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
CT , 연구중심 융합교육 가능할까? 우운택교수 KAIST GSCT 2012216() 건국대학교

CT, 연구중심 융합교육 가능할까?

Embed Size (px)

DESCRIPTION

건국대, 16일 ‘기술융합교육 전망과 비전’ 심포지엄 http://bit.ly/zBqE1R

Citation preview

Page 1: CT, 연구중심 융합교육 가능할까?

CT, 연구중심 융합교육 가능할까?

우운택교수

KAIST GSCT

2012년 2월16일(목) 건국대학교

Page 2: CT, 연구중심 융합교육 가능할까?

주제

•융합과 통섭 그리고 융합의 필요성

•연구중심 CT 융합 교육 ▫ CT, 문화와 기술의 융합

▫ GSCT, 융합연구와 교육

▫ CT, 연구중심 융합교육 모형

•CT, 연구중심 융합교육의 미래?

Page 3: CT, 연구중심 융합교육 가능할까?

융합과 통섭

•과학탐구 ▫ 과학이 관찰하는 대상을 자르고 나누고 하는 작업을 통해서 세계를 분석하고 환원하는 행위

▫ 17C 과학혁명 이후 개별 학문의 특수화, 세분화, 전문화

▫ 19C 이후 개별 학문은 전문성이 깊어지는 만큼 폭은 좁아지고 경계의 벽은 점점 높아지는 중

•융합과 통섭 ▫ 21C 새로운 지식, 기술, 산업은 융합을 통해 창조-선도 From smart IT to smart world

▫ 섞여야 아름답고, 건강하고, 강하다! 융합, 소통과 협력을 통해 단절과 경계를 허물고 새로운 창조!

Page 4: CT, 연구중심 융합교육 가능할까?

융합과 통섭

•국과위 (Nov. 2008) ▫ ‘미래사회의 경제ㆍ사회적 다양한 수요를 충족 시키기 위한 과학, 기술, 문화 등과의 창조적 융합’으로 확장

▫ ‘IT, BT, NT 등의 첨단 신기술 간 상승적 결합을 통해 미래 사회 및 국가 공통의 목표 달성을 위한 과학기술적 한계를 극복함으로써 경제와 사회의 변화를 주도하는 기술’로

•Steve Jobs (Jan. 2010) ▫ We've tried to be at the intersection of technology and liberal arts

•최재천 (통섭, 統攝, consilience) ▫ 큰 줄기(통)를 잡다(섭), 즉 '서로 다른 것을 한데 묶어 새로운 것을 잡는다'는 의미의 지식 대통합

▫ 인문학과 자연과학을 연결-관통하는 통합학문

Page 5: CT, 연구중심 융합교육 가능할까?

융합과 통섭: 핵분열에서 핵융합으로

•통합 vs. 융합 ▫ 통합: 물리적 결합 (GIST)

▫ 융합: 수요 충족형 메타기술!

•융합의 시너지, 통섭의 지혜로 ! ▫ 융합 <목표> 상이 분야의 화학적 결합으로 새가치 창출

혈당 측정 휴대폰 (IT&BT), 개인 휴대형 슈퍼 컴퓨터 (IT&NT), 치료용 나노로봇 (NT&BT)

▫ 통섭 <방법론> 함께(con) 뛰기(salire), ‘jumping together’

상이 분야 이론과 지식 묶어 새가치 창출

수평적/상호영향적 vs. 수직적/포섭적

Page 6: CT, 연구중심 융합교육 가능할까?

융합의 필요성

•융합형 (과학기술/IT) 인재 ▫ 전문성

▫ 개방과 창의 Liberal Arts (문사철수과예) 강화!

▫ 조화와 협력 사람중심 성찰, 사람사는 세상

•융합의 요소 ▫ 과학적 논리력 (객관성)

▫ 예술적 창조력 (감성)

▫ 인문학적 상상력 (다양성) 인문학적 상상력

과학적 논리력

예술적 창조력

Page 7: CT, 연구중심 융합교육 가능할까?

What

Why How

CT, 문화와 기술의 융합

•왜 문화기술인가? ▫ DT is about ‘how’

▫ CT asks ‘why’ for ‘how’!

▫ Tech-knowledge (fact) vs. Tech-wisdom (context)

•문화와 기술의 융합단계 ▫ 문화와 기술의 물리적 만남

▫ 문화와 기술이 공조

▫ 문화가 되는 기술

CT IT

Page 8: CT, 연구중심 융합교육 가능할까?

CT, 문화와 기술의 융합

•문화와 기술의 융합단계 ▫ 문화와 기술의 물리적 만남 (기존 학문의 독립적 기여) 다학문적(multidisciplinary) 융합연구

▫ 문화와 기술이 공조 (기존 학문의 확장) 학제적(interdisciplinary) 융합연구

▫ 문화가 되는 기술 (학문간 결합으로 새로운 학문 창조) 초학제적(transdisciplinary) 융합연구

•융합에 대한 문화와 기술의 입장

Culture Ct cT Tech

Page 9: CT, 연구중심 융합교육 가능할까?

GSCT, 융합연구와 교육

•Phase I (2005~2011) ▫ 문화콘텐츠 창작기술

▫ 문화콘텐츠 기획 및 창작(디지털 스토리텔링 등)

▫ 문화산업 경영(문화경영․정책 등)

•Phase II (2011~) ▫ Digital Entertainment (Content)

▫ Ambient Communication (Networking)

▫ Interactive Media & Space (UI/UX)

Page 10: CT, 연구중심 융합교육 가능할까?

CT, 연구중심 융합교육

•융합 연구의 현실 ▫ 지식체계 및 언어 정의의 차이 연구자간의 견해 충돌, 느슨한 결속력, 복잡한 소통

▫ 연구문화와 평가기준의 차이 (커뮤니티, 학회, 저널 부재 ) 신뢰부족에 따른 상호 들러리에 대한 피해의식과 회의론

▫ 한시적이고 성과 위주

•융합교육의 현실 ▫ 독립된 학문으로서의 정체성 미약

▫ 교육 방법의 정교성 부족

Page 11: CT, 연구중심 융합교육 가능할까?

인문학적 상상력

과학적 논리력

예술적 창조력

CT, 연구중심 융합교육

•융합연구와 융합교육의 융합, 가능할까? ▫ 연구는 문제중심 vs. 교육은 학문중심

•융합 교육은 두 마리 토끼! ▫ 뿌리 학문 교육 통한 전문성 강화 vs.

▫ 융합 통한 창의력과 협동력 배양

•문제중심의 교육, 가능할까? ▫ 과학적 논리력 (객관성)

▫ 예술적 창조력 (감성)

▫ 인문학적 상상력 (다양성)

Page 12: CT, 연구중심 융합교육 가능할까?

CT, 연구중심 융합교육

•두 가지 길 ▫ Phase I & II: 협력형 인간

▫ Phase III : 완벽한 융합형 인간

•현재의 융합교육은 ▫ 협력 상생의 길

▫ 단일과목 협동강의 vs. 묶음과목 vs. 묶음과목 협동강의

인문학적 상상력

과학적 논리력

예술적 창조력

Page 13: CT, 연구중심 융합교육 가능할까?

CT, 연구중심 융합교육 모형

•목표 ▫ 전문지식과 융합사고를 통해 창조적 문제해결 능력 갖춘 인재양성

•방법 ▫ 학과는 융합연구주제 제시

▫ 상호보완적으로 융합 시너지 만들 팀 구성 (3~4인)

▫ 팀별 연구주제와 목표에 따른 묶음 과목 구성 개인별 묶음 교과목은 단일 (9)학점, 연구결과는 연구 (6)학점

•평가 ▫ 묶음 교과목은 개별 과목 성취도 종합평가

▫ 연구성과는 팀별 보고서, 특허, 논문 등으로 평가

Page 14: CT, 연구중심 융합교육 가능할까?

CT, 연구중심 융합교육 모형 (예)

•융합 연구주제 ▫ DigiLog Book

▫ 팀 구성 (3~4인): 전자/전산, 디자인, 콘텐트, 기획

▫ 묶음 과목 구성 (예) 전자/전산: HCI, Visual Computing (IP, CV, CG), 3D UI,

디자인: HCI, 3D UI, Design & evaluation, Cyber-psychology

콘텐트: HCI, 3D CG/Animation, D-Storytelling, DC-Design

기획: HCI, D-Storytelling, Aesthetics, Culture Industry

▫ 평가 묶음 교과목은 개별 과목 성취도 종합평가

연구성과는 팀별 보고서, 특허, 논문 등으로 평가

Page 15: CT, 연구중심 융합교육 가능할까?

CT, 연구중심 융합교육의 미래

•미래의 융합교육?

인문학적 상상력

과학적 논리력

예술적 창조력

Page 16: CT, 연구중심 융합교육 가능할까?

Q & A

•융합과 통섭 그리고 융합의 필요성

•연구중심 CT 융합 교육 ▫ CT, 문화와 기술의 융합

▫ GSCT, 융합연구와 교육

▫ CT, 연구중심 융합교육 모형

•CT, 연구중심 융합교육의 미래?

Page 17: CT, 연구중심 융합교육 가능할까?

More Q & A?

Woontack Woo (禹雲澤, 우운택), Ph.D.

Professor, U-VR Lab.

KAIST GSCT

Daejeon 350-701

Korea

Twitter: @wwoo_ct

Facebook: @wtwoo

Email: [email protected]

Home: http://uvr.gist.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