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다다 ( 다다 ) 다다 다다다다다 <Human Story>

4. 다담(역사, 민속, 인문학)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4. 다담(역사, 민속, 인문학)

다담 ( 多談 )

그룹 휴먼스토리 <Human Story>

Page 2: 4. 다담(역사, 민속, 인문학)

떡밥

우리가 쓰는 역사

Page 3: 4. 다담(역사, 민속, 인문학)

아이디어 모으기유물 , 유적 , 박물관 등 역사 기행을 하자 .

우리가 직간접적으로 경험한 사건들 , 특정 개인이나 단체의 삶 등을 취재하여 오늘날의 역사를 쓴다 .

인문학 ( 특히 역사 ) 를 읽고 토론하여 소양을 쌓자

-> 역사 기행과 토론을 통해 쌓은 소양을 바탕으로 ‘오늘날의 역사 쓰기’ 활동을 하자 .

Page 4: 4. 다담(역사, 민속, 인문학)

의의와 가치 인문학 학습과 역사 기행 경험 , 그리고 취재의 경험을 통해

참가자들의 세상을 보는 눈을 키운다 .

폭넓고 다양한 방향에서의 취재와 토론을 통해 대상에 대한 독창적인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 .

역사를 쓰는 행위는 권위 있는 지식인들의 전유물이라는 발상에서 탈피하는 동시에 적극적인 역사에의 참여를 통해 역사에 대한 나름의 인식과 책임감을 갖추게 한다 .

Page 5: 4. 다담(역사, 민속, 인문학)

주요 활동 현지 답사를 통한 역사 기행 ( 유적과 박물관 등 ) -> 딱딱한

지식의 주입보다는 즐기는 방향으로

인문학 ( 특히 역사 관련 분야 ) 를 읽고 토론함으로써 견문을 넓히고 역사를 읽고 쓸 수 있는 소양을 갖춘다 .

우리 주변의 사건이나 특정 단체 , 혹은 개인의 삶을 취재하여 자기 나름대로의 ‘오늘의 역사’를 써본다 .

결과물을 공유하고 토론하며 보다 오래 보존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한다 .

Page 6: 4. 다담(역사, 민속, 인문학)

세부 계획 역사기행을 다녀오고 , 인상을 공유하는 시간 가지기 ( 워밍업

1 단계 )

역사 서술의 방법 , 미시사의 역사서적 등을 읽고 토론하며 활동 준비하기 ( 워밍업 2 단계 )

웹사이트를 만들어 소통과 공유 , 홍보의 장 만들기

회의를 통해 취재할 주제 , 타깃 , 방법 , 일정 등을 정하고 실행하기

Page 7: 4. 다담(역사, 민속, 인문학)

필요한 것 끈기와 흥미 자금 카메라 , 녹음기 등 취재 장비 역사 서적 등의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