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305 I. 서 건강한 치주조직의 유지를 위해서는 부착치은이 중요하며, 부족한 부착치은을 확보하기 위한 술식으 로 1963년 Bjorn 19) 이 처음 기술한 이래로 유리치은 이식술을 많이 사용해 왔다. 이 술식의 예견성은 이 미 알려져 있는데, 근육 부착부의 장력을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구강전정을 확장시킬 수 있고, 진행성 치은퇴축을 방지 하며 치근을 피개하기 위한 술식으 로 인정되고 있다 1) . 전통적인 유리치은 이식술은 상악 구개부로부터 각화조직을 채득하여 미리 형성해 놓은 수용부로 이 식하는 것이다. 이 때, 수용부가 다수일 경우 공여부 에서의 채득량이 제한적이며, 이식편을 크게 채득한 다 하더라도 개방창상을 보호하기 어려우며 출혈조 절 또한 쉽지 않다. 치유는 이차의도에 의해 진행되 는데, 이는 환자의 술 후 불편감과 통증의 증대로 나 타난다. 상피하 결합조직 이식술이나 아코디언 기법 같은 술식들은 공여부의 치유를 보다 쉽게 한다. 상 피하 결합조직 이식술은 공여부에서 건전한 판막이 공여부를 완전히 피개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결합 조직이 제거되었기 때문에 치유에 시간이 많이 걸리 고, 술자의 숙련도에 따라 치유시간이 달라지며 채 득량도 제한적이다 13) . 아코디언 기법은 구개부에서 적은 양의 각화조직을 채득한 후 넓게 펼쳐 이식하 는 기법으로, 적은 양으로 보다 넓은 수용부를 피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Karring등 9) 은 7마리의 원숭이를 대상으로 각화 치은상피의 하방에 있는 결합조직과 치조 점막 하방 의 결합조직을 이식하는 실험을 행하여 이를 조직학 적으로 분석하였는데, 치은의 결합조직이 치은 각화 상피를 형성하는 유도능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Ouhayoun JP등 12) 은 구개부의 깊은 부위 에서 채득한 결합조직을 이식하였을 때 비각화 상피 세포를 각화 상피세포로 분화시키지 못한다고 보고 하였는데, 이는 각화치은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각화 상피 또는 각화 상피의 직하방에 존재하는 결합조직 이 존재하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 진흥사업의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임(03-PJI-PG1-CH08-0001). * 교신저자:권영혁, 서울시 동대문구 회기동 1번지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우편번호:130-702 E-mail:[email protected] 대한치주과학회지 : Vol. 36, No. 2, 2006 Strip 형 유리치은 이식술이 부착치은 형성에 미치는 영향 이동열, 권영혁, 박준봉, 허 익, 정종혁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Strip 형 유리치은 이식술이 부착치은 형성에 미치는 영향 - KoreaMed · 2014-09-12 ·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 진흥사업의 지원에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Strip 형 유리치은 이식술이 부착치은 형성에 미치는 영향 - KoreaMed · 2014-09-12 ·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 진흥사업의 지원에

305

I. 서 론

건강한 치주조직의 유지를 위해서는 부착치은이

중요하며, 부족한 부착치은을 확보하기 위한 술식으

로 1963년 Bjorn19)이 처음 기술한 이래로 유리치은

이식술을 많이 사용해 왔다. 이 술식의 예견성은 이

미 알려져 있는데, 근육 부착부의 장력을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구강전정을 확장시킬 수 있고, 진행성

치은퇴축을 방지 하며 치근을 피개하기 위한 술식으

로 인정되고 있다1).

전통적인 유리치은 이식술은 상악 구개부로부터

각화조직을 채득하여 미리 형성해 놓은 수용부로 이

식하는 것이다. 이 때, 수용부가 다수일 경우 공여부

에서의 채득량이 제한적이며, 이식편을 크게 채득한

다 하더라도 개방창상을 보호하기 어려우며 출혈조

절 또한 쉽지 않다. 치유는 이차의도에 의해 진행되

는데, 이는 환자의 술 후 불편감과 통증의 증대로 나

타난다. 상피하 결합조직 이식술이나 아코디언 기법

같은 술식들은 공여부의 치유를 보다 쉽게 한다. 상

피하 결합조직 이식술은 공여부에서 건전한 판막이

공여부를 완전히 피개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결합

조직이 제거되었기 때문에 치유에 시간이 많이 걸리

고, 술자의 숙련도에 따라 치유시간이 달라지며 채

득량도 제한적이다13). 아코디언 기법은 구개부에서

적은 양의 각화조직을 채득한 후 넓게 펼쳐 이식하

는 기법으로, 적은 양으로 보다 넓은 수용부를 피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Karring등9)은 7마리의 원숭이를 대상으로 각화

치은상피의 하방에 있는 결합조직과 치조 점막 하방

의 결합조직을 이식하는 실험을 행하여 이를 조직학

적으로 분석하였는데, 치은의 결합조직이 치은 각화

상피를 형성하는 유도능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Ouhayoun JP등12)은 구개부의 깊은 부위

에서 채득한 결합조직을 이식하였을 때 비각화 상피

세포를 각화 상피세포로 분화시키지 못한다고 보고

하였는데, 이는 각화치은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각화

상피 또는 각화 상피의 직하방에 존재하는 결합조직

이 존재하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 진흥사업의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임(03-PJI-PG1-CH08-0001).

*교신저자:권영혁, 서울시 동대문구 회기동 1번지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우편번호:130-702

E-mail:[email protected]

대한치주과학회지 : Vol. 36, No. 2, 2006

Strip 형 유리치은 이식술이 부착치은

형성에 미치는 영향

이동열, 권영혁, 박준봉, 허 익, 정종혁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Page 2: Strip 형 유리치은 이식술이 부착치은 형성에 미치는 영향 - KoreaMed · 2014-09-12 ·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 진흥사업의 지원에

306

이번 연구에서는 최소한의 이식편으로 최대한의

각화 부착치은을 획득함과 동시에 환자의 불편 정도

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strip기법을 이용한 유리치은

이식술을 사용하였다. 이 때, 치조점막이 존재하였

던 결합조직상에서 이식편의 strip사이에 간격이 존

재할 때, 이 부위가 각화 또는 비각화 상피 조직으로

치유될 것인지를 관찰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며, 환

자가 느끼는 불편감의 정도도 조사하였다.

II.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부속병원 치주과에 내원한 7

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strip 형 유리치은 이식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부위는 부착치은이 결여된(0㎜) 하

악 소구치부로 한정하였으며, 이들은 모두 만성 치

주염으로 진단되었고, 진행성 치은퇴축이 있는 경우

또는 부착치은이 결여된 경우 또는 소대부착으로 인

하여 치은퇴축이 우려되는 경우로 한정하였다. 전신

질환 또는 최근 3개월 이내에 항생제 복용이나 수술

병력을 지닌 사람은 배제하였다. 남성은 3명(양측 1

명, 편측 2명), 여성은 4명(양측 3명, 편측 1명)으로

n=10 이며, 평균 연령은 48.9±9.0세이다(Table 1).

Table 1. Data regarding patients ( n=10)

Sex Unilateral Bilateral Age

P1 Female O 46

P2 Male O 49

P3 Female O 37

P4 Female O 53

P5 Male O 66

P6 Male O 47

P7 Female O 44

Table 2. Measurements of the strip and inter-distance (scale : ㎜)

Mesiodistal length Strip width Strip thickness Inter-distance

P1 Lt 15.0 2.0 1.3 2.5

P2 Lt 15.0 2.0 1.0 2.5

P3 Lt 15.0 2.0 1.0 2.0

P3 Rt 15.0 2.0 1.0 2.0

P4 Lt 15.0 2.0 1.0 3.0

P4 Rt 15.0 2.0 1.0 3.0

P5 Lt 15.0 2.0 1.0 3.0

P5 Rt 15.0 2.0 1.0 3.0

P6 Lt 9.0 2.0 1.0 3.3

P7 Lt 15.0 2.5 1.0 3.0

Mean±SD 14.4±1.897 2.05±0.158 1.03±0.095 2.73±0.455

Page 3: Strip 형 유리치은 이식술이 부착치은 형성에 미치는 영향 - KoreaMed · 2014-09-12 ·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 진흥사업의 지원에

307

2. 수술방법

수술방법은 Han 등13)이 1993년 발표한 내용을 기

준으로 하였으며, 세부적인 부분에서 약간 다른 방

법*을 시도하였다. 구개부에서 유리치은을 채득하는

방법과 유리치은을 수용부에 이식하는 방법에서 차

이가 있다. 수술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임상적으로 부착치은이 부족한 치아에서(Figure

1,2,3) 치은점막경계로부터 0.5㎜ 상방 치은에서

해당치아의 근원심으로 3㎜씩 연장하여 수평절개

를 한다.

2) 수평절개의 근원심에서 치은점막경계를 넘어 8㎜

이상 부분층 판막을 형성한다.

3) 부분층 판막을 최소 7㎜하방에 근단 변위 봉합을

하여 수용부를 형성한다(Figure 4,5).

4)* 상악 구개의 공여부에서 폭 2㎜, 길이는 (치아의

근원심 길이 + 6㎜)*2, 두께는 1.0㎜ 이하로 유

리치은 strip을 1개 채득하여 둘로 나눈다

(Figure 6,7,8).

5)* 둘로 나눈 strip이식편을 수여부의 치관측 및 근

단측에 2~3㎜의 간격을 두고 6-0 나일론 봉합

사로 골막봉합을 한다(Figure 9).

6) 항생제(Camoxacillin)을 7일 처방하였고 클로로

헥시딘(0.12%)용액은 14일간 사용케 하였으며,

구강위생관리는 술 후 2주 이후부터 시행하였다.

술 후 1, 2, 4, 8, 12주에 임상적 치유양상을 관

찰하였으며, 환자의 술 후 불편감 정도는 VAS로

측정하였다. 측정은 William probe로 하였다

(Table 2).

III. 연구 성적

1. 술 후 1주 소견

수여부에서 strip사이의 간격은 육아조직으로 채

워져 붉게 보이며, 이식편의 상피는 부유현상을 보

이고, 이식편은 생착하였다(Figure 10,11,12). 치근

단쪽의 이식편은 근육 부착부에 의해 치관측으로 밀

리거나 혹은 치조점막의 하방으로 함입되는 경우도

있었다.

공여부는 정상적인 치유과정을 거치고 있었으며,

환자의 불편감은 거의 없었다(Figure 13, Table 3).

2. 술 후 2주 소견(Table 4)

수여부에서 strip사이의 간격이 red line을 나타

내며 그 간격이 좁아져 있으며, 두 환자에서 이식편

의 생착 후에도 하방의 근육 부착부에 의해 이식편

이 상방으로 약간 밀리는 경우도 있었다. 각 이식편

은 상피화되었다(Figure 14,15).

3. 술 후 4주 소견(Table 5)

근원심측에서 strip사이로 점막의 침투가 있는 경

우도 있으나 대부분은 각화 부착치은으로 치유되었

다. 치관-근단측으로 약간의 이식편 수축이 보이며,

이식편 사이의 red line은 소실되는 경향을 보인다

(Figure 16,17,18,19). 부착치은은 계획한 면적의

93.83%를 채우고 있다.

Table 3. VAS of the patients 1 week after

the operation

VAS

P1 Lt 2

P2 Lt 1

P3 Lt 1

P3 Rt 1

P4 Lt 2

P4 Rt 1

P5 Lt 0

P5 Rt 0

P6 Lt 1

P7 Lt 1

Mean±SD 1.0±0.667

Page 4: Strip 형 유리치은 이식술이 부착치은 형성에 미치는 영향 - KoreaMed · 2014-09-12 ·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 진흥사업의 지원에

308

4. 술 후 8주 소견(Table 6)

이식편 사이의 red line은 거의 소실되었고, 술

후 4주와 비교해 볼 때 큰 변화는 없었으며, 이식된

조직이 더욱 성숙된 소견을 보인다. 전체적으로는

이식부위가 약간의 수축성 경향을 보였으며 (Figure

20, 21, 22), 이는 실제 부착치은의 면적이 계획한

면적보다 4주의 93.83%보다 작은 92.01%를 나타내

었다.

Table 5. Measurements 4 weeks after the operation

Width Area%

Mesial(㎜) Middle(㎜) Distal(㎜) Planned(㎟) Actual(㎟)

P1 Lt 5 6 5 97.5 79.95 82

P2 Lt 6 6 5 97.5 85.05 87.23

P3 Lt 6 6 6 90 90 100

P3 Rt 6 6 6 90 90 100

P4 Lt 7 7 7 105 105 100

P4 Rt 6 6 6 105 90 85.71

P5 Lt 7 7 7 105 105 100

P5 Rt 7 7 7 105 105 100

P6 Lt 7 6 7 65.7 63 95.89

P7 Lt 7 7 7 120 105 87.5

Mean±SD 6.40±0.699 6.40±0.516 6.30±0.823 98.07±14.344 91.80±13.833 93.83±7.334

Table 4. Measurements 2 weeks after the operation

Width Area%

Mesial(㎜) Middle(㎜) Distal(㎜) Planned(㎟) Actual(㎟)

P1 Lt 6 6 5 97.5 85.05 87.23

P2 Lt 7 7 6 97.5 100.05 102.62

P3 Lt 7 7 7 90 105.00 116.67

P3 Rt 6 6 6 90 90.00 100.00

P4 Lt 7 7 7 105 105.00 100.00

P4 Rt 7 7 7 105 105.00 100.00

P5 Lt 7 7 7 105 105.00 100.00

P5 Rt 7 7 7 105 105.00 100.00

P6 Lt 7 7 7 65.7 63.00 95.89

P7 Lt 8 8 7 120 115.05 95.86

Mean±SD 6.90±0.568 6.90±0.568 6.60±0.699 98.07±14.344 97.81±14.893 99.83±7.315

Page 5: Strip 형 유리치은 이식술이 부착치은 형성에 미치는 영향 - KoreaMed · 2014-09-12 ·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 진흥사업의 지원에

309

5. 술 후 12주 소견(Table 7)

술 후 4주, 8주와 다르지 않으나 주위조직과의 융

화가 더 좋아졌으며, 부착치은의 실제면적이 8주와

변함이 없이 안정화 되었다(Figure 23, 24). 또한,

부착 치은을 근심에서 6.13±0.789㎜, 가운데 부위에

서 6.30±0.675㎜, 원심에서 6.00±0.876㎜를 획득하

였다.

IV. 총괄 및 고찰

이번 연구에서는 각화 부착치은이 부족한 부위를

Table 6. Measurements 8 weeks after the operation

Width Area%

Mesial(㎜) Middle(㎜) Distal(㎜) Planned(㎟) Actual(㎟)

P1 Lt 5 6 5 97.5 79.95 82

P2 Lt 6 6 5 97.5 85.05 87.23

P3 Lt 5 6 5 90 90 100

P3 Rt 6 6 6 90 90 100

P4 Lt 6 7 7 105 105 100

P4 Rt 7 6 6 105 90 85.71

P5 Lt 7 7 7 105 105 100

P5 Rt 7 7 7 105 105 100

P6 Lt 6 5 6 65.7 51.03 77.67

P7 Lt 7 7 7 120 105 87.5

Mean±SD 6.20±0.789 6.30±0.675 6.10±0.876 98.07±14.344 90.60±16.801 92.01±8.869

Table 7. Measurements 12 weeks after the operation

Width Area%

Mesial(㎜) Middle(㎜) Distal(㎜) Planned(㎟) Actual(㎟)

P1 Lt 5 6 5 97.5 79.95 82

P2 Lt 6 6 5 97.5 85.05 87.23

P3 Lt 5 6 5 90 90 100

P3 Rt 6 6 6 90 90 100

P4 Lt 6 7 7 105 105 100

P4 Rt 7 6 6 105 90 85.71

P5 Lt 7 7 7 105 105 100

P5 Rt 7 7 7 105 105 100

P6 Lt 6 5 6 65.7 51.03 77.67

P7 Lt 7 7 7 120 105 87.5

Mean±SD 6.13±0.789 6.30±0.675 6.00±0.876 98.07±14.344 90.60±16.801 92.01±8.869

Page 6: Strip 형 유리치은 이식술이 부착치은 형성에 미치는 영향 - KoreaMed · 2014-09-12 ·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 진흥사업의 지원에

310

대상으로 strip 기법을 이용한 유리치은 이식술을 시

행하고 strip 사이의 간격이 어떤 조직으로 치유되는

지를 1, 2, 4, 8, 12주에 각각 관찰하였다.

각화치은에 대한 필요성에 대해서 Corn(1962)1)은

각화치은이 3㎜ 이상 필요하다고 주장하였고, Lang

& Löe(1972)2)는 1㎜의 부착치은을 포함한 2㎜ 이

상의 각화치은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Maynard G &

Wilson RDK(1979)3)는 2㎜의 유리치은과 3㎜의 부

착치은이 임상적으로 유리하다고 하였고,

Wenneström 등(1981, 1982)4,5)

은 비글견을 이용한

동물실험에서 좁은 가동성 각화조직과 넓고 견고한

부착치은을 비교하였다. 40일간의 치태축적 후 임상

적으로 염증이 가동치은에 현저하며 이는 변연조직

의 형태학적 차이에 기인한다고 보고하였고, 조직학

적 소견에서는 두 군의 염증세포 침윤 및 범위가 비

슷하다고 하였다. Ericsson과 Lindhe (1984)6)는 비

글견을 이용한 실험에서 치은연하 변연을 가진 수복

물을 장착한 후 치실을 이용하여 치주염을 발생시켜

6개월 동안 염증반응을 관찰하였다. 지지조직의 약

50%를 상실시킨 후 치실을 제거하고 다시60일 동안

치태의 축적을 허용하였다. 염증성 조직은 치근단 변

위 판막술이나 치은절제술로 제거하였으며, 판막술

에서는 각화치은을 최대한 보존하였고 치은절제술에

서는 각화치은 전부를 제거하였다. 결론으로, 부착치

은이 적거나 결여된 부위에서 염증반응은 거의 치은

조직의 상실을 동반하며, 수복물의 치은연하변연을

설정한 경우 연조직 변연의 근단측 변위가 쉽게 발

생한다고 보고하였다. 치은연하 변연을 갖는 수복물

의 경우에 있어서 구강위생관리에 각화 부착치은은

필요하며, Han등(1995)은 특히 임프란트 보철물의

경우에 있어서 그 필요성이 더 크다고 하였다14).

Stetler와 Bissada(1987)7)는 26명의 환자에서 48개

의 치아를 대상으로 치은연하 변연을 가진 수복물에

서 각화치은의 폭에 따른 차이를 비교, 관찰하였다.

치아에 치은연하변연이 없는 경우 치은지수가 각화

치은의 양에 관계없이 별다른 차이가 없으나 치은연

하변연이 있는 경우 각화치은이 좁을 때 통계적 유

의성이 클 정도로 치은지수가 컸다고 보고하였다.

상피의 고유한 특성은 그 하방의 결합조직이 갖고

있는 유전적 정보에 의해 결정된다고 한다. Karring

등(1971, 1975)8,9)

은 원숭이를 이용하여 동물실험을

하였는데, 각화치은 또는 비각화 치조점막으로부터

상피가 없는 결합조직 이식편을 채득하여 치조점막

하방에 주머니를 가능한 한 상피 하방에 형성하여

이식하였다. 3-4주 후에 주위의 비각화 치조점막으

로부터 상피화를 시키기 위해 이식편 상방의 상피를

제거하고 12개월 까지 관찰 및 조직학적 검사를 시

행하였다. 그 결과, 비각화 점막에 이식된 치은결합

조직에 각화치은상피의 유도능이 있음을 확인하였

다. Matter 등(1984)10)은 구개점막의 구조적 성격은

이식편이 성숙한 후에도 보존된다고 보고하였으며,

Breault LG. 등(1999)11)은 경구개의 전방부에서 구

개추벽이 포함된 유리치은 이식편을 이식하였는데,

2개월 후 치은 성형술을 시행하였으나, 9년 후에도

이식된 구개추벽이 뚜렷하게 잔존하는 것을 보고하

였다. Ouhayoun 등(1988)12)은 6명의 환자에서 두꺼

운 상피-결합조직 이식편을 구개 공여부에서 채득하

여 얇은 상피-결합조직 이식편과 얇은 결합조직 이

식편으로 분할하여 반대편의 각화치은이 부족한 곳

에 이식하였다. 술 후 3개월에 생검을 하여 조직학

적검사와 면역형광학적 검사, 항원-항체검사, 생화

학적 검사등을 하였다. 상피-결합조직 이식부위는

각화치은의 조직학적, 생화학적 특징을 나타낸 반면

상피가 없는 심부의 결합조직을 이식한 부분은 각화

부착치은을 형성하지 못한다고 하였다.

수여부와 공여부의 외상을 최소화하고 최소한의

이식편으로 최대한의 각화치은을 획득하기 위하여

strip 기법을 채택하였다. Han 등(1993)13)은 수여부

에 부분층 판막을 형성하고 공여부 구개측에서 폭 2

㎜의 strip을 채득하여 봉합없이 dry foil과 surgical

pack으로 창상을 고정하였는데, 10일 이내 상피화되

는 결과를 얻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strip 사이의 점

막하 결합조직 즉 골막상부가 어떤 조직으로 치유되

는지를 관찰하고자 하였고, strip 하나를 길게 채득

한 것과 이식편을 6-0 나일론으로 골막봉합하여 고

정시킨 것, surgical pack을 사용하지 않은 것이

Han 등13)이 사용한 방법과 다른 점이다.

Page 7: Strip 형 유리치은 이식술이 부착치은 형성에 미치는 영향 - KoreaMed · 2014-09-12 ·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 진흥사업의 지원에

311

V. 결 론

이번 연구는 strip 기법을 이용한 유리치은 이식

술을 사용하여 최소한의 이식편으로 최대한의 각화

부착치은을 획득하는데 있어서 strip사이의 간격이

어떠한 조직으로 치유되는지와 이 술식을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공여부에서의 환자의 불편감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술 후 1, 2, 4, 8, 12주

에 각각 이식부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

었다.

1. 환자들의 치유경과를 관찰한 결과 strip 사이의

간격은 대부분 부착치은으로 치유되었다.

2. 계획한 면적의 92.01±8.869%가 부착치은으로

채워졌다.

3. 부착 치은을 근심에서 6.13±0.789㎜, 가운데 부

위에서 6.30±0.675㎜, 원심에서 6.00±0.876㎜

를 획득하였다.

4. 술 후 공여부에 대한 환자들의 불편감은 거의 없

었다.

이 논문을 요약하면, strip 기법을 이용한 유리치

은 이식술은 환자의 불편감을최소화 하는 동시에 충

분한 양의 부착치은을 획득하는데 유용한 것을 확인

하였다.

VI. 참고문헌

1. Corn H. Periosteal separation-Its clinical

significance. J Periodontol 1962;33:140

2. Lang & Lö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idth of keratinized gingiva and gingival

health. J Periodontol 1972;43:623-627

3. Maynard JG, Wilson RDK. Physiologic di-

mensions of the periodontium significant

the restorative dentists. J Periodontol 1979;

50:170-174

4. Wennström J, et al. Role of keratinized

gingiva for gingival health. J Clin

Periodontol 1981;8:311

5. Wennström J, et al. The role of kerati-

nized gingiva and plaque associated gingivi-

tis in dogs. J Clin Periodontol 1982;9:75-85

6. Ericsson I, Lindhe J. Recession in sites

with inadequate width of keratinized

gingiva. An experimental study in the dog.

J Clin Periodontol 1984;11:95-103

7. Stetler KJ, Bissada NF. Significance of the

width of keratinized gingiva on the perio-

dontal status of teeth with submarginal

restorations. J Periodontol 1987;58:696-700

8. Karring T, et al. Conservation of tissue

specificity after heterotopic transplantation

of gingiva and alveolar mucosa. J

Periodont Res 1971;6:282

9. Karring T, et al. The role of gingival con-

nective tissue in determining epithelial

differentiation. J Periodont Res 1975;10:

1-11

10. Matter J, et al. Preservation of structual

specificity in free gingival grafts.

Longterm histological observations in man.

J Bio Buccale 1984;12:133-143

11. Breault LG, et al. Retained free gingival

graft rugae. J Periodontol 1999;70:438-440

12. Ouhayoun JP, et al. Re-epithelization of a

palatal connective tissue graft trans-

planted in a non-keratinized alveolar mucosa.

A histological and biochemical study in

humans. J Periodont Res 1988;23: 127-133

13. Han TJ, et al. The strip gingival autograft

technique. Int J Periodontics Restorative

Dent 1993;13:181-187

14. Han TJ, et al. Strip gingival autograft used

to correct mucogingival problems around

implants. Int J Periodontics Restorative

Dent 1995;13:405-411

Page 8: Strip 형 유리치은 이식술이 부착치은 형성에 미치는 영향 - KoreaMed · 2014-09-12 ·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 진흥사업의 지원에

312

15. Mörman W,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success of free gingival grafts and trans-

plant thickness. J Periodontol 1981;52:74-80

16. Nevins M. Attached gingiva - Mucogingival

therapy and restorative dentistry. Int J

Periodontics Restorative Dent 1986;4:9-27

17. Pasquinelli KL. The histology of new at-

tachment utilizing a thick autogenous soft

tissue graft in an area of deep recession.

Int J Periodontics Restorative Dent 1995;

3:248-257

18. Czuszak CA, et al. Development of an exo-

stosis following a free gingival graft. J

Periodontol 1996;67:250-253

19. Bjorn H. Free transplantation of gingiva

propria. Sverige Tandlakarforb Tidn 1963;

22:684

20. Dorfman HS, et al. Longitudinal evaluation

of free autogenous gingival grafts. J Clin

Periodontol 1980;7:316

21. Dorfman HS, et al. Longitudinal evaluation

of free autogenous gingival grafts. A four

year report. J Periodontol 1982;53:349

22. Miyasato M, et al. Gingival conditions in

areas of minimal and appreciable width of

keratinized gingiva. J Clin Periodontol

1977;4:200

Page 9: Strip 형 유리치은 이식술이 부착치은 형성에 미치는 영향 - KoreaMed · 2014-09-12 ·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 진흥사업의 지원에

313

사진 부도 설명

Figure 1,2,3. First visit clinical view. There were no attached gingiva.

Figure 4,5. Recepient bed preparation. Partial thichness flap was reflected and sutured at

least 7mm apically.

Figure 6,7,8. Free gingival graft from the palate was taken with 2mm width, 1mm thickness.

Figure 9. The graft is anchored by 6-0 nylon suture. The inter-distance of the strip was

average 2.73mm.

Figure 10,11,12. The operation site 1 week after the operation. The graft were survived and

granulation tissue were filled with the inter-distance space. The healing were

uneventful.

Figure 13. The donor site 1 week after the operation. The healing were uneventful.

Figure 14,15. The operation site 2 weeks after the operation. The inter-distance appeared

red-line and the width were slightly widened and the inter-distance was filled

attached gingiva.

Figure 16,17,18,19. The operation site 4 weeks after the operation. As time goes by, the red-line is

disappeared. In some cases, mucosal interference between the interval was

noticed.

Figure 20,21,22. The operation site 8 weeks after the operation. The grefts were maintained stable.

Figure 23,24. The operation site 12 weeks after the operation.

Page 10: Strip 형 유리치은 이식술이 부착치은 형성에 미치는 영향 - KoreaMed · 2014-09-12 ·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 진흥사업의 지원에

314

사진부도 (Ⅰ)

Figure 1.

Figure 2.

Figure 3.

Figure 4.

Figure 5.

Figure 6.

Page 11: Strip 형 유리치은 이식술이 부착치은 형성에 미치는 영향 - KoreaMed · 2014-09-12 ·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 진흥사업의 지원에

315

사진부도 (Ⅱ)

Figure 7.

Figure 8.

Figure 9.

Figure 10.

Figure 11.

Figure 12.

Page 12: Strip 형 유리치은 이식술이 부착치은 형성에 미치는 영향 - KoreaMed · 2014-09-12 ·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 진흥사업의 지원에

316

사진부도 (Ⅲ)

Figure 13.

Figure 14.

Figure 15.

Figure 16.

Figure 17.

Figure 18.

Page 13: Strip 형 유리치은 이식술이 부착치은 형성에 미치는 영향 - KoreaMed · 2014-09-12 ·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 진흥사업의 지원에

317

사진부도 (Ⅳ)

Figure 19.

Figure 20.

Figure 21.

Figure 22.

Figure 23.

Figure 24.

Page 14: Strip 형 유리치은 이식술이 부착치은 형성에 미치는 영향 - KoreaMed · 2014-09-12 ·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 진흥사업의 지원에

318

-Abstract-

The effect on the formation of keratinized attached

gingiva using free gingival graft with strip technique

Dong-Yeol Lee, Young-Hyuk Kwon, Joon-Bong Park,

Yeek Herr, Jong-Hyuk Chung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School of Dentistry,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n the formation of keratinized attached gingiva

when free gingival graft with strip technique was used. After the partial thickness flap was pre-

pared, it was positioned apically more than 7㎜ using mucoperiosteal suture. At the donor site, strip

was achieved with 2㎜ width, less than 1㎜ thickness, (mesiodistal teeth length + 6)*2 ㎜ length.

Then, it was divided into 2 same pieces and located at the recipient bed apico-coronally with more

or less 3㎜ interval. Follow-up check was made at 1,2,4,8,12 weeks after the ope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inter-strip space was mostly filled with keratinized attached gingiva.

2. The contraction of the graft was nigligible, and 92% of planned area was filled with keratinized

attached gingiva.

3. The inconvenience of the patients at donor site was minimal.

4. The width of the strip was widened.

In conclusion, free gingival graft using strip technique is useful to achieve the keratinized at-

tached gingiva maximally with free gingival graft minimally and to minimize the inconvenience of

donor palatal site of the patients.2)

Key words:Strip technique, Free gingival graft, Keratinized attached gingiv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