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새로운 NCEP-ATP III 기준에 의한 당뇨병성 이상지혈증의 유병률 및 특성 박미경·강도영 1 ·김덕규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핵의학교실 1 The Prevalence of Dyslipidemia by New Guidelines NCEP-ATP III in Type 2 Diabetes Mi Kyoung Park, Do Young Kang 1 , Duk Kyu Kim Internal Medicine Dept, Nuclear Medicine Dept 1 , Dong-A University Medical College, Busan, Korea Abstract Objective: Recently, the NCEP-ATP III report updates the new guidelines for intensive cholesterol-lowering therapy and the new guidelines are expected to substantially increase the number of patients being treated for high cholesterol.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dyslipidemia by the new guidelines ATP-III comparing with that of ATP-II and to analyze lipid profiles and metabolic syndrome in type 2 diabetic patients.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review of the medical records retrospectively on 435 type 2 diabetic patients [M:216, F: 219] who were admitted in Dong-A University Hospital during last 5 years (1996. 7. 12001. 6. 30). The criteria of dylipidemia included any one of LDL-C 130 (100 in CAD) mg/dL, HDL-C <35 (45 in women) mg/dL, or TG 200 (150 in CAD) mg/dL by ATP-II and any one of LDL-C 100 mg/dL, HDL-C <40 (50 in women) mg/dL, or TG 150 mg/dL by ATP-III. The percentages with none, one, two, and three values outside of the target lipid levels and high-, borderline-, low-risk lipid values were analyzed. Results: The prevalences of dyslipidemia was 71% by ATP-II and 89% by ATP-III (25% increment, p<0.0001). Obese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revalence than nonobese group in ATP-II (81, 70%, respectively, p=0.025) but not in ATP-III (93, 88%, respectively, p=0.155). The most common pattern of dyslipidemia was increased LDL-C only in both ATP-II and III. The mean concentrations of total cholesterol and LDL-C in wome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men. In total cholesterol and HDL-C levels, the percentage of high risk group in women was higher than in men. The percentage of two or three out of target lipid values was higher by ATP-III (67%) than ATP-II (49%) and most of hospitalized type 2 diabetic patients were outside of target lipid values (91% by ATP-II and 95% by ATP-III).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was 56% and i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women than in men. 책임저자 : 김덕규 부산시 서구 동대신동 31번지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전화 : 051-240-5630, FAX : 051-242-7237 E-mail : [email protected]ga.ac.kr - 354 -

ý /$&1 51*** ݳ ÀD à ü · ý ¿I Ñ ÐD, ý +  - Lipidlipid.or.kr/thesis/files/66600637.pdf · 2015. 8. 17. · ý /$&1 "51*** Ý ³ À D à ü · ý ¿ I Ñ Ð D, ý + Â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새로운 NCEP-ATP III 기준에 의한

    당뇨병성 이상지혈증의 유병률 및 특성

    박미경·강도영1·김덕규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핵의학교실1

    The Prevalence of Dyslipidemia by New Guidelines NCEP-ATP III

    in Type 2 Diabetes

    Mi Kyoung Park, Do Young Kang1, Duk Kyu Kim

    Internal Medicine Dept, Nuclear Medicine Dept1, Dong-A University Medical College, Busan, Korea

    Abstract

    Objective: Recently, the NCEP-ATP III report updates the new guidelines for intensive cholesterol-lowering therapy and the new

    guidelines are expected to substantially increase the number of patients being treated for high cholesterol.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dyslipidemia by the new guidelines ATP-III comparing with that of ATP-II and to analyze lipid profiles

    and metabolic syndrome in type 2 diabetic patients.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review of the medical records retrospectively on 435 type 2 diabetic patients [M:216, F:

    219] who were admitted in Dong-A University Hospital during last 5 years (1996. 7. 1∼2001. 6. 30). The criteria of dylipidemia

    included any one of LDL-C ≥130 (100 in CAD) mg/dL, HDL-C

  • 새로운 NCEP-ATP III 기준에 의한 당뇨병성 이상지혈증의 유병률 및 특성

    서 론

    당뇨병성 이상지혈증은 당뇨병으로 인한 지단

    백대사장애로 기인되며 고중성지방혈증, 낮은 고

    밀도 지단백콜레스테롤 및 변화된 (modified) 저

    밀도 지단백콜레스테롤의 증가를 특징으로 한다.

    최근에는 변화된 (modified) 저밀도 지단백콜레스

    테롤의 증가를 당뇨병성 이상지혈증의 하나의

    특징이라기보다는 고중성지방혈증이 있는 경우에는

    당뇨가 없어도 생길 수 있는 것으로 보기에 이를

    특징으로 열거하지 아니하고 그 대신에 카일로

    마이크론의 제거율 저하에 기인된 postprandial

    lipemia를 당뇨병성 이상지혈증의 특징으로 열거

    하기도 한다1~2

    .

    UKDPS 결과 당뇨병의 만성 합병증 중에서 미

    세혈관 합병증은 혈당을 잘 조절함으로써 예방

    될 수 있는 것으로 되어있으나 대혈관합병증은

    그러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고 고혈당보

    다는 동반된 고혈압을 잘 조절하는 것이 대혈관

    합병증의 예방에 오히려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

    고되었다3∼5

    . 또한 4S study에 의하면 제2형 당뇨

    병 환자에서 동반된 고 저비중지단백 콜레스테

    롤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이하 LDL-C)

    을 감소시켰을 때 심장 사망과 사건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6. 이러한 임상 연구

    들의 결과를 볼 때 당뇨병의 주요 사망과 이환의

    원인이 되는 당뇨병성 대혈관합병증의 예방에

    있어서 이상지혈증의 관리는 고혈압관리와 함께

    매우 중요한 한 부분임을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

    침이 없을 것이다.

    당뇨병성 이상지혈증에 대한 치료지침으로는

    고지혈증 치료지침 제정위원회에서 우리나라 실

    정에 맞는 치료지침을 제공한 바가 있는 데 이는

    1993년에 제정된 NCEP-ATP II (이하 ATP-II)의

    치료지침과 유사한 점이 많은 것이었다7,8. 2001

    년 5월 새로운 지침으로 NCEP-ATP III (이하

    ATP-III)가 발표된 바 있는데 이는 기존의 지침

    보다 더 강화된 것이다9. 새로운 지침의 주된 내

    용으로는 첫째, 관상동맥질환에 대한 다수의 위

    험인자들을 가진 대상을 발견하는 데 주된 초점

    을 맞추고, 고위험군에 속하는 대상은 보다 더

    강력한 콜레스테롤 저하 치료를 하도록 권고하

    고 있다. 둘째, 낮은 고밀도 지단백콜레스테롤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이하 HDL-C)

    농도의 기준점을 35 mg/dL에서 40 mg/dL로 증가

    시켰고 중성지방 (triglyceride, 이하 TG)의 분류를

    더 강화시켰다. 셋째, LDL-C과 다른 위험인자들

    을 보다 더 강력하게 낮추기 위해 새로운 식사요

    법과 생활습관의 변화를 권고하고 있다. 넷째,

    LDL-C 증가 이외에 위험도를 증가시키는 meta-

    bolic syndrome 환자를 확인하고 관리하는 것을 권

    고하고 있다. 또한 ATP-III 에서는 증가된 LDL-C

    이 관상동맥질환의 주요 원인이며 LDL-C를 낮

    추는 치료가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을 현저하게

    낮춘다는 것이 재차 강조되고 있다.

    당뇨병에서 이상지혈증의 유병률에 관해서는

    진단기준과 대상 인구집단의 차이로 인하여 보

    고자들마다 다소 차이가 있는데 대학병원에 당

    뇨병으로 입원한 제2형 당뇨병 환자들을 대상으

    Conclusions: About 18% of diabetic patients were newly included in dyslipidemic group by new guideline ATP-III. The proportion

    of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was 56%. Because women showed greater proportion with high risk of total cholesterol, HDL-C,

    and metabolic syndrome, we need to manage more aggressively in this group.

    Key Words: NCEP-ATP III, Dyslipidemia, Diabetes mellitus, Prevalence

    - 355 -

  • 韓國 脂質·動脈硬化學會誌 12卷 4號

    로 한 보고에 의하면 지질저하 치료가 필요한 당

    뇨병성 이상지혈증의 유병률은 58%에 달하는 것

    으로 되어 있다10.

    저자들은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새로운 지침

    (ATP-III)에 의한 이상지혈증의 유병률을 ATP-II

    에 의한 유병률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아울

    러 대상 환자의 지질 농도를 목표 지질수치와 위

    험도에 따라 분류하고 metabolic syndrome을 동반

    한 환자의 유병률을 조사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실험 방법

    1. 대 상

    1996년 7월부터 2001년 6월까지 동아대학교병

    원 내과에 입원하였던 제2형 당뇨병 환자 중 혈

    청 총 콜레스테롤, HDL-C, TG 농도가 모두 측정

    되어졌던 43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은 첫

    방문 당시의 임상 양상, 경구 혈당 강하제의 사

    용 여부, 비만 여부, 케톤산증 병력 여부, 당뇨병

    의 가족력 등을 고려하여 제2형 당뇨병으로 분

    류되었다.

    2. 실험 방법

    입원 당시 12시간 공복 상태에서 채혈하여 총

    콜레스테롤, TG와 HDL-C 농도는 다채널 생화학

    자동분석기 (Olympus AU-5200, OLYMPUS, 일본)

    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LDL-C은 Friedewald 공

    식으로 계산하였고, TG가 400 mg/dL 이상인 경

    우에는 구할 수 없었다. 지단백 (a) (Merdia Apo

    (a) RIA, Sweden)과 C-펩타이드 (C-PEPTIDE-CTKⓇ,

    DiaSorin, Italy)는 RIA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공

    복 혈당은 효소법 (Glucose analyzer 2, BECKMAN,

    USA)을이용하여측정하였으며, 당화혈색소 (HbA1c)

    는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 방법으로 측정하

    였다. 입원시 측정한 체중과 키를 이용하여 신체

    질량지수 (BMI, kg/m2)를 계산하여 25 kg/m

    2이상

    을 비만군으로 25 kg/m2미만을 비비만군으로 분

    Table 1.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Fasting Lipid Profiles

    Both Men Women Obese Non-obese

    n

    Age (years)

    Diabetes duration (years)

    BMI (kg/m2)

    HbA1c (%)

    FPG (mg/dL)

    C-peptide (ng/mL)

    Systolic BP (mmHg)

    Diastolic BP (mmHg)

    Lipids (mg/dL)

    Tota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HDL cholesterol

    Triglyceride

    435

    59±11

    10±8

    23.1±3.4

    10.0±2.8

    176±61

    2.6±2.2

    131±19

    83±10

    200±61

    121±53

    46±15

    166±123

    216

    57±11

    11±8

    22.7±2.9

    9.9±2.8

    176±59

    2.0±2.9

    130±18

    82±9

    192±52

    115±43

    45±15

    162±119

    219

    61±10*

    10±7

    23.5±3.7*

    10.2±2.8

    176±62

    3.2±3.8

    132±20

    83±10

    207±68*

    127±62*

    47±14

    169±127

    105

    59±13

    9±7†

    27.4±2.5‡

    10.1±2.8

    174±56

    2.0±1.4

    130±17

    82±10

    205±53

    127±45

    45±14

    171±84

    330

    59±12

    11±8

    21.7±2.3

    10.0±2.6

    176±62

    2.8±3.2

    131±19

    83±10

    198±64

    119±56

    46±15

    164±134

    Data are n, means±S.D.*p

  • 새로운 NCEP-ATP III 기준에 의한 당뇨병성 이상지혈증의 유병률 및 특성

    류하였다. 1996년 7월부터 2001년 6월까지 상기

    검사항목들을 측정하는 방법에는 변화가 없었다.

    3. 자료 분석

    1) 이상지혈증 기준

    이상지혈증의 기준은 ATP-II와 III 지침에 근

    거하여 저자들이 다음과 같이 정하여 보았다.

    ATP-II11에 의해서는 LDL-C은 심혈관계 질환 동

    반시 ≥100 mg/dL, 심혈관계 질환 미동반시 ≥

    130 mg/dL, HDL-C

  • 韓國 脂質·動脈硬化學會誌 12卷 4號

    여 보았다.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 새로운 NCEP-ATP III 기준에 의한 당뇨병성 이상지혈증의 유병률 및 특성

    >35인치 (88 cm)), 고중성지방혈증 (≥150 mg/dL),

    HDL-C 농도 저하 (남자

  • 韓國 脂質·動脈硬化學會誌 12卷 4號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들을 multiple logistical

    regression을 시행하여 보정한 후 odd ratios 를 구

    하였다. 유의수준은 0.05로 하였다.

    결 과

    1. 환자의 임상적 특징과 평균 혈청 지질

    농도 (Table 1)

    전체 대상 환자수는 435명으로 남자 216명, 여

    자 219명이었으며 심혈관계 질환을 동반한 환자

    는 96명 (22%)이었다. LDL-C 농도는 TG 농도가

    400 mg/dL 이상인 13명을 제외하고 총 422명 (남

    자 208명, 여자 214명)에서 계산하여 구하였다.

    입원 당시의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 중에서 그룹

    간에 일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여자가 남자에 비해 나이가 많았고 (p=0.001),

    BMI가 높았다 (p=0.012). 혈중 평균 지질 농도는

    여자에서 남자보다 총 콜레스테롤 (p=0.016)과

    LDL-콜레스테롤 농도 (p=0.026)가 높았다. 그리

    고 비만군과 비비만군의 비교에서는 비만군에서

    당뇨 유병 기간이 짧았고 (p=0.025, t-test), BMI가

    높았으나 (p

  • 새로운 NCEP-ATP III 기준에 의한 당뇨병성 이상지혈증의 유병률 및 특성

    2. ATP-II와 III 기준에 의한 이상지혈증 유

    병률 (Table 2)

    전체 이상지혈증의 유병률은 ATP-II 기준으로

    는 71%, ATP-III 기준으로는 89%로, ATP-III에

    의한 유병률이 ATP-II에 의한 것보다 통계적으

    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p

  • 韓國 脂質·動脈硬化學會誌 12卷 4號

    나타났으며 남녀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p=0.112). ATP-III에 의한 경우

    남자에서는 87%, 여자에서는 92% 로 나타났으

    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여자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p=0.075).

    비만군과 비비만군별로 이상지혈증 빈도를 분

    석해 볼 때 (Table 3) ATP-II 기준시 비만군에서

    81%, 비비만군에서 69%으로 비만군에서 통계적

    으로 유의하게 높았지만 (p=0.023), ATP-III에 의한

    경우에는 비만군 93%, 비비만군 88%로 양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147).

    3. ATP-III기준에의한지질분포도 (Fig. 1)

    총 콜레스테롤은

  • 새로운 NCEP-ATP III 기준에 의한 당뇨병성 이상지혈증의 유병률 및 특성

    본 결과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고위험군, 경계위

    험군, 저위험군에 속하는 환자가 순서대로 전체

    20, 25, 55%, 남자 17, 23, 60%, 여자 23, 27, 50%

    로 나타났으며 남녀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였고 (p=0.047), 여자 (23%) 에서 남자

    (17%)에 비해 고위험군에 속하는 비율이 높았다.

    비만군에서 26, 26, 49%, 비비만군에서는 18, 24,

    58%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이지는 않았다 (p=0.144).

    LDL-C 농도는 고위험군, 경계위험군, 저위험군

    에 속하는 환자가 순서대로 전체 37, 28, 35%, 남

    자 34, 24, 40%, 여자 38, 31, 31%, 비만군 43, 30,

    27%, 비비만군 34, 28, 38%로 나타났다. 남녀간

    (p=0.071), 비만군과 비비만군 간 (p=0.146)에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저

    위험군에 속하는 비율이 남자 (40%)에서 여자

    (31%)보다 높았다.

    HDL-C 농도는 고위험군, 경계위험군, 저위험

    군에 속하는 환자가 순서대로 전체 51, 32, 17%,

    남자 39, 46, 15%, 여자 62, 19, 19%로 나타났으

    며, 남녀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p

  • 韓國 脂質·動脈硬化學會誌 12卷 4號

    422명에서 앞에서 언급한 데로 ATP-II (Table 4)

    와 III (Table 5)에서 목표로 하는 세가지 지질 수

    치를 벗어나 있는 비율을 분석하였으며 하나도

    없는 경우, 한 가지, 두 가지, 세 가지 모두 벗어

    나 있는 경우로 구분하였다. ATP-II 기준에서 목

    표수치를 벗어나 있는 비율은 전체에서는 순서

    대로 9, 42, 36, 13%였고, ATP-III 기준에서는 5,

    28, 40, 27%였으며, ATP-II에 의한 것과 ATP-III

    에 의한 것을 비교해 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

  • 새로운 NCEP-ATP III 기준에 의한 당뇨병성 이상지혈증의 유병률 및 특성

    석시에만 포함), BMI (성별 분석시에만 포함) 등

    의 변수들을 보정한 다음 multiple logistical

    regression 분석을 시행하였다 (Table 6). 성별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LDL-C, HDL-C, TG

    농도는 남녀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이지 않았으나,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목표 수치

    를 벗어날 비교위험도가 여자에서 남자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다 (odd ratio 1.45, p=0.065). 비

    만의 동반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비만군

    에서 비비만군에 비해 LDL-C 농도가 목표 수치

    를 벗어날 비교위험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odd ratio 1.63, p=0.049), 총콜레스테롤

    (odd ratio 1.50, p=0.078)과 TG 농도 (odd ratio

    1.51, p=0.072)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

    만 비교위험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같은 방법으로 보정하여 각 지질 농도가 고위

    험군 범주에 속할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한 결과 (Table 7), 남녀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

    이지 않았으나 비만군에서 비비만군에 비해

    LDL-C 농도가 고위험 범주에 속할 비교위험도

    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odd ratio 1.70,

    p=0.024), 고위험 범주의 총 콜레스테롤에 속할

    Table 8. The Prevalence of Risk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Total

    (n=435)

    Men

    (n=216)

    Women

    (n=219)

    Two factors

    DM + Obesity

    HDL-C

  • 韓國 脂質·動脈硬化學會誌 12卷 4號

    비교위험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odd ratio 1.61,

    p=0.084).

    7. Metabolic syndrome 환자의 분석

    (Table 8)

    Metabolic syndrome을 구성하는 각 위험인자들

    을 동반한 경우를 분석하였다. 비만을 동반한 경

    우는 24%였고, 고혈압 (≥130/≥85 mmHg 기준)

    은 57%에서 동반되었다. 5가지 위험인자들 중

    제2형 당뇨병을 포함하여 두 가지, 세 가지, 네

    가지, 그리고 5가지 모두 동반한 경우들을 각각

    분석하였으며, 제2형 당뇨병을 포함하여 세 가지

    위험인자를 동반한 경우가 33%로 가장 흔한 형

    태였다. 제2형 당뇨병을 포함하여 세 가지 이상

    의 위험인자를 동반함으로써 metabolic syndrome

    의 기준에 부합하는 환자들은 전체 56%, 남자에

    서 49%, 여자에서 63%로 여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p=0.003).

    고 찰

    본 연구에서는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이상지

    혈증의 기준을 LDL-C ≥100 mg/dL, HDL-C

  • 새로운 NCEP-ATP III 기준에 의한 당뇨병성 이상지혈증의 유병률 및 특성

    여자에서 남자보다 이상지혈증 유병률이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는

    않았다. 여자에서 총 콜레스테롤과 LDL-C 농도

    와 경계위험군과 고위험군 범주에 속하는 총 콜

    레스테롤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HDL-C 농도

    는 여자에서 남자에 비해 약간 높게 측정되었지

    만, 고위험 HDL-C 범주에 속하는 비율은 오히려

    여자에서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여자에서 일

    부 HDL-C 농도가 100 mg/dL 정도로 높게 측정된

    대상들이 포함되어 있어 평균 HDL-C 농도를 높

    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나이와 BMI 등의

    여러 가지 변수들을 보정한 이후에는 총 콜레스

    테롤 농도가 목표 수치를 벗어날 비교위험도만

    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LDL-C, HDL-C 농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러한 결과는

    여자에서 남자에 비해 평균 나이와 BMI가 높은

    것이 영향을 미쳤으리라 생각된다. 당뇨병 환자

    에서 성별에 따른 지질 농도의 차이를 분석한 이

    전의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15,20∼23

    , 일부 인종간

    에 차이는 있었지만 여자 환자에서 남자 환자 보

    다 바람직한 지질 농도를 벗어나 있는 비율이 높

    고, 고위험군 범주의 LDL-C과 HDL-C이 많았고,

    고 VLDL 농도가 많았으며, 이러한 지질 농도 결

    과들이 여자에서 보이는 관상동맥질환에 대한

    보호 효과가 당뇨병 여자 환자에서는 관찰되지

    않는 이유를 일부 설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고

    한 바 있다.

    비만증 (특히 복부 비만)이 동반될 때 LDL-C,

    VLDL, TG 농도의 증가 및 HDL-C 농도의 감소

    가 흔히 동반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비만군과 비비만군을 비교해 볼 때

    평균 혈중 지질 농도는 양군간에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이는 아마도 본

    연구에서 양군간의 대상 환자 수 차이 (비만군

    105명, 비비만군 330명)가 변수로 작용했을 가능

    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이상지혈증

    의 유병률은 ATP-II 기준시 비만군에서 유의하

    게 높았지만, ATP-III 기준에 의해서는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ATP-III 기준시 비만

    또는 비비만군 모두에서 ATP-II에서보다 더 높

    은 비율이 이상지혈증의 범위에 포함되어서 양

    군간에 차이가 적어졌을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두가지 이상의 지질농도가 목표수치를

    벗어나 있는 비율은 ATP-III 기준에서는 비만군

    이 비비만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ATP-II 기

    준에서도 통계적 유의 수준에는 미치지 못했지

    만 비만군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p=0.055). 나

    이, BMI 등의 여러 가지 변수들을 보정한 이후

    에는 비만군에서 LDL-C 농도가 고위험 범주에

    속할 비교위험도가 유의하게 높았고, 총 콜레스

    테롤과 TG 농도가 고위험 범주에 속할 비교위험

    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HDL-C 농도는 양군간

    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아마도 이상지

    혈증 기준의 상승 및 높은 목표 수치의 적용으로

    인해 양군 모두에서 높은 비율의 환자가 낮은

    HDL-C 농도에 속하게 됨으로써 양군간의 차이

    가 적어졌을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TP-III에서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인자를 낮추

    기 위한 치료에서 LDL-C 농도 이외에도 새로이

    주의를 기울여 치료를 해야 할 다음 대상으로

    metabolic syndrome을 강조하고 있는 데, 이전에

    type 2 당뇨병 환자들의 직계가족들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여자에서 남자에 비해 BMI가 높고

    몇몇 심혈관 질환에 대한 위험인자가 더 흔히 동

    반됨을 보고한 바 있다21. 본 연구에서도 입원한

    제2형 당뇨병 환자의 반수 이상인 56%에서 meta-

    bolic syndrome이 동반되었고, 특히 여자 환자에

    서 metabolic syndrome 유병률과 BMI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살펴볼 때 제2형 당뇨

    병 환자의 관리에 있어서 이들 환자들에 대하여

    비만과 신체적 활동 저하와 같은 원인 인자들을

    감소시키고, 동반된 지질 및 지질 이외의 위험

    인자들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를 하는 등 보다 세

    밀한 관심을 기울여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첫째, 후향적으로 의

    무 기록 분석을 시행했기 때문에 대상 환자들이

    - 367 -

  • 韓國 脂質·動脈硬化學會誌 12卷 4號

    입원하기 이전에 지질 저하제를 포함하여 지질

    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가지 약제들에

    의한 혈중 지질 농도의 효과에 대해 고려하지 못

    했다는 점이다. 그리고 폐경 후 여성에서의 호르

    몬 요법 시행 여부, 흡연 여부 및 신체적 활동량

    등도 고려하지 못했다. 향후 이와 같은 요인들을

    모두 포함시킨 보다 정확한 분석이 필요할 것으

    로 생각된다. 둘째로는 대상 환자들이 본 대학병

    원에 입원하였던 제2형 당뇨병 환자들만을 대상

    으로 하였기 때문에 외래 환자나 대학 병원 규모

    가 아닌 다른 병원 및 기관들에 등록된 환자들도

    포함이 되어야만 본 연구 결과가 보편성을 확보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대학병원에 입원한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보다 엄격한 기준인 ATP-III에 의한 지

    질 저하 치료가 필요한 이상지혈증의 유병률이

    ATP-II에 의한 것과 비교해 볼 때 유의하게 증가

    됨이 확인되었고, 새로운 치료대상인 metabolic

    syndrome이 반수 이상에서 동반되며, 특히 여자

    에서 고위험 범주의 총 콜레스테롤과 HDL-C과

    metabolic syndrome 동반 비율이 높게 나타남으로

    써 이들 환자들에 대한 더욱 적극적이 치료가 필

    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참 고 문 헌

    1. Goldberg IJ. Clinical review 124: Diabetic dysli-

    pidemia: causes and consequences. J Clin

    Endocrinol Metab 2001;86:965-71

    2. Betteridge DJ. Diabetic dyslipidaemia. Diabetes

    Obes Metab 2000;2 (Suppl. 1):S31-6

    3. Association of glycaemia with macrovascular

    and microvascular complications of type 2

    diabetes (UKPDS 35): prospective observa-

    tional study. Br Med J 2000;12;321:405-12

    4. Association of systolic blood pressure with mac-

    rovascular and microvascular complications of

    type 2 diabetes (UKPDS 36): prospective obser-

    vational study. Br Med J 2000;12;321:412-9

    5. Turner RC, Millns H, Neil HA, Stratton IM,

    Manley SE, Matthews DR, Holman RR. Risk

    factors for coronary artery disease in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United

    Kingdom Prospective Diabetes Study (UKPDS:

    23). Br Med J 1998;14;316:823-8

    6. Randomised trial of cholesterol lowering in 4444

    patients with coronary heart disease: the

    Scandinavian Simvastatin Survival Study (4S).

    Lancet 1994;19;344:1383

    7. 고지혈증 치료지침 제정위원회. 고지혈증 치

    료지침 1996;2

    8. 한국인 고지혈증 치료지침의 개선방안. 이홍

    규. 한국지질학회지. 제11차 한국지질학회 춘

    계학술대회 초록집 심포지엄 1996;55-57

    9. Executive Summary of The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dult Treatment Panel III). JAMA

    2001;16;285:2486-97

    10. 김덕규. 제II형 당뇨병의 이상지혈증에 관한

    연구-당뇨병성 이상지혈증의 연구-. 한국지

    질학회지 1994;4:56-61

    11. Summary of the secon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Adult Treat-

    ment Panel II). JAMA 1993;16;269: 3015-23

    12.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Management of

    dyslipidemia in adults with diabetes. Diabetes

    Care 1999;22(Suppl. 1):S56-S59

    13. Syvanne M, Taskinen MR. Lipids and lipopro-

    teins as coronary risk factors in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Lancet 1997;350

    (Suppl. 1):SI20-3

    - 368 -

  • 새로운 NCEP-ATP III 기준에 의한 당뇨병성 이상지혈증의 유병률 및 특성

    14. Stamler J, Vaccaro O, Neaton JD, Wentworth

    D. Diabetes, other risk factors, and 12-yr

    cardiovascular mortality for men screened in

    the Multiple Risk Factor Intervention Trial.

    Diabetes Care 1993;16:434-44

    15. Cook CB, Erdman DM, Ryan GJ, Greenlund

    KJ, Giles WH, Gallina DL, El-Kebbi IM,

    Ziemer DC, Ernst KL, Dunbar VG, Phillips

    LS. The pattern of dyslipidemia among urban

    African-Americans with type 2 diabetes.

    Diabetes Care 2000;23:319-24

    16. Majumdar SR, Gurwitz JH, Soumerai SB. Under-

    treatment of hyperlipidemia in the secondary

    prevention of coronary artery disease. J Gen

    Intern Med 1999;14:711-7

    17. Sueta CA, Chowdhury M, Boccuzzi SJ, Smith

    SC Jr, Alexander CM, Londhe A, Lulla A,

    Simpson RJ Jr. Analysis of the degree of

    undertreatment of hyperlipidemia and conges-

    tive heart failure secondary to coronary artery

    disease. Am J Cardiol 1999;1;83:1303-7

    18. Pearson TA. The undertreatment of LDL-choles

    terol: addressing the challenge. Int J Cardiol

    2000;30;74(Suppl. 1):S23-8

    19. Berglund U, Karlsson E. Significant under-

    treatment of high cholesterol level in ischemic

    heart disease. Lakartidningen 2000;19;97:155-7

    20. Cowie CC, Howard BV, Harris MI. Serum

    lipoproteins in African Americans and whites

    with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in the US

    population. Circulation 1994;90:1185-93

    21. Gaillard TR, Schuster DP, Osei K. Gender

    differences i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obese, nondiabetic first degree relatives of

    African American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Ethn Dis 1998;8:319-30

    22. Summerson JH, Konen JC, Dignan MB. Racial

    differences in lipid and lipoprotein levels in

    diabetes. Metabolism 1992;41:851-5

    23. Goldschmid MG, Barrett-Connor E, Edelstein

    SL, Wingard DL, Cohn BA, Herman WH.

    Dyslipidemia and ischemic heart disease

    mortality among men and women with

    diabetes. Circulation 1994;89:991-7

    - 3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