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
공유경제와 공유도시 CCKOREA 강현숙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있습니다.

공유경제와 공유도시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공유경제와 공유도시 CCKOREA 강현숙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6개월 후에도 여전히 제품 형태를 유지하고 있거나

사용되고 있는 물건은 과연 몇 %?

- 미국, 출처 <Story of Stuff>

CC BY NC ND 이미지출처:http://www.flickr.com/photos/8422710@N06/2164279407

공유경제란?

유휴자원을 공유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

비즈니스영역 협력적소비

Uber Air BnB…

공구도서관 마을부엌...

공유경제

Air BnB kozaza

기존

민박

쉐어하우스 룸메이트(하숙집)

소카, 나눔카 렌트카

코워킹스페이스 비즈니스센터

헬로마켓 중고마켓

공유경제 새로울 것도 없다?

전체����������� ������������������  이용자수����������� ������������������  900만명����������� ������������������  ����������� ������������������  34,183개����������� ������������������  도시����������� ������������������  (192개����������� ������������������  나라)����������� ������������������  매일����������� ������������������  이용자수����������� ������������������  140,000명����������� ������������������   ����������� ������������������  

기업가치����������� ������������������  25억달러(2조����������� ������������������  7000억원)

공유경제

I need… I have…

기술의발달

P2P 연결 쉽게 경제적

자원 + 경험 + 소셜

“소유가 아닌 공유로 접근”

출처: http://www.collaborativeconsumption.com/2015/02/22/brand-loyalty-and-the-collaborative-economy/

공유경제의 핵심

공유허브 등록된 공유기업,단체

153 개(2015.7.24 기준)

국내 공유경제 현황

서울시 지정 공유기업,단체

63 개(2015.7.24 기준 / 3곳 서비스 종료)

주요 국내 공유경제 _ 쏘카카쉐어링 ‘쏘카’, SK등으로부터 650억원 투자 유치 쏘카, 카셰어링 인기차종 ‘미니’ 전국 100대 돌파 카셰어링 업체 쏘카, 올해 매출 500억원 예상 ‘돌풍’ 비결은? 쏘카, 업계 최초 누적 회원 50만명 돌파, 올해 카셰어링 이용자 100만명 넘을 듯

주요 국내 공유경제 _ 마이리얼트립마이리얼트립, 지난해 예약건수 26배 성장... 일일 예약 700건 여행 스타트업 마이리얼트립, 알토스벤처스로부터 후속 투자 유치

주요 국내 공유경제 _ 위시켓IT 아웃소싱 스타트업 ‘위시켓’, 12억 투자 유치

개발회사, 프리랜서 18,000여명 등록 등록된 프로젝트 3,392개 프로젝트 등록 금액 29,019,020,000원

주요 국내 협력적소비 _ 똑똑도서관아파트 주민이 개인의 책을 공유하는 모델 주민들의 책목록과 대여가능한 시간을 공유해서 서로 빌려주는 형태 물리적인 도서관이 아닌 ‘집’을 중심으로 네트워크 형태로 만들어진 도서관

http://www.knocklibrary.org/about

국내 공유경제 현황

공유경제의 가치

1자원의 효율성

공유경제의 가치

2 경제적 이익승용차 보유시 운영비 약 614만원 /년 나눔카 이용시 약 425만원/년 (자료 제공 : 서울시)

공유경제의 가치

3 환경보호카쉐어링 1대당 승용차8.5대 감소 자동차 온실가스 배출량 약 486톤/년 감축 (자료 출처 : 서울시)

공유경제의 가치

4 커뮤니티

공유경제와 공유도시

공유경제와 도시 협력 사례

영국 축구장 인근에 주차 문제 - 파크앳마이하우스

브라질 브라질 리우 올림픽- 공식 숙박업체 에어비앤비

미국 허리케인 재난시 에어비앤비와 협력하여 숙소 제공

서울 공유기업 단체 지정하여 지원 (2015년 기준 약 60여개)

2012.9.10 공유도시 선언

서울시 공유촉진조례 제정

민간 거버넌스 - 서울특별시 공유촉진위원회 구성.운영

서울 공유허브 운영지원

공공데이터 개방, 유휴 공간 개방 (1,007개)

공유단체.공유기업 지정 (지원) - 60여개팀 지정

- 지원금, 홍보 지원 등 다양한 지원 사업을 펼치고 있음

신규 공유경제 스타트업 창업지원 (상반기 20개팀 선발)

공유도시 ‘서울’ 정책

이미지출처 : 공유허브

이미지출처 : CC BY / 공유허브

이미지출처 : CC BY / 공유허브

이미지출처 : CC BY / 공유허브

이미지출처 : CC BY / 공유허브

이미지출처 : CC BY / 공유허브

이미지출처 : CC BY / 공유허브

공유경제의 부정적인 견해

부스러기����������� ������������������  경제����������� ������������������  ����������� ������������������  

개인간의����������� ������������������  신뢰도����������� ������������������  시스템����������� ������������������  ����������� ������������������  ����������� ������������������  

책임����������� ������������������  규정����������� ������������������  ����������� ������������������  

소비����������� ������������������  위축에����������� ������������������  대한����������� ������������������  우려,����������� ������������������  제조업����������� ������������������  쇠퇴����������� ������������������  

기존����������� ������������������  기업의����������� ������������������  영업권����������� ������������������  침해����������� ������������������  

����������� ������������������  법적����������� ������������������  책무의����������� ������������������  혼란과����������� ������������������  과세����������� ������������������  적용����������� ������������������  어려움����������� ������������������  ����������� ������������������  

공유경제와 글로벌 도시

포틀랜드 airbnb와 파트너쉽, 우버는 3개월동안 시범 운영

유럽암스테르담, 밀라노

공유경제 활성화를 위한 연구, 시민들에게 공유경제 인식제고

영국암스테르담, 밀라노

영국 공유경제 기업, 이용자 현황 연구 조사 공유경제 활성화를 위한 보고서 공유경제 액션 그룹 결성(Task Rabbit, Hassle, Zipcar, Airbnb 등 공유기업 + 공무원)

영국 보고서

관련 보고서 : http://sharehub.kr/unlocking-the-sharing-economy-independent-review/

<현황> 2015년 3월 기준 - 주차 공유를 통해 일년 평균 약 76만원 수입, 런던 132만원 - 자동차 공유 : 약 293만원 수익 (1년 평균) - zipcar : 50만원 절약 (1년 평균) - airbnb : 연평균 33일 렌트, 약 500만원 수익

<제언> - 신뢰도 : 정부차원에서 인증 검토 필요 - 공무원 출장시 공유경제 플랫폼을 이용 적극 권유 - 인터넷 사용하지 않는 사용자를 위한 방안 마련도 필요 등

Some Rights Reserved [email protected]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선스(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2.0/kr/deed.kr)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별다른 표시가 있는 이미지나 웹사이트의 캡쳐이미지는 위 라이선스가 적용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