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J Korean Neurol Assoc / Volume 22 / June, 2004 22권 3호 대한신경과학회지 177 *Address for correspondence Ji Soo Kim, M.D., Ph.D. Department of Neur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300 Gumi-dong, Bundang-gu, Seongnam-si, Gyeonggi-do, 463-707, Korea Tel:+82-31-787-7463 Fax:+82-31-719-6828 E-mail:[email protected] *본 연구는 한국과학재단 목적기초연구(R05-2001-000-00616-0) 지 원으로 수행되었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김 지 수 Nystagmus Ji Soo Kim, M.D., Ph.D. Department of Neurolog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ngnam, Korea Nystagmus refers to repetitive, to-and-fro movements of the eyes that are initiated by slow phases. The returning eye movements may be saccades (jerky nystagmus) or slow eye motion (pendular nystagmus). Nystagmus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the saccadic intrusions or oscillations that are initiated by saccades. Physiologic nystagmus may occur during rotational, caloric, and optokinetic stimuli. However, most nystagmus indicates underlying pathology. The clinical examination for pathologic nystagmus should include a systematic study of changes in fixation, eye position, and head position. Head shaking, hyperventilation, vibration, and loud noise may trigger nystagmus. Although nystagmus is often described by the direction of its quick phases, it is the slow phases that reflect the underlying disorder. Differentiating peripheral from central nystagmus is most important in clinical practice. Peripheral nystagmus is mixed torsional- horizontal, beating away from the lesion side. Pure vertical, pure torsional, pure horizontal, and direction-changing nystagmus signify central lesions. Careful observation of nystagmus gives valuable information on the underlying pathology. J Korean Neurol Assoc 22(3):177191, 2004 Key Words: Nystagmus 안구운동의 궁극적인 역할은 망막 중에서도 가장 좋 은 시력을 보유하고 있는 중심오목(fovea centralis)에 보고자 하는 물체의 상을 맺는 데 있다. 안구운동계에 이 상이 생기면 안구는 원하는 위치에 머물러 있지 못하고 물체의 상이 중심오목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므로, 이를 교정하기 위한 안구운동이 발생한다. 이러한 안구의 요 동은 매우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으나, 주시점으 로부터 벗어나는 안구운동이 느린 안구운동(slow eye movement)인지 아니면 신속운동(saccades)인지에 따라 안진(nystagmus)과 속진(saccadic oscillation)으로 분류 한다. 안진은 말초전정기관으로부터 대뇌에 이르는 복잡한 안구운동계의 이상을 반영하는 매우 예민한 증후이므로, 평형장애 환자에서 기질적 질환의 여부를 밝히는 데 결 정적인 역할을 한다. 또한 일부 안진은 특정 부위의 병변 에서만 관찰되므로, 병변 부위를 예측하거나 원인 질환 을 감별하는 데 도움이 되기도 한다. 안진은 원인, 양상 및 병변 부위에 따라 다양하게 분 류할 수 있으나, 크게 생리적 안진과 병적 안진으로 구 분하고, 병적 안진은 다시 중추성과 말초성으로 분류한 다. 생리적 안진은 개체가 계속해서 회전하는 상황에서 와 같이 안구가 안와의 한쪽으로 치우쳐(contraversive deviation) 정상적인 안구 운동이 일어날 수 없을 때 이를 교정하기 위하여 속상(quick phase)에 의해 안구를 다시 안와의 중앙에 위치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몸이 회 전하는 동안에 물체의 상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작

안 진안 진 22권 3호 대한신경과학회지 179 Figure 4.Hallpike maneuver. During the maneuver, the head is turned 45 toward the examiner and is moved into the position with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안 진안 진 22권 3호 대한신경과학회지 179 Figure 4.Hallpike maneuver. During the maneuver, the head is turned 45 toward the examiner and is moved into the position with

J Korean Neurol Assoc / Volume 22 / June, 2004

22권 3호 대한신경과학회지 177

*Address for correspondence

Ji Soo Kim, M.D., Ph.D.

Department of Neur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300 Gumi-dong, Bundang-gu, Seongnam-si, Gyeonggi-do,

463-707, Korea

Tel:+82-31-787-7463 Fax:+82-31-719-6828

E-mail:[email protected]

*본 연구는 한국과학재단 목 기 연구(R05-2001-000-00616-0) 지

원으로 수행되었음.

안 진

서울 학교 의과 학 신경과학교실

김 지 수

Nystagmus

Ji Soo Kim, M.D., Ph.D.

Department of Neurolog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ngnam, Korea

Nystagmus refers to repetitive, to-and-fro movements of the eyes that are initiated by slow phases. The returning eye movements may be saccades (jerky nystagmus) or slow eye motion (pendular nystagmus). Nystagmus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the saccadic intrusions or oscillations that are initiated by saccades. Physiologic nystagmus may occur during rotational, caloric, and optokinetic stimuli. However, most nystagmus indicates underlying pathology. The clinical examination for pathologic nystagmus should include a systematic study of changes in fixation, eye position, and head position. Head shaking, hyperventilation, vibration, and loud noise may trigger nystagmus. Although nystagmus is often described by the direction of its quick phases, it is the slow phases that reflect the underlying disorder. Differentiating peripheral from central nystagmus is most important in clinical practice. Peripheral nystagmus is mixed torsional- horizontal, beating away from the lesion side. Pure vertical, pure torsional, pure horizontal, and direction-changing nystagmus signify central lesions. Careful observation of nystagmus gives valuable information on the underlying pathology.J Korean Neurol Assoc 22(3):177~191, 2004

Key Words: Nystagmus

종 설

서 론

안구운동의 궁극 인 역할은 망막 에서도 가장 좋

은 시력을 보유하고 있는 심오목(fovea centralis)에

보고자 하는 물체의 상을 맺는 데 있다. 안구운동계에 이

상이 생기면 안구는 원하는 치에 머물러 있지 못하고

물체의 상이 심오목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므로, 이를

교정하기 한 안구운동이 발생한다. 이러한 안구의 요

동은 매우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으나, 주시 으

로부터 벗어나는 안구운동이 느린 안구운동(slow eye

movement)인지 아니면 신속운동(saccades)인지에 따라

안진(nystagmus)과 속진(saccadic oscillation)으로 분류

한다.

안진은 말 정기 으로부터 뇌에 이르는 복잡한

안구운동계의 이상을 반 하는 매우 민한 증후이므로,

평형장애 환자에서 기질 질환의 여부를 밝히는 데 결

정 인 역할을 한다. 한 일부 안진은 특정 부 의 병변

에서만 찰되므로, 병변 부 를 측하거나 원인 질환

을 감별하는 데 도움이 되기도 한다.

안진은 원인, 양상 병변 부 에 따라 다양하게 분

류할 수 있으나, 크게 생리 안진과 병 안진으로 구

분하고, 병 안진은 다시 추성과 말 성으로 분류한

다. 생리 안진은 개체가 계속해서 회 하는 상황에서

와 같이 안구가 안와의 한쪽으로 치우쳐(contraversive

deviation) 정상 인 안구 운동이 일어날 수 없을 때 이를

교정하기 하여 속상(quick phase)에 의해 안구를 다시

안와의 앙에 치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몸이 회

하는 동안에 물체의 상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해 작

Page 2: 안 진안 진 22권 3호 대한신경과학회지 179 Figure 4.Hallpike maneuver. During the maneuver, the head is turned 45 toward the examiner and is moved into the position with

김지수

대한신경과학회지 22권 3호 178

Figure 1. Various wave forms of nystagmus. (A) constant slow phase velocity (peripheral and central nystagmus), (B) decelerating slow phase (gaze-evoked nystagmus), (C) accelerating slow phase (congenital nystagmus), (D) pendular (congenital and acquired nystagmus).

동하는 생리 안진에는 회 정안진(per-rotatory

nystagmus)과 시운동성안진(optokinetic nystagmus)이

있다. 반면에 병 안진에서는 물체의 상이 심오목에

안정되게 머물러 있지 못하고 망막에서 흐르게 되므로

(retinal slip, 상유동), 어지럼증, 시력감소 진동시

(oscillopsia)가 발생한다. 시선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

할을 하는 안구운동 기 으로는 정안반사(vestibulo-

ocular reflex), 시선고정(fixation)과 신경 분체(neural

integrator)가 있다.1 정안반사는 머리가 움직이는 반

방향으로 안구운동을 유발하여 머리가 움직이는 동

안 시선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시선고정은

상유동을 인지하여, 교정성 안구운동을 발생시키고, 물

체로부터 시선을 벗어나게 하는 불필요한 안구운동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신경 분체는 안구가 안와 내의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 물체를 바라볼 때 시선을 유지시

키는 기능을 한다. 일반 으로 상유동의 속도가 당 5°

이상일 경우 시력 장애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

나, 진동시의 정도는 개인마다 차이가 있다.1

안진의 생리

느린 안구운동에는 정안반사, 원활추종운동(smooth

pursuit), 시운동성 안진, 이명성 안구운동(vergence) 등

이 있으며, 이들 어떤 안구운동계의 이상도 안진을 유

발할 수 있다. 안구가 앙에 치하고 있을 때는 정신

경계의 불균형에 의해 안진이 발생하는 경우가 가장 흔

하며, 드물게 원활추종운동의 이상도 안진을 유발할 수

있다.2-4 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 상태를 유지하기

해서는 외안근에 한 긴장성 지배를 담당하는 신경

분체의 기능이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신경 분체의

이상은 편측 주시에서 안진을 발생시킨다.

서상(slow phase)에 의해 안구의 치가 주시 에서

벗어난 다음, 안구를 다시 원래의 치로 되돌리는 안구

운동이 느린 안구운동인지 아니면 신속운동인지에 따라

안진을 시계추안진(pendular nystagmus)과 충동안진

(jerky nystagmus)으로 분류한다. 충동안진은 서상의 가

속 양상에 따라 세분할 수 있으나, 임상에서 단하기는

어려운 경우가 많다(Fig. 1). 안진의 방향은 수직, 수평

회선(torsional) 성분으로 구분하며, 이러한 성분들이

복합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흔하다. 충동안진에서 병

상을 반 하는 것은 안진의 서상이나, 안진의 방향은

례상 교정성 속 성분(속상)의 방향으로 정한다. 일

반 으로 수직 안진은 제일 안 에서 찰되는 안진만

을 지칭하는 것이므로, 수직 방향의 주시에 의해 유발되

는 안진은 주시 유발성 하방 는 상방 안진으로 표기하

여야 한다. 안진은 안진의 방향으로 쳐다볼 때 증가되는

경향을 보인다(Alexander law).

병력 청취와 진찰

환자를 진찰할 때는 안진이 생긴 지 얼마나 되었는지,

물체가 흔들려 보이지는 않는지(진동시), 시력은 정상인

지, 다른 신경학 증상들이 동반되는지에 해 물어보

아야 한다. 일반 으로 진동시는 후천성 안진에서 찰

되며, 선천성 안진에서는 드물다. 진동시가 있을 때는 가

까운 물체를 볼 때 심해지는지, 아니면 멀리 치한 물체

를 볼 때 심해지는지를 물어보고, 주시 방향에 따른 악화

양상도 악하여야 한다. 선천성 안진의 진단에서는 어

렸을 때 자발 안구운동의 존재, 사시와 안구 수술 여부가

요하다. 특히 항경련제와 같은 약제의 사용 여부는 병

력 청취에서 요한 부분이다.

안진을 검사하기 에 우선 환자의 두 (head posture)

에 이상이 있는지를 찰하고, 시력, 시야, 색각 등 시각

계의 기능에 이상이 있는지를 검사한다. 한 사시 유무

와 안구운동이 범 에서 이루어지는지 살핀다. 안진

을 검사할 때는 우선 안진의 양상 방향, 정도, 주시 방

향에 따른 변화를 면 하게 찰하여야 하며, 양안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한다. 양안에서 안진의 크기에 차

이가 있으면 해리안진(dissociated nystagmus), 안진의

방향에 차이가 있을 때를 이명성(disjunctive) 안진이라

한다. 잠복안진(latent nystagmus)을 확인하기 해 한

쪽 을 번갈아 가리면서 안진이 유발되는지를 찰한

다. 일부 안진은 간헐 으로 발생하므로 수분 이상 지속

인 찰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말 성과 추성 안진

의 감별에는 안진의 방향이 변하는지 여부가 요하다.

자연 으로 는 주시 방향에 따라 안진의 방향이 바

면 추성 안진을 시사한다. 말 성 병변에서는 원활추

종운동의 기능이 정상이기 때문에 시선고정에 의해 안

진이 억제된다. 따라서 말 성 안진의 정확한 찰을

해서는 Frenzel 안경이나 암실 검사 등을 통해 시선고정

을 제거하여야 한다. Frenzel 안경은 높은 도수의 볼록

Page 3: 안 진안 진 22권 3호 대한신경과학회지 179 Figure 4.Hallpike maneuver. During the maneuver, the head is turned 45 toward the examiner and is moved into the position with

안 진

22권 3호 대한신경과학회지 179

Figure 4. Hallpike maneuver. During the maneuver, the head is turned 45° toward the examiner and is moved into the position with the head directed 45° below the table while the patients islying down.

Figure 2. Frenzel glasses. Evaluation of nystagmus by using Frenzel glasses, which remove visual fixation and facilitate detection of nystagmus by magnifying eye motion.

Figure 3. Ophthalmoscopic examination of nystagmus. Covering the other eye while observing the disc of one eye would revealnystagmus without fixation. The examiner should aware that the moving direction of the disc is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nystagmus.

즈를 장착한 특수 안경으로 시선고정을 제거하는 역

할을 할 뿐만 아니라 안구의 움직임을 확 시켜 보여주

므로 안진의 찰을 용이하게 한다(Fig. 2). 반 편 을

가리거나 암실 상태에서 검안경(ophthalmoscope)으로

한쪽 의 시신경 을 찰하면 시선고정을 제거한 상

태에서 안진을 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Fig. 3).

이 경우 시신경 의 움직임은 실제로 보는 의 움직임

과 반 방향이며, 순수한 회선안진도 검안경으로 찰

할 때는 수직 방향의 안진으로 보이므로 해석에 주의하

여야 한다. 이는 안구의 후 회 축이 심오목 근처를

지나므로, 회선 방향의 안구운동에서 시신경 은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이다. 검안경을 사용하면 진폭이

10분 정도인 미세한 안구운동도 찰할 수 있다. 시신경

근처의 동맥들은 심망막동맥의 2차 분지로 굵기가

0.5° 정도에 해당되므로 검안경을 이용하여 찰할 때

안구운동의 진폭을 유추할 수 있다. 안진은 제일안 뿐

만 아니라 좌우상하 주시, 그리고 모음(convergence)

상태에서 각각 검사한다.

한 체 변환(positioning), 과호흡(hyperventilation),

두진(head-shaking), 진동(vibration), 외이도 가압(Hen-

nebert sign), 큰 소리(Tullio phenomenon) 등에 의해 안

진이 유발되거나 증폭되는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체

변환에 의한 안진 유발은 특히 체 성 훈(안진)의 진

단에 요하다. 말 성 체 성 훈의 진단을 해 가장

흔히 이용되는 방법은 Hallpike 머리 수검사이다. 눕혔

을 때 환자의 어깨가 침 끝에 닿을 수 있을 정도의

당한 치에 환자를 앉히고, 검사자는 양 손으로 환자의

양쪽 머리를 잡는다. 검사자가 선 방향으로 환자의 머리

를 45° 정도 돌린 상태에서 환자를 빠르게 뒤로 눕히면

서, 침 끝에서 환자의 머리가 45° 각도로 지면을 향하

도록 한다(Fig. 4). 술기를 하기 에는 우선 환자를 안

심시킨 상태에서 온몸의 긴장을 풀도록 한다. 한 검사

에 의해 훈이 유발되면 환자는 자동 으로 을 감는

경향이 있으므로 환자에게 검사 도 을 뜨고 있도록

이야기 해 주어야 한다. Hallpike 머리 수검사는 후반고

리 (posterior semicircular canal) 는 반고리

(anterior semicircular canal)에서 기원하는 양성체 성

훈의 진단에 유용하다. 수평반고리 (horizontal semi-

circular canal)성 양성체 성 훈에서는 환자를 바로 눕

힌 상태에서 고개를 양쪽으로 90°씩 돌리면서 검사하며,

아래쪽(geotropic) 는 쪽(apogeotropic) 귀를 향하는

수평안진이 유발된다. 이외에도 환자가 특정 자세에서

어지럼증을 호소할 경우, 환자에게 해당 자세를 취하게

Page 4: 안 진안 진 22권 3호 대한신경과학회지 179 Figure 4.Hallpike maneuver. During the maneuver, the head is turned 45 toward the examiner and is moved into the position with

김지수

대한신경과학회지 22권 3호 180

Characteristics Peripheral Central

DirectionMixed

Effect of fixationAdaptationVertigoAuditory symptomsOther neurologic deficits

Mixed torsional-horizontalChange of direction (Beating toward the intact ear)SuppressionWithin daysSevereTinnitus, Hearing lossNo

Pure vertical, torsional, or horizontalDirection-changingUnidirectional No effectOften persistentMildOften noneOften yes

Table 1. Differentiation of peripheral from central nystagmus

Figure 5. Peripheral nystagmus. Mixed torsional-horizontal nystagmus directs toward the intact ear. The nystagmus increases with gaze in the direction of nystagmus, and decreases with gaze in the opposite direction.

한 후 증상과 안진의 발생을 확인하는 것이 요하다.

안진의 발생 기 에 한 정보를 얻기 해서는 정

안반사, 신속운동, 원활추종운동과 이명성 안구운동에

한 정확한 평가가 필요하다. 이들 안구운동계의 이상

이 동반되면, 이로 인해 안진이 발생하 을 가능성이 높

기 때문이다.

안진의 분류

안진은 병변 부 , 양상, 원인, 유발 인자 여부 등에 따

라 나눠지므로 안진의 분류는 매우 복잡하다. 임상에서

는 우선 발생 양상에 의해 크게 자발안진(spontaneous

nystagmus)과 유발안진(induced nystagmus)으로 구별

하며, 각각의 안진은 병변 부 에 따라 추성과 말 성

으로 분류하는 것이 환자의 검사, 치료 후를 결정하

는데 도움이 된다.

1. 자발안진(spontaneous nystagmus)

자발안진은 특별한 유발 인자 없이 안진이 찰되는

경우이다. 자발안진에서 추성과 말 성의 감별은

Table 1과 같다.

1) 말 성 안진(peripheral spontaneous nystagmus)

말 성 안진은 병변의 반 편을 향하는 회선성 수평안

진(mixed torsional-horizontal)의 양상을 띤다. 병변의

반 편을 바라볼 때 안진이 심해지고 병변 쪽을 볼 때

약해지나, 안진의 방향이 역 되지는 않는다(Fig. 5). 말

성 안진은 추성 응 기 에 의해 개 수일 내로

호 되는 임상 경과를 취한다.

회복안진(recovery nystagmus): 회복안진은 한쪽

의 말 정기능이 손상되고 나서 회복되는 에 일시

으로 자발안진의 방향이 역 되는 상이다. 이는

정기능 손상 후 추성 보상 기능에 의해 양측 정계

사이의 불균형이 해소된 다음, 손상되었던 쪽의 정기

능이 회복되면서 반 방향으로의 불균형이 다시 유발

되기 때문이다(Bechterew 상). 이러한 안진이 찰될

때는 새로운 병변이 생긴 것으로 오인하지 않는 것이 임

상 으로 요하다.

2) 추성 안진(central spontaneous nystagmus)

추성 안진은 시선고정에 의해 약화되지 않으며, 서

상의 속도는 어둠 속에서도 같은 상태로 유지된다. 추

성 안진이 시선고정에 의해서 약화되지 않는 것은 동반

되는 원활추종운동의 장애 때문인데, 이는 정핵에서

안구운동핵으로 연결되는 신경로를 원활추종운동계와

정계가 공유하는 해부학 특성에서 비롯된다. 순수한

수직 방향의 안진이나 회선안진은 추성 병변을 시사

한다. 순수하게 수직 방향의 안진이 발생하기 해서는

양쪽 정기 에서 서로 응되는 반고리 (상방안진에

서는 양측 반고리 , 하방안진에서는 양측 후반고리

) 만이 선택 으로 침범되어야 하나 말 성 병변에서

는 이러한 가능성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Fig. 6). 마찬가

지로 순수한 회선안진은 한쪽의 후 반고리 만이 선

택 으로 손상될 때 발생하기 때문에 추성 병변을 시

사한다.

하방안진(downbeat nystagmus): 양안이 서서히

로 치우쳤다가 신속운동에 의해 원래의 치로 되

돌아 오는 형태의 안진이다. 흔히 보행장애(실조)나

시력불선명(진동시)을 호소하며, 동반된 사편시(skew

deviation)나 핵간안근마비(internuclear ophthalmoplegia;

Page 5: 안 진안 진 22권 3호 대한신경과학회지 179 Figure 4.Hallpike maneuver. During the maneuver, the head is turned 45 toward the examiner and is moved into the position with

안 진

22권 3호 대한신경과학회지 181

Figure 6. Eye motion induced by stimulating each semicircular canal. Pure vertical nystagmus is induced only when the lesion involves both anterior or posterior semicircular canals. Likewise,pure torsional nystagmus may occur when the lesion damages the anterior and posterior canals in one ear, sparing the horizontal canal. Because these situations are almost impossible to occur in peripheral lesions, pure vertical or torsional nystagmusindicates a central lesion.

INO)로 인해 복시가 발생할 수 있다. 하방안진은 정소

뇌 질환에서 흔히 발생하므로, 원활추종운동과 시운동성

안진의 장애, 정안반사 억제 장애 등이 자주 동반된

다.5 하방안진은 일반 으로 하방 주시, 모음, 측방 주

시 등에 의해 심해진다. 특히 부분의 일상 생활이 하방

주시 상태에서 이루어지므로 환자들은 상방안진에 비해

불편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고개를 뒤로 젖히거나 자

세를 바꿀 때 안진이 유발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자세한

병력을 통해 증상의 악화 요인을 찾아내는 것이 요하

다. 드물게는 하방안진이 한쪽 에서만 발생하거나, 주

기 으로 발생할 수 있다.6

하방안진은 수직반고리 의 기능을 담당하는 추성

정기능의 불균형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발생 기 으로는 첫째, 하 근에 한 긴장성(tonic)

정지배 장애나, 둘째, 상 근에 한 소뇌 편엽-소 엽

(flocculonodular lobe)의 억제성 지배 감소 등이 거론되

고 있다. 실험 으로는 제4뇌실 바닥 앙 부 의 병변

이나 소뇌 편엽의 제에 의해 발생하며,7 편엽 제에서

는 반고리 으로부터의 입력에 한 억제 감소가, 제4

뇌실 바닥의 병변에서는 후반고리 으로부터의 입력 경

로 차단이 원인으로 생각된다.

하방안진의 원인은 주로 1) Arnold-Chiari 기형과 같

은 두개-경수 합부(craniocervical junction) 병변, 2)

하부 뇌간 소뇌 질환, 3) 독성 는 사성 장애이다.

흔한 원인 질환으로는 뇌간경색, 다발성경화증, 소뇌이

소증(cerebellar ectopia)과 소뇌변성 등이 있다. 하방안

진이 머리의 움직임에 의해 간헐 으로 발생할 경우는

두개-경수 합부(craniocervical junction)의 구조 질

환이나 경추 돌기(osteophyte)에 의한 추골동맥의 압

박 등을 고려해 보아야 한다.

상방안진(upbeat nystagmus): 제일안 에서 쪽

으로 향하는 안진으로 주시 방향 폭주에 의한 향은

다양하다.8-10 하방 주시에 의해 안진이 증가되는 경우도

있으며, 고개를 기울이는 동작에 의해 향을 받는다. 상

방안진에서 좌우 방향의 수평 성분이 번갈아 가면서 동

반될 때를 나비넥타이안진(bowtie nystagmus)라 하며,

하부 뇌간 부 병변에서 찰된 바 있다.11

상방안진은 상향 정안반사를 담당하는 반고리

신경로의 추성 병변이나 시선유지에 여하는 연수

부 구조물의 손상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

다. 주된 병변 부 는 교뇌-연수 합부의 덮개(teg-

mentum)이나, brachium conjunctivum, 소뇌의 쪽 벌

엽(superior vermis), 시상 연수 부 의 병변에서도

보고된 바 있다. 교뇌-연수 합부에서는 설하 핵(pre-

positus hypoglossi nucleus),12 brachium conjunctivum

에서는 소뇌로부터 뇌간으로 향하는 상향 정안반사로

가,13 교뇌-연수 합부의 덮개 병변에서는 배쪽덮개로

(ventral tegmental tract)가,14 시상에서는 정시상

(vestibular thalamus)이 손상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15 드물게 내측연수증후군(medial medullary

syndrome)에 동반되는데, 이는 설하주 핵(perihy-

poglossal nuclei)의 가장 아래쪽 부 인 사이핵(nucleus

intercalatus)이 손상되거나 양측 반고리 에서 기원하

는 상향 정안반사로가 침범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11,16

원인 질환은 하방안진과 비슷하나, 연수-경수 합부

의 병변이나 소뇌변성은 고 신 종양이 흔하다. 일반

으로 다발성경화증, 종양, 뇌경색, 소뇌변성 등이 흔한

원인 질환이며, 각종 약물도 상방안진을 발생시킬 수 있

다.

회선안진(torsional nystagmus): 회선안진은 안구

의 후 축을 심으로 안구가 안쪽(내회선) 는 바깥

쪽(외회선)으로 도는 안진을 말한다. 순수한 회선안진은

추 정신경로의 병변에 의해 발생한다.17 순수하게 회

선안진만이 찰되면 뇌간 덮개 부 의 병변이나 연수

구멍증(syringobulbia)를 의심하여야 한다. 뇌간에서는

연수 뇌 병변에서 찰되며 수직 방향의 안진이

동반될 수 있다. 외측연수증후군에서는 병변의 반 편

쪽으로 향하는 안진이 흔하다.18 뇌 카할사이핵

(interstitial nucleus of Cajal) 병변에서는 동측으로 향

하는 회선안진이, 안쪽세로다발머리쪽사이핵(rostral

interstitial nucleus of the medial longitudinal fasci-

culus, riMLF) 병변에서는 반 편으로 향하는 안진이

찰된다.19,20

시이소안진(seesaw nystagmus): 양쪽 이 반 방

향의 수직성 벡터(disconjugate vertical vector)를 갖는

회선성 진자안진이다. 한쪽 은 올라가면서 내회선되고

반 편 은 떨어지면서 외회선되는 양상의 안진이 양

쪽 에서 교 로 나타난다(Fig. 7). 경우에 따라서는 방

Page 6: 안 진안 진 22권 3호 대한신경과학회지 179 Figure 4.Hallpike maneuver. During the maneuver, the head is turned 45 toward the examiner and is moved into the position with

김지수

대한신경과학회지 22권 3호 182

Figure 7. Seesaw nystagmus. Schematic drawing of the oscillation showing that during one half-cycle, the right eye rises and intorts, and the left falls and extorts (top); during the next half-cycle, the opposite movements occur (bottom).

향의 역 없이 한쪽 방향으로만 안진이 찰될 수 있으

며(반시이소 안진, hemi-seesaw nystagmus),11 선천성

에서는 회선 성분 없이 수직 방향의 운동만이 찰되거

나 수직과 회선 성분이 반 로 동반되는 경우도 있다. 간

뇌- 뇌(diencephalon-midbrain) 부 의 병변이나 양측

성 반맹 환자에서 흔히 찰된다.21 시이소안진의 정확한

발생 기 은 밝 지지 않았으나 안구운동 양상이 기

울임반응(ocular tilt reaction, OTR)에서 보이는 것과 유

사하기 때문에, 추성 이석신경로의 주기 동요가 원

인 기 으로 제기된 바 있다. 실험 으로는 한쪽 카할사

이핵을 자극할 경우 동측으로 기울임반응이 발생하며,

이러한 상은 반 편 이석신경을 자극할 경우에도 유

발된다. 한 시이소안진이 시신경교차 부 의 병변에서

흔히 동반되기 때문에, 아래올리 핵 는 소뇌 편엽으

로 가는 시각로의 병변에 의한 정안반사의 응 기

(adaptive control) 장애가 원인이라는 설명도 있다.22

주시안진(gaze-evoked nystagmus, GEN): 주시안

진은 안구가 제일안 를 벗어나 어느 한쪽을 바라볼 때

생기는 안진이다. 안구가 어느 한쪽으로 계속해서 치우

쳐있기 해서는 안구를 원래의 치로 되돌리려는 안

구 주 조직의 탄력에 항할 수 있는 외안근의 긴장성

수축이 필요하다. 이를 해서는 신경조직의 지속 인

흥분이 필요하며, 이러한 역할을 담당하는 구조물을 신

경 분체라 한다. 신경 분체는 정안반사, 신속 원

활추종운동에서 안구의 이동 속도에 한 명령(pulse)을

안구의 치에 한 정보(step)로 환하여 외안근의 수

축을 유지한다. 수평 방향의 안구운동에서는 설하 핵,

내측 정신경핵과 소뇌 타래엽(flocculus)이 신경 분

체 역할을 하며, 수직 회선 안구운동에는 카할사이핵

이 여한다. 신경 분체의 기능이 떨어지면, 어느 한쪽

주시에서 이 원하는 치에 머물러 있지 못하고 앙

으로 흐르며, 이를 보상하기 한 안진의 속상이 발생한

다.2 정상인에서는 주변부 주시에서 앙으로 향하는 안

구운동의 시간 상수가 20~70 정도이나, 신경 분체에

이상이 있으면 시간 상수가 1 이내로 감소한다. 주시

안진은 보통 소뇌 편엽과 그 연결로의 병변을 시사한다.

안진의 모양은 특징 으로 감속 서상(decelerating slow

phase)의 양상을 띤다.

주시안진은 안구가 어느 한쪽 방향으로 최 한 치우

쳐서 바라볼 때 생기는 종 안진(end-point nystagmus)

과 감별하여야 한다. 종 안진은 개 몇 번 정도 있다가

사라지며, 한쪽 끝을 30 이상 쳐다보면 피로 상에 의

해 정상인에서도 찰되므로 병 인 상은 아니다.

한 4° 이내의 진폭으로 수평 방향으로만 찰되면, 안진

이 지속 으로 있다 하여도 병 인 상으로 여길 수 없

으며, 양안에서 다르게 나타날 수도 있다. 안진의 진폭이

4° 이상이거나, 양쪽 주시에서 안진이 비 칭(asy-

mmetric)일 때 주시안진을 시사한다. 가장 두드러진 차

이는 암실에서 서상(slow phase) 속도의 변화이다. 종

안진에서는 서상의 속도가 2배 가까이 증가하는데 비해

주시안진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다. 임상에서 주시안진을

찰할 때는 종 안진과 혼동을 피하기 해 안구가

앙에서 30° 이상을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일반 으로

건강한 성인에서 수평 방향으로의 최 안구운동 범

는 45° 정도이므로, 앙에서부터 최 측방 주시까지의

범 를 3등분하여 안구의 치가 3분의 2를 넘지 않도록

한다. 한 표 의 치가 무 가까울 때는 동반되는

모음 긴장도에 의해 안진이나 속진이 발생할 수 있기 때

문에 될 수 있으면 표 은 멀리 치시키는 것이 좋다.

주시안진의 가장 흔한 원인은 약물(항경련제, 진정제, 알

코올 등)로 주시안진이 찰되는 환자에서는 약물 복용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여야 한다. 약물에 의한 주시안진은

수평과 수직 방향 모두에서 나타나는 것이 일반 이다.

Brun 안진: 소뇌교뇌각(cerebellopontine angle) 병변

에서 발견되는 안진으로 병변 쪽을 바라볼 때는 비교

진폭이 큰 소뇌성 안진이, 병변 반 측 주시에서는 작은

진폭의 정안진이 찰된다. 소뇌성 안진은 소뇌 타래

엽이나 뇌간의 압박으로 인한 주시안진이며, 반 편 주

시에서 보이는 안진은 정신경의 병변 때문이다.

반동안진(rebound nystagmus)과 구심안진(centri-

petal nystagmus): 주시안진의 한 형태로 한쪽을 20

이상 계속해서 바라볼 때, 주시안진의 정도가 서서히 감

소하다가 안진의 방향이 반 로 바 어 앙을 향하거

나, 정면 주시로 돌아올 때 반 방향으로 향하는 안진이

일시 으로 발생하는 경우이다. 안진은 개 30 이내

에 사라진다. 반동안진은 흔히 원활추종운동이나 시운동

성 안진의 장애와 잘 동반되며, 정안반사의 억제에도

이상이 동반되는 경우가 흔하다. 반동안진이나 구심안진

은 소뇌 질환을 시사하며 실험 으로는 타래엽을 제거

Page 7: 안 진안 진 22권 3호 대한신경과학회지 179 Figure 4.Hallpike maneuver. During the maneuver, the head is turned 45 toward the examiner and is moved into the position with

안 진

22권 3호 대한신경과학회지 183

하여 발생시킬 수 있다.23 개 소뇌 변성이나 Arnold-

Chiari 기형, 다발성경화증, 항경련제 독 등에서 찰

된다.

해리안진(dissociated nystagmus): 핵간안근마비 환

자에서 병변의 반 편을 바라볼 때 외 안에서 찰되

는 안진으로 주시 방향을 향한다. 해리안진이 나타나는

기 은 내직근마비를 보상하기 한 신경지배의 증가가

Hering의 법칙에 의해 반 편 외직근에도 같이 달되

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응 가설(adaptation

hypothesis)을 뒷바침하는 소견으로는 마비된 을 수일

간 가릴 경우 외 안진이 감소하고, 정상안을 가릴 경우

는 이와 반 로 안진이 증가하는 상을 들 수 있다. 안

진은 핵간안근마비가 심할수록, 신속운동의 진폭이 클수

록 더 흔히 찰된다. 드물게는 핵간안근마비에서 수직

방향의 해리안진이 찰될 수 있다. 해리성 수직안진

(dissociated vertical nystagmus)은 한쪽 에서는 수직

안진이, 반 편 에서는 회선안진이 주로 찰되는 경

우로 후반고리 의 정안반사로가 손상되어 발생하

는 것으로 생각된다.

모음유발안진(convergence-evoked nystagmus):

부분의 안진은 모음에 의해 약화되나, 모음유발안

진에서는 모음이 안진을 유발하거나 증폭시킨다. 시계

추안진의 양상을 띠며, 수직 방향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선천성 안진은 공명성(conjugate)이며, 후천성에서

는 이명성(disjunctive)으로 찰된다. 공명성이란 양쪽

이 같은 방향, 같은 정도로 움직이는 것을 지칭하며,

이명성이란 안구운동의 방향이나 정도가 양안에서 차이

를 보이는 경우이다. 모음유발안진은 한쪽 을 가리

면 사라지며, 빈도는 4~5 Hz, 진폭은 2~5°이다. 가장

흔한 원인은 다발성경화증과 뇌간경색 등이며, 발병

기 은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후천성은 이명안구운

동계(vergence system)의 장애에 의할 것으로 생각된다.

시신경염 환자에서 모음유발안진이 찰되면 질병이

퍼져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24

주기성 교 안진(periodic alternating nystagmus,

PAN): 제일안 에서 한 방향으로의 수평 안진이 1~2

분 정도 지속되다가 차 약해지면서 사라지고, 0~10

동안의 휴지기(null period) 후에 반 방향으로 안진이

생겨 같은 기간 동안 지속된다. 소뇌 앙부의 병변에서

가장 흔하며, 실험 으로는 원숭이에서 소뇌 소

(nodulus)과 목젖(uvula)을 제거하여 유발할 수 있다. 소

목젖 병변에서는 머리 회 에 의해 유발된 안진이

과도하게 연장되는 것으로 보아(속도 장기 의 항진),

정신경계의 보상 기 으로 안진의 방향이 역 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보통 후두와(posterior fossa)

하부 뇌간 부 의 병변에 의해 발생하며, 때로 하방안

진을 동반한다.25

시계추안진(pendular nystagmus): 주시 으로부터

벗어나는 안구운동과 다시 원래 치로 되돌아오는 안

구운동 모두가 느린 안구운동이다. 안진 에서도 가장

심한 시력장애를 유발하여, 환자들은 흔히 시력불선명과

진동시를 호소한다. 보통 수평과 수직 성분이 섞여 있으

며, 두 성분의 크기와 시간 계에 따라 안진은 원, 타원,

는 비스듬한 방향의 궤 을 그린다. 안진의 방향이 양

안에서 서로 상반되거나, 한쪽 에서만 찰되기도 한

다. 안진의 빈도는 다양하나, 3.5 Hz 정도가 일반 이

다.24,25 개 진동의 주기는 양안에서 동일하지만 진폭은

다른 것이 보통이다. 선천성 시계추안진은 주로 수평 방

향으로 발생한다. 근거리 주시에 의해 안진이 증폭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모음에 의해서만 안진이

찰될 수 있으므로 진동시를 호소하는 환자에서는 반드

시 모음검사를 하여야 한다. 많은 환자에서 모음장

애가 동반된다.26

시계추안진의 발생 기 으로는 시신경 병변에 의한

시각 정보의 달 지연,27 아래올리 핵-소뇌 달로의

병변에 의한 정안반사 응 기 의 장애28 등이 제기

된 바 있다. 정상인에서 인 으로 시각 정보의 달을

지연시킬 경우 시계추안진과 비슷한 양상의 안구 진동

이 유발되고, 다발성경화증에서는 시신경 병변이 심한

에서 시계추안진이 더 크게 찰되는 이 첫번째 기

을 뒷바침하는 소견들이다. 안구개진 (oculopalatal

tremor)은 양안의 시계추안진과 구개근의 경련이 동반

되는 경우이다.29 병리학 으로는 아래올리 핵의 비후

(hypertrophy)가 찰되며, 올리 -치아핵 연결로의 병

변에 의한 콜린성 과민증이 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

로 보고된 바 있다. 올리 -치아핵 연결로는 정안반사

의 응 기 에서 요한 역할을 한다.28 그러나 후천성

시계추안진 환자에서 인 으로 시각 정보를 지연시킬

경우에도 원래 안진의 특성에는 변화가 없어, 뇌간방정

로(paramedian tract)에서 소뇌 편엽과의 개 역할을

통해 안구운동의 조 에 여 하는 세포군의 역할이 제

기된 바 있다.30 최근에는 시선유지에 여하는 신경망

(neural network)의 불안정이 시계추안진을 발생시킨다

는 주장이 있으며,31 아마도 다양한 기 이 여할 것으

로 단된다. 후천성 모음-벌림 시계추안진은 이명안

구운동계의 동요(oscillation)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알

려져 있다.32

후천성 시계추안진의 가장 흔한 원인은 다발성경화증

과 뇌간경색이다. 흔한 병변 부 는 핵, 심덮개로,

내측 정신경핵, 아래올리 핵이다. 수평 방향의 시계

추안진은 교뇌 병변에서 흔하고, 회선성 안진은 주로 연

수 병변에서 찰된다.33 선천 으로는 백질이 양증

(leukodystrophy) 환아에서 찰될 수 있다.34

Spasmus Nutans: 생후 6개월에서 3세 사이에 발생하

는 시계추안진으로 수주 동안 지속되다 사라지는 양성

질환이다. 사경(torticollis)을 흔히 동반하며, 안진을 억

제하기 해 고개를 떠는 증상이 찰된다. 한쪽 에서

찰되며, 부분 수평 방향으로 발생한다. 추신경계

Page 8: 안 진안 진 22권 3호 대한신경과학회지 179 Figure 4.Hallpike maneuver. During the maneuver, the head is turned 45 toward the examiner and is moved into the position with

김지수

대한신경과학회지 22권 3호 184

Figure 8. Oculopalatal tremor. Symmetrical vertical pendular nystagmus is observed with unilateral olivary hypertrophy (arrow).

Figure 9. Congenital nystagmus. (A) The nystagmus has accelerating slow phases and reverses direction in the dark. The effects of gaze direction on the nystagmus are variable. (B) foveation period.

Figure 10. Reversed optokinetic responses in congenital nystagmus. During rightward rotation of optokinetic drum, the slow phases of optokinetic nystagmus direct leftward.

발달 과정의 일시 장애에 의할 것으로 생각되나, 간뇌,

시신경교차, 시신경 부 에 종양이 동반될 수 있고, 소뇌

벌 엽의 형성이 있는 경우 후에 선천성 안구운동실

행증이 발생하기도 한다.35

안구개진 (oculopalatal tremor): 양안의 시계추안진

과 구개근 떨림이 동반되는 질환이다.29,36 치아핵- 핵-

올리 핵을 연결하는 Guillain-Mollaret 삼각로의 병변

에 의해 발생한다. 안구개진 은 이 신경로가 손상되고

일정 기간이 지난 후 발생하며, 병리학 으로 올리 핵

의 비후가 찰되어(Fig. 8) 탈신경성 과민증(dener-

vation supersensitivity)이 발병 기 으로 제기된 바 있

다. 일측성 병변에서는 회선성 수직안진이, 양측성 병변

에서는 칭성 수직안진이 찰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으나,28 실제 임상에서 찰되는 안진의 양상과는 거리

가 있다.36

Oculomasticatory myorrhythmia: 시계추 양상의

모음-벌림 안진이 턱, 얼굴, 는 사지 근육의 수축과 동

시에 찰되는 경우로 Whipple 병의 특징 인 증상이

다.37 안진은 이명성 안구 운동의 속도를 유지하며, 수직

방향의 안구운동장애가 흔히 동반된다. 구개진 이나 아

래올리 핵 비후는 찰되지 않는 이 안구개진 과의

차이 이다. Whipple 병 이외에도 다발성경화증, 뇌간

부 뇌졸 , Arnold-Chiari 기형 등에서 모음-벌림

양상의 시계추안진이 찰될 수 있다.

선천성안진(congenital nystagmus): 주로 공명성

수평 안진으로 시선을 고정시키는 신경 분체가 선천

으로 불안정해 발생한다. 안진은 충동성 는 시계추 양

상을 띠며, 충동성 안진에서는 안진의 서상이 지수함수

으로 증가하는 경우가 많다. 물체를 주시할 때 증가하

고, 을 꽉 감거나 가까운 물체를 바라볼 때 감소한다

(Fig. 9A). 고개가 돌아가거나 떠는 경우가 있으며, 사시

가 동반될 수 있다. 선천성 안진에서는 안진 서상의 속도

가 당 100°를 넘는 경우에도 진동시를 호소하는 경우

가 드문데, 이는 안진의 서상 에 의 움직임이 잠깐

멈추는 동안( 심오목기, foveation period) 물체를 인식

하며, 다른 때에는 시각을 억제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

져 있다(Fig. 9B).38 후천성 안진에서는 이러한 심오

목기가 존재하지 않는다. 선천성안진에서는 안구가 특

Page 9: 안 진안 진 22권 3호 대한신경과학회지 179 Figure 4.Hallpike maneuver. During the maneuver, the head is turned 45 toward the examiner and is moved into the position with

안 진

22권 3호 대한신경과학회지 185

Figure 11. Torsional upbeating nystagmus induced by Hallpike maneuver in the posterior canal type of benign positional vertigo. Thetorsional component of the nystagmus beats toward the lowermost ear. The nystagmus becomes more torsional when the eyes are looking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most ear and changes into mainly upbea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정 치에 있을 때 안진이 최소화되는 안구 치(null

period)가 존재하며, 정면 주시에서 이 치를 유지하기

해 고개가 돌아가 있는 경우가 흔하다. 선천성안진의

다른 특징 의 하나가 시운동성 역 (optokinetic

inversion) 상이다. 시운동성 역 이란 시운동성 자극

을 때 안진이 자극과 같은 방향으로 향하는 것을 말

한다(Fig. 10).

잠복안진(latent nystagmus): 선천성 충동성 안진의

한 유형으로 사시와 흔히 동반된다. 양안 주시에서는

찰되지 않으나 한쪽 을 가렸을 때 안진이 발생한다. 안

진의 방향은 가린 쪽 의 반 방향을 향하며, 안진의

양상은 양쪽 에서 동일하다. 서상의 속도는 지수함수

으로 감소하는 양상을 보인다. 주시안이 내사시이며,

고개는 주시안의 반 쪽으로 돌아가 있는 경우가 흔하

다. 한쪽 에 약시(amblyopia)가 있으면 양안 주시에서

도 안진이 지속되는데 이를 발 성 잠복안진이라 한다.38

잠복안진은 원활추종운동 긴장도의 불균형 때문에 발생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간질성 안진(epileptic nystagmus): 일과성 는 간

헐 으로 안진을 일으키는 경우로 소발작 등의 간질이

나 뇌 상의 이상 소견을 동반한다. 개 수평 안진의 형

태로 나타나고 어릴 때부터 있어온 경우가 흔하다. 간질

성 안진은 정피질이나 신속 는 원활추종운동에

련된 뇌 부 가 자극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뒤쪽 마

루엽과 자엽 병변에서는 반 편으로 향하는 안진이

찰된다.

2. 유발안진(induced nystagmus)

1) 체 성 안진(positional nystagmus)

말 성 체 성 안진: 양성체 성 훈(benign positional

vertigo, BPV)에서 찰되는 안진으로 부분의 체 성

안진이 여기에 속한다. BPV는 타원낭(utricle)의 평형반

(macula)에 치한 이석(otolith)이 변성되면서 부스러기

(otolithic debris)들이 반고리 (semicircular canal)으로

들어가거나( 석이론, canalolithiasis),39 팽 마루(cupula)

에 달라붙어(정석이론, cupulolithiasis) 발생하는 것으로

설명한다.40 BPV는 훈과 안진이 어느 반고리 에서

기원하느냐에 따라 후 수평반고리 성으로 분류한

다.41 후반고리 성 BPV에서는 Hallpike 수검사에서

후반고리 에 들어간 결석들이 팽 부(ampull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내림 액의 흐름을 유도

한다. 후반고리 에서는 내림 액의 흐름이 팽 부로부

터 멀어질 때(ampullofugal) 정신경이 흥분하는 특성

을 보인다. 후반고리 의 흥분은 동측의 상사근(superior

oblique)과 반 편 하직근(inferior rectus)을 수축시키므

로 양쪽 은 병변 반 편으로 돌면서 아래쪽을 향한

다. 임상에서 찰하는 안진은 이러한 안구의 편 를

보상하기 해 발생하는 교정성 신속운동(corrective

saccades)이므로, 후반고리 성 BPV에서 찰되는

안진은 병변 쪽으로 돌면서 쪽을 향한다(Fig. 11).

Hallpike 수검사에 의해 유발되는 훈 안진은 수

의 잠복기를 두고 발생하며, 개 1분 이내에 사라진

다. 훈 안진이 사라진 후에 환자를 일으켜 앉히면,

안진의 방향이 역 되는 상을 찰할 수 있다. 한 반

복해서 검사를 하면 안진의 정도가 감소하는 피로 상

이 나타난다.42 수평반고리 성 BPV는 안진의 방향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된다.43 지향성(geotropic) BPV

에서는 고개를 으로 돌릴 때, 지면을 향하는 안진이 후

반고리 성 BPV와 마찬가지로 약간의 잠복기를 두고

나타나서 1분 이내로 지속된다(Fig. 12A).44 일반 으로

지향성 BPV에서는 병변 쪽으로 고개를 돌릴 때 안진과

훈이 더 강하게 유발된다(Fig. 13). 지향성 BPV는 변

성된 이석의 부스러기가 수평반고리 으로 들어가 내림

액 사이를 떠다녀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석이

론). 이와 달리 천향성(apogeotropic) BPV에서는 고개를

으로 돌릴 때 하늘을 향하는 수평 안진이 찰된다

(Fig. 12B).45 천향성 BPV에서는 안진이 잠복기 없이 발

생하며, 고개를 돌리고 있는 동안에는 지속되는 특징을

보인다. 천향성 BPV는 이석의 부스러기가 수평반고리

의 팽 마루에 달라 붙어 발생하는 것으로 설명한다(정

석이론). 수평반고리 성 BPV에서는 양측으로 고개를

돌릴 때 안진의 방향이 바 므로 추성 체 성 훈과

의 감별에 유의하여야 한다. 반고리 성 BPV에서는

Hallpike 수검사에서 회선성 하방안진이 찰되나, 회

선 성분의 방향과 병변이 어느 쪽 귀에 존재하는지에

해서는 논란이 있다.46,47

Page 10: 안 진안 진 22권 3호 대한신경과학회지 179 Figure 4.Hallpike maneuver. During the maneuver, the head is turned 45 toward the examiner and is moved into the position with

김지수

대한신경과학회지 22권 3호 186

Figure 12. Two types of positional nystagmus induced by head turning while lying down in horizontal canal type of benign positional vertigo. (A) In geotropic type, the nystagmus beats to the ground. (B) In apogeotropic type, the nystagmus beats toward the ceiling.

Figure 13. Geotropic type of nystagmus in horizontal canal type of benign positional vertigo. The nystagmus is more intense when the head is turned to the lesion side (right).

추성 체 성 안진: 체 성 안진과 훈은 부분

말 병변에 의해 발생하나 추성 병변, 특히 병변이 제

4뇌실 근처에 치한 경우 드물게 찰될 수 있다(Fig.

14). 추 병변에 의한 체 성 안진은 부분 수직(상방

는 하방) 안진이며, 보통 다른 신경학 이상 소견을

동반한다. 고양이에서 소뇌 소 병변에 의해 지속 인

체 성 안진이 발생한 가 보고된 바 있다.48 훈을 동

반하지 않는 체 성 안진은 추성 병변을 시사한다.

수검사에서 체 성 하방안진이 찰되나 훈이 경미한

경우에도 소뇌 소 의 병변 가능성을 생각하여야 한다.

추성 체 성 훈의 흔한 원인 질환으로는 다발성경

화증, 소뇌 축, 소뇌 종양과 Chiari 기형 등이 있다.

2) 두진후안진(head-shaking nystagmus)

말 추 정신경계의 병변에서 머리를 빠르게

10~20회 정도 회 시킨 후에 발생하는 안진이다. 말

성 병변에서는 병변 반 쪽을 향하는 안진이 찰된

다. 수평 방향으로의 두진 후에 수직 방향의 안진이 나

타나면(cross-coupling) 추성 병변을 시사한다(Fig.

15).49,50,51 두진후안진은 추성 속도 장기 Ewald

두 번째 법칙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3) 기타 유발안진

체 변환이나 두진 이외에도 Valsalva 수기, 과호흡

(hyperventilation), 유양돌기에 한 진동 자극, 소리 자

극 등이 안진을 유발할 수 있다. 과호흡은 정신경 제

Page 11: 안 진안 진 22권 3호 대한신경과학회지 179 Figure 4.Hallpike maneuver. During the maneuver, the head is turned 45 toward the examiner and is moved into the position with

안 진

22권 3호 대한신경과학회지 187

Figure 14. Positional downbeating nystagmus during central head hanging in uvulono-dular infarction.

Figure 15. Perverted head shaking nystagmus. Downbeating nystagmus isinduced by head shaking in a patient with infarction in the territory of the medial pos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Upward deflection in each tracing indicates upward and rightward movements of the eyes (V: vertical eye position, H: horizontal eye position).

술 후에 나타나는 자발안진을 증가시키며, 청신경종, 외

림 공, 소뇌 병변에서 안진을 유발할 수 있다.52 과호

흡이 안진을 유발하거나 증강시키는 기 으로는

pH나 유리 칼슘 농도의 변화를 통해 탈수 화된 정신

경의 도 증가, 연축(vasospasm)으로 인한 국소

허 , 정보상로에 한 향, 두개내압 변화, 간질 등

이 거론된다. 소리 자극에 의해 어지럼증과 함께 안진,

진동시, 자세이상 등이 발생하는 것을 Tullio 상이라

하며, 외림 공, 반고리 결손(superior canal

dehiscence) 등에서 찰된다. 외이도에 한 압력에 의

해 동일한 증상이 유발되는 것을 Hennebert 증후라 하

며 발생 기 은 같다.

3. 기타 안진

1) 모음-후퇴안진(convergence-retraction nystag

mus)

양쪽 이 내 되면서 안와 내로 함몰되는 양상의 안

구운동으로 덮개앞(pretectal) 부 의 병변에서 동반된다

(Fig. 16).53 임상에서는 환자로 하여 를 쳐다보게 하

거나(upward saccade), 시운동성 드럼을 아래 방향으로

회 시켜 상방안진을 유발시킬 때 잘 찰할 수 있다.

caloric test에서 양쪽 귀를 찬물로 동시에 자극할 때 유

발되기도 한다. 모음-후퇴안진에서 찰되는 양안의

내 운동이 모음 안구운동인지,54 아니면 신속운동인

지에 해서는 논란이 있다.55 이 함몰되는 것은 안구

가 내 할 때, 외안근들이 동시에 수축되기 때문이며,

동근-길항근에 한 상반신경지배(reciprocal inner-

vation)의 이상이 원인으로 생각된다. Arnold-Chiari 기

형에서는 뇌수로(cerebral aqueduct) 주 의 구조물들이

Page 12: 안 진안 진 22권 3호 대한신경과학회지 179 Figure 4.Hallpike maneuver. During the maneuver, the head is turned 45 toward the examiner and is moved into the position with

김지수

대한신경과학회지 22권 3호 188

Figure 17. Voluntary nystagmus. Video oculography showed 5~6 Hz pendular oscillations with the amplitude of 7~15 degrees.The peak velocity of the ocular oscillation measures greater than 100°/s.

Figure 16. Convergence-retraction nystagmus in a patient with pre-tectal germinoma.

물리 으로 변형되거나 뇌척수액의 압력이 상승되어 발

생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목을 굽히거나 펼 때, 뇌압을

상승시키는 여러 동작들에 의해 유발되거나 악화되는

특징을 보인다.56

Pretectal pseudobobbing: 양쪽 이 빠르게 코 쪽을

향했다가 서서히 원래의 치로 돌아오는 불규칙한 안

구운동이다.57 당 2회에서 3 당 1회까지의 빈도로

발생한다. 진폭은 최 안구운동 범 의 1/5~1/2 정도

이며, ocular bobbing에 비해 빈도가 높다. 성 폐쇄성

수두증에 동반되며 보통 깜박임이 이러한 안구 운동

에 선행한다.53 발병 기 상 모음-후퇴안진, V-형 내

사시와 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수두증에 한 응

처치를 필요로 한다는 에서 주의를 요한다.

2) 자발안진(voluntary nystagmus)

정상인의 약 8% 정도는 ocular flutter와 비슷한 빠른

빈도의 속진을 의도 으로 만들어 낼 수 있다.58,59 자발

안진의 양상은 매우 다양하며, 빈도는 4~28 Hz(평균 15

Hz), 진폭은 1~20°(평균 5°), 지속 시간은 4~50 (평균

22 ) 정도이다(Fig. 17). 흔히 모음에 의해 유도되며,

환자가 의도 이라는 것을 인정하지 않을 때는 동반되

는 모음과다(hyperconvergence), 축동(miosis), 꺼

풀 떨림, 이마의 주름이나 시선고정 제거에 의한 소실 등

으로 감별할 수 있다. 가족성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보아

유 기 이 작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안진이란 용어

는 느린 안구운동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잘못된 용어이

며, 동반되는 다른 안구운동이상이나 신경학 소견이

없는 등으로 감별할 수 있다.

3) 상사근근 동(superior oblique myokymia)

발작 (episodic)으로 회선-수직성 복시, 단안성 진동

시를 일으키는 질환으로, 한쪽 활차신경 운동 단 의 간

헐 흥분에 의해 상사근이 집 으로 반복 수축되어

발생한다.60,61 한쪽 의 진동이 수 내지 수십 의 불

규칙한 간격으로 수 씩 집 으로 발생하는데, 이 때

은 내회선 하 된다. 안구운동은 때로 미세하여 검

안경이나 세극등(slit lamp) 검사를 필요로 한다. 증상이

없을 때의 안구운동은 정상이다. 환자로 하여 상사근

의 운동 방향으로 쳐다보게 할 때만 증상이 유발되는 경

우도 있다. 진폭은 2~3° 이내이며 내회선되는 정도는

하 의 2배이다. 빈도는 하방주시나 하방주시에서 정

면주시로 돌아왔을 때 증가하고 어두운 곳에서 더 증

가하지는 않는다. 늘 한쪽 에서만 증상이 발생하므

로 핵 는 그 하부의 병변으로 생각되고, 활차신경의

손상으로 인한 상사근의 탈신경화(denervation)와 신

경재분포(reinnervation)가 발생 기 으로 추정된다.

carbamazepine에 비교 잘 반응하며, 다발성경화증, 후

두와종양(posterior fossa tumor), 성 신경압박증후

군(neurovascular compression syndrome) 등에 동반될

Page 13: 안 진안 진 22권 3호 대한신경과학회지 179 Figure 4.Hallpike maneuver. During the maneuver, the head is turned 45 toward the examiner and is moved into the position with

안 진

22권 3호 대한신경과학회지 189

Nystagmus Drug

Downbeat

UpbeatPeriodic alternating nystagmusSeesawPendular (acquired)

Superior oblique myokymia

clonazepam, baclofen, trihexyphenidyl, acetazolamidebaclofenbaclofen

baclofen, clonazepam, alcohol, gabapentingabapentin, memantine, clonazepam, trihexyphenidyl, scopolamine, valproategabapentin, carbamazepine, propranolol

Table 2. Drugs used in the treatment of nystagmus

수 있으므로, 뇌촬 을 통해 구조 이상 여부를 확인하

는 것이 필요하다.62 시간이 지나면서 발작은 차 사라

지고 활차신경마비로 이행되기도 한다.

치 료

안진으로 인해 시력장애가 발생하거나 진동시로 인해

심한 어지럼증을 호소하는 경우에는 치료를 시도할 수

있다. 안진 치료의 일차 인 목표는 상유동의 속도를

당 5° 이내로 감소시켜 진동시를 없애고 시력을 회복시

키는 것이다. 재 이용되는 안진의 치료는 크게 내과

방법과 외과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내과 으로는

1) 리즘 안경을 이용하여 안진이 가장 약해지는 치

로 안구를 이동시키는 방법, 2) 특수 제작된 학 즈를

이용하여 상유동을 최소화하는 방법, 3) 보튤리늄 독소

를 이용하여 외안근을 약화시키는 방법, 4) 콘텍트 즈

나 진동 자극을 이용하는 방법, 5) 약물요법 등이 사용된

다.63 환자에서 안진이 최소한으로 찰되는 안 가 있으

면(null region), 리즘 안경을 사용하여 이 치에 안구

가 놓이도록 함으로써 증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안진이

모음에 의해 감소하는 경우는 base-out 리즘, 모

음에 의해 증가하는 경우는 base-in 리즘 안경을 사용

한다. 특수 제작된 안경과 콘택트 즈를 이용하여 안진

을 억제하는 방법은 실제로 환자 치료에 용하기에는

아직까지 제한 이 많다. 보튤리늄 독소를 이용한 치료

방법은 작용 기간이 2~3개월로 짧고, 꺼풀처짐

(ptosis)과 복시 등의 부작용이 있는 것이 단 이다. 선

천성안진에서 콘택트 즈를 착용하면 안진이 감소한다.

이외에도 이마나 머리에 기나 진동 자극을 주면 안진

이 감소하는데 이는 삼차신경을 통한 구심성 신경을 자

극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안진의 발생에 여하는 해

부학 구조물과 생리 상에 해서는 비교 잘 알려

져 있으나, 약리학 특성에 해서는 아직까지 알려지

지 않은 것이 많다.64,65 약물에 한 안진의 반응은 매우

다양하나, 일반 으로 항히스타민제, 항콜린제제,

GABA 작용제, 항경련성 약제들이 흔히 사용된다. 주기

성 교 안진은 특히 baclofen에 잘 반응하며, 제2형 주기

성실조(episodic ataxia type 2)에서의 안진은 aceta-

zolamide에 좋은 반응을 보인다. 안진에 따라 치료에 흔

히 사용되는 약제들은 Table 2와 같다.65

안진에 한 수술 치료의 목 은 안진을 감소시켜

시력을 회복하고, 두 이상을 교정하는 것이다. 선천

성 안진에 한 수술 치료에는 1) Kestenbaum 수술,

2) 인공 벌림 수술, 3) 내외직근의 최 뒤물림

(recession), 4) 외안근의 반부 힘 개술(anterior

tenotomy) 등이 있다.66 Kestenbaum 수술이란 두 이

상을 보이는 선천성안진 환자에서 고개를 바로 한 상

태에서 정면을 바라볼 때 안진이 최소로 되도록 외안근

을 개와 제하는 방법이다. 부분의 선천성안진은

모음 상태에서 감소하므로, 수술을 통해 인 으로

이 벌어지게 만들면 환자가 물체를 쳐다볼 때 모음

긴장도가 증가하므로 안진이 감소한다. 부분의 선천성

안진은 수평면상에서 발생하므로 내외직근의 최 뒤물

림을 통해 내외직근을 약화시킴으로써 안진을 경감시킬

수 있다. 힘 개술은 안구의 고유 감각을 차단하여 안

진을 경감시키는 방법이나 환자에 한 용은 좀 더 기

다려 보아야 하는 상태이다. Arnold-Chiari 기형에 동반

되는 하방안진과 같이 일부 후천성 안진은 원인 질환을

수술 으로 제거함으로써 안진을 치료할 수 있다.

REFERENCES

1. Leigh RJ, Zee DS. The neurology of eye movements. 3rd e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2. Cannon SC, Robinson DA. Loss of the neural integrator of the oculomotor system from brain stem lesions in monkey. J Neurophysiol 1987;57:1383-1409.

3. Straube A, Kurzan R, Büttner U. Differential effects of bicuculline and muscimol microinjections into the vestibular nuclei on simian eye movements. Exp Brain Res 1991; 86:347-358.

4. Büttner U, Helmchen C, Büttner-Ennever JA. The localizing value of nystagmus in brainstem disorders. Neuro- ophthalmology 1995;15:283-290.

5. Yee RD. Downbeat nystagmus: characteristics and locali-zation of lesions. Trans Am Ophthalmol Soc 1989;87:984- 1032.

6. Du Pasquier R, Vingerhoets F, Safran AB, Landis T. Periodic downbeat nystagmus. Neurology 1998;51:1478- 1480.

7. Zee DS, Friendlich AR, Robinson DA. The mechanism of downbeat nystagmus. Arch Neurol 1974;30:227-237.

8. Carl JR, Yee RD, Baloh RW. Convergence and gaze effects on vertical nystagmus. Invest Ophthalmol Vis Sci 1982;22(suppl):265.

9. Cox TA, Corbett JJ, Thompson HS, Lennarson L. Upbeat nystagmus changing to downbeat nystagmus with conver-gence. Neurology 1981;31:891-892.

10. Fisher A, Gresty M, Chambers B, Rudge P. Primary position

Page 14: 안 진안 진 22권 3호 대한신경과학회지 179 Figure 4.Hallpike maneuver. During the maneuver, the head is turned 45 toward the examiner and is moved into the position with

김지수

대한신경과학회지 22권 3호 190

upbeating nystagmus: a variety of central positional nystagmus. Brain 1983;106:949-964.

11. Choi KD, Jung DS, Park KP, Jo JW, Kim JS. Bowtie and upbeat nystagmus evolving into hemi-seesaw nystagmus in medial medullary infarction: possible anatomic mechanisms. Neurology 2004;62:663-665.

12. Keane JR, Itabashi HH. Upbeat nystagmus: clinicopathologic study of two patients. Neurology 1987;37:491-494.

13. Benjamin EE, Zimmermann CF, Troost BT. Lateropulsion and upbeat nystagmus are manifestations of central vestibular dysfunction. Arch Neurol 1986;43:962-964.

14. Ranalli PJ, Sharpe JA. Upbeat nystagmus and the ventral tegmental pathway of the upward vestibulo-ocular reflex. Neurology 1988;38:1329-1330.

15. Nowack WJ, Clark GF. Vertical nystagmus and thalamic arteriovenous malformation. Neuro-ophthalmology 1986;6: 169-172.

16. Munro NAR, Gaymard B, Rivaud S, Majdalani A, Pierrot-Deseilligny C. Upbeat nystagmus in a patient with a small medullary infarct.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1993;56:1126-1128.

17. Noseworthy JH, Ebers GC, Leigh RJ, Dell'Osso LF. Torsional nystagmus: quantitative features and possible pathogenesis. Neurology 1988;38:992-994.

18. Morrow MJ, Sharpe JA. Torsional nystagmus in the lateral medullary syndrome. Ann Neurol 1988;24:390-398.

19. Suzuki Y, Bütter-Ennever JA, Straumann D, Hepp K, Hess BJM, Henn V. Deficits in torsional and vertical rapid eye movements and shift of Listing's plane after uni- and bilateral lesions of the rostral interstitial nucleus of the medial longitudinal fasciculus (riMLF). Exp Brain Res 1995;106:215-232.

20. Helmchen C, Glasauer S, Bartl K, Büttner U. Contralesionally beating torsional nystagmus in a unilateral rostral midbrain lesion. Neurology 1996;47:482-486.

21. Daroff RB. See-Saw Nystagmus. Neurology 1965;15:874- 877.

22. Nakada T, Kwee IL. See-saw nystagmus. Role of visuo-vestibular interaction in its pathogenesis. J Clin Neuro- Ophthalmol 1988;8:171-177.

23. Bondar RL, Sharpe JA, Lewis AJ. Rebound nystagmus in olivocerebellar atrophy: a clinicopathological correlation. Ann Neurol 1984;15:474-477.

24. Oliva A, Rosenberg ML. Convergence-evoked nystagmus. Neurology 1990;40:161-162.

25. Keane JR. Periodic alternating nystagmus with downward beating nystagmus. A clinicoanatomical case study of multiple sclerosis. Arch Neurol 1974;30:399-402.

26. Gresty MA, Ell JJ, Findley LJ. Acquired pendular nystagmus: its characteristics, localizing value and patho-physiology.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1982;45:431-439.

27. Barton JJS, Cox TA. Acquired pendular nystagmus in multiple sclerosis: clinical observations and the role of optic neuropathy.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1993;56:262-267.

28. Nakada T, Kwee IL. Oculopalatal myoclonus. Brain 1986; 109:431-441.

29. Moon SY, Park SH, Hwang JM, Kim JS. Oculopalatal

tremor after pontine hemorrhage. Neurology 2003;61:1621.30. Averbuch-Heller L, Zivotofsky AZ, Das VE, DiScenna AO,

Leigh RJ. Investigation of the pathogenesis of acquired pendular nystagmus. Brain 1995;118:369-378.

31. Das VE, Oruganti P, Kramer PD, Leigh RJ. Experimental tests of a neural-network model for ocular oscillations caused by disease of central myelin. Exp Brain Res 2000; 133:189-197.

32. Sharpe JA, Hoyt WF, Rosenberg MA. Convergence-evoked nystagmus. Congenital and acquired forms. Arch Neurol 1975;32:191-194.

33. Lopez LI, Bronstein AM, Gresty MA, Du Boulay EP, Rudge P. Clinical and MRI correlates in 27 patients with acquired pendular nystagmus. Brain 1996;119:465-472.

34. Kori AA, Robin NH, Jacobs JB, Erchul DM, Zaidat OO, Remler BF, et al. Pendular nystagmus in patients with peroxsomal assembly disorder. Arch Neurol 1998;55:554- 558.

35. Kim JS, Park SH, Lee KW. Spasmus nutans and congenital ocular motor apraxia with cerebellar vermian hypoplasia. Arch Neurol 2003;60:1621-1624.

36. Kim JS, Sharpe JA. Ocular oscillations and intrusions with palatal tremor. Neurology 2000;54(Suppl 3):250.

37. Schwartz MA, Selhorst JB, Ochs AL, Beck RW, Campbell WW, Harris JK, et al. Oculomasticatory myorhythmia: a unique movement disorder occurring in Whipple's disease. Ann Neurol 1986;20:677-683.

38. Dell'Osso LF, Schmidt D, Daroff RB. Latent, manifest latent, and congenital nystagmus. Arch Ophthalmol 1979;97:1877- 1885.

39. Epley JM. Positional vertigo related to semicircular canalithiasis.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5;112:154-161.

40. Schuknecht HF. Cupulolithiasis. Arch Otolaryngol 1969;90: 765-778.

41. Moon SY, Choi KD, Park SH, Kim JS. Clinical characteristics of benign positional vertigo. J Korean Neurol Assoc 2003;21:614-621.

42. Dix MR, Hallpike CS. The pathology, symptomatology and diagnosis of certain common disorders of the vestibular system. Ann Otol Rhinol Laryngol 1952;61:987-1016.

43. Moon SY, Choi KD, Park SH, Kim JS. Clinical characteristics of horizontal canal benign positional vertigo: Analysis of 97 cases. J Korean Neurol Assoc 2004;3: 206-212.

44. Baloh RW, Jacobson K, Honrubia V. Horizontal semicircular canal variant of benign positional vertigo. Neurology 1993;43:2542-2549.

45. Baloh RW YQ, Jacobson KM, Honrubia V. Persistent direction-changing postional nystagmus: Another variant of benign positional nystagmus? Neurology 1995;45:1297-1301.

46. Brandt T, Steddin S, Daroff RB. Therapy for benign paroxysmal positioning vertigo, revisited. Neurology 1994; 44:796-800.

47. Herdman SJ, Tusa RJ. Complications of the canalith repositioning procedure.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6;122:281-286.

48. Fernandez C, Alzate R, Lindsay JR. Experimental obser-

Page 15: 안 진안 진 22권 3호 대한신경과학회지 179 Figure 4.Hallpike maneuver. During the maneuver, the head is turned 45 toward the examiner and is moved into the position with

안 진

22권 3호 대한신경과학회지 191

vations on postural nystagmus. II. Lesions of the nodulus. Ann Otol Rhinol Laryngol 1960;69:94-114.

49. Hain TC, Fetter M, Zee DS. Head-shaking nystagmus in patients with unilateral peripheral vestibular lesions. Am J Otolaryngol 1987;8:36-47.

50. Takahashi S, Fetter M, Koening E, Dichgans J.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head-shaking nystagmus in the dizzy patients. Acta Otolaryngol 1990;109:8-14.

51. Ahn KW, Kim JS, Moon SY, Park SH, Jung DS, Koo JW. Perverted head shaking nystagmus in a patient with cerebellar infarction. J Korean Neurol Assoc 2004 (in press).

52. Minor LB, Haslwanter T, Straumann D, Zee DS. Hyper-ventilation-induced nystagmus in patients with vestibular schwannoma. Neurology 1999;53:2158-2168.

53. Kim JS, Han DH, Moon SY, Park SH. Convergence-related nystagmus due to shunt malfunction in a patient with neurocysticercosis. J Korean Neurol Assoc 2004 (in press).

54. Rambold H, Kompf D, Helmchen C. Convergence retraction nystagmus: a disorder of vergence? Ann Neurol 2001;50:677- 681.

55. Ochs AL, Stark L, Hoyt WF, D'Amico D. Opposed adducting saccades in convergence-retraction nystagmus: a patient with sylvian aqueduct syndrome. Brain 1979;102: 497-508.

56. Mossman SS, Bronstein AM, Gresty MA, Kendall B, Rudge P. Convergence nystagmus associated with Arnold-Chiari malformation. Arch Neurol 1990;47:357-359.

57. Keane JR. Pretectal pseudobobbing: five patients with 'V'-pattern convergence nystagmus. Arch Neurol 1985;42: 592-594.

58. Zahn JR. Incidence and characteristics of voluntary nystagmus.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1978;41:617-623.

59. Hotson JR. Convergence-initiated voluntary flutter: a normal intrinsic capability in man. Brain Res 1984;294:299-304.

60. Morrow MJ, Sharpe JA, Ranalli PJ. Superior oblique myokymia associated with a posterior fossa tumor: oculo-graphic correlation with an idiopathic case. Neurology 1990;40:367-370.

61. Kim JS, Yun CH, Kim KS. A case of superior oblique myokymia. J Korean Neurol Assoc 2002;20:404-406.

62. Hashimoto M. Ohtsuka K, Hoyt WF. Vascular compression as a cause of superior oblique myokymia disclosed by thin-slice magnetic resonance imaging. Am J Ophthalmol 2001;131:676-677.

63. Stahl JS, Plant GT, Leigh RJ. Medical treatment of nystagmus and its visual consequences. J R Soc Med 2002;95:235-237.

64. Büttner U, Fuhry L. Drug therapy of nystagmus and saccadic oscillations. Adv Otorhinolaryngol 1999;55:195-227.

65. Leigh RJ, Tomsak RL. Drug treatment for eye movement disorders.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2003;74:1-4.

66. Lee J. Surgical management of nystagmus. J R Soc Med 2002;95:238-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