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스냅챗의 오리지널 콘텐츠 세로 화면 , 휘발성 , 참여 문화 NcoN Trend Report Vol.4 (주)앤미디어 콘텐츠사업실 www.nmedia.kr www.facebook.com/NmediaContents 2015. 09. 18

Trend report #4 스냅챗 오리지널 콘텐츠

  • Upload
    nmedia

  • View
    723

  • Download
    1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Trend report #4 스냅챗 오리지널 콘텐츠

스냅챗의 오리지널 콘텐츠세로 화면, 휘발성, 참여 문화

NcoN Trend Report Vol.4

(주)앤미디어 콘텐츠사업실www.nmedia.krwww.facebook.com/NmediaContents 2015. 09. 18

Page 2: Trend report #4 스냅챗 오리지널 콘텐츠

스냅챗의 오리지널 콘텐츠

: 세로 화면, 휘발성, 참여 문화

Page 3: Trend report #4 스냅챗 오리지널 콘텐츠

스냅챗, 콘텐츠 플랫폼으로의 도약

UGC(User Generated Contents)와 RMC(Ready-Made Contents)를 한곳에

“Live Stories”participatory

“Discover”editorial

사용자들이 특정 시간과

장소에서 직접 촬영한

짧은 동영상들을

큐레이션하여 하나의

스토리로 엮어 제공하는

서비스

People이나 Daily Mail과 같은

기존의 미디어 사업자들과 제휴

하여 전문가가 편집한 뉴스와

콘텐츠를 일일 단위로 제공

NcoN Trend Report Vol.4

Page 4: Trend report #4 스냅챗 오리지널 콘텐츠

스냅챗의 오리지널 콘텐츠 – 1 : Literally Can’t Even

두 명의 20대 젊은 여성들이 LA에서 겪는 좌충우돌 적응기

• 스냅챗 버전 <Sex and the City>,<Girls>의 캘리포니아 버전

2015년 1월 31일에 출시

• 오로지 스냅챗에서만 유통 (유튜브에 저작권 보호 요청)

총 9편의 에피소드(편당 5분)를 매주 토요일에 공개

집단 오디션 없이 제작자(=출연자)의 지인들을 캐스팅

제작자

• 스필버그의 딸, 사샤스필버그(Sasha Spielberg)

• 존 골드윈의 딸, 에밀리 골드윈(Emily Goldwyn)

NcoN Trend Report Vol.4

Page 5: Trend report #4 스냅챗 오리지널 콘텐츠

스냅챗의 오리지널 콘텐츠 – 2 : Snapper Hero

스토리라인

: 현실 세계의 인플루언서(소셜 미디어 스타)들에게

만약 초능력이 주어진다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

2015년 3월 10일 첫 에피소드 공개

총 12편의 에피소드(편당 3분 안팎)를 4주간 매주 화, 목, 일요일에 방영

AT & T가 브랜디드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로 기획

• 대표적인 MCN 기업 Fullscreen과 디지털 콘텐츠 제작사 Astronauts Wanted(밀레니얼, Z 세대 겨냥)가 제작

유튜브 인플루언서인 Anna Akana (채널: Anna Akana), Freddie Wong (채널: RocketJump), Harley Morenstein

(채널: Epic Meal Time), Jasmeet Singh (채널: JusReign) 등 출연

NcoN Trend Report Vol.4

Page 6: Trend report #4 스냅챗 오리지널 콘텐츠

모바일 세로 화면에 친화적인 비디오 포맷 지향

에반 슈피겔

스냅챗 CEO

세로로 생각하라!

Think vertically!

동영상을 촬영하거나 시청하는 데 가로로 돌리기를

귀찮아 하는 모바일 기기 사용자들

KPCB 인터넷 트렌드 보고서:

“세로 화면으로 시청 시 동영상 광고 콘텐츠를

끝까지 보는 비율이 가로 화면보다 9배 높았다.”

NcoN Trend Report Vol.4

Page 7: Trend report #4 스냅챗 오리지널 콘텐츠

Literally Can’t Even : 만화 컷 스타일의 화면 분할

세로 화면에 효과적인 영상 연출의 구상 및 적용

만화의 컷 분할 방식을 세로 화면 분할에 차용

한 장면에 여러 시점들을 동시에 제시하여 연속성과

몽타주 효과 구현을 시도

세로 화면 연출에서의 한계점들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

• 세로 화면은 인물을 Z축으로 배치하지 않는 이상,

투샷(two-shot) 이상이 불가능

• 세로 화면은 인물과 더불어 배경 및 주변 사물을 통한 화면

구성의 미학을 보여주기가 어려움

NcoN Trend Report Vol.4

Page 8: Trend report #4 스냅챗 오리지널 콘텐츠

Snapper Hero : 세로 화면 그대로의 사실성

Live Stories 포맷을 그대로 활용

• Live Stories 포맷: 사용자들이 직접 찍어 올린 세로 화면

동영상(컷이 나누어지지 않은)들을 그대로 이어 붙인 것

• 우측 상단에 각 동영상의 시간 길이가 표시되며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면 바로 다음의 동영상으로 건너뜀

세로 화면 형 다큐멘터리 스타일 제시

• 스냅챗의 동영상 촬영 및 공유 방식을 그대로 차용하여

다큐멘터리적인 사실성 유도

• 촬영 장비도 <Literally Can’t Even>이 GoPro나 Canon 5D와

같은 준 전문가용 장비를 사용했던 것에 반해, <Snapper Hero>의

경우 일반 스마트폰을 그대로 활용

* 좌측 아래의 사진이 Snapper Hero의 촬영 현장 사진

NcoN Trend Report Vol.4

Page 9: Trend report #4 스냅챗 오리지널 콘텐츠

Within 24 hours : ‘그때’가 아니면 볼 수 없는 콘텐츠

Time Limit

24 h

콘텐츠 휘발성(방영 후 24시간 이내가 아니면 볼 수 없는)에 대한 적합성 논쟁

<Literally Can’t Even>과 <Snapper Hero>의 모든 에피소드들은

공개 시간을 기점으로 24시간 후에 휘발

이 단명성은 오히려 시청자들이 콘텐츠를

반드시 시청할 수밖에 없게 만드는 더

강력한 자극제가 될 것이다. – AT & T

사용자들로 하여금 나중에 시청하기로

계획하였다가 잊어버리게 두기보다 방영 즉시

시청하도록 종용하는 게 더 낫다.

스냅챗의 휘발성은 스크립티드(scripted)

콘텐츠에 어떠한 이점도 제공해주지

못한다. – Evan DeSimone (칼럼니스트)

휘발성 때문에 콘텐츠를 접하거나 스토리를

쫓아가는 게 사실상 불가능하며, 근래

이용자들의 보편적인 시청 방식인 ‘몰아보기’나

‘시간 차 시청’에도 부적합하다.

<Literally Can’t

Even>의 경우, 두 번째

시즌으로 넘어가기 전인

2015년 4월 25일

토요일에 전편을 마라톤

방영

NcoN Trend Report Vol.4

Page 10: Trend report #4 스냅챗 오리지널 콘텐츠

참여 문화 : 팬들의 참여가 콘텐츠 제작에 반영

Snapper Hero는 고정 시청자를 충분히 확보하여 슈퍼 히어로의 개성, 파워, 적, 의상, 기원 스토리, 줄거리 등과

관련한 팬들의 조언과 선택을 바탕으로 쇼 제작을 추진

유튜브, 스냅챗, 바인 등과 같은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 수많은 추종팬들을 거느린 인물들을 섭외하여 초반부터

사용자의 관심을 자연스럽게 확보

빌리 파크스

<Snapper Hero> 프로듀서

우리는 사용자들에게 이렇게 말하면서 시작합니다.

“여러분, 우리는 이러한 시리즈를 만들 예정입니다.

여러분의 제안이나 의견은 무엇인가요?”

NcoN Trend Report Vol.4

Page 11: Trend report #4 스냅챗 오리지널 콘텐츠

슬랩스틱 코미디가 스토리의 전부?

Literally Can’t Even은 캐릭터와 스토리라인보다는 순간순간 웃음을 유발할 수 있는 슬랩스틱 코미디에 치중

Snapper Hero는 비교적 캐릭터 설정과 그것의 반복에 심혈을 기울였지만, 전체적인 스토리는 Literally Can’t

Even과 마찬가지로 매 순간의 웃음 유발에 치중

코미디로 제한된 스토리의 유형과 단편적인 웃음 유발에 집중된 스토리텔링의 방식은 사용자들이 첫 화부터 보지

않더라도 충분히 콘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함

그러나 동일한 유형과 방식이 거듭될수록 금방 싫증을 내는 것이 현대의 모바일 사용자들이기에, 세로 화면에 걸맞는

영상 연출 기법과 더불어 스토리 개발에 대한 다양한 시도들이 필요

Literally Can’t Even은 두 번째 시즌부터 약간의 반복적인 캐릭터와 연속극의 스토리 요소를 가미할 것이라고 밝혀

향후 그 귀추가 주목

NcoN Trend Report Vol.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