사1530 ~ 1830 한국 화장품 매장 제품 조사1830 ~ 1900 야시장 이동(MRT)1900 ~ 2000 저녁식사 ndash 야시장 음식2000 ~ 2030 숙소로 이동2030 ~ 2130 개인 휴식2130 ~ 230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30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8(목) 타이페이 ~ 타이난

시간 일정0830 기상

0830 ~ 110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00 ~ 1200 체크아웃 및 고속철도역 이동1200 ~ 1340 타이페이 rarr 타이난 이동1340 ~ 1400 짐 보관 및 인터뷰 장소 물색1400 ~ 1600 가오슝 한인협회장 인터뷰1600 ~ 1700 숙소도착 및 짐정리1700 ~ 1800 개인 휴식1800 ~ 1900 저녁식사 - 새우롤2000 ~ 2230 중간 정리 및 보고서 작성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9(금) 타이난

시간 일정0800 기상

0830 ~ 0900 아침 식사0900 ~ 1130 타이난 일정 브리핑 및 팀 미팅1130 ~ 1210 타이난 시내로 이동(TAXI)1210 ~ 1320 점심식사 - 스시1320 ~ 1350 성공대학 이동(도보)1350 ~ 1700 성공대학 방문1700 ~ 1800 성공대학 캠퍼스 탐방 및 대학원생들과 대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3 -

1800 ~ 1830 저녁식사 - 대만 전통 음식점1830 ~ 1900 타이난 RT마트 이동(도보)1900 ~ 2030 RT 마트 장보기2030 ~ 2100 숙소로 이동2100 ~ 2200 개인 휴식2200 ~ 2330 팀 회의 및 예산 정리

23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12(월) 타이페이

시간 일정0800 기상

0800 ~ 0900 아침식사(호텔 조식 제공-선택)0900 ~ 1130 호텔 개인시간1130 ~ 123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230 ~ 130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300 ~ 1600 Wabfenix 방문 및 인터뷰1600 ~ 1630 간식 - 망고차차1630 ~ 1700 시먼딩 이동(MRT)1700 ~ 1830 화장품 설문조사 활동1830 ~ 1930 저녁 식사 - 코코이찌방야2030 ~ 2130 개인 휴식2130 ~ 2300 팀 회의 및 예산 정리

230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13(화) 대만 ~ 인천공항

시간 일정0800 기상

0800 ~ 0900 아침 식사0900 ~ 1130 짐정리1130 ~ 1200 체크아웃1300 ~ 1400 점심식사 - 스시(시먼딩)1400 ~ 1430 쑹산 공항 이동(TAXI)1430 ~ 1530 시먼딩 rarr 쑹산공항1530 ~ 1730 출국 대기1730 ~ 2100 대만 출국 rarr 대한민국

2100 대한민국 입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4 -

7 방문 기업 소개 (인터뷰 내용)

7-1 대만 KOTRA

-2015년 1월 5일 월요일 1630~1800 인터뷰-위치 台北市 基隆路 1段 333號 22樓 14室(2214室) Intl Trade Building 22층-전화 (886-2)2725-2324 -팩스(886-2) 2757-7240

Q대만에 대하여 간단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우선 대만은 남한의 13의 해당하는 영토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구역시 남한에 비해 적은 2천 3백만 명 정도이며 기후는 아열대 몬순 기후권으로 비교적 따듯한 날씨입니다여러분이 대만에 와보셔서 알겠지만 대체로 습한느낌을 받으셨을 탠대 대만은 겨울에도 남한만큼은 춥지 않습니다 언어는 주로 중국어를 사용하며 문자는 중국과 살짝 다른 번자체를 사용합니다1인당 GDP는 2013년 기준 20984 달러 정도이며 산업구조는 제조업과 도소매업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Q현재 우리나라의 어떤 기업들이 대만에 진출해 있는지 궁금합니다

A최근에는 화장품을 주력 제품으로 아모레퍼시픽등 화장품 대기업들이 타이페이 시내에 로드샵을 많이 개점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대만은 제조업과 도소매업이 주를 이루다 보니 20~30년 전부터 진출한 기업들이 계속해서 입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주로 삼성물산 현대종합상사 LG상사 LG전자등 대기업이 주를 이루고 있고 우리나라 기업은 1년에 한 기업정도 대만에 진출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Q그렇다면 대기업을 제외한 중소기업들이 대만시장에 진출하지 않는 이유가 따로 있습니까

A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아무래도 중국시장이 개방을 하면서 인 것 같습니다 기존에 진출해있는 기업들은 과거 대만이 인프라 구축이 미흡했을 당시 해외투자를 많이 받으면서 비교적 좋은 조건으로 대만에 진출하고 인프라 구축등 사업을 진행하면서 기반을 다졌을 겁니다 그 기반으로 지금까지 대만시장에 진출해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중소기업의 경우는 해외투자가 너무 모험적이며 대만 시장과 중국의 시장을 비교하여 봤을 때 인구가 차이가 약 8배 정도 나며 중국에 비해 비교적 작은 시장이라고 느껴 대만보다는 중국에 많이 진출하는 것 같습니다

Q마지막 질문으로 만약 우리나라 중소기업이 대만시장에 진출할 때 유의해야 할 점이나 좋은 팁이 있을까요

A대만 시장에 완전히 진출해야겠다는 생각보다는 중국이나 다른 중화권 나라의 진출하기전 시험의 장소로 생각하고 진출해보는 것은 나쁘지 않다 생각 합니다 아무래도 대만의 인구가 많은 편이 아니다보니 불리한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5 -

조건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이나 다른 큰 중화권 시장으로 진출하기 전에 언어나 문화 중화권사람들의 사고방식등 여러방면에서 시험해 볼 수 있는 좋은 장소는 틀림없습니다 중소기업이 대만시장에 진출할 때는 코트라를 이용하여 각종 정보나 현지 인프라등을 이용하는 것 또한 하나의 방법이며 무엇보다 중화권의 문화와 중화권 대중들의 생각을 잘 공부하고 언어를 습득하여 오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7-2 SISDORA luxury beauty care

-1월 6일 화요일 1300~1530 인터뷰 1600~1800 101타워 퍼스널트레이닝 센터-주소 No9Aly 10Ln265Sec 4Xinyi RdDaan Dist Taipei City 106-대표 Mr Chung-Cheng Lee -전화886-2-27040889-URL httpwwwsisdoracom

Q 간략한 회사 소개와 SISDORA의 유래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A Isadora는 고대 이집트의 가장 강력한 여신의 이름입니다 Sisdora는 이 여신의 이름을 따서 만든 브랜드 이름입니다 이집트의 고대 여신인 Isadora의 이시스는 선물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고 생명과 건강 아름다움을 담당하는 여신으로도 유명합니다 저희 SISDORA는 비슷한 동음 이의어로 동양의lsquoISIS(이시스)rsquo라는 단어가 있어 브랜드 명을 SISDORA로 정하게 되었습니다Q Sisdora 제품 소개 부탁드립니다

A저희 제품은 안티에이징 미백 마스크 제품을 주력으로 하고 있습니다 동일 제품군을 비교해 봤을 때 가격 및 품질은 상위에 속하는 최상품의 제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마스크 팩 대부분은 종이섬유로 제조하는 반면 저희 Sisdora는 누에의 실(실크)로 만든 마스크 팩 입니다 실크마스크 팩을 제조할 때에는 피부 건강에 좋은 약재 및 약초등을 배합하여 제조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피부에 자극적인 향로를 첨가하지 않았고 수분이 빠르게 흡수 될 수 있습니다 덕분에 저희 마스크 팩을 사용하는 고객들은 부드럽고 산뜻한 느낌을 받으실 수 있을 겁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6 -

Q 귀하의 회사는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어떤 마케팅을 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A 저희는 해마다 대만 타이페이 글로벌 미스코리아 대회에 제품을 협찬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대만 유명 가수들과 함께 제품을 결합시킨 뮤직비디오를 제작하여 마케팅에 힘쓰고 있습니다뿐만 아니라 제품의 품질인증을 바탕으로 러시아 중국 동남아 지역에 진출하는대 힘쓰고 있습니다 저희 제품은 대만 내에서 스킨케어 제품으로써 유일하게 지정 브랜드 수상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저희는 주로 매스컴이나 인터넷을 통한 마케팅이나 엔터테이먼트 컨벤션 산업을 활용하여 마케팅을 하고 있습니다

Q 그렇다면 대한민국의 화장품 제품이 대만에 진출해 있는데 대한민국 화장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는 어떤지 궁금합니다

A 최근 5년 사이에 한국의 드라마 음악등 한류를 타고 대만에도 많은 한국 제품이 등장하였습니다 하지만 대만에는 오래전부터 수입화장품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이탈리아의 산타 마리아 노벨라 프랑스의 아이젠버그등 명품 화장품 브랜드가 오래전부터 입점해 현지 화장품시장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 때문인지 한국 화장품의 인지도는 크게 높지는 않습니다 아무래도 유럽 브랜드 그 다음으로 대만 기업의 브랜드 그 다음으로 한국의 화장품 브랜드 순으로 인지도가 형성되어 있다고 생각됩니다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한국화장품은 다른 명품 화장품들의 가격보다 저렴하고 성능이나 효과 면에서 절대 뒤처지지 않아 한류가 지속되고 마케팅이 잘 이루어진다면 충분히 유럽의 명품화장품의 인지도를 뛰어 넘을 수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Q 한국의 중소기업의 화장품이 대만 시장에 진출하는 것에 대해서는 어떤 의견을 갖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A 한국의 대기업 화장품 브랜드가 아닌 중소기업의 화장품 브랜드가 대만에 진출하는 것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겁니다 하지만 저희 회사도 중소기업으로 시작하여 마케팅 전략을 잘 활용 하여 많이 성장하였습니다 아무래도 한국의 중소기업의 화장품이 대만에 진출하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있겠지만 어떤 마케팅 전략을 선택하느냐가 가장 중요하고 마케팅이 잘 이루어지고 입소문이 퍼진다면 한국의 중소기업 화장품 또한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7 -

7-3 가오슝 한인협회

-1월 8일 목요일 1400~1600 인터뷰-주소 高雄市鼓山區二路37巷弄43-2號(고웅시고산구이로37항81롱43-2호)-대표 尹桓鎬(윤환호) HP 0932-740-538 -電話 07-5211933 -傅眞 07-5214031

Q 대만과 한국과의 무역 관계가 어떠한지 궁금합니다

A 한국과 대만과의 무역은 크게 활발하게 이루어 질 수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대만의 시장 자체가 매우 작기 때문에 대만에 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국내 시장이나 다른 큰 해외 시장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대만 시장을 거쳐서 동남아나 중국 시장으로 진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여서 기존에 존재하는 대기업이나 저처럼 오래 전부터 이민한 분들이 소규모로 중개무역을 하고 있는 정도입니다

Q 현재 한인협회 회장님께서 직접적으로 하는 일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현재 저는 한국의 화장품을 수입하여 대만 현지 기업에게 판매하는 중개무역을 하고 있습니다 대만에 온지 20년이 넘었는데 이런 저런 일을 하다가 기회가 되어 이쪽 일을 하게 되었는데요 처음에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인식이 없어 가격은 비싸고 품질의 보증은 되어 있지 않은 제품이라 소비가 크게 늘지 않았는데 한류 열풍이 불고 한국 드라마의 성공과 그 배우들이 광고하는 화장품의 수요가 크게 늘어 몇 년 전부터 시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Q 한국과 대만과 중국의 관계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해 주세요

A 앞서 말씀 드린 것 같이 한국의 기업은 대만을 통하여 중국 시장의 진출을 위하여 대만 시장을 많이 찾습니다 그 이유는 한국 기업이 대만 시장을 통해서 제품을 인정받는다면 대만과 중국은 같은 언어권의 나라로 대만기업을 통해 중국으로의 활로를 개척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왜 이렇게 돌아서 진출을 하려고 물으셨는데 그것은 쉽게 말해서 말이 잘 통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의 중국어를 잘 구사하는 사람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보다는 대만의 사람이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주고 인정을 해준다면 더욱 쉽게 자리를 잡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8 -

Q 스타트 기업의 대만 진출 성공여부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중소기업이 대만에 들어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현재 한국 내에서의 위치를 높이는데 주력하는 것이 좀 더 낫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대만은 아주 뛰어난 기술력을 가지고 있지만 자체 제품을 생산하지 않습니다 예로 Apple에서 전체 아이디어를 미국에서 한다면 그 아이디어 실행은 대만에서 이루어집니다 그리고 제품의 생산은 대부분 중국에서 이루어 지구요 이렇듯 대만의 기술력과 제품에 대한 이해가 빠르기 때문에 수입을 많이 의존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중소기업이 들어와서 제품을 판매한다 쉽게 성공할 수 없죠

Q 회장님께서는 중국과의 중개무역은 생각하고 있으시지 않습니까

A 네 저는 지금의 생활에 만족하고 있습니다 지금 저의 파트너들과의 관계도 좋고 따로 중국 진출은 생각하고 있지 않습니다 만약에 제가 중국을 진출하게 된다면 현재의 기업들과도 경쟁상대가 되어 저는 생각이 없습니다

7-4 국립성공대학(國立成功大學)

-1월 9일 1350~1700 인터뷰-주소 701 臺南市東區大學路1號-연락처06-2757575 -홈페이지 wwwnckuedutw

대만 국립 성공대학은 931년 타이난에 설립된 이공계 명문 대학입니다 국립성공대학은 66개의 캠퍼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각 캠퍼스마다 특징과 분위기가 다릅니다 우리 국립성공대학은 ldquo북대대 남성공(北臺大 南成功)rdquo 이라는 말이 있듯이 역사는 대만대학의 바로 다음갑니다

국립성공대학의 이름의 의미는 성공은 무엇을 성취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대만의 민족영웅인 정성공(鄣成功)을 기념하기 위한 대학이라는 뜻입니다 성공대학은 정성공이 있던 역사명승 적감루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해 있기도 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9 -

이후 인터뷰로 대만의 소개와 간단한 전공 소개가 있었다

7-5 WABFENIX RENIX GLORY GLORIA GUA

-1월 12일 월요일 1300~1500 인터뷰-주소 14F-1 No420 Sec 4 Xinyi Rd Xinyi Dist Taipei City 110 Taiwan (ROC)-대표 Mr KEN -전화886-5569-0555-URL httpswwwfacebookcomrenixfanspage httpwwwwabfenixcom

Q Wabfenix가 어떤 기업인지 소개 해주세요

A 저희 회사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으로 현재는 매장은 없지만 개발한 제품을 바탕으로 사업을 진행 중이고 대만현지에 저희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저희 회사는 제품의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화장품을 개발하여 대만시장 뿐만 아니라 중국시장의 진출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Q 귀하의 제품은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제품이라 하셨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제품 등이 있습니까

A 우선 Heymore 제품군의 블랙 마스크 팩과 Renix 제품군의 일반 마스크 팩을 출시했습니다Heymore의 경우 선물용임을 부각시키기 위해 디자인에 특히 많은 투자를 하였습니다 중국 중산층을 겨냥한 제품으로 가격대 1봉지에 한화 ₩40000 정도로 높게 책정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가격을 높게 측정한 이유에는 중국 화장품 소비문화 속에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 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에 저가 보급형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0 -

제품인 Renix와 차별을 두는 판매 전략을 선택하였습니다 현재 판매되는 제품은 마스크 팩을 주력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Q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인데 중국을 대상으로 어떤 진출 전략을 갖고 있습니까

A중국에서 열리는 화장품 전시회 화장품 엑스포 행사 바이어 미팅 등 꾸준히 참가중이며 바이어들에게 저희 제품을 어필하고 있습니다 물론 신생기업인 만큼 아직 중국 내에서 뚜렷한 판매 실적을 기록하진 못했지만 타 화장품 기업들과 다른 마케팅 방식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디자인이나 제품의 아이디어를 강조하고 있는데 대표 적인 상품으로 오뚝이 모양을 한 화장품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이 오뚝이 제품을 바이어들에게 어필해 보았는데 대단히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Q 해외시장 마케팅과 대만 시장마케팅의 차이점이 있습니까

A 우선 중국에서의 마케팅은 행사나 전시회에 참여하고 바이어들을 개인적으로 만나는 것에 치중해 있다면 국내 대만시장의 마케팅 전략은 페이스북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대만은 중국에 비해 SNS가 많이 발달되어 있어 자금이 많이 들어가지 않는 SNS마케팅을 하고 있고 각종 자선행사에 참여하여 저희 기업을 홍보하고 있습니다

Q 귀사의 제품을 중국보다 비싼 인건비가드는 대만 제조공장에서 생산하는 겁니까

A타이중에 소재하는 공장에서 마스크를 제조 하고 있습니다 인건비가 비싼 것은 대만 수도인 타이페이에만 주로 해당이 됩니다 지방 소도시에서도 외곽으로 들어가면 저렴한 인건비와 공장 가동비용으로도 제조가 가능 합니다 굳이 중국에 제조공장을 갖지 않는 이유는 신생기업이라 자금문제도 있지만 대만은 OEMampODM에 특화된 국가이기 때문에 품질 좋은 다양한 제품주문이 가능하고 중국 사람들에게도 자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 보다 외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가 더 좋기 때문에 대만에서 생산한 뒤 수출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Q 대만에 한국 화장품 기업이 진출한다면 어떠한 마케팅 전략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 생각 하십니까

A 이미 대만에 한국의 화장품 제품들이 많이 들어와 있습니다 하지만 대만 자체의 화장품 기업들이 기존에 많은 시장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성공을 거두기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최근 한국에 대한 이미지가 많이 좋아졌고 한국의 영화나 드라마 등이 많이 알려지면서 인지도가 높아졌습니다 한국의 대기업의 경우 이러한 대규모 마케팅을 할 수 있으므로 큰 무리가 없겠지만 한국의 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한다면 최종 시장 공략 층은 대만이 아닌 중국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대만은 중화권으로 가기 위한 연결다리라고 생각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또한 중소기업은 큰 마케팅 비용을 부담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대만에서는 SNS나 각종 자선 행사에 참여하여 인지도를 높이는 것을 추천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1 -

Q 같은 제품이지만 대만과 중국에서 판매할 때 가격 책정이 다른 이유가 무엇인가요

A 그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해드리자면 국가마다 소비 성향이나 구매 능력 환율 경제 상황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경영 에서는 가격 차별화(Price discrimination)이라 부르는데요 각 나라의 시장 특성에 적정한 가격대를 책정해서 제품을 판매하는 전략입니다 혹시 중국 상류층이 몇 명인지 알고 있나요 제가 알기로는 대만 인구의 2배인 4000만 명이라는군요 아마도 한국 인구랑 비슷한 규모 일겁니다 게다가 중산층은 약 4억 명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4억 명의 중국 소비자들이 우리 제품을 1개씩만 구입 한다면hellip 상상만 해도 엄청 나겠죠 이야기를 하다 보니 다른 쪽으로 빠졌는데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이야기하면 물론 좋은 제품을 모든 곳에 저렴하게 제공 하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 그러나 항상 시장에서 저렴한 제품만이 성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대만이나 한국처럼 고도의 산업화가 이루어지고 시장이 크게 발전한 안정적인 단계는 좋은 제품이라도 가격 경쟁력에 신경 써야 합니다 왜냐하면 소비자들이 똑똑하기 때문에 정보력이 넓고 합리적인 소비를 지향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가격 성능 디자인 등 많은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중국 시장은 대만이나 한국과는 특성이 다릅니다 저렴하다고 해서 많이 제품이 많이 팔리기 보다는 가격대가 어느 정도 있는 제품일수록 또는 가격대가 높을수록 소비자들이 관심을 보입니다 대체적으로 중국 소비자들은 lsquo저렴한 제품은 품질이 낮거나 효능이 좋지 않은 제품일거야rsquo 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 때문에 화장품 박람회나 전시회에 저가 화장품을 가져와 홍보하더라도 중국 바이어나 소비자들은 큰 관심을 주지 않습니다 처음에 말했듯이 중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2 -

국 소비문화가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라는 심리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Wabfenix의 경우에는 신생기업이라 많은 투자 금액이 없을 뿐 더러 대만 화장품 시장에 진출하기에는 리스크가

크고 진입 장벽이 높습니다 그리고 이미 한국 화장품 기업들이 대부분 점유를 한 상황이기 때문에 대만 내수시장에만 집중하기에는 경쟁력이 부족하죠 그래서 중국을 주력 수출시장으로 삼고 있는데요 저희는 제품 성능 보다는 소비자의 이목을 끌 수 있는 디자인에 더 많은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중국에 Wabfenix만의 화장품 선물 문화를 정착 시키는 것이 목적인데요 높은 제품 가격만큼 소비자의 관심을 끌 수 있고 선물 문화나 꽌시(关系)가 많은 중국 문화 특성에 맞추어 선물용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중국 시장은 현재 젊은 중산층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품질이 낮은 화장품 보다는 수입 화장품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점으로 미루어볼 때 높은 가격 차별화와 Wabfenix만의 디자인 마케팅은 좋은 경쟁력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3 -

8 현지 시장조사 활동 (시장동향사진설문조사 자료)

8-1 시먼딩 설문조사

목적 대만 사람들의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및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대상 10대~20대 여성 및 화장품 전문매장 종사자장소 시먼딩시간 2015년 1월 7일 12일 총 두 차례에 걸쳐 진행방법 ①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 판넬에 국가별로 메이크업 사진을 표시하고 스티커를 붙이는 방식으로 투표함 공정성을 위해 국가 이름은 블라인드로 처리하였고 모두 동일 인물의 사진을 사용함②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표본집단을 50명으로 설정함 설문조사가 끝나면 사은품으로 한국 브랜드 마스크팩 증정함

8-2 사전 기획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판넬 기획도gt

化妝辦法喜好度的調查화장법 선호도 조사

大家給自己喜歡的化妝貼貼紙 여러분이 선호하는 메이크업에 스티커를 붙여 주세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4 -

대만의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안녕하십니까

다음의 내용은 대만 화장품 트렌드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자 관련조사를 실시하고자 하오니

있는 그대로의 생각을 기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귀하의 응답은 통계적 목적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본 설문은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물음에 대한 답변이나 해당란에 v 표를 해 주십시오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7) ② 화장품 전문매장(34) ③ 마트(5) ④ 홈쇼핑(2)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합계 총 50 명

바쁘신 시간에 의견을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지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5 -

8-3 설문조사 활동

lt2015년 1월 7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6 -

lt2015년 1월 12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7 -

lt활동 결과 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8 -

9 설문조사 통계 분석 (설문조사 응답 수분석결과)

9-1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결과gt

설문 조사 질문지 양식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12)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③ 마트(5) ④ 홈쇼핑(6)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9 -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gt

9-2 설문조사 항목 별 의견 및 추측

설문 조사 질문지 항목 (최다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② 20 ~ 25세 (13)

0

5

10

15

20

25

30

20대 이하 20세~24세 25세~29세 30세~39세 40대 이상

rarr 시먼딩은 대만의 홍대거리라 불리는 lsquo융캉제rsquo나 서울의 lsquo명동rsquo과 같이 젊은 층이 주로 활동하는 지역이다 설문조사 중에도 교복이나 체육복을 입은 학생들과 길거리에서 쇼핑을 즐기는 20대가 즐비할 만큼 활기 있는 거리다 덥고 습한 대만 기후 특성 상 과거엔 화장법이 크게 발전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국의 자연스러운 화장법이 큰 인기를 끌면서 시먼딩에 화장품 거리가 조성되어 있을 만큼 유동 인구가 많다 이 점으로 추측해보았을 때 압도적으로 10대와 20대 층이 많은 응답 수를 기록했다고 본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0 -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051015202530

온라인 화장품전문매장 마트 홈쇼핑 방문판매

rarr 대만 또한 한국과 비슷하게 시내에 많은 수의 화장품 전문매장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접근성이 굉장히 높았다 더불어 각 화장품 매장에서는 상품 할인과 같은 각종 프로모션을 진행하기 때문에 구매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 구매한다는 대답도 높은 편이었는데 거의 대부분이 와이파이존이어서 어디서나 인터넷을 한 활발히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온라인에서의 구매율도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0

5

10

15

20

25

30

NT$300 미만 NT$300~NT899 NT$900~NT$1499 NT$1500~NT2999 NT$3000

rarr 응답자들은 대부분이 한 달 간 화장품에 쓰는 돈을 최저 1만원 이상(NT$300 이상)이라고 답했는데 이는 70가 넘어가는 결과로 화장품에 대한 지출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만원 이상이라고 대답한 응답자들 또한 4분의 1을 넘기는데 이것은 젊은 연령층부터 시작하여 최근 피부 관리와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대만의 소비 수준에 대비하여 화장품 소비율이 높은 것도 이 때문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1 -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③ 성능(23)

051015202530

가격 디자인 성능 화장품 모델 브랜드

rarr 아열대 기후에 속하는 대만은 높은 기온과 습한 날씨 탓에 에어컨 환경에 자주 노출돼 피부 수분을 잃기 쉬워 기능성 화장품의 소비가 두드러진다 대만 화장품 시장은 토너 세럼 에센스 로션 크림 등의 모든 스킨케어 제품들이 보습기능을 강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백이나 안티에이징 리프팅 저자극 오일프리(Oil-free) 등의 기능까지 추가된 스킨케어 제품들이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조 화장품 소비가 늘어난 것은 최근 몇 년 들어 다양한 화장품 브랜드 접촉기회가 많아지고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젊은 여성의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색조화장품 또한 메이크업베이스와 BB크림 립스틱과 같은 베이스 메이크업이 수요가 많았다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④인터넷(22)

0

5

10

15

20

25

30

TV 잡지 친구 인터넷 메이크업샵

rarr 최근 빠른 인터넷망과 스마트폰 태블릿PC의 보급으로 인해 사람들과 사람사이의 연결망이 견고히 형성되고 있고 이것이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방법을 얻는 경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만 소비자들은 주로 인터넷 블로그 가족과 친구로부터 메이크업 정보를 획득 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만의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이므로 입소문마케팅과 판매를 바로바로 할 수 있는 유통구조가 도움이 될 것 같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2 -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0

5

10

15

20

25

30

청순 독특 귀여움 섹시

rarr 앞서 살펴보았듯이 대만은 한국과 비슷한 메이크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이것은 곧 청순한 메이크업 컨셉에 관심 있어 한다는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실제로 대만 여성소비자들은 깨끗한 피부 NATURAL한 베이스메이크업을 선호한다 한 듯 안 한 듯 자연스럽고 깨끗한 느낌의 한국식 lsquo생얼rsquo 화장법은 대만에서 한국 드라마 열풍과 함께 유명세를 타기 시작해 현지 각종 온라인 뷰티 사이트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래서 응답의 대부분이 한 곳에 치우쳤고 비교적 개성 있는 메이크업 방법이 드물 것이라는 것을 유추해낼 수 있다

본 설문 조사를 통한 한국 화장품 기업에 대한 시사점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수입 절차로 오랜 시간을 허비해야 하는 반면 대만은 자외선 차단제 성분 함유 제품과 약용 화장품을 제외한 일반 화장품은 별도의 수입 검사 없이 수입할 수 있으므로 대개 중국보다 1~2년 먼저 신상품이 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한류 효과를 겨냥한 중화권 화장품 시장으로 대만을 우선 공략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대만은 대부분이 화장품에 대한 소비를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고 한국 화장품이 많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시장 접근법만 제대로 수립하면 매출이 나는 구조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대만인들이 선호하는 메이크업 방법이 한국과 비슷하기 때문에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은 마케팅 방안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최종분석설문 조사 대상은 대부분 10대~20대의 연령층이었으며 화장품의 주된 구입경로는 lsquo온라인(24)rsquo과 lsquo화장품 전문매장(50)rsquo이 압도적이었다 더불어 한 달 간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lsquo1만 원 이상(72)rsquo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이것은 실제 생활수준에 대비하여 높은 소비량이므로 대만의 화장품 시장 전망이 밝다고 할 수 있다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부분은 lsquo성능(46)rsquo이었는데 이는 스타트업 기업 중소기업에게 유리한 조건이다 메이크업 방법을 얻는 방법으로는 lsquo인터넷(44)rsquo과 lsquo친구(30)rsquo가 높은 비율을 차지했는데 판촉활동으로는 인터넷을 활용한 SNS 홍보 바이럴 마케팅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가장 관심있는 화장 컨셉은 lsquo청순rsquo 이었고 이것은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와 맞물려 우리나라와 비슷한 메이크업 방법을 추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3 -

10 대만 명소 소개 (명소음식행사숙소 소개)

10-1 고궁박물관

대만 고궁박물원은 영국의 대영 박물관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 미국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과 함께 세계 4대 박물관으로 손꼽힐 만큼 세계적은 소장 문물을 자랑한다 건물 규모는 그다지 크지 않지만 소장한 문물의 질과 양은 세계 최상급이다 중화 보물 중에서도 최고의 보물들이 모여 있어 진귀하기 그지없고 수량 역시 워낙 방대하여 3개월 단위로 1만여점을 돌아가면서 전시해도 다보려면 10년이 넘게 걸린다고 전해지고 있다 중국의 국공내전 당시 장제스가 이끌던 중국 국민당이 전쟁에서 패하며 중국을 탈출해 대만으로 향했다 당시 장제스는 난징에 있던 정부를 타이페이로 이전하면서 자금성에 보관되어있던 중국역대 왕조 보물 수십만 점을 배를 이용해 운반해 왔다 중국의 유물을 가진 자가 진정한 통치자라고 생각했던 장제스는 ldquo공산군에게 영토는 내줘도 문화유산만큼은 내줄 수 없다ldquo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대표적인 유물은 취옥배추 육형석 모공정 산씨반 등이 있다

10-2 용산사

루강의 초입에 있는 이 사찰은 타이완에서 가장 오래되고 아름답다고 하여 타이완의 자금성이라고 부른다 각 건물의 기둥 벽 그리고 천장 등에 새겨진 조각은 특히 빼어나다 이 조각상과 함께 이곳의 명물로 알려진 것은 사찰 경내에 있는 2마리의 용상인데 삼천전 앞마당 좌우에 서서 룽산사를 호위하고 있다

10-3 타이페이 101 빌딩

타이베이 101빌딩rsquo이라 부르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로서 빌딩 모습은 하늘로 뻗어나가는 대나무 위에 꽃잎이 겹겹이 포개진 형상이다 본래 타이베이 금융기관이 모인 건물이지만 대형 쇼핑센터와 푸드코트 고급 레스토랑이 있어 여행자들이 많이 찾는다 건물에는 8개 마디가 있는데 이는 중화 문화권에서 부와 번영을 의미하는 숫자 lsquo8rsquo을 염두에 둔 것이다 타이베이 시내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는 높이 508m로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히는 높은 건물이다 지상 1~5층에는 소고 백화점 뷰티 플라자 애버뉴 101 등 다양한 패션∙뷰티용품을 구입할 수 있는 상점이 있다 또한 레스토랑 시티 스퀘어 대형 서점 등 쇼핑과 오락 식사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복합시설이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4 -

잘 알려진 식당으로는 딘 타이 펑(Din Tai Fung) 이 있다 101타워 지하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샤오롱바오(고기만두) 새우 샤오마이(새우만두) 탄탄면(우육면)이 가장 대표적인 메뉴이며 대만에 방문한 많은 사람들이 찾는 식당이다

10-4 지우펀

대만여행의 백미로 꼽히는 지우펀은 타이페이시 북부의 루이팡 지역의 작은 산골 마을로 과거에는 아홉가구만 살고 있어서 지우펀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예전에는 작은 산골 마을에 불과 했지만 이 지역에서 금맥이 발견되면서 호황을 맞이하게 된다 특히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일본풍의 건물들이 남아 있어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결합된 독특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비탈길을 따라 하늘로 이어진 예스러운 건물 그리고 골목마다 빨간 홍등과 함께 묻어나는 옛 풍경은 여행객들에게 인기 여행지이다

10-5 스린야시장

타이베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야시장 가운데 하나이다 독특하면서도 다양한 전통 먹을거리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이곳을 찾는 관광객이 많다 시장 부근에 학교가 많아 학생들이 많이 찾으며 포장마차 등의 노점상이 많아 가격도 저렴하다 칭런샹[情人巷]에는 가구 의류 액세서리 사진현상점 애완용품점 등이 모여 있어 학생뿐 아니라 관광객들도 자주 찾는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5 -

10-6 예류 지질 공원

타이완 북해안에 자리한 예류는 해수욕장과 온천 기암괴석으로 유명한 관광지다 특히 예류지질공원은 희귀한 모형의 바위와 암석이 모여 있어 예류 관광의 필수코스로 꼽힌다 작은 곶으로 된 예류지질공원은 침식과 풍화 작용을 거쳐 자연적으로 형성된 기암을 보러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지질공원으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것이 선상암 군락이다 암석 하나하나의 모습은 마치 거대한 버섯이 큰 머리로 하늘을 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선상암 가운데 가장 유명한 암석은 이집트 왕비의 옆모습을 닮은 여왕 두상 바위다

10-7 스펀(Shifen)

스펀(十分)은 옛 광산마을로써 천으로 만든 등이 유명하다 또한 이 곳 스펀은 대만 최대의 폭포 스펀(SE-FEN) 폭포가 있다 미니기차와 천으로 만든 등을 날릴 수도 있다 마을의 한가운데 긴 철길이 놓여 있고 30분에 한 대씩 기차가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것도 볼 수가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6 -

10-8 진과스(金瓜石)

진과스(金瓜石)는 타이완 타이베이 근교에 있는 옛 탄광 유적이다 20세기 전반에 금 채굴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20세기 후반에 금이 차차 고갈되기 시작하자 점점 위축되어 폐광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관광 명소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하루에도 수백명이 들렀다 가는 대만의 대표 관광지이다 진과스 내에 있는 황금 박물관에는 220kg 의 금이 전시 되어 있는데 손을 넣어 직접 만져 볼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진과스에서는 과거 광부들이 먹었던 도시락을 그대로 만들어 판매하는 광부 도시락도 굉장히 인기가 많다

10-9 국립 성공대학

대만의 타이난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1931년에 개교하였다 2010년 QS대학순위에서 283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대만 대학중 2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총 9개의 캠퍼스로 이루어져 있어 굉장히 큰 면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만 교육청에서 인정한 9개의 주요대학 중 하나이고 대만 기업체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학이다 이공계열이 가장 뛰어나며 중문 역사 법학 경제학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10 시먼딩

타이베이시에 위치한 시먼딩은 한국의 명동과 같은 거리이다 대한민국의 명동에도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과 외국인이 많다고 알려져 있는데 시먼딩 또한 명동 못지않은 다양함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대만의 패션과 놀이 문화 음식 등을 한눈에 경험 할 수 있는 공간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7 -

10-11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

중정기념당은 타이완 총통 장제스(蔣介石)를 기리는 전당이다 lsquo중정rsquo은 장제스의 본명이다 그가 서거한 후 1980년 기념당을 세웠다 25만에 이르는 넓은 중정공원 안에 우뚝 선 높이 70m의 기념물이 중정기념당이다 기념당 1층에는 장제스 생애를 엿볼 수 있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거대한 장제스 동상은 항상 근위병이 동상 앞을 지키고 있다 중정공원 안에는 중정기념당 외에 국립 희극원과 국립 음악청이 있는데 이곳에서 연극과 콘서트를 한다 공원 조경 또한 잘 조성되어 있어 산책하며 천천히 둘러보기에 좋다

10-12 안핑지구(安平地區)

대만의 문화와 역사는 안핑지구에서 시작되었다 안핑구바오는 17세기 중엽 네덜란드인들이 지은 요새로 정성공이 빼앗아 번영하다가 황폐해져 지금은 보루의 대부분이 없어지고 설탕과 굴껍데기와 찹쌀가루를 버무려 만든 빨간벽돌로 된 장벽(臺灣城殘蹟)만이 남아 나무뿌리와 존립의 사투를 벌이고 있다 감시탑 옆 건물 안에는 네덜란드와 정성공의 전투에 대한 이야기와 중세갑옷 등이 전시 중이다 이 주변에는 대만에서 가장 오래된 상업거리 옌핑제(延平街)가 있는데 옛 명성이 다한 거리의 골목 사이사이 수백년 된 가옥을 구경하는 것도 소소한 즐거움이다 1867년 영국인 상점과 물류창고로 이용하던 건물에 노용수(老榕樹)가 멋대로 자라 건물을 집어삼키듯 뒤덮은 나무집으로 불리는 안핑수우도 안핑지구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진귀한 볼거리다

10-13 미라마 관람차

대만에서 가장 큰 관람차로 알려져 있는 미라마 관람차는 타이페이 시의 야경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관람차 크기가 큰 것으로 유명하지만 가격 또한 저렴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유스트래블 카드를 이용하면 50 할인이 적용되므로 꼭 지참하도록 하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8 -

lt미라마 관람차 티켓gt lt유스트래블 카드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9 -

11 시사점 및 차후 활용계획 (LGC 프로그램을 통한 구체적인 효과 및 연구결과)

11-1 LGC 프로젝트 만족도

구분 항목 전 후 한줄 평

사업단

프로젝트 취지- 린튼 글로벌 학과와 경영정보학과 학생들이 함께

하는 프로젝트 해외시장탐방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사전교육 활동- 출국 전 각 나라에 대한 유의사항 안전교육이 체

계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개략적인 보고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었다

행정지원 절차- CK사업단 린튼 글로벌 학과 경영정보학과 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히 되지 않아 사전 계획에서 많은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협동력 향상- 출발 전 잦은 팀 회의와 8박 9일 간에 일정에도

불구하고 불화 없이 좋은 분위기 속에서 프로젝트를 완수 했다

추진력 향상- 일정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 한 점 추가 자료조

사를 위해 현지에서 새로운 일정을 추가 됐을 때 팀원들이 일사불란하게 따라주었다

문제해결 능력- 교통편 문제와 기업 측 내부 문제로 일부 일정에

변동이 있었지만 신속한 조율과 전화 통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개인

동기부여 자극- 현지인들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국어 영어 능

력의 필요성을 실감했다 특히 중국어는 소통 유무에 따라 현지 반응이 극명하게 갈렸다

진로설계 도움- 프로젝트 전에 비해 새로운 직업 분야에 대한 관심

이 증가했다

취업능력 향상-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한 내용을 살려 구술 면접이

나 자기소개서 작성에 참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11-2 LGC프로젝트 연구 결과 - 대만 시장

⓵ 중국시장을 주목하는 대만 화장품 기업- EST팀은 현지 대만 화장품 기업으로 SISDORA와 WABFENIX를 선택했다 두 회사를 선정한 배경에는

명확한 의도를 두고 정했다 SISDORA는 설립한 지 10년이 넘는 회사로 직접 화장품을 개발 및 연구하고 판매하는 중소기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과 주름개선 크림으로 중년 여성을 타깃 층으로 하는 화장품 회사다 반면 WABFENIX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스타트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 이지만 기술개발 보다는 디자인 마케팅에 중점을 두었고 판매 층도 10대-20대의 젊은 층을 타깃 층으로 한다 시장 전략이 완연히 다른 두 기업이 유일하게 공통점이 있다면 중국시장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선정 이유에는 많은 인구의 소비력을 꼽지만 뒤이어 언급하는 이야기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자사 제품의 경쟁력 약화를 말한다 현재 대만 기업 대부분은 내수 시장 대신에 중국을 겨냥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국가 산업 특성상 제조amp연구 분야가 강세인 대만에서는 중국 바이어 또는 미국 유럽 바이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직접 판매 보다는 기술 협력을 통해 이익을 창출한다고 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0 -

⓶ 대만 시장을 점령한 한국 화장품

- 앞서 말했듯이 2012년 이후부터 급속히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한국 화장품은 대만 시장을 점령하고 있다 이미 시먼딩에 들어서면 다양한 한국 화장품 매장이 눈에 띌 만큼 들어섰으며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중앙 광장에 입점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매장 안에는 많은 대만 사람들이 화장품을 보고 있는 광경을 흔히 본다 화장품 매장을 이용하는 연령층은 주로 10대-20대들이다 화장품 가격이 한국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주 애용하는 이유는 한류 열풍으로 인한 한국 연예인들에 대한 관심과 화장법이 크게 유행하고 있음을 현지 설문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⓷ 체감할 수 있을 만큼 커다란 한류열풍

- 뉴스에서만 듣던 한류 이야기를 대만에서 직접 느낄 수 있을 정도로 한류열풍은 크다 특히 삼성이나 LG의 TV나 스마트폰은 어딜 가든 항상 보이고 한국 화장품 선물에 대한 반응이 무척이나 뜨겁다 원활한 현지 조사를 위하여 사은품으로 준비한 한국 마스크 팩 100개는 오히려 현지인들이 참여 의사를 표현할 만큼 열정적이었다 일부 대만 사람 중에는 어디서 왔냐는 질문에 한국이라는 답변을 하니 같이 사진 찍기를 제안하기도 했다

⓸ 중소기업에게 있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는 대만 시장진출- 대만 시장 진출에 앞서 한국 화장품 중소기업이라면 전략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크게 대만 시장을 겨냥

할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할지 선택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3CE는 한국 화장품 회사다 대만에서 젊은 연령층이 자주 이용하고 이미 대만 내에서는 유명하다 3CE는 오프라인 매장 없이 순수 온라인 매장으로 운영하면서 대만 사람들을 위한 전용 웹사이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윤을 창출 하고 있다 신중해야 할 점은 현재 온라인 오프라인 등 한국 화장품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신규 진입에 있어서 장벽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대만 시장을 활용한다면 동남아 시장까지 한 번에 내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출입통관 절차가 간단하고 관세가 낮기 때문에 중소기업에게 유리하다 아직까지 중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1 -

에 대한 직접적인 수출이 가능한 곳은 상해나 항주 같이 중국에서 허가한 무역항 도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내륙까지 시장을 확대하기는 불가능하지만 같은 언어권인 대만을 거치면 보다 쉽게 바이어나 에이전트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인맥을 통한 꽌시와 수수료 명목으로 뒷돈을 요구하는 중국 바이어의 관행은 자금 순환이 원활치 않은 중소기업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11-3 LGC 프로젝트 종합 의견 및 전망

우리 lsquoEST팀은 출국 전 국내 화장품 시장 조사를 할 때 대덕 밸리 스타트업 기업 셀아이콘 랩의 영향으로 대만의 화장품 산업에 대해 큰 관심과 가능성을 보고 2015년 1월 5일부터 1월 13일까지 8박9일이라는 시간동안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 나라 중에 하나인 대만에서 rsquo대만의 화장품 시장lsquo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사를 했다 대만에서는 3개의 기업 (KOTRA SISDORA WABFENIX) 을 방문해 전반적인 대만의 화장품 시장과 판매전략 한류에 대한 보다 사실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1개의 대학 (국립성공대학 國立成功大學)에서 MBA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또 타이난에서는 대만에서 오랫동안 사업하시는 한인협회 회장을 만나 PLC (Product Life Cycle)를 통해 대만에서의 특정 시장이 도입기에 있는지 또 어떠한 시장이 쇠퇴기에 놓여있는지 다양한 시야에서 대만시장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노력은 CK 사업단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교육부 CK-1 프로젝트의 일부인 Linton Global Challenge는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몇 년을 내다보는 지속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기업들과 더욱 더 활발한 교류와 연구를 한다면 기업과 CK 사업단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리라고 본다

1 개인 탐방 후기 (팀원 개인 소감)

1-1 개인 탐방 후기

강성민탐방 후기 기업 컨택 부터 인터뷰 일정 계획까지 8박 9일간의 대만 화장품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 출국 전까지 준비 과정부터 탈도 많았고 대만에 와서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 원하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매일이 항상 회의와 고민의 연속이었다 하루하루 충실히 계획을 진행시켜 나갔고 좋은 팀 분위기 속에서 무사히 대만 프로

부록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2 -

젝트를 완수했다 그리고 마침내 한국으로 돌아왔다 과정은 항상 오르막 길이였지만 돌이켜 보면 마지막 대학 시절을 기념할만한 좋은 추억이자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느끼는 바가 많았던 프로젝트로 기억 될 것이다

김은진탐방 후기 글로벌 챌린지를 한마디로 정의하라고 한다면 도종환 시인의 lsquo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lsquo라는 시가 떠오른다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대만기업컨택 설문조사 등 많은 것을 경험했다 처음엔 모든 것이 나에겐 버거운 산이라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도전이 계속 될수록 이젠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이 모든 도전들에 흥미가 생겼다 나 자신도 책임감과 자신감이 생기고 한층 성숙해 진 것을 내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소중한 동료와 추억은 평생 나의 가슴속에 남을 것이다 우린 앞으로도 많이 도전하고 경험하여 우리들의 삶이 활짝 만개하리라 다짐한다 끊임없이 도전하는 20대의 청춘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프로그램이었다 김종선탐방 후기 한국에서 준비하면서 조사했던 내용과 비교하며 인터뷰를 해보니 실제로 많이 다른 부분도 있었고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 비슷한 내용도 있었다 현지의 기업들을 방문해 우리가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직접 매장에 가서 느껴보니 앉아서 컴퓨터만 볼 때랑 많이 달랐다 그리고 직접 대만인들에게 설문조사를 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그리고 대만의 실제 문화와 환경 그들의 생활을 잠시나마 볼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

구명우탐방 후기 며칠간의 꿈만 같았던 대만에서의 시간이 지나갔다 대만으로 출국하기 전 사전조사 기간에는 확신이 없었다 사전조사와 기업과의 인터뷰 그리고 9일간의 일정조율 및 숙박과 모든 대만에서의 연구와 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보고서까지 무엇하나 확신이 드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도전과 해결능력을 배웠고 아시아에서 급성장 중인 대만에 대해서 배우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다음기수로 가게 될 관심 있는 학우들에게 진심으로 추천해주고 싶다

이규현탐방 후기 CK-1 프로그램 중 하나인 lsquo린튼 글로벌 챌린지lsquo 프로그램을 통해 약 8박 9일이라는 시간 동안 emerging market 중 하나인 대만에 거주하면서 한국 화장품의 대만시장 점유율과 진출 가능성을 몸으로 체감하고 자료들을 모아 통계 내어 정리할 수 있었다 우리 팀 lsquoEST가 성공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충분한 국내조사 기간을 갖고 대만의 화장품 회사들을 방문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대만의 특정한 기업을 찾기도 어려웠고 기업 컨택은 번번히 거절당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회사 두 군데에서는 답장조차 오지 않았고 설문조사할 때에는 반한감정의 대만인을 만나 고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팀의 단결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리더의 통솔력으로 정해진 스케줄대로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회사를 방문하고 학교교수를 만나고 길거리에서 설문조사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팀원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또한 대학생으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을 한 것 같아서 스스로도 너무 뿌듯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팀을 믿고 지지해주신 LGSB 교수님들과 CK-1 프로그램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영은탐방 후기 처음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렇게 준비는 열심히 하지만 정말 우리가 계획한 100대로 대만을 다녀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기우가 무색하게도 대만은 우리에게 기획안 그 이상의 것들을 보여주었다 사장님들의 생생한 사업 이야기와 대만의 색채가 묻어있는 아이템들 하며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여 알아보는 비즈니스 마켓의 현장은 나에게 두고두고 잊지 못할 자산으로 남았다 또한 펑리수 버블티를 비롯한 대만의 맛있는 먹거리들과 스린 야시장이나 지우펀 같은 명소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열심히 고생해준 팀원들과의 추억들도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3 -

이서우탐방 후기 이번 글로벌 첼린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서 쉽게 할 수 없는 해외 기업 탐방과 해당 국가의 산업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임효진탐방 후기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팀이 대만을 방문 한다고 했을 때 많이 의아해 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만을 직접 방문해보고 많은 사업자들을 만난 결과 대만은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라고 생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아직 공산주의라는 정치적 특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다른 곳보다 훨씬 어렵지만 대만은 자유시장체제 이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쉽다 특히 외국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만 시장에서 한국제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추고 중국 시장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성공가능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그리고 대만의 바이어들을 통해 중국의 시장진출을 하게 된다면 사업자가 직접 중국시장에 진출 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성공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만은 문화적으로 다른 아시아권보다 선진화 되었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대도시에 속하지만 모두다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골고루 섞여 대만만의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차안호탐방 후기 9박 10일간의 대만을 다녀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넓고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이번 대만 여행은 처음으로 경험한 해외여행 경험이여서 그런지 순탄치 않은 면도 있었지만 팀원들 서로가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만시장은 중국시장으로 가기위한 좋은 시험의 장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대만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영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더 나아가 미래에는 중국어야말로 영어와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성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또 하나 놀란 점은 대만이 반 한류 감정을 많이 갖고 있는 줄 알았지만 대부분의 대만 일반 시민들이 굉장히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에 놀랐고 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CK-1 사업의 챌린지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대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계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보완점 및 건의사항 (문제점개선책건의사항)

2-1 기업 컨택의 어려움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에 있는 기업과 연결하여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대해서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조사 및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시간을 내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로써 그들의 귀한시간이 아깝게 쓰이지 않을 것을 강조하여 만남을 만들어야 한다

2-2 사업단과 의사소통의 불편함

Challeng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CK-1 사업단과의 지속되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가령 누군가를 통해서 전해지는 소문이나 촉박한 시간을 제시하고 일 처리를 원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단과 각 팀의 대표간의 분명한 의사소통과 증빙자료 등이 필요하다

2-3 정보 부재 이번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이머징 마켓에서의 유망 산업 조사 및 연구였다 대만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15: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5 -

순위 품 목 2012년 2013년 2014년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1 반도체 8114 117 8874 94 4438 -102 기구부품 757 124 867 146 341 -2343 철강판 420 -312 398 -52 181 -1474 컴퓨터 616 -570 356 -422 171 -635 기타석유화학제품 227 -103 199 -125 143 9856 플라스틱 제품 324 229 288 -111 136 -1057 동제품 156 46 194 245 125 2108 합성수지 159 -19 172 81 108 2739 평판디스플레이및센서 133 -215 138 35 106 29110 기초유분 155 -250 132 -143 98 425

lt한국의 對대만 10대 수입 품목gt (단위 백만 달러 )

주 MTI 3 분류 2013년 수입액 순 자료원 한국 관세청

양국 간 상호 투자현황

대만의 對 한국 투자현황lt대만의 對韓 투자동향gt

(단위 건 백만 달러)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1~6월 누계(62~2014)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5 34 7 280 9 21 14 61 3 3 184 615

자료원 대만 경제부 투자심의위원회 신고 기준

Ÿ 대만기업의 對韓 투자는 10~20만 달러 규모의 판매법인 설립이 대부분이며 대규모 그린필드형 투자는 중국 및 동남아지역에 RampD형 투자는 미국과 일본에 집중되고 있음thorn 대만기업의 對韓 투자는 지난 5년간 연평균 25천만 달러에 불과

Ÿ 또한 중국 투자환경 악화로 동남아 등지의 신흥시장으로의 제조기반 이동에 대한 투자가 늘고 있으며 유턴투자도 증가

Ÿ 한편 주요 산업분야에서 대만은 한국과 경쟁적 보완관계이며 일본과는 보완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음thorn 특히 한 대만간 반도체 디스플레이 기업간 경쟁이 심해지면서 대만 IT업계를 중심으로 lsquo聯日抗韓(일본

과 연합하여 한국을 견제하자)는 주장이 제기되는 등 대만기업의 일본 편중현상은 심화되고 있음Ÿ 지금까지 대만의 대표적인 對韓 투자사례로는 2007년 IC디자인 기업인 SIMO의 FCI 인수(8800만 달러)

2010년 대만의 최대 철강회사 CSC의 동부메탈 지분인수(4200만 달러) 2010년 IC 테스팅 업체 Ardentec 웨이퍼 테스팅 공장 설립(4000만 달러) 2012년 6월 반도체 패키징 업체인 ASE의 라인증설(8000만 달러) 등이 있음

Ÿ 최근에는 금융권을 중심으로 한국기업에 대한 MampA SI 투자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어 주목받고 있음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6 -

thorn 2013년에는 대만의 1위 증권사 위안타가 한국의 동양증권 인수를 발표 양국의 금융감독기관 허가를 받아 2014년 연내 합병 추진 중(25억 달러)

thorn 또한 다국적 제약회사 Alvogen은 대만 LOTUS를 인수 동아시아 HQ로 삼고 한국 제약회사(드림파머) 인수를 추진 중

우리나라의 對 대만 투자현황

lt한국의 對대만 투자동향gt (단위 건 백만 달러)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1~3월 누계(lsquo68~lsquo14)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43 13 44 47 38 9 34 68 15 5 646 617

자료원 한국수출입은행 신고 기준

Ÿ 제조업 분야에서의 對대만 투자는 시장개척 및 고객사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임

Ÿ 우리기업의 대표적 투자 사례로는 2005년 LCD 장비 업체 PKL사의 LCD용 포토마스크 공장설립(4000만 달러) 2007년 게임업체 넥슨의 감마니아 지분인수(2100만 달러) 등이 있음

Ÿ 2011년 4월 미래에셋(Mirae Asset Global Investments)은 타이완라이프자산운용에 약 1000만 달러를 투자 자산운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Ÿ 2014년에는 PCB 기판 업체 달마전자가 가오슝에 공장을 설립 9월 준공식을 앞두고 있음

3 탐방 목적 (주요 목표부가 목표기대 효과)3-1 탐방 목적

주요 목표 1 대덕밸리 스타트업기업 (주)셀아이콘랩의 대만진출 가능성 탐색 2 대만 소비자들의 기능성 화장품 인식 조사 3 대만화장품시장의 유통경로 조사

기대 효과기업측면 기대 효과

⓵ 현지 시장조사 자료 획득⓶ 자사 시제품 반응결과 파악⓷ 사업단과의 지속적인 연계

사업단측면 기대 효과⓵ CK 사업 목표 또는 취지에 부합(CK ndash University for Creative Korea)⓶ 새롭게 출발하는 lsquo글로벌IT경영학과rsquo의 홍보전략으로 활용 가능

학생측면 기대 효과

⓵ EST팀 특강 ndash 학과 내 MIS Day 혹은 관련 과목 강의에서 특강⓶ 해외 탐구 동아리 개설⓷ CK 멘토와 후원 활동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7 -

4 사전조사 활동 (셀아이콘랩)

4-1 기능성 화장품 연구amp제조 기업 lsquo셀아이콘랩rsquo 기업 인터뷰

회사 소개

회사명 셀아이콘랩주소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대로 1646 한남대학교 사이언스파크 312호 대표자명 성민규 대표 사업분야 코스메슈티컬 펩타이드 소재개발 피부 전문가용 코스메슈티컬 화장품 OEMODM 주문 생산 방식

인터뷰 내용 1) 셀아이콘랩 2014년도에 많은 해외 박람회에 참여하고 있는데 해외시장 진출 의사가 있으신가요= 저희 회사의 사업화 로드맵을 보시면 2014년에 해외영업 마케팅 판매가 계획되어 있고 올해 들어 중국 러시아 카자흐스탄 말레이시아 등 여러 나라를 방문하여 박람회에 참가하고 실질적으로 상품을 판매하고 반응을 살피고 있습니다

2) 그렇다면 대만 화장품 시장 진출에 대해 고려해본 적은 있으신가요 만약 진출을 고려해보았다면 대만의 화장품시장에서 원하는 자료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대만시장을 접할 기회가 부족했을 뿐 내년에 대만 시장진출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셀아이콘랩은 현재 거래중인 중국 카자흐스탄 등지의 국가들에서 더 나아가 대만이나 홍콩과 같은 중화권 시장의 가능성을 느끼고 해당나라에 진출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요구사항 대만의 수출수입 인허가 절차 관세 세금 시장가격 형성 요인 화장품 유통 채널 구매경로 트렌드 또한 대만 시장에 뷰티샾(우리나라의 올리브 영)같은 종합 매장이 형성과정 실질적인 구매력을 알아보기 위한 대학 졸업생의 평균 초봉 등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8 -

5 화장품 산업 및 환경 분석 (연구자료 첨부)

구분 2011 2012 2013(1월 ~ 11월)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및 성장률 19427798 42 19421349 00 191454345 08

5-1 화장품 시장 동향

시장규모 및 전망thorn 대만의 약품 및 화장품 시장규모는 2013년 기준 1914억 달러로 2012년 대비 008 증가

최근 3년간 대만 약품 및 화장품 시장규모 및 성장률 (단위 천 달러)

자료원 대만경제부 통계처

시장전망thorn 수요 감소 예상 요인 대만 화장품시장은 다양한 국산 수입제품들이 오랜 시간 경쟁하는 포화된 시장thorn 종합의견 다수 유명 외국 브랜드(예 SHISEIDO KOSE 등)는 대만에 공장을 설립해 국산 브랜드와

경쟁하고 있으며 대만 정부의 각종 규제가 엄격하고 많아 허가 관련 등록서류 및 비용으로 인한 진입 장벽이 큼

소비자 구매 패턴thorn 주요 소비자 계층 14~55세 등 다양thorn 소비자 구매 동기 귀엽고 여성스러운 디자인 미백 보습 등과 같은 눈으로 확인 가능한 기능성 민감

성 피부에 바로 사용 가능한 화장품을 선호하는 추세

제품 트렌드thorn 대만 시장에서 국산 브랜드보다 수입 브랜드의 인기가 더 높으며 그중 일본 브랜드가 장시간 많은 인

기를 유지하여 왔음thorn 최근 한국 드라마에서 스타들이 연출하는 화장법 또는 유명 스타가 광고하는 한국 화장품이 큰 인기

를 얻고 있으며 한류 열풍으로 대만에서 수입 화장품 판매량이 늘어나면서 국산 화장품의 신제품 개발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

thorn 피부과 및 의학미용센터에서 다양한 시술(보톡스 반점 제거 여드름 크리닉 모공축소 레이저 비지 제거 등)을 받아 꾸준히 피부관리를 받고 다니는 여성들이 많아지는 추세에 따라 기능성을 강조하는 의학미용(aesthetic medicine) 화장품 혹은 시술 받고 나서도 바로 사용 가능한 기초화장품(무자극 보습효과 강조)이 유행하기 시작함

해당 산업 관련 정부 정책thorn GMP 정책 글로벌 추세에 따라 대만 화장품의 품질middot제조 수준 및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대만 경

제부공업국과 대만 위생서는 2008년 9월 4일부터 lsquo자발성 화장품 우량제조규범 검증제도(自願性化妝品優良製造規範驗證制度)rsquo를 실시한다고 발표함 약품 의료기기 식품을 이어 화장품이 네 번째로 GMP검증을 받는 산업이 되었음 ISO 22716 규범으로 주요 참고 근거로 보고 있음 동시에 화장품 GMP 추진 플랫폼을 설립하고 기업 문의에 대한 상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9 -

구분 2011 2012 2013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및 성장률 614293 1192 600356 -227 557784 -085

순위 국가 금액 점유율 증감율2011 2012 2013 2011 2012 2013 1312

총계 614293 600356 557784 100 100 100 -0851 일본 248980 237052 199987 40531 39485 35854 -113212 프랑스 116031 111983 110509 18888 18653 19812 45333 미국 89984 96689 89924 14648 16105 16122 -03914 한국 29779 29329 36746 4848 4885 6588 386345 중국 23444 30114 30138 3816 5016 5403 99486 영국 15895 14619 14482 259 2435 2596 29227 독일 16799 14327 14159 274 2386 2538 96758 스위스 13631 12401 11151 222 2066 1999 -5329 태국 9929 9214 8943 162 1535 1603 533310 이탈리아 12312 8853 8632 2 1475 1548 7727

5-2 수입동향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동향 (단위 천 달러 )

주 대만 국제무역국

최근 3년간 상위 10개국의 수입통계

주요 수입국 현황(HS Code 330499 기준) (단위 천 달러 )

자료원 대만 경제부 국제무역국 중화민국수출입무역통계(httpcus93tradegovtwFSCI)

수입관세 및 관련 제도thorn 관세 0thorn 통관 시 유의사항 대만에서 화장품은 의료용 또는 약품을 함유하지 않은 lsquo일반화장품rsquo과 lsquo함약화장

품rsquo 등 세 종류로 나눠져 있음 함약화장품의 경우 통관 시 대만 위생서에서 발행한 위생허가증을 제시해야 함

thorn 필수 인증 현황 함약화장품(예 염색제 파마제 자외선차단제 땀 억제제 치아미백제 등)은 대만 위생서 허가를 받아야 수입 및 제조판매를 할 수 있음 허가 신청 시 제품명 성분 제조업체명 제조업체주소 해외 수입업체명 수입업체주소 제품 전성분 용량 용도 사용법 유효기간 샘플 Certificate of Analysis Certificate of Sales SPF ampUVA 검사보고서 등이 필요함(세부사항은 대만 위생서 홈페이지 참조바람)

5-3 유통구조

유통채널 종류thorn 오프라인 백화점 H ampB(Watsons Cosmed SaSa 등) 방문판매 약국 각종 마트 편의점 피부과

피부관리센터 전문판매점(로드숍)thorn 온라인(여기는 virtual channel을 뜻함) 홈쇼핑 온라인 쇼핑몰(경매 브랜드 홈페이지 등 포함) 우편

주문(郵購) 등이 있음

유통채널 점유율 오프라인 유통채널의 점유율은 여전히 70~90 정도로 높게 차지하고 있으나 온라인 유통채널의 점유율도 빠른 속도로 상승하고 있음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0 -

브랜드명 제품명 가격 판매순위

SHISEIDO 100 1

SKII 133 2

ESTEE LAUDER 100 3

항목 내용전시회명(현지어명) 2014春夏國際美容化妝品展전시회명(한국어) 2014 춘하 국제미용화장품 전시회

전시품목 미용 화장품개최국가도시 타이베이

유통채널 활용 방안 아직까지 온라인 채널의 점유율이 높지 않으나 대만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블로그 등)에 영향을 많이 받는 편이어서 오프라인 채널에 진입하기 전에 온라인으로 먼저 마케팅(브랜드 이미지메이킹 블로거 마케팅 등)을 진행하는 방법을 추천함 대만 오프라인 채널의 진입장벽은 매우 높으며 비교적으로 이윤이 많이 남는 온라인시장에서 브랜드 파워를 먼저 키우면 오프라인 채널에 들어가는 길이 훨씬 수월해질 것으로 예상함

5-4 경쟁동향

경쟁제품 현황주요 경쟁제품 현황

(단위 달러)

한국 제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 및 선호 브랜드 현황thorn 한국 제품 현지 인지도 높음thorn 선호 브랜드 3CE INNISFREE NUTURE PUBLIC MISSHA THE FACE SHOP LANEIGE 등

5-5 효과적인 시장 진출 전략

타깃 고객층thorn 타깃 고객층 20~30대 초반thorn 타깃 사유 유행에 따라 새로운 것을 많이 도전하고 한류의 영향도 가장 많이 받는 젊은 층이 한국

화장품을 소비하는 경우가 많음 35세 이후의 직장 여성 혹은 가정주부들은 여전히 일본 혹은 유럽 미국의 고가 화장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활용 가능한 마케팅 방안 ⓵ 현지 전시회 정보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1 -

개최주기 3월경개최기간(2014년) 0321~0325

웹사이트 httpwwwudnicecom

⓶ 전시회 이외의 주요 마케팅 방안 블로거 마케팅 등 ⓷ 유력 홍보 방안(전문잡지 온라인 매체 등)

thorn 온라인 매체 Fashion guide(httpwwwfashio guidecomtw) UrCosme(httpwwwurcosmecom)

thorn 전문잡지 VIVI BEAUTY 大美人 Style W Marie laire Fashion Guide 등

시장 확대를 위한 무역관 의견 대만 화장품시장은 가격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 시장 진입 시 확실한 브랜드 포지션을 정해야 하며 해당 포지션의 대만 제품 가격을 조사한 후에 대만 최종 소비가격을 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

또한 소비자들은 할인세트 및 사은품에 약하여 각종 행사 진행 시 사은품 증정 혹은 묶음세트로 판매하는 것을 추천 보습(특히 히알루론산 성분 강조) 및 미백(대만 정부에서 인증된 미백성분이어야 함) 제품을 매우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6 탐방 상세 일정 (일정표 - 기간 지역)

날짜 지역105(월) 인천 ~ 대만 타이페이

시간 일정0600 인천공항 도착

0600 ~ 0920 인천공항 대기0920 ~ 1140 인천공항 rarr 대만 1140 ~ 1230 대만 입국 수속1230 ~ 1320 숙소 이동 (용산사 역)1320 ~ 1500 짐정리1500 ~ 1600 회의 및 일정정리1600 ~ 163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630 ~ 1800 KOTRA방문 및 인터뷰1800 ~ 1830 101타워 딘 타이 펑 이동(도보)1830 ~ 1910 저녁식사 - 딘 타이 펑1930 ~ 2100 101 타워 야경감상2100 ~ 2130 숙소로 이동2130 ~ 223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6(화) 타이페이

시간 일정0900 기상

0900 ~ 110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30 ~ 1230 점심식사 - 마라훠거1230 ~ 1300 SISDORA 본사로 이동

6-1 8박 9일 대만 일정 (150105 ~ 150113)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2 -

1300 ~ 1530 SISDORA 방문 및 인터뷰1600 ~ 1800 101타워 퍼스널 트레이닝 센터 방문1800 ~ 1930 저녁식사 - 카렌 레스토랑1930 ~ 2000 숙소로 이동2000 ~ 2100 개인 휴식2100 ~ 223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7(수) 타이페이

시간 일정0900 기상

0900 ~ 113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30 ~ 120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200 ~ 1250 점심식사 - 키키 레스토랑1250 ~ 1300 시먼딩 이동1300 ~ 1530 화장품 설문조사1530 ~ 1830 한국 화장품 매장 제품 조사1830 ~ 1900 야시장 이동(MRT)1900 ~ 2000 저녁식사 ndash 야시장 음식2000 ~ 2030 숙소로 이동2030 ~ 2130 개인 휴식2130 ~ 230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30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8(목) 타이페이 ~ 타이난

시간 일정0830 기상

0830 ~ 110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00 ~ 1200 체크아웃 및 고속철도역 이동1200 ~ 1340 타이페이 rarr 타이난 이동1340 ~ 1400 짐 보관 및 인터뷰 장소 물색1400 ~ 1600 가오슝 한인협회장 인터뷰1600 ~ 1700 숙소도착 및 짐정리1700 ~ 1800 개인 휴식1800 ~ 1900 저녁식사 - 새우롤2000 ~ 2230 중간 정리 및 보고서 작성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9(금) 타이난

시간 일정0800 기상

0830 ~ 0900 아침 식사0900 ~ 1130 타이난 일정 브리핑 및 팀 미팅1130 ~ 1210 타이난 시내로 이동(TAXI)1210 ~ 1320 점심식사 - 스시1320 ~ 1350 성공대학 이동(도보)1350 ~ 1700 성공대학 방문1700 ~ 1800 성공대학 캠퍼스 탐방 및 대학원생들과 대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3 -

1800 ~ 1830 저녁식사 - 대만 전통 음식점1830 ~ 1900 타이난 RT마트 이동(도보)1900 ~ 2030 RT 마트 장보기2030 ~ 2100 숙소로 이동2100 ~ 2200 개인 휴식2200 ~ 2330 팀 회의 및 예산 정리

23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12(월) 타이페이

시간 일정0800 기상

0800 ~ 0900 아침식사(호텔 조식 제공-선택)0900 ~ 1130 호텔 개인시간1130 ~ 123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230 ~ 130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300 ~ 1600 Wabfenix 방문 및 인터뷰1600 ~ 1630 간식 - 망고차차1630 ~ 1700 시먼딩 이동(MRT)1700 ~ 1830 화장품 설문조사 활동1830 ~ 1930 저녁 식사 - 코코이찌방야2030 ~ 2130 개인 휴식2130 ~ 2300 팀 회의 및 예산 정리

230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13(화) 대만 ~ 인천공항

시간 일정0800 기상

0800 ~ 0900 아침 식사0900 ~ 1130 짐정리1130 ~ 1200 체크아웃1300 ~ 1400 점심식사 - 스시(시먼딩)1400 ~ 1430 쑹산 공항 이동(TAXI)1430 ~ 1530 시먼딩 rarr 쑹산공항1530 ~ 1730 출국 대기1730 ~ 2100 대만 출국 rarr 대한민국

2100 대한민국 입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4 -

7 방문 기업 소개 (인터뷰 내용)

7-1 대만 KOTRA

-2015년 1월 5일 월요일 1630~1800 인터뷰-위치 台北市 基隆路 1段 333號 22樓 14室(2214室) Intl Trade Building 22층-전화 (886-2)2725-2324 -팩스(886-2) 2757-7240

Q대만에 대하여 간단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우선 대만은 남한의 13의 해당하는 영토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구역시 남한에 비해 적은 2천 3백만 명 정도이며 기후는 아열대 몬순 기후권으로 비교적 따듯한 날씨입니다여러분이 대만에 와보셔서 알겠지만 대체로 습한느낌을 받으셨을 탠대 대만은 겨울에도 남한만큼은 춥지 않습니다 언어는 주로 중국어를 사용하며 문자는 중국과 살짝 다른 번자체를 사용합니다1인당 GDP는 2013년 기준 20984 달러 정도이며 산업구조는 제조업과 도소매업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Q현재 우리나라의 어떤 기업들이 대만에 진출해 있는지 궁금합니다

A최근에는 화장품을 주력 제품으로 아모레퍼시픽등 화장품 대기업들이 타이페이 시내에 로드샵을 많이 개점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대만은 제조업과 도소매업이 주를 이루다 보니 20~30년 전부터 진출한 기업들이 계속해서 입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주로 삼성물산 현대종합상사 LG상사 LG전자등 대기업이 주를 이루고 있고 우리나라 기업은 1년에 한 기업정도 대만에 진출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Q그렇다면 대기업을 제외한 중소기업들이 대만시장에 진출하지 않는 이유가 따로 있습니까

A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아무래도 중국시장이 개방을 하면서 인 것 같습니다 기존에 진출해있는 기업들은 과거 대만이 인프라 구축이 미흡했을 당시 해외투자를 많이 받으면서 비교적 좋은 조건으로 대만에 진출하고 인프라 구축등 사업을 진행하면서 기반을 다졌을 겁니다 그 기반으로 지금까지 대만시장에 진출해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중소기업의 경우는 해외투자가 너무 모험적이며 대만 시장과 중국의 시장을 비교하여 봤을 때 인구가 차이가 약 8배 정도 나며 중국에 비해 비교적 작은 시장이라고 느껴 대만보다는 중국에 많이 진출하는 것 같습니다

Q마지막 질문으로 만약 우리나라 중소기업이 대만시장에 진출할 때 유의해야 할 점이나 좋은 팁이 있을까요

A대만 시장에 완전히 진출해야겠다는 생각보다는 중국이나 다른 중화권 나라의 진출하기전 시험의 장소로 생각하고 진출해보는 것은 나쁘지 않다 생각 합니다 아무래도 대만의 인구가 많은 편이 아니다보니 불리한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5 -

조건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이나 다른 큰 중화권 시장으로 진출하기 전에 언어나 문화 중화권사람들의 사고방식등 여러방면에서 시험해 볼 수 있는 좋은 장소는 틀림없습니다 중소기업이 대만시장에 진출할 때는 코트라를 이용하여 각종 정보나 현지 인프라등을 이용하는 것 또한 하나의 방법이며 무엇보다 중화권의 문화와 중화권 대중들의 생각을 잘 공부하고 언어를 습득하여 오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7-2 SISDORA luxury beauty care

-1월 6일 화요일 1300~1530 인터뷰 1600~1800 101타워 퍼스널트레이닝 센터-주소 No9Aly 10Ln265Sec 4Xinyi RdDaan Dist Taipei City 106-대표 Mr Chung-Cheng Lee -전화886-2-27040889-URL httpwwwsisdoracom

Q 간략한 회사 소개와 SISDORA의 유래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A Isadora는 고대 이집트의 가장 강력한 여신의 이름입니다 Sisdora는 이 여신의 이름을 따서 만든 브랜드 이름입니다 이집트의 고대 여신인 Isadora의 이시스는 선물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고 생명과 건강 아름다움을 담당하는 여신으로도 유명합니다 저희 SISDORA는 비슷한 동음 이의어로 동양의lsquoISIS(이시스)rsquo라는 단어가 있어 브랜드 명을 SISDORA로 정하게 되었습니다Q Sisdora 제품 소개 부탁드립니다

A저희 제품은 안티에이징 미백 마스크 제품을 주력으로 하고 있습니다 동일 제품군을 비교해 봤을 때 가격 및 품질은 상위에 속하는 최상품의 제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마스크 팩 대부분은 종이섬유로 제조하는 반면 저희 Sisdora는 누에의 실(실크)로 만든 마스크 팩 입니다 실크마스크 팩을 제조할 때에는 피부 건강에 좋은 약재 및 약초등을 배합하여 제조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피부에 자극적인 향로를 첨가하지 않았고 수분이 빠르게 흡수 될 수 있습니다 덕분에 저희 마스크 팩을 사용하는 고객들은 부드럽고 산뜻한 느낌을 받으실 수 있을 겁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6 -

Q 귀하의 회사는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어떤 마케팅을 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A 저희는 해마다 대만 타이페이 글로벌 미스코리아 대회에 제품을 협찬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대만 유명 가수들과 함께 제품을 결합시킨 뮤직비디오를 제작하여 마케팅에 힘쓰고 있습니다뿐만 아니라 제품의 품질인증을 바탕으로 러시아 중국 동남아 지역에 진출하는대 힘쓰고 있습니다 저희 제품은 대만 내에서 스킨케어 제품으로써 유일하게 지정 브랜드 수상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저희는 주로 매스컴이나 인터넷을 통한 마케팅이나 엔터테이먼트 컨벤션 산업을 활용하여 마케팅을 하고 있습니다

Q 그렇다면 대한민국의 화장품 제품이 대만에 진출해 있는데 대한민국 화장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는 어떤지 궁금합니다

A 최근 5년 사이에 한국의 드라마 음악등 한류를 타고 대만에도 많은 한국 제품이 등장하였습니다 하지만 대만에는 오래전부터 수입화장품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이탈리아의 산타 마리아 노벨라 프랑스의 아이젠버그등 명품 화장품 브랜드가 오래전부터 입점해 현지 화장품시장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 때문인지 한국 화장품의 인지도는 크게 높지는 않습니다 아무래도 유럽 브랜드 그 다음으로 대만 기업의 브랜드 그 다음으로 한국의 화장품 브랜드 순으로 인지도가 형성되어 있다고 생각됩니다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한국화장품은 다른 명품 화장품들의 가격보다 저렴하고 성능이나 효과 면에서 절대 뒤처지지 않아 한류가 지속되고 마케팅이 잘 이루어진다면 충분히 유럽의 명품화장품의 인지도를 뛰어 넘을 수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Q 한국의 중소기업의 화장품이 대만 시장에 진출하는 것에 대해서는 어떤 의견을 갖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A 한국의 대기업 화장품 브랜드가 아닌 중소기업의 화장품 브랜드가 대만에 진출하는 것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겁니다 하지만 저희 회사도 중소기업으로 시작하여 마케팅 전략을 잘 활용 하여 많이 성장하였습니다 아무래도 한국의 중소기업의 화장품이 대만에 진출하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있겠지만 어떤 마케팅 전략을 선택하느냐가 가장 중요하고 마케팅이 잘 이루어지고 입소문이 퍼진다면 한국의 중소기업 화장품 또한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7 -

7-3 가오슝 한인협회

-1월 8일 목요일 1400~1600 인터뷰-주소 高雄市鼓山區二路37巷弄43-2號(고웅시고산구이로37항81롱43-2호)-대표 尹桓鎬(윤환호) HP 0932-740-538 -電話 07-5211933 -傅眞 07-5214031

Q 대만과 한국과의 무역 관계가 어떠한지 궁금합니다

A 한국과 대만과의 무역은 크게 활발하게 이루어 질 수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대만의 시장 자체가 매우 작기 때문에 대만에 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국내 시장이나 다른 큰 해외 시장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대만 시장을 거쳐서 동남아나 중국 시장으로 진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여서 기존에 존재하는 대기업이나 저처럼 오래 전부터 이민한 분들이 소규모로 중개무역을 하고 있는 정도입니다

Q 현재 한인협회 회장님께서 직접적으로 하는 일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현재 저는 한국의 화장품을 수입하여 대만 현지 기업에게 판매하는 중개무역을 하고 있습니다 대만에 온지 20년이 넘었는데 이런 저런 일을 하다가 기회가 되어 이쪽 일을 하게 되었는데요 처음에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인식이 없어 가격은 비싸고 품질의 보증은 되어 있지 않은 제품이라 소비가 크게 늘지 않았는데 한류 열풍이 불고 한국 드라마의 성공과 그 배우들이 광고하는 화장품의 수요가 크게 늘어 몇 년 전부터 시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Q 한국과 대만과 중국의 관계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해 주세요

A 앞서 말씀 드린 것 같이 한국의 기업은 대만을 통하여 중국 시장의 진출을 위하여 대만 시장을 많이 찾습니다 그 이유는 한국 기업이 대만 시장을 통해서 제품을 인정받는다면 대만과 중국은 같은 언어권의 나라로 대만기업을 통해 중국으로의 활로를 개척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왜 이렇게 돌아서 진출을 하려고 물으셨는데 그것은 쉽게 말해서 말이 잘 통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의 중국어를 잘 구사하는 사람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보다는 대만의 사람이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주고 인정을 해준다면 더욱 쉽게 자리를 잡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8 -

Q 스타트 기업의 대만 진출 성공여부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중소기업이 대만에 들어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현재 한국 내에서의 위치를 높이는데 주력하는 것이 좀 더 낫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대만은 아주 뛰어난 기술력을 가지고 있지만 자체 제품을 생산하지 않습니다 예로 Apple에서 전체 아이디어를 미국에서 한다면 그 아이디어 실행은 대만에서 이루어집니다 그리고 제품의 생산은 대부분 중국에서 이루어 지구요 이렇듯 대만의 기술력과 제품에 대한 이해가 빠르기 때문에 수입을 많이 의존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중소기업이 들어와서 제품을 판매한다 쉽게 성공할 수 없죠

Q 회장님께서는 중국과의 중개무역은 생각하고 있으시지 않습니까

A 네 저는 지금의 생활에 만족하고 있습니다 지금 저의 파트너들과의 관계도 좋고 따로 중국 진출은 생각하고 있지 않습니다 만약에 제가 중국을 진출하게 된다면 현재의 기업들과도 경쟁상대가 되어 저는 생각이 없습니다

7-4 국립성공대학(國立成功大學)

-1월 9일 1350~1700 인터뷰-주소 701 臺南市東區大學路1號-연락처06-2757575 -홈페이지 wwwnckuedutw

대만 국립 성공대학은 931년 타이난에 설립된 이공계 명문 대학입니다 국립성공대학은 66개의 캠퍼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각 캠퍼스마다 특징과 분위기가 다릅니다 우리 국립성공대학은 ldquo북대대 남성공(北臺大 南成功)rdquo 이라는 말이 있듯이 역사는 대만대학의 바로 다음갑니다

국립성공대학의 이름의 의미는 성공은 무엇을 성취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대만의 민족영웅인 정성공(鄣成功)을 기념하기 위한 대학이라는 뜻입니다 성공대학은 정성공이 있던 역사명승 적감루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해 있기도 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9 -

이후 인터뷰로 대만의 소개와 간단한 전공 소개가 있었다

7-5 WABFENIX RENIX GLORY GLORIA GUA

-1월 12일 월요일 1300~1500 인터뷰-주소 14F-1 No420 Sec 4 Xinyi Rd Xinyi Dist Taipei City 110 Taiwan (ROC)-대표 Mr KEN -전화886-5569-0555-URL httpswwwfacebookcomrenixfanspage httpwwwwabfenixcom

Q Wabfenix가 어떤 기업인지 소개 해주세요

A 저희 회사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으로 현재는 매장은 없지만 개발한 제품을 바탕으로 사업을 진행 중이고 대만현지에 저희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저희 회사는 제품의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화장품을 개발하여 대만시장 뿐만 아니라 중국시장의 진출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Q 귀하의 제품은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제품이라 하셨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제품 등이 있습니까

A 우선 Heymore 제품군의 블랙 마스크 팩과 Renix 제품군의 일반 마스크 팩을 출시했습니다Heymore의 경우 선물용임을 부각시키기 위해 디자인에 특히 많은 투자를 하였습니다 중국 중산층을 겨냥한 제품으로 가격대 1봉지에 한화 ₩40000 정도로 높게 책정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가격을 높게 측정한 이유에는 중국 화장품 소비문화 속에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 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에 저가 보급형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0 -

제품인 Renix와 차별을 두는 판매 전략을 선택하였습니다 현재 판매되는 제품은 마스크 팩을 주력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Q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인데 중국을 대상으로 어떤 진출 전략을 갖고 있습니까

A중국에서 열리는 화장품 전시회 화장품 엑스포 행사 바이어 미팅 등 꾸준히 참가중이며 바이어들에게 저희 제품을 어필하고 있습니다 물론 신생기업인 만큼 아직 중국 내에서 뚜렷한 판매 실적을 기록하진 못했지만 타 화장품 기업들과 다른 마케팅 방식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디자인이나 제품의 아이디어를 강조하고 있는데 대표 적인 상품으로 오뚝이 모양을 한 화장품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이 오뚝이 제품을 바이어들에게 어필해 보았는데 대단히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Q 해외시장 마케팅과 대만 시장마케팅의 차이점이 있습니까

A 우선 중국에서의 마케팅은 행사나 전시회에 참여하고 바이어들을 개인적으로 만나는 것에 치중해 있다면 국내 대만시장의 마케팅 전략은 페이스북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대만은 중국에 비해 SNS가 많이 발달되어 있어 자금이 많이 들어가지 않는 SNS마케팅을 하고 있고 각종 자선행사에 참여하여 저희 기업을 홍보하고 있습니다

Q 귀사의 제품을 중국보다 비싼 인건비가드는 대만 제조공장에서 생산하는 겁니까

A타이중에 소재하는 공장에서 마스크를 제조 하고 있습니다 인건비가 비싼 것은 대만 수도인 타이페이에만 주로 해당이 됩니다 지방 소도시에서도 외곽으로 들어가면 저렴한 인건비와 공장 가동비용으로도 제조가 가능 합니다 굳이 중국에 제조공장을 갖지 않는 이유는 신생기업이라 자금문제도 있지만 대만은 OEMampODM에 특화된 국가이기 때문에 품질 좋은 다양한 제품주문이 가능하고 중국 사람들에게도 자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 보다 외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가 더 좋기 때문에 대만에서 생산한 뒤 수출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Q 대만에 한국 화장품 기업이 진출한다면 어떠한 마케팅 전략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 생각 하십니까

A 이미 대만에 한국의 화장품 제품들이 많이 들어와 있습니다 하지만 대만 자체의 화장품 기업들이 기존에 많은 시장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성공을 거두기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최근 한국에 대한 이미지가 많이 좋아졌고 한국의 영화나 드라마 등이 많이 알려지면서 인지도가 높아졌습니다 한국의 대기업의 경우 이러한 대규모 마케팅을 할 수 있으므로 큰 무리가 없겠지만 한국의 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한다면 최종 시장 공략 층은 대만이 아닌 중국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대만은 중화권으로 가기 위한 연결다리라고 생각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또한 중소기업은 큰 마케팅 비용을 부담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대만에서는 SNS나 각종 자선 행사에 참여하여 인지도를 높이는 것을 추천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1 -

Q 같은 제품이지만 대만과 중국에서 판매할 때 가격 책정이 다른 이유가 무엇인가요

A 그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해드리자면 국가마다 소비 성향이나 구매 능력 환율 경제 상황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경영 에서는 가격 차별화(Price discrimination)이라 부르는데요 각 나라의 시장 특성에 적정한 가격대를 책정해서 제품을 판매하는 전략입니다 혹시 중국 상류층이 몇 명인지 알고 있나요 제가 알기로는 대만 인구의 2배인 4000만 명이라는군요 아마도 한국 인구랑 비슷한 규모 일겁니다 게다가 중산층은 약 4억 명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4억 명의 중국 소비자들이 우리 제품을 1개씩만 구입 한다면hellip 상상만 해도 엄청 나겠죠 이야기를 하다 보니 다른 쪽으로 빠졌는데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이야기하면 물론 좋은 제품을 모든 곳에 저렴하게 제공 하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 그러나 항상 시장에서 저렴한 제품만이 성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대만이나 한국처럼 고도의 산업화가 이루어지고 시장이 크게 발전한 안정적인 단계는 좋은 제품이라도 가격 경쟁력에 신경 써야 합니다 왜냐하면 소비자들이 똑똑하기 때문에 정보력이 넓고 합리적인 소비를 지향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가격 성능 디자인 등 많은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중국 시장은 대만이나 한국과는 특성이 다릅니다 저렴하다고 해서 많이 제품이 많이 팔리기 보다는 가격대가 어느 정도 있는 제품일수록 또는 가격대가 높을수록 소비자들이 관심을 보입니다 대체적으로 중국 소비자들은 lsquo저렴한 제품은 품질이 낮거나 효능이 좋지 않은 제품일거야rsquo 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 때문에 화장품 박람회나 전시회에 저가 화장품을 가져와 홍보하더라도 중국 바이어나 소비자들은 큰 관심을 주지 않습니다 처음에 말했듯이 중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2 -

국 소비문화가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라는 심리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Wabfenix의 경우에는 신생기업이라 많은 투자 금액이 없을 뿐 더러 대만 화장품 시장에 진출하기에는 리스크가

크고 진입 장벽이 높습니다 그리고 이미 한국 화장품 기업들이 대부분 점유를 한 상황이기 때문에 대만 내수시장에만 집중하기에는 경쟁력이 부족하죠 그래서 중국을 주력 수출시장으로 삼고 있는데요 저희는 제품 성능 보다는 소비자의 이목을 끌 수 있는 디자인에 더 많은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중국에 Wabfenix만의 화장품 선물 문화를 정착 시키는 것이 목적인데요 높은 제품 가격만큼 소비자의 관심을 끌 수 있고 선물 문화나 꽌시(关系)가 많은 중국 문화 특성에 맞추어 선물용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중국 시장은 현재 젊은 중산층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품질이 낮은 화장품 보다는 수입 화장품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점으로 미루어볼 때 높은 가격 차별화와 Wabfenix만의 디자인 마케팅은 좋은 경쟁력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3 -

8 현지 시장조사 활동 (시장동향사진설문조사 자료)

8-1 시먼딩 설문조사

목적 대만 사람들의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및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대상 10대~20대 여성 및 화장품 전문매장 종사자장소 시먼딩시간 2015년 1월 7일 12일 총 두 차례에 걸쳐 진행방법 ①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 판넬에 국가별로 메이크업 사진을 표시하고 스티커를 붙이는 방식으로 투표함 공정성을 위해 국가 이름은 블라인드로 처리하였고 모두 동일 인물의 사진을 사용함②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표본집단을 50명으로 설정함 설문조사가 끝나면 사은품으로 한국 브랜드 마스크팩 증정함

8-2 사전 기획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판넬 기획도gt

化妝辦法喜好度的調查화장법 선호도 조사

大家給自己喜歡的化妝貼貼紙 여러분이 선호하는 메이크업에 스티커를 붙여 주세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4 -

대만의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안녕하십니까

다음의 내용은 대만 화장품 트렌드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자 관련조사를 실시하고자 하오니

있는 그대로의 생각을 기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귀하의 응답은 통계적 목적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본 설문은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물음에 대한 답변이나 해당란에 v 표를 해 주십시오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7) ② 화장품 전문매장(34) ③ 마트(5) ④ 홈쇼핑(2)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합계 총 50 명

바쁘신 시간에 의견을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지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5 -

8-3 설문조사 활동

lt2015년 1월 7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6 -

lt2015년 1월 12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7 -

lt활동 결과 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8 -

9 설문조사 통계 분석 (설문조사 응답 수분석결과)

9-1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결과gt

설문 조사 질문지 양식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12)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③ 마트(5) ④ 홈쇼핑(6)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9 -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gt

9-2 설문조사 항목 별 의견 및 추측

설문 조사 질문지 항목 (최다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② 20 ~ 25세 (13)

0

5

10

15

20

25

30

20대 이하 20세~24세 25세~29세 30세~39세 40대 이상

rarr 시먼딩은 대만의 홍대거리라 불리는 lsquo융캉제rsquo나 서울의 lsquo명동rsquo과 같이 젊은 층이 주로 활동하는 지역이다 설문조사 중에도 교복이나 체육복을 입은 학생들과 길거리에서 쇼핑을 즐기는 20대가 즐비할 만큼 활기 있는 거리다 덥고 습한 대만 기후 특성 상 과거엔 화장법이 크게 발전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국의 자연스러운 화장법이 큰 인기를 끌면서 시먼딩에 화장품 거리가 조성되어 있을 만큼 유동 인구가 많다 이 점으로 추측해보았을 때 압도적으로 10대와 20대 층이 많은 응답 수를 기록했다고 본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0 -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051015202530

온라인 화장품전문매장 마트 홈쇼핑 방문판매

rarr 대만 또한 한국과 비슷하게 시내에 많은 수의 화장품 전문매장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접근성이 굉장히 높았다 더불어 각 화장품 매장에서는 상품 할인과 같은 각종 프로모션을 진행하기 때문에 구매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 구매한다는 대답도 높은 편이었는데 거의 대부분이 와이파이존이어서 어디서나 인터넷을 한 활발히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온라인에서의 구매율도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0

5

10

15

20

25

30

NT$300 미만 NT$300~NT899 NT$900~NT$1499 NT$1500~NT2999 NT$3000

rarr 응답자들은 대부분이 한 달 간 화장품에 쓰는 돈을 최저 1만원 이상(NT$300 이상)이라고 답했는데 이는 70가 넘어가는 결과로 화장품에 대한 지출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만원 이상이라고 대답한 응답자들 또한 4분의 1을 넘기는데 이것은 젊은 연령층부터 시작하여 최근 피부 관리와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대만의 소비 수준에 대비하여 화장품 소비율이 높은 것도 이 때문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1 -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③ 성능(23)

051015202530

가격 디자인 성능 화장품 모델 브랜드

rarr 아열대 기후에 속하는 대만은 높은 기온과 습한 날씨 탓에 에어컨 환경에 자주 노출돼 피부 수분을 잃기 쉬워 기능성 화장품의 소비가 두드러진다 대만 화장품 시장은 토너 세럼 에센스 로션 크림 등의 모든 스킨케어 제품들이 보습기능을 강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백이나 안티에이징 리프팅 저자극 오일프리(Oil-free) 등의 기능까지 추가된 스킨케어 제품들이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조 화장품 소비가 늘어난 것은 최근 몇 년 들어 다양한 화장품 브랜드 접촉기회가 많아지고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젊은 여성의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색조화장품 또한 메이크업베이스와 BB크림 립스틱과 같은 베이스 메이크업이 수요가 많았다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④인터넷(22)

0

5

10

15

20

25

30

TV 잡지 친구 인터넷 메이크업샵

rarr 최근 빠른 인터넷망과 스마트폰 태블릿PC의 보급으로 인해 사람들과 사람사이의 연결망이 견고히 형성되고 있고 이것이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방법을 얻는 경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만 소비자들은 주로 인터넷 블로그 가족과 친구로부터 메이크업 정보를 획득 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만의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이므로 입소문마케팅과 판매를 바로바로 할 수 있는 유통구조가 도움이 될 것 같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2 -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0

5

10

15

20

25

30

청순 독특 귀여움 섹시

rarr 앞서 살펴보았듯이 대만은 한국과 비슷한 메이크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이것은 곧 청순한 메이크업 컨셉에 관심 있어 한다는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실제로 대만 여성소비자들은 깨끗한 피부 NATURAL한 베이스메이크업을 선호한다 한 듯 안 한 듯 자연스럽고 깨끗한 느낌의 한국식 lsquo생얼rsquo 화장법은 대만에서 한국 드라마 열풍과 함께 유명세를 타기 시작해 현지 각종 온라인 뷰티 사이트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래서 응답의 대부분이 한 곳에 치우쳤고 비교적 개성 있는 메이크업 방법이 드물 것이라는 것을 유추해낼 수 있다

본 설문 조사를 통한 한국 화장품 기업에 대한 시사점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수입 절차로 오랜 시간을 허비해야 하는 반면 대만은 자외선 차단제 성분 함유 제품과 약용 화장품을 제외한 일반 화장품은 별도의 수입 검사 없이 수입할 수 있으므로 대개 중국보다 1~2년 먼저 신상품이 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한류 효과를 겨냥한 중화권 화장품 시장으로 대만을 우선 공략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대만은 대부분이 화장품에 대한 소비를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고 한국 화장품이 많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시장 접근법만 제대로 수립하면 매출이 나는 구조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대만인들이 선호하는 메이크업 방법이 한국과 비슷하기 때문에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은 마케팅 방안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최종분석설문 조사 대상은 대부분 10대~20대의 연령층이었으며 화장품의 주된 구입경로는 lsquo온라인(24)rsquo과 lsquo화장품 전문매장(50)rsquo이 압도적이었다 더불어 한 달 간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lsquo1만 원 이상(72)rsquo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이것은 실제 생활수준에 대비하여 높은 소비량이므로 대만의 화장품 시장 전망이 밝다고 할 수 있다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부분은 lsquo성능(46)rsquo이었는데 이는 스타트업 기업 중소기업에게 유리한 조건이다 메이크업 방법을 얻는 방법으로는 lsquo인터넷(44)rsquo과 lsquo친구(30)rsquo가 높은 비율을 차지했는데 판촉활동으로는 인터넷을 활용한 SNS 홍보 바이럴 마케팅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가장 관심있는 화장 컨셉은 lsquo청순rsquo 이었고 이것은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와 맞물려 우리나라와 비슷한 메이크업 방법을 추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3 -

10 대만 명소 소개 (명소음식행사숙소 소개)

10-1 고궁박물관

대만 고궁박물원은 영국의 대영 박물관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 미국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과 함께 세계 4대 박물관으로 손꼽힐 만큼 세계적은 소장 문물을 자랑한다 건물 규모는 그다지 크지 않지만 소장한 문물의 질과 양은 세계 최상급이다 중화 보물 중에서도 최고의 보물들이 모여 있어 진귀하기 그지없고 수량 역시 워낙 방대하여 3개월 단위로 1만여점을 돌아가면서 전시해도 다보려면 10년이 넘게 걸린다고 전해지고 있다 중국의 국공내전 당시 장제스가 이끌던 중국 국민당이 전쟁에서 패하며 중국을 탈출해 대만으로 향했다 당시 장제스는 난징에 있던 정부를 타이페이로 이전하면서 자금성에 보관되어있던 중국역대 왕조 보물 수십만 점을 배를 이용해 운반해 왔다 중국의 유물을 가진 자가 진정한 통치자라고 생각했던 장제스는 ldquo공산군에게 영토는 내줘도 문화유산만큼은 내줄 수 없다ldquo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대표적인 유물은 취옥배추 육형석 모공정 산씨반 등이 있다

10-2 용산사

루강의 초입에 있는 이 사찰은 타이완에서 가장 오래되고 아름답다고 하여 타이완의 자금성이라고 부른다 각 건물의 기둥 벽 그리고 천장 등에 새겨진 조각은 특히 빼어나다 이 조각상과 함께 이곳의 명물로 알려진 것은 사찰 경내에 있는 2마리의 용상인데 삼천전 앞마당 좌우에 서서 룽산사를 호위하고 있다

10-3 타이페이 101 빌딩

타이베이 101빌딩rsquo이라 부르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로서 빌딩 모습은 하늘로 뻗어나가는 대나무 위에 꽃잎이 겹겹이 포개진 형상이다 본래 타이베이 금융기관이 모인 건물이지만 대형 쇼핑센터와 푸드코트 고급 레스토랑이 있어 여행자들이 많이 찾는다 건물에는 8개 마디가 있는데 이는 중화 문화권에서 부와 번영을 의미하는 숫자 lsquo8rsquo을 염두에 둔 것이다 타이베이 시내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는 높이 508m로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히는 높은 건물이다 지상 1~5층에는 소고 백화점 뷰티 플라자 애버뉴 101 등 다양한 패션∙뷰티용품을 구입할 수 있는 상점이 있다 또한 레스토랑 시티 스퀘어 대형 서점 등 쇼핑과 오락 식사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복합시설이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4 -

잘 알려진 식당으로는 딘 타이 펑(Din Tai Fung) 이 있다 101타워 지하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샤오롱바오(고기만두) 새우 샤오마이(새우만두) 탄탄면(우육면)이 가장 대표적인 메뉴이며 대만에 방문한 많은 사람들이 찾는 식당이다

10-4 지우펀

대만여행의 백미로 꼽히는 지우펀은 타이페이시 북부의 루이팡 지역의 작은 산골 마을로 과거에는 아홉가구만 살고 있어서 지우펀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예전에는 작은 산골 마을에 불과 했지만 이 지역에서 금맥이 발견되면서 호황을 맞이하게 된다 특히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일본풍의 건물들이 남아 있어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결합된 독특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비탈길을 따라 하늘로 이어진 예스러운 건물 그리고 골목마다 빨간 홍등과 함께 묻어나는 옛 풍경은 여행객들에게 인기 여행지이다

10-5 스린야시장

타이베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야시장 가운데 하나이다 독특하면서도 다양한 전통 먹을거리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이곳을 찾는 관광객이 많다 시장 부근에 학교가 많아 학생들이 많이 찾으며 포장마차 등의 노점상이 많아 가격도 저렴하다 칭런샹[情人巷]에는 가구 의류 액세서리 사진현상점 애완용품점 등이 모여 있어 학생뿐 아니라 관광객들도 자주 찾는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5 -

10-6 예류 지질 공원

타이완 북해안에 자리한 예류는 해수욕장과 온천 기암괴석으로 유명한 관광지다 특히 예류지질공원은 희귀한 모형의 바위와 암석이 모여 있어 예류 관광의 필수코스로 꼽힌다 작은 곶으로 된 예류지질공원은 침식과 풍화 작용을 거쳐 자연적으로 형성된 기암을 보러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지질공원으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것이 선상암 군락이다 암석 하나하나의 모습은 마치 거대한 버섯이 큰 머리로 하늘을 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선상암 가운데 가장 유명한 암석은 이집트 왕비의 옆모습을 닮은 여왕 두상 바위다

10-7 스펀(Shifen)

스펀(十分)은 옛 광산마을로써 천으로 만든 등이 유명하다 또한 이 곳 스펀은 대만 최대의 폭포 스펀(SE-FEN) 폭포가 있다 미니기차와 천으로 만든 등을 날릴 수도 있다 마을의 한가운데 긴 철길이 놓여 있고 30분에 한 대씩 기차가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것도 볼 수가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6 -

10-8 진과스(金瓜石)

진과스(金瓜石)는 타이완 타이베이 근교에 있는 옛 탄광 유적이다 20세기 전반에 금 채굴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20세기 후반에 금이 차차 고갈되기 시작하자 점점 위축되어 폐광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관광 명소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하루에도 수백명이 들렀다 가는 대만의 대표 관광지이다 진과스 내에 있는 황금 박물관에는 220kg 의 금이 전시 되어 있는데 손을 넣어 직접 만져 볼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진과스에서는 과거 광부들이 먹었던 도시락을 그대로 만들어 판매하는 광부 도시락도 굉장히 인기가 많다

10-9 국립 성공대학

대만의 타이난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1931년에 개교하였다 2010년 QS대학순위에서 283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대만 대학중 2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총 9개의 캠퍼스로 이루어져 있어 굉장히 큰 면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만 교육청에서 인정한 9개의 주요대학 중 하나이고 대만 기업체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학이다 이공계열이 가장 뛰어나며 중문 역사 법학 경제학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10 시먼딩

타이베이시에 위치한 시먼딩은 한국의 명동과 같은 거리이다 대한민국의 명동에도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과 외국인이 많다고 알려져 있는데 시먼딩 또한 명동 못지않은 다양함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대만의 패션과 놀이 문화 음식 등을 한눈에 경험 할 수 있는 공간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7 -

10-11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

중정기념당은 타이완 총통 장제스(蔣介石)를 기리는 전당이다 lsquo중정rsquo은 장제스의 본명이다 그가 서거한 후 1980년 기념당을 세웠다 25만에 이르는 넓은 중정공원 안에 우뚝 선 높이 70m의 기념물이 중정기념당이다 기념당 1층에는 장제스 생애를 엿볼 수 있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거대한 장제스 동상은 항상 근위병이 동상 앞을 지키고 있다 중정공원 안에는 중정기념당 외에 국립 희극원과 국립 음악청이 있는데 이곳에서 연극과 콘서트를 한다 공원 조경 또한 잘 조성되어 있어 산책하며 천천히 둘러보기에 좋다

10-12 안핑지구(安平地區)

대만의 문화와 역사는 안핑지구에서 시작되었다 안핑구바오는 17세기 중엽 네덜란드인들이 지은 요새로 정성공이 빼앗아 번영하다가 황폐해져 지금은 보루의 대부분이 없어지고 설탕과 굴껍데기와 찹쌀가루를 버무려 만든 빨간벽돌로 된 장벽(臺灣城殘蹟)만이 남아 나무뿌리와 존립의 사투를 벌이고 있다 감시탑 옆 건물 안에는 네덜란드와 정성공의 전투에 대한 이야기와 중세갑옷 등이 전시 중이다 이 주변에는 대만에서 가장 오래된 상업거리 옌핑제(延平街)가 있는데 옛 명성이 다한 거리의 골목 사이사이 수백년 된 가옥을 구경하는 것도 소소한 즐거움이다 1867년 영국인 상점과 물류창고로 이용하던 건물에 노용수(老榕樹)가 멋대로 자라 건물을 집어삼키듯 뒤덮은 나무집으로 불리는 안핑수우도 안핑지구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진귀한 볼거리다

10-13 미라마 관람차

대만에서 가장 큰 관람차로 알려져 있는 미라마 관람차는 타이페이 시의 야경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관람차 크기가 큰 것으로 유명하지만 가격 또한 저렴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유스트래블 카드를 이용하면 50 할인이 적용되므로 꼭 지참하도록 하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8 -

lt미라마 관람차 티켓gt lt유스트래블 카드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9 -

11 시사점 및 차후 활용계획 (LGC 프로그램을 통한 구체적인 효과 및 연구결과)

11-1 LGC 프로젝트 만족도

구분 항목 전 후 한줄 평

사업단

프로젝트 취지- 린튼 글로벌 학과와 경영정보학과 학생들이 함께

하는 프로젝트 해외시장탐방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사전교육 활동- 출국 전 각 나라에 대한 유의사항 안전교육이 체

계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개략적인 보고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었다

행정지원 절차- CK사업단 린튼 글로벌 학과 경영정보학과 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히 되지 않아 사전 계획에서 많은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협동력 향상- 출발 전 잦은 팀 회의와 8박 9일 간에 일정에도

불구하고 불화 없이 좋은 분위기 속에서 프로젝트를 완수 했다

추진력 향상- 일정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 한 점 추가 자료조

사를 위해 현지에서 새로운 일정을 추가 됐을 때 팀원들이 일사불란하게 따라주었다

문제해결 능력- 교통편 문제와 기업 측 내부 문제로 일부 일정에

변동이 있었지만 신속한 조율과 전화 통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개인

동기부여 자극- 현지인들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국어 영어 능

력의 필요성을 실감했다 특히 중국어는 소통 유무에 따라 현지 반응이 극명하게 갈렸다

진로설계 도움- 프로젝트 전에 비해 새로운 직업 분야에 대한 관심

이 증가했다

취업능력 향상-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한 내용을 살려 구술 면접이

나 자기소개서 작성에 참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11-2 LGC프로젝트 연구 결과 - 대만 시장

⓵ 중국시장을 주목하는 대만 화장품 기업- EST팀은 현지 대만 화장품 기업으로 SISDORA와 WABFENIX를 선택했다 두 회사를 선정한 배경에는

명확한 의도를 두고 정했다 SISDORA는 설립한 지 10년이 넘는 회사로 직접 화장품을 개발 및 연구하고 판매하는 중소기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과 주름개선 크림으로 중년 여성을 타깃 층으로 하는 화장품 회사다 반면 WABFENIX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스타트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 이지만 기술개발 보다는 디자인 마케팅에 중점을 두었고 판매 층도 10대-20대의 젊은 층을 타깃 층으로 한다 시장 전략이 완연히 다른 두 기업이 유일하게 공통점이 있다면 중국시장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선정 이유에는 많은 인구의 소비력을 꼽지만 뒤이어 언급하는 이야기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자사 제품의 경쟁력 약화를 말한다 현재 대만 기업 대부분은 내수 시장 대신에 중국을 겨냥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국가 산업 특성상 제조amp연구 분야가 강세인 대만에서는 중국 바이어 또는 미국 유럽 바이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직접 판매 보다는 기술 협력을 통해 이익을 창출한다고 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0 -

⓶ 대만 시장을 점령한 한국 화장품

- 앞서 말했듯이 2012년 이후부터 급속히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한국 화장품은 대만 시장을 점령하고 있다 이미 시먼딩에 들어서면 다양한 한국 화장품 매장이 눈에 띌 만큼 들어섰으며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중앙 광장에 입점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매장 안에는 많은 대만 사람들이 화장품을 보고 있는 광경을 흔히 본다 화장품 매장을 이용하는 연령층은 주로 10대-20대들이다 화장품 가격이 한국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주 애용하는 이유는 한류 열풍으로 인한 한국 연예인들에 대한 관심과 화장법이 크게 유행하고 있음을 현지 설문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⓷ 체감할 수 있을 만큼 커다란 한류열풍

- 뉴스에서만 듣던 한류 이야기를 대만에서 직접 느낄 수 있을 정도로 한류열풍은 크다 특히 삼성이나 LG의 TV나 스마트폰은 어딜 가든 항상 보이고 한국 화장품 선물에 대한 반응이 무척이나 뜨겁다 원활한 현지 조사를 위하여 사은품으로 준비한 한국 마스크 팩 100개는 오히려 현지인들이 참여 의사를 표현할 만큼 열정적이었다 일부 대만 사람 중에는 어디서 왔냐는 질문에 한국이라는 답변을 하니 같이 사진 찍기를 제안하기도 했다

⓸ 중소기업에게 있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는 대만 시장진출- 대만 시장 진출에 앞서 한국 화장품 중소기업이라면 전략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크게 대만 시장을 겨냥

할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할지 선택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3CE는 한국 화장품 회사다 대만에서 젊은 연령층이 자주 이용하고 이미 대만 내에서는 유명하다 3CE는 오프라인 매장 없이 순수 온라인 매장으로 운영하면서 대만 사람들을 위한 전용 웹사이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윤을 창출 하고 있다 신중해야 할 점은 현재 온라인 오프라인 등 한국 화장품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신규 진입에 있어서 장벽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대만 시장을 활용한다면 동남아 시장까지 한 번에 내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출입통관 절차가 간단하고 관세가 낮기 때문에 중소기업에게 유리하다 아직까지 중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1 -

에 대한 직접적인 수출이 가능한 곳은 상해나 항주 같이 중국에서 허가한 무역항 도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내륙까지 시장을 확대하기는 불가능하지만 같은 언어권인 대만을 거치면 보다 쉽게 바이어나 에이전트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인맥을 통한 꽌시와 수수료 명목으로 뒷돈을 요구하는 중국 바이어의 관행은 자금 순환이 원활치 않은 중소기업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11-3 LGC 프로젝트 종합 의견 및 전망

우리 lsquoEST팀은 출국 전 국내 화장품 시장 조사를 할 때 대덕 밸리 스타트업 기업 셀아이콘 랩의 영향으로 대만의 화장품 산업에 대해 큰 관심과 가능성을 보고 2015년 1월 5일부터 1월 13일까지 8박9일이라는 시간동안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 나라 중에 하나인 대만에서 rsquo대만의 화장품 시장lsquo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사를 했다 대만에서는 3개의 기업 (KOTRA SISDORA WABFENIX) 을 방문해 전반적인 대만의 화장품 시장과 판매전략 한류에 대한 보다 사실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1개의 대학 (국립성공대학 國立成功大學)에서 MBA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또 타이난에서는 대만에서 오랫동안 사업하시는 한인협회 회장을 만나 PLC (Product Life Cycle)를 통해 대만에서의 특정 시장이 도입기에 있는지 또 어떠한 시장이 쇠퇴기에 놓여있는지 다양한 시야에서 대만시장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노력은 CK 사업단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교육부 CK-1 프로젝트의 일부인 Linton Global Challenge는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몇 년을 내다보는 지속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기업들과 더욱 더 활발한 교류와 연구를 한다면 기업과 CK 사업단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리라고 본다

1 개인 탐방 후기 (팀원 개인 소감)

1-1 개인 탐방 후기

강성민탐방 후기 기업 컨택 부터 인터뷰 일정 계획까지 8박 9일간의 대만 화장품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 출국 전까지 준비 과정부터 탈도 많았고 대만에 와서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 원하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매일이 항상 회의와 고민의 연속이었다 하루하루 충실히 계획을 진행시켜 나갔고 좋은 팀 분위기 속에서 무사히 대만 프로

부록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2 -

젝트를 완수했다 그리고 마침내 한국으로 돌아왔다 과정은 항상 오르막 길이였지만 돌이켜 보면 마지막 대학 시절을 기념할만한 좋은 추억이자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느끼는 바가 많았던 프로젝트로 기억 될 것이다

김은진탐방 후기 글로벌 챌린지를 한마디로 정의하라고 한다면 도종환 시인의 lsquo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lsquo라는 시가 떠오른다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대만기업컨택 설문조사 등 많은 것을 경험했다 처음엔 모든 것이 나에겐 버거운 산이라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도전이 계속 될수록 이젠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이 모든 도전들에 흥미가 생겼다 나 자신도 책임감과 자신감이 생기고 한층 성숙해 진 것을 내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소중한 동료와 추억은 평생 나의 가슴속에 남을 것이다 우린 앞으로도 많이 도전하고 경험하여 우리들의 삶이 활짝 만개하리라 다짐한다 끊임없이 도전하는 20대의 청춘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프로그램이었다 김종선탐방 후기 한국에서 준비하면서 조사했던 내용과 비교하며 인터뷰를 해보니 실제로 많이 다른 부분도 있었고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 비슷한 내용도 있었다 현지의 기업들을 방문해 우리가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직접 매장에 가서 느껴보니 앉아서 컴퓨터만 볼 때랑 많이 달랐다 그리고 직접 대만인들에게 설문조사를 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그리고 대만의 실제 문화와 환경 그들의 생활을 잠시나마 볼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

구명우탐방 후기 며칠간의 꿈만 같았던 대만에서의 시간이 지나갔다 대만으로 출국하기 전 사전조사 기간에는 확신이 없었다 사전조사와 기업과의 인터뷰 그리고 9일간의 일정조율 및 숙박과 모든 대만에서의 연구와 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보고서까지 무엇하나 확신이 드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도전과 해결능력을 배웠고 아시아에서 급성장 중인 대만에 대해서 배우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다음기수로 가게 될 관심 있는 학우들에게 진심으로 추천해주고 싶다

이규현탐방 후기 CK-1 프로그램 중 하나인 lsquo린튼 글로벌 챌린지lsquo 프로그램을 통해 약 8박 9일이라는 시간 동안 emerging market 중 하나인 대만에 거주하면서 한국 화장품의 대만시장 점유율과 진출 가능성을 몸으로 체감하고 자료들을 모아 통계 내어 정리할 수 있었다 우리 팀 lsquoEST가 성공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충분한 국내조사 기간을 갖고 대만의 화장품 회사들을 방문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대만의 특정한 기업을 찾기도 어려웠고 기업 컨택은 번번히 거절당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회사 두 군데에서는 답장조차 오지 않았고 설문조사할 때에는 반한감정의 대만인을 만나 고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팀의 단결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리더의 통솔력으로 정해진 스케줄대로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회사를 방문하고 학교교수를 만나고 길거리에서 설문조사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팀원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또한 대학생으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을 한 것 같아서 스스로도 너무 뿌듯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팀을 믿고 지지해주신 LGSB 교수님들과 CK-1 프로그램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영은탐방 후기 처음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렇게 준비는 열심히 하지만 정말 우리가 계획한 100대로 대만을 다녀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기우가 무색하게도 대만은 우리에게 기획안 그 이상의 것들을 보여주었다 사장님들의 생생한 사업 이야기와 대만의 색채가 묻어있는 아이템들 하며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여 알아보는 비즈니스 마켓의 현장은 나에게 두고두고 잊지 못할 자산으로 남았다 또한 펑리수 버블티를 비롯한 대만의 맛있는 먹거리들과 스린 야시장이나 지우펀 같은 명소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열심히 고생해준 팀원들과의 추억들도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3 -

이서우탐방 후기 이번 글로벌 첼린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서 쉽게 할 수 없는 해외 기업 탐방과 해당 국가의 산업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임효진탐방 후기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팀이 대만을 방문 한다고 했을 때 많이 의아해 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만을 직접 방문해보고 많은 사업자들을 만난 결과 대만은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라고 생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아직 공산주의라는 정치적 특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다른 곳보다 훨씬 어렵지만 대만은 자유시장체제 이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쉽다 특히 외국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만 시장에서 한국제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추고 중국 시장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성공가능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그리고 대만의 바이어들을 통해 중국의 시장진출을 하게 된다면 사업자가 직접 중국시장에 진출 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성공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만은 문화적으로 다른 아시아권보다 선진화 되었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대도시에 속하지만 모두다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골고루 섞여 대만만의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차안호탐방 후기 9박 10일간의 대만을 다녀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넓고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이번 대만 여행은 처음으로 경험한 해외여행 경험이여서 그런지 순탄치 않은 면도 있었지만 팀원들 서로가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만시장은 중국시장으로 가기위한 좋은 시험의 장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대만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영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더 나아가 미래에는 중국어야말로 영어와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성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또 하나 놀란 점은 대만이 반 한류 감정을 많이 갖고 있는 줄 알았지만 대부분의 대만 일반 시민들이 굉장히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에 놀랐고 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CK-1 사업의 챌린지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대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계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보완점 및 건의사항 (문제점개선책건의사항)

2-1 기업 컨택의 어려움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에 있는 기업과 연결하여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대해서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조사 및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시간을 내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로써 그들의 귀한시간이 아깝게 쓰이지 않을 것을 강조하여 만남을 만들어야 한다

2-2 사업단과 의사소통의 불편함

Challeng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CK-1 사업단과의 지속되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가령 누군가를 통해서 전해지는 소문이나 촉박한 시간을 제시하고 일 처리를 원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단과 각 팀의 대표간의 분명한 의사소통과 증빙자료 등이 필요하다

2-3 정보 부재 이번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이머징 마켓에서의 유망 산업 조사 및 연구였다 대만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16: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6 -

thorn 2013년에는 대만의 1위 증권사 위안타가 한국의 동양증권 인수를 발표 양국의 금융감독기관 허가를 받아 2014년 연내 합병 추진 중(25억 달러)

thorn 또한 다국적 제약회사 Alvogen은 대만 LOTUS를 인수 동아시아 HQ로 삼고 한국 제약회사(드림파머) 인수를 추진 중

우리나라의 對 대만 투자현황

lt한국의 對대만 투자동향gt (단위 건 백만 달러)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1~3월 누계(lsquo68~lsquo14)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43 13 44 47 38 9 34 68 15 5 646 617

자료원 한국수출입은행 신고 기준

Ÿ 제조업 분야에서의 對대만 투자는 시장개척 및 고객사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임

Ÿ 우리기업의 대표적 투자 사례로는 2005년 LCD 장비 업체 PKL사의 LCD용 포토마스크 공장설립(4000만 달러) 2007년 게임업체 넥슨의 감마니아 지분인수(2100만 달러) 등이 있음

Ÿ 2011년 4월 미래에셋(Mirae Asset Global Investments)은 타이완라이프자산운용에 약 1000만 달러를 투자 자산운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Ÿ 2014년에는 PCB 기판 업체 달마전자가 가오슝에 공장을 설립 9월 준공식을 앞두고 있음

3 탐방 목적 (주요 목표부가 목표기대 효과)3-1 탐방 목적

주요 목표 1 대덕밸리 스타트업기업 (주)셀아이콘랩의 대만진출 가능성 탐색 2 대만 소비자들의 기능성 화장품 인식 조사 3 대만화장품시장의 유통경로 조사

기대 효과기업측면 기대 효과

⓵ 현지 시장조사 자료 획득⓶ 자사 시제품 반응결과 파악⓷ 사업단과의 지속적인 연계

사업단측면 기대 효과⓵ CK 사업 목표 또는 취지에 부합(CK ndash University for Creative Korea)⓶ 새롭게 출발하는 lsquo글로벌IT경영학과rsquo의 홍보전략으로 활용 가능

학생측면 기대 효과

⓵ EST팀 특강 ndash 학과 내 MIS Day 혹은 관련 과목 강의에서 특강⓶ 해외 탐구 동아리 개설⓷ CK 멘토와 후원 활동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7 -

4 사전조사 활동 (셀아이콘랩)

4-1 기능성 화장품 연구amp제조 기업 lsquo셀아이콘랩rsquo 기업 인터뷰

회사 소개

회사명 셀아이콘랩주소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대로 1646 한남대학교 사이언스파크 312호 대표자명 성민규 대표 사업분야 코스메슈티컬 펩타이드 소재개발 피부 전문가용 코스메슈티컬 화장품 OEMODM 주문 생산 방식

인터뷰 내용 1) 셀아이콘랩 2014년도에 많은 해외 박람회에 참여하고 있는데 해외시장 진출 의사가 있으신가요= 저희 회사의 사업화 로드맵을 보시면 2014년에 해외영업 마케팅 판매가 계획되어 있고 올해 들어 중국 러시아 카자흐스탄 말레이시아 등 여러 나라를 방문하여 박람회에 참가하고 실질적으로 상품을 판매하고 반응을 살피고 있습니다

2) 그렇다면 대만 화장품 시장 진출에 대해 고려해본 적은 있으신가요 만약 진출을 고려해보았다면 대만의 화장품시장에서 원하는 자료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대만시장을 접할 기회가 부족했을 뿐 내년에 대만 시장진출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셀아이콘랩은 현재 거래중인 중국 카자흐스탄 등지의 국가들에서 더 나아가 대만이나 홍콩과 같은 중화권 시장의 가능성을 느끼고 해당나라에 진출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요구사항 대만의 수출수입 인허가 절차 관세 세금 시장가격 형성 요인 화장품 유통 채널 구매경로 트렌드 또한 대만 시장에 뷰티샾(우리나라의 올리브 영)같은 종합 매장이 형성과정 실질적인 구매력을 알아보기 위한 대학 졸업생의 평균 초봉 등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8 -

5 화장품 산업 및 환경 분석 (연구자료 첨부)

구분 2011 2012 2013(1월 ~ 11월)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및 성장률 19427798 42 19421349 00 191454345 08

5-1 화장품 시장 동향

시장규모 및 전망thorn 대만의 약품 및 화장품 시장규모는 2013년 기준 1914억 달러로 2012년 대비 008 증가

최근 3년간 대만 약품 및 화장품 시장규모 및 성장률 (단위 천 달러)

자료원 대만경제부 통계처

시장전망thorn 수요 감소 예상 요인 대만 화장품시장은 다양한 국산 수입제품들이 오랜 시간 경쟁하는 포화된 시장thorn 종합의견 다수 유명 외국 브랜드(예 SHISEIDO KOSE 등)는 대만에 공장을 설립해 국산 브랜드와

경쟁하고 있으며 대만 정부의 각종 규제가 엄격하고 많아 허가 관련 등록서류 및 비용으로 인한 진입 장벽이 큼

소비자 구매 패턴thorn 주요 소비자 계층 14~55세 등 다양thorn 소비자 구매 동기 귀엽고 여성스러운 디자인 미백 보습 등과 같은 눈으로 확인 가능한 기능성 민감

성 피부에 바로 사용 가능한 화장품을 선호하는 추세

제품 트렌드thorn 대만 시장에서 국산 브랜드보다 수입 브랜드의 인기가 더 높으며 그중 일본 브랜드가 장시간 많은 인

기를 유지하여 왔음thorn 최근 한국 드라마에서 스타들이 연출하는 화장법 또는 유명 스타가 광고하는 한국 화장품이 큰 인기

를 얻고 있으며 한류 열풍으로 대만에서 수입 화장품 판매량이 늘어나면서 국산 화장품의 신제품 개발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

thorn 피부과 및 의학미용센터에서 다양한 시술(보톡스 반점 제거 여드름 크리닉 모공축소 레이저 비지 제거 등)을 받아 꾸준히 피부관리를 받고 다니는 여성들이 많아지는 추세에 따라 기능성을 강조하는 의학미용(aesthetic medicine) 화장품 혹은 시술 받고 나서도 바로 사용 가능한 기초화장품(무자극 보습효과 강조)이 유행하기 시작함

해당 산업 관련 정부 정책thorn GMP 정책 글로벌 추세에 따라 대만 화장품의 품질middot제조 수준 및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대만 경

제부공업국과 대만 위생서는 2008년 9월 4일부터 lsquo자발성 화장품 우량제조규범 검증제도(自願性化妝品優良製造規範驗證制度)rsquo를 실시한다고 발표함 약품 의료기기 식품을 이어 화장품이 네 번째로 GMP검증을 받는 산업이 되었음 ISO 22716 규범으로 주요 참고 근거로 보고 있음 동시에 화장품 GMP 추진 플랫폼을 설립하고 기업 문의에 대한 상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9 -

구분 2011 2012 2013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및 성장률 614293 1192 600356 -227 557784 -085

순위 국가 금액 점유율 증감율2011 2012 2013 2011 2012 2013 1312

총계 614293 600356 557784 100 100 100 -0851 일본 248980 237052 199987 40531 39485 35854 -113212 프랑스 116031 111983 110509 18888 18653 19812 45333 미국 89984 96689 89924 14648 16105 16122 -03914 한국 29779 29329 36746 4848 4885 6588 386345 중국 23444 30114 30138 3816 5016 5403 99486 영국 15895 14619 14482 259 2435 2596 29227 독일 16799 14327 14159 274 2386 2538 96758 스위스 13631 12401 11151 222 2066 1999 -5329 태국 9929 9214 8943 162 1535 1603 533310 이탈리아 12312 8853 8632 2 1475 1548 7727

5-2 수입동향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동향 (단위 천 달러 )

주 대만 국제무역국

최근 3년간 상위 10개국의 수입통계

주요 수입국 현황(HS Code 330499 기준) (단위 천 달러 )

자료원 대만 경제부 국제무역국 중화민국수출입무역통계(httpcus93tradegovtwFSCI)

수입관세 및 관련 제도thorn 관세 0thorn 통관 시 유의사항 대만에서 화장품은 의료용 또는 약품을 함유하지 않은 lsquo일반화장품rsquo과 lsquo함약화장

품rsquo 등 세 종류로 나눠져 있음 함약화장품의 경우 통관 시 대만 위생서에서 발행한 위생허가증을 제시해야 함

thorn 필수 인증 현황 함약화장품(예 염색제 파마제 자외선차단제 땀 억제제 치아미백제 등)은 대만 위생서 허가를 받아야 수입 및 제조판매를 할 수 있음 허가 신청 시 제품명 성분 제조업체명 제조업체주소 해외 수입업체명 수입업체주소 제품 전성분 용량 용도 사용법 유효기간 샘플 Certificate of Analysis Certificate of Sales SPF ampUVA 검사보고서 등이 필요함(세부사항은 대만 위생서 홈페이지 참조바람)

5-3 유통구조

유통채널 종류thorn 오프라인 백화점 H ampB(Watsons Cosmed SaSa 등) 방문판매 약국 각종 마트 편의점 피부과

피부관리센터 전문판매점(로드숍)thorn 온라인(여기는 virtual channel을 뜻함) 홈쇼핑 온라인 쇼핑몰(경매 브랜드 홈페이지 등 포함) 우편

주문(郵購) 등이 있음

유통채널 점유율 오프라인 유통채널의 점유율은 여전히 70~90 정도로 높게 차지하고 있으나 온라인 유통채널의 점유율도 빠른 속도로 상승하고 있음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0 -

브랜드명 제품명 가격 판매순위

SHISEIDO 100 1

SKII 133 2

ESTEE LAUDER 100 3

항목 내용전시회명(현지어명) 2014春夏國際美容化妝品展전시회명(한국어) 2014 춘하 국제미용화장품 전시회

전시품목 미용 화장품개최국가도시 타이베이

유통채널 활용 방안 아직까지 온라인 채널의 점유율이 높지 않으나 대만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블로그 등)에 영향을 많이 받는 편이어서 오프라인 채널에 진입하기 전에 온라인으로 먼저 마케팅(브랜드 이미지메이킹 블로거 마케팅 등)을 진행하는 방법을 추천함 대만 오프라인 채널의 진입장벽은 매우 높으며 비교적으로 이윤이 많이 남는 온라인시장에서 브랜드 파워를 먼저 키우면 오프라인 채널에 들어가는 길이 훨씬 수월해질 것으로 예상함

5-4 경쟁동향

경쟁제품 현황주요 경쟁제품 현황

(단위 달러)

한국 제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 및 선호 브랜드 현황thorn 한국 제품 현지 인지도 높음thorn 선호 브랜드 3CE INNISFREE NUTURE PUBLIC MISSHA THE FACE SHOP LANEIGE 등

5-5 효과적인 시장 진출 전략

타깃 고객층thorn 타깃 고객층 20~30대 초반thorn 타깃 사유 유행에 따라 새로운 것을 많이 도전하고 한류의 영향도 가장 많이 받는 젊은 층이 한국

화장품을 소비하는 경우가 많음 35세 이후의 직장 여성 혹은 가정주부들은 여전히 일본 혹은 유럽 미국의 고가 화장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활용 가능한 마케팅 방안 ⓵ 현지 전시회 정보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1 -

개최주기 3월경개최기간(2014년) 0321~0325

웹사이트 httpwwwudnicecom

⓶ 전시회 이외의 주요 마케팅 방안 블로거 마케팅 등 ⓷ 유력 홍보 방안(전문잡지 온라인 매체 등)

thorn 온라인 매체 Fashion guide(httpwwwfashio guidecomtw) UrCosme(httpwwwurcosmecom)

thorn 전문잡지 VIVI BEAUTY 大美人 Style W Marie laire Fashion Guide 등

시장 확대를 위한 무역관 의견 대만 화장품시장은 가격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 시장 진입 시 확실한 브랜드 포지션을 정해야 하며 해당 포지션의 대만 제품 가격을 조사한 후에 대만 최종 소비가격을 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

또한 소비자들은 할인세트 및 사은품에 약하여 각종 행사 진행 시 사은품 증정 혹은 묶음세트로 판매하는 것을 추천 보습(특히 히알루론산 성분 강조) 및 미백(대만 정부에서 인증된 미백성분이어야 함) 제품을 매우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6 탐방 상세 일정 (일정표 - 기간 지역)

날짜 지역105(월) 인천 ~ 대만 타이페이

시간 일정0600 인천공항 도착

0600 ~ 0920 인천공항 대기0920 ~ 1140 인천공항 rarr 대만 1140 ~ 1230 대만 입국 수속1230 ~ 1320 숙소 이동 (용산사 역)1320 ~ 1500 짐정리1500 ~ 1600 회의 및 일정정리1600 ~ 163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630 ~ 1800 KOTRA방문 및 인터뷰1800 ~ 1830 101타워 딘 타이 펑 이동(도보)1830 ~ 1910 저녁식사 - 딘 타이 펑1930 ~ 2100 101 타워 야경감상2100 ~ 2130 숙소로 이동2130 ~ 223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6(화) 타이페이

시간 일정0900 기상

0900 ~ 110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30 ~ 1230 점심식사 - 마라훠거1230 ~ 1300 SISDORA 본사로 이동

6-1 8박 9일 대만 일정 (150105 ~ 150113)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2 -

1300 ~ 1530 SISDORA 방문 및 인터뷰1600 ~ 1800 101타워 퍼스널 트레이닝 센터 방문1800 ~ 1930 저녁식사 - 카렌 레스토랑1930 ~ 2000 숙소로 이동2000 ~ 2100 개인 휴식2100 ~ 223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7(수) 타이페이

시간 일정0900 기상

0900 ~ 113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30 ~ 120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200 ~ 1250 점심식사 - 키키 레스토랑1250 ~ 1300 시먼딩 이동1300 ~ 1530 화장품 설문조사1530 ~ 1830 한국 화장품 매장 제품 조사1830 ~ 1900 야시장 이동(MRT)1900 ~ 2000 저녁식사 ndash 야시장 음식2000 ~ 2030 숙소로 이동2030 ~ 2130 개인 휴식2130 ~ 230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30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8(목) 타이페이 ~ 타이난

시간 일정0830 기상

0830 ~ 110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00 ~ 1200 체크아웃 및 고속철도역 이동1200 ~ 1340 타이페이 rarr 타이난 이동1340 ~ 1400 짐 보관 및 인터뷰 장소 물색1400 ~ 1600 가오슝 한인협회장 인터뷰1600 ~ 1700 숙소도착 및 짐정리1700 ~ 1800 개인 휴식1800 ~ 1900 저녁식사 - 새우롤2000 ~ 2230 중간 정리 및 보고서 작성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9(금) 타이난

시간 일정0800 기상

0830 ~ 0900 아침 식사0900 ~ 1130 타이난 일정 브리핑 및 팀 미팅1130 ~ 1210 타이난 시내로 이동(TAXI)1210 ~ 1320 점심식사 - 스시1320 ~ 1350 성공대학 이동(도보)1350 ~ 1700 성공대학 방문1700 ~ 1800 성공대학 캠퍼스 탐방 및 대학원생들과 대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3 -

1800 ~ 1830 저녁식사 - 대만 전통 음식점1830 ~ 1900 타이난 RT마트 이동(도보)1900 ~ 2030 RT 마트 장보기2030 ~ 2100 숙소로 이동2100 ~ 2200 개인 휴식2200 ~ 2330 팀 회의 및 예산 정리

23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12(월) 타이페이

시간 일정0800 기상

0800 ~ 0900 아침식사(호텔 조식 제공-선택)0900 ~ 1130 호텔 개인시간1130 ~ 123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230 ~ 130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300 ~ 1600 Wabfenix 방문 및 인터뷰1600 ~ 1630 간식 - 망고차차1630 ~ 1700 시먼딩 이동(MRT)1700 ~ 1830 화장품 설문조사 활동1830 ~ 1930 저녁 식사 - 코코이찌방야2030 ~ 2130 개인 휴식2130 ~ 2300 팀 회의 및 예산 정리

230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13(화) 대만 ~ 인천공항

시간 일정0800 기상

0800 ~ 0900 아침 식사0900 ~ 1130 짐정리1130 ~ 1200 체크아웃1300 ~ 1400 점심식사 - 스시(시먼딩)1400 ~ 1430 쑹산 공항 이동(TAXI)1430 ~ 1530 시먼딩 rarr 쑹산공항1530 ~ 1730 출국 대기1730 ~ 2100 대만 출국 rarr 대한민국

2100 대한민국 입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4 -

7 방문 기업 소개 (인터뷰 내용)

7-1 대만 KOTRA

-2015년 1월 5일 월요일 1630~1800 인터뷰-위치 台北市 基隆路 1段 333號 22樓 14室(2214室) Intl Trade Building 22층-전화 (886-2)2725-2324 -팩스(886-2) 2757-7240

Q대만에 대하여 간단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우선 대만은 남한의 13의 해당하는 영토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구역시 남한에 비해 적은 2천 3백만 명 정도이며 기후는 아열대 몬순 기후권으로 비교적 따듯한 날씨입니다여러분이 대만에 와보셔서 알겠지만 대체로 습한느낌을 받으셨을 탠대 대만은 겨울에도 남한만큼은 춥지 않습니다 언어는 주로 중국어를 사용하며 문자는 중국과 살짝 다른 번자체를 사용합니다1인당 GDP는 2013년 기준 20984 달러 정도이며 산업구조는 제조업과 도소매업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Q현재 우리나라의 어떤 기업들이 대만에 진출해 있는지 궁금합니다

A최근에는 화장품을 주력 제품으로 아모레퍼시픽등 화장품 대기업들이 타이페이 시내에 로드샵을 많이 개점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대만은 제조업과 도소매업이 주를 이루다 보니 20~30년 전부터 진출한 기업들이 계속해서 입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주로 삼성물산 현대종합상사 LG상사 LG전자등 대기업이 주를 이루고 있고 우리나라 기업은 1년에 한 기업정도 대만에 진출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Q그렇다면 대기업을 제외한 중소기업들이 대만시장에 진출하지 않는 이유가 따로 있습니까

A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아무래도 중국시장이 개방을 하면서 인 것 같습니다 기존에 진출해있는 기업들은 과거 대만이 인프라 구축이 미흡했을 당시 해외투자를 많이 받으면서 비교적 좋은 조건으로 대만에 진출하고 인프라 구축등 사업을 진행하면서 기반을 다졌을 겁니다 그 기반으로 지금까지 대만시장에 진출해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중소기업의 경우는 해외투자가 너무 모험적이며 대만 시장과 중국의 시장을 비교하여 봤을 때 인구가 차이가 약 8배 정도 나며 중국에 비해 비교적 작은 시장이라고 느껴 대만보다는 중국에 많이 진출하는 것 같습니다

Q마지막 질문으로 만약 우리나라 중소기업이 대만시장에 진출할 때 유의해야 할 점이나 좋은 팁이 있을까요

A대만 시장에 완전히 진출해야겠다는 생각보다는 중국이나 다른 중화권 나라의 진출하기전 시험의 장소로 생각하고 진출해보는 것은 나쁘지 않다 생각 합니다 아무래도 대만의 인구가 많은 편이 아니다보니 불리한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5 -

조건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이나 다른 큰 중화권 시장으로 진출하기 전에 언어나 문화 중화권사람들의 사고방식등 여러방면에서 시험해 볼 수 있는 좋은 장소는 틀림없습니다 중소기업이 대만시장에 진출할 때는 코트라를 이용하여 각종 정보나 현지 인프라등을 이용하는 것 또한 하나의 방법이며 무엇보다 중화권의 문화와 중화권 대중들의 생각을 잘 공부하고 언어를 습득하여 오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7-2 SISDORA luxury beauty care

-1월 6일 화요일 1300~1530 인터뷰 1600~1800 101타워 퍼스널트레이닝 센터-주소 No9Aly 10Ln265Sec 4Xinyi RdDaan Dist Taipei City 106-대표 Mr Chung-Cheng Lee -전화886-2-27040889-URL httpwwwsisdoracom

Q 간략한 회사 소개와 SISDORA의 유래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A Isadora는 고대 이집트의 가장 강력한 여신의 이름입니다 Sisdora는 이 여신의 이름을 따서 만든 브랜드 이름입니다 이집트의 고대 여신인 Isadora의 이시스는 선물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고 생명과 건강 아름다움을 담당하는 여신으로도 유명합니다 저희 SISDORA는 비슷한 동음 이의어로 동양의lsquoISIS(이시스)rsquo라는 단어가 있어 브랜드 명을 SISDORA로 정하게 되었습니다Q Sisdora 제품 소개 부탁드립니다

A저희 제품은 안티에이징 미백 마스크 제품을 주력으로 하고 있습니다 동일 제품군을 비교해 봤을 때 가격 및 품질은 상위에 속하는 최상품의 제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마스크 팩 대부분은 종이섬유로 제조하는 반면 저희 Sisdora는 누에의 실(실크)로 만든 마스크 팩 입니다 실크마스크 팩을 제조할 때에는 피부 건강에 좋은 약재 및 약초등을 배합하여 제조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피부에 자극적인 향로를 첨가하지 않았고 수분이 빠르게 흡수 될 수 있습니다 덕분에 저희 마스크 팩을 사용하는 고객들은 부드럽고 산뜻한 느낌을 받으실 수 있을 겁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6 -

Q 귀하의 회사는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어떤 마케팅을 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A 저희는 해마다 대만 타이페이 글로벌 미스코리아 대회에 제품을 협찬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대만 유명 가수들과 함께 제품을 결합시킨 뮤직비디오를 제작하여 마케팅에 힘쓰고 있습니다뿐만 아니라 제품의 품질인증을 바탕으로 러시아 중국 동남아 지역에 진출하는대 힘쓰고 있습니다 저희 제품은 대만 내에서 스킨케어 제품으로써 유일하게 지정 브랜드 수상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저희는 주로 매스컴이나 인터넷을 통한 마케팅이나 엔터테이먼트 컨벤션 산업을 활용하여 마케팅을 하고 있습니다

Q 그렇다면 대한민국의 화장품 제품이 대만에 진출해 있는데 대한민국 화장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는 어떤지 궁금합니다

A 최근 5년 사이에 한국의 드라마 음악등 한류를 타고 대만에도 많은 한국 제품이 등장하였습니다 하지만 대만에는 오래전부터 수입화장품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이탈리아의 산타 마리아 노벨라 프랑스의 아이젠버그등 명품 화장품 브랜드가 오래전부터 입점해 현지 화장품시장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 때문인지 한국 화장품의 인지도는 크게 높지는 않습니다 아무래도 유럽 브랜드 그 다음으로 대만 기업의 브랜드 그 다음으로 한국의 화장품 브랜드 순으로 인지도가 형성되어 있다고 생각됩니다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한국화장품은 다른 명품 화장품들의 가격보다 저렴하고 성능이나 효과 면에서 절대 뒤처지지 않아 한류가 지속되고 마케팅이 잘 이루어진다면 충분히 유럽의 명품화장품의 인지도를 뛰어 넘을 수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Q 한국의 중소기업의 화장품이 대만 시장에 진출하는 것에 대해서는 어떤 의견을 갖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A 한국의 대기업 화장품 브랜드가 아닌 중소기업의 화장품 브랜드가 대만에 진출하는 것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겁니다 하지만 저희 회사도 중소기업으로 시작하여 마케팅 전략을 잘 활용 하여 많이 성장하였습니다 아무래도 한국의 중소기업의 화장품이 대만에 진출하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있겠지만 어떤 마케팅 전략을 선택하느냐가 가장 중요하고 마케팅이 잘 이루어지고 입소문이 퍼진다면 한국의 중소기업 화장품 또한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7 -

7-3 가오슝 한인협회

-1월 8일 목요일 1400~1600 인터뷰-주소 高雄市鼓山區二路37巷弄43-2號(고웅시고산구이로37항81롱43-2호)-대표 尹桓鎬(윤환호) HP 0932-740-538 -電話 07-5211933 -傅眞 07-5214031

Q 대만과 한국과의 무역 관계가 어떠한지 궁금합니다

A 한국과 대만과의 무역은 크게 활발하게 이루어 질 수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대만의 시장 자체가 매우 작기 때문에 대만에 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국내 시장이나 다른 큰 해외 시장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대만 시장을 거쳐서 동남아나 중국 시장으로 진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여서 기존에 존재하는 대기업이나 저처럼 오래 전부터 이민한 분들이 소규모로 중개무역을 하고 있는 정도입니다

Q 현재 한인협회 회장님께서 직접적으로 하는 일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현재 저는 한국의 화장품을 수입하여 대만 현지 기업에게 판매하는 중개무역을 하고 있습니다 대만에 온지 20년이 넘었는데 이런 저런 일을 하다가 기회가 되어 이쪽 일을 하게 되었는데요 처음에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인식이 없어 가격은 비싸고 품질의 보증은 되어 있지 않은 제품이라 소비가 크게 늘지 않았는데 한류 열풍이 불고 한국 드라마의 성공과 그 배우들이 광고하는 화장품의 수요가 크게 늘어 몇 년 전부터 시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Q 한국과 대만과 중국의 관계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해 주세요

A 앞서 말씀 드린 것 같이 한국의 기업은 대만을 통하여 중국 시장의 진출을 위하여 대만 시장을 많이 찾습니다 그 이유는 한국 기업이 대만 시장을 통해서 제품을 인정받는다면 대만과 중국은 같은 언어권의 나라로 대만기업을 통해 중국으로의 활로를 개척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왜 이렇게 돌아서 진출을 하려고 물으셨는데 그것은 쉽게 말해서 말이 잘 통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의 중국어를 잘 구사하는 사람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보다는 대만의 사람이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주고 인정을 해준다면 더욱 쉽게 자리를 잡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8 -

Q 스타트 기업의 대만 진출 성공여부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중소기업이 대만에 들어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현재 한국 내에서의 위치를 높이는데 주력하는 것이 좀 더 낫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대만은 아주 뛰어난 기술력을 가지고 있지만 자체 제품을 생산하지 않습니다 예로 Apple에서 전체 아이디어를 미국에서 한다면 그 아이디어 실행은 대만에서 이루어집니다 그리고 제품의 생산은 대부분 중국에서 이루어 지구요 이렇듯 대만의 기술력과 제품에 대한 이해가 빠르기 때문에 수입을 많이 의존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중소기업이 들어와서 제품을 판매한다 쉽게 성공할 수 없죠

Q 회장님께서는 중국과의 중개무역은 생각하고 있으시지 않습니까

A 네 저는 지금의 생활에 만족하고 있습니다 지금 저의 파트너들과의 관계도 좋고 따로 중국 진출은 생각하고 있지 않습니다 만약에 제가 중국을 진출하게 된다면 현재의 기업들과도 경쟁상대가 되어 저는 생각이 없습니다

7-4 국립성공대학(國立成功大學)

-1월 9일 1350~1700 인터뷰-주소 701 臺南市東區大學路1號-연락처06-2757575 -홈페이지 wwwnckuedutw

대만 국립 성공대학은 931년 타이난에 설립된 이공계 명문 대학입니다 국립성공대학은 66개의 캠퍼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각 캠퍼스마다 특징과 분위기가 다릅니다 우리 국립성공대학은 ldquo북대대 남성공(北臺大 南成功)rdquo 이라는 말이 있듯이 역사는 대만대학의 바로 다음갑니다

국립성공대학의 이름의 의미는 성공은 무엇을 성취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대만의 민족영웅인 정성공(鄣成功)을 기념하기 위한 대학이라는 뜻입니다 성공대학은 정성공이 있던 역사명승 적감루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해 있기도 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9 -

이후 인터뷰로 대만의 소개와 간단한 전공 소개가 있었다

7-5 WABFENIX RENIX GLORY GLORIA GUA

-1월 12일 월요일 1300~1500 인터뷰-주소 14F-1 No420 Sec 4 Xinyi Rd Xinyi Dist Taipei City 110 Taiwan (ROC)-대표 Mr KEN -전화886-5569-0555-URL httpswwwfacebookcomrenixfanspage httpwwwwabfenixcom

Q Wabfenix가 어떤 기업인지 소개 해주세요

A 저희 회사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으로 현재는 매장은 없지만 개발한 제품을 바탕으로 사업을 진행 중이고 대만현지에 저희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저희 회사는 제품의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화장품을 개발하여 대만시장 뿐만 아니라 중국시장의 진출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Q 귀하의 제품은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제품이라 하셨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제품 등이 있습니까

A 우선 Heymore 제품군의 블랙 마스크 팩과 Renix 제품군의 일반 마스크 팩을 출시했습니다Heymore의 경우 선물용임을 부각시키기 위해 디자인에 특히 많은 투자를 하였습니다 중국 중산층을 겨냥한 제품으로 가격대 1봉지에 한화 ₩40000 정도로 높게 책정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가격을 높게 측정한 이유에는 중국 화장품 소비문화 속에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 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에 저가 보급형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0 -

제품인 Renix와 차별을 두는 판매 전략을 선택하였습니다 현재 판매되는 제품은 마스크 팩을 주력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Q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인데 중국을 대상으로 어떤 진출 전략을 갖고 있습니까

A중국에서 열리는 화장품 전시회 화장품 엑스포 행사 바이어 미팅 등 꾸준히 참가중이며 바이어들에게 저희 제품을 어필하고 있습니다 물론 신생기업인 만큼 아직 중국 내에서 뚜렷한 판매 실적을 기록하진 못했지만 타 화장품 기업들과 다른 마케팅 방식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디자인이나 제품의 아이디어를 강조하고 있는데 대표 적인 상품으로 오뚝이 모양을 한 화장품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이 오뚝이 제품을 바이어들에게 어필해 보았는데 대단히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Q 해외시장 마케팅과 대만 시장마케팅의 차이점이 있습니까

A 우선 중국에서의 마케팅은 행사나 전시회에 참여하고 바이어들을 개인적으로 만나는 것에 치중해 있다면 국내 대만시장의 마케팅 전략은 페이스북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대만은 중국에 비해 SNS가 많이 발달되어 있어 자금이 많이 들어가지 않는 SNS마케팅을 하고 있고 각종 자선행사에 참여하여 저희 기업을 홍보하고 있습니다

Q 귀사의 제품을 중국보다 비싼 인건비가드는 대만 제조공장에서 생산하는 겁니까

A타이중에 소재하는 공장에서 마스크를 제조 하고 있습니다 인건비가 비싼 것은 대만 수도인 타이페이에만 주로 해당이 됩니다 지방 소도시에서도 외곽으로 들어가면 저렴한 인건비와 공장 가동비용으로도 제조가 가능 합니다 굳이 중국에 제조공장을 갖지 않는 이유는 신생기업이라 자금문제도 있지만 대만은 OEMampODM에 특화된 국가이기 때문에 품질 좋은 다양한 제품주문이 가능하고 중국 사람들에게도 자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 보다 외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가 더 좋기 때문에 대만에서 생산한 뒤 수출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Q 대만에 한국 화장품 기업이 진출한다면 어떠한 마케팅 전략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 생각 하십니까

A 이미 대만에 한국의 화장품 제품들이 많이 들어와 있습니다 하지만 대만 자체의 화장품 기업들이 기존에 많은 시장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성공을 거두기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최근 한국에 대한 이미지가 많이 좋아졌고 한국의 영화나 드라마 등이 많이 알려지면서 인지도가 높아졌습니다 한국의 대기업의 경우 이러한 대규모 마케팅을 할 수 있으므로 큰 무리가 없겠지만 한국의 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한다면 최종 시장 공략 층은 대만이 아닌 중국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대만은 중화권으로 가기 위한 연결다리라고 생각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또한 중소기업은 큰 마케팅 비용을 부담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대만에서는 SNS나 각종 자선 행사에 참여하여 인지도를 높이는 것을 추천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1 -

Q 같은 제품이지만 대만과 중국에서 판매할 때 가격 책정이 다른 이유가 무엇인가요

A 그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해드리자면 국가마다 소비 성향이나 구매 능력 환율 경제 상황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경영 에서는 가격 차별화(Price discrimination)이라 부르는데요 각 나라의 시장 특성에 적정한 가격대를 책정해서 제품을 판매하는 전략입니다 혹시 중국 상류층이 몇 명인지 알고 있나요 제가 알기로는 대만 인구의 2배인 4000만 명이라는군요 아마도 한국 인구랑 비슷한 규모 일겁니다 게다가 중산층은 약 4억 명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4억 명의 중국 소비자들이 우리 제품을 1개씩만 구입 한다면hellip 상상만 해도 엄청 나겠죠 이야기를 하다 보니 다른 쪽으로 빠졌는데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이야기하면 물론 좋은 제품을 모든 곳에 저렴하게 제공 하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 그러나 항상 시장에서 저렴한 제품만이 성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대만이나 한국처럼 고도의 산업화가 이루어지고 시장이 크게 발전한 안정적인 단계는 좋은 제품이라도 가격 경쟁력에 신경 써야 합니다 왜냐하면 소비자들이 똑똑하기 때문에 정보력이 넓고 합리적인 소비를 지향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가격 성능 디자인 등 많은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중국 시장은 대만이나 한국과는 특성이 다릅니다 저렴하다고 해서 많이 제품이 많이 팔리기 보다는 가격대가 어느 정도 있는 제품일수록 또는 가격대가 높을수록 소비자들이 관심을 보입니다 대체적으로 중국 소비자들은 lsquo저렴한 제품은 품질이 낮거나 효능이 좋지 않은 제품일거야rsquo 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 때문에 화장품 박람회나 전시회에 저가 화장품을 가져와 홍보하더라도 중국 바이어나 소비자들은 큰 관심을 주지 않습니다 처음에 말했듯이 중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2 -

국 소비문화가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라는 심리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Wabfenix의 경우에는 신생기업이라 많은 투자 금액이 없을 뿐 더러 대만 화장품 시장에 진출하기에는 리스크가

크고 진입 장벽이 높습니다 그리고 이미 한국 화장품 기업들이 대부분 점유를 한 상황이기 때문에 대만 내수시장에만 집중하기에는 경쟁력이 부족하죠 그래서 중국을 주력 수출시장으로 삼고 있는데요 저희는 제품 성능 보다는 소비자의 이목을 끌 수 있는 디자인에 더 많은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중국에 Wabfenix만의 화장품 선물 문화를 정착 시키는 것이 목적인데요 높은 제품 가격만큼 소비자의 관심을 끌 수 있고 선물 문화나 꽌시(关系)가 많은 중국 문화 특성에 맞추어 선물용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중국 시장은 현재 젊은 중산층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품질이 낮은 화장품 보다는 수입 화장품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점으로 미루어볼 때 높은 가격 차별화와 Wabfenix만의 디자인 마케팅은 좋은 경쟁력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3 -

8 현지 시장조사 활동 (시장동향사진설문조사 자료)

8-1 시먼딩 설문조사

목적 대만 사람들의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및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대상 10대~20대 여성 및 화장품 전문매장 종사자장소 시먼딩시간 2015년 1월 7일 12일 총 두 차례에 걸쳐 진행방법 ①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 판넬에 국가별로 메이크업 사진을 표시하고 스티커를 붙이는 방식으로 투표함 공정성을 위해 국가 이름은 블라인드로 처리하였고 모두 동일 인물의 사진을 사용함②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표본집단을 50명으로 설정함 설문조사가 끝나면 사은품으로 한국 브랜드 마스크팩 증정함

8-2 사전 기획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판넬 기획도gt

化妝辦法喜好度的調查화장법 선호도 조사

大家給自己喜歡的化妝貼貼紙 여러분이 선호하는 메이크업에 스티커를 붙여 주세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4 -

대만의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안녕하십니까

다음의 내용은 대만 화장품 트렌드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자 관련조사를 실시하고자 하오니

있는 그대로의 생각을 기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귀하의 응답은 통계적 목적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본 설문은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물음에 대한 답변이나 해당란에 v 표를 해 주십시오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7) ② 화장품 전문매장(34) ③ 마트(5) ④ 홈쇼핑(2)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합계 총 50 명

바쁘신 시간에 의견을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지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5 -

8-3 설문조사 활동

lt2015년 1월 7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6 -

lt2015년 1월 12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7 -

lt활동 결과 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8 -

9 설문조사 통계 분석 (설문조사 응답 수분석결과)

9-1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결과gt

설문 조사 질문지 양식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12)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③ 마트(5) ④ 홈쇼핑(6)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9 -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gt

9-2 설문조사 항목 별 의견 및 추측

설문 조사 질문지 항목 (최다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② 20 ~ 25세 (13)

0

5

10

15

20

25

30

20대 이하 20세~24세 25세~29세 30세~39세 40대 이상

rarr 시먼딩은 대만의 홍대거리라 불리는 lsquo융캉제rsquo나 서울의 lsquo명동rsquo과 같이 젊은 층이 주로 활동하는 지역이다 설문조사 중에도 교복이나 체육복을 입은 학생들과 길거리에서 쇼핑을 즐기는 20대가 즐비할 만큼 활기 있는 거리다 덥고 습한 대만 기후 특성 상 과거엔 화장법이 크게 발전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국의 자연스러운 화장법이 큰 인기를 끌면서 시먼딩에 화장품 거리가 조성되어 있을 만큼 유동 인구가 많다 이 점으로 추측해보았을 때 압도적으로 10대와 20대 층이 많은 응답 수를 기록했다고 본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0 -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051015202530

온라인 화장품전문매장 마트 홈쇼핑 방문판매

rarr 대만 또한 한국과 비슷하게 시내에 많은 수의 화장품 전문매장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접근성이 굉장히 높았다 더불어 각 화장품 매장에서는 상품 할인과 같은 각종 프로모션을 진행하기 때문에 구매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 구매한다는 대답도 높은 편이었는데 거의 대부분이 와이파이존이어서 어디서나 인터넷을 한 활발히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온라인에서의 구매율도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0

5

10

15

20

25

30

NT$300 미만 NT$300~NT899 NT$900~NT$1499 NT$1500~NT2999 NT$3000

rarr 응답자들은 대부분이 한 달 간 화장품에 쓰는 돈을 최저 1만원 이상(NT$300 이상)이라고 답했는데 이는 70가 넘어가는 결과로 화장품에 대한 지출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만원 이상이라고 대답한 응답자들 또한 4분의 1을 넘기는데 이것은 젊은 연령층부터 시작하여 최근 피부 관리와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대만의 소비 수준에 대비하여 화장품 소비율이 높은 것도 이 때문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1 -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③ 성능(23)

051015202530

가격 디자인 성능 화장품 모델 브랜드

rarr 아열대 기후에 속하는 대만은 높은 기온과 습한 날씨 탓에 에어컨 환경에 자주 노출돼 피부 수분을 잃기 쉬워 기능성 화장품의 소비가 두드러진다 대만 화장품 시장은 토너 세럼 에센스 로션 크림 등의 모든 스킨케어 제품들이 보습기능을 강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백이나 안티에이징 리프팅 저자극 오일프리(Oil-free) 등의 기능까지 추가된 스킨케어 제품들이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조 화장품 소비가 늘어난 것은 최근 몇 년 들어 다양한 화장품 브랜드 접촉기회가 많아지고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젊은 여성의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색조화장품 또한 메이크업베이스와 BB크림 립스틱과 같은 베이스 메이크업이 수요가 많았다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④인터넷(22)

0

5

10

15

20

25

30

TV 잡지 친구 인터넷 메이크업샵

rarr 최근 빠른 인터넷망과 스마트폰 태블릿PC의 보급으로 인해 사람들과 사람사이의 연결망이 견고히 형성되고 있고 이것이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방법을 얻는 경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만 소비자들은 주로 인터넷 블로그 가족과 친구로부터 메이크업 정보를 획득 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만의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이므로 입소문마케팅과 판매를 바로바로 할 수 있는 유통구조가 도움이 될 것 같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2 -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0

5

10

15

20

25

30

청순 독특 귀여움 섹시

rarr 앞서 살펴보았듯이 대만은 한국과 비슷한 메이크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이것은 곧 청순한 메이크업 컨셉에 관심 있어 한다는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실제로 대만 여성소비자들은 깨끗한 피부 NATURAL한 베이스메이크업을 선호한다 한 듯 안 한 듯 자연스럽고 깨끗한 느낌의 한국식 lsquo생얼rsquo 화장법은 대만에서 한국 드라마 열풍과 함께 유명세를 타기 시작해 현지 각종 온라인 뷰티 사이트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래서 응답의 대부분이 한 곳에 치우쳤고 비교적 개성 있는 메이크업 방법이 드물 것이라는 것을 유추해낼 수 있다

본 설문 조사를 통한 한국 화장품 기업에 대한 시사점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수입 절차로 오랜 시간을 허비해야 하는 반면 대만은 자외선 차단제 성분 함유 제품과 약용 화장품을 제외한 일반 화장품은 별도의 수입 검사 없이 수입할 수 있으므로 대개 중국보다 1~2년 먼저 신상품이 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한류 효과를 겨냥한 중화권 화장품 시장으로 대만을 우선 공략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대만은 대부분이 화장품에 대한 소비를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고 한국 화장품이 많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시장 접근법만 제대로 수립하면 매출이 나는 구조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대만인들이 선호하는 메이크업 방법이 한국과 비슷하기 때문에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은 마케팅 방안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최종분석설문 조사 대상은 대부분 10대~20대의 연령층이었으며 화장품의 주된 구입경로는 lsquo온라인(24)rsquo과 lsquo화장품 전문매장(50)rsquo이 압도적이었다 더불어 한 달 간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lsquo1만 원 이상(72)rsquo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이것은 실제 생활수준에 대비하여 높은 소비량이므로 대만의 화장품 시장 전망이 밝다고 할 수 있다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부분은 lsquo성능(46)rsquo이었는데 이는 스타트업 기업 중소기업에게 유리한 조건이다 메이크업 방법을 얻는 방법으로는 lsquo인터넷(44)rsquo과 lsquo친구(30)rsquo가 높은 비율을 차지했는데 판촉활동으로는 인터넷을 활용한 SNS 홍보 바이럴 마케팅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가장 관심있는 화장 컨셉은 lsquo청순rsquo 이었고 이것은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와 맞물려 우리나라와 비슷한 메이크업 방법을 추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3 -

10 대만 명소 소개 (명소음식행사숙소 소개)

10-1 고궁박물관

대만 고궁박물원은 영국의 대영 박물관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 미국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과 함께 세계 4대 박물관으로 손꼽힐 만큼 세계적은 소장 문물을 자랑한다 건물 규모는 그다지 크지 않지만 소장한 문물의 질과 양은 세계 최상급이다 중화 보물 중에서도 최고의 보물들이 모여 있어 진귀하기 그지없고 수량 역시 워낙 방대하여 3개월 단위로 1만여점을 돌아가면서 전시해도 다보려면 10년이 넘게 걸린다고 전해지고 있다 중국의 국공내전 당시 장제스가 이끌던 중국 국민당이 전쟁에서 패하며 중국을 탈출해 대만으로 향했다 당시 장제스는 난징에 있던 정부를 타이페이로 이전하면서 자금성에 보관되어있던 중국역대 왕조 보물 수십만 점을 배를 이용해 운반해 왔다 중국의 유물을 가진 자가 진정한 통치자라고 생각했던 장제스는 ldquo공산군에게 영토는 내줘도 문화유산만큼은 내줄 수 없다ldquo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대표적인 유물은 취옥배추 육형석 모공정 산씨반 등이 있다

10-2 용산사

루강의 초입에 있는 이 사찰은 타이완에서 가장 오래되고 아름답다고 하여 타이완의 자금성이라고 부른다 각 건물의 기둥 벽 그리고 천장 등에 새겨진 조각은 특히 빼어나다 이 조각상과 함께 이곳의 명물로 알려진 것은 사찰 경내에 있는 2마리의 용상인데 삼천전 앞마당 좌우에 서서 룽산사를 호위하고 있다

10-3 타이페이 101 빌딩

타이베이 101빌딩rsquo이라 부르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로서 빌딩 모습은 하늘로 뻗어나가는 대나무 위에 꽃잎이 겹겹이 포개진 형상이다 본래 타이베이 금융기관이 모인 건물이지만 대형 쇼핑센터와 푸드코트 고급 레스토랑이 있어 여행자들이 많이 찾는다 건물에는 8개 마디가 있는데 이는 중화 문화권에서 부와 번영을 의미하는 숫자 lsquo8rsquo을 염두에 둔 것이다 타이베이 시내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는 높이 508m로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히는 높은 건물이다 지상 1~5층에는 소고 백화점 뷰티 플라자 애버뉴 101 등 다양한 패션∙뷰티용품을 구입할 수 있는 상점이 있다 또한 레스토랑 시티 스퀘어 대형 서점 등 쇼핑과 오락 식사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복합시설이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4 -

잘 알려진 식당으로는 딘 타이 펑(Din Tai Fung) 이 있다 101타워 지하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샤오롱바오(고기만두) 새우 샤오마이(새우만두) 탄탄면(우육면)이 가장 대표적인 메뉴이며 대만에 방문한 많은 사람들이 찾는 식당이다

10-4 지우펀

대만여행의 백미로 꼽히는 지우펀은 타이페이시 북부의 루이팡 지역의 작은 산골 마을로 과거에는 아홉가구만 살고 있어서 지우펀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예전에는 작은 산골 마을에 불과 했지만 이 지역에서 금맥이 발견되면서 호황을 맞이하게 된다 특히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일본풍의 건물들이 남아 있어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결합된 독특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비탈길을 따라 하늘로 이어진 예스러운 건물 그리고 골목마다 빨간 홍등과 함께 묻어나는 옛 풍경은 여행객들에게 인기 여행지이다

10-5 스린야시장

타이베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야시장 가운데 하나이다 독특하면서도 다양한 전통 먹을거리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이곳을 찾는 관광객이 많다 시장 부근에 학교가 많아 학생들이 많이 찾으며 포장마차 등의 노점상이 많아 가격도 저렴하다 칭런샹[情人巷]에는 가구 의류 액세서리 사진현상점 애완용품점 등이 모여 있어 학생뿐 아니라 관광객들도 자주 찾는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5 -

10-6 예류 지질 공원

타이완 북해안에 자리한 예류는 해수욕장과 온천 기암괴석으로 유명한 관광지다 특히 예류지질공원은 희귀한 모형의 바위와 암석이 모여 있어 예류 관광의 필수코스로 꼽힌다 작은 곶으로 된 예류지질공원은 침식과 풍화 작용을 거쳐 자연적으로 형성된 기암을 보러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지질공원으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것이 선상암 군락이다 암석 하나하나의 모습은 마치 거대한 버섯이 큰 머리로 하늘을 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선상암 가운데 가장 유명한 암석은 이집트 왕비의 옆모습을 닮은 여왕 두상 바위다

10-7 스펀(Shifen)

스펀(十分)은 옛 광산마을로써 천으로 만든 등이 유명하다 또한 이 곳 스펀은 대만 최대의 폭포 스펀(SE-FEN) 폭포가 있다 미니기차와 천으로 만든 등을 날릴 수도 있다 마을의 한가운데 긴 철길이 놓여 있고 30분에 한 대씩 기차가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것도 볼 수가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6 -

10-8 진과스(金瓜石)

진과스(金瓜石)는 타이완 타이베이 근교에 있는 옛 탄광 유적이다 20세기 전반에 금 채굴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20세기 후반에 금이 차차 고갈되기 시작하자 점점 위축되어 폐광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관광 명소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하루에도 수백명이 들렀다 가는 대만의 대표 관광지이다 진과스 내에 있는 황금 박물관에는 220kg 의 금이 전시 되어 있는데 손을 넣어 직접 만져 볼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진과스에서는 과거 광부들이 먹었던 도시락을 그대로 만들어 판매하는 광부 도시락도 굉장히 인기가 많다

10-9 국립 성공대학

대만의 타이난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1931년에 개교하였다 2010년 QS대학순위에서 283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대만 대학중 2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총 9개의 캠퍼스로 이루어져 있어 굉장히 큰 면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만 교육청에서 인정한 9개의 주요대학 중 하나이고 대만 기업체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학이다 이공계열이 가장 뛰어나며 중문 역사 법학 경제학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10 시먼딩

타이베이시에 위치한 시먼딩은 한국의 명동과 같은 거리이다 대한민국의 명동에도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과 외국인이 많다고 알려져 있는데 시먼딩 또한 명동 못지않은 다양함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대만의 패션과 놀이 문화 음식 등을 한눈에 경험 할 수 있는 공간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7 -

10-11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

중정기념당은 타이완 총통 장제스(蔣介石)를 기리는 전당이다 lsquo중정rsquo은 장제스의 본명이다 그가 서거한 후 1980년 기념당을 세웠다 25만에 이르는 넓은 중정공원 안에 우뚝 선 높이 70m의 기념물이 중정기념당이다 기념당 1층에는 장제스 생애를 엿볼 수 있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거대한 장제스 동상은 항상 근위병이 동상 앞을 지키고 있다 중정공원 안에는 중정기념당 외에 국립 희극원과 국립 음악청이 있는데 이곳에서 연극과 콘서트를 한다 공원 조경 또한 잘 조성되어 있어 산책하며 천천히 둘러보기에 좋다

10-12 안핑지구(安平地區)

대만의 문화와 역사는 안핑지구에서 시작되었다 안핑구바오는 17세기 중엽 네덜란드인들이 지은 요새로 정성공이 빼앗아 번영하다가 황폐해져 지금은 보루의 대부분이 없어지고 설탕과 굴껍데기와 찹쌀가루를 버무려 만든 빨간벽돌로 된 장벽(臺灣城殘蹟)만이 남아 나무뿌리와 존립의 사투를 벌이고 있다 감시탑 옆 건물 안에는 네덜란드와 정성공의 전투에 대한 이야기와 중세갑옷 등이 전시 중이다 이 주변에는 대만에서 가장 오래된 상업거리 옌핑제(延平街)가 있는데 옛 명성이 다한 거리의 골목 사이사이 수백년 된 가옥을 구경하는 것도 소소한 즐거움이다 1867년 영국인 상점과 물류창고로 이용하던 건물에 노용수(老榕樹)가 멋대로 자라 건물을 집어삼키듯 뒤덮은 나무집으로 불리는 안핑수우도 안핑지구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진귀한 볼거리다

10-13 미라마 관람차

대만에서 가장 큰 관람차로 알려져 있는 미라마 관람차는 타이페이 시의 야경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관람차 크기가 큰 것으로 유명하지만 가격 또한 저렴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유스트래블 카드를 이용하면 50 할인이 적용되므로 꼭 지참하도록 하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8 -

lt미라마 관람차 티켓gt lt유스트래블 카드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9 -

11 시사점 및 차후 활용계획 (LGC 프로그램을 통한 구체적인 효과 및 연구결과)

11-1 LGC 프로젝트 만족도

구분 항목 전 후 한줄 평

사업단

프로젝트 취지- 린튼 글로벌 학과와 경영정보학과 학생들이 함께

하는 프로젝트 해외시장탐방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사전교육 활동- 출국 전 각 나라에 대한 유의사항 안전교육이 체

계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개략적인 보고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었다

행정지원 절차- CK사업단 린튼 글로벌 학과 경영정보학과 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히 되지 않아 사전 계획에서 많은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협동력 향상- 출발 전 잦은 팀 회의와 8박 9일 간에 일정에도

불구하고 불화 없이 좋은 분위기 속에서 프로젝트를 완수 했다

추진력 향상- 일정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 한 점 추가 자료조

사를 위해 현지에서 새로운 일정을 추가 됐을 때 팀원들이 일사불란하게 따라주었다

문제해결 능력- 교통편 문제와 기업 측 내부 문제로 일부 일정에

변동이 있었지만 신속한 조율과 전화 통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개인

동기부여 자극- 현지인들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국어 영어 능

력의 필요성을 실감했다 특히 중국어는 소통 유무에 따라 현지 반응이 극명하게 갈렸다

진로설계 도움- 프로젝트 전에 비해 새로운 직업 분야에 대한 관심

이 증가했다

취업능력 향상-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한 내용을 살려 구술 면접이

나 자기소개서 작성에 참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11-2 LGC프로젝트 연구 결과 - 대만 시장

⓵ 중국시장을 주목하는 대만 화장품 기업- EST팀은 현지 대만 화장품 기업으로 SISDORA와 WABFENIX를 선택했다 두 회사를 선정한 배경에는

명확한 의도를 두고 정했다 SISDORA는 설립한 지 10년이 넘는 회사로 직접 화장품을 개발 및 연구하고 판매하는 중소기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과 주름개선 크림으로 중년 여성을 타깃 층으로 하는 화장품 회사다 반면 WABFENIX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스타트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 이지만 기술개발 보다는 디자인 마케팅에 중점을 두었고 판매 층도 10대-20대의 젊은 층을 타깃 층으로 한다 시장 전략이 완연히 다른 두 기업이 유일하게 공통점이 있다면 중국시장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선정 이유에는 많은 인구의 소비력을 꼽지만 뒤이어 언급하는 이야기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자사 제품의 경쟁력 약화를 말한다 현재 대만 기업 대부분은 내수 시장 대신에 중국을 겨냥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국가 산업 특성상 제조amp연구 분야가 강세인 대만에서는 중국 바이어 또는 미국 유럽 바이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직접 판매 보다는 기술 협력을 통해 이익을 창출한다고 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0 -

⓶ 대만 시장을 점령한 한국 화장품

- 앞서 말했듯이 2012년 이후부터 급속히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한국 화장품은 대만 시장을 점령하고 있다 이미 시먼딩에 들어서면 다양한 한국 화장품 매장이 눈에 띌 만큼 들어섰으며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중앙 광장에 입점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매장 안에는 많은 대만 사람들이 화장품을 보고 있는 광경을 흔히 본다 화장품 매장을 이용하는 연령층은 주로 10대-20대들이다 화장품 가격이 한국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주 애용하는 이유는 한류 열풍으로 인한 한국 연예인들에 대한 관심과 화장법이 크게 유행하고 있음을 현지 설문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⓷ 체감할 수 있을 만큼 커다란 한류열풍

- 뉴스에서만 듣던 한류 이야기를 대만에서 직접 느낄 수 있을 정도로 한류열풍은 크다 특히 삼성이나 LG의 TV나 스마트폰은 어딜 가든 항상 보이고 한국 화장품 선물에 대한 반응이 무척이나 뜨겁다 원활한 현지 조사를 위하여 사은품으로 준비한 한국 마스크 팩 100개는 오히려 현지인들이 참여 의사를 표현할 만큼 열정적이었다 일부 대만 사람 중에는 어디서 왔냐는 질문에 한국이라는 답변을 하니 같이 사진 찍기를 제안하기도 했다

⓸ 중소기업에게 있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는 대만 시장진출- 대만 시장 진출에 앞서 한국 화장품 중소기업이라면 전략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크게 대만 시장을 겨냥

할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할지 선택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3CE는 한국 화장품 회사다 대만에서 젊은 연령층이 자주 이용하고 이미 대만 내에서는 유명하다 3CE는 오프라인 매장 없이 순수 온라인 매장으로 운영하면서 대만 사람들을 위한 전용 웹사이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윤을 창출 하고 있다 신중해야 할 점은 현재 온라인 오프라인 등 한국 화장품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신규 진입에 있어서 장벽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대만 시장을 활용한다면 동남아 시장까지 한 번에 내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출입통관 절차가 간단하고 관세가 낮기 때문에 중소기업에게 유리하다 아직까지 중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1 -

에 대한 직접적인 수출이 가능한 곳은 상해나 항주 같이 중국에서 허가한 무역항 도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내륙까지 시장을 확대하기는 불가능하지만 같은 언어권인 대만을 거치면 보다 쉽게 바이어나 에이전트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인맥을 통한 꽌시와 수수료 명목으로 뒷돈을 요구하는 중국 바이어의 관행은 자금 순환이 원활치 않은 중소기업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11-3 LGC 프로젝트 종합 의견 및 전망

우리 lsquoEST팀은 출국 전 국내 화장품 시장 조사를 할 때 대덕 밸리 스타트업 기업 셀아이콘 랩의 영향으로 대만의 화장품 산업에 대해 큰 관심과 가능성을 보고 2015년 1월 5일부터 1월 13일까지 8박9일이라는 시간동안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 나라 중에 하나인 대만에서 rsquo대만의 화장품 시장lsquo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사를 했다 대만에서는 3개의 기업 (KOTRA SISDORA WABFENIX) 을 방문해 전반적인 대만의 화장품 시장과 판매전략 한류에 대한 보다 사실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1개의 대학 (국립성공대학 國立成功大學)에서 MBA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또 타이난에서는 대만에서 오랫동안 사업하시는 한인협회 회장을 만나 PLC (Product Life Cycle)를 통해 대만에서의 특정 시장이 도입기에 있는지 또 어떠한 시장이 쇠퇴기에 놓여있는지 다양한 시야에서 대만시장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노력은 CK 사업단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교육부 CK-1 프로젝트의 일부인 Linton Global Challenge는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몇 년을 내다보는 지속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기업들과 더욱 더 활발한 교류와 연구를 한다면 기업과 CK 사업단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리라고 본다

1 개인 탐방 후기 (팀원 개인 소감)

1-1 개인 탐방 후기

강성민탐방 후기 기업 컨택 부터 인터뷰 일정 계획까지 8박 9일간의 대만 화장품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 출국 전까지 준비 과정부터 탈도 많았고 대만에 와서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 원하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매일이 항상 회의와 고민의 연속이었다 하루하루 충실히 계획을 진행시켜 나갔고 좋은 팀 분위기 속에서 무사히 대만 프로

부록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2 -

젝트를 완수했다 그리고 마침내 한국으로 돌아왔다 과정은 항상 오르막 길이였지만 돌이켜 보면 마지막 대학 시절을 기념할만한 좋은 추억이자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느끼는 바가 많았던 프로젝트로 기억 될 것이다

김은진탐방 후기 글로벌 챌린지를 한마디로 정의하라고 한다면 도종환 시인의 lsquo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lsquo라는 시가 떠오른다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대만기업컨택 설문조사 등 많은 것을 경험했다 처음엔 모든 것이 나에겐 버거운 산이라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도전이 계속 될수록 이젠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이 모든 도전들에 흥미가 생겼다 나 자신도 책임감과 자신감이 생기고 한층 성숙해 진 것을 내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소중한 동료와 추억은 평생 나의 가슴속에 남을 것이다 우린 앞으로도 많이 도전하고 경험하여 우리들의 삶이 활짝 만개하리라 다짐한다 끊임없이 도전하는 20대의 청춘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프로그램이었다 김종선탐방 후기 한국에서 준비하면서 조사했던 내용과 비교하며 인터뷰를 해보니 실제로 많이 다른 부분도 있었고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 비슷한 내용도 있었다 현지의 기업들을 방문해 우리가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직접 매장에 가서 느껴보니 앉아서 컴퓨터만 볼 때랑 많이 달랐다 그리고 직접 대만인들에게 설문조사를 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그리고 대만의 실제 문화와 환경 그들의 생활을 잠시나마 볼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

구명우탐방 후기 며칠간의 꿈만 같았던 대만에서의 시간이 지나갔다 대만으로 출국하기 전 사전조사 기간에는 확신이 없었다 사전조사와 기업과의 인터뷰 그리고 9일간의 일정조율 및 숙박과 모든 대만에서의 연구와 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보고서까지 무엇하나 확신이 드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도전과 해결능력을 배웠고 아시아에서 급성장 중인 대만에 대해서 배우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다음기수로 가게 될 관심 있는 학우들에게 진심으로 추천해주고 싶다

이규현탐방 후기 CK-1 프로그램 중 하나인 lsquo린튼 글로벌 챌린지lsquo 프로그램을 통해 약 8박 9일이라는 시간 동안 emerging market 중 하나인 대만에 거주하면서 한국 화장품의 대만시장 점유율과 진출 가능성을 몸으로 체감하고 자료들을 모아 통계 내어 정리할 수 있었다 우리 팀 lsquoEST가 성공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충분한 국내조사 기간을 갖고 대만의 화장품 회사들을 방문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대만의 특정한 기업을 찾기도 어려웠고 기업 컨택은 번번히 거절당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회사 두 군데에서는 답장조차 오지 않았고 설문조사할 때에는 반한감정의 대만인을 만나 고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팀의 단결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리더의 통솔력으로 정해진 스케줄대로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회사를 방문하고 학교교수를 만나고 길거리에서 설문조사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팀원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또한 대학생으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을 한 것 같아서 스스로도 너무 뿌듯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팀을 믿고 지지해주신 LGSB 교수님들과 CK-1 프로그램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영은탐방 후기 처음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렇게 준비는 열심히 하지만 정말 우리가 계획한 100대로 대만을 다녀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기우가 무색하게도 대만은 우리에게 기획안 그 이상의 것들을 보여주었다 사장님들의 생생한 사업 이야기와 대만의 색채가 묻어있는 아이템들 하며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여 알아보는 비즈니스 마켓의 현장은 나에게 두고두고 잊지 못할 자산으로 남았다 또한 펑리수 버블티를 비롯한 대만의 맛있는 먹거리들과 스린 야시장이나 지우펀 같은 명소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열심히 고생해준 팀원들과의 추억들도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3 -

이서우탐방 후기 이번 글로벌 첼린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서 쉽게 할 수 없는 해외 기업 탐방과 해당 국가의 산업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임효진탐방 후기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팀이 대만을 방문 한다고 했을 때 많이 의아해 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만을 직접 방문해보고 많은 사업자들을 만난 결과 대만은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라고 생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아직 공산주의라는 정치적 특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다른 곳보다 훨씬 어렵지만 대만은 자유시장체제 이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쉽다 특히 외국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만 시장에서 한국제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추고 중국 시장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성공가능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그리고 대만의 바이어들을 통해 중국의 시장진출을 하게 된다면 사업자가 직접 중국시장에 진출 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성공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만은 문화적으로 다른 아시아권보다 선진화 되었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대도시에 속하지만 모두다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골고루 섞여 대만만의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차안호탐방 후기 9박 10일간의 대만을 다녀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넓고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이번 대만 여행은 처음으로 경험한 해외여행 경험이여서 그런지 순탄치 않은 면도 있었지만 팀원들 서로가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만시장은 중국시장으로 가기위한 좋은 시험의 장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대만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영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더 나아가 미래에는 중국어야말로 영어와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성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또 하나 놀란 점은 대만이 반 한류 감정을 많이 갖고 있는 줄 알았지만 대부분의 대만 일반 시민들이 굉장히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에 놀랐고 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CK-1 사업의 챌린지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대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계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보완점 및 건의사항 (문제점개선책건의사항)

2-1 기업 컨택의 어려움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에 있는 기업과 연결하여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대해서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조사 및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시간을 내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로써 그들의 귀한시간이 아깝게 쓰이지 않을 것을 강조하여 만남을 만들어야 한다

2-2 사업단과 의사소통의 불편함

Challeng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CK-1 사업단과의 지속되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가령 누군가를 통해서 전해지는 소문이나 촉박한 시간을 제시하고 일 처리를 원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단과 각 팀의 대표간의 분명한 의사소통과 증빙자료 등이 필요하다

2-3 정보 부재 이번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이머징 마켓에서의 유망 산업 조사 및 연구였다 대만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17: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7 -

4 사전조사 활동 (셀아이콘랩)

4-1 기능성 화장품 연구amp제조 기업 lsquo셀아이콘랩rsquo 기업 인터뷰

회사 소개

회사명 셀아이콘랩주소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대로 1646 한남대학교 사이언스파크 312호 대표자명 성민규 대표 사업분야 코스메슈티컬 펩타이드 소재개발 피부 전문가용 코스메슈티컬 화장품 OEMODM 주문 생산 방식

인터뷰 내용 1) 셀아이콘랩 2014년도에 많은 해외 박람회에 참여하고 있는데 해외시장 진출 의사가 있으신가요= 저희 회사의 사업화 로드맵을 보시면 2014년에 해외영업 마케팅 판매가 계획되어 있고 올해 들어 중국 러시아 카자흐스탄 말레이시아 등 여러 나라를 방문하여 박람회에 참가하고 실질적으로 상품을 판매하고 반응을 살피고 있습니다

2) 그렇다면 대만 화장품 시장 진출에 대해 고려해본 적은 있으신가요 만약 진출을 고려해보았다면 대만의 화장품시장에서 원하는 자료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대만시장을 접할 기회가 부족했을 뿐 내년에 대만 시장진출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셀아이콘랩은 현재 거래중인 중국 카자흐스탄 등지의 국가들에서 더 나아가 대만이나 홍콩과 같은 중화권 시장의 가능성을 느끼고 해당나라에 진출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요구사항 대만의 수출수입 인허가 절차 관세 세금 시장가격 형성 요인 화장품 유통 채널 구매경로 트렌드 또한 대만 시장에 뷰티샾(우리나라의 올리브 영)같은 종합 매장이 형성과정 실질적인 구매력을 알아보기 위한 대학 졸업생의 평균 초봉 등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8 -

5 화장품 산업 및 환경 분석 (연구자료 첨부)

구분 2011 2012 2013(1월 ~ 11월)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및 성장률 19427798 42 19421349 00 191454345 08

5-1 화장품 시장 동향

시장규모 및 전망thorn 대만의 약품 및 화장품 시장규모는 2013년 기준 1914억 달러로 2012년 대비 008 증가

최근 3년간 대만 약품 및 화장품 시장규모 및 성장률 (단위 천 달러)

자료원 대만경제부 통계처

시장전망thorn 수요 감소 예상 요인 대만 화장품시장은 다양한 국산 수입제품들이 오랜 시간 경쟁하는 포화된 시장thorn 종합의견 다수 유명 외국 브랜드(예 SHISEIDO KOSE 등)는 대만에 공장을 설립해 국산 브랜드와

경쟁하고 있으며 대만 정부의 각종 규제가 엄격하고 많아 허가 관련 등록서류 및 비용으로 인한 진입 장벽이 큼

소비자 구매 패턴thorn 주요 소비자 계층 14~55세 등 다양thorn 소비자 구매 동기 귀엽고 여성스러운 디자인 미백 보습 등과 같은 눈으로 확인 가능한 기능성 민감

성 피부에 바로 사용 가능한 화장품을 선호하는 추세

제품 트렌드thorn 대만 시장에서 국산 브랜드보다 수입 브랜드의 인기가 더 높으며 그중 일본 브랜드가 장시간 많은 인

기를 유지하여 왔음thorn 최근 한국 드라마에서 스타들이 연출하는 화장법 또는 유명 스타가 광고하는 한국 화장품이 큰 인기

를 얻고 있으며 한류 열풍으로 대만에서 수입 화장품 판매량이 늘어나면서 국산 화장품의 신제품 개발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

thorn 피부과 및 의학미용센터에서 다양한 시술(보톡스 반점 제거 여드름 크리닉 모공축소 레이저 비지 제거 등)을 받아 꾸준히 피부관리를 받고 다니는 여성들이 많아지는 추세에 따라 기능성을 강조하는 의학미용(aesthetic medicine) 화장품 혹은 시술 받고 나서도 바로 사용 가능한 기초화장품(무자극 보습효과 강조)이 유행하기 시작함

해당 산업 관련 정부 정책thorn GMP 정책 글로벌 추세에 따라 대만 화장품의 품질middot제조 수준 및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대만 경

제부공업국과 대만 위생서는 2008년 9월 4일부터 lsquo자발성 화장품 우량제조규범 검증제도(自願性化妝品優良製造規範驗證制度)rsquo를 실시한다고 발표함 약품 의료기기 식품을 이어 화장품이 네 번째로 GMP검증을 받는 산업이 되었음 ISO 22716 규범으로 주요 참고 근거로 보고 있음 동시에 화장품 GMP 추진 플랫폼을 설립하고 기업 문의에 대한 상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9 -

구분 2011 2012 2013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및 성장률 614293 1192 600356 -227 557784 -085

순위 국가 금액 점유율 증감율2011 2012 2013 2011 2012 2013 1312

총계 614293 600356 557784 100 100 100 -0851 일본 248980 237052 199987 40531 39485 35854 -113212 프랑스 116031 111983 110509 18888 18653 19812 45333 미국 89984 96689 89924 14648 16105 16122 -03914 한국 29779 29329 36746 4848 4885 6588 386345 중국 23444 30114 30138 3816 5016 5403 99486 영국 15895 14619 14482 259 2435 2596 29227 독일 16799 14327 14159 274 2386 2538 96758 스위스 13631 12401 11151 222 2066 1999 -5329 태국 9929 9214 8943 162 1535 1603 533310 이탈리아 12312 8853 8632 2 1475 1548 7727

5-2 수입동향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동향 (단위 천 달러 )

주 대만 국제무역국

최근 3년간 상위 10개국의 수입통계

주요 수입국 현황(HS Code 330499 기준) (단위 천 달러 )

자료원 대만 경제부 국제무역국 중화민국수출입무역통계(httpcus93tradegovtwFSCI)

수입관세 및 관련 제도thorn 관세 0thorn 통관 시 유의사항 대만에서 화장품은 의료용 또는 약품을 함유하지 않은 lsquo일반화장품rsquo과 lsquo함약화장

품rsquo 등 세 종류로 나눠져 있음 함약화장품의 경우 통관 시 대만 위생서에서 발행한 위생허가증을 제시해야 함

thorn 필수 인증 현황 함약화장품(예 염색제 파마제 자외선차단제 땀 억제제 치아미백제 등)은 대만 위생서 허가를 받아야 수입 및 제조판매를 할 수 있음 허가 신청 시 제품명 성분 제조업체명 제조업체주소 해외 수입업체명 수입업체주소 제품 전성분 용량 용도 사용법 유효기간 샘플 Certificate of Analysis Certificate of Sales SPF ampUVA 검사보고서 등이 필요함(세부사항은 대만 위생서 홈페이지 참조바람)

5-3 유통구조

유통채널 종류thorn 오프라인 백화점 H ampB(Watsons Cosmed SaSa 등) 방문판매 약국 각종 마트 편의점 피부과

피부관리센터 전문판매점(로드숍)thorn 온라인(여기는 virtual channel을 뜻함) 홈쇼핑 온라인 쇼핑몰(경매 브랜드 홈페이지 등 포함) 우편

주문(郵購) 등이 있음

유통채널 점유율 오프라인 유통채널의 점유율은 여전히 70~90 정도로 높게 차지하고 있으나 온라인 유통채널의 점유율도 빠른 속도로 상승하고 있음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0 -

브랜드명 제품명 가격 판매순위

SHISEIDO 100 1

SKII 133 2

ESTEE LAUDER 100 3

항목 내용전시회명(현지어명) 2014春夏國際美容化妝品展전시회명(한국어) 2014 춘하 국제미용화장품 전시회

전시품목 미용 화장품개최국가도시 타이베이

유통채널 활용 방안 아직까지 온라인 채널의 점유율이 높지 않으나 대만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블로그 등)에 영향을 많이 받는 편이어서 오프라인 채널에 진입하기 전에 온라인으로 먼저 마케팅(브랜드 이미지메이킹 블로거 마케팅 등)을 진행하는 방법을 추천함 대만 오프라인 채널의 진입장벽은 매우 높으며 비교적으로 이윤이 많이 남는 온라인시장에서 브랜드 파워를 먼저 키우면 오프라인 채널에 들어가는 길이 훨씬 수월해질 것으로 예상함

5-4 경쟁동향

경쟁제품 현황주요 경쟁제품 현황

(단위 달러)

한국 제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 및 선호 브랜드 현황thorn 한국 제품 현지 인지도 높음thorn 선호 브랜드 3CE INNISFREE NUTURE PUBLIC MISSHA THE FACE SHOP LANEIGE 등

5-5 효과적인 시장 진출 전략

타깃 고객층thorn 타깃 고객층 20~30대 초반thorn 타깃 사유 유행에 따라 새로운 것을 많이 도전하고 한류의 영향도 가장 많이 받는 젊은 층이 한국

화장품을 소비하는 경우가 많음 35세 이후의 직장 여성 혹은 가정주부들은 여전히 일본 혹은 유럽 미국의 고가 화장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활용 가능한 마케팅 방안 ⓵ 현지 전시회 정보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1 -

개최주기 3월경개최기간(2014년) 0321~0325

웹사이트 httpwwwudnicecom

⓶ 전시회 이외의 주요 마케팅 방안 블로거 마케팅 등 ⓷ 유력 홍보 방안(전문잡지 온라인 매체 등)

thorn 온라인 매체 Fashion guide(httpwwwfashio guidecomtw) UrCosme(httpwwwurcosmecom)

thorn 전문잡지 VIVI BEAUTY 大美人 Style W Marie laire Fashion Guide 등

시장 확대를 위한 무역관 의견 대만 화장품시장은 가격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 시장 진입 시 확실한 브랜드 포지션을 정해야 하며 해당 포지션의 대만 제품 가격을 조사한 후에 대만 최종 소비가격을 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

또한 소비자들은 할인세트 및 사은품에 약하여 각종 행사 진행 시 사은품 증정 혹은 묶음세트로 판매하는 것을 추천 보습(특히 히알루론산 성분 강조) 및 미백(대만 정부에서 인증된 미백성분이어야 함) 제품을 매우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6 탐방 상세 일정 (일정표 - 기간 지역)

날짜 지역105(월) 인천 ~ 대만 타이페이

시간 일정0600 인천공항 도착

0600 ~ 0920 인천공항 대기0920 ~ 1140 인천공항 rarr 대만 1140 ~ 1230 대만 입국 수속1230 ~ 1320 숙소 이동 (용산사 역)1320 ~ 1500 짐정리1500 ~ 1600 회의 및 일정정리1600 ~ 163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630 ~ 1800 KOTRA방문 및 인터뷰1800 ~ 1830 101타워 딘 타이 펑 이동(도보)1830 ~ 1910 저녁식사 - 딘 타이 펑1930 ~ 2100 101 타워 야경감상2100 ~ 2130 숙소로 이동2130 ~ 223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6(화) 타이페이

시간 일정0900 기상

0900 ~ 110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30 ~ 1230 점심식사 - 마라훠거1230 ~ 1300 SISDORA 본사로 이동

6-1 8박 9일 대만 일정 (150105 ~ 150113)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2 -

1300 ~ 1530 SISDORA 방문 및 인터뷰1600 ~ 1800 101타워 퍼스널 트레이닝 센터 방문1800 ~ 1930 저녁식사 - 카렌 레스토랑1930 ~ 2000 숙소로 이동2000 ~ 2100 개인 휴식2100 ~ 223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7(수) 타이페이

시간 일정0900 기상

0900 ~ 113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30 ~ 120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200 ~ 1250 점심식사 - 키키 레스토랑1250 ~ 1300 시먼딩 이동1300 ~ 1530 화장품 설문조사1530 ~ 1830 한국 화장품 매장 제품 조사1830 ~ 1900 야시장 이동(MRT)1900 ~ 2000 저녁식사 ndash 야시장 음식2000 ~ 2030 숙소로 이동2030 ~ 2130 개인 휴식2130 ~ 230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30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8(목) 타이페이 ~ 타이난

시간 일정0830 기상

0830 ~ 110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00 ~ 1200 체크아웃 및 고속철도역 이동1200 ~ 1340 타이페이 rarr 타이난 이동1340 ~ 1400 짐 보관 및 인터뷰 장소 물색1400 ~ 1600 가오슝 한인협회장 인터뷰1600 ~ 1700 숙소도착 및 짐정리1700 ~ 1800 개인 휴식1800 ~ 1900 저녁식사 - 새우롤2000 ~ 2230 중간 정리 및 보고서 작성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9(금) 타이난

시간 일정0800 기상

0830 ~ 0900 아침 식사0900 ~ 1130 타이난 일정 브리핑 및 팀 미팅1130 ~ 1210 타이난 시내로 이동(TAXI)1210 ~ 1320 점심식사 - 스시1320 ~ 1350 성공대학 이동(도보)1350 ~ 1700 성공대학 방문1700 ~ 1800 성공대학 캠퍼스 탐방 및 대학원생들과 대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3 -

1800 ~ 1830 저녁식사 - 대만 전통 음식점1830 ~ 1900 타이난 RT마트 이동(도보)1900 ~ 2030 RT 마트 장보기2030 ~ 2100 숙소로 이동2100 ~ 2200 개인 휴식2200 ~ 2330 팀 회의 및 예산 정리

23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12(월) 타이페이

시간 일정0800 기상

0800 ~ 0900 아침식사(호텔 조식 제공-선택)0900 ~ 1130 호텔 개인시간1130 ~ 123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230 ~ 130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300 ~ 1600 Wabfenix 방문 및 인터뷰1600 ~ 1630 간식 - 망고차차1630 ~ 1700 시먼딩 이동(MRT)1700 ~ 1830 화장품 설문조사 활동1830 ~ 1930 저녁 식사 - 코코이찌방야2030 ~ 2130 개인 휴식2130 ~ 2300 팀 회의 및 예산 정리

230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13(화) 대만 ~ 인천공항

시간 일정0800 기상

0800 ~ 0900 아침 식사0900 ~ 1130 짐정리1130 ~ 1200 체크아웃1300 ~ 1400 점심식사 - 스시(시먼딩)1400 ~ 1430 쑹산 공항 이동(TAXI)1430 ~ 1530 시먼딩 rarr 쑹산공항1530 ~ 1730 출국 대기1730 ~ 2100 대만 출국 rarr 대한민국

2100 대한민국 입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4 -

7 방문 기업 소개 (인터뷰 내용)

7-1 대만 KOTRA

-2015년 1월 5일 월요일 1630~1800 인터뷰-위치 台北市 基隆路 1段 333號 22樓 14室(2214室) Intl Trade Building 22층-전화 (886-2)2725-2324 -팩스(886-2) 2757-7240

Q대만에 대하여 간단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우선 대만은 남한의 13의 해당하는 영토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구역시 남한에 비해 적은 2천 3백만 명 정도이며 기후는 아열대 몬순 기후권으로 비교적 따듯한 날씨입니다여러분이 대만에 와보셔서 알겠지만 대체로 습한느낌을 받으셨을 탠대 대만은 겨울에도 남한만큼은 춥지 않습니다 언어는 주로 중국어를 사용하며 문자는 중국과 살짝 다른 번자체를 사용합니다1인당 GDP는 2013년 기준 20984 달러 정도이며 산업구조는 제조업과 도소매업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Q현재 우리나라의 어떤 기업들이 대만에 진출해 있는지 궁금합니다

A최근에는 화장품을 주력 제품으로 아모레퍼시픽등 화장품 대기업들이 타이페이 시내에 로드샵을 많이 개점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대만은 제조업과 도소매업이 주를 이루다 보니 20~30년 전부터 진출한 기업들이 계속해서 입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주로 삼성물산 현대종합상사 LG상사 LG전자등 대기업이 주를 이루고 있고 우리나라 기업은 1년에 한 기업정도 대만에 진출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Q그렇다면 대기업을 제외한 중소기업들이 대만시장에 진출하지 않는 이유가 따로 있습니까

A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아무래도 중국시장이 개방을 하면서 인 것 같습니다 기존에 진출해있는 기업들은 과거 대만이 인프라 구축이 미흡했을 당시 해외투자를 많이 받으면서 비교적 좋은 조건으로 대만에 진출하고 인프라 구축등 사업을 진행하면서 기반을 다졌을 겁니다 그 기반으로 지금까지 대만시장에 진출해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중소기업의 경우는 해외투자가 너무 모험적이며 대만 시장과 중국의 시장을 비교하여 봤을 때 인구가 차이가 약 8배 정도 나며 중국에 비해 비교적 작은 시장이라고 느껴 대만보다는 중국에 많이 진출하는 것 같습니다

Q마지막 질문으로 만약 우리나라 중소기업이 대만시장에 진출할 때 유의해야 할 점이나 좋은 팁이 있을까요

A대만 시장에 완전히 진출해야겠다는 생각보다는 중국이나 다른 중화권 나라의 진출하기전 시험의 장소로 생각하고 진출해보는 것은 나쁘지 않다 생각 합니다 아무래도 대만의 인구가 많은 편이 아니다보니 불리한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5 -

조건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이나 다른 큰 중화권 시장으로 진출하기 전에 언어나 문화 중화권사람들의 사고방식등 여러방면에서 시험해 볼 수 있는 좋은 장소는 틀림없습니다 중소기업이 대만시장에 진출할 때는 코트라를 이용하여 각종 정보나 현지 인프라등을 이용하는 것 또한 하나의 방법이며 무엇보다 중화권의 문화와 중화권 대중들의 생각을 잘 공부하고 언어를 습득하여 오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7-2 SISDORA luxury beauty care

-1월 6일 화요일 1300~1530 인터뷰 1600~1800 101타워 퍼스널트레이닝 센터-주소 No9Aly 10Ln265Sec 4Xinyi RdDaan Dist Taipei City 106-대표 Mr Chung-Cheng Lee -전화886-2-27040889-URL httpwwwsisdoracom

Q 간략한 회사 소개와 SISDORA의 유래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A Isadora는 고대 이집트의 가장 강력한 여신의 이름입니다 Sisdora는 이 여신의 이름을 따서 만든 브랜드 이름입니다 이집트의 고대 여신인 Isadora의 이시스는 선물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고 생명과 건강 아름다움을 담당하는 여신으로도 유명합니다 저희 SISDORA는 비슷한 동음 이의어로 동양의lsquoISIS(이시스)rsquo라는 단어가 있어 브랜드 명을 SISDORA로 정하게 되었습니다Q Sisdora 제품 소개 부탁드립니다

A저희 제품은 안티에이징 미백 마스크 제품을 주력으로 하고 있습니다 동일 제품군을 비교해 봤을 때 가격 및 품질은 상위에 속하는 최상품의 제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마스크 팩 대부분은 종이섬유로 제조하는 반면 저희 Sisdora는 누에의 실(실크)로 만든 마스크 팩 입니다 실크마스크 팩을 제조할 때에는 피부 건강에 좋은 약재 및 약초등을 배합하여 제조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피부에 자극적인 향로를 첨가하지 않았고 수분이 빠르게 흡수 될 수 있습니다 덕분에 저희 마스크 팩을 사용하는 고객들은 부드럽고 산뜻한 느낌을 받으실 수 있을 겁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6 -

Q 귀하의 회사는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어떤 마케팅을 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A 저희는 해마다 대만 타이페이 글로벌 미스코리아 대회에 제품을 협찬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대만 유명 가수들과 함께 제품을 결합시킨 뮤직비디오를 제작하여 마케팅에 힘쓰고 있습니다뿐만 아니라 제품의 품질인증을 바탕으로 러시아 중국 동남아 지역에 진출하는대 힘쓰고 있습니다 저희 제품은 대만 내에서 스킨케어 제품으로써 유일하게 지정 브랜드 수상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저희는 주로 매스컴이나 인터넷을 통한 마케팅이나 엔터테이먼트 컨벤션 산업을 활용하여 마케팅을 하고 있습니다

Q 그렇다면 대한민국의 화장품 제품이 대만에 진출해 있는데 대한민국 화장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는 어떤지 궁금합니다

A 최근 5년 사이에 한국의 드라마 음악등 한류를 타고 대만에도 많은 한국 제품이 등장하였습니다 하지만 대만에는 오래전부터 수입화장품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이탈리아의 산타 마리아 노벨라 프랑스의 아이젠버그등 명품 화장품 브랜드가 오래전부터 입점해 현지 화장품시장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 때문인지 한국 화장품의 인지도는 크게 높지는 않습니다 아무래도 유럽 브랜드 그 다음으로 대만 기업의 브랜드 그 다음으로 한국의 화장품 브랜드 순으로 인지도가 형성되어 있다고 생각됩니다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한국화장품은 다른 명품 화장품들의 가격보다 저렴하고 성능이나 효과 면에서 절대 뒤처지지 않아 한류가 지속되고 마케팅이 잘 이루어진다면 충분히 유럽의 명품화장품의 인지도를 뛰어 넘을 수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Q 한국의 중소기업의 화장품이 대만 시장에 진출하는 것에 대해서는 어떤 의견을 갖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A 한국의 대기업 화장품 브랜드가 아닌 중소기업의 화장품 브랜드가 대만에 진출하는 것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겁니다 하지만 저희 회사도 중소기업으로 시작하여 마케팅 전략을 잘 활용 하여 많이 성장하였습니다 아무래도 한국의 중소기업의 화장품이 대만에 진출하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있겠지만 어떤 마케팅 전략을 선택하느냐가 가장 중요하고 마케팅이 잘 이루어지고 입소문이 퍼진다면 한국의 중소기업 화장품 또한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7 -

7-3 가오슝 한인협회

-1월 8일 목요일 1400~1600 인터뷰-주소 高雄市鼓山區二路37巷弄43-2號(고웅시고산구이로37항81롱43-2호)-대표 尹桓鎬(윤환호) HP 0932-740-538 -電話 07-5211933 -傅眞 07-5214031

Q 대만과 한국과의 무역 관계가 어떠한지 궁금합니다

A 한국과 대만과의 무역은 크게 활발하게 이루어 질 수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대만의 시장 자체가 매우 작기 때문에 대만에 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국내 시장이나 다른 큰 해외 시장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대만 시장을 거쳐서 동남아나 중국 시장으로 진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여서 기존에 존재하는 대기업이나 저처럼 오래 전부터 이민한 분들이 소규모로 중개무역을 하고 있는 정도입니다

Q 현재 한인협회 회장님께서 직접적으로 하는 일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현재 저는 한국의 화장품을 수입하여 대만 현지 기업에게 판매하는 중개무역을 하고 있습니다 대만에 온지 20년이 넘었는데 이런 저런 일을 하다가 기회가 되어 이쪽 일을 하게 되었는데요 처음에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인식이 없어 가격은 비싸고 품질의 보증은 되어 있지 않은 제품이라 소비가 크게 늘지 않았는데 한류 열풍이 불고 한국 드라마의 성공과 그 배우들이 광고하는 화장품의 수요가 크게 늘어 몇 년 전부터 시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Q 한국과 대만과 중국의 관계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해 주세요

A 앞서 말씀 드린 것 같이 한국의 기업은 대만을 통하여 중국 시장의 진출을 위하여 대만 시장을 많이 찾습니다 그 이유는 한국 기업이 대만 시장을 통해서 제품을 인정받는다면 대만과 중국은 같은 언어권의 나라로 대만기업을 통해 중국으로의 활로를 개척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왜 이렇게 돌아서 진출을 하려고 물으셨는데 그것은 쉽게 말해서 말이 잘 통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의 중국어를 잘 구사하는 사람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보다는 대만의 사람이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주고 인정을 해준다면 더욱 쉽게 자리를 잡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8 -

Q 스타트 기업의 대만 진출 성공여부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중소기업이 대만에 들어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현재 한국 내에서의 위치를 높이는데 주력하는 것이 좀 더 낫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대만은 아주 뛰어난 기술력을 가지고 있지만 자체 제품을 생산하지 않습니다 예로 Apple에서 전체 아이디어를 미국에서 한다면 그 아이디어 실행은 대만에서 이루어집니다 그리고 제품의 생산은 대부분 중국에서 이루어 지구요 이렇듯 대만의 기술력과 제품에 대한 이해가 빠르기 때문에 수입을 많이 의존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중소기업이 들어와서 제품을 판매한다 쉽게 성공할 수 없죠

Q 회장님께서는 중국과의 중개무역은 생각하고 있으시지 않습니까

A 네 저는 지금의 생활에 만족하고 있습니다 지금 저의 파트너들과의 관계도 좋고 따로 중국 진출은 생각하고 있지 않습니다 만약에 제가 중국을 진출하게 된다면 현재의 기업들과도 경쟁상대가 되어 저는 생각이 없습니다

7-4 국립성공대학(國立成功大學)

-1월 9일 1350~1700 인터뷰-주소 701 臺南市東區大學路1號-연락처06-2757575 -홈페이지 wwwnckuedutw

대만 국립 성공대학은 931년 타이난에 설립된 이공계 명문 대학입니다 국립성공대학은 66개의 캠퍼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각 캠퍼스마다 특징과 분위기가 다릅니다 우리 국립성공대학은 ldquo북대대 남성공(北臺大 南成功)rdquo 이라는 말이 있듯이 역사는 대만대학의 바로 다음갑니다

국립성공대학의 이름의 의미는 성공은 무엇을 성취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대만의 민족영웅인 정성공(鄣成功)을 기념하기 위한 대학이라는 뜻입니다 성공대학은 정성공이 있던 역사명승 적감루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해 있기도 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9 -

이후 인터뷰로 대만의 소개와 간단한 전공 소개가 있었다

7-5 WABFENIX RENIX GLORY GLORIA GUA

-1월 12일 월요일 1300~1500 인터뷰-주소 14F-1 No420 Sec 4 Xinyi Rd Xinyi Dist Taipei City 110 Taiwan (ROC)-대표 Mr KEN -전화886-5569-0555-URL httpswwwfacebookcomrenixfanspage httpwwwwabfenixcom

Q Wabfenix가 어떤 기업인지 소개 해주세요

A 저희 회사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으로 현재는 매장은 없지만 개발한 제품을 바탕으로 사업을 진행 중이고 대만현지에 저희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저희 회사는 제품의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화장품을 개발하여 대만시장 뿐만 아니라 중국시장의 진출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Q 귀하의 제품은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제품이라 하셨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제품 등이 있습니까

A 우선 Heymore 제품군의 블랙 마스크 팩과 Renix 제품군의 일반 마스크 팩을 출시했습니다Heymore의 경우 선물용임을 부각시키기 위해 디자인에 특히 많은 투자를 하였습니다 중국 중산층을 겨냥한 제품으로 가격대 1봉지에 한화 ₩40000 정도로 높게 책정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가격을 높게 측정한 이유에는 중국 화장품 소비문화 속에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 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에 저가 보급형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0 -

제품인 Renix와 차별을 두는 판매 전략을 선택하였습니다 현재 판매되는 제품은 마스크 팩을 주력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Q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인데 중국을 대상으로 어떤 진출 전략을 갖고 있습니까

A중국에서 열리는 화장품 전시회 화장품 엑스포 행사 바이어 미팅 등 꾸준히 참가중이며 바이어들에게 저희 제품을 어필하고 있습니다 물론 신생기업인 만큼 아직 중국 내에서 뚜렷한 판매 실적을 기록하진 못했지만 타 화장품 기업들과 다른 마케팅 방식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디자인이나 제품의 아이디어를 강조하고 있는데 대표 적인 상품으로 오뚝이 모양을 한 화장품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이 오뚝이 제품을 바이어들에게 어필해 보았는데 대단히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Q 해외시장 마케팅과 대만 시장마케팅의 차이점이 있습니까

A 우선 중국에서의 마케팅은 행사나 전시회에 참여하고 바이어들을 개인적으로 만나는 것에 치중해 있다면 국내 대만시장의 마케팅 전략은 페이스북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대만은 중국에 비해 SNS가 많이 발달되어 있어 자금이 많이 들어가지 않는 SNS마케팅을 하고 있고 각종 자선행사에 참여하여 저희 기업을 홍보하고 있습니다

Q 귀사의 제품을 중국보다 비싼 인건비가드는 대만 제조공장에서 생산하는 겁니까

A타이중에 소재하는 공장에서 마스크를 제조 하고 있습니다 인건비가 비싼 것은 대만 수도인 타이페이에만 주로 해당이 됩니다 지방 소도시에서도 외곽으로 들어가면 저렴한 인건비와 공장 가동비용으로도 제조가 가능 합니다 굳이 중국에 제조공장을 갖지 않는 이유는 신생기업이라 자금문제도 있지만 대만은 OEMampODM에 특화된 국가이기 때문에 품질 좋은 다양한 제품주문이 가능하고 중국 사람들에게도 자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 보다 외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가 더 좋기 때문에 대만에서 생산한 뒤 수출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Q 대만에 한국 화장품 기업이 진출한다면 어떠한 마케팅 전략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 생각 하십니까

A 이미 대만에 한국의 화장품 제품들이 많이 들어와 있습니다 하지만 대만 자체의 화장품 기업들이 기존에 많은 시장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성공을 거두기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최근 한국에 대한 이미지가 많이 좋아졌고 한국의 영화나 드라마 등이 많이 알려지면서 인지도가 높아졌습니다 한국의 대기업의 경우 이러한 대규모 마케팅을 할 수 있으므로 큰 무리가 없겠지만 한국의 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한다면 최종 시장 공략 층은 대만이 아닌 중국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대만은 중화권으로 가기 위한 연결다리라고 생각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또한 중소기업은 큰 마케팅 비용을 부담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대만에서는 SNS나 각종 자선 행사에 참여하여 인지도를 높이는 것을 추천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1 -

Q 같은 제품이지만 대만과 중국에서 판매할 때 가격 책정이 다른 이유가 무엇인가요

A 그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해드리자면 국가마다 소비 성향이나 구매 능력 환율 경제 상황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경영 에서는 가격 차별화(Price discrimination)이라 부르는데요 각 나라의 시장 특성에 적정한 가격대를 책정해서 제품을 판매하는 전략입니다 혹시 중국 상류층이 몇 명인지 알고 있나요 제가 알기로는 대만 인구의 2배인 4000만 명이라는군요 아마도 한국 인구랑 비슷한 규모 일겁니다 게다가 중산층은 약 4억 명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4억 명의 중국 소비자들이 우리 제품을 1개씩만 구입 한다면hellip 상상만 해도 엄청 나겠죠 이야기를 하다 보니 다른 쪽으로 빠졌는데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이야기하면 물론 좋은 제품을 모든 곳에 저렴하게 제공 하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 그러나 항상 시장에서 저렴한 제품만이 성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대만이나 한국처럼 고도의 산업화가 이루어지고 시장이 크게 발전한 안정적인 단계는 좋은 제품이라도 가격 경쟁력에 신경 써야 합니다 왜냐하면 소비자들이 똑똑하기 때문에 정보력이 넓고 합리적인 소비를 지향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가격 성능 디자인 등 많은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중국 시장은 대만이나 한국과는 특성이 다릅니다 저렴하다고 해서 많이 제품이 많이 팔리기 보다는 가격대가 어느 정도 있는 제품일수록 또는 가격대가 높을수록 소비자들이 관심을 보입니다 대체적으로 중국 소비자들은 lsquo저렴한 제품은 품질이 낮거나 효능이 좋지 않은 제품일거야rsquo 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 때문에 화장품 박람회나 전시회에 저가 화장품을 가져와 홍보하더라도 중국 바이어나 소비자들은 큰 관심을 주지 않습니다 처음에 말했듯이 중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2 -

국 소비문화가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라는 심리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Wabfenix의 경우에는 신생기업이라 많은 투자 금액이 없을 뿐 더러 대만 화장품 시장에 진출하기에는 리스크가

크고 진입 장벽이 높습니다 그리고 이미 한국 화장품 기업들이 대부분 점유를 한 상황이기 때문에 대만 내수시장에만 집중하기에는 경쟁력이 부족하죠 그래서 중국을 주력 수출시장으로 삼고 있는데요 저희는 제품 성능 보다는 소비자의 이목을 끌 수 있는 디자인에 더 많은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중국에 Wabfenix만의 화장품 선물 문화를 정착 시키는 것이 목적인데요 높은 제품 가격만큼 소비자의 관심을 끌 수 있고 선물 문화나 꽌시(关系)가 많은 중국 문화 특성에 맞추어 선물용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중국 시장은 현재 젊은 중산층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품질이 낮은 화장품 보다는 수입 화장품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점으로 미루어볼 때 높은 가격 차별화와 Wabfenix만의 디자인 마케팅은 좋은 경쟁력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3 -

8 현지 시장조사 활동 (시장동향사진설문조사 자료)

8-1 시먼딩 설문조사

목적 대만 사람들의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및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대상 10대~20대 여성 및 화장품 전문매장 종사자장소 시먼딩시간 2015년 1월 7일 12일 총 두 차례에 걸쳐 진행방법 ①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 판넬에 국가별로 메이크업 사진을 표시하고 스티커를 붙이는 방식으로 투표함 공정성을 위해 국가 이름은 블라인드로 처리하였고 모두 동일 인물의 사진을 사용함②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표본집단을 50명으로 설정함 설문조사가 끝나면 사은품으로 한국 브랜드 마스크팩 증정함

8-2 사전 기획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판넬 기획도gt

化妝辦法喜好度的調查화장법 선호도 조사

大家給自己喜歡的化妝貼貼紙 여러분이 선호하는 메이크업에 스티커를 붙여 주세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4 -

대만의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안녕하십니까

다음의 내용은 대만 화장품 트렌드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자 관련조사를 실시하고자 하오니

있는 그대로의 생각을 기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귀하의 응답은 통계적 목적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본 설문은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물음에 대한 답변이나 해당란에 v 표를 해 주십시오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7) ② 화장품 전문매장(34) ③ 마트(5) ④ 홈쇼핑(2)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합계 총 50 명

바쁘신 시간에 의견을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지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5 -

8-3 설문조사 활동

lt2015년 1월 7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6 -

lt2015년 1월 12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7 -

lt활동 결과 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8 -

9 설문조사 통계 분석 (설문조사 응답 수분석결과)

9-1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결과gt

설문 조사 질문지 양식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12)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③ 마트(5) ④ 홈쇼핑(6)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9 -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gt

9-2 설문조사 항목 별 의견 및 추측

설문 조사 질문지 항목 (최다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② 20 ~ 25세 (13)

0

5

10

15

20

25

30

20대 이하 20세~24세 25세~29세 30세~39세 40대 이상

rarr 시먼딩은 대만의 홍대거리라 불리는 lsquo융캉제rsquo나 서울의 lsquo명동rsquo과 같이 젊은 층이 주로 활동하는 지역이다 설문조사 중에도 교복이나 체육복을 입은 학생들과 길거리에서 쇼핑을 즐기는 20대가 즐비할 만큼 활기 있는 거리다 덥고 습한 대만 기후 특성 상 과거엔 화장법이 크게 발전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국의 자연스러운 화장법이 큰 인기를 끌면서 시먼딩에 화장품 거리가 조성되어 있을 만큼 유동 인구가 많다 이 점으로 추측해보았을 때 압도적으로 10대와 20대 층이 많은 응답 수를 기록했다고 본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0 -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051015202530

온라인 화장품전문매장 마트 홈쇼핑 방문판매

rarr 대만 또한 한국과 비슷하게 시내에 많은 수의 화장품 전문매장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접근성이 굉장히 높았다 더불어 각 화장품 매장에서는 상품 할인과 같은 각종 프로모션을 진행하기 때문에 구매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 구매한다는 대답도 높은 편이었는데 거의 대부분이 와이파이존이어서 어디서나 인터넷을 한 활발히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온라인에서의 구매율도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0

5

10

15

20

25

30

NT$300 미만 NT$300~NT899 NT$900~NT$1499 NT$1500~NT2999 NT$3000

rarr 응답자들은 대부분이 한 달 간 화장품에 쓰는 돈을 최저 1만원 이상(NT$300 이상)이라고 답했는데 이는 70가 넘어가는 결과로 화장품에 대한 지출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만원 이상이라고 대답한 응답자들 또한 4분의 1을 넘기는데 이것은 젊은 연령층부터 시작하여 최근 피부 관리와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대만의 소비 수준에 대비하여 화장품 소비율이 높은 것도 이 때문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1 -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③ 성능(23)

051015202530

가격 디자인 성능 화장품 모델 브랜드

rarr 아열대 기후에 속하는 대만은 높은 기온과 습한 날씨 탓에 에어컨 환경에 자주 노출돼 피부 수분을 잃기 쉬워 기능성 화장품의 소비가 두드러진다 대만 화장품 시장은 토너 세럼 에센스 로션 크림 등의 모든 스킨케어 제품들이 보습기능을 강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백이나 안티에이징 리프팅 저자극 오일프리(Oil-free) 등의 기능까지 추가된 스킨케어 제품들이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조 화장품 소비가 늘어난 것은 최근 몇 년 들어 다양한 화장품 브랜드 접촉기회가 많아지고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젊은 여성의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색조화장품 또한 메이크업베이스와 BB크림 립스틱과 같은 베이스 메이크업이 수요가 많았다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④인터넷(22)

0

5

10

15

20

25

30

TV 잡지 친구 인터넷 메이크업샵

rarr 최근 빠른 인터넷망과 스마트폰 태블릿PC의 보급으로 인해 사람들과 사람사이의 연결망이 견고히 형성되고 있고 이것이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방법을 얻는 경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만 소비자들은 주로 인터넷 블로그 가족과 친구로부터 메이크업 정보를 획득 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만의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이므로 입소문마케팅과 판매를 바로바로 할 수 있는 유통구조가 도움이 될 것 같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2 -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0

5

10

15

20

25

30

청순 독특 귀여움 섹시

rarr 앞서 살펴보았듯이 대만은 한국과 비슷한 메이크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이것은 곧 청순한 메이크업 컨셉에 관심 있어 한다는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실제로 대만 여성소비자들은 깨끗한 피부 NATURAL한 베이스메이크업을 선호한다 한 듯 안 한 듯 자연스럽고 깨끗한 느낌의 한국식 lsquo생얼rsquo 화장법은 대만에서 한국 드라마 열풍과 함께 유명세를 타기 시작해 현지 각종 온라인 뷰티 사이트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래서 응답의 대부분이 한 곳에 치우쳤고 비교적 개성 있는 메이크업 방법이 드물 것이라는 것을 유추해낼 수 있다

본 설문 조사를 통한 한국 화장품 기업에 대한 시사점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수입 절차로 오랜 시간을 허비해야 하는 반면 대만은 자외선 차단제 성분 함유 제품과 약용 화장품을 제외한 일반 화장품은 별도의 수입 검사 없이 수입할 수 있으므로 대개 중국보다 1~2년 먼저 신상품이 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한류 효과를 겨냥한 중화권 화장품 시장으로 대만을 우선 공략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대만은 대부분이 화장품에 대한 소비를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고 한국 화장품이 많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시장 접근법만 제대로 수립하면 매출이 나는 구조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대만인들이 선호하는 메이크업 방법이 한국과 비슷하기 때문에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은 마케팅 방안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최종분석설문 조사 대상은 대부분 10대~20대의 연령층이었으며 화장품의 주된 구입경로는 lsquo온라인(24)rsquo과 lsquo화장품 전문매장(50)rsquo이 압도적이었다 더불어 한 달 간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lsquo1만 원 이상(72)rsquo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이것은 실제 생활수준에 대비하여 높은 소비량이므로 대만의 화장품 시장 전망이 밝다고 할 수 있다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부분은 lsquo성능(46)rsquo이었는데 이는 스타트업 기업 중소기업에게 유리한 조건이다 메이크업 방법을 얻는 방법으로는 lsquo인터넷(44)rsquo과 lsquo친구(30)rsquo가 높은 비율을 차지했는데 판촉활동으로는 인터넷을 활용한 SNS 홍보 바이럴 마케팅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가장 관심있는 화장 컨셉은 lsquo청순rsquo 이었고 이것은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와 맞물려 우리나라와 비슷한 메이크업 방법을 추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3 -

10 대만 명소 소개 (명소음식행사숙소 소개)

10-1 고궁박물관

대만 고궁박물원은 영국의 대영 박물관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 미국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과 함께 세계 4대 박물관으로 손꼽힐 만큼 세계적은 소장 문물을 자랑한다 건물 규모는 그다지 크지 않지만 소장한 문물의 질과 양은 세계 최상급이다 중화 보물 중에서도 최고의 보물들이 모여 있어 진귀하기 그지없고 수량 역시 워낙 방대하여 3개월 단위로 1만여점을 돌아가면서 전시해도 다보려면 10년이 넘게 걸린다고 전해지고 있다 중국의 국공내전 당시 장제스가 이끌던 중국 국민당이 전쟁에서 패하며 중국을 탈출해 대만으로 향했다 당시 장제스는 난징에 있던 정부를 타이페이로 이전하면서 자금성에 보관되어있던 중국역대 왕조 보물 수십만 점을 배를 이용해 운반해 왔다 중국의 유물을 가진 자가 진정한 통치자라고 생각했던 장제스는 ldquo공산군에게 영토는 내줘도 문화유산만큼은 내줄 수 없다ldquo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대표적인 유물은 취옥배추 육형석 모공정 산씨반 등이 있다

10-2 용산사

루강의 초입에 있는 이 사찰은 타이완에서 가장 오래되고 아름답다고 하여 타이완의 자금성이라고 부른다 각 건물의 기둥 벽 그리고 천장 등에 새겨진 조각은 특히 빼어나다 이 조각상과 함께 이곳의 명물로 알려진 것은 사찰 경내에 있는 2마리의 용상인데 삼천전 앞마당 좌우에 서서 룽산사를 호위하고 있다

10-3 타이페이 101 빌딩

타이베이 101빌딩rsquo이라 부르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로서 빌딩 모습은 하늘로 뻗어나가는 대나무 위에 꽃잎이 겹겹이 포개진 형상이다 본래 타이베이 금융기관이 모인 건물이지만 대형 쇼핑센터와 푸드코트 고급 레스토랑이 있어 여행자들이 많이 찾는다 건물에는 8개 마디가 있는데 이는 중화 문화권에서 부와 번영을 의미하는 숫자 lsquo8rsquo을 염두에 둔 것이다 타이베이 시내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는 높이 508m로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히는 높은 건물이다 지상 1~5층에는 소고 백화점 뷰티 플라자 애버뉴 101 등 다양한 패션∙뷰티용품을 구입할 수 있는 상점이 있다 또한 레스토랑 시티 스퀘어 대형 서점 등 쇼핑과 오락 식사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복합시설이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4 -

잘 알려진 식당으로는 딘 타이 펑(Din Tai Fung) 이 있다 101타워 지하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샤오롱바오(고기만두) 새우 샤오마이(새우만두) 탄탄면(우육면)이 가장 대표적인 메뉴이며 대만에 방문한 많은 사람들이 찾는 식당이다

10-4 지우펀

대만여행의 백미로 꼽히는 지우펀은 타이페이시 북부의 루이팡 지역의 작은 산골 마을로 과거에는 아홉가구만 살고 있어서 지우펀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예전에는 작은 산골 마을에 불과 했지만 이 지역에서 금맥이 발견되면서 호황을 맞이하게 된다 특히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일본풍의 건물들이 남아 있어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결합된 독특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비탈길을 따라 하늘로 이어진 예스러운 건물 그리고 골목마다 빨간 홍등과 함께 묻어나는 옛 풍경은 여행객들에게 인기 여행지이다

10-5 스린야시장

타이베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야시장 가운데 하나이다 독특하면서도 다양한 전통 먹을거리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이곳을 찾는 관광객이 많다 시장 부근에 학교가 많아 학생들이 많이 찾으며 포장마차 등의 노점상이 많아 가격도 저렴하다 칭런샹[情人巷]에는 가구 의류 액세서리 사진현상점 애완용품점 등이 모여 있어 학생뿐 아니라 관광객들도 자주 찾는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5 -

10-6 예류 지질 공원

타이완 북해안에 자리한 예류는 해수욕장과 온천 기암괴석으로 유명한 관광지다 특히 예류지질공원은 희귀한 모형의 바위와 암석이 모여 있어 예류 관광의 필수코스로 꼽힌다 작은 곶으로 된 예류지질공원은 침식과 풍화 작용을 거쳐 자연적으로 형성된 기암을 보러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지질공원으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것이 선상암 군락이다 암석 하나하나의 모습은 마치 거대한 버섯이 큰 머리로 하늘을 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선상암 가운데 가장 유명한 암석은 이집트 왕비의 옆모습을 닮은 여왕 두상 바위다

10-7 스펀(Shifen)

스펀(十分)은 옛 광산마을로써 천으로 만든 등이 유명하다 또한 이 곳 스펀은 대만 최대의 폭포 스펀(SE-FEN) 폭포가 있다 미니기차와 천으로 만든 등을 날릴 수도 있다 마을의 한가운데 긴 철길이 놓여 있고 30분에 한 대씩 기차가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것도 볼 수가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6 -

10-8 진과스(金瓜石)

진과스(金瓜石)는 타이완 타이베이 근교에 있는 옛 탄광 유적이다 20세기 전반에 금 채굴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20세기 후반에 금이 차차 고갈되기 시작하자 점점 위축되어 폐광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관광 명소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하루에도 수백명이 들렀다 가는 대만의 대표 관광지이다 진과스 내에 있는 황금 박물관에는 220kg 의 금이 전시 되어 있는데 손을 넣어 직접 만져 볼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진과스에서는 과거 광부들이 먹었던 도시락을 그대로 만들어 판매하는 광부 도시락도 굉장히 인기가 많다

10-9 국립 성공대학

대만의 타이난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1931년에 개교하였다 2010년 QS대학순위에서 283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대만 대학중 2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총 9개의 캠퍼스로 이루어져 있어 굉장히 큰 면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만 교육청에서 인정한 9개의 주요대학 중 하나이고 대만 기업체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학이다 이공계열이 가장 뛰어나며 중문 역사 법학 경제학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10 시먼딩

타이베이시에 위치한 시먼딩은 한국의 명동과 같은 거리이다 대한민국의 명동에도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과 외국인이 많다고 알려져 있는데 시먼딩 또한 명동 못지않은 다양함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대만의 패션과 놀이 문화 음식 등을 한눈에 경험 할 수 있는 공간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7 -

10-11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

중정기념당은 타이완 총통 장제스(蔣介石)를 기리는 전당이다 lsquo중정rsquo은 장제스의 본명이다 그가 서거한 후 1980년 기념당을 세웠다 25만에 이르는 넓은 중정공원 안에 우뚝 선 높이 70m의 기념물이 중정기념당이다 기념당 1층에는 장제스 생애를 엿볼 수 있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거대한 장제스 동상은 항상 근위병이 동상 앞을 지키고 있다 중정공원 안에는 중정기념당 외에 국립 희극원과 국립 음악청이 있는데 이곳에서 연극과 콘서트를 한다 공원 조경 또한 잘 조성되어 있어 산책하며 천천히 둘러보기에 좋다

10-12 안핑지구(安平地區)

대만의 문화와 역사는 안핑지구에서 시작되었다 안핑구바오는 17세기 중엽 네덜란드인들이 지은 요새로 정성공이 빼앗아 번영하다가 황폐해져 지금은 보루의 대부분이 없어지고 설탕과 굴껍데기와 찹쌀가루를 버무려 만든 빨간벽돌로 된 장벽(臺灣城殘蹟)만이 남아 나무뿌리와 존립의 사투를 벌이고 있다 감시탑 옆 건물 안에는 네덜란드와 정성공의 전투에 대한 이야기와 중세갑옷 등이 전시 중이다 이 주변에는 대만에서 가장 오래된 상업거리 옌핑제(延平街)가 있는데 옛 명성이 다한 거리의 골목 사이사이 수백년 된 가옥을 구경하는 것도 소소한 즐거움이다 1867년 영국인 상점과 물류창고로 이용하던 건물에 노용수(老榕樹)가 멋대로 자라 건물을 집어삼키듯 뒤덮은 나무집으로 불리는 안핑수우도 안핑지구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진귀한 볼거리다

10-13 미라마 관람차

대만에서 가장 큰 관람차로 알려져 있는 미라마 관람차는 타이페이 시의 야경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관람차 크기가 큰 것으로 유명하지만 가격 또한 저렴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유스트래블 카드를 이용하면 50 할인이 적용되므로 꼭 지참하도록 하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8 -

lt미라마 관람차 티켓gt lt유스트래블 카드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9 -

11 시사점 및 차후 활용계획 (LGC 프로그램을 통한 구체적인 효과 및 연구결과)

11-1 LGC 프로젝트 만족도

구분 항목 전 후 한줄 평

사업단

프로젝트 취지- 린튼 글로벌 학과와 경영정보학과 학생들이 함께

하는 프로젝트 해외시장탐방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사전교육 활동- 출국 전 각 나라에 대한 유의사항 안전교육이 체

계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개략적인 보고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었다

행정지원 절차- CK사업단 린튼 글로벌 학과 경영정보학과 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히 되지 않아 사전 계획에서 많은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협동력 향상- 출발 전 잦은 팀 회의와 8박 9일 간에 일정에도

불구하고 불화 없이 좋은 분위기 속에서 프로젝트를 완수 했다

추진력 향상- 일정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 한 점 추가 자료조

사를 위해 현지에서 새로운 일정을 추가 됐을 때 팀원들이 일사불란하게 따라주었다

문제해결 능력- 교통편 문제와 기업 측 내부 문제로 일부 일정에

변동이 있었지만 신속한 조율과 전화 통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개인

동기부여 자극- 현지인들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국어 영어 능

력의 필요성을 실감했다 특히 중국어는 소통 유무에 따라 현지 반응이 극명하게 갈렸다

진로설계 도움- 프로젝트 전에 비해 새로운 직업 분야에 대한 관심

이 증가했다

취업능력 향상-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한 내용을 살려 구술 면접이

나 자기소개서 작성에 참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11-2 LGC프로젝트 연구 결과 - 대만 시장

⓵ 중국시장을 주목하는 대만 화장품 기업- EST팀은 현지 대만 화장품 기업으로 SISDORA와 WABFENIX를 선택했다 두 회사를 선정한 배경에는

명확한 의도를 두고 정했다 SISDORA는 설립한 지 10년이 넘는 회사로 직접 화장품을 개발 및 연구하고 판매하는 중소기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과 주름개선 크림으로 중년 여성을 타깃 층으로 하는 화장품 회사다 반면 WABFENIX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스타트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 이지만 기술개발 보다는 디자인 마케팅에 중점을 두었고 판매 층도 10대-20대의 젊은 층을 타깃 층으로 한다 시장 전략이 완연히 다른 두 기업이 유일하게 공통점이 있다면 중국시장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선정 이유에는 많은 인구의 소비력을 꼽지만 뒤이어 언급하는 이야기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자사 제품의 경쟁력 약화를 말한다 현재 대만 기업 대부분은 내수 시장 대신에 중국을 겨냥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국가 산업 특성상 제조amp연구 분야가 강세인 대만에서는 중국 바이어 또는 미국 유럽 바이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직접 판매 보다는 기술 협력을 통해 이익을 창출한다고 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0 -

⓶ 대만 시장을 점령한 한국 화장품

- 앞서 말했듯이 2012년 이후부터 급속히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한국 화장품은 대만 시장을 점령하고 있다 이미 시먼딩에 들어서면 다양한 한국 화장품 매장이 눈에 띌 만큼 들어섰으며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중앙 광장에 입점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매장 안에는 많은 대만 사람들이 화장품을 보고 있는 광경을 흔히 본다 화장품 매장을 이용하는 연령층은 주로 10대-20대들이다 화장품 가격이 한국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주 애용하는 이유는 한류 열풍으로 인한 한국 연예인들에 대한 관심과 화장법이 크게 유행하고 있음을 현지 설문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⓷ 체감할 수 있을 만큼 커다란 한류열풍

- 뉴스에서만 듣던 한류 이야기를 대만에서 직접 느낄 수 있을 정도로 한류열풍은 크다 특히 삼성이나 LG의 TV나 스마트폰은 어딜 가든 항상 보이고 한국 화장품 선물에 대한 반응이 무척이나 뜨겁다 원활한 현지 조사를 위하여 사은품으로 준비한 한국 마스크 팩 100개는 오히려 현지인들이 참여 의사를 표현할 만큼 열정적이었다 일부 대만 사람 중에는 어디서 왔냐는 질문에 한국이라는 답변을 하니 같이 사진 찍기를 제안하기도 했다

⓸ 중소기업에게 있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는 대만 시장진출- 대만 시장 진출에 앞서 한국 화장품 중소기업이라면 전략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크게 대만 시장을 겨냥

할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할지 선택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3CE는 한국 화장품 회사다 대만에서 젊은 연령층이 자주 이용하고 이미 대만 내에서는 유명하다 3CE는 오프라인 매장 없이 순수 온라인 매장으로 운영하면서 대만 사람들을 위한 전용 웹사이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윤을 창출 하고 있다 신중해야 할 점은 현재 온라인 오프라인 등 한국 화장품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신규 진입에 있어서 장벽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대만 시장을 활용한다면 동남아 시장까지 한 번에 내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출입통관 절차가 간단하고 관세가 낮기 때문에 중소기업에게 유리하다 아직까지 중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1 -

에 대한 직접적인 수출이 가능한 곳은 상해나 항주 같이 중국에서 허가한 무역항 도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내륙까지 시장을 확대하기는 불가능하지만 같은 언어권인 대만을 거치면 보다 쉽게 바이어나 에이전트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인맥을 통한 꽌시와 수수료 명목으로 뒷돈을 요구하는 중국 바이어의 관행은 자금 순환이 원활치 않은 중소기업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11-3 LGC 프로젝트 종합 의견 및 전망

우리 lsquoEST팀은 출국 전 국내 화장품 시장 조사를 할 때 대덕 밸리 스타트업 기업 셀아이콘 랩의 영향으로 대만의 화장품 산업에 대해 큰 관심과 가능성을 보고 2015년 1월 5일부터 1월 13일까지 8박9일이라는 시간동안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 나라 중에 하나인 대만에서 rsquo대만의 화장품 시장lsquo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사를 했다 대만에서는 3개의 기업 (KOTRA SISDORA WABFENIX) 을 방문해 전반적인 대만의 화장품 시장과 판매전략 한류에 대한 보다 사실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1개의 대학 (국립성공대학 國立成功大學)에서 MBA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또 타이난에서는 대만에서 오랫동안 사업하시는 한인협회 회장을 만나 PLC (Product Life Cycle)를 통해 대만에서의 특정 시장이 도입기에 있는지 또 어떠한 시장이 쇠퇴기에 놓여있는지 다양한 시야에서 대만시장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노력은 CK 사업단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교육부 CK-1 프로젝트의 일부인 Linton Global Challenge는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몇 년을 내다보는 지속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기업들과 더욱 더 활발한 교류와 연구를 한다면 기업과 CK 사업단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리라고 본다

1 개인 탐방 후기 (팀원 개인 소감)

1-1 개인 탐방 후기

강성민탐방 후기 기업 컨택 부터 인터뷰 일정 계획까지 8박 9일간의 대만 화장품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 출국 전까지 준비 과정부터 탈도 많았고 대만에 와서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 원하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매일이 항상 회의와 고민의 연속이었다 하루하루 충실히 계획을 진행시켜 나갔고 좋은 팀 분위기 속에서 무사히 대만 프로

부록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2 -

젝트를 완수했다 그리고 마침내 한국으로 돌아왔다 과정은 항상 오르막 길이였지만 돌이켜 보면 마지막 대학 시절을 기념할만한 좋은 추억이자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느끼는 바가 많았던 프로젝트로 기억 될 것이다

김은진탐방 후기 글로벌 챌린지를 한마디로 정의하라고 한다면 도종환 시인의 lsquo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lsquo라는 시가 떠오른다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대만기업컨택 설문조사 등 많은 것을 경험했다 처음엔 모든 것이 나에겐 버거운 산이라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도전이 계속 될수록 이젠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이 모든 도전들에 흥미가 생겼다 나 자신도 책임감과 자신감이 생기고 한층 성숙해 진 것을 내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소중한 동료와 추억은 평생 나의 가슴속에 남을 것이다 우린 앞으로도 많이 도전하고 경험하여 우리들의 삶이 활짝 만개하리라 다짐한다 끊임없이 도전하는 20대의 청춘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프로그램이었다 김종선탐방 후기 한국에서 준비하면서 조사했던 내용과 비교하며 인터뷰를 해보니 실제로 많이 다른 부분도 있었고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 비슷한 내용도 있었다 현지의 기업들을 방문해 우리가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직접 매장에 가서 느껴보니 앉아서 컴퓨터만 볼 때랑 많이 달랐다 그리고 직접 대만인들에게 설문조사를 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그리고 대만의 실제 문화와 환경 그들의 생활을 잠시나마 볼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

구명우탐방 후기 며칠간의 꿈만 같았던 대만에서의 시간이 지나갔다 대만으로 출국하기 전 사전조사 기간에는 확신이 없었다 사전조사와 기업과의 인터뷰 그리고 9일간의 일정조율 및 숙박과 모든 대만에서의 연구와 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보고서까지 무엇하나 확신이 드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도전과 해결능력을 배웠고 아시아에서 급성장 중인 대만에 대해서 배우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다음기수로 가게 될 관심 있는 학우들에게 진심으로 추천해주고 싶다

이규현탐방 후기 CK-1 프로그램 중 하나인 lsquo린튼 글로벌 챌린지lsquo 프로그램을 통해 약 8박 9일이라는 시간 동안 emerging market 중 하나인 대만에 거주하면서 한국 화장품의 대만시장 점유율과 진출 가능성을 몸으로 체감하고 자료들을 모아 통계 내어 정리할 수 있었다 우리 팀 lsquoEST가 성공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충분한 국내조사 기간을 갖고 대만의 화장품 회사들을 방문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대만의 특정한 기업을 찾기도 어려웠고 기업 컨택은 번번히 거절당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회사 두 군데에서는 답장조차 오지 않았고 설문조사할 때에는 반한감정의 대만인을 만나 고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팀의 단결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리더의 통솔력으로 정해진 스케줄대로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회사를 방문하고 학교교수를 만나고 길거리에서 설문조사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팀원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또한 대학생으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을 한 것 같아서 스스로도 너무 뿌듯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팀을 믿고 지지해주신 LGSB 교수님들과 CK-1 프로그램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영은탐방 후기 처음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렇게 준비는 열심히 하지만 정말 우리가 계획한 100대로 대만을 다녀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기우가 무색하게도 대만은 우리에게 기획안 그 이상의 것들을 보여주었다 사장님들의 생생한 사업 이야기와 대만의 색채가 묻어있는 아이템들 하며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여 알아보는 비즈니스 마켓의 현장은 나에게 두고두고 잊지 못할 자산으로 남았다 또한 펑리수 버블티를 비롯한 대만의 맛있는 먹거리들과 스린 야시장이나 지우펀 같은 명소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열심히 고생해준 팀원들과의 추억들도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3 -

이서우탐방 후기 이번 글로벌 첼린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서 쉽게 할 수 없는 해외 기업 탐방과 해당 국가의 산업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임효진탐방 후기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팀이 대만을 방문 한다고 했을 때 많이 의아해 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만을 직접 방문해보고 많은 사업자들을 만난 결과 대만은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라고 생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아직 공산주의라는 정치적 특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다른 곳보다 훨씬 어렵지만 대만은 자유시장체제 이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쉽다 특히 외국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만 시장에서 한국제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추고 중국 시장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성공가능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그리고 대만의 바이어들을 통해 중국의 시장진출을 하게 된다면 사업자가 직접 중국시장에 진출 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성공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만은 문화적으로 다른 아시아권보다 선진화 되었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대도시에 속하지만 모두다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골고루 섞여 대만만의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차안호탐방 후기 9박 10일간의 대만을 다녀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넓고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이번 대만 여행은 처음으로 경험한 해외여행 경험이여서 그런지 순탄치 않은 면도 있었지만 팀원들 서로가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만시장은 중국시장으로 가기위한 좋은 시험의 장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대만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영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더 나아가 미래에는 중국어야말로 영어와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성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또 하나 놀란 점은 대만이 반 한류 감정을 많이 갖고 있는 줄 알았지만 대부분의 대만 일반 시민들이 굉장히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에 놀랐고 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CK-1 사업의 챌린지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대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계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보완점 및 건의사항 (문제점개선책건의사항)

2-1 기업 컨택의 어려움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에 있는 기업과 연결하여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대해서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조사 및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시간을 내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로써 그들의 귀한시간이 아깝게 쓰이지 않을 것을 강조하여 만남을 만들어야 한다

2-2 사업단과 의사소통의 불편함

Challeng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CK-1 사업단과의 지속되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가령 누군가를 통해서 전해지는 소문이나 촉박한 시간을 제시하고 일 처리를 원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단과 각 팀의 대표간의 분명한 의사소통과 증빙자료 등이 필요하다

2-3 정보 부재 이번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이머징 마켓에서의 유망 산업 조사 및 연구였다 대만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18: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8 -

5 화장품 산업 및 환경 분석 (연구자료 첨부)

구분 2011 2012 2013(1월 ~ 11월)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증가율

시장규모 및 성장률 19427798 42 19421349 00 191454345 08

5-1 화장품 시장 동향

시장규모 및 전망thorn 대만의 약품 및 화장품 시장규모는 2013년 기준 1914억 달러로 2012년 대비 008 증가

최근 3년간 대만 약품 및 화장품 시장규모 및 성장률 (단위 천 달러)

자료원 대만경제부 통계처

시장전망thorn 수요 감소 예상 요인 대만 화장품시장은 다양한 국산 수입제품들이 오랜 시간 경쟁하는 포화된 시장thorn 종합의견 다수 유명 외국 브랜드(예 SHISEIDO KOSE 등)는 대만에 공장을 설립해 국산 브랜드와

경쟁하고 있으며 대만 정부의 각종 규제가 엄격하고 많아 허가 관련 등록서류 및 비용으로 인한 진입 장벽이 큼

소비자 구매 패턴thorn 주요 소비자 계층 14~55세 등 다양thorn 소비자 구매 동기 귀엽고 여성스러운 디자인 미백 보습 등과 같은 눈으로 확인 가능한 기능성 민감

성 피부에 바로 사용 가능한 화장품을 선호하는 추세

제품 트렌드thorn 대만 시장에서 국산 브랜드보다 수입 브랜드의 인기가 더 높으며 그중 일본 브랜드가 장시간 많은 인

기를 유지하여 왔음thorn 최근 한국 드라마에서 스타들이 연출하는 화장법 또는 유명 스타가 광고하는 한국 화장품이 큰 인기

를 얻고 있으며 한류 열풍으로 대만에서 수입 화장품 판매량이 늘어나면서 국산 화장품의 신제품 개발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

thorn 피부과 및 의학미용센터에서 다양한 시술(보톡스 반점 제거 여드름 크리닉 모공축소 레이저 비지 제거 등)을 받아 꾸준히 피부관리를 받고 다니는 여성들이 많아지는 추세에 따라 기능성을 강조하는 의학미용(aesthetic medicine) 화장품 혹은 시술 받고 나서도 바로 사용 가능한 기초화장품(무자극 보습효과 강조)이 유행하기 시작함

해당 산업 관련 정부 정책thorn GMP 정책 글로벌 추세에 따라 대만 화장품의 품질middot제조 수준 및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대만 경

제부공업국과 대만 위생서는 2008년 9월 4일부터 lsquo자발성 화장품 우량제조규범 검증제도(自願性化妝品優良製造規範驗證制度)rsquo를 실시한다고 발표함 약품 의료기기 식품을 이어 화장품이 네 번째로 GMP검증을 받는 산업이 되었음 ISO 22716 규범으로 주요 참고 근거로 보고 있음 동시에 화장품 GMP 추진 플랫폼을 설립하고 기업 문의에 대한 상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9 -

구분 2011 2012 2013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및 성장률 614293 1192 600356 -227 557784 -085

순위 국가 금액 점유율 증감율2011 2012 2013 2011 2012 2013 1312

총계 614293 600356 557784 100 100 100 -0851 일본 248980 237052 199987 40531 39485 35854 -113212 프랑스 116031 111983 110509 18888 18653 19812 45333 미국 89984 96689 89924 14648 16105 16122 -03914 한국 29779 29329 36746 4848 4885 6588 386345 중국 23444 30114 30138 3816 5016 5403 99486 영국 15895 14619 14482 259 2435 2596 29227 독일 16799 14327 14159 274 2386 2538 96758 스위스 13631 12401 11151 222 2066 1999 -5329 태국 9929 9214 8943 162 1535 1603 533310 이탈리아 12312 8853 8632 2 1475 1548 7727

5-2 수입동향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동향 (단위 천 달러 )

주 대만 국제무역국

최근 3년간 상위 10개국의 수입통계

주요 수입국 현황(HS Code 330499 기준) (단위 천 달러 )

자료원 대만 경제부 국제무역국 중화민국수출입무역통계(httpcus93tradegovtwFSCI)

수입관세 및 관련 제도thorn 관세 0thorn 통관 시 유의사항 대만에서 화장품은 의료용 또는 약품을 함유하지 않은 lsquo일반화장품rsquo과 lsquo함약화장

품rsquo 등 세 종류로 나눠져 있음 함약화장품의 경우 통관 시 대만 위생서에서 발행한 위생허가증을 제시해야 함

thorn 필수 인증 현황 함약화장품(예 염색제 파마제 자외선차단제 땀 억제제 치아미백제 등)은 대만 위생서 허가를 받아야 수입 및 제조판매를 할 수 있음 허가 신청 시 제품명 성분 제조업체명 제조업체주소 해외 수입업체명 수입업체주소 제품 전성분 용량 용도 사용법 유효기간 샘플 Certificate of Analysis Certificate of Sales SPF ampUVA 검사보고서 등이 필요함(세부사항은 대만 위생서 홈페이지 참조바람)

5-3 유통구조

유통채널 종류thorn 오프라인 백화점 H ampB(Watsons Cosmed SaSa 등) 방문판매 약국 각종 마트 편의점 피부과

피부관리센터 전문판매점(로드숍)thorn 온라인(여기는 virtual channel을 뜻함) 홈쇼핑 온라인 쇼핑몰(경매 브랜드 홈페이지 등 포함) 우편

주문(郵購) 등이 있음

유통채널 점유율 오프라인 유통채널의 점유율은 여전히 70~90 정도로 높게 차지하고 있으나 온라인 유통채널의 점유율도 빠른 속도로 상승하고 있음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0 -

브랜드명 제품명 가격 판매순위

SHISEIDO 100 1

SKII 133 2

ESTEE LAUDER 100 3

항목 내용전시회명(현지어명) 2014春夏國際美容化妝品展전시회명(한국어) 2014 춘하 국제미용화장품 전시회

전시품목 미용 화장품개최국가도시 타이베이

유통채널 활용 방안 아직까지 온라인 채널의 점유율이 높지 않으나 대만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블로그 등)에 영향을 많이 받는 편이어서 오프라인 채널에 진입하기 전에 온라인으로 먼저 마케팅(브랜드 이미지메이킹 블로거 마케팅 등)을 진행하는 방법을 추천함 대만 오프라인 채널의 진입장벽은 매우 높으며 비교적으로 이윤이 많이 남는 온라인시장에서 브랜드 파워를 먼저 키우면 오프라인 채널에 들어가는 길이 훨씬 수월해질 것으로 예상함

5-4 경쟁동향

경쟁제품 현황주요 경쟁제품 현황

(단위 달러)

한국 제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 및 선호 브랜드 현황thorn 한국 제품 현지 인지도 높음thorn 선호 브랜드 3CE INNISFREE NUTURE PUBLIC MISSHA THE FACE SHOP LANEIGE 등

5-5 효과적인 시장 진출 전략

타깃 고객층thorn 타깃 고객층 20~30대 초반thorn 타깃 사유 유행에 따라 새로운 것을 많이 도전하고 한류의 영향도 가장 많이 받는 젊은 층이 한국

화장품을 소비하는 경우가 많음 35세 이후의 직장 여성 혹은 가정주부들은 여전히 일본 혹은 유럽 미국의 고가 화장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활용 가능한 마케팅 방안 ⓵ 현지 전시회 정보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1 -

개최주기 3월경개최기간(2014년) 0321~0325

웹사이트 httpwwwudnicecom

⓶ 전시회 이외의 주요 마케팅 방안 블로거 마케팅 등 ⓷ 유력 홍보 방안(전문잡지 온라인 매체 등)

thorn 온라인 매체 Fashion guide(httpwwwfashio guidecomtw) UrCosme(httpwwwurcosmecom)

thorn 전문잡지 VIVI BEAUTY 大美人 Style W Marie laire Fashion Guide 등

시장 확대를 위한 무역관 의견 대만 화장품시장은 가격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 시장 진입 시 확실한 브랜드 포지션을 정해야 하며 해당 포지션의 대만 제품 가격을 조사한 후에 대만 최종 소비가격을 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

또한 소비자들은 할인세트 및 사은품에 약하여 각종 행사 진행 시 사은품 증정 혹은 묶음세트로 판매하는 것을 추천 보습(특히 히알루론산 성분 강조) 및 미백(대만 정부에서 인증된 미백성분이어야 함) 제품을 매우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6 탐방 상세 일정 (일정표 - 기간 지역)

날짜 지역105(월) 인천 ~ 대만 타이페이

시간 일정0600 인천공항 도착

0600 ~ 0920 인천공항 대기0920 ~ 1140 인천공항 rarr 대만 1140 ~ 1230 대만 입국 수속1230 ~ 1320 숙소 이동 (용산사 역)1320 ~ 1500 짐정리1500 ~ 1600 회의 및 일정정리1600 ~ 163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630 ~ 1800 KOTRA방문 및 인터뷰1800 ~ 1830 101타워 딘 타이 펑 이동(도보)1830 ~ 1910 저녁식사 - 딘 타이 펑1930 ~ 2100 101 타워 야경감상2100 ~ 2130 숙소로 이동2130 ~ 223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6(화) 타이페이

시간 일정0900 기상

0900 ~ 110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30 ~ 1230 점심식사 - 마라훠거1230 ~ 1300 SISDORA 본사로 이동

6-1 8박 9일 대만 일정 (150105 ~ 150113)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2 -

1300 ~ 1530 SISDORA 방문 및 인터뷰1600 ~ 1800 101타워 퍼스널 트레이닝 센터 방문1800 ~ 1930 저녁식사 - 카렌 레스토랑1930 ~ 2000 숙소로 이동2000 ~ 2100 개인 휴식2100 ~ 223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7(수) 타이페이

시간 일정0900 기상

0900 ~ 113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30 ~ 120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200 ~ 1250 점심식사 - 키키 레스토랑1250 ~ 1300 시먼딩 이동1300 ~ 1530 화장품 설문조사1530 ~ 1830 한국 화장품 매장 제품 조사1830 ~ 1900 야시장 이동(MRT)1900 ~ 2000 저녁식사 ndash 야시장 음식2000 ~ 2030 숙소로 이동2030 ~ 2130 개인 휴식2130 ~ 230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30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8(목) 타이페이 ~ 타이난

시간 일정0830 기상

0830 ~ 110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00 ~ 1200 체크아웃 및 고속철도역 이동1200 ~ 1340 타이페이 rarr 타이난 이동1340 ~ 1400 짐 보관 및 인터뷰 장소 물색1400 ~ 1600 가오슝 한인협회장 인터뷰1600 ~ 1700 숙소도착 및 짐정리1700 ~ 1800 개인 휴식1800 ~ 1900 저녁식사 - 새우롤2000 ~ 2230 중간 정리 및 보고서 작성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9(금) 타이난

시간 일정0800 기상

0830 ~ 0900 아침 식사0900 ~ 1130 타이난 일정 브리핑 및 팀 미팅1130 ~ 1210 타이난 시내로 이동(TAXI)1210 ~ 1320 점심식사 - 스시1320 ~ 1350 성공대학 이동(도보)1350 ~ 1700 성공대학 방문1700 ~ 1800 성공대학 캠퍼스 탐방 및 대학원생들과 대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3 -

1800 ~ 1830 저녁식사 - 대만 전통 음식점1830 ~ 1900 타이난 RT마트 이동(도보)1900 ~ 2030 RT 마트 장보기2030 ~ 2100 숙소로 이동2100 ~ 2200 개인 휴식2200 ~ 2330 팀 회의 및 예산 정리

23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12(월) 타이페이

시간 일정0800 기상

0800 ~ 0900 아침식사(호텔 조식 제공-선택)0900 ~ 1130 호텔 개인시간1130 ~ 123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230 ~ 130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300 ~ 1600 Wabfenix 방문 및 인터뷰1600 ~ 1630 간식 - 망고차차1630 ~ 1700 시먼딩 이동(MRT)1700 ~ 1830 화장품 설문조사 활동1830 ~ 1930 저녁 식사 - 코코이찌방야2030 ~ 2130 개인 휴식2130 ~ 2300 팀 회의 및 예산 정리

230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13(화) 대만 ~ 인천공항

시간 일정0800 기상

0800 ~ 0900 아침 식사0900 ~ 1130 짐정리1130 ~ 1200 체크아웃1300 ~ 1400 점심식사 - 스시(시먼딩)1400 ~ 1430 쑹산 공항 이동(TAXI)1430 ~ 1530 시먼딩 rarr 쑹산공항1530 ~ 1730 출국 대기1730 ~ 2100 대만 출국 rarr 대한민국

2100 대한민국 입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4 -

7 방문 기업 소개 (인터뷰 내용)

7-1 대만 KOTRA

-2015년 1월 5일 월요일 1630~1800 인터뷰-위치 台北市 基隆路 1段 333號 22樓 14室(2214室) Intl Trade Building 22층-전화 (886-2)2725-2324 -팩스(886-2) 2757-7240

Q대만에 대하여 간단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우선 대만은 남한의 13의 해당하는 영토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구역시 남한에 비해 적은 2천 3백만 명 정도이며 기후는 아열대 몬순 기후권으로 비교적 따듯한 날씨입니다여러분이 대만에 와보셔서 알겠지만 대체로 습한느낌을 받으셨을 탠대 대만은 겨울에도 남한만큼은 춥지 않습니다 언어는 주로 중국어를 사용하며 문자는 중국과 살짝 다른 번자체를 사용합니다1인당 GDP는 2013년 기준 20984 달러 정도이며 산업구조는 제조업과 도소매업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Q현재 우리나라의 어떤 기업들이 대만에 진출해 있는지 궁금합니다

A최근에는 화장품을 주력 제품으로 아모레퍼시픽등 화장품 대기업들이 타이페이 시내에 로드샵을 많이 개점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대만은 제조업과 도소매업이 주를 이루다 보니 20~30년 전부터 진출한 기업들이 계속해서 입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주로 삼성물산 현대종합상사 LG상사 LG전자등 대기업이 주를 이루고 있고 우리나라 기업은 1년에 한 기업정도 대만에 진출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Q그렇다면 대기업을 제외한 중소기업들이 대만시장에 진출하지 않는 이유가 따로 있습니까

A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아무래도 중국시장이 개방을 하면서 인 것 같습니다 기존에 진출해있는 기업들은 과거 대만이 인프라 구축이 미흡했을 당시 해외투자를 많이 받으면서 비교적 좋은 조건으로 대만에 진출하고 인프라 구축등 사업을 진행하면서 기반을 다졌을 겁니다 그 기반으로 지금까지 대만시장에 진출해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중소기업의 경우는 해외투자가 너무 모험적이며 대만 시장과 중국의 시장을 비교하여 봤을 때 인구가 차이가 약 8배 정도 나며 중국에 비해 비교적 작은 시장이라고 느껴 대만보다는 중국에 많이 진출하는 것 같습니다

Q마지막 질문으로 만약 우리나라 중소기업이 대만시장에 진출할 때 유의해야 할 점이나 좋은 팁이 있을까요

A대만 시장에 완전히 진출해야겠다는 생각보다는 중국이나 다른 중화권 나라의 진출하기전 시험의 장소로 생각하고 진출해보는 것은 나쁘지 않다 생각 합니다 아무래도 대만의 인구가 많은 편이 아니다보니 불리한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5 -

조건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이나 다른 큰 중화권 시장으로 진출하기 전에 언어나 문화 중화권사람들의 사고방식등 여러방면에서 시험해 볼 수 있는 좋은 장소는 틀림없습니다 중소기업이 대만시장에 진출할 때는 코트라를 이용하여 각종 정보나 현지 인프라등을 이용하는 것 또한 하나의 방법이며 무엇보다 중화권의 문화와 중화권 대중들의 생각을 잘 공부하고 언어를 습득하여 오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7-2 SISDORA luxury beauty care

-1월 6일 화요일 1300~1530 인터뷰 1600~1800 101타워 퍼스널트레이닝 센터-주소 No9Aly 10Ln265Sec 4Xinyi RdDaan Dist Taipei City 106-대표 Mr Chung-Cheng Lee -전화886-2-27040889-URL httpwwwsisdoracom

Q 간략한 회사 소개와 SISDORA의 유래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A Isadora는 고대 이집트의 가장 강력한 여신의 이름입니다 Sisdora는 이 여신의 이름을 따서 만든 브랜드 이름입니다 이집트의 고대 여신인 Isadora의 이시스는 선물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고 생명과 건강 아름다움을 담당하는 여신으로도 유명합니다 저희 SISDORA는 비슷한 동음 이의어로 동양의lsquoISIS(이시스)rsquo라는 단어가 있어 브랜드 명을 SISDORA로 정하게 되었습니다Q Sisdora 제품 소개 부탁드립니다

A저희 제품은 안티에이징 미백 마스크 제품을 주력으로 하고 있습니다 동일 제품군을 비교해 봤을 때 가격 및 품질은 상위에 속하는 최상품의 제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마스크 팩 대부분은 종이섬유로 제조하는 반면 저희 Sisdora는 누에의 실(실크)로 만든 마스크 팩 입니다 실크마스크 팩을 제조할 때에는 피부 건강에 좋은 약재 및 약초등을 배합하여 제조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피부에 자극적인 향로를 첨가하지 않았고 수분이 빠르게 흡수 될 수 있습니다 덕분에 저희 마스크 팩을 사용하는 고객들은 부드럽고 산뜻한 느낌을 받으실 수 있을 겁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6 -

Q 귀하의 회사는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어떤 마케팅을 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A 저희는 해마다 대만 타이페이 글로벌 미스코리아 대회에 제품을 협찬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대만 유명 가수들과 함께 제품을 결합시킨 뮤직비디오를 제작하여 마케팅에 힘쓰고 있습니다뿐만 아니라 제품의 품질인증을 바탕으로 러시아 중국 동남아 지역에 진출하는대 힘쓰고 있습니다 저희 제품은 대만 내에서 스킨케어 제품으로써 유일하게 지정 브랜드 수상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저희는 주로 매스컴이나 인터넷을 통한 마케팅이나 엔터테이먼트 컨벤션 산업을 활용하여 마케팅을 하고 있습니다

Q 그렇다면 대한민국의 화장품 제품이 대만에 진출해 있는데 대한민국 화장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는 어떤지 궁금합니다

A 최근 5년 사이에 한국의 드라마 음악등 한류를 타고 대만에도 많은 한국 제품이 등장하였습니다 하지만 대만에는 오래전부터 수입화장품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이탈리아의 산타 마리아 노벨라 프랑스의 아이젠버그등 명품 화장품 브랜드가 오래전부터 입점해 현지 화장품시장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 때문인지 한국 화장품의 인지도는 크게 높지는 않습니다 아무래도 유럽 브랜드 그 다음으로 대만 기업의 브랜드 그 다음으로 한국의 화장품 브랜드 순으로 인지도가 형성되어 있다고 생각됩니다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한국화장품은 다른 명품 화장품들의 가격보다 저렴하고 성능이나 효과 면에서 절대 뒤처지지 않아 한류가 지속되고 마케팅이 잘 이루어진다면 충분히 유럽의 명품화장품의 인지도를 뛰어 넘을 수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Q 한국의 중소기업의 화장품이 대만 시장에 진출하는 것에 대해서는 어떤 의견을 갖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A 한국의 대기업 화장품 브랜드가 아닌 중소기업의 화장품 브랜드가 대만에 진출하는 것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겁니다 하지만 저희 회사도 중소기업으로 시작하여 마케팅 전략을 잘 활용 하여 많이 성장하였습니다 아무래도 한국의 중소기업의 화장품이 대만에 진출하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있겠지만 어떤 마케팅 전략을 선택하느냐가 가장 중요하고 마케팅이 잘 이루어지고 입소문이 퍼진다면 한국의 중소기업 화장품 또한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7 -

7-3 가오슝 한인협회

-1월 8일 목요일 1400~1600 인터뷰-주소 高雄市鼓山區二路37巷弄43-2號(고웅시고산구이로37항81롱43-2호)-대표 尹桓鎬(윤환호) HP 0932-740-538 -電話 07-5211933 -傅眞 07-5214031

Q 대만과 한국과의 무역 관계가 어떠한지 궁금합니다

A 한국과 대만과의 무역은 크게 활발하게 이루어 질 수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대만의 시장 자체가 매우 작기 때문에 대만에 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국내 시장이나 다른 큰 해외 시장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대만 시장을 거쳐서 동남아나 중국 시장으로 진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여서 기존에 존재하는 대기업이나 저처럼 오래 전부터 이민한 분들이 소규모로 중개무역을 하고 있는 정도입니다

Q 현재 한인협회 회장님께서 직접적으로 하는 일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현재 저는 한국의 화장품을 수입하여 대만 현지 기업에게 판매하는 중개무역을 하고 있습니다 대만에 온지 20년이 넘었는데 이런 저런 일을 하다가 기회가 되어 이쪽 일을 하게 되었는데요 처음에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인식이 없어 가격은 비싸고 품질의 보증은 되어 있지 않은 제품이라 소비가 크게 늘지 않았는데 한류 열풍이 불고 한국 드라마의 성공과 그 배우들이 광고하는 화장품의 수요가 크게 늘어 몇 년 전부터 시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Q 한국과 대만과 중국의 관계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해 주세요

A 앞서 말씀 드린 것 같이 한국의 기업은 대만을 통하여 중국 시장의 진출을 위하여 대만 시장을 많이 찾습니다 그 이유는 한국 기업이 대만 시장을 통해서 제품을 인정받는다면 대만과 중국은 같은 언어권의 나라로 대만기업을 통해 중국으로의 활로를 개척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왜 이렇게 돌아서 진출을 하려고 물으셨는데 그것은 쉽게 말해서 말이 잘 통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의 중국어를 잘 구사하는 사람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보다는 대만의 사람이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주고 인정을 해준다면 더욱 쉽게 자리를 잡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8 -

Q 스타트 기업의 대만 진출 성공여부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중소기업이 대만에 들어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현재 한국 내에서의 위치를 높이는데 주력하는 것이 좀 더 낫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대만은 아주 뛰어난 기술력을 가지고 있지만 자체 제품을 생산하지 않습니다 예로 Apple에서 전체 아이디어를 미국에서 한다면 그 아이디어 실행은 대만에서 이루어집니다 그리고 제품의 생산은 대부분 중국에서 이루어 지구요 이렇듯 대만의 기술력과 제품에 대한 이해가 빠르기 때문에 수입을 많이 의존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중소기업이 들어와서 제품을 판매한다 쉽게 성공할 수 없죠

Q 회장님께서는 중국과의 중개무역은 생각하고 있으시지 않습니까

A 네 저는 지금의 생활에 만족하고 있습니다 지금 저의 파트너들과의 관계도 좋고 따로 중국 진출은 생각하고 있지 않습니다 만약에 제가 중국을 진출하게 된다면 현재의 기업들과도 경쟁상대가 되어 저는 생각이 없습니다

7-4 국립성공대학(國立成功大學)

-1월 9일 1350~1700 인터뷰-주소 701 臺南市東區大學路1號-연락처06-2757575 -홈페이지 wwwnckuedutw

대만 국립 성공대학은 931년 타이난에 설립된 이공계 명문 대학입니다 국립성공대학은 66개의 캠퍼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각 캠퍼스마다 특징과 분위기가 다릅니다 우리 국립성공대학은 ldquo북대대 남성공(北臺大 南成功)rdquo 이라는 말이 있듯이 역사는 대만대학의 바로 다음갑니다

국립성공대학의 이름의 의미는 성공은 무엇을 성취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대만의 민족영웅인 정성공(鄣成功)을 기념하기 위한 대학이라는 뜻입니다 성공대학은 정성공이 있던 역사명승 적감루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해 있기도 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9 -

이후 인터뷰로 대만의 소개와 간단한 전공 소개가 있었다

7-5 WABFENIX RENIX GLORY GLORIA GUA

-1월 12일 월요일 1300~1500 인터뷰-주소 14F-1 No420 Sec 4 Xinyi Rd Xinyi Dist Taipei City 110 Taiwan (ROC)-대표 Mr KEN -전화886-5569-0555-URL httpswwwfacebookcomrenixfanspage httpwwwwabfenixcom

Q Wabfenix가 어떤 기업인지 소개 해주세요

A 저희 회사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으로 현재는 매장은 없지만 개발한 제품을 바탕으로 사업을 진행 중이고 대만현지에 저희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저희 회사는 제품의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화장품을 개발하여 대만시장 뿐만 아니라 중국시장의 진출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Q 귀하의 제품은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제품이라 하셨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제품 등이 있습니까

A 우선 Heymore 제품군의 블랙 마스크 팩과 Renix 제품군의 일반 마스크 팩을 출시했습니다Heymore의 경우 선물용임을 부각시키기 위해 디자인에 특히 많은 투자를 하였습니다 중국 중산층을 겨냥한 제품으로 가격대 1봉지에 한화 ₩40000 정도로 높게 책정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가격을 높게 측정한 이유에는 중국 화장품 소비문화 속에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 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에 저가 보급형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0 -

제품인 Renix와 차별을 두는 판매 전략을 선택하였습니다 현재 판매되는 제품은 마스크 팩을 주력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Q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인데 중국을 대상으로 어떤 진출 전략을 갖고 있습니까

A중국에서 열리는 화장품 전시회 화장품 엑스포 행사 바이어 미팅 등 꾸준히 참가중이며 바이어들에게 저희 제품을 어필하고 있습니다 물론 신생기업인 만큼 아직 중국 내에서 뚜렷한 판매 실적을 기록하진 못했지만 타 화장품 기업들과 다른 마케팅 방식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디자인이나 제품의 아이디어를 강조하고 있는데 대표 적인 상품으로 오뚝이 모양을 한 화장품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이 오뚝이 제품을 바이어들에게 어필해 보았는데 대단히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Q 해외시장 마케팅과 대만 시장마케팅의 차이점이 있습니까

A 우선 중국에서의 마케팅은 행사나 전시회에 참여하고 바이어들을 개인적으로 만나는 것에 치중해 있다면 국내 대만시장의 마케팅 전략은 페이스북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대만은 중국에 비해 SNS가 많이 발달되어 있어 자금이 많이 들어가지 않는 SNS마케팅을 하고 있고 각종 자선행사에 참여하여 저희 기업을 홍보하고 있습니다

Q 귀사의 제품을 중국보다 비싼 인건비가드는 대만 제조공장에서 생산하는 겁니까

A타이중에 소재하는 공장에서 마스크를 제조 하고 있습니다 인건비가 비싼 것은 대만 수도인 타이페이에만 주로 해당이 됩니다 지방 소도시에서도 외곽으로 들어가면 저렴한 인건비와 공장 가동비용으로도 제조가 가능 합니다 굳이 중국에 제조공장을 갖지 않는 이유는 신생기업이라 자금문제도 있지만 대만은 OEMampODM에 특화된 국가이기 때문에 품질 좋은 다양한 제품주문이 가능하고 중국 사람들에게도 자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 보다 외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가 더 좋기 때문에 대만에서 생산한 뒤 수출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Q 대만에 한국 화장품 기업이 진출한다면 어떠한 마케팅 전략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 생각 하십니까

A 이미 대만에 한국의 화장품 제품들이 많이 들어와 있습니다 하지만 대만 자체의 화장품 기업들이 기존에 많은 시장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성공을 거두기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최근 한국에 대한 이미지가 많이 좋아졌고 한국의 영화나 드라마 등이 많이 알려지면서 인지도가 높아졌습니다 한국의 대기업의 경우 이러한 대규모 마케팅을 할 수 있으므로 큰 무리가 없겠지만 한국의 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한다면 최종 시장 공략 층은 대만이 아닌 중국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대만은 중화권으로 가기 위한 연결다리라고 생각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또한 중소기업은 큰 마케팅 비용을 부담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대만에서는 SNS나 각종 자선 행사에 참여하여 인지도를 높이는 것을 추천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1 -

Q 같은 제품이지만 대만과 중국에서 판매할 때 가격 책정이 다른 이유가 무엇인가요

A 그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해드리자면 국가마다 소비 성향이나 구매 능력 환율 경제 상황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경영 에서는 가격 차별화(Price discrimination)이라 부르는데요 각 나라의 시장 특성에 적정한 가격대를 책정해서 제품을 판매하는 전략입니다 혹시 중국 상류층이 몇 명인지 알고 있나요 제가 알기로는 대만 인구의 2배인 4000만 명이라는군요 아마도 한국 인구랑 비슷한 규모 일겁니다 게다가 중산층은 약 4억 명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4억 명의 중국 소비자들이 우리 제품을 1개씩만 구입 한다면hellip 상상만 해도 엄청 나겠죠 이야기를 하다 보니 다른 쪽으로 빠졌는데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이야기하면 물론 좋은 제품을 모든 곳에 저렴하게 제공 하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 그러나 항상 시장에서 저렴한 제품만이 성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대만이나 한국처럼 고도의 산업화가 이루어지고 시장이 크게 발전한 안정적인 단계는 좋은 제품이라도 가격 경쟁력에 신경 써야 합니다 왜냐하면 소비자들이 똑똑하기 때문에 정보력이 넓고 합리적인 소비를 지향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가격 성능 디자인 등 많은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중국 시장은 대만이나 한국과는 특성이 다릅니다 저렴하다고 해서 많이 제품이 많이 팔리기 보다는 가격대가 어느 정도 있는 제품일수록 또는 가격대가 높을수록 소비자들이 관심을 보입니다 대체적으로 중국 소비자들은 lsquo저렴한 제품은 품질이 낮거나 효능이 좋지 않은 제품일거야rsquo 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 때문에 화장품 박람회나 전시회에 저가 화장품을 가져와 홍보하더라도 중국 바이어나 소비자들은 큰 관심을 주지 않습니다 처음에 말했듯이 중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2 -

국 소비문화가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라는 심리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Wabfenix의 경우에는 신생기업이라 많은 투자 금액이 없을 뿐 더러 대만 화장품 시장에 진출하기에는 리스크가

크고 진입 장벽이 높습니다 그리고 이미 한국 화장품 기업들이 대부분 점유를 한 상황이기 때문에 대만 내수시장에만 집중하기에는 경쟁력이 부족하죠 그래서 중국을 주력 수출시장으로 삼고 있는데요 저희는 제품 성능 보다는 소비자의 이목을 끌 수 있는 디자인에 더 많은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중국에 Wabfenix만의 화장품 선물 문화를 정착 시키는 것이 목적인데요 높은 제품 가격만큼 소비자의 관심을 끌 수 있고 선물 문화나 꽌시(关系)가 많은 중국 문화 특성에 맞추어 선물용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중국 시장은 현재 젊은 중산층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품질이 낮은 화장품 보다는 수입 화장품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점으로 미루어볼 때 높은 가격 차별화와 Wabfenix만의 디자인 마케팅은 좋은 경쟁력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3 -

8 현지 시장조사 활동 (시장동향사진설문조사 자료)

8-1 시먼딩 설문조사

목적 대만 사람들의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및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대상 10대~20대 여성 및 화장품 전문매장 종사자장소 시먼딩시간 2015년 1월 7일 12일 총 두 차례에 걸쳐 진행방법 ①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 판넬에 국가별로 메이크업 사진을 표시하고 스티커를 붙이는 방식으로 투표함 공정성을 위해 국가 이름은 블라인드로 처리하였고 모두 동일 인물의 사진을 사용함②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표본집단을 50명으로 설정함 설문조사가 끝나면 사은품으로 한국 브랜드 마스크팩 증정함

8-2 사전 기획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판넬 기획도gt

化妝辦法喜好度的調查화장법 선호도 조사

大家給自己喜歡的化妝貼貼紙 여러분이 선호하는 메이크업에 스티커를 붙여 주세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4 -

대만의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안녕하십니까

다음의 내용은 대만 화장품 트렌드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자 관련조사를 실시하고자 하오니

있는 그대로의 생각을 기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귀하의 응답은 통계적 목적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본 설문은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물음에 대한 답변이나 해당란에 v 표를 해 주십시오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7) ② 화장품 전문매장(34) ③ 마트(5) ④ 홈쇼핑(2)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합계 총 50 명

바쁘신 시간에 의견을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지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5 -

8-3 설문조사 활동

lt2015년 1월 7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6 -

lt2015년 1월 12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7 -

lt활동 결과 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8 -

9 설문조사 통계 분석 (설문조사 응답 수분석결과)

9-1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결과gt

설문 조사 질문지 양식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12)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③ 마트(5) ④ 홈쇼핑(6)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9 -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gt

9-2 설문조사 항목 별 의견 및 추측

설문 조사 질문지 항목 (최다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② 20 ~ 25세 (13)

0

5

10

15

20

25

30

20대 이하 20세~24세 25세~29세 30세~39세 40대 이상

rarr 시먼딩은 대만의 홍대거리라 불리는 lsquo융캉제rsquo나 서울의 lsquo명동rsquo과 같이 젊은 층이 주로 활동하는 지역이다 설문조사 중에도 교복이나 체육복을 입은 학생들과 길거리에서 쇼핑을 즐기는 20대가 즐비할 만큼 활기 있는 거리다 덥고 습한 대만 기후 특성 상 과거엔 화장법이 크게 발전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국의 자연스러운 화장법이 큰 인기를 끌면서 시먼딩에 화장품 거리가 조성되어 있을 만큼 유동 인구가 많다 이 점으로 추측해보았을 때 압도적으로 10대와 20대 층이 많은 응답 수를 기록했다고 본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0 -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051015202530

온라인 화장품전문매장 마트 홈쇼핑 방문판매

rarr 대만 또한 한국과 비슷하게 시내에 많은 수의 화장품 전문매장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접근성이 굉장히 높았다 더불어 각 화장품 매장에서는 상품 할인과 같은 각종 프로모션을 진행하기 때문에 구매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 구매한다는 대답도 높은 편이었는데 거의 대부분이 와이파이존이어서 어디서나 인터넷을 한 활발히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온라인에서의 구매율도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0

5

10

15

20

25

30

NT$300 미만 NT$300~NT899 NT$900~NT$1499 NT$1500~NT2999 NT$3000

rarr 응답자들은 대부분이 한 달 간 화장품에 쓰는 돈을 최저 1만원 이상(NT$300 이상)이라고 답했는데 이는 70가 넘어가는 결과로 화장품에 대한 지출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만원 이상이라고 대답한 응답자들 또한 4분의 1을 넘기는데 이것은 젊은 연령층부터 시작하여 최근 피부 관리와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대만의 소비 수준에 대비하여 화장품 소비율이 높은 것도 이 때문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1 -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③ 성능(23)

051015202530

가격 디자인 성능 화장품 모델 브랜드

rarr 아열대 기후에 속하는 대만은 높은 기온과 습한 날씨 탓에 에어컨 환경에 자주 노출돼 피부 수분을 잃기 쉬워 기능성 화장품의 소비가 두드러진다 대만 화장품 시장은 토너 세럼 에센스 로션 크림 등의 모든 스킨케어 제품들이 보습기능을 강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백이나 안티에이징 리프팅 저자극 오일프리(Oil-free) 등의 기능까지 추가된 스킨케어 제품들이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조 화장품 소비가 늘어난 것은 최근 몇 년 들어 다양한 화장품 브랜드 접촉기회가 많아지고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젊은 여성의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색조화장품 또한 메이크업베이스와 BB크림 립스틱과 같은 베이스 메이크업이 수요가 많았다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④인터넷(22)

0

5

10

15

20

25

30

TV 잡지 친구 인터넷 메이크업샵

rarr 최근 빠른 인터넷망과 스마트폰 태블릿PC의 보급으로 인해 사람들과 사람사이의 연결망이 견고히 형성되고 있고 이것이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방법을 얻는 경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만 소비자들은 주로 인터넷 블로그 가족과 친구로부터 메이크업 정보를 획득 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만의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이므로 입소문마케팅과 판매를 바로바로 할 수 있는 유통구조가 도움이 될 것 같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2 -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0

5

10

15

20

25

30

청순 독특 귀여움 섹시

rarr 앞서 살펴보았듯이 대만은 한국과 비슷한 메이크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이것은 곧 청순한 메이크업 컨셉에 관심 있어 한다는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실제로 대만 여성소비자들은 깨끗한 피부 NATURAL한 베이스메이크업을 선호한다 한 듯 안 한 듯 자연스럽고 깨끗한 느낌의 한국식 lsquo생얼rsquo 화장법은 대만에서 한국 드라마 열풍과 함께 유명세를 타기 시작해 현지 각종 온라인 뷰티 사이트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래서 응답의 대부분이 한 곳에 치우쳤고 비교적 개성 있는 메이크업 방법이 드물 것이라는 것을 유추해낼 수 있다

본 설문 조사를 통한 한국 화장품 기업에 대한 시사점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수입 절차로 오랜 시간을 허비해야 하는 반면 대만은 자외선 차단제 성분 함유 제품과 약용 화장품을 제외한 일반 화장품은 별도의 수입 검사 없이 수입할 수 있으므로 대개 중국보다 1~2년 먼저 신상품이 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한류 효과를 겨냥한 중화권 화장품 시장으로 대만을 우선 공략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대만은 대부분이 화장품에 대한 소비를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고 한국 화장품이 많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시장 접근법만 제대로 수립하면 매출이 나는 구조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대만인들이 선호하는 메이크업 방법이 한국과 비슷하기 때문에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은 마케팅 방안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최종분석설문 조사 대상은 대부분 10대~20대의 연령층이었으며 화장품의 주된 구입경로는 lsquo온라인(24)rsquo과 lsquo화장품 전문매장(50)rsquo이 압도적이었다 더불어 한 달 간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lsquo1만 원 이상(72)rsquo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이것은 실제 생활수준에 대비하여 높은 소비량이므로 대만의 화장품 시장 전망이 밝다고 할 수 있다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부분은 lsquo성능(46)rsquo이었는데 이는 스타트업 기업 중소기업에게 유리한 조건이다 메이크업 방법을 얻는 방법으로는 lsquo인터넷(44)rsquo과 lsquo친구(30)rsquo가 높은 비율을 차지했는데 판촉활동으로는 인터넷을 활용한 SNS 홍보 바이럴 마케팅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가장 관심있는 화장 컨셉은 lsquo청순rsquo 이었고 이것은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와 맞물려 우리나라와 비슷한 메이크업 방법을 추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3 -

10 대만 명소 소개 (명소음식행사숙소 소개)

10-1 고궁박물관

대만 고궁박물원은 영국의 대영 박물관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 미국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과 함께 세계 4대 박물관으로 손꼽힐 만큼 세계적은 소장 문물을 자랑한다 건물 규모는 그다지 크지 않지만 소장한 문물의 질과 양은 세계 최상급이다 중화 보물 중에서도 최고의 보물들이 모여 있어 진귀하기 그지없고 수량 역시 워낙 방대하여 3개월 단위로 1만여점을 돌아가면서 전시해도 다보려면 10년이 넘게 걸린다고 전해지고 있다 중국의 국공내전 당시 장제스가 이끌던 중국 국민당이 전쟁에서 패하며 중국을 탈출해 대만으로 향했다 당시 장제스는 난징에 있던 정부를 타이페이로 이전하면서 자금성에 보관되어있던 중국역대 왕조 보물 수십만 점을 배를 이용해 운반해 왔다 중국의 유물을 가진 자가 진정한 통치자라고 생각했던 장제스는 ldquo공산군에게 영토는 내줘도 문화유산만큼은 내줄 수 없다ldquo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대표적인 유물은 취옥배추 육형석 모공정 산씨반 등이 있다

10-2 용산사

루강의 초입에 있는 이 사찰은 타이완에서 가장 오래되고 아름답다고 하여 타이완의 자금성이라고 부른다 각 건물의 기둥 벽 그리고 천장 등에 새겨진 조각은 특히 빼어나다 이 조각상과 함께 이곳의 명물로 알려진 것은 사찰 경내에 있는 2마리의 용상인데 삼천전 앞마당 좌우에 서서 룽산사를 호위하고 있다

10-3 타이페이 101 빌딩

타이베이 101빌딩rsquo이라 부르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로서 빌딩 모습은 하늘로 뻗어나가는 대나무 위에 꽃잎이 겹겹이 포개진 형상이다 본래 타이베이 금융기관이 모인 건물이지만 대형 쇼핑센터와 푸드코트 고급 레스토랑이 있어 여행자들이 많이 찾는다 건물에는 8개 마디가 있는데 이는 중화 문화권에서 부와 번영을 의미하는 숫자 lsquo8rsquo을 염두에 둔 것이다 타이베이 시내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는 높이 508m로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히는 높은 건물이다 지상 1~5층에는 소고 백화점 뷰티 플라자 애버뉴 101 등 다양한 패션∙뷰티용품을 구입할 수 있는 상점이 있다 또한 레스토랑 시티 스퀘어 대형 서점 등 쇼핑과 오락 식사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복합시설이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4 -

잘 알려진 식당으로는 딘 타이 펑(Din Tai Fung) 이 있다 101타워 지하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샤오롱바오(고기만두) 새우 샤오마이(새우만두) 탄탄면(우육면)이 가장 대표적인 메뉴이며 대만에 방문한 많은 사람들이 찾는 식당이다

10-4 지우펀

대만여행의 백미로 꼽히는 지우펀은 타이페이시 북부의 루이팡 지역의 작은 산골 마을로 과거에는 아홉가구만 살고 있어서 지우펀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예전에는 작은 산골 마을에 불과 했지만 이 지역에서 금맥이 발견되면서 호황을 맞이하게 된다 특히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일본풍의 건물들이 남아 있어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결합된 독특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비탈길을 따라 하늘로 이어진 예스러운 건물 그리고 골목마다 빨간 홍등과 함께 묻어나는 옛 풍경은 여행객들에게 인기 여행지이다

10-5 스린야시장

타이베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야시장 가운데 하나이다 독특하면서도 다양한 전통 먹을거리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이곳을 찾는 관광객이 많다 시장 부근에 학교가 많아 학생들이 많이 찾으며 포장마차 등의 노점상이 많아 가격도 저렴하다 칭런샹[情人巷]에는 가구 의류 액세서리 사진현상점 애완용품점 등이 모여 있어 학생뿐 아니라 관광객들도 자주 찾는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5 -

10-6 예류 지질 공원

타이완 북해안에 자리한 예류는 해수욕장과 온천 기암괴석으로 유명한 관광지다 특히 예류지질공원은 희귀한 모형의 바위와 암석이 모여 있어 예류 관광의 필수코스로 꼽힌다 작은 곶으로 된 예류지질공원은 침식과 풍화 작용을 거쳐 자연적으로 형성된 기암을 보러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지질공원으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것이 선상암 군락이다 암석 하나하나의 모습은 마치 거대한 버섯이 큰 머리로 하늘을 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선상암 가운데 가장 유명한 암석은 이집트 왕비의 옆모습을 닮은 여왕 두상 바위다

10-7 스펀(Shifen)

스펀(十分)은 옛 광산마을로써 천으로 만든 등이 유명하다 또한 이 곳 스펀은 대만 최대의 폭포 스펀(SE-FEN) 폭포가 있다 미니기차와 천으로 만든 등을 날릴 수도 있다 마을의 한가운데 긴 철길이 놓여 있고 30분에 한 대씩 기차가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것도 볼 수가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6 -

10-8 진과스(金瓜石)

진과스(金瓜石)는 타이완 타이베이 근교에 있는 옛 탄광 유적이다 20세기 전반에 금 채굴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20세기 후반에 금이 차차 고갈되기 시작하자 점점 위축되어 폐광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관광 명소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하루에도 수백명이 들렀다 가는 대만의 대표 관광지이다 진과스 내에 있는 황금 박물관에는 220kg 의 금이 전시 되어 있는데 손을 넣어 직접 만져 볼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진과스에서는 과거 광부들이 먹었던 도시락을 그대로 만들어 판매하는 광부 도시락도 굉장히 인기가 많다

10-9 국립 성공대학

대만의 타이난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1931년에 개교하였다 2010년 QS대학순위에서 283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대만 대학중 2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총 9개의 캠퍼스로 이루어져 있어 굉장히 큰 면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만 교육청에서 인정한 9개의 주요대학 중 하나이고 대만 기업체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학이다 이공계열이 가장 뛰어나며 중문 역사 법학 경제학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10 시먼딩

타이베이시에 위치한 시먼딩은 한국의 명동과 같은 거리이다 대한민국의 명동에도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과 외국인이 많다고 알려져 있는데 시먼딩 또한 명동 못지않은 다양함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대만의 패션과 놀이 문화 음식 등을 한눈에 경험 할 수 있는 공간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7 -

10-11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

중정기념당은 타이완 총통 장제스(蔣介石)를 기리는 전당이다 lsquo중정rsquo은 장제스의 본명이다 그가 서거한 후 1980년 기념당을 세웠다 25만에 이르는 넓은 중정공원 안에 우뚝 선 높이 70m의 기념물이 중정기념당이다 기념당 1층에는 장제스 생애를 엿볼 수 있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거대한 장제스 동상은 항상 근위병이 동상 앞을 지키고 있다 중정공원 안에는 중정기념당 외에 국립 희극원과 국립 음악청이 있는데 이곳에서 연극과 콘서트를 한다 공원 조경 또한 잘 조성되어 있어 산책하며 천천히 둘러보기에 좋다

10-12 안핑지구(安平地區)

대만의 문화와 역사는 안핑지구에서 시작되었다 안핑구바오는 17세기 중엽 네덜란드인들이 지은 요새로 정성공이 빼앗아 번영하다가 황폐해져 지금은 보루의 대부분이 없어지고 설탕과 굴껍데기와 찹쌀가루를 버무려 만든 빨간벽돌로 된 장벽(臺灣城殘蹟)만이 남아 나무뿌리와 존립의 사투를 벌이고 있다 감시탑 옆 건물 안에는 네덜란드와 정성공의 전투에 대한 이야기와 중세갑옷 등이 전시 중이다 이 주변에는 대만에서 가장 오래된 상업거리 옌핑제(延平街)가 있는데 옛 명성이 다한 거리의 골목 사이사이 수백년 된 가옥을 구경하는 것도 소소한 즐거움이다 1867년 영국인 상점과 물류창고로 이용하던 건물에 노용수(老榕樹)가 멋대로 자라 건물을 집어삼키듯 뒤덮은 나무집으로 불리는 안핑수우도 안핑지구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진귀한 볼거리다

10-13 미라마 관람차

대만에서 가장 큰 관람차로 알려져 있는 미라마 관람차는 타이페이 시의 야경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관람차 크기가 큰 것으로 유명하지만 가격 또한 저렴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유스트래블 카드를 이용하면 50 할인이 적용되므로 꼭 지참하도록 하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8 -

lt미라마 관람차 티켓gt lt유스트래블 카드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9 -

11 시사점 및 차후 활용계획 (LGC 프로그램을 통한 구체적인 효과 및 연구결과)

11-1 LGC 프로젝트 만족도

구분 항목 전 후 한줄 평

사업단

프로젝트 취지- 린튼 글로벌 학과와 경영정보학과 학생들이 함께

하는 프로젝트 해외시장탐방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사전교육 활동- 출국 전 각 나라에 대한 유의사항 안전교육이 체

계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개략적인 보고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었다

행정지원 절차- CK사업단 린튼 글로벌 학과 경영정보학과 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히 되지 않아 사전 계획에서 많은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협동력 향상- 출발 전 잦은 팀 회의와 8박 9일 간에 일정에도

불구하고 불화 없이 좋은 분위기 속에서 프로젝트를 완수 했다

추진력 향상- 일정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 한 점 추가 자료조

사를 위해 현지에서 새로운 일정을 추가 됐을 때 팀원들이 일사불란하게 따라주었다

문제해결 능력- 교통편 문제와 기업 측 내부 문제로 일부 일정에

변동이 있었지만 신속한 조율과 전화 통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개인

동기부여 자극- 현지인들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국어 영어 능

력의 필요성을 실감했다 특히 중국어는 소통 유무에 따라 현지 반응이 극명하게 갈렸다

진로설계 도움- 프로젝트 전에 비해 새로운 직업 분야에 대한 관심

이 증가했다

취업능력 향상-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한 내용을 살려 구술 면접이

나 자기소개서 작성에 참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11-2 LGC프로젝트 연구 결과 - 대만 시장

⓵ 중국시장을 주목하는 대만 화장품 기업- EST팀은 현지 대만 화장품 기업으로 SISDORA와 WABFENIX를 선택했다 두 회사를 선정한 배경에는

명확한 의도를 두고 정했다 SISDORA는 설립한 지 10년이 넘는 회사로 직접 화장품을 개발 및 연구하고 판매하는 중소기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과 주름개선 크림으로 중년 여성을 타깃 층으로 하는 화장품 회사다 반면 WABFENIX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스타트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 이지만 기술개발 보다는 디자인 마케팅에 중점을 두었고 판매 층도 10대-20대의 젊은 층을 타깃 층으로 한다 시장 전략이 완연히 다른 두 기업이 유일하게 공통점이 있다면 중국시장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선정 이유에는 많은 인구의 소비력을 꼽지만 뒤이어 언급하는 이야기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자사 제품의 경쟁력 약화를 말한다 현재 대만 기업 대부분은 내수 시장 대신에 중국을 겨냥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국가 산업 특성상 제조amp연구 분야가 강세인 대만에서는 중국 바이어 또는 미국 유럽 바이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직접 판매 보다는 기술 협력을 통해 이익을 창출한다고 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0 -

⓶ 대만 시장을 점령한 한국 화장품

- 앞서 말했듯이 2012년 이후부터 급속히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한국 화장품은 대만 시장을 점령하고 있다 이미 시먼딩에 들어서면 다양한 한국 화장품 매장이 눈에 띌 만큼 들어섰으며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중앙 광장에 입점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매장 안에는 많은 대만 사람들이 화장품을 보고 있는 광경을 흔히 본다 화장품 매장을 이용하는 연령층은 주로 10대-20대들이다 화장품 가격이 한국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주 애용하는 이유는 한류 열풍으로 인한 한국 연예인들에 대한 관심과 화장법이 크게 유행하고 있음을 현지 설문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⓷ 체감할 수 있을 만큼 커다란 한류열풍

- 뉴스에서만 듣던 한류 이야기를 대만에서 직접 느낄 수 있을 정도로 한류열풍은 크다 특히 삼성이나 LG의 TV나 스마트폰은 어딜 가든 항상 보이고 한국 화장품 선물에 대한 반응이 무척이나 뜨겁다 원활한 현지 조사를 위하여 사은품으로 준비한 한국 마스크 팩 100개는 오히려 현지인들이 참여 의사를 표현할 만큼 열정적이었다 일부 대만 사람 중에는 어디서 왔냐는 질문에 한국이라는 답변을 하니 같이 사진 찍기를 제안하기도 했다

⓸ 중소기업에게 있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는 대만 시장진출- 대만 시장 진출에 앞서 한국 화장품 중소기업이라면 전략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크게 대만 시장을 겨냥

할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할지 선택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3CE는 한국 화장품 회사다 대만에서 젊은 연령층이 자주 이용하고 이미 대만 내에서는 유명하다 3CE는 오프라인 매장 없이 순수 온라인 매장으로 운영하면서 대만 사람들을 위한 전용 웹사이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윤을 창출 하고 있다 신중해야 할 점은 현재 온라인 오프라인 등 한국 화장품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신규 진입에 있어서 장벽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대만 시장을 활용한다면 동남아 시장까지 한 번에 내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출입통관 절차가 간단하고 관세가 낮기 때문에 중소기업에게 유리하다 아직까지 중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1 -

에 대한 직접적인 수출이 가능한 곳은 상해나 항주 같이 중국에서 허가한 무역항 도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내륙까지 시장을 확대하기는 불가능하지만 같은 언어권인 대만을 거치면 보다 쉽게 바이어나 에이전트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인맥을 통한 꽌시와 수수료 명목으로 뒷돈을 요구하는 중국 바이어의 관행은 자금 순환이 원활치 않은 중소기업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11-3 LGC 프로젝트 종합 의견 및 전망

우리 lsquoEST팀은 출국 전 국내 화장품 시장 조사를 할 때 대덕 밸리 스타트업 기업 셀아이콘 랩의 영향으로 대만의 화장품 산업에 대해 큰 관심과 가능성을 보고 2015년 1월 5일부터 1월 13일까지 8박9일이라는 시간동안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 나라 중에 하나인 대만에서 rsquo대만의 화장품 시장lsquo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사를 했다 대만에서는 3개의 기업 (KOTRA SISDORA WABFENIX) 을 방문해 전반적인 대만의 화장품 시장과 판매전략 한류에 대한 보다 사실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1개의 대학 (국립성공대학 國立成功大學)에서 MBA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또 타이난에서는 대만에서 오랫동안 사업하시는 한인협회 회장을 만나 PLC (Product Life Cycle)를 통해 대만에서의 특정 시장이 도입기에 있는지 또 어떠한 시장이 쇠퇴기에 놓여있는지 다양한 시야에서 대만시장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노력은 CK 사업단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교육부 CK-1 프로젝트의 일부인 Linton Global Challenge는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몇 년을 내다보는 지속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기업들과 더욱 더 활발한 교류와 연구를 한다면 기업과 CK 사업단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리라고 본다

1 개인 탐방 후기 (팀원 개인 소감)

1-1 개인 탐방 후기

강성민탐방 후기 기업 컨택 부터 인터뷰 일정 계획까지 8박 9일간의 대만 화장품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 출국 전까지 준비 과정부터 탈도 많았고 대만에 와서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 원하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매일이 항상 회의와 고민의 연속이었다 하루하루 충실히 계획을 진행시켜 나갔고 좋은 팀 분위기 속에서 무사히 대만 프로

부록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2 -

젝트를 완수했다 그리고 마침내 한국으로 돌아왔다 과정은 항상 오르막 길이였지만 돌이켜 보면 마지막 대학 시절을 기념할만한 좋은 추억이자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느끼는 바가 많았던 프로젝트로 기억 될 것이다

김은진탐방 후기 글로벌 챌린지를 한마디로 정의하라고 한다면 도종환 시인의 lsquo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lsquo라는 시가 떠오른다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대만기업컨택 설문조사 등 많은 것을 경험했다 처음엔 모든 것이 나에겐 버거운 산이라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도전이 계속 될수록 이젠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이 모든 도전들에 흥미가 생겼다 나 자신도 책임감과 자신감이 생기고 한층 성숙해 진 것을 내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소중한 동료와 추억은 평생 나의 가슴속에 남을 것이다 우린 앞으로도 많이 도전하고 경험하여 우리들의 삶이 활짝 만개하리라 다짐한다 끊임없이 도전하는 20대의 청춘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프로그램이었다 김종선탐방 후기 한국에서 준비하면서 조사했던 내용과 비교하며 인터뷰를 해보니 실제로 많이 다른 부분도 있었고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 비슷한 내용도 있었다 현지의 기업들을 방문해 우리가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직접 매장에 가서 느껴보니 앉아서 컴퓨터만 볼 때랑 많이 달랐다 그리고 직접 대만인들에게 설문조사를 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그리고 대만의 실제 문화와 환경 그들의 생활을 잠시나마 볼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

구명우탐방 후기 며칠간의 꿈만 같았던 대만에서의 시간이 지나갔다 대만으로 출국하기 전 사전조사 기간에는 확신이 없었다 사전조사와 기업과의 인터뷰 그리고 9일간의 일정조율 및 숙박과 모든 대만에서의 연구와 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보고서까지 무엇하나 확신이 드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도전과 해결능력을 배웠고 아시아에서 급성장 중인 대만에 대해서 배우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다음기수로 가게 될 관심 있는 학우들에게 진심으로 추천해주고 싶다

이규현탐방 후기 CK-1 프로그램 중 하나인 lsquo린튼 글로벌 챌린지lsquo 프로그램을 통해 약 8박 9일이라는 시간 동안 emerging market 중 하나인 대만에 거주하면서 한국 화장품의 대만시장 점유율과 진출 가능성을 몸으로 체감하고 자료들을 모아 통계 내어 정리할 수 있었다 우리 팀 lsquoEST가 성공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충분한 국내조사 기간을 갖고 대만의 화장품 회사들을 방문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대만의 특정한 기업을 찾기도 어려웠고 기업 컨택은 번번히 거절당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회사 두 군데에서는 답장조차 오지 않았고 설문조사할 때에는 반한감정의 대만인을 만나 고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팀의 단결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리더의 통솔력으로 정해진 스케줄대로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회사를 방문하고 학교교수를 만나고 길거리에서 설문조사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팀원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또한 대학생으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을 한 것 같아서 스스로도 너무 뿌듯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팀을 믿고 지지해주신 LGSB 교수님들과 CK-1 프로그램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영은탐방 후기 처음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렇게 준비는 열심히 하지만 정말 우리가 계획한 100대로 대만을 다녀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기우가 무색하게도 대만은 우리에게 기획안 그 이상의 것들을 보여주었다 사장님들의 생생한 사업 이야기와 대만의 색채가 묻어있는 아이템들 하며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여 알아보는 비즈니스 마켓의 현장은 나에게 두고두고 잊지 못할 자산으로 남았다 또한 펑리수 버블티를 비롯한 대만의 맛있는 먹거리들과 스린 야시장이나 지우펀 같은 명소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열심히 고생해준 팀원들과의 추억들도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3 -

이서우탐방 후기 이번 글로벌 첼린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서 쉽게 할 수 없는 해외 기업 탐방과 해당 국가의 산업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임효진탐방 후기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팀이 대만을 방문 한다고 했을 때 많이 의아해 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만을 직접 방문해보고 많은 사업자들을 만난 결과 대만은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라고 생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아직 공산주의라는 정치적 특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다른 곳보다 훨씬 어렵지만 대만은 자유시장체제 이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쉽다 특히 외국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만 시장에서 한국제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추고 중국 시장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성공가능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그리고 대만의 바이어들을 통해 중국의 시장진출을 하게 된다면 사업자가 직접 중국시장에 진출 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성공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만은 문화적으로 다른 아시아권보다 선진화 되었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대도시에 속하지만 모두다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골고루 섞여 대만만의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차안호탐방 후기 9박 10일간의 대만을 다녀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넓고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이번 대만 여행은 처음으로 경험한 해외여행 경험이여서 그런지 순탄치 않은 면도 있었지만 팀원들 서로가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만시장은 중국시장으로 가기위한 좋은 시험의 장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대만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영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더 나아가 미래에는 중국어야말로 영어와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성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또 하나 놀란 점은 대만이 반 한류 감정을 많이 갖고 있는 줄 알았지만 대부분의 대만 일반 시민들이 굉장히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에 놀랐고 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CK-1 사업의 챌린지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대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계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보완점 및 건의사항 (문제점개선책건의사항)

2-1 기업 컨택의 어려움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에 있는 기업과 연결하여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대해서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조사 및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시간을 내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로써 그들의 귀한시간이 아깝게 쓰이지 않을 것을 강조하여 만남을 만들어야 한다

2-2 사업단과 의사소통의 불편함

Challeng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CK-1 사업단과의 지속되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가령 누군가를 통해서 전해지는 소문이나 촉박한 시간을 제시하고 일 처리를 원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단과 각 팀의 대표간의 분명한 의사소통과 증빙자료 등이 필요하다

2-3 정보 부재 이번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이머징 마켓에서의 유망 산업 조사 및 연구였다 대만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19: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19 -

구분 2011 2012 2013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증가율

수입규모 및 성장률 614293 1192 600356 -227 557784 -085

순위 국가 금액 점유율 증감율2011 2012 2013 2011 2012 2013 1312

총계 614293 600356 557784 100 100 100 -0851 일본 248980 237052 199987 40531 39485 35854 -113212 프랑스 116031 111983 110509 18888 18653 19812 45333 미국 89984 96689 89924 14648 16105 16122 -03914 한국 29779 29329 36746 4848 4885 6588 386345 중국 23444 30114 30138 3816 5016 5403 99486 영국 15895 14619 14482 259 2435 2596 29227 독일 16799 14327 14159 274 2386 2538 96758 스위스 13631 12401 11151 222 2066 1999 -5329 태국 9929 9214 8943 162 1535 1603 533310 이탈리아 12312 8853 8632 2 1475 1548 7727

5-2 수입동향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동향 (단위 천 달러 )

주 대만 국제무역국

최근 3년간 상위 10개국의 수입통계

주요 수입국 현황(HS Code 330499 기준) (단위 천 달러 )

자료원 대만 경제부 국제무역국 중화민국수출입무역통계(httpcus93tradegovtwFSCI)

수입관세 및 관련 제도thorn 관세 0thorn 통관 시 유의사항 대만에서 화장품은 의료용 또는 약품을 함유하지 않은 lsquo일반화장품rsquo과 lsquo함약화장

품rsquo 등 세 종류로 나눠져 있음 함약화장품의 경우 통관 시 대만 위생서에서 발행한 위생허가증을 제시해야 함

thorn 필수 인증 현황 함약화장품(예 염색제 파마제 자외선차단제 땀 억제제 치아미백제 등)은 대만 위생서 허가를 받아야 수입 및 제조판매를 할 수 있음 허가 신청 시 제품명 성분 제조업체명 제조업체주소 해외 수입업체명 수입업체주소 제품 전성분 용량 용도 사용법 유효기간 샘플 Certificate of Analysis Certificate of Sales SPF ampUVA 검사보고서 등이 필요함(세부사항은 대만 위생서 홈페이지 참조바람)

5-3 유통구조

유통채널 종류thorn 오프라인 백화점 H ampB(Watsons Cosmed SaSa 등) 방문판매 약국 각종 마트 편의점 피부과

피부관리센터 전문판매점(로드숍)thorn 온라인(여기는 virtual channel을 뜻함) 홈쇼핑 온라인 쇼핑몰(경매 브랜드 홈페이지 등 포함) 우편

주문(郵購) 등이 있음

유통채널 점유율 오프라인 유통채널의 점유율은 여전히 70~90 정도로 높게 차지하고 있으나 온라인 유통채널의 점유율도 빠른 속도로 상승하고 있음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0 -

브랜드명 제품명 가격 판매순위

SHISEIDO 100 1

SKII 133 2

ESTEE LAUDER 100 3

항목 내용전시회명(현지어명) 2014春夏國際美容化妝品展전시회명(한국어) 2014 춘하 국제미용화장품 전시회

전시품목 미용 화장품개최국가도시 타이베이

유통채널 활용 방안 아직까지 온라인 채널의 점유율이 높지 않으나 대만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블로그 등)에 영향을 많이 받는 편이어서 오프라인 채널에 진입하기 전에 온라인으로 먼저 마케팅(브랜드 이미지메이킹 블로거 마케팅 등)을 진행하는 방법을 추천함 대만 오프라인 채널의 진입장벽은 매우 높으며 비교적으로 이윤이 많이 남는 온라인시장에서 브랜드 파워를 먼저 키우면 오프라인 채널에 들어가는 길이 훨씬 수월해질 것으로 예상함

5-4 경쟁동향

경쟁제품 현황주요 경쟁제품 현황

(단위 달러)

한국 제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 및 선호 브랜드 현황thorn 한국 제품 현지 인지도 높음thorn 선호 브랜드 3CE INNISFREE NUTURE PUBLIC MISSHA THE FACE SHOP LANEIGE 등

5-5 효과적인 시장 진출 전략

타깃 고객층thorn 타깃 고객층 20~30대 초반thorn 타깃 사유 유행에 따라 새로운 것을 많이 도전하고 한류의 영향도 가장 많이 받는 젊은 층이 한국

화장품을 소비하는 경우가 많음 35세 이후의 직장 여성 혹은 가정주부들은 여전히 일본 혹은 유럽 미국의 고가 화장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활용 가능한 마케팅 방안 ⓵ 현지 전시회 정보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1 -

개최주기 3월경개최기간(2014년) 0321~0325

웹사이트 httpwwwudnicecom

⓶ 전시회 이외의 주요 마케팅 방안 블로거 마케팅 등 ⓷ 유력 홍보 방안(전문잡지 온라인 매체 등)

thorn 온라인 매체 Fashion guide(httpwwwfashio guidecomtw) UrCosme(httpwwwurcosmecom)

thorn 전문잡지 VIVI BEAUTY 大美人 Style W Marie laire Fashion Guide 등

시장 확대를 위한 무역관 의견 대만 화장품시장은 가격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 시장 진입 시 확실한 브랜드 포지션을 정해야 하며 해당 포지션의 대만 제품 가격을 조사한 후에 대만 최종 소비가격을 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

또한 소비자들은 할인세트 및 사은품에 약하여 각종 행사 진행 시 사은품 증정 혹은 묶음세트로 판매하는 것을 추천 보습(특히 히알루론산 성분 강조) 및 미백(대만 정부에서 인증된 미백성분이어야 함) 제품을 매우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6 탐방 상세 일정 (일정표 - 기간 지역)

날짜 지역105(월) 인천 ~ 대만 타이페이

시간 일정0600 인천공항 도착

0600 ~ 0920 인천공항 대기0920 ~ 1140 인천공항 rarr 대만 1140 ~ 1230 대만 입국 수속1230 ~ 1320 숙소 이동 (용산사 역)1320 ~ 1500 짐정리1500 ~ 1600 회의 및 일정정리1600 ~ 163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630 ~ 1800 KOTRA방문 및 인터뷰1800 ~ 1830 101타워 딘 타이 펑 이동(도보)1830 ~ 1910 저녁식사 - 딘 타이 펑1930 ~ 2100 101 타워 야경감상2100 ~ 2130 숙소로 이동2130 ~ 223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6(화) 타이페이

시간 일정0900 기상

0900 ~ 110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30 ~ 1230 점심식사 - 마라훠거1230 ~ 1300 SISDORA 본사로 이동

6-1 8박 9일 대만 일정 (150105 ~ 150113)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2 -

1300 ~ 1530 SISDORA 방문 및 인터뷰1600 ~ 1800 101타워 퍼스널 트레이닝 센터 방문1800 ~ 1930 저녁식사 - 카렌 레스토랑1930 ~ 2000 숙소로 이동2000 ~ 2100 개인 휴식2100 ~ 223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7(수) 타이페이

시간 일정0900 기상

0900 ~ 113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30 ~ 120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200 ~ 1250 점심식사 - 키키 레스토랑1250 ~ 1300 시먼딩 이동1300 ~ 1530 화장품 설문조사1530 ~ 1830 한국 화장품 매장 제품 조사1830 ~ 1900 야시장 이동(MRT)1900 ~ 2000 저녁식사 ndash 야시장 음식2000 ~ 2030 숙소로 이동2030 ~ 2130 개인 휴식2130 ~ 230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30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8(목) 타이페이 ~ 타이난

시간 일정0830 기상

0830 ~ 110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00 ~ 1200 체크아웃 및 고속철도역 이동1200 ~ 1340 타이페이 rarr 타이난 이동1340 ~ 1400 짐 보관 및 인터뷰 장소 물색1400 ~ 1600 가오슝 한인협회장 인터뷰1600 ~ 1700 숙소도착 및 짐정리1700 ~ 1800 개인 휴식1800 ~ 1900 저녁식사 - 새우롤2000 ~ 2230 중간 정리 및 보고서 작성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9(금) 타이난

시간 일정0800 기상

0830 ~ 0900 아침 식사0900 ~ 1130 타이난 일정 브리핑 및 팀 미팅1130 ~ 1210 타이난 시내로 이동(TAXI)1210 ~ 1320 점심식사 - 스시1320 ~ 1350 성공대학 이동(도보)1350 ~ 1700 성공대학 방문1700 ~ 1800 성공대학 캠퍼스 탐방 및 대학원생들과 대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3 -

1800 ~ 1830 저녁식사 - 대만 전통 음식점1830 ~ 1900 타이난 RT마트 이동(도보)1900 ~ 2030 RT 마트 장보기2030 ~ 2100 숙소로 이동2100 ~ 2200 개인 휴식2200 ~ 2330 팀 회의 및 예산 정리

23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12(월) 타이페이

시간 일정0800 기상

0800 ~ 0900 아침식사(호텔 조식 제공-선택)0900 ~ 1130 호텔 개인시간1130 ~ 123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230 ~ 130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300 ~ 1600 Wabfenix 방문 및 인터뷰1600 ~ 1630 간식 - 망고차차1630 ~ 1700 시먼딩 이동(MRT)1700 ~ 1830 화장품 설문조사 활동1830 ~ 1930 저녁 식사 - 코코이찌방야2030 ~ 2130 개인 휴식2130 ~ 2300 팀 회의 및 예산 정리

230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13(화) 대만 ~ 인천공항

시간 일정0800 기상

0800 ~ 0900 아침 식사0900 ~ 1130 짐정리1130 ~ 1200 체크아웃1300 ~ 1400 점심식사 - 스시(시먼딩)1400 ~ 1430 쑹산 공항 이동(TAXI)1430 ~ 1530 시먼딩 rarr 쑹산공항1530 ~ 1730 출국 대기1730 ~ 2100 대만 출국 rarr 대한민국

2100 대한민국 입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4 -

7 방문 기업 소개 (인터뷰 내용)

7-1 대만 KOTRA

-2015년 1월 5일 월요일 1630~1800 인터뷰-위치 台北市 基隆路 1段 333號 22樓 14室(2214室) Intl Trade Building 22층-전화 (886-2)2725-2324 -팩스(886-2) 2757-7240

Q대만에 대하여 간단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우선 대만은 남한의 13의 해당하는 영토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구역시 남한에 비해 적은 2천 3백만 명 정도이며 기후는 아열대 몬순 기후권으로 비교적 따듯한 날씨입니다여러분이 대만에 와보셔서 알겠지만 대체로 습한느낌을 받으셨을 탠대 대만은 겨울에도 남한만큼은 춥지 않습니다 언어는 주로 중국어를 사용하며 문자는 중국과 살짝 다른 번자체를 사용합니다1인당 GDP는 2013년 기준 20984 달러 정도이며 산업구조는 제조업과 도소매업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Q현재 우리나라의 어떤 기업들이 대만에 진출해 있는지 궁금합니다

A최근에는 화장품을 주력 제품으로 아모레퍼시픽등 화장품 대기업들이 타이페이 시내에 로드샵을 많이 개점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대만은 제조업과 도소매업이 주를 이루다 보니 20~30년 전부터 진출한 기업들이 계속해서 입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주로 삼성물산 현대종합상사 LG상사 LG전자등 대기업이 주를 이루고 있고 우리나라 기업은 1년에 한 기업정도 대만에 진출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Q그렇다면 대기업을 제외한 중소기업들이 대만시장에 진출하지 않는 이유가 따로 있습니까

A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아무래도 중국시장이 개방을 하면서 인 것 같습니다 기존에 진출해있는 기업들은 과거 대만이 인프라 구축이 미흡했을 당시 해외투자를 많이 받으면서 비교적 좋은 조건으로 대만에 진출하고 인프라 구축등 사업을 진행하면서 기반을 다졌을 겁니다 그 기반으로 지금까지 대만시장에 진출해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중소기업의 경우는 해외투자가 너무 모험적이며 대만 시장과 중국의 시장을 비교하여 봤을 때 인구가 차이가 약 8배 정도 나며 중국에 비해 비교적 작은 시장이라고 느껴 대만보다는 중국에 많이 진출하는 것 같습니다

Q마지막 질문으로 만약 우리나라 중소기업이 대만시장에 진출할 때 유의해야 할 점이나 좋은 팁이 있을까요

A대만 시장에 완전히 진출해야겠다는 생각보다는 중국이나 다른 중화권 나라의 진출하기전 시험의 장소로 생각하고 진출해보는 것은 나쁘지 않다 생각 합니다 아무래도 대만의 인구가 많은 편이 아니다보니 불리한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5 -

조건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이나 다른 큰 중화권 시장으로 진출하기 전에 언어나 문화 중화권사람들의 사고방식등 여러방면에서 시험해 볼 수 있는 좋은 장소는 틀림없습니다 중소기업이 대만시장에 진출할 때는 코트라를 이용하여 각종 정보나 현지 인프라등을 이용하는 것 또한 하나의 방법이며 무엇보다 중화권의 문화와 중화권 대중들의 생각을 잘 공부하고 언어를 습득하여 오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7-2 SISDORA luxury beauty care

-1월 6일 화요일 1300~1530 인터뷰 1600~1800 101타워 퍼스널트레이닝 센터-주소 No9Aly 10Ln265Sec 4Xinyi RdDaan Dist Taipei City 106-대표 Mr Chung-Cheng Lee -전화886-2-27040889-URL httpwwwsisdoracom

Q 간략한 회사 소개와 SISDORA의 유래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A Isadora는 고대 이집트의 가장 강력한 여신의 이름입니다 Sisdora는 이 여신의 이름을 따서 만든 브랜드 이름입니다 이집트의 고대 여신인 Isadora의 이시스는 선물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고 생명과 건강 아름다움을 담당하는 여신으로도 유명합니다 저희 SISDORA는 비슷한 동음 이의어로 동양의lsquoISIS(이시스)rsquo라는 단어가 있어 브랜드 명을 SISDORA로 정하게 되었습니다Q Sisdora 제품 소개 부탁드립니다

A저희 제품은 안티에이징 미백 마스크 제품을 주력으로 하고 있습니다 동일 제품군을 비교해 봤을 때 가격 및 품질은 상위에 속하는 최상품의 제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마스크 팩 대부분은 종이섬유로 제조하는 반면 저희 Sisdora는 누에의 실(실크)로 만든 마스크 팩 입니다 실크마스크 팩을 제조할 때에는 피부 건강에 좋은 약재 및 약초등을 배합하여 제조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피부에 자극적인 향로를 첨가하지 않았고 수분이 빠르게 흡수 될 수 있습니다 덕분에 저희 마스크 팩을 사용하는 고객들은 부드럽고 산뜻한 느낌을 받으실 수 있을 겁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6 -

Q 귀하의 회사는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어떤 마케팅을 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A 저희는 해마다 대만 타이페이 글로벌 미스코리아 대회에 제품을 협찬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대만 유명 가수들과 함께 제품을 결합시킨 뮤직비디오를 제작하여 마케팅에 힘쓰고 있습니다뿐만 아니라 제품의 품질인증을 바탕으로 러시아 중국 동남아 지역에 진출하는대 힘쓰고 있습니다 저희 제품은 대만 내에서 스킨케어 제품으로써 유일하게 지정 브랜드 수상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저희는 주로 매스컴이나 인터넷을 통한 마케팅이나 엔터테이먼트 컨벤션 산업을 활용하여 마케팅을 하고 있습니다

Q 그렇다면 대한민국의 화장품 제품이 대만에 진출해 있는데 대한민국 화장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는 어떤지 궁금합니다

A 최근 5년 사이에 한국의 드라마 음악등 한류를 타고 대만에도 많은 한국 제품이 등장하였습니다 하지만 대만에는 오래전부터 수입화장품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이탈리아의 산타 마리아 노벨라 프랑스의 아이젠버그등 명품 화장품 브랜드가 오래전부터 입점해 현지 화장품시장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 때문인지 한국 화장품의 인지도는 크게 높지는 않습니다 아무래도 유럽 브랜드 그 다음으로 대만 기업의 브랜드 그 다음으로 한국의 화장품 브랜드 순으로 인지도가 형성되어 있다고 생각됩니다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한국화장품은 다른 명품 화장품들의 가격보다 저렴하고 성능이나 효과 면에서 절대 뒤처지지 않아 한류가 지속되고 마케팅이 잘 이루어진다면 충분히 유럽의 명품화장품의 인지도를 뛰어 넘을 수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Q 한국의 중소기업의 화장품이 대만 시장에 진출하는 것에 대해서는 어떤 의견을 갖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A 한국의 대기업 화장품 브랜드가 아닌 중소기업의 화장품 브랜드가 대만에 진출하는 것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겁니다 하지만 저희 회사도 중소기업으로 시작하여 마케팅 전략을 잘 활용 하여 많이 성장하였습니다 아무래도 한국의 중소기업의 화장품이 대만에 진출하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있겠지만 어떤 마케팅 전략을 선택하느냐가 가장 중요하고 마케팅이 잘 이루어지고 입소문이 퍼진다면 한국의 중소기업 화장품 또한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7 -

7-3 가오슝 한인협회

-1월 8일 목요일 1400~1600 인터뷰-주소 高雄市鼓山區二路37巷弄43-2號(고웅시고산구이로37항81롱43-2호)-대표 尹桓鎬(윤환호) HP 0932-740-538 -電話 07-5211933 -傅眞 07-5214031

Q 대만과 한국과의 무역 관계가 어떠한지 궁금합니다

A 한국과 대만과의 무역은 크게 활발하게 이루어 질 수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대만의 시장 자체가 매우 작기 때문에 대만에 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국내 시장이나 다른 큰 해외 시장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대만 시장을 거쳐서 동남아나 중국 시장으로 진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여서 기존에 존재하는 대기업이나 저처럼 오래 전부터 이민한 분들이 소규모로 중개무역을 하고 있는 정도입니다

Q 현재 한인협회 회장님께서 직접적으로 하는 일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현재 저는 한국의 화장품을 수입하여 대만 현지 기업에게 판매하는 중개무역을 하고 있습니다 대만에 온지 20년이 넘었는데 이런 저런 일을 하다가 기회가 되어 이쪽 일을 하게 되었는데요 처음에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인식이 없어 가격은 비싸고 품질의 보증은 되어 있지 않은 제품이라 소비가 크게 늘지 않았는데 한류 열풍이 불고 한국 드라마의 성공과 그 배우들이 광고하는 화장품의 수요가 크게 늘어 몇 년 전부터 시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Q 한국과 대만과 중국의 관계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해 주세요

A 앞서 말씀 드린 것 같이 한국의 기업은 대만을 통하여 중국 시장의 진출을 위하여 대만 시장을 많이 찾습니다 그 이유는 한국 기업이 대만 시장을 통해서 제품을 인정받는다면 대만과 중국은 같은 언어권의 나라로 대만기업을 통해 중국으로의 활로를 개척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왜 이렇게 돌아서 진출을 하려고 물으셨는데 그것은 쉽게 말해서 말이 잘 통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의 중국어를 잘 구사하는 사람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보다는 대만의 사람이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주고 인정을 해준다면 더욱 쉽게 자리를 잡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8 -

Q 스타트 기업의 대만 진출 성공여부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중소기업이 대만에 들어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현재 한국 내에서의 위치를 높이는데 주력하는 것이 좀 더 낫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대만은 아주 뛰어난 기술력을 가지고 있지만 자체 제품을 생산하지 않습니다 예로 Apple에서 전체 아이디어를 미국에서 한다면 그 아이디어 실행은 대만에서 이루어집니다 그리고 제품의 생산은 대부분 중국에서 이루어 지구요 이렇듯 대만의 기술력과 제품에 대한 이해가 빠르기 때문에 수입을 많이 의존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중소기업이 들어와서 제품을 판매한다 쉽게 성공할 수 없죠

Q 회장님께서는 중국과의 중개무역은 생각하고 있으시지 않습니까

A 네 저는 지금의 생활에 만족하고 있습니다 지금 저의 파트너들과의 관계도 좋고 따로 중국 진출은 생각하고 있지 않습니다 만약에 제가 중국을 진출하게 된다면 현재의 기업들과도 경쟁상대가 되어 저는 생각이 없습니다

7-4 국립성공대학(國立成功大學)

-1월 9일 1350~1700 인터뷰-주소 701 臺南市東區大學路1號-연락처06-2757575 -홈페이지 wwwnckuedutw

대만 국립 성공대학은 931년 타이난에 설립된 이공계 명문 대학입니다 국립성공대학은 66개의 캠퍼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각 캠퍼스마다 특징과 분위기가 다릅니다 우리 국립성공대학은 ldquo북대대 남성공(北臺大 南成功)rdquo 이라는 말이 있듯이 역사는 대만대학의 바로 다음갑니다

국립성공대학의 이름의 의미는 성공은 무엇을 성취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대만의 민족영웅인 정성공(鄣成功)을 기념하기 위한 대학이라는 뜻입니다 성공대학은 정성공이 있던 역사명승 적감루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해 있기도 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9 -

이후 인터뷰로 대만의 소개와 간단한 전공 소개가 있었다

7-5 WABFENIX RENIX GLORY GLORIA GUA

-1월 12일 월요일 1300~1500 인터뷰-주소 14F-1 No420 Sec 4 Xinyi Rd Xinyi Dist Taipei City 110 Taiwan (ROC)-대표 Mr KEN -전화886-5569-0555-URL httpswwwfacebookcomrenixfanspage httpwwwwabfenixcom

Q Wabfenix가 어떤 기업인지 소개 해주세요

A 저희 회사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으로 현재는 매장은 없지만 개발한 제품을 바탕으로 사업을 진행 중이고 대만현지에 저희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저희 회사는 제품의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화장품을 개발하여 대만시장 뿐만 아니라 중국시장의 진출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Q 귀하의 제품은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제품이라 하셨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제품 등이 있습니까

A 우선 Heymore 제품군의 블랙 마스크 팩과 Renix 제품군의 일반 마스크 팩을 출시했습니다Heymore의 경우 선물용임을 부각시키기 위해 디자인에 특히 많은 투자를 하였습니다 중국 중산층을 겨냥한 제품으로 가격대 1봉지에 한화 ₩40000 정도로 높게 책정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가격을 높게 측정한 이유에는 중국 화장품 소비문화 속에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 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에 저가 보급형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0 -

제품인 Renix와 차별을 두는 판매 전략을 선택하였습니다 현재 판매되는 제품은 마스크 팩을 주력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Q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인데 중국을 대상으로 어떤 진출 전략을 갖고 있습니까

A중국에서 열리는 화장품 전시회 화장품 엑스포 행사 바이어 미팅 등 꾸준히 참가중이며 바이어들에게 저희 제품을 어필하고 있습니다 물론 신생기업인 만큼 아직 중국 내에서 뚜렷한 판매 실적을 기록하진 못했지만 타 화장품 기업들과 다른 마케팅 방식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디자인이나 제품의 아이디어를 강조하고 있는데 대표 적인 상품으로 오뚝이 모양을 한 화장품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이 오뚝이 제품을 바이어들에게 어필해 보았는데 대단히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Q 해외시장 마케팅과 대만 시장마케팅의 차이점이 있습니까

A 우선 중국에서의 마케팅은 행사나 전시회에 참여하고 바이어들을 개인적으로 만나는 것에 치중해 있다면 국내 대만시장의 마케팅 전략은 페이스북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대만은 중국에 비해 SNS가 많이 발달되어 있어 자금이 많이 들어가지 않는 SNS마케팅을 하고 있고 각종 자선행사에 참여하여 저희 기업을 홍보하고 있습니다

Q 귀사의 제품을 중국보다 비싼 인건비가드는 대만 제조공장에서 생산하는 겁니까

A타이중에 소재하는 공장에서 마스크를 제조 하고 있습니다 인건비가 비싼 것은 대만 수도인 타이페이에만 주로 해당이 됩니다 지방 소도시에서도 외곽으로 들어가면 저렴한 인건비와 공장 가동비용으로도 제조가 가능 합니다 굳이 중국에 제조공장을 갖지 않는 이유는 신생기업이라 자금문제도 있지만 대만은 OEMampODM에 특화된 국가이기 때문에 품질 좋은 다양한 제품주문이 가능하고 중국 사람들에게도 자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 보다 외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가 더 좋기 때문에 대만에서 생산한 뒤 수출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Q 대만에 한국 화장품 기업이 진출한다면 어떠한 마케팅 전략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 생각 하십니까

A 이미 대만에 한국의 화장품 제품들이 많이 들어와 있습니다 하지만 대만 자체의 화장품 기업들이 기존에 많은 시장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성공을 거두기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최근 한국에 대한 이미지가 많이 좋아졌고 한국의 영화나 드라마 등이 많이 알려지면서 인지도가 높아졌습니다 한국의 대기업의 경우 이러한 대규모 마케팅을 할 수 있으므로 큰 무리가 없겠지만 한국의 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한다면 최종 시장 공략 층은 대만이 아닌 중국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대만은 중화권으로 가기 위한 연결다리라고 생각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또한 중소기업은 큰 마케팅 비용을 부담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대만에서는 SNS나 각종 자선 행사에 참여하여 인지도를 높이는 것을 추천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1 -

Q 같은 제품이지만 대만과 중국에서 판매할 때 가격 책정이 다른 이유가 무엇인가요

A 그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해드리자면 국가마다 소비 성향이나 구매 능력 환율 경제 상황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경영 에서는 가격 차별화(Price discrimination)이라 부르는데요 각 나라의 시장 특성에 적정한 가격대를 책정해서 제품을 판매하는 전략입니다 혹시 중국 상류층이 몇 명인지 알고 있나요 제가 알기로는 대만 인구의 2배인 4000만 명이라는군요 아마도 한국 인구랑 비슷한 규모 일겁니다 게다가 중산층은 약 4억 명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4억 명의 중국 소비자들이 우리 제품을 1개씩만 구입 한다면hellip 상상만 해도 엄청 나겠죠 이야기를 하다 보니 다른 쪽으로 빠졌는데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이야기하면 물론 좋은 제품을 모든 곳에 저렴하게 제공 하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 그러나 항상 시장에서 저렴한 제품만이 성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대만이나 한국처럼 고도의 산업화가 이루어지고 시장이 크게 발전한 안정적인 단계는 좋은 제품이라도 가격 경쟁력에 신경 써야 합니다 왜냐하면 소비자들이 똑똑하기 때문에 정보력이 넓고 합리적인 소비를 지향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가격 성능 디자인 등 많은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중국 시장은 대만이나 한국과는 특성이 다릅니다 저렴하다고 해서 많이 제품이 많이 팔리기 보다는 가격대가 어느 정도 있는 제품일수록 또는 가격대가 높을수록 소비자들이 관심을 보입니다 대체적으로 중국 소비자들은 lsquo저렴한 제품은 품질이 낮거나 효능이 좋지 않은 제품일거야rsquo 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 때문에 화장품 박람회나 전시회에 저가 화장품을 가져와 홍보하더라도 중국 바이어나 소비자들은 큰 관심을 주지 않습니다 처음에 말했듯이 중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2 -

국 소비문화가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라는 심리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Wabfenix의 경우에는 신생기업이라 많은 투자 금액이 없을 뿐 더러 대만 화장품 시장에 진출하기에는 리스크가

크고 진입 장벽이 높습니다 그리고 이미 한국 화장품 기업들이 대부분 점유를 한 상황이기 때문에 대만 내수시장에만 집중하기에는 경쟁력이 부족하죠 그래서 중국을 주력 수출시장으로 삼고 있는데요 저희는 제품 성능 보다는 소비자의 이목을 끌 수 있는 디자인에 더 많은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중국에 Wabfenix만의 화장품 선물 문화를 정착 시키는 것이 목적인데요 높은 제품 가격만큼 소비자의 관심을 끌 수 있고 선물 문화나 꽌시(关系)가 많은 중국 문화 특성에 맞추어 선물용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중국 시장은 현재 젊은 중산층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품질이 낮은 화장품 보다는 수입 화장품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점으로 미루어볼 때 높은 가격 차별화와 Wabfenix만의 디자인 마케팅은 좋은 경쟁력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3 -

8 현지 시장조사 활동 (시장동향사진설문조사 자료)

8-1 시먼딩 설문조사

목적 대만 사람들의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및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대상 10대~20대 여성 및 화장품 전문매장 종사자장소 시먼딩시간 2015년 1월 7일 12일 총 두 차례에 걸쳐 진행방법 ①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 판넬에 국가별로 메이크업 사진을 표시하고 스티커를 붙이는 방식으로 투표함 공정성을 위해 국가 이름은 블라인드로 처리하였고 모두 동일 인물의 사진을 사용함②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표본집단을 50명으로 설정함 설문조사가 끝나면 사은품으로 한국 브랜드 마스크팩 증정함

8-2 사전 기획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판넬 기획도gt

化妝辦法喜好度的調查화장법 선호도 조사

大家給自己喜歡的化妝貼貼紙 여러분이 선호하는 메이크업에 스티커를 붙여 주세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4 -

대만의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안녕하십니까

다음의 내용은 대만 화장품 트렌드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자 관련조사를 실시하고자 하오니

있는 그대로의 생각을 기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귀하의 응답은 통계적 목적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본 설문은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물음에 대한 답변이나 해당란에 v 표를 해 주십시오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7) ② 화장품 전문매장(34) ③ 마트(5) ④ 홈쇼핑(2)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합계 총 50 명

바쁘신 시간에 의견을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지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5 -

8-3 설문조사 활동

lt2015년 1월 7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6 -

lt2015년 1월 12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7 -

lt활동 결과 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8 -

9 설문조사 통계 분석 (설문조사 응답 수분석결과)

9-1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결과gt

설문 조사 질문지 양식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12)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③ 마트(5) ④ 홈쇼핑(6)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9 -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gt

9-2 설문조사 항목 별 의견 및 추측

설문 조사 질문지 항목 (최다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② 20 ~ 25세 (13)

0

5

10

15

20

25

30

20대 이하 20세~24세 25세~29세 30세~39세 40대 이상

rarr 시먼딩은 대만의 홍대거리라 불리는 lsquo융캉제rsquo나 서울의 lsquo명동rsquo과 같이 젊은 층이 주로 활동하는 지역이다 설문조사 중에도 교복이나 체육복을 입은 학생들과 길거리에서 쇼핑을 즐기는 20대가 즐비할 만큼 활기 있는 거리다 덥고 습한 대만 기후 특성 상 과거엔 화장법이 크게 발전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국의 자연스러운 화장법이 큰 인기를 끌면서 시먼딩에 화장품 거리가 조성되어 있을 만큼 유동 인구가 많다 이 점으로 추측해보았을 때 압도적으로 10대와 20대 층이 많은 응답 수를 기록했다고 본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0 -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051015202530

온라인 화장품전문매장 마트 홈쇼핑 방문판매

rarr 대만 또한 한국과 비슷하게 시내에 많은 수의 화장품 전문매장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접근성이 굉장히 높았다 더불어 각 화장품 매장에서는 상품 할인과 같은 각종 프로모션을 진행하기 때문에 구매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 구매한다는 대답도 높은 편이었는데 거의 대부분이 와이파이존이어서 어디서나 인터넷을 한 활발히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온라인에서의 구매율도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0

5

10

15

20

25

30

NT$300 미만 NT$300~NT899 NT$900~NT$1499 NT$1500~NT2999 NT$3000

rarr 응답자들은 대부분이 한 달 간 화장품에 쓰는 돈을 최저 1만원 이상(NT$300 이상)이라고 답했는데 이는 70가 넘어가는 결과로 화장품에 대한 지출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만원 이상이라고 대답한 응답자들 또한 4분의 1을 넘기는데 이것은 젊은 연령층부터 시작하여 최근 피부 관리와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대만의 소비 수준에 대비하여 화장품 소비율이 높은 것도 이 때문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1 -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③ 성능(23)

051015202530

가격 디자인 성능 화장품 모델 브랜드

rarr 아열대 기후에 속하는 대만은 높은 기온과 습한 날씨 탓에 에어컨 환경에 자주 노출돼 피부 수분을 잃기 쉬워 기능성 화장품의 소비가 두드러진다 대만 화장품 시장은 토너 세럼 에센스 로션 크림 등의 모든 스킨케어 제품들이 보습기능을 강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백이나 안티에이징 리프팅 저자극 오일프리(Oil-free) 등의 기능까지 추가된 스킨케어 제품들이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조 화장품 소비가 늘어난 것은 최근 몇 년 들어 다양한 화장품 브랜드 접촉기회가 많아지고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젊은 여성의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색조화장품 또한 메이크업베이스와 BB크림 립스틱과 같은 베이스 메이크업이 수요가 많았다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④인터넷(22)

0

5

10

15

20

25

30

TV 잡지 친구 인터넷 메이크업샵

rarr 최근 빠른 인터넷망과 스마트폰 태블릿PC의 보급으로 인해 사람들과 사람사이의 연결망이 견고히 형성되고 있고 이것이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방법을 얻는 경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만 소비자들은 주로 인터넷 블로그 가족과 친구로부터 메이크업 정보를 획득 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만의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이므로 입소문마케팅과 판매를 바로바로 할 수 있는 유통구조가 도움이 될 것 같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2 -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0

5

10

15

20

25

30

청순 독특 귀여움 섹시

rarr 앞서 살펴보았듯이 대만은 한국과 비슷한 메이크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이것은 곧 청순한 메이크업 컨셉에 관심 있어 한다는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실제로 대만 여성소비자들은 깨끗한 피부 NATURAL한 베이스메이크업을 선호한다 한 듯 안 한 듯 자연스럽고 깨끗한 느낌의 한국식 lsquo생얼rsquo 화장법은 대만에서 한국 드라마 열풍과 함께 유명세를 타기 시작해 현지 각종 온라인 뷰티 사이트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래서 응답의 대부분이 한 곳에 치우쳤고 비교적 개성 있는 메이크업 방법이 드물 것이라는 것을 유추해낼 수 있다

본 설문 조사를 통한 한국 화장품 기업에 대한 시사점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수입 절차로 오랜 시간을 허비해야 하는 반면 대만은 자외선 차단제 성분 함유 제품과 약용 화장품을 제외한 일반 화장품은 별도의 수입 검사 없이 수입할 수 있으므로 대개 중국보다 1~2년 먼저 신상품이 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한류 효과를 겨냥한 중화권 화장품 시장으로 대만을 우선 공략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대만은 대부분이 화장품에 대한 소비를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고 한국 화장품이 많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시장 접근법만 제대로 수립하면 매출이 나는 구조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대만인들이 선호하는 메이크업 방법이 한국과 비슷하기 때문에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은 마케팅 방안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최종분석설문 조사 대상은 대부분 10대~20대의 연령층이었으며 화장품의 주된 구입경로는 lsquo온라인(24)rsquo과 lsquo화장품 전문매장(50)rsquo이 압도적이었다 더불어 한 달 간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lsquo1만 원 이상(72)rsquo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이것은 실제 생활수준에 대비하여 높은 소비량이므로 대만의 화장품 시장 전망이 밝다고 할 수 있다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부분은 lsquo성능(46)rsquo이었는데 이는 스타트업 기업 중소기업에게 유리한 조건이다 메이크업 방법을 얻는 방법으로는 lsquo인터넷(44)rsquo과 lsquo친구(30)rsquo가 높은 비율을 차지했는데 판촉활동으로는 인터넷을 활용한 SNS 홍보 바이럴 마케팅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가장 관심있는 화장 컨셉은 lsquo청순rsquo 이었고 이것은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와 맞물려 우리나라와 비슷한 메이크업 방법을 추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3 -

10 대만 명소 소개 (명소음식행사숙소 소개)

10-1 고궁박물관

대만 고궁박물원은 영국의 대영 박물관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 미국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과 함께 세계 4대 박물관으로 손꼽힐 만큼 세계적은 소장 문물을 자랑한다 건물 규모는 그다지 크지 않지만 소장한 문물의 질과 양은 세계 최상급이다 중화 보물 중에서도 최고의 보물들이 모여 있어 진귀하기 그지없고 수량 역시 워낙 방대하여 3개월 단위로 1만여점을 돌아가면서 전시해도 다보려면 10년이 넘게 걸린다고 전해지고 있다 중국의 국공내전 당시 장제스가 이끌던 중국 국민당이 전쟁에서 패하며 중국을 탈출해 대만으로 향했다 당시 장제스는 난징에 있던 정부를 타이페이로 이전하면서 자금성에 보관되어있던 중국역대 왕조 보물 수십만 점을 배를 이용해 운반해 왔다 중국의 유물을 가진 자가 진정한 통치자라고 생각했던 장제스는 ldquo공산군에게 영토는 내줘도 문화유산만큼은 내줄 수 없다ldquo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대표적인 유물은 취옥배추 육형석 모공정 산씨반 등이 있다

10-2 용산사

루강의 초입에 있는 이 사찰은 타이완에서 가장 오래되고 아름답다고 하여 타이완의 자금성이라고 부른다 각 건물의 기둥 벽 그리고 천장 등에 새겨진 조각은 특히 빼어나다 이 조각상과 함께 이곳의 명물로 알려진 것은 사찰 경내에 있는 2마리의 용상인데 삼천전 앞마당 좌우에 서서 룽산사를 호위하고 있다

10-3 타이페이 101 빌딩

타이베이 101빌딩rsquo이라 부르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로서 빌딩 모습은 하늘로 뻗어나가는 대나무 위에 꽃잎이 겹겹이 포개진 형상이다 본래 타이베이 금융기관이 모인 건물이지만 대형 쇼핑센터와 푸드코트 고급 레스토랑이 있어 여행자들이 많이 찾는다 건물에는 8개 마디가 있는데 이는 중화 문화권에서 부와 번영을 의미하는 숫자 lsquo8rsquo을 염두에 둔 것이다 타이베이 시내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는 높이 508m로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히는 높은 건물이다 지상 1~5층에는 소고 백화점 뷰티 플라자 애버뉴 101 등 다양한 패션∙뷰티용품을 구입할 수 있는 상점이 있다 또한 레스토랑 시티 스퀘어 대형 서점 등 쇼핑과 오락 식사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복합시설이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4 -

잘 알려진 식당으로는 딘 타이 펑(Din Tai Fung) 이 있다 101타워 지하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샤오롱바오(고기만두) 새우 샤오마이(새우만두) 탄탄면(우육면)이 가장 대표적인 메뉴이며 대만에 방문한 많은 사람들이 찾는 식당이다

10-4 지우펀

대만여행의 백미로 꼽히는 지우펀은 타이페이시 북부의 루이팡 지역의 작은 산골 마을로 과거에는 아홉가구만 살고 있어서 지우펀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예전에는 작은 산골 마을에 불과 했지만 이 지역에서 금맥이 발견되면서 호황을 맞이하게 된다 특히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일본풍의 건물들이 남아 있어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결합된 독특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비탈길을 따라 하늘로 이어진 예스러운 건물 그리고 골목마다 빨간 홍등과 함께 묻어나는 옛 풍경은 여행객들에게 인기 여행지이다

10-5 스린야시장

타이베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야시장 가운데 하나이다 독특하면서도 다양한 전통 먹을거리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이곳을 찾는 관광객이 많다 시장 부근에 학교가 많아 학생들이 많이 찾으며 포장마차 등의 노점상이 많아 가격도 저렴하다 칭런샹[情人巷]에는 가구 의류 액세서리 사진현상점 애완용품점 등이 모여 있어 학생뿐 아니라 관광객들도 자주 찾는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5 -

10-6 예류 지질 공원

타이완 북해안에 자리한 예류는 해수욕장과 온천 기암괴석으로 유명한 관광지다 특히 예류지질공원은 희귀한 모형의 바위와 암석이 모여 있어 예류 관광의 필수코스로 꼽힌다 작은 곶으로 된 예류지질공원은 침식과 풍화 작용을 거쳐 자연적으로 형성된 기암을 보러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지질공원으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것이 선상암 군락이다 암석 하나하나의 모습은 마치 거대한 버섯이 큰 머리로 하늘을 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선상암 가운데 가장 유명한 암석은 이집트 왕비의 옆모습을 닮은 여왕 두상 바위다

10-7 스펀(Shifen)

스펀(十分)은 옛 광산마을로써 천으로 만든 등이 유명하다 또한 이 곳 스펀은 대만 최대의 폭포 스펀(SE-FEN) 폭포가 있다 미니기차와 천으로 만든 등을 날릴 수도 있다 마을의 한가운데 긴 철길이 놓여 있고 30분에 한 대씩 기차가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것도 볼 수가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6 -

10-8 진과스(金瓜石)

진과스(金瓜石)는 타이완 타이베이 근교에 있는 옛 탄광 유적이다 20세기 전반에 금 채굴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20세기 후반에 금이 차차 고갈되기 시작하자 점점 위축되어 폐광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관광 명소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하루에도 수백명이 들렀다 가는 대만의 대표 관광지이다 진과스 내에 있는 황금 박물관에는 220kg 의 금이 전시 되어 있는데 손을 넣어 직접 만져 볼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진과스에서는 과거 광부들이 먹었던 도시락을 그대로 만들어 판매하는 광부 도시락도 굉장히 인기가 많다

10-9 국립 성공대학

대만의 타이난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1931년에 개교하였다 2010년 QS대학순위에서 283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대만 대학중 2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총 9개의 캠퍼스로 이루어져 있어 굉장히 큰 면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만 교육청에서 인정한 9개의 주요대학 중 하나이고 대만 기업체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학이다 이공계열이 가장 뛰어나며 중문 역사 법학 경제학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10 시먼딩

타이베이시에 위치한 시먼딩은 한국의 명동과 같은 거리이다 대한민국의 명동에도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과 외국인이 많다고 알려져 있는데 시먼딩 또한 명동 못지않은 다양함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대만의 패션과 놀이 문화 음식 등을 한눈에 경험 할 수 있는 공간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7 -

10-11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

중정기념당은 타이완 총통 장제스(蔣介石)를 기리는 전당이다 lsquo중정rsquo은 장제스의 본명이다 그가 서거한 후 1980년 기념당을 세웠다 25만에 이르는 넓은 중정공원 안에 우뚝 선 높이 70m의 기념물이 중정기념당이다 기념당 1층에는 장제스 생애를 엿볼 수 있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거대한 장제스 동상은 항상 근위병이 동상 앞을 지키고 있다 중정공원 안에는 중정기념당 외에 국립 희극원과 국립 음악청이 있는데 이곳에서 연극과 콘서트를 한다 공원 조경 또한 잘 조성되어 있어 산책하며 천천히 둘러보기에 좋다

10-12 안핑지구(安平地區)

대만의 문화와 역사는 안핑지구에서 시작되었다 안핑구바오는 17세기 중엽 네덜란드인들이 지은 요새로 정성공이 빼앗아 번영하다가 황폐해져 지금은 보루의 대부분이 없어지고 설탕과 굴껍데기와 찹쌀가루를 버무려 만든 빨간벽돌로 된 장벽(臺灣城殘蹟)만이 남아 나무뿌리와 존립의 사투를 벌이고 있다 감시탑 옆 건물 안에는 네덜란드와 정성공의 전투에 대한 이야기와 중세갑옷 등이 전시 중이다 이 주변에는 대만에서 가장 오래된 상업거리 옌핑제(延平街)가 있는데 옛 명성이 다한 거리의 골목 사이사이 수백년 된 가옥을 구경하는 것도 소소한 즐거움이다 1867년 영국인 상점과 물류창고로 이용하던 건물에 노용수(老榕樹)가 멋대로 자라 건물을 집어삼키듯 뒤덮은 나무집으로 불리는 안핑수우도 안핑지구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진귀한 볼거리다

10-13 미라마 관람차

대만에서 가장 큰 관람차로 알려져 있는 미라마 관람차는 타이페이 시의 야경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관람차 크기가 큰 것으로 유명하지만 가격 또한 저렴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유스트래블 카드를 이용하면 50 할인이 적용되므로 꼭 지참하도록 하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8 -

lt미라마 관람차 티켓gt lt유스트래블 카드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9 -

11 시사점 및 차후 활용계획 (LGC 프로그램을 통한 구체적인 효과 및 연구결과)

11-1 LGC 프로젝트 만족도

구분 항목 전 후 한줄 평

사업단

프로젝트 취지- 린튼 글로벌 학과와 경영정보학과 학생들이 함께

하는 프로젝트 해외시장탐방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사전교육 활동- 출국 전 각 나라에 대한 유의사항 안전교육이 체

계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개략적인 보고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었다

행정지원 절차- CK사업단 린튼 글로벌 학과 경영정보학과 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히 되지 않아 사전 계획에서 많은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협동력 향상- 출발 전 잦은 팀 회의와 8박 9일 간에 일정에도

불구하고 불화 없이 좋은 분위기 속에서 프로젝트를 완수 했다

추진력 향상- 일정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 한 점 추가 자료조

사를 위해 현지에서 새로운 일정을 추가 됐을 때 팀원들이 일사불란하게 따라주었다

문제해결 능력- 교통편 문제와 기업 측 내부 문제로 일부 일정에

변동이 있었지만 신속한 조율과 전화 통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개인

동기부여 자극- 현지인들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국어 영어 능

력의 필요성을 실감했다 특히 중국어는 소통 유무에 따라 현지 반응이 극명하게 갈렸다

진로설계 도움- 프로젝트 전에 비해 새로운 직업 분야에 대한 관심

이 증가했다

취업능력 향상-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한 내용을 살려 구술 면접이

나 자기소개서 작성에 참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11-2 LGC프로젝트 연구 결과 - 대만 시장

⓵ 중국시장을 주목하는 대만 화장품 기업- EST팀은 현지 대만 화장품 기업으로 SISDORA와 WABFENIX를 선택했다 두 회사를 선정한 배경에는

명확한 의도를 두고 정했다 SISDORA는 설립한 지 10년이 넘는 회사로 직접 화장품을 개발 및 연구하고 판매하는 중소기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과 주름개선 크림으로 중년 여성을 타깃 층으로 하는 화장품 회사다 반면 WABFENIX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스타트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 이지만 기술개발 보다는 디자인 마케팅에 중점을 두었고 판매 층도 10대-20대의 젊은 층을 타깃 층으로 한다 시장 전략이 완연히 다른 두 기업이 유일하게 공통점이 있다면 중국시장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선정 이유에는 많은 인구의 소비력을 꼽지만 뒤이어 언급하는 이야기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자사 제품의 경쟁력 약화를 말한다 현재 대만 기업 대부분은 내수 시장 대신에 중국을 겨냥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국가 산업 특성상 제조amp연구 분야가 강세인 대만에서는 중국 바이어 또는 미국 유럽 바이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직접 판매 보다는 기술 협력을 통해 이익을 창출한다고 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0 -

⓶ 대만 시장을 점령한 한국 화장품

- 앞서 말했듯이 2012년 이후부터 급속히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한국 화장품은 대만 시장을 점령하고 있다 이미 시먼딩에 들어서면 다양한 한국 화장품 매장이 눈에 띌 만큼 들어섰으며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중앙 광장에 입점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매장 안에는 많은 대만 사람들이 화장품을 보고 있는 광경을 흔히 본다 화장품 매장을 이용하는 연령층은 주로 10대-20대들이다 화장품 가격이 한국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주 애용하는 이유는 한류 열풍으로 인한 한국 연예인들에 대한 관심과 화장법이 크게 유행하고 있음을 현지 설문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⓷ 체감할 수 있을 만큼 커다란 한류열풍

- 뉴스에서만 듣던 한류 이야기를 대만에서 직접 느낄 수 있을 정도로 한류열풍은 크다 특히 삼성이나 LG의 TV나 스마트폰은 어딜 가든 항상 보이고 한국 화장품 선물에 대한 반응이 무척이나 뜨겁다 원활한 현지 조사를 위하여 사은품으로 준비한 한국 마스크 팩 100개는 오히려 현지인들이 참여 의사를 표현할 만큼 열정적이었다 일부 대만 사람 중에는 어디서 왔냐는 질문에 한국이라는 답변을 하니 같이 사진 찍기를 제안하기도 했다

⓸ 중소기업에게 있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는 대만 시장진출- 대만 시장 진출에 앞서 한국 화장품 중소기업이라면 전략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크게 대만 시장을 겨냥

할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할지 선택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3CE는 한국 화장품 회사다 대만에서 젊은 연령층이 자주 이용하고 이미 대만 내에서는 유명하다 3CE는 오프라인 매장 없이 순수 온라인 매장으로 운영하면서 대만 사람들을 위한 전용 웹사이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윤을 창출 하고 있다 신중해야 할 점은 현재 온라인 오프라인 등 한국 화장품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신규 진입에 있어서 장벽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대만 시장을 활용한다면 동남아 시장까지 한 번에 내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출입통관 절차가 간단하고 관세가 낮기 때문에 중소기업에게 유리하다 아직까지 중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1 -

에 대한 직접적인 수출이 가능한 곳은 상해나 항주 같이 중국에서 허가한 무역항 도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내륙까지 시장을 확대하기는 불가능하지만 같은 언어권인 대만을 거치면 보다 쉽게 바이어나 에이전트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인맥을 통한 꽌시와 수수료 명목으로 뒷돈을 요구하는 중국 바이어의 관행은 자금 순환이 원활치 않은 중소기업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11-3 LGC 프로젝트 종합 의견 및 전망

우리 lsquoEST팀은 출국 전 국내 화장품 시장 조사를 할 때 대덕 밸리 스타트업 기업 셀아이콘 랩의 영향으로 대만의 화장품 산업에 대해 큰 관심과 가능성을 보고 2015년 1월 5일부터 1월 13일까지 8박9일이라는 시간동안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 나라 중에 하나인 대만에서 rsquo대만의 화장품 시장lsquo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사를 했다 대만에서는 3개의 기업 (KOTRA SISDORA WABFENIX) 을 방문해 전반적인 대만의 화장품 시장과 판매전략 한류에 대한 보다 사실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1개의 대학 (국립성공대학 國立成功大學)에서 MBA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또 타이난에서는 대만에서 오랫동안 사업하시는 한인협회 회장을 만나 PLC (Product Life Cycle)를 통해 대만에서의 특정 시장이 도입기에 있는지 또 어떠한 시장이 쇠퇴기에 놓여있는지 다양한 시야에서 대만시장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노력은 CK 사업단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교육부 CK-1 프로젝트의 일부인 Linton Global Challenge는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몇 년을 내다보는 지속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기업들과 더욱 더 활발한 교류와 연구를 한다면 기업과 CK 사업단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리라고 본다

1 개인 탐방 후기 (팀원 개인 소감)

1-1 개인 탐방 후기

강성민탐방 후기 기업 컨택 부터 인터뷰 일정 계획까지 8박 9일간의 대만 화장품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 출국 전까지 준비 과정부터 탈도 많았고 대만에 와서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 원하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매일이 항상 회의와 고민의 연속이었다 하루하루 충실히 계획을 진행시켜 나갔고 좋은 팀 분위기 속에서 무사히 대만 프로

부록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2 -

젝트를 완수했다 그리고 마침내 한국으로 돌아왔다 과정은 항상 오르막 길이였지만 돌이켜 보면 마지막 대학 시절을 기념할만한 좋은 추억이자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느끼는 바가 많았던 프로젝트로 기억 될 것이다

김은진탐방 후기 글로벌 챌린지를 한마디로 정의하라고 한다면 도종환 시인의 lsquo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lsquo라는 시가 떠오른다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대만기업컨택 설문조사 등 많은 것을 경험했다 처음엔 모든 것이 나에겐 버거운 산이라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도전이 계속 될수록 이젠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이 모든 도전들에 흥미가 생겼다 나 자신도 책임감과 자신감이 생기고 한층 성숙해 진 것을 내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소중한 동료와 추억은 평생 나의 가슴속에 남을 것이다 우린 앞으로도 많이 도전하고 경험하여 우리들의 삶이 활짝 만개하리라 다짐한다 끊임없이 도전하는 20대의 청춘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프로그램이었다 김종선탐방 후기 한국에서 준비하면서 조사했던 내용과 비교하며 인터뷰를 해보니 실제로 많이 다른 부분도 있었고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 비슷한 내용도 있었다 현지의 기업들을 방문해 우리가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직접 매장에 가서 느껴보니 앉아서 컴퓨터만 볼 때랑 많이 달랐다 그리고 직접 대만인들에게 설문조사를 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그리고 대만의 실제 문화와 환경 그들의 생활을 잠시나마 볼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

구명우탐방 후기 며칠간의 꿈만 같았던 대만에서의 시간이 지나갔다 대만으로 출국하기 전 사전조사 기간에는 확신이 없었다 사전조사와 기업과의 인터뷰 그리고 9일간의 일정조율 및 숙박과 모든 대만에서의 연구와 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보고서까지 무엇하나 확신이 드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도전과 해결능력을 배웠고 아시아에서 급성장 중인 대만에 대해서 배우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다음기수로 가게 될 관심 있는 학우들에게 진심으로 추천해주고 싶다

이규현탐방 후기 CK-1 프로그램 중 하나인 lsquo린튼 글로벌 챌린지lsquo 프로그램을 통해 약 8박 9일이라는 시간 동안 emerging market 중 하나인 대만에 거주하면서 한국 화장품의 대만시장 점유율과 진출 가능성을 몸으로 체감하고 자료들을 모아 통계 내어 정리할 수 있었다 우리 팀 lsquoEST가 성공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충분한 국내조사 기간을 갖고 대만의 화장품 회사들을 방문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대만의 특정한 기업을 찾기도 어려웠고 기업 컨택은 번번히 거절당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회사 두 군데에서는 답장조차 오지 않았고 설문조사할 때에는 반한감정의 대만인을 만나 고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팀의 단결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리더의 통솔력으로 정해진 스케줄대로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회사를 방문하고 학교교수를 만나고 길거리에서 설문조사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팀원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또한 대학생으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을 한 것 같아서 스스로도 너무 뿌듯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팀을 믿고 지지해주신 LGSB 교수님들과 CK-1 프로그램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영은탐방 후기 처음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렇게 준비는 열심히 하지만 정말 우리가 계획한 100대로 대만을 다녀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기우가 무색하게도 대만은 우리에게 기획안 그 이상의 것들을 보여주었다 사장님들의 생생한 사업 이야기와 대만의 색채가 묻어있는 아이템들 하며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여 알아보는 비즈니스 마켓의 현장은 나에게 두고두고 잊지 못할 자산으로 남았다 또한 펑리수 버블티를 비롯한 대만의 맛있는 먹거리들과 스린 야시장이나 지우펀 같은 명소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열심히 고생해준 팀원들과의 추억들도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3 -

이서우탐방 후기 이번 글로벌 첼린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서 쉽게 할 수 없는 해외 기업 탐방과 해당 국가의 산업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임효진탐방 후기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팀이 대만을 방문 한다고 했을 때 많이 의아해 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만을 직접 방문해보고 많은 사업자들을 만난 결과 대만은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라고 생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아직 공산주의라는 정치적 특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다른 곳보다 훨씬 어렵지만 대만은 자유시장체제 이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쉽다 특히 외국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만 시장에서 한국제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추고 중국 시장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성공가능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그리고 대만의 바이어들을 통해 중국의 시장진출을 하게 된다면 사업자가 직접 중국시장에 진출 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성공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만은 문화적으로 다른 아시아권보다 선진화 되었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대도시에 속하지만 모두다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골고루 섞여 대만만의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차안호탐방 후기 9박 10일간의 대만을 다녀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넓고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이번 대만 여행은 처음으로 경험한 해외여행 경험이여서 그런지 순탄치 않은 면도 있었지만 팀원들 서로가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만시장은 중국시장으로 가기위한 좋은 시험의 장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대만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영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더 나아가 미래에는 중국어야말로 영어와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성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또 하나 놀란 점은 대만이 반 한류 감정을 많이 갖고 있는 줄 알았지만 대부분의 대만 일반 시민들이 굉장히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에 놀랐고 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CK-1 사업의 챌린지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대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계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보완점 및 건의사항 (문제점개선책건의사항)

2-1 기업 컨택의 어려움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에 있는 기업과 연결하여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대해서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조사 및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시간을 내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로써 그들의 귀한시간이 아깝게 쓰이지 않을 것을 강조하여 만남을 만들어야 한다

2-2 사업단과 의사소통의 불편함

Challeng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CK-1 사업단과의 지속되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가령 누군가를 통해서 전해지는 소문이나 촉박한 시간을 제시하고 일 처리를 원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단과 각 팀의 대표간의 분명한 의사소통과 증빙자료 등이 필요하다

2-3 정보 부재 이번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이머징 마켓에서의 유망 산업 조사 및 연구였다 대만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20: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0 -

브랜드명 제품명 가격 판매순위

SHISEIDO 100 1

SKII 133 2

ESTEE LAUDER 100 3

항목 내용전시회명(현지어명) 2014春夏國際美容化妝品展전시회명(한국어) 2014 춘하 국제미용화장품 전시회

전시품목 미용 화장품개최국가도시 타이베이

유통채널 활용 방안 아직까지 온라인 채널의 점유율이 높지 않으나 대만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블로그 등)에 영향을 많이 받는 편이어서 오프라인 채널에 진입하기 전에 온라인으로 먼저 마케팅(브랜드 이미지메이킹 블로거 마케팅 등)을 진행하는 방법을 추천함 대만 오프라인 채널의 진입장벽은 매우 높으며 비교적으로 이윤이 많이 남는 온라인시장에서 브랜드 파워를 먼저 키우면 오프라인 채널에 들어가는 길이 훨씬 수월해질 것으로 예상함

5-4 경쟁동향

경쟁제품 현황주요 경쟁제품 현황

(단위 달러)

한국 제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 및 선호 브랜드 현황thorn 한국 제품 현지 인지도 높음thorn 선호 브랜드 3CE INNISFREE NUTURE PUBLIC MISSHA THE FACE SHOP LANEIGE 등

5-5 효과적인 시장 진출 전략

타깃 고객층thorn 타깃 고객층 20~30대 초반thorn 타깃 사유 유행에 따라 새로운 것을 많이 도전하고 한류의 영향도 가장 많이 받는 젊은 층이 한국

화장품을 소비하는 경우가 많음 35세 이후의 직장 여성 혹은 가정주부들은 여전히 일본 혹은 유럽 미국의 고가 화장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활용 가능한 마케팅 방안 ⓵ 현지 전시회 정보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1 -

개최주기 3월경개최기간(2014년) 0321~0325

웹사이트 httpwwwudnicecom

⓶ 전시회 이외의 주요 마케팅 방안 블로거 마케팅 등 ⓷ 유력 홍보 방안(전문잡지 온라인 매체 등)

thorn 온라인 매체 Fashion guide(httpwwwfashio guidecomtw) UrCosme(httpwwwurcosmecom)

thorn 전문잡지 VIVI BEAUTY 大美人 Style W Marie laire Fashion Guide 등

시장 확대를 위한 무역관 의견 대만 화장품시장은 가격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 시장 진입 시 확실한 브랜드 포지션을 정해야 하며 해당 포지션의 대만 제품 가격을 조사한 후에 대만 최종 소비가격을 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

또한 소비자들은 할인세트 및 사은품에 약하여 각종 행사 진행 시 사은품 증정 혹은 묶음세트로 판매하는 것을 추천 보습(특히 히알루론산 성분 강조) 및 미백(대만 정부에서 인증된 미백성분이어야 함) 제품을 매우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6 탐방 상세 일정 (일정표 - 기간 지역)

날짜 지역105(월) 인천 ~ 대만 타이페이

시간 일정0600 인천공항 도착

0600 ~ 0920 인천공항 대기0920 ~ 1140 인천공항 rarr 대만 1140 ~ 1230 대만 입국 수속1230 ~ 1320 숙소 이동 (용산사 역)1320 ~ 1500 짐정리1500 ~ 1600 회의 및 일정정리1600 ~ 163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630 ~ 1800 KOTRA방문 및 인터뷰1800 ~ 1830 101타워 딘 타이 펑 이동(도보)1830 ~ 1910 저녁식사 - 딘 타이 펑1930 ~ 2100 101 타워 야경감상2100 ~ 2130 숙소로 이동2130 ~ 223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6(화) 타이페이

시간 일정0900 기상

0900 ~ 110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30 ~ 1230 점심식사 - 마라훠거1230 ~ 1300 SISDORA 본사로 이동

6-1 8박 9일 대만 일정 (150105 ~ 150113)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2 -

1300 ~ 1530 SISDORA 방문 및 인터뷰1600 ~ 1800 101타워 퍼스널 트레이닝 센터 방문1800 ~ 1930 저녁식사 - 카렌 레스토랑1930 ~ 2000 숙소로 이동2000 ~ 2100 개인 휴식2100 ~ 223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7(수) 타이페이

시간 일정0900 기상

0900 ~ 113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30 ~ 120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200 ~ 1250 점심식사 - 키키 레스토랑1250 ~ 1300 시먼딩 이동1300 ~ 1530 화장품 설문조사1530 ~ 1830 한국 화장품 매장 제품 조사1830 ~ 1900 야시장 이동(MRT)1900 ~ 2000 저녁식사 ndash 야시장 음식2000 ~ 2030 숙소로 이동2030 ~ 2130 개인 휴식2130 ~ 230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30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8(목) 타이페이 ~ 타이난

시간 일정0830 기상

0830 ~ 110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00 ~ 1200 체크아웃 및 고속철도역 이동1200 ~ 1340 타이페이 rarr 타이난 이동1340 ~ 1400 짐 보관 및 인터뷰 장소 물색1400 ~ 1600 가오슝 한인협회장 인터뷰1600 ~ 1700 숙소도착 및 짐정리1700 ~ 1800 개인 휴식1800 ~ 1900 저녁식사 - 새우롤2000 ~ 2230 중간 정리 및 보고서 작성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9(금) 타이난

시간 일정0800 기상

0830 ~ 0900 아침 식사0900 ~ 1130 타이난 일정 브리핑 및 팀 미팅1130 ~ 1210 타이난 시내로 이동(TAXI)1210 ~ 1320 점심식사 - 스시1320 ~ 1350 성공대학 이동(도보)1350 ~ 1700 성공대학 방문1700 ~ 1800 성공대학 캠퍼스 탐방 및 대학원생들과 대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3 -

1800 ~ 1830 저녁식사 - 대만 전통 음식점1830 ~ 1900 타이난 RT마트 이동(도보)1900 ~ 2030 RT 마트 장보기2030 ~ 2100 숙소로 이동2100 ~ 2200 개인 휴식2200 ~ 2330 팀 회의 및 예산 정리

23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12(월) 타이페이

시간 일정0800 기상

0800 ~ 0900 아침식사(호텔 조식 제공-선택)0900 ~ 1130 호텔 개인시간1130 ~ 123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230 ~ 130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300 ~ 1600 Wabfenix 방문 및 인터뷰1600 ~ 1630 간식 - 망고차차1630 ~ 1700 시먼딩 이동(MRT)1700 ~ 1830 화장품 설문조사 활동1830 ~ 1930 저녁 식사 - 코코이찌방야2030 ~ 2130 개인 휴식2130 ~ 2300 팀 회의 및 예산 정리

230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13(화) 대만 ~ 인천공항

시간 일정0800 기상

0800 ~ 0900 아침 식사0900 ~ 1130 짐정리1130 ~ 1200 체크아웃1300 ~ 1400 점심식사 - 스시(시먼딩)1400 ~ 1430 쑹산 공항 이동(TAXI)1430 ~ 1530 시먼딩 rarr 쑹산공항1530 ~ 1730 출국 대기1730 ~ 2100 대만 출국 rarr 대한민국

2100 대한민국 입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4 -

7 방문 기업 소개 (인터뷰 내용)

7-1 대만 KOTRA

-2015년 1월 5일 월요일 1630~1800 인터뷰-위치 台北市 基隆路 1段 333號 22樓 14室(2214室) Intl Trade Building 22층-전화 (886-2)2725-2324 -팩스(886-2) 2757-7240

Q대만에 대하여 간단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우선 대만은 남한의 13의 해당하는 영토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구역시 남한에 비해 적은 2천 3백만 명 정도이며 기후는 아열대 몬순 기후권으로 비교적 따듯한 날씨입니다여러분이 대만에 와보셔서 알겠지만 대체로 습한느낌을 받으셨을 탠대 대만은 겨울에도 남한만큼은 춥지 않습니다 언어는 주로 중국어를 사용하며 문자는 중국과 살짝 다른 번자체를 사용합니다1인당 GDP는 2013년 기준 20984 달러 정도이며 산업구조는 제조업과 도소매업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Q현재 우리나라의 어떤 기업들이 대만에 진출해 있는지 궁금합니다

A최근에는 화장품을 주력 제품으로 아모레퍼시픽등 화장품 대기업들이 타이페이 시내에 로드샵을 많이 개점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대만은 제조업과 도소매업이 주를 이루다 보니 20~30년 전부터 진출한 기업들이 계속해서 입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주로 삼성물산 현대종합상사 LG상사 LG전자등 대기업이 주를 이루고 있고 우리나라 기업은 1년에 한 기업정도 대만에 진출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Q그렇다면 대기업을 제외한 중소기업들이 대만시장에 진출하지 않는 이유가 따로 있습니까

A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아무래도 중국시장이 개방을 하면서 인 것 같습니다 기존에 진출해있는 기업들은 과거 대만이 인프라 구축이 미흡했을 당시 해외투자를 많이 받으면서 비교적 좋은 조건으로 대만에 진출하고 인프라 구축등 사업을 진행하면서 기반을 다졌을 겁니다 그 기반으로 지금까지 대만시장에 진출해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중소기업의 경우는 해외투자가 너무 모험적이며 대만 시장과 중국의 시장을 비교하여 봤을 때 인구가 차이가 약 8배 정도 나며 중국에 비해 비교적 작은 시장이라고 느껴 대만보다는 중국에 많이 진출하는 것 같습니다

Q마지막 질문으로 만약 우리나라 중소기업이 대만시장에 진출할 때 유의해야 할 점이나 좋은 팁이 있을까요

A대만 시장에 완전히 진출해야겠다는 생각보다는 중국이나 다른 중화권 나라의 진출하기전 시험의 장소로 생각하고 진출해보는 것은 나쁘지 않다 생각 합니다 아무래도 대만의 인구가 많은 편이 아니다보니 불리한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5 -

조건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이나 다른 큰 중화권 시장으로 진출하기 전에 언어나 문화 중화권사람들의 사고방식등 여러방면에서 시험해 볼 수 있는 좋은 장소는 틀림없습니다 중소기업이 대만시장에 진출할 때는 코트라를 이용하여 각종 정보나 현지 인프라등을 이용하는 것 또한 하나의 방법이며 무엇보다 중화권의 문화와 중화권 대중들의 생각을 잘 공부하고 언어를 습득하여 오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7-2 SISDORA luxury beauty care

-1월 6일 화요일 1300~1530 인터뷰 1600~1800 101타워 퍼스널트레이닝 센터-주소 No9Aly 10Ln265Sec 4Xinyi RdDaan Dist Taipei City 106-대표 Mr Chung-Cheng Lee -전화886-2-27040889-URL httpwwwsisdoracom

Q 간략한 회사 소개와 SISDORA의 유래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A Isadora는 고대 이집트의 가장 강력한 여신의 이름입니다 Sisdora는 이 여신의 이름을 따서 만든 브랜드 이름입니다 이집트의 고대 여신인 Isadora의 이시스는 선물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고 생명과 건강 아름다움을 담당하는 여신으로도 유명합니다 저희 SISDORA는 비슷한 동음 이의어로 동양의lsquoISIS(이시스)rsquo라는 단어가 있어 브랜드 명을 SISDORA로 정하게 되었습니다Q Sisdora 제품 소개 부탁드립니다

A저희 제품은 안티에이징 미백 마스크 제품을 주력으로 하고 있습니다 동일 제품군을 비교해 봤을 때 가격 및 품질은 상위에 속하는 최상품의 제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마스크 팩 대부분은 종이섬유로 제조하는 반면 저희 Sisdora는 누에의 실(실크)로 만든 마스크 팩 입니다 실크마스크 팩을 제조할 때에는 피부 건강에 좋은 약재 및 약초등을 배합하여 제조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피부에 자극적인 향로를 첨가하지 않았고 수분이 빠르게 흡수 될 수 있습니다 덕분에 저희 마스크 팩을 사용하는 고객들은 부드럽고 산뜻한 느낌을 받으실 수 있을 겁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6 -

Q 귀하의 회사는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어떤 마케팅을 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A 저희는 해마다 대만 타이페이 글로벌 미스코리아 대회에 제품을 협찬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대만 유명 가수들과 함께 제품을 결합시킨 뮤직비디오를 제작하여 마케팅에 힘쓰고 있습니다뿐만 아니라 제품의 품질인증을 바탕으로 러시아 중국 동남아 지역에 진출하는대 힘쓰고 있습니다 저희 제품은 대만 내에서 스킨케어 제품으로써 유일하게 지정 브랜드 수상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저희는 주로 매스컴이나 인터넷을 통한 마케팅이나 엔터테이먼트 컨벤션 산업을 활용하여 마케팅을 하고 있습니다

Q 그렇다면 대한민국의 화장품 제품이 대만에 진출해 있는데 대한민국 화장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는 어떤지 궁금합니다

A 최근 5년 사이에 한국의 드라마 음악등 한류를 타고 대만에도 많은 한국 제품이 등장하였습니다 하지만 대만에는 오래전부터 수입화장품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이탈리아의 산타 마리아 노벨라 프랑스의 아이젠버그등 명품 화장품 브랜드가 오래전부터 입점해 현지 화장품시장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 때문인지 한국 화장품의 인지도는 크게 높지는 않습니다 아무래도 유럽 브랜드 그 다음으로 대만 기업의 브랜드 그 다음으로 한국의 화장품 브랜드 순으로 인지도가 형성되어 있다고 생각됩니다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한국화장품은 다른 명품 화장품들의 가격보다 저렴하고 성능이나 효과 면에서 절대 뒤처지지 않아 한류가 지속되고 마케팅이 잘 이루어진다면 충분히 유럽의 명품화장품의 인지도를 뛰어 넘을 수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Q 한국의 중소기업의 화장품이 대만 시장에 진출하는 것에 대해서는 어떤 의견을 갖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A 한국의 대기업 화장품 브랜드가 아닌 중소기업의 화장품 브랜드가 대만에 진출하는 것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겁니다 하지만 저희 회사도 중소기업으로 시작하여 마케팅 전략을 잘 활용 하여 많이 성장하였습니다 아무래도 한국의 중소기업의 화장품이 대만에 진출하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있겠지만 어떤 마케팅 전략을 선택하느냐가 가장 중요하고 마케팅이 잘 이루어지고 입소문이 퍼진다면 한국의 중소기업 화장품 또한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7 -

7-3 가오슝 한인협회

-1월 8일 목요일 1400~1600 인터뷰-주소 高雄市鼓山區二路37巷弄43-2號(고웅시고산구이로37항81롱43-2호)-대표 尹桓鎬(윤환호) HP 0932-740-538 -電話 07-5211933 -傅眞 07-5214031

Q 대만과 한국과의 무역 관계가 어떠한지 궁금합니다

A 한국과 대만과의 무역은 크게 활발하게 이루어 질 수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대만의 시장 자체가 매우 작기 때문에 대만에 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국내 시장이나 다른 큰 해외 시장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대만 시장을 거쳐서 동남아나 중국 시장으로 진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여서 기존에 존재하는 대기업이나 저처럼 오래 전부터 이민한 분들이 소규모로 중개무역을 하고 있는 정도입니다

Q 현재 한인협회 회장님께서 직접적으로 하는 일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현재 저는 한국의 화장품을 수입하여 대만 현지 기업에게 판매하는 중개무역을 하고 있습니다 대만에 온지 20년이 넘었는데 이런 저런 일을 하다가 기회가 되어 이쪽 일을 하게 되었는데요 처음에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인식이 없어 가격은 비싸고 품질의 보증은 되어 있지 않은 제품이라 소비가 크게 늘지 않았는데 한류 열풍이 불고 한국 드라마의 성공과 그 배우들이 광고하는 화장품의 수요가 크게 늘어 몇 년 전부터 시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Q 한국과 대만과 중국의 관계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해 주세요

A 앞서 말씀 드린 것 같이 한국의 기업은 대만을 통하여 중국 시장의 진출을 위하여 대만 시장을 많이 찾습니다 그 이유는 한국 기업이 대만 시장을 통해서 제품을 인정받는다면 대만과 중국은 같은 언어권의 나라로 대만기업을 통해 중국으로의 활로를 개척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왜 이렇게 돌아서 진출을 하려고 물으셨는데 그것은 쉽게 말해서 말이 잘 통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의 중국어를 잘 구사하는 사람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보다는 대만의 사람이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주고 인정을 해준다면 더욱 쉽게 자리를 잡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8 -

Q 스타트 기업의 대만 진출 성공여부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중소기업이 대만에 들어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현재 한국 내에서의 위치를 높이는데 주력하는 것이 좀 더 낫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대만은 아주 뛰어난 기술력을 가지고 있지만 자체 제품을 생산하지 않습니다 예로 Apple에서 전체 아이디어를 미국에서 한다면 그 아이디어 실행은 대만에서 이루어집니다 그리고 제품의 생산은 대부분 중국에서 이루어 지구요 이렇듯 대만의 기술력과 제품에 대한 이해가 빠르기 때문에 수입을 많이 의존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중소기업이 들어와서 제품을 판매한다 쉽게 성공할 수 없죠

Q 회장님께서는 중국과의 중개무역은 생각하고 있으시지 않습니까

A 네 저는 지금의 생활에 만족하고 있습니다 지금 저의 파트너들과의 관계도 좋고 따로 중국 진출은 생각하고 있지 않습니다 만약에 제가 중국을 진출하게 된다면 현재의 기업들과도 경쟁상대가 되어 저는 생각이 없습니다

7-4 국립성공대학(國立成功大學)

-1월 9일 1350~1700 인터뷰-주소 701 臺南市東區大學路1號-연락처06-2757575 -홈페이지 wwwnckuedutw

대만 국립 성공대학은 931년 타이난에 설립된 이공계 명문 대학입니다 국립성공대학은 66개의 캠퍼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각 캠퍼스마다 특징과 분위기가 다릅니다 우리 국립성공대학은 ldquo북대대 남성공(北臺大 南成功)rdquo 이라는 말이 있듯이 역사는 대만대학의 바로 다음갑니다

국립성공대학의 이름의 의미는 성공은 무엇을 성취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대만의 민족영웅인 정성공(鄣成功)을 기념하기 위한 대학이라는 뜻입니다 성공대학은 정성공이 있던 역사명승 적감루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해 있기도 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9 -

이후 인터뷰로 대만의 소개와 간단한 전공 소개가 있었다

7-5 WABFENIX RENIX GLORY GLORIA GUA

-1월 12일 월요일 1300~1500 인터뷰-주소 14F-1 No420 Sec 4 Xinyi Rd Xinyi Dist Taipei City 110 Taiwan (ROC)-대표 Mr KEN -전화886-5569-0555-URL httpswwwfacebookcomrenixfanspage httpwwwwabfenixcom

Q Wabfenix가 어떤 기업인지 소개 해주세요

A 저희 회사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으로 현재는 매장은 없지만 개발한 제품을 바탕으로 사업을 진행 중이고 대만현지에 저희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저희 회사는 제품의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화장품을 개발하여 대만시장 뿐만 아니라 중국시장의 진출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Q 귀하의 제품은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제품이라 하셨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제품 등이 있습니까

A 우선 Heymore 제품군의 블랙 마스크 팩과 Renix 제품군의 일반 마스크 팩을 출시했습니다Heymore의 경우 선물용임을 부각시키기 위해 디자인에 특히 많은 투자를 하였습니다 중국 중산층을 겨냥한 제품으로 가격대 1봉지에 한화 ₩40000 정도로 높게 책정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가격을 높게 측정한 이유에는 중국 화장품 소비문화 속에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 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에 저가 보급형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0 -

제품인 Renix와 차별을 두는 판매 전략을 선택하였습니다 현재 판매되는 제품은 마스크 팩을 주력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Q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인데 중국을 대상으로 어떤 진출 전략을 갖고 있습니까

A중국에서 열리는 화장품 전시회 화장품 엑스포 행사 바이어 미팅 등 꾸준히 참가중이며 바이어들에게 저희 제품을 어필하고 있습니다 물론 신생기업인 만큼 아직 중국 내에서 뚜렷한 판매 실적을 기록하진 못했지만 타 화장품 기업들과 다른 마케팅 방식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디자인이나 제품의 아이디어를 강조하고 있는데 대표 적인 상품으로 오뚝이 모양을 한 화장품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이 오뚝이 제품을 바이어들에게 어필해 보았는데 대단히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Q 해외시장 마케팅과 대만 시장마케팅의 차이점이 있습니까

A 우선 중국에서의 마케팅은 행사나 전시회에 참여하고 바이어들을 개인적으로 만나는 것에 치중해 있다면 국내 대만시장의 마케팅 전략은 페이스북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대만은 중국에 비해 SNS가 많이 발달되어 있어 자금이 많이 들어가지 않는 SNS마케팅을 하고 있고 각종 자선행사에 참여하여 저희 기업을 홍보하고 있습니다

Q 귀사의 제품을 중국보다 비싼 인건비가드는 대만 제조공장에서 생산하는 겁니까

A타이중에 소재하는 공장에서 마스크를 제조 하고 있습니다 인건비가 비싼 것은 대만 수도인 타이페이에만 주로 해당이 됩니다 지방 소도시에서도 외곽으로 들어가면 저렴한 인건비와 공장 가동비용으로도 제조가 가능 합니다 굳이 중국에 제조공장을 갖지 않는 이유는 신생기업이라 자금문제도 있지만 대만은 OEMampODM에 특화된 국가이기 때문에 품질 좋은 다양한 제품주문이 가능하고 중국 사람들에게도 자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 보다 외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가 더 좋기 때문에 대만에서 생산한 뒤 수출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Q 대만에 한국 화장품 기업이 진출한다면 어떠한 마케팅 전략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 생각 하십니까

A 이미 대만에 한국의 화장품 제품들이 많이 들어와 있습니다 하지만 대만 자체의 화장품 기업들이 기존에 많은 시장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성공을 거두기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최근 한국에 대한 이미지가 많이 좋아졌고 한국의 영화나 드라마 등이 많이 알려지면서 인지도가 높아졌습니다 한국의 대기업의 경우 이러한 대규모 마케팅을 할 수 있으므로 큰 무리가 없겠지만 한국의 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한다면 최종 시장 공략 층은 대만이 아닌 중국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대만은 중화권으로 가기 위한 연결다리라고 생각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또한 중소기업은 큰 마케팅 비용을 부담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대만에서는 SNS나 각종 자선 행사에 참여하여 인지도를 높이는 것을 추천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1 -

Q 같은 제품이지만 대만과 중국에서 판매할 때 가격 책정이 다른 이유가 무엇인가요

A 그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해드리자면 국가마다 소비 성향이나 구매 능력 환율 경제 상황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경영 에서는 가격 차별화(Price discrimination)이라 부르는데요 각 나라의 시장 특성에 적정한 가격대를 책정해서 제품을 판매하는 전략입니다 혹시 중국 상류층이 몇 명인지 알고 있나요 제가 알기로는 대만 인구의 2배인 4000만 명이라는군요 아마도 한국 인구랑 비슷한 규모 일겁니다 게다가 중산층은 약 4억 명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4억 명의 중국 소비자들이 우리 제품을 1개씩만 구입 한다면hellip 상상만 해도 엄청 나겠죠 이야기를 하다 보니 다른 쪽으로 빠졌는데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이야기하면 물론 좋은 제품을 모든 곳에 저렴하게 제공 하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 그러나 항상 시장에서 저렴한 제품만이 성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대만이나 한국처럼 고도의 산업화가 이루어지고 시장이 크게 발전한 안정적인 단계는 좋은 제품이라도 가격 경쟁력에 신경 써야 합니다 왜냐하면 소비자들이 똑똑하기 때문에 정보력이 넓고 합리적인 소비를 지향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가격 성능 디자인 등 많은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중국 시장은 대만이나 한국과는 특성이 다릅니다 저렴하다고 해서 많이 제품이 많이 팔리기 보다는 가격대가 어느 정도 있는 제품일수록 또는 가격대가 높을수록 소비자들이 관심을 보입니다 대체적으로 중국 소비자들은 lsquo저렴한 제품은 품질이 낮거나 효능이 좋지 않은 제품일거야rsquo 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 때문에 화장품 박람회나 전시회에 저가 화장품을 가져와 홍보하더라도 중국 바이어나 소비자들은 큰 관심을 주지 않습니다 처음에 말했듯이 중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2 -

국 소비문화가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라는 심리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Wabfenix의 경우에는 신생기업이라 많은 투자 금액이 없을 뿐 더러 대만 화장품 시장에 진출하기에는 리스크가

크고 진입 장벽이 높습니다 그리고 이미 한국 화장품 기업들이 대부분 점유를 한 상황이기 때문에 대만 내수시장에만 집중하기에는 경쟁력이 부족하죠 그래서 중국을 주력 수출시장으로 삼고 있는데요 저희는 제품 성능 보다는 소비자의 이목을 끌 수 있는 디자인에 더 많은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중국에 Wabfenix만의 화장품 선물 문화를 정착 시키는 것이 목적인데요 높은 제품 가격만큼 소비자의 관심을 끌 수 있고 선물 문화나 꽌시(关系)가 많은 중국 문화 특성에 맞추어 선물용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중국 시장은 현재 젊은 중산층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품질이 낮은 화장품 보다는 수입 화장품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점으로 미루어볼 때 높은 가격 차별화와 Wabfenix만의 디자인 마케팅은 좋은 경쟁력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3 -

8 현지 시장조사 활동 (시장동향사진설문조사 자료)

8-1 시먼딩 설문조사

목적 대만 사람들의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및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대상 10대~20대 여성 및 화장품 전문매장 종사자장소 시먼딩시간 2015년 1월 7일 12일 총 두 차례에 걸쳐 진행방법 ①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 판넬에 국가별로 메이크업 사진을 표시하고 스티커를 붙이는 방식으로 투표함 공정성을 위해 국가 이름은 블라인드로 처리하였고 모두 동일 인물의 사진을 사용함②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표본집단을 50명으로 설정함 설문조사가 끝나면 사은품으로 한국 브랜드 마스크팩 증정함

8-2 사전 기획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판넬 기획도gt

化妝辦法喜好度的調查화장법 선호도 조사

大家給自己喜歡的化妝貼貼紙 여러분이 선호하는 메이크업에 스티커를 붙여 주세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4 -

대만의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안녕하십니까

다음의 내용은 대만 화장품 트렌드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자 관련조사를 실시하고자 하오니

있는 그대로의 생각을 기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귀하의 응답은 통계적 목적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본 설문은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물음에 대한 답변이나 해당란에 v 표를 해 주십시오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7) ② 화장품 전문매장(34) ③ 마트(5) ④ 홈쇼핑(2)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합계 총 50 명

바쁘신 시간에 의견을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지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5 -

8-3 설문조사 활동

lt2015년 1월 7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6 -

lt2015년 1월 12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7 -

lt활동 결과 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8 -

9 설문조사 통계 분석 (설문조사 응답 수분석결과)

9-1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결과gt

설문 조사 질문지 양식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12)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③ 마트(5) ④ 홈쇼핑(6)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9 -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gt

9-2 설문조사 항목 별 의견 및 추측

설문 조사 질문지 항목 (최다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② 20 ~ 25세 (13)

0

5

10

15

20

25

30

20대 이하 20세~24세 25세~29세 30세~39세 40대 이상

rarr 시먼딩은 대만의 홍대거리라 불리는 lsquo융캉제rsquo나 서울의 lsquo명동rsquo과 같이 젊은 층이 주로 활동하는 지역이다 설문조사 중에도 교복이나 체육복을 입은 학생들과 길거리에서 쇼핑을 즐기는 20대가 즐비할 만큼 활기 있는 거리다 덥고 습한 대만 기후 특성 상 과거엔 화장법이 크게 발전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국의 자연스러운 화장법이 큰 인기를 끌면서 시먼딩에 화장품 거리가 조성되어 있을 만큼 유동 인구가 많다 이 점으로 추측해보았을 때 압도적으로 10대와 20대 층이 많은 응답 수를 기록했다고 본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0 -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051015202530

온라인 화장품전문매장 마트 홈쇼핑 방문판매

rarr 대만 또한 한국과 비슷하게 시내에 많은 수의 화장품 전문매장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접근성이 굉장히 높았다 더불어 각 화장품 매장에서는 상품 할인과 같은 각종 프로모션을 진행하기 때문에 구매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 구매한다는 대답도 높은 편이었는데 거의 대부분이 와이파이존이어서 어디서나 인터넷을 한 활발히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온라인에서의 구매율도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0

5

10

15

20

25

30

NT$300 미만 NT$300~NT899 NT$900~NT$1499 NT$1500~NT2999 NT$3000

rarr 응답자들은 대부분이 한 달 간 화장품에 쓰는 돈을 최저 1만원 이상(NT$300 이상)이라고 답했는데 이는 70가 넘어가는 결과로 화장품에 대한 지출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만원 이상이라고 대답한 응답자들 또한 4분의 1을 넘기는데 이것은 젊은 연령층부터 시작하여 최근 피부 관리와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대만의 소비 수준에 대비하여 화장품 소비율이 높은 것도 이 때문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1 -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③ 성능(23)

051015202530

가격 디자인 성능 화장품 모델 브랜드

rarr 아열대 기후에 속하는 대만은 높은 기온과 습한 날씨 탓에 에어컨 환경에 자주 노출돼 피부 수분을 잃기 쉬워 기능성 화장품의 소비가 두드러진다 대만 화장품 시장은 토너 세럼 에센스 로션 크림 등의 모든 스킨케어 제품들이 보습기능을 강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백이나 안티에이징 리프팅 저자극 오일프리(Oil-free) 등의 기능까지 추가된 스킨케어 제품들이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조 화장품 소비가 늘어난 것은 최근 몇 년 들어 다양한 화장품 브랜드 접촉기회가 많아지고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젊은 여성의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색조화장품 또한 메이크업베이스와 BB크림 립스틱과 같은 베이스 메이크업이 수요가 많았다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④인터넷(22)

0

5

10

15

20

25

30

TV 잡지 친구 인터넷 메이크업샵

rarr 최근 빠른 인터넷망과 스마트폰 태블릿PC의 보급으로 인해 사람들과 사람사이의 연결망이 견고히 형성되고 있고 이것이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방법을 얻는 경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만 소비자들은 주로 인터넷 블로그 가족과 친구로부터 메이크업 정보를 획득 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만의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이므로 입소문마케팅과 판매를 바로바로 할 수 있는 유통구조가 도움이 될 것 같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2 -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0

5

10

15

20

25

30

청순 독특 귀여움 섹시

rarr 앞서 살펴보았듯이 대만은 한국과 비슷한 메이크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이것은 곧 청순한 메이크업 컨셉에 관심 있어 한다는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실제로 대만 여성소비자들은 깨끗한 피부 NATURAL한 베이스메이크업을 선호한다 한 듯 안 한 듯 자연스럽고 깨끗한 느낌의 한국식 lsquo생얼rsquo 화장법은 대만에서 한국 드라마 열풍과 함께 유명세를 타기 시작해 현지 각종 온라인 뷰티 사이트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래서 응답의 대부분이 한 곳에 치우쳤고 비교적 개성 있는 메이크업 방법이 드물 것이라는 것을 유추해낼 수 있다

본 설문 조사를 통한 한국 화장품 기업에 대한 시사점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수입 절차로 오랜 시간을 허비해야 하는 반면 대만은 자외선 차단제 성분 함유 제품과 약용 화장품을 제외한 일반 화장품은 별도의 수입 검사 없이 수입할 수 있으므로 대개 중국보다 1~2년 먼저 신상품이 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한류 효과를 겨냥한 중화권 화장품 시장으로 대만을 우선 공략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대만은 대부분이 화장품에 대한 소비를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고 한국 화장품이 많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시장 접근법만 제대로 수립하면 매출이 나는 구조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대만인들이 선호하는 메이크업 방법이 한국과 비슷하기 때문에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은 마케팅 방안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최종분석설문 조사 대상은 대부분 10대~20대의 연령층이었으며 화장품의 주된 구입경로는 lsquo온라인(24)rsquo과 lsquo화장품 전문매장(50)rsquo이 압도적이었다 더불어 한 달 간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lsquo1만 원 이상(72)rsquo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이것은 실제 생활수준에 대비하여 높은 소비량이므로 대만의 화장품 시장 전망이 밝다고 할 수 있다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부분은 lsquo성능(46)rsquo이었는데 이는 스타트업 기업 중소기업에게 유리한 조건이다 메이크업 방법을 얻는 방법으로는 lsquo인터넷(44)rsquo과 lsquo친구(30)rsquo가 높은 비율을 차지했는데 판촉활동으로는 인터넷을 활용한 SNS 홍보 바이럴 마케팅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가장 관심있는 화장 컨셉은 lsquo청순rsquo 이었고 이것은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와 맞물려 우리나라와 비슷한 메이크업 방법을 추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3 -

10 대만 명소 소개 (명소음식행사숙소 소개)

10-1 고궁박물관

대만 고궁박물원은 영국의 대영 박물관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 미국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과 함께 세계 4대 박물관으로 손꼽힐 만큼 세계적은 소장 문물을 자랑한다 건물 규모는 그다지 크지 않지만 소장한 문물의 질과 양은 세계 최상급이다 중화 보물 중에서도 최고의 보물들이 모여 있어 진귀하기 그지없고 수량 역시 워낙 방대하여 3개월 단위로 1만여점을 돌아가면서 전시해도 다보려면 10년이 넘게 걸린다고 전해지고 있다 중국의 국공내전 당시 장제스가 이끌던 중국 국민당이 전쟁에서 패하며 중국을 탈출해 대만으로 향했다 당시 장제스는 난징에 있던 정부를 타이페이로 이전하면서 자금성에 보관되어있던 중국역대 왕조 보물 수십만 점을 배를 이용해 운반해 왔다 중국의 유물을 가진 자가 진정한 통치자라고 생각했던 장제스는 ldquo공산군에게 영토는 내줘도 문화유산만큼은 내줄 수 없다ldquo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대표적인 유물은 취옥배추 육형석 모공정 산씨반 등이 있다

10-2 용산사

루강의 초입에 있는 이 사찰은 타이완에서 가장 오래되고 아름답다고 하여 타이완의 자금성이라고 부른다 각 건물의 기둥 벽 그리고 천장 등에 새겨진 조각은 특히 빼어나다 이 조각상과 함께 이곳의 명물로 알려진 것은 사찰 경내에 있는 2마리의 용상인데 삼천전 앞마당 좌우에 서서 룽산사를 호위하고 있다

10-3 타이페이 101 빌딩

타이베이 101빌딩rsquo이라 부르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로서 빌딩 모습은 하늘로 뻗어나가는 대나무 위에 꽃잎이 겹겹이 포개진 형상이다 본래 타이베이 금융기관이 모인 건물이지만 대형 쇼핑센터와 푸드코트 고급 레스토랑이 있어 여행자들이 많이 찾는다 건물에는 8개 마디가 있는데 이는 중화 문화권에서 부와 번영을 의미하는 숫자 lsquo8rsquo을 염두에 둔 것이다 타이베이 시내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는 높이 508m로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히는 높은 건물이다 지상 1~5층에는 소고 백화점 뷰티 플라자 애버뉴 101 등 다양한 패션∙뷰티용품을 구입할 수 있는 상점이 있다 또한 레스토랑 시티 스퀘어 대형 서점 등 쇼핑과 오락 식사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복합시설이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4 -

잘 알려진 식당으로는 딘 타이 펑(Din Tai Fung) 이 있다 101타워 지하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샤오롱바오(고기만두) 새우 샤오마이(새우만두) 탄탄면(우육면)이 가장 대표적인 메뉴이며 대만에 방문한 많은 사람들이 찾는 식당이다

10-4 지우펀

대만여행의 백미로 꼽히는 지우펀은 타이페이시 북부의 루이팡 지역의 작은 산골 마을로 과거에는 아홉가구만 살고 있어서 지우펀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예전에는 작은 산골 마을에 불과 했지만 이 지역에서 금맥이 발견되면서 호황을 맞이하게 된다 특히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일본풍의 건물들이 남아 있어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결합된 독특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비탈길을 따라 하늘로 이어진 예스러운 건물 그리고 골목마다 빨간 홍등과 함께 묻어나는 옛 풍경은 여행객들에게 인기 여행지이다

10-5 스린야시장

타이베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야시장 가운데 하나이다 독특하면서도 다양한 전통 먹을거리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이곳을 찾는 관광객이 많다 시장 부근에 학교가 많아 학생들이 많이 찾으며 포장마차 등의 노점상이 많아 가격도 저렴하다 칭런샹[情人巷]에는 가구 의류 액세서리 사진현상점 애완용품점 등이 모여 있어 학생뿐 아니라 관광객들도 자주 찾는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5 -

10-6 예류 지질 공원

타이완 북해안에 자리한 예류는 해수욕장과 온천 기암괴석으로 유명한 관광지다 특히 예류지질공원은 희귀한 모형의 바위와 암석이 모여 있어 예류 관광의 필수코스로 꼽힌다 작은 곶으로 된 예류지질공원은 침식과 풍화 작용을 거쳐 자연적으로 형성된 기암을 보러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지질공원으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것이 선상암 군락이다 암석 하나하나의 모습은 마치 거대한 버섯이 큰 머리로 하늘을 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선상암 가운데 가장 유명한 암석은 이집트 왕비의 옆모습을 닮은 여왕 두상 바위다

10-7 스펀(Shifen)

스펀(十分)은 옛 광산마을로써 천으로 만든 등이 유명하다 또한 이 곳 스펀은 대만 최대의 폭포 스펀(SE-FEN) 폭포가 있다 미니기차와 천으로 만든 등을 날릴 수도 있다 마을의 한가운데 긴 철길이 놓여 있고 30분에 한 대씩 기차가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것도 볼 수가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6 -

10-8 진과스(金瓜石)

진과스(金瓜石)는 타이완 타이베이 근교에 있는 옛 탄광 유적이다 20세기 전반에 금 채굴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20세기 후반에 금이 차차 고갈되기 시작하자 점점 위축되어 폐광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관광 명소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하루에도 수백명이 들렀다 가는 대만의 대표 관광지이다 진과스 내에 있는 황금 박물관에는 220kg 의 금이 전시 되어 있는데 손을 넣어 직접 만져 볼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진과스에서는 과거 광부들이 먹었던 도시락을 그대로 만들어 판매하는 광부 도시락도 굉장히 인기가 많다

10-9 국립 성공대학

대만의 타이난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1931년에 개교하였다 2010년 QS대학순위에서 283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대만 대학중 2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총 9개의 캠퍼스로 이루어져 있어 굉장히 큰 면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만 교육청에서 인정한 9개의 주요대학 중 하나이고 대만 기업체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학이다 이공계열이 가장 뛰어나며 중문 역사 법학 경제학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10 시먼딩

타이베이시에 위치한 시먼딩은 한국의 명동과 같은 거리이다 대한민국의 명동에도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과 외국인이 많다고 알려져 있는데 시먼딩 또한 명동 못지않은 다양함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대만의 패션과 놀이 문화 음식 등을 한눈에 경험 할 수 있는 공간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7 -

10-11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

중정기념당은 타이완 총통 장제스(蔣介石)를 기리는 전당이다 lsquo중정rsquo은 장제스의 본명이다 그가 서거한 후 1980년 기념당을 세웠다 25만에 이르는 넓은 중정공원 안에 우뚝 선 높이 70m의 기념물이 중정기념당이다 기념당 1층에는 장제스 생애를 엿볼 수 있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거대한 장제스 동상은 항상 근위병이 동상 앞을 지키고 있다 중정공원 안에는 중정기념당 외에 국립 희극원과 국립 음악청이 있는데 이곳에서 연극과 콘서트를 한다 공원 조경 또한 잘 조성되어 있어 산책하며 천천히 둘러보기에 좋다

10-12 안핑지구(安平地區)

대만의 문화와 역사는 안핑지구에서 시작되었다 안핑구바오는 17세기 중엽 네덜란드인들이 지은 요새로 정성공이 빼앗아 번영하다가 황폐해져 지금은 보루의 대부분이 없어지고 설탕과 굴껍데기와 찹쌀가루를 버무려 만든 빨간벽돌로 된 장벽(臺灣城殘蹟)만이 남아 나무뿌리와 존립의 사투를 벌이고 있다 감시탑 옆 건물 안에는 네덜란드와 정성공의 전투에 대한 이야기와 중세갑옷 등이 전시 중이다 이 주변에는 대만에서 가장 오래된 상업거리 옌핑제(延平街)가 있는데 옛 명성이 다한 거리의 골목 사이사이 수백년 된 가옥을 구경하는 것도 소소한 즐거움이다 1867년 영국인 상점과 물류창고로 이용하던 건물에 노용수(老榕樹)가 멋대로 자라 건물을 집어삼키듯 뒤덮은 나무집으로 불리는 안핑수우도 안핑지구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진귀한 볼거리다

10-13 미라마 관람차

대만에서 가장 큰 관람차로 알려져 있는 미라마 관람차는 타이페이 시의 야경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관람차 크기가 큰 것으로 유명하지만 가격 또한 저렴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유스트래블 카드를 이용하면 50 할인이 적용되므로 꼭 지참하도록 하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8 -

lt미라마 관람차 티켓gt lt유스트래블 카드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9 -

11 시사점 및 차후 활용계획 (LGC 프로그램을 통한 구체적인 효과 및 연구결과)

11-1 LGC 프로젝트 만족도

구분 항목 전 후 한줄 평

사업단

프로젝트 취지- 린튼 글로벌 학과와 경영정보학과 학생들이 함께

하는 프로젝트 해외시장탐방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사전교육 활동- 출국 전 각 나라에 대한 유의사항 안전교육이 체

계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개략적인 보고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었다

행정지원 절차- CK사업단 린튼 글로벌 학과 경영정보학과 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히 되지 않아 사전 계획에서 많은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협동력 향상- 출발 전 잦은 팀 회의와 8박 9일 간에 일정에도

불구하고 불화 없이 좋은 분위기 속에서 프로젝트를 완수 했다

추진력 향상- 일정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 한 점 추가 자료조

사를 위해 현지에서 새로운 일정을 추가 됐을 때 팀원들이 일사불란하게 따라주었다

문제해결 능력- 교통편 문제와 기업 측 내부 문제로 일부 일정에

변동이 있었지만 신속한 조율과 전화 통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개인

동기부여 자극- 현지인들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국어 영어 능

력의 필요성을 실감했다 특히 중국어는 소통 유무에 따라 현지 반응이 극명하게 갈렸다

진로설계 도움- 프로젝트 전에 비해 새로운 직업 분야에 대한 관심

이 증가했다

취업능력 향상-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한 내용을 살려 구술 면접이

나 자기소개서 작성에 참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11-2 LGC프로젝트 연구 결과 - 대만 시장

⓵ 중국시장을 주목하는 대만 화장품 기업- EST팀은 현지 대만 화장품 기업으로 SISDORA와 WABFENIX를 선택했다 두 회사를 선정한 배경에는

명확한 의도를 두고 정했다 SISDORA는 설립한 지 10년이 넘는 회사로 직접 화장품을 개발 및 연구하고 판매하는 중소기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과 주름개선 크림으로 중년 여성을 타깃 층으로 하는 화장품 회사다 반면 WABFENIX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스타트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 이지만 기술개발 보다는 디자인 마케팅에 중점을 두었고 판매 층도 10대-20대의 젊은 층을 타깃 층으로 한다 시장 전략이 완연히 다른 두 기업이 유일하게 공통점이 있다면 중국시장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선정 이유에는 많은 인구의 소비력을 꼽지만 뒤이어 언급하는 이야기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자사 제품의 경쟁력 약화를 말한다 현재 대만 기업 대부분은 내수 시장 대신에 중국을 겨냥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국가 산업 특성상 제조amp연구 분야가 강세인 대만에서는 중국 바이어 또는 미국 유럽 바이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직접 판매 보다는 기술 협력을 통해 이익을 창출한다고 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0 -

⓶ 대만 시장을 점령한 한국 화장품

- 앞서 말했듯이 2012년 이후부터 급속히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한국 화장품은 대만 시장을 점령하고 있다 이미 시먼딩에 들어서면 다양한 한국 화장품 매장이 눈에 띌 만큼 들어섰으며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중앙 광장에 입점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매장 안에는 많은 대만 사람들이 화장품을 보고 있는 광경을 흔히 본다 화장품 매장을 이용하는 연령층은 주로 10대-20대들이다 화장품 가격이 한국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주 애용하는 이유는 한류 열풍으로 인한 한국 연예인들에 대한 관심과 화장법이 크게 유행하고 있음을 현지 설문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⓷ 체감할 수 있을 만큼 커다란 한류열풍

- 뉴스에서만 듣던 한류 이야기를 대만에서 직접 느낄 수 있을 정도로 한류열풍은 크다 특히 삼성이나 LG의 TV나 스마트폰은 어딜 가든 항상 보이고 한국 화장품 선물에 대한 반응이 무척이나 뜨겁다 원활한 현지 조사를 위하여 사은품으로 준비한 한국 마스크 팩 100개는 오히려 현지인들이 참여 의사를 표현할 만큼 열정적이었다 일부 대만 사람 중에는 어디서 왔냐는 질문에 한국이라는 답변을 하니 같이 사진 찍기를 제안하기도 했다

⓸ 중소기업에게 있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는 대만 시장진출- 대만 시장 진출에 앞서 한국 화장품 중소기업이라면 전략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크게 대만 시장을 겨냥

할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할지 선택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3CE는 한국 화장품 회사다 대만에서 젊은 연령층이 자주 이용하고 이미 대만 내에서는 유명하다 3CE는 오프라인 매장 없이 순수 온라인 매장으로 운영하면서 대만 사람들을 위한 전용 웹사이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윤을 창출 하고 있다 신중해야 할 점은 현재 온라인 오프라인 등 한국 화장품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신규 진입에 있어서 장벽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대만 시장을 활용한다면 동남아 시장까지 한 번에 내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출입통관 절차가 간단하고 관세가 낮기 때문에 중소기업에게 유리하다 아직까지 중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1 -

에 대한 직접적인 수출이 가능한 곳은 상해나 항주 같이 중국에서 허가한 무역항 도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내륙까지 시장을 확대하기는 불가능하지만 같은 언어권인 대만을 거치면 보다 쉽게 바이어나 에이전트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인맥을 통한 꽌시와 수수료 명목으로 뒷돈을 요구하는 중국 바이어의 관행은 자금 순환이 원활치 않은 중소기업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11-3 LGC 프로젝트 종합 의견 및 전망

우리 lsquoEST팀은 출국 전 국내 화장품 시장 조사를 할 때 대덕 밸리 스타트업 기업 셀아이콘 랩의 영향으로 대만의 화장품 산업에 대해 큰 관심과 가능성을 보고 2015년 1월 5일부터 1월 13일까지 8박9일이라는 시간동안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 나라 중에 하나인 대만에서 rsquo대만의 화장품 시장lsquo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사를 했다 대만에서는 3개의 기업 (KOTRA SISDORA WABFENIX) 을 방문해 전반적인 대만의 화장품 시장과 판매전략 한류에 대한 보다 사실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1개의 대학 (국립성공대학 國立成功大學)에서 MBA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또 타이난에서는 대만에서 오랫동안 사업하시는 한인협회 회장을 만나 PLC (Product Life Cycle)를 통해 대만에서의 특정 시장이 도입기에 있는지 또 어떠한 시장이 쇠퇴기에 놓여있는지 다양한 시야에서 대만시장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노력은 CK 사업단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교육부 CK-1 프로젝트의 일부인 Linton Global Challenge는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몇 년을 내다보는 지속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기업들과 더욱 더 활발한 교류와 연구를 한다면 기업과 CK 사업단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리라고 본다

1 개인 탐방 후기 (팀원 개인 소감)

1-1 개인 탐방 후기

강성민탐방 후기 기업 컨택 부터 인터뷰 일정 계획까지 8박 9일간의 대만 화장품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 출국 전까지 준비 과정부터 탈도 많았고 대만에 와서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 원하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매일이 항상 회의와 고민의 연속이었다 하루하루 충실히 계획을 진행시켜 나갔고 좋은 팀 분위기 속에서 무사히 대만 프로

부록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2 -

젝트를 완수했다 그리고 마침내 한국으로 돌아왔다 과정은 항상 오르막 길이였지만 돌이켜 보면 마지막 대학 시절을 기념할만한 좋은 추억이자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느끼는 바가 많았던 프로젝트로 기억 될 것이다

김은진탐방 후기 글로벌 챌린지를 한마디로 정의하라고 한다면 도종환 시인의 lsquo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lsquo라는 시가 떠오른다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대만기업컨택 설문조사 등 많은 것을 경험했다 처음엔 모든 것이 나에겐 버거운 산이라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도전이 계속 될수록 이젠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이 모든 도전들에 흥미가 생겼다 나 자신도 책임감과 자신감이 생기고 한층 성숙해 진 것을 내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소중한 동료와 추억은 평생 나의 가슴속에 남을 것이다 우린 앞으로도 많이 도전하고 경험하여 우리들의 삶이 활짝 만개하리라 다짐한다 끊임없이 도전하는 20대의 청춘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프로그램이었다 김종선탐방 후기 한국에서 준비하면서 조사했던 내용과 비교하며 인터뷰를 해보니 실제로 많이 다른 부분도 있었고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 비슷한 내용도 있었다 현지의 기업들을 방문해 우리가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직접 매장에 가서 느껴보니 앉아서 컴퓨터만 볼 때랑 많이 달랐다 그리고 직접 대만인들에게 설문조사를 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그리고 대만의 실제 문화와 환경 그들의 생활을 잠시나마 볼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

구명우탐방 후기 며칠간의 꿈만 같았던 대만에서의 시간이 지나갔다 대만으로 출국하기 전 사전조사 기간에는 확신이 없었다 사전조사와 기업과의 인터뷰 그리고 9일간의 일정조율 및 숙박과 모든 대만에서의 연구와 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보고서까지 무엇하나 확신이 드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도전과 해결능력을 배웠고 아시아에서 급성장 중인 대만에 대해서 배우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다음기수로 가게 될 관심 있는 학우들에게 진심으로 추천해주고 싶다

이규현탐방 후기 CK-1 프로그램 중 하나인 lsquo린튼 글로벌 챌린지lsquo 프로그램을 통해 약 8박 9일이라는 시간 동안 emerging market 중 하나인 대만에 거주하면서 한국 화장품의 대만시장 점유율과 진출 가능성을 몸으로 체감하고 자료들을 모아 통계 내어 정리할 수 있었다 우리 팀 lsquoEST가 성공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충분한 국내조사 기간을 갖고 대만의 화장품 회사들을 방문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대만의 특정한 기업을 찾기도 어려웠고 기업 컨택은 번번히 거절당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회사 두 군데에서는 답장조차 오지 않았고 설문조사할 때에는 반한감정의 대만인을 만나 고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팀의 단결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리더의 통솔력으로 정해진 스케줄대로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회사를 방문하고 학교교수를 만나고 길거리에서 설문조사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팀원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또한 대학생으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을 한 것 같아서 스스로도 너무 뿌듯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팀을 믿고 지지해주신 LGSB 교수님들과 CK-1 프로그램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영은탐방 후기 처음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렇게 준비는 열심히 하지만 정말 우리가 계획한 100대로 대만을 다녀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기우가 무색하게도 대만은 우리에게 기획안 그 이상의 것들을 보여주었다 사장님들의 생생한 사업 이야기와 대만의 색채가 묻어있는 아이템들 하며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여 알아보는 비즈니스 마켓의 현장은 나에게 두고두고 잊지 못할 자산으로 남았다 또한 펑리수 버블티를 비롯한 대만의 맛있는 먹거리들과 스린 야시장이나 지우펀 같은 명소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열심히 고생해준 팀원들과의 추억들도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3 -

이서우탐방 후기 이번 글로벌 첼린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서 쉽게 할 수 없는 해외 기업 탐방과 해당 국가의 산업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임효진탐방 후기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팀이 대만을 방문 한다고 했을 때 많이 의아해 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만을 직접 방문해보고 많은 사업자들을 만난 결과 대만은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라고 생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아직 공산주의라는 정치적 특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다른 곳보다 훨씬 어렵지만 대만은 자유시장체제 이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쉽다 특히 외국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만 시장에서 한국제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추고 중국 시장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성공가능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그리고 대만의 바이어들을 통해 중국의 시장진출을 하게 된다면 사업자가 직접 중국시장에 진출 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성공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만은 문화적으로 다른 아시아권보다 선진화 되었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대도시에 속하지만 모두다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골고루 섞여 대만만의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차안호탐방 후기 9박 10일간의 대만을 다녀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넓고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이번 대만 여행은 처음으로 경험한 해외여행 경험이여서 그런지 순탄치 않은 면도 있었지만 팀원들 서로가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만시장은 중국시장으로 가기위한 좋은 시험의 장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대만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영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더 나아가 미래에는 중국어야말로 영어와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성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또 하나 놀란 점은 대만이 반 한류 감정을 많이 갖고 있는 줄 알았지만 대부분의 대만 일반 시민들이 굉장히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에 놀랐고 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CK-1 사업의 챌린지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대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계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보완점 및 건의사항 (문제점개선책건의사항)

2-1 기업 컨택의 어려움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에 있는 기업과 연결하여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대해서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조사 및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시간을 내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로써 그들의 귀한시간이 아깝게 쓰이지 않을 것을 강조하여 만남을 만들어야 한다

2-2 사업단과 의사소통의 불편함

Challeng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CK-1 사업단과의 지속되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가령 누군가를 통해서 전해지는 소문이나 촉박한 시간을 제시하고 일 처리를 원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단과 각 팀의 대표간의 분명한 의사소통과 증빙자료 등이 필요하다

2-3 정보 부재 이번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이머징 마켓에서의 유망 산업 조사 및 연구였다 대만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21: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1 -

개최주기 3월경개최기간(2014년) 0321~0325

웹사이트 httpwwwudnicecom

⓶ 전시회 이외의 주요 마케팅 방안 블로거 마케팅 등 ⓷ 유력 홍보 방안(전문잡지 온라인 매체 등)

thorn 온라인 매체 Fashion guide(httpwwwfashio guidecomtw) UrCosme(httpwwwurcosmecom)

thorn 전문잡지 VIVI BEAUTY 大美人 Style W Marie laire Fashion Guide 등

시장 확대를 위한 무역관 의견 대만 화장품시장은 가격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 시장 진입 시 확실한 브랜드 포지션을 정해야 하며 해당 포지션의 대만 제품 가격을 조사한 후에 대만 최종 소비가격을 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

또한 소비자들은 할인세트 및 사은품에 약하여 각종 행사 진행 시 사은품 증정 혹은 묶음세트로 판매하는 것을 추천 보습(특히 히알루론산 성분 강조) 및 미백(대만 정부에서 인증된 미백성분이어야 함) 제품을 매우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6 탐방 상세 일정 (일정표 - 기간 지역)

날짜 지역105(월) 인천 ~ 대만 타이페이

시간 일정0600 인천공항 도착

0600 ~ 0920 인천공항 대기0920 ~ 1140 인천공항 rarr 대만 1140 ~ 1230 대만 입국 수속1230 ~ 1320 숙소 이동 (용산사 역)1320 ~ 1500 짐정리1500 ~ 1600 회의 및 일정정리1600 ~ 163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630 ~ 1800 KOTRA방문 및 인터뷰1800 ~ 1830 101타워 딘 타이 펑 이동(도보)1830 ~ 1910 저녁식사 - 딘 타이 펑1930 ~ 2100 101 타워 야경감상2100 ~ 2130 숙소로 이동2130 ~ 223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6(화) 타이페이

시간 일정0900 기상

0900 ~ 110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30 ~ 1230 점심식사 - 마라훠거1230 ~ 1300 SISDORA 본사로 이동

6-1 8박 9일 대만 일정 (150105 ~ 150113)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2 -

1300 ~ 1530 SISDORA 방문 및 인터뷰1600 ~ 1800 101타워 퍼스널 트레이닝 센터 방문1800 ~ 1930 저녁식사 - 카렌 레스토랑1930 ~ 2000 숙소로 이동2000 ~ 2100 개인 휴식2100 ~ 223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7(수) 타이페이

시간 일정0900 기상

0900 ~ 113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30 ~ 120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200 ~ 1250 점심식사 - 키키 레스토랑1250 ~ 1300 시먼딩 이동1300 ~ 1530 화장품 설문조사1530 ~ 1830 한국 화장품 매장 제품 조사1830 ~ 1900 야시장 이동(MRT)1900 ~ 2000 저녁식사 ndash 야시장 음식2000 ~ 2030 숙소로 이동2030 ~ 2130 개인 휴식2130 ~ 230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30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8(목) 타이페이 ~ 타이난

시간 일정0830 기상

0830 ~ 110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00 ~ 1200 체크아웃 및 고속철도역 이동1200 ~ 1340 타이페이 rarr 타이난 이동1340 ~ 1400 짐 보관 및 인터뷰 장소 물색1400 ~ 1600 가오슝 한인협회장 인터뷰1600 ~ 1700 숙소도착 및 짐정리1700 ~ 1800 개인 휴식1800 ~ 1900 저녁식사 - 새우롤2000 ~ 2230 중간 정리 및 보고서 작성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9(금) 타이난

시간 일정0800 기상

0830 ~ 0900 아침 식사0900 ~ 1130 타이난 일정 브리핑 및 팀 미팅1130 ~ 1210 타이난 시내로 이동(TAXI)1210 ~ 1320 점심식사 - 스시1320 ~ 1350 성공대학 이동(도보)1350 ~ 1700 성공대학 방문1700 ~ 1800 성공대학 캠퍼스 탐방 및 대학원생들과 대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3 -

1800 ~ 1830 저녁식사 - 대만 전통 음식점1830 ~ 1900 타이난 RT마트 이동(도보)1900 ~ 2030 RT 마트 장보기2030 ~ 2100 숙소로 이동2100 ~ 2200 개인 휴식2200 ~ 2330 팀 회의 및 예산 정리

23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12(월) 타이페이

시간 일정0800 기상

0800 ~ 0900 아침식사(호텔 조식 제공-선택)0900 ~ 1130 호텔 개인시간1130 ~ 123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230 ~ 130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300 ~ 1600 Wabfenix 방문 및 인터뷰1600 ~ 1630 간식 - 망고차차1630 ~ 1700 시먼딩 이동(MRT)1700 ~ 1830 화장품 설문조사 활동1830 ~ 1930 저녁 식사 - 코코이찌방야2030 ~ 2130 개인 휴식2130 ~ 2300 팀 회의 및 예산 정리

230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13(화) 대만 ~ 인천공항

시간 일정0800 기상

0800 ~ 0900 아침 식사0900 ~ 1130 짐정리1130 ~ 1200 체크아웃1300 ~ 1400 점심식사 - 스시(시먼딩)1400 ~ 1430 쑹산 공항 이동(TAXI)1430 ~ 1530 시먼딩 rarr 쑹산공항1530 ~ 1730 출국 대기1730 ~ 2100 대만 출국 rarr 대한민국

2100 대한민국 입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4 -

7 방문 기업 소개 (인터뷰 내용)

7-1 대만 KOTRA

-2015년 1월 5일 월요일 1630~1800 인터뷰-위치 台北市 基隆路 1段 333號 22樓 14室(2214室) Intl Trade Building 22층-전화 (886-2)2725-2324 -팩스(886-2) 2757-7240

Q대만에 대하여 간단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우선 대만은 남한의 13의 해당하는 영토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구역시 남한에 비해 적은 2천 3백만 명 정도이며 기후는 아열대 몬순 기후권으로 비교적 따듯한 날씨입니다여러분이 대만에 와보셔서 알겠지만 대체로 습한느낌을 받으셨을 탠대 대만은 겨울에도 남한만큼은 춥지 않습니다 언어는 주로 중국어를 사용하며 문자는 중국과 살짝 다른 번자체를 사용합니다1인당 GDP는 2013년 기준 20984 달러 정도이며 산업구조는 제조업과 도소매업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Q현재 우리나라의 어떤 기업들이 대만에 진출해 있는지 궁금합니다

A최근에는 화장품을 주력 제품으로 아모레퍼시픽등 화장품 대기업들이 타이페이 시내에 로드샵을 많이 개점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대만은 제조업과 도소매업이 주를 이루다 보니 20~30년 전부터 진출한 기업들이 계속해서 입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주로 삼성물산 현대종합상사 LG상사 LG전자등 대기업이 주를 이루고 있고 우리나라 기업은 1년에 한 기업정도 대만에 진출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Q그렇다면 대기업을 제외한 중소기업들이 대만시장에 진출하지 않는 이유가 따로 있습니까

A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아무래도 중국시장이 개방을 하면서 인 것 같습니다 기존에 진출해있는 기업들은 과거 대만이 인프라 구축이 미흡했을 당시 해외투자를 많이 받으면서 비교적 좋은 조건으로 대만에 진출하고 인프라 구축등 사업을 진행하면서 기반을 다졌을 겁니다 그 기반으로 지금까지 대만시장에 진출해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중소기업의 경우는 해외투자가 너무 모험적이며 대만 시장과 중국의 시장을 비교하여 봤을 때 인구가 차이가 약 8배 정도 나며 중국에 비해 비교적 작은 시장이라고 느껴 대만보다는 중국에 많이 진출하는 것 같습니다

Q마지막 질문으로 만약 우리나라 중소기업이 대만시장에 진출할 때 유의해야 할 점이나 좋은 팁이 있을까요

A대만 시장에 완전히 진출해야겠다는 생각보다는 중국이나 다른 중화권 나라의 진출하기전 시험의 장소로 생각하고 진출해보는 것은 나쁘지 않다 생각 합니다 아무래도 대만의 인구가 많은 편이 아니다보니 불리한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5 -

조건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이나 다른 큰 중화권 시장으로 진출하기 전에 언어나 문화 중화권사람들의 사고방식등 여러방면에서 시험해 볼 수 있는 좋은 장소는 틀림없습니다 중소기업이 대만시장에 진출할 때는 코트라를 이용하여 각종 정보나 현지 인프라등을 이용하는 것 또한 하나의 방법이며 무엇보다 중화권의 문화와 중화권 대중들의 생각을 잘 공부하고 언어를 습득하여 오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7-2 SISDORA luxury beauty care

-1월 6일 화요일 1300~1530 인터뷰 1600~1800 101타워 퍼스널트레이닝 센터-주소 No9Aly 10Ln265Sec 4Xinyi RdDaan Dist Taipei City 106-대표 Mr Chung-Cheng Lee -전화886-2-27040889-URL httpwwwsisdoracom

Q 간략한 회사 소개와 SISDORA의 유래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A Isadora는 고대 이집트의 가장 강력한 여신의 이름입니다 Sisdora는 이 여신의 이름을 따서 만든 브랜드 이름입니다 이집트의 고대 여신인 Isadora의 이시스는 선물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고 생명과 건강 아름다움을 담당하는 여신으로도 유명합니다 저희 SISDORA는 비슷한 동음 이의어로 동양의lsquoISIS(이시스)rsquo라는 단어가 있어 브랜드 명을 SISDORA로 정하게 되었습니다Q Sisdora 제품 소개 부탁드립니다

A저희 제품은 안티에이징 미백 마스크 제품을 주력으로 하고 있습니다 동일 제품군을 비교해 봤을 때 가격 및 품질은 상위에 속하는 최상품의 제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마스크 팩 대부분은 종이섬유로 제조하는 반면 저희 Sisdora는 누에의 실(실크)로 만든 마스크 팩 입니다 실크마스크 팩을 제조할 때에는 피부 건강에 좋은 약재 및 약초등을 배합하여 제조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피부에 자극적인 향로를 첨가하지 않았고 수분이 빠르게 흡수 될 수 있습니다 덕분에 저희 마스크 팩을 사용하는 고객들은 부드럽고 산뜻한 느낌을 받으실 수 있을 겁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6 -

Q 귀하의 회사는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어떤 마케팅을 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A 저희는 해마다 대만 타이페이 글로벌 미스코리아 대회에 제품을 협찬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대만 유명 가수들과 함께 제품을 결합시킨 뮤직비디오를 제작하여 마케팅에 힘쓰고 있습니다뿐만 아니라 제품의 품질인증을 바탕으로 러시아 중국 동남아 지역에 진출하는대 힘쓰고 있습니다 저희 제품은 대만 내에서 스킨케어 제품으로써 유일하게 지정 브랜드 수상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저희는 주로 매스컴이나 인터넷을 통한 마케팅이나 엔터테이먼트 컨벤션 산업을 활용하여 마케팅을 하고 있습니다

Q 그렇다면 대한민국의 화장품 제품이 대만에 진출해 있는데 대한민국 화장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는 어떤지 궁금합니다

A 최근 5년 사이에 한국의 드라마 음악등 한류를 타고 대만에도 많은 한국 제품이 등장하였습니다 하지만 대만에는 오래전부터 수입화장품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이탈리아의 산타 마리아 노벨라 프랑스의 아이젠버그등 명품 화장품 브랜드가 오래전부터 입점해 현지 화장품시장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 때문인지 한국 화장품의 인지도는 크게 높지는 않습니다 아무래도 유럽 브랜드 그 다음으로 대만 기업의 브랜드 그 다음으로 한국의 화장품 브랜드 순으로 인지도가 형성되어 있다고 생각됩니다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한국화장품은 다른 명품 화장품들의 가격보다 저렴하고 성능이나 효과 면에서 절대 뒤처지지 않아 한류가 지속되고 마케팅이 잘 이루어진다면 충분히 유럽의 명품화장품의 인지도를 뛰어 넘을 수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Q 한국의 중소기업의 화장품이 대만 시장에 진출하는 것에 대해서는 어떤 의견을 갖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A 한국의 대기업 화장품 브랜드가 아닌 중소기업의 화장품 브랜드가 대만에 진출하는 것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겁니다 하지만 저희 회사도 중소기업으로 시작하여 마케팅 전략을 잘 활용 하여 많이 성장하였습니다 아무래도 한국의 중소기업의 화장품이 대만에 진출하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있겠지만 어떤 마케팅 전략을 선택하느냐가 가장 중요하고 마케팅이 잘 이루어지고 입소문이 퍼진다면 한국의 중소기업 화장품 또한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7 -

7-3 가오슝 한인협회

-1월 8일 목요일 1400~1600 인터뷰-주소 高雄市鼓山區二路37巷弄43-2號(고웅시고산구이로37항81롱43-2호)-대표 尹桓鎬(윤환호) HP 0932-740-538 -電話 07-5211933 -傅眞 07-5214031

Q 대만과 한국과의 무역 관계가 어떠한지 궁금합니다

A 한국과 대만과의 무역은 크게 활발하게 이루어 질 수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대만의 시장 자체가 매우 작기 때문에 대만에 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국내 시장이나 다른 큰 해외 시장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대만 시장을 거쳐서 동남아나 중국 시장으로 진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여서 기존에 존재하는 대기업이나 저처럼 오래 전부터 이민한 분들이 소규모로 중개무역을 하고 있는 정도입니다

Q 현재 한인협회 회장님께서 직접적으로 하는 일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현재 저는 한국의 화장품을 수입하여 대만 현지 기업에게 판매하는 중개무역을 하고 있습니다 대만에 온지 20년이 넘었는데 이런 저런 일을 하다가 기회가 되어 이쪽 일을 하게 되었는데요 처음에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인식이 없어 가격은 비싸고 품질의 보증은 되어 있지 않은 제품이라 소비가 크게 늘지 않았는데 한류 열풍이 불고 한국 드라마의 성공과 그 배우들이 광고하는 화장품의 수요가 크게 늘어 몇 년 전부터 시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Q 한국과 대만과 중국의 관계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해 주세요

A 앞서 말씀 드린 것 같이 한국의 기업은 대만을 통하여 중국 시장의 진출을 위하여 대만 시장을 많이 찾습니다 그 이유는 한국 기업이 대만 시장을 통해서 제품을 인정받는다면 대만과 중국은 같은 언어권의 나라로 대만기업을 통해 중국으로의 활로를 개척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왜 이렇게 돌아서 진출을 하려고 물으셨는데 그것은 쉽게 말해서 말이 잘 통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의 중국어를 잘 구사하는 사람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보다는 대만의 사람이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주고 인정을 해준다면 더욱 쉽게 자리를 잡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8 -

Q 스타트 기업의 대만 진출 성공여부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중소기업이 대만에 들어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현재 한국 내에서의 위치를 높이는데 주력하는 것이 좀 더 낫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대만은 아주 뛰어난 기술력을 가지고 있지만 자체 제품을 생산하지 않습니다 예로 Apple에서 전체 아이디어를 미국에서 한다면 그 아이디어 실행은 대만에서 이루어집니다 그리고 제품의 생산은 대부분 중국에서 이루어 지구요 이렇듯 대만의 기술력과 제품에 대한 이해가 빠르기 때문에 수입을 많이 의존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중소기업이 들어와서 제품을 판매한다 쉽게 성공할 수 없죠

Q 회장님께서는 중국과의 중개무역은 생각하고 있으시지 않습니까

A 네 저는 지금의 생활에 만족하고 있습니다 지금 저의 파트너들과의 관계도 좋고 따로 중국 진출은 생각하고 있지 않습니다 만약에 제가 중국을 진출하게 된다면 현재의 기업들과도 경쟁상대가 되어 저는 생각이 없습니다

7-4 국립성공대학(國立成功大學)

-1월 9일 1350~1700 인터뷰-주소 701 臺南市東區大學路1號-연락처06-2757575 -홈페이지 wwwnckuedutw

대만 국립 성공대학은 931년 타이난에 설립된 이공계 명문 대학입니다 국립성공대학은 66개의 캠퍼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각 캠퍼스마다 특징과 분위기가 다릅니다 우리 국립성공대학은 ldquo북대대 남성공(北臺大 南成功)rdquo 이라는 말이 있듯이 역사는 대만대학의 바로 다음갑니다

국립성공대학의 이름의 의미는 성공은 무엇을 성취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대만의 민족영웅인 정성공(鄣成功)을 기념하기 위한 대학이라는 뜻입니다 성공대학은 정성공이 있던 역사명승 적감루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해 있기도 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9 -

이후 인터뷰로 대만의 소개와 간단한 전공 소개가 있었다

7-5 WABFENIX RENIX GLORY GLORIA GUA

-1월 12일 월요일 1300~1500 인터뷰-주소 14F-1 No420 Sec 4 Xinyi Rd Xinyi Dist Taipei City 110 Taiwan (ROC)-대표 Mr KEN -전화886-5569-0555-URL httpswwwfacebookcomrenixfanspage httpwwwwabfenixcom

Q Wabfenix가 어떤 기업인지 소개 해주세요

A 저희 회사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으로 현재는 매장은 없지만 개발한 제품을 바탕으로 사업을 진행 중이고 대만현지에 저희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저희 회사는 제품의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화장품을 개발하여 대만시장 뿐만 아니라 중국시장의 진출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Q 귀하의 제품은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제품이라 하셨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제품 등이 있습니까

A 우선 Heymore 제품군의 블랙 마스크 팩과 Renix 제품군의 일반 마스크 팩을 출시했습니다Heymore의 경우 선물용임을 부각시키기 위해 디자인에 특히 많은 투자를 하였습니다 중국 중산층을 겨냥한 제품으로 가격대 1봉지에 한화 ₩40000 정도로 높게 책정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가격을 높게 측정한 이유에는 중국 화장품 소비문화 속에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 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에 저가 보급형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0 -

제품인 Renix와 차별을 두는 판매 전략을 선택하였습니다 현재 판매되는 제품은 마스크 팩을 주력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Q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인데 중국을 대상으로 어떤 진출 전략을 갖고 있습니까

A중국에서 열리는 화장품 전시회 화장품 엑스포 행사 바이어 미팅 등 꾸준히 참가중이며 바이어들에게 저희 제품을 어필하고 있습니다 물론 신생기업인 만큼 아직 중국 내에서 뚜렷한 판매 실적을 기록하진 못했지만 타 화장품 기업들과 다른 마케팅 방식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디자인이나 제품의 아이디어를 강조하고 있는데 대표 적인 상품으로 오뚝이 모양을 한 화장품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이 오뚝이 제품을 바이어들에게 어필해 보았는데 대단히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Q 해외시장 마케팅과 대만 시장마케팅의 차이점이 있습니까

A 우선 중국에서의 마케팅은 행사나 전시회에 참여하고 바이어들을 개인적으로 만나는 것에 치중해 있다면 국내 대만시장의 마케팅 전략은 페이스북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대만은 중국에 비해 SNS가 많이 발달되어 있어 자금이 많이 들어가지 않는 SNS마케팅을 하고 있고 각종 자선행사에 참여하여 저희 기업을 홍보하고 있습니다

Q 귀사의 제품을 중국보다 비싼 인건비가드는 대만 제조공장에서 생산하는 겁니까

A타이중에 소재하는 공장에서 마스크를 제조 하고 있습니다 인건비가 비싼 것은 대만 수도인 타이페이에만 주로 해당이 됩니다 지방 소도시에서도 외곽으로 들어가면 저렴한 인건비와 공장 가동비용으로도 제조가 가능 합니다 굳이 중국에 제조공장을 갖지 않는 이유는 신생기업이라 자금문제도 있지만 대만은 OEMampODM에 특화된 국가이기 때문에 품질 좋은 다양한 제품주문이 가능하고 중국 사람들에게도 자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 보다 외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가 더 좋기 때문에 대만에서 생산한 뒤 수출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Q 대만에 한국 화장품 기업이 진출한다면 어떠한 마케팅 전략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 생각 하십니까

A 이미 대만에 한국의 화장품 제품들이 많이 들어와 있습니다 하지만 대만 자체의 화장품 기업들이 기존에 많은 시장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성공을 거두기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최근 한국에 대한 이미지가 많이 좋아졌고 한국의 영화나 드라마 등이 많이 알려지면서 인지도가 높아졌습니다 한국의 대기업의 경우 이러한 대규모 마케팅을 할 수 있으므로 큰 무리가 없겠지만 한국의 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한다면 최종 시장 공략 층은 대만이 아닌 중국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대만은 중화권으로 가기 위한 연결다리라고 생각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또한 중소기업은 큰 마케팅 비용을 부담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대만에서는 SNS나 각종 자선 행사에 참여하여 인지도를 높이는 것을 추천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1 -

Q 같은 제품이지만 대만과 중국에서 판매할 때 가격 책정이 다른 이유가 무엇인가요

A 그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해드리자면 국가마다 소비 성향이나 구매 능력 환율 경제 상황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경영 에서는 가격 차별화(Price discrimination)이라 부르는데요 각 나라의 시장 특성에 적정한 가격대를 책정해서 제품을 판매하는 전략입니다 혹시 중국 상류층이 몇 명인지 알고 있나요 제가 알기로는 대만 인구의 2배인 4000만 명이라는군요 아마도 한국 인구랑 비슷한 규모 일겁니다 게다가 중산층은 약 4억 명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4억 명의 중국 소비자들이 우리 제품을 1개씩만 구입 한다면hellip 상상만 해도 엄청 나겠죠 이야기를 하다 보니 다른 쪽으로 빠졌는데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이야기하면 물론 좋은 제품을 모든 곳에 저렴하게 제공 하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 그러나 항상 시장에서 저렴한 제품만이 성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대만이나 한국처럼 고도의 산업화가 이루어지고 시장이 크게 발전한 안정적인 단계는 좋은 제품이라도 가격 경쟁력에 신경 써야 합니다 왜냐하면 소비자들이 똑똑하기 때문에 정보력이 넓고 합리적인 소비를 지향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가격 성능 디자인 등 많은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중국 시장은 대만이나 한국과는 특성이 다릅니다 저렴하다고 해서 많이 제품이 많이 팔리기 보다는 가격대가 어느 정도 있는 제품일수록 또는 가격대가 높을수록 소비자들이 관심을 보입니다 대체적으로 중국 소비자들은 lsquo저렴한 제품은 품질이 낮거나 효능이 좋지 않은 제품일거야rsquo 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 때문에 화장품 박람회나 전시회에 저가 화장품을 가져와 홍보하더라도 중국 바이어나 소비자들은 큰 관심을 주지 않습니다 처음에 말했듯이 중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2 -

국 소비문화가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라는 심리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Wabfenix의 경우에는 신생기업이라 많은 투자 금액이 없을 뿐 더러 대만 화장품 시장에 진출하기에는 리스크가

크고 진입 장벽이 높습니다 그리고 이미 한국 화장품 기업들이 대부분 점유를 한 상황이기 때문에 대만 내수시장에만 집중하기에는 경쟁력이 부족하죠 그래서 중국을 주력 수출시장으로 삼고 있는데요 저희는 제품 성능 보다는 소비자의 이목을 끌 수 있는 디자인에 더 많은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중국에 Wabfenix만의 화장품 선물 문화를 정착 시키는 것이 목적인데요 높은 제품 가격만큼 소비자의 관심을 끌 수 있고 선물 문화나 꽌시(关系)가 많은 중국 문화 특성에 맞추어 선물용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중국 시장은 현재 젊은 중산층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품질이 낮은 화장품 보다는 수입 화장품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점으로 미루어볼 때 높은 가격 차별화와 Wabfenix만의 디자인 마케팅은 좋은 경쟁력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3 -

8 현지 시장조사 활동 (시장동향사진설문조사 자료)

8-1 시먼딩 설문조사

목적 대만 사람들의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및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대상 10대~20대 여성 및 화장품 전문매장 종사자장소 시먼딩시간 2015년 1월 7일 12일 총 두 차례에 걸쳐 진행방법 ①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 판넬에 국가별로 메이크업 사진을 표시하고 스티커를 붙이는 방식으로 투표함 공정성을 위해 국가 이름은 블라인드로 처리하였고 모두 동일 인물의 사진을 사용함②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표본집단을 50명으로 설정함 설문조사가 끝나면 사은품으로 한국 브랜드 마스크팩 증정함

8-2 사전 기획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판넬 기획도gt

化妝辦法喜好度的調查화장법 선호도 조사

大家給自己喜歡的化妝貼貼紙 여러분이 선호하는 메이크업에 스티커를 붙여 주세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4 -

대만의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안녕하십니까

다음의 내용은 대만 화장품 트렌드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자 관련조사를 실시하고자 하오니

있는 그대로의 생각을 기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귀하의 응답은 통계적 목적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본 설문은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물음에 대한 답변이나 해당란에 v 표를 해 주십시오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7) ② 화장품 전문매장(34) ③ 마트(5) ④ 홈쇼핑(2)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합계 총 50 명

바쁘신 시간에 의견을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지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5 -

8-3 설문조사 활동

lt2015년 1월 7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6 -

lt2015년 1월 12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7 -

lt활동 결과 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8 -

9 설문조사 통계 분석 (설문조사 응답 수분석결과)

9-1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결과gt

설문 조사 질문지 양식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12)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③ 마트(5) ④ 홈쇼핑(6)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9 -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gt

9-2 설문조사 항목 별 의견 및 추측

설문 조사 질문지 항목 (최다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② 20 ~ 25세 (13)

0

5

10

15

20

25

30

20대 이하 20세~24세 25세~29세 30세~39세 40대 이상

rarr 시먼딩은 대만의 홍대거리라 불리는 lsquo융캉제rsquo나 서울의 lsquo명동rsquo과 같이 젊은 층이 주로 활동하는 지역이다 설문조사 중에도 교복이나 체육복을 입은 학생들과 길거리에서 쇼핑을 즐기는 20대가 즐비할 만큼 활기 있는 거리다 덥고 습한 대만 기후 특성 상 과거엔 화장법이 크게 발전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국의 자연스러운 화장법이 큰 인기를 끌면서 시먼딩에 화장품 거리가 조성되어 있을 만큼 유동 인구가 많다 이 점으로 추측해보았을 때 압도적으로 10대와 20대 층이 많은 응답 수를 기록했다고 본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0 -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051015202530

온라인 화장품전문매장 마트 홈쇼핑 방문판매

rarr 대만 또한 한국과 비슷하게 시내에 많은 수의 화장품 전문매장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접근성이 굉장히 높았다 더불어 각 화장품 매장에서는 상품 할인과 같은 각종 프로모션을 진행하기 때문에 구매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 구매한다는 대답도 높은 편이었는데 거의 대부분이 와이파이존이어서 어디서나 인터넷을 한 활발히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온라인에서의 구매율도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0

5

10

15

20

25

30

NT$300 미만 NT$300~NT899 NT$900~NT$1499 NT$1500~NT2999 NT$3000

rarr 응답자들은 대부분이 한 달 간 화장품에 쓰는 돈을 최저 1만원 이상(NT$300 이상)이라고 답했는데 이는 70가 넘어가는 결과로 화장품에 대한 지출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만원 이상이라고 대답한 응답자들 또한 4분의 1을 넘기는데 이것은 젊은 연령층부터 시작하여 최근 피부 관리와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대만의 소비 수준에 대비하여 화장품 소비율이 높은 것도 이 때문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1 -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③ 성능(23)

051015202530

가격 디자인 성능 화장품 모델 브랜드

rarr 아열대 기후에 속하는 대만은 높은 기온과 습한 날씨 탓에 에어컨 환경에 자주 노출돼 피부 수분을 잃기 쉬워 기능성 화장품의 소비가 두드러진다 대만 화장품 시장은 토너 세럼 에센스 로션 크림 등의 모든 스킨케어 제품들이 보습기능을 강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백이나 안티에이징 리프팅 저자극 오일프리(Oil-free) 등의 기능까지 추가된 스킨케어 제품들이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조 화장품 소비가 늘어난 것은 최근 몇 년 들어 다양한 화장품 브랜드 접촉기회가 많아지고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젊은 여성의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색조화장품 또한 메이크업베이스와 BB크림 립스틱과 같은 베이스 메이크업이 수요가 많았다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④인터넷(22)

0

5

10

15

20

25

30

TV 잡지 친구 인터넷 메이크업샵

rarr 최근 빠른 인터넷망과 스마트폰 태블릿PC의 보급으로 인해 사람들과 사람사이의 연결망이 견고히 형성되고 있고 이것이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방법을 얻는 경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만 소비자들은 주로 인터넷 블로그 가족과 친구로부터 메이크업 정보를 획득 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만의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이므로 입소문마케팅과 판매를 바로바로 할 수 있는 유통구조가 도움이 될 것 같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2 -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0

5

10

15

20

25

30

청순 독특 귀여움 섹시

rarr 앞서 살펴보았듯이 대만은 한국과 비슷한 메이크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이것은 곧 청순한 메이크업 컨셉에 관심 있어 한다는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실제로 대만 여성소비자들은 깨끗한 피부 NATURAL한 베이스메이크업을 선호한다 한 듯 안 한 듯 자연스럽고 깨끗한 느낌의 한국식 lsquo생얼rsquo 화장법은 대만에서 한국 드라마 열풍과 함께 유명세를 타기 시작해 현지 각종 온라인 뷰티 사이트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래서 응답의 대부분이 한 곳에 치우쳤고 비교적 개성 있는 메이크업 방법이 드물 것이라는 것을 유추해낼 수 있다

본 설문 조사를 통한 한국 화장품 기업에 대한 시사점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수입 절차로 오랜 시간을 허비해야 하는 반면 대만은 자외선 차단제 성분 함유 제품과 약용 화장품을 제외한 일반 화장품은 별도의 수입 검사 없이 수입할 수 있으므로 대개 중국보다 1~2년 먼저 신상품이 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한류 효과를 겨냥한 중화권 화장품 시장으로 대만을 우선 공략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대만은 대부분이 화장품에 대한 소비를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고 한국 화장품이 많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시장 접근법만 제대로 수립하면 매출이 나는 구조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대만인들이 선호하는 메이크업 방법이 한국과 비슷하기 때문에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은 마케팅 방안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최종분석설문 조사 대상은 대부분 10대~20대의 연령층이었으며 화장품의 주된 구입경로는 lsquo온라인(24)rsquo과 lsquo화장품 전문매장(50)rsquo이 압도적이었다 더불어 한 달 간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lsquo1만 원 이상(72)rsquo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이것은 실제 생활수준에 대비하여 높은 소비량이므로 대만의 화장품 시장 전망이 밝다고 할 수 있다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부분은 lsquo성능(46)rsquo이었는데 이는 스타트업 기업 중소기업에게 유리한 조건이다 메이크업 방법을 얻는 방법으로는 lsquo인터넷(44)rsquo과 lsquo친구(30)rsquo가 높은 비율을 차지했는데 판촉활동으로는 인터넷을 활용한 SNS 홍보 바이럴 마케팅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가장 관심있는 화장 컨셉은 lsquo청순rsquo 이었고 이것은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와 맞물려 우리나라와 비슷한 메이크업 방법을 추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3 -

10 대만 명소 소개 (명소음식행사숙소 소개)

10-1 고궁박물관

대만 고궁박물원은 영국의 대영 박물관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 미국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과 함께 세계 4대 박물관으로 손꼽힐 만큼 세계적은 소장 문물을 자랑한다 건물 규모는 그다지 크지 않지만 소장한 문물의 질과 양은 세계 최상급이다 중화 보물 중에서도 최고의 보물들이 모여 있어 진귀하기 그지없고 수량 역시 워낙 방대하여 3개월 단위로 1만여점을 돌아가면서 전시해도 다보려면 10년이 넘게 걸린다고 전해지고 있다 중국의 국공내전 당시 장제스가 이끌던 중국 국민당이 전쟁에서 패하며 중국을 탈출해 대만으로 향했다 당시 장제스는 난징에 있던 정부를 타이페이로 이전하면서 자금성에 보관되어있던 중국역대 왕조 보물 수십만 점을 배를 이용해 운반해 왔다 중국의 유물을 가진 자가 진정한 통치자라고 생각했던 장제스는 ldquo공산군에게 영토는 내줘도 문화유산만큼은 내줄 수 없다ldquo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대표적인 유물은 취옥배추 육형석 모공정 산씨반 등이 있다

10-2 용산사

루강의 초입에 있는 이 사찰은 타이완에서 가장 오래되고 아름답다고 하여 타이완의 자금성이라고 부른다 각 건물의 기둥 벽 그리고 천장 등에 새겨진 조각은 특히 빼어나다 이 조각상과 함께 이곳의 명물로 알려진 것은 사찰 경내에 있는 2마리의 용상인데 삼천전 앞마당 좌우에 서서 룽산사를 호위하고 있다

10-3 타이페이 101 빌딩

타이베이 101빌딩rsquo이라 부르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로서 빌딩 모습은 하늘로 뻗어나가는 대나무 위에 꽃잎이 겹겹이 포개진 형상이다 본래 타이베이 금융기관이 모인 건물이지만 대형 쇼핑센터와 푸드코트 고급 레스토랑이 있어 여행자들이 많이 찾는다 건물에는 8개 마디가 있는데 이는 중화 문화권에서 부와 번영을 의미하는 숫자 lsquo8rsquo을 염두에 둔 것이다 타이베이 시내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는 높이 508m로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히는 높은 건물이다 지상 1~5층에는 소고 백화점 뷰티 플라자 애버뉴 101 등 다양한 패션∙뷰티용품을 구입할 수 있는 상점이 있다 또한 레스토랑 시티 스퀘어 대형 서점 등 쇼핑과 오락 식사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복합시설이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4 -

잘 알려진 식당으로는 딘 타이 펑(Din Tai Fung) 이 있다 101타워 지하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샤오롱바오(고기만두) 새우 샤오마이(새우만두) 탄탄면(우육면)이 가장 대표적인 메뉴이며 대만에 방문한 많은 사람들이 찾는 식당이다

10-4 지우펀

대만여행의 백미로 꼽히는 지우펀은 타이페이시 북부의 루이팡 지역의 작은 산골 마을로 과거에는 아홉가구만 살고 있어서 지우펀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예전에는 작은 산골 마을에 불과 했지만 이 지역에서 금맥이 발견되면서 호황을 맞이하게 된다 특히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일본풍의 건물들이 남아 있어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결합된 독특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비탈길을 따라 하늘로 이어진 예스러운 건물 그리고 골목마다 빨간 홍등과 함께 묻어나는 옛 풍경은 여행객들에게 인기 여행지이다

10-5 스린야시장

타이베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야시장 가운데 하나이다 독특하면서도 다양한 전통 먹을거리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이곳을 찾는 관광객이 많다 시장 부근에 학교가 많아 학생들이 많이 찾으며 포장마차 등의 노점상이 많아 가격도 저렴하다 칭런샹[情人巷]에는 가구 의류 액세서리 사진현상점 애완용품점 등이 모여 있어 학생뿐 아니라 관광객들도 자주 찾는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5 -

10-6 예류 지질 공원

타이완 북해안에 자리한 예류는 해수욕장과 온천 기암괴석으로 유명한 관광지다 특히 예류지질공원은 희귀한 모형의 바위와 암석이 모여 있어 예류 관광의 필수코스로 꼽힌다 작은 곶으로 된 예류지질공원은 침식과 풍화 작용을 거쳐 자연적으로 형성된 기암을 보러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지질공원으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것이 선상암 군락이다 암석 하나하나의 모습은 마치 거대한 버섯이 큰 머리로 하늘을 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선상암 가운데 가장 유명한 암석은 이집트 왕비의 옆모습을 닮은 여왕 두상 바위다

10-7 스펀(Shifen)

스펀(十分)은 옛 광산마을로써 천으로 만든 등이 유명하다 또한 이 곳 스펀은 대만 최대의 폭포 스펀(SE-FEN) 폭포가 있다 미니기차와 천으로 만든 등을 날릴 수도 있다 마을의 한가운데 긴 철길이 놓여 있고 30분에 한 대씩 기차가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것도 볼 수가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6 -

10-8 진과스(金瓜石)

진과스(金瓜石)는 타이완 타이베이 근교에 있는 옛 탄광 유적이다 20세기 전반에 금 채굴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20세기 후반에 금이 차차 고갈되기 시작하자 점점 위축되어 폐광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관광 명소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하루에도 수백명이 들렀다 가는 대만의 대표 관광지이다 진과스 내에 있는 황금 박물관에는 220kg 의 금이 전시 되어 있는데 손을 넣어 직접 만져 볼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진과스에서는 과거 광부들이 먹었던 도시락을 그대로 만들어 판매하는 광부 도시락도 굉장히 인기가 많다

10-9 국립 성공대학

대만의 타이난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1931년에 개교하였다 2010년 QS대학순위에서 283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대만 대학중 2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총 9개의 캠퍼스로 이루어져 있어 굉장히 큰 면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만 교육청에서 인정한 9개의 주요대학 중 하나이고 대만 기업체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학이다 이공계열이 가장 뛰어나며 중문 역사 법학 경제학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10 시먼딩

타이베이시에 위치한 시먼딩은 한국의 명동과 같은 거리이다 대한민국의 명동에도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과 외국인이 많다고 알려져 있는데 시먼딩 또한 명동 못지않은 다양함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대만의 패션과 놀이 문화 음식 등을 한눈에 경험 할 수 있는 공간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7 -

10-11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

중정기념당은 타이완 총통 장제스(蔣介石)를 기리는 전당이다 lsquo중정rsquo은 장제스의 본명이다 그가 서거한 후 1980년 기념당을 세웠다 25만에 이르는 넓은 중정공원 안에 우뚝 선 높이 70m의 기념물이 중정기념당이다 기념당 1층에는 장제스 생애를 엿볼 수 있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거대한 장제스 동상은 항상 근위병이 동상 앞을 지키고 있다 중정공원 안에는 중정기념당 외에 국립 희극원과 국립 음악청이 있는데 이곳에서 연극과 콘서트를 한다 공원 조경 또한 잘 조성되어 있어 산책하며 천천히 둘러보기에 좋다

10-12 안핑지구(安平地區)

대만의 문화와 역사는 안핑지구에서 시작되었다 안핑구바오는 17세기 중엽 네덜란드인들이 지은 요새로 정성공이 빼앗아 번영하다가 황폐해져 지금은 보루의 대부분이 없어지고 설탕과 굴껍데기와 찹쌀가루를 버무려 만든 빨간벽돌로 된 장벽(臺灣城殘蹟)만이 남아 나무뿌리와 존립의 사투를 벌이고 있다 감시탑 옆 건물 안에는 네덜란드와 정성공의 전투에 대한 이야기와 중세갑옷 등이 전시 중이다 이 주변에는 대만에서 가장 오래된 상업거리 옌핑제(延平街)가 있는데 옛 명성이 다한 거리의 골목 사이사이 수백년 된 가옥을 구경하는 것도 소소한 즐거움이다 1867년 영국인 상점과 물류창고로 이용하던 건물에 노용수(老榕樹)가 멋대로 자라 건물을 집어삼키듯 뒤덮은 나무집으로 불리는 안핑수우도 안핑지구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진귀한 볼거리다

10-13 미라마 관람차

대만에서 가장 큰 관람차로 알려져 있는 미라마 관람차는 타이페이 시의 야경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관람차 크기가 큰 것으로 유명하지만 가격 또한 저렴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유스트래블 카드를 이용하면 50 할인이 적용되므로 꼭 지참하도록 하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8 -

lt미라마 관람차 티켓gt lt유스트래블 카드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9 -

11 시사점 및 차후 활용계획 (LGC 프로그램을 통한 구체적인 효과 및 연구결과)

11-1 LGC 프로젝트 만족도

구분 항목 전 후 한줄 평

사업단

프로젝트 취지- 린튼 글로벌 학과와 경영정보학과 학생들이 함께

하는 프로젝트 해외시장탐방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사전교육 활동- 출국 전 각 나라에 대한 유의사항 안전교육이 체

계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개략적인 보고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었다

행정지원 절차- CK사업단 린튼 글로벌 학과 경영정보학과 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히 되지 않아 사전 계획에서 많은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협동력 향상- 출발 전 잦은 팀 회의와 8박 9일 간에 일정에도

불구하고 불화 없이 좋은 분위기 속에서 프로젝트를 완수 했다

추진력 향상- 일정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 한 점 추가 자료조

사를 위해 현지에서 새로운 일정을 추가 됐을 때 팀원들이 일사불란하게 따라주었다

문제해결 능력- 교통편 문제와 기업 측 내부 문제로 일부 일정에

변동이 있었지만 신속한 조율과 전화 통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개인

동기부여 자극- 현지인들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국어 영어 능

력의 필요성을 실감했다 특히 중국어는 소통 유무에 따라 현지 반응이 극명하게 갈렸다

진로설계 도움- 프로젝트 전에 비해 새로운 직업 분야에 대한 관심

이 증가했다

취업능력 향상-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한 내용을 살려 구술 면접이

나 자기소개서 작성에 참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11-2 LGC프로젝트 연구 결과 - 대만 시장

⓵ 중국시장을 주목하는 대만 화장품 기업- EST팀은 현지 대만 화장품 기업으로 SISDORA와 WABFENIX를 선택했다 두 회사를 선정한 배경에는

명확한 의도를 두고 정했다 SISDORA는 설립한 지 10년이 넘는 회사로 직접 화장품을 개발 및 연구하고 판매하는 중소기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과 주름개선 크림으로 중년 여성을 타깃 층으로 하는 화장품 회사다 반면 WABFENIX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스타트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 이지만 기술개발 보다는 디자인 마케팅에 중점을 두었고 판매 층도 10대-20대의 젊은 층을 타깃 층으로 한다 시장 전략이 완연히 다른 두 기업이 유일하게 공통점이 있다면 중국시장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선정 이유에는 많은 인구의 소비력을 꼽지만 뒤이어 언급하는 이야기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자사 제품의 경쟁력 약화를 말한다 현재 대만 기업 대부분은 내수 시장 대신에 중국을 겨냥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국가 산업 특성상 제조amp연구 분야가 강세인 대만에서는 중국 바이어 또는 미국 유럽 바이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직접 판매 보다는 기술 협력을 통해 이익을 창출한다고 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0 -

⓶ 대만 시장을 점령한 한국 화장품

- 앞서 말했듯이 2012년 이후부터 급속히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한국 화장품은 대만 시장을 점령하고 있다 이미 시먼딩에 들어서면 다양한 한국 화장품 매장이 눈에 띌 만큼 들어섰으며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중앙 광장에 입점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매장 안에는 많은 대만 사람들이 화장품을 보고 있는 광경을 흔히 본다 화장품 매장을 이용하는 연령층은 주로 10대-20대들이다 화장품 가격이 한국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주 애용하는 이유는 한류 열풍으로 인한 한국 연예인들에 대한 관심과 화장법이 크게 유행하고 있음을 현지 설문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⓷ 체감할 수 있을 만큼 커다란 한류열풍

- 뉴스에서만 듣던 한류 이야기를 대만에서 직접 느낄 수 있을 정도로 한류열풍은 크다 특히 삼성이나 LG의 TV나 스마트폰은 어딜 가든 항상 보이고 한국 화장품 선물에 대한 반응이 무척이나 뜨겁다 원활한 현지 조사를 위하여 사은품으로 준비한 한국 마스크 팩 100개는 오히려 현지인들이 참여 의사를 표현할 만큼 열정적이었다 일부 대만 사람 중에는 어디서 왔냐는 질문에 한국이라는 답변을 하니 같이 사진 찍기를 제안하기도 했다

⓸ 중소기업에게 있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는 대만 시장진출- 대만 시장 진출에 앞서 한국 화장품 중소기업이라면 전략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크게 대만 시장을 겨냥

할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할지 선택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3CE는 한국 화장품 회사다 대만에서 젊은 연령층이 자주 이용하고 이미 대만 내에서는 유명하다 3CE는 오프라인 매장 없이 순수 온라인 매장으로 운영하면서 대만 사람들을 위한 전용 웹사이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윤을 창출 하고 있다 신중해야 할 점은 현재 온라인 오프라인 등 한국 화장품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신규 진입에 있어서 장벽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대만 시장을 활용한다면 동남아 시장까지 한 번에 내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출입통관 절차가 간단하고 관세가 낮기 때문에 중소기업에게 유리하다 아직까지 중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1 -

에 대한 직접적인 수출이 가능한 곳은 상해나 항주 같이 중국에서 허가한 무역항 도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내륙까지 시장을 확대하기는 불가능하지만 같은 언어권인 대만을 거치면 보다 쉽게 바이어나 에이전트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인맥을 통한 꽌시와 수수료 명목으로 뒷돈을 요구하는 중국 바이어의 관행은 자금 순환이 원활치 않은 중소기업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11-3 LGC 프로젝트 종합 의견 및 전망

우리 lsquoEST팀은 출국 전 국내 화장품 시장 조사를 할 때 대덕 밸리 스타트업 기업 셀아이콘 랩의 영향으로 대만의 화장품 산업에 대해 큰 관심과 가능성을 보고 2015년 1월 5일부터 1월 13일까지 8박9일이라는 시간동안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 나라 중에 하나인 대만에서 rsquo대만의 화장품 시장lsquo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사를 했다 대만에서는 3개의 기업 (KOTRA SISDORA WABFENIX) 을 방문해 전반적인 대만의 화장품 시장과 판매전략 한류에 대한 보다 사실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1개의 대학 (국립성공대학 國立成功大學)에서 MBA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또 타이난에서는 대만에서 오랫동안 사업하시는 한인협회 회장을 만나 PLC (Product Life Cycle)를 통해 대만에서의 특정 시장이 도입기에 있는지 또 어떠한 시장이 쇠퇴기에 놓여있는지 다양한 시야에서 대만시장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노력은 CK 사업단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교육부 CK-1 프로젝트의 일부인 Linton Global Challenge는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몇 년을 내다보는 지속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기업들과 더욱 더 활발한 교류와 연구를 한다면 기업과 CK 사업단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리라고 본다

1 개인 탐방 후기 (팀원 개인 소감)

1-1 개인 탐방 후기

강성민탐방 후기 기업 컨택 부터 인터뷰 일정 계획까지 8박 9일간의 대만 화장품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 출국 전까지 준비 과정부터 탈도 많았고 대만에 와서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 원하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매일이 항상 회의와 고민의 연속이었다 하루하루 충실히 계획을 진행시켜 나갔고 좋은 팀 분위기 속에서 무사히 대만 프로

부록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2 -

젝트를 완수했다 그리고 마침내 한국으로 돌아왔다 과정은 항상 오르막 길이였지만 돌이켜 보면 마지막 대학 시절을 기념할만한 좋은 추억이자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느끼는 바가 많았던 프로젝트로 기억 될 것이다

김은진탐방 후기 글로벌 챌린지를 한마디로 정의하라고 한다면 도종환 시인의 lsquo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lsquo라는 시가 떠오른다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대만기업컨택 설문조사 등 많은 것을 경험했다 처음엔 모든 것이 나에겐 버거운 산이라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도전이 계속 될수록 이젠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이 모든 도전들에 흥미가 생겼다 나 자신도 책임감과 자신감이 생기고 한층 성숙해 진 것을 내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소중한 동료와 추억은 평생 나의 가슴속에 남을 것이다 우린 앞으로도 많이 도전하고 경험하여 우리들의 삶이 활짝 만개하리라 다짐한다 끊임없이 도전하는 20대의 청춘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프로그램이었다 김종선탐방 후기 한국에서 준비하면서 조사했던 내용과 비교하며 인터뷰를 해보니 실제로 많이 다른 부분도 있었고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 비슷한 내용도 있었다 현지의 기업들을 방문해 우리가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직접 매장에 가서 느껴보니 앉아서 컴퓨터만 볼 때랑 많이 달랐다 그리고 직접 대만인들에게 설문조사를 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그리고 대만의 실제 문화와 환경 그들의 생활을 잠시나마 볼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

구명우탐방 후기 며칠간의 꿈만 같았던 대만에서의 시간이 지나갔다 대만으로 출국하기 전 사전조사 기간에는 확신이 없었다 사전조사와 기업과의 인터뷰 그리고 9일간의 일정조율 및 숙박과 모든 대만에서의 연구와 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보고서까지 무엇하나 확신이 드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도전과 해결능력을 배웠고 아시아에서 급성장 중인 대만에 대해서 배우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다음기수로 가게 될 관심 있는 학우들에게 진심으로 추천해주고 싶다

이규현탐방 후기 CK-1 프로그램 중 하나인 lsquo린튼 글로벌 챌린지lsquo 프로그램을 통해 약 8박 9일이라는 시간 동안 emerging market 중 하나인 대만에 거주하면서 한국 화장품의 대만시장 점유율과 진출 가능성을 몸으로 체감하고 자료들을 모아 통계 내어 정리할 수 있었다 우리 팀 lsquoEST가 성공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충분한 국내조사 기간을 갖고 대만의 화장품 회사들을 방문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대만의 특정한 기업을 찾기도 어려웠고 기업 컨택은 번번히 거절당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회사 두 군데에서는 답장조차 오지 않았고 설문조사할 때에는 반한감정의 대만인을 만나 고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팀의 단결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리더의 통솔력으로 정해진 스케줄대로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회사를 방문하고 학교교수를 만나고 길거리에서 설문조사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팀원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또한 대학생으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을 한 것 같아서 스스로도 너무 뿌듯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팀을 믿고 지지해주신 LGSB 교수님들과 CK-1 프로그램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영은탐방 후기 처음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렇게 준비는 열심히 하지만 정말 우리가 계획한 100대로 대만을 다녀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기우가 무색하게도 대만은 우리에게 기획안 그 이상의 것들을 보여주었다 사장님들의 생생한 사업 이야기와 대만의 색채가 묻어있는 아이템들 하며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여 알아보는 비즈니스 마켓의 현장은 나에게 두고두고 잊지 못할 자산으로 남았다 또한 펑리수 버블티를 비롯한 대만의 맛있는 먹거리들과 스린 야시장이나 지우펀 같은 명소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열심히 고생해준 팀원들과의 추억들도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3 -

이서우탐방 후기 이번 글로벌 첼린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서 쉽게 할 수 없는 해외 기업 탐방과 해당 국가의 산업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임효진탐방 후기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팀이 대만을 방문 한다고 했을 때 많이 의아해 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만을 직접 방문해보고 많은 사업자들을 만난 결과 대만은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라고 생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아직 공산주의라는 정치적 특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다른 곳보다 훨씬 어렵지만 대만은 자유시장체제 이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쉽다 특히 외국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만 시장에서 한국제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추고 중국 시장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성공가능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그리고 대만의 바이어들을 통해 중국의 시장진출을 하게 된다면 사업자가 직접 중국시장에 진출 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성공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만은 문화적으로 다른 아시아권보다 선진화 되었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대도시에 속하지만 모두다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골고루 섞여 대만만의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차안호탐방 후기 9박 10일간의 대만을 다녀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넓고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이번 대만 여행은 처음으로 경험한 해외여행 경험이여서 그런지 순탄치 않은 면도 있었지만 팀원들 서로가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만시장은 중국시장으로 가기위한 좋은 시험의 장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대만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영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더 나아가 미래에는 중국어야말로 영어와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성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또 하나 놀란 점은 대만이 반 한류 감정을 많이 갖고 있는 줄 알았지만 대부분의 대만 일반 시민들이 굉장히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에 놀랐고 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CK-1 사업의 챌린지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대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계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보완점 및 건의사항 (문제점개선책건의사항)

2-1 기업 컨택의 어려움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에 있는 기업과 연결하여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대해서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조사 및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시간을 내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로써 그들의 귀한시간이 아깝게 쓰이지 않을 것을 강조하여 만남을 만들어야 한다

2-2 사업단과 의사소통의 불편함

Challeng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CK-1 사업단과의 지속되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가령 누군가를 통해서 전해지는 소문이나 촉박한 시간을 제시하고 일 처리를 원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단과 각 팀의 대표간의 분명한 의사소통과 증빙자료 등이 필요하다

2-3 정보 부재 이번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이머징 마켓에서의 유망 산업 조사 및 연구였다 대만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22: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2 -

1300 ~ 1530 SISDORA 방문 및 인터뷰1600 ~ 1800 101타워 퍼스널 트레이닝 센터 방문1800 ~ 1930 저녁식사 - 카렌 레스토랑1930 ~ 2000 숙소로 이동2000 ~ 2100 개인 휴식2100 ~ 223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7(수) 타이페이

시간 일정0900 기상

0900 ~ 113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30 ~ 120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200 ~ 1250 점심식사 - 키키 레스토랑1250 ~ 1300 시먼딩 이동1300 ~ 1530 화장품 설문조사1530 ~ 1830 한국 화장품 매장 제품 조사1830 ~ 1900 야시장 이동(MRT)1900 ~ 2000 저녁식사 ndash 야시장 음식2000 ~ 2030 숙소로 이동2030 ~ 2130 개인 휴식2130 ~ 2300 팀 회의 및 일일 예산 정리

230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8(목) 타이페이 ~ 타이난

시간 일정0830 기상

0830 ~ 110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100 ~ 1200 체크아웃 및 고속철도역 이동1200 ~ 1340 타이페이 rarr 타이난 이동1340 ~ 1400 짐 보관 및 인터뷰 장소 물색1400 ~ 1600 가오슝 한인협회장 인터뷰1600 ~ 1700 숙소도착 및 짐정리1700 ~ 1800 개인 휴식1800 ~ 1900 저녁식사 - 새우롤2000 ~ 2230 중간 정리 및 보고서 작성

22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09(금) 타이난

시간 일정0800 기상

0830 ~ 0900 아침 식사0900 ~ 1130 타이난 일정 브리핑 및 팀 미팅1130 ~ 1210 타이난 시내로 이동(TAXI)1210 ~ 1320 점심식사 - 스시1320 ~ 1350 성공대학 이동(도보)1350 ~ 1700 성공대학 방문1700 ~ 1800 성공대학 캠퍼스 탐방 및 대학원생들과 대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3 -

1800 ~ 1830 저녁식사 - 대만 전통 음식점1830 ~ 1900 타이난 RT마트 이동(도보)1900 ~ 2030 RT 마트 장보기2030 ~ 2100 숙소로 이동2100 ~ 2200 개인 휴식2200 ~ 2330 팀 회의 및 예산 정리

23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12(월) 타이페이

시간 일정0800 기상

0800 ~ 0900 아침식사(호텔 조식 제공-선택)0900 ~ 1130 호텔 개인시간1130 ~ 123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230 ~ 130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300 ~ 1600 Wabfenix 방문 및 인터뷰1600 ~ 1630 간식 - 망고차차1630 ~ 1700 시먼딩 이동(MRT)1700 ~ 1830 화장품 설문조사 활동1830 ~ 1930 저녁 식사 - 코코이찌방야2030 ~ 2130 개인 휴식2130 ~ 2300 팀 회의 및 예산 정리

230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13(화) 대만 ~ 인천공항

시간 일정0800 기상

0800 ~ 0900 아침 식사0900 ~ 1130 짐정리1130 ~ 1200 체크아웃1300 ~ 1400 점심식사 - 스시(시먼딩)1400 ~ 1430 쑹산 공항 이동(TAXI)1430 ~ 1530 시먼딩 rarr 쑹산공항1530 ~ 1730 출국 대기1730 ~ 2100 대만 출국 rarr 대한민국

2100 대한민국 입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4 -

7 방문 기업 소개 (인터뷰 내용)

7-1 대만 KOTRA

-2015년 1월 5일 월요일 1630~1800 인터뷰-위치 台北市 基隆路 1段 333號 22樓 14室(2214室) Intl Trade Building 22층-전화 (886-2)2725-2324 -팩스(886-2) 2757-7240

Q대만에 대하여 간단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우선 대만은 남한의 13의 해당하는 영토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구역시 남한에 비해 적은 2천 3백만 명 정도이며 기후는 아열대 몬순 기후권으로 비교적 따듯한 날씨입니다여러분이 대만에 와보셔서 알겠지만 대체로 습한느낌을 받으셨을 탠대 대만은 겨울에도 남한만큼은 춥지 않습니다 언어는 주로 중국어를 사용하며 문자는 중국과 살짝 다른 번자체를 사용합니다1인당 GDP는 2013년 기준 20984 달러 정도이며 산업구조는 제조업과 도소매업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Q현재 우리나라의 어떤 기업들이 대만에 진출해 있는지 궁금합니다

A최근에는 화장품을 주력 제품으로 아모레퍼시픽등 화장품 대기업들이 타이페이 시내에 로드샵을 많이 개점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대만은 제조업과 도소매업이 주를 이루다 보니 20~30년 전부터 진출한 기업들이 계속해서 입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주로 삼성물산 현대종합상사 LG상사 LG전자등 대기업이 주를 이루고 있고 우리나라 기업은 1년에 한 기업정도 대만에 진출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Q그렇다면 대기업을 제외한 중소기업들이 대만시장에 진출하지 않는 이유가 따로 있습니까

A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아무래도 중국시장이 개방을 하면서 인 것 같습니다 기존에 진출해있는 기업들은 과거 대만이 인프라 구축이 미흡했을 당시 해외투자를 많이 받으면서 비교적 좋은 조건으로 대만에 진출하고 인프라 구축등 사업을 진행하면서 기반을 다졌을 겁니다 그 기반으로 지금까지 대만시장에 진출해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중소기업의 경우는 해외투자가 너무 모험적이며 대만 시장과 중국의 시장을 비교하여 봤을 때 인구가 차이가 약 8배 정도 나며 중국에 비해 비교적 작은 시장이라고 느껴 대만보다는 중국에 많이 진출하는 것 같습니다

Q마지막 질문으로 만약 우리나라 중소기업이 대만시장에 진출할 때 유의해야 할 점이나 좋은 팁이 있을까요

A대만 시장에 완전히 진출해야겠다는 생각보다는 중국이나 다른 중화권 나라의 진출하기전 시험의 장소로 생각하고 진출해보는 것은 나쁘지 않다 생각 합니다 아무래도 대만의 인구가 많은 편이 아니다보니 불리한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5 -

조건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이나 다른 큰 중화권 시장으로 진출하기 전에 언어나 문화 중화권사람들의 사고방식등 여러방면에서 시험해 볼 수 있는 좋은 장소는 틀림없습니다 중소기업이 대만시장에 진출할 때는 코트라를 이용하여 각종 정보나 현지 인프라등을 이용하는 것 또한 하나의 방법이며 무엇보다 중화권의 문화와 중화권 대중들의 생각을 잘 공부하고 언어를 습득하여 오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7-2 SISDORA luxury beauty care

-1월 6일 화요일 1300~1530 인터뷰 1600~1800 101타워 퍼스널트레이닝 센터-주소 No9Aly 10Ln265Sec 4Xinyi RdDaan Dist Taipei City 106-대표 Mr Chung-Cheng Lee -전화886-2-27040889-URL httpwwwsisdoracom

Q 간략한 회사 소개와 SISDORA의 유래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A Isadora는 고대 이집트의 가장 강력한 여신의 이름입니다 Sisdora는 이 여신의 이름을 따서 만든 브랜드 이름입니다 이집트의 고대 여신인 Isadora의 이시스는 선물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고 생명과 건강 아름다움을 담당하는 여신으로도 유명합니다 저희 SISDORA는 비슷한 동음 이의어로 동양의lsquoISIS(이시스)rsquo라는 단어가 있어 브랜드 명을 SISDORA로 정하게 되었습니다Q Sisdora 제품 소개 부탁드립니다

A저희 제품은 안티에이징 미백 마스크 제품을 주력으로 하고 있습니다 동일 제품군을 비교해 봤을 때 가격 및 품질은 상위에 속하는 최상품의 제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마스크 팩 대부분은 종이섬유로 제조하는 반면 저희 Sisdora는 누에의 실(실크)로 만든 마스크 팩 입니다 실크마스크 팩을 제조할 때에는 피부 건강에 좋은 약재 및 약초등을 배합하여 제조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피부에 자극적인 향로를 첨가하지 않았고 수분이 빠르게 흡수 될 수 있습니다 덕분에 저희 마스크 팩을 사용하는 고객들은 부드럽고 산뜻한 느낌을 받으실 수 있을 겁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6 -

Q 귀하의 회사는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어떤 마케팅을 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A 저희는 해마다 대만 타이페이 글로벌 미스코리아 대회에 제품을 협찬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대만 유명 가수들과 함께 제품을 결합시킨 뮤직비디오를 제작하여 마케팅에 힘쓰고 있습니다뿐만 아니라 제품의 품질인증을 바탕으로 러시아 중국 동남아 지역에 진출하는대 힘쓰고 있습니다 저희 제품은 대만 내에서 스킨케어 제품으로써 유일하게 지정 브랜드 수상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저희는 주로 매스컴이나 인터넷을 통한 마케팅이나 엔터테이먼트 컨벤션 산업을 활용하여 마케팅을 하고 있습니다

Q 그렇다면 대한민국의 화장품 제품이 대만에 진출해 있는데 대한민국 화장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는 어떤지 궁금합니다

A 최근 5년 사이에 한국의 드라마 음악등 한류를 타고 대만에도 많은 한국 제품이 등장하였습니다 하지만 대만에는 오래전부터 수입화장품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이탈리아의 산타 마리아 노벨라 프랑스의 아이젠버그등 명품 화장품 브랜드가 오래전부터 입점해 현지 화장품시장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 때문인지 한국 화장품의 인지도는 크게 높지는 않습니다 아무래도 유럽 브랜드 그 다음으로 대만 기업의 브랜드 그 다음으로 한국의 화장품 브랜드 순으로 인지도가 형성되어 있다고 생각됩니다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한국화장품은 다른 명품 화장품들의 가격보다 저렴하고 성능이나 효과 면에서 절대 뒤처지지 않아 한류가 지속되고 마케팅이 잘 이루어진다면 충분히 유럽의 명품화장품의 인지도를 뛰어 넘을 수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Q 한국의 중소기업의 화장품이 대만 시장에 진출하는 것에 대해서는 어떤 의견을 갖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A 한국의 대기업 화장품 브랜드가 아닌 중소기업의 화장품 브랜드가 대만에 진출하는 것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겁니다 하지만 저희 회사도 중소기업으로 시작하여 마케팅 전략을 잘 활용 하여 많이 성장하였습니다 아무래도 한국의 중소기업의 화장품이 대만에 진출하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있겠지만 어떤 마케팅 전략을 선택하느냐가 가장 중요하고 마케팅이 잘 이루어지고 입소문이 퍼진다면 한국의 중소기업 화장품 또한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7 -

7-3 가오슝 한인협회

-1월 8일 목요일 1400~1600 인터뷰-주소 高雄市鼓山區二路37巷弄43-2號(고웅시고산구이로37항81롱43-2호)-대표 尹桓鎬(윤환호) HP 0932-740-538 -電話 07-5211933 -傅眞 07-5214031

Q 대만과 한국과의 무역 관계가 어떠한지 궁금합니다

A 한국과 대만과의 무역은 크게 활발하게 이루어 질 수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대만의 시장 자체가 매우 작기 때문에 대만에 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국내 시장이나 다른 큰 해외 시장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대만 시장을 거쳐서 동남아나 중국 시장으로 진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여서 기존에 존재하는 대기업이나 저처럼 오래 전부터 이민한 분들이 소규모로 중개무역을 하고 있는 정도입니다

Q 현재 한인협회 회장님께서 직접적으로 하는 일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현재 저는 한국의 화장품을 수입하여 대만 현지 기업에게 판매하는 중개무역을 하고 있습니다 대만에 온지 20년이 넘었는데 이런 저런 일을 하다가 기회가 되어 이쪽 일을 하게 되었는데요 처음에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인식이 없어 가격은 비싸고 품질의 보증은 되어 있지 않은 제품이라 소비가 크게 늘지 않았는데 한류 열풍이 불고 한국 드라마의 성공과 그 배우들이 광고하는 화장품의 수요가 크게 늘어 몇 년 전부터 시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Q 한국과 대만과 중국의 관계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해 주세요

A 앞서 말씀 드린 것 같이 한국의 기업은 대만을 통하여 중국 시장의 진출을 위하여 대만 시장을 많이 찾습니다 그 이유는 한국 기업이 대만 시장을 통해서 제품을 인정받는다면 대만과 중국은 같은 언어권의 나라로 대만기업을 통해 중국으로의 활로를 개척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왜 이렇게 돌아서 진출을 하려고 물으셨는데 그것은 쉽게 말해서 말이 잘 통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의 중국어를 잘 구사하는 사람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보다는 대만의 사람이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주고 인정을 해준다면 더욱 쉽게 자리를 잡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8 -

Q 스타트 기업의 대만 진출 성공여부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중소기업이 대만에 들어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현재 한국 내에서의 위치를 높이는데 주력하는 것이 좀 더 낫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대만은 아주 뛰어난 기술력을 가지고 있지만 자체 제품을 생산하지 않습니다 예로 Apple에서 전체 아이디어를 미국에서 한다면 그 아이디어 실행은 대만에서 이루어집니다 그리고 제품의 생산은 대부분 중국에서 이루어 지구요 이렇듯 대만의 기술력과 제품에 대한 이해가 빠르기 때문에 수입을 많이 의존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중소기업이 들어와서 제품을 판매한다 쉽게 성공할 수 없죠

Q 회장님께서는 중국과의 중개무역은 생각하고 있으시지 않습니까

A 네 저는 지금의 생활에 만족하고 있습니다 지금 저의 파트너들과의 관계도 좋고 따로 중국 진출은 생각하고 있지 않습니다 만약에 제가 중국을 진출하게 된다면 현재의 기업들과도 경쟁상대가 되어 저는 생각이 없습니다

7-4 국립성공대학(國立成功大學)

-1월 9일 1350~1700 인터뷰-주소 701 臺南市東區大學路1號-연락처06-2757575 -홈페이지 wwwnckuedutw

대만 국립 성공대학은 931년 타이난에 설립된 이공계 명문 대학입니다 국립성공대학은 66개의 캠퍼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각 캠퍼스마다 특징과 분위기가 다릅니다 우리 국립성공대학은 ldquo북대대 남성공(北臺大 南成功)rdquo 이라는 말이 있듯이 역사는 대만대학의 바로 다음갑니다

국립성공대학의 이름의 의미는 성공은 무엇을 성취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대만의 민족영웅인 정성공(鄣成功)을 기념하기 위한 대학이라는 뜻입니다 성공대학은 정성공이 있던 역사명승 적감루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해 있기도 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9 -

이후 인터뷰로 대만의 소개와 간단한 전공 소개가 있었다

7-5 WABFENIX RENIX GLORY GLORIA GUA

-1월 12일 월요일 1300~1500 인터뷰-주소 14F-1 No420 Sec 4 Xinyi Rd Xinyi Dist Taipei City 110 Taiwan (ROC)-대표 Mr KEN -전화886-5569-0555-URL httpswwwfacebookcomrenixfanspage httpwwwwabfenixcom

Q Wabfenix가 어떤 기업인지 소개 해주세요

A 저희 회사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으로 현재는 매장은 없지만 개발한 제품을 바탕으로 사업을 진행 중이고 대만현지에 저희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저희 회사는 제품의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화장품을 개발하여 대만시장 뿐만 아니라 중국시장의 진출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Q 귀하의 제품은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제품이라 하셨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제품 등이 있습니까

A 우선 Heymore 제품군의 블랙 마스크 팩과 Renix 제품군의 일반 마스크 팩을 출시했습니다Heymore의 경우 선물용임을 부각시키기 위해 디자인에 특히 많은 투자를 하였습니다 중국 중산층을 겨냥한 제품으로 가격대 1봉지에 한화 ₩40000 정도로 높게 책정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가격을 높게 측정한 이유에는 중국 화장품 소비문화 속에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 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에 저가 보급형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0 -

제품인 Renix와 차별을 두는 판매 전략을 선택하였습니다 현재 판매되는 제품은 마스크 팩을 주력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Q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인데 중국을 대상으로 어떤 진출 전략을 갖고 있습니까

A중국에서 열리는 화장품 전시회 화장품 엑스포 행사 바이어 미팅 등 꾸준히 참가중이며 바이어들에게 저희 제품을 어필하고 있습니다 물론 신생기업인 만큼 아직 중국 내에서 뚜렷한 판매 실적을 기록하진 못했지만 타 화장품 기업들과 다른 마케팅 방식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디자인이나 제품의 아이디어를 강조하고 있는데 대표 적인 상품으로 오뚝이 모양을 한 화장품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이 오뚝이 제품을 바이어들에게 어필해 보았는데 대단히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Q 해외시장 마케팅과 대만 시장마케팅의 차이점이 있습니까

A 우선 중국에서의 마케팅은 행사나 전시회에 참여하고 바이어들을 개인적으로 만나는 것에 치중해 있다면 국내 대만시장의 마케팅 전략은 페이스북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대만은 중국에 비해 SNS가 많이 발달되어 있어 자금이 많이 들어가지 않는 SNS마케팅을 하고 있고 각종 자선행사에 참여하여 저희 기업을 홍보하고 있습니다

Q 귀사의 제품을 중국보다 비싼 인건비가드는 대만 제조공장에서 생산하는 겁니까

A타이중에 소재하는 공장에서 마스크를 제조 하고 있습니다 인건비가 비싼 것은 대만 수도인 타이페이에만 주로 해당이 됩니다 지방 소도시에서도 외곽으로 들어가면 저렴한 인건비와 공장 가동비용으로도 제조가 가능 합니다 굳이 중국에 제조공장을 갖지 않는 이유는 신생기업이라 자금문제도 있지만 대만은 OEMampODM에 특화된 국가이기 때문에 품질 좋은 다양한 제품주문이 가능하고 중국 사람들에게도 자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 보다 외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가 더 좋기 때문에 대만에서 생산한 뒤 수출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Q 대만에 한국 화장품 기업이 진출한다면 어떠한 마케팅 전략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 생각 하십니까

A 이미 대만에 한국의 화장품 제품들이 많이 들어와 있습니다 하지만 대만 자체의 화장품 기업들이 기존에 많은 시장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성공을 거두기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최근 한국에 대한 이미지가 많이 좋아졌고 한국의 영화나 드라마 등이 많이 알려지면서 인지도가 높아졌습니다 한국의 대기업의 경우 이러한 대규모 마케팅을 할 수 있으므로 큰 무리가 없겠지만 한국의 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한다면 최종 시장 공략 층은 대만이 아닌 중국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대만은 중화권으로 가기 위한 연결다리라고 생각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또한 중소기업은 큰 마케팅 비용을 부담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대만에서는 SNS나 각종 자선 행사에 참여하여 인지도를 높이는 것을 추천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1 -

Q 같은 제품이지만 대만과 중국에서 판매할 때 가격 책정이 다른 이유가 무엇인가요

A 그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해드리자면 국가마다 소비 성향이나 구매 능력 환율 경제 상황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경영 에서는 가격 차별화(Price discrimination)이라 부르는데요 각 나라의 시장 특성에 적정한 가격대를 책정해서 제품을 판매하는 전략입니다 혹시 중국 상류층이 몇 명인지 알고 있나요 제가 알기로는 대만 인구의 2배인 4000만 명이라는군요 아마도 한국 인구랑 비슷한 규모 일겁니다 게다가 중산층은 약 4억 명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4억 명의 중국 소비자들이 우리 제품을 1개씩만 구입 한다면hellip 상상만 해도 엄청 나겠죠 이야기를 하다 보니 다른 쪽으로 빠졌는데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이야기하면 물론 좋은 제품을 모든 곳에 저렴하게 제공 하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 그러나 항상 시장에서 저렴한 제품만이 성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대만이나 한국처럼 고도의 산업화가 이루어지고 시장이 크게 발전한 안정적인 단계는 좋은 제품이라도 가격 경쟁력에 신경 써야 합니다 왜냐하면 소비자들이 똑똑하기 때문에 정보력이 넓고 합리적인 소비를 지향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가격 성능 디자인 등 많은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중국 시장은 대만이나 한국과는 특성이 다릅니다 저렴하다고 해서 많이 제품이 많이 팔리기 보다는 가격대가 어느 정도 있는 제품일수록 또는 가격대가 높을수록 소비자들이 관심을 보입니다 대체적으로 중국 소비자들은 lsquo저렴한 제품은 품질이 낮거나 효능이 좋지 않은 제품일거야rsquo 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 때문에 화장품 박람회나 전시회에 저가 화장품을 가져와 홍보하더라도 중국 바이어나 소비자들은 큰 관심을 주지 않습니다 처음에 말했듯이 중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2 -

국 소비문화가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라는 심리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Wabfenix의 경우에는 신생기업이라 많은 투자 금액이 없을 뿐 더러 대만 화장품 시장에 진출하기에는 리스크가

크고 진입 장벽이 높습니다 그리고 이미 한국 화장품 기업들이 대부분 점유를 한 상황이기 때문에 대만 내수시장에만 집중하기에는 경쟁력이 부족하죠 그래서 중국을 주력 수출시장으로 삼고 있는데요 저희는 제품 성능 보다는 소비자의 이목을 끌 수 있는 디자인에 더 많은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중국에 Wabfenix만의 화장품 선물 문화를 정착 시키는 것이 목적인데요 높은 제품 가격만큼 소비자의 관심을 끌 수 있고 선물 문화나 꽌시(关系)가 많은 중국 문화 특성에 맞추어 선물용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중국 시장은 현재 젊은 중산층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품질이 낮은 화장품 보다는 수입 화장품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점으로 미루어볼 때 높은 가격 차별화와 Wabfenix만의 디자인 마케팅은 좋은 경쟁력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3 -

8 현지 시장조사 활동 (시장동향사진설문조사 자료)

8-1 시먼딩 설문조사

목적 대만 사람들의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및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대상 10대~20대 여성 및 화장품 전문매장 종사자장소 시먼딩시간 2015년 1월 7일 12일 총 두 차례에 걸쳐 진행방법 ①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 판넬에 국가별로 메이크업 사진을 표시하고 스티커를 붙이는 방식으로 투표함 공정성을 위해 국가 이름은 블라인드로 처리하였고 모두 동일 인물의 사진을 사용함②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표본집단을 50명으로 설정함 설문조사가 끝나면 사은품으로 한국 브랜드 마스크팩 증정함

8-2 사전 기획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판넬 기획도gt

化妝辦法喜好度的調查화장법 선호도 조사

大家給自己喜歡的化妝貼貼紙 여러분이 선호하는 메이크업에 스티커를 붙여 주세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4 -

대만의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안녕하십니까

다음의 내용은 대만 화장품 트렌드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자 관련조사를 실시하고자 하오니

있는 그대로의 생각을 기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귀하의 응답은 통계적 목적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본 설문은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물음에 대한 답변이나 해당란에 v 표를 해 주십시오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7) ② 화장품 전문매장(34) ③ 마트(5) ④ 홈쇼핑(2)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합계 총 50 명

바쁘신 시간에 의견을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지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5 -

8-3 설문조사 활동

lt2015년 1월 7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6 -

lt2015년 1월 12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7 -

lt활동 결과 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8 -

9 설문조사 통계 분석 (설문조사 응답 수분석결과)

9-1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결과gt

설문 조사 질문지 양식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12)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③ 마트(5) ④ 홈쇼핑(6)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9 -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gt

9-2 설문조사 항목 별 의견 및 추측

설문 조사 질문지 항목 (최다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② 20 ~ 25세 (13)

0

5

10

15

20

25

30

20대 이하 20세~24세 25세~29세 30세~39세 40대 이상

rarr 시먼딩은 대만의 홍대거리라 불리는 lsquo융캉제rsquo나 서울의 lsquo명동rsquo과 같이 젊은 층이 주로 활동하는 지역이다 설문조사 중에도 교복이나 체육복을 입은 학생들과 길거리에서 쇼핑을 즐기는 20대가 즐비할 만큼 활기 있는 거리다 덥고 습한 대만 기후 특성 상 과거엔 화장법이 크게 발전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국의 자연스러운 화장법이 큰 인기를 끌면서 시먼딩에 화장품 거리가 조성되어 있을 만큼 유동 인구가 많다 이 점으로 추측해보았을 때 압도적으로 10대와 20대 층이 많은 응답 수를 기록했다고 본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0 -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051015202530

온라인 화장품전문매장 마트 홈쇼핑 방문판매

rarr 대만 또한 한국과 비슷하게 시내에 많은 수의 화장품 전문매장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접근성이 굉장히 높았다 더불어 각 화장품 매장에서는 상품 할인과 같은 각종 프로모션을 진행하기 때문에 구매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 구매한다는 대답도 높은 편이었는데 거의 대부분이 와이파이존이어서 어디서나 인터넷을 한 활발히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온라인에서의 구매율도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0

5

10

15

20

25

30

NT$300 미만 NT$300~NT899 NT$900~NT$1499 NT$1500~NT2999 NT$3000

rarr 응답자들은 대부분이 한 달 간 화장품에 쓰는 돈을 최저 1만원 이상(NT$300 이상)이라고 답했는데 이는 70가 넘어가는 결과로 화장품에 대한 지출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만원 이상이라고 대답한 응답자들 또한 4분의 1을 넘기는데 이것은 젊은 연령층부터 시작하여 최근 피부 관리와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대만의 소비 수준에 대비하여 화장품 소비율이 높은 것도 이 때문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1 -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③ 성능(23)

051015202530

가격 디자인 성능 화장품 모델 브랜드

rarr 아열대 기후에 속하는 대만은 높은 기온과 습한 날씨 탓에 에어컨 환경에 자주 노출돼 피부 수분을 잃기 쉬워 기능성 화장품의 소비가 두드러진다 대만 화장품 시장은 토너 세럼 에센스 로션 크림 등의 모든 스킨케어 제품들이 보습기능을 강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백이나 안티에이징 리프팅 저자극 오일프리(Oil-free) 등의 기능까지 추가된 스킨케어 제품들이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조 화장품 소비가 늘어난 것은 최근 몇 년 들어 다양한 화장품 브랜드 접촉기회가 많아지고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젊은 여성의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색조화장품 또한 메이크업베이스와 BB크림 립스틱과 같은 베이스 메이크업이 수요가 많았다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④인터넷(22)

0

5

10

15

20

25

30

TV 잡지 친구 인터넷 메이크업샵

rarr 최근 빠른 인터넷망과 스마트폰 태블릿PC의 보급으로 인해 사람들과 사람사이의 연결망이 견고히 형성되고 있고 이것이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방법을 얻는 경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만 소비자들은 주로 인터넷 블로그 가족과 친구로부터 메이크업 정보를 획득 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만의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이므로 입소문마케팅과 판매를 바로바로 할 수 있는 유통구조가 도움이 될 것 같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2 -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0

5

10

15

20

25

30

청순 독특 귀여움 섹시

rarr 앞서 살펴보았듯이 대만은 한국과 비슷한 메이크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이것은 곧 청순한 메이크업 컨셉에 관심 있어 한다는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실제로 대만 여성소비자들은 깨끗한 피부 NATURAL한 베이스메이크업을 선호한다 한 듯 안 한 듯 자연스럽고 깨끗한 느낌의 한국식 lsquo생얼rsquo 화장법은 대만에서 한국 드라마 열풍과 함께 유명세를 타기 시작해 현지 각종 온라인 뷰티 사이트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래서 응답의 대부분이 한 곳에 치우쳤고 비교적 개성 있는 메이크업 방법이 드물 것이라는 것을 유추해낼 수 있다

본 설문 조사를 통한 한국 화장품 기업에 대한 시사점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수입 절차로 오랜 시간을 허비해야 하는 반면 대만은 자외선 차단제 성분 함유 제품과 약용 화장품을 제외한 일반 화장품은 별도의 수입 검사 없이 수입할 수 있으므로 대개 중국보다 1~2년 먼저 신상품이 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한류 효과를 겨냥한 중화권 화장품 시장으로 대만을 우선 공략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대만은 대부분이 화장품에 대한 소비를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고 한국 화장품이 많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시장 접근법만 제대로 수립하면 매출이 나는 구조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대만인들이 선호하는 메이크업 방법이 한국과 비슷하기 때문에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은 마케팅 방안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최종분석설문 조사 대상은 대부분 10대~20대의 연령층이었으며 화장품의 주된 구입경로는 lsquo온라인(24)rsquo과 lsquo화장품 전문매장(50)rsquo이 압도적이었다 더불어 한 달 간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lsquo1만 원 이상(72)rsquo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이것은 실제 생활수준에 대비하여 높은 소비량이므로 대만의 화장품 시장 전망이 밝다고 할 수 있다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부분은 lsquo성능(46)rsquo이었는데 이는 스타트업 기업 중소기업에게 유리한 조건이다 메이크업 방법을 얻는 방법으로는 lsquo인터넷(44)rsquo과 lsquo친구(30)rsquo가 높은 비율을 차지했는데 판촉활동으로는 인터넷을 활용한 SNS 홍보 바이럴 마케팅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가장 관심있는 화장 컨셉은 lsquo청순rsquo 이었고 이것은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와 맞물려 우리나라와 비슷한 메이크업 방법을 추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3 -

10 대만 명소 소개 (명소음식행사숙소 소개)

10-1 고궁박물관

대만 고궁박물원은 영국의 대영 박물관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 미국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과 함께 세계 4대 박물관으로 손꼽힐 만큼 세계적은 소장 문물을 자랑한다 건물 규모는 그다지 크지 않지만 소장한 문물의 질과 양은 세계 최상급이다 중화 보물 중에서도 최고의 보물들이 모여 있어 진귀하기 그지없고 수량 역시 워낙 방대하여 3개월 단위로 1만여점을 돌아가면서 전시해도 다보려면 10년이 넘게 걸린다고 전해지고 있다 중국의 국공내전 당시 장제스가 이끌던 중국 국민당이 전쟁에서 패하며 중국을 탈출해 대만으로 향했다 당시 장제스는 난징에 있던 정부를 타이페이로 이전하면서 자금성에 보관되어있던 중국역대 왕조 보물 수십만 점을 배를 이용해 운반해 왔다 중국의 유물을 가진 자가 진정한 통치자라고 생각했던 장제스는 ldquo공산군에게 영토는 내줘도 문화유산만큼은 내줄 수 없다ldquo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대표적인 유물은 취옥배추 육형석 모공정 산씨반 등이 있다

10-2 용산사

루강의 초입에 있는 이 사찰은 타이완에서 가장 오래되고 아름답다고 하여 타이완의 자금성이라고 부른다 각 건물의 기둥 벽 그리고 천장 등에 새겨진 조각은 특히 빼어나다 이 조각상과 함께 이곳의 명물로 알려진 것은 사찰 경내에 있는 2마리의 용상인데 삼천전 앞마당 좌우에 서서 룽산사를 호위하고 있다

10-3 타이페이 101 빌딩

타이베이 101빌딩rsquo이라 부르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로서 빌딩 모습은 하늘로 뻗어나가는 대나무 위에 꽃잎이 겹겹이 포개진 형상이다 본래 타이베이 금융기관이 모인 건물이지만 대형 쇼핑센터와 푸드코트 고급 레스토랑이 있어 여행자들이 많이 찾는다 건물에는 8개 마디가 있는데 이는 중화 문화권에서 부와 번영을 의미하는 숫자 lsquo8rsquo을 염두에 둔 것이다 타이베이 시내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는 높이 508m로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히는 높은 건물이다 지상 1~5층에는 소고 백화점 뷰티 플라자 애버뉴 101 등 다양한 패션∙뷰티용품을 구입할 수 있는 상점이 있다 또한 레스토랑 시티 스퀘어 대형 서점 등 쇼핑과 오락 식사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복합시설이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4 -

잘 알려진 식당으로는 딘 타이 펑(Din Tai Fung) 이 있다 101타워 지하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샤오롱바오(고기만두) 새우 샤오마이(새우만두) 탄탄면(우육면)이 가장 대표적인 메뉴이며 대만에 방문한 많은 사람들이 찾는 식당이다

10-4 지우펀

대만여행의 백미로 꼽히는 지우펀은 타이페이시 북부의 루이팡 지역의 작은 산골 마을로 과거에는 아홉가구만 살고 있어서 지우펀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예전에는 작은 산골 마을에 불과 했지만 이 지역에서 금맥이 발견되면서 호황을 맞이하게 된다 특히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일본풍의 건물들이 남아 있어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결합된 독특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비탈길을 따라 하늘로 이어진 예스러운 건물 그리고 골목마다 빨간 홍등과 함께 묻어나는 옛 풍경은 여행객들에게 인기 여행지이다

10-5 스린야시장

타이베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야시장 가운데 하나이다 독특하면서도 다양한 전통 먹을거리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이곳을 찾는 관광객이 많다 시장 부근에 학교가 많아 학생들이 많이 찾으며 포장마차 등의 노점상이 많아 가격도 저렴하다 칭런샹[情人巷]에는 가구 의류 액세서리 사진현상점 애완용품점 등이 모여 있어 학생뿐 아니라 관광객들도 자주 찾는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5 -

10-6 예류 지질 공원

타이완 북해안에 자리한 예류는 해수욕장과 온천 기암괴석으로 유명한 관광지다 특히 예류지질공원은 희귀한 모형의 바위와 암석이 모여 있어 예류 관광의 필수코스로 꼽힌다 작은 곶으로 된 예류지질공원은 침식과 풍화 작용을 거쳐 자연적으로 형성된 기암을 보러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지질공원으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것이 선상암 군락이다 암석 하나하나의 모습은 마치 거대한 버섯이 큰 머리로 하늘을 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선상암 가운데 가장 유명한 암석은 이집트 왕비의 옆모습을 닮은 여왕 두상 바위다

10-7 스펀(Shifen)

스펀(十分)은 옛 광산마을로써 천으로 만든 등이 유명하다 또한 이 곳 스펀은 대만 최대의 폭포 스펀(SE-FEN) 폭포가 있다 미니기차와 천으로 만든 등을 날릴 수도 있다 마을의 한가운데 긴 철길이 놓여 있고 30분에 한 대씩 기차가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것도 볼 수가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6 -

10-8 진과스(金瓜石)

진과스(金瓜石)는 타이완 타이베이 근교에 있는 옛 탄광 유적이다 20세기 전반에 금 채굴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20세기 후반에 금이 차차 고갈되기 시작하자 점점 위축되어 폐광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관광 명소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하루에도 수백명이 들렀다 가는 대만의 대표 관광지이다 진과스 내에 있는 황금 박물관에는 220kg 의 금이 전시 되어 있는데 손을 넣어 직접 만져 볼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진과스에서는 과거 광부들이 먹었던 도시락을 그대로 만들어 판매하는 광부 도시락도 굉장히 인기가 많다

10-9 국립 성공대학

대만의 타이난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1931년에 개교하였다 2010년 QS대학순위에서 283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대만 대학중 2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총 9개의 캠퍼스로 이루어져 있어 굉장히 큰 면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만 교육청에서 인정한 9개의 주요대학 중 하나이고 대만 기업체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학이다 이공계열이 가장 뛰어나며 중문 역사 법학 경제학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10 시먼딩

타이베이시에 위치한 시먼딩은 한국의 명동과 같은 거리이다 대한민국의 명동에도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과 외국인이 많다고 알려져 있는데 시먼딩 또한 명동 못지않은 다양함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대만의 패션과 놀이 문화 음식 등을 한눈에 경험 할 수 있는 공간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7 -

10-11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

중정기념당은 타이완 총통 장제스(蔣介石)를 기리는 전당이다 lsquo중정rsquo은 장제스의 본명이다 그가 서거한 후 1980년 기념당을 세웠다 25만에 이르는 넓은 중정공원 안에 우뚝 선 높이 70m의 기념물이 중정기념당이다 기념당 1층에는 장제스 생애를 엿볼 수 있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거대한 장제스 동상은 항상 근위병이 동상 앞을 지키고 있다 중정공원 안에는 중정기념당 외에 국립 희극원과 국립 음악청이 있는데 이곳에서 연극과 콘서트를 한다 공원 조경 또한 잘 조성되어 있어 산책하며 천천히 둘러보기에 좋다

10-12 안핑지구(安平地區)

대만의 문화와 역사는 안핑지구에서 시작되었다 안핑구바오는 17세기 중엽 네덜란드인들이 지은 요새로 정성공이 빼앗아 번영하다가 황폐해져 지금은 보루의 대부분이 없어지고 설탕과 굴껍데기와 찹쌀가루를 버무려 만든 빨간벽돌로 된 장벽(臺灣城殘蹟)만이 남아 나무뿌리와 존립의 사투를 벌이고 있다 감시탑 옆 건물 안에는 네덜란드와 정성공의 전투에 대한 이야기와 중세갑옷 등이 전시 중이다 이 주변에는 대만에서 가장 오래된 상업거리 옌핑제(延平街)가 있는데 옛 명성이 다한 거리의 골목 사이사이 수백년 된 가옥을 구경하는 것도 소소한 즐거움이다 1867년 영국인 상점과 물류창고로 이용하던 건물에 노용수(老榕樹)가 멋대로 자라 건물을 집어삼키듯 뒤덮은 나무집으로 불리는 안핑수우도 안핑지구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진귀한 볼거리다

10-13 미라마 관람차

대만에서 가장 큰 관람차로 알려져 있는 미라마 관람차는 타이페이 시의 야경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관람차 크기가 큰 것으로 유명하지만 가격 또한 저렴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유스트래블 카드를 이용하면 50 할인이 적용되므로 꼭 지참하도록 하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8 -

lt미라마 관람차 티켓gt lt유스트래블 카드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9 -

11 시사점 및 차후 활용계획 (LGC 프로그램을 통한 구체적인 효과 및 연구결과)

11-1 LGC 프로젝트 만족도

구분 항목 전 후 한줄 평

사업단

프로젝트 취지- 린튼 글로벌 학과와 경영정보학과 학생들이 함께

하는 프로젝트 해외시장탐방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사전교육 활동- 출국 전 각 나라에 대한 유의사항 안전교육이 체

계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개략적인 보고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었다

행정지원 절차- CK사업단 린튼 글로벌 학과 경영정보학과 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히 되지 않아 사전 계획에서 많은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협동력 향상- 출발 전 잦은 팀 회의와 8박 9일 간에 일정에도

불구하고 불화 없이 좋은 분위기 속에서 프로젝트를 완수 했다

추진력 향상- 일정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 한 점 추가 자료조

사를 위해 현지에서 새로운 일정을 추가 됐을 때 팀원들이 일사불란하게 따라주었다

문제해결 능력- 교통편 문제와 기업 측 내부 문제로 일부 일정에

변동이 있었지만 신속한 조율과 전화 통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개인

동기부여 자극- 현지인들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국어 영어 능

력의 필요성을 실감했다 특히 중국어는 소통 유무에 따라 현지 반응이 극명하게 갈렸다

진로설계 도움- 프로젝트 전에 비해 새로운 직업 분야에 대한 관심

이 증가했다

취업능력 향상-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한 내용을 살려 구술 면접이

나 자기소개서 작성에 참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11-2 LGC프로젝트 연구 결과 - 대만 시장

⓵ 중국시장을 주목하는 대만 화장품 기업- EST팀은 현지 대만 화장품 기업으로 SISDORA와 WABFENIX를 선택했다 두 회사를 선정한 배경에는

명확한 의도를 두고 정했다 SISDORA는 설립한 지 10년이 넘는 회사로 직접 화장품을 개발 및 연구하고 판매하는 중소기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과 주름개선 크림으로 중년 여성을 타깃 층으로 하는 화장품 회사다 반면 WABFENIX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스타트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 이지만 기술개발 보다는 디자인 마케팅에 중점을 두었고 판매 층도 10대-20대의 젊은 층을 타깃 층으로 한다 시장 전략이 완연히 다른 두 기업이 유일하게 공통점이 있다면 중국시장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선정 이유에는 많은 인구의 소비력을 꼽지만 뒤이어 언급하는 이야기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자사 제품의 경쟁력 약화를 말한다 현재 대만 기업 대부분은 내수 시장 대신에 중국을 겨냥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국가 산업 특성상 제조amp연구 분야가 강세인 대만에서는 중국 바이어 또는 미국 유럽 바이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직접 판매 보다는 기술 협력을 통해 이익을 창출한다고 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0 -

⓶ 대만 시장을 점령한 한국 화장품

- 앞서 말했듯이 2012년 이후부터 급속히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한국 화장품은 대만 시장을 점령하고 있다 이미 시먼딩에 들어서면 다양한 한국 화장품 매장이 눈에 띌 만큼 들어섰으며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중앙 광장에 입점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매장 안에는 많은 대만 사람들이 화장품을 보고 있는 광경을 흔히 본다 화장품 매장을 이용하는 연령층은 주로 10대-20대들이다 화장품 가격이 한국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주 애용하는 이유는 한류 열풍으로 인한 한국 연예인들에 대한 관심과 화장법이 크게 유행하고 있음을 현지 설문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⓷ 체감할 수 있을 만큼 커다란 한류열풍

- 뉴스에서만 듣던 한류 이야기를 대만에서 직접 느낄 수 있을 정도로 한류열풍은 크다 특히 삼성이나 LG의 TV나 스마트폰은 어딜 가든 항상 보이고 한국 화장품 선물에 대한 반응이 무척이나 뜨겁다 원활한 현지 조사를 위하여 사은품으로 준비한 한국 마스크 팩 100개는 오히려 현지인들이 참여 의사를 표현할 만큼 열정적이었다 일부 대만 사람 중에는 어디서 왔냐는 질문에 한국이라는 답변을 하니 같이 사진 찍기를 제안하기도 했다

⓸ 중소기업에게 있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는 대만 시장진출- 대만 시장 진출에 앞서 한국 화장품 중소기업이라면 전략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크게 대만 시장을 겨냥

할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할지 선택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3CE는 한국 화장품 회사다 대만에서 젊은 연령층이 자주 이용하고 이미 대만 내에서는 유명하다 3CE는 오프라인 매장 없이 순수 온라인 매장으로 운영하면서 대만 사람들을 위한 전용 웹사이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윤을 창출 하고 있다 신중해야 할 점은 현재 온라인 오프라인 등 한국 화장품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신규 진입에 있어서 장벽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대만 시장을 활용한다면 동남아 시장까지 한 번에 내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출입통관 절차가 간단하고 관세가 낮기 때문에 중소기업에게 유리하다 아직까지 중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1 -

에 대한 직접적인 수출이 가능한 곳은 상해나 항주 같이 중국에서 허가한 무역항 도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내륙까지 시장을 확대하기는 불가능하지만 같은 언어권인 대만을 거치면 보다 쉽게 바이어나 에이전트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인맥을 통한 꽌시와 수수료 명목으로 뒷돈을 요구하는 중국 바이어의 관행은 자금 순환이 원활치 않은 중소기업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11-3 LGC 프로젝트 종합 의견 및 전망

우리 lsquoEST팀은 출국 전 국내 화장품 시장 조사를 할 때 대덕 밸리 스타트업 기업 셀아이콘 랩의 영향으로 대만의 화장품 산업에 대해 큰 관심과 가능성을 보고 2015년 1월 5일부터 1월 13일까지 8박9일이라는 시간동안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 나라 중에 하나인 대만에서 rsquo대만의 화장품 시장lsquo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사를 했다 대만에서는 3개의 기업 (KOTRA SISDORA WABFENIX) 을 방문해 전반적인 대만의 화장품 시장과 판매전략 한류에 대한 보다 사실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1개의 대학 (국립성공대학 國立成功大學)에서 MBA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또 타이난에서는 대만에서 오랫동안 사업하시는 한인협회 회장을 만나 PLC (Product Life Cycle)를 통해 대만에서의 특정 시장이 도입기에 있는지 또 어떠한 시장이 쇠퇴기에 놓여있는지 다양한 시야에서 대만시장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노력은 CK 사업단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교육부 CK-1 프로젝트의 일부인 Linton Global Challenge는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몇 년을 내다보는 지속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기업들과 더욱 더 활발한 교류와 연구를 한다면 기업과 CK 사업단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리라고 본다

1 개인 탐방 후기 (팀원 개인 소감)

1-1 개인 탐방 후기

강성민탐방 후기 기업 컨택 부터 인터뷰 일정 계획까지 8박 9일간의 대만 화장품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 출국 전까지 준비 과정부터 탈도 많았고 대만에 와서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 원하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매일이 항상 회의와 고민의 연속이었다 하루하루 충실히 계획을 진행시켜 나갔고 좋은 팀 분위기 속에서 무사히 대만 프로

부록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2 -

젝트를 완수했다 그리고 마침내 한국으로 돌아왔다 과정은 항상 오르막 길이였지만 돌이켜 보면 마지막 대학 시절을 기념할만한 좋은 추억이자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느끼는 바가 많았던 프로젝트로 기억 될 것이다

김은진탐방 후기 글로벌 챌린지를 한마디로 정의하라고 한다면 도종환 시인의 lsquo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lsquo라는 시가 떠오른다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대만기업컨택 설문조사 등 많은 것을 경험했다 처음엔 모든 것이 나에겐 버거운 산이라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도전이 계속 될수록 이젠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이 모든 도전들에 흥미가 생겼다 나 자신도 책임감과 자신감이 생기고 한층 성숙해 진 것을 내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소중한 동료와 추억은 평생 나의 가슴속에 남을 것이다 우린 앞으로도 많이 도전하고 경험하여 우리들의 삶이 활짝 만개하리라 다짐한다 끊임없이 도전하는 20대의 청춘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프로그램이었다 김종선탐방 후기 한국에서 준비하면서 조사했던 내용과 비교하며 인터뷰를 해보니 실제로 많이 다른 부분도 있었고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 비슷한 내용도 있었다 현지의 기업들을 방문해 우리가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직접 매장에 가서 느껴보니 앉아서 컴퓨터만 볼 때랑 많이 달랐다 그리고 직접 대만인들에게 설문조사를 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그리고 대만의 실제 문화와 환경 그들의 생활을 잠시나마 볼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

구명우탐방 후기 며칠간의 꿈만 같았던 대만에서의 시간이 지나갔다 대만으로 출국하기 전 사전조사 기간에는 확신이 없었다 사전조사와 기업과의 인터뷰 그리고 9일간의 일정조율 및 숙박과 모든 대만에서의 연구와 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보고서까지 무엇하나 확신이 드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도전과 해결능력을 배웠고 아시아에서 급성장 중인 대만에 대해서 배우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다음기수로 가게 될 관심 있는 학우들에게 진심으로 추천해주고 싶다

이규현탐방 후기 CK-1 프로그램 중 하나인 lsquo린튼 글로벌 챌린지lsquo 프로그램을 통해 약 8박 9일이라는 시간 동안 emerging market 중 하나인 대만에 거주하면서 한국 화장품의 대만시장 점유율과 진출 가능성을 몸으로 체감하고 자료들을 모아 통계 내어 정리할 수 있었다 우리 팀 lsquoEST가 성공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충분한 국내조사 기간을 갖고 대만의 화장품 회사들을 방문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대만의 특정한 기업을 찾기도 어려웠고 기업 컨택은 번번히 거절당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회사 두 군데에서는 답장조차 오지 않았고 설문조사할 때에는 반한감정의 대만인을 만나 고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팀의 단결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리더의 통솔력으로 정해진 스케줄대로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회사를 방문하고 학교교수를 만나고 길거리에서 설문조사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팀원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또한 대학생으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을 한 것 같아서 스스로도 너무 뿌듯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팀을 믿고 지지해주신 LGSB 교수님들과 CK-1 프로그램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영은탐방 후기 처음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렇게 준비는 열심히 하지만 정말 우리가 계획한 100대로 대만을 다녀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기우가 무색하게도 대만은 우리에게 기획안 그 이상의 것들을 보여주었다 사장님들의 생생한 사업 이야기와 대만의 색채가 묻어있는 아이템들 하며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여 알아보는 비즈니스 마켓의 현장은 나에게 두고두고 잊지 못할 자산으로 남았다 또한 펑리수 버블티를 비롯한 대만의 맛있는 먹거리들과 스린 야시장이나 지우펀 같은 명소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열심히 고생해준 팀원들과의 추억들도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3 -

이서우탐방 후기 이번 글로벌 첼린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서 쉽게 할 수 없는 해외 기업 탐방과 해당 국가의 산업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임효진탐방 후기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팀이 대만을 방문 한다고 했을 때 많이 의아해 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만을 직접 방문해보고 많은 사업자들을 만난 결과 대만은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라고 생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아직 공산주의라는 정치적 특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다른 곳보다 훨씬 어렵지만 대만은 자유시장체제 이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쉽다 특히 외국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만 시장에서 한국제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추고 중국 시장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성공가능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그리고 대만의 바이어들을 통해 중국의 시장진출을 하게 된다면 사업자가 직접 중국시장에 진출 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성공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만은 문화적으로 다른 아시아권보다 선진화 되었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대도시에 속하지만 모두다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골고루 섞여 대만만의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차안호탐방 후기 9박 10일간의 대만을 다녀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넓고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이번 대만 여행은 처음으로 경험한 해외여행 경험이여서 그런지 순탄치 않은 면도 있었지만 팀원들 서로가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만시장은 중국시장으로 가기위한 좋은 시험의 장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대만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영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더 나아가 미래에는 중국어야말로 영어와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성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또 하나 놀란 점은 대만이 반 한류 감정을 많이 갖고 있는 줄 알았지만 대부분의 대만 일반 시민들이 굉장히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에 놀랐고 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CK-1 사업의 챌린지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대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계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보완점 및 건의사항 (문제점개선책건의사항)

2-1 기업 컨택의 어려움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에 있는 기업과 연결하여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대해서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조사 및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시간을 내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로써 그들의 귀한시간이 아깝게 쓰이지 않을 것을 강조하여 만남을 만들어야 한다

2-2 사업단과 의사소통의 불편함

Challeng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CK-1 사업단과의 지속되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가령 누군가를 통해서 전해지는 소문이나 촉박한 시간을 제시하고 일 처리를 원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단과 각 팀의 대표간의 분명한 의사소통과 증빙자료 등이 필요하다

2-3 정보 부재 이번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이머징 마켓에서의 유망 산업 조사 및 연구였다 대만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23: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3 -

1800 ~ 1830 저녁식사 - 대만 전통 음식점1830 ~ 1900 타이난 RT마트 이동(도보)1900 ~ 2030 RT 마트 장보기2030 ~ 2100 숙소로 이동2100 ~ 2200 개인 휴식2200 ~ 2330 팀 회의 및 예산 정리

233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12(월) 타이페이

시간 일정0800 기상

0800 ~ 0900 아침식사(호텔 조식 제공-선택)0900 ~ 1130 호텔 개인시간1130 ~ 1230 일정 정리 및 팀 미팅1230 ~ 1300 타이베이 시내 이동(MRT)1300 ~ 1600 Wabfenix 방문 및 인터뷰1600 ~ 1630 간식 - 망고차차1630 ~ 1700 시먼딩 이동(MRT)1700 ~ 1830 화장품 설문조사 활동1830 ~ 1930 저녁 식사 - 코코이찌방야2030 ~ 2130 개인 휴식2130 ~ 2300 팀 회의 및 예산 정리

2300 ~ 하루 정리 및 취침

날짜 지역113(화) 대만 ~ 인천공항

시간 일정0800 기상

0800 ~ 0900 아침 식사0900 ~ 1130 짐정리1130 ~ 1200 체크아웃1300 ~ 1400 점심식사 - 스시(시먼딩)1400 ~ 1430 쑹산 공항 이동(TAXI)1430 ~ 1530 시먼딩 rarr 쑹산공항1530 ~ 1730 출국 대기1730 ~ 2100 대만 출국 rarr 대한민국

2100 대한민국 입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4 -

7 방문 기업 소개 (인터뷰 내용)

7-1 대만 KOTRA

-2015년 1월 5일 월요일 1630~1800 인터뷰-위치 台北市 基隆路 1段 333號 22樓 14室(2214室) Intl Trade Building 22층-전화 (886-2)2725-2324 -팩스(886-2) 2757-7240

Q대만에 대하여 간단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우선 대만은 남한의 13의 해당하는 영토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구역시 남한에 비해 적은 2천 3백만 명 정도이며 기후는 아열대 몬순 기후권으로 비교적 따듯한 날씨입니다여러분이 대만에 와보셔서 알겠지만 대체로 습한느낌을 받으셨을 탠대 대만은 겨울에도 남한만큼은 춥지 않습니다 언어는 주로 중국어를 사용하며 문자는 중국과 살짝 다른 번자체를 사용합니다1인당 GDP는 2013년 기준 20984 달러 정도이며 산업구조는 제조업과 도소매업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Q현재 우리나라의 어떤 기업들이 대만에 진출해 있는지 궁금합니다

A최근에는 화장품을 주력 제품으로 아모레퍼시픽등 화장품 대기업들이 타이페이 시내에 로드샵을 많이 개점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대만은 제조업과 도소매업이 주를 이루다 보니 20~30년 전부터 진출한 기업들이 계속해서 입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주로 삼성물산 현대종합상사 LG상사 LG전자등 대기업이 주를 이루고 있고 우리나라 기업은 1년에 한 기업정도 대만에 진출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Q그렇다면 대기업을 제외한 중소기업들이 대만시장에 진출하지 않는 이유가 따로 있습니까

A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아무래도 중국시장이 개방을 하면서 인 것 같습니다 기존에 진출해있는 기업들은 과거 대만이 인프라 구축이 미흡했을 당시 해외투자를 많이 받으면서 비교적 좋은 조건으로 대만에 진출하고 인프라 구축등 사업을 진행하면서 기반을 다졌을 겁니다 그 기반으로 지금까지 대만시장에 진출해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중소기업의 경우는 해외투자가 너무 모험적이며 대만 시장과 중국의 시장을 비교하여 봤을 때 인구가 차이가 약 8배 정도 나며 중국에 비해 비교적 작은 시장이라고 느껴 대만보다는 중국에 많이 진출하는 것 같습니다

Q마지막 질문으로 만약 우리나라 중소기업이 대만시장에 진출할 때 유의해야 할 점이나 좋은 팁이 있을까요

A대만 시장에 완전히 진출해야겠다는 생각보다는 중국이나 다른 중화권 나라의 진출하기전 시험의 장소로 생각하고 진출해보는 것은 나쁘지 않다 생각 합니다 아무래도 대만의 인구가 많은 편이 아니다보니 불리한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5 -

조건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이나 다른 큰 중화권 시장으로 진출하기 전에 언어나 문화 중화권사람들의 사고방식등 여러방면에서 시험해 볼 수 있는 좋은 장소는 틀림없습니다 중소기업이 대만시장에 진출할 때는 코트라를 이용하여 각종 정보나 현지 인프라등을 이용하는 것 또한 하나의 방법이며 무엇보다 중화권의 문화와 중화권 대중들의 생각을 잘 공부하고 언어를 습득하여 오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7-2 SISDORA luxury beauty care

-1월 6일 화요일 1300~1530 인터뷰 1600~1800 101타워 퍼스널트레이닝 센터-주소 No9Aly 10Ln265Sec 4Xinyi RdDaan Dist Taipei City 106-대표 Mr Chung-Cheng Lee -전화886-2-27040889-URL httpwwwsisdoracom

Q 간략한 회사 소개와 SISDORA의 유래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A Isadora는 고대 이집트의 가장 강력한 여신의 이름입니다 Sisdora는 이 여신의 이름을 따서 만든 브랜드 이름입니다 이집트의 고대 여신인 Isadora의 이시스는 선물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고 생명과 건강 아름다움을 담당하는 여신으로도 유명합니다 저희 SISDORA는 비슷한 동음 이의어로 동양의lsquoISIS(이시스)rsquo라는 단어가 있어 브랜드 명을 SISDORA로 정하게 되었습니다Q Sisdora 제품 소개 부탁드립니다

A저희 제품은 안티에이징 미백 마스크 제품을 주력으로 하고 있습니다 동일 제품군을 비교해 봤을 때 가격 및 품질은 상위에 속하는 최상품의 제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마스크 팩 대부분은 종이섬유로 제조하는 반면 저희 Sisdora는 누에의 실(실크)로 만든 마스크 팩 입니다 실크마스크 팩을 제조할 때에는 피부 건강에 좋은 약재 및 약초등을 배합하여 제조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피부에 자극적인 향로를 첨가하지 않았고 수분이 빠르게 흡수 될 수 있습니다 덕분에 저희 마스크 팩을 사용하는 고객들은 부드럽고 산뜻한 느낌을 받으실 수 있을 겁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6 -

Q 귀하의 회사는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어떤 마케팅을 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A 저희는 해마다 대만 타이페이 글로벌 미스코리아 대회에 제품을 협찬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대만 유명 가수들과 함께 제품을 결합시킨 뮤직비디오를 제작하여 마케팅에 힘쓰고 있습니다뿐만 아니라 제품의 품질인증을 바탕으로 러시아 중국 동남아 지역에 진출하는대 힘쓰고 있습니다 저희 제품은 대만 내에서 스킨케어 제품으로써 유일하게 지정 브랜드 수상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저희는 주로 매스컴이나 인터넷을 통한 마케팅이나 엔터테이먼트 컨벤션 산업을 활용하여 마케팅을 하고 있습니다

Q 그렇다면 대한민국의 화장품 제품이 대만에 진출해 있는데 대한민국 화장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는 어떤지 궁금합니다

A 최근 5년 사이에 한국의 드라마 음악등 한류를 타고 대만에도 많은 한국 제품이 등장하였습니다 하지만 대만에는 오래전부터 수입화장품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이탈리아의 산타 마리아 노벨라 프랑스의 아이젠버그등 명품 화장품 브랜드가 오래전부터 입점해 현지 화장품시장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 때문인지 한국 화장품의 인지도는 크게 높지는 않습니다 아무래도 유럽 브랜드 그 다음으로 대만 기업의 브랜드 그 다음으로 한국의 화장품 브랜드 순으로 인지도가 형성되어 있다고 생각됩니다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한국화장품은 다른 명품 화장품들의 가격보다 저렴하고 성능이나 효과 면에서 절대 뒤처지지 않아 한류가 지속되고 마케팅이 잘 이루어진다면 충분히 유럽의 명품화장품의 인지도를 뛰어 넘을 수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Q 한국의 중소기업의 화장품이 대만 시장에 진출하는 것에 대해서는 어떤 의견을 갖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A 한국의 대기업 화장품 브랜드가 아닌 중소기업의 화장품 브랜드가 대만에 진출하는 것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겁니다 하지만 저희 회사도 중소기업으로 시작하여 마케팅 전략을 잘 활용 하여 많이 성장하였습니다 아무래도 한국의 중소기업의 화장품이 대만에 진출하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있겠지만 어떤 마케팅 전략을 선택하느냐가 가장 중요하고 마케팅이 잘 이루어지고 입소문이 퍼진다면 한국의 중소기업 화장품 또한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7 -

7-3 가오슝 한인협회

-1월 8일 목요일 1400~1600 인터뷰-주소 高雄市鼓山區二路37巷弄43-2號(고웅시고산구이로37항81롱43-2호)-대표 尹桓鎬(윤환호) HP 0932-740-538 -電話 07-5211933 -傅眞 07-5214031

Q 대만과 한국과의 무역 관계가 어떠한지 궁금합니다

A 한국과 대만과의 무역은 크게 활발하게 이루어 질 수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대만의 시장 자체가 매우 작기 때문에 대만에 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국내 시장이나 다른 큰 해외 시장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대만 시장을 거쳐서 동남아나 중국 시장으로 진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여서 기존에 존재하는 대기업이나 저처럼 오래 전부터 이민한 분들이 소규모로 중개무역을 하고 있는 정도입니다

Q 현재 한인협회 회장님께서 직접적으로 하는 일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현재 저는 한국의 화장품을 수입하여 대만 현지 기업에게 판매하는 중개무역을 하고 있습니다 대만에 온지 20년이 넘었는데 이런 저런 일을 하다가 기회가 되어 이쪽 일을 하게 되었는데요 처음에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인식이 없어 가격은 비싸고 품질의 보증은 되어 있지 않은 제품이라 소비가 크게 늘지 않았는데 한류 열풍이 불고 한국 드라마의 성공과 그 배우들이 광고하는 화장품의 수요가 크게 늘어 몇 년 전부터 시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Q 한국과 대만과 중국의 관계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해 주세요

A 앞서 말씀 드린 것 같이 한국의 기업은 대만을 통하여 중국 시장의 진출을 위하여 대만 시장을 많이 찾습니다 그 이유는 한국 기업이 대만 시장을 통해서 제품을 인정받는다면 대만과 중국은 같은 언어권의 나라로 대만기업을 통해 중국으로의 활로를 개척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왜 이렇게 돌아서 진출을 하려고 물으셨는데 그것은 쉽게 말해서 말이 잘 통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의 중국어를 잘 구사하는 사람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보다는 대만의 사람이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주고 인정을 해준다면 더욱 쉽게 자리를 잡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8 -

Q 스타트 기업의 대만 진출 성공여부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중소기업이 대만에 들어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현재 한국 내에서의 위치를 높이는데 주력하는 것이 좀 더 낫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대만은 아주 뛰어난 기술력을 가지고 있지만 자체 제품을 생산하지 않습니다 예로 Apple에서 전체 아이디어를 미국에서 한다면 그 아이디어 실행은 대만에서 이루어집니다 그리고 제품의 생산은 대부분 중국에서 이루어 지구요 이렇듯 대만의 기술력과 제품에 대한 이해가 빠르기 때문에 수입을 많이 의존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중소기업이 들어와서 제품을 판매한다 쉽게 성공할 수 없죠

Q 회장님께서는 중국과의 중개무역은 생각하고 있으시지 않습니까

A 네 저는 지금의 생활에 만족하고 있습니다 지금 저의 파트너들과의 관계도 좋고 따로 중국 진출은 생각하고 있지 않습니다 만약에 제가 중국을 진출하게 된다면 현재의 기업들과도 경쟁상대가 되어 저는 생각이 없습니다

7-4 국립성공대학(國立成功大學)

-1월 9일 1350~1700 인터뷰-주소 701 臺南市東區大學路1號-연락처06-2757575 -홈페이지 wwwnckuedutw

대만 국립 성공대학은 931년 타이난에 설립된 이공계 명문 대학입니다 국립성공대학은 66개의 캠퍼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각 캠퍼스마다 특징과 분위기가 다릅니다 우리 국립성공대학은 ldquo북대대 남성공(北臺大 南成功)rdquo 이라는 말이 있듯이 역사는 대만대학의 바로 다음갑니다

국립성공대학의 이름의 의미는 성공은 무엇을 성취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대만의 민족영웅인 정성공(鄣成功)을 기념하기 위한 대학이라는 뜻입니다 성공대학은 정성공이 있던 역사명승 적감루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해 있기도 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9 -

이후 인터뷰로 대만의 소개와 간단한 전공 소개가 있었다

7-5 WABFENIX RENIX GLORY GLORIA GUA

-1월 12일 월요일 1300~1500 인터뷰-주소 14F-1 No420 Sec 4 Xinyi Rd Xinyi Dist Taipei City 110 Taiwan (ROC)-대표 Mr KEN -전화886-5569-0555-URL httpswwwfacebookcomrenixfanspage httpwwwwabfenixcom

Q Wabfenix가 어떤 기업인지 소개 해주세요

A 저희 회사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으로 현재는 매장은 없지만 개발한 제품을 바탕으로 사업을 진행 중이고 대만현지에 저희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저희 회사는 제품의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화장품을 개발하여 대만시장 뿐만 아니라 중국시장의 진출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Q 귀하의 제품은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제품이라 하셨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제품 등이 있습니까

A 우선 Heymore 제품군의 블랙 마스크 팩과 Renix 제품군의 일반 마스크 팩을 출시했습니다Heymore의 경우 선물용임을 부각시키기 위해 디자인에 특히 많은 투자를 하였습니다 중국 중산층을 겨냥한 제품으로 가격대 1봉지에 한화 ₩40000 정도로 높게 책정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가격을 높게 측정한 이유에는 중국 화장품 소비문화 속에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 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에 저가 보급형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0 -

제품인 Renix와 차별을 두는 판매 전략을 선택하였습니다 현재 판매되는 제품은 마스크 팩을 주력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Q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인데 중국을 대상으로 어떤 진출 전략을 갖고 있습니까

A중국에서 열리는 화장품 전시회 화장품 엑스포 행사 바이어 미팅 등 꾸준히 참가중이며 바이어들에게 저희 제품을 어필하고 있습니다 물론 신생기업인 만큼 아직 중국 내에서 뚜렷한 판매 실적을 기록하진 못했지만 타 화장품 기업들과 다른 마케팅 방식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디자인이나 제품의 아이디어를 강조하고 있는데 대표 적인 상품으로 오뚝이 모양을 한 화장품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이 오뚝이 제품을 바이어들에게 어필해 보았는데 대단히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Q 해외시장 마케팅과 대만 시장마케팅의 차이점이 있습니까

A 우선 중국에서의 마케팅은 행사나 전시회에 참여하고 바이어들을 개인적으로 만나는 것에 치중해 있다면 국내 대만시장의 마케팅 전략은 페이스북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대만은 중국에 비해 SNS가 많이 발달되어 있어 자금이 많이 들어가지 않는 SNS마케팅을 하고 있고 각종 자선행사에 참여하여 저희 기업을 홍보하고 있습니다

Q 귀사의 제품을 중국보다 비싼 인건비가드는 대만 제조공장에서 생산하는 겁니까

A타이중에 소재하는 공장에서 마스크를 제조 하고 있습니다 인건비가 비싼 것은 대만 수도인 타이페이에만 주로 해당이 됩니다 지방 소도시에서도 외곽으로 들어가면 저렴한 인건비와 공장 가동비용으로도 제조가 가능 합니다 굳이 중국에 제조공장을 갖지 않는 이유는 신생기업이라 자금문제도 있지만 대만은 OEMampODM에 특화된 국가이기 때문에 품질 좋은 다양한 제품주문이 가능하고 중국 사람들에게도 자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 보다 외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가 더 좋기 때문에 대만에서 생산한 뒤 수출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Q 대만에 한국 화장품 기업이 진출한다면 어떠한 마케팅 전략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 생각 하십니까

A 이미 대만에 한국의 화장품 제품들이 많이 들어와 있습니다 하지만 대만 자체의 화장품 기업들이 기존에 많은 시장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성공을 거두기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최근 한국에 대한 이미지가 많이 좋아졌고 한국의 영화나 드라마 등이 많이 알려지면서 인지도가 높아졌습니다 한국의 대기업의 경우 이러한 대규모 마케팅을 할 수 있으므로 큰 무리가 없겠지만 한국의 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한다면 최종 시장 공략 층은 대만이 아닌 중국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대만은 중화권으로 가기 위한 연결다리라고 생각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또한 중소기업은 큰 마케팅 비용을 부담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대만에서는 SNS나 각종 자선 행사에 참여하여 인지도를 높이는 것을 추천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1 -

Q 같은 제품이지만 대만과 중국에서 판매할 때 가격 책정이 다른 이유가 무엇인가요

A 그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해드리자면 국가마다 소비 성향이나 구매 능력 환율 경제 상황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경영 에서는 가격 차별화(Price discrimination)이라 부르는데요 각 나라의 시장 특성에 적정한 가격대를 책정해서 제품을 판매하는 전략입니다 혹시 중국 상류층이 몇 명인지 알고 있나요 제가 알기로는 대만 인구의 2배인 4000만 명이라는군요 아마도 한국 인구랑 비슷한 규모 일겁니다 게다가 중산층은 약 4억 명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4억 명의 중국 소비자들이 우리 제품을 1개씩만 구입 한다면hellip 상상만 해도 엄청 나겠죠 이야기를 하다 보니 다른 쪽으로 빠졌는데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이야기하면 물론 좋은 제품을 모든 곳에 저렴하게 제공 하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 그러나 항상 시장에서 저렴한 제품만이 성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대만이나 한국처럼 고도의 산업화가 이루어지고 시장이 크게 발전한 안정적인 단계는 좋은 제품이라도 가격 경쟁력에 신경 써야 합니다 왜냐하면 소비자들이 똑똑하기 때문에 정보력이 넓고 합리적인 소비를 지향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가격 성능 디자인 등 많은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중국 시장은 대만이나 한국과는 특성이 다릅니다 저렴하다고 해서 많이 제품이 많이 팔리기 보다는 가격대가 어느 정도 있는 제품일수록 또는 가격대가 높을수록 소비자들이 관심을 보입니다 대체적으로 중국 소비자들은 lsquo저렴한 제품은 품질이 낮거나 효능이 좋지 않은 제품일거야rsquo 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 때문에 화장품 박람회나 전시회에 저가 화장품을 가져와 홍보하더라도 중국 바이어나 소비자들은 큰 관심을 주지 않습니다 처음에 말했듯이 중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2 -

국 소비문화가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라는 심리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Wabfenix의 경우에는 신생기업이라 많은 투자 금액이 없을 뿐 더러 대만 화장품 시장에 진출하기에는 리스크가

크고 진입 장벽이 높습니다 그리고 이미 한국 화장품 기업들이 대부분 점유를 한 상황이기 때문에 대만 내수시장에만 집중하기에는 경쟁력이 부족하죠 그래서 중국을 주력 수출시장으로 삼고 있는데요 저희는 제품 성능 보다는 소비자의 이목을 끌 수 있는 디자인에 더 많은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중국에 Wabfenix만의 화장품 선물 문화를 정착 시키는 것이 목적인데요 높은 제품 가격만큼 소비자의 관심을 끌 수 있고 선물 문화나 꽌시(关系)가 많은 중국 문화 특성에 맞추어 선물용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중국 시장은 현재 젊은 중산층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품질이 낮은 화장품 보다는 수입 화장품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점으로 미루어볼 때 높은 가격 차별화와 Wabfenix만의 디자인 마케팅은 좋은 경쟁력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3 -

8 현지 시장조사 활동 (시장동향사진설문조사 자료)

8-1 시먼딩 설문조사

목적 대만 사람들의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및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대상 10대~20대 여성 및 화장품 전문매장 종사자장소 시먼딩시간 2015년 1월 7일 12일 총 두 차례에 걸쳐 진행방법 ①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 판넬에 국가별로 메이크업 사진을 표시하고 스티커를 붙이는 방식으로 투표함 공정성을 위해 국가 이름은 블라인드로 처리하였고 모두 동일 인물의 사진을 사용함②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표본집단을 50명으로 설정함 설문조사가 끝나면 사은품으로 한국 브랜드 마스크팩 증정함

8-2 사전 기획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판넬 기획도gt

化妝辦法喜好度的調查화장법 선호도 조사

大家給自己喜歡的化妝貼貼紙 여러분이 선호하는 메이크업에 스티커를 붙여 주세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4 -

대만의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안녕하십니까

다음의 내용은 대만 화장품 트렌드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자 관련조사를 실시하고자 하오니

있는 그대로의 생각을 기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귀하의 응답은 통계적 목적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본 설문은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물음에 대한 답변이나 해당란에 v 표를 해 주십시오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7) ② 화장품 전문매장(34) ③ 마트(5) ④ 홈쇼핑(2)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합계 총 50 명

바쁘신 시간에 의견을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지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5 -

8-3 설문조사 활동

lt2015년 1월 7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6 -

lt2015년 1월 12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7 -

lt활동 결과 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8 -

9 설문조사 통계 분석 (설문조사 응답 수분석결과)

9-1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결과gt

설문 조사 질문지 양식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12)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③ 마트(5) ④ 홈쇼핑(6)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9 -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gt

9-2 설문조사 항목 별 의견 및 추측

설문 조사 질문지 항목 (최다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② 20 ~ 25세 (13)

0

5

10

15

20

25

30

20대 이하 20세~24세 25세~29세 30세~39세 40대 이상

rarr 시먼딩은 대만의 홍대거리라 불리는 lsquo융캉제rsquo나 서울의 lsquo명동rsquo과 같이 젊은 층이 주로 활동하는 지역이다 설문조사 중에도 교복이나 체육복을 입은 학생들과 길거리에서 쇼핑을 즐기는 20대가 즐비할 만큼 활기 있는 거리다 덥고 습한 대만 기후 특성 상 과거엔 화장법이 크게 발전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국의 자연스러운 화장법이 큰 인기를 끌면서 시먼딩에 화장품 거리가 조성되어 있을 만큼 유동 인구가 많다 이 점으로 추측해보았을 때 압도적으로 10대와 20대 층이 많은 응답 수를 기록했다고 본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0 -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051015202530

온라인 화장품전문매장 마트 홈쇼핑 방문판매

rarr 대만 또한 한국과 비슷하게 시내에 많은 수의 화장품 전문매장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접근성이 굉장히 높았다 더불어 각 화장품 매장에서는 상품 할인과 같은 각종 프로모션을 진행하기 때문에 구매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 구매한다는 대답도 높은 편이었는데 거의 대부분이 와이파이존이어서 어디서나 인터넷을 한 활발히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온라인에서의 구매율도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0

5

10

15

20

25

30

NT$300 미만 NT$300~NT899 NT$900~NT$1499 NT$1500~NT2999 NT$3000

rarr 응답자들은 대부분이 한 달 간 화장품에 쓰는 돈을 최저 1만원 이상(NT$300 이상)이라고 답했는데 이는 70가 넘어가는 결과로 화장품에 대한 지출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만원 이상이라고 대답한 응답자들 또한 4분의 1을 넘기는데 이것은 젊은 연령층부터 시작하여 최근 피부 관리와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대만의 소비 수준에 대비하여 화장품 소비율이 높은 것도 이 때문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1 -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③ 성능(23)

051015202530

가격 디자인 성능 화장품 모델 브랜드

rarr 아열대 기후에 속하는 대만은 높은 기온과 습한 날씨 탓에 에어컨 환경에 자주 노출돼 피부 수분을 잃기 쉬워 기능성 화장품의 소비가 두드러진다 대만 화장품 시장은 토너 세럼 에센스 로션 크림 등의 모든 스킨케어 제품들이 보습기능을 강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백이나 안티에이징 리프팅 저자극 오일프리(Oil-free) 등의 기능까지 추가된 스킨케어 제품들이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조 화장품 소비가 늘어난 것은 최근 몇 년 들어 다양한 화장품 브랜드 접촉기회가 많아지고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젊은 여성의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색조화장품 또한 메이크업베이스와 BB크림 립스틱과 같은 베이스 메이크업이 수요가 많았다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④인터넷(22)

0

5

10

15

20

25

30

TV 잡지 친구 인터넷 메이크업샵

rarr 최근 빠른 인터넷망과 스마트폰 태블릿PC의 보급으로 인해 사람들과 사람사이의 연결망이 견고히 형성되고 있고 이것이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방법을 얻는 경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만 소비자들은 주로 인터넷 블로그 가족과 친구로부터 메이크업 정보를 획득 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만의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이므로 입소문마케팅과 판매를 바로바로 할 수 있는 유통구조가 도움이 될 것 같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2 -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0

5

10

15

20

25

30

청순 독특 귀여움 섹시

rarr 앞서 살펴보았듯이 대만은 한국과 비슷한 메이크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이것은 곧 청순한 메이크업 컨셉에 관심 있어 한다는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실제로 대만 여성소비자들은 깨끗한 피부 NATURAL한 베이스메이크업을 선호한다 한 듯 안 한 듯 자연스럽고 깨끗한 느낌의 한국식 lsquo생얼rsquo 화장법은 대만에서 한국 드라마 열풍과 함께 유명세를 타기 시작해 현지 각종 온라인 뷰티 사이트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래서 응답의 대부분이 한 곳에 치우쳤고 비교적 개성 있는 메이크업 방법이 드물 것이라는 것을 유추해낼 수 있다

본 설문 조사를 통한 한국 화장품 기업에 대한 시사점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수입 절차로 오랜 시간을 허비해야 하는 반면 대만은 자외선 차단제 성분 함유 제품과 약용 화장품을 제외한 일반 화장품은 별도의 수입 검사 없이 수입할 수 있으므로 대개 중국보다 1~2년 먼저 신상품이 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한류 효과를 겨냥한 중화권 화장품 시장으로 대만을 우선 공략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대만은 대부분이 화장품에 대한 소비를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고 한국 화장품이 많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시장 접근법만 제대로 수립하면 매출이 나는 구조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대만인들이 선호하는 메이크업 방법이 한국과 비슷하기 때문에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은 마케팅 방안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최종분석설문 조사 대상은 대부분 10대~20대의 연령층이었으며 화장품의 주된 구입경로는 lsquo온라인(24)rsquo과 lsquo화장품 전문매장(50)rsquo이 압도적이었다 더불어 한 달 간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lsquo1만 원 이상(72)rsquo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이것은 실제 생활수준에 대비하여 높은 소비량이므로 대만의 화장품 시장 전망이 밝다고 할 수 있다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부분은 lsquo성능(46)rsquo이었는데 이는 스타트업 기업 중소기업에게 유리한 조건이다 메이크업 방법을 얻는 방법으로는 lsquo인터넷(44)rsquo과 lsquo친구(30)rsquo가 높은 비율을 차지했는데 판촉활동으로는 인터넷을 활용한 SNS 홍보 바이럴 마케팅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가장 관심있는 화장 컨셉은 lsquo청순rsquo 이었고 이것은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와 맞물려 우리나라와 비슷한 메이크업 방법을 추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3 -

10 대만 명소 소개 (명소음식행사숙소 소개)

10-1 고궁박물관

대만 고궁박물원은 영국의 대영 박물관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 미국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과 함께 세계 4대 박물관으로 손꼽힐 만큼 세계적은 소장 문물을 자랑한다 건물 규모는 그다지 크지 않지만 소장한 문물의 질과 양은 세계 최상급이다 중화 보물 중에서도 최고의 보물들이 모여 있어 진귀하기 그지없고 수량 역시 워낙 방대하여 3개월 단위로 1만여점을 돌아가면서 전시해도 다보려면 10년이 넘게 걸린다고 전해지고 있다 중국의 국공내전 당시 장제스가 이끌던 중국 국민당이 전쟁에서 패하며 중국을 탈출해 대만으로 향했다 당시 장제스는 난징에 있던 정부를 타이페이로 이전하면서 자금성에 보관되어있던 중국역대 왕조 보물 수십만 점을 배를 이용해 운반해 왔다 중국의 유물을 가진 자가 진정한 통치자라고 생각했던 장제스는 ldquo공산군에게 영토는 내줘도 문화유산만큼은 내줄 수 없다ldquo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대표적인 유물은 취옥배추 육형석 모공정 산씨반 등이 있다

10-2 용산사

루강의 초입에 있는 이 사찰은 타이완에서 가장 오래되고 아름답다고 하여 타이완의 자금성이라고 부른다 각 건물의 기둥 벽 그리고 천장 등에 새겨진 조각은 특히 빼어나다 이 조각상과 함께 이곳의 명물로 알려진 것은 사찰 경내에 있는 2마리의 용상인데 삼천전 앞마당 좌우에 서서 룽산사를 호위하고 있다

10-3 타이페이 101 빌딩

타이베이 101빌딩rsquo이라 부르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로서 빌딩 모습은 하늘로 뻗어나가는 대나무 위에 꽃잎이 겹겹이 포개진 형상이다 본래 타이베이 금융기관이 모인 건물이지만 대형 쇼핑센터와 푸드코트 고급 레스토랑이 있어 여행자들이 많이 찾는다 건물에는 8개 마디가 있는데 이는 중화 문화권에서 부와 번영을 의미하는 숫자 lsquo8rsquo을 염두에 둔 것이다 타이베이 시내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는 높이 508m로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히는 높은 건물이다 지상 1~5층에는 소고 백화점 뷰티 플라자 애버뉴 101 등 다양한 패션∙뷰티용품을 구입할 수 있는 상점이 있다 또한 레스토랑 시티 스퀘어 대형 서점 등 쇼핑과 오락 식사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복합시설이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4 -

잘 알려진 식당으로는 딘 타이 펑(Din Tai Fung) 이 있다 101타워 지하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샤오롱바오(고기만두) 새우 샤오마이(새우만두) 탄탄면(우육면)이 가장 대표적인 메뉴이며 대만에 방문한 많은 사람들이 찾는 식당이다

10-4 지우펀

대만여행의 백미로 꼽히는 지우펀은 타이페이시 북부의 루이팡 지역의 작은 산골 마을로 과거에는 아홉가구만 살고 있어서 지우펀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예전에는 작은 산골 마을에 불과 했지만 이 지역에서 금맥이 발견되면서 호황을 맞이하게 된다 특히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일본풍의 건물들이 남아 있어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결합된 독특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비탈길을 따라 하늘로 이어진 예스러운 건물 그리고 골목마다 빨간 홍등과 함께 묻어나는 옛 풍경은 여행객들에게 인기 여행지이다

10-5 스린야시장

타이베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야시장 가운데 하나이다 독특하면서도 다양한 전통 먹을거리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이곳을 찾는 관광객이 많다 시장 부근에 학교가 많아 학생들이 많이 찾으며 포장마차 등의 노점상이 많아 가격도 저렴하다 칭런샹[情人巷]에는 가구 의류 액세서리 사진현상점 애완용품점 등이 모여 있어 학생뿐 아니라 관광객들도 자주 찾는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5 -

10-6 예류 지질 공원

타이완 북해안에 자리한 예류는 해수욕장과 온천 기암괴석으로 유명한 관광지다 특히 예류지질공원은 희귀한 모형의 바위와 암석이 모여 있어 예류 관광의 필수코스로 꼽힌다 작은 곶으로 된 예류지질공원은 침식과 풍화 작용을 거쳐 자연적으로 형성된 기암을 보러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지질공원으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것이 선상암 군락이다 암석 하나하나의 모습은 마치 거대한 버섯이 큰 머리로 하늘을 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선상암 가운데 가장 유명한 암석은 이집트 왕비의 옆모습을 닮은 여왕 두상 바위다

10-7 스펀(Shifen)

스펀(十分)은 옛 광산마을로써 천으로 만든 등이 유명하다 또한 이 곳 스펀은 대만 최대의 폭포 스펀(SE-FEN) 폭포가 있다 미니기차와 천으로 만든 등을 날릴 수도 있다 마을의 한가운데 긴 철길이 놓여 있고 30분에 한 대씩 기차가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것도 볼 수가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6 -

10-8 진과스(金瓜石)

진과스(金瓜石)는 타이완 타이베이 근교에 있는 옛 탄광 유적이다 20세기 전반에 금 채굴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20세기 후반에 금이 차차 고갈되기 시작하자 점점 위축되어 폐광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관광 명소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하루에도 수백명이 들렀다 가는 대만의 대표 관광지이다 진과스 내에 있는 황금 박물관에는 220kg 의 금이 전시 되어 있는데 손을 넣어 직접 만져 볼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진과스에서는 과거 광부들이 먹었던 도시락을 그대로 만들어 판매하는 광부 도시락도 굉장히 인기가 많다

10-9 국립 성공대학

대만의 타이난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1931년에 개교하였다 2010년 QS대학순위에서 283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대만 대학중 2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총 9개의 캠퍼스로 이루어져 있어 굉장히 큰 면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만 교육청에서 인정한 9개의 주요대학 중 하나이고 대만 기업체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학이다 이공계열이 가장 뛰어나며 중문 역사 법학 경제학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10 시먼딩

타이베이시에 위치한 시먼딩은 한국의 명동과 같은 거리이다 대한민국의 명동에도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과 외국인이 많다고 알려져 있는데 시먼딩 또한 명동 못지않은 다양함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대만의 패션과 놀이 문화 음식 등을 한눈에 경험 할 수 있는 공간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7 -

10-11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

중정기념당은 타이완 총통 장제스(蔣介石)를 기리는 전당이다 lsquo중정rsquo은 장제스의 본명이다 그가 서거한 후 1980년 기념당을 세웠다 25만에 이르는 넓은 중정공원 안에 우뚝 선 높이 70m의 기념물이 중정기념당이다 기념당 1층에는 장제스 생애를 엿볼 수 있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거대한 장제스 동상은 항상 근위병이 동상 앞을 지키고 있다 중정공원 안에는 중정기념당 외에 국립 희극원과 국립 음악청이 있는데 이곳에서 연극과 콘서트를 한다 공원 조경 또한 잘 조성되어 있어 산책하며 천천히 둘러보기에 좋다

10-12 안핑지구(安平地區)

대만의 문화와 역사는 안핑지구에서 시작되었다 안핑구바오는 17세기 중엽 네덜란드인들이 지은 요새로 정성공이 빼앗아 번영하다가 황폐해져 지금은 보루의 대부분이 없어지고 설탕과 굴껍데기와 찹쌀가루를 버무려 만든 빨간벽돌로 된 장벽(臺灣城殘蹟)만이 남아 나무뿌리와 존립의 사투를 벌이고 있다 감시탑 옆 건물 안에는 네덜란드와 정성공의 전투에 대한 이야기와 중세갑옷 등이 전시 중이다 이 주변에는 대만에서 가장 오래된 상업거리 옌핑제(延平街)가 있는데 옛 명성이 다한 거리의 골목 사이사이 수백년 된 가옥을 구경하는 것도 소소한 즐거움이다 1867년 영국인 상점과 물류창고로 이용하던 건물에 노용수(老榕樹)가 멋대로 자라 건물을 집어삼키듯 뒤덮은 나무집으로 불리는 안핑수우도 안핑지구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진귀한 볼거리다

10-13 미라마 관람차

대만에서 가장 큰 관람차로 알려져 있는 미라마 관람차는 타이페이 시의 야경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관람차 크기가 큰 것으로 유명하지만 가격 또한 저렴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유스트래블 카드를 이용하면 50 할인이 적용되므로 꼭 지참하도록 하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8 -

lt미라마 관람차 티켓gt lt유스트래블 카드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9 -

11 시사점 및 차후 활용계획 (LGC 프로그램을 통한 구체적인 효과 및 연구결과)

11-1 LGC 프로젝트 만족도

구분 항목 전 후 한줄 평

사업단

프로젝트 취지- 린튼 글로벌 학과와 경영정보학과 학생들이 함께

하는 프로젝트 해외시장탐방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사전교육 활동- 출국 전 각 나라에 대한 유의사항 안전교육이 체

계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개략적인 보고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었다

행정지원 절차- CK사업단 린튼 글로벌 학과 경영정보학과 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히 되지 않아 사전 계획에서 많은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협동력 향상- 출발 전 잦은 팀 회의와 8박 9일 간에 일정에도

불구하고 불화 없이 좋은 분위기 속에서 프로젝트를 완수 했다

추진력 향상- 일정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 한 점 추가 자료조

사를 위해 현지에서 새로운 일정을 추가 됐을 때 팀원들이 일사불란하게 따라주었다

문제해결 능력- 교통편 문제와 기업 측 내부 문제로 일부 일정에

변동이 있었지만 신속한 조율과 전화 통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개인

동기부여 자극- 현지인들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국어 영어 능

력의 필요성을 실감했다 특히 중국어는 소통 유무에 따라 현지 반응이 극명하게 갈렸다

진로설계 도움- 프로젝트 전에 비해 새로운 직업 분야에 대한 관심

이 증가했다

취업능력 향상-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한 내용을 살려 구술 면접이

나 자기소개서 작성에 참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11-2 LGC프로젝트 연구 결과 - 대만 시장

⓵ 중국시장을 주목하는 대만 화장품 기업- EST팀은 현지 대만 화장품 기업으로 SISDORA와 WABFENIX를 선택했다 두 회사를 선정한 배경에는

명확한 의도를 두고 정했다 SISDORA는 설립한 지 10년이 넘는 회사로 직접 화장품을 개발 및 연구하고 판매하는 중소기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과 주름개선 크림으로 중년 여성을 타깃 층으로 하는 화장품 회사다 반면 WABFENIX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스타트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 이지만 기술개발 보다는 디자인 마케팅에 중점을 두었고 판매 층도 10대-20대의 젊은 층을 타깃 층으로 한다 시장 전략이 완연히 다른 두 기업이 유일하게 공통점이 있다면 중국시장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선정 이유에는 많은 인구의 소비력을 꼽지만 뒤이어 언급하는 이야기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자사 제품의 경쟁력 약화를 말한다 현재 대만 기업 대부분은 내수 시장 대신에 중국을 겨냥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국가 산업 특성상 제조amp연구 분야가 강세인 대만에서는 중국 바이어 또는 미국 유럽 바이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직접 판매 보다는 기술 협력을 통해 이익을 창출한다고 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0 -

⓶ 대만 시장을 점령한 한국 화장품

- 앞서 말했듯이 2012년 이후부터 급속히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한국 화장품은 대만 시장을 점령하고 있다 이미 시먼딩에 들어서면 다양한 한국 화장품 매장이 눈에 띌 만큼 들어섰으며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중앙 광장에 입점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매장 안에는 많은 대만 사람들이 화장품을 보고 있는 광경을 흔히 본다 화장품 매장을 이용하는 연령층은 주로 10대-20대들이다 화장품 가격이 한국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주 애용하는 이유는 한류 열풍으로 인한 한국 연예인들에 대한 관심과 화장법이 크게 유행하고 있음을 현지 설문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⓷ 체감할 수 있을 만큼 커다란 한류열풍

- 뉴스에서만 듣던 한류 이야기를 대만에서 직접 느낄 수 있을 정도로 한류열풍은 크다 특히 삼성이나 LG의 TV나 스마트폰은 어딜 가든 항상 보이고 한국 화장품 선물에 대한 반응이 무척이나 뜨겁다 원활한 현지 조사를 위하여 사은품으로 준비한 한국 마스크 팩 100개는 오히려 현지인들이 참여 의사를 표현할 만큼 열정적이었다 일부 대만 사람 중에는 어디서 왔냐는 질문에 한국이라는 답변을 하니 같이 사진 찍기를 제안하기도 했다

⓸ 중소기업에게 있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는 대만 시장진출- 대만 시장 진출에 앞서 한국 화장품 중소기업이라면 전략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크게 대만 시장을 겨냥

할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할지 선택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3CE는 한국 화장품 회사다 대만에서 젊은 연령층이 자주 이용하고 이미 대만 내에서는 유명하다 3CE는 오프라인 매장 없이 순수 온라인 매장으로 운영하면서 대만 사람들을 위한 전용 웹사이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윤을 창출 하고 있다 신중해야 할 점은 현재 온라인 오프라인 등 한국 화장품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신규 진입에 있어서 장벽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대만 시장을 활용한다면 동남아 시장까지 한 번에 내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출입통관 절차가 간단하고 관세가 낮기 때문에 중소기업에게 유리하다 아직까지 중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1 -

에 대한 직접적인 수출이 가능한 곳은 상해나 항주 같이 중국에서 허가한 무역항 도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내륙까지 시장을 확대하기는 불가능하지만 같은 언어권인 대만을 거치면 보다 쉽게 바이어나 에이전트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인맥을 통한 꽌시와 수수료 명목으로 뒷돈을 요구하는 중국 바이어의 관행은 자금 순환이 원활치 않은 중소기업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11-3 LGC 프로젝트 종합 의견 및 전망

우리 lsquoEST팀은 출국 전 국내 화장품 시장 조사를 할 때 대덕 밸리 스타트업 기업 셀아이콘 랩의 영향으로 대만의 화장품 산업에 대해 큰 관심과 가능성을 보고 2015년 1월 5일부터 1월 13일까지 8박9일이라는 시간동안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 나라 중에 하나인 대만에서 rsquo대만의 화장품 시장lsquo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사를 했다 대만에서는 3개의 기업 (KOTRA SISDORA WABFENIX) 을 방문해 전반적인 대만의 화장품 시장과 판매전략 한류에 대한 보다 사실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1개의 대학 (국립성공대학 國立成功大學)에서 MBA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또 타이난에서는 대만에서 오랫동안 사업하시는 한인협회 회장을 만나 PLC (Product Life Cycle)를 통해 대만에서의 특정 시장이 도입기에 있는지 또 어떠한 시장이 쇠퇴기에 놓여있는지 다양한 시야에서 대만시장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노력은 CK 사업단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교육부 CK-1 프로젝트의 일부인 Linton Global Challenge는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몇 년을 내다보는 지속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기업들과 더욱 더 활발한 교류와 연구를 한다면 기업과 CK 사업단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리라고 본다

1 개인 탐방 후기 (팀원 개인 소감)

1-1 개인 탐방 후기

강성민탐방 후기 기업 컨택 부터 인터뷰 일정 계획까지 8박 9일간의 대만 화장품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 출국 전까지 준비 과정부터 탈도 많았고 대만에 와서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 원하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매일이 항상 회의와 고민의 연속이었다 하루하루 충실히 계획을 진행시켜 나갔고 좋은 팀 분위기 속에서 무사히 대만 프로

부록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2 -

젝트를 완수했다 그리고 마침내 한국으로 돌아왔다 과정은 항상 오르막 길이였지만 돌이켜 보면 마지막 대학 시절을 기념할만한 좋은 추억이자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느끼는 바가 많았던 프로젝트로 기억 될 것이다

김은진탐방 후기 글로벌 챌린지를 한마디로 정의하라고 한다면 도종환 시인의 lsquo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lsquo라는 시가 떠오른다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대만기업컨택 설문조사 등 많은 것을 경험했다 처음엔 모든 것이 나에겐 버거운 산이라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도전이 계속 될수록 이젠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이 모든 도전들에 흥미가 생겼다 나 자신도 책임감과 자신감이 생기고 한층 성숙해 진 것을 내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소중한 동료와 추억은 평생 나의 가슴속에 남을 것이다 우린 앞으로도 많이 도전하고 경험하여 우리들의 삶이 활짝 만개하리라 다짐한다 끊임없이 도전하는 20대의 청춘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프로그램이었다 김종선탐방 후기 한국에서 준비하면서 조사했던 내용과 비교하며 인터뷰를 해보니 실제로 많이 다른 부분도 있었고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 비슷한 내용도 있었다 현지의 기업들을 방문해 우리가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직접 매장에 가서 느껴보니 앉아서 컴퓨터만 볼 때랑 많이 달랐다 그리고 직접 대만인들에게 설문조사를 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그리고 대만의 실제 문화와 환경 그들의 생활을 잠시나마 볼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

구명우탐방 후기 며칠간의 꿈만 같았던 대만에서의 시간이 지나갔다 대만으로 출국하기 전 사전조사 기간에는 확신이 없었다 사전조사와 기업과의 인터뷰 그리고 9일간의 일정조율 및 숙박과 모든 대만에서의 연구와 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보고서까지 무엇하나 확신이 드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도전과 해결능력을 배웠고 아시아에서 급성장 중인 대만에 대해서 배우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다음기수로 가게 될 관심 있는 학우들에게 진심으로 추천해주고 싶다

이규현탐방 후기 CK-1 프로그램 중 하나인 lsquo린튼 글로벌 챌린지lsquo 프로그램을 통해 약 8박 9일이라는 시간 동안 emerging market 중 하나인 대만에 거주하면서 한국 화장품의 대만시장 점유율과 진출 가능성을 몸으로 체감하고 자료들을 모아 통계 내어 정리할 수 있었다 우리 팀 lsquoEST가 성공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충분한 국내조사 기간을 갖고 대만의 화장품 회사들을 방문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대만의 특정한 기업을 찾기도 어려웠고 기업 컨택은 번번히 거절당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회사 두 군데에서는 답장조차 오지 않았고 설문조사할 때에는 반한감정의 대만인을 만나 고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팀의 단결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리더의 통솔력으로 정해진 스케줄대로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회사를 방문하고 학교교수를 만나고 길거리에서 설문조사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팀원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또한 대학생으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을 한 것 같아서 스스로도 너무 뿌듯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팀을 믿고 지지해주신 LGSB 교수님들과 CK-1 프로그램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영은탐방 후기 처음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렇게 준비는 열심히 하지만 정말 우리가 계획한 100대로 대만을 다녀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기우가 무색하게도 대만은 우리에게 기획안 그 이상의 것들을 보여주었다 사장님들의 생생한 사업 이야기와 대만의 색채가 묻어있는 아이템들 하며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여 알아보는 비즈니스 마켓의 현장은 나에게 두고두고 잊지 못할 자산으로 남았다 또한 펑리수 버블티를 비롯한 대만의 맛있는 먹거리들과 스린 야시장이나 지우펀 같은 명소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열심히 고생해준 팀원들과의 추억들도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3 -

이서우탐방 후기 이번 글로벌 첼린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서 쉽게 할 수 없는 해외 기업 탐방과 해당 국가의 산업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임효진탐방 후기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팀이 대만을 방문 한다고 했을 때 많이 의아해 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만을 직접 방문해보고 많은 사업자들을 만난 결과 대만은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라고 생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아직 공산주의라는 정치적 특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다른 곳보다 훨씬 어렵지만 대만은 자유시장체제 이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쉽다 특히 외국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만 시장에서 한국제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추고 중국 시장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성공가능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그리고 대만의 바이어들을 통해 중국의 시장진출을 하게 된다면 사업자가 직접 중국시장에 진출 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성공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만은 문화적으로 다른 아시아권보다 선진화 되었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대도시에 속하지만 모두다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골고루 섞여 대만만의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차안호탐방 후기 9박 10일간의 대만을 다녀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넓고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이번 대만 여행은 처음으로 경험한 해외여행 경험이여서 그런지 순탄치 않은 면도 있었지만 팀원들 서로가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만시장은 중국시장으로 가기위한 좋은 시험의 장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대만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영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더 나아가 미래에는 중국어야말로 영어와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성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또 하나 놀란 점은 대만이 반 한류 감정을 많이 갖고 있는 줄 알았지만 대부분의 대만 일반 시민들이 굉장히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에 놀랐고 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CK-1 사업의 챌린지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대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계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보완점 및 건의사항 (문제점개선책건의사항)

2-1 기업 컨택의 어려움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에 있는 기업과 연결하여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대해서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조사 및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시간을 내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로써 그들의 귀한시간이 아깝게 쓰이지 않을 것을 강조하여 만남을 만들어야 한다

2-2 사업단과 의사소통의 불편함

Challeng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CK-1 사업단과의 지속되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가령 누군가를 통해서 전해지는 소문이나 촉박한 시간을 제시하고 일 처리를 원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단과 각 팀의 대표간의 분명한 의사소통과 증빙자료 등이 필요하다

2-3 정보 부재 이번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이머징 마켓에서의 유망 산업 조사 및 연구였다 대만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24: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4 -

7 방문 기업 소개 (인터뷰 내용)

7-1 대만 KOTRA

-2015년 1월 5일 월요일 1630~1800 인터뷰-위치 台北市 基隆路 1段 333號 22樓 14室(2214室) Intl Trade Building 22층-전화 (886-2)2725-2324 -팩스(886-2) 2757-7240

Q대만에 대하여 간단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우선 대만은 남한의 13의 해당하는 영토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구역시 남한에 비해 적은 2천 3백만 명 정도이며 기후는 아열대 몬순 기후권으로 비교적 따듯한 날씨입니다여러분이 대만에 와보셔서 알겠지만 대체로 습한느낌을 받으셨을 탠대 대만은 겨울에도 남한만큼은 춥지 않습니다 언어는 주로 중국어를 사용하며 문자는 중국과 살짝 다른 번자체를 사용합니다1인당 GDP는 2013년 기준 20984 달러 정도이며 산업구조는 제조업과 도소매업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Q현재 우리나라의 어떤 기업들이 대만에 진출해 있는지 궁금합니다

A최근에는 화장품을 주력 제품으로 아모레퍼시픽등 화장품 대기업들이 타이페이 시내에 로드샵을 많이 개점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대만은 제조업과 도소매업이 주를 이루다 보니 20~30년 전부터 진출한 기업들이 계속해서 입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주로 삼성물산 현대종합상사 LG상사 LG전자등 대기업이 주를 이루고 있고 우리나라 기업은 1년에 한 기업정도 대만에 진출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Q그렇다면 대기업을 제외한 중소기업들이 대만시장에 진출하지 않는 이유가 따로 있습니까

A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아무래도 중국시장이 개방을 하면서 인 것 같습니다 기존에 진출해있는 기업들은 과거 대만이 인프라 구축이 미흡했을 당시 해외투자를 많이 받으면서 비교적 좋은 조건으로 대만에 진출하고 인프라 구축등 사업을 진행하면서 기반을 다졌을 겁니다 그 기반으로 지금까지 대만시장에 진출해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중소기업의 경우는 해외투자가 너무 모험적이며 대만 시장과 중국의 시장을 비교하여 봤을 때 인구가 차이가 약 8배 정도 나며 중국에 비해 비교적 작은 시장이라고 느껴 대만보다는 중국에 많이 진출하는 것 같습니다

Q마지막 질문으로 만약 우리나라 중소기업이 대만시장에 진출할 때 유의해야 할 점이나 좋은 팁이 있을까요

A대만 시장에 완전히 진출해야겠다는 생각보다는 중국이나 다른 중화권 나라의 진출하기전 시험의 장소로 생각하고 진출해보는 것은 나쁘지 않다 생각 합니다 아무래도 대만의 인구가 많은 편이 아니다보니 불리한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5 -

조건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이나 다른 큰 중화권 시장으로 진출하기 전에 언어나 문화 중화권사람들의 사고방식등 여러방면에서 시험해 볼 수 있는 좋은 장소는 틀림없습니다 중소기업이 대만시장에 진출할 때는 코트라를 이용하여 각종 정보나 현지 인프라등을 이용하는 것 또한 하나의 방법이며 무엇보다 중화권의 문화와 중화권 대중들의 생각을 잘 공부하고 언어를 습득하여 오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7-2 SISDORA luxury beauty care

-1월 6일 화요일 1300~1530 인터뷰 1600~1800 101타워 퍼스널트레이닝 센터-주소 No9Aly 10Ln265Sec 4Xinyi RdDaan Dist Taipei City 106-대표 Mr Chung-Cheng Lee -전화886-2-27040889-URL httpwwwsisdoracom

Q 간략한 회사 소개와 SISDORA의 유래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A Isadora는 고대 이집트의 가장 강력한 여신의 이름입니다 Sisdora는 이 여신의 이름을 따서 만든 브랜드 이름입니다 이집트의 고대 여신인 Isadora의 이시스는 선물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고 생명과 건강 아름다움을 담당하는 여신으로도 유명합니다 저희 SISDORA는 비슷한 동음 이의어로 동양의lsquoISIS(이시스)rsquo라는 단어가 있어 브랜드 명을 SISDORA로 정하게 되었습니다Q Sisdora 제품 소개 부탁드립니다

A저희 제품은 안티에이징 미백 마스크 제품을 주력으로 하고 있습니다 동일 제품군을 비교해 봤을 때 가격 및 품질은 상위에 속하는 최상품의 제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마스크 팩 대부분은 종이섬유로 제조하는 반면 저희 Sisdora는 누에의 실(실크)로 만든 마스크 팩 입니다 실크마스크 팩을 제조할 때에는 피부 건강에 좋은 약재 및 약초등을 배합하여 제조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피부에 자극적인 향로를 첨가하지 않았고 수분이 빠르게 흡수 될 수 있습니다 덕분에 저희 마스크 팩을 사용하는 고객들은 부드럽고 산뜻한 느낌을 받으실 수 있을 겁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6 -

Q 귀하의 회사는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어떤 마케팅을 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A 저희는 해마다 대만 타이페이 글로벌 미스코리아 대회에 제품을 협찬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대만 유명 가수들과 함께 제품을 결합시킨 뮤직비디오를 제작하여 마케팅에 힘쓰고 있습니다뿐만 아니라 제품의 품질인증을 바탕으로 러시아 중국 동남아 지역에 진출하는대 힘쓰고 있습니다 저희 제품은 대만 내에서 스킨케어 제품으로써 유일하게 지정 브랜드 수상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저희는 주로 매스컴이나 인터넷을 통한 마케팅이나 엔터테이먼트 컨벤션 산업을 활용하여 마케팅을 하고 있습니다

Q 그렇다면 대한민국의 화장품 제품이 대만에 진출해 있는데 대한민국 화장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는 어떤지 궁금합니다

A 최근 5년 사이에 한국의 드라마 음악등 한류를 타고 대만에도 많은 한국 제품이 등장하였습니다 하지만 대만에는 오래전부터 수입화장품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이탈리아의 산타 마리아 노벨라 프랑스의 아이젠버그등 명품 화장품 브랜드가 오래전부터 입점해 현지 화장품시장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 때문인지 한국 화장품의 인지도는 크게 높지는 않습니다 아무래도 유럽 브랜드 그 다음으로 대만 기업의 브랜드 그 다음으로 한국의 화장품 브랜드 순으로 인지도가 형성되어 있다고 생각됩니다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한국화장품은 다른 명품 화장품들의 가격보다 저렴하고 성능이나 효과 면에서 절대 뒤처지지 않아 한류가 지속되고 마케팅이 잘 이루어진다면 충분히 유럽의 명품화장품의 인지도를 뛰어 넘을 수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Q 한국의 중소기업의 화장품이 대만 시장에 진출하는 것에 대해서는 어떤 의견을 갖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A 한국의 대기업 화장품 브랜드가 아닌 중소기업의 화장품 브랜드가 대만에 진출하는 것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겁니다 하지만 저희 회사도 중소기업으로 시작하여 마케팅 전략을 잘 활용 하여 많이 성장하였습니다 아무래도 한국의 중소기업의 화장품이 대만에 진출하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있겠지만 어떤 마케팅 전략을 선택하느냐가 가장 중요하고 마케팅이 잘 이루어지고 입소문이 퍼진다면 한국의 중소기업 화장품 또한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7 -

7-3 가오슝 한인협회

-1월 8일 목요일 1400~1600 인터뷰-주소 高雄市鼓山區二路37巷弄43-2號(고웅시고산구이로37항81롱43-2호)-대표 尹桓鎬(윤환호) HP 0932-740-538 -電話 07-5211933 -傅眞 07-5214031

Q 대만과 한국과의 무역 관계가 어떠한지 궁금합니다

A 한국과 대만과의 무역은 크게 활발하게 이루어 질 수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대만의 시장 자체가 매우 작기 때문에 대만에 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국내 시장이나 다른 큰 해외 시장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대만 시장을 거쳐서 동남아나 중국 시장으로 진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여서 기존에 존재하는 대기업이나 저처럼 오래 전부터 이민한 분들이 소규모로 중개무역을 하고 있는 정도입니다

Q 현재 한인협회 회장님께서 직접적으로 하는 일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현재 저는 한국의 화장품을 수입하여 대만 현지 기업에게 판매하는 중개무역을 하고 있습니다 대만에 온지 20년이 넘었는데 이런 저런 일을 하다가 기회가 되어 이쪽 일을 하게 되었는데요 처음에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인식이 없어 가격은 비싸고 품질의 보증은 되어 있지 않은 제품이라 소비가 크게 늘지 않았는데 한류 열풍이 불고 한국 드라마의 성공과 그 배우들이 광고하는 화장품의 수요가 크게 늘어 몇 년 전부터 시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Q 한국과 대만과 중국의 관계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해 주세요

A 앞서 말씀 드린 것 같이 한국의 기업은 대만을 통하여 중국 시장의 진출을 위하여 대만 시장을 많이 찾습니다 그 이유는 한국 기업이 대만 시장을 통해서 제품을 인정받는다면 대만과 중국은 같은 언어권의 나라로 대만기업을 통해 중국으로의 활로를 개척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왜 이렇게 돌아서 진출을 하려고 물으셨는데 그것은 쉽게 말해서 말이 잘 통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의 중국어를 잘 구사하는 사람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보다는 대만의 사람이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주고 인정을 해준다면 더욱 쉽게 자리를 잡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8 -

Q 스타트 기업의 대만 진출 성공여부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중소기업이 대만에 들어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현재 한국 내에서의 위치를 높이는데 주력하는 것이 좀 더 낫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대만은 아주 뛰어난 기술력을 가지고 있지만 자체 제품을 생산하지 않습니다 예로 Apple에서 전체 아이디어를 미국에서 한다면 그 아이디어 실행은 대만에서 이루어집니다 그리고 제품의 생산은 대부분 중국에서 이루어 지구요 이렇듯 대만의 기술력과 제품에 대한 이해가 빠르기 때문에 수입을 많이 의존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중소기업이 들어와서 제품을 판매한다 쉽게 성공할 수 없죠

Q 회장님께서는 중국과의 중개무역은 생각하고 있으시지 않습니까

A 네 저는 지금의 생활에 만족하고 있습니다 지금 저의 파트너들과의 관계도 좋고 따로 중국 진출은 생각하고 있지 않습니다 만약에 제가 중국을 진출하게 된다면 현재의 기업들과도 경쟁상대가 되어 저는 생각이 없습니다

7-4 국립성공대학(國立成功大學)

-1월 9일 1350~1700 인터뷰-주소 701 臺南市東區大學路1號-연락처06-2757575 -홈페이지 wwwnckuedutw

대만 국립 성공대학은 931년 타이난에 설립된 이공계 명문 대학입니다 국립성공대학은 66개의 캠퍼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각 캠퍼스마다 특징과 분위기가 다릅니다 우리 국립성공대학은 ldquo북대대 남성공(北臺大 南成功)rdquo 이라는 말이 있듯이 역사는 대만대학의 바로 다음갑니다

국립성공대학의 이름의 의미는 성공은 무엇을 성취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대만의 민족영웅인 정성공(鄣成功)을 기념하기 위한 대학이라는 뜻입니다 성공대학은 정성공이 있던 역사명승 적감루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해 있기도 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9 -

이후 인터뷰로 대만의 소개와 간단한 전공 소개가 있었다

7-5 WABFENIX RENIX GLORY GLORIA GUA

-1월 12일 월요일 1300~1500 인터뷰-주소 14F-1 No420 Sec 4 Xinyi Rd Xinyi Dist Taipei City 110 Taiwan (ROC)-대표 Mr KEN -전화886-5569-0555-URL httpswwwfacebookcomrenixfanspage httpwwwwabfenixcom

Q Wabfenix가 어떤 기업인지 소개 해주세요

A 저희 회사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으로 현재는 매장은 없지만 개발한 제품을 바탕으로 사업을 진행 중이고 대만현지에 저희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저희 회사는 제품의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화장품을 개발하여 대만시장 뿐만 아니라 중국시장의 진출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Q 귀하의 제품은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제품이라 하셨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제품 등이 있습니까

A 우선 Heymore 제품군의 블랙 마스크 팩과 Renix 제품군의 일반 마스크 팩을 출시했습니다Heymore의 경우 선물용임을 부각시키기 위해 디자인에 특히 많은 투자를 하였습니다 중국 중산층을 겨냥한 제품으로 가격대 1봉지에 한화 ₩40000 정도로 높게 책정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가격을 높게 측정한 이유에는 중국 화장품 소비문화 속에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 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에 저가 보급형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0 -

제품인 Renix와 차별을 두는 판매 전략을 선택하였습니다 현재 판매되는 제품은 마스크 팩을 주력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Q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인데 중국을 대상으로 어떤 진출 전략을 갖고 있습니까

A중국에서 열리는 화장품 전시회 화장품 엑스포 행사 바이어 미팅 등 꾸준히 참가중이며 바이어들에게 저희 제품을 어필하고 있습니다 물론 신생기업인 만큼 아직 중국 내에서 뚜렷한 판매 실적을 기록하진 못했지만 타 화장품 기업들과 다른 마케팅 방식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디자인이나 제품의 아이디어를 강조하고 있는데 대표 적인 상품으로 오뚝이 모양을 한 화장품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이 오뚝이 제품을 바이어들에게 어필해 보았는데 대단히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Q 해외시장 마케팅과 대만 시장마케팅의 차이점이 있습니까

A 우선 중국에서의 마케팅은 행사나 전시회에 참여하고 바이어들을 개인적으로 만나는 것에 치중해 있다면 국내 대만시장의 마케팅 전략은 페이스북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대만은 중국에 비해 SNS가 많이 발달되어 있어 자금이 많이 들어가지 않는 SNS마케팅을 하고 있고 각종 자선행사에 참여하여 저희 기업을 홍보하고 있습니다

Q 귀사의 제품을 중국보다 비싼 인건비가드는 대만 제조공장에서 생산하는 겁니까

A타이중에 소재하는 공장에서 마스크를 제조 하고 있습니다 인건비가 비싼 것은 대만 수도인 타이페이에만 주로 해당이 됩니다 지방 소도시에서도 외곽으로 들어가면 저렴한 인건비와 공장 가동비용으로도 제조가 가능 합니다 굳이 중국에 제조공장을 갖지 않는 이유는 신생기업이라 자금문제도 있지만 대만은 OEMampODM에 특화된 국가이기 때문에 품질 좋은 다양한 제품주문이 가능하고 중국 사람들에게도 자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 보다 외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가 더 좋기 때문에 대만에서 생산한 뒤 수출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Q 대만에 한국 화장품 기업이 진출한다면 어떠한 마케팅 전략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 생각 하십니까

A 이미 대만에 한국의 화장품 제품들이 많이 들어와 있습니다 하지만 대만 자체의 화장품 기업들이 기존에 많은 시장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성공을 거두기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최근 한국에 대한 이미지가 많이 좋아졌고 한국의 영화나 드라마 등이 많이 알려지면서 인지도가 높아졌습니다 한국의 대기업의 경우 이러한 대규모 마케팅을 할 수 있으므로 큰 무리가 없겠지만 한국의 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한다면 최종 시장 공략 층은 대만이 아닌 중국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대만은 중화권으로 가기 위한 연결다리라고 생각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또한 중소기업은 큰 마케팅 비용을 부담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대만에서는 SNS나 각종 자선 행사에 참여하여 인지도를 높이는 것을 추천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1 -

Q 같은 제품이지만 대만과 중국에서 판매할 때 가격 책정이 다른 이유가 무엇인가요

A 그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해드리자면 국가마다 소비 성향이나 구매 능력 환율 경제 상황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경영 에서는 가격 차별화(Price discrimination)이라 부르는데요 각 나라의 시장 특성에 적정한 가격대를 책정해서 제품을 판매하는 전략입니다 혹시 중국 상류층이 몇 명인지 알고 있나요 제가 알기로는 대만 인구의 2배인 4000만 명이라는군요 아마도 한국 인구랑 비슷한 규모 일겁니다 게다가 중산층은 약 4억 명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4억 명의 중국 소비자들이 우리 제품을 1개씩만 구입 한다면hellip 상상만 해도 엄청 나겠죠 이야기를 하다 보니 다른 쪽으로 빠졌는데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이야기하면 물론 좋은 제품을 모든 곳에 저렴하게 제공 하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 그러나 항상 시장에서 저렴한 제품만이 성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대만이나 한국처럼 고도의 산업화가 이루어지고 시장이 크게 발전한 안정적인 단계는 좋은 제품이라도 가격 경쟁력에 신경 써야 합니다 왜냐하면 소비자들이 똑똑하기 때문에 정보력이 넓고 합리적인 소비를 지향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가격 성능 디자인 등 많은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중국 시장은 대만이나 한국과는 특성이 다릅니다 저렴하다고 해서 많이 제품이 많이 팔리기 보다는 가격대가 어느 정도 있는 제품일수록 또는 가격대가 높을수록 소비자들이 관심을 보입니다 대체적으로 중국 소비자들은 lsquo저렴한 제품은 품질이 낮거나 효능이 좋지 않은 제품일거야rsquo 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 때문에 화장품 박람회나 전시회에 저가 화장품을 가져와 홍보하더라도 중국 바이어나 소비자들은 큰 관심을 주지 않습니다 처음에 말했듯이 중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2 -

국 소비문화가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라는 심리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Wabfenix의 경우에는 신생기업이라 많은 투자 금액이 없을 뿐 더러 대만 화장품 시장에 진출하기에는 리스크가

크고 진입 장벽이 높습니다 그리고 이미 한국 화장품 기업들이 대부분 점유를 한 상황이기 때문에 대만 내수시장에만 집중하기에는 경쟁력이 부족하죠 그래서 중국을 주력 수출시장으로 삼고 있는데요 저희는 제품 성능 보다는 소비자의 이목을 끌 수 있는 디자인에 더 많은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중국에 Wabfenix만의 화장품 선물 문화를 정착 시키는 것이 목적인데요 높은 제품 가격만큼 소비자의 관심을 끌 수 있고 선물 문화나 꽌시(关系)가 많은 중국 문화 특성에 맞추어 선물용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중국 시장은 현재 젊은 중산층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품질이 낮은 화장품 보다는 수입 화장품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점으로 미루어볼 때 높은 가격 차별화와 Wabfenix만의 디자인 마케팅은 좋은 경쟁력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3 -

8 현지 시장조사 활동 (시장동향사진설문조사 자료)

8-1 시먼딩 설문조사

목적 대만 사람들의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및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대상 10대~20대 여성 및 화장품 전문매장 종사자장소 시먼딩시간 2015년 1월 7일 12일 총 두 차례에 걸쳐 진행방법 ①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 판넬에 국가별로 메이크업 사진을 표시하고 스티커를 붙이는 방식으로 투표함 공정성을 위해 국가 이름은 블라인드로 처리하였고 모두 동일 인물의 사진을 사용함②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표본집단을 50명으로 설정함 설문조사가 끝나면 사은품으로 한국 브랜드 마스크팩 증정함

8-2 사전 기획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판넬 기획도gt

化妝辦法喜好度的調查화장법 선호도 조사

大家給自己喜歡的化妝貼貼紙 여러분이 선호하는 메이크업에 스티커를 붙여 주세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4 -

대만의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안녕하십니까

다음의 내용은 대만 화장품 트렌드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자 관련조사를 실시하고자 하오니

있는 그대로의 생각을 기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귀하의 응답은 통계적 목적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본 설문은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물음에 대한 답변이나 해당란에 v 표를 해 주십시오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7) ② 화장품 전문매장(34) ③ 마트(5) ④ 홈쇼핑(2)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합계 총 50 명

바쁘신 시간에 의견을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지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5 -

8-3 설문조사 활동

lt2015년 1월 7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6 -

lt2015년 1월 12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7 -

lt활동 결과 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8 -

9 설문조사 통계 분석 (설문조사 응답 수분석결과)

9-1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결과gt

설문 조사 질문지 양식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12)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③ 마트(5) ④ 홈쇼핑(6)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9 -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gt

9-2 설문조사 항목 별 의견 및 추측

설문 조사 질문지 항목 (최다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② 20 ~ 25세 (13)

0

5

10

15

20

25

30

20대 이하 20세~24세 25세~29세 30세~39세 40대 이상

rarr 시먼딩은 대만의 홍대거리라 불리는 lsquo융캉제rsquo나 서울의 lsquo명동rsquo과 같이 젊은 층이 주로 활동하는 지역이다 설문조사 중에도 교복이나 체육복을 입은 학생들과 길거리에서 쇼핑을 즐기는 20대가 즐비할 만큼 활기 있는 거리다 덥고 습한 대만 기후 특성 상 과거엔 화장법이 크게 발전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국의 자연스러운 화장법이 큰 인기를 끌면서 시먼딩에 화장품 거리가 조성되어 있을 만큼 유동 인구가 많다 이 점으로 추측해보았을 때 압도적으로 10대와 20대 층이 많은 응답 수를 기록했다고 본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0 -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051015202530

온라인 화장품전문매장 마트 홈쇼핑 방문판매

rarr 대만 또한 한국과 비슷하게 시내에 많은 수의 화장품 전문매장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접근성이 굉장히 높았다 더불어 각 화장품 매장에서는 상품 할인과 같은 각종 프로모션을 진행하기 때문에 구매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 구매한다는 대답도 높은 편이었는데 거의 대부분이 와이파이존이어서 어디서나 인터넷을 한 활발히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온라인에서의 구매율도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0

5

10

15

20

25

30

NT$300 미만 NT$300~NT899 NT$900~NT$1499 NT$1500~NT2999 NT$3000

rarr 응답자들은 대부분이 한 달 간 화장품에 쓰는 돈을 최저 1만원 이상(NT$300 이상)이라고 답했는데 이는 70가 넘어가는 결과로 화장품에 대한 지출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만원 이상이라고 대답한 응답자들 또한 4분의 1을 넘기는데 이것은 젊은 연령층부터 시작하여 최근 피부 관리와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대만의 소비 수준에 대비하여 화장품 소비율이 높은 것도 이 때문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1 -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③ 성능(23)

051015202530

가격 디자인 성능 화장품 모델 브랜드

rarr 아열대 기후에 속하는 대만은 높은 기온과 습한 날씨 탓에 에어컨 환경에 자주 노출돼 피부 수분을 잃기 쉬워 기능성 화장품의 소비가 두드러진다 대만 화장품 시장은 토너 세럼 에센스 로션 크림 등의 모든 스킨케어 제품들이 보습기능을 강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백이나 안티에이징 리프팅 저자극 오일프리(Oil-free) 등의 기능까지 추가된 스킨케어 제품들이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조 화장품 소비가 늘어난 것은 최근 몇 년 들어 다양한 화장품 브랜드 접촉기회가 많아지고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젊은 여성의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색조화장품 또한 메이크업베이스와 BB크림 립스틱과 같은 베이스 메이크업이 수요가 많았다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④인터넷(22)

0

5

10

15

20

25

30

TV 잡지 친구 인터넷 메이크업샵

rarr 최근 빠른 인터넷망과 스마트폰 태블릿PC의 보급으로 인해 사람들과 사람사이의 연결망이 견고히 형성되고 있고 이것이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방법을 얻는 경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만 소비자들은 주로 인터넷 블로그 가족과 친구로부터 메이크업 정보를 획득 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만의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이므로 입소문마케팅과 판매를 바로바로 할 수 있는 유통구조가 도움이 될 것 같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2 -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0

5

10

15

20

25

30

청순 독특 귀여움 섹시

rarr 앞서 살펴보았듯이 대만은 한국과 비슷한 메이크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이것은 곧 청순한 메이크업 컨셉에 관심 있어 한다는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실제로 대만 여성소비자들은 깨끗한 피부 NATURAL한 베이스메이크업을 선호한다 한 듯 안 한 듯 자연스럽고 깨끗한 느낌의 한국식 lsquo생얼rsquo 화장법은 대만에서 한국 드라마 열풍과 함께 유명세를 타기 시작해 현지 각종 온라인 뷰티 사이트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래서 응답의 대부분이 한 곳에 치우쳤고 비교적 개성 있는 메이크업 방법이 드물 것이라는 것을 유추해낼 수 있다

본 설문 조사를 통한 한국 화장품 기업에 대한 시사점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수입 절차로 오랜 시간을 허비해야 하는 반면 대만은 자외선 차단제 성분 함유 제품과 약용 화장품을 제외한 일반 화장품은 별도의 수입 검사 없이 수입할 수 있으므로 대개 중국보다 1~2년 먼저 신상품이 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한류 효과를 겨냥한 중화권 화장품 시장으로 대만을 우선 공략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대만은 대부분이 화장품에 대한 소비를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고 한국 화장품이 많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시장 접근법만 제대로 수립하면 매출이 나는 구조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대만인들이 선호하는 메이크업 방법이 한국과 비슷하기 때문에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은 마케팅 방안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최종분석설문 조사 대상은 대부분 10대~20대의 연령층이었으며 화장품의 주된 구입경로는 lsquo온라인(24)rsquo과 lsquo화장품 전문매장(50)rsquo이 압도적이었다 더불어 한 달 간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lsquo1만 원 이상(72)rsquo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이것은 실제 생활수준에 대비하여 높은 소비량이므로 대만의 화장품 시장 전망이 밝다고 할 수 있다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부분은 lsquo성능(46)rsquo이었는데 이는 스타트업 기업 중소기업에게 유리한 조건이다 메이크업 방법을 얻는 방법으로는 lsquo인터넷(44)rsquo과 lsquo친구(30)rsquo가 높은 비율을 차지했는데 판촉활동으로는 인터넷을 활용한 SNS 홍보 바이럴 마케팅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가장 관심있는 화장 컨셉은 lsquo청순rsquo 이었고 이것은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와 맞물려 우리나라와 비슷한 메이크업 방법을 추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3 -

10 대만 명소 소개 (명소음식행사숙소 소개)

10-1 고궁박물관

대만 고궁박물원은 영국의 대영 박물관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 미국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과 함께 세계 4대 박물관으로 손꼽힐 만큼 세계적은 소장 문물을 자랑한다 건물 규모는 그다지 크지 않지만 소장한 문물의 질과 양은 세계 최상급이다 중화 보물 중에서도 최고의 보물들이 모여 있어 진귀하기 그지없고 수량 역시 워낙 방대하여 3개월 단위로 1만여점을 돌아가면서 전시해도 다보려면 10년이 넘게 걸린다고 전해지고 있다 중국의 국공내전 당시 장제스가 이끌던 중국 국민당이 전쟁에서 패하며 중국을 탈출해 대만으로 향했다 당시 장제스는 난징에 있던 정부를 타이페이로 이전하면서 자금성에 보관되어있던 중국역대 왕조 보물 수십만 점을 배를 이용해 운반해 왔다 중국의 유물을 가진 자가 진정한 통치자라고 생각했던 장제스는 ldquo공산군에게 영토는 내줘도 문화유산만큼은 내줄 수 없다ldquo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대표적인 유물은 취옥배추 육형석 모공정 산씨반 등이 있다

10-2 용산사

루강의 초입에 있는 이 사찰은 타이완에서 가장 오래되고 아름답다고 하여 타이완의 자금성이라고 부른다 각 건물의 기둥 벽 그리고 천장 등에 새겨진 조각은 특히 빼어나다 이 조각상과 함께 이곳의 명물로 알려진 것은 사찰 경내에 있는 2마리의 용상인데 삼천전 앞마당 좌우에 서서 룽산사를 호위하고 있다

10-3 타이페이 101 빌딩

타이베이 101빌딩rsquo이라 부르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로서 빌딩 모습은 하늘로 뻗어나가는 대나무 위에 꽃잎이 겹겹이 포개진 형상이다 본래 타이베이 금융기관이 모인 건물이지만 대형 쇼핑센터와 푸드코트 고급 레스토랑이 있어 여행자들이 많이 찾는다 건물에는 8개 마디가 있는데 이는 중화 문화권에서 부와 번영을 의미하는 숫자 lsquo8rsquo을 염두에 둔 것이다 타이베이 시내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는 높이 508m로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히는 높은 건물이다 지상 1~5층에는 소고 백화점 뷰티 플라자 애버뉴 101 등 다양한 패션∙뷰티용품을 구입할 수 있는 상점이 있다 또한 레스토랑 시티 스퀘어 대형 서점 등 쇼핑과 오락 식사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복합시설이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4 -

잘 알려진 식당으로는 딘 타이 펑(Din Tai Fung) 이 있다 101타워 지하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샤오롱바오(고기만두) 새우 샤오마이(새우만두) 탄탄면(우육면)이 가장 대표적인 메뉴이며 대만에 방문한 많은 사람들이 찾는 식당이다

10-4 지우펀

대만여행의 백미로 꼽히는 지우펀은 타이페이시 북부의 루이팡 지역의 작은 산골 마을로 과거에는 아홉가구만 살고 있어서 지우펀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예전에는 작은 산골 마을에 불과 했지만 이 지역에서 금맥이 발견되면서 호황을 맞이하게 된다 특히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일본풍의 건물들이 남아 있어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결합된 독특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비탈길을 따라 하늘로 이어진 예스러운 건물 그리고 골목마다 빨간 홍등과 함께 묻어나는 옛 풍경은 여행객들에게 인기 여행지이다

10-5 스린야시장

타이베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야시장 가운데 하나이다 독특하면서도 다양한 전통 먹을거리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이곳을 찾는 관광객이 많다 시장 부근에 학교가 많아 학생들이 많이 찾으며 포장마차 등의 노점상이 많아 가격도 저렴하다 칭런샹[情人巷]에는 가구 의류 액세서리 사진현상점 애완용품점 등이 모여 있어 학생뿐 아니라 관광객들도 자주 찾는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5 -

10-6 예류 지질 공원

타이완 북해안에 자리한 예류는 해수욕장과 온천 기암괴석으로 유명한 관광지다 특히 예류지질공원은 희귀한 모형의 바위와 암석이 모여 있어 예류 관광의 필수코스로 꼽힌다 작은 곶으로 된 예류지질공원은 침식과 풍화 작용을 거쳐 자연적으로 형성된 기암을 보러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지질공원으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것이 선상암 군락이다 암석 하나하나의 모습은 마치 거대한 버섯이 큰 머리로 하늘을 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선상암 가운데 가장 유명한 암석은 이집트 왕비의 옆모습을 닮은 여왕 두상 바위다

10-7 스펀(Shifen)

스펀(十分)은 옛 광산마을로써 천으로 만든 등이 유명하다 또한 이 곳 스펀은 대만 최대의 폭포 스펀(SE-FEN) 폭포가 있다 미니기차와 천으로 만든 등을 날릴 수도 있다 마을의 한가운데 긴 철길이 놓여 있고 30분에 한 대씩 기차가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것도 볼 수가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6 -

10-8 진과스(金瓜石)

진과스(金瓜石)는 타이완 타이베이 근교에 있는 옛 탄광 유적이다 20세기 전반에 금 채굴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20세기 후반에 금이 차차 고갈되기 시작하자 점점 위축되어 폐광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관광 명소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하루에도 수백명이 들렀다 가는 대만의 대표 관광지이다 진과스 내에 있는 황금 박물관에는 220kg 의 금이 전시 되어 있는데 손을 넣어 직접 만져 볼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진과스에서는 과거 광부들이 먹었던 도시락을 그대로 만들어 판매하는 광부 도시락도 굉장히 인기가 많다

10-9 국립 성공대학

대만의 타이난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1931년에 개교하였다 2010년 QS대학순위에서 283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대만 대학중 2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총 9개의 캠퍼스로 이루어져 있어 굉장히 큰 면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만 교육청에서 인정한 9개의 주요대학 중 하나이고 대만 기업체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학이다 이공계열이 가장 뛰어나며 중문 역사 법학 경제학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10 시먼딩

타이베이시에 위치한 시먼딩은 한국의 명동과 같은 거리이다 대한민국의 명동에도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과 외국인이 많다고 알려져 있는데 시먼딩 또한 명동 못지않은 다양함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대만의 패션과 놀이 문화 음식 등을 한눈에 경험 할 수 있는 공간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7 -

10-11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

중정기념당은 타이완 총통 장제스(蔣介石)를 기리는 전당이다 lsquo중정rsquo은 장제스의 본명이다 그가 서거한 후 1980년 기념당을 세웠다 25만에 이르는 넓은 중정공원 안에 우뚝 선 높이 70m의 기념물이 중정기념당이다 기념당 1층에는 장제스 생애를 엿볼 수 있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거대한 장제스 동상은 항상 근위병이 동상 앞을 지키고 있다 중정공원 안에는 중정기념당 외에 국립 희극원과 국립 음악청이 있는데 이곳에서 연극과 콘서트를 한다 공원 조경 또한 잘 조성되어 있어 산책하며 천천히 둘러보기에 좋다

10-12 안핑지구(安平地區)

대만의 문화와 역사는 안핑지구에서 시작되었다 안핑구바오는 17세기 중엽 네덜란드인들이 지은 요새로 정성공이 빼앗아 번영하다가 황폐해져 지금은 보루의 대부분이 없어지고 설탕과 굴껍데기와 찹쌀가루를 버무려 만든 빨간벽돌로 된 장벽(臺灣城殘蹟)만이 남아 나무뿌리와 존립의 사투를 벌이고 있다 감시탑 옆 건물 안에는 네덜란드와 정성공의 전투에 대한 이야기와 중세갑옷 등이 전시 중이다 이 주변에는 대만에서 가장 오래된 상업거리 옌핑제(延平街)가 있는데 옛 명성이 다한 거리의 골목 사이사이 수백년 된 가옥을 구경하는 것도 소소한 즐거움이다 1867년 영국인 상점과 물류창고로 이용하던 건물에 노용수(老榕樹)가 멋대로 자라 건물을 집어삼키듯 뒤덮은 나무집으로 불리는 안핑수우도 안핑지구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진귀한 볼거리다

10-13 미라마 관람차

대만에서 가장 큰 관람차로 알려져 있는 미라마 관람차는 타이페이 시의 야경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관람차 크기가 큰 것으로 유명하지만 가격 또한 저렴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유스트래블 카드를 이용하면 50 할인이 적용되므로 꼭 지참하도록 하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8 -

lt미라마 관람차 티켓gt lt유스트래블 카드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9 -

11 시사점 및 차후 활용계획 (LGC 프로그램을 통한 구체적인 효과 및 연구결과)

11-1 LGC 프로젝트 만족도

구분 항목 전 후 한줄 평

사업단

프로젝트 취지- 린튼 글로벌 학과와 경영정보학과 학생들이 함께

하는 프로젝트 해외시장탐방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사전교육 활동- 출국 전 각 나라에 대한 유의사항 안전교육이 체

계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개략적인 보고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었다

행정지원 절차- CK사업단 린튼 글로벌 학과 경영정보학과 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히 되지 않아 사전 계획에서 많은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협동력 향상- 출발 전 잦은 팀 회의와 8박 9일 간에 일정에도

불구하고 불화 없이 좋은 분위기 속에서 프로젝트를 완수 했다

추진력 향상- 일정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 한 점 추가 자료조

사를 위해 현지에서 새로운 일정을 추가 됐을 때 팀원들이 일사불란하게 따라주었다

문제해결 능력- 교통편 문제와 기업 측 내부 문제로 일부 일정에

변동이 있었지만 신속한 조율과 전화 통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개인

동기부여 자극- 현지인들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국어 영어 능

력의 필요성을 실감했다 특히 중국어는 소통 유무에 따라 현지 반응이 극명하게 갈렸다

진로설계 도움- 프로젝트 전에 비해 새로운 직업 분야에 대한 관심

이 증가했다

취업능력 향상-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한 내용을 살려 구술 면접이

나 자기소개서 작성에 참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11-2 LGC프로젝트 연구 결과 - 대만 시장

⓵ 중국시장을 주목하는 대만 화장품 기업- EST팀은 현지 대만 화장품 기업으로 SISDORA와 WABFENIX를 선택했다 두 회사를 선정한 배경에는

명확한 의도를 두고 정했다 SISDORA는 설립한 지 10년이 넘는 회사로 직접 화장품을 개발 및 연구하고 판매하는 중소기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과 주름개선 크림으로 중년 여성을 타깃 층으로 하는 화장품 회사다 반면 WABFENIX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스타트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 이지만 기술개발 보다는 디자인 마케팅에 중점을 두었고 판매 층도 10대-20대의 젊은 층을 타깃 층으로 한다 시장 전략이 완연히 다른 두 기업이 유일하게 공통점이 있다면 중국시장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선정 이유에는 많은 인구의 소비력을 꼽지만 뒤이어 언급하는 이야기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자사 제품의 경쟁력 약화를 말한다 현재 대만 기업 대부분은 내수 시장 대신에 중국을 겨냥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국가 산업 특성상 제조amp연구 분야가 강세인 대만에서는 중국 바이어 또는 미국 유럽 바이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직접 판매 보다는 기술 협력을 통해 이익을 창출한다고 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0 -

⓶ 대만 시장을 점령한 한국 화장품

- 앞서 말했듯이 2012년 이후부터 급속히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한국 화장품은 대만 시장을 점령하고 있다 이미 시먼딩에 들어서면 다양한 한국 화장품 매장이 눈에 띌 만큼 들어섰으며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중앙 광장에 입점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매장 안에는 많은 대만 사람들이 화장품을 보고 있는 광경을 흔히 본다 화장품 매장을 이용하는 연령층은 주로 10대-20대들이다 화장품 가격이 한국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주 애용하는 이유는 한류 열풍으로 인한 한국 연예인들에 대한 관심과 화장법이 크게 유행하고 있음을 현지 설문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⓷ 체감할 수 있을 만큼 커다란 한류열풍

- 뉴스에서만 듣던 한류 이야기를 대만에서 직접 느낄 수 있을 정도로 한류열풍은 크다 특히 삼성이나 LG의 TV나 스마트폰은 어딜 가든 항상 보이고 한국 화장품 선물에 대한 반응이 무척이나 뜨겁다 원활한 현지 조사를 위하여 사은품으로 준비한 한국 마스크 팩 100개는 오히려 현지인들이 참여 의사를 표현할 만큼 열정적이었다 일부 대만 사람 중에는 어디서 왔냐는 질문에 한국이라는 답변을 하니 같이 사진 찍기를 제안하기도 했다

⓸ 중소기업에게 있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는 대만 시장진출- 대만 시장 진출에 앞서 한국 화장품 중소기업이라면 전략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크게 대만 시장을 겨냥

할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할지 선택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3CE는 한국 화장품 회사다 대만에서 젊은 연령층이 자주 이용하고 이미 대만 내에서는 유명하다 3CE는 오프라인 매장 없이 순수 온라인 매장으로 운영하면서 대만 사람들을 위한 전용 웹사이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윤을 창출 하고 있다 신중해야 할 점은 현재 온라인 오프라인 등 한국 화장품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신규 진입에 있어서 장벽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대만 시장을 활용한다면 동남아 시장까지 한 번에 내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출입통관 절차가 간단하고 관세가 낮기 때문에 중소기업에게 유리하다 아직까지 중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1 -

에 대한 직접적인 수출이 가능한 곳은 상해나 항주 같이 중국에서 허가한 무역항 도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내륙까지 시장을 확대하기는 불가능하지만 같은 언어권인 대만을 거치면 보다 쉽게 바이어나 에이전트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인맥을 통한 꽌시와 수수료 명목으로 뒷돈을 요구하는 중국 바이어의 관행은 자금 순환이 원활치 않은 중소기업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11-3 LGC 프로젝트 종합 의견 및 전망

우리 lsquoEST팀은 출국 전 국내 화장품 시장 조사를 할 때 대덕 밸리 스타트업 기업 셀아이콘 랩의 영향으로 대만의 화장품 산업에 대해 큰 관심과 가능성을 보고 2015년 1월 5일부터 1월 13일까지 8박9일이라는 시간동안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 나라 중에 하나인 대만에서 rsquo대만의 화장품 시장lsquo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사를 했다 대만에서는 3개의 기업 (KOTRA SISDORA WABFENIX) 을 방문해 전반적인 대만의 화장품 시장과 판매전략 한류에 대한 보다 사실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1개의 대학 (국립성공대학 國立成功大學)에서 MBA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또 타이난에서는 대만에서 오랫동안 사업하시는 한인협회 회장을 만나 PLC (Product Life Cycle)를 통해 대만에서의 특정 시장이 도입기에 있는지 또 어떠한 시장이 쇠퇴기에 놓여있는지 다양한 시야에서 대만시장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노력은 CK 사업단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교육부 CK-1 프로젝트의 일부인 Linton Global Challenge는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몇 년을 내다보는 지속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기업들과 더욱 더 활발한 교류와 연구를 한다면 기업과 CK 사업단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리라고 본다

1 개인 탐방 후기 (팀원 개인 소감)

1-1 개인 탐방 후기

강성민탐방 후기 기업 컨택 부터 인터뷰 일정 계획까지 8박 9일간의 대만 화장품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 출국 전까지 준비 과정부터 탈도 많았고 대만에 와서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 원하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매일이 항상 회의와 고민의 연속이었다 하루하루 충실히 계획을 진행시켜 나갔고 좋은 팀 분위기 속에서 무사히 대만 프로

부록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2 -

젝트를 완수했다 그리고 마침내 한국으로 돌아왔다 과정은 항상 오르막 길이였지만 돌이켜 보면 마지막 대학 시절을 기념할만한 좋은 추억이자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느끼는 바가 많았던 프로젝트로 기억 될 것이다

김은진탐방 후기 글로벌 챌린지를 한마디로 정의하라고 한다면 도종환 시인의 lsquo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lsquo라는 시가 떠오른다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대만기업컨택 설문조사 등 많은 것을 경험했다 처음엔 모든 것이 나에겐 버거운 산이라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도전이 계속 될수록 이젠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이 모든 도전들에 흥미가 생겼다 나 자신도 책임감과 자신감이 생기고 한층 성숙해 진 것을 내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소중한 동료와 추억은 평생 나의 가슴속에 남을 것이다 우린 앞으로도 많이 도전하고 경험하여 우리들의 삶이 활짝 만개하리라 다짐한다 끊임없이 도전하는 20대의 청춘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프로그램이었다 김종선탐방 후기 한국에서 준비하면서 조사했던 내용과 비교하며 인터뷰를 해보니 실제로 많이 다른 부분도 있었고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 비슷한 내용도 있었다 현지의 기업들을 방문해 우리가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직접 매장에 가서 느껴보니 앉아서 컴퓨터만 볼 때랑 많이 달랐다 그리고 직접 대만인들에게 설문조사를 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그리고 대만의 실제 문화와 환경 그들의 생활을 잠시나마 볼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

구명우탐방 후기 며칠간의 꿈만 같았던 대만에서의 시간이 지나갔다 대만으로 출국하기 전 사전조사 기간에는 확신이 없었다 사전조사와 기업과의 인터뷰 그리고 9일간의 일정조율 및 숙박과 모든 대만에서의 연구와 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보고서까지 무엇하나 확신이 드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도전과 해결능력을 배웠고 아시아에서 급성장 중인 대만에 대해서 배우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다음기수로 가게 될 관심 있는 학우들에게 진심으로 추천해주고 싶다

이규현탐방 후기 CK-1 프로그램 중 하나인 lsquo린튼 글로벌 챌린지lsquo 프로그램을 통해 약 8박 9일이라는 시간 동안 emerging market 중 하나인 대만에 거주하면서 한국 화장품의 대만시장 점유율과 진출 가능성을 몸으로 체감하고 자료들을 모아 통계 내어 정리할 수 있었다 우리 팀 lsquoEST가 성공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충분한 국내조사 기간을 갖고 대만의 화장품 회사들을 방문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대만의 특정한 기업을 찾기도 어려웠고 기업 컨택은 번번히 거절당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회사 두 군데에서는 답장조차 오지 않았고 설문조사할 때에는 반한감정의 대만인을 만나 고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팀의 단결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리더의 통솔력으로 정해진 스케줄대로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회사를 방문하고 학교교수를 만나고 길거리에서 설문조사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팀원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또한 대학생으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을 한 것 같아서 스스로도 너무 뿌듯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팀을 믿고 지지해주신 LGSB 교수님들과 CK-1 프로그램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영은탐방 후기 처음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렇게 준비는 열심히 하지만 정말 우리가 계획한 100대로 대만을 다녀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기우가 무색하게도 대만은 우리에게 기획안 그 이상의 것들을 보여주었다 사장님들의 생생한 사업 이야기와 대만의 색채가 묻어있는 아이템들 하며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여 알아보는 비즈니스 마켓의 현장은 나에게 두고두고 잊지 못할 자산으로 남았다 또한 펑리수 버블티를 비롯한 대만의 맛있는 먹거리들과 스린 야시장이나 지우펀 같은 명소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열심히 고생해준 팀원들과의 추억들도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3 -

이서우탐방 후기 이번 글로벌 첼린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서 쉽게 할 수 없는 해외 기업 탐방과 해당 국가의 산업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임효진탐방 후기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팀이 대만을 방문 한다고 했을 때 많이 의아해 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만을 직접 방문해보고 많은 사업자들을 만난 결과 대만은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라고 생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아직 공산주의라는 정치적 특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다른 곳보다 훨씬 어렵지만 대만은 자유시장체제 이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쉽다 특히 외국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만 시장에서 한국제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추고 중국 시장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성공가능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그리고 대만의 바이어들을 통해 중국의 시장진출을 하게 된다면 사업자가 직접 중국시장에 진출 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성공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만은 문화적으로 다른 아시아권보다 선진화 되었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대도시에 속하지만 모두다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골고루 섞여 대만만의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차안호탐방 후기 9박 10일간의 대만을 다녀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넓고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이번 대만 여행은 처음으로 경험한 해외여행 경험이여서 그런지 순탄치 않은 면도 있었지만 팀원들 서로가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만시장은 중국시장으로 가기위한 좋은 시험의 장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대만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영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더 나아가 미래에는 중국어야말로 영어와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성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또 하나 놀란 점은 대만이 반 한류 감정을 많이 갖고 있는 줄 알았지만 대부분의 대만 일반 시민들이 굉장히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에 놀랐고 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CK-1 사업의 챌린지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대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계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보완점 및 건의사항 (문제점개선책건의사항)

2-1 기업 컨택의 어려움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에 있는 기업과 연결하여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대해서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조사 및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시간을 내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로써 그들의 귀한시간이 아깝게 쓰이지 않을 것을 강조하여 만남을 만들어야 한다

2-2 사업단과 의사소통의 불편함

Challeng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CK-1 사업단과의 지속되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가령 누군가를 통해서 전해지는 소문이나 촉박한 시간을 제시하고 일 처리를 원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단과 각 팀의 대표간의 분명한 의사소통과 증빙자료 등이 필요하다

2-3 정보 부재 이번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이머징 마켓에서의 유망 산업 조사 및 연구였다 대만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25: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5 -

조건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이나 다른 큰 중화권 시장으로 진출하기 전에 언어나 문화 중화권사람들의 사고방식등 여러방면에서 시험해 볼 수 있는 좋은 장소는 틀림없습니다 중소기업이 대만시장에 진출할 때는 코트라를 이용하여 각종 정보나 현지 인프라등을 이용하는 것 또한 하나의 방법이며 무엇보다 중화권의 문화와 중화권 대중들의 생각을 잘 공부하고 언어를 습득하여 오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7-2 SISDORA luxury beauty care

-1월 6일 화요일 1300~1530 인터뷰 1600~1800 101타워 퍼스널트레이닝 센터-주소 No9Aly 10Ln265Sec 4Xinyi RdDaan Dist Taipei City 106-대표 Mr Chung-Cheng Lee -전화886-2-27040889-URL httpwwwsisdoracom

Q 간략한 회사 소개와 SISDORA의 유래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A Isadora는 고대 이집트의 가장 강력한 여신의 이름입니다 Sisdora는 이 여신의 이름을 따서 만든 브랜드 이름입니다 이집트의 고대 여신인 Isadora의 이시스는 선물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고 생명과 건강 아름다움을 담당하는 여신으로도 유명합니다 저희 SISDORA는 비슷한 동음 이의어로 동양의lsquoISIS(이시스)rsquo라는 단어가 있어 브랜드 명을 SISDORA로 정하게 되었습니다Q Sisdora 제품 소개 부탁드립니다

A저희 제품은 안티에이징 미백 마스크 제품을 주력으로 하고 있습니다 동일 제품군을 비교해 봤을 때 가격 및 품질은 상위에 속하는 최상품의 제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마스크 팩 대부분은 종이섬유로 제조하는 반면 저희 Sisdora는 누에의 실(실크)로 만든 마스크 팩 입니다 실크마스크 팩을 제조할 때에는 피부 건강에 좋은 약재 및 약초등을 배합하여 제조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피부에 자극적인 향로를 첨가하지 않았고 수분이 빠르게 흡수 될 수 있습니다 덕분에 저희 마스크 팩을 사용하는 고객들은 부드럽고 산뜻한 느낌을 받으실 수 있을 겁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6 -

Q 귀하의 회사는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어떤 마케팅을 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A 저희는 해마다 대만 타이페이 글로벌 미스코리아 대회에 제품을 협찬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대만 유명 가수들과 함께 제품을 결합시킨 뮤직비디오를 제작하여 마케팅에 힘쓰고 있습니다뿐만 아니라 제품의 품질인증을 바탕으로 러시아 중국 동남아 지역에 진출하는대 힘쓰고 있습니다 저희 제품은 대만 내에서 스킨케어 제품으로써 유일하게 지정 브랜드 수상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저희는 주로 매스컴이나 인터넷을 통한 마케팅이나 엔터테이먼트 컨벤션 산업을 활용하여 마케팅을 하고 있습니다

Q 그렇다면 대한민국의 화장품 제품이 대만에 진출해 있는데 대한민국 화장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는 어떤지 궁금합니다

A 최근 5년 사이에 한국의 드라마 음악등 한류를 타고 대만에도 많은 한국 제품이 등장하였습니다 하지만 대만에는 오래전부터 수입화장품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이탈리아의 산타 마리아 노벨라 프랑스의 아이젠버그등 명품 화장품 브랜드가 오래전부터 입점해 현지 화장품시장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 때문인지 한국 화장품의 인지도는 크게 높지는 않습니다 아무래도 유럽 브랜드 그 다음으로 대만 기업의 브랜드 그 다음으로 한국의 화장품 브랜드 순으로 인지도가 형성되어 있다고 생각됩니다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한국화장품은 다른 명품 화장품들의 가격보다 저렴하고 성능이나 효과 면에서 절대 뒤처지지 않아 한류가 지속되고 마케팅이 잘 이루어진다면 충분히 유럽의 명품화장품의 인지도를 뛰어 넘을 수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Q 한국의 중소기업의 화장품이 대만 시장에 진출하는 것에 대해서는 어떤 의견을 갖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A 한국의 대기업 화장품 브랜드가 아닌 중소기업의 화장품 브랜드가 대만에 진출하는 것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겁니다 하지만 저희 회사도 중소기업으로 시작하여 마케팅 전략을 잘 활용 하여 많이 성장하였습니다 아무래도 한국의 중소기업의 화장품이 대만에 진출하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있겠지만 어떤 마케팅 전략을 선택하느냐가 가장 중요하고 마케팅이 잘 이루어지고 입소문이 퍼진다면 한국의 중소기업 화장품 또한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7 -

7-3 가오슝 한인협회

-1월 8일 목요일 1400~1600 인터뷰-주소 高雄市鼓山區二路37巷弄43-2號(고웅시고산구이로37항81롱43-2호)-대표 尹桓鎬(윤환호) HP 0932-740-538 -電話 07-5211933 -傅眞 07-5214031

Q 대만과 한국과의 무역 관계가 어떠한지 궁금합니다

A 한국과 대만과의 무역은 크게 활발하게 이루어 질 수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대만의 시장 자체가 매우 작기 때문에 대만에 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국내 시장이나 다른 큰 해외 시장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대만 시장을 거쳐서 동남아나 중국 시장으로 진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여서 기존에 존재하는 대기업이나 저처럼 오래 전부터 이민한 분들이 소규모로 중개무역을 하고 있는 정도입니다

Q 현재 한인협회 회장님께서 직접적으로 하는 일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현재 저는 한국의 화장품을 수입하여 대만 현지 기업에게 판매하는 중개무역을 하고 있습니다 대만에 온지 20년이 넘었는데 이런 저런 일을 하다가 기회가 되어 이쪽 일을 하게 되었는데요 처음에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인식이 없어 가격은 비싸고 품질의 보증은 되어 있지 않은 제품이라 소비가 크게 늘지 않았는데 한류 열풍이 불고 한국 드라마의 성공과 그 배우들이 광고하는 화장품의 수요가 크게 늘어 몇 년 전부터 시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Q 한국과 대만과 중국의 관계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해 주세요

A 앞서 말씀 드린 것 같이 한국의 기업은 대만을 통하여 중국 시장의 진출을 위하여 대만 시장을 많이 찾습니다 그 이유는 한국 기업이 대만 시장을 통해서 제품을 인정받는다면 대만과 중국은 같은 언어권의 나라로 대만기업을 통해 중국으로의 활로를 개척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왜 이렇게 돌아서 진출을 하려고 물으셨는데 그것은 쉽게 말해서 말이 잘 통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의 중국어를 잘 구사하는 사람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보다는 대만의 사람이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주고 인정을 해준다면 더욱 쉽게 자리를 잡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8 -

Q 스타트 기업의 대만 진출 성공여부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중소기업이 대만에 들어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현재 한국 내에서의 위치를 높이는데 주력하는 것이 좀 더 낫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대만은 아주 뛰어난 기술력을 가지고 있지만 자체 제품을 생산하지 않습니다 예로 Apple에서 전체 아이디어를 미국에서 한다면 그 아이디어 실행은 대만에서 이루어집니다 그리고 제품의 생산은 대부분 중국에서 이루어 지구요 이렇듯 대만의 기술력과 제품에 대한 이해가 빠르기 때문에 수입을 많이 의존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중소기업이 들어와서 제품을 판매한다 쉽게 성공할 수 없죠

Q 회장님께서는 중국과의 중개무역은 생각하고 있으시지 않습니까

A 네 저는 지금의 생활에 만족하고 있습니다 지금 저의 파트너들과의 관계도 좋고 따로 중국 진출은 생각하고 있지 않습니다 만약에 제가 중국을 진출하게 된다면 현재의 기업들과도 경쟁상대가 되어 저는 생각이 없습니다

7-4 국립성공대학(國立成功大學)

-1월 9일 1350~1700 인터뷰-주소 701 臺南市東區大學路1號-연락처06-2757575 -홈페이지 wwwnckuedutw

대만 국립 성공대학은 931년 타이난에 설립된 이공계 명문 대학입니다 국립성공대학은 66개의 캠퍼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각 캠퍼스마다 특징과 분위기가 다릅니다 우리 국립성공대학은 ldquo북대대 남성공(北臺大 南成功)rdquo 이라는 말이 있듯이 역사는 대만대학의 바로 다음갑니다

국립성공대학의 이름의 의미는 성공은 무엇을 성취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대만의 민족영웅인 정성공(鄣成功)을 기념하기 위한 대학이라는 뜻입니다 성공대학은 정성공이 있던 역사명승 적감루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해 있기도 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9 -

이후 인터뷰로 대만의 소개와 간단한 전공 소개가 있었다

7-5 WABFENIX RENIX GLORY GLORIA GUA

-1월 12일 월요일 1300~1500 인터뷰-주소 14F-1 No420 Sec 4 Xinyi Rd Xinyi Dist Taipei City 110 Taiwan (ROC)-대표 Mr KEN -전화886-5569-0555-URL httpswwwfacebookcomrenixfanspage httpwwwwabfenixcom

Q Wabfenix가 어떤 기업인지 소개 해주세요

A 저희 회사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으로 현재는 매장은 없지만 개발한 제품을 바탕으로 사업을 진행 중이고 대만현지에 저희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저희 회사는 제품의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화장품을 개발하여 대만시장 뿐만 아니라 중국시장의 진출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Q 귀하의 제품은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제품이라 하셨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제품 등이 있습니까

A 우선 Heymore 제품군의 블랙 마스크 팩과 Renix 제품군의 일반 마스크 팩을 출시했습니다Heymore의 경우 선물용임을 부각시키기 위해 디자인에 특히 많은 투자를 하였습니다 중국 중산층을 겨냥한 제품으로 가격대 1봉지에 한화 ₩40000 정도로 높게 책정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가격을 높게 측정한 이유에는 중국 화장품 소비문화 속에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 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에 저가 보급형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0 -

제품인 Renix와 차별을 두는 판매 전략을 선택하였습니다 현재 판매되는 제품은 마스크 팩을 주력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Q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인데 중국을 대상으로 어떤 진출 전략을 갖고 있습니까

A중국에서 열리는 화장품 전시회 화장품 엑스포 행사 바이어 미팅 등 꾸준히 참가중이며 바이어들에게 저희 제품을 어필하고 있습니다 물론 신생기업인 만큼 아직 중국 내에서 뚜렷한 판매 실적을 기록하진 못했지만 타 화장품 기업들과 다른 마케팅 방식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디자인이나 제품의 아이디어를 강조하고 있는데 대표 적인 상품으로 오뚝이 모양을 한 화장품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이 오뚝이 제품을 바이어들에게 어필해 보았는데 대단히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Q 해외시장 마케팅과 대만 시장마케팅의 차이점이 있습니까

A 우선 중국에서의 마케팅은 행사나 전시회에 참여하고 바이어들을 개인적으로 만나는 것에 치중해 있다면 국내 대만시장의 마케팅 전략은 페이스북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대만은 중국에 비해 SNS가 많이 발달되어 있어 자금이 많이 들어가지 않는 SNS마케팅을 하고 있고 각종 자선행사에 참여하여 저희 기업을 홍보하고 있습니다

Q 귀사의 제품을 중국보다 비싼 인건비가드는 대만 제조공장에서 생산하는 겁니까

A타이중에 소재하는 공장에서 마스크를 제조 하고 있습니다 인건비가 비싼 것은 대만 수도인 타이페이에만 주로 해당이 됩니다 지방 소도시에서도 외곽으로 들어가면 저렴한 인건비와 공장 가동비용으로도 제조가 가능 합니다 굳이 중국에 제조공장을 갖지 않는 이유는 신생기업이라 자금문제도 있지만 대만은 OEMampODM에 특화된 국가이기 때문에 품질 좋은 다양한 제품주문이 가능하고 중국 사람들에게도 자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 보다 외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가 더 좋기 때문에 대만에서 생산한 뒤 수출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Q 대만에 한국 화장품 기업이 진출한다면 어떠한 마케팅 전략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 생각 하십니까

A 이미 대만에 한국의 화장품 제품들이 많이 들어와 있습니다 하지만 대만 자체의 화장품 기업들이 기존에 많은 시장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성공을 거두기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최근 한국에 대한 이미지가 많이 좋아졌고 한국의 영화나 드라마 등이 많이 알려지면서 인지도가 높아졌습니다 한국의 대기업의 경우 이러한 대규모 마케팅을 할 수 있으므로 큰 무리가 없겠지만 한국의 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한다면 최종 시장 공략 층은 대만이 아닌 중국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대만은 중화권으로 가기 위한 연결다리라고 생각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또한 중소기업은 큰 마케팅 비용을 부담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대만에서는 SNS나 각종 자선 행사에 참여하여 인지도를 높이는 것을 추천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1 -

Q 같은 제품이지만 대만과 중국에서 판매할 때 가격 책정이 다른 이유가 무엇인가요

A 그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해드리자면 국가마다 소비 성향이나 구매 능력 환율 경제 상황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경영 에서는 가격 차별화(Price discrimination)이라 부르는데요 각 나라의 시장 특성에 적정한 가격대를 책정해서 제품을 판매하는 전략입니다 혹시 중국 상류층이 몇 명인지 알고 있나요 제가 알기로는 대만 인구의 2배인 4000만 명이라는군요 아마도 한국 인구랑 비슷한 규모 일겁니다 게다가 중산층은 약 4억 명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4억 명의 중국 소비자들이 우리 제품을 1개씩만 구입 한다면hellip 상상만 해도 엄청 나겠죠 이야기를 하다 보니 다른 쪽으로 빠졌는데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이야기하면 물론 좋은 제품을 모든 곳에 저렴하게 제공 하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 그러나 항상 시장에서 저렴한 제품만이 성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대만이나 한국처럼 고도의 산업화가 이루어지고 시장이 크게 발전한 안정적인 단계는 좋은 제품이라도 가격 경쟁력에 신경 써야 합니다 왜냐하면 소비자들이 똑똑하기 때문에 정보력이 넓고 합리적인 소비를 지향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가격 성능 디자인 등 많은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중국 시장은 대만이나 한국과는 특성이 다릅니다 저렴하다고 해서 많이 제품이 많이 팔리기 보다는 가격대가 어느 정도 있는 제품일수록 또는 가격대가 높을수록 소비자들이 관심을 보입니다 대체적으로 중국 소비자들은 lsquo저렴한 제품은 품질이 낮거나 효능이 좋지 않은 제품일거야rsquo 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 때문에 화장품 박람회나 전시회에 저가 화장품을 가져와 홍보하더라도 중국 바이어나 소비자들은 큰 관심을 주지 않습니다 처음에 말했듯이 중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2 -

국 소비문화가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라는 심리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Wabfenix의 경우에는 신생기업이라 많은 투자 금액이 없을 뿐 더러 대만 화장품 시장에 진출하기에는 리스크가

크고 진입 장벽이 높습니다 그리고 이미 한국 화장품 기업들이 대부분 점유를 한 상황이기 때문에 대만 내수시장에만 집중하기에는 경쟁력이 부족하죠 그래서 중국을 주력 수출시장으로 삼고 있는데요 저희는 제품 성능 보다는 소비자의 이목을 끌 수 있는 디자인에 더 많은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중국에 Wabfenix만의 화장품 선물 문화를 정착 시키는 것이 목적인데요 높은 제품 가격만큼 소비자의 관심을 끌 수 있고 선물 문화나 꽌시(关系)가 많은 중국 문화 특성에 맞추어 선물용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중국 시장은 현재 젊은 중산층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품질이 낮은 화장품 보다는 수입 화장품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점으로 미루어볼 때 높은 가격 차별화와 Wabfenix만의 디자인 마케팅은 좋은 경쟁력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3 -

8 현지 시장조사 활동 (시장동향사진설문조사 자료)

8-1 시먼딩 설문조사

목적 대만 사람들의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및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대상 10대~20대 여성 및 화장품 전문매장 종사자장소 시먼딩시간 2015년 1월 7일 12일 총 두 차례에 걸쳐 진행방법 ①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 판넬에 국가별로 메이크업 사진을 표시하고 스티커를 붙이는 방식으로 투표함 공정성을 위해 국가 이름은 블라인드로 처리하였고 모두 동일 인물의 사진을 사용함②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표본집단을 50명으로 설정함 설문조사가 끝나면 사은품으로 한국 브랜드 마스크팩 증정함

8-2 사전 기획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판넬 기획도gt

化妝辦法喜好度的調查화장법 선호도 조사

大家給自己喜歡的化妝貼貼紙 여러분이 선호하는 메이크업에 스티커를 붙여 주세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4 -

대만의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안녕하십니까

다음의 내용은 대만 화장품 트렌드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자 관련조사를 실시하고자 하오니

있는 그대로의 생각을 기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귀하의 응답은 통계적 목적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본 설문은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물음에 대한 답변이나 해당란에 v 표를 해 주십시오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7) ② 화장품 전문매장(34) ③ 마트(5) ④ 홈쇼핑(2)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합계 총 50 명

바쁘신 시간에 의견을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지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5 -

8-3 설문조사 활동

lt2015년 1월 7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6 -

lt2015년 1월 12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7 -

lt활동 결과 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8 -

9 설문조사 통계 분석 (설문조사 응답 수분석결과)

9-1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결과gt

설문 조사 질문지 양식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12)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③ 마트(5) ④ 홈쇼핑(6)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9 -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gt

9-2 설문조사 항목 별 의견 및 추측

설문 조사 질문지 항목 (최다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② 20 ~ 25세 (13)

0

5

10

15

20

25

30

20대 이하 20세~24세 25세~29세 30세~39세 40대 이상

rarr 시먼딩은 대만의 홍대거리라 불리는 lsquo융캉제rsquo나 서울의 lsquo명동rsquo과 같이 젊은 층이 주로 활동하는 지역이다 설문조사 중에도 교복이나 체육복을 입은 학생들과 길거리에서 쇼핑을 즐기는 20대가 즐비할 만큼 활기 있는 거리다 덥고 습한 대만 기후 특성 상 과거엔 화장법이 크게 발전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국의 자연스러운 화장법이 큰 인기를 끌면서 시먼딩에 화장품 거리가 조성되어 있을 만큼 유동 인구가 많다 이 점으로 추측해보았을 때 압도적으로 10대와 20대 층이 많은 응답 수를 기록했다고 본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0 -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051015202530

온라인 화장품전문매장 마트 홈쇼핑 방문판매

rarr 대만 또한 한국과 비슷하게 시내에 많은 수의 화장품 전문매장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접근성이 굉장히 높았다 더불어 각 화장품 매장에서는 상품 할인과 같은 각종 프로모션을 진행하기 때문에 구매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 구매한다는 대답도 높은 편이었는데 거의 대부분이 와이파이존이어서 어디서나 인터넷을 한 활발히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온라인에서의 구매율도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0

5

10

15

20

25

30

NT$300 미만 NT$300~NT899 NT$900~NT$1499 NT$1500~NT2999 NT$3000

rarr 응답자들은 대부분이 한 달 간 화장품에 쓰는 돈을 최저 1만원 이상(NT$300 이상)이라고 답했는데 이는 70가 넘어가는 결과로 화장품에 대한 지출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만원 이상이라고 대답한 응답자들 또한 4분의 1을 넘기는데 이것은 젊은 연령층부터 시작하여 최근 피부 관리와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대만의 소비 수준에 대비하여 화장품 소비율이 높은 것도 이 때문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1 -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③ 성능(23)

051015202530

가격 디자인 성능 화장품 모델 브랜드

rarr 아열대 기후에 속하는 대만은 높은 기온과 습한 날씨 탓에 에어컨 환경에 자주 노출돼 피부 수분을 잃기 쉬워 기능성 화장품의 소비가 두드러진다 대만 화장품 시장은 토너 세럼 에센스 로션 크림 등의 모든 스킨케어 제품들이 보습기능을 강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백이나 안티에이징 리프팅 저자극 오일프리(Oil-free) 등의 기능까지 추가된 스킨케어 제품들이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조 화장품 소비가 늘어난 것은 최근 몇 년 들어 다양한 화장품 브랜드 접촉기회가 많아지고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젊은 여성의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색조화장품 또한 메이크업베이스와 BB크림 립스틱과 같은 베이스 메이크업이 수요가 많았다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④인터넷(22)

0

5

10

15

20

25

30

TV 잡지 친구 인터넷 메이크업샵

rarr 최근 빠른 인터넷망과 스마트폰 태블릿PC의 보급으로 인해 사람들과 사람사이의 연결망이 견고히 형성되고 있고 이것이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방법을 얻는 경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만 소비자들은 주로 인터넷 블로그 가족과 친구로부터 메이크업 정보를 획득 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만의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이므로 입소문마케팅과 판매를 바로바로 할 수 있는 유통구조가 도움이 될 것 같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2 -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0

5

10

15

20

25

30

청순 독특 귀여움 섹시

rarr 앞서 살펴보았듯이 대만은 한국과 비슷한 메이크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이것은 곧 청순한 메이크업 컨셉에 관심 있어 한다는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실제로 대만 여성소비자들은 깨끗한 피부 NATURAL한 베이스메이크업을 선호한다 한 듯 안 한 듯 자연스럽고 깨끗한 느낌의 한국식 lsquo생얼rsquo 화장법은 대만에서 한국 드라마 열풍과 함께 유명세를 타기 시작해 현지 각종 온라인 뷰티 사이트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래서 응답의 대부분이 한 곳에 치우쳤고 비교적 개성 있는 메이크업 방법이 드물 것이라는 것을 유추해낼 수 있다

본 설문 조사를 통한 한국 화장품 기업에 대한 시사점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수입 절차로 오랜 시간을 허비해야 하는 반면 대만은 자외선 차단제 성분 함유 제품과 약용 화장품을 제외한 일반 화장품은 별도의 수입 검사 없이 수입할 수 있으므로 대개 중국보다 1~2년 먼저 신상품이 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한류 효과를 겨냥한 중화권 화장품 시장으로 대만을 우선 공략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대만은 대부분이 화장품에 대한 소비를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고 한국 화장품이 많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시장 접근법만 제대로 수립하면 매출이 나는 구조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대만인들이 선호하는 메이크업 방법이 한국과 비슷하기 때문에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은 마케팅 방안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최종분석설문 조사 대상은 대부분 10대~20대의 연령층이었으며 화장품의 주된 구입경로는 lsquo온라인(24)rsquo과 lsquo화장품 전문매장(50)rsquo이 압도적이었다 더불어 한 달 간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lsquo1만 원 이상(72)rsquo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이것은 실제 생활수준에 대비하여 높은 소비량이므로 대만의 화장품 시장 전망이 밝다고 할 수 있다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부분은 lsquo성능(46)rsquo이었는데 이는 스타트업 기업 중소기업에게 유리한 조건이다 메이크업 방법을 얻는 방법으로는 lsquo인터넷(44)rsquo과 lsquo친구(30)rsquo가 높은 비율을 차지했는데 판촉활동으로는 인터넷을 활용한 SNS 홍보 바이럴 마케팅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가장 관심있는 화장 컨셉은 lsquo청순rsquo 이었고 이것은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와 맞물려 우리나라와 비슷한 메이크업 방법을 추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3 -

10 대만 명소 소개 (명소음식행사숙소 소개)

10-1 고궁박물관

대만 고궁박물원은 영국의 대영 박물관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 미국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과 함께 세계 4대 박물관으로 손꼽힐 만큼 세계적은 소장 문물을 자랑한다 건물 규모는 그다지 크지 않지만 소장한 문물의 질과 양은 세계 최상급이다 중화 보물 중에서도 최고의 보물들이 모여 있어 진귀하기 그지없고 수량 역시 워낙 방대하여 3개월 단위로 1만여점을 돌아가면서 전시해도 다보려면 10년이 넘게 걸린다고 전해지고 있다 중국의 국공내전 당시 장제스가 이끌던 중국 국민당이 전쟁에서 패하며 중국을 탈출해 대만으로 향했다 당시 장제스는 난징에 있던 정부를 타이페이로 이전하면서 자금성에 보관되어있던 중국역대 왕조 보물 수십만 점을 배를 이용해 운반해 왔다 중국의 유물을 가진 자가 진정한 통치자라고 생각했던 장제스는 ldquo공산군에게 영토는 내줘도 문화유산만큼은 내줄 수 없다ldquo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대표적인 유물은 취옥배추 육형석 모공정 산씨반 등이 있다

10-2 용산사

루강의 초입에 있는 이 사찰은 타이완에서 가장 오래되고 아름답다고 하여 타이완의 자금성이라고 부른다 각 건물의 기둥 벽 그리고 천장 등에 새겨진 조각은 특히 빼어나다 이 조각상과 함께 이곳의 명물로 알려진 것은 사찰 경내에 있는 2마리의 용상인데 삼천전 앞마당 좌우에 서서 룽산사를 호위하고 있다

10-3 타이페이 101 빌딩

타이베이 101빌딩rsquo이라 부르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로서 빌딩 모습은 하늘로 뻗어나가는 대나무 위에 꽃잎이 겹겹이 포개진 형상이다 본래 타이베이 금융기관이 모인 건물이지만 대형 쇼핑센터와 푸드코트 고급 레스토랑이 있어 여행자들이 많이 찾는다 건물에는 8개 마디가 있는데 이는 중화 문화권에서 부와 번영을 의미하는 숫자 lsquo8rsquo을 염두에 둔 것이다 타이베이 시내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는 높이 508m로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히는 높은 건물이다 지상 1~5층에는 소고 백화점 뷰티 플라자 애버뉴 101 등 다양한 패션∙뷰티용품을 구입할 수 있는 상점이 있다 또한 레스토랑 시티 스퀘어 대형 서점 등 쇼핑과 오락 식사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복합시설이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4 -

잘 알려진 식당으로는 딘 타이 펑(Din Tai Fung) 이 있다 101타워 지하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샤오롱바오(고기만두) 새우 샤오마이(새우만두) 탄탄면(우육면)이 가장 대표적인 메뉴이며 대만에 방문한 많은 사람들이 찾는 식당이다

10-4 지우펀

대만여행의 백미로 꼽히는 지우펀은 타이페이시 북부의 루이팡 지역의 작은 산골 마을로 과거에는 아홉가구만 살고 있어서 지우펀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예전에는 작은 산골 마을에 불과 했지만 이 지역에서 금맥이 발견되면서 호황을 맞이하게 된다 특히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일본풍의 건물들이 남아 있어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결합된 독특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비탈길을 따라 하늘로 이어진 예스러운 건물 그리고 골목마다 빨간 홍등과 함께 묻어나는 옛 풍경은 여행객들에게 인기 여행지이다

10-5 스린야시장

타이베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야시장 가운데 하나이다 독특하면서도 다양한 전통 먹을거리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이곳을 찾는 관광객이 많다 시장 부근에 학교가 많아 학생들이 많이 찾으며 포장마차 등의 노점상이 많아 가격도 저렴하다 칭런샹[情人巷]에는 가구 의류 액세서리 사진현상점 애완용품점 등이 모여 있어 학생뿐 아니라 관광객들도 자주 찾는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5 -

10-6 예류 지질 공원

타이완 북해안에 자리한 예류는 해수욕장과 온천 기암괴석으로 유명한 관광지다 특히 예류지질공원은 희귀한 모형의 바위와 암석이 모여 있어 예류 관광의 필수코스로 꼽힌다 작은 곶으로 된 예류지질공원은 침식과 풍화 작용을 거쳐 자연적으로 형성된 기암을 보러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지질공원으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것이 선상암 군락이다 암석 하나하나의 모습은 마치 거대한 버섯이 큰 머리로 하늘을 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선상암 가운데 가장 유명한 암석은 이집트 왕비의 옆모습을 닮은 여왕 두상 바위다

10-7 스펀(Shifen)

스펀(十分)은 옛 광산마을로써 천으로 만든 등이 유명하다 또한 이 곳 스펀은 대만 최대의 폭포 스펀(SE-FEN) 폭포가 있다 미니기차와 천으로 만든 등을 날릴 수도 있다 마을의 한가운데 긴 철길이 놓여 있고 30분에 한 대씩 기차가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것도 볼 수가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6 -

10-8 진과스(金瓜石)

진과스(金瓜石)는 타이완 타이베이 근교에 있는 옛 탄광 유적이다 20세기 전반에 금 채굴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20세기 후반에 금이 차차 고갈되기 시작하자 점점 위축되어 폐광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관광 명소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하루에도 수백명이 들렀다 가는 대만의 대표 관광지이다 진과스 내에 있는 황금 박물관에는 220kg 의 금이 전시 되어 있는데 손을 넣어 직접 만져 볼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진과스에서는 과거 광부들이 먹었던 도시락을 그대로 만들어 판매하는 광부 도시락도 굉장히 인기가 많다

10-9 국립 성공대학

대만의 타이난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1931년에 개교하였다 2010년 QS대학순위에서 283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대만 대학중 2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총 9개의 캠퍼스로 이루어져 있어 굉장히 큰 면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만 교육청에서 인정한 9개의 주요대학 중 하나이고 대만 기업체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학이다 이공계열이 가장 뛰어나며 중문 역사 법학 경제학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10 시먼딩

타이베이시에 위치한 시먼딩은 한국의 명동과 같은 거리이다 대한민국의 명동에도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과 외국인이 많다고 알려져 있는데 시먼딩 또한 명동 못지않은 다양함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대만의 패션과 놀이 문화 음식 등을 한눈에 경험 할 수 있는 공간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7 -

10-11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

중정기념당은 타이완 총통 장제스(蔣介石)를 기리는 전당이다 lsquo중정rsquo은 장제스의 본명이다 그가 서거한 후 1980년 기념당을 세웠다 25만에 이르는 넓은 중정공원 안에 우뚝 선 높이 70m의 기념물이 중정기념당이다 기념당 1층에는 장제스 생애를 엿볼 수 있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거대한 장제스 동상은 항상 근위병이 동상 앞을 지키고 있다 중정공원 안에는 중정기념당 외에 국립 희극원과 국립 음악청이 있는데 이곳에서 연극과 콘서트를 한다 공원 조경 또한 잘 조성되어 있어 산책하며 천천히 둘러보기에 좋다

10-12 안핑지구(安平地區)

대만의 문화와 역사는 안핑지구에서 시작되었다 안핑구바오는 17세기 중엽 네덜란드인들이 지은 요새로 정성공이 빼앗아 번영하다가 황폐해져 지금은 보루의 대부분이 없어지고 설탕과 굴껍데기와 찹쌀가루를 버무려 만든 빨간벽돌로 된 장벽(臺灣城殘蹟)만이 남아 나무뿌리와 존립의 사투를 벌이고 있다 감시탑 옆 건물 안에는 네덜란드와 정성공의 전투에 대한 이야기와 중세갑옷 등이 전시 중이다 이 주변에는 대만에서 가장 오래된 상업거리 옌핑제(延平街)가 있는데 옛 명성이 다한 거리의 골목 사이사이 수백년 된 가옥을 구경하는 것도 소소한 즐거움이다 1867년 영국인 상점과 물류창고로 이용하던 건물에 노용수(老榕樹)가 멋대로 자라 건물을 집어삼키듯 뒤덮은 나무집으로 불리는 안핑수우도 안핑지구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진귀한 볼거리다

10-13 미라마 관람차

대만에서 가장 큰 관람차로 알려져 있는 미라마 관람차는 타이페이 시의 야경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관람차 크기가 큰 것으로 유명하지만 가격 또한 저렴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유스트래블 카드를 이용하면 50 할인이 적용되므로 꼭 지참하도록 하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8 -

lt미라마 관람차 티켓gt lt유스트래블 카드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9 -

11 시사점 및 차후 활용계획 (LGC 프로그램을 통한 구체적인 효과 및 연구결과)

11-1 LGC 프로젝트 만족도

구분 항목 전 후 한줄 평

사업단

프로젝트 취지- 린튼 글로벌 학과와 경영정보학과 학생들이 함께

하는 프로젝트 해외시장탐방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사전교육 활동- 출국 전 각 나라에 대한 유의사항 안전교육이 체

계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개략적인 보고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었다

행정지원 절차- CK사업단 린튼 글로벌 학과 경영정보학과 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히 되지 않아 사전 계획에서 많은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협동력 향상- 출발 전 잦은 팀 회의와 8박 9일 간에 일정에도

불구하고 불화 없이 좋은 분위기 속에서 프로젝트를 완수 했다

추진력 향상- 일정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 한 점 추가 자료조

사를 위해 현지에서 새로운 일정을 추가 됐을 때 팀원들이 일사불란하게 따라주었다

문제해결 능력- 교통편 문제와 기업 측 내부 문제로 일부 일정에

변동이 있었지만 신속한 조율과 전화 통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개인

동기부여 자극- 현지인들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국어 영어 능

력의 필요성을 실감했다 특히 중국어는 소통 유무에 따라 현지 반응이 극명하게 갈렸다

진로설계 도움- 프로젝트 전에 비해 새로운 직업 분야에 대한 관심

이 증가했다

취업능력 향상-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한 내용을 살려 구술 면접이

나 자기소개서 작성에 참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11-2 LGC프로젝트 연구 결과 - 대만 시장

⓵ 중국시장을 주목하는 대만 화장품 기업- EST팀은 현지 대만 화장품 기업으로 SISDORA와 WABFENIX를 선택했다 두 회사를 선정한 배경에는

명확한 의도를 두고 정했다 SISDORA는 설립한 지 10년이 넘는 회사로 직접 화장품을 개발 및 연구하고 판매하는 중소기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과 주름개선 크림으로 중년 여성을 타깃 층으로 하는 화장품 회사다 반면 WABFENIX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스타트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 이지만 기술개발 보다는 디자인 마케팅에 중점을 두었고 판매 층도 10대-20대의 젊은 층을 타깃 층으로 한다 시장 전략이 완연히 다른 두 기업이 유일하게 공통점이 있다면 중국시장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선정 이유에는 많은 인구의 소비력을 꼽지만 뒤이어 언급하는 이야기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자사 제품의 경쟁력 약화를 말한다 현재 대만 기업 대부분은 내수 시장 대신에 중국을 겨냥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국가 산업 특성상 제조amp연구 분야가 강세인 대만에서는 중국 바이어 또는 미국 유럽 바이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직접 판매 보다는 기술 협력을 통해 이익을 창출한다고 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0 -

⓶ 대만 시장을 점령한 한국 화장품

- 앞서 말했듯이 2012년 이후부터 급속히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한국 화장품은 대만 시장을 점령하고 있다 이미 시먼딩에 들어서면 다양한 한국 화장품 매장이 눈에 띌 만큼 들어섰으며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중앙 광장에 입점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매장 안에는 많은 대만 사람들이 화장품을 보고 있는 광경을 흔히 본다 화장품 매장을 이용하는 연령층은 주로 10대-20대들이다 화장품 가격이 한국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주 애용하는 이유는 한류 열풍으로 인한 한국 연예인들에 대한 관심과 화장법이 크게 유행하고 있음을 현지 설문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⓷ 체감할 수 있을 만큼 커다란 한류열풍

- 뉴스에서만 듣던 한류 이야기를 대만에서 직접 느낄 수 있을 정도로 한류열풍은 크다 특히 삼성이나 LG의 TV나 스마트폰은 어딜 가든 항상 보이고 한국 화장품 선물에 대한 반응이 무척이나 뜨겁다 원활한 현지 조사를 위하여 사은품으로 준비한 한국 마스크 팩 100개는 오히려 현지인들이 참여 의사를 표현할 만큼 열정적이었다 일부 대만 사람 중에는 어디서 왔냐는 질문에 한국이라는 답변을 하니 같이 사진 찍기를 제안하기도 했다

⓸ 중소기업에게 있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는 대만 시장진출- 대만 시장 진출에 앞서 한국 화장품 중소기업이라면 전략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크게 대만 시장을 겨냥

할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할지 선택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3CE는 한국 화장품 회사다 대만에서 젊은 연령층이 자주 이용하고 이미 대만 내에서는 유명하다 3CE는 오프라인 매장 없이 순수 온라인 매장으로 운영하면서 대만 사람들을 위한 전용 웹사이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윤을 창출 하고 있다 신중해야 할 점은 현재 온라인 오프라인 등 한국 화장품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신규 진입에 있어서 장벽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대만 시장을 활용한다면 동남아 시장까지 한 번에 내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출입통관 절차가 간단하고 관세가 낮기 때문에 중소기업에게 유리하다 아직까지 중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1 -

에 대한 직접적인 수출이 가능한 곳은 상해나 항주 같이 중국에서 허가한 무역항 도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내륙까지 시장을 확대하기는 불가능하지만 같은 언어권인 대만을 거치면 보다 쉽게 바이어나 에이전트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인맥을 통한 꽌시와 수수료 명목으로 뒷돈을 요구하는 중국 바이어의 관행은 자금 순환이 원활치 않은 중소기업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11-3 LGC 프로젝트 종합 의견 및 전망

우리 lsquoEST팀은 출국 전 국내 화장품 시장 조사를 할 때 대덕 밸리 스타트업 기업 셀아이콘 랩의 영향으로 대만의 화장품 산업에 대해 큰 관심과 가능성을 보고 2015년 1월 5일부터 1월 13일까지 8박9일이라는 시간동안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 나라 중에 하나인 대만에서 rsquo대만의 화장품 시장lsquo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사를 했다 대만에서는 3개의 기업 (KOTRA SISDORA WABFENIX) 을 방문해 전반적인 대만의 화장품 시장과 판매전략 한류에 대한 보다 사실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1개의 대학 (국립성공대학 國立成功大學)에서 MBA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또 타이난에서는 대만에서 오랫동안 사업하시는 한인협회 회장을 만나 PLC (Product Life Cycle)를 통해 대만에서의 특정 시장이 도입기에 있는지 또 어떠한 시장이 쇠퇴기에 놓여있는지 다양한 시야에서 대만시장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노력은 CK 사업단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교육부 CK-1 프로젝트의 일부인 Linton Global Challenge는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몇 년을 내다보는 지속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기업들과 더욱 더 활발한 교류와 연구를 한다면 기업과 CK 사업단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리라고 본다

1 개인 탐방 후기 (팀원 개인 소감)

1-1 개인 탐방 후기

강성민탐방 후기 기업 컨택 부터 인터뷰 일정 계획까지 8박 9일간의 대만 화장품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 출국 전까지 준비 과정부터 탈도 많았고 대만에 와서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 원하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매일이 항상 회의와 고민의 연속이었다 하루하루 충실히 계획을 진행시켜 나갔고 좋은 팀 분위기 속에서 무사히 대만 프로

부록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2 -

젝트를 완수했다 그리고 마침내 한국으로 돌아왔다 과정은 항상 오르막 길이였지만 돌이켜 보면 마지막 대학 시절을 기념할만한 좋은 추억이자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느끼는 바가 많았던 프로젝트로 기억 될 것이다

김은진탐방 후기 글로벌 챌린지를 한마디로 정의하라고 한다면 도종환 시인의 lsquo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lsquo라는 시가 떠오른다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대만기업컨택 설문조사 등 많은 것을 경험했다 처음엔 모든 것이 나에겐 버거운 산이라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도전이 계속 될수록 이젠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이 모든 도전들에 흥미가 생겼다 나 자신도 책임감과 자신감이 생기고 한층 성숙해 진 것을 내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소중한 동료와 추억은 평생 나의 가슴속에 남을 것이다 우린 앞으로도 많이 도전하고 경험하여 우리들의 삶이 활짝 만개하리라 다짐한다 끊임없이 도전하는 20대의 청춘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프로그램이었다 김종선탐방 후기 한국에서 준비하면서 조사했던 내용과 비교하며 인터뷰를 해보니 실제로 많이 다른 부분도 있었고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 비슷한 내용도 있었다 현지의 기업들을 방문해 우리가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직접 매장에 가서 느껴보니 앉아서 컴퓨터만 볼 때랑 많이 달랐다 그리고 직접 대만인들에게 설문조사를 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그리고 대만의 실제 문화와 환경 그들의 생활을 잠시나마 볼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

구명우탐방 후기 며칠간의 꿈만 같았던 대만에서의 시간이 지나갔다 대만으로 출국하기 전 사전조사 기간에는 확신이 없었다 사전조사와 기업과의 인터뷰 그리고 9일간의 일정조율 및 숙박과 모든 대만에서의 연구와 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보고서까지 무엇하나 확신이 드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도전과 해결능력을 배웠고 아시아에서 급성장 중인 대만에 대해서 배우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다음기수로 가게 될 관심 있는 학우들에게 진심으로 추천해주고 싶다

이규현탐방 후기 CK-1 프로그램 중 하나인 lsquo린튼 글로벌 챌린지lsquo 프로그램을 통해 약 8박 9일이라는 시간 동안 emerging market 중 하나인 대만에 거주하면서 한국 화장품의 대만시장 점유율과 진출 가능성을 몸으로 체감하고 자료들을 모아 통계 내어 정리할 수 있었다 우리 팀 lsquoEST가 성공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충분한 국내조사 기간을 갖고 대만의 화장품 회사들을 방문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대만의 특정한 기업을 찾기도 어려웠고 기업 컨택은 번번히 거절당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회사 두 군데에서는 답장조차 오지 않았고 설문조사할 때에는 반한감정의 대만인을 만나 고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팀의 단결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리더의 통솔력으로 정해진 스케줄대로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회사를 방문하고 학교교수를 만나고 길거리에서 설문조사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팀원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또한 대학생으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을 한 것 같아서 스스로도 너무 뿌듯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팀을 믿고 지지해주신 LGSB 교수님들과 CK-1 프로그램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영은탐방 후기 처음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렇게 준비는 열심히 하지만 정말 우리가 계획한 100대로 대만을 다녀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기우가 무색하게도 대만은 우리에게 기획안 그 이상의 것들을 보여주었다 사장님들의 생생한 사업 이야기와 대만의 색채가 묻어있는 아이템들 하며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여 알아보는 비즈니스 마켓의 현장은 나에게 두고두고 잊지 못할 자산으로 남았다 또한 펑리수 버블티를 비롯한 대만의 맛있는 먹거리들과 스린 야시장이나 지우펀 같은 명소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열심히 고생해준 팀원들과의 추억들도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3 -

이서우탐방 후기 이번 글로벌 첼린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서 쉽게 할 수 없는 해외 기업 탐방과 해당 국가의 산업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임효진탐방 후기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팀이 대만을 방문 한다고 했을 때 많이 의아해 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만을 직접 방문해보고 많은 사업자들을 만난 결과 대만은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라고 생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아직 공산주의라는 정치적 특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다른 곳보다 훨씬 어렵지만 대만은 자유시장체제 이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쉽다 특히 외국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만 시장에서 한국제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추고 중국 시장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성공가능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그리고 대만의 바이어들을 통해 중국의 시장진출을 하게 된다면 사업자가 직접 중국시장에 진출 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성공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만은 문화적으로 다른 아시아권보다 선진화 되었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대도시에 속하지만 모두다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골고루 섞여 대만만의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차안호탐방 후기 9박 10일간의 대만을 다녀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넓고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이번 대만 여행은 처음으로 경험한 해외여행 경험이여서 그런지 순탄치 않은 면도 있었지만 팀원들 서로가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만시장은 중국시장으로 가기위한 좋은 시험의 장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대만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영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더 나아가 미래에는 중국어야말로 영어와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성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또 하나 놀란 점은 대만이 반 한류 감정을 많이 갖고 있는 줄 알았지만 대부분의 대만 일반 시민들이 굉장히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에 놀랐고 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CK-1 사업의 챌린지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대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계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보완점 및 건의사항 (문제점개선책건의사항)

2-1 기업 컨택의 어려움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에 있는 기업과 연결하여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대해서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조사 및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시간을 내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로써 그들의 귀한시간이 아깝게 쓰이지 않을 것을 강조하여 만남을 만들어야 한다

2-2 사업단과 의사소통의 불편함

Challeng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CK-1 사업단과의 지속되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가령 누군가를 통해서 전해지는 소문이나 촉박한 시간을 제시하고 일 처리를 원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단과 각 팀의 대표간의 분명한 의사소통과 증빙자료 등이 필요하다

2-3 정보 부재 이번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이머징 마켓에서의 유망 산업 조사 및 연구였다 대만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26: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6 -

Q 귀하의 회사는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어떤 마케팅을 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A 저희는 해마다 대만 타이페이 글로벌 미스코리아 대회에 제품을 협찬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대만 유명 가수들과 함께 제품을 결합시킨 뮤직비디오를 제작하여 마케팅에 힘쓰고 있습니다뿐만 아니라 제품의 품질인증을 바탕으로 러시아 중국 동남아 지역에 진출하는대 힘쓰고 있습니다 저희 제품은 대만 내에서 스킨케어 제품으로써 유일하게 지정 브랜드 수상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저희는 주로 매스컴이나 인터넷을 통한 마케팅이나 엔터테이먼트 컨벤션 산업을 활용하여 마케팅을 하고 있습니다

Q 그렇다면 대한민국의 화장품 제품이 대만에 진출해 있는데 대한민국 화장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는 어떤지 궁금합니다

A 최근 5년 사이에 한국의 드라마 음악등 한류를 타고 대만에도 많은 한국 제품이 등장하였습니다 하지만 대만에는 오래전부터 수입화장품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이탈리아의 산타 마리아 노벨라 프랑스의 아이젠버그등 명품 화장품 브랜드가 오래전부터 입점해 현지 화장품시장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 때문인지 한국 화장품의 인지도는 크게 높지는 않습니다 아무래도 유럽 브랜드 그 다음으로 대만 기업의 브랜드 그 다음으로 한국의 화장품 브랜드 순으로 인지도가 형성되어 있다고 생각됩니다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한국화장품은 다른 명품 화장품들의 가격보다 저렴하고 성능이나 효과 면에서 절대 뒤처지지 않아 한류가 지속되고 마케팅이 잘 이루어진다면 충분히 유럽의 명품화장품의 인지도를 뛰어 넘을 수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Q 한국의 중소기업의 화장품이 대만 시장에 진출하는 것에 대해서는 어떤 의견을 갖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A 한국의 대기업 화장품 브랜드가 아닌 중소기업의 화장품 브랜드가 대만에 진출하는 것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겁니다 하지만 저희 회사도 중소기업으로 시작하여 마케팅 전략을 잘 활용 하여 많이 성장하였습니다 아무래도 한국의 중소기업의 화장품이 대만에 진출하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있겠지만 어떤 마케팅 전략을 선택하느냐가 가장 중요하고 마케팅이 잘 이루어지고 입소문이 퍼진다면 한국의 중소기업 화장품 또한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7 -

7-3 가오슝 한인협회

-1월 8일 목요일 1400~1600 인터뷰-주소 高雄市鼓山區二路37巷弄43-2號(고웅시고산구이로37항81롱43-2호)-대표 尹桓鎬(윤환호) HP 0932-740-538 -電話 07-5211933 -傅眞 07-5214031

Q 대만과 한국과의 무역 관계가 어떠한지 궁금합니다

A 한국과 대만과의 무역은 크게 활발하게 이루어 질 수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대만의 시장 자체가 매우 작기 때문에 대만에 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국내 시장이나 다른 큰 해외 시장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대만 시장을 거쳐서 동남아나 중국 시장으로 진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여서 기존에 존재하는 대기업이나 저처럼 오래 전부터 이민한 분들이 소규모로 중개무역을 하고 있는 정도입니다

Q 현재 한인협회 회장님께서 직접적으로 하는 일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현재 저는 한국의 화장품을 수입하여 대만 현지 기업에게 판매하는 중개무역을 하고 있습니다 대만에 온지 20년이 넘었는데 이런 저런 일을 하다가 기회가 되어 이쪽 일을 하게 되었는데요 처음에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인식이 없어 가격은 비싸고 품질의 보증은 되어 있지 않은 제품이라 소비가 크게 늘지 않았는데 한류 열풍이 불고 한국 드라마의 성공과 그 배우들이 광고하는 화장품의 수요가 크게 늘어 몇 년 전부터 시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Q 한국과 대만과 중국의 관계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해 주세요

A 앞서 말씀 드린 것 같이 한국의 기업은 대만을 통하여 중국 시장의 진출을 위하여 대만 시장을 많이 찾습니다 그 이유는 한국 기업이 대만 시장을 통해서 제품을 인정받는다면 대만과 중국은 같은 언어권의 나라로 대만기업을 통해 중국으로의 활로를 개척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왜 이렇게 돌아서 진출을 하려고 물으셨는데 그것은 쉽게 말해서 말이 잘 통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의 중국어를 잘 구사하는 사람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보다는 대만의 사람이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주고 인정을 해준다면 더욱 쉽게 자리를 잡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8 -

Q 스타트 기업의 대만 진출 성공여부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중소기업이 대만에 들어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현재 한국 내에서의 위치를 높이는데 주력하는 것이 좀 더 낫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대만은 아주 뛰어난 기술력을 가지고 있지만 자체 제품을 생산하지 않습니다 예로 Apple에서 전체 아이디어를 미국에서 한다면 그 아이디어 실행은 대만에서 이루어집니다 그리고 제품의 생산은 대부분 중국에서 이루어 지구요 이렇듯 대만의 기술력과 제품에 대한 이해가 빠르기 때문에 수입을 많이 의존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중소기업이 들어와서 제품을 판매한다 쉽게 성공할 수 없죠

Q 회장님께서는 중국과의 중개무역은 생각하고 있으시지 않습니까

A 네 저는 지금의 생활에 만족하고 있습니다 지금 저의 파트너들과의 관계도 좋고 따로 중국 진출은 생각하고 있지 않습니다 만약에 제가 중국을 진출하게 된다면 현재의 기업들과도 경쟁상대가 되어 저는 생각이 없습니다

7-4 국립성공대학(國立成功大學)

-1월 9일 1350~1700 인터뷰-주소 701 臺南市東區大學路1號-연락처06-2757575 -홈페이지 wwwnckuedutw

대만 국립 성공대학은 931년 타이난에 설립된 이공계 명문 대학입니다 국립성공대학은 66개의 캠퍼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각 캠퍼스마다 특징과 분위기가 다릅니다 우리 국립성공대학은 ldquo북대대 남성공(北臺大 南成功)rdquo 이라는 말이 있듯이 역사는 대만대학의 바로 다음갑니다

국립성공대학의 이름의 의미는 성공은 무엇을 성취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대만의 민족영웅인 정성공(鄣成功)을 기념하기 위한 대학이라는 뜻입니다 성공대학은 정성공이 있던 역사명승 적감루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해 있기도 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9 -

이후 인터뷰로 대만의 소개와 간단한 전공 소개가 있었다

7-5 WABFENIX RENIX GLORY GLORIA GUA

-1월 12일 월요일 1300~1500 인터뷰-주소 14F-1 No420 Sec 4 Xinyi Rd Xinyi Dist Taipei City 110 Taiwan (ROC)-대표 Mr KEN -전화886-5569-0555-URL httpswwwfacebookcomrenixfanspage httpwwwwabfenixcom

Q Wabfenix가 어떤 기업인지 소개 해주세요

A 저희 회사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으로 현재는 매장은 없지만 개발한 제품을 바탕으로 사업을 진행 중이고 대만현지에 저희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저희 회사는 제품의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화장품을 개발하여 대만시장 뿐만 아니라 중국시장의 진출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Q 귀하의 제품은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제품이라 하셨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제품 등이 있습니까

A 우선 Heymore 제품군의 블랙 마스크 팩과 Renix 제품군의 일반 마스크 팩을 출시했습니다Heymore의 경우 선물용임을 부각시키기 위해 디자인에 특히 많은 투자를 하였습니다 중국 중산층을 겨냥한 제품으로 가격대 1봉지에 한화 ₩40000 정도로 높게 책정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가격을 높게 측정한 이유에는 중국 화장품 소비문화 속에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 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에 저가 보급형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0 -

제품인 Renix와 차별을 두는 판매 전략을 선택하였습니다 현재 판매되는 제품은 마스크 팩을 주력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Q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인데 중국을 대상으로 어떤 진출 전략을 갖고 있습니까

A중국에서 열리는 화장품 전시회 화장품 엑스포 행사 바이어 미팅 등 꾸준히 참가중이며 바이어들에게 저희 제품을 어필하고 있습니다 물론 신생기업인 만큼 아직 중국 내에서 뚜렷한 판매 실적을 기록하진 못했지만 타 화장품 기업들과 다른 마케팅 방식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디자인이나 제품의 아이디어를 강조하고 있는데 대표 적인 상품으로 오뚝이 모양을 한 화장품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이 오뚝이 제품을 바이어들에게 어필해 보았는데 대단히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Q 해외시장 마케팅과 대만 시장마케팅의 차이점이 있습니까

A 우선 중국에서의 마케팅은 행사나 전시회에 참여하고 바이어들을 개인적으로 만나는 것에 치중해 있다면 국내 대만시장의 마케팅 전략은 페이스북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대만은 중국에 비해 SNS가 많이 발달되어 있어 자금이 많이 들어가지 않는 SNS마케팅을 하고 있고 각종 자선행사에 참여하여 저희 기업을 홍보하고 있습니다

Q 귀사의 제품을 중국보다 비싼 인건비가드는 대만 제조공장에서 생산하는 겁니까

A타이중에 소재하는 공장에서 마스크를 제조 하고 있습니다 인건비가 비싼 것은 대만 수도인 타이페이에만 주로 해당이 됩니다 지방 소도시에서도 외곽으로 들어가면 저렴한 인건비와 공장 가동비용으로도 제조가 가능 합니다 굳이 중국에 제조공장을 갖지 않는 이유는 신생기업이라 자금문제도 있지만 대만은 OEMampODM에 특화된 국가이기 때문에 품질 좋은 다양한 제품주문이 가능하고 중국 사람들에게도 자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 보다 외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가 더 좋기 때문에 대만에서 생산한 뒤 수출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Q 대만에 한국 화장품 기업이 진출한다면 어떠한 마케팅 전략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 생각 하십니까

A 이미 대만에 한국의 화장품 제품들이 많이 들어와 있습니다 하지만 대만 자체의 화장품 기업들이 기존에 많은 시장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성공을 거두기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최근 한국에 대한 이미지가 많이 좋아졌고 한국의 영화나 드라마 등이 많이 알려지면서 인지도가 높아졌습니다 한국의 대기업의 경우 이러한 대규모 마케팅을 할 수 있으므로 큰 무리가 없겠지만 한국의 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한다면 최종 시장 공략 층은 대만이 아닌 중국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대만은 중화권으로 가기 위한 연결다리라고 생각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또한 중소기업은 큰 마케팅 비용을 부담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대만에서는 SNS나 각종 자선 행사에 참여하여 인지도를 높이는 것을 추천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1 -

Q 같은 제품이지만 대만과 중국에서 판매할 때 가격 책정이 다른 이유가 무엇인가요

A 그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해드리자면 국가마다 소비 성향이나 구매 능력 환율 경제 상황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경영 에서는 가격 차별화(Price discrimination)이라 부르는데요 각 나라의 시장 특성에 적정한 가격대를 책정해서 제품을 판매하는 전략입니다 혹시 중국 상류층이 몇 명인지 알고 있나요 제가 알기로는 대만 인구의 2배인 4000만 명이라는군요 아마도 한국 인구랑 비슷한 규모 일겁니다 게다가 중산층은 약 4억 명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4억 명의 중국 소비자들이 우리 제품을 1개씩만 구입 한다면hellip 상상만 해도 엄청 나겠죠 이야기를 하다 보니 다른 쪽으로 빠졌는데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이야기하면 물론 좋은 제품을 모든 곳에 저렴하게 제공 하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 그러나 항상 시장에서 저렴한 제품만이 성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대만이나 한국처럼 고도의 산업화가 이루어지고 시장이 크게 발전한 안정적인 단계는 좋은 제품이라도 가격 경쟁력에 신경 써야 합니다 왜냐하면 소비자들이 똑똑하기 때문에 정보력이 넓고 합리적인 소비를 지향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가격 성능 디자인 등 많은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중국 시장은 대만이나 한국과는 특성이 다릅니다 저렴하다고 해서 많이 제품이 많이 팔리기 보다는 가격대가 어느 정도 있는 제품일수록 또는 가격대가 높을수록 소비자들이 관심을 보입니다 대체적으로 중국 소비자들은 lsquo저렴한 제품은 품질이 낮거나 효능이 좋지 않은 제품일거야rsquo 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 때문에 화장품 박람회나 전시회에 저가 화장품을 가져와 홍보하더라도 중국 바이어나 소비자들은 큰 관심을 주지 않습니다 처음에 말했듯이 중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2 -

국 소비문화가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라는 심리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Wabfenix의 경우에는 신생기업이라 많은 투자 금액이 없을 뿐 더러 대만 화장품 시장에 진출하기에는 리스크가

크고 진입 장벽이 높습니다 그리고 이미 한국 화장품 기업들이 대부분 점유를 한 상황이기 때문에 대만 내수시장에만 집중하기에는 경쟁력이 부족하죠 그래서 중국을 주력 수출시장으로 삼고 있는데요 저희는 제품 성능 보다는 소비자의 이목을 끌 수 있는 디자인에 더 많은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중국에 Wabfenix만의 화장품 선물 문화를 정착 시키는 것이 목적인데요 높은 제품 가격만큼 소비자의 관심을 끌 수 있고 선물 문화나 꽌시(关系)가 많은 중국 문화 특성에 맞추어 선물용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중국 시장은 현재 젊은 중산층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품질이 낮은 화장품 보다는 수입 화장품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점으로 미루어볼 때 높은 가격 차별화와 Wabfenix만의 디자인 마케팅은 좋은 경쟁력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3 -

8 현지 시장조사 활동 (시장동향사진설문조사 자료)

8-1 시먼딩 설문조사

목적 대만 사람들의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및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대상 10대~20대 여성 및 화장품 전문매장 종사자장소 시먼딩시간 2015년 1월 7일 12일 총 두 차례에 걸쳐 진행방법 ①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 판넬에 국가별로 메이크업 사진을 표시하고 스티커를 붙이는 방식으로 투표함 공정성을 위해 국가 이름은 블라인드로 처리하였고 모두 동일 인물의 사진을 사용함②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표본집단을 50명으로 설정함 설문조사가 끝나면 사은품으로 한국 브랜드 마스크팩 증정함

8-2 사전 기획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판넬 기획도gt

化妝辦法喜好度的調查화장법 선호도 조사

大家給自己喜歡的化妝貼貼紙 여러분이 선호하는 메이크업에 스티커를 붙여 주세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4 -

대만의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안녕하십니까

다음의 내용은 대만 화장품 트렌드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자 관련조사를 실시하고자 하오니

있는 그대로의 생각을 기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귀하의 응답은 통계적 목적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본 설문은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물음에 대한 답변이나 해당란에 v 표를 해 주십시오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7) ② 화장품 전문매장(34) ③ 마트(5) ④ 홈쇼핑(2)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합계 총 50 명

바쁘신 시간에 의견을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지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5 -

8-3 설문조사 활동

lt2015년 1월 7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6 -

lt2015년 1월 12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7 -

lt활동 결과 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8 -

9 설문조사 통계 분석 (설문조사 응답 수분석결과)

9-1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결과gt

설문 조사 질문지 양식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12)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③ 마트(5) ④ 홈쇼핑(6)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9 -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gt

9-2 설문조사 항목 별 의견 및 추측

설문 조사 질문지 항목 (최다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② 20 ~ 25세 (13)

0

5

10

15

20

25

30

20대 이하 20세~24세 25세~29세 30세~39세 40대 이상

rarr 시먼딩은 대만의 홍대거리라 불리는 lsquo융캉제rsquo나 서울의 lsquo명동rsquo과 같이 젊은 층이 주로 활동하는 지역이다 설문조사 중에도 교복이나 체육복을 입은 학생들과 길거리에서 쇼핑을 즐기는 20대가 즐비할 만큼 활기 있는 거리다 덥고 습한 대만 기후 특성 상 과거엔 화장법이 크게 발전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국의 자연스러운 화장법이 큰 인기를 끌면서 시먼딩에 화장품 거리가 조성되어 있을 만큼 유동 인구가 많다 이 점으로 추측해보았을 때 압도적으로 10대와 20대 층이 많은 응답 수를 기록했다고 본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0 -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051015202530

온라인 화장품전문매장 마트 홈쇼핑 방문판매

rarr 대만 또한 한국과 비슷하게 시내에 많은 수의 화장품 전문매장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접근성이 굉장히 높았다 더불어 각 화장품 매장에서는 상품 할인과 같은 각종 프로모션을 진행하기 때문에 구매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 구매한다는 대답도 높은 편이었는데 거의 대부분이 와이파이존이어서 어디서나 인터넷을 한 활발히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온라인에서의 구매율도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0

5

10

15

20

25

30

NT$300 미만 NT$300~NT899 NT$900~NT$1499 NT$1500~NT2999 NT$3000

rarr 응답자들은 대부분이 한 달 간 화장품에 쓰는 돈을 최저 1만원 이상(NT$300 이상)이라고 답했는데 이는 70가 넘어가는 결과로 화장품에 대한 지출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만원 이상이라고 대답한 응답자들 또한 4분의 1을 넘기는데 이것은 젊은 연령층부터 시작하여 최근 피부 관리와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대만의 소비 수준에 대비하여 화장품 소비율이 높은 것도 이 때문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1 -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③ 성능(23)

051015202530

가격 디자인 성능 화장품 모델 브랜드

rarr 아열대 기후에 속하는 대만은 높은 기온과 습한 날씨 탓에 에어컨 환경에 자주 노출돼 피부 수분을 잃기 쉬워 기능성 화장품의 소비가 두드러진다 대만 화장품 시장은 토너 세럼 에센스 로션 크림 등의 모든 스킨케어 제품들이 보습기능을 강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백이나 안티에이징 리프팅 저자극 오일프리(Oil-free) 등의 기능까지 추가된 스킨케어 제품들이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조 화장품 소비가 늘어난 것은 최근 몇 년 들어 다양한 화장품 브랜드 접촉기회가 많아지고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젊은 여성의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색조화장품 또한 메이크업베이스와 BB크림 립스틱과 같은 베이스 메이크업이 수요가 많았다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④인터넷(22)

0

5

10

15

20

25

30

TV 잡지 친구 인터넷 메이크업샵

rarr 최근 빠른 인터넷망과 스마트폰 태블릿PC의 보급으로 인해 사람들과 사람사이의 연결망이 견고히 형성되고 있고 이것이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방법을 얻는 경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만 소비자들은 주로 인터넷 블로그 가족과 친구로부터 메이크업 정보를 획득 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만의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이므로 입소문마케팅과 판매를 바로바로 할 수 있는 유통구조가 도움이 될 것 같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2 -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0

5

10

15

20

25

30

청순 독특 귀여움 섹시

rarr 앞서 살펴보았듯이 대만은 한국과 비슷한 메이크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이것은 곧 청순한 메이크업 컨셉에 관심 있어 한다는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실제로 대만 여성소비자들은 깨끗한 피부 NATURAL한 베이스메이크업을 선호한다 한 듯 안 한 듯 자연스럽고 깨끗한 느낌의 한국식 lsquo생얼rsquo 화장법은 대만에서 한국 드라마 열풍과 함께 유명세를 타기 시작해 현지 각종 온라인 뷰티 사이트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래서 응답의 대부분이 한 곳에 치우쳤고 비교적 개성 있는 메이크업 방법이 드물 것이라는 것을 유추해낼 수 있다

본 설문 조사를 통한 한국 화장품 기업에 대한 시사점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수입 절차로 오랜 시간을 허비해야 하는 반면 대만은 자외선 차단제 성분 함유 제품과 약용 화장품을 제외한 일반 화장품은 별도의 수입 검사 없이 수입할 수 있으므로 대개 중국보다 1~2년 먼저 신상품이 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한류 효과를 겨냥한 중화권 화장품 시장으로 대만을 우선 공략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대만은 대부분이 화장품에 대한 소비를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고 한국 화장품이 많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시장 접근법만 제대로 수립하면 매출이 나는 구조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대만인들이 선호하는 메이크업 방법이 한국과 비슷하기 때문에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은 마케팅 방안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최종분석설문 조사 대상은 대부분 10대~20대의 연령층이었으며 화장품의 주된 구입경로는 lsquo온라인(24)rsquo과 lsquo화장품 전문매장(50)rsquo이 압도적이었다 더불어 한 달 간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lsquo1만 원 이상(72)rsquo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이것은 실제 생활수준에 대비하여 높은 소비량이므로 대만의 화장품 시장 전망이 밝다고 할 수 있다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부분은 lsquo성능(46)rsquo이었는데 이는 스타트업 기업 중소기업에게 유리한 조건이다 메이크업 방법을 얻는 방법으로는 lsquo인터넷(44)rsquo과 lsquo친구(30)rsquo가 높은 비율을 차지했는데 판촉활동으로는 인터넷을 활용한 SNS 홍보 바이럴 마케팅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가장 관심있는 화장 컨셉은 lsquo청순rsquo 이었고 이것은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와 맞물려 우리나라와 비슷한 메이크업 방법을 추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3 -

10 대만 명소 소개 (명소음식행사숙소 소개)

10-1 고궁박물관

대만 고궁박물원은 영국의 대영 박물관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 미국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과 함께 세계 4대 박물관으로 손꼽힐 만큼 세계적은 소장 문물을 자랑한다 건물 규모는 그다지 크지 않지만 소장한 문물의 질과 양은 세계 최상급이다 중화 보물 중에서도 최고의 보물들이 모여 있어 진귀하기 그지없고 수량 역시 워낙 방대하여 3개월 단위로 1만여점을 돌아가면서 전시해도 다보려면 10년이 넘게 걸린다고 전해지고 있다 중국의 국공내전 당시 장제스가 이끌던 중국 국민당이 전쟁에서 패하며 중국을 탈출해 대만으로 향했다 당시 장제스는 난징에 있던 정부를 타이페이로 이전하면서 자금성에 보관되어있던 중국역대 왕조 보물 수십만 점을 배를 이용해 운반해 왔다 중국의 유물을 가진 자가 진정한 통치자라고 생각했던 장제스는 ldquo공산군에게 영토는 내줘도 문화유산만큼은 내줄 수 없다ldquo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대표적인 유물은 취옥배추 육형석 모공정 산씨반 등이 있다

10-2 용산사

루강의 초입에 있는 이 사찰은 타이완에서 가장 오래되고 아름답다고 하여 타이완의 자금성이라고 부른다 각 건물의 기둥 벽 그리고 천장 등에 새겨진 조각은 특히 빼어나다 이 조각상과 함께 이곳의 명물로 알려진 것은 사찰 경내에 있는 2마리의 용상인데 삼천전 앞마당 좌우에 서서 룽산사를 호위하고 있다

10-3 타이페이 101 빌딩

타이베이 101빌딩rsquo이라 부르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로서 빌딩 모습은 하늘로 뻗어나가는 대나무 위에 꽃잎이 겹겹이 포개진 형상이다 본래 타이베이 금융기관이 모인 건물이지만 대형 쇼핑센터와 푸드코트 고급 레스토랑이 있어 여행자들이 많이 찾는다 건물에는 8개 마디가 있는데 이는 중화 문화권에서 부와 번영을 의미하는 숫자 lsquo8rsquo을 염두에 둔 것이다 타이베이 시내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는 높이 508m로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히는 높은 건물이다 지상 1~5층에는 소고 백화점 뷰티 플라자 애버뉴 101 등 다양한 패션∙뷰티용품을 구입할 수 있는 상점이 있다 또한 레스토랑 시티 스퀘어 대형 서점 등 쇼핑과 오락 식사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복합시설이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4 -

잘 알려진 식당으로는 딘 타이 펑(Din Tai Fung) 이 있다 101타워 지하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샤오롱바오(고기만두) 새우 샤오마이(새우만두) 탄탄면(우육면)이 가장 대표적인 메뉴이며 대만에 방문한 많은 사람들이 찾는 식당이다

10-4 지우펀

대만여행의 백미로 꼽히는 지우펀은 타이페이시 북부의 루이팡 지역의 작은 산골 마을로 과거에는 아홉가구만 살고 있어서 지우펀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예전에는 작은 산골 마을에 불과 했지만 이 지역에서 금맥이 발견되면서 호황을 맞이하게 된다 특히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일본풍의 건물들이 남아 있어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결합된 독특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비탈길을 따라 하늘로 이어진 예스러운 건물 그리고 골목마다 빨간 홍등과 함께 묻어나는 옛 풍경은 여행객들에게 인기 여행지이다

10-5 스린야시장

타이베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야시장 가운데 하나이다 독특하면서도 다양한 전통 먹을거리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이곳을 찾는 관광객이 많다 시장 부근에 학교가 많아 학생들이 많이 찾으며 포장마차 등의 노점상이 많아 가격도 저렴하다 칭런샹[情人巷]에는 가구 의류 액세서리 사진현상점 애완용품점 등이 모여 있어 학생뿐 아니라 관광객들도 자주 찾는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5 -

10-6 예류 지질 공원

타이완 북해안에 자리한 예류는 해수욕장과 온천 기암괴석으로 유명한 관광지다 특히 예류지질공원은 희귀한 모형의 바위와 암석이 모여 있어 예류 관광의 필수코스로 꼽힌다 작은 곶으로 된 예류지질공원은 침식과 풍화 작용을 거쳐 자연적으로 형성된 기암을 보러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지질공원으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것이 선상암 군락이다 암석 하나하나의 모습은 마치 거대한 버섯이 큰 머리로 하늘을 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선상암 가운데 가장 유명한 암석은 이집트 왕비의 옆모습을 닮은 여왕 두상 바위다

10-7 스펀(Shifen)

스펀(十分)은 옛 광산마을로써 천으로 만든 등이 유명하다 또한 이 곳 스펀은 대만 최대의 폭포 스펀(SE-FEN) 폭포가 있다 미니기차와 천으로 만든 등을 날릴 수도 있다 마을의 한가운데 긴 철길이 놓여 있고 30분에 한 대씩 기차가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것도 볼 수가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6 -

10-8 진과스(金瓜石)

진과스(金瓜石)는 타이완 타이베이 근교에 있는 옛 탄광 유적이다 20세기 전반에 금 채굴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20세기 후반에 금이 차차 고갈되기 시작하자 점점 위축되어 폐광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관광 명소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하루에도 수백명이 들렀다 가는 대만의 대표 관광지이다 진과스 내에 있는 황금 박물관에는 220kg 의 금이 전시 되어 있는데 손을 넣어 직접 만져 볼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진과스에서는 과거 광부들이 먹었던 도시락을 그대로 만들어 판매하는 광부 도시락도 굉장히 인기가 많다

10-9 국립 성공대학

대만의 타이난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1931년에 개교하였다 2010년 QS대학순위에서 283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대만 대학중 2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총 9개의 캠퍼스로 이루어져 있어 굉장히 큰 면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만 교육청에서 인정한 9개의 주요대학 중 하나이고 대만 기업체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학이다 이공계열이 가장 뛰어나며 중문 역사 법학 경제학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10 시먼딩

타이베이시에 위치한 시먼딩은 한국의 명동과 같은 거리이다 대한민국의 명동에도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과 외국인이 많다고 알려져 있는데 시먼딩 또한 명동 못지않은 다양함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대만의 패션과 놀이 문화 음식 등을 한눈에 경험 할 수 있는 공간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7 -

10-11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

중정기념당은 타이완 총통 장제스(蔣介石)를 기리는 전당이다 lsquo중정rsquo은 장제스의 본명이다 그가 서거한 후 1980년 기념당을 세웠다 25만에 이르는 넓은 중정공원 안에 우뚝 선 높이 70m의 기념물이 중정기념당이다 기념당 1층에는 장제스 생애를 엿볼 수 있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거대한 장제스 동상은 항상 근위병이 동상 앞을 지키고 있다 중정공원 안에는 중정기념당 외에 국립 희극원과 국립 음악청이 있는데 이곳에서 연극과 콘서트를 한다 공원 조경 또한 잘 조성되어 있어 산책하며 천천히 둘러보기에 좋다

10-12 안핑지구(安平地區)

대만의 문화와 역사는 안핑지구에서 시작되었다 안핑구바오는 17세기 중엽 네덜란드인들이 지은 요새로 정성공이 빼앗아 번영하다가 황폐해져 지금은 보루의 대부분이 없어지고 설탕과 굴껍데기와 찹쌀가루를 버무려 만든 빨간벽돌로 된 장벽(臺灣城殘蹟)만이 남아 나무뿌리와 존립의 사투를 벌이고 있다 감시탑 옆 건물 안에는 네덜란드와 정성공의 전투에 대한 이야기와 중세갑옷 등이 전시 중이다 이 주변에는 대만에서 가장 오래된 상업거리 옌핑제(延平街)가 있는데 옛 명성이 다한 거리의 골목 사이사이 수백년 된 가옥을 구경하는 것도 소소한 즐거움이다 1867년 영국인 상점과 물류창고로 이용하던 건물에 노용수(老榕樹)가 멋대로 자라 건물을 집어삼키듯 뒤덮은 나무집으로 불리는 안핑수우도 안핑지구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진귀한 볼거리다

10-13 미라마 관람차

대만에서 가장 큰 관람차로 알려져 있는 미라마 관람차는 타이페이 시의 야경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관람차 크기가 큰 것으로 유명하지만 가격 또한 저렴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유스트래블 카드를 이용하면 50 할인이 적용되므로 꼭 지참하도록 하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8 -

lt미라마 관람차 티켓gt lt유스트래블 카드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9 -

11 시사점 및 차후 활용계획 (LGC 프로그램을 통한 구체적인 효과 및 연구결과)

11-1 LGC 프로젝트 만족도

구분 항목 전 후 한줄 평

사업단

프로젝트 취지- 린튼 글로벌 학과와 경영정보학과 학생들이 함께

하는 프로젝트 해외시장탐방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사전교육 활동- 출국 전 각 나라에 대한 유의사항 안전교육이 체

계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개략적인 보고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었다

행정지원 절차- CK사업단 린튼 글로벌 학과 경영정보학과 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히 되지 않아 사전 계획에서 많은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협동력 향상- 출발 전 잦은 팀 회의와 8박 9일 간에 일정에도

불구하고 불화 없이 좋은 분위기 속에서 프로젝트를 완수 했다

추진력 향상- 일정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 한 점 추가 자료조

사를 위해 현지에서 새로운 일정을 추가 됐을 때 팀원들이 일사불란하게 따라주었다

문제해결 능력- 교통편 문제와 기업 측 내부 문제로 일부 일정에

변동이 있었지만 신속한 조율과 전화 통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개인

동기부여 자극- 현지인들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국어 영어 능

력의 필요성을 실감했다 특히 중국어는 소통 유무에 따라 현지 반응이 극명하게 갈렸다

진로설계 도움- 프로젝트 전에 비해 새로운 직업 분야에 대한 관심

이 증가했다

취업능력 향상-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한 내용을 살려 구술 면접이

나 자기소개서 작성에 참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11-2 LGC프로젝트 연구 결과 - 대만 시장

⓵ 중국시장을 주목하는 대만 화장품 기업- EST팀은 현지 대만 화장품 기업으로 SISDORA와 WABFENIX를 선택했다 두 회사를 선정한 배경에는

명확한 의도를 두고 정했다 SISDORA는 설립한 지 10년이 넘는 회사로 직접 화장품을 개발 및 연구하고 판매하는 중소기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과 주름개선 크림으로 중년 여성을 타깃 층으로 하는 화장품 회사다 반면 WABFENIX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스타트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 이지만 기술개발 보다는 디자인 마케팅에 중점을 두었고 판매 층도 10대-20대의 젊은 층을 타깃 층으로 한다 시장 전략이 완연히 다른 두 기업이 유일하게 공통점이 있다면 중국시장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선정 이유에는 많은 인구의 소비력을 꼽지만 뒤이어 언급하는 이야기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자사 제품의 경쟁력 약화를 말한다 현재 대만 기업 대부분은 내수 시장 대신에 중국을 겨냥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국가 산업 특성상 제조amp연구 분야가 강세인 대만에서는 중국 바이어 또는 미국 유럽 바이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직접 판매 보다는 기술 협력을 통해 이익을 창출한다고 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0 -

⓶ 대만 시장을 점령한 한국 화장품

- 앞서 말했듯이 2012년 이후부터 급속히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한국 화장품은 대만 시장을 점령하고 있다 이미 시먼딩에 들어서면 다양한 한국 화장품 매장이 눈에 띌 만큼 들어섰으며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중앙 광장에 입점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매장 안에는 많은 대만 사람들이 화장품을 보고 있는 광경을 흔히 본다 화장품 매장을 이용하는 연령층은 주로 10대-20대들이다 화장품 가격이 한국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주 애용하는 이유는 한류 열풍으로 인한 한국 연예인들에 대한 관심과 화장법이 크게 유행하고 있음을 현지 설문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⓷ 체감할 수 있을 만큼 커다란 한류열풍

- 뉴스에서만 듣던 한류 이야기를 대만에서 직접 느낄 수 있을 정도로 한류열풍은 크다 특히 삼성이나 LG의 TV나 스마트폰은 어딜 가든 항상 보이고 한국 화장품 선물에 대한 반응이 무척이나 뜨겁다 원활한 현지 조사를 위하여 사은품으로 준비한 한국 마스크 팩 100개는 오히려 현지인들이 참여 의사를 표현할 만큼 열정적이었다 일부 대만 사람 중에는 어디서 왔냐는 질문에 한국이라는 답변을 하니 같이 사진 찍기를 제안하기도 했다

⓸ 중소기업에게 있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는 대만 시장진출- 대만 시장 진출에 앞서 한국 화장품 중소기업이라면 전략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크게 대만 시장을 겨냥

할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할지 선택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3CE는 한국 화장품 회사다 대만에서 젊은 연령층이 자주 이용하고 이미 대만 내에서는 유명하다 3CE는 오프라인 매장 없이 순수 온라인 매장으로 운영하면서 대만 사람들을 위한 전용 웹사이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윤을 창출 하고 있다 신중해야 할 점은 현재 온라인 오프라인 등 한국 화장품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신규 진입에 있어서 장벽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대만 시장을 활용한다면 동남아 시장까지 한 번에 내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출입통관 절차가 간단하고 관세가 낮기 때문에 중소기업에게 유리하다 아직까지 중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1 -

에 대한 직접적인 수출이 가능한 곳은 상해나 항주 같이 중국에서 허가한 무역항 도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내륙까지 시장을 확대하기는 불가능하지만 같은 언어권인 대만을 거치면 보다 쉽게 바이어나 에이전트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인맥을 통한 꽌시와 수수료 명목으로 뒷돈을 요구하는 중국 바이어의 관행은 자금 순환이 원활치 않은 중소기업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11-3 LGC 프로젝트 종합 의견 및 전망

우리 lsquoEST팀은 출국 전 국내 화장품 시장 조사를 할 때 대덕 밸리 스타트업 기업 셀아이콘 랩의 영향으로 대만의 화장품 산업에 대해 큰 관심과 가능성을 보고 2015년 1월 5일부터 1월 13일까지 8박9일이라는 시간동안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 나라 중에 하나인 대만에서 rsquo대만의 화장품 시장lsquo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사를 했다 대만에서는 3개의 기업 (KOTRA SISDORA WABFENIX) 을 방문해 전반적인 대만의 화장품 시장과 판매전략 한류에 대한 보다 사실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1개의 대학 (국립성공대학 國立成功大學)에서 MBA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또 타이난에서는 대만에서 오랫동안 사업하시는 한인협회 회장을 만나 PLC (Product Life Cycle)를 통해 대만에서의 특정 시장이 도입기에 있는지 또 어떠한 시장이 쇠퇴기에 놓여있는지 다양한 시야에서 대만시장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노력은 CK 사업단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교육부 CK-1 프로젝트의 일부인 Linton Global Challenge는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몇 년을 내다보는 지속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기업들과 더욱 더 활발한 교류와 연구를 한다면 기업과 CK 사업단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리라고 본다

1 개인 탐방 후기 (팀원 개인 소감)

1-1 개인 탐방 후기

강성민탐방 후기 기업 컨택 부터 인터뷰 일정 계획까지 8박 9일간의 대만 화장품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 출국 전까지 준비 과정부터 탈도 많았고 대만에 와서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 원하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매일이 항상 회의와 고민의 연속이었다 하루하루 충실히 계획을 진행시켜 나갔고 좋은 팀 분위기 속에서 무사히 대만 프로

부록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2 -

젝트를 완수했다 그리고 마침내 한국으로 돌아왔다 과정은 항상 오르막 길이였지만 돌이켜 보면 마지막 대학 시절을 기념할만한 좋은 추억이자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느끼는 바가 많았던 프로젝트로 기억 될 것이다

김은진탐방 후기 글로벌 챌린지를 한마디로 정의하라고 한다면 도종환 시인의 lsquo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lsquo라는 시가 떠오른다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대만기업컨택 설문조사 등 많은 것을 경험했다 처음엔 모든 것이 나에겐 버거운 산이라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도전이 계속 될수록 이젠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이 모든 도전들에 흥미가 생겼다 나 자신도 책임감과 자신감이 생기고 한층 성숙해 진 것을 내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소중한 동료와 추억은 평생 나의 가슴속에 남을 것이다 우린 앞으로도 많이 도전하고 경험하여 우리들의 삶이 활짝 만개하리라 다짐한다 끊임없이 도전하는 20대의 청춘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프로그램이었다 김종선탐방 후기 한국에서 준비하면서 조사했던 내용과 비교하며 인터뷰를 해보니 실제로 많이 다른 부분도 있었고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 비슷한 내용도 있었다 현지의 기업들을 방문해 우리가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직접 매장에 가서 느껴보니 앉아서 컴퓨터만 볼 때랑 많이 달랐다 그리고 직접 대만인들에게 설문조사를 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그리고 대만의 실제 문화와 환경 그들의 생활을 잠시나마 볼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

구명우탐방 후기 며칠간의 꿈만 같았던 대만에서의 시간이 지나갔다 대만으로 출국하기 전 사전조사 기간에는 확신이 없었다 사전조사와 기업과의 인터뷰 그리고 9일간의 일정조율 및 숙박과 모든 대만에서의 연구와 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보고서까지 무엇하나 확신이 드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도전과 해결능력을 배웠고 아시아에서 급성장 중인 대만에 대해서 배우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다음기수로 가게 될 관심 있는 학우들에게 진심으로 추천해주고 싶다

이규현탐방 후기 CK-1 프로그램 중 하나인 lsquo린튼 글로벌 챌린지lsquo 프로그램을 통해 약 8박 9일이라는 시간 동안 emerging market 중 하나인 대만에 거주하면서 한국 화장품의 대만시장 점유율과 진출 가능성을 몸으로 체감하고 자료들을 모아 통계 내어 정리할 수 있었다 우리 팀 lsquoEST가 성공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충분한 국내조사 기간을 갖고 대만의 화장품 회사들을 방문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대만의 특정한 기업을 찾기도 어려웠고 기업 컨택은 번번히 거절당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회사 두 군데에서는 답장조차 오지 않았고 설문조사할 때에는 반한감정의 대만인을 만나 고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팀의 단결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리더의 통솔력으로 정해진 스케줄대로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회사를 방문하고 학교교수를 만나고 길거리에서 설문조사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팀원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또한 대학생으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을 한 것 같아서 스스로도 너무 뿌듯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팀을 믿고 지지해주신 LGSB 교수님들과 CK-1 프로그램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영은탐방 후기 처음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렇게 준비는 열심히 하지만 정말 우리가 계획한 100대로 대만을 다녀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기우가 무색하게도 대만은 우리에게 기획안 그 이상의 것들을 보여주었다 사장님들의 생생한 사업 이야기와 대만의 색채가 묻어있는 아이템들 하며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여 알아보는 비즈니스 마켓의 현장은 나에게 두고두고 잊지 못할 자산으로 남았다 또한 펑리수 버블티를 비롯한 대만의 맛있는 먹거리들과 스린 야시장이나 지우펀 같은 명소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열심히 고생해준 팀원들과의 추억들도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3 -

이서우탐방 후기 이번 글로벌 첼린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서 쉽게 할 수 없는 해외 기업 탐방과 해당 국가의 산업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임효진탐방 후기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팀이 대만을 방문 한다고 했을 때 많이 의아해 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만을 직접 방문해보고 많은 사업자들을 만난 결과 대만은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라고 생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아직 공산주의라는 정치적 특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다른 곳보다 훨씬 어렵지만 대만은 자유시장체제 이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쉽다 특히 외국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만 시장에서 한국제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추고 중국 시장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성공가능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그리고 대만의 바이어들을 통해 중국의 시장진출을 하게 된다면 사업자가 직접 중국시장에 진출 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성공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만은 문화적으로 다른 아시아권보다 선진화 되었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대도시에 속하지만 모두다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골고루 섞여 대만만의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차안호탐방 후기 9박 10일간의 대만을 다녀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넓고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이번 대만 여행은 처음으로 경험한 해외여행 경험이여서 그런지 순탄치 않은 면도 있었지만 팀원들 서로가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만시장은 중국시장으로 가기위한 좋은 시험의 장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대만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영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더 나아가 미래에는 중국어야말로 영어와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성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또 하나 놀란 점은 대만이 반 한류 감정을 많이 갖고 있는 줄 알았지만 대부분의 대만 일반 시민들이 굉장히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에 놀랐고 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CK-1 사업의 챌린지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대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계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보완점 및 건의사항 (문제점개선책건의사항)

2-1 기업 컨택의 어려움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에 있는 기업과 연결하여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대해서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조사 및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시간을 내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로써 그들의 귀한시간이 아깝게 쓰이지 않을 것을 강조하여 만남을 만들어야 한다

2-2 사업단과 의사소통의 불편함

Challeng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CK-1 사업단과의 지속되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가령 누군가를 통해서 전해지는 소문이나 촉박한 시간을 제시하고 일 처리를 원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단과 각 팀의 대표간의 분명한 의사소통과 증빙자료 등이 필요하다

2-3 정보 부재 이번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이머징 마켓에서의 유망 산업 조사 및 연구였다 대만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27: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7 -

7-3 가오슝 한인협회

-1월 8일 목요일 1400~1600 인터뷰-주소 高雄市鼓山區二路37巷弄43-2號(고웅시고산구이로37항81롱43-2호)-대표 尹桓鎬(윤환호) HP 0932-740-538 -電話 07-5211933 -傅眞 07-5214031

Q 대만과 한국과의 무역 관계가 어떠한지 궁금합니다

A 한국과 대만과의 무역은 크게 활발하게 이루어 질 수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대만의 시장 자체가 매우 작기 때문에 대만에 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국내 시장이나 다른 큰 해외 시장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대만 시장을 거쳐서 동남아나 중국 시장으로 진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여서 기존에 존재하는 대기업이나 저처럼 오래 전부터 이민한 분들이 소규모로 중개무역을 하고 있는 정도입니다

Q 현재 한인협회 회장님께서 직접적으로 하는 일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현재 저는 한국의 화장품을 수입하여 대만 현지 기업에게 판매하는 중개무역을 하고 있습니다 대만에 온지 20년이 넘었는데 이런 저런 일을 하다가 기회가 되어 이쪽 일을 하게 되었는데요 처음에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인식이 없어 가격은 비싸고 품질의 보증은 되어 있지 않은 제품이라 소비가 크게 늘지 않았는데 한류 열풍이 불고 한국 드라마의 성공과 그 배우들이 광고하는 화장품의 수요가 크게 늘어 몇 년 전부터 시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Q 한국과 대만과 중국의 관계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해 주세요

A 앞서 말씀 드린 것 같이 한국의 기업은 대만을 통하여 중국 시장의 진출을 위하여 대만 시장을 많이 찾습니다 그 이유는 한국 기업이 대만 시장을 통해서 제품을 인정받는다면 대만과 중국은 같은 언어권의 나라로 대만기업을 통해 중국으로의 활로를 개척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왜 이렇게 돌아서 진출을 하려고 물으셨는데 그것은 쉽게 말해서 말이 잘 통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의 중국어를 잘 구사하는 사람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보다는 대만의 사람이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주고 인정을 해준다면 더욱 쉽게 자리를 잡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8 -

Q 스타트 기업의 대만 진출 성공여부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중소기업이 대만에 들어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현재 한국 내에서의 위치를 높이는데 주력하는 것이 좀 더 낫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대만은 아주 뛰어난 기술력을 가지고 있지만 자체 제품을 생산하지 않습니다 예로 Apple에서 전체 아이디어를 미국에서 한다면 그 아이디어 실행은 대만에서 이루어집니다 그리고 제품의 생산은 대부분 중국에서 이루어 지구요 이렇듯 대만의 기술력과 제품에 대한 이해가 빠르기 때문에 수입을 많이 의존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중소기업이 들어와서 제품을 판매한다 쉽게 성공할 수 없죠

Q 회장님께서는 중국과의 중개무역은 생각하고 있으시지 않습니까

A 네 저는 지금의 생활에 만족하고 있습니다 지금 저의 파트너들과의 관계도 좋고 따로 중국 진출은 생각하고 있지 않습니다 만약에 제가 중국을 진출하게 된다면 현재의 기업들과도 경쟁상대가 되어 저는 생각이 없습니다

7-4 국립성공대학(國立成功大學)

-1월 9일 1350~1700 인터뷰-주소 701 臺南市東區大學路1號-연락처06-2757575 -홈페이지 wwwnckuedutw

대만 국립 성공대학은 931년 타이난에 설립된 이공계 명문 대학입니다 국립성공대학은 66개의 캠퍼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각 캠퍼스마다 특징과 분위기가 다릅니다 우리 국립성공대학은 ldquo북대대 남성공(北臺大 南成功)rdquo 이라는 말이 있듯이 역사는 대만대학의 바로 다음갑니다

국립성공대학의 이름의 의미는 성공은 무엇을 성취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대만의 민족영웅인 정성공(鄣成功)을 기념하기 위한 대학이라는 뜻입니다 성공대학은 정성공이 있던 역사명승 적감루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해 있기도 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9 -

이후 인터뷰로 대만의 소개와 간단한 전공 소개가 있었다

7-5 WABFENIX RENIX GLORY GLORIA GUA

-1월 12일 월요일 1300~1500 인터뷰-주소 14F-1 No420 Sec 4 Xinyi Rd Xinyi Dist Taipei City 110 Taiwan (ROC)-대표 Mr KEN -전화886-5569-0555-URL httpswwwfacebookcomrenixfanspage httpwwwwabfenixcom

Q Wabfenix가 어떤 기업인지 소개 해주세요

A 저희 회사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으로 현재는 매장은 없지만 개발한 제품을 바탕으로 사업을 진행 중이고 대만현지에 저희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저희 회사는 제품의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화장품을 개발하여 대만시장 뿐만 아니라 중국시장의 진출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Q 귀하의 제품은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제품이라 하셨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제품 등이 있습니까

A 우선 Heymore 제품군의 블랙 마스크 팩과 Renix 제품군의 일반 마스크 팩을 출시했습니다Heymore의 경우 선물용임을 부각시키기 위해 디자인에 특히 많은 투자를 하였습니다 중국 중산층을 겨냥한 제품으로 가격대 1봉지에 한화 ₩40000 정도로 높게 책정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가격을 높게 측정한 이유에는 중국 화장품 소비문화 속에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 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에 저가 보급형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0 -

제품인 Renix와 차별을 두는 판매 전략을 선택하였습니다 현재 판매되는 제품은 마스크 팩을 주력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Q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인데 중국을 대상으로 어떤 진출 전략을 갖고 있습니까

A중국에서 열리는 화장품 전시회 화장품 엑스포 행사 바이어 미팅 등 꾸준히 참가중이며 바이어들에게 저희 제품을 어필하고 있습니다 물론 신생기업인 만큼 아직 중국 내에서 뚜렷한 판매 실적을 기록하진 못했지만 타 화장품 기업들과 다른 마케팅 방식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디자인이나 제품의 아이디어를 강조하고 있는데 대표 적인 상품으로 오뚝이 모양을 한 화장품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이 오뚝이 제품을 바이어들에게 어필해 보았는데 대단히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Q 해외시장 마케팅과 대만 시장마케팅의 차이점이 있습니까

A 우선 중국에서의 마케팅은 행사나 전시회에 참여하고 바이어들을 개인적으로 만나는 것에 치중해 있다면 국내 대만시장의 마케팅 전략은 페이스북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대만은 중국에 비해 SNS가 많이 발달되어 있어 자금이 많이 들어가지 않는 SNS마케팅을 하고 있고 각종 자선행사에 참여하여 저희 기업을 홍보하고 있습니다

Q 귀사의 제품을 중국보다 비싼 인건비가드는 대만 제조공장에서 생산하는 겁니까

A타이중에 소재하는 공장에서 마스크를 제조 하고 있습니다 인건비가 비싼 것은 대만 수도인 타이페이에만 주로 해당이 됩니다 지방 소도시에서도 외곽으로 들어가면 저렴한 인건비와 공장 가동비용으로도 제조가 가능 합니다 굳이 중국에 제조공장을 갖지 않는 이유는 신생기업이라 자금문제도 있지만 대만은 OEMampODM에 특화된 국가이기 때문에 품질 좋은 다양한 제품주문이 가능하고 중국 사람들에게도 자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 보다 외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가 더 좋기 때문에 대만에서 생산한 뒤 수출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Q 대만에 한국 화장품 기업이 진출한다면 어떠한 마케팅 전략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 생각 하십니까

A 이미 대만에 한국의 화장품 제품들이 많이 들어와 있습니다 하지만 대만 자체의 화장품 기업들이 기존에 많은 시장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성공을 거두기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최근 한국에 대한 이미지가 많이 좋아졌고 한국의 영화나 드라마 등이 많이 알려지면서 인지도가 높아졌습니다 한국의 대기업의 경우 이러한 대규모 마케팅을 할 수 있으므로 큰 무리가 없겠지만 한국의 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한다면 최종 시장 공략 층은 대만이 아닌 중국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대만은 중화권으로 가기 위한 연결다리라고 생각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또한 중소기업은 큰 마케팅 비용을 부담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대만에서는 SNS나 각종 자선 행사에 참여하여 인지도를 높이는 것을 추천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1 -

Q 같은 제품이지만 대만과 중국에서 판매할 때 가격 책정이 다른 이유가 무엇인가요

A 그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해드리자면 국가마다 소비 성향이나 구매 능력 환율 경제 상황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경영 에서는 가격 차별화(Price discrimination)이라 부르는데요 각 나라의 시장 특성에 적정한 가격대를 책정해서 제품을 판매하는 전략입니다 혹시 중국 상류층이 몇 명인지 알고 있나요 제가 알기로는 대만 인구의 2배인 4000만 명이라는군요 아마도 한국 인구랑 비슷한 규모 일겁니다 게다가 중산층은 약 4억 명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4억 명의 중국 소비자들이 우리 제품을 1개씩만 구입 한다면hellip 상상만 해도 엄청 나겠죠 이야기를 하다 보니 다른 쪽으로 빠졌는데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이야기하면 물론 좋은 제품을 모든 곳에 저렴하게 제공 하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 그러나 항상 시장에서 저렴한 제품만이 성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대만이나 한국처럼 고도의 산업화가 이루어지고 시장이 크게 발전한 안정적인 단계는 좋은 제품이라도 가격 경쟁력에 신경 써야 합니다 왜냐하면 소비자들이 똑똑하기 때문에 정보력이 넓고 합리적인 소비를 지향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가격 성능 디자인 등 많은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중국 시장은 대만이나 한국과는 특성이 다릅니다 저렴하다고 해서 많이 제품이 많이 팔리기 보다는 가격대가 어느 정도 있는 제품일수록 또는 가격대가 높을수록 소비자들이 관심을 보입니다 대체적으로 중국 소비자들은 lsquo저렴한 제품은 품질이 낮거나 효능이 좋지 않은 제품일거야rsquo 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 때문에 화장품 박람회나 전시회에 저가 화장품을 가져와 홍보하더라도 중국 바이어나 소비자들은 큰 관심을 주지 않습니다 처음에 말했듯이 중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2 -

국 소비문화가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라는 심리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Wabfenix의 경우에는 신생기업이라 많은 투자 금액이 없을 뿐 더러 대만 화장품 시장에 진출하기에는 리스크가

크고 진입 장벽이 높습니다 그리고 이미 한국 화장품 기업들이 대부분 점유를 한 상황이기 때문에 대만 내수시장에만 집중하기에는 경쟁력이 부족하죠 그래서 중국을 주력 수출시장으로 삼고 있는데요 저희는 제품 성능 보다는 소비자의 이목을 끌 수 있는 디자인에 더 많은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중국에 Wabfenix만의 화장품 선물 문화를 정착 시키는 것이 목적인데요 높은 제품 가격만큼 소비자의 관심을 끌 수 있고 선물 문화나 꽌시(关系)가 많은 중국 문화 특성에 맞추어 선물용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중국 시장은 현재 젊은 중산층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품질이 낮은 화장품 보다는 수입 화장품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점으로 미루어볼 때 높은 가격 차별화와 Wabfenix만의 디자인 마케팅은 좋은 경쟁력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3 -

8 현지 시장조사 활동 (시장동향사진설문조사 자료)

8-1 시먼딩 설문조사

목적 대만 사람들의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및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대상 10대~20대 여성 및 화장품 전문매장 종사자장소 시먼딩시간 2015년 1월 7일 12일 총 두 차례에 걸쳐 진행방법 ①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 판넬에 국가별로 메이크업 사진을 표시하고 스티커를 붙이는 방식으로 투표함 공정성을 위해 국가 이름은 블라인드로 처리하였고 모두 동일 인물의 사진을 사용함②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표본집단을 50명으로 설정함 설문조사가 끝나면 사은품으로 한국 브랜드 마스크팩 증정함

8-2 사전 기획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판넬 기획도gt

化妝辦法喜好度的調查화장법 선호도 조사

大家給自己喜歡的化妝貼貼紙 여러분이 선호하는 메이크업에 스티커를 붙여 주세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4 -

대만의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안녕하십니까

다음의 내용은 대만 화장품 트렌드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자 관련조사를 실시하고자 하오니

있는 그대로의 생각을 기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귀하의 응답은 통계적 목적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본 설문은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물음에 대한 답변이나 해당란에 v 표를 해 주십시오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7) ② 화장품 전문매장(34) ③ 마트(5) ④ 홈쇼핑(2)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합계 총 50 명

바쁘신 시간에 의견을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지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5 -

8-3 설문조사 활동

lt2015년 1월 7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6 -

lt2015년 1월 12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7 -

lt활동 결과 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8 -

9 설문조사 통계 분석 (설문조사 응답 수분석결과)

9-1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결과gt

설문 조사 질문지 양식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12)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③ 마트(5) ④ 홈쇼핑(6)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9 -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gt

9-2 설문조사 항목 별 의견 및 추측

설문 조사 질문지 항목 (최다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② 20 ~ 25세 (13)

0

5

10

15

20

25

30

20대 이하 20세~24세 25세~29세 30세~39세 40대 이상

rarr 시먼딩은 대만의 홍대거리라 불리는 lsquo융캉제rsquo나 서울의 lsquo명동rsquo과 같이 젊은 층이 주로 활동하는 지역이다 설문조사 중에도 교복이나 체육복을 입은 학생들과 길거리에서 쇼핑을 즐기는 20대가 즐비할 만큼 활기 있는 거리다 덥고 습한 대만 기후 특성 상 과거엔 화장법이 크게 발전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국의 자연스러운 화장법이 큰 인기를 끌면서 시먼딩에 화장품 거리가 조성되어 있을 만큼 유동 인구가 많다 이 점으로 추측해보았을 때 압도적으로 10대와 20대 층이 많은 응답 수를 기록했다고 본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0 -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051015202530

온라인 화장품전문매장 마트 홈쇼핑 방문판매

rarr 대만 또한 한국과 비슷하게 시내에 많은 수의 화장품 전문매장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접근성이 굉장히 높았다 더불어 각 화장품 매장에서는 상품 할인과 같은 각종 프로모션을 진행하기 때문에 구매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 구매한다는 대답도 높은 편이었는데 거의 대부분이 와이파이존이어서 어디서나 인터넷을 한 활발히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온라인에서의 구매율도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0

5

10

15

20

25

30

NT$300 미만 NT$300~NT899 NT$900~NT$1499 NT$1500~NT2999 NT$3000

rarr 응답자들은 대부분이 한 달 간 화장품에 쓰는 돈을 최저 1만원 이상(NT$300 이상)이라고 답했는데 이는 70가 넘어가는 결과로 화장품에 대한 지출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만원 이상이라고 대답한 응답자들 또한 4분의 1을 넘기는데 이것은 젊은 연령층부터 시작하여 최근 피부 관리와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대만의 소비 수준에 대비하여 화장품 소비율이 높은 것도 이 때문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1 -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③ 성능(23)

051015202530

가격 디자인 성능 화장품 모델 브랜드

rarr 아열대 기후에 속하는 대만은 높은 기온과 습한 날씨 탓에 에어컨 환경에 자주 노출돼 피부 수분을 잃기 쉬워 기능성 화장품의 소비가 두드러진다 대만 화장품 시장은 토너 세럼 에센스 로션 크림 등의 모든 스킨케어 제품들이 보습기능을 강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백이나 안티에이징 리프팅 저자극 오일프리(Oil-free) 등의 기능까지 추가된 스킨케어 제품들이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조 화장품 소비가 늘어난 것은 최근 몇 년 들어 다양한 화장품 브랜드 접촉기회가 많아지고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젊은 여성의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색조화장품 또한 메이크업베이스와 BB크림 립스틱과 같은 베이스 메이크업이 수요가 많았다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④인터넷(22)

0

5

10

15

20

25

30

TV 잡지 친구 인터넷 메이크업샵

rarr 최근 빠른 인터넷망과 스마트폰 태블릿PC의 보급으로 인해 사람들과 사람사이의 연결망이 견고히 형성되고 있고 이것이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방법을 얻는 경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만 소비자들은 주로 인터넷 블로그 가족과 친구로부터 메이크업 정보를 획득 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만의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이므로 입소문마케팅과 판매를 바로바로 할 수 있는 유통구조가 도움이 될 것 같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2 -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0

5

10

15

20

25

30

청순 독특 귀여움 섹시

rarr 앞서 살펴보았듯이 대만은 한국과 비슷한 메이크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이것은 곧 청순한 메이크업 컨셉에 관심 있어 한다는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실제로 대만 여성소비자들은 깨끗한 피부 NATURAL한 베이스메이크업을 선호한다 한 듯 안 한 듯 자연스럽고 깨끗한 느낌의 한국식 lsquo생얼rsquo 화장법은 대만에서 한국 드라마 열풍과 함께 유명세를 타기 시작해 현지 각종 온라인 뷰티 사이트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래서 응답의 대부분이 한 곳에 치우쳤고 비교적 개성 있는 메이크업 방법이 드물 것이라는 것을 유추해낼 수 있다

본 설문 조사를 통한 한국 화장품 기업에 대한 시사점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수입 절차로 오랜 시간을 허비해야 하는 반면 대만은 자외선 차단제 성분 함유 제품과 약용 화장품을 제외한 일반 화장품은 별도의 수입 검사 없이 수입할 수 있으므로 대개 중국보다 1~2년 먼저 신상품이 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한류 효과를 겨냥한 중화권 화장품 시장으로 대만을 우선 공략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대만은 대부분이 화장품에 대한 소비를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고 한국 화장품이 많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시장 접근법만 제대로 수립하면 매출이 나는 구조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대만인들이 선호하는 메이크업 방법이 한국과 비슷하기 때문에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은 마케팅 방안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최종분석설문 조사 대상은 대부분 10대~20대의 연령층이었으며 화장품의 주된 구입경로는 lsquo온라인(24)rsquo과 lsquo화장품 전문매장(50)rsquo이 압도적이었다 더불어 한 달 간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lsquo1만 원 이상(72)rsquo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이것은 실제 생활수준에 대비하여 높은 소비량이므로 대만의 화장품 시장 전망이 밝다고 할 수 있다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부분은 lsquo성능(46)rsquo이었는데 이는 스타트업 기업 중소기업에게 유리한 조건이다 메이크업 방법을 얻는 방법으로는 lsquo인터넷(44)rsquo과 lsquo친구(30)rsquo가 높은 비율을 차지했는데 판촉활동으로는 인터넷을 활용한 SNS 홍보 바이럴 마케팅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가장 관심있는 화장 컨셉은 lsquo청순rsquo 이었고 이것은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와 맞물려 우리나라와 비슷한 메이크업 방법을 추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3 -

10 대만 명소 소개 (명소음식행사숙소 소개)

10-1 고궁박물관

대만 고궁박물원은 영국의 대영 박물관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 미국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과 함께 세계 4대 박물관으로 손꼽힐 만큼 세계적은 소장 문물을 자랑한다 건물 규모는 그다지 크지 않지만 소장한 문물의 질과 양은 세계 최상급이다 중화 보물 중에서도 최고의 보물들이 모여 있어 진귀하기 그지없고 수량 역시 워낙 방대하여 3개월 단위로 1만여점을 돌아가면서 전시해도 다보려면 10년이 넘게 걸린다고 전해지고 있다 중국의 국공내전 당시 장제스가 이끌던 중국 국민당이 전쟁에서 패하며 중국을 탈출해 대만으로 향했다 당시 장제스는 난징에 있던 정부를 타이페이로 이전하면서 자금성에 보관되어있던 중국역대 왕조 보물 수십만 점을 배를 이용해 운반해 왔다 중국의 유물을 가진 자가 진정한 통치자라고 생각했던 장제스는 ldquo공산군에게 영토는 내줘도 문화유산만큼은 내줄 수 없다ldquo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대표적인 유물은 취옥배추 육형석 모공정 산씨반 등이 있다

10-2 용산사

루강의 초입에 있는 이 사찰은 타이완에서 가장 오래되고 아름답다고 하여 타이완의 자금성이라고 부른다 각 건물의 기둥 벽 그리고 천장 등에 새겨진 조각은 특히 빼어나다 이 조각상과 함께 이곳의 명물로 알려진 것은 사찰 경내에 있는 2마리의 용상인데 삼천전 앞마당 좌우에 서서 룽산사를 호위하고 있다

10-3 타이페이 101 빌딩

타이베이 101빌딩rsquo이라 부르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로서 빌딩 모습은 하늘로 뻗어나가는 대나무 위에 꽃잎이 겹겹이 포개진 형상이다 본래 타이베이 금융기관이 모인 건물이지만 대형 쇼핑센터와 푸드코트 고급 레스토랑이 있어 여행자들이 많이 찾는다 건물에는 8개 마디가 있는데 이는 중화 문화권에서 부와 번영을 의미하는 숫자 lsquo8rsquo을 염두에 둔 것이다 타이베이 시내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는 높이 508m로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히는 높은 건물이다 지상 1~5층에는 소고 백화점 뷰티 플라자 애버뉴 101 등 다양한 패션∙뷰티용품을 구입할 수 있는 상점이 있다 또한 레스토랑 시티 스퀘어 대형 서점 등 쇼핑과 오락 식사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복합시설이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4 -

잘 알려진 식당으로는 딘 타이 펑(Din Tai Fung) 이 있다 101타워 지하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샤오롱바오(고기만두) 새우 샤오마이(새우만두) 탄탄면(우육면)이 가장 대표적인 메뉴이며 대만에 방문한 많은 사람들이 찾는 식당이다

10-4 지우펀

대만여행의 백미로 꼽히는 지우펀은 타이페이시 북부의 루이팡 지역의 작은 산골 마을로 과거에는 아홉가구만 살고 있어서 지우펀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예전에는 작은 산골 마을에 불과 했지만 이 지역에서 금맥이 발견되면서 호황을 맞이하게 된다 특히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일본풍의 건물들이 남아 있어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결합된 독특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비탈길을 따라 하늘로 이어진 예스러운 건물 그리고 골목마다 빨간 홍등과 함께 묻어나는 옛 풍경은 여행객들에게 인기 여행지이다

10-5 스린야시장

타이베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야시장 가운데 하나이다 독특하면서도 다양한 전통 먹을거리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이곳을 찾는 관광객이 많다 시장 부근에 학교가 많아 학생들이 많이 찾으며 포장마차 등의 노점상이 많아 가격도 저렴하다 칭런샹[情人巷]에는 가구 의류 액세서리 사진현상점 애완용품점 등이 모여 있어 학생뿐 아니라 관광객들도 자주 찾는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5 -

10-6 예류 지질 공원

타이완 북해안에 자리한 예류는 해수욕장과 온천 기암괴석으로 유명한 관광지다 특히 예류지질공원은 희귀한 모형의 바위와 암석이 모여 있어 예류 관광의 필수코스로 꼽힌다 작은 곶으로 된 예류지질공원은 침식과 풍화 작용을 거쳐 자연적으로 형성된 기암을 보러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지질공원으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것이 선상암 군락이다 암석 하나하나의 모습은 마치 거대한 버섯이 큰 머리로 하늘을 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선상암 가운데 가장 유명한 암석은 이집트 왕비의 옆모습을 닮은 여왕 두상 바위다

10-7 스펀(Shifen)

스펀(十分)은 옛 광산마을로써 천으로 만든 등이 유명하다 또한 이 곳 스펀은 대만 최대의 폭포 스펀(SE-FEN) 폭포가 있다 미니기차와 천으로 만든 등을 날릴 수도 있다 마을의 한가운데 긴 철길이 놓여 있고 30분에 한 대씩 기차가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것도 볼 수가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6 -

10-8 진과스(金瓜石)

진과스(金瓜石)는 타이완 타이베이 근교에 있는 옛 탄광 유적이다 20세기 전반에 금 채굴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20세기 후반에 금이 차차 고갈되기 시작하자 점점 위축되어 폐광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관광 명소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하루에도 수백명이 들렀다 가는 대만의 대표 관광지이다 진과스 내에 있는 황금 박물관에는 220kg 의 금이 전시 되어 있는데 손을 넣어 직접 만져 볼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진과스에서는 과거 광부들이 먹었던 도시락을 그대로 만들어 판매하는 광부 도시락도 굉장히 인기가 많다

10-9 국립 성공대학

대만의 타이난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1931년에 개교하였다 2010년 QS대학순위에서 283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대만 대학중 2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총 9개의 캠퍼스로 이루어져 있어 굉장히 큰 면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만 교육청에서 인정한 9개의 주요대학 중 하나이고 대만 기업체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학이다 이공계열이 가장 뛰어나며 중문 역사 법학 경제학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10 시먼딩

타이베이시에 위치한 시먼딩은 한국의 명동과 같은 거리이다 대한민국의 명동에도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과 외국인이 많다고 알려져 있는데 시먼딩 또한 명동 못지않은 다양함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대만의 패션과 놀이 문화 음식 등을 한눈에 경험 할 수 있는 공간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7 -

10-11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

중정기념당은 타이완 총통 장제스(蔣介石)를 기리는 전당이다 lsquo중정rsquo은 장제스의 본명이다 그가 서거한 후 1980년 기념당을 세웠다 25만에 이르는 넓은 중정공원 안에 우뚝 선 높이 70m의 기념물이 중정기념당이다 기념당 1층에는 장제스 생애를 엿볼 수 있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거대한 장제스 동상은 항상 근위병이 동상 앞을 지키고 있다 중정공원 안에는 중정기념당 외에 국립 희극원과 국립 음악청이 있는데 이곳에서 연극과 콘서트를 한다 공원 조경 또한 잘 조성되어 있어 산책하며 천천히 둘러보기에 좋다

10-12 안핑지구(安平地區)

대만의 문화와 역사는 안핑지구에서 시작되었다 안핑구바오는 17세기 중엽 네덜란드인들이 지은 요새로 정성공이 빼앗아 번영하다가 황폐해져 지금은 보루의 대부분이 없어지고 설탕과 굴껍데기와 찹쌀가루를 버무려 만든 빨간벽돌로 된 장벽(臺灣城殘蹟)만이 남아 나무뿌리와 존립의 사투를 벌이고 있다 감시탑 옆 건물 안에는 네덜란드와 정성공의 전투에 대한 이야기와 중세갑옷 등이 전시 중이다 이 주변에는 대만에서 가장 오래된 상업거리 옌핑제(延平街)가 있는데 옛 명성이 다한 거리의 골목 사이사이 수백년 된 가옥을 구경하는 것도 소소한 즐거움이다 1867년 영국인 상점과 물류창고로 이용하던 건물에 노용수(老榕樹)가 멋대로 자라 건물을 집어삼키듯 뒤덮은 나무집으로 불리는 안핑수우도 안핑지구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진귀한 볼거리다

10-13 미라마 관람차

대만에서 가장 큰 관람차로 알려져 있는 미라마 관람차는 타이페이 시의 야경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관람차 크기가 큰 것으로 유명하지만 가격 또한 저렴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유스트래블 카드를 이용하면 50 할인이 적용되므로 꼭 지참하도록 하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8 -

lt미라마 관람차 티켓gt lt유스트래블 카드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9 -

11 시사점 및 차후 활용계획 (LGC 프로그램을 통한 구체적인 효과 및 연구결과)

11-1 LGC 프로젝트 만족도

구분 항목 전 후 한줄 평

사업단

프로젝트 취지- 린튼 글로벌 학과와 경영정보학과 학생들이 함께

하는 프로젝트 해외시장탐방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사전교육 활동- 출국 전 각 나라에 대한 유의사항 안전교육이 체

계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개략적인 보고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었다

행정지원 절차- CK사업단 린튼 글로벌 학과 경영정보학과 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히 되지 않아 사전 계획에서 많은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협동력 향상- 출발 전 잦은 팀 회의와 8박 9일 간에 일정에도

불구하고 불화 없이 좋은 분위기 속에서 프로젝트를 완수 했다

추진력 향상- 일정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 한 점 추가 자료조

사를 위해 현지에서 새로운 일정을 추가 됐을 때 팀원들이 일사불란하게 따라주었다

문제해결 능력- 교통편 문제와 기업 측 내부 문제로 일부 일정에

변동이 있었지만 신속한 조율과 전화 통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개인

동기부여 자극- 현지인들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국어 영어 능

력의 필요성을 실감했다 특히 중국어는 소통 유무에 따라 현지 반응이 극명하게 갈렸다

진로설계 도움- 프로젝트 전에 비해 새로운 직업 분야에 대한 관심

이 증가했다

취업능력 향상-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한 내용을 살려 구술 면접이

나 자기소개서 작성에 참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11-2 LGC프로젝트 연구 결과 - 대만 시장

⓵ 중국시장을 주목하는 대만 화장품 기업- EST팀은 현지 대만 화장품 기업으로 SISDORA와 WABFENIX를 선택했다 두 회사를 선정한 배경에는

명확한 의도를 두고 정했다 SISDORA는 설립한 지 10년이 넘는 회사로 직접 화장품을 개발 및 연구하고 판매하는 중소기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과 주름개선 크림으로 중년 여성을 타깃 층으로 하는 화장품 회사다 반면 WABFENIX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스타트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 이지만 기술개발 보다는 디자인 마케팅에 중점을 두었고 판매 층도 10대-20대의 젊은 층을 타깃 층으로 한다 시장 전략이 완연히 다른 두 기업이 유일하게 공통점이 있다면 중국시장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선정 이유에는 많은 인구의 소비력을 꼽지만 뒤이어 언급하는 이야기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자사 제품의 경쟁력 약화를 말한다 현재 대만 기업 대부분은 내수 시장 대신에 중국을 겨냥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국가 산업 특성상 제조amp연구 분야가 강세인 대만에서는 중국 바이어 또는 미국 유럽 바이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직접 판매 보다는 기술 협력을 통해 이익을 창출한다고 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0 -

⓶ 대만 시장을 점령한 한국 화장품

- 앞서 말했듯이 2012년 이후부터 급속히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한국 화장품은 대만 시장을 점령하고 있다 이미 시먼딩에 들어서면 다양한 한국 화장품 매장이 눈에 띌 만큼 들어섰으며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중앙 광장에 입점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매장 안에는 많은 대만 사람들이 화장품을 보고 있는 광경을 흔히 본다 화장품 매장을 이용하는 연령층은 주로 10대-20대들이다 화장품 가격이 한국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주 애용하는 이유는 한류 열풍으로 인한 한국 연예인들에 대한 관심과 화장법이 크게 유행하고 있음을 현지 설문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⓷ 체감할 수 있을 만큼 커다란 한류열풍

- 뉴스에서만 듣던 한류 이야기를 대만에서 직접 느낄 수 있을 정도로 한류열풍은 크다 특히 삼성이나 LG의 TV나 스마트폰은 어딜 가든 항상 보이고 한국 화장품 선물에 대한 반응이 무척이나 뜨겁다 원활한 현지 조사를 위하여 사은품으로 준비한 한국 마스크 팩 100개는 오히려 현지인들이 참여 의사를 표현할 만큼 열정적이었다 일부 대만 사람 중에는 어디서 왔냐는 질문에 한국이라는 답변을 하니 같이 사진 찍기를 제안하기도 했다

⓸ 중소기업에게 있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는 대만 시장진출- 대만 시장 진출에 앞서 한국 화장품 중소기업이라면 전략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크게 대만 시장을 겨냥

할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할지 선택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3CE는 한국 화장품 회사다 대만에서 젊은 연령층이 자주 이용하고 이미 대만 내에서는 유명하다 3CE는 오프라인 매장 없이 순수 온라인 매장으로 운영하면서 대만 사람들을 위한 전용 웹사이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윤을 창출 하고 있다 신중해야 할 점은 현재 온라인 오프라인 등 한국 화장품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신규 진입에 있어서 장벽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대만 시장을 활용한다면 동남아 시장까지 한 번에 내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출입통관 절차가 간단하고 관세가 낮기 때문에 중소기업에게 유리하다 아직까지 중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1 -

에 대한 직접적인 수출이 가능한 곳은 상해나 항주 같이 중국에서 허가한 무역항 도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내륙까지 시장을 확대하기는 불가능하지만 같은 언어권인 대만을 거치면 보다 쉽게 바이어나 에이전트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인맥을 통한 꽌시와 수수료 명목으로 뒷돈을 요구하는 중국 바이어의 관행은 자금 순환이 원활치 않은 중소기업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11-3 LGC 프로젝트 종합 의견 및 전망

우리 lsquoEST팀은 출국 전 국내 화장품 시장 조사를 할 때 대덕 밸리 스타트업 기업 셀아이콘 랩의 영향으로 대만의 화장품 산업에 대해 큰 관심과 가능성을 보고 2015년 1월 5일부터 1월 13일까지 8박9일이라는 시간동안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 나라 중에 하나인 대만에서 rsquo대만의 화장품 시장lsquo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사를 했다 대만에서는 3개의 기업 (KOTRA SISDORA WABFENIX) 을 방문해 전반적인 대만의 화장품 시장과 판매전략 한류에 대한 보다 사실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1개의 대학 (국립성공대학 國立成功大學)에서 MBA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또 타이난에서는 대만에서 오랫동안 사업하시는 한인협회 회장을 만나 PLC (Product Life Cycle)를 통해 대만에서의 특정 시장이 도입기에 있는지 또 어떠한 시장이 쇠퇴기에 놓여있는지 다양한 시야에서 대만시장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노력은 CK 사업단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교육부 CK-1 프로젝트의 일부인 Linton Global Challenge는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몇 년을 내다보는 지속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기업들과 더욱 더 활발한 교류와 연구를 한다면 기업과 CK 사업단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리라고 본다

1 개인 탐방 후기 (팀원 개인 소감)

1-1 개인 탐방 후기

강성민탐방 후기 기업 컨택 부터 인터뷰 일정 계획까지 8박 9일간의 대만 화장품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 출국 전까지 준비 과정부터 탈도 많았고 대만에 와서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 원하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매일이 항상 회의와 고민의 연속이었다 하루하루 충실히 계획을 진행시켜 나갔고 좋은 팀 분위기 속에서 무사히 대만 프로

부록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2 -

젝트를 완수했다 그리고 마침내 한국으로 돌아왔다 과정은 항상 오르막 길이였지만 돌이켜 보면 마지막 대학 시절을 기념할만한 좋은 추억이자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느끼는 바가 많았던 프로젝트로 기억 될 것이다

김은진탐방 후기 글로벌 챌린지를 한마디로 정의하라고 한다면 도종환 시인의 lsquo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lsquo라는 시가 떠오른다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대만기업컨택 설문조사 등 많은 것을 경험했다 처음엔 모든 것이 나에겐 버거운 산이라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도전이 계속 될수록 이젠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이 모든 도전들에 흥미가 생겼다 나 자신도 책임감과 자신감이 생기고 한층 성숙해 진 것을 내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소중한 동료와 추억은 평생 나의 가슴속에 남을 것이다 우린 앞으로도 많이 도전하고 경험하여 우리들의 삶이 활짝 만개하리라 다짐한다 끊임없이 도전하는 20대의 청춘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프로그램이었다 김종선탐방 후기 한국에서 준비하면서 조사했던 내용과 비교하며 인터뷰를 해보니 실제로 많이 다른 부분도 있었고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 비슷한 내용도 있었다 현지의 기업들을 방문해 우리가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직접 매장에 가서 느껴보니 앉아서 컴퓨터만 볼 때랑 많이 달랐다 그리고 직접 대만인들에게 설문조사를 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그리고 대만의 실제 문화와 환경 그들의 생활을 잠시나마 볼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

구명우탐방 후기 며칠간의 꿈만 같았던 대만에서의 시간이 지나갔다 대만으로 출국하기 전 사전조사 기간에는 확신이 없었다 사전조사와 기업과의 인터뷰 그리고 9일간의 일정조율 및 숙박과 모든 대만에서의 연구와 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보고서까지 무엇하나 확신이 드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도전과 해결능력을 배웠고 아시아에서 급성장 중인 대만에 대해서 배우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다음기수로 가게 될 관심 있는 학우들에게 진심으로 추천해주고 싶다

이규현탐방 후기 CK-1 프로그램 중 하나인 lsquo린튼 글로벌 챌린지lsquo 프로그램을 통해 약 8박 9일이라는 시간 동안 emerging market 중 하나인 대만에 거주하면서 한국 화장품의 대만시장 점유율과 진출 가능성을 몸으로 체감하고 자료들을 모아 통계 내어 정리할 수 있었다 우리 팀 lsquoEST가 성공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충분한 국내조사 기간을 갖고 대만의 화장품 회사들을 방문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대만의 특정한 기업을 찾기도 어려웠고 기업 컨택은 번번히 거절당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회사 두 군데에서는 답장조차 오지 않았고 설문조사할 때에는 반한감정의 대만인을 만나 고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팀의 단결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리더의 통솔력으로 정해진 스케줄대로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회사를 방문하고 학교교수를 만나고 길거리에서 설문조사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팀원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또한 대학생으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을 한 것 같아서 스스로도 너무 뿌듯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팀을 믿고 지지해주신 LGSB 교수님들과 CK-1 프로그램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영은탐방 후기 처음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렇게 준비는 열심히 하지만 정말 우리가 계획한 100대로 대만을 다녀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기우가 무색하게도 대만은 우리에게 기획안 그 이상의 것들을 보여주었다 사장님들의 생생한 사업 이야기와 대만의 색채가 묻어있는 아이템들 하며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여 알아보는 비즈니스 마켓의 현장은 나에게 두고두고 잊지 못할 자산으로 남았다 또한 펑리수 버블티를 비롯한 대만의 맛있는 먹거리들과 스린 야시장이나 지우펀 같은 명소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열심히 고생해준 팀원들과의 추억들도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3 -

이서우탐방 후기 이번 글로벌 첼린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서 쉽게 할 수 없는 해외 기업 탐방과 해당 국가의 산업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임효진탐방 후기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팀이 대만을 방문 한다고 했을 때 많이 의아해 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만을 직접 방문해보고 많은 사업자들을 만난 결과 대만은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라고 생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아직 공산주의라는 정치적 특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다른 곳보다 훨씬 어렵지만 대만은 자유시장체제 이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쉽다 특히 외국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만 시장에서 한국제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추고 중국 시장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성공가능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그리고 대만의 바이어들을 통해 중국의 시장진출을 하게 된다면 사업자가 직접 중국시장에 진출 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성공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만은 문화적으로 다른 아시아권보다 선진화 되었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대도시에 속하지만 모두다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골고루 섞여 대만만의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차안호탐방 후기 9박 10일간의 대만을 다녀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넓고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이번 대만 여행은 처음으로 경험한 해외여행 경험이여서 그런지 순탄치 않은 면도 있었지만 팀원들 서로가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만시장은 중국시장으로 가기위한 좋은 시험의 장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대만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영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더 나아가 미래에는 중국어야말로 영어와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성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또 하나 놀란 점은 대만이 반 한류 감정을 많이 갖고 있는 줄 알았지만 대부분의 대만 일반 시민들이 굉장히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에 놀랐고 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CK-1 사업의 챌린지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대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계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보완점 및 건의사항 (문제점개선책건의사항)

2-1 기업 컨택의 어려움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에 있는 기업과 연결하여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대해서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조사 및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시간을 내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로써 그들의 귀한시간이 아깝게 쓰이지 않을 것을 강조하여 만남을 만들어야 한다

2-2 사업단과 의사소통의 불편함

Challeng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CK-1 사업단과의 지속되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가령 누군가를 통해서 전해지는 소문이나 촉박한 시간을 제시하고 일 처리를 원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단과 각 팀의 대표간의 분명한 의사소통과 증빙자료 등이 필요하다

2-3 정보 부재 이번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이머징 마켓에서의 유망 산업 조사 및 연구였다 대만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28: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8 -

Q 스타트 기업의 대만 진출 성공여부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A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중소기업이 대만에 들어와서 성공을 하기 보다는 현재 한국 내에서의 위치를 높이는데 주력하는 것이 좀 더 낫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대만은 아주 뛰어난 기술력을 가지고 있지만 자체 제품을 생산하지 않습니다 예로 Apple에서 전체 아이디어를 미국에서 한다면 그 아이디어 실행은 대만에서 이루어집니다 그리고 제품의 생산은 대부분 중국에서 이루어 지구요 이렇듯 대만의 기술력과 제품에 대한 이해가 빠르기 때문에 수입을 많이 의존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중소기업이 들어와서 제품을 판매한다 쉽게 성공할 수 없죠

Q 회장님께서는 중국과의 중개무역은 생각하고 있으시지 않습니까

A 네 저는 지금의 생활에 만족하고 있습니다 지금 저의 파트너들과의 관계도 좋고 따로 중국 진출은 생각하고 있지 않습니다 만약에 제가 중국을 진출하게 된다면 현재의 기업들과도 경쟁상대가 되어 저는 생각이 없습니다

7-4 국립성공대학(國立成功大學)

-1월 9일 1350~1700 인터뷰-주소 701 臺南市東區大學路1號-연락처06-2757575 -홈페이지 wwwnckuedutw

대만 국립 성공대학은 931년 타이난에 설립된 이공계 명문 대학입니다 국립성공대학은 66개의 캠퍼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각 캠퍼스마다 특징과 분위기가 다릅니다 우리 국립성공대학은 ldquo북대대 남성공(北臺大 南成功)rdquo 이라는 말이 있듯이 역사는 대만대학의 바로 다음갑니다

국립성공대학의 이름의 의미는 성공은 무엇을 성취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대만의 민족영웅인 정성공(鄣成功)을 기념하기 위한 대학이라는 뜻입니다 성공대학은 정성공이 있던 역사명승 적감루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해 있기도 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9 -

이후 인터뷰로 대만의 소개와 간단한 전공 소개가 있었다

7-5 WABFENIX RENIX GLORY GLORIA GUA

-1월 12일 월요일 1300~1500 인터뷰-주소 14F-1 No420 Sec 4 Xinyi Rd Xinyi Dist Taipei City 110 Taiwan (ROC)-대표 Mr KEN -전화886-5569-0555-URL httpswwwfacebookcomrenixfanspage httpwwwwabfenixcom

Q Wabfenix가 어떤 기업인지 소개 해주세요

A 저희 회사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으로 현재는 매장은 없지만 개발한 제품을 바탕으로 사업을 진행 중이고 대만현지에 저희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저희 회사는 제품의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화장품을 개발하여 대만시장 뿐만 아니라 중국시장의 진출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Q 귀하의 제품은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제품이라 하셨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제품 등이 있습니까

A 우선 Heymore 제품군의 블랙 마스크 팩과 Renix 제품군의 일반 마스크 팩을 출시했습니다Heymore의 경우 선물용임을 부각시키기 위해 디자인에 특히 많은 투자를 하였습니다 중국 중산층을 겨냥한 제품으로 가격대 1봉지에 한화 ₩40000 정도로 높게 책정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가격을 높게 측정한 이유에는 중국 화장품 소비문화 속에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 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에 저가 보급형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0 -

제품인 Renix와 차별을 두는 판매 전략을 선택하였습니다 현재 판매되는 제품은 마스크 팩을 주력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Q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인데 중국을 대상으로 어떤 진출 전략을 갖고 있습니까

A중국에서 열리는 화장품 전시회 화장품 엑스포 행사 바이어 미팅 등 꾸준히 참가중이며 바이어들에게 저희 제품을 어필하고 있습니다 물론 신생기업인 만큼 아직 중국 내에서 뚜렷한 판매 실적을 기록하진 못했지만 타 화장품 기업들과 다른 마케팅 방식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디자인이나 제품의 아이디어를 강조하고 있는데 대표 적인 상품으로 오뚝이 모양을 한 화장품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이 오뚝이 제품을 바이어들에게 어필해 보았는데 대단히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Q 해외시장 마케팅과 대만 시장마케팅의 차이점이 있습니까

A 우선 중국에서의 마케팅은 행사나 전시회에 참여하고 바이어들을 개인적으로 만나는 것에 치중해 있다면 국내 대만시장의 마케팅 전략은 페이스북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대만은 중국에 비해 SNS가 많이 발달되어 있어 자금이 많이 들어가지 않는 SNS마케팅을 하고 있고 각종 자선행사에 참여하여 저희 기업을 홍보하고 있습니다

Q 귀사의 제품을 중국보다 비싼 인건비가드는 대만 제조공장에서 생산하는 겁니까

A타이중에 소재하는 공장에서 마스크를 제조 하고 있습니다 인건비가 비싼 것은 대만 수도인 타이페이에만 주로 해당이 됩니다 지방 소도시에서도 외곽으로 들어가면 저렴한 인건비와 공장 가동비용으로도 제조가 가능 합니다 굳이 중국에 제조공장을 갖지 않는 이유는 신생기업이라 자금문제도 있지만 대만은 OEMampODM에 특화된 국가이기 때문에 품질 좋은 다양한 제품주문이 가능하고 중국 사람들에게도 자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 보다 외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가 더 좋기 때문에 대만에서 생산한 뒤 수출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Q 대만에 한국 화장품 기업이 진출한다면 어떠한 마케팅 전략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 생각 하십니까

A 이미 대만에 한국의 화장품 제품들이 많이 들어와 있습니다 하지만 대만 자체의 화장품 기업들이 기존에 많은 시장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성공을 거두기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최근 한국에 대한 이미지가 많이 좋아졌고 한국의 영화나 드라마 등이 많이 알려지면서 인지도가 높아졌습니다 한국의 대기업의 경우 이러한 대규모 마케팅을 할 수 있으므로 큰 무리가 없겠지만 한국의 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한다면 최종 시장 공략 층은 대만이 아닌 중국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대만은 중화권으로 가기 위한 연결다리라고 생각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또한 중소기업은 큰 마케팅 비용을 부담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대만에서는 SNS나 각종 자선 행사에 참여하여 인지도를 높이는 것을 추천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1 -

Q 같은 제품이지만 대만과 중국에서 판매할 때 가격 책정이 다른 이유가 무엇인가요

A 그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해드리자면 국가마다 소비 성향이나 구매 능력 환율 경제 상황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경영 에서는 가격 차별화(Price discrimination)이라 부르는데요 각 나라의 시장 특성에 적정한 가격대를 책정해서 제품을 판매하는 전략입니다 혹시 중국 상류층이 몇 명인지 알고 있나요 제가 알기로는 대만 인구의 2배인 4000만 명이라는군요 아마도 한국 인구랑 비슷한 규모 일겁니다 게다가 중산층은 약 4억 명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4억 명의 중국 소비자들이 우리 제품을 1개씩만 구입 한다면hellip 상상만 해도 엄청 나겠죠 이야기를 하다 보니 다른 쪽으로 빠졌는데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이야기하면 물론 좋은 제품을 모든 곳에 저렴하게 제공 하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 그러나 항상 시장에서 저렴한 제품만이 성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대만이나 한국처럼 고도의 산업화가 이루어지고 시장이 크게 발전한 안정적인 단계는 좋은 제품이라도 가격 경쟁력에 신경 써야 합니다 왜냐하면 소비자들이 똑똑하기 때문에 정보력이 넓고 합리적인 소비를 지향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가격 성능 디자인 등 많은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중국 시장은 대만이나 한국과는 특성이 다릅니다 저렴하다고 해서 많이 제품이 많이 팔리기 보다는 가격대가 어느 정도 있는 제품일수록 또는 가격대가 높을수록 소비자들이 관심을 보입니다 대체적으로 중국 소비자들은 lsquo저렴한 제품은 품질이 낮거나 효능이 좋지 않은 제품일거야rsquo 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 때문에 화장품 박람회나 전시회에 저가 화장품을 가져와 홍보하더라도 중국 바이어나 소비자들은 큰 관심을 주지 않습니다 처음에 말했듯이 중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2 -

국 소비문화가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라는 심리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Wabfenix의 경우에는 신생기업이라 많은 투자 금액이 없을 뿐 더러 대만 화장품 시장에 진출하기에는 리스크가

크고 진입 장벽이 높습니다 그리고 이미 한국 화장품 기업들이 대부분 점유를 한 상황이기 때문에 대만 내수시장에만 집중하기에는 경쟁력이 부족하죠 그래서 중국을 주력 수출시장으로 삼고 있는데요 저희는 제품 성능 보다는 소비자의 이목을 끌 수 있는 디자인에 더 많은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중국에 Wabfenix만의 화장품 선물 문화를 정착 시키는 것이 목적인데요 높은 제품 가격만큼 소비자의 관심을 끌 수 있고 선물 문화나 꽌시(关系)가 많은 중국 문화 특성에 맞추어 선물용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중국 시장은 현재 젊은 중산층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품질이 낮은 화장품 보다는 수입 화장품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점으로 미루어볼 때 높은 가격 차별화와 Wabfenix만의 디자인 마케팅은 좋은 경쟁력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3 -

8 현지 시장조사 활동 (시장동향사진설문조사 자료)

8-1 시먼딩 설문조사

목적 대만 사람들의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및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대상 10대~20대 여성 및 화장품 전문매장 종사자장소 시먼딩시간 2015년 1월 7일 12일 총 두 차례에 걸쳐 진행방법 ①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 판넬에 국가별로 메이크업 사진을 표시하고 스티커를 붙이는 방식으로 투표함 공정성을 위해 국가 이름은 블라인드로 처리하였고 모두 동일 인물의 사진을 사용함②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표본집단을 50명으로 설정함 설문조사가 끝나면 사은품으로 한국 브랜드 마스크팩 증정함

8-2 사전 기획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판넬 기획도gt

化妝辦法喜好度的調查화장법 선호도 조사

大家給自己喜歡的化妝貼貼紙 여러분이 선호하는 메이크업에 스티커를 붙여 주세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4 -

대만의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안녕하십니까

다음의 내용은 대만 화장품 트렌드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자 관련조사를 실시하고자 하오니

있는 그대로의 생각을 기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귀하의 응답은 통계적 목적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본 설문은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물음에 대한 답변이나 해당란에 v 표를 해 주십시오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7) ② 화장품 전문매장(34) ③ 마트(5) ④ 홈쇼핑(2)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합계 총 50 명

바쁘신 시간에 의견을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지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5 -

8-3 설문조사 활동

lt2015년 1월 7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6 -

lt2015년 1월 12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7 -

lt활동 결과 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8 -

9 설문조사 통계 분석 (설문조사 응답 수분석결과)

9-1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결과gt

설문 조사 질문지 양식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12)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③ 마트(5) ④ 홈쇼핑(6)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9 -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gt

9-2 설문조사 항목 별 의견 및 추측

설문 조사 질문지 항목 (최다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② 20 ~ 25세 (13)

0

5

10

15

20

25

30

20대 이하 20세~24세 25세~29세 30세~39세 40대 이상

rarr 시먼딩은 대만의 홍대거리라 불리는 lsquo융캉제rsquo나 서울의 lsquo명동rsquo과 같이 젊은 층이 주로 활동하는 지역이다 설문조사 중에도 교복이나 체육복을 입은 학생들과 길거리에서 쇼핑을 즐기는 20대가 즐비할 만큼 활기 있는 거리다 덥고 습한 대만 기후 특성 상 과거엔 화장법이 크게 발전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국의 자연스러운 화장법이 큰 인기를 끌면서 시먼딩에 화장품 거리가 조성되어 있을 만큼 유동 인구가 많다 이 점으로 추측해보았을 때 압도적으로 10대와 20대 층이 많은 응답 수를 기록했다고 본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0 -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051015202530

온라인 화장품전문매장 마트 홈쇼핑 방문판매

rarr 대만 또한 한국과 비슷하게 시내에 많은 수의 화장품 전문매장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접근성이 굉장히 높았다 더불어 각 화장품 매장에서는 상품 할인과 같은 각종 프로모션을 진행하기 때문에 구매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 구매한다는 대답도 높은 편이었는데 거의 대부분이 와이파이존이어서 어디서나 인터넷을 한 활발히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온라인에서의 구매율도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0

5

10

15

20

25

30

NT$300 미만 NT$300~NT899 NT$900~NT$1499 NT$1500~NT2999 NT$3000

rarr 응답자들은 대부분이 한 달 간 화장품에 쓰는 돈을 최저 1만원 이상(NT$300 이상)이라고 답했는데 이는 70가 넘어가는 결과로 화장품에 대한 지출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만원 이상이라고 대답한 응답자들 또한 4분의 1을 넘기는데 이것은 젊은 연령층부터 시작하여 최근 피부 관리와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대만의 소비 수준에 대비하여 화장품 소비율이 높은 것도 이 때문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1 -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③ 성능(23)

051015202530

가격 디자인 성능 화장품 모델 브랜드

rarr 아열대 기후에 속하는 대만은 높은 기온과 습한 날씨 탓에 에어컨 환경에 자주 노출돼 피부 수분을 잃기 쉬워 기능성 화장품의 소비가 두드러진다 대만 화장품 시장은 토너 세럼 에센스 로션 크림 등의 모든 스킨케어 제품들이 보습기능을 강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백이나 안티에이징 리프팅 저자극 오일프리(Oil-free) 등의 기능까지 추가된 스킨케어 제품들이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조 화장품 소비가 늘어난 것은 최근 몇 년 들어 다양한 화장품 브랜드 접촉기회가 많아지고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젊은 여성의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색조화장품 또한 메이크업베이스와 BB크림 립스틱과 같은 베이스 메이크업이 수요가 많았다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④인터넷(22)

0

5

10

15

20

25

30

TV 잡지 친구 인터넷 메이크업샵

rarr 최근 빠른 인터넷망과 스마트폰 태블릿PC의 보급으로 인해 사람들과 사람사이의 연결망이 견고히 형성되고 있고 이것이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방법을 얻는 경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만 소비자들은 주로 인터넷 블로그 가족과 친구로부터 메이크업 정보를 획득 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만의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이므로 입소문마케팅과 판매를 바로바로 할 수 있는 유통구조가 도움이 될 것 같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2 -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0

5

10

15

20

25

30

청순 독특 귀여움 섹시

rarr 앞서 살펴보았듯이 대만은 한국과 비슷한 메이크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이것은 곧 청순한 메이크업 컨셉에 관심 있어 한다는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실제로 대만 여성소비자들은 깨끗한 피부 NATURAL한 베이스메이크업을 선호한다 한 듯 안 한 듯 자연스럽고 깨끗한 느낌의 한국식 lsquo생얼rsquo 화장법은 대만에서 한국 드라마 열풍과 함께 유명세를 타기 시작해 현지 각종 온라인 뷰티 사이트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래서 응답의 대부분이 한 곳에 치우쳤고 비교적 개성 있는 메이크업 방법이 드물 것이라는 것을 유추해낼 수 있다

본 설문 조사를 통한 한국 화장품 기업에 대한 시사점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수입 절차로 오랜 시간을 허비해야 하는 반면 대만은 자외선 차단제 성분 함유 제품과 약용 화장품을 제외한 일반 화장품은 별도의 수입 검사 없이 수입할 수 있으므로 대개 중국보다 1~2년 먼저 신상품이 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한류 효과를 겨냥한 중화권 화장품 시장으로 대만을 우선 공략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대만은 대부분이 화장품에 대한 소비를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고 한국 화장품이 많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시장 접근법만 제대로 수립하면 매출이 나는 구조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대만인들이 선호하는 메이크업 방법이 한국과 비슷하기 때문에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은 마케팅 방안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최종분석설문 조사 대상은 대부분 10대~20대의 연령층이었으며 화장품의 주된 구입경로는 lsquo온라인(24)rsquo과 lsquo화장품 전문매장(50)rsquo이 압도적이었다 더불어 한 달 간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lsquo1만 원 이상(72)rsquo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이것은 실제 생활수준에 대비하여 높은 소비량이므로 대만의 화장품 시장 전망이 밝다고 할 수 있다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부분은 lsquo성능(46)rsquo이었는데 이는 스타트업 기업 중소기업에게 유리한 조건이다 메이크업 방법을 얻는 방법으로는 lsquo인터넷(44)rsquo과 lsquo친구(30)rsquo가 높은 비율을 차지했는데 판촉활동으로는 인터넷을 활용한 SNS 홍보 바이럴 마케팅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가장 관심있는 화장 컨셉은 lsquo청순rsquo 이었고 이것은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와 맞물려 우리나라와 비슷한 메이크업 방법을 추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3 -

10 대만 명소 소개 (명소음식행사숙소 소개)

10-1 고궁박물관

대만 고궁박물원은 영국의 대영 박물관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 미국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과 함께 세계 4대 박물관으로 손꼽힐 만큼 세계적은 소장 문물을 자랑한다 건물 규모는 그다지 크지 않지만 소장한 문물의 질과 양은 세계 최상급이다 중화 보물 중에서도 최고의 보물들이 모여 있어 진귀하기 그지없고 수량 역시 워낙 방대하여 3개월 단위로 1만여점을 돌아가면서 전시해도 다보려면 10년이 넘게 걸린다고 전해지고 있다 중국의 국공내전 당시 장제스가 이끌던 중국 국민당이 전쟁에서 패하며 중국을 탈출해 대만으로 향했다 당시 장제스는 난징에 있던 정부를 타이페이로 이전하면서 자금성에 보관되어있던 중국역대 왕조 보물 수십만 점을 배를 이용해 운반해 왔다 중국의 유물을 가진 자가 진정한 통치자라고 생각했던 장제스는 ldquo공산군에게 영토는 내줘도 문화유산만큼은 내줄 수 없다ldquo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대표적인 유물은 취옥배추 육형석 모공정 산씨반 등이 있다

10-2 용산사

루강의 초입에 있는 이 사찰은 타이완에서 가장 오래되고 아름답다고 하여 타이완의 자금성이라고 부른다 각 건물의 기둥 벽 그리고 천장 등에 새겨진 조각은 특히 빼어나다 이 조각상과 함께 이곳의 명물로 알려진 것은 사찰 경내에 있는 2마리의 용상인데 삼천전 앞마당 좌우에 서서 룽산사를 호위하고 있다

10-3 타이페이 101 빌딩

타이베이 101빌딩rsquo이라 부르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로서 빌딩 모습은 하늘로 뻗어나가는 대나무 위에 꽃잎이 겹겹이 포개진 형상이다 본래 타이베이 금융기관이 모인 건물이지만 대형 쇼핑센터와 푸드코트 고급 레스토랑이 있어 여행자들이 많이 찾는다 건물에는 8개 마디가 있는데 이는 중화 문화권에서 부와 번영을 의미하는 숫자 lsquo8rsquo을 염두에 둔 것이다 타이베이 시내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는 높이 508m로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히는 높은 건물이다 지상 1~5층에는 소고 백화점 뷰티 플라자 애버뉴 101 등 다양한 패션∙뷰티용품을 구입할 수 있는 상점이 있다 또한 레스토랑 시티 스퀘어 대형 서점 등 쇼핑과 오락 식사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복합시설이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4 -

잘 알려진 식당으로는 딘 타이 펑(Din Tai Fung) 이 있다 101타워 지하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샤오롱바오(고기만두) 새우 샤오마이(새우만두) 탄탄면(우육면)이 가장 대표적인 메뉴이며 대만에 방문한 많은 사람들이 찾는 식당이다

10-4 지우펀

대만여행의 백미로 꼽히는 지우펀은 타이페이시 북부의 루이팡 지역의 작은 산골 마을로 과거에는 아홉가구만 살고 있어서 지우펀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예전에는 작은 산골 마을에 불과 했지만 이 지역에서 금맥이 발견되면서 호황을 맞이하게 된다 특히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일본풍의 건물들이 남아 있어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결합된 독특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비탈길을 따라 하늘로 이어진 예스러운 건물 그리고 골목마다 빨간 홍등과 함께 묻어나는 옛 풍경은 여행객들에게 인기 여행지이다

10-5 스린야시장

타이베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야시장 가운데 하나이다 독특하면서도 다양한 전통 먹을거리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이곳을 찾는 관광객이 많다 시장 부근에 학교가 많아 학생들이 많이 찾으며 포장마차 등의 노점상이 많아 가격도 저렴하다 칭런샹[情人巷]에는 가구 의류 액세서리 사진현상점 애완용품점 등이 모여 있어 학생뿐 아니라 관광객들도 자주 찾는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5 -

10-6 예류 지질 공원

타이완 북해안에 자리한 예류는 해수욕장과 온천 기암괴석으로 유명한 관광지다 특히 예류지질공원은 희귀한 모형의 바위와 암석이 모여 있어 예류 관광의 필수코스로 꼽힌다 작은 곶으로 된 예류지질공원은 침식과 풍화 작용을 거쳐 자연적으로 형성된 기암을 보러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지질공원으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것이 선상암 군락이다 암석 하나하나의 모습은 마치 거대한 버섯이 큰 머리로 하늘을 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선상암 가운데 가장 유명한 암석은 이집트 왕비의 옆모습을 닮은 여왕 두상 바위다

10-7 스펀(Shifen)

스펀(十分)은 옛 광산마을로써 천으로 만든 등이 유명하다 또한 이 곳 스펀은 대만 최대의 폭포 스펀(SE-FEN) 폭포가 있다 미니기차와 천으로 만든 등을 날릴 수도 있다 마을의 한가운데 긴 철길이 놓여 있고 30분에 한 대씩 기차가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것도 볼 수가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6 -

10-8 진과스(金瓜石)

진과스(金瓜石)는 타이완 타이베이 근교에 있는 옛 탄광 유적이다 20세기 전반에 금 채굴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20세기 후반에 금이 차차 고갈되기 시작하자 점점 위축되어 폐광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관광 명소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하루에도 수백명이 들렀다 가는 대만의 대표 관광지이다 진과스 내에 있는 황금 박물관에는 220kg 의 금이 전시 되어 있는데 손을 넣어 직접 만져 볼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진과스에서는 과거 광부들이 먹었던 도시락을 그대로 만들어 판매하는 광부 도시락도 굉장히 인기가 많다

10-9 국립 성공대학

대만의 타이난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1931년에 개교하였다 2010년 QS대학순위에서 283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대만 대학중 2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총 9개의 캠퍼스로 이루어져 있어 굉장히 큰 면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만 교육청에서 인정한 9개의 주요대학 중 하나이고 대만 기업체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학이다 이공계열이 가장 뛰어나며 중문 역사 법학 경제학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10 시먼딩

타이베이시에 위치한 시먼딩은 한국의 명동과 같은 거리이다 대한민국의 명동에도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과 외국인이 많다고 알려져 있는데 시먼딩 또한 명동 못지않은 다양함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대만의 패션과 놀이 문화 음식 등을 한눈에 경험 할 수 있는 공간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7 -

10-11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

중정기념당은 타이완 총통 장제스(蔣介石)를 기리는 전당이다 lsquo중정rsquo은 장제스의 본명이다 그가 서거한 후 1980년 기념당을 세웠다 25만에 이르는 넓은 중정공원 안에 우뚝 선 높이 70m의 기념물이 중정기념당이다 기념당 1층에는 장제스 생애를 엿볼 수 있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거대한 장제스 동상은 항상 근위병이 동상 앞을 지키고 있다 중정공원 안에는 중정기념당 외에 국립 희극원과 국립 음악청이 있는데 이곳에서 연극과 콘서트를 한다 공원 조경 또한 잘 조성되어 있어 산책하며 천천히 둘러보기에 좋다

10-12 안핑지구(安平地區)

대만의 문화와 역사는 안핑지구에서 시작되었다 안핑구바오는 17세기 중엽 네덜란드인들이 지은 요새로 정성공이 빼앗아 번영하다가 황폐해져 지금은 보루의 대부분이 없어지고 설탕과 굴껍데기와 찹쌀가루를 버무려 만든 빨간벽돌로 된 장벽(臺灣城殘蹟)만이 남아 나무뿌리와 존립의 사투를 벌이고 있다 감시탑 옆 건물 안에는 네덜란드와 정성공의 전투에 대한 이야기와 중세갑옷 등이 전시 중이다 이 주변에는 대만에서 가장 오래된 상업거리 옌핑제(延平街)가 있는데 옛 명성이 다한 거리의 골목 사이사이 수백년 된 가옥을 구경하는 것도 소소한 즐거움이다 1867년 영국인 상점과 물류창고로 이용하던 건물에 노용수(老榕樹)가 멋대로 자라 건물을 집어삼키듯 뒤덮은 나무집으로 불리는 안핑수우도 안핑지구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진귀한 볼거리다

10-13 미라마 관람차

대만에서 가장 큰 관람차로 알려져 있는 미라마 관람차는 타이페이 시의 야경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관람차 크기가 큰 것으로 유명하지만 가격 또한 저렴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유스트래블 카드를 이용하면 50 할인이 적용되므로 꼭 지참하도록 하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8 -

lt미라마 관람차 티켓gt lt유스트래블 카드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9 -

11 시사점 및 차후 활용계획 (LGC 프로그램을 통한 구체적인 효과 및 연구결과)

11-1 LGC 프로젝트 만족도

구분 항목 전 후 한줄 평

사업단

프로젝트 취지- 린튼 글로벌 학과와 경영정보학과 학생들이 함께

하는 프로젝트 해외시장탐방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사전교육 활동- 출국 전 각 나라에 대한 유의사항 안전교육이 체

계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개략적인 보고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었다

행정지원 절차- CK사업단 린튼 글로벌 학과 경영정보학과 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히 되지 않아 사전 계획에서 많은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협동력 향상- 출발 전 잦은 팀 회의와 8박 9일 간에 일정에도

불구하고 불화 없이 좋은 분위기 속에서 프로젝트를 완수 했다

추진력 향상- 일정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 한 점 추가 자료조

사를 위해 현지에서 새로운 일정을 추가 됐을 때 팀원들이 일사불란하게 따라주었다

문제해결 능력- 교통편 문제와 기업 측 내부 문제로 일부 일정에

변동이 있었지만 신속한 조율과 전화 통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개인

동기부여 자극- 현지인들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국어 영어 능

력의 필요성을 실감했다 특히 중국어는 소통 유무에 따라 현지 반응이 극명하게 갈렸다

진로설계 도움- 프로젝트 전에 비해 새로운 직업 분야에 대한 관심

이 증가했다

취업능력 향상-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한 내용을 살려 구술 면접이

나 자기소개서 작성에 참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11-2 LGC프로젝트 연구 결과 - 대만 시장

⓵ 중국시장을 주목하는 대만 화장품 기업- EST팀은 현지 대만 화장품 기업으로 SISDORA와 WABFENIX를 선택했다 두 회사를 선정한 배경에는

명확한 의도를 두고 정했다 SISDORA는 설립한 지 10년이 넘는 회사로 직접 화장품을 개발 및 연구하고 판매하는 중소기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과 주름개선 크림으로 중년 여성을 타깃 층으로 하는 화장품 회사다 반면 WABFENIX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스타트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 이지만 기술개발 보다는 디자인 마케팅에 중점을 두었고 판매 층도 10대-20대의 젊은 층을 타깃 층으로 한다 시장 전략이 완연히 다른 두 기업이 유일하게 공통점이 있다면 중국시장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선정 이유에는 많은 인구의 소비력을 꼽지만 뒤이어 언급하는 이야기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자사 제품의 경쟁력 약화를 말한다 현재 대만 기업 대부분은 내수 시장 대신에 중국을 겨냥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국가 산업 특성상 제조amp연구 분야가 강세인 대만에서는 중국 바이어 또는 미국 유럽 바이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직접 판매 보다는 기술 협력을 통해 이익을 창출한다고 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0 -

⓶ 대만 시장을 점령한 한국 화장품

- 앞서 말했듯이 2012년 이후부터 급속히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한국 화장품은 대만 시장을 점령하고 있다 이미 시먼딩에 들어서면 다양한 한국 화장품 매장이 눈에 띌 만큼 들어섰으며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중앙 광장에 입점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매장 안에는 많은 대만 사람들이 화장품을 보고 있는 광경을 흔히 본다 화장품 매장을 이용하는 연령층은 주로 10대-20대들이다 화장품 가격이 한국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주 애용하는 이유는 한류 열풍으로 인한 한국 연예인들에 대한 관심과 화장법이 크게 유행하고 있음을 현지 설문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⓷ 체감할 수 있을 만큼 커다란 한류열풍

- 뉴스에서만 듣던 한류 이야기를 대만에서 직접 느낄 수 있을 정도로 한류열풍은 크다 특히 삼성이나 LG의 TV나 스마트폰은 어딜 가든 항상 보이고 한국 화장품 선물에 대한 반응이 무척이나 뜨겁다 원활한 현지 조사를 위하여 사은품으로 준비한 한국 마스크 팩 100개는 오히려 현지인들이 참여 의사를 표현할 만큼 열정적이었다 일부 대만 사람 중에는 어디서 왔냐는 질문에 한국이라는 답변을 하니 같이 사진 찍기를 제안하기도 했다

⓸ 중소기업에게 있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는 대만 시장진출- 대만 시장 진출에 앞서 한국 화장품 중소기업이라면 전략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크게 대만 시장을 겨냥

할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할지 선택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3CE는 한국 화장품 회사다 대만에서 젊은 연령층이 자주 이용하고 이미 대만 내에서는 유명하다 3CE는 오프라인 매장 없이 순수 온라인 매장으로 운영하면서 대만 사람들을 위한 전용 웹사이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윤을 창출 하고 있다 신중해야 할 점은 현재 온라인 오프라인 등 한국 화장품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신규 진입에 있어서 장벽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대만 시장을 활용한다면 동남아 시장까지 한 번에 내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출입통관 절차가 간단하고 관세가 낮기 때문에 중소기업에게 유리하다 아직까지 중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1 -

에 대한 직접적인 수출이 가능한 곳은 상해나 항주 같이 중국에서 허가한 무역항 도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내륙까지 시장을 확대하기는 불가능하지만 같은 언어권인 대만을 거치면 보다 쉽게 바이어나 에이전트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인맥을 통한 꽌시와 수수료 명목으로 뒷돈을 요구하는 중국 바이어의 관행은 자금 순환이 원활치 않은 중소기업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11-3 LGC 프로젝트 종합 의견 및 전망

우리 lsquoEST팀은 출국 전 국내 화장품 시장 조사를 할 때 대덕 밸리 스타트업 기업 셀아이콘 랩의 영향으로 대만의 화장품 산업에 대해 큰 관심과 가능성을 보고 2015년 1월 5일부터 1월 13일까지 8박9일이라는 시간동안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 나라 중에 하나인 대만에서 rsquo대만의 화장품 시장lsquo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사를 했다 대만에서는 3개의 기업 (KOTRA SISDORA WABFENIX) 을 방문해 전반적인 대만의 화장품 시장과 판매전략 한류에 대한 보다 사실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1개의 대학 (국립성공대학 國立成功大學)에서 MBA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또 타이난에서는 대만에서 오랫동안 사업하시는 한인협회 회장을 만나 PLC (Product Life Cycle)를 통해 대만에서의 특정 시장이 도입기에 있는지 또 어떠한 시장이 쇠퇴기에 놓여있는지 다양한 시야에서 대만시장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노력은 CK 사업단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교육부 CK-1 프로젝트의 일부인 Linton Global Challenge는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몇 년을 내다보는 지속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기업들과 더욱 더 활발한 교류와 연구를 한다면 기업과 CK 사업단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리라고 본다

1 개인 탐방 후기 (팀원 개인 소감)

1-1 개인 탐방 후기

강성민탐방 후기 기업 컨택 부터 인터뷰 일정 계획까지 8박 9일간의 대만 화장품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 출국 전까지 준비 과정부터 탈도 많았고 대만에 와서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 원하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매일이 항상 회의와 고민의 연속이었다 하루하루 충실히 계획을 진행시켜 나갔고 좋은 팀 분위기 속에서 무사히 대만 프로

부록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2 -

젝트를 완수했다 그리고 마침내 한국으로 돌아왔다 과정은 항상 오르막 길이였지만 돌이켜 보면 마지막 대학 시절을 기념할만한 좋은 추억이자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느끼는 바가 많았던 프로젝트로 기억 될 것이다

김은진탐방 후기 글로벌 챌린지를 한마디로 정의하라고 한다면 도종환 시인의 lsquo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lsquo라는 시가 떠오른다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대만기업컨택 설문조사 등 많은 것을 경험했다 처음엔 모든 것이 나에겐 버거운 산이라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도전이 계속 될수록 이젠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이 모든 도전들에 흥미가 생겼다 나 자신도 책임감과 자신감이 생기고 한층 성숙해 진 것을 내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소중한 동료와 추억은 평생 나의 가슴속에 남을 것이다 우린 앞으로도 많이 도전하고 경험하여 우리들의 삶이 활짝 만개하리라 다짐한다 끊임없이 도전하는 20대의 청춘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프로그램이었다 김종선탐방 후기 한국에서 준비하면서 조사했던 내용과 비교하며 인터뷰를 해보니 실제로 많이 다른 부분도 있었고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 비슷한 내용도 있었다 현지의 기업들을 방문해 우리가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직접 매장에 가서 느껴보니 앉아서 컴퓨터만 볼 때랑 많이 달랐다 그리고 직접 대만인들에게 설문조사를 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그리고 대만의 실제 문화와 환경 그들의 생활을 잠시나마 볼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

구명우탐방 후기 며칠간의 꿈만 같았던 대만에서의 시간이 지나갔다 대만으로 출국하기 전 사전조사 기간에는 확신이 없었다 사전조사와 기업과의 인터뷰 그리고 9일간의 일정조율 및 숙박과 모든 대만에서의 연구와 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보고서까지 무엇하나 확신이 드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도전과 해결능력을 배웠고 아시아에서 급성장 중인 대만에 대해서 배우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다음기수로 가게 될 관심 있는 학우들에게 진심으로 추천해주고 싶다

이규현탐방 후기 CK-1 프로그램 중 하나인 lsquo린튼 글로벌 챌린지lsquo 프로그램을 통해 약 8박 9일이라는 시간 동안 emerging market 중 하나인 대만에 거주하면서 한국 화장품의 대만시장 점유율과 진출 가능성을 몸으로 체감하고 자료들을 모아 통계 내어 정리할 수 있었다 우리 팀 lsquoEST가 성공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충분한 국내조사 기간을 갖고 대만의 화장품 회사들을 방문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대만의 특정한 기업을 찾기도 어려웠고 기업 컨택은 번번히 거절당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회사 두 군데에서는 답장조차 오지 않았고 설문조사할 때에는 반한감정의 대만인을 만나 고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팀의 단결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리더의 통솔력으로 정해진 스케줄대로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회사를 방문하고 학교교수를 만나고 길거리에서 설문조사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팀원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또한 대학생으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을 한 것 같아서 스스로도 너무 뿌듯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팀을 믿고 지지해주신 LGSB 교수님들과 CK-1 프로그램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영은탐방 후기 처음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렇게 준비는 열심히 하지만 정말 우리가 계획한 100대로 대만을 다녀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기우가 무색하게도 대만은 우리에게 기획안 그 이상의 것들을 보여주었다 사장님들의 생생한 사업 이야기와 대만의 색채가 묻어있는 아이템들 하며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여 알아보는 비즈니스 마켓의 현장은 나에게 두고두고 잊지 못할 자산으로 남았다 또한 펑리수 버블티를 비롯한 대만의 맛있는 먹거리들과 스린 야시장이나 지우펀 같은 명소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열심히 고생해준 팀원들과의 추억들도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3 -

이서우탐방 후기 이번 글로벌 첼린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서 쉽게 할 수 없는 해외 기업 탐방과 해당 국가의 산업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임효진탐방 후기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팀이 대만을 방문 한다고 했을 때 많이 의아해 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만을 직접 방문해보고 많은 사업자들을 만난 결과 대만은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라고 생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아직 공산주의라는 정치적 특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다른 곳보다 훨씬 어렵지만 대만은 자유시장체제 이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쉽다 특히 외국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만 시장에서 한국제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추고 중국 시장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성공가능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그리고 대만의 바이어들을 통해 중국의 시장진출을 하게 된다면 사업자가 직접 중국시장에 진출 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성공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만은 문화적으로 다른 아시아권보다 선진화 되었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대도시에 속하지만 모두다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골고루 섞여 대만만의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차안호탐방 후기 9박 10일간의 대만을 다녀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넓고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이번 대만 여행은 처음으로 경험한 해외여행 경험이여서 그런지 순탄치 않은 면도 있었지만 팀원들 서로가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만시장은 중국시장으로 가기위한 좋은 시험의 장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대만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영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더 나아가 미래에는 중국어야말로 영어와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성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또 하나 놀란 점은 대만이 반 한류 감정을 많이 갖고 있는 줄 알았지만 대부분의 대만 일반 시민들이 굉장히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에 놀랐고 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CK-1 사업의 챌린지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대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계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보완점 및 건의사항 (문제점개선책건의사항)

2-1 기업 컨택의 어려움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에 있는 기업과 연결하여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대해서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조사 및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시간을 내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로써 그들의 귀한시간이 아깝게 쓰이지 않을 것을 강조하여 만남을 만들어야 한다

2-2 사업단과 의사소통의 불편함

Challeng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CK-1 사업단과의 지속되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가령 누군가를 통해서 전해지는 소문이나 촉박한 시간을 제시하고 일 처리를 원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단과 각 팀의 대표간의 분명한 의사소통과 증빙자료 등이 필요하다

2-3 정보 부재 이번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이머징 마켓에서의 유망 산업 조사 및 연구였다 대만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29: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29 -

이후 인터뷰로 대만의 소개와 간단한 전공 소개가 있었다

7-5 WABFENIX RENIX GLORY GLORIA GUA

-1월 12일 월요일 1300~1500 인터뷰-주소 14F-1 No420 Sec 4 Xinyi Rd Xinyi Dist Taipei City 110 Taiwan (ROC)-대표 Mr KEN -전화886-5569-0555-URL httpswwwfacebookcomrenixfanspage httpwwwwabfenixcom

Q Wabfenix가 어떤 기업인지 소개 해주세요

A 저희 회사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으로 현재는 매장은 없지만 개발한 제품을 바탕으로 사업을 진행 중이고 대만현지에 저희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저희 회사는 제품의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화장품을 개발하여 대만시장 뿐만 아니라 중국시장의 진출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Q 귀하의 제품은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내세운 제품이라 하셨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제품 등이 있습니까

A 우선 Heymore 제품군의 블랙 마스크 팩과 Renix 제품군의 일반 마스크 팩을 출시했습니다Heymore의 경우 선물용임을 부각시키기 위해 디자인에 특히 많은 투자를 하였습니다 중국 중산층을 겨냥한 제품으로 가격대 1봉지에 한화 ₩40000 정도로 높게 책정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가격을 높게 측정한 이유에는 중국 화장품 소비문화 속에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 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에 저가 보급형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0 -

제품인 Renix와 차별을 두는 판매 전략을 선택하였습니다 현재 판매되는 제품은 마스크 팩을 주력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Q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인데 중국을 대상으로 어떤 진출 전략을 갖고 있습니까

A중국에서 열리는 화장품 전시회 화장품 엑스포 행사 바이어 미팅 등 꾸준히 참가중이며 바이어들에게 저희 제품을 어필하고 있습니다 물론 신생기업인 만큼 아직 중국 내에서 뚜렷한 판매 실적을 기록하진 못했지만 타 화장품 기업들과 다른 마케팅 방식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디자인이나 제품의 아이디어를 강조하고 있는데 대표 적인 상품으로 오뚝이 모양을 한 화장품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이 오뚝이 제품을 바이어들에게 어필해 보았는데 대단히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Q 해외시장 마케팅과 대만 시장마케팅의 차이점이 있습니까

A 우선 중국에서의 마케팅은 행사나 전시회에 참여하고 바이어들을 개인적으로 만나는 것에 치중해 있다면 국내 대만시장의 마케팅 전략은 페이스북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대만은 중국에 비해 SNS가 많이 발달되어 있어 자금이 많이 들어가지 않는 SNS마케팅을 하고 있고 각종 자선행사에 참여하여 저희 기업을 홍보하고 있습니다

Q 귀사의 제품을 중국보다 비싼 인건비가드는 대만 제조공장에서 생산하는 겁니까

A타이중에 소재하는 공장에서 마스크를 제조 하고 있습니다 인건비가 비싼 것은 대만 수도인 타이페이에만 주로 해당이 됩니다 지방 소도시에서도 외곽으로 들어가면 저렴한 인건비와 공장 가동비용으로도 제조가 가능 합니다 굳이 중국에 제조공장을 갖지 않는 이유는 신생기업이라 자금문제도 있지만 대만은 OEMampODM에 특화된 국가이기 때문에 품질 좋은 다양한 제품주문이 가능하고 중국 사람들에게도 자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 보다 외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가 더 좋기 때문에 대만에서 생산한 뒤 수출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Q 대만에 한국 화장품 기업이 진출한다면 어떠한 마케팅 전략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 생각 하십니까

A 이미 대만에 한국의 화장품 제품들이 많이 들어와 있습니다 하지만 대만 자체의 화장품 기업들이 기존에 많은 시장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성공을 거두기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최근 한국에 대한 이미지가 많이 좋아졌고 한국의 영화나 드라마 등이 많이 알려지면서 인지도가 높아졌습니다 한국의 대기업의 경우 이러한 대규모 마케팅을 할 수 있으므로 큰 무리가 없겠지만 한국의 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한다면 최종 시장 공략 층은 대만이 아닌 중국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대만은 중화권으로 가기 위한 연결다리라고 생각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또한 중소기업은 큰 마케팅 비용을 부담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대만에서는 SNS나 각종 자선 행사에 참여하여 인지도를 높이는 것을 추천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1 -

Q 같은 제품이지만 대만과 중국에서 판매할 때 가격 책정이 다른 이유가 무엇인가요

A 그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해드리자면 국가마다 소비 성향이나 구매 능력 환율 경제 상황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경영 에서는 가격 차별화(Price discrimination)이라 부르는데요 각 나라의 시장 특성에 적정한 가격대를 책정해서 제품을 판매하는 전략입니다 혹시 중국 상류층이 몇 명인지 알고 있나요 제가 알기로는 대만 인구의 2배인 4000만 명이라는군요 아마도 한국 인구랑 비슷한 규모 일겁니다 게다가 중산층은 약 4억 명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4억 명의 중국 소비자들이 우리 제품을 1개씩만 구입 한다면hellip 상상만 해도 엄청 나겠죠 이야기를 하다 보니 다른 쪽으로 빠졌는데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이야기하면 물론 좋은 제품을 모든 곳에 저렴하게 제공 하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 그러나 항상 시장에서 저렴한 제품만이 성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대만이나 한국처럼 고도의 산업화가 이루어지고 시장이 크게 발전한 안정적인 단계는 좋은 제품이라도 가격 경쟁력에 신경 써야 합니다 왜냐하면 소비자들이 똑똑하기 때문에 정보력이 넓고 합리적인 소비를 지향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가격 성능 디자인 등 많은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중국 시장은 대만이나 한국과는 특성이 다릅니다 저렴하다고 해서 많이 제품이 많이 팔리기 보다는 가격대가 어느 정도 있는 제품일수록 또는 가격대가 높을수록 소비자들이 관심을 보입니다 대체적으로 중국 소비자들은 lsquo저렴한 제품은 품질이 낮거나 효능이 좋지 않은 제품일거야rsquo 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 때문에 화장품 박람회나 전시회에 저가 화장품을 가져와 홍보하더라도 중국 바이어나 소비자들은 큰 관심을 주지 않습니다 처음에 말했듯이 중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2 -

국 소비문화가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라는 심리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Wabfenix의 경우에는 신생기업이라 많은 투자 금액이 없을 뿐 더러 대만 화장품 시장에 진출하기에는 리스크가

크고 진입 장벽이 높습니다 그리고 이미 한국 화장품 기업들이 대부분 점유를 한 상황이기 때문에 대만 내수시장에만 집중하기에는 경쟁력이 부족하죠 그래서 중국을 주력 수출시장으로 삼고 있는데요 저희는 제품 성능 보다는 소비자의 이목을 끌 수 있는 디자인에 더 많은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중국에 Wabfenix만의 화장품 선물 문화를 정착 시키는 것이 목적인데요 높은 제품 가격만큼 소비자의 관심을 끌 수 있고 선물 문화나 꽌시(关系)가 많은 중국 문화 특성에 맞추어 선물용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중국 시장은 현재 젊은 중산층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품질이 낮은 화장품 보다는 수입 화장품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점으로 미루어볼 때 높은 가격 차별화와 Wabfenix만의 디자인 마케팅은 좋은 경쟁력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3 -

8 현지 시장조사 활동 (시장동향사진설문조사 자료)

8-1 시먼딩 설문조사

목적 대만 사람들의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및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대상 10대~20대 여성 및 화장품 전문매장 종사자장소 시먼딩시간 2015년 1월 7일 12일 총 두 차례에 걸쳐 진행방법 ①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 판넬에 국가별로 메이크업 사진을 표시하고 스티커를 붙이는 방식으로 투표함 공정성을 위해 국가 이름은 블라인드로 처리하였고 모두 동일 인물의 사진을 사용함②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표본집단을 50명으로 설정함 설문조사가 끝나면 사은품으로 한국 브랜드 마스크팩 증정함

8-2 사전 기획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판넬 기획도gt

化妝辦法喜好度的調查화장법 선호도 조사

大家給自己喜歡的化妝貼貼紙 여러분이 선호하는 메이크업에 스티커를 붙여 주세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4 -

대만의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안녕하십니까

다음의 내용은 대만 화장품 트렌드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자 관련조사를 실시하고자 하오니

있는 그대로의 생각을 기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귀하의 응답은 통계적 목적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본 설문은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물음에 대한 답변이나 해당란에 v 표를 해 주십시오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7) ② 화장품 전문매장(34) ③ 마트(5) ④ 홈쇼핑(2)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합계 총 50 명

바쁘신 시간에 의견을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지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5 -

8-3 설문조사 활동

lt2015년 1월 7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6 -

lt2015년 1월 12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7 -

lt활동 결과 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8 -

9 설문조사 통계 분석 (설문조사 응답 수분석결과)

9-1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결과gt

설문 조사 질문지 양식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12)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③ 마트(5) ④ 홈쇼핑(6)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9 -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gt

9-2 설문조사 항목 별 의견 및 추측

설문 조사 질문지 항목 (최다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② 20 ~ 25세 (13)

0

5

10

15

20

25

30

20대 이하 20세~24세 25세~29세 30세~39세 40대 이상

rarr 시먼딩은 대만의 홍대거리라 불리는 lsquo융캉제rsquo나 서울의 lsquo명동rsquo과 같이 젊은 층이 주로 활동하는 지역이다 설문조사 중에도 교복이나 체육복을 입은 학생들과 길거리에서 쇼핑을 즐기는 20대가 즐비할 만큼 활기 있는 거리다 덥고 습한 대만 기후 특성 상 과거엔 화장법이 크게 발전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국의 자연스러운 화장법이 큰 인기를 끌면서 시먼딩에 화장품 거리가 조성되어 있을 만큼 유동 인구가 많다 이 점으로 추측해보았을 때 압도적으로 10대와 20대 층이 많은 응답 수를 기록했다고 본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0 -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051015202530

온라인 화장품전문매장 마트 홈쇼핑 방문판매

rarr 대만 또한 한국과 비슷하게 시내에 많은 수의 화장품 전문매장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접근성이 굉장히 높았다 더불어 각 화장품 매장에서는 상품 할인과 같은 각종 프로모션을 진행하기 때문에 구매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 구매한다는 대답도 높은 편이었는데 거의 대부분이 와이파이존이어서 어디서나 인터넷을 한 활발히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온라인에서의 구매율도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0

5

10

15

20

25

30

NT$300 미만 NT$300~NT899 NT$900~NT$1499 NT$1500~NT2999 NT$3000

rarr 응답자들은 대부분이 한 달 간 화장품에 쓰는 돈을 최저 1만원 이상(NT$300 이상)이라고 답했는데 이는 70가 넘어가는 결과로 화장품에 대한 지출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만원 이상이라고 대답한 응답자들 또한 4분의 1을 넘기는데 이것은 젊은 연령층부터 시작하여 최근 피부 관리와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대만의 소비 수준에 대비하여 화장품 소비율이 높은 것도 이 때문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1 -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③ 성능(23)

051015202530

가격 디자인 성능 화장품 모델 브랜드

rarr 아열대 기후에 속하는 대만은 높은 기온과 습한 날씨 탓에 에어컨 환경에 자주 노출돼 피부 수분을 잃기 쉬워 기능성 화장품의 소비가 두드러진다 대만 화장품 시장은 토너 세럼 에센스 로션 크림 등의 모든 스킨케어 제품들이 보습기능을 강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백이나 안티에이징 리프팅 저자극 오일프리(Oil-free) 등의 기능까지 추가된 스킨케어 제품들이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조 화장품 소비가 늘어난 것은 최근 몇 년 들어 다양한 화장품 브랜드 접촉기회가 많아지고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젊은 여성의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색조화장품 또한 메이크업베이스와 BB크림 립스틱과 같은 베이스 메이크업이 수요가 많았다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④인터넷(22)

0

5

10

15

20

25

30

TV 잡지 친구 인터넷 메이크업샵

rarr 최근 빠른 인터넷망과 스마트폰 태블릿PC의 보급으로 인해 사람들과 사람사이의 연결망이 견고히 형성되고 있고 이것이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방법을 얻는 경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만 소비자들은 주로 인터넷 블로그 가족과 친구로부터 메이크업 정보를 획득 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만의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이므로 입소문마케팅과 판매를 바로바로 할 수 있는 유통구조가 도움이 될 것 같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2 -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0

5

10

15

20

25

30

청순 독특 귀여움 섹시

rarr 앞서 살펴보았듯이 대만은 한국과 비슷한 메이크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이것은 곧 청순한 메이크업 컨셉에 관심 있어 한다는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실제로 대만 여성소비자들은 깨끗한 피부 NATURAL한 베이스메이크업을 선호한다 한 듯 안 한 듯 자연스럽고 깨끗한 느낌의 한국식 lsquo생얼rsquo 화장법은 대만에서 한국 드라마 열풍과 함께 유명세를 타기 시작해 현지 각종 온라인 뷰티 사이트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래서 응답의 대부분이 한 곳에 치우쳤고 비교적 개성 있는 메이크업 방법이 드물 것이라는 것을 유추해낼 수 있다

본 설문 조사를 통한 한국 화장품 기업에 대한 시사점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수입 절차로 오랜 시간을 허비해야 하는 반면 대만은 자외선 차단제 성분 함유 제품과 약용 화장품을 제외한 일반 화장품은 별도의 수입 검사 없이 수입할 수 있으므로 대개 중국보다 1~2년 먼저 신상품이 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한류 효과를 겨냥한 중화권 화장품 시장으로 대만을 우선 공략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대만은 대부분이 화장품에 대한 소비를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고 한국 화장품이 많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시장 접근법만 제대로 수립하면 매출이 나는 구조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대만인들이 선호하는 메이크업 방법이 한국과 비슷하기 때문에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은 마케팅 방안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최종분석설문 조사 대상은 대부분 10대~20대의 연령층이었으며 화장품의 주된 구입경로는 lsquo온라인(24)rsquo과 lsquo화장품 전문매장(50)rsquo이 압도적이었다 더불어 한 달 간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lsquo1만 원 이상(72)rsquo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이것은 실제 생활수준에 대비하여 높은 소비량이므로 대만의 화장품 시장 전망이 밝다고 할 수 있다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부분은 lsquo성능(46)rsquo이었는데 이는 스타트업 기업 중소기업에게 유리한 조건이다 메이크업 방법을 얻는 방법으로는 lsquo인터넷(44)rsquo과 lsquo친구(30)rsquo가 높은 비율을 차지했는데 판촉활동으로는 인터넷을 활용한 SNS 홍보 바이럴 마케팅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가장 관심있는 화장 컨셉은 lsquo청순rsquo 이었고 이것은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와 맞물려 우리나라와 비슷한 메이크업 방법을 추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3 -

10 대만 명소 소개 (명소음식행사숙소 소개)

10-1 고궁박물관

대만 고궁박물원은 영국의 대영 박물관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 미국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과 함께 세계 4대 박물관으로 손꼽힐 만큼 세계적은 소장 문물을 자랑한다 건물 규모는 그다지 크지 않지만 소장한 문물의 질과 양은 세계 최상급이다 중화 보물 중에서도 최고의 보물들이 모여 있어 진귀하기 그지없고 수량 역시 워낙 방대하여 3개월 단위로 1만여점을 돌아가면서 전시해도 다보려면 10년이 넘게 걸린다고 전해지고 있다 중국의 국공내전 당시 장제스가 이끌던 중국 국민당이 전쟁에서 패하며 중국을 탈출해 대만으로 향했다 당시 장제스는 난징에 있던 정부를 타이페이로 이전하면서 자금성에 보관되어있던 중국역대 왕조 보물 수십만 점을 배를 이용해 운반해 왔다 중국의 유물을 가진 자가 진정한 통치자라고 생각했던 장제스는 ldquo공산군에게 영토는 내줘도 문화유산만큼은 내줄 수 없다ldquo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대표적인 유물은 취옥배추 육형석 모공정 산씨반 등이 있다

10-2 용산사

루강의 초입에 있는 이 사찰은 타이완에서 가장 오래되고 아름답다고 하여 타이완의 자금성이라고 부른다 각 건물의 기둥 벽 그리고 천장 등에 새겨진 조각은 특히 빼어나다 이 조각상과 함께 이곳의 명물로 알려진 것은 사찰 경내에 있는 2마리의 용상인데 삼천전 앞마당 좌우에 서서 룽산사를 호위하고 있다

10-3 타이페이 101 빌딩

타이베이 101빌딩rsquo이라 부르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로서 빌딩 모습은 하늘로 뻗어나가는 대나무 위에 꽃잎이 겹겹이 포개진 형상이다 본래 타이베이 금융기관이 모인 건물이지만 대형 쇼핑센터와 푸드코트 고급 레스토랑이 있어 여행자들이 많이 찾는다 건물에는 8개 마디가 있는데 이는 중화 문화권에서 부와 번영을 의미하는 숫자 lsquo8rsquo을 염두에 둔 것이다 타이베이 시내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는 높이 508m로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히는 높은 건물이다 지상 1~5층에는 소고 백화점 뷰티 플라자 애버뉴 101 등 다양한 패션∙뷰티용품을 구입할 수 있는 상점이 있다 또한 레스토랑 시티 스퀘어 대형 서점 등 쇼핑과 오락 식사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복합시설이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4 -

잘 알려진 식당으로는 딘 타이 펑(Din Tai Fung) 이 있다 101타워 지하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샤오롱바오(고기만두) 새우 샤오마이(새우만두) 탄탄면(우육면)이 가장 대표적인 메뉴이며 대만에 방문한 많은 사람들이 찾는 식당이다

10-4 지우펀

대만여행의 백미로 꼽히는 지우펀은 타이페이시 북부의 루이팡 지역의 작은 산골 마을로 과거에는 아홉가구만 살고 있어서 지우펀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예전에는 작은 산골 마을에 불과 했지만 이 지역에서 금맥이 발견되면서 호황을 맞이하게 된다 특히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일본풍의 건물들이 남아 있어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결합된 독특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비탈길을 따라 하늘로 이어진 예스러운 건물 그리고 골목마다 빨간 홍등과 함께 묻어나는 옛 풍경은 여행객들에게 인기 여행지이다

10-5 스린야시장

타이베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야시장 가운데 하나이다 독특하면서도 다양한 전통 먹을거리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이곳을 찾는 관광객이 많다 시장 부근에 학교가 많아 학생들이 많이 찾으며 포장마차 등의 노점상이 많아 가격도 저렴하다 칭런샹[情人巷]에는 가구 의류 액세서리 사진현상점 애완용품점 등이 모여 있어 학생뿐 아니라 관광객들도 자주 찾는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5 -

10-6 예류 지질 공원

타이완 북해안에 자리한 예류는 해수욕장과 온천 기암괴석으로 유명한 관광지다 특히 예류지질공원은 희귀한 모형의 바위와 암석이 모여 있어 예류 관광의 필수코스로 꼽힌다 작은 곶으로 된 예류지질공원은 침식과 풍화 작용을 거쳐 자연적으로 형성된 기암을 보러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지질공원으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것이 선상암 군락이다 암석 하나하나의 모습은 마치 거대한 버섯이 큰 머리로 하늘을 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선상암 가운데 가장 유명한 암석은 이집트 왕비의 옆모습을 닮은 여왕 두상 바위다

10-7 스펀(Shifen)

스펀(十分)은 옛 광산마을로써 천으로 만든 등이 유명하다 또한 이 곳 스펀은 대만 최대의 폭포 스펀(SE-FEN) 폭포가 있다 미니기차와 천으로 만든 등을 날릴 수도 있다 마을의 한가운데 긴 철길이 놓여 있고 30분에 한 대씩 기차가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것도 볼 수가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6 -

10-8 진과스(金瓜石)

진과스(金瓜石)는 타이완 타이베이 근교에 있는 옛 탄광 유적이다 20세기 전반에 금 채굴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20세기 후반에 금이 차차 고갈되기 시작하자 점점 위축되어 폐광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관광 명소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하루에도 수백명이 들렀다 가는 대만의 대표 관광지이다 진과스 내에 있는 황금 박물관에는 220kg 의 금이 전시 되어 있는데 손을 넣어 직접 만져 볼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진과스에서는 과거 광부들이 먹었던 도시락을 그대로 만들어 판매하는 광부 도시락도 굉장히 인기가 많다

10-9 국립 성공대학

대만의 타이난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1931년에 개교하였다 2010년 QS대학순위에서 283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대만 대학중 2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총 9개의 캠퍼스로 이루어져 있어 굉장히 큰 면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만 교육청에서 인정한 9개의 주요대학 중 하나이고 대만 기업체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학이다 이공계열이 가장 뛰어나며 중문 역사 법학 경제학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10 시먼딩

타이베이시에 위치한 시먼딩은 한국의 명동과 같은 거리이다 대한민국의 명동에도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과 외국인이 많다고 알려져 있는데 시먼딩 또한 명동 못지않은 다양함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대만의 패션과 놀이 문화 음식 등을 한눈에 경험 할 수 있는 공간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7 -

10-11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

중정기념당은 타이완 총통 장제스(蔣介石)를 기리는 전당이다 lsquo중정rsquo은 장제스의 본명이다 그가 서거한 후 1980년 기념당을 세웠다 25만에 이르는 넓은 중정공원 안에 우뚝 선 높이 70m의 기념물이 중정기념당이다 기념당 1층에는 장제스 생애를 엿볼 수 있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거대한 장제스 동상은 항상 근위병이 동상 앞을 지키고 있다 중정공원 안에는 중정기념당 외에 국립 희극원과 국립 음악청이 있는데 이곳에서 연극과 콘서트를 한다 공원 조경 또한 잘 조성되어 있어 산책하며 천천히 둘러보기에 좋다

10-12 안핑지구(安平地區)

대만의 문화와 역사는 안핑지구에서 시작되었다 안핑구바오는 17세기 중엽 네덜란드인들이 지은 요새로 정성공이 빼앗아 번영하다가 황폐해져 지금은 보루의 대부분이 없어지고 설탕과 굴껍데기와 찹쌀가루를 버무려 만든 빨간벽돌로 된 장벽(臺灣城殘蹟)만이 남아 나무뿌리와 존립의 사투를 벌이고 있다 감시탑 옆 건물 안에는 네덜란드와 정성공의 전투에 대한 이야기와 중세갑옷 등이 전시 중이다 이 주변에는 대만에서 가장 오래된 상업거리 옌핑제(延平街)가 있는데 옛 명성이 다한 거리의 골목 사이사이 수백년 된 가옥을 구경하는 것도 소소한 즐거움이다 1867년 영국인 상점과 물류창고로 이용하던 건물에 노용수(老榕樹)가 멋대로 자라 건물을 집어삼키듯 뒤덮은 나무집으로 불리는 안핑수우도 안핑지구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진귀한 볼거리다

10-13 미라마 관람차

대만에서 가장 큰 관람차로 알려져 있는 미라마 관람차는 타이페이 시의 야경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관람차 크기가 큰 것으로 유명하지만 가격 또한 저렴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유스트래블 카드를 이용하면 50 할인이 적용되므로 꼭 지참하도록 하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8 -

lt미라마 관람차 티켓gt lt유스트래블 카드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9 -

11 시사점 및 차후 활용계획 (LGC 프로그램을 통한 구체적인 효과 및 연구결과)

11-1 LGC 프로젝트 만족도

구분 항목 전 후 한줄 평

사업단

프로젝트 취지- 린튼 글로벌 학과와 경영정보학과 학생들이 함께

하는 프로젝트 해외시장탐방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사전교육 활동- 출국 전 각 나라에 대한 유의사항 안전교육이 체

계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개략적인 보고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었다

행정지원 절차- CK사업단 린튼 글로벌 학과 경영정보학과 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히 되지 않아 사전 계획에서 많은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협동력 향상- 출발 전 잦은 팀 회의와 8박 9일 간에 일정에도

불구하고 불화 없이 좋은 분위기 속에서 프로젝트를 완수 했다

추진력 향상- 일정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 한 점 추가 자료조

사를 위해 현지에서 새로운 일정을 추가 됐을 때 팀원들이 일사불란하게 따라주었다

문제해결 능력- 교통편 문제와 기업 측 내부 문제로 일부 일정에

변동이 있었지만 신속한 조율과 전화 통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개인

동기부여 자극- 현지인들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국어 영어 능

력의 필요성을 실감했다 특히 중국어는 소통 유무에 따라 현지 반응이 극명하게 갈렸다

진로설계 도움- 프로젝트 전에 비해 새로운 직업 분야에 대한 관심

이 증가했다

취업능력 향상-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한 내용을 살려 구술 면접이

나 자기소개서 작성에 참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11-2 LGC프로젝트 연구 결과 - 대만 시장

⓵ 중국시장을 주목하는 대만 화장품 기업- EST팀은 현지 대만 화장품 기업으로 SISDORA와 WABFENIX를 선택했다 두 회사를 선정한 배경에는

명확한 의도를 두고 정했다 SISDORA는 설립한 지 10년이 넘는 회사로 직접 화장품을 개발 및 연구하고 판매하는 중소기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과 주름개선 크림으로 중년 여성을 타깃 층으로 하는 화장품 회사다 반면 WABFENIX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스타트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 이지만 기술개발 보다는 디자인 마케팅에 중점을 두었고 판매 층도 10대-20대의 젊은 층을 타깃 층으로 한다 시장 전략이 완연히 다른 두 기업이 유일하게 공통점이 있다면 중국시장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선정 이유에는 많은 인구의 소비력을 꼽지만 뒤이어 언급하는 이야기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자사 제품의 경쟁력 약화를 말한다 현재 대만 기업 대부분은 내수 시장 대신에 중국을 겨냥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국가 산업 특성상 제조amp연구 분야가 강세인 대만에서는 중국 바이어 또는 미국 유럽 바이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직접 판매 보다는 기술 협력을 통해 이익을 창출한다고 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0 -

⓶ 대만 시장을 점령한 한국 화장품

- 앞서 말했듯이 2012년 이후부터 급속히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한국 화장품은 대만 시장을 점령하고 있다 이미 시먼딩에 들어서면 다양한 한국 화장품 매장이 눈에 띌 만큼 들어섰으며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중앙 광장에 입점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매장 안에는 많은 대만 사람들이 화장품을 보고 있는 광경을 흔히 본다 화장품 매장을 이용하는 연령층은 주로 10대-20대들이다 화장품 가격이 한국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주 애용하는 이유는 한류 열풍으로 인한 한국 연예인들에 대한 관심과 화장법이 크게 유행하고 있음을 현지 설문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⓷ 체감할 수 있을 만큼 커다란 한류열풍

- 뉴스에서만 듣던 한류 이야기를 대만에서 직접 느낄 수 있을 정도로 한류열풍은 크다 특히 삼성이나 LG의 TV나 스마트폰은 어딜 가든 항상 보이고 한국 화장품 선물에 대한 반응이 무척이나 뜨겁다 원활한 현지 조사를 위하여 사은품으로 준비한 한국 마스크 팩 100개는 오히려 현지인들이 참여 의사를 표현할 만큼 열정적이었다 일부 대만 사람 중에는 어디서 왔냐는 질문에 한국이라는 답변을 하니 같이 사진 찍기를 제안하기도 했다

⓸ 중소기업에게 있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는 대만 시장진출- 대만 시장 진출에 앞서 한국 화장품 중소기업이라면 전략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크게 대만 시장을 겨냥

할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할지 선택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3CE는 한국 화장품 회사다 대만에서 젊은 연령층이 자주 이용하고 이미 대만 내에서는 유명하다 3CE는 오프라인 매장 없이 순수 온라인 매장으로 운영하면서 대만 사람들을 위한 전용 웹사이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윤을 창출 하고 있다 신중해야 할 점은 현재 온라인 오프라인 등 한국 화장품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신규 진입에 있어서 장벽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대만 시장을 활용한다면 동남아 시장까지 한 번에 내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출입통관 절차가 간단하고 관세가 낮기 때문에 중소기업에게 유리하다 아직까지 중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1 -

에 대한 직접적인 수출이 가능한 곳은 상해나 항주 같이 중국에서 허가한 무역항 도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내륙까지 시장을 확대하기는 불가능하지만 같은 언어권인 대만을 거치면 보다 쉽게 바이어나 에이전트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인맥을 통한 꽌시와 수수료 명목으로 뒷돈을 요구하는 중국 바이어의 관행은 자금 순환이 원활치 않은 중소기업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11-3 LGC 프로젝트 종합 의견 및 전망

우리 lsquoEST팀은 출국 전 국내 화장품 시장 조사를 할 때 대덕 밸리 스타트업 기업 셀아이콘 랩의 영향으로 대만의 화장품 산업에 대해 큰 관심과 가능성을 보고 2015년 1월 5일부터 1월 13일까지 8박9일이라는 시간동안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 나라 중에 하나인 대만에서 rsquo대만의 화장품 시장lsquo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사를 했다 대만에서는 3개의 기업 (KOTRA SISDORA WABFENIX) 을 방문해 전반적인 대만의 화장품 시장과 판매전략 한류에 대한 보다 사실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1개의 대학 (국립성공대학 國立成功大學)에서 MBA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또 타이난에서는 대만에서 오랫동안 사업하시는 한인협회 회장을 만나 PLC (Product Life Cycle)를 통해 대만에서의 특정 시장이 도입기에 있는지 또 어떠한 시장이 쇠퇴기에 놓여있는지 다양한 시야에서 대만시장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노력은 CK 사업단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교육부 CK-1 프로젝트의 일부인 Linton Global Challenge는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몇 년을 내다보는 지속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기업들과 더욱 더 활발한 교류와 연구를 한다면 기업과 CK 사업단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리라고 본다

1 개인 탐방 후기 (팀원 개인 소감)

1-1 개인 탐방 후기

강성민탐방 후기 기업 컨택 부터 인터뷰 일정 계획까지 8박 9일간의 대만 화장품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 출국 전까지 준비 과정부터 탈도 많았고 대만에 와서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 원하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매일이 항상 회의와 고민의 연속이었다 하루하루 충실히 계획을 진행시켜 나갔고 좋은 팀 분위기 속에서 무사히 대만 프로

부록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2 -

젝트를 완수했다 그리고 마침내 한국으로 돌아왔다 과정은 항상 오르막 길이였지만 돌이켜 보면 마지막 대학 시절을 기념할만한 좋은 추억이자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느끼는 바가 많았던 프로젝트로 기억 될 것이다

김은진탐방 후기 글로벌 챌린지를 한마디로 정의하라고 한다면 도종환 시인의 lsquo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lsquo라는 시가 떠오른다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대만기업컨택 설문조사 등 많은 것을 경험했다 처음엔 모든 것이 나에겐 버거운 산이라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도전이 계속 될수록 이젠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이 모든 도전들에 흥미가 생겼다 나 자신도 책임감과 자신감이 생기고 한층 성숙해 진 것을 내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소중한 동료와 추억은 평생 나의 가슴속에 남을 것이다 우린 앞으로도 많이 도전하고 경험하여 우리들의 삶이 활짝 만개하리라 다짐한다 끊임없이 도전하는 20대의 청춘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프로그램이었다 김종선탐방 후기 한국에서 준비하면서 조사했던 내용과 비교하며 인터뷰를 해보니 실제로 많이 다른 부분도 있었고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 비슷한 내용도 있었다 현지의 기업들을 방문해 우리가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직접 매장에 가서 느껴보니 앉아서 컴퓨터만 볼 때랑 많이 달랐다 그리고 직접 대만인들에게 설문조사를 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그리고 대만의 실제 문화와 환경 그들의 생활을 잠시나마 볼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

구명우탐방 후기 며칠간의 꿈만 같았던 대만에서의 시간이 지나갔다 대만으로 출국하기 전 사전조사 기간에는 확신이 없었다 사전조사와 기업과의 인터뷰 그리고 9일간의 일정조율 및 숙박과 모든 대만에서의 연구와 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보고서까지 무엇하나 확신이 드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도전과 해결능력을 배웠고 아시아에서 급성장 중인 대만에 대해서 배우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다음기수로 가게 될 관심 있는 학우들에게 진심으로 추천해주고 싶다

이규현탐방 후기 CK-1 프로그램 중 하나인 lsquo린튼 글로벌 챌린지lsquo 프로그램을 통해 약 8박 9일이라는 시간 동안 emerging market 중 하나인 대만에 거주하면서 한국 화장품의 대만시장 점유율과 진출 가능성을 몸으로 체감하고 자료들을 모아 통계 내어 정리할 수 있었다 우리 팀 lsquoEST가 성공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충분한 국내조사 기간을 갖고 대만의 화장품 회사들을 방문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대만의 특정한 기업을 찾기도 어려웠고 기업 컨택은 번번히 거절당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회사 두 군데에서는 답장조차 오지 않았고 설문조사할 때에는 반한감정의 대만인을 만나 고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팀의 단결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리더의 통솔력으로 정해진 스케줄대로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회사를 방문하고 학교교수를 만나고 길거리에서 설문조사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팀원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또한 대학생으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을 한 것 같아서 스스로도 너무 뿌듯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팀을 믿고 지지해주신 LGSB 교수님들과 CK-1 프로그램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영은탐방 후기 처음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렇게 준비는 열심히 하지만 정말 우리가 계획한 100대로 대만을 다녀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기우가 무색하게도 대만은 우리에게 기획안 그 이상의 것들을 보여주었다 사장님들의 생생한 사업 이야기와 대만의 색채가 묻어있는 아이템들 하며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여 알아보는 비즈니스 마켓의 현장은 나에게 두고두고 잊지 못할 자산으로 남았다 또한 펑리수 버블티를 비롯한 대만의 맛있는 먹거리들과 스린 야시장이나 지우펀 같은 명소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열심히 고생해준 팀원들과의 추억들도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3 -

이서우탐방 후기 이번 글로벌 첼린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서 쉽게 할 수 없는 해외 기업 탐방과 해당 국가의 산업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임효진탐방 후기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팀이 대만을 방문 한다고 했을 때 많이 의아해 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만을 직접 방문해보고 많은 사업자들을 만난 결과 대만은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라고 생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아직 공산주의라는 정치적 특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다른 곳보다 훨씬 어렵지만 대만은 자유시장체제 이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쉽다 특히 외국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만 시장에서 한국제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추고 중국 시장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성공가능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그리고 대만의 바이어들을 통해 중국의 시장진출을 하게 된다면 사업자가 직접 중국시장에 진출 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성공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만은 문화적으로 다른 아시아권보다 선진화 되었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대도시에 속하지만 모두다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골고루 섞여 대만만의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차안호탐방 후기 9박 10일간의 대만을 다녀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넓고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이번 대만 여행은 처음으로 경험한 해외여행 경험이여서 그런지 순탄치 않은 면도 있었지만 팀원들 서로가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만시장은 중국시장으로 가기위한 좋은 시험의 장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대만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영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더 나아가 미래에는 중국어야말로 영어와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성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또 하나 놀란 점은 대만이 반 한류 감정을 많이 갖고 있는 줄 알았지만 대부분의 대만 일반 시민들이 굉장히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에 놀랐고 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CK-1 사업의 챌린지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대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계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보완점 및 건의사항 (문제점개선책건의사항)

2-1 기업 컨택의 어려움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에 있는 기업과 연결하여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대해서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조사 및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시간을 내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로써 그들의 귀한시간이 아깝게 쓰이지 않을 것을 강조하여 만남을 만들어야 한다

2-2 사업단과 의사소통의 불편함

Challeng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CK-1 사업단과의 지속되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가령 누군가를 통해서 전해지는 소문이나 촉박한 시간을 제시하고 일 처리를 원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단과 각 팀의 대표간의 분명한 의사소통과 증빙자료 등이 필요하다

2-3 정보 부재 이번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이머징 마켓에서의 유망 산업 조사 및 연구였다 대만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30: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0 -

제품인 Renix와 차별을 두는 판매 전략을 선택하였습니다 현재 판매되는 제품은 마스크 팩을 주력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Q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인데 중국을 대상으로 어떤 진출 전략을 갖고 있습니까

A중국에서 열리는 화장품 전시회 화장품 엑스포 행사 바이어 미팅 등 꾸준히 참가중이며 바이어들에게 저희 제품을 어필하고 있습니다 물론 신생기업인 만큼 아직 중국 내에서 뚜렷한 판매 실적을 기록하진 못했지만 타 화장품 기업들과 다른 마케팅 방식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디자인이나 제품의 아이디어를 강조하고 있는데 대표 적인 상품으로 오뚝이 모양을 한 화장품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이 오뚝이 제품을 바이어들에게 어필해 보았는데 대단히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Q 해외시장 마케팅과 대만 시장마케팅의 차이점이 있습니까

A 우선 중국에서의 마케팅은 행사나 전시회에 참여하고 바이어들을 개인적으로 만나는 것에 치중해 있다면 국내 대만시장의 마케팅 전략은 페이스북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대만은 중국에 비해 SNS가 많이 발달되어 있어 자금이 많이 들어가지 않는 SNS마케팅을 하고 있고 각종 자선행사에 참여하여 저희 기업을 홍보하고 있습니다

Q 귀사의 제품을 중국보다 비싼 인건비가드는 대만 제조공장에서 생산하는 겁니까

A타이중에 소재하는 공장에서 마스크를 제조 하고 있습니다 인건비가 비싼 것은 대만 수도인 타이페이에만 주로 해당이 됩니다 지방 소도시에서도 외곽으로 들어가면 저렴한 인건비와 공장 가동비용으로도 제조가 가능 합니다 굳이 중국에 제조공장을 갖지 않는 이유는 신생기업이라 자금문제도 있지만 대만은 OEMampODM에 특화된 국가이기 때문에 품질 좋은 다양한 제품주문이 가능하고 중국 사람들에게도 자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 보다 외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가 더 좋기 때문에 대만에서 생산한 뒤 수출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Q 대만에 한국 화장품 기업이 진출한다면 어떠한 마케팅 전략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 생각 하십니까

A 이미 대만에 한국의 화장품 제품들이 많이 들어와 있습니다 하지만 대만 자체의 화장품 기업들이 기존에 많은 시장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성공을 거두기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최근 한국에 대한 이미지가 많이 좋아졌고 한국의 영화나 드라마 등이 많이 알려지면서 인지도가 높아졌습니다 한국의 대기업의 경우 이러한 대규모 마케팅을 할 수 있으므로 큰 무리가 없겠지만 한국의 중소기업이 대만에 진출한다면 최종 시장 공략 층은 대만이 아닌 중국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대만은 중화권으로 가기 위한 연결다리라고 생각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또한 중소기업은 큰 마케팅 비용을 부담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대만에서는 SNS나 각종 자선 행사에 참여하여 인지도를 높이는 것을 추천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1 -

Q 같은 제품이지만 대만과 중국에서 판매할 때 가격 책정이 다른 이유가 무엇인가요

A 그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해드리자면 국가마다 소비 성향이나 구매 능력 환율 경제 상황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경영 에서는 가격 차별화(Price discrimination)이라 부르는데요 각 나라의 시장 특성에 적정한 가격대를 책정해서 제품을 판매하는 전략입니다 혹시 중국 상류층이 몇 명인지 알고 있나요 제가 알기로는 대만 인구의 2배인 4000만 명이라는군요 아마도 한국 인구랑 비슷한 규모 일겁니다 게다가 중산층은 약 4억 명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4억 명의 중국 소비자들이 우리 제품을 1개씩만 구입 한다면hellip 상상만 해도 엄청 나겠죠 이야기를 하다 보니 다른 쪽으로 빠졌는데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이야기하면 물론 좋은 제품을 모든 곳에 저렴하게 제공 하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 그러나 항상 시장에서 저렴한 제품만이 성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대만이나 한국처럼 고도의 산업화가 이루어지고 시장이 크게 발전한 안정적인 단계는 좋은 제품이라도 가격 경쟁력에 신경 써야 합니다 왜냐하면 소비자들이 똑똑하기 때문에 정보력이 넓고 합리적인 소비를 지향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가격 성능 디자인 등 많은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중국 시장은 대만이나 한국과는 특성이 다릅니다 저렴하다고 해서 많이 제품이 많이 팔리기 보다는 가격대가 어느 정도 있는 제품일수록 또는 가격대가 높을수록 소비자들이 관심을 보입니다 대체적으로 중국 소비자들은 lsquo저렴한 제품은 품질이 낮거나 효능이 좋지 않은 제품일거야rsquo 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 때문에 화장품 박람회나 전시회에 저가 화장품을 가져와 홍보하더라도 중국 바이어나 소비자들은 큰 관심을 주지 않습니다 처음에 말했듯이 중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2 -

국 소비문화가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라는 심리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Wabfenix의 경우에는 신생기업이라 많은 투자 금액이 없을 뿐 더러 대만 화장품 시장에 진출하기에는 리스크가

크고 진입 장벽이 높습니다 그리고 이미 한국 화장품 기업들이 대부분 점유를 한 상황이기 때문에 대만 내수시장에만 집중하기에는 경쟁력이 부족하죠 그래서 중국을 주력 수출시장으로 삼고 있는데요 저희는 제품 성능 보다는 소비자의 이목을 끌 수 있는 디자인에 더 많은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중국에 Wabfenix만의 화장품 선물 문화를 정착 시키는 것이 목적인데요 높은 제품 가격만큼 소비자의 관심을 끌 수 있고 선물 문화나 꽌시(关系)가 많은 중국 문화 특성에 맞추어 선물용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중국 시장은 현재 젊은 중산층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품질이 낮은 화장품 보다는 수입 화장품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점으로 미루어볼 때 높은 가격 차별화와 Wabfenix만의 디자인 마케팅은 좋은 경쟁력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3 -

8 현지 시장조사 활동 (시장동향사진설문조사 자료)

8-1 시먼딩 설문조사

목적 대만 사람들의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및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대상 10대~20대 여성 및 화장품 전문매장 종사자장소 시먼딩시간 2015년 1월 7일 12일 총 두 차례에 걸쳐 진행방법 ①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 판넬에 국가별로 메이크업 사진을 표시하고 스티커를 붙이는 방식으로 투표함 공정성을 위해 국가 이름은 블라인드로 처리하였고 모두 동일 인물의 사진을 사용함②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표본집단을 50명으로 설정함 설문조사가 끝나면 사은품으로 한국 브랜드 마스크팩 증정함

8-2 사전 기획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판넬 기획도gt

化妝辦法喜好度的調查화장법 선호도 조사

大家給自己喜歡的化妝貼貼紙 여러분이 선호하는 메이크업에 스티커를 붙여 주세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4 -

대만의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안녕하십니까

다음의 내용은 대만 화장품 트렌드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자 관련조사를 실시하고자 하오니

있는 그대로의 생각을 기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귀하의 응답은 통계적 목적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본 설문은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물음에 대한 답변이나 해당란에 v 표를 해 주십시오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7) ② 화장품 전문매장(34) ③ 마트(5) ④ 홈쇼핑(2)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합계 총 50 명

바쁘신 시간에 의견을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지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5 -

8-3 설문조사 활동

lt2015년 1월 7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6 -

lt2015년 1월 12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7 -

lt활동 결과 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8 -

9 설문조사 통계 분석 (설문조사 응답 수분석결과)

9-1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결과gt

설문 조사 질문지 양식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12)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③ 마트(5) ④ 홈쇼핑(6)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9 -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gt

9-2 설문조사 항목 별 의견 및 추측

설문 조사 질문지 항목 (최다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② 20 ~ 25세 (13)

0

5

10

15

20

25

30

20대 이하 20세~24세 25세~29세 30세~39세 40대 이상

rarr 시먼딩은 대만의 홍대거리라 불리는 lsquo융캉제rsquo나 서울의 lsquo명동rsquo과 같이 젊은 층이 주로 활동하는 지역이다 설문조사 중에도 교복이나 체육복을 입은 학생들과 길거리에서 쇼핑을 즐기는 20대가 즐비할 만큼 활기 있는 거리다 덥고 습한 대만 기후 특성 상 과거엔 화장법이 크게 발전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국의 자연스러운 화장법이 큰 인기를 끌면서 시먼딩에 화장품 거리가 조성되어 있을 만큼 유동 인구가 많다 이 점으로 추측해보았을 때 압도적으로 10대와 20대 층이 많은 응답 수를 기록했다고 본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0 -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051015202530

온라인 화장품전문매장 마트 홈쇼핑 방문판매

rarr 대만 또한 한국과 비슷하게 시내에 많은 수의 화장품 전문매장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접근성이 굉장히 높았다 더불어 각 화장품 매장에서는 상품 할인과 같은 각종 프로모션을 진행하기 때문에 구매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 구매한다는 대답도 높은 편이었는데 거의 대부분이 와이파이존이어서 어디서나 인터넷을 한 활발히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온라인에서의 구매율도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0

5

10

15

20

25

30

NT$300 미만 NT$300~NT899 NT$900~NT$1499 NT$1500~NT2999 NT$3000

rarr 응답자들은 대부분이 한 달 간 화장품에 쓰는 돈을 최저 1만원 이상(NT$300 이상)이라고 답했는데 이는 70가 넘어가는 결과로 화장품에 대한 지출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만원 이상이라고 대답한 응답자들 또한 4분의 1을 넘기는데 이것은 젊은 연령층부터 시작하여 최근 피부 관리와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대만의 소비 수준에 대비하여 화장품 소비율이 높은 것도 이 때문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1 -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③ 성능(23)

051015202530

가격 디자인 성능 화장품 모델 브랜드

rarr 아열대 기후에 속하는 대만은 높은 기온과 습한 날씨 탓에 에어컨 환경에 자주 노출돼 피부 수분을 잃기 쉬워 기능성 화장품의 소비가 두드러진다 대만 화장품 시장은 토너 세럼 에센스 로션 크림 등의 모든 스킨케어 제품들이 보습기능을 강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백이나 안티에이징 리프팅 저자극 오일프리(Oil-free) 등의 기능까지 추가된 스킨케어 제품들이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조 화장품 소비가 늘어난 것은 최근 몇 년 들어 다양한 화장품 브랜드 접촉기회가 많아지고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젊은 여성의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색조화장품 또한 메이크업베이스와 BB크림 립스틱과 같은 베이스 메이크업이 수요가 많았다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④인터넷(22)

0

5

10

15

20

25

30

TV 잡지 친구 인터넷 메이크업샵

rarr 최근 빠른 인터넷망과 스마트폰 태블릿PC의 보급으로 인해 사람들과 사람사이의 연결망이 견고히 형성되고 있고 이것이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방법을 얻는 경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만 소비자들은 주로 인터넷 블로그 가족과 친구로부터 메이크업 정보를 획득 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만의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이므로 입소문마케팅과 판매를 바로바로 할 수 있는 유통구조가 도움이 될 것 같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2 -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0

5

10

15

20

25

30

청순 독특 귀여움 섹시

rarr 앞서 살펴보았듯이 대만은 한국과 비슷한 메이크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이것은 곧 청순한 메이크업 컨셉에 관심 있어 한다는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실제로 대만 여성소비자들은 깨끗한 피부 NATURAL한 베이스메이크업을 선호한다 한 듯 안 한 듯 자연스럽고 깨끗한 느낌의 한국식 lsquo생얼rsquo 화장법은 대만에서 한국 드라마 열풍과 함께 유명세를 타기 시작해 현지 각종 온라인 뷰티 사이트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래서 응답의 대부분이 한 곳에 치우쳤고 비교적 개성 있는 메이크업 방법이 드물 것이라는 것을 유추해낼 수 있다

본 설문 조사를 통한 한국 화장품 기업에 대한 시사점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수입 절차로 오랜 시간을 허비해야 하는 반면 대만은 자외선 차단제 성분 함유 제품과 약용 화장품을 제외한 일반 화장품은 별도의 수입 검사 없이 수입할 수 있으므로 대개 중국보다 1~2년 먼저 신상품이 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한류 효과를 겨냥한 중화권 화장품 시장으로 대만을 우선 공략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대만은 대부분이 화장품에 대한 소비를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고 한국 화장품이 많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시장 접근법만 제대로 수립하면 매출이 나는 구조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대만인들이 선호하는 메이크업 방법이 한국과 비슷하기 때문에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은 마케팅 방안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최종분석설문 조사 대상은 대부분 10대~20대의 연령층이었으며 화장품의 주된 구입경로는 lsquo온라인(24)rsquo과 lsquo화장품 전문매장(50)rsquo이 압도적이었다 더불어 한 달 간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lsquo1만 원 이상(72)rsquo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이것은 실제 생활수준에 대비하여 높은 소비량이므로 대만의 화장품 시장 전망이 밝다고 할 수 있다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부분은 lsquo성능(46)rsquo이었는데 이는 스타트업 기업 중소기업에게 유리한 조건이다 메이크업 방법을 얻는 방법으로는 lsquo인터넷(44)rsquo과 lsquo친구(30)rsquo가 높은 비율을 차지했는데 판촉활동으로는 인터넷을 활용한 SNS 홍보 바이럴 마케팅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가장 관심있는 화장 컨셉은 lsquo청순rsquo 이었고 이것은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와 맞물려 우리나라와 비슷한 메이크업 방법을 추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3 -

10 대만 명소 소개 (명소음식행사숙소 소개)

10-1 고궁박물관

대만 고궁박물원은 영국의 대영 박물관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 미국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과 함께 세계 4대 박물관으로 손꼽힐 만큼 세계적은 소장 문물을 자랑한다 건물 규모는 그다지 크지 않지만 소장한 문물의 질과 양은 세계 최상급이다 중화 보물 중에서도 최고의 보물들이 모여 있어 진귀하기 그지없고 수량 역시 워낙 방대하여 3개월 단위로 1만여점을 돌아가면서 전시해도 다보려면 10년이 넘게 걸린다고 전해지고 있다 중국의 국공내전 당시 장제스가 이끌던 중국 국민당이 전쟁에서 패하며 중국을 탈출해 대만으로 향했다 당시 장제스는 난징에 있던 정부를 타이페이로 이전하면서 자금성에 보관되어있던 중국역대 왕조 보물 수십만 점을 배를 이용해 운반해 왔다 중국의 유물을 가진 자가 진정한 통치자라고 생각했던 장제스는 ldquo공산군에게 영토는 내줘도 문화유산만큼은 내줄 수 없다ldquo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대표적인 유물은 취옥배추 육형석 모공정 산씨반 등이 있다

10-2 용산사

루강의 초입에 있는 이 사찰은 타이완에서 가장 오래되고 아름답다고 하여 타이완의 자금성이라고 부른다 각 건물의 기둥 벽 그리고 천장 등에 새겨진 조각은 특히 빼어나다 이 조각상과 함께 이곳의 명물로 알려진 것은 사찰 경내에 있는 2마리의 용상인데 삼천전 앞마당 좌우에 서서 룽산사를 호위하고 있다

10-3 타이페이 101 빌딩

타이베이 101빌딩rsquo이라 부르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로서 빌딩 모습은 하늘로 뻗어나가는 대나무 위에 꽃잎이 겹겹이 포개진 형상이다 본래 타이베이 금융기관이 모인 건물이지만 대형 쇼핑센터와 푸드코트 고급 레스토랑이 있어 여행자들이 많이 찾는다 건물에는 8개 마디가 있는데 이는 중화 문화권에서 부와 번영을 의미하는 숫자 lsquo8rsquo을 염두에 둔 것이다 타이베이 시내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는 높이 508m로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히는 높은 건물이다 지상 1~5층에는 소고 백화점 뷰티 플라자 애버뉴 101 등 다양한 패션∙뷰티용품을 구입할 수 있는 상점이 있다 또한 레스토랑 시티 스퀘어 대형 서점 등 쇼핑과 오락 식사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복합시설이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4 -

잘 알려진 식당으로는 딘 타이 펑(Din Tai Fung) 이 있다 101타워 지하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샤오롱바오(고기만두) 새우 샤오마이(새우만두) 탄탄면(우육면)이 가장 대표적인 메뉴이며 대만에 방문한 많은 사람들이 찾는 식당이다

10-4 지우펀

대만여행의 백미로 꼽히는 지우펀은 타이페이시 북부의 루이팡 지역의 작은 산골 마을로 과거에는 아홉가구만 살고 있어서 지우펀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예전에는 작은 산골 마을에 불과 했지만 이 지역에서 금맥이 발견되면서 호황을 맞이하게 된다 특히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일본풍의 건물들이 남아 있어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결합된 독특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비탈길을 따라 하늘로 이어진 예스러운 건물 그리고 골목마다 빨간 홍등과 함께 묻어나는 옛 풍경은 여행객들에게 인기 여행지이다

10-5 스린야시장

타이베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야시장 가운데 하나이다 독특하면서도 다양한 전통 먹을거리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이곳을 찾는 관광객이 많다 시장 부근에 학교가 많아 학생들이 많이 찾으며 포장마차 등의 노점상이 많아 가격도 저렴하다 칭런샹[情人巷]에는 가구 의류 액세서리 사진현상점 애완용품점 등이 모여 있어 학생뿐 아니라 관광객들도 자주 찾는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5 -

10-6 예류 지질 공원

타이완 북해안에 자리한 예류는 해수욕장과 온천 기암괴석으로 유명한 관광지다 특히 예류지질공원은 희귀한 모형의 바위와 암석이 모여 있어 예류 관광의 필수코스로 꼽힌다 작은 곶으로 된 예류지질공원은 침식과 풍화 작용을 거쳐 자연적으로 형성된 기암을 보러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지질공원으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것이 선상암 군락이다 암석 하나하나의 모습은 마치 거대한 버섯이 큰 머리로 하늘을 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선상암 가운데 가장 유명한 암석은 이집트 왕비의 옆모습을 닮은 여왕 두상 바위다

10-7 스펀(Shifen)

스펀(十分)은 옛 광산마을로써 천으로 만든 등이 유명하다 또한 이 곳 스펀은 대만 최대의 폭포 스펀(SE-FEN) 폭포가 있다 미니기차와 천으로 만든 등을 날릴 수도 있다 마을의 한가운데 긴 철길이 놓여 있고 30분에 한 대씩 기차가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것도 볼 수가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6 -

10-8 진과스(金瓜石)

진과스(金瓜石)는 타이완 타이베이 근교에 있는 옛 탄광 유적이다 20세기 전반에 금 채굴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20세기 후반에 금이 차차 고갈되기 시작하자 점점 위축되어 폐광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관광 명소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하루에도 수백명이 들렀다 가는 대만의 대표 관광지이다 진과스 내에 있는 황금 박물관에는 220kg 의 금이 전시 되어 있는데 손을 넣어 직접 만져 볼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진과스에서는 과거 광부들이 먹었던 도시락을 그대로 만들어 판매하는 광부 도시락도 굉장히 인기가 많다

10-9 국립 성공대학

대만의 타이난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1931년에 개교하였다 2010년 QS대학순위에서 283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대만 대학중 2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총 9개의 캠퍼스로 이루어져 있어 굉장히 큰 면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만 교육청에서 인정한 9개의 주요대학 중 하나이고 대만 기업체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학이다 이공계열이 가장 뛰어나며 중문 역사 법학 경제학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10 시먼딩

타이베이시에 위치한 시먼딩은 한국의 명동과 같은 거리이다 대한민국의 명동에도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과 외국인이 많다고 알려져 있는데 시먼딩 또한 명동 못지않은 다양함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대만의 패션과 놀이 문화 음식 등을 한눈에 경험 할 수 있는 공간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7 -

10-11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

중정기념당은 타이완 총통 장제스(蔣介石)를 기리는 전당이다 lsquo중정rsquo은 장제스의 본명이다 그가 서거한 후 1980년 기념당을 세웠다 25만에 이르는 넓은 중정공원 안에 우뚝 선 높이 70m의 기념물이 중정기념당이다 기념당 1층에는 장제스 생애를 엿볼 수 있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거대한 장제스 동상은 항상 근위병이 동상 앞을 지키고 있다 중정공원 안에는 중정기념당 외에 국립 희극원과 국립 음악청이 있는데 이곳에서 연극과 콘서트를 한다 공원 조경 또한 잘 조성되어 있어 산책하며 천천히 둘러보기에 좋다

10-12 안핑지구(安平地區)

대만의 문화와 역사는 안핑지구에서 시작되었다 안핑구바오는 17세기 중엽 네덜란드인들이 지은 요새로 정성공이 빼앗아 번영하다가 황폐해져 지금은 보루의 대부분이 없어지고 설탕과 굴껍데기와 찹쌀가루를 버무려 만든 빨간벽돌로 된 장벽(臺灣城殘蹟)만이 남아 나무뿌리와 존립의 사투를 벌이고 있다 감시탑 옆 건물 안에는 네덜란드와 정성공의 전투에 대한 이야기와 중세갑옷 등이 전시 중이다 이 주변에는 대만에서 가장 오래된 상업거리 옌핑제(延平街)가 있는데 옛 명성이 다한 거리의 골목 사이사이 수백년 된 가옥을 구경하는 것도 소소한 즐거움이다 1867년 영국인 상점과 물류창고로 이용하던 건물에 노용수(老榕樹)가 멋대로 자라 건물을 집어삼키듯 뒤덮은 나무집으로 불리는 안핑수우도 안핑지구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진귀한 볼거리다

10-13 미라마 관람차

대만에서 가장 큰 관람차로 알려져 있는 미라마 관람차는 타이페이 시의 야경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관람차 크기가 큰 것으로 유명하지만 가격 또한 저렴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유스트래블 카드를 이용하면 50 할인이 적용되므로 꼭 지참하도록 하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8 -

lt미라마 관람차 티켓gt lt유스트래블 카드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9 -

11 시사점 및 차후 활용계획 (LGC 프로그램을 통한 구체적인 효과 및 연구결과)

11-1 LGC 프로젝트 만족도

구분 항목 전 후 한줄 평

사업단

프로젝트 취지- 린튼 글로벌 학과와 경영정보학과 학생들이 함께

하는 프로젝트 해외시장탐방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사전교육 활동- 출국 전 각 나라에 대한 유의사항 안전교육이 체

계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개략적인 보고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었다

행정지원 절차- CK사업단 린튼 글로벌 학과 경영정보학과 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히 되지 않아 사전 계획에서 많은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협동력 향상- 출발 전 잦은 팀 회의와 8박 9일 간에 일정에도

불구하고 불화 없이 좋은 분위기 속에서 프로젝트를 완수 했다

추진력 향상- 일정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 한 점 추가 자료조

사를 위해 현지에서 새로운 일정을 추가 됐을 때 팀원들이 일사불란하게 따라주었다

문제해결 능력- 교통편 문제와 기업 측 내부 문제로 일부 일정에

변동이 있었지만 신속한 조율과 전화 통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개인

동기부여 자극- 현지인들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국어 영어 능

력의 필요성을 실감했다 특히 중국어는 소통 유무에 따라 현지 반응이 극명하게 갈렸다

진로설계 도움- 프로젝트 전에 비해 새로운 직업 분야에 대한 관심

이 증가했다

취업능력 향상-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한 내용을 살려 구술 면접이

나 자기소개서 작성에 참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11-2 LGC프로젝트 연구 결과 - 대만 시장

⓵ 중국시장을 주목하는 대만 화장품 기업- EST팀은 현지 대만 화장품 기업으로 SISDORA와 WABFENIX를 선택했다 두 회사를 선정한 배경에는

명확한 의도를 두고 정했다 SISDORA는 설립한 지 10년이 넘는 회사로 직접 화장품을 개발 및 연구하고 판매하는 중소기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과 주름개선 크림으로 중년 여성을 타깃 층으로 하는 화장품 회사다 반면 WABFENIX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스타트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 이지만 기술개발 보다는 디자인 마케팅에 중점을 두었고 판매 층도 10대-20대의 젊은 층을 타깃 층으로 한다 시장 전략이 완연히 다른 두 기업이 유일하게 공통점이 있다면 중국시장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선정 이유에는 많은 인구의 소비력을 꼽지만 뒤이어 언급하는 이야기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자사 제품의 경쟁력 약화를 말한다 현재 대만 기업 대부분은 내수 시장 대신에 중국을 겨냥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국가 산업 특성상 제조amp연구 분야가 강세인 대만에서는 중국 바이어 또는 미국 유럽 바이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직접 판매 보다는 기술 협력을 통해 이익을 창출한다고 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0 -

⓶ 대만 시장을 점령한 한국 화장품

- 앞서 말했듯이 2012년 이후부터 급속히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한국 화장품은 대만 시장을 점령하고 있다 이미 시먼딩에 들어서면 다양한 한국 화장품 매장이 눈에 띌 만큼 들어섰으며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중앙 광장에 입점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매장 안에는 많은 대만 사람들이 화장품을 보고 있는 광경을 흔히 본다 화장품 매장을 이용하는 연령층은 주로 10대-20대들이다 화장품 가격이 한국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주 애용하는 이유는 한류 열풍으로 인한 한국 연예인들에 대한 관심과 화장법이 크게 유행하고 있음을 현지 설문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⓷ 체감할 수 있을 만큼 커다란 한류열풍

- 뉴스에서만 듣던 한류 이야기를 대만에서 직접 느낄 수 있을 정도로 한류열풍은 크다 특히 삼성이나 LG의 TV나 스마트폰은 어딜 가든 항상 보이고 한국 화장품 선물에 대한 반응이 무척이나 뜨겁다 원활한 현지 조사를 위하여 사은품으로 준비한 한국 마스크 팩 100개는 오히려 현지인들이 참여 의사를 표현할 만큼 열정적이었다 일부 대만 사람 중에는 어디서 왔냐는 질문에 한국이라는 답변을 하니 같이 사진 찍기를 제안하기도 했다

⓸ 중소기업에게 있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는 대만 시장진출- 대만 시장 진출에 앞서 한국 화장품 중소기업이라면 전략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크게 대만 시장을 겨냥

할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할지 선택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3CE는 한국 화장품 회사다 대만에서 젊은 연령층이 자주 이용하고 이미 대만 내에서는 유명하다 3CE는 오프라인 매장 없이 순수 온라인 매장으로 운영하면서 대만 사람들을 위한 전용 웹사이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윤을 창출 하고 있다 신중해야 할 점은 현재 온라인 오프라인 등 한국 화장품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신규 진입에 있어서 장벽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대만 시장을 활용한다면 동남아 시장까지 한 번에 내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출입통관 절차가 간단하고 관세가 낮기 때문에 중소기업에게 유리하다 아직까지 중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1 -

에 대한 직접적인 수출이 가능한 곳은 상해나 항주 같이 중국에서 허가한 무역항 도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내륙까지 시장을 확대하기는 불가능하지만 같은 언어권인 대만을 거치면 보다 쉽게 바이어나 에이전트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인맥을 통한 꽌시와 수수료 명목으로 뒷돈을 요구하는 중국 바이어의 관행은 자금 순환이 원활치 않은 중소기업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11-3 LGC 프로젝트 종합 의견 및 전망

우리 lsquoEST팀은 출국 전 국내 화장품 시장 조사를 할 때 대덕 밸리 스타트업 기업 셀아이콘 랩의 영향으로 대만의 화장품 산업에 대해 큰 관심과 가능성을 보고 2015년 1월 5일부터 1월 13일까지 8박9일이라는 시간동안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 나라 중에 하나인 대만에서 rsquo대만의 화장품 시장lsquo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사를 했다 대만에서는 3개의 기업 (KOTRA SISDORA WABFENIX) 을 방문해 전반적인 대만의 화장품 시장과 판매전략 한류에 대한 보다 사실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1개의 대학 (국립성공대학 國立成功大學)에서 MBA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또 타이난에서는 대만에서 오랫동안 사업하시는 한인협회 회장을 만나 PLC (Product Life Cycle)를 통해 대만에서의 특정 시장이 도입기에 있는지 또 어떠한 시장이 쇠퇴기에 놓여있는지 다양한 시야에서 대만시장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노력은 CK 사업단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교육부 CK-1 프로젝트의 일부인 Linton Global Challenge는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몇 년을 내다보는 지속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기업들과 더욱 더 활발한 교류와 연구를 한다면 기업과 CK 사업단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리라고 본다

1 개인 탐방 후기 (팀원 개인 소감)

1-1 개인 탐방 후기

강성민탐방 후기 기업 컨택 부터 인터뷰 일정 계획까지 8박 9일간의 대만 화장품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 출국 전까지 준비 과정부터 탈도 많았고 대만에 와서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 원하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매일이 항상 회의와 고민의 연속이었다 하루하루 충실히 계획을 진행시켜 나갔고 좋은 팀 분위기 속에서 무사히 대만 프로

부록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2 -

젝트를 완수했다 그리고 마침내 한국으로 돌아왔다 과정은 항상 오르막 길이였지만 돌이켜 보면 마지막 대학 시절을 기념할만한 좋은 추억이자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느끼는 바가 많았던 프로젝트로 기억 될 것이다

김은진탐방 후기 글로벌 챌린지를 한마디로 정의하라고 한다면 도종환 시인의 lsquo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lsquo라는 시가 떠오른다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대만기업컨택 설문조사 등 많은 것을 경험했다 처음엔 모든 것이 나에겐 버거운 산이라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도전이 계속 될수록 이젠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이 모든 도전들에 흥미가 생겼다 나 자신도 책임감과 자신감이 생기고 한층 성숙해 진 것을 내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소중한 동료와 추억은 평생 나의 가슴속에 남을 것이다 우린 앞으로도 많이 도전하고 경험하여 우리들의 삶이 활짝 만개하리라 다짐한다 끊임없이 도전하는 20대의 청춘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프로그램이었다 김종선탐방 후기 한국에서 준비하면서 조사했던 내용과 비교하며 인터뷰를 해보니 실제로 많이 다른 부분도 있었고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 비슷한 내용도 있었다 현지의 기업들을 방문해 우리가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직접 매장에 가서 느껴보니 앉아서 컴퓨터만 볼 때랑 많이 달랐다 그리고 직접 대만인들에게 설문조사를 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그리고 대만의 실제 문화와 환경 그들의 생활을 잠시나마 볼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

구명우탐방 후기 며칠간의 꿈만 같았던 대만에서의 시간이 지나갔다 대만으로 출국하기 전 사전조사 기간에는 확신이 없었다 사전조사와 기업과의 인터뷰 그리고 9일간의 일정조율 및 숙박과 모든 대만에서의 연구와 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보고서까지 무엇하나 확신이 드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도전과 해결능력을 배웠고 아시아에서 급성장 중인 대만에 대해서 배우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다음기수로 가게 될 관심 있는 학우들에게 진심으로 추천해주고 싶다

이규현탐방 후기 CK-1 프로그램 중 하나인 lsquo린튼 글로벌 챌린지lsquo 프로그램을 통해 약 8박 9일이라는 시간 동안 emerging market 중 하나인 대만에 거주하면서 한국 화장품의 대만시장 점유율과 진출 가능성을 몸으로 체감하고 자료들을 모아 통계 내어 정리할 수 있었다 우리 팀 lsquoEST가 성공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충분한 국내조사 기간을 갖고 대만의 화장품 회사들을 방문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대만의 특정한 기업을 찾기도 어려웠고 기업 컨택은 번번히 거절당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회사 두 군데에서는 답장조차 오지 않았고 설문조사할 때에는 반한감정의 대만인을 만나 고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팀의 단결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리더의 통솔력으로 정해진 스케줄대로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회사를 방문하고 학교교수를 만나고 길거리에서 설문조사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팀원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또한 대학생으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을 한 것 같아서 스스로도 너무 뿌듯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팀을 믿고 지지해주신 LGSB 교수님들과 CK-1 프로그램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영은탐방 후기 처음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렇게 준비는 열심히 하지만 정말 우리가 계획한 100대로 대만을 다녀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기우가 무색하게도 대만은 우리에게 기획안 그 이상의 것들을 보여주었다 사장님들의 생생한 사업 이야기와 대만의 색채가 묻어있는 아이템들 하며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여 알아보는 비즈니스 마켓의 현장은 나에게 두고두고 잊지 못할 자산으로 남았다 또한 펑리수 버블티를 비롯한 대만의 맛있는 먹거리들과 스린 야시장이나 지우펀 같은 명소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열심히 고생해준 팀원들과의 추억들도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3 -

이서우탐방 후기 이번 글로벌 첼린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서 쉽게 할 수 없는 해외 기업 탐방과 해당 국가의 산업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임효진탐방 후기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팀이 대만을 방문 한다고 했을 때 많이 의아해 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만을 직접 방문해보고 많은 사업자들을 만난 결과 대만은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라고 생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아직 공산주의라는 정치적 특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다른 곳보다 훨씬 어렵지만 대만은 자유시장체제 이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쉽다 특히 외국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만 시장에서 한국제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추고 중국 시장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성공가능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그리고 대만의 바이어들을 통해 중국의 시장진출을 하게 된다면 사업자가 직접 중국시장에 진출 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성공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만은 문화적으로 다른 아시아권보다 선진화 되었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대도시에 속하지만 모두다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골고루 섞여 대만만의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차안호탐방 후기 9박 10일간의 대만을 다녀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넓고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이번 대만 여행은 처음으로 경험한 해외여행 경험이여서 그런지 순탄치 않은 면도 있었지만 팀원들 서로가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만시장은 중국시장으로 가기위한 좋은 시험의 장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대만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영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더 나아가 미래에는 중국어야말로 영어와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성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또 하나 놀란 점은 대만이 반 한류 감정을 많이 갖고 있는 줄 알았지만 대부분의 대만 일반 시민들이 굉장히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에 놀랐고 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CK-1 사업의 챌린지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대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계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보완점 및 건의사항 (문제점개선책건의사항)

2-1 기업 컨택의 어려움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에 있는 기업과 연결하여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대해서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조사 및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시간을 내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로써 그들의 귀한시간이 아깝게 쓰이지 않을 것을 강조하여 만남을 만들어야 한다

2-2 사업단과 의사소통의 불편함

Challeng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CK-1 사업단과의 지속되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가령 누군가를 통해서 전해지는 소문이나 촉박한 시간을 제시하고 일 처리를 원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단과 각 팀의 대표간의 분명한 의사소통과 증빙자료 등이 필요하다

2-3 정보 부재 이번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이머징 마켓에서의 유망 산업 조사 및 연구였다 대만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31: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1 -

Q 같은 제품이지만 대만과 중국에서 판매할 때 가격 책정이 다른 이유가 무엇인가요

A 그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해드리자면 국가마다 소비 성향이나 구매 능력 환율 경제 상황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경영 에서는 가격 차별화(Price discrimination)이라 부르는데요 각 나라의 시장 특성에 적정한 가격대를 책정해서 제품을 판매하는 전략입니다 혹시 중국 상류층이 몇 명인지 알고 있나요 제가 알기로는 대만 인구의 2배인 4000만 명이라는군요 아마도 한국 인구랑 비슷한 규모 일겁니다 게다가 중산층은 약 4억 명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4억 명의 중국 소비자들이 우리 제품을 1개씩만 구입 한다면hellip 상상만 해도 엄청 나겠죠 이야기를 하다 보니 다른 쪽으로 빠졌는데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이야기하면 물론 좋은 제품을 모든 곳에 저렴하게 제공 하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 그러나 항상 시장에서 저렴한 제품만이 성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대만이나 한국처럼 고도의 산업화가 이루어지고 시장이 크게 발전한 안정적인 단계는 좋은 제품이라도 가격 경쟁력에 신경 써야 합니다 왜냐하면 소비자들이 똑똑하기 때문에 정보력이 넓고 합리적인 소비를 지향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가격 성능 디자인 등 많은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중국 시장은 대만이나 한국과는 특성이 다릅니다 저렴하다고 해서 많이 제품이 많이 팔리기 보다는 가격대가 어느 정도 있는 제품일수록 또는 가격대가 높을수록 소비자들이 관심을 보입니다 대체적으로 중국 소비자들은 lsquo저렴한 제품은 품질이 낮거나 효능이 좋지 않은 제품일거야rsquo 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 때문에 화장품 박람회나 전시회에 저가 화장품을 가져와 홍보하더라도 중국 바이어나 소비자들은 큰 관심을 주지 않습니다 처음에 말했듯이 중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2 -

국 소비문화가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라는 심리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Wabfenix의 경우에는 신생기업이라 많은 투자 금액이 없을 뿐 더러 대만 화장품 시장에 진출하기에는 리스크가

크고 진입 장벽이 높습니다 그리고 이미 한국 화장품 기업들이 대부분 점유를 한 상황이기 때문에 대만 내수시장에만 집중하기에는 경쟁력이 부족하죠 그래서 중국을 주력 수출시장으로 삼고 있는데요 저희는 제품 성능 보다는 소비자의 이목을 끌 수 있는 디자인에 더 많은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중국에 Wabfenix만의 화장품 선물 문화를 정착 시키는 것이 목적인데요 높은 제품 가격만큼 소비자의 관심을 끌 수 있고 선물 문화나 꽌시(关系)가 많은 중국 문화 특성에 맞추어 선물용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중국 시장은 현재 젊은 중산층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품질이 낮은 화장품 보다는 수입 화장품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점으로 미루어볼 때 높은 가격 차별화와 Wabfenix만의 디자인 마케팅은 좋은 경쟁력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3 -

8 현지 시장조사 활동 (시장동향사진설문조사 자료)

8-1 시먼딩 설문조사

목적 대만 사람들의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및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대상 10대~20대 여성 및 화장품 전문매장 종사자장소 시먼딩시간 2015년 1월 7일 12일 총 두 차례에 걸쳐 진행방법 ①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 판넬에 국가별로 메이크업 사진을 표시하고 스티커를 붙이는 방식으로 투표함 공정성을 위해 국가 이름은 블라인드로 처리하였고 모두 동일 인물의 사진을 사용함②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표본집단을 50명으로 설정함 설문조사가 끝나면 사은품으로 한국 브랜드 마스크팩 증정함

8-2 사전 기획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판넬 기획도gt

化妝辦法喜好度的調查화장법 선호도 조사

大家給自己喜歡的化妝貼貼紙 여러분이 선호하는 메이크업에 스티커를 붙여 주세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4 -

대만의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안녕하십니까

다음의 내용은 대만 화장품 트렌드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자 관련조사를 실시하고자 하오니

있는 그대로의 생각을 기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귀하의 응답은 통계적 목적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본 설문은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물음에 대한 답변이나 해당란에 v 표를 해 주십시오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7) ② 화장품 전문매장(34) ③ 마트(5) ④ 홈쇼핑(2)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합계 총 50 명

바쁘신 시간에 의견을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지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5 -

8-3 설문조사 활동

lt2015년 1월 7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6 -

lt2015년 1월 12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7 -

lt활동 결과 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8 -

9 설문조사 통계 분석 (설문조사 응답 수분석결과)

9-1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결과gt

설문 조사 질문지 양식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12)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③ 마트(5) ④ 홈쇼핑(6)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9 -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gt

9-2 설문조사 항목 별 의견 및 추측

설문 조사 질문지 항목 (최다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② 20 ~ 25세 (13)

0

5

10

15

20

25

30

20대 이하 20세~24세 25세~29세 30세~39세 40대 이상

rarr 시먼딩은 대만의 홍대거리라 불리는 lsquo융캉제rsquo나 서울의 lsquo명동rsquo과 같이 젊은 층이 주로 활동하는 지역이다 설문조사 중에도 교복이나 체육복을 입은 학생들과 길거리에서 쇼핑을 즐기는 20대가 즐비할 만큼 활기 있는 거리다 덥고 습한 대만 기후 특성 상 과거엔 화장법이 크게 발전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국의 자연스러운 화장법이 큰 인기를 끌면서 시먼딩에 화장품 거리가 조성되어 있을 만큼 유동 인구가 많다 이 점으로 추측해보았을 때 압도적으로 10대와 20대 층이 많은 응답 수를 기록했다고 본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0 -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051015202530

온라인 화장품전문매장 마트 홈쇼핑 방문판매

rarr 대만 또한 한국과 비슷하게 시내에 많은 수의 화장품 전문매장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접근성이 굉장히 높았다 더불어 각 화장품 매장에서는 상품 할인과 같은 각종 프로모션을 진행하기 때문에 구매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 구매한다는 대답도 높은 편이었는데 거의 대부분이 와이파이존이어서 어디서나 인터넷을 한 활발히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온라인에서의 구매율도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0

5

10

15

20

25

30

NT$300 미만 NT$300~NT899 NT$900~NT$1499 NT$1500~NT2999 NT$3000

rarr 응답자들은 대부분이 한 달 간 화장품에 쓰는 돈을 최저 1만원 이상(NT$300 이상)이라고 답했는데 이는 70가 넘어가는 결과로 화장품에 대한 지출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만원 이상이라고 대답한 응답자들 또한 4분의 1을 넘기는데 이것은 젊은 연령층부터 시작하여 최근 피부 관리와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대만의 소비 수준에 대비하여 화장품 소비율이 높은 것도 이 때문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1 -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③ 성능(23)

051015202530

가격 디자인 성능 화장품 모델 브랜드

rarr 아열대 기후에 속하는 대만은 높은 기온과 습한 날씨 탓에 에어컨 환경에 자주 노출돼 피부 수분을 잃기 쉬워 기능성 화장품의 소비가 두드러진다 대만 화장품 시장은 토너 세럼 에센스 로션 크림 등의 모든 스킨케어 제품들이 보습기능을 강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백이나 안티에이징 리프팅 저자극 오일프리(Oil-free) 등의 기능까지 추가된 스킨케어 제품들이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조 화장품 소비가 늘어난 것은 최근 몇 년 들어 다양한 화장품 브랜드 접촉기회가 많아지고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젊은 여성의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색조화장품 또한 메이크업베이스와 BB크림 립스틱과 같은 베이스 메이크업이 수요가 많았다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④인터넷(22)

0

5

10

15

20

25

30

TV 잡지 친구 인터넷 메이크업샵

rarr 최근 빠른 인터넷망과 스마트폰 태블릿PC의 보급으로 인해 사람들과 사람사이의 연결망이 견고히 형성되고 있고 이것이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방법을 얻는 경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만 소비자들은 주로 인터넷 블로그 가족과 친구로부터 메이크업 정보를 획득 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만의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이므로 입소문마케팅과 판매를 바로바로 할 수 있는 유통구조가 도움이 될 것 같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2 -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0

5

10

15

20

25

30

청순 독특 귀여움 섹시

rarr 앞서 살펴보았듯이 대만은 한국과 비슷한 메이크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이것은 곧 청순한 메이크업 컨셉에 관심 있어 한다는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실제로 대만 여성소비자들은 깨끗한 피부 NATURAL한 베이스메이크업을 선호한다 한 듯 안 한 듯 자연스럽고 깨끗한 느낌의 한국식 lsquo생얼rsquo 화장법은 대만에서 한국 드라마 열풍과 함께 유명세를 타기 시작해 현지 각종 온라인 뷰티 사이트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래서 응답의 대부분이 한 곳에 치우쳤고 비교적 개성 있는 메이크업 방법이 드물 것이라는 것을 유추해낼 수 있다

본 설문 조사를 통한 한국 화장품 기업에 대한 시사점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수입 절차로 오랜 시간을 허비해야 하는 반면 대만은 자외선 차단제 성분 함유 제품과 약용 화장품을 제외한 일반 화장품은 별도의 수입 검사 없이 수입할 수 있으므로 대개 중국보다 1~2년 먼저 신상품이 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한류 효과를 겨냥한 중화권 화장품 시장으로 대만을 우선 공략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대만은 대부분이 화장품에 대한 소비를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고 한국 화장품이 많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시장 접근법만 제대로 수립하면 매출이 나는 구조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대만인들이 선호하는 메이크업 방법이 한국과 비슷하기 때문에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은 마케팅 방안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최종분석설문 조사 대상은 대부분 10대~20대의 연령층이었으며 화장품의 주된 구입경로는 lsquo온라인(24)rsquo과 lsquo화장품 전문매장(50)rsquo이 압도적이었다 더불어 한 달 간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lsquo1만 원 이상(72)rsquo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이것은 실제 생활수준에 대비하여 높은 소비량이므로 대만의 화장품 시장 전망이 밝다고 할 수 있다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부분은 lsquo성능(46)rsquo이었는데 이는 스타트업 기업 중소기업에게 유리한 조건이다 메이크업 방법을 얻는 방법으로는 lsquo인터넷(44)rsquo과 lsquo친구(30)rsquo가 높은 비율을 차지했는데 판촉활동으로는 인터넷을 활용한 SNS 홍보 바이럴 마케팅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가장 관심있는 화장 컨셉은 lsquo청순rsquo 이었고 이것은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와 맞물려 우리나라와 비슷한 메이크업 방법을 추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3 -

10 대만 명소 소개 (명소음식행사숙소 소개)

10-1 고궁박물관

대만 고궁박물원은 영국의 대영 박물관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 미국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과 함께 세계 4대 박물관으로 손꼽힐 만큼 세계적은 소장 문물을 자랑한다 건물 규모는 그다지 크지 않지만 소장한 문물의 질과 양은 세계 최상급이다 중화 보물 중에서도 최고의 보물들이 모여 있어 진귀하기 그지없고 수량 역시 워낙 방대하여 3개월 단위로 1만여점을 돌아가면서 전시해도 다보려면 10년이 넘게 걸린다고 전해지고 있다 중국의 국공내전 당시 장제스가 이끌던 중국 국민당이 전쟁에서 패하며 중국을 탈출해 대만으로 향했다 당시 장제스는 난징에 있던 정부를 타이페이로 이전하면서 자금성에 보관되어있던 중국역대 왕조 보물 수십만 점을 배를 이용해 운반해 왔다 중국의 유물을 가진 자가 진정한 통치자라고 생각했던 장제스는 ldquo공산군에게 영토는 내줘도 문화유산만큼은 내줄 수 없다ldquo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대표적인 유물은 취옥배추 육형석 모공정 산씨반 등이 있다

10-2 용산사

루강의 초입에 있는 이 사찰은 타이완에서 가장 오래되고 아름답다고 하여 타이완의 자금성이라고 부른다 각 건물의 기둥 벽 그리고 천장 등에 새겨진 조각은 특히 빼어나다 이 조각상과 함께 이곳의 명물로 알려진 것은 사찰 경내에 있는 2마리의 용상인데 삼천전 앞마당 좌우에 서서 룽산사를 호위하고 있다

10-3 타이페이 101 빌딩

타이베이 101빌딩rsquo이라 부르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로서 빌딩 모습은 하늘로 뻗어나가는 대나무 위에 꽃잎이 겹겹이 포개진 형상이다 본래 타이베이 금융기관이 모인 건물이지만 대형 쇼핑센터와 푸드코트 고급 레스토랑이 있어 여행자들이 많이 찾는다 건물에는 8개 마디가 있는데 이는 중화 문화권에서 부와 번영을 의미하는 숫자 lsquo8rsquo을 염두에 둔 것이다 타이베이 시내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는 높이 508m로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히는 높은 건물이다 지상 1~5층에는 소고 백화점 뷰티 플라자 애버뉴 101 등 다양한 패션∙뷰티용품을 구입할 수 있는 상점이 있다 또한 레스토랑 시티 스퀘어 대형 서점 등 쇼핑과 오락 식사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복합시설이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4 -

잘 알려진 식당으로는 딘 타이 펑(Din Tai Fung) 이 있다 101타워 지하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샤오롱바오(고기만두) 새우 샤오마이(새우만두) 탄탄면(우육면)이 가장 대표적인 메뉴이며 대만에 방문한 많은 사람들이 찾는 식당이다

10-4 지우펀

대만여행의 백미로 꼽히는 지우펀은 타이페이시 북부의 루이팡 지역의 작은 산골 마을로 과거에는 아홉가구만 살고 있어서 지우펀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예전에는 작은 산골 마을에 불과 했지만 이 지역에서 금맥이 발견되면서 호황을 맞이하게 된다 특히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일본풍의 건물들이 남아 있어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결합된 독특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비탈길을 따라 하늘로 이어진 예스러운 건물 그리고 골목마다 빨간 홍등과 함께 묻어나는 옛 풍경은 여행객들에게 인기 여행지이다

10-5 스린야시장

타이베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야시장 가운데 하나이다 독특하면서도 다양한 전통 먹을거리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이곳을 찾는 관광객이 많다 시장 부근에 학교가 많아 학생들이 많이 찾으며 포장마차 등의 노점상이 많아 가격도 저렴하다 칭런샹[情人巷]에는 가구 의류 액세서리 사진현상점 애완용품점 등이 모여 있어 학생뿐 아니라 관광객들도 자주 찾는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5 -

10-6 예류 지질 공원

타이완 북해안에 자리한 예류는 해수욕장과 온천 기암괴석으로 유명한 관광지다 특히 예류지질공원은 희귀한 모형의 바위와 암석이 모여 있어 예류 관광의 필수코스로 꼽힌다 작은 곶으로 된 예류지질공원은 침식과 풍화 작용을 거쳐 자연적으로 형성된 기암을 보러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지질공원으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것이 선상암 군락이다 암석 하나하나의 모습은 마치 거대한 버섯이 큰 머리로 하늘을 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선상암 가운데 가장 유명한 암석은 이집트 왕비의 옆모습을 닮은 여왕 두상 바위다

10-7 스펀(Shifen)

스펀(十分)은 옛 광산마을로써 천으로 만든 등이 유명하다 또한 이 곳 스펀은 대만 최대의 폭포 스펀(SE-FEN) 폭포가 있다 미니기차와 천으로 만든 등을 날릴 수도 있다 마을의 한가운데 긴 철길이 놓여 있고 30분에 한 대씩 기차가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것도 볼 수가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6 -

10-8 진과스(金瓜石)

진과스(金瓜石)는 타이완 타이베이 근교에 있는 옛 탄광 유적이다 20세기 전반에 금 채굴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20세기 후반에 금이 차차 고갈되기 시작하자 점점 위축되어 폐광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관광 명소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하루에도 수백명이 들렀다 가는 대만의 대표 관광지이다 진과스 내에 있는 황금 박물관에는 220kg 의 금이 전시 되어 있는데 손을 넣어 직접 만져 볼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진과스에서는 과거 광부들이 먹었던 도시락을 그대로 만들어 판매하는 광부 도시락도 굉장히 인기가 많다

10-9 국립 성공대학

대만의 타이난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1931년에 개교하였다 2010년 QS대학순위에서 283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대만 대학중 2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총 9개의 캠퍼스로 이루어져 있어 굉장히 큰 면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만 교육청에서 인정한 9개의 주요대학 중 하나이고 대만 기업체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학이다 이공계열이 가장 뛰어나며 중문 역사 법학 경제학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10 시먼딩

타이베이시에 위치한 시먼딩은 한국의 명동과 같은 거리이다 대한민국의 명동에도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과 외국인이 많다고 알려져 있는데 시먼딩 또한 명동 못지않은 다양함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대만의 패션과 놀이 문화 음식 등을 한눈에 경험 할 수 있는 공간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7 -

10-11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

중정기념당은 타이완 총통 장제스(蔣介石)를 기리는 전당이다 lsquo중정rsquo은 장제스의 본명이다 그가 서거한 후 1980년 기념당을 세웠다 25만에 이르는 넓은 중정공원 안에 우뚝 선 높이 70m의 기념물이 중정기념당이다 기념당 1층에는 장제스 생애를 엿볼 수 있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거대한 장제스 동상은 항상 근위병이 동상 앞을 지키고 있다 중정공원 안에는 중정기념당 외에 국립 희극원과 국립 음악청이 있는데 이곳에서 연극과 콘서트를 한다 공원 조경 또한 잘 조성되어 있어 산책하며 천천히 둘러보기에 좋다

10-12 안핑지구(安平地區)

대만의 문화와 역사는 안핑지구에서 시작되었다 안핑구바오는 17세기 중엽 네덜란드인들이 지은 요새로 정성공이 빼앗아 번영하다가 황폐해져 지금은 보루의 대부분이 없어지고 설탕과 굴껍데기와 찹쌀가루를 버무려 만든 빨간벽돌로 된 장벽(臺灣城殘蹟)만이 남아 나무뿌리와 존립의 사투를 벌이고 있다 감시탑 옆 건물 안에는 네덜란드와 정성공의 전투에 대한 이야기와 중세갑옷 등이 전시 중이다 이 주변에는 대만에서 가장 오래된 상업거리 옌핑제(延平街)가 있는데 옛 명성이 다한 거리의 골목 사이사이 수백년 된 가옥을 구경하는 것도 소소한 즐거움이다 1867년 영국인 상점과 물류창고로 이용하던 건물에 노용수(老榕樹)가 멋대로 자라 건물을 집어삼키듯 뒤덮은 나무집으로 불리는 안핑수우도 안핑지구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진귀한 볼거리다

10-13 미라마 관람차

대만에서 가장 큰 관람차로 알려져 있는 미라마 관람차는 타이페이 시의 야경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관람차 크기가 큰 것으로 유명하지만 가격 또한 저렴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유스트래블 카드를 이용하면 50 할인이 적용되므로 꼭 지참하도록 하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8 -

lt미라마 관람차 티켓gt lt유스트래블 카드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9 -

11 시사점 및 차후 활용계획 (LGC 프로그램을 통한 구체적인 효과 및 연구결과)

11-1 LGC 프로젝트 만족도

구분 항목 전 후 한줄 평

사업단

프로젝트 취지- 린튼 글로벌 학과와 경영정보학과 학생들이 함께

하는 프로젝트 해외시장탐방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사전교육 활동- 출국 전 각 나라에 대한 유의사항 안전교육이 체

계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개략적인 보고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었다

행정지원 절차- CK사업단 린튼 글로벌 학과 경영정보학과 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히 되지 않아 사전 계획에서 많은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협동력 향상- 출발 전 잦은 팀 회의와 8박 9일 간에 일정에도

불구하고 불화 없이 좋은 분위기 속에서 프로젝트를 완수 했다

추진력 향상- 일정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 한 점 추가 자료조

사를 위해 현지에서 새로운 일정을 추가 됐을 때 팀원들이 일사불란하게 따라주었다

문제해결 능력- 교통편 문제와 기업 측 내부 문제로 일부 일정에

변동이 있었지만 신속한 조율과 전화 통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개인

동기부여 자극- 현지인들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국어 영어 능

력의 필요성을 실감했다 특히 중국어는 소통 유무에 따라 현지 반응이 극명하게 갈렸다

진로설계 도움- 프로젝트 전에 비해 새로운 직업 분야에 대한 관심

이 증가했다

취업능력 향상-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한 내용을 살려 구술 면접이

나 자기소개서 작성에 참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11-2 LGC프로젝트 연구 결과 - 대만 시장

⓵ 중국시장을 주목하는 대만 화장품 기업- EST팀은 현지 대만 화장품 기업으로 SISDORA와 WABFENIX를 선택했다 두 회사를 선정한 배경에는

명확한 의도를 두고 정했다 SISDORA는 설립한 지 10년이 넘는 회사로 직접 화장품을 개발 및 연구하고 판매하는 중소기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과 주름개선 크림으로 중년 여성을 타깃 층으로 하는 화장품 회사다 반면 WABFENIX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스타트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 이지만 기술개발 보다는 디자인 마케팅에 중점을 두었고 판매 층도 10대-20대의 젊은 층을 타깃 층으로 한다 시장 전략이 완연히 다른 두 기업이 유일하게 공통점이 있다면 중국시장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선정 이유에는 많은 인구의 소비력을 꼽지만 뒤이어 언급하는 이야기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자사 제품의 경쟁력 약화를 말한다 현재 대만 기업 대부분은 내수 시장 대신에 중국을 겨냥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국가 산업 특성상 제조amp연구 분야가 강세인 대만에서는 중국 바이어 또는 미국 유럽 바이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직접 판매 보다는 기술 협력을 통해 이익을 창출한다고 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0 -

⓶ 대만 시장을 점령한 한국 화장품

- 앞서 말했듯이 2012년 이후부터 급속히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한국 화장품은 대만 시장을 점령하고 있다 이미 시먼딩에 들어서면 다양한 한국 화장품 매장이 눈에 띌 만큼 들어섰으며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중앙 광장에 입점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매장 안에는 많은 대만 사람들이 화장품을 보고 있는 광경을 흔히 본다 화장품 매장을 이용하는 연령층은 주로 10대-20대들이다 화장품 가격이 한국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주 애용하는 이유는 한류 열풍으로 인한 한국 연예인들에 대한 관심과 화장법이 크게 유행하고 있음을 현지 설문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⓷ 체감할 수 있을 만큼 커다란 한류열풍

- 뉴스에서만 듣던 한류 이야기를 대만에서 직접 느낄 수 있을 정도로 한류열풍은 크다 특히 삼성이나 LG의 TV나 스마트폰은 어딜 가든 항상 보이고 한국 화장품 선물에 대한 반응이 무척이나 뜨겁다 원활한 현지 조사를 위하여 사은품으로 준비한 한국 마스크 팩 100개는 오히려 현지인들이 참여 의사를 표현할 만큼 열정적이었다 일부 대만 사람 중에는 어디서 왔냐는 질문에 한국이라는 답변을 하니 같이 사진 찍기를 제안하기도 했다

⓸ 중소기업에게 있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는 대만 시장진출- 대만 시장 진출에 앞서 한국 화장품 중소기업이라면 전략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크게 대만 시장을 겨냥

할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할지 선택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3CE는 한국 화장품 회사다 대만에서 젊은 연령층이 자주 이용하고 이미 대만 내에서는 유명하다 3CE는 오프라인 매장 없이 순수 온라인 매장으로 운영하면서 대만 사람들을 위한 전용 웹사이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윤을 창출 하고 있다 신중해야 할 점은 현재 온라인 오프라인 등 한국 화장품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신규 진입에 있어서 장벽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대만 시장을 활용한다면 동남아 시장까지 한 번에 내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출입통관 절차가 간단하고 관세가 낮기 때문에 중소기업에게 유리하다 아직까지 중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1 -

에 대한 직접적인 수출이 가능한 곳은 상해나 항주 같이 중국에서 허가한 무역항 도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내륙까지 시장을 확대하기는 불가능하지만 같은 언어권인 대만을 거치면 보다 쉽게 바이어나 에이전트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인맥을 통한 꽌시와 수수료 명목으로 뒷돈을 요구하는 중국 바이어의 관행은 자금 순환이 원활치 않은 중소기업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11-3 LGC 프로젝트 종합 의견 및 전망

우리 lsquoEST팀은 출국 전 국내 화장품 시장 조사를 할 때 대덕 밸리 스타트업 기업 셀아이콘 랩의 영향으로 대만의 화장품 산업에 대해 큰 관심과 가능성을 보고 2015년 1월 5일부터 1월 13일까지 8박9일이라는 시간동안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 나라 중에 하나인 대만에서 rsquo대만의 화장품 시장lsquo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사를 했다 대만에서는 3개의 기업 (KOTRA SISDORA WABFENIX) 을 방문해 전반적인 대만의 화장품 시장과 판매전략 한류에 대한 보다 사실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1개의 대학 (국립성공대학 國立成功大學)에서 MBA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또 타이난에서는 대만에서 오랫동안 사업하시는 한인협회 회장을 만나 PLC (Product Life Cycle)를 통해 대만에서의 특정 시장이 도입기에 있는지 또 어떠한 시장이 쇠퇴기에 놓여있는지 다양한 시야에서 대만시장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노력은 CK 사업단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교육부 CK-1 프로젝트의 일부인 Linton Global Challenge는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몇 년을 내다보는 지속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기업들과 더욱 더 활발한 교류와 연구를 한다면 기업과 CK 사업단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리라고 본다

1 개인 탐방 후기 (팀원 개인 소감)

1-1 개인 탐방 후기

강성민탐방 후기 기업 컨택 부터 인터뷰 일정 계획까지 8박 9일간의 대만 화장품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 출국 전까지 준비 과정부터 탈도 많았고 대만에 와서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 원하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매일이 항상 회의와 고민의 연속이었다 하루하루 충실히 계획을 진행시켜 나갔고 좋은 팀 분위기 속에서 무사히 대만 프로

부록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2 -

젝트를 완수했다 그리고 마침내 한국으로 돌아왔다 과정은 항상 오르막 길이였지만 돌이켜 보면 마지막 대학 시절을 기념할만한 좋은 추억이자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느끼는 바가 많았던 프로젝트로 기억 될 것이다

김은진탐방 후기 글로벌 챌린지를 한마디로 정의하라고 한다면 도종환 시인의 lsquo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lsquo라는 시가 떠오른다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대만기업컨택 설문조사 등 많은 것을 경험했다 처음엔 모든 것이 나에겐 버거운 산이라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도전이 계속 될수록 이젠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이 모든 도전들에 흥미가 생겼다 나 자신도 책임감과 자신감이 생기고 한층 성숙해 진 것을 내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소중한 동료와 추억은 평생 나의 가슴속에 남을 것이다 우린 앞으로도 많이 도전하고 경험하여 우리들의 삶이 활짝 만개하리라 다짐한다 끊임없이 도전하는 20대의 청춘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프로그램이었다 김종선탐방 후기 한국에서 준비하면서 조사했던 내용과 비교하며 인터뷰를 해보니 실제로 많이 다른 부분도 있었고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 비슷한 내용도 있었다 현지의 기업들을 방문해 우리가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직접 매장에 가서 느껴보니 앉아서 컴퓨터만 볼 때랑 많이 달랐다 그리고 직접 대만인들에게 설문조사를 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그리고 대만의 실제 문화와 환경 그들의 생활을 잠시나마 볼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

구명우탐방 후기 며칠간의 꿈만 같았던 대만에서의 시간이 지나갔다 대만으로 출국하기 전 사전조사 기간에는 확신이 없었다 사전조사와 기업과의 인터뷰 그리고 9일간의 일정조율 및 숙박과 모든 대만에서의 연구와 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보고서까지 무엇하나 확신이 드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도전과 해결능력을 배웠고 아시아에서 급성장 중인 대만에 대해서 배우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다음기수로 가게 될 관심 있는 학우들에게 진심으로 추천해주고 싶다

이규현탐방 후기 CK-1 프로그램 중 하나인 lsquo린튼 글로벌 챌린지lsquo 프로그램을 통해 약 8박 9일이라는 시간 동안 emerging market 중 하나인 대만에 거주하면서 한국 화장품의 대만시장 점유율과 진출 가능성을 몸으로 체감하고 자료들을 모아 통계 내어 정리할 수 있었다 우리 팀 lsquoEST가 성공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충분한 국내조사 기간을 갖고 대만의 화장품 회사들을 방문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대만의 특정한 기업을 찾기도 어려웠고 기업 컨택은 번번히 거절당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회사 두 군데에서는 답장조차 오지 않았고 설문조사할 때에는 반한감정의 대만인을 만나 고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팀의 단결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리더의 통솔력으로 정해진 스케줄대로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회사를 방문하고 학교교수를 만나고 길거리에서 설문조사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팀원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또한 대학생으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을 한 것 같아서 스스로도 너무 뿌듯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팀을 믿고 지지해주신 LGSB 교수님들과 CK-1 프로그램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영은탐방 후기 처음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렇게 준비는 열심히 하지만 정말 우리가 계획한 100대로 대만을 다녀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기우가 무색하게도 대만은 우리에게 기획안 그 이상의 것들을 보여주었다 사장님들의 생생한 사업 이야기와 대만의 색채가 묻어있는 아이템들 하며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여 알아보는 비즈니스 마켓의 현장은 나에게 두고두고 잊지 못할 자산으로 남았다 또한 펑리수 버블티를 비롯한 대만의 맛있는 먹거리들과 스린 야시장이나 지우펀 같은 명소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열심히 고생해준 팀원들과의 추억들도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3 -

이서우탐방 후기 이번 글로벌 첼린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서 쉽게 할 수 없는 해외 기업 탐방과 해당 국가의 산업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임효진탐방 후기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팀이 대만을 방문 한다고 했을 때 많이 의아해 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만을 직접 방문해보고 많은 사업자들을 만난 결과 대만은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라고 생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아직 공산주의라는 정치적 특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다른 곳보다 훨씬 어렵지만 대만은 자유시장체제 이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쉽다 특히 외국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만 시장에서 한국제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추고 중국 시장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성공가능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그리고 대만의 바이어들을 통해 중국의 시장진출을 하게 된다면 사업자가 직접 중국시장에 진출 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성공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만은 문화적으로 다른 아시아권보다 선진화 되었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대도시에 속하지만 모두다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골고루 섞여 대만만의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차안호탐방 후기 9박 10일간의 대만을 다녀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넓고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이번 대만 여행은 처음으로 경험한 해외여행 경험이여서 그런지 순탄치 않은 면도 있었지만 팀원들 서로가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만시장은 중국시장으로 가기위한 좋은 시험의 장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대만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영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더 나아가 미래에는 중국어야말로 영어와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성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또 하나 놀란 점은 대만이 반 한류 감정을 많이 갖고 있는 줄 알았지만 대부분의 대만 일반 시민들이 굉장히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에 놀랐고 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CK-1 사업의 챌린지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대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계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보완점 및 건의사항 (문제점개선책건의사항)

2-1 기업 컨택의 어려움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에 있는 기업과 연결하여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대해서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조사 및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시간을 내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로써 그들의 귀한시간이 아깝게 쓰이지 않을 것을 강조하여 만남을 만들어야 한다

2-2 사업단과 의사소통의 불편함

Challeng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CK-1 사업단과의 지속되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가령 누군가를 통해서 전해지는 소문이나 촉박한 시간을 제시하고 일 처리를 원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단과 각 팀의 대표간의 분명한 의사소통과 증빙자료 등이 필요하다

2-3 정보 부재 이번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이머징 마켓에서의 유망 산업 조사 및 연구였다 대만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32: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2 -

국 소비문화가 ldquo높은 가격은 높은 품질의 제품이다ldquo라는 심리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Wabfenix의 경우에는 신생기업이라 많은 투자 금액이 없을 뿐 더러 대만 화장품 시장에 진출하기에는 리스크가

크고 진입 장벽이 높습니다 그리고 이미 한국 화장품 기업들이 대부분 점유를 한 상황이기 때문에 대만 내수시장에만 집중하기에는 경쟁력이 부족하죠 그래서 중국을 주력 수출시장으로 삼고 있는데요 저희는 제품 성능 보다는 소비자의 이목을 끌 수 있는 디자인에 더 많은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중국에 Wabfenix만의 화장품 선물 문화를 정착 시키는 것이 목적인데요 높은 제품 가격만큼 소비자의 관심을 끌 수 있고 선물 문화나 꽌시(关系)가 많은 중국 문화 특성에 맞추어 선물용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중국 시장은 현재 젊은 중산층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품질이 낮은 화장품 보다는 수입 화장품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점으로 미루어볼 때 높은 가격 차별화와 Wabfenix만의 디자인 마케팅은 좋은 경쟁력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3 -

8 현지 시장조사 활동 (시장동향사진설문조사 자료)

8-1 시먼딩 설문조사

목적 대만 사람들의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및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대상 10대~20대 여성 및 화장품 전문매장 종사자장소 시먼딩시간 2015년 1월 7일 12일 총 두 차례에 걸쳐 진행방법 ①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 판넬에 국가별로 메이크업 사진을 표시하고 스티커를 붙이는 방식으로 투표함 공정성을 위해 국가 이름은 블라인드로 처리하였고 모두 동일 인물의 사진을 사용함②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표본집단을 50명으로 설정함 설문조사가 끝나면 사은품으로 한국 브랜드 마스크팩 증정함

8-2 사전 기획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판넬 기획도gt

化妝辦法喜好度的調查화장법 선호도 조사

大家給自己喜歡的化妝貼貼紙 여러분이 선호하는 메이크업에 스티커를 붙여 주세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4 -

대만의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안녕하십니까

다음의 내용은 대만 화장품 트렌드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자 관련조사를 실시하고자 하오니

있는 그대로의 생각을 기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귀하의 응답은 통계적 목적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본 설문은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물음에 대한 답변이나 해당란에 v 표를 해 주십시오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7) ② 화장품 전문매장(34) ③ 마트(5) ④ 홈쇼핑(2)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합계 총 50 명

바쁘신 시간에 의견을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지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5 -

8-3 설문조사 활동

lt2015년 1월 7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6 -

lt2015년 1월 12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7 -

lt활동 결과 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8 -

9 설문조사 통계 분석 (설문조사 응답 수분석결과)

9-1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결과gt

설문 조사 질문지 양식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12)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③ 마트(5) ④ 홈쇼핑(6)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9 -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gt

9-2 설문조사 항목 별 의견 및 추측

설문 조사 질문지 항목 (최다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② 20 ~ 25세 (13)

0

5

10

15

20

25

30

20대 이하 20세~24세 25세~29세 30세~39세 40대 이상

rarr 시먼딩은 대만의 홍대거리라 불리는 lsquo융캉제rsquo나 서울의 lsquo명동rsquo과 같이 젊은 층이 주로 활동하는 지역이다 설문조사 중에도 교복이나 체육복을 입은 학생들과 길거리에서 쇼핑을 즐기는 20대가 즐비할 만큼 활기 있는 거리다 덥고 습한 대만 기후 특성 상 과거엔 화장법이 크게 발전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국의 자연스러운 화장법이 큰 인기를 끌면서 시먼딩에 화장품 거리가 조성되어 있을 만큼 유동 인구가 많다 이 점으로 추측해보았을 때 압도적으로 10대와 20대 층이 많은 응답 수를 기록했다고 본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0 -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051015202530

온라인 화장품전문매장 마트 홈쇼핑 방문판매

rarr 대만 또한 한국과 비슷하게 시내에 많은 수의 화장품 전문매장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접근성이 굉장히 높았다 더불어 각 화장품 매장에서는 상품 할인과 같은 각종 프로모션을 진행하기 때문에 구매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 구매한다는 대답도 높은 편이었는데 거의 대부분이 와이파이존이어서 어디서나 인터넷을 한 활발히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온라인에서의 구매율도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0

5

10

15

20

25

30

NT$300 미만 NT$300~NT899 NT$900~NT$1499 NT$1500~NT2999 NT$3000

rarr 응답자들은 대부분이 한 달 간 화장품에 쓰는 돈을 최저 1만원 이상(NT$300 이상)이라고 답했는데 이는 70가 넘어가는 결과로 화장품에 대한 지출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만원 이상이라고 대답한 응답자들 또한 4분의 1을 넘기는데 이것은 젊은 연령층부터 시작하여 최근 피부 관리와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대만의 소비 수준에 대비하여 화장품 소비율이 높은 것도 이 때문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1 -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③ 성능(23)

051015202530

가격 디자인 성능 화장품 모델 브랜드

rarr 아열대 기후에 속하는 대만은 높은 기온과 습한 날씨 탓에 에어컨 환경에 자주 노출돼 피부 수분을 잃기 쉬워 기능성 화장품의 소비가 두드러진다 대만 화장품 시장은 토너 세럼 에센스 로션 크림 등의 모든 스킨케어 제품들이 보습기능을 강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백이나 안티에이징 리프팅 저자극 오일프리(Oil-free) 등의 기능까지 추가된 스킨케어 제품들이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조 화장품 소비가 늘어난 것은 최근 몇 년 들어 다양한 화장품 브랜드 접촉기회가 많아지고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젊은 여성의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색조화장품 또한 메이크업베이스와 BB크림 립스틱과 같은 베이스 메이크업이 수요가 많았다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④인터넷(22)

0

5

10

15

20

25

30

TV 잡지 친구 인터넷 메이크업샵

rarr 최근 빠른 인터넷망과 스마트폰 태블릿PC의 보급으로 인해 사람들과 사람사이의 연결망이 견고히 형성되고 있고 이것이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방법을 얻는 경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만 소비자들은 주로 인터넷 블로그 가족과 친구로부터 메이크업 정보를 획득 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만의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이므로 입소문마케팅과 판매를 바로바로 할 수 있는 유통구조가 도움이 될 것 같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2 -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0

5

10

15

20

25

30

청순 독특 귀여움 섹시

rarr 앞서 살펴보았듯이 대만은 한국과 비슷한 메이크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이것은 곧 청순한 메이크업 컨셉에 관심 있어 한다는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실제로 대만 여성소비자들은 깨끗한 피부 NATURAL한 베이스메이크업을 선호한다 한 듯 안 한 듯 자연스럽고 깨끗한 느낌의 한국식 lsquo생얼rsquo 화장법은 대만에서 한국 드라마 열풍과 함께 유명세를 타기 시작해 현지 각종 온라인 뷰티 사이트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래서 응답의 대부분이 한 곳에 치우쳤고 비교적 개성 있는 메이크업 방법이 드물 것이라는 것을 유추해낼 수 있다

본 설문 조사를 통한 한국 화장품 기업에 대한 시사점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수입 절차로 오랜 시간을 허비해야 하는 반면 대만은 자외선 차단제 성분 함유 제품과 약용 화장품을 제외한 일반 화장품은 별도의 수입 검사 없이 수입할 수 있으므로 대개 중국보다 1~2년 먼저 신상품이 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한류 효과를 겨냥한 중화권 화장품 시장으로 대만을 우선 공략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대만은 대부분이 화장품에 대한 소비를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고 한국 화장품이 많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시장 접근법만 제대로 수립하면 매출이 나는 구조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대만인들이 선호하는 메이크업 방법이 한국과 비슷하기 때문에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은 마케팅 방안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최종분석설문 조사 대상은 대부분 10대~20대의 연령층이었으며 화장품의 주된 구입경로는 lsquo온라인(24)rsquo과 lsquo화장품 전문매장(50)rsquo이 압도적이었다 더불어 한 달 간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lsquo1만 원 이상(72)rsquo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이것은 실제 생활수준에 대비하여 높은 소비량이므로 대만의 화장품 시장 전망이 밝다고 할 수 있다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부분은 lsquo성능(46)rsquo이었는데 이는 스타트업 기업 중소기업에게 유리한 조건이다 메이크업 방법을 얻는 방법으로는 lsquo인터넷(44)rsquo과 lsquo친구(30)rsquo가 높은 비율을 차지했는데 판촉활동으로는 인터넷을 활용한 SNS 홍보 바이럴 마케팅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가장 관심있는 화장 컨셉은 lsquo청순rsquo 이었고 이것은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와 맞물려 우리나라와 비슷한 메이크업 방법을 추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3 -

10 대만 명소 소개 (명소음식행사숙소 소개)

10-1 고궁박물관

대만 고궁박물원은 영국의 대영 박물관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 미국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과 함께 세계 4대 박물관으로 손꼽힐 만큼 세계적은 소장 문물을 자랑한다 건물 규모는 그다지 크지 않지만 소장한 문물의 질과 양은 세계 최상급이다 중화 보물 중에서도 최고의 보물들이 모여 있어 진귀하기 그지없고 수량 역시 워낙 방대하여 3개월 단위로 1만여점을 돌아가면서 전시해도 다보려면 10년이 넘게 걸린다고 전해지고 있다 중국의 국공내전 당시 장제스가 이끌던 중국 국민당이 전쟁에서 패하며 중국을 탈출해 대만으로 향했다 당시 장제스는 난징에 있던 정부를 타이페이로 이전하면서 자금성에 보관되어있던 중국역대 왕조 보물 수십만 점을 배를 이용해 운반해 왔다 중국의 유물을 가진 자가 진정한 통치자라고 생각했던 장제스는 ldquo공산군에게 영토는 내줘도 문화유산만큼은 내줄 수 없다ldquo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대표적인 유물은 취옥배추 육형석 모공정 산씨반 등이 있다

10-2 용산사

루강의 초입에 있는 이 사찰은 타이완에서 가장 오래되고 아름답다고 하여 타이완의 자금성이라고 부른다 각 건물의 기둥 벽 그리고 천장 등에 새겨진 조각은 특히 빼어나다 이 조각상과 함께 이곳의 명물로 알려진 것은 사찰 경내에 있는 2마리의 용상인데 삼천전 앞마당 좌우에 서서 룽산사를 호위하고 있다

10-3 타이페이 101 빌딩

타이베이 101빌딩rsquo이라 부르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로서 빌딩 모습은 하늘로 뻗어나가는 대나무 위에 꽃잎이 겹겹이 포개진 형상이다 본래 타이베이 금융기관이 모인 건물이지만 대형 쇼핑센터와 푸드코트 고급 레스토랑이 있어 여행자들이 많이 찾는다 건물에는 8개 마디가 있는데 이는 중화 문화권에서 부와 번영을 의미하는 숫자 lsquo8rsquo을 염두에 둔 것이다 타이베이 시내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는 높이 508m로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히는 높은 건물이다 지상 1~5층에는 소고 백화점 뷰티 플라자 애버뉴 101 등 다양한 패션∙뷰티용품을 구입할 수 있는 상점이 있다 또한 레스토랑 시티 스퀘어 대형 서점 등 쇼핑과 오락 식사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복합시설이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4 -

잘 알려진 식당으로는 딘 타이 펑(Din Tai Fung) 이 있다 101타워 지하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샤오롱바오(고기만두) 새우 샤오마이(새우만두) 탄탄면(우육면)이 가장 대표적인 메뉴이며 대만에 방문한 많은 사람들이 찾는 식당이다

10-4 지우펀

대만여행의 백미로 꼽히는 지우펀은 타이페이시 북부의 루이팡 지역의 작은 산골 마을로 과거에는 아홉가구만 살고 있어서 지우펀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예전에는 작은 산골 마을에 불과 했지만 이 지역에서 금맥이 발견되면서 호황을 맞이하게 된다 특히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일본풍의 건물들이 남아 있어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결합된 독특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비탈길을 따라 하늘로 이어진 예스러운 건물 그리고 골목마다 빨간 홍등과 함께 묻어나는 옛 풍경은 여행객들에게 인기 여행지이다

10-5 스린야시장

타이베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야시장 가운데 하나이다 독특하면서도 다양한 전통 먹을거리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이곳을 찾는 관광객이 많다 시장 부근에 학교가 많아 학생들이 많이 찾으며 포장마차 등의 노점상이 많아 가격도 저렴하다 칭런샹[情人巷]에는 가구 의류 액세서리 사진현상점 애완용품점 등이 모여 있어 학생뿐 아니라 관광객들도 자주 찾는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5 -

10-6 예류 지질 공원

타이완 북해안에 자리한 예류는 해수욕장과 온천 기암괴석으로 유명한 관광지다 특히 예류지질공원은 희귀한 모형의 바위와 암석이 모여 있어 예류 관광의 필수코스로 꼽힌다 작은 곶으로 된 예류지질공원은 침식과 풍화 작용을 거쳐 자연적으로 형성된 기암을 보러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지질공원으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것이 선상암 군락이다 암석 하나하나의 모습은 마치 거대한 버섯이 큰 머리로 하늘을 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선상암 가운데 가장 유명한 암석은 이집트 왕비의 옆모습을 닮은 여왕 두상 바위다

10-7 스펀(Shifen)

스펀(十分)은 옛 광산마을로써 천으로 만든 등이 유명하다 또한 이 곳 스펀은 대만 최대의 폭포 스펀(SE-FEN) 폭포가 있다 미니기차와 천으로 만든 등을 날릴 수도 있다 마을의 한가운데 긴 철길이 놓여 있고 30분에 한 대씩 기차가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것도 볼 수가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6 -

10-8 진과스(金瓜石)

진과스(金瓜石)는 타이완 타이베이 근교에 있는 옛 탄광 유적이다 20세기 전반에 금 채굴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20세기 후반에 금이 차차 고갈되기 시작하자 점점 위축되어 폐광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관광 명소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하루에도 수백명이 들렀다 가는 대만의 대표 관광지이다 진과스 내에 있는 황금 박물관에는 220kg 의 금이 전시 되어 있는데 손을 넣어 직접 만져 볼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진과스에서는 과거 광부들이 먹었던 도시락을 그대로 만들어 판매하는 광부 도시락도 굉장히 인기가 많다

10-9 국립 성공대학

대만의 타이난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1931년에 개교하였다 2010년 QS대학순위에서 283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대만 대학중 2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총 9개의 캠퍼스로 이루어져 있어 굉장히 큰 면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만 교육청에서 인정한 9개의 주요대학 중 하나이고 대만 기업체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학이다 이공계열이 가장 뛰어나며 중문 역사 법학 경제학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10 시먼딩

타이베이시에 위치한 시먼딩은 한국의 명동과 같은 거리이다 대한민국의 명동에도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과 외국인이 많다고 알려져 있는데 시먼딩 또한 명동 못지않은 다양함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대만의 패션과 놀이 문화 음식 등을 한눈에 경험 할 수 있는 공간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7 -

10-11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

중정기념당은 타이완 총통 장제스(蔣介石)를 기리는 전당이다 lsquo중정rsquo은 장제스의 본명이다 그가 서거한 후 1980년 기념당을 세웠다 25만에 이르는 넓은 중정공원 안에 우뚝 선 높이 70m의 기념물이 중정기념당이다 기념당 1층에는 장제스 생애를 엿볼 수 있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거대한 장제스 동상은 항상 근위병이 동상 앞을 지키고 있다 중정공원 안에는 중정기념당 외에 국립 희극원과 국립 음악청이 있는데 이곳에서 연극과 콘서트를 한다 공원 조경 또한 잘 조성되어 있어 산책하며 천천히 둘러보기에 좋다

10-12 안핑지구(安平地區)

대만의 문화와 역사는 안핑지구에서 시작되었다 안핑구바오는 17세기 중엽 네덜란드인들이 지은 요새로 정성공이 빼앗아 번영하다가 황폐해져 지금은 보루의 대부분이 없어지고 설탕과 굴껍데기와 찹쌀가루를 버무려 만든 빨간벽돌로 된 장벽(臺灣城殘蹟)만이 남아 나무뿌리와 존립의 사투를 벌이고 있다 감시탑 옆 건물 안에는 네덜란드와 정성공의 전투에 대한 이야기와 중세갑옷 등이 전시 중이다 이 주변에는 대만에서 가장 오래된 상업거리 옌핑제(延平街)가 있는데 옛 명성이 다한 거리의 골목 사이사이 수백년 된 가옥을 구경하는 것도 소소한 즐거움이다 1867년 영국인 상점과 물류창고로 이용하던 건물에 노용수(老榕樹)가 멋대로 자라 건물을 집어삼키듯 뒤덮은 나무집으로 불리는 안핑수우도 안핑지구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진귀한 볼거리다

10-13 미라마 관람차

대만에서 가장 큰 관람차로 알려져 있는 미라마 관람차는 타이페이 시의 야경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관람차 크기가 큰 것으로 유명하지만 가격 또한 저렴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유스트래블 카드를 이용하면 50 할인이 적용되므로 꼭 지참하도록 하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8 -

lt미라마 관람차 티켓gt lt유스트래블 카드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9 -

11 시사점 및 차후 활용계획 (LGC 프로그램을 통한 구체적인 효과 및 연구결과)

11-1 LGC 프로젝트 만족도

구분 항목 전 후 한줄 평

사업단

프로젝트 취지- 린튼 글로벌 학과와 경영정보학과 학생들이 함께

하는 프로젝트 해외시장탐방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사전교육 활동- 출국 전 각 나라에 대한 유의사항 안전교육이 체

계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개략적인 보고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었다

행정지원 절차- CK사업단 린튼 글로벌 학과 경영정보학과 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히 되지 않아 사전 계획에서 많은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협동력 향상- 출발 전 잦은 팀 회의와 8박 9일 간에 일정에도

불구하고 불화 없이 좋은 분위기 속에서 프로젝트를 완수 했다

추진력 향상- 일정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 한 점 추가 자료조

사를 위해 현지에서 새로운 일정을 추가 됐을 때 팀원들이 일사불란하게 따라주었다

문제해결 능력- 교통편 문제와 기업 측 내부 문제로 일부 일정에

변동이 있었지만 신속한 조율과 전화 통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개인

동기부여 자극- 현지인들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국어 영어 능

력의 필요성을 실감했다 특히 중국어는 소통 유무에 따라 현지 반응이 극명하게 갈렸다

진로설계 도움- 프로젝트 전에 비해 새로운 직업 분야에 대한 관심

이 증가했다

취업능력 향상-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한 내용을 살려 구술 면접이

나 자기소개서 작성에 참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11-2 LGC프로젝트 연구 결과 - 대만 시장

⓵ 중국시장을 주목하는 대만 화장품 기업- EST팀은 현지 대만 화장품 기업으로 SISDORA와 WABFENIX를 선택했다 두 회사를 선정한 배경에는

명확한 의도를 두고 정했다 SISDORA는 설립한 지 10년이 넘는 회사로 직접 화장품을 개발 및 연구하고 판매하는 중소기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과 주름개선 크림으로 중년 여성을 타깃 층으로 하는 화장품 회사다 반면 WABFENIX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스타트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 이지만 기술개발 보다는 디자인 마케팅에 중점을 두었고 판매 층도 10대-20대의 젊은 층을 타깃 층으로 한다 시장 전략이 완연히 다른 두 기업이 유일하게 공통점이 있다면 중국시장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선정 이유에는 많은 인구의 소비력을 꼽지만 뒤이어 언급하는 이야기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자사 제품의 경쟁력 약화를 말한다 현재 대만 기업 대부분은 내수 시장 대신에 중국을 겨냥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국가 산업 특성상 제조amp연구 분야가 강세인 대만에서는 중국 바이어 또는 미국 유럽 바이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직접 판매 보다는 기술 협력을 통해 이익을 창출한다고 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0 -

⓶ 대만 시장을 점령한 한국 화장품

- 앞서 말했듯이 2012년 이후부터 급속히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한국 화장품은 대만 시장을 점령하고 있다 이미 시먼딩에 들어서면 다양한 한국 화장품 매장이 눈에 띌 만큼 들어섰으며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중앙 광장에 입점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매장 안에는 많은 대만 사람들이 화장품을 보고 있는 광경을 흔히 본다 화장품 매장을 이용하는 연령층은 주로 10대-20대들이다 화장품 가격이 한국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주 애용하는 이유는 한류 열풍으로 인한 한국 연예인들에 대한 관심과 화장법이 크게 유행하고 있음을 현지 설문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⓷ 체감할 수 있을 만큼 커다란 한류열풍

- 뉴스에서만 듣던 한류 이야기를 대만에서 직접 느낄 수 있을 정도로 한류열풍은 크다 특히 삼성이나 LG의 TV나 스마트폰은 어딜 가든 항상 보이고 한국 화장품 선물에 대한 반응이 무척이나 뜨겁다 원활한 현지 조사를 위하여 사은품으로 준비한 한국 마스크 팩 100개는 오히려 현지인들이 참여 의사를 표현할 만큼 열정적이었다 일부 대만 사람 중에는 어디서 왔냐는 질문에 한국이라는 답변을 하니 같이 사진 찍기를 제안하기도 했다

⓸ 중소기업에게 있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는 대만 시장진출- 대만 시장 진출에 앞서 한국 화장품 중소기업이라면 전략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크게 대만 시장을 겨냥

할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할지 선택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3CE는 한국 화장품 회사다 대만에서 젊은 연령층이 자주 이용하고 이미 대만 내에서는 유명하다 3CE는 오프라인 매장 없이 순수 온라인 매장으로 운영하면서 대만 사람들을 위한 전용 웹사이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윤을 창출 하고 있다 신중해야 할 점은 현재 온라인 오프라인 등 한국 화장품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신규 진입에 있어서 장벽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대만 시장을 활용한다면 동남아 시장까지 한 번에 내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출입통관 절차가 간단하고 관세가 낮기 때문에 중소기업에게 유리하다 아직까지 중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1 -

에 대한 직접적인 수출이 가능한 곳은 상해나 항주 같이 중국에서 허가한 무역항 도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내륙까지 시장을 확대하기는 불가능하지만 같은 언어권인 대만을 거치면 보다 쉽게 바이어나 에이전트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인맥을 통한 꽌시와 수수료 명목으로 뒷돈을 요구하는 중국 바이어의 관행은 자금 순환이 원활치 않은 중소기업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11-3 LGC 프로젝트 종합 의견 및 전망

우리 lsquoEST팀은 출국 전 국내 화장품 시장 조사를 할 때 대덕 밸리 스타트업 기업 셀아이콘 랩의 영향으로 대만의 화장품 산업에 대해 큰 관심과 가능성을 보고 2015년 1월 5일부터 1월 13일까지 8박9일이라는 시간동안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 나라 중에 하나인 대만에서 rsquo대만의 화장품 시장lsquo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사를 했다 대만에서는 3개의 기업 (KOTRA SISDORA WABFENIX) 을 방문해 전반적인 대만의 화장품 시장과 판매전략 한류에 대한 보다 사실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1개의 대학 (국립성공대학 國立成功大學)에서 MBA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또 타이난에서는 대만에서 오랫동안 사업하시는 한인협회 회장을 만나 PLC (Product Life Cycle)를 통해 대만에서의 특정 시장이 도입기에 있는지 또 어떠한 시장이 쇠퇴기에 놓여있는지 다양한 시야에서 대만시장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노력은 CK 사업단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교육부 CK-1 프로젝트의 일부인 Linton Global Challenge는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몇 년을 내다보는 지속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기업들과 더욱 더 활발한 교류와 연구를 한다면 기업과 CK 사업단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리라고 본다

1 개인 탐방 후기 (팀원 개인 소감)

1-1 개인 탐방 후기

강성민탐방 후기 기업 컨택 부터 인터뷰 일정 계획까지 8박 9일간의 대만 화장품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 출국 전까지 준비 과정부터 탈도 많았고 대만에 와서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 원하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매일이 항상 회의와 고민의 연속이었다 하루하루 충실히 계획을 진행시켜 나갔고 좋은 팀 분위기 속에서 무사히 대만 프로

부록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2 -

젝트를 완수했다 그리고 마침내 한국으로 돌아왔다 과정은 항상 오르막 길이였지만 돌이켜 보면 마지막 대학 시절을 기념할만한 좋은 추억이자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느끼는 바가 많았던 프로젝트로 기억 될 것이다

김은진탐방 후기 글로벌 챌린지를 한마디로 정의하라고 한다면 도종환 시인의 lsquo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lsquo라는 시가 떠오른다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대만기업컨택 설문조사 등 많은 것을 경험했다 처음엔 모든 것이 나에겐 버거운 산이라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도전이 계속 될수록 이젠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이 모든 도전들에 흥미가 생겼다 나 자신도 책임감과 자신감이 생기고 한층 성숙해 진 것을 내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소중한 동료와 추억은 평생 나의 가슴속에 남을 것이다 우린 앞으로도 많이 도전하고 경험하여 우리들의 삶이 활짝 만개하리라 다짐한다 끊임없이 도전하는 20대의 청춘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프로그램이었다 김종선탐방 후기 한국에서 준비하면서 조사했던 내용과 비교하며 인터뷰를 해보니 실제로 많이 다른 부분도 있었고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 비슷한 내용도 있었다 현지의 기업들을 방문해 우리가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직접 매장에 가서 느껴보니 앉아서 컴퓨터만 볼 때랑 많이 달랐다 그리고 직접 대만인들에게 설문조사를 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그리고 대만의 실제 문화와 환경 그들의 생활을 잠시나마 볼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

구명우탐방 후기 며칠간의 꿈만 같았던 대만에서의 시간이 지나갔다 대만으로 출국하기 전 사전조사 기간에는 확신이 없었다 사전조사와 기업과의 인터뷰 그리고 9일간의 일정조율 및 숙박과 모든 대만에서의 연구와 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보고서까지 무엇하나 확신이 드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도전과 해결능력을 배웠고 아시아에서 급성장 중인 대만에 대해서 배우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다음기수로 가게 될 관심 있는 학우들에게 진심으로 추천해주고 싶다

이규현탐방 후기 CK-1 프로그램 중 하나인 lsquo린튼 글로벌 챌린지lsquo 프로그램을 통해 약 8박 9일이라는 시간 동안 emerging market 중 하나인 대만에 거주하면서 한국 화장품의 대만시장 점유율과 진출 가능성을 몸으로 체감하고 자료들을 모아 통계 내어 정리할 수 있었다 우리 팀 lsquoEST가 성공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충분한 국내조사 기간을 갖고 대만의 화장품 회사들을 방문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대만의 특정한 기업을 찾기도 어려웠고 기업 컨택은 번번히 거절당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회사 두 군데에서는 답장조차 오지 않았고 설문조사할 때에는 반한감정의 대만인을 만나 고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팀의 단결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리더의 통솔력으로 정해진 스케줄대로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회사를 방문하고 학교교수를 만나고 길거리에서 설문조사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팀원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또한 대학생으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을 한 것 같아서 스스로도 너무 뿌듯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팀을 믿고 지지해주신 LGSB 교수님들과 CK-1 프로그램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영은탐방 후기 처음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렇게 준비는 열심히 하지만 정말 우리가 계획한 100대로 대만을 다녀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기우가 무색하게도 대만은 우리에게 기획안 그 이상의 것들을 보여주었다 사장님들의 생생한 사업 이야기와 대만의 색채가 묻어있는 아이템들 하며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여 알아보는 비즈니스 마켓의 현장은 나에게 두고두고 잊지 못할 자산으로 남았다 또한 펑리수 버블티를 비롯한 대만의 맛있는 먹거리들과 스린 야시장이나 지우펀 같은 명소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열심히 고생해준 팀원들과의 추억들도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3 -

이서우탐방 후기 이번 글로벌 첼린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서 쉽게 할 수 없는 해외 기업 탐방과 해당 국가의 산업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임효진탐방 후기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팀이 대만을 방문 한다고 했을 때 많이 의아해 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만을 직접 방문해보고 많은 사업자들을 만난 결과 대만은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라고 생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아직 공산주의라는 정치적 특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다른 곳보다 훨씬 어렵지만 대만은 자유시장체제 이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쉽다 특히 외국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만 시장에서 한국제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추고 중국 시장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성공가능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그리고 대만의 바이어들을 통해 중국의 시장진출을 하게 된다면 사업자가 직접 중국시장에 진출 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성공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만은 문화적으로 다른 아시아권보다 선진화 되었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대도시에 속하지만 모두다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골고루 섞여 대만만의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차안호탐방 후기 9박 10일간의 대만을 다녀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넓고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이번 대만 여행은 처음으로 경험한 해외여행 경험이여서 그런지 순탄치 않은 면도 있었지만 팀원들 서로가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만시장은 중국시장으로 가기위한 좋은 시험의 장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대만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영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더 나아가 미래에는 중국어야말로 영어와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성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또 하나 놀란 점은 대만이 반 한류 감정을 많이 갖고 있는 줄 알았지만 대부분의 대만 일반 시민들이 굉장히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에 놀랐고 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CK-1 사업의 챌린지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대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계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보완점 및 건의사항 (문제점개선책건의사항)

2-1 기업 컨택의 어려움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에 있는 기업과 연결하여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대해서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조사 및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시간을 내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로써 그들의 귀한시간이 아깝게 쓰이지 않을 것을 강조하여 만남을 만들어야 한다

2-2 사업단과 의사소통의 불편함

Challeng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CK-1 사업단과의 지속되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가령 누군가를 통해서 전해지는 소문이나 촉박한 시간을 제시하고 일 처리를 원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단과 각 팀의 대표간의 분명한 의사소통과 증빙자료 등이 필요하다

2-3 정보 부재 이번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이머징 마켓에서의 유망 산업 조사 및 연구였다 대만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33: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3 -

8 현지 시장조사 활동 (시장동향사진설문조사 자료)

8-1 시먼딩 설문조사

목적 대만 사람들의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및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대상 10대~20대 여성 및 화장품 전문매장 종사자장소 시먼딩시간 2015년 1월 7일 12일 총 두 차례에 걸쳐 진행방법 ①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 판넬에 국가별로 메이크업 사진을 표시하고 스티커를 붙이는 방식으로 투표함 공정성을 위해 국가 이름은 블라인드로 처리하였고 모두 동일 인물의 사진을 사용함② 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표본집단을 50명으로 설정함 설문조사가 끝나면 사은품으로 한국 브랜드 마스크팩 증정함

8-2 사전 기획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판넬 기획도gt

化妝辦法喜好度的調查화장법 선호도 조사

大家給自己喜歡的化妝貼貼紙 여러분이 선호하는 메이크업에 스티커를 붙여 주세요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4 -

대만의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안녕하십니까

다음의 내용은 대만 화장품 트렌드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자 관련조사를 실시하고자 하오니

있는 그대로의 생각을 기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귀하의 응답은 통계적 목적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본 설문은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물음에 대한 답변이나 해당란에 v 표를 해 주십시오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7) ② 화장품 전문매장(34) ③ 마트(5) ④ 홈쇼핑(2)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합계 총 50 명

바쁘신 시간에 의견을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지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5 -

8-3 설문조사 활동

lt2015년 1월 7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6 -

lt2015년 1월 12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7 -

lt활동 결과 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8 -

9 설문조사 통계 분석 (설문조사 응답 수분석결과)

9-1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결과gt

설문 조사 질문지 양식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12)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③ 마트(5) ④ 홈쇼핑(6)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9 -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gt

9-2 설문조사 항목 별 의견 및 추측

설문 조사 질문지 항목 (최다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② 20 ~ 25세 (13)

0

5

10

15

20

25

30

20대 이하 20세~24세 25세~29세 30세~39세 40대 이상

rarr 시먼딩은 대만의 홍대거리라 불리는 lsquo융캉제rsquo나 서울의 lsquo명동rsquo과 같이 젊은 층이 주로 활동하는 지역이다 설문조사 중에도 교복이나 체육복을 입은 학생들과 길거리에서 쇼핑을 즐기는 20대가 즐비할 만큼 활기 있는 거리다 덥고 습한 대만 기후 특성 상 과거엔 화장법이 크게 발전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국의 자연스러운 화장법이 큰 인기를 끌면서 시먼딩에 화장품 거리가 조성되어 있을 만큼 유동 인구가 많다 이 점으로 추측해보았을 때 압도적으로 10대와 20대 층이 많은 응답 수를 기록했다고 본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0 -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051015202530

온라인 화장품전문매장 마트 홈쇼핑 방문판매

rarr 대만 또한 한국과 비슷하게 시내에 많은 수의 화장품 전문매장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접근성이 굉장히 높았다 더불어 각 화장품 매장에서는 상품 할인과 같은 각종 프로모션을 진행하기 때문에 구매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 구매한다는 대답도 높은 편이었는데 거의 대부분이 와이파이존이어서 어디서나 인터넷을 한 활발히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온라인에서의 구매율도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0

5

10

15

20

25

30

NT$300 미만 NT$300~NT899 NT$900~NT$1499 NT$1500~NT2999 NT$3000

rarr 응답자들은 대부분이 한 달 간 화장품에 쓰는 돈을 최저 1만원 이상(NT$300 이상)이라고 답했는데 이는 70가 넘어가는 결과로 화장품에 대한 지출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만원 이상이라고 대답한 응답자들 또한 4분의 1을 넘기는데 이것은 젊은 연령층부터 시작하여 최근 피부 관리와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대만의 소비 수준에 대비하여 화장품 소비율이 높은 것도 이 때문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1 -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③ 성능(23)

051015202530

가격 디자인 성능 화장품 모델 브랜드

rarr 아열대 기후에 속하는 대만은 높은 기온과 습한 날씨 탓에 에어컨 환경에 자주 노출돼 피부 수분을 잃기 쉬워 기능성 화장품의 소비가 두드러진다 대만 화장품 시장은 토너 세럼 에센스 로션 크림 등의 모든 스킨케어 제품들이 보습기능을 강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백이나 안티에이징 리프팅 저자극 오일프리(Oil-free) 등의 기능까지 추가된 스킨케어 제품들이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조 화장품 소비가 늘어난 것은 최근 몇 년 들어 다양한 화장품 브랜드 접촉기회가 많아지고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젊은 여성의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색조화장품 또한 메이크업베이스와 BB크림 립스틱과 같은 베이스 메이크업이 수요가 많았다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④인터넷(22)

0

5

10

15

20

25

30

TV 잡지 친구 인터넷 메이크업샵

rarr 최근 빠른 인터넷망과 스마트폰 태블릿PC의 보급으로 인해 사람들과 사람사이의 연결망이 견고히 형성되고 있고 이것이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방법을 얻는 경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만 소비자들은 주로 인터넷 블로그 가족과 친구로부터 메이크업 정보를 획득 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만의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이므로 입소문마케팅과 판매를 바로바로 할 수 있는 유통구조가 도움이 될 것 같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2 -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0

5

10

15

20

25

30

청순 독특 귀여움 섹시

rarr 앞서 살펴보았듯이 대만은 한국과 비슷한 메이크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이것은 곧 청순한 메이크업 컨셉에 관심 있어 한다는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실제로 대만 여성소비자들은 깨끗한 피부 NATURAL한 베이스메이크업을 선호한다 한 듯 안 한 듯 자연스럽고 깨끗한 느낌의 한국식 lsquo생얼rsquo 화장법은 대만에서 한국 드라마 열풍과 함께 유명세를 타기 시작해 현지 각종 온라인 뷰티 사이트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래서 응답의 대부분이 한 곳에 치우쳤고 비교적 개성 있는 메이크업 방법이 드물 것이라는 것을 유추해낼 수 있다

본 설문 조사를 통한 한국 화장품 기업에 대한 시사점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수입 절차로 오랜 시간을 허비해야 하는 반면 대만은 자외선 차단제 성분 함유 제품과 약용 화장품을 제외한 일반 화장품은 별도의 수입 검사 없이 수입할 수 있으므로 대개 중국보다 1~2년 먼저 신상품이 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한류 효과를 겨냥한 중화권 화장품 시장으로 대만을 우선 공략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대만은 대부분이 화장품에 대한 소비를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고 한국 화장품이 많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시장 접근법만 제대로 수립하면 매출이 나는 구조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대만인들이 선호하는 메이크업 방법이 한국과 비슷하기 때문에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은 마케팅 방안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최종분석설문 조사 대상은 대부분 10대~20대의 연령층이었으며 화장품의 주된 구입경로는 lsquo온라인(24)rsquo과 lsquo화장품 전문매장(50)rsquo이 압도적이었다 더불어 한 달 간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lsquo1만 원 이상(72)rsquo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이것은 실제 생활수준에 대비하여 높은 소비량이므로 대만의 화장품 시장 전망이 밝다고 할 수 있다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부분은 lsquo성능(46)rsquo이었는데 이는 스타트업 기업 중소기업에게 유리한 조건이다 메이크업 방법을 얻는 방법으로는 lsquo인터넷(44)rsquo과 lsquo친구(30)rsquo가 높은 비율을 차지했는데 판촉활동으로는 인터넷을 활용한 SNS 홍보 바이럴 마케팅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가장 관심있는 화장 컨셉은 lsquo청순rsquo 이었고 이것은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와 맞물려 우리나라와 비슷한 메이크업 방법을 추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3 -

10 대만 명소 소개 (명소음식행사숙소 소개)

10-1 고궁박물관

대만 고궁박물원은 영국의 대영 박물관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 미국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과 함께 세계 4대 박물관으로 손꼽힐 만큼 세계적은 소장 문물을 자랑한다 건물 규모는 그다지 크지 않지만 소장한 문물의 질과 양은 세계 최상급이다 중화 보물 중에서도 최고의 보물들이 모여 있어 진귀하기 그지없고 수량 역시 워낙 방대하여 3개월 단위로 1만여점을 돌아가면서 전시해도 다보려면 10년이 넘게 걸린다고 전해지고 있다 중국의 국공내전 당시 장제스가 이끌던 중국 국민당이 전쟁에서 패하며 중국을 탈출해 대만으로 향했다 당시 장제스는 난징에 있던 정부를 타이페이로 이전하면서 자금성에 보관되어있던 중국역대 왕조 보물 수십만 점을 배를 이용해 운반해 왔다 중국의 유물을 가진 자가 진정한 통치자라고 생각했던 장제스는 ldquo공산군에게 영토는 내줘도 문화유산만큼은 내줄 수 없다ldquo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대표적인 유물은 취옥배추 육형석 모공정 산씨반 등이 있다

10-2 용산사

루강의 초입에 있는 이 사찰은 타이완에서 가장 오래되고 아름답다고 하여 타이완의 자금성이라고 부른다 각 건물의 기둥 벽 그리고 천장 등에 새겨진 조각은 특히 빼어나다 이 조각상과 함께 이곳의 명물로 알려진 것은 사찰 경내에 있는 2마리의 용상인데 삼천전 앞마당 좌우에 서서 룽산사를 호위하고 있다

10-3 타이페이 101 빌딩

타이베이 101빌딩rsquo이라 부르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로서 빌딩 모습은 하늘로 뻗어나가는 대나무 위에 꽃잎이 겹겹이 포개진 형상이다 본래 타이베이 금융기관이 모인 건물이지만 대형 쇼핑센터와 푸드코트 고급 레스토랑이 있어 여행자들이 많이 찾는다 건물에는 8개 마디가 있는데 이는 중화 문화권에서 부와 번영을 의미하는 숫자 lsquo8rsquo을 염두에 둔 것이다 타이베이 시내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는 높이 508m로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히는 높은 건물이다 지상 1~5층에는 소고 백화점 뷰티 플라자 애버뉴 101 등 다양한 패션∙뷰티용품을 구입할 수 있는 상점이 있다 또한 레스토랑 시티 스퀘어 대형 서점 등 쇼핑과 오락 식사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복합시설이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4 -

잘 알려진 식당으로는 딘 타이 펑(Din Tai Fung) 이 있다 101타워 지하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샤오롱바오(고기만두) 새우 샤오마이(새우만두) 탄탄면(우육면)이 가장 대표적인 메뉴이며 대만에 방문한 많은 사람들이 찾는 식당이다

10-4 지우펀

대만여행의 백미로 꼽히는 지우펀은 타이페이시 북부의 루이팡 지역의 작은 산골 마을로 과거에는 아홉가구만 살고 있어서 지우펀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예전에는 작은 산골 마을에 불과 했지만 이 지역에서 금맥이 발견되면서 호황을 맞이하게 된다 특히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일본풍의 건물들이 남아 있어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결합된 독특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비탈길을 따라 하늘로 이어진 예스러운 건물 그리고 골목마다 빨간 홍등과 함께 묻어나는 옛 풍경은 여행객들에게 인기 여행지이다

10-5 스린야시장

타이베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야시장 가운데 하나이다 독특하면서도 다양한 전통 먹을거리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이곳을 찾는 관광객이 많다 시장 부근에 학교가 많아 학생들이 많이 찾으며 포장마차 등의 노점상이 많아 가격도 저렴하다 칭런샹[情人巷]에는 가구 의류 액세서리 사진현상점 애완용품점 등이 모여 있어 학생뿐 아니라 관광객들도 자주 찾는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5 -

10-6 예류 지질 공원

타이완 북해안에 자리한 예류는 해수욕장과 온천 기암괴석으로 유명한 관광지다 특히 예류지질공원은 희귀한 모형의 바위와 암석이 모여 있어 예류 관광의 필수코스로 꼽힌다 작은 곶으로 된 예류지질공원은 침식과 풍화 작용을 거쳐 자연적으로 형성된 기암을 보러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지질공원으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것이 선상암 군락이다 암석 하나하나의 모습은 마치 거대한 버섯이 큰 머리로 하늘을 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선상암 가운데 가장 유명한 암석은 이집트 왕비의 옆모습을 닮은 여왕 두상 바위다

10-7 스펀(Shifen)

스펀(十分)은 옛 광산마을로써 천으로 만든 등이 유명하다 또한 이 곳 스펀은 대만 최대의 폭포 스펀(SE-FEN) 폭포가 있다 미니기차와 천으로 만든 등을 날릴 수도 있다 마을의 한가운데 긴 철길이 놓여 있고 30분에 한 대씩 기차가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것도 볼 수가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6 -

10-8 진과스(金瓜石)

진과스(金瓜石)는 타이완 타이베이 근교에 있는 옛 탄광 유적이다 20세기 전반에 금 채굴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20세기 후반에 금이 차차 고갈되기 시작하자 점점 위축되어 폐광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관광 명소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하루에도 수백명이 들렀다 가는 대만의 대표 관광지이다 진과스 내에 있는 황금 박물관에는 220kg 의 금이 전시 되어 있는데 손을 넣어 직접 만져 볼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진과스에서는 과거 광부들이 먹었던 도시락을 그대로 만들어 판매하는 광부 도시락도 굉장히 인기가 많다

10-9 국립 성공대학

대만의 타이난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1931년에 개교하였다 2010년 QS대학순위에서 283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대만 대학중 2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총 9개의 캠퍼스로 이루어져 있어 굉장히 큰 면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만 교육청에서 인정한 9개의 주요대학 중 하나이고 대만 기업체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학이다 이공계열이 가장 뛰어나며 중문 역사 법학 경제학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10 시먼딩

타이베이시에 위치한 시먼딩은 한국의 명동과 같은 거리이다 대한민국의 명동에도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과 외국인이 많다고 알려져 있는데 시먼딩 또한 명동 못지않은 다양함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대만의 패션과 놀이 문화 음식 등을 한눈에 경험 할 수 있는 공간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7 -

10-11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

중정기념당은 타이완 총통 장제스(蔣介石)를 기리는 전당이다 lsquo중정rsquo은 장제스의 본명이다 그가 서거한 후 1980년 기념당을 세웠다 25만에 이르는 넓은 중정공원 안에 우뚝 선 높이 70m의 기념물이 중정기념당이다 기념당 1층에는 장제스 생애를 엿볼 수 있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거대한 장제스 동상은 항상 근위병이 동상 앞을 지키고 있다 중정공원 안에는 중정기념당 외에 국립 희극원과 국립 음악청이 있는데 이곳에서 연극과 콘서트를 한다 공원 조경 또한 잘 조성되어 있어 산책하며 천천히 둘러보기에 좋다

10-12 안핑지구(安平地區)

대만의 문화와 역사는 안핑지구에서 시작되었다 안핑구바오는 17세기 중엽 네덜란드인들이 지은 요새로 정성공이 빼앗아 번영하다가 황폐해져 지금은 보루의 대부분이 없어지고 설탕과 굴껍데기와 찹쌀가루를 버무려 만든 빨간벽돌로 된 장벽(臺灣城殘蹟)만이 남아 나무뿌리와 존립의 사투를 벌이고 있다 감시탑 옆 건물 안에는 네덜란드와 정성공의 전투에 대한 이야기와 중세갑옷 등이 전시 중이다 이 주변에는 대만에서 가장 오래된 상업거리 옌핑제(延平街)가 있는데 옛 명성이 다한 거리의 골목 사이사이 수백년 된 가옥을 구경하는 것도 소소한 즐거움이다 1867년 영국인 상점과 물류창고로 이용하던 건물에 노용수(老榕樹)가 멋대로 자라 건물을 집어삼키듯 뒤덮은 나무집으로 불리는 안핑수우도 안핑지구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진귀한 볼거리다

10-13 미라마 관람차

대만에서 가장 큰 관람차로 알려져 있는 미라마 관람차는 타이페이 시의 야경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관람차 크기가 큰 것으로 유명하지만 가격 또한 저렴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유스트래블 카드를 이용하면 50 할인이 적용되므로 꼭 지참하도록 하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8 -

lt미라마 관람차 티켓gt lt유스트래블 카드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9 -

11 시사점 및 차후 활용계획 (LGC 프로그램을 통한 구체적인 효과 및 연구결과)

11-1 LGC 프로젝트 만족도

구분 항목 전 후 한줄 평

사업단

프로젝트 취지- 린튼 글로벌 학과와 경영정보학과 학생들이 함께

하는 프로젝트 해외시장탐방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사전교육 활동- 출국 전 각 나라에 대한 유의사항 안전교육이 체

계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개략적인 보고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었다

행정지원 절차- CK사업단 린튼 글로벌 학과 경영정보학과 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히 되지 않아 사전 계획에서 많은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협동력 향상- 출발 전 잦은 팀 회의와 8박 9일 간에 일정에도

불구하고 불화 없이 좋은 분위기 속에서 프로젝트를 완수 했다

추진력 향상- 일정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 한 점 추가 자료조

사를 위해 현지에서 새로운 일정을 추가 됐을 때 팀원들이 일사불란하게 따라주었다

문제해결 능력- 교통편 문제와 기업 측 내부 문제로 일부 일정에

변동이 있었지만 신속한 조율과 전화 통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개인

동기부여 자극- 현지인들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국어 영어 능

력의 필요성을 실감했다 특히 중국어는 소통 유무에 따라 현지 반응이 극명하게 갈렸다

진로설계 도움- 프로젝트 전에 비해 새로운 직업 분야에 대한 관심

이 증가했다

취업능력 향상-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한 내용을 살려 구술 면접이

나 자기소개서 작성에 참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11-2 LGC프로젝트 연구 결과 - 대만 시장

⓵ 중국시장을 주목하는 대만 화장품 기업- EST팀은 현지 대만 화장품 기업으로 SISDORA와 WABFENIX를 선택했다 두 회사를 선정한 배경에는

명확한 의도를 두고 정했다 SISDORA는 설립한 지 10년이 넘는 회사로 직접 화장품을 개발 및 연구하고 판매하는 중소기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과 주름개선 크림으로 중년 여성을 타깃 층으로 하는 화장품 회사다 반면 WABFENIX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스타트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 이지만 기술개발 보다는 디자인 마케팅에 중점을 두었고 판매 층도 10대-20대의 젊은 층을 타깃 층으로 한다 시장 전략이 완연히 다른 두 기업이 유일하게 공통점이 있다면 중국시장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선정 이유에는 많은 인구의 소비력을 꼽지만 뒤이어 언급하는 이야기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자사 제품의 경쟁력 약화를 말한다 현재 대만 기업 대부분은 내수 시장 대신에 중국을 겨냥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국가 산업 특성상 제조amp연구 분야가 강세인 대만에서는 중국 바이어 또는 미국 유럽 바이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직접 판매 보다는 기술 협력을 통해 이익을 창출한다고 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0 -

⓶ 대만 시장을 점령한 한국 화장품

- 앞서 말했듯이 2012년 이후부터 급속히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한국 화장품은 대만 시장을 점령하고 있다 이미 시먼딩에 들어서면 다양한 한국 화장품 매장이 눈에 띌 만큼 들어섰으며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중앙 광장에 입점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매장 안에는 많은 대만 사람들이 화장품을 보고 있는 광경을 흔히 본다 화장품 매장을 이용하는 연령층은 주로 10대-20대들이다 화장품 가격이 한국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주 애용하는 이유는 한류 열풍으로 인한 한국 연예인들에 대한 관심과 화장법이 크게 유행하고 있음을 현지 설문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⓷ 체감할 수 있을 만큼 커다란 한류열풍

- 뉴스에서만 듣던 한류 이야기를 대만에서 직접 느낄 수 있을 정도로 한류열풍은 크다 특히 삼성이나 LG의 TV나 스마트폰은 어딜 가든 항상 보이고 한국 화장품 선물에 대한 반응이 무척이나 뜨겁다 원활한 현지 조사를 위하여 사은품으로 준비한 한국 마스크 팩 100개는 오히려 현지인들이 참여 의사를 표현할 만큼 열정적이었다 일부 대만 사람 중에는 어디서 왔냐는 질문에 한국이라는 답변을 하니 같이 사진 찍기를 제안하기도 했다

⓸ 중소기업에게 있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는 대만 시장진출- 대만 시장 진출에 앞서 한국 화장품 중소기업이라면 전략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크게 대만 시장을 겨냥

할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할지 선택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3CE는 한국 화장품 회사다 대만에서 젊은 연령층이 자주 이용하고 이미 대만 내에서는 유명하다 3CE는 오프라인 매장 없이 순수 온라인 매장으로 운영하면서 대만 사람들을 위한 전용 웹사이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윤을 창출 하고 있다 신중해야 할 점은 현재 온라인 오프라인 등 한국 화장품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신규 진입에 있어서 장벽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대만 시장을 활용한다면 동남아 시장까지 한 번에 내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출입통관 절차가 간단하고 관세가 낮기 때문에 중소기업에게 유리하다 아직까지 중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1 -

에 대한 직접적인 수출이 가능한 곳은 상해나 항주 같이 중국에서 허가한 무역항 도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내륙까지 시장을 확대하기는 불가능하지만 같은 언어권인 대만을 거치면 보다 쉽게 바이어나 에이전트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인맥을 통한 꽌시와 수수료 명목으로 뒷돈을 요구하는 중국 바이어의 관행은 자금 순환이 원활치 않은 중소기업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11-3 LGC 프로젝트 종합 의견 및 전망

우리 lsquoEST팀은 출국 전 국내 화장품 시장 조사를 할 때 대덕 밸리 스타트업 기업 셀아이콘 랩의 영향으로 대만의 화장품 산업에 대해 큰 관심과 가능성을 보고 2015년 1월 5일부터 1월 13일까지 8박9일이라는 시간동안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 나라 중에 하나인 대만에서 rsquo대만의 화장품 시장lsquo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사를 했다 대만에서는 3개의 기업 (KOTRA SISDORA WABFENIX) 을 방문해 전반적인 대만의 화장품 시장과 판매전략 한류에 대한 보다 사실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1개의 대학 (국립성공대학 國立成功大學)에서 MBA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또 타이난에서는 대만에서 오랫동안 사업하시는 한인협회 회장을 만나 PLC (Product Life Cycle)를 통해 대만에서의 특정 시장이 도입기에 있는지 또 어떠한 시장이 쇠퇴기에 놓여있는지 다양한 시야에서 대만시장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노력은 CK 사업단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교육부 CK-1 프로젝트의 일부인 Linton Global Challenge는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몇 년을 내다보는 지속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기업들과 더욱 더 활발한 교류와 연구를 한다면 기업과 CK 사업단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리라고 본다

1 개인 탐방 후기 (팀원 개인 소감)

1-1 개인 탐방 후기

강성민탐방 후기 기업 컨택 부터 인터뷰 일정 계획까지 8박 9일간의 대만 화장품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 출국 전까지 준비 과정부터 탈도 많았고 대만에 와서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 원하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매일이 항상 회의와 고민의 연속이었다 하루하루 충실히 계획을 진행시켜 나갔고 좋은 팀 분위기 속에서 무사히 대만 프로

부록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2 -

젝트를 완수했다 그리고 마침내 한국으로 돌아왔다 과정은 항상 오르막 길이였지만 돌이켜 보면 마지막 대학 시절을 기념할만한 좋은 추억이자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느끼는 바가 많았던 프로젝트로 기억 될 것이다

김은진탐방 후기 글로벌 챌린지를 한마디로 정의하라고 한다면 도종환 시인의 lsquo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lsquo라는 시가 떠오른다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대만기업컨택 설문조사 등 많은 것을 경험했다 처음엔 모든 것이 나에겐 버거운 산이라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도전이 계속 될수록 이젠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이 모든 도전들에 흥미가 생겼다 나 자신도 책임감과 자신감이 생기고 한층 성숙해 진 것을 내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소중한 동료와 추억은 평생 나의 가슴속에 남을 것이다 우린 앞으로도 많이 도전하고 경험하여 우리들의 삶이 활짝 만개하리라 다짐한다 끊임없이 도전하는 20대의 청춘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프로그램이었다 김종선탐방 후기 한국에서 준비하면서 조사했던 내용과 비교하며 인터뷰를 해보니 실제로 많이 다른 부분도 있었고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 비슷한 내용도 있었다 현지의 기업들을 방문해 우리가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직접 매장에 가서 느껴보니 앉아서 컴퓨터만 볼 때랑 많이 달랐다 그리고 직접 대만인들에게 설문조사를 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그리고 대만의 실제 문화와 환경 그들의 생활을 잠시나마 볼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

구명우탐방 후기 며칠간의 꿈만 같았던 대만에서의 시간이 지나갔다 대만으로 출국하기 전 사전조사 기간에는 확신이 없었다 사전조사와 기업과의 인터뷰 그리고 9일간의 일정조율 및 숙박과 모든 대만에서의 연구와 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보고서까지 무엇하나 확신이 드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도전과 해결능력을 배웠고 아시아에서 급성장 중인 대만에 대해서 배우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다음기수로 가게 될 관심 있는 학우들에게 진심으로 추천해주고 싶다

이규현탐방 후기 CK-1 프로그램 중 하나인 lsquo린튼 글로벌 챌린지lsquo 프로그램을 통해 약 8박 9일이라는 시간 동안 emerging market 중 하나인 대만에 거주하면서 한국 화장품의 대만시장 점유율과 진출 가능성을 몸으로 체감하고 자료들을 모아 통계 내어 정리할 수 있었다 우리 팀 lsquoEST가 성공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충분한 국내조사 기간을 갖고 대만의 화장품 회사들을 방문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대만의 특정한 기업을 찾기도 어려웠고 기업 컨택은 번번히 거절당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회사 두 군데에서는 답장조차 오지 않았고 설문조사할 때에는 반한감정의 대만인을 만나 고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팀의 단결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리더의 통솔력으로 정해진 스케줄대로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회사를 방문하고 학교교수를 만나고 길거리에서 설문조사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팀원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또한 대학생으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을 한 것 같아서 스스로도 너무 뿌듯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팀을 믿고 지지해주신 LGSB 교수님들과 CK-1 프로그램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영은탐방 후기 처음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렇게 준비는 열심히 하지만 정말 우리가 계획한 100대로 대만을 다녀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기우가 무색하게도 대만은 우리에게 기획안 그 이상의 것들을 보여주었다 사장님들의 생생한 사업 이야기와 대만의 색채가 묻어있는 아이템들 하며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여 알아보는 비즈니스 마켓의 현장은 나에게 두고두고 잊지 못할 자산으로 남았다 또한 펑리수 버블티를 비롯한 대만의 맛있는 먹거리들과 스린 야시장이나 지우펀 같은 명소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열심히 고생해준 팀원들과의 추억들도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3 -

이서우탐방 후기 이번 글로벌 첼린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서 쉽게 할 수 없는 해외 기업 탐방과 해당 국가의 산업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임효진탐방 후기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팀이 대만을 방문 한다고 했을 때 많이 의아해 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만을 직접 방문해보고 많은 사업자들을 만난 결과 대만은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라고 생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아직 공산주의라는 정치적 특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다른 곳보다 훨씬 어렵지만 대만은 자유시장체제 이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쉽다 특히 외국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만 시장에서 한국제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추고 중국 시장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성공가능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그리고 대만의 바이어들을 통해 중국의 시장진출을 하게 된다면 사업자가 직접 중국시장에 진출 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성공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만은 문화적으로 다른 아시아권보다 선진화 되었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대도시에 속하지만 모두다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골고루 섞여 대만만의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차안호탐방 후기 9박 10일간의 대만을 다녀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넓고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이번 대만 여행은 처음으로 경험한 해외여행 경험이여서 그런지 순탄치 않은 면도 있었지만 팀원들 서로가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만시장은 중국시장으로 가기위한 좋은 시험의 장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대만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영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더 나아가 미래에는 중국어야말로 영어와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성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또 하나 놀란 점은 대만이 반 한류 감정을 많이 갖고 있는 줄 알았지만 대부분의 대만 일반 시민들이 굉장히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에 놀랐고 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CK-1 사업의 챌린지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대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계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보완점 및 건의사항 (문제점개선책건의사항)

2-1 기업 컨택의 어려움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에 있는 기업과 연결하여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대해서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조사 및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시간을 내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로써 그들의 귀한시간이 아깝게 쓰이지 않을 것을 강조하여 만남을 만들어야 한다

2-2 사업단과 의사소통의 불편함

Challeng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CK-1 사업단과의 지속되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가령 누군가를 통해서 전해지는 소문이나 촉박한 시간을 제시하고 일 처리를 원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단과 각 팀의 대표간의 분명한 의사소통과 증빙자료 등이 필요하다

2-3 정보 부재 이번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이머징 마켓에서의 유망 산업 조사 및 연구였다 대만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34: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4 -

대만의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안녕하십니까

다음의 내용은 대만 화장품 트렌드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자 관련조사를 실시하고자 하오니

있는 그대로의 생각을 기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귀하의 응답은 통계적 목적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본 설문은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물음에 대한 답변이나 해당란에 v 표를 해 주십시오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7) ② 화장품 전문매장(34) ③ 마트(5) ④ 홈쇼핑(2)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합계 총 50 명

바쁘신 시간에 의견을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지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5 -

8-3 설문조사 활동

lt2015년 1월 7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6 -

lt2015년 1월 12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7 -

lt활동 결과 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8 -

9 설문조사 통계 분석 (설문조사 응답 수분석결과)

9-1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결과gt

설문 조사 질문지 양식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12)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③ 마트(5) ④ 홈쇼핑(6)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9 -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gt

9-2 설문조사 항목 별 의견 및 추측

설문 조사 질문지 항목 (최다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② 20 ~ 25세 (13)

0

5

10

15

20

25

30

20대 이하 20세~24세 25세~29세 30세~39세 40대 이상

rarr 시먼딩은 대만의 홍대거리라 불리는 lsquo융캉제rsquo나 서울의 lsquo명동rsquo과 같이 젊은 층이 주로 활동하는 지역이다 설문조사 중에도 교복이나 체육복을 입은 학생들과 길거리에서 쇼핑을 즐기는 20대가 즐비할 만큼 활기 있는 거리다 덥고 습한 대만 기후 특성 상 과거엔 화장법이 크게 발전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국의 자연스러운 화장법이 큰 인기를 끌면서 시먼딩에 화장품 거리가 조성되어 있을 만큼 유동 인구가 많다 이 점으로 추측해보았을 때 압도적으로 10대와 20대 층이 많은 응답 수를 기록했다고 본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0 -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051015202530

온라인 화장품전문매장 마트 홈쇼핑 방문판매

rarr 대만 또한 한국과 비슷하게 시내에 많은 수의 화장품 전문매장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접근성이 굉장히 높았다 더불어 각 화장품 매장에서는 상품 할인과 같은 각종 프로모션을 진행하기 때문에 구매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 구매한다는 대답도 높은 편이었는데 거의 대부분이 와이파이존이어서 어디서나 인터넷을 한 활발히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온라인에서의 구매율도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0

5

10

15

20

25

30

NT$300 미만 NT$300~NT899 NT$900~NT$1499 NT$1500~NT2999 NT$3000

rarr 응답자들은 대부분이 한 달 간 화장품에 쓰는 돈을 최저 1만원 이상(NT$300 이상)이라고 답했는데 이는 70가 넘어가는 결과로 화장품에 대한 지출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만원 이상이라고 대답한 응답자들 또한 4분의 1을 넘기는데 이것은 젊은 연령층부터 시작하여 최근 피부 관리와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대만의 소비 수준에 대비하여 화장품 소비율이 높은 것도 이 때문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1 -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③ 성능(23)

051015202530

가격 디자인 성능 화장품 모델 브랜드

rarr 아열대 기후에 속하는 대만은 높은 기온과 습한 날씨 탓에 에어컨 환경에 자주 노출돼 피부 수분을 잃기 쉬워 기능성 화장품의 소비가 두드러진다 대만 화장품 시장은 토너 세럼 에센스 로션 크림 등의 모든 스킨케어 제품들이 보습기능을 강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백이나 안티에이징 리프팅 저자극 오일프리(Oil-free) 등의 기능까지 추가된 스킨케어 제품들이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조 화장품 소비가 늘어난 것은 최근 몇 년 들어 다양한 화장품 브랜드 접촉기회가 많아지고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젊은 여성의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색조화장품 또한 메이크업베이스와 BB크림 립스틱과 같은 베이스 메이크업이 수요가 많았다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④인터넷(22)

0

5

10

15

20

25

30

TV 잡지 친구 인터넷 메이크업샵

rarr 최근 빠른 인터넷망과 스마트폰 태블릿PC의 보급으로 인해 사람들과 사람사이의 연결망이 견고히 형성되고 있고 이것이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방법을 얻는 경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만 소비자들은 주로 인터넷 블로그 가족과 친구로부터 메이크업 정보를 획득 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만의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이므로 입소문마케팅과 판매를 바로바로 할 수 있는 유통구조가 도움이 될 것 같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2 -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0

5

10

15

20

25

30

청순 독특 귀여움 섹시

rarr 앞서 살펴보았듯이 대만은 한국과 비슷한 메이크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이것은 곧 청순한 메이크업 컨셉에 관심 있어 한다는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실제로 대만 여성소비자들은 깨끗한 피부 NATURAL한 베이스메이크업을 선호한다 한 듯 안 한 듯 자연스럽고 깨끗한 느낌의 한국식 lsquo생얼rsquo 화장법은 대만에서 한국 드라마 열풍과 함께 유명세를 타기 시작해 현지 각종 온라인 뷰티 사이트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래서 응답의 대부분이 한 곳에 치우쳤고 비교적 개성 있는 메이크업 방법이 드물 것이라는 것을 유추해낼 수 있다

본 설문 조사를 통한 한국 화장품 기업에 대한 시사점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수입 절차로 오랜 시간을 허비해야 하는 반면 대만은 자외선 차단제 성분 함유 제품과 약용 화장품을 제외한 일반 화장품은 별도의 수입 검사 없이 수입할 수 있으므로 대개 중국보다 1~2년 먼저 신상품이 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한류 효과를 겨냥한 중화권 화장품 시장으로 대만을 우선 공략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대만은 대부분이 화장품에 대한 소비를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고 한국 화장품이 많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시장 접근법만 제대로 수립하면 매출이 나는 구조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대만인들이 선호하는 메이크업 방법이 한국과 비슷하기 때문에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은 마케팅 방안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최종분석설문 조사 대상은 대부분 10대~20대의 연령층이었으며 화장품의 주된 구입경로는 lsquo온라인(24)rsquo과 lsquo화장품 전문매장(50)rsquo이 압도적이었다 더불어 한 달 간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lsquo1만 원 이상(72)rsquo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이것은 실제 생활수준에 대비하여 높은 소비량이므로 대만의 화장품 시장 전망이 밝다고 할 수 있다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부분은 lsquo성능(46)rsquo이었는데 이는 스타트업 기업 중소기업에게 유리한 조건이다 메이크업 방법을 얻는 방법으로는 lsquo인터넷(44)rsquo과 lsquo친구(30)rsquo가 높은 비율을 차지했는데 판촉활동으로는 인터넷을 활용한 SNS 홍보 바이럴 마케팅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가장 관심있는 화장 컨셉은 lsquo청순rsquo 이었고 이것은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와 맞물려 우리나라와 비슷한 메이크업 방법을 추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3 -

10 대만 명소 소개 (명소음식행사숙소 소개)

10-1 고궁박물관

대만 고궁박물원은 영국의 대영 박물관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 미국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과 함께 세계 4대 박물관으로 손꼽힐 만큼 세계적은 소장 문물을 자랑한다 건물 규모는 그다지 크지 않지만 소장한 문물의 질과 양은 세계 최상급이다 중화 보물 중에서도 최고의 보물들이 모여 있어 진귀하기 그지없고 수량 역시 워낙 방대하여 3개월 단위로 1만여점을 돌아가면서 전시해도 다보려면 10년이 넘게 걸린다고 전해지고 있다 중국의 국공내전 당시 장제스가 이끌던 중국 국민당이 전쟁에서 패하며 중국을 탈출해 대만으로 향했다 당시 장제스는 난징에 있던 정부를 타이페이로 이전하면서 자금성에 보관되어있던 중국역대 왕조 보물 수십만 점을 배를 이용해 운반해 왔다 중국의 유물을 가진 자가 진정한 통치자라고 생각했던 장제스는 ldquo공산군에게 영토는 내줘도 문화유산만큼은 내줄 수 없다ldquo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대표적인 유물은 취옥배추 육형석 모공정 산씨반 등이 있다

10-2 용산사

루강의 초입에 있는 이 사찰은 타이완에서 가장 오래되고 아름답다고 하여 타이완의 자금성이라고 부른다 각 건물의 기둥 벽 그리고 천장 등에 새겨진 조각은 특히 빼어나다 이 조각상과 함께 이곳의 명물로 알려진 것은 사찰 경내에 있는 2마리의 용상인데 삼천전 앞마당 좌우에 서서 룽산사를 호위하고 있다

10-3 타이페이 101 빌딩

타이베이 101빌딩rsquo이라 부르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로서 빌딩 모습은 하늘로 뻗어나가는 대나무 위에 꽃잎이 겹겹이 포개진 형상이다 본래 타이베이 금융기관이 모인 건물이지만 대형 쇼핑센터와 푸드코트 고급 레스토랑이 있어 여행자들이 많이 찾는다 건물에는 8개 마디가 있는데 이는 중화 문화권에서 부와 번영을 의미하는 숫자 lsquo8rsquo을 염두에 둔 것이다 타이베이 시내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는 높이 508m로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히는 높은 건물이다 지상 1~5층에는 소고 백화점 뷰티 플라자 애버뉴 101 등 다양한 패션∙뷰티용품을 구입할 수 있는 상점이 있다 또한 레스토랑 시티 스퀘어 대형 서점 등 쇼핑과 오락 식사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복합시설이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4 -

잘 알려진 식당으로는 딘 타이 펑(Din Tai Fung) 이 있다 101타워 지하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샤오롱바오(고기만두) 새우 샤오마이(새우만두) 탄탄면(우육면)이 가장 대표적인 메뉴이며 대만에 방문한 많은 사람들이 찾는 식당이다

10-4 지우펀

대만여행의 백미로 꼽히는 지우펀은 타이페이시 북부의 루이팡 지역의 작은 산골 마을로 과거에는 아홉가구만 살고 있어서 지우펀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예전에는 작은 산골 마을에 불과 했지만 이 지역에서 금맥이 발견되면서 호황을 맞이하게 된다 특히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일본풍의 건물들이 남아 있어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결합된 독특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비탈길을 따라 하늘로 이어진 예스러운 건물 그리고 골목마다 빨간 홍등과 함께 묻어나는 옛 풍경은 여행객들에게 인기 여행지이다

10-5 스린야시장

타이베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야시장 가운데 하나이다 독특하면서도 다양한 전통 먹을거리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이곳을 찾는 관광객이 많다 시장 부근에 학교가 많아 학생들이 많이 찾으며 포장마차 등의 노점상이 많아 가격도 저렴하다 칭런샹[情人巷]에는 가구 의류 액세서리 사진현상점 애완용품점 등이 모여 있어 학생뿐 아니라 관광객들도 자주 찾는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5 -

10-6 예류 지질 공원

타이완 북해안에 자리한 예류는 해수욕장과 온천 기암괴석으로 유명한 관광지다 특히 예류지질공원은 희귀한 모형의 바위와 암석이 모여 있어 예류 관광의 필수코스로 꼽힌다 작은 곶으로 된 예류지질공원은 침식과 풍화 작용을 거쳐 자연적으로 형성된 기암을 보러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지질공원으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것이 선상암 군락이다 암석 하나하나의 모습은 마치 거대한 버섯이 큰 머리로 하늘을 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선상암 가운데 가장 유명한 암석은 이집트 왕비의 옆모습을 닮은 여왕 두상 바위다

10-7 스펀(Shifen)

스펀(十分)은 옛 광산마을로써 천으로 만든 등이 유명하다 또한 이 곳 스펀은 대만 최대의 폭포 스펀(SE-FEN) 폭포가 있다 미니기차와 천으로 만든 등을 날릴 수도 있다 마을의 한가운데 긴 철길이 놓여 있고 30분에 한 대씩 기차가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것도 볼 수가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6 -

10-8 진과스(金瓜石)

진과스(金瓜石)는 타이완 타이베이 근교에 있는 옛 탄광 유적이다 20세기 전반에 금 채굴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20세기 후반에 금이 차차 고갈되기 시작하자 점점 위축되어 폐광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관광 명소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하루에도 수백명이 들렀다 가는 대만의 대표 관광지이다 진과스 내에 있는 황금 박물관에는 220kg 의 금이 전시 되어 있는데 손을 넣어 직접 만져 볼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진과스에서는 과거 광부들이 먹었던 도시락을 그대로 만들어 판매하는 광부 도시락도 굉장히 인기가 많다

10-9 국립 성공대학

대만의 타이난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1931년에 개교하였다 2010년 QS대학순위에서 283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대만 대학중 2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총 9개의 캠퍼스로 이루어져 있어 굉장히 큰 면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만 교육청에서 인정한 9개의 주요대학 중 하나이고 대만 기업체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학이다 이공계열이 가장 뛰어나며 중문 역사 법학 경제학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10 시먼딩

타이베이시에 위치한 시먼딩은 한국의 명동과 같은 거리이다 대한민국의 명동에도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과 외국인이 많다고 알려져 있는데 시먼딩 또한 명동 못지않은 다양함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대만의 패션과 놀이 문화 음식 등을 한눈에 경험 할 수 있는 공간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7 -

10-11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

중정기념당은 타이완 총통 장제스(蔣介石)를 기리는 전당이다 lsquo중정rsquo은 장제스의 본명이다 그가 서거한 후 1980년 기념당을 세웠다 25만에 이르는 넓은 중정공원 안에 우뚝 선 높이 70m의 기념물이 중정기념당이다 기념당 1층에는 장제스 생애를 엿볼 수 있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거대한 장제스 동상은 항상 근위병이 동상 앞을 지키고 있다 중정공원 안에는 중정기념당 외에 국립 희극원과 국립 음악청이 있는데 이곳에서 연극과 콘서트를 한다 공원 조경 또한 잘 조성되어 있어 산책하며 천천히 둘러보기에 좋다

10-12 안핑지구(安平地區)

대만의 문화와 역사는 안핑지구에서 시작되었다 안핑구바오는 17세기 중엽 네덜란드인들이 지은 요새로 정성공이 빼앗아 번영하다가 황폐해져 지금은 보루의 대부분이 없어지고 설탕과 굴껍데기와 찹쌀가루를 버무려 만든 빨간벽돌로 된 장벽(臺灣城殘蹟)만이 남아 나무뿌리와 존립의 사투를 벌이고 있다 감시탑 옆 건물 안에는 네덜란드와 정성공의 전투에 대한 이야기와 중세갑옷 등이 전시 중이다 이 주변에는 대만에서 가장 오래된 상업거리 옌핑제(延平街)가 있는데 옛 명성이 다한 거리의 골목 사이사이 수백년 된 가옥을 구경하는 것도 소소한 즐거움이다 1867년 영국인 상점과 물류창고로 이용하던 건물에 노용수(老榕樹)가 멋대로 자라 건물을 집어삼키듯 뒤덮은 나무집으로 불리는 안핑수우도 안핑지구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진귀한 볼거리다

10-13 미라마 관람차

대만에서 가장 큰 관람차로 알려져 있는 미라마 관람차는 타이페이 시의 야경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관람차 크기가 큰 것으로 유명하지만 가격 또한 저렴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유스트래블 카드를 이용하면 50 할인이 적용되므로 꼭 지참하도록 하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8 -

lt미라마 관람차 티켓gt lt유스트래블 카드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9 -

11 시사점 및 차후 활용계획 (LGC 프로그램을 통한 구체적인 효과 및 연구결과)

11-1 LGC 프로젝트 만족도

구분 항목 전 후 한줄 평

사업단

프로젝트 취지- 린튼 글로벌 학과와 경영정보학과 학생들이 함께

하는 프로젝트 해외시장탐방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사전교육 활동- 출국 전 각 나라에 대한 유의사항 안전교육이 체

계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개략적인 보고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었다

행정지원 절차- CK사업단 린튼 글로벌 학과 경영정보학과 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히 되지 않아 사전 계획에서 많은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협동력 향상- 출발 전 잦은 팀 회의와 8박 9일 간에 일정에도

불구하고 불화 없이 좋은 분위기 속에서 프로젝트를 완수 했다

추진력 향상- 일정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 한 점 추가 자료조

사를 위해 현지에서 새로운 일정을 추가 됐을 때 팀원들이 일사불란하게 따라주었다

문제해결 능력- 교통편 문제와 기업 측 내부 문제로 일부 일정에

변동이 있었지만 신속한 조율과 전화 통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개인

동기부여 자극- 현지인들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국어 영어 능

력의 필요성을 실감했다 특히 중국어는 소통 유무에 따라 현지 반응이 극명하게 갈렸다

진로설계 도움- 프로젝트 전에 비해 새로운 직업 분야에 대한 관심

이 증가했다

취업능력 향상-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한 내용을 살려 구술 면접이

나 자기소개서 작성에 참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11-2 LGC프로젝트 연구 결과 - 대만 시장

⓵ 중국시장을 주목하는 대만 화장품 기업- EST팀은 현지 대만 화장품 기업으로 SISDORA와 WABFENIX를 선택했다 두 회사를 선정한 배경에는

명확한 의도를 두고 정했다 SISDORA는 설립한 지 10년이 넘는 회사로 직접 화장품을 개발 및 연구하고 판매하는 중소기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과 주름개선 크림으로 중년 여성을 타깃 층으로 하는 화장품 회사다 반면 WABFENIX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스타트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 이지만 기술개발 보다는 디자인 마케팅에 중점을 두었고 판매 층도 10대-20대의 젊은 층을 타깃 층으로 한다 시장 전략이 완연히 다른 두 기업이 유일하게 공통점이 있다면 중국시장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선정 이유에는 많은 인구의 소비력을 꼽지만 뒤이어 언급하는 이야기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자사 제품의 경쟁력 약화를 말한다 현재 대만 기업 대부분은 내수 시장 대신에 중국을 겨냥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국가 산업 특성상 제조amp연구 분야가 강세인 대만에서는 중국 바이어 또는 미국 유럽 바이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직접 판매 보다는 기술 협력을 통해 이익을 창출한다고 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0 -

⓶ 대만 시장을 점령한 한국 화장품

- 앞서 말했듯이 2012년 이후부터 급속히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한국 화장품은 대만 시장을 점령하고 있다 이미 시먼딩에 들어서면 다양한 한국 화장품 매장이 눈에 띌 만큼 들어섰으며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중앙 광장에 입점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매장 안에는 많은 대만 사람들이 화장품을 보고 있는 광경을 흔히 본다 화장품 매장을 이용하는 연령층은 주로 10대-20대들이다 화장품 가격이 한국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주 애용하는 이유는 한류 열풍으로 인한 한국 연예인들에 대한 관심과 화장법이 크게 유행하고 있음을 현지 설문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⓷ 체감할 수 있을 만큼 커다란 한류열풍

- 뉴스에서만 듣던 한류 이야기를 대만에서 직접 느낄 수 있을 정도로 한류열풍은 크다 특히 삼성이나 LG의 TV나 스마트폰은 어딜 가든 항상 보이고 한국 화장품 선물에 대한 반응이 무척이나 뜨겁다 원활한 현지 조사를 위하여 사은품으로 준비한 한국 마스크 팩 100개는 오히려 현지인들이 참여 의사를 표현할 만큼 열정적이었다 일부 대만 사람 중에는 어디서 왔냐는 질문에 한국이라는 답변을 하니 같이 사진 찍기를 제안하기도 했다

⓸ 중소기업에게 있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는 대만 시장진출- 대만 시장 진출에 앞서 한국 화장품 중소기업이라면 전략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크게 대만 시장을 겨냥

할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할지 선택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3CE는 한국 화장품 회사다 대만에서 젊은 연령층이 자주 이용하고 이미 대만 내에서는 유명하다 3CE는 오프라인 매장 없이 순수 온라인 매장으로 운영하면서 대만 사람들을 위한 전용 웹사이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윤을 창출 하고 있다 신중해야 할 점은 현재 온라인 오프라인 등 한국 화장품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신규 진입에 있어서 장벽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대만 시장을 활용한다면 동남아 시장까지 한 번에 내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출입통관 절차가 간단하고 관세가 낮기 때문에 중소기업에게 유리하다 아직까지 중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1 -

에 대한 직접적인 수출이 가능한 곳은 상해나 항주 같이 중국에서 허가한 무역항 도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내륙까지 시장을 확대하기는 불가능하지만 같은 언어권인 대만을 거치면 보다 쉽게 바이어나 에이전트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인맥을 통한 꽌시와 수수료 명목으로 뒷돈을 요구하는 중국 바이어의 관행은 자금 순환이 원활치 않은 중소기업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11-3 LGC 프로젝트 종합 의견 및 전망

우리 lsquoEST팀은 출국 전 국내 화장품 시장 조사를 할 때 대덕 밸리 스타트업 기업 셀아이콘 랩의 영향으로 대만의 화장품 산업에 대해 큰 관심과 가능성을 보고 2015년 1월 5일부터 1월 13일까지 8박9일이라는 시간동안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 나라 중에 하나인 대만에서 rsquo대만의 화장품 시장lsquo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사를 했다 대만에서는 3개의 기업 (KOTRA SISDORA WABFENIX) 을 방문해 전반적인 대만의 화장품 시장과 판매전략 한류에 대한 보다 사실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1개의 대학 (국립성공대학 國立成功大學)에서 MBA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또 타이난에서는 대만에서 오랫동안 사업하시는 한인협회 회장을 만나 PLC (Product Life Cycle)를 통해 대만에서의 특정 시장이 도입기에 있는지 또 어떠한 시장이 쇠퇴기에 놓여있는지 다양한 시야에서 대만시장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노력은 CK 사업단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교육부 CK-1 프로젝트의 일부인 Linton Global Challenge는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몇 년을 내다보는 지속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기업들과 더욱 더 활발한 교류와 연구를 한다면 기업과 CK 사업단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리라고 본다

1 개인 탐방 후기 (팀원 개인 소감)

1-1 개인 탐방 후기

강성민탐방 후기 기업 컨택 부터 인터뷰 일정 계획까지 8박 9일간의 대만 화장품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 출국 전까지 준비 과정부터 탈도 많았고 대만에 와서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 원하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매일이 항상 회의와 고민의 연속이었다 하루하루 충실히 계획을 진행시켜 나갔고 좋은 팀 분위기 속에서 무사히 대만 프로

부록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2 -

젝트를 완수했다 그리고 마침내 한국으로 돌아왔다 과정은 항상 오르막 길이였지만 돌이켜 보면 마지막 대학 시절을 기념할만한 좋은 추억이자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느끼는 바가 많았던 프로젝트로 기억 될 것이다

김은진탐방 후기 글로벌 챌린지를 한마디로 정의하라고 한다면 도종환 시인의 lsquo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lsquo라는 시가 떠오른다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대만기업컨택 설문조사 등 많은 것을 경험했다 처음엔 모든 것이 나에겐 버거운 산이라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도전이 계속 될수록 이젠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이 모든 도전들에 흥미가 생겼다 나 자신도 책임감과 자신감이 생기고 한층 성숙해 진 것을 내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소중한 동료와 추억은 평생 나의 가슴속에 남을 것이다 우린 앞으로도 많이 도전하고 경험하여 우리들의 삶이 활짝 만개하리라 다짐한다 끊임없이 도전하는 20대의 청춘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프로그램이었다 김종선탐방 후기 한국에서 준비하면서 조사했던 내용과 비교하며 인터뷰를 해보니 실제로 많이 다른 부분도 있었고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 비슷한 내용도 있었다 현지의 기업들을 방문해 우리가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직접 매장에 가서 느껴보니 앉아서 컴퓨터만 볼 때랑 많이 달랐다 그리고 직접 대만인들에게 설문조사를 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그리고 대만의 실제 문화와 환경 그들의 생활을 잠시나마 볼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

구명우탐방 후기 며칠간의 꿈만 같았던 대만에서의 시간이 지나갔다 대만으로 출국하기 전 사전조사 기간에는 확신이 없었다 사전조사와 기업과의 인터뷰 그리고 9일간의 일정조율 및 숙박과 모든 대만에서의 연구와 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보고서까지 무엇하나 확신이 드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도전과 해결능력을 배웠고 아시아에서 급성장 중인 대만에 대해서 배우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다음기수로 가게 될 관심 있는 학우들에게 진심으로 추천해주고 싶다

이규현탐방 후기 CK-1 프로그램 중 하나인 lsquo린튼 글로벌 챌린지lsquo 프로그램을 통해 약 8박 9일이라는 시간 동안 emerging market 중 하나인 대만에 거주하면서 한국 화장품의 대만시장 점유율과 진출 가능성을 몸으로 체감하고 자료들을 모아 통계 내어 정리할 수 있었다 우리 팀 lsquoEST가 성공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충분한 국내조사 기간을 갖고 대만의 화장품 회사들을 방문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대만의 특정한 기업을 찾기도 어려웠고 기업 컨택은 번번히 거절당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회사 두 군데에서는 답장조차 오지 않았고 설문조사할 때에는 반한감정의 대만인을 만나 고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팀의 단결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리더의 통솔력으로 정해진 스케줄대로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회사를 방문하고 학교교수를 만나고 길거리에서 설문조사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팀원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또한 대학생으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을 한 것 같아서 스스로도 너무 뿌듯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팀을 믿고 지지해주신 LGSB 교수님들과 CK-1 프로그램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영은탐방 후기 처음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렇게 준비는 열심히 하지만 정말 우리가 계획한 100대로 대만을 다녀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기우가 무색하게도 대만은 우리에게 기획안 그 이상의 것들을 보여주었다 사장님들의 생생한 사업 이야기와 대만의 색채가 묻어있는 아이템들 하며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여 알아보는 비즈니스 마켓의 현장은 나에게 두고두고 잊지 못할 자산으로 남았다 또한 펑리수 버블티를 비롯한 대만의 맛있는 먹거리들과 스린 야시장이나 지우펀 같은 명소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열심히 고생해준 팀원들과의 추억들도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3 -

이서우탐방 후기 이번 글로벌 첼린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서 쉽게 할 수 없는 해외 기업 탐방과 해당 국가의 산업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임효진탐방 후기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팀이 대만을 방문 한다고 했을 때 많이 의아해 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만을 직접 방문해보고 많은 사업자들을 만난 결과 대만은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라고 생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아직 공산주의라는 정치적 특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다른 곳보다 훨씬 어렵지만 대만은 자유시장체제 이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쉽다 특히 외국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만 시장에서 한국제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추고 중국 시장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성공가능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그리고 대만의 바이어들을 통해 중국의 시장진출을 하게 된다면 사업자가 직접 중국시장에 진출 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성공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만은 문화적으로 다른 아시아권보다 선진화 되었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대도시에 속하지만 모두다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골고루 섞여 대만만의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차안호탐방 후기 9박 10일간의 대만을 다녀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넓고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이번 대만 여행은 처음으로 경험한 해외여행 경험이여서 그런지 순탄치 않은 면도 있었지만 팀원들 서로가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만시장은 중국시장으로 가기위한 좋은 시험의 장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대만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영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더 나아가 미래에는 중국어야말로 영어와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성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또 하나 놀란 점은 대만이 반 한류 감정을 많이 갖고 있는 줄 알았지만 대부분의 대만 일반 시민들이 굉장히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에 놀랐고 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CK-1 사업의 챌린지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대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계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보완점 및 건의사항 (문제점개선책건의사항)

2-1 기업 컨택의 어려움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에 있는 기업과 연결하여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대해서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조사 및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시간을 내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로써 그들의 귀한시간이 아깝게 쓰이지 않을 것을 강조하여 만남을 만들어야 한다

2-2 사업단과 의사소통의 불편함

Challeng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CK-1 사업단과의 지속되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가령 누군가를 통해서 전해지는 소문이나 촉박한 시간을 제시하고 일 처리를 원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단과 각 팀의 대표간의 분명한 의사소통과 증빙자료 등이 필요하다

2-3 정보 부재 이번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이머징 마켓에서의 유망 산업 조사 및 연구였다 대만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35: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5 -

8-3 설문조사 활동

lt2015년 1월 7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6 -

lt2015년 1월 12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7 -

lt활동 결과 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8 -

9 설문조사 통계 분석 (설문조사 응답 수분석결과)

9-1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결과gt

설문 조사 질문지 양식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12)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③ 마트(5) ④ 홈쇼핑(6)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9 -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gt

9-2 설문조사 항목 별 의견 및 추측

설문 조사 질문지 항목 (최다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② 20 ~ 25세 (13)

0

5

10

15

20

25

30

20대 이하 20세~24세 25세~29세 30세~39세 40대 이상

rarr 시먼딩은 대만의 홍대거리라 불리는 lsquo융캉제rsquo나 서울의 lsquo명동rsquo과 같이 젊은 층이 주로 활동하는 지역이다 설문조사 중에도 교복이나 체육복을 입은 학생들과 길거리에서 쇼핑을 즐기는 20대가 즐비할 만큼 활기 있는 거리다 덥고 습한 대만 기후 특성 상 과거엔 화장법이 크게 발전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국의 자연스러운 화장법이 큰 인기를 끌면서 시먼딩에 화장품 거리가 조성되어 있을 만큼 유동 인구가 많다 이 점으로 추측해보았을 때 압도적으로 10대와 20대 층이 많은 응답 수를 기록했다고 본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0 -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051015202530

온라인 화장품전문매장 마트 홈쇼핑 방문판매

rarr 대만 또한 한국과 비슷하게 시내에 많은 수의 화장품 전문매장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접근성이 굉장히 높았다 더불어 각 화장품 매장에서는 상품 할인과 같은 각종 프로모션을 진행하기 때문에 구매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 구매한다는 대답도 높은 편이었는데 거의 대부분이 와이파이존이어서 어디서나 인터넷을 한 활발히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온라인에서의 구매율도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0

5

10

15

20

25

30

NT$300 미만 NT$300~NT899 NT$900~NT$1499 NT$1500~NT2999 NT$3000

rarr 응답자들은 대부분이 한 달 간 화장품에 쓰는 돈을 최저 1만원 이상(NT$300 이상)이라고 답했는데 이는 70가 넘어가는 결과로 화장품에 대한 지출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만원 이상이라고 대답한 응답자들 또한 4분의 1을 넘기는데 이것은 젊은 연령층부터 시작하여 최근 피부 관리와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대만의 소비 수준에 대비하여 화장품 소비율이 높은 것도 이 때문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1 -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③ 성능(23)

051015202530

가격 디자인 성능 화장품 모델 브랜드

rarr 아열대 기후에 속하는 대만은 높은 기온과 습한 날씨 탓에 에어컨 환경에 자주 노출돼 피부 수분을 잃기 쉬워 기능성 화장품의 소비가 두드러진다 대만 화장품 시장은 토너 세럼 에센스 로션 크림 등의 모든 스킨케어 제품들이 보습기능을 강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백이나 안티에이징 리프팅 저자극 오일프리(Oil-free) 등의 기능까지 추가된 스킨케어 제품들이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조 화장품 소비가 늘어난 것은 최근 몇 년 들어 다양한 화장품 브랜드 접촉기회가 많아지고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젊은 여성의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색조화장품 또한 메이크업베이스와 BB크림 립스틱과 같은 베이스 메이크업이 수요가 많았다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④인터넷(22)

0

5

10

15

20

25

30

TV 잡지 친구 인터넷 메이크업샵

rarr 최근 빠른 인터넷망과 스마트폰 태블릿PC의 보급으로 인해 사람들과 사람사이의 연결망이 견고히 형성되고 있고 이것이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방법을 얻는 경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만 소비자들은 주로 인터넷 블로그 가족과 친구로부터 메이크업 정보를 획득 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만의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이므로 입소문마케팅과 판매를 바로바로 할 수 있는 유통구조가 도움이 될 것 같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2 -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0

5

10

15

20

25

30

청순 독특 귀여움 섹시

rarr 앞서 살펴보았듯이 대만은 한국과 비슷한 메이크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이것은 곧 청순한 메이크업 컨셉에 관심 있어 한다는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실제로 대만 여성소비자들은 깨끗한 피부 NATURAL한 베이스메이크업을 선호한다 한 듯 안 한 듯 자연스럽고 깨끗한 느낌의 한국식 lsquo생얼rsquo 화장법은 대만에서 한국 드라마 열풍과 함께 유명세를 타기 시작해 현지 각종 온라인 뷰티 사이트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래서 응답의 대부분이 한 곳에 치우쳤고 비교적 개성 있는 메이크업 방법이 드물 것이라는 것을 유추해낼 수 있다

본 설문 조사를 통한 한국 화장품 기업에 대한 시사점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수입 절차로 오랜 시간을 허비해야 하는 반면 대만은 자외선 차단제 성분 함유 제품과 약용 화장품을 제외한 일반 화장품은 별도의 수입 검사 없이 수입할 수 있으므로 대개 중국보다 1~2년 먼저 신상품이 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한류 효과를 겨냥한 중화권 화장품 시장으로 대만을 우선 공략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대만은 대부분이 화장품에 대한 소비를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고 한국 화장품이 많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시장 접근법만 제대로 수립하면 매출이 나는 구조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대만인들이 선호하는 메이크업 방법이 한국과 비슷하기 때문에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은 마케팅 방안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최종분석설문 조사 대상은 대부분 10대~20대의 연령층이었으며 화장품의 주된 구입경로는 lsquo온라인(24)rsquo과 lsquo화장품 전문매장(50)rsquo이 압도적이었다 더불어 한 달 간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lsquo1만 원 이상(72)rsquo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이것은 실제 생활수준에 대비하여 높은 소비량이므로 대만의 화장품 시장 전망이 밝다고 할 수 있다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부분은 lsquo성능(46)rsquo이었는데 이는 스타트업 기업 중소기업에게 유리한 조건이다 메이크업 방법을 얻는 방법으로는 lsquo인터넷(44)rsquo과 lsquo친구(30)rsquo가 높은 비율을 차지했는데 판촉활동으로는 인터넷을 활용한 SNS 홍보 바이럴 마케팅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가장 관심있는 화장 컨셉은 lsquo청순rsquo 이었고 이것은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와 맞물려 우리나라와 비슷한 메이크업 방법을 추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3 -

10 대만 명소 소개 (명소음식행사숙소 소개)

10-1 고궁박물관

대만 고궁박물원은 영국의 대영 박물관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 미국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과 함께 세계 4대 박물관으로 손꼽힐 만큼 세계적은 소장 문물을 자랑한다 건물 규모는 그다지 크지 않지만 소장한 문물의 질과 양은 세계 최상급이다 중화 보물 중에서도 최고의 보물들이 모여 있어 진귀하기 그지없고 수량 역시 워낙 방대하여 3개월 단위로 1만여점을 돌아가면서 전시해도 다보려면 10년이 넘게 걸린다고 전해지고 있다 중국의 국공내전 당시 장제스가 이끌던 중국 국민당이 전쟁에서 패하며 중국을 탈출해 대만으로 향했다 당시 장제스는 난징에 있던 정부를 타이페이로 이전하면서 자금성에 보관되어있던 중국역대 왕조 보물 수십만 점을 배를 이용해 운반해 왔다 중국의 유물을 가진 자가 진정한 통치자라고 생각했던 장제스는 ldquo공산군에게 영토는 내줘도 문화유산만큼은 내줄 수 없다ldquo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대표적인 유물은 취옥배추 육형석 모공정 산씨반 등이 있다

10-2 용산사

루강의 초입에 있는 이 사찰은 타이완에서 가장 오래되고 아름답다고 하여 타이완의 자금성이라고 부른다 각 건물의 기둥 벽 그리고 천장 등에 새겨진 조각은 특히 빼어나다 이 조각상과 함께 이곳의 명물로 알려진 것은 사찰 경내에 있는 2마리의 용상인데 삼천전 앞마당 좌우에 서서 룽산사를 호위하고 있다

10-3 타이페이 101 빌딩

타이베이 101빌딩rsquo이라 부르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로서 빌딩 모습은 하늘로 뻗어나가는 대나무 위에 꽃잎이 겹겹이 포개진 형상이다 본래 타이베이 금융기관이 모인 건물이지만 대형 쇼핑센터와 푸드코트 고급 레스토랑이 있어 여행자들이 많이 찾는다 건물에는 8개 마디가 있는데 이는 중화 문화권에서 부와 번영을 의미하는 숫자 lsquo8rsquo을 염두에 둔 것이다 타이베이 시내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는 높이 508m로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히는 높은 건물이다 지상 1~5층에는 소고 백화점 뷰티 플라자 애버뉴 101 등 다양한 패션∙뷰티용품을 구입할 수 있는 상점이 있다 또한 레스토랑 시티 스퀘어 대형 서점 등 쇼핑과 오락 식사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복합시설이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4 -

잘 알려진 식당으로는 딘 타이 펑(Din Tai Fung) 이 있다 101타워 지하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샤오롱바오(고기만두) 새우 샤오마이(새우만두) 탄탄면(우육면)이 가장 대표적인 메뉴이며 대만에 방문한 많은 사람들이 찾는 식당이다

10-4 지우펀

대만여행의 백미로 꼽히는 지우펀은 타이페이시 북부의 루이팡 지역의 작은 산골 마을로 과거에는 아홉가구만 살고 있어서 지우펀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예전에는 작은 산골 마을에 불과 했지만 이 지역에서 금맥이 발견되면서 호황을 맞이하게 된다 특히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일본풍의 건물들이 남아 있어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결합된 독특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비탈길을 따라 하늘로 이어진 예스러운 건물 그리고 골목마다 빨간 홍등과 함께 묻어나는 옛 풍경은 여행객들에게 인기 여행지이다

10-5 스린야시장

타이베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야시장 가운데 하나이다 독특하면서도 다양한 전통 먹을거리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이곳을 찾는 관광객이 많다 시장 부근에 학교가 많아 학생들이 많이 찾으며 포장마차 등의 노점상이 많아 가격도 저렴하다 칭런샹[情人巷]에는 가구 의류 액세서리 사진현상점 애완용품점 등이 모여 있어 학생뿐 아니라 관광객들도 자주 찾는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5 -

10-6 예류 지질 공원

타이완 북해안에 자리한 예류는 해수욕장과 온천 기암괴석으로 유명한 관광지다 특히 예류지질공원은 희귀한 모형의 바위와 암석이 모여 있어 예류 관광의 필수코스로 꼽힌다 작은 곶으로 된 예류지질공원은 침식과 풍화 작용을 거쳐 자연적으로 형성된 기암을 보러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지질공원으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것이 선상암 군락이다 암석 하나하나의 모습은 마치 거대한 버섯이 큰 머리로 하늘을 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선상암 가운데 가장 유명한 암석은 이집트 왕비의 옆모습을 닮은 여왕 두상 바위다

10-7 스펀(Shifen)

스펀(十分)은 옛 광산마을로써 천으로 만든 등이 유명하다 또한 이 곳 스펀은 대만 최대의 폭포 스펀(SE-FEN) 폭포가 있다 미니기차와 천으로 만든 등을 날릴 수도 있다 마을의 한가운데 긴 철길이 놓여 있고 30분에 한 대씩 기차가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것도 볼 수가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6 -

10-8 진과스(金瓜石)

진과스(金瓜石)는 타이완 타이베이 근교에 있는 옛 탄광 유적이다 20세기 전반에 금 채굴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20세기 후반에 금이 차차 고갈되기 시작하자 점점 위축되어 폐광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관광 명소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하루에도 수백명이 들렀다 가는 대만의 대표 관광지이다 진과스 내에 있는 황금 박물관에는 220kg 의 금이 전시 되어 있는데 손을 넣어 직접 만져 볼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진과스에서는 과거 광부들이 먹었던 도시락을 그대로 만들어 판매하는 광부 도시락도 굉장히 인기가 많다

10-9 국립 성공대학

대만의 타이난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1931년에 개교하였다 2010년 QS대학순위에서 283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대만 대학중 2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총 9개의 캠퍼스로 이루어져 있어 굉장히 큰 면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만 교육청에서 인정한 9개의 주요대학 중 하나이고 대만 기업체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학이다 이공계열이 가장 뛰어나며 중문 역사 법학 경제학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10 시먼딩

타이베이시에 위치한 시먼딩은 한국의 명동과 같은 거리이다 대한민국의 명동에도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과 외국인이 많다고 알려져 있는데 시먼딩 또한 명동 못지않은 다양함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대만의 패션과 놀이 문화 음식 등을 한눈에 경험 할 수 있는 공간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7 -

10-11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

중정기념당은 타이완 총통 장제스(蔣介石)를 기리는 전당이다 lsquo중정rsquo은 장제스의 본명이다 그가 서거한 후 1980년 기념당을 세웠다 25만에 이르는 넓은 중정공원 안에 우뚝 선 높이 70m의 기념물이 중정기념당이다 기념당 1층에는 장제스 생애를 엿볼 수 있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거대한 장제스 동상은 항상 근위병이 동상 앞을 지키고 있다 중정공원 안에는 중정기념당 외에 국립 희극원과 국립 음악청이 있는데 이곳에서 연극과 콘서트를 한다 공원 조경 또한 잘 조성되어 있어 산책하며 천천히 둘러보기에 좋다

10-12 안핑지구(安平地區)

대만의 문화와 역사는 안핑지구에서 시작되었다 안핑구바오는 17세기 중엽 네덜란드인들이 지은 요새로 정성공이 빼앗아 번영하다가 황폐해져 지금은 보루의 대부분이 없어지고 설탕과 굴껍데기와 찹쌀가루를 버무려 만든 빨간벽돌로 된 장벽(臺灣城殘蹟)만이 남아 나무뿌리와 존립의 사투를 벌이고 있다 감시탑 옆 건물 안에는 네덜란드와 정성공의 전투에 대한 이야기와 중세갑옷 등이 전시 중이다 이 주변에는 대만에서 가장 오래된 상업거리 옌핑제(延平街)가 있는데 옛 명성이 다한 거리의 골목 사이사이 수백년 된 가옥을 구경하는 것도 소소한 즐거움이다 1867년 영국인 상점과 물류창고로 이용하던 건물에 노용수(老榕樹)가 멋대로 자라 건물을 집어삼키듯 뒤덮은 나무집으로 불리는 안핑수우도 안핑지구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진귀한 볼거리다

10-13 미라마 관람차

대만에서 가장 큰 관람차로 알려져 있는 미라마 관람차는 타이페이 시의 야경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관람차 크기가 큰 것으로 유명하지만 가격 또한 저렴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유스트래블 카드를 이용하면 50 할인이 적용되므로 꼭 지참하도록 하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8 -

lt미라마 관람차 티켓gt lt유스트래블 카드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9 -

11 시사점 및 차후 활용계획 (LGC 프로그램을 통한 구체적인 효과 및 연구결과)

11-1 LGC 프로젝트 만족도

구분 항목 전 후 한줄 평

사업단

프로젝트 취지- 린튼 글로벌 학과와 경영정보학과 학생들이 함께

하는 프로젝트 해외시장탐방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사전교육 활동- 출국 전 각 나라에 대한 유의사항 안전교육이 체

계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개략적인 보고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었다

행정지원 절차- CK사업단 린튼 글로벌 학과 경영정보학과 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히 되지 않아 사전 계획에서 많은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협동력 향상- 출발 전 잦은 팀 회의와 8박 9일 간에 일정에도

불구하고 불화 없이 좋은 분위기 속에서 프로젝트를 완수 했다

추진력 향상- 일정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 한 점 추가 자료조

사를 위해 현지에서 새로운 일정을 추가 됐을 때 팀원들이 일사불란하게 따라주었다

문제해결 능력- 교통편 문제와 기업 측 내부 문제로 일부 일정에

변동이 있었지만 신속한 조율과 전화 통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개인

동기부여 자극- 현지인들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국어 영어 능

력의 필요성을 실감했다 특히 중국어는 소통 유무에 따라 현지 반응이 극명하게 갈렸다

진로설계 도움- 프로젝트 전에 비해 새로운 직업 분야에 대한 관심

이 증가했다

취업능력 향상-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한 내용을 살려 구술 면접이

나 자기소개서 작성에 참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11-2 LGC프로젝트 연구 결과 - 대만 시장

⓵ 중국시장을 주목하는 대만 화장품 기업- EST팀은 현지 대만 화장품 기업으로 SISDORA와 WABFENIX를 선택했다 두 회사를 선정한 배경에는

명확한 의도를 두고 정했다 SISDORA는 설립한 지 10년이 넘는 회사로 직접 화장품을 개발 및 연구하고 판매하는 중소기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과 주름개선 크림으로 중년 여성을 타깃 층으로 하는 화장품 회사다 반면 WABFENIX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스타트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 이지만 기술개발 보다는 디자인 마케팅에 중점을 두었고 판매 층도 10대-20대의 젊은 층을 타깃 층으로 한다 시장 전략이 완연히 다른 두 기업이 유일하게 공통점이 있다면 중국시장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선정 이유에는 많은 인구의 소비력을 꼽지만 뒤이어 언급하는 이야기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자사 제품의 경쟁력 약화를 말한다 현재 대만 기업 대부분은 내수 시장 대신에 중국을 겨냥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국가 산업 특성상 제조amp연구 분야가 강세인 대만에서는 중국 바이어 또는 미국 유럽 바이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직접 판매 보다는 기술 협력을 통해 이익을 창출한다고 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0 -

⓶ 대만 시장을 점령한 한국 화장품

- 앞서 말했듯이 2012년 이후부터 급속히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한국 화장품은 대만 시장을 점령하고 있다 이미 시먼딩에 들어서면 다양한 한국 화장품 매장이 눈에 띌 만큼 들어섰으며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중앙 광장에 입점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매장 안에는 많은 대만 사람들이 화장품을 보고 있는 광경을 흔히 본다 화장품 매장을 이용하는 연령층은 주로 10대-20대들이다 화장품 가격이 한국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주 애용하는 이유는 한류 열풍으로 인한 한국 연예인들에 대한 관심과 화장법이 크게 유행하고 있음을 현지 설문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⓷ 체감할 수 있을 만큼 커다란 한류열풍

- 뉴스에서만 듣던 한류 이야기를 대만에서 직접 느낄 수 있을 정도로 한류열풍은 크다 특히 삼성이나 LG의 TV나 스마트폰은 어딜 가든 항상 보이고 한국 화장품 선물에 대한 반응이 무척이나 뜨겁다 원활한 현지 조사를 위하여 사은품으로 준비한 한국 마스크 팩 100개는 오히려 현지인들이 참여 의사를 표현할 만큼 열정적이었다 일부 대만 사람 중에는 어디서 왔냐는 질문에 한국이라는 답변을 하니 같이 사진 찍기를 제안하기도 했다

⓸ 중소기업에게 있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는 대만 시장진출- 대만 시장 진출에 앞서 한국 화장품 중소기업이라면 전략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크게 대만 시장을 겨냥

할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할지 선택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3CE는 한국 화장품 회사다 대만에서 젊은 연령층이 자주 이용하고 이미 대만 내에서는 유명하다 3CE는 오프라인 매장 없이 순수 온라인 매장으로 운영하면서 대만 사람들을 위한 전용 웹사이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윤을 창출 하고 있다 신중해야 할 점은 현재 온라인 오프라인 등 한국 화장품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신규 진입에 있어서 장벽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대만 시장을 활용한다면 동남아 시장까지 한 번에 내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출입통관 절차가 간단하고 관세가 낮기 때문에 중소기업에게 유리하다 아직까지 중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1 -

에 대한 직접적인 수출이 가능한 곳은 상해나 항주 같이 중국에서 허가한 무역항 도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내륙까지 시장을 확대하기는 불가능하지만 같은 언어권인 대만을 거치면 보다 쉽게 바이어나 에이전트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인맥을 통한 꽌시와 수수료 명목으로 뒷돈을 요구하는 중국 바이어의 관행은 자금 순환이 원활치 않은 중소기업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11-3 LGC 프로젝트 종합 의견 및 전망

우리 lsquoEST팀은 출국 전 국내 화장품 시장 조사를 할 때 대덕 밸리 스타트업 기업 셀아이콘 랩의 영향으로 대만의 화장품 산업에 대해 큰 관심과 가능성을 보고 2015년 1월 5일부터 1월 13일까지 8박9일이라는 시간동안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 나라 중에 하나인 대만에서 rsquo대만의 화장품 시장lsquo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사를 했다 대만에서는 3개의 기업 (KOTRA SISDORA WABFENIX) 을 방문해 전반적인 대만의 화장품 시장과 판매전략 한류에 대한 보다 사실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1개의 대학 (국립성공대학 國立成功大學)에서 MBA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또 타이난에서는 대만에서 오랫동안 사업하시는 한인협회 회장을 만나 PLC (Product Life Cycle)를 통해 대만에서의 특정 시장이 도입기에 있는지 또 어떠한 시장이 쇠퇴기에 놓여있는지 다양한 시야에서 대만시장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노력은 CK 사업단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교육부 CK-1 프로젝트의 일부인 Linton Global Challenge는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몇 년을 내다보는 지속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기업들과 더욱 더 활발한 교류와 연구를 한다면 기업과 CK 사업단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리라고 본다

1 개인 탐방 후기 (팀원 개인 소감)

1-1 개인 탐방 후기

강성민탐방 후기 기업 컨택 부터 인터뷰 일정 계획까지 8박 9일간의 대만 화장품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 출국 전까지 준비 과정부터 탈도 많았고 대만에 와서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 원하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매일이 항상 회의와 고민의 연속이었다 하루하루 충실히 계획을 진행시켜 나갔고 좋은 팀 분위기 속에서 무사히 대만 프로

부록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2 -

젝트를 완수했다 그리고 마침내 한국으로 돌아왔다 과정은 항상 오르막 길이였지만 돌이켜 보면 마지막 대학 시절을 기념할만한 좋은 추억이자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느끼는 바가 많았던 프로젝트로 기억 될 것이다

김은진탐방 후기 글로벌 챌린지를 한마디로 정의하라고 한다면 도종환 시인의 lsquo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lsquo라는 시가 떠오른다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대만기업컨택 설문조사 등 많은 것을 경험했다 처음엔 모든 것이 나에겐 버거운 산이라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도전이 계속 될수록 이젠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이 모든 도전들에 흥미가 생겼다 나 자신도 책임감과 자신감이 생기고 한층 성숙해 진 것을 내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소중한 동료와 추억은 평생 나의 가슴속에 남을 것이다 우린 앞으로도 많이 도전하고 경험하여 우리들의 삶이 활짝 만개하리라 다짐한다 끊임없이 도전하는 20대의 청춘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프로그램이었다 김종선탐방 후기 한국에서 준비하면서 조사했던 내용과 비교하며 인터뷰를 해보니 실제로 많이 다른 부분도 있었고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 비슷한 내용도 있었다 현지의 기업들을 방문해 우리가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직접 매장에 가서 느껴보니 앉아서 컴퓨터만 볼 때랑 많이 달랐다 그리고 직접 대만인들에게 설문조사를 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그리고 대만의 실제 문화와 환경 그들의 생활을 잠시나마 볼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

구명우탐방 후기 며칠간의 꿈만 같았던 대만에서의 시간이 지나갔다 대만으로 출국하기 전 사전조사 기간에는 확신이 없었다 사전조사와 기업과의 인터뷰 그리고 9일간의 일정조율 및 숙박과 모든 대만에서의 연구와 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보고서까지 무엇하나 확신이 드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도전과 해결능력을 배웠고 아시아에서 급성장 중인 대만에 대해서 배우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다음기수로 가게 될 관심 있는 학우들에게 진심으로 추천해주고 싶다

이규현탐방 후기 CK-1 프로그램 중 하나인 lsquo린튼 글로벌 챌린지lsquo 프로그램을 통해 약 8박 9일이라는 시간 동안 emerging market 중 하나인 대만에 거주하면서 한국 화장품의 대만시장 점유율과 진출 가능성을 몸으로 체감하고 자료들을 모아 통계 내어 정리할 수 있었다 우리 팀 lsquoEST가 성공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충분한 국내조사 기간을 갖고 대만의 화장품 회사들을 방문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대만의 특정한 기업을 찾기도 어려웠고 기업 컨택은 번번히 거절당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회사 두 군데에서는 답장조차 오지 않았고 설문조사할 때에는 반한감정의 대만인을 만나 고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팀의 단결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리더의 통솔력으로 정해진 스케줄대로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회사를 방문하고 학교교수를 만나고 길거리에서 설문조사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팀원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또한 대학생으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을 한 것 같아서 스스로도 너무 뿌듯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팀을 믿고 지지해주신 LGSB 교수님들과 CK-1 프로그램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영은탐방 후기 처음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렇게 준비는 열심히 하지만 정말 우리가 계획한 100대로 대만을 다녀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기우가 무색하게도 대만은 우리에게 기획안 그 이상의 것들을 보여주었다 사장님들의 생생한 사업 이야기와 대만의 색채가 묻어있는 아이템들 하며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여 알아보는 비즈니스 마켓의 현장은 나에게 두고두고 잊지 못할 자산으로 남았다 또한 펑리수 버블티를 비롯한 대만의 맛있는 먹거리들과 스린 야시장이나 지우펀 같은 명소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열심히 고생해준 팀원들과의 추억들도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3 -

이서우탐방 후기 이번 글로벌 첼린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서 쉽게 할 수 없는 해외 기업 탐방과 해당 국가의 산업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임효진탐방 후기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팀이 대만을 방문 한다고 했을 때 많이 의아해 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만을 직접 방문해보고 많은 사업자들을 만난 결과 대만은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라고 생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아직 공산주의라는 정치적 특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다른 곳보다 훨씬 어렵지만 대만은 자유시장체제 이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쉽다 특히 외국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만 시장에서 한국제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추고 중국 시장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성공가능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그리고 대만의 바이어들을 통해 중국의 시장진출을 하게 된다면 사업자가 직접 중국시장에 진출 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성공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만은 문화적으로 다른 아시아권보다 선진화 되었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대도시에 속하지만 모두다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골고루 섞여 대만만의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차안호탐방 후기 9박 10일간의 대만을 다녀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넓고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이번 대만 여행은 처음으로 경험한 해외여행 경험이여서 그런지 순탄치 않은 면도 있었지만 팀원들 서로가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만시장은 중국시장으로 가기위한 좋은 시험의 장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대만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영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더 나아가 미래에는 중국어야말로 영어와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성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또 하나 놀란 점은 대만이 반 한류 감정을 많이 갖고 있는 줄 알았지만 대부분의 대만 일반 시민들이 굉장히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에 놀랐고 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CK-1 사업의 챌린지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대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계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보완점 및 건의사항 (문제점개선책건의사항)

2-1 기업 컨택의 어려움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에 있는 기업과 연결하여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대해서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조사 및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시간을 내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로써 그들의 귀한시간이 아깝게 쓰이지 않을 것을 강조하여 만남을 만들어야 한다

2-2 사업단과 의사소통의 불편함

Challeng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CK-1 사업단과의 지속되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가령 누군가를 통해서 전해지는 소문이나 촉박한 시간을 제시하고 일 처리를 원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단과 각 팀의 대표간의 분명한 의사소통과 증빙자료 등이 필요하다

2-3 정보 부재 이번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이머징 마켓에서의 유망 산업 조사 및 연구였다 대만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36: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6 -

lt2015년 1월 12일자 활동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7 -

lt활동 결과 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8 -

9 설문조사 통계 분석 (설문조사 응답 수분석결과)

9-1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결과gt

설문 조사 질문지 양식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12)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③ 마트(5) ④ 홈쇼핑(6)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9 -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gt

9-2 설문조사 항목 별 의견 및 추측

설문 조사 질문지 항목 (최다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② 20 ~ 25세 (13)

0

5

10

15

20

25

30

20대 이하 20세~24세 25세~29세 30세~39세 40대 이상

rarr 시먼딩은 대만의 홍대거리라 불리는 lsquo융캉제rsquo나 서울의 lsquo명동rsquo과 같이 젊은 층이 주로 활동하는 지역이다 설문조사 중에도 교복이나 체육복을 입은 학생들과 길거리에서 쇼핑을 즐기는 20대가 즐비할 만큼 활기 있는 거리다 덥고 습한 대만 기후 특성 상 과거엔 화장법이 크게 발전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국의 자연스러운 화장법이 큰 인기를 끌면서 시먼딩에 화장품 거리가 조성되어 있을 만큼 유동 인구가 많다 이 점으로 추측해보았을 때 압도적으로 10대와 20대 층이 많은 응답 수를 기록했다고 본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0 -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051015202530

온라인 화장품전문매장 마트 홈쇼핑 방문판매

rarr 대만 또한 한국과 비슷하게 시내에 많은 수의 화장품 전문매장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접근성이 굉장히 높았다 더불어 각 화장품 매장에서는 상품 할인과 같은 각종 프로모션을 진행하기 때문에 구매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 구매한다는 대답도 높은 편이었는데 거의 대부분이 와이파이존이어서 어디서나 인터넷을 한 활발히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온라인에서의 구매율도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0

5

10

15

20

25

30

NT$300 미만 NT$300~NT899 NT$900~NT$1499 NT$1500~NT2999 NT$3000

rarr 응답자들은 대부분이 한 달 간 화장품에 쓰는 돈을 최저 1만원 이상(NT$300 이상)이라고 답했는데 이는 70가 넘어가는 결과로 화장품에 대한 지출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만원 이상이라고 대답한 응답자들 또한 4분의 1을 넘기는데 이것은 젊은 연령층부터 시작하여 최근 피부 관리와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대만의 소비 수준에 대비하여 화장품 소비율이 높은 것도 이 때문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1 -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③ 성능(23)

051015202530

가격 디자인 성능 화장품 모델 브랜드

rarr 아열대 기후에 속하는 대만은 높은 기온과 습한 날씨 탓에 에어컨 환경에 자주 노출돼 피부 수분을 잃기 쉬워 기능성 화장품의 소비가 두드러진다 대만 화장품 시장은 토너 세럼 에센스 로션 크림 등의 모든 스킨케어 제품들이 보습기능을 강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백이나 안티에이징 리프팅 저자극 오일프리(Oil-free) 등의 기능까지 추가된 스킨케어 제품들이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조 화장품 소비가 늘어난 것은 최근 몇 년 들어 다양한 화장품 브랜드 접촉기회가 많아지고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젊은 여성의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색조화장품 또한 메이크업베이스와 BB크림 립스틱과 같은 베이스 메이크업이 수요가 많았다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④인터넷(22)

0

5

10

15

20

25

30

TV 잡지 친구 인터넷 메이크업샵

rarr 최근 빠른 인터넷망과 스마트폰 태블릿PC의 보급으로 인해 사람들과 사람사이의 연결망이 견고히 형성되고 있고 이것이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방법을 얻는 경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만 소비자들은 주로 인터넷 블로그 가족과 친구로부터 메이크업 정보를 획득 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만의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이므로 입소문마케팅과 판매를 바로바로 할 수 있는 유통구조가 도움이 될 것 같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2 -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0

5

10

15

20

25

30

청순 독특 귀여움 섹시

rarr 앞서 살펴보았듯이 대만은 한국과 비슷한 메이크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이것은 곧 청순한 메이크업 컨셉에 관심 있어 한다는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실제로 대만 여성소비자들은 깨끗한 피부 NATURAL한 베이스메이크업을 선호한다 한 듯 안 한 듯 자연스럽고 깨끗한 느낌의 한국식 lsquo생얼rsquo 화장법은 대만에서 한국 드라마 열풍과 함께 유명세를 타기 시작해 현지 각종 온라인 뷰티 사이트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래서 응답의 대부분이 한 곳에 치우쳤고 비교적 개성 있는 메이크업 방법이 드물 것이라는 것을 유추해낼 수 있다

본 설문 조사를 통한 한국 화장품 기업에 대한 시사점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수입 절차로 오랜 시간을 허비해야 하는 반면 대만은 자외선 차단제 성분 함유 제품과 약용 화장품을 제외한 일반 화장품은 별도의 수입 검사 없이 수입할 수 있으므로 대개 중국보다 1~2년 먼저 신상품이 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한류 효과를 겨냥한 중화권 화장품 시장으로 대만을 우선 공략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대만은 대부분이 화장품에 대한 소비를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고 한국 화장품이 많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시장 접근법만 제대로 수립하면 매출이 나는 구조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대만인들이 선호하는 메이크업 방법이 한국과 비슷하기 때문에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은 마케팅 방안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최종분석설문 조사 대상은 대부분 10대~20대의 연령층이었으며 화장품의 주된 구입경로는 lsquo온라인(24)rsquo과 lsquo화장품 전문매장(50)rsquo이 압도적이었다 더불어 한 달 간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lsquo1만 원 이상(72)rsquo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이것은 실제 생활수준에 대비하여 높은 소비량이므로 대만의 화장품 시장 전망이 밝다고 할 수 있다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부분은 lsquo성능(46)rsquo이었는데 이는 스타트업 기업 중소기업에게 유리한 조건이다 메이크업 방법을 얻는 방법으로는 lsquo인터넷(44)rsquo과 lsquo친구(30)rsquo가 높은 비율을 차지했는데 판촉활동으로는 인터넷을 활용한 SNS 홍보 바이럴 마케팅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가장 관심있는 화장 컨셉은 lsquo청순rsquo 이었고 이것은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와 맞물려 우리나라와 비슷한 메이크업 방법을 추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3 -

10 대만 명소 소개 (명소음식행사숙소 소개)

10-1 고궁박물관

대만 고궁박물원은 영국의 대영 박물관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 미국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과 함께 세계 4대 박물관으로 손꼽힐 만큼 세계적은 소장 문물을 자랑한다 건물 규모는 그다지 크지 않지만 소장한 문물의 질과 양은 세계 최상급이다 중화 보물 중에서도 최고의 보물들이 모여 있어 진귀하기 그지없고 수량 역시 워낙 방대하여 3개월 단위로 1만여점을 돌아가면서 전시해도 다보려면 10년이 넘게 걸린다고 전해지고 있다 중국의 국공내전 당시 장제스가 이끌던 중국 국민당이 전쟁에서 패하며 중국을 탈출해 대만으로 향했다 당시 장제스는 난징에 있던 정부를 타이페이로 이전하면서 자금성에 보관되어있던 중국역대 왕조 보물 수십만 점을 배를 이용해 운반해 왔다 중국의 유물을 가진 자가 진정한 통치자라고 생각했던 장제스는 ldquo공산군에게 영토는 내줘도 문화유산만큼은 내줄 수 없다ldquo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대표적인 유물은 취옥배추 육형석 모공정 산씨반 등이 있다

10-2 용산사

루강의 초입에 있는 이 사찰은 타이완에서 가장 오래되고 아름답다고 하여 타이완의 자금성이라고 부른다 각 건물의 기둥 벽 그리고 천장 등에 새겨진 조각은 특히 빼어나다 이 조각상과 함께 이곳의 명물로 알려진 것은 사찰 경내에 있는 2마리의 용상인데 삼천전 앞마당 좌우에 서서 룽산사를 호위하고 있다

10-3 타이페이 101 빌딩

타이베이 101빌딩rsquo이라 부르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로서 빌딩 모습은 하늘로 뻗어나가는 대나무 위에 꽃잎이 겹겹이 포개진 형상이다 본래 타이베이 금융기관이 모인 건물이지만 대형 쇼핑센터와 푸드코트 고급 레스토랑이 있어 여행자들이 많이 찾는다 건물에는 8개 마디가 있는데 이는 중화 문화권에서 부와 번영을 의미하는 숫자 lsquo8rsquo을 염두에 둔 것이다 타이베이 시내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는 높이 508m로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히는 높은 건물이다 지상 1~5층에는 소고 백화점 뷰티 플라자 애버뉴 101 등 다양한 패션∙뷰티용품을 구입할 수 있는 상점이 있다 또한 레스토랑 시티 스퀘어 대형 서점 등 쇼핑과 오락 식사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복합시설이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4 -

잘 알려진 식당으로는 딘 타이 펑(Din Tai Fung) 이 있다 101타워 지하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샤오롱바오(고기만두) 새우 샤오마이(새우만두) 탄탄면(우육면)이 가장 대표적인 메뉴이며 대만에 방문한 많은 사람들이 찾는 식당이다

10-4 지우펀

대만여행의 백미로 꼽히는 지우펀은 타이페이시 북부의 루이팡 지역의 작은 산골 마을로 과거에는 아홉가구만 살고 있어서 지우펀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예전에는 작은 산골 마을에 불과 했지만 이 지역에서 금맥이 발견되면서 호황을 맞이하게 된다 특히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일본풍의 건물들이 남아 있어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결합된 독특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비탈길을 따라 하늘로 이어진 예스러운 건물 그리고 골목마다 빨간 홍등과 함께 묻어나는 옛 풍경은 여행객들에게 인기 여행지이다

10-5 스린야시장

타이베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야시장 가운데 하나이다 독특하면서도 다양한 전통 먹을거리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이곳을 찾는 관광객이 많다 시장 부근에 학교가 많아 학생들이 많이 찾으며 포장마차 등의 노점상이 많아 가격도 저렴하다 칭런샹[情人巷]에는 가구 의류 액세서리 사진현상점 애완용품점 등이 모여 있어 학생뿐 아니라 관광객들도 자주 찾는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5 -

10-6 예류 지질 공원

타이완 북해안에 자리한 예류는 해수욕장과 온천 기암괴석으로 유명한 관광지다 특히 예류지질공원은 희귀한 모형의 바위와 암석이 모여 있어 예류 관광의 필수코스로 꼽힌다 작은 곶으로 된 예류지질공원은 침식과 풍화 작용을 거쳐 자연적으로 형성된 기암을 보러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지질공원으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것이 선상암 군락이다 암석 하나하나의 모습은 마치 거대한 버섯이 큰 머리로 하늘을 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선상암 가운데 가장 유명한 암석은 이집트 왕비의 옆모습을 닮은 여왕 두상 바위다

10-7 스펀(Shifen)

스펀(十分)은 옛 광산마을로써 천으로 만든 등이 유명하다 또한 이 곳 스펀은 대만 최대의 폭포 스펀(SE-FEN) 폭포가 있다 미니기차와 천으로 만든 등을 날릴 수도 있다 마을의 한가운데 긴 철길이 놓여 있고 30분에 한 대씩 기차가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것도 볼 수가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6 -

10-8 진과스(金瓜石)

진과스(金瓜石)는 타이완 타이베이 근교에 있는 옛 탄광 유적이다 20세기 전반에 금 채굴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20세기 후반에 금이 차차 고갈되기 시작하자 점점 위축되어 폐광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관광 명소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하루에도 수백명이 들렀다 가는 대만의 대표 관광지이다 진과스 내에 있는 황금 박물관에는 220kg 의 금이 전시 되어 있는데 손을 넣어 직접 만져 볼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진과스에서는 과거 광부들이 먹었던 도시락을 그대로 만들어 판매하는 광부 도시락도 굉장히 인기가 많다

10-9 국립 성공대학

대만의 타이난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1931년에 개교하였다 2010년 QS대학순위에서 283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대만 대학중 2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총 9개의 캠퍼스로 이루어져 있어 굉장히 큰 면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만 교육청에서 인정한 9개의 주요대학 중 하나이고 대만 기업체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학이다 이공계열이 가장 뛰어나며 중문 역사 법학 경제학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10 시먼딩

타이베이시에 위치한 시먼딩은 한국의 명동과 같은 거리이다 대한민국의 명동에도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과 외국인이 많다고 알려져 있는데 시먼딩 또한 명동 못지않은 다양함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대만의 패션과 놀이 문화 음식 등을 한눈에 경험 할 수 있는 공간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7 -

10-11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

중정기념당은 타이완 총통 장제스(蔣介石)를 기리는 전당이다 lsquo중정rsquo은 장제스의 본명이다 그가 서거한 후 1980년 기념당을 세웠다 25만에 이르는 넓은 중정공원 안에 우뚝 선 높이 70m의 기념물이 중정기념당이다 기념당 1층에는 장제스 생애를 엿볼 수 있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거대한 장제스 동상은 항상 근위병이 동상 앞을 지키고 있다 중정공원 안에는 중정기념당 외에 국립 희극원과 국립 음악청이 있는데 이곳에서 연극과 콘서트를 한다 공원 조경 또한 잘 조성되어 있어 산책하며 천천히 둘러보기에 좋다

10-12 안핑지구(安平地區)

대만의 문화와 역사는 안핑지구에서 시작되었다 안핑구바오는 17세기 중엽 네덜란드인들이 지은 요새로 정성공이 빼앗아 번영하다가 황폐해져 지금은 보루의 대부분이 없어지고 설탕과 굴껍데기와 찹쌀가루를 버무려 만든 빨간벽돌로 된 장벽(臺灣城殘蹟)만이 남아 나무뿌리와 존립의 사투를 벌이고 있다 감시탑 옆 건물 안에는 네덜란드와 정성공의 전투에 대한 이야기와 중세갑옷 등이 전시 중이다 이 주변에는 대만에서 가장 오래된 상업거리 옌핑제(延平街)가 있는데 옛 명성이 다한 거리의 골목 사이사이 수백년 된 가옥을 구경하는 것도 소소한 즐거움이다 1867년 영국인 상점과 물류창고로 이용하던 건물에 노용수(老榕樹)가 멋대로 자라 건물을 집어삼키듯 뒤덮은 나무집으로 불리는 안핑수우도 안핑지구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진귀한 볼거리다

10-13 미라마 관람차

대만에서 가장 큰 관람차로 알려져 있는 미라마 관람차는 타이페이 시의 야경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관람차 크기가 큰 것으로 유명하지만 가격 또한 저렴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유스트래블 카드를 이용하면 50 할인이 적용되므로 꼭 지참하도록 하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8 -

lt미라마 관람차 티켓gt lt유스트래블 카드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9 -

11 시사점 및 차후 활용계획 (LGC 프로그램을 통한 구체적인 효과 및 연구결과)

11-1 LGC 프로젝트 만족도

구분 항목 전 후 한줄 평

사업단

프로젝트 취지- 린튼 글로벌 학과와 경영정보학과 학생들이 함께

하는 프로젝트 해외시장탐방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사전교육 활동- 출국 전 각 나라에 대한 유의사항 안전교육이 체

계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개략적인 보고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었다

행정지원 절차- CK사업단 린튼 글로벌 학과 경영정보학과 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히 되지 않아 사전 계획에서 많은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협동력 향상- 출발 전 잦은 팀 회의와 8박 9일 간에 일정에도

불구하고 불화 없이 좋은 분위기 속에서 프로젝트를 완수 했다

추진력 향상- 일정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 한 점 추가 자료조

사를 위해 현지에서 새로운 일정을 추가 됐을 때 팀원들이 일사불란하게 따라주었다

문제해결 능력- 교통편 문제와 기업 측 내부 문제로 일부 일정에

변동이 있었지만 신속한 조율과 전화 통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개인

동기부여 자극- 현지인들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국어 영어 능

력의 필요성을 실감했다 특히 중국어는 소통 유무에 따라 현지 반응이 극명하게 갈렸다

진로설계 도움- 프로젝트 전에 비해 새로운 직업 분야에 대한 관심

이 증가했다

취업능력 향상-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한 내용을 살려 구술 면접이

나 자기소개서 작성에 참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11-2 LGC프로젝트 연구 결과 - 대만 시장

⓵ 중국시장을 주목하는 대만 화장품 기업- EST팀은 현지 대만 화장품 기업으로 SISDORA와 WABFENIX를 선택했다 두 회사를 선정한 배경에는

명확한 의도를 두고 정했다 SISDORA는 설립한 지 10년이 넘는 회사로 직접 화장품을 개발 및 연구하고 판매하는 중소기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과 주름개선 크림으로 중년 여성을 타깃 층으로 하는 화장품 회사다 반면 WABFENIX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스타트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 이지만 기술개발 보다는 디자인 마케팅에 중점을 두었고 판매 층도 10대-20대의 젊은 층을 타깃 층으로 한다 시장 전략이 완연히 다른 두 기업이 유일하게 공통점이 있다면 중국시장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선정 이유에는 많은 인구의 소비력을 꼽지만 뒤이어 언급하는 이야기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자사 제품의 경쟁력 약화를 말한다 현재 대만 기업 대부분은 내수 시장 대신에 중국을 겨냥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국가 산업 특성상 제조amp연구 분야가 강세인 대만에서는 중국 바이어 또는 미국 유럽 바이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직접 판매 보다는 기술 협력을 통해 이익을 창출한다고 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0 -

⓶ 대만 시장을 점령한 한국 화장품

- 앞서 말했듯이 2012년 이후부터 급속히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한국 화장품은 대만 시장을 점령하고 있다 이미 시먼딩에 들어서면 다양한 한국 화장품 매장이 눈에 띌 만큼 들어섰으며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중앙 광장에 입점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매장 안에는 많은 대만 사람들이 화장품을 보고 있는 광경을 흔히 본다 화장품 매장을 이용하는 연령층은 주로 10대-20대들이다 화장품 가격이 한국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주 애용하는 이유는 한류 열풍으로 인한 한국 연예인들에 대한 관심과 화장법이 크게 유행하고 있음을 현지 설문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⓷ 체감할 수 있을 만큼 커다란 한류열풍

- 뉴스에서만 듣던 한류 이야기를 대만에서 직접 느낄 수 있을 정도로 한류열풍은 크다 특히 삼성이나 LG의 TV나 스마트폰은 어딜 가든 항상 보이고 한국 화장품 선물에 대한 반응이 무척이나 뜨겁다 원활한 현지 조사를 위하여 사은품으로 준비한 한국 마스크 팩 100개는 오히려 현지인들이 참여 의사를 표현할 만큼 열정적이었다 일부 대만 사람 중에는 어디서 왔냐는 질문에 한국이라는 답변을 하니 같이 사진 찍기를 제안하기도 했다

⓸ 중소기업에게 있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는 대만 시장진출- 대만 시장 진출에 앞서 한국 화장품 중소기업이라면 전략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크게 대만 시장을 겨냥

할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할지 선택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3CE는 한국 화장품 회사다 대만에서 젊은 연령층이 자주 이용하고 이미 대만 내에서는 유명하다 3CE는 오프라인 매장 없이 순수 온라인 매장으로 운영하면서 대만 사람들을 위한 전용 웹사이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윤을 창출 하고 있다 신중해야 할 점은 현재 온라인 오프라인 등 한국 화장품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신규 진입에 있어서 장벽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대만 시장을 활용한다면 동남아 시장까지 한 번에 내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출입통관 절차가 간단하고 관세가 낮기 때문에 중소기업에게 유리하다 아직까지 중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1 -

에 대한 직접적인 수출이 가능한 곳은 상해나 항주 같이 중국에서 허가한 무역항 도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내륙까지 시장을 확대하기는 불가능하지만 같은 언어권인 대만을 거치면 보다 쉽게 바이어나 에이전트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인맥을 통한 꽌시와 수수료 명목으로 뒷돈을 요구하는 중국 바이어의 관행은 자금 순환이 원활치 않은 중소기업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11-3 LGC 프로젝트 종합 의견 및 전망

우리 lsquoEST팀은 출국 전 국내 화장품 시장 조사를 할 때 대덕 밸리 스타트업 기업 셀아이콘 랩의 영향으로 대만의 화장품 산업에 대해 큰 관심과 가능성을 보고 2015년 1월 5일부터 1월 13일까지 8박9일이라는 시간동안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 나라 중에 하나인 대만에서 rsquo대만의 화장품 시장lsquo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사를 했다 대만에서는 3개의 기업 (KOTRA SISDORA WABFENIX) 을 방문해 전반적인 대만의 화장품 시장과 판매전략 한류에 대한 보다 사실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1개의 대학 (국립성공대학 國立成功大學)에서 MBA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또 타이난에서는 대만에서 오랫동안 사업하시는 한인협회 회장을 만나 PLC (Product Life Cycle)를 통해 대만에서의 특정 시장이 도입기에 있는지 또 어떠한 시장이 쇠퇴기에 놓여있는지 다양한 시야에서 대만시장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노력은 CK 사업단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교육부 CK-1 프로젝트의 일부인 Linton Global Challenge는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몇 년을 내다보는 지속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기업들과 더욱 더 활발한 교류와 연구를 한다면 기업과 CK 사업단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리라고 본다

1 개인 탐방 후기 (팀원 개인 소감)

1-1 개인 탐방 후기

강성민탐방 후기 기업 컨택 부터 인터뷰 일정 계획까지 8박 9일간의 대만 화장품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 출국 전까지 준비 과정부터 탈도 많았고 대만에 와서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 원하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매일이 항상 회의와 고민의 연속이었다 하루하루 충실히 계획을 진행시켜 나갔고 좋은 팀 분위기 속에서 무사히 대만 프로

부록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2 -

젝트를 완수했다 그리고 마침내 한국으로 돌아왔다 과정은 항상 오르막 길이였지만 돌이켜 보면 마지막 대학 시절을 기념할만한 좋은 추억이자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느끼는 바가 많았던 프로젝트로 기억 될 것이다

김은진탐방 후기 글로벌 챌린지를 한마디로 정의하라고 한다면 도종환 시인의 lsquo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lsquo라는 시가 떠오른다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대만기업컨택 설문조사 등 많은 것을 경험했다 처음엔 모든 것이 나에겐 버거운 산이라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도전이 계속 될수록 이젠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이 모든 도전들에 흥미가 생겼다 나 자신도 책임감과 자신감이 생기고 한층 성숙해 진 것을 내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소중한 동료와 추억은 평생 나의 가슴속에 남을 것이다 우린 앞으로도 많이 도전하고 경험하여 우리들의 삶이 활짝 만개하리라 다짐한다 끊임없이 도전하는 20대의 청춘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프로그램이었다 김종선탐방 후기 한국에서 준비하면서 조사했던 내용과 비교하며 인터뷰를 해보니 실제로 많이 다른 부분도 있었고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 비슷한 내용도 있었다 현지의 기업들을 방문해 우리가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직접 매장에 가서 느껴보니 앉아서 컴퓨터만 볼 때랑 많이 달랐다 그리고 직접 대만인들에게 설문조사를 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그리고 대만의 실제 문화와 환경 그들의 생활을 잠시나마 볼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

구명우탐방 후기 며칠간의 꿈만 같았던 대만에서의 시간이 지나갔다 대만으로 출국하기 전 사전조사 기간에는 확신이 없었다 사전조사와 기업과의 인터뷰 그리고 9일간의 일정조율 및 숙박과 모든 대만에서의 연구와 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보고서까지 무엇하나 확신이 드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도전과 해결능력을 배웠고 아시아에서 급성장 중인 대만에 대해서 배우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다음기수로 가게 될 관심 있는 학우들에게 진심으로 추천해주고 싶다

이규현탐방 후기 CK-1 프로그램 중 하나인 lsquo린튼 글로벌 챌린지lsquo 프로그램을 통해 약 8박 9일이라는 시간 동안 emerging market 중 하나인 대만에 거주하면서 한국 화장품의 대만시장 점유율과 진출 가능성을 몸으로 체감하고 자료들을 모아 통계 내어 정리할 수 있었다 우리 팀 lsquoEST가 성공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충분한 국내조사 기간을 갖고 대만의 화장품 회사들을 방문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대만의 특정한 기업을 찾기도 어려웠고 기업 컨택은 번번히 거절당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회사 두 군데에서는 답장조차 오지 않았고 설문조사할 때에는 반한감정의 대만인을 만나 고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팀의 단결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리더의 통솔력으로 정해진 스케줄대로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회사를 방문하고 학교교수를 만나고 길거리에서 설문조사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팀원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또한 대학생으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을 한 것 같아서 스스로도 너무 뿌듯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팀을 믿고 지지해주신 LGSB 교수님들과 CK-1 프로그램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영은탐방 후기 처음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렇게 준비는 열심히 하지만 정말 우리가 계획한 100대로 대만을 다녀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기우가 무색하게도 대만은 우리에게 기획안 그 이상의 것들을 보여주었다 사장님들의 생생한 사업 이야기와 대만의 색채가 묻어있는 아이템들 하며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여 알아보는 비즈니스 마켓의 현장은 나에게 두고두고 잊지 못할 자산으로 남았다 또한 펑리수 버블티를 비롯한 대만의 맛있는 먹거리들과 스린 야시장이나 지우펀 같은 명소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열심히 고생해준 팀원들과의 추억들도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3 -

이서우탐방 후기 이번 글로벌 첼린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서 쉽게 할 수 없는 해외 기업 탐방과 해당 국가의 산업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임효진탐방 후기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팀이 대만을 방문 한다고 했을 때 많이 의아해 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만을 직접 방문해보고 많은 사업자들을 만난 결과 대만은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라고 생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아직 공산주의라는 정치적 특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다른 곳보다 훨씬 어렵지만 대만은 자유시장체제 이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쉽다 특히 외국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만 시장에서 한국제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추고 중국 시장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성공가능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그리고 대만의 바이어들을 통해 중국의 시장진출을 하게 된다면 사업자가 직접 중국시장에 진출 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성공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만은 문화적으로 다른 아시아권보다 선진화 되었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대도시에 속하지만 모두다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골고루 섞여 대만만의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차안호탐방 후기 9박 10일간의 대만을 다녀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넓고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이번 대만 여행은 처음으로 경험한 해외여행 경험이여서 그런지 순탄치 않은 면도 있었지만 팀원들 서로가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만시장은 중국시장으로 가기위한 좋은 시험의 장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대만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영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더 나아가 미래에는 중국어야말로 영어와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성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또 하나 놀란 점은 대만이 반 한류 감정을 많이 갖고 있는 줄 알았지만 대부분의 대만 일반 시민들이 굉장히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에 놀랐고 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CK-1 사업의 챌린지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대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계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보완점 및 건의사항 (문제점개선책건의사항)

2-1 기업 컨택의 어려움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에 있는 기업과 연결하여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대해서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조사 및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시간을 내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로써 그들의 귀한시간이 아깝게 쓰이지 않을 것을 강조하여 만남을 만들어야 한다

2-2 사업단과 의사소통의 불편함

Challeng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CK-1 사업단과의 지속되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가령 누군가를 통해서 전해지는 소문이나 촉박한 시간을 제시하고 일 처리를 원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단과 각 팀의 대표간의 분명한 의사소통과 증빙자료 등이 필요하다

2-3 정보 부재 이번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이머징 마켓에서의 유망 산업 조사 및 연구였다 대만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37: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7 -

lt활동 결과 사진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8 -

9 설문조사 통계 분석 (설문조사 응답 수분석결과)

9-1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결과gt

설문 조사 질문지 양식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12)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③ 마트(5) ④ 홈쇼핑(6)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9 -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gt

9-2 설문조사 항목 별 의견 및 추측

설문 조사 질문지 항목 (최다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② 20 ~ 25세 (13)

0

5

10

15

20

25

30

20대 이하 20세~24세 25세~29세 30세~39세 40대 이상

rarr 시먼딩은 대만의 홍대거리라 불리는 lsquo융캉제rsquo나 서울의 lsquo명동rsquo과 같이 젊은 층이 주로 활동하는 지역이다 설문조사 중에도 교복이나 체육복을 입은 학생들과 길거리에서 쇼핑을 즐기는 20대가 즐비할 만큼 활기 있는 거리다 덥고 습한 대만 기후 특성 상 과거엔 화장법이 크게 발전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국의 자연스러운 화장법이 큰 인기를 끌면서 시먼딩에 화장품 거리가 조성되어 있을 만큼 유동 인구가 많다 이 점으로 추측해보았을 때 압도적으로 10대와 20대 층이 많은 응답 수를 기록했다고 본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0 -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051015202530

온라인 화장품전문매장 마트 홈쇼핑 방문판매

rarr 대만 또한 한국과 비슷하게 시내에 많은 수의 화장품 전문매장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접근성이 굉장히 높았다 더불어 각 화장품 매장에서는 상품 할인과 같은 각종 프로모션을 진행하기 때문에 구매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 구매한다는 대답도 높은 편이었는데 거의 대부분이 와이파이존이어서 어디서나 인터넷을 한 활발히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온라인에서의 구매율도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0

5

10

15

20

25

30

NT$300 미만 NT$300~NT899 NT$900~NT$1499 NT$1500~NT2999 NT$3000

rarr 응답자들은 대부분이 한 달 간 화장품에 쓰는 돈을 최저 1만원 이상(NT$300 이상)이라고 답했는데 이는 70가 넘어가는 결과로 화장품에 대한 지출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만원 이상이라고 대답한 응답자들 또한 4분의 1을 넘기는데 이것은 젊은 연령층부터 시작하여 최근 피부 관리와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대만의 소비 수준에 대비하여 화장품 소비율이 높은 것도 이 때문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1 -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③ 성능(23)

051015202530

가격 디자인 성능 화장품 모델 브랜드

rarr 아열대 기후에 속하는 대만은 높은 기온과 습한 날씨 탓에 에어컨 환경에 자주 노출돼 피부 수분을 잃기 쉬워 기능성 화장품의 소비가 두드러진다 대만 화장품 시장은 토너 세럼 에센스 로션 크림 등의 모든 스킨케어 제품들이 보습기능을 강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백이나 안티에이징 리프팅 저자극 오일프리(Oil-free) 등의 기능까지 추가된 스킨케어 제품들이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조 화장품 소비가 늘어난 것은 최근 몇 년 들어 다양한 화장품 브랜드 접촉기회가 많아지고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젊은 여성의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색조화장품 또한 메이크업베이스와 BB크림 립스틱과 같은 베이스 메이크업이 수요가 많았다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④인터넷(22)

0

5

10

15

20

25

30

TV 잡지 친구 인터넷 메이크업샵

rarr 최근 빠른 인터넷망과 스마트폰 태블릿PC의 보급으로 인해 사람들과 사람사이의 연결망이 견고히 형성되고 있고 이것이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방법을 얻는 경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만 소비자들은 주로 인터넷 블로그 가족과 친구로부터 메이크업 정보를 획득 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만의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이므로 입소문마케팅과 판매를 바로바로 할 수 있는 유통구조가 도움이 될 것 같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2 -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0

5

10

15

20

25

30

청순 독특 귀여움 섹시

rarr 앞서 살펴보았듯이 대만은 한국과 비슷한 메이크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이것은 곧 청순한 메이크업 컨셉에 관심 있어 한다는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실제로 대만 여성소비자들은 깨끗한 피부 NATURAL한 베이스메이크업을 선호한다 한 듯 안 한 듯 자연스럽고 깨끗한 느낌의 한국식 lsquo생얼rsquo 화장법은 대만에서 한국 드라마 열풍과 함께 유명세를 타기 시작해 현지 각종 온라인 뷰티 사이트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래서 응답의 대부분이 한 곳에 치우쳤고 비교적 개성 있는 메이크업 방법이 드물 것이라는 것을 유추해낼 수 있다

본 설문 조사를 통한 한국 화장품 기업에 대한 시사점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수입 절차로 오랜 시간을 허비해야 하는 반면 대만은 자외선 차단제 성분 함유 제품과 약용 화장품을 제외한 일반 화장품은 별도의 수입 검사 없이 수입할 수 있으므로 대개 중국보다 1~2년 먼저 신상품이 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한류 효과를 겨냥한 중화권 화장품 시장으로 대만을 우선 공략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대만은 대부분이 화장품에 대한 소비를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고 한국 화장품이 많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시장 접근법만 제대로 수립하면 매출이 나는 구조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대만인들이 선호하는 메이크업 방법이 한국과 비슷하기 때문에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은 마케팅 방안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최종분석설문 조사 대상은 대부분 10대~20대의 연령층이었으며 화장품의 주된 구입경로는 lsquo온라인(24)rsquo과 lsquo화장품 전문매장(50)rsquo이 압도적이었다 더불어 한 달 간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lsquo1만 원 이상(72)rsquo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이것은 실제 생활수준에 대비하여 높은 소비량이므로 대만의 화장품 시장 전망이 밝다고 할 수 있다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부분은 lsquo성능(46)rsquo이었는데 이는 스타트업 기업 중소기업에게 유리한 조건이다 메이크업 방법을 얻는 방법으로는 lsquo인터넷(44)rsquo과 lsquo친구(30)rsquo가 높은 비율을 차지했는데 판촉활동으로는 인터넷을 활용한 SNS 홍보 바이럴 마케팅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가장 관심있는 화장 컨셉은 lsquo청순rsquo 이었고 이것은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와 맞물려 우리나라와 비슷한 메이크업 방법을 추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3 -

10 대만 명소 소개 (명소음식행사숙소 소개)

10-1 고궁박물관

대만 고궁박물원은 영국의 대영 박물관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 미국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과 함께 세계 4대 박물관으로 손꼽힐 만큼 세계적은 소장 문물을 자랑한다 건물 규모는 그다지 크지 않지만 소장한 문물의 질과 양은 세계 최상급이다 중화 보물 중에서도 최고의 보물들이 모여 있어 진귀하기 그지없고 수량 역시 워낙 방대하여 3개월 단위로 1만여점을 돌아가면서 전시해도 다보려면 10년이 넘게 걸린다고 전해지고 있다 중국의 국공내전 당시 장제스가 이끌던 중국 국민당이 전쟁에서 패하며 중국을 탈출해 대만으로 향했다 당시 장제스는 난징에 있던 정부를 타이페이로 이전하면서 자금성에 보관되어있던 중국역대 왕조 보물 수십만 점을 배를 이용해 운반해 왔다 중국의 유물을 가진 자가 진정한 통치자라고 생각했던 장제스는 ldquo공산군에게 영토는 내줘도 문화유산만큼은 내줄 수 없다ldquo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대표적인 유물은 취옥배추 육형석 모공정 산씨반 등이 있다

10-2 용산사

루강의 초입에 있는 이 사찰은 타이완에서 가장 오래되고 아름답다고 하여 타이완의 자금성이라고 부른다 각 건물의 기둥 벽 그리고 천장 등에 새겨진 조각은 특히 빼어나다 이 조각상과 함께 이곳의 명물로 알려진 것은 사찰 경내에 있는 2마리의 용상인데 삼천전 앞마당 좌우에 서서 룽산사를 호위하고 있다

10-3 타이페이 101 빌딩

타이베이 101빌딩rsquo이라 부르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로서 빌딩 모습은 하늘로 뻗어나가는 대나무 위에 꽃잎이 겹겹이 포개진 형상이다 본래 타이베이 금융기관이 모인 건물이지만 대형 쇼핑센터와 푸드코트 고급 레스토랑이 있어 여행자들이 많이 찾는다 건물에는 8개 마디가 있는데 이는 중화 문화권에서 부와 번영을 의미하는 숫자 lsquo8rsquo을 염두에 둔 것이다 타이베이 시내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는 높이 508m로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히는 높은 건물이다 지상 1~5층에는 소고 백화점 뷰티 플라자 애버뉴 101 등 다양한 패션∙뷰티용품을 구입할 수 있는 상점이 있다 또한 레스토랑 시티 스퀘어 대형 서점 등 쇼핑과 오락 식사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복합시설이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4 -

잘 알려진 식당으로는 딘 타이 펑(Din Tai Fung) 이 있다 101타워 지하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샤오롱바오(고기만두) 새우 샤오마이(새우만두) 탄탄면(우육면)이 가장 대표적인 메뉴이며 대만에 방문한 많은 사람들이 찾는 식당이다

10-4 지우펀

대만여행의 백미로 꼽히는 지우펀은 타이페이시 북부의 루이팡 지역의 작은 산골 마을로 과거에는 아홉가구만 살고 있어서 지우펀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예전에는 작은 산골 마을에 불과 했지만 이 지역에서 금맥이 발견되면서 호황을 맞이하게 된다 특히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일본풍의 건물들이 남아 있어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결합된 독특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비탈길을 따라 하늘로 이어진 예스러운 건물 그리고 골목마다 빨간 홍등과 함께 묻어나는 옛 풍경은 여행객들에게 인기 여행지이다

10-5 스린야시장

타이베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야시장 가운데 하나이다 독특하면서도 다양한 전통 먹을거리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이곳을 찾는 관광객이 많다 시장 부근에 학교가 많아 학생들이 많이 찾으며 포장마차 등의 노점상이 많아 가격도 저렴하다 칭런샹[情人巷]에는 가구 의류 액세서리 사진현상점 애완용품점 등이 모여 있어 학생뿐 아니라 관광객들도 자주 찾는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5 -

10-6 예류 지질 공원

타이완 북해안에 자리한 예류는 해수욕장과 온천 기암괴석으로 유명한 관광지다 특히 예류지질공원은 희귀한 모형의 바위와 암석이 모여 있어 예류 관광의 필수코스로 꼽힌다 작은 곶으로 된 예류지질공원은 침식과 풍화 작용을 거쳐 자연적으로 형성된 기암을 보러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지질공원으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것이 선상암 군락이다 암석 하나하나의 모습은 마치 거대한 버섯이 큰 머리로 하늘을 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선상암 가운데 가장 유명한 암석은 이집트 왕비의 옆모습을 닮은 여왕 두상 바위다

10-7 스펀(Shifen)

스펀(十分)은 옛 광산마을로써 천으로 만든 등이 유명하다 또한 이 곳 스펀은 대만 최대의 폭포 스펀(SE-FEN) 폭포가 있다 미니기차와 천으로 만든 등을 날릴 수도 있다 마을의 한가운데 긴 철길이 놓여 있고 30분에 한 대씩 기차가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것도 볼 수가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6 -

10-8 진과스(金瓜石)

진과스(金瓜石)는 타이완 타이베이 근교에 있는 옛 탄광 유적이다 20세기 전반에 금 채굴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20세기 후반에 금이 차차 고갈되기 시작하자 점점 위축되어 폐광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관광 명소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하루에도 수백명이 들렀다 가는 대만의 대표 관광지이다 진과스 내에 있는 황금 박물관에는 220kg 의 금이 전시 되어 있는데 손을 넣어 직접 만져 볼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진과스에서는 과거 광부들이 먹었던 도시락을 그대로 만들어 판매하는 광부 도시락도 굉장히 인기가 많다

10-9 국립 성공대학

대만의 타이난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1931년에 개교하였다 2010년 QS대학순위에서 283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대만 대학중 2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총 9개의 캠퍼스로 이루어져 있어 굉장히 큰 면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만 교육청에서 인정한 9개의 주요대학 중 하나이고 대만 기업체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학이다 이공계열이 가장 뛰어나며 중문 역사 법학 경제학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10 시먼딩

타이베이시에 위치한 시먼딩은 한국의 명동과 같은 거리이다 대한민국의 명동에도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과 외국인이 많다고 알려져 있는데 시먼딩 또한 명동 못지않은 다양함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대만의 패션과 놀이 문화 음식 등을 한눈에 경험 할 수 있는 공간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7 -

10-11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

중정기념당은 타이완 총통 장제스(蔣介石)를 기리는 전당이다 lsquo중정rsquo은 장제스의 본명이다 그가 서거한 후 1980년 기념당을 세웠다 25만에 이르는 넓은 중정공원 안에 우뚝 선 높이 70m의 기념물이 중정기념당이다 기념당 1층에는 장제스 생애를 엿볼 수 있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거대한 장제스 동상은 항상 근위병이 동상 앞을 지키고 있다 중정공원 안에는 중정기념당 외에 국립 희극원과 국립 음악청이 있는데 이곳에서 연극과 콘서트를 한다 공원 조경 또한 잘 조성되어 있어 산책하며 천천히 둘러보기에 좋다

10-12 안핑지구(安平地區)

대만의 문화와 역사는 안핑지구에서 시작되었다 안핑구바오는 17세기 중엽 네덜란드인들이 지은 요새로 정성공이 빼앗아 번영하다가 황폐해져 지금은 보루의 대부분이 없어지고 설탕과 굴껍데기와 찹쌀가루를 버무려 만든 빨간벽돌로 된 장벽(臺灣城殘蹟)만이 남아 나무뿌리와 존립의 사투를 벌이고 있다 감시탑 옆 건물 안에는 네덜란드와 정성공의 전투에 대한 이야기와 중세갑옷 등이 전시 중이다 이 주변에는 대만에서 가장 오래된 상업거리 옌핑제(延平街)가 있는데 옛 명성이 다한 거리의 골목 사이사이 수백년 된 가옥을 구경하는 것도 소소한 즐거움이다 1867년 영국인 상점과 물류창고로 이용하던 건물에 노용수(老榕樹)가 멋대로 자라 건물을 집어삼키듯 뒤덮은 나무집으로 불리는 안핑수우도 안핑지구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진귀한 볼거리다

10-13 미라마 관람차

대만에서 가장 큰 관람차로 알려져 있는 미라마 관람차는 타이페이 시의 야경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관람차 크기가 큰 것으로 유명하지만 가격 또한 저렴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유스트래블 카드를 이용하면 50 할인이 적용되므로 꼭 지참하도록 하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8 -

lt미라마 관람차 티켓gt lt유스트래블 카드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9 -

11 시사점 및 차후 활용계획 (LGC 프로그램을 통한 구체적인 효과 및 연구결과)

11-1 LGC 프로젝트 만족도

구분 항목 전 후 한줄 평

사업단

프로젝트 취지- 린튼 글로벌 학과와 경영정보학과 학생들이 함께

하는 프로젝트 해외시장탐방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사전교육 활동- 출국 전 각 나라에 대한 유의사항 안전교육이 체

계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개략적인 보고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었다

행정지원 절차- CK사업단 린튼 글로벌 학과 경영정보학과 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히 되지 않아 사전 계획에서 많은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협동력 향상- 출발 전 잦은 팀 회의와 8박 9일 간에 일정에도

불구하고 불화 없이 좋은 분위기 속에서 프로젝트를 완수 했다

추진력 향상- 일정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 한 점 추가 자료조

사를 위해 현지에서 새로운 일정을 추가 됐을 때 팀원들이 일사불란하게 따라주었다

문제해결 능력- 교통편 문제와 기업 측 내부 문제로 일부 일정에

변동이 있었지만 신속한 조율과 전화 통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개인

동기부여 자극- 현지인들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국어 영어 능

력의 필요성을 실감했다 특히 중국어는 소통 유무에 따라 현지 반응이 극명하게 갈렸다

진로설계 도움- 프로젝트 전에 비해 새로운 직업 분야에 대한 관심

이 증가했다

취업능력 향상-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한 내용을 살려 구술 면접이

나 자기소개서 작성에 참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11-2 LGC프로젝트 연구 결과 - 대만 시장

⓵ 중국시장을 주목하는 대만 화장품 기업- EST팀은 현지 대만 화장품 기업으로 SISDORA와 WABFENIX를 선택했다 두 회사를 선정한 배경에는

명확한 의도를 두고 정했다 SISDORA는 설립한 지 10년이 넘는 회사로 직접 화장품을 개발 및 연구하고 판매하는 중소기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과 주름개선 크림으로 중년 여성을 타깃 층으로 하는 화장품 회사다 반면 WABFENIX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스타트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 이지만 기술개발 보다는 디자인 마케팅에 중점을 두었고 판매 층도 10대-20대의 젊은 층을 타깃 층으로 한다 시장 전략이 완연히 다른 두 기업이 유일하게 공통점이 있다면 중국시장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선정 이유에는 많은 인구의 소비력을 꼽지만 뒤이어 언급하는 이야기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자사 제품의 경쟁력 약화를 말한다 현재 대만 기업 대부분은 내수 시장 대신에 중국을 겨냥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국가 산업 특성상 제조amp연구 분야가 강세인 대만에서는 중국 바이어 또는 미국 유럽 바이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직접 판매 보다는 기술 협력을 통해 이익을 창출한다고 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0 -

⓶ 대만 시장을 점령한 한국 화장품

- 앞서 말했듯이 2012년 이후부터 급속히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한국 화장품은 대만 시장을 점령하고 있다 이미 시먼딩에 들어서면 다양한 한국 화장품 매장이 눈에 띌 만큼 들어섰으며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중앙 광장에 입점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매장 안에는 많은 대만 사람들이 화장품을 보고 있는 광경을 흔히 본다 화장품 매장을 이용하는 연령층은 주로 10대-20대들이다 화장품 가격이 한국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주 애용하는 이유는 한류 열풍으로 인한 한국 연예인들에 대한 관심과 화장법이 크게 유행하고 있음을 현지 설문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⓷ 체감할 수 있을 만큼 커다란 한류열풍

- 뉴스에서만 듣던 한류 이야기를 대만에서 직접 느낄 수 있을 정도로 한류열풍은 크다 특히 삼성이나 LG의 TV나 스마트폰은 어딜 가든 항상 보이고 한국 화장품 선물에 대한 반응이 무척이나 뜨겁다 원활한 현지 조사를 위하여 사은품으로 준비한 한국 마스크 팩 100개는 오히려 현지인들이 참여 의사를 표현할 만큼 열정적이었다 일부 대만 사람 중에는 어디서 왔냐는 질문에 한국이라는 답변을 하니 같이 사진 찍기를 제안하기도 했다

⓸ 중소기업에게 있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는 대만 시장진출- 대만 시장 진출에 앞서 한국 화장품 중소기업이라면 전략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크게 대만 시장을 겨냥

할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할지 선택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3CE는 한국 화장품 회사다 대만에서 젊은 연령층이 자주 이용하고 이미 대만 내에서는 유명하다 3CE는 오프라인 매장 없이 순수 온라인 매장으로 운영하면서 대만 사람들을 위한 전용 웹사이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윤을 창출 하고 있다 신중해야 할 점은 현재 온라인 오프라인 등 한국 화장품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신규 진입에 있어서 장벽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대만 시장을 활용한다면 동남아 시장까지 한 번에 내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출입통관 절차가 간단하고 관세가 낮기 때문에 중소기업에게 유리하다 아직까지 중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1 -

에 대한 직접적인 수출이 가능한 곳은 상해나 항주 같이 중국에서 허가한 무역항 도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내륙까지 시장을 확대하기는 불가능하지만 같은 언어권인 대만을 거치면 보다 쉽게 바이어나 에이전트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인맥을 통한 꽌시와 수수료 명목으로 뒷돈을 요구하는 중국 바이어의 관행은 자금 순환이 원활치 않은 중소기업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11-3 LGC 프로젝트 종합 의견 및 전망

우리 lsquoEST팀은 출국 전 국내 화장품 시장 조사를 할 때 대덕 밸리 스타트업 기업 셀아이콘 랩의 영향으로 대만의 화장품 산업에 대해 큰 관심과 가능성을 보고 2015년 1월 5일부터 1월 13일까지 8박9일이라는 시간동안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 나라 중에 하나인 대만에서 rsquo대만의 화장품 시장lsquo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사를 했다 대만에서는 3개의 기업 (KOTRA SISDORA WABFENIX) 을 방문해 전반적인 대만의 화장품 시장과 판매전략 한류에 대한 보다 사실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1개의 대학 (국립성공대학 國立成功大學)에서 MBA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또 타이난에서는 대만에서 오랫동안 사업하시는 한인협회 회장을 만나 PLC (Product Life Cycle)를 통해 대만에서의 특정 시장이 도입기에 있는지 또 어떠한 시장이 쇠퇴기에 놓여있는지 다양한 시야에서 대만시장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노력은 CK 사업단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교육부 CK-1 프로젝트의 일부인 Linton Global Challenge는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몇 년을 내다보는 지속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기업들과 더욱 더 활발한 교류와 연구를 한다면 기업과 CK 사업단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리라고 본다

1 개인 탐방 후기 (팀원 개인 소감)

1-1 개인 탐방 후기

강성민탐방 후기 기업 컨택 부터 인터뷰 일정 계획까지 8박 9일간의 대만 화장품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 출국 전까지 준비 과정부터 탈도 많았고 대만에 와서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 원하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매일이 항상 회의와 고민의 연속이었다 하루하루 충실히 계획을 진행시켜 나갔고 좋은 팀 분위기 속에서 무사히 대만 프로

부록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2 -

젝트를 완수했다 그리고 마침내 한국으로 돌아왔다 과정은 항상 오르막 길이였지만 돌이켜 보면 마지막 대학 시절을 기념할만한 좋은 추억이자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느끼는 바가 많았던 프로젝트로 기억 될 것이다

김은진탐방 후기 글로벌 챌린지를 한마디로 정의하라고 한다면 도종환 시인의 lsquo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lsquo라는 시가 떠오른다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대만기업컨택 설문조사 등 많은 것을 경험했다 처음엔 모든 것이 나에겐 버거운 산이라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도전이 계속 될수록 이젠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이 모든 도전들에 흥미가 생겼다 나 자신도 책임감과 자신감이 생기고 한층 성숙해 진 것을 내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소중한 동료와 추억은 평생 나의 가슴속에 남을 것이다 우린 앞으로도 많이 도전하고 경험하여 우리들의 삶이 활짝 만개하리라 다짐한다 끊임없이 도전하는 20대의 청춘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프로그램이었다 김종선탐방 후기 한국에서 준비하면서 조사했던 내용과 비교하며 인터뷰를 해보니 실제로 많이 다른 부분도 있었고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 비슷한 내용도 있었다 현지의 기업들을 방문해 우리가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직접 매장에 가서 느껴보니 앉아서 컴퓨터만 볼 때랑 많이 달랐다 그리고 직접 대만인들에게 설문조사를 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그리고 대만의 실제 문화와 환경 그들의 생활을 잠시나마 볼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

구명우탐방 후기 며칠간의 꿈만 같았던 대만에서의 시간이 지나갔다 대만으로 출국하기 전 사전조사 기간에는 확신이 없었다 사전조사와 기업과의 인터뷰 그리고 9일간의 일정조율 및 숙박과 모든 대만에서의 연구와 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보고서까지 무엇하나 확신이 드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도전과 해결능력을 배웠고 아시아에서 급성장 중인 대만에 대해서 배우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다음기수로 가게 될 관심 있는 학우들에게 진심으로 추천해주고 싶다

이규현탐방 후기 CK-1 프로그램 중 하나인 lsquo린튼 글로벌 챌린지lsquo 프로그램을 통해 약 8박 9일이라는 시간 동안 emerging market 중 하나인 대만에 거주하면서 한국 화장품의 대만시장 점유율과 진출 가능성을 몸으로 체감하고 자료들을 모아 통계 내어 정리할 수 있었다 우리 팀 lsquoEST가 성공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충분한 국내조사 기간을 갖고 대만의 화장품 회사들을 방문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대만의 특정한 기업을 찾기도 어려웠고 기업 컨택은 번번히 거절당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회사 두 군데에서는 답장조차 오지 않았고 설문조사할 때에는 반한감정의 대만인을 만나 고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팀의 단결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리더의 통솔력으로 정해진 스케줄대로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회사를 방문하고 학교교수를 만나고 길거리에서 설문조사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팀원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또한 대학생으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을 한 것 같아서 스스로도 너무 뿌듯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팀을 믿고 지지해주신 LGSB 교수님들과 CK-1 프로그램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영은탐방 후기 처음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렇게 준비는 열심히 하지만 정말 우리가 계획한 100대로 대만을 다녀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기우가 무색하게도 대만은 우리에게 기획안 그 이상의 것들을 보여주었다 사장님들의 생생한 사업 이야기와 대만의 색채가 묻어있는 아이템들 하며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여 알아보는 비즈니스 마켓의 현장은 나에게 두고두고 잊지 못할 자산으로 남았다 또한 펑리수 버블티를 비롯한 대만의 맛있는 먹거리들과 스린 야시장이나 지우펀 같은 명소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열심히 고생해준 팀원들과의 추억들도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3 -

이서우탐방 후기 이번 글로벌 첼린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서 쉽게 할 수 없는 해외 기업 탐방과 해당 국가의 산업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임효진탐방 후기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팀이 대만을 방문 한다고 했을 때 많이 의아해 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만을 직접 방문해보고 많은 사업자들을 만난 결과 대만은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라고 생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아직 공산주의라는 정치적 특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다른 곳보다 훨씬 어렵지만 대만은 자유시장체제 이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쉽다 특히 외국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만 시장에서 한국제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추고 중국 시장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성공가능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그리고 대만의 바이어들을 통해 중국의 시장진출을 하게 된다면 사업자가 직접 중국시장에 진출 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성공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만은 문화적으로 다른 아시아권보다 선진화 되었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대도시에 속하지만 모두다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골고루 섞여 대만만의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차안호탐방 후기 9박 10일간의 대만을 다녀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넓고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이번 대만 여행은 처음으로 경험한 해외여행 경험이여서 그런지 순탄치 않은 면도 있었지만 팀원들 서로가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만시장은 중국시장으로 가기위한 좋은 시험의 장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대만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영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더 나아가 미래에는 중국어야말로 영어와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성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또 하나 놀란 점은 대만이 반 한류 감정을 많이 갖고 있는 줄 알았지만 대부분의 대만 일반 시민들이 굉장히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에 놀랐고 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CK-1 사업의 챌린지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대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계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보완점 및 건의사항 (문제점개선책건의사항)

2-1 기업 컨택의 어려움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에 있는 기업과 연결하여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대해서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조사 및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시간을 내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로써 그들의 귀한시간이 아깝게 쓰이지 않을 것을 강조하여 만남을 만들어야 한다

2-2 사업단과 의사소통의 불편함

Challeng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CK-1 사업단과의 지속되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가령 누군가를 통해서 전해지는 소문이나 촉박한 시간을 제시하고 일 처리를 원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단과 각 팀의 대표간의 분명한 의사소통과 증빙자료 등이 필요하다

2-3 정보 부재 이번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이머징 마켓에서의 유망 산업 조사 및 연구였다 대만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38: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8 -

9 설문조사 통계 분석 (설문조사 응답 수분석결과)

9-1 lt대만 화장품 시장 설문조사 결과gt

설문 조사 질문지 양식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① 20대 이하(13) ② 20 ~ 25세 (13) ③ 25~29세 (20) ④ 30~39세(3) ⑤ 40대 이상(1)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① 온라인(12)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③ 마트(5) ④ 홈쇼핑(6) ⑤ 방문판매(2)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① NT$300 미만(14)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③ NT$900 이상 ~ NT$1500 미만(11) ④ NT$1500 이상 ~ NT$3000(2) 미만 ⑤ NT$3000 이상(2)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① 가격(8) ② 디자인(4) ③ 성능(23) ④ 화장품모델(2) ⑤브랜드(13)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① TV(4) ② 잡지(7) ③ 친구(15) ④인터넷(22) ⑤ 메이크업샵(2)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② 독특(6) ③ 귀여움(8) ④ 섹시(6)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9 -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gt

9-2 설문조사 항목 별 의견 및 추측

설문 조사 질문지 항목 (최다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② 20 ~ 25세 (13)

0

5

10

15

20

25

30

20대 이하 20세~24세 25세~29세 30세~39세 40대 이상

rarr 시먼딩은 대만의 홍대거리라 불리는 lsquo융캉제rsquo나 서울의 lsquo명동rsquo과 같이 젊은 층이 주로 활동하는 지역이다 설문조사 중에도 교복이나 체육복을 입은 학생들과 길거리에서 쇼핑을 즐기는 20대가 즐비할 만큼 활기 있는 거리다 덥고 습한 대만 기후 특성 상 과거엔 화장법이 크게 발전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국의 자연스러운 화장법이 큰 인기를 끌면서 시먼딩에 화장품 거리가 조성되어 있을 만큼 유동 인구가 많다 이 점으로 추측해보았을 때 압도적으로 10대와 20대 층이 많은 응답 수를 기록했다고 본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0 -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051015202530

온라인 화장품전문매장 마트 홈쇼핑 방문판매

rarr 대만 또한 한국과 비슷하게 시내에 많은 수의 화장품 전문매장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접근성이 굉장히 높았다 더불어 각 화장품 매장에서는 상품 할인과 같은 각종 프로모션을 진행하기 때문에 구매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 구매한다는 대답도 높은 편이었는데 거의 대부분이 와이파이존이어서 어디서나 인터넷을 한 활발히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온라인에서의 구매율도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0

5

10

15

20

25

30

NT$300 미만 NT$300~NT899 NT$900~NT$1499 NT$1500~NT2999 NT$3000

rarr 응답자들은 대부분이 한 달 간 화장품에 쓰는 돈을 최저 1만원 이상(NT$300 이상)이라고 답했는데 이는 70가 넘어가는 결과로 화장품에 대한 지출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만원 이상이라고 대답한 응답자들 또한 4분의 1을 넘기는데 이것은 젊은 연령층부터 시작하여 최근 피부 관리와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대만의 소비 수준에 대비하여 화장품 소비율이 높은 것도 이 때문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1 -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③ 성능(23)

051015202530

가격 디자인 성능 화장품 모델 브랜드

rarr 아열대 기후에 속하는 대만은 높은 기온과 습한 날씨 탓에 에어컨 환경에 자주 노출돼 피부 수분을 잃기 쉬워 기능성 화장품의 소비가 두드러진다 대만 화장품 시장은 토너 세럼 에센스 로션 크림 등의 모든 스킨케어 제품들이 보습기능을 강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백이나 안티에이징 리프팅 저자극 오일프리(Oil-free) 등의 기능까지 추가된 스킨케어 제품들이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조 화장품 소비가 늘어난 것은 최근 몇 년 들어 다양한 화장품 브랜드 접촉기회가 많아지고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젊은 여성의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색조화장품 또한 메이크업베이스와 BB크림 립스틱과 같은 베이스 메이크업이 수요가 많았다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④인터넷(22)

0

5

10

15

20

25

30

TV 잡지 친구 인터넷 메이크업샵

rarr 최근 빠른 인터넷망과 스마트폰 태블릿PC의 보급으로 인해 사람들과 사람사이의 연결망이 견고히 형성되고 있고 이것이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방법을 얻는 경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만 소비자들은 주로 인터넷 블로그 가족과 친구로부터 메이크업 정보를 획득 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만의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이므로 입소문마케팅과 판매를 바로바로 할 수 있는 유통구조가 도움이 될 것 같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2 -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0

5

10

15

20

25

30

청순 독특 귀여움 섹시

rarr 앞서 살펴보았듯이 대만은 한국과 비슷한 메이크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이것은 곧 청순한 메이크업 컨셉에 관심 있어 한다는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실제로 대만 여성소비자들은 깨끗한 피부 NATURAL한 베이스메이크업을 선호한다 한 듯 안 한 듯 자연스럽고 깨끗한 느낌의 한국식 lsquo생얼rsquo 화장법은 대만에서 한국 드라마 열풍과 함께 유명세를 타기 시작해 현지 각종 온라인 뷰티 사이트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래서 응답의 대부분이 한 곳에 치우쳤고 비교적 개성 있는 메이크업 방법이 드물 것이라는 것을 유추해낼 수 있다

본 설문 조사를 통한 한국 화장품 기업에 대한 시사점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수입 절차로 오랜 시간을 허비해야 하는 반면 대만은 자외선 차단제 성분 함유 제품과 약용 화장품을 제외한 일반 화장품은 별도의 수입 검사 없이 수입할 수 있으므로 대개 중국보다 1~2년 먼저 신상품이 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한류 효과를 겨냥한 중화권 화장품 시장으로 대만을 우선 공략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대만은 대부분이 화장품에 대한 소비를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고 한국 화장품이 많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시장 접근법만 제대로 수립하면 매출이 나는 구조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대만인들이 선호하는 메이크업 방법이 한국과 비슷하기 때문에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은 마케팅 방안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최종분석설문 조사 대상은 대부분 10대~20대의 연령층이었으며 화장품의 주된 구입경로는 lsquo온라인(24)rsquo과 lsquo화장품 전문매장(50)rsquo이 압도적이었다 더불어 한 달 간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lsquo1만 원 이상(72)rsquo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이것은 실제 생활수준에 대비하여 높은 소비량이므로 대만의 화장품 시장 전망이 밝다고 할 수 있다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부분은 lsquo성능(46)rsquo이었는데 이는 스타트업 기업 중소기업에게 유리한 조건이다 메이크업 방법을 얻는 방법으로는 lsquo인터넷(44)rsquo과 lsquo친구(30)rsquo가 높은 비율을 차지했는데 판촉활동으로는 인터넷을 활용한 SNS 홍보 바이럴 마케팅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가장 관심있는 화장 컨셉은 lsquo청순rsquo 이었고 이것은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와 맞물려 우리나라와 비슷한 메이크업 방법을 추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3 -

10 대만 명소 소개 (명소음식행사숙소 소개)

10-1 고궁박물관

대만 고궁박물원은 영국의 대영 박물관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 미국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과 함께 세계 4대 박물관으로 손꼽힐 만큼 세계적은 소장 문물을 자랑한다 건물 규모는 그다지 크지 않지만 소장한 문물의 질과 양은 세계 최상급이다 중화 보물 중에서도 최고의 보물들이 모여 있어 진귀하기 그지없고 수량 역시 워낙 방대하여 3개월 단위로 1만여점을 돌아가면서 전시해도 다보려면 10년이 넘게 걸린다고 전해지고 있다 중국의 국공내전 당시 장제스가 이끌던 중국 국민당이 전쟁에서 패하며 중국을 탈출해 대만으로 향했다 당시 장제스는 난징에 있던 정부를 타이페이로 이전하면서 자금성에 보관되어있던 중국역대 왕조 보물 수십만 점을 배를 이용해 운반해 왔다 중국의 유물을 가진 자가 진정한 통치자라고 생각했던 장제스는 ldquo공산군에게 영토는 내줘도 문화유산만큼은 내줄 수 없다ldquo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대표적인 유물은 취옥배추 육형석 모공정 산씨반 등이 있다

10-2 용산사

루강의 초입에 있는 이 사찰은 타이완에서 가장 오래되고 아름답다고 하여 타이완의 자금성이라고 부른다 각 건물의 기둥 벽 그리고 천장 등에 새겨진 조각은 특히 빼어나다 이 조각상과 함께 이곳의 명물로 알려진 것은 사찰 경내에 있는 2마리의 용상인데 삼천전 앞마당 좌우에 서서 룽산사를 호위하고 있다

10-3 타이페이 101 빌딩

타이베이 101빌딩rsquo이라 부르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로서 빌딩 모습은 하늘로 뻗어나가는 대나무 위에 꽃잎이 겹겹이 포개진 형상이다 본래 타이베이 금융기관이 모인 건물이지만 대형 쇼핑센터와 푸드코트 고급 레스토랑이 있어 여행자들이 많이 찾는다 건물에는 8개 마디가 있는데 이는 중화 문화권에서 부와 번영을 의미하는 숫자 lsquo8rsquo을 염두에 둔 것이다 타이베이 시내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는 높이 508m로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히는 높은 건물이다 지상 1~5층에는 소고 백화점 뷰티 플라자 애버뉴 101 등 다양한 패션∙뷰티용품을 구입할 수 있는 상점이 있다 또한 레스토랑 시티 스퀘어 대형 서점 등 쇼핑과 오락 식사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복합시설이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4 -

잘 알려진 식당으로는 딘 타이 펑(Din Tai Fung) 이 있다 101타워 지하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샤오롱바오(고기만두) 새우 샤오마이(새우만두) 탄탄면(우육면)이 가장 대표적인 메뉴이며 대만에 방문한 많은 사람들이 찾는 식당이다

10-4 지우펀

대만여행의 백미로 꼽히는 지우펀은 타이페이시 북부의 루이팡 지역의 작은 산골 마을로 과거에는 아홉가구만 살고 있어서 지우펀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예전에는 작은 산골 마을에 불과 했지만 이 지역에서 금맥이 발견되면서 호황을 맞이하게 된다 특히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일본풍의 건물들이 남아 있어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결합된 독특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비탈길을 따라 하늘로 이어진 예스러운 건물 그리고 골목마다 빨간 홍등과 함께 묻어나는 옛 풍경은 여행객들에게 인기 여행지이다

10-5 스린야시장

타이베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야시장 가운데 하나이다 독특하면서도 다양한 전통 먹을거리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이곳을 찾는 관광객이 많다 시장 부근에 학교가 많아 학생들이 많이 찾으며 포장마차 등의 노점상이 많아 가격도 저렴하다 칭런샹[情人巷]에는 가구 의류 액세서리 사진현상점 애완용품점 등이 모여 있어 학생뿐 아니라 관광객들도 자주 찾는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5 -

10-6 예류 지질 공원

타이완 북해안에 자리한 예류는 해수욕장과 온천 기암괴석으로 유명한 관광지다 특히 예류지질공원은 희귀한 모형의 바위와 암석이 모여 있어 예류 관광의 필수코스로 꼽힌다 작은 곶으로 된 예류지질공원은 침식과 풍화 작용을 거쳐 자연적으로 형성된 기암을 보러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지질공원으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것이 선상암 군락이다 암석 하나하나의 모습은 마치 거대한 버섯이 큰 머리로 하늘을 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선상암 가운데 가장 유명한 암석은 이집트 왕비의 옆모습을 닮은 여왕 두상 바위다

10-7 스펀(Shifen)

스펀(十分)은 옛 광산마을로써 천으로 만든 등이 유명하다 또한 이 곳 스펀은 대만 최대의 폭포 스펀(SE-FEN) 폭포가 있다 미니기차와 천으로 만든 등을 날릴 수도 있다 마을의 한가운데 긴 철길이 놓여 있고 30분에 한 대씩 기차가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것도 볼 수가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6 -

10-8 진과스(金瓜石)

진과스(金瓜石)는 타이완 타이베이 근교에 있는 옛 탄광 유적이다 20세기 전반에 금 채굴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20세기 후반에 금이 차차 고갈되기 시작하자 점점 위축되어 폐광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관광 명소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하루에도 수백명이 들렀다 가는 대만의 대표 관광지이다 진과스 내에 있는 황금 박물관에는 220kg 의 금이 전시 되어 있는데 손을 넣어 직접 만져 볼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진과스에서는 과거 광부들이 먹었던 도시락을 그대로 만들어 판매하는 광부 도시락도 굉장히 인기가 많다

10-9 국립 성공대학

대만의 타이난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1931년에 개교하였다 2010년 QS대학순위에서 283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대만 대학중 2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총 9개의 캠퍼스로 이루어져 있어 굉장히 큰 면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만 교육청에서 인정한 9개의 주요대학 중 하나이고 대만 기업체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학이다 이공계열이 가장 뛰어나며 중문 역사 법학 경제학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10 시먼딩

타이베이시에 위치한 시먼딩은 한국의 명동과 같은 거리이다 대한민국의 명동에도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과 외국인이 많다고 알려져 있는데 시먼딩 또한 명동 못지않은 다양함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대만의 패션과 놀이 문화 음식 등을 한눈에 경험 할 수 있는 공간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7 -

10-11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

중정기념당은 타이완 총통 장제스(蔣介石)를 기리는 전당이다 lsquo중정rsquo은 장제스의 본명이다 그가 서거한 후 1980년 기념당을 세웠다 25만에 이르는 넓은 중정공원 안에 우뚝 선 높이 70m의 기념물이 중정기념당이다 기념당 1층에는 장제스 생애를 엿볼 수 있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거대한 장제스 동상은 항상 근위병이 동상 앞을 지키고 있다 중정공원 안에는 중정기념당 외에 국립 희극원과 국립 음악청이 있는데 이곳에서 연극과 콘서트를 한다 공원 조경 또한 잘 조성되어 있어 산책하며 천천히 둘러보기에 좋다

10-12 안핑지구(安平地區)

대만의 문화와 역사는 안핑지구에서 시작되었다 안핑구바오는 17세기 중엽 네덜란드인들이 지은 요새로 정성공이 빼앗아 번영하다가 황폐해져 지금은 보루의 대부분이 없어지고 설탕과 굴껍데기와 찹쌀가루를 버무려 만든 빨간벽돌로 된 장벽(臺灣城殘蹟)만이 남아 나무뿌리와 존립의 사투를 벌이고 있다 감시탑 옆 건물 안에는 네덜란드와 정성공의 전투에 대한 이야기와 중세갑옷 등이 전시 중이다 이 주변에는 대만에서 가장 오래된 상업거리 옌핑제(延平街)가 있는데 옛 명성이 다한 거리의 골목 사이사이 수백년 된 가옥을 구경하는 것도 소소한 즐거움이다 1867년 영국인 상점과 물류창고로 이용하던 건물에 노용수(老榕樹)가 멋대로 자라 건물을 집어삼키듯 뒤덮은 나무집으로 불리는 안핑수우도 안핑지구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진귀한 볼거리다

10-13 미라마 관람차

대만에서 가장 큰 관람차로 알려져 있는 미라마 관람차는 타이페이 시의 야경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관람차 크기가 큰 것으로 유명하지만 가격 또한 저렴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유스트래블 카드를 이용하면 50 할인이 적용되므로 꼭 지참하도록 하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8 -

lt미라마 관람차 티켓gt lt유스트래블 카드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9 -

11 시사점 및 차후 활용계획 (LGC 프로그램을 통한 구체적인 효과 및 연구결과)

11-1 LGC 프로젝트 만족도

구분 항목 전 후 한줄 평

사업단

프로젝트 취지- 린튼 글로벌 학과와 경영정보학과 학생들이 함께

하는 프로젝트 해외시장탐방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사전교육 활동- 출국 전 각 나라에 대한 유의사항 안전교육이 체

계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개략적인 보고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었다

행정지원 절차- CK사업단 린튼 글로벌 학과 경영정보학과 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히 되지 않아 사전 계획에서 많은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협동력 향상- 출발 전 잦은 팀 회의와 8박 9일 간에 일정에도

불구하고 불화 없이 좋은 분위기 속에서 프로젝트를 완수 했다

추진력 향상- 일정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 한 점 추가 자료조

사를 위해 현지에서 새로운 일정을 추가 됐을 때 팀원들이 일사불란하게 따라주었다

문제해결 능력- 교통편 문제와 기업 측 내부 문제로 일부 일정에

변동이 있었지만 신속한 조율과 전화 통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개인

동기부여 자극- 현지인들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국어 영어 능

력의 필요성을 실감했다 특히 중국어는 소통 유무에 따라 현지 반응이 극명하게 갈렸다

진로설계 도움- 프로젝트 전에 비해 새로운 직업 분야에 대한 관심

이 증가했다

취업능력 향상-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한 내용을 살려 구술 면접이

나 자기소개서 작성에 참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11-2 LGC프로젝트 연구 결과 - 대만 시장

⓵ 중국시장을 주목하는 대만 화장품 기업- EST팀은 현지 대만 화장품 기업으로 SISDORA와 WABFENIX를 선택했다 두 회사를 선정한 배경에는

명확한 의도를 두고 정했다 SISDORA는 설립한 지 10년이 넘는 회사로 직접 화장품을 개발 및 연구하고 판매하는 중소기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과 주름개선 크림으로 중년 여성을 타깃 층으로 하는 화장품 회사다 반면 WABFENIX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스타트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 이지만 기술개발 보다는 디자인 마케팅에 중점을 두었고 판매 층도 10대-20대의 젊은 층을 타깃 층으로 한다 시장 전략이 완연히 다른 두 기업이 유일하게 공통점이 있다면 중국시장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선정 이유에는 많은 인구의 소비력을 꼽지만 뒤이어 언급하는 이야기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자사 제품의 경쟁력 약화를 말한다 현재 대만 기업 대부분은 내수 시장 대신에 중국을 겨냥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국가 산업 특성상 제조amp연구 분야가 강세인 대만에서는 중국 바이어 또는 미국 유럽 바이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직접 판매 보다는 기술 협력을 통해 이익을 창출한다고 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0 -

⓶ 대만 시장을 점령한 한국 화장품

- 앞서 말했듯이 2012년 이후부터 급속히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한국 화장품은 대만 시장을 점령하고 있다 이미 시먼딩에 들어서면 다양한 한국 화장품 매장이 눈에 띌 만큼 들어섰으며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중앙 광장에 입점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매장 안에는 많은 대만 사람들이 화장품을 보고 있는 광경을 흔히 본다 화장품 매장을 이용하는 연령층은 주로 10대-20대들이다 화장품 가격이 한국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주 애용하는 이유는 한류 열풍으로 인한 한국 연예인들에 대한 관심과 화장법이 크게 유행하고 있음을 현지 설문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⓷ 체감할 수 있을 만큼 커다란 한류열풍

- 뉴스에서만 듣던 한류 이야기를 대만에서 직접 느낄 수 있을 정도로 한류열풍은 크다 특히 삼성이나 LG의 TV나 스마트폰은 어딜 가든 항상 보이고 한국 화장품 선물에 대한 반응이 무척이나 뜨겁다 원활한 현지 조사를 위하여 사은품으로 준비한 한국 마스크 팩 100개는 오히려 현지인들이 참여 의사를 표현할 만큼 열정적이었다 일부 대만 사람 중에는 어디서 왔냐는 질문에 한국이라는 답변을 하니 같이 사진 찍기를 제안하기도 했다

⓸ 중소기업에게 있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는 대만 시장진출- 대만 시장 진출에 앞서 한국 화장품 중소기업이라면 전략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크게 대만 시장을 겨냥

할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할지 선택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3CE는 한국 화장품 회사다 대만에서 젊은 연령층이 자주 이용하고 이미 대만 내에서는 유명하다 3CE는 오프라인 매장 없이 순수 온라인 매장으로 운영하면서 대만 사람들을 위한 전용 웹사이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윤을 창출 하고 있다 신중해야 할 점은 현재 온라인 오프라인 등 한국 화장품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신규 진입에 있어서 장벽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대만 시장을 활용한다면 동남아 시장까지 한 번에 내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출입통관 절차가 간단하고 관세가 낮기 때문에 중소기업에게 유리하다 아직까지 중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1 -

에 대한 직접적인 수출이 가능한 곳은 상해나 항주 같이 중국에서 허가한 무역항 도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내륙까지 시장을 확대하기는 불가능하지만 같은 언어권인 대만을 거치면 보다 쉽게 바이어나 에이전트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인맥을 통한 꽌시와 수수료 명목으로 뒷돈을 요구하는 중국 바이어의 관행은 자금 순환이 원활치 않은 중소기업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11-3 LGC 프로젝트 종합 의견 및 전망

우리 lsquoEST팀은 출국 전 국내 화장품 시장 조사를 할 때 대덕 밸리 스타트업 기업 셀아이콘 랩의 영향으로 대만의 화장품 산업에 대해 큰 관심과 가능성을 보고 2015년 1월 5일부터 1월 13일까지 8박9일이라는 시간동안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 나라 중에 하나인 대만에서 rsquo대만의 화장품 시장lsquo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사를 했다 대만에서는 3개의 기업 (KOTRA SISDORA WABFENIX) 을 방문해 전반적인 대만의 화장품 시장과 판매전략 한류에 대한 보다 사실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1개의 대학 (국립성공대학 國立成功大學)에서 MBA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또 타이난에서는 대만에서 오랫동안 사업하시는 한인협회 회장을 만나 PLC (Product Life Cycle)를 통해 대만에서의 특정 시장이 도입기에 있는지 또 어떠한 시장이 쇠퇴기에 놓여있는지 다양한 시야에서 대만시장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노력은 CK 사업단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교육부 CK-1 프로젝트의 일부인 Linton Global Challenge는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몇 년을 내다보는 지속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기업들과 더욱 더 활발한 교류와 연구를 한다면 기업과 CK 사업단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리라고 본다

1 개인 탐방 후기 (팀원 개인 소감)

1-1 개인 탐방 후기

강성민탐방 후기 기업 컨택 부터 인터뷰 일정 계획까지 8박 9일간의 대만 화장품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 출국 전까지 준비 과정부터 탈도 많았고 대만에 와서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 원하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매일이 항상 회의와 고민의 연속이었다 하루하루 충실히 계획을 진행시켜 나갔고 좋은 팀 분위기 속에서 무사히 대만 프로

부록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2 -

젝트를 완수했다 그리고 마침내 한국으로 돌아왔다 과정은 항상 오르막 길이였지만 돌이켜 보면 마지막 대학 시절을 기념할만한 좋은 추억이자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느끼는 바가 많았던 프로젝트로 기억 될 것이다

김은진탐방 후기 글로벌 챌린지를 한마디로 정의하라고 한다면 도종환 시인의 lsquo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lsquo라는 시가 떠오른다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대만기업컨택 설문조사 등 많은 것을 경험했다 처음엔 모든 것이 나에겐 버거운 산이라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도전이 계속 될수록 이젠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이 모든 도전들에 흥미가 생겼다 나 자신도 책임감과 자신감이 생기고 한층 성숙해 진 것을 내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소중한 동료와 추억은 평생 나의 가슴속에 남을 것이다 우린 앞으로도 많이 도전하고 경험하여 우리들의 삶이 활짝 만개하리라 다짐한다 끊임없이 도전하는 20대의 청춘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프로그램이었다 김종선탐방 후기 한국에서 준비하면서 조사했던 내용과 비교하며 인터뷰를 해보니 실제로 많이 다른 부분도 있었고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 비슷한 내용도 있었다 현지의 기업들을 방문해 우리가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직접 매장에 가서 느껴보니 앉아서 컴퓨터만 볼 때랑 많이 달랐다 그리고 직접 대만인들에게 설문조사를 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그리고 대만의 실제 문화와 환경 그들의 생활을 잠시나마 볼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

구명우탐방 후기 며칠간의 꿈만 같았던 대만에서의 시간이 지나갔다 대만으로 출국하기 전 사전조사 기간에는 확신이 없었다 사전조사와 기업과의 인터뷰 그리고 9일간의 일정조율 및 숙박과 모든 대만에서의 연구와 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보고서까지 무엇하나 확신이 드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도전과 해결능력을 배웠고 아시아에서 급성장 중인 대만에 대해서 배우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다음기수로 가게 될 관심 있는 학우들에게 진심으로 추천해주고 싶다

이규현탐방 후기 CK-1 프로그램 중 하나인 lsquo린튼 글로벌 챌린지lsquo 프로그램을 통해 약 8박 9일이라는 시간 동안 emerging market 중 하나인 대만에 거주하면서 한국 화장품의 대만시장 점유율과 진출 가능성을 몸으로 체감하고 자료들을 모아 통계 내어 정리할 수 있었다 우리 팀 lsquoEST가 성공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충분한 국내조사 기간을 갖고 대만의 화장품 회사들을 방문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대만의 특정한 기업을 찾기도 어려웠고 기업 컨택은 번번히 거절당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회사 두 군데에서는 답장조차 오지 않았고 설문조사할 때에는 반한감정의 대만인을 만나 고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팀의 단결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리더의 통솔력으로 정해진 스케줄대로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회사를 방문하고 학교교수를 만나고 길거리에서 설문조사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팀원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또한 대학생으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을 한 것 같아서 스스로도 너무 뿌듯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팀을 믿고 지지해주신 LGSB 교수님들과 CK-1 프로그램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영은탐방 후기 처음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렇게 준비는 열심히 하지만 정말 우리가 계획한 100대로 대만을 다녀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기우가 무색하게도 대만은 우리에게 기획안 그 이상의 것들을 보여주었다 사장님들의 생생한 사업 이야기와 대만의 색채가 묻어있는 아이템들 하며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여 알아보는 비즈니스 마켓의 현장은 나에게 두고두고 잊지 못할 자산으로 남았다 또한 펑리수 버블티를 비롯한 대만의 맛있는 먹거리들과 스린 야시장이나 지우펀 같은 명소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열심히 고생해준 팀원들과의 추억들도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3 -

이서우탐방 후기 이번 글로벌 첼린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서 쉽게 할 수 없는 해외 기업 탐방과 해당 국가의 산업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임효진탐방 후기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팀이 대만을 방문 한다고 했을 때 많이 의아해 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만을 직접 방문해보고 많은 사업자들을 만난 결과 대만은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라고 생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아직 공산주의라는 정치적 특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다른 곳보다 훨씬 어렵지만 대만은 자유시장체제 이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쉽다 특히 외국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만 시장에서 한국제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추고 중국 시장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성공가능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그리고 대만의 바이어들을 통해 중국의 시장진출을 하게 된다면 사업자가 직접 중국시장에 진출 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성공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만은 문화적으로 다른 아시아권보다 선진화 되었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대도시에 속하지만 모두다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골고루 섞여 대만만의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차안호탐방 후기 9박 10일간의 대만을 다녀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넓고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이번 대만 여행은 처음으로 경험한 해외여행 경험이여서 그런지 순탄치 않은 면도 있었지만 팀원들 서로가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만시장은 중국시장으로 가기위한 좋은 시험의 장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대만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영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더 나아가 미래에는 중국어야말로 영어와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성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또 하나 놀란 점은 대만이 반 한류 감정을 많이 갖고 있는 줄 알았지만 대부분의 대만 일반 시민들이 굉장히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에 놀랐고 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CK-1 사업의 챌린지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대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계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보완점 및 건의사항 (문제점개선책건의사항)

2-1 기업 컨택의 어려움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에 있는 기업과 연결하여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대해서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조사 및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시간을 내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로써 그들의 귀한시간이 아깝게 쓰이지 않을 것을 강조하여 만남을 만들어야 한다

2-2 사업단과 의사소통의 불편함

Challeng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CK-1 사업단과의 지속되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가령 누군가를 통해서 전해지는 소문이나 촉박한 시간을 제시하고 일 처리를 원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단과 각 팀의 대표간의 분명한 의사소통과 증빙자료 등이 필요하다

2-3 정보 부재 이번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이머징 마켓에서의 유망 산업 조사 및 연구였다 대만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39: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39 -

lt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gt

9-2 설문조사 항목 별 의견 및 추측

설문 조사 질문지 항목 (최다 응답 수)

1 당신의 연령은 무엇입니까 ② 20 ~ 25세 (13)

0

5

10

15

20

25

30

20대 이하 20세~24세 25세~29세 30세~39세 40대 이상

rarr 시먼딩은 대만의 홍대거리라 불리는 lsquo융캉제rsquo나 서울의 lsquo명동rsquo과 같이 젊은 층이 주로 활동하는 지역이다 설문조사 중에도 교복이나 체육복을 입은 학생들과 길거리에서 쇼핑을 즐기는 20대가 즐비할 만큼 활기 있는 거리다 덥고 습한 대만 기후 특성 상 과거엔 화장법이 크게 발전하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국의 자연스러운 화장법이 큰 인기를 끌면서 시먼딩에 화장품 거리가 조성되어 있을 만큼 유동 인구가 많다 이 점으로 추측해보았을 때 압도적으로 10대와 20대 층이 많은 응답 수를 기록했다고 본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0 -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051015202530

온라인 화장품전문매장 마트 홈쇼핑 방문판매

rarr 대만 또한 한국과 비슷하게 시내에 많은 수의 화장품 전문매장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접근성이 굉장히 높았다 더불어 각 화장품 매장에서는 상품 할인과 같은 각종 프로모션을 진행하기 때문에 구매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 구매한다는 대답도 높은 편이었는데 거의 대부분이 와이파이존이어서 어디서나 인터넷을 한 활발히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온라인에서의 구매율도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0

5

10

15

20

25

30

NT$300 미만 NT$300~NT899 NT$900~NT$1499 NT$1500~NT2999 NT$3000

rarr 응답자들은 대부분이 한 달 간 화장품에 쓰는 돈을 최저 1만원 이상(NT$300 이상)이라고 답했는데 이는 70가 넘어가는 결과로 화장품에 대한 지출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만원 이상이라고 대답한 응답자들 또한 4분의 1을 넘기는데 이것은 젊은 연령층부터 시작하여 최근 피부 관리와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대만의 소비 수준에 대비하여 화장품 소비율이 높은 것도 이 때문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1 -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③ 성능(23)

051015202530

가격 디자인 성능 화장품 모델 브랜드

rarr 아열대 기후에 속하는 대만은 높은 기온과 습한 날씨 탓에 에어컨 환경에 자주 노출돼 피부 수분을 잃기 쉬워 기능성 화장품의 소비가 두드러진다 대만 화장품 시장은 토너 세럼 에센스 로션 크림 등의 모든 스킨케어 제품들이 보습기능을 강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백이나 안티에이징 리프팅 저자극 오일프리(Oil-free) 등의 기능까지 추가된 스킨케어 제품들이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조 화장품 소비가 늘어난 것은 최근 몇 년 들어 다양한 화장품 브랜드 접촉기회가 많아지고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젊은 여성의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색조화장품 또한 메이크업베이스와 BB크림 립스틱과 같은 베이스 메이크업이 수요가 많았다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④인터넷(22)

0

5

10

15

20

25

30

TV 잡지 친구 인터넷 메이크업샵

rarr 최근 빠른 인터넷망과 스마트폰 태블릿PC의 보급으로 인해 사람들과 사람사이의 연결망이 견고히 형성되고 있고 이것이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방법을 얻는 경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만 소비자들은 주로 인터넷 블로그 가족과 친구로부터 메이크업 정보를 획득 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만의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이므로 입소문마케팅과 판매를 바로바로 할 수 있는 유통구조가 도움이 될 것 같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2 -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0

5

10

15

20

25

30

청순 독특 귀여움 섹시

rarr 앞서 살펴보았듯이 대만은 한국과 비슷한 메이크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이것은 곧 청순한 메이크업 컨셉에 관심 있어 한다는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실제로 대만 여성소비자들은 깨끗한 피부 NATURAL한 베이스메이크업을 선호한다 한 듯 안 한 듯 자연스럽고 깨끗한 느낌의 한국식 lsquo생얼rsquo 화장법은 대만에서 한국 드라마 열풍과 함께 유명세를 타기 시작해 현지 각종 온라인 뷰티 사이트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래서 응답의 대부분이 한 곳에 치우쳤고 비교적 개성 있는 메이크업 방법이 드물 것이라는 것을 유추해낼 수 있다

본 설문 조사를 통한 한국 화장품 기업에 대한 시사점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수입 절차로 오랜 시간을 허비해야 하는 반면 대만은 자외선 차단제 성분 함유 제품과 약용 화장품을 제외한 일반 화장품은 별도의 수입 검사 없이 수입할 수 있으므로 대개 중국보다 1~2년 먼저 신상품이 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한류 효과를 겨냥한 중화권 화장품 시장으로 대만을 우선 공략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대만은 대부분이 화장품에 대한 소비를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고 한국 화장품이 많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시장 접근법만 제대로 수립하면 매출이 나는 구조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대만인들이 선호하는 메이크업 방법이 한국과 비슷하기 때문에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은 마케팅 방안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최종분석설문 조사 대상은 대부분 10대~20대의 연령층이었으며 화장품의 주된 구입경로는 lsquo온라인(24)rsquo과 lsquo화장품 전문매장(50)rsquo이 압도적이었다 더불어 한 달 간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lsquo1만 원 이상(72)rsquo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이것은 실제 생활수준에 대비하여 높은 소비량이므로 대만의 화장품 시장 전망이 밝다고 할 수 있다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부분은 lsquo성능(46)rsquo이었는데 이는 스타트업 기업 중소기업에게 유리한 조건이다 메이크업 방법을 얻는 방법으로는 lsquo인터넷(44)rsquo과 lsquo친구(30)rsquo가 높은 비율을 차지했는데 판촉활동으로는 인터넷을 활용한 SNS 홍보 바이럴 마케팅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가장 관심있는 화장 컨셉은 lsquo청순rsquo 이었고 이것은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와 맞물려 우리나라와 비슷한 메이크업 방법을 추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3 -

10 대만 명소 소개 (명소음식행사숙소 소개)

10-1 고궁박물관

대만 고궁박물원은 영국의 대영 박물관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 미국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과 함께 세계 4대 박물관으로 손꼽힐 만큼 세계적은 소장 문물을 자랑한다 건물 규모는 그다지 크지 않지만 소장한 문물의 질과 양은 세계 최상급이다 중화 보물 중에서도 최고의 보물들이 모여 있어 진귀하기 그지없고 수량 역시 워낙 방대하여 3개월 단위로 1만여점을 돌아가면서 전시해도 다보려면 10년이 넘게 걸린다고 전해지고 있다 중국의 국공내전 당시 장제스가 이끌던 중국 국민당이 전쟁에서 패하며 중국을 탈출해 대만으로 향했다 당시 장제스는 난징에 있던 정부를 타이페이로 이전하면서 자금성에 보관되어있던 중국역대 왕조 보물 수십만 점을 배를 이용해 운반해 왔다 중국의 유물을 가진 자가 진정한 통치자라고 생각했던 장제스는 ldquo공산군에게 영토는 내줘도 문화유산만큼은 내줄 수 없다ldquo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대표적인 유물은 취옥배추 육형석 모공정 산씨반 등이 있다

10-2 용산사

루강의 초입에 있는 이 사찰은 타이완에서 가장 오래되고 아름답다고 하여 타이완의 자금성이라고 부른다 각 건물의 기둥 벽 그리고 천장 등에 새겨진 조각은 특히 빼어나다 이 조각상과 함께 이곳의 명물로 알려진 것은 사찰 경내에 있는 2마리의 용상인데 삼천전 앞마당 좌우에 서서 룽산사를 호위하고 있다

10-3 타이페이 101 빌딩

타이베이 101빌딩rsquo이라 부르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로서 빌딩 모습은 하늘로 뻗어나가는 대나무 위에 꽃잎이 겹겹이 포개진 형상이다 본래 타이베이 금융기관이 모인 건물이지만 대형 쇼핑센터와 푸드코트 고급 레스토랑이 있어 여행자들이 많이 찾는다 건물에는 8개 마디가 있는데 이는 중화 문화권에서 부와 번영을 의미하는 숫자 lsquo8rsquo을 염두에 둔 것이다 타이베이 시내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는 높이 508m로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히는 높은 건물이다 지상 1~5층에는 소고 백화점 뷰티 플라자 애버뉴 101 등 다양한 패션∙뷰티용품을 구입할 수 있는 상점이 있다 또한 레스토랑 시티 스퀘어 대형 서점 등 쇼핑과 오락 식사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복합시설이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4 -

잘 알려진 식당으로는 딘 타이 펑(Din Tai Fung) 이 있다 101타워 지하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샤오롱바오(고기만두) 새우 샤오마이(새우만두) 탄탄면(우육면)이 가장 대표적인 메뉴이며 대만에 방문한 많은 사람들이 찾는 식당이다

10-4 지우펀

대만여행의 백미로 꼽히는 지우펀은 타이페이시 북부의 루이팡 지역의 작은 산골 마을로 과거에는 아홉가구만 살고 있어서 지우펀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예전에는 작은 산골 마을에 불과 했지만 이 지역에서 금맥이 발견되면서 호황을 맞이하게 된다 특히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일본풍의 건물들이 남아 있어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결합된 독특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비탈길을 따라 하늘로 이어진 예스러운 건물 그리고 골목마다 빨간 홍등과 함께 묻어나는 옛 풍경은 여행객들에게 인기 여행지이다

10-5 스린야시장

타이베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야시장 가운데 하나이다 독특하면서도 다양한 전통 먹을거리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이곳을 찾는 관광객이 많다 시장 부근에 학교가 많아 학생들이 많이 찾으며 포장마차 등의 노점상이 많아 가격도 저렴하다 칭런샹[情人巷]에는 가구 의류 액세서리 사진현상점 애완용품점 등이 모여 있어 학생뿐 아니라 관광객들도 자주 찾는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5 -

10-6 예류 지질 공원

타이완 북해안에 자리한 예류는 해수욕장과 온천 기암괴석으로 유명한 관광지다 특히 예류지질공원은 희귀한 모형의 바위와 암석이 모여 있어 예류 관광의 필수코스로 꼽힌다 작은 곶으로 된 예류지질공원은 침식과 풍화 작용을 거쳐 자연적으로 형성된 기암을 보러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지질공원으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것이 선상암 군락이다 암석 하나하나의 모습은 마치 거대한 버섯이 큰 머리로 하늘을 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선상암 가운데 가장 유명한 암석은 이집트 왕비의 옆모습을 닮은 여왕 두상 바위다

10-7 스펀(Shifen)

스펀(十分)은 옛 광산마을로써 천으로 만든 등이 유명하다 또한 이 곳 스펀은 대만 최대의 폭포 스펀(SE-FEN) 폭포가 있다 미니기차와 천으로 만든 등을 날릴 수도 있다 마을의 한가운데 긴 철길이 놓여 있고 30분에 한 대씩 기차가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것도 볼 수가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6 -

10-8 진과스(金瓜石)

진과스(金瓜石)는 타이완 타이베이 근교에 있는 옛 탄광 유적이다 20세기 전반에 금 채굴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20세기 후반에 금이 차차 고갈되기 시작하자 점점 위축되어 폐광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관광 명소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하루에도 수백명이 들렀다 가는 대만의 대표 관광지이다 진과스 내에 있는 황금 박물관에는 220kg 의 금이 전시 되어 있는데 손을 넣어 직접 만져 볼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진과스에서는 과거 광부들이 먹었던 도시락을 그대로 만들어 판매하는 광부 도시락도 굉장히 인기가 많다

10-9 국립 성공대학

대만의 타이난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1931년에 개교하였다 2010년 QS대학순위에서 283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대만 대학중 2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총 9개의 캠퍼스로 이루어져 있어 굉장히 큰 면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만 교육청에서 인정한 9개의 주요대학 중 하나이고 대만 기업체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학이다 이공계열이 가장 뛰어나며 중문 역사 법학 경제학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10 시먼딩

타이베이시에 위치한 시먼딩은 한국의 명동과 같은 거리이다 대한민국의 명동에도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과 외국인이 많다고 알려져 있는데 시먼딩 또한 명동 못지않은 다양함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대만의 패션과 놀이 문화 음식 등을 한눈에 경험 할 수 있는 공간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7 -

10-11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

중정기념당은 타이완 총통 장제스(蔣介石)를 기리는 전당이다 lsquo중정rsquo은 장제스의 본명이다 그가 서거한 후 1980년 기념당을 세웠다 25만에 이르는 넓은 중정공원 안에 우뚝 선 높이 70m의 기념물이 중정기념당이다 기념당 1층에는 장제스 생애를 엿볼 수 있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거대한 장제스 동상은 항상 근위병이 동상 앞을 지키고 있다 중정공원 안에는 중정기념당 외에 국립 희극원과 국립 음악청이 있는데 이곳에서 연극과 콘서트를 한다 공원 조경 또한 잘 조성되어 있어 산책하며 천천히 둘러보기에 좋다

10-12 안핑지구(安平地區)

대만의 문화와 역사는 안핑지구에서 시작되었다 안핑구바오는 17세기 중엽 네덜란드인들이 지은 요새로 정성공이 빼앗아 번영하다가 황폐해져 지금은 보루의 대부분이 없어지고 설탕과 굴껍데기와 찹쌀가루를 버무려 만든 빨간벽돌로 된 장벽(臺灣城殘蹟)만이 남아 나무뿌리와 존립의 사투를 벌이고 있다 감시탑 옆 건물 안에는 네덜란드와 정성공의 전투에 대한 이야기와 중세갑옷 등이 전시 중이다 이 주변에는 대만에서 가장 오래된 상업거리 옌핑제(延平街)가 있는데 옛 명성이 다한 거리의 골목 사이사이 수백년 된 가옥을 구경하는 것도 소소한 즐거움이다 1867년 영국인 상점과 물류창고로 이용하던 건물에 노용수(老榕樹)가 멋대로 자라 건물을 집어삼키듯 뒤덮은 나무집으로 불리는 안핑수우도 안핑지구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진귀한 볼거리다

10-13 미라마 관람차

대만에서 가장 큰 관람차로 알려져 있는 미라마 관람차는 타이페이 시의 야경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관람차 크기가 큰 것으로 유명하지만 가격 또한 저렴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유스트래블 카드를 이용하면 50 할인이 적용되므로 꼭 지참하도록 하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8 -

lt미라마 관람차 티켓gt lt유스트래블 카드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9 -

11 시사점 및 차후 활용계획 (LGC 프로그램을 통한 구체적인 효과 및 연구결과)

11-1 LGC 프로젝트 만족도

구분 항목 전 후 한줄 평

사업단

프로젝트 취지- 린튼 글로벌 학과와 경영정보학과 학생들이 함께

하는 프로젝트 해외시장탐방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사전교육 활동- 출국 전 각 나라에 대한 유의사항 안전교육이 체

계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개략적인 보고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었다

행정지원 절차- CK사업단 린튼 글로벌 학과 경영정보학과 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히 되지 않아 사전 계획에서 많은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협동력 향상- 출발 전 잦은 팀 회의와 8박 9일 간에 일정에도

불구하고 불화 없이 좋은 분위기 속에서 프로젝트를 완수 했다

추진력 향상- 일정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 한 점 추가 자료조

사를 위해 현지에서 새로운 일정을 추가 됐을 때 팀원들이 일사불란하게 따라주었다

문제해결 능력- 교통편 문제와 기업 측 내부 문제로 일부 일정에

변동이 있었지만 신속한 조율과 전화 통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개인

동기부여 자극- 현지인들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국어 영어 능

력의 필요성을 실감했다 특히 중국어는 소통 유무에 따라 현지 반응이 극명하게 갈렸다

진로설계 도움- 프로젝트 전에 비해 새로운 직업 분야에 대한 관심

이 증가했다

취업능력 향상-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한 내용을 살려 구술 면접이

나 자기소개서 작성에 참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11-2 LGC프로젝트 연구 결과 - 대만 시장

⓵ 중국시장을 주목하는 대만 화장품 기업- EST팀은 현지 대만 화장품 기업으로 SISDORA와 WABFENIX를 선택했다 두 회사를 선정한 배경에는

명확한 의도를 두고 정했다 SISDORA는 설립한 지 10년이 넘는 회사로 직접 화장품을 개발 및 연구하고 판매하는 중소기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과 주름개선 크림으로 중년 여성을 타깃 층으로 하는 화장품 회사다 반면 WABFENIX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스타트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 이지만 기술개발 보다는 디자인 마케팅에 중점을 두었고 판매 층도 10대-20대의 젊은 층을 타깃 층으로 한다 시장 전략이 완연히 다른 두 기업이 유일하게 공통점이 있다면 중국시장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선정 이유에는 많은 인구의 소비력을 꼽지만 뒤이어 언급하는 이야기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자사 제품의 경쟁력 약화를 말한다 현재 대만 기업 대부분은 내수 시장 대신에 중국을 겨냥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국가 산업 특성상 제조amp연구 분야가 강세인 대만에서는 중국 바이어 또는 미국 유럽 바이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직접 판매 보다는 기술 협력을 통해 이익을 창출한다고 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0 -

⓶ 대만 시장을 점령한 한국 화장품

- 앞서 말했듯이 2012년 이후부터 급속히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한국 화장품은 대만 시장을 점령하고 있다 이미 시먼딩에 들어서면 다양한 한국 화장품 매장이 눈에 띌 만큼 들어섰으며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중앙 광장에 입점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매장 안에는 많은 대만 사람들이 화장품을 보고 있는 광경을 흔히 본다 화장품 매장을 이용하는 연령층은 주로 10대-20대들이다 화장품 가격이 한국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주 애용하는 이유는 한류 열풍으로 인한 한국 연예인들에 대한 관심과 화장법이 크게 유행하고 있음을 현지 설문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⓷ 체감할 수 있을 만큼 커다란 한류열풍

- 뉴스에서만 듣던 한류 이야기를 대만에서 직접 느낄 수 있을 정도로 한류열풍은 크다 특히 삼성이나 LG의 TV나 스마트폰은 어딜 가든 항상 보이고 한국 화장품 선물에 대한 반응이 무척이나 뜨겁다 원활한 현지 조사를 위하여 사은품으로 준비한 한국 마스크 팩 100개는 오히려 현지인들이 참여 의사를 표현할 만큼 열정적이었다 일부 대만 사람 중에는 어디서 왔냐는 질문에 한국이라는 답변을 하니 같이 사진 찍기를 제안하기도 했다

⓸ 중소기업에게 있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는 대만 시장진출- 대만 시장 진출에 앞서 한국 화장품 중소기업이라면 전략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크게 대만 시장을 겨냥

할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할지 선택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3CE는 한국 화장품 회사다 대만에서 젊은 연령층이 자주 이용하고 이미 대만 내에서는 유명하다 3CE는 오프라인 매장 없이 순수 온라인 매장으로 운영하면서 대만 사람들을 위한 전용 웹사이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윤을 창출 하고 있다 신중해야 할 점은 현재 온라인 오프라인 등 한국 화장품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신규 진입에 있어서 장벽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대만 시장을 활용한다면 동남아 시장까지 한 번에 내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출입통관 절차가 간단하고 관세가 낮기 때문에 중소기업에게 유리하다 아직까지 중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1 -

에 대한 직접적인 수출이 가능한 곳은 상해나 항주 같이 중국에서 허가한 무역항 도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내륙까지 시장을 확대하기는 불가능하지만 같은 언어권인 대만을 거치면 보다 쉽게 바이어나 에이전트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인맥을 통한 꽌시와 수수료 명목으로 뒷돈을 요구하는 중국 바이어의 관행은 자금 순환이 원활치 않은 중소기업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11-3 LGC 프로젝트 종합 의견 및 전망

우리 lsquoEST팀은 출국 전 국내 화장품 시장 조사를 할 때 대덕 밸리 스타트업 기업 셀아이콘 랩의 영향으로 대만의 화장품 산업에 대해 큰 관심과 가능성을 보고 2015년 1월 5일부터 1월 13일까지 8박9일이라는 시간동안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 나라 중에 하나인 대만에서 rsquo대만의 화장품 시장lsquo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사를 했다 대만에서는 3개의 기업 (KOTRA SISDORA WABFENIX) 을 방문해 전반적인 대만의 화장품 시장과 판매전략 한류에 대한 보다 사실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1개의 대학 (국립성공대학 國立成功大學)에서 MBA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또 타이난에서는 대만에서 오랫동안 사업하시는 한인협회 회장을 만나 PLC (Product Life Cycle)를 통해 대만에서의 특정 시장이 도입기에 있는지 또 어떠한 시장이 쇠퇴기에 놓여있는지 다양한 시야에서 대만시장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노력은 CK 사업단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교육부 CK-1 프로젝트의 일부인 Linton Global Challenge는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몇 년을 내다보는 지속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기업들과 더욱 더 활발한 교류와 연구를 한다면 기업과 CK 사업단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리라고 본다

1 개인 탐방 후기 (팀원 개인 소감)

1-1 개인 탐방 후기

강성민탐방 후기 기업 컨택 부터 인터뷰 일정 계획까지 8박 9일간의 대만 화장품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 출국 전까지 준비 과정부터 탈도 많았고 대만에 와서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 원하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매일이 항상 회의와 고민의 연속이었다 하루하루 충실히 계획을 진행시켜 나갔고 좋은 팀 분위기 속에서 무사히 대만 프로

부록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2 -

젝트를 완수했다 그리고 마침내 한국으로 돌아왔다 과정은 항상 오르막 길이였지만 돌이켜 보면 마지막 대학 시절을 기념할만한 좋은 추억이자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느끼는 바가 많았던 프로젝트로 기억 될 것이다

김은진탐방 후기 글로벌 챌린지를 한마디로 정의하라고 한다면 도종환 시인의 lsquo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lsquo라는 시가 떠오른다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대만기업컨택 설문조사 등 많은 것을 경험했다 처음엔 모든 것이 나에겐 버거운 산이라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도전이 계속 될수록 이젠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이 모든 도전들에 흥미가 생겼다 나 자신도 책임감과 자신감이 생기고 한층 성숙해 진 것을 내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소중한 동료와 추억은 평생 나의 가슴속에 남을 것이다 우린 앞으로도 많이 도전하고 경험하여 우리들의 삶이 활짝 만개하리라 다짐한다 끊임없이 도전하는 20대의 청춘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프로그램이었다 김종선탐방 후기 한국에서 준비하면서 조사했던 내용과 비교하며 인터뷰를 해보니 실제로 많이 다른 부분도 있었고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 비슷한 내용도 있었다 현지의 기업들을 방문해 우리가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직접 매장에 가서 느껴보니 앉아서 컴퓨터만 볼 때랑 많이 달랐다 그리고 직접 대만인들에게 설문조사를 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그리고 대만의 실제 문화와 환경 그들의 생활을 잠시나마 볼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

구명우탐방 후기 며칠간의 꿈만 같았던 대만에서의 시간이 지나갔다 대만으로 출국하기 전 사전조사 기간에는 확신이 없었다 사전조사와 기업과의 인터뷰 그리고 9일간의 일정조율 및 숙박과 모든 대만에서의 연구와 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보고서까지 무엇하나 확신이 드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도전과 해결능력을 배웠고 아시아에서 급성장 중인 대만에 대해서 배우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다음기수로 가게 될 관심 있는 학우들에게 진심으로 추천해주고 싶다

이규현탐방 후기 CK-1 프로그램 중 하나인 lsquo린튼 글로벌 챌린지lsquo 프로그램을 통해 약 8박 9일이라는 시간 동안 emerging market 중 하나인 대만에 거주하면서 한국 화장품의 대만시장 점유율과 진출 가능성을 몸으로 체감하고 자료들을 모아 통계 내어 정리할 수 있었다 우리 팀 lsquoEST가 성공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충분한 국내조사 기간을 갖고 대만의 화장품 회사들을 방문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대만의 특정한 기업을 찾기도 어려웠고 기업 컨택은 번번히 거절당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회사 두 군데에서는 답장조차 오지 않았고 설문조사할 때에는 반한감정의 대만인을 만나 고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팀의 단결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리더의 통솔력으로 정해진 스케줄대로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회사를 방문하고 학교교수를 만나고 길거리에서 설문조사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팀원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또한 대학생으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을 한 것 같아서 스스로도 너무 뿌듯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팀을 믿고 지지해주신 LGSB 교수님들과 CK-1 프로그램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영은탐방 후기 처음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렇게 준비는 열심히 하지만 정말 우리가 계획한 100대로 대만을 다녀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기우가 무색하게도 대만은 우리에게 기획안 그 이상의 것들을 보여주었다 사장님들의 생생한 사업 이야기와 대만의 색채가 묻어있는 아이템들 하며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여 알아보는 비즈니스 마켓의 현장은 나에게 두고두고 잊지 못할 자산으로 남았다 또한 펑리수 버블티를 비롯한 대만의 맛있는 먹거리들과 스린 야시장이나 지우펀 같은 명소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열심히 고생해준 팀원들과의 추억들도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3 -

이서우탐방 후기 이번 글로벌 첼린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서 쉽게 할 수 없는 해외 기업 탐방과 해당 국가의 산업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임효진탐방 후기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팀이 대만을 방문 한다고 했을 때 많이 의아해 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만을 직접 방문해보고 많은 사업자들을 만난 결과 대만은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라고 생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아직 공산주의라는 정치적 특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다른 곳보다 훨씬 어렵지만 대만은 자유시장체제 이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쉽다 특히 외국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만 시장에서 한국제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추고 중국 시장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성공가능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그리고 대만의 바이어들을 통해 중국의 시장진출을 하게 된다면 사업자가 직접 중국시장에 진출 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성공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만은 문화적으로 다른 아시아권보다 선진화 되었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대도시에 속하지만 모두다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골고루 섞여 대만만의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차안호탐방 후기 9박 10일간의 대만을 다녀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넓고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이번 대만 여행은 처음으로 경험한 해외여행 경험이여서 그런지 순탄치 않은 면도 있었지만 팀원들 서로가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만시장은 중국시장으로 가기위한 좋은 시험의 장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대만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영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더 나아가 미래에는 중국어야말로 영어와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성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또 하나 놀란 점은 대만이 반 한류 감정을 많이 갖고 있는 줄 알았지만 대부분의 대만 일반 시민들이 굉장히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에 놀랐고 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CK-1 사업의 챌린지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대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계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보완점 및 건의사항 (문제점개선책건의사항)

2-1 기업 컨택의 어려움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에 있는 기업과 연결하여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대해서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조사 및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시간을 내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로써 그들의 귀한시간이 아깝게 쓰이지 않을 것을 강조하여 만남을 만들어야 한다

2-2 사업단과 의사소통의 불편함

Challeng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CK-1 사업단과의 지속되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가령 누군가를 통해서 전해지는 소문이나 촉박한 시간을 제시하고 일 처리를 원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단과 각 팀의 대표간의 분명한 의사소통과 증빙자료 등이 필요하다

2-3 정보 부재 이번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이머징 마켓에서의 유망 산업 조사 및 연구였다 대만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40: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0 -

2 화장품을 평소 어떤 경로로 구입하십니까 ② 화장품 전문매장(25)

051015202530

온라인 화장품전문매장 마트 홈쇼핑 방문판매

rarr 대만 또한 한국과 비슷하게 시내에 많은 수의 화장품 전문매장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접근성이 굉장히 높았다 더불어 각 화장품 매장에서는 상품 할인과 같은 각종 프로모션을 진행하기 때문에 구매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 구매한다는 대답도 높은 편이었는데 거의 대부분이 와이파이존이어서 어디서나 인터넷을 한 활발히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온라인에서의 구매율도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3 당신이 한 달 동안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얼마입니까 ② NT$300 이상 ~ NT$900원 미만(21)

0

5

10

15

20

25

30

NT$300 미만 NT$300~NT899 NT$900~NT$1499 NT$1500~NT2999 NT$3000

rarr 응답자들은 대부분이 한 달 간 화장품에 쓰는 돈을 최저 1만원 이상(NT$300 이상)이라고 답했는데 이는 70가 넘어가는 결과로 화장품에 대한 지출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만원 이상이라고 대답한 응답자들 또한 4분의 1을 넘기는데 이것은 젊은 연령층부터 시작하여 최근 피부 관리와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대만의 소비 수준에 대비하여 화장품 소비율이 높은 것도 이 때문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1 -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③ 성능(23)

051015202530

가격 디자인 성능 화장품 모델 브랜드

rarr 아열대 기후에 속하는 대만은 높은 기온과 습한 날씨 탓에 에어컨 환경에 자주 노출돼 피부 수분을 잃기 쉬워 기능성 화장품의 소비가 두드러진다 대만 화장품 시장은 토너 세럼 에센스 로션 크림 등의 모든 스킨케어 제품들이 보습기능을 강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백이나 안티에이징 리프팅 저자극 오일프리(Oil-free) 등의 기능까지 추가된 스킨케어 제품들이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조 화장품 소비가 늘어난 것은 최근 몇 년 들어 다양한 화장품 브랜드 접촉기회가 많아지고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젊은 여성의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색조화장품 또한 메이크업베이스와 BB크림 립스틱과 같은 베이스 메이크업이 수요가 많았다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④인터넷(22)

0

5

10

15

20

25

30

TV 잡지 친구 인터넷 메이크업샵

rarr 최근 빠른 인터넷망과 스마트폰 태블릿PC의 보급으로 인해 사람들과 사람사이의 연결망이 견고히 형성되고 있고 이것이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방법을 얻는 경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만 소비자들은 주로 인터넷 블로그 가족과 친구로부터 메이크업 정보를 획득 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만의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이므로 입소문마케팅과 판매를 바로바로 할 수 있는 유통구조가 도움이 될 것 같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2 -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0

5

10

15

20

25

30

청순 독특 귀여움 섹시

rarr 앞서 살펴보았듯이 대만은 한국과 비슷한 메이크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이것은 곧 청순한 메이크업 컨셉에 관심 있어 한다는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실제로 대만 여성소비자들은 깨끗한 피부 NATURAL한 베이스메이크업을 선호한다 한 듯 안 한 듯 자연스럽고 깨끗한 느낌의 한국식 lsquo생얼rsquo 화장법은 대만에서 한국 드라마 열풍과 함께 유명세를 타기 시작해 현지 각종 온라인 뷰티 사이트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래서 응답의 대부분이 한 곳에 치우쳤고 비교적 개성 있는 메이크업 방법이 드물 것이라는 것을 유추해낼 수 있다

본 설문 조사를 통한 한국 화장품 기업에 대한 시사점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수입 절차로 오랜 시간을 허비해야 하는 반면 대만은 자외선 차단제 성분 함유 제품과 약용 화장품을 제외한 일반 화장품은 별도의 수입 검사 없이 수입할 수 있으므로 대개 중국보다 1~2년 먼저 신상품이 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한류 효과를 겨냥한 중화권 화장품 시장으로 대만을 우선 공략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대만은 대부분이 화장품에 대한 소비를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고 한국 화장품이 많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시장 접근법만 제대로 수립하면 매출이 나는 구조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대만인들이 선호하는 메이크업 방법이 한국과 비슷하기 때문에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은 마케팅 방안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최종분석설문 조사 대상은 대부분 10대~20대의 연령층이었으며 화장품의 주된 구입경로는 lsquo온라인(24)rsquo과 lsquo화장품 전문매장(50)rsquo이 압도적이었다 더불어 한 달 간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lsquo1만 원 이상(72)rsquo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이것은 실제 생활수준에 대비하여 높은 소비량이므로 대만의 화장품 시장 전망이 밝다고 할 수 있다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부분은 lsquo성능(46)rsquo이었는데 이는 스타트업 기업 중소기업에게 유리한 조건이다 메이크업 방법을 얻는 방법으로는 lsquo인터넷(44)rsquo과 lsquo친구(30)rsquo가 높은 비율을 차지했는데 판촉활동으로는 인터넷을 활용한 SNS 홍보 바이럴 마케팅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가장 관심있는 화장 컨셉은 lsquo청순rsquo 이었고 이것은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와 맞물려 우리나라와 비슷한 메이크업 방법을 추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3 -

10 대만 명소 소개 (명소음식행사숙소 소개)

10-1 고궁박물관

대만 고궁박물원은 영국의 대영 박물관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 미국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과 함께 세계 4대 박물관으로 손꼽힐 만큼 세계적은 소장 문물을 자랑한다 건물 규모는 그다지 크지 않지만 소장한 문물의 질과 양은 세계 최상급이다 중화 보물 중에서도 최고의 보물들이 모여 있어 진귀하기 그지없고 수량 역시 워낙 방대하여 3개월 단위로 1만여점을 돌아가면서 전시해도 다보려면 10년이 넘게 걸린다고 전해지고 있다 중국의 국공내전 당시 장제스가 이끌던 중국 국민당이 전쟁에서 패하며 중국을 탈출해 대만으로 향했다 당시 장제스는 난징에 있던 정부를 타이페이로 이전하면서 자금성에 보관되어있던 중국역대 왕조 보물 수십만 점을 배를 이용해 운반해 왔다 중국의 유물을 가진 자가 진정한 통치자라고 생각했던 장제스는 ldquo공산군에게 영토는 내줘도 문화유산만큼은 내줄 수 없다ldquo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대표적인 유물은 취옥배추 육형석 모공정 산씨반 등이 있다

10-2 용산사

루강의 초입에 있는 이 사찰은 타이완에서 가장 오래되고 아름답다고 하여 타이완의 자금성이라고 부른다 각 건물의 기둥 벽 그리고 천장 등에 새겨진 조각은 특히 빼어나다 이 조각상과 함께 이곳의 명물로 알려진 것은 사찰 경내에 있는 2마리의 용상인데 삼천전 앞마당 좌우에 서서 룽산사를 호위하고 있다

10-3 타이페이 101 빌딩

타이베이 101빌딩rsquo이라 부르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로서 빌딩 모습은 하늘로 뻗어나가는 대나무 위에 꽃잎이 겹겹이 포개진 형상이다 본래 타이베이 금융기관이 모인 건물이지만 대형 쇼핑센터와 푸드코트 고급 레스토랑이 있어 여행자들이 많이 찾는다 건물에는 8개 마디가 있는데 이는 중화 문화권에서 부와 번영을 의미하는 숫자 lsquo8rsquo을 염두에 둔 것이다 타이베이 시내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는 높이 508m로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히는 높은 건물이다 지상 1~5층에는 소고 백화점 뷰티 플라자 애버뉴 101 등 다양한 패션∙뷰티용품을 구입할 수 있는 상점이 있다 또한 레스토랑 시티 스퀘어 대형 서점 등 쇼핑과 오락 식사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복합시설이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4 -

잘 알려진 식당으로는 딘 타이 펑(Din Tai Fung) 이 있다 101타워 지하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샤오롱바오(고기만두) 새우 샤오마이(새우만두) 탄탄면(우육면)이 가장 대표적인 메뉴이며 대만에 방문한 많은 사람들이 찾는 식당이다

10-4 지우펀

대만여행의 백미로 꼽히는 지우펀은 타이페이시 북부의 루이팡 지역의 작은 산골 마을로 과거에는 아홉가구만 살고 있어서 지우펀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예전에는 작은 산골 마을에 불과 했지만 이 지역에서 금맥이 발견되면서 호황을 맞이하게 된다 특히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일본풍의 건물들이 남아 있어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결합된 독특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비탈길을 따라 하늘로 이어진 예스러운 건물 그리고 골목마다 빨간 홍등과 함께 묻어나는 옛 풍경은 여행객들에게 인기 여행지이다

10-5 스린야시장

타이베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야시장 가운데 하나이다 독특하면서도 다양한 전통 먹을거리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이곳을 찾는 관광객이 많다 시장 부근에 학교가 많아 학생들이 많이 찾으며 포장마차 등의 노점상이 많아 가격도 저렴하다 칭런샹[情人巷]에는 가구 의류 액세서리 사진현상점 애완용품점 등이 모여 있어 학생뿐 아니라 관광객들도 자주 찾는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5 -

10-6 예류 지질 공원

타이완 북해안에 자리한 예류는 해수욕장과 온천 기암괴석으로 유명한 관광지다 특히 예류지질공원은 희귀한 모형의 바위와 암석이 모여 있어 예류 관광의 필수코스로 꼽힌다 작은 곶으로 된 예류지질공원은 침식과 풍화 작용을 거쳐 자연적으로 형성된 기암을 보러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지질공원으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것이 선상암 군락이다 암석 하나하나의 모습은 마치 거대한 버섯이 큰 머리로 하늘을 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선상암 가운데 가장 유명한 암석은 이집트 왕비의 옆모습을 닮은 여왕 두상 바위다

10-7 스펀(Shifen)

스펀(十分)은 옛 광산마을로써 천으로 만든 등이 유명하다 또한 이 곳 스펀은 대만 최대의 폭포 스펀(SE-FEN) 폭포가 있다 미니기차와 천으로 만든 등을 날릴 수도 있다 마을의 한가운데 긴 철길이 놓여 있고 30분에 한 대씩 기차가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것도 볼 수가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6 -

10-8 진과스(金瓜石)

진과스(金瓜石)는 타이완 타이베이 근교에 있는 옛 탄광 유적이다 20세기 전반에 금 채굴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20세기 후반에 금이 차차 고갈되기 시작하자 점점 위축되어 폐광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관광 명소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하루에도 수백명이 들렀다 가는 대만의 대표 관광지이다 진과스 내에 있는 황금 박물관에는 220kg 의 금이 전시 되어 있는데 손을 넣어 직접 만져 볼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진과스에서는 과거 광부들이 먹었던 도시락을 그대로 만들어 판매하는 광부 도시락도 굉장히 인기가 많다

10-9 국립 성공대학

대만의 타이난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1931년에 개교하였다 2010년 QS대학순위에서 283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대만 대학중 2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총 9개의 캠퍼스로 이루어져 있어 굉장히 큰 면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만 교육청에서 인정한 9개의 주요대학 중 하나이고 대만 기업체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학이다 이공계열이 가장 뛰어나며 중문 역사 법학 경제학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10 시먼딩

타이베이시에 위치한 시먼딩은 한국의 명동과 같은 거리이다 대한민국의 명동에도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과 외국인이 많다고 알려져 있는데 시먼딩 또한 명동 못지않은 다양함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대만의 패션과 놀이 문화 음식 등을 한눈에 경험 할 수 있는 공간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7 -

10-11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

중정기념당은 타이완 총통 장제스(蔣介石)를 기리는 전당이다 lsquo중정rsquo은 장제스의 본명이다 그가 서거한 후 1980년 기념당을 세웠다 25만에 이르는 넓은 중정공원 안에 우뚝 선 높이 70m의 기념물이 중정기념당이다 기념당 1층에는 장제스 생애를 엿볼 수 있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거대한 장제스 동상은 항상 근위병이 동상 앞을 지키고 있다 중정공원 안에는 중정기념당 외에 국립 희극원과 국립 음악청이 있는데 이곳에서 연극과 콘서트를 한다 공원 조경 또한 잘 조성되어 있어 산책하며 천천히 둘러보기에 좋다

10-12 안핑지구(安平地區)

대만의 문화와 역사는 안핑지구에서 시작되었다 안핑구바오는 17세기 중엽 네덜란드인들이 지은 요새로 정성공이 빼앗아 번영하다가 황폐해져 지금은 보루의 대부분이 없어지고 설탕과 굴껍데기와 찹쌀가루를 버무려 만든 빨간벽돌로 된 장벽(臺灣城殘蹟)만이 남아 나무뿌리와 존립의 사투를 벌이고 있다 감시탑 옆 건물 안에는 네덜란드와 정성공의 전투에 대한 이야기와 중세갑옷 등이 전시 중이다 이 주변에는 대만에서 가장 오래된 상업거리 옌핑제(延平街)가 있는데 옛 명성이 다한 거리의 골목 사이사이 수백년 된 가옥을 구경하는 것도 소소한 즐거움이다 1867년 영국인 상점과 물류창고로 이용하던 건물에 노용수(老榕樹)가 멋대로 자라 건물을 집어삼키듯 뒤덮은 나무집으로 불리는 안핑수우도 안핑지구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진귀한 볼거리다

10-13 미라마 관람차

대만에서 가장 큰 관람차로 알려져 있는 미라마 관람차는 타이페이 시의 야경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관람차 크기가 큰 것으로 유명하지만 가격 또한 저렴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유스트래블 카드를 이용하면 50 할인이 적용되므로 꼭 지참하도록 하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8 -

lt미라마 관람차 티켓gt lt유스트래블 카드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9 -

11 시사점 및 차후 활용계획 (LGC 프로그램을 통한 구체적인 효과 및 연구결과)

11-1 LGC 프로젝트 만족도

구분 항목 전 후 한줄 평

사업단

프로젝트 취지- 린튼 글로벌 학과와 경영정보학과 학생들이 함께

하는 프로젝트 해외시장탐방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사전교육 활동- 출국 전 각 나라에 대한 유의사항 안전교육이 체

계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개략적인 보고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었다

행정지원 절차- CK사업단 린튼 글로벌 학과 경영정보학과 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히 되지 않아 사전 계획에서 많은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협동력 향상- 출발 전 잦은 팀 회의와 8박 9일 간에 일정에도

불구하고 불화 없이 좋은 분위기 속에서 프로젝트를 완수 했다

추진력 향상- 일정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 한 점 추가 자료조

사를 위해 현지에서 새로운 일정을 추가 됐을 때 팀원들이 일사불란하게 따라주었다

문제해결 능력- 교통편 문제와 기업 측 내부 문제로 일부 일정에

변동이 있었지만 신속한 조율과 전화 통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개인

동기부여 자극- 현지인들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국어 영어 능

력의 필요성을 실감했다 특히 중국어는 소통 유무에 따라 현지 반응이 극명하게 갈렸다

진로설계 도움- 프로젝트 전에 비해 새로운 직업 분야에 대한 관심

이 증가했다

취업능력 향상-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한 내용을 살려 구술 면접이

나 자기소개서 작성에 참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11-2 LGC프로젝트 연구 결과 - 대만 시장

⓵ 중국시장을 주목하는 대만 화장품 기업- EST팀은 현지 대만 화장품 기업으로 SISDORA와 WABFENIX를 선택했다 두 회사를 선정한 배경에는

명확한 의도를 두고 정했다 SISDORA는 설립한 지 10년이 넘는 회사로 직접 화장품을 개발 및 연구하고 판매하는 중소기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과 주름개선 크림으로 중년 여성을 타깃 층으로 하는 화장품 회사다 반면 WABFENIX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스타트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 이지만 기술개발 보다는 디자인 마케팅에 중점을 두었고 판매 층도 10대-20대의 젊은 층을 타깃 층으로 한다 시장 전략이 완연히 다른 두 기업이 유일하게 공통점이 있다면 중국시장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선정 이유에는 많은 인구의 소비력을 꼽지만 뒤이어 언급하는 이야기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자사 제품의 경쟁력 약화를 말한다 현재 대만 기업 대부분은 내수 시장 대신에 중국을 겨냥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국가 산업 특성상 제조amp연구 분야가 강세인 대만에서는 중국 바이어 또는 미국 유럽 바이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직접 판매 보다는 기술 협력을 통해 이익을 창출한다고 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0 -

⓶ 대만 시장을 점령한 한국 화장품

- 앞서 말했듯이 2012년 이후부터 급속히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한국 화장품은 대만 시장을 점령하고 있다 이미 시먼딩에 들어서면 다양한 한국 화장품 매장이 눈에 띌 만큼 들어섰으며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중앙 광장에 입점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매장 안에는 많은 대만 사람들이 화장품을 보고 있는 광경을 흔히 본다 화장품 매장을 이용하는 연령층은 주로 10대-20대들이다 화장품 가격이 한국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주 애용하는 이유는 한류 열풍으로 인한 한국 연예인들에 대한 관심과 화장법이 크게 유행하고 있음을 현지 설문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⓷ 체감할 수 있을 만큼 커다란 한류열풍

- 뉴스에서만 듣던 한류 이야기를 대만에서 직접 느낄 수 있을 정도로 한류열풍은 크다 특히 삼성이나 LG의 TV나 스마트폰은 어딜 가든 항상 보이고 한국 화장품 선물에 대한 반응이 무척이나 뜨겁다 원활한 현지 조사를 위하여 사은품으로 준비한 한국 마스크 팩 100개는 오히려 현지인들이 참여 의사를 표현할 만큼 열정적이었다 일부 대만 사람 중에는 어디서 왔냐는 질문에 한국이라는 답변을 하니 같이 사진 찍기를 제안하기도 했다

⓸ 중소기업에게 있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는 대만 시장진출- 대만 시장 진출에 앞서 한국 화장품 중소기업이라면 전략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크게 대만 시장을 겨냥

할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할지 선택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3CE는 한국 화장품 회사다 대만에서 젊은 연령층이 자주 이용하고 이미 대만 내에서는 유명하다 3CE는 오프라인 매장 없이 순수 온라인 매장으로 운영하면서 대만 사람들을 위한 전용 웹사이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윤을 창출 하고 있다 신중해야 할 점은 현재 온라인 오프라인 등 한국 화장품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신규 진입에 있어서 장벽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대만 시장을 활용한다면 동남아 시장까지 한 번에 내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출입통관 절차가 간단하고 관세가 낮기 때문에 중소기업에게 유리하다 아직까지 중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1 -

에 대한 직접적인 수출이 가능한 곳은 상해나 항주 같이 중국에서 허가한 무역항 도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내륙까지 시장을 확대하기는 불가능하지만 같은 언어권인 대만을 거치면 보다 쉽게 바이어나 에이전트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인맥을 통한 꽌시와 수수료 명목으로 뒷돈을 요구하는 중국 바이어의 관행은 자금 순환이 원활치 않은 중소기업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11-3 LGC 프로젝트 종합 의견 및 전망

우리 lsquoEST팀은 출국 전 국내 화장품 시장 조사를 할 때 대덕 밸리 스타트업 기업 셀아이콘 랩의 영향으로 대만의 화장품 산업에 대해 큰 관심과 가능성을 보고 2015년 1월 5일부터 1월 13일까지 8박9일이라는 시간동안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 나라 중에 하나인 대만에서 rsquo대만의 화장품 시장lsquo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사를 했다 대만에서는 3개의 기업 (KOTRA SISDORA WABFENIX) 을 방문해 전반적인 대만의 화장품 시장과 판매전략 한류에 대한 보다 사실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1개의 대학 (국립성공대학 國立成功大學)에서 MBA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또 타이난에서는 대만에서 오랫동안 사업하시는 한인협회 회장을 만나 PLC (Product Life Cycle)를 통해 대만에서의 특정 시장이 도입기에 있는지 또 어떠한 시장이 쇠퇴기에 놓여있는지 다양한 시야에서 대만시장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노력은 CK 사업단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교육부 CK-1 프로젝트의 일부인 Linton Global Challenge는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몇 년을 내다보는 지속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기업들과 더욱 더 활발한 교류와 연구를 한다면 기업과 CK 사업단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리라고 본다

1 개인 탐방 후기 (팀원 개인 소감)

1-1 개인 탐방 후기

강성민탐방 후기 기업 컨택 부터 인터뷰 일정 계획까지 8박 9일간의 대만 화장품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 출국 전까지 준비 과정부터 탈도 많았고 대만에 와서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 원하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매일이 항상 회의와 고민의 연속이었다 하루하루 충실히 계획을 진행시켜 나갔고 좋은 팀 분위기 속에서 무사히 대만 프로

부록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2 -

젝트를 완수했다 그리고 마침내 한국으로 돌아왔다 과정은 항상 오르막 길이였지만 돌이켜 보면 마지막 대학 시절을 기념할만한 좋은 추억이자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느끼는 바가 많았던 프로젝트로 기억 될 것이다

김은진탐방 후기 글로벌 챌린지를 한마디로 정의하라고 한다면 도종환 시인의 lsquo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lsquo라는 시가 떠오른다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대만기업컨택 설문조사 등 많은 것을 경험했다 처음엔 모든 것이 나에겐 버거운 산이라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도전이 계속 될수록 이젠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이 모든 도전들에 흥미가 생겼다 나 자신도 책임감과 자신감이 생기고 한층 성숙해 진 것을 내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소중한 동료와 추억은 평생 나의 가슴속에 남을 것이다 우린 앞으로도 많이 도전하고 경험하여 우리들의 삶이 활짝 만개하리라 다짐한다 끊임없이 도전하는 20대의 청춘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프로그램이었다 김종선탐방 후기 한국에서 준비하면서 조사했던 내용과 비교하며 인터뷰를 해보니 실제로 많이 다른 부분도 있었고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 비슷한 내용도 있었다 현지의 기업들을 방문해 우리가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직접 매장에 가서 느껴보니 앉아서 컴퓨터만 볼 때랑 많이 달랐다 그리고 직접 대만인들에게 설문조사를 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그리고 대만의 실제 문화와 환경 그들의 생활을 잠시나마 볼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

구명우탐방 후기 며칠간의 꿈만 같았던 대만에서의 시간이 지나갔다 대만으로 출국하기 전 사전조사 기간에는 확신이 없었다 사전조사와 기업과의 인터뷰 그리고 9일간의 일정조율 및 숙박과 모든 대만에서의 연구와 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보고서까지 무엇하나 확신이 드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도전과 해결능력을 배웠고 아시아에서 급성장 중인 대만에 대해서 배우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다음기수로 가게 될 관심 있는 학우들에게 진심으로 추천해주고 싶다

이규현탐방 후기 CK-1 프로그램 중 하나인 lsquo린튼 글로벌 챌린지lsquo 프로그램을 통해 약 8박 9일이라는 시간 동안 emerging market 중 하나인 대만에 거주하면서 한국 화장품의 대만시장 점유율과 진출 가능성을 몸으로 체감하고 자료들을 모아 통계 내어 정리할 수 있었다 우리 팀 lsquoEST가 성공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충분한 국내조사 기간을 갖고 대만의 화장품 회사들을 방문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대만의 특정한 기업을 찾기도 어려웠고 기업 컨택은 번번히 거절당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회사 두 군데에서는 답장조차 오지 않았고 설문조사할 때에는 반한감정의 대만인을 만나 고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팀의 단결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리더의 통솔력으로 정해진 스케줄대로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회사를 방문하고 학교교수를 만나고 길거리에서 설문조사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팀원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또한 대학생으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을 한 것 같아서 스스로도 너무 뿌듯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팀을 믿고 지지해주신 LGSB 교수님들과 CK-1 프로그램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영은탐방 후기 처음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렇게 준비는 열심히 하지만 정말 우리가 계획한 100대로 대만을 다녀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기우가 무색하게도 대만은 우리에게 기획안 그 이상의 것들을 보여주었다 사장님들의 생생한 사업 이야기와 대만의 색채가 묻어있는 아이템들 하며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여 알아보는 비즈니스 마켓의 현장은 나에게 두고두고 잊지 못할 자산으로 남았다 또한 펑리수 버블티를 비롯한 대만의 맛있는 먹거리들과 스린 야시장이나 지우펀 같은 명소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열심히 고생해준 팀원들과의 추억들도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3 -

이서우탐방 후기 이번 글로벌 첼린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서 쉽게 할 수 없는 해외 기업 탐방과 해당 국가의 산업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임효진탐방 후기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팀이 대만을 방문 한다고 했을 때 많이 의아해 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만을 직접 방문해보고 많은 사업자들을 만난 결과 대만은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라고 생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아직 공산주의라는 정치적 특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다른 곳보다 훨씬 어렵지만 대만은 자유시장체제 이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쉽다 특히 외국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만 시장에서 한국제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추고 중국 시장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성공가능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그리고 대만의 바이어들을 통해 중국의 시장진출을 하게 된다면 사업자가 직접 중국시장에 진출 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성공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만은 문화적으로 다른 아시아권보다 선진화 되었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대도시에 속하지만 모두다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골고루 섞여 대만만의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차안호탐방 후기 9박 10일간의 대만을 다녀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넓고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이번 대만 여행은 처음으로 경험한 해외여행 경험이여서 그런지 순탄치 않은 면도 있었지만 팀원들 서로가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만시장은 중국시장으로 가기위한 좋은 시험의 장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대만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영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더 나아가 미래에는 중국어야말로 영어와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성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또 하나 놀란 점은 대만이 반 한류 감정을 많이 갖고 있는 줄 알았지만 대부분의 대만 일반 시민들이 굉장히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에 놀랐고 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CK-1 사업의 챌린지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대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계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보완점 및 건의사항 (문제점개선책건의사항)

2-1 기업 컨택의 어려움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에 있는 기업과 연결하여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대해서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조사 및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시간을 내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로써 그들의 귀한시간이 아깝게 쓰이지 않을 것을 강조하여 만남을 만들어야 한다

2-2 사업단과 의사소통의 불편함

Challeng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CK-1 사업단과의 지속되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가령 누군가를 통해서 전해지는 소문이나 촉박한 시간을 제시하고 일 처리를 원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단과 각 팀의 대표간의 분명한 의사소통과 증빙자료 등이 필요하다

2-3 정보 부재 이번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이머징 마켓에서의 유망 산업 조사 및 연구였다 대만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41: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1 -

4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 ③ 성능(23)

051015202530

가격 디자인 성능 화장품 모델 브랜드

rarr 아열대 기후에 속하는 대만은 높은 기온과 습한 날씨 탓에 에어컨 환경에 자주 노출돼 피부 수분을 잃기 쉬워 기능성 화장품의 소비가 두드러진다 대만 화장품 시장은 토너 세럼 에센스 로션 크림 등의 모든 스킨케어 제품들이 보습기능을 강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백이나 안티에이징 리프팅 저자극 오일프리(Oil-free) 등의 기능까지 추가된 스킨케어 제품들이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조 화장품 소비가 늘어난 것은 최근 몇 년 들어 다양한 화장품 브랜드 접촉기회가 많아지고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젊은 여성의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색조화장품 또한 메이크업베이스와 BB크림 립스틱과 같은 베이스 메이크업이 수요가 많았다

5 화장하는 방법을 얻는 경로는 무엇입니까 ④인터넷(22)

0

5

10

15

20

25

30

TV 잡지 친구 인터넷 메이크업샵

rarr 최근 빠른 인터넷망과 스마트폰 태블릿PC의 보급으로 인해 사람들과 사람사이의 연결망이 견고히 형성되고 있고 이것이 대만 소비자들의 화장방법을 얻는 경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만 소비자들은 주로 인터넷 블로그 가족과 친구로부터 메이크업 정보를 획득 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만의 소비자들은 온라인 마케팅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이므로 입소문마케팅과 판매를 바로바로 할 수 있는 유통구조가 도움이 될 것 같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2 -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0

5

10

15

20

25

30

청순 독특 귀여움 섹시

rarr 앞서 살펴보았듯이 대만은 한국과 비슷한 메이크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이것은 곧 청순한 메이크업 컨셉에 관심 있어 한다는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실제로 대만 여성소비자들은 깨끗한 피부 NATURAL한 베이스메이크업을 선호한다 한 듯 안 한 듯 자연스럽고 깨끗한 느낌의 한국식 lsquo생얼rsquo 화장법은 대만에서 한국 드라마 열풍과 함께 유명세를 타기 시작해 현지 각종 온라인 뷰티 사이트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래서 응답의 대부분이 한 곳에 치우쳤고 비교적 개성 있는 메이크업 방법이 드물 것이라는 것을 유추해낼 수 있다

본 설문 조사를 통한 한국 화장품 기업에 대한 시사점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수입 절차로 오랜 시간을 허비해야 하는 반면 대만은 자외선 차단제 성분 함유 제품과 약용 화장품을 제외한 일반 화장품은 별도의 수입 검사 없이 수입할 수 있으므로 대개 중국보다 1~2년 먼저 신상품이 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한류 효과를 겨냥한 중화권 화장품 시장으로 대만을 우선 공략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대만은 대부분이 화장품에 대한 소비를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고 한국 화장품이 많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시장 접근법만 제대로 수립하면 매출이 나는 구조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대만인들이 선호하는 메이크업 방법이 한국과 비슷하기 때문에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은 마케팅 방안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최종분석설문 조사 대상은 대부분 10대~20대의 연령층이었으며 화장품의 주된 구입경로는 lsquo온라인(24)rsquo과 lsquo화장품 전문매장(50)rsquo이 압도적이었다 더불어 한 달 간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lsquo1만 원 이상(72)rsquo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이것은 실제 생활수준에 대비하여 높은 소비량이므로 대만의 화장품 시장 전망이 밝다고 할 수 있다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부분은 lsquo성능(46)rsquo이었는데 이는 스타트업 기업 중소기업에게 유리한 조건이다 메이크업 방법을 얻는 방법으로는 lsquo인터넷(44)rsquo과 lsquo친구(30)rsquo가 높은 비율을 차지했는데 판촉활동으로는 인터넷을 활용한 SNS 홍보 바이럴 마케팅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가장 관심있는 화장 컨셉은 lsquo청순rsquo 이었고 이것은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와 맞물려 우리나라와 비슷한 메이크업 방법을 추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3 -

10 대만 명소 소개 (명소음식행사숙소 소개)

10-1 고궁박물관

대만 고궁박물원은 영국의 대영 박물관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 미국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과 함께 세계 4대 박물관으로 손꼽힐 만큼 세계적은 소장 문물을 자랑한다 건물 규모는 그다지 크지 않지만 소장한 문물의 질과 양은 세계 최상급이다 중화 보물 중에서도 최고의 보물들이 모여 있어 진귀하기 그지없고 수량 역시 워낙 방대하여 3개월 단위로 1만여점을 돌아가면서 전시해도 다보려면 10년이 넘게 걸린다고 전해지고 있다 중국의 국공내전 당시 장제스가 이끌던 중국 국민당이 전쟁에서 패하며 중국을 탈출해 대만으로 향했다 당시 장제스는 난징에 있던 정부를 타이페이로 이전하면서 자금성에 보관되어있던 중국역대 왕조 보물 수십만 점을 배를 이용해 운반해 왔다 중국의 유물을 가진 자가 진정한 통치자라고 생각했던 장제스는 ldquo공산군에게 영토는 내줘도 문화유산만큼은 내줄 수 없다ldquo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대표적인 유물은 취옥배추 육형석 모공정 산씨반 등이 있다

10-2 용산사

루강의 초입에 있는 이 사찰은 타이완에서 가장 오래되고 아름답다고 하여 타이완의 자금성이라고 부른다 각 건물의 기둥 벽 그리고 천장 등에 새겨진 조각은 특히 빼어나다 이 조각상과 함께 이곳의 명물로 알려진 것은 사찰 경내에 있는 2마리의 용상인데 삼천전 앞마당 좌우에 서서 룽산사를 호위하고 있다

10-3 타이페이 101 빌딩

타이베이 101빌딩rsquo이라 부르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로서 빌딩 모습은 하늘로 뻗어나가는 대나무 위에 꽃잎이 겹겹이 포개진 형상이다 본래 타이베이 금융기관이 모인 건물이지만 대형 쇼핑센터와 푸드코트 고급 레스토랑이 있어 여행자들이 많이 찾는다 건물에는 8개 마디가 있는데 이는 중화 문화권에서 부와 번영을 의미하는 숫자 lsquo8rsquo을 염두에 둔 것이다 타이베이 시내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는 높이 508m로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히는 높은 건물이다 지상 1~5층에는 소고 백화점 뷰티 플라자 애버뉴 101 등 다양한 패션∙뷰티용품을 구입할 수 있는 상점이 있다 또한 레스토랑 시티 스퀘어 대형 서점 등 쇼핑과 오락 식사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복합시설이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4 -

잘 알려진 식당으로는 딘 타이 펑(Din Tai Fung) 이 있다 101타워 지하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샤오롱바오(고기만두) 새우 샤오마이(새우만두) 탄탄면(우육면)이 가장 대표적인 메뉴이며 대만에 방문한 많은 사람들이 찾는 식당이다

10-4 지우펀

대만여행의 백미로 꼽히는 지우펀은 타이페이시 북부의 루이팡 지역의 작은 산골 마을로 과거에는 아홉가구만 살고 있어서 지우펀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예전에는 작은 산골 마을에 불과 했지만 이 지역에서 금맥이 발견되면서 호황을 맞이하게 된다 특히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일본풍의 건물들이 남아 있어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결합된 독특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비탈길을 따라 하늘로 이어진 예스러운 건물 그리고 골목마다 빨간 홍등과 함께 묻어나는 옛 풍경은 여행객들에게 인기 여행지이다

10-5 스린야시장

타이베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야시장 가운데 하나이다 독특하면서도 다양한 전통 먹을거리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이곳을 찾는 관광객이 많다 시장 부근에 학교가 많아 학생들이 많이 찾으며 포장마차 등의 노점상이 많아 가격도 저렴하다 칭런샹[情人巷]에는 가구 의류 액세서리 사진현상점 애완용품점 등이 모여 있어 학생뿐 아니라 관광객들도 자주 찾는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5 -

10-6 예류 지질 공원

타이완 북해안에 자리한 예류는 해수욕장과 온천 기암괴석으로 유명한 관광지다 특히 예류지질공원은 희귀한 모형의 바위와 암석이 모여 있어 예류 관광의 필수코스로 꼽힌다 작은 곶으로 된 예류지질공원은 침식과 풍화 작용을 거쳐 자연적으로 형성된 기암을 보러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지질공원으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것이 선상암 군락이다 암석 하나하나의 모습은 마치 거대한 버섯이 큰 머리로 하늘을 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선상암 가운데 가장 유명한 암석은 이집트 왕비의 옆모습을 닮은 여왕 두상 바위다

10-7 스펀(Shifen)

스펀(十分)은 옛 광산마을로써 천으로 만든 등이 유명하다 또한 이 곳 스펀은 대만 최대의 폭포 스펀(SE-FEN) 폭포가 있다 미니기차와 천으로 만든 등을 날릴 수도 있다 마을의 한가운데 긴 철길이 놓여 있고 30분에 한 대씩 기차가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것도 볼 수가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6 -

10-8 진과스(金瓜石)

진과스(金瓜石)는 타이완 타이베이 근교에 있는 옛 탄광 유적이다 20세기 전반에 금 채굴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20세기 후반에 금이 차차 고갈되기 시작하자 점점 위축되어 폐광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관광 명소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하루에도 수백명이 들렀다 가는 대만의 대표 관광지이다 진과스 내에 있는 황금 박물관에는 220kg 의 금이 전시 되어 있는데 손을 넣어 직접 만져 볼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진과스에서는 과거 광부들이 먹었던 도시락을 그대로 만들어 판매하는 광부 도시락도 굉장히 인기가 많다

10-9 국립 성공대학

대만의 타이난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1931년에 개교하였다 2010년 QS대학순위에서 283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대만 대학중 2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총 9개의 캠퍼스로 이루어져 있어 굉장히 큰 면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만 교육청에서 인정한 9개의 주요대학 중 하나이고 대만 기업체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학이다 이공계열이 가장 뛰어나며 중문 역사 법학 경제학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10 시먼딩

타이베이시에 위치한 시먼딩은 한국의 명동과 같은 거리이다 대한민국의 명동에도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과 외국인이 많다고 알려져 있는데 시먼딩 또한 명동 못지않은 다양함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대만의 패션과 놀이 문화 음식 등을 한눈에 경험 할 수 있는 공간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7 -

10-11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

중정기념당은 타이완 총통 장제스(蔣介石)를 기리는 전당이다 lsquo중정rsquo은 장제스의 본명이다 그가 서거한 후 1980년 기념당을 세웠다 25만에 이르는 넓은 중정공원 안에 우뚝 선 높이 70m의 기념물이 중정기념당이다 기념당 1층에는 장제스 생애를 엿볼 수 있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거대한 장제스 동상은 항상 근위병이 동상 앞을 지키고 있다 중정공원 안에는 중정기념당 외에 국립 희극원과 국립 음악청이 있는데 이곳에서 연극과 콘서트를 한다 공원 조경 또한 잘 조성되어 있어 산책하며 천천히 둘러보기에 좋다

10-12 안핑지구(安平地區)

대만의 문화와 역사는 안핑지구에서 시작되었다 안핑구바오는 17세기 중엽 네덜란드인들이 지은 요새로 정성공이 빼앗아 번영하다가 황폐해져 지금은 보루의 대부분이 없어지고 설탕과 굴껍데기와 찹쌀가루를 버무려 만든 빨간벽돌로 된 장벽(臺灣城殘蹟)만이 남아 나무뿌리와 존립의 사투를 벌이고 있다 감시탑 옆 건물 안에는 네덜란드와 정성공의 전투에 대한 이야기와 중세갑옷 등이 전시 중이다 이 주변에는 대만에서 가장 오래된 상업거리 옌핑제(延平街)가 있는데 옛 명성이 다한 거리의 골목 사이사이 수백년 된 가옥을 구경하는 것도 소소한 즐거움이다 1867년 영국인 상점과 물류창고로 이용하던 건물에 노용수(老榕樹)가 멋대로 자라 건물을 집어삼키듯 뒤덮은 나무집으로 불리는 안핑수우도 안핑지구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진귀한 볼거리다

10-13 미라마 관람차

대만에서 가장 큰 관람차로 알려져 있는 미라마 관람차는 타이페이 시의 야경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관람차 크기가 큰 것으로 유명하지만 가격 또한 저렴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유스트래블 카드를 이용하면 50 할인이 적용되므로 꼭 지참하도록 하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8 -

lt미라마 관람차 티켓gt lt유스트래블 카드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9 -

11 시사점 및 차후 활용계획 (LGC 프로그램을 통한 구체적인 효과 및 연구결과)

11-1 LGC 프로젝트 만족도

구분 항목 전 후 한줄 평

사업단

프로젝트 취지- 린튼 글로벌 학과와 경영정보학과 학생들이 함께

하는 프로젝트 해외시장탐방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사전교육 활동- 출국 전 각 나라에 대한 유의사항 안전교육이 체

계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개략적인 보고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었다

행정지원 절차- CK사업단 린튼 글로벌 학과 경영정보학과 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히 되지 않아 사전 계획에서 많은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협동력 향상- 출발 전 잦은 팀 회의와 8박 9일 간에 일정에도

불구하고 불화 없이 좋은 분위기 속에서 프로젝트를 완수 했다

추진력 향상- 일정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 한 점 추가 자료조

사를 위해 현지에서 새로운 일정을 추가 됐을 때 팀원들이 일사불란하게 따라주었다

문제해결 능력- 교통편 문제와 기업 측 내부 문제로 일부 일정에

변동이 있었지만 신속한 조율과 전화 통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개인

동기부여 자극- 현지인들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국어 영어 능

력의 필요성을 실감했다 특히 중국어는 소통 유무에 따라 현지 반응이 극명하게 갈렸다

진로설계 도움- 프로젝트 전에 비해 새로운 직업 분야에 대한 관심

이 증가했다

취업능력 향상-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한 내용을 살려 구술 면접이

나 자기소개서 작성에 참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11-2 LGC프로젝트 연구 결과 - 대만 시장

⓵ 중국시장을 주목하는 대만 화장품 기업- EST팀은 현지 대만 화장품 기업으로 SISDORA와 WABFENIX를 선택했다 두 회사를 선정한 배경에는

명확한 의도를 두고 정했다 SISDORA는 설립한 지 10년이 넘는 회사로 직접 화장품을 개발 및 연구하고 판매하는 중소기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과 주름개선 크림으로 중년 여성을 타깃 층으로 하는 화장품 회사다 반면 WABFENIX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스타트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 이지만 기술개발 보다는 디자인 마케팅에 중점을 두었고 판매 층도 10대-20대의 젊은 층을 타깃 층으로 한다 시장 전략이 완연히 다른 두 기업이 유일하게 공통점이 있다면 중국시장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선정 이유에는 많은 인구의 소비력을 꼽지만 뒤이어 언급하는 이야기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자사 제품의 경쟁력 약화를 말한다 현재 대만 기업 대부분은 내수 시장 대신에 중국을 겨냥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국가 산업 특성상 제조amp연구 분야가 강세인 대만에서는 중국 바이어 또는 미국 유럽 바이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직접 판매 보다는 기술 협력을 통해 이익을 창출한다고 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0 -

⓶ 대만 시장을 점령한 한국 화장품

- 앞서 말했듯이 2012년 이후부터 급속히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한국 화장품은 대만 시장을 점령하고 있다 이미 시먼딩에 들어서면 다양한 한국 화장품 매장이 눈에 띌 만큼 들어섰으며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중앙 광장에 입점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매장 안에는 많은 대만 사람들이 화장품을 보고 있는 광경을 흔히 본다 화장품 매장을 이용하는 연령층은 주로 10대-20대들이다 화장품 가격이 한국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주 애용하는 이유는 한류 열풍으로 인한 한국 연예인들에 대한 관심과 화장법이 크게 유행하고 있음을 현지 설문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⓷ 체감할 수 있을 만큼 커다란 한류열풍

- 뉴스에서만 듣던 한류 이야기를 대만에서 직접 느낄 수 있을 정도로 한류열풍은 크다 특히 삼성이나 LG의 TV나 스마트폰은 어딜 가든 항상 보이고 한국 화장품 선물에 대한 반응이 무척이나 뜨겁다 원활한 현지 조사를 위하여 사은품으로 준비한 한국 마스크 팩 100개는 오히려 현지인들이 참여 의사를 표현할 만큼 열정적이었다 일부 대만 사람 중에는 어디서 왔냐는 질문에 한국이라는 답변을 하니 같이 사진 찍기를 제안하기도 했다

⓸ 중소기업에게 있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는 대만 시장진출- 대만 시장 진출에 앞서 한국 화장품 중소기업이라면 전략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크게 대만 시장을 겨냥

할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할지 선택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3CE는 한국 화장품 회사다 대만에서 젊은 연령층이 자주 이용하고 이미 대만 내에서는 유명하다 3CE는 오프라인 매장 없이 순수 온라인 매장으로 운영하면서 대만 사람들을 위한 전용 웹사이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윤을 창출 하고 있다 신중해야 할 점은 현재 온라인 오프라인 등 한국 화장품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신규 진입에 있어서 장벽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대만 시장을 활용한다면 동남아 시장까지 한 번에 내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출입통관 절차가 간단하고 관세가 낮기 때문에 중소기업에게 유리하다 아직까지 중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1 -

에 대한 직접적인 수출이 가능한 곳은 상해나 항주 같이 중국에서 허가한 무역항 도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내륙까지 시장을 확대하기는 불가능하지만 같은 언어권인 대만을 거치면 보다 쉽게 바이어나 에이전트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인맥을 통한 꽌시와 수수료 명목으로 뒷돈을 요구하는 중국 바이어의 관행은 자금 순환이 원활치 않은 중소기업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11-3 LGC 프로젝트 종합 의견 및 전망

우리 lsquoEST팀은 출국 전 국내 화장품 시장 조사를 할 때 대덕 밸리 스타트업 기업 셀아이콘 랩의 영향으로 대만의 화장품 산업에 대해 큰 관심과 가능성을 보고 2015년 1월 5일부터 1월 13일까지 8박9일이라는 시간동안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 나라 중에 하나인 대만에서 rsquo대만의 화장품 시장lsquo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사를 했다 대만에서는 3개의 기업 (KOTRA SISDORA WABFENIX) 을 방문해 전반적인 대만의 화장품 시장과 판매전략 한류에 대한 보다 사실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1개의 대학 (국립성공대학 國立成功大學)에서 MBA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또 타이난에서는 대만에서 오랫동안 사업하시는 한인협회 회장을 만나 PLC (Product Life Cycle)를 통해 대만에서의 특정 시장이 도입기에 있는지 또 어떠한 시장이 쇠퇴기에 놓여있는지 다양한 시야에서 대만시장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노력은 CK 사업단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교육부 CK-1 프로젝트의 일부인 Linton Global Challenge는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몇 년을 내다보는 지속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기업들과 더욱 더 활발한 교류와 연구를 한다면 기업과 CK 사업단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리라고 본다

1 개인 탐방 후기 (팀원 개인 소감)

1-1 개인 탐방 후기

강성민탐방 후기 기업 컨택 부터 인터뷰 일정 계획까지 8박 9일간의 대만 화장품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 출국 전까지 준비 과정부터 탈도 많았고 대만에 와서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 원하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매일이 항상 회의와 고민의 연속이었다 하루하루 충실히 계획을 진행시켜 나갔고 좋은 팀 분위기 속에서 무사히 대만 프로

부록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2 -

젝트를 완수했다 그리고 마침내 한국으로 돌아왔다 과정은 항상 오르막 길이였지만 돌이켜 보면 마지막 대학 시절을 기념할만한 좋은 추억이자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느끼는 바가 많았던 프로젝트로 기억 될 것이다

김은진탐방 후기 글로벌 챌린지를 한마디로 정의하라고 한다면 도종환 시인의 lsquo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lsquo라는 시가 떠오른다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대만기업컨택 설문조사 등 많은 것을 경험했다 처음엔 모든 것이 나에겐 버거운 산이라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도전이 계속 될수록 이젠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이 모든 도전들에 흥미가 생겼다 나 자신도 책임감과 자신감이 생기고 한층 성숙해 진 것을 내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소중한 동료와 추억은 평생 나의 가슴속에 남을 것이다 우린 앞으로도 많이 도전하고 경험하여 우리들의 삶이 활짝 만개하리라 다짐한다 끊임없이 도전하는 20대의 청춘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프로그램이었다 김종선탐방 후기 한국에서 준비하면서 조사했던 내용과 비교하며 인터뷰를 해보니 실제로 많이 다른 부분도 있었고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 비슷한 내용도 있었다 현지의 기업들을 방문해 우리가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직접 매장에 가서 느껴보니 앉아서 컴퓨터만 볼 때랑 많이 달랐다 그리고 직접 대만인들에게 설문조사를 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그리고 대만의 실제 문화와 환경 그들의 생활을 잠시나마 볼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

구명우탐방 후기 며칠간의 꿈만 같았던 대만에서의 시간이 지나갔다 대만으로 출국하기 전 사전조사 기간에는 확신이 없었다 사전조사와 기업과의 인터뷰 그리고 9일간의 일정조율 및 숙박과 모든 대만에서의 연구와 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보고서까지 무엇하나 확신이 드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도전과 해결능력을 배웠고 아시아에서 급성장 중인 대만에 대해서 배우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다음기수로 가게 될 관심 있는 학우들에게 진심으로 추천해주고 싶다

이규현탐방 후기 CK-1 프로그램 중 하나인 lsquo린튼 글로벌 챌린지lsquo 프로그램을 통해 약 8박 9일이라는 시간 동안 emerging market 중 하나인 대만에 거주하면서 한국 화장품의 대만시장 점유율과 진출 가능성을 몸으로 체감하고 자료들을 모아 통계 내어 정리할 수 있었다 우리 팀 lsquoEST가 성공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충분한 국내조사 기간을 갖고 대만의 화장품 회사들을 방문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대만의 특정한 기업을 찾기도 어려웠고 기업 컨택은 번번히 거절당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회사 두 군데에서는 답장조차 오지 않았고 설문조사할 때에는 반한감정의 대만인을 만나 고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팀의 단결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리더의 통솔력으로 정해진 스케줄대로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회사를 방문하고 학교교수를 만나고 길거리에서 설문조사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팀원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또한 대학생으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을 한 것 같아서 스스로도 너무 뿌듯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팀을 믿고 지지해주신 LGSB 교수님들과 CK-1 프로그램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영은탐방 후기 처음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렇게 준비는 열심히 하지만 정말 우리가 계획한 100대로 대만을 다녀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기우가 무색하게도 대만은 우리에게 기획안 그 이상의 것들을 보여주었다 사장님들의 생생한 사업 이야기와 대만의 색채가 묻어있는 아이템들 하며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여 알아보는 비즈니스 마켓의 현장은 나에게 두고두고 잊지 못할 자산으로 남았다 또한 펑리수 버블티를 비롯한 대만의 맛있는 먹거리들과 스린 야시장이나 지우펀 같은 명소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열심히 고생해준 팀원들과의 추억들도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3 -

이서우탐방 후기 이번 글로벌 첼린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서 쉽게 할 수 없는 해외 기업 탐방과 해당 국가의 산업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임효진탐방 후기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팀이 대만을 방문 한다고 했을 때 많이 의아해 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만을 직접 방문해보고 많은 사업자들을 만난 결과 대만은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라고 생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아직 공산주의라는 정치적 특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다른 곳보다 훨씬 어렵지만 대만은 자유시장체제 이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쉽다 특히 외국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만 시장에서 한국제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추고 중국 시장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성공가능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그리고 대만의 바이어들을 통해 중국의 시장진출을 하게 된다면 사업자가 직접 중국시장에 진출 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성공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만은 문화적으로 다른 아시아권보다 선진화 되었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대도시에 속하지만 모두다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골고루 섞여 대만만의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차안호탐방 후기 9박 10일간의 대만을 다녀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넓고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이번 대만 여행은 처음으로 경험한 해외여행 경험이여서 그런지 순탄치 않은 면도 있었지만 팀원들 서로가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만시장은 중국시장으로 가기위한 좋은 시험의 장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대만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영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더 나아가 미래에는 중국어야말로 영어와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성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또 하나 놀란 점은 대만이 반 한류 감정을 많이 갖고 있는 줄 알았지만 대부분의 대만 일반 시민들이 굉장히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에 놀랐고 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CK-1 사업의 챌린지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대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계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보완점 및 건의사항 (문제점개선책건의사항)

2-1 기업 컨택의 어려움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에 있는 기업과 연결하여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대해서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조사 및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시간을 내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로써 그들의 귀한시간이 아깝게 쓰이지 않을 것을 강조하여 만남을 만들어야 한다

2-2 사업단과 의사소통의 불편함

Challeng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CK-1 사업단과의 지속되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가령 누군가를 통해서 전해지는 소문이나 촉박한 시간을 제시하고 일 처리를 원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단과 각 팀의 대표간의 분명한 의사소통과 증빙자료 등이 필요하다

2-3 정보 부재 이번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이머징 마켓에서의 유망 산업 조사 및 연구였다 대만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42: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2 -

6 요새 관심 있는 화장 컨셉은 무엇입니까 ① 청순(30)

0

5

10

15

20

25

30

청순 독특 귀여움 섹시

rarr 앞서 살펴보았듯이 대만은 한국과 비슷한 메이크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이것은 곧 청순한 메이크업 컨셉에 관심 있어 한다는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실제로 대만 여성소비자들은 깨끗한 피부 NATURAL한 베이스메이크업을 선호한다 한 듯 안 한 듯 자연스럽고 깨끗한 느낌의 한국식 lsquo생얼rsquo 화장법은 대만에서 한국 드라마 열풍과 함께 유명세를 타기 시작해 현지 각종 온라인 뷰티 사이트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래서 응답의 대부분이 한 곳에 치우쳤고 비교적 개성 있는 메이크업 방법이 드물 것이라는 것을 유추해낼 수 있다

본 설문 조사를 통한 한국 화장품 기업에 대한 시사점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수입 절차로 오랜 시간을 허비해야 하는 반면 대만은 자외선 차단제 성분 함유 제품과 약용 화장품을 제외한 일반 화장품은 별도의 수입 검사 없이 수입할 수 있으므로 대개 중국보다 1~2년 먼저 신상품이 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한류 효과를 겨냥한 중화권 화장품 시장으로 대만을 우선 공략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대만은 대부분이 화장품에 대한 소비를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고 한국 화장품이 많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시장 접근법만 제대로 수립하면 매출이 나는 구조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대만인들이 선호하는 메이크업 방법이 한국과 비슷하기 때문에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은 마케팅 방안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최종분석설문 조사 대상은 대부분 10대~20대의 연령층이었으며 화장품의 주된 구입경로는 lsquo온라인(24)rsquo과 lsquo화장품 전문매장(50)rsquo이 압도적이었다 더불어 한 달 간 화장품에 지출하는 금액은 lsquo1만 원 이상(72)rsquo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이것은 실제 생활수준에 대비하여 높은 소비량이므로 대만의 화장품 시장 전망이 밝다고 할 수 있다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부분은 lsquo성능(46)rsquo이었는데 이는 스타트업 기업 중소기업에게 유리한 조건이다 메이크업 방법을 얻는 방법으로는 lsquo인터넷(44)rsquo과 lsquo친구(30)rsquo가 높은 비율을 차지했는데 판촉활동으로는 인터넷을 활용한 SNS 홍보 바이럴 마케팅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가장 관심있는 화장 컨셉은 lsquo청순rsquo 이었고 이것은 국가별 메이크업 선호도 결과와 맞물려 우리나라와 비슷한 메이크업 방법을 추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3 -

10 대만 명소 소개 (명소음식행사숙소 소개)

10-1 고궁박물관

대만 고궁박물원은 영국의 대영 박물관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 미국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과 함께 세계 4대 박물관으로 손꼽힐 만큼 세계적은 소장 문물을 자랑한다 건물 규모는 그다지 크지 않지만 소장한 문물의 질과 양은 세계 최상급이다 중화 보물 중에서도 최고의 보물들이 모여 있어 진귀하기 그지없고 수량 역시 워낙 방대하여 3개월 단위로 1만여점을 돌아가면서 전시해도 다보려면 10년이 넘게 걸린다고 전해지고 있다 중국의 국공내전 당시 장제스가 이끌던 중국 국민당이 전쟁에서 패하며 중국을 탈출해 대만으로 향했다 당시 장제스는 난징에 있던 정부를 타이페이로 이전하면서 자금성에 보관되어있던 중국역대 왕조 보물 수십만 점을 배를 이용해 운반해 왔다 중국의 유물을 가진 자가 진정한 통치자라고 생각했던 장제스는 ldquo공산군에게 영토는 내줘도 문화유산만큼은 내줄 수 없다ldquo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대표적인 유물은 취옥배추 육형석 모공정 산씨반 등이 있다

10-2 용산사

루강의 초입에 있는 이 사찰은 타이완에서 가장 오래되고 아름답다고 하여 타이완의 자금성이라고 부른다 각 건물의 기둥 벽 그리고 천장 등에 새겨진 조각은 특히 빼어나다 이 조각상과 함께 이곳의 명물로 알려진 것은 사찰 경내에 있는 2마리의 용상인데 삼천전 앞마당 좌우에 서서 룽산사를 호위하고 있다

10-3 타이페이 101 빌딩

타이베이 101빌딩rsquo이라 부르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로서 빌딩 모습은 하늘로 뻗어나가는 대나무 위에 꽃잎이 겹겹이 포개진 형상이다 본래 타이베이 금융기관이 모인 건물이지만 대형 쇼핑센터와 푸드코트 고급 레스토랑이 있어 여행자들이 많이 찾는다 건물에는 8개 마디가 있는데 이는 중화 문화권에서 부와 번영을 의미하는 숫자 lsquo8rsquo을 염두에 둔 것이다 타이베이 시내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는 높이 508m로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히는 높은 건물이다 지상 1~5층에는 소고 백화점 뷰티 플라자 애버뉴 101 등 다양한 패션∙뷰티용품을 구입할 수 있는 상점이 있다 또한 레스토랑 시티 스퀘어 대형 서점 등 쇼핑과 오락 식사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복합시설이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4 -

잘 알려진 식당으로는 딘 타이 펑(Din Tai Fung) 이 있다 101타워 지하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샤오롱바오(고기만두) 새우 샤오마이(새우만두) 탄탄면(우육면)이 가장 대표적인 메뉴이며 대만에 방문한 많은 사람들이 찾는 식당이다

10-4 지우펀

대만여행의 백미로 꼽히는 지우펀은 타이페이시 북부의 루이팡 지역의 작은 산골 마을로 과거에는 아홉가구만 살고 있어서 지우펀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예전에는 작은 산골 마을에 불과 했지만 이 지역에서 금맥이 발견되면서 호황을 맞이하게 된다 특히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일본풍의 건물들이 남아 있어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결합된 독특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비탈길을 따라 하늘로 이어진 예스러운 건물 그리고 골목마다 빨간 홍등과 함께 묻어나는 옛 풍경은 여행객들에게 인기 여행지이다

10-5 스린야시장

타이베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야시장 가운데 하나이다 독특하면서도 다양한 전통 먹을거리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이곳을 찾는 관광객이 많다 시장 부근에 학교가 많아 학생들이 많이 찾으며 포장마차 등의 노점상이 많아 가격도 저렴하다 칭런샹[情人巷]에는 가구 의류 액세서리 사진현상점 애완용품점 등이 모여 있어 학생뿐 아니라 관광객들도 자주 찾는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5 -

10-6 예류 지질 공원

타이완 북해안에 자리한 예류는 해수욕장과 온천 기암괴석으로 유명한 관광지다 특히 예류지질공원은 희귀한 모형의 바위와 암석이 모여 있어 예류 관광의 필수코스로 꼽힌다 작은 곶으로 된 예류지질공원은 침식과 풍화 작용을 거쳐 자연적으로 형성된 기암을 보러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지질공원으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것이 선상암 군락이다 암석 하나하나의 모습은 마치 거대한 버섯이 큰 머리로 하늘을 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선상암 가운데 가장 유명한 암석은 이집트 왕비의 옆모습을 닮은 여왕 두상 바위다

10-7 스펀(Shifen)

스펀(十分)은 옛 광산마을로써 천으로 만든 등이 유명하다 또한 이 곳 스펀은 대만 최대의 폭포 스펀(SE-FEN) 폭포가 있다 미니기차와 천으로 만든 등을 날릴 수도 있다 마을의 한가운데 긴 철길이 놓여 있고 30분에 한 대씩 기차가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것도 볼 수가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6 -

10-8 진과스(金瓜石)

진과스(金瓜石)는 타이완 타이베이 근교에 있는 옛 탄광 유적이다 20세기 전반에 금 채굴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20세기 후반에 금이 차차 고갈되기 시작하자 점점 위축되어 폐광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관광 명소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하루에도 수백명이 들렀다 가는 대만의 대표 관광지이다 진과스 내에 있는 황금 박물관에는 220kg 의 금이 전시 되어 있는데 손을 넣어 직접 만져 볼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진과스에서는 과거 광부들이 먹었던 도시락을 그대로 만들어 판매하는 광부 도시락도 굉장히 인기가 많다

10-9 국립 성공대학

대만의 타이난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1931년에 개교하였다 2010년 QS대학순위에서 283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대만 대학중 2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총 9개의 캠퍼스로 이루어져 있어 굉장히 큰 면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만 교육청에서 인정한 9개의 주요대학 중 하나이고 대만 기업체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학이다 이공계열이 가장 뛰어나며 중문 역사 법학 경제학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10 시먼딩

타이베이시에 위치한 시먼딩은 한국의 명동과 같은 거리이다 대한민국의 명동에도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과 외국인이 많다고 알려져 있는데 시먼딩 또한 명동 못지않은 다양함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대만의 패션과 놀이 문화 음식 등을 한눈에 경험 할 수 있는 공간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7 -

10-11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

중정기념당은 타이완 총통 장제스(蔣介石)를 기리는 전당이다 lsquo중정rsquo은 장제스의 본명이다 그가 서거한 후 1980년 기념당을 세웠다 25만에 이르는 넓은 중정공원 안에 우뚝 선 높이 70m의 기념물이 중정기념당이다 기념당 1층에는 장제스 생애를 엿볼 수 있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거대한 장제스 동상은 항상 근위병이 동상 앞을 지키고 있다 중정공원 안에는 중정기념당 외에 국립 희극원과 국립 음악청이 있는데 이곳에서 연극과 콘서트를 한다 공원 조경 또한 잘 조성되어 있어 산책하며 천천히 둘러보기에 좋다

10-12 안핑지구(安平地區)

대만의 문화와 역사는 안핑지구에서 시작되었다 안핑구바오는 17세기 중엽 네덜란드인들이 지은 요새로 정성공이 빼앗아 번영하다가 황폐해져 지금은 보루의 대부분이 없어지고 설탕과 굴껍데기와 찹쌀가루를 버무려 만든 빨간벽돌로 된 장벽(臺灣城殘蹟)만이 남아 나무뿌리와 존립의 사투를 벌이고 있다 감시탑 옆 건물 안에는 네덜란드와 정성공의 전투에 대한 이야기와 중세갑옷 등이 전시 중이다 이 주변에는 대만에서 가장 오래된 상업거리 옌핑제(延平街)가 있는데 옛 명성이 다한 거리의 골목 사이사이 수백년 된 가옥을 구경하는 것도 소소한 즐거움이다 1867년 영국인 상점과 물류창고로 이용하던 건물에 노용수(老榕樹)가 멋대로 자라 건물을 집어삼키듯 뒤덮은 나무집으로 불리는 안핑수우도 안핑지구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진귀한 볼거리다

10-13 미라마 관람차

대만에서 가장 큰 관람차로 알려져 있는 미라마 관람차는 타이페이 시의 야경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관람차 크기가 큰 것으로 유명하지만 가격 또한 저렴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유스트래블 카드를 이용하면 50 할인이 적용되므로 꼭 지참하도록 하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8 -

lt미라마 관람차 티켓gt lt유스트래블 카드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9 -

11 시사점 및 차후 활용계획 (LGC 프로그램을 통한 구체적인 효과 및 연구결과)

11-1 LGC 프로젝트 만족도

구분 항목 전 후 한줄 평

사업단

프로젝트 취지- 린튼 글로벌 학과와 경영정보학과 학생들이 함께

하는 프로젝트 해외시장탐방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사전교육 활동- 출국 전 각 나라에 대한 유의사항 안전교육이 체

계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개략적인 보고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었다

행정지원 절차- CK사업단 린튼 글로벌 학과 경영정보학과 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히 되지 않아 사전 계획에서 많은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협동력 향상- 출발 전 잦은 팀 회의와 8박 9일 간에 일정에도

불구하고 불화 없이 좋은 분위기 속에서 프로젝트를 완수 했다

추진력 향상- 일정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 한 점 추가 자료조

사를 위해 현지에서 새로운 일정을 추가 됐을 때 팀원들이 일사불란하게 따라주었다

문제해결 능력- 교통편 문제와 기업 측 내부 문제로 일부 일정에

변동이 있었지만 신속한 조율과 전화 통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개인

동기부여 자극- 현지인들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국어 영어 능

력의 필요성을 실감했다 특히 중국어는 소통 유무에 따라 현지 반응이 극명하게 갈렸다

진로설계 도움- 프로젝트 전에 비해 새로운 직업 분야에 대한 관심

이 증가했다

취업능력 향상-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한 내용을 살려 구술 면접이

나 자기소개서 작성에 참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11-2 LGC프로젝트 연구 결과 - 대만 시장

⓵ 중국시장을 주목하는 대만 화장품 기업- EST팀은 현지 대만 화장품 기업으로 SISDORA와 WABFENIX를 선택했다 두 회사를 선정한 배경에는

명확한 의도를 두고 정했다 SISDORA는 설립한 지 10년이 넘는 회사로 직접 화장품을 개발 및 연구하고 판매하는 중소기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과 주름개선 크림으로 중년 여성을 타깃 층으로 하는 화장품 회사다 반면 WABFENIX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스타트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 이지만 기술개발 보다는 디자인 마케팅에 중점을 두었고 판매 층도 10대-20대의 젊은 층을 타깃 층으로 한다 시장 전략이 완연히 다른 두 기업이 유일하게 공통점이 있다면 중국시장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선정 이유에는 많은 인구의 소비력을 꼽지만 뒤이어 언급하는 이야기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자사 제품의 경쟁력 약화를 말한다 현재 대만 기업 대부분은 내수 시장 대신에 중국을 겨냥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국가 산업 특성상 제조amp연구 분야가 강세인 대만에서는 중국 바이어 또는 미국 유럽 바이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직접 판매 보다는 기술 협력을 통해 이익을 창출한다고 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0 -

⓶ 대만 시장을 점령한 한국 화장품

- 앞서 말했듯이 2012년 이후부터 급속히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한국 화장품은 대만 시장을 점령하고 있다 이미 시먼딩에 들어서면 다양한 한국 화장품 매장이 눈에 띌 만큼 들어섰으며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중앙 광장에 입점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매장 안에는 많은 대만 사람들이 화장품을 보고 있는 광경을 흔히 본다 화장품 매장을 이용하는 연령층은 주로 10대-20대들이다 화장품 가격이 한국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주 애용하는 이유는 한류 열풍으로 인한 한국 연예인들에 대한 관심과 화장법이 크게 유행하고 있음을 현지 설문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⓷ 체감할 수 있을 만큼 커다란 한류열풍

- 뉴스에서만 듣던 한류 이야기를 대만에서 직접 느낄 수 있을 정도로 한류열풍은 크다 특히 삼성이나 LG의 TV나 스마트폰은 어딜 가든 항상 보이고 한국 화장품 선물에 대한 반응이 무척이나 뜨겁다 원활한 현지 조사를 위하여 사은품으로 준비한 한국 마스크 팩 100개는 오히려 현지인들이 참여 의사를 표현할 만큼 열정적이었다 일부 대만 사람 중에는 어디서 왔냐는 질문에 한국이라는 답변을 하니 같이 사진 찍기를 제안하기도 했다

⓸ 중소기업에게 있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는 대만 시장진출- 대만 시장 진출에 앞서 한국 화장품 중소기업이라면 전략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크게 대만 시장을 겨냥

할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할지 선택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3CE는 한국 화장품 회사다 대만에서 젊은 연령층이 자주 이용하고 이미 대만 내에서는 유명하다 3CE는 오프라인 매장 없이 순수 온라인 매장으로 운영하면서 대만 사람들을 위한 전용 웹사이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윤을 창출 하고 있다 신중해야 할 점은 현재 온라인 오프라인 등 한국 화장품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신규 진입에 있어서 장벽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대만 시장을 활용한다면 동남아 시장까지 한 번에 내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출입통관 절차가 간단하고 관세가 낮기 때문에 중소기업에게 유리하다 아직까지 중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1 -

에 대한 직접적인 수출이 가능한 곳은 상해나 항주 같이 중국에서 허가한 무역항 도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내륙까지 시장을 확대하기는 불가능하지만 같은 언어권인 대만을 거치면 보다 쉽게 바이어나 에이전트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인맥을 통한 꽌시와 수수료 명목으로 뒷돈을 요구하는 중국 바이어의 관행은 자금 순환이 원활치 않은 중소기업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11-3 LGC 프로젝트 종합 의견 및 전망

우리 lsquoEST팀은 출국 전 국내 화장품 시장 조사를 할 때 대덕 밸리 스타트업 기업 셀아이콘 랩의 영향으로 대만의 화장품 산업에 대해 큰 관심과 가능성을 보고 2015년 1월 5일부터 1월 13일까지 8박9일이라는 시간동안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 나라 중에 하나인 대만에서 rsquo대만의 화장품 시장lsquo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사를 했다 대만에서는 3개의 기업 (KOTRA SISDORA WABFENIX) 을 방문해 전반적인 대만의 화장품 시장과 판매전략 한류에 대한 보다 사실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1개의 대학 (국립성공대학 國立成功大學)에서 MBA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또 타이난에서는 대만에서 오랫동안 사업하시는 한인협회 회장을 만나 PLC (Product Life Cycle)를 통해 대만에서의 특정 시장이 도입기에 있는지 또 어떠한 시장이 쇠퇴기에 놓여있는지 다양한 시야에서 대만시장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노력은 CK 사업단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교육부 CK-1 프로젝트의 일부인 Linton Global Challenge는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몇 년을 내다보는 지속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기업들과 더욱 더 활발한 교류와 연구를 한다면 기업과 CK 사업단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리라고 본다

1 개인 탐방 후기 (팀원 개인 소감)

1-1 개인 탐방 후기

강성민탐방 후기 기업 컨택 부터 인터뷰 일정 계획까지 8박 9일간의 대만 화장품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 출국 전까지 준비 과정부터 탈도 많았고 대만에 와서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 원하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매일이 항상 회의와 고민의 연속이었다 하루하루 충실히 계획을 진행시켜 나갔고 좋은 팀 분위기 속에서 무사히 대만 프로

부록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2 -

젝트를 완수했다 그리고 마침내 한국으로 돌아왔다 과정은 항상 오르막 길이였지만 돌이켜 보면 마지막 대학 시절을 기념할만한 좋은 추억이자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느끼는 바가 많았던 프로젝트로 기억 될 것이다

김은진탐방 후기 글로벌 챌린지를 한마디로 정의하라고 한다면 도종환 시인의 lsquo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lsquo라는 시가 떠오른다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대만기업컨택 설문조사 등 많은 것을 경험했다 처음엔 모든 것이 나에겐 버거운 산이라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도전이 계속 될수록 이젠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이 모든 도전들에 흥미가 생겼다 나 자신도 책임감과 자신감이 생기고 한층 성숙해 진 것을 내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소중한 동료와 추억은 평생 나의 가슴속에 남을 것이다 우린 앞으로도 많이 도전하고 경험하여 우리들의 삶이 활짝 만개하리라 다짐한다 끊임없이 도전하는 20대의 청춘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프로그램이었다 김종선탐방 후기 한국에서 준비하면서 조사했던 내용과 비교하며 인터뷰를 해보니 실제로 많이 다른 부분도 있었고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 비슷한 내용도 있었다 현지의 기업들을 방문해 우리가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직접 매장에 가서 느껴보니 앉아서 컴퓨터만 볼 때랑 많이 달랐다 그리고 직접 대만인들에게 설문조사를 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그리고 대만의 실제 문화와 환경 그들의 생활을 잠시나마 볼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

구명우탐방 후기 며칠간의 꿈만 같았던 대만에서의 시간이 지나갔다 대만으로 출국하기 전 사전조사 기간에는 확신이 없었다 사전조사와 기업과의 인터뷰 그리고 9일간의 일정조율 및 숙박과 모든 대만에서의 연구와 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보고서까지 무엇하나 확신이 드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도전과 해결능력을 배웠고 아시아에서 급성장 중인 대만에 대해서 배우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다음기수로 가게 될 관심 있는 학우들에게 진심으로 추천해주고 싶다

이규현탐방 후기 CK-1 프로그램 중 하나인 lsquo린튼 글로벌 챌린지lsquo 프로그램을 통해 약 8박 9일이라는 시간 동안 emerging market 중 하나인 대만에 거주하면서 한국 화장품의 대만시장 점유율과 진출 가능성을 몸으로 체감하고 자료들을 모아 통계 내어 정리할 수 있었다 우리 팀 lsquoEST가 성공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충분한 국내조사 기간을 갖고 대만의 화장품 회사들을 방문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대만의 특정한 기업을 찾기도 어려웠고 기업 컨택은 번번히 거절당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회사 두 군데에서는 답장조차 오지 않았고 설문조사할 때에는 반한감정의 대만인을 만나 고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팀의 단결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리더의 통솔력으로 정해진 스케줄대로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회사를 방문하고 학교교수를 만나고 길거리에서 설문조사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팀원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또한 대학생으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을 한 것 같아서 스스로도 너무 뿌듯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팀을 믿고 지지해주신 LGSB 교수님들과 CK-1 프로그램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영은탐방 후기 처음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렇게 준비는 열심히 하지만 정말 우리가 계획한 100대로 대만을 다녀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기우가 무색하게도 대만은 우리에게 기획안 그 이상의 것들을 보여주었다 사장님들의 생생한 사업 이야기와 대만의 색채가 묻어있는 아이템들 하며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여 알아보는 비즈니스 마켓의 현장은 나에게 두고두고 잊지 못할 자산으로 남았다 또한 펑리수 버블티를 비롯한 대만의 맛있는 먹거리들과 스린 야시장이나 지우펀 같은 명소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열심히 고생해준 팀원들과의 추억들도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3 -

이서우탐방 후기 이번 글로벌 첼린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서 쉽게 할 수 없는 해외 기업 탐방과 해당 국가의 산업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임효진탐방 후기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팀이 대만을 방문 한다고 했을 때 많이 의아해 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만을 직접 방문해보고 많은 사업자들을 만난 결과 대만은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라고 생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아직 공산주의라는 정치적 특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다른 곳보다 훨씬 어렵지만 대만은 자유시장체제 이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쉽다 특히 외국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만 시장에서 한국제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추고 중국 시장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성공가능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그리고 대만의 바이어들을 통해 중국의 시장진출을 하게 된다면 사업자가 직접 중국시장에 진출 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성공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만은 문화적으로 다른 아시아권보다 선진화 되었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대도시에 속하지만 모두다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골고루 섞여 대만만의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차안호탐방 후기 9박 10일간의 대만을 다녀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넓고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이번 대만 여행은 처음으로 경험한 해외여행 경험이여서 그런지 순탄치 않은 면도 있었지만 팀원들 서로가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만시장은 중국시장으로 가기위한 좋은 시험의 장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대만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영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더 나아가 미래에는 중국어야말로 영어와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성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또 하나 놀란 점은 대만이 반 한류 감정을 많이 갖고 있는 줄 알았지만 대부분의 대만 일반 시민들이 굉장히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에 놀랐고 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CK-1 사업의 챌린지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대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계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보완점 및 건의사항 (문제점개선책건의사항)

2-1 기업 컨택의 어려움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에 있는 기업과 연결하여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대해서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조사 및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시간을 내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로써 그들의 귀한시간이 아깝게 쓰이지 않을 것을 강조하여 만남을 만들어야 한다

2-2 사업단과 의사소통의 불편함

Challeng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CK-1 사업단과의 지속되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가령 누군가를 통해서 전해지는 소문이나 촉박한 시간을 제시하고 일 처리를 원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단과 각 팀의 대표간의 분명한 의사소통과 증빙자료 등이 필요하다

2-3 정보 부재 이번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이머징 마켓에서의 유망 산업 조사 및 연구였다 대만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43: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3 -

10 대만 명소 소개 (명소음식행사숙소 소개)

10-1 고궁박물관

대만 고궁박물원은 영국의 대영 박물관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 미국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과 함께 세계 4대 박물관으로 손꼽힐 만큼 세계적은 소장 문물을 자랑한다 건물 규모는 그다지 크지 않지만 소장한 문물의 질과 양은 세계 최상급이다 중화 보물 중에서도 최고의 보물들이 모여 있어 진귀하기 그지없고 수량 역시 워낙 방대하여 3개월 단위로 1만여점을 돌아가면서 전시해도 다보려면 10년이 넘게 걸린다고 전해지고 있다 중국의 국공내전 당시 장제스가 이끌던 중국 국민당이 전쟁에서 패하며 중국을 탈출해 대만으로 향했다 당시 장제스는 난징에 있던 정부를 타이페이로 이전하면서 자금성에 보관되어있던 중국역대 왕조 보물 수십만 점을 배를 이용해 운반해 왔다 중국의 유물을 가진 자가 진정한 통치자라고 생각했던 장제스는 ldquo공산군에게 영토는 내줘도 문화유산만큼은 내줄 수 없다ldquo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대표적인 유물은 취옥배추 육형석 모공정 산씨반 등이 있다

10-2 용산사

루강의 초입에 있는 이 사찰은 타이완에서 가장 오래되고 아름답다고 하여 타이완의 자금성이라고 부른다 각 건물의 기둥 벽 그리고 천장 등에 새겨진 조각은 특히 빼어나다 이 조각상과 함께 이곳의 명물로 알려진 것은 사찰 경내에 있는 2마리의 용상인데 삼천전 앞마당 좌우에 서서 룽산사를 호위하고 있다

10-3 타이페이 101 빌딩

타이베이 101빌딩rsquo이라 부르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로서 빌딩 모습은 하늘로 뻗어나가는 대나무 위에 꽃잎이 겹겹이 포개진 형상이다 본래 타이베이 금융기관이 모인 건물이지만 대형 쇼핑센터와 푸드코트 고급 레스토랑이 있어 여행자들이 많이 찾는다 건물에는 8개 마디가 있는데 이는 중화 문화권에서 부와 번영을 의미하는 숫자 lsquo8rsquo을 염두에 둔 것이다 타이베이 시내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타이베이 금융센터는 높이 508m로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히는 높은 건물이다 지상 1~5층에는 소고 백화점 뷰티 플라자 애버뉴 101 등 다양한 패션∙뷰티용품을 구입할 수 있는 상점이 있다 또한 레스토랑 시티 스퀘어 대형 서점 등 쇼핑과 오락 식사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복합시설이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4 -

잘 알려진 식당으로는 딘 타이 펑(Din Tai Fung) 이 있다 101타워 지하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샤오롱바오(고기만두) 새우 샤오마이(새우만두) 탄탄면(우육면)이 가장 대표적인 메뉴이며 대만에 방문한 많은 사람들이 찾는 식당이다

10-4 지우펀

대만여행의 백미로 꼽히는 지우펀은 타이페이시 북부의 루이팡 지역의 작은 산골 마을로 과거에는 아홉가구만 살고 있어서 지우펀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예전에는 작은 산골 마을에 불과 했지만 이 지역에서 금맥이 발견되면서 호황을 맞이하게 된다 특히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일본풍의 건물들이 남아 있어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결합된 독특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비탈길을 따라 하늘로 이어진 예스러운 건물 그리고 골목마다 빨간 홍등과 함께 묻어나는 옛 풍경은 여행객들에게 인기 여행지이다

10-5 스린야시장

타이베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야시장 가운데 하나이다 독특하면서도 다양한 전통 먹을거리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이곳을 찾는 관광객이 많다 시장 부근에 학교가 많아 학생들이 많이 찾으며 포장마차 등의 노점상이 많아 가격도 저렴하다 칭런샹[情人巷]에는 가구 의류 액세서리 사진현상점 애완용품점 등이 모여 있어 학생뿐 아니라 관광객들도 자주 찾는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5 -

10-6 예류 지질 공원

타이완 북해안에 자리한 예류는 해수욕장과 온천 기암괴석으로 유명한 관광지다 특히 예류지질공원은 희귀한 모형의 바위와 암석이 모여 있어 예류 관광의 필수코스로 꼽힌다 작은 곶으로 된 예류지질공원은 침식과 풍화 작용을 거쳐 자연적으로 형성된 기암을 보러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지질공원으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것이 선상암 군락이다 암석 하나하나의 모습은 마치 거대한 버섯이 큰 머리로 하늘을 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선상암 가운데 가장 유명한 암석은 이집트 왕비의 옆모습을 닮은 여왕 두상 바위다

10-7 스펀(Shifen)

스펀(十分)은 옛 광산마을로써 천으로 만든 등이 유명하다 또한 이 곳 스펀은 대만 최대의 폭포 스펀(SE-FEN) 폭포가 있다 미니기차와 천으로 만든 등을 날릴 수도 있다 마을의 한가운데 긴 철길이 놓여 있고 30분에 한 대씩 기차가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것도 볼 수가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6 -

10-8 진과스(金瓜石)

진과스(金瓜石)는 타이완 타이베이 근교에 있는 옛 탄광 유적이다 20세기 전반에 금 채굴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20세기 후반에 금이 차차 고갈되기 시작하자 점점 위축되어 폐광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관광 명소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하루에도 수백명이 들렀다 가는 대만의 대표 관광지이다 진과스 내에 있는 황금 박물관에는 220kg 의 금이 전시 되어 있는데 손을 넣어 직접 만져 볼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진과스에서는 과거 광부들이 먹었던 도시락을 그대로 만들어 판매하는 광부 도시락도 굉장히 인기가 많다

10-9 국립 성공대학

대만의 타이난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1931년에 개교하였다 2010년 QS대학순위에서 283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대만 대학중 2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총 9개의 캠퍼스로 이루어져 있어 굉장히 큰 면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만 교육청에서 인정한 9개의 주요대학 중 하나이고 대만 기업체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학이다 이공계열이 가장 뛰어나며 중문 역사 법학 경제학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10 시먼딩

타이베이시에 위치한 시먼딩은 한국의 명동과 같은 거리이다 대한민국의 명동에도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과 외국인이 많다고 알려져 있는데 시먼딩 또한 명동 못지않은 다양함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대만의 패션과 놀이 문화 음식 등을 한눈에 경험 할 수 있는 공간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7 -

10-11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

중정기념당은 타이완 총통 장제스(蔣介石)를 기리는 전당이다 lsquo중정rsquo은 장제스의 본명이다 그가 서거한 후 1980년 기념당을 세웠다 25만에 이르는 넓은 중정공원 안에 우뚝 선 높이 70m의 기념물이 중정기념당이다 기념당 1층에는 장제스 생애를 엿볼 수 있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거대한 장제스 동상은 항상 근위병이 동상 앞을 지키고 있다 중정공원 안에는 중정기념당 외에 국립 희극원과 국립 음악청이 있는데 이곳에서 연극과 콘서트를 한다 공원 조경 또한 잘 조성되어 있어 산책하며 천천히 둘러보기에 좋다

10-12 안핑지구(安平地區)

대만의 문화와 역사는 안핑지구에서 시작되었다 안핑구바오는 17세기 중엽 네덜란드인들이 지은 요새로 정성공이 빼앗아 번영하다가 황폐해져 지금은 보루의 대부분이 없어지고 설탕과 굴껍데기와 찹쌀가루를 버무려 만든 빨간벽돌로 된 장벽(臺灣城殘蹟)만이 남아 나무뿌리와 존립의 사투를 벌이고 있다 감시탑 옆 건물 안에는 네덜란드와 정성공의 전투에 대한 이야기와 중세갑옷 등이 전시 중이다 이 주변에는 대만에서 가장 오래된 상업거리 옌핑제(延平街)가 있는데 옛 명성이 다한 거리의 골목 사이사이 수백년 된 가옥을 구경하는 것도 소소한 즐거움이다 1867년 영국인 상점과 물류창고로 이용하던 건물에 노용수(老榕樹)가 멋대로 자라 건물을 집어삼키듯 뒤덮은 나무집으로 불리는 안핑수우도 안핑지구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진귀한 볼거리다

10-13 미라마 관람차

대만에서 가장 큰 관람차로 알려져 있는 미라마 관람차는 타이페이 시의 야경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관람차 크기가 큰 것으로 유명하지만 가격 또한 저렴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유스트래블 카드를 이용하면 50 할인이 적용되므로 꼭 지참하도록 하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8 -

lt미라마 관람차 티켓gt lt유스트래블 카드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9 -

11 시사점 및 차후 활용계획 (LGC 프로그램을 통한 구체적인 효과 및 연구결과)

11-1 LGC 프로젝트 만족도

구분 항목 전 후 한줄 평

사업단

프로젝트 취지- 린튼 글로벌 학과와 경영정보학과 학생들이 함께

하는 프로젝트 해외시장탐방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사전교육 활동- 출국 전 각 나라에 대한 유의사항 안전교육이 체

계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개략적인 보고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었다

행정지원 절차- CK사업단 린튼 글로벌 학과 경영정보학과 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히 되지 않아 사전 계획에서 많은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협동력 향상- 출발 전 잦은 팀 회의와 8박 9일 간에 일정에도

불구하고 불화 없이 좋은 분위기 속에서 프로젝트를 완수 했다

추진력 향상- 일정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 한 점 추가 자료조

사를 위해 현지에서 새로운 일정을 추가 됐을 때 팀원들이 일사불란하게 따라주었다

문제해결 능력- 교통편 문제와 기업 측 내부 문제로 일부 일정에

변동이 있었지만 신속한 조율과 전화 통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개인

동기부여 자극- 현지인들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국어 영어 능

력의 필요성을 실감했다 특히 중국어는 소통 유무에 따라 현지 반응이 극명하게 갈렸다

진로설계 도움- 프로젝트 전에 비해 새로운 직업 분야에 대한 관심

이 증가했다

취업능력 향상-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한 내용을 살려 구술 면접이

나 자기소개서 작성에 참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11-2 LGC프로젝트 연구 결과 - 대만 시장

⓵ 중국시장을 주목하는 대만 화장품 기업- EST팀은 현지 대만 화장품 기업으로 SISDORA와 WABFENIX를 선택했다 두 회사를 선정한 배경에는

명확한 의도를 두고 정했다 SISDORA는 설립한 지 10년이 넘는 회사로 직접 화장품을 개발 및 연구하고 판매하는 중소기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과 주름개선 크림으로 중년 여성을 타깃 층으로 하는 화장품 회사다 반면 WABFENIX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스타트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 이지만 기술개발 보다는 디자인 마케팅에 중점을 두었고 판매 층도 10대-20대의 젊은 층을 타깃 층으로 한다 시장 전략이 완연히 다른 두 기업이 유일하게 공통점이 있다면 중국시장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선정 이유에는 많은 인구의 소비력을 꼽지만 뒤이어 언급하는 이야기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자사 제품의 경쟁력 약화를 말한다 현재 대만 기업 대부분은 내수 시장 대신에 중국을 겨냥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국가 산업 특성상 제조amp연구 분야가 강세인 대만에서는 중국 바이어 또는 미국 유럽 바이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직접 판매 보다는 기술 협력을 통해 이익을 창출한다고 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0 -

⓶ 대만 시장을 점령한 한국 화장품

- 앞서 말했듯이 2012년 이후부터 급속히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한국 화장품은 대만 시장을 점령하고 있다 이미 시먼딩에 들어서면 다양한 한국 화장품 매장이 눈에 띌 만큼 들어섰으며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중앙 광장에 입점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매장 안에는 많은 대만 사람들이 화장품을 보고 있는 광경을 흔히 본다 화장품 매장을 이용하는 연령층은 주로 10대-20대들이다 화장품 가격이 한국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주 애용하는 이유는 한류 열풍으로 인한 한국 연예인들에 대한 관심과 화장법이 크게 유행하고 있음을 현지 설문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⓷ 체감할 수 있을 만큼 커다란 한류열풍

- 뉴스에서만 듣던 한류 이야기를 대만에서 직접 느낄 수 있을 정도로 한류열풍은 크다 특히 삼성이나 LG의 TV나 스마트폰은 어딜 가든 항상 보이고 한국 화장품 선물에 대한 반응이 무척이나 뜨겁다 원활한 현지 조사를 위하여 사은품으로 준비한 한국 마스크 팩 100개는 오히려 현지인들이 참여 의사를 표현할 만큼 열정적이었다 일부 대만 사람 중에는 어디서 왔냐는 질문에 한국이라는 답변을 하니 같이 사진 찍기를 제안하기도 했다

⓸ 중소기업에게 있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는 대만 시장진출- 대만 시장 진출에 앞서 한국 화장품 중소기업이라면 전략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크게 대만 시장을 겨냥

할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할지 선택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3CE는 한국 화장품 회사다 대만에서 젊은 연령층이 자주 이용하고 이미 대만 내에서는 유명하다 3CE는 오프라인 매장 없이 순수 온라인 매장으로 운영하면서 대만 사람들을 위한 전용 웹사이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윤을 창출 하고 있다 신중해야 할 점은 현재 온라인 오프라인 등 한국 화장품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신규 진입에 있어서 장벽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대만 시장을 활용한다면 동남아 시장까지 한 번에 내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출입통관 절차가 간단하고 관세가 낮기 때문에 중소기업에게 유리하다 아직까지 중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1 -

에 대한 직접적인 수출이 가능한 곳은 상해나 항주 같이 중국에서 허가한 무역항 도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내륙까지 시장을 확대하기는 불가능하지만 같은 언어권인 대만을 거치면 보다 쉽게 바이어나 에이전트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인맥을 통한 꽌시와 수수료 명목으로 뒷돈을 요구하는 중국 바이어의 관행은 자금 순환이 원활치 않은 중소기업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11-3 LGC 프로젝트 종합 의견 및 전망

우리 lsquoEST팀은 출국 전 국내 화장품 시장 조사를 할 때 대덕 밸리 스타트업 기업 셀아이콘 랩의 영향으로 대만의 화장품 산업에 대해 큰 관심과 가능성을 보고 2015년 1월 5일부터 1월 13일까지 8박9일이라는 시간동안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 나라 중에 하나인 대만에서 rsquo대만의 화장품 시장lsquo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사를 했다 대만에서는 3개의 기업 (KOTRA SISDORA WABFENIX) 을 방문해 전반적인 대만의 화장품 시장과 판매전략 한류에 대한 보다 사실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1개의 대학 (국립성공대학 國立成功大學)에서 MBA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또 타이난에서는 대만에서 오랫동안 사업하시는 한인협회 회장을 만나 PLC (Product Life Cycle)를 통해 대만에서의 특정 시장이 도입기에 있는지 또 어떠한 시장이 쇠퇴기에 놓여있는지 다양한 시야에서 대만시장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노력은 CK 사업단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교육부 CK-1 프로젝트의 일부인 Linton Global Challenge는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몇 년을 내다보는 지속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기업들과 더욱 더 활발한 교류와 연구를 한다면 기업과 CK 사업단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리라고 본다

1 개인 탐방 후기 (팀원 개인 소감)

1-1 개인 탐방 후기

강성민탐방 후기 기업 컨택 부터 인터뷰 일정 계획까지 8박 9일간의 대만 화장품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 출국 전까지 준비 과정부터 탈도 많았고 대만에 와서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 원하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매일이 항상 회의와 고민의 연속이었다 하루하루 충실히 계획을 진행시켜 나갔고 좋은 팀 분위기 속에서 무사히 대만 프로

부록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2 -

젝트를 완수했다 그리고 마침내 한국으로 돌아왔다 과정은 항상 오르막 길이였지만 돌이켜 보면 마지막 대학 시절을 기념할만한 좋은 추억이자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느끼는 바가 많았던 프로젝트로 기억 될 것이다

김은진탐방 후기 글로벌 챌린지를 한마디로 정의하라고 한다면 도종환 시인의 lsquo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lsquo라는 시가 떠오른다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대만기업컨택 설문조사 등 많은 것을 경험했다 처음엔 모든 것이 나에겐 버거운 산이라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도전이 계속 될수록 이젠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이 모든 도전들에 흥미가 생겼다 나 자신도 책임감과 자신감이 생기고 한층 성숙해 진 것을 내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소중한 동료와 추억은 평생 나의 가슴속에 남을 것이다 우린 앞으로도 많이 도전하고 경험하여 우리들의 삶이 활짝 만개하리라 다짐한다 끊임없이 도전하는 20대의 청춘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프로그램이었다 김종선탐방 후기 한국에서 준비하면서 조사했던 내용과 비교하며 인터뷰를 해보니 실제로 많이 다른 부분도 있었고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 비슷한 내용도 있었다 현지의 기업들을 방문해 우리가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직접 매장에 가서 느껴보니 앉아서 컴퓨터만 볼 때랑 많이 달랐다 그리고 직접 대만인들에게 설문조사를 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그리고 대만의 실제 문화와 환경 그들의 생활을 잠시나마 볼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

구명우탐방 후기 며칠간의 꿈만 같았던 대만에서의 시간이 지나갔다 대만으로 출국하기 전 사전조사 기간에는 확신이 없었다 사전조사와 기업과의 인터뷰 그리고 9일간의 일정조율 및 숙박과 모든 대만에서의 연구와 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보고서까지 무엇하나 확신이 드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도전과 해결능력을 배웠고 아시아에서 급성장 중인 대만에 대해서 배우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다음기수로 가게 될 관심 있는 학우들에게 진심으로 추천해주고 싶다

이규현탐방 후기 CK-1 프로그램 중 하나인 lsquo린튼 글로벌 챌린지lsquo 프로그램을 통해 약 8박 9일이라는 시간 동안 emerging market 중 하나인 대만에 거주하면서 한국 화장품의 대만시장 점유율과 진출 가능성을 몸으로 체감하고 자료들을 모아 통계 내어 정리할 수 있었다 우리 팀 lsquoEST가 성공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충분한 국내조사 기간을 갖고 대만의 화장품 회사들을 방문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대만의 특정한 기업을 찾기도 어려웠고 기업 컨택은 번번히 거절당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회사 두 군데에서는 답장조차 오지 않았고 설문조사할 때에는 반한감정의 대만인을 만나 고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팀의 단결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리더의 통솔력으로 정해진 스케줄대로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회사를 방문하고 학교교수를 만나고 길거리에서 설문조사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팀원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또한 대학생으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을 한 것 같아서 스스로도 너무 뿌듯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팀을 믿고 지지해주신 LGSB 교수님들과 CK-1 프로그램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영은탐방 후기 처음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렇게 준비는 열심히 하지만 정말 우리가 계획한 100대로 대만을 다녀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기우가 무색하게도 대만은 우리에게 기획안 그 이상의 것들을 보여주었다 사장님들의 생생한 사업 이야기와 대만의 색채가 묻어있는 아이템들 하며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여 알아보는 비즈니스 마켓의 현장은 나에게 두고두고 잊지 못할 자산으로 남았다 또한 펑리수 버블티를 비롯한 대만의 맛있는 먹거리들과 스린 야시장이나 지우펀 같은 명소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열심히 고생해준 팀원들과의 추억들도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3 -

이서우탐방 후기 이번 글로벌 첼린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서 쉽게 할 수 없는 해외 기업 탐방과 해당 국가의 산업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임효진탐방 후기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팀이 대만을 방문 한다고 했을 때 많이 의아해 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만을 직접 방문해보고 많은 사업자들을 만난 결과 대만은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라고 생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아직 공산주의라는 정치적 특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다른 곳보다 훨씬 어렵지만 대만은 자유시장체제 이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쉽다 특히 외국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만 시장에서 한국제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추고 중국 시장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성공가능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그리고 대만의 바이어들을 통해 중국의 시장진출을 하게 된다면 사업자가 직접 중국시장에 진출 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성공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만은 문화적으로 다른 아시아권보다 선진화 되었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대도시에 속하지만 모두다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골고루 섞여 대만만의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차안호탐방 후기 9박 10일간의 대만을 다녀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넓고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이번 대만 여행은 처음으로 경험한 해외여행 경험이여서 그런지 순탄치 않은 면도 있었지만 팀원들 서로가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만시장은 중국시장으로 가기위한 좋은 시험의 장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대만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영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더 나아가 미래에는 중국어야말로 영어와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성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또 하나 놀란 점은 대만이 반 한류 감정을 많이 갖고 있는 줄 알았지만 대부분의 대만 일반 시민들이 굉장히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에 놀랐고 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CK-1 사업의 챌린지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대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계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보완점 및 건의사항 (문제점개선책건의사항)

2-1 기업 컨택의 어려움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에 있는 기업과 연결하여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대해서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조사 및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시간을 내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로써 그들의 귀한시간이 아깝게 쓰이지 않을 것을 강조하여 만남을 만들어야 한다

2-2 사업단과 의사소통의 불편함

Challeng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CK-1 사업단과의 지속되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가령 누군가를 통해서 전해지는 소문이나 촉박한 시간을 제시하고 일 처리를 원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단과 각 팀의 대표간의 분명한 의사소통과 증빙자료 등이 필요하다

2-3 정보 부재 이번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이머징 마켓에서의 유망 산업 조사 및 연구였다 대만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44: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4 -

잘 알려진 식당으로는 딘 타이 펑(Din Tai Fung) 이 있다 101타워 지하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샤오롱바오(고기만두) 새우 샤오마이(새우만두) 탄탄면(우육면)이 가장 대표적인 메뉴이며 대만에 방문한 많은 사람들이 찾는 식당이다

10-4 지우펀

대만여행의 백미로 꼽히는 지우펀은 타이페이시 북부의 루이팡 지역의 작은 산골 마을로 과거에는 아홉가구만 살고 있어서 지우펀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예전에는 작은 산골 마을에 불과 했지만 이 지역에서 금맥이 발견되면서 호황을 맞이하게 된다 특히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일본풍의 건물들이 남아 있어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결합된 독특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비탈길을 따라 하늘로 이어진 예스러운 건물 그리고 골목마다 빨간 홍등과 함께 묻어나는 옛 풍경은 여행객들에게 인기 여행지이다

10-5 스린야시장

타이베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야시장 가운데 하나이다 독특하면서도 다양한 전통 먹을거리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이곳을 찾는 관광객이 많다 시장 부근에 학교가 많아 학생들이 많이 찾으며 포장마차 등의 노점상이 많아 가격도 저렴하다 칭런샹[情人巷]에는 가구 의류 액세서리 사진현상점 애완용품점 등이 모여 있어 학생뿐 아니라 관광객들도 자주 찾는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5 -

10-6 예류 지질 공원

타이완 북해안에 자리한 예류는 해수욕장과 온천 기암괴석으로 유명한 관광지다 특히 예류지질공원은 희귀한 모형의 바위와 암석이 모여 있어 예류 관광의 필수코스로 꼽힌다 작은 곶으로 된 예류지질공원은 침식과 풍화 작용을 거쳐 자연적으로 형성된 기암을 보러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지질공원으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것이 선상암 군락이다 암석 하나하나의 모습은 마치 거대한 버섯이 큰 머리로 하늘을 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선상암 가운데 가장 유명한 암석은 이집트 왕비의 옆모습을 닮은 여왕 두상 바위다

10-7 스펀(Shifen)

스펀(十分)은 옛 광산마을로써 천으로 만든 등이 유명하다 또한 이 곳 스펀은 대만 최대의 폭포 스펀(SE-FEN) 폭포가 있다 미니기차와 천으로 만든 등을 날릴 수도 있다 마을의 한가운데 긴 철길이 놓여 있고 30분에 한 대씩 기차가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것도 볼 수가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6 -

10-8 진과스(金瓜石)

진과스(金瓜石)는 타이완 타이베이 근교에 있는 옛 탄광 유적이다 20세기 전반에 금 채굴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20세기 후반에 금이 차차 고갈되기 시작하자 점점 위축되어 폐광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관광 명소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하루에도 수백명이 들렀다 가는 대만의 대표 관광지이다 진과스 내에 있는 황금 박물관에는 220kg 의 금이 전시 되어 있는데 손을 넣어 직접 만져 볼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진과스에서는 과거 광부들이 먹었던 도시락을 그대로 만들어 판매하는 광부 도시락도 굉장히 인기가 많다

10-9 국립 성공대학

대만의 타이난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1931년에 개교하였다 2010년 QS대학순위에서 283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대만 대학중 2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총 9개의 캠퍼스로 이루어져 있어 굉장히 큰 면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만 교육청에서 인정한 9개의 주요대학 중 하나이고 대만 기업체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학이다 이공계열이 가장 뛰어나며 중문 역사 법학 경제학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10 시먼딩

타이베이시에 위치한 시먼딩은 한국의 명동과 같은 거리이다 대한민국의 명동에도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과 외국인이 많다고 알려져 있는데 시먼딩 또한 명동 못지않은 다양함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대만의 패션과 놀이 문화 음식 등을 한눈에 경험 할 수 있는 공간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7 -

10-11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

중정기념당은 타이완 총통 장제스(蔣介石)를 기리는 전당이다 lsquo중정rsquo은 장제스의 본명이다 그가 서거한 후 1980년 기념당을 세웠다 25만에 이르는 넓은 중정공원 안에 우뚝 선 높이 70m의 기념물이 중정기념당이다 기념당 1층에는 장제스 생애를 엿볼 수 있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거대한 장제스 동상은 항상 근위병이 동상 앞을 지키고 있다 중정공원 안에는 중정기념당 외에 국립 희극원과 국립 음악청이 있는데 이곳에서 연극과 콘서트를 한다 공원 조경 또한 잘 조성되어 있어 산책하며 천천히 둘러보기에 좋다

10-12 안핑지구(安平地區)

대만의 문화와 역사는 안핑지구에서 시작되었다 안핑구바오는 17세기 중엽 네덜란드인들이 지은 요새로 정성공이 빼앗아 번영하다가 황폐해져 지금은 보루의 대부분이 없어지고 설탕과 굴껍데기와 찹쌀가루를 버무려 만든 빨간벽돌로 된 장벽(臺灣城殘蹟)만이 남아 나무뿌리와 존립의 사투를 벌이고 있다 감시탑 옆 건물 안에는 네덜란드와 정성공의 전투에 대한 이야기와 중세갑옷 등이 전시 중이다 이 주변에는 대만에서 가장 오래된 상업거리 옌핑제(延平街)가 있는데 옛 명성이 다한 거리의 골목 사이사이 수백년 된 가옥을 구경하는 것도 소소한 즐거움이다 1867년 영국인 상점과 물류창고로 이용하던 건물에 노용수(老榕樹)가 멋대로 자라 건물을 집어삼키듯 뒤덮은 나무집으로 불리는 안핑수우도 안핑지구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진귀한 볼거리다

10-13 미라마 관람차

대만에서 가장 큰 관람차로 알려져 있는 미라마 관람차는 타이페이 시의 야경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관람차 크기가 큰 것으로 유명하지만 가격 또한 저렴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유스트래블 카드를 이용하면 50 할인이 적용되므로 꼭 지참하도록 하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8 -

lt미라마 관람차 티켓gt lt유스트래블 카드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9 -

11 시사점 및 차후 활용계획 (LGC 프로그램을 통한 구체적인 효과 및 연구결과)

11-1 LGC 프로젝트 만족도

구분 항목 전 후 한줄 평

사업단

프로젝트 취지- 린튼 글로벌 학과와 경영정보학과 학생들이 함께

하는 프로젝트 해외시장탐방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사전교육 활동- 출국 전 각 나라에 대한 유의사항 안전교육이 체

계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개략적인 보고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었다

행정지원 절차- CK사업단 린튼 글로벌 학과 경영정보학과 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히 되지 않아 사전 계획에서 많은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협동력 향상- 출발 전 잦은 팀 회의와 8박 9일 간에 일정에도

불구하고 불화 없이 좋은 분위기 속에서 프로젝트를 완수 했다

추진력 향상- 일정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 한 점 추가 자료조

사를 위해 현지에서 새로운 일정을 추가 됐을 때 팀원들이 일사불란하게 따라주었다

문제해결 능력- 교통편 문제와 기업 측 내부 문제로 일부 일정에

변동이 있었지만 신속한 조율과 전화 통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개인

동기부여 자극- 현지인들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국어 영어 능

력의 필요성을 실감했다 특히 중국어는 소통 유무에 따라 현지 반응이 극명하게 갈렸다

진로설계 도움- 프로젝트 전에 비해 새로운 직업 분야에 대한 관심

이 증가했다

취업능력 향상-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한 내용을 살려 구술 면접이

나 자기소개서 작성에 참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11-2 LGC프로젝트 연구 결과 - 대만 시장

⓵ 중국시장을 주목하는 대만 화장품 기업- EST팀은 현지 대만 화장품 기업으로 SISDORA와 WABFENIX를 선택했다 두 회사를 선정한 배경에는

명확한 의도를 두고 정했다 SISDORA는 설립한 지 10년이 넘는 회사로 직접 화장품을 개발 및 연구하고 판매하는 중소기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과 주름개선 크림으로 중년 여성을 타깃 층으로 하는 화장품 회사다 반면 WABFENIX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스타트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 이지만 기술개발 보다는 디자인 마케팅에 중점을 두었고 판매 층도 10대-20대의 젊은 층을 타깃 층으로 한다 시장 전략이 완연히 다른 두 기업이 유일하게 공통점이 있다면 중국시장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선정 이유에는 많은 인구의 소비력을 꼽지만 뒤이어 언급하는 이야기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자사 제품의 경쟁력 약화를 말한다 현재 대만 기업 대부분은 내수 시장 대신에 중국을 겨냥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국가 산업 특성상 제조amp연구 분야가 강세인 대만에서는 중국 바이어 또는 미국 유럽 바이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직접 판매 보다는 기술 협력을 통해 이익을 창출한다고 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0 -

⓶ 대만 시장을 점령한 한국 화장품

- 앞서 말했듯이 2012년 이후부터 급속히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한국 화장품은 대만 시장을 점령하고 있다 이미 시먼딩에 들어서면 다양한 한국 화장품 매장이 눈에 띌 만큼 들어섰으며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중앙 광장에 입점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매장 안에는 많은 대만 사람들이 화장품을 보고 있는 광경을 흔히 본다 화장품 매장을 이용하는 연령층은 주로 10대-20대들이다 화장품 가격이 한국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주 애용하는 이유는 한류 열풍으로 인한 한국 연예인들에 대한 관심과 화장법이 크게 유행하고 있음을 현지 설문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⓷ 체감할 수 있을 만큼 커다란 한류열풍

- 뉴스에서만 듣던 한류 이야기를 대만에서 직접 느낄 수 있을 정도로 한류열풍은 크다 특히 삼성이나 LG의 TV나 스마트폰은 어딜 가든 항상 보이고 한국 화장품 선물에 대한 반응이 무척이나 뜨겁다 원활한 현지 조사를 위하여 사은품으로 준비한 한국 마스크 팩 100개는 오히려 현지인들이 참여 의사를 표현할 만큼 열정적이었다 일부 대만 사람 중에는 어디서 왔냐는 질문에 한국이라는 답변을 하니 같이 사진 찍기를 제안하기도 했다

⓸ 중소기업에게 있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는 대만 시장진출- 대만 시장 진출에 앞서 한국 화장품 중소기업이라면 전략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크게 대만 시장을 겨냥

할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할지 선택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3CE는 한국 화장품 회사다 대만에서 젊은 연령층이 자주 이용하고 이미 대만 내에서는 유명하다 3CE는 오프라인 매장 없이 순수 온라인 매장으로 운영하면서 대만 사람들을 위한 전용 웹사이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윤을 창출 하고 있다 신중해야 할 점은 현재 온라인 오프라인 등 한국 화장품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신규 진입에 있어서 장벽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대만 시장을 활용한다면 동남아 시장까지 한 번에 내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출입통관 절차가 간단하고 관세가 낮기 때문에 중소기업에게 유리하다 아직까지 중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1 -

에 대한 직접적인 수출이 가능한 곳은 상해나 항주 같이 중국에서 허가한 무역항 도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내륙까지 시장을 확대하기는 불가능하지만 같은 언어권인 대만을 거치면 보다 쉽게 바이어나 에이전트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인맥을 통한 꽌시와 수수료 명목으로 뒷돈을 요구하는 중국 바이어의 관행은 자금 순환이 원활치 않은 중소기업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11-3 LGC 프로젝트 종합 의견 및 전망

우리 lsquoEST팀은 출국 전 국내 화장품 시장 조사를 할 때 대덕 밸리 스타트업 기업 셀아이콘 랩의 영향으로 대만의 화장품 산업에 대해 큰 관심과 가능성을 보고 2015년 1월 5일부터 1월 13일까지 8박9일이라는 시간동안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 나라 중에 하나인 대만에서 rsquo대만의 화장품 시장lsquo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사를 했다 대만에서는 3개의 기업 (KOTRA SISDORA WABFENIX) 을 방문해 전반적인 대만의 화장품 시장과 판매전략 한류에 대한 보다 사실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1개의 대학 (국립성공대학 國立成功大學)에서 MBA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또 타이난에서는 대만에서 오랫동안 사업하시는 한인협회 회장을 만나 PLC (Product Life Cycle)를 통해 대만에서의 특정 시장이 도입기에 있는지 또 어떠한 시장이 쇠퇴기에 놓여있는지 다양한 시야에서 대만시장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노력은 CK 사업단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교육부 CK-1 프로젝트의 일부인 Linton Global Challenge는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몇 년을 내다보는 지속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기업들과 더욱 더 활발한 교류와 연구를 한다면 기업과 CK 사업단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리라고 본다

1 개인 탐방 후기 (팀원 개인 소감)

1-1 개인 탐방 후기

강성민탐방 후기 기업 컨택 부터 인터뷰 일정 계획까지 8박 9일간의 대만 화장품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 출국 전까지 준비 과정부터 탈도 많았고 대만에 와서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 원하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매일이 항상 회의와 고민의 연속이었다 하루하루 충실히 계획을 진행시켜 나갔고 좋은 팀 분위기 속에서 무사히 대만 프로

부록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2 -

젝트를 완수했다 그리고 마침내 한국으로 돌아왔다 과정은 항상 오르막 길이였지만 돌이켜 보면 마지막 대학 시절을 기념할만한 좋은 추억이자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느끼는 바가 많았던 프로젝트로 기억 될 것이다

김은진탐방 후기 글로벌 챌린지를 한마디로 정의하라고 한다면 도종환 시인의 lsquo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lsquo라는 시가 떠오른다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대만기업컨택 설문조사 등 많은 것을 경험했다 처음엔 모든 것이 나에겐 버거운 산이라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도전이 계속 될수록 이젠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이 모든 도전들에 흥미가 생겼다 나 자신도 책임감과 자신감이 생기고 한층 성숙해 진 것을 내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소중한 동료와 추억은 평생 나의 가슴속에 남을 것이다 우린 앞으로도 많이 도전하고 경험하여 우리들의 삶이 활짝 만개하리라 다짐한다 끊임없이 도전하는 20대의 청춘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프로그램이었다 김종선탐방 후기 한국에서 준비하면서 조사했던 내용과 비교하며 인터뷰를 해보니 실제로 많이 다른 부분도 있었고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 비슷한 내용도 있었다 현지의 기업들을 방문해 우리가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직접 매장에 가서 느껴보니 앉아서 컴퓨터만 볼 때랑 많이 달랐다 그리고 직접 대만인들에게 설문조사를 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그리고 대만의 실제 문화와 환경 그들의 생활을 잠시나마 볼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

구명우탐방 후기 며칠간의 꿈만 같았던 대만에서의 시간이 지나갔다 대만으로 출국하기 전 사전조사 기간에는 확신이 없었다 사전조사와 기업과의 인터뷰 그리고 9일간의 일정조율 및 숙박과 모든 대만에서의 연구와 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보고서까지 무엇하나 확신이 드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도전과 해결능력을 배웠고 아시아에서 급성장 중인 대만에 대해서 배우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다음기수로 가게 될 관심 있는 학우들에게 진심으로 추천해주고 싶다

이규현탐방 후기 CK-1 프로그램 중 하나인 lsquo린튼 글로벌 챌린지lsquo 프로그램을 통해 약 8박 9일이라는 시간 동안 emerging market 중 하나인 대만에 거주하면서 한국 화장품의 대만시장 점유율과 진출 가능성을 몸으로 체감하고 자료들을 모아 통계 내어 정리할 수 있었다 우리 팀 lsquoEST가 성공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충분한 국내조사 기간을 갖고 대만의 화장품 회사들을 방문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대만의 특정한 기업을 찾기도 어려웠고 기업 컨택은 번번히 거절당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회사 두 군데에서는 답장조차 오지 않았고 설문조사할 때에는 반한감정의 대만인을 만나 고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팀의 단결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리더의 통솔력으로 정해진 스케줄대로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회사를 방문하고 학교교수를 만나고 길거리에서 설문조사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팀원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또한 대학생으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을 한 것 같아서 스스로도 너무 뿌듯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팀을 믿고 지지해주신 LGSB 교수님들과 CK-1 프로그램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영은탐방 후기 처음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렇게 준비는 열심히 하지만 정말 우리가 계획한 100대로 대만을 다녀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기우가 무색하게도 대만은 우리에게 기획안 그 이상의 것들을 보여주었다 사장님들의 생생한 사업 이야기와 대만의 색채가 묻어있는 아이템들 하며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여 알아보는 비즈니스 마켓의 현장은 나에게 두고두고 잊지 못할 자산으로 남았다 또한 펑리수 버블티를 비롯한 대만의 맛있는 먹거리들과 스린 야시장이나 지우펀 같은 명소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열심히 고생해준 팀원들과의 추억들도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3 -

이서우탐방 후기 이번 글로벌 첼린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서 쉽게 할 수 없는 해외 기업 탐방과 해당 국가의 산업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임효진탐방 후기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팀이 대만을 방문 한다고 했을 때 많이 의아해 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만을 직접 방문해보고 많은 사업자들을 만난 결과 대만은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라고 생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아직 공산주의라는 정치적 특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다른 곳보다 훨씬 어렵지만 대만은 자유시장체제 이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쉽다 특히 외국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만 시장에서 한국제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추고 중국 시장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성공가능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그리고 대만의 바이어들을 통해 중국의 시장진출을 하게 된다면 사업자가 직접 중국시장에 진출 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성공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만은 문화적으로 다른 아시아권보다 선진화 되었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대도시에 속하지만 모두다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골고루 섞여 대만만의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차안호탐방 후기 9박 10일간의 대만을 다녀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넓고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이번 대만 여행은 처음으로 경험한 해외여행 경험이여서 그런지 순탄치 않은 면도 있었지만 팀원들 서로가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만시장은 중국시장으로 가기위한 좋은 시험의 장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대만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영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더 나아가 미래에는 중국어야말로 영어와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성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또 하나 놀란 점은 대만이 반 한류 감정을 많이 갖고 있는 줄 알았지만 대부분의 대만 일반 시민들이 굉장히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에 놀랐고 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CK-1 사업의 챌린지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대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계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보완점 및 건의사항 (문제점개선책건의사항)

2-1 기업 컨택의 어려움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에 있는 기업과 연결하여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대해서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조사 및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시간을 내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로써 그들의 귀한시간이 아깝게 쓰이지 않을 것을 강조하여 만남을 만들어야 한다

2-2 사업단과 의사소통의 불편함

Challeng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CK-1 사업단과의 지속되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가령 누군가를 통해서 전해지는 소문이나 촉박한 시간을 제시하고 일 처리를 원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단과 각 팀의 대표간의 분명한 의사소통과 증빙자료 등이 필요하다

2-3 정보 부재 이번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이머징 마켓에서의 유망 산업 조사 및 연구였다 대만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45: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5 -

10-6 예류 지질 공원

타이완 북해안에 자리한 예류는 해수욕장과 온천 기암괴석으로 유명한 관광지다 특히 예류지질공원은 희귀한 모형의 바위와 암석이 모여 있어 예류 관광의 필수코스로 꼽힌다 작은 곶으로 된 예류지질공원은 침식과 풍화 작용을 거쳐 자연적으로 형성된 기암을 보러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지질공원으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것이 선상암 군락이다 암석 하나하나의 모습은 마치 거대한 버섯이 큰 머리로 하늘을 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선상암 가운데 가장 유명한 암석은 이집트 왕비의 옆모습을 닮은 여왕 두상 바위다

10-7 스펀(Shifen)

스펀(十分)은 옛 광산마을로써 천으로 만든 등이 유명하다 또한 이 곳 스펀은 대만 최대의 폭포 스펀(SE-FEN) 폭포가 있다 미니기차와 천으로 만든 등을 날릴 수도 있다 마을의 한가운데 긴 철길이 놓여 있고 30분에 한 대씩 기차가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것도 볼 수가 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6 -

10-8 진과스(金瓜石)

진과스(金瓜石)는 타이완 타이베이 근교에 있는 옛 탄광 유적이다 20세기 전반에 금 채굴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20세기 후반에 금이 차차 고갈되기 시작하자 점점 위축되어 폐광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관광 명소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하루에도 수백명이 들렀다 가는 대만의 대표 관광지이다 진과스 내에 있는 황금 박물관에는 220kg 의 금이 전시 되어 있는데 손을 넣어 직접 만져 볼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진과스에서는 과거 광부들이 먹었던 도시락을 그대로 만들어 판매하는 광부 도시락도 굉장히 인기가 많다

10-9 국립 성공대학

대만의 타이난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1931년에 개교하였다 2010년 QS대학순위에서 283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대만 대학중 2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총 9개의 캠퍼스로 이루어져 있어 굉장히 큰 면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만 교육청에서 인정한 9개의 주요대학 중 하나이고 대만 기업체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학이다 이공계열이 가장 뛰어나며 중문 역사 법학 경제학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10 시먼딩

타이베이시에 위치한 시먼딩은 한국의 명동과 같은 거리이다 대한민국의 명동에도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과 외국인이 많다고 알려져 있는데 시먼딩 또한 명동 못지않은 다양함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대만의 패션과 놀이 문화 음식 등을 한눈에 경험 할 수 있는 공간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7 -

10-11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

중정기념당은 타이완 총통 장제스(蔣介石)를 기리는 전당이다 lsquo중정rsquo은 장제스의 본명이다 그가 서거한 후 1980년 기념당을 세웠다 25만에 이르는 넓은 중정공원 안에 우뚝 선 높이 70m의 기념물이 중정기념당이다 기념당 1층에는 장제스 생애를 엿볼 수 있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거대한 장제스 동상은 항상 근위병이 동상 앞을 지키고 있다 중정공원 안에는 중정기념당 외에 국립 희극원과 국립 음악청이 있는데 이곳에서 연극과 콘서트를 한다 공원 조경 또한 잘 조성되어 있어 산책하며 천천히 둘러보기에 좋다

10-12 안핑지구(安平地區)

대만의 문화와 역사는 안핑지구에서 시작되었다 안핑구바오는 17세기 중엽 네덜란드인들이 지은 요새로 정성공이 빼앗아 번영하다가 황폐해져 지금은 보루의 대부분이 없어지고 설탕과 굴껍데기와 찹쌀가루를 버무려 만든 빨간벽돌로 된 장벽(臺灣城殘蹟)만이 남아 나무뿌리와 존립의 사투를 벌이고 있다 감시탑 옆 건물 안에는 네덜란드와 정성공의 전투에 대한 이야기와 중세갑옷 등이 전시 중이다 이 주변에는 대만에서 가장 오래된 상업거리 옌핑제(延平街)가 있는데 옛 명성이 다한 거리의 골목 사이사이 수백년 된 가옥을 구경하는 것도 소소한 즐거움이다 1867년 영국인 상점과 물류창고로 이용하던 건물에 노용수(老榕樹)가 멋대로 자라 건물을 집어삼키듯 뒤덮은 나무집으로 불리는 안핑수우도 안핑지구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진귀한 볼거리다

10-13 미라마 관람차

대만에서 가장 큰 관람차로 알려져 있는 미라마 관람차는 타이페이 시의 야경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관람차 크기가 큰 것으로 유명하지만 가격 또한 저렴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유스트래블 카드를 이용하면 50 할인이 적용되므로 꼭 지참하도록 하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8 -

lt미라마 관람차 티켓gt lt유스트래블 카드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9 -

11 시사점 및 차후 활용계획 (LGC 프로그램을 통한 구체적인 효과 및 연구결과)

11-1 LGC 프로젝트 만족도

구분 항목 전 후 한줄 평

사업단

프로젝트 취지- 린튼 글로벌 학과와 경영정보학과 학생들이 함께

하는 프로젝트 해외시장탐방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사전교육 활동- 출국 전 각 나라에 대한 유의사항 안전교육이 체

계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개략적인 보고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었다

행정지원 절차- CK사업단 린튼 글로벌 학과 경영정보학과 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히 되지 않아 사전 계획에서 많은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협동력 향상- 출발 전 잦은 팀 회의와 8박 9일 간에 일정에도

불구하고 불화 없이 좋은 분위기 속에서 프로젝트를 완수 했다

추진력 향상- 일정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 한 점 추가 자료조

사를 위해 현지에서 새로운 일정을 추가 됐을 때 팀원들이 일사불란하게 따라주었다

문제해결 능력- 교통편 문제와 기업 측 내부 문제로 일부 일정에

변동이 있었지만 신속한 조율과 전화 통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개인

동기부여 자극- 현지인들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국어 영어 능

력의 필요성을 실감했다 특히 중국어는 소통 유무에 따라 현지 반응이 극명하게 갈렸다

진로설계 도움- 프로젝트 전에 비해 새로운 직업 분야에 대한 관심

이 증가했다

취업능력 향상-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한 내용을 살려 구술 면접이

나 자기소개서 작성에 참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11-2 LGC프로젝트 연구 결과 - 대만 시장

⓵ 중국시장을 주목하는 대만 화장품 기업- EST팀은 현지 대만 화장품 기업으로 SISDORA와 WABFENIX를 선택했다 두 회사를 선정한 배경에는

명확한 의도를 두고 정했다 SISDORA는 설립한 지 10년이 넘는 회사로 직접 화장품을 개발 및 연구하고 판매하는 중소기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과 주름개선 크림으로 중년 여성을 타깃 층으로 하는 화장품 회사다 반면 WABFENIX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스타트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 이지만 기술개발 보다는 디자인 마케팅에 중점을 두었고 판매 층도 10대-20대의 젊은 층을 타깃 층으로 한다 시장 전략이 완연히 다른 두 기업이 유일하게 공통점이 있다면 중국시장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선정 이유에는 많은 인구의 소비력을 꼽지만 뒤이어 언급하는 이야기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자사 제품의 경쟁력 약화를 말한다 현재 대만 기업 대부분은 내수 시장 대신에 중국을 겨냥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국가 산업 특성상 제조amp연구 분야가 강세인 대만에서는 중국 바이어 또는 미국 유럽 바이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직접 판매 보다는 기술 협력을 통해 이익을 창출한다고 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0 -

⓶ 대만 시장을 점령한 한국 화장품

- 앞서 말했듯이 2012년 이후부터 급속히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한국 화장품은 대만 시장을 점령하고 있다 이미 시먼딩에 들어서면 다양한 한국 화장품 매장이 눈에 띌 만큼 들어섰으며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중앙 광장에 입점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매장 안에는 많은 대만 사람들이 화장품을 보고 있는 광경을 흔히 본다 화장품 매장을 이용하는 연령층은 주로 10대-20대들이다 화장품 가격이 한국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주 애용하는 이유는 한류 열풍으로 인한 한국 연예인들에 대한 관심과 화장법이 크게 유행하고 있음을 현지 설문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⓷ 체감할 수 있을 만큼 커다란 한류열풍

- 뉴스에서만 듣던 한류 이야기를 대만에서 직접 느낄 수 있을 정도로 한류열풍은 크다 특히 삼성이나 LG의 TV나 스마트폰은 어딜 가든 항상 보이고 한국 화장품 선물에 대한 반응이 무척이나 뜨겁다 원활한 현지 조사를 위하여 사은품으로 준비한 한국 마스크 팩 100개는 오히려 현지인들이 참여 의사를 표현할 만큼 열정적이었다 일부 대만 사람 중에는 어디서 왔냐는 질문에 한국이라는 답변을 하니 같이 사진 찍기를 제안하기도 했다

⓸ 중소기업에게 있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는 대만 시장진출- 대만 시장 진출에 앞서 한국 화장품 중소기업이라면 전략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크게 대만 시장을 겨냥

할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할지 선택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3CE는 한국 화장품 회사다 대만에서 젊은 연령층이 자주 이용하고 이미 대만 내에서는 유명하다 3CE는 오프라인 매장 없이 순수 온라인 매장으로 운영하면서 대만 사람들을 위한 전용 웹사이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윤을 창출 하고 있다 신중해야 할 점은 현재 온라인 오프라인 등 한국 화장품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신규 진입에 있어서 장벽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대만 시장을 활용한다면 동남아 시장까지 한 번에 내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출입통관 절차가 간단하고 관세가 낮기 때문에 중소기업에게 유리하다 아직까지 중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1 -

에 대한 직접적인 수출이 가능한 곳은 상해나 항주 같이 중국에서 허가한 무역항 도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내륙까지 시장을 확대하기는 불가능하지만 같은 언어권인 대만을 거치면 보다 쉽게 바이어나 에이전트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인맥을 통한 꽌시와 수수료 명목으로 뒷돈을 요구하는 중국 바이어의 관행은 자금 순환이 원활치 않은 중소기업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11-3 LGC 프로젝트 종합 의견 및 전망

우리 lsquoEST팀은 출국 전 국내 화장품 시장 조사를 할 때 대덕 밸리 스타트업 기업 셀아이콘 랩의 영향으로 대만의 화장품 산업에 대해 큰 관심과 가능성을 보고 2015년 1월 5일부터 1월 13일까지 8박9일이라는 시간동안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 나라 중에 하나인 대만에서 rsquo대만의 화장품 시장lsquo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사를 했다 대만에서는 3개의 기업 (KOTRA SISDORA WABFENIX) 을 방문해 전반적인 대만의 화장품 시장과 판매전략 한류에 대한 보다 사실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1개의 대학 (국립성공대학 國立成功大學)에서 MBA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또 타이난에서는 대만에서 오랫동안 사업하시는 한인협회 회장을 만나 PLC (Product Life Cycle)를 통해 대만에서의 특정 시장이 도입기에 있는지 또 어떠한 시장이 쇠퇴기에 놓여있는지 다양한 시야에서 대만시장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노력은 CK 사업단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교육부 CK-1 프로젝트의 일부인 Linton Global Challenge는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몇 년을 내다보는 지속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기업들과 더욱 더 활발한 교류와 연구를 한다면 기업과 CK 사업단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리라고 본다

1 개인 탐방 후기 (팀원 개인 소감)

1-1 개인 탐방 후기

강성민탐방 후기 기업 컨택 부터 인터뷰 일정 계획까지 8박 9일간의 대만 화장품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 출국 전까지 준비 과정부터 탈도 많았고 대만에 와서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 원하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매일이 항상 회의와 고민의 연속이었다 하루하루 충실히 계획을 진행시켜 나갔고 좋은 팀 분위기 속에서 무사히 대만 프로

부록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2 -

젝트를 완수했다 그리고 마침내 한국으로 돌아왔다 과정은 항상 오르막 길이였지만 돌이켜 보면 마지막 대학 시절을 기념할만한 좋은 추억이자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느끼는 바가 많았던 프로젝트로 기억 될 것이다

김은진탐방 후기 글로벌 챌린지를 한마디로 정의하라고 한다면 도종환 시인의 lsquo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lsquo라는 시가 떠오른다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대만기업컨택 설문조사 등 많은 것을 경험했다 처음엔 모든 것이 나에겐 버거운 산이라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도전이 계속 될수록 이젠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이 모든 도전들에 흥미가 생겼다 나 자신도 책임감과 자신감이 생기고 한층 성숙해 진 것을 내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소중한 동료와 추억은 평생 나의 가슴속에 남을 것이다 우린 앞으로도 많이 도전하고 경험하여 우리들의 삶이 활짝 만개하리라 다짐한다 끊임없이 도전하는 20대의 청춘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프로그램이었다 김종선탐방 후기 한국에서 준비하면서 조사했던 내용과 비교하며 인터뷰를 해보니 실제로 많이 다른 부분도 있었고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 비슷한 내용도 있었다 현지의 기업들을 방문해 우리가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직접 매장에 가서 느껴보니 앉아서 컴퓨터만 볼 때랑 많이 달랐다 그리고 직접 대만인들에게 설문조사를 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그리고 대만의 실제 문화와 환경 그들의 생활을 잠시나마 볼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

구명우탐방 후기 며칠간의 꿈만 같았던 대만에서의 시간이 지나갔다 대만으로 출국하기 전 사전조사 기간에는 확신이 없었다 사전조사와 기업과의 인터뷰 그리고 9일간의 일정조율 및 숙박과 모든 대만에서의 연구와 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보고서까지 무엇하나 확신이 드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도전과 해결능력을 배웠고 아시아에서 급성장 중인 대만에 대해서 배우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다음기수로 가게 될 관심 있는 학우들에게 진심으로 추천해주고 싶다

이규현탐방 후기 CK-1 프로그램 중 하나인 lsquo린튼 글로벌 챌린지lsquo 프로그램을 통해 약 8박 9일이라는 시간 동안 emerging market 중 하나인 대만에 거주하면서 한국 화장품의 대만시장 점유율과 진출 가능성을 몸으로 체감하고 자료들을 모아 통계 내어 정리할 수 있었다 우리 팀 lsquoEST가 성공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충분한 국내조사 기간을 갖고 대만의 화장품 회사들을 방문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대만의 특정한 기업을 찾기도 어려웠고 기업 컨택은 번번히 거절당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회사 두 군데에서는 답장조차 오지 않았고 설문조사할 때에는 반한감정의 대만인을 만나 고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팀의 단결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리더의 통솔력으로 정해진 스케줄대로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회사를 방문하고 학교교수를 만나고 길거리에서 설문조사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팀원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또한 대학생으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을 한 것 같아서 스스로도 너무 뿌듯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팀을 믿고 지지해주신 LGSB 교수님들과 CK-1 프로그램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영은탐방 후기 처음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렇게 준비는 열심히 하지만 정말 우리가 계획한 100대로 대만을 다녀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기우가 무색하게도 대만은 우리에게 기획안 그 이상의 것들을 보여주었다 사장님들의 생생한 사업 이야기와 대만의 색채가 묻어있는 아이템들 하며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여 알아보는 비즈니스 마켓의 현장은 나에게 두고두고 잊지 못할 자산으로 남았다 또한 펑리수 버블티를 비롯한 대만의 맛있는 먹거리들과 스린 야시장이나 지우펀 같은 명소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열심히 고생해준 팀원들과의 추억들도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3 -

이서우탐방 후기 이번 글로벌 첼린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서 쉽게 할 수 없는 해외 기업 탐방과 해당 국가의 산업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임효진탐방 후기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팀이 대만을 방문 한다고 했을 때 많이 의아해 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만을 직접 방문해보고 많은 사업자들을 만난 결과 대만은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라고 생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아직 공산주의라는 정치적 특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다른 곳보다 훨씬 어렵지만 대만은 자유시장체제 이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쉽다 특히 외국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만 시장에서 한국제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추고 중국 시장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성공가능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그리고 대만의 바이어들을 통해 중국의 시장진출을 하게 된다면 사업자가 직접 중국시장에 진출 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성공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만은 문화적으로 다른 아시아권보다 선진화 되었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대도시에 속하지만 모두다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골고루 섞여 대만만의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차안호탐방 후기 9박 10일간의 대만을 다녀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넓고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이번 대만 여행은 처음으로 경험한 해외여행 경험이여서 그런지 순탄치 않은 면도 있었지만 팀원들 서로가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만시장은 중국시장으로 가기위한 좋은 시험의 장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대만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영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더 나아가 미래에는 중국어야말로 영어와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성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또 하나 놀란 점은 대만이 반 한류 감정을 많이 갖고 있는 줄 알았지만 대부분의 대만 일반 시민들이 굉장히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에 놀랐고 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CK-1 사업의 챌린지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대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계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보완점 및 건의사항 (문제점개선책건의사항)

2-1 기업 컨택의 어려움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에 있는 기업과 연결하여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대해서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조사 및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시간을 내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로써 그들의 귀한시간이 아깝게 쓰이지 않을 것을 강조하여 만남을 만들어야 한다

2-2 사업단과 의사소통의 불편함

Challeng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CK-1 사업단과의 지속되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가령 누군가를 통해서 전해지는 소문이나 촉박한 시간을 제시하고 일 처리를 원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단과 각 팀의 대표간의 분명한 의사소통과 증빙자료 등이 필요하다

2-3 정보 부재 이번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이머징 마켓에서의 유망 산업 조사 및 연구였다 대만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46: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6 -

10-8 진과스(金瓜石)

진과스(金瓜石)는 타이완 타이베이 근교에 있는 옛 탄광 유적이다 20세기 전반에 금 채굴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20세기 후반에 금이 차차 고갈되기 시작하자 점점 위축되어 폐광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관광 명소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하루에도 수백명이 들렀다 가는 대만의 대표 관광지이다 진과스 내에 있는 황금 박물관에는 220kg 의 금이 전시 되어 있는데 손을 넣어 직접 만져 볼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진과스에서는 과거 광부들이 먹었던 도시락을 그대로 만들어 판매하는 광부 도시락도 굉장히 인기가 많다

10-9 국립 성공대학

대만의 타이난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1931년에 개교하였다 2010년 QS대학순위에서 283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대만 대학중 2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총 9개의 캠퍼스로 이루어져 있어 굉장히 큰 면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만 교육청에서 인정한 9개의 주요대학 중 하나이고 대만 기업체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학이다 이공계열이 가장 뛰어나며 중문 역사 법학 경제학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10 시먼딩

타이베이시에 위치한 시먼딩은 한국의 명동과 같은 거리이다 대한민국의 명동에도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과 외국인이 많다고 알려져 있는데 시먼딩 또한 명동 못지않은 다양함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대만의 패션과 놀이 문화 음식 등을 한눈에 경험 할 수 있는 공간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7 -

10-11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

중정기념당은 타이완 총통 장제스(蔣介石)를 기리는 전당이다 lsquo중정rsquo은 장제스의 본명이다 그가 서거한 후 1980년 기념당을 세웠다 25만에 이르는 넓은 중정공원 안에 우뚝 선 높이 70m의 기념물이 중정기념당이다 기념당 1층에는 장제스 생애를 엿볼 수 있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거대한 장제스 동상은 항상 근위병이 동상 앞을 지키고 있다 중정공원 안에는 중정기념당 외에 국립 희극원과 국립 음악청이 있는데 이곳에서 연극과 콘서트를 한다 공원 조경 또한 잘 조성되어 있어 산책하며 천천히 둘러보기에 좋다

10-12 안핑지구(安平地區)

대만의 문화와 역사는 안핑지구에서 시작되었다 안핑구바오는 17세기 중엽 네덜란드인들이 지은 요새로 정성공이 빼앗아 번영하다가 황폐해져 지금은 보루의 대부분이 없어지고 설탕과 굴껍데기와 찹쌀가루를 버무려 만든 빨간벽돌로 된 장벽(臺灣城殘蹟)만이 남아 나무뿌리와 존립의 사투를 벌이고 있다 감시탑 옆 건물 안에는 네덜란드와 정성공의 전투에 대한 이야기와 중세갑옷 등이 전시 중이다 이 주변에는 대만에서 가장 오래된 상업거리 옌핑제(延平街)가 있는데 옛 명성이 다한 거리의 골목 사이사이 수백년 된 가옥을 구경하는 것도 소소한 즐거움이다 1867년 영국인 상점과 물류창고로 이용하던 건물에 노용수(老榕樹)가 멋대로 자라 건물을 집어삼키듯 뒤덮은 나무집으로 불리는 안핑수우도 안핑지구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진귀한 볼거리다

10-13 미라마 관람차

대만에서 가장 큰 관람차로 알려져 있는 미라마 관람차는 타이페이 시의 야경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관람차 크기가 큰 것으로 유명하지만 가격 또한 저렴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유스트래블 카드를 이용하면 50 할인이 적용되므로 꼭 지참하도록 하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8 -

lt미라마 관람차 티켓gt lt유스트래블 카드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9 -

11 시사점 및 차후 활용계획 (LGC 프로그램을 통한 구체적인 효과 및 연구결과)

11-1 LGC 프로젝트 만족도

구분 항목 전 후 한줄 평

사업단

프로젝트 취지- 린튼 글로벌 학과와 경영정보학과 학생들이 함께

하는 프로젝트 해외시장탐방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사전교육 활동- 출국 전 각 나라에 대한 유의사항 안전교육이 체

계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개략적인 보고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었다

행정지원 절차- CK사업단 린튼 글로벌 학과 경영정보학과 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히 되지 않아 사전 계획에서 많은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협동력 향상- 출발 전 잦은 팀 회의와 8박 9일 간에 일정에도

불구하고 불화 없이 좋은 분위기 속에서 프로젝트를 완수 했다

추진력 향상- 일정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 한 점 추가 자료조

사를 위해 현지에서 새로운 일정을 추가 됐을 때 팀원들이 일사불란하게 따라주었다

문제해결 능력- 교통편 문제와 기업 측 내부 문제로 일부 일정에

변동이 있었지만 신속한 조율과 전화 통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개인

동기부여 자극- 현지인들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국어 영어 능

력의 필요성을 실감했다 특히 중국어는 소통 유무에 따라 현지 반응이 극명하게 갈렸다

진로설계 도움- 프로젝트 전에 비해 새로운 직업 분야에 대한 관심

이 증가했다

취업능력 향상-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한 내용을 살려 구술 면접이

나 자기소개서 작성에 참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11-2 LGC프로젝트 연구 결과 - 대만 시장

⓵ 중국시장을 주목하는 대만 화장품 기업- EST팀은 현지 대만 화장품 기업으로 SISDORA와 WABFENIX를 선택했다 두 회사를 선정한 배경에는

명확한 의도를 두고 정했다 SISDORA는 설립한 지 10년이 넘는 회사로 직접 화장품을 개발 및 연구하고 판매하는 중소기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과 주름개선 크림으로 중년 여성을 타깃 층으로 하는 화장품 회사다 반면 WABFENIX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스타트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 이지만 기술개발 보다는 디자인 마케팅에 중점을 두었고 판매 층도 10대-20대의 젊은 층을 타깃 층으로 한다 시장 전략이 완연히 다른 두 기업이 유일하게 공통점이 있다면 중국시장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선정 이유에는 많은 인구의 소비력을 꼽지만 뒤이어 언급하는 이야기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자사 제품의 경쟁력 약화를 말한다 현재 대만 기업 대부분은 내수 시장 대신에 중국을 겨냥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국가 산업 특성상 제조amp연구 분야가 강세인 대만에서는 중국 바이어 또는 미국 유럽 바이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직접 판매 보다는 기술 협력을 통해 이익을 창출한다고 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0 -

⓶ 대만 시장을 점령한 한국 화장품

- 앞서 말했듯이 2012년 이후부터 급속히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한국 화장품은 대만 시장을 점령하고 있다 이미 시먼딩에 들어서면 다양한 한국 화장품 매장이 눈에 띌 만큼 들어섰으며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중앙 광장에 입점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매장 안에는 많은 대만 사람들이 화장품을 보고 있는 광경을 흔히 본다 화장품 매장을 이용하는 연령층은 주로 10대-20대들이다 화장품 가격이 한국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주 애용하는 이유는 한류 열풍으로 인한 한국 연예인들에 대한 관심과 화장법이 크게 유행하고 있음을 현지 설문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⓷ 체감할 수 있을 만큼 커다란 한류열풍

- 뉴스에서만 듣던 한류 이야기를 대만에서 직접 느낄 수 있을 정도로 한류열풍은 크다 특히 삼성이나 LG의 TV나 스마트폰은 어딜 가든 항상 보이고 한국 화장품 선물에 대한 반응이 무척이나 뜨겁다 원활한 현지 조사를 위하여 사은품으로 준비한 한국 마스크 팩 100개는 오히려 현지인들이 참여 의사를 표현할 만큼 열정적이었다 일부 대만 사람 중에는 어디서 왔냐는 질문에 한국이라는 답변을 하니 같이 사진 찍기를 제안하기도 했다

⓸ 중소기업에게 있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는 대만 시장진출- 대만 시장 진출에 앞서 한국 화장품 중소기업이라면 전략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크게 대만 시장을 겨냥

할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할지 선택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3CE는 한국 화장품 회사다 대만에서 젊은 연령층이 자주 이용하고 이미 대만 내에서는 유명하다 3CE는 오프라인 매장 없이 순수 온라인 매장으로 운영하면서 대만 사람들을 위한 전용 웹사이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윤을 창출 하고 있다 신중해야 할 점은 현재 온라인 오프라인 등 한국 화장품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신규 진입에 있어서 장벽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대만 시장을 활용한다면 동남아 시장까지 한 번에 내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출입통관 절차가 간단하고 관세가 낮기 때문에 중소기업에게 유리하다 아직까지 중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1 -

에 대한 직접적인 수출이 가능한 곳은 상해나 항주 같이 중국에서 허가한 무역항 도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내륙까지 시장을 확대하기는 불가능하지만 같은 언어권인 대만을 거치면 보다 쉽게 바이어나 에이전트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인맥을 통한 꽌시와 수수료 명목으로 뒷돈을 요구하는 중국 바이어의 관행은 자금 순환이 원활치 않은 중소기업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11-3 LGC 프로젝트 종합 의견 및 전망

우리 lsquoEST팀은 출국 전 국내 화장품 시장 조사를 할 때 대덕 밸리 스타트업 기업 셀아이콘 랩의 영향으로 대만의 화장품 산업에 대해 큰 관심과 가능성을 보고 2015년 1월 5일부터 1월 13일까지 8박9일이라는 시간동안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 나라 중에 하나인 대만에서 rsquo대만의 화장품 시장lsquo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사를 했다 대만에서는 3개의 기업 (KOTRA SISDORA WABFENIX) 을 방문해 전반적인 대만의 화장품 시장과 판매전략 한류에 대한 보다 사실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1개의 대학 (국립성공대학 國立成功大學)에서 MBA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또 타이난에서는 대만에서 오랫동안 사업하시는 한인협회 회장을 만나 PLC (Product Life Cycle)를 통해 대만에서의 특정 시장이 도입기에 있는지 또 어떠한 시장이 쇠퇴기에 놓여있는지 다양한 시야에서 대만시장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노력은 CK 사업단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교육부 CK-1 프로젝트의 일부인 Linton Global Challenge는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몇 년을 내다보는 지속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기업들과 더욱 더 활발한 교류와 연구를 한다면 기업과 CK 사업단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리라고 본다

1 개인 탐방 후기 (팀원 개인 소감)

1-1 개인 탐방 후기

강성민탐방 후기 기업 컨택 부터 인터뷰 일정 계획까지 8박 9일간의 대만 화장품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 출국 전까지 준비 과정부터 탈도 많았고 대만에 와서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 원하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매일이 항상 회의와 고민의 연속이었다 하루하루 충실히 계획을 진행시켜 나갔고 좋은 팀 분위기 속에서 무사히 대만 프로

부록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2 -

젝트를 완수했다 그리고 마침내 한국으로 돌아왔다 과정은 항상 오르막 길이였지만 돌이켜 보면 마지막 대학 시절을 기념할만한 좋은 추억이자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느끼는 바가 많았던 프로젝트로 기억 될 것이다

김은진탐방 후기 글로벌 챌린지를 한마디로 정의하라고 한다면 도종환 시인의 lsquo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lsquo라는 시가 떠오른다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대만기업컨택 설문조사 등 많은 것을 경험했다 처음엔 모든 것이 나에겐 버거운 산이라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도전이 계속 될수록 이젠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이 모든 도전들에 흥미가 생겼다 나 자신도 책임감과 자신감이 생기고 한층 성숙해 진 것을 내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소중한 동료와 추억은 평생 나의 가슴속에 남을 것이다 우린 앞으로도 많이 도전하고 경험하여 우리들의 삶이 활짝 만개하리라 다짐한다 끊임없이 도전하는 20대의 청춘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프로그램이었다 김종선탐방 후기 한국에서 준비하면서 조사했던 내용과 비교하며 인터뷰를 해보니 실제로 많이 다른 부분도 있었고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 비슷한 내용도 있었다 현지의 기업들을 방문해 우리가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직접 매장에 가서 느껴보니 앉아서 컴퓨터만 볼 때랑 많이 달랐다 그리고 직접 대만인들에게 설문조사를 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그리고 대만의 실제 문화와 환경 그들의 생활을 잠시나마 볼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

구명우탐방 후기 며칠간의 꿈만 같았던 대만에서의 시간이 지나갔다 대만으로 출국하기 전 사전조사 기간에는 확신이 없었다 사전조사와 기업과의 인터뷰 그리고 9일간의 일정조율 및 숙박과 모든 대만에서의 연구와 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보고서까지 무엇하나 확신이 드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도전과 해결능력을 배웠고 아시아에서 급성장 중인 대만에 대해서 배우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다음기수로 가게 될 관심 있는 학우들에게 진심으로 추천해주고 싶다

이규현탐방 후기 CK-1 프로그램 중 하나인 lsquo린튼 글로벌 챌린지lsquo 프로그램을 통해 약 8박 9일이라는 시간 동안 emerging market 중 하나인 대만에 거주하면서 한국 화장품의 대만시장 점유율과 진출 가능성을 몸으로 체감하고 자료들을 모아 통계 내어 정리할 수 있었다 우리 팀 lsquoEST가 성공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충분한 국내조사 기간을 갖고 대만의 화장품 회사들을 방문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대만의 특정한 기업을 찾기도 어려웠고 기업 컨택은 번번히 거절당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회사 두 군데에서는 답장조차 오지 않았고 설문조사할 때에는 반한감정의 대만인을 만나 고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팀의 단결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리더의 통솔력으로 정해진 스케줄대로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회사를 방문하고 학교교수를 만나고 길거리에서 설문조사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팀원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또한 대학생으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을 한 것 같아서 스스로도 너무 뿌듯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팀을 믿고 지지해주신 LGSB 교수님들과 CK-1 프로그램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영은탐방 후기 처음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렇게 준비는 열심히 하지만 정말 우리가 계획한 100대로 대만을 다녀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기우가 무색하게도 대만은 우리에게 기획안 그 이상의 것들을 보여주었다 사장님들의 생생한 사업 이야기와 대만의 색채가 묻어있는 아이템들 하며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여 알아보는 비즈니스 마켓의 현장은 나에게 두고두고 잊지 못할 자산으로 남았다 또한 펑리수 버블티를 비롯한 대만의 맛있는 먹거리들과 스린 야시장이나 지우펀 같은 명소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열심히 고생해준 팀원들과의 추억들도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3 -

이서우탐방 후기 이번 글로벌 첼린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서 쉽게 할 수 없는 해외 기업 탐방과 해당 국가의 산업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임효진탐방 후기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팀이 대만을 방문 한다고 했을 때 많이 의아해 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만을 직접 방문해보고 많은 사업자들을 만난 결과 대만은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라고 생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아직 공산주의라는 정치적 특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다른 곳보다 훨씬 어렵지만 대만은 자유시장체제 이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쉽다 특히 외국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만 시장에서 한국제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추고 중국 시장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성공가능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그리고 대만의 바이어들을 통해 중국의 시장진출을 하게 된다면 사업자가 직접 중국시장에 진출 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성공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만은 문화적으로 다른 아시아권보다 선진화 되었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대도시에 속하지만 모두다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골고루 섞여 대만만의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차안호탐방 후기 9박 10일간의 대만을 다녀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넓고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이번 대만 여행은 처음으로 경험한 해외여행 경험이여서 그런지 순탄치 않은 면도 있었지만 팀원들 서로가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만시장은 중국시장으로 가기위한 좋은 시험의 장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대만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영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더 나아가 미래에는 중국어야말로 영어와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성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또 하나 놀란 점은 대만이 반 한류 감정을 많이 갖고 있는 줄 알았지만 대부분의 대만 일반 시민들이 굉장히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에 놀랐고 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CK-1 사업의 챌린지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대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계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보완점 및 건의사항 (문제점개선책건의사항)

2-1 기업 컨택의 어려움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에 있는 기업과 연결하여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대해서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조사 및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시간을 내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로써 그들의 귀한시간이 아깝게 쓰이지 않을 것을 강조하여 만남을 만들어야 한다

2-2 사업단과 의사소통의 불편함

Challeng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CK-1 사업단과의 지속되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가령 누군가를 통해서 전해지는 소문이나 촉박한 시간을 제시하고 일 처리를 원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단과 각 팀의 대표간의 분명한 의사소통과 증빙자료 등이 필요하다

2-3 정보 부재 이번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이머징 마켓에서의 유망 산업 조사 및 연구였다 대만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47: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7 -

10-11 중정기념당(中正紀念堂)

중정기념당은 타이완 총통 장제스(蔣介石)를 기리는 전당이다 lsquo중정rsquo은 장제스의 본명이다 그가 서거한 후 1980년 기념당을 세웠다 25만에 이르는 넓은 중정공원 안에 우뚝 선 높이 70m의 기념물이 중정기념당이다 기념당 1층에는 장제스 생애를 엿볼 수 있는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거대한 장제스 동상은 항상 근위병이 동상 앞을 지키고 있다 중정공원 안에는 중정기념당 외에 국립 희극원과 국립 음악청이 있는데 이곳에서 연극과 콘서트를 한다 공원 조경 또한 잘 조성되어 있어 산책하며 천천히 둘러보기에 좋다

10-12 안핑지구(安平地區)

대만의 문화와 역사는 안핑지구에서 시작되었다 안핑구바오는 17세기 중엽 네덜란드인들이 지은 요새로 정성공이 빼앗아 번영하다가 황폐해져 지금은 보루의 대부분이 없어지고 설탕과 굴껍데기와 찹쌀가루를 버무려 만든 빨간벽돌로 된 장벽(臺灣城殘蹟)만이 남아 나무뿌리와 존립의 사투를 벌이고 있다 감시탑 옆 건물 안에는 네덜란드와 정성공의 전투에 대한 이야기와 중세갑옷 등이 전시 중이다 이 주변에는 대만에서 가장 오래된 상업거리 옌핑제(延平街)가 있는데 옛 명성이 다한 거리의 골목 사이사이 수백년 된 가옥을 구경하는 것도 소소한 즐거움이다 1867년 영국인 상점과 물류창고로 이용하던 건물에 노용수(老榕樹)가 멋대로 자라 건물을 집어삼키듯 뒤덮은 나무집으로 불리는 안핑수우도 안핑지구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진귀한 볼거리다

10-13 미라마 관람차

대만에서 가장 큰 관람차로 알려져 있는 미라마 관람차는 타이페이 시의 야경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관람차 크기가 큰 것으로 유명하지만 가격 또한 저렴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유스트래블 카드를 이용하면 50 할인이 적용되므로 꼭 지참하도록 하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8 -

lt미라마 관람차 티켓gt lt유스트래블 카드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9 -

11 시사점 및 차후 활용계획 (LGC 프로그램을 통한 구체적인 효과 및 연구결과)

11-1 LGC 프로젝트 만족도

구분 항목 전 후 한줄 평

사업단

프로젝트 취지- 린튼 글로벌 학과와 경영정보학과 학생들이 함께

하는 프로젝트 해외시장탐방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사전교육 활동- 출국 전 각 나라에 대한 유의사항 안전교육이 체

계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개략적인 보고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었다

행정지원 절차- CK사업단 린튼 글로벌 학과 경영정보학과 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히 되지 않아 사전 계획에서 많은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협동력 향상- 출발 전 잦은 팀 회의와 8박 9일 간에 일정에도

불구하고 불화 없이 좋은 분위기 속에서 프로젝트를 완수 했다

추진력 향상- 일정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 한 점 추가 자료조

사를 위해 현지에서 새로운 일정을 추가 됐을 때 팀원들이 일사불란하게 따라주었다

문제해결 능력- 교통편 문제와 기업 측 내부 문제로 일부 일정에

변동이 있었지만 신속한 조율과 전화 통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개인

동기부여 자극- 현지인들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국어 영어 능

력의 필요성을 실감했다 특히 중국어는 소통 유무에 따라 현지 반응이 극명하게 갈렸다

진로설계 도움- 프로젝트 전에 비해 새로운 직업 분야에 대한 관심

이 증가했다

취업능력 향상-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한 내용을 살려 구술 면접이

나 자기소개서 작성에 참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11-2 LGC프로젝트 연구 결과 - 대만 시장

⓵ 중국시장을 주목하는 대만 화장품 기업- EST팀은 현지 대만 화장품 기업으로 SISDORA와 WABFENIX를 선택했다 두 회사를 선정한 배경에는

명확한 의도를 두고 정했다 SISDORA는 설립한 지 10년이 넘는 회사로 직접 화장품을 개발 및 연구하고 판매하는 중소기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과 주름개선 크림으로 중년 여성을 타깃 층으로 하는 화장품 회사다 반면 WABFENIX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스타트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 이지만 기술개발 보다는 디자인 마케팅에 중점을 두었고 판매 층도 10대-20대의 젊은 층을 타깃 층으로 한다 시장 전략이 완연히 다른 두 기업이 유일하게 공통점이 있다면 중국시장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선정 이유에는 많은 인구의 소비력을 꼽지만 뒤이어 언급하는 이야기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자사 제품의 경쟁력 약화를 말한다 현재 대만 기업 대부분은 내수 시장 대신에 중국을 겨냥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국가 산업 특성상 제조amp연구 분야가 강세인 대만에서는 중국 바이어 또는 미국 유럽 바이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직접 판매 보다는 기술 협력을 통해 이익을 창출한다고 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0 -

⓶ 대만 시장을 점령한 한국 화장품

- 앞서 말했듯이 2012년 이후부터 급속히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한국 화장품은 대만 시장을 점령하고 있다 이미 시먼딩에 들어서면 다양한 한국 화장품 매장이 눈에 띌 만큼 들어섰으며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중앙 광장에 입점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매장 안에는 많은 대만 사람들이 화장품을 보고 있는 광경을 흔히 본다 화장품 매장을 이용하는 연령층은 주로 10대-20대들이다 화장품 가격이 한국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주 애용하는 이유는 한류 열풍으로 인한 한국 연예인들에 대한 관심과 화장법이 크게 유행하고 있음을 현지 설문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⓷ 체감할 수 있을 만큼 커다란 한류열풍

- 뉴스에서만 듣던 한류 이야기를 대만에서 직접 느낄 수 있을 정도로 한류열풍은 크다 특히 삼성이나 LG의 TV나 스마트폰은 어딜 가든 항상 보이고 한국 화장품 선물에 대한 반응이 무척이나 뜨겁다 원활한 현지 조사를 위하여 사은품으로 준비한 한국 마스크 팩 100개는 오히려 현지인들이 참여 의사를 표현할 만큼 열정적이었다 일부 대만 사람 중에는 어디서 왔냐는 질문에 한국이라는 답변을 하니 같이 사진 찍기를 제안하기도 했다

⓸ 중소기업에게 있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는 대만 시장진출- 대만 시장 진출에 앞서 한국 화장품 중소기업이라면 전략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크게 대만 시장을 겨냥

할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할지 선택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3CE는 한국 화장품 회사다 대만에서 젊은 연령층이 자주 이용하고 이미 대만 내에서는 유명하다 3CE는 오프라인 매장 없이 순수 온라인 매장으로 운영하면서 대만 사람들을 위한 전용 웹사이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윤을 창출 하고 있다 신중해야 할 점은 현재 온라인 오프라인 등 한국 화장품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신규 진입에 있어서 장벽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대만 시장을 활용한다면 동남아 시장까지 한 번에 내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출입통관 절차가 간단하고 관세가 낮기 때문에 중소기업에게 유리하다 아직까지 중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1 -

에 대한 직접적인 수출이 가능한 곳은 상해나 항주 같이 중국에서 허가한 무역항 도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내륙까지 시장을 확대하기는 불가능하지만 같은 언어권인 대만을 거치면 보다 쉽게 바이어나 에이전트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인맥을 통한 꽌시와 수수료 명목으로 뒷돈을 요구하는 중국 바이어의 관행은 자금 순환이 원활치 않은 중소기업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11-3 LGC 프로젝트 종합 의견 및 전망

우리 lsquoEST팀은 출국 전 국내 화장품 시장 조사를 할 때 대덕 밸리 스타트업 기업 셀아이콘 랩의 영향으로 대만의 화장품 산업에 대해 큰 관심과 가능성을 보고 2015년 1월 5일부터 1월 13일까지 8박9일이라는 시간동안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 나라 중에 하나인 대만에서 rsquo대만의 화장품 시장lsquo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사를 했다 대만에서는 3개의 기업 (KOTRA SISDORA WABFENIX) 을 방문해 전반적인 대만의 화장품 시장과 판매전략 한류에 대한 보다 사실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1개의 대학 (국립성공대학 國立成功大學)에서 MBA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또 타이난에서는 대만에서 오랫동안 사업하시는 한인협회 회장을 만나 PLC (Product Life Cycle)를 통해 대만에서의 특정 시장이 도입기에 있는지 또 어떠한 시장이 쇠퇴기에 놓여있는지 다양한 시야에서 대만시장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노력은 CK 사업단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교육부 CK-1 프로젝트의 일부인 Linton Global Challenge는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몇 년을 내다보는 지속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기업들과 더욱 더 활발한 교류와 연구를 한다면 기업과 CK 사업단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리라고 본다

1 개인 탐방 후기 (팀원 개인 소감)

1-1 개인 탐방 후기

강성민탐방 후기 기업 컨택 부터 인터뷰 일정 계획까지 8박 9일간의 대만 화장품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 출국 전까지 준비 과정부터 탈도 많았고 대만에 와서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 원하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매일이 항상 회의와 고민의 연속이었다 하루하루 충실히 계획을 진행시켜 나갔고 좋은 팀 분위기 속에서 무사히 대만 프로

부록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2 -

젝트를 완수했다 그리고 마침내 한국으로 돌아왔다 과정은 항상 오르막 길이였지만 돌이켜 보면 마지막 대학 시절을 기념할만한 좋은 추억이자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느끼는 바가 많았던 프로젝트로 기억 될 것이다

김은진탐방 후기 글로벌 챌린지를 한마디로 정의하라고 한다면 도종환 시인의 lsquo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lsquo라는 시가 떠오른다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대만기업컨택 설문조사 등 많은 것을 경험했다 처음엔 모든 것이 나에겐 버거운 산이라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도전이 계속 될수록 이젠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이 모든 도전들에 흥미가 생겼다 나 자신도 책임감과 자신감이 생기고 한층 성숙해 진 것을 내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소중한 동료와 추억은 평생 나의 가슴속에 남을 것이다 우린 앞으로도 많이 도전하고 경험하여 우리들의 삶이 활짝 만개하리라 다짐한다 끊임없이 도전하는 20대의 청춘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프로그램이었다 김종선탐방 후기 한국에서 준비하면서 조사했던 내용과 비교하며 인터뷰를 해보니 실제로 많이 다른 부분도 있었고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 비슷한 내용도 있었다 현지의 기업들을 방문해 우리가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직접 매장에 가서 느껴보니 앉아서 컴퓨터만 볼 때랑 많이 달랐다 그리고 직접 대만인들에게 설문조사를 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그리고 대만의 실제 문화와 환경 그들의 생활을 잠시나마 볼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

구명우탐방 후기 며칠간의 꿈만 같았던 대만에서의 시간이 지나갔다 대만으로 출국하기 전 사전조사 기간에는 확신이 없었다 사전조사와 기업과의 인터뷰 그리고 9일간의 일정조율 및 숙박과 모든 대만에서의 연구와 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보고서까지 무엇하나 확신이 드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도전과 해결능력을 배웠고 아시아에서 급성장 중인 대만에 대해서 배우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다음기수로 가게 될 관심 있는 학우들에게 진심으로 추천해주고 싶다

이규현탐방 후기 CK-1 프로그램 중 하나인 lsquo린튼 글로벌 챌린지lsquo 프로그램을 통해 약 8박 9일이라는 시간 동안 emerging market 중 하나인 대만에 거주하면서 한국 화장품의 대만시장 점유율과 진출 가능성을 몸으로 체감하고 자료들을 모아 통계 내어 정리할 수 있었다 우리 팀 lsquoEST가 성공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충분한 국내조사 기간을 갖고 대만의 화장품 회사들을 방문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대만의 특정한 기업을 찾기도 어려웠고 기업 컨택은 번번히 거절당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회사 두 군데에서는 답장조차 오지 않았고 설문조사할 때에는 반한감정의 대만인을 만나 고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팀의 단결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리더의 통솔력으로 정해진 스케줄대로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회사를 방문하고 학교교수를 만나고 길거리에서 설문조사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팀원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또한 대학생으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을 한 것 같아서 스스로도 너무 뿌듯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팀을 믿고 지지해주신 LGSB 교수님들과 CK-1 프로그램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영은탐방 후기 처음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렇게 준비는 열심히 하지만 정말 우리가 계획한 100대로 대만을 다녀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기우가 무색하게도 대만은 우리에게 기획안 그 이상의 것들을 보여주었다 사장님들의 생생한 사업 이야기와 대만의 색채가 묻어있는 아이템들 하며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여 알아보는 비즈니스 마켓의 현장은 나에게 두고두고 잊지 못할 자산으로 남았다 또한 펑리수 버블티를 비롯한 대만의 맛있는 먹거리들과 스린 야시장이나 지우펀 같은 명소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열심히 고생해준 팀원들과의 추억들도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3 -

이서우탐방 후기 이번 글로벌 첼린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서 쉽게 할 수 없는 해외 기업 탐방과 해당 국가의 산업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임효진탐방 후기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팀이 대만을 방문 한다고 했을 때 많이 의아해 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만을 직접 방문해보고 많은 사업자들을 만난 결과 대만은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라고 생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아직 공산주의라는 정치적 특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다른 곳보다 훨씬 어렵지만 대만은 자유시장체제 이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쉽다 특히 외국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만 시장에서 한국제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추고 중국 시장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성공가능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그리고 대만의 바이어들을 통해 중국의 시장진출을 하게 된다면 사업자가 직접 중국시장에 진출 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성공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만은 문화적으로 다른 아시아권보다 선진화 되었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대도시에 속하지만 모두다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골고루 섞여 대만만의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차안호탐방 후기 9박 10일간의 대만을 다녀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넓고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이번 대만 여행은 처음으로 경험한 해외여행 경험이여서 그런지 순탄치 않은 면도 있었지만 팀원들 서로가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만시장은 중국시장으로 가기위한 좋은 시험의 장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대만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영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더 나아가 미래에는 중국어야말로 영어와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성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또 하나 놀란 점은 대만이 반 한류 감정을 많이 갖고 있는 줄 알았지만 대부분의 대만 일반 시민들이 굉장히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에 놀랐고 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CK-1 사업의 챌린지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대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계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보완점 및 건의사항 (문제점개선책건의사항)

2-1 기업 컨택의 어려움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에 있는 기업과 연결하여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대해서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조사 및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시간을 내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로써 그들의 귀한시간이 아깝게 쓰이지 않을 것을 강조하여 만남을 만들어야 한다

2-2 사업단과 의사소통의 불편함

Challeng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CK-1 사업단과의 지속되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가령 누군가를 통해서 전해지는 소문이나 촉박한 시간을 제시하고 일 처리를 원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단과 각 팀의 대표간의 분명한 의사소통과 증빙자료 등이 필요하다

2-3 정보 부재 이번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이머징 마켓에서의 유망 산업 조사 및 연구였다 대만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48: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8 -

lt미라마 관람차 티켓gt lt유스트래블 카드gt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9 -

11 시사점 및 차후 활용계획 (LGC 프로그램을 통한 구체적인 효과 및 연구결과)

11-1 LGC 프로젝트 만족도

구분 항목 전 후 한줄 평

사업단

프로젝트 취지- 린튼 글로벌 학과와 경영정보학과 학생들이 함께

하는 프로젝트 해외시장탐방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사전교육 활동- 출국 전 각 나라에 대한 유의사항 안전교육이 체

계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개략적인 보고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었다

행정지원 절차- CK사업단 린튼 글로벌 학과 경영정보학과 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히 되지 않아 사전 계획에서 많은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협동력 향상- 출발 전 잦은 팀 회의와 8박 9일 간에 일정에도

불구하고 불화 없이 좋은 분위기 속에서 프로젝트를 완수 했다

추진력 향상- 일정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 한 점 추가 자료조

사를 위해 현지에서 새로운 일정을 추가 됐을 때 팀원들이 일사불란하게 따라주었다

문제해결 능력- 교통편 문제와 기업 측 내부 문제로 일부 일정에

변동이 있었지만 신속한 조율과 전화 통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개인

동기부여 자극- 현지인들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국어 영어 능

력의 필요성을 실감했다 특히 중국어는 소통 유무에 따라 현지 반응이 극명하게 갈렸다

진로설계 도움- 프로젝트 전에 비해 새로운 직업 분야에 대한 관심

이 증가했다

취업능력 향상-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한 내용을 살려 구술 면접이

나 자기소개서 작성에 참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11-2 LGC프로젝트 연구 결과 - 대만 시장

⓵ 중국시장을 주목하는 대만 화장품 기업- EST팀은 현지 대만 화장품 기업으로 SISDORA와 WABFENIX를 선택했다 두 회사를 선정한 배경에는

명확한 의도를 두고 정했다 SISDORA는 설립한 지 10년이 넘는 회사로 직접 화장품을 개발 및 연구하고 판매하는 중소기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과 주름개선 크림으로 중년 여성을 타깃 층으로 하는 화장품 회사다 반면 WABFENIX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스타트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 이지만 기술개발 보다는 디자인 마케팅에 중점을 두었고 판매 층도 10대-20대의 젊은 층을 타깃 층으로 한다 시장 전략이 완연히 다른 두 기업이 유일하게 공통점이 있다면 중국시장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선정 이유에는 많은 인구의 소비력을 꼽지만 뒤이어 언급하는 이야기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자사 제품의 경쟁력 약화를 말한다 현재 대만 기업 대부분은 내수 시장 대신에 중국을 겨냥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국가 산업 특성상 제조amp연구 분야가 강세인 대만에서는 중국 바이어 또는 미국 유럽 바이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직접 판매 보다는 기술 협력을 통해 이익을 창출한다고 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0 -

⓶ 대만 시장을 점령한 한국 화장품

- 앞서 말했듯이 2012년 이후부터 급속히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한국 화장품은 대만 시장을 점령하고 있다 이미 시먼딩에 들어서면 다양한 한국 화장품 매장이 눈에 띌 만큼 들어섰으며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중앙 광장에 입점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매장 안에는 많은 대만 사람들이 화장품을 보고 있는 광경을 흔히 본다 화장품 매장을 이용하는 연령층은 주로 10대-20대들이다 화장품 가격이 한국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주 애용하는 이유는 한류 열풍으로 인한 한국 연예인들에 대한 관심과 화장법이 크게 유행하고 있음을 현지 설문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⓷ 체감할 수 있을 만큼 커다란 한류열풍

- 뉴스에서만 듣던 한류 이야기를 대만에서 직접 느낄 수 있을 정도로 한류열풍은 크다 특히 삼성이나 LG의 TV나 스마트폰은 어딜 가든 항상 보이고 한국 화장품 선물에 대한 반응이 무척이나 뜨겁다 원활한 현지 조사를 위하여 사은품으로 준비한 한국 마스크 팩 100개는 오히려 현지인들이 참여 의사를 표현할 만큼 열정적이었다 일부 대만 사람 중에는 어디서 왔냐는 질문에 한국이라는 답변을 하니 같이 사진 찍기를 제안하기도 했다

⓸ 중소기업에게 있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는 대만 시장진출- 대만 시장 진출에 앞서 한국 화장품 중소기업이라면 전략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크게 대만 시장을 겨냥

할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할지 선택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3CE는 한국 화장품 회사다 대만에서 젊은 연령층이 자주 이용하고 이미 대만 내에서는 유명하다 3CE는 오프라인 매장 없이 순수 온라인 매장으로 운영하면서 대만 사람들을 위한 전용 웹사이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윤을 창출 하고 있다 신중해야 할 점은 현재 온라인 오프라인 등 한국 화장품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신규 진입에 있어서 장벽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대만 시장을 활용한다면 동남아 시장까지 한 번에 내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출입통관 절차가 간단하고 관세가 낮기 때문에 중소기업에게 유리하다 아직까지 중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1 -

에 대한 직접적인 수출이 가능한 곳은 상해나 항주 같이 중국에서 허가한 무역항 도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내륙까지 시장을 확대하기는 불가능하지만 같은 언어권인 대만을 거치면 보다 쉽게 바이어나 에이전트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인맥을 통한 꽌시와 수수료 명목으로 뒷돈을 요구하는 중국 바이어의 관행은 자금 순환이 원활치 않은 중소기업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11-3 LGC 프로젝트 종합 의견 및 전망

우리 lsquoEST팀은 출국 전 국내 화장품 시장 조사를 할 때 대덕 밸리 스타트업 기업 셀아이콘 랩의 영향으로 대만의 화장품 산업에 대해 큰 관심과 가능성을 보고 2015년 1월 5일부터 1월 13일까지 8박9일이라는 시간동안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 나라 중에 하나인 대만에서 rsquo대만의 화장품 시장lsquo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사를 했다 대만에서는 3개의 기업 (KOTRA SISDORA WABFENIX) 을 방문해 전반적인 대만의 화장품 시장과 판매전략 한류에 대한 보다 사실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1개의 대학 (국립성공대학 國立成功大學)에서 MBA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또 타이난에서는 대만에서 오랫동안 사업하시는 한인협회 회장을 만나 PLC (Product Life Cycle)를 통해 대만에서의 특정 시장이 도입기에 있는지 또 어떠한 시장이 쇠퇴기에 놓여있는지 다양한 시야에서 대만시장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노력은 CK 사업단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교육부 CK-1 프로젝트의 일부인 Linton Global Challenge는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몇 년을 내다보는 지속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기업들과 더욱 더 활발한 교류와 연구를 한다면 기업과 CK 사업단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리라고 본다

1 개인 탐방 후기 (팀원 개인 소감)

1-1 개인 탐방 후기

강성민탐방 후기 기업 컨택 부터 인터뷰 일정 계획까지 8박 9일간의 대만 화장품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 출국 전까지 준비 과정부터 탈도 많았고 대만에 와서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 원하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매일이 항상 회의와 고민의 연속이었다 하루하루 충실히 계획을 진행시켜 나갔고 좋은 팀 분위기 속에서 무사히 대만 프로

부록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2 -

젝트를 완수했다 그리고 마침내 한국으로 돌아왔다 과정은 항상 오르막 길이였지만 돌이켜 보면 마지막 대학 시절을 기념할만한 좋은 추억이자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느끼는 바가 많았던 프로젝트로 기억 될 것이다

김은진탐방 후기 글로벌 챌린지를 한마디로 정의하라고 한다면 도종환 시인의 lsquo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lsquo라는 시가 떠오른다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대만기업컨택 설문조사 등 많은 것을 경험했다 처음엔 모든 것이 나에겐 버거운 산이라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도전이 계속 될수록 이젠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이 모든 도전들에 흥미가 생겼다 나 자신도 책임감과 자신감이 생기고 한층 성숙해 진 것을 내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소중한 동료와 추억은 평생 나의 가슴속에 남을 것이다 우린 앞으로도 많이 도전하고 경험하여 우리들의 삶이 활짝 만개하리라 다짐한다 끊임없이 도전하는 20대의 청춘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프로그램이었다 김종선탐방 후기 한국에서 준비하면서 조사했던 내용과 비교하며 인터뷰를 해보니 실제로 많이 다른 부분도 있었고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 비슷한 내용도 있었다 현지의 기업들을 방문해 우리가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직접 매장에 가서 느껴보니 앉아서 컴퓨터만 볼 때랑 많이 달랐다 그리고 직접 대만인들에게 설문조사를 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그리고 대만의 실제 문화와 환경 그들의 생활을 잠시나마 볼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

구명우탐방 후기 며칠간의 꿈만 같았던 대만에서의 시간이 지나갔다 대만으로 출국하기 전 사전조사 기간에는 확신이 없었다 사전조사와 기업과의 인터뷰 그리고 9일간의 일정조율 및 숙박과 모든 대만에서의 연구와 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보고서까지 무엇하나 확신이 드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도전과 해결능력을 배웠고 아시아에서 급성장 중인 대만에 대해서 배우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다음기수로 가게 될 관심 있는 학우들에게 진심으로 추천해주고 싶다

이규현탐방 후기 CK-1 프로그램 중 하나인 lsquo린튼 글로벌 챌린지lsquo 프로그램을 통해 약 8박 9일이라는 시간 동안 emerging market 중 하나인 대만에 거주하면서 한국 화장품의 대만시장 점유율과 진출 가능성을 몸으로 체감하고 자료들을 모아 통계 내어 정리할 수 있었다 우리 팀 lsquoEST가 성공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충분한 국내조사 기간을 갖고 대만의 화장품 회사들을 방문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대만의 특정한 기업을 찾기도 어려웠고 기업 컨택은 번번히 거절당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회사 두 군데에서는 답장조차 오지 않았고 설문조사할 때에는 반한감정의 대만인을 만나 고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팀의 단결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리더의 통솔력으로 정해진 스케줄대로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회사를 방문하고 학교교수를 만나고 길거리에서 설문조사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팀원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또한 대학생으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을 한 것 같아서 스스로도 너무 뿌듯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팀을 믿고 지지해주신 LGSB 교수님들과 CK-1 프로그램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영은탐방 후기 처음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렇게 준비는 열심히 하지만 정말 우리가 계획한 100대로 대만을 다녀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기우가 무색하게도 대만은 우리에게 기획안 그 이상의 것들을 보여주었다 사장님들의 생생한 사업 이야기와 대만의 색채가 묻어있는 아이템들 하며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여 알아보는 비즈니스 마켓의 현장은 나에게 두고두고 잊지 못할 자산으로 남았다 또한 펑리수 버블티를 비롯한 대만의 맛있는 먹거리들과 스린 야시장이나 지우펀 같은 명소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열심히 고생해준 팀원들과의 추억들도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3 -

이서우탐방 후기 이번 글로벌 첼린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서 쉽게 할 수 없는 해외 기업 탐방과 해당 국가의 산업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임효진탐방 후기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팀이 대만을 방문 한다고 했을 때 많이 의아해 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만을 직접 방문해보고 많은 사업자들을 만난 결과 대만은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라고 생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아직 공산주의라는 정치적 특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다른 곳보다 훨씬 어렵지만 대만은 자유시장체제 이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쉽다 특히 외국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만 시장에서 한국제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추고 중국 시장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성공가능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그리고 대만의 바이어들을 통해 중국의 시장진출을 하게 된다면 사업자가 직접 중국시장에 진출 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성공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만은 문화적으로 다른 아시아권보다 선진화 되었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대도시에 속하지만 모두다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골고루 섞여 대만만의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차안호탐방 후기 9박 10일간의 대만을 다녀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넓고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이번 대만 여행은 처음으로 경험한 해외여행 경험이여서 그런지 순탄치 않은 면도 있었지만 팀원들 서로가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만시장은 중국시장으로 가기위한 좋은 시험의 장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대만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영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더 나아가 미래에는 중국어야말로 영어와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성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또 하나 놀란 점은 대만이 반 한류 감정을 많이 갖고 있는 줄 알았지만 대부분의 대만 일반 시민들이 굉장히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에 놀랐고 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CK-1 사업의 챌린지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대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계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보완점 및 건의사항 (문제점개선책건의사항)

2-1 기업 컨택의 어려움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에 있는 기업과 연결하여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대해서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조사 및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시간을 내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로써 그들의 귀한시간이 아깝게 쓰이지 않을 것을 강조하여 만남을 만들어야 한다

2-2 사업단과 의사소통의 불편함

Challeng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CK-1 사업단과의 지속되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가령 누군가를 통해서 전해지는 소문이나 촉박한 시간을 제시하고 일 처리를 원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단과 각 팀의 대표간의 분명한 의사소통과 증빙자료 등이 필요하다

2-3 정보 부재 이번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이머징 마켓에서의 유망 산업 조사 및 연구였다 대만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49: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49 -

11 시사점 및 차후 활용계획 (LGC 프로그램을 통한 구체적인 효과 및 연구결과)

11-1 LGC 프로젝트 만족도

구분 항목 전 후 한줄 평

사업단

프로젝트 취지- 린튼 글로벌 학과와 경영정보학과 학생들이 함께

하는 프로젝트 해외시장탐방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사전교육 활동- 출국 전 각 나라에 대한 유의사항 안전교육이 체

계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개략적인 보고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었다

행정지원 절차- CK사업단 린튼 글로벌 학과 경영정보학과 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히 되지 않아 사전 계획에서 많은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협동력 향상- 출발 전 잦은 팀 회의와 8박 9일 간에 일정에도

불구하고 불화 없이 좋은 분위기 속에서 프로젝트를 완수 했다

추진력 향상- 일정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 한 점 추가 자료조

사를 위해 현지에서 새로운 일정을 추가 됐을 때 팀원들이 일사불란하게 따라주었다

문제해결 능력- 교통편 문제와 기업 측 내부 문제로 일부 일정에

변동이 있었지만 신속한 조율과 전화 통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개인

동기부여 자극- 현지인들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국어 영어 능

력의 필요성을 실감했다 특히 중국어는 소통 유무에 따라 현지 반응이 극명하게 갈렸다

진로설계 도움- 프로젝트 전에 비해 새로운 직업 분야에 대한 관심

이 증가했다

취업능력 향상-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한 내용을 살려 구술 면접이

나 자기소개서 작성에 참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11-2 LGC프로젝트 연구 결과 - 대만 시장

⓵ 중국시장을 주목하는 대만 화장품 기업- EST팀은 현지 대만 화장품 기업으로 SISDORA와 WABFENIX를 선택했다 두 회사를 선정한 배경에는

명확한 의도를 두고 정했다 SISDORA는 설립한 지 10년이 넘는 회사로 직접 화장품을 개발 및 연구하고 판매하는 중소기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과 주름개선 크림으로 중년 여성을 타깃 층으로 하는 화장품 회사다 반면 WABFENIX는 2013년에 설립된 신생기업(스타트업)이다 주 분야는 마스크팩 이지만 기술개발 보다는 디자인 마케팅에 중점을 두었고 판매 층도 10대-20대의 젊은 층을 타깃 층으로 한다 시장 전략이 완연히 다른 두 기업이 유일하게 공통점이 있다면 중국시장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선정 이유에는 많은 인구의 소비력을 꼽지만 뒤이어 언급하는 이야기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자사 제품의 경쟁력 약화를 말한다 현재 대만 기업 대부분은 내수 시장 대신에 중국을 겨냥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국가 산업 특성상 제조amp연구 분야가 강세인 대만에서는 중국 바이어 또는 미국 유럽 바이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직접 판매 보다는 기술 협력을 통해 이익을 창출한다고 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0 -

⓶ 대만 시장을 점령한 한국 화장품

- 앞서 말했듯이 2012년 이후부터 급속히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한국 화장품은 대만 시장을 점령하고 있다 이미 시먼딩에 들어서면 다양한 한국 화장품 매장이 눈에 띌 만큼 들어섰으며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중앙 광장에 입점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매장 안에는 많은 대만 사람들이 화장품을 보고 있는 광경을 흔히 본다 화장품 매장을 이용하는 연령층은 주로 10대-20대들이다 화장품 가격이 한국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주 애용하는 이유는 한류 열풍으로 인한 한국 연예인들에 대한 관심과 화장법이 크게 유행하고 있음을 현지 설문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⓷ 체감할 수 있을 만큼 커다란 한류열풍

- 뉴스에서만 듣던 한류 이야기를 대만에서 직접 느낄 수 있을 정도로 한류열풍은 크다 특히 삼성이나 LG의 TV나 스마트폰은 어딜 가든 항상 보이고 한국 화장품 선물에 대한 반응이 무척이나 뜨겁다 원활한 현지 조사를 위하여 사은품으로 준비한 한국 마스크 팩 100개는 오히려 현지인들이 참여 의사를 표현할 만큼 열정적이었다 일부 대만 사람 중에는 어디서 왔냐는 질문에 한국이라는 답변을 하니 같이 사진 찍기를 제안하기도 했다

⓸ 중소기업에게 있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는 대만 시장진출- 대만 시장 진출에 앞서 한국 화장품 중소기업이라면 전략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크게 대만 시장을 겨냥

할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할지 선택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3CE는 한국 화장품 회사다 대만에서 젊은 연령층이 자주 이용하고 이미 대만 내에서는 유명하다 3CE는 오프라인 매장 없이 순수 온라인 매장으로 운영하면서 대만 사람들을 위한 전용 웹사이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윤을 창출 하고 있다 신중해야 할 점은 현재 온라인 오프라인 등 한국 화장품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신규 진입에 있어서 장벽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대만 시장을 활용한다면 동남아 시장까지 한 번에 내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출입통관 절차가 간단하고 관세가 낮기 때문에 중소기업에게 유리하다 아직까지 중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1 -

에 대한 직접적인 수출이 가능한 곳은 상해나 항주 같이 중국에서 허가한 무역항 도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내륙까지 시장을 확대하기는 불가능하지만 같은 언어권인 대만을 거치면 보다 쉽게 바이어나 에이전트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인맥을 통한 꽌시와 수수료 명목으로 뒷돈을 요구하는 중국 바이어의 관행은 자금 순환이 원활치 않은 중소기업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11-3 LGC 프로젝트 종합 의견 및 전망

우리 lsquoEST팀은 출국 전 국내 화장품 시장 조사를 할 때 대덕 밸리 스타트업 기업 셀아이콘 랩의 영향으로 대만의 화장품 산업에 대해 큰 관심과 가능성을 보고 2015년 1월 5일부터 1월 13일까지 8박9일이라는 시간동안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 나라 중에 하나인 대만에서 rsquo대만의 화장품 시장lsquo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사를 했다 대만에서는 3개의 기업 (KOTRA SISDORA WABFENIX) 을 방문해 전반적인 대만의 화장품 시장과 판매전략 한류에 대한 보다 사실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1개의 대학 (국립성공대학 國立成功大學)에서 MBA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또 타이난에서는 대만에서 오랫동안 사업하시는 한인협회 회장을 만나 PLC (Product Life Cycle)를 통해 대만에서의 특정 시장이 도입기에 있는지 또 어떠한 시장이 쇠퇴기에 놓여있는지 다양한 시야에서 대만시장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노력은 CK 사업단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교육부 CK-1 프로젝트의 일부인 Linton Global Challenge는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몇 년을 내다보는 지속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기업들과 더욱 더 활발한 교류와 연구를 한다면 기업과 CK 사업단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리라고 본다

1 개인 탐방 후기 (팀원 개인 소감)

1-1 개인 탐방 후기

강성민탐방 후기 기업 컨택 부터 인터뷰 일정 계획까지 8박 9일간의 대만 화장품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 출국 전까지 준비 과정부터 탈도 많았고 대만에 와서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 원하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매일이 항상 회의와 고민의 연속이었다 하루하루 충실히 계획을 진행시켜 나갔고 좋은 팀 분위기 속에서 무사히 대만 프로

부록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2 -

젝트를 완수했다 그리고 마침내 한국으로 돌아왔다 과정은 항상 오르막 길이였지만 돌이켜 보면 마지막 대학 시절을 기념할만한 좋은 추억이자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느끼는 바가 많았던 프로젝트로 기억 될 것이다

김은진탐방 후기 글로벌 챌린지를 한마디로 정의하라고 한다면 도종환 시인의 lsquo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lsquo라는 시가 떠오른다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대만기업컨택 설문조사 등 많은 것을 경험했다 처음엔 모든 것이 나에겐 버거운 산이라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도전이 계속 될수록 이젠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이 모든 도전들에 흥미가 생겼다 나 자신도 책임감과 자신감이 생기고 한층 성숙해 진 것을 내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소중한 동료와 추억은 평생 나의 가슴속에 남을 것이다 우린 앞으로도 많이 도전하고 경험하여 우리들의 삶이 활짝 만개하리라 다짐한다 끊임없이 도전하는 20대의 청춘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프로그램이었다 김종선탐방 후기 한국에서 준비하면서 조사했던 내용과 비교하며 인터뷰를 해보니 실제로 많이 다른 부분도 있었고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 비슷한 내용도 있었다 현지의 기업들을 방문해 우리가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직접 매장에 가서 느껴보니 앉아서 컴퓨터만 볼 때랑 많이 달랐다 그리고 직접 대만인들에게 설문조사를 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그리고 대만의 실제 문화와 환경 그들의 생활을 잠시나마 볼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

구명우탐방 후기 며칠간의 꿈만 같았던 대만에서의 시간이 지나갔다 대만으로 출국하기 전 사전조사 기간에는 확신이 없었다 사전조사와 기업과의 인터뷰 그리고 9일간의 일정조율 및 숙박과 모든 대만에서의 연구와 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보고서까지 무엇하나 확신이 드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도전과 해결능력을 배웠고 아시아에서 급성장 중인 대만에 대해서 배우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다음기수로 가게 될 관심 있는 학우들에게 진심으로 추천해주고 싶다

이규현탐방 후기 CK-1 프로그램 중 하나인 lsquo린튼 글로벌 챌린지lsquo 프로그램을 통해 약 8박 9일이라는 시간 동안 emerging market 중 하나인 대만에 거주하면서 한국 화장품의 대만시장 점유율과 진출 가능성을 몸으로 체감하고 자료들을 모아 통계 내어 정리할 수 있었다 우리 팀 lsquoEST가 성공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충분한 국내조사 기간을 갖고 대만의 화장품 회사들을 방문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대만의 특정한 기업을 찾기도 어려웠고 기업 컨택은 번번히 거절당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회사 두 군데에서는 답장조차 오지 않았고 설문조사할 때에는 반한감정의 대만인을 만나 고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팀의 단결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리더의 통솔력으로 정해진 스케줄대로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회사를 방문하고 학교교수를 만나고 길거리에서 설문조사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팀원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또한 대학생으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을 한 것 같아서 스스로도 너무 뿌듯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팀을 믿고 지지해주신 LGSB 교수님들과 CK-1 프로그램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영은탐방 후기 처음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렇게 준비는 열심히 하지만 정말 우리가 계획한 100대로 대만을 다녀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기우가 무색하게도 대만은 우리에게 기획안 그 이상의 것들을 보여주었다 사장님들의 생생한 사업 이야기와 대만의 색채가 묻어있는 아이템들 하며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여 알아보는 비즈니스 마켓의 현장은 나에게 두고두고 잊지 못할 자산으로 남았다 또한 펑리수 버블티를 비롯한 대만의 맛있는 먹거리들과 스린 야시장이나 지우펀 같은 명소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열심히 고생해준 팀원들과의 추억들도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3 -

이서우탐방 후기 이번 글로벌 첼린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서 쉽게 할 수 없는 해외 기업 탐방과 해당 국가의 산업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임효진탐방 후기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팀이 대만을 방문 한다고 했을 때 많이 의아해 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만을 직접 방문해보고 많은 사업자들을 만난 결과 대만은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라고 생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아직 공산주의라는 정치적 특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다른 곳보다 훨씬 어렵지만 대만은 자유시장체제 이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쉽다 특히 외국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만 시장에서 한국제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추고 중국 시장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성공가능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그리고 대만의 바이어들을 통해 중국의 시장진출을 하게 된다면 사업자가 직접 중국시장에 진출 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성공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만은 문화적으로 다른 아시아권보다 선진화 되었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대도시에 속하지만 모두다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골고루 섞여 대만만의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차안호탐방 후기 9박 10일간의 대만을 다녀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넓고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이번 대만 여행은 처음으로 경험한 해외여행 경험이여서 그런지 순탄치 않은 면도 있었지만 팀원들 서로가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만시장은 중국시장으로 가기위한 좋은 시험의 장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대만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영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더 나아가 미래에는 중국어야말로 영어와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성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또 하나 놀란 점은 대만이 반 한류 감정을 많이 갖고 있는 줄 알았지만 대부분의 대만 일반 시민들이 굉장히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에 놀랐고 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CK-1 사업의 챌린지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대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계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보완점 및 건의사항 (문제점개선책건의사항)

2-1 기업 컨택의 어려움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에 있는 기업과 연결하여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대해서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조사 및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시간을 내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로써 그들의 귀한시간이 아깝게 쓰이지 않을 것을 강조하여 만남을 만들어야 한다

2-2 사업단과 의사소통의 불편함

Challeng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CK-1 사업단과의 지속되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가령 누군가를 통해서 전해지는 소문이나 촉박한 시간을 제시하고 일 처리를 원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단과 각 팀의 대표간의 분명한 의사소통과 증빙자료 등이 필요하다

2-3 정보 부재 이번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이머징 마켓에서의 유망 산업 조사 및 연구였다 대만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50: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0 -

⓶ 대만 시장을 점령한 한국 화장품

- 앞서 말했듯이 2012년 이후부터 급속히 점유율을 늘리고 있는 한국 화장품은 대만 시장을 점령하고 있다 이미 시먼딩에 들어서면 다양한 한국 화장품 매장이 눈에 띌 만큼 들어섰으며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중앙 광장에 입점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매장 안에는 많은 대만 사람들이 화장품을 보고 있는 광경을 흔히 본다 화장품 매장을 이용하는 연령층은 주로 10대-20대들이다 화장품 가격이 한국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주 애용하는 이유는 한류 열풍으로 인한 한국 연예인들에 대한 관심과 화장법이 크게 유행하고 있음을 현지 설문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⓷ 체감할 수 있을 만큼 커다란 한류열풍

- 뉴스에서만 듣던 한류 이야기를 대만에서 직접 느낄 수 있을 정도로 한류열풍은 크다 특히 삼성이나 LG의 TV나 스마트폰은 어딜 가든 항상 보이고 한국 화장품 선물에 대한 반응이 무척이나 뜨겁다 원활한 현지 조사를 위하여 사은품으로 준비한 한국 마스크 팩 100개는 오히려 현지인들이 참여 의사를 표현할 만큼 열정적이었다 일부 대만 사람 중에는 어디서 왔냐는 질문에 한국이라는 답변을 하니 같이 사진 찍기를 제안하기도 했다

⓸ 중소기업에게 있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는 대만 시장진출- 대만 시장 진출에 앞서 한국 화장품 중소기업이라면 전략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크게 대만 시장을 겨냥

할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할지 선택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3CE는 한국 화장품 회사다 대만에서 젊은 연령층이 자주 이용하고 이미 대만 내에서는 유명하다 3CE는 오프라인 매장 없이 순수 온라인 매장으로 운영하면서 대만 사람들을 위한 전용 웹사이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윤을 창출 하고 있다 신중해야 할 점은 현재 온라인 오프라인 등 한국 화장품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신규 진입에 있어서 장벽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대만 시장을 활용한다면 동남아 시장까지 한 번에 내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출입통관 절차가 간단하고 관세가 낮기 때문에 중소기업에게 유리하다 아직까지 중국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1 -

에 대한 직접적인 수출이 가능한 곳은 상해나 항주 같이 중국에서 허가한 무역항 도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내륙까지 시장을 확대하기는 불가능하지만 같은 언어권인 대만을 거치면 보다 쉽게 바이어나 에이전트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인맥을 통한 꽌시와 수수료 명목으로 뒷돈을 요구하는 중국 바이어의 관행은 자금 순환이 원활치 않은 중소기업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11-3 LGC 프로젝트 종합 의견 및 전망

우리 lsquoEST팀은 출국 전 국내 화장품 시장 조사를 할 때 대덕 밸리 스타트업 기업 셀아이콘 랩의 영향으로 대만의 화장품 산업에 대해 큰 관심과 가능성을 보고 2015년 1월 5일부터 1월 13일까지 8박9일이라는 시간동안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 나라 중에 하나인 대만에서 rsquo대만의 화장품 시장lsquo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사를 했다 대만에서는 3개의 기업 (KOTRA SISDORA WABFENIX) 을 방문해 전반적인 대만의 화장품 시장과 판매전략 한류에 대한 보다 사실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1개의 대학 (국립성공대학 國立成功大學)에서 MBA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또 타이난에서는 대만에서 오랫동안 사업하시는 한인협회 회장을 만나 PLC (Product Life Cycle)를 통해 대만에서의 특정 시장이 도입기에 있는지 또 어떠한 시장이 쇠퇴기에 놓여있는지 다양한 시야에서 대만시장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노력은 CK 사업단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교육부 CK-1 프로젝트의 일부인 Linton Global Challenge는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몇 년을 내다보는 지속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기업들과 더욱 더 활발한 교류와 연구를 한다면 기업과 CK 사업단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리라고 본다

1 개인 탐방 후기 (팀원 개인 소감)

1-1 개인 탐방 후기

강성민탐방 후기 기업 컨택 부터 인터뷰 일정 계획까지 8박 9일간의 대만 화장품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 출국 전까지 준비 과정부터 탈도 많았고 대만에 와서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 원하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매일이 항상 회의와 고민의 연속이었다 하루하루 충실히 계획을 진행시켜 나갔고 좋은 팀 분위기 속에서 무사히 대만 프로

부록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2 -

젝트를 완수했다 그리고 마침내 한국으로 돌아왔다 과정은 항상 오르막 길이였지만 돌이켜 보면 마지막 대학 시절을 기념할만한 좋은 추억이자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느끼는 바가 많았던 프로젝트로 기억 될 것이다

김은진탐방 후기 글로벌 챌린지를 한마디로 정의하라고 한다면 도종환 시인의 lsquo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lsquo라는 시가 떠오른다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대만기업컨택 설문조사 등 많은 것을 경험했다 처음엔 모든 것이 나에겐 버거운 산이라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도전이 계속 될수록 이젠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이 모든 도전들에 흥미가 생겼다 나 자신도 책임감과 자신감이 생기고 한층 성숙해 진 것을 내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소중한 동료와 추억은 평생 나의 가슴속에 남을 것이다 우린 앞으로도 많이 도전하고 경험하여 우리들의 삶이 활짝 만개하리라 다짐한다 끊임없이 도전하는 20대의 청춘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프로그램이었다 김종선탐방 후기 한국에서 준비하면서 조사했던 내용과 비교하며 인터뷰를 해보니 실제로 많이 다른 부분도 있었고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 비슷한 내용도 있었다 현지의 기업들을 방문해 우리가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직접 매장에 가서 느껴보니 앉아서 컴퓨터만 볼 때랑 많이 달랐다 그리고 직접 대만인들에게 설문조사를 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그리고 대만의 실제 문화와 환경 그들의 생활을 잠시나마 볼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

구명우탐방 후기 며칠간의 꿈만 같았던 대만에서의 시간이 지나갔다 대만으로 출국하기 전 사전조사 기간에는 확신이 없었다 사전조사와 기업과의 인터뷰 그리고 9일간의 일정조율 및 숙박과 모든 대만에서의 연구와 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보고서까지 무엇하나 확신이 드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도전과 해결능력을 배웠고 아시아에서 급성장 중인 대만에 대해서 배우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다음기수로 가게 될 관심 있는 학우들에게 진심으로 추천해주고 싶다

이규현탐방 후기 CK-1 프로그램 중 하나인 lsquo린튼 글로벌 챌린지lsquo 프로그램을 통해 약 8박 9일이라는 시간 동안 emerging market 중 하나인 대만에 거주하면서 한국 화장품의 대만시장 점유율과 진출 가능성을 몸으로 체감하고 자료들을 모아 통계 내어 정리할 수 있었다 우리 팀 lsquoEST가 성공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충분한 국내조사 기간을 갖고 대만의 화장품 회사들을 방문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대만의 특정한 기업을 찾기도 어려웠고 기업 컨택은 번번히 거절당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회사 두 군데에서는 답장조차 오지 않았고 설문조사할 때에는 반한감정의 대만인을 만나 고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팀의 단결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리더의 통솔력으로 정해진 스케줄대로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회사를 방문하고 학교교수를 만나고 길거리에서 설문조사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팀원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또한 대학생으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을 한 것 같아서 스스로도 너무 뿌듯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팀을 믿고 지지해주신 LGSB 교수님들과 CK-1 프로그램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영은탐방 후기 처음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렇게 준비는 열심히 하지만 정말 우리가 계획한 100대로 대만을 다녀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기우가 무색하게도 대만은 우리에게 기획안 그 이상의 것들을 보여주었다 사장님들의 생생한 사업 이야기와 대만의 색채가 묻어있는 아이템들 하며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여 알아보는 비즈니스 마켓의 현장은 나에게 두고두고 잊지 못할 자산으로 남았다 또한 펑리수 버블티를 비롯한 대만의 맛있는 먹거리들과 스린 야시장이나 지우펀 같은 명소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열심히 고생해준 팀원들과의 추억들도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3 -

이서우탐방 후기 이번 글로벌 첼린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서 쉽게 할 수 없는 해외 기업 탐방과 해당 국가의 산업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임효진탐방 후기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팀이 대만을 방문 한다고 했을 때 많이 의아해 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만을 직접 방문해보고 많은 사업자들을 만난 결과 대만은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라고 생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아직 공산주의라는 정치적 특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다른 곳보다 훨씬 어렵지만 대만은 자유시장체제 이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쉽다 특히 외국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만 시장에서 한국제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추고 중국 시장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성공가능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그리고 대만의 바이어들을 통해 중국의 시장진출을 하게 된다면 사업자가 직접 중국시장에 진출 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성공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만은 문화적으로 다른 아시아권보다 선진화 되었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대도시에 속하지만 모두다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골고루 섞여 대만만의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차안호탐방 후기 9박 10일간의 대만을 다녀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넓고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이번 대만 여행은 처음으로 경험한 해외여행 경험이여서 그런지 순탄치 않은 면도 있었지만 팀원들 서로가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만시장은 중국시장으로 가기위한 좋은 시험의 장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대만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영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더 나아가 미래에는 중국어야말로 영어와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성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또 하나 놀란 점은 대만이 반 한류 감정을 많이 갖고 있는 줄 알았지만 대부분의 대만 일반 시민들이 굉장히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에 놀랐고 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CK-1 사업의 챌린지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대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계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보완점 및 건의사항 (문제점개선책건의사항)

2-1 기업 컨택의 어려움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에 있는 기업과 연결하여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대해서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조사 및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시간을 내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로써 그들의 귀한시간이 아깝게 쓰이지 않을 것을 강조하여 만남을 만들어야 한다

2-2 사업단과 의사소통의 불편함

Challeng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CK-1 사업단과의 지속되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가령 누군가를 통해서 전해지는 소문이나 촉박한 시간을 제시하고 일 처리를 원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단과 각 팀의 대표간의 분명한 의사소통과 증빙자료 등이 필요하다

2-3 정보 부재 이번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이머징 마켓에서의 유망 산업 조사 및 연구였다 대만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51: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1 -

에 대한 직접적인 수출이 가능한 곳은 상해나 항주 같이 중국에서 허가한 무역항 도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내륙까지 시장을 확대하기는 불가능하지만 같은 언어권인 대만을 거치면 보다 쉽게 바이어나 에이전트를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인맥을 통한 꽌시와 수수료 명목으로 뒷돈을 요구하는 중국 바이어의 관행은 자금 순환이 원활치 않은 중소기업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11-3 LGC 프로젝트 종합 의견 및 전망

우리 lsquoEST팀은 출국 전 국내 화장품 시장 조사를 할 때 대덕 밸리 스타트업 기업 셀아이콘 랩의 영향으로 대만의 화장품 산업에 대해 큰 관심과 가능성을 보고 2015년 1월 5일부터 1월 13일까지 8박9일이라는 시간동안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 나라 중에 하나인 대만에서 rsquo대만의 화장품 시장lsquo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사를 했다 대만에서는 3개의 기업 (KOTRA SISDORA WABFENIX) 을 방문해 전반적인 대만의 화장품 시장과 판매전략 한류에 대한 보다 사실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1개의 대학 (국립성공대학 國立成功大學)에서 MBA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전망을 주제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또 타이난에서는 대만에서 오랫동안 사업하시는 한인협회 회장을 만나 PLC (Product Life Cycle)를 통해 대만에서의 특정 시장이 도입기에 있는지 또 어떠한 시장이 쇠퇴기에 놓여있는지 다양한 시야에서 대만시장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노력은 CK 사업단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교육부 CK-1 프로젝트의 일부인 Linton Global Challenge는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몇 년을 내다보는 지속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기업들과 더욱 더 활발한 교류와 연구를 한다면 기업과 CK 사업단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리라고 본다

1 개인 탐방 후기 (팀원 개인 소감)

1-1 개인 탐방 후기

강성민탐방 후기 기업 컨택 부터 인터뷰 일정 계획까지 8박 9일간의 대만 화장품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 출국 전까지 준비 과정부터 탈도 많았고 대만에 와서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 원하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매일이 항상 회의와 고민의 연속이었다 하루하루 충실히 계획을 진행시켜 나갔고 좋은 팀 분위기 속에서 무사히 대만 프로

부록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2 -

젝트를 완수했다 그리고 마침내 한국으로 돌아왔다 과정은 항상 오르막 길이였지만 돌이켜 보면 마지막 대학 시절을 기념할만한 좋은 추억이자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느끼는 바가 많았던 프로젝트로 기억 될 것이다

김은진탐방 후기 글로벌 챌린지를 한마디로 정의하라고 한다면 도종환 시인의 lsquo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lsquo라는 시가 떠오른다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대만기업컨택 설문조사 등 많은 것을 경험했다 처음엔 모든 것이 나에겐 버거운 산이라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도전이 계속 될수록 이젠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이 모든 도전들에 흥미가 생겼다 나 자신도 책임감과 자신감이 생기고 한층 성숙해 진 것을 내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소중한 동료와 추억은 평생 나의 가슴속에 남을 것이다 우린 앞으로도 많이 도전하고 경험하여 우리들의 삶이 활짝 만개하리라 다짐한다 끊임없이 도전하는 20대의 청춘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프로그램이었다 김종선탐방 후기 한국에서 준비하면서 조사했던 내용과 비교하며 인터뷰를 해보니 실제로 많이 다른 부분도 있었고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 비슷한 내용도 있었다 현지의 기업들을 방문해 우리가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직접 매장에 가서 느껴보니 앉아서 컴퓨터만 볼 때랑 많이 달랐다 그리고 직접 대만인들에게 설문조사를 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그리고 대만의 실제 문화와 환경 그들의 생활을 잠시나마 볼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

구명우탐방 후기 며칠간의 꿈만 같았던 대만에서의 시간이 지나갔다 대만으로 출국하기 전 사전조사 기간에는 확신이 없었다 사전조사와 기업과의 인터뷰 그리고 9일간의 일정조율 및 숙박과 모든 대만에서의 연구와 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보고서까지 무엇하나 확신이 드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도전과 해결능력을 배웠고 아시아에서 급성장 중인 대만에 대해서 배우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다음기수로 가게 될 관심 있는 학우들에게 진심으로 추천해주고 싶다

이규현탐방 후기 CK-1 프로그램 중 하나인 lsquo린튼 글로벌 챌린지lsquo 프로그램을 통해 약 8박 9일이라는 시간 동안 emerging market 중 하나인 대만에 거주하면서 한국 화장품의 대만시장 점유율과 진출 가능성을 몸으로 체감하고 자료들을 모아 통계 내어 정리할 수 있었다 우리 팀 lsquoEST가 성공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충분한 국내조사 기간을 갖고 대만의 화장품 회사들을 방문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대만의 특정한 기업을 찾기도 어려웠고 기업 컨택은 번번히 거절당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회사 두 군데에서는 답장조차 오지 않았고 설문조사할 때에는 반한감정의 대만인을 만나 고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팀의 단결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리더의 통솔력으로 정해진 스케줄대로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회사를 방문하고 학교교수를 만나고 길거리에서 설문조사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팀원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또한 대학생으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을 한 것 같아서 스스로도 너무 뿌듯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팀을 믿고 지지해주신 LGSB 교수님들과 CK-1 프로그램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영은탐방 후기 처음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렇게 준비는 열심히 하지만 정말 우리가 계획한 100대로 대만을 다녀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기우가 무색하게도 대만은 우리에게 기획안 그 이상의 것들을 보여주었다 사장님들의 생생한 사업 이야기와 대만의 색채가 묻어있는 아이템들 하며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여 알아보는 비즈니스 마켓의 현장은 나에게 두고두고 잊지 못할 자산으로 남았다 또한 펑리수 버블티를 비롯한 대만의 맛있는 먹거리들과 스린 야시장이나 지우펀 같은 명소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열심히 고생해준 팀원들과의 추억들도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3 -

이서우탐방 후기 이번 글로벌 첼린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서 쉽게 할 수 없는 해외 기업 탐방과 해당 국가의 산업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임효진탐방 후기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팀이 대만을 방문 한다고 했을 때 많이 의아해 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만을 직접 방문해보고 많은 사업자들을 만난 결과 대만은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라고 생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아직 공산주의라는 정치적 특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다른 곳보다 훨씬 어렵지만 대만은 자유시장체제 이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쉽다 특히 외국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만 시장에서 한국제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추고 중국 시장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성공가능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그리고 대만의 바이어들을 통해 중국의 시장진출을 하게 된다면 사업자가 직접 중국시장에 진출 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성공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만은 문화적으로 다른 아시아권보다 선진화 되었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대도시에 속하지만 모두다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골고루 섞여 대만만의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차안호탐방 후기 9박 10일간의 대만을 다녀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넓고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이번 대만 여행은 처음으로 경험한 해외여행 경험이여서 그런지 순탄치 않은 면도 있었지만 팀원들 서로가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만시장은 중국시장으로 가기위한 좋은 시험의 장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대만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영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더 나아가 미래에는 중국어야말로 영어와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성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또 하나 놀란 점은 대만이 반 한류 감정을 많이 갖고 있는 줄 알았지만 대부분의 대만 일반 시민들이 굉장히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에 놀랐고 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CK-1 사업의 챌린지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대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계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보완점 및 건의사항 (문제점개선책건의사항)

2-1 기업 컨택의 어려움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에 있는 기업과 연결하여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대해서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조사 및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시간을 내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로써 그들의 귀한시간이 아깝게 쓰이지 않을 것을 강조하여 만남을 만들어야 한다

2-2 사업단과 의사소통의 불편함

Challeng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CK-1 사업단과의 지속되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가령 누군가를 통해서 전해지는 소문이나 촉박한 시간을 제시하고 일 처리를 원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단과 각 팀의 대표간의 분명한 의사소통과 증빙자료 등이 필요하다

2-3 정보 부재 이번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이머징 마켓에서의 유망 산업 조사 및 연구였다 대만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52: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2 -

젝트를 완수했다 그리고 마침내 한국으로 돌아왔다 과정은 항상 오르막 길이였지만 돌이켜 보면 마지막 대학 시절을 기념할만한 좋은 추억이자 선물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느끼는 바가 많았던 프로젝트로 기억 될 것이다

김은진탐방 후기 글로벌 챌린지를 한마디로 정의하라고 한다면 도종환 시인의 lsquo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lsquo라는 시가 떠오른다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하면서 대만기업컨택 설문조사 등 많은 것을 경험했다 처음엔 모든 것이 나에겐 버거운 산이라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도전이 계속 될수록 이젠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이 모든 도전들에 흥미가 생겼다 나 자신도 책임감과 자신감이 생기고 한층 성숙해 진 것을 내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 소중한 동료와 추억은 평생 나의 가슴속에 남을 것이다 우린 앞으로도 많이 도전하고 경험하여 우리들의 삶이 활짝 만개하리라 다짐한다 끊임없이 도전하는 20대의 청춘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프로그램이었다 김종선탐방 후기 한국에서 준비하면서 조사했던 내용과 비교하며 인터뷰를 해보니 실제로 많이 다른 부분도 있었고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 비슷한 내용도 있었다 현지의 기업들을 방문해 우리가 궁금한 것을 물어보고 직접 매장에 가서 느껴보니 앉아서 컴퓨터만 볼 때랑 많이 달랐다 그리고 직접 대만인들에게 설문조사를 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그리고 대만의 실제 문화와 환경 그들의 생활을 잠시나마 볼 수 있어 좋은 경험이었다

구명우탐방 후기 며칠간의 꿈만 같았던 대만에서의 시간이 지나갔다 대만으로 출국하기 전 사전조사 기간에는 확신이 없었다 사전조사와 기업과의 인터뷰 그리고 9일간의 일정조율 및 숙박과 모든 대만에서의 연구와 조사 그리고 최종적으로 보고서까지 무엇하나 확신이 드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도전과 해결능력을 배웠고 아시아에서 급성장 중인 대만에 대해서 배우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다음기수로 가게 될 관심 있는 학우들에게 진심으로 추천해주고 싶다

이규현탐방 후기 CK-1 프로그램 중 하나인 lsquo린튼 글로벌 챌린지lsquo 프로그램을 통해 약 8박 9일이라는 시간 동안 emerging market 중 하나인 대만에 거주하면서 한국 화장품의 대만시장 점유율과 진출 가능성을 몸으로 체감하고 자료들을 모아 통계 내어 정리할 수 있었다 우리 팀 lsquoEST가 성공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충분한 국내조사 기간을 갖고 대만의 화장품 회사들을 방문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대만의 특정한 기업을 찾기도 어려웠고 기업 컨택은 번번히 거절당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회사 두 군데에서는 답장조차 오지 않았고 설문조사할 때에는 반한감정의 대만인을 만나 고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팀의 단결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리더의 통솔력으로 정해진 스케줄대로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서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회사를 방문하고 학교교수를 만나고 길거리에서 설문조사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팀원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또한 대학생으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을 한 것 같아서 스스로도 너무 뿌듯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팀을 믿고 지지해주신 LGSB 교수님들과 CK-1 프로그램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영은탐방 후기 처음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계획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렇게 준비는 열심히 하지만 정말 우리가 계획한 100대로 대만을 다녀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기우가 무색하게도 대만은 우리에게 기획안 그 이상의 것들을 보여주었다 사장님들의 생생한 사업 이야기와 대만의 색채가 묻어있는 아이템들 하며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여 알아보는 비즈니스 마켓의 현장은 나에게 두고두고 잊지 못할 자산으로 남았다 또한 펑리수 버블티를 비롯한 대만의 맛있는 먹거리들과 스린 야시장이나 지우펀 같은 명소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열심히 고생해준 팀원들과의 추억들도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3 -

이서우탐방 후기 이번 글로벌 첼린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서 쉽게 할 수 없는 해외 기업 탐방과 해당 국가의 산업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임효진탐방 후기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팀이 대만을 방문 한다고 했을 때 많이 의아해 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만을 직접 방문해보고 많은 사업자들을 만난 결과 대만은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라고 생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아직 공산주의라는 정치적 특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다른 곳보다 훨씬 어렵지만 대만은 자유시장체제 이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쉽다 특히 외국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만 시장에서 한국제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추고 중국 시장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성공가능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그리고 대만의 바이어들을 통해 중국의 시장진출을 하게 된다면 사업자가 직접 중국시장에 진출 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성공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만은 문화적으로 다른 아시아권보다 선진화 되었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대도시에 속하지만 모두다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골고루 섞여 대만만의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차안호탐방 후기 9박 10일간의 대만을 다녀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넓고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이번 대만 여행은 처음으로 경험한 해외여행 경험이여서 그런지 순탄치 않은 면도 있었지만 팀원들 서로가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만시장은 중국시장으로 가기위한 좋은 시험의 장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대만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영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더 나아가 미래에는 중국어야말로 영어와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성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또 하나 놀란 점은 대만이 반 한류 감정을 많이 갖고 있는 줄 알았지만 대부분의 대만 일반 시민들이 굉장히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에 놀랐고 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CK-1 사업의 챌린지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대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계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보완점 및 건의사항 (문제점개선책건의사항)

2-1 기업 컨택의 어려움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에 있는 기업과 연결하여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대해서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조사 및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시간을 내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로써 그들의 귀한시간이 아깝게 쓰이지 않을 것을 강조하여 만남을 만들어야 한다

2-2 사업단과 의사소통의 불편함

Challeng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CK-1 사업단과의 지속되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가령 누군가를 통해서 전해지는 소문이나 촉박한 시간을 제시하고 일 처리를 원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단과 각 팀의 대표간의 분명한 의사소통과 증빙자료 등이 필요하다

2-3 정보 부재 이번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이머징 마켓에서의 유망 산업 조사 및 연구였다 대만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53: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3 -

이서우탐방 후기 이번 글로벌 첼린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면서 쉽게 할 수 없는 해외 기업 탐방과 해당 국가의 산업을 조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임효진탐방 후기 많은 사람들이 중국의 급격한 성장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팀이 대만을 방문 한다고 했을 때 많이 의아해 했다 중국이 아닌 대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만을 직접 방문해보고 많은 사업자들을 만난 결과 대만은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라고 생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아직 공산주의라는 정치적 특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다른 곳보다 훨씬 어렵지만 대만은 자유시장체제 이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쉽다 특히 외국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대만 시장에서 한국제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추고 중국 시장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성공가능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그리고 대만의 바이어들을 통해 중국의 시장진출을 하게 된다면 사업자가 직접 중국시장에 진출 하는 것 보다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성공확률을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대만은 문화적으로 다른 아시아권보다 선진화 되었있음을 알 수 있었다 큰 대도시에 속하지만 모두다 여유를 가지고 살아가고 중국과 일본의 문화가 골고루 섞여 대만만의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색다르게 느껴졌다

차안호탐방 후기 9박 10일간의 대만을 다녀와서 느낀 것은 세상은 넓고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이번 대만 여행은 처음으로 경험한 해외여행 경험이여서 그런지 순탄치 않은 면도 있었지만 팀원들 서로가 도움을 주고 어려움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무엇보다 대만시장은 중국시장으로 가기위한 좋은 시험의 장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대만정부의 정책이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뷰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영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더 나아가 미래에는 중국어야말로 영어와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성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또 하나 놀란 점은 대만이 반 한류 감정을 많이 갖고 있는 줄 알았지만 대부분의 대만 일반 시민들이 굉장히 친절하게 대해주는 것에 놀랐고 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CK-1 사업의 챌린지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대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계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2 보완점 및 건의사항 (문제점개선책건의사항)

2-1 기업 컨택의 어려움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에 있는 기업과 연결하여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대해서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끼고 조사 및 연구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연결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학생들에게 시간을 내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로써 그들의 귀한시간이 아깝게 쓰이지 않을 것을 강조하여 만남을 만들어야 한다

2-2 사업단과 의사소통의 불편함

Challenge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CK-1 사업단과의 지속되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가령 누군가를 통해서 전해지는 소문이나 촉박한 시간을 제시하고 일 처리를 원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단과 각 팀의 대표간의 분명한 의사소통과 증빙자료 등이 필요하다

2-3 정보 부재 이번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은 이머징 마켓에서의 유망 산업 조사 및 연구였다 대만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54: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4 -

경우 아시아 권 내에서도 굉장히 발전해 있는 나라였기에 사전 조사 시 교통이나 시장 숙박 음식 등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막 이머징 마켓의 반열로 들어선 나라에 관한 정보는 많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전문적인 인력이나 방법을 찾아서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2-1 확실하지 않은 일처리 Linton Global Challenge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에 도착

해서 기업의 대표와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시장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장 어렵고 번거로웠던 일은 바로 출국 전 준비하면서 생기는 일정변화와 갑작스러운 통보와 같은 것들이었다 예를 들어 ldquo-ESTrdquo의 경우 함께 동행하는 지도교수가 2번이나 바뀌었고 그 중 한번은 비행기 일정까지 잡아둔 상태에서 지도교수가 바뀐 경우가 있었다 또한 예산에 대한 얘기와 인원수에 관한 얘기들도 명확하게 한 번에 내려온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주최 측의 깔끔하지 못한 일처리는 모든 일정을 직접 준비하는 학생들 입장에서 굉장히 큰 혼동과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사업단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55: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5 -

3 여행 시 주의사항 (현지 문화)

3-1 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늦음(Summer Time 실시 안함)

3-2 환전

한국에서 환전이 가능하나 취급하는 은행이 적음 정부 지정은행이나 호텔에서 환전 가능하며 환전 영수증은 출국 전 사용하지 않은 대만달러를 환전하기 위해 제시해야 함 명동에 있는 사설환전소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환전 가능하지만 위폐의 위험이나 본인이 환율에 잘 모를 경우 환전 상인에게 돈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되도록 은행에서 우대쿠폰을 활용하여 환전하는 것을 권장 백화점에서도 환전이 가능하나 환전수수료가 높은 편이다

3-3 교통수단

택시 택시가 많은 편이므로 시내 어느 곳에서도 쉽게 이용 가능 시간 거리 병산제이며 기본요금은 타이베이의 경우 NT$ 70

버스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차내 전자 안내판 또는 안내 방송 등 운행노선안내가 잘 되어있음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여 2구간 이용할 경우 승하차시 각각 요금을 지불해야함 거스름돈이 따로 나오지 않으므로 미리 잔돈을 준비하여야 함

지하철 (MRT) 타이베이와 가오슝 2개 지역에서 이용가능하며 구간별로 요금이 상이하다 이지카드를 구입한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므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56: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6 -

3-4 전기

110V 60Hz (220V용 전기제품의 경우 콘덴서가 필요 멀티탭을 준비해가면 좋다)

3-5 에티켓

대만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만인들의 삶은 아직도 전통적인 중국인의 가치에 영향을 받고 있다 만약 지역인과 교류를 하려면 아직도 고려해야 할 미신적인 금기가 남아 있다 첫째로 대만인들은 죽음에 아주 미신적이다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누군가의 이름을 빨간 잉크로 쓰는 것은 관습에 위배되고 밤에 휘파람을 부는 것은 악마의 영혼을 부르는 것으로 믿어진다 술은 대만의 사회적 생활에서 일상적인 일이지만 과음을 하는 것은 저속한 행동으로 여겨진다 누군가를 처음 만났다면 악수가 일반적인 인사법이다

3-6 식사예절

앞서 말했다 시피 대만의 미신적인 금기를 잘 기억해야한다 식사예절에서도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젓가락을 밥그릇 안에 꽂아서는 안된다 항상 젓가락은 밥그릇 언저리 또는 옆에 내려놓아야 한다

thorn 은행 0900에서 15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우체국 0800에서 1800 월요일 - 금요일 thorn 백화점 상점 1000에서 2200 월요일 - 토요일 thorn 박물관 0900에서 1700 화요일 - 일요일 thorn 사무소 0900에서 1530 월요일 - 금요일thorn 경찰 110

3-7 대만 여행 시 유의사항

실외는 무덥고 습한 반면 실내는 다소 추울정도로 냉방이 강하므로 가벼운 긴팔 겉옷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여름과 겨울에는 비가 자주 오므로 우산을 준비하는 것이 좋음 대체적으로 치안상태가 양호 구획정리가 잘 되어 있어 주소만 가지고도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음 타이베이 주소중 타이베이 中山路와 忠孝路를를 기점으로 東路(East Road) 西路(West Road) 南路

(South Road) 北路(North Road)로 분기 1段(Section 1)은 타이베이시 중심에서 가까움을 의미하고 숫자가 커질수록 중심에서 멀어짐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57: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7 -

4 컨택 시 유의사항 (비즈니스 측면)

4-1 상담계약 체결 시 유의할 점

1) 적합한 방문 시기 대만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음력설인 lsquo춘절rsquo이 가장 중요한 명절이며 중국에서는 잊혀진 풍습이지만 춘절

을 앞두고 한달 동안 lsquo웨이야(尾牙)rsquo라고 불리는 일종의 송년회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는 회사 내부 송년회와 거래처와의 회식 등으로 대만 사회가 흥청거리는 기간이므로 비즈니스 출장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연말연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기업 내부 결산 및 계획수립 등으로 기업이 바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대만에서는 음력 7월을 lsquo귀신의 달(鬼月)rsquo 이라고 지칭하여 귀신이 구천에 떠돈다고 믿는다 따라서 귀신의 달에는 결혼 이사 매매 계약 해외여행 등을 피하는 경향이 농후하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물놀이 배타기 저녁에 빨래 후 바깥에다 말리기 등을 금기시하기도 하는 등 매우 조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개별 기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만과 상거래 시 이러한 풍습을 염두 해 둘 필요가 있다

2) 미국일본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 대만 바이어들은 미국 및 일본 제품에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한국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인정하면

서도 기본적으로 미국 일본 제품 보다 50~85 정도의 가격 선에서 거래를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제품의 AS가 미흡한 점 품질의 불안정성 등을 이유로 가격을 터무니없이 낮게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만 바이어와 상담할 때는 일본 미국 관련제품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자료 및 대일 대미 수출실적 등을 제시하여 한국산 제품이 품질상 문제가 없음을 입증하고 AS에 대해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미일제품의 맹목적 선호로 인한 저가격 책정을 초기에 무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통상적인 대금 결제방식 및 Quotation 방식 대만 바이어들은 통상 LC 또는 TT로 대금을 결제하므로 대만 바이어와 거래 시 대금결제가 문제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만 바이어들은 소액거래의 경우에도 Quotation시 FOB CIF 등 거래조건을 매우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지 관행에 따라 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만업체와 거래 시 반드시 모든 항목에 있어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 주문량 선적시기 등과 같이 숫자가 들어간 항목에 있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외국어 능력이 충분 하지 않을 경우 중국어가 능숙한 인력을 동원해 언어상의 오해소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신용장 거래를 악용한 사기피해가 발생한 바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만기업이 산업쓰레기를 선적하여 보낸 이후 마치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것처럼 꾸며 대금을 착취 국내기업 수개사가 수십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 외에도 불량품을 보내고는 책임을 떠넘기는 등 다양한 사기유형이 밝혀진 바 있어 대만기업과의 거래시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4-2 바이어 상담 시 유의사항

1) 첫 접촉 시에는 우편으로 모든 자료 송부 대부분의 한국 업체는 첫 바이어 접촉 시 팩스 1장이나 E-MAIL로 간략한 회사소개 및 일반적인 인사

말 등을 보낸 후 관심 있을 경우 연락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첫 접촉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바이어로부터 좀처럼 관심을 끌기가 어렵다 대만에서는 각종 광고물 등이 수시로 팩스나 이메일로 접수되기 때문에 보통 중요한 서류 등은 번거롭지만 대부분 우편으로 주고받고 있어서 번거롭더라도 회사소개서 또는 거래제의서를 영문 카탈로그 가격표 필요 시 샘플 등과 함께 우편으로 발송하는 것이 훨씬 격식 있고 대만기업에게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중요

바이어 접촉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정확한 수입(구매) 담당자를 파악하여 동 담당자의 개인 이메일 주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58: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8 -

소 및 직통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를 알아내는 것이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은 SALES MARKETING PURCHASING 부문의 담당자가 별도로 있으며 품목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서도 담당자가 다를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담당자를 파악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만에서는 실제 담당자와의 접촉 없이는 일의 진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담당자 휴가 등 부재 시 다른 직원이 대신 업무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거의 없음) 담당자에게 권한이 많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담당자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접촉 시에는 구매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표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독점 에이전트는 신중하게

대만 바이어들은 상품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대부분 독점 에이전트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기업이 대만 바이어의 적극적인 자세와 초기 오더에 끌려 선뜻 독점권을 줬다가 이후에 실적 부진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가능한 복수의 에이전트를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상호 경쟁시키거나 판매망을 상호 보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 일본 업체들은 복수 대리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4) 장기적인 신뢰관계 구축이 중요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시장의 특성상 소량주문이 많은 편이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 여력이 없어서라는 이유도 있지만 일단 소량 주문 후 시장반응을 보면서 거래를 확대시키는 신중성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번 거래를 맺으면 관계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로서는 소량 주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3 기업문화

1) 도전과 상생의 기업문화 - 안정적인 직장과 기득권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 교수 공무원 등의 민간기업 CEO 또는 경영진으로의 도전 및 전직현상 - 공동구매 분할생산 공동납품 등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장기간 축적된 경험의 공유

2) 노동시장의 유연성 - CEO의 결정만으로 위기대처능력 확보가능 - 노사분쟁 우려가 없으며 근로자들의 실용적이고 유연한 사고 보유

3) 노동생산성 분야의 경쟁력 미흡 - 매뉴얼화된 업무추진 관행으로 창의적인 업무추진 미흡 - Job sharing 개념의 노동인구 과다에 따른 생산성 저하 4) 중소기업 강국 - 대만 전체 기업 중 약 98가 중소기업이며 전체 취업인구 중 76 이상이 중소기업에 종사 - 대만이 lsquo중소기업의 강국rsquo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정부 차원의 중소기업 정책이 유독 잘 정비되어 있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자유방임적인 기업 문화 아래 창업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5) 자유롭고 치열한 경쟁 - 대만은 정부의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업체 상호간의 자유경쟁의 환경을 조성 - 대만 시장은 서구화되고 개방된 시장구조로 세계 유명 브랜드들의 테스트 마켓의 기능을 하고 있어 이들의 각축장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함

6) 높은 국제화 수준 - 국제적인 화교 네트워크 보유 - 외국어 구사능력 및 외국인에 대한 친절도 - 외국상품과 문화에 대한 친밀도 - 주요기업의 국제적 네트워킹 및 협력에 대한 높은 관심

7) 화교 네트워크의 중심 - 대만은 화교 경제와 문화권의 중심으로 대만과의 교역은 중국 동남아 북미 등의 또 다른 상권지역의 유통망을 확보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님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

Page 59: 해 외 탐 방 보 고 서 - gb.hannam.ac.krgb.hannam.ac.kr/sub2/EST.pdfChaCha를 방문하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수도 타이베이(Taipei,

2014 Linton Global Challenge「CK-1 사업」

- 59 -

4-4 KOTRA 무역관 에피소드

1) 대만의 바이어는 진중하다 대만 바이어들은 대부분 매너가 좋은 편이다 그러나 굉장히 신중하다 중국과 대만 바이어 차이점을 보

면 본인에 맡겨주면 중국시장을 통째로 가져다 준다는 능력을 강조하는 중국 바이어와 달리 대만은 시장이 작고 규제가 많아서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바이어가 많다 이는 진중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협소한 대만이라는 시장에서 플레이어가 많지 않아 어차피 본인을 걸쳐야 유통 가능하다는 데서 오는 자신감이기도 하다 위험부담을 줄이려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장을 키워가려는 생각이다

2) 대만은 네트워크 사회이다 대만에서 사업하려면 인간관계가 아주 중요하다 인구가 많지 않은 대만은 한다리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

로 학연 지연과 인연을 우리나라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 하다 이처럼 대만 바이어들은 한번 맺어진 인연은 오래가는 것이 다른 특성이기도 하다 화려함보다 내실을 더 중요시하고 허례허식보다는 친구로 오래 가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믿고 친해지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