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
1 2014 SNU Magazine Vol. 38

SNU Magazine Vol. 38 › new › wp-content › uploads › 2015 › 12 › snu_people... · 2016-01-30 · 우수 연구자 시리즈 10 유상렬 농생명공학부 교수 06 선배와의

  • Upload
    others

  • View
    7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SNU Magazine Vol. 38 › new › wp-content › uploads › 2015 › 12 › snu_people... · 2016-01-30 · 우수 연구자 시리즈 10 유상렬 농생명공학부 교수 06 선배와의

1

秋2014

SNU

Magazine

Vol 38

1 2

Essay

더 나은 세상을 위한 도전 C2

Cover Story김빛내리 생명과학부 교수 02

총장과의 만남

성낙인 제26대 총장 취임 04

우수 연구자 시리즈 10

유상렬 농생명공학부 교수 06

선배와의 데이트

안인영 생물학자 amp 최창현 김호상 학생 08

주목할만한 인재

꿈 찾아 떠나온 외국인 유학생들 10

당신의 재발견

교직원 야구단 amp 문학과 예술 동아리 12

SNU Sketch

캠퍼스의 어떤 하루 햇볕 좋은 날 14

Campus On홍보관 SNU Hall 오픈 16

각양각색 봉사활동 18

QS 세계대학평가 31위 20

연합전공 탐구 시리즈 - 벤처경영학 21

캠퍼스 문화 공간 22

입학본부 미래인재학교 24

News신임 보직교수 임명 외 26

기부와 나

유태용 한국방재협회 명예회장 28

최병오 패션그룹형지 대표이사 회장 30

News유회진 학술정보관 건립 감사 행사 32

권욱현 명예교수 희망장학기금 기부 외 33

SNU Honor Club기금 출연자 명단 34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예우 프로그램 40

CONTENTS

PEOPLE

NOW

DONATION

발행인 성낙인 총장 bull 편집인 이철수 기획처장 bull 자문위원 김재영(협력부처장 건설환경공학부) 안지현((재)서울대학교발전기금 모금본부장 영어영문학과)

bull 제작 서울대학교 홍보팀(snuprsnuackr) bull 기획 및 취재 정민호박소영(홍보팀) 안나(융합과학기술대학원 졸업) 박세아(지리학과) 박순옥

(소비자아동학부) 오상록(경영학과) 최수완(언어학과) 조은별(경제학부) 김상영(생명과학부) bull 편집 및 디자인 홍디자인홍시커뮤니케이션 0269164400

bull 사진 249 Factory 박재홍(Stand Still)

E s s ay

다들 도전하는 삶이 아름답다고 이야기한다 하지만 도전은

그 자체로 불확실성을 내포한 단어다 국어사전에서는 도전

을 lsquo정면으로 맞서 싸움을 걺rsquo이라고 설명한다 도대체 무엇

에 맞서고 무엇에 싸움을 걸어야 한다는 것일까 그 싸움이

어떤 의미를 지니기에 삶이 아름다워지는 것일까 도전의 대

상과 의미에 대해 의문을 가져보는 것에서부터 이미 도전은

시작된다

3년 반의 짧은 대학 생활을 돌아보면 무엇이 인생의 도전 대

상이어야 하는지 탐구하고 규명하는 연속이었음을 느낀다

대학이라는 공동체와 그 속에서 만난 소중한 인연들은 나 개

인의 문제 너머에 있는 더 큰 과제를 발견하도록 도와주었

다 이제는 내게도 일생 만들어가고 싶은 세상의 모습과 그

것을 위해 이겨내야 하는 어려움들이 보이기 시작했다 어떻

게 싸워 나갈지 나름의 방법을 고민하는 과정에서 구체적인

꿈으로 진화하는 도전의 모습을 발견하기도 했다 도전하고

자 하는 꿈을 품고 세상을 바라보면 당연하게 받아들여 왔

던 흔한 사실도 다양한 빛깔을 가진 무한한 가능성으로 보

인다 존재론적 불안과 두려움을 극복하고 공동체와 미래를

위해 도전 정신을 발휘할 때 인간이라는 초소형 우주 먼지도

새로운 세상의 거대한 싹을 품은 씨앗이 될 수 있지 않을까

수석 졸업 국내 대기업과 해외 투자회사 취직 꽤나 든든하

고 자랑스러웠던 아들이 학창 시절 한 차례 실패에도 불구하

고 계속 창업 전선에 뛰어들겠다는 말에 부모님의 마음이 편

치 않으시다 lsquo회사나 대학원에 다니며 조금 더 완벽하게 준

비하고 시작해보는 건 어떠니helliprsquo 묻기도 하신다 죄송스러

워도 어쩌랴 도전이야말로 꿈을 이뤄가는 가장 완벽한 준비

라 믿기에 다시금 긴 여정을 시작해 본다 도전은 단어 그 자

체로 두근거림을 선물한다

서상훈

경영학과 09학번

제68회 후기 학위수여식

최우수 졸업자

나은

세상을

위한

도전

3 2

COVER STORY 도전 + 인내 = 성공

DNA 만큼 중요한 RNA

크기가 워낙 작아 오랫동안 그 존재를 감추고 있

던 물질 lsquomiRNA(마이크로 RNA)rsquo 20여 년 전

처음 발견된 후에도 miRNA의 기능에 대해 밝

혀진 것이 거의 없었다 적어도 김빛내리 교수가

연구를 시작하기 전에는 말이다

miRNA는 난치성 유전병 줄기세포와 암세포

의 형성 노화 등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는 의

학적으로 아주 가치 있는 물질이다 ldquoDNA가 유

전 정보를 담고 있는 저장고라면 유전 정보를 활

용하는 데 필요한 물질이 RNA라고 보면 돼요

화학적으로 DNA와 RNA가 굉장히 유사한데

DNA의 정보를 카피해 단백질을 만든다든가

세포 기능을 조정하는 등의 역할을 담당하죠rdquo

miRNA 연구 그룹이 세계적으로 몇 되지 않았

던 2001년 그녀는 과감히 이 길을 선택했다 ldquo연

구가 성공하리란 보장이 없어 불안했던 건 맞아

요 같이 일하는 학생들의 장래가 있으니까 실패

에 대한 부담이 있었죠rdquo 불안과 부담은 모든 과

학자의 숙명 아닐까 김 교수는 도전과 인내의

시간 끝에 세계적인 과학자 반열에 올랐다 지난

4월 미국 국립과학원(NAS)은 외국인 회원에 그

녀를 선출했다 국내 회원으로는 네 번째 노벨

상 수상자들과 다수의 해외 저명 과학자들로부

터 추천을 받았기에 그 의미가 더욱 깊다

용기 x 책임감 = 신뢰

과학계를 들썩인 두 개의 논문

2011년 김빛내리 교수는 이름난 학술지

ltMolecular Cell(몰리큘러 셀)gt에 게재했던 논

문을 스스로 철회했다 ldquo처음 논문에 어떤 상황

에서 특정 miRNA가 분해된다고 발표했는데

후속 연구에서 조건에 따라 RNA 추출 효율이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됐어요 수십 년간 일반적

으로 이용해온 추출 방법에 문제가 있었던 거죠

논문의 데이터상으로는 재현성이 있었지만 전

제가 틀렸던 거예요rdquo 그대로 두면 결과가 계속

인용middot참고될 것을 우려한 김 교수는 기존 논문

을 철회하는 동시에 기술적인 문제를 설명하고

그 원리를 밝힌 새로운 논문을 발표했다

부정의 연구 사례가 아니더라도 성과가 중요시

되는 과학계에서 논문 철회는 쉽지 않은 일이다

그럼에도 그녀는 선택했고 선례를 남겼다 동

료 과학자들은 여전히 반복되는 논문 조작 행

태에 경종을 울리는 일이라며 그녀의 용기를 높

이 평가한다 ldquo뜻밖에도 이후에 오히려 논문 내

기가 수월해졌어요 제 연구에 대한 신뢰도가

올라간 것 같아요 신용이 과학 분야에서 굉장

히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배운 셈이죠rdquo

자신감 divide 불안 = 만족

불안할수록 자신을 믿어라

갈수록 선뜻 과학자가 되겠다는 학생들이 많지

않다 ldquo연구자라는 게 항상 불확실성 속에서 새

로운 걸 찾아야 하고 연구직의 경우 안정적인

직장을 구하기까지 긴 시간이 걸리잖아요 과정

이 쉽다고 할 수 없지만 좋아하는 분야라면 그

리고 자신을 조금 더 믿고 꾸준히 노력한다면

분명 좋은 결과가 있을 거라고 말하고 싶어요rdquo

스스로 선택한 길이 희미하게 보일 때 누구나

흔들리게 마련이다 단 한 번에 선명해질 것이

란 보장도 없다 하지만 자신을 믿고 걸어가다

보면 분명 길이 열리고 뚜렷해진다는 사실 이

중요한 법칙을 마음에 품고 꿋꿋이 걸어가는 이

가 얼마나 될까 어떤 연구를 하고 싶은지 묻는

말에 그녀는 lsquo좋은 연구rsquo를 하고 싶다고 대답했

다 그리곤 다시 질문이 돌아왔다 ldquo그런데 좋

은 연구란 무엇일까요rdquo 그녀가 지금까지 걸어

온 여정이 그 답을 말하고 있었다 세계적인 과

학자가 던진 이 원초적이고도 본질적인 질문이

야말로 모든 과학자와 이를 꿈꾸는 이들이 항

상 품어야 할 가장 기본적인 그러나 더없이 중

요한 lsquo공식rsquo이 아닐까

mini TALK

수평적인 연구실

김빛내리 교수의 연구실은

교수middot포스닥middot학생middot연구원들이

서로 존댓말을 쓰며 자유롭게

자기 의견을 말하고 토론하는 것을

권장한다 수평적인 관계에서

훨씬 좋은 연구 결과가 나온다고

믿기 때문이다

여성 과학자

결혼과 연구 생활이 병행할 수

있는가 묻는 수많은 여성 후배들에게

김 교수는 지레 걱정하지 말라고

한다 부모가 되는 건 어차피

힘든 일이고 모든 힘든 일은 부딪치면

견뎌낼 수 있기에 용감해질 것

김빛내리 생명과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미생물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영국 옥스포드대학교에서

생화학 박사학위를 취득

했으며 미국 펜실베니아대학교

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재직한 바 있다 miRNA에 대한

세계적인 개척자로 노벨상

수상에 가장 근접해 있는

국내 과학자로 꼽힌다

인생을 바꾸고 세상을 변화시키는 법칙이 있다

아주 간단하지만 그래서 가끔은 잊고 사는

사실 강력한 힘을 가진 인생의 공식들

과학자의 정석이라 불리는 김빛내리 생명과학부

교수의 행보를 통해 그 공식을 되짚어보자

copy기초과학연구원

과학자의

공식

5 4

4년을 위한 시작

총장과의 만남PEOPLE

원칙이 지배하는 정의로운 사회

서울대학교 제26대 총장 취임식이 관악캠퍼스

문화관 중강당에서 열렸다 취임식에는 전임 총

장 학장 및 원장 교수 직원 학생 동문 등 학

내외 구성원 500여 명이 참석해 성낙인 총장이

전하는 서울대학교의 비전에 귀를 기울였다

성 총장은 현재 우리나라가 처한 어려운 상황

에 대한 이야기로 취임사의 운을 띄웠다 ldquo우리

는 물질적ㆍ경제적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했지만

사회 구조적ㆍ정신적 위기는 여전히 우리의 발

목을 잡고 있습니다 산업화와 민주화 과정에

서 쌓여온 적폐들이 아직도 우리 주변을 떠돌고

있습니다rdquo 성 총장은 이러한 때일수록 낡은 인

식과 이념의 장벽을 벗어 던지고 새로운 패러다

임에 입각한 시대정신에 부응해야 한다고 전하

며 현재 우리 사회 전반에 흐르는 lsquo공동체적 가

치의 부재rsquo를 우려했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와

분위기 속에 그가 강조한 것은 바로 lsquo원칙이 지

배하는 정의로운 사회rsquo 성 총장은 어려움을 극

복하고 민주주의와 경제 발전을 이룩한 우리나

라의 역사를 되짚어보며 과거 서울대학교의 인

재들이 지혜와 용기로 조국의 나아갈 길을 밝힌

것처럼 정의로운 사회의 중심에 서울대학교가

있어야 할 것을 당부했다

SNU with People bull Pride bull World

과거부터 이어온 서울대학교의 기여에도 불구

하고 요즘 서울대학교를 바라보는 시선이 곱지

만은 않다 성 총장은 그 이유를 국민들이 바라

보는 서울대학교의 모습과 서울대학교가 처해

있는 상황의 괴리 때문이라 말했다 그는 서울

대학교를 다시금 lsquo국민이 사랑하는 학교(SNU

with People)rsquo lsquo구성원들의 자긍심을 지키는 학

교(SNU with Pride)rsquo lsquo세계 무대로 도약하는

학교(SNU with World)rsquo로 만들어 그 괴리를

좁혀가겠다는 총장의 책무를 다짐했다

성 총장이 가장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과제로

꼽은 것은 바로 법인 전환 이후 lsquo서울대학교의

좌표 확립rsquo이다 국내외 다른 대학을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서울대학교가 개척자적 자세로

창조적 모델로 서겠다는 확고한 시각이 필요하

다고 했다 이를 위한 정책 방향으로 먼저 lsquo대학

본연의 임무rsquo에 충실할 것을 제시했다 대학의

연구 행정과 운영 혁신을 통해 lsquo교육과 연구의

장rsquo인 서울대학교가 세계 학술 연구의 중심으로

자리하도록 기반을 확고히 하겠다는 것이다

지성과 공공성을 겸비한 선한 인재

성 총장은 인재 양성의 중요성도 잊지 않았다

ldquo이 시대가 요구하는 훌륭한 인재는 지성과 함

께 공공성으로 무장한 따뜻한 가슴을 지녀야

합니다 lsquo선(善)한 인재rsquo 정직하고 성실한 차세

대 지도자를 양성하기 위해 인성 교육을 강화하

겠습니다rdquo 라며 이를 위해 학부 교육 내실화에

최선을 다할 것을 약속했다 성 총장은 이외에

도 서울대학교가 명실상부한 세계 최고 수준의

명문대학으로 자리잡기 위해 계속 다져가야 할

다양한 교육middot연구 모델을 언급하며 이러한 변

화와 혁신은 구성원 모두가 소통과 화합을 통

해 한 마음으로 나아갈 때 가능하다고 적극적

인 협조를 부탁했다

취임사 마지막 부분의 말이 인상적이다 ldquo어느

날 우리 학교의 교목인 느티나무처럼 넉넉하

고 믿음직한 학문공동체의 그늘 아래서 사람들

은 말하게 될 것입니다 lsquo그때 거기에 서울대학

교가 있어서 지금 여기에 대한민국이 있는 것rsquo

이라고 말입니다rdquo 성 총장은 이미 알고 있는 것

같다 원칙과 철학 없이 이룬 성과는 반짝하는

좋은 이야깃거리는 될 수 있어도 영원히 남을

수 없다는 것을 흔들리지 않는 초심과 원칙으

로 작지만 가치 있는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의미

있는 변화를 하나 둘씩 이뤄가길 그래서 훗날

성낙인 총장이 있던 서울대학교가 많은 사람들

의 마음에 깊이 새겨지길 기대한다

성낙인 박사는 2011년 서울대학교가

국립대학법인 전환 이후 선출된 첫 총장이 됐다

8월 5일 막중한 책임감으로 서울대학교의 4년을

이끌어 갈 그의 취임식이 열렸다 단상에 오른

새로운 총장의 목소리가 강당 안에 힘차게 울렸다

서울대학교 제2 6 대 총장 취임

focus ON

lsquo선(善)한 인재rsquo

학문의 벽을 뛰어넘는 탈경계형

통합적 지성을 함양하고 자긍심과

책임감으로 봉사하는 인재

lsquo선(善)한 인재rsquo 양성을 위한 방향

학부 교육의 내실화

세계 시민으로서의 품성을 갖추고

인간성 회복과 인간 존엄성을

중시하는 교육 모델 창출

사회적 이동성 제고

다양한 잠재력 가진 소외 계층과

소외 지역의 인재를 적극 발굴하고

육성하는 입시ㆍ교육 제도 마련

7 6

우수 연구자 시리즈 10PEOPLE

위험한 식탁을 고발합니다

ldquo에서 식중독균이 검출됐습니다rdquo 매체에

서 어렵지 않게 들리는 식품 오염 사고 주스 한

잔에도 한 끼 식사에도 언제나 그 위험성은 존

재한다 우리의 식탁을 위협하는 식품 오염은

관리의 문제도 크지만 시간이 오래 걸리고 복

잡한 세균 검출 방법에도 그 원인이 있다 이러

한 기존 검출법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기술이 개

발됐다 유상렬 농생명공학부 교수가 바로 그

주축이다

유상렬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박테리오파지

(bacteriophage)를 이용해 살아있는 식중독균

을 검출하는 데 성공했다 기존 검출 방법보다

정확성을 높이고 시간도 단축했다 ldquo박테리오

파지는 자신이 숙주로 삼는 세균만을 감염해

사멸시키고 매우 빠르게 증식하는 바이러스입

니다 이러한 능력을 이용하면 식품 속 특정 식

중독균의 제어와 단시간 내 검출이 가능할 것

이라 생각해 연구를 시작했습니다rdquo 그가 개발

한 검출 방법의 핵심은 lsquo리포터 파지rsquo이다 식중

독균으로 잘 알려진 살모넬라균만을 감염하

는 박테리오파지를 선별한 후 발광하는 유전자

를 삽입해 빛을 내게끔 했다 이 리포터 파지가

식품 속 살아있는 식중독균을 감염하며 증식하

는데 이때 생물발광 유전자도 수 백배 증폭돼

강력한 빛을 내게 된다 빛의 정도를 측정함으

로써 균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이다

ldquo기존의 검출법은 검체 일부를 배양액에 넣고 증

균한 뒤 증식된 균의 생화학적인 특징을 조사

해 알아내는 방법이에요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

실용적이지 못하죠 또한 유전자를 증폭하는

PCR 방법은 검출속도는 빠르지만 살아있는

균과 죽은 균을 구분하지 못해요 식중독을 일

으킬 위해성이 없는 죽은 균도 검출하는 치명적

인 문제점이 있습니다rdquo 지난 10여 년간 파지 연

구에 매진해온 유 교수 꾸준히 쌓은 각종 노하

우는 이번 기술 개발의 단단한 밑거름이 됐다

미지의 영역을 연구합니다

하루에도 수많은 식품이 등장하는 요즘 점점

다양해지는 식품을 연구하는 데 어려움은 없을

까 ldquo식품생명공학은 물리middot화학middot생물middot공학middot

의약학 등 거의 모든 학문 분야가 접목되는 융

합 학문입니다 병원성 미생물을 신속하게 검출

하는 여러 방법이 개발됐지만 대부분 식품에는

적용할 수가 없어요 식품은 종류가 워낙 많아

서 이런 검출 방법을 어렵게 만드는 성분이 다양

하게 존재하기 때문이죠rdquo 그는 또한 식품에 관

한 잘못된 정보가 사회 전반에 퍼져있음을 우려

했다 ldquo우리 주변엔 식품에 대한 정확하지 않은

속설이 많아요 식품첨가물인 MSG가 대표적

이죠 대부분 해롭다고 생각하는데 MSG는 모

든 식품에 다 있는 성분이기도 하고 미생물 발

효를 통해 만들어 전혀 해롭지 않거든요 문제

는 어떻게 만들어진 것인지 모른 채 잘못된 정

보만 받아들이고 있다는 거예요rdquo 이에 유 교수

는 몇몇 교수들과 함께 lsquo식품안전연구원rsquo을 만

들어 안전한 먹거리에 대해 과학적으로 설명하

고자 한다 사회 전반에 퍼진 잘못된 식품 정보

를 바로 잡는 것이 목표다

생물학 분야의 눈부신 발전에도 불구하고 여

전히 우리가 알고 있는 생명 현상은 극히 일부

분이라고 한다 매번 예상을 빗겨가는 결과들

이 연구가 재미있는 이유이기도 하다는 유 교수

그는 마지막으로 이 분야를 연구하려는 학생들

에게 lsquo끈기rsquo를 가지라고 조언한다 ldquo지구상에는

1032개 이상의 어마어마한 파지가 존재합니다

이를 연구하려면 아무래도 끝장을 보겠다는 끈

기를 갖고 일을 해야 합니다 더불어 실험에 필

요한 최적의 대상을 고르는 안목이 필요한데

이것을 키우기 위해서는 새로운 지식에 대한 흥

미를 유지하면서 평생 공부해야죠rdquo 안전한 먹

거리를 지키고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연

구하는 것이 그의 몫이라면 이제 올바른 정보

를 받아들이는 건 우리의 몫이다

보이지 않는 영역

식품 속 미생물 연구

가시 한계를 넘어선 아주 작은 생물 때로는 유익하게

때로는 해롭게 보이지 않지만 모든 곳에 존재한다

식품 속 미생물을 연구하는 유상렬 교수가 식탁 위 공포를

잡아줄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mini TALK

안전한 파지(phage)

박테리오파지의 준말인 파지

우리가 자각하지 못할 뿐 사실

인류가 생존하며 먹어 온

음식에는 상당히 많은 종류의 파지가

존재한다 안전성은 이미 입증이

된 셈 최근에는 모유에도 파지가

들어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연구실 free talking국내를 넘어 세계와 경쟁해야

하는 분야인 만큼 영어 또한 아주

중요하다 유 교수의 연구실에서는

매주 한 번씩 일주일 동안 수행한

실험에 대해 영어로 발표하고

논의하는 시간을 갖는다

先흥미 後연구

유 교수는 대학원 첫 학기

신입생들에게 특정 과제를 주지

않는다 다양한 실험을 배우며

경험하게 하는데 그 중 재미있게

느낀 주제를 선택하도록 기회를 주는

것이다 흥미가 있어야 좋은 결과도

나온다는 것이 그의 연구 철학이다

유상렬 농생명공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식품공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매사추세츠대학교에서 식품미생물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올바른 지식을 전달하기 위해

활발하게 연구 중이다 최근 살아있는 식중독균만을

검출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9 8

진행 중인 연구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20여 년간 남극 과학기지에서 해양저서무척추동물의 생태를 연

구해 왔습니다 남극의 해양생태계는 종 다양성의 보고로서 지

구 전체 생태계에 일익을 담당하고 있어요 최근에는 기후변화에

대해서도 연구하고 있습니다 남극은 지구온난화가 빠르게 진행

되는 곳 중 하나로 특히 세종과학기지 근처의 빙하가 아주 빠르

게 무너지고 있어요 이런 변화가 주변 해양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남극 연구의 장점이 궁금합니다

남극에서 발견되는 것들은 굉장한 희소가치가 있습니다 연구하

는 방법론 자체는 평범하지만 대상이 평범하지 않기 때문에 좋은

저널에 연구 결과를 발표할 수도 있어요 남극에서만 발견되는

토착종이 굉장히 많아서 남들이 안 해본 연구를 하고 싶다면 좋

은 환경이죠 남극에서 생활하며 연구하고 일하는 것 자체는 매

우 힘들지만 열심히 노력해 극복할 수 있다면 아직도 개척할 수

있는 재료들이 무궁무진하답니다

선배와의 데이트PEOPLE

월동을 앞둔 소감 을 말씀해주세요

하계 연구대원으로 남극에 자주 가다 보니 두려움은 별로 없지

만 지금은 월동대장으로서 처음 파견되는 것이기에 책임의 무게

를 느낍니다 대원도 직접 뽑고 식량 준비도 하면서 본격적으로

안전 지침을 숙지하고 있어요

1년 동안 월동을 잘 수행하려면 어떤 점이 중요한지 알려주세요

단조롭고 폐쇄된 환경에서 오랜 기간 지내려면 lsquo개인rsquo lsquo임무rsquo lsquo관

계rsquo 이 세 가지 조화가 잘 이뤄져야 합니다 우선 개인이 육체적으

로 건강하고 행복감을 느껴야 자기 임무와 타인과의 관계에서

모두 성공할 수 있어요 지금까지 개인의 건강 행복은 자기 관리

의 측면으로 치부됐는데 조직에서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요즘 대원들과 함께 건강한 월동 생활을 위한

여가ㆍ운동 관련 콘텐츠를 만들고 있습니다 덧붙여 lsquo안전rsquo과 lsquo성

과rsquo도 중요합니다 기지의 모든 운영이 안전을 최우선적으로 고려

하며 진행돼야 하는 건 당연하고 국제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과학적인 성과도 창출한다면 더욱 좋겠죠

어떤 월동대장의 모습으로 기억되고 싶으신지 궁금합니다

23년 전에 처음 남극에 갔을 때 연구가 아닌 lsquo남극에 간 첫 여성rsquo

으로 언론의 주목을 받았어요 최초의 여성 월동대장이 아닌 lsquo세

종과학기지의 국제적 위상을 올리고 기지 운영을 업그레이드 한

월동대장rsquo으로 기억되길 바랍니다 또한 대원들이 월동을 하며 행

복과 보람을 느낄 수 있도록 만들고 싶어요 제가 하는 일이 대단

하다고 생각하실 수 있어요 하지만 이 일이 제게 주어졌고 저는

최선을 다할 뿐이라고 생각해요 그래도 마칠 때에는 lsquo안인영이

있어 다른 월동대와는 달랐다rsquo라는 말을 들으면 정말 좋겠네요

남극에서 돌아온 뒤의 계획에 대해 말씀해주세요

세종과학기지는 기후변화에 따라 해양생태계의 변화를 연구할

수 있는 최적의 장소입니다 지금의 연구를 확장해 우리나라가

주도하는 세종과학기지 기반의 국제공동연구 프로그램을 만들

고 싶습니다 남극에 다녀오면 환갑인데 90살까지 산다고 하면

월동은 제 인생 23의 방점을 찍는 지점이에요 삶의 새로운 단계

로 들어서며 무엇인가에 도전할 수 있다는 건 정말 축복인 것 같

아요 인생의 13은 배움의 시간이었고 23는 열심히 쟁취하는

시기였어요 마지막 3부에는 이제까지 과학자로서 쌓은 것들을

잘 마무리하고 베풀면서 남은 인생을 뜻깊게 정리하는 시간으로

보내고 싶습니다

ldquo대선배님을만나

기쁩니다최초

여성월동대장이

아닌월동대장

lsquo안인영rsquo으로

기억되길바랍니다rdquo

최창현 지구환경과학부

인공위성 지구물리연구실

석사 14학변

남극의

과학자

남극은 단순히 지구에서 가장 추운 곳이 아니다 전 지구에서 발생하는 자연현상의 부분적인

자궁이자 기후변화 문제 해결의 단초를 품고 있는 미지의 대륙이다

우리나라 여성으로는 처음 남극에 발을 디딘 안인영 생물학자가 제28차 남극 세종과학기지의

월동대장으로 임명됐다 월동대는 올해 11월 말 출국해 13개월간 남극에 머문다

그녀를 만나기 위해 최창현 김호상 학생이 인천 송도 극지연구소를 찾았다

ldquo선배님과의인터뷰를통해삶의가이드를얻은것

같습니다이런기회를주셔서감사합니다rdquo

김호상 지구환경과학부 11학번

안인영 대한민국 남극 세종과학기지 제28차 월동연구대장

서울대학교에서 해양학을 전공했다 미국 뉴욕주립대학교에서 연안해양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생물학자로

1991년 남극하계연구대 일원으로 남극과 처음 인연을 맺었다 극지연구소 극지생물연구실장 선임연구본부장 등을 역임했다

소속 극지연구소 극지해양환경연구부 책임연구원

11 10

주목할만한 인재PEOPLE

한국으로 온 계기

레오나르도 학구적인 분위기에서 공부하고 싶었습니다 브라질

에 있을 때 친구들이 공부를 소홀히 하는 모습에 스트레스를 많

이 받았거든요 한국의 교육에 관한 뉴스를 보면서 유학하고 싶

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케이타 일본에서 한국어와 한국 역사에 대해 배웠습니다 지도

교수님도 한국 분이셨고 자연스레 이곳에서 공부하고 싶다는 생

각을 했습니다 학창 시절을 외국에서 보내며 한국 친구들을 많

이 사귄 것도 유학을 결정하는 데 한몫 했습니다

유학 오기 전 걱정했던 부분

케이타 한일관계에 대해 걱정을 많이 했습니다 한국인처럼 생

겨서 그런가 막상 생활해보니 아무 일도 없었지만요(웃음) 적대

감은 정치에만 해당되는 것 같아요 가끔 친구랑 한국어로 얘기

하며 걸어가면 누가 한국인인지 일본인인지 모를 정도로 위화감

이 없습니다

레오나르도 걱정이 전혀 없었습니다 한국은 브라질보다 훨씬

안전한 편이에요 특히 제가 사는 상파울루는 현지인에게도 위험

한 곳이라 저녁이면 어머니께서 어디냐고 꼬박꼬박 전화하실 정

도인데 한국에서는 치안에 신경 쓸 일이 없어 좋습니다

한국어 습득의 가장 어려운 점

케이타 한국어에는 형용사가 아주 많은 것 같아요 예를 들어

일본어에는 lsquo빨갛다rsquo라는 의미의 단어가 하나인데 한국어에는

lsquo새빨갛다rsquo lsquo붉다rsquo lsquo불그스름하다rsquo와 같은 비슷한 뜻의 단어가 여

러 개 있죠 그 부분이 조금 헷갈리곤 합니다

레오나르도 저 역시 형용사가 쉽지 않았습니다 게다가 쓰기는

더욱 더 어렵고요 하지만 생각해보면 모든 언어는 처음엔 어려워

요 배우고 싶은 마음과 공부할 시간만 있다면 언어는 물론 모든

일이든 가능할거라 생각합니다

좋아하는 한국어 단어

레오나르도 lsquo수고하세요rsquo라는 말을 좋아합니다 브라질에서는

헤어질 때 lsquoByersquo라고만 하는데 한국에서는 더 열심히 lsquo수고rsquo하라

고 인사하잖아요 항상 열심히 일해왔던 한국의 역사와 분위기를

대표하는 말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케이타 맞아요 한국 사람들은 무엇이든 열심히 하는 것 같아

요 학교에서도 학생들이 열심히 공부하고 활동하는 모습을 자

주 보는데 그만큼 스트레스를 받는 모습도 많이 봤습니다 힘들

게 사는 것 같아 안타까울 때가 있어요

레오나르도 공대생인 저를 두고 말하는 건 아니죠(웃음)

서울대학교의 장점

케이타 서울대학교에는 특히 다양한 국적을 가진 학생들이 많

은 것 같습니다 외국 학생들과 교류하며 다른 나라의 언어를 익

히고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은 점이 매력적입니다 지

금 수강하고 있는 lsquo포르투갈어rsquo 수업도 사실 계획에 없었는데 브

라질 룸메이트를 만나 배우게 됐죠

레오나르도 브라질에서 서울대학교는 lsquo한국에서 최고rsquo라고 알

려져 있어요 여기라면 공부하는 데 좋은 영향을 받을 거라고 생

각했습니다 매사에 최선을 다하는 학생들에게서 더 열심히 해야

겠다는 자극을 받고 영감을 얻을 수 있어 좋습니다

외국인 유학생으로서 서울대학교에 바라는 점

케이타 한국에서는 사람이 곧 정보입니다 수업이나 동아리 행

사 등에 참여하고 싶은데 지인이 없어서 곤란한 적이 있었어요

한국어를 잘하지 못하면 그런 정보를 얻는 것이 더 힘든 것 같아

요 학교 관련 정보가 체계화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레오나르도 브라질에 있는 학교와 비교해 서울대학교는 세계화

가 잘 되어 있어요 하지만 그에 비해 영어 수업이 턱없이 부족하

다고 생각해요 선택권이 별로 없기도 하고 양질의 영어 수업이

많아지면 좋겠습니다 더불어 공과대학 커리큘럼이 덜 힘들었으

면 좋겠습니다(웃음)

예비 유학생들에게 전하는 유학 관련 팁

케이타 한국어 공부는 정말 중요합니다 저는 한국어를 잘 하

는 편인데도 가끔 수업을 따라가기 힘들어요 더불어 즐거운 유

학 생활의 첫 걸음은 교수님과 친구들에게 적극적으로 말을 거

는 것 그리고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는 것이라는 사실을 기억해

두세요 그리고 마찬가지로 한국 학생들도 유학생들에게 친하게

말을 걸어주면 좋겠습니다

레오나르도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여러 명이 함께 공부하는 브라질과는 달리 한국은 혼자 공

부하는 문화라는 사실을 유의해야 해요 그 외에 영어와 한국어

에 대한 기본이 갖춰져 있다면 서울대학교에서의 생활에 무리가

없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공대생이라면 당연히 수학도 열심

히 해야 합니다(웃음) 마지막으로 더 많은 브라질 학생들과 함께

서울대학교에서 공부하는 날이 오기를 바라겠습니다

ldquo브라질에도

서울대학교는

lsquo한국에서최고rsquo

라고알려져

있어요rdquo

레오나르도 사르투니오 컴퓨터공학과 13학번

꿈 찾아

삼만리

ldquo몇 살이에요rdquo ldquo저 92(92년생)예요 말씀 편하게 하세요rdquo 말만 들어보면

영락없는 한국인 능숙하게 한국어를 구사하는 이들은 바로 서울대학교의

외국인 학생들이다 저마다의 꿈을 찾아 한국 서울대학교로의 유학길을 택한

일본의 이토 케이타 브라질의 레오나르도 사르투니오의 이야기를 들어봤다

ldquo서울대학교는

다양한나라의

언어를익히고

문화를체험할

수있는기회가

많아요rdquo

이토 케이타정치외교학부 14학번

13 12

업무 스트레스여 삼진 아웃

아직 해도 다 뜨지 않은 푸른 새벽 유니폼을 입은 15명의 남자가

늦은 가을바람을 헤치고 야구 연습장을 뛰기 시작한다 ldquo하나

둘 셋 넷rdquo 운동장에 울려 퍼지는 힘찬 구호 준비 운동을 마친

포수와 투수가 자리를 잡는다 이윽고 야구공이 배트에 맞는 경

쾌한 소리가 운동장을 메운다

프로 선수들을 방불케 하는 훈련으로 새벽부터 서울대학교 야구

장을 밝힌 이들은 체육교육과 학생들도 야구부 학생들도 아닌

서울대학교 교직원 야구단원들이다 이들은 야구를 위해 매주 화

요일 목요일 아침 7시에 모인다 ldquo철저한 훈련이 인천 사회인 야

구대회 우승 비결입니다rdquo 정용기(시설지원과) 감독이 자랑스럽

게 말했다 서울대학교 교직원 야구단은 lsquo2014년 전국대학 교직

원 야구대회 준우승rsquo lsquo2013년 인천 남구 리그 우승rsquo 등 사회인 야 구단에서 이름을 날리는 팀이다 올해로 4주년을 맞은 야구단은

2011년 학교 밖 사회인 야구단에서 야구를 즐기다가 서로 알게

된 교직원 9명이 의기투합해 만들었다 lsquo야구를 좋아하는 다른

교직원을 각자 한 명씩 데려오자rsquo라는 약속으로 시작된 모임이

2012년 스누리그에 가입하며 본격적인 동아리의 틀을 완성해갔

다 현재는 80명의 회원이 활발하게 활동하는 서울대학교 내 가

장 큰 교직원 동아리 중 하나로 꼽힌다 야구 동아리는 스누리그

에 등록된 학생 야구팀과 시합을 하면서 학생들과도 두터운 친분

을 쌓고 있다 땀 흘리며 운동하다 보면 남녀노소 누구나 친구가

될 수 있는 것이 바로 스포츠의 매력 아닌가 평일 아침 아주 잠깐

의 시간이지만 서류 가방 대신 글러브와 배트를 손에 쥔 그들의

얼굴이 유난히 밝다

인생을 읊조리는 시간

문학과 예술 동아리는 자작시를 낭송하는 교직원 모임이다 한

달에 한 번씩 좋은 책을 읽고 서평을 공유하거나 새로운 시를 소

개하기도 한다 2005년 시를 읽고 쓰기 위해 자발적으로 결성한

모임이 10년의 세월을 거치며 등단 시인을 배출하기도 했다 이

들의 가장 큰 행사는 lt서울대 문예지gt 발간과 정기적으로 개최하

는 lsquo교직원 문예의 밤rsquo이다 작년 11월에는 lsquo가을 낙엽제 행사rsquo에

서 시화전을 열어 90여 편의 자작시를 소개하는 등 다양한 동호

회 행사를 진행하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문학과 예술 동아리

를 이끄는 이종만(공과대학) 회장은 동호회 활동을 적극 추천한

다 ldquo직장이라는 울타리 안에 많은 직원이 함께 있지만 주어진 업

무에만 치중하다 보면 서로 간 소통의 기회가 부족합니다 다양

한 기관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이 동아리를 통해 교류하면서 업무

에 대한 이해도 높일 수 있습니다rdquo

학교 차원에서도 교직원의 동아리는 권장 활동이다 동아리가 직

원 개개인의 잠재력과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스

트레스를 해소하는 건 물론이고 건전한 조직 생활을 위한 동기

를 부여해 즐거운 직장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이에 동아리를 위한 학교의 지원도 점차 체계적이고 구

체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전년도 활동 실적과 당해 연도 활동 계

획서를 제출하면 심사를 거쳐 활동비를 지원한다

든든한 후원 속에서 성장하는 교직원 동아리 다양한 모임에서

더 많은 교직원들이 삶의 즐거움을 누리길 기대한다

즐거운

삶을

꿈꾸며

잠깐의 쉼마저 사치가 되어버린 세상 lsquo바쁘니까 내일부터rsquo라는

말로 일상의 즐거움을 미루는 사람들에게 lsquo여유는 스스로 만드는

것rsquo이라고 몸소 이야기하는 사람들이 있다 제대로 일하고 제대로

즐기기 위한 모임 교직원 동아리를 소개한다

노력에대한성과와기쁨을

사람과의소통과배려를선사하는야구는

저에게인생이고학교입니다

아름다운성찰과타인에대한배려가

글을기반으로이루어지는곳문학과

예술동아리입니다

김평환middot의대공작실

이종만middot공과대학

탕~스트레스는담장밖으로

열정은그라운드로향하게하는

야구에빠져보세요

정진우middot교무과

당신의 재발견PEOPLE

15 14

캠퍼스의

어떤 하루

햇볕 좋은 날

SNU Ske t c hPEOPLE

스트레스 날리는 가을 축제

lsquo스트레스 대폭발 슛트레스rsquo를

주제로 한 서울대학교 2014년

가을 축제 lsquo티라노스트레스rsquo가

캠퍼스 곳곳에서 열렸다

사진은 참가자들이 대형 상자로

만들어진 젠가를 쌓으며 축제를

즐기고 있는 모습

09 29 ndash 10 01

중학생을 위한 생명공학캠프

농업생명과학대학에서

중학생을 대상으로 생명공학

특강 실험과 실습 수목원

체험 등 생명공학에 관한

기초적인 체험을 제공하는

캠프를 마련했다

08 11 - 08 15

오늘은 첫 출근 하는 날

공과대학 엔지니어하우스에서

2014학년도 신규임용교원

임명장 수행식이 거행됐다

60여 명의 신규 교직원들은

임명장을 받으며 합격의 기쁨을

만끽했다

08 25

서울대 입학 궁금해요

문화관 대강당에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2015년 서울대학교

입학 주요 사항을 설명하는

입학설명회를 개최했다

07 05

우물쭈물 말고 말 걸어 봐

2014 SNU 사회적경제

아이디어 대회 활동팀이

선보이는 lsquoTalk to me SNUrsquo

배지 이 배지를 달고 있는

사람에게는 누구나 친근하게

말을 건낼 수 있다

07 24

17 16

Campu s OnNOW

뚜렷하게 새겨진 학문적 발자취

학문 분야에서는 서울대학교의 대표적인 연구 성과인 현택환 중견

석좌교수의 lsquo나노수류탄rsquo 김수봉 교수의 lsquo중성미자 변환상수 연구rsquo

와 함께 서울대학교가 소장하고 있는 귀중한 사료인 lsquo대동여지도

(大東輿地圖)rsquo lsquo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rsquo에 대한 이야기도 만

나볼 수 있다 이어지는 교육 환경 코너는 학생 1인당 장학금 지급률

부터 개별 전공 졸업 후 진로 정보까지 방문객이 터치스크린을 통

해 원하는 정보를 찾아볼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빛나는 역사

전시 콘텐츠는 lsquo역사middot학문 분야middot교육 환경middot글로벌 SNUmiddot사회적

책임middot미래 인재middot미래 활동rsquo 순으로 전개된다 먼저 홍보관에 발을

들이면 개교 이전부터 현재까지의 모습이 전면 스크린에 펼쳐진다

최초의 근대 국립고등교육기관이었던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의

역사를 사진과 영상으로 만나볼 수 있다 또한 이곳에는 한국전쟁

419 혁명 등 중요한 역사의 현장에서 희생된 서울대학교 재학생들

의 고귀한 뜻을 기리는 추모의 벽이 설치되어 있다 조국의 발전을

위해 몸 바친 영혼들을 위해 잠시 묵념하는 시간을 가져보자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가 세계의 다양한 대학 연구 기관과 어떤 국제협력프로

그램들을 만들고 운용하고 있는지 궁금하다면 글로벌 SNU 코너에

서 그 현황과 규모를 찾을 수 있다 다양한 사회 기여 활동을 보여주

는 사회적 책임 코너도 빼놓을 수 없는 곳이니 잊지 말고 둘러보자

인재를 길러내는 서울대학교의 모습과 장기적인 비전은 스누홀의

마지막 전시장에서 확인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등 양방향적 소통 장치를 마련한 스누홀은 방문객과의

자유로운 교감을 꿈꾼다 견학 온 학생에게 자녀가 다니는 학교가

궁금한 부모님에게 이곳은 훌륭한 안내소가 될 것이다 아직 학교가

알쏭달쏭하다면 망설이지 말고 스누홀의 문을 두드리길

1 SNU connect

2 SNU 타임비전

3 SNU Awards

4 미디어홀

5 라운지

6 SNU Special

1

스누홀을 통해 서울대학교를

바라보는 시각이 달라졌고

도전 의식이 생겼습니다 당당한

재학생으로 꼭 다시 오고 싶어요

김예준middot낭주중학교 3학년 박지훈middot용강중학교 3년

서울대학교에 대해 잘 알지

못했는데 이번에 스누홀을

둘러보면서 서울대학교와 한층

가까워진 것 같아요

문의 070 8815 1524

생생 방문 후기

SNU Hall 문을 열다

매년 5만 명이 넘는 이들이 캠퍼스 투어를

위해 서울대학교를 찾는다 호기심을 가득

품고 관악캠퍼스를 찾은 방문객들은 커다란

위용에 왠지 모를 어려움을 느끼기도 한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고 종합적으로

학교를 안내하기 위해 서울대학교 홍보관

스누홀(SNU Hall)이 문을 열었다 학교의

역사에서부터 환경 글로벌 미래 비전까지

서울대학교의 이모저모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스누홀을 살펴보자

1

2

3

4

5

6

19 18

여행과 봉사를 한번에 볼런투어

Who 글로벌사회공헌단 bull Where 경상남도 함양군 bull What 일손 돕기 목가구 제작 벽화 그리기 등

드림컨설턴트는 2010년 학내 봉사 동아리로 출범해 2012년 서울

시 비영리 민간단체 공식인가를 받은 서울시 NGO다 lsquo꿈rsquo이라는 주

제 아래 lsquo촉촉콘서트rsquo lsquo드림커넥터rsquo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

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이들이 8월 8일부터 10일까지 경상남도

창원 구암고등학교에 머물렀다 2박 3일간 고등학생 꿈 찾기 프로

그램인 lsquo드림캠프rsquo를 진행하기 위해서다

드림캠프는 직업군으로 나누어 꾸민 부스에서 멘토가 강연하는 lsquo직

업 박람회rsquo 자신의 꿈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해보는 lsquo드림스토밍rsquo

문제 상황에 부딪쳤을 때 필요한 가치관을 이야기해보는 lsquo가치관 동

맹rsquo lsquo모의 면접rsquo 등의 프로그램으로 탄탄하게 구성됐다 뿐만 아니

라 봉사 단원들은 고등학생들이 자신의 가치관을 살펴보고 모호한

꿈을 좀 더 구체적으로 그리며 진로를 고민해볼 수 있도록 직접 교

재까지 제작하는 열의를 보였다 지난 4년 동안 꾸준히 성장해온 드

림컨설턴트가 꾸려나갈 앞으로의 모습이 더욱 궁금해진다

꿈을 발견하는 곳 드림캠프

Who 드림컨설턴트

Where 경상남도 창원시

What 고등학생 꿈 찾기 캠프

방학 계획을 물을 때 lsquo여행rsquo과 lsquo봉사활동rsquo은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단골 소재다 글로벌사회공헌단은 이 두 가지를 동시에 할 수 있는

프로젝트 lsquo볼런투어rsquo를 마련했다 자원봉사(Volunteer)와 여행

(Tour)을 합친 볼런투어는 개인의 재능을 통해 사회공헌 사각지대

에 필요한 자원을 제공하는 활동이다

이번 볼런투어는 8월 6일부터 9일까지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에서

진행됐다 5개 팀으로 나뉘어진 학생들은 각각 농촌 일손 돕기 목가

구 제작 벽화 그리기 어르신 사진 촬영 지역아동센터 교육 봉사 등

의 개별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낯선 일이었지만 학생들은 땀을 흘리

며 사과 농장을 일구고 마을 입구에 놓을 초대형 평상을 제작하는

등 각자의 재능을 통해 나눔을 실천했다

모든 일정이 계획대로 진행된 것은 아니다 프로젝트 기간 동안 함양

군을 지나간 태풍 lsquo나크리rsquo 탓에 벽화팀이 애써 그린 작품 대부분이

지워진 것 돌발 상황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최선을 다한 학생들에게

마을 주민들은 고마움을 표현했다 함양군에서의 3박 4일은 이들에

게 잊지 못할 경험으로 기억될 것이다

자연과학대학은 2006년 경상북도 영덕군과 lsquo관학 협력 및 지역사

회 개발에 관한 협정rsquo을 체결했다 그 후 매년 여름마다 영덕 지역 청

소년들의 적성과 소질을 개발하고 대학생들의 인성 함양을 위해 멘

토링 프로그램과 과학 캠프를 개최해왔다 올해 역시 자연과학대학

재학생으로 구성된 봉사단이 영덕 지역 청소년들과 만났다

8월 5일부터 7일까지 이어진 캠프 첫날 고등학생 25명을 대상으로

lsquo대학 진학 멘토 교실rsquo이 열렸다 입시를 앞둔 이들에게 실질적인 조

언을 해주는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이 미리 준비해 온 질문에 봉사단

원들의 진지한 답변이 이어졌다 이어서 진행된 lsquo과학 캠프rsquo 봉사단

은 물리천문학 생명과학 지구환경과학 화학 수리과학 등의 각 전

공을 살려 중학생 75명과 함께 과학 실험을 진행했다 서울대학교

봉사단원들은 아이들이 과학을 어렵지 않게 느끼도록 실험을 도우

며 재미있는 분위기를 이끌었다

이번 캠프는 열정적으로 참여한 학생들 덕분에 참가자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에게도 높은 호응을 이끌었다 에너지 넘치는 자연과학대

학 봉사단과 함께 할 내년 여름을 기대해본다

청소년 100명과의 만남 과학 캠프

Who 자연과학대학 봉사단

Where 경상북도 영덕군

What 청소년을 위한 멘토링 과학 캠프

학생들의 학습을 꼼꼼히 지도하는 드림컨설턴트

직접 그린 벽화 앞에서 포즈를 취한 볼런투어 벽화팀

과학 실험 삼매경에 빠진 캠프 참여 청소년

Campu s OnNOW

각양각색 봉사활동 열전

태양이 이글대던 두 달이 쏜살같이 지나가버렸다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여름

방학 속 가장 기억에 남는 일은 무엇이었는가 무더운 여름보다 더 뜨겁게 방학을 보낸

사람들이라면 금세 대답할 수 있을 것이다

21 20

서울대학교 세계 최고를 꿈꾼다

서울대학교는 영국 대학평가기관 QS(Quacquarelli Symonds)가 발표하는 2014 QS 세계대학평가(QS

World University Rankings)에서 31위를 차지했다 1994년부터 시작된 QS 세계대학평가는 전 세계 대학

에 대한 평가로 학계 평판 40 연구 영향도(교수 1인당 논문 피인용 수) 20 졸업생 평판도 10 교수 대

학생 비율 20 외국인 교수 비율 5 외국인 학생 비율 5를 합산해 평가한다 올해 발표된 평가의 1위는

미국 MIT(매사추세츠공대)였으며 아시아 대학 가운데서는 싱가포르국립대학교(NUS)가 22위 홍콩대학교

(HKU)가 28위에 올랐다

서울대학교는 해외 학계에서의 인지도를 알 수 있는 학계 평판(Academic Reputation) 및 기업인 대상 설문

조사로 평가하는 졸업생 평판 항목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향후 논문 피인용 수 증가를 통해 연구 영향도 분

야에서 개선을 추구해 나가는 한편 구성원의 글로벌 다양성 확보를 위해서도 노력할 계획이다

2014 QS 세계대학평가가 9월 발표됐다 2004년 118위에서 2010년 50위 2011년 42위

2012년 37위 2013년 35위 그리고 올해 서울대학교는 역대 최고 성적을 경신했다

118

93

63

5147

50

4237

35

31

50

140

40

20

0

120

100

80

60

순위2005년 2009년 2012년2006년 2010년 2013년2007년 2011년 2014년2004년 2008년

QS Ranking지난 11년간의 성과

연도 별 순위

lsquo창업론 실습rsquo 커리큘럼

STEP 1 조별 사업 기획

STEP 2 약 300만 원의 지원금과 창업 공간 지원

STEP 3 기업가들의 컨설팅

STEP 4 학점 취득

통찰력 있는

미래의 창업가를 키운다

연합전공 벤처경영학

표준적인 인재는 많지만 특출난 인재는

늘 부족하다 기업가 정신을 갖추고 끊임없이

도전하는 인재들의 양성소

연합전공 벤처경영학을 소개한다

새로운 경제 성장의 동력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lsquo창업 부흥rsquo

정책이 정부를 비롯해 지방자치단체 중소기업청 등에서 이

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학생들의 대기업 선호 현상과 lsquo창업은

위험한 도박rsquo이라는 인식은 여전하다 대기업 입사를 위한 다

양한 프로그램과 유학 스터디 등이 활발한 것과 달리 창업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은 아이디어를 나눌 공간이 없고 경험 있

는 선배로부터 직접적인 조언을 얻기도 쉽지 않다 이러한 문

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이 나섰다

올해 설립된 벤처경영학 전공은 학생들이 실제로 창업을 경

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lsquo창업론 실습 1middot2rsquo 과목을 수

강하는 학생들은 조별로 사업을 기획해보고 약 300만 원과

창업 공간을 지원받으며 기업가들의 컨설팅을 받게 된다 이

런 과정을 통해 학점도 취득할 수 있다 이밖에 벤처경영학과

에서는 철학과 경영학과 컴퓨터공학부 식품동물생명공학

부 등 연합전공에 참여한 학과의 개설 과목은 물론 제품 기획

론 창업론 특강 벤처사업 기회 연구 등 벤처 운영에 도움이

되는 과목을 함께 수강할 수 있다

실리콘밸리와 맞닿아 있는 스탠포드대학교는 구글 야후 휴

렛팩커드 등 초일류 기업의 창업자들을 배출했으며 오늘날

이 대학 출신이 창업한 기업의 연 매출은 우리나라 국내총생

산(GDP)의 2배를 넘을 정도로 큰 성과를 내고 있다고 한다

창업을 지원하는 학내 인프라와 프로그램 그리고 실제 벤처

기업을 운영하는 교수진이 있기에 가능한 일이다 서울대학

교 벤처경영학이 미래의 한국 벤처 생태계를 구축할 혁신적

인 기업가 양성 교육의 훌륭한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

Campu s OnNOW

연합전공 시리즈 3

23 22

문화생활백서 in SNU

과제 시험 그리고 또 과제 학교에 갇혀 있는

날이 계속되다 보면 잠깐이나마 쉴 곳을 찾게

된다 왠지 모르게 무기력해지고 답답한 순간

당신에게는 lsquo휴식rsquo이 필요하다

빼곡한 강의실 책만 가득할 것 같은

서울대학교 안에도 여유 시간을 알차게 보낼

수 있는 놀라운 공간들이 구석구석 숨어 있다

벌써부터 방학을 그리워하는 학생들에게

캠퍼스의 각종 문화 시설은 달콤한 선물이

되어줄 것이다 학교 안에서 즐기는

문화생활의 lsquo핫 플레이스rsquo를 소개한다

영화관이 학교 안에

미술관을 지나 오르막길을 오르다 보면 현수막 하나가 눈에 띈다

2004년부터 작품성은 높지만 대중적 인기는 얻지 못한 진흙 속의

진주 같은 영화를 소개하는 lsquo수요시네마rsquo 프로그램이다 매월 둘째

주 수요일 문화관에서 무료로 관람 가능하다 더불어 학교의 중심

중앙도서관 영상자료실도 혼자 영화 보기 안성맞춤인 곳이다 비교

적 최신 DVD까지 소장하고 있어 공강 시간을 보내기 유용하다

몸 튼튼 마음 튼튼

서울대학교에선 원한다면 누구나 각종 운동을 섭렵할 수 있다 공과

대학에는 테니스장과 농구장 인공 암벽등반 시설이 있으며 기숙사

에는 축구 운동장과 더불어 야구 연습 탁구 농구 등을 할 수 있는 실

내 체육관이 있다 종합운동장에선 축구와 미식축구를 할 수 있으며

마라톤 트랙이 있어 다른 운동도 가능하다

정문 근처 포스코(POSCO) 스포츠센터는 2001년에 문을 연 4층 건

물로 서울대학교의 대표 체육 시설이다 수영과 헬스뿐만 아니라 골

프와 댄스 발레 요가 등 전문 강사가 진행하는 다양한 강좌가 있다

시설이 좋아 lsquo미녀는 괴로워rsquo 등의 영화와 드라마 촬영지로도 사용됐

다 이외에 체육 교육과에서도 매 학기 테니스 필라테스 탁구 등을

소규모로 배울 수 있는 건강 운동 강좌를 개설하고 있다 에너지 넘

치는 학생들에게 서울대학교는 즐거운 놀이터다

음악감상실

장소 학생회관 111호

운영시간

학기 중 평일 930~1730

학기 중 토요일 930~1330

수요시네마

장소 문화원 중강당

비용 무료

문의 02-880-7924

정문 옆 미술관

정문 너머 왼편에는 독특하고 아름다운 외형의 건물이 있다 바로 서

울대학교 미술관 MoA 프리츠커 건축상을 수상한 렘 콜하스가 설

계했다 한 해 3~4회의 전시가 열리는 MoA는 타 학교 미대에서 관

람을 올 정도의 높은 전시 수준을 자랑한다 학교 구성원과 지역민

등을 대상으로 하는 미술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뿐만 아니라 도

슨트 교육을 받고 선발되어 활동하면 문화자원봉사 확인증을 주는

자원봉사 프로그램도 있다 미술관 입구 앞 독특한 조형물도 하나의

볼거리니 방문한다면 여기서부터 관람을 시작하자

MoA

운영시간 화~일요일 1000~1800(입장마감 1730)

관람료 3000원

문의 02-880-9504

포스코 스포츠센터

운영시간 평일 600~2230 토요일 1000~1700

문의 02-880-6980

Campu s OnNOW

음악이 들려주는 비밀

호그와트(영화 lsquo해리포터rsquo의 마법학교)에 비밀의 방이 있다면 서울

대학교에는 음악감상실이 있다 학생회관 식권 판매대 옆 두꺼운 문

을 열면 나타나는 음악감상실은 예전부터 높은 경쟁률을 뚫고 선발

된 DJ가 수준 높은 음악을 들려주는 것으로 명성이 자자했다 한국

최초 그래미 수상자 황병문 동문도 음악감상실 DJ 출신이다 문화

관에서 시작되는 lsquo걷고 싶은 거리rsquo는 음악대학 학생들의 연주와 노

래 소리를 들으며 산책하기 좋다 덧붙여 음악대학에서는 매 학기

lsquo화요음악회rsquo를 개최한다 1994년부터 20년째 이어지는 음악회다

오디션을 통해 선발된 공연팀이 무대에 올라 질 높은 음악을 들을 수

있으며 누구나 관람 가능하다 문화관과 자하연 사이에 위치한 스탠

드에서는 때때로 즉흥 연주가 벌어진다 버스킹의 정확한 일정은 없

으니 지나치다 익숙한 음악이 들리면 놓치지 말고 들러보자

1 2

3

4

화요음악회

장소 문화관

비용 무료

문의 02-880-7903

25 24

미래인재학교란 서울대학교 입학본부 주관으로 진행되는 고교 지원 프로그램으로

서울대학교 교수와 학생이 직접 지역 고등학교에서 지식을 전달한다

92명

13기 수료생

100명

14기 수료생미래인재학교

수료생 현황

미래 인재를 위한 꼼꼼한 준비

서울대학교는 7월과 8월 전라남도 고흥middot여수에서 미래인재학교

13 14기를 개최했다 미래인재학교는 지역 간 교육 환경 격차를 완

화하고 고교생의 소질과 적성을 개발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서울

대학교 교수 강의와 재학생 멘토링 등을 통해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다 개최 지역에 따라 맞춤형으로 운영하기 때문에 4

개월 정도의 준비 기간이 필요하다 각 기수마다 재학생 멘토팀을 선

발해 프로그램을 새롭게 기획하는 것은 물론 담당 입학사정관과 멘

토팀이 몇 차례의 답사를 통해 현지 교육 환경을 이해하고 운영 시설

을 확인하는 등 프로그램을 세심하게 꾸려나간다

열정 가득한 학생들과 3박 4일

나로도 소재 국립고흥청소년우주체험센터에서 진행된 미래인재학

교 13기에서는 고흥 소재 8개 고등학교 1 2학년생 92명이 3박 4

일의 과정을 수료했고 14기에서는 여수 소재 10개 고등학교 1학년

학생 100명이 나흘 간의 과정을 마쳤다 특히 이번 멘토팀은 개최지

의 요청에 따라 역대 최대 규모로 조직됐는데 이들 중에는 고교 재

학 중 미래인재학교 수료생으로 참가했던 3명의 학생도 있었다

각 학교장의 추천을 받아 선발된 고등학생들은 입학식과 더불어 핸

드폰을 모두 담당 교사에게 제출하는 등 바른 수업 태도와 학업 의

지를 보여주었고 쉴 틈 없이 짜인 프로그램에도 중도 탈락하는 사

람 하나 없이 참가자 전원이 수료증을 받을 수 있었다

교수 멘토 멘티의 특급 하모니

3박 4일 동안 고등학생들과 함께 숙식하며 프로그램 운영은 물론

학생들의 생활지도까지 맡은 서울대학교 재학생 멘토들 이들은

lsquo아이스 브레이킹rsquo lsquo주제 토론rsquo lsquo고교 생활의 Know-Howrsquo lsquo11 멘

토링rsquo lsquo도전 골든벨rsquo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학생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했다 물리천문학부 홍승수 명예교수 등 고교생

의 눈높이에 맞게 선정한 다양한 학과의 교수 강연은 학생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참가 고등학생들 역시 강의 2주 전 배포한 강연

자료를 예습해왔고 강의가 끝난 후에도 호기심을 충족하기 위해

교수님을 따라 행사장 밖까지 나가 질문하는 열의를 보였다 이번

행사가 서울대학교 학생들에겐 나눔의 기쁨을 개최 지역의 고등학

생들에겐 배움의 기회를 주었길 바란다

지역 인재는 우리가 기른다

전라남도 고흥과 여수에 서울대학교 학생들이 떴다 미래 후배들의 소질과 적성 개발을

돕는 멘토링 프로그램 lsquo미래인재학교rsquo를 진행하기 위해서다 이번에는 개최지의 요청에

따라 역대 최대 규모의 멘토팀이 조직됐다 고등학교 시절 배움을 위해 lsquo미래인재학교rsquo를

찾았던 학생도 지식을 나눠주는 멘토가 되어 돌아왔다 고등학생들과 동고동락하며 여름의

열기보다 뜨거운 4일을 보낸 이들을 만나보자

멘토링 시간에 조별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학생들

참가 학생이 자신의 의견을 발표하고 있는 모습

대학 입학에 관해 강의하는 홍승수 명예교수

Campu s OnNOW

step1

step2

step3

27 26

서울대학교는 8월 29일 관악캠퍼스 문화관 중강당에서

교수 학생 직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교수 정년식을 진행

했다 노태돈 국사학과 교수 임현진 사회학과 교수 안

정선 생명과학부 교수 김명모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장

호익 디자인학부 교수 한문희 불어교육과 교수 김민자

의류학과 교수 황준연 국악과 교수 이성철 의학과 교수

등 26명이 명예로운 정년을 맞아 정든 캠퍼스를 아름답

게 떠났다 이날 행사에서는 박종화 환경대학원 교수가

정년 교수진을 대표해 감사와 당부의 인사말을 전했다

교수 정년식

02

서울대학교는 8월 28일 관악캠퍼스 종합체육관에서 제

68회 후기 학위수여식을 개최했다 이번 학위수여식에

서는 학사 850명 석사 989명 박사 522명 등 총 2361

명이 학위를 받았다 성낙인 총장은 ldquo최고의 지식은 사회

봉사와 인류공헌을 위해 쓰이는 것이며 훌륭한 인재는

지성과 공공성으로 무장된 따뜻한 가슴을 겸비한 lsquo선한

인재rsquordquo라며 ldquo민족의 동량 사회의 중심으로 드높은 자부

심을 갖되 지식과 열정을 공동선을 위해 공헌하는 사회

적으로 필요한 인재가 되기 바란다rdquo고 당부했다

제68회 후기 학위수여식

03

01

서울대학교는

신임 보직교수단을

구성했다 신임 보직

교수 임기는 2년으로

2016년까지 대학의

비전을 마련하고

고등교육 발전을 위한

주요 소임을 맡아

활동한다

신임 보직교수 임명

04 06

2014 우수 인재 채용박람회

추석을 맞아 서울대학교 구성원들의 따스한 손길이 어려

운 이웃들에게 전해졌다 인문대학 등 62개 기관에서 모

금한 총 28271500원은 학교 근처의 보육원 사회복지

관 등 도움이 필요한 곳에 전달됐다 성낙인 총장은 아동

복지시설인 상록보육원을 방문해 성금을 전달하며 어린

이들과 보육원 관계자들을 격려했다 그리고 김종서 교

육부총장은 동명 아동복지센터 이우일 연구부총장은 성

민 종합사회복지관 유근배 기획부총장은 선의관악 종합

사회복지관을 각각 찾아 성금을 전달했다

추석 명절 이웃돕기 성금전달

보 직 명 학 과 (부) 성 명

교육부총장 종교학과 김종서

연구부총장 기계항공공학부 이우일

기획부총장 지리학과 유근배

교무처장 화학부 김병문

학생처장 농생명공학부 김정한

연구처장 의학과 박노현

기획처장 법학전문대학원 이철수

기초교육원장 서양사학과 안병직

입학본부장 독어교육과 권오현

국제협력본부장 국제대학원 정종호

보 직 명 학 과 (부) 성 명

정보화본부장 컴퓨터공학부 신영길

교무부처장 겸 교육부처장 치의학대학원 백승학

학생부처장 식품영양학과 한성림

연구부처장 약학과 오정미

기획부처장 독어독문학과 강창우

협력부처장 건설환경공학부 김재영

기초교육부원장 물리middot천문학부 유재준

입학부본부장 고고미술사학과 이준정

국제협력부본부장 국제대학원 신성호

정보화부본부장 경영학과 장정주

NewsNOW

제8기 스누봉사단이 한국수력원자력(주)의 후원으로 8

월 9일부터 20일까지 베트남 라오까이 성에 있는 스빤

마을에서 봉사활동을 진행했다 유성상 교육학과 교수

이우철 치의학대학원 교수 이승표 교수 한동헌 교수

김익규 빗물모아지구사랑 실장 김용환 연구원 서울대

학교 학생 23명으로 구성된 봉사단은 구강보건의료 빗

물 정화 위생교육 등의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 주민들에

게 나눔을 실천했다

제8기 스누봉사단 베트남 봉사활동

0705

훌륭한 공대교수상 선정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올해의 훌륭한 공과대학 교수로

신현식 컴퓨터공학부 교수 이재홍 전기정보공학부 교

수 강신형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를 선정했다 이 상은 교

수들의 연구 활동을 장려하고 산업 기술의 선진화를 꾀

하자는 취지에서 1992년 공과대학 동문들이 출연한 기

금으로 제정됐다 2003년부터 교육상과 연구상 2개 부

문으로 시상해오다가 올해부터 교육상 학술상 산학협

력상 3개 부문으로 확대돼 의미가 더욱 커졌다

경력개발센터는 2014년 하반기 채용 시즌을 맞이해 9월

2일에서 4일까지 대학본부 앞 잔디 광장에서 lsquo새로운 미

래를 여는 SNU 2014 서울대학교 우수인재 채용박람회rsquo

를 개최했다 올해로 11회째를 맞이한 채용박람회에는

6500여 명의 학생들이 참가했다 한편 두산 삼성 현대

자동차 LG SK 등 국내 주요 대기업들과 국방과학연구

소 한국전력공사 등의 공기업 Hakuhodu 그룹 등의 일

본 기업 ASML Korea 등의 외국계 기업 총 130곳이 우

수 인재를 확보하고자 심혈을 기울였다

信義

기부와 나DONATION

유 태 용

나고 자란 곳을 잊지 않는다 어려웠던 순간을 항상

되새긴다 덕분에 유태용 동문은 사회적 성취를 이룬 지금

자신만의 나눔 원칙을 세울 수 있었다

기 부 자 정 보

격동의 세월을 이겨낸 삶

일제강점기를 지나 해방 그리고 한국전쟁까지 1950년에 서

울대학교에 입학한 유태용 동문의 학창시절은 역사적 격동

기와 맞물려 있다 그 시절을 겪어보지 않은 요즘 세대에게 유

동문의 경험은 책에서나 접하는 옛날이야기로 들릴 수 있다

그럼에도 유 동문은 과거를 잊지 않으려 그 시절을 끊임없이

복기한다 당시 경험을 lt어느 서울대 공대생의 한국전쟁gt이

라는 책에 풀어내기도 했다 ldquo요즘은 상상도 못할 이야기죠

이후로도 어렵사리 국가 발전을 이뤘고요 우리 세대가 고생

했다고 알아주길 바라는 건 아닙니다 다만 큰 어려움을 헤

쳐 온 인생 선배들을 보면서 힘든 순간이 닥쳐도 좀 더 지혜롭

게 극복했으면 좋겠습니다rdquo

유태용 동문은 대학 졸업 후 1957년부터 공직 생활을 시작했

다 이후 오랜 기간 공직에 몸담으며 국토 계획과 건설 행정

을 담당했다 유 동문의 전공은 토목공학 그중에서도 방조

제가 전문 분야였다 공직 생활 초창기에 국제원조기구 장학

생으로 선발돼 1962년 미국에서 아카데미 코스를 밟기도 했

다 그렇게 미국에서 수학한 지식을 바탕으로 당시만 해도 단

일목적댐뿐이던 우리나라에 다목적댐을 도입하는 데 기여했

다 ldquo저는 어찌 보면 운이 참 좋은 사람입니다 어려운 시기에

농촌에서 서울대학교에 입학했고 좋은 기회가 닿아 외국에

서 공부하는 경험도 할 수 있었으니까요rdquo

오랜 시간 이어온 남다른 향토애

공직에 있으며 국가 발전에 힘써온 유 동문 그는 오래전 고

향을 떠나왔지만 어려웠던 어린 시절을 잊지 않는다 불과 몇

원하는 수업료가 없어 일곱 살 나이에 수십 킬로미터에 달하

는 거리를 오갔던 기억이 여전히 생생하다 적어도 돈 때문에

공부를 못하는 학생은 없어야겠다는 생각에 이른 건 어쩌면

당연한 일 그러한 경험이 있었기에 유 동문은 자신만의 기부

신념을 세울 수 있었다 ldquo똑같이 모를 심어도 좋은 쌀을 얻으

려면 관리를 잘해야 합니다 모를 심고 가만히 두면 한 섬밖

에 못 얻지만 비료를 주고 잡초를 솎아내면서 키우면 네 가

마니까지 불어나요 사람도 마찬가지입니다 인재도 좋은 환

경이 갖추어져야 자랄 수 있습니다 서울대학교에 입학한 건

시작일 뿐이죠rdquo

유 동문은 서울대학교에 부동산을 기부해 정읍과 고창 출신

후배들을 위한 lsquo정고장학기금rsquo을 마련했다 단지 태어난 곳

에 대한 고집만은 아니다 그 자신이 농촌에서 어렵사리 대학

에 진학했던 까닭에 그곳에서 나고 자란 후배들이 학비 걱정

없이 공부에만 전념할 수 있기를 바라는 선배의 따스한 마음

이다 ldquo예전에도 그랬지만 지금도 농촌에서 몇 백만 원씩 하

는 등록금을 쉽게 마련할 수 있는 집은 많지 않습니다 더구

나 지방에서 공부해서 서울대학교에 온다는 건 쉽지 않아요rdquo

유태용 동문은 장학생들을 직접 만나 격려하는 데에도 적극

적이다 지금은 학생들이 그가 기부한 장학 기금의 혜택을 입

지만 언젠가는 좋은 인재로 성장해 사회에 보탬이 되는 주역

이 되리라 믿는 까닭이다 ldquo서울대학교가 이제 세계에서도 손

꼽히는 대학이 되었다지만 아직도 세상에는 해결하지 못한

연구 과제가 많아요 서울대학교의 많은 인재가 그런 분야에

도 거침없이 도전해 좋은 성과를 내주길 바랍니다rdquo

유태용 한국방재협회 명예회장

내무부와 건설부에서 오랜 기간 국토 계획과 건설 행정을 맡았다 1998년 자연재

해대책법에 따라 한국방재협회 준비위원장에 추대됐고 창립을 준비해 1999년 초

대 회장에 취임한 바 있다

with SNU

토목공학과 학사 ACAD 12기 수료 정고장학기금을 마련해 정읍 고창 출신 학생

들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및 대학원생 재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원하고 있다

ldquo모를 심고 가만히 두면 한 섬밖에 못 얻지만

비료를 주고 잡초를 솎아내면서 키우면

네 가마니까지 불어나요 사람도 마찬가지입니다

인재도 좋은 환경이 갖추어져야 자랄 수 있습니다rdquo

29 28

31 30

기부와 나DONATION

도전 열아홉이란 나이 누군가는 대학 문을 바라보며 책

장을 넘길 시기에 사업을 시작했다 다양한 업종에 손대며

달콤한 성취도 쓰디쓴 실패도 맛본 20대를 지나 서른을 코앞

에 둔 시기에 광장시장 상가 한편에 1평 남짓한 도매 옷가게

를 열었다 그것이 연 매출 1조 원을 올리는 국내 굴지 패션기

업의 출발이었다

근면 어깨에 옷을 짊어지고 고객을 찾아다니길 수차례

서른 살 청년의 성실성을 소매상들은 알아봤다 판로가 열리

니 사업은 자연히 승승장구했다 그러나 10년 후 위기가 닥

쳤다 거래처의 어음이 부도 처리되면서 그 여파를 고스란히

받아야 했다 ldquo부도를 극복하면서 근면의 중요성을 깊이 느

꼈습니다 재기를 생각하며 다시 1평짜리 매장을 얻어 아침 7

시부터 새벽 2시까지 이를 악물고 일했죠rdquo 시작도 그랬지만

이후로도 근면은 최 회장의 삶에 큰 지표가 됐다

배움 일찍이 사회에 진출한 만큼 현장 경험은 누구보다

출중할 터 그러나 최 회장은 lsquo배움에는 끝이 없다rsquo는 생각으

로 경영만 하기도 바쁜 시간을 쪼개 공부를 계속했다 배움의

과정 중에 서울대학교와 인연이 닿았다 학교의 여러 특별과

정을 수료한 것은 물론 서울대학교 패션산업 최고경영자과

정(AFB) 총교우회 회장도 역임했다 ldquo김민자 교수님께서 lsquo바

쁠수록 더 좋은 성과를 낸다rsquo고 말씀하신 적이 있습니다 몸은

분주했지만 세상을 보는 관점은 더욱 넓어질 수 있었습니다rdquo

섬김 최 회장은 오늘날 이룬 성취가 혼자만의 것이 아니

란 점도 매번 되새긴다 패션그룹형지의 성장과 함께 한 대리

점주를 섬기는 해법 중 하나는 교육이다 ldquo사업의 근간인 대

리점주와 함께 호흡하고 성장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일까 고민

하던 차에 생활과학대학 교수님들의 도움으로 lsquo패션그룹형

지 최고경영자과정rsquo을 열었습니다rdquo

나눔 lsquo남 열 걸음 갈 때 반의 반 걸음 더 간다rsquo 최 회장은

기업가로서 성공을 이룬 지금도 이 말을 되새기곤 한다 ldquo남

보다 조금 더 먼저 생각하고 노력하는 작은 차이가 나중에는

큰 성과를 남긴다는 뜻입니다 요즘은 사업이나 일에 대한 것

뿐만 아니라 타인을 향한 배려와 사랑도 반의 반만 앞서 생

각하고 실천하자고 다짐합니다rdquo 최 회장은 lsquo교육은 백년지대

계(百年之大計)rsquo란 말에 동감하며 패션 산업을 이끌어갈 인

재들을 위해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에 기금을 출연했다

또한 지역 발전을 위한 투자를 비롯해 세월호 참사로 고통받

는 유가족과 학생들을 위해 성금을 기부하는 등 다방면에서

나눔을 실천하고 있다 어려운 순간을 딛고 현재의 성취를 이

뤘기에 자신을 키워준 사회에 무엇인가 되돌려주는 나눔이

중요하다고 말하는 최병오 회장 한편으로 그는 lsquo금전적 도움

을 베푸는 자선의 개념을 넘어 재능과 기술을 나누는 나눔의

문화가 필요하다rsquo고 덧붙인다

청년에게 사회에서 일가를 이룬 최병오 회장이 이 시대

를 사는 청년들에게 권하고픈 경험은 다름 아닌 lsquo실패rsquo다 ldquo진

짜 실패는 넘어지는 게 두려워 시도조차 하지 않는 거라고 하

지 않습니까 실패를 두려워하기보다 꿈을 먼저 생각하길 바

랍니다rdquo 최 회장은 목표와 꿈을 추구하는 동시에 타인을 배

려하는 태도 역시 지니길 권한다 그것이 바로 진정한 성공이

요 명품인생을 완성하는 길이기에

切磋琢磨 최 병 오

최병오 회장에게 lsquo근면rsquo은 가장 기본적인 성공 원칙이다

lsquo배움rsquo은 자기 성장의 원동력이며 lsquo섬김rsquo은 상생의

바탕이다 마지막으로 그는 lsquo나눔rsquo이란 대의를 잊지 않는다

ldquo경제적인 어려움으로 배움의 기회를 놓쳐선

안된다고 생각해왔습니다 젊은 나이에

일찍 사업에 뛰어들어 배움에 대한 목마름이

누구보다 컸기 때문입니다rdquo

기 부 자 정 보

최병오 패션그룹형지 대표이사 회장

대한상공회의소 중견기업위원회 위원장이자 윤리경영위원회 위원 또한 한국의

류산업협회 회장과 한국의류산업학회 부회장 등을 맡아 최근 대통령 해외 순방 당

시 경제사절단으로 동행했다

with SNU

AFB 3기 AMP 63기 AIP 42기 AWASB 1기 등을 수료했다 AFB 동창회장과

AFB 동창회 수석부회장을 역임했으며 올해 제13회 AMP 대상을 수상했다 현재

AWASB 동창회장을 맡고 있다

33 32

기부의 향연이 펼쳐지다

바바패션

인문대학 발전기금 1억 원 기부

바바패션(대표이사 회장 문인식)이 인문대학에 발전기금 1억 원을 기부했

다 10월 13일 총장실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성낙인 총장과 문인식 바바

패션 대표이사 회장 유근배 기획부총장 장재성 인문대학장을 비롯해 관

계자 10여 명이 참석했다 성낙인 총장은 ldquo문인식 회장님의 인문학에 대

한 관심과 성원에 감사드린다rdquo며 ldquo이번 기금으로 인문대학의 발전과 인재

양성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이에 문인식 회장은 ldquo바바패

션은 계속해서 나눔 경영을 통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rdquo고 전했

다 문인식 회장은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최고지도자과정(AMP) 72기를

수료하고 현재 인문대학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12기 회장 AMP

총동창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한편 바바패션은 국내 여성 패션 브랜드인

아이잗바바(IZZAT BABA) 지고트(JIGOTT) 등을 비롯한 총 9개의 브

랜드를 보유하고 있으며 심장병 어린이 수술 지원 및 장학 사업도 꾸준히

펼치고 있다

전기컴퓨터공학부 권욱현 명예교수

lsquo권욱현 희망장학기금rsquo 1억 원 기부

지난 6월 17일 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부 권욱현(전기공학 62학번)

명예교수가 lsquo권욱현 희망장학기금rsquo을 조성하고 1억 원을 기부했다 이번

에 마련된 기금은 공과대학과 전기공학부 학생들 가운데 경제적으로 어

려운 학생들에게 지급될 예정이다 변대규 휴맥스 대표를 비롯해 이재원

슈프리마 대표 등 국내 유명 벤처기업 CEO들의 스승으로 유명한 권욱현

명예교수는 2005년 서울대학교 평의원회 의장으로 활동했으며 대한전

기학회장 세계자동제어연맹 부회장 국제자동제어연맹 회장 등을 역임

했다 국제자동제어연맹(IFAC) 회장으로 재임 시 사재 50만 달러를 출연

해 개발도상국 젊은 공학자의 학술 활동을 지원하는 등 후학 양성을 위한

꾸준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김정식 해동과학문화재단 이사장

해동학술정보실 건립기금 30억 원 기부

지난 6월 27일 해동과학문화재단 김정식 이사장(전자공학 48학번)이

lsquo해동학술정보실 건립기금rsquo으로 30억 원을 쾌척했다 이번에 조성된 기금

은 공과대학과 자연과학대학 등 주요 단과대학의 해동학술정보실을 건

설하는데 사용될 예정이다 이번 기금 이외에도 김정식 이사장은 서울대

학교 공과대학 인근 해동학술관과 해동학술정보실 12호관 건립 기금으

로 100억 원이 넘는 금액을 출연하며 꾸준히 모교를 후원하고 있으며 인

재 양성을 위해 한양대 고려대 등 국내 주요 대학에 해동학술정보실 건립

을 지원하고 있다 1972년 대덕전자를 설립해 한국 전자 산업의 기술 개

발을 이끈 선구자로 유명한 김정식 이사장은 1990년 해동과학문화재단

을 만들어 해동상을 재정하는 등 지속적인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

패션그룹형지

생활과학대학 발전기금 3억 원 기부

패션그룹형지(대표이사 회장 최병오)가 생활과학대학에 발전기금 3억 원

을 기부했다 이 기금은 생활과학대학의 교육middot연구활동 및 시설개선 등을

위한 제반 활동에 사용된다 지난 8월 26일 진행된 협약식에서 성낙인 총

장은 ldquo생활과학대학은 패션그룹형지 기금으로 수준 높은 연구 성과와 인

재 배출을 통해 대한민국 대표 인재 양성소로 거듭 날 것rdquo이라고 밝혔으

며 최병오 회장은 ldquo국가 경쟁력을 이끌어가는 리더와 패션 산업 인재를

양성하는 데 패션그룹형지 발전기금이 쓰이길 바란다rdquo고 당부했다 최 회

장은 지난 2003년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패션산업 최고경영자과정

(AFB) 3기를 수료하고 2007년부터 2013년까지 AFB 총교우회 회장을

역임했다 또한 이번 기금 이외에도 꾸준히 후원한 다양한 기금으로 건립

된 lsquo최병오 홀rsquo을 통해 사회 각계각층의 주요 리더들이 교류하는 교육장을

마련했다 1월에는 경영대학 최고경영자과정(AMP) 총동창회가 주최하

는 lsquo제13회 서울대 AMP 대상rsquo을 수상했다

NewsDONATION

유회진 학술정보관 건립 보고 및 감사 행사

ldquo기부금은 이공계 학생들을 위해 써주세요rdquo 故 유회진 박사가 구강암으로 투병

하는 동안 병문안을 갔던 이장무 전임 총장에게 남긴 말이다 서울대학교 기계

설계학과에서 학부와 대학원 생활을 보내고 동아대학교 교수를 역임한 유 박

사는 2009년 구강암 판정을 받았다 그는 암 투병 치료비부터 부모님으로부터

물려받은 유산까지 허투루 쓰지 않고 모은 100억 원이 넘는 전 재산을 서울대

학교에 남기고 2011년 별세했다 유가족이 없는 고인을 위해 서울대학교 발전기

금은 장례를 진행했으며 매년 제사를 지내 뜻을 기린다

지난 7월 2일 관악캠퍼스 공과대학 엔지니어하우스대강당에서 lsquo유회진학술정보

관rsquo 건립 보고 및 감사 행사가 개최됐다 유회진학술정보관은 유회진 기금으로

건립되어 공과대학과 자연대학이 공동 교육 및 연구 시설로 사용할 예정이다 이

날 행사는 오연천 전임 총장의 환영사에 이어 유회진 박사 소개 및 기부 경과보

고 유회진학술정보관 건립 경과보고 순으로 진행됐으며 특별히 故 유회진 박사

의 지인인 서울시립대 권원태(기계설계학과 78학번)교수가 참석했다 그의 숭고

한 마음은 우리 사회의 빛나는 과학자들을 위한 초석이 될 것이다

11월 9일 故 유회진

박사의 3주기가 돌아온다

서울대학교발전기금은

제주(祭主)로서 그를 잊지 않고

사회와 학교를 향한 기부자의

아름다운 정신을 남길 것이다

당신의 아름다운 마무리

35 34

SNU Presidents Honors Club

SNU Honor Club

故 곽명덕 변호사 유가족 (한자영 곽성현 곽성희)

故 구영록 교수 유가족

故 김인제 故 최성순 가족

(故 김동호 故 김동훈 김동준 김진숙 김진옥)

故 이한빈 부총리 가족 (유정혜 이원식 이선이)

고윤석 (물리학과 47입)

고정택 (외교학과 62입)

구영배 (자원공학과 85입)

구재서

권영대 (약학과 55입)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권욱현 (전기공학과 62입)

금장태 (종교학과 62입)

김건식 (법학과 73입)

김경한 (법학과 62입)

김경한 (외교학과 62입)

김광일 (경영학과 84입)

김기봉 middot신경은 (기계공학과 63입 middot화학과 65입)

김기태 (의학과 58졸)

김난도 (소비자아동학부 교수)

김대욱 (조선공학과 76입)

김동길 (화학교육과 57입)

김동훈 (화학과 48입)

김두철 (전자공학과 66입)

김만극 (약학과 47입)

김상헌 (사법학과 82입)

김선동 (화학공학과 59입)

김선화(정자) (국악과 60입)

김성배 (영어영문학과 63입)

김양곤 (IFP 2기)

김연탁 (경제학과 故 김태성 교수의 부)

김연호 (화학공학과 71입)

김영경 (기계공학과 52입) middot김천순

김영석 (3 Plus Logistics 회장)

김영수 (법학과 67입)

김영심 (불어불문학과 故 오현우 교수의 부인)

김영업

김용재 (의과대학 60입)

김용철 (치의학과 55입)

김의신 (의학과 60입)

김의영 (경제학과 54입)

김정희 (간호학과 52입)

김종일 (제어계측공학과 79입)

김진향

김천흥

김철호 (외교학과 70입)

김춘길 (화학생물공학부 58입)

김택수 (법학과 48입)

김하석 middot김영중 (화학과 63입 middot약학과 64입)

김하자 (서양화과 故 하동철 교수의 부인)

김학봉 (한영요업 회장)

김형주 (전자계산기공학과 78입)

나정환 (화학교육과 54입)

남정현 (건축학과 57입)

류무종 (중어중문학과 53입)

류진 (영어영문학과 78입)

마인경 (지리학과 56입)

민계식 (조선항공학과 61입)

민호기 교수 유가족

박대근 (보건대학원 63입)

박맹호 (불어불문학과 52입)

박민식 middot 박금옥 (수의과대학 65입 middot체육교육과 63입)

박봉균 (수의학과 76입)

박숙희 (지리학과 60입)

박용헌 (교육행정학과 53입)

박용호 (수의학과 74입)

朴麟子(가정관리과 82입) 하상예 박임숙 박순영 박노용

박종근 (전기공학과 69입)

박종수 (수의학과 58입)

박종오 (영어영문학과 55입)

박준 (법학과 73입)

박태진 (독어독문학과 80입)

박한제 (동양사학과 69입)

배옥자 (성심가정의학과의원 원장)

백종철 (농공학과 54입)

백형익

법대 48회 졸업생

변대규 (제어계측공학과 79입)

서문자 (간호학과 63입)

손경식 (법학과 57입)

송상용 (화학과 55입)

송상현 (법학과 59입)

송인철 (SPARC 14기)

송학린 (법학과 59입)

신수정 (기악과 59입)

신영길 (계산통계학과 78입)

신영주 (이남장 대표)

신익현 (임학과 79입)

신효영 middot신승연 (故 신광현 교수의 가족)

신희명 (물리교육과 49입)

신희택 (법학과 71입)

심소일 (상학과 49입)

심재성 (前 성보산업 자문위원)

안영경 (前 핸디소프트 고문)

안창엽 (AMP 68기)

양천식

오세경 (약학과 61입)

오승환 (의학과 56입)

오용호 middot오양호 (행정학과 69입 middot법과대학 80입)

오윤덕 (행정학과 61입)

원재연 (경영학과 82입)

유근순

유성숙 (고고미술사학과 故 김원용 교수의 부인)

윤계섭 (상학과 64입)

윤덕우 (경제학과 58입) middot최덕자

윤석금 (웅진그룹 회장)

윤석순 (수의학과 59입)

윤우석 (에너지자원공학과 63입)

이건우 (기계공학과 74입)

이경식 (불어불문학과 55입)

이광희 (지리학과 59입)

이교일 middot박명진

(기계공학과 60입 middot불어불문학과 65입)

이기춘 (가정교육과 61입)

이명현 middot김귀현 (철학과 60입 middot기악과 69입)

이문한 (수의학과 66입)

이병준 (경제학과 55입)

이성규 (사학과 65입)

이성형 (정치학과 82입)

이순원 (가정교육과 54입)

이순형 (가정관리학과 70입)

이신두 (물리학과 76입)

이예식 (약학과 46입)

이용환 (농업교육과 63입)

이용환 (전기공학과 73입)

이원영 (AMP 6기)

이은방 (약학과 55입)

이장무 (제24대 총장)

이재승 (원자핵공학과 59입)

이정섭

이정섭 (종교학과 04입)

이종덕 (물리학과 62입)

이준용 (경제학과 56입)

이지형 (법과대학 85입)

이찬승 (수학교육과 69입)

이창득 (국어교육과 71입)

이창화 (국어국문학과 64입)

이천만 (영어영문학과 故 이상태의 부)

이철승 (법학과 78입)

이철영 (SPARC 17기)

이현수 (농화학과 60입)

이현재 (경제학과 48입)

이형도 (화학공학과 61입)

이홍표 (의과대학 58입)

임길진 교수 유가족

임동진 (법학과 62입)

임현진 (사회학과 67입)

장세권 (농공학과 70입)

장순영

장용국 (법학과 71입)

장재혁 (역사교육과 80입)

장정훈 (약학대학 65입)

전익찬 (지구환경과학부 94입 故 전재규의 부)

전해종 (동양사학과 47졸)

정달훤 (고고미술사학과 87입 故 정은임의 부)

정영현 (공업화학과 85입 정순욱의 부)

정영호 (생물학과 50입) middot 박양숙

정윤환 (임학과 56입)

정재선 (소비자아동학과 93입)

정재준 (前 경보전기 부회장)

정종곤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조동성 (경영학과 67입)

조병직 (법학과 46입)

조석준 (행정학 57졸)

조영식 (수의학과 80입)

조옥환 (부산교통 대표)

조종수 (건국대학교 교수)

조한영 (상학과 43입)

조형준 (미학과 65입)

주중광 middot 허지영 (약학대학 60입 middot 화학과 66입)

차상균 (전기공학과 76입)

차상균 교수 외 제자 12명

채성기 (원자핵공학과 59입)

채제한 (전기공학부 48입 故 채호석의 자)

천문우 (약학과 61입)

최병오 (AFB 3기)

최재열 (조소과 08입 최민주의 부)

최정욱 (화학공학과 49입)

최창원 (심리학과 83입)

최화형 외 3명

풍원자 (임학과 57입 故 용환운의 부인)

하영구 (무역학과 72입)

한규범 (AMP 42기)

한규환 (기계공학과 68입)

한기준 (의학과 52입)

한상복 (사회학과 56입)

한옥희 (화학과 79입)

한장희 middot김재혜 (행정학과 61입 middot 법학과 61입)

허성도 (중어중문학과 68입)

허영인 (SPC그룹 회장)

현기순 (가정교육과 46입)

현정오 (농생물학과 66입)

현택환 (화학과 83입)

홍경자 (간호학과 62입)

홍계수 (법학과 72입 주경숙의 모)

홍길표 (컴퓨터공학부 홍지명의 부)

홍예표 (치의학과 65입)

홍지준 (화학교육과 74입)

황귀례 (제약학과 故 국채호 교수의 부인)

황재홍 (치의학과 90입)

히로나카 헤이스케 (하버드대 명예교수)

Eduard J Stadelmann (前 미네소타대학 교수)

Ken-ichi Arai (동경대 교수)

Peter S Kim (MIT 교수)

Stanley Choy

거평그룹

건일제약

건화엔지니어링

경남기업

경동송천재단

경암교육문화재단

고려아연

공영토건

과학기술혁신 최고전략과정 23기 일동

과학기술혁신 최고전략과정 24기 일동

관악회

광동제약

교보문고

구원장학재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국방과학연구소

국제종합물류

금호아시아나문화재단

김 middot장 법률사무소

김영사

김정문알로에

까사미아

나산실업

남광토건

남영비비안

넥슨코리아

노키아티엠씨

농어촌희망재단

농우바이오

다이소아성산업

다함넷

단암장학재단

대교

대림대학

대양 EampC

대우기전공업

대우엔지니어링

대우테크

대한수의사회

대한통운

돈암장학회

동방

동방상호신용금고

동부대우전자

동부문화재단

동서식품

동아건설산업

동아제약

동양강철

동철문화재단

동화산업장학재단

두을장학재단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롯데관광

롯데쇼핑

매트바이오테크

메디슨

몬산토코리아

미래에셋

미래와도전

미래의동반자재단

민음사

바이로메드

방송문화진흥회

방일영문화재단

법대 39회 동문 일동

법대 84학번 동기회

법대 85학번 동기회

법대최고지도자과정 8기 일동

법대최고지도자과정 10기 일동

법무법인 광장

법무법인 바른

법무법인 세종

법무법인 율촌

법무법인 케이씨엘

법무법인 태평양

법무법인 화우

부경양돈협동조합

비씨카드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동문회

삼양

삼우종합건축사무소

삼일회계법인

삼전순약공업

삼호개발

삼화모터스

상암에너지

상지상사

상진개발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글로벌리더쉽과정

서울대합창단 동문회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석원산업

성남시장학회

성련장학재단

세무법인 조이

세진에프알에스

송우재단

수경출판사

수암장학문화재단

수의과대학 교수 일동

스키부 동문회 일동

시뮬레이션테크

신라교역

신라문화장학재단

신양머그

신한장학재단

썬텍

아모레퍼시픽

아산사회복지재단

안성농장

알앤엘바이오

애드미션

앨트웰민초장학재단

약학교육연수원 이수자 일동

양지농장

영림임업

오뗄

오뚜기재단

오리엔트이엔지

오리온전기

오성엘에스티

와이비엠시사

용운장학회

우덕재단

유기천교수기념사업출판재단

유신

유티씨인베스트먼트

유한재단

유한킴벌리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음악대학 피아노발전기금후원회

이지바이오

인선문화재단

인촌기념회

인탑스

일동제약

일동후디스

일주학술문화재단

재단법인 대우재단

재단법인 정민

재미서울대총동창회

전국은행연합회

정공산업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정수장학회

정헌재단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져스텍

종근당

종로구장학회

좋은책신사고

진생사이언스

진양제약

참존

창강재단

창진영농조합법인

천만장학회

천수기업

천연물과학연구소 교수 일동

천재교육

청합장학회

최고경영자과정 총동창회

최고산업전략과정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middot

미래지도자인문학과정(IFP)

케이씨텍

코스맥스

코오롱

트러스톤자산운용

특수건설

패션그룹형지

포니정장학재단

포휴먼

풀무원

풍산

플라톤아카데미

피에스케이

하나제약

한국간연구재단

한국거래소

한국금융투자협회

한국무역협회

한국문화진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산업은행

한국세포주연구재단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알콜산업

한국외국인학교

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전파기지국

한국증권금융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한국타이어

한국투자신탁운용

한국투자증권

한산이씨양도공파설서공종중

한샘출판

한수통상

해나천연물신약

해성장학회

해태

행정대학원 정보통신과정

현대차 정몽구 재단

현대카드

현대캐피탈

현동장학회

현송교육문화재단

홈플러스e파란재단

효성그룹

휴맥스

AMP 63기 일동

AMP 64기 일동

AMP 65기 일동

AMP 66기 일동

AMP 67기 일동

AMP 68기 일동

AMP 69기 일동

AMP 70기 일동

AMP 71기 일동

AMP 72기 일동

AMP 73기 일동

AMP 74기 일동

AMP 75기 일동

AMP 76기 일동

AMP 77기 일동

AMP 78기 일동

ASSET PLUS투자자문

E1

Eyagi(이야기) CAFE

Goldman Sachs

KDB대우증권

KRX국민행복재단

KTB투자증권

LG연암문화재단

NCSOFT

NHN

NXC

OB맥주

Qualcomm

SECMCA

SIMPAC ANC

SK CampC

SNU 프리시젼

S-Oil

SPARC 15 middot16 middot17 middot18기 일동

1억 원 이상 출연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LG삼성 한국전력공사SK

포스코 웅진한화농업협동조합중앙회

KT 부영신한금융 현대자동차

SPC IBK기업은행

태영현대 금호아시아나롯데장학재단

CJ 대림두산 한진

우리금융 미래국제재단

50억 원 이상 출연

조천식정치학과 45입

윤대섭농공학과 49입

100억 원 이상 출연

정석규화학공학과 48입

이용희태광사 회장

김정식 전자공학과 48입

유회진기계설계학과 78입

SNU Hono r C l ubDONATION

SNU Gold Honors Club

홍성대수학과 57입

이기영前 의대 교수

최창영금속공학과 64입

박영희수학교육과 54입

손장순불어불문학과 54입

유태용토목공학과 50입

김명희middot신정희기악과 91입 김형찬의 모

이필남 박상윤 윤전수middot이삼락

김연혁히로세코리아 감사

서정선의학과 70입

전은기middot김은희 백추현 곽영필토목공학과 56입

박완서의 상속인호원숙 호원순 호원경 호원균

이순자불어불문학과 57입

손동준전자공학과 59입

윤종용전자공학과 62입

정덕균전자공학과 77입

강옥채middot노병수공법학과 83입

민선식경제학과 78입

박병준섬유공학과 52입

서울대학교총동창회

양두석독어독문학과 69입

양윤홍전자공학과 63입

대우 카길애그리퓨리나 동진쎄미켐 하나금융지주

동원 동양 KB금융지주 대우조선해양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대성 로이드선급협회 아시아일진

한국가스공사 녹십자 생명보험협회 현대중공업

메가스터디 TOYOTA MOTOR CORP SK하이닉스 서울장학재단

STX 농심 무한투자 이연제약

대우인터내셔널 송원김영환장학재단 형애장학회 신풍제약

10억 원 이상 출연

현대산업개발

스페코middot삼익악기

영원무역

쌍용양회공업

영원아웃도어

환인제약 주식회사

한국프뢰벨

37 36

춘강문화장학재단 (박성형 이사장)

허성도 (인문대학 명예교수)

형남진장학재단 (이정희 이사장)

강남구청

김형렬 (윤리교육과 교수)

공병영 (사무국장middot시설관리국장)

신흥 (이용익 대표이사)

서영길 (광산학과 53입)

일중장학재단 (송윤영 이사장)

금곡장학회 (이수상 이사장)

덕원장학회 (이헌경 이사장)

강현구 (건축학과 교수)

김명환 (조선해양공학과 75입)

김영수 (법과대학 60입)

김영운 (재료공학부 교수)

서강문 (동물병원 원장)

서동규 (경영학과 84입)

송희영 (영어영문학과 74입)

이근무 (사회학과 56입)

이재호 (경영학과 84입)

주식회사 KTampG 남서울본부 (박정욱 본부장)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박기용 이사장)

가송재단 (윤도준 이사장)

강스템바이오텍 (강경선 대표이사)

유한회사 본음인베스트먼트

이진경 (전국낙지자랑 대표)

주리아 (치과대학 04입)

한승장학회 (이재영 이사장)

키움증권 (권용원 대표이사)

협성문화재단 (박석귀 이사장)

윤상혁 (디자인학부 03입)

GS칼텍스 (허동수 대표이사 회장)

권규돈 (중어중문학과 13입 권기범의 부)

김경준 (농경제학과 82입)

김용팔 (수의과대학 75입)

김재홍 (수의학과 교수)

김진태 (법학과 71입)

문대원 (경영학과 71입)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오근택 대표이사)

박세창 (수의학과 교수)

산학협동재단 (한덕수 이사장)

선암장학재단 (윤호철 이사장)

성제경 (수의학과 교수)

송재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우광덕 (치과대학 64입)

유기윤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유한상 (수의학과 교수)

윤여성 (수의학과 교수)

윤정희 (수의학과대학 부학장)

윤화영 (수의학과 교수)

이건목원리한방병원 (이건목 원장)

이소영 (수의학과 교수)

이항 (수의학과 교수)

이희근 (공과대학 명예교수)

조무제 (법학과 65입)

조성범 (수의학과 교수)

조제열 (수의학과 교수)

중앙백신연구소 (윤인중 대표이사)

지티앤티 (이세한 대표이사)

채찬희 (수의학과 교수)

태평소금 (손일선 회장)

한호재 (수의학과 교수)

해마루 (김현욱 원장)

황인구 (수의학과 교수)

조선에듀케이션 (방정오 대표이사)

강진영 (의학과 69입)

김정기 (법학과 75입)

박달이 (간호대학 74입)

박재완

사회복지법인 건아재단 (심철환 이사장)

손정식 (제약학과 73입)

윤재석 (화학교육과 71입)

이도환 (치의학과 86입)

이동식 (영어교육과 72입)

홍기택 (경영학과 74입)

KT (황창규 대표이사 회장)

LG PC 유지보수센터 (박무광 대표이사)

광주시민장학회 (박기준 이사장)

박영임 (간호학과 73입)

사명희치과 (사명희 원장)

연당장학회 (남욱 회장)

우정장학문화재단 (강백영 이사장)

제노에너지 (김성철 대표이사)

신우호 (화학교육과 87입)

이병욱 (조경학과 81입)

정혜선 (간호학과 82입)

허종필 (공업화학과 73입)

권길주 (조선해양공학과 11입 정지원의 모)

권혜숙 (약학과 82입)

김미영 (간호학과 98입)

김범진 (턱교정학고급연수과정 6기)

김성열 (교육학과 75입)

김우진 (국악과 73입)

녹십자수의약품 (김승목 대표이사)

덕영재단 (전헬리시아 이사장)

류제하 (기계공학과 78입)

문수자동판매기 (김영식 대표)

민기복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민동홍 (독어독문학과 77입)

박종철 (물리학과 61입)

설재연 (심리학과 82입)

송은도 (국악과 01입)

유차영 (ASP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 12기)

신우개발 서울지점 (김익환 사장)

신하순 (동양화과 교수)

안석준 (치의과대학원 부원장

안휘준 (인문대학 명예교수)

양민영 (협동과정 미술교육전공 94입)

양형식 (자원공학과 75입)

옥복연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07입)

우경미 (치의학대학원 교수)

우성공원묘원 (허정산 대표)

우성원 (미학과 95입)

월악장학문화재단 (남기영 이사장)

유건선 (토목공학과 73입)

유흥수 (법학과 58입)

윤희정 (수의학과 교수)

이대혁 (자원공학과 87입)

이병천 (수의학과 교수)

이상돈 (에너지자원공학과 84입)

이승주 (치의학과 92입)

이시우 (의예과 95입)

이용규 (경영학과 84입)

이정인 (공과대학 명예교수)

이희석 (농생물과 57입)

임종후 (서양화과 12입 임지윤의 부)

임한조 (물리학과 67입)

전석원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정소걸 (자원공학과 71입)

정지훈 (치의학과 교수)

조경란 (법학과 79입)

조기웅 (화학과 66입)

조현욱 (사법학과 83입)

최명애 (회화과 70입)

최정욱 (경영학과 84입)

최종길 (법과대학 83입)

하종철 (동양화과 13입 하문원의 부)

한공창 (자원공학과 72입)

한국지하수지열협회 (안근묵 회장)

허형무 (경영대학 68입)

미주재단

Steve Ro (토목공학과 61입)

Soung Kim (임학과 56입)

Joong M Soh (공과대학 64입)

John Baek (금속공학 49입)

Hyunchan Lee (치과대학 70입)

Steve amp Cheryl Shapiro

Kwang S Hong (공과대학 60입)

Moon H Kim (공과대학 68입)

David Cho (공과대학 60입)

Dong Ku Chung (기계공학과 57입)

Sang Dae Lee (농업생명과학대학 80입)

Young D Kim (공과대학 67입)

AMP 78기 일동

삼성복지재단 (이수빈 이사장)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한국세포주연구재단

SK하이닉스 (박성욱 대표이사 사장)

패션그룹형지 (최병오 회장)

한국수력원자력 (조석 사장)

형애장학회 (최효종 이사장)

송원김영환장학재단 (김해련 이사장)

사회복지법인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이기수 이사장)

SECMCA

TOYOTA MOTOR CORP

(요시다 아키히사 대표이사 사장)

권욱현 (공과대학 명예교수)

네이버 (김상헌 대표이사)

부경양돈협동조합 (박재민 조합장)

안인희

전국경제인연합회 (허창수 회장)

현송교육문화재단 (김정일 이사장)

롯데장학재단 (신영자 이사장)

일주학술문화재단 (이선애 이사장)

현대차 정몽구 재단 (유영학 이사장)

박미혜 (성악과 교수)

LG연암문화재단 (구자경 이사장)

KeyGene (Arjen van Tunnen CEO)

아산사회복지재단 (정몽준 이사장)

천만장학회 (이광현 이사장)

방일영문화재단 (조연흥 이사장)

AMP 77기 일동

신라문화장학재단 (박준형 이사장)

SBS문화재단 (윤세영 이사장)

김만극 (약학과 47입)

아이바이오 (김기일 대표이사)

현대엔지니어링 (김위철 대표이사)

종근당고촌재단 (김두현 이사장)

정수장학회 (김삼천 이사장)

Kensary LLP

앨트웰민초장학재단 (김박 이사장)

한국동서발전 (장주옥 사장)

한화갤러리아 (박세훈 대표이사)

한화생명보험 (차남규 대표이사 사장)

한화손해보험 (박윤식 대표이사)

한화첨단소재 (김창범 대표이사)

한화투자증권 (주진형 대표이사 사장)

KEILCO(KEPCO ILJAN CORPORATION)

연강재단 (박용현 이사장)

창강재단 (안병표 이사장)

경기도 인재개발원 (박익수 원장)

대림수암장학문화재단 (변형윤 이사장)

청합장학회 (여상길 회장)

한빛종합동물병원 (임정식 원장)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716900000

364863690

317560000

250000000

220000000

200000000

200000000

150000000

142103500

140000000

139583000

13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98538000

89942000

82426000

70000000

67509000

67500000

62989000

59929000

59208000

53720000

51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44302000

42076000

40918000

40273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39677688

39035000

37244000

37068000

34780000

31047000

31000000

30300600

박종오 (영어영문학과 55입)

이상복 (ABKI문헌지식정보최고위과정 5기)

이상억 (인문대학 명예교수)

한화 (심경섭 대표이사)

한화건설 (김현중 부회장)

한화자산운용 (강신우 대표이사)

한화케미칼 (방한홍 대표이사)

한화호텔앤드리조트 (홍원기 대표이사)

오뚜기재단 (함태호 이사장)

유한재단 (이필상 이사장)

영원무역 (성기학 대표이사 회장)

서울대합창단동문회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전병원 이사장)

국가정책과정(ACAD) 77기 일동

배영수 (서양사학과 교수)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최윤 회장)

몬산토코리아유한회사

(벤자민 마크 후드리스 대표이사)

성련장학재단 (허연금 이사장)

고광우 (행정학과 53입)

김철수 (법과대학 명예교수)

대한적십자사 (유중근 총재)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성기학 이사장)

임현진 (사회과학대학 명예교수)

장문영 (화학과 59입)

재단법인 양영재단 (김상하 이사장)

조유근 (컴퓨터공학부 교수)

두을장학재단 (이인희 이사장)

과천시애향장학회 (신학수 이사장)

서울장학재단 (이경희 이사장)

왕한석 (인류학과 교수)

포니정장학재단 (정몽규 이사장)

조용준 (법학과 79입)

농어촌희망재단 (김달웅 이사장)

경동송천재단 (류덕희 이사장)

농생대 환경재료과학 교수일동

주식회사 천랩 (천종식 대표이사)

돈암장학회 (이용배 이사장)

인선문화재단 (박선영 이사장)

단암장학재단 (이봉서 이사장)

치과대학 치의학대학원 동창회

흥한재단 (박병석 이사장)

선화예술문화재단 (심재혁 대표)

한국미즈노 주식회사 (김창범 대표이사)

곽노섭 (수학과 49입)

19대 인문대 학장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김은선 (디자인학부 13입 조은지의 모)

서광훈 (약학대학 67입)

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ASP) 27기 동문

송재용 (경영학과 교수)

수도씨에이씨 (송명호 대표이사)

신한화구 (한봉근 대표)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28436000

27942000

26000000

24210000

24041200

23994234

22500000

20724000

20500000

20274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18779000

17973600

17934000

17600000

17050000

17000000

165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4000000

14000000

13500000

12000000

12000000

11602000

11102610

10281624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이앤티 (고영호 대표이사)

재단법인 정민 (윤석헌 이사장)

제11기 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천병년 (약학과 77입)

최민철 (농공학과 75입)

현대하이스코 (신성재 대표이사)

황효진 (동양사학과 78입)

대한사료주식회사 (이상민 대표이사)

해성문화재단 (단재완 이사장)

한국가스공사 (장석효 사장)

장석윤 (약학과 79입)

한국석유공사 (서문규 사장)

종로구장학회 (최현종 이사장)

동부문화재단 (강경식 이사장)

인촌기념회 (이용훈 이사장)

용옥장학문화재단 (양철우 이사장)

미래의동반자재단 (Jeffrey D Jones 이사장)

성옥문화재단 (이화일 이사장)

다래파크텍 (김호정 대표이사)

미래인재육성재단 (최양식 이사장)

고화장학회 (배명인 이사장)

한국애질런트테크놀로지스 (박시영 대표)

이재원 (중앙도서관 정보관리과)

리브로 (김경수 대표이사)

오운문화재단 (이동찬 이사장)

조비경농장학재단 (이병만 이사장)

오스템임플란트 (최규옥 대표이사)

한국섬유산업연합회장학재단 (노희찬 이사장)

아카넷 (김정호 사장)

삼송장학회 (김영기 이사장)

서지희 (IFP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11기)

김지호

서울상공회의소 관악구상공회 (김진철 회장)

송파재단 (윤원영 이사장)

김영윤 (토목공학과 62입)

로보로보 (장창남 대표이사)

류판동 (수의과대학장)

모르페우스 (김진수 대표이사)

박윤서 (고고인류학과 69입)

박찬국 (철학과 교수)

송인석 (치의학과 01입)

시그나사회공헌재단 (홍봉성 이사장)

신남식 (수의학과 교수)

약학대학 40회 동기회

와이비엠 (민선식 대표이사)

이필상 (경제학부 교수)

한국경제연구원 (권태신 원장)

황만순 (제약학과 90입)

운경재단 (배성동 이사장)

제봉민병욱장학재단

심명문화재단 (이경재 이사장)

홍산장학재단 (천영주 이사장)

홍수현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9730000

9528000

9140000

9000000

9000000

8690000

8525000

8525000

8178000

8112000

7963000

7928068

7713000

7500000

7000000

6950000

6919590

6058000

6010000

6000000

6000000

5700000

5400000

5357143

5100000

5100000

5089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4934000

4734000

4527000

4500000

4462280

4000000

4000000

4000000

3956000

3862000

3600000

3500000

3029000

3029000

3005000

3005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2706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467000

2467000

22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1865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5145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431445

1221251

1210000

108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단위 $

100000

10000

5000

3000

500

500

200

200

100

100

100

100

20140601 ~ 20140831 약정 단위 원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약정DONATION

39 38

김형렬 (윤리교육과 교수)

이정진 (기계항공공학부 95입)

신흥 (이용익 대표이사)

이창우 (경영학과 교수)

서영길 (광산학과 53입)

일중장학재단 (송윤영 이사장)

금곡장학회 (이수상 이사장)

덕원장학회 (이헌경 이사장)

강현구 (건축학과 교수)

김명환 (조선해양공학과 75입)

김영수 (법과대학 60입)

김영운 (재료공학부 교수)

김종원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김진학 (도시환경최고전문가과정 29기)

박훈 (기계공학과 63입)

서강문 (동물병원 원장)

서동규 (경영학과 84입)

송재홍 (농화학과 83입)

송희영 (영어영문학과 74입)

신남식 (수의학과 교수)

이규선 (조경middot지역시스템공학부 13입 이성용의 부)

이봉호 (치의예과 84입)

이재호 (경영학과 84입)

전병롱 (정책학과 10입 전상우의 부)

전호석 (기계설계학과 71입)

주식회사 KTampG 남서울본부 (박정욱 본부장)

최황 (의과대학 명예교수)

황철성 (재료공학부 교수)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박기용 이사장)

가송재단 (윤도준 이사장)

강스템바이오텍 (강경선 대표이사)

오이코스 (배장영 대표이사)

유한회사 본음인베스트먼트

이진경 (전국낙지자랑 대표)

한승장학회 (이재영 이사장)

윤용혁 (독어교육과 60입)

키움증권 (권용원 대표이사)

협성문화재단 (박석귀 이사장)

이강이 (아동가족학과 교수)

윤상혁 (디자인학부 03입)

윤화영 (수의학과 교수)

GS칼텍스 (허동수 대표이사 회장)

권규돈 (중어중문학과 13입 권기범의 부)

김경준 (농경제학과 82입)

김용팔 (수의과대학 75입)

김재홍 (수의학과 교수)

김진태 (법학과 71입)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이재술 대표이사)

문대원 (경영학과 71입)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오근택 대표이사)

박세창 (수의학과 교수)

산학협동재단 (한덕수 이사장)

선암장학재단 (윤호철 이사장)

성제경 (수의학과 교수)

송재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우광덕 (치과대학 64입)

유기윤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유한상 (수의학과 교수)

윤여성 (수의학과 교수)

윤정희 (수의학과 교수)

이건목원리한방병원 (이건목 원장)

이동진 (교무처 학사과)

이소영 (수의학과 교수)

이인숙 (간호대학 교수)

이항 (수의학과 교수)

이희근 (공과대학 명예교수)

조무제 (법학과 65입)

조성범 (수의학과 교수)

조제열 (수의학과 교수)

주식회사 오공 (김윤정 대표이사)

중앙백신연구소 (윤인중 대표이사)

지티앤티 (이세한 대표이사)

채찬희 (수의학과 교수)

태평소금 (손일선 회장)

한호재 (수의학과 교수)

해마루 (김현욱 원장)

황인구 (수의학과 교수)

조선에듀케이션 (방정오 대표이사)

사회복지법인 건아재단 (심철환 이사장)

KT (황창규 대표이사 회장)

광림교회 (김정석 담임목사)

광주시민장학회 (박기준 이사장)

김기원 (AIP최고산업전략과정 38기)

김상은 (융합과학부 교수)

김혜원 (간호학과 교수)

박종근 (전기공학과 교수)

서병태 (의학과 54입)

송경희 (국악과 59입)

연당장학회 (남욱 회장)

오유경 (약학대학 부학장)

우정장학문화재단 (강백영 이사장)

임현주 (약학과 82입)

전상직 (작곡과 교수)

주리아 (치과대학 04입)

한국마쯔다니 (유태균 대표이사)

홍영표 (GLP글로벌리더십과정 21기)

신우호 (화학교육과 87입)

류판동 (수의과대학장)

이병욱 (조경학과 81입)

김용백 (수의학과 교수)

김종암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정혜선 (간호학과 82입)

강부현 (수의학과 72입)

권길주 (조선해양공학과 11입 정지원의 모)

권혜숙 (약학과 82입)

김경대 (치의학과 82입)

김미영 (간호학과 98입)

김범진 (턱교정학고급연수과정 6기)

김성열 (교육학과 75입)

김종흔 (경영대학 92입)

김현산 (법과대학 54입)

녹십자수의약품 (김승목 대표이사)

덕영재단 (전헬리시아 이사장)

문수자동판매기 (김영식 대표)

민기복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민동홍 (독어독문학과 77입)

박병익 (지리교육과 교수)

박종철 (물리학과 61입)

설재연 (심리학과 82입)

송은도 (국악과 01입)

유차영 (ASP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 12기)

신우개발 서울지점 (김익환 사장)

신하순 (동양화과 교수)

안석준 (치의과대학원 부원장

안휘준 (인문대학 명예교수)

양민영 (협동과정 미술교육전공 94입)

양형식 (자원공학과 75입)

옥복연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07입)

우경미 (치의학대학원 교수)

우성공원묘원 (허정산 대표)

우성원 (미학과 95입)

월악장학문화재단 (남기영 이사장)

유건선 (토목공학과 73입)

유흥수 (법학과 58입)

윤희정 (수의학과 교수)

이기윤 (정치학과 88입)

이대혁 (자원공학과 87입)

이병천 (수의학과 교수)

이상돈 (에너지자원공학과 84입)

이승주 (치의학과 92입)

이시우 (의예과 95입)

이은수 (서울대운동용품 대표)

이정인 (공과대학 명예교수)

임종후 (서양화과 12입 임지윤의 부)

정소걸 (자원공학과 71입)

정지훈 (치의학과 교수)

조경란 (법학과 79입)

조기웅 (화학과 66입)

조현욱 (사법학과 83입)

최명애 (회화과 70입)

최정욱 (경영학과 84입)

최종길 (법과대학 83입)

최해영 (경영대학 행정실)

하종철 (동양화과 13입 하문원의 부)

한공창 (자원공학과 72입)

한국지하수지열협회 (안근묵 회장)

허형무 (경영대학 68입)

미주재단

Steve Ro (토목공학과 61입)

Soung Kim (임학과 56입)

Joong M Soh (공과대학 64입)

John Baek (금속공학 49입)

Hyunchan Lee (치과대학 70입)

Steve amp Cheryl Shapiro

Kwang S Hong (공과대학 60입)

Moon H Kim (공과대학 68입)

David Cho (공과대학 60입)

Dong Ku Chung (기계공학과 57입)

Sang Dae Lee (농업생명과학대학 80입)

Young D Kim (공과대학 67입)

서울대학교병원 (오병희 병원장)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이철희 병원장)

SK가스 (최창원 부회장)

AMP 78기 일동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윤강섭 병원장)

삼성전자 (권오현 대표이사 부회장)

SK하이닉스 (박성욱 대표이사 사장)

삼성복지재단 (이수빈 이사장)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한국세포주연구재단

하나제약 (조경일 회장)

코스맥스 (이경수 대표이사 회장)

패션그룹형지 (최병오 회장)

서울대학교총동창회 (서정화 회장)

한국수력원자력 (조석 사장)

형애장학회 (최효종 이사장)

송원김영환장학재단 (김해련 이사장)

사회복지법인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이기수 이사장)

TOYOTA MOTOR CORP

(요시다 아키히사 대표이사 사장)

권욱현 (공과대학 명예교수)

네이버 (김상헌 대표이사)

현송교육문화재단 (김정일 이사장)

롯데장학재단 (신영자 이사장)

일주학술문화재단 (이선애 이사장)

현대차 정몽구 재단 (유영학 이사장)

LG연암문화재단 (구자경 이사장)

SECMCA

아산사회복지재단 (정몽준 이사장)

천만장학회 (이광현 이사장)

방일영문화재단 (조연흥 이사장)

AMP 77기 일동

신라문화장학재단 (박준형 이사장)

KRX국민행복재단 (최경수 이사장)

SBS문화재단 (윤세영 이사장)

김만극 (약학과 47입)

농우바이오 (정용동 유연희 대표이사)

안인희

전국경제인연합회 (허창수 회장)

정윤환 (임학과 56입)

현대엔지니어링 (김위철 대표이사)

세진에프알에스 라쿠치나 서울대점 (장재훈 대표이사)

재단법인 웅진 (신현웅 이사장)

종근당고촌재단 (김두현 이사장)

정수장학회 (김삼천 이사장)

Kensary LLP

앨트웰민초장학재단 (김박 이사장)

주중광 허지영 (약학대학 60입 화학과 66입)

한국동서발전 (장주옥 사장)

한화갤러리아 (박세훈 대표이사)

한화생명보험 (차남규 대표이사 사장)

한화손해보험 (박윤식 대표이사)

한화첨단소재 (김창범 대표이사)

한화투자증권 (주진형 대표이사 사장)

KEILCO(KEPCO ILJAN CORPORATION)

연강재단 (박용현 이사장)

창강재단 (안병표 이사장)

경기도 인재개발원 (박익수 원장)

대림수암장학문화재단 (변형윤 이사장)

이상억 (인문대학 명예교수)

1432968520

1147748270

1000000000

716900000

615220390

600000000

560000000

364863690

317560000

250000000

220000000

210000000

200000000

200000000

166000000

150000000

142103500

140000000

139583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98538000

89942000

82426000

67509000

66598412

62989000

59929000

59208000

53720000

51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49800000

46522180

44302000

42076000

40918000

40273000

40204972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39677688

39035000

37244000

37068000

34780000

31800000

청합장학회 (여상길 회장)

한빛종합동물병원 (임정식 원장)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두산 (박용만 대표이사 회장)

송미순 (간호학과 교수)

이상복 (ABKI문헌지식정보최고위과정 5기)

한화 (심경섭 대표이사)

한화건설 (김현중 부회장)

한화자산운용 (강신우 대표이사)

한화케미칼 (방한홍 대표이사)

한화호텔앤드리조트 (홍원기 대표이사)

오뚜기재단 (함태호 이사장)

재단법인 최혁영 장학회 (최혁영 회장)

유한재단 (이필상 이사장)

영원무역 (성기학 대표이사 회장)

부경양돈협동조합 (박재민 조합장)

져스텍 (김용일 대표이사)

서울대합창단동문회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전병원 이사장)

국가정책과정(ACAD) 77기 일동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최윤 회장)

몬산토코리아유한회사

(벤자민 마크 후드리스 대표이사)

성련장학재단 (허연금 이사장)

고광우 (행정학과 53입)

대한적십자사 (유중근 총재)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성기학 이사장)

임현진 (사회학과 교수)

재단법인 양영재단 (김상하 이사장)

조유근 (컴퓨터공학부 교수)

두을장학재단 (이인희 이사장)

과천시애향장학회 (신학수 이사장)

서울장학재단 (이경희 이사장)

왕한석 (인류학과 교수)

포니정장학재단 (정몽규 이사장)

조용준 (법학과 79입)

농어촌희망재단 (김달웅 이사장)

경동송천재단 (류덕희 이사장)

김신원 (응용화학과 64입)

농생대 환경재료과학 교수일동

주식회사 천랩 (천종식 대표이사)

돈암장학회 (이용배 이사장)

인선문화재단 (박선영 이사장)

단암장학재단 (이봉서 이사장)

치과대학 치의학대학원 동창회

흥한재단 (박병석 이사장)

선화예술문화재단 (심재혁 대표)

한국미즈노 주식회사 (김창범 대표이사)

곽노섭 (수학과 49입)

19대 인문대 학장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김은선 (디자인학부 13입 조은지의 모)

바텍 (노창준 대표이사)

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ASP) 27기 동문

수도씨에이씨 (송명호 대표이사)

신한화구 (한봉근 대표)

이앤티 (고영호 대표이사)

장문영 (화학과 59입)

제11기 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조경일 (약학대학 64입)

주식회사 명진팜 (권기진 대표이사)

31047000

31000000

303006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28436000

28081000

27942000

26000000

25000366

25000000

24210000

24041200

23994234

20724000

20500000

20274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18779000

17973600

17934000

17600000

17050000

17000000

165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4000000

14000000

13500000

12000000

12000000

11602000

11102610

10281624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천병년 (약학과 77입)

최민철 (농공학과 75입)

현대하이스코 (신성재 대표이사)

황효진 (동양사학과 78입)

대한사료주식회사 (이상민 대표이사)

해성문화재단 (단재완 이사장)

한국가스공사 (장석효 사장)

김춘길 (화학생물공학부 58입)

애드미션 (김유탁 대표이사)

종로구장학회 (최현종 이사장)

동부문화재단 (강경식 이사장)

인촌기념회 (이용훈 이사장)

용옥장학문화재단 (양철우 이사장)

미래의동반자재단 (Jeffrey D Jones 이사장)

김영윤 (토목공학과 62입)

성옥문화재단 (이화일 이사장)

다래파크텍 (김호정 대표이사)

미래인재육성재단 (최양식 이사장)

고화장학회 (배명인 이사장)

이재원 (중앙도서관 정보관리과)

리브로 (김경수 대표이사)

오운문화재단 (이동찬 이사장)

조비경농장학재단 (이병만 이사장)

박지향 (중앙도서관장)

오스템임플란트 (최규옥 대표이사)

한국섬유산업연합회장학재단 (노희찬 이사장)

한옥희 (화학과 79입)

아카넷 (김정호 사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정기택 원장)

삼송장학회 (김영기 이사장)

서지희 (IFP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11기)

김지호

서울상공회의소 관악구상공회 (김진철 회장)

박찬국 (철학과 교수)

송파재단 (윤원영 이사장)

김재길 (법학과 56입)

로보로보 (장창남 대표이사)

모르페우스 (김진수 대표이사)

박성경 정성창 (치의학과 96입)

박윤서 (고고인류학과 69입)

서용석 (상학과 46입) 정재원

송인석 (치의학과 01입)

송재용 (경영학과 교수)

시그나사회공헌재단 (홍봉성 이사장)

약학대학 40회 동기회

와이비엠 (민선식 대표이사)

이필상 (경제학부 교수)

한국경제연구원 (권태신 원장)

황만순 (제약학과 90입)

운경재단 (배성동 이사장)

제봉민병욱장학재단

심명문화재단 (이경재 이사장)

홍산장학재단 (천영주 이사장)

홍수현

박미혜 (성악과 교수)

박영아 (물리학과 79입)

최동하 (농경제학과 71입)

춘강문화장학재단 (박성형 이사장)

허성도 (인문대학 명예교수)

형남진장학재단 (이정희 이사장)

강남구청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9730000

9528000

9140000

9000000

9000000

8690000

8525000

8525000

8178000

8112000

8000000

7963000

7928068

7713000

7500000

6950000

6919590

6058000

6010000

6000000

6000000

6000000

6000000

5700000

5556000

5400000

5357143

5100000

5100000

5090000

5089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4934000

4734000

4527000

4500000

446228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3956000

3862000

3750000

3500000

3120000

3029000

3029000

3005000

3005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2706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467000

2467000

2467000

2400000

2230000

215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1865000

1800000

15145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431445

1300000

1275251

1260000

1200000

106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단위 $

100000

10000

5000

3000

500

500

200

200

100

100

100

100

단위 원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20140601 ~ 20140831 출연

출연DONATION

40

서울대학교는 기부금을 출연한 후원인에게 더욱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국내 최고 수준의 의

료서비스를 자랑하는 서울대학교병원 이용 예우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으며 서울대학교병원 후원인

라운지에 상주하는 전담 직원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후원자 중 추가 진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본원 또는 분당 서울대학교병원과의 즉각

적인 연계가 가능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 본원 조윤지 | Tel 02-2272-2750 E-mail sosunolovesnuackr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강수정 | Tel 031-787-1915 E-mail c8541snubhorg

(재)서울대학교발전기금 김종희 | Tel 02-871-1633 E-mail p2727snuackr

bull병원 예우 담당자

bull서울대학교병원 예우 서비스 이용 안내

예약대행 서비스 | 진료 및 입원 예약 대행 병원 측과 협의 후 예약일자 결정

의전 서비스 | 진료middot입원middot응급실 이용 편의를 위해 예우 담당자가 직접 안내

종합건강검진 주선 서비스(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bull서울대학교병원 예우 서비스 내용

지원 자격 활동 기간

bull경제적 지원이 필요한 학생

(건강보험료 기준) 우선 선발

bull성적 45만점 환산 30 이상

lsquo 새싹 멘토링rsquo은 빈곤의 대물림을 막기 위한 자선 봉사활동으로

전국 국공립대학의 우수한 학생이 저소득층 중middot고등학생의

학습을 도우며 장학금을 받는 프로그램입니다

bull최소 6개월~12개월

bull활동 실적에 따라 졸업 시까지

연차적으로 기회 부여

새싹멘토링의

멘토가

되어주세요

bull전화 02-880-1593(새싹 멘토링 서울대학교 본부) bull팩스 02-780-2647(미래국제재단 여의도 본사)

bull이메일 mifsnuhanmailnet 새싹 멘토링 지원 방법 문의 시 상세히 안내해드립니다

서울대학교와 미래국제재단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봉사활동에 학생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다립니다

기부인의 따뜻한 마음에

다양한 혜택의 예우 서비스로

보답합니다

출연 기금 진료예약 의전 서비스 종합건강검진 주선

50억 이상 평생 평생 연 1회(평생 프리미엄 검진)

10억 이상 평생 10년 연 1회(평생)

5억 이상

1억 원당 1년(기한)

5년

1억 원당 연 1회(기한)3억 이상 3년

1억 이상 1년

서울대학교병원 본원 후원인 전담 직원이 진료 예약 및 의전 서비스까지 친절하게 안내해 드립니다

문의처 병원 후원인 라운지(본관 3층) 또는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후원인 전담 직원이 진료 예약 및 의전 서비스까지 친절하게 안내해 드립니다

문의처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또는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강남센터와의 즉각적인 연계를 통해 강남센터 상담 직원이 후원자 여러분께 상담 전화를 드립니다

문의처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기부인 예우 프로그램DONATION

SeoulNational University

151-742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1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

T 02-880-5114 F 02-885-5272wwwsnuackr

C o v e r S t o r y

과학자의 공식

좋은 연구를 하겠다는 신념으로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걸어온 사람

miRNA 분야의 세계적인 개척자 김빛내리 교수다

그녀는 노벨상 수상에 가장 근접한 국내 과학자로 꼽힌다

도전과 실패 인내를 거듭하며 세계적인 과학자 반열에 오르기까지

그녀의 행보를 통해 성공과 신뢰 만족을 얻는 인생 공식을 알아본다

Page 2: SNU Magazine Vol. 38 › new › wp-content › uploads › 2015 › 12 › snu_people... · 2016-01-30 · 우수 연구자 시리즈 10 유상렬 농생명공학부 교수 06 선배와의

1 2

Essay

더 나은 세상을 위한 도전 C2

Cover Story김빛내리 생명과학부 교수 02

총장과의 만남

성낙인 제26대 총장 취임 04

우수 연구자 시리즈 10

유상렬 농생명공학부 교수 06

선배와의 데이트

안인영 생물학자 amp 최창현 김호상 학생 08

주목할만한 인재

꿈 찾아 떠나온 외국인 유학생들 10

당신의 재발견

교직원 야구단 amp 문학과 예술 동아리 12

SNU Sketch

캠퍼스의 어떤 하루 햇볕 좋은 날 14

Campus On홍보관 SNU Hall 오픈 16

각양각색 봉사활동 18

QS 세계대학평가 31위 20

연합전공 탐구 시리즈 - 벤처경영학 21

캠퍼스 문화 공간 22

입학본부 미래인재학교 24

News신임 보직교수 임명 외 26

기부와 나

유태용 한국방재협회 명예회장 28

최병오 패션그룹형지 대표이사 회장 30

News유회진 학술정보관 건립 감사 행사 32

권욱현 명예교수 희망장학기금 기부 외 33

SNU Honor Club기금 출연자 명단 34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예우 프로그램 40

CONTENTS

PEOPLE

NOW

DONATION

발행인 성낙인 총장 bull 편집인 이철수 기획처장 bull 자문위원 김재영(협력부처장 건설환경공학부) 안지현((재)서울대학교발전기금 모금본부장 영어영문학과)

bull 제작 서울대학교 홍보팀(snuprsnuackr) bull 기획 및 취재 정민호박소영(홍보팀) 안나(융합과학기술대학원 졸업) 박세아(지리학과) 박순옥

(소비자아동학부) 오상록(경영학과) 최수완(언어학과) 조은별(경제학부) 김상영(생명과학부) bull 편집 및 디자인 홍디자인홍시커뮤니케이션 0269164400

bull 사진 249 Factory 박재홍(Stand Still)

E s s ay

다들 도전하는 삶이 아름답다고 이야기한다 하지만 도전은

그 자체로 불확실성을 내포한 단어다 국어사전에서는 도전

을 lsquo정면으로 맞서 싸움을 걺rsquo이라고 설명한다 도대체 무엇

에 맞서고 무엇에 싸움을 걸어야 한다는 것일까 그 싸움이

어떤 의미를 지니기에 삶이 아름다워지는 것일까 도전의 대

상과 의미에 대해 의문을 가져보는 것에서부터 이미 도전은

시작된다

3년 반의 짧은 대학 생활을 돌아보면 무엇이 인생의 도전 대

상이어야 하는지 탐구하고 규명하는 연속이었음을 느낀다

대학이라는 공동체와 그 속에서 만난 소중한 인연들은 나 개

인의 문제 너머에 있는 더 큰 과제를 발견하도록 도와주었

다 이제는 내게도 일생 만들어가고 싶은 세상의 모습과 그

것을 위해 이겨내야 하는 어려움들이 보이기 시작했다 어떻

게 싸워 나갈지 나름의 방법을 고민하는 과정에서 구체적인

꿈으로 진화하는 도전의 모습을 발견하기도 했다 도전하고

자 하는 꿈을 품고 세상을 바라보면 당연하게 받아들여 왔

던 흔한 사실도 다양한 빛깔을 가진 무한한 가능성으로 보

인다 존재론적 불안과 두려움을 극복하고 공동체와 미래를

위해 도전 정신을 발휘할 때 인간이라는 초소형 우주 먼지도

새로운 세상의 거대한 싹을 품은 씨앗이 될 수 있지 않을까

수석 졸업 국내 대기업과 해외 투자회사 취직 꽤나 든든하

고 자랑스러웠던 아들이 학창 시절 한 차례 실패에도 불구하

고 계속 창업 전선에 뛰어들겠다는 말에 부모님의 마음이 편

치 않으시다 lsquo회사나 대학원에 다니며 조금 더 완벽하게 준

비하고 시작해보는 건 어떠니helliprsquo 묻기도 하신다 죄송스러

워도 어쩌랴 도전이야말로 꿈을 이뤄가는 가장 완벽한 준비

라 믿기에 다시금 긴 여정을 시작해 본다 도전은 단어 그 자

체로 두근거림을 선물한다

서상훈

경영학과 09학번

제68회 후기 학위수여식

최우수 졸업자

나은

세상을

위한

도전

3 2

COVER STORY 도전 + 인내 = 성공

DNA 만큼 중요한 RNA

크기가 워낙 작아 오랫동안 그 존재를 감추고 있

던 물질 lsquomiRNA(마이크로 RNA)rsquo 20여 년 전

처음 발견된 후에도 miRNA의 기능에 대해 밝

혀진 것이 거의 없었다 적어도 김빛내리 교수가

연구를 시작하기 전에는 말이다

miRNA는 난치성 유전병 줄기세포와 암세포

의 형성 노화 등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는 의

학적으로 아주 가치 있는 물질이다 ldquoDNA가 유

전 정보를 담고 있는 저장고라면 유전 정보를 활

용하는 데 필요한 물질이 RNA라고 보면 돼요

화학적으로 DNA와 RNA가 굉장히 유사한데

DNA의 정보를 카피해 단백질을 만든다든가

세포 기능을 조정하는 등의 역할을 담당하죠rdquo

miRNA 연구 그룹이 세계적으로 몇 되지 않았

던 2001년 그녀는 과감히 이 길을 선택했다 ldquo연

구가 성공하리란 보장이 없어 불안했던 건 맞아

요 같이 일하는 학생들의 장래가 있으니까 실패

에 대한 부담이 있었죠rdquo 불안과 부담은 모든 과

학자의 숙명 아닐까 김 교수는 도전과 인내의

시간 끝에 세계적인 과학자 반열에 올랐다 지난

4월 미국 국립과학원(NAS)은 외국인 회원에 그

녀를 선출했다 국내 회원으로는 네 번째 노벨

상 수상자들과 다수의 해외 저명 과학자들로부

터 추천을 받았기에 그 의미가 더욱 깊다

용기 x 책임감 = 신뢰

과학계를 들썩인 두 개의 논문

2011년 김빛내리 교수는 이름난 학술지

ltMolecular Cell(몰리큘러 셀)gt에 게재했던 논

문을 스스로 철회했다 ldquo처음 논문에 어떤 상황

에서 특정 miRNA가 분해된다고 발표했는데

후속 연구에서 조건에 따라 RNA 추출 효율이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됐어요 수십 년간 일반적

으로 이용해온 추출 방법에 문제가 있었던 거죠

논문의 데이터상으로는 재현성이 있었지만 전

제가 틀렸던 거예요rdquo 그대로 두면 결과가 계속

인용middot참고될 것을 우려한 김 교수는 기존 논문

을 철회하는 동시에 기술적인 문제를 설명하고

그 원리를 밝힌 새로운 논문을 발표했다

부정의 연구 사례가 아니더라도 성과가 중요시

되는 과학계에서 논문 철회는 쉽지 않은 일이다

그럼에도 그녀는 선택했고 선례를 남겼다 동

료 과학자들은 여전히 반복되는 논문 조작 행

태에 경종을 울리는 일이라며 그녀의 용기를 높

이 평가한다 ldquo뜻밖에도 이후에 오히려 논문 내

기가 수월해졌어요 제 연구에 대한 신뢰도가

올라간 것 같아요 신용이 과학 분야에서 굉장

히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배운 셈이죠rdquo

자신감 divide 불안 = 만족

불안할수록 자신을 믿어라

갈수록 선뜻 과학자가 되겠다는 학생들이 많지

않다 ldquo연구자라는 게 항상 불확실성 속에서 새

로운 걸 찾아야 하고 연구직의 경우 안정적인

직장을 구하기까지 긴 시간이 걸리잖아요 과정

이 쉽다고 할 수 없지만 좋아하는 분야라면 그

리고 자신을 조금 더 믿고 꾸준히 노력한다면

분명 좋은 결과가 있을 거라고 말하고 싶어요rdquo

스스로 선택한 길이 희미하게 보일 때 누구나

흔들리게 마련이다 단 한 번에 선명해질 것이

란 보장도 없다 하지만 자신을 믿고 걸어가다

보면 분명 길이 열리고 뚜렷해진다는 사실 이

중요한 법칙을 마음에 품고 꿋꿋이 걸어가는 이

가 얼마나 될까 어떤 연구를 하고 싶은지 묻는

말에 그녀는 lsquo좋은 연구rsquo를 하고 싶다고 대답했

다 그리곤 다시 질문이 돌아왔다 ldquo그런데 좋

은 연구란 무엇일까요rdquo 그녀가 지금까지 걸어

온 여정이 그 답을 말하고 있었다 세계적인 과

학자가 던진 이 원초적이고도 본질적인 질문이

야말로 모든 과학자와 이를 꿈꾸는 이들이 항

상 품어야 할 가장 기본적인 그러나 더없이 중

요한 lsquo공식rsquo이 아닐까

mini TALK

수평적인 연구실

김빛내리 교수의 연구실은

교수middot포스닥middot학생middot연구원들이

서로 존댓말을 쓰며 자유롭게

자기 의견을 말하고 토론하는 것을

권장한다 수평적인 관계에서

훨씬 좋은 연구 결과가 나온다고

믿기 때문이다

여성 과학자

결혼과 연구 생활이 병행할 수

있는가 묻는 수많은 여성 후배들에게

김 교수는 지레 걱정하지 말라고

한다 부모가 되는 건 어차피

힘든 일이고 모든 힘든 일은 부딪치면

견뎌낼 수 있기에 용감해질 것

김빛내리 생명과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미생물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영국 옥스포드대학교에서

생화학 박사학위를 취득

했으며 미국 펜실베니아대학교

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재직한 바 있다 miRNA에 대한

세계적인 개척자로 노벨상

수상에 가장 근접해 있는

국내 과학자로 꼽힌다

인생을 바꾸고 세상을 변화시키는 법칙이 있다

아주 간단하지만 그래서 가끔은 잊고 사는

사실 강력한 힘을 가진 인생의 공식들

과학자의 정석이라 불리는 김빛내리 생명과학부

교수의 행보를 통해 그 공식을 되짚어보자

copy기초과학연구원

과학자의

공식

5 4

4년을 위한 시작

총장과의 만남PEOPLE

원칙이 지배하는 정의로운 사회

서울대학교 제26대 총장 취임식이 관악캠퍼스

문화관 중강당에서 열렸다 취임식에는 전임 총

장 학장 및 원장 교수 직원 학생 동문 등 학

내외 구성원 500여 명이 참석해 성낙인 총장이

전하는 서울대학교의 비전에 귀를 기울였다

성 총장은 현재 우리나라가 처한 어려운 상황

에 대한 이야기로 취임사의 운을 띄웠다 ldquo우리

는 물질적ㆍ경제적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했지만

사회 구조적ㆍ정신적 위기는 여전히 우리의 발

목을 잡고 있습니다 산업화와 민주화 과정에

서 쌓여온 적폐들이 아직도 우리 주변을 떠돌고

있습니다rdquo 성 총장은 이러한 때일수록 낡은 인

식과 이념의 장벽을 벗어 던지고 새로운 패러다

임에 입각한 시대정신에 부응해야 한다고 전하

며 현재 우리 사회 전반에 흐르는 lsquo공동체적 가

치의 부재rsquo를 우려했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와

분위기 속에 그가 강조한 것은 바로 lsquo원칙이 지

배하는 정의로운 사회rsquo 성 총장은 어려움을 극

복하고 민주주의와 경제 발전을 이룩한 우리나

라의 역사를 되짚어보며 과거 서울대학교의 인

재들이 지혜와 용기로 조국의 나아갈 길을 밝힌

것처럼 정의로운 사회의 중심에 서울대학교가

있어야 할 것을 당부했다

SNU with People bull Pride bull World

과거부터 이어온 서울대학교의 기여에도 불구

하고 요즘 서울대학교를 바라보는 시선이 곱지

만은 않다 성 총장은 그 이유를 국민들이 바라

보는 서울대학교의 모습과 서울대학교가 처해

있는 상황의 괴리 때문이라 말했다 그는 서울

대학교를 다시금 lsquo국민이 사랑하는 학교(SNU

with People)rsquo lsquo구성원들의 자긍심을 지키는 학

교(SNU with Pride)rsquo lsquo세계 무대로 도약하는

학교(SNU with World)rsquo로 만들어 그 괴리를

좁혀가겠다는 총장의 책무를 다짐했다

성 총장이 가장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과제로

꼽은 것은 바로 법인 전환 이후 lsquo서울대학교의

좌표 확립rsquo이다 국내외 다른 대학을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서울대학교가 개척자적 자세로

창조적 모델로 서겠다는 확고한 시각이 필요하

다고 했다 이를 위한 정책 방향으로 먼저 lsquo대학

본연의 임무rsquo에 충실할 것을 제시했다 대학의

연구 행정과 운영 혁신을 통해 lsquo교육과 연구의

장rsquo인 서울대학교가 세계 학술 연구의 중심으로

자리하도록 기반을 확고히 하겠다는 것이다

지성과 공공성을 겸비한 선한 인재

성 총장은 인재 양성의 중요성도 잊지 않았다

ldquo이 시대가 요구하는 훌륭한 인재는 지성과 함

께 공공성으로 무장한 따뜻한 가슴을 지녀야

합니다 lsquo선(善)한 인재rsquo 정직하고 성실한 차세

대 지도자를 양성하기 위해 인성 교육을 강화하

겠습니다rdquo 라며 이를 위해 학부 교육 내실화에

최선을 다할 것을 약속했다 성 총장은 이외에

도 서울대학교가 명실상부한 세계 최고 수준의

명문대학으로 자리잡기 위해 계속 다져가야 할

다양한 교육middot연구 모델을 언급하며 이러한 변

화와 혁신은 구성원 모두가 소통과 화합을 통

해 한 마음으로 나아갈 때 가능하다고 적극적

인 협조를 부탁했다

취임사 마지막 부분의 말이 인상적이다 ldquo어느

날 우리 학교의 교목인 느티나무처럼 넉넉하

고 믿음직한 학문공동체의 그늘 아래서 사람들

은 말하게 될 것입니다 lsquo그때 거기에 서울대학

교가 있어서 지금 여기에 대한민국이 있는 것rsquo

이라고 말입니다rdquo 성 총장은 이미 알고 있는 것

같다 원칙과 철학 없이 이룬 성과는 반짝하는

좋은 이야깃거리는 될 수 있어도 영원히 남을

수 없다는 것을 흔들리지 않는 초심과 원칙으

로 작지만 가치 있는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의미

있는 변화를 하나 둘씩 이뤄가길 그래서 훗날

성낙인 총장이 있던 서울대학교가 많은 사람들

의 마음에 깊이 새겨지길 기대한다

성낙인 박사는 2011년 서울대학교가

국립대학법인 전환 이후 선출된 첫 총장이 됐다

8월 5일 막중한 책임감으로 서울대학교의 4년을

이끌어 갈 그의 취임식이 열렸다 단상에 오른

새로운 총장의 목소리가 강당 안에 힘차게 울렸다

서울대학교 제2 6 대 총장 취임

focus ON

lsquo선(善)한 인재rsquo

학문의 벽을 뛰어넘는 탈경계형

통합적 지성을 함양하고 자긍심과

책임감으로 봉사하는 인재

lsquo선(善)한 인재rsquo 양성을 위한 방향

학부 교육의 내실화

세계 시민으로서의 품성을 갖추고

인간성 회복과 인간 존엄성을

중시하는 교육 모델 창출

사회적 이동성 제고

다양한 잠재력 가진 소외 계층과

소외 지역의 인재를 적극 발굴하고

육성하는 입시ㆍ교육 제도 마련

7 6

우수 연구자 시리즈 10PEOPLE

위험한 식탁을 고발합니다

ldquo에서 식중독균이 검출됐습니다rdquo 매체에

서 어렵지 않게 들리는 식품 오염 사고 주스 한

잔에도 한 끼 식사에도 언제나 그 위험성은 존

재한다 우리의 식탁을 위협하는 식품 오염은

관리의 문제도 크지만 시간이 오래 걸리고 복

잡한 세균 검출 방법에도 그 원인이 있다 이러

한 기존 검출법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기술이 개

발됐다 유상렬 농생명공학부 교수가 바로 그

주축이다

유상렬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박테리오파지

(bacteriophage)를 이용해 살아있는 식중독균

을 검출하는 데 성공했다 기존 검출 방법보다

정확성을 높이고 시간도 단축했다 ldquo박테리오

파지는 자신이 숙주로 삼는 세균만을 감염해

사멸시키고 매우 빠르게 증식하는 바이러스입

니다 이러한 능력을 이용하면 식품 속 특정 식

중독균의 제어와 단시간 내 검출이 가능할 것

이라 생각해 연구를 시작했습니다rdquo 그가 개발

한 검출 방법의 핵심은 lsquo리포터 파지rsquo이다 식중

독균으로 잘 알려진 살모넬라균만을 감염하

는 박테리오파지를 선별한 후 발광하는 유전자

를 삽입해 빛을 내게끔 했다 이 리포터 파지가

식품 속 살아있는 식중독균을 감염하며 증식하

는데 이때 생물발광 유전자도 수 백배 증폭돼

강력한 빛을 내게 된다 빛의 정도를 측정함으

로써 균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이다

ldquo기존의 검출법은 검체 일부를 배양액에 넣고 증

균한 뒤 증식된 균의 생화학적인 특징을 조사

해 알아내는 방법이에요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

실용적이지 못하죠 또한 유전자를 증폭하는

PCR 방법은 검출속도는 빠르지만 살아있는

균과 죽은 균을 구분하지 못해요 식중독을 일

으킬 위해성이 없는 죽은 균도 검출하는 치명적

인 문제점이 있습니다rdquo 지난 10여 년간 파지 연

구에 매진해온 유 교수 꾸준히 쌓은 각종 노하

우는 이번 기술 개발의 단단한 밑거름이 됐다

미지의 영역을 연구합니다

하루에도 수많은 식품이 등장하는 요즘 점점

다양해지는 식품을 연구하는 데 어려움은 없을

까 ldquo식품생명공학은 물리middot화학middot생물middot공학middot

의약학 등 거의 모든 학문 분야가 접목되는 융

합 학문입니다 병원성 미생물을 신속하게 검출

하는 여러 방법이 개발됐지만 대부분 식품에는

적용할 수가 없어요 식품은 종류가 워낙 많아

서 이런 검출 방법을 어렵게 만드는 성분이 다양

하게 존재하기 때문이죠rdquo 그는 또한 식품에 관

한 잘못된 정보가 사회 전반에 퍼져있음을 우려

했다 ldquo우리 주변엔 식품에 대한 정확하지 않은

속설이 많아요 식품첨가물인 MSG가 대표적

이죠 대부분 해롭다고 생각하는데 MSG는 모

든 식품에 다 있는 성분이기도 하고 미생물 발

효를 통해 만들어 전혀 해롭지 않거든요 문제

는 어떻게 만들어진 것인지 모른 채 잘못된 정

보만 받아들이고 있다는 거예요rdquo 이에 유 교수

는 몇몇 교수들과 함께 lsquo식품안전연구원rsquo을 만

들어 안전한 먹거리에 대해 과학적으로 설명하

고자 한다 사회 전반에 퍼진 잘못된 식품 정보

를 바로 잡는 것이 목표다

생물학 분야의 눈부신 발전에도 불구하고 여

전히 우리가 알고 있는 생명 현상은 극히 일부

분이라고 한다 매번 예상을 빗겨가는 결과들

이 연구가 재미있는 이유이기도 하다는 유 교수

그는 마지막으로 이 분야를 연구하려는 학생들

에게 lsquo끈기rsquo를 가지라고 조언한다 ldquo지구상에는

1032개 이상의 어마어마한 파지가 존재합니다

이를 연구하려면 아무래도 끝장을 보겠다는 끈

기를 갖고 일을 해야 합니다 더불어 실험에 필

요한 최적의 대상을 고르는 안목이 필요한데

이것을 키우기 위해서는 새로운 지식에 대한 흥

미를 유지하면서 평생 공부해야죠rdquo 안전한 먹

거리를 지키고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연

구하는 것이 그의 몫이라면 이제 올바른 정보

를 받아들이는 건 우리의 몫이다

보이지 않는 영역

식품 속 미생물 연구

가시 한계를 넘어선 아주 작은 생물 때로는 유익하게

때로는 해롭게 보이지 않지만 모든 곳에 존재한다

식품 속 미생물을 연구하는 유상렬 교수가 식탁 위 공포를

잡아줄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mini TALK

안전한 파지(phage)

박테리오파지의 준말인 파지

우리가 자각하지 못할 뿐 사실

인류가 생존하며 먹어 온

음식에는 상당히 많은 종류의 파지가

존재한다 안전성은 이미 입증이

된 셈 최근에는 모유에도 파지가

들어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연구실 free talking국내를 넘어 세계와 경쟁해야

하는 분야인 만큼 영어 또한 아주

중요하다 유 교수의 연구실에서는

매주 한 번씩 일주일 동안 수행한

실험에 대해 영어로 발표하고

논의하는 시간을 갖는다

先흥미 後연구

유 교수는 대학원 첫 학기

신입생들에게 특정 과제를 주지

않는다 다양한 실험을 배우며

경험하게 하는데 그 중 재미있게

느낀 주제를 선택하도록 기회를 주는

것이다 흥미가 있어야 좋은 결과도

나온다는 것이 그의 연구 철학이다

유상렬 농생명공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식품공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매사추세츠대학교에서 식품미생물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올바른 지식을 전달하기 위해

활발하게 연구 중이다 최근 살아있는 식중독균만을

검출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9 8

진행 중인 연구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20여 년간 남극 과학기지에서 해양저서무척추동물의 생태를 연

구해 왔습니다 남극의 해양생태계는 종 다양성의 보고로서 지

구 전체 생태계에 일익을 담당하고 있어요 최근에는 기후변화에

대해서도 연구하고 있습니다 남극은 지구온난화가 빠르게 진행

되는 곳 중 하나로 특히 세종과학기지 근처의 빙하가 아주 빠르

게 무너지고 있어요 이런 변화가 주변 해양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남극 연구의 장점이 궁금합니다

남극에서 발견되는 것들은 굉장한 희소가치가 있습니다 연구하

는 방법론 자체는 평범하지만 대상이 평범하지 않기 때문에 좋은

저널에 연구 결과를 발표할 수도 있어요 남극에서만 발견되는

토착종이 굉장히 많아서 남들이 안 해본 연구를 하고 싶다면 좋

은 환경이죠 남극에서 생활하며 연구하고 일하는 것 자체는 매

우 힘들지만 열심히 노력해 극복할 수 있다면 아직도 개척할 수

있는 재료들이 무궁무진하답니다

선배와의 데이트PEOPLE

월동을 앞둔 소감 을 말씀해주세요

하계 연구대원으로 남극에 자주 가다 보니 두려움은 별로 없지

만 지금은 월동대장으로서 처음 파견되는 것이기에 책임의 무게

를 느낍니다 대원도 직접 뽑고 식량 준비도 하면서 본격적으로

안전 지침을 숙지하고 있어요

1년 동안 월동을 잘 수행하려면 어떤 점이 중요한지 알려주세요

단조롭고 폐쇄된 환경에서 오랜 기간 지내려면 lsquo개인rsquo lsquo임무rsquo lsquo관

계rsquo 이 세 가지 조화가 잘 이뤄져야 합니다 우선 개인이 육체적으

로 건강하고 행복감을 느껴야 자기 임무와 타인과의 관계에서

모두 성공할 수 있어요 지금까지 개인의 건강 행복은 자기 관리

의 측면으로 치부됐는데 조직에서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요즘 대원들과 함께 건강한 월동 생활을 위한

여가ㆍ운동 관련 콘텐츠를 만들고 있습니다 덧붙여 lsquo안전rsquo과 lsquo성

과rsquo도 중요합니다 기지의 모든 운영이 안전을 최우선적으로 고려

하며 진행돼야 하는 건 당연하고 국제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과학적인 성과도 창출한다면 더욱 좋겠죠

어떤 월동대장의 모습으로 기억되고 싶으신지 궁금합니다

23년 전에 처음 남극에 갔을 때 연구가 아닌 lsquo남극에 간 첫 여성rsquo

으로 언론의 주목을 받았어요 최초의 여성 월동대장이 아닌 lsquo세

종과학기지의 국제적 위상을 올리고 기지 운영을 업그레이드 한

월동대장rsquo으로 기억되길 바랍니다 또한 대원들이 월동을 하며 행

복과 보람을 느낄 수 있도록 만들고 싶어요 제가 하는 일이 대단

하다고 생각하실 수 있어요 하지만 이 일이 제게 주어졌고 저는

최선을 다할 뿐이라고 생각해요 그래도 마칠 때에는 lsquo안인영이

있어 다른 월동대와는 달랐다rsquo라는 말을 들으면 정말 좋겠네요

남극에서 돌아온 뒤의 계획에 대해 말씀해주세요

세종과학기지는 기후변화에 따라 해양생태계의 변화를 연구할

수 있는 최적의 장소입니다 지금의 연구를 확장해 우리나라가

주도하는 세종과학기지 기반의 국제공동연구 프로그램을 만들

고 싶습니다 남극에 다녀오면 환갑인데 90살까지 산다고 하면

월동은 제 인생 23의 방점을 찍는 지점이에요 삶의 새로운 단계

로 들어서며 무엇인가에 도전할 수 있다는 건 정말 축복인 것 같

아요 인생의 13은 배움의 시간이었고 23는 열심히 쟁취하는

시기였어요 마지막 3부에는 이제까지 과학자로서 쌓은 것들을

잘 마무리하고 베풀면서 남은 인생을 뜻깊게 정리하는 시간으로

보내고 싶습니다

ldquo대선배님을만나

기쁩니다최초

여성월동대장이

아닌월동대장

lsquo안인영rsquo으로

기억되길바랍니다rdquo

최창현 지구환경과학부

인공위성 지구물리연구실

석사 14학변

남극의

과학자

남극은 단순히 지구에서 가장 추운 곳이 아니다 전 지구에서 발생하는 자연현상의 부분적인

자궁이자 기후변화 문제 해결의 단초를 품고 있는 미지의 대륙이다

우리나라 여성으로는 처음 남극에 발을 디딘 안인영 생물학자가 제28차 남극 세종과학기지의

월동대장으로 임명됐다 월동대는 올해 11월 말 출국해 13개월간 남극에 머문다

그녀를 만나기 위해 최창현 김호상 학생이 인천 송도 극지연구소를 찾았다

ldquo선배님과의인터뷰를통해삶의가이드를얻은것

같습니다이런기회를주셔서감사합니다rdquo

김호상 지구환경과학부 11학번

안인영 대한민국 남극 세종과학기지 제28차 월동연구대장

서울대학교에서 해양학을 전공했다 미국 뉴욕주립대학교에서 연안해양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생물학자로

1991년 남극하계연구대 일원으로 남극과 처음 인연을 맺었다 극지연구소 극지생물연구실장 선임연구본부장 등을 역임했다

소속 극지연구소 극지해양환경연구부 책임연구원

11 10

주목할만한 인재PEOPLE

한국으로 온 계기

레오나르도 학구적인 분위기에서 공부하고 싶었습니다 브라질

에 있을 때 친구들이 공부를 소홀히 하는 모습에 스트레스를 많

이 받았거든요 한국의 교육에 관한 뉴스를 보면서 유학하고 싶

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케이타 일본에서 한국어와 한국 역사에 대해 배웠습니다 지도

교수님도 한국 분이셨고 자연스레 이곳에서 공부하고 싶다는 생

각을 했습니다 학창 시절을 외국에서 보내며 한국 친구들을 많

이 사귄 것도 유학을 결정하는 데 한몫 했습니다

유학 오기 전 걱정했던 부분

케이타 한일관계에 대해 걱정을 많이 했습니다 한국인처럼 생

겨서 그런가 막상 생활해보니 아무 일도 없었지만요(웃음) 적대

감은 정치에만 해당되는 것 같아요 가끔 친구랑 한국어로 얘기

하며 걸어가면 누가 한국인인지 일본인인지 모를 정도로 위화감

이 없습니다

레오나르도 걱정이 전혀 없었습니다 한국은 브라질보다 훨씬

안전한 편이에요 특히 제가 사는 상파울루는 현지인에게도 위험

한 곳이라 저녁이면 어머니께서 어디냐고 꼬박꼬박 전화하실 정

도인데 한국에서는 치안에 신경 쓸 일이 없어 좋습니다

한국어 습득의 가장 어려운 점

케이타 한국어에는 형용사가 아주 많은 것 같아요 예를 들어

일본어에는 lsquo빨갛다rsquo라는 의미의 단어가 하나인데 한국어에는

lsquo새빨갛다rsquo lsquo붉다rsquo lsquo불그스름하다rsquo와 같은 비슷한 뜻의 단어가 여

러 개 있죠 그 부분이 조금 헷갈리곤 합니다

레오나르도 저 역시 형용사가 쉽지 않았습니다 게다가 쓰기는

더욱 더 어렵고요 하지만 생각해보면 모든 언어는 처음엔 어려워

요 배우고 싶은 마음과 공부할 시간만 있다면 언어는 물론 모든

일이든 가능할거라 생각합니다

좋아하는 한국어 단어

레오나르도 lsquo수고하세요rsquo라는 말을 좋아합니다 브라질에서는

헤어질 때 lsquoByersquo라고만 하는데 한국에서는 더 열심히 lsquo수고rsquo하라

고 인사하잖아요 항상 열심히 일해왔던 한국의 역사와 분위기를

대표하는 말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케이타 맞아요 한국 사람들은 무엇이든 열심히 하는 것 같아

요 학교에서도 학생들이 열심히 공부하고 활동하는 모습을 자

주 보는데 그만큼 스트레스를 받는 모습도 많이 봤습니다 힘들

게 사는 것 같아 안타까울 때가 있어요

레오나르도 공대생인 저를 두고 말하는 건 아니죠(웃음)

서울대학교의 장점

케이타 서울대학교에는 특히 다양한 국적을 가진 학생들이 많

은 것 같습니다 외국 학생들과 교류하며 다른 나라의 언어를 익

히고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은 점이 매력적입니다 지

금 수강하고 있는 lsquo포르투갈어rsquo 수업도 사실 계획에 없었는데 브

라질 룸메이트를 만나 배우게 됐죠

레오나르도 브라질에서 서울대학교는 lsquo한국에서 최고rsquo라고 알

려져 있어요 여기라면 공부하는 데 좋은 영향을 받을 거라고 생

각했습니다 매사에 최선을 다하는 학생들에게서 더 열심히 해야

겠다는 자극을 받고 영감을 얻을 수 있어 좋습니다

외국인 유학생으로서 서울대학교에 바라는 점

케이타 한국에서는 사람이 곧 정보입니다 수업이나 동아리 행

사 등에 참여하고 싶은데 지인이 없어서 곤란한 적이 있었어요

한국어를 잘하지 못하면 그런 정보를 얻는 것이 더 힘든 것 같아

요 학교 관련 정보가 체계화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레오나르도 브라질에 있는 학교와 비교해 서울대학교는 세계화

가 잘 되어 있어요 하지만 그에 비해 영어 수업이 턱없이 부족하

다고 생각해요 선택권이 별로 없기도 하고 양질의 영어 수업이

많아지면 좋겠습니다 더불어 공과대학 커리큘럼이 덜 힘들었으

면 좋겠습니다(웃음)

예비 유학생들에게 전하는 유학 관련 팁

케이타 한국어 공부는 정말 중요합니다 저는 한국어를 잘 하

는 편인데도 가끔 수업을 따라가기 힘들어요 더불어 즐거운 유

학 생활의 첫 걸음은 교수님과 친구들에게 적극적으로 말을 거

는 것 그리고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는 것이라는 사실을 기억해

두세요 그리고 마찬가지로 한국 학생들도 유학생들에게 친하게

말을 걸어주면 좋겠습니다

레오나르도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여러 명이 함께 공부하는 브라질과는 달리 한국은 혼자 공

부하는 문화라는 사실을 유의해야 해요 그 외에 영어와 한국어

에 대한 기본이 갖춰져 있다면 서울대학교에서의 생활에 무리가

없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공대생이라면 당연히 수학도 열심

히 해야 합니다(웃음) 마지막으로 더 많은 브라질 학생들과 함께

서울대학교에서 공부하는 날이 오기를 바라겠습니다

ldquo브라질에도

서울대학교는

lsquo한국에서최고rsquo

라고알려져

있어요rdquo

레오나르도 사르투니오 컴퓨터공학과 13학번

꿈 찾아

삼만리

ldquo몇 살이에요rdquo ldquo저 92(92년생)예요 말씀 편하게 하세요rdquo 말만 들어보면

영락없는 한국인 능숙하게 한국어를 구사하는 이들은 바로 서울대학교의

외국인 학생들이다 저마다의 꿈을 찾아 한국 서울대학교로의 유학길을 택한

일본의 이토 케이타 브라질의 레오나르도 사르투니오의 이야기를 들어봤다

ldquo서울대학교는

다양한나라의

언어를익히고

문화를체험할

수있는기회가

많아요rdquo

이토 케이타정치외교학부 14학번

13 12

업무 스트레스여 삼진 아웃

아직 해도 다 뜨지 않은 푸른 새벽 유니폼을 입은 15명의 남자가

늦은 가을바람을 헤치고 야구 연습장을 뛰기 시작한다 ldquo하나

둘 셋 넷rdquo 운동장에 울려 퍼지는 힘찬 구호 준비 운동을 마친

포수와 투수가 자리를 잡는다 이윽고 야구공이 배트에 맞는 경

쾌한 소리가 운동장을 메운다

프로 선수들을 방불케 하는 훈련으로 새벽부터 서울대학교 야구

장을 밝힌 이들은 체육교육과 학생들도 야구부 학생들도 아닌

서울대학교 교직원 야구단원들이다 이들은 야구를 위해 매주 화

요일 목요일 아침 7시에 모인다 ldquo철저한 훈련이 인천 사회인 야

구대회 우승 비결입니다rdquo 정용기(시설지원과) 감독이 자랑스럽

게 말했다 서울대학교 교직원 야구단은 lsquo2014년 전국대학 교직

원 야구대회 준우승rsquo lsquo2013년 인천 남구 리그 우승rsquo 등 사회인 야 구단에서 이름을 날리는 팀이다 올해로 4주년을 맞은 야구단은

2011년 학교 밖 사회인 야구단에서 야구를 즐기다가 서로 알게

된 교직원 9명이 의기투합해 만들었다 lsquo야구를 좋아하는 다른

교직원을 각자 한 명씩 데려오자rsquo라는 약속으로 시작된 모임이

2012년 스누리그에 가입하며 본격적인 동아리의 틀을 완성해갔

다 현재는 80명의 회원이 활발하게 활동하는 서울대학교 내 가

장 큰 교직원 동아리 중 하나로 꼽힌다 야구 동아리는 스누리그

에 등록된 학생 야구팀과 시합을 하면서 학생들과도 두터운 친분

을 쌓고 있다 땀 흘리며 운동하다 보면 남녀노소 누구나 친구가

될 수 있는 것이 바로 스포츠의 매력 아닌가 평일 아침 아주 잠깐

의 시간이지만 서류 가방 대신 글러브와 배트를 손에 쥔 그들의

얼굴이 유난히 밝다

인생을 읊조리는 시간

문학과 예술 동아리는 자작시를 낭송하는 교직원 모임이다 한

달에 한 번씩 좋은 책을 읽고 서평을 공유하거나 새로운 시를 소

개하기도 한다 2005년 시를 읽고 쓰기 위해 자발적으로 결성한

모임이 10년의 세월을 거치며 등단 시인을 배출하기도 했다 이

들의 가장 큰 행사는 lt서울대 문예지gt 발간과 정기적으로 개최하

는 lsquo교직원 문예의 밤rsquo이다 작년 11월에는 lsquo가을 낙엽제 행사rsquo에

서 시화전을 열어 90여 편의 자작시를 소개하는 등 다양한 동호

회 행사를 진행하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문학과 예술 동아리

를 이끄는 이종만(공과대학) 회장은 동호회 활동을 적극 추천한

다 ldquo직장이라는 울타리 안에 많은 직원이 함께 있지만 주어진 업

무에만 치중하다 보면 서로 간 소통의 기회가 부족합니다 다양

한 기관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이 동아리를 통해 교류하면서 업무

에 대한 이해도 높일 수 있습니다rdquo

학교 차원에서도 교직원의 동아리는 권장 활동이다 동아리가 직

원 개개인의 잠재력과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스

트레스를 해소하는 건 물론이고 건전한 조직 생활을 위한 동기

를 부여해 즐거운 직장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이에 동아리를 위한 학교의 지원도 점차 체계적이고 구

체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전년도 활동 실적과 당해 연도 활동 계

획서를 제출하면 심사를 거쳐 활동비를 지원한다

든든한 후원 속에서 성장하는 교직원 동아리 다양한 모임에서

더 많은 교직원들이 삶의 즐거움을 누리길 기대한다

즐거운

삶을

꿈꾸며

잠깐의 쉼마저 사치가 되어버린 세상 lsquo바쁘니까 내일부터rsquo라는

말로 일상의 즐거움을 미루는 사람들에게 lsquo여유는 스스로 만드는

것rsquo이라고 몸소 이야기하는 사람들이 있다 제대로 일하고 제대로

즐기기 위한 모임 교직원 동아리를 소개한다

노력에대한성과와기쁨을

사람과의소통과배려를선사하는야구는

저에게인생이고학교입니다

아름다운성찰과타인에대한배려가

글을기반으로이루어지는곳문학과

예술동아리입니다

김평환middot의대공작실

이종만middot공과대학

탕~스트레스는담장밖으로

열정은그라운드로향하게하는

야구에빠져보세요

정진우middot교무과

당신의 재발견PEOPLE

15 14

캠퍼스의

어떤 하루

햇볕 좋은 날

SNU Ske t c hPEOPLE

스트레스 날리는 가을 축제

lsquo스트레스 대폭발 슛트레스rsquo를

주제로 한 서울대학교 2014년

가을 축제 lsquo티라노스트레스rsquo가

캠퍼스 곳곳에서 열렸다

사진은 참가자들이 대형 상자로

만들어진 젠가를 쌓으며 축제를

즐기고 있는 모습

09 29 ndash 10 01

중학생을 위한 생명공학캠프

농업생명과학대학에서

중학생을 대상으로 생명공학

특강 실험과 실습 수목원

체험 등 생명공학에 관한

기초적인 체험을 제공하는

캠프를 마련했다

08 11 - 08 15

오늘은 첫 출근 하는 날

공과대학 엔지니어하우스에서

2014학년도 신규임용교원

임명장 수행식이 거행됐다

60여 명의 신규 교직원들은

임명장을 받으며 합격의 기쁨을

만끽했다

08 25

서울대 입학 궁금해요

문화관 대강당에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2015년 서울대학교

입학 주요 사항을 설명하는

입학설명회를 개최했다

07 05

우물쭈물 말고 말 걸어 봐

2014 SNU 사회적경제

아이디어 대회 활동팀이

선보이는 lsquoTalk to me SNUrsquo

배지 이 배지를 달고 있는

사람에게는 누구나 친근하게

말을 건낼 수 있다

07 24

17 16

Campu s OnNOW

뚜렷하게 새겨진 학문적 발자취

학문 분야에서는 서울대학교의 대표적인 연구 성과인 현택환 중견

석좌교수의 lsquo나노수류탄rsquo 김수봉 교수의 lsquo중성미자 변환상수 연구rsquo

와 함께 서울대학교가 소장하고 있는 귀중한 사료인 lsquo대동여지도

(大東輿地圖)rsquo lsquo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rsquo에 대한 이야기도 만

나볼 수 있다 이어지는 교육 환경 코너는 학생 1인당 장학금 지급률

부터 개별 전공 졸업 후 진로 정보까지 방문객이 터치스크린을 통

해 원하는 정보를 찾아볼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빛나는 역사

전시 콘텐츠는 lsquo역사middot학문 분야middot교육 환경middot글로벌 SNUmiddot사회적

책임middot미래 인재middot미래 활동rsquo 순으로 전개된다 먼저 홍보관에 발을

들이면 개교 이전부터 현재까지의 모습이 전면 스크린에 펼쳐진다

최초의 근대 국립고등교육기관이었던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의

역사를 사진과 영상으로 만나볼 수 있다 또한 이곳에는 한국전쟁

419 혁명 등 중요한 역사의 현장에서 희생된 서울대학교 재학생들

의 고귀한 뜻을 기리는 추모의 벽이 설치되어 있다 조국의 발전을

위해 몸 바친 영혼들을 위해 잠시 묵념하는 시간을 가져보자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가 세계의 다양한 대학 연구 기관과 어떤 국제협력프로

그램들을 만들고 운용하고 있는지 궁금하다면 글로벌 SNU 코너에

서 그 현황과 규모를 찾을 수 있다 다양한 사회 기여 활동을 보여주

는 사회적 책임 코너도 빼놓을 수 없는 곳이니 잊지 말고 둘러보자

인재를 길러내는 서울대학교의 모습과 장기적인 비전은 스누홀의

마지막 전시장에서 확인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등 양방향적 소통 장치를 마련한 스누홀은 방문객과의

자유로운 교감을 꿈꾼다 견학 온 학생에게 자녀가 다니는 학교가

궁금한 부모님에게 이곳은 훌륭한 안내소가 될 것이다 아직 학교가

알쏭달쏭하다면 망설이지 말고 스누홀의 문을 두드리길

1 SNU connect

2 SNU 타임비전

3 SNU Awards

4 미디어홀

5 라운지

6 SNU Special

1

스누홀을 통해 서울대학교를

바라보는 시각이 달라졌고

도전 의식이 생겼습니다 당당한

재학생으로 꼭 다시 오고 싶어요

김예준middot낭주중학교 3학년 박지훈middot용강중학교 3년

서울대학교에 대해 잘 알지

못했는데 이번에 스누홀을

둘러보면서 서울대학교와 한층

가까워진 것 같아요

문의 070 8815 1524

생생 방문 후기

SNU Hall 문을 열다

매년 5만 명이 넘는 이들이 캠퍼스 투어를

위해 서울대학교를 찾는다 호기심을 가득

품고 관악캠퍼스를 찾은 방문객들은 커다란

위용에 왠지 모를 어려움을 느끼기도 한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고 종합적으로

학교를 안내하기 위해 서울대학교 홍보관

스누홀(SNU Hall)이 문을 열었다 학교의

역사에서부터 환경 글로벌 미래 비전까지

서울대학교의 이모저모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스누홀을 살펴보자

1

2

3

4

5

6

19 18

여행과 봉사를 한번에 볼런투어

Who 글로벌사회공헌단 bull Where 경상남도 함양군 bull What 일손 돕기 목가구 제작 벽화 그리기 등

드림컨설턴트는 2010년 학내 봉사 동아리로 출범해 2012년 서울

시 비영리 민간단체 공식인가를 받은 서울시 NGO다 lsquo꿈rsquo이라는 주

제 아래 lsquo촉촉콘서트rsquo lsquo드림커넥터rsquo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

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이들이 8월 8일부터 10일까지 경상남도

창원 구암고등학교에 머물렀다 2박 3일간 고등학생 꿈 찾기 프로

그램인 lsquo드림캠프rsquo를 진행하기 위해서다

드림캠프는 직업군으로 나누어 꾸민 부스에서 멘토가 강연하는 lsquo직

업 박람회rsquo 자신의 꿈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해보는 lsquo드림스토밍rsquo

문제 상황에 부딪쳤을 때 필요한 가치관을 이야기해보는 lsquo가치관 동

맹rsquo lsquo모의 면접rsquo 등의 프로그램으로 탄탄하게 구성됐다 뿐만 아니

라 봉사 단원들은 고등학생들이 자신의 가치관을 살펴보고 모호한

꿈을 좀 더 구체적으로 그리며 진로를 고민해볼 수 있도록 직접 교

재까지 제작하는 열의를 보였다 지난 4년 동안 꾸준히 성장해온 드

림컨설턴트가 꾸려나갈 앞으로의 모습이 더욱 궁금해진다

꿈을 발견하는 곳 드림캠프

Who 드림컨설턴트

Where 경상남도 창원시

What 고등학생 꿈 찾기 캠프

방학 계획을 물을 때 lsquo여행rsquo과 lsquo봉사활동rsquo은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단골 소재다 글로벌사회공헌단은 이 두 가지를 동시에 할 수 있는

프로젝트 lsquo볼런투어rsquo를 마련했다 자원봉사(Volunteer)와 여행

(Tour)을 합친 볼런투어는 개인의 재능을 통해 사회공헌 사각지대

에 필요한 자원을 제공하는 활동이다

이번 볼런투어는 8월 6일부터 9일까지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에서

진행됐다 5개 팀으로 나뉘어진 학생들은 각각 농촌 일손 돕기 목가

구 제작 벽화 그리기 어르신 사진 촬영 지역아동센터 교육 봉사 등

의 개별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낯선 일이었지만 학생들은 땀을 흘리

며 사과 농장을 일구고 마을 입구에 놓을 초대형 평상을 제작하는

등 각자의 재능을 통해 나눔을 실천했다

모든 일정이 계획대로 진행된 것은 아니다 프로젝트 기간 동안 함양

군을 지나간 태풍 lsquo나크리rsquo 탓에 벽화팀이 애써 그린 작품 대부분이

지워진 것 돌발 상황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최선을 다한 학생들에게

마을 주민들은 고마움을 표현했다 함양군에서의 3박 4일은 이들에

게 잊지 못할 경험으로 기억될 것이다

자연과학대학은 2006년 경상북도 영덕군과 lsquo관학 협력 및 지역사

회 개발에 관한 협정rsquo을 체결했다 그 후 매년 여름마다 영덕 지역 청

소년들의 적성과 소질을 개발하고 대학생들의 인성 함양을 위해 멘

토링 프로그램과 과학 캠프를 개최해왔다 올해 역시 자연과학대학

재학생으로 구성된 봉사단이 영덕 지역 청소년들과 만났다

8월 5일부터 7일까지 이어진 캠프 첫날 고등학생 25명을 대상으로

lsquo대학 진학 멘토 교실rsquo이 열렸다 입시를 앞둔 이들에게 실질적인 조

언을 해주는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이 미리 준비해 온 질문에 봉사단

원들의 진지한 답변이 이어졌다 이어서 진행된 lsquo과학 캠프rsquo 봉사단

은 물리천문학 생명과학 지구환경과학 화학 수리과학 등의 각 전

공을 살려 중학생 75명과 함께 과학 실험을 진행했다 서울대학교

봉사단원들은 아이들이 과학을 어렵지 않게 느끼도록 실험을 도우

며 재미있는 분위기를 이끌었다

이번 캠프는 열정적으로 참여한 학생들 덕분에 참가자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에게도 높은 호응을 이끌었다 에너지 넘치는 자연과학대

학 봉사단과 함께 할 내년 여름을 기대해본다

청소년 100명과의 만남 과학 캠프

Who 자연과학대학 봉사단

Where 경상북도 영덕군

What 청소년을 위한 멘토링 과학 캠프

학생들의 학습을 꼼꼼히 지도하는 드림컨설턴트

직접 그린 벽화 앞에서 포즈를 취한 볼런투어 벽화팀

과학 실험 삼매경에 빠진 캠프 참여 청소년

Campu s OnNOW

각양각색 봉사활동 열전

태양이 이글대던 두 달이 쏜살같이 지나가버렸다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여름

방학 속 가장 기억에 남는 일은 무엇이었는가 무더운 여름보다 더 뜨겁게 방학을 보낸

사람들이라면 금세 대답할 수 있을 것이다

21 20

서울대학교 세계 최고를 꿈꾼다

서울대학교는 영국 대학평가기관 QS(Quacquarelli Symonds)가 발표하는 2014 QS 세계대학평가(QS

World University Rankings)에서 31위를 차지했다 1994년부터 시작된 QS 세계대학평가는 전 세계 대학

에 대한 평가로 학계 평판 40 연구 영향도(교수 1인당 논문 피인용 수) 20 졸업생 평판도 10 교수 대

학생 비율 20 외국인 교수 비율 5 외국인 학생 비율 5를 합산해 평가한다 올해 발표된 평가의 1위는

미국 MIT(매사추세츠공대)였으며 아시아 대학 가운데서는 싱가포르국립대학교(NUS)가 22위 홍콩대학교

(HKU)가 28위에 올랐다

서울대학교는 해외 학계에서의 인지도를 알 수 있는 학계 평판(Academic Reputation) 및 기업인 대상 설문

조사로 평가하는 졸업생 평판 항목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향후 논문 피인용 수 증가를 통해 연구 영향도 분

야에서 개선을 추구해 나가는 한편 구성원의 글로벌 다양성 확보를 위해서도 노력할 계획이다

2014 QS 세계대학평가가 9월 발표됐다 2004년 118위에서 2010년 50위 2011년 42위

2012년 37위 2013년 35위 그리고 올해 서울대학교는 역대 최고 성적을 경신했다

118

93

63

5147

50

4237

35

31

50

140

40

20

0

120

100

80

60

순위2005년 2009년 2012년2006년 2010년 2013년2007년 2011년 2014년2004년 2008년

QS Ranking지난 11년간의 성과

연도 별 순위

lsquo창업론 실습rsquo 커리큘럼

STEP 1 조별 사업 기획

STEP 2 약 300만 원의 지원금과 창업 공간 지원

STEP 3 기업가들의 컨설팅

STEP 4 학점 취득

통찰력 있는

미래의 창업가를 키운다

연합전공 벤처경영학

표준적인 인재는 많지만 특출난 인재는

늘 부족하다 기업가 정신을 갖추고 끊임없이

도전하는 인재들의 양성소

연합전공 벤처경영학을 소개한다

새로운 경제 성장의 동력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lsquo창업 부흥rsquo

정책이 정부를 비롯해 지방자치단체 중소기업청 등에서 이

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학생들의 대기업 선호 현상과 lsquo창업은

위험한 도박rsquo이라는 인식은 여전하다 대기업 입사를 위한 다

양한 프로그램과 유학 스터디 등이 활발한 것과 달리 창업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은 아이디어를 나눌 공간이 없고 경험 있

는 선배로부터 직접적인 조언을 얻기도 쉽지 않다 이러한 문

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이 나섰다

올해 설립된 벤처경영학 전공은 학생들이 실제로 창업을 경

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lsquo창업론 실습 1middot2rsquo 과목을 수

강하는 학생들은 조별로 사업을 기획해보고 약 300만 원과

창업 공간을 지원받으며 기업가들의 컨설팅을 받게 된다 이

런 과정을 통해 학점도 취득할 수 있다 이밖에 벤처경영학과

에서는 철학과 경영학과 컴퓨터공학부 식품동물생명공학

부 등 연합전공에 참여한 학과의 개설 과목은 물론 제품 기획

론 창업론 특강 벤처사업 기회 연구 등 벤처 운영에 도움이

되는 과목을 함께 수강할 수 있다

실리콘밸리와 맞닿아 있는 스탠포드대학교는 구글 야후 휴

렛팩커드 등 초일류 기업의 창업자들을 배출했으며 오늘날

이 대학 출신이 창업한 기업의 연 매출은 우리나라 국내총생

산(GDP)의 2배를 넘을 정도로 큰 성과를 내고 있다고 한다

창업을 지원하는 학내 인프라와 프로그램 그리고 실제 벤처

기업을 운영하는 교수진이 있기에 가능한 일이다 서울대학

교 벤처경영학이 미래의 한국 벤처 생태계를 구축할 혁신적

인 기업가 양성 교육의 훌륭한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

Campu s OnNOW

연합전공 시리즈 3

23 22

문화생활백서 in SNU

과제 시험 그리고 또 과제 학교에 갇혀 있는

날이 계속되다 보면 잠깐이나마 쉴 곳을 찾게

된다 왠지 모르게 무기력해지고 답답한 순간

당신에게는 lsquo휴식rsquo이 필요하다

빼곡한 강의실 책만 가득할 것 같은

서울대학교 안에도 여유 시간을 알차게 보낼

수 있는 놀라운 공간들이 구석구석 숨어 있다

벌써부터 방학을 그리워하는 학생들에게

캠퍼스의 각종 문화 시설은 달콤한 선물이

되어줄 것이다 학교 안에서 즐기는

문화생활의 lsquo핫 플레이스rsquo를 소개한다

영화관이 학교 안에

미술관을 지나 오르막길을 오르다 보면 현수막 하나가 눈에 띈다

2004년부터 작품성은 높지만 대중적 인기는 얻지 못한 진흙 속의

진주 같은 영화를 소개하는 lsquo수요시네마rsquo 프로그램이다 매월 둘째

주 수요일 문화관에서 무료로 관람 가능하다 더불어 학교의 중심

중앙도서관 영상자료실도 혼자 영화 보기 안성맞춤인 곳이다 비교

적 최신 DVD까지 소장하고 있어 공강 시간을 보내기 유용하다

몸 튼튼 마음 튼튼

서울대학교에선 원한다면 누구나 각종 운동을 섭렵할 수 있다 공과

대학에는 테니스장과 농구장 인공 암벽등반 시설이 있으며 기숙사

에는 축구 운동장과 더불어 야구 연습 탁구 농구 등을 할 수 있는 실

내 체육관이 있다 종합운동장에선 축구와 미식축구를 할 수 있으며

마라톤 트랙이 있어 다른 운동도 가능하다

정문 근처 포스코(POSCO) 스포츠센터는 2001년에 문을 연 4층 건

물로 서울대학교의 대표 체육 시설이다 수영과 헬스뿐만 아니라 골

프와 댄스 발레 요가 등 전문 강사가 진행하는 다양한 강좌가 있다

시설이 좋아 lsquo미녀는 괴로워rsquo 등의 영화와 드라마 촬영지로도 사용됐

다 이외에 체육 교육과에서도 매 학기 테니스 필라테스 탁구 등을

소규모로 배울 수 있는 건강 운동 강좌를 개설하고 있다 에너지 넘

치는 학생들에게 서울대학교는 즐거운 놀이터다

음악감상실

장소 학생회관 111호

운영시간

학기 중 평일 930~1730

학기 중 토요일 930~1330

수요시네마

장소 문화원 중강당

비용 무료

문의 02-880-7924

정문 옆 미술관

정문 너머 왼편에는 독특하고 아름다운 외형의 건물이 있다 바로 서

울대학교 미술관 MoA 프리츠커 건축상을 수상한 렘 콜하스가 설

계했다 한 해 3~4회의 전시가 열리는 MoA는 타 학교 미대에서 관

람을 올 정도의 높은 전시 수준을 자랑한다 학교 구성원과 지역민

등을 대상으로 하는 미술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뿐만 아니라 도

슨트 교육을 받고 선발되어 활동하면 문화자원봉사 확인증을 주는

자원봉사 프로그램도 있다 미술관 입구 앞 독특한 조형물도 하나의

볼거리니 방문한다면 여기서부터 관람을 시작하자

MoA

운영시간 화~일요일 1000~1800(입장마감 1730)

관람료 3000원

문의 02-880-9504

포스코 스포츠센터

운영시간 평일 600~2230 토요일 1000~1700

문의 02-880-6980

Campu s OnNOW

음악이 들려주는 비밀

호그와트(영화 lsquo해리포터rsquo의 마법학교)에 비밀의 방이 있다면 서울

대학교에는 음악감상실이 있다 학생회관 식권 판매대 옆 두꺼운 문

을 열면 나타나는 음악감상실은 예전부터 높은 경쟁률을 뚫고 선발

된 DJ가 수준 높은 음악을 들려주는 것으로 명성이 자자했다 한국

최초 그래미 수상자 황병문 동문도 음악감상실 DJ 출신이다 문화

관에서 시작되는 lsquo걷고 싶은 거리rsquo는 음악대학 학생들의 연주와 노

래 소리를 들으며 산책하기 좋다 덧붙여 음악대학에서는 매 학기

lsquo화요음악회rsquo를 개최한다 1994년부터 20년째 이어지는 음악회다

오디션을 통해 선발된 공연팀이 무대에 올라 질 높은 음악을 들을 수

있으며 누구나 관람 가능하다 문화관과 자하연 사이에 위치한 스탠

드에서는 때때로 즉흥 연주가 벌어진다 버스킹의 정확한 일정은 없

으니 지나치다 익숙한 음악이 들리면 놓치지 말고 들러보자

1 2

3

4

화요음악회

장소 문화관

비용 무료

문의 02-880-7903

25 24

미래인재학교란 서울대학교 입학본부 주관으로 진행되는 고교 지원 프로그램으로

서울대학교 교수와 학생이 직접 지역 고등학교에서 지식을 전달한다

92명

13기 수료생

100명

14기 수료생미래인재학교

수료생 현황

미래 인재를 위한 꼼꼼한 준비

서울대학교는 7월과 8월 전라남도 고흥middot여수에서 미래인재학교

13 14기를 개최했다 미래인재학교는 지역 간 교육 환경 격차를 완

화하고 고교생의 소질과 적성을 개발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서울

대학교 교수 강의와 재학생 멘토링 등을 통해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다 개최 지역에 따라 맞춤형으로 운영하기 때문에 4

개월 정도의 준비 기간이 필요하다 각 기수마다 재학생 멘토팀을 선

발해 프로그램을 새롭게 기획하는 것은 물론 담당 입학사정관과 멘

토팀이 몇 차례의 답사를 통해 현지 교육 환경을 이해하고 운영 시설

을 확인하는 등 프로그램을 세심하게 꾸려나간다

열정 가득한 학생들과 3박 4일

나로도 소재 국립고흥청소년우주체험센터에서 진행된 미래인재학

교 13기에서는 고흥 소재 8개 고등학교 1 2학년생 92명이 3박 4

일의 과정을 수료했고 14기에서는 여수 소재 10개 고등학교 1학년

학생 100명이 나흘 간의 과정을 마쳤다 특히 이번 멘토팀은 개최지

의 요청에 따라 역대 최대 규모로 조직됐는데 이들 중에는 고교 재

학 중 미래인재학교 수료생으로 참가했던 3명의 학생도 있었다

각 학교장의 추천을 받아 선발된 고등학생들은 입학식과 더불어 핸

드폰을 모두 담당 교사에게 제출하는 등 바른 수업 태도와 학업 의

지를 보여주었고 쉴 틈 없이 짜인 프로그램에도 중도 탈락하는 사

람 하나 없이 참가자 전원이 수료증을 받을 수 있었다

교수 멘토 멘티의 특급 하모니

3박 4일 동안 고등학생들과 함께 숙식하며 프로그램 운영은 물론

학생들의 생활지도까지 맡은 서울대학교 재학생 멘토들 이들은

lsquo아이스 브레이킹rsquo lsquo주제 토론rsquo lsquo고교 생활의 Know-Howrsquo lsquo11 멘

토링rsquo lsquo도전 골든벨rsquo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학생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했다 물리천문학부 홍승수 명예교수 등 고교생

의 눈높이에 맞게 선정한 다양한 학과의 교수 강연은 학생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참가 고등학생들 역시 강의 2주 전 배포한 강연

자료를 예습해왔고 강의가 끝난 후에도 호기심을 충족하기 위해

교수님을 따라 행사장 밖까지 나가 질문하는 열의를 보였다 이번

행사가 서울대학교 학생들에겐 나눔의 기쁨을 개최 지역의 고등학

생들에겐 배움의 기회를 주었길 바란다

지역 인재는 우리가 기른다

전라남도 고흥과 여수에 서울대학교 학생들이 떴다 미래 후배들의 소질과 적성 개발을

돕는 멘토링 프로그램 lsquo미래인재학교rsquo를 진행하기 위해서다 이번에는 개최지의 요청에

따라 역대 최대 규모의 멘토팀이 조직됐다 고등학교 시절 배움을 위해 lsquo미래인재학교rsquo를

찾았던 학생도 지식을 나눠주는 멘토가 되어 돌아왔다 고등학생들과 동고동락하며 여름의

열기보다 뜨거운 4일을 보낸 이들을 만나보자

멘토링 시간에 조별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학생들

참가 학생이 자신의 의견을 발표하고 있는 모습

대학 입학에 관해 강의하는 홍승수 명예교수

Campu s OnNOW

step1

step2

step3

27 26

서울대학교는 8월 29일 관악캠퍼스 문화관 중강당에서

교수 학생 직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교수 정년식을 진행

했다 노태돈 국사학과 교수 임현진 사회학과 교수 안

정선 생명과학부 교수 김명모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장

호익 디자인학부 교수 한문희 불어교육과 교수 김민자

의류학과 교수 황준연 국악과 교수 이성철 의학과 교수

등 26명이 명예로운 정년을 맞아 정든 캠퍼스를 아름답

게 떠났다 이날 행사에서는 박종화 환경대학원 교수가

정년 교수진을 대표해 감사와 당부의 인사말을 전했다

교수 정년식

02

서울대학교는 8월 28일 관악캠퍼스 종합체육관에서 제

68회 후기 학위수여식을 개최했다 이번 학위수여식에

서는 학사 850명 석사 989명 박사 522명 등 총 2361

명이 학위를 받았다 성낙인 총장은 ldquo최고의 지식은 사회

봉사와 인류공헌을 위해 쓰이는 것이며 훌륭한 인재는

지성과 공공성으로 무장된 따뜻한 가슴을 겸비한 lsquo선한

인재rsquordquo라며 ldquo민족의 동량 사회의 중심으로 드높은 자부

심을 갖되 지식과 열정을 공동선을 위해 공헌하는 사회

적으로 필요한 인재가 되기 바란다rdquo고 당부했다

제68회 후기 학위수여식

03

01

서울대학교는

신임 보직교수단을

구성했다 신임 보직

교수 임기는 2년으로

2016년까지 대학의

비전을 마련하고

고등교육 발전을 위한

주요 소임을 맡아

활동한다

신임 보직교수 임명

04 06

2014 우수 인재 채용박람회

추석을 맞아 서울대학교 구성원들의 따스한 손길이 어려

운 이웃들에게 전해졌다 인문대학 등 62개 기관에서 모

금한 총 28271500원은 학교 근처의 보육원 사회복지

관 등 도움이 필요한 곳에 전달됐다 성낙인 총장은 아동

복지시설인 상록보육원을 방문해 성금을 전달하며 어린

이들과 보육원 관계자들을 격려했다 그리고 김종서 교

육부총장은 동명 아동복지센터 이우일 연구부총장은 성

민 종합사회복지관 유근배 기획부총장은 선의관악 종합

사회복지관을 각각 찾아 성금을 전달했다

추석 명절 이웃돕기 성금전달

보 직 명 학 과 (부) 성 명

교육부총장 종교학과 김종서

연구부총장 기계항공공학부 이우일

기획부총장 지리학과 유근배

교무처장 화학부 김병문

학생처장 농생명공학부 김정한

연구처장 의학과 박노현

기획처장 법학전문대학원 이철수

기초교육원장 서양사학과 안병직

입학본부장 독어교육과 권오현

국제협력본부장 국제대학원 정종호

보 직 명 학 과 (부) 성 명

정보화본부장 컴퓨터공학부 신영길

교무부처장 겸 교육부처장 치의학대학원 백승학

학생부처장 식품영양학과 한성림

연구부처장 약학과 오정미

기획부처장 독어독문학과 강창우

협력부처장 건설환경공학부 김재영

기초교육부원장 물리middot천문학부 유재준

입학부본부장 고고미술사학과 이준정

국제협력부본부장 국제대학원 신성호

정보화부본부장 경영학과 장정주

NewsNOW

제8기 스누봉사단이 한국수력원자력(주)의 후원으로 8

월 9일부터 20일까지 베트남 라오까이 성에 있는 스빤

마을에서 봉사활동을 진행했다 유성상 교육학과 교수

이우철 치의학대학원 교수 이승표 교수 한동헌 교수

김익규 빗물모아지구사랑 실장 김용환 연구원 서울대

학교 학생 23명으로 구성된 봉사단은 구강보건의료 빗

물 정화 위생교육 등의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 주민들에

게 나눔을 실천했다

제8기 스누봉사단 베트남 봉사활동

0705

훌륭한 공대교수상 선정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올해의 훌륭한 공과대학 교수로

신현식 컴퓨터공학부 교수 이재홍 전기정보공학부 교

수 강신형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를 선정했다 이 상은 교

수들의 연구 활동을 장려하고 산업 기술의 선진화를 꾀

하자는 취지에서 1992년 공과대학 동문들이 출연한 기

금으로 제정됐다 2003년부터 교육상과 연구상 2개 부

문으로 시상해오다가 올해부터 교육상 학술상 산학협

력상 3개 부문으로 확대돼 의미가 더욱 커졌다

경력개발센터는 2014년 하반기 채용 시즌을 맞이해 9월

2일에서 4일까지 대학본부 앞 잔디 광장에서 lsquo새로운 미

래를 여는 SNU 2014 서울대학교 우수인재 채용박람회rsquo

를 개최했다 올해로 11회째를 맞이한 채용박람회에는

6500여 명의 학생들이 참가했다 한편 두산 삼성 현대

자동차 LG SK 등 국내 주요 대기업들과 국방과학연구

소 한국전력공사 등의 공기업 Hakuhodu 그룹 등의 일

본 기업 ASML Korea 등의 외국계 기업 총 130곳이 우

수 인재를 확보하고자 심혈을 기울였다

信義

기부와 나DONATION

유 태 용

나고 자란 곳을 잊지 않는다 어려웠던 순간을 항상

되새긴다 덕분에 유태용 동문은 사회적 성취를 이룬 지금

자신만의 나눔 원칙을 세울 수 있었다

기 부 자 정 보

격동의 세월을 이겨낸 삶

일제강점기를 지나 해방 그리고 한국전쟁까지 1950년에 서

울대학교에 입학한 유태용 동문의 학창시절은 역사적 격동

기와 맞물려 있다 그 시절을 겪어보지 않은 요즘 세대에게 유

동문의 경험은 책에서나 접하는 옛날이야기로 들릴 수 있다

그럼에도 유 동문은 과거를 잊지 않으려 그 시절을 끊임없이

복기한다 당시 경험을 lt어느 서울대 공대생의 한국전쟁gt이

라는 책에 풀어내기도 했다 ldquo요즘은 상상도 못할 이야기죠

이후로도 어렵사리 국가 발전을 이뤘고요 우리 세대가 고생

했다고 알아주길 바라는 건 아닙니다 다만 큰 어려움을 헤

쳐 온 인생 선배들을 보면서 힘든 순간이 닥쳐도 좀 더 지혜롭

게 극복했으면 좋겠습니다rdquo

유태용 동문은 대학 졸업 후 1957년부터 공직 생활을 시작했

다 이후 오랜 기간 공직에 몸담으며 국토 계획과 건설 행정

을 담당했다 유 동문의 전공은 토목공학 그중에서도 방조

제가 전문 분야였다 공직 생활 초창기에 국제원조기구 장학

생으로 선발돼 1962년 미국에서 아카데미 코스를 밟기도 했

다 그렇게 미국에서 수학한 지식을 바탕으로 당시만 해도 단

일목적댐뿐이던 우리나라에 다목적댐을 도입하는 데 기여했

다 ldquo저는 어찌 보면 운이 참 좋은 사람입니다 어려운 시기에

농촌에서 서울대학교에 입학했고 좋은 기회가 닿아 외국에

서 공부하는 경험도 할 수 있었으니까요rdquo

오랜 시간 이어온 남다른 향토애

공직에 있으며 국가 발전에 힘써온 유 동문 그는 오래전 고

향을 떠나왔지만 어려웠던 어린 시절을 잊지 않는다 불과 몇

원하는 수업료가 없어 일곱 살 나이에 수십 킬로미터에 달하

는 거리를 오갔던 기억이 여전히 생생하다 적어도 돈 때문에

공부를 못하는 학생은 없어야겠다는 생각에 이른 건 어쩌면

당연한 일 그러한 경험이 있었기에 유 동문은 자신만의 기부

신념을 세울 수 있었다 ldquo똑같이 모를 심어도 좋은 쌀을 얻으

려면 관리를 잘해야 합니다 모를 심고 가만히 두면 한 섬밖

에 못 얻지만 비료를 주고 잡초를 솎아내면서 키우면 네 가

마니까지 불어나요 사람도 마찬가지입니다 인재도 좋은 환

경이 갖추어져야 자랄 수 있습니다 서울대학교에 입학한 건

시작일 뿐이죠rdquo

유 동문은 서울대학교에 부동산을 기부해 정읍과 고창 출신

후배들을 위한 lsquo정고장학기금rsquo을 마련했다 단지 태어난 곳

에 대한 고집만은 아니다 그 자신이 농촌에서 어렵사리 대학

에 진학했던 까닭에 그곳에서 나고 자란 후배들이 학비 걱정

없이 공부에만 전념할 수 있기를 바라는 선배의 따스한 마음

이다 ldquo예전에도 그랬지만 지금도 농촌에서 몇 백만 원씩 하

는 등록금을 쉽게 마련할 수 있는 집은 많지 않습니다 더구

나 지방에서 공부해서 서울대학교에 온다는 건 쉽지 않아요rdquo

유태용 동문은 장학생들을 직접 만나 격려하는 데에도 적극

적이다 지금은 학생들이 그가 기부한 장학 기금의 혜택을 입

지만 언젠가는 좋은 인재로 성장해 사회에 보탬이 되는 주역

이 되리라 믿는 까닭이다 ldquo서울대학교가 이제 세계에서도 손

꼽히는 대학이 되었다지만 아직도 세상에는 해결하지 못한

연구 과제가 많아요 서울대학교의 많은 인재가 그런 분야에

도 거침없이 도전해 좋은 성과를 내주길 바랍니다rdquo

유태용 한국방재협회 명예회장

내무부와 건설부에서 오랜 기간 국토 계획과 건설 행정을 맡았다 1998년 자연재

해대책법에 따라 한국방재협회 준비위원장에 추대됐고 창립을 준비해 1999년 초

대 회장에 취임한 바 있다

with SNU

토목공학과 학사 ACAD 12기 수료 정고장학기금을 마련해 정읍 고창 출신 학생

들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및 대학원생 재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원하고 있다

ldquo모를 심고 가만히 두면 한 섬밖에 못 얻지만

비료를 주고 잡초를 솎아내면서 키우면

네 가마니까지 불어나요 사람도 마찬가지입니다

인재도 좋은 환경이 갖추어져야 자랄 수 있습니다rdquo

29 28

31 30

기부와 나DONATION

도전 열아홉이란 나이 누군가는 대학 문을 바라보며 책

장을 넘길 시기에 사업을 시작했다 다양한 업종에 손대며

달콤한 성취도 쓰디쓴 실패도 맛본 20대를 지나 서른을 코앞

에 둔 시기에 광장시장 상가 한편에 1평 남짓한 도매 옷가게

를 열었다 그것이 연 매출 1조 원을 올리는 국내 굴지 패션기

업의 출발이었다

근면 어깨에 옷을 짊어지고 고객을 찾아다니길 수차례

서른 살 청년의 성실성을 소매상들은 알아봤다 판로가 열리

니 사업은 자연히 승승장구했다 그러나 10년 후 위기가 닥

쳤다 거래처의 어음이 부도 처리되면서 그 여파를 고스란히

받아야 했다 ldquo부도를 극복하면서 근면의 중요성을 깊이 느

꼈습니다 재기를 생각하며 다시 1평짜리 매장을 얻어 아침 7

시부터 새벽 2시까지 이를 악물고 일했죠rdquo 시작도 그랬지만

이후로도 근면은 최 회장의 삶에 큰 지표가 됐다

배움 일찍이 사회에 진출한 만큼 현장 경험은 누구보다

출중할 터 그러나 최 회장은 lsquo배움에는 끝이 없다rsquo는 생각으

로 경영만 하기도 바쁜 시간을 쪼개 공부를 계속했다 배움의

과정 중에 서울대학교와 인연이 닿았다 학교의 여러 특별과

정을 수료한 것은 물론 서울대학교 패션산업 최고경영자과

정(AFB) 총교우회 회장도 역임했다 ldquo김민자 교수님께서 lsquo바

쁠수록 더 좋은 성과를 낸다rsquo고 말씀하신 적이 있습니다 몸은

분주했지만 세상을 보는 관점은 더욱 넓어질 수 있었습니다rdquo

섬김 최 회장은 오늘날 이룬 성취가 혼자만의 것이 아니

란 점도 매번 되새긴다 패션그룹형지의 성장과 함께 한 대리

점주를 섬기는 해법 중 하나는 교육이다 ldquo사업의 근간인 대

리점주와 함께 호흡하고 성장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일까 고민

하던 차에 생활과학대학 교수님들의 도움으로 lsquo패션그룹형

지 최고경영자과정rsquo을 열었습니다rdquo

나눔 lsquo남 열 걸음 갈 때 반의 반 걸음 더 간다rsquo 최 회장은

기업가로서 성공을 이룬 지금도 이 말을 되새기곤 한다 ldquo남

보다 조금 더 먼저 생각하고 노력하는 작은 차이가 나중에는

큰 성과를 남긴다는 뜻입니다 요즘은 사업이나 일에 대한 것

뿐만 아니라 타인을 향한 배려와 사랑도 반의 반만 앞서 생

각하고 실천하자고 다짐합니다rdquo 최 회장은 lsquo교육은 백년지대

계(百年之大計)rsquo란 말에 동감하며 패션 산업을 이끌어갈 인

재들을 위해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에 기금을 출연했다

또한 지역 발전을 위한 투자를 비롯해 세월호 참사로 고통받

는 유가족과 학생들을 위해 성금을 기부하는 등 다방면에서

나눔을 실천하고 있다 어려운 순간을 딛고 현재의 성취를 이

뤘기에 자신을 키워준 사회에 무엇인가 되돌려주는 나눔이

중요하다고 말하는 최병오 회장 한편으로 그는 lsquo금전적 도움

을 베푸는 자선의 개념을 넘어 재능과 기술을 나누는 나눔의

문화가 필요하다rsquo고 덧붙인다

청년에게 사회에서 일가를 이룬 최병오 회장이 이 시대

를 사는 청년들에게 권하고픈 경험은 다름 아닌 lsquo실패rsquo다 ldquo진

짜 실패는 넘어지는 게 두려워 시도조차 하지 않는 거라고 하

지 않습니까 실패를 두려워하기보다 꿈을 먼저 생각하길 바

랍니다rdquo 최 회장은 목표와 꿈을 추구하는 동시에 타인을 배

려하는 태도 역시 지니길 권한다 그것이 바로 진정한 성공이

요 명품인생을 완성하는 길이기에

切磋琢磨 최 병 오

최병오 회장에게 lsquo근면rsquo은 가장 기본적인 성공 원칙이다

lsquo배움rsquo은 자기 성장의 원동력이며 lsquo섬김rsquo은 상생의

바탕이다 마지막으로 그는 lsquo나눔rsquo이란 대의를 잊지 않는다

ldquo경제적인 어려움으로 배움의 기회를 놓쳐선

안된다고 생각해왔습니다 젊은 나이에

일찍 사업에 뛰어들어 배움에 대한 목마름이

누구보다 컸기 때문입니다rdquo

기 부 자 정 보

최병오 패션그룹형지 대표이사 회장

대한상공회의소 중견기업위원회 위원장이자 윤리경영위원회 위원 또한 한국의

류산업협회 회장과 한국의류산업학회 부회장 등을 맡아 최근 대통령 해외 순방 당

시 경제사절단으로 동행했다

with SNU

AFB 3기 AMP 63기 AIP 42기 AWASB 1기 등을 수료했다 AFB 동창회장과

AFB 동창회 수석부회장을 역임했으며 올해 제13회 AMP 대상을 수상했다 현재

AWASB 동창회장을 맡고 있다

33 32

기부의 향연이 펼쳐지다

바바패션

인문대학 발전기금 1억 원 기부

바바패션(대표이사 회장 문인식)이 인문대학에 발전기금 1억 원을 기부했

다 10월 13일 총장실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성낙인 총장과 문인식 바바

패션 대표이사 회장 유근배 기획부총장 장재성 인문대학장을 비롯해 관

계자 10여 명이 참석했다 성낙인 총장은 ldquo문인식 회장님의 인문학에 대

한 관심과 성원에 감사드린다rdquo며 ldquo이번 기금으로 인문대학의 발전과 인재

양성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이에 문인식 회장은 ldquo바바패

션은 계속해서 나눔 경영을 통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rdquo고 전했

다 문인식 회장은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최고지도자과정(AMP) 72기를

수료하고 현재 인문대학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12기 회장 AMP

총동창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한편 바바패션은 국내 여성 패션 브랜드인

아이잗바바(IZZAT BABA) 지고트(JIGOTT) 등을 비롯한 총 9개의 브

랜드를 보유하고 있으며 심장병 어린이 수술 지원 및 장학 사업도 꾸준히

펼치고 있다

전기컴퓨터공학부 권욱현 명예교수

lsquo권욱현 희망장학기금rsquo 1억 원 기부

지난 6월 17일 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부 권욱현(전기공학 62학번)

명예교수가 lsquo권욱현 희망장학기금rsquo을 조성하고 1억 원을 기부했다 이번

에 마련된 기금은 공과대학과 전기공학부 학생들 가운데 경제적으로 어

려운 학생들에게 지급될 예정이다 변대규 휴맥스 대표를 비롯해 이재원

슈프리마 대표 등 국내 유명 벤처기업 CEO들의 스승으로 유명한 권욱현

명예교수는 2005년 서울대학교 평의원회 의장으로 활동했으며 대한전

기학회장 세계자동제어연맹 부회장 국제자동제어연맹 회장 등을 역임

했다 국제자동제어연맹(IFAC) 회장으로 재임 시 사재 50만 달러를 출연

해 개발도상국 젊은 공학자의 학술 활동을 지원하는 등 후학 양성을 위한

꾸준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김정식 해동과학문화재단 이사장

해동학술정보실 건립기금 30억 원 기부

지난 6월 27일 해동과학문화재단 김정식 이사장(전자공학 48학번)이

lsquo해동학술정보실 건립기금rsquo으로 30억 원을 쾌척했다 이번에 조성된 기금

은 공과대학과 자연과학대학 등 주요 단과대학의 해동학술정보실을 건

설하는데 사용될 예정이다 이번 기금 이외에도 김정식 이사장은 서울대

학교 공과대학 인근 해동학술관과 해동학술정보실 12호관 건립 기금으

로 100억 원이 넘는 금액을 출연하며 꾸준히 모교를 후원하고 있으며 인

재 양성을 위해 한양대 고려대 등 국내 주요 대학에 해동학술정보실 건립

을 지원하고 있다 1972년 대덕전자를 설립해 한국 전자 산업의 기술 개

발을 이끈 선구자로 유명한 김정식 이사장은 1990년 해동과학문화재단

을 만들어 해동상을 재정하는 등 지속적인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

패션그룹형지

생활과학대학 발전기금 3억 원 기부

패션그룹형지(대표이사 회장 최병오)가 생활과학대학에 발전기금 3억 원

을 기부했다 이 기금은 생활과학대학의 교육middot연구활동 및 시설개선 등을

위한 제반 활동에 사용된다 지난 8월 26일 진행된 협약식에서 성낙인 총

장은 ldquo생활과학대학은 패션그룹형지 기금으로 수준 높은 연구 성과와 인

재 배출을 통해 대한민국 대표 인재 양성소로 거듭 날 것rdquo이라고 밝혔으

며 최병오 회장은 ldquo국가 경쟁력을 이끌어가는 리더와 패션 산업 인재를

양성하는 데 패션그룹형지 발전기금이 쓰이길 바란다rdquo고 당부했다 최 회

장은 지난 2003년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패션산업 최고경영자과정

(AFB) 3기를 수료하고 2007년부터 2013년까지 AFB 총교우회 회장을

역임했다 또한 이번 기금 이외에도 꾸준히 후원한 다양한 기금으로 건립

된 lsquo최병오 홀rsquo을 통해 사회 각계각층의 주요 리더들이 교류하는 교육장을

마련했다 1월에는 경영대학 최고경영자과정(AMP) 총동창회가 주최하

는 lsquo제13회 서울대 AMP 대상rsquo을 수상했다

NewsDONATION

유회진 학술정보관 건립 보고 및 감사 행사

ldquo기부금은 이공계 학생들을 위해 써주세요rdquo 故 유회진 박사가 구강암으로 투병

하는 동안 병문안을 갔던 이장무 전임 총장에게 남긴 말이다 서울대학교 기계

설계학과에서 학부와 대학원 생활을 보내고 동아대학교 교수를 역임한 유 박

사는 2009년 구강암 판정을 받았다 그는 암 투병 치료비부터 부모님으로부터

물려받은 유산까지 허투루 쓰지 않고 모은 100억 원이 넘는 전 재산을 서울대

학교에 남기고 2011년 별세했다 유가족이 없는 고인을 위해 서울대학교 발전기

금은 장례를 진행했으며 매년 제사를 지내 뜻을 기린다

지난 7월 2일 관악캠퍼스 공과대학 엔지니어하우스대강당에서 lsquo유회진학술정보

관rsquo 건립 보고 및 감사 행사가 개최됐다 유회진학술정보관은 유회진 기금으로

건립되어 공과대학과 자연대학이 공동 교육 및 연구 시설로 사용할 예정이다 이

날 행사는 오연천 전임 총장의 환영사에 이어 유회진 박사 소개 및 기부 경과보

고 유회진학술정보관 건립 경과보고 순으로 진행됐으며 특별히 故 유회진 박사

의 지인인 서울시립대 권원태(기계설계학과 78학번)교수가 참석했다 그의 숭고

한 마음은 우리 사회의 빛나는 과학자들을 위한 초석이 될 것이다

11월 9일 故 유회진

박사의 3주기가 돌아온다

서울대학교발전기금은

제주(祭主)로서 그를 잊지 않고

사회와 학교를 향한 기부자의

아름다운 정신을 남길 것이다

당신의 아름다운 마무리

35 34

SNU Presidents Honors Club

SNU Honor Club

故 곽명덕 변호사 유가족 (한자영 곽성현 곽성희)

故 구영록 교수 유가족

故 김인제 故 최성순 가족

(故 김동호 故 김동훈 김동준 김진숙 김진옥)

故 이한빈 부총리 가족 (유정혜 이원식 이선이)

고윤석 (물리학과 47입)

고정택 (외교학과 62입)

구영배 (자원공학과 85입)

구재서

권영대 (약학과 55입)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권욱현 (전기공학과 62입)

금장태 (종교학과 62입)

김건식 (법학과 73입)

김경한 (법학과 62입)

김경한 (외교학과 62입)

김광일 (경영학과 84입)

김기봉 middot신경은 (기계공학과 63입 middot화학과 65입)

김기태 (의학과 58졸)

김난도 (소비자아동학부 교수)

김대욱 (조선공학과 76입)

김동길 (화학교육과 57입)

김동훈 (화학과 48입)

김두철 (전자공학과 66입)

김만극 (약학과 47입)

김상헌 (사법학과 82입)

김선동 (화학공학과 59입)

김선화(정자) (국악과 60입)

김성배 (영어영문학과 63입)

김양곤 (IFP 2기)

김연탁 (경제학과 故 김태성 교수의 부)

김연호 (화학공학과 71입)

김영경 (기계공학과 52입) middot김천순

김영석 (3 Plus Logistics 회장)

김영수 (법학과 67입)

김영심 (불어불문학과 故 오현우 교수의 부인)

김영업

김용재 (의과대학 60입)

김용철 (치의학과 55입)

김의신 (의학과 60입)

김의영 (경제학과 54입)

김정희 (간호학과 52입)

김종일 (제어계측공학과 79입)

김진향

김천흥

김철호 (외교학과 70입)

김춘길 (화학생물공학부 58입)

김택수 (법학과 48입)

김하석 middot김영중 (화학과 63입 middot약학과 64입)

김하자 (서양화과 故 하동철 교수의 부인)

김학봉 (한영요업 회장)

김형주 (전자계산기공학과 78입)

나정환 (화학교육과 54입)

남정현 (건축학과 57입)

류무종 (중어중문학과 53입)

류진 (영어영문학과 78입)

마인경 (지리학과 56입)

민계식 (조선항공학과 61입)

민호기 교수 유가족

박대근 (보건대학원 63입)

박맹호 (불어불문학과 52입)

박민식 middot 박금옥 (수의과대학 65입 middot체육교육과 63입)

박봉균 (수의학과 76입)

박숙희 (지리학과 60입)

박용헌 (교육행정학과 53입)

박용호 (수의학과 74입)

朴麟子(가정관리과 82입) 하상예 박임숙 박순영 박노용

박종근 (전기공학과 69입)

박종수 (수의학과 58입)

박종오 (영어영문학과 55입)

박준 (법학과 73입)

박태진 (독어독문학과 80입)

박한제 (동양사학과 69입)

배옥자 (성심가정의학과의원 원장)

백종철 (농공학과 54입)

백형익

법대 48회 졸업생

변대규 (제어계측공학과 79입)

서문자 (간호학과 63입)

손경식 (법학과 57입)

송상용 (화학과 55입)

송상현 (법학과 59입)

송인철 (SPARC 14기)

송학린 (법학과 59입)

신수정 (기악과 59입)

신영길 (계산통계학과 78입)

신영주 (이남장 대표)

신익현 (임학과 79입)

신효영 middot신승연 (故 신광현 교수의 가족)

신희명 (물리교육과 49입)

신희택 (법학과 71입)

심소일 (상학과 49입)

심재성 (前 성보산업 자문위원)

안영경 (前 핸디소프트 고문)

안창엽 (AMP 68기)

양천식

오세경 (약학과 61입)

오승환 (의학과 56입)

오용호 middot오양호 (행정학과 69입 middot법과대학 80입)

오윤덕 (행정학과 61입)

원재연 (경영학과 82입)

유근순

유성숙 (고고미술사학과 故 김원용 교수의 부인)

윤계섭 (상학과 64입)

윤덕우 (경제학과 58입) middot최덕자

윤석금 (웅진그룹 회장)

윤석순 (수의학과 59입)

윤우석 (에너지자원공학과 63입)

이건우 (기계공학과 74입)

이경식 (불어불문학과 55입)

이광희 (지리학과 59입)

이교일 middot박명진

(기계공학과 60입 middot불어불문학과 65입)

이기춘 (가정교육과 61입)

이명현 middot김귀현 (철학과 60입 middot기악과 69입)

이문한 (수의학과 66입)

이병준 (경제학과 55입)

이성규 (사학과 65입)

이성형 (정치학과 82입)

이순원 (가정교육과 54입)

이순형 (가정관리학과 70입)

이신두 (물리학과 76입)

이예식 (약학과 46입)

이용환 (농업교육과 63입)

이용환 (전기공학과 73입)

이원영 (AMP 6기)

이은방 (약학과 55입)

이장무 (제24대 총장)

이재승 (원자핵공학과 59입)

이정섭

이정섭 (종교학과 04입)

이종덕 (물리학과 62입)

이준용 (경제학과 56입)

이지형 (법과대학 85입)

이찬승 (수학교육과 69입)

이창득 (국어교육과 71입)

이창화 (국어국문학과 64입)

이천만 (영어영문학과 故 이상태의 부)

이철승 (법학과 78입)

이철영 (SPARC 17기)

이현수 (농화학과 60입)

이현재 (경제학과 48입)

이형도 (화학공학과 61입)

이홍표 (의과대학 58입)

임길진 교수 유가족

임동진 (법학과 62입)

임현진 (사회학과 67입)

장세권 (농공학과 70입)

장순영

장용국 (법학과 71입)

장재혁 (역사교육과 80입)

장정훈 (약학대학 65입)

전익찬 (지구환경과학부 94입 故 전재규의 부)

전해종 (동양사학과 47졸)

정달훤 (고고미술사학과 87입 故 정은임의 부)

정영현 (공업화학과 85입 정순욱의 부)

정영호 (생물학과 50입) middot 박양숙

정윤환 (임학과 56입)

정재선 (소비자아동학과 93입)

정재준 (前 경보전기 부회장)

정종곤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조동성 (경영학과 67입)

조병직 (법학과 46입)

조석준 (행정학 57졸)

조영식 (수의학과 80입)

조옥환 (부산교통 대표)

조종수 (건국대학교 교수)

조한영 (상학과 43입)

조형준 (미학과 65입)

주중광 middot 허지영 (약학대학 60입 middot 화학과 66입)

차상균 (전기공학과 76입)

차상균 교수 외 제자 12명

채성기 (원자핵공학과 59입)

채제한 (전기공학부 48입 故 채호석의 자)

천문우 (약학과 61입)

최병오 (AFB 3기)

최재열 (조소과 08입 최민주의 부)

최정욱 (화학공학과 49입)

최창원 (심리학과 83입)

최화형 외 3명

풍원자 (임학과 57입 故 용환운의 부인)

하영구 (무역학과 72입)

한규범 (AMP 42기)

한규환 (기계공학과 68입)

한기준 (의학과 52입)

한상복 (사회학과 56입)

한옥희 (화학과 79입)

한장희 middot김재혜 (행정학과 61입 middot 법학과 61입)

허성도 (중어중문학과 68입)

허영인 (SPC그룹 회장)

현기순 (가정교육과 46입)

현정오 (농생물학과 66입)

현택환 (화학과 83입)

홍경자 (간호학과 62입)

홍계수 (법학과 72입 주경숙의 모)

홍길표 (컴퓨터공학부 홍지명의 부)

홍예표 (치의학과 65입)

홍지준 (화학교육과 74입)

황귀례 (제약학과 故 국채호 교수의 부인)

황재홍 (치의학과 90입)

히로나카 헤이스케 (하버드대 명예교수)

Eduard J Stadelmann (前 미네소타대학 교수)

Ken-ichi Arai (동경대 교수)

Peter S Kim (MIT 교수)

Stanley Choy

거평그룹

건일제약

건화엔지니어링

경남기업

경동송천재단

경암교육문화재단

고려아연

공영토건

과학기술혁신 최고전략과정 23기 일동

과학기술혁신 최고전략과정 24기 일동

관악회

광동제약

교보문고

구원장학재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국방과학연구소

국제종합물류

금호아시아나문화재단

김 middot장 법률사무소

김영사

김정문알로에

까사미아

나산실업

남광토건

남영비비안

넥슨코리아

노키아티엠씨

농어촌희망재단

농우바이오

다이소아성산업

다함넷

단암장학재단

대교

대림대학

대양 EampC

대우기전공업

대우엔지니어링

대우테크

대한수의사회

대한통운

돈암장학회

동방

동방상호신용금고

동부대우전자

동부문화재단

동서식품

동아건설산업

동아제약

동양강철

동철문화재단

동화산업장학재단

두을장학재단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롯데관광

롯데쇼핑

매트바이오테크

메디슨

몬산토코리아

미래에셋

미래와도전

미래의동반자재단

민음사

바이로메드

방송문화진흥회

방일영문화재단

법대 39회 동문 일동

법대 84학번 동기회

법대 85학번 동기회

법대최고지도자과정 8기 일동

법대최고지도자과정 10기 일동

법무법인 광장

법무법인 바른

법무법인 세종

법무법인 율촌

법무법인 케이씨엘

법무법인 태평양

법무법인 화우

부경양돈협동조합

비씨카드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동문회

삼양

삼우종합건축사무소

삼일회계법인

삼전순약공업

삼호개발

삼화모터스

상암에너지

상지상사

상진개발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글로벌리더쉽과정

서울대합창단 동문회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석원산업

성남시장학회

성련장학재단

세무법인 조이

세진에프알에스

송우재단

수경출판사

수암장학문화재단

수의과대학 교수 일동

스키부 동문회 일동

시뮬레이션테크

신라교역

신라문화장학재단

신양머그

신한장학재단

썬텍

아모레퍼시픽

아산사회복지재단

안성농장

알앤엘바이오

애드미션

앨트웰민초장학재단

약학교육연수원 이수자 일동

양지농장

영림임업

오뗄

오뚜기재단

오리엔트이엔지

오리온전기

오성엘에스티

와이비엠시사

용운장학회

우덕재단

유기천교수기념사업출판재단

유신

유티씨인베스트먼트

유한재단

유한킴벌리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음악대학 피아노발전기금후원회

이지바이오

인선문화재단

인촌기념회

인탑스

일동제약

일동후디스

일주학술문화재단

재단법인 대우재단

재단법인 정민

재미서울대총동창회

전국은행연합회

정공산업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정수장학회

정헌재단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져스텍

종근당

종로구장학회

좋은책신사고

진생사이언스

진양제약

참존

창강재단

창진영농조합법인

천만장학회

천수기업

천연물과학연구소 교수 일동

천재교육

청합장학회

최고경영자과정 총동창회

최고산업전략과정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middot

미래지도자인문학과정(IFP)

케이씨텍

코스맥스

코오롱

트러스톤자산운용

특수건설

패션그룹형지

포니정장학재단

포휴먼

풀무원

풍산

플라톤아카데미

피에스케이

하나제약

한국간연구재단

한국거래소

한국금융투자협회

한국무역협회

한국문화진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산업은행

한국세포주연구재단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알콜산업

한국외국인학교

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전파기지국

한국증권금융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한국타이어

한국투자신탁운용

한국투자증권

한산이씨양도공파설서공종중

한샘출판

한수통상

해나천연물신약

해성장학회

해태

행정대학원 정보통신과정

현대차 정몽구 재단

현대카드

현대캐피탈

현동장학회

현송교육문화재단

홈플러스e파란재단

효성그룹

휴맥스

AMP 63기 일동

AMP 64기 일동

AMP 65기 일동

AMP 66기 일동

AMP 67기 일동

AMP 68기 일동

AMP 69기 일동

AMP 70기 일동

AMP 71기 일동

AMP 72기 일동

AMP 73기 일동

AMP 74기 일동

AMP 75기 일동

AMP 76기 일동

AMP 77기 일동

AMP 78기 일동

ASSET PLUS투자자문

E1

Eyagi(이야기) CAFE

Goldman Sachs

KDB대우증권

KRX국민행복재단

KTB투자증권

LG연암문화재단

NCSOFT

NHN

NXC

OB맥주

Qualcomm

SECMCA

SIMPAC ANC

SK CampC

SNU 프리시젼

S-Oil

SPARC 15 middot16 middot17 middot18기 일동

1억 원 이상 출연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LG삼성 한국전력공사SK

포스코 웅진한화농업협동조합중앙회

KT 부영신한금융 현대자동차

SPC IBK기업은행

태영현대 금호아시아나롯데장학재단

CJ 대림두산 한진

우리금융 미래국제재단

50억 원 이상 출연

조천식정치학과 45입

윤대섭농공학과 49입

100억 원 이상 출연

정석규화학공학과 48입

이용희태광사 회장

김정식 전자공학과 48입

유회진기계설계학과 78입

SNU Hono r C l ubDONATION

SNU Gold Honors Club

홍성대수학과 57입

이기영前 의대 교수

최창영금속공학과 64입

박영희수학교육과 54입

손장순불어불문학과 54입

유태용토목공학과 50입

김명희middot신정희기악과 91입 김형찬의 모

이필남 박상윤 윤전수middot이삼락

김연혁히로세코리아 감사

서정선의학과 70입

전은기middot김은희 백추현 곽영필토목공학과 56입

박완서의 상속인호원숙 호원순 호원경 호원균

이순자불어불문학과 57입

손동준전자공학과 59입

윤종용전자공학과 62입

정덕균전자공학과 77입

강옥채middot노병수공법학과 83입

민선식경제학과 78입

박병준섬유공학과 52입

서울대학교총동창회

양두석독어독문학과 69입

양윤홍전자공학과 63입

대우 카길애그리퓨리나 동진쎄미켐 하나금융지주

동원 동양 KB금융지주 대우조선해양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대성 로이드선급협회 아시아일진

한국가스공사 녹십자 생명보험협회 현대중공업

메가스터디 TOYOTA MOTOR CORP SK하이닉스 서울장학재단

STX 농심 무한투자 이연제약

대우인터내셔널 송원김영환장학재단 형애장학회 신풍제약

10억 원 이상 출연

현대산업개발

스페코middot삼익악기

영원무역

쌍용양회공업

영원아웃도어

환인제약 주식회사

한국프뢰벨

37 36

춘강문화장학재단 (박성형 이사장)

허성도 (인문대학 명예교수)

형남진장학재단 (이정희 이사장)

강남구청

김형렬 (윤리교육과 교수)

공병영 (사무국장middot시설관리국장)

신흥 (이용익 대표이사)

서영길 (광산학과 53입)

일중장학재단 (송윤영 이사장)

금곡장학회 (이수상 이사장)

덕원장학회 (이헌경 이사장)

강현구 (건축학과 교수)

김명환 (조선해양공학과 75입)

김영수 (법과대학 60입)

김영운 (재료공학부 교수)

서강문 (동물병원 원장)

서동규 (경영학과 84입)

송희영 (영어영문학과 74입)

이근무 (사회학과 56입)

이재호 (경영학과 84입)

주식회사 KTampG 남서울본부 (박정욱 본부장)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박기용 이사장)

가송재단 (윤도준 이사장)

강스템바이오텍 (강경선 대표이사)

유한회사 본음인베스트먼트

이진경 (전국낙지자랑 대표)

주리아 (치과대학 04입)

한승장학회 (이재영 이사장)

키움증권 (권용원 대표이사)

협성문화재단 (박석귀 이사장)

윤상혁 (디자인학부 03입)

GS칼텍스 (허동수 대표이사 회장)

권규돈 (중어중문학과 13입 권기범의 부)

김경준 (농경제학과 82입)

김용팔 (수의과대학 75입)

김재홍 (수의학과 교수)

김진태 (법학과 71입)

문대원 (경영학과 71입)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오근택 대표이사)

박세창 (수의학과 교수)

산학협동재단 (한덕수 이사장)

선암장학재단 (윤호철 이사장)

성제경 (수의학과 교수)

송재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우광덕 (치과대학 64입)

유기윤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유한상 (수의학과 교수)

윤여성 (수의학과 교수)

윤정희 (수의학과대학 부학장)

윤화영 (수의학과 교수)

이건목원리한방병원 (이건목 원장)

이소영 (수의학과 교수)

이항 (수의학과 교수)

이희근 (공과대학 명예교수)

조무제 (법학과 65입)

조성범 (수의학과 교수)

조제열 (수의학과 교수)

중앙백신연구소 (윤인중 대표이사)

지티앤티 (이세한 대표이사)

채찬희 (수의학과 교수)

태평소금 (손일선 회장)

한호재 (수의학과 교수)

해마루 (김현욱 원장)

황인구 (수의학과 교수)

조선에듀케이션 (방정오 대표이사)

강진영 (의학과 69입)

김정기 (법학과 75입)

박달이 (간호대학 74입)

박재완

사회복지법인 건아재단 (심철환 이사장)

손정식 (제약학과 73입)

윤재석 (화학교육과 71입)

이도환 (치의학과 86입)

이동식 (영어교육과 72입)

홍기택 (경영학과 74입)

KT (황창규 대표이사 회장)

LG PC 유지보수센터 (박무광 대표이사)

광주시민장학회 (박기준 이사장)

박영임 (간호학과 73입)

사명희치과 (사명희 원장)

연당장학회 (남욱 회장)

우정장학문화재단 (강백영 이사장)

제노에너지 (김성철 대표이사)

신우호 (화학교육과 87입)

이병욱 (조경학과 81입)

정혜선 (간호학과 82입)

허종필 (공업화학과 73입)

권길주 (조선해양공학과 11입 정지원의 모)

권혜숙 (약학과 82입)

김미영 (간호학과 98입)

김범진 (턱교정학고급연수과정 6기)

김성열 (교육학과 75입)

김우진 (국악과 73입)

녹십자수의약품 (김승목 대표이사)

덕영재단 (전헬리시아 이사장)

류제하 (기계공학과 78입)

문수자동판매기 (김영식 대표)

민기복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민동홍 (독어독문학과 77입)

박종철 (물리학과 61입)

설재연 (심리학과 82입)

송은도 (국악과 01입)

유차영 (ASP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 12기)

신우개발 서울지점 (김익환 사장)

신하순 (동양화과 교수)

안석준 (치의과대학원 부원장

안휘준 (인문대학 명예교수)

양민영 (협동과정 미술교육전공 94입)

양형식 (자원공학과 75입)

옥복연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07입)

우경미 (치의학대학원 교수)

우성공원묘원 (허정산 대표)

우성원 (미학과 95입)

월악장학문화재단 (남기영 이사장)

유건선 (토목공학과 73입)

유흥수 (법학과 58입)

윤희정 (수의학과 교수)

이대혁 (자원공학과 87입)

이병천 (수의학과 교수)

이상돈 (에너지자원공학과 84입)

이승주 (치의학과 92입)

이시우 (의예과 95입)

이용규 (경영학과 84입)

이정인 (공과대학 명예교수)

이희석 (농생물과 57입)

임종후 (서양화과 12입 임지윤의 부)

임한조 (물리학과 67입)

전석원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정소걸 (자원공학과 71입)

정지훈 (치의학과 교수)

조경란 (법학과 79입)

조기웅 (화학과 66입)

조현욱 (사법학과 83입)

최명애 (회화과 70입)

최정욱 (경영학과 84입)

최종길 (법과대학 83입)

하종철 (동양화과 13입 하문원의 부)

한공창 (자원공학과 72입)

한국지하수지열협회 (안근묵 회장)

허형무 (경영대학 68입)

미주재단

Steve Ro (토목공학과 61입)

Soung Kim (임학과 56입)

Joong M Soh (공과대학 64입)

John Baek (금속공학 49입)

Hyunchan Lee (치과대학 70입)

Steve amp Cheryl Shapiro

Kwang S Hong (공과대학 60입)

Moon H Kim (공과대학 68입)

David Cho (공과대학 60입)

Dong Ku Chung (기계공학과 57입)

Sang Dae Lee (농업생명과학대학 80입)

Young D Kim (공과대학 67입)

AMP 78기 일동

삼성복지재단 (이수빈 이사장)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한국세포주연구재단

SK하이닉스 (박성욱 대표이사 사장)

패션그룹형지 (최병오 회장)

한국수력원자력 (조석 사장)

형애장학회 (최효종 이사장)

송원김영환장학재단 (김해련 이사장)

사회복지법인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이기수 이사장)

SECMCA

TOYOTA MOTOR CORP

(요시다 아키히사 대표이사 사장)

권욱현 (공과대학 명예교수)

네이버 (김상헌 대표이사)

부경양돈협동조합 (박재민 조합장)

안인희

전국경제인연합회 (허창수 회장)

현송교육문화재단 (김정일 이사장)

롯데장학재단 (신영자 이사장)

일주학술문화재단 (이선애 이사장)

현대차 정몽구 재단 (유영학 이사장)

박미혜 (성악과 교수)

LG연암문화재단 (구자경 이사장)

KeyGene (Arjen van Tunnen CEO)

아산사회복지재단 (정몽준 이사장)

천만장학회 (이광현 이사장)

방일영문화재단 (조연흥 이사장)

AMP 77기 일동

신라문화장학재단 (박준형 이사장)

SBS문화재단 (윤세영 이사장)

김만극 (약학과 47입)

아이바이오 (김기일 대표이사)

현대엔지니어링 (김위철 대표이사)

종근당고촌재단 (김두현 이사장)

정수장학회 (김삼천 이사장)

Kensary LLP

앨트웰민초장학재단 (김박 이사장)

한국동서발전 (장주옥 사장)

한화갤러리아 (박세훈 대표이사)

한화생명보험 (차남규 대표이사 사장)

한화손해보험 (박윤식 대표이사)

한화첨단소재 (김창범 대표이사)

한화투자증권 (주진형 대표이사 사장)

KEILCO(KEPCO ILJAN CORPORATION)

연강재단 (박용현 이사장)

창강재단 (안병표 이사장)

경기도 인재개발원 (박익수 원장)

대림수암장학문화재단 (변형윤 이사장)

청합장학회 (여상길 회장)

한빛종합동물병원 (임정식 원장)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716900000

364863690

317560000

250000000

220000000

200000000

200000000

150000000

142103500

140000000

139583000

13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98538000

89942000

82426000

70000000

67509000

67500000

62989000

59929000

59208000

53720000

51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44302000

42076000

40918000

40273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39677688

39035000

37244000

37068000

34780000

31047000

31000000

30300600

박종오 (영어영문학과 55입)

이상복 (ABKI문헌지식정보최고위과정 5기)

이상억 (인문대학 명예교수)

한화 (심경섭 대표이사)

한화건설 (김현중 부회장)

한화자산운용 (강신우 대표이사)

한화케미칼 (방한홍 대표이사)

한화호텔앤드리조트 (홍원기 대표이사)

오뚜기재단 (함태호 이사장)

유한재단 (이필상 이사장)

영원무역 (성기학 대표이사 회장)

서울대합창단동문회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전병원 이사장)

국가정책과정(ACAD) 77기 일동

배영수 (서양사학과 교수)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최윤 회장)

몬산토코리아유한회사

(벤자민 마크 후드리스 대표이사)

성련장학재단 (허연금 이사장)

고광우 (행정학과 53입)

김철수 (법과대학 명예교수)

대한적십자사 (유중근 총재)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성기학 이사장)

임현진 (사회과학대학 명예교수)

장문영 (화학과 59입)

재단법인 양영재단 (김상하 이사장)

조유근 (컴퓨터공학부 교수)

두을장학재단 (이인희 이사장)

과천시애향장학회 (신학수 이사장)

서울장학재단 (이경희 이사장)

왕한석 (인류학과 교수)

포니정장학재단 (정몽규 이사장)

조용준 (법학과 79입)

농어촌희망재단 (김달웅 이사장)

경동송천재단 (류덕희 이사장)

농생대 환경재료과학 교수일동

주식회사 천랩 (천종식 대표이사)

돈암장학회 (이용배 이사장)

인선문화재단 (박선영 이사장)

단암장학재단 (이봉서 이사장)

치과대학 치의학대학원 동창회

흥한재단 (박병석 이사장)

선화예술문화재단 (심재혁 대표)

한국미즈노 주식회사 (김창범 대표이사)

곽노섭 (수학과 49입)

19대 인문대 학장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김은선 (디자인학부 13입 조은지의 모)

서광훈 (약학대학 67입)

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ASP) 27기 동문

송재용 (경영학과 교수)

수도씨에이씨 (송명호 대표이사)

신한화구 (한봉근 대표)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28436000

27942000

26000000

24210000

24041200

23994234

22500000

20724000

20500000

20274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18779000

17973600

17934000

17600000

17050000

17000000

165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4000000

14000000

13500000

12000000

12000000

11602000

11102610

10281624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이앤티 (고영호 대표이사)

재단법인 정민 (윤석헌 이사장)

제11기 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천병년 (약학과 77입)

최민철 (농공학과 75입)

현대하이스코 (신성재 대표이사)

황효진 (동양사학과 78입)

대한사료주식회사 (이상민 대표이사)

해성문화재단 (단재완 이사장)

한국가스공사 (장석효 사장)

장석윤 (약학과 79입)

한국석유공사 (서문규 사장)

종로구장학회 (최현종 이사장)

동부문화재단 (강경식 이사장)

인촌기념회 (이용훈 이사장)

용옥장학문화재단 (양철우 이사장)

미래의동반자재단 (Jeffrey D Jones 이사장)

성옥문화재단 (이화일 이사장)

다래파크텍 (김호정 대표이사)

미래인재육성재단 (최양식 이사장)

고화장학회 (배명인 이사장)

한국애질런트테크놀로지스 (박시영 대표)

이재원 (중앙도서관 정보관리과)

리브로 (김경수 대표이사)

오운문화재단 (이동찬 이사장)

조비경농장학재단 (이병만 이사장)

오스템임플란트 (최규옥 대표이사)

한국섬유산업연합회장학재단 (노희찬 이사장)

아카넷 (김정호 사장)

삼송장학회 (김영기 이사장)

서지희 (IFP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11기)

김지호

서울상공회의소 관악구상공회 (김진철 회장)

송파재단 (윤원영 이사장)

김영윤 (토목공학과 62입)

로보로보 (장창남 대표이사)

류판동 (수의과대학장)

모르페우스 (김진수 대표이사)

박윤서 (고고인류학과 69입)

박찬국 (철학과 교수)

송인석 (치의학과 01입)

시그나사회공헌재단 (홍봉성 이사장)

신남식 (수의학과 교수)

약학대학 40회 동기회

와이비엠 (민선식 대표이사)

이필상 (경제학부 교수)

한국경제연구원 (권태신 원장)

황만순 (제약학과 90입)

운경재단 (배성동 이사장)

제봉민병욱장학재단

심명문화재단 (이경재 이사장)

홍산장학재단 (천영주 이사장)

홍수현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9730000

9528000

9140000

9000000

9000000

8690000

8525000

8525000

8178000

8112000

7963000

7928068

7713000

7500000

7000000

6950000

6919590

6058000

6010000

6000000

6000000

5700000

5400000

5357143

5100000

5100000

5089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4934000

4734000

4527000

4500000

4462280

4000000

4000000

4000000

3956000

3862000

3600000

3500000

3029000

3029000

3005000

3005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2706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467000

2467000

22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1865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5145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431445

1221251

1210000

108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단위 $

100000

10000

5000

3000

500

500

200

200

100

100

100

100

20140601 ~ 20140831 약정 단위 원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약정DONATION

39 38

김형렬 (윤리교육과 교수)

이정진 (기계항공공학부 95입)

신흥 (이용익 대표이사)

이창우 (경영학과 교수)

서영길 (광산학과 53입)

일중장학재단 (송윤영 이사장)

금곡장학회 (이수상 이사장)

덕원장학회 (이헌경 이사장)

강현구 (건축학과 교수)

김명환 (조선해양공학과 75입)

김영수 (법과대학 60입)

김영운 (재료공학부 교수)

김종원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김진학 (도시환경최고전문가과정 29기)

박훈 (기계공학과 63입)

서강문 (동물병원 원장)

서동규 (경영학과 84입)

송재홍 (농화학과 83입)

송희영 (영어영문학과 74입)

신남식 (수의학과 교수)

이규선 (조경middot지역시스템공학부 13입 이성용의 부)

이봉호 (치의예과 84입)

이재호 (경영학과 84입)

전병롱 (정책학과 10입 전상우의 부)

전호석 (기계설계학과 71입)

주식회사 KTampG 남서울본부 (박정욱 본부장)

최황 (의과대학 명예교수)

황철성 (재료공학부 교수)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박기용 이사장)

가송재단 (윤도준 이사장)

강스템바이오텍 (강경선 대표이사)

오이코스 (배장영 대표이사)

유한회사 본음인베스트먼트

이진경 (전국낙지자랑 대표)

한승장학회 (이재영 이사장)

윤용혁 (독어교육과 60입)

키움증권 (권용원 대표이사)

협성문화재단 (박석귀 이사장)

이강이 (아동가족학과 교수)

윤상혁 (디자인학부 03입)

윤화영 (수의학과 교수)

GS칼텍스 (허동수 대표이사 회장)

권규돈 (중어중문학과 13입 권기범의 부)

김경준 (농경제학과 82입)

김용팔 (수의과대학 75입)

김재홍 (수의학과 교수)

김진태 (법학과 71입)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이재술 대표이사)

문대원 (경영학과 71입)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오근택 대표이사)

박세창 (수의학과 교수)

산학협동재단 (한덕수 이사장)

선암장학재단 (윤호철 이사장)

성제경 (수의학과 교수)

송재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우광덕 (치과대학 64입)

유기윤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유한상 (수의학과 교수)

윤여성 (수의학과 교수)

윤정희 (수의학과 교수)

이건목원리한방병원 (이건목 원장)

이동진 (교무처 학사과)

이소영 (수의학과 교수)

이인숙 (간호대학 교수)

이항 (수의학과 교수)

이희근 (공과대학 명예교수)

조무제 (법학과 65입)

조성범 (수의학과 교수)

조제열 (수의학과 교수)

주식회사 오공 (김윤정 대표이사)

중앙백신연구소 (윤인중 대표이사)

지티앤티 (이세한 대표이사)

채찬희 (수의학과 교수)

태평소금 (손일선 회장)

한호재 (수의학과 교수)

해마루 (김현욱 원장)

황인구 (수의학과 교수)

조선에듀케이션 (방정오 대표이사)

사회복지법인 건아재단 (심철환 이사장)

KT (황창규 대표이사 회장)

광림교회 (김정석 담임목사)

광주시민장학회 (박기준 이사장)

김기원 (AIP최고산업전략과정 38기)

김상은 (융합과학부 교수)

김혜원 (간호학과 교수)

박종근 (전기공학과 교수)

서병태 (의학과 54입)

송경희 (국악과 59입)

연당장학회 (남욱 회장)

오유경 (약학대학 부학장)

우정장학문화재단 (강백영 이사장)

임현주 (약학과 82입)

전상직 (작곡과 교수)

주리아 (치과대학 04입)

한국마쯔다니 (유태균 대표이사)

홍영표 (GLP글로벌리더십과정 21기)

신우호 (화학교육과 87입)

류판동 (수의과대학장)

이병욱 (조경학과 81입)

김용백 (수의학과 교수)

김종암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정혜선 (간호학과 82입)

강부현 (수의학과 72입)

권길주 (조선해양공학과 11입 정지원의 모)

권혜숙 (약학과 82입)

김경대 (치의학과 82입)

김미영 (간호학과 98입)

김범진 (턱교정학고급연수과정 6기)

김성열 (교육학과 75입)

김종흔 (경영대학 92입)

김현산 (법과대학 54입)

녹십자수의약품 (김승목 대표이사)

덕영재단 (전헬리시아 이사장)

문수자동판매기 (김영식 대표)

민기복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민동홍 (독어독문학과 77입)

박병익 (지리교육과 교수)

박종철 (물리학과 61입)

설재연 (심리학과 82입)

송은도 (국악과 01입)

유차영 (ASP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 12기)

신우개발 서울지점 (김익환 사장)

신하순 (동양화과 교수)

안석준 (치의과대학원 부원장

안휘준 (인문대학 명예교수)

양민영 (협동과정 미술교육전공 94입)

양형식 (자원공학과 75입)

옥복연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07입)

우경미 (치의학대학원 교수)

우성공원묘원 (허정산 대표)

우성원 (미학과 95입)

월악장학문화재단 (남기영 이사장)

유건선 (토목공학과 73입)

유흥수 (법학과 58입)

윤희정 (수의학과 교수)

이기윤 (정치학과 88입)

이대혁 (자원공학과 87입)

이병천 (수의학과 교수)

이상돈 (에너지자원공학과 84입)

이승주 (치의학과 92입)

이시우 (의예과 95입)

이은수 (서울대운동용품 대표)

이정인 (공과대학 명예교수)

임종후 (서양화과 12입 임지윤의 부)

정소걸 (자원공학과 71입)

정지훈 (치의학과 교수)

조경란 (법학과 79입)

조기웅 (화학과 66입)

조현욱 (사법학과 83입)

최명애 (회화과 70입)

최정욱 (경영학과 84입)

최종길 (법과대학 83입)

최해영 (경영대학 행정실)

하종철 (동양화과 13입 하문원의 부)

한공창 (자원공학과 72입)

한국지하수지열협회 (안근묵 회장)

허형무 (경영대학 68입)

미주재단

Steve Ro (토목공학과 61입)

Soung Kim (임학과 56입)

Joong M Soh (공과대학 64입)

John Baek (금속공학 49입)

Hyunchan Lee (치과대학 70입)

Steve amp Cheryl Shapiro

Kwang S Hong (공과대학 60입)

Moon H Kim (공과대학 68입)

David Cho (공과대학 60입)

Dong Ku Chung (기계공학과 57입)

Sang Dae Lee (농업생명과학대학 80입)

Young D Kim (공과대학 67입)

서울대학교병원 (오병희 병원장)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이철희 병원장)

SK가스 (최창원 부회장)

AMP 78기 일동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윤강섭 병원장)

삼성전자 (권오현 대표이사 부회장)

SK하이닉스 (박성욱 대표이사 사장)

삼성복지재단 (이수빈 이사장)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한국세포주연구재단

하나제약 (조경일 회장)

코스맥스 (이경수 대표이사 회장)

패션그룹형지 (최병오 회장)

서울대학교총동창회 (서정화 회장)

한국수력원자력 (조석 사장)

형애장학회 (최효종 이사장)

송원김영환장학재단 (김해련 이사장)

사회복지법인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이기수 이사장)

TOYOTA MOTOR CORP

(요시다 아키히사 대표이사 사장)

권욱현 (공과대학 명예교수)

네이버 (김상헌 대표이사)

현송교육문화재단 (김정일 이사장)

롯데장학재단 (신영자 이사장)

일주학술문화재단 (이선애 이사장)

현대차 정몽구 재단 (유영학 이사장)

LG연암문화재단 (구자경 이사장)

SECMCA

아산사회복지재단 (정몽준 이사장)

천만장학회 (이광현 이사장)

방일영문화재단 (조연흥 이사장)

AMP 77기 일동

신라문화장학재단 (박준형 이사장)

KRX국민행복재단 (최경수 이사장)

SBS문화재단 (윤세영 이사장)

김만극 (약학과 47입)

농우바이오 (정용동 유연희 대표이사)

안인희

전국경제인연합회 (허창수 회장)

정윤환 (임학과 56입)

현대엔지니어링 (김위철 대표이사)

세진에프알에스 라쿠치나 서울대점 (장재훈 대표이사)

재단법인 웅진 (신현웅 이사장)

종근당고촌재단 (김두현 이사장)

정수장학회 (김삼천 이사장)

Kensary LLP

앨트웰민초장학재단 (김박 이사장)

주중광 허지영 (약학대학 60입 화학과 66입)

한국동서발전 (장주옥 사장)

한화갤러리아 (박세훈 대표이사)

한화생명보험 (차남규 대표이사 사장)

한화손해보험 (박윤식 대표이사)

한화첨단소재 (김창범 대표이사)

한화투자증권 (주진형 대표이사 사장)

KEILCO(KEPCO ILJAN CORPORATION)

연강재단 (박용현 이사장)

창강재단 (안병표 이사장)

경기도 인재개발원 (박익수 원장)

대림수암장학문화재단 (변형윤 이사장)

이상억 (인문대학 명예교수)

1432968520

1147748270

1000000000

716900000

615220390

600000000

560000000

364863690

317560000

250000000

220000000

210000000

200000000

200000000

166000000

150000000

142103500

140000000

139583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98538000

89942000

82426000

67509000

66598412

62989000

59929000

59208000

53720000

51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49800000

46522180

44302000

42076000

40918000

40273000

40204972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39677688

39035000

37244000

37068000

34780000

31800000

청합장학회 (여상길 회장)

한빛종합동물병원 (임정식 원장)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두산 (박용만 대표이사 회장)

송미순 (간호학과 교수)

이상복 (ABKI문헌지식정보최고위과정 5기)

한화 (심경섭 대표이사)

한화건설 (김현중 부회장)

한화자산운용 (강신우 대표이사)

한화케미칼 (방한홍 대표이사)

한화호텔앤드리조트 (홍원기 대표이사)

오뚜기재단 (함태호 이사장)

재단법인 최혁영 장학회 (최혁영 회장)

유한재단 (이필상 이사장)

영원무역 (성기학 대표이사 회장)

부경양돈협동조합 (박재민 조합장)

져스텍 (김용일 대표이사)

서울대합창단동문회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전병원 이사장)

국가정책과정(ACAD) 77기 일동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최윤 회장)

몬산토코리아유한회사

(벤자민 마크 후드리스 대표이사)

성련장학재단 (허연금 이사장)

고광우 (행정학과 53입)

대한적십자사 (유중근 총재)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성기학 이사장)

임현진 (사회학과 교수)

재단법인 양영재단 (김상하 이사장)

조유근 (컴퓨터공학부 교수)

두을장학재단 (이인희 이사장)

과천시애향장학회 (신학수 이사장)

서울장학재단 (이경희 이사장)

왕한석 (인류학과 교수)

포니정장학재단 (정몽규 이사장)

조용준 (법학과 79입)

농어촌희망재단 (김달웅 이사장)

경동송천재단 (류덕희 이사장)

김신원 (응용화학과 64입)

농생대 환경재료과학 교수일동

주식회사 천랩 (천종식 대표이사)

돈암장학회 (이용배 이사장)

인선문화재단 (박선영 이사장)

단암장학재단 (이봉서 이사장)

치과대학 치의학대학원 동창회

흥한재단 (박병석 이사장)

선화예술문화재단 (심재혁 대표)

한국미즈노 주식회사 (김창범 대표이사)

곽노섭 (수학과 49입)

19대 인문대 학장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김은선 (디자인학부 13입 조은지의 모)

바텍 (노창준 대표이사)

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ASP) 27기 동문

수도씨에이씨 (송명호 대표이사)

신한화구 (한봉근 대표)

이앤티 (고영호 대표이사)

장문영 (화학과 59입)

제11기 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조경일 (약학대학 64입)

주식회사 명진팜 (권기진 대표이사)

31047000

31000000

303006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28436000

28081000

27942000

26000000

25000366

25000000

24210000

24041200

23994234

20724000

20500000

20274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18779000

17973600

17934000

17600000

17050000

17000000

165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4000000

14000000

13500000

12000000

12000000

11602000

11102610

10281624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천병년 (약학과 77입)

최민철 (농공학과 75입)

현대하이스코 (신성재 대표이사)

황효진 (동양사학과 78입)

대한사료주식회사 (이상민 대표이사)

해성문화재단 (단재완 이사장)

한국가스공사 (장석효 사장)

김춘길 (화학생물공학부 58입)

애드미션 (김유탁 대표이사)

종로구장학회 (최현종 이사장)

동부문화재단 (강경식 이사장)

인촌기념회 (이용훈 이사장)

용옥장학문화재단 (양철우 이사장)

미래의동반자재단 (Jeffrey D Jones 이사장)

김영윤 (토목공학과 62입)

성옥문화재단 (이화일 이사장)

다래파크텍 (김호정 대표이사)

미래인재육성재단 (최양식 이사장)

고화장학회 (배명인 이사장)

이재원 (중앙도서관 정보관리과)

리브로 (김경수 대표이사)

오운문화재단 (이동찬 이사장)

조비경농장학재단 (이병만 이사장)

박지향 (중앙도서관장)

오스템임플란트 (최규옥 대표이사)

한국섬유산업연합회장학재단 (노희찬 이사장)

한옥희 (화학과 79입)

아카넷 (김정호 사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정기택 원장)

삼송장학회 (김영기 이사장)

서지희 (IFP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11기)

김지호

서울상공회의소 관악구상공회 (김진철 회장)

박찬국 (철학과 교수)

송파재단 (윤원영 이사장)

김재길 (법학과 56입)

로보로보 (장창남 대표이사)

모르페우스 (김진수 대표이사)

박성경 정성창 (치의학과 96입)

박윤서 (고고인류학과 69입)

서용석 (상학과 46입) 정재원

송인석 (치의학과 01입)

송재용 (경영학과 교수)

시그나사회공헌재단 (홍봉성 이사장)

약학대학 40회 동기회

와이비엠 (민선식 대표이사)

이필상 (경제학부 교수)

한국경제연구원 (권태신 원장)

황만순 (제약학과 90입)

운경재단 (배성동 이사장)

제봉민병욱장학재단

심명문화재단 (이경재 이사장)

홍산장학재단 (천영주 이사장)

홍수현

박미혜 (성악과 교수)

박영아 (물리학과 79입)

최동하 (농경제학과 71입)

춘강문화장학재단 (박성형 이사장)

허성도 (인문대학 명예교수)

형남진장학재단 (이정희 이사장)

강남구청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9730000

9528000

9140000

9000000

9000000

8690000

8525000

8525000

8178000

8112000

8000000

7963000

7928068

7713000

7500000

6950000

6919590

6058000

6010000

6000000

6000000

6000000

6000000

5700000

5556000

5400000

5357143

5100000

5100000

5090000

5089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4934000

4734000

4527000

4500000

446228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3956000

3862000

3750000

3500000

3120000

3029000

3029000

3005000

3005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2706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467000

2467000

2467000

2400000

2230000

215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1865000

1800000

15145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431445

1300000

1275251

1260000

1200000

106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단위 $

100000

10000

5000

3000

500

500

200

200

100

100

100

100

단위 원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20140601 ~ 20140831 출연

출연DONATION

40

서울대학교는 기부금을 출연한 후원인에게 더욱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국내 최고 수준의 의

료서비스를 자랑하는 서울대학교병원 이용 예우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으며 서울대학교병원 후원인

라운지에 상주하는 전담 직원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후원자 중 추가 진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본원 또는 분당 서울대학교병원과의 즉각

적인 연계가 가능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 본원 조윤지 | Tel 02-2272-2750 E-mail sosunolovesnuackr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강수정 | Tel 031-787-1915 E-mail c8541snubhorg

(재)서울대학교발전기금 김종희 | Tel 02-871-1633 E-mail p2727snuackr

bull병원 예우 담당자

bull서울대학교병원 예우 서비스 이용 안내

예약대행 서비스 | 진료 및 입원 예약 대행 병원 측과 협의 후 예약일자 결정

의전 서비스 | 진료middot입원middot응급실 이용 편의를 위해 예우 담당자가 직접 안내

종합건강검진 주선 서비스(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bull서울대학교병원 예우 서비스 내용

지원 자격 활동 기간

bull경제적 지원이 필요한 학생

(건강보험료 기준) 우선 선발

bull성적 45만점 환산 30 이상

lsquo 새싹 멘토링rsquo은 빈곤의 대물림을 막기 위한 자선 봉사활동으로

전국 국공립대학의 우수한 학생이 저소득층 중middot고등학생의

학습을 도우며 장학금을 받는 프로그램입니다

bull최소 6개월~12개월

bull활동 실적에 따라 졸업 시까지

연차적으로 기회 부여

새싹멘토링의

멘토가

되어주세요

bull전화 02-880-1593(새싹 멘토링 서울대학교 본부) bull팩스 02-780-2647(미래국제재단 여의도 본사)

bull이메일 mifsnuhanmailnet 새싹 멘토링 지원 방법 문의 시 상세히 안내해드립니다

서울대학교와 미래국제재단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봉사활동에 학생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다립니다

기부인의 따뜻한 마음에

다양한 혜택의 예우 서비스로

보답합니다

출연 기금 진료예약 의전 서비스 종합건강검진 주선

50억 이상 평생 평생 연 1회(평생 프리미엄 검진)

10억 이상 평생 10년 연 1회(평생)

5억 이상

1억 원당 1년(기한)

5년

1억 원당 연 1회(기한)3억 이상 3년

1억 이상 1년

서울대학교병원 본원 후원인 전담 직원이 진료 예약 및 의전 서비스까지 친절하게 안내해 드립니다

문의처 병원 후원인 라운지(본관 3층) 또는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후원인 전담 직원이 진료 예약 및 의전 서비스까지 친절하게 안내해 드립니다

문의처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또는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강남센터와의 즉각적인 연계를 통해 강남센터 상담 직원이 후원자 여러분께 상담 전화를 드립니다

문의처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기부인 예우 프로그램DONATION

SeoulNational University

151-742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1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

T 02-880-5114 F 02-885-5272wwwsnuackr

C o v e r S t o r y

과학자의 공식

좋은 연구를 하겠다는 신념으로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걸어온 사람

miRNA 분야의 세계적인 개척자 김빛내리 교수다

그녀는 노벨상 수상에 가장 근접한 국내 과학자로 꼽힌다

도전과 실패 인내를 거듭하며 세계적인 과학자 반열에 오르기까지

그녀의 행보를 통해 성공과 신뢰 만족을 얻는 인생 공식을 알아본다

Page 3: SNU Magazine Vol. 38 › new › wp-content › uploads › 2015 › 12 › snu_people... · 2016-01-30 · 우수 연구자 시리즈 10 유상렬 농생명공학부 교수 06 선배와의

3 2

COVER STORY 도전 + 인내 = 성공

DNA 만큼 중요한 RNA

크기가 워낙 작아 오랫동안 그 존재를 감추고 있

던 물질 lsquomiRNA(마이크로 RNA)rsquo 20여 년 전

처음 발견된 후에도 miRNA의 기능에 대해 밝

혀진 것이 거의 없었다 적어도 김빛내리 교수가

연구를 시작하기 전에는 말이다

miRNA는 난치성 유전병 줄기세포와 암세포

의 형성 노화 등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는 의

학적으로 아주 가치 있는 물질이다 ldquoDNA가 유

전 정보를 담고 있는 저장고라면 유전 정보를 활

용하는 데 필요한 물질이 RNA라고 보면 돼요

화학적으로 DNA와 RNA가 굉장히 유사한데

DNA의 정보를 카피해 단백질을 만든다든가

세포 기능을 조정하는 등의 역할을 담당하죠rdquo

miRNA 연구 그룹이 세계적으로 몇 되지 않았

던 2001년 그녀는 과감히 이 길을 선택했다 ldquo연

구가 성공하리란 보장이 없어 불안했던 건 맞아

요 같이 일하는 학생들의 장래가 있으니까 실패

에 대한 부담이 있었죠rdquo 불안과 부담은 모든 과

학자의 숙명 아닐까 김 교수는 도전과 인내의

시간 끝에 세계적인 과학자 반열에 올랐다 지난

4월 미국 국립과학원(NAS)은 외국인 회원에 그

녀를 선출했다 국내 회원으로는 네 번째 노벨

상 수상자들과 다수의 해외 저명 과학자들로부

터 추천을 받았기에 그 의미가 더욱 깊다

용기 x 책임감 = 신뢰

과학계를 들썩인 두 개의 논문

2011년 김빛내리 교수는 이름난 학술지

ltMolecular Cell(몰리큘러 셀)gt에 게재했던 논

문을 스스로 철회했다 ldquo처음 논문에 어떤 상황

에서 특정 miRNA가 분해된다고 발표했는데

후속 연구에서 조건에 따라 RNA 추출 효율이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됐어요 수십 년간 일반적

으로 이용해온 추출 방법에 문제가 있었던 거죠

논문의 데이터상으로는 재현성이 있었지만 전

제가 틀렸던 거예요rdquo 그대로 두면 결과가 계속

인용middot참고될 것을 우려한 김 교수는 기존 논문

을 철회하는 동시에 기술적인 문제를 설명하고

그 원리를 밝힌 새로운 논문을 발표했다

부정의 연구 사례가 아니더라도 성과가 중요시

되는 과학계에서 논문 철회는 쉽지 않은 일이다

그럼에도 그녀는 선택했고 선례를 남겼다 동

료 과학자들은 여전히 반복되는 논문 조작 행

태에 경종을 울리는 일이라며 그녀의 용기를 높

이 평가한다 ldquo뜻밖에도 이후에 오히려 논문 내

기가 수월해졌어요 제 연구에 대한 신뢰도가

올라간 것 같아요 신용이 과학 분야에서 굉장

히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배운 셈이죠rdquo

자신감 divide 불안 = 만족

불안할수록 자신을 믿어라

갈수록 선뜻 과학자가 되겠다는 학생들이 많지

않다 ldquo연구자라는 게 항상 불확실성 속에서 새

로운 걸 찾아야 하고 연구직의 경우 안정적인

직장을 구하기까지 긴 시간이 걸리잖아요 과정

이 쉽다고 할 수 없지만 좋아하는 분야라면 그

리고 자신을 조금 더 믿고 꾸준히 노력한다면

분명 좋은 결과가 있을 거라고 말하고 싶어요rdquo

스스로 선택한 길이 희미하게 보일 때 누구나

흔들리게 마련이다 단 한 번에 선명해질 것이

란 보장도 없다 하지만 자신을 믿고 걸어가다

보면 분명 길이 열리고 뚜렷해진다는 사실 이

중요한 법칙을 마음에 품고 꿋꿋이 걸어가는 이

가 얼마나 될까 어떤 연구를 하고 싶은지 묻는

말에 그녀는 lsquo좋은 연구rsquo를 하고 싶다고 대답했

다 그리곤 다시 질문이 돌아왔다 ldquo그런데 좋

은 연구란 무엇일까요rdquo 그녀가 지금까지 걸어

온 여정이 그 답을 말하고 있었다 세계적인 과

학자가 던진 이 원초적이고도 본질적인 질문이

야말로 모든 과학자와 이를 꿈꾸는 이들이 항

상 품어야 할 가장 기본적인 그러나 더없이 중

요한 lsquo공식rsquo이 아닐까

mini TALK

수평적인 연구실

김빛내리 교수의 연구실은

교수middot포스닥middot학생middot연구원들이

서로 존댓말을 쓰며 자유롭게

자기 의견을 말하고 토론하는 것을

권장한다 수평적인 관계에서

훨씬 좋은 연구 결과가 나온다고

믿기 때문이다

여성 과학자

결혼과 연구 생활이 병행할 수

있는가 묻는 수많은 여성 후배들에게

김 교수는 지레 걱정하지 말라고

한다 부모가 되는 건 어차피

힘든 일이고 모든 힘든 일은 부딪치면

견뎌낼 수 있기에 용감해질 것

김빛내리 생명과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미생물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영국 옥스포드대학교에서

생화학 박사학위를 취득

했으며 미국 펜실베니아대학교

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재직한 바 있다 miRNA에 대한

세계적인 개척자로 노벨상

수상에 가장 근접해 있는

국내 과학자로 꼽힌다

인생을 바꾸고 세상을 변화시키는 법칙이 있다

아주 간단하지만 그래서 가끔은 잊고 사는

사실 강력한 힘을 가진 인생의 공식들

과학자의 정석이라 불리는 김빛내리 생명과학부

교수의 행보를 통해 그 공식을 되짚어보자

copy기초과학연구원

과학자의

공식

5 4

4년을 위한 시작

총장과의 만남PEOPLE

원칙이 지배하는 정의로운 사회

서울대학교 제26대 총장 취임식이 관악캠퍼스

문화관 중강당에서 열렸다 취임식에는 전임 총

장 학장 및 원장 교수 직원 학생 동문 등 학

내외 구성원 500여 명이 참석해 성낙인 총장이

전하는 서울대학교의 비전에 귀를 기울였다

성 총장은 현재 우리나라가 처한 어려운 상황

에 대한 이야기로 취임사의 운을 띄웠다 ldquo우리

는 물질적ㆍ경제적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했지만

사회 구조적ㆍ정신적 위기는 여전히 우리의 발

목을 잡고 있습니다 산업화와 민주화 과정에

서 쌓여온 적폐들이 아직도 우리 주변을 떠돌고

있습니다rdquo 성 총장은 이러한 때일수록 낡은 인

식과 이념의 장벽을 벗어 던지고 새로운 패러다

임에 입각한 시대정신에 부응해야 한다고 전하

며 현재 우리 사회 전반에 흐르는 lsquo공동체적 가

치의 부재rsquo를 우려했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와

분위기 속에 그가 강조한 것은 바로 lsquo원칙이 지

배하는 정의로운 사회rsquo 성 총장은 어려움을 극

복하고 민주주의와 경제 발전을 이룩한 우리나

라의 역사를 되짚어보며 과거 서울대학교의 인

재들이 지혜와 용기로 조국의 나아갈 길을 밝힌

것처럼 정의로운 사회의 중심에 서울대학교가

있어야 할 것을 당부했다

SNU with People bull Pride bull World

과거부터 이어온 서울대학교의 기여에도 불구

하고 요즘 서울대학교를 바라보는 시선이 곱지

만은 않다 성 총장은 그 이유를 국민들이 바라

보는 서울대학교의 모습과 서울대학교가 처해

있는 상황의 괴리 때문이라 말했다 그는 서울

대학교를 다시금 lsquo국민이 사랑하는 학교(SNU

with People)rsquo lsquo구성원들의 자긍심을 지키는 학

교(SNU with Pride)rsquo lsquo세계 무대로 도약하는

학교(SNU with World)rsquo로 만들어 그 괴리를

좁혀가겠다는 총장의 책무를 다짐했다

성 총장이 가장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과제로

꼽은 것은 바로 법인 전환 이후 lsquo서울대학교의

좌표 확립rsquo이다 국내외 다른 대학을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서울대학교가 개척자적 자세로

창조적 모델로 서겠다는 확고한 시각이 필요하

다고 했다 이를 위한 정책 방향으로 먼저 lsquo대학

본연의 임무rsquo에 충실할 것을 제시했다 대학의

연구 행정과 운영 혁신을 통해 lsquo교육과 연구의

장rsquo인 서울대학교가 세계 학술 연구의 중심으로

자리하도록 기반을 확고히 하겠다는 것이다

지성과 공공성을 겸비한 선한 인재

성 총장은 인재 양성의 중요성도 잊지 않았다

ldquo이 시대가 요구하는 훌륭한 인재는 지성과 함

께 공공성으로 무장한 따뜻한 가슴을 지녀야

합니다 lsquo선(善)한 인재rsquo 정직하고 성실한 차세

대 지도자를 양성하기 위해 인성 교육을 강화하

겠습니다rdquo 라며 이를 위해 학부 교육 내실화에

최선을 다할 것을 약속했다 성 총장은 이외에

도 서울대학교가 명실상부한 세계 최고 수준의

명문대학으로 자리잡기 위해 계속 다져가야 할

다양한 교육middot연구 모델을 언급하며 이러한 변

화와 혁신은 구성원 모두가 소통과 화합을 통

해 한 마음으로 나아갈 때 가능하다고 적극적

인 협조를 부탁했다

취임사 마지막 부분의 말이 인상적이다 ldquo어느

날 우리 학교의 교목인 느티나무처럼 넉넉하

고 믿음직한 학문공동체의 그늘 아래서 사람들

은 말하게 될 것입니다 lsquo그때 거기에 서울대학

교가 있어서 지금 여기에 대한민국이 있는 것rsquo

이라고 말입니다rdquo 성 총장은 이미 알고 있는 것

같다 원칙과 철학 없이 이룬 성과는 반짝하는

좋은 이야깃거리는 될 수 있어도 영원히 남을

수 없다는 것을 흔들리지 않는 초심과 원칙으

로 작지만 가치 있는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의미

있는 변화를 하나 둘씩 이뤄가길 그래서 훗날

성낙인 총장이 있던 서울대학교가 많은 사람들

의 마음에 깊이 새겨지길 기대한다

성낙인 박사는 2011년 서울대학교가

국립대학법인 전환 이후 선출된 첫 총장이 됐다

8월 5일 막중한 책임감으로 서울대학교의 4년을

이끌어 갈 그의 취임식이 열렸다 단상에 오른

새로운 총장의 목소리가 강당 안에 힘차게 울렸다

서울대학교 제2 6 대 총장 취임

focus ON

lsquo선(善)한 인재rsquo

학문의 벽을 뛰어넘는 탈경계형

통합적 지성을 함양하고 자긍심과

책임감으로 봉사하는 인재

lsquo선(善)한 인재rsquo 양성을 위한 방향

학부 교육의 내실화

세계 시민으로서의 품성을 갖추고

인간성 회복과 인간 존엄성을

중시하는 교육 모델 창출

사회적 이동성 제고

다양한 잠재력 가진 소외 계층과

소외 지역의 인재를 적극 발굴하고

육성하는 입시ㆍ교육 제도 마련

7 6

우수 연구자 시리즈 10PEOPLE

위험한 식탁을 고발합니다

ldquo에서 식중독균이 검출됐습니다rdquo 매체에

서 어렵지 않게 들리는 식품 오염 사고 주스 한

잔에도 한 끼 식사에도 언제나 그 위험성은 존

재한다 우리의 식탁을 위협하는 식품 오염은

관리의 문제도 크지만 시간이 오래 걸리고 복

잡한 세균 검출 방법에도 그 원인이 있다 이러

한 기존 검출법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기술이 개

발됐다 유상렬 농생명공학부 교수가 바로 그

주축이다

유상렬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박테리오파지

(bacteriophage)를 이용해 살아있는 식중독균

을 검출하는 데 성공했다 기존 검출 방법보다

정확성을 높이고 시간도 단축했다 ldquo박테리오

파지는 자신이 숙주로 삼는 세균만을 감염해

사멸시키고 매우 빠르게 증식하는 바이러스입

니다 이러한 능력을 이용하면 식품 속 특정 식

중독균의 제어와 단시간 내 검출이 가능할 것

이라 생각해 연구를 시작했습니다rdquo 그가 개발

한 검출 방법의 핵심은 lsquo리포터 파지rsquo이다 식중

독균으로 잘 알려진 살모넬라균만을 감염하

는 박테리오파지를 선별한 후 발광하는 유전자

를 삽입해 빛을 내게끔 했다 이 리포터 파지가

식품 속 살아있는 식중독균을 감염하며 증식하

는데 이때 생물발광 유전자도 수 백배 증폭돼

강력한 빛을 내게 된다 빛의 정도를 측정함으

로써 균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이다

ldquo기존의 검출법은 검체 일부를 배양액에 넣고 증

균한 뒤 증식된 균의 생화학적인 특징을 조사

해 알아내는 방법이에요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

실용적이지 못하죠 또한 유전자를 증폭하는

PCR 방법은 검출속도는 빠르지만 살아있는

균과 죽은 균을 구분하지 못해요 식중독을 일

으킬 위해성이 없는 죽은 균도 검출하는 치명적

인 문제점이 있습니다rdquo 지난 10여 년간 파지 연

구에 매진해온 유 교수 꾸준히 쌓은 각종 노하

우는 이번 기술 개발의 단단한 밑거름이 됐다

미지의 영역을 연구합니다

하루에도 수많은 식품이 등장하는 요즘 점점

다양해지는 식품을 연구하는 데 어려움은 없을

까 ldquo식품생명공학은 물리middot화학middot생물middot공학middot

의약학 등 거의 모든 학문 분야가 접목되는 융

합 학문입니다 병원성 미생물을 신속하게 검출

하는 여러 방법이 개발됐지만 대부분 식품에는

적용할 수가 없어요 식품은 종류가 워낙 많아

서 이런 검출 방법을 어렵게 만드는 성분이 다양

하게 존재하기 때문이죠rdquo 그는 또한 식품에 관

한 잘못된 정보가 사회 전반에 퍼져있음을 우려

했다 ldquo우리 주변엔 식품에 대한 정확하지 않은

속설이 많아요 식품첨가물인 MSG가 대표적

이죠 대부분 해롭다고 생각하는데 MSG는 모

든 식품에 다 있는 성분이기도 하고 미생물 발

효를 통해 만들어 전혀 해롭지 않거든요 문제

는 어떻게 만들어진 것인지 모른 채 잘못된 정

보만 받아들이고 있다는 거예요rdquo 이에 유 교수

는 몇몇 교수들과 함께 lsquo식품안전연구원rsquo을 만

들어 안전한 먹거리에 대해 과학적으로 설명하

고자 한다 사회 전반에 퍼진 잘못된 식품 정보

를 바로 잡는 것이 목표다

생물학 분야의 눈부신 발전에도 불구하고 여

전히 우리가 알고 있는 생명 현상은 극히 일부

분이라고 한다 매번 예상을 빗겨가는 결과들

이 연구가 재미있는 이유이기도 하다는 유 교수

그는 마지막으로 이 분야를 연구하려는 학생들

에게 lsquo끈기rsquo를 가지라고 조언한다 ldquo지구상에는

1032개 이상의 어마어마한 파지가 존재합니다

이를 연구하려면 아무래도 끝장을 보겠다는 끈

기를 갖고 일을 해야 합니다 더불어 실험에 필

요한 최적의 대상을 고르는 안목이 필요한데

이것을 키우기 위해서는 새로운 지식에 대한 흥

미를 유지하면서 평생 공부해야죠rdquo 안전한 먹

거리를 지키고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연

구하는 것이 그의 몫이라면 이제 올바른 정보

를 받아들이는 건 우리의 몫이다

보이지 않는 영역

식품 속 미생물 연구

가시 한계를 넘어선 아주 작은 생물 때로는 유익하게

때로는 해롭게 보이지 않지만 모든 곳에 존재한다

식품 속 미생물을 연구하는 유상렬 교수가 식탁 위 공포를

잡아줄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mini TALK

안전한 파지(phage)

박테리오파지의 준말인 파지

우리가 자각하지 못할 뿐 사실

인류가 생존하며 먹어 온

음식에는 상당히 많은 종류의 파지가

존재한다 안전성은 이미 입증이

된 셈 최근에는 모유에도 파지가

들어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연구실 free talking국내를 넘어 세계와 경쟁해야

하는 분야인 만큼 영어 또한 아주

중요하다 유 교수의 연구실에서는

매주 한 번씩 일주일 동안 수행한

실험에 대해 영어로 발표하고

논의하는 시간을 갖는다

先흥미 後연구

유 교수는 대학원 첫 학기

신입생들에게 특정 과제를 주지

않는다 다양한 실험을 배우며

경험하게 하는데 그 중 재미있게

느낀 주제를 선택하도록 기회를 주는

것이다 흥미가 있어야 좋은 결과도

나온다는 것이 그의 연구 철학이다

유상렬 농생명공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식품공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매사추세츠대학교에서 식품미생물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올바른 지식을 전달하기 위해

활발하게 연구 중이다 최근 살아있는 식중독균만을

검출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9 8

진행 중인 연구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20여 년간 남극 과학기지에서 해양저서무척추동물의 생태를 연

구해 왔습니다 남극의 해양생태계는 종 다양성의 보고로서 지

구 전체 생태계에 일익을 담당하고 있어요 최근에는 기후변화에

대해서도 연구하고 있습니다 남극은 지구온난화가 빠르게 진행

되는 곳 중 하나로 특히 세종과학기지 근처의 빙하가 아주 빠르

게 무너지고 있어요 이런 변화가 주변 해양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남극 연구의 장점이 궁금합니다

남극에서 발견되는 것들은 굉장한 희소가치가 있습니다 연구하

는 방법론 자체는 평범하지만 대상이 평범하지 않기 때문에 좋은

저널에 연구 결과를 발표할 수도 있어요 남극에서만 발견되는

토착종이 굉장히 많아서 남들이 안 해본 연구를 하고 싶다면 좋

은 환경이죠 남극에서 생활하며 연구하고 일하는 것 자체는 매

우 힘들지만 열심히 노력해 극복할 수 있다면 아직도 개척할 수

있는 재료들이 무궁무진하답니다

선배와의 데이트PEOPLE

월동을 앞둔 소감 을 말씀해주세요

하계 연구대원으로 남극에 자주 가다 보니 두려움은 별로 없지

만 지금은 월동대장으로서 처음 파견되는 것이기에 책임의 무게

를 느낍니다 대원도 직접 뽑고 식량 준비도 하면서 본격적으로

안전 지침을 숙지하고 있어요

1년 동안 월동을 잘 수행하려면 어떤 점이 중요한지 알려주세요

단조롭고 폐쇄된 환경에서 오랜 기간 지내려면 lsquo개인rsquo lsquo임무rsquo lsquo관

계rsquo 이 세 가지 조화가 잘 이뤄져야 합니다 우선 개인이 육체적으

로 건강하고 행복감을 느껴야 자기 임무와 타인과의 관계에서

모두 성공할 수 있어요 지금까지 개인의 건강 행복은 자기 관리

의 측면으로 치부됐는데 조직에서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요즘 대원들과 함께 건강한 월동 생활을 위한

여가ㆍ운동 관련 콘텐츠를 만들고 있습니다 덧붙여 lsquo안전rsquo과 lsquo성

과rsquo도 중요합니다 기지의 모든 운영이 안전을 최우선적으로 고려

하며 진행돼야 하는 건 당연하고 국제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과학적인 성과도 창출한다면 더욱 좋겠죠

어떤 월동대장의 모습으로 기억되고 싶으신지 궁금합니다

23년 전에 처음 남극에 갔을 때 연구가 아닌 lsquo남극에 간 첫 여성rsquo

으로 언론의 주목을 받았어요 최초의 여성 월동대장이 아닌 lsquo세

종과학기지의 국제적 위상을 올리고 기지 운영을 업그레이드 한

월동대장rsquo으로 기억되길 바랍니다 또한 대원들이 월동을 하며 행

복과 보람을 느낄 수 있도록 만들고 싶어요 제가 하는 일이 대단

하다고 생각하실 수 있어요 하지만 이 일이 제게 주어졌고 저는

최선을 다할 뿐이라고 생각해요 그래도 마칠 때에는 lsquo안인영이

있어 다른 월동대와는 달랐다rsquo라는 말을 들으면 정말 좋겠네요

남극에서 돌아온 뒤의 계획에 대해 말씀해주세요

세종과학기지는 기후변화에 따라 해양생태계의 변화를 연구할

수 있는 최적의 장소입니다 지금의 연구를 확장해 우리나라가

주도하는 세종과학기지 기반의 국제공동연구 프로그램을 만들

고 싶습니다 남극에 다녀오면 환갑인데 90살까지 산다고 하면

월동은 제 인생 23의 방점을 찍는 지점이에요 삶의 새로운 단계

로 들어서며 무엇인가에 도전할 수 있다는 건 정말 축복인 것 같

아요 인생의 13은 배움의 시간이었고 23는 열심히 쟁취하는

시기였어요 마지막 3부에는 이제까지 과학자로서 쌓은 것들을

잘 마무리하고 베풀면서 남은 인생을 뜻깊게 정리하는 시간으로

보내고 싶습니다

ldquo대선배님을만나

기쁩니다최초

여성월동대장이

아닌월동대장

lsquo안인영rsquo으로

기억되길바랍니다rdquo

최창현 지구환경과학부

인공위성 지구물리연구실

석사 14학변

남극의

과학자

남극은 단순히 지구에서 가장 추운 곳이 아니다 전 지구에서 발생하는 자연현상의 부분적인

자궁이자 기후변화 문제 해결의 단초를 품고 있는 미지의 대륙이다

우리나라 여성으로는 처음 남극에 발을 디딘 안인영 생물학자가 제28차 남극 세종과학기지의

월동대장으로 임명됐다 월동대는 올해 11월 말 출국해 13개월간 남극에 머문다

그녀를 만나기 위해 최창현 김호상 학생이 인천 송도 극지연구소를 찾았다

ldquo선배님과의인터뷰를통해삶의가이드를얻은것

같습니다이런기회를주셔서감사합니다rdquo

김호상 지구환경과학부 11학번

안인영 대한민국 남극 세종과학기지 제28차 월동연구대장

서울대학교에서 해양학을 전공했다 미국 뉴욕주립대학교에서 연안해양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생물학자로

1991년 남극하계연구대 일원으로 남극과 처음 인연을 맺었다 극지연구소 극지생물연구실장 선임연구본부장 등을 역임했다

소속 극지연구소 극지해양환경연구부 책임연구원

11 10

주목할만한 인재PEOPLE

한국으로 온 계기

레오나르도 학구적인 분위기에서 공부하고 싶었습니다 브라질

에 있을 때 친구들이 공부를 소홀히 하는 모습에 스트레스를 많

이 받았거든요 한국의 교육에 관한 뉴스를 보면서 유학하고 싶

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케이타 일본에서 한국어와 한국 역사에 대해 배웠습니다 지도

교수님도 한국 분이셨고 자연스레 이곳에서 공부하고 싶다는 생

각을 했습니다 학창 시절을 외국에서 보내며 한국 친구들을 많

이 사귄 것도 유학을 결정하는 데 한몫 했습니다

유학 오기 전 걱정했던 부분

케이타 한일관계에 대해 걱정을 많이 했습니다 한국인처럼 생

겨서 그런가 막상 생활해보니 아무 일도 없었지만요(웃음) 적대

감은 정치에만 해당되는 것 같아요 가끔 친구랑 한국어로 얘기

하며 걸어가면 누가 한국인인지 일본인인지 모를 정도로 위화감

이 없습니다

레오나르도 걱정이 전혀 없었습니다 한국은 브라질보다 훨씬

안전한 편이에요 특히 제가 사는 상파울루는 현지인에게도 위험

한 곳이라 저녁이면 어머니께서 어디냐고 꼬박꼬박 전화하실 정

도인데 한국에서는 치안에 신경 쓸 일이 없어 좋습니다

한국어 습득의 가장 어려운 점

케이타 한국어에는 형용사가 아주 많은 것 같아요 예를 들어

일본어에는 lsquo빨갛다rsquo라는 의미의 단어가 하나인데 한국어에는

lsquo새빨갛다rsquo lsquo붉다rsquo lsquo불그스름하다rsquo와 같은 비슷한 뜻의 단어가 여

러 개 있죠 그 부분이 조금 헷갈리곤 합니다

레오나르도 저 역시 형용사가 쉽지 않았습니다 게다가 쓰기는

더욱 더 어렵고요 하지만 생각해보면 모든 언어는 처음엔 어려워

요 배우고 싶은 마음과 공부할 시간만 있다면 언어는 물론 모든

일이든 가능할거라 생각합니다

좋아하는 한국어 단어

레오나르도 lsquo수고하세요rsquo라는 말을 좋아합니다 브라질에서는

헤어질 때 lsquoByersquo라고만 하는데 한국에서는 더 열심히 lsquo수고rsquo하라

고 인사하잖아요 항상 열심히 일해왔던 한국의 역사와 분위기를

대표하는 말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케이타 맞아요 한국 사람들은 무엇이든 열심히 하는 것 같아

요 학교에서도 학생들이 열심히 공부하고 활동하는 모습을 자

주 보는데 그만큼 스트레스를 받는 모습도 많이 봤습니다 힘들

게 사는 것 같아 안타까울 때가 있어요

레오나르도 공대생인 저를 두고 말하는 건 아니죠(웃음)

서울대학교의 장점

케이타 서울대학교에는 특히 다양한 국적을 가진 학생들이 많

은 것 같습니다 외국 학생들과 교류하며 다른 나라의 언어를 익

히고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은 점이 매력적입니다 지

금 수강하고 있는 lsquo포르투갈어rsquo 수업도 사실 계획에 없었는데 브

라질 룸메이트를 만나 배우게 됐죠

레오나르도 브라질에서 서울대학교는 lsquo한국에서 최고rsquo라고 알

려져 있어요 여기라면 공부하는 데 좋은 영향을 받을 거라고 생

각했습니다 매사에 최선을 다하는 학생들에게서 더 열심히 해야

겠다는 자극을 받고 영감을 얻을 수 있어 좋습니다

외국인 유학생으로서 서울대학교에 바라는 점

케이타 한국에서는 사람이 곧 정보입니다 수업이나 동아리 행

사 등에 참여하고 싶은데 지인이 없어서 곤란한 적이 있었어요

한국어를 잘하지 못하면 그런 정보를 얻는 것이 더 힘든 것 같아

요 학교 관련 정보가 체계화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레오나르도 브라질에 있는 학교와 비교해 서울대학교는 세계화

가 잘 되어 있어요 하지만 그에 비해 영어 수업이 턱없이 부족하

다고 생각해요 선택권이 별로 없기도 하고 양질의 영어 수업이

많아지면 좋겠습니다 더불어 공과대학 커리큘럼이 덜 힘들었으

면 좋겠습니다(웃음)

예비 유학생들에게 전하는 유학 관련 팁

케이타 한국어 공부는 정말 중요합니다 저는 한국어를 잘 하

는 편인데도 가끔 수업을 따라가기 힘들어요 더불어 즐거운 유

학 생활의 첫 걸음은 교수님과 친구들에게 적극적으로 말을 거

는 것 그리고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는 것이라는 사실을 기억해

두세요 그리고 마찬가지로 한국 학생들도 유학생들에게 친하게

말을 걸어주면 좋겠습니다

레오나르도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여러 명이 함께 공부하는 브라질과는 달리 한국은 혼자 공

부하는 문화라는 사실을 유의해야 해요 그 외에 영어와 한국어

에 대한 기본이 갖춰져 있다면 서울대학교에서의 생활에 무리가

없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공대생이라면 당연히 수학도 열심

히 해야 합니다(웃음) 마지막으로 더 많은 브라질 학생들과 함께

서울대학교에서 공부하는 날이 오기를 바라겠습니다

ldquo브라질에도

서울대학교는

lsquo한국에서최고rsquo

라고알려져

있어요rdquo

레오나르도 사르투니오 컴퓨터공학과 13학번

꿈 찾아

삼만리

ldquo몇 살이에요rdquo ldquo저 92(92년생)예요 말씀 편하게 하세요rdquo 말만 들어보면

영락없는 한국인 능숙하게 한국어를 구사하는 이들은 바로 서울대학교의

외국인 학생들이다 저마다의 꿈을 찾아 한국 서울대학교로의 유학길을 택한

일본의 이토 케이타 브라질의 레오나르도 사르투니오의 이야기를 들어봤다

ldquo서울대학교는

다양한나라의

언어를익히고

문화를체험할

수있는기회가

많아요rdquo

이토 케이타정치외교학부 14학번

13 12

업무 스트레스여 삼진 아웃

아직 해도 다 뜨지 않은 푸른 새벽 유니폼을 입은 15명의 남자가

늦은 가을바람을 헤치고 야구 연습장을 뛰기 시작한다 ldquo하나

둘 셋 넷rdquo 운동장에 울려 퍼지는 힘찬 구호 준비 운동을 마친

포수와 투수가 자리를 잡는다 이윽고 야구공이 배트에 맞는 경

쾌한 소리가 운동장을 메운다

프로 선수들을 방불케 하는 훈련으로 새벽부터 서울대학교 야구

장을 밝힌 이들은 체육교육과 학생들도 야구부 학생들도 아닌

서울대학교 교직원 야구단원들이다 이들은 야구를 위해 매주 화

요일 목요일 아침 7시에 모인다 ldquo철저한 훈련이 인천 사회인 야

구대회 우승 비결입니다rdquo 정용기(시설지원과) 감독이 자랑스럽

게 말했다 서울대학교 교직원 야구단은 lsquo2014년 전국대학 교직

원 야구대회 준우승rsquo lsquo2013년 인천 남구 리그 우승rsquo 등 사회인 야 구단에서 이름을 날리는 팀이다 올해로 4주년을 맞은 야구단은

2011년 학교 밖 사회인 야구단에서 야구를 즐기다가 서로 알게

된 교직원 9명이 의기투합해 만들었다 lsquo야구를 좋아하는 다른

교직원을 각자 한 명씩 데려오자rsquo라는 약속으로 시작된 모임이

2012년 스누리그에 가입하며 본격적인 동아리의 틀을 완성해갔

다 현재는 80명의 회원이 활발하게 활동하는 서울대학교 내 가

장 큰 교직원 동아리 중 하나로 꼽힌다 야구 동아리는 스누리그

에 등록된 학생 야구팀과 시합을 하면서 학생들과도 두터운 친분

을 쌓고 있다 땀 흘리며 운동하다 보면 남녀노소 누구나 친구가

될 수 있는 것이 바로 스포츠의 매력 아닌가 평일 아침 아주 잠깐

의 시간이지만 서류 가방 대신 글러브와 배트를 손에 쥔 그들의

얼굴이 유난히 밝다

인생을 읊조리는 시간

문학과 예술 동아리는 자작시를 낭송하는 교직원 모임이다 한

달에 한 번씩 좋은 책을 읽고 서평을 공유하거나 새로운 시를 소

개하기도 한다 2005년 시를 읽고 쓰기 위해 자발적으로 결성한

모임이 10년의 세월을 거치며 등단 시인을 배출하기도 했다 이

들의 가장 큰 행사는 lt서울대 문예지gt 발간과 정기적으로 개최하

는 lsquo교직원 문예의 밤rsquo이다 작년 11월에는 lsquo가을 낙엽제 행사rsquo에

서 시화전을 열어 90여 편의 자작시를 소개하는 등 다양한 동호

회 행사를 진행하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문학과 예술 동아리

를 이끄는 이종만(공과대학) 회장은 동호회 활동을 적극 추천한

다 ldquo직장이라는 울타리 안에 많은 직원이 함께 있지만 주어진 업

무에만 치중하다 보면 서로 간 소통의 기회가 부족합니다 다양

한 기관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이 동아리를 통해 교류하면서 업무

에 대한 이해도 높일 수 있습니다rdquo

학교 차원에서도 교직원의 동아리는 권장 활동이다 동아리가 직

원 개개인의 잠재력과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스

트레스를 해소하는 건 물론이고 건전한 조직 생활을 위한 동기

를 부여해 즐거운 직장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이에 동아리를 위한 학교의 지원도 점차 체계적이고 구

체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전년도 활동 실적과 당해 연도 활동 계

획서를 제출하면 심사를 거쳐 활동비를 지원한다

든든한 후원 속에서 성장하는 교직원 동아리 다양한 모임에서

더 많은 교직원들이 삶의 즐거움을 누리길 기대한다

즐거운

삶을

꿈꾸며

잠깐의 쉼마저 사치가 되어버린 세상 lsquo바쁘니까 내일부터rsquo라는

말로 일상의 즐거움을 미루는 사람들에게 lsquo여유는 스스로 만드는

것rsquo이라고 몸소 이야기하는 사람들이 있다 제대로 일하고 제대로

즐기기 위한 모임 교직원 동아리를 소개한다

노력에대한성과와기쁨을

사람과의소통과배려를선사하는야구는

저에게인생이고학교입니다

아름다운성찰과타인에대한배려가

글을기반으로이루어지는곳문학과

예술동아리입니다

김평환middot의대공작실

이종만middot공과대학

탕~스트레스는담장밖으로

열정은그라운드로향하게하는

야구에빠져보세요

정진우middot교무과

당신의 재발견PEOPLE

15 14

캠퍼스의

어떤 하루

햇볕 좋은 날

SNU Ske t c hPEOPLE

스트레스 날리는 가을 축제

lsquo스트레스 대폭발 슛트레스rsquo를

주제로 한 서울대학교 2014년

가을 축제 lsquo티라노스트레스rsquo가

캠퍼스 곳곳에서 열렸다

사진은 참가자들이 대형 상자로

만들어진 젠가를 쌓으며 축제를

즐기고 있는 모습

09 29 ndash 10 01

중학생을 위한 생명공학캠프

농업생명과학대학에서

중학생을 대상으로 생명공학

특강 실험과 실습 수목원

체험 등 생명공학에 관한

기초적인 체험을 제공하는

캠프를 마련했다

08 11 - 08 15

오늘은 첫 출근 하는 날

공과대학 엔지니어하우스에서

2014학년도 신규임용교원

임명장 수행식이 거행됐다

60여 명의 신규 교직원들은

임명장을 받으며 합격의 기쁨을

만끽했다

08 25

서울대 입학 궁금해요

문화관 대강당에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2015년 서울대학교

입학 주요 사항을 설명하는

입학설명회를 개최했다

07 05

우물쭈물 말고 말 걸어 봐

2014 SNU 사회적경제

아이디어 대회 활동팀이

선보이는 lsquoTalk to me SNUrsquo

배지 이 배지를 달고 있는

사람에게는 누구나 친근하게

말을 건낼 수 있다

07 24

17 16

Campu s OnNOW

뚜렷하게 새겨진 학문적 발자취

학문 분야에서는 서울대학교의 대표적인 연구 성과인 현택환 중견

석좌교수의 lsquo나노수류탄rsquo 김수봉 교수의 lsquo중성미자 변환상수 연구rsquo

와 함께 서울대학교가 소장하고 있는 귀중한 사료인 lsquo대동여지도

(大東輿地圖)rsquo lsquo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rsquo에 대한 이야기도 만

나볼 수 있다 이어지는 교육 환경 코너는 학생 1인당 장학금 지급률

부터 개별 전공 졸업 후 진로 정보까지 방문객이 터치스크린을 통

해 원하는 정보를 찾아볼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빛나는 역사

전시 콘텐츠는 lsquo역사middot학문 분야middot교육 환경middot글로벌 SNUmiddot사회적

책임middot미래 인재middot미래 활동rsquo 순으로 전개된다 먼저 홍보관에 발을

들이면 개교 이전부터 현재까지의 모습이 전면 스크린에 펼쳐진다

최초의 근대 국립고등교육기관이었던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의

역사를 사진과 영상으로 만나볼 수 있다 또한 이곳에는 한국전쟁

419 혁명 등 중요한 역사의 현장에서 희생된 서울대학교 재학생들

의 고귀한 뜻을 기리는 추모의 벽이 설치되어 있다 조국의 발전을

위해 몸 바친 영혼들을 위해 잠시 묵념하는 시간을 가져보자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가 세계의 다양한 대학 연구 기관과 어떤 국제협력프로

그램들을 만들고 운용하고 있는지 궁금하다면 글로벌 SNU 코너에

서 그 현황과 규모를 찾을 수 있다 다양한 사회 기여 활동을 보여주

는 사회적 책임 코너도 빼놓을 수 없는 곳이니 잊지 말고 둘러보자

인재를 길러내는 서울대학교의 모습과 장기적인 비전은 스누홀의

마지막 전시장에서 확인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등 양방향적 소통 장치를 마련한 스누홀은 방문객과의

자유로운 교감을 꿈꾼다 견학 온 학생에게 자녀가 다니는 학교가

궁금한 부모님에게 이곳은 훌륭한 안내소가 될 것이다 아직 학교가

알쏭달쏭하다면 망설이지 말고 스누홀의 문을 두드리길

1 SNU connect

2 SNU 타임비전

3 SNU Awards

4 미디어홀

5 라운지

6 SNU Special

1

스누홀을 통해 서울대학교를

바라보는 시각이 달라졌고

도전 의식이 생겼습니다 당당한

재학생으로 꼭 다시 오고 싶어요

김예준middot낭주중학교 3학년 박지훈middot용강중학교 3년

서울대학교에 대해 잘 알지

못했는데 이번에 스누홀을

둘러보면서 서울대학교와 한층

가까워진 것 같아요

문의 070 8815 1524

생생 방문 후기

SNU Hall 문을 열다

매년 5만 명이 넘는 이들이 캠퍼스 투어를

위해 서울대학교를 찾는다 호기심을 가득

품고 관악캠퍼스를 찾은 방문객들은 커다란

위용에 왠지 모를 어려움을 느끼기도 한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고 종합적으로

학교를 안내하기 위해 서울대학교 홍보관

스누홀(SNU Hall)이 문을 열었다 학교의

역사에서부터 환경 글로벌 미래 비전까지

서울대학교의 이모저모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스누홀을 살펴보자

1

2

3

4

5

6

19 18

여행과 봉사를 한번에 볼런투어

Who 글로벌사회공헌단 bull Where 경상남도 함양군 bull What 일손 돕기 목가구 제작 벽화 그리기 등

드림컨설턴트는 2010년 학내 봉사 동아리로 출범해 2012년 서울

시 비영리 민간단체 공식인가를 받은 서울시 NGO다 lsquo꿈rsquo이라는 주

제 아래 lsquo촉촉콘서트rsquo lsquo드림커넥터rsquo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

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이들이 8월 8일부터 10일까지 경상남도

창원 구암고등학교에 머물렀다 2박 3일간 고등학생 꿈 찾기 프로

그램인 lsquo드림캠프rsquo를 진행하기 위해서다

드림캠프는 직업군으로 나누어 꾸민 부스에서 멘토가 강연하는 lsquo직

업 박람회rsquo 자신의 꿈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해보는 lsquo드림스토밍rsquo

문제 상황에 부딪쳤을 때 필요한 가치관을 이야기해보는 lsquo가치관 동

맹rsquo lsquo모의 면접rsquo 등의 프로그램으로 탄탄하게 구성됐다 뿐만 아니

라 봉사 단원들은 고등학생들이 자신의 가치관을 살펴보고 모호한

꿈을 좀 더 구체적으로 그리며 진로를 고민해볼 수 있도록 직접 교

재까지 제작하는 열의를 보였다 지난 4년 동안 꾸준히 성장해온 드

림컨설턴트가 꾸려나갈 앞으로의 모습이 더욱 궁금해진다

꿈을 발견하는 곳 드림캠프

Who 드림컨설턴트

Where 경상남도 창원시

What 고등학생 꿈 찾기 캠프

방학 계획을 물을 때 lsquo여행rsquo과 lsquo봉사활동rsquo은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단골 소재다 글로벌사회공헌단은 이 두 가지를 동시에 할 수 있는

프로젝트 lsquo볼런투어rsquo를 마련했다 자원봉사(Volunteer)와 여행

(Tour)을 합친 볼런투어는 개인의 재능을 통해 사회공헌 사각지대

에 필요한 자원을 제공하는 활동이다

이번 볼런투어는 8월 6일부터 9일까지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에서

진행됐다 5개 팀으로 나뉘어진 학생들은 각각 농촌 일손 돕기 목가

구 제작 벽화 그리기 어르신 사진 촬영 지역아동센터 교육 봉사 등

의 개별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낯선 일이었지만 학생들은 땀을 흘리

며 사과 농장을 일구고 마을 입구에 놓을 초대형 평상을 제작하는

등 각자의 재능을 통해 나눔을 실천했다

모든 일정이 계획대로 진행된 것은 아니다 프로젝트 기간 동안 함양

군을 지나간 태풍 lsquo나크리rsquo 탓에 벽화팀이 애써 그린 작품 대부분이

지워진 것 돌발 상황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최선을 다한 학생들에게

마을 주민들은 고마움을 표현했다 함양군에서의 3박 4일은 이들에

게 잊지 못할 경험으로 기억될 것이다

자연과학대학은 2006년 경상북도 영덕군과 lsquo관학 협력 및 지역사

회 개발에 관한 협정rsquo을 체결했다 그 후 매년 여름마다 영덕 지역 청

소년들의 적성과 소질을 개발하고 대학생들의 인성 함양을 위해 멘

토링 프로그램과 과학 캠프를 개최해왔다 올해 역시 자연과학대학

재학생으로 구성된 봉사단이 영덕 지역 청소년들과 만났다

8월 5일부터 7일까지 이어진 캠프 첫날 고등학생 25명을 대상으로

lsquo대학 진학 멘토 교실rsquo이 열렸다 입시를 앞둔 이들에게 실질적인 조

언을 해주는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이 미리 준비해 온 질문에 봉사단

원들의 진지한 답변이 이어졌다 이어서 진행된 lsquo과학 캠프rsquo 봉사단

은 물리천문학 생명과학 지구환경과학 화학 수리과학 등의 각 전

공을 살려 중학생 75명과 함께 과학 실험을 진행했다 서울대학교

봉사단원들은 아이들이 과학을 어렵지 않게 느끼도록 실험을 도우

며 재미있는 분위기를 이끌었다

이번 캠프는 열정적으로 참여한 학생들 덕분에 참가자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에게도 높은 호응을 이끌었다 에너지 넘치는 자연과학대

학 봉사단과 함께 할 내년 여름을 기대해본다

청소년 100명과의 만남 과학 캠프

Who 자연과학대학 봉사단

Where 경상북도 영덕군

What 청소년을 위한 멘토링 과학 캠프

학생들의 학습을 꼼꼼히 지도하는 드림컨설턴트

직접 그린 벽화 앞에서 포즈를 취한 볼런투어 벽화팀

과학 실험 삼매경에 빠진 캠프 참여 청소년

Campu s OnNOW

각양각색 봉사활동 열전

태양이 이글대던 두 달이 쏜살같이 지나가버렸다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여름

방학 속 가장 기억에 남는 일은 무엇이었는가 무더운 여름보다 더 뜨겁게 방학을 보낸

사람들이라면 금세 대답할 수 있을 것이다

21 20

서울대학교 세계 최고를 꿈꾼다

서울대학교는 영국 대학평가기관 QS(Quacquarelli Symonds)가 발표하는 2014 QS 세계대학평가(QS

World University Rankings)에서 31위를 차지했다 1994년부터 시작된 QS 세계대학평가는 전 세계 대학

에 대한 평가로 학계 평판 40 연구 영향도(교수 1인당 논문 피인용 수) 20 졸업생 평판도 10 교수 대

학생 비율 20 외국인 교수 비율 5 외국인 학생 비율 5를 합산해 평가한다 올해 발표된 평가의 1위는

미국 MIT(매사추세츠공대)였으며 아시아 대학 가운데서는 싱가포르국립대학교(NUS)가 22위 홍콩대학교

(HKU)가 28위에 올랐다

서울대학교는 해외 학계에서의 인지도를 알 수 있는 학계 평판(Academic Reputation) 및 기업인 대상 설문

조사로 평가하는 졸업생 평판 항목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향후 논문 피인용 수 증가를 통해 연구 영향도 분

야에서 개선을 추구해 나가는 한편 구성원의 글로벌 다양성 확보를 위해서도 노력할 계획이다

2014 QS 세계대학평가가 9월 발표됐다 2004년 118위에서 2010년 50위 2011년 42위

2012년 37위 2013년 35위 그리고 올해 서울대학교는 역대 최고 성적을 경신했다

118

93

63

5147

50

4237

35

31

50

140

40

20

0

120

100

80

60

순위2005년 2009년 2012년2006년 2010년 2013년2007년 2011년 2014년2004년 2008년

QS Ranking지난 11년간의 성과

연도 별 순위

lsquo창업론 실습rsquo 커리큘럼

STEP 1 조별 사업 기획

STEP 2 약 300만 원의 지원금과 창업 공간 지원

STEP 3 기업가들의 컨설팅

STEP 4 학점 취득

통찰력 있는

미래의 창업가를 키운다

연합전공 벤처경영학

표준적인 인재는 많지만 특출난 인재는

늘 부족하다 기업가 정신을 갖추고 끊임없이

도전하는 인재들의 양성소

연합전공 벤처경영학을 소개한다

새로운 경제 성장의 동력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lsquo창업 부흥rsquo

정책이 정부를 비롯해 지방자치단체 중소기업청 등에서 이

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학생들의 대기업 선호 현상과 lsquo창업은

위험한 도박rsquo이라는 인식은 여전하다 대기업 입사를 위한 다

양한 프로그램과 유학 스터디 등이 활발한 것과 달리 창업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은 아이디어를 나눌 공간이 없고 경험 있

는 선배로부터 직접적인 조언을 얻기도 쉽지 않다 이러한 문

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이 나섰다

올해 설립된 벤처경영학 전공은 학생들이 실제로 창업을 경

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lsquo창업론 실습 1middot2rsquo 과목을 수

강하는 학생들은 조별로 사업을 기획해보고 약 300만 원과

창업 공간을 지원받으며 기업가들의 컨설팅을 받게 된다 이

런 과정을 통해 학점도 취득할 수 있다 이밖에 벤처경영학과

에서는 철학과 경영학과 컴퓨터공학부 식품동물생명공학

부 등 연합전공에 참여한 학과의 개설 과목은 물론 제품 기획

론 창업론 특강 벤처사업 기회 연구 등 벤처 운영에 도움이

되는 과목을 함께 수강할 수 있다

실리콘밸리와 맞닿아 있는 스탠포드대학교는 구글 야후 휴

렛팩커드 등 초일류 기업의 창업자들을 배출했으며 오늘날

이 대학 출신이 창업한 기업의 연 매출은 우리나라 국내총생

산(GDP)의 2배를 넘을 정도로 큰 성과를 내고 있다고 한다

창업을 지원하는 학내 인프라와 프로그램 그리고 실제 벤처

기업을 운영하는 교수진이 있기에 가능한 일이다 서울대학

교 벤처경영학이 미래의 한국 벤처 생태계를 구축할 혁신적

인 기업가 양성 교육의 훌륭한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

Campu s OnNOW

연합전공 시리즈 3

23 22

문화생활백서 in SNU

과제 시험 그리고 또 과제 학교에 갇혀 있는

날이 계속되다 보면 잠깐이나마 쉴 곳을 찾게

된다 왠지 모르게 무기력해지고 답답한 순간

당신에게는 lsquo휴식rsquo이 필요하다

빼곡한 강의실 책만 가득할 것 같은

서울대학교 안에도 여유 시간을 알차게 보낼

수 있는 놀라운 공간들이 구석구석 숨어 있다

벌써부터 방학을 그리워하는 학생들에게

캠퍼스의 각종 문화 시설은 달콤한 선물이

되어줄 것이다 학교 안에서 즐기는

문화생활의 lsquo핫 플레이스rsquo를 소개한다

영화관이 학교 안에

미술관을 지나 오르막길을 오르다 보면 현수막 하나가 눈에 띈다

2004년부터 작품성은 높지만 대중적 인기는 얻지 못한 진흙 속의

진주 같은 영화를 소개하는 lsquo수요시네마rsquo 프로그램이다 매월 둘째

주 수요일 문화관에서 무료로 관람 가능하다 더불어 학교의 중심

중앙도서관 영상자료실도 혼자 영화 보기 안성맞춤인 곳이다 비교

적 최신 DVD까지 소장하고 있어 공강 시간을 보내기 유용하다

몸 튼튼 마음 튼튼

서울대학교에선 원한다면 누구나 각종 운동을 섭렵할 수 있다 공과

대학에는 테니스장과 농구장 인공 암벽등반 시설이 있으며 기숙사

에는 축구 운동장과 더불어 야구 연습 탁구 농구 등을 할 수 있는 실

내 체육관이 있다 종합운동장에선 축구와 미식축구를 할 수 있으며

마라톤 트랙이 있어 다른 운동도 가능하다

정문 근처 포스코(POSCO) 스포츠센터는 2001년에 문을 연 4층 건

물로 서울대학교의 대표 체육 시설이다 수영과 헬스뿐만 아니라 골

프와 댄스 발레 요가 등 전문 강사가 진행하는 다양한 강좌가 있다

시설이 좋아 lsquo미녀는 괴로워rsquo 등의 영화와 드라마 촬영지로도 사용됐

다 이외에 체육 교육과에서도 매 학기 테니스 필라테스 탁구 등을

소규모로 배울 수 있는 건강 운동 강좌를 개설하고 있다 에너지 넘

치는 학생들에게 서울대학교는 즐거운 놀이터다

음악감상실

장소 학생회관 111호

운영시간

학기 중 평일 930~1730

학기 중 토요일 930~1330

수요시네마

장소 문화원 중강당

비용 무료

문의 02-880-7924

정문 옆 미술관

정문 너머 왼편에는 독특하고 아름다운 외형의 건물이 있다 바로 서

울대학교 미술관 MoA 프리츠커 건축상을 수상한 렘 콜하스가 설

계했다 한 해 3~4회의 전시가 열리는 MoA는 타 학교 미대에서 관

람을 올 정도의 높은 전시 수준을 자랑한다 학교 구성원과 지역민

등을 대상으로 하는 미술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뿐만 아니라 도

슨트 교육을 받고 선발되어 활동하면 문화자원봉사 확인증을 주는

자원봉사 프로그램도 있다 미술관 입구 앞 독특한 조형물도 하나의

볼거리니 방문한다면 여기서부터 관람을 시작하자

MoA

운영시간 화~일요일 1000~1800(입장마감 1730)

관람료 3000원

문의 02-880-9504

포스코 스포츠센터

운영시간 평일 600~2230 토요일 1000~1700

문의 02-880-6980

Campu s OnNOW

음악이 들려주는 비밀

호그와트(영화 lsquo해리포터rsquo의 마법학교)에 비밀의 방이 있다면 서울

대학교에는 음악감상실이 있다 학생회관 식권 판매대 옆 두꺼운 문

을 열면 나타나는 음악감상실은 예전부터 높은 경쟁률을 뚫고 선발

된 DJ가 수준 높은 음악을 들려주는 것으로 명성이 자자했다 한국

최초 그래미 수상자 황병문 동문도 음악감상실 DJ 출신이다 문화

관에서 시작되는 lsquo걷고 싶은 거리rsquo는 음악대학 학생들의 연주와 노

래 소리를 들으며 산책하기 좋다 덧붙여 음악대학에서는 매 학기

lsquo화요음악회rsquo를 개최한다 1994년부터 20년째 이어지는 음악회다

오디션을 통해 선발된 공연팀이 무대에 올라 질 높은 음악을 들을 수

있으며 누구나 관람 가능하다 문화관과 자하연 사이에 위치한 스탠

드에서는 때때로 즉흥 연주가 벌어진다 버스킹의 정확한 일정은 없

으니 지나치다 익숙한 음악이 들리면 놓치지 말고 들러보자

1 2

3

4

화요음악회

장소 문화관

비용 무료

문의 02-880-7903

25 24

미래인재학교란 서울대학교 입학본부 주관으로 진행되는 고교 지원 프로그램으로

서울대학교 교수와 학생이 직접 지역 고등학교에서 지식을 전달한다

92명

13기 수료생

100명

14기 수료생미래인재학교

수료생 현황

미래 인재를 위한 꼼꼼한 준비

서울대학교는 7월과 8월 전라남도 고흥middot여수에서 미래인재학교

13 14기를 개최했다 미래인재학교는 지역 간 교육 환경 격차를 완

화하고 고교생의 소질과 적성을 개발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서울

대학교 교수 강의와 재학생 멘토링 등을 통해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다 개최 지역에 따라 맞춤형으로 운영하기 때문에 4

개월 정도의 준비 기간이 필요하다 각 기수마다 재학생 멘토팀을 선

발해 프로그램을 새롭게 기획하는 것은 물론 담당 입학사정관과 멘

토팀이 몇 차례의 답사를 통해 현지 교육 환경을 이해하고 운영 시설

을 확인하는 등 프로그램을 세심하게 꾸려나간다

열정 가득한 학생들과 3박 4일

나로도 소재 국립고흥청소년우주체험센터에서 진행된 미래인재학

교 13기에서는 고흥 소재 8개 고등학교 1 2학년생 92명이 3박 4

일의 과정을 수료했고 14기에서는 여수 소재 10개 고등학교 1학년

학생 100명이 나흘 간의 과정을 마쳤다 특히 이번 멘토팀은 개최지

의 요청에 따라 역대 최대 규모로 조직됐는데 이들 중에는 고교 재

학 중 미래인재학교 수료생으로 참가했던 3명의 학생도 있었다

각 학교장의 추천을 받아 선발된 고등학생들은 입학식과 더불어 핸

드폰을 모두 담당 교사에게 제출하는 등 바른 수업 태도와 학업 의

지를 보여주었고 쉴 틈 없이 짜인 프로그램에도 중도 탈락하는 사

람 하나 없이 참가자 전원이 수료증을 받을 수 있었다

교수 멘토 멘티의 특급 하모니

3박 4일 동안 고등학생들과 함께 숙식하며 프로그램 운영은 물론

학생들의 생활지도까지 맡은 서울대학교 재학생 멘토들 이들은

lsquo아이스 브레이킹rsquo lsquo주제 토론rsquo lsquo고교 생활의 Know-Howrsquo lsquo11 멘

토링rsquo lsquo도전 골든벨rsquo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학생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했다 물리천문학부 홍승수 명예교수 등 고교생

의 눈높이에 맞게 선정한 다양한 학과의 교수 강연은 학생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참가 고등학생들 역시 강의 2주 전 배포한 강연

자료를 예습해왔고 강의가 끝난 후에도 호기심을 충족하기 위해

교수님을 따라 행사장 밖까지 나가 질문하는 열의를 보였다 이번

행사가 서울대학교 학생들에겐 나눔의 기쁨을 개최 지역의 고등학

생들에겐 배움의 기회를 주었길 바란다

지역 인재는 우리가 기른다

전라남도 고흥과 여수에 서울대학교 학생들이 떴다 미래 후배들의 소질과 적성 개발을

돕는 멘토링 프로그램 lsquo미래인재학교rsquo를 진행하기 위해서다 이번에는 개최지의 요청에

따라 역대 최대 규모의 멘토팀이 조직됐다 고등학교 시절 배움을 위해 lsquo미래인재학교rsquo를

찾았던 학생도 지식을 나눠주는 멘토가 되어 돌아왔다 고등학생들과 동고동락하며 여름의

열기보다 뜨거운 4일을 보낸 이들을 만나보자

멘토링 시간에 조별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학생들

참가 학생이 자신의 의견을 발표하고 있는 모습

대학 입학에 관해 강의하는 홍승수 명예교수

Campu s OnNOW

step1

step2

step3

27 26

서울대학교는 8월 29일 관악캠퍼스 문화관 중강당에서

교수 학생 직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교수 정년식을 진행

했다 노태돈 국사학과 교수 임현진 사회학과 교수 안

정선 생명과학부 교수 김명모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장

호익 디자인학부 교수 한문희 불어교육과 교수 김민자

의류학과 교수 황준연 국악과 교수 이성철 의학과 교수

등 26명이 명예로운 정년을 맞아 정든 캠퍼스를 아름답

게 떠났다 이날 행사에서는 박종화 환경대학원 교수가

정년 교수진을 대표해 감사와 당부의 인사말을 전했다

교수 정년식

02

서울대학교는 8월 28일 관악캠퍼스 종합체육관에서 제

68회 후기 학위수여식을 개최했다 이번 학위수여식에

서는 학사 850명 석사 989명 박사 522명 등 총 2361

명이 학위를 받았다 성낙인 총장은 ldquo최고의 지식은 사회

봉사와 인류공헌을 위해 쓰이는 것이며 훌륭한 인재는

지성과 공공성으로 무장된 따뜻한 가슴을 겸비한 lsquo선한

인재rsquordquo라며 ldquo민족의 동량 사회의 중심으로 드높은 자부

심을 갖되 지식과 열정을 공동선을 위해 공헌하는 사회

적으로 필요한 인재가 되기 바란다rdquo고 당부했다

제68회 후기 학위수여식

03

01

서울대학교는

신임 보직교수단을

구성했다 신임 보직

교수 임기는 2년으로

2016년까지 대학의

비전을 마련하고

고등교육 발전을 위한

주요 소임을 맡아

활동한다

신임 보직교수 임명

04 06

2014 우수 인재 채용박람회

추석을 맞아 서울대학교 구성원들의 따스한 손길이 어려

운 이웃들에게 전해졌다 인문대학 등 62개 기관에서 모

금한 총 28271500원은 학교 근처의 보육원 사회복지

관 등 도움이 필요한 곳에 전달됐다 성낙인 총장은 아동

복지시설인 상록보육원을 방문해 성금을 전달하며 어린

이들과 보육원 관계자들을 격려했다 그리고 김종서 교

육부총장은 동명 아동복지센터 이우일 연구부총장은 성

민 종합사회복지관 유근배 기획부총장은 선의관악 종합

사회복지관을 각각 찾아 성금을 전달했다

추석 명절 이웃돕기 성금전달

보 직 명 학 과 (부) 성 명

교육부총장 종교학과 김종서

연구부총장 기계항공공학부 이우일

기획부총장 지리학과 유근배

교무처장 화학부 김병문

학생처장 농생명공학부 김정한

연구처장 의학과 박노현

기획처장 법학전문대학원 이철수

기초교육원장 서양사학과 안병직

입학본부장 독어교육과 권오현

국제협력본부장 국제대학원 정종호

보 직 명 학 과 (부) 성 명

정보화본부장 컴퓨터공학부 신영길

교무부처장 겸 교육부처장 치의학대학원 백승학

학생부처장 식품영양학과 한성림

연구부처장 약학과 오정미

기획부처장 독어독문학과 강창우

협력부처장 건설환경공학부 김재영

기초교육부원장 물리middot천문학부 유재준

입학부본부장 고고미술사학과 이준정

국제협력부본부장 국제대학원 신성호

정보화부본부장 경영학과 장정주

NewsNOW

제8기 스누봉사단이 한국수력원자력(주)의 후원으로 8

월 9일부터 20일까지 베트남 라오까이 성에 있는 스빤

마을에서 봉사활동을 진행했다 유성상 교육학과 교수

이우철 치의학대학원 교수 이승표 교수 한동헌 교수

김익규 빗물모아지구사랑 실장 김용환 연구원 서울대

학교 학생 23명으로 구성된 봉사단은 구강보건의료 빗

물 정화 위생교육 등의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 주민들에

게 나눔을 실천했다

제8기 스누봉사단 베트남 봉사활동

0705

훌륭한 공대교수상 선정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올해의 훌륭한 공과대학 교수로

신현식 컴퓨터공학부 교수 이재홍 전기정보공학부 교

수 강신형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를 선정했다 이 상은 교

수들의 연구 활동을 장려하고 산업 기술의 선진화를 꾀

하자는 취지에서 1992년 공과대학 동문들이 출연한 기

금으로 제정됐다 2003년부터 교육상과 연구상 2개 부

문으로 시상해오다가 올해부터 교육상 학술상 산학협

력상 3개 부문으로 확대돼 의미가 더욱 커졌다

경력개발센터는 2014년 하반기 채용 시즌을 맞이해 9월

2일에서 4일까지 대학본부 앞 잔디 광장에서 lsquo새로운 미

래를 여는 SNU 2014 서울대학교 우수인재 채용박람회rsquo

를 개최했다 올해로 11회째를 맞이한 채용박람회에는

6500여 명의 학생들이 참가했다 한편 두산 삼성 현대

자동차 LG SK 등 국내 주요 대기업들과 국방과학연구

소 한국전력공사 등의 공기업 Hakuhodu 그룹 등의 일

본 기업 ASML Korea 등의 외국계 기업 총 130곳이 우

수 인재를 확보하고자 심혈을 기울였다

信義

기부와 나DONATION

유 태 용

나고 자란 곳을 잊지 않는다 어려웠던 순간을 항상

되새긴다 덕분에 유태용 동문은 사회적 성취를 이룬 지금

자신만의 나눔 원칙을 세울 수 있었다

기 부 자 정 보

격동의 세월을 이겨낸 삶

일제강점기를 지나 해방 그리고 한국전쟁까지 1950년에 서

울대학교에 입학한 유태용 동문의 학창시절은 역사적 격동

기와 맞물려 있다 그 시절을 겪어보지 않은 요즘 세대에게 유

동문의 경험은 책에서나 접하는 옛날이야기로 들릴 수 있다

그럼에도 유 동문은 과거를 잊지 않으려 그 시절을 끊임없이

복기한다 당시 경험을 lt어느 서울대 공대생의 한국전쟁gt이

라는 책에 풀어내기도 했다 ldquo요즘은 상상도 못할 이야기죠

이후로도 어렵사리 국가 발전을 이뤘고요 우리 세대가 고생

했다고 알아주길 바라는 건 아닙니다 다만 큰 어려움을 헤

쳐 온 인생 선배들을 보면서 힘든 순간이 닥쳐도 좀 더 지혜롭

게 극복했으면 좋겠습니다rdquo

유태용 동문은 대학 졸업 후 1957년부터 공직 생활을 시작했

다 이후 오랜 기간 공직에 몸담으며 국토 계획과 건설 행정

을 담당했다 유 동문의 전공은 토목공학 그중에서도 방조

제가 전문 분야였다 공직 생활 초창기에 국제원조기구 장학

생으로 선발돼 1962년 미국에서 아카데미 코스를 밟기도 했

다 그렇게 미국에서 수학한 지식을 바탕으로 당시만 해도 단

일목적댐뿐이던 우리나라에 다목적댐을 도입하는 데 기여했

다 ldquo저는 어찌 보면 운이 참 좋은 사람입니다 어려운 시기에

농촌에서 서울대학교에 입학했고 좋은 기회가 닿아 외국에

서 공부하는 경험도 할 수 있었으니까요rdquo

오랜 시간 이어온 남다른 향토애

공직에 있으며 국가 발전에 힘써온 유 동문 그는 오래전 고

향을 떠나왔지만 어려웠던 어린 시절을 잊지 않는다 불과 몇

원하는 수업료가 없어 일곱 살 나이에 수십 킬로미터에 달하

는 거리를 오갔던 기억이 여전히 생생하다 적어도 돈 때문에

공부를 못하는 학생은 없어야겠다는 생각에 이른 건 어쩌면

당연한 일 그러한 경험이 있었기에 유 동문은 자신만의 기부

신념을 세울 수 있었다 ldquo똑같이 모를 심어도 좋은 쌀을 얻으

려면 관리를 잘해야 합니다 모를 심고 가만히 두면 한 섬밖

에 못 얻지만 비료를 주고 잡초를 솎아내면서 키우면 네 가

마니까지 불어나요 사람도 마찬가지입니다 인재도 좋은 환

경이 갖추어져야 자랄 수 있습니다 서울대학교에 입학한 건

시작일 뿐이죠rdquo

유 동문은 서울대학교에 부동산을 기부해 정읍과 고창 출신

후배들을 위한 lsquo정고장학기금rsquo을 마련했다 단지 태어난 곳

에 대한 고집만은 아니다 그 자신이 농촌에서 어렵사리 대학

에 진학했던 까닭에 그곳에서 나고 자란 후배들이 학비 걱정

없이 공부에만 전념할 수 있기를 바라는 선배의 따스한 마음

이다 ldquo예전에도 그랬지만 지금도 농촌에서 몇 백만 원씩 하

는 등록금을 쉽게 마련할 수 있는 집은 많지 않습니다 더구

나 지방에서 공부해서 서울대학교에 온다는 건 쉽지 않아요rdquo

유태용 동문은 장학생들을 직접 만나 격려하는 데에도 적극

적이다 지금은 학생들이 그가 기부한 장학 기금의 혜택을 입

지만 언젠가는 좋은 인재로 성장해 사회에 보탬이 되는 주역

이 되리라 믿는 까닭이다 ldquo서울대학교가 이제 세계에서도 손

꼽히는 대학이 되었다지만 아직도 세상에는 해결하지 못한

연구 과제가 많아요 서울대학교의 많은 인재가 그런 분야에

도 거침없이 도전해 좋은 성과를 내주길 바랍니다rdquo

유태용 한국방재협회 명예회장

내무부와 건설부에서 오랜 기간 국토 계획과 건설 행정을 맡았다 1998년 자연재

해대책법에 따라 한국방재협회 준비위원장에 추대됐고 창립을 준비해 1999년 초

대 회장에 취임한 바 있다

with SNU

토목공학과 학사 ACAD 12기 수료 정고장학기금을 마련해 정읍 고창 출신 학생

들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및 대학원생 재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원하고 있다

ldquo모를 심고 가만히 두면 한 섬밖에 못 얻지만

비료를 주고 잡초를 솎아내면서 키우면

네 가마니까지 불어나요 사람도 마찬가지입니다

인재도 좋은 환경이 갖추어져야 자랄 수 있습니다rdquo

29 28

31 30

기부와 나DONATION

도전 열아홉이란 나이 누군가는 대학 문을 바라보며 책

장을 넘길 시기에 사업을 시작했다 다양한 업종에 손대며

달콤한 성취도 쓰디쓴 실패도 맛본 20대를 지나 서른을 코앞

에 둔 시기에 광장시장 상가 한편에 1평 남짓한 도매 옷가게

를 열었다 그것이 연 매출 1조 원을 올리는 국내 굴지 패션기

업의 출발이었다

근면 어깨에 옷을 짊어지고 고객을 찾아다니길 수차례

서른 살 청년의 성실성을 소매상들은 알아봤다 판로가 열리

니 사업은 자연히 승승장구했다 그러나 10년 후 위기가 닥

쳤다 거래처의 어음이 부도 처리되면서 그 여파를 고스란히

받아야 했다 ldquo부도를 극복하면서 근면의 중요성을 깊이 느

꼈습니다 재기를 생각하며 다시 1평짜리 매장을 얻어 아침 7

시부터 새벽 2시까지 이를 악물고 일했죠rdquo 시작도 그랬지만

이후로도 근면은 최 회장의 삶에 큰 지표가 됐다

배움 일찍이 사회에 진출한 만큼 현장 경험은 누구보다

출중할 터 그러나 최 회장은 lsquo배움에는 끝이 없다rsquo는 생각으

로 경영만 하기도 바쁜 시간을 쪼개 공부를 계속했다 배움의

과정 중에 서울대학교와 인연이 닿았다 학교의 여러 특별과

정을 수료한 것은 물론 서울대학교 패션산업 최고경영자과

정(AFB) 총교우회 회장도 역임했다 ldquo김민자 교수님께서 lsquo바

쁠수록 더 좋은 성과를 낸다rsquo고 말씀하신 적이 있습니다 몸은

분주했지만 세상을 보는 관점은 더욱 넓어질 수 있었습니다rdquo

섬김 최 회장은 오늘날 이룬 성취가 혼자만의 것이 아니

란 점도 매번 되새긴다 패션그룹형지의 성장과 함께 한 대리

점주를 섬기는 해법 중 하나는 교육이다 ldquo사업의 근간인 대

리점주와 함께 호흡하고 성장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일까 고민

하던 차에 생활과학대학 교수님들의 도움으로 lsquo패션그룹형

지 최고경영자과정rsquo을 열었습니다rdquo

나눔 lsquo남 열 걸음 갈 때 반의 반 걸음 더 간다rsquo 최 회장은

기업가로서 성공을 이룬 지금도 이 말을 되새기곤 한다 ldquo남

보다 조금 더 먼저 생각하고 노력하는 작은 차이가 나중에는

큰 성과를 남긴다는 뜻입니다 요즘은 사업이나 일에 대한 것

뿐만 아니라 타인을 향한 배려와 사랑도 반의 반만 앞서 생

각하고 실천하자고 다짐합니다rdquo 최 회장은 lsquo교육은 백년지대

계(百年之大計)rsquo란 말에 동감하며 패션 산업을 이끌어갈 인

재들을 위해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에 기금을 출연했다

또한 지역 발전을 위한 투자를 비롯해 세월호 참사로 고통받

는 유가족과 학생들을 위해 성금을 기부하는 등 다방면에서

나눔을 실천하고 있다 어려운 순간을 딛고 현재의 성취를 이

뤘기에 자신을 키워준 사회에 무엇인가 되돌려주는 나눔이

중요하다고 말하는 최병오 회장 한편으로 그는 lsquo금전적 도움

을 베푸는 자선의 개념을 넘어 재능과 기술을 나누는 나눔의

문화가 필요하다rsquo고 덧붙인다

청년에게 사회에서 일가를 이룬 최병오 회장이 이 시대

를 사는 청년들에게 권하고픈 경험은 다름 아닌 lsquo실패rsquo다 ldquo진

짜 실패는 넘어지는 게 두려워 시도조차 하지 않는 거라고 하

지 않습니까 실패를 두려워하기보다 꿈을 먼저 생각하길 바

랍니다rdquo 최 회장은 목표와 꿈을 추구하는 동시에 타인을 배

려하는 태도 역시 지니길 권한다 그것이 바로 진정한 성공이

요 명품인생을 완성하는 길이기에

切磋琢磨 최 병 오

최병오 회장에게 lsquo근면rsquo은 가장 기본적인 성공 원칙이다

lsquo배움rsquo은 자기 성장의 원동력이며 lsquo섬김rsquo은 상생의

바탕이다 마지막으로 그는 lsquo나눔rsquo이란 대의를 잊지 않는다

ldquo경제적인 어려움으로 배움의 기회를 놓쳐선

안된다고 생각해왔습니다 젊은 나이에

일찍 사업에 뛰어들어 배움에 대한 목마름이

누구보다 컸기 때문입니다rdquo

기 부 자 정 보

최병오 패션그룹형지 대표이사 회장

대한상공회의소 중견기업위원회 위원장이자 윤리경영위원회 위원 또한 한국의

류산업협회 회장과 한국의류산업학회 부회장 등을 맡아 최근 대통령 해외 순방 당

시 경제사절단으로 동행했다

with SNU

AFB 3기 AMP 63기 AIP 42기 AWASB 1기 등을 수료했다 AFB 동창회장과

AFB 동창회 수석부회장을 역임했으며 올해 제13회 AMP 대상을 수상했다 현재

AWASB 동창회장을 맡고 있다

33 32

기부의 향연이 펼쳐지다

바바패션

인문대학 발전기금 1억 원 기부

바바패션(대표이사 회장 문인식)이 인문대학에 발전기금 1억 원을 기부했

다 10월 13일 총장실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성낙인 총장과 문인식 바바

패션 대표이사 회장 유근배 기획부총장 장재성 인문대학장을 비롯해 관

계자 10여 명이 참석했다 성낙인 총장은 ldquo문인식 회장님의 인문학에 대

한 관심과 성원에 감사드린다rdquo며 ldquo이번 기금으로 인문대학의 발전과 인재

양성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이에 문인식 회장은 ldquo바바패

션은 계속해서 나눔 경영을 통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rdquo고 전했

다 문인식 회장은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최고지도자과정(AMP) 72기를

수료하고 현재 인문대학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12기 회장 AMP

총동창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한편 바바패션은 국내 여성 패션 브랜드인

아이잗바바(IZZAT BABA) 지고트(JIGOTT) 등을 비롯한 총 9개의 브

랜드를 보유하고 있으며 심장병 어린이 수술 지원 및 장학 사업도 꾸준히

펼치고 있다

전기컴퓨터공학부 권욱현 명예교수

lsquo권욱현 희망장학기금rsquo 1억 원 기부

지난 6월 17일 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부 권욱현(전기공학 62학번)

명예교수가 lsquo권욱현 희망장학기금rsquo을 조성하고 1억 원을 기부했다 이번

에 마련된 기금은 공과대학과 전기공학부 학생들 가운데 경제적으로 어

려운 학생들에게 지급될 예정이다 변대규 휴맥스 대표를 비롯해 이재원

슈프리마 대표 등 국내 유명 벤처기업 CEO들의 스승으로 유명한 권욱현

명예교수는 2005년 서울대학교 평의원회 의장으로 활동했으며 대한전

기학회장 세계자동제어연맹 부회장 국제자동제어연맹 회장 등을 역임

했다 국제자동제어연맹(IFAC) 회장으로 재임 시 사재 50만 달러를 출연

해 개발도상국 젊은 공학자의 학술 활동을 지원하는 등 후학 양성을 위한

꾸준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김정식 해동과학문화재단 이사장

해동학술정보실 건립기금 30억 원 기부

지난 6월 27일 해동과학문화재단 김정식 이사장(전자공학 48학번)이

lsquo해동학술정보실 건립기금rsquo으로 30억 원을 쾌척했다 이번에 조성된 기금

은 공과대학과 자연과학대학 등 주요 단과대학의 해동학술정보실을 건

설하는데 사용될 예정이다 이번 기금 이외에도 김정식 이사장은 서울대

학교 공과대학 인근 해동학술관과 해동학술정보실 12호관 건립 기금으

로 100억 원이 넘는 금액을 출연하며 꾸준히 모교를 후원하고 있으며 인

재 양성을 위해 한양대 고려대 등 국내 주요 대학에 해동학술정보실 건립

을 지원하고 있다 1972년 대덕전자를 설립해 한국 전자 산업의 기술 개

발을 이끈 선구자로 유명한 김정식 이사장은 1990년 해동과학문화재단

을 만들어 해동상을 재정하는 등 지속적인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

패션그룹형지

생활과학대학 발전기금 3억 원 기부

패션그룹형지(대표이사 회장 최병오)가 생활과학대학에 발전기금 3억 원

을 기부했다 이 기금은 생활과학대학의 교육middot연구활동 및 시설개선 등을

위한 제반 활동에 사용된다 지난 8월 26일 진행된 협약식에서 성낙인 총

장은 ldquo생활과학대학은 패션그룹형지 기금으로 수준 높은 연구 성과와 인

재 배출을 통해 대한민국 대표 인재 양성소로 거듭 날 것rdquo이라고 밝혔으

며 최병오 회장은 ldquo국가 경쟁력을 이끌어가는 리더와 패션 산업 인재를

양성하는 데 패션그룹형지 발전기금이 쓰이길 바란다rdquo고 당부했다 최 회

장은 지난 2003년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패션산업 최고경영자과정

(AFB) 3기를 수료하고 2007년부터 2013년까지 AFB 총교우회 회장을

역임했다 또한 이번 기금 이외에도 꾸준히 후원한 다양한 기금으로 건립

된 lsquo최병오 홀rsquo을 통해 사회 각계각층의 주요 리더들이 교류하는 교육장을

마련했다 1월에는 경영대학 최고경영자과정(AMP) 총동창회가 주최하

는 lsquo제13회 서울대 AMP 대상rsquo을 수상했다

NewsDONATION

유회진 학술정보관 건립 보고 및 감사 행사

ldquo기부금은 이공계 학생들을 위해 써주세요rdquo 故 유회진 박사가 구강암으로 투병

하는 동안 병문안을 갔던 이장무 전임 총장에게 남긴 말이다 서울대학교 기계

설계학과에서 학부와 대학원 생활을 보내고 동아대학교 교수를 역임한 유 박

사는 2009년 구강암 판정을 받았다 그는 암 투병 치료비부터 부모님으로부터

물려받은 유산까지 허투루 쓰지 않고 모은 100억 원이 넘는 전 재산을 서울대

학교에 남기고 2011년 별세했다 유가족이 없는 고인을 위해 서울대학교 발전기

금은 장례를 진행했으며 매년 제사를 지내 뜻을 기린다

지난 7월 2일 관악캠퍼스 공과대학 엔지니어하우스대강당에서 lsquo유회진학술정보

관rsquo 건립 보고 및 감사 행사가 개최됐다 유회진학술정보관은 유회진 기금으로

건립되어 공과대학과 자연대학이 공동 교육 및 연구 시설로 사용할 예정이다 이

날 행사는 오연천 전임 총장의 환영사에 이어 유회진 박사 소개 및 기부 경과보

고 유회진학술정보관 건립 경과보고 순으로 진행됐으며 특별히 故 유회진 박사

의 지인인 서울시립대 권원태(기계설계학과 78학번)교수가 참석했다 그의 숭고

한 마음은 우리 사회의 빛나는 과학자들을 위한 초석이 될 것이다

11월 9일 故 유회진

박사의 3주기가 돌아온다

서울대학교발전기금은

제주(祭主)로서 그를 잊지 않고

사회와 학교를 향한 기부자의

아름다운 정신을 남길 것이다

당신의 아름다운 마무리

35 34

SNU Presidents Honors Club

SNU Honor Club

故 곽명덕 변호사 유가족 (한자영 곽성현 곽성희)

故 구영록 교수 유가족

故 김인제 故 최성순 가족

(故 김동호 故 김동훈 김동준 김진숙 김진옥)

故 이한빈 부총리 가족 (유정혜 이원식 이선이)

고윤석 (물리학과 47입)

고정택 (외교학과 62입)

구영배 (자원공학과 85입)

구재서

권영대 (약학과 55입)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권욱현 (전기공학과 62입)

금장태 (종교학과 62입)

김건식 (법학과 73입)

김경한 (법학과 62입)

김경한 (외교학과 62입)

김광일 (경영학과 84입)

김기봉 middot신경은 (기계공학과 63입 middot화학과 65입)

김기태 (의학과 58졸)

김난도 (소비자아동학부 교수)

김대욱 (조선공학과 76입)

김동길 (화학교육과 57입)

김동훈 (화학과 48입)

김두철 (전자공학과 66입)

김만극 (약학과 47입)

김상헌 (사법학과 82입)

김선동 (화학공학과 59입)

김선화(정자) (국악과 60입)

김성배 (영어영문학과 63입)

김양곤 (IFP 2기)

김연탁 (경제학과 故 김태성 교수의 부)

김연호 (화학공학과 71입)

김영경 (기계공학과 52입) middot김천순

김영석 (3 Plus Logistics 회장)

김영수 (법학과 67입)

김영심 (불어불문학과 故 오현우 교수의 부인)

김영업

김용재 (의과대학 60입)

김용철 (치의학과 55입)

김의신 (의학과 60입)

김의영 (경제학과 54입)

김정희 (간호학과 52입)

김종일 (제어계측공학과 79입)

김진향

김천흥

김철호 (외교학과 70입)

김춘길 (화학생물공학부 58입)

김택수 (법학과 48입)

김하석 middot김영중 (화학과 63입 middot약학과 64입)

김하자 (서양화과 故 하동철 교수의 부인)

김학봉 (한영요업 회장)

김형주 (전자계산기공학과 78입)

나정환 (화학교육과 54입)

남정현 (건축학과 57입)

류무종 (중어중문학과 53입)

류진 (영어영문학과 78입)

마인경 (지리학과 56입)

민계식 (조선항공학과 61입)

민호기 교수 유가족

박대근 (보건대학원 63입)

박맹호 (불어불문학과 52입)

박민식 middot 박금옥 (수의과대학 65입 middot체육교육과 63입)

박봉균 (수의학과 76입)

박숙희 (지리학과 60입)

박용헌 (교육행정학과 53입)

박용호 (수의학과 74입)

朴麟子(가정관리과 82입) 하상예 박임숙 박순영 박노용

박종근 (전기공학과 69입)

박종수 (수의학과 58입)

박종오 (영어영문학과 55입)

박준 (법학과 73입)

박태진 (독어독문학과 80입)

박한제 (동양사학과 69입)

배옥자 (성심가정의학과의원 원장)

백종철 (농공학과 54입)

백형익

법대 48회 졸업생

변대규 (제어계측공학과 79입)

서문자 (간호학과 63입)

손경식 (법학과 57입)

송상용 (화학과 55입)

송상현 (법학과 59입)

송인철 (SPARC 14기)

송학린 (법학과 59입)

신수정 (기악과 59입)

신영길 (계산통계학과 78입)

신영주 (이남장 대표)

신익현 (임학과 79입)

신효영 middot신승연 (故 신광현 교수의 가족)

신희명 (물리교육과 49입)

신희택 (법학과 71입)

심소일 (상학과 49입)

심재성 (前 성보산업 자문위원)

안영경 (前 핸디소프트 고문)

안창엽 (AMP 68기)

양천식

오세경 (약학과 61입)

오승환 (의학과 56입)

오용호 middot오양호 (행정학과 69입 middot법과대학 80입)

오윤덕 (행정학과 61입)

원재연 (경영학과 82입)

유근순

유성숙 (고고미술사학과 故 김원용 교수의 부인)

윤계섭 (상학과 64입)

윤덕우 (경제학과 58입) middot최덕자

윤석금 (웅진그룹 회장)

윤석순 (수의학과 59입)

윤우석 (에너지자원공학과 63입)

이건우 (기계공학과 74입)

이경식 (불어불문학과 55입)

이광희 (지리학과 59입)

이교일 middot박명진

(기계공학과 60입 middot불어불문학과 65입)

이기춘 (가정교육과 61입)

이명현 middot김귀현 (철학과 60입 middot기악과 69입)

이문한 (수의학과 66입)

이병준 (경제학과 55입)

이성규 (사학과 65입)

이성형 (정치학과 82입)

이순원 (가정교육과 54입)

이순형 (가정관리학과 70입)

이신두 (물리학과 76입)

이예식 (약학과 46입)

이용환 (농업교육과 63입)

이용환 (전기공학과 73입)

이원영 (AMP 6기)

이은방 (약학과 55입)

이장무 (제24대 총장)

이재승 (원자핵공학과 59입)

이정섭

이정섭 (종교학과 04입)

이종덕 (물리학과 62입)

이준용 (경제학과 56입)

이지형 (법과대학 85입)

이찬승 (수학교육과 69입)

이창득 (국어교육과 71입)

이창화 (국어국문학과 64입)

이천만 (영어영문학과 故 이상태의 부)

이철승 (법학과 78입)

이철영 (SPARC 17기)

이현수 (농화학과 60입)

이현재 (경제학과 48입)

이형도 (화학공학과 61입)

이홍표 (의과대학 58입)

임길진 교수 유가족

임동진 (법학과 62입)

임현진 (사회학과 67입)

장세권 (농공학과 70입)

장순영

장용국 (법학과 71입)

장재혁 (역사교육과 80입)

장정훈 (약학대학 65입)

전익찬 (지구환경과학부 94입 故 전재규의 부)

전해종 (동양사학과 47졸)

정달훤 (고고미술사학과 87입 故 정은임의 부)

정영현 (공업화학과 85입 정순욱의 부)

정영호 (생물학과 50입) middot 박양숙

정윤환 (임학과 56입)

정재선 (소비자아동학과 93입)

정재준 (前 경보전기 부회장)

정종곤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조동성 (경영학과 67입)

조병직 (법학과 46입)

조석준 (행정학 57졸)

조영식 (수의학과 80입)

조옥환 (부산교통 대표)

조종수 (건국대학교 교수)

조한영 (상학과 43입)

조형준 (미학과 65입)

주중광 middot 허지영 (약학대학 60입 middot 화학과 66입)

차상균 (전기공학과 76입)

차상균 교수 외 제자 12명

채성기 (원자핵공학과 59입)

채제한 (전기공학부 48입 故 채호석의 자)

천문우 (약학과 61입)

최병오 (AFB 3기)

최재열 (조소과 08입 최민주의 부)

최정욱 (화학공학과 49입)

최창원 (심리학과 83입)

최화형 외 3명

풍원자 (임학과 57입 故 용환운의 부인)

하영구 (무역학과 72입)

한규범 (AMP 42기)

한규환 (기계공학과 68입)

한기준 (의학과 52입)

한상복 (사회학과 56입)

한옥희 (화학과 79입)

한장희 middot김재혜 (행정학과 61입 middot 법학과 61입)

허성도 (중어중문학과 68입)

허영인 (SPC그룹 회장)

현기순 (가정교육과 46입)

현정오 (농생물학과 66입)

현택환 (화학과 83입)

홍경자 (간호학과 62입)

홍계수 (법학과 72입 주경숙의 모)

홍길표 (컴퓨터공학부 홍지명의 부)

홍예표 (치의학과 65입)

홍지준 (화학교육과 74입)

황귀례 (제약학과 故 국채호 교수의 부인)

황재홍 (치의학과 90입)

히로나카 헤이스케 (하버드대 명예교수)

Eduard J Stadelmann (前 미네소타대학 교수)

Ken-ichi Arai (동경대 교수)

Peter S Kim (MIT 교수)

Stanley Choy

거평그룹

건일제약

건화엔지니어링

경남기업

경동송천재단

경암교육문화재단

고려아연

공영토건

과학기술혁신 최고전략과정 23기 일동

과학기술혁신 최고전략과정 24기 일동

관악회

광동제약

교보문고

구원장학재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국방과학연구소

국제종합물류

금호아시아나문화재단

김 middot장 법률사무소

김영사

김정문알로에

까사미아

나산실업

남광토건

남영비비안

넥슨코리아

노키아티엠씨

농어촌희망재단

농우바이오

다이소아성산업

다함넷

단암장학재단

대교

대림대학

대양 EampC

대우기전공업

대우엔지니어링

대우테크

대한수의사회

대한통운

돈암장학회

동방

동방상호신용금고

동부대우전자

동부문화재단

동서식품

동아건설산업

동아제약

동양강철

동철문화재단

동화산업장학재단

두을장학재단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롯데관광

롯데쇼핑

매트바이오테크

메디슨

몬산토코리아

미래에셋

미래와도전

미래의동반자재단

민음사

바이로메드

방송문화진흥회

방일영문화재단

법대 39회 동문 일동

법대 84학번 동기회

법대 85학번 동기회

법대최고지도자과정 8기 일동

법대최고지도자과정 10기 일동

법무법인 광장

법무법인 바른

법무법인 세종

법무법인 율촌

법무법인 케이씨엘

법무법인 태평양

법무법인 화우

부경양돈협동조합

비씨카드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동문회

삼양

삼우종합건축사무소

삼일회계법인

삼전순약공업

삼호개발

삼화모터스

상암에너지

상지상사

상진개발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글로벌리더쉽과정

서울대합창단 동문회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석원산업

성남시장학회

성련장학재단

세무법인 조이

세진에프알에스

송우재단

수경출판사

수암장학문화재단

수의과대학 교수 일동

스키부 동문회 일동

시뮬레이션테크

신라교역

신라문화장학재단

신양머그

신한장학재단

썬텍

아모레퍼시픽

아산사회복지재단

안성농장

알앤엘바이오

애드미션

앨트웰민초장학재단

약학교육연수원 이수자 일동

양지농장

영림임업

오뗄

오뚜기재단

오리엔트이엔지

오리온전기

오성엘에스티

와이비엠시사

용운장학회

우덕재단

유기천교수기념사업출판재단

유신

유티씨인베스트먼트

유한재단

유한킴벌리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음악대학 피아노발전기금후원회

이지바이오

인선문화재단

인촌기념회

인탑스

일동제약

일동후디스

일주학술문화재단

재단법인 대우재단

재단법인 정민

재미서울대총동창회

전국은행연합회

정공산업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정수장학회

정헌재단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져스텍

종근당

종로구장학회

좋은책신사고

진생사이언스

진양제약

참존

창강재단

창진영농조합법인

천만장학회

천수기업

천연물과학연구소 교수 일동

천재교육

청합장학회

최고경영자과정 총동창회

최고산업전략과정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middot

미래지도자인문학과정(IFP)

케이씨텍

코스맥스

코오롱

트러스톤자산운용

특수건설

패션그룹형지

포니정장학재단

포휴먼

풀무원

풍산

플라톤아카데미

피에스케이

하나제약

한국간연구재단

한국거래소

한국금융투자협회

한국무역협회

한국문화진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산업은행

한국세포주연구재단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알콜산업

한국외국인학교

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전파기지국

한국증권금융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한국타이어

한국투자신탁운용

한국투자증권

한산이씨양도공파설서공종중

한샘출판

한수통상

해나천연물신약

해성장학회

해태

행정대학원 정보통신과정

현대차 정몽구 재단

현대카드

현대캐피탈

현동장학회

현송교육문화재단

홈플러스e파란재단

효성그룹

휴맥스

AMP 63기 일동

AMP 64기 일동

AMP 65기 일동

AMP 66기 일동

AMP 67기 일동

AMP 68기 일동

AMP 69기 일동

AMP 70기 일동

AMP 71기 일동

AMP 72기 일동

AMP 73기 일동

AMP 74기 일동

AMP 75기 일동

AMP 76기 일동

AMP 77기 일동

AMP 78기 일동

ASSET PLUS투자자문

E1

Eyagi(이야기) CAFE

Goldman Sachs

KDB대우증권

KRX국민행복재단

KTB투자증권

LG연암문화재단

NCSOFT

NHN

NXC

OB맥주

Qualcomm

SECMCA

SIMPAC ANC

SK CampC

SNU 프리시젼

S-Oil

SPARC 15 middot16 middot17 middot18기 일동

1억 원 이상 출연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LG삼성 한국전력공사SK

포스코 웅진한화농업협동조합중앙회

KT 부영신한금융 현대자동차

SPC IBK기업은행

태영현대 금호아시아나롯데장학재단

CJ 대림두산 한진

우리금융 미래국제재단

50억 원 이상 출연

조천식정치학과 45입

윤대섭농공학과 49입

100억 원 이상 출연

정석규화학공학과 48입

이용희태광사 회장

김정식 전자공학과 48입

유회진기계설계학과 78입

SNU Hono r C l ubDONATION

SNU Gold Honors Club

홍성대수학과 57입

이기영前 의대 교수

최창영금속공학과 64입

박영희수학교육과 54입

손장순불어불문학과 54입

유태용토목공학과 50입

김명희middot신정희기악과 91입 김형찬의 모

이필남 박상윤 윤전수middot이삼락

김연혁히로세코리아 감사

서정선의학과 70입

전은기middot김은희 백추현 곽영필토목공학과 56입

박완서의 상속인호원숙 호원순 호원경 호원균

이순자불어불문학과 57입

손동준전자공학과 59입

윤종용전자공학과 62입

정덕균전자공학과 77입

강옥채middot노병수공법학과 83입

민선식경제학과 78입

박병준섬유공학과 52입

서울대학교총동창회

양두석독어독문학과 69입

양윤홍전자공학과 63입

대우 카길애그리퓨리나 동진쎄미켐 하나금융지주

동원 동양 KB금융지주 대우조선해양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대성 로이드선급협회 아시아일진

한국가스공사 녹십자 생명보험협회 현대중공업

메가스터디 TOYOTA MOTOR CORP SK하이닉스 서울장학재단

STX 농심 무한투자 이연제약

대우인터내셔널 송원김영환장학재단 형애장학회 신풍제약

10억 원 이상 출연

현대산업개발

스페코middot삼익악기

영원무역

쌍용양회공업

영원아웃도어

환인제약 주식회사

한국프뢰벨

37 36

춘강문화장학재단 (박성형 이사장)

허성도 (인문대학 명예교수)

형남진장학재단 (이정희 이사장)

강남구청

김형렬 (윤리교육과 교수)

공병영 (사무국장middot시설관리국장)

신흥 (이용익 대표이사)

서영길 (광산학과 53입)

일중장학재단 (송윤영 이사장)

금곡장학회 (이수상 이사장)

덕원장학회 (이헌경 이사장)

강현구 (건축학과 교수)

김명환 (조선해양공학과 75입)

김영수 (법과대학 60입)

김영운 (재료공학부 교수)

서강문 (동물병원 원장)

서동규 (경영학과 84입)

송희영 (영어영문학과 74입)

이근무 (사회학과 56입)

이재호 (경영학과 84입)

주식회사 KTampG 남서울본부 (박정욱 본부장)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박기용 이사장)

가송재단 (윤도준 이사장)

강스템바이오텍 (강경선 대표이사)

유한회사 본음인베스트먼트

이진경 (전국낙지자랑 대표)

주리아 (치과대학 04입)

한승장학회 (이재영 이사장)

키움증권 (권용원 대표이사)

협성문화재단 (박석귀 이사장)

윤상혁 (디자인학부 03입)

GS칼텍스 (허동수 대표이사 회장)

권규돈 (중어중문학과 13입 권기범의 부)

김경준 (농경제학과 82입)

김용팔 (수의과대학 75입)

김재홍 (수의학과 교수)

김진태 (법학과 71입)

문대원 (경영학과 71입)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오근택 대표이사)

박세창 (수의학과 교수)

산학협동재단 (한덕수 이사장)

선암장학재단 (윤호철 이사장)

성제경 (수의학과 교수)

송재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우광덕 (치과대학 64입)

유기윤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유한상 (수의학과 교수)

윤여성 (수의학과 교수)

윤정희 (수의학과대학 부학장)

윤화영 (수의학과 교수)

이건목원리한방병원 (이건목 원장)

이소영 (수의학과 교수)

이항 (수의학과 교수)

이희근 (공과대학 명예교수)

조무제 (법학과 65입)

조성범 (수의학과 교수)

조제열 (수의학과 교수)

중앙백신연구소 (윤인중 대표이사)

지티앤티 (이세한 대표이사)

채찬희 (수의학과 교수)

태평소금 (손일선 회장)

한호재 (수의학과 교수)

해마루 (김현욱 원장)

황인구 (수의학과 교수)

조선에듀케이션 (방정오 대표이사)

강진영 (의학과 69입)

김정기 (법학과 75입)

박달이 (간호대학 74입)

박재완

사회복지법인 건아재단 (심철환 이사장)

손정식 (제약학과 73입)

윤재석 (화학교육과 71입)

이도환 (치의학과 86입)

이동식 (영어교육과 72입)

홍기택 (경영학과 74입)

KT (황창규 대표이사 회장)

LG PC 유지보수센터 (박무광 대표이사)

광주시민장학회 (박기준 이사장)

박영임 (간호학과 73입)

사명희치과 (사명희 원장)

연당장학회 (남욱 회장)

우정장학문화재단 (강백영 이사장)

제노에너지 (김성철 대표이사)

신우호 (화학교육과 87입)

이병욱 (조경학과 81입)

정혜선 (간호학과 82입)

허종필 (공업화학과 73입)

권길주 (조선해양공학과 11입 정지원의 모)

권혜숙 (약학과 82입)

김미영 (간호학과 98입)

김범진 (턱교정학고급연수과정 6기)

김성열 (교육학과 75입)

김우진 (국악과 73입)

녹십자수의약품 (김승목 대표이사)

덕영재단 (전헬리시아 이사장)

류제하 (기계공학과 78입)

문수자동판매기 (김영식 대표)

민기복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민동홍 (독어독문학과 77입)

박종철 (물리학과 61입)

설재연 (심리학과 82입)

송은도 (국악과 01입)

유차영 (ASP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 12기)

신우개발 서울지점 (김익환 사장)

신하순 (동양화과 교수)

안석준 (치의과대학원 부원장

안휘준 (인문대학 명예교수)

양민영 (협동과정 미술교육전공 94입)

양형식 (자원공학과 75입)

옥복연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07입)

우경미 (치의학대학원 교수)

우성공원묘원 (허정산 대표)

우성원 (미학과 95입)

월악장학문화재단 (남기영 이사장)

유건선 (토목공학과 73입)

유흥수 (법학과 58입)

윤희정 (수의학과 교수)

이대혁 (자원공학과 87입)

이병천 (수의학과 교수)

이상돈 (에너지자원공학과 84입)

이승주 (치의학과 92입)

이시우 (의예과 95입)

이용규 (경영학과 84입)

이정인 (공과대학 명예교수)

이희석 (농생물과 57입)

임종후 (서양화과 12입 임지윤의 부)

임한조 (물리학과 67입)

전석원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정소걸 (자원공학과 71입)

정지훈 (치의학과 교수)

조경란 (법학과 79입)

조기웅 (화학과 66입)

조현욱 (사법학과 83입)

최명애 (회화과 70입)

최정욱 (경영학과 84입)

최종길 (법과대학 83입)

하종철 (동양화과 13입 하문원의 부)

한공창 (자원공학과 72입)

한국지하수지열협회 (안근묵 회장)

허형무 (경영대학 68입)

미주재단

Steve Ro (토목공학과 61입)

Soung Kim (임학과 56입)

Joong M Soh (공과대학 64입)

John Baek (금속공학 49입)

Hyunchan Lee (치과대학 70입)

Steve amp Cheryl Shapiro

Kwang S Hong (공과대학 60입)

Moon H Kim (공과대학 68입)

David Cho (공과대학 60입)

Dong Ku Chung (기계공학과 57입)

Sang Dae Lee (농업생명과학대학 80입)

Young D Kim (공과대학 67입)

AMP 78기 일동

삼성복지재단 (이수빈 이사장)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한국세포주연구재단

SK하이닉스 (박성욱 대표이사 사장)

패션그룹형지 (최병오 회장)

한국수력원자력 (조석 사장)

형애장학회 (최효종 이사장)

송원김영환장학재단 (김해련 이사장)

사회복지법인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이기수 이사장)

SECMCA

TOYOTA MOTOR CORP

(요시다 아키히사 대표이사 사장)

권욱현 (공과대학 명예교수)

네이버 (김상헌 대표이사)

부경양돈협동조합 (박재민 조합장)

안인희

전국경제인연합회 (허창수 회장)

현송교육문화재단 (김정일 이사장)

롯데장학재단 (신영자 이사장)

일주학술문화재단 (이선애 이사장)

현대차 정몽구 재단 (유영학 이사장)

박미혜 (성악과 교수)

LG연암문화재단 (구자경 이사장)

KeyGene (Arjen van Tunnen CEO)

아산사회복지재단 (정몽준 이사장)

천만장학회 (이광현 이사장)

방일영문화재단 (조연흥 이사장)

AMP 77기 일동

신라문화장학재단 (박준형 이사장)

SBS문화재단 (윤세영 이사장)

김만극 (약학과 47입)

아이바이오 (김기일 대표이사)

현대엔지니어링 (김위철 대표이사)

종근당고촌재단 (김두현 이사장)

정수장학회 (김삼천 이사장)

Kensary LLP

앨트웰민초장학재단 (김박 이사장)

한국동서발전 (장주옥 사장)

한화갤러리아 (박세훈 대표이사)

한화생명보험 (차남규 대표이사 사장)

한화손해보험 (박윤식 대표이사)

한화첨단소재 (김창범 대표이사)

한화투자증권 (주진형 대표이사 사장)

KEILCO(KEPCO ILJAN CORPORATION)

연강재단 (박용현 이사장)

창강재단 (안병표 이사장)

경기도 인재개발원 (박익수 원장)

대림수암장학문화재단 (변형윤 이사장)

청합장학회 (여상길 회장)

한빛종합동물병원 (임정식 원장)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716900000

364863690

317560000

250000000

220000000

200000000

200000000

150000000

142103500

140000000

139583000

13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98538000

89942000

82426000

70000000

67509000

67500000

62989000

59929000

59208000

53720000

51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44302000

42076000

40918000

40273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39677688

39035000

37244000

37068000

34780000

31047000

31000000

30300600

박종오 (영어영문학과 55입)

이상복 (ABKI문헌지식정보최고위과정 5기)

이상억 (인문대학 명예교수)

한화 (심경섭 대표이사)

한화건설 (김현중 부회장)

한화자산운용 (강신우 대표이사)

한화케미칼 (방한홍 대표이사)

한화호텔앤드리조트 (홍원기 대표이사)

오뚜기재단 (함태호 이사장)

유한재단 (이필상 이사장)

영원무역 (성기학 대표이사 회장)

서울대합창단동문회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전병원 이사장)

국가정책과정(ACAD) 77기 일동

배영수 (서양사학과 교수)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최윤 회장)

몬산토코리아유한회사

(벤자민 마크 후드리스 대표이사)

성련장학재단 (허연금 이사장)

고광우 (행정학과 53입)

김철수 (법과대학 명예교수)

대한적십자사 (유중근 총재)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성기학 이사장)

임현진 (사회과학대학 명예교수)

장문영 (화학과 59입)

재단법인 양영재단 (김상하 이사장)

조유근 (컴퓨터공학부 교수)

두을장학재단 (이인희 이사장)

과천시애향장학회 (신학수 이사장)

서울장학재단 (이경희 이사장)

왕한석 (인류학과 교수)

포니정장학재단 (정몽규 이사장)

조용준 (법학과 79입)

농어촌희망재단 (김달웅 이사장)

경동송천재단 (류덕희 이사장)

농생대 환경재료과학 교수일동

주식회사 천랩 (천종식 대표이사)

돈암장학회 (이용배 이사장)

인선문화재단 (박선영 이사장)

단암장학재단 (이봉서 이사장)

치과대학 치의학대학원 동창회

흥한재단 (박병석 이사장)

선화예술문화재단 (심재혁 대표)

한국미즈노 주식회사 (김창범 대표이사)

곽노섭 (수학과 49입)

19대 인문대 학장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김은선 (디자인학부 13입 조은지의 모)

서광훈 (약학대학 67입)

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ASP) 27기 동문

송재용 (경영학과 교수)

수도씨에이씨 (송명호 대표이사)

신한화구 (한봉근 대표)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28436000

27942000

26000000

24210000

24041200

23994234

22500000

20724000

20500000

20274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18779000

17973600

17934000

17600000

17050000

17000000

165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4000000

14000000

13500000

12000000

12000000

11602000

11102610

10281624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이앤티 (고영호 대표이사)

재단법인 정민 (윤석헌 이사장)

제11기 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천병년 (약학과 77입)

최민철 (농공학과 75입)

현대하이스코 (신성재 대표이사)

황효진 (동양사학과 78입)

대한사료주식회사 (이상민 대표이사)

해성문화재단 (단재완 이사장)

한국가스공사 (장석효 사장)

장석윤 (약학과 79입)

한국석유공사 (서문규 사장)

종로구장학회 (최현종 이사장)

동부문화재단 (강경식 이사장)

인촌기념회 (이용훈 이사장)

용옥장학문화재단 (양철우 이사장)

미래의동반자재단 (Jeffrey D Jones 이사장)

성옥문화재단 (이화일 이사장)

다래파크텍 (김호정 대표이사)

미래인재육성재단 (최양식 이사장)

고화장학회 (배명인 이사장)

한국애질런트테크놀로지스 (박시영 대표)

이재원 (중앙도서관 정보관리과)

리브로 (김경수 대표이사)

오운문화재단 (이동찬 이사장)

조비경농장학재단 (이병만 이사장)

오스템임플란트 (최규옥 대표이사)

한국섬유산업연합회장학재단 (노희찬 이사장)

아카넷 (김정호 사장)

삼송장학회 (김영기 이사장)

서지희 (IFP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11기)

김지호

서울상공회의소 관악구상공회 (김진철 회장)

송파재단 (윤원영 이사장)

김영윤 (토목공학과 62입)

로보로보 (장창남 대표이사)

류판동 (수의과대학장)

모르페우스 (김진수 대표이사)

박윤서 (고고인류학과 69입)

박찬국 (철학과 교수)

송인석 (치의학과 01입)

시그나사회공헌재단 (홍봉성 이사장)

신남식 (수의학과 교수)

약학대학 40회 동기회

와이비엠 (민선식 대표이사)

이필상 (경제학부 교수)

한국경제연구원 (권태신 원장)

황만순 (제약학과 90입)

운경재단 (배성동 이사장)

제봉민병욱장학재단

심명문화재단 (이경재 이사장)

홍산장학재단 (천영주 이사장)

홍수현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9730000

9528000

9140000

9000000

9000000

8690000

8525000

8525000

8178000

8112000

7963000

7928068

7713000

7500000

7000000

6950000

6919590

6058000

6010000

6000000

6000000

5700000

5400000

5357143

5100000

5100000

5089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4934000

4734000

4527000

4500000

4462280

4000000

4000000

4000000

3956000

3862000

3600000

3500000

3029000

3029000

3005000

3005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2706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467000

2467000

22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1865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5145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431445

1221251

1210000

108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단위 $

100000

10000

5000

3000

500

500

200

200

100

100

100

100

20140601 ~ 20140831 약정 단위 원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약정DONATION

39 38

김형렬 (윤리교육과 교수)

이정진 (기계항공공학부 95입)

신흥 (이용익 대표이사)

이창우 (경영학과 교수)

서영길 (광산학과 53입)

일중장학재단 (송윤영 이사장)

금곡장학회 (이수상 이사장)

덕원장학회 (이헌경 이사장)

강현구 (건축학과 교수)

김명환 (조선해양공학과 75입)

김영수 (법과대학 60입)

김영운 (재료공학부 교수)

김종원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김진학 (도시환경최고전문가과정 29기)

박훈 (기계공학과 63입)

서강문 (동물병원 원장)

서동규 (경영학과 84입)

송재홍 (농화학과 83입)

송희영 (영어영문학과 74입)

신남식 (수의학과 교수)

이규선 (조경middot지역시스템공학부 13입 이성용의 부)

이봉호 (치의예과 84입)

이재호 (경영학과 84입)

전병롱 (정책학과 10입 전상우의 부)

전호석 (기계설계학과 71입)

주식회사 KTampG 남서울본부 (박정욱 본부장)

최황 (의과대학 명예교수)

황철성 (재료공학부 교수)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박기용 이사장)

가송재단 (윤도준 이사장)

강스템바이오텍 (강경선 대표이사)

오이코스 (배장영 대표이사)

유한회사 본음인베스트먼트

이진경 (전국낙지자랑 대표)

한승장학회 (이재영 이사장)

윤용혁 (독어교육과 60입)

키움증권 (권용원 대표이사)

협성문화재단 (박석귀 이사장)

이강이 (아동가족학과 교수)

윤상혁 (디자인학부 03입)

윤화영 (수의학과 교수)

GS칼텍스 (허동수 대표이사 회장)

권규돈 (중어중문학과 13입 권기범의 부)

김경준 (농경제학과 82입)

김용팔 (수의과대학 75입)

김재홍 (수의학과 교수)

김진태 (법학과 71입)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이재술 대표이사)

문대원 (경영학과 71입)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오근택 대표이사)

박세창 (수의학과 교수)

산학협동재단 (한덕수 이사장)

선암장학재단 (윤호철 이사장)

성제경 (수의학과 교수)

송재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우광덕 (치과대학 64입)

유기윤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유한상 (수의학과 교수)

윤여성 (수의학과 교수)

윤정희 (수의학과 교수)

이건목원리한방병원 (이건목 원장)

이동진 (교무처 학사과)

이소영 (수의학과 교수)

이인숙 (간호대학 교수)

이항 (수의학과 교수)

이희근 (공과대학 명예교수)

조무제 (법학과 65입)

조성범 (수의학과 교수)

조제열 (수의학과 교수)

주식회사 오공 (김윤정 대표이사)

중앙백신연구소 (윤인중 대표이사)

지티앤티 (이세한 대표이사)

채찬희 (수의학과 교수)

태평소금 (손일선 회장)

한호재 (수의학과 교수)

해마루 (김현욱 원장)

황인구 (수의학과 교수)

조선에듀케이션 (방정오 대표이사)

사회복지법인 건아재단 (심철환 이사장)

KT (황창규 대표이사 회장)

광림교회 (김정석 담임목사)

광주시민장학회 (박기준 이사장)

김기원 (AIP최고산업전략과정 38기)

김상은 (융합과학부 교수)

김혜원 (간호학과 교수)

박종근 (전기공학과 교수)

서병태 (의학과 54입)

송경희 (국악과 59입)

연당장학회 (남욱 회장)

오유경 (약학대학 부학장)

우정장학문화재단 (강백영 이사장)

임현주 (약학과 82입)

전상직 (작곡과 교수)

주리아 (치과대학 04입)

한국마쯔다니 (유태균 대표이사)

홍영표 (GLP글로벌리더십과정 21기)

신우호 (화학교육과 87입)

류판동 (수의과대학장)

이병욱 (조경학과 81입)

김용백 (수의학과 교수)

김종암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정혜선 (간호학과 82입)

강부현 (수의학과 72입)

권길주 (조선해양공학과 11입 정지원의 모)

권혜숙 (약학과 82입)

김경대 (치의학과 82입)

김미영 (간호학과 98입)

김범진 (턱교정학고급연수과정 6기)

김성열 (교육학과 75입)

김종흔 (경영대학 92입)

김현산 (법과대학 54입)

녹십자수의약품 (김승목 대표이사)

덕영재단 (전헬리시아 이사장)

문수자동판매기 (김영식 대표)

민기복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민동홍 (독어독문학과 77입)

박병익 (지리교육과 교수)

박종철 (물리학과 61입)

설재연 (심리학과 82입)

송은도 (국악과 01입)

유차영 (ASP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 12기)

신우개발 서울지점 (김익환 사장)

신하순 (동양화과 교수)

안석준 (치의과대학원 부원장

안휘준 (인문대학 명예교수)

양민영 (협동과정 미술교육전공 94입)

양형식 (자원공학과 75입)

옥복연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07입)

우경미 (치의학대학원 교수)

우성공원묘원 (허정산 대표)

우성원 (미학과 95입)

월악장학문화재단 (남기영 이사장)

유건선 (토목공학과 73입)

유흥수 (법학과 58입)

윤희정 (수의학과 교수)

이기윤 (정치학과 88입)

이대혁 (자원공학과 87입)

이병천 (수의학과 교수)

이상돈 (에너지자원공학과 84입)

이승주 (치의학과 92입)

이시우 (의예과 95입)

이은수 (서울대운동용품 대표)

이정인 (공과대학 명예교수)

임종후 (서양화과 12입 임지윤의 부)

정소걸 (자원공학과 71입)

정지훈 (치의학과 교수)

조경란 (법학과 79입)

조기웅 (화학과 66입)

조현욱 (사법학과 83입)

최명애 (회화과 70입)

최정욱 (경영학과 84입)

최종길 (법과대학 83입)

최해영 (경영대학 행정실)

하종철 (동양화과 13입 하문원의 부)

한공창 (자원공학과 72입)

한국지하수지열협회 (안근묵 회장)

허형무 (경영대학 68입)

미주재단

Steve Ro (토목공학과 61입)

Soung Kim (임학과 56입)

Joong M Soh (공과대학 64입)

John Baek (금속공학 49입)

Hyunchan Lee (치과대학 70입)

Steve amp Cheryl Shapiro

Kwang S Hong (공과대학 60입)

Moon H Kim (공과대학 68입)

David Cho (공과대학 60입)

Dong Ku Chung (기계공학과 57입)

Sang Dae Lee (농업생명과학대학 80입)

Young D Kim (공과대학 67입)

서울대학교병원 (오병희 병원장)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이철희 병원장)

SK가스 (최창원 부회장)

AMP 78기 일동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윤강섭 병원장)

삼성전자 (권오현 대표이사 부회장)

SK하이닉스 (박성욱 대표이사 사장)

삼성복지재단 (이수빈 이사장)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한국세포주연구재단

하나제약 (조경일 회장)

코스맥스 (이경수 대표이사 회장)

패션그룹형지 (최병오 회장)

서울대학교총동창회 (서정화 회장)

한국수력원자력 (조석 사장)

형애장학회 (최효종 이사장)

송원김영환장학재단 (김해련 이사장)

사회복지법인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이기수 이사장)

TOYOTA MOTOR CORP

(요시다 아키히사 대표이사 사장)

권욱현 (공과대학 명예교수)

네이버 (김상헌 대표이사)

현송교육문화재단 (김정일 이사장)

롯데장학재단 (신영자 이사장)

일주학술문화재단 (이선애 이사장)

현대차 정몽구 재단 (유영학 이사장)

LG연암문화재단 (구자경 이사장)

SECMCA

아산사회복지재단 (정몽준 이사장)

천만장학회 (이광현 이사장)

방일영문화재단 (조연흥 이사장)

AMP 77기 일동

신라문화장학재단 (박준형 이사장)

KRX국민행복재단 (최경수 이사장)

SBS문화재단 (윤세영 이사장)

김만극 (약학과 47입)

농우바이오 (정용동 유연희 대표이사)

안인희

전국경제인연합회 (허창수 회장)

정윤환 (임학과 56입)

현대엔지니어링 (김위철 대표이사)

세진에프알에스 라쿠치나 서울대점 (장재훈 대표이사)

재단법인 웅진 (신현웅 이사장)

종근당고촌재단 (김두현 이사장)

정수장학회 (김삼천 이사장)

Kensary LLP

앨트웰민초장학재단 (김박 이사장)

주중광 허지영 (약학대학 60입 화학과 66입)

한국동서발전 (장주옥 사장)

한화갤러리아 (박세훈 대표이사)

한화생명보험 (차남규 대표이사 사장)

한화손해보험 (박윤식 대표이사)

한화첨단소재 (김창범 대표이사)

한화투자증권 (주진형 대표이사 사장)

KEILCO(KEPCO ILJAN CORPORATION)

연강재단 (박용현 이사장)

창강재단 (안병표 이사장)

경기도 인재개발원 (박익수 원장)

대림수암장학문화재단 (변형윤 이사장)

이상억 (인문대학 명예교수)

1432968520

1147748270

1000000000

716900000

615220390

600000000

560000000

364863690

317560000

250000000

220000000

210000000

200000000

200000000

166000000

150000000

142103500

140000000

139583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98538000

89942000

82426000

67509000

66598412

62989000

59929000

59208000

53720000

51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49800000

46522180

44302000

42076000

40918000

40273000

40204972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39677688

39035000

37244000

37068000

34780000

31800000

청합장학회 (여상길 회장)

한빛종합동물병원 (임정식 원장)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두산 (박용만 대표이사 회장)

송미순 (간호학과 교수)

이상복 (ABKI문헌지식정보최고위과정 5기)

한화 (심경섭 대표이사)

한화건설 (김현중 부회장)

한화자산운용 (강신우 대표이사)

한화케미칼 (방한홍 대표이사)

한화호텔앤드리조트 (홍원기 대표이사)

오뚜기재단 (함태호 이사장)

재단법인 최혁영 장학회 (최혁영 회장)

유한재단 (이필상 이사장)

영원무역 (성기학 대표이사 회장)

부경양돈협동조합 (박재민 조합장)

져스텍 (김용일 대표이사)

서울대합창단동문회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전병원 이사장)

국가정책과정(ACAD) 77기 일동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최윤 회장)

몬산토코리아유한회사

(벤자민 마크 후드리스 대표이사)

성련장학재단 (허연금 이사장)

고광우 (행정학과 53입)

대한적십자사 (유중근 총재)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성기학 이사장)

임현진 (사회학과 교수)

재단법인 양영재단 (김상하 이사장)

조유근 (컴퓨터공학부 교수)

두을장학재단 (이인희 이사장)

과천시애향장학회 (신학수 이사장)

서울장학재단 (이경희 이사장)

왕한석 (인류학과 교수)

포니정장학재단 (정몽규 이사장)

조용준 (법학과 79입)

농어촌희망재단 (김달웅 이사장)

경동송천재단 (류덕희 이사장)

김신원 (응용화학과 64입)

농생대 환경재료과학 교수일동

주식회사 천랩 (천종식 대표이사)

돈암장학회 (이용배 이사장)

인선문화재단 (박선영 이사장)

단암장학재단 (이봉서 이사장)

치과대학 치의학대학원 동창회

흥한재단 (박병석 이사장)

선화예술문화재단 (심재혁 대표)

한국미즈노 주식회사 (김창범 대표이사)

곽노섭 (수학과 49입)

19대 인문대 학장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김은선 (디자인학부 13입 조은지의 모)

바텍 (노창준 대표이사)

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ASP) 27기 동문

수도씨에이씨 (송명호 대표이사)

신한화구 (한봉근 대표)

이앤티 (고영호 대표이사)

장문영 (화학과 59입)

제11기 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조경일 (약학대학 64입)

주식회사 명진팜 (권기진 대표이사)

31047000

31000000

303006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28436000

28081000

27942000

26000000

25000366

25000000

24210000

24041200

23994234

20724000

20500000

20274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18779000

17973600

17934000

17600000

17050000

17000000

165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4000000

14000000

13500000

12000000

12000000

11602000

11102610

10281624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천병년 (약학과 77입)

최민철 (농공학과 75입)

현대하이스코 (신성재 대표이사)

황효진 (동양사학과 78입)

대한사료주식회사 (이상민 대표이사)

해성문화재단 (단재완 이사장)

한국가스공사 (장석효 사장)

김춘길 (화학생물공학부 58입)

애드미션 (김유탁 대표이사)

종로구장학회 (최현종 이사장)

동부문화재단 (강경식 이사장)

인촌기념회 (이용훈 이사장)

용옥장학문화재단 (양철우 이사장)

미래의동반자재단 (Jeffrey D Jones 이사장)

김영윤 (토목공학과 62입)

성옥문화재단 (이화일 이사장)

다래파크텍 (김호정 대표이사)

미래인재육성재단 (최양식 이사장)

고화장학회 (배명인 이사장)

이재원 (중앙도서관 정보관리과)

리브로 (김경수 대표이사)

오운문화재단 (이동찬 이사장)

조비경농장학재단 (이병만 이사장)

박지향 (중앙도서관장)

오스템임플란트 (최규옥 대표이사)

한국섬유산업연합회장학재단 (노희찬 이사장)

한옥희 (화학과 79입)

아카넷 (김정호 사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정기택 원장)

삼송장학회 (김영기 이사장)

서지희 (IFP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11기)

김지호

서울상공회의소 관악구상공회 (김진철 회장)

박찬국 (철학과 교수)

송파재단 (윤원영 이사장)

김재길 (법학과 56입)

로보로보 (장창남 대표이사)

모르페우스 (김진수 대표이사)

박성경 정성창 (치의학과 96입)

박윤서 (고고인류학과 69입)

서용석 (상학과 46입) 정재원

송인석 (치의학과 01입)

송재용 (경영학과 교수)

시그나사회공헌재단 (홍봉성 이사장)

약학대학 40회 동기회

와이비엠 (민선식 대표이사)

이필상 (경제학부 교수)

한국경제연구원 (권태신 원장)

황만순 (제약학과 90입)

운경재단 (배성동 이사장)

제봉민병욱장학재단

심명문화재단 (이경재 이사장)

홍산장학재단 (천영주 이사장)

홍수현

박미혜 (성악과 교수)

박영아 (물리학과 79입)

최동하 (농경제학과 71입)

춘강문화장학재단 (박성형 이사장)

허성도 (인문대학 명예교수)

형남진장학재단 (이정희 이사장)

강남구청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9730000

9528000

9140000

9000000

9000000

8690000

8525000

8525000

8178000

8112000

8000000

7963000

7928068

7713000

7500000

6950000

6919590

6058000

6010000

6000000

6000000

6000000

6000000

5700000

5556000

5400000

5357143

5100000

5100000

5090000

5089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4934000

4734000

4527000

4500000

446228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3956000

3862000

3750000

3500000

3120000

3029000

3029000

3005000

3005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2706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467000

2467000

2467000

2400000

2230000

215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1865000

1800000

15145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431445

1300000

1275251

1260000

1200000

106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단위 $

100000

10000

5000

3000

500

500

200

200

100

100

100

100

단위 원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20140601 ~ 20140831 출연

출연DONATION

40

서울대학교는 기부금을 출연한 후원인에게 더욱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국내 최고 수준의 의

료서비스를 자랑하는 서울대학교병원 이용 예우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으며 서울대학교병원 후원인

라운지에 상주하는 전담 직원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후원자 중 추가 진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본원 또는 분당 서울대학교병원과의 즉각

적인 연계가 가능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 본원 조윤지 | Tel 02-2272-2750 E-mail sosunolovesnuackr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강수정 | Tel 031-787-1915 E-mail c8541snubhorg

(재)서울대학교발전기금 김종희 | Tel 02-871-1633 E-mail p2727snuackr

bull병원 예우 담당자

bull서울대학교병원 예우 서비스 이용 안내

예약대행 서비스 | 진료 및 입원 예약 대행 병원 측과 협의 후 예약일자 결정

의전 서비스 | 진료middot입원middot응급실 이용 편의를 위해 예우 담당자가 직접 안내

종합건강검진 주선 서비스(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bull서울대학교병원 예우 서비스 내용

지원 자격 활동 기간

bull경제적 지원이 필요한 학생

(건강보험료 기준) 우선 선발

bull성적 45만점 환산 30 이상

lsquo 새싹 멘토링rsquo은 빈곤의 대물림을 막기 위한 자선 봉사활동으로

전국 국공립대학의 우수한 학생이 저소득층 중middot고등학생의

학습을 도우며 장학금을 받는 프로그램입니다

bull최소 6개월~12개월

bull활동 실적에 따라 졸업 시까지

연차적으로 기회 부여

새싹멘토링의

멘토가

되어주세요

bull전화 02-880-1593(새싹 멘토링 서울대학교 본부) bull팩스 02-780-2647(미래국제재단 여의도 본사)

bull이메일 mifsnuhanmailnet 새싹 멘토링 지원 방법 문의 시 상세히 안내해드립니다

서울대학교와 미래국제재단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봉사활동에 학생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다립니다

기부인의 따뜻한 마음에

다양한 혜택의 예우 서비스로

보답합니다

출연 기금 진료예약 의전 서비스 종합건강검진 주선

50억 이상 평생 평생 연 1회(평생 프리미엄 검진)

10억 이상 평생 10년 연 1회(평생)

5억 이상

1억 원당 1년(기한)

5년

1억 원당 연 1회(기한)3억 이상 3년

1억 이상 1년

서울대학교병원 본원 후원인 전담 직원이 진료 예약 및 의전 서비스까지 친절하게 안내해 드립니다

문의처 병원 후원인 라운지(본관 3층) 또는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후원인 전담 직원이 진료 예약 및 의전 서비스까지 친절하게 안내해 드립니다

문의처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또는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강남센터와의 즉각적인 연계를 통해 강남센터 상담 직원이 후원자 여러분께 상담 전화를 드립니다

문의처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기부인 예우 프로그램DONATION

SeoulNational University

151-742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1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

T 02-880-5114 F 02-885-5272wwwsnuackr

C o v e r S t o r y

과학자의 공식

좋은 연구를 하겠다는 신념으로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걸어온 사람

miRNA 분야의 세계적인 개척자 김빛내리 교수다

그녀는 노벨상 수상에 가장 근접한 국내 과학자로 꼽힌다

도전과 실패 인내를 거듭하며 세계적인 과학자 반열에 오르기까지

그녀의 행보를 통해 성공과 신뢰 만족을 얻는 인생 공식을 알아본다

Page 4: SNU Magazine Vol. 38 › new › wp-content › uploads › 2015 › 12 › snu_people... · 2016-01-30 · 우수 연구자 시리즈 10 유상렬 농생명공학부 교수 06 선배와의

5 4

4년을 위한 시작

총장과의 만남PEOPLE

원칙이 지배하는 정의로운 사회

서울대학교 제26대 총장 취임식이 관악캠퍼스

문화관 중강당에서 열렸다 취임식에는 전임 총

장 학장 및 원장 교수 직원 학생 동문 등 학

내외 구성원 500여 명이 참석해 성낙인 총장이

전하는 서울대학교의 비전에 귀를 기울였다

성 총장은 현재 우리나라가 처한 어려운 상황

에 대한 이야기로 취임사의 운을 띄웠다 ldquo우리

는 물질적ㆍ경제적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했지만

사회 구조적ㆍ정신적 위기는 여전히 우리의 발

목을 잡고 있습니다 산업화와 민주화 과정에

서 쌓여온 적폐들이 아직도 우리 주변을 떠돌고

있습니다rdquo 성 총장은 이러한 때일수록 낡은 인

식과 이념의 장벽을 벗어 던지고 새로운 패러다

임에 입각한 시대정신에 부응해야 한다고 전하

며 현재 우리 사회 전반에 흐르는 lsquo공동체적 가

치의 부재rsquo를 우려했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와

분위기 속에 그가 강조한 것은 바로 lsquo원칙이 지

배하는 정의로운 사회rsquo 성 총장은 어려움을 극

복하고 민주주의와 경제 발전을 이룩한 우리나

라의 역사를 되짚어보며 과거 서울대학교의 인

재들이 지혜와 용기로 조국의 나아갈 길을 밝힌

것처럼 정의로운 사회의 중심에 서울대학교가

있어야 할 것을 당부했다

SNU with People bull Pride bull World

과거부터 이어온 서울대학교의 기여에도 불구

하고 요즘 서울대학교를 바라보는 시선이 곱지

만은 않다 성 총장은 그 이유를 국민들이 바라

보는 서울대학교의 모습과 서울대학교가 처해

있는 상황의 괴리 때문이라 말했다 그는 서울

대학교를 다시금 lsquo국민이 사랑하는 학교(SNU

with People)rsquo lsquo구성원들의 자긍심을 지키는 학

교(SNU with Pride)rsquo lsquo세계 무대로 도약하는

학교(SNU with World)rsquo로 만들어 그 괴리를

좁혀가겠다는 총장의 책무를 다짐했다

성 총장이 가장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과제로

꼽은 것은 바로 법인 전환 이후 lsquo서울대학교의

좌표 확립rsquo이다 국내외 다른 대학을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서울대학교가 개척자적 자세로

창조적 모델로 서겠다는 확고한 시각이 필요하

다고 했다 이를 위한 정책 방향으로 먼저 lsquo대학

본연의 임무rsquo에 충실할 것을 제시했다 대학의

연구 행정과 운영 혁신을 통해 lsquo교육과 연구의

장rsquo인 서울대학교가 세계 학술 연구의 중심으로

자리하도록 기반을 확고히 하겠다는 것이다

지성과 공공성을 겸비한 선한 인재

성 총장은 인재 양성의 중요성도 잊지 않았다

ldquo이 시대가 요구하는 훌륭한 인재는 지성과 함

께 공공성으로 무장한 따뜻한 가슴을 지녀야

합니다 lsquo선(善)한 인재rsquo 정직하고 성실한 차세

대 지도자를 양성하기 위해 인성 교육을 강화하

겠습니다rdquo 라며 이를 위해 학부 교육 내실화에

최선을 다할 것을 약속했다 성 총장은 이외에

도 서울대학교가 명실상부한 세계 최고 수준의

명문대학으로 자리잡기 위해 계속 다져가야 할

다양한 교육middot연구 모델을 언급하며 이러한 변

화와 혁신은 구성원 모두가 소통과 화합을 통

해 한 마음으로 나아갈 때 가능하다고 적극적

인 협조를 부탁했다

취임사 마지막 부분의 말이 인상적이다 ldquo어느

날 우리 학교의 교목인 느티나무처럼 넉넉하

고 믿음직한 학문공동체의 그늘 아래서 사람들

은 말하게 될 것입니다 lsquo그때 거기에 서울대학

교가 있어서 지금 여기에 대한민국이 있는 것rsquo

이라고 말입니다rdquo 성 총장은 이미 알고 있는 것

같다 원칙과 철학 없이 이룬 성과는 반짝하는

좋은 이야깃거리는 될 수 있어도 영원히 남을

수 없다는 것을 흔들리지 않는 초심과 원칙으

로 작지만 가치 있는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의미

있는 변화를 하나 둘씩 이뤄가길 그래서 훗날

성낙인 총장이 있던 서울대학교가 많은 사람들

의 마음에 깊이 새겨지길 기대한다

성낙인 박사는 2011년 서울대학교가

국립대학법인 전환 이후 선출된 첫 총장이 됐다

8월 5일 막중한 책임감으로 서울대학교의 4년을

이끌어 갈 그의 취임식이 열렸다 단상에 오른

새로운 총장의 목소리가 강당 안에 힘차게 울렸다

서울대학교 제2 6 대 총장 취임

focus ON

lsquo선(善)한 인재rsquo

학문의 벽을 뛰어넘는 탈경계형

통합적 지성을 함양하고 자긍심과

책임감으로 봉사하는 인재

lsquo선(善)한 인재rsquo 양성을 위한 방향

학부 교육의 내실화

세계 시민으로서의 품성을 갖추고

인간성 회복과 인간 존엄성을

중시하는 교육 모델 창출

사회적 이동성 제고

다양한 잠재력 가진 소외 계층과

소외 지역의 인재를 적극 발굴하고

육성하는 입시ㆍ교육 제도 마련

7 6

우수 연구자 시리즈 10PEOPLE

위험한 식탁을 고발합니다

ldquo에서 식중독균이 검출됐습니다rdquo 매체에

서 어렵지 않게 들리는 식품 오염 사고 주스 한

잔에도 한 끼 식사에도 언제나 그 위험성은 존

재한다 우리의 식탁을 위협하는 식품 오염은

관리의 문제도 크지만 시간이 오래 걸리고 복

잡한 세균 검출 방법에도 그 원인이 있다 이러

한 기존 검출법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기술이 개

발됐다 유상렬 농생명공학부 교수가 바로 그

주축이다

유상렬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박테리오파지

(bacteriophage)를 이용해 살아있는 식중독균

을 검출하는 데 성공했다 기존 검출 방법보다

정확성을 높이고 시간도 단축했다 ldquo박테리오

파지는 자신이 숙주로 삼는 세균만을 감염해

사멸시키고 매우 빠르게 증식하는 바이러스입

니다 이러한 능력을 이용하면 식품 속 특정 식

중독균의 제어와 단시간 내 검출이 가능할 것

이라 생각해 연구를 시작했습니다rdquo 그가 개발

한 검출 방법의 핵심은 lsquo리포터 파지rsquo이다 식중

독균으로 잘 알려진 살모넬라균만을 감염하

는 박테리오파지를 선별한 후 발광하는 유전자

를 삽입해 빛을 내게끔 했다 이 리포터 파지가

식품 속 살아있는 식중독균을 감염하며 증식하

는데 이때 생물발광 유전자도 수 백배 증폭돼

강력한 빛을 내게 된다 빛의 정도를 측정함으

로써 균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이다

ldquo기존의 검출법은 검체 일부를 배양액에 넣고 증

균한 뒤 증식된 균의 생화학적인 특징을 조사

해 알아내는 방법이에요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

실용적이지 못하죠 또한 유전자를 증폭하는

PCR 방법은 검출속도는 빠르지만 살아있는

균과 죽은 균을 구분하지 못해요 식중독을 일

으킬 위해성이 없는 죽은 균도 검출하는 치명적

인 문제점이 있습니다rdquo 지난 10여 년간 파지 연

구에 매진해온 유 교수 꾸준히 쌓은 각종 노하

우는 이번 기술 개발의 단단한 밑거름이 됐다

미지의 영역을 연구합니다

하루에도 수많은 식품이 등장하는 요즘 점점

다양해지는 식품을 연구하는 데 어려움은 없을

까 ldquo식품생명공학은 물리middot화학middot생물middot공학middot

의약학 등 거의 모든 학문 분야가 접목되는 융

합 학문입니다 병원성 미생물을 신속하게 검출

하는 여러 방법이 개발됐지만 대부분 식품에는

적용할 수가 없어요 식품은 종류가 워낙 많아

서 이런 검출 방법을 어렵게 만드는 성분이 다양

하게 존재하기 때문이죠rdquo 그는 또한 식품에 관

한 잘못된 정보가 사회 전반에 퍼져있음을 우려

했다 ldquo우리 주변엔 식품에 대한 정확하지 않은

속설이 많아요 식품첨가물인 MSG가 대표적

이죠 대부분 해롭다고 생각하는데 MSG는 모

든 식품에 다 있는 성분이기도 하고 미생물 발

효를 통해 만들어 전혀 해롭지 않거든요 문제

는 어떻게 만들어진 것인지 모른 채 잘못된 정

보만 받아들이고 있다는 거예요rdquo 이에 유 교수

는 몇몇 교수들과 함께 lsquo식품안전연구원rsquo을 만

들어 안전한 먹거리에 대해 과학적으로 설명하

고자 한다 사회 전반에 퍼진 잘못된 식품 정보

를 바로 잡는 것이 목표다

생물학 분야의 눈부신 발전에도 불구하고 여

전히 우리가 알고 있는 생명 현상은 극히 일부

분이라고 한다 매번 예상을 빗겨가는 결과들

이 연구가 재미있는 이유이기도 하다는 유 교수

그는 마지막으로 이 분야를 연구하려는 학생들

에게 lsquo끈기rsquo를 가지라고 조언한다 ldquo지구상에는

1032개 이상의 어마어마한 파지가 존재합니다

이를 연구하려면 아무래도 끝장을 보겠다는 끈

기를 갖고 일을 해야 합니다 더불어 실험에 필

요한 최적의 대상을 고르는 안목이 필요한데

이것을 키우기 위해서는 새로운 지식에 대한 흥

미를 유지하면서 평생 공부해야죠rdquo 안전한 먹

거리를 지키고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연

구하는 것이 그의 몫이라면 이제 올바른 정보

를 받아들이는 건 우리의 몫이다

보이지 않는 영역

식품 속 미생물 연구

가시 한계를 넘어선 아주 작은 생물 때로는 유익하게

때로는 해롭게 보이지 않지만 모든 곳에 존재한다

식품 속 미생물을 연구하는 유상렬 교수가 식탁 위 공포를

잡아줄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mini TALK

안전한 파지(phage)

박테리오파지의 준말인 파지

우리가 자각하지 못할 뿐 사실

인류가 생존하며 먹어 온

음식에는 상당히 많은 종류의 파지가

존재한다 안전성은 이미 입증이

된 셈 최근에는 모유에도 파지가

들어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연구실 free talking국내를 넘어 세계와 경쟁해야

하는 분야인 만큼 영어 또한 아주

중요하다 유 교수의 연구실에서는

매주 한 번씩 일주일 동안 수행한

실험에 대해 영어로 발표하고

논의하는 시간을 갖는다

先흥미 後연구

유 교수는 대학원 첫 학기

신입생들에게 특정 과제를 주지

않는다 다양한 실험을 배우며

경험하게 하는데 그 중 재미있게

느낀 주제를 선택하도록 기회를 주는

것이다 흥미가 있어야 좋은 결과도

나온다는 것이 그의 연구 철학이다

유상렬 농생명공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식품공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매사추세츠대학교에서 식품미생물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올바른 지식을 전달하기 위해

활발하게 연구 중이다 최근 살아있는 식중독균만을

검출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9 8

진행 중인 연구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20여 년간 남극 과학기지에서 해양저서무척추동물의 생태를 연

구해 왔습니다 남극의 해양생태계는 종 다양성의 보고로서 지

구 전체 생태계에 일익을 담당하고 있어요 최근에는 기후변화에

대해서도 연구하고 있습니다 남극은 지구온난화가 빠르게 진행

되는 곳 중 하나로 특히 세종과학기지 근처의 빙하가 아주 빠르

게 무너지고 있어요 이런 변화가 주변 해양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남극 연구의 장점이 궁금합니다

남극에서 발견되는 것들은 굉장한 희소가치가 있습니다 연구하

는 방법론 자체는 평범하지만 대상이 평범하지 않기 때문에 좋은

저널에 연구 결과를 발표할 수도 있어요 남극에서만 발견되는

토착종이 굉장히 많아서 남들이 안 해본 연구를 하고 싶다면 좋

은 환경이죠 남극에서 생활하며 연구하고 일하는 것 자체는 매

우 힘들지만 열심히 노력해 극복할 수 있다면 아직도 개척할 수

있는 재료들이 무궁무진하답니다

선배와의 데이트PEOPLE

월동을 앞둔 소감 을 말씀해주세요

하계 연구대원으로 남극에 자주 가다 보니 두려움은 별로 없지

만 지금은 월동대장으로서 처음 파견되는 것이기에 책임의 무게

를 느낍니다 대원도 직접 뽑고 식량 준비도 하면서 본격적으로

안전 지침을 숙지하고 있어요

1년 동안 월동을 잘 수행하려면 어떤 점이 중요한지 알려주세요

단조롭고 폐쇄된 환경에서 오랜 기간 지내려면 lsquo개인rsquo lsquo임무rsquo lsquo관

계rsquo 이 세 가지 조화가 잘 이뤄져야 합니다 우선 개인이 육체적으

로 건강하고 행복감을 느껴야 자기 임무와 타인과의 관계에서

모두 성공할 수 있어요 지금까지 개인의 건강 행복은 자기 관리

의 측면으로 치부됐는데 조직에서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요즘 대원들과 함께 건강한 월동 생활을 위한

여가ㆍ운동 관련 콘텐츠를 만들고 있습니다 덧붙여 lsquo안전rsquo과 lsquo성

과rsquo도 중요합니다 기지의 모든 운영이 안전을 최우선적으로 고려

하며 진행돼야 하는 건 당연하고 국제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과학적인 성과도 창출한다면 더욱 좋겠죠

어떤 월동대장의 모습으로 기억되고 싶으신지 궁금합니다

23년 전에 처음 남극에 갔을 때 연구가 아닌 lsquo남극에 간 첫 여성rsquo

으로 언론의 주목을 받았어요 최초의 여성 월동대장이 아닌 lsquo세

종과학기지의 국제적 위상을 올리고 기지 운영을 업그레이드 한

월동대장rsquo으로 기억되길 바랍니다 또한 대원들이 월동을 하며 행

복과 보람을 느낄 수 있도록 만들고 싶어요 제가 하는 일이 대단

하다고 생각하실 수 있어요 하지만 이 일이 제게 주어졌고 저는

최선을 다할 뿐이라고 생각해요 그래도 마칠 때에는 lsquo안인영이

있어 다른 월동대와는 달랐다rsquo라는 말을 들으면 정말 좋겠네요

남극에서 돌아온 뒤의 계획에 대해 말씀해주세요

세종과학기지는 기후변화에 따라 해양생태계의 변화를 연구할

수 있는 최적의 장소입니다 지금의 연구를 확장해 우리나라가

주도하는 세종과학기지 기반의 국제공동연구 프로그램을 만들

고 싶습니다 남극에 다녀오면 환갑인데 90살까지 산다고 하면

월동은 제 인생 23의 방점을 찍는 지점이에요 삶의 새로운 단계

로 들어서며 무엇인가에 도전할 수 있다는 건 정말 축복인 것 같

아요 인생의 13은 배움의 시간이었고 23는 열심히 쟁취하는

시기였어요 마지막 3부에는 이제까지 과학자로서 쌓은 것들을

잘 마무리하고 베풀면서 남은 인생을 뜻깊게 정리하는 시간으로

보내고 싶습니다

ldquo대선배님을만나

기쁩니다최초

여성월동대장이

아닌월동대장

lsquo안인영rsquo으로

기억되길바랍니다rdquo

최창현 지구환경과학부

인공위성 지구물리연구실

석사 14학변

남극의

과학자

남극은 단순히 지구에서 가장 추운 곳이 아니다 전 지구에서 발생하는 자연현상의 부분적인

자궁이자 기후변화 문제 해결의 단초를 품고 있는 미지의 대륙이다

우리나라 여성으로는 처음 남극에 발을 디딘 안인영 생물학자가 제28차 남극 세종과학기지의

월동대장으로 임명됐다 월동대는 올해 11월 말 출국해 13개월간 남극에 머문다

그녀를 만나기 위해 최창현 김호상 학생이 인천 송도 극지연구소를 찾았다

ldquo선배님과의인터뷰를통해삶의가이드를얻은것

같습니다이런기회를주셔서감사합니다rdquo

김호상 지구환경과학부 11학번

안인영 대한민국 남극 세종과학기지 제28차 월동연구대장

서울대학교에서 해양학을 전공했다 미국 뉴욕주립대학교에서 연안해양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생물학자로

1991년 남극하계연구대 일원으로 남극과 처음 인연을 맺었다 극지연구소 극지생물연구실장 선임연구본부장 등을 역임했다

소속 극지연구소 극지해양환경연구부 책임연구원

11 10

주목할만한 인재PEOPLE

한국으로 온 계기

레오나르도 학구적인 분위기에서 공부하고 싶었습니다 브라질

에 있을 때 친구들이 공부를 소홀히 하는 모습에 스트레스를 많

이 받았거든요 한국의 교육에 관한 뉴스를 보면서 유학하고 싶

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케이타 일본에서 한국어와 한국 역사에 대해 배웠습니다 지도

교수님도 한국 분이셨고 자연스레 이곳에서 공부하고 싶다는 생

각을 했습니다 학창 시절을 외국에서 보내며 한국 친구들을 많

이 사귄 것도 유학을 결정하는 데 한몫 했습니다

유학 오기 전 걱정했던 부분

케이타 한일관계에 대해 걱정을 많이 했습니다 한국인처럼 생

겨서 그런가 막상 생활해보니 아무 일도 없었지만요(웃음) 적대

감은 정치에만 해당되는 것 같아요 가끔 친구랑 한국어로 얘기

하며 걸어가면 누가 한국인인지 일본인인지 모를 정도로 위화감

이 없습니다

레오나르도 걱정이 전혀 없었습니다 한국은 브라질보다 훨씬

안전한 편이에요 특히 제가 사는 상파울루는 현지인에게도 위험

한 곳이라 저녁이면 어머니께서 어디냐고 꼬박꼬박 전화하실 정

도인데 한국에서는 치안에 신경 쓸 일이 없어 좋습니다

한국어 습득의 가장 어려운 점

케이타 한국어에는 형용사가 아주 많은 것 같아요 예를 들어

일본어에는 lsquo빨갛다rsquo라는 의미의 단어가 하나인데 한국어에는

lsquo새빨갛다rsquo lsquo붉다rsquo lsquo불그스름하다rsquo와 같은 비슷한 뜻의 단어가 여

러 개 있죠 그 부분이 조금 헷갈리곤 합니다

레오나르도 저 역시 형용사가 쉽지 않았습니다 게다가 쓰기는

더욱 더 어렵고요 하지만 생각해보면 모든 언어는 처음엔 어려워

요 배우고 싶은 마음과 공부할 시간만 있다면 언어는 물론 모든

일이든 가능할거라 생각합니다

좋아하는 한국어 단어

레오나르도 lsquo수고하세요rsquo라는 말을 좋아합니다 브라질에서는

헤어질 때 lsquoByersquo라고만 하는데 한국에서는 더 열심히 lsquo수고rsquo하라

고 인사하잖아요 항상 열심히 일해왔던 한국의 역사와 분위기를

대표하는 말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케이타 맞아요 한국 사람들은 무엇이든 열심히 하는 것 같아

요 학교에서도 학생들이 열심히 공부하고 활동하는 모습을 자

주 보는데 그만큼 스트레스를 받는 모습도 많이 봤습니다 힘들

게 사는 것 같아 안타까울 때가 있어요

레오나르도 공대생인 저를 두고 말하는 건 아니죠(웃음)

서울대학교의 장점

케이타 서울대학교에는 특히 다양한 국적을 가진 학생들이 많

은 것 같습니다 외국 학생들과 교류하며 다른 나라의 언어를 익

히고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은 점이 매력적입니다 지

금 수강하고 있는 lsquo포르투갈어rsquo 수업도 사실 계획에 없었는데 브

라질 룸메이트를 만나 배우게 됐죠

레오나르도 브라질에서 서울대학교는 lsquo한국에서 최고rsquo라고 알

려져 있어요 여기라면 공부하는 데 좋은 영향을 받을 거라고 생

각했습니다 매사에 최선을 다하는 학생들에게서 더 열심히 해야

겠다는 자극을 받고 영감을 얻을 수 있어 좋습니다

외국인 유학생으로서 서울대학교에 바라는 점

케이타 한국에서는 사람이 곧 정보입니다 수업이나 동아리 행

사 등에 참여하고 싶은데 지인이 없어서 곤란한 적이 있었어요

한국어를 잘하지 못하면 그런 정보를 얻는 것이 더 힘든 것 같아

요 학교 관련 정보가 체계화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레오나르도 브라질에 있는 학교와 비교해 서울대학교는 세계화

가 잘 되어 있어요 하지만 그에 비해 영어 수업이 턱없이 부족하

다고 생각해요 선택권이 별로 없기도 하고 양질의 영어 수업이

많아지면 좋겠습니다 더불어 공과대학 커리큘럼이 덜 힘들었으

면 좋겠습니다(웃음)

예비 유학생들에게 전하는 유학 관련 팁

케이타 한국어 공부는 정말 중요합니다 저는 한국어를 잘 하

는 편인데도 가끔 수업을 따라가기 힘들어요 더불어 즐거운 유

학 생활의 첫 걸음은 교수님과 친구들에게 적극적으로 말을 거

는 것 그리고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는 것이라는 사실을 기억해

두세요 그리고 마찬가지로 한국 학생들도 유학생들에게 친하게

말을 걸어주면 좋겠습니다

레오나르도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여러 명이 함께 공부하는 브라질과는 달리 한국은 혼자 공

부하는 문화라는 사실을 유의해야 해요 그 외에 영어와 한국어

에 대한 기본이 갖춰져 있다면 서울대학교에서의 생활에 무리가

없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공대생이라면 당연히 수학도 열심

히 해야 합니다(웃음) 마지막으로 더 많은 브라질 학생들과 함께

서울대학교에서 공부하는 날이 오기를 바라겠습니다

ldquo브라질에도

서울대학교는

lsquo한국에서최고rsquo

라고알려져

있어요rdquo

레오나르도 사르투니오 컴퓨터공학과 13학번

꿈 찾아

삼만리

ldquo몇 살이에요rdquo ldquo저 92(92년생)예요 말씀 편하게 하세요rdquo 말만 들어보면

영락없는 한국인 능숙하게 한국어를 구사하는 이들은 바로 서울대학교의

외국인 학생들이다 저마다의 꿈을 찾아 한국 서울대학교로의 유학길을 택한

일본의 이토 케이타 브라질의 레오나르도 사르투니오의 이야기를 들어봤다

ldquo서울대학교는

다양한나라의

언어를익히고

문화를체험할

수있는기회가

많아요rdquo

이토 케이타정치외교학부 14학번

13 12

업무 스트레스여 삼진 아웃

아직 해도 다 뜨지 않은 푸른 새벽 유니폼을 입은 15명의 남자가

늦은 가을바람을 헤치고 야구 연습장을 뛰기 시작한다 ldquo하나

둘 셋 넷rdquo 운동장에 울려 퍼지는 힘찬 구호 준비 운동을 마친

포수와 투수가 자리를 잡는다 이윽고 야구공이 배트에 맞는 경

쾌한 소리가 운동장을 메운다

프로 선수들을 방불케 하는 훈련으로 새벽부터 서울대학교 야구

장을 밝힌 이들은 체육교육과 학생들도 야구부 학생들도 아닌

서울대학교 교직원 야구단원들이다 이들은 야구를 위해 매주 화

요일 목요일 아침 7시에 모인다 ldquo철저한 훈련이 인천 사회인 야

구대회 우승 비결입니다rdquo 정용기(시설지원과) 감독이 자랑스럽

게 말했다 서울대학교 교직원 야구단은 lsquo2014년 전국대학 교직

원 야구대회 준우승rsquo lsquo2013년 인천 남구 리그 우승rsquo 등 사회인 야 구단에서 이름을 날리는 팀이다 올해로 4주년을 맞은 야구단은

2011년 학교 밖 사회인 야구단에서 야구를 즐기다가 서로 알게

된 교직원 9명이 의기투합해 만들었다 lsquo야구를 좋아하는 다른

교직원을 각자 한 명씩 데려오자rsquo라는 약속으로 시작된 모임이

2012년 스누리그에 가입하며 본격적인 동아리의 틀을 완성해갔

다 현재는 80명의 회원이 활발하게 활동하는 서울대학교 내 가

장 큰 교직원 동아리 중 하나로 꼽힌다 야구 동아리는 스누리그

에 등록된 학생 야구팀과 시합을 하면서 학생들과도 두터운 친분

을 쌓고 있다 땀 흘리며 운동하다 보면 남녀노소 누구나 친구가

될 수 있는 것이 바로 스포츠의 매력 아닌가 평일 아침 아주 잠깐

의 시간이지만 서류 가방 대신 글러브와 배트를 손에 쥔 그들의

얼굴이 유난히 밝다

인생을 읊조리는 시간

문학과 예술 동아리는 자작시를 낭송하는 교직원 모임이다 한

달에 한 번씩 좋은 책을 읽고 서평을 공유하거나 새로운 시를 소

개하기도 한다 2005년 시를 읽고 쓰기 위해 자발적으로 결성한

모임이 10년의 세월을 거치며 등단 시인을 배출하기도 했다 이

들의 가장 큰 행사는 lt서울대 문예지gt 발간과 정기적으로 개최하

는 lsquo교직원 문예의 밤rsquo이다 작년 11월에는 lsquo가을 낙엽제 행사rsquo에

서 시화전을 열어 90여 편의 자작시를 소개하는 등 다양한 동호

회 행사를 진행하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문학과 예술 동아리

를 이끄는 이종만(공과대학) 회장은 동호회 활동을 적극 추천한

다 ldquo직장이라는 울타리 안에 많은 직원이 함께 있지만 주어진 업

무에만 치중하다 보면 서로 간 소통의 기회가 부족합니다 다양

한 기관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이 동아리를 통해 교류하면서 업무

에 대한 이해도 높일 수 있습니다rdquo

학교 차원에서도 교직원의 동아리는 권장 활동이다 동아리가 직

원 개개인의 잠재력과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스

트레스를 해소하는 건 물론이고 건전한 조직 생활을 위한 동기

를 부여해 즐거운 직장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이에 동아리를 위한 학교의 지원도 점차 체계적이고 구

체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전년도 활동 실적과 당해 연도 활동 계

획서를 제출하면 심사를 거쳐 활동비를 지원한다

든든한 후원 속에서 성장하는 교직원 동아리 다양한 모임에서

더 많은 교직원들이 삶의 즐거움을 누리길 기대한다

즐거운

삶을

꿈꾸며

잠깐의 쉼마저 사치가 되어버린 세상 lsquo바쁘니까 내일부터rsquo라는

말로 일상의 즐거움을 미루는 사람들에게 lsquo여유는 스스로 만드는

것rsquo이라고 몸소 이야기하는 사람들이 있다 제대로 일하고 제대로

즐기기 위한 모임 교직원 동아리를 소개한다

노력에대한성과와기쁨을

사람과의소통과배려를선사하는야구는

저에게인생이고학교입니다

아름다운성찰과타인에대한배려가

글을기반으로이루어지는곳문학과

예술동아리입니다

김평환middot의대공작실

이종만middot공과대학

탕~스트레스는담장밖으로

열정은그라운드로향하게하는

야구에빠져보세요

정진우middot교무과

당신의 재발견PEOPLE

15 14

캠퍼스의

어떤 하루

햇볕 좋은 날

SNU Ske t c hPEOPLE

스트레스 날리는 가을 축제

lsquo스트레스 대폭발 슛트레스rsquo를

주제로 한 서울대학교 2014년

가을 축제 lsquo티라노스트레스rsquo가

캠퍼스 곳곳에서 열렸다

사진은 참가자들이 대형 상자로

만들어진 젠가를 쌓으며 축제를

즐기고 있는 모습

09 29 ndash 10 01

중학생을 위한 생명공학캠프

농업생명과학대학에서

중학생을 대상으로 생명공학

특강 실험과 실습 수목원

체험 등 생명공학에 관한

기초적인 체험을 제공하는

캠프를 마련했다

08 11 - 08 15

오늘은 첫 출근 하는 날

공과대학 엔지니어하우스에서

2014학년도 신규임용교원

임명장 수행식이 거행됐다

60여 명의 신규 교직원들은

임명장을 받으며 합격의 기쁨을

만끽했다

08 25

서울대 입학 궁금해요

문화관 대강당에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2015년 서울대학교

입학 주요 사항을 설명하는

입학설명회를 개최했다

07 05

우물쭈물 말고 말 걸어 봐

2014 SNU 사회적경제

아이디어 대회 활동팀이

선보이는 lsquoTalk to me SNUrsquo

배지 이 배지를 달고 있는

사람에게는 누구나 친근하게

말을 건낼 수 있다

07 24

17 16

Campu s OnNOW

뚜렷하게 새겨진 학문적 발자취

학문 분야에서는 서울대학교의 대표적인 연구 성과인 현택환 중견

석좌교수의 lsquo나노수류탄rsquo 김수봉 교수의 lsquo중성미자 변환상수 연구rsquo

와 함께 서울대학교가 소장하고 있는 귀중한 사료인 lsquo대동여지도

(大東輿地圖)rsquo lsquo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rsquo에 대한 이야기도 만

나볼 수 있다 이어지는 교육 환경 코너는 학생 1인당 장학금 지급률

부터 개별 전공 졸업 후 진로 정보까지 방문객이 터치스크린을 통

해 원하는 정보를 찾아볼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빛나는 역사

전시 콘텐츠는 lsquo역사middot학문 분야middot교육 환경middot글로벌 SNUmiddot사회적

책임middot미래 인재middot미래 활동rsquo 순으로 전개된다 먼저 홍보관에 발을

들이면 개교 이전부터 현재까지의 모습이 전면 스크린에 펼쳐진다

최초의 근대 국립고등교육기관이었던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의

역사를 사진과 영상으로 만나볼 수 있다 또한 이곳에는 한국전쟁

419 혁명 등 중요한 역사의 현장에서 희생된 서울대학교 재학생들

의 고귀한 뜻을 기리는 추모의 벽이 설치되어 있다 조국의 발전을

위해 몸 바친 영혼들을 위해 잠시 묵념하는 시간을 가져보자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가 세계의 다양한 대학 연구 기관과 어떤 국제협력프로

그램들을 만들고 운용하고 있는지 궁금하다면 글로벌 SNU 코너에

서 그 현황과 규모를 찾을 수 있다 다양한 사회 기여 활동을 보여주

는 사회적 책임 코너도 빼놓을 수 없는 곳이니 잊지 말고 둘러보자

인재를 길러내는 서울대학교의 모습과 장기적인 비전은 스누홀의

마지막 전시장에서 확인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등 양방향적 소통 장치를 마련한 스누홀은 방문객과의

자유로운 교감을 꿈꾼다 견학 온 학생에게 자녀가 다니는 학교가

궁금한 부모님에게 이곳은 훌륭한 안내소가 될 것이다 아직 학교가

알쏭달쏭하다면 망설이지 말고 스누홀의 문을 두드리길

1 SNU connect

2 SNU 타임비전

3 SNU Awards

4 미디어홀

5 라운지

6 SNU Special

1

스누홀을 통해 서울대학교를

바라보는 시각이 달라졌고

도전 의식이 생겼습니다 당당한

재학생으로 꼭 다시 오고 싶어요

김예준middot낭주중학교 3학년 박지훈middot용강중학교 3년

서울대학교에 대해 잘 알지

못했는데 이번에 스누홀을

둘러보면서 서울대학교와 한층

가까워진 것 같아요

문의 070 8815 1524

생생 방문 후기

SNU Hall 문을 열다

매년 5만 명이 넘는 이들이 캠퍼스 투어를

위해 서울대학교를 찾는다 호기심을 가득

품고 관악캠퍼스를 찾은 방문객들은 커다란

위용에 왠지 모를 어려움을 느끼기도 한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고 종합적으로

학교를 안내하기 위해 서울대학교 홍보관

스누홀(SNU Hall)이 문을 열었다 학교의

역사에서부터 환경 글로벌 미래 비전까지

서울대학교의 이모저모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스누홀을 살펴보자

1

2

3

4

5

6

19 18

여행과 봉사를 한번에 볼런투어

Who 글로벌사회공헌단 bull Where 경상남도 함양군 bull What 일손 돕기 목가구 제작 벽화 그리기 등

드림컨설턴트는 2010년 학내 봉사 동아리로 출범해 2012년 서울

시 비영리 민간단체 공식인가를 받은 서울시 NGO다 lsquo꿈rsquo이라는 주

제 아래 lsquo촉촉콘서트rsquo lsquo드림커넥터rsquo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

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이들이 8월 8일부터 10일까지 경상남도

창원 구암고등학교에 머물렀다 2박 3일간 고등학생 꿈 찾기 프로

그램인 lsquo드림캠프rsquo를 진행하기 위해서다

드림캠프는 직업군으로 나누어 꾸민 부스에서 멘토가 강연하는 lsquo직

업 박람회rsquo 자신의 꿈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해보는 lsquo드림스토밍rsquo

문제 상황에 부딪쳤을 때 필요한 가치관을 이야기해보는 lsquo가치관 동

맹rsquo lsquo모의 면접rsquo 등의 프로그램으로 탄탄하게 구성됐다 뿐만 아니

라 봉사 단원들은 고등학생들이 자신의 가치관을 살펴보고 모호한

꿈을 좀 더 구체적으로 그리며 진로를 고민해볼 수 있도록 직접 교

재까지 제작하는 열의를 보였다 지난 4년 동안 꾸준히 성장해온 드

림컨설턴트가 꾸려나갈 앞으로의 모습이 더욱 궁금해진다

꿈을 발견하는 곳 드림캠프

Who 드림컨설턴트

Where 경상남도 창원시

What 고등학생 꿈 찾기 캠프

방학 계획을 물을 때 lsquo여행rsquo과 lsquo봉사활동rsquo은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단골 소재다 글로벌사회공헌단은 이 두 가지를 동시에 할 수 있는

프로젝트 lsquo볼런투어rsquo를 마련했다 자원봉사(Volunteer)와 여행

(Tour)을 합친 볼런투어는 개인의 재능을 통해 사회공헌 사각지대

에 필요한 자원을 제공하는 활동이다

이번 볼런투어는 8월 6일부터 9일까지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에서

진행됐다 5개 팀으로 나뉘어진 학생들은 각각 농촌 일손 돕기 목가

구 제작 벽화 그리기 어르신 사진 촬영 지역아동센터 교육 봉사 등

의 개별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낯선 일이었지만 학생들은 땀을 흘리

며 사과 농장을 일구고 마을 입구에 놓을 초대형 평상을 제작하는

등 각자의 재능을 통해 나눔을 실천했다

모든 일정이 계획대로 진행된 것은 아니다 프로젝트 기간 동안 함양

군을 지나간 태풍 lsquo나크리rsquo 탓에 벽화팀이 애써 그린 작품 대부분이

지워진 것 돌발 상황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최선을 다한 학생들에게

마을 주민들은 고마움을 표현했다 함양군에서의 3박 4일은 이들에

게 잊지 못할 경험으로 기억될 것이다

자연과학대학은 2006년 경상북도 영덕군과 lsquo관학 협력 및 지역사

회 개발에 관한 협정rsquo을 체결했다 그 후 매년 여름마다 영덕 지역 청

소년들의 적성과 소질을 개발하고 대학생들의 인성 함양을 위해 멘

토링 프로그램과 과학 캠프를 개최해왔다 올해 역시 자연과학대학

재학생으로 구성된 봉사단이 영덕 지역 청소년들과 만났다

8월 5일부터 7일까지 이어진 캠프 첫날 고등학생 25명을 대상으로

lsquo대학 진학 멘토 교실rsquo이 열렸다 입시를 앞둔 이들에게 실질적인 조

언을 해주는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이 미리 준비해 온 질문에 봉사단

원들의 진지한 답변이 이어졌다 이어서 진행된 lsquo과학 캠프rsquo 봉사단

은 물리천문학 생명과학 지구환경과학 화학 수리과학 등의 각 전

공을 살려 중학생 75명과 함께 과학 실험을 진행했다 서울대학교

봉사단원들은 아이들이 과학을 어렵지 않게 느끼도록 실험을 도우

며 재미있는 분위기를 이끌었다

이번 캠프는 열정적으로 참여한 학생들 덕분에 참가자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에게도 높은 호응을 이끌었다 에너지 넘치는 자연과학대

학 봉사단과 함께 할 내년 여름을 기대해본다

청소년 100명과의 만남 과학 캠프

Who 자연과학대학 봉사단

Where 경상북도 영덕군

What 청소년을 위한 멘토링 과학 캠프

학생들의 학습을 꼼꼼히 지도하는 드림컨설턴트

직접 그린 벽화 앞에서 포즈를 취한 볼런투어 벽화팀

과학 실험 삼매경에 빠진 캠프 참여 청소년

Campu s OnNOW

각양각색 봉사활동 열전

태양이 이글대던 두 달이 쏜살같이 지나가버렸다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여름

방학 속 가장 기억에 남는 일은 무엇이었는가 무더운 여름보다 더 뜨겁게 방학을 보낸

사람들이라면 금세 대답할 수 있을 것이다

21 20

서울대학교 세계 최고를 꿈꾼다

서울대학교는 영국 대학평가기관 QS(Quacquarelli Symonds)가 발표하는 2014 QS 세계대학평가(QS

World University Rankings)에서 31위를 차지했다 1994년부터 시작된 QS 세계대학평가는 전 세계 대학

에 대한 평가로 학계 평판 40 연구 영향도(교수 1인당 논문 피인용 수) 20 졸업생 평판도 10 교수 대

학생 비율 20 외국인 교수 비율 5 외국인 학생 비율 5를 합산해 평가한다 올해 발표된 평가의 1위는

미국 MIT(매사추세츠공대)였으며 아시아 대학 가운데서는 싱가포르국립대학교(NUS)가 22위 홍콩대학교

(HKU)가 28위에 올랐다

서울대학교는 해외 학계에서의 인지도를 알 수 있는 학계 평판(Academic Reputation) 및 기업인 대상 설문

조사로 평가하는 졸업생 평판 항목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향후 논문 피인용 수 증가를 통해 연구 영향도 분

야에서 개선을 추구해 나가는 한편 구성원의 글로벌 다양성 확보를 위해서도 노력할 계획이다

2014 QS 세계대학평가가 9월 발표됐다 2004년 118위에서 2010년 50위 2011년 42위

2012년 37위 2013년 35위 그리고 올해 서울대학교는 역대 최고 성적을 경신했다

118

93

63

5147

50

4237

35

31

50

140

40

20

0

120

100

80

60

순위2005년 2009년 2012년2006년 2010년 2013년2007년 2011년 2014년2004년 2008년

QS Ranking지난 11년간의 성과

연도 별 순위

lsquo창업론 실습rsquo 커리큘럼

STEP 1 조별 사업 기획

STEP 2 약 300만 원의 지원금과 창업 공간 지원

STEP 3 기업가들의 컨설팅

STEP 4 학점 취득

통찰력 있는

미래의 창업가를 키운다

연합전공 벤처경영학

표준적인 인재는 많지만 특출난 인재는

늘 부족하다 기업가 정신을 갖추고 끊임없이

도전하는 인재들의 양성소

연합전공 벤처경영학을 소개한다

새로운 경제 성장의 동력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lsquo창업 부흥rsquo

정책이 정부를 비롯해 지방자치단체 중소기업청 등에서 이

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학생들의 대기업 선호 현상과 lsquo창업은

위험한 도박rsquo이라는 인식은 여전하다 대기업 입사를 위한 다

양한 프로그램과 유학 스터디 등이 활발한 것과 달리 창업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은 아이디어를 나눌 공간이 없고 경험 있

는 선배로부터 직접적인 조언을 얻기도 쉽지 않다 이러한 문

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이 나섰다

올해 설립된 벤처경영학 전공은 학생들이 실제로 창업을 경

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lsquo창업론 실습 1middot2rsquo 과목을 수

강하는 학생들은 조별로 사업을 기획해보고 약 300만 원과

창업 공간을 지원받으며 기업가들의 컨설팅을 받게 된다 이

런 과정을 통해 학점도 취득할 수 있다 이밖에 벤처경영학과

에서는 철학과 경영학과 컴퓨터공학부 식품동물생명공학

부 등 연합전공에 참여한 학과의 개설 과목은 물론 제품 기획

론 창업론 특강 벤처사업 기회 연구 등 벤처 운영에 도움이

되는 과목을 함께 수강할 수 있다

실리콘밸리와 맞닿아 있는 스탠포드대학교는 구글 야후 휴

렛팩커드 등 초일류 기업의 창업자들을 배출했으며 오늘날

이 대학 출신이 창업한 기업의 연 매출은 우리나라 국내총생

산(GDP)의 2배를 넘을 정도로 큰 성과를 내고 있다고 한다

창업을 지원하는 학내 인프라와 프로그램 그리고 실제 벤처

기업을 운영하는 교수진이 있기에 가능한 일이다 서울대학

교 벤처경영학이 미래의 한국 벤처 생태계를 구축할 혁신적

인 기업가 양성 교육의 훌륭한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

Campu s OnNOW

연합전공 시리즈 3

23 22

문화생활백서 in SNU

과제 시험 그리고 또 과제 학교에 갇혀 있는

날이 계속되다 보면 잠깐이나마 쉴 곳을 찾게

된다 왠지 모르게 무기력해지고 답답한 순간

당신에게는 lsquo휴식rsquo이 필요하다

빼곡한 강의실 책만 가득할 것 같은

서울대학교 안에도 여유 시간을 알차게 보낼

수 있는 놀라운 공간들이 구석구석 숨어 있다

벌써부터 방학을 그리워하는 학생들에게

캠퍼스의 각종 문화 시설은 달콤한 선물이

되어줄 것이다 학교 안에서 즐기는

문화생활의 lsquo핫 플레이스rsquo를 소개한다

영화관이 학교 안에

미술관을 지나 오르막길을 오르다 보면 현수막 하나가 눈에 띈다

2004년부터 작품성은 높지만 대중적 인기는 얻지 못한 진흙 속의

진주 같은 영화를 소개하는 lsquo수요시네마rsquo 프로그램이다 매월 둘째

주 수요일 문화관에서 무료로 관람 가능하다 더불어 학교의 중심

중앙도서관 영상자료실도 혼자 영화 보기 안성맞춤인 곳이다 비교

적 최신 DVD까지 소장하고 있어 공강 시간을 보내기 유용하다

몸 튼튼 마음 튼튼

서울대학교에선 원한다면 누구나 각종 운동을 섭렵할 수 있다 공과

대학에는 테니스장과 농구장 인공 암벽등반 시설이 있으며 기숙사

에는 축구 운동장과 더불어 야구 연습 탁구 농구 등을 할 수 있는 실

내 체육관이 있다 종합운동장에선 축구와 미식축구를 할 수 있으며

마라톤 트랙이 있어 다른 운동도 가능하다

정문 근처 포스코(POSCO) 스포츠센터는 2001년에 문을 연 4층 건

물로 서울대학교의 대표 체육 시설이다 수영과 헬스뿐만 아니라 골

프와 댄스 발레 요가 등 전문 강사가 진행하는 다양한 강좌가 있다

시설이 좋아 lsquo미녀는 괴로워rsquo 등의 영화와 드라마 촬영지로도 사용됐

다 이외에 체육 교육과에서도 매 학기 테니스 필라테스 탁구 등을

소규모로 배울 수 있는 건강 운동 강좌를 개설하고 있다 에너지 넘

치는 학생들에게 서울대학교는 즐거운 놀이터다

음악감상실

장소 학생회관 111호

운영시간

학기 중 평일 930~1730

학기 중 토요일 930~1330

수요시네마

장소 문화원 중강당

비용 무료

문의 02-880-7924

정문 옆 미술관

정문 너머 왼편에는 독특하고 아름다운 외형의 건물이 있다 바로 서

울대학교 미술관 MoA 프리츠커 건축상을 수상한 렘 콜하스가 설

계했다 한 해 3~4회의 전시가 열리는 MoA는 타 학교 미대에서 관

람을 올 정도의 높은 전시 수준을 자랑한다 학교 구성원과 지역민

등을 대상으로 하는 미술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뿐만 아니라 도

슨트 교육을 받고 선발되어 활동하면 문화자원봉사 확인증을 주는

자원봉사 프로그램도 있다 미술관 입구 앞 독특한 조형물도 하나의

볼거리니 방문한다면 여기서부터 관람을 시작하자

MoA

운영시간 화~일요일 1000~1800(입장마감 1730)

관람료 3000원

문의 02-880-9504

포스코 스포츠센터

운영시간 평일 600~2230 토요일 1000~1700

문의 02-880-6980

Campu s OnNOW

음악이 들려주는 비밀

호그와트(영화 lsquo해리포터rsquo의 마법학교)에 비밀의 방이 있다면 서울

대학교에는 음악감상실이 있다 학생회관 식권 판매대 옆 두꺼운 문

을 열면 나타나는 음악감상실은 예전부터 높은 경쟁률을 뚫고 선발

된 DJ가 수준 높은 음악을 들려주는 것으로 명성이 자자했다 한국

최초 그래미 수상자 황병문 동문도 음악감상실 DJ 출신이다 문화

관에서 시작되는 lsquo걷고 싶은 거리rsquo는 음악대학 학생들의 연주와 노

래 소리를 들으며 산책하기 좋다 덧붙여 음악대학에서는 매 학기

lsquo화요음악회rsquo를 개최한다 1994년부터 20년째 이어지는 음악회다

오디션을 통해 선발된 공연팀이 무대에 올라 질 높은 음악을 들을 수

있으며 누구나 관람 가능하다 문화관과 자하연 사이에 위치한 스탠

드에서는 때때로 즉흥 연주가 벌어진다 버스킹의 정확한 일정은 없

으니 지나치다 익숙한 음악이 들리면 놓치지 말고 들러보자

1 2

3

4

화요음악회

장소 문화관

비용 무료

문의 02-880-7903

25 24

미래인재학교란 서울대학교 입학본부 주관으로 진행되는 고교 지원 프로그램으로

서울대학교 교수와 학생이 직접 지역 고등학교에서 지식을 전달한다

92명

13기 수료생

100명

14기 수료생미래인재학교

수료생 현황

미래 인재를 위한 꼼꼼한 준비

서울대학교는 7월과 8월 전라남도 고흥middot여수에서 미래인재학교

13 14기를 개최했다 미래인재학교는 지역 간 교육 환경 격차를 완

화하고 고교생의 소질과 적성을 개발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서울

대학교 교수 강의와 재학생 멘토링 등을 통해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다 개최 지역에 따라 맞춤형으로 운영하기 때문에 4

개월 정도의 준비 기간이 필요하다 각 기수마다 재학생 멘토팀을 선

발해 프로그램을 새롭게 기획하는 것은 물론 담당 입학사정관과 멘

토팀이 몇 차례의 답사를 통해 현지 교육 환경을 이해하고 운영 시설

을 확인하는 등 프로그램을 세심하게 꾸려나간다

열정 가득한 학생들과 3박 4일

나로도 소재 국립고흥청소년우주체험센터에서 진행된 미래인재학

교 13기에서는 고흥 소재 8개 고등학교 1 2학년생 92명이 3박 4

일의 과정을 수료했고 14기에서는 여수 소재 10개 고등학교 1학년

학생 100명이 나흘 간의 과정을 마쳤다 특히 이번 멘토팀은 개최지

의 요청에 따라 역대 최대 규모로 조직됐는데 이들 중에는 고교 재

학 중 미래인재학교 수료생으로 참가했던 3명의 학생도 있었다

각 학교장의 추천을 받아 선발된 고등학생들은 입학식과 더불어 핸

드폰을 모두 담당 교사에게 제출하는 등 바른 수업 태도와 학업 의

지를 보여주었고 쉴 틈 없이 짜인 프로그램에도 중도 탈락하는 사

람 하나 없이 참가자 전원이 수료증을 받을 수 있었다

교수 멘토 멘티의 특급 하모니

3박 4일 동안 고등학생들과 함께 숙식하며 프로그램 운영은 물론

학생들의 생활지도까지 맡은 서울대학교 재학생 멘토들 이들은

lsquo아이스 브레이킹rsquo lsquo주제 토론rsquo lsquo고교 생활의 Know-Howrsquo lsquo11 멘

토링rsquo lsquo도전 골든벨rsquo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학생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했다 물리천문학부 홍승수 명예교수 등 고교생

의 눈높이에 맞게 선정한 다양한 학과의 교수 강연은 학생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참가 고등학생들 역시 강의 2주 전 배포한 강연

자료를 예습해왔고 강의가 끝난 후에도 호기심을 충족하기 위해

교수님을 따라 행사장 밖까지 나가 질문하는 열의를 보였다 이번

행사가 서울대학교 학생들에겐 나눔의 기쁨을 개최 지역의 고등학

생들에겐 배움의 기회를 주었길 바란다

지역 인재는 우리가 기른다

전라남도 고흥과 여수에 서울대학교 학생들이 떴다 미래 후배들의 소질과 적성 개발을

돕는 멘토링 프로그램 lsquo미래인재학교rsquo를 진행하기 위해서다 이번에는 개최지의 요청에

따라 역대 최대 규모의 멘토팀이 조직됐다 고등학교 시절 배움을 위해 lsquo미래인재학교rsquo를

찾았던 학생도 지식을 나눠주는 멘토가 되어 돌아왔다 고등학생들과 동고동락하며 여름의

열기보다 뜨거운 4일을 보낸 이들을 만나보자

멘토링 시간에 조별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학생들

참가 학생이 자신의 의견을 발표하고 있는 모습

대학 입학에 관해 강의하는 홍승수 명예교수

Campu s OnNOW

step1

step2

step3

27 26

서울대학교는 8월 29일 관악캠퍼스 문화관 중강당에서

교수 학생 직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교수 정년식을 진행

했다 노태돈 국사학과 교수 임현진 사회학과 교수 안

정선 생명과학부 교수 김명모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장

호익 디자인학부 교수 한문희 불어교육과 교수 김민자

의류학과 교수 황준연 국악과 교수 이성철 의학과 교수

등 26명이 명예로운 정년을 맞아 정든 캠퍼스를 아름답

게 떠났다 이날 행사에서는 박종화 환경대학원 교수가

정년 교수진을 대표해 감사와 당부의 인사말을 전했다

교수 정년식

02

서울대학교는 8월 28일 관악캠퍼스 종합체육관에서 제

68회 후기 학위수여식을 개최했다 이번 학위수여식에

서는 학사 850명 석사 989명 박사 522명 등 총 2361

명이 학위를 받았다 성낙인 총장은 ldquo최고의 지식은 사회

봉사와 인류공헌을 위해 쓰이는 것이며 훌륭한 인재는

지성과 공공성으로 무장된 따뜻한 가슴을 겸비한 lsquo선한

인재rsquordquo라며 ldquo민족의 동량 사회의 중심으로 드높은 자부

심을 갖되 지식과 열정을 공동선을 위해 공헌하는 사회

적으로 필요한 인재가 되기 바란다rdquo고 당부했다

제68회 후기 학위수여식

03

01

서울대학교는

신임 보직교수단을

구성했다 신임 보직

교수 임기는 2년으로

2016년까지 대학의

비전을 마련하고

고등교육 발전을 위한

주요 소임을 맡아

활동한다

신임 보직교수 임명

04 06

2014 우수 인재 채용박람회

추석을 맞아 서울대학교 구성원들의 따스한 손길이 어려

운 이웃들에게 전해졌다 인문대학 등 62개 기관에서 모

금한 총 28271500원은 학교 근처의 보육원 사회복지

관 등 도움이 필요한 곳에 전달됐다 성낙인 총장은 아동

복지시설인 상록보육원을 방문해 성금을 전달하며 어린

이들과 보육원 관계자들을 격려했다 그리고 김종서 교

육부총장은 동명 아동복지센터 이우일 연구부총장은 성

민 종합사회복지관 유근배 기획부총장은 선의관악 종합

사회복지관을 각각 찾아 성금을 전달했다

추석 명절 이웃돕기 성금전달

보 직 명 학 과 (부) 성 명

교육부총장 종교학과 김종서

연구부총장 기계항공공학부 이우일

기획부총장 지리학과 유근배

교무처장 화학부 김병문

학생처장 농생명공학부 김정한

연구처장 의학과 박노현

기획처장 법학전문대학원 이철수

기초교육원장 서양사학과 안병직

입학본부장 독어교육과 권오현

국제협력본부장 국제대학원 정종호

보 직 명 학 과 (부) 성 명

정보화본부장 컴퓨터공학부 신영길

교무부처장 겸 교육부처장 치의학대학원 백승학

학생부처장 식품영양학과 한성림

연구부처장 약학과 오정미

기획부처장 독어독문학과 강창우

협력부처장 건설환경공학부 김재영

기초교육부원장 물리middot천문학부 유재준

입학부본부장 고고미술사학과 이준정

국제협력부본부장 국제대학원 신성호

정보화부본부장 경영학과 장정주

NewsNOW

제8기 스누봉사단이 한국수력원자력(주)의 후원으로 8

월 9일부터 20일까지 베트남 라오까이 성에 있는 스빤

마을에서 봉사활동을 진행했다 유성상 교육학과 교수

이우철 치의학대학원 교수 이승표 교수 한동헌 교수

김익규 빗물모아지구사랑 실장 김용환 연구원 서울대

학교 학생 23명으로 구성된 봉사단은 구강보건의료 빗

물 정화 위생교육 등의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 주민들에

게 나눔을 실천했다

제8기 스누봉사단 베트남 봉사활동

0705

훌륭한 공대교수상 선정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올해의 훌륭한 공과대학 교수로

신현식 컴퓨터공학부 교수 이재홍 전기정보공학부 교

수 강신형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를 선정했다 이 상은 교

수들의 연구 활동을 장려하고 산업 기술의 선진화를 꾀

하자는 취지에서 1992년 공과대학 동문들이 출연한 기

금으로 제정됐다 2003년부터 교육상과 연구상 2개 부

문으로 시상해오다가 올해부터 교육상 학술상 산학협

력상 3개 부문으로 확대돼 의미가 더욱 커졌다

경력개발센터는 2014년 하반기 채용 시즌을 맞이해 9월

2일에서 4일까지 대학본부 앞 잔디 광장에서 lsquo새로운 미

래를 여는 SNU 2014 서울대학교 우수인재 채용박람회rsquo

를 개최했다 올해로 11회째를 맞이한 채용박람회에는

6500여 명의 학생들이 참가했다 한편 두산 삼성 현대

자동차 LG SK 등 국내 주요 대기업들과 국방과학연구

소 한국전력공사 등의 공기업 Hakuhodu 그룹 등의 일

본 기업 ASML Korea 등의 외국계 기업 총 130곳이 우

수 인재를 확보하고자 심혈을 기울였다

信義

기부와 나DONATION

유 태 용

나고 자란 곳을 잊지 않는다 어려웠던 순간을 항상

되새긴다 덕분에 유태용 동문은 사회적 성취를 이룬 지금

자신만의 나눔 원칙을 세울 수 있었다

기 부 자 정 보

격동의 세월을 이겨낸 삶

일제강점기를 지나 해방 그리고 한국전쟁까지 1950년에 서

울대학교에 입학한 유태용 동문의 학창시절은 역사적 격동

기와 맞물려 있다 그 시절을 겪어보지 않은 요즘 세대에게 유

동문의 경험은 책에서나 접하는 옛날이야기로 들릴 수 있다

그럼에도 유 동문은 과거를 잊지 않으려 그 시절을 끊임없이

복기한다 당시 경험을 lt어느 서울대 공대생의 한국전쟁gt이

라는 책에 풀어내기도 했다 ldquo요즘은 상상도 못할 이야기죠

이후로도 어렵사리 국가 발전을 이뤘고요 우리 세대가 고생

했다고 알아주길 바라는 건 아닙니다 다만 큰 어려움을 헤

쳐 온 인생 선배들을 보면서 힘든 순간이 닥쳐도 좀 더 지혜롭

게 극복했으면 좋겠습니다rdquo

유태용 동문은 대학 졸업 후 1957년부터 공직 생활을 시작했

다 이후 오랜 기간 공직에 몸담으며 국토 계획과 건설 행정

을 담당했다 유 동문의 전공은 토목공학 그중에서도 방조

제가 전문 분야였다 공직 생활 초창기에 국제원조기구 장학

생으로 선발돼 1962년 미국에서 아카데미 코스를 밟기도 했

다 그렇게 미국에서 수학한 지식을 바탕으로 당시만 해도 단

일목적댐뿐이던 우리나라에 다목적댐을 도입하는 데 기여했

다 ldquo저는 어찌 보면 운이 참 좋은 사람입니다 어려운 시기에

농촌에서 서울대학교에 입학했고 좋은 기회가 닿아 외국에

서 공부하는 경험도 할 수 있었으니까요rdquo

오랜 시간 이어온 남다른 향토애

공직에 있으며 국가 발전에 힘써온 유 동문 그는 오래전 고

향을 떠나왔지만 어려웠던 어린 시절을 잊지 않는다 불과 몇

원하는 수업료가 없어 일곱 살 나이에 수십 킬로미터에 달하

는 거리를 오갔던 기억이 여전히 생생하다 적어도 돈 때문에

공부를 못하는 학생은 없어야겠다는 생각에 이른 건 어쩌면

당연한 일 그러한 경험이 있었기에 유 동문은 자신만의 기부

신념을 세울 수 있었다 ldquo똑같이 모를 심어도 좋은 쌀을 얻으

려면 관리를 잘해야 합니다 모를 심고 가만히 두면 한 섬밖

에 못 얻지만 비료를 주고 잡초를 솎아내면서 키우면 네 가

마니까지 불어나요 사람도 마찬가지입니다 인재도 좋은 환

경이 갖추어져야 자랄 수 있습니다 서울대학교에 입학한 건

시작일 뿐이죠rdquo

유 동문은 서울대학교에 부동산을 기부해 정읍과 고창 출신

후배들을 위한 lsquo정고장학기금rsquo을 마련했다 단지 태어난 곳

에 대한 고집만은 아니다 그 자신이 농촌에서 어렵사리 대학

에 진학했던 까닭에 그곳에서 나고 자란 후배들이 학비 걱정

없이 공부에만 전념할 수 있기를 바라는 선배의 따스한 마음

이다 ldquo예전에도 그랬지만 지금도 농촌에서 몇 백만 원씩 하

는 등록금을 쉽게 마련할 수 있는 집은 많지 않습니다 더구

나 지방에서 공부해서 서울대학교에 온다는 건 쉽지 않아요rdquo

유태용 동문은 장학생들을 직접 만나 격려하는 데에도 적극

적이다 지금은 학생들이 그가 기부한 장학 기금의 혜택을 입

지만 언젠가는 좋은 인재로 성장해 사회에 보탬이 되는 주역

이 되리라 믿는 까닭이다 ldquo서울대학교가 이제 세계에서도 손

꼽히는 대학이 되었다지만 아직도 세상에는 해결하지 못한

연구 과제가 많아요 서울대학교의 많은 인재가 그런 분야에

도 거침없이 도전해 좋은 성과를 내주길 바랍니다rdquo

유태용 한국방재협회 명예회장

내무부와 건설부에서 오랜 기간 국토 계획과 건설 행정을 맡았다 1998년 자연재

해대책법에 따라 한국방재협회 준비위원장에 추대됐고 창립을 준비해 1999년 초

대 회장에 취임한 바 있다

with SNU

토목공학과 학사 ACAD 12기 수료 정고장학기금을 마련해 정읍 고창 출신 학생

들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및 대학원생 재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원하고 있다

ldquo모를 심고 가만히 두면 한 섬밖에 못 얻지만

비료를 주고 잡초를 솎아내면서 키우면

네 가마니까지 불어나요 사람도 마찬가지입니다

인재도 좋은 환경이 갖추어져야 자랄 수 있습니다rdquo

29 28

31 30

기부와 나DONATION

도전 열아홉이란 나이 누군가는 대학 문을 바라보며 책

장을 넘길 시기에 사업을 시작했다 다양한 업종에 손대며

달콤한 성취도 쓰디쓴 실패도 맛본 20대를 지나 서른을 코앞

에 둔 시기에 광장시장 상가 한편에 1평 남짓한 도매 옷가게

를 열었다 그것이 연 매출 1조 원을 올리는 국내 굴지 패션기

업의 출발이었다

근면 어깨에 옷을 짊어지고 고객을 찾아다니길 수차례

서른 살 청년의 성실성을 소매상들은 알아봤다 판로가 열리

니 사업은 자연히 승승장구했다 그러나 10년 후 위기가 닥

쳤다 거래처의 어음이 부도 처리되면서 그 여파를 고스란히

받아야 했다 ldquo부도를 극복하면서 근면의 중요성을 깊이 느

꼈습니다 재기를 생각하며 다시 1평짜리 매장을 얻어 아침 7

시부터 새벽 2시까지 이를 악물고 일했죠rdquo 시작도 그랬지만

이후로도 근면은 최 회장의 삶에 큰 지표가 됐다

배움 일찍이 사회에 진출한 만큼 현장 경험은 누구보다

출중할 터 그러나 최 회장은 lsquo배움에는 끝이 없다rsquo는 생각으

로 경영만 하기도 바쁜 시간을 쪼개 공부를 계속했다 배움의

과정 중에 서울대학교와 인연이 닿았다 학교의 여러 특별과

정을 수료한 것은 물론 서울대학교 패션산업 최고경영자과

정(AFB) 총교우회 회장도 역임했다 ldquo김민자 교수님께서 lsquo바

쁠수록 더 좋은 성과를 낸다rsquo고 말씀하신 적이 있습니다 몸은

분주했지만 세상을 보는 관점은 더욱 넓어질 수 있었습니다rdquo

섬김 최 회장은 오늘날 이룬 성취가 혼자만의 것이 아니

란 점도 매번 되새긴다 패션그룹형지의 성장과 함께 한 대리

점주를 섬기는 해법 중 하나는 교육이다 ldquo사업의 근간인 대

리점주와 함께 호흡하고 성장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일까 고민

하던 차에 생활과학대학 교수님들의 도움으로 lsquo패션그룹형

지 최고경영자과정rsquo을 열었습니다rdquo

나눔 lsquo남 열 걸음 갈 때 반의 반 걸음 더 간다rsquo 최 회장은

기업가로서 성공을 이룬 지금도 이 말을 되새기곤 한다 ldquo남

보다 조금 더 먼저 생각하고 노력하는 작은 차이가 나중에는

큰 성과를 남긴다는 뜻입니다 요즘은 사업이나 일에 대한 것

뿐만 아니라 타인을 향한 배려와 사랑도 반의 반만 앞서 생

각하고 실천하자고 다짐합니다rdquo 최 회장은 lsquo교육은 백년지대

계(百年之大計)rsquo란 말에 동감하며 패션 산업을 이끌어갈 인

재들을 위해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에 기금을 출연했다

또한 지역 발전을 위한 투자를 비롯해 세월호 참사로 고통받

는 유가족과 학생들을 위해 성금을 기부하는 등 다방면에서

나눔을 실천하고 있다 어려운 순간을 딛고 현재의 성취를 이

뤘기에 자신을 키워준 사회에 무엇인가 되돌려주는 나눔이

중요하다고 말하는 최병오 회장 한편으로 그는 lsquo금전적 도움

을 베푸는 자선의 개념을 넘어 재능과 기술을 나누는 나눔의

문화가 필요하다rsquo고 덧붙인다

청년에게 사회에서 일가를 이룬 최병오 회장이 이 시대

를 사는 청년들에게 권하고픈 경험은 다름 아닌 lsquo실패rsquo다 ldquo진

짜 실패는 넘어지는 게 두려워 시도조차 하지 않는 거라고 하

지 않습니까 실패를 두려워하기보다 꿈을 먼저 생각하길 바

랍니다rdquo 최 회장은 목표와 꿈을 추구하는 동시에 타인을 배

려하는 태도 역시 지니길 권한다 그것이 바로 진정한 성공이

요 명품인생을 완성하는 길이기에

切磋琢磨 최 병 오

최병오 회장에게 lsquo근면rsquo은 가장 기본적인 성공 원칙이다

lsquo배움rsquo은 자기 성장의 원동력이며 lsquo섬김rsquo은 상생의

바탕이다 마지막으로 그는 lsquo나눔rsquo이란 대의를 잊지 않는다

ldquo경제적인 어려움으로 배움의 기회를 놓쳐선

안된다고 생각해왔습니다 젊은 나이에

일찍 사업에 뛰어들어 배움에 대한 목마름이

누구보다 컸기 때문입니다rdquo

기 부 자 정 보

최병오 패션그룹형지 대표이사 회장

대한상공회의소 중견기업위원회 위원장이자 윤리경영위원회 위원 또한 한국의

류산업협회 회장과 한국의류산업학회 부회장 등을 맡아 최근 대통령 해외 순방 당

시 경제사절단으로 동행했다

with SNU

AFB 3기 AMP 63기 AIP 42기 AWASB 1기 등을 수료했다 AFB 동창회장과

AFB 동창회 수석부회장을 역임했으며 올해 제13회 AMP 대상을 수상했다 현재

AWASB 동창회장을 맡고 있다

33 32

기부의 향연이 펼쳐지다

바바패션

인문대학 발전기금 1억 원 기부

바바패션(대표이사 회장 문인식)이 인문대학에 발전기금 1억 원을 기부했

다 10월 13일 총장실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성낙인 총장과 문인식 바바

패션 대표이사 회장 유근배 기획부총장 장재성 인문대학장을 비롯해 관

계자 10여 명이 참석했다 성낙인 총장은 ldquo문인식 회장님의 인문학에 대

한 관심과 성원에 감사드린다rdquo며 ldquo이번 기금으로 인문대학의 발전과 인재

양성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이에 문인식 회장은 ldquo바바패

션은 계속해서 나눔 경영을 통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rdquo고 전했

다 문인식 회장은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최고지도자과정(AMP) 72기를

수료하고 현재 인문대학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12기 회장 AMP

총동창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한편 바바패션은 국내 여성 패션 브랜드인

아이잗바바(IZZAT BABA) 지고트(JIGOTT) 등을 비롯한 총 9개의 브

랜드를 보유하고 있으며 심장병 어린이 수술 지원 및 장학 사업도 꾸준히

펼치고 있다

전기컴퓨터공학부 권욱현 명예교수

lsquo권욱현 희망장학기금rsquo 1억 원 기부

지난 6월 17일 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부 권욱현(전기공학 62학번)

명예교수가 lsquo권욱현 희망장학기금rsquo을 조성하고 1억 원을 기부했다 이번

에 마련된 기금은 공과대학과 전기공학부 학생들 가운데 경제적으로 어

려운 학생들에게 지급될 예정이다 변대규 휴맥스 대표를 비롯해 이재원

슈프리마 대표 등 국내 유명 벤처기업 CEO들의 스승으로 유명한 권욱현

명예교수는 2005년 서울대학교 평의원회 의장으로 활동했으며 대한전

기학회장 세계자동제어연맹 부회장 국제자동제어연맹 회장 등을 역임

했다 국제자동제어연맹(IFAC) 회장으로 재임 시 사재 50만 달러를 출연

해 개발도상국 젊은 공학자의 학술 활동을 지원하는 등 후학 양성을 위한

꾸준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김정식 해동과학문화재단 이사장

해동학술정보실 건립기금 30억 원 기부

지난 6월 27일 해동과학문화재단 김정식 이사장(전자공학 48학번)이

lsquo해동학술정보실 건립기금rsquo으로 30억 원을 쾌척했다 이번에 조성된 기금

은 공과대학과 자연과학대학 등 주요 단과대학의 해동학술정보실을 건

설하는데 사용될 예정이다 이번 기금 이외에도 김정식 이사장은 서울대

학교 공과대학 인근 해동학술관과 해동학술정보실 12호관 건립 기금으

로 100억 원이 넘는 금액을 출연하며 꾸준히 모교를 후원하고 있으며 인

재 양성을 위해 한양대 고려대 등 국내 주요 대학에 해동학술정보실 건립

을 지원하고 있다 1972년 대덕전자를 설립해 한국 전자 산업의 기술 개

발을 이끈 선구자로 유명한 김정식 이사장은 1990년 해동과학문화재단

을 만들어 해동상을 재정하는 등 지속적인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

패션그룹형지

생활과학대학 발전기금 3억 원 기부

패션그룹형지(대표이사 회장 최병오)가 생활과학대학에 발전기금 3억 원

을 기부했다 이 기금은 생활과학대학의 교육middot연구활동 및 시설개선 등을

위한 제반 활동에 사용된다 지난 8월 26일 진행된 협약식에서 성낙인 총

장은 ldquo생활과학대학은 패션그룹형지 기금으로 수준 높은 연구 성과와 인

재 배출을 통해 대한민국 대표 인재 양성소로 거듭 날 것rdquo이라고 밝혔으

며 최병오 회장은 ldquo국가 경쟁력을 이끌어가는 리더와 패션 산업 인재를

양성하는 데 패션그룹형지 발전기금이 쓰이길 바란다rdquo고 당부했다 최 회

장은 지난 2003년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패션산업 최고경영자과정

(AFB) 3기를 수료하고 2007년부터 2013년까지 AFB 총교우회 회장을

역임했다 또한 이번 기금 이외에도 꾸준히 후원한 다양한 기금으로 건립

된 lsquo최병오 홀rsquo을 통해 사회 각계각층의 주요 리더들이 교류하는 교육장을

마련했다 1월에는 경영대학 최고경영자과정(AMP) 총동창회가 주최하

는 lsquo제13회 서울대 AMP 대상rsquo을 수상했다

NewsDONATION

유회진 학술정보관 건립 보고 및 감사 행사

ldquo기부금은 이공계 학생들을 위해 써주세요rdquo 故 유회진 박사가 구강암으로 투병

하는 동안 병문안을 갔던 이장무 전임 총장에게 남긴 말이다 서울대학교 기계

설계학과에서 학부와 대학원 생활을 보내고 동아대학교 교수를 역임한 유 박

사는 2009년 구강암 판정을 받았다 그는 암 투병 치료비부터 부모님으로부터

물려받은 유산까지 허투루 쓰지 않고 모은 100억 원이 넘는 전 재산을 서울대

학교에 남기고 2011년 별세했다 유가족이 없는 고인을 위해 서울대학교 발전기

금은 장례를 진행했으며 매년 제사를 지내 뜻을 기린다

지난 7월 2일 관악캠퍼스 공과대학 엔지니어하우스대강당에서 lsquo유회진학술정보

관rsquo 건립 보고 및 감사 행사가 개최됐다 유회진학술정보관은 유회진 기금으로

건립되어 공과대학과 자연대학이 공동 교육 및 연구 시설로 사용할 예정이다 이

날 행사는 오연천 전임 총장의 환영사에 이어 유회진 박사 소개 및 기부 경과보

고 유회진학술정보관 건립 경과보고 순으로 진행됐으며 특별히 故 유회진 박사

의 지인인 서울시립대 권원태(기계설계학과 78학번)교수가 참석했다 그의 숭고

한 마음은 우리 사회의 빛나는 과학자들을 위한 초석이 될 것이다

11월 9일 故 유회진

박사의 3주기가 돌아온다

서울대학교발전기금은

제주(祭主)로서 그를 잊지 않고

사회와 학교를 향한 기부자의

아름다운 정신을 남길 것이다

당신의 아름다운 마무리

35 34

SNU Presidents Honors Club

SNU Honor Club

故 곽명덕 변호사 유가족 (한자영 곽성현 곽성희)

故 구영록 교수 유가족

故 김인제 故 최성순 가족

(故 김동호 故 김동훈 김동준 김진숙 김진옥)

故 이한빈 부총리 가족 (유정혜 이원식 이선이)

고윤석 (물리학과 47입)

고정택 (외교학과 62입)

구영배 (자원공학과 85입)

구재서

권영대 (약학과 55입)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권욱현 (전기공학과 62입)

금장태 (종교학과 62입)

김건식 (법학과 73입)

김경한 (법학과 62입)

김경한 (외교학과 62입)

김광일 (경영학과 84입)

김기봉 middot신경은 (기계공학과 63입 middot화학과 65입)

김기태 (의학과 58졸)

김난도 (소비자아동학부 교수)

김대욱 (조선공학과 76입)

김동길 (화학교육과 57입)

김동훈 (화학과 48입)

김두철 (전자공학과 66입)

김만극 (약학과 47입)

김상헌 (사법학과 82입)

김선동 (화학공학과 59입)

김선화(정자) (국악과 60입)

김성배 (영어영문학과 63입)

김양곤 (IFP 2기)

김연탁 (경제학과 故 김태성 교수의 부)

김연호 (화학공학과 71입)

김영경 (기계공학과 52입) middot김천순

김영석 (3 Plus Logistics 회장)

김영수 (법학과 67입)

김영심 (불어불문학과 故 오현우 교수의 부인)

김영업

김용재 (의과대학 60입)

김용철 (치의학과 55입)

김의신 (의학과 60입)

김의영 (경제학과 54입)

김정희 (간호학과 52입)

김종일 (제어계측공학과 79입)

김진향

김천흥

김철호 (외교학과 70입)

김춘길 (화학생물공학부 58입)

김택수 (법학과 48입)

김하석 middot김영중 (화학과 63입 middot약학과 64입)

김하자 (서양화과 故 하동철 교수의 부인)

김학봉 (한영요업 회장)

김형주 (전자계산기공학과 78입)

나정환 (화학교육과 54입)

남정현 (건축학과 57입)

류무종 (중어중문학과 53입)

류진 (영어영문학과 78입)

마인경 (지리학과 56입)

민계식 (조선항공학과 61입)

민호기 교수 유가족

박대근 (보건대학원 63입)

박맹호 (불어불문학과 52입)

박민식 middot 박금옥 (수의과대학 65입 middot체육교육과 63입)

박봉균 (수의학과 76입)

박숙희 (지리학과 60입)

박용헌 (교육행정학과 53입)

박용호 (수의학과 74입)

朴麟子(가정관리과 82입) 하상예 박임숙 박순영 박노용

박종근 (전기공학과 69입)

박종수 (수의학과 58입)

박종오 (영어영문학과 55입)

박준 (법학과 73입)

박태진 (독어독문학과 80입)

박한제 (동양사학과 69입)

배옥자 (성심가정의학과의원 원장)

백종철 (농공학과 54입)

백형익

법대 48회 졸업생

변대규 (제어계측공학과 79입)

서문자 (간호학과 63입)

손경식 (법학과 57입)

송상용 (화학과 55입)

송상현 (법학과 59입)

송인철 (SPARC 14기)

송학린 (법학과 59입)

신수정 (기악과 59입)

신영길 (계산통계학과 78입)

신영주 (이남장 대표)

신익현 (임학과 79입)

신효영 middot신승연 (故 신광현 교수의 가족)

신희명 (물리교육과 49입)

신희택 (법학과 71입)

심소일 (상학과 49입)

심재성 (前 성보산업 자문위원)

안영경 (前 핸디소프트 고문)

안창엽 (AMP 68기)

양천식

오세경 (약학과 61입)

오승환 (의학과 56입)

오용호 middot오양호 (행정학과 69입 middot법과대학 80입)

오윤덕 (행정학과 61입)

원재연 (경영학과 82입)

유근순

유성숙 (고고미술사학과 故 김원용 교수의 부인)

윤계섭 (상학과 64입)

윤덕우 (경제학과 58입) middot최덕자

윤석금 (웅진그룹 회장)

윤석순 (수의학과 59입)

윤우석 (에너지자원공학과 63입)

이건우 (기계공학과 74입)

이경식 (불어불문학과 55입)

이광희 (지리학과 59입)

이교일 middot박명진

(기계공학과 60입 middot불어불문학과 65입)

이기춘 (가정교육과 61입)

이명현 middot김귀현 (철학과 60입 middot기악과 69입)

이문한 (수의학과 66입)

이병준 (경제학과 55입)

이성규 (사학과 65입)

이성형 (정치학과 82입)

이순원 (가정교육과 54입)

이순형 (가정관리학과 70입)

이신두 (물리학과 76입)

이예식 (약학과 46입)

이용환 (농업교육과 63입)

이용환 (전기공학과 73입)

이원영 (AMP 6기)

이은방 (약학과 55입)

이장무 (제24대 총장)

이재승 (원자핵공학과 59입)

이정섭

이정섭 (종교학과 04입)

이종덕 (물리학과 62입)

이준용 (경제학과 56입)

이지형 (법과대학 85입)

이찬승 (수학교육과 69입)

이창득 (국어교육과 71입)

이창화 (국어국문학과 64입)

이천만 (영어영문학과 故 이상태의 부)

이철승 (법학과 78입)

이철영 (SPARC 17기)

이현수 (농화학과 60입)

이현재 (경제학과 48입)

이형도 (화학공학과 61입)

이홍표 (의과대학 58입)

임길진 교수 유가족

임동진 (법학과 62입)

임현진 (사회학과 67입)

장세권 (농공학과 70입)

장순영

장용국 (법학과 71입)

장재혁 (역사교육과 80입)

장정훈 (약학대학 65입)

전익찬 (지구환경과학부 94입 故 전재규의 부)

전해종 (동양사학과 47졸)

정달훤 (고고미술사학과 87입 故 정은임의 부)

정영현 (공업화학과 85입 정순욱의 부)

정영호 (생물학과 50입) middot 박양숙

정윤환 (임학과 56입)

정재선 (소비자아동학과 93입)

정재준 (前 경보전기 부회장)

정종곤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조동성 (경영학과 67입)

조병직 (법학과 46입)

조석준 (행정학 57졸)

조영식 (수의학과 80입)

조옥환 (부산교통 대표)

조종수 (건국대학교 교수)

조한영 (상학과 43입)

조형준 (미학과 65입)

주중광 middot 허지영 (약학대학 60입 middot 화학과 66입)

차상균 (전기공학과 76입)

차상균 교수 외 제자 12명

채성기 (원자핵공학과 59입)

채제한 (전기공학부 48입 故 채호석의 자)

천문우 (약학과 61입)

최병오 (AFB 3기)

최재열 (조소과 08입 최민주의 부)

최정욱 (화학공학과 49입)

최창원 (심리학과 83입)

최화형 외 3명

풍원자 (임학과 57입 故 용환운의 부인)

하영구 (무역학과 72입)

한규범 (AMP 42기)

한규환 (기계공학과 68입)

한기준 (의학과 52입)

한상복 (사회학과 56입)

한옥희 (화학과 79입)

한장희 middot김재혜 (행정학과 61입 middot 법학과 61입)

허성도 (중어중문학과 68입)

허영인 (SPC그룹 회장)

현기순 (가정교육과 46입)

현정오 (농생물학과 66입)

현택환 (화학과 83입)

홍경자 (간호학과 62입)

홍계수 (법학과 72입 주경숙의 모)

홍길표 (컴퓨터공학부 홍지명의 부)

홍예표 (치의학과 65입)

홍지준 (화학교육과 74입)

황귀례 (제약학과 故 국채호 교수의 부인)

황재홍 (치의학과 90입)

히로나카 헤이스케 (하버드대 명예교수)

Eduard J Stadelmann (前 미네소타대학 교수)

Ken-ichi Arai (동경대 교수)

Peter S Kim (MIT 교수)

Stanley Choy

거평그룹

건일제약

건화엔지니어링

경남기업

경동송천재단

경암교육문화재단

고려아연

공영토건

과학기술혁신 최고전략과정 23기 일동

과학기술혁신 최고전략과정 24기 일동

관악회

광동제약

교보문고

구원장학재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국방과학연구소

국제종합물류

금호아시아나문화재단

김 middot장 법률사무소

김영사

김정문알로에

까사미아

나산실업

남광토건

남영비비안

넥슨코리아

노키아티엠씨

농어촌희망재단

농우바이오

다이소아성산업

다함넷

단암장학재단

대교

대림대학

대양 EampC

대우기전공업

대우엔지니어링

대우테크

대한수의사회

대한통운

돈암장학회

동방

동방상호신용금고

동부대우전자

동부문화재단

동서식품

동아건설산업

동아제약

동양강철

동철문화재단

동화산업장학재단

두을장학재단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롯데관광

롯데쇼핑

매트바이오테크

메디슨

몬산토코리아

미래에셋

미래와도전

미래의동반자재단

민음사

바이로메드

방송문화진흥회

방일영문화재단

법대 39회 동문 일동

법대 84학번 동기회

법대 85학번 동기회

법대최고지도자과정 8기 일동

법대최고지도자과정 10기 일동

법무법인 광장

법무법인 바른

법무법인 세종

법무법인 율촌

법무법인 케이씨엘

법무법인 태평양

법무법인 화우

부경양돈협동조합

비씨카드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동문회

삼양

삼우종합건축사무소

삼일회계법인

삼전순약공업

삼호개발

삼화모터스

상암에너지

상지상사

상진개발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글로벌리더쉽과정

서울대합창단 동문회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석원산업

성남시장학회

성련장학재단

세무법인 조이

세진에프알에스

송우재단

수경출판사

수암장학문화재단

수의과대학 교수 일동

스키부 동문회 일동

시뮬레이션테크

신라교역

신라문화장학재단

신양머그

신한장학재단

썬텍

아모레퍼시픽

아산사회복지재단

안성농장

알앤엘바이오

애드미션

앨트웰민초장학재단

약학교육연수원 이수자 일동

양지농장

영림임업

오뗄

오뚜기재단

오리엔트이엔지

오리온전기

오성엘에스티

와이비엠시사

용운장학회

우덕재단

유기천교수기념사업출판재단

유신

유티씨인베스트먼트

유한재단

유한킴벌리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음악대학 피아노발전기금후원회

이지바이오

인선문화재단

인촌기념회

인탑스

일동제약

일동후디스

일주학술문화재단

재단법인 대우재단

재단법인 정민

재미서울대총동창회

전국은행연합회

정공산업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정수장학회

정헌재단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져스텍

종근당

종로구장학회

좋은책신사고

진생사이언스

진양제약

참존

창강재단

창진영농조합법인

천만장학회

천수기업

천연물과학연구소 교수 일동

천재교육

청합장학회

최고경영자과정 총동창회

최고산업전략과정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middot

미래지도자인문학과정(IFP)

케이씨텍

코스맥스

코오롱

트러스톤자산운용

특수건설

패션그룹형지

포니정장학재단

포휴먼

풀무원

풍산

플라톤아카데미

피에스케이

하나제약

한국간연구재단

한국거래소

한국금융투자협회

한국무역협회

한국문화진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산업은행

한국세포주연구재단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알콜산업

한국외국인학교

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전파기지국

한국증권금융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한국타이어

한국투자신탁운용

한국투자증권

한산이씨양도공파설서공종중

한샘출판

한수통상

해나천연물신약

해성장학회

해태

행정대학원 정보통신과정

현대차 정몽구 재단

현대카드

현대캐피탈

현동장학회

현송교육문화재단

홈플러스e파란재단

효성그룹

휴맥스

AMP 63기 일동

AMP 64기 일동

AMP 65기 일동

AMP 66기 일동

AMP 67기 일동

AMP 68기 일동

AMP 69기 일동

AMP 70기 일동

AMP 71기 일동

AMP 72기 일동

AMP 73기 일동

AMP 74기 일동

AMP 75기 일동

AMP 76기 일동

AMP 77기 일동

AMP 78기 일동

ASSET PLUS투자자문

E1

Eyagi(이야기) CAFE

Goldman Sachs

KDB대우증권

KRX국민행복재단

KTB투자증권

LG연암문화재단

NCSOFT

NHN

NXC

OB맥주

Qualcomm

SECMCA

SIMPAC ANC

SK CampC

SNU 프리시젼

S-Oil

SPARC 15 middot16 middot17 middot18기 일동

1억 원 이상 출연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LG삼성 한국전력공사SK

포스코 웅진한화농업협동조합중앙회

KT 부영신한금융 현대자동차

SPC IBK기업은행

태영현대 금호아시아나롯데장학재단

CJ 대림두산 한진

우리금융 미래국제재단

50억 원 이상 출연

조천식정치학과 45입

윤대섭농공학과 49입

100억 원 이상 출연

정석규화학공학과 48입

이용희태광사 회장

김정식 전자공학과 48입

유회진기계설계학과 78입

SNU Hono r C l ubDONATION

SNU Gold Honors Club

홍성대수학과 57입

이기영前 의대 교수

최창영금속공학과 64입

박영희수학교육과 54입

손장순불어불문학과 54입

유태용토목공학과 50입

김명희middot신정희기악과 91입 김형찬의 모

이필남 박상윤 윤전수middot이삼락

김연혁히로세코리아 감사

서정선의학과 70입

전은기middot김은희 백추현 곽영필토목공학과 56입

박완서의 상속인호원숙 호원순 호원경 호원균

이순자불어불문학과 57입

손동준전자공학과 59입

윤종용전자공학과 62입

정덕균전자공학과 77입

강옥채middot노병수공법학과 83입

민선식경제학과 78입

박병준섬유공학과 52입

서울대학교총동창회

양두석독어독문학과 69입

양윤홍전자공학과 63입

대우 카길애그리퓨리나 동진쎄미켐 하나금융지주

동원 동양 KB금융지주 대우조선해양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대성 로이드선급협회 아시아일진

한국가스공사 녹십자 생명보험협회 현대중공업

메가스터디 TOYOTA MOTOR CORP SK하이닉스 서울장학재단

STX 농심 무한투자 이연제약

대우인터내셔널 송원김영환장학재단 형애장학회 신풍제약

10억 원 이상 출연

현대산업개발

스페코middot삼익악기

영원무역

쌍용양회공업

영원아웃도어

환인제약 주식회사

한국프뢰벨

37 36

춘강문화장학재단 (박성형 이사장)

허성도 (인문대학 명예교수)

형남진장학재단 (이정희 이사장)

강남구청

김형렬 (윤리교육과 교수)

공병영 (사무국장middot시설관리국장)

신흥 (이용익 대표이사)

서영길 (광산학과 53입)

일중장학재단 (송윤영 이사장)

금곡장학회 (이수상 이사장)

덕원장학회 (이헌경 이사장)

강현구 (건축학과 교수)

김명환 (조선해양공학과 75입)

김영수 (법과대학 60입)

김영운 (재료공학부 교수)

서강문 (동물병원 원장)

서동규 (경영학과 84입)

송희영 (영어영문학과 74입)

이근무 (사회학과 56입)

이재호 (경영학과 84입)

주식회사 KTampG 남서울본부 (박정욱 본부장)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박기용 이사장)

가송재단 (윤도준 이사장)

강스템바이오텍 (강경선 대표이사)

유한회사 본음인베스트먼트

이진경 (전국낙지자랑 대표)

주리아 (치과대학 04입)

한승장학회 (이재영 이사장)

키움증권 (권용원 대표이사)

협성문화재단 (박석귀 이사장)

윤상혁 (디자인학부 03입)

GS칼텍스 (허동수 대표이사 회장)

권규돈 (중어중문학과 13입 권기범의 부)

김경준 (농경제학과 82입)

김용팔 (수의과대학 75입)

김재홍 (수의학과 교수)

김진태 (법학과 71입)

문대원 (경영학과 71입)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오근택 대표이사)

박세창 (수의학과 교수)

산학협동재단 (한덕수 이사장)

선암장학재단 (윤호철 이사장)

성제경 (수의학과 교수)

송재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우광덕 (치과대학 64입)

유기윤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유한상 (수의학과 교수)

윤여성 (수의학과 교수)

윤정희 (수의학과대학 부학장)

윤화영 (수의학과 교수)

이건목원리한방병원 (이건목 원장)

이소영 (수의학과 교수)

이항 (수의학과 교수)

이희근 (공과대학 명예교수)

조무제 (법학과 65입)

조성범 (수의학과 교수)

조제열 (수의학과 교수)

중앙백신연구소 (윤인중 대표이사)

지티앤티 (이세한 대표이사)

채찬희 (수의학과 교수)

태평소금 (손일선 회장)

한호재 (수의학과 교수)

해마루 (김현욱 원장)

황인구 (수의학과 교수)

조선에듀케이션 (방정오 대표이사)

강진영 (의학과 69입)

김정기 (법학과 75입)

박달이 (간호대학 74입)

박재완

사회복지법인 건아재단 (심철환 이사장)

손정식 (제약학과 73입)

윤재석 (화학교육과 71입)

이도환 (치의학과 86입)

이동식 (영어교육과 72입)

홍기택 (경영학과 74입)

KT (황창규 대표이사 회장)

LG PC 유지보수센터 (박무광 대표이사)

광주시민장학회 (박기준 이사장)

박영임 (간호학과 73입)

사명희치과 (사명희 원장)

연당장학회 (남욱 회장)

우정장학문화재단 (강백영 이사장)

제노에너지 (김성철 대표이사)

신우호 (화학교육과 87입)

이병욱 (조경학과 81입)

정혜선 (간호학과 82입)

허종필 (공업화학과 73입)

권길주 (조선해양공학과 11입 정지원의 모)

권혜숙 (약학과 82입)

김미영 (간호학과 98입)

김범진 (턱교정학고급연수과정 6기)

김성열 (교육학과 75입)

김우진 (국악과 73입)

녹십자수의약품 (김승목 대표이사)

덕영재단 (전헬리시아 이사장)

류제하 (기계공학과 78입)

문수자동판매기 (김영식 대표)

민기복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민동홍 (독어독문학과 77입)

박종철 (물리학과 61입)

설재연 (심리학과 82입)

송은도 (국악과 01입)

유차영 (ASP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 12기)

신우개발 서울지점 (김익환 사장)

신하순 (동양화과 교수)

안석준 (치의과대학원 부원장

안휘준 (인문대학 명예교수)

양민영 (협동과정 미술교육전공 94입)

양형식 (자원공학과 75입)

옥복연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07입)

우경미 (치의학대학원 교수)

우성공원묘원 (허정산 대표)

우성원 (미학과 95입)

월악장학문화재단 (남기영 이사장)

유건선 (토목공학과 73입)

유흥수 (법학과 58입)

윤희정 (수의학과 교수)

이대혁 (자원공학과 87입)

이병천 (수의학과 교수)

이상돈 (에너지자원공학과 84입)

이승주 (치의학과 92입)

이시우 (의예과 95입)

이용규 (경영학과 84입)

이정인 (공과대학 명예교수)

이희석 (농생물과 57입)

임종후 (서양화과 12입 임지윤의 부)

임한조 (물리학과 67입)

전석원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정소걸 (자원공학과 71입)

정지훈 (치의학과 교수)

조경란 (법학과 79입)

조기웅 (화학과 66입)

조현욱 (사법학과 83입)

최명애 (회화과 70입)

최정욱 (경영학과 84입)

최종길 (법과대학 83입)

하종철 (동양화과 13입 하문원의 부)

한공창 (자원공학과 72입)

한국지하수지열협회 (안근묵 회장)

허형무 (경영대학 68입)

미주재단

Steve Ro (토목공학과 61입)

Soung Kim (임학과 56입)

Joong M Soh (공과대학 64입)

John Baek (금속공학 49입)

Hyunchan Lee (치과대학 70입)

Steve amp Cheryl Shapiro

Kwang S Hong (공과대학 60입)

Moon H Kim (공과대학 68입)

David Cho (공과대학 60입)

Dong Ku Chung (기계공학과 57입)

Sang Dae Lee (농업생명과학대학 80입)

Young D Kim (공과대학 67입)

AMP 78기 일동

삼성복지재단 (이수빈 이사장)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한국세포주연구재단

SK하이닉스 (박성욱 대표이사 사장)

패션그룹형지 (최병오 회장)

한국수력원자력 (조석 사장)

형애장학회 (최효종 이사장)

송원김영환장학재단 (김해련 이사장)

사회복지법인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이기수 이사장)

SECMCA

TOYOTA MOTOR CORP

(요시다 아키히사 대표이사 사장)

권욱현 (공과대학 명예교수)

네이버 (김상헌 대표이사)

부경양돈협동조합 (박재민 조합장)

안인희

전국경제인연합회 (허창수 회장)

현송교육문화재단 (김정일 이사장)

롯데장학재단 (신영자 이사장)

일주학술문화재단 (이선애 이사장)

현대차 정몽구 재단 (유영학 이사장)

박미혜 (성악과 교수)

LG연암문화재단 (구자경 이사장)

KeyGene (Arjen van Tunnen CEO)

아산사회복지재단 (정몽준 이사장)

천만장학회 (이광현 이사장)

방일영문화재단 (조연흥 이사장)

AMP 77기 일동

신라문화장학재단 (박준형 이사장)

SBS문화재단 (윤세영 이사장)

김만극 (약학과 47입)

아이바이오 (김기일 대표이사)

현대엔지니어링 (김위철 대표이사)

종근당고촌재단 (김두현 이사장)

정수장학회 (김삼천 이사장)

Kensary LLP

앨트웰민초장학재단 (김박 이사장)

한국동서발전 (장주옥 사장)

한화갤러리아 (박세훈 대표이사)

한화생명보험 (차남규 대표이사 사장)

한화손해보험 (박윤식 대표이사)

한화첨단소재 (김창범 대표이사)

한화투자증권 (주진형 대표이사 사장)

KEILCO(KEPCO ILJAN CORPORATION)

연강재단 (박용현 이사장)

창강재단 (안병표 이사장)

경기도 인재개발원 (박익수 원장)

대림수암장학문화재단 (변형윤 이사장)

청합장학회 (여상길 회장)

한빛종합동물병원 (임정식 원장)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716900000

364863690

317560000

250000000

220000000

200000000

200000000

150000000

142103500

140000000

139583000

13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98538000

89942000

82426000

70000000

67509000

67500000

62989000

59929000

59208000

53720000

51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44302000

42076000

40918000

40273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39677688

39035000

37244000

37068000

34780000

31047000

31000000

30300600

박종오 (영어영문학과 55입)

이상복 (ABKI문헌지식정보최고위과정 5기)

이상억 (인문대학 명예교수)

한화 (심경섭 대표이사)

한화건설 (김현중 부회장)

한화자산운용 (강신우 대표이사)

한화케미칼 (방한홍 대표이사)

한화호텔앤드리조트 (홍원기 대표이사)

오뚜기재단 (함태호 이사장)

유한재단 (이필상 이사장)

영원무역 (성기학 대표이사 회장)

서울대합창단동문회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전병원 이사장)

국가정책과정(ACAD) 77기 일동

배영수 (서양사학과 교수)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최윤 회장)

몬산토코리아유한회사

(벤자민 마크 후드리스 대표이사)

성련장학재단 (허연금 이사장)

고광우 (행정학과 53입)

김철수 (법과대학 명예교수)

대한적십자사 (유중근 총재)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성기학 이사장)

임현진 (사회과학대학 명예교수)

장문영 (화학과 59입)

재단법인 양영재단 (김상하 이사장)

조유근 (컴퓨터공학부 교수)

두을장학재단 (이인희 이사장)

과천시애향장학회 (신학수 이사장)

서울장학재단 (이경희 이사장)

왕한석 (인류학과 교수)

포니정장학재단 (정몽규 이사장)

조용준 (법학과 79입)

농어촌희망재단 (김달웅 이사장)

경동송천재단 (류덕희 이사장)

농생대 환경재료과학 교수일동

주식회사 천랩 (천종식 대표이사)

돈암장학회 (이용배 이사장)

인선문화재단 (박선영 이사장)

단암장학재단 (이봉서 이사장)

치과대학 치의학대학원 동창회

흥한재단 (박병석 이사장)

선화예술문화재단 (심재혁 대표)

한국미즈노 주식회사 (김창범 대표이사)

곽노섭 (수학과 49입)

19대 인문대 학장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김은선 (디자인학부 13입 조은지의 모)

서광훈 (약학대학 67입)

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ASP) 27기 동문

송재용 (경영학과 교수)

수도씨에이씨 (송명호 대표이사)

신한화구 (한봉근 대표)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28436000

27942000

26000000

24210000

24041200

23994234

22500000

20724000

20500000

20274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18779000

17973600

17934000

17600000

17050000

17000000

165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4000000

14000000

13500000

12000000

12000000

11602000

11102610

10281624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이앤티 (고영호 대표이사)

재단법인 정민 (윤석헌 이사장)

제11기 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천병년 (약학과 77입)

최민철 (농공학과 75입)

현대하이스코 (신성재 대표이사)

황효진 (동양사학과 78입)

대한사료주식회사 (이상민 대표이사)

해성문화재단 (단재완 이사장)

한국가스공사 (장석효 사장)

장석윤 (약학과 79입)

한국석유공사 (서문규 사장)

종로구장학회 (최현종 이사장)

동부문화재단 (강경식 이사장)

인촌기념회 (이용훈 이사장)

용옥장학문화재단 (양철우 이사장)

미래의동반자재단 (Jeffrey D Jones 이사장)

성옥문화재단 (이화일 이사장)

다래파크텍 (김호정 대표이사)

미래인재육성재단 (최양식 이사장)

고화장학회 (배명인 이사장)

한국애질런트테크놀로지스 (박시영 대표)

이재원 (중앙도서관 정보관리과)

리브로 (김경수 대표이사)

오운문화재단 (이동찬 이사장)

조비경농장학재단 (이병만 이사장)

오스템임플란트 (최규옥 대표이사)

한국섬유산업연합회장학재단 (노희찬 이사장)

아카넷 (김정호 사장)

삼송장학회 (김영기 이사장)

서지희 (IFP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11기)

김지호

서울상공회의소 관악구상공회 (김진철 회장)

송파재단 (윤원영 이사장)

김영윤 (토목공학과 62입)

로보로보 (장창남 대표이사)

류판동 (수의과대학장)

모르페우스 (김진수 대표이사)

박윤서 (고고인류학과 69입)

박찬국 (철학과 교수)

송인석 (치의학과 01입)

시그나사회공헌재단 (홍봉성 이사장)

신남식 (수의학과 교수)

약학대학 40회 동기회

와이비엠 (민선식 대표이사)

이필상 (경제학부 교수)

한국경제연구원 (권태신 원장)

황만순 (제약학과 90입)

운경재단 (배성동 이사장)

제봉민병욱장학재단

심명문화재단 (이경재 이사장)

홍산장학재단 (천영주 이사장)

홍수현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9730000

9528000

9140000

9000000

9000000

8690000

8525000

8525000

8178000

8112000

7963000

7928068

7713000

7500000

7000000

6950000

6919590

6058000

6010000

6000000

6000000

5700000

5400000

5357143

5100000

5100000

5089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4934000

4734000

4527000

4500000

4462280

4000000

4000000

4000000

3956000

3862000

3600000

3500000

3029000

3029000

3005000

3005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2706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467000

2467000

22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1865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5145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431445

1221251

1210000

108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단위 $

100000

10000

5000

3000

500

500

200

200

100

100

100

100

20140601 ~ 20140831 약정 단위 원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약정DONATION

39 38

김형렬 (윤리교육과 교수)

이정진 (기계항공공학부 95입)

신흥 (이용익 대표이사)

이창우 (경영학과 교수)

서영길 (광산학과 53입)

일중장학재단 (송윤영 이사장)

금곡장학회 (이수상 이사장)

덕원장학회 (이헌경 이사장)

강현구 (건축학과 교수)

김명환 (조선해양공학과 75입)

김영수 (법과대학 60입)

김영운 (재료공학부 교수)

김종원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김진학 (도시환경최고전문가과정 29기)

박훈 (기계공학과 63입)

서강문 (동물병원 원장)

서동규 (경영학과 84입)

송재홍 (농화학과 83입)

송희영 (영어영문학과 74입)

신남식 (수의학과 교수)

이규선 (조경middot지역시스템공학부 13입 이성용의 부)

이봉호 (치의예과 84입)

이재호 (경영학과 84입)

전병롱 (정책학과 10입 전상우의 부)

전호석 (기계설계학과 71입)

주식회사 KTampG 남서울본부 (박정욱 본부장)

최황 (의과대학 명예교수)

황철성 (재료공학부 교수)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박기용 이사장)

가송재단 (윤도준 이사장)

강스템바이오텍 (강경선 대표이사)

오이코스 (배장영 대표이사)

유한회사 본음인베스트먼트

이진경 (전국낙지자랑 대표)

한승장학회 (이재영 이사장)

윤용혁 (독어교육과 60입)

키움증권 (권용원 대표이사)

협성문화재단 (박석귀 이사장)

이강이 (아동가족학과 교수)

윤상혁 (디자인학부 03입)

윤화영 (수의학과 교수)

GS칼텍스 (허동수 대표이사 회장)

권규돈 (중어중문학과 13입 권기범의 부)

김경준 (농경제학과 82입)

김용팔 (수의과대학 75입)

김재홍 (수의학과 교수)

김진태 (법학과 71입)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이재술 대표이사)

문대원 (경영학과 71입)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오근택 대표이사)

박세창 (수의학과 교수)

산학협동재단 (한덕수 이사장)

선암장학재단 (윤호철 이사장)

성제경 (수의학과 교수)

송재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우광덕 (치과대학 64입)

유기윤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유한상 (수의학과 교수)

윤여성 (수의학과 교수)

윤정희 (수의학과 교수)

이건목원리한방병원 (이건목 원장)

이동진 (교무처 학사과)

이소영 (수의학과 교수)

이인숙 (간호대학 교수)

이항 (수의학과 교수)

이희근 (공과대학 명예교수)

조무제 (법학과 65입)

조성범 (수의학과 교수)

조제열 (수의학과 교수)

주식회사 오공 (김윤정 대표이사)

중앙백신연구소 (윤인중 대표이사)

지티앤티 (이세한 대표이사)

채찬희 (수의학과 교수)

태평소금 (손일선 회장)

한호재 (수의학과 교수)

해마루 (김현욱 원장)

황인구 (수의학과 교수)

조선에듀케이션 (방정오 대표이사)

사회복지법인 건아재단 (심철환 이사장)

KT (황창규 대표이사 회장)

광림교회 (김정석 담임목사)

광주시민장학회 (박기준 이사장)

김기원 (AIP최고산업전략과정 38기)

김상은 (융합과학부 교수)

김혜원 (간호학과 교수)

박종근 (전기공학과 교수)

서병태 (의학과 54입)

송경희 (국악과 59입)

연당장학회 (남욱 회장)

오유경 (약학대학 부학장)

우정장학문화재단 (강백영 이사장)

임현주 (약학과 82입)

전상직 (작곡과 교수)

주리아 (치과대학 04입)

한국마쯔다니 (유태균 대표이사)

홍영표 (GLP글로벌리더십과정 21기)

신우호 (화학교육과 87입)

류판동 (수의과대학장)

이병욱 (조경학과 81입)

김용백 (수의학과 교수)

김종암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정혜선 (간호학과 82입)

강부현 (수의학과 72입)

권길주 (조선해양공학과 11입 정지원의 모)

권혜숙 (약학과 82입)

김경대 (치의학과 82입)

김미영 (간호학과 98입)

김범진 (턱교정학고급연수과정 6기)

김성열 (교육학과 75입)

김종흔 (경영대학 92입)

김현산 (법과대학 54입)

녹십자수의약품 (김승목 대표이사)

덕영재단 (전헬리시아 이사장)

문수자동판매기 (김영식 대표)

민기복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민동홍 (독어독문학과 77입)

박병익 (지리교육과 교수)

박종철 (물리학과 61입)

설재연 (심리학과 82입)

송은도 (국악과 01입)

유차영 (ASP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 12기)

신우개발 서울지점 (김익환 사장)

신하순 (동양화과 교수)

안석준 (치의과대학원 부원장

안휘준 (인문대학 명예교수)

양민영 (협동과정 미술교육전공 94입)

양형식 (자원공학과 75입)

옥복연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07입)

우경미 (치의학대학원 교수)

우성공원묘원 (허정산 대표)

우성원 (미학과 95입)

월악장학문화재단 (남기영 이사장)

유건선 (토목공학과 73입)

유흥수 (법학과 58입)

윤희정 (수의학과 교수)

이기윤 (정치학과 88입)

이대혁 (자원공학과 87입)

이병천 (수의학과 교수)

이상돈 (에너지자원공학과 84입)

이승주 (치의학과 92입)

이시우 (의예과 95입)

이은수 (서울대운동용품 대표)

이정인 (공과대학 명예교수)

임종후 (서양화과 12입 임지윤의 부)

정소걸 (자원공학과 71입)

정지훈 (치의학과 교수)

조경란 (법학과 79입)

조기웅 (화학과 66입)

조현욱 (사법학과 83입)

최명애 (회화과 70입)

최정욱 (경영학과 84입)

최종길 (법과대학 83입)

최해영 (경영대학 행정실)

하종철 (동양화과 13입 하문원의 부)

한공창 (자원공학과 72입)

한국지하수지열협회 (안근묵 회장)

허형무 (경영대학 68입)

미주재단

Steve Ro (토목공학과 61입)

Soung Kim (임학과 56입)

Joong M Soh (공과대학 64입)

John Baek (금속공학 49입)

Hyunchan Lee (치과대학 70입)

Steve amp Cheryl Shapiro

Kwang S Hong (공과대학 60입)

Moon H Kim (공과대학 68입)

David Cho (공과대학 60입)

Dong Ku Chung (기계공학과 57입)

Sang Dae Lee (농업생명과학대학 80입)

Young D Kim (공과대학 67입)

서울대학교병원 (오병희 병원장)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이철희 병원장)

SK가스 (최창원 부회장)

AMP 78기 일동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윤강섭 병원장)

삼성전자 (권오현 대표이사 부회장)

SK하이닉스 (박성욱 대표이사 사장)

삼성복지재단 (이수빈 이사장)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한국세포주연구재단

하나제약 (조경일 회장)

코스맥스 (이경수 대표이사 회장)

패션그룹형지 (최병오 회장)

서울대학교총동창회 (서정화 회장)

한국수력원자력 (조석 사장)

형애장학회 (최효종 이사장)

송원김영환장학재단 (김해련 이사장)

사회복지법인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이기수 이사장)

TOYOTA MOTOR CORP

(요시다 아키히사 대표이사 사장)

권욱현 (공과대학 명예교수)

네이버 (김상헌 대표이사)

현송교육문화재단 (김정일 이사장)

롯데장학재단 (신영자 이사장)

일주학술문화재단 (이선애 이사장)

현대차 정몽구 재단 (유영학 이사장)

LG연암문화재단 (구자경 이사장)

SECMCA

아산사회복지재단 (정몽준 이사장)

천만장학회 (이광현 이사장)

방일영문화재단 (조연흥 이사장)

AMP 77기 일동

신라문화장학재단 (박준형 이사장)

KRX국민행복재단 (최경수 이사장)

SBS문화재단 (윤세영 이사장)

김만극 (약학과 47입)

농우바이오 (정용동 유연희 대표이사)

안인희

전국경제인연합회 (허창수 회장)

정윤환 (임학과 56입)

현대엔지니어링 (김위철 대표이사)

세진에프알에스 라쿠치나 서울대점 (장재훈 대표이사)

재단법인 웅진 (신현웅 이사장)

종근당고촌재단 (김두현 이사장)

정수장학회 (김삼천 이사장)

Kensary LLP

앨트웰민초장학재단 (김박 이사장)

주중광 허지영 (약학대학 60입 화학과 66입)

한국동서발전 (장주옥 사장)

한화갤러리아 (박세훈 대표이사)

한화생명보험 (차남규 대표이사 사장)

한화손해보험 (박윤식 대표이사)

한화첨단소재 (김창범 대표이사)

한화투자증권 (주진형 대표이사 사장)

KEILCO(KEPCO ILJAN CORPORATION)

연강재단 (박용현 이사장)

창강재단 (안병표 이사장)

경기도 인재개발원 (박익수 원장)

대림수암장학문화재단 (변형윤 이사장)

이상억 (인문대학 명예교수)

1432968520

1147748270

1000000000

716900000

615220390

600000000

560000000

364863690

317560000

250000000

220000000

210000000

200000000

200000000

166000000

150000000

142103500

140000000

139583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98538000

89942000

82426000

67509000

66598412

62989000

59929000

59208000

53720000

51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49800000

46522180

44302000

42076000

40918000

40273000

40204972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39677688

39035000

37244000

37068000

34780000

31800000

청합장학회 (여상길 회장)

한빛종합동물병원 (임정식 원장)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두산 (박용만 대표이사 회장)

송미순 (간호학과 교수)

이상복 (ABKI문헌지식정보최고위과정 5기)

한화 (심경섭 대표이사)

한화건설 (김현중 부회장)

한화자산운용 (강신우 대표이사)

한화케미칼 (방한홍 대표이사)

한화호텔앤드리조트 (홍원기 대표이사)

오뚜기재단 (함태호 이사장)

재단법인 최혁영 장학회 (최혁영 회장)

유한재단 (이필상 이사장)

영원무역 (성기학 대표이사 회장)

부경양돈협동조합 (박재민 조합장)

져스텍 (김용일 대표이사)

서울대합창단동문회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전병원 이사장)

국가정책과정(ACAD) 77기 일동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최윤 회장)

몬산토코리아유한회사

(벤자민 마크 후드리스 대표이사)

성련장학재단 (허연금 이사장)

고광우 (행정학과 53입)

대한적십자사 (유중근 총재)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성기학 이사장)

임현진 (사회학과 교수)

재단법인 양영재단 (김상하 이사장)

조유근 (컴퓨터공학부 교수)

두을장학재단 (이인희 이사장)

과천시애향장학회 (신학수 이사장)

서울장학재단 (이경희 이사장)

왕한석 (인류학과 교수)

포니정장학재단 (정몽규 이사장)

조용준 (법학과 79입)

농어촌희망재단 (김달웅 이사장)

경동송천재단 (류덕희 이사장)

김신원 (응용화학과 64입)

농생대 환경재료과학 교수일동

주식회사 천랩 (천종식 대표이사)

돈암장학회 (이용배 이사장)

인선문화재단 (박선영 이사장)

단암장학재단 (이봉서 이사장)

치과대학 치의학대학원 동창회

흥한재단 (박병석 이사장)

선화예술문화재단 (심재혁 대표)

한국미즈노 주식회사 (김창범 대표이사)

곽노섭 (수학과 49입)

19대 인문대 학장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김은선 (디자인학부 13입 조은지의 모)

바텍 (노창준 대표이사)

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ASP) 27기 동문

수도씨에이씨 (송명호 대표이사)

신한화구 (한봉근 대표)

이앤티 (고영호 대표이사)

장문영 (화학과 59입)

제11기 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조경일 (약학대학 64입)

주식회사 명진팜 (권기진 대표이사)

31047000

31000000

303006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28436000

28081000

27942000

26000000

25000366

25000000

24210000

24041200

23994234

20724000

20500000

20274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18779000

17973600

17934000

17600000

17050000

17000000

165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4000000

14000000

13500000

12000000

12000000

11602000

11102610

10281624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천병년 (약학과 77입)

최민철 (농공학과 75입)

현대하이스코 (신성재 대표이사)

황효진 (동양사학과 78입)

대한사료주식회사 (이상민 대표이사)

해성문화재단 (단재완 이사장)

한국가스공사 (장석효 사장)

김춘길 (화학생물공학부 58입)

애드미션 (김유탁 대표이사)

종로구장학회 (최현종 이사장)

동부문화재단 (강경식 이사장)

인촌기념회 (이용훈 이사장)

용옥장학문화재단 (양철우 이사장)

미래의동반자재단 (Jeffrey D Jones 이사장)

김영윤 (토목공학과 62입)

성옥문화재단 (이화일 이사장)

다래파크텍 (김호정 대표이사)

미래인재육성재단 (최양식 이사장)

고화장학회 (배명인 이사장)

이재원 (중앙도서관 정보관리과)

리브로 (김경수 대표이사)

오운문화재단 (이동찬 이사장)

조비경농장학재단 (이병만 이사장)

박지향 (중앙도서관장)

오스템임플란트 (최규옥 대표이사)

한국섬유산업연합회장학재단 (노희찬 이사장)

한옥희 (화학과 79입)

아카넷 (김정호 사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정기택 원장)

삼송장학회 (김영기 이사장)

서지희 (IFP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11기)

김지호

서울상공회의소 관악구상공회 (김진철 회장)

박찬국 (철학과 교수)

송파재단 (윤원영 이사장)

김재길 (법학과 56입)

로보로보 (장창남 대표이사)

모르페우스 (김진수 대표이사)

박성경 정성창 (치의학과 96입)

박윤서 (고고인류학과 69입)

서용석 (상학과 46입) 정재원

송인석 (치의학과 01입)

송재용 (경영학과 교수)

시그나사회공헌재단 (홍봉성 이사장)

약학대학 40회 동기회

와이비엠 (민선식 대표이사)

이필상 (경제학부 교수)

한국경제연구원 (권태신 원장)

황만순 (제약학과 90입)

운경재단 (배성동 이사장)

제봉민병욱장학재단

심명문화재단 (이경재 이사장)

홍산장학재단 (천영주 이사장)

홍수현

박미혜 (성악과 교수)

박영아 (물리학과 79입)

최동하 (농경제학과 71입)

춘강문화장학재단 (박성형 이사장)

허성도 (인문대학 명예교수)

형남진장학재단 (이정희 이사장)

강남구청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9730000

9528000

9140000

9000000

9000000

8690000

8525000

8525000

8178000

8112000

8000000

7963000

7928068

7713000

7500000

6950000

6919590

6058000

6010000

6000000

6000000

6000000

6000000

5700000

5556000

5400000

5357143

5100000

5100000

5090000

5089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4934000

4734000

4527000

4500000

446228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3956000

3862000

3750000

3500000

3120000

3029000

3029000

3005000

3005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2706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467000

2467000

2467000

2400000

2230000

215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1865000

1800000

15145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431445

1300000

1275251

1260000

1200000

106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단위 $

100000

10000

5000

3000

500

500

200

200

100

100

100

100

단위 원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20140601 ~ 20140831 출연

출연DONATION

40

서울대학교는 기부금을 출연한 후원인에게 더욱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국내 최고 수준의 의

료서비스를 자랑하는 서울대학교병원 이용 예우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으며 서울대학교병원 후원인

라운지에 상주하는 전담 직원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후원자 중 추가 진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본원 또는 분당 서울대학교병원과의 즉각

적인 연계가 가능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 본원 조윤지 | Tel 02-2272-2750 E-mail sosunolovesnuackr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강수정 | Tel 031-787-1915 E-mail c8541snubhorg

(재)서울대학교발전기금 김종희 | Tel 02-871-1633 E-mail p2727snuackr

bull병원 예우 담당자

bull서울대학교병원 예우 서비스 이용 안내

예약대행 서비스 | 진료 및 입원 예약 대행 병원 측과 협의 후 예약일자 결정

의전 서비스 | 진료middot입원middot응급실 이용 편의를 위해 예우 담당자가 직접 안내

종합건강검진 주선 서비스(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bull서울대학교병원 예우 서비스 내용

지원 자격 활동 기간

bull경제적 지원이 필요한 학생

(건강보험료 기준) 우선 선발

bull성적 45만점 환산 30 이상

lsquo 새싹 멘토링rsquo은 빈곤의 대물림을 막기 위한 자선 봉사활동으로

전국 국공립대학의 우수한 학생이 저소득층 중middot고등학생의

학습을 도우며 장학금을 받는 프로그램입니다

bull최소 6개월~12개월

bull활동 실적에 따라 졸업 시까지

연차적으로 기회 부여

새싹멘토링의

멘토가

되어주세요

bull전화 02-880-1593(새싹 멘토링 서울대학교 본부) bull팩스 02-780-2647(미래국제재단 여의도 본사)

bull이메일 mifsnuhanmailnet 새싹 멘토링 지원 방법 문의 시 상세히 안내해드립니다

서울대학교와 미래국제재단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봉사활동에 학생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다립니다

기부인의 따뜻한 마음에

다양한 혜택의 예우 서비스로

보답합니다

출연 기금 진료예약 의전 서비스 종합건강검진 주선

50억 이상 평생 평생 연 1회(평생 프리미엄 검진)

10억 이상 평생 10년 연 1회(평생)

5억 이상

1억 원당 1년(기한)

5년

1억 원당 연 1회(기한)3억 이상 3년

1억 이상 1년

서울대학교병원 본원 후원인 전담 직원이 진료 예약 및 의전 서비스까지 친절하게 안내해 드립니다

문의처 병원 후원인 라운지(본관 3층) 또는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후원인 전담 직원이 진료 예약 및 의전 서비스까지 친절하게 안내해 드립니다

문의처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또는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강남센터와의 즉각적인 연계를 통해 강남센터 상담 직원이 후원자 여러분께 상담 전화를 드립니다

문의처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기부인 예우 프로그램DONATION

SeoulNational University

151-742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1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

T 02-880-5114 F 02-885-5272wwwsnuackr

C o v e r S t o r y

과학자의 공식

좋은 연구를 하겠다는 신념으로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걸어온 사람

miRNA 분야의 세계적인 개척자 김빛내리 교수다

그녀는 노벨상 수상에 가장 근접한 국내 과학자로 꼽힌다

도전과 실패 인내를 거듭하며 세계적인 과학자 반열에 오르기까지

그녀의 행보를 통해 성공과 신뢰 만족을 얻는 인생 공식을 알아본다

Page 5: SNU Magazine Vol. 38 › new › wp-content › uploads › 2015 › 12 › snu_people... · 2016-01-30 · 우수 연구자 시리즈 10 유상렬 농생명공학부 교수 06 선배와의

7 6

우수 연구자 시리즈 10PEOPLE

위험한 식탁을 고발합니다

ldquo에서 식중독균이 검출됐습니다rdquo 매체에

서 어렵지 않게 들리는 식품 오염 사고 주스 한

잔에도 한 끼 식사에도 언제나 그 위험성은 존

재한다 우리의 식탁을 위협하는 식품 오염은

관리의 문제도 크지만 시간이 오래 걸리고 복

잡한 세균 검출 방법에도 그 원인이 있다 이러

한 기존 검출법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기술이 개

발됐다 유상렬 농생명공학부 교수가 바로 그

주축이다

유상렬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박테리오파지

(bacteriophage)를 이용해 살아있는 식중독균

을 검출하는 데 성공했다 기존 검출 방법보다

정확성을 높이고 시간도 단축했다 ldquo박테리오

파지는 자신이 숙주로 삼는 세균만을 감염해

사멸시키고 매우 빠르게 증식하는 바이러스입

니다 이러한 능력을 이용하면 식품 속 특정 식

중독균의 제어와 단시간 내 검출이 가능할 것

이라 생각해 연구를 시작했습니다rdquo 그가 개발

한 검출 방법의 핵심은 lsquo리포터 파지rsquo이다 식중

독균으로 잘 알려진 살모넬라균만을 감염하

는 박테리오파지를 선별한 후 발광하는 유전자

를 삽입해 빛을 내게끔 했다 이 리포터 파지가

식품 속 살아있는 식중독균을 감염하며 증식하

는데 이때 생물발광 유전자도 수 백배 증폭돼

강력한 빛을 내게 된다 빛의 정도를 측정함으

로써 균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이다

ldquo기존의 검출법은 검체 일부를 배양액에 넣고 증

균한 뒤 증식된 균의 생화학적인 특징을 조사

해 알아내는 방법이에요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

실용적이지 못하죠 또한 유전자를 증폭하는

PCR 방법은 검출속도는 빠르지만 살아있는

균과 죽은 균을 구분하지 못해요 식중독을 일

으킬 위해성이 없는 죽은 균도 검출하는 치명적

인 문제점이 있습니다rdquo 지난 10여 년간 파지 연

구에 매진해온 유 교수 꾸준히 쌓은 각종 노하

우는 이번 기술 개발의 단단한 밑거름이 됐다

미지의 영역을 연구합니다

하루에도 수많은 식품이 등장하는 요즘 점점

다양해지는 식품을 연구하는 데 어려움은 없을

까 ldquo식품생명공학은 물리middot화학middot생물middot공학middot

의약학 등 거의 모든 학문 분야가 접목되는 융

합 학문입니다 병원성 미생물을 신속하게 검출

하는 여러 방법이 개발됐지만 대부분 식품에는

적용할 수가 없어요 식품은 종류가 워낙 많아

서 이런 검출 방법을 어렵게 만드는 성분이 다양

하게 존재하기 때문이죠rdquo 그는 또한 식품에 관

한 잘못된 정보가 사회 전반에 퍼져있음을 우려

했다 ldquo우리 주변엔 식품에 대한 정확하지 않은

속설이 많아요 식품첨가물인 MSG가 대표적

이죠 대부분 해롭다고 생각하는데 MSG는 모

든 식품에 다 있는 성분이기도 하고 미생물 발

효를 통해 만들어 전혀 해롭지 않거든요 문제

는 어떻게 만들어진 것인지 모른 채 잘못된 정

보만 받아들이고 있다는 거예요rdquo 이에 유 교수

는 몇몇 교수들과 함께 lsquo식품안전연구원rsquo을 만

들어 안전한 먹거리에 대해 과학적으로 설명하

고자 한다 사회 전반에 퍼진 잘못된 식품 정보

를 바로 잡는 것이 목표다

생물학 분야의 눈부신 발전에도 불구하고 여

전히 우리가 알고 있는 생명 현상은 극히 일부

분이라고 한다 매번 예상을 빗겨가는 결과들

이 연구가 재미있는 이유이기도 하다는 유 교수

그는 마지막으로 이 분야를 연구하려는 학생들

에게 lsquo끈기rsquo를 가지라고 조언한다 ldquo지구상에는

1032개 이상의 어마어마한 파지가 존재합니다

이를 연구하려면 아무래도 끝장을 보겠다는 끈

기를 갖고 일을 해야 합니다 더불어 실험에 필

요한 최적의 대상을 고르는 안목이 필요한데

이것을 키우기 위해서는 새로운 지식에 대한 흥

미를 유지하면서 평생 공부해야죠rdquo 안전한 먹

거리를 지키고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연

구하는 것이 그의 몫이라면 이제 올바른 정보

를 받아들이는 건 우리의 몫이다

보이지 않는 영역

식품 속 미생물 연구

가시 한계를 넘어선 아주 작은 생물 때로는 유익하게

때로는 해롭게 보이지 않지만 모든 곳에 존재한다

식품 속 미생물을 연구하는 유상렬 교수가 식탁 위 공포를

잡아줄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mini TALK

안전한 파지(phage)

박테리오파지의 준말인 파지

우리가 자각하지 못할 뿐 사실

인류가 생존하며 먹어 온

음식에는 상당히 많은 종류의 파지가

존재한다 안전성은 이미 입증이

된 셈 최근에는 모유에도 파지가

들어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연구실 free talking국내를 넘어 세계와 경쟁해야

하는 분야인 만큼 영어 또한 아주

중요하다 유 교수의 연구실에서는

매주 한 번씩 일주일 동안 수행한

실험에 대해 영어로 발표하고

논의하는 시간을 갖는다

先흥미 後연구

유 교수는 대학원 첫 학기

신입생들에게 특정 과제를 주지

않는다 다양한 실험을 배우며

경험하게 하는데 그 중 재미있게

느낀 주제를 선택하도록 기회를 주는

것이다 흥미가 있어야 좋은 결과도

나온다는 것이 그의 연구 철학이다

유상렬 농생명공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식품공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매사추세츠대학교에서 식품미생물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올바른 지식을 전달하기 위해

활발하게 연구 중이다 최근 살아있는 식중독균만을

검출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9 8

진행 중인 연구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20여 년간 남극 과학기지에서 해양저서무척추동물의 생태를 연

구해 왔습니다 남극의 해양생태계는 종 다양성의 보고로서 지

구 전체 생태계에 일익을 담당하고 있어요 최근에는 기후변화에

대해서도 연구하고 있습니다 남극은 지구온난화가 빠르게 진행

되는 곳 중 하나로 특히 세종과학기지 근처의 빙하가 아주 빠르

게 무너지고 있어요 이런 변화가 주변 해양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남극 연구의 장점이 궁금합니다

남극에서 발견되는 것들은 굉장한 희소가치가 있습니다 연구하

는 방법론 자체는 평범하지만 대상이 평범하지 않기 때문에 좋은

저널에 연구 결과를 발표할 수도 있어요 남극에서만 발견되는

토착종이 굉장히 많아서 남들이 안 해본 연구를 하고 싶다면 좋

은 환경이죠 남극에서 생활하며 연구하고 일하는 것 자체는 매

우 힘들지만 열심히 노력해 극복할 수 있다면 아직도 개척할 수

있는 재료들이 무궁무진하답니다

선배와의 데이트PEOPLE

월동을 앞둔 소감 을 말씀해주세요

하계 연구대원으로 남극에 자주 가다 보니 두려움은 별로 없지

만 지금은 월동대장으로서 처음 파견되는 것이기에 책임의 무게

를 느낍니다 대원도 직접 뽑고 식량 준비도 하면서 본격적으로

안전 지침을 숙지하고 있어요

1년 동안 월동을 잘 수행하려면 어떤 점이 중요한지 알려주세요

단조롭고 폐쇄된 환경에서 오랜 기간 지내려면 lsquo개인rsquo lsquo임무rsquo lsquo관

계rsquo 이 세 가지 조화가 잘 이뤄져야 합니다 우선 개인이 육체적으

로 건강하고 행복감을 느껴야 자기 임무와 타인과의 관계에서

모두 성공할 수 있어요 지금까지 개인의 건강 행복은 자기 관리

의 측면으로 치부됐는데 조직에서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요즘 대원들과 함께 건강한 월동 생활을 위한

여가ㆍ운동 관련 콘텐츠를 만들고 있습니다 덧붙여 lsquo안전rsquo과 lsquo성

과rsquo도 중요합니다 기지의 모든 운영이 안전을 최우선적으로 고려

하며 진행돼야 하는 건 당연하고 국제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과학적인 성과도 창출한다면 더욱 좋겠죠

어떤 월동대장의 모습으로 기억되고 싶으신지 궁금합니다

23년 전에 처음 남극에 갔을 때 연구가 아닌 lsquo남극에 간 첫 여성rsquo

으로 언론의 주목을 받았어요 최초의 여성 월동대장이 아닌 lsquo세

종과학기지의 국제적 위상을 올리고 기지 운영을 업그레이드 한

월동대장rsquo으로 기억되길 바랍니다 또한 대원들이 월동을 하며 행

복과 보람을 느낄 수 있도록 만들고 싶어요 제가 하는 일이 대단

하다고 생각하실 수 있어요 하지만 이 일이 제게 주어졌고 저는

최선을 다할 뿐이라고 생각해요 그래도 마칠 때에는 lsquo안인영이

있어 다른 월동대와는 달랐다rsquo라는 말을 들으면 정말 좋겠네요

남극에서 돌아온 뒤의 계획에 대해 말씀해주세요

세종과학기지는 기후변화에 따라 해양생태계의 변화를 연구할

수 있는 최적의 장소입니다 지금의 연구를 확장해 우리나라가

주도하는 세종과학기지 기반의 국제공동연구 프로그램을 만들

고 싶습니다 남극에 다녀오면 환갑인데 90살까지 산다고 하면

월동은 제 인생 23의 방점을 찍는 지점이에요 삶의 새로운 단계

로 들어서며 무엇인가에 도전할 수 있다는 건 정말 축복인 것 같

아요 인생의 13은 배움의 시간이었고 23는 열심히 쟁취하는

시기였어요 마지막 3부에는 이제까지 과학자로서 쌓은 것들을

잘 마무리하고 베풀면서 남은 인생을 뜻깊게 정리하는 시간으로

보내고 싶습니다

ldquo대선배님을만나

기쁩니다최초

여성월동대장이

아닌월동대장

lsquo안인영rsquo으로

기억되길바랍니다rdquo

최창현 지구환경과학부

인공위성 지구물리연구실

석사 14학변

남극의

과학자

남극은 단순히 지구에서 가장 추운 곳이 아니다 전 지구에서 발생하는 자연현상의 부분적인

자궁이자 기후변화 문제 해결의 단초를 품고 있는 미지의 대륙이다

우리나라 여성으로는 처음 남극에 발을 디딘 안인영 생물학자가 제28차 남극 세종과학기지의

월동대장으로 임명됐다 월동대는 올해 11월 말 출국해 13개월간 남극에 머문다

그녀를 만나기 위해 최창현 김호상 학생이 인천 송도 극지연구소를 찾았다

ldquo선배님과의인터뷰를통해삶의가이드를얻은것

같습니다이런기회를주셔서감사합니다rdquo

김호상 지구환경과학부 11학번

안인영 대한민국 남극 세종과학기지 제28차 월동연구대장

서울대학교에서 해양학을 전공했다 미국 뉴욕주립대학교에서 연안해양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생물학자로

1991년 남극하계연구대 일원으로 남극과 처음 인연을 맺었다 극지연구소 극지생물연구실장 선임연구본부장 등을 역임했다

소속 극지연구소 극지해양환경연구부 책임연구원

11 10

주목할만한 인재PEOPLE

한국으로 온 계기

레오나르도 학구적인 분위기에서 공부하고 싶었습니다 브라질

에 있을 때 친구들이 공부를 소홀히 하는 모습에 스트레스를 많

이 받았거든요 한국의 교육에 관한 뉴스를 보면서 유학하고 싶

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케이타 일본에서 한국어와 한국 역사에 대해 배웠습니다 지도

교수님도 한국 분이셨고 자연스레 이곳에서 공부하고 싶다는 생

각을 했습니다 학창 시절을 외국에서 보내며 한국 친구들을 많

이 사귄 것도 유학을 결정하는 데 한몫 했습니다

유학 오기 전 걱정했던 부분

케이타 한일관계에 대해 걱정을 많이 했습니다 한국인처럼 생

겨서 그런가 막상 생활해보니 아무 일도 없었지만요(웃음) 적대

감은 정치에만 해당되는 것 같아요 가끔 친구랑 한국어로 얘기

하며 걸어가면 누가 한국인인지 일본인인지 모를 정도로 위화감

이 없습니다

레오나르도 걱정이 전혀 없었습니다 한국은 브라질보다 훨씬

안전한 편이에요 특히 제가 사는 상파울루는 현지인에게도 위험

한 곳이라 저녁이면 어머니께서 어디냐고 꼬박꼬박 전화하실 정

도인데 한국에서는 치안에 신경 쓸 일이 없어 좋습니다

한국어 습득의 가장 어려운 점

케이타 한국어에는 형용사가 아주 많은 것 같아요 예를 들어

일본어에는 lsquo빨갛다rsquo라는 의미의 단어가 하나인데 한국어에는

lsquo새빨갛다rsquo lsquo붉다rsquo lsquo불그스름하다rsquo와 같은 비슷한 뜻의 단어가 여

러 개 있죠 그 부분이 조금 헷갈리곤 합니다

레오나르도 저 역시 형용사가 쉽지 않았습니다 게다가 쓰기는

더욱 더 어렵고요 하지만 생각해보면 모든 언어는 처음엔 어려워

요 배우고 싶은 마음과 공부할 시간만 있다면 언어는 물론 모든

일이든 가능할거라 생각합니다

좋아하는 한국어 단어

레오나르도 lsquo수고하세요rsquo라는 말을 좋아합니다 브라질에서는

헤어질 때 lsquoByersquo라고만 하는데 한국에서는 더 열심히 lsquo수고rsquo하라

고 인사하잖아요 항상 열심히 일해왔던 한국의 역사와 분위기를

대표하는 말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케이타 맞아요 한국 사람들은 무엇이든 열심히 하는 것 같아

요 학교에서도 학생들이 열심히 공부하고 활동하는 모습을 자

주 보는데 그만큼 스트레스를 받는 모습도 많이 봤습니다 힘들

게 사는 것 같아 안타까울 때가 있어요

레오나르도 공대생인 저를 두고 말하는 건 아니죠(웃음)

서울대학교의 장점

케이타 서울대학교에는 특히 다양한 국적을 가진 학생들이 많

은 것 같습니다 외국 학생들과 교류하며 다른 나라의 언어를 익

히고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은 점이 매력적입니다 지

금 수강하고 있는 lsquo포르투갈어rsquo 수업도 사실 계획에 없었는데 브

라질 룸메이트를 만나 배우게 됐죠

레오나르도 브라질에서 서울대학교는 lsquo한국에서 최고rsquo라고 알

려져 있어요 여기라면 공부하는 데 좋은 영향을 받을 거라고 생

각했습니다 매사에 최선을 다하는 학생들에게서 더 열심히 해야

겠다는 자극을 받고 영감을 얻을 수 있어 좋습니다

외국인 유학생으로서 서울대학교에 바라는 점

케이타 한국에서는 사람이 곧 정보입니다 수업이나 동아리 행

사 등에 참여하고 싶은데 지인이 없어서 곤란한 적이 있었어요

한국어를 잘하지 못하면 그런 정보를 얻는 것이 더 힘든 것 같아

요 학교 관련 정보가 체계화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레오나르도 브라질에 있는 학교와 비교해 서울대학교는 세계화

가 잘 되어 있어요 하지만 그에 비해 영어 수업이 턱없이 부족하

다고 생각해요 선택권이 별로 없기도 하고 양질의 영어 수업이

많아지면 좋겠습니다 더불어 공과대학 커리큘럼이 덜 힘들었으

면 좋겠습니다(웃음)

예비 유학생들에게 전하는 유학 관련 팁

케이타 한국어 공부는 정말 중요합니다 저는 한국어를 잘 하

는 편인데도 가끔 수업을 따라가기 힘들어요 더불어 즐거운 유

학 생활의 첫 걸음은 교수님과 친구들에게 적극적으로 말을 거

는 것 그리고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는 것이라는 사실을 기억해

두세요 그리고 마찬가지로 한국 학생들도 유학생들에게 친하게

말을 걸어주면 좋겠습니다

레오나르도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여러 명이 함께 공부하는 브라질과는 달리 한국은 혼자 공

부하는 문화라는 사실을 유의해야 해요 그 외에 영어와 한국어

에 대한 기본이 갖춰져 있다면 서울대학교에서의 생활에 무리가

없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공대생이라면 당연히 수학도 열심

히 해야 합니다(웃음) 마지막으로 더 많은 브라질 학생들과 함께

서울대학교에서 공부하는 날이 오기를 바라겠습니다

ldquo브라질에도

서울대학교는

lsquo한국에서최고rsquo

라고알려져

있어요rdquo

레오나르도 사르투니오 컴퓨터공학과 13학번

꿈 찾아

삼만리

ldquo몇 살이에요rdquo ldquo저 92(92년생)예요 말씀 편하게 하세요rdquo 말만 들어보면

영락없는 한국인 능숙하게 한국어를 구사하는 이들은 바로 서울대학교의

외국인 학생들이다 저마다의 꿈을 찾아 한국 서울대학교로의 유학길을 택한

일본의 이토 케이타 브라질의 레오나르도 사르투니오의 이야기를 들어봤다

ldquo서울대학교는

다양한나라의

언어를익히고

문화를체험할

수있는기회가

많아요rdquo

이토 케이타정치외교학부 14학번

13 12

업무 스트레스여 삼진 아웃

아직 해도 다 뜨지 않은 푸른 새벽 유니폼을 입은 15명의 남자가

늦은 가을바람을 헤치고 야구 연습장을 뛰기 시작한다 ldquo하나

둘 셋 넷rdquo 운동장에 울려 퍼지는 힘찬 구호 준비 운동을 마친

포수와 투수가 자리를 잡는다 이윽고 야구공이 배트에 맞는 경

쾌한 소리가 운동장을 메운다

프로 선수들을 방불케 하는 훈련으로 새벽부터 서울대학교 야구

장을 밝힌 이들은 체육교육과 학생들도 야구부 학생들도 아닌

서울대학교 교직원 야구단원들이다 이들은 야구를 위해 매주 화

요일 목요일 아침 7시에 모인다 ldquo철저한 훈련이 인천 사회인 야

구대회 우승 비결입니다rdquo 정용기(시설지원과) 감독이 자랑스럽

게 말했다 서울대학교 교직원 야구단은 lsquo2014년 전국대학 교직

원 야구대회 준우승rsquo lsquo2013년 인천 남구 리그 우승rsquo 등 사회인 야 구단에서 이름을 날리는 팀이다 올해로 4주년을 맞은 야구단은

2011년 학교 밖 사회인 야구단에서 야구를 즐기다가 서로 알게

된 교직원 9명이 의기투합해 만들었다 lsquo야구를 좋아하는 다른

교직원을 각자 한 명씩 데려오자rsquo라는 약속으로 시작된 모임이

2012년 스누리그에 가입하며 본격적인 동아리의 틀을 완성해갔

다 현재는 80명의 회원이 활발하게 활동하는 서울대학교 내 가

장 큰 교직원 동아리 중 하나로 꼽힌다 야구 동아리는 스누리그

에 등록된 학생 야구팀과 시합을 하면서 학생들과도 두터운 친분

을 쌓고 있다 땀 흘리며 운동하다 보면 남녀노소 누구나 친구가

될 수 있는 것이 바로 스포츠의 매력 아닌가 평일 아침 아주 잠깐

의 시간이지만 서류 가방 대신 글러브와 배트를 손에 쥔 그들의

얼굴이 유난히 밝다

인생을 읊조리는 시간

문학과 예술 동아리는 자작시를 낭송하는 교직원 모임이다 한

달에 한 번씩 좋은 책을 읽고 서평을 공유하거나 새로운 시를 소

개하기도 한다 2005년 시를 읽고 쓰기 위해 자발적으로 결성한

모임이 10년의 세월을 거치며 등단 시인을 배출하기도 했다 이

들의 가장 큰 행사는 lt서울대 문예지gt 발간과 정기적으로 개최하

는 lsquo교직원 문예의 밤rsquo이다 작년 11월에는 lsquo가을 낙엽제 행사rsquo에

서 시화전을 열어 90여 편의 자작시를 소개하는 등 다양한 동호

회 행사를 진행하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문학과 예술 동아리

를 이끄는 이종만(공과대학) 회장은 동호회 활동을 적극 추천한

다 ldquo직장이라는 울타리 안에 많은 직원이 함께 있지만 주어진 업

무에만 치중하다 보면 서로 간 소통의 기회가 부족합니다 다양

한 기관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이 동아리를 통해 교류하면서 업무

에 대한 이해도 높일 수 있습니다rdquo

학교 차원에서도 교직원의 동아리는 권장 활동이다 동아리가 직

원 개개인의 잠재력과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스

트레스를 해소하는 건 물론이고 건전한 조직 생활을 위한 동기

를 부여해 즐거운 직장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이에 동아리를 위한 학교의 지원도 점차 체계적이고 구

체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전년도 활동 실적과 당해 연도 활동 계

획서를 제출하면 심사를 거쳐 활동비를 지원한다

든든한 후원 속에서 성장하는 교직원 동아리 다양한 모임에서

더 많은 교직원들이 삶의 즐거움을 누리길 기대한다

즐거운

삶을

꿈꾸며

잠깐의 쉼마저 사치가 되어버린 세상 lsquo바쁘니까 내일부터rsquo라는

말로 일상의 즐거움을 미루는 사람들에게 lsquo여유는 스스로 만드는

것rsquo이라고 몸소 이야기하는 사람들이 있다 제대로 일하고 제대로

즐기기 위한 모임 교직원 동아리를 소개한다

노력에대한성과와기쁨을

사람과의소통과배려를선사하는야구는

저에게인생이고학교입니다

아름다운성찰과타인에대한배려가

글을기반으로이루어지는곳문학과

예술동아리입니다

김평환middot의대공작실

이종만middot공과대학

탕~스트레스는담장밖으로

열정은그라운드로향하게하는

야구에빠져보세요

정진우middot교무과

당신의 재발견PEOPLE

15 14

캠퍼스의

어떤 하루

햇볕 좋은 날

SNU Ske t c hPEOPLE

스트레스 날리는 가을 축제

lsquo스트레스 대폭발 슛트레스rsquo를

주제로 한 서울대학교 2014년

가을 축제 lsquo티라노스트레스rsquo가

캠퍼스 곳곳에서 열렸다

사진은 참가자들이 대형 상자로

만들어진 젠가를 쌓으며 축제를

즐기고 있는 모습

09 29 ndash 10 01

중학생을 위한 생명공학캠프

농업생명과학대학에서

중학생을 대상으로 생명공학

특강 실험과 실습 수목원

체험 등 생명공학에 관한

기초적인 체험을 제공하는

캠프를 마련했다

08 11 - 08 15

오늘은 첫 출근 하는 날

공과대학 엔지니어하우스에서

2014학년도 신규임용교원

임명장 수행식이 거행됐다

60여 명의 신규 교직원들은

임명장을 받으며 합격의 기쁨을

만끽했다

08 25

서울대 입학 궁금해요

문화관 대강당에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2015년 서울대학교

입학 주요 사항을 설명하는

입학설명회를 개최했다

07 05

우물쭈물 말고 말 걸어 봐

2014 SNU 사회적경제

아이디어 대회 활동팀이

선보이는 lsquoTalk to me SNUrsquo

배지 이 배지를 달고 있는

사람에게는 누구나 친근하게

말을 건낼 수 있다

07 24

17 16

Campu s OnNOW

뚜렷하게 새겨진 학문적 발자취

학문 분야에서는 서울대학교의 대표적인 연구 성과인 현택환 중견

석좌교수의 lsquo나노수류탄rsquo 김수봉 교수의 lsquo중성미자 변환상수 연구rsquo

와 함께 서울대학교가 소장하고 있는 귀중한 사료인 lsquo대동여지도

(大東輿地圖)rsquo lsquo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rsquo에 대한 이야기도 만

나볼 수 있다 이어지는 교육 환경 코너는 학생 1인당 장학금 지급률

부터 개별 전공 졸업 후 진로 정보까지 방문객이 터치스크린을 통

해 원하는 정보를 찾아볼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빛나는 역사

전시 콘텐츠는 lsquo역사middot학문 분야middot교육 환경middot글로벌 SNUmiddot사회적

책임middot미래 인재middot미래 활동rsquo 순으로 전개된다 먼저 홍보관에 발을

들이면 개교 이전부터 현재까지의 모습이 전면 스크린에 펼쳐진다

최초의 근대 국립고등교육기관이었던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의

역사를 사진과 영상으로 만나볼 수 있다 또한 이곳에는 한국전쟁

419 혁명 등 중요한 역사의 현장에서 희생된 서울대학교 재학생들

의 고귀한 뜻을 기리는 추모의 벽이 설치되어 있다 조국의 발전을

위해 몸 바친 영혼들을 위해 잠시 묵념하는 시간을 가져보자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가 세계의 다양한 대학 연구 기관과 어떤 국제협력프로

그램들을 만들고 운용하고 있는지 궁금하다면 글로벌 SNU 코너에

서 그 현황과 규모를 찾을 수 있다 다양한 사회 기여 활동을 보여주

는 사회적 책임 코너도 빼놓을 수 없는 곳이니 잊지 말고 둘러보자

인재를 길러내는 서울대학교의 모습과 장기적인 비전은 스누홀의

마지막 전시장에서 확인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등 양방향적 소통 장치를 마련한 스누홀은 방문객과의

자유로운 교감을 꿈꾼다 견학 온 학생에게 자녀가 다니는 학교가

궁금한 부모님에게 이곳은 훌륭한 안내소가 될 것이다 아직 학교가

알쏭달쏭하다면 망설이지 말고 스누홀의 문을 두드리길

1 SNU connect

2 SNU 타임비전

3 SNU Awards

4 미디어홀

5 라운지

6 SNU Special

1

스누홀을 통해 서울대학교를

바라보는 시각이 달라졌고

도전 의식이 생겼습니다 당당한

재학생으로 꼭 다시 오고 싶어요

김예준middot낭주중학교 3학년 박지훈middot용강중학교 3년

서울대학교에 대해 잘 알지

못했는데 이번에 스누홀을

둘러보면서 서울대학교와 한층

가까워진 것 같아요

문의 070 8815 1524

생생 방문 후기

SNU Hall 문을 열다

매년 5만 명이 넘는 이들이 캠퍼스 투어를

위해 서울대학교를 찾는다 호기심을 가득

품고 관악캠퍼스를 찾은 방문객들은 커다란

위용에 왠지 모를 어려움을 느끼기도 한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고 종합적으로

학교를 안내하기 위해 서울대학교 홍보관

스누홀(SNU Hall)이 문을 열었다 학교의

역사에서부터 환경 글로벌 미래 비전까지

서울대학교의 이모저모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스누홀을 살펴보자

1

2

3

4

5

6

19 18

여행과 봉사를 한번에 볼런투어

Who 글로벌사회공헌단 bull Where 경상남도 함양군 bull What 일손 돕기 목가구 제작 벽화 그리기 등

드림컨설턴트는 2010년 학내 봉사 동아리로 출범해 2012년 서울

시 비영리 민간단체 공식인가를 받은 서울시 NGO다 lsquo꿈rsquo이라는 주

제 아래 lsquo촉촉콘서트rsquo lsquo드림커넥터rsquo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

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이들이 8월 8일부터 10일까지 경상남도

창원 구암고등학교에 머물렀다 2박 3일간 고등학생 꿈 찾기 프로

그램인 lsquo드림캠프rsquo를 진행하기 위해서다

드림캠프는 직업군으로 나누어 꾸민 부스에서 멘토가 강연하는 lsquo직

업 박람회rsquo 자신의 꿈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해보는 lsquo드림스토밍rsquo

문제 상황에 부딪쳤을 때 필요한 가치관을 이야기해보는 lsquo가치관 동

맹rsquo lsquo모의 면접rsquo 등의 프로그램으로 탄탄하게 구성됐다 뿐만 아니

라 봉사 단원들은 고등학생들이 자신의 가치관을 살펴보고 모호한

꿈을 좀 더 구체적으로 그리며 진로를 고민해볼 수 있도록 직접 교

재까지 제작하는 열의를 보였다 지난 4년 동안 꾸준히 성장해온 드

림컨설턴트가 꾸려나갈 앞으로의 모습이 더욱 궁금해진다

꿈을 발견하는 곳 드림캠프

Who 드림컨설턴트

Where 경상남도 창원시

What 고등학생 꿈 찾기 캠프

방학 계획을 물을 때 lsquo여행rsquo과 lsquo봉사활동rsquo은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단골 소재다 글로벌사회공헌단은 이 두 가지를 동시에 할 수 있는

프로젝트 lsquo볼런투어rsquo를 마련했다 자원봉사(Volunteer)와 여행

(Tour)을 합친 볼런투어는 개인의 재능을 통해 사회공헌 사각지대

에 필요한 자원을 제공하는 활동이다

이번 볼런투어는 8월 6일부터 9일까지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에서

진행됐다 5개 팀으로 나뉘어진 학생들은 각각 농촌 일손 돕기 목가

구 제작 벽화 그리기 어르신 사진 촬영 지역아동센터 교육 봉사 등

의 개별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낯선 일이었지만 학생들은 땀을 흘리

며 사과 농장을 일구고 마을 입구에 놓을 초대형 평상을 제작하는

등 각자의 재능을 통해 나눔을 실천했다

모든 일정이 계획대로 진행된 것은 아니다 프로젝트 기간 동안 함양

군을 지나간 태풍 lsquo나크리rsquo 탓에 벽화팀이 애써 그린 작품 대부분이

지워진 것 돌발 상황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최선을 다한 학생들에게

마을 주민들은 고마움을 표현했다 함양군에서의 3박 4일은 이들에

게 잊지 못할 경험으로 기억될 것이다

자연과학대학은 2006년 경상북도 영덕군과 lsquo관학 협력 및 지역사

회 개발에 관한 협정rsquo을 체결했다 그 후 매년 여름마다 영덕 지역 청

소년들의 적성과 소질을 개발하고 대학생들의 인성 함양을 위해 멘

토링 프로그램과 과학 캠프를 개최해왔다 올해 역시 자연과학대학

재학생으로 구성된 봉사단이 영덕 지역 청소년들과 만났다

8월 5일부터 7일까지 이어진 캠프 첫날 고등학생 25명을 대상으로

lsquo대학 진학 멘토 교실rsquo이 열렸다 입시를 앞둔 이들에게 실질적인 조

언을 해주는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이 미리 준비해 온 질문에 봉사단

원들의 진지한 답변이 이어졌다 이어서 진행된 lsquo과학 캠프rsquo 봉사단

은 물리천문학 생명과학 지구환경과학 화학 수리과학 등의 각 전

공을 살려 중학생 75명과 함께 과학 실험을 진행했다 서울대학교

봉사단원들은 아이들이 과학을 어렵지 않게 느끼도록 실험을 도우

며 재미있는 분위기를 이끌었다

이번 캠프는 열정적으로 참여한 학생들 덕분에 참가자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에게도 높은 호응을 이끌었다 에너지 넘치는 자연과학대

학 봉사단과 함께 할 내년 여름을 기대해본다

청소년 100명과의 만남 과학 캠프

Who 자연과학대학 봉사단

Where 경상북도 영덕군

What 청소년을 위한 멘토링 과학 캠프

학생들의 학습을 꼼꼼히 지도하는 드림컨설턴트

직접 그린 벽화 앞에서 포즈를 취한 볼런투어 벽화팀

과학 실험 삼매경에 빠진 캠프 참여 청소년

Campu s OnNOW

각양각색 봉사활동 열전

태양이 이글대던 두 달이 쏜살같이 지나가버렸다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여름

방학 속 가장 기억에 남는 일은 무엇이었는가 무더운 여름보다 더 뜨겁게 방학을 보낸

사람들이라면 금세 대답할 수 있을 것이다

21 20

서울대학교 세계 최고를 꿈꾼다

서울대학교는 영국 대학평가기관 QS(Quacquarelli Symonds)가 발표하는 2014 QS 세계대학평가(QS

World University Rankings)에서 31위를 차지했다 1994년부터 시작된 QS 세계대학평가는 전 세계 대학

에 대한 평가로 학계 평판 40 연구 영향도(교수 1인당 논문 피인용 수) 20 졸업생 평판도 10 교수 대

학생 비율 20 외국인 교수 비율 5 외국인 학생 비율 5를 합산해 평가한다 올해 발표된 평가의 1위는

미국 MIT(매사추세츠공대)였으며 아시아 대학 가운데서는 싱가포르국립대학교(NUS)가 22위 홍콩대학교

(HKU)가 28위에 올랐다

서울대학교는 해외 학계에서의 인지도를 알 수 있는 학계 평판(Academic Reputation) 및 기업인 대상 설문

조사로 평가하는 졸업생 평판 항목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향후 논문 피인용 수 증가를 통해 연구 영향도 분

야에서 개선을 추구해 나가는 한편 구성원의 글로벌 다양성 확보를 위해서도 노력할 계획이다

2014 QS 세계대학평가가 9월 발표됐다 2004년 118위에서 2010년 50위 2011년 42위

2012년 37위 2013년 35위 그리고 올해 서울대학교는 역대 최고 성적을 경신했다

118

93

63

5147

50

4237

35

31

50

140

40

20

0

120

100

80

60

순위2005년 2009년 2012년2006년 2010년 2013년2007년 2011년 2014년2004년 2008년

QS Ranking지난 11년간의 성과

연도 별 순위

lsquo창업론 실습rsquo 커리큘럼

STEP 1 조별 사업 기획

STEP 2 약 300만 원의 지원금과 창업 공간 지원

STEP 3 기업가들의 컨설팅

STEP 4 학점 취득

통찰력 있는

미래의 창업가를 키운다

연합전공 벤처경영학

표준적인 인재는 많지만 특출난 인재는

늘 부족하다 기업가 정신을 갖추고 끊임없이

도전하는 인재들의 양성소

연합전공 벤처경영학을 소개한다

새로운 경제 성장의 동력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lsquo창업 부흥rsquo

정책이 정부를 비롯해 지방자치단체 중소기업청 등에서 이

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학생들의 대기업 선호 현상과 lsquo창업은

위험한 도박rsquo이라는 인식은 여전하다 대기업 입사를 위한 다

양한 프로그램과 유학 스터디 등이 활발한 것과 달리 창업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은 아이디어를 나눌 공간이 없고 경험 있

는 선배로부터 직접적인 조언을 얻기도 쉽지 않다 이러한 문

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이 나섰다

올해 설립된 벤처경영학 전공은 학생들이 실제로 창업을 경

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lsquo창업론 실습 1middot2rsquo 과목을 수

강하는 학생들은 조별로 사업을 기획해보고 약 300만 원과

창업 공간을 지원받으며 기업가들의 컨설팅을 받게 된다 이

런 과정을 통해 학점도 취득할 수 있다 이밖에 벤처경영학과

에서는 철학과 경영학과 컴퓨터공학부 식품동물생명공학

부 등 연합전공에 참여한 학과의 개설 과목은 물론 제품 기획

론 창업론 특강 벤처사업 기회 연구 등 벤처 운영에 도움이

되는 과목을 함께 수강할 수 있다

실리콘밸리와 맞닿아 있는 스탠포드대학교는 구글 야후 휴

렛팩커드 등 초일류 기업의 창업자들을 배출했으며 오늘날

이 대학 출신이 창업한 기업의 연 매출은 우리나라 국내총생

산(GDP)의 2배를 넘을 정도로 큰 성과를 내고 있다고 한다

창업을 지원하는 학내 인프라와 프로그램 그리고 실제 벤처

기업을 운영하는 교수진이 있기에 가능한 일이다 서울대학

교 벤처경영학이 미래의 한국 벤처 생태계를 구축할 혁신적

인 기업가 양성 교육의 훌륭한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

Campu s OnNOW

연합전공 시리즈 3

23 22

문화생활백서 in SNU

과제 시험 그리고 또 과제 학교에 갇혀 있는

날이 계속되다 보면 잠깐이나마 쉴 곳을 찾게

된다 왠지 모르게 무기력해지고 답답한 순간

당신에게는 lsquo휴식rsquo이 필요하다

빼곡한 강의실 책만 가득할 것 같은

서울대학교 안에도 여유 시간을 알차게 보낼

수 있는 놀라운 공간들이 구석구석 숨어 있다

벌써부터 방학을 그리워하는 학생들에게

캠퍼스의 각종 문화 시설은 달콤한 선물이

되어줄 것이다 학교 안에서 즐기는

문화생활의 lsquo핫 플레이스rsquo를 소개한다

영화관이 학교 안에

미술관을 지나 오르막길을 오르다 보면 현수막 하나가 눈에 띈다

2004년부터 작품성은 높지만 대중적 인기는 얻지 못한 진흙 속의

진주 같은 영화를 소개하는 lsquo수요시네마rsquo 프로그램이다 매월 둘째

주 수요일 문화관에서 무료로 관람 가능하다 더불어 학교의 중심

중앙도서관 영상자료실도 혼자 영화 보기 안성맞춤인 곳이다 비교

적 최신 DVD까지 소장하고 있어 공강 시간을 보내기 유용하다

몸 튼튼 마음 튼튼

서울대학교에선 원한다면 누구나 각종 운동을 섭렵할 수 있다 공과

대학에는 테니스장과 농구장 인공 암벽등반 시설이 있으며 기숙사

에는 축구 운동장과 더불어 야구 연습 탁구 농구 등을 할 수 있는 실

내 체육관이 있다 종합운동장에선 축구와 미식축구를 할 수 있으며

마라톤 트랙이 있어 다른 운동도 가능하다

정문 근처 포스코(POSCO) 스포츠센터는 2001년에 문을 연 4층 건

물로 서울대학교의 대표 체육 시설이다 수영과 헬스뿐만 아니라 골

프와 댄스 발레 요가 등 전문 강사가 진행하는 다양한 강좌가 있다

시설이 좋아 lsquo미녀는 괴로워rsquo 등의 영화와 드라마 촬영지로도 사용됐

다 이외에 체육 교육과에서도 매 학기 테니스 필라테스 탁구 등을

소규모로 배울 수 있는 건강 운동 강좌를 개설하고 있다 에너지 넘

치는 학생들에게 서울대학교는 즐거운 놀이터다

음악감상실

장소 학생회관 111호

운영시간

학기 중 평일 930~1730

학기 중 토요일 930~1330

수요시네마

장소 문화원 중강당

비용 무료

문의 02-880-7924

정문 옆 미술관

정문 너머 왼편에는 독특하고 아름다운 외형의 건물이 있다 바로 서

울대학교 미술관 MoA 프리츠커 건축상을 수상한 렘 콜하스가 설

계했다 한 해 3~4회의 전시가 열리는 MoA는 타 학교 미대에서 관

람을 올 정도의 높은 전시 수준을 자랑한다 학교 구성원과 지역민

등을 대상으로 하는 미술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뿐만 아니라 도

슨트 교육을 받고 선발되어 활동하면 문화자원봉사 확인증을 주는

자원봉사 프로그램도 있다 미술관 입구 앞 독특한 조형물도 하나의

볼거리니 방문한다면 여기서부터 관람을 시작하자

MoA

운영시간 화~일요일 1000~1800(입장마감 1730)

관람료 3000원

문의 02-880-9504

포스코 스포츠센터

운영시간 평일 600~2230 토요일 1000~1700

문의 02-880-6980

Campu s OnNOW

음악이 들려주는 비밀

호그와트(영화 lsquo해리포터rsquo의 마법학교)에 비밀의 방이 있다면 서울

대학교에는 음악감상실이 있다 학생회관 식권 판매대 옆 두꺼운 문

을 열면 나타나는 음악감상실은 예전부터 높은 경쟁률을 뚫고 선발

된 DJ가 수준 높은 음악을 들려주는 것으로 명성이 자자했다 한국

최초 그래미 수상자 황병문 동문도 음악감상실 DJ 출신이다 문화

관에서 시작되는 lsquo걷고 싶은 거리rsquo는 음악대학 학생들의 연주와 노

래 소리를 들으며 산책하기 좋다 덧붙여 음악대학에서는 매 학기

lsquo화요음악회rsquo를 개최한다 1994년부터 20년째 이어지는 음악회다

오디션을 통해 선발된 공연팀이 무대에 올라 질 높은 음악을 들을 수

있으며 누구나 관람 가능하다 문화관과 자하연 사이에 위치한 스탠

드에서는 때때로 즉흥 연주가 벌어진다 버스킹의 정확한 일정은 없

으니 지나치다 익숙한 음악이 들리면 놓치지 말고 들러보자

1 2

3

4

화요음악회

장소 문화관

비용 무료

문의 02-880-7903

25 24

미래인재학교란 서울대학교 입학본부 주관으로 진행되는 고교 지원 프로그램으로

서울대학교 교수와 학생이 직접 지역 고등학교에서 지식을 전달한다

92명

13기 수료생

100명

14기 수료생미래인재학교

수료생 현황

미래 인재를 위한 꼼꼼한 준비

서울대학교는 7월과 8월 전라남도 고흥middot여수에서 미래인재학교

13 14기를 개최했다 미래인재학교는 지역 간 교육 환경 격차를 완

화하고 고교생의 소질과 적성을 개발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서울

대학교 교수 강의와 재학생 멘토링 등을 통해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다 개최 지역에 따라 맞춤형으로 운영하기 때문에 4

개월 정도의 준비 기간이 필요하다 각 기수마다 재학생 멘토팀을 선

발해 프로그램을 새롭게 기획하는 것은 물론 담당 입학사정관과 멘

토팀이 몇 차례의 답사를 통해 현지 교육 환경을 이해하고 운영 시설

을 확인하는 등 프로그램을 세심하게 꾸려나간다

열정 가득한 학생들과 3박 4일

나로도 소재 국립고흥청소년우주체험센터에서 진행된 미래인재학

교 13기에서는 고흥 소재 8개 고등학교 1 2학년생 92명이 3박 4

일의 과정을 수료했고 14기에서는 여수 소재 10개 고등학교 1학년

학생 100명이 나흘 간의 과정을 마쳤다 특히 이번 멘토팀은 개최지

의 요청에 따라 역대 최대 규모로 조직됐는데 이들 중에는 고교 재

학 중 미래인재학교 수료생으로 참가했던 3명의 학생도 있었다

각 학교장의 추천을 받아 선발된 고등학생들은 입학식과 더불어 핸

드폰을 모두 담당 교사에게 제출하는 등 바른 수업 태도와 학업 의

지를 보여주었고 쉴 틈 없이 짜인 프로그램에도 중도 탈락하는 사

람 하나 없이 참가자 전원이 수료증을 받을 수 있었다

교수 멘토 멘티의 특급 하모니

3박 4일 동안 고등학생들과 함께 숙식하며 프로그램 운영은 물론

학생들의 생활지도까지 맡은 서울대학교 재학생 멘토들 이들은

lsquo아이스 브레이킹rsquo lsquo주제 토론rsquo lsquo고교 생활의 Know-Howrsquo lsquo11 멘

토링rsquo lsquo도전 골든벨rsquo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학생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했다 물리천문학부 홍승수 명예교수 등 고교생

의 눈높이에 맞게 선정한 다양한 학과의 교수 강연은 학생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참가 고등학생들 역시 강의 2주 전 배포한 강연

자료를 예습해왔고 강의가 끝난 후에도 호기심을 충족하기 위해

교수님을 따라 행사장 밖까지 나가 질문하는 열의를 보였다 이번

행사가 서울대학교 학생들에겐 나눔의 기쁨을 개최 지역의 고등학

생들에겐 배움의 기회를 주었길 바란다

지역 인재는 우리가 기른다

전라남도 고흥과 여수에 서울대학교 학생들이 떴다 미래 후배들의 소질과 적성 개발을

돕는 멘토링 프로그램 lsquo미래인재학교rsquo를 진행하기 위해서다 이번에는 개최지의 요청에

따라 역대 최대 규모의 멘토팀이 조직됐다 고등학교 시절 배움을 위해 lsquo미래인재학교rsquo를

찾았던 학생도 지식을 나눠주는 멘토가 되어 돌아왔다 고등학생들과 동고동락하며 여름의

열기보다 뜨거운 4일을 보낸 이들을 만나보자

멘토링 시간에 조별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학생들

참가 학생이 자신의 의견을 발표하고 있는 모습

대학 입학에 관해 강의하는 홍승수 명예교수

Campu s OnNOW

step1

step2

step3

27 26

서울대학교는 8월 29일 관악캠퍼스 문화관 중강당에서

교수 학생 직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교수 정년식을 진행

했다 노태돈 국사학과 교수 임현진 사회학과 교수 안

정선 생명과학부 교수 김명모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장

호익 디자인학부 교수 한문희 불어교육과 교수 김민자

의류학과 교수 황준연 국악과 교수 이성철 의학과 교수

등 26명이 명예로운 정년을 맞아 정든 캠퍼스를 아름답

게 떠났다 이날 행사에서는 박종화 환경대학원 교수가

정년 교수진을 대표해 감사와 당부의 인사말을 전했다

교수 정년식

02

서울대학교는 8월 28일 관악캠퍼스 종합체육관에서 제

68회 후기 학위수여식을 개최했다 이번 학위수여식에

서는 학사 850명 석사 989명 박사 522명 등 총 2361

명이 학위를 받았다 성낙인 총장은 ldquo최고의 지식은 사회

봉사와 인류공헌을 위해 쓰이는 것이며 훌륭한 인재는

지성과 공공성으로 무장된 따뜻한 가슴을 겸비한 lsquo선한

인재rsquordquo라며 ldquo민족의 동량 사회의 중심으로 드높은 자부

심을 갖되 지식과 열정을 공동선을 위해 공헌하는 사회

적으로 필요한 인재가 되기 바란다rdquo고 당부했다

제68회 후기 학위수여식

03

01

서울대학교는

신임 보직교수단을

구성했다 신임 보직

교수 임기는 2년으로

2016년까지 대학의

비전을 마련하고

고등교육 발전을 위한

주요 소임을 맡아

활동한다

신임 보직교수 임명

04 06

2014 우수 인재 채용박람회

추석을 맞아 서울대학교 구성원들의 따스한 손길이 어려

운 이웃들에게 전해졌다 인문대학 등 62개 기관에서 모

금한 총 28271500원은 학교 근처의 보육원 사회복지

관 등 도움이 필요한 곳에 전달됐다 성낙인 총장은 아동

복지시설인 상록보육원을 방문해 성금을 전달하며 어린

이들과 보육원 관계자들을 격려했다 그리고 김종서 교

육부총장은 동명 아동복지센터 이우일 연구부총장은 성

민 종합사회복지관 유근배 기획부총장은 선의관악 종합

사회복지관을 각각 찾아 성금을 전달했다

추석 명절 이웃돕기 성금전달

보 직 명 학 과 (부) 성 명

교육부총장 종교학과 김종서

연구부총장 기계항공공학부 이우일

기획부총장 지리학과 유근배

교무처장 화학부 김병문

학생처장 농생명공학부 김정한

연구처장 의학과 박노현

기획처장 법학전문대학원 이철수

기초교육원장 서양사학과 안병직

입학본부장 독어교육과 권오현

국제협력본부장 국제대학원 정종호

보 직 명 학 과 (부) 성 명

정보화본부장 컴퓨터공학부 신영길

교무부처장 겸 교육부처장 치의학대학원 백승학

학생부처장 식품영양학과 한성림

연구부처장 약학과 오정미

기획부처장 독어독문학과 강창우

협력부처장 건설환경공학부 김재영

기초교육부원장 물리middot천문학부 유재준

입학부본부장 고고미술사학과 이준정

국제협력부본부장 국제대학원 신성호

정보화부본부장 경영학과 장정주

NewsNOW

제8기 스누봉사단이 한국수력원자력(주)의 후원으로 8

월 9일부터 20일까지 베트남 라오까이 성에 있는 스빤

마을에서 봉사활동을 진행했다 유성상 교육학과 교수

이우철 치의학대학원 교수 이승표 교수 한동헌 교수

김익규 빗물모아지구사랑 실장 김용환 연구원 서울대

학교 학생 23명으로 구성된 봉사단은 구강보건의료 빗

물 정화 위생교육 등의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 주민들에

게 나눔을 실천했다

제8기 스누봉사단 베트남 봉사활동

0705

훌륭한 공대교수상 선정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올해의 훌륭한 공과대학 교수로

신현식 컴퓨터공학부 교수 이재홍 전기정보공학부 교

수 강신형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를 선정했다 이 상은 교

수들의 연구 활동을 장려하고 산업 기술의 선진화를 꾀

하자는 취지에서 1992년 공과대학 동문들이 출연한 기

금으로 제정됐다 2003년부터 교육상과 연구상 2개 부

문으로 시상해오다가 올해부터 교육상 학술상 산학협

력상 3개 부문으로 확대돼 의미가 더욱 커졌다

경력개발센터는 2014년 하반기 채용 시즌을 맞이해 9월

2일에서 4일까지 대학본부 앞 잔디 광장에서 lsquo새로운 미

래를 여는 SNU 2014 서울대학교 우수인재 채용박람회rsquo

를 개최했다 올해로 11회째를 맞이한 채용박람회에는

6500여 명의 학생들이 참가했다 한편 두산 삼성 현대

자동차 LG SK 등 국내 주요 대기업들과 국방과학연구

소 한국전력공사 등의 공기업 Hakuhodu 그룹 등의 일

본 기업 ASML Korea 등의 외국계 기업 총 130곳이 우

수 인재를 확보하고자 심혈을 기울였다

信義

기부와 나DONATION

유 태 용

나고 자란 곳을 잊지 않는다 어려웠던 순간을 항상

되새긴다 덕분에 유태용 동문은 사회적 성취를 이룬 지금

자신만의 나눔 원칙을 세울 수 있었다

기 부 자 정 보

격동의 세월을 이겨낸 삶

일제강점기를 지나 해방 그리고 한국전쟁까지 1950년에 서

울대학교에 입학한 유태용 동문의 학창시절은 역사적 격동

기와 맞물려 있다 그 시절을 겪어보지 않은 요즘 세대에게 유

동문의 경험은 책에서나 접하는 옛날이야기로 들릴 수 있다

그럼에도 유 동문은 과거를 잊지 않으려 그 시절을 끊임없이

복기한다 당시 경험을 lt어느 서울대 공대생의 한국전쟁gt이

라는 책에 풀어내기도 했다 ldquo요즘은 상상도 못할 이야기죠

이후로도 어렵사리 국가 발전을 이뤘고요 우리 세대가 고생

했다고 알아주길 바라는 건 아닙니다 다만 큰 어려움을 헤

쳐 온 인생 선배들을 보면서 힘든 순간이 닥쳐도 좀 더 지혜롭

게 극복했으면 좋겠습니다rdquo

유태용 동문은 대학 졸업 후 1957년부터 공직 생활을 시작했

다 이후 오랜 기간 공직에 몸담으며 국토 계획과 건설 행정

을 담당했다 유 동문의 전공은 토목공학 그중에서도 방조

제가 전문 분야였다 공직 생활 초창기에 국제원조기구 장학

생으로 선발돼 1962년 미국에서 아카데미 코스를 밟기도 했

다 그렇게 미국에서 수학한 지식을 바탕으로 당시만 해도 단

일목적댐뿐이던 우리나라에 다목적댐을 도입하는 데 기여했

다 ldquo저는 어찌 보면 운이 참 좋은 사람입니다 어려운 시기에

농촌에서 서울대학교에 입학했고 좋은 기회가 닿아 외국에

서 공부하는 경험도 할 수 있었으니까요rdquo

오랜 시간 이어온 남다른 향토애

공직에 있으며 국가 발전에 힘써온 유 동문 그는 오래전 고

향을 떠나왔지만 어려웠던 어린 시절을 잊지 않는다 불과 몇

원하는 수업료가 없어 일곱 살 나이에 수십 킬로미터에 달하

는 거리를 오갔던 기억이 여전히 생생하다 적어도 돈 때문에

공부를 못하는 학생은 없어야겠다는 생각에 이른 건 어쩌면

당연한 일 그러한 경험이 있었기에 유 동문은 자신만의 기부

신념을 세울 수 있었다 ldquo똑같이 모를 심어도 좋은 쌀을 얻으

려면 관리를 잘해야 합니다 모를 심고 가만히 두면 한 섬밖

에 못 얻지만 비료를 주고 잡초를 솎아내면서 키우면 네 가

마니까지 불어나요 사람도 마찬가지입니다 인재도 좋은 환

경이 갖추어져야 자랄 수 있습니다 서울대학교에 입학한 건

시작일 뿐이죠rdquo

유 동문은 서울대학교에 부동산을 기부해 정읍과 고창 출신

후배들을 위한 lsquo정고장학기금rsquo을 마련했다 단지 태어난 곳

에 대한 고집만은 아니다 그 자신이 농촌에서 어렵사리 대학

에 진학했던 까닭에 그곳에서 나고 자란 후배들이 학비 걱정

없이 공부에만 전념할 수 있기를 바라는 선배의 따스한 마음

이다 ldquo예전에도 그랬지만 지금도 농촌에서 몇 백만 원씩 하

는 등록금을 쉽게 마련할 수 있는 집은 많지 않습니다 더구

나 지방에서 공부해서 서울대학교에 온다는 건 쉽지 않아요rdquo

유태용 동문은 장학생들을 직접 만나 격려하는 데에도 적극

적이다 지금은 학생들이 그가 기부한 장학 기금의 혜택을 입

지만 언젠가는 좋은 인재로 성장해 사회에 보탬이 되는 주역

이 되리라 믿는 까닭이다 ldquo서울대학교가 이제 세계에서도 손

꼽히는 대학이 되었다지만 아직도 세상에는 해결하지 못한

연구 과제가 많아요 서울대학교의 많은 인재가 그런 분야에

도 거침없이 도전해 좋은 성과를 내주길 바랍니다rdquo

유태용 한국방재협회 명예회장

내무부와 건설부에서 오랜 기간 국토 계획과 건설 행정을 맡았다 1998년 자연재

해대책법에 따라 한국방재협회 준비위원장에 추대됐고 창립을 준비해 1999년 초

대 회장에 취임한 바 있다

with SNU

토목공학과 학사 ACAD 12기 수료 정고장학기금을 마련해 정읍 고창 출신 학생

들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및 대학원생 재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원하고 있다

ldquo모를 심고 가만히 두면 한 섬밖에 못 얻지만

비료를 주고 잡초를 솎아내면서 키우면

네 가마니까지 불어나요 사람도 마찬가지입니다

인재도 좋은 환경이 갖추어져야 자랄 수 있습니다rdquo

29 28

31 30

기부와 나DONATION

도전 열아홉이란 나이 누군가는 대학 문을 바라보며 책

장을 넘길 시기에 사업을 시작했다 다양한 업종에 손대며

달콤한 성취도 쓰디쓴 실패도 맛본 20대를 지나 서른을 코앞

에 둔 시기에 광장시장 상가 한편에 1평 남짓한 도매 옷가게

를 열었다 그것이 연 매출 1조 원을 올리는 국내 굴지 패션기

업의 출발이었다

근면 어깨에 옷을 짊어지고 고객을 찾아다니길 수차례

서른 살 청년의 성실성을 소매상들은 알아봤다 판로가 열리

니 사업은 자연히 승승장구했다 그러나 10년 후 위기가 닥

쳤다 거래처의 어음이 부도 처리되면서 그 여파를 고스란히

받아야 했다 ldquo부도를 극복하면서 근면의 중요성을 깊이 느

꼈습니다 재기를 생각하며 다시 1평짜리 매장을 얻어 아침 7

시부터 새벽 2시까지 이를 악물고 일했죠rdquo 시작도 그랬지만

이후로도 근면은 최 회장의 삶에 큰 지표가 됐다

배움 일찍이 사회에 진출한 만큼 현장 경험은 누구보다

출중할 터 그러나 최 회장은 lsquo배움에는 끝이 없다rsquo는 생각으

로 경영만 하기도 바쁜 시간을 쪼개 공부를 계속했다 배움의

과정 중에 서울대학교와 인연이 닿았다 학교의 여러 특별과

정을 수료한 것은 물론 서울대학교 패션산업 최고경영자과

정(AFB) 총교우회 회장도 역임했다 ldquo김민자 교수님께서 lsquo바

쁠수록 더 좋은 성과를 낸다rsquo고 말씀하신 적이 있습니다 몸은

분주했지만 세상을 보는 관점은 더욱 넓어질 수 있었습니다rdquo

섬김 최 회장은 오늘날 이룬 성취가 혼자만의 것이 아니

란 점도 매번 되새긴다 패션그룹형지의 성장과 함께 한 대리

점주를 섬기는 해법 중 하나는 교육이다 ldquo사업의 근간인 대

리점주와 함께 호흡하고 성장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일까 고민

하던 차에 생활과학대학 교수님들의 도움으로 lsquo패션그룹형

지 최고경영자과정rsquo을 열었습니다rdquo

나눔 lsquo남 열 걸음 갈 때 반의 반 걸음 더 간다rsquo 최 회장은

기업가로서 성공을 이룬 지금도 이 말을 되새기곤 한다 ldquo남

보다 조금 더 먼저 생각하고 노력하는 작은 차이가 나중에는

큰 성과를 남긴다는 뜻입니다 요즘은 사업이나 일에 대한 것

뿐만 아니라 타인을 향한 배려와 사랑도 반의 반만 앞서 생

각하고 실천하자고 다짐합니다rdquo 최 회장은 lsquo교육은 백년지대

계(百年之大計)rsquo란 말에 동감하며 패션 산업을 이끌어갈 인

재들을 위해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에 기금을 출연했다

또한 지역 발전을 위한 투자를 비롯해 세월호 참사로 고통받

는 유가족과 학생들을 위해 성금을 기부하는 등 다방면에서

나눔을 실천하고 있다 어려운 순간을 딛고 현재의 성취를 이

뤘기에 자신을 키워준 사회에 무엇인가 되돌려주는 나눔이

중요하다고 말하는 최병오 회장 한편으로 그는 lsquo금전적 도움

을 베푸는 자선의 개념을 넘어 재능과 기술을 나누는 나눔의

문화가 필요하다rsquo고 덧붙인다

청년에게 사회에서 일가를 이룬 최병오 회장이 이 시대

를 사는 청년들에게 권하고픈 경험은 다름 아닌 lsquo실패rsquo다 ldquo진

짜 실패는 넘어지는 게 두려워 시도조차 하지 않는 거라고 하

지 않습니까 실패를 두려워하기보다 꿈을 먼저 생각하길 바

랍니다rdquo 최 회장은 목표와 꿈을 추구하는 동시에 타인을 배

려하는 태도 역시 지니길 권한다 그것이 바로 진정한 성공이

요 명품인생을 완성하는 길이기에

切磋琢磨 최 병 오

최병오 회장에게 lsquo근면rsquo은 가장 기본적인 성공 원칙이다

lsquo배움rsquo은 자기 성장의 원동력이며 lsquo섬김rsquo은 상생의

바탕이다 마지막으로 그는 lsquo나눔rsquo이란 대의를 잊지 않는다

ldquo경제적인 어려움으로 배움의 기회를 놓쳐선

안된다고 생각해왔습니다 젊은 나이에

일찍 사업에 뛰어들어 배움에 대한 목마름이

누구보다 컸기 때문입니다rdquo

기 부 자 정 보

최병오 패션그룹형지 대표이사 회장

대한상공회의소 중견기업위원회 위원장이자 윤리경영위원회 위원 또한 한국의

류산업협회 회장과 한국의류산업학회 부회장 등을 맡아 최근 대통령 해외 순방 당

시 경제사절단으로 동행했다

with SNU

AFB 3기 AMP 63기 AIP 42기 AWASB 1기 등을 수료했다 AFB 동창회장과

AFB 동창회 수석부회장을 역임했으며 올해 제13회 AMP 대상을 수상했다 현재

AWASB 동창회장을 맡고 있다

33 32

기부의 향연이 펼쳐지다

바바패션

인문대학 발전기금 1억 원 기부

바바패션(대표이사 회장 문인식)이 인문대학에 발전기금 1억 원을 기부했

다 10월 13일 총장실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성낙인 총장과 문인식 바바

패션 대표이사 회장 유근배 기획부총장 장재성 인문대학장을 비롯해 관

계자 10여 명이 참석했다 성낙인 총장은 ldquo문인식 회장님의 인문학에 대

한 관심과 성원에 감사드린다rdquo며 ldquo이번 기금으로 인문대학의 발전과 인재

양성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이에 문인식 회장은 ldquo바바패

션은 계속해서 나눔 경영을 통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rdquo고 전했

다 문인식 회장은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최고지도자과정(AMP) 72기를

수료하고 현재 인문대학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12기 회장 AMP

총동창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한편 바바패션은 국내 여성 패션 브랜드인

아이잗바바(IZZAT BABA) 지고트(JIGOTT) 등을 비롯한 총 9개의 브

랜드를 보유하고 있으며 심장병 어린이 수술 지원 및 장학 사업도 꾸준히

펼치고 있다

전기컴퓨터공학부 권욱현 명예교수

lsquo권욱현 희망장학기금rsquo 1억 원 기부

지난 6월 17일 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부 권욱현(전기공학 62학번)

명예교수가 lsquo권욱현 희망장학기금rsquo을 조성하고 1억 원을 기부했다 이번

에 마련된 기금은 공과대학과 전기공학부 학생들 가운데 경제적으로 어

려운 학생들에게 지급될 예정이다 변대규 휴맥스 대표를 비롯해 이재원

슈프리마 대표 등 국내 유명 벤처기업 CEO들의 스승으로 유명한 권욱현

명예교수는 2005년 서울대학교 평의원회 의장으로 활동했으며 대한전

기학회장 세계자동제어연맹 부회장 국제자동제어연맹 회장 등을 역임

했다 국제자동제어연맹(IFAC) 회장으로 재임 시 사재 50만 달러를 출연

해 개발도상국 젊은 공학자의 학술 활동을 지원하는 등 후학 양성을 위한

꾸준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김정식 해동과학문화재단 이사장

해동학술정보실 건립기금 30억 원 기부

지난 6월 27일 해동과학문화재단 김정식 이사장(전자공학 48학번)이

lsquo해동학술정보실 건립기금rsquo으로 30억 원을 쾌척했다 이번에 조성된 기금

은 공과대학과 자연과학대학 등 주요 단과대학의 해동학술정보실을 건

설하는데 사용될 예정이다 이번 기금 이외에도 김정식 이사장은 서울대

학교 공과대학 인근 해동학술관과 해동학술정보실 12호관 건립 기금으

로 100억 원이 넘는 금액을 출연하며 꾸준히 모교를 후원하고 있으며 인

재 양성을 위해 한양대 고려대 등 국내 주요 대학에 해동학술정보실 건립

을 지원하고 있다 1972년 대덕전자를 설립해 한국 전자 산업의 기술 개

발을 이끈 선구자로 유명한 김정식 이사장은 1990년 해동과학문화재단

을 만들어 해동상을 재정하는 등 지속적인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

패션그룹형지

생활과학대학 발전기금 3억 원 기부

패션그룹형지(대표이사 회장 최병오)가 생활과학대학에 발전기금 3억 원

을 기부했다 이 기금은 생활과학대학의 교육middot연구활동 및 시설개선 등을

위한 제반 활동에 사용된다 지난 8월 26일 진행된 협약식에서 성낙인 총

장은 ldquo생활과학대학은 패션그룹형지 기금으로 수준 높은 연구 성과와 인

재 배출을 통해 대한민국 대표 인재 양성소로 거듭 날 것rdquo이라고 밝혔으

며 최병오 회장은 ldquo국가 경쟁력을 이끌어가는 리더와 패션 산업 인재를

양성하는 데 패션그룹형지 발전기금이 쓰이길 바란다rdquo고 당부했다 최 회

장은 지난 2003년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패션산업 최고경영자과정

(AFB) 3기를 수료하고 2007년부터 2013년까지 AFB 총교우회 회장을

역임했다 또한 이번 기금 이외에도 꾸준히 후원한 다양한 기금으로 건립

된 lsquo최병오 홀rsquo을 통해 사회 각계각층의 주요 리더들이 교류하는 교육장을

마련했다 1월에는 경영대학 최고경영자과정(AMP) 총동창회가 주최하

는 lsquo제13회 서울대 AMP 대상rsquo을 수상했다

NewsDONATION

유회진 학술정보관 건립 보고 및 감사 행사

ldquo기부금은 이공계 학생들을 위해 써주세요rdquo 故 유회진 박사가 구강암으로 투병

하는 동안 병문안을 갔던 이장무 전임 총장에게 남긴 말이다 서울대학교 기계

설계학과에서 학부와 대학원 생활을 보내고 동아대학교 교수를 역임한 유 박

사는 2009년 구강암 판정을 받았다 그는 암 투병 치료비부터 부모님으로부터

물려받은 유산까지 허투루 쓰지 않고 모은 100억 원이 넘는 전 재산을 서울대

학교에 남기고 2011년 별세했다 유가족이 없는 고인을 위해 서울대학교 발전기

금은 장례를 진행했으며 매년 제사를 지내 뜻을 기린다

지난 7월 2일 관악캠퍼스 공과대학 엔지니어하우스대강당에서 lsquo유회진학술정보

관rsquo 건립 보고 및 감사 행사가 개최됐다 유회진학술정보관은 유회진 기금으로

건립되어 공과대학과 자연대학이 공동 교육 및 연구 시설로 사용할 예정이다 이

날 행사는 오연천 전임 총장의 환영사에 이어 유회진 박사 소개 및 기부 경과보

고 유회진학술정보관 건립 경과보고 순으로 진행됐으며 특별히 故 유회진 박사

의 지인인 서울시립대 권원태(기계설계학과 78학번)교수가 참석했다 그의 숭고

한 마음은 우리 사회의 빛나는 과학자들을 위한 초석이 될 것이다

11월 9일 故 유회진

박사의 3주기가 돌아온다

서울대학교발전기금은

제주(祭主)로서 그를 잊지 않고

사회와 학교를 향한 기부자의

아름다운 정신을 남길 것이다

당신의 아름다운 마무리

35 34

SNU Presidents Honors Club

SNU Honor Club

故 곽명덕 변호사 유가족 (한자영 곽성현 곽성희)

故 구영록 교수 유가족

故 김인제 故 최성순 가족

(故 김동호 故 김동훈 김동준 김진숙 김진옥)

故 이한빈 부총리 가족 (유정혜 이원식 이선이)

고윤석 (물리학과 47입)

고정택 (외교학과 62입)

구영배 (자원공학과 85입)

구재서

권영대 (약학과 55입)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권욱현 (전기공학과 62입)

금장태 (종교학과 62입)

김건식 (법학과 73입)

김경한 (법학과 62입)

김경한 (외교학과 62입)

김광일 (경영학과 84입)

김기봉 middot신경은 (기계공학과 63입 middot화학과 65입)

김기태 (의학과 58졸)

김난도 (소비자아동학부 교수)

김대욱 (조선공학과 76입)

김동길 (화학교육과 57입)

김동훈 (화학과 48입)

김두철 (전자공학과 66입)

김만극 (약학과 47입)

김상헌 (사법학과 82입)

김선동 (화학공학과 59입)

김선화(정자) (국악과 60입)

김성배 (영어영문학과 63입)

김양곤 (IFP 2기)

김연탁 (경제학과 故 김태성 교수의 부)

김연호 (화학공학과 71입)

김영경 (기계공학과 52입) middot김천순

김영석 (3 Plus Logistics 회장)

김영수 (법학과 67입)

김영심 (불어불문학과 故 오현우 교수의 부인)

김영업

김용재 (의과대학 60입)

김용철 (치의학과 55입)

김의신 (의학과 60입)

김의영 (경제학과 54입)

김정희 (간호학과 52입)

김종일 (제어계측공학과 79입)

김진향

김천흥

김철호 (외교학과 70입)

김춘길 (화학생물공학부 58입)

김택수 (법학과 48입)

김하석 middot김영중 (화학과 63입 middot약학과 64입)

김하자 (서양화과 故 하동철 교수의 부인)

김학봉 (한영요업 회장)

김형주 (전자계산기공학과 78입)

나정환 (화학교육과 54입)

남정현 (건축학과 57입)

류무종 (중어중문학과 53입)

류진 (영어영문학과 78입)

마인경 (지리학과 56입)

민계식 (조선항공학과 61입)

민호기 교수 유가족

박대근 (보건대학원 63입)

박맹호 (불어불문학과 52입)

박민식 middot 박금옥 (수의과대학 65입 middot체육교육과 63입)

박봉균 (수의학과 76입)

박숙희 (지리학과 60입)

박용헌 (교육행정학과 53입)

박용호 (수의학과 74입)

朴麟子(가정관리과 82입) 하상예 박임숙 박순영 박노용

박종근 (전기공학과 69입)

박종수 (수의학과 58입)

박종오 (영어영문학과 55입)

박준 (법학과 73입)

박태진 (독어독문학과 80입)

박한제 (동양사학과 69입)

배옥자 (성심가정의학과의원 원장)

백종철 (농공학과 54입)

백형익

법대 48회 졸업생

변대규 (제어계측공학과 79입)

서문자 (간호학과 63입)

손경식 (법학과 57입)

송상용 (화학과 55입)

송상현 (법학과 59입)

송인철 (SPARC 14기)

송학린 (법학과 59입)

신수정 (기악과 59입)

신영길 (계산통계학과 78입)

신영주 (이남장 대표)

신익현 (임학과 79입)

신효영 middot신승연 (故 신광현 교수의 가족)

신희명 (물리교육과 49입)

신희택 (법학과 71입)

심소일 (상학과 49입)

심재성 (前 성보산업 자문위원)

안영경 (前 핸디소프트 고문)

안창엽 (AMP 68기)

양천식

오세경 (약학과 61입)

오승환 (의학과 56입)

오용호 middot오양호 (행정학과 69입 middot법과대학 80입)

오윤덕 (행정학과 61입)

원재연 (경영학과 82입)

유근순

유성숙 (고고미술사학과 故 김원용 교수의 부인)

윤계섭 (상학과 64입)

윤덕우 (경제학과 58입) middot최덕자

윤석금 (웅진그룹 회장)

윤석순 (수의학과 59입)

윤우석 (에너지자원공학과 63입)

이건우 (기계공학과 74입)

이경식 (불어불문학과 55입)

이광희 (지리학과 59입)

이교일 middot박명진

(기계공학과 60입 middot불어불문학과 65입)

이기춘 (가정교육과 61입)

이명현 middot김귀현 (철학과 60입 middot기악과 69입)

이문한 (수의학과 66입)

이병준 (경제학과 55입)

이성규 (사학과 65입)

이성형 (정치학과 82입)

이순원 (가정교육과 54입)

이순형 (가정관리학과 70입)

이신두 (물리학과 76입)

이예식 (약학과 46입)

이용환 (농업교육과 63입)

이용환 (전기공학과 73입)

이원영 (AMP 6기)

이은방 (약학과 55입)

이장무 (제24대 총장)

이재승 (원자핵공학과 59입)

이정섭

이정섭 (종교학과 04입)

이종덕 (물리학과 62입)

이준용 (경제학과 56입)

이지형 (법과대학 85입)

이찬승 (수학교육과 69입)

이창득 (국어교육과 71입)

이창화 (국어국문학과 64입)

이천만 (영어영문학과 故 이상태의 부)

이철승 (법학과 78입)

이철영 (SPARC 17기)

이현수 (농화학과 60입)

이현재 (경제학과 48입)

이형도 (화학공학과 61입)

이홍표 (의과대학 58입)

임길진 교수 유가족

임동진 (법학과 62입)

임현진 (사회학과 67입)

장세권 (농공학과 70입)

장순영

장용국 (법학과 71입)

장재혁 (역사교육과 80입)

장정훈 (약학대학 65입)

전익찬 (지구환경과학부 94입 故 전재규의 부)

전해종 (동양사학과 47졸)

정달훤 (고고미술사학과 87입 故 정은임의 부)

정영현 (공업화학과 85입 정순욱의 부)

정영호 (생물학과 50입) middot 박양숙

정윤환 (임학과 56입)

정재선 (소비자아동학과 93입)

정재준 (前 경보전기 부회장)

정종곤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조동성 (경영학과 67입)

조병직 (법학과 46입)

조석준 (행정학 57졸)

조영식 (수의학과 80입)

조옥환 (부산교통 대표)

조종수 (건국대학교 교수)

조한영 (상학과 43입)

조형준 (미학과 65입)

주중광 middot 허지영 (약학대학 60입 middot 화학과 66입)

차상균 (전기공학과 76입)

차상균 교수 외 제자 12명

채성기 (원자핵공학과 59입)

채제한 (전기공학부 48입 故 채호석의 자)

천문우 (약학과 61입)

최병오 (AFB 3기)

최재열 (조소과 08입 최민주의 부)

최정욱 (화학공학과 49입)

최창원 (심리학과 83입)

최화형 외 3명

풍원자 (임학과 57입 故 용환운의 부인)

하영구 (무역학과 72입)

한규범 (AMP 42기)

한규환 (기계공학과 68입)

한기준 (의학과 52입)

한상복 (사회학과 56입)

한옥희 (화학과 79입)

한장희 middot김재혜 (행정학과 61입 middot 법학과 61입)

허성도 (중어중문학과 68입)

허영인 (SPC그룹 회장)

현기순 (가정교육과 46입)

현정오 (농생물학과 66입)

현택환 (화학과 83입)

홍경자 (간호학과 62입)

홍계수 (법학과 72입 주경숙의 모)

홍길표 (컴퓨터공학부 홍지명의 부)

홍예표 (치의학과 65입)

홍지준 (화학교육과 74입)

황귀례 (제약학과 故 국채호 교수의 부인)

황재홍 (치의학과 90입)

히로나카 헤이스케 (하버드대 명예교수)

Eduard J Stadelmann (前 미네소타대학 교수)

Ken-ichi Arai (동경대 교수)

Peter S Kim (MIT 교수)

Stanley Choy

거평그룹

건일제약

건화엔지니어링

경남기업

경동송천재단

경암교육문화재단

고려아연

공영토건

과학기술혁신 최고전략과정 23기 일동

과학기술혁신 최고전략과정 24기 일동

관악회

광동제약

교보문고

구원장학재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국방과학연구소

국제종합물류

금호아시아나문화재단

김 middot장 법률사무소

김영사

김정문알로에

까사미아

나산실업

남광토건

남영비비안

넥슨코리아

노키아티엠씨

농어촌희망재단

농우바이오

다이소아성산업

다함넷

단암장학재단

대교

대림대학

대양 EampC

대우기전공업

대우엔지니어링

대우테크

대한수의사회

대한통운

돈암장학회

동방

동방상호신용금고

동부대우전자

동부문화재단

동서식품

동아건설산업

동아제약

동양강철

동철문화재단

동화산업장학재단

두을장학재단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롯데관광

롯데쇼핑

매트바이오테크

메디슨

몬산토코리아

미래에셋

미래와도전

미래의동반자재단

민음사

바이로메드

방송문화진흥회

방일영문화재단

법대 39회 동문 일동

법대 84학번 동기회

법대 85학번 동기회

법대최고지도자과정 8기 일동

법대최고지도자과정 10기 일동

법무법인 광장

법무법인 바른

법무법인 세종

법무법인 율촌

법무법인 케이씨엘

법무법인 태평양

법무법인 화우

부경양돈협동조합

비씨카드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동문회

삼양

삼우종합건축사무소

삼일회계법인

삼전순약공업

삼호개발

삼화모터스

상암에너지

상지상사

상진개발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글로벌리더쉽과정

서울대합창단 동문회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석원산업

성남시장학회

성련장학재단

세무법인 조이

세진에프알에스

송우재단

수경출판사

수암장학문화재단

수의과대학 교수 일동

스키부 동문회 일동

시뮬레이션테크

신라교역

신라문화장학재단

신양머그

신한장학재단

썬텍

아모레퍼시픽

아산사회복지재단

안성농장

알앤엘바이오

애드미션

앨트웰민초장학재단

약학교육연수원 이수자 일동

양지농장

영림임업

오뗄

오뚜기재단

오리엔트이엔지

오리온전기

오성엘에스티

와이비엠시사

용운장학회

우덕재단

유기천교수기념사업출판재단

유신

유티씨인베스트먼트

유한재단

유한킴벌리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음악대학 피아노발전기금후원회

이지바이오

인선문화재단

인촌기념회

인탑스

일동제약

일동후디스

일주학술문화재단

재단법인 대우재단

재단법인 정민

재미서울대총동창회

전국은행연합회

정공산업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정수장학회

정헌재단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져스텍

종근당

종로구장학회

좋은책신사고

진생사이언스

진양제약

참존

창강재단

창진영농조합법인

천만장학회

천수기업

천연물과학연구소 교수 일동

천재교육

청합장학회

최고경영자과정 총동창회

최고산업전략과정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middot

미래지도자인문학과정(IFP)

케이씨텍

코스맥스

코오롱

트러스톤자산운용

특수건설

패션그룹형지

포니정장학재단

포휴먼

풀무원

풍산

플라톤아카데미

피에스케이

하나제약

한국간연구재단

한국거래소

한국금융투자협회

한국무역협회

한국문화진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산업은행

한국세포주연구재단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알콜산업

한국외국인학교

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전파기지국

한국증권금융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한국타이어

한국투자신탁운용

한국투자증권

한산이씨양도공파설서공종중

한샘출판

한수통상

해나천연물신약

해성장학회

해태

행정대학원 정보통신과정

현대차 정몽구 재단

현대카드

현대캐피탈

현동장학회

현송교육문화재단

홈플러스e파란재단

효성그룹

휴맥스

AMP 63기 일동

AMP 64기 일동

AMP 65기 일동

AMP 66기 일동

AMP 67기 일동

AMP 68기 일동

AMP 69기 일동

AMP 70기 일동

AMP 71기 일동

AMP 72기 일동

AMP 73기 일동

AMP 74기 일동

AMP 75기 일동

AMP 76기 일동

AMP 77기 일동

AMP 78기 일동

ASSET PLUS투자자문

E1

Eyagi(이야기) CAFE

Goldman Sachs

KDB대우증권

KRX국민행복재단

KTB투자증권

LG연암문화재단

NCSOFT

NHN

NXC

OB맥주

Qualcomm

SECMCA

SIMPAC ANC

SK CampC

SNU 프리시젼

S-Oil

SPARC 15 middot16 middot17 middot18기 일동

1억 원 이상 출연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LG삼성 한국전력공사SK

포스코 웅진한화농업협동조합중앙회

KT 부영신한금융 현대자동차

SPC IBK기업은행

태영현대 금호아시아나롯데장학재단

CJ 대림두산 한진

우리금융 미래국제재단

50억 원 이상 출연

조천식정치학과 45입

윤대섭농공학과 49입

100억 원 이상 출연

정석규화학공학과 48입

이용희태광사 회장

김정식 전자공학과 48입

유회진기계설계학과 78입

SNU Hono r C l ubDONATION

SNU Gold Honors Club

홍성대수학과 57입

이기영前 의대 교수

최창영금속공학과 64입

박영희수학교육과 54입

손장순불어불문학과 54입

유태용토목공학과 50입

김명희middot신정희기악과 91입 김형찬의 모

이필남 박상윤 윤전수middot이삼락

김연혁히로세코리아 감사

서정선의학과 70입

전은기middot김은희 백추현 곽영필토목공학과 56입

박완서의 상속인호원숙 호원순 호원경 호원균

이순자불어불문학과 57입

손동준전자공학과 59입

윤종용전자공학과 62입

정덕균전자공학과 77입

강옥채middot노병수공법학과 83입

민선식경제학과 78입

박병준섬유공학과 52입

서울대학교총동창회

양두석독어독문학과 69입

양윤홍전자공학과 63입

대우 카길애그리퓨리나 동진쎄미켐 하나금융지주

동원 동양 KB금융지주 대우조선해양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대성 로이드선급협회 아시아일진

한국가스공사 녹십자 생명보험협회 현대중공업

메가스터디 TOYOTA MOTOR CORP SK하이닉스 서울장학재단

STX 농심 무한투자 이연제약

대우인터내셔널 송원김영환장학재단 형애장학회 신풍제약

10억 원 이상 출연

현대산업개발

스페코middot삼익악기

영원무역

쌍용양회공업

영원아웃도어

환인제약 주식회사

한국프뢰벨

37 36

춘강문화장학재단 (박성형 이사장)

허성도 (인문대학 명예교수)

형남진장학재단 (이정희 이사장)

강남구청

김형렬 (윤리교육과 교수)

공병영 (사무국장middot시설관리국장)

신흥 (이용익 대표이사)

서영길 (광산학과 53입)

일중장학재단 (송윤영 이사장)

금곡장학회 (이수상 이사장)

덕원장학회 (이헌경 이사장)

강현구 (건축학과 교수)

김명환 (조선해양공학과 75입)

김영수 (법과대학 60입)

김영운 (재료공학부 교수)

서강문 (동물병원 원장)

서동규 (경영학과 84입)

송희영 (영어영문학과 74입)

이근무 (사회학과 56입)

이재호 (경영학과 84입)

주식회사 KTampG 남서울본부 (박정욱 본부장)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박기용 이사장)

가송재단 (윤도준 이사장)

강스템바이오텍 (강경선 대표이사)

유한회사 본음인베스트먼트

이진경 (전국낙지자랑 대표)

주리아 (치과대학 04입)

한승장학회 (이재영 이사장)

키움증권 (권용원 대표이사)

협성문화재단 (박석귀 이사장)

윤상혁 (디자인학부 03입)

GS칼텍스 (허동수 대표이사 회장)

권규돈 (중어중문학과 13입 권기범의 부)

김경준 (농경제학과 82입)

김용팔 (수의과대학 75입)

김재홍 (수의학과 교수)

김진태 (법학과 71입)

문대원 (경영학과 71입)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오근택 대표이사)

박세창 (수의학과 교수)

산학협동재단 (한덕수 이사장)

선암장학재단 (윤호철 이사장)

성제경 (수의학과 교수)

송재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우광덕 (치과대학 64입)

유기윤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유한상 (수의학과 교수)

윤여성 (수의학과 교수)

윤정희 (수의학과대학 부학장)

윤화영 (수의학과 교수)

이건목원리한방병원 (이건목 원장)

이소영 (수의학과 교수)

이항 (수의학과 교수)

이희근 (공과대학 명예교수)

조무제 (법학과 65입)

조성범 (수의학과 교수)

조제열 (수의학과 교수)

중앙백신연구소 (윤인중 대표이사)

지티앤티 (이세한 대표이사)

채찬희 (수의학과 교수)

태평소금 (손일선 회장)

한호재 (수의학과 교수)

해마루 (김현욱 원장)

황인구 (수의학과 교수)

조선에듀케이션 (방정오 대표이사)

강진영 (의학과 69입)

김정기 (법학과 75입)

박달이 (간호대학 74입)

박재완

사회복지법인 건아재단 (심철환 이사장)

손정식 (제약학과 73입)

윤재석 (화학교육과 71입)

이도환 (치의학과 86입)

이동식 (영어교육과 72입)

홍기택 (경영학과 74입)

KT (황창규 대표이사 회장)

LG PC 유지보수센터 (박무광 대표이사)

광주시민장학회 (박기준 이사장)

박영임 (간호학과 73입)

사명희치과 (사명희 원장)

연당장학회 (남욱 회장)

우정장학문화재단 (강백영 이사장)

제노에너지 (김성철 대표이사)

신우호 (화학교육과 87입)

이병욱 (조경학과 81입)

정혜선 (간호학과 82입)

허종필 (공업화학과 73입)

권길주 (조선해양공학과 11입 정지원의 모)

권혜숙 (약학과 82입)

김미영 (간호학과 98입)

김범진 (턱교정학고급연수과정 6기)

김성열 (교육학과 75입)

김우진 (국악과 73입)

녹십자수의약품 (김승목 대표이사)

덕영재단 (전헬리시아 이사장)

류제하 (기계공학과 78입)

문수자동판매기 (김영식 대표)

민기복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민동홍 (독어독문학과 77입)

박종철 (물리학과 61입)

설재연 (심리학과 82입)

송은도 (국악과 01입)

유차영 (ASP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 12기)

신우개발 서울지점 (김익환 사장)

신하순 (동양화과 교수)

안석준 (치의과대학원 부원장

안휘준 (인문대학 명예교수)

양민영 (협동과정 미술교육전공 94입)

양형식 (자원공학과 75입)

옥복연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07입)

우경미 (치의학대학원 교수)

우성공원묘원 (허정산 대표)

우성원 (미학과 95입)

월악장학문화재단 (남기영 이사장)

유건선 (토목공학과 73입)

유흥수 (법학과 58입)

윤희정 (수의학과 교수)

이대혁 (자원공학과 87입)

이병천 (수의학과 교수)

이상돈 (에너지자원공학과 84입)

이승주 (치의학과 92입)

이시우 (의예과 95입)

이용규 (경영학과 84입)

이정인 (공과대학 명예교수)

이희석 (농생물과 57입)

임종후 (서양화과 12입 임지윤의 부)

임한조 (물리학과 67입)

전석원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정소걸 (자원공학과 71입)

정지훈 (치의학과 교수)

조경란 (법학과 79입)

조기웅 (화학과 66입)

조현욱 (사법학과 83입)

최명애 (회화과 70입)

최정욱 (경영학과 84입)

최종길 (법과대학 83입)

하종철 (동양화과 13입 하문원의 부)

한공창 (자원공학과 72입)

한국지하수지열협회 (안근묵 회장)

허형무 (경영대학 68입)

미주재단

Steve Ro (토목공학과 61입)

Soung Kim (임학과 56입)

Joong M Soh (공과대학 64입)

John Baek (금속공학 49입)

Hyunchan Lee (치과대학 70입)

Steve amp Cheryl Shapiro

Kwang S Hong (공과대학 60입)

Moon H Kim (공과대학 68입)

David Cho (공과대학 60입)

Dong Ku Chung (기계공학과 57입)

Sang Dae Lee (농업생명과학대학 80입)

Young D Kim (공과대학 67입)

AMP 78기 일동

삼성복지재단 (이수빈 이사장)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한국세포주연구재단

SK하이닉스 (박성욱 대표이사 사장)

패션그룹형지 (최병오 회장)

한국수력원자력 (조석 사장)

형애장학회 (최효종 이사장)

송원김영환장학재단 (김해련 이사장)

사회복지법인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이기수 이사장)

SECMCA

TOYOTA MOTOR CORP

(요시다 아키히사 대표이사 사장)

권욱현 (공과대학 명예교수)

네이버 (김상헌 대표이사)

부경양돈협동조합 (박재민 조합장)

안인희

전국경제인연합회 (허창수 회장)

현송교육문화재단 (김정일 이사장)

롯데장학재단 (신영자 이사장)

일주학술문화재단 (이선애 이사장)

현대차 정몽구 재단 (유영학 이사장)

박미혜 (성악과 교수)

LG연암문화재단 (구자경 이사장)

KeyGene (Arjen van Tunnen CEO)

아산사회복지재단 (정몽준 이사장)

천만장학회 (이광현 이사장)

방일영문화재단 (조연흥 이사장)

AMP 77기 일동

신라문화장학재단 (박준형 이사장)

SBS문화재단 (윤세영 이사장)

김만극 (약학과 47입)

아이바이오 (김기일 대표이사)

현대엔지니어링 (김위철 대표이사)

종근당고촌재단 (김두현 이사장)

정수장학회 (김삼천 이사장)

Kensary LLP

앨트웰민초장학재단 (김박 이사장)

한국동서발전 (장주옥 사장)

한화갤러리아 (박세훈 대표이사)

한화생명보험 (차남규 대표이사 사장)

한화손해보험 (박윤식 대표이사)

한화첨단소재 (김창범 대표이사)

한화투자증권 (주진형 대표이사 사장)

KEILCO(KEPCO ILJAN CORPORATION)

연강재단 (박용현 이사장)

창강재단 (안병표 이사장)

경기도 인재개발원 (박익수 원장)

대림수암장학문화재단 (변형윤 이사장)

청합장학회 (여상길 회장)

한빛종합동물병원 (임정식 원장)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716900000

364863690

317560000

250000000

220000000

200000000

200000000

150000000

142103500

140000000

139583000

13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98538000

89942000

82426000

70000000

67509000

67500000

62989000

59929000

59208000

53720000

51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44302000

42076000

40918000

40273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39677688

39035000

37244000

37068000

34780000

31047000

31000000

30300600

박종오 (영어영문학과 55입)

이상복 (ABKI문헌지식정보최고위과정 5기)

이상억 (인문대학 명예교수)

한화 (심경섭 대표이사)

한화건설 (김현중 부회장)

한화자산운용 (강신우 대표이사)

한화케미칼 (방한홍 대표이사)

한화호텔앤드리조트 (홍원기 대표이사)

오뚜기재단 (함태호 이사장)

유한재단 (이필상 이사장)

영원무역 (성기학 대표이사 회장)

서울대합창단동문회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전병원 이사장)

국가정책과정(ACAD) 77기 일동

배영수 (서양사학과 교수)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최윤 회장)

몬산토코리아유한회사

(벤자민 마크 후드리스 대표이사)

성련장학재단 (허연금 이사장)

고광우 (행정학과 53입)

김철수 (법과대학 명예교수)

대한적십자사 (유중근 총재)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성기학 이사장)

임현진 (사회과학대학 명예교수)

장문영 (화학과 59입)

재단법인 양영재단 (김상하 이사장)

조유근 (컴퓨터공학부 교수)

두을장학재단 (이인희 이사장)

과천시애향장학회 (신학수 이사장)

서울장학재단 (이경희 이사장)

왕한석 (인류학과 교수)

포니정장학재단 (정몽규 이사장)

조용준 (법학과 79입)

농어촌희망재단 (김달웅 이사장)

경동송천재단 (류덕희 이사장)

농생대 환경재료과학 교수일동

주식회사 천랩 (천종식 대표이사)

돈암장학회 (이용배 이사장)

인선문화재단 (박선영 이사장)

단암장학재단 (이봉서 이사장)

치과대학 치의학대학원 동창회

흥한재단 (박병석 이사장)

선화예술문화재단 (심재혁 대표)

한국미즈노 주식회사 (김창범 대표이사)

곽노섭 (수학과 49입)

19대 인문대 학장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김은선 (디자인학부 13입 조은지의 모)

서광훈 (약학대학 67입)

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ASP) 27기 동문

송재용 (경영학과 교수)

수도씨에이씨 (송명호 대표이사)

신한화구 (한봉근 대표)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28436000

27942000

26000000

24210000

24041200

23994234

22500000

20724000

20500000

20274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18779000

17973600

17934000

17600000

17050000

17000000

165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4000000

14000000

13500000

12000000

12000000

11602000

11102610

10281624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이앤티 (고영호 대표이사)

재단법인 정민 (윤석헌 이사장)

제11기 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천병년 (약학과 77입)

최민철 (농공학과 75입)

현대하이스코 (신성재 대표이사)

황효진 (동양사학과 78입)

대한사료주식회사 (이상민 대표이사)

해성문화재단 (단재완 이사장)

한국가스공사 (장석효 사장)

장석윤 (약학과 79입)

한국석유공사 (서문규 사장)

종로구장학회 (최현종 이사장)

동부문화재단 (강경식 이사장)

인촌기념회 (이용훈 이사장)

용옥장학문화재단 (양철우 이사장)

미래의동반자재단 (Jeffrey D Jones 이사장)

성옥문화재단 (이화일 이사장)

다래파크텍 (김호정 대표이사)

미래인재육성재단 (최양식 이사장)

고화장학회 (배명인 이사장)

한국애질런트테크놀로지스 (박시영 대표)

이재원 (중앙도서관 정보관리과)

리브로 (김경수 대표이사)

오운문화재단 (이동찬 이사장)

조비경농장학재단 (이병만 이사장)

오스템임플란트 (최규옥 대표이사)

한국섬유산업연합회장학재단 (노희찬 이사장)

아카넷 (김정호 사장)

삼송장학회 (김영기 이사장)

서지희 (IFP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11기)

김지호

서울상공회의소 관악구상공회 (김진철 회장)

송파재단 (윤원영 이사장)

김영윤 (토목공학과 62입)

로보로보 (장창남 대표이사)

류판동 (수의과대학장)

모르페우스 (김진수 대표이사)

박윤서 (고고인류학과 69입)

박찬국 (철학과 교수)

송인석 (치의학과 01입)

시그나사회공헌재단 (홍봉성 이사장)

신남식 (수의학과 교수)

약학대학 40회 동기회

와이비엠 (민선식 대표이사)

이필상 (경제학부 교수)

한국경제연구원 (권태신 원장)

황만순 (제약학과 90입)

운경재단 (배성동 이사장)

제봉민병욱장학재단

심명문화재단 (이경재 이사장)

홍산장학재단 (천영주 이사장)

홍수현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9730000

9528000

9140000

9000000

9000000

8690000

8525000

8525000

8178000

8112000

7963000

7928068

7713000

7500000

7000000

6950000

6919590

6058000

6010000

6000000

6000000

5700000

5400000

5357143

5100000

5100000

5089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4934000

4734000

4527000

4500000

4462280

4000000

4000000

4000000

3956000

3862000

3600000

3500000

3029000

3029000

3005000

3005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2706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467000

2467000

22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1865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5145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431445

1221251

1210000

108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단위 $

100000

10000

5000

3000

500

500

200

200

100

100

100

100

20140601 ~ 20140831 약정 단위 원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약정DONATION

39 38

김형렬 (윤리교육과 교수)

이정진 (기계항공공학부 95입)

신흥 (이용익 대표이사)

이창우 (경영학과 교수)

서영길 (광산학과 53입)

일중장학재단 (송윤영 이사장)

금곡장학회 (이수상 이사장)

덕원장학회 (이헌경 이사장)

강현구 (건축학과 교수)

김명환 (조선해양공학과 75입)

김영수 (법과대학 60입)

김영운 (재료공학부 교수)

김종원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김진학 (도시환경최고전문가과정 29기)

박훈 (기계공학과 63입)

서강문 (동물병원 원장)

서동규 (경영학과 84입)

송재홍 (농화학과 83입)

송희영 (영어영문학과 74입)

신남식 (수의학과 교수)

이규선 (조경middot지역시스템공학부 13입 이성용의 부)

이봉호 (치의예과 84입)

이재호 (경영학과 84입)

전병롱 (정책학과 10입 전상우의 부)

전호석 (기계설계학과 71입)

주식회사 KTampG 남서울본부 (박정욱 본부장)

최황 (의과대학 명예교수)

황철성 (재료공학부 교수)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박기용 이사장)

가송재단 (윤도준 이사장)

강스템바이오텍 (강경선 대표이사)

오이코스 (배장영 대표이사)

유한회사 본음인베스트먼트

이진경 (전국낙지자랑 대표)

한승장학회 (이재영 이사장)

윤용혁 (독어교육과 60입)

키움증권 (권용원 대표이사)

협성문화재단 (박석귀 이사장)

이강이 (아동가족학과 교수)

윤상혁 (디자인학부 03입)

윤화영 (수의학과 교수)

GS칼텍스 (허동수 대표이사 회장)

권규돈 (중어중문학과 13입 권기범의 부)

김경준 (농경제학과 82입)

김용팔 (수의과대학 75입)

김재홍 (수의학과 교수)

김진태 (법학과 71입)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이재술 대표이사)

문대원 (경영학과 71입)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오근택 대표이사)

박세창 (수의학과 교수)

산학협동재단 (한덕수 이사장)

선암장학재단 (윤호철 이사장)

성제경 (수의학과 교수)

송재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우광덕 (치과대학 64입)

유기윤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유한상 (수의학과 교수)

윤여성 (수의학과 교수)

윤정희 (수의학과 교수)

이건목원리한방병원 (이건목 원장)

이동진 (교무처 학사과)

이소영 (수의학과 교수)

이인숙 (간호대학 교수)

이항 (수의학과 교수)

이희근 (공과대학 명예교수)

조무제 (법학과 65입)

조성범 (수의학과 교수)

조제열 (수의학과 교수)

주식회사 오공 (김윤정 대표이사)

중앙백신연구소 (윤인중 대표이사)

지티앤티 (이세한 대표이사)

채찬희 (수의학과 교수)

태평소금 (손일선 회장)

한호재 (수의학과 교수)

해마루 (김현욱 원장)

황인구 (수의학과 교수)

조선에듀케이션 (방정오 대표이사)

사회복지법인 건아재단 (심철환 이사장)

KT (황창규 대표이사 회장)

광림교회 (김정석 담임목사)

광주시민장학회 (박기준 이사장)

김기원 (AIP최고산업전략과정 38기)

김상은 (융합과학부 교수)

김혜원 (간호학과 교수)

박종근 (전기공학과 교수)

서병태 (의학과 54입)

송경희 (국악과 59입)

연당장학회 (남욱 회장)

오유경 (약학대학 부학장)

우정장학문화재단 (강백영 이사장)

임현주 (약학과 82입)

전상직 (작곡과 교수)

주리아 (치과대학 04입)

한국마쯔다니 (유태균 대표이사)

홍영표 (GLP글로벌리더십과정 21기)

신우호 (화학교육과 87입)

류판동 (수의과대학장)

이병욱 (조경학과 81입)

김용백 (수의학과 교수)

김종암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정혜선 (간호학과 82입)

강부현 (수의학과 72입)

권길주 (조선해양공학과 11입 정지원의 모)

권혜숙 (약학과 82입)

김경대 (치의학과 82입)

김미영 (간호학과 98입)

김범진 (턱교정학고급연수과정 6기)

김성열 (교육학과 75입)

김종흔 (경영대학 92입)

김현산 (법과대학 54입)

녹십자수의약품 (김승목 대표이사)

덕영재단 (전헬리시아 이사장)

문수자동판매기 (김영식 대표)

민기복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민동홍 (독어독문학과 77입)

박병익 (지리교육과 교수)

박종철 (물리학과 61입)

설재연 (심리학과 82입)

송은도 (국악과 01입)

유차영 (ASP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 12기)

신우개발 서울지점 (김익환 사장)

신하순 (동양화과 교수)

안석준 (치의과대학원 부원장

안휘준 (인문대학 명예교수)

양민영 (협동과정 미술교육전공 94입)

양형식 (자원공학과 75입)

옥복연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07입)

우경미 (치의학대학원 교수)

우성공원묘원 (허정산 대표)

우성원 (미학과 95입)

월악장학문화재단 (남기영 이사장)

유건선 (토목공학과 73입)

유흥수 (법학과 58입)

윤희정 (수의학과 교수)

이기윤 (정치학과 88입)

이대혁 (자원공학과 87입)

이병천 (수의학과 교수)

이상돈 (에너지자원공학과 84입)

이승주 (치의학과 92입)

이시우 (의예과 95입)

이은수 (서울대운동용품 대표)

이정인 (공과대학 명예교수)

임종후 (서양화과 12입 임지윤의 부)

정소걸 (자원공학과 71입)

정지훈 (치의학과 교수)

조경란 (법학과 79입)

조기웅 (화학과 66입)

조현욱 (사법학과 83입)

최명애 (회화과 70입)

최정욱 (경영학과 84입)

최종길 (법과대학 83입)

최해영 (경영대학 행정실)

하종철 (동양화과 13입 하문원의 부)

한공창 (자원공학과 72입)

한국지하수지열협회 (안근묵 회장)

허형무 (경영대학 68입)

미주재단

Steve Ro (토목공학과 61입)

Soung Kim (임학과 56입)

Joong M Soh (공과대학 64입)

John Baek (금속공학 49입)

Hyunchan Lee (치과대학 70입)

Steve amp Cheryl Shapiro

Kwang S Hong (공과대학 60입)

Moon H Kim (공과대학 68입)

David Cho (공과대학 60입)

Dong Ku Chung (기계공학과 57입)

Sang Dae Lee (농업생명과학대학 80입)

Young D Kim (공과대학 67입)

서울대학교병원 (오병희 병원장)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이철희 병원장)

SK가스 (최창원 부회장)

AMP 78기 일동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윤강섭 병원장)

삼성전자 (권오현 대표이사 부회장)

SK하이닉스 (박성욱 대표이사 사장)

삼성복지재단 (이수빈 이사장)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한국세포주연구재단

하나제약 (조경일 회장)

코스맥스 (이경수 대표이사 회장)

패션그룹형지 (최병오 회장)

서울대학교총동창회 (서정화 회장)

한국수력원자력 (조석 사장)

형애장학회 (최효종 이사장)

송원김영환장학재단 (김해련 이사장)

사회복지법인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이기수 이사장)

TOYOTA MOTOR CORP

(요시다 아키히사 대표이사 사장)

권욱현 (공과대학 명예교수)

네이버 (김상헌 대표이사)

현송교육문화재단 (김정일 이사장)

롯데장학재단 (신영자 이사장)

일주학술문화재단 (이선애 이사장)

현대차 정몽구 재단 (유영학 이사장)

LG연암문화재단 (구자경 이사장)

SECMCA

아산사회복지재단 (정몽준 이사장)

천만장학회 (이광현 이사장)

방일영문화재단 (조연흥 이사장)

AMP 77기 일동

신라문화장학재단 (박준형 이사장)

KRX국민행복재단 (최경수 이사장)

SBS문화재단 (윤세영 이사장)

김만극 (약학과 47입)

농우바이오 (정용동 유연희 대표이사)

안인희

전국경제인연합회 (허창수 회장)

정윤환 (임학과 56입)

현대엔지니어링 (김위철 대표이사)

세진에프알에스 라쿠치나 서울대점 (장재훈 대표이사)

재단법인 웅진 (신현웅 이사장)

종근당고촌재단 (김두현 이사장)

정수장학회 (김삼천 이사장)

Kensary LLP

앨트웰민초장학재단 (김박 이사장)

주중광 허지영 (약학대학 60입 화학과 66입)

한국동서발전 (장주옥 사장)

한화갤러리아 (박세훈 대표이사)

한화생명보험 (차남규 대표이사 사장)

한화손해보험 (박윤식 대표이사)

한화첨단소재 (김창범 대표이사)

한화투자증권 (주진형 대표이사 사장)

KEILCO(KEPCO ILJAN CORPORATION)

연강재단 (박용현 이사장)

창강재단 (안병표 이사장)

경기도 인재개발원 (박익수 원장)

대림수암장학문화재단 (변형윤 이사장)

이상억 (인문대학 명예교수)

1432968520

1147748270

1000000000

716900000

615220390

600000000

560000000

364863690

317560000

250000000

220000000

210000000

200000000

200000000

166000000

150000000

142103500

140000000

139583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98538000

89942000

82426000

67509000

66598412

62989000

59929000

59208000

53720000

51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49800000

46522180

44302000

42076000

40918000

40273000

40204972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39677688

39035000

37244000

37068000

34780000

31800000

청합장학회 (여상길 회장)

한빛종합동물병원 (임정식 원장)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두산 (박용만 대표이사 회장)

송미순 (간호학과 교수)

이상복 (ABKI문헌지식정보최고위과정 5기)

한화 (심경섭 대표이사)

한화건설 (김현중 부회장)

한화자산운용 (강신우 대표이사)

한화케미칼 (방한홍 대표이사)

한화호텔앤드리조트 (홍원기 대표이사)

오뚜기재단 (함태호 이사장)

재단법인 최혁영 장학회 (최혁영 회장)

유한재단 (이필상 이사장)

영원무역 (성기학 대표이사 회장)

부경양돈협동조합 (박재민 조합장)

져스텍 (김용일 대표이사)

서울대합창단동문회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전병원 이사장)

국가정책과정(ACAD) 77기 일동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최윤 회장)

몬산토코리아유한회사

(벤자민 마크 후드리스 대표이사)

성련장학재단 (허연금 이사장)

고광우 (행정학과 53입)

대한적십자사 (유중근 총재)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성기학 이사장)

임현진 (사회학과 교수)

재단법인 양영재단 (김상하 이사장)

조유근 (컴퓨터공학부 교수)

두을장학재단 (이인희 이사장)

과천시애향장학회 (신학수 이사장)

서울장학재단 (이경희 이사장)

왕한석 (인류학과 교수)

포니정장학재단 (정몽규 이사장)

조용준 (법학과 79입)

농어촌희망재단 (김달웅 이사장)

경동송천재단 (류덕희 이사장)

김신원 (응용화학과 64입)

농생대 환경재료과학 교수일동

주식회사 천랩 (천종식 대표이사)

돈암장학회 (이용배 이사장)

인선문화재단 (박선영 이사장)

단암장학재단 (이봉서 이사장)

치과대학 치의학대학원 동창회

흥한재단 (박병석 이사장)

선화예술문화재단 (심재혁 대표)

한국미즈노 주식회사 (김창범 대표이사)

곽노섭 (수학과 49입)

19대 인문대 학장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김은선 (디자인학부 13입 조은지의 모)

바텍 (노창준 대표이사)

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ASP) 27기 동문

수도씨에이씨 (송명호 대표이사)

신한화구 (한봉근 대표)

이앤티 (고영호 대표이사)

장문영 (화학과 59입)

제11기 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조경일 (약학대학 64입)

주식회사 명진팜 (권기진 대표이사)

31047000

31000000

303006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28436000

28081000

27942000

26000000

25000366

25000000

24210000

24041200

23994234

20724000

20500000

20274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18779000

17973600

17934000

17600000

17050000

17000000

165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4000000

14000000

13500000

12000000

12000000

11602000

11102610

10281624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천병년 (약학과 77입)

최민철 (농공학과 75입)

현대하이스코 (신성재 대표이사)

황효진 (동양사학과 78입)

대한사료주식회사 (이상민 대표이사)

해성문화재단 (단재완 이사장)

한국가스공사 (장석효 사장)

김춘길 (화학생물공학부 58입)

애드미션 (김유탁 대표이사)

종로구장학회 (최현종 이사장)

동부문화재단 (강경식 이사장)

인촌기념회 (이용훈 이사장)

용옥장학문화재단 (양철우 이사장)

미래의동반자재단 (Jeffrey D Jones 이사장)

김영윤 (토목공학과 62입)

성옥문화재단 (이화일 이사장)

다래파크텍 (김호정 대표이사)

미래인재육성재단 (최양식 이사장)

고화장학회 (배명인 이사장)

이재원 (중앙도서관 정보관리과)

리브로 (김경수 대표이사)

오운문화재단 (이동찬 이사장)

조비경농장학재단 (이병만 이사장)

박지향 (중앙도서관장)

오스템임플란트 (최규옥 대표이사)

한국섬유산업연합회장학재단 (노희찬 이사장)

한옥희 (화학과 79입)

아카넷 (김정호 사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정기택 원장)

삼송장학회 (김영기 이사장)

서지희 (IFP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11기)

김지호

서울상공회의소 관악구상공회 (김진철 회장)

박찬국 (철학과 교수)

송파재단 (윤원영 이사장)

김재길 (법학과 56입)

로보로보 (장창남 대표이사)

모르페우스 (김진수 대표이사)

박성경 정성창 (치의학과 96입)

박윤서 (고고인류학과 69입)

서용석 (상학과 46입) 정재원

송인석 (치의학과 01입)

송재용 (경영학과 교수)

시그나사회공헌재단 (홍봉성 이사장)

약학대학 40회 동기회

와이비엠 (민선식 대표이사)

이필상 (경제학부 교수)

한국경제연구원 (권태신 원장)

황만순 (제약학과 90입)

운경재단 (배성동 이사장)

제봉민병욱장학재단

심명문화재단 (이경재 이사장)

홍산장학재단 (천영주 이사장)

홍수현

박미혜 (성악과 교수)

박영아 (물리학과 79입)

최동하 (농경제학과 71입)

춘강문화장학재단 (박성형 이사장)

허성도 (인문대학 명예교수)

형남진장학재단 (이정희 이사장)

강남구청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9730000

9528000

9140000

9000000

9000000

8690000

8525000

8525000

8178000

8112000

8000000

7963000

7928068

7713000

7500000

6950000

6919590

6058000

6010000

6000000

6000000

6000000

6000000

5700000

5556000

5400000

5357143

5100000

5100000

5090000

5089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4934000

4734000

4527000

4500000

446228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3956000

3862000

3750000

3500000

3120000

3029000

3029000

3005000

3005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2706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467000

2467000

2467000

2400000

2230000

215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1865000

1800000

15145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431445

1300000

1275251

1260000

1200000

106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단위 $

100000

10000

5000

3000

500

500

200

200

100

100

100

100

단위 원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20140601 ~ 20140831 출연

출연DONATION

40

서울대학교는 기부금을 출연한 후원인에게 더욱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국내 최고 수준의 의

료서비스를 자랑하는 서울대학교병원 이용 예우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으며 서울대학교병원 후원인

라운지에 상주하는 전담 직원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후원자 중 추가 진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본원 또는 분당 서울대학교병원과의 즉각

적인 연계가 가능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 본원 조윤지 | Tel 02-2272-2750 E-mail sosunolovesnuackr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강수정 | Tel 031-787-1915 E-mail c8541snubhorg

(재)서울대학교발전기금 김종희 | Tel 02-871-1633 E-mail p2727snuackr

bull병원 예우 담당자

bull서울대학교병원 예우 서비스 이용 안내

예약대행 서비스 | 진료 및 입원 예약 대행 병원 측과 협의 후 예약일자 결정

의전 서비스 | 진료middot입원middot응급실 이용 편의를 위해 예우 담당자가 직접 안내

종합건강검진 주선 서비스(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bull서울대학교병원 예우 서비스 내용

지원 자격 활동 기간

bull경제적 지원이 필요한 학생

(건강보험료 기준) 우선 선발

bull성적 45만점 환산 30 이상

lsquo 새싹 멘토링rsquo은 빈곤의 대물림을 막기 위한 자선 봉사활동으로

전국 국공립대학의 우수한 학생이 저소득층 중middot고등학생의

학습을 도우며 장학금을 받는 프로그램입니다

bull최소 6개월~12개월

bull활동 실적에 따라 졸업 시까지

연차적으로 기회 부여

새싹멘토링의

멘토가

되어주세요

bull전화 02-880-1593(새싹 멘토링 서울대학교 본부) bull팩스 02-780-2647(미래국제재단 여의도 본사)

bull이메일 mifsnuhanmailnet 새싹 멘토링 지원 방법 문의 시 상세히 안내해드립니다

서울대학교와 미래국제재단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봉사활동에 학생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다립니다

기부인의 따뜻한 마음에

다양한 혜택의 예우 서비스로

보답합니다

출연 기금 진료예약 의전 서비스 종합건강검진 주선

50억 이상 평생 평생 연 1회(평생 프리미엄 검진)

10억 이상 평생 10년 연 1회(평생)

5억 이상

1억 원당 1년(기한)

5년

1억 원당 연 1회(기한)3억 이상 3년

1억 이상 1년

서울대학교병원 본원 후원인 전담 직원이 진료 예약 및 의전 서비스까지 친절하게 안내해 드립니다

문의처 병원 후원인 라운지(본관 3층) 또는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후원인 전담 직원이 진료 예약 및 의전 서비스까지 친절하게 안내해 드립니다

문의처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또는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강남센터와의 즉각적인 연계를 통해 강남센터 상담 직원이 후원자 여러분께 상담 전화를 드립니다

문의처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기부인 예우 프로그램DONATION

SeoulNational University

151-742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1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

T 02-880-5114 F 02-885-5272wwwsnuackr

C o v e r S t o r y

과학자의 공식

좋은 연구를 하겠다는 신념으로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걸어온 사람

miRNA 분야의 세계적인 개척자 김빛내리 교수다

그녀는 노벨상 수상에 가장 근접한 국내 과학자로 꼽힌다

도전과 실패 인내를 거듭하며 세계적인 과학자 반열에 오르기까지

그녀의 행보를 통해 성공과 신뢰 만족을 얻는 인생 공식을 알아본다

Page 6: SNU Magazine Vol. 38 › new › wp-content › uploads › 2015 › 12 › snu_people... · 2016-01-30 · 우수 연구자 시리즈 10 유상렬 농생명공학부 교수 06 선배와의

9 8

진행 중인 연구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20여 년간 남극 과학기지에서 해양저서무척추동물의 생태를 연

구해 왔습니다 남극의 해양생태계는 종 다양성의 보고로서 지

구 전체 생태계에 일익을 담당하고 있어요 최근에는 기후변화에

대해서도 연구하고 있습니다 남극은 지구온난화가 빠르게 진행

되는 곳 중 하나로 특히 세종과학기지 근처의 빙하가 아주 빠르

게 무너지고 있어요 이런 변화가 주변 해양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남극 연구의 장점이 궁금합니다

남극에서 발견되는 것들은 굉장한 희소가치가 있습니다 연구하

는 방법론 자체는 평범하지만 대상이 평범하지 않기 때문에 좋은

저널에 연구 결과를 발표할 수도 있어요 남극에서만 발견되는

토착종이 굉장히 많아서 남들이 안 해본 연구를 하고 싶다면 좋

은 환경이죠 남극에서 생활하며 연구하고 일하는 것 자체는 매

우 힘들지만 열심히 노력해 극복할 수 있다면 아직도 개척할 수

있는 재료들이 무궁무진하답니다

선배와의 데이트PEOPLE

월동을 앞둔 소감 을 말씀해주세요

하계 연구대원으로 남극에 자주 가다 보니 두려움은 별로 없지

만 지금은 월동대장으로서 처음 파견되는 것이기에 책임의 무게

를 느낍니다 대원도 직접 뽑고 식량 준비도 하면서 본격적으로

안전 지침을 숙지하고 있어요

1년 동안 월동을 잘 수행하려면 어떤 점이 중요한지 알려주세요

단조롭고 폐쇄된 환경에서 오랜 기간 지내려면 lsquo개인rsquo lsquo임무rsquo lsquo관

계rsquo 이 세 가지 조화가 잘 이뤄져야 합니다 우선 개인이 육체적으

로 건강하고 행복감을 느껴야 자기 임무와 타인과의 관계에서

모두 성공할 수 있어요 지금까지 개인의 건강 행복은 자기 관리

의 측면으로 치부됐는데 조직에서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요즘 대원들과 함께 건강한 월동 생활을 위한

여가ㆍ운동 관련 콘텐츠를 만들고 있습니다 덧붙여 lsquo안전rsquo과 lsquo성

과rsquo도 중요합니다 기지의 모든 운영이 안전을 최우선적으로 고려

하며 진행돼야 하는 건 당연하고 국제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과학적인 성과도 창출한다면 더욱 좋겠죠

어떤 월동대장의 모습으로 기억되고 싶으신지 궁금합니다

23년 전에 처음 남극에 갔을 때 연구가 아닌 lsquo남극에 간 첫 여성rsquo

으로 언론의 주목을 받았어요 최초의 여성 월동대장이 아닌 lsquo세

종과학기지의 국제적 위상을 올리고 기지 운영을 업그레이드 한

월동대장rsquo으로 기억되길 바랍니다 또한 대원들이 월동을 하며 행

복과 보람을 느낄 수 있도록 만들고 싶어요 제가 하는 일이 대단

하다고 생각하실 수 있어요 하지만 이 일이 제게 주어졌고 저는

최선을 다할 뿐이라고 생각해요 그래도 마칠 때에는 lsquo안인영이

있어 다른 월동대와는 달랐다rsquo라는 말을 들으면 정말 좋겠네요

남극에서 돌아온 뒤의 계획에 대해 말씀해주세요

세종과학기지는 기후변화에 따라 해양생태계의 변화를 연구할

수 있는 최적의 장소입니다 지금의 연구를 확장해 우리나라가

주도하는 세종과학기지 기반의 국제공동연구 프로그램을 만들

고 싶습니다 남극에 다녀오면 환갑인데 90살까지 산다고 하면

월동은 제 인생 23의 방점을 찍는 지점이에요 삶의 새로운 단계

로 들어서며 무엇인가에 도전할 수 있다는 건 정말 축복인 것 같

아요 인생의 13은 배움의 시간이었고 23는 열심히 쟁취하는

시기였어요 마지막 3부에는 이제까지 과학자로서 쌓은 것들을

잘 마무리하고 베풀면서 남은 인생을 뜻깊게 정리하는 시간으로

보내고 싶습니다

ldquo대선배님을만나

기쁩니다최초

여성월동대장이

아닌월동대장

lsquo안인영rsquo으로

기억되길바랍니다rdquo

최창현 지구환경과학부

인공위성 지구물리연구실

석사 14학변

남극의

과학자

남극은 단순히 지구에서 가장 추운 곳이 아니다 전 지구에서 발생하는 자연현상의 부분적인

자궁이자 기후변화 문제 해결의 단초를 품고 있는 미지의 대륙이다

우리나라 여성으로는 처음 남극에 발을 디딘 안인영 생물학자가 제28차 남극 세종과학기지의

월동대장으로 임명됐다 월동대는 올해 11월 말 출국해 13개월간 남극에 머문다

그녀를 만나기 위해 최창현 김호상 학생이 인천 송도 극지연구소를 찾았다

ldquo선배님과의인터뷰를통해삶의가이드를얻은것

같습니다이런기회를주셔서감사합니다rdquo

김호상 지구환경과학부 11학번

안인영 대한민국 남극 세종과학기지 제28차 월동연구대장

서울대학교에서 해양학을 전공했다 미국 뉴욕주립대학교에서 연안해양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생물학자로

1991년 남극하계연구대 일원으로 남극과 처음 인연을 맺었다 극지연구소 극지생물연구실장 선임연구본부장 등을 역임했다

소속 극지연구소 극지해양환경연구부 책임연구원

11 10

주목할만한 인재PEOPLE

한국으로 온 계기

레오나르도 학구적인 분위기에서 공부하고 싶었습니다 브라질

에 있을 때 친구들이 공부를 소홀히 하는 모습에 스트레스를 많

이 받았거든요 한국의 교육에 관한 뉴스를 보면서 유학하고 싶

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케이타 일본에서 한국어와 한국 역사에 대해 배웠습니다 지도

교수님도 한국 분이셨고 자연스레 이곳에서 공부하고 싶다는 생

각을 했습니다 학창 시절을 외국에서 보내며 한국 친구들을 많

이 사귄 것도 유학을 결정하는 데 한몫 했습니다

유학 오기 전 걱정했던 부분

케이타 한일관계에 대해 걱정을 많이 했습니다 한국인처럼 생

겨서 그런가 막상 생활해보니 아무 일도 없었지만요(웃음) 적대

감은 정치에만 해당되는 것 같아요 가끔 친구랑 한국어로 얘기

하며 걸어가면 누가 한국인인지 일본인인지 모를 정도로 위화감

이 없습니다

레오나르도 걱정이 전혀 없었습니다 한국은 브라질보다 훨씬

안전한 편이에요 특히 제가 사는 상파울루는 현지인에게도 위험

한 곳이라 저녁이면 어머니께서 어디냐고 꼬박꼬박 전화하실 정

도인데 한국에서는 치안에 신경 쓸 일이 없어 좋습니다

한국어 습득의 가장 어려운 점

케이타 한국어에는 형용사가 아주 많은 것 같아요 예를 들어

일본어에는 lsquo빨갛다rsquo라는 의미의 단어가 하나인데 한국어에는

lsquo새빨갛다rsquo lsquo붉다rsquo lsquo불그스름하다rsquo와 같은 비슷한 뜻의 단어가 여

러 개 있죠 그 부분이 조금 헷갈리곤 합니다

레오나르도 저 역시 형용사가 쉽지 않았습니다 게다가 쓰기는

더욱 더 어렵고요 하지만 생각해보면 모든 언어는 처음엔 어려워

요 배우고 싶은 마음과 공부할 시간만 있다면 언어는 물론 모든

일이든 가능할거라 생각합니다

좋아하는 한국어 단어

레오나르도 lsquo수고하세요rsquo라는 말을 좋아합니다 브라질에서는

헤어질 때 lsquoByersquo라고만 하는데 한국에서는 더 열심히 lsquo수고rsquo하라

고 인사하잖아요 항상 열심히 일해왔던 한국의 역사와 분위기를

대표하는 말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케이타 맞아요 한국 사람들은 무엇이든 열심히 하는 것 같아

요 학교에서도 학생들이 열심히 공부하고 활동하는 모습을 자

주 보는데 그만큼 스트레스를 받는 모습도 많이 봤습니다 힘들

게 사는 것 같아 안타까울 때가 있어요

레오나르도 공대생인 저를 두고 말하는 건 아니죠(웃음)

서울대학교의 장점

케이타 서울대학교에는 특히 다양한 국적을 가진 학생들이 많

은 것 같습니다 외국 학생들과 교류하며 다른 나라의 언어를 익

히고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은 점이 매력적입니다 지

금 수강하고 있는 lsquo포르투갈어rsquo 수업도 사실 계획에 없었는데 브

라질 룸메이트를 만나 배우게 됐죠

레오나르도 브라질에서 서울대학교는 lsquo한국에서 최고rsquo라고 알

려져 있어요 여기라면 공부하는 데 좋은 영향을 받을 거라고 생

각했습니다 매사에 최선을 다하는 학생들에게서 더 열심히 해야

겠다는 자극을 받고 영감을 얻을 수 있어 좋습니다

외국인 유학생으로서 서울대학교에 바라는 점

케이타 한국에서는 사람이 곧 정보입니다 수업이나 동아리 행

사 등에 참여하고 싶은데 지인이 없어서 곤란한 적이 있었어요

한국어를 잘하지 못하면 그런 정보를 얻는 것이 더 힘든 것 같아

요 학교 관련 정보가 체계화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레오나르도 브라질에 있는 학교와 비교해 서울대학교는 세계화

가 잘 되어 있어요 하지만 그에 비해 영어 수업이 턱없이 부족하

다고 생각해요 선택권이 별로 없기도 하고 양질의 영어 수업이

많아지면 좋겠습니다 더불어 공과대학 커리큘럼이 덜 힘들었으

면 좋겠습니다(웃음)

예비 유학생들에게 전하는 유학 관련 팁

케이타 한국어 공부는 정말 중요합니다 저는 한국어를 잘 하

는 편인데도 가끔 수업을 따라가기 힘들어요 더불어 즐거운 유

학 생활의 첫 걸음은 교수님과 친구들에게 적극적으로 말을 거

는 것 그리고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는 것이라는 사실을 기억해

두세요 그리고 마찬가지로 한국 학생들도 유학생들에게 친하게

말을 걸어주면 좋겠습니다

레오나르도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여러 명이 함께 공부하는 브라질과는 달리 한국은 혼자 공

부하는 문화라는 사실을 유의해야 해요 그 외에 영어와 한국어

에 대한 기본이 갖춰져 있다면 서울대학교에서의 생활에 무리가

없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공대생이라면 당연히 수학도 열심

히 해야 합니다(웃음) 마지막으로 더 많은 브라질 학생들과 함께

서울대학교에서 공부하는 날이 오기를 바라겠습니다

ldquo브라질에도

서울대학교는

lsquo한국에서최고rsquo

라고알려져

있어요rdquo

레오나르도 사르투니오 컴퓨터공학과 13학번

꿈 찾아

삼만리

ldquo몇 살이에요rdquo ldquo저 92(92년생)예요 말씀 편하게 하세요rdquo 말만 들어보면

영락없는 한국인 능숙하게 한국어를 구사하는 이들은 바로 서울대학교의

외국인 학생들이다 저마다의 꿈을 찾아 한국 서울대학교로의 유학길을 택한

일본의 이토 케이타 브라질의 레오나르도 사르투니오의 이야기를 들어봤다

ldquo서울대학교는

다양한나라의

언어를익히고

문화를체험할

수있는기회가

많아요rdquo

이토 케이타정치외교학부 14학번

13 12

업무 스트레스여 삼진 아웃

아직 해도 다 뜨지 않은 푸른 새벽 유니폼을 입은 15명의 남자가

늦은 가을바람을 헤치고 야구 연습장을 뛰기 시작한다 ldquo하나

둘 셋 넷rdquo 운동장에 울려 퍼지는 힘찬 구호 준비 운동을 마친

포수와 투수가 자리를 잡는다 이윽고 야구공이 배트에 맞는 경

쾌한 소리가 운동장을 메운다

프로 선수들을 방불케 하는 훈련으로 새벽부터 서울대학교 야구

장을 밝힌 이들은 체육교육과 학생들도 야구부 학생들도 아닌

서울대학교 교직원 야구단원들이다 이들은 야구를 위해 매주 화

요일 목요일 아침 7시에 모인다 ldquo철저한 훈련이 인천 사회인 야

구대회 우승 비결입니다rdquo 정용기(시설지원과) 감독이 자랑스럽

게 말했다 서울대학교 교직원 야구단은 lsquo2014년 전국대학 교직

원 야구대회 준우승rsquo lsquo2013년 인천 남구 리그 우승rsquo 등 사회인 야 구단에서 이름을 날리는 팀이다 올해로 4주년을 맞은 야구단은

2011년 학교 밖 사회인 야구단에서 야구를 즐기다가 서로 알게

된 교직원 9명이 의기투합해 만들었다 lsquo야구를 좋아하는 다른

교직원을 각자 한 명씩 데려오자rsquo라는 약속으로 시작된 모임이

2012년 스누리그에 가입하며 본격적인 동아리의 틀을 완성해갔

다 현재는 80명의 회원이 활발하게 활동하는 서울대학교 내 가

장 큰 교직원 동아리 중 하나로 꼽힌다 야구 동아리는 스누리그

에 등록된 학생 야구팀과 시합을 하면서 학생들과도 두터운 친분

을 쌓고 있다 땀 흘리며 운동하다 보면 남녀노소 누구나 친구가

될 수 있는 것이 바로 스포츠의 매력 아닌가 평일 아침 아주 잠깐

의 시간이지만 서류 가방 대신 글러브와 배트를 손에 쥔 그들의

얼굴이 유난히 밝다

인생을 읊조리는 시간

문학과 예술 동아리는 자작시를 낭송하는 교직원 모임이다 한

달에 한 번씩 좋은 책을 읽고 서평을 공유하거나 새로운 시를 소

개하기도 한다 2005년 시를 읽고 쓰기 위해 자발적으로 결성한

모임이 10년의 세월을 거치며 등단 시인을 배출하기도 했다 이

들의 가장 큰 행사는 lt서울대 문예지gt 발간과 정기적으로 개최하

는 lsquo교직원 문예의 밤rsquo이다 작년 11월에는 lsquo가을 낙엽제 행사rsquo에

서 시화전을 열어 90여 편의 자작시를 소개하는 등 다양한 동호

회 행사를 진행하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문학과 예술 동아리

를 이끄는 이종만(공과대학) 회장은 동호회 활동을 적극 추천한

다 ldquo직장이라는 울타리 안에 많은 직원이 함께 있지만 주어진 업

무에만 치중하다 보면 서로 간 소통의 기회가 부족합니다 다양

한 기관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이 동아리를 통해 교류하면서 업무

에 대한 이해도 높일 수 있습니다rdquo

학교 차원에서도 교직원의 동아리는 권장 활동이다 동아리가 직

원 개개인의 잠재력과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스

트레스를 해소하는 건 물론이고 건전한 조직 생활을 위한 동기

를 부여해 즐거운 직장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이에 동아리를 위한 학교의 지원도 점차 체계적이고 구

체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전년도 활동 실적과 당해 연도 활동 계

획서를 제출하면 심사를 거쳐 활동비를 지원한다

든든한 후원 속에서 성장하는 교직원 동아리 다양한 모임에서

더 많은 교직원들이 삶의 즐거움을 누리길 기대한다

즐거운

삶을

꿈꾸며

잠깐의 쉼마저 사치가 되어버린 세상 lsquo바쁘니까 내일부터rsquo라는

말로 일상의 즐거움을 미루는 사람들에게 lsquo여유는 스스로 만드는

것rsquo이라고 몸소 이야기하는 사람들이 있다 제대로 일하고 제대로

즐기기 위한 모임 교직원 동아리를 소개한다

노력에대한성과와기쁨을

사람과의소통과배려를선사하는야구는

저에게인생이고학교입니다

아름다운성찰과타인에대한배려가

글을기반으로이루어지는곳문학과

예술동아리입니다

김평환middot의대공작실

이종만middot공과대학

탕~스트레스는담장밖으로

열정은그라운드로향하게하는

야구에빠져보세요

정진우middot교무과

당신의 재발견PEOPLE

15 14

캠퍼스의

어떤 하루

햇볕 좋은 날

SNU Ske t c hPEOPLE

스트레스 날리는 가을 축제

lsquo스트레스 대폭발 슛트레스rsquo를

주제로 한 서울대학교 2014년

가을 축제 lsquo티라노스트레스rsquo가

캠퍼스 곳곳에서 열렸다

사진은 참가자들이 대형 상자로

만들어진 젠가를 쌓으며 축제를

즐기고 있는 모습

09 29 ndash 10 01

중학생을 위한 생명공학캠프

농업생명과학대학에서

중학생을 대상으로 생명공학

특강 실험과 실습 수목원

체험 등 생명공학에 관한

기초적인 체험을 제공하는

캠프를 마련했다

08 11 - 08 15

오늘은 첫 출근 하는 날

공과대학 엔지니어하우스에서

2014학년도 신규임용교원

임명장 수행식이 거행됐다

60여 명의 신규 교직원들은

임명장을 받으며 합격의 기쁨을

만끽했다

08 25

서울대 입학 궁금해요

문화관 대강당에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2015년 서울대학교

입학 주요 사항을 설명하는

입학설명회를 개최했다

07 05

우물쭈물 말고 말 걸어 봐

2014 SNU 사회적경제

아이디어 대회 활동팀이

선보이는 lsquoTalk to me SNUrsquo

배지 이 배지를 달고 있는

사람에게는 누구나 친근하게

말을 건낼 수 있다

07 24

17 16

Campu s OnNOW

뚜렷하게 새겨진 학문적 발자취

학문 분야에서는 서울대학교의 대표적인 연구 성과인 현택환 중견

석좌교수의 lsquo나노수류탄rsquo 김수봉 교수의 lsquo중성미자 변환상수 연구rsquo

와 함께 서울대학교가 소장하고 있는 귀중한 사료인 lsquo대동여지도

(大東輿地圖)rsquo lsquo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rsquo에 대한 이야기도 만

나볼 수 있다 이어지는 교육 환경 코너는 학생 1인당 장학금 지급률

부터 개별 전공 졸업 후 진로 정보까지 방문객이 터치스크린을 통

해 원하는 정보를 찾아볼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빛나는 역사

전시 콘텐츠는 lsquo역사middot학문 분야middot교육 환경middot글로벌 SNUmiddot사회적

책임middot미래 인재middot미래 활동rsquo 순으로 전개된다 먼저 홍보관에 발을

들이면 개교 이전부터 현재까지의 모습이 전면 스크린에 펼쳐진다

최초의 근대 국립고등교육기관이었던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의

역사를 사진과 영상으로 만나볼 수 있다 또한 이곳에는 한국전쟁

419 혁명 등 중요한 역사의 현장에서 희생된 서울대학교 재학생들

의 고귀한 뜻을 기리는 추모의 벽이 설치되어 있다 조국의 발전을

위해 몸 바친 영혼들을 위해 잠시 묵념하는 시간을 가져보자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가 세계의 다양한 대학 연구 기관과 어떤 국제협력프로

그램들을 만들고 운용하고 있는지 궁금하다면 글로벌 SNU 코너에

서 그 현황과 규모를 찾을 수 있다 다양한 사회 기여 활동을 보여주

는 사회적 책임 코너도 빼놓을 수 없는 곳이니 잊지 말고 둘러보자

인재를 길러내는 서울대학교의 모습과 장기적인 비전은 스누홀의

마지막 전시장에서 확인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등 양방향적 소통 장치를 마련한 스누홀은 방문객과의

자유로운 교감을 꿈꾼다 견학 온 학생에게 자녀가 다니는 학교가

궁금한 부모님에게 이곳은 훌륭한 안내소가 될 것이다 아직 학교가

알쏭달쏭하다면 망설이지 말고 스누홀의 문을 두드리길

1 SNU connect

2 SNU 타임비전

3 SNU Awards

4 미디어홀

5 라운지

6 SNU Special

1

스누홀을 통해 서울대학교를

바라보는 시각이 달라졌고

도전 의식이 생겼습니다 당당한

재학생으로 꼭 다시 오고 싶어요

김예준middot낭주중학교 3학년 박지훈middot용강중학교 3년

서울대학교에 대해 잘 알지

못했는데 이번에 스누홀을

둘러보면서 서울대학교와 한층

가까워진 것 같아요

문의 070 8815 1524

생생 방문 후기

SNU Hall 문을 열다

매년 5만 명이 넘는 이들이 캠퍼스 투어를

위해 서울대학교를 찾는다 호기심을 가득

품고 관악캠퍼스를 찾은 방문객들은 커다란

위용에 왠지 모를 어려움을 느끼기도 한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고 종합적으로

학교를 안내하기 위해 서울대학교 홍보관

스누홀(SNU Hall)이 문을 열었다 학교의

역사에서부터 환경 글로벌 미래 비전까지

서울대학교의 이모저모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스누홀을 살펴보자

1

2

3

4

5

6

19 18

여행과 봉사를 한번에 볼런투어

Who 글로벌사회공헌단 bull Where 경상남도 함양군 bull What 일손 돕기 목가구 제작 벽화 그리기 등

드림컨설턴트는 2010년 학내 봉사 동아리로 출범해 2012년 서울

시 비영리 민간단체 공식인가를 받은 서울시 NGO다 lsquo꿈rsquo이라는 주

제 아래 lsquo촉촉콘서트rsquo lsquo드림커넥터rsquo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

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이들이 8월 8일부터 10일까지 경상남도

창원 구암고등학교에 머물렀다 2박 3일간 고등학생 꿈 찾기 프로

그램인 lsquo드림캠프rsquo를 진행하기 위해서다

드림캠프는 직업군으로 나누어 꾸민 부스에서 멘토가 강연하는 lsquo직

업 박람회rsquo 자신의 꿈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해보는 lsquo드림스토밍rsquo

문제 상황에 부딪쳤을 때 필요한 가치관을 이야기해보는 lsquo가치관 동

맹rsquo lsquo모의 면접rsquo 등의 프로그램으로 탄탄하게 구성됐다 뿐만 아니

라 봉사 단원들은 고등학생들이 자신의 가치관을 살펴보고 모호한

꿈을 좀 더 구체적으로 그리며 진로를 고민해볼 수 있도록 직접 교

재까지 제작하는 열의를 보였다 지난 4년 동안 꾸준히 성장해온 드

림컨설턴트가 꾸려나갈 앞으로의 모습이 더욱 궁금해진다

꿈을 발견하는 곳 드림캠프

Who 드림컨설턴트

Where 경상남도 창원시

What 고등학생 꿈 찾기 캠프

방학 계획을 물을 때 lsquo여행rsquo과 lsquo봉사활동rsquo은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단골 소재다 글로벌사회공헌단은 이 두 가지를 동시에 할 수 있는

프로젝트 lsquo볼런투어rsquo를 마련했다 자원봉사(Volunteer)와 여행

(Tour)을 합친 볼런투어는 개인의 재능을 통해 사회공헌 사각지대

에 필요한 자원을 제공하는 활동이다

이번 볼런투어는 8월 6일부터 9일까지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에서

진행됐다 5개 팀으로 나뉘어진 학생들은 각각 농촌 일손 돕기 목가

구 제작 벽화 그리기 어르신 사진 촬영 지역아동센터 교육 봉사 등

의 개별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낯선 일이었지만 학생들은 땀을 흘리

며 사과 농장을 일구고 마을 입구에 놓을 초대형 평상을 제작하는

등 각자의 재능을 통해 나눔을 실천했다

모든 일정이 계획대로 진행된 것은 아니다 프로젝트 기간 동안 함양

군을 지나간 태풍 lsquo나크리rsquo 탓에 벽화팀이 애써 그린 작품 대부분이

지워진 것 돌발 상황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최선을 다한 학생들에게

마을 주민들은 고마움을 표현했다 함양군에서의 3박 4일은 이들에

게 잊지 못할 경험으로 기억될 것이다

자연과학대학은 2006년 경상북도 영덕군과 lsquo관학 협력 및 지역사

회 개발에 관한 협정rsquo을 체결했다 그 후 매년 여름마다 영덕 지역 청

소년들의 적성과 소질을 개발하고 대학생들의 인성 함양을 위해 멘

토링 프로그램과 과학 캠프를 개최해왔다 올해 역시 자연과학대학

재학생으로 구성된 봉사단이 영덕 지역 청소년들과 만났다

8월 5일부터 7일까지 이어진 캠프 첫날 고등학생 25명을 대상으로

lsquo대학 진학 멘토 교실rsquo이 열렸다 입시를 앞둔 이들에게 실질적인 조

언을 해주는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이 미리 준비해 온 질문에 봉사단

원들의 진지한 답변이 이어졌다 이어서 진행된 lsquo과학 캠프rsquo 봉사단

은 물리천문학 생명과학 지구환경과학 화학 수리과학 등의 각 전

공을 살려 중학생 75명과 함께 과학 실험을 진행했다 서울대학교

봉사단원들은 아이들이 과학을 어렵지 않게 느끼도록 실험을 도우

며 재미있는 분위기를 이끌었다

이번 캠프는 열정적으로 참여한 학생들 덕분에 참가자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에게도 높은 호응을 이끌었다 에너지 넘치는 자연과학대

학 봉사단과 함께 할 내년 여름을 기대해본다

청소년 100명과의 만남 과학 캠프

Who 자연과학대학 봉사단

Where 경상북도 영덕군

What 청소년을 위한 멘토링 과학 캠프

학생들의 학습을 꼼꼼히 지도하는 드림컨설턴트

직접 그린 벽화 앞에서 포즈를 취한 볼런투어 벽화팀

과학 실험 삼매경에 빠진 캠프 참여 청소년

Campu s OnNOW

각양각색 봉사활동 열전

태양이 이글대던 두 달이 쏜살같이 지나가버렸다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여름

방학 속 가장 기억에 남는 일은 무엇이었는가 무더운 여름보다 더 뜨겁게 방학을 보낸

사람들이라면 금세 대답할 수 있을 것이다

21 20

서울대학교 세계 최고를 꿈꾼다

서울대학교는 영국 대학평가기관 QS(Quacquarelli Symonds)가 발표하는 2014 QS 세계대학평가(QS

World University Rankings)에서 31위를 차지했다 1994년부터 시작된 QS 세계대학평가는 전 세계 대학

에 대한 평가로 학계 평판 40 연구 영향도(교수 1인당 논문 피인용 수) 20 졸업생 평판도 10 교수 대

학생 비율 20 외국인 교수 비율 5 외국인 학생 비율 5를 합산해 평가한다 올해 발표된 평가의 1위는

미국 MIT(매사추세츠공대)였으며 아시아 대학 가운데서는 싱가포르국립대학교(NUS)가 22위 홍콩대학교

(HKU)가 28위에 올랐다

서울대학교는 해외 학계에서의 인지도를 알 수 있는 학계 평판(Academic Reputation) 및 기업인 대상 설문

조사로 평가하는 졸업생 평판 항목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향후 논문 피인용 수 증가를 통해 연구 영향도 분

야에서 개선을 추구해 나가는 한편 구성원의 글로벌 다양성 확보를 위해서도 노력할 계획이다

2014 QS 세계대학평가가 9월 발표됐다 2004년 118위에서 2010년 50위 2011년 42위

2012년 37위 2013년 35위 그리고 올해 서울대학교는 역대 최고 성적을 경신했다

118

93

63

5147

50

4237

35

31

50

140

40

20

0

120

100

80

60

순위2005년 2009년 2012년2006년 2010년 2013년2007년 2011년 2014년2004년 2008년

QS Ranking지난 11년간의 성과

연도 별 순위

lsquo창업론 실습rsquo 커리큘럼

STEP 1 조별 사업 기획

STEP 2 약 300만 원의 지원금과 창업 공간 지원

STEP 3 기업가들의 컨설팅

STEP 4 학점 취득

통찰력 있는

미래의 창업가를 키운다

연합전공 벤처경영학

표준적인 인재는 많지만 특출난 인재는

늘 부족하다 기업가 정신을 갖추고 끊임없이

도전하는 인재들의 양성소

연합전공 벤처경영학을 소개한다

새로운 경제 성장의 동력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lsquo창업 부흥rsquo

정책이 정부를 비롯해 지방자치단체 중소기업청 등에서 이

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학생들의 대기업 선호 현상과 lsquo창업은

위험한 도박rsquo이라는 인식은 여전하다 대기업 입사를 위한 다

양한 프로그램과 유학 스터디 등이 활발한 것과 달리 창업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은 아이디어를 나눌 공간이 없고 경험 있

는 선배로부터 직접적인 조언을 얻기도 쉽지 않다 이러한 문

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이 나섰다

올해 설립된 벤처경영학 전공은 학생들이 실제로 창업을 경

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lsquo창업론 실습 1middot2rsquo 과목을 수

강하는 학생들은 조별로 사업을 기획해보고 약 300만 원과

창업 공간을 지원받으며 기업가들의 컨설팅을 받게 된다 이

런 과정을 통해 학점도 취득할 수 있다 이밖에 벤처경영학과

에서는 철학과 경영학과 컴퓨터공학부 식품동물생명공학

부 등 연합전공에 참여한 학과의 개설 과목은 물론 제품 기획

론 창업론 특강 벤처사업 기회 연구 등 벤처 운영에 도움이

되는 과목을 함께 수강할 수 있다

실리콘밸리와 맞닿아 있는 스탠포드대학교는 구글 야후 휴

렛팩커드 등 초일류 기업의 창업자들을 배출했으며 오늘날

이 대학 출신이 창업한 기업의 연 매출은 우리나라 국내총생

산(GDP)의 2배를 넘을 정도로 큰 성과를 내고 있다고 한다

창업을 지원하는 학내 인프라와 프로그램 그리고 실제 벤처

기업을 운영하는 교수진이 있기에 가능한 일이다 서울대학

교 벤처경영학이 미래의 한국 벤처 생태계를 구축할 혁신적

인 기업가 양성 교육의 훌륭한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

Campu s OnNOW

연합전공 시리즈 3

23 22

문화생활백서 in SNU

과제 시험 그리고 또 과제 학교에 갇혀 있는

날이 계속되다 보면 잠깐이나마 쉴 곳을 찾게

된다 왠지 모르게 무기력해지고 답답한 순간

당신에게는 lsquo휴식rsquo이 필요하다

빼곡한 강의실 책만 가득할 것 같은

서울대학교 안에도 여유 시간을 알차게 보낼

수 있는 놀라운 공간들이 구석구석 숨어 있다

벌써부터 방학을 그리워하는 학생들에게

캠퍼스의 각종 문화 시설은 달콤한 선물이

되어줄 것이다 학교 안에서 즐기는

문화생활의 lsquo핫 플레이스rsquo를 소개한다

영화관이 학교 안에

미술관을 지나 오르막길을 오르다 보면 현수막 하나가 눈에 띈다

2004년부터 작품성은 높지만 대중적 인기는 얻지 못한 진흙 속의

진주 같은 영화를 소개하는 lsquo수요시네마rsquo 프로그램이다 매월 둘째

주 수요일 문화관에서 무료로 관람 가능하다 더불어 학교의 중심

중앙도서관 영상자료실도 혼자 영화 보기 안성맞춤인 곳이다 비교

적 최신 DVD까지 소장하고 있어 공강 시간을 보내기 유용하다

몸 튼튼 마음 튼튼

서울대학교에선 원한다면 누구나 각종 운동을 섭렵할 수 있다 공과

대학에는 테니스장과 농구장 인공 암벽등반 시설이 있으며 기숙사

에는 축구 운동장과 더불어 야구 연습 탁구 농구 등을 할 수 있는 실

내 체육관이 있다 종합운동장에선 축구와 미식축구를 할 수 있으며

마라톤 트랙이 있어 다른 운동도 가능하다

정문 근처 포스코(POSCO) 스포츠센터는 2001년에 문을 연 4층 건

물로 서울대학교의 대표 체육 시설이다 수영과 헬스뿐만 아니라 골

프와 댄스 발레 요가 등 전문 강사가 진행하는 다양한 강좌가 있다

시설이 좋아 lsquo미녀는 괴로워rsquo 등의 영화와 드라마 촬영지로도 사용됐

다 이외에 체육 교육과에서도 매 학기 테니스 필라테스 탁구 등을

소규모로 배울 수 있는 건강 운동 강좌를 개설하고 있다 에너지 넘

치는 학생들에게 서울대학교는 즐거운 놀이터다

음악감상실

장소 학생회관 111호

운영시간

학기 중 평일 930~1730

학기 중 토요일 930~1330

수요시네마

장소 문화원 중강당

비용 무료

문의 02-880-7924

정문 옆 미술관

정문 너머 왼편에는 독특하고 아름다운 외형의 건물이 있다 바로 서

울대학교 미술관 MoA 프리츠커 건축상을 수상한 렘 콜하스가 설

계했다 한 해 3~4회의 전시가 열리는 MoA는 타 학교 미대에서 관

람을 올 정도의 높은 전시 수준을 자랑한다 학교 구성원과 지역민

등을 대상으로 하는 미술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뿐만 아니라 도

슨트 교육을 받고 선발되어 활동하면 문화자원봉사 확인증을 주는

자원봉사 프로그램도 있다 미술관 입구 앞 독특한 조형물도 하나의

볼거리니 방문한다면 여기서부터 관람을 시작하자

MoA

운영시간 화~일요일 1000~1800(입장마감 1730)

관람료 3000원

문의 02-880-9504

포스코 스포츠센터

운영시간 평일 600~2230 토요일 1000~1700

문의 02-880-6980

Campu s OnNOW

음악이 들려주는 비밀

호그와트(영화 lsquo해리포터rsquo의 마법학교)에 비밀의 방이 있다면 서울

대학교에는 음악감상실이 있다 학생회관 식권 판매대 옆 두꺼운 문

을 열면 나타나는 음악감상실은 예전부터 높은 경쟁률을 뚫고 선발

된 DJ가 수준 높은 음악을 들려주는 것으로 명성이 자자했다 한국

최초 그래미 수상자 황병문 동문도 음악감상실 DJ 출신이다 문화

관에서 시작되는 lsquo걷고 싶은 거리rsquo는 음악대학 학생들의 연주와 노

래 소리를 들으며 산책하기 좋다 덧붙여 음악대학에서는 매 학기

lsquo화요음악회rsquo를 개최한다 1994년부터 20년째 이어지는 음악회다

오디션을 통해 선발된 공연팀이 무대에 올라 질 높은 음악을 들을 수

있으며 누구나 관람 가능하다 문화관과 자하연 사이에 위치한 스탠

드에서는 때때로 즉흥 연주가 벌어진다 버스킹의 정확한 일정은 없

으니 지나치다 익숙한 음악이 들리면 놓치지 말고 들러보자

1 2

3

4

화요음악회

장소 문화관

비용 무료

문의 02-880-7903

25 24

미래인재학교란 서울대학교 입학본부 주관으로 진행되는 고교 지원 프로그램으로

서울대학교 교수와 학생이 직접 지역 고등학교에서 지식을 전달한다

92명

13기 수료생

100명

14기 수료생미래인재학교

수료생 현황

미래 인재를 위한 꼼꼼한 준비

서울대학교는 7월과 8월 전라남도 고흥middot여수에서 미래인재학교

13 14기를 개최했다 미래인재학교는 지역 간 교육 환경 격차를 완

화하고 고교생의 소질과 적성을 개발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서울

대학교 교수 강의와 재학생 멘토링 등을 통해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다 개최 지역에 따라 맞춤형으로 운영하기 때문에 4

개월 정도의 준비 기간이 필요하다 각 기수마다 재학생 멘토팀을 선

발해 프로그램을 새롭게 기획하는 것은 물론 담당 입학사정관과 멘

토팀이 몇 차례의 답사를 통해 현지 교육 환경을 이해하고 운영 시설

을 확인하는 등 프로그램을 세심하게 꾸려나간다

열정 가득한 학생들과 3박 4일

나로도 소재 국립고흥청소년우주체험센터에서 진행된 미래인재학

교 13기에서는 고흥 소재 8개 고등학교 1 2학년생 92명이 3박 4

일의 과정을 수료했고 14기에서는 여수 소재 10개 고등학교 1학년

학생 100명이 나흘 간의 과정을 마쳤다 특히 이번 멘토팀은 개최지

의 요청에 따라 역대 최대 규모로 조직됐는데 이들 중에는 고교 재

학 중 미래인재학교 수료생으로 참가했던 3명의 학생도 있었다

각 학교장의 추천을 받아 선발된 고등학생들은 입학식과 더불어 핸

드폰을 모두 담당 교사에게 제출하는 등 바른 수업 태도와 학업 의

지를 보여주었고 쉴 틈 없이 짜인 프로그램에도 중도 탈락하는 사

람 하나 없이 참가자 전원이 수료증을 받을 수 있었다

교수 멘토 멘티의 특급 하모니

3박 4일 동안 고등학생들과 함께 숙식하며 프로그램 운영은 물론

학생들의 생활지도까지 맡은 서울대학교 재학생 멘토들 이들은

lsquo아이스 브레이킹rsquo lsquo주제 토론rsquo lsquo고교 생활의 Know-Howrsquo lsquo11 멘

토링rsquo lsquo도전 골든벨rsquo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학생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했다 물리천문학부 홍승수 명예교수 등 고교생

의 눈높이에 맞게 선정한 다양한 학과의 교수 강연은 학생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참가 고등학생들 역시 강의 2주 전 배포한 강연

자료를 예습해왔고 강의가 끝난 후에도 호기심을 충족하기 위해

교수님을 따라 행사장 밖까지 나가 질문하는 열의를 보였다 이번

행사가 서울대학교 학생들에겐 나눔의 기쁨을 개최 지역의 고등학

생들에겐 배움의 기회를 주었길 바란다

지역 인재는 우리가 기른다

전라남도 고흥과 여수에 서울대학교 학생들이 떴다 미래 후배들의 소질과 적성 개발을

돕는 멘토링 프로그램 lsquo미래인재학교rsquo를 진행하기 위해서다 이번에는 개최지의 요청에

따라 역대 최대 규모의 멘토팀이 조직됐다 고등학교 시절 배움을 위해 lsquo미래인재학교rsquo를

찾았던 학생도 지식을 나눠주는 멘토가 되어 돌아왔다 고등학생들과 동고동락하며 여름의

열기보다 뜨거운 4일을 보낸 이들을 만나보자

멘토링 시간에 조별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학생들

참가 학생이 자신의 의견을 발표하고 있는 모습

대학 입학에 관해 강의하는 홍승수 명예교수

Campu s OnNOW

step1

step2

step3

27 26

서울대학교는 8월 29일 관악캠퍼스 문화관 중강당에서

교수 학생 직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교수 정년식을 진행

했다 노태돈 국사학과 교수 임현진 사회학과 교수 안

정선 생명과학부 교수 김명모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장

호익 디자인학부 교수 한문희 불어교육과 교수 김민자

의류학과 교수 황준연 국악과 교수 이성철 의학과 교수

등 26명이 명예로운 정년을 맞아 정든 캠퍼스를 아름답

게 떠났다 이날 행사에서는 박종화 환경대학원 교수가

정년 교수진을 대표해 감사와 당부의 인사말을 전했다

교수 정년식

02

서울대학교는 8월 28일 관악캠퍼스 종합체육관에서 제

68회 후기 학위수여식을 개최했다 이번 학위수여식에

서는 학사 850명 석사 989명 박사 522명 등 총 2361

명이 학위를 받았다 성낙인 총장은 ldquo최고의 지식은 사회

봉사와 인류공헌을 위해 쓰이는 것이며 훌륭한 인재는

지성과 공공성으로 무장된 따뜻한 가슴을 겸비한 lsquo선한

인재rsquordquo라며 ldquo민족의 동량 사회의 중심으로 드높은 자부

심을 갖되 지식과 열정을 공동선을 위해 공헌하는 사회

적으로 필요한 인재가 되기 바란다rdquo고 당부했다

제68회 후기 학위수여식

03

01

서울대학교는

신임 보직교수단을

구성했다 신임 보직

교수 임기는 2년으로

2016년까지 대학의

비전을 마련하고

고등교육 발전을 위한

주요 소임을 맡아

활동한다

신임 보직교수 임명

04 06

2014 우수 인재 채용박람회

추석을 맞아 서울대학교 구성원들의 따스한 손길이 어려

운 이웃들에게 전해졌다 인문대학 등 62개 기관에서 모

금한 총 28271500원은 학교 근처의 보육원 사회복지

관 등 도움이 필요한 곳에 전달됐다 성낙인 총장은 아동

복지시설인 상록보육원을 방문해 성금을 전달하며 어린

이들과 보육원 관계자들을 격려했다 그리고 김종서 교

육부총장은 동명 아동복지센터 이우일 연구부총장은 성

민 종합사회복지관 유근배 기획부총장은 선의관악 종합

사회복지관을 각각 찾아 성금을 전달했다

추석 명절 이웃돕기 성금전달

보 직 명 학 과 (부) 성 명

교육부총장 종교학과 김종서

연구부총장 기계항공공학부 이우일

기획부총장 지리학과 유근배

교무처장 화학부 김병문

학생처장 농생명공학부 김정한

연구처장 의학과 박노현

기획처장 법학전문대학원 이철수

기초교육원장 서양사학과 안병직

입학본부장 독어교육과 권오현

국제협력본부장 국제대학원 정종호

보 직 명 학 과 (부) 성 명

정보화본부장 컴퓨터공학부 신영길

교무부처장 겸 교육부처장 치의학대학원 백승학

학생부처장 식품영양학과 한성림

연구부처장 약학과 오정미

기획부처장 독어독문학과 강창우

협력부처장 건설환경공학부 김재영

기초교육부원장 물리middot천문학부 유재준

입학부본부장 고고미술사학과 이준정

국제협력부본부장 국제대학원 신성호

정보화부본부장 경영학과 장정주

NewsNOW

제8기 스누봉사단이 한국수력원자력(주)의 후원으로 8

월 9일부터 20일까지 베트남 라오까이 성에 있는 스빤

마을에서 봉사활동을 진행했다 유성상 교육학과 교수

이우철 치의학대학원 교수 이승표 교수 한동헌 교수

김익규 빗물모아지구사랑 실장 김용환 연구원 서울대

학교 학생 23명으로 구성된 봉사단은 구강보건의료 빗

물 정화 위생교육 등의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 주민들에

게 나눔을 실천했다

제8기 스누봉사단 베트남 봉사활동

0705

훌륭한 공대교수상 선정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올해의 훌륭한 공과대학 교수로

신현식 컴퓨터공학부 교수 이재홍 전기정보공학부 교

수 강신형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를 선정했다 이 상은 교

수들의 연구 활동을 장려하고 산업 기술의 선진화를 꾀

하자는 취지에서 1992년 공과대학 동문들이 출연한 기

금으로 제정됐다 2003년부터 교육상과 연구상 2개 부

문으로 시상해오다가 올해부터 교육상 학술상 산학협

력상 3개 부문으로 확대돼 의미가 더욱 커졌다

경력개발센터는 2014년 하반기 채용 시즌을 맞이해 9월

2일에서 4일까지 대학본부 앞 잔디 광장에서 lsquo새로운 미

래를 여는 SNU 2014 서울대학교 우수인재 채용박람회rsquo

를 개최했다 올해로 11회째를 맞이한 채용박람회에는

6500여 명의 학생들이 참가했다 한편 두산 삼성 현대

자동차 LG SK 등 국내 주요 대기업들과 국방과학연구

소 한국전력공사 등의 공기업 Hakuhodu 그룹 등의 일

본 기업 ASML Korea 등의 외국계 기업 총 130곳이 우

수 인재를 확보하고자 심혈을 기울였다

信義

기부와 나DONATION

유 태 용

나고 자란 곳을 잊지 않는다 어려웠던 순간을 항상

되새긴다 덕분에 유태용 동문은 사회적 성취를 이룬 지금

자신만의 나눔 원칙을 세울 수 있었다

기 부 자 정 보

격동의 세월을 이겨낸 삶

일제강점기를 지나 해방 그리고 한국전쟁까지 1950년에 서

울대학교에 입학한 유태용 동문의 학창시절은 역사적 격동

기와 맞물려 있다 그 시절을 겪어보지 않은 요즘 세대에게 유

동문의 경험은 책에서나 접하는 옛날이야기로 들릴 수 있다

그럼에도 유 동문은 과거를 잊지 않으려 그 시절을 끊임없이

복기한다 당시 경험을 lt어느 서울대 공대생의 한국전쟁gt이

라는 책에 풀어내기도 했다 ldquo요즘은 상상도 못할 이야기죠

이후로도 어렵사리 국가 발전을 이뤘고요 우리 세대가 고생

했다고 알아주길 바라는 건 아닙니다 다만 큰 어려움을 헤

쳐 온 인생 선배들을 보면서 힘든 순간이 닥쳐도 좀 더 지혜롭

게 극복했으면 좋겠습니다rdquo

유태용 동문은 대학 졸업 후 1957년부터 공직 생활을 시작했

다 이후 오랜 기간 공직에 몸담으며 국토 계획과 건설 행정

을 담당했다 유 동문의 전공은 토목공학 그중에서도 방조

제가 전문 분야였다 공직 생활 초창기에 국제원조기구 장학

생으로 선발돼 1962년 미국에서 아카데미 코스를 밟기도 했

다 그렇게 미국에서 수학한 지식을 바탕으로 당시만 해도 단

일목적댐뿐이던 우리나라에 다목적댐을 도입하는 데 기여했

다 ldquo저는 어찌 보면 운이 참 좋은 사람입니다 어려운 시기에

농촌에서 서울대학교에 입학했고 좋은 기회가 닿아 외국에

서 공부하는 경험도 할 수 있었으니까요rdquo

오랜 시간 이어온 남다른 향토애

공직에 있으며 국가 발전에 힘써온 유 동문 그는 오래전 고

향을 떠나왔지만 어려웠던 어린 시절을 잊지 않는다 불과 몇

원하는 수업료가 없어 일곱 살 나이에 수십 킬로미터에 달하

는 거리를 오갔던 기억이 여전히 생생하다 적어도 돈 때문에

공부를 못하는 학생은 없어야겠다는 생각에 이른 건 어쩌면

당연한 일 그러한 경험이 있었기에 유 동문은 자신만의 기부

신념을 세울 수 있었다 ldquo똑같이 모를 심어도 좋은 쌀을 얻으

려면 관리를 잘해야 합니다 모를 심고 가만히 두면 한 섬밖

에 못 얻지만 비료를 주고 잡초를 솎아내면서 키우면 네 가

마니까지 불어나요 사람도 마찬가지입니다 인재도 좋은 환

경이 갖추어져야 자랄 수 있습니다 서울대학교에 입학한 건

시작일 뿐이죠rdquo

유 동문은 서울대학교에 부동산을 기부해 정읍과 고창 출신

후배들을 위한 lsquo정고장학기금rsquo을 마련했다 단지 태어난 곳

에 대한 고집만은 아니다 그 자신이 농촌에서 어렵사리 대학

에 진학했던 까닭에 그곳에서 나고 자란 후배들이 학비 걱정

없이 공부에만 전념할 수 있기를 바라는 선배의 따스한 마음

이다 ldquo예전에도 그랬지만 지금도 농촌에서 몇 백만 원씩 하

는 등록금을 쉽게 마련할 수 있는 집은 많지 않습니다 더구

나 지방에서 공부해서 서울대학교에 온다는 건 쉽지 않아요rdquo

유태용 동문은 장학생들을 직접 만나 격려하는 데에도 적극

적이다 지금은 학생들이 그가 기부한 장학 기금의 혜택을 입

지만 언젠가는 좋은 인재로 성장해 사회에 보탬이 되는 주역

이 되리라 믿는 까닭이다 ldquo서울대학교가 이제 세계에서도 손

꼽히는 대학이 되었다지만 아직도 세상에는 해결하지 못한

연구 과제가 많아요 서울대학교의 많은 인재가 그런 분야에

도 거침없이 도전해 좋은 성과를 내주길 바랍니다rdquo

유태용 한국방재협회 명예회장

내무부와 건설부에서 오랜 기간 국토 계획과 건설 행정을 맡았다 1998년 자연재

해대책법에 따라 한국방재협회 준비위원장에 추대됐고 창립을 준비해 1999년 초

대 회장에 취임한 바 있다

with SNU

토목공학과 학사 ACAD 12기 수료 정고장학기금을 마련해 정읍 고창 출신 학생

들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및 대학원생 재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원하고 있다

ldquo모를 심고 가만히 두면 한 섬밖에 못 얻지만

비료를 주고 잡초를 솎아내면서 키우면

네 가마니까지 불어나요 사람도 마찬가지입니다

인재도 좋은 환경이 갖추어져야 자랄 수 있습니다rdquo

29 28

31 30

기부와 나DONATION

도전 열아홉이란 나이 누군가는 대학 문을 바라보며 책

장을 넘길 시기에 사업을 시작했다 다양한 업종에 손대며

달콤한 성취도 쓰디쓴 실패도 맛본 20대를 지나 서른을 코앞

에 둔 시기에 광장시장 상가 한편에 1평 남짓한 도매 옷가게

를 열었다 그것이 연 매출 1조 원을 올리는 국내 굴지 패션기

업의 출발이었다

근면 어깨에 옷을 짊어지고 고객을 찾아다니길 수차례

서른 살 청년의 성실성을 소매상들은 알아봤다 판로가 열리

니 사업은 자연히 승승장구했다 그러나 10년 후 위기가 닥

쳤다 거래처의 어음이 부도 처리되면서 그 여파를 고스란히

받아야 했다 ldquo부도를 극복하면서 근면의 중요성을 깊이 느

꼈습니다 재기를 생각하며 다시 1평짜리 매장을 얻어 아침 7

시부터 새벽 2시까지 이를 악물고 일했죠rdquo 시작도 그랬지만

이후로도 근면은 최 회장의 삶에 큰 지표가 됐다

배움 일찍이 사회에 진출한 만큼 현장 경험은 누구보다

출중할 터 그러나 최 회장은 lsquo배움에는 끝이 없다rsquo는 생각으

로 경영만 하기도 바쁜 시간을 쪼개 공부를 계속했다 배움의

과정 중에 서울대학교와 인연이 닿았다 학교의 여러 특별과

정을 수료한 것은 물론 서울대학교 패션산업 최고경영자과

정(AFB) 총교우회 회장도 역임했다 ldquo김민자 교수님께서 lsquo바

쁠수록 더 좋은 성과를 낸다rsquo고 말씀하신 적이 있습니다 몸은

분주했지만 세상을 보는 관점은 더욱 넓어질 수 있었습니다rdquo

섬김 최 회장은 오늘날 이룬 성취가 혼자만의 것이 아니

란 점도 매번 되새긴다 패션그룹형지의 성장과 함께 한 대리

점주를 섬기는 해법 중 하나는 교육이다 ldquo사업의 근간인 대

리점주와 함께 호흡하고 성장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일까 고민

하던 차에 생활과학대학 교수님들의 도움으로 lsquo패션그룹형

지 최고경영자과정rsquo을 열었습니다rdquo

나눔 lsquo남 열 걸음 갈 때 반의 반 걸음 더 간다rsquo 최 회장은

기업가로서 성공을 이룬 지금도 이 말을 되새기곤 한다 ldquo남

보다 조금 더 먼저 생각하고 노력하는 작은 차이가 나중에는

큰 성과를 남긴다는 뜻입니다 요즘은 사업이나 일에 대한 것

뿐만 아니라 타인을 향한 배려와 사랑도 반의 반만 앞서 생

각하고 실천하자고 다짐합니다rdquo 최 회장은 lsquo교육은 백년지대

계(百年之大計)rsquo란 말에 동감하며 패션 산업을 이끌어갈 인

재들을 위해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에 기금을 출연했다

또한 지역 발전을 위한 투자를 비롯해 세월호 참사로 고통받

는 유가족과 학생들을 위해 성금을 기부하는 등 다방면에서

나눔을 실천하고 있다 어려운 순간을 딛고 현재의 성취를 이

뤘기에 자신을 키워준 사회에 무엇인가 되돌려주는 나눔이

중요하다고 말하는 최병오 회장 한편으로 그는 lsquo금전적 도움

을 베푸는 자선의 개념을 넘어 재능과 기술을 나누는 나눔의

문화가 필요하다rsquo고 덧붙인다

청년에게 사회에서 일가를 이룬 최병오 회장이 이 시대

를 사는 청년들에게 권하고픈 경험은 다름 아닌 lsquo실패rsquo다 ldquo진

짜 실패는 넘어지는 게 두려워 시도조차 하지 않는 거라고 하

지 않습니까 실패를 두려워하기보다 꿈을 먼저 생각하길 바

랍니다rdquo 최 회장은 목표와 꿈을 추구하는 동시에 타인을 배

려하는 태도 역시 지니길 권한다 그것이 바로 진정한 성공이

요 명품인생을 완성하는 길이기에

切磋琢磨 최 병 오

최병오 회장에게 lsquo근면rsquo은 가장 기본적인 성공 원칙이다

lsquo배움rsquo은 자기 성장의 원동력이며 lsquo섬김rsquo은 상생의

바탕이다 마지막으로 그는 lsquo나눔rsquo이란 대의를 잊지 않는다

ldquo경제적인 어려움으로 배움의 기회를 놓쳐선

안된다고 생각해왔습니다 젊은 나이에

일찍 사업에 뛰어들어 배움에 대한 목마름이

누구보다 컸기 때문입니다rdquo

기 부 자 정 보

최병오 패션그룹형지 대표이사 회장

대한상공회의소 중견기업위원회 위원장이자 윤리경영위원회 위원 또한 한국의

류산업협회 회장과 한국의류산업학회 부회장 등을 맡아 최근 대통령 해외 순방 당

시 경제사절단으로 동행했다

with SNU

AFB 3기 AMP 63기 AIP 42기 AWASB 1기 등을 수료했다 AFB 동창회장과

AFB 동창회 수석부회장을 역임했으며 올해 제13회 AMP 대상을 수상했다 현재

AWASB 동창회장을 맡고 있다

33 32

기부의 향연이 펼쳐지다

바바패션

인문대학 발전기금 1억 원 기부

바바패션(대표이사 회장 문인식)이 인문대학에 발전기금 1억 원을 기부했

다 10월 13일 총장실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성낙인 총장과 문인식 바바

패션 대표이사 회장 유근배 기획부총장 장재성 인문대학장을 비롯해 관

계자 10여 명이 참석했다 성낙인 총장은 ldquo문인식 회장님의 인문학에 대

한 관심과 성원에 감사드린다rdquo며 ldquo이번 기금으로 인문대학의 발전과 인재

양성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이에 문인식 회장은 ldquo바바패

션은 계속해서 나눔 경영을 통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rdquo고 전했

다 문인식 회장은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최고지도자과정(AMP) 72기를

수료하고 현재 인문대학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12기 회장 AMP

총동창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한편 바바패션은 국내 여성 패션 브랜드인

아이잗바바(IZZAT BABA) 지고트(JIGOTT) 등을 비롯한 총 9개의 브

랜드를 보유하고 있으며 심장병 어린이 수술 지원 및 장학 사업도 꾸준히

펼치고 있다

전기컴퓨터공학부 권욱현 명예교수

lsquo권욱현 희망장학기금rsquo 1억 원 기부

지난 6월 17일 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부 권욱현(전기공학 62학번)

명예교수가 lsquo권욱현 희망장학기금rsquo을 조성하고 1억 원을 기부했다 이번

에 마련된 기금은 공과대학과 전기공학부 학생들 가운데 경제적으로 어

려운 학생들에게 지급될 예정이다 변대규 휴맥스 대표를 비롯해 이재원

슈프리마 대표 등 국내 유명 벤처기업 CEO들의 스승으로 유명한 권욱현

명예교수는 2005년 서울대학교 평의원회 의장으로 활동했으며 대한전

기학회장 세계자동제어연맹 부회장 국제자동제어연맹 회장 등을 역임

했다 국제자동제어연맹(IFAC) 회장으로 재임 시 사재 50만 달러를 출연

해 개발도상국 젊은 공학자의 학술 활동을 지원하는 등 후학 양성을 위한

꾸준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김정식 해동과학문화재단 이사장

해동학술정보실 건립기금 30억 원 기부

지난 6월 27일 해동과학문화재단 김정식 이사장(전자공학 48학번)이

lsquo해동학술정보실 건립기금rsquo으로 30억 원을 쾌척했다 이번에 조성된 기금

은 공과대학과 자연과학대학 등 주요 단과대학의 해동학술정보실을 건

설하는데 사용될 예정이다 이번 기금 이외에도 김정식 이사장은 서울대

학교 공과대학 인근 해동학술관과 해동학술정보실 12호관 건립 기금으

로 100억 원이 넘는 금액을 출연하며 꾸준히 모교를 후원하고 있으며 인

재 양성을 위해 한양대 고려대 등 국내 주요 대학에 해동학술정보실 건립

을 지원하고 있다 1972년 대덕전자를 설립해 한국 전자 산업의 기술 개

발을 이끈 선구자로 유명한 김정식 이사장은 1990년 해동과학문화재단

을 만들어 해동상을 재정하는 등 지속적인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

패션그룹형지

생활과학대학 발전기금 3억 원 기부

패션그룹형지(대표이사 회장 최병오)가 생활과학대학에 발전기금 3억 원

을 기부했다 이 기금은 생활과학대학의 교육middot연구활동 및 시설개선 등을

위한 제반 활동에 사용된다 지난 8월 26일 진행된 협약식에서 성낙인 총

장은 ldquo생활과학대학은 패션그룹형지 기금으로 수준 높은 연구 성과와 인

재 배출을 통해 대한민국 대표 인재 양성소로 거듭 날 것rdquo이라고 밝혔으

며 최병오 회장은 ldquo국가 경쟁력을 이끌어가는 리더와 패션 산업 인재를

양성하는 데 패션그룹형지 발전기금이 쓰이길 바란다rdquo고 당부했다 최 회

장은 지난 2003년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패션산업 최고경영자과정

(AFB) 3기를 수료하고 2007년부터 2013년까지 AFB 총교우회 회장을

역임했다 또한 이번 기금 이외에도 꾸준히 후원한 다양한 기금으로 건립

된 lsquo최병오 홀rsquo을 통해 사회 각계각층의 주요 리더들이 교류하는 교육장을

마련했다 1월에는 경영대학 최고경영자과정(AMP) 총동창회가 주최하

는 lsquo제13회 서울대 AMP 대상rsquo을 수상했다

NewsDONATION

유회진 학술정보관 건립 보고 및 감사 행사

ldquo기부금은 이공계 학생들을 위해 써주세요rdquo 故 유회진 박사가 구강암으로 투병

하는 동안 병문안을 갔던 이장무 전임 총장에게 남긴 말이다 서울대학교 기계

설계학과에서 학부와 대학원 생활을 보내고 동아대학교 교수를 역임한 유 박

사는 2009년 구강암 판정을 받았다 그는 암 투병 치료비부터 부모님으로부터

물려받은 유산까지 허투루 쓰지 않고 모은 100억 원이 넘는 전 재산을 서울대

학교에 남기고 2011년 별세했다 유가족이 없는 고인을 위해 서울대학교 발전기

금은 장례를 진행했으며 매년 제사를 지내 뜻을 기린다

지난 7월 2일 관악캠퍼스 공과대학 엔지니어하우스대강당에서 lsquo유회진학술정보

관rsquo 건립 보고 및 감사 행사가 개최됐다 유회진학술정보관은 유회진 기금으로

건립되어 공과대학과 자연대학이 공동 교육 및 연구 시설로 사용할 예정이다 이

날 행사는 오연천 전임 총장의 환영사에 이어 유회진 박사 소개 및 기부 경과보

고 유회진학술정보관 건립 경과보고 순으로 진행됐으며 특별히 故 유회진 박사

의 지인인 서울시립대 권원태(기계설계학과 78학번)교수가 참석했다 그의 숭고

한 마음은 우리 사회의 빛나는 과학자들을 위한 초석이 될 것이다

11월 9일 故 유회진

박사의 3주기가 돌아온다

서울대학교발전기금은

제주(祭主)로서 그를 잊지 않고

사회와 학교를 향한 기부자의

아름다운 정신을 남길 것이다

당신의 아름다운 마무리

35 34

SNU Presidents Honors Club

SNU Honor Club

故 곽명덕 변호사 유가족 (한자영 곽성현 곽성희)

故 구영록 교수 유가족

故 김인제 故 최성순 가족

(故 김동호 故 김동훈 김동준 김진숙 김진옥)

故 이한빈 부총리 가족 (유정혜 이원식 이선이)

고윤석 (물리학과 47입)

고정택 (외교학과 62입)

구영배 (자원공학과 85입)

구재서

권영대 (약학과 55입)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권욱현 (전기공학과 62입)

금장태 (종교학과 62입)

김건식 (법학과 73입)

김경한 (법학과 62입)

김경한 (외교학과 62입)

김광일 (경영학과 84입)

김기봉 middot신경은 (기계공학과 63입 middot화학과 65입)

김기태 (의학과 58졸)

김난도 (소비자아동학부 교수)

김대욱 (조선공학과 76입)

김동길 (화학교육과 57입)

김동훈 (화학과 48입)

김두철 (전자공학과 66입)

김만극 (약학과 47입)

김상헌 (사법학과 82입)

김선동 (화학공학과 59입)

김선화(정자) (국악과 60입)

김성배 (영어영문학과 63입)

김양곤 (IFP 2기)

김연탁 (경제학과 故 김태성 교수의 부)

김연호 (화학공학과 71입)

김영경 (기계공학과 52입) middot김천순

김영석 (3 Plus Logistics 회장)

김영수 (법학과 67입)

김영심 (불어불문학과 故 오현우 교수의 부인)

김영업

김용재 (의과대학 60입)

김용철 (치의학과 55입)

김의신 (의학과 60입)

김의영 (경제학과 54입)

김정희 (간호학과 52입)

김종일 (제어계측공학과 79입)

김진향

김천흥

김철호 (외교학과 70입)

김춘길 (화학생물공학부 58입)

김택수 (법학과 48입)

김하석 middot김영중 (화학과 63입 middot약학과 64입)

김하자 (서양화과 故 하동철 교수의 부인)

김학봉 (한영요업 회장)

김형주 (전자계산기공학과 78입)

나정환 (화학교육과 54입)

남정현 (건축학과 57입)

류무종 (중어중문학과 53입)

류진 (영어영문학과 78입)

마인경 (지리학과 56입)

민계식 (조선항공학과 61입)

민호기 교수 유가족

박대근 (보건대학원 63입)

박맹호 (불어불문학과 52입)

박민식 middot 박금옥 (수의과대학 65입 middot체육교육과 63입)

박봉균 (수의학과 76입)

박숙희 (지리학과 60입)

박용헌 (교육행정학과 53입)

박용호 (수의학과 74입)

朴麟子(가정관리과 82입) 하상예 박임숙 박순영 박노용

박종근 (전기공학과 69입)

박종수 (수의학과 58입)

박종오 (영어영문학과 55입)

박준 (법학과 73입)

박태진 (독어독문학과 80입)

박한제 (동양사학과 69입)

배옥자 (성심가정의학과의원 원장)

백종철 (농공학과 54입)

백형익

법대 48회 졸업생

변대규 (제어계측공학과 79입)

서문자 (간호학과 63입)

손경식 (법학과 57입)

송상용 (화학과 55입)

송상현 (법학과 59입)

송인철 (SPARC 14기)

송학린 (법학과 59입)

신수정 (기악과 59입)

신영길 (계산통계학과 78입)

신영주 (이남장 대표)

신익현 (임학과 79입)

신효영 middot신승연 (故 신광현 교수의 가족)

신희명 (물리교육과 49입)

신희택 (법학과 71입)

심소일 (상학과 49입)

심재성 (前 성보산업 자문위원)

안영경 (前 핸디소프트 고문)

안창엽 (AMP 68기)

양천식

오세경 (약학과 61입)

오승환 (의학과 56입)

오용호 middot오양호 (행정학과 69입 middot법과대학 80입)

오윤덕 (행정학과 61입)

원재연 (경영학과 82입)

유근순

유성숙 (고고미술사학과 故 김원용 교수의 부인)

윤계섭 (상학과 64입)

윤덕우 (경제학과 58입) middot최덕자

윤석금 (웅진그룹 회장)

윤석순 (수의학과 59입)

윤우석 (에너지자원공학과 63입)

이건우 (기계공학과 74입)

이경식 (불어불문학과 55입)

이광희 (지리학과 59입)

이교일 middot박명진

(기계공학과 60입 middot불어불문학과 65입)

이기춘 (가정교육과 61입)

이명현 middot김귀현 (철학과 60입 middot기악과 69입)

이문한 (수의학과 66입)

이병준 (경제학과 55입)

이성규 (사학과 65입)

이성형 (정치학과 82입)

이순원 (가정교육과 54입)

이순형 (가정관리학과 70입)

이신두 (물리학과 76입)

이예식 (약학과 46입)

이용환 (농업교육과 63입)

이용환 (전기공학과 73입)

이원영 (AMP 6기)

이은방 (약학과 55입)

이장무 (제24대 총장)

이재승 (원자핵공학과 59입)

이정섭

이정섭 (종교학과 04입)

이종덕 (물리학과 62입)

이준용 (경제학과 56입)

이지형 (법과대학 85입)

이찬승 (수학교육과 69입)

이창득 (국어교육과 71입)

이창화 (국어국문학과 64입)

이천만 (영어영문학과 故 이상태의 부)

이철승 (법학과 78입)

이철영 (SPARC 17기)

이현수 (농화학과 60입)

이현재 (경제학과 48입)

이형도 (화학공학과 61입)

이홍표 (의과대학 58입)

임길진 교수 유가족

임동진 (법학과 62입)

임현진 (사회학과 67입)

장세권 (농공학과 70입)

장순영

장용국 (법학과 71입)

장재혁 (역사교육과 80입)

장정훈 (약학대학 65입)

전익찬 (지구환경과학부 94입 故 전재규의 부)

전해종 (동양사학과 47졸)

정달훤 (고고미술사학과 87입 故 정은임의 부)

정영현 (공업화학과 85입 정순욱의 부)

정영호 (생물학과 50입) middot 박양숙

정윤환 (임학과 56입)

정재선 (소비자아동학과 93입)

정재준 (前 경보전기 부회장)

정종곤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조동성 (경영학과 67입)

조병직 (법학과 46입)

조석준 (행정학 57졸)

조영식 (수의학과 80입)

조옥환 (부산교통 대표)

조종수 (건국대학교 교수)

조한영 (상학과 43입)

조형준 (미학과 65입)

주중광 middot 허지영 (약학대학 60입 middot 화학과 66입)

차상균 (전기공학과 76입)

차상균 교수 외 제자 12명

채성기 (원자핵공학과 59입)

채제한 (전기공학부 48입 故 채호석의 자)

천문우 (약학과 61입)

최병오 (AFB 3기)

최재열 (조소과 08입 최민주의 부)

최정욱 (화학공학과 49입)

최창원 (심리학과 83입)

최화형 외 3명

풍원자 (임학과 57입 故 용환운의 부인)

하영구 (무역학과 72입)

한규범 (AMP 42기)

한규환 (기계공학과 68입)

한기준 (의학과 52입)

한상복 (사회학과 56입)

한옥희 (화학과 79입)

한장희 middot김재혜 (행정학과 61입 middot 법학과 61입)

허성도 (중어중문학과 68입)

허영인 (SPC그룹 회장)

현기순 (가정교육과 46입)

현정오 (농생물학과 66입)

현택환 (화학과 83입)

홍경자 (간호학과 62입)

홍계수 (법학과 72입 주경숙의 모)

홍길표 (컴퓨터공학부 홍지명의 부)

홍예표 (치의학과 65입)

홍지준 (화학교육과 74입)

황귀례 (제약학과 故 국채호 교수의 부인)

황재홍 (치의학과 90입)

히로나카 헤이스케 (하버드대 명예교수)

Eduard J Stadelmann (前 미네소타대학 교수)

Ken-ichi Arai (동경대 교수)

Peter S Kim (MIT 교수)

Stanley Choy

거평그룹

건일제약

건화엔지니어링

경남기업

경동송천재단

경암교육문화재단

고려아연

공영토건

과학기술혁신 최고전략과정 23기 일동

과학기술혁신 최고전략과정 24기 일동

관악회

광동제약

교보문고

구원장학재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국방과학연구소

국제종합물류

금호아시아나문화재단

김 middot장 법률사무소

김영사

김정문알로에

까사미아

나산실업

남광토건

남영비비안

넥슨코리아

노키아티엠씨

농어촌희망재단

농우바이오

다이소아성산업

다함넷

단암장학재단

대교

대림대학

대양 EampC

대우기전공업

대우엔지니어링

대우테크

대한수의사회

대한통운

돈암장학회

동방

동방상호신용금고

동부대우전자

동부문화재단

동서식품

동아건설산업

동아제약

동양강철

동철문화재단

동화산업장학재단

두을장학재단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롯데관광

롯데쇼핑

매트바이오테크

메디슨

몬산토코리아

미래에셋

미래와도전

미래의동반자재단

민음사

바이로메드

방송문화진흥회

방일영문화재단

법대 39회 동문 일동

법대 84학번 동기회

법대 85학번 동기회

법대최고지도자과정 8기 일동

법대최고지도자과정 10기 일동

법무법인 광장

법무법인 바른

법무법인 세종

법무법인 율촌

법무법인 케이씨엘

법무법인 태평양

법무법인 화우

부경양돈협동조합

비씨카드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동문회

삼양

삼우종합건축사무소

삼일회계법인

삼전순약공업

삼호개발

삼화모터스

상암에너지

상지상사

상진개발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글로벌리더쉽과정

서울대합창단 동문회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석원산업

성남시장학회

성련장학재단

세무법인 조이

세진에프알에스

송우재단

수경출판사

수암장학문화재단

수의과대학 교수 일동

스키부 동문회 일동

시뮬레이션테크

신라교역

신라문화장학재단

신양머그

신한장학재단

썬텍

아모레퍼시픽

아산사회복지재단

안성농장

알앤엘바이오

애드미션

앨트웰민초장학재단

약학교육연수원 이수자 일동

양지농장

영림임업

오뗄

오뚜기재단

오리엔트이엔지

오리온전기

오성엘에스티

와이비엠시사

용운장학회

우덕재단

유기천교수기념사업출판재단

유신

유티씨인베스트먼트

유한재단

유한킴벌리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음악대학 피아노발전기금후원회

이지바이오

인선문화재단

인촌기념회

인탑스

일동제약

일동후디스

일주학술문화재단

재단법인 대우재단

재단법인 정민

재미서울대총동창회

전국은행연합회

정공산업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정수장학회

정헌재단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져스텍

종근당

종로구장학회

좋은책신사고

진생사이언스

진양제약

참존

창강재단

창진영농조합법인

천만장학회

천수기업

천연물과학연구소 교수 일동

천재교육

청합장학회

최고경영자과정 총동창회

최고산업전략과정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middot

미래지도자인문학과정(IFP)

케이씨텍

코스맥스

코오롱

트러스톤자산운용

특수건설

패션그룹형지

포니정장학재단

포휴먼

풀무원

풍산

플라톤아카데미

피에스케이

하나제약

한국간연구재단

한국거래소

한국금융투자협회

한국무역협회

한국문화진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산업은행

한국세포주연구재단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알콜산업

한국외국인학교

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전파기지국

한국증권금융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한국타이어

한국투자신탁운용

한국투자증권

한산이씨양도공파설서공종중

한샘출판

한수통상

해나천연물신약

해성장학회

해태

행정대학원 정보통신과정

현대차 정몽구 재단

현대카드

현대캐피탈

현동장학회

현송교육문화재단

홈플러스e파란재단

효성그룹

휴맥스

AMP 63기 일동

AMP 64기 일동

AMP 65기 일동

AMP 66기 일동

AMP 67기 일동

AMP 68기 일동

AMP 69기 일동

AMP 70기 일동

AMP 71기 일동

AMP 72기 일동

AMP 73기 일동

AMP 74기 일동

AMP 75기 일동

AMP 76기 일동

AMP 77기 일동

AMP 78기 일동

ASSET PLUS투자자문

E1

Eyagi(이야기) CAFE

Goldman Sachs

KDB대우증권

KRX국민행복재단

KTB투자증권

LG연암문화재단

NCSOFT

NHN

NXC

OB맥주

Qualcomm

SECMCA

SIMPAC ANC

SK CampC

SNU 프리시젼

S-Oil

SPARC 15 middot16 middot17 middot18기 일동

1억 원 이상 출연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LG삼성 한국전력공사SK

포스코 웅진한화농업협동조합중앙회

KT 부영신한금융 현대자동차

SPC IBK기업은행

태영현대 금호아시아나롯데장학재단

CJ 대림두산 한진

우리금융 미래국제재단

50억 원 이상 출연

조천식정치학과 45입

윤대섭농공학과 49입

100억 원 이상 출연

정석규화학공학과 48입

이용희태광사 회장

김정식 전자공학과 48입

유회진기계설계학과 78입

SNU Hono r C l ubDONATION

SNU Gold Honors Club

홍성대수학과 57입

이기영前 의대 교수

최창영금속공학과 64입

박영희수학교육과 54입

손장순불어불문학과 54입

유태용토목공학과 50입

김명희middot신정희기악과 91입 김형찬의 모

이필남 박상윤 윤전수middot이삼락

김연혁히로세코리아 감사

서정선의학과 70입

전은기middot김은희 백추현 곽영필토목공학과 56입

박완서의 상속인호원숙 호원순 호원경 호원균

이순자불어불문학과 57입

손동준전자공학과 59입

윤종용전자공학과 62입

정덕균전자공학과 77입

강옥채middot노병수공법학과 83입

민선식경제학과 78입

박병준섬유공학과 52입

서울대학교총동창회

양두석독어독문학과 69입

양윤홍전자공학과 63입

대우 카길애그리퓨리나 동진쎄미켐 하나금융지주

동원 동양 KB금융지주 대우조선해양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대성 로이드선급협회 아시아일진

한국가스공사 녹십자 생명보험협회 현대중공업

메가스터디 TOYOTA MOTOR CORP SK하이닉스 서울장학재단

STX 농심 무한투자 이연제약

대우인터내셔널 송원김영환장학재단 형애장학회 신풍제약

10억 원 이상 출연

현대산업개발

스페코middot삼익악기

영원무역

쌍용양회공업

영원아웃도어

환인제약 주식회사

한국프뢰벨

37 36

춘강문화장학재단 (박성형 이사장)

허성도 (인문대학 명예교수)

형남진장학재단 (이정희 이사장)

강남구청

김형렬 (윤리교육과 교수)

공병영 (사무국장middot시설관리국장)

신흥 (이용익 대표이사)

서영길 (광산학과 53입)

일중장학재단 (송윤영 이사장)

금곡장학회 (이수상 이사장)

덕원장학회 (이헌경 이사장)

강현구 (건축학과 교수)

김명환 (조선해양공학과 75입)

김영수 (법과대학 60입)

김영운 (재료공학부 교수)

서강문 (동물병원 원장)

서동규 (경영학과 84입)

송희영 (영어영문학과 74입)

이근무 (사회학과 56입)

이재호 (경영학과 84입)

주식회사 KTampG 남서울본부 (박정욱 본부장)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박기용 이사장)

가송재단 (윤도준 이사장)

강스템바이오텍 (강경선 대표이사)

유한회사 본음인베스트먼트

이진경 (전국낙지자랑 대표)

주리아 (치과대학 04입)

한승장학회 (이재영 이사장)

키움증권 (권용원 대표이사)

협성문화재단 (박석귀 이사장)

윤상혁 (디자인학부 03입)

GS칼텍스 (허동수 대표이사 회장)

권규돈 (중어중문학과 13입 권기범의 부)

김경준 (농경제학과 82입)

김용팔 (수의과대학 75입)

김재홍 (수의학과 교수)

김진태 (법학과 71입)

문대원 (경영학과 71입)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오근택 대표이사)

박세창 (수의학과 교수)

산학협동재단 (한덕수 이사장)

선암장학재단 (윤호철 이사장)

성제경 (수의학과 교수)

송재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우광덕 (치과대학 64입)

유기윤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유한상 (수의학과 교수)

윤여성 (수의학과 교수)

윤정희 (수의학과대학 부학장)

윤화영 (수의학과 교수)

이건목원리한방병원 (이건목 원장)

이소영 (수의학과 교수)

이항 (수의학과 교수)

이희근 (공과대학 명예교수)

조무제 (법학과 65입)

조성범 (수의학과 교수)

조제열 (수의학과 교수)

중앙백신연구소 (윤인중 대표이사)

지티앤티 (이세한 대표이사)

채찬희 (수의학과 교수)

태평소금 (손일선 회장)

한호재 (수의학과 교수)

해마루 (김현욱 원장)

황인구 (수의학과 교수)

조선에듀케이션 (방정오 대표이사)

강진영 (의학과 69입)

김정기 (법학과 75입)

박달이 (간호대학 74입)

박재완

사회복지법인 건아재단 (심철환 이사장)

손정식 (제약학과 73입)

윤재석 (화학교육과 71입)

이도환 (치의학과 86입)

이동식 (영어교육과 72입)

홍기택 (경영학과 74입)

KT (황창규 대표이사 회장)

LG PC 유지보수센터 (박무광 대표이사)

광주시민장학회 (박기준 이사장)

박영임 (간호학과 73입)

사명희치과 (사명희 원장)

연당장학회 (남욱 회장)

우정장학문화재단 (강백영 이사장)

제노에너지 (김성철 대표이사)

신우호 (화학교육과 87입)

이병욱 (조경학과 81입)

정혜선 (간호학과 82입)

허종필 (공업화학과 73입)

권길주 (조선해양공학과 11입 정지원의 모)

권혜숙 (약학과 82입)

김미영 (간호학과 98입)

김범진 (턱교정학고급연수과정 6기)

김성열 (교육학과 75입)

김우진 (국악과 73입)

녹십자수의약품 (김승목 대표이사)

덕영재단 (전헬리시아 이사장)

류제하 (기계공학과 78입)

문수자동판매기 (김영식 대표)

민기복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민동홍 (독어독문학과 77입)

박종철 (물리학과 61입)

설재연 (심리학과 82입)

송은도 (국악과 01입)

유차영 (ASP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 12기)

신우개발 서울지점 (김익환 사장)

신하순 (동양화과 교수)

안석준 (치의과대학원 부원장

안휘준 (인문대학 명예교수)

양민영 (협동과정 미술교육전공 94입)

양형식 (자원공학과 75입)

옥복연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07입)

우경미 (치의학대학원 교수)

우성공원묘원 (허정산 대표)

우성원 (미학과 95입)

월악장학문화재단 (남기영 이사장)

유건선 (토목공학과 73입)

유흥수 (법학과 58입)

윤희정 (수의학과 교수)

이대혁 (자원공학과 87입)

이병천 (수의학과 교수)

이상돈 (에너지자원공학과 84입)

이승주 (치의학과 92입)

이시우 (의예과 95입)

이용규 (경영학과 84입)

이정인 (공과대학 명예교수)

이희석 (농생물과 57입)

임종후 (서양화과 12입 임지윤의 부)

임한조 (물리학과 67입)

전석원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정소걸 (자원공학과 71입)

정지훈 (치의학과 교수)

조경란 (법학과 79입)

조기웅 (화학과 66입)

조현욱 (사법학과 83입)

최명애 (회화과 70입)

최정욱 (경영학과 84입)

최종길 (법과대학 83입)

하종철 (동양화과 13입 하문원의 부)

한공창 (자원공학과 72입)

한국지하수지열협회 (안근묵 회장)

허형무 (경영대학 68입)

미주재단

Steve Ro (토목공학과 61입)

Soung Kim (임학과 56입)

Joong M Soh (공과대학 64입)

John Baek (금속공학 49입)

Hyunchan Lee (치과대학 70입)

Steve amp Cheryl Shapiro

Kwang S Hong (공과대학 60입)

Moon H Kim (공과대학 68입)

David Cho (공과대학 60입)

Dong Ku Chung (기계공학과 57입)

Sang Dae Lee (농업생명과학대학 80입)

Young D Kim (공과대학 67입)

AMP 78기 일동

삼성복지재단 (이수빈 이사장)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한국세포주연구재단

SK하이닉스 (박성욱 대표이사 사장)

패션그룹형지 (최병오 회장)

한국수력원자력 (조석 사장)

형애장학회 (최효종 이사장)

송원김영환장학재단 (김해련 이사장)

사회복지법인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이기수 이사장)

SECMCA

TOYOTA MOTOR CORP

(요시다 아키히사 대표이사 사장)

권욱현 (공과대학 명예교수)

네이버 (김상헌 대표이사)

부경양돈협동조합 (박재민 조합장)

안인희

전국경제인연합회 (허창수 회장)

현송교육문화재단 (김정일 이사장)

롯데장학재단 (신영자 이사장)

일주학술문화재단 (이선애 이사장)

현대차 정몽구 재단 (유영학 이사장)

박미혜 (성악과 교수)

LG연암문화재단 (구자경 이사장)

KeyGene (Arjen van Tunnen CEO)

아산사회복지재단 (정몽준 이사장)

천만장학회 (이광현 이사장)

방일영문화재단 (조연흥 이사장)

AMP 77기 일동

신라문화장학재단 (박준형 이사장)

SBS문화재단 (윤세영 이사장)

김만극 (약학과 47입)

아이바이오 (김기일 대표이사)

현대엔지니어링 (김위철 대표이사)

종근당고촌재단 (김두현 이사장)

정수장학회 (김삼천 이사장)

Kensary LLP

앨트웰민초장학재단 (김박 이사장)

한국동서발전 (장주옥 사장)

한화갤러리아 (박세훈 대표이사)

한화생명보험 (차남규 대표이사 사장)

한화손해보험 (박윤식 대표이사)

한화첨단소재 (김창범 대표이사)

한화투자증권 (주진형 대표이사 사장)

KEILCO(KEPCO ILJAN CORPORATION)

연강재단 (박용현 이사장)

창강재단 (안병표 이사장)

경기도 인재개발원 (박익수 원장)

대림수암장학문화재단 (변형윤 이사장)

청합장학회 (여상길 회장)

한빛종합동물병원 (임정식 원장)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716900000

364863690

317560000

250000000

220000000

200000000

200000000

150000000

142103500

140000000

139583000

13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98538000

89942000

82426000

70000000

67509000

67500000

62989000

59929000

59208000

53720000

51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44302000

42076000

40918000

40273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39677688

39035000

37244000

37068000

34780000

31047000

31000000

30300600

박종오 (영어영문학과 55입)

이상복 (ABKI문헌지식정보최고위과정 5기)

이상억 (인문대학 명예교수)

한화 (심경섭 대표이사)

한화건설 (김현중 부회장)

한화자산운용 (강신우 대표이사)

한화케미칼 (방한홍 대표이사)

한화호텔앤드리조트 (홍원기 대표이사)

오뚜기재단 (함태호 이사장)

유한재단 (이필상 이사장)

영원무역 (성기학 대표이사 회장)

서울대합창단동문회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전병원 이사장)

국가정책과정(ACAD) 77기 일동

배영수 (서양사학과 교수)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최윤 회장)

몬산토코리아유한회사

(벤자민 마크 후드리스 대표이사)

성련장학재단 (허연금 이사장)

고광우 (행정학과 53입)

김철수 (법과대학 명예교수)

대한적십자사 (유중근 총재)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성기학 이사장)

임현진 (사회과학대학 명예교수)

장문영 (화학과 59입)

재단법인 양영재단 (김상하 이사장)

조유근 (컴퓨터공학부 교수)

두을장학재단 (이인희 이사장)

과천시애향장학회 (신학수 이사장)

서울장학재단 (이경희 이사장)

왕한석 (인류학과 교수)

포니정장학재단 (정몽규 이사장)

조용준 (법학과 79입)

농어촌희망재단 (김달웅 이사장)

경동송천재단 (류덕희 이사장)

농생대 환경재료과학 교수일동

주식회사 천랩 (천종식 대표이사)

돈암장학회 (이용배 이사장)

인선문화재단 (박선영 이사장)

단암장학재단 (이봉서 이사장)

치과대학 치의학대학원 동창회

흥한재단 (박병석 이사장)

선화예술문화재단 (심재혁 대표)

한국미즈노 주식회사 (김창범 대표이사)

곽노섭 (수학과 49입)

19대 인문대 학장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김은선 (디자인학부 13입 조은지의 모)

서광훈 (약학대학 67입)

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ASP) 27기 동문

송재용 (경영학과 교수)

수도씨에이씨 (송명호 대표이사)

신한화구 (한봉근 대표)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28436000

27942000

26000000

24210000

24041200

23994234

22500000

20724000

20500000

20274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18779000

17973600

17934000

17600000

17050000

17000000

165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4000000

14000000

13500000

12000000

12000000

11602000

11102610

10281624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이앤티 (고영호 대표이사)

재단법인 정민 (윤석헌 이사장)

제11기 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천병년 (약학과 77입)

최민철 (농공학과 75입)

현대하이스코 (신성재 대표이사)

황효진 (동양사학과 78입)

대한사료주식회사 (이상민 대표이사)

해성문화재단 (단재완 이사장)

한국가스공사 (장석효 사장)

장석윤 (약학과 79입)

한국석유공사 (서문규 사장)

종로구장학회 (최현종 이사장)

동부문화재단 (강경식 이사장)

인촌기념회 (이용훈 이사장)

용옥장학문화재단 (양철우 이사장)

미래의동반자재단 (Jeffrey D Jones 이사장)

성옥문화재단 (이화일 이사장)

다래파크텍 (김호정 대표이사)

미래인재육성재단 (최양식 이사장)

고화장학회 (배명인 이사장)

한국애질런트테크놀로지스 (박시영 대표)

이재원 (중앙도서관 정보관리과)

리브로 (김경수 대표이사)

오운문화재단 (이동찬 이사장)

조비경농장학재단 (이병만 이사장)

오스템임플란트 (최규옥 대표이사)

한국섬유산업연합회장학재단 (노희찬 이사장)

아카넷 (김정호 사장)

삼송장학회 (김영기 이사장)

서지희 (IFP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11기)

김지호

서울상공회의소 관악구상공회 (김진철 회장)

송파재단 (윤원영 이사장)

김영윤 (토목공학과 62입)

로보로보 (장창남 대표이사)

류판동 (수의과대학장)

모르페우스 (김진수 대표이사)

박윤서 (고고인류학과 69입)

박찬국 (철학과 교수)

송인석 (치의학과 01입)

시그나사회공헌재단 (홍봉성 이사장)

신남식 (수의학과 교수)

약학대학 40회 동기회

와이비엠 (민선식 대표이사)

이필상 (경제학부 교수)

한국경제연구원 (권태신 원장)

황만순 (제약학과 90입)

운경재단 (배성동 이사장)

제봉민병욱장학재단

심명문화재단 (이경재 이사장)

홍산장학재단 (천영주 이사장)

홍수현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9730000

9528000

9140000

9000000

9000000

8690000

8525000

8525000

8178000

8112000

7963000

7928068

7713000

7500000

7000000

6950000

6919590

6058000

6010000

6000000

6000000

5700000

5400000

5357143

5100000

5100000

5089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4934000

4734000

4527000

4500000

4462280

4000000

4000000

4000000

3956000

3862000

3600000

3500000

3029000

3029000

3005000

3005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2706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467000

2467000

22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1865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5145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431445

1221251

1210000

108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단위 $

100000

10000

5000

3000

500

500

200

200

100

100

100

100

20140601 ~ 20140831 약정 단위 원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약정DONATION

39 38

김형렬 (윤리교육과 교수)

이정진 (기계항공공학부 95입)

신흥 (이용익 대표이사)

이창우 (경영학과 교수)

서영길 (광산학과 53입)

일중장학재단 (송윤영 이사장)

금곡장학회 (이수상 이사장)

덕원장학회 (이헌경 이사장)

강현구 (건축학과 교수)

김명환 (조선해양공학과 75입)

김영수 (법과대학 60입)

김영운 (재료공학부 교수)

김종원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김진학 (도시환경최고전문가과정 29기)

박훈 (기계공학과 63입)

서강문 (동물병원 원장)

서동규 (경영학과 84입)

송재홍 (농화학과 83입)

송희영 (영어영문학과 74입)

신남식 (수의학과 교수)

이규선 (조경middot지역시스템공학부 13입 이성용의 부)

이봉호 (치의예과 84입)

이재호 (경영학과 84입)

전병롱 (정책학과 10입 전상우의 부)

전호석 (기계설계학과 71입)

주식회사 KTampG 남서울본부 (박정욱 본부장)

최황 (의과대학 명예교수)

황철성 (재료공학부 교수)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박기용 이사장)

가송재단 (윤도준 이사장)

강스템바이오텍 (강경선 대표이사)

오이코스 (배장영 대표이사)

유한회사 본음인베스트먼트

이진경 (전국낙지자랑 대표)

한승장학회 (이재영 이사장)

윤용혁 (독어교육과 60입)

키움증권 (권용원 대표이사)

협성문화재단 (박석귀 이사장)

이강이 (아동가족학과 교수)

윤상혁 (디자인학부 03입)

윤화영 (수의학과 교수)

GS칼텍스 (허동수 대표이사 회장)

권규돈 (중어중문학과 13입 권기범의 부)

김경준 (농경제학과 82입)

김용팔 (수의과대학 75입)

김재홍 (수의학과 교수)

김진태 (법학과 71입)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이재술 대표이사)

문대원 (경영학과 71입)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오근택 대표이사)

박세창 (수의학과 교수)

산학협동재단 (한덕수 이사장)

선암장학재단 (윤호철 이사장)

성제경 (수의학과 교수)

송재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우광덕 (치과대학 64입)

유기윤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유한상 (수의학과 교수)

윤여성 (수의학과 교수)

윤정희 (수의학과 교수)

이건목원리한방병원 (이건목 원장)

이동진 (교무처 학사과)

이소영 (수의학과 교수)

이인숙 (간호대학 교수)

이항 (수의학과 교수)

이희근 (공과대학 명예교수)

조무제 (법학과 65입)

조성범 (수의학과 교수)

조제열 (수의학과 교수)

주식회사 오공 (김윤정 대표이사)

중앙백신연구소 (윤인중 대표이사)

지티앤티 (이세한 대표이사)

채찬희 (수의학과 교수)

태평소금 (손일선 회장)

한호재 (수의학과 교수)

해마루 (김현욱 원장)

황인구 (수의학과 교수)

조선에듀케이션 (방정오 대표이사)

사회복지법인 건아재단 (심철환 이사장)

KT (황창규 대표이사 회장)

광림교회 (김정석 담임목사)

광주시민장학회 (박기준 이사장)

김기원 (AIP최고산업전략과정 38기)

김상은 (융합과학부 교수)

김혜원 (간호학과 교수)

박종근 (전기공학과 교수)

서병태 (의학과 54입)

송경희 (국악과 59입)

연당장학회 (남욱 회장)

오유경 (약학대학 부학장)

우정장학문화재단 (강백영 이사장)

임현주 (약학과 82입)

전상직 (작곡과 교수)

주리아 (치과대학 04입)

한국마쯔다니 (유태균 대표이사)

홍영표 (GLP글로벌리더십과정 21기)

신우호 (화학교육과 87입)

류판동 (수의과대학장)

이병욱 (조경학과 81입)

김용백 (수의학과 교수)

김종암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정혜선 (간호학과 82입)

강부현 (수의학과 72입)

권길주 (조선해양공학과 11입 정지원의 모)

권혜숙 (약학과 82입)

김경대 (치의학과 82입)

김미영 (간호학과 98입)

김범진 (턱교정학고급연수과정 6기)

김성열 (교육학과 75입)

김종흔 (경영대학 92입)

김현산 (법과대학 54입)

녹십자수의약품 (김승목 대표이사)

덕영재단 (전헬리시아 이사장)

문수자동판매기 (김영식 대표)

민기복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민동홍 (독어독문학과 77입)

박병익 (지리교육과 교수)

박종철 (물리학과 61입)

설재연 (심리학과 82입)

송은도 (국악과 01입)

유차영 (ASP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 12기)

신우개발 서울지점 (김익환 사장)

신하순 (동양화과 교수)

안석준 (치의과대학원 부원장

안휘준 (인문대학 명예교수)

양민영 (협동과정 미술교육전공 94입)

양형식 (자원공학과 75입)

옥복연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07입)

우경미 (치의학대학원 교수)

우성공원묘원 (허정산 대표)

우성원 (미학과 95입)

월악장학문화재단 (남기영 이사장)

유건선 (토목공학과 73입)

유흥수 (법학과 58입)

윤희정 (수의학과 교수)

이기윤 (정치학과 88입)

이대혁 (자원공학과 87입)

이병천 (수의학과 교수)

이상돈 (에너지자원공학과 84입)

이승주 (치의학과 92입)

이시우 (의예과 95입)

이은수 (서울대운동용품 대표)

이정인 (공과대학 명예교수)

임종후 (서양화과 12입 임지윤의 부)

정소걸 (자원공학과 71입)

정지훈 (치의학과 교수)

조경란 (법학과 79입)

조기웅 (화학과 66입)

조현욱 (사법학과 83입)

최명애 (회화과 70입)

최정욱 (경영학과 84입)

최종길 (법과대학 83입)

최해영 (경영대학 행정실)

하종철 (동양화과 13입 하문원의 부)

한공창 (자원공학과 72입)

한국지하수지열협회 (안근묵 회장)

허형무 (경영대학 68입)

미주재단

Steve Ro (토목공학과 61입)

Soung Kim (임학과 56입)

Joong M Soh (공과대학 64입)

John Baek (금속공학 49입)

Hyunchan Lee (치과대학 70입)

Steve amp Cheryl Shapiro

Kwang S Hong (공과대학 60입)

Moon H Kim (공과대학 68입)

David Cho (공과대학 60입)

Dong Ku Chung (기계공학과 57입)

Sang Dae Lee (농업생명과학대학 80입)

Young D Kim (공과대학 67입)

서울대학교병원 (오병희 병원장)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이철희 병원장)

SK가스 (최창원 부회장)

AMP 78기 일동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윤강섭 병원장)

삼성전자 (권오현 대표이사 부회장)

SK하이닉스 (박성욱 대표이사 사장)

삼성복지재단 (이수빈 이사장)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한국세포주연구재단

하나제약 (조경일 회장)

코스맥스 (이경수 대표이사 회장)

패션그룹형지 (최병오 회장)

서울대학교총동창회 (서정화 회장)

한국수력원자력 (조석 사장)

형애장학회 (최효종 이사장)

송원김영환장학재단 (김해련 이사장)

사회복지법인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이기수 이사장)

TOYOTA MOTOR CORP

(요시다 아키히사 대표이사 사장)

권욱현 (공과대학 명예교수)

네이버 (김상헌 대표이사)

현송교육문화재단 (김정일 이사장)

롯데장학재단 (신영자 이사장)

일주학술문화재단 (이선애 이사장)

현대차 정몽구 재단 (유영학 이사장)

LG연암문화재단 (구자경 이사장)

SECMCA

아산사회복지재단 (정몽준 이사장)

천만장학회 (이광현 이사장)

방일영문화재단 (조연흥 이사장)

AMP 77기 일동

신라문화장학재단 (박준형 이사장)

KRX국민행복재단 (최경수 이사장)

SBS문화재단 (윤세영 이사장)

김만극 (약학과 47입)

농우바이오 (정용동 유연희 대표이사)

안인희

전국경제인연합회 (허창수 회장)

정윤환 (임학과 56입)

현대엔지니어링 (김위철 대표이사)

세진에프알에스 라쿠치나 서울대점 (장재훈 대표이사)

재단법인 웅진 (신현웅 이사장)

종근당고촌재단 (김두현 이사장)

정수장학회 (김삼천 이사장)

Kensary LLP

앨트웰민초장학재단 (김박 이사장)

주중광 허지영 (약학대학 60입 화학과 66입)

한국동서발전 (장주옥 사장)

한화갤러리아 (박세훈 대표이사)

한화생명보험 (차남규 대표이사 사장)

한화손해보험 (박윤식 대표이사)

한화첨단소재 (김창범 대표이사)

한화투자증권 (주진형 대표이사 사장)

KEILCO(KEPCO ILJAN CORPORATION)

연강재단 (박용현 이사장)

창강재단 (안병표 이사장)

경기도 인재개발원 (박익수 원장)

대림수암장학문화재단 (변형윤 이사장)

이상억 (인문대학 명예교수)

1432968520

1147748270

1000000000

716900000

615220390

600000000

560000000

364863690

317560000

250000000

220000000

210000000

200000000

200000000

166000000

150000000

142103500

140000000

139583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98538000

89942000

82426000

67509000

66598412

62989000

59929000

59208000

53720000

51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49800000

46522180

44302000

42076000

40918000

40273000

40204972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39677688

39035000

37244000

37068000

34780000

31800000

청합장학회 (여상길 회장)

한빛종합동물병원 (임정식 원장)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두산 (박용만 대표이사 회장)

송미순 (간호학과 교수)

이상복 (ABKI문헌지식정보최고위과정 5기)

한화 (심경섭 대표이사)

한화건설 (김현중 부회장)

한화자산운용 (강신우 대표이사)

한화케미칼 (방한홍 대표이사)

한화호텔앤드리조트 (홍원기 대표이사)

오뚜기재단 (함태호 이사장)

재단법인 최혁영 장학회 (최혁영 회장)

유한재단 (이필상 이사장)

영원무역 (성기학 대표이사 회장)

부경양돈협동조합 (박재민 조합장)

져스텍 (김용일 대표이사)

서울대합창단동문회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전병원 이사장)

국가정책과정(ACAD) 77기 일동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최윤 회장)

몬산토코리아유한회사

(벤자민 마크 후드리스 대표이사)

성련장학재단 (허연금 이사장)

고광우 (행정학과 53입)

대한적십자사 (유중근 총재)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성기학 이사장)

임현진 (사회학과 교수)

재단법인 양영재단 (김상하 이사장)

조유근 (컴퓨터공학부 교수)

두을장학재단 (이인희 이사장)

과천시애향장학회 (신학수 이사장)

서울장학재단 (이경희 이사장)

왕한석 (인류학과 교수)

포니정장학재단 (정몽규 이사장)

조용준 (법학과 79입)

농어촌희망재단 (김달웅 이사장)

경동송천재단 (류덕희 이사장)

김신원 (응용화학과 64입)

농생대 환경재료과학 교수일동

주식회사 천랩 (천종식 대표이사)

돈암장학회 (이용배 이사장)

인선문화재단 (박선영 이사장)

단암장학재단 (이봉서 이사장)

치과대학 치의학대학원 동창회

흥한재단 (박병석 이사장)

선화예술문화재단 (심재혁 대표)

한국미즈노 주식회사 (김창범 대표이사)

곽노섭 (수학과 49입)

19대 인문대 학장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김은선 (디자인학부 13입 조은지의 모)

바텍 (노창준 대표이사)

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ASP) 27기 동문

수도씨에이씨 (송명호 대표이사)

신한화구 (한봉근 대표)

이앤티 (고영호 대표이사)

장문영 (화학과 59입)

제11기 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조경일 (약학대학 64입)

주식회사 명진팜 (권기진 대표이사)

31047000

31000000

303006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28436000

28081000

27942000

26000000

25000366

25000000

24210000

24041200

23994234

20724000

20500000

20274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18779000

17973600

17934000

17600000

17050000

17000000

165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4000000

14000000

13500000

12000000

12000000

11602000

11102610

10281624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천병년 (약학과 77입)

최민철 (농공학과 75입)

현대하이스코 (신성재 대표이사)

황효진 (동양사학과 78입)

대한사료주식회사 (이상민 대표이사)

해성문화재단 (단재완 이사장)

한국가스공사 (장석효 사장)

김춘길 (화학생물공학부 58입)

애드미션 (김유탁 대표이사)

종로구장학회 (최현종 이사장)

동부문화재단 (강경식 이사장)

인촌기념회 (이용훈 이사장)

용옥장학문화재단 (양철우 이사장)

미래의동반자재단 (Jeffrey D Jones 이사장)

김영윤 (토목공학과 62입)

성옥문화재단 (이화일 이사장)

다래파크텍 (김호정 대표이사)

미래인재육성재단 (최양식 이사장)

고화장학회 (배명인 이사장)

이재원 (중앙도서관 정보관리과)

리브로 (김경수 대표이사)

오운문화재단 (이동찬 이사장)

조비경농장학재단 (이병만 이사장)

박지향 (중앙도서관장)

오스템임플란트 (최규옥 대표이사)

한국섬유산업연합회장학재단 (노희찬 이사장)

한옥희 (화학과 79입)

아카넷 (김정호 사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정기택 원장)

삼송장학회 (김영기 이사장)

서지희 (IFP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11기)

김지호

서울상공회의소 관악구상공회 (김진철 회장)

박찬국 (철학과 교수)

송파재단 (윤원영 이사장)

김재길 (법학과 56입)

로보로보 (장창남 대표이사)

모르페우스 (김진수 대표이사)

박성경 정성창 (치의학과 96입)

박윤서 (고고인류학과 69입)

서용석 (상학과 46입) 정재원

송인석 (치의학과 01입)

송재용 (경영학과 교수)

시그나사회공헌재단 (홍봉성 이사장)

약학대학 40회 동기회

와이비엠 (민선식 대표이사)

이필상 (경제학부 교수)

한국경제연구원 (권태신 원장)

황만순 (제약학과 90입)

운경재단 (배성동 이사장)

제봉민병욱장학재단

심명문화재단 (이경재 이사장)

홍산장학재단 (천영주 이사장)

홍수현

박미혜 (성악과 교수)

박영아 (물리학과 79입)

최동하 (농경제학과 71입)

춘강문화장학재단 (박성형 이사장)

허성도 (인문대학 명예교수)

형남진장학재단 (이정희 이사장)

강남구청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9730000

9528000

9140000

9000000

9000000

8690000

8525000

8525000

8178000

8112000

8000000

7963000

7928068

7713000

7500000

6950000

6919590

6058000

6010000

6000000

6000000

6000000

6000000

5700000

5556000

5400000

5357143

5100000

5100000

5090000

5089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4934000

4734000

4527000

4500000

446228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3956000

3862000

3750000

3500000

3120000

3029000

3029000

3005000

3005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2706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467000

2467000

2467000

2400000

2230000

215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1865000

1800000

15145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431445

1300000

1275251

1260000

1200000

106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단위 $

100000

10000

5000

3000

500

500

200

200

100

100

100

100

단위 원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20140601 ~ 20140831 출연

출연DONATION

40

서울대학교는 기부금을 출연한 후원인에게 더욱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국내 최고 수준의 의

료서비스를 자랑하는 서울대학교병원 이용 예우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으며 서울대학교병원 후원인

라운지에 상주하는 전담 직원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후원자 중 추가 진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본원 또는 분당 서울대학교병원과의 즉각

적인 연계가 가능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 본원 조윤지 | Tel 02-2272-2750 E-mail sosunolovesnuackr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강수정 | Tel 031-787-1915 E-mail c8541snubhorg

(재)서울대학교발전기금 김종희 | Tel 02-871-1633 E-mail p2727snuackr

bull병원 예우 담당자

bull서울대학교병원 예우 서비스 이용 안내

예약대행 서비스 | 진료 및 입원 예약 대행 병원 측과 협의 후 예약일자 결정

의전 서비스 | 진료middot입원middot응급실 이용 편의를 위해 예우 담당자가 직접 안내

종합건강검진 주선 서비스(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bull서울대학교병원 예우 서비스 내용

지원 자격 활동 기간

bull경제적 지원이 필요한 학생

(건강보험료 기준) 우선 선발

bull성적 45만점 환산 30 이상

lsquo 새싹 멘토링rsquo은 빈곤의 대물림을 막기 위한 자선 봉사활동으로

전국 국공립대학의 우수한 학생이 저소득층 중middot고등학생의

학습을 도우며 장학금을 받는 프로그램입니다

bull최소 6개월~12개월

bull활동 실적에 따라 졸업 시까지

연차적으로 기회 부여

새싹멘토링의

멘토가

되어주세요

bull전화 02-880-1593(새싹 멘토링 서울대학교 본부) bull팩스 02-780-2647(미래국제재단 여의도 본사)

bull이메일 mifsnuhanmailnet 새싹 멘토링 지원 방법 문의 시 상세히 안내해드립니다

서울대학교와 미래국제재단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봉사활동에 학생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다립니다

기부인의 따뜻한 마음에

다양한 혜택의 예우 서비스로

보답합니다

출연 기금 진료예약 의전 서비스 종합건강검진 주선

50억 이상 평생 평생 연 1회(평생 프리미엄 검진)

10억 이상 평생 10년 연 1회(평생)

5억 이상

1억 원당 1년(기한)

5년

1억 원당 연 1회(기한)3억 이상 3년

1억 이상 1년

서울대학교병원 본원 후원인 전담 직원이 진료 예약 및 의전 서비스까지 친절하게 안내해 드립니다

문의처 병원 후원인 라운지(본관 3층) 또는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후원인 전담 직원이 진료 예약 및 의전 서비스까지 친절하게 안내해 드립니다

문의처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또는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강남센터와의 즉각적인 연계를 통해 강남센터 상담 직원이 후원자 여러분께 상담 전화를 드립니다

문의처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기부인 예우 프로그램DONATION

SeoulNational University

151-742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1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

T 02-880-5114 F 02-885-5272wwwsnuackr

C o v e r S t o r y

과학자의 공식

좋은 연구를 하겠다는 신념으로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걸어온 사람

miRNA 분야의 세계적인 개척자 김빛내리 교수다

그녀는 노벨상 수상에 가장 근접한 국내 과학자로 꼽힌다

도전과 실패 인내를 거듭하며 세계적인 과학자 반열에 오르기까지

그녀의 행보를 통해 성공과 신뢰 만족을 얻는 인생 공식을 알아본다

Page 7: SNU Magazine Vol. 38 › new › wp-content › uploads › 2015 › 12 › snu_people... · 2016-01-30 · 우수 연구자 시리즈 10 유상렬 농생명공학부 교수 06 선배와의

11 10

주목할만한 인재PEOPLE

한국으로 온 계기

레오나르도 학구적인 분위기에서 공부하고 싶었습니다 브라질

에 있을 때 친구들이 공부를 소홀히 하는 모습에 스트레스를 많

이 받았거든요 한국의 교육에 관한 뉴스를 보면서 유학하고 싶

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케이타 일본에서 한국어와 한국 역사에 대해 배웠습니다 지도

교수님도 한국 분이셨고 자연스레 이곳에서 공부하고 싶다는 생

각을 했습니다 학창 시절을 외국에서 보내며 한국 친구들을 많

이 사귄 것도 유학을 결정하는 데 한몫 했습니다

유학 오기 전 걱정했던 부분

케이타 한일관계에 대해 걱정을 많이 했습니다 한국인처럼 생

겨서 그런가 막상 생활해보니 아무 일도 없었지만요(웃음) 적대

감은 정치에만 해당되는 것 같아요 가끔 친구랑 한국어로 얘기

하며 걸어가면 누가 한국인인지 일본인인지 모를 정도로 위화감

이 없습니다

레오나르도 걱정이 전혀 없었습니다 한국은 브라질보다 훨씬

안전한 편이에요 특히 제가 사는 상파울루는 현지인에게도 위험

한 곳이라 저녁이면 어머니께서 어디냐고 꼬박꼬박 전화하실 정

도인데 한국에서는 치안에 신경 쓸 일이 없어 좋습니다

한국어 습득의 가장 어려운 점

케이타 한국어에는 형용사가 아주 많은 것 같아요 예를 들어

일본어에는 lsquo빨갛다rsquo라는 의미의 단어가 하나인데 한국어에는

lsquo새빨갛다rsquo lsquo붉다rsquo lsquo불그스름하다rsquo와 같은 비슷한 뜻의 단어가 여

러 개 있죠 그 부분이 조금 헷갈리곤 합니다

레오나르도 저 역시 형용사가 쉽지 않았습니다 게다가 쓰기는

더욱 더 어렵고요 하지만 생각해보면 모든 언어는 처음엔 어려워

요 배우고 싶은 마음과 공부할 시간만 있다면 언어는 물론 모든

일이든 가능할거라 생각합니다

좋아하는 한국어 단어

레오나르도 lsquo수고하세요rsquo라는 말을 좋아합니다 브라질에서는

헤어질 때 lsquoByersquo라고만 하는데 한국에서는 더 열심히 lsquo수고rsquo하라

고 인사하잖아요 항상 열심히 일해왔던 한국의 역사와 분위기를

대표하는 말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케이타 맞아요 한국 사람들은 무엇이든 열심히 하는 것 같아

요 학교에서도 학생들이 열심히 공부하고 활동하는 모습을 자

주 보는데 그만큼 스트레스를 받는 모습도 많이 봤습니다 힘들

게 사는 것 같아 안타까울 때가 있어요

레오나르도 공대생인 저를 두고 말하는 건 아니죠(웃음)

서울대학교의 장점

케이타 서울대학교에는 특히 다양한 국적을 가진 학생들이 많

은 것 같습니다 외국 학생들과 교류하며 다른 나라의 언어를 익

히고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은 점이 매력적입니다 지

금 수강하고 있는 lsquo포르투갈어rsquo 수업도 사실 계획에 없었는데 브

라질 룸메이트를 만나 배우게 됐죠

레오나르도 브라질에서 서울대학교는 lsquo한국에서 최고rsquo라고 알

려져 있어요 여기라면 공부하는 데 좋은 영향을 받을 거라고 생

각했습니다 매사에 최선을 다하는 학생들에게서 더 열심히 해야

겠다는 자극을 받고 영감을 얻을 수 있어 좋습니다

외국인 유학생으로서 서울대학교에 바라는 점

케이타 한국에서는 사람이 곧 정보입니다 수업이나 동아리 행

사 등에 참여하고 싶은데 지인이 없어서 곤란한 적이 있었어요

한국어를 잘하지 못하면 그런 정보를 얻는 것이 더 힘든 것 같아

요 학교 관련 정보가 체계화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레오나르도 브라질에 있는 학교와 비교해 서울대학교는 세계화

가 잘 되어 있어요 하지만 그에 비해 영어 수업이 턱없이 부족하

다고 생각해요 선택권이 별로 없기도 하고 양질의 영어 수업이

많아지면 좋겠습니다 더불어 공과대학 커리큘럼이 덜 힘들었으

면 좋겠습니다(웃음)

예비 유학생들에게 전하는 유학 관련 팁

케이타 한국어 공부는 정말 중요합니다 저는 한국어를 잘 하

는 편인데도 가끔 수업을 따라가기 힘들어요 더불어 즐거운 유

학 생활의 첫 걸음은 교수님과 친구들에게 적극적으로 말을 거

는 것 그리고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는 것이라는 사실을 기억해

두세요 그리고 마찬가지로 한국 학생들도 유학생들에게 친하게

말을 걸어주면 좋겠습니다

레오나르도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여러 명이 함께 공부하는 브라질과는 달리 한국은 혼자 공

부하는 문화라는 사실을 유의해야 해요 그 외에 영어와 한국어

에 대한 기본이 갖춰져 있다면 서울대학교에서의 생활에 무리가

없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공대생이라면 당연히 수학도 열심

히 해야 합니다(웃음) 마지막으로 더 많은 브라질 학생들과 함께

서울대학교에서 공부하는 날이 오기를 바라겠습니다

ldquo브라질에도

서울대학교는

lsquo한국에서최고rsquo

라고알려져

있어요rdquo

레오나르도 사르투니오 컴퓨터공학과 13학번

꿈 찾아

삼만리

ldquo몇 살이에요rdquo ldquo저 92(92년생)예요 말씀 편하게 하세요rdquo 말만 들어보면

영락없는 한국인 능숙하게 한국어를 구사하는 이들은 바로 서울대학교의

외국인 학생들이다 저마다의 꿈을 찾아 한국 서울대학교로의 유학길을 택한

일본의 이토 케이타 브라질의 레오나르도 사르투니오의 이야기를 들어봤다

ldquo서울대학교는

다양한나라의

언어를익히고

문화를체험할

수있는기회가

많아요rdquo

이토 케이타정치외교학부 14학번

13 12

업무 스트레스여 삼진 아웃

아직 해도 다 뜨지 않은 푸른 새벽 유니폼을 입은 15명의 남자가

늦은 가을바람을 헤치고 야구 연습장을 뛰기 시작한다 ldquo하나

둘 셋 넷rdquo 운동장에 울려 퍼지는 힘찬 구호 준비 운동을 마친

포수와 투수가 자리를 잡는다 이윽고 야구공이 배트에 맞는 경

쾌한 소리가 운동장을 메운다

프로 선수들을 방불케 하는 훈련으로 새벽부터 서울대학교 야구

장을 밝힌 이들은 체육교육과 학생들도 야구부 학생들도 아닌

서울대학교 교직원 야구단원들이다 이들은 야구를 위해 매주 화

요일 목요일 아침 7시에 모인다 ldquo철저한 훈련이 인천 사회인 야

구대회 우승 비결입니다rdquo 정용기(시설지원과) 감독이 자랑스럽

게 말했다 서울대학교 교직원 야구단은 lsquo2014년 전국대학 교직

원 야구대회 준우승rsquo lsquo2013년 인천 남구 리그 우승rsquo 등 사회인 야 구단에서 이름을 날리는 팀이다 올해로 4주년을 맞은 야구단은

2011년 학교 밖 사회인 야구단에서 야구를 즐기다가 서로 알게

된 교직원 9명이 의기투합해 만들었다 lsquo야구를 좋아하는 다른

교직원을 각자 한 명씩 데려오자rsquo라는 약속으로 시작된 모임이

2012년 스누리그에 가입하며 본격적인 동아리의 틀을 완성해갔

다 현재는 80명의 회원이 활발하게 활동하는 서울대학교 내 가

장 큰 교직원 동아리 중 하나로 꼽힌다 야구 동아리는 스누리그

에 등록된 학생 야구팀과 시합을 하면서 학생들과도 두터운 친분

을 쌓고 있다 땀 흘리며 운동하다 보면 남녀노소 누구나 친구가

될 수 있는 것이 바로 스포츠의 매력 아닌가 평일 아침 아주 잠깐

의 시간이지만 서류 가방 대신 글러브와 배트를 손에 쥔 그들의

얼굴이 유난히 밝다

인생을 읊조리는 시간

문학과 예술 동아리는 자작시를 낭송하는 교직원 모임이다 한

달에 한 번씩 좋은 책을 읽고 서평을 공유하거나 새로운 시를 소

개하기도 한다 2005년 시를 읽고 쓰기 위해 자발적으로 결성한

모임이 10년의 세월을 거치며 등단 시인을 배출하기도 했다 이

들의 가장 큰 행사는 lt서울대 문예지gt 발간과 정기적으로 개최하

는 lsquo교직원 문예의 밤rsquo이다 작년 11월에는 lsquo가을 낙엽제 행사rsquo에

서 시화전을 열어 90여 편의 자작시를 소개하는 등 다양한 동호

회 행사를 진행하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문학과 예술 동아리

를 이끄는 이종만(공과대학) 회장은 동호회 활동을 적극 추천한

다 ldquo직장이라는 울타리 안에 많은 직원이 함께 있지만 주어진 업

무에만 치중하다 보면 서로 간 소통의 기회가 부족합니다 다양

한 기관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이 동아리를 통해 교류하면서 업무

에 대한 이해도 높일 수 있습니다rdquo

학교 차원에서도 교직원의 동아리는 권장 활동이다 동아리가 직

원 개개인의 잠재력과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스

트레스를 해소하는 건 물론이고 건전한 조직 생활을 위한 동기

를 부여해 즐거운 직장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이에 동아리를 위한 학교의 지원도 점차 체계적이고 구

체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전년도 활동 실적과 당해 연도 활동 계

획서를 제출하면 심사를 거쳐 활동비를 지원한다

든든한 후원 속에서 성장하는 교직원 동아리 다양한 모임에서

더 많은 교직원들이 삶의 즐거움을 누리길 기대한다

즐거운

삶을

꿈꾸며

잠깐의 쉼마저 사치가 되어버린 세상 lsquo바쁘니까 내일부터rsquo라는

말로 일상의 즐거움을 미루는 사람들에게 lsquo여유는 스스로 만드는

것rsquo이라고 몸소 이야기하는 사람들이 있다 제대로 일하고 제대로

즐기기 위한 모임 교직원 동아리를 소개한다

노력에대한성과와기쁨을

사람과의소통과배려를선사하는야구는

저에게인생이고학교입니다

아름다운성찰과타인에대한배려가

글을기반으로이루어지는곳문학과

예술동아리입니다

김평환middot의대공작실

이종만middot공과대학

탕~스트레스는담장밖으로

열정은그라운드로향하게하는

야구에빠져보세요

정진우middot교무과

당신의 재발견PEOPLE

15 14

캠퍼스의

어떤 하루

햇볕 좋은 날

SNU Ske t c hPEOPLE

스트레스 날리는 가을 축제

lsquo스트레스 대폭발 슛트레스rsquo를

주제로 한 서울대학교 2014년

가을 축제 lsquo티라노스트레스rsquo가

캠퍼스 곳곳에서 열렸다

사진은 참가자들이 대형 상자로

만들어진 젠가를 쌓으며 축제를

즐기고 있는 모습

09 29 ndash 10 01

중학생을 위한 생명공학캠프

농업생명과학대학에서

중학생을 대상으로 생명공학

특강 실험과 실습 수목원

체험 등 생명공학에 관한

기초적인 체험을 제공하는

캠프를 마련했다

08 11 - 08 15

오늘은 첫 출근 하는 날

공과대학 엔지니어하우스에서

2014학년도 신규임용교원

임명장 수행식이 거행됐다

60여 명의 신규 교직원들은

임명장을 받으며 합격의 기쁨을

만끽했다

08 25

서울대 입학 궁금해요

문화관 대강당에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2015년 서울대학교

입학 주요 사항을 설명하는

입학설명회를 개최했다

07 05

우물쭈물 말고 말 걸어 봐

2014 SNU 사회적경제

아이디어 대회 활동팀이

선보이는 lsquoTalk to me SNUrsquo

배지 이 배지를 달고 있는

사람에게는 누구나 친근하게

말을 건낼 수 있다

07 24

17 16

Campu s OnNOW

뚜렷하게 새겨진 학문적 발자취

학문 분야에서는 서울대학교의 대표적인 연구 성과인 현택환 중견

석좌교수의 lsquo나노수류탄rsquo 김수봉 교수의 lsquo중성미자 변환상수 연구rsquo

와 함께 서울대학교가 소장하고 있는 귀중한 사료인 lsquo대동여지도

(大東輿地圖)rsquo lsquo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rsquo에 대한 이야기도 만

나볼 수 있다 이어지는 교육 환경 코너는 학생 1인당 장학금 지급률

부터 개별 전공 졸업 후 진로 정보까지 방문객이 터치스크린을 통

해 원하는 정보를 찾아볼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빛나는 역사

전시 콘텐츠는 lsquo역사middot학문 분야middot교육 환경middot글로벌 SNUmiddot사회적

책임middot미래 인재middot미래 활동rsquo 순으로 전개된다 먼저 홍보관에 발을

들이면 개교 이전부터 현재까지의 모습이 전면 스크린에 펼쳐진다

최초의 근대 국립고등교육기관이었던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의

역사를 사진과 영상으로 만나볼 수 있다 또한 이곳에는 한국전쟁

419 혁명 등 중요한 역사의 현장에서 희생된 서울대학교 재학생들

의 고귀한 뜻을 기리는 추모의 벽이 설치되어 있다 조국의 발전을

위해 몸 바친 영혼들을 위해 잠시 묵념하는 시간을 가져보자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가 세계의 다양한 대학 연구 기관과 어떤 국제협력프로

그램들을 만들고 운용하고 있는지 궁금하다면 글로벌 SNU 코너에

서 그 현황과 규모를 찾을 수 있다 다양한 사회 기여 활동을 보여주

는 사회적 책임 코너도 빼놓을 수 없는 곳이니 잊지 말고 둘러보자

인재를 길러내는 서울대학교의 모습과 장기적인 비전은 스누홀의

마지막 전시장에서 확인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등 양방향적 소통 장치를 마련한 스누홀은 방문객과의

자유로운 교감을 꿈꾼다 견학 온 학생에게 자녀가 다니는 학교가

궁금한 부모님에게 이곳은 훌륭한 안내소가 될 것이다 아직 학교가

알쏭달쏭하다면 망설이지 말고 스누홀의 문을 두드리길

1 SNU connect

2 SNU 타임비전

3 SNU Awards

4 미디어홀

5 라운지

6 SNU Special

1

스누홀을 통해 서울대학교를

바라보는 시각이 달라졌고

도전 의식이 생겼습니다 당당한

재학생으로 꼭 다시 오고 싶어요

김예준middot낭주중학교 3학년 박지훈middot용강중학교 3년

서울대학교에 대해 잘 알지

못했는데 이번에 스누홀을

둘러보면서 서울대학교와 한층

가까워진 것 같아요

문의 070 8815 1524

생생 방문 후기

SNU Hall 문을 열다

매년 5만 명이 넘는 이들이 캠퍼스 투어를

위해 서울대학교를 찾는다 호기심을 가득

품고 관악캠퍼스를 찾은 방문객들은 커다란

위용에 왠지 모를 어려움을 느끼기도 한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고 종합적으로

학교를 안내하기 위해 서울대학교 홍보관

스누홀(SNU Hall)이 문을 열었다 학교의

역사에서부터 환경 글로벌 미래 비전까지

서울대학교의 이모저모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스누홀을 살펴보자

1

2

3

4

5

6

19 18

여행과 봉사를 한번에 볼런투어

Who 글로벌사회공헌단 bull Where 경상남도 함양군 bull What 일손 돕기 목가구 제작 벽화 그리기 등

드림컨설턴트는 2010년 학내 봉사 동아리로 출범해 2012년 서울

시 비영리 민간단체 공식인가를 받은 서울시 NGO다 lsquo꿈rsquo이라는 주

제 아래 lsquo촉촉콘서트rsquo lsquo드림커넥터rsquo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

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이들이 8월 8일부터 10일까지 경상남도

창원 구암고등학교에 머물렀다 2박 3일간 고등학생 꿈 찾기 프로

그램인 lsquo드림캠프rsquo를 진행하기 위해서다

드림캠프는 직업군으로 나누어 꾸민 부스에서 멘토가 강연하는 lsquo직

업 박람회rsquo 자신의 꿈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해보는 lsquo드림스토밍rsquo

문제 상황에 부딪쳤을 때 필요한 가치관을 이야기해보는 lsquo가치관 동

맹rsquo lsquo모의 면접rsquo 등의 프로그램으로 탄탄하게 구성됐다 뿐만 아니

라 봉사 단원들은 고등학생들이 자신의 가치관을 살펴보고 모호한

꿈을 좀 더 구체적으로 그리며 진로를 고민해볼 수 있도록 직접 교

재까지 제작하는 열의를 보였다 지난 4년 동안 꾸준히 성장해온 드

림컨설턴트가 꾸려나갈 앞으로의 모습이 더욱 궁금해진다

꿈을 발견하는 곳 드림캠프

Who 드림컨설턴트

Where 경상남도 창원시

What 고등학생 꿈 찾기 캠프

방학 계획을 물을 때 lsquo여행rsquo과 lsquo봉사활동rsquo은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단골 소재다 글로벌사회공헌단은 이 두 가지를 동시에 할 수 있는

프로젝트 lsquo볼런투어rsquo를 마련했다 자원봉사(Volunteer)와 여행

(Tour)을 합친 볼런투어는 개인의 재능을 통해 사회공헌 사각지대

에 필요한 자원을 제공하는 활동이다

이번 볼런투어는 8월 6일부터 9일까지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에서

진행됐다 5개 팀으로 나뉘어진 학생들은 각각 농촌 일손 돕기 목가

구 제작 벽화 그리기 어르신 사진 촬영 지역아동센터 교육 봉사 등

의 개별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낯선 일이었지만 학생들은 땀을 흘리

며 사과 농장을 일구고 마을 입구에 놓을 초대형 평상을 제작하는

등 각자의 재능을 통해 나눔을 실천했다

모든 일정이 계획대로 진행된 것은 아니다 프로젝트 기간 동안 함양

군을 지나간 태풍 lsquo나크리rsquo 탓에 벽화팀이 애써 그린 작품 대부분이

지워진 것 돌발 상황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최선을 다한 학생들에게

마을 주민들은 고마움을 표현했다 함양군에서의 3박 4일은 이들에

게 잊지 못할 경험으로 기억될 것이다

자연과학대학은 2006년 경상북도 영덕군과 lsquo관학 협력 및 지역사

회 개발에 관한 협정rsquo을 체결했다 그 후 매년 여름마다 영덕 지역 청

소년들의 적성과 소질을 개발하고 대학생들의 인성 함양을 위해 멘

토링 프로그램과 과학 캠프를 개최해왔다 올해 역시 자연과학대학

재학생으로 구성된 봉사단이 영덕 지역 청소년들과 만났다

8월 5일부터 7일까지 이어진 캠프 첫날 고등학생 25명을 대상으로

lsquo대학 진학 멘토 교실rsquo이 열렸다 입시를 앞둔 이들에게 실질적인 조

언을 해주는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이 미리 준비해 온 질문에 봉사단

원들의 진지한 답변이 이어졌다 이어서 진행된 lsquo과학 캠프rsquo 봉사단

은 물리천문학 생명과학 지구환경과학 화학 수리과학 등의 각 전

공을 살려 중학생 75명과 함께 과학 실험을 진행했다 서울대학교

봉사단원들은 아이들이 과학을 어렵지 않게 느끼도록 실험을 도우

며 재미있는 분위기를 이끌었다

이번 캠프는 열정적으로 참여한 학생들 덕분에 참가자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에게도 높은 호응을 이끌었다 에너지 넘치는 자연과학대

학 봉사단과 함께 할 내년 여름을 기대해본다

청소년 100명과의 만남 과학 캠프

Who 자연과학대학 봉사단

Where 경상북도 영덕군

What 청소년을 위한 멘토링 과학 캠프

학생들의 학습을 꼼꼼히 지도하는 드림컨설턴트

직접 그린 벽화 앞에서 포즈를 취한 볼런투어 벽화팀

과학 실험 삼매경에 빠진 캠프 참여 청소년

Campu s OnNOW

각양각색 봉사활동 열전

태양이 이글대던 두 달이 쏜살같이 지나가버렸다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여름

방학 속 가장 기억에 남는 일은 무엇이었는가 무더운 여름보다 더 뜨겁게 방학을 보낸

사람들이라면 금세 대답할 수 있을 것이다

21 20

서울대학교 세계 최고를 꿈꾼다

서울대학교는 영국 대학평가기관 QS(Quacquarelli Symonds)가 발표하는 2014 QS 세계대학평가(QS

World University Rankings)에서 31위를 차지했다 1994년부터 시작된 QS 세계대학평가는 전 세계 대학

에 대한 평가로 학계 평판 40 연구 영향도(교수 1인당 논문 피인용 수) 20 졸업생 평판도 10 교수 대

학생 비율 20 외국인 교수 비율 5 외국인 학생 비율 5를 합산해 평가한다 올해 발표된 평가의 1위는

미국 MIT(매사추세츠공대)였으며 아시아 대학 가운데서는 싱가포르국립대학교(NUS)가 22위 홍콩대학교

(HKU)가 28위에 올랐다

서울대학교는 해외 학계에서의 인지도를 알 수 있는 학계 평판(Academic Reputation) 및 기업인 대상 설문

조사로 평가하는 졸업생 평판 항목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향후 논문 피인용 수 증가를 통해 연구 영향도 분

야에서 개선을 추구해 나가는 한편 구성원의 글로벌 다양성 확보를 위해서도 노력할 계획이다

2014 QS 세계대학평가가 9월 발표됐다 2004년 118위에서 2010년 50위 2011년 42위

2012년 37위 2013년 35위 그리고 올해 서울대학교는 역대 최고 성적을 경신했다

118

93

63

5147

50

4237

35

31

50

140

40

20

0

120

100

80

60

순위2005년 2009년 2012년2006년 2010년 2013년2007년 2011년 2014년2004년 2008년

QS Ranking지난 11년간의 성과

연도 별 순위

lsquo창업론 실습rsquo 커리큘럼

STEP 1 조별 사업 기획

STEP 2 약 300만 원의 지원금과 창업 공간 지원

STEP 3 기업가들의 컨설팅

STEP 4 학점 취득

통찰력 있는

미래의 창업가를 키운다

연합전공 벤처경영학

표준적인 인재는 많지만 특출난 인재는

늘 부족하다 기업가 정신을 갖추고 끊임없이

도전하는 인재들의 양성소

연합전공 벤처경영학을 소개한다

새로운 경제 성장의 동력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lsquo창업 부흥rsquo

정책이 정부를 비롯해 지방자치단체 중소기업청 등에서 이

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학생들의 대기업 선호 현상과 lsquo창업은

위험한 도박rsquo이라는 인식은 여전하다 대기업 입사를 위한 다

양한 프로그램과 유학 스터디 등이 활발한 것과 달리 창업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은 아이디어를 나눌 공간이 없고 경험 있

는 선배로부터 직접적인 조언을 얻기도 쉽지 않다 이러한 문

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이 나섰다

올해 설립된 벤처경영학 전공은 학생들이 실제로 창업을 경

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lsquo창업론 실습 1middot2rsquo 과목을 수

강하는 학생들은 조별로 사업을 기획해보고 약 300만 원과

창업 공간을 지원받으며 기업가들의 컨설팅을 받게 된다 이

런 과정을 통해 학점도 취득할 수 있다 이밖에 벤처경영학과

에서는 철학과 경영학과 컴퓨터공학부 식품동물생명공학

부 등 연합전공에 참여한 학과의 개설 과목은 물론 제품 기획

론 창업론 특강 벤처사업 기회 연구 등 벤처 운영에 도움이

되는 과목을 함께 수강할 수 있다

실리콘밸리와 맞닿아 있는 스탠포드대학교는 구글 야후 휴

렛팩커드 등 초일류 기업의 창업자들을 배출했으며 오늘날

이 대학 출신이 창업한 기업의 연 매출은 우리나라 국내총생

산(GDP)의 2배를 넘을 정도로 큰 성과를 내고 있다고 한다

창업을 지원하는 학내 인프라와 프로그램 그리고 실제 벤처

기업을 운영하는 교수진이 있기에 가능한 일이다 서울대학

교 벤처경영학이 미래의 한국 벤처 생태계를 구축할 혁신적

인 기업가 양성 교육의 훌륭한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

Campu s OnNOW

연합전공 시리즈 3

23 22

문화생활백서 in SNU

과제 시험 그리고 또 과제 학교에 갇혀 있는

날이 계속되다 보면 잠깐이나마 쉴 곳을 찾게

된다 왠지 모르게 무기력해지고 답답한 순간

당신에게는 lsquo휴식rsquo이 필요하다

빼곡한 강의실 책만 가득할 것 같은

서울대학교 안에도 여유 시간을 알차게 보낼

수 있는 놀라운 공간들이 구석구석 숨어 있다

벌써부터 방학을 그리워하는 학생들에게

캠퍼스의 각종 문화 시설은 달콤한 선물이

되어줄 것이다 학교 안에서 즐기는

문화생활의 lsquo핫 플레이스rsquo를 소개한다

영화관이 학교 안에

미술관을 지나 오르막길을 오르다 보면 현수막 하나가 눈에 띈다

2004년부터 작품성은 높지만 대중적 인기는 얻지 못한 진흙 속의

진주 같은 영화를 소개하는 lsquo수요시네마rsquo 프로그램이다 매월 둘째

주 수요일 문화관에서 무료로 관람 가능하다 더불어 학교의 중심

중앙도서관 영상자료실도 혼자 영화 보기 안성맞춤인 곳이다 비교

적 최신 DVD까지 소장하고 있어 공강 시간을 보내기 유용하다

몸 튼튼 마음 튼튼

서울대학교에선 원한다면 누구나 각종 운동을 섭렵할 수 있다 공과

대학에는 테니스장과 농구장 인공 암벽등반 시설이 있으며 기숙사

에는 축구 운동장과 더불어 야구 연습 탁구 농구 등을 할 수 있는 실

내 체육관이 있다 종합운동장에선 축구와 미식축구를 할 수 있으며

마라톤 트랙이 있어 다른 운동도 가능하다

정문 근처 포스코(POSCO) 스포츠센터는 2001년에 문을 연 4층 건

물로 서울대학교의 대표 체육 시설이다 수영과 헬스뿐만 아니라 골

프와 댄스 발레 요가 등 전문 강사가 진행하는 다양한 강좌가 있다

시설이 좋아 lsquo미녀는 괴로워rsquo 등의 영화와 드라마 촬영지로도 사용됐

다 이외에 체육 교육과에서도 매 학기 테니스 필라테스 탁구 등을

소규모로 배울 수 있는 건강 운동 강좌를 개설하고 있다 에너지 넘

치는 학생들에게 서울대학교는 즐거운 놀이터다

음악감상실

장소 학생회관 111호

운영시간

학기 중 평일 930~1730

학기 중 토요일 930~1330

수요시네마

장소 문화원 중강당

비용 무료

문의 02-880-7924

정문 옆 미술관

정문 너머 왼편에는 독특하고 아름다운 외형의 건물이 있다 바로 서

울대학교 미술관 MoA 프리츠커 건축상을 수상한 렘 콜하스가 설

계했다 한 해 3~4회의 전시가 열리는 MoA는 타 학교 미대에서 관

람을 올 정도의 높은 전시 수준을 자랑한다 학교 구성원과 지역민

등을 대상으로 하는 미술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뿐만 아니라 도

슨트 교육을 받고 선발되어 활동하면 문화자원봉사 확인증을 주는

자원봉사 프로그램도 있다 미술관 입구 앞 독특한 조형물도 하나의

볼거리니 방문한다면 여기서부터 관람을 시작하자

MoA

운영시간 화~일요일 1000~1800(입장마감 1730)

관람료 3000원

문의 02-880-9504

포스코 스포츠센터

운영시간 평일 600~2230 토요일 1000~1700

문의 02-880-6980

Campu s OnNOW

음악이 들려주는 비밀

호그와트(영화 lsquo해리포터rsquo의 마법학교)에 비밀의 방이 있다면 서울

대학교에는 음악감상실이 있다 학생회관 식권 판매대 옆 두꺼운 문

을 열면 나타나는 음악감상실은 예전부터 높은 경쟁률을 뚫고 선발

된 DJ가 수준 높은 음악을 들려주는 것으로 명성이 자자했다 한국

최초 그래미 수상자 황병문 동문도 음악감상실 DJ 출신이다 문화

관에서 시작되는 lsquo걷고 싶은 거리rsquo는 음악대학 학생들의 연주와 노

래 소리를 들으며 산책하기 좋다 덧붙여 음악대학에서는 매 학기

lsquo화요음악회rsquo를 개최한다 1994년부터 20년째 이어지는 음악회다

오디션을 통해 선발된 공연팀이 무대에 올라 질 높은 음악을 들을 수

있으며 누구나 관람 가능하다 문화관과 자하연 사이에 위치한 스탠

드에서는 때때로 즉흥 연주가 벌어진다 버스킹의 정확한 일정은 없

으니 지나치다 익숙한 음악이 들리면 놓치지 말고 들러보자

1 2

3

4

화요음악회

장소 문화관

비용 무료

문의 02-880-7903

25 24

미래인재학교란 서울대학교 입학본부 주관으로 진행되는 고교 지원 프로그램으로

서울대학교 교수와 학생이 직접 지역 고등학교에서 지식을 전달한다

92명

13기 수료생

100명

14기 수료생미래인재학교

수료생 현황

미래 인재를 위한 꼼꼼한 준비

서울대학교는 7월과 8월 전라남도 고흥middot여수에서 미래인재학교

13 14기를 개최했다 미래인재학교는 지역 간 교육 환경 격차를 완

화하고 고교생의 소질과 적성을 개발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서울

대학교 교수 강의와 재학생 멘토링 등을 통해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다 개최 지역에 따라 맞춤형으로 운영하기 때문에 4

개월 정도의 준비 기간이 필요하다 각 기수마다 재학생 멘토팀을 선

발해 프로그램을 새롭게 기획하는 것은 물론 담당 입학사정관과 멘

토팀이 몇 차례의 답사를 통해 현지 교육 환경을 이해하고 운영 시설

을 확인하는 등 프로그램을 세심하게 꾸려나간다

열정 가득한 학생들과 3박 4일

나로도 소재 국립고흥청소년우주체험센터에서 진행된 미래인재학

교 13기에서는 고흥 소재 8개 고등학교 1 2학년생 92명이 3박 4

일의 과정을 수료했고 14기에서는 여수 소재 10개 고등학교 1학년

학생 100명이 나흘 간의 과정을 마쳤다 특히 이번 멘토팀은 개최지

의 요청에 따라 역대 최대 규모로 조직됐는데 이들 중에는 고교 재

학 중 미래인재학교 수료생으로 참가했던 3명의 학생도 있었다

각 학교장의 추천을 받아 선발된 고등학생들은 입학식과 더불어 핸

드폰을 모두 담당 교사에게 제출하는 등 바른 수업 태도와 학업 의

지를 보여주었고 쉴 틈 없이 짜인 프로그램에도 중도 탈락하는 사

람 하나 없이 참가자 전원이 수료증을 받을 수 있었다

교수 멘토 멘티의 특급 하모니

3박 4일 동안 고등학생들과 함께 숙식하며 프로그램 운영은 물론

학생들의 생활지도까지 맡은 서울대학교 재학생 멘토들 이들은

lsquo아이스 브레이킹rsquo lsquo주제 토론rsquo lsquo고교 생활의 Know-Howrsquo lsquo11 멘

토링rsquo lsquo도전 골든벨rsquo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학생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했다 물리천문학부 홍승수 명예교수 등 고교생

의 눈높이에 맞게 선정한 다양한 학과의 교수 강연은 학생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참가 고등학생들 역시 강의 2주 전 배포한 강연

자료를 예습해왔고 강의가 끝난 후에도 호기심을 충족하기 위해

교수님을 따라 행사장 밖까지 나가 질문하는 열의를 보였다 이번

행사가 서울대학교 학생들에겐 나눔의 기쁨을 개최 지역의 고등학

생들에겐 배움의 기회를 주었길 바란다

지역 인재는 우리가 기른다

전라남도 고흥과 여수에 서울대학교 학생들이 떴다 미래 후배들의 소질과 적성 개발을

돕는 멘토링 프로그램 lsquo미래인재학교rsquo를 진행하기 위해서다 이번에는 개최지의 요청에

따라 역대 최대 규모의 멘토팀이 조직됐다 고등학교 시절 배움을 위해 lsquo미래인재학교rsquo를

찾았던 학생도 지식을 나눠주는 멘토가 되어 돌아왔다 고등학생들과 동고동락하며 여름의

열기보다 뜨거운 4일을 보낸 이들을 만나보자

멘토링 시간에 조별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학생들

참가 학생이 자신의 의견을 발표하고 있는 모습

대학 입학에 관해 강의하는 홍승수 명예교수

Campu s OnNOW

step1

step2

step3

27 26

서울대학교는 8월 29일 관악캠퍼스 문화관 중강당에서

교수 학생 직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교수 정년식을 진행

했다 노태돈 국사학과 교수 임현진 사회학과 교수 안

정선 생명과학부 교수 김명모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장

호익 디자인학부 교수 한문희 불어교육과 교수 김민자

의류학과 교수 황준연 국악과 교수 이성철 의학과 교수

등 26명이 명예로운 정년을 맞아 정든 캠퍼스를 아름답

게 떠났다 이날 행사에서는 박종화 환경대학원 교수가

정년 교수진을 대표해 감사와 당부의 인사말을 전했다

교수 정년식

02

서울대학교는 8월 28일 관악캠퍼스 종합체육관에서 제

68회 후기 학위수여식을 개최했다 이번 학위수여식에

서는 학사 850명 석사 989명 박사 522명 등 총 2361

명이 학위를 받았다 성낙인 총장은 ldquo최고의 지식은 사회

봉사와 인류공헌을 위해 쓰이는 것이며 훌륭한 인재는

지성과 공공성으로 무장된 따뜻한 가슴을 겸비한 lsquo선한

인재rsquordquo라며 ldquo민족의 동량 사회의 중심으로 드높은 자부

심을 갖되 지식과 열정을 공동선을 위해 공헌하는 사회

적으로 필요한 인재가 되기 바란다rdquo고 당부했다

제68회 후기 학위수여식

03

01

서울대학교는

신임 보직교수단을

구성했다 신임 보직

교수 임기는 2년으로

2016년까지 대학의

비전을 마련하고

고등교육 발전을 위한

주요 소임을 맡아

활동한다

신임 보직교수 임명

04 06

2014 우수 인재 채용박람회

추석을 맞아 서울대학교 구성원들의 따스한 손길이 어려

운 이웃들에게 전해졌다 인문대학 등 62개 기관에서 모

금한 총 28271500원은 학교 근처의 보육원 사회복지

관 등 도움이 필요한 곳에 전달됐다 성낙인 총장은 아동

복지시설인 상록보육원을 방문해 성금을 전달하며 어린

이들과 보육원 관계자들을 격려했다 그리고 김종서 교

육부총장은 동명 아동복지센터 이우일 연구부총장은 성

민 종합사회복지관 유근배 기획부총장은 선의관악 종합

사회복지관을 각각 찾아 성금을 전달했다

추석 명절 이웃돕기 성금전달

보 직 명 학 과 (부) 성 명

교육부총장 종교학과 김종서

연구부총장 기계항공공학부 이우일

기획부총장 지리학과 유근배

교무처장 화학부 김병문

학생처장 농생명공학부 김정한

연구처장 의학과 박노현

기획처장 법학전문대학원 이철수

기초교육원장 서양사학과 안병직

입학본부장 독어교육과 권오현

국제협력본부장 국제대학원 정종호

보 직 명 학 과 (부) 성 명

정보화본부장 컴퓨터공학부 신영길

교무부처장 겸 교육부처장 치의학대학원 백승학

학생부처장 식품영양학과 한성림

연구부처장 약학과 오정미

기획부처장 독어독문학과 강창우

협력부처장 건설환경공학부 김재영

기초교육부원장 물리middot천문학부 유재준

입학부본부장 고고미술사학과 이준정

국제협력부본부장 국제대학원 신성호

정보화부본부장 경영학과 장정주

NewsNOW

제8기 스누봉사단이 한국수력원자력(주)의 후원으로 8

월 9일부터 20일까지 베트남 라오까이 성에 있는 스빤

마을에서 봉사활동을 진행했다 유성상 교육학과 교수

이우철 치의학대학원 교수 이승표 교수 한동헌 교수

김익규 빗물모아지구사랑 실장 김용환 연구원 서울대

학교 학생 23명으로 구성된 봉사단은 구강보건의료 빗

물 정화 위생교육 등의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 주민들에

게 나눔을 실천했다

제8기 스누봉사단 베트남 봉사활동

0705

훌륭한 공대교수상 선정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올해의 훌륭한 공과대학 교수로

신현식 컴퓨터공학부 교수 이재홍 전기정보공학부 교

수 강신형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를 선정했다 이 상은 교

수들의 연구 활동을 장려하고 산업 기술의 선진화를 꾀

하자는 취지에서 1992년 공과대학 동문들이 출연한 기

금으로 제정됐다 2003년부터 교육상과 연구상 2개 부

문으로 시상해오다가 올해부터 교육상 학술상 산학협

력상 3개 부문으로 확대돼 의미가 더욱 커졌다

경력개발센터는 2014년 하반기 채용 시즌을 맞이해 9월

2일에서 4일까지 대학본부 앞 잔디 광장에서 lsquo새로운 미

래를 여는 SNU 2014 서울대학교 우수인재 채용박람회rsquo

를 개최했다 올해로 11회째를 맞이한 채용박람회에는

6500여 명의 학생들이 참가했다 한편 두산 삼성 현대

자동차 LG SK 등 국내 주요 대기업들과 국방과학연구

소 한국전력공사 등의 공기업 Hakuhodu 그룹 등의 일

본 기업 ASML Korea 등의 외국계 기업 총 130곳이 우

수 인재를 확보하고자 심혈을 기울였다

信義

기부와 나DONATION

유 태 용

나고 자란 곳을 잊지 않는다 어려웠던 순간을 항상

되새긴다 덕분에 유태용 동문은 사회적 성취를 이룬 지금

자신만의 나눔 원칙을 세울 수 있었다

기 부 자 정 보

격동의 세월을 이겨낸 삶

일제강점기를 지나 해방 그리고 한국전쟁까지 1950년에 서

울대학교에 입학한 유태용 동문의 학창시절은 역사적 격동

기와 맞물려 있다 그 시절을 겪어보지 않은 요즘 세대에게 유

동문의 경험은 책에서나 접하는 옛날이야기로 들릴 수 있다

그럼에도 유 동문은 과거를 잊지 않으려 그 시절을 끊임없이

복기한다 당시 경험을 lt어느 서울대 공대생의 한국전쟁gt이

라는 책에 풀어내기도 했다 ldquo요즘은 상상도 못할 이야기죠

이후로도 어렵사리 국가 발전을 이뤘고요 우리 세대가 고생

했다고 알아주길 바라는 건 아닙니다 다만 큰 어려움을 헤

쳐 온 인생 선배들을 보면서 힘든 순간이 닥쳐도 좀 더 지혜롭

게 극복했으면 좋겠습니다rdquo

유태용 동문은 대학 졸업 후 1957년부터 공직 생활을 시작했

다 이후 오랜 기간 공직에 몸담으며 국토 계획과 건설 행정

을 담당했다 유 동문의 전공은 토목공학 그중에서도 방조

제가 전문 분야였다 공직 생활 초창기에 국제원조기구 장학

생으로 선발돼 1962년 미국에서 아카데미 코스를 밟기도 했

다 그렇게 미국에서 수학한 지식을 바탕으로 당시만 해도 단

일목적댐뿐이던 우리나라에 다목적댐을 도입하는 데 기여했

다 ldquo저는 어찌 보면 운이 참 좋은 사람입니다 어려운 시기에

농촌에서 서울대학교에 입학했고 좋은 기회가 닿아 외국에

서 공부하는 경험도 할 수 있었으니까요rdquo

오랜 시간 이어온 남다른 향토애

공직에 있으며 국가 발전에 힘써온 유 동문 그는 오래전 고

향을 떠나왔지만 어려웠던 어린 시절을 잊지 않는다 불과 몇

원하는 수업료가 없어 일곱 살 나이에 수십 킬로미터에 달하

는 거리를 오갔던 기억이 여전히 생생하다 적어도 돈 때문에

공부를 못하는 학생은 없어야겠다는 생각에 이른 건 어쩌면

당연한 일 그러한 경험이 있었기에 유 동문은 자신만의 기부

신념을 세울 수 있었다 ldquo똑같이 모를 심어도 좋은 쌀을 얻으

려면 관리를 잘해야 합니다 모를 심고 가만히 두면 한 섬밖

에 못 얻지만 비료를 주고 잡초를 솎아내면서 키우면 네 가

마니까지 불어나요 사람도 마찬가지입니다 인재도 좋은 환

경이 갖추어져야 자랄 수 있습니다 서울대학교에 입학한 건

시작일 뿐이죠rdquo

유 동문은 서울대학교에 부동산을 기부해 정읍과 고창 출신

후배들을 위한 lsquo정고장학기금rsquo을 마련했다 단지 태어난 곳

에 대한 고집만은 아니다 그 자신이 농촌에서 어렵사리 대학

에 진학했던 까닭에 그곳에서 나고 자란 후배들이 학비 걱정

없이 공부에만 전념할 수 있기를 바라는 선배의 따스한 마음

이다 ldquo예전에도 그랬지만 지금도 농촌에서 몇 백만 원씩 하

는 등록금을 쉽게 마련할 수 있는 집은 많지 않습니다 더구

나 지방에서 공부해서 서울대학교에 온다는 건 쉽지 않아요rdquo

유태용 동문은 장학생들을 직접 만나 격려하는 데에도 적극

적이다 지금은 학생들이 그가 기부한 장학 기금의 혜택을 입

지만 언젠가는 좋은 인재로 성장해 사회에 보탬이 되는 주역

이 되리라 믿는 까닭이다 ldquo서울대학교가 이제 세계에서도 손

꼽히는 대학이 되었다지만 아직도 세상에는 해결하지 못한

연구 과제가 많아요 서울대학교의 많은 인재가 그런 분야에

도 거침없이 도전해 좋은 성과를 내주길 바랍니다rdquo

유태용 한국방재협회 명예회장

내무부와 건설부에서 오랜 기간 국토 계획과 건설 행정을 맡았다 1998년 자연재

해대책법에 따라 한국방재협회 준비위원장에 추대됐고 창립을 준비해 1999년 초

대 회장에 취임한 바 있다

with SNU

토목공학과 학사 ACAD 12기 수료 정고장학기금을 마련해 정읍 고창 출신 학생

들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및 대학원생 재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원하고 있다

ldquo모를 심고 가만히 두면 한 섬밖에 못 얻지만

비료를 주고 잡초를 솎아내면서 키우면

네 가마니까지 불어나요 사람도 마찬가지입니다

인재도 좋은 환경이 갖추어져야 자랄 수 있습니다rdquo

29 28

31 30

기부와 나DONATION

도전 열아홉이란 나이 누군가는 대학 문을 바라보며 책

장을 넘길 시기에 사업을 시작했다 다양한 업종에 손대며

달콤한 성취도 쓰디쓴 실패도 맛본 20대를 지나 서른을 코앞

에 둔 시기에 광장시장 상가 한편에 1평 남짓한 도매 옷가게

를 열었다 그것이 연 매출 1조 원을 올리는 국내 굴지 패션기

업의 출발이었다

근면 어깨에 옷을 짊어지고 고객을 찾아다니길 수차례

서른 살 청년의 성실성을 소매상들은 알아봤다 판로가 열리

니 사업은 자연히 승승장구했다 그러나 10년 후 위기가 닥

쳤다 거래처의 어음이 부도 처리되면서 그 여파를 고스란히

받아야 했다 ldquo부도를 극복하면서 근면의 중요성을 깊이 느

꼈습니다 재기를 생각하며 다시 1평짜리 매장을 얻어 아침 7

시부터 새벽 2시까지 이를 악물고 일했죠rdquo 시작도 그랬지만

이후로도 근면은 최 회장의 삶에 큰 지표가 됐다

배움 일찍이 사회에 진출한 만큼 현장 경험은 누구보다

출중할 터 그러나 최 회장은 lsquo배움에는 끝이 없다rsquo는 생각으

로 경영만 하기도 바쁜 시간을 쪼개 공부를 계속했다 배움의

과정 중에 서울대학교와 인연이 닿았다 학교의 여러 특별과

정을 수료한 것은 물론 서울대학교 패션산업 최고경영자과

정(AFB) 총교우회 회장도 역임했다 ldquo김민자 교수님께서 lsquo바

쁠수록 더 좋은 성과를 낸다rsquo고 말씀하신 적이 있습니다 몸은

분주했지만 세상을 보는 관점은 더욱 넓어질 수 있었습니다rdquo

섬김 최 회장은 오늘날 이룬 성취가 혼자만의 것이 아니

란 점도 매번 되새긴다 패션그룹형지의 성장과 함께 한 대리

점주를 섬기는 해법 중 하나는 교육이다 ldquo사업의 근간인 대

리점주와 함께 호흡하고 성장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일까 고민

하던 차에 생활과학대학 교수님들의 도움으로 lsquo패션그룹형

지 최고경영자과정rsquo을 열었습니다rdquo

나눔 lsquo남 열 걸음 갈 때 반의 반 걸음 더 간다rsquo 최 회장은

기업가로서 성공을 이룬 지금도 이 말을 되새기곤 한다 ldquo남

보다 조금 더 먼저 생각하고 노력하는 작은 차이가 나중에는

큰 성과를 남긴다는 뜻입니다 요즘은 사업이나 일에 대한 것

뿐만 아니라 타인을 향한 배려와 사랑도 반의 반만 앞서 생

각하고 실천하자고 다짐합니다rdquo 최 회장은 lsquo교육은 백년지대

계(百年之大計)rsquo란 말에 동감하며 패션 산업을 이끌어갈 인

재들을 위해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에 기금을 출연했다

또한 지역 발전을 위한 투자를 비롯해 세월호 참사로 고통받

는 유가족과 학생들을 위해 성금을 기부하는 등 다방면에서

나눔을 실천하고 있다 어려운 순간을 딛고 현재의 성취를 이

뤘기에 자신을 키워준 사회에 무엇인가 되돌려주는 나눔이

중요하다고 말하는 최병오 회장 한편으로 그는 lsquo금전적 도움

을 베푸는 자선의 개념을 넘어 재능과 기술을 나누는 나눔의

문화가 필요하다rsquo고 덧붙인다

청년에게 사회에서 일가를 이룬 최병오 회장이 이 시대

를 사는 청년들에게 권하고픈 경험은 다름 아닌 lsquo실패rsquo다 ldquo진

짜 실패는 넘어지는 게 두려워 시도조차 하지 않는 거라고 하

지 않습니까 실패를 두려워하기보다 꿈을 먼저 생각하길 바

랍니다rdquo 최 회장은 목표와 꿈을 추구하는 동시에 타인을 배

려하는 태도 역시 지니길 권한다 그것이 바로 진정한 성공이

요 명품인생을 완성하는 길이기에

切磋琢磨 최 병 오

최병오 회장에게 lsquo근면rsquo은 가장 기본적인 성공 원칙이다

lsquo배움rsquo은 자기 성장의 원동력이며 lsquo섬김rsquo은 상생의

바탕이다 마지막으로 그는 lsquo나눔rsquo이란 대의를 잊지 않는다

ldquo경제적인 어려움으로 배움의 기회를 놓쳐선

안된다고 생각해왔습니다 젊은 나이에

일찍 사업에 뛰어들어 배움에 대한 목마름이

누구보다 컸기 때문입니다rdquo

기 부 자 정 보

최병오 패션그룹형지 대표이사 회장

대한상공회의소 중견기업위원회 위원장이자 윤리경영위원회 위원 또한 한국의

류산업협회 회장과 한국의류산업학회 부회장 등을 맡아 최근 대통령 해외 순방 당

시 경제사절단으로 동행했다

with SNU

AFB 3기 AMP 63기 AIP 42기 AWASB 1기 등을 수료했다 AFB 동창회장과

AFB 동창회 수석부회장을 역임했으며 올해 제13회 AMP 대상을 수상했다 현재

AWASB 동창회장을 맡고 있다

33 32

기부의 향연이 펼쳐지다

바바패션

인문대학 발전기금 1억 원 기부

바바패션(대표이사 회장 문인식)이 인문대학에 발전기금 1억 원을 기부했

다 10월 13일 총장실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성낙인 총장과 문인식 바바

패션 대표이사 회장 유근배 기획부총장 장재성 인문대학장을 비롯해 관

계자 10여 명이 참석했다 성낙인 총장은 ldquo문인식 회장님의 인문학에 대

한 관심과 성원에 감사드린다rdquo며 ldquo이번 기금으로 인문대학의 발전과 인재

양성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이에 문인식 회장은 ldquo바바패

션은 계속해서 나눔 경영을 통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rdquo고 전했

다 문인식 회장은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최고지도자과정(AMP) 72기를

수료하고 현재 인문대학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12기 회장 AMP

총동창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한편 바바패션은 국내 여성 패션 브랜드인

아이잗바바(IZZAT BABA) 지고트(JIGOTT) 등을 비롯한 총 9개의 브

랜드를 보유하고 있으며 심장병 어린이 수술 지원 및 장학 사업도 꾸준히

펼치고 있다

전기컴퓨터공학부 권욱현 명예교수

lsquo권욱현 희망장학기금rsquo 1억 원 기부

지난 6월 17일 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부 권욱현(전기공학 62학번)

명예교수가 lsquo권욱현 희망장학기금rsquo을 조성하고 1억 원을 기부했다 이번

에 마련된 기금은 공과대학과 전기공학부 학생들 가운데 경제적으로 어

려운 학생들에게 지급될 예정이다 변대규 휴맥스 대표를 비롯해 이재원

슈프리마 대표 등 국내 유명 벤처기업 CEO들의 스승으로 유명한 권욱현

명예교수는 2005년 서울대학교 평의원회 의장으로 활동했으며 대한전

기학회장 세계자동제어연맹 부회장 국제자동제어연맹 회장 등을 역임

했다 국제자동제어연맹(IFAC) 회장으로 재임 시 사재 50만 달러를 출연

해 개발도상국 젊은 공학자의 학술 활동을 지원하는 등 후학 양성을 위한

꾸준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김정식 해동과학문화재단 이사장

해동학술정보실 건립기금 30억 원 기부

지난 6월 27일 해동과학문화재단 김정식 이사장(전자공학 48학번)이

lsquo해동학술정보실 건립기금rsquo으로 30억 원을 쾌척했다 이번에 조성된 기금

은 공과대학과 자연과학대학 등 주요 단과대학의 해동학술정보실을 건

설하는데 사용될 예정이다 이번 기금 이외에도 김정식 이사장은 서울대

학교 공과대학 인근 해동학술관과 해동학술정보실 12호관 건립 기금으

로 100억 원이 넘는 금액을 출연하며 꾸준히 모교를 후원하고 있으며 인

재 양성을 위해 한양대 고려대 등 국내 주요 대학에 해동학술정보실 건립

을 지원하고 있다 1972년 대덕전자를 설립해 한국 전자 산업의 기술 개

발을 이끈 선구자로 유명한 김정식 이사장은 1990년 해동과학문화재단

을 만들어 해동상을 재정하는 등 지속적인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

패션그룹형지

생활과학대학 발전기금 3억 원 기부

패션그룹형지(대표이사 회장 최병오)가 생활과학대학에 발전기금 3억 원

을 기부했다 이 기금은 생활과학대학의 교육middot연구활동 및 시설개선 등을

위한 제반 활동에 사용된다 지난 8월 26일 진행된 협약식에서 성낙인 총

장은 ldquo생활과학대학은 패션그룹형지 기금으로 수준 높은 연구 성과와 인

재 배출을 통해 대한민국 대표 인재 양성소로 거듭 날 것rdquo이라고 밝혔으

며 최병오 회장은 ldquo국가 경쟁력을 이끌어가는 리더와 패션 산업 인재를

양성하는 데 패션그룹형지 발전기금이 쓰이길 바란다rdquo고 당부했다 최 회

장은 지난 2003년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패션산업 최고경영자과정

(AFB) 3기를 수료하고 2007년부터 2013년까지 AFB 총교우회 회장을

역임했다 또한 이번 기금 이외에도 꾸준히 후원한 다양한 기금으로 건립

된 lsquo최병오 홀rsquo을 통해 사회 각계각층의 주요 리더들이 교류하는 교육장을

마련했다 1월에는 경영대학 최고경영자과정(AMP) 총동창회가 주최하

는 lsquo제13회 서울대 AMP 대상rsquo을 수상했다

NewsDONATION

유회진 학술정보관 건립 보고 및 감사 행사

ldquo기부금은 이공계 학생들을 위해 써주세요rdquo 故 유회진 박사가 구강암으로 투병

하는 동안 병문안을 갔던 이장무 전임 총장에게 남긴 말이다 서울대학교 기계

설계학과에서 학부와 대학원 생활을 보내고 동아대학교 교수를 역임한 유 박

사는 2009년 구강암 판정을 받았다 그는 암 투병 치료비부터 부모님으로부터

물려받은 유산까지 허투루 쓰지 않고 모은 100억 원이 넘는 전 재산을 서울대

학교에 남기고 2011년 별세했다 유가족이 없는 고인을 위해 서울대학교 발전기

금은 장례를 진행했으며 매년 제사를 지내 뜻을 기린다

지난 7월 2일 관악캠퍼스 공과대학 엔지니어하우스대강당에서 lsquo유회진학술정보

관rsquo 건립 보고 및 감사 행사가 개최됐다 유회진학술정보관은 유회진 기금으로

건립되어 공과대학과 자연대학이 공동 교육 및 연구 시설로 사용할 예정이다 이

날 행사는 오연천 전임 총장의 환영사에 이어 유회진 박사 소개 및 기부 경과보

고 유회진학술정보관 건립 경과보고 순으로 진행됐으며 특별히 故 유회진 박사

의 지인인 서울시립대 권원태(기계설계학과 78학번)교수가 참석했다 그의 숭고

한 마음은 우리 사회의 빛나는 과학자들을 위한 초석이 될 것이다

11월 9일 故 유회진

박사의 3주기가 돌아온다

서울대학교발전기금은

제주(祭主)로서 그를 잊지 않고

사회와 학교를 향한 기부자의

아름다운 정신을 남길 것이다

당신의 아름다운 마무리

35 34

SNU Presidents Honors Club

SNU Honor Club

故 곽명덕 변호사 유가족 (한자영 곽성현 곽성희)

故 구영록 교수 유가족

故 김인제 故 최성순 가족

(故 김동호 故 김동훈 김동준 김진숙 김진옥)

故 이한빈 부총리 가족 (유정혜 이원식 이선이)

고윤석 (물리학과 47입)

고정택 (외교학과 62입)

구영배 (자원공학과 85입)

구재서

권영대 (약학과 55입)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권욱현 (전기공학과 62입)

금장태 (종교학과 62입)

김건식 (법학과 73입)

김경한 (법학과 62입)

김경한 (외교학과 62입)

김광일 (경영학과 84입)

김기봉 middot신경은 (기계공학과 63입 middot화학과 65입)

김기태 (의학과 58졸)

김난도 (소비자아동학부 교수)

김대욱 (조선공학과 76입)

김동길 (화학교육과 57입)

김동훈 (화학과 48입)

김두철 (전자공학과 66입)

김만극 (약학과 47입)

김상헌 (사법학과 82입)

김선동 (화학공학과 59입)

김선화(정자) (국악과 60입)

김성배 (영어영문학과 63입)

김양곤 (IFP 2기)

김연탁 (경제학과 故 김태성 교수의 부)

김연호 (화학공학과 71입)

김영경 (기계공학과 52입) middot김천순

김영석 (3 Plus Logistics 회장)

김영수 (법학과 67입)

김영심 (불어불문학과 故 오현우 교수의 부인)

김영업

김용재 (의과대학 60입)

김용철 (치의학과 55입)

김의신 (의학과 60입)

김의영 (경제학과 54입)

김정희 (간호학과 52입)

김종일 (제어계측공학과 79입)

김진향

김천흥

김철호 (외교학과 70입)

김춘길 (화학생물공학부 58입)

김택수 (법학과 48입)

김하석 middot김영중 (화학과 63입 middot약학과 64입)

김하자 (서양화과 故 하동철 교수의 부인)

김학봉 (한영요업 회장)

김형주 (전자계산기공학과 78입)

나정환 (화학교육과 54입)

남정현 (건축학과 57입)

류무종 (중어중문학과 53입)

류진 (영어영문학과 78입)

마인경 (지리학과 56입)

민계식 (조선항공학과 61입)

민호기 교수 유가족

박대근 (보건대학원 63입)

박맹호 (불어불문학과 52입)

박민식 middot 박금옥 (수의과대학 65입 middot체육교육과 63입)

박봉균 (수의학과 76입)

박숙희 (지리학과 60입)

박용헌 (교육행정학과 53입)

박용호 (수의학과 74입)

朴麟子(가정관리과 82입) 하상예 박임숙 박순영 박노용

박종근 (전기공학과 69입)

박종수 (수의학과 58입)

박종오 (영어영문학과 55입)

박준 (법학과 73입)

박태진 (독어독문학과 80입)

박한제 (동양사학과 69입)

배옥자 (성심가정의학과의원 원장)

백종철 (농공학과 54입)

백형익

법대 48회 졸업생

변대규 (제어계측공학과 79입)

서문자 (간호학과 63입)

손경식 (법학과 57입)

송상용 (화학과 55입)

송상현 (법학과 59입)

송인철 (SPARC 14기)

송학린 (법학과 59입)

신수정 (기악과 59입)

신영길 (계산통계학과 78입)

신영주 (이남장 대표)

신익현 (임학과 79입)

신효영 middot신승연 (故 신광현 교수의 가족)

신희명 (물리교육과 49입)

신희택 (법학과 71입)

심소일 (상학과 49입)

심재성 (前 성보산업 자문위원)

안영경 (前 핸디소프트 고문)

안창엽 (AMP 68기)

양천식

오세경 (약학과 61입)

오승환 (의학과 56입)

오용호 middot오양호 (행정학과 69입 middot법과대학 80입)

오윤덕 (행정학과 61입)

원재연 (경영학과 82입)

유근순

유성숙 (고고미술사학과 故 김원용 교수의 부인)

윤계섭 (상학과 64입)

윤덕우 (경제학과 58입) middot최덕자

윤석금 (웅진그룹 회장)

윤석순 (수의학과 59입)

윤우석 (에너지자원공학과 63입)

이건우 (기계공학과 74입)

이경식 (불어불문학과 55입)

이광희 (지리학과 59입)

이교일 middot박명진

(기계공학과 60입 middot불어불문학과 65입)

이기춘 (가정교육과 61입)

이명현 middot김귀현 (철학과 60입 middot기악과 69입)

이문한 (수의학과 66입)

이병준 (경제학과 55입)

이성규 (사학과 65입)

이성형 (정치학과 82입)

이순원 (가정교육과 54입)

이순형 (가정관리학과 70입)

이신두 (물리학과 76입)

이예식 (약학과 46입)

이용환 (농업교육과 63입)

이용환 (전기공학과 73입)

이원영 (AMP 6기)

이은방 (약학과 55입)

이장무 (제24대 총장)

이재승 (원자핵공학과 59입)

이정섭

이정섭 (종교학과 04입)

이종덕 (물리학과 62입)

이준용 (경제학과 56입)

이지형 (법과대학 85입)

이찬승 (수학교육과 69입)

이창득 (국어교육과 71입)

이창화 (국어국문학과 64입)

이천만 (영어영문학과 故 이상태의 부)

이철승 (법학과 78입)

이철영 (SPARC 17기)

이현수 (농화학과 60입)

이현재 (경제학과 48입)

이형도 (화학공학과 61입)

이홍표 (의과대학 58입)

임길진 교수 유가족

임동진 (법학과 62입)

임현진 (사회학과 67입)

장세권 (농공학과 70입)

장순영

장용국 (법학과 71입)

장재혁 (역사교육과 80입)

장정훈 (약학대학 65입)

전익찬 (지구환경과학부 94입 故 전재규의 부)

전해종 (동양사학과 47졸)

정달훤 (고고미술사학과 87입 故 정은임의 부)

정영현 (공업화학과 85입 정순욱의 부)

정영호 (생물학과 50입) middot 박양숙

정윤환 (임학과 56입)

정재선 (소비자아동학과 93입)

정재준 (前 경보전기 부회장)

정종곤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조동성 (경영학과 67입)

조병직 (법학과 46입)

조석준 (행정학 57졸)

조영식 (수의학과 80입)

조옥환 (부산교통 대표)

조종수 (건국대학교 교수)

조한영 (상학과 43입)

조형준 (미학과 65입)

주중광 middot 허지영 (약학대학 60입 middot 화학과 66입)

차상균 (전기공학과 76입)

차상균 교수 외 제자 12명

채성기 (원자핵공학과 59입)

채제한 (전기공학부 48입 故 채호석의 자)

천문우 (약학과 61입)

최병오 (AFB 3기)

최재열 (조소과 08입 최민주의 부)

최정욱 (화학공학과 49입)

최창원 (심리학과 83입)

최화형 외 3명

풍원자 (임학과 57입 故 용환운의 부인)

하영구 (무역학과 72입)

한규범 (AMP 42기)

한규환 (기계공학과 68입)

한기준 (의학과 52입)

한상복 (사회학과 56입)

한옥희 (화학과 79입)

한장희 middot김재혜 (행정학과 61입 middot 법학과 61입)

허성도 (중어중문학과 68입)

허영인 (SPC그룹 회장)

현기순 (가정교육과 46입)

현정오 (농생물학과 66입)

현택환 (화학과 83입)

홍경자 (간호학과 62입)

홍계수 (법학과 72입 주경숙의 모)

홍길표 (컴퓨터공학부 홍지명의 부)

홍예표 (치의학과 65입)

홍지준 (화학교육과 74입)

황귀례 (제약학과 故 국채호 교수의 부인)

황재홍 (치의학과 90입)

히로나카 헤이스케 (하버드대 명예교수)

Eduard J Stadelmann (前 미네소타대학 교수)

Ken-ichi Arai (동경대 교수)

Peter S Kim (MIT 교수)

Stanley Choy

거평그룹

건일제약

건화엔지니어링

경남기업

경동송천재단

경암교육문화재단

고려아연

공영토건

과학기술혁신 최고전략과정 23기 일동

과학기술혁신 최고전략과정 24기 일동

관악회

광동제약

교보문고

구원장학재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국방과학연구소

국제종합물류

금호아시아나문화재단

김 middot장 법률사무소

김영사

김정문알로에

까사미아

나산실업

남광토건

남영비비안

넥슨코리아

노키아티엠씨

농어촌희망재단

농우바이오

다이소아성산업

다함넷

단암장학재단

대교

대림대학

대양 EampC

대우기전공업

대우엔지니어링

대우테크

대한수의사회

대한통운

돈암장학회

동방

동방상호신용금고

동부대우전자

동부문화재단

동서식품

동아건설산업

동아제약

동양강철

동철문화재단

동화산업장학재단

두을장학재단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롯데관광

롯데쇼핑

매트바이오테크

메디슨

몬산토코리아

미래에셋

미래와도전

미래의동반자재단

민음사

바이로메드

방송문화진흥회

방일영문화재단

법대 39회 동문 일동

법대 84학번 동기회

법대 85학번 동기회

법대최고지도자과정 8기 일동

법대최고지도자과정 10기 일동

법무법인 광장

법무법인 바른

법무법인 세종

법무법인 율촌

법무법인 케이씨엘

법무법인 태평양

법무법인 화우

부경양돈협동조합

비씨카드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동문회

삼양

삼우종합건축사무소

삼일회계법인

삼전순약공업

삼호개발

삼화모터스

상암에너지

상지상사

상진개발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글로벌리더쉽과정

서울대합창단 동문회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석원산업

성남시장학회

성련장학재단

세무법인 조이

세진에프알에스

송우재단

수경출판사

수암장학문화재단

수의과대학 교수 일동

스키부 동문회 일동

시뮬레이션테크

신라교역

신라문화장학재단

신양머그

신한장학재단

썬텍

아모레퍼시픽

아산사회복지재단

안성농장

알앤엘바이오

애드미션

앨트웰민초장학재단

약학교육연수원 이수자 일동

양지농장

영림임업

오뗄

오뚜기재단

오리엔트이엔지

오리온전기

오성엘에스티

와이비엠시사

용운장학회

우덕재단

유기천교수기념사업출판재단

유신

유티씨인베스트먼트

유한재단

유한킴벌리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음악대학 피아노발전기금후원회

이지바이오

인선문화재단

인촌기념회

인탑스

일동제약

일동후디스

일주학술문화재단

재단법인 대우재단

재단법인 정민

재미서울대총동창회

전국은행연합회

정공산업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정수장학회

정헌재단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져스텍

종근당

종로구장학회

좋은책신사고

진생사이언스

진양제약

참존

창강재단

창진영농조합법인

천만장학회

천수기업

천연물과학연구소 교수 일동

천재교육

청합장학회

최고경영자과정 총동창회

최고산업전략과정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middot

미래지도자인문학과정(IFP)

케이씨텍

코스맥스

코오롱

트러스톤자산운용

특수건설

패션그룹형지

포니정장학재단

포휴먼

풀무원

풍산

플라톤아카데미

피에스케이

하나제약

한국간연구재단

한국거래소

한국금융투자협회

한국무역협회

한국문화진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산업은행

한국세포주연구재단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알콜산업

한국외국인학교

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전파기지국

한국증권금융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한국타이어

한국투자신탁운용

한국투자증권

한산이씨양도공파설서공종중

한샘출판

한수통상

해나천연물신약

해성장학회

해태

행정대학원 정보통신과정

현대차 정몽구 재단

현대카드

현대캐피탈

현동장학회

현송교육문화재단

홈플러스e파란재단

효성그룹

휴맥스

AMP 63기 일동

AMP 64기 일동

AMP 65기 일동

AMP 66기 일동

AMP 67기 일동

AMP 68기 일동

AMP 69기 일동

AMP 70기 일동

AMP 71기 일동

AMP 72기 일동

AMP 73기 일동

AMP 74기 일동

AMP 75기 일동

AMP 76기 일동

AMP 77기 일동

AMP 78기 일동

ASSET PLUS투자자문

E1

Eyagi(이야기) CAFE

Goldman Sachs

KDB대우증권

KRX국민행복재단

KTB투자증권

LG연암문화재단

NCSOFT

NHN

NXC

OB맥주

Qualcomm

SECMCA

SIMPAC ANC

SK CampC

SNU 프리시젼

S-Oil

SPARC 15 middot16 middot17 middot18기 일동

1억 원 이상 출연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LG삼성 한국전력공사SK

포스코 웅진한화농업협동조합중앙회

KT 부영신한금융 현대자동차

SPC IBK기업은행

태영현대 금호아시아나롯데장학재단

CJ 대림두산 한진

우리금융 미래국제재단

50억 원 이상 출연

조천식정치학과 45입

윤대섭농공학과 49입

100억 원 이상 출연

정석규화학공학과 48입

이용희태광사 회장

김정식 전자공학과 48입

유회진기계설계학과 78입

SNU Hono r C l ubDONATION

SNU Gold Honors Club

홍성대수학과 57입

이기영前 의대 교수

최창영금속공학과 64입

박영희수학교육과 54입

손장순불어불문학과 54입

유태용토목공학과 50입

김명희middot신정희기악과 91입 김형찬의 모

이필남 박상윤 윤전수middot이삼락

김연혁히로세코리아 감사

서정선의학과 70입

전은기middot김은희 백추현 곽영필토목공학과 56입

박완서의 상속인호원숙 호원순 호원경 호원균

이순자불어불문학과 57입

손동준전자공학과 59입

윤종용전자공학과 62입

정덕균전자공학과 77입

강옥채middot노병수공법학과 83입

민선식경제학과 78입

박병준섬유공학과 52입

서울대학교총동창회

양두석독어독문학과 69입

양윤홍전자공학과 63입

대우 카길애그리퓨리나 동진쎄미켐 하나금융지주

동원 동양 KB금융지주 대우조선해양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대성 로이드선급협회 아시아일진

한국가스공사 녹십자 생명보험협회 현대중공업

메가스터디 TOYOTA MOTOR CORP SK하이닉스 서울장학재단

STX 농심 무한투자 이연제약

대우인터내셔널 송원김영환장학재단 형애장학회 신풍제약

10억 원 이상 출연

현대산업개발

스페코middot삼익악기

영원무역

쌍용양회공업

영원아웃도어

환인제약 주식회사

한국프뢰벨

37 36

춘강문화장학재단 (박성형 이사장)

허성도 (인문대학 명예교수)

형남진장학재단 (이정희 이사장)

강남구청

김형렬 (윤리교육과 교수)

공병영 (사무국장middot시설관리국장)

신흥 (이용익 대표이사)

서영길 (광산학과 53입)

일중장학재단 (송윤영 이사장)

금곡장학회 (이수상 이사장)

덕원장학회 (이헌경 이사장)

강현구 (건축학과 교수)

김명환 (조선해양공학과 75입)

김영수 (법과대학 60입)

김영운 (재료공학부 교수)

서강문 (동물병원 원장)

서동규 (경영학과 84입)

송희영 (영어영문학과 74입)

이근무 (사회학과 56입)

이재호 (경영학과 84입)

주식회사 KTampG 남서울본부 (박정욱 본부장)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박기용 이사장)

가송재단 (윤도준 이사장)

강스템바이오텍 (강경선 대표이사)

유한회사 본음인베스트먼트

이진경 (전국낙지자랑 대표)

주리아 (치과대학 04입)

한승장학회 (이재영 이사장)

키움증권 (권용원 대표이사)

협성문화재단 (박석귀 이사장)

윤상혁 (디자인학부 03입)

GS칼텍스 (허동수 대표이사 회장)

권규돈 (중어중문학과 13입 권기범의 부)

김경준 (농경제학과 82입)

김용팔 (수의과대학 75입)

김재홍 (수의학과 교수)

김진태 (법학과 71입)

문대원 (경영학과 71입)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오근택 대표이사)

박세창 (수의학과 교수)

산학협동재단 (한덕수 이사장)

선암장학재단 (윤호철 이사장)

성제경 (수의학과 교수)

송재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우광덕 (치과대학 64입)

유기윤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유한상 (수의학과 교수)

윤여성 (수의학과 교수)

윤정희 (수의학과대학 부학장)

윤화영 (수의학과 교수)

이건목원리한방병원 (이건목 원장)

이소영 (수의학과 교수)

이항 (수의학과 교수)

이희근 (공과대학 명예교수)

조무제 (법학과 65입)

조성범 (수의학과 교수)

조제열 (수의학과 교수)

중앙백신연구소 (윤인중 대표이사)

지티앤티 (이세한 대표이사)

채찬희 (수의학과 교수)

태평소금 (손일선 회장)

한호재 (수의학과 교수)

해마루 (김현욱 원장)

황인구 (수의학과 교수)

조선에듀케이션 (방정오 대표이사)

강진영 (의학과 69입)

김정기 (법학과 75입)

박달이 (간호대학 74입)

박재완

사회복지법인 건아재단 (심철환 이사장)

손정식 (제약학과 73입)

윤재석 (화학교육과 71입)

이도환 (치의학과 86입)

이동식 (영어교육과 72입)

홍기택 (경영학과 74입)

KT (황창규 대표이사 회장)

LG PC 유지보수센터 (박무광 대표이사)

광주시민장학회 (박기준 이사장)

박영임 (간호학과 73입)

사명희치과 (사명희 원장)

연당장학회 (남욱 회장)

우정장학문화재단 (강백영 이사장)

제노에너지 (김성철 대표이사)

신우호 (화학교육과 87입)

이병욱 (조경학과 81입)

정혜선 (간호학과 82입)

허종필 (공업화학과 73입)

권길주 (조선해양공학과 11입 정지원의 모)

권혜숙 (약학과 82입)

김미영 (간호학과 98입)

김범진 (턱교정학고급연수과정 6기)

김성열 (교육학과 75입)

김우진 (국악과 73입)

녹십자수의약품 (김승목 대표이사)

덕영재단 (전헬리시아 이사장)

류제하 (기계공학과 78입)

문수자동판매기 (김영식 대표)

민기복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민동홍 (독어독문학과 77입)

박종철 (물리학과 61입)

설재연 (심리학과 82입)

송은도 (국악과 01입)

유차영 (ASP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 12기)

신우개발 서울지점 (김익환 사장)

신하순 (동양화과 교수)

안석준 (치의과대학원 부원장

안휘준 (인문대학 명예교수)

양민영 (협동과정 미술교육전공 94입)

양형식 (자원공학과 75입)

옥복연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07입)

우경미 (치의학대학원 교수)

우성공원묘원 (허정산 대표)

우성원 (미학과 95입)

월악장학문화재단 (남기영 이사장)

유건선 (토목공학과 73입)

유흥수 (법학과 58입)

윤희정 (수의학과 교수)

이대혁 (자원공학과 87입)

이병천 (수의학과 교수)

이상돈 (에너지자원공학과 84입)

이승주 (치의학과 92입)

이시우 (의예과 95입)

이용규 (경영학과 84입)

이정인 (공과대학 명예교수)

이희석 (농생물과 57입)

임종후 (서양화과 12입 임지윤의 부)

임한조 (물리학과 67입)

전석원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정소걸 (자원공학과 71입)

정지훈 (치의학과 교수)

조경란 (법학과 79입)

조기웅 (화학과 66입)

조현욱 (사법학과 83입)

최명애 (회화과 70입)

최정욱 (경영학과 84입)

최종길 (법과대학 83입)

하종철 (동양화과 13입 하문원의 부)

한공창 (자원공학과 72입)

한국지하수지열협회 (안근묵 회장)

허형무 (경영대학 68입)

미주재단

Steve Ro (토목공학과 61입)

Soung Kim (임학과 56입)

Joong M Soh (공과대학 64입)

John Baek (금속공학 49입)

Hyunchan Lee (치과대학 70입)

Steve amp Cheryl Shapiro

Kwang S Hong (공과대학 60입)

Moon H Kim (공과대학 68입)

David Cho (공과대학 60입)

Dong Ku Chung (기계공학과 57입)

Sang Dae Lee (농업생명과학대학 80입)

Young D Kim (공과대학 67입)

AMP 78기 일동

삼성복지재단 (이수빈 이사장)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한국세포주연구재단

SK하이닉스 (박성욱 대표이사 사장)

패션그룹형지 (최병오 회장)

한국수력원자력 (조석 사장)

형애장학회 (최효종 이사장)

송원김영환장학재단 (김해련 이사장)

사회복지법인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이기수 이사장)

SECMCA

TOYOTA MOTOR CORP

(요시다 아키히사 대표이사 사장)

권욱현 (공과대학 명예교수)

네이버 (김상헌 대표이사)

부경양돈협동조합 (박재민 조합장)

안인희

전국경제인연합회 (허창수 회장)

현송교육문화재단 (김정일 이사장)

롯데장학재단 (신영자 이사장)

일주학술문화재단 (이선애 이사장)

현대차 정몽구 재단 (유영학 이사장)

박미혜 (성악과 교수)

LG연암문화재단 (구자경 이사장)

KeyGene (Arjen van Tunnen CEO)

아산사회복지재단 (정몽준 이사장)

천만장학회 (이광현 이사장)

방일영문화재단 (조연흥 이사장)

AMP 77기 일동

신라문화장학재단 (박준형 이사장)

SBS문화재단 (윤세영 이사장)

김만극 (약학과 47입)

아이바이오 (김기일 대표이사)

현대엔지니어링 (김위철 대표이사)

종근당고촌재단 (김두현 이사장)

정수장학회 (김삼천 이사장)

Kensary LLP

앨트웰민초장학재단 (김박 이사장)

한국동서발전 (장주옥 사장)

한화갤러리아 (박세훈 대표이사)

한화생명보험 (차남규 대표이사 사장)

한화손해보험 (박윤식 대표이사)

한화첨단소재 (김창범 대표이사)

한화투자증권 (주진형 대표이사 사장)

KEILCO(KEPCO ILJAN CORPORATION)

연강재단 (박용현 이사장)

창강재단 (안병표 이사장)

경기도 인재개발원 (박익수 원장)

대림수암장학문화재단 (변형윤 이사장)

청합장학회 (여상길 회장)

한빛종합동물병원 (임정식 원장)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716900000

364863690

317560000

250000000

220000000

200000000

200000000

150000000

142103500

140000000

139583000

13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98538000

89942000

82426000

70000000

67509000

67500000

62989000

59929000

59208000

53720000

51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44302000

42076000

40918000

40273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39677688

39035000

37244000

37068000

34780000

31047000

31000000

30300600

박종오 (영어영문학과 55입)

이상복 (ABKI문헌지식정보최고위과정 5기)

이상억 (인문대학 명예교수)

한화 (심경섭 대표이사)

한화건설 (김현중 부회장)

한화자산운용 (강신우 대표이사)

한화케미칼 (방한홍 대표이사)

한화호텔앤드리조트 (홍원기 대표이사)

오뚜기재단 (함태호 이사장)

유한재단 (이필상 이사장)

영원무역 (성기학 대표이사 회장)

서울대합창단동문회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전병원 이사장)

국가정책과정(ACAD) 77기 일동

배영수 (서양사학과 교수)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최윤 회장)

몬산토코리아유한회사

(벤자민 마크 후드리스 대표이사)

성련장학재단 (허연금 이사장)

고광우 (행정학과 53입)

김철수 (법과대학 명예교수)

대한적십자사 (유중근 총재)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성기학 이사장)

임현진 (사회과학대학 명예교수)

장문영 (화학과 59입)

재단법인 양영재단 (김상하 이사장)

조유근 (컴퓨터공학부 교수)

두을장학재단 (이인희 이사장)

과천시애향장학회 (신학수 이사장)

서울장학재단 (이경희 이사장)

왕한석 (인류학과 교수)

포니정장학재단 (정몽규 이사장)

조용준 (법학과 79입)

농어촌희망재단 (김달웅 이사장)

경동송천재단 (류덕희 이사장)

농생대 환경재료과학 교수일동

주식회사 천랩 (천종식 대표이사)

돈암장학회 (이용배 이사장)

인선문화재단 (박선영 이사장)

단암장학재단 (이봉서 이사장)

치과대학 치의학대학원 동창회

흥한재단 (박병석 이사장)

선화예술문화재단 (심재혁 대표)

한국미즈노 주식회사 (김창범 대표이사)

곽노섭 (수학과 49입)

19대 인문대 학장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김은선 (디자인학부 13입 조은지의 모)

서광훈 (약학대학 67입)

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ASP) 27기 동문

송재용 (경영학과 교수)

수도씨에이씨 (송명호 대표이사)

신한화구 (한봉근 대표)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28436000

27942000

26000000

24210000

24041200

23994234

22500000

20724000

20500000

20274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18779000

17973600

17934000

17600000

17050000

17000000

165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4000000

14000000

13500000

12000000

12000000

11602000

11102610

10281624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이앤티 (고영호 대표이사)

재단법인 정민 (윤석헌 이사장)

제11기 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천병년 (약학과 77입)

최민철 (농공학과 75입)

현대하이스코 (신성재 대표이사)

황효진 (동양사학과 78입)

대한사료주식회사 (이상민 대표이사)

해성문화재단 (단재완 이사장)

한국가스공사 (장석효 사장)

장석윤 (약학과 79입)

한국석유공사 (서문규 사장)

종로구장학회 (최현종 이사장)

동부문화재단 (강경식 이사장)

인촌기념회 (이용훈 이사장)

용옥장학문화재단 (양철우 이사장)

미래의동반자재단 (Jeffrey D Jones 이사장)

성옥문화재단 (이화일 이사장)

다래파크텍 (김호정 대표이사)

미래인재육성재단 (최양식 이사장)

고화장학회 (배명인 이사장)

한국애질런트테크놀로지스 (박시영 대표)

이재원 (중앙도서관 정보관리과)

리브로 (김경수 대표이사)

오운문화재단 (이동찬 이사장)

조비경농장학재단 (이병만 이사장)

오스템임플란트 (최규옥 대표이사)

한국섬유산업연합회장학재단 (노희찬 이사장)

아카넷 (김정호 사장)

삼송장학회 (김영기 이사장)

서지희 (IFP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11기)

김지호

서울상공회의소 관악구상공회 (김진철 회장)

송파재단 (윤원영 이사장)

김영윤 (토목공학과 62입)

로보로보 (장창남 대표이사)

류판동 (수의과대학장)

모르페우스 (김진수 대표이사)

박윤서 (고고인류학과 69입)

박찬국 (철학과 교수)

송인석 (치의학과 01입)

시그나사회공헌재단 (홍봉성 이사장)

신남식 (수의학과 교수)

약학대학 40회 동기회

와이비엠 (민선식 대표이사)

이필상 (경제학부 교수)

한국경제연구원 (권태신 원장)

황만순 (제약학과 90입)

운경재단 (배성동 이사장)

제봉민병욱장학재단

심명문화재단 (이경재 이사장)

홍산장학재단 (천영주 이사장)

홍수현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9730000

9528000

9140000

9000000

9000000

8690000

8525000

8525000

8178000

8112000

7963000

7928068

7713000

7500000

7000000

6950000

6919590

6058000

6010000

6000000

6000000

5700000

5400000

5357143

5100000

5100000

5089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4934000

4734000

4527000

4500000

4462280

4000000

4000000

4000000

3956000

3862000

3600000

3500000

3029000

3029000

3005000

3005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2706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467000

2467000

22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1865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5145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431445

1221251

1210000

108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단위 $

100000

10000

5000

3000

500

500

200

200

100

100

100

100

20140601 ~ 20140831 약정 단위 원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약정DONATION

39 38

김형렬 (윤리교육과 교수)

이정진 (기계항공공학부 95입)

신흥 (이용익 대표이사)

이창우 (경영학과 교수)

서영길 (광산학과 53입)

일중장학재단 (송윤영 이사장)

금곡장학회 (이수상 이사장)

덕원장학회 (이헌경 이사장)

강현구 (건축학과 교수)

김명환 (조선해양공학과 75입)

김영수 (법과대학 60입)

김영운 (재료공학부 교수)

김종원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김진학 (도시환경최고전문가과정 29기)

박훈 (기계공학과 63입)

서강문 (동물병원 원장)

서동규 (경영학과 84입)

송재홍 (농화학과 83입)

송희영 (영어영문학과 74입)

신남식 (수의학과 교수)

이규선 (조경middot지역시스템공학부 13입 이성용의 부)

이봉호 (치의예과 84입)

이재호 (경영학과 84입)

전병롱 (정책학과 10입 전상우의 부)

전호석 (기계설계학과 71입)

주식회사 KTampG 남서울본부 (박정욱 본부장)

최황 (의과대학 명예교수)

황철성 (재료공학부 교수)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박기용 이사장)

가송재단 (윤도준 이사장)

강스템바이오텍 (강경선 대표이사)

오이코스 (배장영 대표이사)

유한회사 본음인베스트먼트

이진경 (전국낙지자랑 대표)

한승장학회 (이재영 이사장)

윤용혁 (독어교육과 60입)

키움증권 (권용원 대표이사)

협성문화재단 (박석귀 이사장)

이강이 (아동가족학과 교수)

윤상혁 (디자인학부 03입)

윤화영 (수의학과 교수)

GS칼텍스 (허동수 대표이사 회장)

권규돈 (중어중문학과 13입 권기범의 부)

김경준 (농경제학과 82입)

김용팔 (수의과대학 75입)

김재홍 (수의학과 교수)

김진태 (법학과 71입)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이재술 대표이사)

문대원 (경영학과 71입)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오근택 대표이사)

박세창 (수의학과 교수)

산학협동재단 (한덕수 이사장)

선암장학재단 (윤호철 이사장)

성제경 (수의학과 교수)

송재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우광덕 (치과대학 64입)

유기윤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유한상 (수의학과 교수)

윤여성 (수의학과 교수)

윤정희 (수의학과 교수)

이건목원리한방병원 (이건목 원장)

이동진 (교무처 학사과)

이소영 (수의학과 교수)

이인숙 (간호대학 교수)

이항 (수의학과 교수)

이희근 (공과대학 명예교수)

조무제 (법학과 65입)

조성범 (수의학과 교수)

조제열 (수의학과 교수)

주식회사 오공 (김윤정 대표이사)

중앙백신연구소 (윤인중 대표이사)

지티앤티 (이세한 대표이사)

채찬희 (수의학과 교수)

태평소금 (손일선 회장)

한호재 (수의학과 교수)

해마루 (김현욱 원장)

황인구 (수의학과 교수)

조선에듀케이션 (방정오 대표이사)

사회복지법인 건아재단 (심철환 이사장)

KT (황창규 대표이사 회장)

광림교회 (김정석 담임목사)

광주시민장학회 (박기준 이사장)

김기원 (AIP최고산업전략과정 38기)

김상은 (융합과학부 교수)

김혜원 (간호학과 교수)

박종근 (전기공학과 교수)

서병태 (의학과 54입)

송경희 (국악과 59입)

연당장학회 (남욱 회장)

오유경 (약학대학 부학장)

우정장학문화재단 (강백영 이사장)

임현주 (약학과 82입)

전상직 (작곡과 교수)

주리아 (치과대학 04입)

한국마쯔다니 (유태균 대표이사)

홍영표 (GLP글로벌리더십과정 21기)

신우호 (화학교육과 87입)

류판동 (수의과대학장)

이병욱 (조경학과 81입)

김용백 (수의학과 교수)

김종암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정혜선 (간호학과 82입)

강부현 (수의학과 72입)

권길주 (조선해양공학과 11입 정지원의 모)

권혜숙 (약학과 82입)

김경대 (치의학과 82입)

김미영 (간호학과 98입)

김범진 (턱교정학고급연수과정 6기)

김성열 (교육학과 75입)

김종흔 (경영대학 92입)

김현산 (법과대학 54입)

녹십자수의약품 (김승목 대표이사)

덕영재단 (전헬리시아 이사장)

문수자동판매기 (김영식 대표)

민기복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민동홍 (독어독문학과 77입)

박병익 (지리교육과 교수)

박종철 (물리학과 61입)

설재연 (심리학과 82입)

송은도 (국악과 01입)

유차영 (ASP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 12기)

신우개발 서울지점 (김익환 사장)

신하순 (동양화과 교수)

안석준 (치의과대학원 부원장

안휘준 (인문대학 명예교수)

양민영 (협동과정 미술교육전공 94입)

양형식 (자원공학과 75입)

옥복연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07입)

우경미 (치의학대학원 교수)

우성공원묘원 (허정산 대표)

우성원 (미학과 95입)

월악장학문화재단 (남기영 이사장)

유건선 (토목공학과 73입)

유흥수 (법학과 58입)

윤희정 (수의학과 교수)

이기윤 (정치학과 88입)

이대혁 (자원공학과 87입)

이병천 (수의학과 교수)

이상돈 (에너지자원공학과 84입)

이승주 (치의학과 92입)

이시우 (의예과 95입)

이은수 (서울대운동용품 대표)

이정인 (공과대학 명예교수)

임종후 (서양화과 12입 임지윤의 부)

정소걸 (자원공학과 71입)

정지훈 (치의학과 교수)

조경란 (법학과 79입)

조기웅 (화학과 66입)

조현욱 (사법학과 83입)

최명애 (회화과 70입)

최정욱 (경영학과 84입)

최종길 (법과대학 83입)

최해영 (경영대학 행정실)

하종철 (동양화과 13입 하문원의 부)

한공창 (자원공학과 72입)

한국지하수지열협회 (안근묵 회장)

허형무 (경영대학 68입)

미주재단

Steve Ro (토목공학과 61입)

Soung Kim (임학과 56입)

Joong M Soh (공과대학 64입)

John Baek (금속공학 49입)

Hyunchan Lee (치과대학 70입)

Steve amp Cheryl Shapiro

Kwang S Hong (공과대학 60입)

Moon H Kim (공과대학 68입)

David Cho (공과대학 60입)

Dong Ku Chung (기계공학과 57입)

Sang Dae Lee (농업생명과학대학 80입)

Young D Kim (공과대학 67입)

서울대학교병원 (오병희 병원장)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이철희 병원장)

SK가스 (최창원 부회장)

AMP 78기 일동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윤강섭 병원장)

삼성전자 (권오현 대표이사 부회장)

SK하이닉스 (박성욱 대표이사 사장)

삼성복지재단 (이수빈 이사장)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한국세포주연구재단

하나제약 (조경일 회장)

코스맥스 (이경수 대표이사 회장)

패션그룹형지 (최병오 회장)

서울대학교총동창회 (서정화 회장)

한국수력원자력 (조석 사장)

형애장학회 (최효종 이사장)

송원김영환장학재단 (김해련 이사장)

사회복지법인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이기수 이사장)

TOYOTA MOTOR CORP

(요시다 아키히사 대표이사 사장)

권욱현 (공과대학 명예교수)

네이버 (김상헌 대표이사)

현송교육문화재단 (김정일 이사장)

롯데장학재단 (신영자 이사장)

일주학술문화재단 (이선애 이사장)

현대차 정몽구 재단 (유영학 이사장)

LG연암문화재단 (구자경 이사장)

SECMCA

아산사회복지재단 (정몽준 이사장)

천만장학회 (이광현 이사장)

방일영문화재단 (조연흥 이사장)

AMP 77기 일동

신라문화장학재단 (박준형 이사장)

KRX국민행복재단 (최경수 이사장)

SBS문화재단 (윤세영 이사장)

김만극 (약학과 47입)

농우바이오 (정용동 유연희 대표이사)

안인희

전국경제인연합회 (허창수 회장)

정윤환 (임학과 56입)

현대엔지니어링 (김위철 대표이사)

세진에프알에스 라쿠치나 서울대점 (장재훈 대표이사)

재단법인 웅진 (신현웅 이사장)

종근당고촌재단 (김두현 이사장)

정수장학회 (김삼천 이사장)

Kensary LLP

앨트웰민초장학재단 (김박 이사장)

주중광 허지영 (약학대학 60입 화학과 66입)

한국동서발전 (장주옥 사장)

한화갤러리아 (박세훈 대표이사)

한화생명보험 (차남규 대표이사 사장)

한화손해보험 (박윤식 대표이사)

한화첨단소재 (김창범 대표이사)

한화투자증권 (주진형 대표이사 사장)

KEILCO(KEPCO ILJAN CORPORATION)

연강재단 (박용현 이사장)

창강재단 (안병표 이사장)

경기도 인재개발원 (박익수 원장)

대림수암장학문화재단 (변형윤 이사장)

이상억 (인문대학 명예교수)

1432968520

1147748270

1000000000

716900000

615220390

600000000

560000000

364863690

317560000

250000000

220000000

210000000

200000000

200000000

166000000

150000000

142103500

140000000

139583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98538000

89942000

82426000

67509000

66598412

62989000

59929000

59208000

53720000

51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49800000

46522180

44302000

42076000

40918000

40273000

40204972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39677688

39035000

37244000

37068000

34780000

31800000

청합장학회 (여상길 회장)

한빛종합동물병원 (임정식 원장)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두산 (박용만 대표이사 회장)

송미순 (간호학과 교수)

이상복 (ABKI문헌지식정보최고위과정 5기)

한화 (심경섭 대표이사)

한화건설 (김현중 부회장)

한화자산운용 (강신우 대표이사)

한화케미칼 (방한홍 대표이사)

한화호텔앤드리조트 (홍원기 대표이사)

오뚜기재단 (함태호 이사장)

재단법인 최혁영 장학회 (최혁영 회장)

유한재단 (이필상 이사장)

영원무역 (성기학 대표이사 회장)

부경양돈협동조합 (박재민 조합장)

져스텍 (김용일 대표이사)

서울대합창단동문회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전병원 이사장)

국가정책과정(ACAD) 77기 일동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최윤 회장)

몬산토코리아유한회사

(벤자민 마크 후드리스 대표이사)

성련장학재단 (허연금 이사장)

고광우 (행정학과 53입)

대한적십자사 (유중근 총재)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성기학 이사장)

임현진 (사회학과 교수)

재단법인 양영재단 (김상하 이사장)

조유근 (컴퓨터공학부 교수)

두을장학재단 (이인희 이사장)

과천시애향장학회 (신학수 이사장)

서울장학재단 (이경희 이사장)

왕한석 (인류학과 교수)

포니정장학재단 (정몽규 이사장)

조용준 (법학과 79입)

농어촌희망재단 (김달웅 이사장)

경동송천재단 (류덕희 이사장)

김신원 (응용화학과 64입)

농생대 환경재료과학 교수일동

주식회사 천랩 (천종식 대표이사)

돈암장학회 (이용배 이사장)

인선문화재단 (박선영 이사장)

단암장학재단 (이봉서 이사장)

치과대학 치의학대학원 동창회

흥한재단 (박병석 이사장)

선화예술문화재단 (심재혁 대표)

한국미즈노 주식회사 (김창범 대표이사)

곽노섭 (수학과 49입)

19대 인문대 학장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김은선 (디자인학부 13입 조은지의 모)

바텍 (노창준 대표이사)

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ASP) 27기 동문

수도씨에이씨 (송명호 대표이사)

신한화구 (한봉근 대표)

이앤티 (고영호 대표이사)

장문영 (화학과 59입)

제11기 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조경일 (약학대학 64입)

주식회사 명진팜 (권기진 대표이사)

31047000

31000000

303006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28436000

28081000

27942000

26000000

25000366

25000000

24210000

24041200

23994234

20724000

20500000

20274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18779000

17973600

17934000

17600000

17050000

17000000

165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4000000

14000000

13500000

12000000

12000000

11602000

11102610

10281624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천병년 (약학과 77입)

최민철 (농공학과 75입)

현대하이스코 (신성재 대표이사)

황효진 (동양사학과 78입)

대한사료주식회사 (이상민 대표이사)

해성문화재단 (단재완 이사장)

한국가스공사 (장석효 사장)

김춘길 (화학생물공학부 58입)

애드미션 (김유탁 대표이사)

종로구장학회 (최현종 이사장)

동부문화재단 (강경식 이사장)

인촌기념회 (이용훈 이사장)

용옥장학문화재단 (양철우 이사장)

미래의동반자재단 (Jeffrey D Jones 이사장)

김영윤 (토목공학과 62입)

성옥문화재단 (이화일 이사장)

다래파크텍 (김호정 대표이사)

미래인재육성재단 (최양식 이사장)

고화장학회 (배명인 이사장)

이재원 (중앙도서관 정보관리과)

리브로 (김경수 대표이사)

오운문화재단 (이동찬 이사장)

조비경농장학재단 (이병만 이사장)

박지향 (중앙도서관장)

오스템임플란트 (최규옥 대표이사)

한국섬유산업연합회장학재단 (노희찬 이사장)

한옥희 (화학과 79입)

아카넷 (김정호 사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정기택 원장)

삼송장학회 (김영기 이사장)

서지희 (IFP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11기)

김지호

서울상공회의소 관악구상공회 (김진철 회장)

박찬국 (철학과 교수)

송파재단 (윤원영 이사장)

김재길 (법학과 56입)

로보로보 (장창남 대표이사)

모르페우스 (김진수 대표이사)

박성경 정성창 (치의학과 96입)

박윤서 (고고인류학과 69입)

서용석 (상학과 46입) 정재원

송인석 (치의학과 01입)

송재용 (경영학과 교수)

시그나사회공헌재단 (홍봉성 이사장)

약학대학 40회 동기회

와이비엠 (민선식 대표이사)

이필상 (경제학부 교수)

한국경제연구원 (권태신 원장)

황만순 (제약학과 90입)

운경재단 (배성동 이사장)

제봉민병욱장학재단

심명문화재단 (이경재 이사장)

홍산장학재단 (천영주 이사장)

홍수현

박미혜 (성악과 교수)

박영아 (물리학과 79입)

최동하 (농경제학과 71입)

춘강문화장학재단 (박성형 이사장)

허성도 (인문대학 명예교수)

형남진장학재단 (이정희 이사장)

강남구청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9730000

9528000

9140000

9000000

9000000

8690000

8525000

8525000

8178000

8112000

8000000

7963000

7928068

7713000

7500000

6950000

6919590

6058000

6010000

6000000

6000000

6000000

6000000

5700000

5556000

5400000

5357143

5100000

5100000

5090000

5089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4934000

4734000

4527000

4500000

446228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3956000

3862000

3750000

3500000

3120000

3029000

3029000

3005000

3005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2706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467000

2467000

2467000

2400000

2230000

215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1865000

1800000

15145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431445

1300000

1275251

1260000

1200000

106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단위 $

100000

10000

5000

3000

500

500

200

200

100

100

100

100

단위 원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20140601 ~ 20140831 출연

출연DONATION

40

서울대학교는 기부금을 출연한 후원인에게 더욱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국내 최고 수준의 의

료서비스를 자랑하는 서울대학교병원 이용 예우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으며 서울대학교병원 후원인

라운지에 상주하는 전담 직원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후원자 중 추가 진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본원 또는 분당 서울대학교병원과의 즉각

적인 연계가 가능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 본원 조윤지 | Tel 02-2272-2750 E-mail sosunolovesnuackr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강수정 | Tel 031-787-1915 E-mail c8541snubhorg

(재)서울대학교발전기금 김종희 | Tel 02-871-1633 E-mail p2727snuackr

bull병원 예우 담당자

bull서울대학교병원 예우 서비스 이용 안내

예약대행 서비스 | 진료 및 입원 예약 대행 병원 측과 협의 후 예약일자 결정

의전 서비스 | 진료middot입원middot응급실 이용 편의를 위해 예우 담당자가 직접 안내

종합건강검진 주선 서비스(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bull서울대학교병원 예우 서비스 내용

지원 자격 활동 기간

bull경제적 지원이 필요한 학생

(건강보험료 기준) 우선 선발

bull성적 45만점 환산 30 이상

lsquo 새싹 멘토링rsquo은 빈곤의 대물림을 막기 위한 자선 봉사활동으로

전국 국공립대학의 우수한 학생이 저소득층 중middot고등학생의

학습을 도우며 장학금을 받는 프로그램입니다

bull최소 6개월~12개월

bull활동 실적에 따라 졸업 시까지

연차적으로 기회 부여

새싹멘토링의

멘토가

되어주세요

bull전화 02-880-1593(새싹 멘토링 서울대학교 본부) bull팩스 02-780-2647(미래국제재단 여의도 본사)

bull이메일 mifsnuhanmailnet 새싹 멘토링 지원 방법 문의 시 상세히 안내해드립니다

서울대학교와 미래국제재단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봉사활동에 학생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다립니다

기부인의 따뜻한 마음에

다양한 혜택의 예우 서비스로

보답합니다

출연 기금 진료예약 의전 서비스 종합건강검진 주선

50억 이상 평생 평생 연 1회(평생 프리미엄 검진)

10억 이상 평생 10년 연 1회(평생)

5억 이상

1억 원당 1년(기한)

5년

1억 원당 연 1회(기한)3억 이상 3년

1억 이상 1년

서울대학교병원 본원 후원인 전담 직원이 진료 예약 및 의전 서비스까지 친절하게 안내해 드립니다

문의처 병원 후원인 라운지(본관 3층) 또는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후원인 전담 직원이 진료 예약 및 의전 서비스까지 친절하게 안내해 드립니다

문의처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또는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강남센터와의 즉각적인 연계를 통해 강남센터 상담 직원이 후원자 여러분께 상담 전화를 드립니다

문의처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기부인 예우 프로그램DONATION

SeoulNational University

151-742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1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

T 02-880-5114 F 02-885-5272wwwsnuackr

C o v e r S t o r y

과학자의 공식

좋은 연구를 하겠다는 신념으로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걸어온 사람

miRNA 분야의 세계적인 개척자 김빛내리 교수다

그녀는 노벨상 수상에 가장 근접한 국내 과학자로 꼽힌다

도전과 실패 인내를 거듭하며 세계적인 과학자 반열에 오르기까지

그녀의 행보를 통해 성공과 신뢰 만족을 얻는 인생 공식을 알아본다

Page 8: SNU Magazine Vol. 38 › new › wp-content › uploads › 2015 › 12 › snu_people... · 2016-01-30 · 우수 연구자 시리즈 10 유상렬 농생명공학부 교수 06 선배와의

13 12

업무 스트레스여 삼진 아웃

아직 해도 다 뜨지 않은 푸른 새벽 유니폼을 입은 15명의 남자가

늦은 가을바람을 헤치고 야구 연습장을 뛰기 시작한다 ldquo하나

둘 셋 넷rdquo 운동장에 울려 퍼지는 힘찬 구호 준비 운동을 마친

포수와 투수가 자리를 잡는다 이윽고 야구공이 배트에 맞는 경

쾌한 소리가 운동장을 메운다

프로 선수들을 방불케 하는 훈련으로 새벽부터 서울대학교 야구

장을 밝힌 이들은 체육교육과 학생들도 야구부 학생들도 아닌

서울대학교 교직원 야구단원들이다 이들은 야구를 위해 매주 화

요일 목요일 아침 7시에 모인다 ldquo철저한 훈련이 인천 사회인 야

구대회 우승 비결입니다rdquo 정용기(시설지원과) 감독이 자랑스럽

게 말했다 서울대학교 교직원 야구단은 lsquo2014년 전국대학 교직

원 야구대회 준우승rsquo lsquo2013년 인천 남구 리그 우승rsquo 등 사회인 야 구단에서 이름을 날리는 팀이다 올해로 4주년을 맞은 야구단은

2011년 학교 밖 사회인 야구단에서 야구를 즐기다가 서로 알게

된 교직원 9명이 의기투합해 만들었다 lsquo야구를 좋아하는 다른

교직원을 각자 한 명씩 데려오자rsquo라는 약속으로 시작된 모임이

2012년 스누리그에 가입하며 본격적인 동아리의 틀을 완성해갔

다 현재는 80명의 회원이 활발하게 활동하는 서울대학교 내 가

장 큰 교직원 동아리 중 하나로 꼽힌다 야구 동아리는 스누리그

에 등록된 학생 야구팀과 시합을 하면서 학생들과도 두터운 친분

을 쌓고 있다 땀 흘리며 운동하다 보면 남녀노소 누구나 친구가

될 수 있는 것이 바로 스포츠의 매력 아닌가 평일 아침 아주 잠깐

의 시간이지만 서류 가방 대신 글러브와 배트를 손에 쥔 그들의

얼굴이 유난히 밝다

인생을 읊조리는 시간

문학과 예술 동아리는 자작시를 낭송하는 교직원 모임이다 한

달에 한 번씩 좋은 책을 읽고 서평을 공유하거나 새로운 시를 소

개하기도 한다 2005년 시를 읽고 쓰기 위해 자발적으로 결성한

모임이 10년의 세월을 거치며 등단 시인을 배출하기도 했다 이

들의 가장 큰 행사는 lt서울대 문예지gt 발간과 정기적으로 개최하

는 lsquo교직원 문예의 밤rsquo이다 작년 11월에는 lsquo가을 낙엽제 행사rsquo에

서 시화전을 열어 90여 편의 자작시를 소개하는 등 다양한 동호

회 행사를 진행하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문학과 예술 동아리

를 이끄는 이종만(공과대학) 회장은 동호회 활동을 적극 추천한

다 ldquo직장이라는 울타리 안에 많은 직원이 함께 있지만 주어진 업

무에만 치중하다 보면 서로 간 소통의 기회가 부족합니다 다양

한 기관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이 동아리를 통해 교류하면서 업무

에 대한 이해도 높일 수 있습니다rdquo

학교 차원에서도 교직원의 동아리는 권장 활동이다 동아리가 직

원 개개인의 잠재력과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스

트레스를 해소하는 건 물론이고 건전한 조직 생활을 위한 동기

를 부여해 즐거운 직장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이에 동아리를 위한 학교의 지원도 점차 체계적이고 구

체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전년도 활동 실적과 당해 연도 활동 계

획서를 제출하면 심사를 거쳐 활동비를 지원한다

든든한 후원 속에서 성장하는 교직원 동아리 다양한 모임에서

더 많은 교직원들이 삶의 즐거움을 누리길 기대한다

즐거운

삶을

꿈꾸며

잠깐의 쉼마저 사치가 되어버린 세상 lsquo바쁘니까 내일부터rsquo라는

말로 일상의 즐거움을 미루는 사람들에게 lsquo여유는 스스로 만드는

것rsquo이라고 몸소 이야기하는 사람들이 있다 제대로 일하고 제대로

즐기기 위한 모임 교직원 동아리를 소개한다

노력에대한성과와기쁨을

사람과의소통과배려를선사하는야구는

저에게인생이고학교입니다

아름다운성찰과타인에대한배려가

글을기반으로이루어지는곳문학과

예술동아리입니다

김평환middot의대공작실

이종만middot공과대학

탕~스트레스는담장밖으로

열정은그라운드로향하게하는

야구에빠져보세요

정진우middot교무과

당신의 재발견PEOPLE

15 14

캠퍼스의

어떤 하루

햇볕 좋은 날

SNU Ske t c hPEOPLE

스트레스 날리는 가을 축제

lsquo스트레스 대폭발 슛트레스rsquo를

주제로 한 서울대학교 2014년

가을 축제 lsquo티라노스트레스rsquo가

캠퍼스 곳곳에서 열렸다

사진은 참가자들이 대형 상자로

만들어진 젠가를 쌓으며 축제를

즐기고 있는 모습

09 29 ndash 10 01

중학생을 위한 생명공학캠프

농업생명과학대학에서

중학생을 대상으로 생명공학

특강 실험과 실습 수목원

체험 등 생명공학에 관한

기초적인 체험을 제공하는

캠프를 마련했다

08 11 - 08 15

오늘은 첫 출근 하는 날

공과대학 엔지니어하우스에서

2014학년도 신규임용교원

임명장 수행식이 거행됐다

60여 명의 신규 교직원들은

임명장을 받으며 합격의 기쁨을

만끽했다

08 25

서울대 입학 궁금해요

문화관 대강당에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2015년 서울대학교

입학 주요 사항을 설명하는

입학설명회를 개최했다

07 05

우물쭈물 말고 말 걸어 봐

2014 SNU 사회적경제

아이디어 대회 활동팀이

선보이는 lsquoTalk to me SNUrsquo

배지 이 배지를 달고 있는

사람에게는 누구나 친근하게

말을 건낼 수 있다

07 24

17 16

Campu s OnNOW

뚜렷하게 새겨진 학문적 발자취

학문 분야에서는 서울대학교의 대표적인 연구 성과인 현택환 중견

석좌교수의 lsquo나노수류탄rsquo 김수봉 교수의 lsquo중성미자 변환상수 연구rsquo

와 함께 서울대학교가 소장하고 있는 귀중한 사료인 lsquo대동여지도

(大東輿地圖)rsquo lsquo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rsquo에 대한 이야기도 만

나볼 수 있다 이어지는 교육 환경 코너는 학생 1인당 장학금 지급률

부터 개별 전공 졸업 후 진로 정보까지 방문객이 터치스크린을 통

해 원하는 정보를 찾아볼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빛나는 역사

전시 콘텐츠는 lsquo역사middot학문 분야middot교육 환경middot글로벌 SNUmiddot사회적

책임middot미래 인재middot미래 활동rsquo 순으로 전개된다 먼저 홍보관에 발을

들이면 개교 이전부터 현재까지의 모습이 전면 스크린에 펼쳐진다

최초의 근대 국립고등교육기관이었던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의

역사를 사진과 영상으로 만나볼 수 있다 또한 이곳에는 한국전쟁

419 혁명 등 중요한 역사의 현장에서 희생된 서울대학교 재학생들

의 고귀한 뜻을 기리는 추모의 벽이 설치되어 있다 조국의 발전을

위해 몸 바친 영혼들을 위해 잠시 묵념하는 시간을 가져보자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가 세계의 다양한 대학 연구 기관과 어떤 국제협력프로

그램들을 만들고 운용하고 있는지 궁금하다면 글로벌 SNU 코너에

서 그 현황과 규모를 찾을 수 있다 다양한 사회 기여 활동을 보여주

는 사회적 책임 코너도 빼놓을 수 없는 곳이니 잊지 말고 둘러보자

인재를 길러내는 서울대학교의 모습과 장기적인 비전은 스누홀의

마지막 전시장에서 확인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등 양방향적 소통 장치를 마련한 스누홀은 방문객과의

자유로운 교감을 꿈꾼다 견학 온 학생에게 자녀가 다니는 학교가

궁금한 부모님에게 이곳은 훌륭한 안내소가 될 것이다 아직 학교가

알쏭달쏭하다면 망설이지 말고 스누홀의 문을 두드리길

1 SNU connect

2 SNU 타임비전

3 SNU Awards

4 미디어홀

5 라운지

6 SNU Special

1

스누홀을 통해 서울대학교를

바라보는 시각이 달라졌고

도전 의식이 생겼습니다 당당한

재학생으로 꼭 다시 오고 싶어요

김예준middot낭주중학교 3학년 박지훈middot용강중학교 3년

서울대학교에 대해 잘 알지

못했는데 이번에 스누홀을

둘러보면서 서울대학교와 한층

가까워진 것 같아요

문의 070 8815 1524

생생 방문 후기

SNU Hall 문을 열다

매년 5만 명이 넘는 이들이 캠퍼스 투어를

위해 서울대학교를 찾는다 호기심을 가득

품고 관악캠퍼스를 찾은 방문객들은 커다란

위용에 왠지 모를 어려움을 느끼기도 한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고 종합적으로

학교를 안내하기 위해 서울대학교 홍보관

스누홀(SNU Hall)이 문을 열었다 학교의

역사에서부터 환경 글로벌 미래 비전까지

서울대학교의 이모저모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스누홀을 살펴보자

1

2

3

4

5

6

19 18

여행과 봉사를 한번에 볼런투어

Who 글로벌사회공헌단 bull Where 경상남도 함양군 bull What 일손 돕기 목가구 제작 벽화 그리기 등

드림컨설턴트는 2010년 학내 봉사 동아리로 출범해 2012년 서울

시 비영리 민간단체 공식인가를 받은 서울시 NGO다 lsquo꿈rsquo이라는 주

제 아래 lsquo촉촉콘서트rsquo lsquo드림커넥터rsquo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

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이들이 8월 8일부터 10일까지 경상남도

창원 구암고등학교에 머물렀다 2박 3일간 고등학생 꿈 찾기 프로

그램인 lsquo드림캠프rsquo를 진행하기 위해서다

드림캠프는 직업군으로 나누어 꾸민 부스에서 멘토가 강연하는 lsquo직

업 박람회rsquo 자신의 꿈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해보는 lsquo드림스토밍rsquo

문제 상황에 부딪쳤을 때 필요한 가치관을 이야기해보는 lsquo가치관 동

맹rsquo lsquo모의 면접rsquo 등의 프로그램으로 탄탄하게 구성됐다 뿐만 아니

라 봉사 단원들은 고등학생들이 자신의 가치관을 살펴보고 모호한

꿈을 좀 더 구체적으로 그리며 진로를 고민해볼 수 있도록 직접 교

재까지 제작하는 열의를 보였다 지난 4년 동안 꾸준히 성장해온 드

림컨설턴트가 꾸려나갈 앞으로의 모습이 더욱 궁금해진다

꿈을 발견하는 곳 드림캠프

Who 드림컨설턴트

Where 경상남도 창원시

What 고등학생 꿈 찾기 캠프

방학 계획을 물을 때 lsquo여행rsquo과 lsquo봉사활동rsquo은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단골 소재다 글로벌사회공헌단은 이 두 가지를 동시에 할 수 있는

프로젝트 lsquo볼런투어rsquo를 마련했다 자원봉사(Volunteer)와 여행

(Tour)을 합친 볼런투어는 개인의 재능을 통해 사회공헌 사각지대

에 필요한 자원을 제공하는 활동이다

이번 볼런투어는 8월 6일부터 9일까지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에서

진행됐다 5개 팀으로 나뉘어진 학생들은 각각 농촌 일손 돕기 목가

구 제작 벽화 그리기 어르신 사진 촬영 지역아동센터 교육 봉사 등

의 개별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낯선 일이었지만 학생들은 땀을 흘리

며 사과 농장을 일구고 마을 입구에 놓을 초대형 평상을 제작하는

등 각자의 재능을 통해 나눔을 실천했다

모든 일정이 계획대로 진행된 것은 아니다 프로젝트 기간 동안 함양

군을 지나간 태풍 lsquo나크리rsquo 탓에 벽화팀이 애써 그린 작품 대부분이

지워진 것 돌발 상황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최선을 다한 학생들에게

마을 주민들은 고마움을 표현했다 함양군에서의 3박 4일은 이들에

게 잊지 못할 경험으로 기억될 것이다

자연과학대학은 2006년 경상북도 영덕군과 lsquo관학 협력 및 지역사

회 개발에 관한 협정rsquo을 체결했다 그 후 매년 여름마다 영덕 지역 청

소년들의 적성과 소질을 개발하고 대학생들의 인성 함양을 위해 멘

토링 프로그램과 과학 캠프를 개최해왔다 올해 역시 자연과학대학

재학생으로 구성된 봉사단이 영덕 지역 청소년들과 만났다

8월 5일부터 7일까지 이어진 캠프 첫날 고등학생 25명을 대상으로

lsquo대학 진학 멘토 교실rsquo이 열렸다 입시를 앞둔 이들에게 실질적인 조

언을 해주는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이 미리 준비해 온 질문에 봉사단

원들의 진지한 답변이 이어졌다 이어서 진행된 lsquo과학 캠프rsquo 봉사단

은 물리천문학 생명과학 지구환경과학 화학 수리과학 등의 각 전

공을 살려 중학생 75명과 함께 과학 실험을 진행했다 서울대학교

봉사단원들은 아이들이 과학을 어렵지 않게 느끼도록 실험을 도우

며 재미있는 분위기를 이끌었다

이번 캠프는 열정적으로 참여한 학생들 덕분에 참가자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에게도 높은 호응을 이끌었다 에너지 넘치는 자연과학대

학 봉사단과 함께 할 내년 여름을 기대해본다

청소년 100명과의 만남 과학 캠프

Who 자연과학대학 봉사단

Where 경상북도 영덕군

What 청소년을 위한 멘토링 과학 캠프

학생들의 학습을 꼼꼼히 지도하는 드림컨설턴트

직접 그린 벽화 앞에서 포즈를 취한 볼런투어 벽화팀

과학 실험 삼매경에 빠진 캠프 참여 청소년

Campu s OnNOW

각양각색 봉사활동 열전

태양이 이글대던 두 달이 쏜살같이 지나가버렸다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여름

방학 속 가장 기억에 남는 일은 무엇이었는가 무더운 여름보다 더 뜨겁게 방학을 보낸

사람들이라면 금세 대답할 수 있을 것이다

21 20

서울대학교 세계 최고를 꿈꾼다

서울대학교는 영국 대학평가기관 QS(Quacquarelli Symonds)가 발표하는 2014 QS 세계대학평가(QS

World University Rankings)에서 31위를 차지했다 1994년부터 시작된 QS 세계대학평가는 전 세계 대학

에 대한 평가로 학계 평판 40 연구 영향도(교수 1인당 논문 피인용 수) 20 졸업생 평판도 10 교수 대

학생 비율 20 외국인 교수 비율 5 외국인 학생 비율 5를 합산해 평가한다 올해 발표된 평가의 1위는

미국 MIT(매사추세츠공대)였으며 아시아 대학 가운데서는 싱가포르국립대학교(NUS)가 22위 홍콩대학교

(HKU)가 28위에 올랐다

서울대학교는 해외 학계에서의 인지도를 알 수 있는 학계 평판(Academic Reputation) 및 기업인 대상 설문

조사로 평가하는 졸업생 평판 항목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향후 논문 피인용 수 증가를 통해 연구 영향도 분

야에서 개선을 추구해 나가는 한편 구성원의 글로벌 다양성 확보를 위해서도 노력할 계획이다

2014 QS 세계대학평가가 9월 발표됐다 2004년 118위에서 2010년 50위 2011년 42위

2012년 37위 2013년 35위 그리고 올해 서울대학교는 역대 최고 성적을 경신했다

118

93

63

5147

50

4237

35

31

50

140

40

20

0

120

100

80

60

순위2005년 2009년 2012년2006년 2010년 2013년2007년 2011년 2014년2004년 2008년

QS Ranking지난 11년간의 성과

연도 별 순위

lsquo창업론 실습rsquo 커리큘럼

STEP 1 조별 사업 기획

STEP 2 약 300만 원의 지원금과 창업 공간 지원

STEP 3 기업가들의 컨설팅

STEP 4 학점 취득

통찰력 있는

미래의 창업가를 키운다

연합전공 벤처경영학

표준적인 인재는 많지만 특출난 인재는

늘 부족하다 기업가 정신을 갖추고 끊임없이

도전하는 인재들의 양성소

연합전공 벤처경영학을 소개한다

새로운 경제 성장의 동력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lsquo창업 부흥rsquo

정책이 정부를 비롯해 지방자치단체 중소기업청 등에서 이

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학생들의 대기업 선호 현상과 lsquo창업은

위험한 도박rsquo이라는 인식은 여전하다 대기업 입사를 위한 다

양한 프로그램과 유학 스터디 등이 활발한 것과 달리 창업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은 아이디어를 나눌 공간이 없고 경험 있

는 선배로부터 직접적인 조언을 얻기도 쉽지 않다 이러한 문

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이 나섰다

올해 설립된 벤처경영학 전공은 학생들이 실제로 창업을 경

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lsquo창업론 실습 1middot2rsquo 과목을 수

강하는 학생들은 조별로 사업을 기획해보고 약 300만 원과

창업 공간을 지원받으며 기업가들의 컨설팅을 받게 된다 이

런 과정을 통해 학점도 취득할 수 있다 이밖에 벤처경영학과

에서는 철학과 경영학과 컴퓨터공학부 식품동물생명공학

부 등 연합전공에 참여한 학과의 개설 과목은 물론 제품 기획

론 창업론 특강 벤처사업 기회 연구 등 벤처 운영에 도움이

되는 과목을 함께 수강할 수 있다

실리콘밸리와 맞닿아 있는 스탠포드대학교는 구글 야후 휴

렛팩커드 등 초일류 기업의 창업자들을 배출했으며 오늘날

이 대학 출신이 창업한 기업의 연 매출은 우리나라 국내총생

산(GDP)의 2배를 넘을 정도로 큰 성과를 내고 있다고 한다

창업을 지원하는 학내 인프라와 프로그램 그리고 실제 벤처

기업을 운영하는 교수진이 있기에 가능한 일이다 서울대학

교 벤처경영학이 미래의 한국 벤처 생태계를 구축할 혁신적

인 기업가 양성 교육의 훌륭한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

Campu s OnNOW

연합전공 시리즈 3

23 22

문화생활백서 in SNU

과제 시험 그리고 또 과제 학교에 갇혀 있는

날이 계속되다 보면 잠깐이나마 쉴 곳을 찾게

된다 왠지 모르게 무기력해지고 답답한 순간

당신에게는 lsquo휴식rsquo이 필요하다

빼곡한 강의실 책만 가득할 것 같은

서울대학교 안에도 여유 시간을 알차게 보낼

수 있는 놀라운 공간들이 구석구석 숨어 있다

벌써부터 방학을 그리워하는 학생들에게

캠퍼스의 각종 문화 시설은 달콤한 선물이

되어줄 것이다 학교 안에서 즐기는

문화생활의 lsquo핫 플레이스rsquo를 소개한다

영화관이 학교 안에

미술관을 지나 오르막길을 오르다 보면 현수막 하나가 눈에 띈다

2004년부터 작품성은 높지만 대중적 인기는 얻지 못한 진흙 속의

진주 같은 영화를 소개하는 lsquo수요시네마rsquo 프로그램이다 매월 둘째

주 수요일 문화관에서 무료로 관람 가능하다 더불어 학교의 중심

중앙도서관 영상자료실도 혼자 영화 보기 안성맞춤인 곳이다 비교

적 최신 DVD까지 소장하고 있어 공강 시간을 보내기 유용하다

몸 튼튼 마음 튼튼

서울대학교에선 원한다면 누구나 각종 운동을 섭렵할 수 있다 공과

대학에는 테니스장과 농구장 인공 암벽등반 시설이 있으며 기숙사

에는 축구 운동장과 더불어 야구 연습 탁구 농구 등을 할 수 있는 실

내 체육관이 있다 종합운동장에선 축구와 미식축구를 할 수 있으며

마라톤 트랙이 있어 다른 운동도 가능하다

정문 근처 포스코(POSCO) 스포츠센터는 2001년에 문을 연 4층 건

물로 서울대학교의 대표 체육 시설이다 수영과 헬스뿐만 아니라 골

프와 댄스 발레 요가 등 전문 강사가 진행하는 다양한 강좌가 있다

시설이 좋아 lsquo미녀는 괴로워rsquo 등의 영화와 드라마 촬영지로도 사용됐

다 이외에 체육 교육과에서도 매 학기 테니스 필라테스 탁구 등을

소규모로 배울 수 있는 건강 운동 강좌를 개설하고 있다 에너지 넘

치는 학생들에게 서울대학교는 즐거운 놀이터다

음악감상실

장소 학생회관 111호

운영시간

학기 중 평일 930~1730

학기 중 토요일 930~1330

수요시네마

장소 문화원 중강당

비용 무료

문의 02-880-7924

정문 옆 미술관

정문 너머 왼편에는 독특하고 아름다운 외형의 건물이 있다 바로 서

울대학교 미술관 MoA 프리츠커 건축상을 수상한 렘 콜하스가 설

계했다 한 해 3~4회의 전시가 열리는 MoA는 타 학교 미대에서 관

람을 올 정도의 높은 전시 수준을 자랑한다 학교 구성원과 지역민

등을 대상으로 하는 미술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뿐만 아니라 도

슨트 교육을 받고 선발되어 활동하면 문화자원봉사 확인증을 주는

자원봉사 프로그램도 있다 미술관 입구 앞 독특한 조형물도 하나의

볼거리니 방문한다면 여기서부터 관람을 시작하자

MoA

운영시간 화~일요일 1000~1800(입장마감 1730)

관람료 3000원

문의 02-880-9504

포스코 스포츠센터

운영시간 평일 600~2230 토요일 1000~1700

문의 02-880-6980

Campu s OnNOW

음악이 들려주는 비밀

호그와트(영화 lsquo해리포터rsquo의 마법학교)에 비밀의 방이 있다면 서울

대학교에는 음악감상실이 있다 학생회관 식권 판매대 옆 두꺼운 문

을 열면 나타나는 음악감상실은 예전부터 높은 경쟁률을 뚫고 선발

된 DJ가 수준 높은 음악을 들려주는 것으로 명성이 자자했다 한국

최초 그래미 수상자 황병문 동문도 음악감상실 DJ 출신이다 문화

관에서 시작되는 lsquo걷고 싶은 거리rsquo는 음악대학 학생들의 연주와 노

래 소리를 들으며 산책하기 좋다 덧붙여 음악대학에서는 매 학기

lsquo화요음악회rsquo를 개최한다 1994년부터 20년째 이어지는 음악회다

오디션을 통해 선발된 공연팀이 무대에 올라 질 높은 음악을 들을 수

있으며 누구나 관람 가능하다 문화관과 자하연 사이에 위치한 스탠

드에서는 때때로 즉흥 연주가 벌어진다 버스킹의 정확한 일정은 없

으니 지나치다 익숙한 음악이 들리면 놓치지 말고 들러보자

1 2

3

4

화요음악회

장소 문화관

비용 무료

문의 02-880-7903

25 24

미래인재학교란 서울대학교 입학본부 주관으로 진행되는 고교 지원 프로그램으로

서울대학교 교수와 학생이 직접 지역 고등학교에서 지식을 전달한다

92명

13기 수료생

100명

14기 수료생미래인재학교

수료생 현황

미래 인재를 위한 꼼꼼한 준비

서울대학교는 7월과 8월 전라남도 고흥middot여수에서 미래인재학교

13 14기를 개최했다 미래인재학교는 지역 간 교육 환경 격차를 완

화하고 고교생의 소질과 적성을 개발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서울

대학교 교수 강의와 재학생 멘토링 등을 통해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다 개최 지역에 따라 맞춤형으로 운영하기 때문에 4

개월 정도의 준비 기간이 필요하다 각 기수마다 재학생 멘토팀을 선

발해 프로그램을 새롭게 기획하는 것은 물론 담당 입학사정관과 멘

토팀이 몇 차례의 답사를 통해 현지 교육 환경을 이해하고 운영 시설

을 확인하는 등 프로그램을 세심하게 꾸려나간다

열정 가득한 학생들과 3박 4일

나로도 소재 국립고흥청소년우주체험센터에서 진행된 미래인재학

교 13기에서는 고흥 소재 8개 고등학교 1 2학년생 92명이 3박 4

일의 과정을 수료했고 14기에서는 여수 소재 10개 고등학교 1학년

학생 100명이 나흘 간의 과정을 마쳤다 특히 이번 멘토팀은 개최지

의 요청에 따라 역대 최대 규모로 조직됐는데 이들 중에는 고교 재

학 중 미래인재학교 수료생으로 참가했던 3명의 학생도 있었다

각 학교장의 추천을 받아 선발된 고등학생들은 입학식과 더불어 핸

드폰을 모두 담당 교사에게 제출하는 등 바른 수업 태도와 학업 의

지를 보여주었고 쉴 틈 없이 짜인 프로그램에도 중도 탈락하는 사

람 하나 없이 참가자 전원이 수료증을 받을 수 있었다

교수 멘토 멘티의 특급 하모니

3박 4일 동안 고등학생들과 함께 숙식하며 프로그램 운영은 물론

학생들의 생활지도까지 맡은 서울대학교 재학생 멘토들 이들은

lsquo아이스 브레이킹rsquo lsquo주제 토론rsquo lsquo고교 생활의 Know-Howrsquo lsquo11 멘

토링rsquo lsquo도전 골든벨rsquo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학생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했다 물리천문학부 홍승수 명예교수 등 고교생

의 눈높이에 맞게 선정한 다양한 학과의 교수 강연은 학생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참가 고등학생들 역시 강의 2주 전 배포한 강연

자료를 예습해왔고 강의가 끝난 후에도 호기심을 충족하기 위해

교수님을 따라 행사장 밖까지 나가 질문하는 열의를 보였다 이번

행사가 서울대학교 학생들에겐 나눔의 기쁨을 개최 지역의 고등학

생들에겐 배움의 기회를 주었길 바란다

지역 인재는 우리가 기른다

전라남도 고흥과 여수에 서울대학교 학생들이 떴다 미래 후배들의 소질과 적성 개발을

돕는 멘토링 프로그램 lsquo미래인재학교rsquo를 진행하기 위해서다 이번에는 개최지의 요청에

따라 역대 최대 규모의 멘토팀이 조직됐다 고등학교 시절 배움을 위해 lsquo미래인재학교rsquo를

찾았던 학생도 지식을 나눠주는 멘토가 되어 돌아왔다 고등학생들과 동고동락하며 여름의

열기보다 뜨거운 4일을 보낸 이들을 만나보자

멘토링 시간에 조별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학생들

참가 학생이 자신의 의견을 발표하고 있는 모습

대학 입학에 관해 강의하는 홍승수 명예교수

Campu s OnNOW

step1

step2

step3

27 26

서울대학교는 8월 29일 관악캠퍼스 문화관 중강당에서

교수 학생 직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교수 정년식을 진행

했다 노태돈 국사학과 교수 임현진 사회학과 교수 안

정선 생명과학부 교수 김명모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장

호익 디자인학부 교수 한문희 불어교육과 교수 김민자

의류학과 교수 황준연 국악과 교수 이성철 의학과 교수

등 26명이 명예로운 정년을 맞아 정든 캠퍼스를 아름답

게 떠났다 이날 행사에서는 박종화 환경대학원 교수가

정년 교수진을 대표해 감사와 당부의 인사말을 전했다

교수 정년식

02

서울대학교는 8월 28일 관악캠퍼스 종합체육관에서 제

68회 후기 학위수여식을 개최했다 이번 학위수여식에

서는 학사 850명 석사 989명 박사 522명 등 총 2361

명이 학위를 받았다 성낙인 총장은 ldquo최고의 지식은 사회

봉사와 인류공헌을 위해 쓰이는 것이며 훌륭한 인재는

지성과 공공성으로 무장된 따뜻한 가슴을 겸비한 lsquo선한

인재rsquordquo라며 ldquo민족의 동량 사회의 중심으로 드높은 자부

심을 갖되 지식과 열정을 공동선을 위해 공헌하는 사회

적으로 필요한 인재가 되기 바란다rdquo고 당부했다

제68회 후기 학위수여식

03

01

서울대학교는

신임 보직교수단을

구성했다 신임 보직

교수 임기는 2년으로

2016년까지 대학의

비전을 마련하고

고등교육 발전을 위한

주요 소임을 맡아

활동한다

신임 보직교수 임명

04 06

2014 우수 인재 채용박람회

추석을 맞아 서울대학교 구성원들의 따스한 손길이 어려

운 이웃들에게 전해졌다 인문대학 등 62개 기관에서 모

금한 총 28271500원은 학교 근처의 보육원 사회복지

관 등 도움이 필요한 곳에 전달됐다 성낙인 총장은 아동

복지시설인 상록보육원을 방문해 성금을 전달하며 어린

이들과 보육원 관계자들을 격려했다 그리고 김종서 교

육부총장은 동명 아동복지센터 이우일 연구부총장은 성

민 종합사회복지관 유근배 기획부총장은 선의관악 종합

사회복지관을 각각 찾아 성금을 전달했다

추석 명절 이웃돕기 성금전달

보 직 명 학 과 (부) 성 명

교육부총장 종교학과 김종서

연구부총장 기계항공공학부 이우일

기획부총장 지리학과 유근배

교무처장 화학부 김병문

학생처장 농생명공학부 김정한

연구처장 의학과 박노현

기획처장 법학전문대학원 이철수

기초교육원장 서양사학과 안병직

입학본부장 독어교육과 권오현

국제협력본부장 국제대학원 정종호

보 직 명 학 과 (부) 성 명

정보화본부장 컴퓨터공학부 신영길

교무부처장 겸 교육부처장 치의학대학원 백승학

학생부처장 식품영양학과 한성림

연구부처장 약학과 오정미

기획부처장 독어독문학과 강창우

협력부처장 건설환경공학부 김재영

기초교육부원장 물리middot천문학부 유재준

입학부본부장 고고미술사학과 이준정

국제협력부본부장 국제대학원 신성호

정보화부본부장 경영학과 장정주

NewsNOW

제8기 스누봉사단이 한국수력원자력(주)의 후원으로 8

월 9일부터 20일까지 베트남 라오까이 성에 있는 스빤

마을에서 봉사활동을 진행했다 유성상 교육학과 교수

이우철 치의학대학원 교수 이승표 교수 한동헌 교수

김익규 빗물모아지구사랑 실장 김용환 연구원 서울대

학교 학생 23명으로 구성된 봉사단은 구강보건의료 빗

물 정화 위생교육 등의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 주민들에

게 나눔을 실천했다

제8기 스누봉사단 베트남 봉사활동

0705

훌륭한 공대교수상 선정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올해의 훌륭한 공과대학 교수로

신현식 컴퓨터공학부 교수 이재홍 전기정보공학부 교

수 강신형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를 선정했다 이 상은 교

수들의 연구 활동을 장려하고 산업 기술의 선진화를 꾀

하자는 취지에서 1992년 공과대학 동문들이 출연한 기

금으로 제정됐다 2003년부터 교육상과 연구상 2개 부

문으로 시상해오다가 올해부터 교육상 학술상 산학협

력상 3개 부문으로 확대돼 의미가 더욱 커졌다

경력개발센터는 2014년 하반기 채용 시즌을 맞이해 9월

2일에서 4일까지 대학본부 앞 잔디 광장에서 lsquo새로운 미

래를 여는 SNU 2014 서울대학교 우수인재 채용박람회rsquo

를 개최했다 올해로 11회째를 맞이한 채용박람회에는

6500여 명의 학생들이 참가했다 한편 두산 삼성 현대

자동차 LG SK 등 국내 주요 대기업들과 국방과학연구

소 한국전력공사 등의 공기업 Hakuhodu 그룹 등의 일

본 기업 ASML Korea 등의 외국계 기업 총 130곳이 우

수 인재를 확보하고자 심혈을 기울였다

信義

기부와 나DONATION

유 태 용

나고 자란 곳을 잊지 않는다 어려웠던 순간을 항상

되새긴다 덕분에 유태용 동문은 사회적 성취를 이룬 지금

자신만의 나눔 원칙을 세울 수 있었다

기 부 자 정 보

격동의 세월을 이겨낸 삶

일제강점기를 지나 해방 그리고 한국전쟁까지 1950년에 서

울대학교에 입학한 유태용 동문의 학창시절은 역사적 격동

기와 맞물려 있다 그 시절을 겪어보지 않은 요즘 세대에게 유

동문의 경험은 책에서나 접하는 옛날이야기로 들릴 수 있다

그럼에도 유 동문은 과거를 잊지 않으려 그 시절을 끊임없이

복기한다 당시 경험을 lt어느 서울대 공대생의 한국전쟁gt이

라는 책에 풀어내기도 했다 ldquo요즘은 상상도 못할 이야기죠

이후로도 어렵사리 국가 발전을 이뤘고요 우리 세대가 고생

했다고 알아주길 바라는 건 아닙니다 다만 큰 어려움을 헤

쳐 온 인생 선배들을 보면서 힘든 순간이 닥쳐도 좀 더 지혜롭

게 극복했으면 좋겠습니다rdquo

유태용 동문은 대학 졸업 후 1957년부터 공직 생활을 시작했

다 이후 오랜 기간 공직에 몸담으며 국토 계획과 건설 행정

을 담당했다 유 동문의 전공은 토목공학 그중에서도 방조

제가 전문 분야였다 공직 생활 초창기에 국제원조기구 장학

생으로 선발돼 1962년 미국에서 아카데미 코스를 밟기도 했

다 그렇게 미국에서 수학한 지식을 바탕으로 당시만 해도 단

일목적댐뿐이던 우리나라에 다목적댐을 도입하는 데 기여했

다 ldquo저는 어찌 보면 운이 참 좋은 사람입니다 어려운 시기에

농촌에서 서울대학교에 입학했고 좋은 기회가 닿아 외국에

서 공부하는 경험도 할 수 있었으니까요rdquo

오랜 시간 이어온 남다른 향토애

공직에 있으며 국가 발전에 힘써온 유 동문 그는 오래전 고

향을 떠나왔지만 어려웠던 어린 시절을 잊지 않는다 불과 몇

원하는 수업료가 없어 일곱 살 나이에 수십 킬로미터에 달하

는 거리를 오갔던 기억이 여전히 생생하다 적어도 돈 때문에

공부를 못하는 학생은 없어야겠다는 생각에 이른 건 어쩌면

당연한 일 그러한 경험이 있었기에 유 동문은 자신만의 기부

신념을 세울 수 있었다 ldquo똑같이 모를 심어도 좋은 쌀을 얻으

려면 관리를 잘해야 합니다 모를 심고 가만히 두면 한 섬밖

에 못 얻지만 비료를 주고 잡초를 솎아내면서 키우면 네 가

마니까지 불어나요 사람도 마찬가지입니다 인재도 좋은 환

경이 갖추어져야 자랄 수 있습니다 서울대학교에 입학한 건

시작일 뿐이죠rdquo

유 동문은 서울대학교에 부동산을 기부해 정읍과 고창 출신

후배들을 위한 lsquo정고장학기금rsquo을 마련했다 단지 태어난 곳

에 대한 고집만은 아니다 그 자신이 농촌에서 어렵사리 대학

에 진학했던 까닭에 그곳에서 나고 자란 후배들이 학비 걱정

없이 공부에만 전념할 수 있기를 바라는 선배의 따스한 마음

이다 ldquo예전에도 그랬지만 지금도 농촌에서 몇 백만 원씩 하

는 등록금을 쉽게 마련할 수 있는 집은 많지 않습니다 더구

나 지방에서 공부해서 서울대학교에 온다는 건 쉽지 않아요rdquo

유태용 동문은 장학생들을 직접 만나 격려하는 데에도 적극

적이다 지금은 학생들이 그가 기부한 장학 기금의 혜택을 입

지만 언젠가는 좋은 인재로 성장해 사회에 보탬이 되는 주역

이 되리라 믿는 까닭이다 ldquo서울대학교가 이제 세계에서도 손

꼽히는 대학이 되었다지만 아직도 세상에는 해결하지 못한

연구 과제가 많아요 서울대학교의 많은 인재가 그런 분야에

도 거침없이 도전해 좋은 성과를 내주길 바랍니다rdquo

유태용 한국방재협회 명예회장

내무부와 건설부에서 오랜 기간 국토 계획과 건설 행정을 맡았다 1998년 자연재

해대책법에 따라 한국방재협회 준비위원장에 추대됐고 창립을 준비해 1999년 초

대 회장에 취임한 바 있다

with SNU

토목공학과 학사 ACAD 12기 수료 정고장학기금을 마련해 정읍 고창 출신 학생

들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및 대학원생 재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원하고 있다

ldquo모를 심고 가만히 두면 한 섬밖에 못 얻지만

비료를 주고 잡초를 솎아내면서 키우면

네 가마니까지 불어나요 사람도 마찬가지입니다

인재도 좋은 환경이 갖추어져야 자랄 수 있습니다rdquo

29 28

31 30

기부와 나DONATION

도전 열아홉이란 나이 누군가는 대학 문을 바라보며 책

장을 넘길 시기에 사업을 시작했다 다양한 업종에 손대며

달콤한 성취도 쓰디쓴 실패도 맛본 20대를 지나 서른을 코앞

에 둔 시기에 광장시장 상가 한편에 1평 남짓한 도매 옷가게

를 열었다 그것이 연 매출 1조 원을 올리는 국내 굴지 패션기

업의 출발이었다

근면 어깨에 옷을 짊어지고 고객을 찾아다니길 수차례

서른 살 청년의 성실성을 소매상들은 알아봤다 판로가 열리

니 사업은 자연히 승승장구했다 그러나 10년 후 위기가 닥

쳤다 거래처의 어음이 부도 처리되면서 그 여파를 고스란히

받아야 했다 ldquo부도를 극복하면서 근면의 중요성을 깊이 느

꼈습니다 재기를 생각하며 다시 1평짜리 매장을 얻어 아침 7

시부터 새벽 2시까지 이를 악물고 일했죠rdquo 시작도 그랬지만

이후로도 근면은 최 회장의 삶에 큰 지표가 됐다

배움 일찍이 사회에 진출한 만큼 현장 경험은 누구보다

출중할 터 그러나 최 회장은 lsquo배움에는 끝이 없다rsquo는 생각으

로 경영만 하기도 바쁜 시간을 쪼개 공부를 계속했다 배움의

과정 중에 서울대학교와 인연이 닿았다 학교의 여러 특별과

정을 수료한 것은 물론 서울대학교 패션산업 최고경영자과

정(AFB) 총교우회 회장도 역임했다 ldquo김민자 교수님께서 lsquo바

쁠수록 더 좋은 성과를 낸다rsquo고 말씀하신 적이 있습니다 몸은

분주했지만 세상을 보는 관점은 더욱 넓어질 수 있었습니다rdquo

섬김 최 회장은 오늘날 이룬 성취가 혼자만의 것이 아니

란 점도 매번 되새긴다 패션그룹형지의 성장과 함께 한 대리

점주를 섬기는 해법 중 하나는 교육이다 ldquo사업의 근간인 대

리점주와 함께 호흡하고 성장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일까 고민

하던 차에 생활과학대학 교수님들의 도움으로 lsquo패션그룹형

지 최고경영자과정rsquo을 열었습니다rdquo

나눔 lsquo남 열 걸음 갈 때 반의 반 걸음 더 간다rsquo 최 회장은

기업가로서 성공을 이룬 지금도 이 말을 되새기곤 한다 ldquo남

보다 조금 더 먼저 생각하고 노력하는 작은 차이가 나중에는

큰 성과를 남긴다는 뜻입니다 요즘은 사업이나 일에 대한 것

뿐만 아니라 타인을 향한 배려와 사랑도 반의 반만 앞서 생

각하고 실천하자고 다짐합니다rdquo 최 회장은 lsquo교육은 백년지대

계(百年之大計)rsquo란 말에 동감하며 패션 산업을 이끌어갈 인

재들을 위해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에 기금을 출연했다

또한 지역 발전을 위한 투자를 비롯해 세월호 참사로 고통받

는 유가족과 학생들을 위해 성금을 기부하는 등 다방면에서

나눔을 실천하고 있다 어려운 순간을 딛고 현재의 성취를 이

뤘기에 자신을 키워준 사회에 무엇인가 되돌려주는 나눔이

중요하다고 말하는 최병오 회장 한편으로 그는 lsquo금전적 도움

을 베푸는 자선의 개념을 넘어 재능과 기술을 나누는 나눔의

문화가 필요하다rsquo고 덧붙인다

청년에게 사회에서 일가를 이룬 최병오 회장이 이 시대

를 사는 청년들에게 권하고픈 경험은 다름 아닌 lsquo실패rsquo다 ldquo진

짜 실패는 넘어지는 게 두려워 시도조차 하지 않는 거라고 하

지 않습니까 실패를 두려워하기보다 꿈을 먼저 생각하길 바

랍니다rdquo 최 회장은 목표와 꿈을 추구하는 동시에 타인을 배

려하는 태도 역시 지니길 권한다 그것이 바로 진정한 성공이

요 명품인생을 완성하는 길이기에

切磋琢磨 최 병 오

최병오 회장에게 lsquo근면rsquo은 가장 기본적인 성공 원칙이다

lsquo배움rsquo은 자기 성장의 원동력이며 lsquo섬김rsquo은 상생의

바탕이다 마지막으로 그는 lsquo나눔rsquo이란 대의를 잊지 않는다

ldquo경제적인 어려움으로 배움의 기회를 놓쳐선

안된다고 생각해왔습니다 젊은 나이에

일찍 사업에 뛰어들어 배움에 대한 목마름이

누구보다 컸기 때문입니다rdquo

기 부 자 정 보

최병오 패션그룹형지 대표이사 회장

대한상공회의소 중견기업위원회 위원장이자 윤리경영위원회 위원 또한 한국의

류산업협회 회장과 한국의류산업학회 부회장 등을 맡아 최근 대통령 해외 순방 당

시 경제사절단으로 동행했다

with SNU

AFB 3기 AMP 63기 AIP 42기 AWASB 1기 등을 수료했다 AFB 동창회장과

AFB 동창회 수석부회장을 역임했으며 올해 제13회 AMP 대상을 수상했다 현재

AWASB 동창회장을 맡고 있다

33 32

기부의 향연이 펼쳐지다

바바패션

인문대학 발전기금 1억 원 기부

바바패션(대표이사 회장 문인식)이 인문대학에 발전기금 1억 원을 기부했

다 10월 13일 총장실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성낙인 총장과 문인식 바바

패션 대표이사 회장 유근배 기획부총장 장재성 인문대학장을 비롯해 관

계자 10여 명이 참석했다 성낙인 총장은 ldquo문인식 회장님의 인문학에 대

한 관심과 성원에 감사드린다rdquo며 ldquo이번 기금으로 인문대학의 발전과 인재

양성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이에 문인식 회장은 ldquo바바패

션은 계속해서 나눔 경영을 통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rdquo고 전했

다 문인식 회장은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최고지도자과정(AMP) 72기를

수료하고 현재 인문대학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12기 회장 AMP

총동창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한편 바바패션은 국내 여성 패션 브랜드인

아이잗바바(IZZAT BABA) 지고트(JIGOTT) 등을 비롯한 총 9개의 브

랜드를 보유하고 있으며 심장병 어린이 수술 지원 및 장학 사업도 꾸준히

펼치고 있다

전기컴퓨터공학부 권욱현 명예교수

lsquo권욱현 희망장학기금rsquo 1억 원 기부

지난 6월 17일 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부 권욱현(전기공학 62학번)

명예교수가 lsquo권욱현 희망장학기금rsquo을 조성하고 1억 원을 기부했다 이번

에 마련된 기금은 공과대학과 전기공학부 학생들 가운데 경제적으로 어

려운 학생들에게 지급될 예정이다 변대규 휴맥스 대표를 비롯해 이재원

슈프리마 대표 등 국내 유명 벤처기업 CEO들의 스승으로 유명한 권욱현

명예교수는 2005년 서울대학교 평의원회 의장으로 활동했으며 대한전

기학회장 세계자동제어연맹 부회장 국제자동제어연맹 회장 등을 역임

했다 국제자동제어연맹(IFAC) 회장으로 재임 시 사재 50만 달러를 출연

해 개발도상국 젊은 공학자의 학술 활동을 지원하는 등 후학 양성을 위한

꾸준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김정식 해동과학문화재단 이사장

해동학술정보실 건립기금 30억 원 기부

지난 6월 27일 해동과학문화재단 김정식 이사장(전자공학 48학번)이

lsquo해동학술정보실 건립기금rsquo으로 30억 원을 쾌척했다 이번에 조성된 기금

은 공과대학과 자연과학대학 등 주요 단과대학의 해동학술정보실을 건

설하는데 사용될 예정이다 이번 기금 이외에도 김정식 이사장은 서울대

학교 공과대학 인근 해동학술관과 해동학술정보실 12호관 건립 기금으

로 100억 원이 넘는 금액을 출연하며 꾸준히 모교를 후원하고 있으며 인

재 양성을 위해 한양대 고려대 등 국내 주요 대학에 해동학술정보실 건립

을 지원하고 있다 1972년 대덕전자를 설립해 한국 전자 산업의 기술 개

발을 이끈 선구자로 유명한 김정식 이사장은 1990년 해동과학문화재단

을 만들어 해동상을 재정하는 등 지속적인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

패션그룹형지

생활과학대학 발전기금 3억 원 기부

패션그룹형지(대표이사 회장 최병오)가 생활과학대학에 발전기금 3억 원

을 기부했다 이 기금은 생활과학대학의 교육middot연구활동 및 시설개선 등을

위한 제반 활동에 사용된다 지난 8월 26일 진행된 협약식에서 성낙인 총

장은 ldquo생활과학대학은 패션그룹형지 기금으로 수준 높은 연구 성과와 인

재 배출을 통해 대한민국 대표 인재 양성소로 거듭 날 것rdquo이라고 밝혔으

며 최병오 회장은 ldquo국가 경쟁력을 이끌어가는 리더와 패션 산업 인재를

양성하는 데 패션그룹형지 발전기금이 쓰이길 바란다rdquo고 당부했다 최 회

장은 지난 2003년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패션산업 최고경영자과정

(AFB) 3기를 수료하고 2007년부터 2013년까지 AFB 총교우회 회장을

역임했다 또한 이번 기금 이외에도 꾸준히 후원한 다양한 기금으로 건립

된 lsquo최병오 홀rsquo을 통해 사회 각계각층의 주요 리더들이 교류하는 교육장을

마련했다 1월에는 경영대학 최고경영자과정(AMP) 총동창회가 주최하

는 lsquo제13회 서울대 AMP 대상rsquo을 수상했다

NewsDONATION

유회진 학술정보관 건립 보고 및 감사 행사

ldquo기부금은 이공계 학생들을 위해 써주세요rdquo 故 유회진 박사가 구강암으로 투병

하는 동안 병문안을 갔던 이장무 전임 총장에게 남긴 말이다 서울대학교 기계

설계학과에서 학부와 대학원 생활을 보내고 동아대학교 교수를 역임한 유 박

사는 2009년 구강암 판정을 받았다 그는 암 투병 치료비부터 부모님으로부터

물려받은 유산까지 허투루 쓰지 않고 모은 100억 원이 넘는 전 재산을 서울대

학교에 남기고 2011년 별세했다 유가족이 없는 고인을 위해 서울대학교 발전기

금은 장례를 진행했으며 매년 제사를 지내 뜻을 기린다

지난 7월 2일 관악캠퍼스 공과대학 엔지니어하우스대강당에서 lsquo유회진학술정보

관rsquo 건립 보고 및 감사 행사가 개최됐다 유회진학술정보관은 유회진 기금으로

건립되어 공과대학과 자연대학이 공동 교육 및 연구 시설로 사용할 예정이다 이

날 행사는 오연천 전임 총장의 환영사에 이어 유회진 박사 소개 및 기부 경과보

고 유회진학술정보관 건립 경과보고 순으로 진행됐으며 특별히 故 유회진 박사

의 지인인 서울시립대 권원태(기계설계학과 78학번)교수가 참석했다 그의 숭고

한 마음은 우리 사회의 빛나는 과학자들을 위한 초석이 될 것이다

11월 9일 故 유회진

박사의 3주기가 돌아온다

서울대학교발전기금은

제주(祭主)로서 그를 잊지 않고

사회와 학교를 향한 기부자의

아름다운 정신을 남길 것이다

당신의 아름다운 마무리

35 34

SNU Presidents Honors Club

SNU Honor Club

故 곽명덕 변호사 유가족 (한자영 곽성현 곽성희)

故 구영록 교수 유가족

故 김인제 故 최성순 가족

(故 김동호 故 김동훈 김동준 김진숙 김진옥)

故 이한빈 부총리 가족 (유정혜 이원식 이선이)

고윤석 (물리학과 47입)

고정택 (외교학과 62입)

구영배 (자원공학과 85입)

구재서

권영대 (약학과 55입)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권욱현 (전기공학과 62입)

금장태 (종교학과 62입)

김건식 (법학과 73입)

김경한 (법학과 62입)

김경한 (외교학과 62입)

김광일 (경영학과 84입)

김기봉 middot신경은 (기계공학과 63입 middot화학과 65입)

김기태 (의학과 58졸)

김난도 (소비자아동학부 교수)

김대욱 (조선공학과 76입)

김동길 (화학교육과 57입)

김동훈 (화학과 48입)

김두철 (전자공학과 66입)

김만극 (약학과 47입)

김상헌 (사법학과 82입)

김선동 (화학공학과 59입)

김선화(정자) (국악과 60입)

김성배 (영어영문학과 63입)

김양곤 (IFP 2기)

김연탁 (경제학과 故 김태성 교수의 부)

김연호 (화학공학과 71입)

김영경 (기계공학과 52입) middot김천순

김영석 (3 Plus Logistics 회장)

김영수 (법학과 67입)

김영심 (불어불문학과 故 오현우 교수의 부인)

김영업

김용재 (의과대학 60입)

김용철 (치의학과 55입)

김의신 (의학과 60입)

김의영 (경제학과 54입)

김정희 (간호학과 52입)

김종일 (제어계측공학과 79입)

김진향

김천흥

김철호 (외교학과 70입)

김춘길 (화학생물공학부 58입)

김택수 (법학과 48입)

김하석 middot김영중 (화학과 63입 middot약학과 64입)

김하자 (서양화과 故 하동철 교수의 부인)

김학봉 (한영요업 회장)

김형주 (전자계산기공학과 78입)

나정환 (화학교육과 54입)

남정현 (건축학과 57입)

류무종 (중어중문학과 53입)

류진 (영어영문학과 78입)

마인경 (지리학과 56입)

민계식 (조선항공학과 61입)

민호기 교수 유가족

박대근 (보건대학원 63입)

박맹호 (불어불문학과 52입)

박민식 middot 박금옥 (수의과대학 65입 middot체육교육과 63입)

박봉균 (수의학과 76입)

박숙희 (지리학과 60입)

박용헌 (교육행정학과 53입)

박용호 (수의학과 74입)

朴麟子(가정관리과 82입) 하상예 박임숙 박순영 박노용

박종근 (전기공학과 69입)

박종수 (수의학과 58입)

박종오 (영어영문학과 55입)

박준 (법학과 73입)

박태진 (독어독문학과 80입)

박한제 (동양사학과 69입)

배옥자 (성심가정의학과의원 원장)

백종철 (농공학과 54입)

백형익

법대 48회 졸업생

변대규 (제어계측공학과 79입)

서문자 (간호학과 63입)

손경식 (법학과 57입)

송상용 (화학과 55입)

송상현 (법학과 59입)

송인철 (SPARC 14기)

송학린 (법학과 59입)

신수정 (기악과 59입)

신영길 (계산통계학과 78입)

신영주 (이남장 대표)

신익현 (임학과 79입)

신효영 middot신승연 (故 신광현 교수의 가족)

신희명 (물리교육과 49입)

신희택 (법학과 71입)

심소일 (상학과 49입)

심재성 (前 성보산업 자문위원)

안영경 (前 핸디소프트 고문)

안창엽 (AMP 68기)

양천식

오세경 (약학과 61입)

오승환 (의학과 56입)

오용호 middot오양호 (행정학과 69입 middot법과대학 80입)

오윤덕 (행정학과 61입)

원재연 (경영학과 82입)

유근순

유성숙 (고고미술사학과 故 김원용 교수의 부인)

윤계섭 (상학과 64입)

윤덕우 (경제학과 58입) middot최덕자

윤석금 (웅진그룹 회장)

윤석순 (수의학과 59입)

윤우석 (에너지자원공학과 63입)

이건우 (기계공학과 74입)

이경식 (불어불문학과 55입)

이광희 (지리학과 59입)

이교일 middot박명진

(기계공학과 60입 middot불어불문학과 65입)

이기춘 (가정교육과 61입)

이명현 middot김귀현 (철학과 60입 middot기악과 69입)

이문한 (수의학과 66입)

이병준 (경제학과 55입)

이성규 (사학과 65입)

이성형 (정치학과 82입)

이순원 (가정교육과 54입)

이순형 (가정관리학과 70입)

이신두 (물리학과 76입)

이예식 (약학과 46입)

이용환 (농업교육과 63입)

이용환 (전기공학과 73입)

이원영 (AMP 6기)

이은방 (약학과 55입)

이장무 (제24대 총장)

이재승 (원자핵공학과 59입)

이정섭

이정섭 (종교학과 04입)

이종덕 (물리학과 62입)

이준용 (경제학과 56입)

이지형 (법과대학 85입)

이찬승 (수학교육과 69입)

이창득 (국어교육과 71입)

이창화 (국어국문학과 64입)

이천만 (영어영문학과 故 이상태의 부)

이철승 (법학과 78입)

이철영 (SPARC 17기)

이현수 (농화학과 60입)

이현재 (경제학과 48입)

이형도 (화학공학과 61입)

이홍표 (의과대학 58입)

임길진 교수 유가족

임동진 (법학과 62입)

임현진 (사회학과 67입)

장세권 (농공학과 70입)

장순영

장용국 (법학과 71입)

장재혁 (역사교육과 80입)

장정훈 (약학대학 65입)

전익찬 (지구환경과학부 94입 故 전재규의 부)

전해종 (동양사학과 47졸)

정달훤 (고고미술사학과 87입 故 정은임의 부)

정영현 (공업화학과 85입 정순욱의 부)

정영호 (생물학과 50입) middot 박양숙

정윤환 (임학과 56입)

정재선 (소비자아동학과 93입)

정재준 (前 경보전기 부회장)

정종곤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조동성 (경영학과 67입)

조병직 (법학과 46입)

조석준 (행정학 57졸)

조영식 (수의학과 80입)

조옥환 (부산교통 대표)

조종수 (건국대학교 교수)

조한영 (상학과 43입)

조형준 (미학과 65입)

주중광 middot 허지영 (약학대학 60입 middot 화학과 66입)

차상균 (전기공학과 76입)

차상균 교수 외 제자 12명

채성기 (원자핵공학과 59입)

채제한 (전기공학부 48입 故 채호석의 자)

천문우 (약학과 61입)

최병오 (AFB 3기)

최재열 (조소과 08입 최민주의 부)

최정욱 (화학공학과 49입)

최창원 (심리학과 83입)

최화형 외 3명

풍원자 (임학과 57입 故 용환운의 부인)

하영구 (무역학과 72입)

한규범 (AMP 42기)

한규환 (기계공학과 68입)

한기준 (의학과 52입)

한상복 (사회학과 56입)

한옥희 (화학과 79입)

한장희 middot김재혜 (행정학과 61입 middot 법학과 61입)

허성도 (중어중문학과 68입)

허영인 (SPC그룹 회장)

현기순 (가정교육과 46입)

현정오 (농생물학과 66입)

현택환 (화학과 83입)

홍경자 (간호학과 62입)

홍계수 (법학과 72입 주경숙의 모)

홍길표 (컴퓨터공학부 홍지명의 부)

홍예표 (치의학과 65입)

홍지준 (화학교육과 74입)

황귀례 (제약학과 故 국채호 교수의 부인)

황재홍 (치의학과 90입)

히로나카 헤이스케 (하버드대 명예교수)

Eduard J Stadelmann (前 미네소타대학 교수)

Ken-ichi Arai (동경대 교수)

Peter S Kim (MIT 교수)

Stanley Choy

거평그룹

건일제약

건화엔지니어링

경남기업

경동송천재단

경암교육문화재단

고려아연

공영토건

과학기술혁신 최고전략과정 23기 일동

과학기술혁신 최고전략과정 24기 일동

관악회

광동제약

교보문고

구원장학재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국방과학연구소

국제종합물류

금호아시아나문화재단

김 middot장 법률사무소

김영사

김정문알로에

까사미아

나산실업

남광토건

남영비비안

넥슨코리아

노키아티엠씨

농어촌희망재단

농우바이오

다이소아성산업

다함넷

단암장학재단

대교

대림대학

대양 EampC

대우기전공업

대우엔지니어링

대우테크

대한수의사회

대한통운

돈암장학회

동방

동방상호신용금고

동부대우전자

동부문화재단

동서식품

동아건설산업

동아제약

동양강철

동철문화재단

동화산업장학재단

두을장학재단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롯데관광

롯데쇼핑

매트바이오테크

메디슨

몬산토코리아

미래에셋

미래와도전

미래의동반자재단

민음사

바이로메드

방송문화진흥회

방일영문화재단

법대 39회 동문 일동

법대 84학번 동기회

법대 85학번 동기회

법대최고지도자과정 8기 일동

법대최고지도자과정 10기 일동

법무법인 광장

법무법인 바른

법무법인 세종

법무법인 율촌

법무법인 케이씨엘

법무법인 태평양

법무법인 화우

부경양돈협동조합

비씨카드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동문회

삼양

삼우종합건축사무소

삼일회계법인

삼전순약공업

삼호개발

삼화모터스

상암에너지

상지상사

상진개발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글로벌리더쉽과정

서울대합창단 동문회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석원산업

성남시장학회

성련장학재단

세무법인 조이

세진에프알에스

송우재단

수경출판사

수암장학문화재단

수의과대학 교수 일동

스키부 동문회 일동

시뮬레이션테크

신라교역

신라문화장학재단

신양머그

신한장학재단

썬텍

아모레퍼시픽

아산사회복지재단

안성농장

알앤엘바이오

애드미션

앨트웰민초장학재단

약학교육연수원 이수자 일동

양지농장

영림임업

오뗄

오뚜기재단

오리엔트이엔지

오리온전기

오성엘에스티

와이비엠시사

용운장학회

우덕재단

유기천교수기념사업출판재단

유신

유티씨인베스트먼트

유한재단

유한킴벌리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음악대학 피아노발전기금후원회

이지바이오

인선문화재단

인촌기념회

인탑스

일동제약

일동후디스

일주학술문화재단

재단법인 대우재단

재단법인 정민

재미서울대총동창회

전국은행연합회

정공산업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정수장학회

정헌재단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져스텍

종근당

종로구장학회

좋은책신사고

진생사이언스

진양제약

참존

창강재단

창진영농조합법인

천만장학회

천수기업

천연물과학연구소 교수 일동

천재교육

청합장학회

최고경영자과정 총동창회

최고산업전략과정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middot

미래지도자인문학과정(IFP)

케이씨텍

코스맥스

코오롱

트러스톤자산운용

특수건설

패션그룹형지

포니정장학재단

포휴먼

풀무원

풍산

플라톤아카데미

피에스케이

하나제약

한국간연구재단

한국거래소

한국금융투자협회

한국무역협회

한국문화진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산업은행

한국세포주연구재단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알콜산업

한국외국인학교

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전파기지국

한국증권금융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한국타이어

한국투자신탁운용

한국투자증권

한산이씨양도공파설서공종중

한샘출판

한수통상

해나천연물신약

해성장학회

해태

행정대학원 정보통신과정

현대차 정몽구 재단

현대카드

현대캐피탈

현동장학회

현송교육문화재단

홈플러스e파란재단

효성그룹

휴맥스

AMP 63기 일동

AMP 64기 일동

AMP 65기 일동

AMP 66기 일동

AMP 67기 일동

AMP 68기 일동

AMP 69기 일동

AMP 70기 일동

AMP 71기 일동

AMP 72기 일동

AMP 73기 일동

AMP 74기 일동

AMP 75기 일동

AMP 76기 일동

AMP 77기 일동

AMP 78기 일동

ASSET PLUS투자자문

E1

Eyagi(이야기) CAFE

Goldman Sachs

KDB대우증권

KRX국민행복재단

KTB투자증권

LG연암문화재단

NCSOFT

NHN

NXC

OB맥주

Qualcomm

SECMCA

SIMPAC ANC

SK CampC

SNU 프리시젼

S-Oil

SPARC 15 middot16 middot17 middot18기 일동

1억 원 이상 출연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LG삼성 한국전력공사SK

포스코 웅진한화농업협동조합중앙회

KT 부영신한금융 현대자동차

SPC IBK기업은행

태영현대 금호아시아나롯데장학재단

CJ 대림두산 한진

우리금융 미래국제재단

50억 원 이상 출연

조천식정치학과 45입

윤대섭농공학과 49입

100억 원 이상 출연

정석규화학공학과 48입

이용희태광사 회장

김정식 전자공학과 48입

유회진기계설계학과 78입

SNU Hono r C l ubDONATION

SNU Gold Honors Club

홍성대수학과 57입

이기영前 의대 교수

최창영금속공학과 64입

박영희수학교육과 54입

손장순불어불문학과 54입

유태용토목공학과 50입

김명희middot신정희기악과 91입 김형찬의 모

이필남 박상윤 윤전수middot이삼락

김연혁히로세코리아 감사

서정선의학과 70입

전은기middot김은희 백추현 곽영필토목공학과 56입

박완서의 상속인호원숙 호원순 호원경 호원균

이순자불어불문학과 57입

손동준전자공학과 59입

윤종용전자공학과 62입

정덕균전자공학과 77입

강옥채middot노병수공법학과 83입

민선식경제학과 78입

박병준섬유공학과 52입

서울대학교총동창회

양두석독어독문학과 69입

양윤홍전자공학과 63입

대우 카길애그리퓨리나 동진쎄미켐 하나금융지주

동원 동양 KB금융지주 대우조선해양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대성 로이드선급협회 아시아일진

한국가스공사 녹십자 생명보험협회 현대중공업

메가스터디 TOYOTA MOTOR CORP SK하이닉스 서울장학재단

STX 농심 무한투자 이연제약

대우인터내셔널 송원김영환장학재단 형애장학회 신풍제약

10억 원 이상 출연

현대산업개발

스페코middot삼익악기

영원무역

쌍용양회공업

영원아웃도어

환인제약 주식회사

한국프뢰벨

37 36

춘강문화장학재단 (박성형 이사장)

허성도 (인문대학 명예교수)

형남진장학재단 (이정희 이사장)

강남구청

김형렬 (윤리교육과 교수)

공병영 (사무국장middot시설관리국장)

신흥 (이용익 대표이사)

서영길 (광산학과 53입)

일중장학재단 (송윤영 이사장)

금곡장학회 (이수상 이사장)

덕원장학회 (이헌경 이사장)

강현구 (건축학과 교수)

김명환 (조선해양공학과 75입)

김영수 (법과대학 60입)

김영운 (재료공학부 교수)

서강문 (동물병원 원장)

서동규 (경영학과 84입)

송희영 (영어영문학과 74입)

이근무 (사회학과 56입)

이재호 (경영학과 84입)

주식회사 KTampG 남서울본부 (박정욱 본부장)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박기용 이사장)

가송재단 (윤도준 이사장)

강스템바이오텍 (강경선 대표이사)

유한회사 본음인베스트먼트

이진경 (전국낙지자랑 대표)

주리아 (치과대학 04입)

한승장학회 (이재영 이사장)

키움증권 (권용원 대표이사)

협성문화재단 (박석귀 이사장)

윤상혁 (디자인학부 03입)

GS칼텍스 (허동수 대표이사 회장)

권규돈 (중어중문학과 13입 권기범의 부)

김경준 (농경제학과 82입)

김용팔 (수의과대학 75입)

김재홍 (수의학과 교수)

김진태 (법학과 71입)

문대원 (경영학과 71입)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오근택 대표이사)

박세창 (수의학과 교수)

산학협동재단 (한덕수 이사장)

선암장학재단 (윤호철 이사장)

성제경 (수의학과 교수)

송재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우광덕 (치과대학 64입)

유기윤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유한상 (수의학과 교수)

윤여성 (수의학과 교수)

윤정희 (수의학과대학 부학장)

윤화영 (수의학과 교수)

이건목원리한방병원 (이건목 원장)

이소영 (수의학과 교수)

이항 (수의학과 교수)

이희근 (공과대학 명예교수)

조무제 (법학과 65입)

조성범 (수의학과 교수)

조제열 (수의학과 교수)

중앙백신연구소 (윤인중 대표이사)

지티앤티 (이세한 대표이사)

채찬희 (수의학과 교수)

태평소금 (손일선 회장)

한호재 (수의학과 교수)

해마루 (김현욱 원장)

황인구 (수의학과 교수)

조선에듀케이션 (방정오 대표이사)

강진영 (의학과 69입)

김정기 (법학과 75입)

박달이 (간호대학 74입)

박재완

사회복지법인 건아재단 (심철환 이사장)

손정식 (제약학과 73입)

윤재석 (화학교육과 71입)

이도환 (치의학과 86입)

이동식 (영어교육과 72입)

홍기택 (경영학과 74입)

KT (황창규 대표이사 회장)

LG PC 유지보수센터 (박무광 대표이사)

광주시민장학회 (박기준 이사장)

박영임 (간호학과 73입)

사명희치과 (사명희 원장)

연당장학회 (남욱 회장)

우정장학문화재단 (강백영 이사장)

제노에너지 (김성철 대표이사)

신우호 (화학교육과 87입)

이병욱 (조경학과 81입)

정혜선 (간호학과 82입)

허종필 (공업화학과 73입)

권길주 (조선해양공학과 11입 정지원의 모)

권혜숙 (약학과 82입)

김미영 (간호학과 98입)

김범진 (턱교정학고급연수과정 6기)

김성열 (교육학과 75입)

김우진 (국악과 73입)

녹십자수의약품 (김승목 대표이사)

덕영재단 (전헬리시아 이사장)

류제하 (기계공학과 78입)

문수자동판매기 (김영식 대표)

민기복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민동홍 (독어독문학과 77입)

박종철 (물리학과 61입)

설재연 (심리학과 82입)

송은도 (국악과 01입)

유차영 (ASP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 12기)

신우개발 서울지점 (김익환 사장)

신하순 (동양화과 교수)

안석준 (치의과대학원 부원장

안휘준 (인문대학 명예교수)

양민영 (협동과정 미술교육전공 94입)

양형식 (자원공학과 75입)

옥복연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07입)

우경미 (치의학대학원 교수)

우성공원묘원 (허정산 대표)

우성원 (미학과 95입)

월악장학문화재단 (남기영 이사장)

유건선 (토목공학과 73입)

유흥수 (법학과 58입)

윤희정 (수의학과 교수)

이대혁 (자원공학과 87입)

이병천 (수의학과 교수)

이상돈 (에너지자원공학과 84입)

이승주 (치의학과 92입)

이시우 (의예과 95입)

이용규 (경영학과 84입)

이정인 (공과대학 명예교수)

이희석 (농생물과 57입)

임종후 (서양화과 12입 임지윤의 부)

임한조 (물리학과 67입)

전석원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정소걸 (자원공학과 71입)

정지훈 (치의학과 교수)

조경란 (법학과 79입)

조기웅 (화학과 66입)

조현욱 (사법학과 83입)

최명애 (회화과 70입)

최정욱 (경영학과 84입)

최종길 (법과대학 83입)

하종철 (동양화과 13입 하문원의 부)

한공창 (자원공학과 72입)

한국지하수지열협회 (안근묵 회장)

허형무 (경영대학 68입)

미주재단

Steve Ro (토목공학과 61입)

Soung Kim (임학과 56입)

Joong M Soh (공과대학 64입)

John Baek (금속공학 49입)

Hyunchan Lee (치과대학 70입)

Steve amp Cheryl Shapiro

Kwang S Hong (공과대학 60입)

Moon H Kim (공과대학 68입)

David Cho (공과대학 60입)

Dong Ku Chung (기계공학과 57입)

Sang Dae Lee (농업생명과학대학 80입)

Young D Kim (공과대학 67입)

AMP 78기 일동

삼성복지재단 (이수빈 이사장)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한국세포주연구재단

SK하이닉스 (박성욱 대표이사 사장)

패션그룹형지 (최병오 회장)

한국수력원자력 (조석 사장)

형애장학회 (최효종 이사장)

송원김영환장학재단 (김해련 이사장)

사회복지법인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이기수 이사장)

SECMCA

TOYOTA MOTOR CORP

(요시다 아키히사 대표이사 사장)

권욱현 (공과대학 명예교수)

네이버 (김상헌 대표이사)

부경양돈협동조합 (박재민 조합장)

안인희

전국경제인연합회 (허창수 회장)

현송교육문화재단 (김정일 이사장)

롯데장학재단 (신영자 이사장)

일주학술문화재단 (이선애 이사장)

현대차 정몽구 재단 (유영학 이사장)

박미혜 (성악과 교수)

LG연암문화재단 (구자경 이사장)

KeyGene (Arjen van Tunnen CEO)

아산사회복지재단 (정몽준 이사장)

천만장학회 (이광현 이사장)

방일영문화재단 (조연흥 이사장)

AMP 77기 일동

신라문화장학재단 (박준형 이사장)

SBS문화재단 (윤세영 이사장)

김만극 (약학과 47입)

아이바이오 (김기일 대표이사)

현대엔지니어링 (김위철 대표이사)

종근당고촌재단 (김두현 이사장)

정수장학회 (김삼천 이사장)

Kensary LLP

앨트웰민초장학재단 (김박 이사장)

한국동서발전 (장주옥 사장)

한화갤러리아 (박세훈 대표이사)

한화생명보험 (차남규 대표이사 사장)

한화손해보험 (박윤식 대표이사)

한화첨단소재 (김창범 대표이사)

한화투자증권 (주진형 대표이사 사장)

KEILCO(KEPCO ILJAN CORPORATION)

연강재단 (박용현 이사장)

창강재단 (안병표 이사장)

경기도 인재개발원 (박익수 원장)

대림수암장학문화재단 (변형윤 이사장)

청합장학회 (여상길 회장)

한빛종합동물병원 (임정식 원장)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716900000

364863690

317560000

250000000

220000000

200000000

200000000

150000000

142103500

140000000

139583000

13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98538000

89942000

82426000

70000000

67509000

67500000

62989000

59929000

59208000

53720000

51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44302000

42076000

40918000

40273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39677688

39035000

37244000

37068000

34780000

31047000

31000000

30300600

박종오 (영어영문학과 55입)

이상복 (ABKI문헌지식정보최고위과정 5기)

이상억 (인문대학 명예교수)

한화 (심경섭 대표이사)

한화건설 (김현중 부회장)

한화자산운용 (강신우 대표이사)

한화케미칼 (방한홍 대표이사)

한화호텔앤드리조트 (홍원기 대표이사)

오뚜기재단 (함태호 이사장)

유한재단 (이필상 이사장)

영원무역 (성기학 대표이사 회장)

서울대합창단동문회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전병원 이사장)

국가정책과정(ACAD) 77기 일동

배영수 (서양사학과 교수)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최윤 회장)

몬산토코리아유한회사

(벤자민 마크 후드리스 대표이사)

성련장학재단 (허연금 이사장)

고광우 (행정학과 53입)

김철수 (법과대학 명예교수)

대한적십자사 (유중근 총재)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성기학 이사장)

임현진 (사회과학대학 명예교수)

장문영 (화학과 59입)

재단법인 양영재단 (김상하 이사장)

조유근 (컴퓨터공학부 교수)

두을장학재단 (이인희 이사장)

과천시애향장학회 (신학수 이사장)

서울장학재단 (이경희 이사장)

왕한석 (인류학과 교수)

포니정장학재단 (정몽규 이사장)

조용준 (법학과 79입)

농어촌희망재단 (김달웅 이사장)

경동송천재단 (류덕희 이사장)

농생대 환경재료과학 교수일동

주식회사 천랩 (천종식 대표이사)

돈암장학회 (이용배 이사장)

인선문화재단 (박선영 이사장)

단암장학재단 (이봉서 이사장)

치과대학 치의학대학원 동창회

흥한재단 (박병석 이사장)

선화예술문화재단 (심재혁 대표)

한국미즈노 주식회사 (김창범 대표이사)

곽노섭 (수학과 49입)

19대 인문대 학장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김은선 (디자인학부 13입 조은지의 모)

서광훈 (약학대학 67입)

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ASP) 27기 동문

송재용 (경영학과 교수)

수도씨에이씨 (송명호 대표이사)

신한화구 (한봉근 대표)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28436000

27942000

26000000

24210000

24041200

23994234

22500000

20724000

20500000

20274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18779000

17973600

17934000

17600000

17050000

17000000

165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4000000

14000000

13500000

12000000

12000000

11602000

11102610

10281624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이앤티 (고영호 대표이사)

재단법인 정민 (윤석헌 이사장)

제11기 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천병년 (약학과 77입)

최민철 (농공학과 75입)

현대하이스코 (신성재 대표이사)

황효진 (동양사학과 78입)

대한사료주식회사 (이상민 대표이사)

해성문화재단 (단재완 이사장)

한국가스공사 (장석효 사장)

장석윤 (약학과 79입)

한국석유공사 (서문규 사장)

종로구장학회 (최현종 이사장)

동부문화재단 (강경식 이사장)

인촌기념회 (이용훈 이사장)

용옥장학문화재단 (양철우 이사장)

미래의동반자재단 (Jeffrey D Jones 이사장)

성옥문화재단 (이화일 이사장)

다래파크텍 (김호정 대표이사)

미래인재육성재단 (최양식 이사장)

고화장학회 (배명인 이사장)

한국애질런트테크놀로지스 (박시영 대표)

이재원 (중앙도서관 정보관리과)

리브로 (김경수 대표이사)

오운문화재단 (이동찬 이사장)

조비경농장학재단 (이병만 이사장)

오스템임플란트 (최규옥 대표이사)

한국섬유산업연합회장학재단 (노희찬 이사장)

아카넷 (김정호 사장)

삼송장학회 (김영기 이사장)

서지희 (IFP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11기)

김지호

서울상공회의소 관악구상공회 (김진철 회장)

송파재단 (윤원영 이사장)

김영윤 (토목공학과 62입)

로보로보 (장창남 대표이사)

류판동 (수의과대학장)

모르페우스 (김진수 대표이사)

박윤서 (고고인류학과 69입)

박찬국 (철학과 교수)

송인석 (치의학과 01입)

시그나사회공헌재단 (홍봉성 이사장)

신남식 (수의학과 교수)

약학대학 40회 동기회

와이비엠 (민선식 대표이사)

이필상 (경제학부 교수)

한국경제연구원 (권태신 원장)

황만순 (제약학과 90입)

운경재단 (배성동 이사장)

제봉민병욱장학재단

심명문화재단 (이경재 이사장)

홍산장학재단 (천영주 이사장)

홍수현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9730000

9528000

9140000

9000000

9000000

8690000

8525000

8525000

8178000

8112000

7963000

7928068

7713000

7500000

7000000

6950000

6919590

6058000

6010000

6000000

6000000

5700000

5400000

5357143

5100000

5100000

5089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4934000

4734000

4527000

4500000

4462280

4000000

4000000

4000000

3956000

3862000

3600000

3500000

3029000

3029000

3005000

3005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2706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467000

2467000

22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1865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5145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431445

1221251

1210000

108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단위 $

100000

10000

5000

3000

500

500

200

200

100

100

100

100

20140601 ~ 20140831 약정 단위 원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약정DONATION

39 38

김형렬 (윤리교육과 교수)

이정진 (기계항공공학부 95입)

신흥 (이용익 대표이사)

이창우 (경영학과 교수)

서영길 (광산학과 53입)

일중장학재단 (송윤영 이사장)

금곡장학회 (이수상 이사장)

덕원장학회 (이헌경 이사장)

강현구 (건축학과 교수)

김명환 (조선해양공학과 75입)

김영수 (법과대학 60입)

김영운 (재료공학부 교수)

김종원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김진학 (도시환경최고전문가과정 29기)

박훈 (기계공학과 63입)

서강문 (동물병원 원장)

서동규 (경영학과 84입)

송재홍 (농화학과 83입)

송희영 (영어영문학과 74입)

신남식 (수의학과 교수)

이규선 (조경middot지역시스템공학부 13입 이성용의 부)

이봉호 (치의예과 84입)

이재호 (경영학과 84입)

전병롱 (정책학과 10입 전상우의 부)

전호석 (기계설계학과 71입)

주식회사 KTampG 남서울본부 (박정욱 본부장)

최황 (의과대학 명예교수)

황철성 (재료공학부 교수)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박기용 이사장)

가송재단 (윤도준 이사장)

강스템바이오텍 (강경선 대표이사)

오이코스 (배장영 대표이사)

유한회사 본음인베스트먼트

이진경 (전국낙지자랑 대표)

한승장학회 (이재영 이사장)

윤용혁 (독어교육과 60입)

키움증권 (권용원 대표이사)

협성문화재단 (박석귀 이사장)

이강이 (아동가족학과 교수)

윤상혁 (디자인학부 03입)

윤화영 (수의학과 교수)

GS칼텍스 (허동수 대표이사 회장)

권규돈 (중어중문학과 13입 권기범의 부)

김경준 (농경제학과 82입)

김용팔 (수의과대학 75입)

김재홍 (수의학과 교수)

김진태 (법학과 71입)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이재술 대표이사)

문대원 (경영학과 71입)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오근택 대표이사)

박세창 (수의학과 교수)

산학협동재단 (한덕수 이사장)

선암장학재단 (윤호철 이사장)

성제경 (수의학과 교수)

송재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우광덕 (치과대학 64입)

유기윤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유한상 (수의학과 교수)

윤여성 (수의학과 교수)

윤정희 (수의학과 교수)

이건목원리한방병원 (이건목 원장)

이동진 (교무처 학사과)

이소영 (수의학과 교수)

이인숙 (간호대학 교수)

이항 (수의학과 교수)

이희근 (공과대학 명예교수)

조무제 (법학과 65입)

조성범 (수의학과 교수)

조제열 (수의학과 교수)

주식회사 오공 (김윤정 대표이사)

중앙백신연구소 (윤인중 대표이사)

지티앤티 (이세한 대표이사)

채찬희 (수의학과 교수)

태평소금 (손일선 회장)

한호재 (수의학과 교수)

해마루 (김현욱 원장)

황인구 (수의학과 교수)

조선에듀케이션 (방정오 대표이사)

사회복지법인 건아재단 (심철환 이사장)

KT (황창규 대표이사 회장)

광림교회 (김정석 담임목사)

광주시민장학회 (박기준 이사장)

김기원 (AIP최고산업전략과정 38기)

김상은 (융합과학부 교수)

김혜원 (간호학과 교수)

박종근 (전기공학과 교수)

서병태 (의학과 54입)

송경희 (국악과 59입)

연당장학회 (남욱 회장)

오유경 (약학대학 부학장)

우정장학문화재단 (강백영 이사장)

임현주 (약학과 82입)

전상직 (작곡과 교수)

주리아 (치과대학 04입)

한국마쯔다니 (유태균 대표이사)

홍영표 (GLP글로벌리더십과정 21기)

신우호 (화학교육과 87입)

류판동 (수의과대학장)

이병욱 (조경학과 81입)

김용백 (수의학과 교수)

김종암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정혜선 (간호학과 82입)

강부현 (수의학과 72입)

권길주 (조선해양공학과 11입 정지원의 모)

권혜숙 (약학과 82입)

김경대 (치의학과 82입)

김미영 (간호학과 98입)

김범진 (턱교정학고급연수과정 6기)

김성열 (교육학과 75입)

김종흔 (경영대학 92입)

김현산 (법과대학 54입)

녹십자수의약품 (김승목 대표이사)

덕영재단 (전헬리시아 이사장)

문수자동판매기 (김영식 대표)

민기복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민동홍 (독어독문학과 77입)

박병익 (지리교육과 교수)

박종철 (물리학과 61입)

설재연 (심리학과 82입)

송은도 (국악과 01입)

유차영 (ASP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 12기)

신우개발 서울지점 (김익환 사장)

신하순 (동양화과 교수)

안석준 (치의과대학원 부원장

안휘준 (인문대학 명예교수)

양민영 (협동과정 미술교육전공 94입)

양형식 (자원공학과 75입)

옥복연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07입)

우경미 (치의학대학원 교수)

우성공원묘원 (허정산 대표)

우성원 (미학과 95입)

월악장학문화재단 (남기영 이사장)

유건선 (토목공학과 73입)

유흥수 (법학과 58입)

윤희정 (수의학과 교수)

이기윤 (정치학과 88입)

이대혁 (자원공학과 87입)

이병천 (수의학과 교수)

이상돈 (에너지자원공학과 84입)

이승주 (치의학과 92입)

이시우 (의예과 95입)

이은수 (서울대운동용품 대표)

이정인 (공과대학 명예교수)

임종후 (서양화과 12입 임지윤의 부)

정소걸 (자원공학과 71입)

정지훈 (치의학과 교수)

조경란 (법학과 79입)

조기웅 (화학과 66입)

조현욱 (사법학과 83입)

최명애 (회화과 70입)

최정욱 (경영학과 84입)

최종길 (법과대학 83입)

최해영 (경영대학 행정실)

하종철 (동양화과 13입 하문원의 부)

한공창 (자원공학과 72입)

한국지하수지열협회 (안근묵 회장)

허형무 (경영대학 68입)

미주재단

Steve Ro (토목공학과 61입)

Soung Kim (임학과 56입)

Joong M Soh (공과대학 64입)

John Baek (금속공학 49입)

Hyunchan Lee (치과대학 70입)

Steve amp Cheryl Shapiro

Kwang S Hong (공과대학 60입)

Moon H Kim (공과대학 68입)

David Cho (공과대학 60입)

Dong Ku Chung (기계공학과 57입)

Sang Dae Lee (농업생명과학대학 80입)

Young D Kim (공과대학 67입)

서울대학교병원 (오병희 병원장)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이철희 병원장)

SK가스 (최창원 부회장)

AMP 78기 일동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윤강섭 병원장)

삼성전자 (권오현 대표이사 부회장)

SK하이닉스 (박성욱 대표이사 사장)

삼성복지재단 (이수빈 이사장)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한국세포주연구재단

하나제약 (조경일 회장)

코스맥스 (이경수 대표이사 회장)

패션그룹형지 (최병오 회장)

서울대학교총동창회 (서정화 회장)

한국수력원자력 (조석 사장)

형애장학회 (최효종 이사장)

송원김영환장학재단 (김해련 이사장)

사회복지법인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이기수 이사장)

TOYOTA MOTOR CORP

(요시다 아키히사 대표이사 사장)

권욱현 (공과대학 명예교수)

네이버 (김상헌 대표이사)

현송교육문화재단 (김정일 이사장)

롯데장학재단 (신영자 이사장)

일주학술문화재단 (이선애 이사장)

현대차 정몽구 재단 (유영학 이사장)

LG연암문화재단 (구자경 이사장)

SECMCA

아산사회복지재단 (정몽준 이사장)

천만장학회 (이광현 이사장)

방일영문화재단 (조연흥 이사장)

AMP 77기 일동

신라문화장학재단 (박준형 이사장)

KRX국민행복재단 (최경수 이사장)

SBS문화재단 (윤세영 이사장)

김만극 (약학과 47입)

농우바이오 (정용동 유연희 대표이사)

안인희

전국경제인연합회 (허창수 회장)

정윤환 (임학과 56입)

현대엔지니어링 (김위철 대표이사)

세진에프알에스 라쿠치나 서울대점 (장재훈 대표이사)

재단법인 웅진 (신현웅 이사장)

종근당고촌재단 (김두현 이사장)

정수장학회 (김삼천 이사장)

Kensary LLP

앨트웰민초장학재단 (김박 이사장)

주중광 허지영 (약학대학 60입 화학과 66입)

한국동서발전 (장주옥 사장)

한화갤러리아 (박세훈 대표이사)

한화생명보험 (차남규 대표이사 사장)

한화손해보험 (박윤식 대표이사)

한화첨단소재 (김창범 대표이사)

한화투자증권 (주진형 대표이사 사장)

KEILCO(KEPCO ILJAN CORPORATION)

연강재단 (박용현 이사장)

창강재단 (안병표 이사장)

경기도 인재개발원 (박익수 원장)

대림수암장학문화재단 (변형윤 이사장)

이상억 (인문대학 명예교수)

1432968520

1147748270

1000000000

716900000

615220390

600000000

560000000

364863690

317560000

250000000

220000000

210000000

200000000

200000000

166000000

150000000

142103500

140000000

139583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98538000

89942000

82426000

67509000

66598412

62989000

59929000

59208000

53720000

51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49800000

46522180

44302000

42076000

40918000

40273000

40204972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39677688

39035000

37244000

37068000

34780000

31800000

청합장학회 (여상길 회장)

한빛종합동물병원 (임정식 원장)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두산 (박용만 대표이사 회장)

송미순 (간호학과 교수)

이상복 (ABKI문헌지식정보최고위과정 5기)

한화 (심경섭 대표이사)

한화건설 (김현중 부회장)

한화자산운용 (강신우 대표이사)

한화케미칼 (방한홍 대표이사)

한화호텔앤드리조트 (홍원기 대표이사)

오뚜기재단 (함태호 이사장)

재단법인 최혁영 장학회 (최혁영 회장)

유한재단 (이필상 이사장)

영원무역 (성기학 대표이사 회장)

부경양돈협동조합 (박재민 조합장)

져스텍 (김용일 대표이사)

서울대합창단동문회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전병원 이사장)

국가정책과정(ACAD) 77기 일동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최윤 회장)

몬산토코리아유한회사

(벤자민 마크 후드리스 대표이사)

성련장학재단 (허연금 이사장)

고광우 (행정학과 53입)

대한적십자사 (유중근 총재)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성기학 이사장)

임현진 (사회학과 교수)

재단법인 양영재단 (김상하 이사장)

조유근 (컴퓨터공학부 교수)

두을장학재단 (이인희 이사장)

과천시애향장학회 (신학수 이사장)

서울장학재단 (이경희 이사장)

왕한석 (인류학과 교수)

포니정장학재단 (정몽규 이사장)

조용준 (법학과 79입)

농어촌희망재단 (김달웅 이사장)

경동송천재단 (류덕희 이사장)

김신원 (응용화학과 64입)

농생대 환경재료과학 교수일동

주식회사 천랩 (천종식 대표이사)

돈암장학회 (이용배 이사장)

인선문화재단 (박선영 이사장)

단암장학재단 (이봉서 이사장)

치과대학 치의학대학원 동창회

흥한재단 (박병석 이사장)

선화예술문화재단 (심재혁 대표)

한국미즈노 주식회사 (김창범 대표이사)

곽노섭 (수학과 49입)

19대 인문대 학장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김은선 (디자인학부 13입 조은지의 모)

바텍 (노창준 대표이사)

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ASP) 27기 동문

수도씨에이씨 (송명호 대표이사)

신한화구 (한봉근 대표)

이앤티 (고영호 대표이사)

장문영 (화학과 59입)

제11기 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조경일 (약학대학 64입)

주식회사 명진팜 (권기진 대표이사)

31047000

31000000

303006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28436000

28081000

27942000

26000000

25000366

25000000

24210000

24041200

23994234

20724000

20500000

20274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18779000

17973600

17934000

17600000

17050000

17000000

165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4000000

14000000

13500000

12000000

12000000

11602000

11102610

10281624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천병년 (약학과 77입)

최민철 (농공학과 75입)

현대하이스코 (신성재 대표이사)

황효진 (동양사학과 78입)

대한사료주식회사 (이상민 대표이사)

해성문화재단 (단재완 이사장)

한국가스공사 (장석효 사장)

김춘길 (화학생물공학부 58입)

애드미션 (김유탁 대표이사)

종로구장학회 (최현종 이사장)

동부문화재단 (강경식 이사장)

인촌기념회 (이용훈 이사장)

용옥장학문화재단 (양철우 이사장)

미래의동반자재단 (Jeffrey D Jones 이사장)

김영윤 (토목공학과 62입)

성옥문화재단 (이화일 이사장)

다래파크텍 (김호정 대표이사)

미래인재육성재단 (최양식 이사장)

고화장학회 (배명인 이사장)

이재원 (중앙도서관 정보관리과)

리브로 (김경수 대표이사)

오운문화재단 (이동찬 이사장)

조비경농장학재단 (이병만 이사장)

박지향 (중앙도서관장)

오스템임플란트 (최규옥 대표이사)

한국섬유산업연합회장학재단 (노희찬 이사장)

한옥희 (화학과 79입)

아카넷 (김정호 사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정기택 원장)

삼송장학회 (김영기 이사장)

서지희 (IFP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11기)

김지호

서울상공회의소 관악구상공회 (김진철 회장)

박찬국 (철학과 교수)

송파재단 (윤원영 이사장)

김재길 (법학과 56입)

로보로보 (장창남 대표이사)

모르페우스 (김진수 대표이사)

박성경 정성창 (치의학과 96입)

박윤서 (고고인류학과 69입)

서용석 (상학과 46입) 정재원

송인석 (치의학과 01입)

송재용 (경영학과 교수)

시그나사회공헌재단 (홍봉성 이사장)

약학대학 40회 동기회

와이비엠 (민선식 대표이사)

이필상 (경제학부 교수)

한국경제연구원 (권태신 원장)

황만순 (제약학과 90입)

운경재단 (배성동 이사장)

제봉민병욱장학재단

심명문화재단 (이경재 이사장)

홍산장학재단 (천영주 이사장)

홍수현

박미혜 (성악과 교수)

박영아 (물리학과 79입)

최동하 (농경제학과 71입)

춘강문화장학재단 (박성형 이사장)

허성도 (인문대학 명예교수)

형남진장학재단 (이정희 이사장)

강남구청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9730000

9528000

9140000

9000000

9000000

8690000

8525000

8525000

8178000

8112000

8000000

7963000

7928068

7713000

7500000

6950000

6919590

6058000

6010000

6000000

6000000

6000000

6000000

5700000

5556000

5400000

5357143

5100000

5100000

5090000

5089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4934000

4734000

4527000

4500000

446228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3956000

3862000

3750000

3500000

3120000

3029000

3029000

3005000

3005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2706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467000

2467000

2467000

2400000

2230000

215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1865000

1800000

15145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431445

1300000

1275251

1260000

1200000

106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단위 $

100000

10000

5000

3000

500

500

200

200

100

100

100

100

단위 원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20140601 ~ 20140831 출연

출연DONATION

40

서울대학교는 기부금을 출연한 후원인에게 더욱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국내 최고 수준의 의

료서비스를 자랑하는 서울대학교병원 이용 예우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으며 서울대학교병원 후원인

라운지에 상주하는 전담 직원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후원자 중 추가 진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본원 또는 분당 서울대학교병원과의 즉각

적인 연계가 가능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 본원 조윤지 | Tel 02-2272-2750 E-mail sosunolovesnuackr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강수정 | Tel 031-787-1915 E-mail c8541snubhorg

(재)서울대학교발전기금 김종희 | Tel 02-871-1633 E-mail p2727snuackr

bull병원 예우 담당자

bull서울대학교병원 예우 서비스 이용 안내

예약대행 서비스 | 진료 및 입원 예약 대행 병원 측과 협의 후 예약일자 결정

의전 서비스 | 진료middot입원middot응급실 이용 편의를 위해 예우 담당자가 직접 안내

종합건강검진 주선 서비스(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bull서울대학교병원 예우 서비스 내용

지원 자격 활동 기간

bull경제적 지원이 필요한 학생

(건강보험료 기준) 우선 선발

bull성적 45만점 환산 30 이상

lsquo 새싹 멘토링rsquo은 빈곤의 대물림을 막기 위한 자선 봉사활동으로

전국 국공립대학의 우수한 학생이 저소득층 중middot고등학생의

학습을 도우며 장학금을 받는 프로그램입니다

bull최소 6개월~12개월

bull활동 실적에 따라 졸업 시까지

연차적으로 기회 부여

새싹멘토링의

멘토가

되어주세요

bull전화 02-880-1593(새싹 멘토링 서울대학교 본부) bull팩스 02-780-2647(미래국제재단 여의도 본사)

bull이메일 mifsnuhanmailnet 새싹 멘토링 지원 방법 문의 시 상세히 안내해드립니다

서울대학교와 미래국제재단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봉사활동에 학생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다립니다

기부인의 따뜻한 마음에

다양한 혜택의 예우 서비스로

보답합니다

출연 기금 진료예약 의전 서비스 종합건강검진 주선

50억 이상 평생 평생 연 1회(평생 프리미엄 검진)

10억 이상 평생 10년 연 1회(평생)

5억 이상

1억 원당 1년(기한)

5년

1억 원당 연 1회(기한)3억 이상 3년

1억 이상 1년

서울대학교병원 본원 후원인 전담 직원이 진료 예약 및 의전 서비스까지 친절하게 안내해 드립니다

문의처 병원 후원인 라운지(본관 3층) 또는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후원인 전담 직원이 진료 예약 및 의전 서비스까지 친절하게 안내해 드립니다

문의처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또는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강남센터와의 즉각적인 연계를 통해 강남센터 상담 직원이 후원자 여러분께 상담 전화를 드립니다

문의처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기부인 예우 프로그램DONATION

SeoulNational University

151-742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1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

T 02-880-5114 F 02-885-5272wwwsnuackr

C o v e r S t o r y

과학자의 공식

좋은 연구를 하겠다는 신념으로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걸어온 사람

miRNA 분야의 세계적인 개척자 김빛내리 교수다

그녀는 노벨상 수상에 가장 근접한 국내 과학자로 꼽힌다

도전과 실패 인내를 거듭하며 세계적인 과학자 반열에 오르기까지

그녀의 행보를 통해 성공과 신뢰 만족을 얻는 인생 공식을 알아본다

Page 9: SNU Magazine Vol. 38 › new › wp-content › uploads › 2015 › 12 › snu_people... · 2016-01-30 · 우수 연구자 시리즈 10 유상렬 농생명공학부 교수 06 선배와의

15 14

캠퍼스의

어떤 하루

햇볕 좋은 날

SNU Ske t c hPEOPLE

스트레스 날리는 가을 축제

lsquo스트레스 대폭발 슛트레스rsquo를

주제로 한 서울대학교 2014년

가을 축제 lsquo티라노스트레스rsquo가

캠퍼스 곳곳에서 열렸다

사진은 참가자들이 대형 상자로

만들어진 젠가를 쌓으며 축제를

즐기고 있는 모습

09 29 ndash 10 01

중학생을 위한 생명공학캠프

농업생명과학대학에서

중학생을 대상으로 생명공학

특강 실험과 실습 수목원

체험 등 생명공학에 관한

기초적인 체험을 제공하는

캠프를 마련했다

08 11 - 08 15

오늘은 첫 출근 하는 날

공과대학 엔지니어하우스에서

2014학년도 신규임용교원

임명장 수행식이 거행됐다

60여 명의 신규 교직원들은

임명장을 받으며 합격의 기쁨을

만끽했다

08 25

서울대 입학 궁금해요

문화관 대강당에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2015년 서울대학교

입학 주요 사항을 설명하는

입학설명회를 개최했다

07 05

우물쭈물 말고 말 걸어 봐

2014 SNU 사회적경제

아이디어 대회 활동팀이

선보이는 lsquoTalk to me SNUrsquo

배지 이 배지를 달고 있는

사람에게는 누구나 친근하게

말을 건낼 수 있다

07 24

17 16

Campu s OnNOW

뚜렷하게 새겨진 학문적 발자취

학문 분야에서는 서울대학교의 대표적인 연구 성과인 현택환 중견

석좌교수의 lsquo나노수류탄rsquo 김수봉 교수의 lsquo중성미자 변환상수 연구rsquo

와 함께 서울대학교가 소장하고 있는 귀중한 사료인 lsquo대동여지도

(大東輿地圖)rsquo lsquo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rsquo에 대한 이야기도 만

나볼 수 있다 이어지는 교육 환경 코너는 학생 1인당 장학금 지급률

부터 개별 전공 졸업 후 진로 정보까지 방문객이 터치스크린을 통

해 원하는 정보를 찾아볼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빛나는 역사

전시 콘텐츠는 lsquo역사middot학문 분야middot교육 환경middot글로벌 SNUmiddot사회적

책임middot미래 인재middot미래 활동rsquo 순으로 전개된다 먼저 홍보관에 발을

들이면 개교 이전부터 현재까지의 모습이 전면 스크린에 펼쳐진다

최초의 근대 국립고등교육기관이었던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의

역사를 사진과 영상으로 만나볼 수 있다 또한 이곳에는 한국전쟁

419 혁명 등 중요한 역사의 현장에서 희생된 서울대학교 재학생들

의 고귀한 뜻을 기리는 추모의 벽이 설치되어 있다 조국의 발전을

위해 몸 바친 영혼들을 위해 잠시 묵념하는 시간을 가져보자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가 세계의 다양한 대학 연구 기관과 어떤 국제협력프로

그램들을 만들고 운용하고 있는지 궁금하다면 글로벌 SNU 코너에

서 그 현황과 규모를 찾을 수 있다 다양한 사회 기여 활동을 보여주

는 사회적 책임 코너도 빼놓을 수 없는 곳이니 잊지 말고 둘러보자

인재를 길러내는 서울대학교의 모습과 장기적인 비전은 스누홀의

마지막 전시장에서 확인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등 양방향적 소통 장치를 마련한 스누홀은 방문객과의

자유로운 교감을 꿈꾼다 견학 온 학생에게 자녀가 다니는 학교가

궁금한 부모님에게 이곳은 훌륭한 안내소가 될 것이다 아직 학교가

알쏭달쏭하다면 망설이지 말고 스누홀의 문을 두드리길

1 SNU connect

2 SNU 타임비전

3 SNU Awards

4 미디어홀

5 라운지

6 SNU Special

1

스누홀을 통해 서울대학교를

바라보는 시각이 달라졌고

도전 의식이 생겼습니다 당당한

재학생으로 꼭 다시 오고 싶어요

김예준middot낭주중학교 3학년 박지훈middot용강중학교 3년

서울대학교에 대해 잘 알지

못했는데 이번에 스누홀을

둘러보면서 서울대학교와 한층

가까워진 것 같아요

문의 070 8815 1524

생생 방문 후기

SNU Hall 문을 열다

매년 5만 명이 넘는 이들이 캠퍼스 투어를

위해 서울대학교를 찾는다 호기심을 가득

품고 관악캠퍼스를 찾은 방문객들은 커다란

위용에 왠지 모를 어려움을 느끼기도 한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고 종합적으로

학교를 안내하기 위해 서울대학교 홍보관

스누홀(SNU Hall)이 문을 열었다 학교의

역사에서부터 환경 글로벌 미래 비전까지

서울대학교의 이모저모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스누홀을 살펴보자

1

2

3

4

5

6

19 18

여행과 봉사를 한번에 볼런투어

Who 글로벌사회공헌단 bull Where 경상남도 함양군 bull What 일손 돕기 목가구 제작 벽화 그리기 등

드림컨설턴트는 2010년 학내 봉사 동아리로 출범해 2012년 서울

시 비영리 민간단체 공식인가를 받은 서울시 NGO다 lsquo꿈rsquo이라는 주

제 아래 lsquo촉촉콘서트rsquo lsquo드림커넥터rsquo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

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이들이 8월 8일부터 10일까지 경상남도

창원 구암고등학교에 머물렀다 2박 3일간 고등학생 꿈 찾기 프로

그램인 lsquo드림캠프rsquo를 진행하기 위해서다

드림캠프는 직업군으로 나누어 꾸민 부스에서 멘토가 강연하는 lsquo직

업 박람회rsquo 자신의 꿈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해보는 lsquo드림스토밍rsquo

문제 상황에 부딪쳤을 때 필요한 가치관을 이야기해보는 lsquo가치관 동

맹rsquo lsquo모의 면접rsquo 등의 프로그램으로 탄탄하게 구성됐다 뿐만 아니

라 봉사 단원들은 고등학생들이 자신의 가치관을 살펴보고 모호한

꿈을 좀 더 구체적으로 그리며 진로를 고민해볼 수 있도록 직접 교

재까지 제작하는 열의를 보였다 지난 4년 동안 꾸준히 성장해온 드

림컨설턴트가 꾸려나갈 앞으로의 모습이 더욱 궁금해진다

꿈을 발견하는 곳 드림캠프

Who 드림컨설턴트

Where 경상남도 창원시

What 고등학생 꿈 찾기 캠프

방학 계획을 물을 때 lsquo여행rsquo과 lsquo봉사활동rsquo은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단골 소재다 글로벌사회공헌단은 이 두 가지를 동시에 할 수 있는

프로젝트 lsquo볼런투어rsquo를 마련했다 자원봉사(Volunteer)와 여행

(Tour)을 합친 볼런투어는 개인의 재능을 통해 사회공헌 사각지대

에 필요한 자원을 제공하는 활동이다

이번 볼런투어는 8월 6일부터 9일까지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에서

진행됐다 5개 팀으로 나뉘어진 학생들은 각각 농촌 일손 돕기 목가

구 제작 벽화 그리기 어르신 사진 촬영 지역아동센터 교육 봉사 등

의 개별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낯선 일이었지만 학생들은 땀을 흘리

며 사과 농장을 일구고 마을 입구에 놓을 초대형 평상을 제작하는

등 각자의 재능을 통해 나눔을 실천했다

모든 일정이 계획대로 진행된 것은 아니다 프로젝트 기간 동안 함양

군을 지나간 태풍 lsquo나크리rsquo 탓에 벽화팀이 애써 그린 작품 대부분이

지워진 것 돌발 상황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최선을 다한 학생들에게

마을 주민들은 고마움을 표현했다 함양군에서의 3박 4일은 이들에

게 잊지 못할 경험으로 기억될 것이다

자연과학대학은 2006년 경상북도 영덕군과 lsquo관학 협력 및 지역사

회 개발에 관한 협정rsquo을 체결했다 그 후 매년 여름마다 영덕 지역 청

소년들의 적성과 소질을 개발하고 대학생들의 인성 함양을 위해 멘

토링 프로그램과 과학 캠프를 개최해왔다 올해 역시 자연과학대학

재학생으로 구성된 봉사단이 영덕 지역 청소년들과 만났다

8월 5일부터 7일까지 이어진 캠프 첫날 고등학생 25명을 대상으로

lsquo대학 진학 멘토 교실rsquo이 열렸다 입시를 앞둔 이들에게 실질적인 조

언을 해주는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이 미리 준비해 온 질문에 봉사단

원들의 진지한 답변이 이어졌다 이어서 진행된 lsquo과학 캠프rsquo 봉사단

은 물리천문학 생명과학 지구환경과학 화학 수리과학 등의 각 전

공을 살려 중학생 75명과 함께 과학 실험을 진행했다 서울대학교

봉사단원들은 아이들이 과학을 어렵지 않게 느끼도록 실험을 도우

며 재미있는 분위기를 이끌었다

이번 캠프는 열정적으로 참여한 학생들 덕분에 참가자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에게도 높은 호응을 이끌었다 에너지 넘치는 자연과학대

학 봉사단과 함께 할 내년 여름을 기대해본다

청소년 100명과의 만남 과학 캠프

Who 자연과학대학 봉사단

Where 경상북도 영덕군

What 청소년을 위한 멘토링 과학 캠프

학생들의 학습을 꼼꼼히 지도하는 드림컨설턴트

직접 그린 벽화 앞에서 포즈를 취한 볼런투어 벽화팀

과학 실험 삼매경에 빠진 캠프 참여 청소년

Campu s OnNOW

각양각색 봉사활동 열전

태양이 이글대던 두 달이 쏜살같이 지나가버렸다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여름

방학 속 가장 기억에 남는 일은 무엇이었는가 무더운 여름보다 더 뜨겁게 방학을 보낸

사람들이라면 금세 대답할 수 있을 것이다

21 20

서울대학교 세계 최고를 꿈꾼다

서울대학교는 영국 대학평가기관 QS(Quacquarelli Symonds)가 발표하는 2014 QS 세계대학평가(QS

World University Rankings)에서 31위를 차지했다 1994년부터 시작된 QS 세계대학평가는 전 세계 대학

에 대한 평가로 학계 평판 40 연구 영향도(교수 1인당 논문 피인용 수) 20 졸업생 평판도 10 교수 대

학생 비율 20 외국인 교수 비율 5 외국인 학생 비율 5를 합산해 평가한다 올해 발표된 평가의 1위는

미국 MIT(매사추세츠공대)였으며 아시아 대학 가운데서는 싱가포르국립대학교(NUS)가 22위 홍콩대학교

(HKU)가 28위에 올랐다

서울대학교는 해외 학계에서의 인지도를 알 수 있는 학계 평판(Academic Reputation) 및 기업인 대상 설문

조사로 평가하는 졸업생 평판 항목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향후 논문 피인용 수 증가를 통해 연구 영향도 분

야에서 개선을 추구해 나가는 한편 구성원의 글로벌 다양성 확보를 위해서도 노력할 계획이다

2014 QS 세계대학평가가 9월 발표됐다 2004년 118위에서 2010년 50위 2011년 42위

2012년 37위 2013년 35위 그리고 올해 서울대학교는 역대 최고 성적을 경신했다

118

93

63

5147

50

4237

35

31

50

140

40

20

0

120

100

80

60

순위2005년 2009년 2012년2006년 2010년 2013년2007년 2011년 2014년2004년 2008년

QS Ranking지난 11년간의 성과

연도 별 순위

lsquo창업론 실습rsquo 커리큘럼

STEP 1 조별 사업 기획

STEP 2 약 300만 원의 지원금과 창업 공간 지원

STEP 3 기업가들의 컨설팅

STEP 4 학점 취득

통찰력 있는

미래의 창업가를 키운다

연합전공 벤처경영학

표준적인 인재는 많지만 특출난 인재는

늘 부족하다 기업가 정신을 갖추고 끊임없이

도전하는 인재들의 양성소

연합전공 벤처경영학을 소개한다

새로운 경제 성장의 동력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lsquo창업 부흥rsquo

정책이 정부를 비롯해 지방자치단체 중소기업청 등에서 이

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학생들의 대기업 선호 현상과 lsquo창업은

위험한 도박rsquo이라는 인식은 여전하다 대기업 입사를 위한 다

양한 프로그램과 유학 스터디 등이 활발한 것과 달리 창업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은 아이디어를 나눌 공간이 없고 경험 있

는 선배로부터 직접적인 조언을 얻기도 쉽지 않다 이러한 문

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이 나섰다

올해 설립된 벤처경영학 전공은 학생들이 실제로 창업을 경

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lsquo창업론 실습 1middot2rsquo 과목을 수

강하는 학생들은 조별로 사업을 기획해보고 약 300만 원과

창업 공간을 지원받으며 기업가들의 컨설팅을 받게 된다 이

런 과정을 통해 학점도 취득할 수 있다 이밖에 벤처경영학과

에서는 철학과 경영학과 컴퓨터공학부 식품동물생명공학

부 등 연합전공에 참여한 학과의 개설 과목은 물론 제품 기획

론 창업론 특강 벤처사업 기회 연구 등 벤처 운영에 도움이

되는 과목을 함께 수강할 수 있다

실리콘밸리와 맞닿아 있는 스탠포드대학교는 구글 야후 휴

렛팩커드 등 초일류 기업의 창업자들을 배출했으며 오늘날

이 대학 출신이 창업한 기업의 연 매출은 우리나라 국내총생

산(GDP)의 2배를 넘을 정도로 큰 성과를 내고 있다고 한다

창업을 지원하는 학내 인프라와 프로그램 그리고 실제 벤처

기업을 운영하는 교수진이 있기에 가능한 일이다 서울대학

교 벤처경영학이 미래의 한국 벤처 생태계를 구축할 혁신적

인 기업가 양성 교육의 훌륭한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

Campu s OnNOW

연합전공 시리즈 3

23 22

문화생활백서 in SNU

과제 시험 그리고 또 과제 학교에 갇혀 있는

날이 계속되다 보면 잠깐이나마 쉴 곳을 찾게

된다 왠지 모르게 무기력해지고 답답한 순간

당신에게는 lsquo휴식rsquo이 필요하다

빼곡한 강의실 책만 가득할 것 같은

서울대학교 안에도 여유 시간을 알차게 보낼

수 있는 놀라운 공간들이 구석구석 숨어 있다

벌써부터 방학을 그리워하는 학생들에게

캠퍼스의 각종 문화 시설은 달콤한 선물이

되어줄 것이다 학교 안에서 즐기는

문화생활의 lsquo핫 플레이스rsquo를 소개한다

영화관이 학교 안에

미술관을 지나 오르막길을 오르다 보면 현수막 하나가 눈에 띈다

2004년부터 작품성은 높지만 대중적 인기는 얻지 못한 진흙 속의

진주 같은 영화를 소개하는 lsquo수요시네마rsquo 프로그램이다 매월 둘째

주 수요일 문화관에서 무료로 관람 가능하다 더불어 학교의 중심

중앙도서관 영상자료실도 혼자 영화 보기 안성맞춤인 곳이다 비교

적 최신 DVD까지 소장하고 있어 공강 시간을 보내기 유용하다

몸 튼튼 마음 튼튼

서울대학교에선 원한다면 누구나 각종 운동을 섭렵할 수 있다 공과

대학에는 테니스장과 농구장 인공 암벽등반 시설이 있으며 기숙사

에는 축구 운동장과 더불어 야구 연습 탁구 농구 등을 할 수 있는 실

내 체육관이 있다 종합운동장에선 축구와 미식축구를 할 수 있으며

마라톤 트랙이 있어 다른 운동도 가능하다

정문 근처 포스코(POSCO) 스포츠센터는 2001년에 문을 연 4층 건

물로 서울대학교의 대표 체육 시설이다 수영과 헬스뿐만 아니라 골

프와 댄스 발레 요가 등 전문 강사가 진행하는 다양한 강좌가 있다

시설이 좋아 lsquo미녀는 괴로워rsquo 등의 영화와 드라마 촬영지로도 사용됐

다 이외에 체육 교육과에서도 매 학기 테니스 필라테스 탁구 등을

소규모로 배울 수 있는 건강 운동 강좌를 개설하고 있다 에너지 넘

치는 학생들에게 서울대학교는 즐거운 놀이터다

음악감상실

장소 학생회관 111호

운영시간

학기 중 평일 930~1730

학기 중 토요일 930~1330

수요시네마

장소 문화원 중강당

비용 무료

문의 02-880-7924

정문 옆 미술관

정문 너머 왼편에는 독특하고 아름다운 외형의 건물이 있다 바로 서

울대학교 미술관 MoA 프리츠커 건축상을 수상한 렘 콜하스가 설

계했다 한 해 3~4회의 전시가 열리는 MoA는 타 학교 미대에서 관

람을 올 정도의 높은 전시 수준을 자랑한다 학교 구성원과 지역민

등을 대상으로 하는 미술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뿐만 아니라 도

슨트 교육을 받고 선발되어 활동하면 문화자원봉사 확인증을 주는

자원봉사 프로그램도 있다 미술관 입구 앞 독특한 조형물도 하나의

볼거리니 방문한다면 여기서부터 관람을 시작하자

MoA

운영시간 화~일요일 1000~1800(입장마감 1730)

관람료 3000원

문의 02-880-9504

포스코 스포츠센터

운영시간 평일 600~2230 토요일 1000~1700

문의 02-880-6980

Campu s OnNOW

음악이 들려주는 비밀

호그와트(영화 lsquo해리포터rsquo의 마법학교)에 비밀의 방이 있다면 서울

대학교에는 음악감상실이 있다 학생회관 식권 판매대 옆 두꺼운 문

을 열면 나타나는 음악감상실은 예전부터 높은 경쟁률을 뚫고 선발

된 DJ가 수준 높은 음악을 들려주는 것으로 명성이 자자했다 한국

최초 그래미 수상자 황병문 동문도 음악감상실 DJ 출신이다 문화

관에서 시작되는 lsquo걷고 싶은 거리rsquo는 음악대학 학생들의 연주와 노

래 소리를 들으며 산책하기 좋다 덧붙여 음악대학에서는 매 학기

lsquo화요음악회rsquo를 개최한다 1994년부터 20년째 이어지는 음악회다

오디션을 통해 선발된 공연팀이 무대에 올라 질 높은 음악을 들을 수

있으며 누구나 관람 가능하다 문화관과 자하연 사이에 위치한 스탠

드에서는 때때로 즉흥 연주가 벌어진다 버스킹의 정확한 일정은 없

으니 지나치다 익숙한 음악이 들리면 놓치지 말고 들러보자

1 2

3

4

화요음악회

장소 문화관

비용 무료

문의 02-880-7903

25 24

미래인재학교란 서울대학교 입학본부 주관으로 진행되는 고교 지원 프로그램으로

서울대학교 교수와 학생이 직접 지역 고등학교에서 지식을 전달한다

92명

13기 수료생

100명

14기 수료생미래인재학교

수료생 현황

미래 인재를 위한 꼼꼼한 준비

서울대학교는 7월과 8월 전라남도 고흥middot여수에서 미래인재학교

13 14기를 개최했다 미래인재학교는 지역 간 교육 환경 격차를 완

화하고 고교생의 소질과 적성을 개발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서울

대학교 교수 강의와 재학생 멘토링 등을 통해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다 개최 지역에 따라 맞춤형으로 운영하기 때문에 4

개월 정도의 준비 기간이 필요하다 각 기수마다 재학생 멘토팀을 선

발해 프로그램을 새롭게 기획하는 것은 물론 담당 입학사정관과 멘

토팀이 몇 차례의 답사를 통해 현지 교육 환경을 이해하고 운영 시설

을 확인하는 등 프로그램을 세심하게 꾸려나간다

열정 가득한 학생들과 3박 4일

나로도 소재 국립고흥청소년우주체험센터에서 진행된 미래인재학

교 13기에서는 고흥 소재 8개 고등학교 1 2학년생 92명이 3박 4

일의 과정을 수료했고 14기에서는 여수 소재 10개 고등학교 1학년

학생 100명이 나흘 간의 과정을 마쳤다 특히 이번 멘토팀은 개최지

의 요청에 따라 역대 최대 규모로 조직됐는데 이들 중에는 고교 재

학 중 미래인재학교 수료생으로 참가했던 3명의 학생도 있었다

각 학교장의 추천을 받아 선발된 고등학생들은 입학식과 더불어 핸

드폰을 모두 담당 교사에게 제출하는 등 바른 수업 태도와 학업 의

지를 보여주었고 쉴 틈 없이 짜인 프로그램에도 중도 탈락하는 사

람 하나 없이 참가자 전원이 수료증을 받을 수 있었다

교수 멘토 멘티의 특급 하모니

3박 4일 동안 고등학생들과 함께 숙식하며 프로그램 운영은 물론

학생들의 생활지도까지 맡은 서울대학교 재학생 멘토들 이들은

lsquo아이스 브레이킹rsquo lsquo주제 토론rsquo lsquo고교 생활의 Know-Howrsquo lsquo11 멘

토링rsquo lsquo도전 골든벨rsquo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학생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했다 물리천문학부 홍승수 명예교수 등 고교생

의 눈높이에 맞게 선정한 다양한 학과의 교수 강연은 학생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참가 고등학생들 역시 강의 2주 전 배포한 강연

자료를 예습해왔고 강의가 끝난 후에도 호기심을 충족하기 위해

교수님을 따라 행사장 밖까지 나가 질문하는 열의를 보였다 이번

행사가 서울대학교 학생들에겐 나눔의 기쁨을 개최 지역의 고등학

생들에겐 배움의 기회를 주었길 바란다

지역 인재는 우리가 기른다

전라남도 고흥과 여수에 서울대학교 학생들이 떴다 미래 후배들의 소질과 적성 개발을

돕는 멘토링 프로그램 lsquo미래인재학교rsquo를 진행하기 위해서다 이번에는 개최지의 요청에

따라 역대 최대 규모의 멘토팀이 조직됐다 고등학교 시절 배움을 위해 lsquo미래인재학교rsquo를

찾았던 학생도 지식을 나눠주는 멘토가 되어 돌아왔다 고등학생들과 동고동락하며 여름의

열기보다 뜨거운 4일을 보낸 이들을 만나보자

멘토링 시간에 조별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학생들

참가 학생이 자신의 의견을 발표하고 있는 모습

대학 입학에 관해 강의하는 홍승수 명예교수

Campu s OnNOW

step1

step2

step3

27 26

서울대학교는 8월 29일 관악캠퍼스 문화관 중강당에서

교수 학생 직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교수 정년식을 진행

했다 노태돈 국사학과 교수 임현진 사회학과 교수 안

정선 생명과학부 교수 김명모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장

호익 디자인학부 교수 한문희 불어교육과 교수 김민자

의류학과 교수 황준연 국악과 교수 이성철 의학과 교수

등 26명이 명예로운 정년을 맞아 정든 캠퍼스를 아름답

게 떠났다 이날 행사에서는 박종화 환경대학원 교수가

정년 교수진을 대표해 감사와 당부의 인사말을 전했다

교수 정년식

02

서울대학교는 8월 28일 관악캠퍼스 종합체육관에서 제

68회 후기 학위수여식을 개최했다 이번 학위수여식에

서는 학사 850명 석사 989명 박사 522명 등 총 2361

명이 학위를 받았다 성낙인 총장은 ldquo최고의 지식은 사회

봉사와 인류공헌을 위해 쓰이는 것이며 훌륭한 인재는

지성과 공공성으로 무장된 따뜻한 가슴을 겸비한 lsquo선한

인재rsquordquo라며 ldquo민족의 동량 사회의 중심으로 드높은 자부

심을 갖되 지식과 열정을 공동선을 위해 공헌하는 사회

적으로 필요한 인재가 되기 바란다rdquo고 당부했다

제68회 후기 학위수여식

03

01

서울대학교는

신임 보직교수단을

구성했다 신임 보직

교수 임기는 2년으로

2016년까지 대학의

비전을 마련하고

고등교육 발전을 위한

주요 소임을 맡아

활동한다

신임 보직교수 임명

04 06

2014 우수 인재 채용박람회

추석을 맞아 서울대학교 구성원들의 따스한 손길이 어려

운 이웃들에게 전해졌다 인문대학 등 62개 기관에서 모

금한 총 28271500원은 학교 근처의 보육원 사회복지

관 등 도움이 필요한 곳에 전달됐다 성낙인 총장은 아동

복지시설인 상록보육원을 방문해 성금을 전달하며 어린

이들과 보육원 관계자들을 격려했다 그리고 김종서 교

육부총장은 동명 아동복지센터 이우일 연구부총장은 성

민 종합사회복지관 유근배 기획부총장은 선의관악 종합

사회복지관을 각각 찾아 성금을 전달했다

추석 명절 이웃돕기 성금전달

보 직 명 학 과 (부) 성 명

교육부총장 종교학과 김종서

연구부총장 기계항공공학부 이우일

기획부총장 지리학과 유근배

교무처장 화학부 김병문

학생처장 농생명공학부 김정한

연구처장 의학과 박노현

기획처장 법학전문대학원 이철수

기초교육원장 서양사학과 안병직

입학본부장 독어교육과 권오현

국제협력본부장 국제대학원 정종호

보 직 명 학 과 (부) 성 명

정보화본부장 컴퓨터공학부 신영길

교무부처장 겸 교육부처장 치의학대학원 백승학

학생부처장 식품영양학과 한성림

연구부처장 약학과 오정미

기획부처장 독어독문학과 강창우

협력부처장 건설환경공학부 김재영

기초교육부원장 물리middot천문학부 유재준

입학부본부장 고고미술사학과 이준정

국제협력부본부장 국제대학원 신성호

정보화부본부장 경영학과 장정주

NewsNOW

제8기 스누봉사단이 한국수력원자력(주)의 후원으로 8

월 9일부터 20일까지 베트남 라오까이 성에 있는 스빤

마을에서 봉사활동을 진행했다 유성상 교육학과 교수

이우철 치의학대학원 교수 이승표 교수 한동헌 교수

김익규 빗물모아지구사랑 실장 김용환 연구원 서울대

학교 학생 23명으로 구성된 봉사단은 구강보건의료 빗

물 정화 위생교육 등의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 주민들에

게 나눔을 실천했다

제8기 스누봉사단 베트남 봉사활동

0705

훌륭한 공대교수상 선정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올해의 훌륭한 공과대학 교수로

신현식 컴퓨터공학부 교수 이재홍 전기정보공학부 교

수 강신형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를 선정했다 이 상은 교

수들의 연구 활동을 장려하고 산업 기술의 선진화를 꾀

하자는 취지에서 1992년 공과대학 동문들이 출연한 기

금으로 제정됐다 2003년부터 교육상과 연구상 2개 부

문으로 시상해오다가 올해부터 교육상 학술상 산학협

력상 3개 부문으로 확대돼 의미가 더욱 커졌다

경력개발센터는 2014년 하반기 채용 시즌을 맞이해 9월

2일에서 4일까지 대학본부 앞 잔디 광장에서 lsquo새로운 미

래를 여는 SNU 2014 서울대학교 우수인재 채용박람회rsquo

를 개최했다 올해로 11회째를 맞이한 채용박람회에는

6500여 명의 학생들이 참가했다 한편 두산 삼성 현대

자동차 LG SK 등 국내 주요 대기업들과 국방과학연구

소 한국전력공사 등의 공기업 Hakuhodu 그룹 등의 일

본 기업 ASML Korea 등의 외국계 기업 총 130곳이 우

수 인재를 확보하고자 심혈을 기울였다

信義

기부와 나DONATION

유 태 용

나고 자란 곳을 잊지 않는다 어려웠던 순간을 항상

되새긴다 덕분에 유태용 동문은 사회적 성취를 이룬 지금

자신만의 나눔 원칙을 세울 수 있었다

기 부 자 정 보

격동의 세월을 이겨낸 삶

일제강점기를 지나 해방 그리고 한국전쟁까지 1950년에 서

울대학교에 입학한 유태용 동문의 학창시절은 역사적 격동

기와 맞물려 있다 그 시절을 겪어보지 않은 요즘 세대에게 유

동문의 경험은 책에서나 접하는 옛날이야기로 들릴 수 있다

그럼에도 유 동문은 과거를 잊지 않으려 그 시절을 끊임없이

복기한다 당시 경험을 lt어느 서울대 공대생의 한국전쟁gt이

라는 책에 풀어내기도 했다 ldquo요즘은 상상도 못할 이야기죠

이후로도 어렵사리 국가 발전을 이뤘고요 우리 세대가 고생

했다고 알아주길 바라는 건 아닙니다 다만 큰 어려움을 헤

쳐 온 인생 선배들을 보면서 힘든 순간이 닥쳐도 좀 더 지혜롭

게 극복했으면 좋겠습니다rdquo

유태용 동문은 대학 졸업 후 1957년부터 공직 생활을 시작했

다 이후 오랜 기간 공직에 몸담으며 국토 계획과 건설 행정

을 담당했다 유 동문의 전공은 토목공학 그중에서도 방조

제가 전문 분야였다 공직 생활 초창기에 국제원조기구 장학

생으로 선발돼 1962년 미국에서 아카데미 코스를 밟기도 했

다 그렇게 미국에서 수학한 지식을 바탕으로 당시만 해도 단

일목적댐뿐이던 우리나라에 다목적댐을 도입하는 데 기여했

다 ldquo저는 어찌 보면 운이 참 좋은 사람입니다 어려운 시기에

농촌에서 서울대학교에 입학했고 좋은 기회가 닿아 외국에

서 공부하는 경험도 할 수 있었으니까요rdquo

오랜 시간 이어온 남다른 향토애

공직에 있으며 국가 발전에 힘써온 유 동문 그는 오래전 고

향을 떠나왔지만 어려웠던 어린 시절을 잊지 않는다 불과 몇

원하는 수업료가 없어 일곱 살 나이에 수십 킬로미터에 달하

는 거리를 오갔던 기억이 여전히 생생하다 적어도 돈 때문에

공부를 못하는 학생은 없어야겠다는 생각에 이른 건 어쩌면

당연한 일 그러한 경험이 있었기에 유 동문은 자신만의 기부

신념을 세울 수 있었다 ldquo똑같이 모를 심어도 좋은 쌀을 얻으

려면 관리를 잘해야 합니다 모를 심고 가만히 두면 한 섬밖

에 못 얻지만 비료를 주고 잡초를 솎아내면서 키우면 네 가

마니까지 불어나요 사람도 마찬가지입니다 인재도 좋은 환

경이 갖추어져야 자랄 수 있습니다 서울대학교에 입학한 건

시작일 뿐이죠rdquo

유 동문은 서울대학교에 부동산을 기부해 정읍과 고창 출신

후배들을 위한 lsquo정고장학기금rsquo을 마련했다 단지 태어난 곳

에 대한 고집만은 아니다 그 자신이 농촌에서 어렵사리 대학

에 진학했던 까닭에 그곳에서 나고 자란 후배들이 학비 걱정

없이 공부에만 전념할 수 있기를 바라는 선배의 따스한 마음

이다 ldquo예전에도 그랬지만 지금도 농촌에서 몇 백만 원씩 하

는 등록금을 쉽게 마련할 수 있는 집은 많지 않습니다 더구

나 지방에서 공부해서 서울대학교에 온다는 건 쉽지 않아요rdquo

유태용 동문은 장학생들을 직접 만나 격려하는 데에도 적극

적이다 지금은 학생들이 그가 기부한 장학 기금의 혜택을 입

지만 언젠가는 좋은 인재로 성장해 사회에 보탬이 되는 주역

이 되리라 믿는 까닭이다 ldquo서울대학교가 이제 세계에서도 손

꼽히는 대학이 되었다지만 아직도 세상에는 해결하지 못한

연구 과제가 많아요 서울대학교의 많은 인재가 그런 분야에

도 거침없이 도전해 좋은 성과를 내주길 바랍니다rdquo

유태용 한국방재협회 명예회장

내무부와 건설부에서 오랜 기간 국토 계획과 건설 행정을 맡았다 1998년 자연재

해대책법에 따라 한국방재협회 준비위원장에 추대됐고 창립을 준비해 1999년 초

대 회장에 취임한 바 있다

with SNU

토목공학과 학사 ACAD 12기 수료 정고장학기금을 마련해 정읍 고창 출신 학생

들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및 대학원생 재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원하고 있다

ldquo모를 심고 가만히 두면 한 섬밖에 못 얻지만

비료를 주고 잡초를 솎아내면서 키우면

네 가마니까지 불어나요 사람도 마찬가지입니다

인재도 좋은 환경이 갖추어져야 자랄 수 있습니다rdquo

29 28

31 30

기부와 나DONATION

도전 열아홉이란 나이 누군가는 대학 문을 바라보며 책

장을 넘길 시기에 사업을 시작했다 다양한 업종에 손대며

달콤한 성취도 쓰디쓴 실패도 맛본 20대를 지나 서른을 코앞

에 둔 시기에 광장시장 상가 한편에 1평 남짓한 도매 옷가게

를 열었다 그것이 연 매출 1조 원을 올리는 국내 굴지 패션기

업의 출발이었다

근면 어깨에 옷을 짊어지고 고객을 찾아다니길 수차례

서른 살 청년의 성실성을 소매상들은 알아봤다 판로가 열리

니 사업은 자연히 승승장구했다 그러나 10년 후 위기가 닥

쳤다 거래처의 어음이 부도 처리되면서 그 여파를 고스란히

받아야 했다 ldquo부도를 극복하면서 근면의 중요성을 깊이 느

꼈습니다 재기를 생각하며 다시 1평짜리 매장을 얻어 아침 7

시부터 새벽 2시까지 이를 악물고 일했죠rdquo 시작도 그랬지만

이후로도 근면은 최 회장의 삶에 큰 지표가 됐다

배움 일찍이 사회에 진출한 만큼 현장 경험은 누구보다

출중할 터 그러나 최 회장은 lsquo배움에는 끝이 없다rsquo는 생각으

로 경영만 하기도 바쁜 시간을 쪼개 공부를 계속했다 배움의

과정 중에 서울대학교와 인연이 닿았다 학교의 여러 특별과

정을 수료한 것은 물론 서울대학교 패션산업 최고경영자과

정(AFB) 총교우회 회장도 역임했다 ldquo김민자 교수님께서 lsquo바

쁠수록 더 좋은 성과를 낸다rsquo고 말씀하신 적이 있습니다 몸은

분주했지만 세상을 보는 관점은 더욱 넓어질 수 있었습니다rdquo

섬김 최 회장은 오늘날 이룬 성취가 혼자만의 것이 아니

란 점도 매번 되새긴다 패션그룹형지의 성장과 함께 한 대리

점주를 섬기는 해법 중 하나는 교육이다 ldquo사업의 근간인 대

리점주와 함께 호흡하고 성장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일까 고민

하던 차에 생활과학대학 교수님들의 도움으로 lsquo패션그룹형

지 최고경영자과정rsquo을 열었습니다rdquo

나눔 lsquo남 열 걸음 갈 때 반의 반 걸음 더 간다rsquo 최 회장은

기업가로서 성공을 이룬 지금도 이 말을 되새기곤 한다 ldquo남

보다 조금 더 먼저 생각하고 노력하는 작은 차이가 나중에는

큰 성과를 남긴다는 뜻입니다 요즘은 사업이나 일에 대한 것

뿐만 아니라 타인을 향한 배려와 사랑도 반의 반만 앞서 생

각하고 실천하자고 다짐합니다rdquo 최 회장은 lsquo교육은 백년지대

계(百年之大計)rsquo란 말에 동감하며 패션 산업을 이끌어갈 인

재들을 위해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에 기금을 출연했다

또한 지역 발전을 위한 투자를 비롯해 세월호 참사로 고통받

는 유가족과 학생들을 위해 성금을 기부하는 등 다방면에서

나눔을 실천하고 있다 어려운 순간을 딛고 현재의 성취를 이

뤘기에 자신을 키워준 사회에 무엇인가 되돌려주는 나눔이

중요하다고 말하는 최병오 회장 한편으로 그는 lsquo금전적 도움

을 베푸는 자선의 개념을 넘어 재능과 기술을 나누는 나눔의

문화가 필요하다rsquo고 덧붙인다

청년에게 사회에서 일가를 이룬 최병오 회장이 이 시대

를 사는 청년들에게 권하고픈 경험은 다름 아닌 lsquo실패rsquo다 ldquo진

짜 실패는 넘어지는 게 두려워 시도조차 하지 않는 거라고 하

지 않습니까 실패를 두려워하기보다 꿈을 먼저 생각하길 바

랍니다rdquo 최 회장은 목표와 꿈을 추구하는 동시에 타인을 배

려하는 태도 역시 지니길 권한다 그것이 바로 진정한 성공이

요 명품인생을 완성하는 길이기에

切磋琢磨 최 병 오

최병오 회장에게 lsquo근면rsquo은 가장 기본적인 성공 원칙이다

lsquo배움rsquo은 자기 성장의 원동력이며 lsquo섬김rsquo은 상생의

바탕이다 마지막으로 그는 lsquo나눔rsquo이란 대의를 잊지 않는다

ldquo경제적인 어려움으로 배움의 기회를 놓쳐선

안된다고 생각해왔습니다 젊은 나이에

일찍 사업에 뛰어들어 배움에 대한 목마름이

누구보다 컸기 때문입니다rdquo

기 부 자 정 보

최병오 패션그룹형지 대표이사 회장

대한상공회의소 중견기업위원회 위원장이자 윤리경영위원회 위원 또한 한국의

류산업협회 회장과 한국의류산업학회 부회장 등을 맡아 최근 대통령 해외 순방 당

시 경제사절단으로 동행했다

with SNU

AFB 3기 AMP 63기 AIP 42기 AWASB 1기 등을 수료했다 AFB 동창회장과

AFB 동창회 수석부회장을 역임했으며 올해 제13회 AMP 대상을 수상했다 현재

AWASB 동창회장을 맡고 있다

33 32

기부의 향연이 펼쳐지다

바바패션

인문대학 발전기금 1억 원 기부

바바패션(대표이사 회장 문인식)이 인문대학에 발전기금 1억 원을 기부했

다 10월 13일 총장실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성낙인 총장과 문인식 바바

패션 대표이사 회장 유근배 기획부총장 장재성 인문대학장을 비롯해 관

계자 10여 명이 참석했다 성낙인 총장은 ldquo문인식 회장님의 인문학에 대

한 관심과 성원에 감사드린다rdquo며 ldquo이번 기금으로 인문대학의 발전과 인재

양성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이에 문인식 회장은 ldquo바바패

션은 계속해서 나눔 경영을 통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rdquo고 전했

다 문인식 회장은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최고지도자과정(AMP) 72기를

수료하고 현재 인문대학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12기 회장 AMP

총동창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한편 바바패션은 국내 여성 패션 브랜드인

아이잗바바(IZZAT BABA) 지고트(JIGOTT) 등을 비롯한 총 9개의 브

랜드를 보유하고 있으며 심장병 어린이 수술 지원 및 장학 사업도 꾸준히

펼치고 있다

전기컴퓨터공학부 권욱현 명예교수

lsquo권욱현 희망장학기금rsquo 1억 원 기부

지난 6월 17일 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부 권욱현(전기공학 62학번)

명예교수가 lsquo권욱현 희망장학기금rsquo을 조성하고 1억 원을 기부했다 이번

에 마련된 기금은 공과대학과 전기공학부 학생들 가운데 경제적으로 어

려운 학생들에게 지급될 예정이다 변대규 휴맥스 대표를 비롯해 이재원

슈프리마 대표 등 국내 유명 벤처기업 CEO들의 스승으로 유명한 권욱현

명예교수는 2005년 서울대학교 평의원회 의장으로 활동했으며 대한전

기학회장 세계자동제어연맹 부회장 국제자동제어연맹 회장 등을 역임

했다 국제자동제어연맹(IFAC) 회장으로 재임 시 사재 50만 달러를 출연

해 개발도상국 젊은 공학자의 학술 활동을 지원하는 등 후학 양성을 위한

꾸준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김정식 해동과학문화재단 이사장

해동학술정보실 건립기금 30억 원 기부

지난 6월 27일 해동과학문화재단 김정식 이사장(전자공학 48학번)이

lsquo해동학술정보실 건립기금rsquo으로 30억 원을 쾌척했다 이번에 조성된 기금

은 공과대학과 자연과학대학 등 주요 단과대학의 해동학술정보실을 건

설하는데 사용될 예정이다 이번 기금 이외에도 김정식 이사장은 서울대

학교 공과대학 인근 해동학술관과 해동학술정보실 12호관 건립 기금으

로 100억 원이 넘는 금액을 출연하며 꾸준히 모교를 후원하고 있으며 인

재 양성을 위해 한양대 고려대 등 국내 주요 대학에 해동학술정보실 건립

을 지원하고 있다 1972년 대덕전자를 설립해 한국 전자 산업의 기술 개

발을 이끈 선구자로 유명한 김정식 이사장은 1990년 해동과학문화재단

을 만들어 해동상을 재정하는 등 지속적인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

패션그룹형지

생활과학대학 발전기금 3억 원 기부

패션그룹형지(대표이사 회장 최병오)가 생활과학대학에 발전기금 3억 원

을 기부했다 이 기금은 생활과학대학의 교육middot연구활동 및 시설개선 등을

위한 제반 활동에 사용된다 지난 8월 26일 진행된 협약식에서 성낙인 총

장은 ldquo생활과학대학은 패션그룹형지 기금으로 수준 높은 연구 성과와 인

재 배출을 통해 대한민국 대표 인재 양성소로 거듭 날 것rdquo이라고 밝혔으

며 최병오 회장은 ldquo국가 경쟁력을 이끌어가는 리더와 패션 산업 인재를

양성하는 데 패션그룹형지 발전기금이 쓰이길 바란다rdquo고 당부했다 최 회

장은 지난 2003년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패션산업 최고경영자과정

(AFB) 3기를 수료하고 2007년부터 2013년까지 AFB 총교우회 회장을

역임했다 또한 이번 기금 이외에도 꾸준히 후원한 다양한 기금으로 건립

된 lsquo최병오 홀rsquo을 통해 사회 각계각층의 주요 리더들이 교류하는 교육장을

마련했다 1월에는 경영대학 최고경영자과정(AMP) 총동창회가 주최하

는 lsquo제13회 서울대 AMP 대상rsquo을 수상했다

NewsDONATION

유회진 학술정보관 건립 보고 및 감사 행사

ldquo기부금은 이공계 학생들을 위해 써주세요rdquo 故 유회진 박사가 구강암으로 투병

하는 동안 병문안을 갔던 이장무 전임 총장에게 남긴 말이다 서울대학교 기계

설계학과에서 학부와 대학원 생활을 보내고 동아대학교 교수를 역임한 유 박

사는 2009년 구강암 판정을 받았다 그는 암 투병 치료비부터 부모님으로부터

물려받은 유산까지 허투루 쓰지 않고 모은 100억 원이 넘는 전 재산을 서울대

학교에 남기고 2011년 별세했다 유가족이 없는 고인을 위해 서울대학교 발전기

금은 장례를 진행했으며 매년 제사를 지내 뜻을 기린다

지난 7월 2일 관악캠퍼스 공과대학 엔지니어하우스대강당에서 lsquo유회진학술정보

관rsquo 건립 보고 및 감사 행사가 개최됐다 유회진학술정보관은 유회진 기금으로

건립되어 공과대학과 자연대학이 공동 교육 및 연구 시설로 사용할 예정이다 이

날 행사는 오연천 전임 총장의 환영사에 이어 유회진 박사 소개 및 기부 경과보

고 유회진학술정보관 건립 경과보고 순으로 진행됐으며 특별히 故 유회진 박사

의 지인인 서울시립대 권원태(기계설계학과 78학번)교수가 참석했다 그의 숭고

한 마음은 우리 사회의 빛나는 과학자들을 위한 초석이 될 것이다

11월 9일 故 유회진

박사의 3주기가 돌아온다

서울대학교발전기금은

제주(祭主)로서 그를 잊지 않고

사회와 학교를 향한 기부자의

아름다운 정신을 남길 것이다

당신의 아름다운 마무리

35 34

SNU Presidents Honors Club

SNU Honor Club

故 곽명덕 변호사 유가족 (한자영 곽성현 곽성희)

故 구영록 교수 유가족

故 김인제 故 최성순 가족

(故 김동호 故 김동훈 김동준 김진숙 김진옥)

故 이한빈 부총리 가족 (유정혜 이원식 이선이)

고윤석 (물리학과 47입)

고정택 (외교학과 62입)

구영배 (자원공학과 85입)

구재서

권영대 (약학과 55입)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권욱현 (전기공학과 62입)

금장태 (종교학과 62입)

김건식 (법학과 73입)

김경한 (법학과 62입)

김경한 (외교학과 62입)

김광일 (경영학과 84입)

김기봉 middot신경은 (기계공학과 63입 middot화학과 65입)

김기태 (의학과 58졸)

김난도 (소비자아동학부 교수)

김대욱 (조선공학과 76입)

김동길 (화학교육과 57입)

김동훈 (화학과 48입)

김두철 (전자공학과 66입)

김만극 (약학과 47입)

김상헌 (사법학과 82입)

김선동 (화학공학과 59입)

김선화(정자) (국악과 60입)

김성배 (영어영문학과 63입)

김양곤 (IFP 2기)

김연탁 (경제학과 故 김태성 교수의 부)

김연호 (화학공학과 71입)

김영경 (기계공학과 52입) middot김천순

김영석 (3 Plus Logistics 회장)

김영수 (법학과 67입)

김영심 (불어불문학과 故 오현우 교수의 부인)

김영업

김용재 (의과대학 60입)

김용철 (치의학과 55입)

김의신 (의학과 60입)

김의영 (경제학과 54입)

김정희 (간호학과 52입)

김종일 (제어계측공학과 79입)

김진향

김천흥

김철호 (외교학과 70입)

김춘길 (화학생물공학부 58입)

김택수 (법학과 48입)

김하석 middot김영중 (화학과 63입 middot약학과 64입)

김하자 (서양화과 故 하동철 교수의 부인)

김학봉 (한영요업 회장)

김형주 (전자계산기공학과 78입)

나정환 (화학교육과 54입)

남정현 (건축학과 57입)

류무종 (중어중문학과 53입)

류진 (영어영문학과 78입)

마인경 (지리학과 56입)

민계식 (조선항공학과 61입)

민호기 교수 유가족

박대근 (보건대학원 63입)

박맹호 (불어불문학과 52입)

박민식 middot 박금옥 (수의과대학 65입 middot체육교육과 63입)

박봉균 (수의학과 76입)

박숙희 (지리학과 60입)

박용헌 (교육행정학과 53입)

박용호 (수의학과 74입)

朴麟子(가정관리과 82입) 하상예 박임숙 박순영 박노용

박종근 (전기공학과 69입)

박종수 (수의학과 58입)

박종오 (영어영문학과 55입)

박준 (법학과 73입)

박태진 (독어독문학과 80입)

박한제 (동양사학과 69입)

배옥자 (성심가정의학과의원 원장)

백종철 (농공학과 54입)

백형익

법대 48회 졸업생

변대규 (제어계측공학과 79입)

서문자 (간호학과 63입)

손경식 (법학과 57입)

송상용 (화학과 55입)

송상현 (법학과 59입)

송인철 (SPARC 14기)

송학린 (법학과 59입)

신수정 (기악과 59입)

신영길 (계산통계학과 78입)

신영주 (이남장 대표)

신익현 (임학과 79입)

신효영 middot신승연 (故 신광현 교수의 가족)

신희명 (물리교육과 49입)

신희택 (법학과 71입)

심소일 (상학과 49입)

심재성 (前 성보산업 자문위원)

안영경 (前 핸디소프트 고문)

안창엽 (AMP 68기)

양천식

오세경 (약학과 61입)

오승환 (의학과 56입)

오용호 middot오양호 (행정학과 69입 middot법과대학 80입)

오윤덕 (행정학과 61입)

원재연 (경영학과 82입)

유근순

유성숙 (고고미술사학과 故 김원용 교수의 부인)

윤계섭 (상학과 64입)

윤덕우 (경제학과 58입) middot최덕자

윤석금 (웅진그룹 회장)

윤석순 (수의학과 59입)

윤우석 (에너지자원공학과 63입)

이건우 (기계공학과 74입)

이경식 (불어불문학과 55입)

이광희 (지리학과 59입)

이교일 middot박명진

(기계공학과 60입 middot불어불문학과 65입)

이기춘 (가정교육과 61입)

이명현 middot김귀현 (철학과 60입 middot기악과 69입)

이문한 (수의학과 66입)

이병준 (경제학과 55입)

이성규 (사학과 65입)

이성형 (정치학과 82입)

이순원 (가정교육과 54입)

이순형 (가정관리학과 70입)

이신두 (물리학과 76입)

이예식 (약학과 46입)

이용환 (농업교육과 63입)

이용환 (전기공학과 73입)

이원영 (AMP 6기)

이은방 (약학과 55입)

이장무 (제24대 총장)

이재승 (원자핵공학과 59입)

이정섭

이정섭 (종교학과 04입)

이종덕 (물리학과 62입)

이준용 (경제학과 56입)

이지형 (법과대학 85입)

이찬승 (수학교육과 69입)

이창득 (국어교육과 71입)

이창화 (국어국문학과 64입)

이천만 (영어영문학과 故 이상태의 부)

이철승 (법학과 78입)

이철영 (SPARC 17기)

이현수 (농화학과 60입)

이현재 (경제학과 48입)

이형도 (화학공학과 61입)

이홍표 (의과대학 58입)

임길진 교수 유가족

임동진 (법학과 62입)

임현진 (사회학과 67입)

장세권 (농공학과 70입)

장순영

장용국 (법학과 71입)

장재혁 (역사교육과 80입)

장정훈 (약학대학 65입)

전익찬 (지구환경과학부 94입 故 전재규의 부)

전해종 (동양사학과 47졸)

정달훤 (고고미술사학과 87입 故 정은임의 부)

정영현 (공업화학과 85입 정순욱의 부)

정영호 (생물학과 50입) middot 박양숙

정윤환 (임학과 56입)

정재선 (소비자아동학과 93입)

정재준 (前 경보전기 부회장)

정종곤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조동성 (경영학과 67입)

조병직 (법학과 46입)

조석준 (행정학 57졸)

조영식 (수의학과 80입)

조옥환 (부산교통 대표)

조종수 (건국대학교 교수)

조한영 (상학과 43입)

조형준 (미학과 65입)

주중광 middot 허지영 (약학대학 60입 middot 화학과 66입)

차상균 (전기공학과 76입)

차상균 교수 외 제자 12명

채성기 (원자핵공학과 59입)

채제한 (전기공학부 48입 故 채호석의 자)

천문우 (약학과 61입)

최병오 (AFB 3기)

최재열 (조소과 08입 최민주의 부)

최정욱 (화학공학과 49입)

최창원 (심리학과 83입)

최화형 외 3명

풍원자 (임학과 57입 故 용환운의 부인)

하영구 (무역학과 72입)

한규범 (AMP 42기)

한규환 (기계공학과 68입)

한기준 (의학과 52입)

한상복 (사회학과 56입)

한옥희 (화학과 79입)

한장희 middot김재혜 (행정학과 61입 middot 법학과 61입)

허성도 (중어중문학과 68입)

허영인 (SPC그룹 회장)

현기순 (가정교육과 46입)

현정오 (농생물학과 66입)

현택환 (화학과 83입)

홍경자 (간호학과 62입)

홍계수 (법학과 72입 주경숙의 모)

홍길표 (컴퓨터공학부 홍지명의 부)

홍예표 (치의학과 65입)

홍지준 (화학교육과 74입)

황귀례 (제약학과 故 국채호 교수의 부인)

황재홍 (치의학과 90입)

히로나카 헤이스케 (하버드대 명예교수)

Eduard J Stadelmann (前 미네소타대학 교수)

Ken-ichi Arai (동경대 교수)

Peter S Kim (MIT 교수)

Stanley Choy

거평그룹

건일제약

건화엔지니어링

경남기업

경동송천재단

경암교육문화재단

고려아연

공영토건

과학기술혁신 최고전략과정 23기 일동

과학기술혁신 최고전략과정 24기 일동

관악회

광동제약

교보문고

구원장학재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국방과학연구소

국제종합물류

금호아시아나문화재단

김 middot장 법률사무소

김영사

김정문알로에

까사미아

나산실업

남광토건

남영비비안

넥슨코리아

노키아티엠씨

농어촌희망재단

농우바이오

다이소아성산업

다함넷

단암장학재단

대교

대림대학

대양 EampC

대우기전공업

대우엔지니어링

대우테크

대한수의사회

대한통운

돈암장학회

동방

동방상호신용금고

동부대우전자

동부문화재단

동서식품

동아건설산업

동아제약

동양강철

동철문화재단

동화산업장학재단

두을장학재단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롯데관광

롯데쇼핑

매트바이오테크

메디슨

몬산토코리아

미래에셋

미래와도전

미래의동반자재단

민음사

바이로메드

방송문화진흥회

방일영문화재단

법대 39회 동문 일동

법대 84학번 동기회

법대 85학번 동기회

법대최고지도자과정 8기 일동

법대최고지도자과정 10기 일동

법무법인 광장

법무법인 바른

법무법인 세종

법무법인 율촌

법무법인 케이씨엘

법무법인 태평양

법무법인 화우

부경양돈협동조합

비씨카드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동문회

삼양

삼우종합건축사무소

삼일회계법인

삼전순약공업

삼호개발

삼화모터스

상암에너지

상지상사

상진개발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글로벌리더쉽과정

서울대합창단 동문회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석원산업

성남시장학회

성련장학재단

세무법인 조이

세진에프알에스

송우재단

수경출판사

수암장학문화재단

수의과대학 교수 일동

스키부 동문회 일동

시뮬레이션테크

신라교역

신라문화장학재단

신양머그

신한장학재단

썬텍

아모레퍼시픽

아산사회복지재단

안성농장

알앤엘바이오

애드미션

앨트웰민초장학재단

약학교육연수원 이수자 일동

양지농장

영림임업

오뗄

오뚜기재단

오리엔트이엔지

오리온전기

오성엘에스티

와이비엠시사

용운장학회

우덕재단

유기천교수기념사업출판재단

유신

유티씨인베스트먼트

유한재단

유한킴벌리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음악대학 피아노발전기금후원회

이지바이오

인선문화재단

인촌기념회

인탑스

일동제약

일동후디스

일주학술문화재단

재단법인 대우재단

재단법인 정민

재미서울대총동창회

전국은행연합회

정공산업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정수장학회

정헌재단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져스텍

종근당

종로구장학회

좋은책신사고

진생사이언스

진양제약

참존

창강재단

창진영농조합법인

천만장학회

천수기업

천연물과학연구소 교수 일동

천재교육

청합장학회

최고경영자과정 총동창회

최고산업전략과정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middot

미래지도자인문학과정(IFP)

케이씨텍

코스맥스

코오롱

트러스톤자산운용

특수건설

패션그룹형지

포니정장학재단

포휴먼

풀무원

풍산

플라톤아카데미

피에스케이

하나제약

한국간연구재단

한국거래소

한국금융투자협회

한국무역협회

한국문화진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산업은행

한국세포주연구재단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알콜산업

한국외국인학교

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전파기지국

한국증권금융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한국타이어

한국투자신탁운용

한국투자증권

한산이씨양도공파설서공종중

한샘출판

한수통상

해나천연물신약

해성장학회

해태

행정대학원 정보통신과정

현대차 정몽구 재단

현대카드

현대캐피탈

현동장학회

현송교육문화재단

홈플러스e파란재단

효성그룹

휴맥스

AMP 63기 일동

AMP 64기 일동

AMP 65기 일동

AMP 66기 일동

AMP 67기 일동

AMP 68기 일동

AMP 69기 일동

AMP 70기 일동

AMP 71기 일동

AMP 72기 일동

AMP 73기 일동

AMP 74기 일동

AMP 75기 일동

AMP 76기 일동

AMP 77기 일동

AMP 78기 일동

ASSET PLUS투자자문

E1

Eyagi(이야기) CAFE

Goldman Sachs

KDB대우증권

KRX국민행복재단

KTB투자증권

LG연암문화재단

NCSOFT

NHN

NXC

OB맥주

Qualcomm

SECMCA

SIMPAC ANC

SK CampC

SNU 프리시젼

S-Oil

SPARC 15 middot16 middot17 middot18기 일동

1억 원 이상 출연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LG삼성 한국전력공사SK

포스코 웅진한화농업협동조합중앙회

KT 부영신한금융 현대자동차

SPC IBK기업은행

태영현대 금호아시아나롯데장학재단

CJ 대림두산 한진

우리금융 미래국제재단

50억 원 이상 출연

조천식정치학과 45입

윤대섭농공학과 49입

100억 원 이상 출연

정석규화학공학과 48입

이용희태광사 회장

김정식 전자공학과 48입

유회진기계설계학과 78입

SNU Hono r C l ubDONATION

SNU Gold Honors Club

홍성대수학과 57입

이기영前 의대 교수

최창영금속공학과 64입

박영희수학교육과 54입

손장순불어불문학과 54입

유태용토목공학과 50입

김명희middot신정희기악과 91입 김형찬의 모

이필남 박상윤 윤전수middot이삼락

김연혁히로세코리아 감사

서정선의학과 70입

전은기middot김은희 백추현 곽영필토목공학과 56입

박완서의 상속인호원숙 호원순 호원경 호원균

이순자불어불문학과 57입

손동준전자공학과 59입

윤종용전자공학과 62입

정덕균전자공학과 77입

강옥채middot노병수공법학과 83입

민선식경제학과 78입

박병준섬유공학과 52입

서울대학교총동창회

양두석독어독문학과 69입

양윤홍전자공학과 63입

대우 카길애그리퓨리나 동진쎄미켐 하나금융지주

동원 동양 KB금융지주 대우조선해양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대성 로이드선급협회 아시아일진

한국가스공사 녹십자 생명보험협회 현대중공업

메가스터디 TOYOTA MOTOR CORP SK하이닉스 서울장학재단

STX 농심 무한투자 이연제약

대우인터내셔널 송원김영환장학재단 형애장학회 신풍제약

10억 원 이상 출연

현대산업개발

스페코middot삼익악기

영원무역

쌍용양회공업

영원아웃도어

환인제약 주식회사

한국프뢰벨

37 36

춘강문화장학재단 (박성형 이사장)

허성도 (인문대학 명예교수)

형남진장학재단 (이정희 이사장)

강남구청

김형렬 (윤리교육과 교수)

공병영 (사무국장middot시설관리국장)

신흥 (이용익 대표이사)

서영길 (광산학과 53입)

일중장학재단 (송윤영 이사장)

금곡장학회 (이수상 이사장)

덕원장학회 (이헌경 이사장)

강현구 (건축학과 교수)

김명환 (조선해양공학과 75입)

김영수 (법과대학 60입)

김영운 (재료공학부 교수)

서강문 (동물병원 원장)

서동규 (경영학과 84입)

송희영 (영어영문학과 74입)

이근무 (사회학과 56입)

이재호 (경영학과 84입)

주식회사 KTampG 남서울본부 (박정욱 본부장)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박기용 이사장)

가송재단 (윤도준 이사장)

강스템바이오텍 (강경선 대표이사)

유한회사 본음인베스트먼트

이진경 (전국낙지자랑 대표)

주리아 (치과대학 04입)

한승장학회 (이재영 이사장)

키움증권 (권용원 대표이사)

협성문화재단 (박석귀 이사장)

윤상혁 (디자인학부 03입)

GS칼텍스 (허동수 대표이사 회장)

권규돈 (중어중문학과 13입 권기범의 부)

김경준 (농경제학과 82입)

김용팔 (수의과대학 75입)

김재홍 (수의학과 교수)

김진태 (법학과 71입)

문대원 (경영학과 71입)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오근택 대표이사)

박세창 (수의학과 교수)

산학협동재단 (한덕수 이사장)

선암장학재단 (윤호철 이사장)

성제경 (수의학과 교수)

송재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우광덕 (치과대학 64입)

유기윤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유한상 (수의학과 교수)

윤여성 (수의학과 교수)

윤정희 (수의학과대학 부학장)

윤화영 (수의학과 교수)

이건목원리한방병원 (이건목 원장)

이소영 (수의학과 교수)

이항 (수의학과 교수)

이희근 (공과대학 명예교수)

조무제 (법학과 65입)

조성범 (수의학과 교수)

조제열 (수의학과 교수)

중앙백신연구소 (윤인중 대표이사)

지티앤티 (이세한 대표이사)

채찬희 (수의학과 교수)

태평소금 (손일선 회장)

한호재 (수의학과 교수)

해마루 (김현욱 원장)

황인구 (수의학과 교수)

조선에듀케이션 (방정오 대표이사)

강진영 (의학과 69입)

김정기 (법학과 75입)

박달이 (간호대학 74입)

박재완

사회복지법인 건아재단 (심철환 이사장)

손정식 (제약학과 73입)

윤재석 (화학교육과 71입)

이도환 (치의학과 86입)

이동식 (영어교육과 72입)

홍기택 (경영학과 74입)

KT (황창규 대표이사 회장)

LG PC 유지보수센터 (박무광 대표이사)

광주시민장학회 (박기준 이사장)

박영임 (간호학과 73입)

사명희치과 (사명희 원장)

연당장학회 (남욱 회장)

우정장학문화재단 (강백영 이사장)

제노에너지 (김성철 대표이사)

신우호 (화학교육과 87입)

이병욱 (조경학과 81입)

정혜선 (간호학과 82입)

허종필 (공업화학과 73입)

권길주 (조선해양공학과 11입 정지원의 모)

권혜숙 (약학과 82입)

김미영 (간호학과 98입)

김범진 (턱교정학고급연수과정 6기)

김성열 (교육학과 75입)

김우진 (국악과 73입)

녹십자수의약품 (김승목 대표이사)

덕영재단 (전헬리시아 이사장)

류제하 (기계공학과 78입)

문수자동판매기 (김영식 대표)

민기복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민동홍 (독어독문학과 77입)

박종철 (물리학과 61입)

설재연 (심리학과 82입)

송은도 (국악과 01입)

유차영 (ASP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 12기)

신우개발 서울지점 (김익환 사장)

신하순 (동양화과 교수)

안석준 (치의과대학원 부원장

안휘준 (인문대학 명예교수)

양민영 (협동과정 미술교육전공 94입)

양형식 (자원공학과 75입)

옥복연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07입)

우경미 (치의학대학원 교수)

우성공원묘원 (허정산 대표)

우성원 (미학과 95입)

월악장학문화재단 (남기영 이사장)

유건선 (토목공학과 73입)

유흥수 (법학과 58입)

윤희정 (수의학과 교수)

이대혁 (자원공학과 87입)

이병천 (수의학과 교수)

이상돈 (에너지자원공학과 84입)

이승주 (치의학과 92입)

이시우 (의예과 95입)

이용규 (경영학과 84입)

이정인 (공과대학 명예교수)

이희석 (농생물과 57입)

임종후 (서양화과 12입 임지윤의 부)

임한조 (물리학과 67입)

전석원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정소걸 (자원공학과 71입)

정지훈 (치의학과 교수)

조경란 (법학과 79입)

조기웅 (화학과 66입)

조현욱 (사법학과 83입)

최명애 (회화과 70입)

최정욱 (경영학과 84입)

최종길 (법과대학 83입)

하종철 (동양화과 13입 하문원의 부)

한공창 (자원공학과 72입)

한국지하수지열협회 (안근묵 회장)

허형무 (경영대학 68입)

미주재단

Steve Ro (토목공학과 61입)

Soung Kim (임학과 56입)

Joong M Soh (공과대학 64입)

John Baek (금속공학 49입)

Hyunchan Lee (치과대학 70입)

Steve amp Cheryl Shapiro

Kwang S Hong (공과대학 60입)

Moon H Kim (공과대학 68입)

David Cho (공과대학 60입)

Dong Ku Chung (기계공학과 57입)

Sang Dae Lee (농업생명과학대학 80입)

Young D Kim (공과대학 67입)

AMP 78기 일동

삼성복지재단 (이수빈 이사장)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한국세포주연구재단

SK하이닉스 (박성욱 대표이사 사장)

패션그룹형지 (최병오 회장)

한국수력원자력 (조석 사장)

형애장학회 (최효종 이사장)

송원김영환장학재단 (김해련 이사장)

사회복지법인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이기수 이사장)

SECMCA

TOYOTA MOTOR CORP

(요시다 아키히사 대표이사 사장)

권욱현 (공과대학 명예교수)

네이버 (김상헌 대표이사)

부경양돈협동조합 (박재민 조합장)

안인희

전국경제인연합회 (허창수 회장)

현송교육문화재단 (김정일 이사장)

롯데장학재단 (신영자 이사장)

일주학술문화재단 (이선애 이사장)

현대차 정몽구 재단 (유영학 이사장)

박미혜 (성악과 교수)

LG연암문화재단 (구자경 이사장)

KeyGene (Arjen van Tunnen CEO)

아산사회복지재단 (정몽준 이사장)

천만장학회 (이광현 이사장)

방일영문화재단 (조연흥 이사장)

AMP 77기 일동

신라문화장학재단 (박준형 이사장)

SBS문화재단 (윤세영 이사장)

김만극 (약학과 47입)

아이바이오 (김기일 대표이사)

현대엔지니어링 (김위철 대표이사)

종근당고촌재단 (김두현 이사장)

정수장학회 (김삼천 이사장)

Kensary LLP

앨트웰민초장학재단 (김박 이사장)

한국동서발전 (장주옥 사장)

한화갤러리아 (박세훈 대표이사)

한화생명보험 (차남규 대표이사 사장)

한화손해보험 (박윤식 대표이사)

한화첨단소재 (김창범 대표이사)

한화투자증권 (주진형 대표이사 사장)

KEILCO(KEPCO ILJAN CORPORATION)

연강재단 (박용현 이사장)

창강재단 (안병표 이사장)

경기도 인재개발원 (박익수 원장)

대림수암장학문화재단 (변형윤 이사장)

청합장학회 (여상길 회장)

한빛종합동물병원 (임정식 원장)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716900000

364863690

317560000

250000000

220000000

200000000

200000000

150000000

142103500

140000000

139583000

13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98538000

89942000

82426000

70000000

67509000

67500000

62989000

59929000

59208000

53720000

51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44302000

42076000

40918000

40273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39677688

39035000

37244000

37068000

34780000

31047000

31000000

30300600

박종오 (영어영문학과 55입)

이상복 (ABKI문헌지식정보최고위과정 5기)

이상억 (인문대학 명예교수)

한화 (심경섭 대표이사)

한화건설 (김현중 부회장)

한화자산운용 (강신우 대표이사)

한화케미칼 (방한홍 대표이사)

한화호텔앤드리조트 (홍원기 대표이사)

오뚜기재단 (함태호 이사장)

유한재단 (이필상 이사장)

영원무역 (성기학 대표이사 회장)

서울대합창단동문회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전병원 이사장)

국가정책과정(ACAD) 77기 일동

배영수 (서양사학과 교수)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최윤 회장)

몬산토코리아유한회사

(벤자민 마크 후드리스 대표이사)

성련장학재단 (허연금 이사장)

고광우 (행정학과 53입)

김철수 (법과대학 명예교수)

대한적십자사 (유중근 총재)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성기학 이사장)

임현진 (사회과학대학 명예교수)

장문영 (화학과 59입)

재단법인 양영재단 (김상하 이사장)

조유근 (컴퓨터공학부 교수)

두을장학재단 (이인희 이사장)

과천시애향장학회 (신학수 이사장)

서울장학재단 (이경희 이사장)

왕한석 (인류학과 교수)

포니정장학재단 (정몽규 이사장)

조용준 (법학과 79입)

농어촌희망재단 (김달웅 이사장)

경동송천재단 (류덕희 이사장)

농생대 환경재료과학 교수일동

주식회사 천랩 (천종식 대표이사)

돈암장학회 (이용배 이사장)

인선문화재단 (박선영 이사장)

단암장학재단 (이봉서 이사장)

치과대학 치의학대학원 동창회

흥한재단 (박병석 이사장)

선화예술문화재단 (심재혁 대표)

한국미즈노 주식회사 (김창범 대표이사)

곽노섭 (수학과 49입)

19대 인문대 학장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김은선 (디자인학부 13입 조은지의 모)

서광훈 (약학대학 67입)

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ASP) 27기 동문

송재용 (경영학과 교수)

수도씨에이씨 (송명호 대표이사)

신한화구 (한봉근 대표)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28436000

27942000

26000000

24210000

24041200

23994234

22500000

20724000

20500000

20274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18779000

17973600

17934000

17600000

17050000

17000000

165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4000000

14000000

13500000

12000000

12000000

11602000

11102610

10281624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이앤티 (고영호 대표이사)

재단법인 정민 (윤석헌 이사장)

제11기 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천병년 (약학과 77입)

최민철 (농공학과 75입)

현대하이스코 (신성재 대표이사)

황효진 (동양사학과 78입)

대한사료주식회사 (이상민 대표이사)

해성문화재단 (단재완 이사장)

한국가스공사 (장석효 사장)

장석윤 (약학과 79입)

한국석유공사 (서문규 사장)

종로구장학회 (최현종 이사장)

동부문화재단 (강경식 이사장)

인촌기념회 (이용훈 이사장)

용옥장학문화재단 (양철우 이사장)

미래의동반자재단 (Jeffrey D Jones 이사장)

성옥문화재단 (이화일 이사장)

다래파크텍 (김호정 대표이사)

미래인재육성재단 (최양식 이사장)

고화장학회 (배명인 이사장)

한국애질런트테크놀로지스 (박시영 대표)

이재원 (중앙도서관 정보관리과)

리브로 (김경수 대표이사)

오운문화재단 (이동찬 이사장)

조비경농장학재단 (이병만 이사장)

오스템임플란트 (최규옥 대표이사)

한국섬유산업연합회장학재단 (노희찬 이사장)

아카넷 (김정호 사장)

삼송장학회 (김영기 이사장)

서지희 (IFP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11기)

김지호

서울상공회의소 관악구상공회 (김진철 회장)

송파재단 (윤원영 이사장)

김영윤 (토목공학과 62입)

로보로보 (장창남 대표이사)

류판동 (수의과대학장)

모르페우스 (김진수 대표이사)

박윤서 (고고인류학과 69입)

박찬국 (철학과 교수)

송인석 (치의학과 01입)

시그나사회공헌재단 (홍봉성 이사장)

신남식 (수의학과 교수)

약학대학 40회 동기회

와이비엠 (민선식 대표이사)

이필상 (경제학부 교수)

한국경제연구원 (권태신 원장)

황만순 (제약학과 90입)

운경재단 (배성동 이사장)

제봉민병욱장학재단

심명문화재단 (이경재 이사장)

홍산장학재단 (천영주 이사장)

홍수현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9730000

9528000

9140000

9000000

9000000

8690000

8525000

8525000

8178000

8112000

7963000

7928068

7713000

7500000

7000000

6950000

6919590

6058000

6010000

6000000

6000000

5700000

5400000

5357143

5100000

5100000

5089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4934000

4734000

4527000

4500000

4462280

4000000

4000000

4000000

3956000

3862000

3600000

3500000

3029000

3029000

3005000

3005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2706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467000

2467000

22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1865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5145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431445

1221251

1210000

108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단위 $

100000

10000

5000

3000

500

500

200

200

100

100

100

100

20140601 ~ 20140831 약정 단위 원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약정DONATION

39 38

김형렬 (윤리교육과 교수)

이정진 (기계항공공학부 95입)

신흥 (이용익 대표이사)

이창우 (경영학과 교수)

서영길 (광산학과 53입)

일중장학재단 (송윤영 이사장)

금곡장학회 (이수상 이사장)

덕원장학회 (이헌경 이사장)

강현구 (건축학과 교수)

김명환 (조선해양공학과 75입)

김영수 (법과대학 60입)

김영운 (재료공학부 교수)

김종원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김진학 (도시환경최고전문가과정 29기)

박훈 (기계공학과 63입)

서강문 (동물병원 원장)

서동규 (경영학과 84입)

송재홍 (농화학과 83입)

송희영 (영어영문학과 74입)

신남식 (수의학과 교수)

이규선 (조경middot지역시스템공학부 13입 이성용의 부)

이봉호 (치의예과 84입)

이재호 (경영학과 84입)

전병롱 (정책학과 10입 전상우의 부)

전호석 (기계설계학과 71입)

주식회사 KTampG 남서울본부 (박정욱 본부장)

최황 (의과대학 명예교수)

황철성 (재료공학부 교수)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박기용 이사장)

가송재단 (윤도준 이사장)

강스템바이오텍 (강경선 대표이사)

오이코스 (배장영 대표이사)

유한회사 본음인베스트먼트

이진경 (전국낙지자랑 대표)

한승장학회 (이재영 이사장)

윤용혁 (독어교육과 60입)

키움증권 (권용원 대표이사)

협성문화재단 (박석귀 이사장)

이강이 (아동가족학과 교수)

윤상혁 (디자인학부 03입)

윤화영 (수의학과 교수)

GS칼텍스 (허동수 대표이사 회장)

권규돈 (중어중문학과 13입 권기범의 부)

김경준 (농경제학과 82입)

김용팔 (수의과대학 75입)

김재홍 (수의학과 교수)

김진태 (법학과 71입)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이재술 대표이사)

문대원 (경영학과 71입)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오근택 대표이사)

박세창 (수의학과 교수)

산학협동재단 (한덕수 이사장)

선암장학재단 (윤호철 이사장)

성제경 (수의학과 교수)

송재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우광덕 (치과대학 64입)

유기윤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유한상 (수의학과 교수)

윤여성 (수의학과 교수)

윤정희 (수의학과 교수)

이건목원리한방병원 (이건목 원장)

이동진 (교무처 학사과)

이소영 (수의학과 교수)

이인숙 (간호대학 교수)

이항 (수의학과 교수)

이희근 (공과대학 명예교수)

조무제 (법학과 65입)

조성범 (수의학과 교수)

조제열 (수의학과 교수)

주식회사 오공 (김윤정 대표이사)

중앙백신연구소 (윤인중 대표이사)

지티앤티 (이세한 대표이사)

채찬희 (수의학과 교수)

태평소금 (손일선 회장)

한호재 (수의학과 교수)

해마루 (김현욱 원장)

황인구 (수의학과 교수)

조선에듀케이션 (방정오 대표이사)

사회복지법인 건아재단 (심철환 이사장)

KT (황창규 대표이사 회장)

광림교회 (김정석 담임목사)

광주시민장학회 (박기준 이사장)

김기원 (AIP최고산업전략과정 38기)

김상은 (융합과학부 교수)

김혜원 (간호학과 교수)

박종근 (전기공학과 교수)

서병태 (의학과 54입)

송경희 (국악과 59입)

연당장학회 (남욱 회장)

오유경 (약학대학 부학장)

우정장학문화재단 (강백영 이사장)

임현주 (약학과 82입)

전상직 (작곡과 교수)

주리아 (치과대학 04입)

한국마쯔다니 (유태균 대표이사)

홍영표 (GLP글로벌리더십과정 21기)

신우호 (화학교육과 87입)

류판동 (수의과대학장)

이병욱 (조경학과 81입)

김용백 (수의학과 교수)

김종암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정혜선 (간호학과 82입)

강부현 (수의학과 72입)

권길주 (조선해양공학과 11입 정지원의 모)

권혜숙 (약학과 82입)

김경대 (치의학과 82입)

김미영 (간호학과 98입)

김범진 (턱교정학고급연수과정 6기)

김성열 (교육학과 75입)

김종흔 (경영대학 92입)

김현산 (법과대학 54입)

녹십자수의약품 (김승목 대표이사)

덕영재단 (전헬리시아 이사장)

문수자동판매기 (김영식 대표)

민기복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민동홍 (독어독문학과 77입)

박병익 (지리교육과 교수)

박종철 (물리학과 61입)

설재연 (심리학과 82입)

송은도 (국악과 01입)

유차영 (ASP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 12기)

신우개발 서울지점 (김익환 사장)

신하순 (동양화과 교수)

안석준 (치의과대학원 부원장

안휘준 (인문대학 명예교수)

양민영 (협동과정 미술교육전공 94입)

양형식 (자원공학과 75입)

옥복연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07입)

우경미 (치의학대학원 교수)

우성공원묘원 (허정산 대표)

우성원 (미학과 95입)

월악장학문화재단 (남기영 이사장)

유건선 (토목공학과 73입)

유흥수 (법학과 58입)

윤희정 (수의학과 교수)

이기윤 (정치학과 88입)

이대혁 (자원공학과 87입)

이병천 (수의학과 교수)

이상돈 (에너지자원공학과 84입)

이승주 (치의학과 92입)

이시우 (의예과 95입)

이은수 (서울대운동용품 대표)

이정인 (공과대학 명예교수)

임종후 (서양화과 12입 임지윤의 부)

정소걸 (자원공학과 71입)

정지훈 (치의학과 교수)

조경란 (법학과 79입)

조기웅 (화학과 66입)

조현욱 (사법학과 83입)

최명애 (회화과 70입)

최정욱 (경영학과 84입)

최종길 (법과대학 83입)

최해영 (경영대학 행정실)

하종철 (동양화과 13입 하문원의 부)

한공창 (자원공학과 72입)

한국지하수지열협회 (안근묵 회장)

허형무 (경영대학 68입)

미주재단

Steve Ro (토목공학과 61입)

Soung Kim (임학과 56입)

Joong M Soh (공과대학 64입)

John Baek (금속공학 49입)

Hyunchan Lee (치과대학 70입)

Steve amp Cheryl Shapiro

Kwang S Hong (공과대학 60입)

Moon H Kim (공과대학 68입)

David Cho (공과대학 60입)

Dong Ku Chung (기계공학과 57입)

Sang Dae Lee (농업생명과학대학 80입)

Young D Kim (공과대학 67입)

서울대학교병원 (오병희 병원장)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이철희 병원장)

SK가스 (최창원 부회장)

AMP 78기 일동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윤강섭 병원장)

삼성전자 (권오현 대표이사 부회장)

SK하이닉스 (박성욱 대표이사 사장)

삼성복지재단 (이수빈 이사장)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한국세포주연구재단

하나제약 (조경일 회장)

코스맥스 (이경수 대표이사 회장)

패션그룹형지 (최병오 회장)

서울대학교총동창회 (서정화 회장)

한국수력원자력 (조석 사장)

형애장학회 (최효종 이사장)

송원김영환장학재단 (김해련 이사장)

사회복지법인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이기수 이사장)

TOYOTA MOTOR CORP

(요시다 아키히사 대표이사 사장)

권욱현 (공과대학 명예교수)

네이버 (김상헌 대표이사)

현송교육문화재단 (김정일 이사장)

롯데장학재단 (신영자 이사장)

일주학술문화재단 (이선애 이사장)

현대차 정몽구 재단 (유영학 이사장)

LG연암문화재단 (구자경 이사장)

SECMCA

아산사회복지재단 (정몽준 이사장)

천만장학회 (이광현 이사장)

방일영문화재단 (조연흥 이사장)

AMP 77기 일동

신라문화장학재단 (박준형 이사장)

KRX국민행복재단 (최경수 이사장)

SBS문화재단 (윤세영 이사장)

김만극 (약학과 47입)

농우바이오 (정용동 유연희 대표이사)

안인희

전국경제인연합회 (허창수 회장)

정윤환 (임학과 56입)

현대엔지니어링 (김위철 대표이사)

세진에프알에스 라쿠치나 서울대점 (장재훈 대표이사)

재단법인 웅진 (신현웅 이사장)

종근당고촌재단 (김두현 이사장)

정수장학회 (김삼천 이사장)

Kensary LLP

앨트웰민초장학재단 (김박 이사장)

주중광 허지영 (약학대학 60입 화학과 66입)

한국동서발전 (장주옥 사장)

한화갤러리아 (박세훈 대표이사)

한화생명보험 (차남규 대표이사 사장)

한화손해보험 (박윤식 대표이사)

한화첨단소재 (김창범 대표이사)

한화투자증권 (주진형 대표이사 사장)

KEILCO(KEPCO ILJAN CORPORATION)

연강재단 (박용현 이사장)

창강재단 (안병표 이사장)

경기도 인재개발원 (박익수 원장)

대림수암장학문화재단 (변형윤 이사장)

이상억 (인문대학 명예교수)

1432968520

1147748270

1000000000

716900000

615220390

600000000

560000000

364863690

317560000

250000000

220000000

210000000

200000000

200000000

166000000

150000000

142103500

140000000

139583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98538000

89942000

82426000

67509000

66598412

62989000

59929000

59208000

53720000

51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49800000

46522180

44302000

42076000

40918000

40273000

40204972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39677688

39035000

37244000

37068000

34780000

31800000

청합장학회 (여상길 회장)

한빛종합동물병원 (임정식 원장)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두산 (박용만 대표이사 회장)

송미순 (간호학과 교수)

이상복 (ABKI문헌지식정보최고위과정 5기)

한화 (심경섭 대표이사)

한화건설 (김현중 부회장)

한화자산운용 (강신우 대표이사)

한화케미칼 (방한홍 대표이사)

한화호텔앤드리조트 (홍원기 대표이사)

오뚜기재단 (함태호 이사장)

재단법인 최혁영 장학회 (최혁영 회장)

유한재단 (이필상 이사장)

영원무역 (성기학 대표이사 회장)

부경양돈협동조합 (박재민 조합장)

져스텍 (김용일 대표이사)

서울대합창단동문회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전병원 이사장)

국가정책과정(ACAD) 77기 일동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최윤 회장)

몬산토코리아유한회사

(벤자민 마크 후드리스 대표이사)

성련장학재단 (허연금 이사장)

고광우 (행정학과 53입)

대한적십자사 (유중근 총재)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성기학 이사장)

임현진 (사회학과 교수)

재단법인 양영재단 (김상하 이사장)

조유근 (컴퓨터공학부 교수)

두을장학재단 (이인희 이사장)

과천시애향장학회 (신학수 이사장)

서울장학재단 (이경희 이사장)

왕한석 (인류학과 교수)

포니정장학재단 (정몽규 이사장)

조용준 (법학과 79입)

농어촌희망재단 (김달웅 이사장)

경동송천재단 (류덕희 이사장)

김신원 (응용화학과 64입)

농생대 환경재료과학 교수일동

주식회사 천랩 (천종식 대표이사)

돈암장학회 (이용배 이사장)

인선문화재단 (박선영 이사장)

단암장학재단 (이봉서 이사장)

치과대학 치의학대학원 동창회

흥한재단 (박병석 이사장)

선화예술문화재단 (심재혁 대표)

한국미즈노 주식회사 (김창범 대표이사)

곽노섭 (수학과 49입)

19대 인문대 학장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김은선 (디자인학부 13입 조은지의 모)

바텍 (노창준 대표이사)

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ASP) 27기 동문

수도씨에이씨 (송명호 대표이사)

신한화구 (한봉근 대표)

이앤티 (고영호 대표이사)

장문영 (화학과 59입)

제11기 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조경일 (약학대학 64입)

주식회사 명진팜 (권기진 대표이사)

31047000

31000000

303006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28436000

28081000

27942000

26000000

25000366

25000000

24210000

24041200

23994234

20724000

20500000

20274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18779000

17973600

17934000

17600000

17050000

17000000

165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4000000

14000000

13500000

12000000

12000000

11602000

11102610

10281624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천병년 (약학과 77입)

최민철 (농공학과 75입)

현대하이스코 (신성재 대표이사)

황효진 (동양사학과 78입)

대한사료주식회사 (이상민 대표이사)

해성문화재단 (단재완 이사장)

한국가스공사 (장석효 사장)

김춘길 (화학생물공학부 58입)

애드미션 (김유탁 대표이사)

종로구장학회 (최현종 이사장)

동부문화재단 (강경식 이사장)

인촌기념회 (이용훈 이사장)

용옥장학문화재단 (양철우 이사장)

미래의동반자재단 (Jeffrey D Jones 이사장)

김영윤 (토목공학과 62입)

성옥문화재단 (이화일 이사장)

다래파크텍 (김호정 대표이사)

미래인재육성재단 (최양식 이사장)

고화장학회 (배명인 이사장)

이재원 (중앙도서관 정보관리과)

리브로 (김경수 대표이사)

오운문화재단 (이동찬 이사장)

조비경농장학재단 (이병만 이사장)

박지향 (중앙도서관장)

오스템임플란트 (최규옥 대표이사)

한국섬유산업연합회장학재단 (노희찬 이사장)

한옥희 (화학과 79입)

아카넷 (김정호 사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정기택 원장)

삼송장학회 (김영기 이사장)

서지희 (IFP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11기)

김지호

서울상공회의소 관악구상공회 (김진철 회장)

박찬국 (철학과 교수)

송파재단 (윤원영 이사장)

김재길 (법학과 56입)

로보로보 (장창남 대표이사)

모르페우스 (김진수 대표이사)

박성경 정성창 (치의학과 96입)

박윤서 (고고인류학과 69입)

서용석 (상학과 46입) 정재원

송인석 (치의학과 01입)

송재용 (경영학과 교수)

시그나사회공헌재단 (홍봉성 이사장)

약학대학 40회 동기회

와이비엠 (민선식 대표이사)

이필상 (경제학부 교수)

한국경제연구원 (권태신 원장)

황만순 (제약학과 90입)

운경재단 (배성동 이사장)

제봉민병욱장학재단

심명문화재단 (이경재 이사장)

홍산장학재단 (천영주 이사장)

홍수현

박미혜 (성악과 교수)

박영아 (물리학과 79입)

최동하 (농경제학과 71입)

춘강문화장학재단 (박성형 이사장)

허성도 (인문대학 명예교수)

형남진장학재단 (이정희 이사장)

강남구청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9730000

9528000

9140000

9000000

9000000

8690000

8525000

8525000

8178000

8112000

8000000

7963000

7928068

7713000

7500000

6950000

6919590

6058000

6010000

6000000

6000000

6000000

6000000

5700000

5556000

5400000

5357143

5100000

5100000

5090000

5089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4934000

4734000

4527000

4500000

446228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3956000

3862000

3750000

3500000

3120000

3029000

3029000

3005000

3005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2706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467000

2467000

2467000

2400000

2230000

215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1865000

1800000

15145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431445

1300000

1275251

1260000

1200000

106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단위 $

100000

10000

5000

3000

500

500

200

200

100

100

100

100

단위 원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20140601 ~ 20140831 출연

출연DONATION

40

서울대학교는 기부금을 출연한 후원인에게 더욱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국내 최고 수준의 의

료서비스를 자랑하는 서울대학교병원 이용 예우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으며 서울대학교병원 후원인

라운지에 상주하는 전담 직원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후원자 중 추가 진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본원 또는 분당 서울대학교병원과의 즉각

적인 연계가 가능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 본원 조윤지 | Tel 02-2272-2750 E-mail sosunolovesnuackr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강수정 | Tel 031-787-1915 E-mail c8541snubhorg

(재)서울대학교발전기금 김종희 | Tel 02-871-1633 E-mail p2727snuackr

bull병원 예우 담당자

bull서울대학교병원 예우 서비스 이용 안내

예약대행 서비스 | 진료 및 입원 예약 대행 병원 측과 협의 후 예약일자 결정

의전 서비스 | 진료middot입원middot응급실 이용 편의를 위해 예우 담당자가 직접 안내

종합건강검진 주선 서비스(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bull서울대학교병원 예우 서비스 내용

지원 자격 활동 기간

bull경제적 지원이 필요한 학생

(건강보험료 기준) 우선 선발

bull성적 45만점 환산 30 이상

lsquo 새싹 멘토링rsquo은 빈곤의 대물림을 막기 위한 자선 봉사활동으로

전국 국공립대학의 우수한 학생이 저소득층 중middot고등학생의

학습을 도우며 장학금을 받는 프로그램입니다

bull최소 6개월~12개월

bull활동 실적에 따라 졸업 시까지

연차적으로 기회 부여

새싹멘토링의

멘토가

되어주세요

bull전화 02-880-1593(새싹 멘토링 서울대학교 본부) bull팩스 02-780-2647(미래국제재단 여의도 본사)

bull이메일 mifsnuhanmailnet 새싹 멘토링 지원 방법 문의 시 상세히 안내해드립니다

서울대학교와 미래국제재단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봉사활동에 학생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다립니다

기부인의 따뜻한 마음에

다양한 혜택의 예우 서비스로

보답합니다

출연 기금 진료예약 의전 서비스 종합건강검진 주선

50억 이상 평생 평생 연 1회(평생 프리미엄 검진)

10억 이상 평생 10년 연 1회(평생)

5억 이상

1억 원당 1년(기한)

5년

1억 원당 연 1회(기한)3억 이상 3년

1억 이상 1년

서울대학교병원 본원 후원인 전담 직원이 진료 예약 및 의전 서비스까지 친절하게 안내해 드립니다

문의처 병원 후원인 라운지(본관 3층) 또는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후원인 전담 직원이 진료 예약 및 의전 서비스까지 친절하게 안내해 드립니다

문의처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또는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강남센터와의 즉각적인 연계를 통해 강남센터 상담 직원이 후원자 여러분께 상담 전화를 드립니다

문의처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기부인 예우 프로그램DONATION

SeoulNational University

151-742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1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

T 02-880-5114 F 02-885-5272wwwsnuackr

C o v e r S t o r y

과학자의 공식

좋은 연구를 하겠다는 신념으로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걸어온 사람

miRNA 분야의 세계적인 개척자 김빛내리 교수다

그녀는 노벨상 수상에 가장 근접한 국내 과학자로 꼽힌다

도전과 실패 인내를 거듭하며 세계적인 과학자 반열에 오르기까지

그녀의 행보를 통해 성공과 신뢰 만족을 얻는 인생 공식을 알아본다

Page 10: SNU Magazine Vol. 38 › new › wp-content › uploads › 2015 › 12 › snu_people... · 2016-01-30 · 우수 연구자 시리즈 10 유상렬 농생명공학부 교수 06 선배와의

17 16

Campu s OnNOW

뚜렷하게 새겨진 학문적 발자취

학문 분야에서는 서울대학교의 대표적인 연구 성과인 현택환 중견

석좌교수의 lsquo나노수류탄rsquo 김수봉 교수의 lsquo중성미자 변환상수 연구rsquo

와 함께 서울대학교가 소장하고 있는 귀중한 사료인 lsquo대동여지도

(大東輿地圖)rsquo lsquo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rsquo에 대한 이야기도 만

나볼 수 있다 이어지는 교육 환경 코너는 학생 1인당 장학금 지급률

부터 개별 전공 졸업 후 진로 정보까지 방문객이 터치스크린을 통

해 원하는 정보를 찾아볼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빛나는 역사

전시 콘텐츠는 lsquo역사middot학문 분야middot교육 환경middot글로벌 SNUmiddot사회적

책임middot미래 인재middot미래 활동rsquo 순으로 전개된다 먼저 홍보관에 발을

들이면 개교 이전부터 현재까지의 모습이 전면 스크린에 펼쳐진다

최초의 근대 국립고등교육기관이었던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의

역사를 사진과 영상으로 만나볼 수 있다 또한 이곳에는 한국전쟁

419 혁명 등 중요한 역사의 현장에서 희생된 서울대학교 재학생들

의 고귀한 뜻을 기리는 추모의 벽이 설치되어 있다 조국의 발전을

위해 몸 바친 영혼들을 위해 잠시 묵념하는 시간을 가져보자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가 세계의 다양한 대학 연구 기관과 어떤 국제협력프로

그램들을 만들고 운용하고 있는지 궁금하다면 글로벌 SNU 코너에

서 그 현황과 규모를 찾을 수 있다 다양한 사회 기여 활동을 보여주

는 사회적 책임 코너도 빼놓을 수 없는 곳이니 잊지 말고 둘러보자

인재를 길러내는 서울대학교의 모습과 장기적인 비전은 스누홀의

마지막 전시장에서 확인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등 양방향적 소통 장치를 마련한 스누홀은 방문객과의

자유로운 교감을 꿈꾼다 견학 온 학생에게 자녀가 다니는 학교가

궁금한 부모님에게 이곳은 훌륭한 안내소가 될 것이다 아직 학교가

알쏭달쏭하다면 망설이지 말고 스누홀의 문을 두드리길

1 SNU connect

2 SNU 타임비전

3 SNU Awards

4 미디어홀

5 라운지

6 SNU Special

1

스누홀을 통해 서울대학교를

바라보는 시각이 달라졌고

도전 의식이 생겼습니다 당당한

재학생으로 꼭 다시 오고 싶어요

김예준middot낭주중학교 3학년 박지훈middot용강중학교 3년

서울대학교에 대해 잘 알지

못했는데 이번에 스누홀을

둘러보면서 서울대학교와 한층

가까워진 것 같아요

문의 070 8815 1524

생생 방문 후기

SNU Hall 문을 열다

매년 5만 명이 넘는 이들이 캠퍼스 투어를

위해 서울대학교를 찾는다 호기심을 가득

품고 관악캠퍼스를 찾은 방문객들은 커다란

위용에 왠지 모를 어려움을 느끼기도 한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고 종합적으로

학교를 안내하기 위해 서울대학교 홍보관

스누홀(SNU Hall)이 문을 열었다 학교의

역사에서부터 환경 글로벌 미래 비전까지

서울대학교의 이모저모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스누홀을 살펴보자

1

2

3

4

5

6

19 18

여행과 봉사를 한번에 볼런투어

Who 글로벌사회공헌단 bull Where 경상남도 함양군 bull What 일손 돕기 목가구 제작 벽화 그리기 등

드림컨설턴트는 2010년 학내 봉사 동아리로 출범해 2012년 서울

시 비영리 민간단체 공식인가를 받은 서울시 NGO다 lsquo꿈rsquo이라는 주

제 아래 lsquo촉촉콘서트rsquo lsquo드림커넥터rsquo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

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이들이 8월 8일부터 10일까지 경상남도

창원 구암고등학교에 머물렀다 2박 3일간 고등학생 꿈 찾기 프로

그램인 lsquo드림캠프rsquo를 진행하기 위해서다

드림캠프는 직업군으로 나누어 꾸민 부스에서 멘토가 강연하는 lsquo직

업 박람회rsquo 자신의 꿈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해보는 lsquo드림스토밍rsquo

문제 상황에 부딪쳤을 때 필요한 가치관을 이야기해보는 lsquo가치관 동

맹rsquo lsquo모의 면접rsquo 등의 프로그램으로 탄탄하게 구성됐다 뿐만 아니

라 봉사 단원들은 고등학생들이 자신의 가치관을 살펴보고 모호한

꿈을 좀 더 구체적으로 그리며 진로를 고민해볼 수 있도록 직접 교

재까지 제작하는 열의를 보였다 지난 4년 동안 꾸준히 성장해온 드

림컨설턴트가 꾸려나갈 앞으로의 모습이 더욱 궁금해진다

꿈을 발견하는 곳 드림캠프

Who 드림컨설턴트

Where 경상남도 창원시

What 고등학생 꿈 찾기 캠프

방학 계획을 물을 때 lsquo여행rsquo과 lsquo봉사활동rsquo은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단골 소재다 글로벌사회공헌단은 이 두 가지를 동시에 할 수 있는

프로젝트 lsquo볼런투어rsquo를 마련했다 자원봉사(Volunteer)와 여행

(Tour)을 합친 볼런투어는 개인의 재능을 통해 사회공헌 사각지대

에 필요한 자원을 제공하는 활동이다

이번 볼런투어는 8월 6일부터 9일까지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에서

진행됐다 5개 팀으로 나뉘어진 학생들은 각각 농촌 일손 돕기 목가

구 제작 벽화 그리기 어르신 사진 촬영 지역아동센터 교육 봉사 등

의 개별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낯선 일이었지만 학생들은 땀을 흘리

며 사과 농장을 일구고 마을 입구에 놓을 초대형 평상을 제작하는

등 각자의 재능을 통해 나눔을 실천했다

모든 일정이 계획대로 진행된 것은 아니다 프로젝트 기간 동안 함양

군을 지나간 태풍 lsquo나크리rsquo 탓에 벽화팀이 애써 그린 작품 대부분이

지워진 것 돌발 상황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최선을 다한 학생들에게

마을 주민들은 고마움을 표현했다 함양군에서의 3박 4일은 이들에

게 잊지 못할 경험으로 기억될 것이다

자연과학대학은 2006년 경상북도 영덕군과 lsquo관학 협력 및 지역사

회 개발에 관한 협정rsquo을 체결했다 그 후 매년 여름마다 영덕 지역 청

소년들의 적성과 소질을 개발하고 대학생들의 인성 함양을 위해 멘

토링 프로그램과 과학 캠프를 개최해왔다 올해 역시 자연과학대학

재학생으로 구성된 봉사단이 영덕 지역 청소년들과 만났다

8월 5일부터 7일까지 이어진 캠프 첫날 고등학생 25명을 대상으로

lsquo대학 진학 멘토 교실rsquo이 열렸다 입시를 앞둔 이들에게 실질적인 조

언을 해주는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이 미리 준비해 온 질문에 봉사단

원들의 진지한 답변이 이어졌다 이어서 진행된 lsquo과학 캠프rsquo 봉사단

은 물리천문학 생명과학 지구환경과학 화학 수리과학 등의 각 전

공을 살려 중학생 75명과 함께 과학 실험을 진행했다 서울대학교

봉사단원들은 아이들이 과학을 어렵지 않게 느끼도록 실험을 도우

며 재미있는 분위기를 이끌었다

이번 캠프는 열정적으로 참여한 학생들 덕분에 참가자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에게도 높은 호응을 이끌었다 에너지 넘치는 자연과학대

학 봉사단과 함께 할 내년 여름을 기대해본다

청소년 100명과의 만남 과학 캠프

Who 자연과학대학 봉사단

Where 경상북도 영덕군

What 청소년을 위한 멘토링 과학 캠프

학생들의 학습을 꼼꼼히 지도하는 드림컨설턴트

직접 그린 벽화 앞에서 포즈를 취한 볼런투어 벽화팀

과학 실험 삼매경에 빠진 캠프 참여 청소년

Campu s OnNOW

각양각색 봉사활동 열전

태양이 이글대던 두 달이 쏜살같이 지나가버렸다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여름

방학 속 가장 기억에 남는 일은 무엇이었는가 무더운 여름보다 더 뜨겁게 방학을 보낸

사람들이라면 금세 대답할 수 있을 것이다

21 20

서울대학교 세계 최고를 꿈꾼다

서울대학교는 영국 대학평가기관 QS(Quacquarelli Symonds)가 발표하는 2014 QS 세계대학평가(QS

World University Rankings)에서 31위를 차지했다 1994년부터 시작된 QS 세계대학평가는 전 세계 대학

에 대한 평가로 학계 평판 40 연구 영향도(교수 1인당 논문 피인용 수) 20 졸업생 평판도 10 교수 대

학생 비율 20 외국인 교수 비율 5 외국인 학생 비율 5를 합산해 평가한다 올해 발표된 평가의 1위는

미국 MIT(매사추세츠공대)였으며 아시아 대학 가운데서는 싱가포르국립대학교(NUS)가 22위 홍콩대학교

(HKU)가 28위에 올랐다

서울대학교는 해외 학계에서의 인지도를 알 수 있는 학계 평판(Academic Reputation) 및 기업인 대상 설문

조사로 평가하는 졸업생 평판 항목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향후 논문 피인용 수 증가를 통해 연구 영향도 분

야에서 개선을 추구해 나가는 한편 구성원의 글로벌 다양성 확보를 위해서도 노력할 계획이다

2014 QS 세계대학평가가 9월 발표됐다 2004년 118위에서 2010년 50위 2011년 42위

2012년 37위 2013년 35위 그리고 올해 서울대학교는 역대 최고 성적을 경신했다

118

93

63

5147

50

4237

35

31

50

140

40

20

0

120

100

80

60

순위2005년 2009년 2012년2006년 2010년 2013년2007년 2011년 2014년2004년 2008년

QS Ranking지난 11년간의 성과

연도 별 순위

lsquo창업론 실습rsquo 커리큘럼

STEP 1 조별 사업 기획

STEP 2 약 300만 원의 지원금과 창업 공간 지원

STEP 3 기업가들의 컨설팅

STEP 4 학점 취득

통찰력 있는

미래의 창업가를 키운다

연합전공 벤처경영학

표준적인 인재는 많지만 특출난 인재는

늘 부족하다 기업가 정신을 갖추고 끊임없이

도전하는 인재들의 양성소

연합전공 벤처경영학을 소개한다

새로운 경제 성장의 동력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lsquo창업 부흥rsquo

정책이 정부를 비롯해 지방자치단체 중소기업청 등에서 이

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학생들의 대기업 선호 현상과 lsquo창업은

위험한 도박rsquo이라는 인식은 여전하다 대기업 입사를 위한 다

양한 프로그램과 유학 스터디 등이 활발한 것과 달리 창업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은 아이디어를 나눌 공간이 없고 경험 있

는 선배로부터 직접적인 조언을 얻기도 쉽지 않다 이러한 문

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이 나섰다

올해 설립된 벤처경영학 전공은 학생들이 실제로 창업을 경

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lsquo창업론 실습 1middot2rsquo 과목을 수

강하는 학생들은 조별로 사업을 기획해보고 약 300만 원과

창업 공간을 지원받으며 기업가들의 컨설팅을 받게 된다 이

런 과정을 통해 학점도 취득할 수 있다 이밖에 벤처경영학과

에서는 철학과 경영학과 컴퓨터공학부 식품동물생명공학

부 등 연합전공에 참여한 학과의 개설 과목은 물론 제품 기획

론 창업론 특강 벤처사업 기회 연구 등 벤처 운영에 도움이

되는 과목을 함께 수강할 수 있다

실리콘밸리와 맞닿아 있는 스탠포드대학교는 구글 야후 휴

렛팩커드 등 초일류 기업의 창업자들을 배출했으며 오늘날

이 대학 출신이 창업한 기업의 연 매출은 우리나라 국내총생

산(GDP)의 2배를 넘을 정도로 큰 성과를 내고 있다고 한다

창업을 지원하는 학내 인프라와 프로그램 그리고 실제 벤처

기업을 운영하는 교수진이 있기에 가능한 일이다 서울대학

교 벤처경영학이 미래의 한국 벤처 생태계를 구축할 혁신적

인 기업가 양성 교육의 훌륭한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

Campu s OnNOW

연합전공 시리즈 3

23 22

문화생활백서 in SNU

과제 시험 그리고 또 과제 학교에 갇혀 있는

날이 계속되다 보면 잠깐이나마 쉴 곳을 찾게

된다 왠지 모르게 무기력해지고 답답한 순간

당신에게는 lsquo휴식rsquo이 필요하다

빼곡한 강의실 책만 가득할 것 같은

서울대학교 안에도 여유 시간을 알차게 보낼

수 있는 놀라운 공간들이 구석구석 숨어 있다

벌써부터 방학을 그리워하는 학생들에게

캠퍼스의 각종 문화 시설은 달콤한 선물이

되어줄 것이다 학교 안에서 즐기는

문화생활의 lsquo핫 플레이스rsquo를 소개한다

영화관이 학교 안에

미술관을 지나 오르막길을 오르다 보면 현수막 하나가 눈에 띈다

2004년부터 작품성은 높지만 대중적 인기는 얻지 못한 진흙 속의

진주 같은 영화를 소개하는 lsquo수요시네마rsquo 프로그램이다 매월 둘째

주 수요일 문화관에서 무료로 관람 가능하다 더불어 학교의 중심

중앙도서관 영상자료실도 혼자 영화 보기 안성맞춤인 곳이다 비교

적 최신 DVD까지 소장하고 있어 공강 시간을 보내기 유용하다

몸 튼튼 마음 튼튼

서울대학교에선 원한다면 누구나 각종 운동을 섭렵할 수 있다 공과

대학에는 테니스장과 농구장 인공 암벽등반 시설이 있으며 기숙사

에는 축구 운동장과 더불어 야구 연습 탁구 농구 등을 할 수 있는 실

내 체육관이 있다 종합운동장에선 축구와 미식축구를 할 수 있으며

마라톤 트랙이 있어 다른 운동도 가능하다

정문 근처 포스코(POSCO) 스포츠센터는 2001년에 문을 연 4층 건

물로 서울대학교의 대표 체육 시설이다 수영과 헬스뿐만 아니라 골

프와 댄스 발레 요가 등 전문 강사가 진행하는 다양한 강좌가 있다

시설이 좋아 lsquo미녀는 괴로워rsquo 등의 영화와 드라마 촬영지로도 사용됐

다 이외에 체육 교육과에서도 매 학기 테니스 필라테스 탁구 등을

소규모로 배울 수 있는 건강 운동 강좌를 개설하고 있다 에너지 넘

치는 학생들에게 서울대학교는 즐거운 놀이터다

음악감상실

장소 학생회관 111호

운영시간

학기 중 평일 930~1730

학기 중 토요일 930~1330

수요시네마

장소 문화원 중강당

비용 무료

문의 02-880-7924

정문 옆 미술관

정문 너머 왼편에는 독특하고 아름다운 외형의 건물이 있다 바로 서

울대학교 미술관 MoA 프리츠커 건축상을 수상한 렘 콜하스가 설

계했다 한 해 3~4회의 전시가 열리는 MoA는 타 학교 미대에서 관

람을 올 정도의 높은 전시 수준을 자랑한다 학교 구성원과 지역민

등을 대상으로 하는 미술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뿐만 아니라 도

슨트 교육을 받고 선발되어 활동하면 문화자원봉사 확인증을 주는

자원봉사 프로그램도 있다 미술관 입구 앞 독특한 조형물도 하나의

볼거리니 방문한다면 여기서부터 관람을 시작하자

MoA

운영시간 화~일요일 1000~1800(입장마감 1730)

관람료 3000원

문의 02-880-9504

포스코 스포츠센터

운영시간 평일 600~2230 토요일 1000~1700

문의 02-880-6980

Campu s OnNOW

음악이 들려주는 비밀

호그와트(영화 lsquo해리포터rsquo의 마법학교)에 비밀의 방이 있다면 서울

대학교에는 음악감상실이 있다 학생회관 식권 판매대 옆 두꺼운 문

을 열면 나타나는 음악감상실은 예전부터 높은 경쟁률을 뚫고 선발

된 DJ가 수준 높은 음악을 들려주는 것으로 명성이 자자했다 한국

최초 그래미 수상자 황병문 동문도 음악감상실 DJ 출신이다 문화

관에서 시작되는 lsquo걷고 싶은 거리rsquo는 음악대학 학생들의 연주와 노

래 소리를 들으며 산책하기 좋다 덧붙여 음악대학에서는 매 학기

lsquo화요음악회rsquo를 개최한다 1994년부터 20년째 이어지는 음악회다

오디션을 통해 선발된 공연팀이 무대에 올라 질 높은 음악을 들을 수

있으며 누구나 관람 가능하다 문화관과 자하연 사이에 위치한 스탠

드에서는 때때로 즉흥 연주가 벌어진다 버스킹의 정확한 일정은 없

으니 지나치다 익숙한 음악이 들리면 놓치지 말고 들러보자

1 2

3

4

화요음악회

장소 문화관

비용 무료

문의 02-880-7903

25 24

미래인재학교란 서울대학교 입학본부 주관으로 진행되는 고교 지원 프로그램으로

서울대학교 교수와 학생이 직접 지역 고등학교에서 지식을 전달한다

92명

13기 수료생

100명

14기 수료생미래인재학교

수료생 현황

미래 인재를 위한 꼼꼼한 준비

서울대학교는 7월과 8월 전라남도 고흥middot여수에서 미래인재학교

13 14기를 개최했다 미래인재학교는 지역 간 교육 환경 격차를 완

화하고 고교생의 소질과 적성을 개발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서울

대학교 교수 강의와 재학생 멘토링 등을 통해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다 개최 지역에 따라 맞춤형으로 운영하기 때문에 4

개월 정도의 준비 기간이 필요하다 각 기수마다 재학생 멘토팀을 선

발해 프로그램을 새롭게 기획하는 것은 물론 담당 입학사정관과 멘

토팀이 몇 차례의 답사를 통해 현지 교육 환경을 이해하고 운영 시설

을 확인하는 등 프로그램을 세심하게 꾸려나간다

열정 가득한 학생들과 3박 4일

나로도 소재 국립고흥청소년우주체험센터에서 진행된 미래인재학

교 13기에서는 고흥 소재 8개 고등학교 1 2학년생 92명이 3박 4

일의 과정을 수료했고 14기에서는 여수 소재 10개 고등학교 1학년

학생 100명이 나흘 간의 과정을 마쳤다 특히 이번 멘토팀은 개최지

의 요청에 따라 역대 최대 규모로 조직됐는데 이들 중에는 고교 재

학 중 미래인재학교 수료생으로 참가했던 3명의 학생도 있었다

각 학교장의 추천을 받아 선발된 고등학생들은 입학식과 더불어 핸

드폰을 모두 담당 교사에게 제출하는 등 바른 수업 태도와 학업 의

지를 보여주었고 쉴 틈 없이 짜인 프로그램에도 중도 탈락하는 사

람 하나 없이 참가자 전원이 수료증을 받을 수 있었다

교수 멘토 멘티의 특급 하모니

3박 4일 동안 고등학생들과 함께 숙식하며 프로그램 운영은 물론

학생들의 생활지도까지 맡은 서울대학교 재학생 멘토들 이들은

lsquo아이스 브레이킹rsquo lsquo주제 토론rsquo lsquo고교 생활의 Know-Howrsquo lsquo11 멘

토링rsquo lsquo도전 골든벨rsquo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학생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했다 물리천문학부 홍승수 명예교수 등 고교생

의 눈높이에 맞게 선정한 다양한 학과의 교수 강연은 학생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참가 고등학생들 역시 강의 2주 전 배포한 강연

자료를 예습해왔고 강의가 끝난 후에도 호기심을 충족하기 위해

교수님을 따라 행사장 밖까지 나가 질문하는 열의를 보였다 이번

행사가 서울대학교 학생들에겐 나눔의 기쁨을 개최 지역의 고등학

생들에겐 배움의 기회를 주었길 바란다

지역 인재는 우리가 기른다

전라남도 고흥과 여수에 서울대학교 학생들이 떴다 미래 후배들의 소질과 적성 개발을

돕는 멘토링 프로그램 lsquo미래인재학교rsquo를 진행하기 위해서다 이번에는 개최지의 요청에

따라 역대 최대 규모의 멘토팀이 조직됐다 고등학교 시절 배움을 위해 lsquo미래인재학교rsquo를

찾았던 학생도 지식을 나눠주는 멘토가 되어 돌아왔다 고등학생들과 동고동락하며 여름의

열기보다 뜨거운 4일을 보낸 이들을 만나보자

멘토링 시간에 조별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학생들

참가 학생이 자신의 의견을 발표하고 있는 모습

대학 입학에 관해 강의하는 홍승수 명예교수

Campu s OnNOW

step1

step2

step3

27 26

서울대학교는 8월 29일 관악캠퍼스 문화관 중강당에서

교수 학생 직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교수 정년식을 진행

했다 노태돈 국사학과 교수 임현진 사회학과 교수 안

정선 생명과학부 교수 김명모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장

호익 디자인학부 교수 한문희 불어교육과 교수 김민자

의류학과 교수 황준연 국악과 교수 이성철 의학과 교수

등 26명이 명예로운 정년을 맞아 정든 캠퍼스를 아름답

게 떠났다 이날 행사에서는 박종화 환경대학원 교수가

정년 교수진을 대표해 감사와 당부의 인사말을 전했다

교수 정년식

02

서울대학교는 8월 28일 관악캠퍼스 종합체육관에서 제

68회 후기 학위수여식을 개최했다 이번 학위수여식에

서는 학사 850명 석사 989명 박사 522명 등 총 2361

명이 학위를 받았다 성낙인 총장은 ldquo최고의 지식은 사회

봉사와 인류공헌을 위해 쓰이는 것이며 훌륭한 인재는

지성과 공공성으로 무장된 따뜻한 가슴을 겸비한 lsquo선한

인재rsquordquo라며 ldquo민족의 동량 사회의 중심으로 드높은 자부

심을 갖되 지식과 열정을 공동선을 위해 공헌하는 사회

적으로 필요한 인재가 되기 바란다rdquo고 당부했다

제68회 후기 학위수여식

03

01

서울대학교는

신임 보직교수단을

구성했다 신임 보직

교수 임기는 2년으로

2016년까지 대학의

비전을 마련하고

고등교육 발전을 위한

주요 소임을 맡아

활동한다

신임 보직교수 임명

04 06

2014 우수 인재 채용박람회

추석을 맞아 서울대학교 구성원들의 따스한 손길이 어려

운 이웃들에게 전해졌다 인문대학 등 62개 기관에서 모

금한 총 28271500원은 학교 근처의 보육원 사회복지

관 등 도움이 필요한 곳에 전달됐다 성낙인 총장은 아동

복지시설인 상록보육원을 방문해 성금을 전달하며 어린

이들과 보육원 관계자들을 격려했다 그리고 김종서 교

육부총장은 동명 아동복지센터 이우일 연구부총장은 성

민 종합사회복지관 유근배 기획부총장은 선의관악 종합

사회복지관을 각각 찾아 성금을 전달했다

추석 명절 이웃돕기 성금전달

보 직 명 학 과 (부) 성 명

교육부총장 종교학과 김종서

연구부총장 기계항공공학부 이우일

기획부총장 지리학과 유근배

교무처장 화학부 김병문

학생처장 농생명공학부 김정한

연구처장 의학과 박노현

기획처장 법학전문대학원 이철수

기초교육원장 서양사학과 안병직

입학본부장 독어교육과 권오현

국제협력본부장 국제대학원 정종호

보 직 명 학 과 (부) 성 명

정보화본부장 컴퓨터공학부 신영길

교무부처장 겸 교육부처장 치의학대학원 백승학

학생부처장 식품영양학과 한성림

연구부처장 약학과 오정미

기획부처장 독어독문학과 강창우

협력부처장 건설환경공학부 김재영

기초교육부원장 물리middot천문학부 유재준

입학부본부장 고고미술사학과 이준정

국제협력부본부장 국제대학원 신성호

정보화부본부장 경영학과 장정주

NewsNOW

제8기 스누봉사단이 한국수력원자력(주)의 후원으로 8

월 9일부터 20일까지 베트남 라오까이 성에 있는 스빤

마을에서 봉사활동을 진행했다 유성상 교육학과 교수

이우철 치의학대학원 교수 이승표 교수 한동헌 교수

김익규 빗물모아지구사랑 실장 김용환 연구원 서울대

학교 학생 23명으로 구성된 봉사단은 구강보건의료 빗

물 정화 위생교육 등의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 주민들에

게 나눔을 실천했다

제8기 스누봉사단 베트남 봉사활동

0705

훌륭한 공대교수상 선정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올해의 훌륭한 공과대학 교수로

신현식 컴퓨터공학부 교수 이재홍 전기정보공학부 교

수 강신형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를 선정했다 이 상은 교

수들의 연구 활동을 장려하고 산업 기술의 선진화를 꾀

하자는 취지에서 1992년 공과대학 동문들이 출연한 기

금으로 제정됐다 2003년부터 교육상과 연구상 2개 부

문으로 시상해오다가 올해부터 교육상 학술상 산학협

력상 3개 부문으로 확대돼 의미가 더욱 커졌다

경력개발센터는 2014년 하반기 채용 시즌을 맞이해 9월

2일에서 4일까지 대학본부 앞 잔디 광장에서 lsquo새로운 미

래를 여는 SNU 2014 서울대학교 우수인재 채용박람회rsquo

를 개최했다 올해로 11회째를 맞이한 채용박람회에는

6500여 명의 학생들이 참가했다 한편 두산 삼성 현대

자동차 LG SK 등 국내 주요 대기업들과 국방과학연구

소 한국전력공사 등의 공기업 Hakuhodu 그룹 등의 일

본 기업 ASML Korea 등의 외국계 기업 총 130곳이 우

수 인재를 확보하고자 심혈을 기울였다

信義

기부와 나DONATION

유 태 용

나고 자란 곳을 잊지 않는다 어려웠던 순간을 항상

되새긴다 덕분에 유태용 동문은 사회적 성취를 이룬 지금

자신만의 나눔 원칙을 세울 수 있었다

기 부 자 정 보

격동의 세월을 이겨낸 삶

일제강점기를 지나 해방 그리고 한국전쟁까지 1950년에 서

울대학교에 입학한 유태용 동문의 학창시절은 역사적 격동

기와 맞물려 있다 그 시절을 겪어보지 않은 요즘 세대에게 유

동문의 경험은 책에서나 접하는 옛날이야기로 들릴 수 있다

그럼에도 유 동문은 과거를 잊지 않으려 그 시절을 끊임없이

복기한다 당시 경험을 lt어느 서울대 공대생의 한국전쟁gt이

라는 책에 풀어내기도 했다 ldquo요즘은 상상도 못할 이야기죠

이후로도 어렵사리 국가 발전을 이뤘고요 우리 세대가 고생

했다고 알아주길 바라는 건 아닙니다 다만 큰 어려움을 헤

쳐 온 인생 선배들을 보면서 힘든 순간이 닥쳐도 좀 더 지혜롭

게 극복했으면 좋겠습니다rdquo

유태용 동문은 대학 졸업 후 1957년부터 공직 생활을 시작했

다 이후 오랜 기간 공직에 몸담으며 국토 계획과 건설 행정

을 담당했다 유 동문의 전공은 토목공학 그중에서도 방조

제가 전문 분야였다 공직 생활 초창기에 국제원조기구 장학

생으로 선발돼 1962년 미국에서 아카데미 코스를 밟기도 했

다 그렇게 미국에서 수학한 지식을 바탕으로 당시만 해도 단

일목적댐뿐이던 우리나라에 다목적댐을 도입하는 데 기여했

다 ldquo저는 어찌 보면 운이 참 좋은 사람입니다 어려운 시기에

농촌에서 서울대학교에 입학했고 좋은 기회가 닿아 외국에

서 공부하는 경험도 할 수 있었으니까요rdquo

오랜 시간 이어온 남다른 향토애

공직에 있으며 국가 발전에 힘써온 유 동문 그는 오래전 고

향을 떠나왔지만 어려웠던 어린 시절을 잊지 않는다 불과 몇

원하는 수업료가 없어 일곱 살 나이에 수십 킬로미터에 달하

는 거리를 오갔던 기억이 여전히 생생하다 적어도 돈 때문에

공부를 못하는 학생은 없어야겠다는 생각에 이른 건 어쩌면

당연한 일 그러한 경험이 있었기에 유 동문은 자신만의 기부

신념을 세울 수 있었다 ldquo똑같이 모를 심어도 좋은 쌀을 얻으

려면 관리를 잘해야 합니다 모를 심고 가만히 두면 한 섬밖

에 못 얻지만 비료를 주고 잡초를 솎아내면서 키우면 네 가

마니까지 불어나요 사람도 마찬가지입니다 인재도 좋은 환

경이 갖추어져야 자랄 수 있습니다 서울대학교에 입학한 건

시작일 뿐이죠rdquo

유 동문은 서울대학교에 부동산을 기부해 정읍과 고창 출신

후배들을 위한 lsquo정고장학기금rsquo을 마련했다 단지 태어난 곳

에 대한 고집만은 아니다 그 자신이 농촌에서 어렵사리 대학

에 진학했던 까닭에 그곳에서 나고 자란 후배들이 학비 걱정

없이 공부에만 전념할 수 있기를 바라는 선배의 따스한 마음

이다 ldquo예전에도 그랬지만 지금도 농촌에서 몇 백만 원씩 하

는 등록금을 쉽게 마련할 수 있는 집은 많지 않습니다 더구

나 지방에서 공부해서 서울대학교에 온다는 건 쉽지 않아요rdquo

유태용 동문은 장학생들을 직접 만나 격려하는 데에도 적극

적이다 지금은 학생들이 그가 기부한 장학 기금의 혜택을 입

지만 언젠가는 좋은 인재로 성장해 사회에 보탬이 되는 주역

이 되리라 믿는 까닭이다 ldquo서울대학교가 이제 세계에서도 손

꼽히는 대학이 되었다지만 아직도 세상에는 해결하지 못한

연구 과제가 많아요 서울대학교의 많은 인재가 그런 분야에

도 거침없이 도전해 좋은 성과를 내주길 바랍니다rdquo

유태용 한국방재협회 명예회장

내무부와 건설부에서 오랜 기간 국토 계획과 건설 행정을 맡았다 1998년 자연재

해대책법에 따라 한국방재협회 준비위원장에 추대됐고 창립을 준비해 1999년 초

대 회장에 취임한 바 있다

with SNU

토목공학과 학사 ACAD 12기 수료 정고장학기금을 마련해 정읍 고창 출신 학생

들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및 대학원생 재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원하고 있다

ldquo모를 심고 가만히 두면 한 섬밖에 못 얻지만

비료를 주고 잡초를 솎아내면서 키우면

네 가마니까지 불어나요 사람도 마찬가지입니다

인재도 좋은 환경이 갖추어져야 자랄 수 있습니다rdquo

29 28

31 30

기부와 나DONATION

도전 열아홉이란 나이 누군가는 대학 문을 바라보며 책

장을 넘길 시기에 사업을 시작했다 다양한 업종에 손대며

달콤한 성취도 쓰디쓴 실패도 맛본 20대를 지나 서른을 코앞

에 둔 시기에 광장시장 상가 한편에 1평 남짓한 도매 옷가게

를 열었다 그것이 연 매출 1조 원을 올리는 국내 굴지 패션기

업의 출발이었다

근면 어깨에 옷을 짊어지고 고객을 찾아다니길 수차례

서른 살 청년의 성실성을 소매상들은 알아봤다 판로가 열리

니 사업은 자연히 승승장구했다 그러나 10년 후 위기가 닥

쳤다 거래처의 어음이 부도 처리되면서 그 여파를 고스란히

받아야 했다 ldquo부도를 극복하면서 근면의 중요성을 깊이 느

꼈습니다 재기를 생각하며 다시 1평짜리 매장을 얻어 아침 7

시부터 새벽 2시까지 이를 악물고 일했죠rdquo 시작도 그랬지만

이후로도 근면은 최 회장의 삶에 큰 지표가 됐다

배움 일찍이 사회에 진출한 만큼 현장 경험은 누구보다

출중할 터 그러나 최 회장은 lsquo배움에는 끝이 없다rsquo는 생각으

로 경영만 하기도 바쁜 시간을 쪼개 공부를 계속했다 배움의

과정 중에 서울대학교와 인연이 닿았다 학교의 여러 특별과

정을 수료한 것은 물론 서울대학교 패션산업 최고경영자과

정(AFB) 총교우회 회장도 역임했다 ldquo김민자 교수님께서 lsquo바

쁠수록 더 좋은 성과를 낸다rsquo고 말씀하신 적이 있습니다 몸은

분주했지만 세상을 보는 관점은 더욱 넓어질 수 있었습니다rdquo

섬김 최 회장은 오늘날 이룬 성취가 혼자만의 것이 아니

란 점도 매번 되새긴다 패션그룹형지의 성장과 함께 한 대리

점주를 섬기는 해법 중 하나는 교육이다 ldquo사업의 근간인 대

리점주와 함께 호흡하고 성장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일까 고민

하던 차에 생활과학대학 교수님들의 도움으로 lsquo패션그룹형

지 최고경영자과정rsquo을 열었습니다rdquo

나눔 lsquo남 열 걸음 갈 때 반의 반 걸음 더 간다rsquo 최 회장은

기업가로서 성공을 이룬 지금도 이 말을 되새기곤 한다 ldquo남

보다 조금 더 먼저 생각하고 노력하는 작은 차이가 나중에는

큰 성과를 남긴다는 뜻입니다 요즘은 사업이나 일에 대한 것

뿐만 아니라 타인을 향한 배려와 사랑도 반의 반만 앞서 생

각하고 실천하자고 다짐합니다rdquo 최 회장은 lsquo교육은 백년지대

계(百年之大計)rsquo란 말에 동감하며 패션 산업을 이끌어갈 인

재들을 위해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에 기금을 출연했다

또한 지역 발전을 위한 투자를 비롯해 세월호 참사로 고통받

는 유가족과 학생들을 위해 성금을 기부하는 등 다방면에서

나눔을 실천하고 있다 어려운 순간을 딛고 현재의 성취를 이

뤘기에 자신을 키워준 사회에 무엇인가 되돌려주는 나눔이

중요하다고 말하는 최병오 회장 한편으로 그는 lsquo금전적 도움

을 베푸는 자선의 개념을 넘어 재능과 기술을 나누는 나눔의

문화가 필요하다rsquo고 덧붙인다

청년에게 사회에서 일가를 이룬 최병오 회장이 이 시대

를 사는 청년들에게 권하고픈 경험은 다름 아닌 lsquo실패rsquo다 ldquo진

짜 실패는 넘어지는 게 두려워 시도조차 하지 않는 거라고 하

지 않습니까 실패를 두려워하기보다 꿈을 먼저 생각하길 바

랍니다rdquo 최 회장은 목표와 꿈을 추구하는 동시에 타인을 배

려하는 태도 역시 지니길 권한다 그것이 바로 진정한 성공이

요 명품인생을 완성하는 길이기에

切磋琢磨 최 병 오

최병오 회장에게 lsquo근면rsquo은 가장 기본적인 성공 원칙이다

lsquo배움rsquo은 자기 성장의 원동력이며 lsquo섬김rsquo은 상생의

바탕이다 마지막으로 그는 lsquo나눔rsquo이란 대의를 잊지 않는다

ldquo경제적인 어려움으로 배움의 기회를 놓쳐선

안된다고 생각해왔습니다 젊은 나이에

일찍 사업에 뛰어들어 배움에 대한 목마름이

누구보다 컸기 때문입니다rdquo

기 부 자 정 보

최병오 패션그룹형지 대표이사 회장

대한상공회의소 중견기업위원회 위원장이자 윤리경영위원회 위원 또한 한국의

류산업협회 회장과 한국의류산업학회 부회장 등을 맡아 최근 대통령 해외 순방 당

시 경제사절단으로 동행했다

with SNU

AFB 3기 AMP 63기 AIP 42기 AWASB 1기 등을 수료했다 AFB 동창회장과

AFB 동창회 수석부회장을 역임했으며 올해 제13회 AMP 대상을 수상했다 현재

AWASB 동창회장을 맡고 있다

33 32

기부의 향연이 펼쳐지다

바바패션

인문대학 발전기금 1억 원 기부

바바패션(대표이사 회장 문인식)이 인문대학에 발전기금 1억 원을 기부했

다 10월 13일 총장실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성낙인 총장과 문인식 바바

패션 대표이사 회장 유근배 기획부총장 장재성 인문대학장을 비롯해 관

계자 10여 명이 참석했다 성낙인 총장은 ldquo문인식 회장님의 인문학에 대

한 관심과 성원에 감사드린다rdquo며 ldquo이번 기금으로 인문대학의 발전과 인재

양성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이에 문인식 회장은 ldquo바바패

션은 계속해서 나눔 경영을 통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rdquo고 전했

다 문인식 회장은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최고지도자과정(AMP) 72기를

수료하고 현재 인문대학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12기 회장 AMP

총동창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한편 바바패션은 국내 여성 패션 브랜드인

아이잗바바(IZZAT BABA) 지고트(JIGOTT) 등을 비롯한 총 9개의 브

랜드를 보유하고 있으며 심장병 어린이 수술 지원 및 장학 사업도 꾸준히

펼치고 있다

전기컴퓨터공학부 권욱현 명예교수

lsquo권욱현 희망장학기금rsquo 1억 원 기부

지난 6월 17일 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부 권욱현(전기공학 62학번)

명예교수가 lsquo권욱현 희망장학기금rsquo을 조성하고 1억 원을 기부했다 이번

에 마련된 기금은 공과대학과 전기공학부 학생들 가운데 경제적으로 어

려운 학생들에게 지급될 예정이다 변대규 휴맥스 대표를 비롯해 이재원

슈프리마 대표 등 국내 유명 벤처기업 CEO들의 스승으로 유명한 권욱현

명예교수는 2005년 서울대학교 평의원회 의장으로 활동했으며 대한전

기학회장 세계자동제어연맹 부회장 국제자동제어연맹 회장 등을 역임

했다 국제자동제어연맹(IFAC) 회장으로 재임 시 사재 50만 달러를 출연

해 개발도상국 젊은 공학자의 학술 활동을 지원하는 등 후학 양성을 위한

꾸준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김정식 해동과학문화재단 이사장

해동학술정보실 건립기금 30억 원 기부

지난 6월 27일 해동과학문화재단 김정식 이사장(전자공학 48학번)이

lsquo해동학술정보실 건립기금rsquo으로 30억 원을 쾌척했다 이번에 조성된 기금

은 공과대학과 자연과학대학 등 주요 단과대학의 해동학술정보실을 건

설하는데 사용될 예정이다 이번 기금 이외에도 김정식 이사장은 서울대

학교 공과대학 인근 해동학술관과 해동학술정보실 12호관 건립 기금으

로 100억 원이 넘는 금액을 출연하며 꾸준히 모교를 후원하고 있으며 인

재 양성을 위해 한양대 고려대 등 국내 주요 대학에 해동학술정보실 건립

을 지원하고 있다 1972년 대덕전자를 설립해 한국 전자 산업의 기술 개

발을 이끈 선구자로 유명한 김정식 이사장은 1990년 해동과학문화재단

을 만들어 해동상을 재정하는 등 지속적인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

패션그룹형지

생활과학대학 발전기금 3억 원 기부

패션그룹형지(대표이사 회장 최병오)가 생활과학대학에 발전기금 3억 원

을 기부했다 이 기금은 생활과학대학의 교육middot연구활동 및 시설개선 등을

위한 제반 활동에 사용된다 지난 8월 26일 진행된 협약식에서 성낙인 총

장은 ldquo생활과학대학은 패션그룹형지 기금으로 수준 높은 연구 성과와 인

재 배출을 통해 대한민국 대표 인재 양성소로 거듭 날 것rdquo이라고 밝혔으

며 최병오 회장은 ldquo국가 경쟁력을 이끌어가는 리더와 패션 산업 인재를

양성하는 데 패션그룹형지 발전기금이 쓰이길 바란다rdquo고 당부했다 최 회

장은 지난 2003년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패션산업 최고경영자과정

(AFB) 3기를 수료하고 2007년부터 2013년까지 AFB 총교우회 회장을

역임했다 또한 이번 기금 이외에도 꾸준히 후원한 다양한 기금으로 건립

된 lsquo최병오 홀rsquo을 통해 사회 각계각층의 주요 리더들이 교류하는 교육장을

마련했다 1월에는 경영대학 최고경영자과정(AMP) 총동창회가 주최하

는 lsquo제13회 서울대 AMP 대상rsquo을 수상했다

NewsDONATION

유회진 학술정보관 건립 보고 및 감사 행사

ldquo기부금은 이공계 학생들을 위해 써주세요rdquo 故 유회진 박사가 구강암으로 투병

하는 동안 병문안을 갔던 이장무 전임 총장에게 남긴 말이다 서울대학교 기계

설계학과에서 학부와 대학원 생활을 보내고 동아대학교 교수를 역임한 유 박

사는 2009년 구강암 판정을 받았다 그는 암 투병 치료비부터 부모님으로부터

물려받은 유산까지 허투루 쓰지 않고 모은 100억 원이 넘는 전 재산을 서울대

학교에 남기고 2011년 별세했다 유가족이 없는 고인을 위해 서울대학교 발전기

금은 장례를 진행했으며 매년 제사를 지내 뜻을 기린다

지난 7월 2일 관악캠퍼스 공과대학 엔지니어하우스대강당에서 lsquo유회진학술정보

관rsquo 건립 보고 및 감사 행사가 개최됐다 유회진학술정보관은 유회진 기금으로

건립되어 공과대학과 자연대학이 공동 교육 및 연구 시설로 사용할 예정이다 이

날 행사는 오연천 전임 총장의 환영사에 이어 유회진 박사 소개 및 기부 경과보

고 유회진학술정보관 건립 경과보고 순으로 진행됐으며 특별히 故 유회진 박사

의 지인인 서울시립대 권원태(기계설계학과 78학번)교수가 참석했다 그의 숭고

한 마음은 우리 사회의 빛나는 과학자들을 위한 초석이 될 것이다

11월 9일 故 유회진

박사의 3주기가 돌아온다

서울대학교발전기금은

제주(祭主)로서 그를 잊지 않고

사회와 학교를 향한 기부자의

아름다운 정신을 남길 것이다

당신의 아름다운 마무리

35 34

SNU Presidents Honors Club

SNU Honor Club

故 곽명덕 변호사 유가족 (한자영 곽성현 곽성희)

故 구영록 교수 유가족

故 김인제 故 최성순 가족

(故 김동호 故 김동훈 김동준 김진숙 김진옥)

故 이한빈 부총리 가족 (유정혜 이원식 이선이)

고윤석 (물리학과 47입)

고정택 (외교학과 62입)

구영배 (자원공학과 85입)

구재서

권영대 (약학과 55입)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권욱현 (전기공학과 62입)

금장태 (종교학과 62입)

김건식 (법학과 73입)

김경한 (법학과 62입)

김경한 (외교학과 62입)

김광일 (경영학과 84입)

김기봉 middot신경은 (기계공학과 63입 middot화학과 65입)

김기태 (의학과 58졸)

김난도 (소비자아동학부 교수)

김대욱 (조선공학과 76입)

김동길 (화학교육과 57입)

김동훈 (화학과 48입)

김두철 (전자공학과 66입)

김만극 (약학과 47입)

김상헌 (사법학과 82입)

김선동 (화학공학과 59입)

김선화(정자) (국악과 60입)

김성배 (영어영문학과 63입)

김양곤 (IFP 2기)

김연탁 (경제학과 故 김태성 교수의 부)

김연호 (화학공학과 71입)

김영경 (기계공학과 52입) middot김천순

김영석 (3 Plus Logistics 회장)

김영수 (법학과 67입)

김영심 (불어불문학과 故 오현우 교수의 부인)

김영업

김용재 (의과대학 60입)

김용철 (치의학과 55입)

김의신 (의학과 60입)

김의영 (경제학과 54입)

김정희 (간호학과 52입)

김종일 (제어계측공학과 79입)

김진향

김천흥

김철호 (외교학과 70입)

김춘길 (화학생물공학부 58입)

김택수 (법학과 48입)

김하석 middot김영중 (화학과 63입 middot약학과 64입)

김하자 (서양화과 故 하동철 교수의 부인)

김학봉 (한영요업 회장)

김형주 (전자계산기공학과 78입)

나정환 (화학교육과 54입)

남정현 (건축학과 57입)

류무종 (중어중문학과 53입)

류진 (영어영문학과 78입)

마인경 (지리학과 56입)

민계식 (조선항공학과 61입)

민호기 교수 유가족

박대근 (보건대학원 63입)

박맹호 (불어불문학과 52입)

박민식 middot 박금옥 (수의과대학 65입 middot체육교육과 63입)

박봉균 (수의학과 76입)

박숙희 (지리학과 60입)

박용헌 (교육행정학과 53입)

박용호 (수의학과 74입)

朴麟子(가정관리과 82입) 하상예 박임숙 박순영 박노용

박종근 (전기공학과 69입)

박종수 (수의학과 58입)

박종오 (영어영문학과 55입)

박준 (법학과 73입)

박태진 (독어독문학과 80입)

박한제 (동양사학과 69입)

배옥자 (성심가정의학과의원 원장)

백종철 (농공학과 54입)

백형익

법대 48회 졸업생

변대규 (제어계측공학과 79입)

서문자 (간호학과 63입)

손경식 (법학과 57입)

송상용 (화학과 55입)

송상현 (법학과 59입)

송인철 (SPARC 14기)

송학린 (법학과 59입)

신수정 (기악과 59입)

신영길 (계산통계학과 78입)

신영주 (이남장 대표)

신익현 (임학과 79입)

신효영 middot신승연 (故 신광현 교수의 가족)

신희명 (물리교육과 49입)

신희택 (법학과 71입)

심소일 (상학과 49입)

심재성 (前 성보산업 자문위원)

안영경 (前 핸디소프트 고문)

안창엽 (AMP 68기)

양천식

오세경 (약학과 61입)

오승환 (의학과 56입)

오용호 middot오양호 (행정학과 69입 middot법과대학 80입)

오윤덕 (행정학과 61입)

원재연 (경영학과 82입)

유근순

유성숙 (고고미술사학과 故 김원용 교수의 부인)

윤계섭 (상학과 64입)

윤덕우 (경제학과 58입) middot최덕자

윤석금 (웅진그룹 회장)

윤석순 (수의학과 59입)

윤우석 (에너지자원공학과 63입)

이건우 (기계공학과 74입)

이경식 (불어불문학과 55입)

이광희 (지리학과 59입)

이교일 middot박명진

(기계공학과 60입 middot불어불문학과 65입)

이기춘 (가정교육과 61입)

이명현 middot김귀현 (철학과 60입 middot기악과 69입)

이문한 (수의학과 66입)

이병준 (경제학과 55입)

이성규 (사학과 65입)

이성형 (정치학과 82입)

이순원 (가정교육과 54입)

이순형 (가정관리학과 70입)

이신두 (물리학과 76입)

이예식 (약학과 46입)

이용환 (농업교육과 63입)

이용환 (전기공학과 73입)

이원영 (AMP 6기)

이은방 (약학과 55입)

이장무 (제24대 총장)

이재승 (원자핵공학과 59입)

이정섭

이정섭 (종교학과 04입)

이종덕 (물리학과 62입)

이준용 (경제학과 56입)

이지형 (법과대학 85입)

이찬승 (수학교육과 69입)

이창득 (국어교육과 71입)

이창화 (국어국문학과 64입)

이천만 (영어영문학과 故 이상태의 부)

이철승 (법학과 78입)

이철영 (SPARC 17기)

이현수 (농화학과 60입)

이현재 (경제학과 48입)

이형도 (화학공학과 61입)

이홍표 (의과대학 58입)

임길진 교수 유가족

임동진 (법학과 62입)

임현진 (사회학과 67입)

장세권 (농공학과 70입)

장순영

장용국 (법학과 71입)

장재혁 (역사교육과 80입)

장정훈 (약학대학 65입)

전익찬 (지구환경과학부 94입 故 전재규의 부)

전해종 (동양사학과 47졸)

정달훤 (고고미술사학과 87입 故 정은임의 부)

정영현 (공업화학과 85입 정순욱의 부)

정영호 (생물학과 50입) middot 박양숙

정윤환 (임학과 56입)

정재선 (소비자아동학과 93입)

정재준 (前 경보전기 부회장)

정종곤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조동성 (경영학과 67입)

조병직 (법학과 46입)

조석준 (행정학 57졸)

조영식 (수의학과 80입)

조옥환 (부산교통 대표)

조종수 (건국대학교 교수)

조한영 (상학과 43입)

조형준 (미학과 65입)

주중광 middot 허지영 (약학대학 60입 middot 화학과 66입)

차상균 (전기공학과 76입)

차상균 교수 외 제자 12명

채성기 (원자핵공학과 59입)

채제한 (전기공학부 48입 故 채호석의 자)

천문우 (약학과 61입)

최병오 (AFB 3기)

최재열 (조소과 08입 최민주의 부)

최정욱 (화학공학과 49입)

최창원 (심리학과 83입)

최화형 외 3명

풍원자 (임학과 57입 故 용환운의 부인)

하영구 (무역학과 72입)

한규범 (AMP 42기)

한규환 (기계공학과 68입)

한기준 (의학과 52입)

한상복 (사회학과 56입)

한옥희 (화학과 79입)

한장희 middot김재혜 (행정학과 61입 middot 법학과 61입)

허성도 (중어중문학과 68입)

허영인 (SPC그룹 회장)

현기순 (가정교육과 46입)

현정오 (농생물학과 66입)

현택환 (화학과 83입)

홍경자 (간호학과 62입)

홍계수 (법학과 72입 주경숙의 모)

홍길표 (컴퓨터공학부 홍지명의 부)

홍예표 (치의학과 65입)

홍지준 (화학교육과 74입)

황귀례 (제약학과 故 국채호 교수의 부인)

황재홍 (치의학과 90입)

히로나카 헤이스케 (하버드대 명예교수)

Eduard J Stadelmann (前 미네소타대학 교수)

Ken-ichi Arai (동경대 교수)

Peter S Kim (MIT 교수)

Stanley Choy

거평그룹

건일제약

건화엔지니어링

경남기업

경동송천재단

경암교육문화재단

고려아연

공영토건

과학기술혁신 최고전략과정 23기 일동

과학기술혁신 최고전략과정 24기 일동

관악회

광동제약

교보문고

구원장학재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국방과학연구소

국제종합물류

금호아시아나문화재단

김 middot장 법률사무소

김영사

김정문알로에

까사미아

나산실업

남광토건

남영비비안

넥슨코리아

노키아티엠씨

농어촌희망재단

농우바이오

다이소아성산업

다함넷

단암장학재단

대교

대림대학

대양 EampC

대우기전공업

대우엔지니어링

대우테크

대한수의사회

대한통운

돈암장학회

동방

동방상호신용금고

동부대우전자

동부문화재단

동서식품

동아건설산업

동아제약

동양강철

동철문화재단

동화산업장학재단

두을장학재단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롯데관광

롯데쇼핑

매트바이오테크

메디슨

몬산토코리아

미래에셋

미래와도전

미래의동반자재단

민음사

바이로메드

방송문화진흥회

방일영문화재단

법대 39회 동문 일동

법대 84학번 동기회

법대 85학번 동기회

법대최고지도자과정 8기 일동

법대최고지도자과정 10기 일동

법무법인 광장

법무법인 바른

법무법인 세종

법무법인 율촌

법무법인 케이씨엘

법무법인 태평양

법무법인 화우

부경양돈협동조합

비씨카드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동문회

삼양

삼우종합건축사무소

삼일회계법인

삼전순약공업

삼호개발

삼화모터스

상암에너지

상지상사

상진개발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글로벌리더쉽과정

서울대합창단 동문회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석원산업

성남시장학회

성련장학재단

세무법인 조이

세진에프알에스

송우재단

수경출판사

수암장학문화재단

수의과대학 교수 일동

스키부 동문회 일동

시뮬레이션테크

신라교역

신라문화장학재단

신양머그

신한장학재단

썬텍

아모레퍼시픽

아산사회복지재단

안성농장

알앤엘바이오

애드미션

앨트웰민초장학재단

약학교육연수원 이수자 일동

양지농장

영림임업

오뗄

오뚜기재단

오리엔트이엔지

오리온전기

오성엘에스티

와이비엠시사

용운장학회

우덕재단

유기천교수기념사업출판재단

유신

유티씨인베스트먼트

유한재단

유한킴벌리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음악대학 피아노발전기금후원회

이지바이오

인선문화재단

인촌기념회

인탑스

일동제약

일동후디스

일주학술문화재단

재단법인 대우재단

재단법인 정민

재미서울대총동창회

전국은행연합회

정공산업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정수장학회

정헌재단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져스텍

종근당

종로구장학회

좋은책신사고

진생사이언스

진양제약

참존

창강재단

창진영농조합법인

천만장학회

천수기업

천연물과학연구소 교수 일동

천재교육

청합장학회

최고경영자과정 총동창회

최고산업전략과정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middot

미래지도자인문학과정(IFP)

케이씨텍

코스맥스

코오롱

트러스톤자산운용

특수건설

패션그룹형지

포니정장학재단

포휴먼

풀무원

풍산

플라톤아카데미

피에스케이

하나제약

한국간연구재단

한국거래소

한국금융투자협회

한국무역협회

한국문화진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산업은행

한국세포주연구재단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알콜산업

한국외국인학교

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전파기지국

한국증권금융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한국타이어

한국투자신탁운용

한국투자증권

한산이씨양도공파설서공종중

한샘출판

한수통상

해나천연물신약

해성장학회

해태

행정대학원 정보통신과정

현대차 정몽구 재단

현대카드

현대캐피탈

현동장학회

현송교육문화재단

홈플러스e파란재단

효성그룹

휴맥스

AMP 63기 일동

AMP 64기 일동

AMP 65기 일동

AMP 66기 일동

AMP 67기 일동

AMP 68기 일동

AMP 69기 일동

AMP 70기 일동

AMP 71기 일동

AMP 72기 일동

AMP 73기 일동

AMP 74기 일동

AMP 75기 일동

AMP 76기 일동

AMP 77기 일동

AMP 78기 일동

ASSET PLUS투자자문

E1

Eyagi(이야기) CAFE

Goldman Sachs

KDB대우증권

KRX국민행복재단

KTB투자증권

LG연암문화재단

NCSOFT

NHN

NXC

OB맥주

Qualcomm

SECMCA

SIMPAC ANC

SK CampC

SNU 프리시젼

S-Oil

SPARC 15 middot16 middot17 middot18기 일동

1억 원 이상 출연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LG삼성 한국전력공사SK

포스코 웅진한화농업협동조합중앙회

KT 부영신한금융 현대자동차

SPC IBK기업은행

태영현대 금호아시아나롯데장학재단

CJ 대림두산 한진

우리금융 미래국제재단

50억 원 이상 출연

조천식정치학과 45입

윤대섭농공학과 49입

100억 원 이상 출연

정석규화학공학과 48입

이용희태광사 회장

김정식 전자공학과 48입

유회진기계설계학과 78입

SNU Hono r C l ubDONATION

SNU Gold Honors Club

홍성대수학과 57입

이기영前 의대 교수

최창영금속공학과 64입

박영희수학교육과 54입

손장순불어불문학과 54입

유태용토목공학과 50입

김명희middot신정희기악과 91입 김형찬의 모

이필남 박상윤 윤전수middot이삼락

김연혁히로세코리아 감사

서정선의학과 70입

전은기middot김은희 백추현 곽영필토목공학과 56입

박완서의 상속인호원숙 호원순 호원경 호원균

이순자불어불문학과 57입

손동준전자공학과 59입

윤종용전자공학과 62입

정덕균전자공학과 77입

강옥채middot노병수공법학과 83입

민선식경제학과 78입

박병준섬유공학과 52입

서울대학교총동창회

양두석독어독문학과 69입

양윤홍전자공학과 63입

대우 카길애그리퓨리나 동진쎄미켐 하나금융지주

동원 동양 KB금융지주 대우조선해양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대성 로이드선급협회 아시아일진

한국가스공사 녹십자 생명보험협회 현대중공업

메가스터디 TOYOTA MOTOR CORP SK하이닉스 서울장학재단

STX 농심 무한투자 이연제약

대우인터내셔널 송원김영환장학재단 형애장학회 신풍제약

10억 원 이상 출연

현대산업개발

스페코middot삼익악기

영원무역

쌍용양회공업

영원아웃도어

환인제약 주식회사

한국프뢰벨

37 36

춘강문화장학재단 (박성형 이사장)

허성도 (인문대학 명예교수)

형남진장학재단 (이정희 이사장)

강남구청

김형렬 (윤리교육과 교수)

공병영 (사무국장middot시설관리국장)

신흥 (이용익 대표이사)

서영길 (광산학과 53입)

일중장학재단 (송윤영 이사장)

금곡장학회 (이수상 이사장)

덕원장학회 (이헌경 이사장)

강현구 (건축학과 교수)

김명환 (조선해양공학과 75입)

김영수 (법과대학 60입)

김영운 (재료공학부 교수)

서강문 (동물병원 원장)

서동규 (경영학과 84입)

송희영 (영어영문학과 74입)

이근무 (사회학과 56입)

이재호 (경영학과 84입)

주식회사 KTampG 남서울본부 (박정욱 본부장)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박기용 이사장)

가송재단 (윤도준 이사장)

강스템바이오텍 (강경선 대표이사)

유한회사 본음인베스트먼트

이진경 (전국낙지자랑 대표)

주리아 (치과대학 04입)

한승장학회 (이재영 이사장)

키움증권 (권용원 대표이사)

협성문화재단 (박석귀 이사장)

윤상혁 (디자인학부 03입)

GS칼텍스 (허동수 대표이사 회장)

권규돈 (중어중문학과 13입 권기범의 부)

김경준 (농경제학과 82입)

김용팔 (수의과대학 75입)

김재홍 (수의학과 교수)

김진태 (법학과 71입)

문대원 (경영학과 71입)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오근택 대표이사)

박세창 (수의학과 교수)

산학협동재단 (한덕수 이사장)

선암장학재단 (윤호철 이사장)

성제경 (수의학과 교수)

송재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우광덕 (치과대학 64입)

유기윤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유한상 (수의학과 교수)

윤여성 (수의학과 교수)

윤정희 (수의학과대학 부학장)

윤화영 (수의학과 교수)

이건목원리한방병원 (이건목 원장)

이소영 (수의학과 교수)

이항 (수의학과 교수)

이희근 (공과대학 명예교수)

조무제 (법학과 65입)

조성범 (수의학과 교수)

조제열 (수의학과 교수)

중앙백신연구소 (윤인중 대표이사)

지티앤티 (이세한 대표이사)

채찬희 (수의학과 교수)

태평소금 (손일선 회장)

한호재 (수의학과 교수)

해마루 (김현욱 원장)

황인구 (수의학과 교수)

조선에듀케이션 (방정오 대표이사)

강진영 (의학과 69입)

김정기 (법학과 75입)

박달이 (간호대학 74입)

박재완

사회복지법인 건아재단 (심철환 이사장)

손정식 (제약학과 73입)

윤재석 (화학교육과 71입)

이도환 (치의학과 86입)

이동식 (영어교육과 72입)

홍기택 (경영학과 74입)

KT (황창규 대표이사 회장)

LG PC 유지보수센터 (박무광 대표이사)

광주시민장학회 (박기준 이사장)

박영임 (간호학과 73입)

사명희치과 (사명희 원장)

연당장학회 (남욱 회장)

우정장학문화재단 (강백영 이사장)

제노에너지 (김성철 대표이사)

신우호 (화학교육과 87입)

이병욱 (조경학과 81입)

정혜선 (간호학과 82입)

허종필 (공업화학과 73입)

권길주 (조선해양공학과 11입 정지원의 모)

권혜숙 (약학과 82입)

김미영 (간호학과 98입)

김범진 (턱교정학고급연수과정 6기)

김성열 (교육학과 75입)

김우진 (국악과 73입)

녹십자수의약품 (김승목 대표이사)

덕영재단 (전헬리시아 이사장)

류제하 (기계공학과 78입)

문수자동판매기 (김영식 대표)

민기복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민동홍 (독어독문학과 77입)

박종철 (물리학과 61입)

설재연 (심리학과 82입)

송은도 (국악과 01입)

유차영 (ASP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 12기)

신우개발 서울지점 (김익환 사장)

신하순 (동양화과 교수)

안석준 (치의과대학원 부원장

안휘준 (인문대학 명예교수)

양민영 (협동과정 미술교육전공 94입)

양형식 (자원공학과 75입)

옥복연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07입)

우경미 (치의학대학원 교수)

우성공원묘원 (허정산 대표)

우성원 (미학과 95입)

월악장학문화재단 (남기영 이사장)

유건선 (토목공학과 73입)

유흥수 (법학과 58입)

윤희정 (수의학과 교수)

이대혁 (자원공학과 87입)

이병천 (수의학과 교수)

이상돈 (에너지자원공학과 84입)

이승주 (치의학과 92입)

이시우 (의예과 95입)

이용규 (경영학과 84입)

이정인 (공과대학 명예교수)

이희석 (농생물과 57입)

임종후 (서양화과 12입 임지윤의 부)

임한조 (물리학과 67입)

전석원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정소걸 (자원공학과 71입)

정지훈 (치의학과 교수)

조경란 (법학과 79입)

조기웅 (화학과 66입)

조현욱 (사법학과 83입)

최명애 (회화과 70입)

최정욱 (경영학과 84입)

최종길 (법과대학 83입)

하종철 (동양화과 13입 하문원의 부)

한공창 (자원공학과 72입)

한국지하수지열협회 (안근묵 회장)

허형무 (경영대학 68입)

미주재단

Steve Ro (토목공학과 61입)

Soung Kim (임학과 56입)

Joong M Soh (공과대학 64입)

John Baek (금속공학 49입)

Hyunchan Lee (치과대학 70입)

Steve amp Cheryl Shapiro

Kwang S Hong (공과대학 60입)

Moon H Kim (공과대학 68입)

David Cho (공과대학 60입)

Dong Ku Chung (기계공학과 57입)

Sang Dae Lee (농업생명과학대학 80입)

Young D Kim (공과대학 67입)

AMP 78기 일동

삼성복지재단 (이수빈 이사장)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한국세포주연구재단

SK하이닉스 (박성욱 대표이사 사장)

패션그룹형지 (최병오 회장)

한국수력원자력 (조석 사장)

형애장학회 (최효종 이사장)

송원김영환장학재단 (김해련 이사장)

사회복지법인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이기수 이사장)

SECMCA

TOYOTA MOTOR CORP

(요시다 아키히사 대표이사 사장)

권욱현 (공과대학 명예교수)

네이버 (김상헌 대표이사)

부경양돈협동조합 (박재민 조합장)

안인희

전국경제인연합회 (허창수 회장)

현송교육문화재단 (김정일 이사장)

롯데장학재단 (신영자 이사장)

일주학술문화재단 (이선애 이사장)

현대차 정몽구 재단 (유영학 이사장)

박미혜 (성악과 교수)

LG연암문화재단 (구자경 이사장)

KeyGene (Arjen van Tunnen CEO)

아산사회복지재단 (정몽준 이사장)

천만장학회 (이광현 이사장)

방일영문화재단 (조연흥 이사장)

AMP 77기 일동

신라문화장학재단 (박준형 이사장)

SBS문화재단 (윤세영 이사장)

김만극 (약학과 47입)

아이바이오 (김기일 대표이사)

현대엔지니어링 (김위철 대표이사)

종근당고촌재단 (김두현 이사장)

정수장학회 (김삼천 이사장)

Kensary LLP

앨트웰민초장학재단 (김박 이사장)

한국동서발전 (장주옥 사장)

한화갤러리아 (박세훈 대표이사)

한화생명보험 (차남규 대표이사 사장)

한화손해보험 (박윤식 대표이사)

한화첨단소재 (김창범 대표이사)

한화투자증권 (주진형 대표이사 사장)

KEILCO(KEPCO ILJAN CORPORATION)

연강재단 (박용현 이사장)

창강재단 (안병표 이사장)

경기도 인재개발원 (박익수 원장)

대림수암장학문화재단 (변형윤 이사장)

청합장학회 (여상길 회장)

한빛종합동물병원 (임정식 원장)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716900000

364863690

317560000

250000000

220000000

200000000

200000000

150000000

142103500

140000000

139583000

13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98538000

89942000

82426000

70000000

67509000

67500000

62989000

59929000

59208000

53720000

51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44302000

42076000

40918000

40273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39677688

39035000

37244000

37068000

34780000

31047000

31000000

30300600

박종오 (영어영문학과 55입)

이상복 (ABKI문헌지식정보최고위과정 5기)

이상억 (인문대학 명예교수)

한화 (심경섭 대표이사)

한화건설 (김현중 부회장)

한화자산운용 (강신우 대표이사)

한화케미칼 (방한홍 대표이사)

한화호텔앤드리조트 (홍원기 대표이사)

오뚜기재단 (함태호 이사장)

유한재단 (이필상 이사장)

영원무역 (성기학 대표이사 회장)

서울대합창단동문회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전병원 이사장)

국가정책과정(ACAD) 77기 일동

배영수 (서양사학과 교수)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최윤 회장)

몬산토코리아유한회사

(벤자민 마크 후드리스 대표이사)

성련장학재단 (허연금 이사장)

고광우 (행정학과 53입)

김철수 (법과대학 명예교수)

대한적십자사 (유중근 총재)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성기학 이사장)

임현진 (사회과학대학 명예교수)

장문영 (화학과 59입)

재단법인 양영재단 (김상하 이사장)

조유근 (컴퓨터공학부 교수)

두을장학재단 (이인희 이사장)

과천시애향장학회 (신학수 이사장)

서울장학재단 (이경희 이사장)

왕한석 (인류학과 교수)

포니정장학재단 (정몽규 이사장)

조용준 (법학과 79입)

농어촌희망재단 (김달웅 이사장)

경동송천재단 (류덕희 이사장)

농생대 환경재료과학 교수일동

주식회사 천랩 (천종식 대표이사)

돈암장학회 (이용배 이사장)

인선문화재단 (박선영 이사장)

단암장학재단 (이봉서 이사장)

치과대학 치의학대학원 동창회

흥한재단 (박병석 이사장)

선화예술문화재단 (심재혁 대표)

한국미즈노 주식회사 (김창범 대표이사)

곽노섭 (수학과 49입)

19대 인문대 학장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김은선 (디자인학부 13입 조은지의 모)

서광훈 (약학대학 67입)

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ASP) 27기 동문

송재용 (경영학과 교수)

수도씨에이씨 (송명호 대표이사)

신한화구 (한봉근 대표)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28436000

27942000

26000000

24210000

24041200

23994234

22500000

20724000

20500000

20274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18779000

17973600

17934000

17600000

17050000

17000000

165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4000000

14000000

13500000

12000000

12000000

11602000

11102610

10281624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이앤티 (고영호 대표이사)

재단법인 정민 (윤석헌 이사장)

제11기 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천병년 (약학과 77입)

최민철 (농공학과 75입)

현대하이스코 (신성재 대표이사)

황효진 (동양사학과 78입)

대한사료주식회사 (이상민 대표이사)

해성문화재단 (단재완 이사장)

한국가스공사 (장석효 사장)

장석윤 (약학과 79입)

한국석유공사 (서문규 사장)

종로구장학회 (최현종 이사장)

동부문화재단 (강경식 이사장)

인촌기념회 (이용훈 이사장)

용옥장학문화재단 (양철우 이사장)

미래의동반자재단 (Jeffrey D Jones 이사장)

성옥문화재단 (이화일 이사장)

다래파크텍 (김호정 대표이사)

미래인재육성재단 (최양식 이사장)

고화장학회 (배명인 이사장)

한국애질런트테크놀로지스 (박시영 대표)

이재원 (중앙도서관 정보관리과)

리브로 (김경수 대표이사)

오운문화재단 (이동찬 이사장)

조비경농장학재단 (이병만 이사장)

오스템임플란트 (최규옥 대표이사)

한국섬유산업연합회장학재단 (노희찬 이사장)

아카넷 (김정호 사장)

삼송장학회 (김영기 이사장)

서지희 (IFP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11기)

김지호

서울상공회의소 관악구상공회 (김진철 회장)

송파재단 (윤원영 이사장)

김영윤 (토목공학과 62입)

로보로보 (장창남 대표이사)

류판동 (수의과대학장)

모르페우스 (김진수 대표이사)

박윤서 (고고인류학과 69입)

박찬국 (철학과 교수)

송인석 (치의학과 01입)

시그나사회공헌재단 (홍봉성 이사장)

신남식 (수의학과 교수)

약학대학 40회 동기회

와이비엠 (민선식 대표이사)

이필상 (경제학부 교수)

한국경제연구원 (권태신 원장)

황만순 (제약학과 90입)

운경재단 (배성동 이사장)

제봉민병욱장학재단

심명문화재단 (이경재 이사장)

홍산장학재단 (천영주 이사장)

홍수현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9730000

9528000

9140000

9000000

9000000

8690000

8525000

8525000

8178000

8112000

7963000

7928068

7713000

7500000

7000000

6950000

6919590

6058000

6010000

6000000

6000000

5700000

5400000

5357143

5100000

5100000

5089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4934000

4734000

4527000

4500000

4462280

4000000

4000000

4000000

3956000

3862000

3600000

3500000

3029000

3029000

3005000

3005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2706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467000

2467000

22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1865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5145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431445

1221251

1210000

108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단위 $

100000

10000

5000

3000

500

500

200

200

100

100

100

100

20140601 ~ 20140831 약정 단위 원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약정DONATION

39 38

김형렬 (윤리교육과 교수)

이정진 (기계항공공학부 95입)

신흥 (이용익 대표이사)

이창우 (경영학과 교수)

서영길 (광산학과 53입)

일중장학재단 (송윤영 이사장)

금곡장학회 (이수상 이사장)

덕원장학회 (이헌경 이사장)

강현구 (건축학과 교수)

김명환 (조선해양공학과 75입)

김영수 (법과대학 60입)

김영운 (재료공학부 교수)

김종원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김진학 (도시환경최고전문가과정 29기)

박훈 (기계공학과 63입)

서강문 (동물병원 원장)

서동규 (경영학과 84입)

송재홍 (농화학과 83입)

송희영 (영어영문학과 74입)

신남식 (수의학과 교수)

이규선 (조경middot지역시스템공학부 13입 이성용의 부)

이봉호 (치의예과 84입)

이재호 (경영학과 84입)

전병롱 (정책학과 10입 전상우의 부)

전호석 (기계설계학과 71입)

주식회사 KTampG 남서울본부 (박정욱 본부장)

최황 (의과대학 명예교수)

황철성 (재료공학부 교수)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박기용 이사장)

가송재단 (윤도준 이사장)

강스템바이오텍 (강경선 대표이사)

오이코스 (배장영 대표이사)

유한회사 본음인베스트먼트

이진경 (전국낙지자랑 대표)

한승장학회 (이재영 이사장)

윤용혁 (독어교육과 60입)

키움증권 (권용원 대표이사)

협성문화재단 (박석귀 이사장)

이강이 (아동가족학과 교수)

윤상혁 (디자인학부 03입)

윤화영 (수의학과 교수)

GS칼텍스 (허동수 대표이사 회장)

권규돈 (중어중문학과 13입 권기범의 부)

김경준 (농경제학과 82입)

김용팔 (수의과대학 75입)

김재홍 (수의학과 교수)

김진태 (법학과 71입)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이재술 대표이사)

문대원 (경영학과 71입)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오근택 대표이사)

박세창 (수의학과 교수)

산학협동재단 (한덕수 이사장)

선암장학재단 (윤호철 이사장)

성제경 (수의학과 교수)

송재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우광덕 (치과대학 64입)

유기윤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유한상 (수의학과 교수)

윤여성 (수의학과 교수)

윤정희 (수의학과 교수)

이건목원리한방병원 (이건목 원장)

이동진 (교무처 학사과)

이소영 (수의학과 교수)

이인숙 (간호대학 교수)

이항 (수의학과 교수)

이희근 (공과대학 명예교수)

조무제 (법학과 65입)

조성범 (수의학과 교수)

조제열 (수의학과 교수)

주식회사 오공 (김윤정 대표이사)

중앙백신연구소 (윤인중 대표이사)

지티앤티 (이세한 대표이사)

채찬희 (수의학과 교수)

태평소금 (손일선 회장)

한호재 (수의학과 교수)

해마루 (김현욱 원장)

황인구 (수의학과 교수)

조선에듀케이션 (방정오 대표이사)

사회복지법인 건아재단 (심철환 이사장)

KT (황창규 대표이사 회장)

광림교회 (김정석 담임목사)

광주시민장학회 (박기준 이사장)

김기원 (AIP최고산업전략과정 38기)

김상은 (융합과학부 교수)

김혜원 (간호학과 교수)

박종근 (전기공학과 교수)

서병태 (의학과 54입)

송경희 (국악과 59입)

연당장학회 (남욱 회장)

오유경 (약학대학 부학장)

우정장학문화재단 (강백영 이사장)

임현주 (약학과 82입)

전상직 (작곡과 교수)

주리아 (치과대학 04입)

한국마쯔다니 (유태균 대표이사)

홍영표 (GLP글로벌리더십과정 21기)

신우호 (화학교육과 87입)

류판동 (수의과대학장)

이병욱 (조경학과 81입)

김용백 (수의학과 교수)

김종암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정혜선 (간호학과 82입)

강부현 (수의학과 72입)

권길주 (조선해양공학과 11입 정지원의 모)

권혜숙 (약학과 82입)

김경대 (치의학과 82입)

김미영 (간호학과 98입)

김범진 (턱교정학고급연수과정 6기)

김성열 (교육학과 75입)

김종흔 (경영대학 92입)

김현산 (법과대학 54입)

녹십자수의약품 (김승목 대표이사)

덕영재단 (전헬리시아 이사장)

문수자동판매기 (김영식 대표)

민기복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민동홍 (독어독문학과 77입)

박병익 (지리교육과 교수)

박종철 (물리학과 61입)

설재연 (심리학과 82입)

송은도 (국악과 01입)

유차영 (ASP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 12기)

신우개발 서울지점 (김익환 사장)

신하순 (동양화과 교수)

안석준 (치의과대학원 부원장

안휘준 (인문대학 명예교수)

양민영 (협동과정 미술교육전공 94입)

양형식 (자원공학과 75입)

옥복연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07입)

우경미 (치의학대학원 교수)

우성공원묘원 (허정산 대표)

우성원 (미학과 95입)

월악장학문화재단 (남기영 이사장)

유건선 (토목공학과 73입)

유흥수 (법학과 58입)

윤희정 (수의학과 교수)

이기윤 (정치학과 88입)

이대혁 (자원공학과 87입)

이병천 (수의학과 교수)

이상돈 (에너지자원공학과 84입)

이승주 (치의학과 92입)

이시우 (의예과 95입)

이은수 (서울대운동용품 대표)

이정인 (공과대학 명예교수)

임종후 (서양화과 12입 임지윤의 부)

정소걸 (자원공학과 71입)

정지훈 (치의학과 교수)

조경란 (법학과 79입)

조기웅 (화학과 66입)

조현욱 (사법학과 83입)

최명애 (회화과 70입)

최정욱 (경영학과 84입)

최종길 (법과대학 83입)

최해영 (경영대학 행정실)

하종철 (동양화과 13입 하문원의 부)

한공창 (자원공학과 72입)

한국지하수지열협회 (안근묵 회장)

허형무 (경영대학 68입)

미주재단

Steve Ro (토목공학과 61입)

Soung Kim (임학과 56입)

Joong M Soh (공과대학 64입)

John Baek (금속공학 49입)

Hyunchan Lee (치과대학 70입)

Steve amp Cheryl Shapiro

Kwang S Hong (공과대학 60입)

Moon H Kim (공과대학 68입)

David Cho (공과대학 60입)

Dong Ku Chung (기계공학과 57입)

Sang Dae Lee (농업생명과학대학 80입)

Young D Kim (공과대학 67입)

서울대학교병원 (오병희 병원장)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이철희 병원장)

SK가스 (최창원 부회장)

AMP 78기 일동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윤강섭 병원장)

삼성전자 (권오현 대표이사 부회장)

SK하이닉스 (박성욱 대표이사 사장)

삼성복지재단 (이수빈 이사장)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한국세포주연구재단

하나제약 (조경일 회장)

코스맥스 (이경수 대표이사 회장)

패션그룹형지 (최병오 회장)

서울대학교총동창회 (서정화 회장)

한국수력원자력 (조석 사장)

형애장학회 (최효종 이사장)

송원김영환장학재단 (김해련 이사장)

사회복지법인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이기수 이사장)

TOYOTA MOTOR CORP

(요시다 아키히사 대표이사 사장)

권욱현 (공과대학 명예교수)

네이버 (김상헌 대표이사)

현송교육문화재단 (김정일 이사장)

롯데장학재단 (신영자 이사장)

일주학술문화재단 (이선애 이사장)

현대차 정몽구 재단 (유영학 이사장)

LG연암문화재단 (구자경 이사장)

SECMCA

아산사회복지재단 (정몽준 이사장)

천만장학회 (이광현 이사장)

방일영문화재단 (조연흥 이사장)

AMP 77기 일동

신라문화장학재단 (박준형 이사장)

KRX국민행복재단 (최경수 이사장)

SBS문화재단 (윤세영 이사장)

김만극 (약학과 47입)

농우바이오 (정용동 유연희 대표이사)

안인희

전국경제인연합회 (허창수 회장)

정윤환 (임학과 56입)

현대엔지니어링 (김위철 대표이사)

세진에프알에스 라쿠치나 서울대점 (장재훈 대표이사)

재단법인 웅진 (신현웅 이사장)

종근당고촌재단 (김두현 이사장)

정수장학회 (김삼천 이사장)

Kensary LLP

앨트웰민초장학재단 (김박 이사장)

주중광 허지영 (약학대학 60입 화학과 66입)

한국동서발전 (장주옥 사장)

한화갤러리아 (박세훈 대표이사)

한화생명보험 (차남규 대표이사 사장)

한화손해보험 (박윤식 대표이사)

한화첨단소재 (김창범 대표이사)

한화투자증권 (주진형 대표이사 사장)

KEILCO(KEPCO ILJAN CORPORATION)

연강재단 (박용현 이사장)

창강재단 (안병표 이사장)

경기도 인재개발원 (박익수 원장)

대림수암장학문화재단 (변형윤 이사장)

이상억 (인문대학 명예교수)

1432968520

1147748270

1000000000

716900000

615220390

600000000

560000000

364863690

317560000

250000000

220000000

210000000

200000000

200000000

166000000

150000000

142103500

140000000

139583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98538000

89942000

82426000

67509000

66598412

62989000

59929000

59208000

53720000

51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49800000

46522180

44302000

42076000

40918000

40273000

40204972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39677688

39035000

37244000

37068000

34780000

31800000

청합장학회 (여상길 회장)

한빛종합동물병원 (임정식 원장)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두산 (박용만 대표이사 회장)

송미순 (간호학과 교수)

이상복 (ABKI문헌지식정보최고위과정 5기)

한화 (심경섭 대표이사)

한화건설 (김현중 부회장)

한화자산운용 (강신우 대표이사)

한화케미칼 (방한홍 대표이사)

한화호텔앤드리조트 (홍원기 대표이사)

오뚜기재단 (함태호 이사장)

재단법인 최혁영 장학회 (최혁영 회장)

유한재단 (이필상 이사장)

영원무역 (성기학 대표이사 회장)

부경양돈협동조합 (박재민 조합장)

져스텍 (김용일 대표이사)

서울대합창단동문회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전병원 이사장)

국가정책과정(ACAD) 77기 일동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최윤 회장)

몬산토코리아유한회사

(벤자민 마크 후드리스 대표이사)

성련장학재단 (허연금 이사장)

고광우 (행정학과 53입)

대한적십자사 (유중근 총재)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성기학 이사장)

임현진 (사회학과 교수)

재단법인 양영재단 (김상하 이사장)

조유근 (컴퓨터공학부 교수)

두을장학재단 (이인희 이사장)

과천시애향장학회 (신학수 이사장)

서울장학재단 (이경희 이사장)

왕한석 (인류학과 교수)

포니정장학재단 (정몽규 이사장)

조용준 (법학과 79입)

농어촌희망재단 (김달웅 이사장)

경동송천재단 (류덕희 이사장)

김신원 (응용화학과 64입)

농생대 환경재료과학 교수일동

주식회사 천랩 (천종식 대표이사)

돈암장학회 (이용배 이사장)

인선문화재단 (박선영 이사장)

단암장학재단 (이봉서 이사장)

치과대학 치의학대학원 동창회

흥한재단 (박병석 이사장)

선화예술문화재단 (심재혁 대표)

한국미즈노 주식회사 (김창범 대표이사)

곽노섭 (수학과 49입)

19대 인문대 학장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김은선 (디자인학부 13입 조은지의 모)

바텍 (노창준 대표이사)

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ASP) 27기 동문

수도씨에이씨 (송명호 대표이사)

신한화구 (한봉근 대표)

이앤티 (고영호 대표이사)

장문영 (화학과 59입)

제11기 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조경일 (약학대학 64입)

주식회사 명진팜 (권기진 대표이사)

31047000

31000000

303006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28436000

28081000

27942000

26000000

25000366

25000000

24210000

24041200

23994234

20724000

20500000

20274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18779000

17973600

17934000

17600000

17050000

17000000

165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4000000

14000000

13500000

12000000

12000000

11602000

11102610

10281624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천병년 (약학과 77입)

최민철 (농공학과 75입)

현대하이스코 (신성재 대표이사)

황효진 (동양사학과 78입)

대한사료주식회사 (이상민 대표이사)

해성문화재단 (단재완 이사장)

한국가스공사 (장석효 사장)

김춘길 (화학생물공학부 58입)

애드미션 (김유탁 대표이사)

종로구장학회 (최현종 이사장)

동부문화재단 (강경식 이사장)

인촌기념회 (이용훈 이사장)

용옥장학문화재단 (양철우 이사장)

미래의동반자재단 (Jeffrey D Jones 이사장)

김영윤 (토목공학과 62입)

성옥문화재단 (이화일 이사장)

다래파크텍 (김호정 대표이사)

미래인재육성재단 (최양식 이사장)

고화장학회 (배명인 이사장)

이재원 (중앙도서관 정보관리과)

리브로 (김경수 대표이사)

오운문화재단 (이동찬 이사장)

조비경농장학재단 (이병만 이사장)

박지향 (중앙도서관장)

오스템임플란트 (최규옥 대표이사)

한국섬유산업연합회장학재단 (노희찬 이사장)

한옥희 (화학과 79입)

아카넷 (김정호 사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정기택 원장)

삼송장학회 (김영기 이사장)

서지희 (IFP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11기)

김지호

서울상공회의소 관악구상공회 (김진철 회장)

박찬국 (철학과 교수)

송파재단 (윤원영 이사장)

김재길 (법학과 56입)

로보로보 (장창남 대표이사)

모르페우스 (김진수 대표이사)

박성경 정성창 (치의학과 96입)

박윤서 (고고인류학과 69입)

서용석 (상학과 46입) 정재원

송인석 (치의학과 01입)

송재용 (경영학과 교수)

시그나사회공헌재단 (홍봉성 이사장)

약학대학 40회 동기회

와이비엠 (민선식 대표이사)

이필상 (경제학부 교수)

한국경제연구원 (권태신 원장)

황만순 (제약학과 90입)

운경재단 (배성동 이사장)

제봉민병욱장학재단

심명문화재단 (이경재 이사장)

홍산장학재단 (천영주 이사장)

홍수현

박미혜 (성악과 교수)

박영아 (물리학과 79입)

최동하 (농경제학과 71입)

춘강문화장학재단 (박성형 이사장)

허성도 (인문대학 명예교수)

형남진장학재단 (이정희 이사장)

강남구청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9730000

9528000

9140000

9000000

9000000

8690000

8525000

8525000

8178000

8112000

8000000

7963000

7928068

7713000

7500000

6950000

6919590

6058000

6010000

6000000

6000000

6000000

6000000

5700000

5556000

5400000

5357143

5100000

5100000

5090000

5089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4934000

4734000

4527000

4500000

446228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3956000

3862000

3750000

3500000

3120000

3029000

3029000

3005000

3005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2706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467000

2467000

2467000

2400000

2230000

215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1865000

1800000

15145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431445

1300000

1275251

1260000

1200000

106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단위 $

100000

10000

5000

3000

500

500

200

200

100

100

100

100

단위 원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20140601 ~ 20140831 출연

출연DONATION

40

서울대학교는 기부금을 출연한 후원인에게 더욱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국내 최고 수준의 의

료서비스를 자랑하는 서울대학교병원 이용 예우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으며 서울대학교병원 후원인

라운지에 상주하는 전담 직원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후원자 중 추가 진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본원 또는 분당 서울대학교병원과의 즉각

적인 연계가 가능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 본원 조윤지 | Tel 02-2272-2750 E-mail sosunolovesnuackr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강수정 | Tel 031-787-1915 E-mail c8541snubhorg

(재)서울대학교발전기금 김종희 | Tel 02-871-1633 E-mail p2727snuackr

bull병원 예우 담당자

bull서울대학교병원 예우 서비스 이용 안내

예약대행 서비스 | 진료 및 입원 예약 대행 병원 측과 협의 후 예약일자 결정

의전 서비스 | 진료middot입원middot응급실 이용 편의를 위해 예우 담당자가 직접 안내

종합건강검진 주선 서비스(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bull서울대학교병원 예우 서비스 내용

지원 자격 활동 기간

bull경제적 지원이 필요한 학생

(건강보험료 기준) 우선 선발

bull성적 45만점 환산 30 이상

lsquo 새싹 멘토링rsquo은 빈곤의 대물림을 막기 위한 자선 봉사활동으로

전국 국공립대학의 우수한 학생이 저소득층 중middot고등학생의

학습을 도우며 장학금을 받는 프로그램입니다

bull최소 6개월~12개월

bull활동 실적에 따라 졸업 시까지

연차적으로 기회 부여

새싹멘토링의

멘토가

되어주세요

bull전화 02-880-1593(새싹 멘토링 서울대학교 본부) bull팩스 02-780-2647(미래국제재단 여의도 본사)

bull이메일 mifsnuhanmailnet 새싹 멘토링 지원 방법 문의 시 상세히 안내해드립니다

서울대학교와 미래국제재단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봉사활동에 학생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다립니다

기부인의 따뜻한 마음에

다양한 혜택의 예우 서비스로

보답합니다

출연 기금 진료예약 의전 서비스 종합건강검진 주선

50억 이상 평생 평생 연 1회(평생 프리미엄 검진)

10억 이상 평생 10년 연 1회(평생)

5억 이상

1억 원당 1년(기한)

5년

1억 원당 연 1회(기한)3억 이상 3년

1억 이상 1년

서울대학교병원 본원 후원인 전담 직원이 진료 예약 및 의전 서비스까지 친절하게 안내해 드립니다

문의처 병원 후원인 라운지(본관 3층) 또는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후원인 전담 직원이 진료 예약 및 의전 서비스까지 친절하게 안내해 드립니다

문의처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또는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강남센터와의 즉각적인 연계를 통해 강남센터 상담 직원이 후원자 여러분께 상담 전화를 드립니다

문의처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기부인 예우 프로그램DONATION

SeoulNational University

151-742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1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

T 02-880-5114 F 02-885-5272wwwsnuackr

C o v e r S t o r y

과학자의 공식

좋은 연구를 하겠다는 신념으로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걸어온 사람

miRNA 분야의 세계적인 개척자 김빛내리 교수다

그녀는 노벨상 수상에 가장 근접한 국내 과학자로 꼽힌다

도전과 실패 인내를 거듭하며 세계적인 과학자 반열에 오르기까지

그녀의 행보를 통해 성공과 신뢰 만족을 얻는 인생 공식을 알아본다

Page 11: SNU Magazine Vol. 38 › new › wp-content › uploads › 2015 › 12 › snu_people... · 2016-01-30 · 우수 연구자 시리즈 10 유상렬 농생명공학부 교수 06 선배와의

19 18

여행과 봉사를 한번에 볼런투어

Who 글로벌사회공헌단 bull Where 경상남도 함양군 bull What 일손 돕기 목가구 제작 벽화 그리기 등

드림컨설턴트는 2010년 학내 봉사 동아리로 출범해 2012년 서울

시 비영리 민간단체 공식인가를 받은 서울시 NGO다 lsquo꿈rsquo이라는 주

제 아래 lsquo촉촉콘서트rsquo lsquo드림커넥터rsquo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

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이들이 8월 8일부터 10일까지 경상남도

창원 구암고등학교에 머물렀다 2박 3일간 고등학생 꿈 찾기 프로

그램인 lsquo드림캠프rsquo를 진행하기 위해서다

드림캠프는 직업군으로 나누어 꾸민 부스에서 멘토가 강연하는 lsquo직

업 박람회rsquo 자신의 꿈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해보는 lsquo드림스토밍rsquo

문제 상황에 부딪쳤을 때 필요한 가치관을 이야기해보는 lsquo가치관 동

맹rsquo lsquo모의 면접rsquo 등의 프로그램으로 탄탄하게 구성됐다 뿐만 아니

라 봉사 단원들은 고등학생들이 자신의 가치관을 살펴보고 모호한

꿈을 좀 더 구체적으로 그리며 진로를 고민해볼 수 있도록 직접 교

재까지 제작하는 열의를 보였다 지난 4년 동안 꾸준히 성장해온 드

림컨설턴트가 꾸려나갈 앞으로의 모습이 더욱 궁금해진다

꿈을 발견하는 곳 드림캠프

Who 드림컨설턴트

Where 경상남도 창원시

What 고등학생 꿈 찾기 캠프

방학 계획을 물을 때 lsquo여행rsquo과 lsquo봉사활동rsquo은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단골 소재다 글로벌사회공헌단은 이 두 가지를 동시에 할 수 있는

프로젝트 lsquo볼런투어rsquo를 마련했다 자원봉사(Volunteer)와 여행

(Tour)을 합친 볼런투어는 개인의 재능을 통해 사회공헌 사각지대

에 필요한 자원을 제공하는 활동이다

이번 볼런투어는 8월 6일부터 9일까지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에서

진행됐다 5개 팀으로 나뉘어진 학생들은 각각 농촌 일손 돕기 목가

구 제작 벽화 그리기 어르신 사진 촬영 지역아동센터 교육 봉사 등

의 개별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낯선 일이었지만 학생들은 땀을 흘리

며 사과 농장을 일구고 마을 입구에 놓을 초대형 평상을 제작하는

등 각자의 재능을 통해 나눔을 실천했다

모든 일정이 계획대로 진행된 것은 아니다 프로젝트 기간 동안 함양

군을 지나간 태풍 lsquo나크리rsquo 탓에 벽화팀이 애써 그린 작품 대부분이

지워진 것 돌발 상황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최선을 다한 학생들에게

마을 주민들은 고마움을 표현했다 함양군에서의 3박 4일은 이들에

게 잊지 못할 경험으로 기억될 것이다

자연과학대학은 2006년 경상북도 영덕군과 lsquo관학 협력 및 지역사

회 개발에 관한 협정rsquo을 체결했다 그 후 매년 여름마다 영덕 지역 청

소년들의 적성과 소질을 개발하고 대학생들의 인성 함양을 위해 멘

토링 프로그램과 과학 캠프를 개최해왔다 올해 역시 자연과학대학

재학생으로 구성된 봉사단이 영덕 지역 청소년들과 만났다

8월 5일부터 7일까지 이어진 캠프 첫날 고등학생 25명을 대상으로

lsquo대학 진학 멘토 교실rsquo이 열렸다 입시를 앞둔 이들에게 실질적인 조

언을 해주는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이 미리 준비해 온 질문에 봉사단

원들의 진지한 답변이 이어졌다 이어서 진행된 lsquo과학 캠프rsquo 봉사단

은 물리천문학 생명과학 지구환경과학 화학 수리과학 등의 각 전

공을 살려 중학생 75명과 함께 과학 실험을 진행했다 서울대학교

봉사단원들은 아이들이 과학을 어렵지 않게 느끼도록 실험을 도우

며 재미있는 분위기를 이끌었다

이번 캠프는 열정적으로 참여한 학생들 덕분에 참가자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에게도 높은 호응을 이끌었다 에너지 넘치는 자연과학대

학 봉사단과 함께 할 내년 여름을 기대해본다

청소년 100명과의 만남 과학 캠프

Who 자연과학대학 봉사단

Where 경상북도 영덕군

What 청소년을 위한 멘토링 과학 캠프

학생들의 학습을 꼼꼼히 지도하는 드림컨설턴트

직접 그린 벽화 앞에서 포즈를 취한 볼런투어 벽화팀

과학 실험 삼매경에 빠진 캠프 참여 청소년

Campu s OnNOW

각양각색 봉사활동 열전

태양이 이글대던 두 달이 쏜살같이 지나가버렸다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여름

방학 속 가장 기억에 남는 일은 무엇이었는가 무더운 여름보다 더 뜨겁게 방학을 보낸

사람들이라면 금세 대답할 수 있을 것이다

21 20

서울대학교 세계 최고를 꿈꾼다

서울대학교는 영국 대학평가기관 QS(Quacquarelli Symonds)가 발표하는 2014 QS 세계대학평가(QS

World University Rankings)에서 31위를 차지했다 1994년부터 시작된 QS 세계대학평가는 전 세계 대학

에 대한 평가로 학계 평판 40 연구 영향도(교수 1인당 논문 피인용 수) 20 졸업생 평판도 10 교수 대

학생 비율 20 외국인 교수 비율 5 외국인 학생 비율 5를 합산해 평가한다 올해 발표된 평가의 1위는

미국 MIT(매사추세츠공대)였으며 아시아 대학 가운데서는 싱가포르국립대학교(NUS)가 22위 홍콩대학교

(HKU)가 28위에 올랐다

서울대학교는 해외 학계에서의 인지도를 알 수 있는 학계 평판(Academic Reputation) 및 기업인 대상 설문

조사로 평가하는 졸업생 평판 항목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향후 논문 피인용 수 증가를 통해 연구 영향도 분

야에서 개선을 추구해 나가는 한편 구성원의 글로벌 다양성 확보를 위해서도 노력할 계획이다

2014 QS 세계대학평가가 9월 발표됐다 2004년 118위에서 2010년 50위 2011년 42위

2012년 37위 2013년 35위 그리고 올해 서울대학교는 역대 최고 성적을 경신했다

118

93

63

5147

50

4237

35

31

50

140

40

20

0

120

100

80

60

순위2005년 2009년 2012년2006년 2010년 2013년2007년 2011년 2014년2004년 2008년

QS Ranking지난 11년간의 성과

연도 별 순위

lsquo창업론 실습rsquo 커리큘럼

STEP 1 조별 사업 기획

STEP 2 약 300만 원의 지원금과 창업 공간 지원

STEP 3 기업가들의 컨설팅

STEP 4 학점 취득

통찰력 있는

미래의 창업가를 키운다

연합전공 벤처경영학

표준적인 인재는 많지만 특출난 인재는

늘 부족하다 기업가 정신을 갖추고 끊임없이

도전하는 인재들의 양성소

연합전공 벤처경영학을 소개한다

새로운 경제 성장의 동력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lsquo창업 부흥rsquo

정책이 정부를 비롯해 지방자치단체 중소기업청 등에서 이

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학생들의 대기업 선호 현상과 lsquo창업은

위험한 도박rsquo이라는 인식은 여전하다 대기업 입사를 위한 다

양한 프로그램과 유학 스터디 등이 활발한 것과 달리 창업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은 아이디어를 나눌 공간이 없고 경험 있

는 선배로부터 직접적인 조언을 얻기도 쉽지 않다 이러한 문

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이 나섰다

올해 설립된 벤처경영학 전공은 학생들이 실제로 창업을 경

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lsquo창업론 실습 1middot2rsquo 과목을 수

강하는 학생들은 조별로 사업을 기획해보고 약 300만 원과

창업 공간을 지원받으며 기업가들의 컨설팅을 받게 된다 이

런 과정을 통해 학점도 취득할 수 있다 이밖에 벤처경영학과

에서는 철학과 경영학과 컴퓨터공학부 식품동물생명공학

부 등 연합전공에 참여한 학과의 개설 과목은 물론 제품 기획

론 창업론 특강 벤처사업 기회 연구 등 벤처 운영에 도움이

되는 과목을 함께 수강할 수 있다

실리콘밸리와 맞닿아 있는 스탠포드대학교는 구글 야후 휴

렛팩커드 등 초일류 기업의 창업자들을 배출했으며 오늘날

이 대학 출신이 창업한 기업의 연 매출은 우리나라 국내총생

산(GDP)의 2배를 넘을 정도로 큰 성과를 내고 있다고 한다

창업을 지원하는 학내 인프라와 프로그램 그리고 실제 벤처

기업을 운영하는 교수진이 있기에 가능한 일이다 서울대학

교 벤처경영학이 미래의 한국 벤처 생태계를 구축할 혁신적

인 기업가 양성 교육의 훌륭한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

Campu s OnNOW

연합전공 시리즈 3

23 22

문화생활백서 in SNU

과제 시험 그리고 또 과제 학교에 갇혀 있는

날이 계속되다 보면 잠깐이나마 쉴 곳을 찾게

된다 왠지 모르게 무기력해지고 답답한 순간

당신에게는 lsquo휴식rsquo이 필요하다

빼곡한 강의실 책만 가득할 것 같은

서울대학교 안에도 여유 시간을 알차게 보낼

수 있는 놀라운 공간들이 구석구석 숨어 있다

벌써부터 방학을 그리워하는 학생들에게

캠퍼스의 각종 문화 시설은 달콤한 선물이

되어줄 것이다 학교 안에서 즐기는

문화생활의 lsquo핫 플레이스rsquo를 소개한다

영화관이 학교 안에

미술관을 지나 오르막길을 오르다 보면 현수막 하나가 눈에 띈다

2004년부터 작품성은 높지만 대중적 인기는 얻지 못한 진흙 속의

진주 같은 영화를 소개하는 lsquo수요시네마rsquo 프로그램이다 매월 둘째

주 수요일 문화관에서 무료로 관람 가능하다 더불어 학교의 중심

중앙도서관 영상자료실도 혼자 영화 보기 안성맞춤인 곳이다 비교

적 최신 DVD까지 소장하고 있어 공강 시간을 보내기 유용하다

몸 튼튼 마음 튼튼

서울대학교에선 원한다면 누구나 각종 운동을 섭렵할 수 있다 공과

대학에는 테니스장과 농구장 인공 암벽등반 시설이 있으며 기숙사

에는 축구 운동장과 더불어 야구 연습 탁구 농구 등을 할 수 있는 실

내 체육관이 있다 종합운동장에선 축구와 미식축구를 할 수 있으며

마라톤 트랙이 있어 다른 운동도 가능하다

정문 근처 포스코(POSCO) 스포츠센터는 2001년에 문을 연 4층 건

물로 서울대학교의 대표 체육 시설이다 수영과 헬스뿐만 아니라 골

프와 댄스 발레 요가 등 전문 강사가 진행하는 다양한 강좌가 있다

시설이 좋아 lsquo미녀는 괴로워rsquo 등의 영화와 드라마 촬영지로도 사용됐

다 이외에 체육 교육과에서도 매 학기 테니스 필라테스 탁구 등을

소규모로 배울 수 있는 건강 운동 강좌를 개설하고 있다 에너지 넘

치는 학생들에게 서울대학교는 즐거운 놀이터다

음악감상실

장소 학생회관 111호

운영시간

학기 중 평일 930~1730

학기 중 토요일 930~1330

수요시네마

장소 문화원 중강당

비용 무료

문의 02-880-7924

정문 옆 미술관

정문 너머 왼편에는 독특하고 아름다운 외형의 건물이 있다 바로 서

울대학교 미술관 MoA 프리츠커 건축상을 수상한 렘 콜하스가 설

계했다 한 해 3~4회의 전시가 열리는 MoA는 타 학교 미대에서 관

람을 올 정도의 높은 전시 수준을 자랑한다 학교 구성원과 지역민

등을 대상으로 하는 미술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뿐만 아니라 도

슨트 교육을 받고 선발되어 활동하면 문화자원봉사 확인증을 주는

자원봉사 프로그램도 있다 미술관 입구 앞 독특한 조형물도 하나의

볼거리니 방문한다면 여기서부터 관람을 시작하자

MoA

운영시간 화~일요일 1000~1800(입장마감 1730)

관람료 3000원

문의 02-880-9504

포스코 스포츠센터

운영시간 평일 600~2230 토요일 1000~1700

문의 02-880-6980

Campu s OnNOW

음악이 들려주는 비밀

호그와트(영화 lsquo해리포터rsquo의 마법학교)에 비밀의 방이 있다면 서울

대학교에는 음악감상실이 있다 학생회관 식권 판매대 옆 두꺼운 문

을 열면 나타나는 음악감상실은 예전부터 높은 경쟁률을 뚫고 선발

된 DJ가 수준 높은 음악을 들려주는 것으로 명성이 자자했다 한국

최초 그래미 수상자 황병문 동문도 음악감상실 DJ 출신이다 문화

관에서 시작되는 lsquo걷고 싶은 거리rsquo는 음악대학 학생들의 연주와 노

래 소리를 들으며 산책하기 좋다 덧붙여 음악대학에서는 매 학기

lsquo화요음악회rsquo를 개최한다 1994년부터 20년째 이어지는 음악회다

오디션을 통해 선발된 공연팀이 무대에 올라 질 높은 음악을 들을 수

있으며 누구나 관람 가능하다 문화관과 자하연 사이에 위치한 스탠

드에서는 때때로 즉흥 연주가 벌어진다 버스킹의 정확한 일정은 없

으니 지나치다 익숙한 음악이 들리면 놓치지 말고 들러보자

1 2

3

4

화요음악회

장소 문화관

비용 무료

문의 02-880-7903

25 24

미래인재학교란 서울대학교 입학본부 주관으로 진행되는 고교 지원 프로그램으로

서울대학교 교수와 학생이 직접 지역 고등학교에서 지식을 전달한다

92명

13기 수료생

100명

14기 수료생미래인재학교

수료생 현황

미래 인재를 위한 꼼꼼한 준비

서울대학교는 7월과 8월 전라남도 고흥middot여수에서 미래인재학교

13 14기를 개최했다 미래인재학교는 지역 간 교육 환경 격차를 완

화하고 고교생의 소질과 적성을 개발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서울

대학교 교수 강의와 재학생 멘토링 등을 통해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다 개최 지역에 따라 맞춤형으로 운영하기 때문에 4

개월 정도의 준비 기간이 필요하다 각 기수마다 재학생 멘토팀을 선

발해 프로그램을 새롭게 기획하는 것은 물론 담당 입학사정관과 멘

토팀이 몇 차례의 답사를 통해 현지 교육 환경을 이해하고 운영 시설

을 확인하는 등 프로그램을 세심하게 꾸려나간다

열정 가득한 학생들과 3박 4일

나로도 소재 국립고흥청소년우주체험센터에서 진행된 미래인재학

교 13기에서는 고흥 소재 8개 고등학교 1 2학년생 92명이 3박 4

일의 과정을 수료했고 14기에서는 여수 소재 10개 고등학교 1학년

학생 100명이 나흘 간의 과정을 마쳤다 특히 이번 멘토팀은 개최지

의 요청에 따라 역대 최대 규모로 조직됐는데 이들 중에는 고교 재

학 중 미래인재학교 수료생으로 참가했던 3명의 학생도 있었다

각 학교장의 추천을 받아 선발된 고등학생들은 입학식과 더불어 핸

드폰을 모두 담당 교사에게 제출하는 등 바른 수업 태도와 학업 의

지를 보여주었고 쉴 틈 없이 짜인 프로그램에도 중도 탈락하는 사

람 하나 없이 참가자 전원이 수료증을 받을 수 있었다

교수 멘토 멘티의 특급 하모니

3박 4일 동안 고등학생들과 함께 숙식하며 프로그램 운영은 물론

학생들의 생활지도까지 맡은 서울대학교 재학생 멘토들 이들은

lsquo아이스 브레이킹rsquo lsquo주제 토론rsquo lsquo고교 생활의 Know-Howrsquo lsquo11 멘

토링rsquo lsquo도전 골든벨rsquo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학생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했다 물리천문학부 홍승수 명예교수 등 고교생

의 눈높이에 맞게 선정한 다양한 학과의 교수 강연은 학생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참가 고등학생들 역시 강의 2주 전 배포한 강연

자료를 예습해왔고 강의가 끝난 후에도 호기심을 충족하기 위해

교수님을 따라 행사장 밖까지 나가 질문하는 열의를 보였다 이번

행사가 서울대학교 학생들에겐 나눔의 기쁨을 개최 지역의 고등학

생들에겐 배움의 기회를 주었길 바란다

지역 인재는 우리가 기른다

전라남도 고흥과 여수에 서울대학교 학생들이 떴다 미래 후배들의 소질과 적성 개발을

돕는 멘토링 프로그램 lsquo미래인재학교rsquo를 진행하기 위해서다 이번에는 개최지의 요청에

따라 역대 최대 규모의 멘토팀이 조직됐다 고등학교 시절 배움을 위해 lsquo미래인재학교rsquo를

찾았던 학생도 지식을 나눠주는 멘토가 되어 돌아왔다 고등학생들과 동고동락하며 여름의

열기보다 뜨거운 4일을 보낸 이들을 만나보자

멘토링 시간에 조별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학생들

참가 학생이 자신의 의견을 발표하고 있는 모습

대학 입학에 관해 강의하는 홍승수 명예교수

Campu s OnNOW

step1

step2

step3

27 26

서울대학교는 8월 29일 관악캠퍼스 문화관 중강당에서

교수 학생 직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교수 정년식을 진행

했다 노태돈 국사학과 교수 임현진 사회학과 교수 안

정선 생명과학부 교수 김명모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장

호익 디자인학부 교수 한문희 불어교육과 교수 김민자

의류학과 교수 황준연 국악과 교수 이성철 의학과 교수

등 26명이 명예로운 정년을 맞아 정든 캠퍼스를 아름답

게 떠났다 이날 행사에서는 박종화 환경대학원 교수가

정년 교수진을 대표해 감사와 당부의 인사말을 전했다

교수 정년식

02

서울대학교는 8월 28일 관악캠퍼스 종합체육관에서 제

68회 후기 학위수여식을 개최했다 이번 학위수여식에

서는 학사 850명 석사 989명 박사 522명 등 총 2361

명이 학위를 받았다 성낙인 총장은 ldquo최고의 지식은 사회

봉사와 인류공헌을 위해 쓰이는 것이며 훌륭한 인재는

지성과 공공성으로 무장된 따뜻한 가슴을 겸비한 lsquo선한

인재rsquordquo라며 ldquo민족의 동량 사회의 중심으로 드높은 자부

심을 갖되 지식과 열정을 공동선을 위해 공헌하는 사회

적으로 필요한 인재가 되기 바란다rdquo고 당부했다

제68회 후기 학위수여식

03

01

서울대학교는

신임 보직교수단을

구성했다 신임 보직

교수 임기는 2년으로

2016년까지 대학의

비전을 마련하고

고등교육 발전을 위한

주요 소임을 맡아

활동한다

신임 보직교수 임명

04 06

2014 우수 인재 채용박람회

추석을 맞아 서울대학교 구성원들의 따스한 손길이 어려

운 이웃들에게 전해졌다 인문대학 등 62개 기관에서 모

금한 총 28271500원은 학교 근처의 보육원 사회복지

관 등 도움이 필요한 곳에 전달됐다 성낙인 총장은 아동

복지시설인 상록보육원을 방문해 성금을 전달하며 어린

이들과 보육원 관계자들을 격려했다 그리고 김종서 교

육부총장은 동명 아동복지센터 이우일 연구부총장은 성

민 종합사회복지관 유근배 기획부총장은 선의관악 종합

사회복지관을 각각 찾아 성금을 전달했다

추석 명절 이웃돕기 성금전달

보 직 명 학 과 (부) 성 명

교육부총장 종교학과 김종서

연구부총장 기계항공공학부 이우일

기획부총장 지리학과 유근배

교무처장 화학부 김병문

학생처장 농생명공학부 김정한

연구처장 의학과 박노현

기획처장 법학전문대학원 이철수

기초교육원장 서양사학과 안병직

입학본부장 독어교육과 권오현

국제협력본부장 국제대학원 정종호

보 직 명 학 과 (부) 성 명

정보화본부장 컴퓨터공학부 신영길

교무부처장 겸 교육부처장 치의학대학원 백승학

학생부처장 식품영양학과 한성림

연구부처장 약학과 오정미

기획부처장 독어독문학과 강창우

협력부처장 건설환경공학부 김재영

기초교육부원장 물리middot천문학부 유재준

입학부본부장 고고미술사학과 이준정

국제협력부본부장 국제대학원 신성호

정보화부본부장 경영학과 장정주

NewsNOW

제8기 스누봉사단이 한국수력원자력(주)의 후원으로 8

월 9일부터 20일까지 베트남 라오까이 성에 있는 스빤

마을에서 봉사활동을 진행했다 유성상 교육학과 교수

이우철 치의학대학원 교수 이승표 교수 한동헌 교수

김익규 빗물모아지구사랑 실장 김용환 연구원 서울대

학교 학생 23명으로 구성된 봉사단은 구강보건의료 빗

물 정화 위생교육 등의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 주민들에

게 나눔을 실천했다

제8기 스누봉사단 베트남 봉사활동

0705

훌륭한 공대교수상 선정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올해의 훌륭한 공과대학 교수로

신현식 컴퓨터공학부 교수 이재홍 전기정보공학부 교

수 강신형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를 선정했다 이 상은 교

수들의 연구 활동을 장려하고 산업 기술의 선진화를 꾀

하자는 취지에서 1992년 공과대학 동문들이 출연한 기

금으로 제정됐다 2003년부터 교육상과 연구상 2개 부

문으로 시상해오다가 올해부터 교육상 학술상 산학협

력상 3개 부문으로 확대돼 의미가 더욱 커졌다

경력개발센터는 2014년 하반기 채용 시즌을 맞이해 9월

2일에서 4일까지 대학본부 앞 잔디 광장에서 lsquo새로운 미

래를 여는 SNU 2014 서울대학교 우수인재 채용박람회rsquo

를 개최했다 올해로 11회째를 맞이한 채용박람회에는

6500여 명의 학생들이 참가했다 한편 두산 삼성 현대

자동차 LG SK 등 국내 주요 대기업들과 국방과학연구

소 한국전력공사 등의 공기업 Hakuhodu 그룹 등의 일

본 기업 ASML Korea 등의 외국계 기업 총 130곳이 우

수 인재를 확보하고자 심혈을 기울였다

信義

기부와 나DONATION

유 태 용

나고 자란 곳을 잊지 않는다 어려웠던 순간을 항상

되새긴다 덕분에 유태용 동문은 사회적 성취를 이룬 지금

자신만의 나눔 원칙을 세울 수 있었다

기 부 자 정 보

격동의 세월을 이겨낸 삶

일제강점기를 지나 해방 그리고 한국전쟁까지 1950년에 서

울대학교에 입학한 유태용 동문의 학창시절은 역사적 격동

기와 맞물려 있다 그 시절을 겪어보지 않은 요즘 세대에게 유

동문의 경험은 책에서나 접하는 옛날이야기로 들릴 수 있다

그럼에도 유 동문은 과거를 잊지 않으려 그 시절을 끊임없이

복기한다 당시 경험을 lt어느 서울대 공대생의 한국전쟁gt이

라는 책에 풀어내기도 했다 ldquo요즘은 상상도 못할 이야기죠

이후로도 어렵사리 국가 발전을 이뤘고요 우리 세대가 고생

했다고 알아주길 바라는 건 아닙니다 다만 큰 어려움을 헤

쳐 온 인생 선배들을 보면서 힘든 순간이 닥쳐도 좀 더 지혜롭

게 극복했으면 좋겠습니다rdquo

유태용 동문은 대학 졸업 후 1957년부터 공직 생활을 시작했

다 이후 오랜 기간 공직에 몸담으며 국토 계획과 건설 행정

을 담당했다 유 동문의 전공은 토목공학 그중에서도 방조

제가 전문 분야였다 공직 생활 초창기에 국제원조기구 장학

생으로 선발돼 1962년 미국에서 아카데미 코스를 밟기도 했

다 그렇게 미국에서 수학한 지식을 바탕으로 당시만 해도 단

일목적댐뿐이던 우리나라에 다목적댐을 도입하는 데 기여했

다 ldquo저는 어찌 보면 운이 참 좋은 사람입니다 어려운 시기에

농촌에서 서울대학교에 입학했고 좋은 기회가 닿아 외국에

서 공부하는 경험도 할 수 있었으니까요rdquo

오랜 시간 이어온 남다른 향토애

공직에 있으며 국가 발전에 힘써온 유 동문 그는 오래전 고

향을 떠나왔지만 어려웠던 어린 시절을 잊지 않는다 불과 몇

원하는 수업료가 없어 일곱 살 나이에 수십 킬로미터에 달하

는 거리를 오갔던 기억이 여전히 생생하다 적어도 돈 때문에

공부를 못하는 학생은 없어야겠다는 생각에 이른 건 어쩌면

당연한 일 그러한 경험이 있었기에 유 동문은 자신만의 기부

신념을 세울 수 있었다 ldquo똑같이 모를 심어도 좋은 쌀을 얻으

려면 관리를 잘해야 합니다 모를 심고 가만히 두면 한 섬밖

에 못 얻지만 비료를 주고 잡초를 솎아내면서 키우면 네 가

마니까지 불어나요 사람도 마찬가지입니다 인재도 좋은 환

경이 갖추어져야 자랄 수 있습니다 서울대학교에 입학한 건

시작일 뿐이죠rdquo

유 동문은 서울대학교에 부동산을 기부해 정읍과 고창 출신

후배들을 위한 lsquo정고장학기금rsquo을 마련했다 단지 태어난 곳

에 대한 고집만은 아니다 그 자신이 농촌에서 어렵사리 대학

에 진학했던 까닭에 그곳에서 나고 자란 후배들이 학비 걱정

없이 공부에만 전념할 수 있기를 바라는 선배의 따스한 마음

이다 ldquo예전에도 그랬지만 지금도 농촌에서 몇 백만 원씩 하

는 등록금을 쉽게 마련할 수 있는 집은 많지 않습니다 더구

나 지방에서 공부해서 서울대학교에 온다는 건 쉽지 않아요rdquo

유태용 동문은 장학생들을 직접 만나 격려하는 데에도 적극

적이다 지금은 학생들이 그가 기부한 장학 기금의 혜택을 입

지만 언젠가는 좋은 인재로 성장해 사회에 보탬이 되는 주역

이 되리라 믿는 까닭이다 ldquo서울대학교가 이제 세계에서도 손

꼽히는 대학이 되었다지만 아직도 세상에는 해결하지 못한

연구 과제가 많아요 서울대학교의 많은 인재가 그런 분야에

도 거침없이 도전해 좋은 성과를 내주길 바랍니다rdquo

유태용 한국방재협회 명예회장

내무부와 건설부에서 오랜 기간 국토 계획과 건설 행정을 맡았다 1998년 자연재

해대책법에 따라 한국방재협회 준비위원장에 추대됐고 창립을 준비해 1999년 초

대 회장에 취임한 바 있다

with SNU

토목공학과 학사 ACAD 12기 수료 정고장학기금을 마련해 정읍 고창 출신 학생

들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및 대학원생 재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원하고 있다

ldquo모를 심고 가만히 두면 한 섬밖에 못 얻지만

비료를 주고 잡초를 솎아내면서 키우면

네 가마니까지 불어나요 사람도 마찬가지입니다

인재도 좋은 환경이 갖추어져야 자랄 수 있습니다rdquo

29 28

31 30

기부와 나DONATION

도전 열아홉이란 나이 누군가는 대학 문을 바라보며 책

장을 넘길 시기에 사업을 시작했다 다양한 업종에 손대며

달콤한 성취도 쓰디쓴 실패도 맛본 20대를 지나 서른을 코앞

에 둔 시기에 광장시장 상가 한편에 1평 남짓한 도매 옷가게

를 열었다 그것이 연 매출 1조 원을 올리는 국내 굴지 패션기

업의 출발이었다

근면 어깨에 옷을 짊어지고 고객을 찾아다니길 수차례

서른 살 청년의 성실성을 소매상들은 알아봤다 판로가 열리

니 사업은 자연히 승승장구했다 그러나 10년 후 위기가 닥

쳤다 거래처의 어음이 부도 처리되면서 그 여파를 고스란히

받아야 했다 ldquo부도를 극복하면서 근면의 중요성을 깊이 느

꼈습니다 재기를 생각하며 다시 1평짜리 매장을 얻어 아침 7

시부터 새벽 2시까지 이를 악물고 일했죠rdquo 시작도 그랬지만

이후로도 근면은 최 회장의 삶에 큰 지표가 됐다

배움 일찍이 사회에 진출한 만큼 현장 경험은 누구보다

출중할 터 그러나 최 회장은 lsquo배움에는 끝이 없다rsquo는 생각으

로 경영만 하기도 바쁜 시간을 쪼개 공부를 계속했다 배움의

과정 중에 서울대학교와 인연이 닿았다 학교의 여러 특별과

정을 수료한 것은 물론 서울대학교 패션산업 최고경영자과

정(AFB) 총교우회 회장도 역임했다 ldquo김민자 교수님께서 lsquo바

쁠수록 더 좋은 성과를 낸다rsquo고 말씀하신 적이 있습니다 몸은

분주했지만 세상을 보는 관점은 더욱 넓어질 수 있었습니다rdquo

섬김 최 회장은 오늘날 이룬 성취가 혼자만의 것이 아니

란 점도 매번 되새긴다 패션그룹형지의 성장과 함께 한 대리

점주를 섬기는 해법 중 하나는 교육이다 ldquo사업의 근간인 대

리점주와 함께 호흡하고 성장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일까 고민

하던 차에 생활과학대학 교수님들의 도움으로 lsquo패션그룹형

지 최고경영자과정rsquo을 열었습니다rdquo

나눔 lsquo남 열 걸음 갈 때 반의 반 걸음 더 간다rsquo 최 회장은

기업가로서 성공을 이룬 지금도 이 말을 되새기곤 한다 ldquo남

보다 조금 더 먼저 생각하고 노력하는 작은 차이가 나중에는

큰 성과를 남긴다는 뜻입니다 요즘은 사업이나 일에 대한 것

뿐만 아니라 타인을 향한 배려와 사랑도 반의 반만 앞서 생

각하고 실천하자고 다짐합니다rdquo 최 회장은 lsquo교육은 백년지대

계(百年之大計)rsquo란 말에 동감하며 패션 산업을 이끌어갈 인

재들을 위해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에 기금을 출연했다

또한 지역 발전을 위한 투자를 비롯해 세월호 참사로 고통받

는 유가족과 학생들을 위해 성금을 기부하는 등 다방면에서

나눔을 실천하고 있다 어려운 순간을 딛고 현재의 성취를 이

뤘기에 자신을 키워준 사회에 무엇인가 되돌려주는 나눔이

중요하다고 말하는 최병오 회장 한편으로 그는 lsquo금전적 도움

을 베푸는 자선의 개념을 넘어 재능과 기술을 나누는 나눔의

문화가 필요하다rsquo고 덧붙인다

청년에게 사회에서 일가를 이룬 최병오 회장이 이 시대

를 사는 청년들에게 권하고픈 경험은 다름 아닌 lsquo실패rsquo다 ldquo진

짜 실패는 넘어지는 게 두려워 시도조차 하지 않는 거라고 하

지 않습니까 실패를 두려워하기보다 꿈을 먼저 생각하길 바

랍니다rdquo 최 회장은 목표와 꿈을 추구하는 동시에 타인을 배

려하는 태도 역시 지니길 권한다 그것이 바로 진정한 성공이

요 명품인생을 완성하는 길이기에

切磋琢磨 최 병 오

최병오 회장에게 lsquo근면rsquo은 가장 기본적인 성공 원칙이다

lsquo배움rsquo은 자기 성장의 원동력이며 lsquo섬김rsquo은 상생의

바탕이다 마지막으로 그는 lsquo나눔rsquo이란 대의를 잊지 않는다

ldquo경제적인 어려움으로 배움의 기회를 놓쳐선

안된다고 생각해왔습니다 젊은 나이에

일찍 사업에 뛰어들어 배움에 대한 목마름이

누구보다 컸기 때문입니다rdquo

기 부 자 정 보

최병오 패션그룹형지 대표이사 회장

대한상공회의소 중견기업위원회 위원장이자 윤리경영위원회 위원 또한 한국의

류산업협회 회장과 한국의류산업학회 부회장 등을 맡아 최근 대통령 해외 순방 당

시 경제사절단으로 동행했다

with SNU

AFB 3기 AMP 63기 AIP 42기 AWASB 1기 등을 수료했다 AFB 동창회장과

AFB 동창회 수석부회장을 역임했으며 올해 제13회 AMP 대상을 수상했다 현재

AWASB 동창회장을 맡고 있다

33 32

기부의 향연이 펼쳐지다

바바패션

인문대학 발전기금 1억 원 기부

바바패션(대표이사 회장 문인식)이 인문대학에 발전기금 1억 원을 기부했

다 10월 13일 총장실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성낙인 총장과 문인식 바바

패션 대표이사 회장 유근배 기획부총장 장재성 인문대학장을 비롯해 관

계자 10여 명이 참석했다 성낙인 총장은 ldquo문인식 회장님의 인문학에 대

한 관심과 성원에 감사드린다rdquo며 ldquo이번 기금으로 인문대학의 발전과 인재

양성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이에 문인식 회장은 ldquo바바패

션은 계속해서 나눔 경영을 통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rdquo고 전했

다 문인식 회장은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최고지도자과정(AMP) 72기를

수료하고 현재 인문대학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12기 회장 AMP

총동창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한편 바바패션은 국내 여성 패션 브랜드인

아이잗바바(IZZAT BABA) 지고트(JIGOTT) 등을 비롯한 총 9개의 브

랜드를 보유하고 있으며 심장병 어린이 수술 지원 및 장학 사업도 꾸준히

펼치고 있다

전기컴퓨터공학부 권욱현 명예교수

lsquo권욱현 희망장학기금rsquo 1억 원 기부

지난 6월 17일 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부 권욱현(전기공학 62학번)

명예교수가 lsquo권욱현 희망장학기금rsquo을 조성하고 1억 원을 기부했다 이번

에 마련된 기금은 공과대학과 전기공학부 학생들 가운데 경제적으로 어

려운 학생들에게 지급될 예정이다 변대규 휴맥스 대표를 비롯해 이재원

슈프리마 대표 등 국내 유명 벤처기업 CEO들의 스승으로 유명한 권욱현

명예교수는 2005년 서울대학교 평의원회 의장으로 활동했으며 대한전

기학회장 세계자동제어연맹 부회장 국제자동제어연맹 회장 등을 역임

했다 국제자동제어연맹(IFAC) 회장으로 재임 시 사재 50만 달러를 출연

해 개발도상국 젊은 공학자의 학술 활동을 지원하는 등 후학 양성을 위한

꾸준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김정식 해동과학문화재단 이사장

해동학술정보실 건립기금 30억 원 기부

지난 6월 27일 해동과학문화재단 김정식 이사장(전자공학 48학번)이

lsquo해동학술정보실 건립기금rsquo으로 30억 원을 쾌척했다 이번에 조성된 기금

은 공과대학과 자연과학대학 등 주요 단과대학의 해동학술정보실을 건

설하는데 사용될 예정이다 이번 기금 이외에도 김정식 이사장은 서울대

학교 공과대학 인근 해동학술관과 해동학술정보실 12호관 건립 기금으

로 100억 원이 넘는 금액을 출연하며 꾸준히 모교를 후원하고 있으며 인

재 양성을 위해 한양대 고려대 등 국내 주요 대학에 해동학술정보실 건립

을 지원하고 있다 1972년 대덕전자를 설립해 한국 전자 산업의 기술 개

발을 이끈 선구자로 유명한 김정식 이사장은 1990년 해동과학문화재단

을 만들어 해동상을 재정하는 등 지속적인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

패션그룹형지

생활과학대학 발전기금 3억 원 기부

패션그룹형지(대표이사 회장 최병오)가 생활과학대학에 발전기금 3억 원

을 기부했다 이 기금은 생활과학대학의 교육middot연구활동 및 시설개선 등을

위한 제반 활동에 사용된다 지난 8월 26일 진행된 협약식에서 성낙인 총

장은 ldquo생활과학대학은 패션그룹형지 기금으로 수준 높은 연구 성과와 인

재 배출을 통해 대한민국 대표 인재 양성소로 거듭 날 것rdquo이라고 밝혔으

며 최병오 회장은 ldquo국가 경쟁력을 이끌어가는 리더와 패션 산업 인재를

양성하는 데 패션그룹형지 발전기금이 쓰이길 바란다rdquo고 당부했다 최 회

장은 지난 2003년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패션산업 최고경영자과정

(AFB) 3기를 수료하고 2007년부터 2013년까지 AFB 총교우회 회장을

역임했다 또한 이번 기금 이외에도 꾸준히 후원한 다양한 기금으로 건립

된 lsquo최병오 홀rsquo을 통해 사회 각계각층의 주요 리더들이 교류하는 교육장을

마련했다 1월에는 경영대학 최고경영자과정(AMP) 총동창회가 주최하

는 lsquo제13회 서울대 AMP 대상rsquo을 수상했다

NewsDONATION

유회진 학술정보관 건립 보고 및 감사 행사

ldquo기부금은 이공계 학생들을 위해 써주세요rdquo 故 유회진 박사가 구강암으로 투병

하는 동안 병문안을 갔던 이장무 전임 총장에게 남긴 말이다 서울대학교 기계

설계학과에서 학부와 대학원 생활을 보내고 동아대학교 교수를 역임한 유 박

사는 2009년 구강암 판정을 받았다 그는 암 투병 치료비부터 부모님으로부터

물려받은 유산까지 허투루 쓰지 않고 모은 100억 원이 넘는 전 재산을 서울대

학교에 남기고 2011년 별세했다 유가족이 없는 고인을 위해 서울대학교 발전기

금은 장례를 진행했으며 매년 제사를 지내 뜻을 기린다

지난 7월 2일 관악캠퍼스 공과대학 엔지니어하우스대강당에서 lsquo유회진학술정보

관rsquo 건립 보고 및 감사 행사가 개최됐다 유회진학술정보관은 유회진 기금으로

건립되어 공과대학과 자연대학이 공동 교육 및 연구 시설로 사용할 예정이다 이

날 행사는 오연천 전임 총장의 환영사에 이어 유회진 박사 소개 및 기부 경과보

고 유회진학술정보관 건립 경과보고 순으로 진행됐으며 특별히 故 유회진 박사

의 지인인 서울시립대 권원태(기계설계학과 78학번)교수가 참석했다 그의 숭고

한 마음은 우리 사회의 빛나는 과학자들을 위한 초석이 될 것이다

11월 9일 故 유회진

박사의 3주기가 돌아온다

서울대학교발전기금은

제주(祭主)로서 그를 잊지 않고

사회와 학교를 향한 기부자의

아름다운 정신을 남길 것이다

당신의 아름다운 마무리

35 34

SNU Presidents Honors Club

SNU Honor Club

故 곽명덕 변호사 유가족 (한자영 곽성현 곽성희)

故 구영록 교수 유가족

故 김인제 故 최성순 가족

(故 김동호 故 김동훈 김동준 김진숙 김진옥)

故 이한빈 부총리 가족 (유정혜 이원식 이선이)

고윤석 (물리학과 47입)

고정택 (외교학과 62입)

구영배 (자원공학과 85입)

구재서

권영대 (약학과 55입)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권욱현 (전기공학과 62입)

금장태 (종교학과 62입)

김건식 (법학과 73입)

김경한 (법학과 62입)

김경한 (외교학과 62입)

김광일 (경영학과 84입)

김기봉 middot신경은 (기계공학과 63입 middot화학과 65입)

김기태 (의학과 58졸)

김난도 (소비자아동학부 교수)

김대욱 (조선공학과 76입)

김동길 (화학교육과 57입)

김동훈 (화학과 48입)

김두철 (전자공학과 66입)

김만극 (약학과 47입)

김상헌 (사법학과 82입)

김선동 (화학공학과 59입)

김선화(정자) (국악과 60입)

김성배 (영어영문학과 63입)

김양곤 (IFP 2기)

김연탁 (경제학과 故 김태성 교수의 부)

김연호 (화학공학과 71입)

김영경 (기계공학과 52입) middot김천순

김영석 (3 Plus Logistics 회장)

김영수 (법학과 67입)

김영심 (불어불문학과 故 오현우 교수의 부인)

김영업

김용재 (의과대학 60입)

김용철 (치의학과 55입)

김의신 (의학과 60입)

김의영 (경제학과 54입)

김정희 (간호학과 52입)

김종일 (제어계측공학과 79입)

김진향

김천흥

김철호 (외교학과 70입)

김춘길 (화학생물공학부 58입)

김택수 (법학과 48입)

김하석 middot김영중 (화학과 63입 middot약학과 64입)

김하자 (서양화과 故 하동철 교수의 부인)

김학봉 (한영요업 회장)

김형주 (전자계산기공학과 78입)

나정환 (화학교육과 54입)

남정현 (건축학과 57입)

류무종 (중어중문학과 53입)

류진 (영어영문학과 78입)

마인경 (지리학과 56입)

민계식 (조선항공학과 61입)

민호기 교수 유가족

박대근 (보건대학원 63입)

박맹호 (불어불문학과 52입)

박민식 middot 박금옥 (수의과대학 65입 middot체육교육과 63입)

박봉균 (수의학과 76입)

박숙희 (지리학과 60입)

박용헌 (교육행정학과 53입)

박용호 (수의학과 74입)

朴麟子(가정관리과 82입) 하상예 박임숙 박순영 박노용

박종근 (전기공학과 69입)

박종수 (수의학과 58입)

박종오 (영어영문학과 55입)

박준 (법학과 73입)

박태진 (독어독문학과 80입)

박한제 (동양사학과 69입)

배옥자 (성심가정의학과의원 원장)

백종철 (농공학과 54입)

백형익

법대 48회 졸업생

변대규 (제어계측공학과 79입)

서문자 (간호학과 63입)

손경식 (법학과 57입)

송상용 (화학과 55입)

송상현 (법학과 59입)

송인철 (SPARC 14기)

송학린 (법학과 59입)

신수정 (기악과 59입)

신영길 (계산통계학과 78입)

신영주 (이남장 대표)

신익현 (임학과 79입)

신효영 middot신승연 (故 신광현 교수의 가족)

신희명 (물리교육과 49입)

신희택 (법학과 71입)

심소일 (상학과 49입)

심재성 (前 성보산업 자문위원)

안영경 (前 핸디소프트 고문)

안창엽 (AMP 68기)

양천식

오세경 (약학과 61입)

오승환 (의학과 56입)

오용호 middot오양호 (행정학과 69입 middot법과대학 80입)

오윤덕 (행정학과 61입)

원재연 (경영학과 82입)

유근순

유성숙 (고고미술사학과 故 김원용 교수의 부인)

윤계섭 (상학과 64입)

윤덕우 (경제학과 58입) middot최덕자

윤석금 (웅진그룹 회장)

윤석순 (수의학과 59입)

윤우석 (에너지자원공학과 63입)

이건우 (기계공학과 74입)

이경식 (불어불문학과 55입)

이광희 (지리학과 59입)

이교일 middot박명진

(기계공학과 60입 middot불어불문학과 65입)

이기춘 (가정교육과 61입)

이명현 middot김귀현 (철학과 60입 middot기악과 69입)

이문한 (수의학과 66입)

이병준 (경제학과 55입)

이성규 (사학과 65입)

이성형 (정치학과 82입)

이순원 (가정교육과 54입)

이순형 (가정관리학과 70입)

이신두 (물리학과 76입)

이예식 (약학과 46입)

이용환 (농업교육과 63입)

이용환 (전기공학과 73입)

이원영 (AMP 6기)

이은방 (약학과 55입)

이장무 (제24대 총장)

이재승 (원자핵공학과 59입)

이정섭

이정섭 (종교학과 04입)

이종덕 (물리학과 62입)

이준용 (경제학과 56입)

이지형 (법과대학 85입)

이찬승 (수학교육과 69입)

이창득 (국어교육과 71입)

이창화 (국어국문학과 64입)

이천만 (영어영문학과 故 이상태의 부)

이철승 (법학과 78입)

이철영 (SPARC 17기)

이현수 (농화학과 60입)

이현재 (경제학과 48입)

이형도 (화학공학과 61입)

이홍표 (의과대학 58입)

임길진 교수 유가족

임동진 (법학과 62입)

임현진 (사회학과 67입)

장세권 (농공학과 70입)

장순영

장용국 (법학과 71입)

장재혁 (역사교육과 80입)

장정훈 (약학대학 65입)

전익찬 (지구환경과학부 94입 故 전재규의 부)

전해종 (동양사학과 47졸)

정달훤 (고고미술사학과 87입 故 정은임의 부)

정영현 (공업화학과 85입 정순욱의 부)

정영호 (생물학과 50입) middot 박양숙

정윤환 (임학과 56입)

정재선 (소비자아동학과 93입)

정재준 (前 경보전기 부회장)

정종곤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조동성 (경영학과 67입)

조병직 (법학과 46입)

조석준 (행정학 57졸)

조영식 (수의학과 80입)

조옥환 (부산교통 대표)

조종수 (건국대학교 교수)

조한영 (상학과 43입)

조형준 (미학과 65입)

주중광 middot 허지영 (약학대학 60입 middot 화학과 66입)

차상균 (전기공학과 76입)

차상균 교수 외 제자 12명

채성기 (원자핵공학과 59입)

채제한 (전기공학부 48입 故 채호석의 자)

천문우 (약학과 61입)

최병오 (AFB 3기)

최재열 (조소과 08입 최민주의 부)

최정욱 (화학공학과 49입)

최창원 (심리학과 83입)

최화형 외 3명

풍원자 (임학과 57입 故 용환운의 부인)

하영구 (무역학과 72입)

한규범 (AMP 42기)

한규환 (기계공학과 68입)

한기준 (의학과 52입)

한상복 (사회학과 56입)

한옥희 (화학과 79입)

한장희 middot김재혜 (행정학과 61입 middot 법학과 61입)

허성도 (중어중문학과 68입)

허영인 (SPC그룹 회장)

현기순 (가정교육과 46입)

현정오 (농생물학과 66입)

현택환 (화학과 83입)

홍경자 (간호학과 62입)

홍계수 (법학과 72입 주경숙의 모)

홍길표 (컴퓨터공학부 홍지명의 부)

홍예표 (치의학과 65입)

홍지준 (화학교육과 74입)

황귀례 (제약학과 故 국채호 교수의 부인)

황재홍 (치의학과 90입)

히로나카 헤이스케 (하버드대 명예교수)

Eduard J Stadelmann (前 미네소타대학 교수)

Ken-ichi Arai (동경대 교수)

Peter S Kim (MIT 교수)

Stanley Choy

거평그룹

건일제약

건화엔지니어링

경남기업

경동송천재단

경암교육문화재단

고려아연

공영토건

과학기술혁신 최고전략과정 23기 일동

과학기술혁신 최고전략과정 24기 일동

관악회

광동제약

교보문고

구원장학재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국방과학연구소

국제종합물류

금호아시아나문화재단

김 middot장 법률사무소

김영사

김정문알로에

까사미아

나산실업

남광토건

남영비비안

넥슨코리아

노키아티엠씨

농어촌희망재단

농우바이오

다이소아성산업

다함넷

단암장학재단

대교

대림대학

대양 EampC

대우기전공업

대우엔지니어링

대우테크

대한수의사회

대한통운

돈암장학회

동방

동방상호신용금고

동부대우전자

동부문화재단

동서식품

동아건설산업

동아제약

동양강철

동철문화재단

동화산업장학재단

두을장학재단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롯데관광

롯데쇼핑

매트바이오테크

메디슨

몬산토코리아

미래에셋

미래와도전

미래의동반자재단

민음사

바이로메드

방송문화진흥회

방일영문화재단

법대 39회 동문 일동

법대 84학번 동기회

법대 85학번 동기회

법대최고지도자과정 8기 일동

법대최고지도자과정 10기 일동

법무법인 광장

법무법인 바른

법무법인 세종

법무법인 율촌

법무법인 케이씨엘

법무법인 태평양

법무법인 화우

부경양돈협동조합

비씨카드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동문회

삼양

삼우종합건축사무소

삼일회계법인

삼전순약공업

삼호개발

삼화모터스

상암에너지

상지상사

상진개발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글로벌리더쉽과정

서울대합창단 동문회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석원산업

성남시장학회

성련장학재단

세무법인 조이

세진에프알에스

송우재단

수경출판사

수암장학문화재단

수의과대학 교수 일동

스키부 동문회 일동

시뮬레이션테크

신라교역

신라문화장학재단

신양머그

신한장학재단

썬텍

아모레퍼시픽

아산사회복지재단

안성농장

알앤엘바이오

애드미션

앨트웰민초장학재단

약학교육연수원 이수자 일동

양지농장

영림임업

오뗄

오뚜기재단

오리엔트이엔지

오리온전기

오성엘에스티

와이비엠시사

용운장학회

우덕재단

유기천교수기념사업출판재단

유신

유티씨인베스트먼트

유한재단

유한킴벌리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음악대학 피아노발전기금후원회

이지바이오

인선문화재단

인촌기념회

인탑스

일동제약

일동후디스

일주학술문화재단

재단법인 대우재단

재단법인 정민

재미서울대총동창회

전국은행연합회

정공산업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정수장학회

정헌재단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져스텍

종근당

종로구장학회

좋은책신사고

진생사이언스

진양제약

참존

창강재단

창진영농조합법인

천만장학회

천수기업

천연물과학연구소 교수 일동

천재교육

청합장학회

최고경영자과정 총동창회

최고산업전략과정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middot

미래지도자인문학과정(IFP)

케이씨텍

코스맥스

코오롱

트러스톤자산운용

특수건설

패션그룹형지

포니정장학재단

포휴먼

풀무원

풍산

플라톤아카데미

피에스케이

하나제약

한국간연구재단

한국거래소

한국금융투자협회

한국무역협회

한국문화진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산업은행

한국세포주연구재단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알콜산업

한국외국인학교

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전파기지국

한국증권금융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한국타이어

한국투자신탁운용

한국투자증권

한산이씨양도공파설서공종중

한샘출판

한수통상

해나천연물신약

해성장학회

해태

행정대학원 정보통신과정

현대차 정몽구 재단

현대카드

현대캐피탈

현동장학회

현송교육문화재단

홈플러스e파란재단

효성그룹

휴맥스

AMP 63기 일동

AMP 64기 일동

AMP 65기 일동

AMP 66기 일동

AMP 67기 일동

AMP 68기 일동

AMP 69기 일동

AMP 70기 일동

AMP 71기 일동

AMP 72기 일동

AMP 73기 일동

AMP 74기 일동

AMP 75기 일동

AMP 76기 일동

AMP 77기 일동

AMP 78기 일동

ASSET PLUS투자자문

E1

Eyagi(이야기) CAFE

Goldman Sachs

KDB대우증권

KRX국민행복재단

KTB투자증권

LG연암문화재단

NCSOFT

NHN

NXC

OB맥주

Qualcomm

SECMCA

SIMPAC ANC

SK CampC

SNU 프리시젼

S-Oil

SPARC 15 middot16 middot17 middot18기 일동

1억 원 이상 출연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LG삼성 한국전력공사SK

포스코 웅진한화농업협동조합중앙회

KT 부영신한금융 현대자동차

SPC IBK기업은행

태영현대 금호아시아나롯데장학재단

CJ 대림두산 한진

우리금융 미래국제재단

50억 원 이상 출연

조천식정치학과 45입

윤대섭농공학과 49입

100억 원 이상 출연

정석규화학공학과 48입

이용희태광사 회장

김정식 전자공학과 48입

유회진기계설계학과 78입

SNU Hono r C l ubDONATION

SNU Gold Honors Club

홍성대수학과 57입

이기영前 의대 교수

최창영금속공학과 64입

박영희수학교육과 54입

손장순불어불문학과 54입

유태용토목공학과 50입

김명희middot신정희기악과 91입 김형찬의 모

이필남 박상윤 윤전수middot이삼락

김연혁히로세코리아 감사

서정선의학과 70입

전은기middot김은희 백추현 곽영필토목공학과 56입

박완서의 상속인호원숙 호원순 호원경 호원균

이순자불어불문학과 57입

손동준전자공학과 59입

윤종용전자공학과 62입

정덕균전자공학과 77입

강옥채middot노병수공법학과 83입

민선식경제학과 78입

박병준섬유공학과 52입

서울대학교총동창회

양두석독어독문학과 69입

양윤홍전자공학과 63입

대우 카길애그리퓨리나 동진쎄미켐 하나금융지주

동원 동양 KB금융지주 대우조선해양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대성 로이드선급협회 아시아일진

한국가스공사 녹십자 생명보험협회 현대중공업

메가스터디 TOYOTA MOTOR CORP SK하이닉스 서울장학재단

STX 농심 무한투자 이연제약

대우인터내셔널 송원김영환장학재단 형애장학회 신풍제약

10억 원 이상 출연

현대산업개발

스페코middot삼익악기

영원무역

쌍용양회공업

영원아웃도어

환인제약 주식회사

한국프뢰벨

37 36

춘강문화장학재단 (박성형 이사장)

허성도 (인문대학 명예교수)

형남진장학재단 (이정희 이사장)

강남구청

김형렬 (윤리교육과 교수)

공병영 (사무국장middot시설관리국장)

신흥 (이용익 대표이사)

서영길 (광산학과 53입)

일중장학재단 (송윤영 이사장)

금곡장학회 (이수상 이사장)

덕원장학회 (이헌경 이사장)

강현구 (건축학과 교수)

김명환 (조선해양공학과 75입)

김영수 (법과대학 60입)

김영운 (재료공학부 교수)

서강문 (동물병원 원장)

서동규 (경영학과 84입)

송희영 (영어영문학과 74입)

이근무 (사회학과 56입)

이재호 (경영학과 84입)

주식회사 KTampG 남서울본부 (박정욱 본부장)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박기용 이사장)

가송재단 (윤도준 이사장)

강스템바이오텍 (강경선 대표이사)

유한회사 본음인베스트먼트

이진경 (전국낙지자랑 대표)

주리아 (치과대학 04입)

한승장학회 (이재영 이사장)

키움증권 (권용원 대표이사)

협성문화재단 (박석귀 이사장)

윤상혁 (디자인학부 03입)

GS칼텍스 (허동수 대표이사 회장)

권규돈 (중어중문학과 13입 권기범의 부)

김경준 (농경제학과 82입)

김용팔 (수의과대학 75입)

김재홍 (수의학과 교수)

김진태 (법학과 71입)

문대원 (경영학과 71입)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오근택 대표이사)

박세창 (수의학과 교수)

산학협동재단 (한덕수 이사장)

선암장학재단 (윤호철 이사장)

성제경 (수의학과 교수)

송재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우광덕 (치과대학 64입)

유기윤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유한상 (수의학과 교수)

윤여성 (수의학과 교수)

윤정희 (수의학과대학 부학장)

윤화영 (수의학과 교수)

이건목원리한방병원 (이건목 원장)

이소영 (수의학과 교수)

이항 (수의학과 교수)

이희근 (공과대학 명예교수)

조무제 (법학과 65입)

조성범 (수의학과 교수)

조제열 (수의학과 교수)

중앙백신연구소 (윤인중 대표이사)

지티앤티 (이세한 대표이사)

채찬희 (수의학과 교수)

태평소금 (손일선 회장)

한호재 (수의학과 교수)

해마루 (김현욱 원장)

황인구 (수의학과 교수)

조선에듀케이션 (방정오 대표이사)

강진영 (의학과 69입)

김정기 (법학과 75입)

박달이 (간호대학 74입)

박재완

사회복지법인 건아재단 (심철환 이사장)

손정식 (제약학과 73입)

윤재석 (화학교육과 71입)

이도환 (치의학과 86입)

이동식 (영어교육과 72입)

홍기택 (경영학과 74입)

KT (황창규 대표이사 회장)

LG PC 유지보수센터 (박무광 대표이사)

광주시민장학회 (박기준 이사장)

박영임 (간호학과 73입)

사명희치과 (사명희 원장)

연당장학회 (남욱 회장)

우정장학문화재단 (강백영 이사장)

제노에너지 (김성철 대표이사)

신우호 (화학교육과 87입)

이병욱 (조경학과 81입)

정혜선 (간호학과 82입)

허종필 (공업화학과 73입)

권길주 (조선해양공학과 11입 정지원의 모)

권혜숙 (약학과 82입)

김미영 (간호학과 98입)

김범진 (턱교정학고급연수과정 6기)

김성열 (교육학과 75입)

김우진 (국악과 73입)

녹십자수의약품 (김승목 대표이사)

덕영재단 (전헬리시아 이사장)

류제하 (기계공학과 78입)

문수자동판매기 (김영식 대표)

민기복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민동홍 (독어독문학과 77입)

박종철 (물리학과 61입)

설재연 (심리학과 82입)

송은도 (국악과 01입)

유차영 (ASP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 12기)

신우개발 서울지점 (김익환 사장)

신하순 (동양화과 교수)

안석준 (치의과대학원 부원장

안휘준 (인문대학 명예교수)

양민영 (협동과정 미술교육전공 94입)

양형식 (자원공학과 75입)

옥복연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07입)

우경미 (치의학대학원 교수)

우성공원묘원 (허정산 대표)

우성원 (미학과 95입)

월악장학문화재단 (남기영 이사장)

유건선 (토목공학과 73입)

유흥수 (법학과 58입)

윤희정 (수의학과 교수)

이대혁 (자원공학과 87입)

이병천 (수의학과 교수)

이상돈 (에너지자원공학과 84입)

이승주 (치의학과 92입)

이시우 (의예과 95입)

이용규 (경영학과 84입)

이정인 (공과대학 명예교수)

이희석 (농생물과 57입)

임종후 (서양화과 12입 임지윤의 부)

임한조 (물리학과 67입)

전석원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정소걸 (자원공학과 71입)

정지훈 (치의학과 교수)

조경란 (법학과 79입)

조기웅 (화학과 66입)

조현욱 (사법학과 83입)

최명애 (회화과 70입)

최정욱 (경영학과 84입)

최종길 (법과대학 83입)

하종철 (동양화과 13입 하문원의 부)

한공창 (자원공학과 72입)

한국지하수지열협회 (안근묵 회장)

허형무 (경영대학 68입)

미주재단

Steve Ro (토목공학과 61입)

Soung Kim (임학과 56입)

Joong M Soh (공과대학 64입)

John Baek (금속공학 49입)

Hyunchan Lee (치과대학 70입)

Steve amp Cheryl Shapiro

Kwang S Hong (공과대학 60입)

Moon H Kim (공과대학 68입)

David Cho (공과대학 60입)

Dong Ku Chung (기계공학과 57입)

Sang Dae Lee (농업생명과학대학 80입)

Young D Kim (공과대학 67입)

AMP 78기 일동

삼성복지재단 (이수빈 이사장)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한국세포주연구재단

SK하이닉스 (박성욱 대표이사 사장)

패션그룹형지 (최병오 회장)

한국수력원자력 (조석 사장)

형애장학회 (최효종 이사장)

송원김영환장학재단 (김해련 이사장)

사회복지법인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이기수 이사장)

SECMCA

TOYOTA MOTOR CORP

(요시다 아키히사 대표이사 사장)

권욱현 (공과대학 명예교수)

네이버 (김상헌 대표이사)

부경양돈협동조합 (박재민 조합장)

안인희

전국경제인연합회 (허창수 회장)

현송교육문화재단 (김정일 이사장)

롯데장학재단 (신영자 이사장)

일주학술문화재단 (이선애 이사장)

현대차 정몽구 재단 (유영학 이사장)

박미혜 (성악과 교수)

LG연암문화재단 (구자경 이사장)

KeyGene (Arjen van Tunnen CEO)

아산사회복지재단 (정몽준 이사장)

천만장학회 (이광현 이사장)

방일영문화재단 (조연흥 이사장)

AMP 77기 일동

신라문화장학재단 (박준형 이사장)

SBS문화재단 (윤세영 이사장)

김만극 (약학과 47입)

아이바이오 (김기일 대표이사)

현대엔지니어링 (김위철 대표이사)

종근당고촌재단 (김두현 이사장)

정수장학회 (김삼천 이사장)

Kensary LLP

앨트웰민초장학재단 (김박 이사장)

한국동서발전 (장주옥 사장)

한화갤러리아 (박세훈 대표이사)

한화생명보험 (차남규 대표이사 사장)

한화손해보험 (박윤식 대표이사)

한화첨단소재 (김창범 대표이사)

한화투자증권 (주진형 대표이사 사장)

KEILCO(KEPCO ILJAN CORPORATION)

연강재단 (박용현 이사장)

창강재단 (안병표 이사장)

경기도 인재개발원 (박익수 원장)

대림수암장학문화재단 (변형윤 이사장)

청합장학회 (여상길 회장)

한빛종합동물병원 (임정식 원장)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716900000

364863690

317560000

250000000

220000000

200000000

200000000

150000000

142103500

140000000

139583000

13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98538000

89942000

82426000

70000000

67509000

67500000

62989000

59929000

59208000

53720000

51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44302000

42076000

40918000

40273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39677688

39035000

37244000

37068000

34780000

31047000

31000000

30300600

박종오 (영어영문학과 55입)

이상복 (ABKI문헌지식정보최고위과정 5기)

이상억 (인문대학 명예교수)

한화 (심경섭 대표이사)

한화건설 (김현중 부회장)

한화자산운용 (강신우 대표이사)

한화케미칼 (방한홍 대표이사)

한화호텔앤드리조트 (홍원기 대표이사)

오뚜기재단 (함태호 이사장)

유한재단 (이필상 이사장)

영원무역 (성기학 대표이사 회장)

서울대합창단동문회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전병원 이사장)

국가정책과정(ACAD) 77기 일동

배영수 (서양사학과 교수)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최윤 회장)

몬산토코리아유한회사

(벤자민 마크 후드리스 대표이사)

성련장학재단 (허연금 이사장)

고광우 (행정학과 53입)

김철수 (법과대학 명예교수)

대한적십자사 (유중근 총재)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성기학 이사장)

임현진 (사회과학대학 명예교수)

장문영 (화학과 59입)

재단법인 양영재단 (김상하 이사장)

조유근 (컴퓨터공학부 교수)

두을장학재단 (이인희 이사장)

과천시애향장학회 (신학수 이사장)

서울장학재단 (이경희 이사장)

왕한석 (인류학과 교수)

포니정장학재단 (정몽규 이사장)

조용준 (법학과 79입)

농어촌희망재단 (김달웅 이사장)

경동송천재단 (류덕희 이사장)

농생대 환경재료과학 교수일동

주식회사 천랩 (천종식 대표이사)

돈암장학회 (이용배 이사장)

인선문화재단 (박선영 이사장)

단암장학재단 (이봉서 이사장)

치과대학 치의학대학원 동창회

흥한재단 (박병석 이사장)

선화예술문화재단 (심재혁 대표)

한국미즈노 주식회사 (김창범 대표이사)

곽노섭 (수학과 49입)

19대 인문대 학장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김은선 (디자인학부 13입 조은지의 모)

서광훈 (약학대학 67입)

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ASP) 27기 동문

송재용 (경영학과 교수)

수도씨에이씨 (송명호 대표이사)

신한화구 (한봉근 대표)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28436000

27942000

26000000

24210000

24041200

23994234

22500000

20724000

20500000

20274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18779000

17973600

17934000

17600000

17050000

17000000

165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4000000

14000000

13500000

12000000

12000000

11602000

11102610

10281624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이앤티 (고영호 대표이사)

재단법인 정민 (윤석헌 이사장)

제11기 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천병년 (약학과 77입)

최민철 (농공학과 75입)

현대하이스코 (신성재 대표이사)

황효진 (동양사학과 78입)

대한사료주식회사 (이상민 대표이사)

해성문화재단 (단재완 이사장)

한국가스공사 (장석효 사장)

장석윤 (약학과 79입)

한국석유공사 (서문규 사장)

종로구장학회 (최현종 이사장)

동부문화재단 (강경식 이사장)

인촌기념회 (이용훈 이사장)

용옥장학문화재단 (양철우 이사장)

미래의동반자재단 (Jeffrey D Jones 이사장)

성옥문화재단 (이화일 이사장)

다래파크텍 (김호정 대표이사)

미래인재육성재단 (최양식 이사장)

고화장학회 (배명인 이사장)

한국애질런트테크놀로지스 (박시영 대표)

이재원 (중앙도서관 정보관리과)

리브로 (김경수 대표이사)

오운문화재단 (이동찬 이사장)

조비경농장학재단 (이병만 이사장)

오스템임플란트 (최규옥 대표이사)

한국섬유산업연합회장학재단 (노희찬 이사장)

아카넷 (김정호 사장)

삼송장학회 (김영기 이사장)

서지희 (IFP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11기)

김지호

서울상공회의소 관악구상공회 (김진철 회장)

송파재단 (윤원영 이사장)

김영윤 (토목공학과 62입)

로보로보 (장창남 대표이사)

류판동 (수의과대학장)

모르페우스 (김진수 대표이사)

박윤서 (고고인류학과 69입)

박찬국 (철학과 교수)

송인석 (치의학과 01입)

시그나사회공헌재단 (홍봉성 이사장)

신남식 (수의학과 교수)

약학대학 40회 동기회

와이비엠 (민선식 대표이사)

이필상 (경제학부 교수)

한국경제연구원 (권태신 원장)

황만순 (제약학과 90입)

운경재단 (배성동 이사장)

제봉민병욱장학재단

심명문화재단 (이경재 이사장)

홍산장학재단 (천영주 이사장)

홍수현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9730000

9528000

9140000

9000000

9000000

8690000

8525000

8525000

8178000

8112000

7963000

7928068

7713000

7500000

7000000

6950000

6919590

6058000

6010000

6000000

6000000

5700000

5400000

5357143

5100000

5100000

5089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4934000

4734000

4527000

4500000

4462280

4000000

4000000

4000000

3956000

3862000

3600000

3500000

3029000

3029000

3005000

3005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2706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467000

2467000

22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1865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5145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431445

1221251

1210000

108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단위 $

100000

10000

5000

3000

500

500

200

200

100

100

100

100

20140601 ~ 20140831 약정 단위 원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약정DONATION

39 38

김형렬 (윤리교육과 교수)

이정진 (기계항공공학부 95입)

신흥 (이용익 대표이사)

이창우 (경영학과 교수)

서영길 (광산학과 53입)

일중장학재단 (송윤영 이사장)

금곡장학회 (이수상 이사장)

덕원장학회 (이헌경 이사장)

강현구 (건축학과 교수)

김명환 (조선해양공학과 75입)

김영수 (법과대학 60입)

김영운 (재료공학부 교수)

김종원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김진학 (도시환경최고전문가과정 29기)

박훈 (기계공학과 63입)

서강문 (동물병원 원장)

서동규 (경영학과 84입)

송재홍 (농화학과 83입)

송희영 (영어영문학과 74입)

신남식 (수의학과 교수)

이규선 (조경middot지역시스템공학부 13입 이성용의 부)

이봉호 (치의예과 84입)

이재호 (경영학과 84입)

전병롱 (정책학과 10입 전상우의 부)

전호석 (기계설계학과 71입)

주식회사 KTampG 남서울본부 (박정욱 본부장)

최황 (의과대학 명예교수)

황철성 (재료공학부 교수)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박기용 이사장)

가송재단 (윤도준 이사장)

강스템바이오텍 (강경선 대표이사)

오이코스 (배장영 대표이사)

유한회사 본음인베스트먼트

이진경 (전국낙지자랑 대표)

한승장학회 (이재영 이사장)

윤용혁 (독어교육과 60입)

키움증권 (권용원 대표이사)

협성문화재단 (박석귀 이사장)

이강이 (아동가족학과 교수)

윤상혁 (디자인학부 03입)

윤화영 (수의학과 교수)

GS칼텍스 (허동수 대표이사 회장)

권규돈 (중어중문학과 13입 권기범의 부)

김경준 (농경제학과 82입)

김용팔 (수의과대학 75입)

김재홍 (수의학과 교수)

김진태 (법학과 71입)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이재술 대표이사)

문대원 (경영학과 71입)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오근택 대표이사)

박세창 (수의학과 교수)

산학협동재단 (한덕수 이사장)

선암장학재단 (윤호철 이사장)

성제경 (수의학과 교수)

송재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우광덕 (치과대학 64입)

유기윤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유한상 (수의학과 교수)

윤여성 (수의학과 교수)

윤정희 (수의학과 교수)

이건목원리한방병원 (이건목 원장)

이동진 (교무처 학사과)

이소영 (수의학과 교수)

이인숙 (간호대학 교수)

이항 (수의학과 교수)

이희근 (공과대학 명예교수)

조무제 (법학과 65입)

조성범 (수의학과 교수)

조제열 (수의학과 교수)

주식회사 오공 (김윤정 대표이사)

중앙백신연구소 (윤인중 대표이사)

지티앤티 (이세한 대표이사)

채찬희 (수의학과 교수)

태평소금 (손일선 회장)

한호재 (수의학과 교수)

해마루 (김현욱 원장)

황인구 (수의학과 교수)

조선에듀케이션 (방정오 대표이사)

사회복지법인 건아재단 (심철환 이사장)

KT (황창규 대표이사 회장)

광림교회 (김정석 담임목사)

광주시민장학회 (박기준 이사장)

김기원 (AIP최고산업전략과정 38기)

김상은 (융합과학부 교수)

김혜원 (간호학과 교수)

박종근 (전기공학과 교수)

서병태 (의학과 54입)

송경희 (국악과 59입)

연당장학회 (남욱 회장)

오유경 (약학대학 부학장)

우정장학문화재단 (강백영 이사장)

임현주 (약학과 82입)

전상직 (작곡과 교수)

주리아 (치과대학 04입)

한국마쯔다니 (유태균 대표이사)

홍영표 (GLP글로벌리더십과정 21기)

신우호 (화학교육과 87입)

류판동 (수의과대학장)

이병욱 (조경학과 81입)

김용백 (수의학과 교수)

김종암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정혜선 (간호학과 82입)

강부현 (수의학과 72입)

권길주 (조선해양공학과 11입 정지원의 모)

권혜숙 (약학과 82입)

김경대 (치의학과 82입)

김미영 (간호학과 98입)

김범진 (턱교정학고급연수과정 6기)

김성열 (교육학과 75입)

김종흔 (경영대학 92입)

김현산 (법과대학 54입)

녹십자수의약품 (김승목 대표이사)

덕영재단 (전헬리시아 이사장)

문수자동판매기 (김영식 대표)

민기복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민동홍 (독어독문학과 77입)

박병익 (지리교육과 교수)

박종철 (물리학과 61입)

설재연 (심리학과 82입)

송은도 (국악과 01입)

유차영 (ASP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 12기)

신우개발 서울지점 (김익환 사장)

신하순 (동양화과 교수)

안석준 (치의과대학원 부원장

안휘준 (인문대학 명예교수)

양민영 (협동과정 미술교육전공 94입)

양형식 (자원공학과 75입)

옥복연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07입)

우경미 (치의학대학원 교수)

우성공원묘원 (허정산 대표)

우성원 (미학과 95입)

월악장학문화재단 (남기영 이사장)

유건선 (토목공학과 73입)

유흥수 (법학과 58입)

윤희정 (수의학과 교수)

이기윤 (정치학과 88입)

이대혁 (자원공학과 87입)

이병천 (수의학과 교수)

이상돈 (에너지자원공학과 84입)

이승주 (치의학과 92입)

이시우 (의예과 95입)

이은수 (서울대운동용품 대표)

이정인 (공과대학 명예교수)

임종후 (서양화과 12입 임지윤의 부)

정소걸 (자원공학과 71입)

정지훈 (치의학과 교수)

조경란 (법학과 79입)

조기웅 (화학과 66입)

조현욱 (사법학과 83입)

최명애 (회화과 70입)

최정욱 (경영학과 84입)

최종길 (법과대학 83입)

최해영 (경영대학 행정실)

하종철 (동양화과 13입 하문원의 부)

한공창 (자원공학과 72입)

한국지하수지열협회 (안근묵 회장)

허형무 (경영대학 68입)

미주재단

Steve Ro (토목공학과 61입)

Soung Kim (임학과 56입)

Joong M Soh (공과대학 64입)

John Baek (금속공학 49입)

Hyunchan Lee (치과대학 70입)

Steve amp Cheryl Shapiro

Kwang S Hong (공과대학 60입)

Moon H Kim (공과대학 68입)

David Cho (공과대학 60입)

Dong Ku Chung (기계공학과 57입)

Sang Dae Lee (농업생명과학대학 80입)

Young D Kim (공과대학 67입)

서울대학교병원 (오병희 병원장)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이철희 병원장)

SK가스 (최창원 부회장)

AMP 78기 일동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윤강섭 병원장)

삼성전자 (권오현 대표이사 부회장)

SK하이닉스 (박성욱 대표이사 사장)

삼성복지재단 (이수빈 이사장)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한국세포주연구재단

하나제약 (조경일 회장)

코스맥스 (이경수 대표이사 회장)

패션그룹형지 (최병오 회장)

서울대학교총동창회 (서정화 회장)

한국수력원자력 (조석 사장)

형애장학회 (최효종 이사장)

송원김영환장학재단 (김해련 이사장)

사회복지법인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이기수 이사장)

TOYOTA MOTOR CORP

(요시다 아키히사 대표이사 사장)

권욱현 (공과대학 명예교수)

네이버 (김상헌 대표이사)

현송교육문화재단 (김정일 이사장)

롯데장학재단 (신영자 이사장)

일주학술문화재단 (이선애 이사장)

현대차 정몽구 재단 (유영학 이사장)

LG연암문화재단 (구자경 이사장)

SECMCA

아산사회복지재단 (정몽준 이사장)

천만장학회 (이광현 이사장)

방일영문화재단 (조연흥 이사장)

AMP 77기 일동

신라문화장학재단 (박준형 이사장)

KRX국민행복재단 (최경수 이사장)

SBS문화재단 (윤세영 이사장)

김만극 (약학과 47입)

농우바이오 (정용동 유연희 대표이사)

안인희

전국경제인연합회 (허창수 회장)

정윤환 (임학과 56입)

현대엔지니어링 (김위철 대표이사)

세진에프알에스 라쿠치나 서울대점 (장재훈 대표이사)

재단법인 웅진 (신현웅 이사장)

종근당고촌재단 (김두현 이사장)

정수장학회 (김삼천 이사장)

Kensary LLP

앨트웰민초장학재단 (김박 이사장)

주중광 허지영 (약학대학 60입 화학과 66입)

한국동서발전 (장주옥 사장)

한화갤러리아 (박세훈 대표이사)

한화생명보험 (차남규 대표이사 사장)

한화손해보험 (박윤식 대표이사)

한화첨단소재 (김창범 대표이사)

한화투자증권 (주진형 대표이사 사장)

KEILCO(KEPCO ILJAN CORPORATION)

연강재단 (박용현 이사장)

창강재단 (안병표 이사장)

경기도 인재개발원 (박익수 원장)

대림수암장학문화재단 (변형윤 이사장)

이상억 (인문대학 명예교수)

1432968520

1147748270

1000000000

716900000

615220390

600000000

560000000

364863690

317560000

250000000

220000000

210000000

200000000

200000000

166000000

150000000

142103500

140000000

139583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98538000

89942000

82426000

67509000

66598412

62989000

59929000

59208000

53720000

51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49800000

46522180

44302000

42076000

40918000

40273000

40204972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39677688

39035000

37244000

37068000

34780000

31800000

청합장학회 (여상길 회장)

한빛종합동물병원 (임정식 원장)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두산 (박용만 대표이사 회장)

송미순 (간호학과 교수)

이상복 (ABKI문헌지식정보최고위과정 5기)

한화 (심경섭 대표이사)

한화건설 (김현중 부회장)

한화자산운용 (강신우 대표이사)

한화케미칼 (방한홍 대표이사)

한화호텔앤드리조트 (홍원기 대표이사)

오뚜기재단 (함태호 이사장)

재단법인 최혁영 장학회 (최혁영 회장)

유한재단 (이필상 이사장)

영원무역 (성기학 대표이사 회장)

부경양돈협동조합 (박재민 조합장)

져스텍 (김용일 대표이사)

서울대합창단동문회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전병원 이사장)

국가정책과정(ACAD) 77기 일동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최윤 회장)

몬산토코리아유한회사

(벤자민 마크 후드리스 대표이사)

성련장학재단 (허연금 이사장)

고광우 (행정학과 53입)

대한적십자사 (유중근 총재)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성기학 이사장)

임현진 (사회학과 교수)

재단법인 양영재단 (김상하 이사장)

조유근 (컴퓨터공학부 교수)

두을장학재단 (이인희 이사장)

과천시애향장학회 (신학수 이사장)

서울장학재단 (이경희 이사장)

왕한석 (인류학과 교수)

포니정장학재단 (정몽규 이사장)

조용준 (법학과 79입)

농어촌희망재단 (김달웅 이사장)

경동송천재단 (류덕희 이사장)

김신원 (응용화학과 64입)

농생대 환경재료과학 교수일동

주식회사 천랩 (천종식 대표이사)

돈암장학회 (이용배 이사장)

인선문화재단 (박선영 이사장)

단암장학재단 (이봉서 이사장)

치과대학 치의학대학원 동창회

흥한재단 (박병석 이사장)

선화예술문화재단 (심재혁 대표)

한국미즈노 주식회사 (김창범 대표이사)

곽노섭 (수학과 49입)

19대 인문대 학장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김은선 (디자인학부 13입 조은지의 모)

바텍 (노창준 대표이사)

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ASP) 27기 동문

수도씨에이씨 (송명호 대표이사)

신한화구 (한봉근 대표)

이앤티 (고영호 대표이사)

장문영 (화학과 59입)

제11기 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조경일 (약학대학 64입)

주식회사 명진팜 (권기진 대표이사)

31047000

31000000

303006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28436000

28081000

27942000

26000000

25000366

25000000

24210000

24041200

23994234

20724000

20500000

20274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18779000

17973600

17934000

17600000

17050000

17000000

165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4000000

14000000

13500000

12000000

12000000

11602000

11102610

10281624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천병년 (약학과 77입)

최민철 (농공학과 75입)

현대하이스코 (신성재 대표이사)

황효진 (동양사학과 78입)

대한사료주식회사 (이상민 대표이사)

해성문화재단 (단재완 이사장)

한국가스공사 (장석효 사장)

김춘길 (화학생물공학부 58입)

애드미션 (김유탁 대표이사)

종로구장학회 (최현종 이사장)

동부문화재단 (강경식 이사장)

인촌기념회 (이용훈 이사장)

용옥장학문화재단 (양철우 이사장)

미래의동반자재단 (Jeffrey D Jones 이사장)

김영윤 (토목공학과 62입)

성옥문화재단 (이화일 이사장)

다래파크텍 (김호정 대표이사)

미래인재육성재단 (최양식 이사장)

고화장학회 (배명인 이사장)

이재원 (중앙도서관 정보관리과)

리브로 (김경수 대표이사)

오운문화재단 (이동찬 이사장)

조비경농장학재단 (이병만 이사장)

박지향 (중앙도서관장)

오스템임플란트 (최규옥 대표이사)

한국섬유산업연합회장학재단 (노희찬 이사장)

한옥희 (화학과 79입)

아카넷 (김정호 사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정기택 원장)

삼송장학회 (김영기 이사장)

서지희 (IFP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11기)

김지호

서울상공회의소 관악구상공회 (김진철 회장)

박찬국 (철학과 교수)

송파재단 (윤원영 이사장)

김재길 (법학과 56입)

로보로보 (장창남 대표이사)

모르페우스 (김진수 대표이사)

박성경 정성창 (치의학과 96입)

박윤서 (고고인류학과 69입)

서용석 (상학과 46입) 정재원

송인석 (치의학과 01입)

송재용 (경영학과 교수)

시그나사회공헌재단 (홍봉성 이사장)

약학대학 40회 동기회

와이비엠 (민선식 대표이사)

이필상 (경제학부 교수)

한국경제연구원 (권태신 원장)

황만순 (제약학과 90입)

운경재단 (배성동 이사장)

제봉민병욱장학재단

심명문화재단 (이경재 이사장)

홍산장학재단 (천영주 이사장)

홍수현

박미혜 (성악과 교수)

박영아 (물리학과 79입)

최동하 (농경제학과 71입)

춘강문화장학재단 (박성형 이사장)

허성도 (인문대학 명예교수)

형남진장학재단 (이정희 이사장)

강남구청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9730000

9528000

9140000

9000000

9000000

8690000

8525000

8525000

8178000

8112000

8000000

7963000

7928068

7713000

7500000

6950000

6919590

6058000

6010000

6000000

6000000

6000000

6000000

5700000

5556000

5400000

5357143

5100000

5100000

5090000

5089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4934000

4734000

4527000

4500000

446228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3956000

3862000

3750000

3500000

3120000

3029000

3029000

3005000

3005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2706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467000

2467000

2467000

2400000

2230000

215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1865000

1800000

15145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431445

1300000

1275251

1260000

1200000

106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단위 $

100000

10000

5000

3000

500

500

200

200

100

100

100

100

단위 원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20140601 ~ 20140831 출연

출연DONATION

40

서울대학교는 기부금을 출연한 후원인에게 더욱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국내 최고 수준의 의

료서비스를 자랑하는 서울대학교병원 이용 예우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으며 서울대학교병원 후원인

라운지에 상주하는 전담 직원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후원자 중 추가 진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본원 또는 분당 서울대학교병원과의 즉각

적인 연계가 가능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 본원 조윤지 | Tel 02-2272-2750 E-mail sosunolovesnuackr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강수정 | Tel 031-787-1915 E-mail c8541snubhorg

(재)서울대학교발전기금 김종희 | Tel 02-871-1633 E-mail p2727snuackr

bull병원 예우 담당자

bull서울대학교병원 예우 서비스 이용 안내

예약대행 서비스 | 진료 및 입원 예약 대행 병원 측과 협의 후 예약일자 결정

의전 서비스 | 진료middot입원middot응급실 이용 편의를 위해 예우 담당자가 직접 안내

종합건강검진 주선 서비스(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bull서울대학교병원 예우 서비스 내용

지원 자격 활동 기간

bull경제적 지원이 필요한 학생

(건강보험료 기준) 우선 선발

bull성적 45만점 환산 30 이상

lsquo 새싹 멘토링rsquo은 빈곤의 대물림을 막기 위한 자선 봉사활동으로

전국 국공립대학의 우수한 학생이 저소득층 중middot고등학생의

학습을 도우며 장학금을 받는 프로그램입니다

bull최소 6개월~12개월

bull활동 실적에 따라 졸업 시까지

연차적으로 기회 부여

새싹멘토링의

멘토가

되어주세요

bull전화 02-880-1593(새싹 멘토링 서울대학교 본부) bull팩스 02-780-2647(미래국제재단 여의도 본사)

bull이메일 mifsnuhanmailnet 새싹 멘토링 지원 방법 문의 시 상세히 안내해드립니다

서울대학교와 미래국제재단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봉사활동에 학생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다립니다

기부인의 따뜻한 마음에

다양한 혜택의 예우 서비스로

보답합니다

출연 기금 진료예약 의전 서비스 종합건강검진 주선

50억 이상 평생 평생 연 1회(평생 프리미엄 검진)

10억 이상 평생 10년 연 1회(평생)

5억 이상

1억 원당 1년(기한)

5년

1억 원당 연 1회(기한)3억 이상 3년

1억 이상 1년

서울대학교병원 본원 후원인 전담 직원이 진료 예약 및 의전 서비스까지 친절하게 안내해 드립니다

문의처 병원 후원인 라운지(본관 3층) 또는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후원인 전담 직원이 진료 예약 및 의전 서비스까지 친절하게 안내해 드립니다

문의처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또는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강남센터와의 즉각적인 연계를 통해 강남센터 상담 직원이 후원자 여러분께 상담 전화를 드립니다

문의처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기부인 예우 프로그램DONATION

SeoulNational University

151-742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1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

T 02-880-5114 F 02-885-5272wwwsnuackr

C o v e r S t o r y

과학자의 공식

좋은 연구를 하겠다는 신념으로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걸어온 사람

miRNA 분야의 세계적인 개척자 김빛내리 교수다

그녀는 노벨상 수상에 가장 근접한 국내 과학자로 꼽힌다

도전과 실패 인내를 거듭하며 세계적인 과학자 반열에 오르기까지

그녀의 행보를 통해 성공과 신뢰 만족을 얻는 인생 공식을 알아본다

Page 12: SNU Magazine Vol. 38 › new › wp-content › uploads › 2015 › 12 › snu_people... · 2016-01-30 · 우수 연구자 시리즈 10 유상렬 농생명공학부 교수 06 선배와의

21 20

서울대학교 세계 최고를 꿈꾼다

서울대학교는 영국 대학평가기관 QS(Quacquarelli Symonds)가 발표하는 2014 QS 세계대학평가(QS

World University Rankings)에서 31위를 차지했다 1994년부터 시작된 QS 세계대학평가는 전 세계 대학

에 대한 평가로 학계 평판 40 연구 영향도(교수 1인당 논문 피인용 수) 20 졸업생 평판도 10 교수 대

학생 비율 20 외국인 교수 비율 5 외국인 학생 비율 5를 합산해 평가한다 올해 발표된 평가의 1위는

미국 MIT(매사추세츠공대)였으며 아시아 대학 가운데서는 싱가포르국립대학교(NUS)가 22위 홍콩대학교

(HKU)가 28위에 올랐다

서울대학교는 해외 학계에서의 인지도를 알 수 있는 학계 평판(Academic Reputation) 및 기업인 대상 설문

조사로 평가하는 졸업생 평판 항목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향후 논문 피인용 수 증가를 통해 연구 영향도 분

야에서 개선을 추구해 나가는 한편 구성원의 글로벌 다양성 확보를 위해서도 노력할 계획이다

2014 QS 세계대학평가가 9월 발표됐다 2004년 118위에서 2010년 50위 2011년 42위

2012년 37위 2013년 35위 그리고 올해 서울대학교는 역대 최고 성적을 경신했다

118

93

63

5147

50

4237

35

31

50

140

40

20

0

120

100

80

60

순위2005년 2009년 2012년2006년 2010년 2013년2007년 2011년 2014년2004년 2008년

QS Ranking지난 11년간의 성과

연도 별 순위

lsquo창업론 실습rsquo 커리큘럼

STEP 1 조별 사업 기획

STEP 2 약 300만 원의 지원금과 창업 공간 지원

STEP 3 기업가들의 컨설팅

STEP 4 학점 취득

통찰력 있는

미래의 창업가를 키운다

연합전공 벤처경영학

표준적인 인재는 많지만 특출난 인재는

늘 부족하다 기업가 정신을 갖추고 끊임없이

도전하는 인재들의 양성소

연합전공 벤처경영학을 소개한다

새로운 경제 성장의 동력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lsquo창업 부흥rsquo

정책이 정부를 비롯해 지방자치단체 중소기업청 등에서 이

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학생들의 대기업 선호 현상과 lsquo창업은

위험한 도박rsquo이라는 인식은 여전하다 대기업 입사를 위한 다

양한 프로그램과 유학 스터디 등이 활발한 것과 달리 창업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은 아이디어를 나눌 공간이 없고 경험 있

는 선배로부터 직접적인 조언을 얻기도 쉽지 않다 이러한 문

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이 나섰다

올해 설립된 벤처경영학 전공은 학생들이 실제로 창업을 경

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lsquo창업론 실습 1middot2rsquo 과목을 수

강하는 학생들은 조별로 사업을 기획해보고 약 300만 원과

창업 공간을 지원받으며 기업가들의 컨설팅을 받게 된다 이

런 과정을 통해 학점도 취득할 수 있다 이밖에 벤처경영학과

에서는 철학과 경영학과 컴퓨터공학부 식품동물생명공학

부 등 연합전공에 참여한 학과의 개설 과목은 물론 제품 기획

론 창업론 특강 벤처사업 기회 연구 등 벤처 운영에 도움이

되는 과목을 함께 수강할 수 있다

실리콘밸리와 맞닿아 있는 스탠포드대학교는 구글 야후 휴

렛팩커드 등 초일류 기업의 창업자들을 배출했으며 오늘날

이 대학 출신이 창업한 기업의 연 매출은 우리나라 국내총생

산(GDP)의 2배를 넘을 정도로 큰 성과를 내고 있다고 한다

창업을 지원하는 학내 인프라와 프로그램 그리고 실제 벤처

기업을 운영하는 교수진이 있기에 가능한 일이다 서울대학

교 벤처경영학이 미래의 한국 벤처 생태계를 구축할 혁신적

인 기업가 양성 교육의 훌륭한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

Campu s OnNOW

연합전공 시리즈 3

23 22

문화생활백서 in SNU

과제 시험 그리고 또 과제 학교에 갇혀 있는

날이 계속되다 보면 잠깐이나마 쉴 곳을 찾게

된다 왠지 모르게 무기력해지고 답답한 순간

당신에게는 lsquo휴식rsquo이 필요하다

빼곡한 강의실 책만 가득할 것 같은

서울대학교 안에도 여유 시간을 알차게 보낼

수 있는 놀라운 공간들이 구석구석 숨어 있다

벌써부터 방학을 그리워하는 학생들에게

캠퍼스의 각종 문화 시설은 달콤한 선물이

되어줄 것이다 학교 안에서 즐기는

문화생활의 lsquo핫 플레이스rsquo를 소개한다

영화관이 학교 안에

미술관을 지나 오르막길을 오르다 보면 현수막 하나가 눈에 띈다

2004년부터 작품성은 높지만 대중적 인기는 얻지 못한 진흙 속의

진주 같은 영화를 소개하는 lsquo수요시네마rsquo 프로그램이다 매월 둘째

주 수요일 문화관에서 무료로 관람 가능하다 더불어 학교의 중심

중앙도서관 영상자료실도 혼자 영화 보기 안성맞춤인 곳이다 비교

적 최신 DVD까지 소장하고 있어 공강 시간을 보내기 유용하다

몸 튼튼 마음 튼튼

서울대학교에선 원한다면 누구나 각종 운동을 섭렵할 수 있다 공과

대학에는 테니스장과 농구장 인공 암벽등반 시설이 있으며 기숙사

에는 축구 운동장과 더불어 야구 연습 탁구 농구 등을 할 수 있는 실

내 체육관이 있다 종합운동장에선 축구와 미식축구를 할 수 있으며

마라톤 트랙이 있어 다른 운동도 가능하다

정문 근처 포스코(POSCO) 스포츠센터는 2001년에 문을 연 4층 건

물로 서울대학교의 대표 체육 시설이다 수영과 헬스뿐만 아니라 골

프와 댄스 발레 요가 등 전문 강사가 진행하는 다양한 강좌가 있다

시설이 좋아 lsquo미녀는 괴로워rsquo 등의 영화와 드라마 촬영지로도 사용됐

다 이외에 체육 교육과에서도 매 학기 테니스 필라테스 탁구 등을

소규모로 배울 수 있는 건강 운동 강좌를 개설하고 있다 에너지 넘

치는 학생들에게 서울대학교는 즐거운 놀이터다

음악감상실

장소 학생회관 111호

운영시간

학기 중 평일 930~1730

학기 중 토요일 930~1330

수요시네마

장소 문화원 중강당

비용 무료

문의 02-880-7924

정문 옆 미술관

정문 너머 왼편에는 독특하고 아름다운 외형의 건물이 있다 바로 서

울대학교 미술관 MoA 프리츠커 건축상을 수상한 렘 콜하스가 설

계했다 한 해 3~4회의 전시가 열리는 MoA는 타 학교 미대에서 관

람을 올 정도의 높은 전시 수준을 자랑한다 학교 구성원과 지역민

등을 대상으로 하는 미술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뿐만 아니라 도

슨트 교육을 받고 선발되어 활동하면 문화자원봉사 확인증을 주는

자원봉사 프로그램도 있다 미술관 입구 앞 독특한 조형물도 하나의

볼거리니 방문한다면 여기서부터 관람을 시작하자

MoA

운영시간 화~일요일 1000~1800(입장마감 1730)

관람료 3000원

문의 02-880-9504

포스코 스포츠센터

운영시간 평일 600~2230 토요일 1000~1700

문의 02-880-6980

Campu s OnNOW

음악이 들려주는 비밀

호그와트(영화 lsquo해리포터rsquo의 마법학교)에 비밀의 방이 있다면 서울

대학교에는 음악감상실이 있다 학생회관 식권 판매대 옆 두꺼운 문

을 열면 나타나는 음악감상실은 예전부터 높은 경쟁률을 뚫고 선발

된 DJ가 수준 높은 음악을 들려주는 것으로 명성이 자자했다 한국

최초 그래미 수상자 황병문 동문도 음악감상실 DJ 출신이다 문화

관에서 시작되는 lsquo걷고 싶은 거리rsquo는 음악대학 학생들의 연주와 노

래 소리를 들으며 산책하기 좋다 덧붙여 음악대학에서는 매 학기

lsquo화요음악회rsquo를 개최한다 1994년부터 20년째 이어지는 음악회다

오디션을 통해 선발된 공연팀이 무대에 올라 질 높은 음악을 들을 수

있으며 누구나 관람 가능하다 문화관과 자하연 사이에 위치한 스탠

드에서는 때때로 즉흥 연주가 벌어진다 버스킹의 정확한 일정은 없

으니 지나치다 익숙한 음악이 들리면 놓치지 말고 들러보자

1 2

3

4

화요음악회

장소 문화관

비용 무료

문의 02-880-7903

25 24

미래인재학교란 서울대학교 입학본부 주관으로 진행되는 고교 지원 프로그램으로

서울대학교 교수와 학생이 직접 지역 고등학교에서 지식을 전달한다

92명

13기 수료생

100명

14기 수료생미래인재학교

수료생 현황

미래 인재를 위한 꼼꼼한 준비

서울대학교는 7월과 8월 전라남도 고흥middot여수에서 미래인재학교

13 14기를 개최했다 미래인재학교는 지역 간 교육 환경 격차를 완

화하고 고교생의 소질과 적성을 개발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서울

대학교 교수 강의와 재학생 멘토링 등을 통해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다 개최 지역에 따라 맞춤형으로 운영하기 때문에 4

개월 정도의 준비 기간이 필요하다 각 기수마다 재학생 멘토팀을 선

발해 프로그램을 새롭게 기획하는 것은 물론 담당 입학사정관과 멘

토팀이 몇 차례의 답사를 통해 현지 교육 환경을 이해하고 운영 시설

을 확인하는 등 프로그램을 세심하게 꾸려나간다

열정 가득한 학생들과 3박 4일

나로도 소재 국립고흥청소년우주체험센터에서 진행된 미래인재학

교 13기에서는 고흥 소재 8개 고등학교 1 2학년생 92명이 3박 4

일의 과정을 수료했고 14기에서는 여수 소재 10개 고등학교 1학년

학생 100명이 나흘 간의 과정을 마쳤다 특히 이번 멘토팀은 개최지

의 요청에 따라 역대 최대 규모로 조직됐는데 이들 중에는 고교 재

학 중 미래인재학교 수료생으로 참가했던 3명의 학생도 있었다

각 학교장의 추천을 받아 선발된 고등학생들은 입학식과 더불어 핸

드폰을 모두 담당 교사에게 제출하는 등 바른 수업 태도와 학업 의

지를 보여주었고 쉴 틈 없이 짜인 프로그램에도 중도 탈락하는 사

람 하나 없이 참가자 전원이 수료증을 받을 수 있었다

교수 멘토 멘티의 특급 하모니

3박 4일 동안 고등학생들과 함께 숙식하며 프로그램 운영은 물론

학생들의 생활지도까지 맡은 서울대학교 재학생 멘토들 이들은

lsquo아이스 브레이킹rsquo lsquo주제 토론rsquo lsquo고교 생활의 Know-Howrsquo lsquo11 멘

토링rsquo lsquo도전 골든벨rsquo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학생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했다 물리천문학부 홍승수 명예교수 등 고교생

의 눈높이에 맞게 선정한 다양한 학과의 교수 강연은 학생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참가 고등학생들 역시 강의 2주 전 배포한 강연

자료를 예습해왔고 강의가 끝난 후에도 호기심을 충족하기 위해

교수님을 따라 행사장 밖까지 나가 질문하는 열의를 보였다 이번

행사가 서울대학교 학생들에겐 나눔의 기쁨을 개최 지역의 고등학

생들에겐 배움의 기회를 주었길 바란다

지역 인재는 우리가 기른다

전라남도 고흥과 여수에 서울대학교 학생들이 떴다 미래 후배들의 소질과 적성 개발을

돕는 멘토링 프로그램 lsquo미래인재학교rsquo를 진행하기 위해서다 이번에는 개최지의 요청에

따라 역대 최대 규모의 멘토팀이 조직됐다 고등학교 시절 배움을 위해 lsquo미래인재학교rsquo를

찾았던 학생도 지식을 나눠주는 멘토가 되어 돌아왔다 고등학생들과 동고동락하며 여름의

열기보다 뜨거운 4일을 보낸 이들을 만나보자

멘토링 시간에 조별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학생들

참가 학생이 자신의 의견을 발표하고 있는 모습

대학 입학에 관해 강의하는 홍승수 명예교수

Campu s OnNOW

step1

step2

step3

27 26

서울대학교는 8월 29일 관악캠퍼스 문화관 중강당에서

교수 학생 직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교수 정년식을 진행

했다 노태돈 국사학과 교수 임현진 사회학과 교수 안

정선 생명과학부 교수 김명모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장

호익 디자인학부 교수 한문희 불어교육과 교수 김민자

의류학과 교수 황준연 국악과 교수 이성철 의학과 교수

등 26명이 명예로운 정년을 맞아 정든 캠퍼스를 아름답

게 떠났다 이날 행사에서는 박종화 환경대학원 교수가

정년 교수진을 대표해 감사와 당부의 인사말을 전했다

교수 정년식

02

서울대학교는 8월 28일 관악캠퍼스 종합체육관에서 제

68회 후기 학위수여식을 개최했다 이번 학위수여식에

서는 학사 850명 석사 989명 박사 522명 등 총 2361

명이 학위를 받았다 성낙인 총장은 ldquo최고의 지식은 사회

봉사와 인류공헌을 위해 쓰이는 것이며 훌륭한 인재는

지성과 공공성으로 무장된 따뜻한 가슴을 겸비한 lsquo선한

인재rsquordquo라며 ldquo민족의 동량 사회의 중심으로 드높은 자부

심을 갖되 지식과 열정을 공동선을 위해 공헌하는 사회

적으로 필요한 인재가 되기 바란다rdquo고 당부했다

제68회 후기 학위수여식

03

01

서울대학교는

신임 보직교수단을

구성했다 신임 보직

교수 임기는 2년으로

2016년까지 대학의

비전을 마련하고

고등교육 발전을 위한

주요 소임을 맡아

활동한다

신임 보직교수 임명

04 06

2014 우수 인재 채용박람회

추석을 맞아 서울대학교 구성원들의 따스한 손길이 어려

운 이웃들에게 전해졌다 인문대학 등 62개 기관에서 모

금한 총 28271500원은 학교 근처의 보육원 사회복지

관 등 도움이 필요한 곳에 전달됐다 성낙인 총장은 아동

복지시설인 상록보육원을 방문해 성금을 전달하며 어린

이들과 보육원 관계자들을 격려했다 그리고 김종서 교

육부총장은 동명 아동복지센터 이우일 연구부총장은 성

민 종합사회복지관 유근배 기획부총장은 선의관악 종합

사회복지관을 각각 찾아 성금을 전달했다

추석 명절 이웃돕기 성금전달

보 직 명 학 과 (부) 성 명

교육부총장 종교학과 김종서

연구부총장 기계항공공학부 이우일

기획부총장 지리학과 유근배

교무처장 화학부 김병문

학생처장 농생명공학부 김정한

연구처장 의학과 박노현

기획처장 법학전문대학원 이철수

기초교육원장 서양사학과 안병직

입학본부장 독어교육과 권오현

국제협력본부장 국제대학원 정종호

보 직 명 학 과 (부) 성 명

정보화본부장 컴퓨터공학부 신영길

교무부처장 겸 교육부처장 치의학대학원 백승학

학생부처장 식품영양학과 한성림

연구부처장 약학과 오정미

기획부처장 독어독문학과 강창우

협력부처장 건설환경공학부 김재영

기초교육부원장 물리middot천문학부 유재준

입학부본부장 고고미술사학과 이준정

국제협력부본부장 국제대학원 신성호

정보화부본부장 경영학과 장정주

NewsNOW

제8기 스누봉사단이 한국수력원자력(주)의 후원으로 8

월 9일부터 20일까지 베트남 라오까이 성에 있는 스빤

마을에서 봉사활동을 진행했다 유성상 교육학과 교수

이우철 치의학대학원 교수 이승표 교수 한동헌 교수

김익규 빗물모아지구사랑 실장 김용환 연구원 서울대

학교 학생 23명으로 구성된 봉사단은 구강보건의료 빗

물 정화 위생교육 등의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 주민들에

게 나눔을 실천했다

제8기 스누봉사단 베트남 봉사활동

0705

훌륭한 공대교수상 선정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올해의 훌륭한 공과대학 교수로

신현식 컴퓨터공학부 교수 이재홍 전기정보공학부 교

수 강신형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를 선정했다 이 상은 교

수들의 연구 활동을 장려하고 산업 기술의 선진화를 꾀

하자는 취지에서 1992년 공과대학 동문들이 출연한 기

금으로 제정됐다 2003년부터 교육상과 연구상 2개 부

문으로 시상해오다가 올해부터 교육상 학술상 산학협

력상 3개 부문으로 확대돼 의미가 더욱 커졌다

경력개발센터는 2014년 하반기 채용 시즌을 맞이해 9월

2일에서 4일까지 대학본부 앞 잔디 광장에서 lsquo새로운 미

래를 여는 SNU 2014 서울대학교 우수인재 채용박람회rsquo

를 개최했다 올해로 11회째를 맞이한 채용박람회에는

6500여 명의 학생들이 참가했다 한편 두산 삼성 현대

자동차 LG SK 등 국내 주요 대기업들과 국방과학연구

소 한국전력공사 등의 공기업 Hakuhodu 그룹 등의 일

본 기업 ASML Korea 등의 외국계 기업 총 130곳이 우

수 인재를 확보하고자 심혈을 기울였다

信義

기부와 나DONATION

유 태 용

나고 자란 곳을 잊지 않는다 어려웠던 순간을 항상

되새긴다 덕분에 유태용 동문은 사회적 성취를 이룬 지금

자신만의 나눔 원칙을 세울 수 있었다

기 부 자 정 보

격동의 세월을 이겨낸 삶

일제강점기를 지나 해방 그리고 한국전쟁까지 1950년에 서

울대학교에 입학한 유태용 동문의 학창시절은 역사적 격동

기와 맞물려 있다 그 시절을 겪어보지 않은 요즘 세대에게 유

동문의 경험은 책에서나 접하는 옛날이야기로 들릴 수 있다

그럼에도 유 동문은 과거를 잊지 않으려 그 시절을 끊임없이

복기한다 당시 경험을 lt어느 서울대 공대생의 한국전쟁gt이

라는 책에 풀어내기도 했다 ldquo요즘은 상상도 못할 이야기죠

이후로도 어렵사리 국가 발전을 이뤘고요 우리 세대가 고생

했다고 알아주길 바라는 건 아닙니다 다만 큰 어려움을 헤

쳐 온 인생 선배들을 보면서 힘든 순간이 닥쳐도 좀 더 지혜롭

게 극복했으면 좋겠습니다rdquo

유태용 동문은 대학 졸업 후 1957년부터 공직 생활을 시작했

다 이후 오랜 기간 공직에 몸담으며 국토 계획과 건설 행정

을 담당했다 유 동문의 전공은 토목공학 그중에서도 방조

제가 전문 분야였다 공직 생활 초창기에 국제원조기구 장학

생으로 선발돼 1962년 미국에서 아카데미 코스를 밟기도 했

다 그렇게 미국에서 수학한 지식을 바탕으로 당시만 해도 단

일목적댐뿐이던 우리나라에 다목적댐을 도입하는 데 기여했

다 ldquo저는 어찌 보면 운이 참 좋은 사람입니다 어려운 시기에

농촌에서 서울대학교에 입학했고 좋은 기회가 닿아 외국에

서 공부하는 경험도 할 수 있었으니까요rdquo

오랜 시간 이어온 남다른 향토애

공직에 있으며 국가 발전에 힘써온 유 동문 그는 오래전 고

향을 떠나왔지만 어려웠던 어린 시절을 잊지 않는다 불과 몇

원하는 수업료가 없어 일곱 살 나이에 수십 킬로미터에 달하

는 거리를 오갔던 기억이 여전히 생생하다 적어도 돈 때문에

공부를 못하는 학생은 없어야겠다는 생각에 이른 건 어쩌면

당연한 일 그러한 경험이 있었기에 유 동문은 자신만의 기부

신념을 세울 수 있었다 ldquo똑같이 모를 심어도 좋은 쌀을 얻으

려면 관리를 잘해야 합니다 모를 심고 가만히 두면 한 섬밖

에 못 얻지만 비료를 주고 잡초를 솎아내면서 키우면 네 가

마니까지 불어나요 사람도 마찬가지입니다 인재도 좋은 환

경이 갖추어져야 자랄 수 있습니다 서울대학교에 입학한 건

시작일 뿐이죠rdquo

유 동문은 서울대학교에 부동산을 기부해 정읍과 고창 출신

후배들을 위한 lsquo정고장학기금rsquo을 마련했다 단지 태어난 곳

에 대한 고집만은 아니다 그 자신이 농촌에서 어렵사리 대학

에 진학했던 까닭에 그곳에서 나고 자란 후배들이 학비 걱정

없이 공부에만 전념할 수 있기를 바라는 선배의 따스한 마음

이다 ldquo예전에도 그랬지만 지금도 농촌에서 몇 백만 원씩 하

는 등록금을 쉽게 마련할 수 있는 집은 많지 않습니다 더구

나 지방에서 공부해서 서울대학교에 온다는 건 쉽지 않아요rdquo

유태용 동문은 장학생들을 직접 만나 격려하는 데에도 적극

적이다 지금은 학생들이 그가 기부한 장학 기금의 혜택을 입

지만 언젠가는 좋은 인재로 성장해 사회에 보탬이 되는 주역

이 되리라 믿는 까닭이다 ldquo서울대학교가 이제 세계에서도 손

꼽히는 대학이 되었다지만 아직도 세상에는 해결하지 못한

연구 과제가 많아요 서울대학교의 많은 인재가 그런 분야에

도 거침없이 도전해 좋은 성과를 내주길 바랍니다rdquo

유태용 한국방재협회 명예회장

내무부와 건설부에서 오랜 기간 국토 계획과 건설 행정을 맡았다 1998년 자연재

해대책법에 따라 한국방재협회 준비위원장에 추대됐고 창립을 준비해 1999년 초

대 회장에 취임한 바 있다

with SNU

토목공학과 학사 ACAD 12기 수료 정고장학기금을 마련해 정읍 고창 출신 학생

들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및 대학원생 재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원하고 있다

ldquo모를 심고 가만히 두면 한 섬밖에 못 얻지만

비료를 주고 잡초를 솎아내면서 키우면

네 가마니까지 불어나요 사람도 마찬가지입니다

인재도 좋은 환경이 갖추어져야 자랄 수 있습니다rdquo

29 28

31 30

기부와 나DONATION

도전 열아홉이란 나이 누군가는 대학 문을 바라보며 책

장을 넘길 시기에 사업을 시작했다 다양한 업종에 손대며

달콤한 성취도 쓰디쓴 실패도 맛본 20대를 지나 서른을 코앞

에 둔 시기에 광장시장 상가 한편에 1평 남짓한 도매 옷가게

를 열었다 그것이 연 매출 1조 원을 올리는 국내 굴지 패션기

업의 출발이었다

근면 어깨에 옷을 짊어지고 고객을 찾아다니길 수차례

서른 살 청년의 성실성을 소매상들은 알아봤다 판로가 열리

니 사업은 자연히 승승장구했다 그러나 10년 후 위기가 닥

쳤다 거래처의 어음이 부도 처리되면서 그 여파를 고스란히

받아야 했다 ldquo부도를 극복하면서 근면의 중요성을 깊이 느

꼈습니다 재기를 생각하며 다시 1평짜리 매장을 얻어 아침 7

시부터 새벽 2시까지 이를 악물고 일했죠rdquo 시작도 그랬지만

이후로도 근면은 최 회장의 삶에 큰 지표가 됐다

배움 일찍이 사회에 진출한 만큼 현장 경험은 누구보다

출중할 터 그러나 최 회장은 lsquo배움에는 끝이 없다rsquo는 생각으

로 경영만 하기도 바쁜 시간을 쪼개 공부를 계속했다 배움의

과정 중에 서울대학교와 인연이 닿았다 학교의 여러 특별과

정을 수료한 것은 물론 서울대학교 패션산업 최고경영자과

정(AFB) 총교우회 회장도 역임했다 ldquo김민자 교수님께서 lsquo바

쁠수록 더 좋은 성과를 낸다rsquo고 말씀하신 적이 있습니다 몸은

분주했지만 세상을 보는 관점은 더욱 넓어질 수 있었습니다rdquo

섬김 최 회장은 오늘날 이룬 성취가 혼자만의 것이 아니

란 점도 매번 되새긴다 패션그룹형지의 성장과 함께 한 대리

점주를 섬기는 해법 중 하나는 교육이다 ldquo사업의 근간인 대

리점주와 함께 호흡하고 성장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일까 고민

하던 차에 생활과학대학 교수님들의 도움으로 lsquo패션그룹형

지 최고경영자과정rsquo을 열었습니다rdquo

나눔 lsquo남 열 걸음 갈 때 반의 반 걸음 더 간다rsquo 최 회장은

기업가로서 성공을 이룬 지금도 이 말을 되새기곤 한다 ldquo남

보다 조금 더 먼저 생각하고 노력하는 작은 차이가 나중에는

큰 성과를 남긴다는 뜻입니다 요즘은 사업이나 일에 대한 것

뿐만 아니라 타인을 향한 배려와 사랑도 반의 반만 앞서 생

각하고 실천하자고 다짐합니다rdquo 최 회장은 lsquo교육은 백년지대

계(百年之大計)rsquo란 말에 동감하며 패션 산업을 이끌어갈 인

재들을 위해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에 기금을 출연했다

또한 지역 발전을 위한 투자를 비롯해 세월호 참사로 고통받

는 유가족과 학생들을 위해 성금을 기부하는 등 다방면에서

나눔을 실천하고 있다 어려운 순간을 딛고 현재의 성취를 이

뤘기에 자신을 키워준 사회에 무엇인가 되돌려주는 나눔이

중요하다고 말하는 최병오 회장 한편으로 그는 lsquo금전적 도움

을 베푸는 자선의 개념을 넘어 재능과 기술을 나누는 나눔의

문화가 필요하다rsquo고 덧붙인다

청년에게 사회에서 일가를 이룬 최병오 회장이 이 시대

를 사는 청년들에게 권하고픈 경험은 다름 아닌 lsquo실패rsquo다 ldquo진

짜 실패는 넘어지는 게 두려워 시도조차 하지 않는 거라고 하

지 않습니까 실패를 두려워하기보다 꿈을 먼저 생각하길 바

랍니다rdquo 최 회장은 목표와 꿈을 추구하는 동시에 타인을 배

려하는 태도 역시 지니길 권한다 그것이 바로 진정한 성공이

요 명품인생을 완성하는 길이기에

切磋琢磨 최 병 오

최병오 회장에게 lsquo근면rsquo은 가장 기본적인 성공 원칙이다

lsquo배움rsquo은 자기 성장의 원동력이며 lsquo섬김rsquo은 상생의

바탕이다 마지막으로 그는 lsquo나눔rsquo이란 대의를 잊지 않는다

ldquo경제적인 어려움으로 배움의 기회를 놓쳐선

안된다고 생각해왔습니다 젊은 나이에

일찍 사업에 뛰어들어 배움에 대한 목마름이

누구보다 컸기 때문입니다rdquo

기 부 자 정 보

최병오 패션그룹형지 대표이사 회장

대한상공회의소 중견기업위원회 위원장이자 윤리경영위원회 위원 또한 한국의

류산업협회 회장과 한국의류산업학회 부회장 등을 맡아 최근 대통령 해외 순방 당

시 경제사절단으로 동행했다

with SNU

AFB 3기 AMP 63기 AIP 42기 AWASB 1기 등을 수료했다 AFB 동창회장과

AFB 동창회 수석부회장을 역임했으며 올해 제13회 AMP 대상을 수상했다 현재

AWASB 동창회장을 맡고 있다

33 32

기부의 향연이 펼쳐지다

바바패션

인문대학 발전기금 1억 원 기부

바바패션(대표이사 회장 문인식)이 인문대학에 발전기금 1억 원을 기부했

다 10월 13일 총장실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성낙인 총장과 문인식 바바

패션 대표이사 회장 유근배 기획부총장 장재성 인문대학장을 비롯해 관

계자 10여 명이 참석했다 성낙인 총장은 ldquo문인식 회장님의 인문학에 대

한 관심과 성원에 감사드린다rdquo며 ldquo이번 기금으로 인문대학의 발전과 인재

양성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이에 문인식 회장은 ldquo바바패

션은 계속해서 나눔 경영을 통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rdquo고 전했

다 문인식 회장은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최고지도자과정(AMP) 72기를

수료하고 현재 인문대학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12기 회장 AMP

총동창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한편 바바패션은 국내 여성 패션 브랜드인

아이잗바바(IZZAT BABA) 지고트(JIGOTT) 등을 비롯한 총 9개의 브

랜드를 보유하고 있으며 심장병 어린이 수술 지원 및 장학 사업도 꾸준히

펼치고 있다

전기컴퓨터공학부 권욱현 명예교수

lsquo권욱현 희망장학기금rsquo 1억 원 기부

지난 6월 17일 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부 권욱현(전기공학 62학번)

명예교수가 lsquo권욱현 희망장학기금rsquo을 조성하고 1억 원을 기부했다 이번

에 마련된 기금은 공과대학과 전기공학부 학생들 가운데 경제적으로 어

려운 학생들에게 지급될 예정이다 변대규 휴맥스 대표를 비롯해 이재원

슈프리마 대표 등 국내 유명 벤처기업 CEO들의 스승으로 유명한 권욱현

명예교수는 2005년 서울대학교 평의원회 의장으로 활동했으며 대한전

기학회장 세계자동제어연맹 부회장 국제자동제어연맹 회장 등을 역임

했다 국제자동제어연맹(IFAC) 회장으로 재임 시 사재 50만 달러를 출연

해 개발도상국 젊은 공학자의 학술 활동을 지원하는 등 후학 양성을 위한

꾸준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김정식 해동과학문화재단 이사장

해동학술정보실 건립기금 30억 원 기부

지난 6월 27일 해동과학문화재단 김정식 이사장(전자공학 48학번)이

lsquo해동학술정보실 건립기금rsquo으로 30억 원을 쾌척했다 이번에 조성된 기금

은 공과대학과 자연과학대학 등 주요 단과대학의 해동학술정보실을 건

설하는데 사용될 예정이다 이번 기금 이외에도 김정식 이사장은 서울대

학교 공과대학 인근 해동학술관과 해동학술정보실 12호관 건립 기금으

로 100억 원이 넘는 금액을 출연하며 꾸준히 모교를 후원하고 있으며 인

재 양성을 위해 한양대 고려대 등 국내 주요 대학에 해동학술정보실 건립

을 지원하고 있다 1972년 대덕전자를 설립해 한국 전자 산업의 기술 개

발을 이끈 선구자로 유명한 김정식 이사장은 1990년 해동과학문화재단

을 만들어 해동상을 재정하는 등 지속적인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

패션그룹형지

생활과학대학 발전기금 3억 원 기부

패션그룹형지(대표이사 회장 최병오)가 생활과학대학에 발전기금 3억 원

을 기부했다 이 기금은 생활과학대학의 교육middot연구활동 및 시설개선 등을

위한 제반 활동에 사용된다 지난 8월 26일 진행된 협약식에서 성낙인 총

장은 ldquo생활과학대학은 패션그룹형지 기금으로 수준 높은 연구 성과와 인

재 배출을 통해 대한민국 대표 인재 양성소로 거듭 날 것rdquo이라고 밝혔으

며 최병오 회장은 ldquo국가 경쟁력을 이끌어가는 리더와 패션 산업 인재를

양성하는 데 패션그룹형지 발전기금이 쓰이길 바란다rdquo고 당부했다 최 회

장은 지난 2003년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패션산업 최고경영자과정

(AFB) 3기를 수료하고 2007년부터 2013년까지 AFB 총교우회 회장을

역임했다 또한 이번 기금 이외에도 꾸준히 후원한 다양한 기금으로 건립

된 lsquo최병오 홀rsquo을 통해 사회 각계각층의 주요 리더들이 교류하는 교육장을

마련했다 1월에는 경영대학 최고경영자과정(AMP) 총동창회가 주최하

는 lsquo제13회 서울대 AMP 대상rsquo을 수상했다

NewsDONATION

유회진 학술정보관 건립 보고 및 감사 행사

ldquo기부금은 이공계 학생들을 위해 써주세요rdquo 故 유회진 박사가 구강암으로 투병

하는 동안 병문안을 갔던 이장무 전임 총장에게 남긴 말이다 서울대학교 기계

설계학과에서 학부와 대학원 생활을 보내고 동아대학교 교수를 역임한 유 박

사는 2009년 구강암 판정을 받았다 그는 암 투병 치료비부터 부모님으로부터

물려받은 유산까지 허투루 쓰지 않고 모은 100억 원이 넘는 전 재산을 서울대

학교에 남기고 2011년 별세했다 유가족이 없는 고인을 위해 서울대학교 발전기

금은 장례를 진행했으며 매년 제사를 지내 뜻을 기린다

지난 7월 2일 관악캠퍼스 공과대학 엔지니어하우스대강당에서 lsquo유회진학술정보

관rsquo 건립 보고 및 감사 행사가 개최됐다 유회진학술정보관은 유회진 기금으로

건립되어 공과대학과 자연대학이 공동 교육 및 연구 시설로 사용할 예정이다 이

날 행사는 오연천 전임 총장의 환영사에 이어 유회진 박사 소개 및 기부 경과보

고 유회진학술정보관 건립 경과보고 순으로 진행됐으며 특별히 故 유회진 박사

의 지인인 서울시립대 권원태(기계설계학과 78학번)교수가 참석했다 그의 숭고

한 마음은 우리 사회의 빛나는 과학자들을 위한 초석이 될 것이다

11월 9일 故 유회진

박사의 3주기가 돌아온다

서울대학교발전기금은

제주(祭主)로서 그를 잊지 않고

사회와 학교를 향한 기부자의

아름다운 정신을 남길 것이다

당신의 아름다운 마무리

35 34

SNU Presidents Honors Club

SNU Honor Club

故 곽명덕 변호사 유가족 (한자영 곽성현 곽성희)

故 구영록 교수 유가족

故 김인제 故 최성순 가족

(故 김동호 故 김동훈 김동준 김진숙 김진옥)

故 이한빈 부총리 가족 (유정혜 이원식 이선이)

고윤석 (물리학과 47입)

고정택 (외교학과 62입)

구영배 (자원공학과 85입)

구재서

권영대 (약학과 55입)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권욱현 (전기공학과 62입)

금장태 (종교학과 62입)

김건식 (법학과 73입)

김경한 (법학과 62입)

김경한 (외교학과 62입)

김광일 (경영학과 84입)

김기봉 middot신경은 (기계공학과 63입 middot화학과 65입)

김기태 (의학과 58졸)

김난도 (소비자아동학부 교수)

김대욱 (조선공학과 76입)

김동길 (화학교육과 57입)

김동훈 (화학과 48입)

김두철 (전자공학과 66입)

김만극 (약학과 47입)

김상헌 (사법학과 82입)

김선동 (화학공학과 59입)

김선화(정자) (국악과 60입)

김성배 (영어영문학과 63입)

김양곤 (IFP 2기)

김연탁 (경제학과 故 김태성 교수의 부)

김연호 (화학공학과 71입)

김영경 (기계공학과 52입) middot김천순

김영석 (3 Plus Logistics 회장)

김영수 (법학과 67입)

김영심 (불어불문학과 故 오현우 교수의 부인)

김영업

김용재 (의과대학 60입)

김용철 (치의학과 55입)

김의신 (의학과 60입)

김의영 (경제학과 54입)

김정희 (간호학과 52입)

김종일 (제어계측공학과 79입)

김진향

김천흥

김철호 (외교학과 70입)

김춘길 (화학생물공학부 58입)

김택수 (법학과 48입)

김하석 middot김영중 (화학과 63입 middot약학과 64입)

김하자 (서양화과 故 하동철 교수의 부인)

김학봉 (한영요업 회장)

김형주 (전자계산기공학과 78입)

나정환 (화학교육과 54입)

남정현 (건축학과 57입)

류무종 (중어중문학과 53입)

류진 (영어영문학과 78입)

마인경 (지리학과 56입)

민계식 (조선항공학과 61입)

민호기 교수 유가족

박대근 (보건대학원 63입)

박맹호 (불어불문학과 52입)

박민식 middot 박금옥 (수의과대학 65입 middot체육교육과 63입)

박봉균 (수의학과 76입)

박숙희 (지리학과 60입)

박용헌 (교육행정학과 53입)

박용호 (수의학과 74입)

朴麟子(가정관리과 82입) 하상예 박임숙 박순영 박노용

박종근 (전기공학과 69입)

박종수 (수의학과 58입)

박종오 (영어영문학과 55입)

박준 (법학과 73입)

박태진 (독어독문학과 80입)

박한제 (동양사학과 69입)

배옥자 (성심가정의학과의원 원장)

백종철 (농공학과 54입)

백형익

법대 48회 졸업생

변대규 (제어계측공학과 79입)

서문자 (간호학과 63입)

손경식 (법학과 57입)

송상용 (화학과 55입)

송상현 (법학과 59입)

송인철 (SPARC 14기)

송학린 (법학과 59입)

신수정 (기악과 59입)

신영길 (계산통계학과 78입)

신영주 (이남장 대표)

신익현 (임학과 79입)

신효영 middot신승연 (故 신광현 교수의 가족)

신희명 (물리교육과 49입)

신희택 (법학과 71입)

심소일 (상학과 49입)

심재성 (前 성보산업 자문위원)

안영경 (前 핸디소프트 고문)

안창엽 (AMP 68기)

양천식

오세경 (약학과 61입)

오승환 (의학과 56입)

오용호 middot오양호 (행정학과 69입 middot법과대학 80입)

오윤덕 (행정학과 61입)

원재연 (경영학과 82입)

유근순

유성숙 (고고미술사학과 故 김원용 교수의 부인)

윤계섭 (상학과 64입)

윤덕우 (경제학과 58입) middot최덕자

윤석금 (웅진그룹 회장)

윤석순 (수의학과 59입)

윤우석 (에너지자원공학과 63입)

이건우 (기계공학과 74입)

이경식 (불어불문학과 55입)

이광희 (지리학과 59입)

이교일 middot박명진

(기계공학과 60입 middot불어불문학과 65입)

이기춘 (가정교육과 61입)

이명현 middot김귀현 (철학과 60입 middot기악과 69입)

이문한 (수의학과 66입)

이병준 (경제학과 55입)

이성규 (사학과 65입)

이성형 (정치학과 82입)

이순원 (가정교육과 54입)

이순형 (가정관리학과 70입)

이신두 (물리학과 76입)

이예식 (약학과 46입)

이용환 (농업교육과 63입)

이용환 (전기공학과 73입)

이원영 (AMP 6기)

이은방 (약학과 55입)

이장무 (제24대 총장)

이재승 (원자핵공학과 59입)

이정섭

이정섭 (종교학과 04입)

이종덕 (물리학과 62입)

이준용 (경제학과 56입)

이지형 (법과대학 85입)

이찬승 (수학교육과 69입)

이창득 (국어교육과 71입)

이창화 (국어국문학과 64입)

이천만 (영어영문학과 故 이상태의 부)

이철승 (법학과 78입)

이철영 (SPARC 17기)

이현수 (농화학과 60입)

이현재 (경제학과 48입)

이형도 (화학공학과 61입)

이홍표 (의과대학 58입)

임길진 교수 유가족

임동진 (법학과 62입)

임현진 (사회학과 67입)

장세권 (농공학과 70입)

장순영

장용국 (법학과 71입)

장재혁 (역사교육과 80입)

장정훈 (약학대학 65입)

전익찬 (지구환경과학부 94입 故 전재규의 부)

전해종 (동양사학과 47졸)

정달훤 (고고미술사학과 87입 故 정은임의 부)

정영현 (공업화학과 85입 정순욱의 부)

정영호 (생물학과 50입) middot 박양숙

정윤환 (임학과 56입)

정재선 (소비자아동학과 93입)

정재준 (前 경보전기 부회장)

정종곤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조동성 (경영학과 67입)

조병직 (법학과 46입)

조석준 (행정학 57졸)

조영식 (수의학과 80입)

조옥환 (부산교통 대표)

조종수 (건국대학교 교수)

조한영 (상학과 43입)

조형준 (미학과 65입)

주중광 middot 허지영 (약학대학 60입 middot 화학과 66입)

차상균 (전기공학과 76입)

차상균 교수 외 제자 12명

채성기 (원자핵공학과 59입)

채제한 (전기공학부 48입 故 채호석의 자)

천문우 (약학과 61입)

최병오 (AFB 3기)

최재열 (조소과 08입 최민주의 부)

최정욱 (화학공학과 49입)

최창원 (심리학과 83입)

최화형 외 3명

풍원자 (임학과 57입 故 용환운의 부인)

하영구 (무역학과 72입)

한규범 (AMP 42기)

한규환 (기계공학과 68입)

한기준 (의학과 52입)

한상복 (사회학과 56입)

한옥희 (화학과 79입)

한장희 middot김재혜 (행정학과 61입 middot 법학과 61입)

허성도 (중어중문학과 68입)

허영인 (SPC그룹 회장)

현기순 (가정교육과 46입)

현정오 (농생물학과 66입)

현택환 (화학과 83입)

홍경자 (간호학과 62입)

홍계수 (법학과 72입 주경숙의 모)

홍길표 (컴퓨터공학부 홍지명의 부)

홍예표 (치의학과 65입)

홍지준 (화학교육과 74입)

황귀례 (제약학과 故 국채호 교수의 부인)

황재홍 (치의학과 90입)

히로나카 헤이스케 (하버드대 명예교수)

Eduard J Stadelmann (前 미네소타대학 교수)

Ken-ichi Arai (동경대 교수)

Peter S Kim (MIT 교수)

Stanley Choy

거평그룹

건일제약

건화엔지니어링

경남기업

경동송천재단

경암교육문화재단

고려아연

공영토건

과학기술혁신 최고전략과정 23기 일동

과학기술혁신 최고전략과정 24기 일동

관악회

광동제약

교보문고

구원장학재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국방과학연구소

국제종합물류

금호아시아나문화재단

김 middot장 법률사무소

김영사

김정문알로에

까사미아

나산실업

남광토건

남영비비안

넥슨코리아

노키아티엠씨

농어촌희망재단

농우바이오

다이소아성산업

다함넷

단암장학재단

대교

대림대학

대양 EampC

대우기전공업

대우엔지니어링

대우테크

대한수의사회

대한통운

돈암장학회

동방

동방상호신용금고

동부대우전자

동부문화재단

동서식품

동아건설산업

동아제약

동양강철

동철문화재단

동화산업장학재단

두을장학재단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롯데관광

롯데쇼핑

매트바이오테크

메디슨

몬산토코리아

미래에셋

미래와도전

미래의동반자재단

민음사

바이로메드

방송문화진흥회

방일영문화재단

법대 39회 동문 일동

법대 84학번 동기회

법대 85학번 동기회

법대최고지도자과정 8기 일동

법대최고지도자과정 10기 일동

법무법인 광장

법무법인 바른

법무법인 세종

법무법인 율촌

법무법인 케이씨엘

법무법인 태평양

법무법인 화우

부경양돈협동조합

비씨카드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동문회

삼양

삼우종합건축사무소

삼일회계법인

삼전순약공업

삼호개발

삼화모터스

상암에너지

상지상사

상진개발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글로벌리더쉽과정

서울대합창단 동문회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석원산업

성남시장학회

성련장학재단

세무법인 조이

세진에프알에스

송우재단

수경출판사

수암장학문화재단

수의과대학 교수 일동

스키부 동문회 일동

시뮬레이션테크

신라교역

신라문화장학재단

신양머그

신한장학재단

썬텍

아모레퍼시픽

아산사회복지재단

안성농장

알앤엘바이오

애드미션

앨트웰민초장학재단

약학교육연수원 이수자 일동

양지농장

영림임업

오뗄

오뚜기재단

오리엔트이엔지

오리온전기

오성엘에스티

와이비엠시사

용운장학회

우덕재단

유기천교수기념사업출판재단

유신

유티씨인베스트먼트

유한재단

유한킴벌리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음악대학 피아노발전기금후원회

이지바이오

인선문화재단

인촌기념회

인탑스

일동제약

일동후디스

일주학술문화재단

재단법인 대우재단

재단법인 정민

재미서울대총동창회

전국은행연합회

정공산업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정수장학회

정헌재단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져스텍

종근당

종로구장학회

좋은책신사고

진생사이언스

진양제약

참존

창강재단

창진영농조합법인

천만장학회

천수기업

천연물과학연구소 교수 일동

천재교육

청합장학회

최고경영자과정 총동창회

최고산업전략과정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middot

미래지도자인문학과정(IFP)

케이씨텍

코스맥스

코오롱

트러스톤자산운용

특수건설

패션그룹형지

포니정장학재단

포휴먼

풀무원

풍산

플라톤아카데미

피에스케이

하나제약

한국간연구재단

한국거래소

한국금융투자협회

한국무역협회

한국문화진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산업은행

한국세포주연구재단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알콜산업

한국외국인학교

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전파기지국

한국증권금융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한국타이어

한국투자신탁운용

한국투자증권

한산이씨양도공파설서공종중

한샘출판

한수통상

해나천연물신약

해성장학회

해태

행정대학원 정보통신과정

현대차 정몽구 재단

현대카드

현대캐피탈

현동장학회

현송교육문화재단

홈플러스e파란재단

효성그룹

휴맥스

AMP 63기 일동

AMP 64기 일동

AMP 65기 일동

AMP 66기 일동

AMP 67기 일동

AMP 68기 일동

AMP 69기 일동

AMP 70기 일동

AMP 71기 일동

AMP 72기 일동

AMP 73기 일동

AMP 74기 일동

AMP 75기 일동

AMP 76기 일동

AMP 77기 일동

AMP 78기 일동

ASSET PLUS투자자문

E1

Eyagi(이야기) CAFE

Goldman Sachs

KDB대우증권

KRX국민행복재단

KTB투자증권

LG연암문화재단

NCSOFT

NHN

NXC

OB맥주

Qualcomm

SECMCA

SIMPAC ANC

SK CampC

SNU 프리시젼

S-Oil

SPARC 15 middot16 middot17 middot18기 일동

1억 원 이상 출연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LG삼성 한국전력공사SK

포스코 웅진한화농업협동조합중앙회

KT 부영신한금융 현대자동차

SPC IBK기업은행

태영현대 금호아시아나롯데장학재단

CJ 대림두산 한진

우리금융 미래국제재단

50억 원 이상 출연

조천식정치학과 45입

윤대섭농공학과 49입

100억 원 이상 출연

정석규화학공학과 48입

이용희태광사 회장

김정식 전자공학과 48입

유회진기계설계학과 78입

SNU Hono r C l ubDONATION

SNU Gold Honors Club

홍성대수학과 57입

이기영前 의대 교수

최창영금속공학과 64입

박영희수학교육과 54입

손장순불어불문학과 54입

유태용토목공학과 50입

김명희middot신정희기악과 91입 김형찬의 모

이필남 박상윤 윤전수middot이삼락

김연혁히로세코리아 감사

서정선의학과 70입

전은기middot김은희 백추현 곽영필토목공학과 56입

박완서의 상속인호원숙 호원순 호원경 호원균

이순자불어불문학과 57입

손동준전자공학과 59입

윤종용전자공학과 62입

정덕균전자공학과 77입

강옥채middot노병수공법학과 83입

민선식경제학과 78입

박병준섬유공학과 52입

서울대학교총동창회

양두석독어독문학과 69입

양윤홍전자공학과 63입

대우 카길애그리퓨리나 동진쎄미켐 하나금융지주

동원 동양 KB금융지주 대우조선해양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대성 로이드선급협회 아시아일진

한국가스공사 녹십자 생명보험협회 현대중공업

메가스터디 TOYOTA MOTOR CORP SK하이닉스 서울장학재단

STX 농심 무한투자 이연제약

대우인터내셔널 송원김영환장학재단 형애장학회 신풍제약

10억 원 이상 출연

현대산업개발

스페코middot삼익악기

영원무역

쌍용양회공업

영원아웃도어

환인제약 주식회사

한국프뢰벨

37 36

춘강문화장학재단 (박성형 이사장)

허성도 (인문대학 명예교수)

형남진장학재단 (이정희 이사장)

강남구청

김형렬 (윤리교육과 교수)

공병영 (사무국장middot시설관리국장)

신흥 (이용익 대표이사)

서영길 (광산학과 53입)

일중장학재단 (송윤영 이사장)

금곡장학회 (이수상 이사장)

덕원장학회 (이헌경 이사장)

강현구 (건축학과 교수)

김명환 (조선해양공학과 75입)

김영수 (법과대학 60입)

김영운 (재료공학부 교수)

서강문 (동물병원 원장)

서동규 (경영학과 84입)

송희영 (영어영문학과 74입)

이근무 (사회학과 56입)

이재호 (경영학과 84입)

주식회사 KTampG 남서울본부 (박정욱 본부장)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박기용 이사장)

가송재단 (윤도준 이사장)

강스템바이오텍 (강경선 대표이사)

유한회사 본음인베스트먼트

이진경 (전국낙지자랑 대표)

주리아 (치과대학 04입)

한승장학회 (이재영 이사장)

키움증권 (권용원 대표이사)

협성문화재단 (박석귀 이사장)

윤상혁 (디자인학부 03입)

GS칼텍스 (허동수 대표이사 회장)

권규돈 (중어중문학과 13입 권기범의 부)

김경준 (농경제학과 82입)

김용팔 (수의과대학 75입)

김재홍 (수의학과 교수)

김진태 (법학과 71입)

문대원 (경영학과 71입)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오근택 대표이사)

박세창 (수의학과 교수)

산학협동재단 (한덕수 이사장)

선암장학재단 (윤호철 이사장)

성제경 (수의학과 교수)

송재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우광덕 (치과대학 64입)

유기윤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유한상 (수의학과 교수)

윤여성 (수의학과 교수)

윤정희 (수의학과대학 부학장)

윤화영 (수의학과 교수)

이건목원리한방병원 (이건목 원장)

이소영 (수의학과 교수)

이항 (수의학과 교수)

이희근 (공과대학 명예교수)

조무제 (법학과 65입)

조성범 (수의학과 교수)

조제열 (수의학과 교수)

중앙백신연구소 (윤인중 대표이사)

지티앤티 (이세한 대표이사)

채찬희 (수의학과 교수)

태평소금 (손일선 회장)

한호재 (수의학과 교수)

해마루 (김현욱 원장)

황인구 (수의학과 교수)

조선에듀케이션 (방정오 대표이사)

강진영 (의학과 69입)

김정기 (법학과 75입)

박달이 (간호대학 74입)

박재완

사회복지법인 건아재단 (심철환 이사장)

손정식 (제약학과 73입)

윤재석 (화학교육과 71입)

이도환 (치의학과 86입)

이동식 (영어교육과 72입)

홍기택 (경영학과 74입)

KT (황창규 대표이사 회장)

LG PC 유지보수센터 (박무광 대표이사)

광주시민장학회 (박기준 이사장)

박영임 (간호학과 73입)

사명희치과 (사명희 원장)

연당장학회 (남욱 회장)

우정장학문화재단 (강백영 이사장)

제노에너지 (김성철 대표이사)

신우호 (화학교육과 87입)

이병욱 (조경학과 81입)

정혜선 (간호학과 82입)

허종필 (공업화학과 73입)

권길주 (조선해양공학과 11입 정지원의 모)

권혜숙 (약학과 82입)

김미영 (간호학과 98입)

김범진 (턱교정학고급연수과정 6기)

김성열 (교육학과 75입)

김우진 (국악과 73입)

녹십자수의약품 (김승목 대표이사)

덕영재단 (전헬리시아 이사장)

류제하 (기계공학과 78입)

문수자동판매기 (김영식 대표)

민기복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민동홍 (독어독문학과 77입)

박종철 (물리학과 61입)

설재연 (심리학과 82입)

송은도 (국악과 01입)

유차영 (ASP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 12기)

신우개발 서울지점 (김익환 사장)

신하순 (동양화과 교수)

안석준 (치의과대학원 부원장

안휘준 (인문대학 명예교수)

양민영 (협동과정 미술교육전공 94입)

양형식 (자원공학과 75입)

옥복연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07입)

우경미 (치의학대학원 교수)

우성공원묘원 (허정산 대표)

우성원 (미학과 95입)

월악장학문화재단 (남기영 이사장)

유건선 (토목공학과 73입)

유흥수 (법학과 58입)

윤희정 (수의학과 교수)

이대혁 (자원공학과 87입)

이병천 (수의학과 교수)

이상돈 (에너지자원공학과 84입)

이승주 (치의학과 92입)

이시우 (의예과 95입)

이용규 (경영학과 84입)

이정인 (공과대학 명예교수)

이희석 (농생물과 57입)

임종후 (서양화과 12입 임지윤의 부)

임한조 (물리학과 67입)

전석원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정소걸 (자원공학과 71입)

정지훈 (치의학과 교수)

조경란 (법학과 79입)

조기웅 (화학과 66입)

조현욱 (사법학과 83입)

최명애 (회화과 70입)

최정욱 (경영학과 84입)

최종길 (법과대학 83입)

하종철 (동양화과 13입 하문원의 부)

한공창 (자원공학과 72입)

한국지하수지열협회 (안근묵 회장)

허형무 (경영대학 68입)

미주재단

Steve Ro (토목공학과 61입)

Soung Kim (임학과 56입)

Joong M Soh (공과대학 64입)

John Baek (금속공학 49입)

Hyunchan Lee (치과대학 70입)

Steve amp Cheryl Shapiro

Kwang S Hong (공과대학 60입)

Moon H Kim (공과대학 68입)

David Cho (공과대학 60입)

Dong Ku Chung (기계공학과 57입)

Sang Dae Lee (농업생명과학대학 80입)

Young D Kim (공과대학 67입)

AMP 78기 일동

삼성복지재단 (이수빈 이사장)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한국세포주연구재단

SK하이닉스 (박성욱 대표이사 사장)

패션그룹형지 (최병오 회장)

한국수력원자력 (조석 사장)

형애장학회 (최효종 이사장)

송원김영환장학재단 (김해련 이사장)

사회복지법인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이기수 이사장)

SECMCA

TOYOTA MOTOR CORP

(요시다 아키히사 대표이사 사장)

권욱현 (공과대학 명예교수)

네이버 (김상헌 대표이사)

부경양돈협동조합 (박재민 조합장)

안인희

전국경제인연합회 (허창수 회장)

현송교육문화재단 (김정일 이사장)

롯데장학재단 (신영자 이사장)

일주학술문화재단 (이선애 이사장)

현대차 정몽구 재단 (유영학 이사장)

박미혜 (성악과 교수)

LG연암문화재단 (구자경 이사장)

KeyGene (Arjen van Tunnen CEO)

아산사회복지재단 (정몽준 이사장)

천만장학회 (이광현 이사장)

방일영문화재단 (조연흥 이사장)

AMP 77기 일동

신라문화장학재단 (박준형 이사장)

SBS문화재단 (윤세영 이사장)

김만극 (약학과 47입)

아이바이오 (김기일 대표이사)

현대엔지니어링 (김위철 대표이사)

종근당고촌재단 (김두현 이사장)

정수장학회 (김삼천 이사장)

Kensary LLP

앨트웰민초장학재단 (김박 이사장)

한국동서발전 (장주옥 사장)

한화갤러리아 (박세훈 대표이사)

한화생명보험 (차남규 대표이사 사장)

한화손해보험 (박윤식 대표이사)

한화첨단소재 (김창범 대표이사)

한화투자증권 (주진형 대표이사 사장)

KEILCO(KEPCO ILJAN CORPORATION)

연강재단 (박용현 이사장)

창강재단 (안병표 이사장)

경기도 인재개발원 (박익수 원장)

대림수암장학문화재단 (변형윤 이사장)

청합장학회 (여상길 회장)

한빛종합동물병원 (임정식 원장)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716900000

364863690

317560000

250000000

220000000

200000000

200000000

150000000

142103500

140000000

139583000

13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98538000

89942000

82426000

70000000

67509000

67500000

62989000

59929000

59208000

53720000

51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44302000

42076000

40918000

40273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39677688

39035000

37244000

37068000

34780000

31047000

31000000

30300600

박종오 (영어영문학과 55입)

이상복 (ABKI문헌지식정보최고위과정 5기)

이상억 (인문대학 명예교수)

한화 (심경섭 대표이사)

한화건설 (김현중 부회장)

한화자산운용 (강신우 대표이사)

한화케미칼 (방한홍 대표이사)

한화호텔앤드리조트 (홍원기 대표이사)

오뚜기재단 (함태호 이사장)

유한재단 (이필상 이사장)

영원무역 (성기학 대표이사 회장)

서울대합창단동문회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전병원 이사장)

국가정책과정(ACAD) 77기 일동

배영수 (서양사학과 교수)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최윤 회장)

몬산토코리아유한회사

(벤자민 마크 후드리스 대표이사)

성련장학재단 (허연금 이사장)

고광우 (행정학과 53입)

김철수 (법과대학 명예교수)

대한적십자사 (유중근 총재)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성기학 이사장)

임현진 (사회과학대학 명예교수)

장문영 (화학과 59입)

재단법인 양영재단 (김상하 이사장)

조유근 (컴퓨터공학부 교수)

두을장학재단 (이인희 이사장)

과천시애향장학회 (신학수 이사장)

서울장학재단 (이경희 이사장)

왕한석 (인류학과 교수)

포니정장학재단 (정몽규 이사장)

조용준 (법학과 79입)

농어촌희망재단 (김달웅 이사장)

경동송천재단 (류덕희 이사장)

농생대 환경재료과학 교수일동

주식회사 천랩 (천종식 대표이사)

돈암장학회 (이용배 이사장)

인선문화재단 (박선영 이사장)

단암장학재단 (이봉서 이사장)

치과대학 치의학대학원 동창회

흥한재단 (박병석 이사장)

선화예술문화재단 (심재혁 대표)

한국미즈노 주식회사 (김창범 대표이사)

곽노섭 (수학과 49입)

19대 인문대 학장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김은선 (디자인학부 13입 조은지의 모)

서광훈 (약학대학 67입)

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ASP) 27기 동문

송재용 (경영학과 교수)

수도씨에이씨 (송명호 대표이사)

신한화구 (한봉근 대표)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28436000

27942000

26000000

24210000

24041200

23994234

22500000

20724000

20500000

20274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18779000

17973600

17934000

17600000

17050000

17000000

165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4000000

14000000

13500000

12000000

12000000

11602000

11102610

10281624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이앤티 (고영호 대표이사)

재단법인 정민 (윤석헌 이사장)

제11기 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천병년 (약학과 77입)

최민철 (농공학과 75입)

현대하이스코 (신성재 대표이사)

황효진 (동양사학과 78입)

대한사료주식회사 (이상민 대표이사)

해성문화재단 (단재완 이사장)

한국가스공사 (장석효 사장)

장석윤 (약학과 79입)

한국석유공사 (서문규 사장)

종로구장학회 (최현종 이사장)

동부문화재단 (강경식 이사장)

인촌기념회 (이용훈 이사장)

용옥장학문화재단 (양철우 이사장)

미래의동반자재단 (Jeffrey D Jones 이사장)

성옥문화재단 (이화일 이사장)

다래파크텍 (김호정 대표이사)

미래인재육성재단 (최양식 이사장)

고화장학회 (배명인 이사장)

한국애질런트테크놀로지스 (박시영 대표)

이재원 (중앙도서관 정보관리과)

리브로 (김경수 대표이사)

오운문화재단 (이동찬 이사장)

조비경농장학재단 (이병만 이사장)

오스템임플란트 (최규옥 대표이사)

한국섬유산업연합회장학재단 (노희찬 이사장)

아카넷 (김정호 사장)

삼송장학회 (김영기 이사장)

서지희 (IFP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11기)

김지호

서울상공회의소 관악구상공회 (김진철 회장)

송파재단 (윤원영 이사장)

김영윤 (토목공학과 62입)

로보로보 (장창남 대표이사)

류판동 (수의과대학장)

모르페우스 (김진수 대표이사)

박윤서 (고고인류학과 69입)

박찬국 (철학과 교수)

송인석 (치의학과 01입)

시그나사회공헌재단 (홍봉성 이사장)

신남식 (수의학과 교수)

약학대학 40회 동기회

와이비엠 (민선식 대표이사)

이필상 (경제학부 교수)

한국경제연구원 (권태신 원장)

황만순 (제약학과 90입)

운경재단 (배성동 이사장)

제봉민병욱장학재단

심명문화재단 (이경재 이사장)

홍산장학재단 (천영주 이사장)

홍수현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9730000

9528000

9140000

9000000

9000000

8690000

8525000

8525000

8178000

8112000

7963000

7928068

7713000

7500000

7000000

6950000

6919590

6058000

6010000

6000000

6000000

5700000

5400000

5357143

5100000

5100000

5089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4934000

4734000

4527000

4500000

4462280

4000000

4000000

4000000

3956000

3862000

3600000

3500000

3029000

3029000

3005000

3005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2706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467000

2467000

22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1865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5145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431445

1221251

1210000

108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단위 $

100000

10000

5000

3000

500

500

200

200

100

100

100

100

20140601 ~ 20140831 약정 단위 원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약정DONATION

39 38

김형렬 (윤리교육과 교수)

이정진 (기계항공공학부 95입)

신흥 (이용익 대표이사)

이창우 (경영학과 교수)

서영길 (광산학과 53입)

일중장학재단 (송윤영 이사장)

금곡장학회 (이수상 이사장)

덕원장학회 (이헌경 이사장)

강현구 (건축학과 교수)

김명환 (조선해양공학과 75입)

김영수 (법과대학 60입)

김영운 (재료공학부 교수)

김종원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김진학 (도시환경최고전문가과정 29기)

박훈 (기계공학과 63입)

서강문 (동물병원 원장)

서동규 (경영학과 84입)

송재홍 (농화학과 83입)

송희영 (영어영문학과 74입)

신남식 (수의학과 교수)

이규선 (조경middot지역시스템공학부 13입 이성용의 부)

이봉호 (치의예과 84입)

이재호 (경영학과 84입)

전병롱 (정책학과 10입 전상우의 부)

전호석 (기계설계학과 71입)

주식회사 KTampG 남서울본부 (박정욱 본부장)

최황 (의과대학 명예교수)

황철성 (재료공학부 교수)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박기용 이사장)

가송재단 (윤도준 이사장)

강스템바이오텍 (강경선 대표이사)

오이코스 (배장영 대표이사)

유한회사 본음인베스트먼트

이진경 (전국낙지자랑 대표)

한승장학회 (이재영 이사장)

윤용혁 (독어교육과 60입)

키움증권 (권용원 대표이사)

협성문화재단 (박석귀 이사장)

이강이 (아동가족학과 교수)

윤상혁 (디자인학부 03입)

윤화영 (수의학과 교수)

GS칼텍스 (허동수 대표이사 회장)

권규돈 (중어중문학과 13입 권기범의 부)

김경준 (농경제학과 82입)

김용팔 (수의과대학 75입)

김재홍 (수의학과 교수)

김진태 (법학과 71입)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이재술 대표이사)

문대원 (경영학과 71입)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오근택 대표이사)

박세창 (수의학과 교수)

산학협동재단 (한덕수 이사장)

선암장학재단 (윤호철 이사장)

성제경 (수의학과 교수)

송재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우광덕 (치과대학 64입)

유기윤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유한상 (수의학과 교수)

윤여성 (수의학과 교수)

윤정희 (수의학과 교수)

이건목원리한방병원 (이건목 원장)

이동진 (교무처 학사과)

이소영 (수의학과 교수)

이인숙 (간호대학 교수)

이항 (수의학과 교수)

이희근 (공과대학 명예교수)

조무제 (법학과 65입)

조성범 (수의학과 교수)

조제열 (수의학과 교수)

주식회사 오공 (김윤정 대표이사)

중앙백신연구소 (윤인중 대표이사)

지티앤티 (이세한 대표이사)

채찬희 (수의학과 교수)

태평소금 (손일선 회장)

한호재 (수의학과 교수)

해마루 (김현욱 원장)

황인구 (수의학과 교수)

조선에듀케이션 (방정오 대표이사)

사회복지법인 건아재단 (심철환 이사장)

KT (황창규 대표이사 회장)

광림교회 (김정석 담임목사)

광주시민장학회 (박기준 이사장)

김기원 (AIP최고산업전략과정 38기)

김상은 (융합과학부 교수)

김혜원 (간호학과 교수)

박종근 (전기공학과 교수)

서병태 (의학과 54입)

송경희 (국악과 59입)

연당장학회 (남욱 회장)

오유경 (약학대학 부학장)

우정장학문화재단 (강백영 이사장)

임현주 (약학과 82입)

전상직 (작곡과 교수)

주리아 (치과대학 04입)

한국마쯔다니 (유태균 대표이사)

홍영표 (GLP글로벌리더십과정 21기)

신우호 (화학교육과 87입)

류판동 (수의과대학장)

이병욱 (조경학과 81입)

김용백 (수의학과 교수)

김종암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정혜선 (간호학과 82입)

강부현 (수의학과 72입)

권길주 (조선해양공학과 11입 정지원의 모)

권혜숙 (약학과 82입)

김경대 (치의학과 82입)

김미영 (간호학과 98입)

김범진 (턱교정학고급연수과정 6기)

김성열 (교육학과 75입)

김종흔 (경영대학 92입)

김현산 (법과대학 54입)

녹십자수의약품 (김승목 대표이사)

덕영재단 (전헬리시아 이사장)

문수자동판매기 (김영식 대표)

민기복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민동홍 (독어독문학과 77입)

박병익 (지리교육과 교수)

박종철 (물리학과 61입)

설재연 (심리학과 82입)

송은도 (국악과 01입)

유차영 (ASP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 12기)

신우개발 서울지점 (김익환 사장)

신하순 (동양화과 교수)

안석준 (치의과대학원 부원장

안휘준 (인문대학 명예교수)

양민영 (협동과정 미술교육전공 94입)

양형식 (자원공학과 75입)

옥복연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07입)

우경미 (치의학대학원 교수)

우성공원묘원 (허정산 대표)

우성원 (미학과 95입)

월악장학문화재단 (남기영 이사장)

유건선 (토목공학과 73입)

유흥수 (법학과 58입)

윤희정 (수의학과 교수)

이기윤 (정치학과 88입)

이대혁 (자원공학과 87입)

이병천 (수의학과 교수)

이상돈 (에너지자원공학과 84입)

이승주 (치의학과 92입)

이시우 (의예과 95입)

이은수 (서울대운동용품 대표)

이정인 (공과대학 명예교수)

임종후 (서양화과 12입 임지윤의 부)

정소걸 (자원공학과 71입)

정지훈 (치의학과 교수)

조경란 (법학과 79입)

조기웅 (화학과 66입)

조현욱 (사법학과 83입)

최명애 (회화과 70입)

최정욱 (경영학과 84입)

최종길 (법과대학 83입)

최해영 (경영대학 행정실)

하종철 (동양화과 13입 하문원의 부)

한공창 (자원공학과 72입)

한국지하수지열협회 (안근묵 회장)

허형무 (경영대학 68입)

미주재단

Steve Ro (토목공학과 61입)

Soung Kim (임학과 56입)

Joong M Soh (공과대학 64입)

John Baek (금속공학 49입)

Hyunchan Lee (치과대학 70입)

Steve amp Cheryl Shapiro

Kwang S Hong (공과대학 60입)

Moon H Kim (공과대학 68입)

David Cho (공과대학 60입)

Dong Ku Chung (기계공학과 57입)

Sang Dae Lee (농업생명과학대학 80입)

Young D Kim (공과대학 67입)

서울대학교병원 (오병희 병원장)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이철희 병원장)

SK가스 (최창원 부회장)

AMP 78기 일동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윤강섭 병원장)

삼성전자 (권오현 대표이사 부회장)

SK하이닉스 (박성욱 대표이사 사장)

삼성복지재단 (이수빈 이사장)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한국세포주연구재단

하나제약 (조경일 회장)

코스맥스 (이경수 대표이사 회장)

패션그룹형지 (최병오 회장)

서울대학교총동창회 (서정화 회장)

한국수력원자력 (조석 사장)

형애장학회 (최효종 이사장)

송원김영환장학재단 (김해련 이사장)

사회복지법인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이기수 이사장)

TOYOTA MOTOR CORP

(요시다 아키히사 대표이사 사장)

권욱현 (공과대학 명예교수)

네이버 (김상헌 대표이사)

현송교육문화재단 (김정일 이사장)

롯데장학재단 (신영자 이사장)

일주학술문화재단 (이선애 이사장)

현대차 정몽구 재단 (유영학 이사장)

LG연암문화재단 (구자경 이사장)

SECMCA

아산사회복지재단 (정몽준 이사장)

천만장학회 (이광현 이사장)

방일영문화재단 (조연흥 이사장)

AMP 77기 일동

신라문화장학재단 (박준형 이사장)

KRX국민행복재단 (최경수 이사장)

SBS문화재단 (윤세영 이사장)

김만극 (약학과 47입)

농우바이오 (정용동 유연희 대표이사)

안인희

전국경제인연합회 (허창수 회장)

정윤환 (임학과 56입)

현대엔지니어링 (김위철 대표이사)

세진에프알에스 라쿠치나 서울대점 (장재훈 대표이사)

재단법인 웅진 (신현웅 이사장)

종근당고촌재단 (김두현 이사장)

정수장학회 (김삼천 이사장)

Kensary LLP

앨트웰민초장학재단 (김박 이사장)

주중광 허지영 (약학대학 60입 화학과 66입)

한국동서발전 (장주옥 사장)

한화갤러리아 (박세훈 대표이사)

한화생명보험 (차남규 대표이사 사장)

한화손해보험 (박윤식 대표이사)

한화첨단소재 (김창범 대표이사)

한화투자증권 (주진형 대표이사 사장)

KEILCO(KEPCO ILJAN CORPORATION)

연강재단 (박용현 이사장)

창강재단 (안병표 이사장)

경기도 인재개발원 (박익수 원장)

대림수암장학문화재단 (변형윤 이사장)

이상억 (인문대학 명예교수)

1432968520

1147748270

1000000000

716900000

615220390

600000000

560000000

364863690

317560000

250000000

220000000

210000000

200000000

200000000

166000000

150000000

142103500

140000000

139583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98538000

89942000

82426000

67509000

66598412

62989000

59929000

59208000

53720000

51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49800000

46522180

44302000

42076000

40918000

40273000

40204972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39677688

39035000

37244000

37068000

34780000

31800000

청합장학회 (여상길 회장)

한빛종합동물병원 (임정식 원장)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두산 (박용만 대표이사 회장)

송미순 (간호학과 교수)

이상복 (ABKI문헌지식정보최고위과정 5기)

한화 (심경섭 대표이사)

한화건설 (김현중 부회장)

한화자산운용 (강신우 대표이사)

한화케미칼 (방한홍 대표이사)

한화호텔앤드리조트 (홍원기 대표이사)

오뚜기재단 (함태호 이사장)

재단법인 최혁영 장학회 (최혁영 회장)

유한재단 (이필상 이사장)

영원무역 (성기학 대표이사 회장)

부경양돈협동조합 (박재민 조합장)

져스텍 (김용일 대표이사)

서울대합창단동문회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전병원 이사장)

국가정책과정(ACAD) 77기 일동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최윤 회장)

몬산토코리아유한회사

(벤자민 마크 후드리스 대표이사)

성련장학재단 (허연금 이사장)

고광우 (행정학과 53입)

대한적십자사 (유중근 총재)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성기학 이사장)

임현진 (사회학과 교수)

재단법인 양영재단 (김상하 이사장)

조유근 (컴퓨터공학부 교수)

두을장학재단 (이인희 이사장)

과천시애향장학회 (신학수 이사장)

서울장학재단 (이경희 이사장)

왕한석 (인류학과 교수)

포니정장학재단 (정몽규 이사장)

조용준 (법학과 79입)

농어촌희망재단 (김달웅 이사장)

경동송천재단 (류덕희 이사장)

김신원 (응용화학과 64입)

농생대 환경재료과학 교수일동

주식회사 천랩 (천종식 대표이사)

돈암장학회 (이용배 이사장)

인선문화재단 (박선영 이사장)

단암장학재단 (이봉서 이사장)

치과대학 치의학대학원 동창회

흥한재단 (박병석 이사장)

선화예술문화재단 (심재혁 대표)

한국미즈노 주식회사 (김창범 대표이사)

곽노섭 (수학과 49입)

19대 인문대 학장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김은선 (디자인학부 13입 조은지의 모)

바텍 (노창준 대표이사)

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ASP) 27기 동문

수도씨에이씨 (송명호 대표이사)

신한화구 (한봉근 대표)

이앤티 (고영호 대표이사)

장문영 (화학과 59입)

제11기 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조경일 (약학대학 64입)

주식회사 명진팜 (권기진 대표이사)

31047000

31000000

303006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28436000

28081000

27942000

26000000

25000366

25000000

24210000

24041200

23994234

20724000

20500000

20274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18779000

17973600

17934000

17600000

17050000

17000000

165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4000000

14000000

13500000

12000000

12000000

11602000

11102610

10281624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천병년 (약학과 77입)

최민철 (농공학과 75입)

현대하이스코 (신성재 대표이사)

황효진 (동양사학과 78입)

대한사료주식회사 (이상민 대표이사)

해성문화재단 (단재완 이사장)

한국가스공사 (장석효 사장)

김춘길 (화학생물공학부 58입)

애드미션 (김유탁 대표이사)

종로구장학회 (최현종 이사장)

동부문화재단 (강경식 이사장)

인촌기념회 (이용훈 이사장)

용옥장학문화재단 (양철우 이사장)

미래의동반자재단 (Jeffrey D Jones 이사장)

김영윤 (토목공학과 62입)

성옥문화재단 (이화일 이사장)

다래파크텍 (김호정 대표이사)

미래인재육성재단 (최양식 이사장)

고화장학회 (배명인 이사장)

이재원 (중앙도서관 정보관리과)

리브로 (김경수 대표이사)

오운문화재단 (이동찬 이사장)

조비경농장학재단 (이병만 이사장)

박지향 (중앙도서관장)

오스템임플란트 (최규옥 대표이사)

한국섬유산업연합회장학재단 (노희찬 이사장)

한옥희 (화학과 79입)

아카넷 (김정호 사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정기택 원장)

삼송장학회 (김영기 이사장)

서지희 (IFP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11기)

김지호

서울상공회의소 관악구상공회 (김진철 회장)

박찬국 (철학과 교수)

송파재단 (윤원영 이사장)

김재길 (법학과 56입)

로보로보 (장창남 대표이사)

모르페우스 (김진수 대표이사)

박성경 정성창 (치의학과 96입)

박윤서 (고고인류학과 69입)

서용석 (상학과 46입) 정재원

송인석 (치의학과 01입)

송재용 (경영학과 교수)

시그나사회공헌재단 (홍봉성 이사장)

약학대학 40회 동기회

와이비엠 (민선식 대표이사)

이필상 (경제학부 교수)

한국경제연구원 (권태신 원장)

황만순 (제약학과 90입)

운경재단 (배성동 이사장)

제봉민병욱장학재단

심명문화재단 (이경재 이사장)

홍산장학재단 (천영주 이사장)

홍수현

박미혜 (성악과 교수)

박영아 (물리학과 79입)

최동하 (농경제학과 71입)

춘강문화장학재단 (박성형 이사장)

허성도 (인문대학 명예교수)

형남진장학재단 (이정희 이사장)

강남구청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9730000

9528000

9140000

9000000

9000000

8690000

8525000

8525000

8178000

8112000

8000000

7963000

7928068

7713000

7500000

6950000

6919590

6058000

6010000

6000000

6000000

6000000

6000000

5700000

5556000

5400000

5357143

5100000

5100000

5090000

5089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4934000

4734000

4527000

4500000

446228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3956000

3862000

3750000

3500000

3120000

3029000

3029000

3005000

3005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2706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467000

2467000

2467000

2400000

2230000

215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1865000

1800000

15145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431445

1300000

1275251

1260000

1200000

106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단위 $

100000

10000

5000

3000

500

500

200

200

100

100

100

100

단위 원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20140601 ~ 20140831 출연

출연DONATION

40

서울대학교는 기부금을 출연한 후원인에게 더욱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국내 최고 수준의 의

료서비스를 자랑하는 서울대학교병원 이용 예우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으며 서울대학교병원 후원인

라운지에 상주하는 전담 직원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후원자 중 추가 진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본원 또는 분당 서울대학교병원과의 즉각

적인 연계가 가능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 본원 조윤지 | Tel 02-2272-2750 E-mail sosunolovesnuackr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강수정 | Tel 031-787-1915 E-mail c8541snubhorg

(재)서울대학교발전기금 김종희 | Tel 02-871-1633 E-mail p2727snuackr

bull병원 예우 담당자

bull서울대학교병원 예우 서비스 이용 안내

예약대행 서비스 | 진료 및 입원 예약 대행 병원 측과 협의 후 예약일자 결정

의전 서비스 | 진료middot입원middot응급실 이용 편의를 위해 예우 담당자가 직접 안내

종합건강검진 주선 서비스(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bull서울대학교병원 예우 서비스 내용

지원 자격 활동 기간

bull경제적 지원이 필요한 학생

(건강보험료 기준) 우선 선발

bull성적 45만점 환산 30 이상

lsquo 새싹 멘토링rsquo은 빈곤의 대물림을 막기 위한 자선 봉사활동으로

전국 국공립대학의 우수한 학생이 저소득층 중middot고등학생의

학습을 도우며 장학금을 받는 프로그램입니다

bull최소 6개월~12개월

bull활동 실적에 따라 졸업 시까지

연차적으로 기회 부여

새싹멘토링의

멘토가

되어주세요

bull전화 02-880-1593(새싹 멘토링 서울대학교 본부) bull팩스 02-780-2647(미래국제재단 여의도 본사)

bull이메일 mifsnuhanmailnet 새싹 멘토링 지원 방법 문의 시 상세히 안내해드립니다

서울대학교와 미래국제재단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봉사활동에 학생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다립니다

기부인의 따뜻한 마음에

다양한 혜택의 예우 서비스로

보답합니다

출연 기금 진료예약 의전 서비스 종합건강검진 주선

50억 이상 평생 평생 연 1회(평생 프리미엄 검진)

10억 이상 평생 10년 연 1회(평생)

5억 이상

1억 원당 1년(기한)

5년

1억 원당 연 1회(기한)3억 이상 3년

1억 이상 1년

서울대학교병원 본원 후원인 전담 직원이 진료 예약 및 의전 서비스까지 친절하게 안내해 드립니다

문의처 병원 후원인 라운지(본관 3층) 또는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후원인 전담 직원이 진료 예약 및 의전 서비스까지 친절하게 안내해 드립니다

문의처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또는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강남센터와의 즉각적인 연계를 통해 강남센터 상담 직원이 후원자 여러분께 상담 전화를 드립니다

문의처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기부인 예우 프로그램DONATION

SeoulNational University

151-742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1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

T 02-880-5114 F 02-885-5272wwwsnuackr

C o v e r S t o r y

과학자의 공식

좋은 연구를 하겠다는 신념으로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걸어온 사람

miRNA 분야의 세계적인 개척자 김빛내리 교수다

그녀는 노벨상 수상에 가장 근접한 국내 과학자로 꼽힌다

도전과 실패 인내를 거듭하며 세계적인 과학자 반열에 오르기까지

그녀의 행보를 통해 성공과 신뢰 만족을 얻는 인생 공식을 알아본다

Page 13: SNU Magazine Vol. 38 › new › wp-content › uploads › 2015 › 12 › snu_people... · 2016-01-30 · 우수 연구자 시리즈 10 유상렬 농생명공학부 교수 06 선배와의

23 22

문화생활백서 in SNU

과제 시험 그리고 또 과제 학교에 갇혀 있는

날이 계속되다 보면 잠깐이나마 쉴 곳을 찾게

된다 왠지 모르게 무기력해지고 답답한 순간

당신에게는 lsquo휴식rsquo이 필요하다

빼곡한 강의실 책만 가득할 것 같은

서울대학교 안에도 여유 시간을 알차게 보낼

수 있는 놀라운 공간들이 구석구석 숨어 있다

벌써부터 방학을 그리워하는 학생들에게

캠퍼스의 각종 문화 시설은 달콤한 선물이

되어줄 것이다 학교 안에서 즐기는

문화생활의 lsquo핫 플레이스rsquo를 소개한다

영화관이 학교 안에

미술관을 지나 오르막길을 오르다 보면 현수막 하나가 눈에 띈다

2004년부터 작품성은 높지만 대중적 인기는 얻지 못한 진흙 속의

진주 같은 영화를 소개하는 lsquo수요시네마rsquo 프로그램이다 매월 둘째

주 수요일 문화관에서 무료로 관람 가능하다 더불어 학교의 중심

중앙도서관 영상자료실도 혼자 영화 보기 안성맞춤인 곳이다 비교

적 최신 DVD까지 소장하고 있어 공강 시간을 보내기 유용하다

몸 튼튼 마음 튼튼

서울대학교에선 원한다면 누구나 각종 운동을 섭렵할 수 있다 공과

대학에는 테니스장과 농구장 인공 암벽등반 시설이 있으며 기숙사

에는 축구 운동장과 더불어 야구 연습 탁구 농구 등을 할 수 있는 실

내 체육관이 있다 종합운동장에선 축구와 미식축구를 할 수 있으며

마라톤 트랙이 있어 다른 운동도 가능하다

정문 근처 포스코(POSCO) 스포츠센터는 2001년에 문을 연 4층 건

물로 서울대학교의 대표 체육 시설이다 수영과 헬스뿐만 아니라 골

프와 댄스 발레 요가 등 전문 강사가 진행하는 다양한 강좌가 있다

시설이 좋아 lsquo미녀는 괴로워rsquo 등의 영화와 드라마 촬영지로도 사용됐

다 이외에 체육 교육과에서도 매 학기 테니스 필라테스 탁구 등을

소규모로 배울 수 있는 건강 운동 강좌를 개설하고 있다 에너지 넘

치는 학생들에게 서울대학교는 즐거운 놀이터다

음악감상실

장소 학생회관 111호

운영시간

학기 중 평일 930~1730

학기 중 토요일 930~1330

수요시네마

장소 문화원 중강당

비용 무료

문의 02-880-7924

정문 옆 미술관

정문 너머 왼편에는 독특하고 아름다운 외형의 건물이 있다 바로 서

울대학교 미술관 MoA 프리츠커 건축상을 수상한 렘 콜하스가 설

계했다 한 해 3~4회의 전시가 열리는 MoA는 타 학교 미대에서 관

람을 올 정도의 높은 전시 수준을 자랑한다 학교 구성원과 지역민

등을 대상으로 하는 미술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뿐만 아니라 도

슨트 교육을 받고 선발되어 활동하면 문화자원봉사 확인증을 주는

자원봉사 프로그램도 있다 미술관 입구 앞 독특한 조형물도 하나의

볼거리니 방문한다면 여기서부터 관람을 시작하자

MoA

운영시간 화~일요일 1000~1800(입장마감 1730)

관람료 3000원

문의 02-880-9504

포스코 스포츠센터

운영시간 평일 600~2230 토요일 1000~1700

문의 02-880-6980

Campu s OnNOW

음악이 들려주는 비밀

호그와트(영화 lsquo해리포터rsquo의 마법학교)에 비밀의 방이 있다면 서울

대학교에는 음악감상실이 있다 학생회관 식권 판매대 옆 두꺼운 문

을 열면 나타나는 음악감상실은 예전부터 높은 경쟁률을 뚫고 선발

된 DJ가 수준 높은 음악을 들려주는 것으로 명성이 자자했다 한국

최초 그래미 수상자 황병문 동문도 음악감상실 DJ 출신이다 문화

관에서 시작되는 lsquo걷고 싶은 거리rsquo는 음악대학 학생들의 연주와 노

래 소리를 들으며 산책하기 좋다 덧붙여 음악대학에서는 매 학기

lsquo화요음악회rsquo를 개최한다 1994년부터 20년째 이어지는 음악회다

오디션을 통해 선발된 공연팀이 무대에 올라 질 높은 음악을 들을 수

있으며 누구나 관람 가능하다 문화관과 자하연 사이에 위치한 스탠

드에서는 때때로 즉흥 연주가 벌어진다 버스킹의 정확한 일정은 없

으니 지나치다 익숙한 음악이 들리면 놓치지 말고 들러보자

1 2

3

4

화요음악회

장소 문화관

비용 무료

문의 02-880-7903

25 24

미래인재학교란 서울대학교 입학본부 주관으로 진행되는 고교 지원 프로그램으로

서울대학교 교수와 학생이 직접 지역 고등학교에서 지식을 전달한다

92명

13기 수료생

100명

14기 수료생미래인재학교

수료생 현황

미래 인재를 위한 꼼꼼한 준비

서울대학교는 7월과 8월 전라남도 고흥middot여수에서 미래인재학교

13 14기를 개최했다 미래인재학교는 지역 간 교육 환경 격차를 완

화하고 고교생의 소질과 적성을 개발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서울

대학교 교수 강의와 재학생 멘토링 등을 통해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다 개최 지역에 따라 맞춤형으로 운영하기 때문에 4

개월 정도의 준비 기간이 필요하다 각 기수마다 재학생 멘토팀을 선

발해 프로그램을 새롭게 기획하는 것은 물론 담당 입학사정관과 멘

토팀이 몇 차례의 답사를 통해 현지 교육 환경을 이해하고 운영 시설

을 확인하는 등 프로그램을 세심하게 꾸려나간다

열정 가득한 학생들과 3박 4일

나로도 소재 국립고흥청소년우주체험센터에서 진행된 미래인재학

교 13기에서는 고흥 소재 8개 고등학교 1 2학년생 92명이 3박 4

일의 과정을 수료했고 14기에서는 여수 소재 10개 고등학교 1학년

학생 100명이 나흘 간의 과정을 마쳤다 특히 이번 멘토팀은 개최지

의 요청에 따라 역대 최대 규모로 조직됐는데 이들 중에는 고교 재

학 중 미래인재학교 수료생으로 참가했던 3명의 학생도 있었다

각 학교장의 추천을 받아 선발된 고등학생들은 입학식과 더불어 핸

드폰을 모두 담당 교사에게 제출하는 등 바른 수업 태도와 학업 의

지를 보여주었고 쉴 틈 없이 짜인 프로그램에도 중도 탈락하는 사

람 하나 없이 참가자 전원이 수료증을 받을 수 있었다

교수 멘토 멘티의 특급 하모니

3박 4일 동안 고등학생들과 함께 숙식하며 프로그램 운영은 물론

학생들의 생활지도까지 맡은 서울대학교 재학생 멘토들 이들은

lsquo아이스 브레이킹rsquo lsquo주제 토론rsquo lsquo고교 생활의 Know-Howrsquo lsquo11 멘

토링rsquo lsquo도전 골든벨rsquo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학생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했다 물리천문학부 홍승수 명예교수 등 고교생

의 눈높이에 맞게 선정한 다양한 학과의 교수 강연은 학생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참가 고등학생들 역시 강의 2주 전 배포한 강연

자료를 예습해왔고 강의가 끝난 후에도 호기심을 충족하기 위해

교수님을 따라 행사장 밖까지 나가 질문하는 열의를 보였다 이번

행사가 서울대학교 학생들에겐 나눔의 기쁨을 개최 지역의 고등학

생들에겐 배움의 기회를 주었길 바란다

지역 인재는 우리가 기른다

전라남도 고흥과 여수에 서울대학교 학생들이 떴다 미래 후배들의 소질과 적성 개발을

돕는 멘토링 프로그램 lsquo미래인재학교rsquo를 진행하기 위해서다 이번에는 개최지의 요청에

따라 역대 최대 규모의 멘토팀이 조직됐다 고등학교 시절 배움을 위해 lsquo미래인재학교rsquo를

찾았던 학생도 지식을 나눠주는 멘토가 되어 돌아왔다 고등학생들과 동고동락하며 여름의

열기보다 뜨거운 4일을 보낸 이들을 만나보자

멘토링 시간에 조별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학생들

참가 학생이 자신의 의견을 발표하고 있는 모습

대학 입학에 관해 강의하는 홍승수 명예교수

Campu s OnNOW

step1

step2

step3

27 26

서울대학교는 8월 29일 관악캠퍼스 문화관 중강당에서

교수 학생 직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교수 정년식을 진행

했다 노태돈 국사학과 교수 임현진 사회학과 교수 안

정선 생명과학부 교수 김명모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장

호익 디자인학부 교수 한문희 불어교육과 교수 김민자

의류학과 교수 황준연 국악과 교수 이성철 의학과 교수

등 26명이 명예로운 정년을 맞아 정든 캠퍼스를 아름답

게 떠났다 이날 행사에서는 박종화 환경대학원 교수가

정년 교수진을 대표해 감사와 당부의 인사말을 전했다

교수 정년식

02

서울대학교는 8월 28일 관악캠퍼스 종합체육관에서 제

68회 후기 학위수여식을 개최했다 이번 학위수여식에

서는 학사 850명 석사 989명 박사 522명 등 총 2361

명이 학위를 받았다 성낙인 총장은 ldquo최고의 지식은 사회

봉사와 인류공헌을 위해 쓰이는 것이며 훌륭한 인재는

지성과 공공성으로 무장된 따뜻한 가슴을 겸비한 lsquo선한

인재rsquordquo라며 ldquo민족의 동량 사회의 중심으로 드높은 자부

심을 갖되 지식과 열정을 공동선을 위해 공헌하는 사회

적으로 필요한 인재가 되기 바란다rdquo고 당부했다

제68회 후기 학위수여식

03

01

서울대학교는

신임 보직교수단을

구성했다 신임 보직

교수 임기는 2년으로

2016년까지 대학의

비전을 마련하고

고등교육 발전을 위한

주요 소임을 맡아

활동한다

신임 보직교수 임명

04 06

2014 우수 인재 채용박람회

추석을 맞아 서울대학교 구성원들의 따스한 손길이 어려

운 이웃들에게 전해졌다 인문대학 등 62개 기관에서 모

금한 총 28271500원은 학교 근처의 보육원 사회복지

관 등 도움이 필요한 곳에 전달됐다 성낙인 총장은 아동

복지시설인 상록보육원을 방문해 성금을 전달하며 어린

이들과 보육원 관계자들을 격려했다 그리고 김종서 교

육부총장은 동명 아동복지센터 이우일 연구부총장은 성

민 종합사회복지관 유근배 기획부총장은 선의관악 종합

사회복지관을 각각 찾아 성금을 전달했다

추석 명절 이웃돕기 성금전달

보 직 명 학 과 (부) 성 명

교육부총장 종교학과 김종서

연구부총장 기계항공공학부 이우일

기획부총장 지리학과 유근배

교무처장 화학부 김병문

학생처장 농생명공학부 김정한

연구처장 의학과 박노현

기획처장 법학전문대학원 이철수

기초교육원장 서양사학과 안병직

입학본부장 독어교육과 권오현

국제협력본부장 국제대학원 정종호

보 직 명 학 과 (부) 성 명

정보화본부장 컴퓨터공학부 신영길

교무부처장 겸 교육부처장 치의학대학원 백승학

학생부처장 식품영양학과 한성림

연구부처장 약학과 오정미

기획부처장 독어독문학과 강창우

협력부처장 건설환경공학부 김재영

기초교육부원장 물리middot천문학부 유재준

입학부본부장 고고미술사학과 이준정

국제협력부본부장 국제대학원 신성호

정보화부본부장 경영학과 장정주

NewsNOW

제8기 스누봉사단이 한국수력원자력(주)의 후원으로 8

월 9일부터 20일까지 베트남 라오까이 성에 있는 스빤

마을에서 봉사활동을 진행했다 유성상 교육학과 교수

이우철 치의학대학원 교수 이승표 교수 한동헌 교수

김익규 빗물모아지구사랑 실장 김용환 연구원 서울대

학교 학생 23명으로 구성된 봉사단은 구강보건의료 빗

물 정화 위생교육 등의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 주민들에

게 나눔을 실천했다

제8기 스누봉사단 베트남 봉사활동

0705

훌륭한 공대교수상 선정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올해의 훌륭한 공과대학 교수로

신현식 컴퓨터공학부 교수 이재홍 전기정보공학부 교

수 강신형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를 선정했다 이 상은 교

수들의 연구 활동을 장려하고 산업 기술의 선진화를 꾀

하자는 취지에서 1992년 공과대학 동문들이 출연한 기

금으로 제정됐다 2003년부터 교육상과 연구상 2개 부

문으로 시상해오다가 올해부터 교육상 학술상 산학협

력상 3개 부문으로 확대돼 의미가 더욱 커졌다

경력개발센터는 2014년 하반기 채용 시즌을 맞이해 9월

2일에서 4일까지 대학본부 앞 잔디 광장에서 lsquo새로운 미

래를 여는 SNU 2014 서울대학교 우수인재 채용박람회rsquo

를 개최했다 올해로 11회째를 맞이한 채용박람회에는

6500여 명의 학생들이 참가했다 한편 두산 삼성 현대

자동차 LG SK 등 국내 주요 대기업들과 국방과학연구

소 한국전력공사 등의 공기업 Hakuhodu 그룹 등의 일

본 기업 ASML Korea 등의 외국계 기업 총 130곳이 우

수 인재를 확보하고자 심혈을 기울였다

信義

기부와 나DONATION

유 태 용

나고 자란 곳을 잊지 않는다 어려웠던 순간을 항상

되새긴다 덕분에 유태용 동문은 사회적 성취를 이룬 지금

자신만의 나눔 원칙을 세울 수 있었다

기 부 자 정 보

격동의 세월을 이겨낸 삶

일제강점기를 지나 해방 그리고 한국전쟁까지 1950년에 서

울대학교에 입학한 유태용 동문의 학창시절은 역사적 격동

기와 맞물려 있다 그 시절을 겪어보지 않은 요즘 세대에게 유

동문의 경험은 책에서나 접하는 옛날이야기로 들릴 수 있다

그럼에도 유 동문은 과거를 잊지 않으려 그 시절을 끊임없이

복기한다 당시 경험을 lt어느 서울대 공대생의 한국전쟁gt이

라는 책에 풀어내기도 했다 ldquo요즘은 상상도 못할 이야기죠

이후로도 어렵사리 국가 발전을 이뤘고요 우리 세대가 고생

했다고 알아주길 바라는 건 아닙니다 다만 큰 어려움을 헤

쳐 온 인생 선배들을 보면서 힘든 순간이 닥쳐도 좀 더 지혜롭

게 극복했으면 좋겠습니다rdquo

유태용 동문은 대학 졸업 후 1957년부터 공직 생활을 시작했

다 이후 오랜 기간 공직에 몸담으며 국토 계획과 건설 행정

을 담당했다 유 동문의 전공은 토목공학 그중에서도 방조

제가 전문 분야였다 공직 생활 초창기에 국제원조기구 장학

생으로 선발돼 1962년 미국에서 아카데미 코스를 밟기도 했

다 그렇게 미국에서 수학한 지식을 바탕으로 당시만 해도 단

일목적댐뿐이던 우리나라에 다목적댐을 도입하는 데 기여했

다 ldquo저는 어찌 보면 운이 참 좋은 사람입니다 어려운 시기에

농촌에서 서울대학교에 입학했고 좋은 기회가 닿아 외국에

서 공부하는 경험도 할 수 있었으니까요rdquo

오랜 시간 이어온 남다른 향토애

공직에 있으며 국가 발전에 힘써온 유 동문 그는 오래전 고

향을 떠나왔지만 어려웠던 어린 시절을 잊지 않는다 불과 몇

원하는 수업료가 없어 일곱 살 나이에 수십 킬로미터에 달하

는 거리를 오갔던 기억이 여전히 생생하다 적어도 돈 때문에

공부를 못하는 학생은 없어야겠다는 생각에 이른 건 어쩌면

당연한 일 그러한 경험이 있었기에 유 동문은 자신만의 기부

신념을 세울 수 있었다 ldquo똑같이 모를 심어도 좋은 쌀을 얻으

려면 관리를 잘해야 합니다 모를 심고 가만히 두면 한 섬밖

에 못 얻지만 비료를 주고 잡초를 솎아내면서 키우면 네 가

마니까지 불어나요 사람도 마찬가지입니다 인재도 좋은 환

경이 갖추어져야 자랄 수 있습니다 서울대학교에 입학한 건

시작일 뿐이죠rdquo

유 동문은 서울대학교에 부동산을 기부해 정읍과 고창 출신

후배들을 위한 lsquo정고장학기금rsquo을 마련했다 단지 태어난 곳

에 대한 고집만은 아니다 그 자신이 농촌에서 어렵사리 대학

에 진학했던 까닭에 그곳에서 나고 자란 후배들이 학비 걱정

없이 공부에만 전념할 수 있기를 바라는 선배의 따스한 마음

이다 ldquo예전에도 그랬지만 지금도 농촌에서 몇 백만 원씩 하

는 등록금을 쉽게 마련할 수 있는 집은 많지 않습니다 더구

나 지방에서 공부해서 서울대학교에 온다는 건 쉽지 않아요rdquo

유태용 동문은 장학생들을 직접 만나 격려하는 데에도 적극

적이다 지금은 학생들이 그가 기부한 장학 기금의 혜택을 입

지만 언젠가는 좋은 인재로 성장해 사회에 보탬이 되는 주역

이 되리라 믿는 까닭이다 ldquo서울대학교가 이제 세계에서도 손

꼽히는 대학이 되었다지만 아직도 세상에는 해결하지 못한

연구 과제가 많아요 서울대학교의 많은 인재가 그런 분야에

도 거침없이 도전해 좋은 성과를 내주길 바랍니다rdquo

유태용 한국방재협회 명예회장

내무부와 건설부에서 오랜 기간 국토 계획과 건설 행정을 맡았다 1998년 자연재

해대책법에 따라 한국방재협회 준비위원장에 추대됐고 창립을 준비해 1999년 초

대 회장에 취임한 바 있다

with SNU

토목공학과 학사 ACAD 12기 수료 정고장학기금을 마련해 정읍 고창 출신 학생

들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및 대학원생 재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원하고 있다

ldquo모를 심고 가만히 두면 한 섬밖에 못 얻지만

비료를 주고 잡초를 솎아내면서 키우면

네 가마니까지 불어나요 사람도 마찬가지입니다

인재도 좋은 환경이 갖추어져야 자랄 수 있습니다rdquo

29 28

31 30

기부와 나DONATION

도전 열아홉이란 나이 누군가는 대학 문을 바라보며 책

장을 넘길 시기에 사업을 시작했다 다양한 업종에 손대며

달콤한 성취도 쓰디쓴 실패도 맛본 20대를 지나 서른을 코앞

에 둔 시기에 광장시장 상가 한편에 1평 남짓한 도매 옷가게

를 열었다 그것이 연 매출 1조 원을 올리는 국내 굴지 패션기

업의 출발이었다

근면 어깨에 옷을 짊어지고 고객을 찾아다니길 수차례

서른 살 청년의 성실성을 소매상들은 알아봤다 판로가 열리

니 사업은 자연히 승승장구했다 그러나 10년 후 위기가 닥

쳤다 거래처의 어음이 부도 처리되면서 그 여파를 고스란히

받아야 했다 ldquo부도를 극복하면서 근면의 중요성을 깊이 느

꼈습니다 재기를 생각하며 다시 1평짜리 매장을 얻어 아침 7

시부터 새벽 2시까지 이를 악물고 일했죠rdquo 시작도 그랬지만

이후로도 근면은 최 회장의 삶에 큰 지표가 됐다

배움 일찍이 사회에 진출한 만큼 현장 경험은 누구보다

출중할 터 그러나 최 회장은 lsquo배움에는 끝이 없다rsquo는 생각으

로 경영만 하기도 바쁜 시간을 쪼개 공부를 계속했다 배움의

과정 중에 서울대학교와 인연이 닿았다 학교의 여러 특별과

정을 수료한 것은 물론 서울대학교 패션산업 최고경영자과

정(AFB) 총교우회 회장도 역임했다 ldquo김민자 교수님께서 lsquo바

쁠수록 더 좋은 성과를 낸다rsquo고 말씀하신 적이 있습니다 몸은

분주했지만 세상을 보는 관점은 더욱 넓어질 수 있었습니다rdquo

섬김 최 회장은 오늘날 이룬 성취가 혼자만의 것이 아니

란 점도 매번 되새긴다 패션그룹형지의 성장과 함께 한 대리

점주를 섬기는 해법 중 하나는 교육이다 ldquo사업의 근간인 대

리점주와 함께 호흡하고 성장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일까 고민

하던 차에 생활과학대학 교수님들의 도움으로 lsquo패션그룹형

지 최고경영자과정rsquo을 열었습니다rdquo

나눔 lsquo남 열 걸음 갈 때 반의 반 걸음 더 간다rsquo 최 회장은

기업가로서 성공을 이룬 지금도 이 말을 되새기곤 한다 ldquo남

보다 조금 더 먼저 생각하고 노력하는 작은 차이가 나중에는

큰 성과를 남긴다는 뜻입니다 요즘은 사업이나 일에 대한 것

뿐만 아니라 타인을 향한 배려와 사랑도 반의 반만 앞서 생

각하고 실천하자고 다짐합니다rdquo 최 회장은 lsquo교육은 백년지대

계(百年之大計)rsquo란 말에 동감하며 패션 산업을 이끌어갈 인

재들을 위해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에 기금을 출연했다

또한 지역 발전을 위한 투자를 비롯해 세월호 참사로 고통받

는 유가족과 학생들을 위해 성금을 기부하는 등 다방면에서

나눔을 실천하고 있다 어려운 순간을 딛고 현재의 성취를 이

뤘기에 자신을 키워준 사회에 무엇인가 되돌려주는 나눔이

중요하다고 말하는 최병오 회장 한편으로 그는 lsquo금전적 도움

을 베푸는 자선의 개념을 넘어 재능과 기술을 나누는 나눔의

문화가 필요하다rsquo고 덧붙인다

청년에게 사회에서 일가를 이룬 최병오 회장이 이 시대

를 사는 청년들에게 권하고픈 경험은 다름 아닌 lsquo실패rsquo다 ldquo진

짜 실패는 넘어지는 게 두려워 시도조차 하지 않는 거라고 하

지 않습니까 실패를 두려워하기보다 꿈을 먼저 생각하길 바

랍니다rdquo 최 회장은 목표와 꿈을 추구하는 동시에 타인을 배

려하는 태도 역시 지니길 권한다 그것이 바로 진정한 성공이

요 명품인생을 완성하는 길이기에

切磋琢磨 최 병 오

최병오 회장에게 lsquo근면rsquo은 가장 기본적인 성공 원칙이다

lsquo배움rsquo은 자기 성장의 원동력이며 lsquo섬김rsquo은 상생의

바탕이다 마지막으로 그는 lsquo나눔rsquo이란 대의를 잊지 않는다

ldquo경제적인 어려움으로 배움의 기회를 놓쳐선

안된다고 생각해왔습니다 젊은 나이에

일찍 사업에 뛰어들어 배움에 대한 목마름이

누구보다 컸기 때문입니다rdquo

기 부 자 정 보

최병오 패션그룹형지 대표이사 회장

대한상공회의소 중견기업위원회 위원장이자 윤리경영위원회 위원 또한 한국의

류산업협회 회장과 한국의류산업학회 부회장 등을 맡아 최근 대통령 해외 순방 당

시 경제사절단으로 동행했다

with SNU

AFB 3기 AMP 63기 AIP 42기 AWASB 1기 등을 수료했다 AFB 동창회장과

AFB 동창회 수석부회장을 역임했으며 올해 제13회 AMP 대상을 수상했다 현재

AWASB 동창회장을 맡고 있다

33 32

기부의 향연이 펼쳐지다

바바패션

인문대학 발전기금 1억 원 기부

바바패션(대표이사 회장 문인식)이 인문대학에 발전기금 1억 원을 기부했

다 10월 13일 총장실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성낙인 총장과 문인식 바바

패션 대표이사 회장 유근배 기획부총장 장재성 인문대학장을 비롯해 관

계자 10여 명이 참석했다 성낙인 총장은 ldquo문인식 회장님의 인문학에 대

한 관심과 성원에 감사드린다rdquo며 ldquo이번 기금으로 인문대학의 발전과 인재

양성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이에 문인식 회장은 ldquo바바패

션은 계속해서 나눔 경영을 통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rdquo고 전했

다 문인식 회장은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최고지도자과정(AMP) 72기를

수료하고 현재 인문대학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12기 회장 AMP

총동창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한편 바바패션은 국내 여성 패션 브랜드인

아이잗바바(IZZAT BABA) 지고트(JIGOTT) 등을 비롯한 총 9개의 브

랜드를 보유하고 있으며 심장병 어린이 수술 지원 및 장학 사업도 꾸준히

펼치고 있다

전기컴퓨터공학부 권욱현 명예교수

lsquo권욱현 희망장학기금rsquo 1억 원 기부

지난 6월 17일 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부 권욱현(전기공학 62학번)

명예교수가 lsquo권욱현 희망장학기금rsquo을 조성하고 1억 원을 기부했다 이번

에 마련된 기금은 공과대학과 전기공학부 학생들 가운데 경제적으로 어

려운 학생들에게 지급될 예정이다 변대규 휴맥스 대표를 비롯해 이재원

슈프리마 대표 등 국내 유명 벤처기업 CEO들의 스승으로 유명한 권욱현

명예교수는 2005년 서울대학교 평의원회 의장으로 활동했으며 대한전

기학회장 세계자동제어연맹 부회장 국제자동제어연맹 회장 등을 역임

했다 국제자동제어연맹(IFAC) 회장으로 재임 시 사재 50만 달러를 출연

해 개발도상국 젊은 공학자의 학술 활동을 지원하는 등 후학 양성을 위한

꾸준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김정식 해동과학문화재단 이사장

해동학술정보실 건립기금 30억 원 기부

지난 6월 27일 해동과학문화재단 김정식 이사장(전자공학 48학번)이

lsquo해동학술정보실 건립기금rsquo으로 30억 원을 쾌척했다 이번에 조성된 기금

은 공과대학과 자연과학대학 등 주요 단과대학의 해동학술정보실을 건

설하는데 사용될 예정이다 이번 기금 이외에도 김정식 이사장은 서울대

학교 공과대학 인근 해동학술관과 해동학술정보실 12호관 건립 기금으

로 100억 원이 넘는 금액을 출연하며 꾸준히 모교를 후원하고 있으며 인

재 양성을 위해 한양대 고려대 등 국내 주요 대학에 해동학술정보실 건립

을 지원하고 있다 1972년 대덕전자를 설립해 한국 전자 산업의 기술 개

발을 이끈 선구자로 유명한 김정식 이사장은 1990년 해동과학문화재단

을 만들어 해동상을 재정하는 등 지속적인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

패션그룹형지

생활과학대학 발전기금 3억 원 기부

패션그룹형지(대표이사 회장 최병오)가 생활과학대학에 발전기금 3억 원

을 기부했다 이 기금은 생활과학대학의 교육middot연구활동 및 시설개선 등을

위한 제반 활동에 사용된다 지난 8월 26일 진행된 협약식에서 성낙인 총

장은 ldquo생활과학대학은 패션그룹형지 기금으로 수준 높은 연구 성과와 인

재 배출을 통해 대한민국 대표 인재 양성소로 거듭 날 것rdquo이라고 밝혔으

며 최병오 회장은 ldquo국가 경쟁력을 이끌어가는 리더와 패션 산업 인재를

양성하는 데 패션그룹형지 발전기금이 쓰이길 바란다rdquo고 당부했다 최 회

장은 지난 2003년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패션산업 최고경영자과정

(AFB) 3기를 수료하고 2007년부터 2013년까지 AFB 총교우회 회장을

역임했다 또한 이번 기금 이외에도 꾸준히 후원한 다양한 기금으로 건립

된 lsquo최병오 홀rsquo을 통해 사회 각계각층의 주요 리더들이 교류하는 교육장을

마련했다 1월에는 경영대학 최고경영자과정(AMP) 총동창회가 주최하

는 lsquo제13회 서울대 AMP 대상rsquo을 수상했다

NewsDONATION

유회진 학술정보관 건립 보고 및 감사 행사

ldquo기부금은 이공계 학생들을 위해 써주세요rdquo 故 유회진 박사가 구강암으로 투병

하는 동안 병문안을 갔던 이장무 전임 총장에게 남긴 말이다 서울대학교 기계

설계학과에서 학부와 대학원 생활을 보내고 동아대학교 교수를 역임한 유 박

사는 2009년 구강암 판정을 받았다 그는 암 투병 치료비부터 부모님으로부터

물려받은 유산까지 허투루 쓰지 않고 모은 100억 원이 넘는 전 재산을 서울대

학교에 남기고 2011년 별세했다 유가족이 없는 고인을 위해 서울대학교 발전기

금은 장례를 진행했으며 매년 제사를 지내 뜻을 기린다

지난 7월 2일 관악캠퍼스 공과대학 엔지니어하우스대강당에서 lsquo유회진학술정보

관rsquo 건립 보고 및 감사 행사가 개최됐다 유회진학술정보관은 유회진 기금으로

건립되어 공과대학과 자연대학이 공동 교육 및 연구 시설로 사용할 예정이다 이

날 행사는 오연천 전임 총장의 환영사에 이어 유회진 박사 소개 및 기부 경과보

고 유회진학술정보관 건립 경과보고 순으로 진행됐으며 특별히 故 유회진 박사

의 지인인 서울시립대 권원태(기계설계학과 78학번)교수가 참석했다 그의 숭고

한 마음은 우리 사회의 빛나는 과학자들을 위한 초석이 될 것이다

11월 9일 故 유회진

박사의 3주기가 돌아온다

서울대학교발전기금은

제주(祭主)로서 그를 잊지 않고

사회와 학교를 향한 기부자의

아름다운 정신을 남길 것이다

당신의 아름다운 마무리

35 34

SNU Presidents Honors Club

SNU Honor Club

故 곽명덕 변호사 유가족 (한자영 곽성현 곽성희)

故 구영록 교수 유가족

故 김인제 故 최성순 가족

(故 김동호 故 김동훈 김동준 김진숙 김진옥)

故 이한빈 부총리 가족 (유정혜 이원식 이선이)

고윤석 (물리학과 47입)

고정택 (외교학과 62입)

구영배 (자원공학과 85입)

구재서

권영대 (약학과 55입)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권욱현 (전기공학과 62입)

금장태 (종교학과 62입)

김건식 (법학과 73입)

김경한 (법학과 62입)

김경한 (외교학과 62입)

김광일 (경영학과 84입)

김기봉 middot신경은 (기계공학과 63입 middot화학과 65입)

김기태 (의학과 58졸)

김난도 (소비자아동학부 교수)

김대욱 (조선공학과 76입)

김동길 (화학교육과 57입)

김동훈 (화학과 48입)

김두철 (전자공학과 66입)

김만극 (약학과 47입)

김상헌 (사법학과 82입)

김선동 (화학공학과 59입)

김선화(정자) (국악과 60입)

김성배 (영어영문학과 63입)

김양곤 (IFP 2기)

김연탁 (경제학과 故 김태성 교수의 부)

김연호 (화학공학과 71입)

김영경 (기계공학과 52입) middot김천순

김영석 (3 Plus Logistics 회장)

김영수 (법학과 67입)

김영심 (불어불문학과 故 오현우 교수의 부인)

김영업

김용재 (의과대학 60입)

김용철 (치의학과 55입)

김의신 (의학과 60입)

김의영 (경제학과 54입)

김정희 (간호학과 52입)

김종일 (제어계측공학과 79입)

김진향

김천흥

김철호 (외교학과 70입)

김춘길 (화학생물공학부 58입)

김택수 (법학과 48입)

김하석 middot김영중 (화학과 63입 middot약학과 64입)

김하자 (서양화과 故 하동철 교수의 부인)

김학봉 (한영요업 회장)

김형주 (전자계산기공학과 78입)

나정환 (화학교육과 54입)

남정현 (건축학과 57입)

류무종 (중어중문학과 53입)

류진 (영어영문학과 78입)

마인경 (지리학과 56입)

민계식 (조선항공학과 61입)

민호기 교수 유가족

박대근 (보건대학원 63입)

박맹호 (불어불문학과 52입)

박민식 middot 박금옥 (수의과대학 65입 middot체육교육과 63입)

박봉균 (수의학과 76입)

박숙희 (지리학과 60입)

박용헌 (교육행정학과 53입)

박용호 (수의학과 74입)

朴麟子(가정관리과 82입) 하상예 박임숙 박순영 박노용

박종근 (전기공학과 69입)

박종수 (수의학과 58입)

박종오 (영어영문학과 55입)

박준 (법학과 73입)

박태진 (독어독문학과 80입)

박한제 (동양사학과 69입)

배옥자 (성심가정의학과의원 원장)

백종철 (농공학과 54입)

백형익

법대 48회 졸업생

변대규 (제어계측공학과 79입)

서문자 (간호학과 63입)

손경식 (법학과 57입)

송상용 (화학과 55입)

송상현 (법학과 59입)

송인철 (SPARC 14기)

송학린 (법학과 59입)

신수정 (기악과 59입)

신영길 (계산통계학과 78입)

신영주 (이남장 대표)

신익현 (임학과 79입)

신효영 middot신승연 (故 신광현 교수의 가족)

신희명 (물리교육과 49입)

신희택 (법학과 71입)

심소일 (상학과 49입)

심재성 (前 성보산업 자문위원)

안영경 (前 핸디소프트 고문)

안창엽 (AMP 68기)

양천식

오세경 (약학과 61입)

오승환 (의학과 56입)

오용호 middot오양호 (행정학과 69입 middot법과대학 80입)

오윤덕 (행정학과 61입)

원재연 (경영학과 82입)

유근순

유성숙 (고고미술사학과 故 김원용 교수의 부인)

윤계섭 (상학과 64입)

윤덕우 (경제학과 58입) middot최덕자

윤석금 (웅진그룹 회장)

윤석순 (수의학과 59입)

윤우석 (에너지자원공학과 63입)

이건우 (기계공학과 74입)

이경식 (불어불문학과 55입)

이광희 (지리학과 59입)

이교일 middot박명진

(기계공학과 60입 middot불어불문학과 65입)

이기춘 (가정교육과 61입)

이명현 middot김귀현 (철학과 60입 middot기악과 69입)

이문한 (수의학과 66입)

이병준 (경제학과 55입)

이성규 (사학과 65입)

이성형 (정치학과 82입)

이순원 (가정교육과 54입)

이순형 (가정관리학과 70입)

이신두 (물리학과 76입)

이예식 (약학과 46입)

이용환 (농업교육과 63입)

이용환 (전기공학과 73입)

이원영 (AMP 6기)

이은방 (약학과 55입)

이장무 (제24대 총장)

이재승 (원자핵공학과 59입)

이정섭

이정섭 (종교학과 04입)

이종덕 (물리학과 62입)

이준용 (경제학과 56입)

이지형 (법과대학 85입)

이찬승 (수학교육과 69입)

이창득 (국어교육과 71입)

이창화 (국어국문학과 64입)

이천만 (영어영문학과 故 이상태의 부)

이철승 (법학과 78입)

이철영 (SPARC 17기)

이현수 (농화학과 60입)

이현재 (경제학과 48입)

이형도 (화학공학과 61입)

이홍표 (의과대학 58입)

임길진 교수 유가족

임동진 (법학과 62입)

임현진 (사회학과 67입)

장세권 (농공학과 70입)

장순영

장용국 (법학과 71입)

장재혁 (역사교육과 80입)

장정훈 (약학대학 65입)

전익찬 (지구환경과학부 94입 故 전재규의 부)

전해종 (동양사학과 47졸)

정달훤 (고고미술사학과 87입 故 정은임의 부)

정영현 (공업화학과 85입 정순욱의 부)

정영호 (생물학과 50입) middot 박양숙

정윤환 (임학과 56입)

정재선 (소비자아동학과 93입)

정재준 (前 경보전기 부회장)

정종곤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조동성 (경영학과 67입)

조병직 (법학과 46입)

조석준 (행정학 57졸)

조영식 (수의학과 80입)

조옥환 (부산교통 대표)

조종수 (건국대학교 교수)

조한영 (상학과 43입)

조형준 (미학과 65입)

주중광 middot 허지영 (약학대학 60입 middot 화학과 66입)

차상균 (전기공학과 76입)

차상균 교수 외 제자 12명

채성기 (원자핵공학과 59입)

채제한 (전기공학부 48입 故 채호석의 자)

천문우 (약학과 61입)

최병오 (AFB 3기)

최재열 (조소과 08입 최민주의 부)

최정욱 (화학공학과 49입)

최창원 (심리학과 83입)

최화형 외 3명

풍원자 (임학과 57입 故 용환운의 부인)

하영구 (무역학과 72입)

한규범 (AMP 42기)

한규환 (기계공학과 68입)

한기준 (의학과 52입)

한상복 (사회학과 56입)

한옥희 (화학과 79입)

한장희 middot김재혜 (행정학과 61입 middot 법학과 61입)

허성도 (중어중문학과 68입)

허영인 (SPC그룹 회장)

현기순 (가정교육과 46입)

현정오 (농생물학과 66입)

현택환 (화학과 83입)

홍경자 (간호학과 62입)

홍계수 (법학과 72입 주경숙의 모)

홍길표 (컴퓨터공학부 홍지명의 부)

홍예표 (치의학과 65입)

홍지준 (화학교육과 74입)

황귀례 (제약학과 故 국채호 교수의 부인)

황재홍 (치의학과 90입)

히로나카 헤이스케 (하버드대 명예교수)

Eduard J Stadelmann (前 미네소타대학 교수)

Ken-ichi Arai (동경대 교수)

Peter S Kim (MIT 교수)

Stanley Choy

거평그룹

건일제약

건화엔지니어링

경남기업

경동송천재단

경암교육문화재단

고려아연

공영토건

과학기술혁신 최고전략과정 23기 일동

과학기술혁신 최고전략과정 24기 일동

관악회

광동제약

교보문고

구원장학재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국방과학연구소

국제종합물류

금호아시아나문화재단

김 middot장 법률사무소

김영사

김정문알로에

까사미아

나산실업

남광토건

남영비비안

넥슨코리아

노키아티엠씨

농어촌희망재단

농우바이오

다이소아성산업

다함넷

단암장학재단

대교

대림대학

대양 EampC

대우기전공업

대우엔지니어링

대우테크

대한수의사회

대한통운

돈암장학회

동방

동방상호신용금고

동부대우전자

동부문화재단

동서식품

동아건설산업

동아제약

동양강철

동철문화재단

동화산업장학재단

두을장학재단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롯데관광

롯데쇼핑

매트바이오테크

메디슨

몬산토코리아

미래에셋

미래와도전

미래의동반자재단

민음사

바이로메드

방송문화진흥회

방일영문화재단

법대 39회 동문 일동

법대 84학번 동기회

법대 85학번 동기회

법대최고지도자과정 8기 일동

법대최고지도자과정 10기 일동

법무법인 광장

법무법인 바른

법무법인 세종

법무법인 율촌

법무법인 케이씨엘

법무법인 태평양

법무법인 화우

부경양돈협동조합

비씨카드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동문회

삼양

삼우종합건축사무소

삼일회계법인

삼전순약공업

삼호개발

삼화모터스

상암에너지

상지상사

상진개발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글로벌리더쉽과정

서울대합창단 동문회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석원산업

성남시장학회

성련장학재단

세무법인 조이

세진에프알에스

송우재단

수경출판사

수암장학문화재단

수의과대학 교수 일동

스키부 동문회 일동

시뮬레이션테크

신라교역

신라문화장학재단

신양머그

신한장학재단

썬텍

아모레퍼시픽

아산사회복지재단

안성농장

알앤엘바이오

애드미션

앨트웰민초장학재단

약학교육연수원 이수자 일동

양지농장

영림임업

오뗄

오뚜기재단

오리엔트이엔지

오리온전기

오성엘에스티

와이비엠시사

용운장학회

우덕재단

유기천교수기념사업출판재단

유신

유티씨인베스트먼트

유한재단

유한킴벌리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음악대학 피아노발전기금후원회

이지바이오

인선문화재단

인촌기념회

인탑스

일동제약

일동후디스

일주학술문화재단

재단법인 대우재단

재단법인 정민

재미서울대총동창회

전국은행연합회

정공산업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정수장학회

정헌재단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져스텍

종근당

종로구장학회

좋은책신사고

진생사이언스

진양제약

참존

창강재단

창진영농조합법인

천만장학회

천수기업

천연물과학연구소 교수 일동

천재교육

청합장학회

최고경영자과정 총동창회

최고산업전략과정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middot

미래지도자인문학과정(IFP)

케이씨텍

코스맥스

코오롱

트러스톤자산운용

특수건설

패션그룹형지

포니정장학재단

포휴먼

풀무원

풍산

플라톤아카데미

피에스케이

하나제약

한국간연구재단

한국거래소

한국금융투자협회

한국무역협회

한국문화진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산업은행

한국세포주연구재단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알콜산업

한국외국인학교

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전파기지국

한국증권금융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한국타이어

한국투자신탁운용

한국투자증권

한산이씨양도공파설서공종중

한샘출판

한수통상

해나천연물신약

해성장학회

해태

행정대학원 정보통신과정

현대차 정몽구 재단

현대카드

현대캐피탈

현동장학회

현송교육문화재단

홈플러스e파란재단

효성그룹

휴맥스

AMP 63기 일동

AMP 64기 일동

AMP 65기 일동

AMP 66기 일동

AMP 67기 일동

AMP 68기 일동

AMP 69기 일동

AMP 70기 일동

AMP 71기 일동

AMP 72기 일동

AMP 73기 일동

AMP 74기 일동

AMP 75기 일동

AMP 76기 일동

AMP 77기 일동

AMP 78기 일동

ASSET PLUS투자자문

E1

Eyagi(이야기) CAFE

Goldman Sachs

KDB대우증권

KRX국민행복재단

KTB투자증권

LG연암문화재단

NCSOFT

NHN

NXC

OB맥주

Qualcomm

SECMCA

SIMPAC ANC

SK CampC

SNU 프리시젼

S-Oil

SPARC 15 middot16 middot17 middot18기 일동

1억 원 이상 출연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LG삼성 한국전력공사SK

포스코 웅진한화농업협동조합중앙회

KT 부영신한금융 현대자동차

SPC IBK기업은행

태영현대 금호아시아나롯데장학재단

CJ 대림두산 한진

우리금융 미래국제재단

50억 원 이상 출연

조천식정치학과 45입

윤대섭농공학과 49입

100억 원 이상 출연

정석규화학공학과 48입

이용희태광사 회장

김정식 전자공학과 48입

유회진기계설계학과 78입

SNU Hono r C l ubDONATION

SNU Gold Honors Club

홍성대수학과 57입

이기영前 의대 교수

최창영금속공학과 64입

박영희수학교육과 54입

손장순불어불문학과 54입

유태용토목공학과 50입

김명희middot신정희기악과 91입 김형찬의 모

이필남 박상윤 윤전수middot이삼락

김연혁히로세코리아 감사

서정선의학과 70입

전은기middot김은희 백추현 곽영필토목공학과 56입

박완서의 상속인호원숙 호원순 호원경 호원균

이순자불어불문학과 57입

손동준전자공학과 59입

윤종용전자공학과 62입

정덕균전자공학과 77입

강옥채middot노병수공법학과 83입

민선식경제학과 78입

박병준섬유공학과 52입

서울대학교총동창회

양두석독어독문학과 69입

양윤홍전자공학과 63입

대우 카길애그리퓨리나 동진쎄미켐 하나금융지주

동원 동양 KB금융지주 대우조선해양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대성 로이드선급협회 아시아일진

한국가스공사 녹십자 생명보험협회 현대중공업

메가스터디 TOYOTA MOTOR CORP SK하이닉스 서울장학재단

STX 농심 무한투자 이연제약

대우인터내셔널 송원김영환장학재단 형애장학회 신풍제약

10억 원 이상 출연

현대산업개발

스페코middot삼익악기

영원무역

쌍용양회공업

영원아웃도어

환인제약 주식회사

한국프뢰벨

37 36

춘강문화장학재단 (박성형 이사장)

허성도 (인문대학 명예교수)

형남진장학재단 (이정희 이사장)

강남구청

김형렬 (윤리교육과 교수)

공병영 (사무국장middot시설관리국장)

신흥 (이용익 대표이사)

서영길 (광산학과 53입)

일중장학재단 (송윤영 이사장)

금곡장학회 (이수상 이사장)

덕원장학회 (이헌경 이사장)

강현구 (건축학과 교수)

김명환 (조선해양공학과 75입)

김영수 (법과대학 60입)

김영운 (재료공학부 교수)

서강문 (동물병원 원장)

서동규 (경영학과 84입)

송희영 (영어영문학과 74입)

이근무 (사회학과 56입)

이재호 (경영학과 84입)

주식회사 KTampG 남서울본부 (박정욱 본부장)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박기용 이사장)

가송재단 (윤도준 이사장)

강스템바이오텍 (강경선 대표이사)

유한회사 본음인베스트먼트

이진경 (전국낙지자랑 대표)

주리아 (치과대학 04입)

한승장학회 (이재영 이사장)

키움증권 (권용원 대표이사)

협성문화재단 (박석귀 이사장)

윤상혁 (디자인학부 03입)

GS칼텍스 (허동수 대표이사 회장)

권규돈 (중어중문학과 13입 권기범의 부)

김경준 (농경제학과 82입)

김용팔 (수의과대학 75입)

김재홍 (수의학과 교수)

김진태 (법학과 71입)

문대원 (경영학과 71입)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오근택 대표이사)

박세창 (수의학과 교수)

산학협동재단 (한덕수 이사장)

선암장학재단 (윤호철 이사장)

성제경 (수의학과 교수)

송재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우광덕 (치과대학 64입)

유기윤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유한상 (수의학과 교수)

윤여성 (수의학과 교수)

윤정희 (수의학과대학 부학장)

윤화영 (수의학과 교수)

이건목원리한방병원 (이건목 원장)

이소영 (수의학과 교수)

이항 (수의학과 교수)

이희근 (공과대학 명예교수)

조무제 (법학과 65입)

조성범 (수의학과 교수)

조제열 (수의학과 교수)

중앙백신연구소 (윤인중 대표이사)

지티앤티 (이세한 대표이사)

채찬희 (수의학과 교수)

태평소금 (손일선 회장)

한호재 (수의학과 교수)

해마루 (김현욱 원장)

황인구 (수의학과 교수)

조선에듀케이션 (방정오 대표이사)

강진영 (의학과 69입)

김정기 (법학과 75입)

박달이 (간호대학 74입)

박재완

사회복지법인 건아재단 (심철환 이사장)

손정식 (제약학과 73입)

윤재석 (화학교육과 71입)

이도환 (치의학과 86입)

이동식 (영어교육과 72입)

홍기택 (경영학과 74입)

KT (황창규 대표이사 회장)

LG PC 유지보수센터 (박무광 대표이사)

광주시민장학회 (박기준 이사장)

박영임 (간호학과 73입)

사명희치과 (사명희 원장)

연당장학회 (남욱 회장)

우정장학문화재단 (강백영 이사장)

제노에너지 (김성철 대표이사)

신우호 (화학교육과 87입)

이병욱 (조경학과 81입)

정혜선 (간호학과 82입)

허종필 (공업화학과 73입)

권길주 (조선해양공학과 11입 정지원의 모)

권혜숙 (약학과 82입)

김미영 (간호학과 98입)

김범진 (턱교정학고급연수과정 6기)

김성열 (교육학과 75입)

김우진 (국악과 73입)

녹십자수의약품 (김승목 대표이사)

덕영재단 (전헬리시아 이사장)

류제하 (기계공학과 78입)

문수자동판매기 (김영식 대표)

민기복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민동홍 (독어독문학과 77입)

박종철 (물리학과 61입)

설재연 (심리학과 82입)

송은도 (국악과 01입)

유차영 (ASP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 12기)

신우개발 서울지점 (김익환 사장)

신하순 (동양화과 교수)

안석준 (치의과대학원 부원장

안휘준 (인문대학 명예교수)

양민영 (협동과정 미술교육전공 94입)

양형식 (자원공학과 75입)

옥복연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07입)

우경미 (치의학대학원 교수)

우성공원묘원 (허정산 대표)

우성원 (미학과 95입)

월악장학문화재단 (남기영 이사장)

유건선 (토목공학과 73입)

유흥수 (법학과 58입)

윤희정 (수의학과 교수)

이대혁 (자원공학과 87입)

이병천 (수의학과 교수)

이상돈 (에너지자원공학과 84입)

이승주 (치의학과 92입)

이시우 (의예과 95입)

이용규 (경영학과 84입)

이정인 (공과대학 명예교수)

이희석 (농생물과 57입)

임종후 (서양화과 12입 임지윤의 부)

임한조 (물리학과 67입)

전석원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정소걸 (자원공학과 71입)

정지훈 (치의학과 교수)

조경란 (법학과 79입)

조기웅 (화학과 66입)

조현욱 (사법학과 83입)

최명애 (회화과 70입)

최정욱 (경영학과 84입)

최종길 (법과대학 83입)

하종철 (동양화과 13입 하문원의 부)

한공창 (자원공학과 72입)

한국지하수지열협회 (안근묵 회장)

허형무 (경영대학 68입)

미주재단

Steve Ro (토목공학과 61입)

Soung Kim (임학과 56입)

Joong M Soh (공과대학 64입)

John Baek (금속공학 49입)

Hyunchan Lee (치과대학 70입)

Steve amp Cheryl Shapiro

Kwang S Hong (공과대학 60입)

Moon H Kim (공과대학 68입)

David Cho (공과대학 60입)

Dong Ku Chung (기계공학과 57입)

Sang Dae Lee (농업생명과학대학 80입)

Young D Kim (공과대학 67입)

AMP 78기 일동

삼성복지재단 (이수빈 이사장)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한국세포주연구재단

SK하이닉스 (박성욱 대표이사 사장)

패션그룹형지 (최병오 회장)

한국수력원자력 (조석 사장)

형애장학회 (최효종 이사장)

송원김영환장학재단 (김해련 이사장)

사회복지법인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이기수 이사장)

SECMCA

TOYOTA MOTOR CORP

(요시다 아키히사 대표이사 사장)

권욱현 (공과대학 명예교수)

네이버 (김상헌 대표이사)

부경양돈협동조합 (박재민 조합장)

안인희

전국경제인연합회 (허창수 회장)

현송교육문화재단 (김정일 이사장)

롯데장학재단 (신영자 이사장)

일주학술문화재단 (이선애 이사장)

현대차 정몽구 재단 (유영학 이사장)

박미혜 (성악과 교수)

LG연암문화재단 (구자경 이사장)

KeyGene (Arjen van Tunnen CEO)

아산사회복지재단 (정몽준 이사장)

천만장학회 (이광현 이사장)

방일영문화재단 (조연흥 이사장)

AMP 77기 일동

신라문화장학재단 (박준형 이사장)

SBS문화재단 (윤세영 이사장)

김만극 (약학과 47입)

아이바이오 (김기일 대표이사)

현대엔지니어링 (김위철 대표이사)

종근당고촌재단 (김두현 이사장)

정수장학회 (김삼천 이사장)

Kensary LLP

앨트웰민초장학재단 (김박 이사장)

한국동서발전 (장주옥 사장)

한화갤러리아 (박세훈 대표이사)

한화생명보험 (차남규 대표이사 사장)

한화손해보험 (박윤식 대표이사)

한화첨단소재 (김창범 대표이사)

한화투자증권 (주진형 대표이사 사장)

KEILCO(KEPCO ILJAN CORPORATION)

연강재단 (박용현 이사장)

창강재단 (안병표 이사장)

경기도 인재개발원 (박익수 원장)

대림수암장학문화재단 (변형윤 이사장)

청합장학회 (여상길 회장)

한빛종합동물병원 (임정식 원장)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716900000

364863690

317560000

250000000

220000000

200000000

200000000

150000000

142103500

140000000

139583000

13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98538000

89942000

82426000

70000000

67509000

67500000

62989000

59929000

59208000

53720000

51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44302000

42076000

40918000

40273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39677688

39035000

37244000

37068000

34780000

31047000

31000000

30300600

박종오 (영어영문학과 55입)

이상복 (ABKI문헌지식정보최고위과정 5기)

이상억 (인문대학 명예교수)

한화 (심경섭 대표이사)

한화건설 (김현중 부회장)

한화자산운용 (강신우 대표이사)

한화케미칼 (방한홍 대표이사)

한화호텔앤드리조트 (홍원기 대표이사)

오뚜기재단 (함태호 이사장)

유한재단 (이필상 이사장)

영원무역 (성기학 대표이사 회장)

서울대합창단동문회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전병원 이사장)

국가정책과정(ACAD) 77기 일동

배영수 (서양사학과 교수)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최윤 회장)

몬산토코리아유한회사

(벤자민 마크 후드리스 대표이사)

성련장학재단 (허연금 이사장)

고광우 (행정학과 53입)

김철수 (법과대학 명예교수)

대한적십자사 (유중근 총재)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성기학 이사장)

임현진 (사회과학대학 명예교수)

장문영 (화학과 59입)

재단법인 양영재단 (김상하 이사장)

조유근 (컴퓨터공학부 교수)

두을장학재단 (이인희 이사장)

과천시애향장학회 (신학수 이사장)

서울장학재단 (이경희 이사장)

왕한석 (인류학과 교수)

포니정장학재단 (정몽규 이사장)

조용준 (법학과 79입)

농어촌희망재단 (김달웅 이사장)

경동송천재단 (류덕희 이사장)

농생대 환경재료과학 교수일동

주식회사 천랩 (천종식 대표이사)

돈암장학회 (이용배 이사장)

인선문화재단 (박선영 이사장)

단암장학재단 (이봉서 이사장)

치과대학 치의학대학원 동창회

흥한재단 (박병석 이사장)

선화예술문화재단 (심재혁 대표)

한국미즈노 주식회사 (김창범 대표이사)

곽노섭 (수학과 49입)

19대 인문대 학장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김은선 (디자인학부 13입 조은지의 모)

서광훈 (약학대학 67입)

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ASP) 27기 동문

송재용 (경영학과 교수)

수도씨에이씨 (송명호 대표이사)

신한화구 (한봉근 대표)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28436000

27942000

26000000

24210000

24041200

23994234

22500000

20724000

20500000

20274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18779000

17973600

17934000

17600000

17050000

17000000

165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4000000

14000000

13500000

12000000

12000000

11602000

11102610

10281624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이앤티 (고영호 대표이사)

재단법인 정민 (윤석헌 이사장)

제11기 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천병년 (약학과 77입)

최민철 (농공학과 75입)

현대하이스코 (신성재 대표이사)

황효진 (동양사학과 78입)

대한사료주식회사 (이상민 대표이사)

해성문화재단 (단재완 이사장)

한국가스공사 (장석효 사장)

장석윤 (약학과 79입)

한국석유공사 (서문규 사장)

종로구장학회 (최현종 이사장)

동부문화재단 (강경식 이사장)

인촌기념회 (이용훈 이사장)

용옥장학문화재단 (양철우 이사장)

미래의동반자재단 (Jeffrey D Jones 이사장)

성옥문화재단 (이화일 이사장)

다래파크텍 (김호정 대표이사)

미래인재육성재단 (최양식 이사장)

고화장학회 (배명인 이사장)

한국애질런트테크놀로지스 (박시영 대표)

이재원 (중앙도서관 정보관리과)

리브로 (김경수 대표이사)

오운문화재단 (이동찬 이사장)

조비경농장학재단 (이병만 이사장)

오스템임플란트 (최규옥 대표이사)

한국섬유산업연합회장학재단 (노희찬 이사장)

아카넷 (김정호 사장)

삼송장학회 (김영기 이사장)

서지희 (IFP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11기)

김지호

서울상공회의소 관악구상공회 (김진철 회장)

송파재단 (윤원영 이사장)

김영윤 (토목공학과 62입)

로보로보 (장창남 대표이사)

류판동 (수의과대학장)

모르페우스 (김진수 대표이사)

박윤서 (고고인류학과 69입)

박찬국 (철학과 교수)

송인석 (치의학과 01입)

시그나사회공헌재단 (홍봉성 이사장)

신남식 (수의학과 교수)

약학대학 40회 동기회

와이비엠 (민선식 대표이사)

이필상 (경제학부 교수)

한국경제연구원 (권태신 원장)

황만순 (제약학과 90입)

운경재단 (배성동 이사장)

제봉민병욱장학재단

심명문화재단 (이경재 이사장)

홍산장학재단 (천영주 이사장)

홍수현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9730000

9528000

9140000

9000000

9000000

8690000

8525000

8525000

8178000

8112000

7963000

7928068

7713000

7500000

7000000

6950000

6919590

6058000

6010000

6000000

6000000

5700000

5400000

5357143

5100000

5100000

5089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4934000

4734000

4527000

4500000

4462280

4000000

4000000

4000000

3956000

3862000

3600000

3500000

3029000

3029000

3005000

3005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2706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467000

2467000

22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1865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5145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431445

1221251

1210000

108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단위 $

100000

10000

5000

3000

500

500

200

200

100

100

100

100

20140601 ~ 20140831 약정 단위 원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약정DONATION

39 38

김형렬 (윤리교육과 교수)

이정진 (기계항공공학부 95입)

신흥 (이용익 대표이사)

이창우 (경영학과 교수)

서영길 (광산학과 53입)

일중장학재단 (송윤영 이사장)

금곡장학회 (이수상 이사장)

덕원장학회 (이헌경 이사장)

강현구 (건축학과 교수)

김명환 (조선해양공학과 75입)

김영수 (법과대학 60입)

김영운 (재료공학부 교수)

김종원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김진학 (도시환경최고전문가과정 29기)

박훈 (기계공학과 63입)

서강문 (동물병원 원장)

서동규 (경영학과 84입)

송재홍 (농화학과 83입)

송희영 (영어영문학과 74입)

신남식 (수의학과 교수)

이규선 (조경middot지역시스템공학부 13입 이성용의 부)

이봉호 (치의예과 84입)

이재호 (경영학과 84입)

전병롱 (정책학과 10입 전상우의 부)

전호석 (기계설계학과 71입)

주식회사 KTampG 남서울본부 (박정욱 본부장)

최황 (의과대학 명예교수)

황철성 (재료공학부 교수)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박기용 이사장)

가송재단 (윤도준 이사장)

강스템바이오텍 (강경선 대표이사)

오이코스 (배장영 대표이사)

유한회사 본음인베스트먼트

이진경 (전국낙지자랑 대표)

한승장학회 (이재영 이사장)

윤용혁 (독어교육과 60입)

키움증권 (권용원 대표이사)

협성문화재단 (박석귀 이사장)

이강이 (아동가족학과 교수)

윤상혁 (디자인학부 03입)

윤화영 (수의학과 교수)

GS칼텍스 (허동수 대표이사 회장)

권규돈 (중어중문학과 13입 권기범의 부)

김경준 (농경제학과 82입)

김용팔 (수의과대학 75입)

김재홍 (수의학과 교수)

김진태 (법학과 71입)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이재술 대표이사)

문대원 (경영학과 71입)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오근택 대표이사)

박세창 (수의학과 교수)

산학협동재단 (한덕수 이사장)

선암장학재단 (윤호철 이사장)

성제경 (수의학과 교수)

송재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우광덕 (치과대학 64입)

유기윤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유한상 (수의학과 교수)

윤여성 (수의학과 교수)

윤정희 (수의학과 교수)

이건목원리한방병원 (이건목 원장)

이동진 (교무처 학사과)

이소영 (수의학과 교수)

이인숙 (간호대학 교수)

이항 (수의학과 교수)

이희근 (공과대학 명예교수)

조무제 (법학과 65입)

조성범 (수의학과 교수)

조제열 (수의학과 교수)

주식회사 오공 (김윤정 대표이사)

중앙백신연구소 (윤인중 대표이사)

지티앤티 (이세한 대표이사)

채찬희 (수의학과 교수)

태평소금 (손일선 회장)

한호재 (수의학과 교수)

해마루 (김현욱 원장)

황인구 (수의학과 교수)

조선에듀케이션 (방정오 대표이사)

사회복지법인 건아재단 (심철환 이사장)

KT (황창규 대표이사 회장)

광림교회 (김정석 담임목사)

광주시민장학회 (박기준 이사장)

김기원 (AIP최고산업전략과정 38기)

김상은 (융합과학부 교수)

김혜원 (간호학과 교수)

박종근 (전기공학과 교수)

서병태 (의학과 54입)

송경희 (국악과 59입)

연당장학회 (남욱 회장)

오유경 (약학대학 부학장)

우정장학문화재단 (강백영 이사장)

임현주 (약학과 82입)

전상직 (작곡과 교수)

주리아 (치과대학 04입)

한국마쯔다니 (유태균 대표이사)

홍영표 (GLP글로벌리더십과정 21기)

신우호 (화학교육과 87입)

류판동 (수의과대학장)

이병욱 (조경학과 81입)

김용백 (수의학과 교수)

김종암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정혜선 (간호학과 82입)

강부현 (수의학과 72입)

권길주 (조선해양공학과 11입 정지원의 모)

권혜숙 (약학과 82입)

김경대 (치의학과 82입)

김미영 (간호학과 98입)

김범진 (턱교정학고급연수과정 6기)

김성열 (교육학과 75입)

김종흔 (경영대학 92입)

김현산 (법과대학 54입)

녹십자수의약품 (김승목 대표이사)

덕영재단 (전헬리시아 이사장)

문수자동판매기 (김영식 대표)

민기복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민동홍 (독어독문학과 77입)

박병익 (지리교육과 교수)

박종철 (물리학과 61입)

설재연 (심리학과 82입)

송은도 (국악과 01입)

유차영 (ASP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 12기)

신우개발 서울지점 (김익환 사장)

신하순 (동양화과 교수)

안석준 (치의과대학원 부원장

안휘준 (인문대학 명예교수)

양민영 (협동과정 미술교육전공 94입)

양형식 (자원공학과 75입)

옥복연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07입)

우경미 (치의학대학원 교수)

우성공원묘원 (허정산 대표)

우성원 (미학과 95입)

월악장학문화재단 (남기영 이사장)

유건선 (토목공학과 73입)

유흥수 (법학과 58입)

윤희정 (수의학과 교수)

이기윤 (정치학과 88입)

이대혁 (자원공학과 87입)

이병천 (수의학과 교수)

이상돈 (에너지자원공학과 84입)

이승주 (치의학과 92입)

이시우 (의예과 95입)

이은수 (서울대운동용품 대표)

이정인 (공과대학 명예교수)

임종후 (서양화과 12입 임지윤의 부)

정소걸 (자원공학과 71입)

정지훈 (치의학과 교수)

조경란 (법학과 79입)

조기웅 (화학과 66입)

조현욱 (사법학과 83입)

최명애 (회화과 70입)

최정욱 (경영학과 84입)

최종길 (법과대학 83입)

최해영 (경영대학 행정실)

하종철 (동양화과 13입 하문원의 부)

한공창 (자원공학과 72입)

한국지하수지열협회 (안근묵 회장)

허형무 (경영대학 68입)

미주재단

Steve Ro (토목공학과 61입)

Soung Kim (임학과 56입)

Joong M Soh (공과대학 64입)

John Baek (금속공학 49입)

Hyunchan Lee (치과대학 70입)

Steve amp Cheryl Shapiro

Kwang S Hong (공과대학 60입)

Moon H Kim (공과대학 68입)

David Cho (공과대학 60입)

Dong Ku Chung (기계공학과 57입)

Sang Dae Lee (농업생명과학대학 80입)

Young D Kim (공과대학 67입)

서울대학교병원 (오병희 병원장)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이철희 병원장)

SK가스 (최창원 부회장)

AMP 78기 일동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윤강섭 병원장)

삼성전자 (권오현 대표이사 부회장)

SK하이닉스 (박성욱 대표이사 사장)

삼성복지재단 (이수빈 이사장)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한국세포주연구재단

하나제약 (조경일 회장)

코스맥스 (이경수 대표이사 회장)

패션그룹형지 (최병오 회장)

서울대학교총동창회 (서정화 회장)

한국수력원자력 (조석 사장)

형애장학회 (최효종 이사장)

송원김영환장학재단 (김해련 이사장)

사회복지법인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이기수 이사장)

TOYOTA MOTOR CORP

(요시다 아키히사 대표이사 사장)

권욱현 (공과대학 명예교수)

네이버 (김상헌 대표이사)

현송교육문화재단 (김정일 이사장)

롯데장학재단 (신영자 이사장)

일주학술문화재단 (이선애 이사장)

현대차 정몽구 재단 (유영학 이사장)

LG연암문화재단 (구자경 이사장)

SECMCA

아산사회복지재단 (정몽준 이사장)

천만장학회 (이광현 이사장)

방일영문화재단 (조연흥 이사장)

AMP 77기 일동

신라문화장학재단 (박준형 이사장)

KRX국민행복재단 (최경수 이사장)

SBS문화재단 (윤세영 이사장)

김만극 (약학과 47입)

농우바이오 (정용동 유연희 대표이사)

안인희

전국경제인연합회 (허창수 회장)

정윤환 (임학과 56입)

현대엔지니어링 (김위철 대표이사)

세진에프알에스 라쿠치나 서울대점 (장재훈 대표이사)

재단법인 웅진 (신현웅 이사장)

종근당고촌재단 (김두현 이사장)

정수장학회 (김삼천 이사장)

Kensary LLP

앨트웰민초장학재단 (김박 이사장)

주중광 허지영 (약학대학 60입 화학과 66입)

한국동서발전 (장주옥 사장)

한화갤러리아 (박세훈 대표이사)

한화생명보험 (차남규 대표이사 사장)

한화손해보험 (박윤식 대표이사)

한화첨단소재 (김창범 대표이사)

한화투자증권 (주진형 대표이사 사장)

KEILCO(KEPCO ILJAN CORPORATION)

연강재단 (박용현 이사장)

창강재단 (안병표 이사장)

경기도 인재개발원 (박익수 원장)

대림수암장학문화재단 (변형윤 이사장)

이상억 (인문대학 명예교수)

1432968520

1147748270

1000000000

716900000

615220390

600000000

560000000

364863690

317560000

250000000

220000000

210000000

200000000

200000000

166000000

150000000

142103500

140000000

139583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98538000

89942000

82426000

67509000

66598412

62989000

59929000

59208000

53720000

51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49800000

46522180

44302000

42076000

40918000

40273000

40204972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39677688

39035000

37244000

37068000

34780000

31800000

청합장학회 (여상길 회장)

한빛종합동물병원 (임정식 원장)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두산 (박용만 대표이사 회장)

송미순 (간호학과 교수)

이상복 (ABKI문헌지식정보최고위과정 5기)

한화 (심경섭 대표이사)

한화건설 (김현중 부회장)

한화자산운용 (강신우 대표이사)

한화케미칼 (방한홍 대표이사)

한화호텔앤드리조트 (홍원기 대표이사)

오뚜기재단 (함태호 이사장)

재단법인 최혁영 장학회 (최혁영 회장)

유한재단 (이필상 이사장)

영원무역 (성기학 대표이사 회장)

부경양돈협동조합 (박재민 조합장)

져스텍 (김용일 대표이사)

서울대합창단동문회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전병원 이사장)

국가정책과정(ACAD) 77기 일동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최윤 회장)

몬산토코리아유한회사

(벤자민 마크 후드리스 대표이사)

성련장학재단 (허연금 이사장)

고광우 (행정학과 53입)

대한적십자사 (유중근 총재)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성기학 이사장)

임현진 (사회학과 교수)

재단법인 양영재단 (김상하 이사장)

조유근 (컴퓨터공학부 교수)

두을장학재단 (이인희 이사장)

과천시애향장학회 (신학수 이사장)

서울장학재단 (이경희 이사장)

왕한석 (인류학과 교수)

포니정장학재단 (정몽규 이사장)

조용준 (법학과 79입)

농어촌희망재단 (김달웅 이사장)

경동송천재단 (류덕희 이사장)

김신원 (응용화학과 64입)

농생대 환경재료과학 교수일동

주식회사 천랩 (천종식 대표이사)

돈암장학회 (이용배 이사장)

인선문화재단 (박선영 이사장)

단암장학재단 (이봉서 이사장)

치과대학 치의학대학원 동창회

흥한재단 (박병석 이사장)

선화예술문화재단 (심재혁 대표)

한국미즈노 주식회사 (김창범 대표이사)

곽노섭 (수학과 49입)

19대 인문대 학장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김은선 (디자인학부 13입 조은지의 모)

바텍 (노창준 대표이사)

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ASP) 27기 동문

수도씨에이씨 (송명호 대표이사)

신한화구 (한봉근 대표)

이앤티 (고영호 대표이사)

장문영 (화학과 59입)

제11기 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조경일 (약학대학 64입)

주식회사 명진팜 (권기진 대표이사)

31047000

31000000

303006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28436000

28081000

27942000

26000000

25000366

25000000

24210000

24041200

23994234

20724000

20500000

20274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18779000

17973600

17934000

17600000

17050000

17000000

165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4000000

14000000

13500000

12000000

12000000

11602000

11102610

10281624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천병년 (약학과 77입)

최민철 (농공학과 75입)

현대하이스코 (신성재 대표이사)

황효진 (동양사학과 78입)

대한사료주식회사 (이상민 대표이사)

해성문화재단 (단재완 이사장)

한국가스공사 (장석효 사장)

김춘길 (화학생물공학부 58입)

애드미션 (김유탁 대표이사)

종로구장학회 (최현종 이사장)

동부문화재단 (강경식 이사장)

인촌기념회 (이용훈 이사장)

용옥장학문화재단 (양철우 이사장)

미래의동반자재단 (Jeffrey D Jones 이사장)

김영윤 (토목공학과 62입)

성옥문화재단 (이화일 이사장)

다래파크텍 (김호정 대표이사)

미래인재육성재단 (최양식 이사장)

고화장학회 (배명인 이사장)

이재원 (중앙도서관 정보관리과)

리브로 (김경수 대표이사)

오운문화재단 (이동찬 이사장)

조비경농장학재단 (이병만 이사장)

박지향 (중앙도서관장)

오스템임플란트 (최규옥 대표이사)

한국섬유산업연합회장학재단 (노희찬 이사장)

한옥희 (화학과 79입)

아카넷 (김정호 사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정기택 원장)

삼송장학회 (김영기 이사장)

서지희 (IFP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11기)

김지호

서울상공회의소 관악구상공회 (김진철 회장)

박찬국 (철학과 교수)

송파재단 (윤원영 이사장)

김재길 (법학과 56입)

로보로보 (장창남 대표이사)

모르페우스 (김진수 대표이사)

박성경 정성창 (치의학과 96입)

박윤서 (고고인류학과 69입)

서용석 (상학과 46입) 정재원

송인석 (치의학과 01입)

송재용 (경영학과 교수)

시그나사회공헌재단 (홍봉성 이사장)

약학대학 40회 동기회

와이비엠 (민선식 대표이사)

이필상 (경제학부 교수)

한국경제연구원 (권태신 원장)

황만순 (제약학과 90입)

운경재단 (배성동 이사장)

제봉민병욱장학재단

심명문화재단 (이경재 이사장)

홍산장학재단 (천영주 이사장)

홍수현

박미혜 (성악과 교수)

박영아 (물리학과 79입)

최동하 (농경제학과 71입)

춘강문화장학재단 (박성형 이사장)

허성도 (인문대학 명예교수)

형남진장학재단 (이정희 이사장)

강남구청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9730000

9528000

9140000

9000000

9000000

8690000

8525000

8525000

8178000

8112000

8000000

7963000

7928068

7713000

7500000

6950000

6919590

6058000

6010000

6000000

6000000

6000000

6000000

5700000

5556000

5400000

5357143

5100000

5100000

5090000

5089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4934000

4734000

4527000

4500000

446228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3956000

3862000

3750000

3500000

3120000

3029000

3029000

3005000

3005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2706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467000

2467000

2467000

2400000

2230000

215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1865000

1800000

15145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431445

1300000

1275251

1260000

1200000

106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단위 $

100000

10000

5000

3000

500

500

200

200

100

100

100

100

단위 원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20140601 ~ 20140831 출연

출연DONATION

40

서울대학교는 기부금을 출연한 후원인에게 더욱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국내 최고 수준의 의

료서비스를 자랑하는 서울대학교병원 이용 예우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으며 서울대학교병원 후원인

라운지에 상주하는 전담 직원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후원자 중 추가 진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본원 또는 분당 서울대학교병원과의 즉각

적인 연계가 가능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 본원 조윤지 | Tel 02-2272-2750 E-mail sosunolovesnuackr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강수정 | Tel 031-787-1915 E-mail c8541snubhorg

(재)서울대학교발전기금 김종희 | Tel 02-871-1633 E-mail p2727snuackr

bull병원 예우 담당자

bull서울대학교병원 예우 서비스 이용 안내

예약대행 서비스 | 진료 및 입원 예약 대행 병원 측과 협의 후 예약일자 결정

의전 서비스 | 진료middot입원middot응급실 이용 편의를 위해 예우 담당자가 직접 안내

종합건강검진 주선 서비스(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bull서울대학교병원 예우 서비스 내용

지원 자격 활동 기간

bull경제적 지원이 필요한 학생

(건강보험료 기준) 우선 선발

bull성적 45만점 환산 30 이상

lsquo 새싹 멘토링rsquo은 빈곤의 대물림을 막기 위한 자선 봉사활동으로

전국 국공립대학의 우수한 학생이 저소득층 중middot고등학생의

학습을 도우며 장학금을 받는 프로그램입니다

bull최소 6개월~12개월

bull활동 실적에 따라 졸업 시까지

연차적으로 기회 부여

새싹멘토링의

멘토가

되어주세요

bull전화 02-880-1593(새싹 멘토링 서울대학교 본부) bull팩스 02-780-2647(미래국제재단 여의도 본사)

bull이메일 mifsnuhanmailnet 새싹 멘토링 지원 방법 문의 시 상세히 안내해드립니다

서울대학교와 미래국제재단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봉사활동에 학생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다립니다

기부인의 따뜻한 마음에

다양한 혜택의 예우 서비스로

보답합니다

출연 기금 진료예약 의전 서비스 종합건강검진 주선

50억 이상 평생 평생 연 1회(평생 프리미엄 검진)

10억 이상 평생 10년 연 1회(평생)

5억 이상

1억 원당 1년(기한)

5년

1억 원당 연 1회(기한)3억 이상 3년

1억 이상 1년

서울대학교병원 본원 후원인 전담 직원이 진료 예약 및 의전 서비스까지 친절하게 안내해 드립니다

문의처 병원 후원인 라운지(본관 3층) 또는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후원인 전담 직원이 진료 예약 및 의전 서비스까지 친절하게 안내해 드립니다

문의처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또는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강남센터와의 즉각적인 연계를 통해 강남센터 상담 직원이 후원자 여러분께 상담 전화를 드립니다

문의처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기부인 예우 프로그램DONATION

SeoulNational University

151-742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1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

T 02-880-5114 F 02-885-5272wwwsnuackr

C o v e r S t o r y

과학자의 공식

좋은 연구를 하겠다는 신념으로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걸어온 사람

miRNA 분야의 세계적인 개척자 김빛내리 교수다

그녀는 노벨상 수상에 가장 근접한 국내 과학자로 꼽힌다

도전과 실패 인내를 거듭하며 세계적인 과학자 반열에 오르기까지

그녀의 행보를 통해 성공과 신뢰 만족을 얻는 인생 공식을 알아본다

Page 14: SNU Magazine Vol. 38 › new › wp-content › uploads › 2015 › 12 › snu_people... · 2016-01-30 · 우수 연구자 시리즈 10 유상렬 농생명공학부 교수 06 선배와의

25 24

미래인재학교란 서울대학교 입학본부 주관으로 진행되는 고교 지원 프로그램으로

서울대학교 교수와 학생이 직접 지역 고등학교에서 지식을 전달한다

92명

13기 수료생

100명

14기 수료생미래인재학교

수료생 현황

미래 인재를 위한 꼼꼼한 준비

서울대학교는 7월과 8월 전라남도 고흥middot여수에서 미래인재학교

13 14기를 개최했다 미래인재학교는 지역 간 교육 환경 격차를 완

화하고 고교생의 소질과 적성을 개발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서울

대학교 교수 강의와 재학생 멘토링 등을 통해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다 개최 지역에 따라 맞춤형으로 운영하기 때문에 4

개월 정도의 준비 기간이 필요하다 각 기수마다 재학생 멘토팀을 선

발해 프로그램을 새롭게 기획하는 것은 물론 담당 입학사정관과 멘

토팀이 몇 차례의 답사를 통해 현지 교육 환경을 이해하고 운영 시설

을 확인하는 등 프로그램을 세심하게 꾸려나간다

열정 가득한 학생들과 3박 4일

나로도 소재 국립고흥청소년우주체험센터에서 진행된 미래인재학

교 13기에서는 고흥 소재 8개 고등학교 1 2학년생 92명이 3박 4

일의 과정을 수료했고 14기에서는 여수 소재 10개 고등학교 1학년

학생 100명이 나흘 간의 과정을 마쳤다 특히 이번 멘토팀은 개최지

의 요청에 따라 역대 최대 규모로 조직됐는데 이들 중에는 고교 재

학 중 미래인재학교 수료생으로 참가했던 3명의 학생도 있었다

각 학교장의 추천을 받아 선발된 고등학생들은 입학식과 더불어 핸

드폰을 모두 담당 교사에게 제출하는 등 바른 수업 태도와 학업 의

지를 보여주었고 쉴 틈 없이 짜인 프로그램에도 중도 탈락하는 사

람 하나 없이 참가자 전원이 수료증을 받을 수 있었다

교수 멘토 멘티의 특급 하모니

3박 4일 동안 고등학생들과 함께 숙식하며 프로그램 운영은 물론

학생들의 생활지도까지 맡은 서울대학교 재학생 멘토들 이들은

lsquo아이스 브레이킹rsquo lsquo주제 토론rsquo lsquo고교 생활의 Know-Howrsquo lsquo11 멘

토링rsquo lsquo도전 골든벨rsquo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학생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했다 물리천문학부 홍승수 명예교수 등 고교생

의 눈높이에 맞게 선정한 다양한 학과의 교수 강연은 학생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참가 고등학생들 역시 강의 2주 전 배포한 강연

자료를 예습해왔고 강의가 끝난 후에도 호기심을 충족하기 위해

교수님을 따라 행사장 밖까지 나가 질문하는 열의를 보였다 이번

행사가 서울대학교 학생들에겐 나눔의 기쁨을 개최 지역의 고등학

생들에겐 배움의 기회를 주었길 바란다

지역 인재는 우리가 기른다

전라남도 고흥과 여수에 서울대학교 학생들이 떴다 미래 후배들의 소질과 적성 개발을

돕는 멘토링 프로그램 lsquo미래인재학교rsquo를 진행하기 위해서다 이번에는 개최지의 요청에

따라 역대 최대 규모의 멘토팀이 조직됐다 고등학교 시절 배움을 위해 lsquo미래인재학교rsquo를

찾았던 학생도 지식을 나눠주는 멘토가 되어 돌아왔다 고등학생들과 동고동락하며 여름의

열기보다 뜨거운 4일을 보낸 이들을 만나보자

멘토링 시간에 조별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학생들

참가 학생이 자신의 의견을 발표하고 있는 모습

대학 입학에 관해 강의하는 홍승수 명예교수

Campu s OnNOW

step1

step2

step3

27 26

서울대학교는 8월 29일 관악캠퍼스 문화관 중강당에서

교수 학생 직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교수 정년식을 진행

했다 노태돈 국사학과 교수 임현진 사회학과 교수 안

정선 생명과학부 교수 김명모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장

호익 디자인학부 교수 한문희 불어교육과 교수 김민자

의류학과 교수 황준연 국악과 교수 이성철 의학과 교수

등 26명이 명예로운 정년을 맞아 정든 캠퍼스를 아름답

게 떠났다 이날 행사에서는 박종화 환경대학원 교수가

정년 교수진을 대표해 감사와 당부의 인사말을 전했다

교수 정년식

02

서울대학교는 8월 28일 관악캠퍼스 종합체육관에서 제

68회 후기 학위수여식을 개최했다 이번 학위수여식에

서는 학사 850명 석사 989명 박사 522명 등 총 2361

명이 학위를 받았다 성낙인 총장은 ldquo최고의 지식은 사회

봉사와 인류공헌을 위해 쓰이는 것이며 훌륭한 인재는

지성과 공공성으로 무장된 따뜻한 가슴을 겸비한 lsquo선한

인재rsquordquo라며 ldquo민족의 동량 사회의 중심으로 드높은 자부

심을 갖되 지식과 열정을 공동선을 위해 공헌하는 사회

적으로 필요한 인재가 되기 바란다rdquo고 당부했다

제68회 후기 학위수여식

03

01

서울대학교는

신임 보직교수단을

구성했다 신임 보직

교수 임기는 2년으로

2016년까지 대학의

비전을 마련하고

고등교육 발전을 위한

주요 소임을 맡아

활동한다

신임 보직교수 임명

04 06

2014 우수 인재 채용박람회

추석을 맞아 서울대학교 구성원들의 따스한 손길이 어려

운 이웃들에게 전해졌다 인문대학 등 62개 기관에서 모

금한 총 28271500원은 학교 근처의 보육원 사회복지

관 등 도움이 필요한 곳에 전달됐다 성낙인 총장은 아동

복지시설인 상록보육원을 방문해 성금을 전달하며 어린

이들과 보육원 관계자들을 격려했다 그리고 김종서 교

육부총장은 동명 아동복지센터 이우일 연구부총장은 성

민 종합사회복지관 유근배 기획부총장은 선의관악 종합

사회복지관을 각각 찾아 성금을 전달했다

추석 명절 이웃돕기 성금전달

보 직 명 학 과 (부) 성 명

교육부총장 종교학과 김종서

연구부총장 기계항공공학부 이우일

기획부총장 지리학과 유근배

교무처장 화학부 김병문

학생처장 농생명공학부 김정한

연구처장 의학과 박노현

기획처장 법학전문대학원 이철수

기초교육원장 서양사학과 안병직

입학본부장 독어교육과 권오현

국제협력본부장 국제대학원 정종호

보 직 명 학 과 (부) 성 명

정보화본부장 컴퓨터공학부 신영길

교무부처장 겸 교육부처장 치의학대학원 백승학

학생부처장 식품영양학과 한성림

연구부처장 약학과 오정미

기획부처장 독어독문학과 강창우

협력부처장 건설환경공학부 김재영

기초교육부원장 물리middot천문학부 유재준

입학부본부장 고고미술사학과 이준정

국제협력부본부장 국제대학원 신성호

정보화부본부장 경영학과 장정주

NewsNOW

제8기 스누봉사단이 한국수력원자력(주)의 후원으로 8

월 9일부터 20일까지 베트남 라오까이 성에 있는 스빤

마을에서 봉사활동을 진행했다 유성상 교육학과 교수

이우철 치의학대학원 교수 이승표 교수 한동헌 교수

김익규 빗물모아지구사랑 실장 김용환 연구원 서울대

학교 학생 23명으로 구성된 봉사단은 구강보건의료 빗

물 정화 위생교육 등의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 주민들에

게 나눔을 실천했다

제8기 스누봉사단 베트남 봉사활동

0705

훌륭한 공대교수상 선정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올해의 훌륭한 공과대학 교수로

신현식 컴퓨터공학부 교수 이재홍 전기정보공학부 교

수 강신형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를 선정했다 이 상은 교

수들의 연구 활동을 장려하고 산업 기술의 선진화를 꾀

하자는 취지에서 1992년 공과대학 동문들이 출연한 기

금으로 제정됐다 2003년부터 교육상과 연구상 2개 부

문으로 시상해오다가 올해부터 교육상 학술상 산학협

력상 3개 부문으로 확대돼 의미가 더욱 커졌다

경력개발센터는 2014년 하반기 채용 시즌을 맞이해 9월

2일에서 4일까지 대학본부 앞 잔디 광장에서 lsquo새로운 미

래를 여는 SNU 2014 서울대학교 우수인재 채용박람회rsquo

를 개최했다 올해로 11회째를 맞이한 채용박람회에는

6500여 명의 학생들이 참가했다 한편 두산 삼성 현대

자동차 LG SK 등 국내 주요 대기업들과 국방과학연구

소 한국전력공사 등의 공기업 Hakuhodu 그룹 등의 일

본 기업 ASML Korea 등의 외국계 기업 총 130곳이 우

수 인재를 확보하고자 심혈을 기울였다

信義

기부와 나DONATION

유 태 용

나고 자란 곳을 잊지 않는다 어려웠던 순간을 항상

되새긴다 덕분에 유태용 동문은 사회적 성취를 이룬 지금

자신만의 나눔 원칙을 세울 수 있었다

기 부 자 정 보

격동의 세월을 이겨낸 삶

일제강점기를 지나 해방 그리고 한국전쟁까지 1950년에 서

울대학교에 입학한 유태용 동문의 학창시절은 역사적 격동

기와 맞물려 있다 그 시절을 겪어보지 않은 요즘 세대에게 유

동문의 경험은 책에서나 접하는 옛날이야기로 들릴 수 있다

그럼에도 유 동문은 과거를 잊지 않으려 그 시절을 끊임없이

복기한다 당시 경험을 lt어느 서울대 공대생의 한국전쟁gt이

라는 책에 풀어내기도 했다 ldquo요즘은 상상도 못할 이야기죠

이후로도 어렵사리 국가 발전을 이뤘고요 우리 세대가 고생

했다고 알아주길 바라는 건 아닙니다 다만 큰 어려움을 헤

쳐 온 인생 선배들을 보면서 힘든 순간이 닥쳐도 좀 더 지혜롭

게 극복했으면 좋겠습니다rdquo

유태용 동문은 대학 졸업 후 1957년부터 공직 생활을 시작했

다 이후 오랜 기간 공직에 몸담으며 국토 계획과 건설 행정

을 담당했다 유 동문의 전공은 토목공학 그중에서도 방조

제가 전문 분야였다 공직 생활 초창기에 국제원조기구 장학

생으로 선발돼 1962년 미국에서 아카데미 코스를 밟기도 했

다 그렇게 미국에서 수학한 지식을 바탕으로 당시만 해도 단

일목적댐뿐이던 우리나라에 다목적댐을 도입하는 데 기여했

다 ldquo저는 어찌 보면 운이 참 좋은 사람입니다 어려운 시기에

농촌에서 서울대학교에 입학했고 좋은 기회가 닿아 외국에

서 공부하는 경험도 할 수 있었으니까요rdquo

오랜 시간 이어온 남다른 향토애

공직에 있으며 국가 발전에 힘써온 유 동문 그는 오래전 고

향을 떠나왔지만 어려웠던 어린 시절을 잊지 않는다 불과 몇

원하는 수업료가 없어 일곱 살 나이에 수십 킬로미터에 달하

는 거리를 오갔던 기억이 여전히 생생하다 적어도 돈 때문에

공부를 못하는 학생은 없어야겠다는 생각에 이른 건 어쩌면

당연한 일 그러한 경험이 있었기에 유 동문은 자신만의 기부

신념을 세울 수 있었다 ldquo똑같이 모를 심어도 좋은 쌀을 얻으

려면 관리를 잘해야 합니다 모를 심고 가만히 두면 한 섬밖

에 못 얻지만 비료를 주고 잡초를 솎아내면서 키우면 네 가

마니까지 불어나요 사람도 마찬가지입니다 인재도 좋은 환

경이 갖추어져야 자랄 수 있습니다 서울대학교에 입학한 건

시작일 뿐이죠rdquo

유 동문은 서울대학교에 부동산을 기부해 정읍과 고창 출신

후배들을 위한 lsquo정고장학기금rsquo을 마련했다 단지 태어난 곳

에 대한 고집만은 아니다 그 자신이 농촌에서 어렵사리 대학

에 진학했던 까닭에 그곳에서 나고 자란 후배들이 학비 걱정

없이 공부에만 전념할 수 있기를 바라는 선배의 따스한 마음

이다 ldquo예전에도 그랬지만 지금도 농촌에서 몇 백만 원씩 하

는 등록금을 쉽게 마련할 수 있는 집은 많지 않습니다 더구

나 지방에서 공부해서 서울대학교에 온다는 건 쉽지 않아요rdquo

유태용 동문은 장학생들을 직접 만나 격려하는 데에도 적극

적이다 지금은 학생들이 그가 기부한 장학 기금의 혜택을 입

지만 언젠가는 좋은 인재로 성장해 사회에 보탬이 되는 주역

이 되리라 믿는 까닭이다 ldquo서울대학교가 이제 세계에서도 손

꼽히는 대학이 되었다지만 아직도 세상에는 해결하지 못한

연구 과제가 많아요 서울대학교의 많은 인재가 그런 분야에

도 거침없이 도전해 좋은 성과를 내주길 바랍니다rdquo

유태용 한국방재협회 명예회장

내무부와 건설부에서 오랜 기간 국토 계획과 건설 행정을 맡았다 1998년 자연재

해대책법에 따라 한국방재협회 준비위원장에 추대됐고 창립을 준비해 1999년 초

대 회장에 취임한 바 있다

with SNU

토목공학과 학사 ACAD 12기 수료 정고장학기금을 마련해 정읍 고창 출신 학생

들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및 대학원생 재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원하고 있다

ldquo모를 심고 가만히 두면 한 섬밖에 못 얻지만

비료를 주고 잡초를 솎아내면서 키우면

네 가마니까지 불어나요 사람도 마찬가지입니다

인재도 좋은 환경이 갖추어져야 자랄 수 있습니다rdquo

29 28

31 30

기부와 나DONATION

도전 열아홉이란 나이 누군가는 대학 문을 바라보며 책

장을 넘길 시기에 사업을 시작했다 다양한 업종에 손대며

달콤한 성취도 쓰디쓴 실패도 맛본 20대를 지나 서른을 코앞

에 둔 시기에 광장시장 상가 한편에 1평 남짓한 도매 옷가게

를 열었다 그것이 연 매출 1조 원을 올리는 국내 굴지 패션기

업의 출발이었다

근면 어깨에 옷을 짊어지고 고객을 찾아다니길 수차례

서른 살 청년의 성실성을 소매상들은 알아봤다 판로가 열리

니 사업은 자연히 승승장구했다 그러나 10년 후 위기가 닥

쳤다 거래처의 어음이 부도 처리되면서 그 여파를 고스란히

받아야 했다 ldquo부도를 극복하면서 근면의 중요성을 깊이 느

꼈습니다 재기를 생각하며 다시 1평짜리 매장을 얻어 아침 7

시부터 새벽 2시까지 이를 악물고 일했죠rdquo 시작도 그랬지만

이후로도 근면은 최 회장의 삶에 큰 지표가 됐다

배움 일찍이 사회에 진출한 만큼 현장 경험은 누구보다

출중할 터 그러나 최 회장은 lsquo배움에는 끝이 없다rsquo는 생각으

로 경영만 하기도 바쁜 시간을 쪼개 공부를 계속했다 배움의

과정 중에 서울대학교와 인연이 닿았다 학교의 여러 특별과

정을 수료한 것은 물론 서울대학교 패션산업 최고경영자과

정(AFB) 총교우회 회장도 역임했다 ldquo김민자 교수님께서 lsquo바

쁠수록 더 좋은 성과를 낸다rsquo고 말씀하신 적이 있습니다 몸은

분주했지만 세상을 보는 관점은 더욱 넓어질 수 있었습니다rdquo

섬김 최 회장은 오늘날 이룬 성취가 혼자만의 것이 아니

란 점도 매번 되새긴다 패션그룹형지의 성장과 함께 한 대리

점주를 섬기는 해법 중 하나는 교육이다 ldquo사업의 근간인 대

리점주와 함께 호흡하고 성장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일까 고민

하던 차에 생활과학대학 교수님들의 도움으로 lsquo패션그룹형

지 최고경영자과정rsquo을 열었습니다rdquo

나눔 lsquo남 열 걸음 갈 때 반의 반 걸음 더 간다rsquo 최 회장은

기업가로서 성공을 이룬 지금도 이 말을 되새기곤 한다 ldquo남

보다 조금 더 먼저 생각하고 노력하는 작은 차이가 나중에는

큰 성과를 남긴다는 뜻입니다 요즘은 사업이나 일에 대한 것

뿐만 아니라 타인을 향한 배려와 사랑도 반의 반만 앞서 생

각하고 실천하자고 다짐합니다rdquo 최 회장은 lsquo교육은 백년지대

계(百年之大計)rsquo란 말에 동감하며 패션 산업을 이끌어갈 인

재들을 위해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에 기금을 출연했다

또한 지역 발전을 위한 투자를 비롯해 세월호 참사로 고통받

는 유가족과 학생들을 위해 성금을 기부하는 등 다방면에서

나눔을 실천하고 있다 어려운 순간을 딛고 현재의 성취를 이

뤘기에 자신을 키워준 사회에 무엇인가 되돌려주는 나눔이

중요하다고 말하는 최병오 회장 한편으로 그는 lsquo금전적 도움

을 베푸는 자선의 개념을 넘어 재능과 기술을 나누는 나눔의

문화가 필요하다rsquo고 덧붙인다

청년에게 사회에서 일가를 이룬 최병오 회장이 이 시대

를 사는 청년들에게 권하고픈 경험은 다름 아닌 lsquo실패rsquo다 ldquo진

짜 실패는 넘어지는 게 두려워 시도조차 하지 않는 거라고 하

지 않습니까 실패를 두려워하기보다 꿈을 먼저 생각하길 바

랍니다rdquo 최 회장은 목표와 꿈을 추구하는 동시에 타인을 배

려하는 태도 역시 지니길 권한다 그것이 바로 진정한 성공이

요 명품인생을 완성하는 길이기에

切磋琢磨 최 병 오

최병오 회장에게 lsquo근면rsquo은 가장 기본적인 성공 원칙이다

lsquo배움rsquo은 자기 성장의 원동력이며 lsquo섬김rsquo은 상생의

바탕이다 마지막으로 그는 lsquo나눔rsquo이란 대의를 잊지 않는다

ldquo경제적인 어려움으로 배움의 기회를 놓쳐선

안된다고 생각해왔습니다 젊은 나이에

일찍 사업에 뛰어들어 배움에 대한 목마름이

누구보다 컸기 때문입니다rdquo

기 부 자 정 보

최병오 패션그룹형지 대표이사 회장

대한상공회의소 중견기업위원회 위원장이자 윤리경영위원회 위원 또한 한국의

류산업협회 회장과 한국의류산업학회 부회장 등을 맡아 최근 대통령 해외 순방 당

시 경제사절단으로 동행했다

with SNU

AFB 3기 AMP 63기 AIP 42기 AWASB 1기 등을 수료했다 AFB 동창회장과

AFB 동창회 수석부회장을 역임했으며 올해 제13회 AMP 대상을 수상했다 현재

AWASB 동창회장을 맡고 있다

33 32

기부의 향연이 펼쳐지다

바바패션

인문대학 발전기금 1억 원 기부

바바패션(대표이사 회장 문인식)이 인문대학에 발전기금 1억 원을 기부했

다 10월 13일 총장실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성낙인 총장과 문인식 바바

패션 대표이사 회장 유근배 기획부총장 장재성 인문대학장을 비롯해 관

계자 10여 명이 참석했다 성낙인 총장은 ldquo문인식 회장님의 인문학에 대

한 관심과 성원에 감사드린다rdquo며 ldquo이번 기금으로 인문대학의 발전과 인재

양성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이에 문인식 회장은 ldquo바바패

션은 계속해서 나눔 경영을 통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rdquo고 전했

다 문인식 회장은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최고지도자과정(AMP) 72기를

수료하고 현재 인문대학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12기 회장 AMP

총동창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한편 바바패션은 국내 여성 패션 브랜드인

아이잗바바(IZZAT BABA) 지고트(JIGOTT) 등을 비롯한 총 9개의 브

랜드를 보유하고 있으며 심장병 어린이 수술 지원 및 장학 사업도 꾸준히

펼치고 있다

전기컴퓨터공학부 권욱현 명예교수

lsquo권욱현 희망장학기금rsquo 1억 원 기부

지난 6월 17일 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부 권욱현(전기공학 62학번)

명예교수가 lsquo권욱현 희망장학기금rsquo을 조성하고 1억 원을 기부했다 이번

에 마련된 기금은 공과대학과 전기공학부 학생들 가운데 경제적으로 어

려운 학생들에게 지급될 예정이다 변대규 휴맥스 대표를 비롯해 이재원

슈프리마 대표 등 국내 유명 벤처기업 CEO들의 스승으로 유명한 권욱현

명예교수는 2005년 서울대학교 평의원회 의장으로 활동했으며 대한전

기학회장 세계자동제어연맹 부회장 국제자동제어연맹 회장 등을 역임

했다 국제자동제어연맹(IFAC) 회장으로 재임 시 사재 50만 달러를 출연

해 개발도상국 젊은 공학자의 학술 활동을 지원하는 등 후학 양성을 위한

꾸준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김정식 해동과학문화재단 이사장

해동학술정보실 건립기금 30억 원 기부

지난 6월 27일 해동과학문화재단 김정식 이사장(전자공학 48학번)이

lsquo해동학술정보실 건립기금rsquo으로 30억 원을 쾌척했다 이번에 조성된 기금

은 공과대학과 자연과학대학 등 주요 단과대학의 해동학술정보실을 건

설하는데 사용될 예정이다 이번 기금 이외에도 김정식 이사장은 서울대

학교 공과대학 인근 해동학술관과 해동학술정보실 12호관 건립 기금으

로 100억 원이 넘는 금액을 출연하며 꾸준히 모교를 후원하고 있으며 인

재 양성을 위해 한양대 고려대 등 국내 주요 대학에 해동학술정보실 건립

을 지원하고 있다 1972년 대덕전자를 설립해 한국 전자 산업의 기술 개

발을 이끈 선구자로 유명한 김정식 이사장은 1990년 해동과학문화재단

을 만들어 해동상을 재정하는 등 지속적인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

패션그룹형지

생활과학대학 발전기금 3억 원 기부

패션그룹형지(대표이사 회장 최병오)가 생활과학대학에 발전기금 3억 원

을 기부했다 이 기금은 생활과학대학의 교육middot연구활동 및 시설개선 등을

위한 제반 활동에 사용된다 지난 8월 26일 진행된 협약식에서 성낙인 총

장은 ldquo생활과학대학은 패션그룹형지 기금으로 수준 높은 연구 성과와 인

재 배출을 통해 대한민국 대표 인재 양성소로 거듭 날 것rdquo이라고 밝혔으

며 최병오 회장은 ldquo국가 경쟁력을 이끌어가는 리더와 패션 산업 인재를

양성하는 데 패션그룹형지 발전기금이 쓰이길 바란다rdquo고 당부했다 최 회

장은 지난 2003년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패션산업 최고경영자과정

(AFB) 3기를 수료하고 2007년부터 2013년까지 AFB 총교우회 회장을

역임했다 또한 이번 기금 이외에도 꾸준히 후원한 다양한 기금으로 건립

된 lsquo최병오 홀rsquo을 통해 사회 각계각층의 주요 리더들이 교류하는 교육장을

마련했다 1월에는 경영대학 최고경영자과정(AMP) 총동창회가 주최하

는 lsquo제13회 서울대 AMP 대상rsquo을 수상했다

NewsDONATION

유회진 학술정보관 건립 보고 및 감사 행사

ldquo기부금은 이공계 학생들을 위해 써주세요rdquo 故 유회진 박사가 구강암으로 투병

하는 동안 병문안을 갔던 이장무 전임 총장에게 남긴 말이다 서울대학교 기계

설계학과에서 학부와 대학원 생활을 보내고 동아대학교 교수를 역임한 유 박

사는 2009년 구강암 판정을 받았다 그는 암 투병 치료비부터 부모님으로부터

물려받은 유산까지 허투루 쓰지 않고 모은 100억 원이 넘는 전 재산을 서울대

학교에 남기고 2011년 별세했다 유가족이 없는 고인을 위해 서울대학교 발전기

금은 장례를 진행했으며 매년 제사를 지내 뜻을 기린다

지난 7월 2일 관악캠퍼스 공과대학 엔지니어하우스대강당에서 lsquo유회진학술정보

관rsquo 건립 보고 및 감사 행사가 개최됐다 유회진학술정보관은 유회진 기금으로

건립되어 공과대학과 자연대학이 공동 교육 및 연구 시설로 사용할 예정이다 이

날 행사는 오연천 전임 총장의 환영사에 이어 유회진 박사 소개 및 기부 경과보

고 유회진학술정보관 건립 경과보고 순으로 진행됐으며 특별히 故 유회진 박사

의 지인인 서울시립대 권원태(기계설계학과 78학번)교수가 참석했다 그의 숭고

한 마음은 우리 사회의 빛나는 과학자들을 위한 초석이 될 것이다

11월 9일 故 유회진

박사의 3주기가 돌아온다

서울대학교발전기금은

제주(祭主)로서 그를 잊지 않고

사회와 학교를 향한 기부자의

아름다운 정신을 남길 것이다

당신의 아름다운 마무리

35 34

SNU Presidents Honors Club

SNU Honor Club

故 곽명덕 변호사 유가족 (한자영 곽성현 곽성희)

故 구영록 교수 유가족

故 김인제 故 최성순 가족

(故 김동호 故 김동훈 김동준 김진숙 김진옥)

故 이한빈 부총리 가족 (유정혜 이원식 이선이)

고윤석 (물리학과 47입)

고정택 (외교학과 62입)

구영배 (자원공학과 85입)

구재서

권영대 (약학과 55입)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권욱현 (전기공학과 62입)

금장태 (종교학과 62입)

김건식 (법학과 73입)

김경한 (법학과 62입)

김경한 (외교학과 62입)

김광일 (경영학과 84입)

김기봉 middot신경은 (기계공학과 63입 middot화학과 65입)

김기태 (의학과 58졸)

김난도 (소비자아동학부 교수)

김대욱 (조선공학과 76입)

김동길 (화학교육과 57입)

김동훈 (화학과 48입)

김두철 (전자공학과 66입)

김만극 (약학과 47입)

김상헌 (사법학과 82입)

김선동 (화학공학과 59입)

김선화(정자) (국악과 60입)

김성배 (영어영문학과 63입)

김양곤 (IFP 2기)

김연탁 (경제학과 故 김태성 교수의 부)

김연호 (화학공학과 71입)

김영경 (기계공학과 52입) middot김천순

김영석 (3 Plus Logistics 회장)

김영수 (법학과 67입)

김영심 (불어불문학과 故 오현우 교수의 부인)

김영업

김용재 (의과대학 60입)

김용철 (치의학과 55입)

김의신 (의학과 60입)

김의영 (경제학과 54입)

김정희 (간호학과 52입)

김종일 (제어계측공학과 79입)

김진향

김천흥

김철호 (외교학과 70입)

김춘길 (화학생물공학부 58입)

김택수 (법학과 48입)

김하석 middot김영중 (화학과 63입 middot약학과 64입)

김하자 (서양화과 故 하동철 교수의 부인)

김학봉 (한영요업 회장)

김형주 (전자계산기공학과 78입)

나정환 (화학교육과 54입)

남정현 (건축학과 57입)

류무종 (중어중문학과 53입)

류진 (영어영문학과 78입)

마인경 (지리학과 56입)

민계식 (조선항공학과 61입)

민호기 교수 유가족

박대근 (보건대학원 63입)

박맹호 (불어불문학과 52입)

박민식 middot 박금옥 (수의과대학 65입 middot체육교육과 63입)

박봉균 (수의학과 76입)

박숙희 (지리학과 60입)

박용헌 (교육행정학과 53입)

박용호 (수의학과 74입)

朴麟子(가정관리과 82입) 하상예 박임숙 박순영 박노용

박종근 (전기공학과 69입)

박종수 (수의학과 58입)

박종오 (영어영문학과 55입)

박준 (법학과 73입)

박태진 (독어독문학과 80입)

박한제 (동양사학과 69입)

배옥자 (성심가정의학과의원 원장)

백종철 (농공학과 54입)

백형익

법대 48회 졸업생

변대규 (제어계측공학과 79입)

서문자 (간호학과 63입)

손경식 (법학과 57입)

송상용 (화학과 55입)

송상현 (법학과 59입)

송인철 (SPARC 14기)

송학린 (법학과 59입)

신수정 (기악과 59입)

신영길 (계산통계학과 78입)

신영주 (이남장 대표)

신익현 (임학과 79입)

신효영 middot신승연 (故 신광현 교수의 가족)

신희명 (물리교육과 49입)

신희택 (법학과 71입)

심소일 (상학과 49입)

심재성 (前 성보산업 자문위원)

안영경 (前 핸디소프트 고문)

안창엽 (AMP 68기)

양천식

오세경 (약학과 61입)

오승환 (의학과 56입)

오용호 middot오양호 (행정학과 69입 middot법과대학 80입)

오윤덕 (행정학과 61입)

원재연 (경영학과 82입)

유근순

유성숙 (고고미술사학과 故 김원용 교수의 부인)

윤계섭 (상학과 64입)

윤덕우 (경제학과 58입) middot최덕자

윤석금 (웅진그룹 회장)

윤석순 (수의학과 59입)

윤우석 (에너지자원공학과 63입)

이건우 (기계공학과 74입)

이경식 (불어불문학과 55입)

이광희 (지리학과 59입)

이교일 middot박명진

(기계공학과 60입 middot불어불문학과 65입)

이기춘 (가정교육과 61입)

이명현 middot김귀현 (철학과 60입 middot기악과 69입)

이문한 (수의학과 66입)

이병준 (경제학과 55입)

이성규 (사학과 65입)

이성형 (정치학과 82입)

이순원 (가정교육과 54입)

이순형 (가정관리학과 70입)

이신두 (물리학과 76입)

이예식 (약학과 46입)

이용환 (농업교육과 63입)

이용환 (전기공학과 73입)

이원영 (AMP 6기)

이은방 (약학과 55입)

이장무 (제24대 총장)

이재승 (원자핵공학과 59입)

이정섭

이정섭 (종교학과 04입)

이종덕 (물리학과 62입)

이준용 (경제학과 56입)

이지형 (법과대학 85입)

이찬승 (수학교육과 69입)

이창득 (국어교육과 71입)

이창화 (국어국문학과 64입)

이천만 (영어영문학과 故 이상태의 부)

이철승 (법학과 78입)

이철영 (SPARC 17기)

이현수 (농화학과 60입)

이현재 (경제학과 48입)

이형도 (화학공학과 61입)

이홍표 (의과대학 58입)

임길진 교수 유가족

임동진 (법학과 62입)

임현진 (사회학과 67입)

장세권 (농공학과 70입)

장순영

장용국 (법학과 71입)

장재혁 (역사교육과 80입)

장정훈 (약학대학 65입)

전익찬 (지구환경과학부 94입 故 전재규의 부)

전해종 (동양사학과 47졸)

정달훤 (고고미술사학과 87입 故 정은임의 부)

정영현 (공업화학과 85입 정순욱의 부)

정영호 (생물학과 50입) middot 박양숙

정윤환 (임학과 56입)

정재선 (소비자아동학과 93입)

정재준 (前 경보전기 부회장)

정종곤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조동성 (경영학과 67입)

조병직 (법학과 46입)

조석준 (행정학 57졸)

조영식 (수의학과 80입)

조옥환 (부산교통 대표)

조종수 (건국대학교 교수)

조한영 (상학과 43입)

조형준 (미학과 65입)

주중광 middot 허지영 (약학대학 60입 middot 화학과 66입)

차상균 (전기공학과 76입)

차상균 교수 외 제자 12명

채성기 (원자핵공학과 59입)

채제한 (전기공학부 48입 故 채호석의 자)

천문우 (약학과 61입)

최병오 (AFB 3기)

최재열 (조소과 08입 최민주의 부)

최정욱 (화학공학과 49입)

최창원 (심리학과 83입)

최화형 외 3명

풍원자 (임학과 57입 故 용환운의 부인)

하영구 (무역학과 72입)

한규범 (AMP 42기)

한규환 (기계공학과 68입)

한기준 (의학과 52입)

한상복 (사회학과 56입)

한옥희 (화학과 79입)

한장희 middot김재혜 (행정학과 61입 middot 법학과 61입)

허성도 (중어중문학과 68입)

허영인 (SPC그룹 회장)

현기순 (가정교육과 46입)

현정오 (농생물학과 66입)

현택환 (화학과 83입)

홍경자 (간호학과 62입)

홍계수 (법학과 72입 주경숙의 모)

홍길표 (컴퓨터공학부 홍지명의 부)

홍예표 (치의학과 65입)

홍지준 (화학교육과 74입)

황귀례 (제약학과 故 국채호 교수의 부인)

황재홍 (치의학과 90입)

히로나카 헤이스케 (하버드대 명예교수)

Eduard J Stadelmann (前 미네소타대학 교수)

Ken-ichi Arai (동경대 교수)

Peter S Kim (MIT 교수)

Stanley Choy

거평그룹

건일제약

건화엔지니어링

경남기업

경동송천재단

경암교육문화재단

고려아연

공영토건

과학기술혁신 최고전략과정 23기 일동

과학기술혁신 최고전략과정 24기 일동

관악회

광동제약

교보문고

구원장학재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국방과학연구소

국제종합물류

금호아시아나문화재단

김 middot장 법률사무소

김영사

김정문알로에

까사미아

나산실업

남광토건

남영비비안

넥슨코리아

노키아티엠씨

농어촌희망재단

농우바이오

다이소아성산업

다함넷

단암장학재단

대교

대림대학

대양 EampC

대우기전공업

대우엔지니어링

대우테크

대한수의사회

대한통운

돈암장학회

동방

동방상호신용금고

동부대우전자

동부문화재단

동서식품

동아건설산업

동아제약

동양강철

동철문화재단

동화산업장학재단

두을장학재단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롯데관광

롯데쇼핑

매트바이오테크

메디슨

몬산토코리아

미래에셋

미래와도전

미래의동반자재단

민음사

바이로메드

방송문화진흥회

방일영문화재단

법대 39회 동문 일동

법대 84학번 동기회

법대 85학번 동기회

법대최고지도자과정 8기 일동

법대최고지도자과정 10기 일동

법무법인 광장

법무법인 바른

법무법인 세종

법무법인 율촌

법무법인 케이씨엘

법무법인 태평양

법무법인 화우

부경양돈협동조합

비씨카드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동문회

삼양

삼우종합건축사무소

삼일회계법인

삼전순약공업

삼호개발

삼화모터스

상암에너지

상지상사

상진개발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글로벌리더쉽과정

서울대합창단 동문회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석원산업

성남시장학회

성련장학재단

세무법인 조이

세진에프알에스

송우재단

수경출판사

수암장학문화재단

수의과대학 교수 일동

스키부 동문회 일동

시뮬레이션테크

신라교역

신라문화장학재단

신양머그

신한장학재단

썬텍

아모레퍼시픽

아산사회복지재단

안성농장

알앤엘바이오

애드미션

앨트웰민초장학재단

약학교육연수원 이수자 일동

양지농장

영림임업

오뗄

오뚜기재단

오리엔트이엔지

오리온전기

오성엘에스티

와이비엠시사

용운장학회

우덕재단

유기천교수기념사업출판재단

유신

유티씨인베스트먼트

유한재단

유한킴벌리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음악대학 피아노발전기금후원회

이지바이오

인선문화재단

인촌기념회

인탑스

일동제약

일동후디스

일주학술문화재단

재단법인 대우재단

재단법인 정민

재미서울대총동창회

전국은행연합회

정공산업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정수장학회

정헌재단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져스텍

종근당

종로구장학회

좋은책신사고

진생사이언스

진양제약

참존

창강재단

창진영농조합법인

천만장학회

천수기업

천연물과학연구소 교수 일동

천재교육

청합장학회

최고경영자과정 총동창회

최고산업전략과정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middot

미래지도자인문학과정(IFP)

케이씨텍

코스맥스

코오롱

트러스톤자산운용

특수건설

패션그룹형지

포니정장학재단

포휴먼

풀무원

풍산

플라톤아카데미

피에스케이

하나제약

한국간연구재단

한국거래소

한국금융투자협회

한국무역협회

한국문화진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산업은행

한국세포주연구재단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알콜산업

한국외국인학교

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전파기지국

한국증권금융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한국타이어

한국투자신탁운용

한국투자증권

한산이씨양도공파설서공종중

한샘출판

한수통상

해나천연물신약

해성장학회

해태

행정대학원 정보통신과정

현대차 정몽구 재단

현대카드

현대캐피탈

현동장학회

현송교육문화재단

홈플러스e파란재단

효성그룹

휴맥스

AMP 63기 일동

AMP 64기 일동

AMP 65기 일동

AMP 66기 일동

AMP 67기 일동

AMP 68기 일동

AMP 69기 일동

AMP 70기 일동

AMP 71기 일동

AMP 72기 일동

AMP 73기 일동

AMP 74기 일동

AMP 75기 일동

AMP 76기 일동

AMP 77기 일동

AMP 78기 일동

ASSET PLUS투자자문

E1

Eyagi(이야기) CAFE

Goldman Sachs

KDB대우증권

KRX국민행복재단

KTB투자증권

LG연암문화재단

NCSOFT

NHN

NXC

OB맥주

Qualcomm

SECMCA

SIMPAC ANC

SK CampC

SNU 프리시젼

S-Oil

SPARC 15 middot16 middot17 middot18기 일동

1억 원 이상 출연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LG삼성 한국전력공사SK

포스코 웅진한화농업협동조합중앙회

KT 부영신한금융 현대자동차

SPC IBK기업은행

태영현대 금호아시아나롯데장학재단

CJ 대림두산 한진

우리금융 미래국제재단

50억 원 이상 출연

조천식정치학과 45입

윤대섭농공학과 49입

100억 원 이상 출연

정석규화학공학과 48입

이용희태광사 회장

김정식 전자공학과 48입

유회진기계설계학과 78입

SNU Hono r C l ubDONATION

SNU Gold Honors Club

홍성대수학과 57입

이기영前 의대 교수

최창영금속공학과 64입

박영희수학교육과 54입

손장순불어불문학과 54입

유태용토목공학과 50입

김명희middot신정희기악과 91입 김형찬의 모

이필남 박상윤 윤전수middot이삼락

김연혁히로세코리아 감사

서정선의학과 70입

전은기middot김은희 백추현 곽영필토목공학과 56입

박완서의 상속인호원숙 호원순 호원경 호원균

이순자불어불문학과 57입

손동준전자공학과 59입

윤종용전자공학과 62입

정덕균전자공학과 77입

강옥채middot노병수공법학과 83입

민선식경제학과 78입

박병준섬유공학과 52입

서울대학교총동창회

양두석독어독문학과 69입

양윤홍전자공학과 63입

대우 카길애그리퓨리나 동진쎄미켐 하나금융지주

동원 동양 KB금융지주 대우조선해양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대성 로이드선급협회 아시아일진

한국가스공사 녹십자 생명보험협회 현대중공업

메가스터디 TOYOTA MOTOR CORP SK하이닉스 서울장학재단

STX 농심 무한투자 이연제약

대우인터내셔널 송원김영환장학재단 형애장학회 신풍제약

10억 원 이상 출연

현대산업개발

스페코middot삼익악기

영원무역

쌍용양회공업

영원아웃도어

환인제약 주식회사

한국프뢰벨

37 36

춘강문화장학재단 (박성형 이사장)

허성도 (인문대학 명예교수)

형남진장학재단 (이정희 이사장)

강남구청

김형렬 (윤리교육과 교수)

공병영 (사무국장middot시설관리국장)

신흥 (이용익 대표이사)

서영길 (광산학과 53입)

일중장학재단 (송윤영 이사장)

금곡장학회 (이수상 이사장)

덕원장학회 (이헌경 이사장)

강현구 (건축학과 교수)

김명환 (조선해양공학과 75입)

김영수 (법과대학 60입)

김영운 (재료공학부 교수)

서강문 (동물병원 원장)

서동규 (경영학과 84입)

송희영 (영어영문학과 74입)

이근무 (사회학과 56입)

이재호 (경영학과 84입)

주식회사 KTampG 남서울본부 (박정욱 본부장)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박기용 이사장)

가송재단 (윤도준 이사장)

강스템바이오텍 (강경선 대표이사)

유한회사 본음인베스트먼트

이진경 (전국낙지자랑 대표)

주리아 (치과대학 04입)

한승장학회 (이재영 이사장)

키움증권 (권용원 대표이사)

협성문화재단 (박석귀 이사장)

윤상혁 (디자인학부 03입)

GS칼텍스 (허동수 대표이사 회장)

권규돈 (중어중문학과 13입 권기범의 부)

김경준 (농경제학과 82입)

김용팔 (수의과대학 75입)

김재홍 (수의학과 교수)

김진태 (법학과 71입)

문대원 (경영학과 71입)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오근택 대표이사)

박세창 (수의학과 교수)

산학협동재단 (한덕수 이사장)

선암장학재단 (윤호철 이사장)

성제경 (수의학과 교수)

송재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우광덕 (치과대학 64입)

유기윤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유한상 (수의학과 교수)

윤여성 (수의학과 교수)

윤정희 (수의학과대학 부학장)

윤화영 (수의학과 교수)

이건목원리한방병원 (이건목 원장)

이소영 (수의학과 교수)

이항 (수의학과 교수)

이희근 (공과대학 명예교수)

조무제 (법학과 65입)

조성범 (수의학과 교수)

조제열 (수의학과 교수)

중앙백신연구소 (윤인중 대표이사)

지티앤티 (이세한 대표이사)

채찬희 (수의학과 교수)

태평소금 (손일선 회장)

한호재 (수의학과 교수)

해마루 (김현욱 원장)

황인구 (수의학과 교수)

조선에듀케이션 (방정오 대표이사)

강진영 (의학과 69입)

김정기 (법학과 75입)

박달이 (간호대학 74입)

박재완

사회복지법인 건아재단 (심철환 이사장)

손정식 (제약학과 73입)

윤재석 (화학교육과 71입)

이도환 (치의학과 86입)

이동식 (영어교육과 72입)

홍기택 (경영학과 74입)

KT (황창규 대표이사 회장)

LG PC 유지보수센터 (박무광 대표이사)

광주시민장학회 (박기준 이사장)

박영임 (간호학과 73입)

사명희치과 (사명희 원장)

연당장학회 (남욱 회장)

우정장학문화재단 (강백영 이사장)

제노에너지 (김성철 대표이사)

신우호 (화학교육과 87입)

이병욱 (조경학과 81입)

정혜선 (간호학과 82입)

허종필 (공업화학과 73입)

권길주 (조선해양공학과 11입 정지원의 모)

권혜숙 (약학과 82입)

김미영 (간호학과 98입)

김범진 (턱교정학고급연수과정 6기)

김성열 (교육학과 75입)

김우진 (국악과 73입)

녹십자수의약품 (김승목 대표이사)

덕영재단 (전헬리시아 이사장)

류제하 (기계공학과 78입)

문수자동판매기 (김영식 대표)

민기복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민동홍 (독어독문학과 77입)

박종철 (물리학과 61입)

설재연 (심리학과 82입)

송은도 (국악과 01입)

유차영 (ASP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 12기)

신우개발 서울지점 (김익환 사장)

신하순 (동양화과 교수)

안석준 (치의과대학원 부원장

안휘준 (인문대학 명예교수)

양민영 (협동과정 미술교육전공 94입)

양형식 (자원공학과 75입)

옥복연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07입)

우경미 (치의학대학원 교수)

우성공원묘원 (허정산 대표)

우성원 (미학과 95입)

월악장학문화재단 (남기영 이사장)

유건선 (토목공학과 73입)

유흥수 (법학과 58입)

윤희정 (수의학과 교수)

이대혁 (자원공학과 87입)

이병천 (수의학과 교수)

이상돈 (에너지자원공학과 84입)

이승주 (치의학과 92입)

이시우 (의예과 95입)

이용규 (경영학과 84입)

이정인 (공과대학 명예교수)

이희석 (농생물과 57입)

임종후 (서양화과 12입 임지윤의 부)

임한조 (물리학과 67입)

전석원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정소걸 (자원공학과 71입)

정지훈 (치의학과 교수)

조경란 (법학과 79입)

조기웅 (화학과 66입)

조현욱 (사법학과 83입)

최명애 (회화과 70입)

최정욱 (경영학과 84입)

최종길 (법과대학 83입)

하종철 (동양화과 13입 하문원의 부)

한공창 (자원공학과 72입)

한국지하수지열협회 (안근묵 회장)

허형무 (경영대학 68입)

미주재단

Steve Ro (토목공학과 61입)

Soung Kim (임학과 56입)

Joong M Soh (공과대학 64입)

John Baek (금속공학 49입)

Hyunchan Lee (치과대학 70입)

Steve amp Cheryl Shapiro

Kwang S Hong (공과대학 60입)

Moon H Kim (공과대학 68입)

David Cho (공과대학 60입)

Dong Ku Chung (기계공학과 57입)

Sang Dae Lee (농업생명과학대학 80입)

Young D Kim (공과대학 67입)

AMP 78기 일동

삼성복지재단 (이수빈 이사장)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한국세포주연구재단

SK하이닉스 (박성욱 대표이사 사장)

패션그룹형지 (최병오 회장)

한국수력원자력 (조석 사장)

형애장학회 (최효종 이사장)

송원김영환장학재단 (김해련 이사장)

사회복지법인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이기수 이사장)

SECMCA

TOYOTA MOTOR CORP

(요시다 아키히사 대표이사 사장)

권욱현 (공과대학 명예교수)

네이버 (김상헌 대표이사)

부경양돈협동조합 (박재민 조합장)

안인희

전국경제인연합회 (허창수 회장)

현송교육문화재단 (김정일 이사장)

롯데장학재단 (신영자 이사장)

일주학술문화재단 (이선애 이사장)

현대차 정몽구 재단 (유영학 이사장)

박미혜 (성악과 교수)

LG연암문화재단 (구자경 이사장)

KeyGene (Arjen van Tunnen CEO)

아산사회복지재단 (정몽준 이사장)

천만장학회 (이광현 이사장)

방일영문화재단 (조연흥 이사장)

AMP 77기 일동

신라문화장학재단 (박준형 이사장)

SBS문화재단 (윤세영 이사장)

김만극 (약학과 47입)

아이바이오 (김기일 대표이사)

현대엔지니어링 (김위철 대표이사)

종근당고촌재단 (김두현 이사장)

정수장학회 (김삼천 이사장)

Kensary LLP

앨트웰민초장학재단 (김박 이사장)

한국동서발전 (장주옥 사장)

한화갤러리아 (박세훈 대표이사)

한화생명보험 (차남규 대표이사 사장)

한화손해보험 (박윤식 대표이사)

한화첨단소재 (김창범 대표이사)

한화투자증권 (주진형 대표이사 사장)

KEILCO(KEPCO ILJAN CORPORATION)

연강재단 (박용현 이사장)

창강재단 (안병표 이사장)

경기도 인재개발원 (박익수 원장)

대림수암장학문화재단 (변형윤 이사장)

청합장학회 (여상길 회장)

한빛종합동물병원 (임정식 원장)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716900000

364863690

317560000

250000000

220000000

200000000

200000000

150000000

142103500

140000000

139583000

13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98538000

89942000

82426000

70000000

67509000

67500000

62989000

59929000

59208000

53720000

51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44302000

42076000

40918000

40273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39677688

39035000

37244000

37068000

34780000

31047000

31000000

30300600

박종오 (영어영문학과 55입)

이상복 (ABKI문헌지식정보최고위과정 5기)

이상억 (인문대학 명예교수)

한화 (심경섭 대표이사)

한화건설 (김현중 부회장)

한화자산운용 (강신우 대표이사)

한화케미칼 (방한홍 대표이사)

한화호텔앤드리조트 (홍원기 대표이사)

오뚜기재단 (함태호 이사장)

유한재단 (이필상 이사장)

영원무역 (성기학 대표이사 회장)

서울대합창단동문회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전병원 이사장)

국가정책과정(ACAD) 77기 일동

배영수 (서양사학과 교수)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최윤 회장)

몬산토코리아유한회사

(벤자민 마크 후드리스 대표이사)

성련장학재단 (허연금 이사장)

고광우 (행정학과 53입)

김철수 (법과대학 명예교수)

대한적십자사 (유중근 총재)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성기학 이사장)

임현진 (사회과학대학 명예교수)

장문영 (화학과 59입)

재단법인 양영재단 (김상하 이사장)

조유근 (컴퓨터공학부 교수)

두을장학재단 (이인희 이사장)

과천시애향장학회 (신학수 이사장)

서울장학재단 (이경희 이사장)

왕한석 (인류학과 교수)

포니정장학재단 (정몽규 이사장)

조용준 (법학과 79입)

농어촌희망재단 (김달웅 이사장)

경동송천재단 (류덕희 이사장)

농생대 환경재료과학 교수일동

주식회사 천랩 (천종식 대표이사)

돈암장학회 (이용배 이사장)

인선문화재단 (박선영 이사장)

단암장학재단 (이봉서 이사장)

치과대학 치의학대학원 동창회

흥한재단 (박병석 이사장)

선화예술문화재단 (심재혁 대표)

한국미즈노 주식회사 (김창범 대표이사)

곽노섭 (수학과 49입)

19대 인문대 학장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김은선 (디자인학부 13입 조은지의 모)

서광훈 (약학대학 67입)

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ASP) 27기 동문

송재용 (경영학과 교수)

수도씨에이씨 (송명호 대표이사)

신한화구 (한봉근 대표)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28436000

27942000

26000000

24210000

24041200

23994234

22500000

20724000

20500000

20274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18779000

17973600

17934000

17600000

17050000

17000000

165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4000000

14000000

13500000

12000000

12000000

11602000

11102610

10281624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이앤티 (고영호 대표이사)

재단법인 정민 (윤석헌 이사장)

제11기 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천병년 (약학과 77입)

최민철 (농공학과 75입)

현대하이스코 (신성재 대표이사)

황효진 (동양사학과 78입)

대한사료주식회사 (이상민 대표이사)

해성문화재단 (단재완 이사장)

한국가스공사 (장석효 사장)

장석윤 (약학과 79입)

한국석유공사 (서문규 사장)

종로구장학회 (최현종 이사장)

동부문화재단 (강경식 이사장)

인촌기념회 (이용훈 이사장)

용옥장학문화재단 (양철우 이사장)

미래의동반자재단 (Jeffrey D Jones 이사장)

성옥문화재단 (이화일 이사장)

다래파크텍 (김호정 대표이사)

미래인재육성재단 (최양식 이사장)

고화장학회 (배명인 이사장)

한국애질런트테크놀로지스 (박시영 대표)

이재원 (중앙도서관 정보관리과)

리브로 (김경수 대표이사)

오운문화재단 (이동찬 이사장)

조비경농장학재단 (이병만 이사장)

오스템임플란트 (최규옥 대표이사)

한국섬유산업연합회장학재단 (노희찬 이사장)

아카넷 (김정호 사장)

삼송장학회 (김영기 이사장)

서지희 (IFP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11기)

김지호

서울상공회의소 관악구상공회 (김진철 회장)

송파재단 (윤원영 이사장)

김영윤 (토목공학과 62입)

로보로보 (장창남 대표이사)

류판동 (수의과대학장)

모르페우스 (김진수 대표이사)

박윤서 (고고인류학과 69입)

박찬국 (철학과 교수)

송인석 (치의학과 01입)

시그나사회공헌재단 (홍봉성 이사장)

신남식 (수의학과 교수)

약학대학 40회 동기회

와이비엠 (민선식 대표이사)

이필상 (경제학부 교수)

한국경제연구원 (권태신 원장)

황만순 (제약학과 90입)

운경재단 (배성동 이사장)

제봉민병욱장학재단

심명문화재단 (이경재 이사장)

홍산장학재단 (천영주 이사장)

홍수현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9730000

9528000

9140000

9000000

9000000

8690000

8525000

8525000

8178000

8112000

7963000

7928068

7713000

7500000

7000000

6950000

6919590

6058000

6010000

6000000

6000000

5700000

5400000

5357143

5100000

5100000

5089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4934000

4734000

4527000

4500000

4462280

4000000

4000000

4000000

3956000

3862000

3600000

3500000

3029000

3029000

3005000

3005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2706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467000

2467000

22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1865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5145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431445

1221251

1210000

108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단위 $

100000

10000

5000

3000

500

500

200

200

100

100

100

100

20140601 ~ 20140831 약정 단위 원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약정DONATION

39 38

김형렬 (윤리교육과 교수)

이정진 (기계항공공학부 95입)

신흥 (이용익 대표이사)

이창우 (경영학과 교수)

서영길 (광산학과 53입)

일중장학재단 (송윤영 이사장)

금곡장학회 (이수상 이사장)

덕원장학회 (이헌경 이사장)

강현구 (건축학과 교수)

김명환 (조선해양공학과 75입)

김영수 (법과대학 60입)

김영운 (재료공학부 교수)

김종원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김진학 (도시환경최고전문가과정 29기)

박훈 (기계공학과 63입)

서강문 (동물병원 원장)

서동규 (경영학과 84입)

송재홍 (농화학과 83입)

송희영 (영어영문학과 74입)

신남식 (수의학과 교수)

이규선 (조경middot지역시스템공학부 13입 이성용의 부)

이봉호 (치의예과 84입)

이재호 (경영학과 84입)

전병롱 (정책학과 10입 전상우의 부)

전호석 (기계설계학과 71입)

주식회사 KTampG 남서울본부 (박정욱 본부장)

최황 (의과대학 명예교수)

황철성 (재료공학부 교수)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박기용 이사장)

가송재단 (윤도준 이사장)

강스템바이오텍 (강경선 대표이사)

오이코스 (배장영 대표이사)

유한회사 본음인베스트먼트

이진경 (전국낙지자랑 대표)

한승장학회 (이재영 이사장)

윤용혁 (독어교육과 60입)

키움증권 (권용원 대표이사)

협성문화재단 (박석귀 이사장)

이강이 (아동가족학과 교수)

윤상혁 (디자인학부 03입)

윤화영 (수의학과 교수)

GS칼텍스 (허동수 대표이사 회장)

권규돈 (중어중문학과 13입 권기범의 부)

김경준 (농경제학과 82입)

김용팔 (수의과대학 75입)

김재홍 (수의학과 교수)

김진태 (법학과 71입)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이재술 대표이사)

문대원 (경영학과 71입)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오근택 대표이사)

박세창 (수의학과 교수)

산학협동재단 (한덕수 이사장)

선암장학재단 (윤호철 이사장)

성제경 (수의학과 교수)

송재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우광덕 (치과대학 64입)

유기윤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유한상 (수의학과 교수)

윤여성 (수의학과 교수)

윤정희 (수의학과 교수)

이건목원리한방병원 (이건목 원장)

이동진 (교무처 학사과)

이소영 (수의학과 교수)

이인숙 (간호대학 교수)

이항 (수의학과 교수)

이희근 (공과대학 명예교수)

조무제 (법학과 65입)

조성범 (수의학과 교수)

조제열 (수의학과 교수)

주식회사 오공 (김윤정 대표이사)

중앙백신연구소 (윤인중 대표이사)

지티앤티 (이세한 대표이사)

채찬희 (수의학과 교수)

태평소금 (손일선 회장)

한호재 (수의학과 교수)

해마루 (김현욱 원장)

황인구 (수의학과 교수)

조선에듀케이션 (방정오 대표이사)

사회복지법인 건아재단 (심철환 이사장)

KT (황창규 대표이사 회장)

광림교회 (김정석 담임목사)

광주시민장학회 (박기준 이사장)

김기원 (AIP최고산업전략과정 38기)

김상은 (융합과학부 교수)

김혜원 (간호학과 교수)

박종근 (전기공학과 교수)

서병태 (의학과 54입)

송경희 (국악과 59입)

연당장학회 (남욱 회장)

오유경 (약학대학 부학장)

우정장학문화재단 (강백영 이사장)

임현주 (약학과 82입)

전상직 (작곡과 교수)

주리아 (치과대학 04입)

한국마쯔다니 (유태균 대표이사)

홍영표 (GLP글로벌리더십과정 21기)

신우호 (화학교육과 87입)

류판동 (수의과대학장)

이병욱 (조경학과 81입)

김용백 (수의학과 교수)

김종암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정혜선 (간호학과 82입)

강부현 (수의학과 72입)

권길주 (조선해양공학과 11입 정지원의 모)

권혜숙 (약학과 82입)

김경대 (치의학과 82입)

김미영 (간호학과 98입)

김범진 (턱교정학고급연수과정 6기)

김성열 (교육학과 75입)

김종흔 (경영대학 92입)

김현산 (법과대학 54입)

녹십자수의약품 (김승목 대표이사)

덕영재단 (전헬리시아 이사장)

문수자동판매기 (김영식 대표)

민기복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민동홍 (독어독문학과 77입)

박병익 (지리교육과 교수)

박종철 (물리학과 61입)

설재연 (심리학과 82입)

송은도 (국악과 01입)

유차영 (ASP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 12기)

신우개발 서울지점 (김익환 사장)

신하순 (동양화과 교수)

안석준 (치의과대학원 부원장

안휘준 (인문대학 명예교수)

양민영 (협동과정 미술교육전공 94입)

양형식 (자원공학과 75입)

옥복연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07입)

우경미 (치의학대학원 교수)

우성공원묘원 (허정산 대표)

우성원 (미학과 95입)

월악장학문화재단 (남기영 이사장)

유건선 (토목공학과 73입)

유흥수 (법학과 58입)

윤희정 (수의학과 교수)

이기윤 (정치학과 88입)

이대혁 (자원공학과 87입)

이병천 (수의학과 교수)

이상돈 (에너지자원공학과 84입)

이승주 (치의학과 92입)

이시우 (의예과 95입)

이은수 (서울대운동용품 대표)

이정인 (공과대학 명예교수)

임종후 (서양화과 12입 임지윤의 부)

정소걸 (자원공학과 71입)

정지훈 (치의학과 교수)

조경란 (법학과 79입)

조기웅 (화학과 66입)

조현욱 (사법학과 83입)

최명애 (회화과 70입)

최정욱 (경영학과 84입)

최종길 (법과대학 83입)

최해영 (경영대학 행정실)

하종철 (동양화과 13입 하문원의 부)

한공창 (자원공학과 72입)

한국지하수지열협회 (안근묵 회장)

허형무 (경영대학 68입)

미주재단

Steve Ro (토목공학과 61입)

Soung Kim (임학과 56입)

Joong M Soh (공과대학 64입)

John Baek (금속공학 49입)

Hyunchan Lee (치과대학 70입)

Steve amp Cheryl Shapiro

Kwang S Hong (공과대학 60입)

Moon H Kim (공과대학 68입)

David Cho (공과대학 60입)

Dong Ku Chung (기계공학과 57입)

Sang Dae Lee (농업생명과학대학 80입)

Young D Kim (공과대학 67입)

서울대학교병원 (오병희 병원장)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이철희 병원장)

SK가스 (최창원 부회장)

AMP 78기 일동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윤강섭 병원장)

삼성전자 (권오현 대표이사 부회장)

SK하이닉스 (박성욱 대표이사 사장)

삼성복지재단 (이수빈 이사장)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한국세포주연구재단

하나제약 (조경일 회장)

코스맥스 (이경수 대표이사 회장)

패션그룹형지 (최병오 회장)

서울대학교총동창회 (서정화 회장)

한국수력원자력 (조석 사장)

형애장학회 (최효종 이사장)

송원김영환장학재단 (김해련 이사장)

사회복지법인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이기수 이사장)

TOYOTA MOTOR CORP

(요시다 아키히사 대표이사 사장)

권욱현 (공과대학 명예교수)

네이버 (김상헌 대표이사)

현송교육문화재단 (김정일 이사장)

롯데장학재단 (신영자 이사장)

일주학술문화재단 (이선애 이사장)

현대차 정몽구 재단 (유영학 이사장)

LG연암문화재단 (구자경 이사장)

SECMCA

아산사회복지재단 (정몽준 이사장)

천만장학회 (이광현 이사장)

방일영문화재단 (조연흥 이사장)

AMP 77기 일동

신라문화장학재단 (박준형 이사장)

KRX국민행복재단 (최경수 이사장)

SBS문화재단 (윤세영 이사장)

김만극 (약학과 47입)

농우바이오 (정용동 유연희 대표이사)

안인희

전국경제인연합회 (허창수 회장)

정윤환 (임학과 56입)

현대엔지니어링 (김위철 대표이사)

세진에프알에스 라쿠치나 서울대점 (장재훈 대표이사)

재단법인 웅진 (신현웅 이사장)

종근당고촌재단 (김두현 이사장)

정수장학회 (김삼천 이사장)

Kensary LLP

앨트웰민초장학재단 (김박 이사장)

주중광 허지영 (약학대학 60입 화학과 66입)

한국동서발전 (장주옥 사장)

한화갤러리아 (박세훈 대표이사)

한화생명보험 (차남규 대표이사 사장)

한화손해보험 (박윤식 대표이사)

한화첨단소재 (김창범 대표이사)

한화투자증권 (주진형 대표이사 사장)

KEILCO(KEPCO ILJAN CORPORATION)

연강재단 (박용현 이사장)

창강재단 (안병표 이사장)

경기도 인재개발원 (박익수 원장)

대림수암장학문화재단 (변형윤 이사장)

이상억 (인문대학 명예교수)

1432968520

1147748270

1000000000

716900000

615220390

600000000

560000000

364863690

317560000

250000000

220000000

210000000

200000000

200000000

166000000

150000000

142103500

140000000

139583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98538000

89942000

82426000

67509000

66598412

62989000

59929000

59208000

53720000

51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49800000

46522180

44302000

42076000

40918000

40273000

40204972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39677688

39035000

37244000

37068000

34780000

31800000

청합장학회 (여상길 회장)

한빛종합동물병원 (임정식 원장)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두산 (박용만 대표이사 회장)

송미순 (간호학과 교수)

이상복 (ABKI문헌지식정보최고위과정 5기)

한화 (심경섭 대표이사)

한화건설 (김현중 부회장)

한화자산운용 (강신우 대표이사)

한화케미칼 (방한홍 대표이사)

한화호텔앤드리조트 (홍원기 대표이사)

오뚜기재단 (함태호 이사장)

재단법인 최혁영 장학회 (최혁영 회장)

유한재단 (이필상 이사장)

영원무역 (성기학 대표이사 회장)

부경양돈협동조합 (박재민 조합장)

져스텍 (김용일 대표이사)

서울대합창단동문회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전병원 이사장)

국가정책과정(ACAD) 77기 일동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최윤 회장)

몬산토코리아유한회사

(벤자민 마크 후드리스 대표이사)

성련장학재단 (허연금 이사장)

고광우 (행정학과 53입)

대한적십자사 (유중근 총재)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성기학 이사장)

임현진 (사회학과 교수)

재단법인 양영재단 (김상하 이사장)

조유근 (컴퓨터공학부 교수)

두을장학재단 (이인희 이사장)

과천시애향장학회 (신학수 이사장)

서울장학재단 (이경희 이사장)

왕한석 (인류학과 교수)

포니정장학재단 (정몽규 이사장)

조용준 (법학과 79입)

농어촌희망재단 (김달웅 이사장)

경동송천재단 (류덕희 이사장)

김신원 (응용화학과 64입)

농생대 환경재료과학 교수일동

주식회사 천랩 (천종식 대표이사)

돈암장학회 (이용배 이사장)

인선문화재단 (박선영 이사장)

단암장학재단 (이봉서 이사장)

치과대학 치의학대학원 동창회

흥한재단 (박병석 이사장)

선화예술문화재단 (심재혁 대표)

한국미즈노 주식회사 (김창범 대표이사)

곽노섭 (수학과 49입)

19대 인문대 학장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김은선 (디자인학부 13입 조은지의 모)

바텍 (노창준 대표이사)

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ASP) 27기 동문

수도씨에이씨 (송명호 대표이사)

신한화구 (한봉근 대표)

이앤티 (고영호 대표이사)

장문영 (화학과 59입)

제11기 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조경일 (약학대학 64입)

주식회사 명진팜 (권기진 대표이사)

31047000

31000000

303006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28436000

28081000

27942000

26000000

25000366

25000000

24210000

24041200

23994234

20724000

20500000

20274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18779000

17973600

17934000

17600000

17050000

17000000

165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4000000

14000000

13500000

12000000

12000000

11602000

11102610

10281624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천병년 (약학과 77입)

최민철 (농공학과 75입)

현대하이스코 (신성재 대표이사)

황효진 (동양사학과 78입)

대한사료주식회사 (이상민 대표이사)

해성문화재단 (단재완 이사장)

한국가스공사 (장석효 사장)

김춘길 (화학생물공학부 58입)

애드미션 (김유탁 대표이사)

종로구장학회 (최현종 이사장)

동부문화재단 (강경식 이사장)

인촌기념회 (이용훈 이사장)

용옥장학문화재단 (양철우 이사장)

미래의동반자재단 (Jeffrey D Jones 이사장)

김영윤 (토목공학과 62입)

성옥문화재단 (이화일 이사장)

다래파크텍 (김호정 대표이사)

미래인재육성재단 (최양식 이사장)

고화장학회 (배명인 이사장)

이재원 (중앙도서관 정보관리과)

리브로 (김경수 대표이사)

오운문화재단 (이동찬 이사장)

조비경농장학재단 (이병만 이사장)

박지향 (중앙도서관장)

오스템임플란트 (최규옥 대표이사)

한국섬유산업연합회장학재단 (노희찬 이사장)

한옥희 (화학과 79입)

아카넷 (김정호 사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정기택 원장)

삼송장학회 (김영기 이사장)

서지희 (IFP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11기)

김지호

서울상공회의소 관악구상공회 (김진철 회장)

박찬국 (철학과 교수)

송파재단 (윤원영 이사장)

김재길 (법학과 56입)

로보로보 (장창남 대표이사)

모르페우스 (김진수 대표이사)

박성경 정성창 (치의학과 96입)

박윤서 (고고인류학과 69입)

서용석 (상학과 46입) 정재원

송인석 (치의학과 01입)

송재용 (경영학과 교수)

시그나사회공헌재단 (홍봉성 이사장)

약학대학 40회 동기회

와이비엠 (민선식 대표이사)

이필상 (경제학부 교수)

한국경제연구원 (권태신 원장)

황만순 (제약학과 90입)

운경재단 (배성동 이사장)

제봉민병욱장학재단

심명문화재단 (이경재 이사장)

홍산장학재단 (천영주 이사장)

홍수현

박미혜 (성악과 교수)

박영아 (물리학과 79입)

최동하 (농경제학과 71입)

춘강문화장학재단 (박성형 이사장)

허성도 (인문대학 명예교수)

형남진장학재단 (이정희 이사장)

강남구청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9730000

9528000

9140000

9000000

9000000

8690000

8525000

8525000

8178000

8112000

8000000

7963000

7928068

7713000

7500000

6950000

6919590

6058000

6010000

6000000

6000000

6000000

6000000

5700000

5556000

5400000

5357143

5100000

5100000

5090000

5089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4934000

4734000

4527000

4500000

446228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3956000

3862000

3750000

3500000

3120000

3029000

3029000

3005000

3005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2706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467000

2467000

2467000

2400000

2230000

215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1865000

1800000

15145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431445

1300000

1275251

1260000

1200000

106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단위 $

100000

10000

5000

3000

500

500

200

200

100

100

100

100

단위 원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20140601 ~ 20140831 출연

출연DONATION

40

서울대학교는 기부금을 출연한 후원인에게 더욱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국내 최고 수준의 의

료서비스를 자랑하는 서울대학교병원 이용 예우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으며 서울대학교병원 후원인

라운지에 상주하는 전담 직원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후원자 중 추가 진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본원 또는 분당 서울대학교병원과의 즉각

적인 연계가 가능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 본원 조윤지 | Tel 02-2272-2750 E-mail sosunolovesnuackr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강수정 | Tel 031-787-1915 E-mail c8541snubhorg

(재)서울대학교발전기금 김종희 | Tel 02-871-1633 E-mail p2727snuackr

bull병원 예우 담당자

bull서울대학교병원 예우 서비스 이용 안내

예약대행 서비스 | 진료 및 입원 예약 대행 병원 측과 협의 후 예약일자 결정

의전 서비스 | 진료middot입원middot응급실 이용 편의를 위해 예우 담당자가 직접 안내

종합건강검진 주선 서비스(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bull서울대학교병원 예우 서비스 내용

지원 자격 활동 기간

bull경제적 지원이 필요한 학생

(건강보험료 기준) 우선 선발

bull성적 45만점 환산 30 이상

lsquo 새싹 멘토링rsquo은 빈곤의 대물림을 막기 위한 자선 봉사활동으로

전국 국공립대학의 우수한 학생이 저소득층 중middot고등학생의

학습을 도우며 장학금을 받는 프로그램입니다

bull최소 6개월~12개월

bull활동 실적에 따라 졸업 시까지

연차적으로 기회 부여

새싹멘토링의

멘토가

되어주세요

bull전화 02-880-1593(새싹 멘토링 서울대학교 본부) bull팩스 02-780-2647(미래국제재단 여의도 본사)

bull이메일 mifsnuhanmailnet 새싹 멘토링 지원 방법 문의 시 상세히 안내해드립니다

서울대학교와 미래국제재단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봉사활동에 학생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다립니다

기부인의 따뜻한 마음에

다양한 혜택의 예우 서비스로

보답합니다

출연 기금 진료예약 의전 서비스 종합건강검진 주선

50억 이상 평생 평생 연 1회(평생 프리미엄 검진)

10억 이상 평생 10년 연 1회(평생)

5억 이상

1억 원당 1년(기한)

5년

1억 원당 연 1회(기한)3억 이상 3년

1억 이상 1년

서울대학교병원 본원 후원인 전담 직원이 진료 예약 및 의전 서비스까지 친절하게 안내해 드립니다

문의처 병원 후원인 라운지(본관 3층) 또는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후원인 전담 직원이 진료 예약 및 의전 서비스까지 친절하게 안내해 드립니다

문의처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또는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강남센터와의 즉각적인 연계를 통해 강남센터 상담 직원이 후원자 여러분께 상담 전화를 드립니다

문의처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기부인 예우 프로그램DONATION

SeoulNational University

151-742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1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

T 02-880-5114 F 02-885-5272wwwsnuackr

C o v e r S t o r y

과학자의 공식

좋은 연구를 하겠다는 신념으로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걸어온 사람

miRNA 분야의 세계적인 개척자 김빛내리 교수다

그녀는 노벨상 수상에 가장 근접한 국내 과학자로 꼽힌다

도전과 실패 인내를 거듭하며 세계적인 과학자 반열에 오르기까지

그녀의 행보를 통해 성공과 신뢰 만족을 얻는 인생 공식을 알아본다

Page 15: SNU Magazine Vol. 38 › new › wp-content › uploads › 2015 › 12 › snu_people... · 2016-01-30 · 우수 연구자 시리즈 10 유상렬 농생명공학부 교수 06 선배와의

27 26

서울대학교는 8월 29일 관악캠퍼스 문화관 중강당에서

교수 학생 직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교수 정년식을 진행

했다 노태돈 국사학과 교수 임현진 사회학과 교수 안

정선 생명과학부 교수 김명모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장

호익 디자인학부 교수 한문희 불어교육과 교수 김민자

의류학과 교수 황준연 국악과 교수 이성철 의학과 교수

등 26명이 명예로운 정년을 맞아 정든 캠퍼스를 아름답

게 떠났다 이날 행사에서는 박종화 환경대학원 교수가

정년 교수진을 대표해 감사와 당부의 인사말을 전했다

교수 정년식

02

서울대학교는 8월 28일 관악캠퍼스 종합체육관에서 제

68회 후기 학위수여식을 개최했다 이번 학위수여식에

서는 학사 850명 석사 989명 박사 522명 등 총 2361

명이 학위를 받았다 성낙인 총장은 ldquo최고의 지식은 사회

봉사와 인류공헌을 위해 쓰이는 것이며 훌륭한 인재는

지성과 공공성으로 무장된 따뜻한 가슴을 겸비한 lsquo선한

인재rsquordquo라며 ldquo민족의 동량 사회의 중심으로 드높은 자부

심을 갖되 지식과 열정을 공동선을 위해 공헌하는 사회

적으로 필요한 인재가 되기 바란다rdquo고 당부했다

제68회 후기 학위수여식

03

01

서울대학교는

신임 보직교수단을

구성했다 신임 보직

교수 임기는 2년으로

2016년까지 대학의

비전을 마련하고

고등교육 발전을 위한

주요 소임을 맡아

활동한다

신임 보직교수 임명

04 06

2014 우수 인재 채용박람회

추석을 맞아 서울대학교 구성원들의 따스한 손길이 어려

운 이웃들에게 전해졌다 인문대학 등 62개 기관에서 모

금한 총 28271500원은 학교 근처의 보육원 사회복지

관 등 도움이 필요한 곳에 전달됐다 성낙인 총장은 아동

복지시설인 상록보육원을 방문해 성금을 전달하며 어린

이들과 보육원 관계자들을 격려했다 그리고 김종서 교

육부총장은 동명 아동복지센터 이우일 연구부총장은 성

민 종합사회복지관 유근배 기획부총장은 선의관악 종합

사회복지관을 각각 찾아 성금을 전달했다

추석 명절 이웃돕기 성금전달

보 직 명 학 과 (부) 성 명

교육부총장 종교학과 김종서

연구부총장 기계항공공학부 이우일

기획부총장 지리학과 유근배

교무처장 화학부 김병문

학생처장 농생명공학부 김정한

연구처장 의학과 박노현

기획처장 법학전문대학원 이철수

기초교육원장 서양사학과 안병직

입학본부장 독어교육과 권오현

국제협력본부장 국제대학원 정종호

보 직 명 학 과 (부) 성 명

정보화본부장 컴퓨터공학부 신영길

교무부처장 겸 교육부처장 치의학대학원 백승학

학생부처장 식품영양학과 한성림

연구부처장 약학과 오정미

기획부처장 독어독문학과 강창우

협력부처장 건설환경공학부 김재영

기초교육부원장 물리middot천문학부 유재준

입학부본부장 고고미술사학과 이준정

국제협력부본부장 국제대학원 신성호

정보화부본부장 경영학과 장정주

NewsNOW

제8기 스누봉사단이 한국수력원자력(주)의 후원으로 8

월 9일부터 20일까지 베트남 라오까이 성에 있는 스빤

마을에서 봉사활동을 진행했다 유성상 교육학과 교수

이우철 치의학대학원 교수 이승표 교수 한동헌 교수

김익규 빗물모아지구사랑 실장 김용환 연구원 서울대

학교 학생 23명으로 구성된 봉사단은 구강보건의료 빗

물 정화 위생교육 등의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 주민들에

게 나눔을 실천했다

제8기 스누봉사단 베트남 봉사활동

0705

훌륭한 공대교수상 선정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올해의 훌륭한 공과대학 교수로

신현식 컴퓨터공학부 교수 이재홍 전기정보공학부 교

수 강신형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를 선정했다 이 상은 교

수들의 연구 활동을 장려하고 산업 기술의 선진화를 꾀

하자는 취지에서 1992년 공과대학 동문들이 출연한 기

금으로 제정됐다 2003년부터 교육상과 연구상 2개 부

문으로 시상해오다가 올해부터 교육상 학술상 산학협

력상 3개 부문으로 확대돼 의미가 더욱 커졌다

경력개발센터는 2014년 하반기 채용 시즌을 맞이해 9월

2일에서 4일까지 대학본부 앞 잔디 광장에서 lsquo새로운 미

래를 여는 SNU 2014 서울대학교 우수인재 채용박람회rsquo

를 개최했다 올해로 11회째를 맞이한 채용박람회에는

6500여 명의 학생들이 참가했다 한편 두산 삼성 현대

자동차 LG SK 등 국내 주요 대기업들과 국방과학연구

소 한국전력공사 등의 공기업 Hakuhodu 그룹 등의 일

본 기업 ASML Korea 등의 외국계 기업 총 130곳이 우

수 인재를 확보하고자 심혈을 기울였다

信義

기부와 나DONATION

유 태 용

나고 자란 곳을 잊지 않는다 어려웠던 순간을 항상

되새긴다 덕분에 유태용 동문은 사회적 성취를 이룬 지금

자신만의 나눔 원칙을 세울 수 있었다

기 부 자 정 보

격동의 세월을 이겨낸 삶

일제강점기를 지나 해방 그리고 한국전쟁까지 1950년에 서

울대학교에 입학한 유태용 동문의 학창시절은 역사적 격동

기와 맞물려 있다 그 시절을 겪어보지 않은 요즘 세대에게 유

동문의 경험은 책에서나 접하는 옛날이야기로 들릴 수 있다

그럼에도 유 동문은 과거를 잊지 않으려 그 시절을 끊임없이

복기한다 당시 경험을 lt어느 서울대 공대생의 한국전쟁gt이

라는 책에 풀어내기도 했다 ldquo요즘은 상상도 못할 이야기죠

이후로도 어렵사리 국가 발전을 이뤘고요 우리 세대가 고생

했다고 알아주길 바라는 건 아닙니다 다만 큰 어려움을 헤

쳐 온 인생 선배들을 보면서 힘든 순간이 닥쳐도 좀 더 지혜롭

게 극복했으면 좋겠습니다rdquo

유태용 동문은 대학 졸업 후 1957년부터 공직 생활을 시작했

다 이후 오랜 기간 공직에 몸담으며 국토 계획과 건설 행정

을 담당했다 유 동문의 전공은 토목공학 그중에서도 방조

제가 전문 분야였다 공직 생활 초창기에 국제원조기구 장학

생으로 선발돼 1962년 미국에서 아카데미 코스를 밟기도 했

다 그렇게 미국에서 수학한 지식을 바탕으로 당시만 해도 단

일목적댐뿐이던 우리나라에 다목적댐을 도입하는 데 기여했

다 ldquo저는 어찌 보면 운이 참 좋은 사람입니다 어려운 시기에

농촌에서 서울대학교에 입학했고 좋은 기회가 닿아 외국에

서 공부하는 경험도 할 수 있었으니까요rdquo

오랜 시간 이어온 남다른 향토애

공직에 있으며 국가 발전에 힘써온 유 동문 그는 오래전 고

향을 떠나왔지만 어려웠던 어린 시절을 잊지 않는다 불과 몇

원하는 수업료가 없어 일곱 살 나이에 수십 킬로미터에 달하

는 거리를 오갔던 기억이 여전히 생생하다 적어도 돈 때문에

공부를 못하는 학생은 없어야겠다는 생각에 이른 건 어쩌면

당연한 일 그러한 경험이 있었기에 유 동문은 자신만의 기부

신념을 세울 수 있었다 ldquo똑같이 모를 심어도 좋은 쌀을 얻으

려면 관리를 잘해야 합니다 모를 심고 가만히 두면 한 섬밖

에 못 얻지만 비료를 주고 잡초를 솎아내면서 키우면 네 가

마니까지 불어나요 사람도 마찬가지입니다 인재도 좋은 환

경이 갖추어져야 자랄 수 있습니다 서울대학교에 입학한 건

시작일 뿐이죠rdquo

유 동문은 서울대학교에 부동산을 기부해 정읍과 고창 출신

후배들을 위한 lsquo정고장학기금rsquo을 마련했다 단지 태어난 곳

에 대한 고집만은 아니다 그 자신이 농촌에서 어렵사리 대학

에 진학했던 까닭에 그곳에서 나고 자란 후배들이 학비 걱정

없이 공부에만 전념할 수 있기를 바라는 선배의 따스한 마음

이다 ldquo예전에도 그랬지만 지금도 농촌에서 몇 백만 원씩 하

는 등록금을 쉽게 마련할 수 있는 집은 많지 않습니다 더구

나 지방에서 공부해서 서울대학교에 온다는 건 쉽지 않아요rdquo

유태용 동문은 장학생들을 직접 만나 격려하는 데에도 적극

적이다 지금은 학생들이 그가 기부한 장학 기금의 혜택을 입

지만 언젠가는 좋은 인재로 성장해 사회에 보탬이 되는 주역

이 되리라 믿는 까닭이다 ldquo서울대학교가 이제 세계에서도 손

꼽히는 대학이 되었다지만 아직도 세상에는 해결하지 못한

연구 과제가 많아요 서울대학교의 많은 인재가 그런 분야에

도 거침없이 도전해 좋은 성과를 내주길 바랍니다rdquo

유태용 한국방재협회 명예회장

내무부와 건설부에서 오랜 기간 국토 계획과 건설 행정을 맡았다 1998년 자연재

해대책법에 따라 한국방재협회 준비위원장에 추대됐고 창립을 준비해 1999년 초

대 회장에 취임한 바 있다

with SNU

토목공학과 학사 ACAD 12기 수료 정고장학기금을 마련해 정읍 고창 출신 학생

들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및 대학원생 재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원하고 있다

ldquo모를 심고 가만히 두면 한 섬밖에 못 얻지만

비료를 주고 잡초를 솎아내면서 키우면

네 가마니까지 불어나요 사람도 마찬가지입니다

인재도 좋은 환경이 갖추어져야 자랄 수 있습니다rdquo

29 28

31 30

기부와 나DONATION

도전 열아홉이란 나이 누군가는 대학 문을 바라보며 책

장을 넘길 시기에 사업을 시작했다 다양한 업종에 손대며

달콤한 성취도 쓰디쓴 실패도 맛본 20대를 지나 서른을 코앞

에 둔 시기에 광장시장 상가 한편에 1평 남짓한 도매 옷가게

를 열었다 그것이 연 매출 1조 원을 올리는 국내 굴지 패션기

업의 출발이었다

근면 어깨에 옷을 짊어지고 고객을 찾아다니길 수차례

서른 살 청년의 성실성을 소매상들은 알아봤다 판로가 열리

니 사업은 자연히 승승장구했다 그러나 10년 후 위기가 닥

쳤다 거래처의 어음이 부도 처리되면서 그 여파를 고스란히

받아야 했다 ldquo부도를 극복하면서 근면의 중요성을 깊이 느

꼈습니다 재기를 생각하며 다시 1평짜리 매장을 얻어 아침 7

시부터 새벽 2시까지 이를 악물고 일했죠rdquo 시작도 그랬지만

이후로도 근면은 최 회장의 삶에 큰 지표가 됐다

배움 일찍이 사회에 진출한 만큼 현장 경험은 누구보다

출중할 터 그러나 최 회장은 lsquo배움에는 끝이 없다rsquo는 생각으

로 경영만 하기도 바쁜 시간을 쪼개 공부를 계속했다 배움의

과정 중에 서울대학교와 인연이 닿았다 학교의 여러 특별과

정을 수료한 것은 물론 서울대학교 패션산업 최고경영자과

정(AFB) 총교우회 회장도 역임했다 ldquo김민자 교수님께서 lsquo바

쁠수록 더 좋은 성과를 낸다rsquo고 말씀하신 적이 있습니다 몸은

분주했지만 세상을 보는 관점은 더욱 넓어질 수 있었습니다rdquo

섬김 최 회장은 오늘날 이룬 성취가 혼자만의 것이 아니

란 점도 매번 되새긴다 패션그룹형지의 성장과 함께 한 대리

점주를 섬기는 해법 중 하나는 교육이다 ldquo사업의 근간인 대

리점주와 함께 호흡하고 성장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일까 고민

하던 차에 생활과학대학 교수님들의 도움으로 lsquo패션그룹형

지 최고경영자과정rsquo을 열었습니다rdquo

나눔 lsquo남 열 걸음 갈 때 반의 반 걸음 더 간다rsquo 최 회장은

기업가로서 성공을 이룬 지금도 이 말을 되새기곤 한다 ldquo남

보다 조금 더 먼저 생각하고 노력하는 작은 차이가 나중에는

큰 성과를 남긴다는 뜻입니다 요즘은 사업이나 일에 대한 것

뿐만 아니라 타인을 향한 배려와 사랑도 반의 반만 앞서 생

각하고 실천하자고 다짐합니다rdquo 최 회장은 lsquo교육은 백년지대

계(百年之大計)rsquo란 말에 동감하며 패션 산업을 이끌어갈 인

재들을 위해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에 기금을 출연했다

또한 지역 발전을 위한 투자를 비롯해 세월호 참사로 고통받

는 유가족과 학생들을 위해 성금을 기부하는 등 다방면에서

나눔을 실천하고 있다 어려운 순간을 딛고 현재의 성취를 이

뤘기에 자신을 키워준 사회에 무엇인가 되돌려주는 나눔이

중요하다고 말하는 최병오 회장 한편으로 그는 lsquo금전적 도움

을 베푸는 자선의 개념을 넘어 재능과 기술을 나누는 나눔의

문화가 필요하다rsquo고 덧붙인다

청년에게 사회에서 일가를 이룬 최병오 회장이 이 시대

를 사는 청년들에게 권하고픈 경험은 다름 아닌 lsquo실패rsquo다 ldquo진

짜 실패는 넘어지는 게 두려워 시도조차 하지 않는 거라고 하

지 않습니까 실패를 두려워하기보다 꿈을 먼저 생각하길 바

랍니다rdquo 최 회장은 목표와 꿈을 추구하는 동시에 타인을 배

려하는 태도 역시 지니길 권한다 그것이 바로 진정한 성공이

요 명품인생을 완성하는 길이기에

切磋琢磨 최 병 오

최병오 회장에게 lsquo근면rsquo은 가장 기본적인 성공 원칙이다

lsquo배움rsquo은 자기 성장의 원동력이며 lsquo섬김rsquo은 상생의

바탕이다 마지막으로 그는 lsquo나눔rsquo이란 대의를 잊지 않는다

ldquo경제적인 어려움으로 배움의 기회를 놓쳐선

안된다고 생각해왔습니다 젊은 나이에

일찍 사업에 뛰어들어 배움에 대한 목마름이

누구보다 컸기 때문입니다rdquo

기 부 자 정 보

최병오 패션그룹형지 대표이사 회장

대한상공회의소 중견기업위원회 위원장이자 윤리경영위원회 위원 또한 한국의

류산업협회 회장과 한국의류산업학회 부회장 등을 맡아 최근 대통령 해외 순방 당

시 경제사절단으로 동행했다

with SNU

AFB 3기 AMP 63기 AIP 42기 AWASB 1기 등을 수료했다 AFB 동창회장과

AFB 동창회 수석부회장을 역임했으며 올해 제13회 AMP 대상을 수상했다 현재

AWASB 동창회장을 맡고 있다

33 32

기부의 향연이 펼쳐지다

바바패션

인문대학 발전기금 1억 원 기부

바바패션(대표이사 회장 문인식)이 인문대학에 발전기금 1억 원을 기부했

다 10월 13일 총장실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성낙인 총장과 문인식 바바

패션 대표이사 회장 유근배 기획부총장 장재성 인문대학장을 비롯해 관

계자 10여 명이 참석했다 성낙인 총장은 ldquo문인식 회장님의 인문학에 대

한 관심과 성원에 감사드린다rdquo며 ldquo이번 기금으로 인문대학의 발전과 인재

양성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이에 문인식 회장은 ldquo바바패

션은 계속해서 나눔 경영을 통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rdquo고 전했

다 문인식 회장은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최고지도자과정(AMP) 72기를

수료하고 현재 인문대학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12기 회장 AMP

총동창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한편 바바패션은 국내 여성 패션 브랜드인

아이잗바바(IZZAT BABA) 지고트(JIGOTT) 등을 비롯한 총 9개의 브

랜드를 보유하고 있으며 심장병 어린이 수술 지원 및 장학 사업도 꾸준히

펼치고 있다

전기컴퓨터공학부 권욱현 명예교수

lsquo권욱현 희망장학기금rsquo 1억 원 기부

지난 6월 17일 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부 권욱현(전기공학 62학번)

명예교수가 lsquo권욱현 희망장학기금rsquo을 조성하고 1억 원을 기부했다 이번

에 마련된 기금은 공과대학과 전기공학부 학생들 가운데 경제적으로 어

려운 학생들에게 지급될 예정이다 변대규 휴맥스 대표를 비롯해 이재원

슈프리마 대표 등 국내 유명 벤처기업 CEO들의 스승으로 유명한 권욱현

명예교수는 2005년 서울대학교 평의원회 의장으로 활동했으며 대한전

기학회장 세계자동제어연맹 부회장 국제자동제어연맹 회장 등을 역임

했다 국제자동제어연맹(IFAC) 회장으로 재임 시 사재 50만 달러를 출연

해 개발도상국 젊은 공학자의 학술 활동을 지원하는 등 후학 양성을 위한

꾸준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김정식 해동과학문화재단 이사장

해동학술정보실 건립기금 30억 원 기부

지난 6월 27일 해동과학문화재단 김정식 이사장(전자공학 48학번)이

lsquo해동학술정보실 건립기금rsquo으로 30억 원을 쾌척했다 이번에 조성된 기금

은 공과대학과 자연과학대학 등 주요 단과대학의 해동학술정보실을 건

설하는데 사용될 예정이다 이번 기금 이외에도 김정식 이사장은 서울대

학교 공과대학 인근 해동학술관과 해동학술정보실 12호관 건립 기금으

로 100억 원이 넘는 금액을 출연하며 꾸준히 모교를 후원하고 있으며 인

재 양성을 위해 한양대 고려대 등 국내 주요 대학에 해동학술정보실 건립

을 지원하고 있다 1972년 대덕전자를 설립해 한국 전자 산업의 기술 개

발을 이끈 선구자로 유명한 김정식 이사장은 1990년 해동과학문화재단

을 만들어 해동상을 재정하는 등 지속적인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

패션그룹형지

생활과학대학 발전기금 3억 원 기부

패션그룹형지(대표이사 회장 최병오)가 생활과학대학에 발전기금 3억 원

을 기부했다 이 기금은 생활과학대학의 교육middot연구활동 및 시설개선 등을

위한 제반 활동에 사용된다 지난 8월 26일 진행된 협약식에서 성낙인 총

장은 ldquo생활과학대학은 패션그룹형지 기금으로 수준 높은 연구 성과와 인

재 배출을 통해 대한민국 대표 인재 양성소로 거듭 날 것rdquo이라고 밝혔으

며 최병오 회장은 ldquo국가 경쟁력을 이끌어가는 리더와 패션 산업 인재를

양성하는 데 패션그룹형지 발전기금이 쓰이길 바란다rdquo고 당부했다 최 회

장은 지난 2003년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패션산업 최고경영자과정

(AFB) 3기를 수료하고 2007년부터 2013년까지 AFB 총교우회 회장을

역임했다 또한 이번 기금 이외에도 꾸준히 후원한 다양한 기금으로 건립

된 lsquo최병오 홀rsquo을 통해 사회 각계각층의 주요 리더들이 교류하는 교육장을

마련했다 1월에는 경영대학 최고경영자과정(AMP) 총동창회가 주최하

는 lsquo제13회 서울대 AMP 대상rsquo을 수상했다

NewsDONATION

유회진 학술정보관 건립 보고 및 감사 행사

ldquo기부금은 이공계 학생들을 위해 써주세요rdquo 故 유회진 박사가 구강암으로 투병

하는 동안 병문안을 갔던 이장무 전임 총장에게 남긴 말이다 서울대학교 기계

설계학과에서 학부와 대학원 생활을 보내고 동아대학교 교수를 역임한 유 박

사는 2009년 구강암 판정을 받았다 그는 암 투병 치료비부터 부모님으로부터

물려받은 유산까지 허투루 쓰지 않고 모은 100억 원이 넘는 전 재산을 서울대

학교에 남기고 2011년 별세했다 유가족이 없는 고인을 위해 서울대학교 발전기

금은 장례를 진행했으며 매년 제사를 지내 뜻을 기린다

지난 7월 2일 관악캠퍼스 공과대학 엔지니어하우스대강당에서 lsquo유회진학술정보

관rsquo 건립 보고 및 감사 행사가 개최됐다 유회진학술정보관은 유회진 기금으로

건립되어 공과대학과 자연대학이 공동 교육 및 연구 시설로 사용할 예정이다 이

날 행사는 오연천 전임 총장의 환영사에 이어 유회진 박사 소개 및 기부 경과보

고 유회진학술정보관 건립 경과보고 순으로 진행됐으며 특별히 故 유회진 박사

의 지인인 서울시립대 권원태(기계설계학과 78학번)교수가 참석했다 그의 숭고

한 마음은 우리 사회의 빛나는 과학자들을 위한 초석이 될 것이다

11월 9일 故 유회진

박사의 3주기가 돌아온다

서울대학교발전기금은

제주(祭主)로서 그를 잊지 않고

사회와 학교를 향한 기부자의

아름다운 정신을 남길 것이다

당신의 아름다운 마무리

35 34

SNU Presidents Honors Club

SNU Honor Club

故 곽명덕 변호사 유가족 (한자영 곽성현 곽성희)

故 구영록 교수 유가족

故 김인제 故 최성순 가족

(故 김동호 故 김동훈 김동준 김진숙 김진옥)

故 이한빈 부총리 가족 (유정혜 이원식 이선이)

고윤석 (물리학과 47입)

고정택 (외교학과 62입)

구영배 (자원공학과 85입)

구재서

권영대 (약학과 55입)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권욱현 (전기공학과 62입)

금장태 (종교학과 62입)

김건식 (법학과 73입)

김경한 (법학과 62입)

김경한 (외교학과 62입)

김광일 (경영학과 84입)

김기봉 middot신경은 (기계공학과 63입 middot화학과 65입)

김기태 (의학과 58졸)

김난도 (소비자아동학부 교수)

김대욱 (조선공학과 76입)

김동길 (화학교육과 57입)

김동훈 (화학과 48입)

김두철 (전자공학과 66입)

김만극 (약학과 47입)

김상헌 (사법학과 82입)

김선동 (화학공학과 59입)

김선화(정자) (국악과 60입)

김성배 (영어영문학과 63입)

김양곤 (IFP 2기)

김연탁 (경제학과 故 김태성 교수의 부)

김연호 (화학공학과 71입)

김영경 (기계공학과 52입) middot김천순

김영석 (3 Plus Logistics 회장)

김영수 (법학과 67입)

김영심 (불어불문학과 故 오현우 교수의 부인)

김영업

김용재 (의과대학 60입)

김용철 (치의학과 55입)

김의신 (의학과 60입)

김의영 (경제학과 54입)

김정희 (간호학과 52입)

김종일 (제어계측공학과 79입)

김진향

김천흥

김철호 (외교학과 70입)

김춘길 (화학생물공학부 58입)

김택수 (법학과 48입)

김하석 middot김영중 (화학과 63입 middot약학과 64입)

김하자 (서양화과 故 하동철 교수의 부인)

김학봉 (한영요업 회장)

김형주 (전자계산기공학과 78입)

나정환 (화학교육과 54입)

남정현 (건축학과 57입)

류무종 (중어중문학과 53입)

류진 (영어영문학과 78입)

마인경 (지리학과 56입)

민계식 (조선항공학과 61입)

민호기 교수 유가족

박대근 (보건대학원 63입)

박맹호 (불어불문학과 52입)

박민식 middot 박금옥 (수의과대학 65입 middot체육교육과 63입)

박봉균 (수의학과 76입)

박숙희 (지리학과 60입)

박용헌 (교육행정학과 53입)

박용호 (수의학과 74입)

朴麟子(가정관리과 82입) 하상예 박임숙 박순영 박노용

박종근 (전기공학과 69입)

박종수 (수의학과 58입)

박종오 (영어영문학과 55입)

박준 (법학과 73입)

박태진 (독어독문학과 80입)

박한제 (동양사학과 69입)

배옥자 (성심가정의학과의원 원장)

백종철 (농공학과 54입)

백형익

법대 48회 졸업생

변대규 (제어계측공학과 79입)

서문자 (간호학과 63입)

손경식 (법학과 57입)

송상용 (화학과 55입)

송상현 (법학과 59입)

송인철 (SPARC 14기)

송학린 (법학과 59입)

신수정 (기악과 59입)

신영길 (계산통계학과 78입)

신영주 (이남장 대표)

신익현 (임학과 79입)

신효영 middot신승연 (故 신광현 교수의 가족)

신희명 (물리교육과 49입)

신희택 (법학과 71입)

심소일 (상학과 49입)

심재성 (前 성보산업 자문위원)

안영경 (前 핸디소프트 고문)

안창엽 (AMP 68기)

양천식

오세경 (약학과 61입)

오승환 (의학과 56입)

오용호 middot오양호 (행정학과 69입 middot법과대학 80입)

오윤덕 (행정학과 61입)

원재연 (경영학과 82입)

유근순

유성숙 (고고미술사학과 故 김원용 교수의 부인)

윤계섭 (상학과 64입)

윤덕우 (경제학과 58입) middot최덕자

윤석금 (웅진그룹 회장)

윤석순 (수의학과 59입)

윤우석 (에너지자원공학과 63입)

이건우 (기계공학과 74입)

이경식 (불어불문학과 55입)

이광희 (지리학과 59입)

이교일 middot박명진

(기계공학과 60입 middot불어불문학과 65입)

이기춘 (가정교육과 61입)

이명현 middot김귀현 (철학과 60입 middot기악과 69입)

이문한 (수의학과 66입)

이병준 (경제학과 55입)

이성규 (사학과 65입)

이성형 (정치학과 82입)

이순원 (가정교육과 54입)

이순형 (가정관리학과 70입)

이신두 (물리학과 76입)

이예식 (약학과 46입)

이용환 (농업교육과 63입)

이용환 (전기공학과 73입)

이원영 (AMP 6기)

이은방 (약학과 55입)

이장무 (제24대 총장)

이재승 (원자핵공학과 59입)

이정섭

이정섭 (종교학과 04입)

이종덕 (물리학과 62입)

이준용 (경제학과 56입)

이지형 (법과대학 85입)

이찬승 (수학교육과 69입)

이창득 (국어교육과 71입)

이창화 (국어국문학과 64입)

이천만 (영어영문학과 故 이상태의 부)

이철승 (법학과 78입)

이철영 (SPARC 17기)

이현수 (농화학과 60입)

이현재 (경제학과 48입)

이형도 (화학공학과 61입)

이홍표 (의과대학 58입)

임길진 교수 유가족

임동진 (법학과 62입)

임현진 (사회학과 67입)

장세권 (농공학과 70입)

장순영

장용국 (법학과 71입)

장재혁 (역사교육과 80입)

장정훈 (약학대학 65입)

전익찬 (지구환경과학부 94입 故 전재규의 부)

전해종 (동양사학과 47졸)

정달훤 (고고미술사학과 87입 故 정은임의 부)

정영현 (공업화학과 85입 정순욱의 부)

정영호 (생물학과 50입) middot 박양숙

정윤환 (임학과 56입)

정재선 (소비자아동학과 93입)

정재준 (前 경보전기 부회장)

정종곤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조동성 (경영학과 67입)

조병직 (법학과 46입)

조석준 (행정학 57졸)

조영식 (수의학과 80입)

조옥환 (부산교통 대표)

조종수 (건국대학교 교수)

조한영 (상학과 43입)

조형준 (미학과 65입)

주중광 middot 허지영 (약학대학 60입 middot 화학과 66입)

차상균 (전기공학과 76입)

차상균 교수 외 제자 12명

채성기 (원자핵공학과 59입)

채제한 (전기공학부 48입 故 채호석의 자)

천문우 (약학과 61입)

최병오 (AFB 3기)

최재열 (조소과 08입 최민주의 부)

최정욱 (화학공학과 49입)

최창원 (심리학과 83입)

최화형 외 3명

풍원자 (임학과 57입 故 용환운의 부인)

하영구 (무역학과 72입)

한규범 (AMP 42기)

한규환 (기계공학과 68입)

한기준 (의학과 52입)

한상복 (사회학과 56입)

한옥희 (화학과 79입)

한장희 middot김재혜 (행정학과 61입 middot 법학과 61입)

허성도 (중어중문학과 68입)

허영인 (SPC그룹 회장)

현기순 (가정교육과 46입)

현정오 (농생물학과 66입)

현택환 (화학과 83입)

홍경자 (간호학과 62입)

홍계수 (법학과 72입 주경숙의 모)

홍길표 (컴퓨터공학부 홍지명의 부)

홍예표 (치의학과 65입)

홍지준 (화학교육과 74입)

황귀례 (제약학과 故 국채호 교수의 부인)

황재홍 (치의학과 90입)

히로나카 헤이스케 (하버드대 명예교수)

Eduard J Stadelmann (前 미네소타대학 교수)

Ken-ichi Arai (동경대 교수)

Peter S Kim (MIT 교수)

Stanley Choy

거평그룹

건일제약

건화엔지니어링

경남기업

경동송천재단

경암교육문화재단

고려아연

공영토건

과학기술혁신 최고전략과정 23기 일동

과학기술혁신 최고전략과정 24기 일동

관악회

광동제약

교보문고

구원장학재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국방과학연구소

국제종합물류

금호아시아나문화재단

김 middot장 법률사무소

김영사

김정문알로에

까사미아

나산실업

남광토건

남영비비안

넥슨코리아

노키아티엠씨

농어촌희망재단

농우바이오

다이소아성산업

다함넷

단암장학재단

대교

대림대학

대양 EampC

대우기전공업

대우엔지니어링

대우테크

대한수의사회

대한통운

돈암장학회

동방

동방상호신용금고

동부대우전자

동부문화재단

동서식품

동아건설산업

동아제약

동양강철

동철문화재단

동화산업장학재단

두을장학재단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롯데관광

롯데쇼핑

매트바이오테크

메디슨

몬산토코리아

미래에셋

미래와도전

미래의동반자재단

민음사

바이로메드

방송문화진흥회

방일영문화재단

법대 39회 동문 일동

법대 84학번 동기회

법대 85학번 동기회

법대최고지도자과정 8기 일동

법대최고지도자과정 10기 일동

법무법인 광장

법무법인 바른

법무법인 세종

법무법인 율촌

법무법인 케이씨엘

법무법인 태평양

법무법인 화우

부경양돈협동조합

비씨카드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동문회

삼양

삼우종합건축사무소

삼일회계법인

삼전순약공업

삼호개발

삼화모터스

상암에너지

상지상사

상진개발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글로벌리더쉽과정

서울대합창단 동문회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석원산업

성남시장학회

성련장학재단

세무법인 조이

세진에프알에스

송우재단

수경출판사

수암장학문화재단

수의과대학 교수 일동

스키부 동문회 일동

시뮬레이션테크

신라교역

신라문화장학재단

신양머그

신한장학재단

썬텍

아모레퍼시픽

아산사회복지재단

안성농장

알앤엘바이오

애드미션

앨트웰민초장학재단

약학교육연수원 이수자 일동

양지농장

영림임업

오뗄

오뚜기재단

오리엔트이엔지

오리온전기

오성엘에스티

와이비엠시사

용운장학회

우덕재단

유기천교수기념사업출판재단

유신

유티씨인베스트먼트

유한재단

유한킴벌리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음악대학 피아노발전기금후원회

이지바이오

인선문화재단

인촌기념회

인탑스

일동제약

일동후디스

일주학술문화재단

재단법인 대우재단

재단법인 정민

재미서울대총동창회

전국은행연합회

정공산업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정수장학회

정헌재단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져스텍

종근당

종로구장학회

좋은책신사고

진생사이언스

진양제약

참존

창강재단

창진영농조합법인

천만장학회

천수기업

천연물과학연구소 교수 일동

천재교육

청합장학회

최고경영자과정 총동창회

최고산업전략과정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middot

미래지도자인문학과정(IFP)

케이씨텍

코스맥스

코오롱

트러스톤자산운용

특수건설

패션그룹형지

포니정장학재단

포휴먼

풀무원

풍산

플라톤아카데미

피에스케이

하나제약

한국간연구재단

한국거래소

한국금융투자협회

한국무역협회

한국문화진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산업은행

한국세포주연구재단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알콜산업

한국외국인학교

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전파기지국

한국증권금융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한국타이어

한국투자신탁운용

한국투자증권

한산이씨양도공파설서공종중

한샘출판

한수통상

해나천연물신약

해성장학회

해태

행정대학원 정보통신과정

현대차 정몽구 재단

현대카드

현대캐피탈

현동장학회

현송교육문화재단

홈플러스e파란재단

효성그룹

휴맥스

AMP 63기 일동

AMP 64기 일동

AMP 65기 일동

AMP 66기 일동

AMP 67기 일동

AMP 68기 일동

AMP 69기 일동

AMP 70기 일동

AMP 71기 일동

AMP 72기 일동

AMP 73기 일동

AMP 74기 일동

AMP 75기 일동

AMP 76기 일동

AMP 77기 일동

AMP 78기 일동

ASSET PLUS투자자문

E1

Eyagi(이야기) CAFE

Goldman Sachs

KDB대우증권

KRX국민행복재단

KTB투자증권

LG연암문화재단

NCSOFT

NHN

NXC

OB맥주

Qualcomm

SECMCA

SIMPAC ANC

SK CampC

SNU 프리시젼

S-Oil

SPARC 15 middot16 middot17 middot18기 일동

1억 원 이상 출연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LG삼성 한국전력공사SK

포스코 웅진한화농업협동조합중앙회

KT 부영신한금융 현대자동차

SPC IBK기업은행

태영현대 금호아시아나롯데장학재단

CJ 대림두산 한진

우리금융 미래국제재단

50억 원 이상 출연

조천식정치학과 45입

윤대섭농공학과 49입

100억 원 이상 출연

정석규화학공학과 48입

이용희태광사 회장

김정식 전자공학과 48입

유회진기계설계학과 78입

SNU Hono r C l ubDONATION

SNU Gold Honors Club

홍성대수학과 57입

이기영前 의대 교수

최창영금속공학과 64입

박영희수학교육과 54입

손장순불어불문학과 54입

유태용토목공학과 50입

김명희middot신정희기악과 91입 김형찬의 모

이필남 박상윤 윤전수middot이삼락

김연혁히로세코리아 감사

서정선의학과 70입

전은기middot김은희 백추현 곽영필토목공학과 56입

박완서의 상속인호원숙 호원순 호원경 호원균

이순자불어불문학과 57입

손동준전자공학과 59입

윤종용전자공학과 62입

정덕균전자공학과 77입

강옥채middot노병수공법학과 83입

민선식경제학과 78입

박병준섬유공학과 52입

서울대학교총동창회

양두석독어독문학과 69입

양윤홍전자공학과 63입

대우 카길애그리퓨리나 동진쎄미켐 하나금융지주

동원 동양 KB금융지주 대우조선해양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대성 로이드선급협회 아시아일진

한국가스공사 녹십자 생명보험협회 현대중공업

메가스터디 TOYOTA MOTOR CORP SK하이닉스 서울장학재단

STX 농심 무한투자 이연제약

대우인터내셔널 송원김영환장학재단 형애장학회 신풍제약

10억 원 이상 출연

현대산업개발

스페코middot삼익악기

영원무역

쌍용양회공업

영원아웃도어

환인제약 주식회사

한국프뢰벨

37 36

춘강문화장학재단 (박성형 이사장)

허성도 (인문대학 명예교수)

형남진장학재단 (이정희 이사장)

강남구청

김형렬 (윤리교육과 교수)

공병영 (사무국장middot시설관리국장)

신흥 (이용익 대표이사)

서영길 (광산학과 53입)

일중장학재단 (송윤영 이사장)

금곡장학회 (이수상 이사장)

덕원장학회 (이헌경 이사장)

강현구 (건축학과 교수)

김명환 (조선해양공학과 75입)

김영수 (법과대학 60입)

김영운 (재료공학부 교수)

서강문 (동물병원 원장)

서동규 (경영학과 84입)

송희영 (영어영문학과 74입)

이근무 (사회학과 56입)

이재호 (경영학과 84입)

주식회사 KTampG 남서울본부 (박정욱 본부장)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박기용 이사장)

가송재단 (윤도준 이사장)

강스템바이오텍 (강경선 대표이사)

유한회사 본음인베스트먼트

이진경 (전국낙지자랑 대표)

주리아 (치과대학 04입)

한승장학회 (이재영 이사장)

키움증권 (권용원 대표이사)

협성문화재단 (박석귀 이사장)

윤상혁 (디자인학부 03입)

GS칼텍스 (허동수 대표이사 회장)

권규돈 (중어중문학과 13입 권기범의 부)

김경준 (농경제학과 82입)

김용팔 (수의과대학 75입)

김재홍 (수의학과 교수)

김진태 (법학과 71입)

문대원 (경영학과 71입)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오근택 대표이사)

박세창 (수의학과 교수)

산학협동재단 (한덕수 이사장)

선암장학재단 (윤호철 이사장)

성제경 (수의학과 교수)

송재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우광덕 (치과대학 64입)

유기윤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유한상 (수의학과 교수)

윤여성 (수의학과 교수)

윤정희 (수의학과대학 부학장)

윤화영 (수의학과 교수)

이건목원리한방병원 (이건목 원장)

이소영 (수의학과 교수)

이항 (수의학과 교수)

이희근 (공과대학 명예교수)

조무제 (법학과 65입)

조성범 (수의학과 교수)

조제열 (수의학과 교수)

중앙백신연구소 (윤인중 대표이사)

지티앤티 (이세한 대표이사)

채찬희 (수의학과 교수)

태평소금 (손일선 회장)

한호재 (수의학과 교수)

해마루 (김현욱 원장)

황인구 (수의학과 교수)

조선에듀케이션 (방정오 대표이사)

강진영 (의학과 69입)

김정기 (법학과 75입)

박달이 (간호대학 74입)

박재완

사회복지법인 건아재단 (심철환 이사장)

손정식 (제약학과 73입)

윤재석 (화학교육과 71입)

이도환 (치의학과 86입)

이동식 (영어교육과 72입)

홍기택 (경영학과 74입)

KT (황창규 대표이사 회장)

LG PC 유지보수센터 (박무광 대표이사)

광주시민장학회 (박기준 이사장)

박영임 (간호학과 73입)

사명희치과 (사명희 원장)

연당장학회 (남욱 회장)

우정장학문화재단 (강백영 이사장)

제노에너지 (김성철 대표이사)

신우호 (화학교육과 87입)

이병욱 (조경학과 81입)

정혜선 (간호학과 82입)

허종필 (공업화학과 73입)

권길주 (조선해양공학과 11입 정지원의 모)

권혜숙 (약학과 82입)

김미영 (간호학과 98입)

김범진 (턱교정학고급연수과정 6기)

김성열 (교육학과 75입)

김우진 (국악과 73입)

녹십자수의약품 (김승목 대표이사)

덕영재단 (전헬리시아 이사장)

류제하 (기계공학과 78입)

문수자동판매기 (김영식 대표)

민기복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민동홍 (독어독문학과 77입)

박종철 (물리학과 61입)

설재연 (심리학과 82입)

송은도 (국악과 01입)

유차영 (ASP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 12기)

신우개발 서울지점 (김익환 사장)

신하순 (동양화과 교수)

안석준 (치의과대학원 부원장

안휘준 (인문대학 명예교수)

양민영 (협동과정 미술교육전공 94입)

양형식 (자원공학과 75입)

옥복연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07입)

우경미 (치의학대학원 교수)

우성공원묘원 (허정산 대표)

우성원 (미학과 95입)

월악장학문화재단 (남기영 이사장)

유건선 (토목공학과 73입)

유흥수 (법학과 58입)

윤희정 (수의학과 교수)

이대혁 (자원공학과 87입)

이병천 (수의학과 교수)

이상돈 (에너지자원공학과 84입)

이승주 (치의학과 92입)

이시우 (의예과 95입)

이용규 (경영학과 84입)

이정인 (공과대학 명예교수)

이희석 (농생물과 57입)

임종후 (서양화과 12입 임지윤의 부)

임한조 (물리학과 67입)

전석원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정소걸 (자원공학과 71입)

정지훈 (치의학과 교수)

조경란 (법학과 79입)

조기웅 (화학과 66입)

조현욱 (사법학과 83입)

최명애 (회화과 70입)

최정욱 (경영학과 84입)

최종길 (법과대학 83입)

하종철 (동양화과 13입 하문원의 부)

한공창 (자원공학과 72입)

한국지하수지열협회 (안근묵 회장)

허형무 (경영대학 68입)

미주재단

Steve Ro (토목공학과 61입)

Soung Kim (임학과 56입)

Joong M Soh (공과대학 64입)

John Baek (금속공학 49입)

Hyunchan Lee (치과대학 70입)

Steve amp Cheryl Shapiro

Kwang S Hong (공과대학 60입)

Moon H Kim (공과대학 68입)

David Cho (공과대학 60입)

Dong Ku Chung (기계공학과 57입)

Sang Dae Lee (농업생명과학대학 80입)

Young D Kim (공과대학 67입)

AMP 78기 일동

삼성복지재단 (이수빈 이사장)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한국세포주연구재단

SK하이닉스 (박성욱 대표이사 사장)

패션그룹형지 (최병오 회장)

한국수력원자력 (조석 사장)

형애장학회 (최효종 이사장)

송원김영환장학재단 (김해련 이사장)

사회복지법인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이기수 이사장)

SECMCA

TOYOTA MOTOR CORP

(요시다 아키히사 대표이사 사장)

권욱현 (공과대학 명예교수)

네이버 (김상헌 대표이사)

부경양돈협동조합 (박재민 조합장)

안인희

전국경제인연합회 (허창수 회장)

현송교육문화재단 (김정일 이사장)

롯데장학재단 (신영자 이사장)

일주학술문화재단 (이선애 이사장)

현대차 정몽구 재단 (유영학 이사장)

박미혜 (성악과 교수)

LG연암문화재단 (구자경 이사장)

KeyGene (Arjen van Tunnen CEO)

아산사회복지재단 (정몽준 이사장)

천만장학회 (이광현 이사장)

방일영문화재단 (조연흥 이사장)

AMP 77기 일동

신라문화장학재단 (박준형 이사장)

SBS문화재단 (윤세영 이사장)

김만극 (약학과 47입)

아이바이오 (김기일 대표이사)

현대엔지니어링 (김위철 대표이사)

종근당고촌재단 (김두현 이사장)

정수장학회 (김삼천 이사장)

Kensary LLP

앨트웰민초장학재단 (김박 이사장)

한국동서발전 (장주옥 사장)

한화갤러리아 (박세훈 대표이사)

한화생명보험 (차남규 대표이사 사장)

한화손해보험 (박윤식 대표이사)

한화첨단소재 (김창범 대표이사)

한화투자증권 (주진형 대표이사 사장)

KEILCO(KEPCO ILJAN CORPORATION)

연강재단 (박용현 이사장)

창강재단 (안병표 이사장)

경기도 인재개발원 (박익수 원장)

대림수암장학문화재단 (변형윤 이사장)

청합장학회 (여상길 회장)

한빛종합동물병원 (임정식 원장)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716900000

364863690

317560000

250000000

220000000

200000000

200000000

150000000

142103500

140000000

139583000

13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98538000

89942000

82426000

70000000

67509000

67500000

62989000

59929000

59208000

53720000

51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44302000

42076000

40918000

40273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39677688

39035000

37244000

37068000

34780000

31047000

31000000

30300600

박종오 (영어영문학과 55입)

이상복 (ABKI문헌지식정보최고위과정 5기)

이상억 (인문대학 명예교수)

한화 (심경섭 대표이사)

한화건설 (김현중 부회장)

한화자산운용 (강신우 대표이사)

한화케미칼 (방한홍 대표이사)

한화호텔앤드리조트 (홍원기 대표이사)

오뚜기재단 (함태호 이사장)

유한재단 (이필상 이사장)

영원무역 (성기학 대표이사 회장)

서울대합창단동문회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전병원 이사장)

국가정책과정(ACAD) 77기 일동

배영수 (서양사학과 교수)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최윤 회장)

몬산토코리아유한회사

(벤자민 마크 후드리스 대표이사)

성련장학재단 (허연금 이사장)

고광우 (행정학과 53입)

김철수 (법과대학 명예교수)

대한적십자사 (유중근 총재)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성기학 이사장)

임현진 (사회과학대학 명예교수)

장문영 (화학과 59입)

재단법인 양영재단 (김상하 이사장)

조유근 (컴퓨터공학부 교수)

두을장학재단 (이인희 이사장)

과천시애향장학회 (신학수 이사장)

서울장학재단 (이경희 이사장)

왕한석 (인류학과 교수)

포니정장학재단 (정몽규 이사장)

조용준 (법학과 79입)

농어촌희망재단 (김달웅 이사장)

경동송천재단 (류덕희 이사장)

농생대 환경재료과학 교수일동

주식회사 천랩 (천종식 대표이사)

돈암장학회 (이용배 이사장)

인선문화재단 (박선영 이사장)

단암장학재단 (이봉서 이사장)

치과대학 치의학대학원 동창회

흥한재단 (박병석 이사장)

선화예술문화재단 (심재혁 대표)

한국미즈노 주식회사 (김창범 대표이사)

곽노섭 (수학과 49입)

19대 인문대 학장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김은선 (디자인학부 13입 조은지의 모)

서광훈 (약학대학 67입)

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ASP) 27기 동문

송재용 (경영학과 교수)

수도씨에이씨 (송명호 대표이사)

신한화구 (한봉근 대표)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28436000

27942000

26000000

24210000

24041200

23994234

22500000

20724000

20500000

20274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18779000

17973600

17934000

17600000

17050000

17000000

165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4000000

14000000

13500000

12000000

12000000

11602000

11102610

10281624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이앤티 (고영호 대표이사)

재단법인 정민 (윤석헌 이사장)

제11기 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천병년 (약학과 77입)

최민철 (농공학과 75입)

현대하이스코 (신성재 대표이사)

황효진 (동양사학과 78입)

대한사료주식회사 (이상민 대표이사)

해성문화재단 (단재완 이사장)

한국가스공사 (장석효 사장)

장석윤 (약학과 79입)

한국석유공사 (서문규 사장)

종로구장학회 (최현종 이사장)

동부문화재단 (강경식 이사장)

인촌기념회 (이용훈 이사장)

용옥장학문화재단 (양철우 이사장)

미래의동반자재단 (Jeffrey D Jones 이사장)

성옥문화재단 (이화일 이사장)

다래파크텍 (김호정 대표이사)

미래인재육성재단 (최양식 이사장)

고화장학회 (배명인 이사장)

한국애질런트테크놀로지스 (박시영 대표)

이재원 (중앙도서관 정보관리과)

리브로 (김경수 대표이사)

오운문화재단 (이동찬 이사장)

조비경농장학재단 (이병만 이사장)

오스템임플란트 (최규옥 대표이사)

한국섬유산업연합회장학재단 (노희찬 이사장)

아카넷 (김정호 사장)

삼송장학회 (김영기 이사장)

서지희 (IFP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11기)

김지호

서울상공회의소 관악구상공회 (김진철 회장)

송파재단 (윤원영 이사장)

김영윤 (토목공학과 62입)

로보로보 (장창남 대표이사)

류판동 (수의과대학장)

모르페우스 (김진수 대표이사)

박윤서 (고고인류학과 69입)

박찬국 (철학과 교수)

송인석 (치의학과 01입)

시그나사회공헌재단 (홍봉성 이사장)

신남식 (수의학과 교수)

약학대학 40회 동기회

와이비엠 (민선식 대표이사)

이필상 (경제학부 교수)

한국경제연구원 (권태신 원장)

황만순 (제약학과 90입)

운경재단 (배성동 이사장)

제봉민병욱장학재단

심명문화재단 (이경재 이사장)

홍산장학재단 (천영주 이사장)

홍수현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9730000

9528000

9140000

9000000

9000000

8690000

8525000

8525000

8178000

8112000

7963000

7928068

7713000

7500000

7000000

6950000

6919590

6058000

6010000

6000000

6000000

5700000

5400000

5357143

5100000

5100000

5089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4934000

4734000

4527000

4500000

4462280

4000000

4000000

4000000

3956000

3862000

3600000

3500000

3029000

3029000

3005000

3005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2706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467000

2467000

22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1865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5145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431445

1221251

1210000

108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단위 $

100000

10000

5000

3000

500

500

200

200

100

100

100

100

20140601 ~ 20140831 약정 단위 원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약정DONATION

39 38

김형렬 (윤리교육과 교수)

이정진 (기계항공공학부 95입)

신흥 (이용익 대표이사)

이창우 (경영학과 교수)

서영길 (광산학과 53입)

일중장학재단 (송윤영 이사장)

금곡장학회 (이수상 이사장)

덕원장학회 (이헌경 이사장)

강현구 (건축학과 교수)

김명환 (조선해양공학과 75입)

김영수 (법과대학 60입)

김영운 (재료공학부 교수)

김종원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김진학 (도시환경최고전문가과정 29기)

박훈 (기계공학과 63입)

서강문 (동물병원 원장)

서동규 (경영학과 84입)

송재홍 (농화학과 83입)

송희영 (영어영문학과 74입)

신남식 (수의학과 교수)

이규선 (조경middot지역시스템공학부 13입 이성용의 부)

이봉호 (치의예과 84입)

이재호 (경영학과 84입)

전병롱 (정책학과 10입 전상우의 부)

전호석 (기계설계학과 71입)

주식회사 KTampG 남서울본부 (박정욱 본부장)

최황 (의과대학 명예교수)

황철성 (재료공학부 교수)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박기용 이사장)

가송재단 (윤도준 이사장)

강스템바이오텍 (강경선 대표이사)

오이코스 (배장영 대표이사)

유한회사 본음인베스트먼트

이진경 (전국낙지자랑 대표)

한승장학회 (이재영 이사장)

윤용혁 (독어교육과 60입)

키움증권 (권용원 대표이사)

협성문화재단 (박석귀 이사장)

이강이 (아동가족학과 교수)

윤상혁 (디자인학부 03입)

윤화영 (수의학과 교수)

GS칼텍스 (허동수 대표이사 회장)

권규돈 (중어중문학과 13입 권기범의 부)

김경준 (농경제학과 82입)

김용팔 (수의과대학 75입)

김재홍 (수의학과 교수)

김진태 (법학과 71입)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이재술 대표이사)

문대원 (경영학과 71입)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오근택 대표이사)

박세창 (수의학과 교수)

산학협동재단 (한덕수 이사장)

선암장학재단 (윤호철 이사장)

성제경 (수의학과 교수)

송재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우광덕 (치과대학 64입)

유기윤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유한상 (수의학과 교수)

윤여성 (수의학과 교수)

윤정희 (수의학과 교수)

이건목원리한방병원 (이건목 원장)

이동진 (교무처 학사과)

이소영 (수의학과 교수)

이인숙 (간호대학 교수)

이항 (수의학과 교수)

이희근 (공과대학 명예교수)

조무제 (법학과 65입)

조성범 (수의학과 교수)

조제열 (수의학과 교수)

주식회사 오공 (김윤정 대표이사)

중앙백신연구소 (윤인중 대표이사)

지티앤티 (이세한 대표이사)

채찬희 (수의학과 교수)

태평소금 (손일선 회장)

한호재 (수의학과 교수)

해마루 (김현욱 원장)

황인구 (수의학과 교수)

조선에듀케이션 (방정오 대표이사)

사회복지법인 건아재단 (심철환 이사장)

KT (황창규 대표이사 회장)

광림교회 (김정석 담임목사)

광주시민장학회 (박기준 이사장)

김기원 (AIP최고산업전략과정 38기)

김상은 (융합과학부 교수)

김혜원 (간호학과 교수)

박종근 (전기공학과 교수)

서병태 (의학과 54입)

송경희 (국악과 59입)

연당장학회 (남욱 회장)

오유경 (약학대학 부학장)

우정장학문화재단 (강백영 이사장)

임현주 (약학과 82입)

전상직 (작곡과 교수)

주리아 (치과대학 04입)

한국마쯔다니 (유태균 대표이사)

홍영표 (GLP글로벌리더십과정 21기)

신우호 (화학교육과 87입)

류판동 (수의과대학장)

이병욱 (조경학과 81입)

김용백 (수의학과 교수)

김종암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정혜선 (간호학과 82입)

강부현 (수의학과 72입)

권길주 (조선해양공학과 11입 정지원의 모)

권혜숙 (약학과 82입)

김경대 (치의학과 82입)

김미영 (간호학과 98입)

김범진 (턱교정학고급연수과정 6기)

김성열 (교육학과 75입)

김종흔 (경영대학 92입)

김현산 (법과대학 54입)

녹십자수의약품 (김승목 대표이사)

덕영재단 (전헬리시아 이사장)

문수자동판매기 (김영식 대표)

민기복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민동홍 (독어독문학과 77입)

박병익 (지리교육과 교수)

박종철 (물리학과 61입)

설재연 (심리학과 82입)

송은도 (국악과 01입)

유차영 (ASP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 12기)

신우개발 서울지점 (김익환 사장)

신하순 (동양화과 교수)

안석준 (치의과대학원 부원장

안휘준 (인문대학 명예교수)

양민영 (협동과정 미술교육전공 94입)

양형식 (자원공학과 75입)

옥복연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07입)

우경미 (치의학대학원 교수)

우성공원묘원 (허정산 대표)

우성원 (미학과 95입)

월악장학문화재단 (남기영 이사장)

유건선 (토목공학과 73입)

유흥수 (법학과 58입)

윤희정 (수의학과 교수)

이기윤 (정치학과 88입)

이대혁 (자원공학과 87입)

이병천 (수의학과 교수)

이상돈 (에너지자원공학과 84입)

이승주 (치의학과 92입)

이시우 (의예과 95입)

이은수 (서울대운동용품 대표)

이정인 (공과대학 명예교수)

임종후 (서양화과 12입 임지윤의 부)

정소걸 (자원공학과 71입)

정지훈 (치의학과 교수)

조경란 (법학과 79입)

조기웅 (화학과 66입)

조현욱 (사법학과 83입)

최명애 (회화과 70입)

최정욱 (경영학과 84입)

최종길 (법과대학 83입)

최해영 (경영대학 행정실)

하종철 (동양화과 13입 하문원의 부)

한공창 (자원공학과 72입)

한국지하수지열협회 (안근묵 회장)

허형무 (경영대학 68입)

미주재단

Steve Ro (토목공학과 61입)

Soung Kim (임학과 56입)

Joong M Soh (공과대학 64입)

John Baek (금속공학 49입)

Hyunchan Lee (치과대학 70입)

Steve amp Cheryl Shapiro

Kwang S Hong (공과대학 60입)

Moon H Kim (공과대학 68입)

David Cho (공과대학 60입)

Dong Ku Chung (기계공학과 57입)

Sang Dae Lee (농업생명과학대학 80입)

Young D Kim (공과대학 67입)

서울대학교병원 (오병희 병원장)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이철희 병원장)

SK가스 (최창원 부회장)

AMP 78기 일동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윤강섭 병원장)

삼성전자 (권오현 대표이사 부회장)

SK하이닉스 (박성욱 대표이사 사장)

삼성복지재단 (이수빈 이사장)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한국세포주연구재단

하나제약 (조경일 회장)

코스맥스 (이경수 대표이사 회장)

패션그룹형지 (최병오 회장)

서울대학교총동창회 (서정화 회장)

한국수력원자력 (조석 사장)

형애장학회 (최효종 이사장)

송원김영환장학재단 (김해련 이사장)

사회복지법인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이기수 이사장)

TOYOTA MOTOR CORP

(요시다 아키히사 대표이사 사장)

권욱현 (공과대학 명예교수)

네이버 (김상헌 대표이사)

현송교육문화재단 (김정일 이사장)

롯데장학재단 (신영자 이사장)

일주학술문화재단 (이선애 이사장)

현대차 정몽구 재단 (유영학 이사장)

LG연암문화재단 (구자경 이사장)

SECMCA

아산사회복지재단 (정몽준 이사장)

천만장학회 (이광현 이사장)

방일영문화재단 (조연흥 이사장)

AMP 77기 일동

신라문화장학재단 (박준형 이사장)

KRX국민행복재단 (최경수 이사장)

SBS문화재단 (윤세영 이사장)

김만극 (약학과 47입)

농우바이오 (정용동 유연희 대표이사)

안인희

전국경제인연합회 (허창수 회장)

정윤환 (임학과 56입)

현대엔지니어링 (김위철 대표이사)

세진에프알에스 라쿠치나 서울대점 (장재훈 대표이사)

재단법인 웅진 (신현웅 이사장)

종근당고촌재단 (김두현 이사장)

정수장학회 (김삼천 이사장)

Kensary LLP

앨트웰민초장학재단 (김박 이사장)

주중광 허지영 (약학대학 60입 화학과 66입)

한국동서발전 (장주옥 사장)

한화갤러리아 (박세훈 대표이사)

한화생명보험 (차남규 대표이사 사장)

한화손해보험 (박윤식 대표이사)

한화첨단소재 (김창범 대표이사)

한화투자증권 (주진형 대표이사 사장)

KEILCO(KEPCO ILJAN CORPORATION)

연강재단 (박용현 이사장)

창강재단 (안병표 이사장)

경기도 인재개발원 (박익수 원장)

대림수암장학문화재단 (변형윤 이사장)

이상억 (인문대학 명예교수)

1432968520

1147748270

1000000000

716900000

615220390

600000000

560000000

364863690

317560000

250000000

220000000

210000000

200000000

200000000

166000000

150000000

142103500

140000000

139583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98538000

89942000

82426000

67509000

66598412

62989000

59929000

59208000

53720000

51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49800000

46522180

44302000

42076000

40918000

40273000

40204972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39677688

39035000

37244000

37068000

34780000

31800000

청합장학회 (여상길 회장)

한빛종합동물병원 (임정식 원장)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두산 (박용만 대표이사 회장)

송미순 (간호학과 교수)

이상복 (ABKI문헌지식정보최고위과정 5기)

한화 (심경섭 대표이사)

한화건설 (김현중 부회장)

한화자산운용 (강신우 대표이사)

한화케미칼 (방한홍 대표이사)

한화호텔앤드리조트 (홍원기 대표이사)

오뚜기재단 (함태호 이사장)

재단법인 최혁영 장학회 (최혁영 회장)

유한재단 (이필상 이사장)

영원무역 (성기학 대표이사 회장)

부경양돈협동조합 (박재민 조합장)

져스텍 (김용일 대표이사)

서울대합창단동문회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전병원 이사장)

국가정책과정(ACAD) 77기 일동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최윤 회장)

몬산토코리아유한회사

(벤자민 마크 후드리스 대표이사)

성련장학재단 (허연금 이사장)

고광우 (행정학과 53입)

대한적십자사 (유중근 총재)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성기학 이사장)

임현진 (사회학과 교수)

재단법인 양영재단 (김상하 이사장)

조유근 (컴퓨터공학부 교수)

두을장학재단 (이인희 이사장)

과천시애향장학회 (신학수 이사장)

서울장학재단 (이경희 이사장)

왕한석 (인류학과 교수)

포니정장학재단 (정몽규 이사장)

조용준 (법학과 79입)

농어촌희망재단 (김달웅 이사장)

경동송천재단 (류덕희 이사장)

김신원 (응용화학과 64입)

농생대 환경재료과학 교수일동

주식회사 천랩 (천종식 대표이사)

돈암장학회 (이용배 이사장)

인선문화재단 (박선영 이사장)

단암장학재단 (이봉서 이사장)

치과대학 치의학대학원 동창회

흥한재단 (박병석 이사장)

선화예술문화재단 (심재혁 대표)

한국미즈노 주식회사 (김창범 대표이사)

곽노섭 (수학과 49입)

19대 인문대 학장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김은선 (디자인학부 13입 조은지의 모)

바텍 (노창준 대표이사)

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ASP) 27기 동문

수도씨에이씨 (송명호 대표이사)

신한화구 (한봉근 대표)

이앤티 (고영호 대표이사)

장문영 (화학과 59입)

제11기 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조경일 (약학대학 64입)

주식회사 명진팜 (권기진 대표이사)

31047000

31000000

303006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28436000

28081000

27942000

26000000

25000366

25000000

24210000

24041200

23994234

20724000

20500000

20274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18779000

17973600

17934000

17600000

17050000

17000000

165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4000000

14000000

13500000

12000000

12000000

11602000

11102610

10281624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천병년 (약학과 77입)

최민철 (농공학과 75입)

현대하이스코 (신성재 대표이사)

황효진 (동양사학과 78입)

대한사료주식회사 (이상민 대표이사)

해성문화재단 (단재완 이사장)

한국가스공사 (장석효 사장)

김춘길 (화학생물공학부 58입)

애드미션 (김유탁 대표이사)

종로구장학회 (최현종 이사장)

동부문화재단 (강경식 이사장)

인촌기념회 (이용훈 이사장)

용옥장학문화재단 (양철우 이사장)

미래의동반자재단 (Jeffrey D Jones 이사장)

김영윤 (토목공학과 62입)

성옥문화재단 (이화일 이사장)

다래파크텍 (김호정 대표이사)

미래인재육성재단 (최양식 이사장)

고화장학회 (배명인 이사장)

이재원 (중앙도서관 정보관리과)

리브로 (김경수 대표이사)

오운문화재단 (이동찬 이사장)

조비경농장학재단 (이병만 이사장)

박지향 (중앙도서관장)

오스템임플란트 (최규옥 대표이사)

한국섬유산업연합회장학재단 (노희찬 이사장)

한옥희 (화학과 79입)

아카넷 (김정호 사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정기택 원장)

삼송장학회 (김영기 이사장)

서지희 (IFP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11기)

김지호

서울상공회의소 관악구상공회 (김진철 회장)

박찬국 (철학과 교수)

송파재단 (윤원영 이사장)

김재길 (법학과 56입)

로보로보 (장창남 대표이사)

모르페우스 (김진수 대표이사)

박성경 정성창 (치의학과 96입)

박윤서 (고고인류학과 69입)

서용석 (상학과 46입) 정재원

송인석 (치의학과 01입)

송재용 (경영학과 교수)

시그나사회공헌재단 (홍봉성 이사장)

약학대학 40회 동기회

와이비엠 (민선식 대표이사)

이필상 (경제학부 교수)

한국경제연구원 (권태신 원장)

황만순 (제약학과 90입)

운경재단 (배성동 이사장)

제봉민병욱장학재단

심명문화재단 (이경재 이사장)

홍산장학재단 (천영주 이사장)

홍수현

박미혜 (성악과 교수)

박영아 (물리학과 79입)

최동하 (농경제학과 71입)

춘강문화장학재단 (박성형 이사장)

허성도 (인문대학 명예교수)

형남진장학재단 (이정희 이사장)

강남구청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9730000

9528000

9140000

9000000

9000000

8690000

8525000

8525000

8178000

8112000

8000000

7963000

7928068

7713000

7500000

6950000

6919590

6058000

6010000

6000000

6000000

6000000

6000000

5700000

5556000

5400000

5357143

5100000

5100000

5090000

5089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4934000

4734000

4527000

4500000

446228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3956000

3862000

3750000

3500000

3120000

3029000

3029000

3005000

3005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2706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467000

2467000

2467000

2400000

2230000

215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1865000

1800000

15145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431445

1300000

1275251

1260000

1200000

106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단위 $

100000

10000

5000

3000

500

500

200

200

100

100

100

100

단위 원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20140601 ~ 20140831 출연

출연DONATION

40

서울대학교는 기부금을 출연한 후원인에게 더욱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국내 최고 수준의 의

료서비스를 자랑하는 서울대학교병원 이용 예우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으며 서울대학교병원 후원인

라운지에 상주하는 전담 직원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후원자 중 추가 진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본원 또는 분당 서울대학교병원과의 즉각

적인 연계가 가능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 본원 조윤지 | Tel 02-2272-2750 E-mail sosunolovesnuackr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강수정 | Tel 031-787-1915 E-mail c8541snubhorg

(재)서울대학교발전기금 김종희 | Tel 02-871-1633 E-mail p2727snuackr

bull병원 예우 담당자

bull서울대학교병원 예우 서비스 이용 안내

예약대행 서비스 | 진료 및 입원 예약 대행 병원 측과 협의 후 예약일자 결정

의전 서비스 | 진료middot입원middot응급실 이용 편의를 위해 예우 담당자가 직접 안내

종합건강검진 주선 서비스(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bull서울대학교병원 예우 서비스 내용

지원 자격 활동 기간

bull경제적 지원이 필요한 학생

(건강보험료 기준) 우선 선발

bull성적 45만점 환산 30 이상

lsquo 새싹 멘토링rsquo은 빈곤의 대물림을 막기 위한 자선 봉사활동으로

전국 국공립대학의 우수한 학생이 저소득층 중middot고등학생의

학습을 도우며 장학금을 받는 프로그램입니다

bull최소 6개월~12개월

bull활동 실적에 따라 졸업 시까지

연차적으로 기회 부여

새싹멘토링의

멘토가

되어주세요

bull전화 02-880-1593(새싹 멘토링 서울대학교 본부) bull팩스 02-780-2647(미래국제재단 여의도 본사)

bull이메일 mifsnuhanmailnet 새싹 멘토링 지원 방법 문의 시 상세히 안내해드립니다

서울대학교와 미래국제재단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봉사활동에 학생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다립니다

기부인의 따뜻한 마음에

다양한 혜택의 예우 서비스로

보답합니다

출연 기금 진료예약 의전 서비스 종합건강검진 주선

50억 이상 평생 평생 연 1회(평생 프리미엄 검진)

10억 이상 평생 10년 연 1회(평생)

5억 이상

1억 원당 1년(기한)

5년

1억 원당 연 1회(기한)3억 이상 3년

1억 이상 1년

서울대학교병원 본원 후원인 전담 직원이 진료 예약 및 의전 서비스까지 친절하게 안내해 드립니다

문의처 병원 후원인 라운지(본관 3층) 또는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후원인 전담 직원이 진료 예약 및 의전 서비스까지 친절하게 안내해 드립니다

문의처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또는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강남센터와의 즉각적인 연계를 통해 강남센터 상담 직원이 후원자 여러분께 상담 전화를 드립니다

문의처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기부인 예우 프로그램DONATION

SeoulNational University

151-742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1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

T 02-880-5114 F 02-885-5272wwwsnuackr

C o v e r S t o r y

과학자의 공식

좋은 연구를 하겠다는 신념으로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걸어온 사람

miRNA 분야의 세계적인 개척자 김빛내리 교수다

그녀는 노벨상 수상에 가장 근접한 국내 과학자로 꼽힌다

도전과 실패 인내를 거듭하며 세계적인 과학자 반열에 오르기까지

그녀의 행보를 통해 성공과 신뢰 만족을 얻는 인생 공식을 알아본다

Page 16: SNU Magazine Vol. 38 › new › wp-content › uploads › 2015 › 12 › snu_people... · 2016-01-30 · 우수 연구자 시리즈 10 유상렬 농생명공학부 교수 06 선배와의

信義

기부와 나DONATION

유 태 용

나고 자란 곳을 잊지 않는다 어려웠던 순간을 항상

되새긴다 덕분에 유태용 동문은 사회적 성취를 이룬 지금

자신만의 나눔 원칙을 세울 수 있었다

기 부 자 정 보

격동의 세월을 이겨낸 삶

일제강점기를 지나 해방 그리고 한국전쟁까지 1950년에 서

울대학교에 입학한 유태용 동문의 학창시절은 역사적 격동

기와 맞물려 있다 그 시절을 겪어보지 않은 요즘 세대에게 유

동문의 경험은 책에서나 접하는 옛날이야기로 들릴 수 있다

그럼에도 유 동문은 과거를 잊지 않으려 그 시절을 끊임없이

복기한다 당시 경험을 lt어느 서울대 공대생의 한국전쟁gt이

라는 책에 풀어내기도 했다 ldquo요즘은 상상도 못할 이야기죠

이후로도 어렵사리 국가 발전을 이뤘고요 우리 세대가 고생

했다고 알아주길 바라는 건 아닙니다 다만 큰 어려움을 헤

쳐 온 인생 선배들을 보면서 힘든 순간이 닥쳐도 좀 더 지혜롭

게 극복했으면 좋겠습니다rdquo

유태용 동문은 대학 졸업 후 1957년부터 공직 생활을 시작했

다 이후 오랜 기간 공직에 몸담으며 국토 계획과 건설 행정

을 담당했다 유 동문의 전공은 토목공학 그중에서도 방조

제가 전문 분야였다 공직 생활 초창기에 국제원조기구 장학

생으로 선발돼 1962년 미국에서 아카데미 코스를 밟기도 했

다 그렇게 미국에서 수학한 지식을 바탕으로 당시만 해도 단

일목적댐뿐이던 우리나라에 다목적댐을 도입하는 데 기여했

다 ldquo저는 어찌 보면 운이 참 좋은 사람입니다 어려운 시기에

농촌에서 서울대학교에 입학했고 좋은 기회가 닿아 외국에

서 공부하는 경험도 할 수 있었으니까요rdquo

오랜 시간 이어온 남다른 향토애

공직에 있으며 국가 발전에 힘써온 유 동문 그는 오래전 고

향을 떠나왔지만 어려웠던 어린 시절을 잊지 않는다 불과 몇

원하는 수업료가 없어 일곱 살 나이에 수십 킬로미터에 달하

는 거리를 오갔던 기억이 여전히 생생하다 적어도 돈 때문에

공부를 못하는 학생은 없어야겠다는 생각에 이른 건 어쩌면

당연한 일 그러한 경험이 있었기에 유 동문은 자신만의 기부

신념을 세울 수 있었다 ldquo똑같이 모를 심어도 좋은 쌀을 얻으

려면 관리를 잘해야 합니다 모를 심고 가만히 두면 한 섬밖

에 못 얻지만 비료를 주고 잡초를 솎아내면서 키우면 네 가

마니까지 불어나요 사람도 마찬가지입니다 인재도 좋은 환

경이 갖추어져야 자랄 수 있습니다 서울대학교에 입학한 건

시작일 뿐이죠rdquo

유 동문은 서울대학교에 부동산을 기부해 정읍과 고창 출신

후배들을 위한 lsquo정고장학기금rsquo을 마련했다 단지 태어난 곳

에 대한 고집만은 아니다 그 자신이 농촌에서 어렵사리 대학

에 진학했던 까닭에 그곳에서 나고 자란 후배들이 학비 걱정

없이 공부에만 전념할 수 있기를 바라는 선배의 따스한 마음

이다 ldquo예전에도 그랬지만 지금도 농촌에서 몇 백만 원씩 하

는 등록금을 쉽게 마련할 수 있는 집은 많지 않습니다 더구

나 지방에서 공부해서 서울대학교에 온다는 건 쉽지 않아요rdquo

유태용 동문은 장학생들을 직접 만나 격려하는 데에도 적극

적이다 지금은 학생들이 그가 기부한 장학 기금의 혜택을 입

지만 언젠가는 좋은 인재로 성장해 사회에 보탬이 되는 주역

이 되리라 믿는 까닭이다 ldquo서울대학교가 이제 세계에서도 손

꼽히는 대학이 되었다지만 아직도 세상에는 해결하지 못한

연구 과제가 많아요 서울대학교의 많은 인재가 그런 분야에

도 거침없이 도전해 좋은 성과를 내주길 바랍니다rdquo

유태용 한국방재협회 명예회장

내무부와 건설부에서 오랜 기간 국토 계획과 건설 행정을 맡았다 1998년 자연재

해대책법에 따라 한국방재협회 준비위원장에 추대됐고 창립을 준비해 1999년 초

대 회장에 취임한 바 있다

with SNU

토목공학과 학사 ACAD 12기 수료 정고장학기금을 마련해 정읍 고창 출신 학생

들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및 대학원생 재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원하고 있다

ldquo모를 심고 가만히 두면 한 섬밖에 못 얻지만

비료를 주고 잡초를 솎아내면서 키우면

네 가마니까지 불어나요 사람도 마찬가지입니다

인재도 좋은 환경이 갖추어져야 자랄 수 있습니다rdquo

29 28

31 30

기부와 나DONATION

도전 열아홉이란 나이 누군가는 대학 문을 바라보며 책

장을 넘길 시기에 사업을 시작했다 다양한 업종에 손대며

달콤한 성취도 쓰디쓴 실패도 맛본 20대를 지나 서른을 코앞

에 둔 시기에 광장시장 상가 한편에 1평 남짓한 도매 옷가게

를 열었다 그것이 연 매출 1조 원을 올리는 국내 굴지 패션기

업의 출발이었다

근면 어깨에 옷을 짊어지고 고객을 찾아다니길 수차례

서른 살 청년의 성실성을 소매상들은 알아봤다 판로가 열리

니 사업은 자연히 승승장구했다 그러나 10년 후 위기가 닥

쳤다 거래처의 어음이 부도 처리되면서 그 여파를 고스란히

받아야 했다 ldquo부도를 극복하면서 근면의 중요성을 깊이 느

꼈습니다 재기를 생각하며 다시 1평짜리 매장을 얻어 아침 7

시부터 새벽 2시까지 이를 악물고 일했죠rdquo 시작도 그랬지만

이후로도 근면은 최 회장의 삶에 큰 지표가 됐다

배움 일찍이 사회에 진출한 만큼 현장 경험은 누구보다

출중할 터 그러나 최 회장은 lsquo배움에는 끝이 없다rsquo는 생각으

로 경영만 하기도 바쁜 시간을 쪼개 공부를 계속했다 배움의

과정 중에 서울대학교와 인연이 닿았다 학교의 여러 특별과

정을 수료한 것은 물론 서울대학교 패션산업 최고경영자과

정(AFB) 총교우회 회장도 역임했다 ldquo김민자 교수님께서 lsquo바

쁠수록 더 좋은 성과를 낸다rsquo고 말씀하신 적이 있습니다 몸은

분주했지만 세상을 보는 관점은 더욱 넓어질 수 있었습니다rdquo

섬김 최 회장은 오늘날 이룬 성취가 혼자만의 것이 아니

란 점도 매번 되새긴다 패션그룹형지의 성장과 함께 한 대리

점주를 섬기는 해법 중 하나는 교육이다 ldquo사업의 근간인 대

리점주와 함께 호흡하고 성장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일까 고민

하던 차에 생활과학대학 교수님들의 도움으로 lsquo패션그룹형

지 최고경영자과정rsquo을 열었습니다rdquo

나눔 lsquo남 열 걸음 갈 때 반의 반 걸음 더 간다rsquo 최 회장은

기업가로서 성공을 이룬 지금도 이 말을 되새기곤 한다 ldquo남

보다 조금 더 먼저 생각하고 노력하는 작은 차이가 나중에는

큰 성과를 남긴다는 뜻입니다 요즘은 사업이나 일에 대한 것

뿐만 아니라 타인을 향한 배려와 사랑도 반의 반만 앞서 생

각하고 실천하자고 다짐합니다rdquo 최 회장은 lsquo교육은 백년지대

계(百年之大計)rsquo란 말에 동감하며 패션 산업을 이끌어갈 인

재들을 위해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에 기금을 출연했다

또한 지역 발전을 위한 투자를 비롯해 세월호 참사로 고통받

는 유가족과 학생들을 위해 성금을 기부하는 등 다방면에서

나눔을 실천하고 있다 어려운 순간을 딛고 현재의 성취를 이

뤘기에 자신을 키워준 사회에 무엇인가 되돌려주는 나눔이

중요하다고 말하는 최병오 회장 한편으로 그는 lsquo금전적 도움

을 베푸는 자선의 개념을 넘어 재능과 기술을 나누는 나눔의

문화가 필요하다rsquo고 덧붙인다

청년에게 사회에서 일가를 이룬 최병오 회장이 이 시대

를 사는 청년들에게 권하고픈 경험은 다름 아닌 lsquo실패rsquo다 ldquo진

짜 실패는 넘어지는 게 두려워 시도조차 하지 않는 거라고 하

지 않습니까 실패를 두려워하기보다 꿈을 먼저 생각하길 바

랍니다rdquo 최 회장은 목표와 꿈을 추구하는 동시에 타인을 배

려하는 태도 역시 지니길 권한다 그것이 바로 진정한 성공이

요 명품인생을 완성하는 길이기에

切磋琢磨 최 병 오

최병오 회장에게 lsquo근면rsquo은 가장 기본적인 성공 원칙이다

lsquo배움rsquo은 자기 성장의 원동력이며 lsquo섬김rsquo은 상생의

바탕이다 마지막으로 그는 lsquo나눔rsquo이란 대의를 잊지 않는다

ldquo경제적인 어려움으로 배움의 기회를 놓쳐선

안된다고 생각해왔습니다 젊은 나이에

일찍 사업에 뛰어들어 배움에 대한 목마름이

누구보다 컸기 때문입니다rdquo

기 부 자 정 보

최병오 패션그룹형지 대표이사 회장

대한상공회의소 중견기업위원회 위원장이자 윤리경영위원회 위원 또한 한국의

류산업협회 회장과 한국의류산업학회 부회장 등을 맡아 최근 대통령 해외 순방 당

시 경제사절단으로 동행했다

with SNU

AFB 3기 AMP 63기 AIP 42기 AWASB 1기 등을 수료했다 AFB 동창회장과

AFB 동창회 수석부회장을 역임했으며 올해 제13회 AMP 대상을 수상했다 현재

AWASB 동창회장을 맡고 있다

33 32

기부의 향연이 펼쳐지다

바바패션

인문대학 발전기금 1억 원 기부

바바패션(대표이사 회장 문인식)이 인문대학에 발전기금 1억 원을 기부했

다 10월 13일 총장실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성낙인 총장과 문인식 바바

패션 대표이사 회장 유근배 기획부총장 장재성 인문대학장을 비롯해 관

계자 10여 명이 참석했다 성낙인 총장은 ldquo문인식 회장님의 인문학에 대

한 관심과 성원에 감사드린다rdquo며 ldquo이번 기금으로 인문대학의 발전과 인재

양성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이에 문인식 회장은 ldquo바바패

션은 계속해서 나눔 경영을 통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rdquo고 전했

다 문인식 회장은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최고지도자과정(AMP) 72기를

수료하고 현재 인문대학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12기 회장 AMP

총동창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한편 바바패션은 국내 여성 패션 브랜드인

아이잗바바(IZZAT BABA) 지고트(JIGOTT) 등을 비롯한 총 9개의 브

랜드를 보유하고 있으며 심장병 어린이 수술 지원 및 장학 사업도 꾸준히

펼치고 있다

전기컴퓨터공학부 권욱현 명예교수

lsquo권욱현 희망장학기금rsquo 1억 원 기부

지난 6월 17일 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부 권욱현(전기공학 62학번)

명예교수가 lsquo권욱현 희망장학기금rsquo을 조성하고 1억 원을 기부했다 이번

에 마련된 기금은 공과대학과 전기공학부 학생들 가운데 경제적으로 어

려운 학생들에게 지급될 예정이다 변대규 휴맥스 대표를 비롯해 이재원

슈프리마 대표 등 국내 유명 벤처기업 CEO들의 스승으로 유명한 권욱현

명예교수는 2005년 서울대학교 평의원회 의장으로 활동했으며 대한전

기학회장 세계자동제어연맹 부회장 국제자동제어연맹 회장 등을 역임

했다 국제자동제어연맹(IFAC) 회장으로 재임 시 사재 50만 달러를 출연

해 개발도상국 젊은 공학자의 학술 활동을 지원하는 등 후학 양성을 위한

꾸준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김정식 해동과학문화재단 이사장

해동학술정보실 건립기금 30억 원 기부

지난 6월 27일 해동과학문화재단 김정식 이사장(전자공학 48학번)이

lsquo해동학술정보실 건립기금rsquo으로 30억 원을 쾌척했다 이번에 조성된 기금

은 공과대학과 자연과학대학 등 주요 단과대학의 해동학술정보실을 건

설하는데 사용될 예정이다 이번 기금 이외에도 김정식 이사장은 서울대

학교 공과대학 인근 해동학술관과 해동학술정보실 12호관 건립 기금으

로 100억 원이 넘는 금액을 출연하며 꾸준히 모교를 후원하고 있으며 인

재 양성을 위해 한양대 고려대 등 국내 주요 대학에 해동학술정보실 건립

을 지원하고 있다 1972년 대덕전자를 설립해 한국 전자 산업의 기술 개

발을 이끈 선구자로 유명한 김정식 이사장은 1990년 해동과학문화재단

을 만들어 해동상을 재정하는 등 지속적인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

패션그룹형지

생활과학대학 발전기금 3억 원 기부

패션그룹형지(대표이사 회장 최병오)가 생활과학대학에 발전기금 3억 원

을 기부했다 이 기금은 생활과학대학의 교육middot연구활동 및 시설개선 등을

위한 제반 활동에 사용된다 지난 8월 26일 진행된 협약식에서 성낙인 총

장은 ldquo생활과학대학은 패션그룹형지 기금으로 수준 높은 연구 성과와 인

재 배출을 통해 대한민국 대표 인재 양성소로 거듭 날 것rdquo이라고 밝혔으

며 최병오 회장은 ldquo국가 경쟁력을 이끌어가는 리더와 패션 산업 인재를

양성하는 데 패션그룹형지 발전기금이 쓰이길 바란다rdquo고 당부했다 최 회

장은 지난 2003년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패션산업 최고경영자과정

(AFB) 3기를 수료하고 2007년부터 2013년까지 AFB 총교우회 회장을

역임했다 또한 이번 기금 이외에도 꾸준히 후원한 다양한 기금으로 건립

된 lsquo최병오 홀rsquo을 통해 사회 각계각층의 주요 리더들이 교류하는 교육장을

마련했다 1월에는 경영대학 최고경영자과정(AMP) 총동창회가 주최하

는 lsquo제13회 서울대 AMP 대상rsquo을 수상했다

NewsDONATION

유회진 학술정보관 건립 보고 및 감사 행사

ldquo기부금은 이공계 학생들을 위해 써주세요rdquo 故 유회진 박사가 구강암으로 투병

하는 동안 병문안을 갔던 이장무 전임 총장에게 남긴 말이다 서울대학교 기계

설계학과에서 학부와 대학원 생활을 보내고 동아대학교 교수를 역임한 유 박

사는 2009년 구강암 판정을 받았다 그는 암 투병 치료비부터 부모님으로부터

물려받은 유산까지 허투루 쓰지 않고 모은 100억 원이 넘는 전 재산을 서울대

학교에 남기고 2011년 별세했다 유가족이 없는 고인을 위해 서울대학교 발전기

금은 장례를 진행했으며 매년 제사를 지내 뜻을 기린다

지난 7월 2일 관악캠퍼스 공과대학 엔지니어하우스대강당에서 lsquo유회진학술정보

관rsquo 건립 보고 및 감사 행사가 개최됐다 유회진학술정보관은 유회진 기금으로

건립되어 공과대학과 자연대학이 공동 교육 및 연구 시설로 사용할 예정이다 이

날 행사는 오연천 전임 총장의 환영사에 이어 유회진 박사 소개 및 기부 경과보

고 유회진학술정보관 건립 경과보고 순으로 진행됐으며 특별히 故 유회진 박사

의 지인인 서울시립대 권원태(기계설계학과 78학번)교수가 참석했다 그의 숭고

한 마음은 우리 사회의 빛나는 과학자들을 위한 초석이 될 것이다

11월 9일 故 유회진

박사의 3주기가 돌아온다

서울대학교발전기금은

제주(祭主)로서 그를 잊지 않고

사회와 학교를 향한 기부자의

아름다운 정신을 남길 것이다

당신의 아름다운 마무리

35 34

SNU Presidents Honors Club

SNU Honor Club

故 곽명덕 변호사 유가족 (한자영 곽성현 곽성희)

故 구영록 교수 유가족

故 김인제 故 최성순 가족

(故 김동호 故 김동훈 김동준 김진숙 김진옥)

故 이한빈 부총리 가족 (유정혜 이원식 이선이)

고윤석 (물리학과 47입)

고정택 (외교학과 62입)

구영배 (자원공학과 85입)

구재서

권영대 (약학과 55입)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권욱현 (전기공학과 62입)

금장태 (종교학과 62입)

김건식 (법학과 73입)

김경한 (법학과 62입)

김경한 (외교학과 62입)

김광일 (경영학과 84입)

김기봉 middot신경은 (기계공학과 63입 middot화학과 65입)

김기태 (의학과 58졸)

김난도 (소비자아동학부 교수)

김대욱 (조선공학과 76입)

김동길 (화학교육과 57입)

김동훈 (화학과 48입)

김두철 (전자공학과 66입)

김만극 (약학과 47입)

김상헌 (사법학과 82입)

김선동 (화학공학과 59입)

김선화(정자) (국악과 60입)

김성배 (영어영문학과 63입)

김양곤 (IFP 2기)

김연탁 (경제학과 故 김태성 교수의 부)

김연호 (화학공학과 71입)

김영경 (기계공학과 52입) middot김천순

김영석 (3 Plus Logistics 회장)

김영수 (법학과 67입)

김영심 (불어불문학과 故 오현우 교수의 부인)

김영업

김용재 (의과대학 60입)

김용철 (치의학과 55입)

김의신 (의학과 60입)

김의영 (경제학과 54입)

김정희 (간호학과 52입)

김종일 (제어계측공학과 79입)

김진향

김천흥

김철호 (외교학과 70입)

김춘길 (화학생물공학부 58입)

김택수 (법학과 48입)

김하석 middot김영중 (화학과 63입 middot약학과 64입)

김하자 (서양화과 故 하동철 교수의 부인)

김학봉 (한영요업 회장)

김형주 (전자계산기공학과 78입)

나정환 (화학교육과 54입)

남정현 (건축학과 57입)

류무종 (중어중문학과 53입)

류진 (영어영문학과 78입)

마인경 (지리학과 56입)

민계식 (조선항공학과 61입)

민호기 교수 유가족

박대근 (보건대학원 63입)

박맹호 (불어불문학과 52입)

박민식 middot 박금옥 (수의과대학 65입 middot체육교육과 63입)

박봉균 (수의학과 76입)

박숙희 (지리학과 60입)

박용헌 (교육행정학과 53입)

박용호 (수의학과 74입)

朴麟子(가정관리과 82입) 하상예 박임숙 박순영 박노용

박종근 (전기공학과 69입)

박종수 (수의학과 58입)

박종오 (영어영문학과 55입)

박준 (법학과 73입)

박태진 (독어독문학과 80입)

박한제 (동양사학과 69입)

배옥자 (성심가정의학과의원 원장)

백종철 (농공학과 54입)

백형익

법대 48회 졸업생

변대규 (제어계측공학과 79입)

서문자 (간호학과 63입)

손경식 (법학과 57입)

송상용 (화학과 55입)

송상현 (법학과 59입)

송인철 (SPARC 14기)

송학린 (법학과 59입)

신수정 (기악과 59입)

신영길 (계산통계학과 78입)

신영주 (이남장 대표)

신익현 (임학과 79입)

신효영 middot신승연 (故 신광현 교수의 가족)

신희명 (물리교육과 49입)

신희택 (법학과 71입)

심소일 (상학과 49입)

심재성 (前 성보산업 자문위원)

안영경 (前 핸디소프트 고문)

안창엽 (AMP 68기)

양천식

오세경 (약학과 61입)

오승환 (의학과 56입)

오용호 middot오양호 (행정학과 69입 middot법과대학 80입)

오윤덕 (행정학과 61입)

원재연 (경영학과 82입)

유근순

유성숙 (고고미술사학과 故 김원용 교수의 부인)

윤계섭 (상학과 64입)

윤덕우 (경제학과 58입) middot최덕자

윤석금 (웅진그룹 회장)

윤석순 (수의학과 59입)

윤우석 (에너지자원공학과 63입)

이건우 (기계공학과 74입)

이경식 (불어불문학과 55입)

이광희 (지리학과 59입)

이교일 middot박명진

(기계공학과 60입 middot불어불문학과 65입)

이기춘 (가정교육과 61입)

이명현 middot김귀현 (철학과 60입 middot기악과 69입)

이문한 (수의학과 66입)

이병준 (경제학과 55입)

이성규 (사학과 65입)

이성형 (정치학과 82입)

이순원 (가정교육과 54입)

이순형 (가정관리학과 70입)

이신두 (물리학과 76입)

이예식 (약학과 46입)

이용환 (농업교육과 63입)

이용환 (전기공학과 73입)

이원영 (AMP 6기)

이은방 (약학과 55입)

이장무 (제24대 총장)

이재승 (원자핵공학과 59입)

이정섭

이정섭 (종교학과 04입)

이종덕 (물리학과 62입)

이준용 (경제학과 56입)

이지형 (법과대학 85입)

이찬승 (수학교육과 69입)

이창득 (국어교육과 71입)

이창화 (국어국문학과 64입)

이천만 (영어영문학과 故 이상태의 부)

이철승 (법학과 78입)

이철영 (SPARC 17기)

이현수 (농화학과 60입)

이현재 (경제학과 48입)

이형도 (화학공학과 61입)

이홍표 (의과대학 58입)

임길진 교수 유가족

임동진 (법학과 62입)

임현진 (사회학과 67입)

장세권 (농공학과 70입)

장순영

장용국 (법학과 71입)

장재혁 (역사교육과 80입)

장정훈 (약학대학 65입)

전익찬 (지구환경과학부 94입 故 전재규의 부)

전해종 (동양사학과 47졸)

정달훤 (고고미술사학과 87입 故 정은임의 부)

정영현 (공업화학과 85입 정순욱의 부)

정영호 (생물학과 50입) middot 박양숙

정윤환 (임학과 56입)

정재선 (소비자아동학과 93입)

정재준 (前 경보전기 부회장)

정종곤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조동성 (경영학과 67입)

조병직 (법학과 46입)

조석준 (행정학 57졸)

조영식 (수의학과 80입)

조옥환 (부산교통 대표)

조종수 (건국대학교 교수)

조한영 (상학과 43입)

조형준 (미학과 65입)

주중광 middot 허지영 (약학대학 60입 middot 화학과 66입)

차상균 (전기공학과 76입)

차상균 교수 외 제자 12명

채성기 (원자핵공학과 59입)

채제한 (전기공학부 48입 故 채호석의 자)

천문우 (약학과 61입)

최병오 (AFB 3기)

최재열 (조소과 08입 최민주의 부)

최정욱 (화학공학과 49입)

최창원 (심리학과 83입)

최화형 외 3명

풍원자 (임학과 57입 故 용환운의 부인)

하영구 (무역학과 72입)

한규범 (AMP 42기)

한규환 (기계공학과 68입)

한기준 (의학과 52입)

한상복 (사회학과 56입)

한옥희 (화학과 79입)

한장희 middot김재혜 (행정학과 61입 middot 법학과 61입)

허성도 (중어중문학과 68입)

허영인 (SPC그룹 회장)

현기순 (가정교육과 46입)

현정오 (농생물학과 66입)

현택환 (화학과 83입)

홍경자 (간호학과 62입)

홍계수 (법학과 72입 주경숙의 모)

홍길표 (컴퓨터공학부 홍지명의 부)

홍예표 (치의학과 65입)

홍지준 (화학교육과 74입)

황귀례 (제약학과 故 국채호 교수의 부인)

황재홍 (치의학과 90입)

히로나카 헤이스케 (하버드대 명예교수)

Eduard J Stadelmann (前 미네소타대학 교수)

Ken-ichi Arai (동경대 교수)

Peter S Kim (MIT 교수)

Stanley Choy

거평그룹

건일제약

건화엔지니어링

경남기업

경동송천재단

경암교육문화재단

고려아연

공영토건

과학기술혁신 최고전략과정 23기 일동

과학기술혁신 최고전략과정 24기 일동

관악회

광동제약

교보문고

구원장학재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국방과학연구소

국제종합물류

금호아시아나문화재단

김 middot장 법률사무소

김영사

김정문알로에

까사미아

나산실업

남광토건

남영비비안

넥슨코리아

노키아티엠씨

농어촌희망재단

농우바이오

다이소아성산업

다함넷

단암장학재단

대교

대림대학

대양 EampC

대우기전공업

대우엔지니어링

대우테크

대한수의사회

대한통운

돈암장학회

동방

동방상호신용금고

동부대우전자

동부문화재단

동서식품

동아건설산업

동아제약

동양강철

동철문화재단

동화산업장학재단

두을장학재단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롯데관광

롯데쇼핑

매트바이오테크

메디슨

몬산토코리아

미래에셋

미래와도전

미래의동반자재단

민음사

바이로메드

방송문화진흥회

방일영문화재단

법대 39회 동문 일동

법대 84학번 동기회

법대 85학번 동기회

법대최고지도자과정 8기 일동

법대최고지도자과정 10기 일동

법무법인 광장

법무법인 바른

법무법인 세종

법무법인 율촌

법무법인 케이씨엘

법무법인 태평양

법무법인 화우

부경양돈협동조합

비씨카드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동문회

삼양

삼우종합건축사무소

삼일회계법인

삼전순약공업

삼호개발

삼화모터스

상암에너지

상지상사

상진개발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글로벌리더쉽과정

서울대합창단 동문회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석원산업

성남시장학회

성련장학재단

세무법인 조이

세진에프알에스

송우재단

수경출판사

수암장학문화재단

수의과대학 교수 일동

스키부 동문회 일동

시뮬레이션테크

신라교역

신라문화장학재단

신양머그

신한장학재단

썬텍

아모레퍼시픽

아산사회복지재단

안성농장

알앤엘바이오

애드미션

앨트웰민초장학재단

약학교육연수원 이수자 일동

양지농장

영림임업

오뗄

오뚜기재단

오리엔트이엔지

오리온전기

오성엘에스티

와이비엠시사

용운장학회

우덕재단

유기천교수기념사업출판재단

유신

유티씨인베스트먼트

유한재단

유한킴벌리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음악대학 피아노발전기금후원회

이지바이오

인선문화재단

인촌기념회

인탑스

일동제약

일동후디스

일주학술문화재단

재단법인 대우재단

재단법인 정민

재미서울대총동창회

전국은행연합회

정공산업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정수장학회

정헌재단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져스텍

종근당

종로구장학회

좋은책신사고

진생사이언스

진양제약

참존

창강재단

창진영농조합법인

천만장학회

천수기업

천연물과학연구소 교수 일동

천재교육

청합장학회

최고경영자과정 총동창회

최고산업전략과정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middot

미래지도자인문학과정(IFP)

케이씨텍

코스맥스

코오롱

트러스톤자산운용

특수건설

패션그룹형지

포니정장학재단

포휴먼

풀무원

풍산

플라톤아카데미

피에스케이

하나제약

한국간연구재단

한국거래소

한국금융투자협회

한국무역협회

한국문화진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산업은행

한국세포주연구재단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알콜산업

한국외국인학교

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전파기지국

한국증권금융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한국타이어

한국투자신탁운용

한국투자증권

한산이씨양도공파설서공종중

한샘출판

한수통상

해나천연물신약

해성장학회

해태

행정대학원 정보통신과정

현대차 정몽구 재단

현대카드

현대캐피탈

현동장학회

현송교육문화재단

홈플러스e파란재단

효성그룹

휴맥스

AMP 63기 일동

AMP 64기 일동

AMP 65기 일동

AMP 66기 일동

AMP 67기 일동

AMP 68기 일동

AMP 69기 일동

AMP 70기 일동

AMP 71기 일동

AMP 72기 일동

AMP 73기 일동

AMP 74기 일동

AMP 75기 일동

AMP 76기 일동

AMP 77기 일동

AMP 78기 일동

ASSET PLUS투자자문

E1

Eyagi(이야기) CAFE

Goldman Sachs

KDB대우증권

KRX국민행복재단

KTB투자증권

LG연암문화재단

NCSOFT

NHN

NXC

OB맥주

Qualcomm

SECMCA

SIMPAC ANC

SK CampC

SNU 프리시젼

S-Oil

SPARC 15 middot16 middot17 middot18기 일동

1억 원 이상 출연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LG삼성 한국전력공사SK

포스코 웅진한화농업협동조합중앙회

KT 부영신한금융 현대자동차

SPC IBK기업은행

태영현대 금호아시아나롯데장학재단

CJ 대림두산 한진

우리금융 미래국제재단

50억 원 이상 출연

조천식정치학과 45입

윤대섭농공학과 49입

100억 원 이상 출연

정석규화학공학과 48입

이용희태광사 회장

김정식 전자공학과 48입

유회진기계설계학과 78입

SNU Hono r C l ubDONATION

SNU Gold Honors Club

홍성대수학과 57입

이기영前 의대 교수

최창영금속공학과 64입

박영희수학교육과 54입

손장순불어불문학과 54입

유태용토목공학과 50입

김명희middot신정희기악과 91입 김형찬의 모

이필남 박상윤 윤전수middot이삼락

김연혁히로세코리아 감사

서정선의학과 70입

전은기middot김은희 백추현 곽영필토목공학과 56입

박완서의 상속인호원숙 호원순 호원경 호원균

이순자불어불문학과 57입

손동준전자공학과 59입

윤종용전자공학과 62입

정덕균전자공학과 77입

강옥채middot노병수공법학과 83입

민선식경제학과 78입

박병준섬유공학과 52입

서울대학교총동창회

양두석독어독문학과 69입

양윤홍전자공학과 63입

대우 카길애그리퓨리나 동진쎄미켐 하나금융지주

동원 동양 KB금융지주 대우조선해양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대성 로이드선급협회 아시아일진

한국가스공사 녹십자 생명보험협회 현대중공업

메가스터디 TOYOTA MOTOR CORP SK하이닉스 서울장학재단

STX 농심 무한투자 이연제약

대우인터내셔널 송원김영환장학재단 형애장학회 신풍제약

10억 원 이상 출연

현대산업개발

스페코middot삼익악기

영원무역

쌍용양회공업

영원아웃도어

환인제약 주식회사

한국프뢰벨

37 36

춘강문화장학재단 (박성형 이사장)

허성도 (인문대학 명예교수)

형남진장학재단 (이정희 이사장)

강남구청

김형렬 (윤리교육과 교수)

공병영 (사무국장middot시설관리국장)

신흥 (이용익 대표이사)

서영길 (광산학과 53입)

일중장학재단 (송윤영 이사장)

금곡장학회 (이수상 이사장)

덕원장학회 (이헌경 이사장)

강현구 (건축학과 교수)

김명환 (조선해양공학과 75입)

김영수 (법과대학 60입)

김영운 (재료공학부 교수)

서강문 (동물병원 원장)

서동규 (경영학과 84입)

송희영 (영어영문학과 74입)

이근무 (사회학과 56입)

이재호 (경영학과 84입)

주식회사 KTampG 남서울본부 (박정욱 본부장)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박기용 이사장)

가송재단 (윤도준 이사장)

강스템바이오텍 (강경선 대표이사)

유한회사 본음인베스트먼트

이진경 (전국낙지자랑 대표)

주리아 (치과대학 04입)

한승장학회 (이재영 이사장)

키움증권 (권용원 대표이사)

협성문화재단 (박석귀 이사장)

윤상혁 (디자인학부 03입)

GS칼텍스 (허동수 대표이사 회장)

권규돈 (중어중문학과 13입 권기범의 부)

김경준 (농경제학과 82입)

김용팔 (수의과대학 75입)

김재홍 (수의학과 교수)

김진태 (법학과 71입)

문대원 (경영학과 71입)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오근택 대표이사)

박세창 (수의학과 교수)

산학협동재단 (한덕수 이사장)

선암장학재단 (윤호철 이사장)

성제경 (수의학과 교수)

송재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우광덕 (치과대학 64입)

유기윤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유한상 (수의학과 교수)

윤여성 (수의학과 교수)

윤정희 (수의학과대학 부학장)

윤화영 (수의학과 교수)

이건목원리한방병원 (이건목 원장)

이소영 (수의학과 교수)

이항 (수의학과 교수)

이희근 (공과대학 명예교수)

조무제 (법학과 65입)

조성범 (수의학과 교수)

조제열 (수의학과 교수)

중앙백신연구소 (윤인중 대표이사)

지티앤티 (이세한 대표이사)

채찬희 (수의학과 교수)

태평소금 (손일선 회장)

한호재 (수의학과 교수)

해마루 (김현욱 원장)

황인구 (수의학과 교수)

조선에듀케이션 (방정오 대표이사)

강진영 (의학과 69입)

김정기 (법학과 75입)

박달이 (간호대학 74입)

박재완

사회복지법인 건아재단 (심철환 이사장)

손정식 (제약학과 73입)

윤재석 (화학교육과 71입)

이도환 (치의학과 86입)

이동식 (영어교육과 72입)

홍기택 (경영학과 74입)

KT (황창규 대표이사 회장)

LG PC 유지보수센터 (박무광 대표이사)

광주시민장학회 (박기준 이사장)

박영임 (간호학과 73입)

사명희치과 (사명희 원장)

연당장학회 (남욱 회장)

우정장학문화재단 (강백영 이사장)

제노에너지 (김성철 대표이사)

신우호 (화학교육과 87입)

이병욱 (조경학과 81입)

정혜선 (간호학과 82입)

허종필 (공업화학과 73입)

권길주 (조선해양공학과 11입 정지원의 모)

권혜숙 (약학과 82입)

김미영 (간호학과 98입)

김범진 (턱교정학고급연수과정 6기)

김성열 (교육학과 75입)

김우진 (국악과 73입)

녹십자수의약품 (김승목 대표이사)

덕영재단 (전헬리시아 이사장)

류제하 (기계공학과 78입)

문수자동판매기 (김영식 대표)

민기복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민동홍 (독어독문학과 77입)

박종철 (물리학과 61입)

설재연 (심리학과 82입)

송은도 (국악과 01입)

유차영 (ASP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 12기)

신우개발 서울지점 (김익환 사장)

신하순 (동양화과 교수)

안석준 (치의과대학원 부원장

안휘준 (인문대학 명예교수)

양민영 (협동과정 미술교육전공 94입)

양형식 (자원공학과 75입)

옥복연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07입)

우경미 (치의학대학원 교수)

우성공원묘원 (허정산 대표)

우성원 (미학과 95입)

월악장학문화재단 (남기영 이사장)

유건선 (토목공학과 73입)

유흥수 (법학과 58입)

윤희정 (수의학과 교수)

이대혁 (자원공학과 87입)

이병천 (수의학과 교수)

이상돈 (에너지자원공학과 84입)

이승주 (치의학과 92입)

이시우 (의예과 95입)

이용규 (경영학과 84입)

이정인 (공과대학 명예교수)

이희석 (농생물과 57입)

임종후 (서양화과 12입 임지윤의 부)

임한조 (물리학과 67입)

전석원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정소걸 (자원공학과 71입)

정지훈 (치의학과 교수)

조경란 (법학과 79입)

조기웅 (화학과 66입)

조현욱 (사법학과 83입)

최명애 (회화과 70입)

최정욱 (경영학과 84입)

최종길 (법과대학 83입)

하종철 (동양화과 13입 하문원의 부)

한공창 (자원공학과 72입)

한국지하수지열협회 (안근묵 회장)

허형무 (경영대학 68입)

미주재단

Steve Ro (토목공학과 61입)

Soung Kim (임학과 56입)

Joong M Soh (공과대학 64입)

John Baek (금속공학 49입)

Hyunchan Lee (치과대학 70입)

Steve amp Cheryl Shapiro

Kwang S Hong (공과대학 60입)

Moon H Kim (공과대학 68입)

David Cho (공과대학 60입)

Dong Ku Chung (기계공학과 57입)

Sang Dae Lee (농업생명과학대학 80입)

Young D Kim (공과대학 67입)

AMP 78기 일동

삼성복지재단 (이수빈 이사장)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한국세포주연구재단

SK하이닉스 (박성욱 대표이사 사장)

패션그룹형지 (최병오 회장)

한국수력원자력 (조석 사장)

형애장학회 (최효종 이사장)

송원김영환장학재단 (김해련 이사장)

사회복지법인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이기수 이사장)

SECMCA

TOYOTA MOTOR CORP

(요시다 아키히사 대표이사 사장)

권욱현 (공과대학 명예교수)

네이버 (김상헌 대표이사)

부경양돈협동조합 (박재민 조합장)

안인희

전국경제인연합회 (허창수 회장)

현송교육문화재단 (김정일 이사장)

롯데장학재단 (신영자 이사장)

일주학술문화재단 (이선애 이사장)

현대차 정몽구 재단 (유영학 이사장)

박미혜 (성악과 교수)

LG연암문화재단 (구자경 이사장)

KeyGene (Arjen van Tunnen CEO)

아산사회복지재단 (정몽준 이사장)

천만장학회 (이광현 이사장)

방일영문화재단 (조연흥 이사장)

AMP 77기 일동

신라문화장학재단 (박준형 이사장)

SBS문화재단 (윤세영 이사장)

김만극 (약학과 47입)

아이바이오 (김기일 대표이사)

현대엔지니어링 (김위철 대표이사)

종근당고촌재단 (김두현 이사장)

정수장학회 (김삼천 이사장)

Kensary LLP

앨트웰민초장학재단 (김박 이사장)

한국동서발전 (장주옥 사장)

한화갤러리아 (박세훈 대표이사)

한화생명보험 (차남규 대표이사 사장)

한화손해보험 (박윤식 대표이사)

한화첨단소재 (김창범 대표이사)

한화투자증권 (주진형 대표이사 사장)

KEILCO(KEPCO ILJAN CORPORATION)

연강재단 (박용현 이사장)

창강재단 (안병표 이사장)

경기도 인재개발원 (박익수 원장)

대림수암장학문화재단 (변형윤 이사장)

청합장학회 (여상길 회장)

한빛종합동물병원 (임정식 원장)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716900000

364863690

317560000

250000000

220000000

200000000

200000000

150000000

142103500

140000000

139583000

13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98538000

89942000

82426000

70000000

67509000

67500000

62989000

59929000

59208000

53720000

51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44302000

42076000

40918000

40273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39677688

39035000

37244000

37068000

34780000

31047000

31000000

30300600

박종오 (영어영문학과 55입)

이상복 (ABKI문헌지식정보최고위과정 5기)

이상억 (인문대학 명예교수)

한화 (심경섭 대표이사)

한화건설 (김현중 부회장)

한화자산운용 (강신우 대표이사)

한화케미칼 (방한홍 대표이사)

한화호텔앤드리조트 (홍원기 대표이사)

오뚜기재단 (함태호 이사장)

유한재단 (이필상 이사장)

영원무역 (성기학 대표이사 회장)

서울대합창단동문회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전병원 이사장)

국가정책과정(ACAD) 77기 일동

배영수 (서양사학과 교수)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최윤 회장)

몬산토코리아유한회사

(벤자민 마크 후드리스 대표이사)

성련장학재단 (허연금 이사장)

고광우 (행정학과 53입)

김철수 (법과대학 명예교수)

대한적십자사 (유중근 총재)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성기학 이사장)

임현진 (사회과학대학 명예교수)

장문영 (화학과 59입)

재단법인 양영재단 (김상하 이사장)

조유근 (컴퓨터공학부 교수)

두을장학재단 (이인희 이사장)

과천시애향장학회 (신학수 이사장)

서울장학재단 (이경희 이사장)

왕한석 (인류학과 교수)

포니정장학재단 (정몽규 이사장)

조용준 (법학과 79입)

농어촌희망재단 (김달웅 이사장)

경동송천재단 (류덕희 이사장)

농생대 환경재료과학 교수일동

주식회사 천랩 (천종식 대표이사)

돈암장학회 (이용배 이사장)

인선문화재단 (박선영 이사장)

단암장학재단 (이봉서 이사장)

치과대학 치의학대학원 동창회

흥한재단 (박병석 이사장)

선화예술문화재단 (심재혁 대표)

한국미즈노 주식회사 (김창범 대표이사)

곽노섭 (수학과 49입)

19대 인문대 학장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김은선 (디자인학부 13입 조은지의 모)

서광훈 (약학대학 67입)

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ASP) 27기 동문

송재용 (경영학과 교수)

수도씨에이씨 (송명호 대표이사)

신한화구 (한봉근 대표)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28436000

27942000

26000000

24210000

24041200

23994234

22500000

20724000

20500000

20274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18779000

17973600

17934000

17600000

17050000

17000000

165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4000000

14000000

13500000

12000000

12000000

11602000

11102610

10281624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이앤티 (고영호 대표이사)

재단법인 정민 (윤석헌 이사장)

제11기 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천병년 (약학과 77입)

최민철 (농공학과 75입)

현대하이스코 (신성재 대표이사)

황효진 (동양사학과 78입)

대한사료주식회사 (이상민 대표이사)

해성문화재단 (단재완 이사장)

한국가스공사 (장석효 사장)

장석윤 (약학과 79입)

한국석유공사 (서문규 사장)

종로구장학회 (최현종 이사장)

동부문화재단 (강경식 이사장)

인촌기념회 (이용훈 이사장)

용옥장학문화재단 (양철우 이사장)

미래의동반자재단 (Jeffrey D Jones 이사장)

성옥문화재단 (이화일 이사장)

다래파크텍 (김호정 대표이사)

미래인재육성재단 (최양식 이사장)

고화장학회 (배명인 이사장)

한국애질런트테크놀로지스 (박시영 대표)

이재원 (중앙도서관 정보관리과)

리브로 (김경수 대표이사)

오운문화재단 (이동찬 이사장)

조비경농장학재단 (이병만 이사장)

오스템임플란트 (최규옥 대표이사)

한국섬유산업연합회장학재단 (노희찬 이사장)

아카넷 (김정호 사장)

삼송장학회 (김영기 이사장)

서지희 (IFP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11기)

김지호

서울상공회의소 관악구상공회 (김진철 회장)

송파재단 (윤원영 이사장)

김영윤 (토목공학과 62입)

로보로보 (장창남 대표이사)

류판동 (수의과대학장)

모르페우스 (김진수 대표이사)

박윤서 (고고인류학과 69입)

박찬국 (철학과 교수)

송인석 (치의학과 01입)

시그나사회공헌재단 (홍봉성 이사장)

신남식 (수의학과 교수)

약학대학 40회 동기회

와이비엠 (민선식 대표이사)

이필상 (경제학부 교수)

한국경제연구원 (권태신 원장)

황만순 (제약학과 90입)

운경재단 (배성동 이사장)

제봉민병욱장학재단

심명문화재단 (이경재 이사장)

홍산장학재단 (천영주 이사장)

홍수현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9730000

9528000

9140000

9000000

9000000

8690000

8525000

8525000

8178000

8112000

7963000

7928068

7713000

7500000

7000000

6950000

6919590

6058000

6010000

6000000

6000000

5700000

5400000

5357143

5100000

5100000

5089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4934000

4734000

4527000

4500000

4462280

4000000

4000000

4000000

3956000

3862000

3600000

3500000

3029000

3029000

3005000

3005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2706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467000

2467000

22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1865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5145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431445

1221251

1210000

108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단위 $

100000

10000

5000

3000

500

500

200

200

100

100

100

100

20140601 ~ 20140831 약정 단위 원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약정DONATION

39 38

김형렬 (윤리교육과 교수)

이정진 (기계항공공학부 95입)

신흥 (이용익 대표이사)

이창우 (경영학과 교수)

서영길 (광산학과 53입)

일중장학재단 (송윤영 이사장)

금곡장학회 (이수상 이사장)

덕원장학회 (이헌경 이사장)

강현구 (건축학과 교수)

김명환 (조선해양공학과 75입)

김영수 (법과대학 60입)

김영운 (재료공학부 교수)

김종원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김진학 (도시환경최고전문가과정 29기)

박훈 (기계공학과 63입)

서강문 (동물병원 원장)

서동규 (경영학과 84입)

송재홍 (농화학과 83입)

송희영 (영어영문학과 74입)

신남식 (수의학과 교수)

이규선 (조경middot지역시스템공학부 13입 이성용의 부)

이봉호 (치의예과 84입)

이재호 (경영학과 84입)

전병롱 (정책학과 10입 전상우의 부)

전호석 (기계설계학과 71입)

주식회사 KTampG 남서울본부 (박정욱 본부장)

최황 (의과대학 명예교수)

황철성 (재료공학부 교수)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박기용 이사장)

가송재단 (윤도준 이사장)

강스템바이오텍 (강경선 대표이사)

오이코스 (배장영 대표이사)

유한회사 본음인베스트먼트

이진경 (전국낙지자랑 대표)

한승장학회 (이재영 이사장)

윤용혁 (독어교육과 60입)

키움증권 (권용원 대표이사)

협성문화재단 (박석귀 이사장)

이강이 (아동가족학과 교수)

윤상혁 (디자인학부 03입)

윤화영 (수의학과 교수)

GS칼텍스 (허동수 대표이사 회장)

권규돈 (중어중문학과 13입 권기범의 부)

김경준 (농경제학과 82입)

김용팔 (수의과대학 75입)

김재홍 (수의학과 교수)

김진태 (법학과 71입)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이재술 대표이사)

문대원 (경영학과 71입)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오근택 대표이사)

박세창 (수의학과 교수)

산학협동재단 (한덕수 이사장)

선암장학재단 (윤호철 이사장)

성제경 (수의학과 교수)

송재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우광덕 (치과대학 64입)

유기윤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유한상 (수의학과 교수)

윤여성 (수의학과 교수)

윤정희 (수의학과 교수)

이건목원리한방병원 (이건목 원장)

이동진 (교무처 학사과)

이소영 (수의학과 교수)

이인숙 (간호대학 교수)

이항 (수의학과 교수)

이희근 (공과대학 명예교수)

조무제 (법학과 65입)

조성범 (수의학과 교수)

조제열 (수의학과 교수)

주식회사 오공 (김윤정 대표이사)

중앙백신연구소 (윤인중 대표이사)

지티앤티 (이세한 대표이사)

채찬희 (수의학과 교수)

태평소금 (손일선 회장)

한호재 (수의학과 교수)

해마루 (김현욱 원장)

황인구 (수의학과 교수)

조선에듀케이션 (방정오 대표이사)

사회복지법인 건아재단 (심철환 이사장)

KT (황창규 대표이사 회장)

광림교회 (김정석 담임목사)

광주시민장학회 (박기준 이사장)

김기원 (AIP최고산업전략과정 38기)

김상은 (융합과학부 교수)

김혜원 (간호학과 교수)

박종근 (전기공학과 교수)

서병태 (의학과 54입)

송경희 (국악과 59입)

연당장학회 (남욱 회장)

오유경 (약학대학 부학장)

우정장학문화재단 (강백영 이사장)

임현주 (약학과 82입)

전상직 (작곡과 교수)

주리아 (치과대학 04입)

한국마쯔다니 (유태균 대표이사)

홍영표 (GLP글로벌리더십과정 21기)

신우호 (화학교육과 87입)

류판동 (수의과대학장)

이병욱 (조경학과 81입)

김용백 (수의학과 교수)

김종암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정혜선 (간호학과 82입)

강부현 (수의학과 72입)

권길주 (조선해양공학과 11입 정지원의 모)

권혜숙 (약학과 82입)

김경대 (치의학과 82입)

김미영 (간호학과 98입)

김범진 (턱교정학고급연수과정 6기)

김성열 (교육학과 75입)

김종흔 (경영대학 92입)

김현산 (법과대학 54입)

녹십자수의약품 (김승목 대표이사)

덕영재단 (전헬리시아 이사장)

문수자동판매기 (김영식 대표)

민기복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민동홍 (독어독문학과 77입)

박병익 (지리교육과 교수)

박종철 (물리학과 61입)

설재연 (심리학과 82입)

송은도 (국악과 01입)

유차영 (ASP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 12기)

신우개발 서울지점 (김익환 사장)

신하순 (동양화과 교수)

안석준 (치의과대학원 부원장

안휘준 (인문대학 명예교수)

양민영 (협동과정 미술교육전공 94입)

양형식 (자원공학과 75입)

옥복연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07입)

우경미 (치의학대학원 교수)

우성공원묘원 (허정산 대표)

우성원 (미학과 95입)

월악장학문화재단 (남기영 이사장)

유건선 (토목공학과 73입)

유흥수 (법학과 58입)

윤희정 (수의학과 교수)

이기윤 (정치학과 88입)

이대혁 (자원공학과 87입)

이병천 (수의학과 교수)

이상돈 (에너지자원공학과 84입)

이승주 (치의학과 92입)

이시우 (의예과 95입)

이은수 (서울대운동용품 대표)

이정인 (공과대학 명예교수)

임종후 (서양화과 12입 임지윤의 부)

정소걸 (자원공학과 71입)

정지훈 (치의학과 교수)

조경란 (법학과 79입)

조기웅 (화학과 66입)

조현욱 (사법학과 83입)

최명애 (회화과 70입)

최정욱 (경영학과 84입)

최종길 (법과대학 83입)

최해영 (경영대학 행정실)

하종철 (동양화과 13입 하문원의 부)

한공창 (자원공학과 72입)

한국지하수지열협회 (안근묵 회장)

허형무 (경영대학 68입)

미주재단

Steve Ro (토목공학과 61입)

Soung Kim (임학과 56입)

Joong M Soh (공과대학 64입)

John Baek (금속공학 49입)

Hyunchan Lee (치과대학 70입)

Steve amp Cheryl Shapiro

Kwang S Hong (공과대학 60입)

Moon H Kim (공과대학 68입)

David Cho (공과대학 60입)

Dong Ku Chung (기계공학과 57입)

Sang Dae Lee (농업생명과학대학 80입)

Young D Kim (공과대학 67입)

서울대학교병원 (오병희 병원장)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이철희 병원장)

SK가스 (최창원 부회장)

AMP 78기 일동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윤강섭 병원장)

삼성전자 (권오현 대표이사 부회장)

SK하이닉스 (박성욱 대표이사 사장)

삼성복지재단 (이수빈 이사장)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한국세포주연구재단

하나제약 (조경일 회장)

코스맥스 (이경수 대표이사 회장)

패션그룹형지 (최병오 회장)

서울대학교총동창회 (서정화 회장)

한국수력원자력 (조석 사장)

형애장학회 (최효종 이사장)

송원김영환장학재단 (김해련 이사장)

사회복지법인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이기수 이사장)

TOYOTA MOTOR CORP

(요시다 아키히사 대표이사 사장)

권욱현 (공과대학 명예교수)

네이버 (김상헌 대표이사)

현송교육문화재단 (김정일 이사장)

롯데장학재단 (신영자 이사장)

일주학술문화재단 (이선애 이사장)

현대차 정몽구 재단 (유영학 이사장)

LG연암문화재단 (구자경 이사장)

SECMCA

아산사회복지재단 (정몽준 이사장)

천만장학회 (이광현 이사장)

방일영문화재단 (조연흥 이사장)

AMP 77기 일동

신라문화장학재단 (박준형 이사장)

KRX국민행복재단 (최경수 이사장)

SBS문화재단 (윤세영 이사장)

김만극 (약학과 47입)

농우바이오 (정용동 유연희 대표이사)

안인희

전국경제인연합회 (허창수 회장)

정윤환 (임학과 56입)

현대엔지니어링 (김위철 대표이사)

세진에프알에스 라쿠치나 서울대점 (장재훈 대표이사)

재단법인 웅진 (신현웅 이사장)

종근당고촌재단 (김두현 이사장)

정수장학회 (김삼천 이사장)

Kensary LLP

앨트웰민초장학재단 (김박 이사장)

주중광 허지영 (약학대학 60입 화학과 66입)

한국동서발전 (장주옥 사장)

한화갤러리아 (박세훈 대표이사)

한화생명보험 (차남규 대표이사 사장)

한화손해보험 (박윤식 대표이사)

한화첨단소재 (김창범 대표이사)

한화투자증권 (주진형 대표이사 사장)

KEILCO(KEPCO ILJAN CORPORATION)

연강재단 (박용현 이사장)

창강재단 (안병표 이사장)

경기도 인재개발원 (박익수 원장)

대림수암장학문화재단 (변형윤 이사장)

이상억 (인문대학 명예교수)

1432968520

1147748270

1000000000

716900000

615220390

600000000

560000000

364863690

317560000

250000000

220000000

210000000

200000000

200000000

166000000

150000000

142103500

140000000

139583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98538000

89942000

82426000

67509000

66598412

62989000

59929000

59208000

53720000

51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49800000

46522180

44302000

42076000

40918000

40273000

40204972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39677688

39035000

37244000

37068000

34780000

31800000

청합장학회 (여상길 회장)

한빛종합동물병원 (임정식 원장)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두산 (박용만 대표이사 회장)

송미순 (간호학과 교수)

이상복 (ABKI문헌지식정보최고위과정 5기)

한화 (심경섭 대표이사)

한화건설 (김현중 부회장)

한화자산운용 (강신우 대표이사)

한화케미칼 (방한홍 대표이사)

한화호텔앤드리조트 (홍원기 대표이사)

오뚜기재단 (함태호 이사장)

재단법인 최혁영 장학회 (최혁영 회장)

유한재단 (이필상 이사장)

영원무역 (성기학 대표이사 회장)

부경양돈협동조합 (박재민 조합장)

져스텍 (김용일 대표이사)

서울대합창단동문회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전병원 이사장)

국가정책과정(ACAD) 77기 일동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최윤 회장)

몬산토코리아유한회사

(벤자민 마크 후드리스 대표이사)

성련장학재단 (허연금 이사장)

고광우 (행정학과 53입)

대한적십자사 (유중근 총재)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성기학 이사장)

임현진 (사회학과 교수)

재단법인 양영재단 (김상하 이사장)

조유근 (컴퓨터공학부 교수)

두을장학재단 (이인희 이사장)

과천시애향장학회 (신학수 이사장)

서울장학재단 (이경희 이사장)

왕한석 (인류학과 교수)

포니정장학재단 (정몽규 이사장)

조용준 (법학과 79입)

농어촌희망재단 (김달웅 이사장)

경동송천재단 (류덕희 이사장)

김신원 (응용화학과 64입)

농생대 환경재료과학 교수일동

주식회사 천랩 (천종식 대표이사)

돈암장학회 (이용배 이사장)

인선문화재단 (박선영 이사장)

단암장학재단 (이봉서 이사장)

치과대학 치의학대학원 동창회

흥한재단 (박병석 이사장)

선화예술문화재단 (심재혁 대표)

한국미즈노 주식회사 (김창범 대표이사)

곽노섭 (수학과 49입)

19대 인문대 학장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김은선 (디자인학부 13입 조은지의 모)

바텍 (노창준 대표이사)

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ASP) 27기 동문

수도씨에이씨 (송명호 대표이사)

신한화구 (한봉근 대표)

이앤티 (고영호 대표이사)

장문영 (화학과 59입)

제11기 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조경일 (약학대학 64입)

주식회사 명진팜 (권기진 대표이사)

31047000

31000000

303006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28436000

28081000

27942000

26000000

25000366

25000000

24210000

24041200

23994234

20724000

20500000

20274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18779000

17973600

17934000

17600000

17050000

17000000

165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4000000

14000000

13500000

12000000

12000000

11602000

11102610

10281624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천병년 (약학과 77입)

최민철 (농공학과 75입)

현대하이스코 (신성재 대표이사)

황효진 (동양사학과 78입)

대한사료주식회사 (이상민 대표이사)

해성문화재단 (단재완 이사장)

한국가스공사 (장석효 사장)

김춘길 (화학생물공학부 58입)

애드미션 (김유탁 대표이사)

종로구장학회 (최현종 이사장)

동부문화재단 (강경식 이사장)

인촌기념회 (이용훈 이사장)

용옥장학문화재단 (양철우 이사장)

미래의동반자재단 (Jeffrey D Jones 이사장)

김영윤 (토목공학과 62입)

성옥문화재단 (이화일 이사장)

다래파크텍 (김호정 대표이사)

미래인재육성재단 (최양식 이사장)

고화장학회 (배명인 이사장)

이재원 (중앙도서관 정보관리과)

리브로 (김경수 대표이사)

오운문화재단 (이동찬 이사장)

조비경농장학재단 (이병만 이사장)

박지향 (중앙도서관장)

오스템임플란트 (최규옥 대표이사)

한국섬유산업연합회장학재단 (노희찬 이사장)

한옥희 (화학과 79입)

아카넷 (김정호 사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정기택 원장)

삼송장학회 (김영기 이사장)

서지희 (IFP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11기)

김지호

서울상공회의소 관악구상공회 (김진철 회장)

박찬국 (철학과 교수)

송파재단 (윤원영 이사장)

김재길 (법학과 56입)

로보로보 (장창남 대표이사)

모르페우스 (김진수 대표이사)

박성경 정성창 (치의학과 96입)

박윤서 (고고인류학과 69입)

서용석 (상학과 46입) 정재원

송인석 (치의학과 01입)

송재용 (경영학과 교수)

시그나사회공헌재단 (홍봉성 이사장)

약학대학 40회 동기회

와이비엠 (민선식 대표이사)

이필상 (경제학부 교수)

한국경제연구원 (권태신 원장)

황만순 (제약학과 90입)

운경재단 (배성동 이사장)

제봉민병욱장학재단

심명문화재단 (이경재 이사장)

홍산장학재단 (천영주 이사장)

홍수현

박미혜 (성악과 교수)

박영아 (물리학과 79입)

최동하 (농경제학과 71입)

춘강문화장학재단 (박성형 이사장)

허성도 (인문대학 명예교수)

형남진장학재단 (이정희 이사장)

강남구청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9730000

9528000

9140000

9000000

9000000

8690000

8525000

8525000

8178000

8112000

8000000

7963000

7928068

7713000

7500000

6950000

6919590

6058000

6010000

6000000

6000000

6000000

6000000

5700000

5556000

5400000

5357143

5100000

5100000

5090000

5089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4934000

4734000

4527000

4500000

446228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3956000

3862000

3750000

3500000

3120000

3029000

3029000

3005000

3005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2706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467000

2467000

2467000

2400000

2230000

215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1865000

1800000

15145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431445

1300000

1275251

1260000

1200000

106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단위 $

100000

10000

5000

3000

500

500

200

200

100

100

100

100

단위 원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20140601 ~ 20140831 출연

출연DONATION

40

서울대학교는 기부금을 출연한 후원인에게 더욱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국내 최고 수준의 의

료서비스를 자랑하는 서울대학교병원 이용 예우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으며 서울대학교병원 후원인

라운지에 상주하는 전담 직원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후원자 중 추가 진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본원 또는 분당 서울대학교병원과의 즉각

적인 연계가 가능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 본원 조윤지 | Tel 02-2272-2750 E-mail sosunolovesnuackr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강수정 | Tel 031-787-1915 E-mail c8541snubhorg

(재)서울대학교발전기금 김종희 | Tel 02-871-1633 E-mail p2727snuackr

bull병원 예우 담당자

bull서울대학교병원 예우 서비스 이용 안내

예약대행 서비스 | 진료 및 입원 예약 대행 병원 측과 협의 후 예약일자 결정

의전 서비스 | 진료middot입원middot응급실 이용 편의를 위해 예우 담당자가 직접 안내

종합건강검진 주선 서비스(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bull서울대학교병원 예우 서비스 내용

지원 자격 활동 기간

bull경제적 지원이 필요한 학생

(건강보험료 기준) 우선 선발

bull성적 45만점 환산 30 이상

lsquo 새싹 멘토링rsquo은 빈곤의 대물림을 막기 위한 자선 봉사활동으로

전국 국공립대학의 우수한 학생이 저소득층 중middot고등학생의

학습을 도우며 장학금을 받는 프로그램입니다

bull최소 6개월~12개월

bull활동 실적에 따라 졸업 시까지

연차적으로 기회 부여

새싹멘토링의

멘토가

되어주세요

bull전화 02-880-1593(새싹 멘토링 서울대학교 본부) bull팩스 02-780-2647(미래국제재단 여의도 본사)

bull이메일 mifsnuhanmailnet 새싹 멘토링 지원 방법 문의 시 상세히 안내해드립니다

서울대학교와 미래국제재단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봉사활동에 학생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다립니다

기부인의 따뜻한 마음에

다양한 혜택의 예우 서비스로

보답합니다

출연 기금 진료예약 의전 서비스 종합건강검진 주선

50억 이상 평생 평생 연 1회(평생 프리미엄 검진)

10억 이상 평생 10년 연 1회(평생)

5억 이상

1억 원당 1년(기한)

5년

1억 원당 연 1회(기한)3억 이상 3년

1억 이상 1년

서울대학교병원 본원 후원인 전담 직원이 진료 예약 및 의전 서비스까지 친절하게 안내해 드립니다

문의처 병원 후원인 라운지(본관 3층) 또는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후원인 전담 직원이 진료 예약 및 의전 서비스까지 친절하게 안내해 드립니다

문의처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또는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강남센터와의 즉각적인 연계를 통해 강남센터 상담 직원이 후원자 여러분께 상담 전화를 드립니다

문의처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기부인 예우 프로그램DONATION

SeoulNational University

151-742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1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

T 02-880-5114 F 02-885-5272wwwsnuackr

C o v e r S t o r y

과학자의 공식

좋은 연구를 하겠다는 신념으로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걸어온 사람

miRNA 분야의 세계적인 개척자 김빛내리 교수다

그녀는 노벨상 수상에 가장 근접한 국내 과학자로 꼽힌다

도전과 실패 인내를 거듭하며 세계적인 과학자 반열에 오르기까지

그녀의 행보를 통해 성공과 신뢰 만족을 얻는 인생 공식을 알아본다

Page 17: SNU Magazine Vol. 38 › new › wp-content › uploads › 2015 › 12 › snu_people... · 2016-01-30 · 우수 연구자 시리즈 10 유상렬 농생명공학부 교수 06 선배와의

31 30

기부와 나DONATION

도전 열아홉이란 나이 누군가는 대학 문을 바라보며 책

장을 넘길 시기에 사업을 시작했다 다양한 업종에 손대며

달콤한 성취도 쓰디쓴 실패도 맛본 20대를 지나 서른을 코앞

에 둔 시기에 광장시장 상가 한편에 1평 남짓한 도매 옷가게

를 열었다 그것이 연 매출 1조 원을 올리는 국내 굴지 패션기

업의 출발이었다

근면 어깨에 옷을 짊어지고 고객을 찾아다니길 수차례

서른 살 청년의 성실성을 소매상들은 알아봤다 판로가 열리

니 사업은 자연히 승승장구했다 그러나 10년 후 위기가 닥

쳤다 거래처의 어음이 부도 처리되면서 그 여파를 고스란히

받아야 했다 ldquo부도를 극복하면서 근면의 중요성을 깊이 느

꼈습니다 재기를 생각하며 다시 1평짜리 매장을 얻어 아침 7

시부터 새벽 2시까지 이를 악물고 일했죠rdquo 시작도 그랬지만

이후로도 근면은 최 회장의 삶에 큰 지표가 됐다

배움 일찍이 사회에 진출한 만큼 현장 경험은 누구보다

출중할 터 그러나 최 회장은 lsquo배움에는 끝이 없다rsquo는 생각으

로 경영만 하기도 바쁜 시간을 쪼개 공부를 계속했다 배움의

과정 중에 서울대학교와 인연이 닿았다 학교의 여러 특별과

정을 수료한 것은 물론 서울대학교 패션산업 최고경영자과

정(AFB) 총교우회 회장도 역임했다 ldquo김민자 교수님께서 lsquo바

쁠수록 더 좋은 성과를 낸다rsquo고 말씀하신 적이 있습니다 몸은

분주했지만 세상을 보는 관점은 더욱 넓어질 수 있었습니다rdquo

섬김 최 회장은 오늘날 이룬 성취가 혼자만의 것이 아니

란 점도 매번 되새긴다 패션그룹형지의 성장과 함께 한 대리

점주를 섬기는 해법 중 하나는 교육이다 ldquo사업의 근간인 대

리점주와 함께 호흡하고 성장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일까 고민

하던 차에 생활과학대학 교수님들의 도움으로 lsquo패션그룹형

지 최고경영자과정rsquo을 열었습니다rdquo

나눔 lsquo남 열 걸음 갈 때 반의 반 걸음 더 간다rsquo 최 회장은

기업가로서 성공을 이룬 지금도 이 말을 되새기곤 한다 ldquo남

보다 조금 더 먼저 생각하고 노력하는 작은 차이가 나중에는

큰 성과를 남긴다는 뜻입니다 요즘은 사업이나 일에 대한 것

뿐만 아니라 타인을 향한 배려와 사랑도 반의 반만 앞서 생

각하고 실천하자고 다짐합니다rdquo 최 회장은 lsquo교육은 백년지대

계(百年之大計)rsquo란 말에 동감하며 패션 산업을 이끌어갈 인

재들을 위해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에 기금을 출연했다

또한 지역 발전을 위한 투자를 비롯해 세월호 참사로 고통받

는 유가족과 학생들을 위해 성금을 기부하는 등 다방면에서

나눔을 실천하고 있다 어려운 순간을 딛고 현재의 성취를 이

뤘기에 자신을 키워준 사회에 무엇인가 되돌려주는 나눔이

중요하다고 말하는 최병오 회장 한편으로 그는 lsquo금전적 도움

을 베푸는 자선의 개념을 넘어 재능과 기술을 나누는 나눔의

문화가 필요하다rsquo고 덧붙인다

청년에게 사회에서 일가를 이룬 최병오 회장이 이 시대

를 사는 청년들에게 권하고픈 경험은 다름 아닌 lsquo실패rsquo다 ldquo진

짜 실패는 넘어지는 게 두려워 시도조차 하지 않는 거라고 하

지 않습니까 실패를 두려워하기보다 꿈을 먼저 생각하길 바

랍니다rdquo 최 회장은 목표와 꿈을 추구하는 동시에 타인을 배

려하는 태도 역시 지니길 권한다 그것이 바로 진정한 성공이

요 명품인생을 완성하는 길이기에

切磋琢磨 최 병 오

최병오 회장에게 lsquo근면rsquo은 가장 기본적인 성공 원칙이다

lsquo배움rsquo은 자기 성장의 원동력이며 lsquo섬김rsquo은 상생의

바탕이다 마지막으로 그는 lsquo나눔rsquo이란 대의를 잊지 않는다

ldquo경제적인 어려움으로 배움의 기회를 놓쳐선

안된다고 생각해왔습니다 젊은 나이에

일찍 사업에 뛰어들어 배움에 대한 목마름이

누구보다 컸기 때문입니다rdquo

기 부 자 정 보

최병오 패션그룹형지 대표이사 회장

대한상공회의소 중견기업위원회 위원장이자 윤리경영위원회 위원 또한 한국의

류산업협회 회장과 한국의류산업학회 부회장 등을 맡아 최근 대통령 해외 순방 당

시 경제사절단으로 동행했다

with SNU

AFB 3기 AMP 63기 AIP 42기 AWASB 1기 등을 수료했다 AFB 동창회장과

AFB 동창회 수석부회장을 역임했으며 올해 제13회 AMP 대상을 수상했다 현재

AWASB 동창회장을 맡고 있다

33 32

기부의 향연이 펼쳐지다

바바패션

인문대학 발전기금 1억 원 기부

바바패션(대표이사 회장 문인식)이 인문대학에 발전기금 1억 원을 기부했

다 10월 13일 총장실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성낙인 총장과 문인식 바바

패션 대표이사 회장 유근배 기획부총장 장재성 인문대학장을 비롯해 관

계자 10여 명이 참석했다 성낙인 총장은 ldquo문인식 회장님의 인문학에 대

한 관심과 성원에 감사드린다rdquo며 ldquo이번 기금으로 인문대학의 발전과 인재

양성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이에 문인식 회장은 ldquo바바패

션은 계속해서 나눔 경영을 통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rdquo고 전했

다 문인식 회장은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최고지도자과정(AMP) 72기를

수료하고 현재 인문대학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12기 회장 AMP

총동창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한편 바바패션은 국내 여성 패션 브랜드인

아이잗바바(IZZAT BABA) 지고트(JIGOTT) 등을 비롯한 총 9개의 브

랜드를 보유하고 있으며 심장병 어린이 수술 지원 및 장학 사업도 꾸준히

펼치고 있다

전기컴퓨터공학부 권욱현 명예교수

lsquo권욱현 희망장학기금rsquo 1억 원 기부

지난 6월 17일 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부 권욱현(전기공학 62학번)

명예교수가 lsquo권욱현 희망장학기금rsquo을 조성하고 1억 원을 기부했다 이번

에 마련된 기금은 공과대학과 전기공학부 학생들 가운데 경제적으로 어

려운 학생들에게 지급될 예정이다 변대규 휴맥스 대표를 비롯해 이재원

슈프리마 대표 등 국내 유명 벤처기업 CEO들의 스승으로 유명한 권욱현

명예교수는 2005년 서울대학교 평의원회 의장으로 활동했으며 대한전

기학회장 세계자동제어연맹 부회장 국제자동제어연맹 회장 등을 역임

했다 국제자동제어연맹(IFAC) 회장으로 재임 시 사재 50만 달러를 출연

해 개발도상국 젊은 공학자의 학술 활동을 지원하는 등 후학 양성을 위한

꾸준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김정식 해동과학문화재단 이사장

해동학술정보실 건립기금 30억 원 기부

지난 6월 27일 해동과학문화재단 김정식 이사장(전자공학 48학번)이

lsquo해동학술정보실 건립기금rsquo으로 30억 원을 쾌척했다 이번에 조성된 기금

은 공과대학과 자연과학대학 등 주요 단과대학의 해동학술정보실을 건

설하는데 사용될 예정이다 이번 기금 이외에도 김정식 이사장은 서울대

학교 공과대학 인근 해동학술관과 해동학술정보실 12호관 건립 기금으

로 100억 원이 넘는 금액을 출연하며 꾸준히 모교를 후원하고 있으며 인

재 양성을 위해 한양대 고려대 등 국내 주요 대학에 해동학술정보실 건립

을 지원하고 있다 1972년 대덕전자를 설립해 한국 전자 산업의 기술 개

발을 이끈 선구자로 유명한 김정식 이사장은 1990년 해동과학문화재단

을 만들어 해동상을 재정하는 등 지속적인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

패션그룹형지

생활과학대학 발전기금 3억 원 기부

패션그룹형지(대표이사 회장 최병오)가 생활과학대학에 발전기금 3억 원

을 기부했다 이 기금은 생활과학대학의 교육middot연구활동 및 시설개선 등을

위한 제반 활동에 사용된다 지난 8월 26일 진행된 협약식에서 성낙인 총

장은 ldquo생활과학대학은 패션그룹형지 기금으로 수준 높은 연구 성과와 인

재 배출을 통해 대한민국 대표 인재 양성소로 거듭 날 것rdquo이라고 밝혔으

며 최병오 회장은 ldquo국가 경쟁력을 이끌어가는 리더와 패션 산업 인재를

양성하는 데 패션그룹형지 발전기금이 쓰이길 바란다rdquo고 당부했다 최 회

장은 지난 2003년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패션산업 최고경영자과정

(AFB) 3기를 수료하고 2007년부터 2013년까지 AFB 총교우회 회장을

역임했다 또한 이번 기금 이외에도 꾸준히 후원한 다양한 기금으로 건립

된 lsquo최병오 홀rsquo을 통해 사회 각계각층의 주요 리더들이 교류하는 교육장을

마련했다 1월에는 경영대학 최고경영자과정(AMP) 총동창회가 주최하

는 lsquo제13회 서울대 AMP 대상rsquo을 수상했다

NewsDONATION

유회진 학술정보관 건립 보고 및 감사 행사

ldquo기부금은 이공계 학생들을 위해 써주세요rdquo 故 유회진 박사가 구강암으로 투병

하는 동안 병문안을 갔던 이장무 전임 총장에게 남긴 말이다 서울대학교 기계

설계학과에서 학부와 대학원 생활을 보내고 동아대학교 교수를 역임한 유 박

사는 2009년 구강암 판정을 받았다 그는 암 투병 치료비부터 부모님으로부터

물려받은 유산까지 허투루 쓰지 않고 모은 100억 원이 넘는 전 재산을 서울대

학교에 남기고 2011년 별세했다 유가족이 없는 고인을 위해 서울대학교 발전기

금은 장례를 진행했으며 매년 제사를 지내 뜻을 기린다

지난 7월 2일 관악캠퍼스 공과대학 엔지니어하우스대강당에서 lsquo유회진학술정보

관rsquo 건립 보고 및 감사 행사가 개최됐다 유회진학술정보관은 유회진 기금으로

건립되어 공과대학과 자연대학이 공동 교육 및 연구 시설로 사용할 예정이다 이

날 행사는 오연천 전임 총장의 환영사에 이어 유회진 박사 소개 및 기부 경과보

고 유회진학술정보관 건립 경과보고 순으로 진행됐으며 특별히 故 유회진 박사

의 지인인 서울시립대 권원태(기계설계학과 78학번)교수가 참석했다 그의 숭고

한 마음은 우리 사회의 빛나는 과학자들을 위한 초석이 될 것이다

11월 9일 故 유회진

박사의 3주기가 돌아온다

서울대학교발전기금은

제주(祭主)로서 그를 잊지 않고

사회와 학교를 향한 기부자의

아름다운 정신을 남길 것이다

당신의 아름다운 마무리

35 34

SNU Presidents Honors Club

SNU Honor Club

故 곽명덕 변호사 유가족 (한자영 곽성현 곽성희)

故 구영록 교수 유가족

故 김인제 故 최성순 가족

(故 김동호 故 김동훈 김동준 김진숙 김진옥)

故 이한빈 부총리 가족 (유정혜 이원식 이선이)

고윤석 (물리학과 47입)

고정택 (외교학과 62입)

구영배 (자원공학과 85입)

구재서

권영대 (약학과 55입)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권욱현 (전기공학과 62입)

금장태 (종교학과 62입)

김건식 (법학과 73입)

김경한 (법학과 62입)

김경한 (외교학과 62입)

김광일 (경영학과 84입)

김기봉 middot신경은 (기계공학과 63입 middot화학과 65입)

김기태 (의학과 58졸)

김난도 (소비자아동학부 교수)

김대욱 (조선공학과 76입)

김동길 (화학교육과 57입)

김동훈 (화학과 48입)

김두철 (전자공학과 66입)

김만극 (약학과 47입)

김상헌 (사법학과 82입)

김선동 (화학공학과 59입)

김선화(정자) (국악과 60입)

김성배 (영어영문학과 63입)

김양곤 (IFP 2기)

김연탁 (경제학과 故 김태성 교수의 부)

김연호 (화학공학과 71입)

김영경 (기계공학과 52입) middot김천순

김영석 (3 Plus Logistics 회장)

김영수 (법학과 67입)

김영심 (불어불문학과 故 오현우 교수의 부인)

김영업

김용재 (의과대학 60입)

김용철 (치의학과 55입)

김의신 (의학과 60입)

김의영 (경제학과 54입)

김정희 (간호학과 52입)

김종일 (제어계측공학과 79입)

김진향

김천흥

김철호 (외교학과 70입)

김춘길 (화학생물공학부 58입)

김택수 (법학과 48입)

김하석 middot김영중 (화학과 63입 middot약학과 64입)

김하자 (서양화과 故 하동철 교수의 부인)

김학봉 (한영요업 회장)

김형주 (전자계산기공학과 78입)

나정환 (화학교육과 54입)

남정현 (건축학과 57입)

류무종 (중어중문학과 53입)

류진 (영어영문학과 78입)

마인경 (지리학과 56입)

민계식 (조선항공학과 61입)

민호기 교수 유가족

박대근 (보건대학원 63입)

박맹호 (불어불문학과 52입)

박민식 middot 박금옥 (수의과대학 65입 middot체육교육과 63입)

박봉균 (수의학과 76입)

박숙희 (지리학과 60입)

박용헌 (교육행정학과 53입)

박용호 (수의학과 74입)

朴麟子(가정관리과 82입) 하상예 박임숙 박순영 박노용

박종근 (전기공학과 69입)

박종수 (수의학과 58입)

박종오 (영어영문학과 55입)

박준 (법학과 73입)

박태진 (독어독문학과 80입)

박한제 (동양사학과 69입)

배옥자 (성심가정의학과의원 원장)

백종철 (농공학과 54입)

백형익

법대 48회 졸업생

변대규 (제어계측공학과 79입)

서문자 (간호학과 63입)

손경식 (법학과 57입)

송상용 (화학과 55입)

송상현 (법학과 59입)

송인철 (SPARC 14기)

송학린 (법학과 59입)

신수정 (기악과 59입)

신영길 (계산통계학과 78입)

신영주 (이남장 대표)

신익현 (임학과 79입)

신효영 middot신승연 (故 신광현 교수의 가족)

신희명 (물리교육과 49입)

신희택 (법학과 71입)

심소일 (상학과 49입)

심재성 (前 성보산업 자문위원)

안영경 (前 핸디소프트 고문)

안창엽 (AMP 68기)

양천식

오세경 (약학과 61입)

오승환 (의학과 56입)

오용호 middot오양호 (행정학과 69입 middot법과대학 80입)

오윤덕 (행정학과 61입)

원재연 (경영학과 82입)

유근순

유성숙 (고고미술사학과 故 김원용 교수의 부인)

윤계섭 (상학과 64입)

윤덕우 (경제학과 58입) middot최덕자

윤석금 (웅진그룹 회장)

윤석순 (수의학과 59입)

윤우석 (에너지자원공학과 63입)

이건우 (기계공학과 74입)

이경식 (불어불문학과 55입)

이광희 (지리학과 59입)

이교일 middot박명진

(기계공학과 60입 middot불어불문학과 65입)

이기춘 (가정교육과 61입)

이명현 middot김귀현 (철학과 60입 middot기악과 69입)

이문한 (수의학과 66입)

이병준 (경제학과 55입)

이성규 (사학과 65입)

이성형 (정치학과 82입)

이순원 (가정교육과 54입)

이순형 (가정관리학과 70입)

이신두 (물리학과 76입)

이예식 (약학과 46입)

이용환 (농업교육과 63입)

이용환 (전기공학과 73입)

이원영 (AMP 6기)

이은방 (약학과 55입)

이장무 (제24대 총장)

이재승 (원자핵공학과 59입)

이정섭

이정섭 (종교학과 04입)

이종덕 (물리학과 62입)

이준용 (경제학과 56입)

이지형 (법과대학 85입)

이찬승 (수학교육과 69입)

이창득 (국어교육과 71입)

이창화 (국어국문학과 64입)

이천만 (영어영문학과 故 이상태의 부)

이철승 (법학과 78입)

이철영 (SPARC 17기)

이현수 (농화학과 60입)

이현재 (경제학과 48입)

이형도 (화학공학과 61입)

이홍표 (의과대학 58입)

임길진 교수 유가족

임동진 (법학과 62입)

임현진 (사회학과 67입)

장세권 (농공학과 70입)

장순영

장용국 (법학과 71입)

장재혁 (역사교육과 80입)

장정훈 (약학대학 65입)

전익찬 (지구환경과학부 94입 故 전재규의 부)

전해종 (동양사학과 47졸)

정달훤 (고고미술사학과 87입 故 정은임의 부)

정영현 (공업화학과 85입 정순욱의 부)

정영호 (생물학과 50입) middot 박양숙

정윤환 (임학과 56입)

정재선 (소비자아동학과 93입)

정재준 (前 경보전기 부회장)

정종곤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조동성 (경영학과 67입)

조병직 (법학과 46입)

조석준 (행정학 57졸)

조영식 (수의학과 80입)

조옥환 (부산교통 대표)

조종수 (건국대학교 교수)

조한영 (상학과 43입)

조형준 (미학과 65입)

주중광 middot 허지영 (약학대학 60입 middot 화학과 66입)

차상균 (전기공학과 76입)

차상균 교수 외 제자 12명

채성기 (원자핵공학과 59입)

채제한 (전기공학부 48입 故 채호석의 자)

천문우 (약학과 61입)

최병오 (AFB 3기)

최재열 (조소과 08입 최민주의 부)

최정욱 (화학공학과 49입)

최창원 (심리학과 83입)

최화형 외 3명

풍원자 (임학과 57입 故 용환운의 부인)

하영구 (무역학과 72입)

한규범 (AMP 42기)

한규환 (기계공학과 68입)

한기준 (의학과 52입)

한상복 (사회학과 56입)

한옥희 (화학과 79입)

한장희 middot김재혜 (행정학과 61입 middot 법학과 61입)

허성도 (중어중문학과 68입)

허영인 (SPC그룹 회장)

현기순 (가정교육과 46입)

현정오 (농생물학과 66입)

현택환 (화학과 83입)

홍경자 (간호학과 62입)

홍계수 (법학과 72입 주경숙의 모)

홍길표 (컴퓨터공학부 홍지명의 부)

홍예표 (치의학과 65입)

홍지준 (화학교육과 74입)

황귀례 (제약학과 故 국채호 교수의 부인)

황재홍 (치의학과 90입)

히로나카 헤이스케 (하버드대 명예교수)

Eduard J Stadelmann (前 미네소타대학 교수)

Ken-ichi Arai (동경대 교수)

Peter S Kim (MIT 교수)

Stanley Choy

거평그룹

건일제약

건화엔지니어링

경남기업

경동송천재단

경암교육문화재단

고려아연

공영토건

과학기술혁신 최고전략과정 23기 일동

과학기술혁신 최고전략과정 24기 일동

관악회

광동제약

교보문고

구원장학재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국방과학연구소

국제종합물류

금호아시아나문화재단

김 middot장 법률사무소

김영사

김정문알로에

까사미아

나산실업

남광토건

남영비비안

넥슨코리아

노키아티엠씨

농어촌희망재단

농우바이오

다이소아성산업

다함넷

단암장학재단

대교

대림대학

대양 EampC

대우기전공업

대우엔지니어링

대우테크

대한수의사회

대한통운

돈암장학회

동방

동방상호신용금고

동부대우전자

동부문화재단

동서식품

동아건설산업

동아제약

동양강철

동철문화재단

동화산업장학재단

두을장학재단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롯데관광

롯데쇼핑

매트바이오테크

메디슨

몬산토코리아

미래에셋

미래와도전

미래의동반자재단

민음사

바이로메드

방송문화진흥회

방일영문화재단

법대 39회 동문 일동

법대 84학번 동기회

법대 85학번 동기회

법대최고지도자과정 8기 일동

법대최고지도자과정 10기 일동

법무법인 광장

법무법인 바른

법무법인 세종

법무법인 율촌

법무법인 케이씨엘

법무법인 태평양

법무법인 화우

부경양돈협동조합

비씨카드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동문회

삼양

삼우종합건축사무소

삼일회계법인

삼전순약공업

삼호개발

삼화모터스

상암에너지

상지상사

상진개발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글로벌리더쉽과정

서울대합창단 동문회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석원산업

성남시장학회

성련장학재단

세무법인 조이

세진에프알에스

송우재단

수경출판사

수암장학문화재단

수의과대학 교수 일동

스키부 동문회 일동

시뮬레이션테크

신라교역

신라문화장학재단

신양머그

신한장학재단

썬텍

아모레퍼시픽

아산사회복지재단

안성농장

알앤엘바이오

애드미션

앨트웰민초장학재단

약학교육연수원 이수자 일동

양지농장

영림임업

오뗄

오뚜기재단

오리엔트이엔지

오리온전기

오성엘에스티

와이비엠시사

용운장학회

우덕재단

유기천교수기념사업출판재단

유신

유티씨인베스트먼트

유한재단

유한킴벌리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음악대학 피아노발전기금후원회

이지바이오

인선문화재단

인촌기념회

인탑스

일동제약

일동후디스

일주학술문화재단

재단법인 대우재단

재단법인 정민

재미서울대총동창회

전국은행연합회

정공산업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정수장학회

정헌재단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져스텍

종근당

종로구장학회

좋은책신사고

진생사이언스

진양제약

참존

창강재단

창진영농조합법인

천만장학회

천수기업

천연물과학연구소 교수 일동

천재교육

청합장학회

최고경영자과정 총동창회

최고산업전략과정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middot

미래지도자인문학과정(IFP)

케이씨텍

코스맥스

코오롱

트러스톤자산운용

특수건설

패션그룹형지

포니정장학재단

포휴먼

풀무원

풍산

플라톤아카데미

피에스케이

하나제약

한국간연구재단

한국거래소

한국금융투자협회

한국무역협회

한국문화진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산업은행

한국세포주연구재단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알콜산업

한국외국인학교

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전파기지국

한국증권금융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한국타이어

한국투자신탁운용

한국투자증권

한산이씨양도공파설서공종중

한샘출판

한수통상

해나천연물신약

해성장학회

해태

행정대학원 정보통신과정

현대차 정몽구 재단

현대카드

현대캐피탈

현동장학회

현송교육문화재단

홈플러스e파란재단

효성그룹

휴맥스

AMP 63기 일동

AMP 64기 일동

AMP 65기 일동

AMP 66기 일동

AMP 67기 일동

AMP 68기 일동

AMP 69기 일동

AMP 70기 일동

AMP 71기 일동

AMP 72기 일동

AMP 73기 일동

AMP 74기 일동

AMP 75기 일동

AMP 76기 일동

AMP 77기 일동

AMP 78기 일동

ASSET PLUS투자자문

E1

Eyagi(이야기) CAFE

Goldman Sachs

KDB대우증권

KRX국민행복재단

KTB투자증권

LG연암문화재단

NCSOFT

NHN

NXC

OB맥주

Qualcomm

SECMCA

SIMPAC ANC

SK CampC

SNU 프리시젼

S-Oil

SPARC 15 middot16 middot17 middot18기 일동

1억 원 이상 출연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LG삼성 한국전력공사SK

포스코 웅진한화농업협동조합중앙회

KT 부영신한금융 현대자동차

SPC IBK기업은행

태영현대 금호아시아나롯데장학재단

CJ 대림두산 한진

우리금융 미래국제재단

50억 원 이상 출연

조천식정치학과 45입

윤대섭농공학과 49입

100억 원 이상 출연

정석규화학공학과 48입

이용희태광사 회장

김정식 전자공학과 48입

유회진기계설계학과 78입

SNU Hono r C l ubDONATION

SNU Gold Honors Club

홍성대수학과 57입

이기영前 의대 교수

최창영금속공학과 64입

박영희수학교육과 54입

손장순불어불문학과 54입

유태용토목공학과 50입

김명희middot신정희기악과 91입 김형찬의 모

이필남 박상윤 윤전수middot이삼락

김연혁히로세코리아 감사

서정선의학과 70입

전은기middot김은희 백추현 곽영필토목공학과 56입

박완서의 상속인호원숙 호원순 호원경 호원균

이순자불어불문학과 57입

손동준전자공학과 59입

윤종용전자공학과 62입

정덕균전자공학과 77입

강옥채middot노병수공법학과 83입

민선식경제학과 78입

박병준섬유공학과 52입

서울대학교총동창회

양두석독어독문학과 69입

양윤홍전자공학과 63입

대우 카길애그리퓨리나 동진쎄미켐 하나금융지주

동원 동양 KB금융지주 대우조선해양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대성 로이드선급협회 아시아일진

한국가스공사 녹십자 생명보험협회 현대중공업

메가스터디 TOYOTA MOTOR CORP SK하이닉스 서울장학재단

STX 농심 무한투자 이연제약

대우인터내셔널 송원김영환장학재단 형애장학회 신풍제약

10억 원 이상 출연

현대산업개발

스페코middot삼익악기

영원무역

쌍용양회공업

영원아웃도어

환인제약 주식회사

한국프뢰벨

37 36

춘강문화장학재단 (박성형 이사장)

허성도 (인문대학 명예교수)

형남진장학재단 (이정희 이사장)

강남구청

김형렬 (윤리교육과 교수)

공병영 (사무국장middot시설관리국장)

신흥 (이용익 대표이사)

서영길 (광산학과 53입)

일중장학재단 (송윤영 이사장)

금곡장학회 (이수상 이사장)

덕원장학회 (이헌경 이사장)

강현구 (건축학과 교수)

김명환 (조선해양공학과 75입)

김영수 (법과대학 60입)

김영운 (재료공학부 교수)

서강문 (동물병원 원장)

서동규 (경영학과 84입)

송희영 (영어영문학과 74입)

이근무 (사회학과 56입)

이재호 (경영학과 84입)

주식회사 KTampG 남서울본부 (박정욱 본부장)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박기용 이사장)

가송재단 (윤도준 이사장)

강스템바이오텍 (강경선 대표이사)

유한회사 본음인베스트먼트

이진경 (전국낙지자랑 대표)

주리아 (치과대학 04입)

한승장학회 (이재영 이사장)

키움증권 (권용원 대표이사)

협성문화재단 (박석귀 이사장)

윤상혁 (디자인학부 03입)

GS칼텍스 (허동수 대표이사 회장)

권규돈 (중어중문학과 13입 권기범의 부)

김경준 (농경제학과 82입)

김용팔 (수의과대학 75입)

김재홍 (수의학과 교수)

김진태 (법학과 71입)

문대원 (경영학과 71입)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오근택 대표이사)

박세창 (수의학과 교수)

산학협동재단 (한덕수 이사장)

선암장학재단 (윤호철 이사장)

성제경 (수의학과 교수)

송재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우광덕 (치과대학 64입)

유기윤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유한상 (수의학과 교수)

윤여성 (수의학과 교수)

윤정희 (수의학과대학 부학장)

윤화영 (수의학과 교수)

이건목원리한방병원 (이건목 원장)

이소영 (수의학과 교수)

이항 (수의학과 교수)

이희근 (공과대학 명예교수)

조무제 (법학과 65입)

조성범 (수의학과 교수)

조제열 (수의학과 교수)

중앙백신연구소 (윤인중 대표이사)

지티앤티 (이세한 대표이사)

채찬희 (수의학과 교수)

태평소금 (손일선 회장)

한호재 (수의학과 교수)

해마루 (김현욱 원장)

황인구 (수의학과 교수)

조선에듀케이션 (방정오 대표이사)

강진영 (의학과 69입)

김정기 (법학과 75입)

박달이 (간호대학 74입)

박재완

사회복지법인 건아재단 (심철환 이사장)

손정식 (제약학과 73입)

윤재석 (화학교육과 71입)

이도환 (치의학과 86입)

이동식 (영어교육과 72입)

홍기택 (경영학과 74입)

KT (황창규 대표이사 회장)

LG PC 유지보수센터 (박무광 대표이사)

광주시민장학회 (박기준 이사장)

박영임 (간호학과 73입)

사명희치과 (사명희 원장)

연당장학회 (남욱 회장)

우정장학문화재단 (강백영 이사장)

제노에너지 (김성철 대표이사)

신우호 (화학교육과 87입)

이병욱 (조경학과 81입)

정혜선 (간호학과 82입)

허종필 (공업화학과 73입)

권길주 (조선해양공학과 11입 정지원의 모)

권혜숙 (약학과 82입)

김미영 (간호학과 98입)

김범진 (턱교정학고급연수과정 6기)

김성열 (교육학과 75입)

김우진 (국악과 73입)

녹십자수의약품 (김승목 대표이사)

덕영재단 (전헬리시아 이사장)

류제하 (기계공학과 78입)

문수자동판매기 (김영식 대표)

민기복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민동홍 (독어독문학과 77입)

박종철 (물리학과 61입)

설재연 (심리학과 82입)

송은도 (국악과 01입)

유차영 (ASP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 12기)

신우개발 서울지점 (김익환 사장)

신하순 (동양화과 교수)

안석준 (치의과대학원 부원장

안휘준 (인문대학 명예교수)

양민영 (협동과정 미술교육전공 94입)

양형식 (자원공학과 75입)

옥복연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07입)

우경미 (치의학대학원 교수)

우성공원묘원 (허정산 대표)

우성원 (미학과 95입)

월악장학문화재단 (남기영 이사장)

유건선 (토목공학과 73입)

유흥수 (법학과 58입)

윤희정 (수의학과 교수)

이대혁 (자원공학과 87입)

이병천 (수의학과 교수)

이상돈 (에너지자원공학과 84입)

이승주 (치의학과 92입)

이시우 (의예과 95입)

이용규 (경영학과 84입)

이정인 (공과대학 명예교수)

이희석 (농생물과 57입)

임종후 (서양화과 12입 임지윤의 부)

임한조 (물리학과 67입)

전석원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정소걸 (자원공학과 71입)

정지훈 (치의학과 교수)

조경란 (법학과 79입)

조기웅 (화학과 66입)

조현욱 (사법학과 83입)

최명애 (회화과 70입)

최정욱 (경영학과 84입)

최종길 (법과대학 83입)

하종철 (동양화과 13입 하문원의 부)

한공창 (자원공학과 72입)

한국지하수지열협회 (안근묵 회장)

허형무 (경영대학 68입)

미주재단

Steve Ro (토목공학과 61입)

Soung Kim (임학과 56입)

Joong M Soh (공과대학 64입)

John Baek (금속공학 49입)

Hyunchan Lee (치과대학 70입)

Steve amp Cheryl Shapiro

Kwang S Hong (공과대학 60입)

Moon H Kim (공과대학 68입)

David Cho (공과대학 60입)

Dong Ku Chung (기계공학과 57입)

Sang Dae Lee (농업생명과학대학 80입)

Young D Kim (공과대학 67입)

AMP 78기 일동

삼성복지재단 (이수빈 이사장)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한국세포주연구재단

SK하이닉스 (박성욱 대표이사 사장)

패션그룹형지 (최병오 회장)

한국수력원자력 (조석 사장)

형애장학회 (최효종 이사장)

송원김영환장학재단 (김해련 이사장)

사회복지법인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이기수 이사장)

SECMCA

TOYOTA MOTOR CORP

(요시다 아키히사 대표이사 사장)

권욱현 (공과대학 명예교수)

네이버 (김상헌 대표이사)

부경양돈협동조합 (박재민 조합장)

안인희

전국경제인연합회 (허창수 회장)

현송교육문화재단 (김정일 이사장)

롯데장학재단 (신영자 이사장)

일주학술문화재단 (이선애 이사장)

현대차 정몽구 재단 (유영학 이사장)

박미혜 (성악과 교수)

LG연암문화재단 (구자경 이사장)

KeyGene (Arjen van Tunnen CEO)

아산사회복지재단 (정몽준 이사장)

천만장학회 (이광현 이사장)

방일영문화재단 (조연흥 이사장)

AMP 77기 일동

신라문화장학재단 (박준형 이사장)

SBS문화재단 (윤세영 이사장)

김만극 (약학과 47입)

아이바이오 (김기일 대표이사)

현대엔지니어링 (김위철 대표이사)

종근당고촌재단 (김두현 이사장)

정수장학회 (김삼천 이사장)

Kensary LLP

앨트웰민초장학재단 (김박 이사장)

한국동서발전 (장주옥 사장)

한화갤러리아 (박세훈 대표이사)

한화생명보험 (차남규 대표이사 사장)

한화손해보험 (박윤식 대표이사)

한화첨단소재 (김창범 대표이사)

한화투자증권 (주진형 대표이사 사장)

KEILCO(KEPCO ILJAN CORPORATION)

연강재단 (박용현 이사장)

창강재단 (안병표 이사장)

경기도 인재개발원 (박익수 원장)

대림수암장학문화재단 (변형윤 이사장)

청합장학회 (여상길 회장)

한빛종합동물병원 (임정식 원장)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716900000

364863690

317560000

250000000

220000000

200000000

200000000

150000000

142103500

140000000

139583000

13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98538000

89942000

82426000

70000000

67509000

67500000

62989000

59929000

59208000

53720000

51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44302000

42076000

40918000

40273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39677688

39035000

37244000

37068000

34780000

31047000

31000000

30300600

박종오 (영어영문학과 55입)

이상복 (ABKI문헌지식정보최고위과정 5기)

이상억 (인문대학 명예교수)

한화 (심경섭 대표이사)

한화건설 (김현중 부회장)

한화자산운용 (강신우 대표이사)

한화케미칼 (방한홍 대표이사)

한화호텔앤드리조트 (홍원기 대표이사)

오뚜기재단 (함태호 이사장)

유한재단 (이필상 이사장)

영원무역 (성기학 대표이사 회장)

서울대합창단동문회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전병원 이사장)

국가정책과정(ACAD) 77기 일동

배영수 (서양사학과 교수)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최윤 회장)

몬산토코리아유한회사

(벤자민 마크 후드리스 대표이사)

성련장학재단 (허연금 이사장)

고광우 (행정학과 53입)

김철수 (법과대학 명예교수)

대한적십자사 (유중근 총재)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성기학 이사장)

임현진 (사회과학대학 명예교수)

장문영 (화학과 59입)

재단법인 양영재단 (김상하 이사장)

조유근 (컴퓨터공학부 교수)

두을장학재단 (이인희 이사장)

과천시애향장학회 (신학수 이사장)

서울장학재단 (이경희 이사장)

왕한석 (인류학과 교수)

포니정장학재단 (정몽규 이사장)

조용준 (법학과 79입)

농어촌희망재단 (김달웅 이사장)

경동송천재단 (류덕희 이사장)

농생대 환경재료과학 교수일동

주식회사 천랩 (천종식 대표이사)

돈암장학회 (이용배 이사장)

인선문화재단 (박선영 이사장)

단암장학재단 (이봉서 이사장)

치과대학 치의학대학원 동창회

흥한재단 (박병석 이사장)

선화예술문화재단 (심재혁 대표)

한국미즈노 주식회사 (김창범 대표이사)

곽노섭 (수학과 49입)

19대 인문대 학장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김은선 (디자인학부 13입 조은지의 모)

서광훈 (약학대학 67입)

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ASP) 27기 동문

송재용 (경영학과 교수)

수도씨에이씨 (송명호 대표이사)

신한화구 (한봉근 대표)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28436000

27942000

26000000

24210000

24041200

23994234

22500000

20724000

20500000

20274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18779000

17973600

17934000

17600000

17050000

17000000

165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4000000

14000000

13500000

12000000

12000000

11602000

11102610

10281624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이앤티 (고영호 대표이사)

재단법인 정민 (윤석헌 이사장)

제11기 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천병년 (약학과 77입)

최민철 (농공학과 75입)

현대하이스코 (신성재 대표이사)

황효진 (동양사학과 78입)

대한사료주식회사 (이상민 대표이사)

해성문화재단 (단재완 이사장)

한국가스공사 (장석효 사장)

장석윤 (약학과 79입)

한국석유공사 (서문규 사장)

종로구장학회 (최현종 이사장)

동부문화재단 (강경식 이사장)

인촌기념회 (이용훈 이사장)

용옥장학문화재단 (양철우 이사장)

미래의동반자재단 (Jeffrey D Jones 이사장)

성옥문화재단 (이화일 이사장)

다래파크텍 (김호정 대표이사)

미래인재육성재단 (최양식 이사장)

고화장학회 (배명인 이사장)

한국애질런트테크놀로지스 (박시영 대표)

이재원 (중앙도서관 정보관리과)

리브로 (김경수 대표이사)

오운문화재단 (이동찬 이사장)

조비경농장학재단 (이병만 이사장)

오스템임플란트 (최규옥 대표이사)

한국섬유산업연합회장학재단 (노희찬 이사장)

아카넷 (김정호 사장)

삼송장학회 (김영기 이사장)

서지희 (IFP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11기)

김지호

서울상공회의소 관악구상공회 (김진철 회장)

송파재단 (윤원영 이사장)

김영윤 (토목공학과 62입)

로보로보 (장창남 대표이사)

류판동 (수의과대학장)

모르페우스 (김진수 대표이사)

박윤서 (고고인류학과 69입)

박찬국 (철학과 교수)

송인석 (치의학과 01입)

시그나사회공헌재단 (홍봉성 이사장)

신남식 (수의학과 교수)

약학대학 40회 동기회

와이비엠 (민선식 대표이사)

이필상 (경제학부 교수)

한국경제연구원 (권태신 원장)

황만순 (제약학과 90입)

운경재단 (배성동 이사장)

제봉민병욱장학재단

심명문화재단 (이경재 이사장)

홍산장학재단 (천영주 이사장)

홍수현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9730000

9528000

9140000

9000000

9000000

8690000

8525000

8525000

8178000

8112000

7963000

7928068

7713000

7500000

7000000

6950000

6919590

6058000

6010000

6000000

6000000

5700000

5400000

5357143

5100000

5100000

5089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4934000

4734000

4527000

4500000

4462280

4000000

4000000

4000000

3956000

3862000

3600000

3500000

3029000

3029000

3005000

3005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2706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467000

2467000

22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1865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5145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431445

1221251

1210000

108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단위 $

100000

10000

5000

3000

500

500

200

200

100

100

100

100

20140601 ~ 20140831 약정 단위 원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약정DONATION

39 38

김형렬 (윤리교육과 교수)

이정진 (기계항공공학부 95입)

신흥 (이용익 대표이사)

이창우 (경영학과 교수)

서영길 (광산학과 53입)

일중장학재단 (송윤영 이사장)

금곡장학회 (이수상 이사장)

덕원장학회 (이헌경 이사장)

강현구 (건축학과 교수)

김명환 (조선해양공학과 75입)

김영수 (법과대학 60입)

김영운 (재료공학부 교수)

김종원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김진학 (도시환경최고전문가과정 29기)

박훈 (기계공학과 63입)

서강문 (동물병원 원장)

서동규 (경영학과 84입)

송재홍 (농화학과 83입)

송희영 (영어영문학과 74입)

신남식 (수의학과 교수)

이규선 (조경middot지역시스템공학부 13입 이성용의 부)

이봉호 (치의예과 84입)

이재호 (경영학과 84입)

전병롱 (정책학과 10입 전상우의 부)

전호석 (기계설계학과 71입)

주식회사 KTampG 남서울본부 (박정욱 본부장)

최황 (의과대학 명예교수)

황철성 (재료공학부 교수)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박기용 이사장)

가송재단 (윤도준 이사장)

강스템바이오텍 (강경선 대표이사)

오이코스 (배장영 대표이사)

유한회사 본음인베스트먼트

이진경 (전국낙지자랑 대표)

한승장학회 (이재영 이사장)

윤용혁 (독어교육과 60입)

키움증권 (권용원 대표이사)

협성문화재단 (박석귀 이사장)

이강이 (아동가족학과 교수)

윤상혁 (디자인학부 03입)

윤화영 (수의학과 교수)

GS칼텍스 (허동수 대표이사 회장)

권규돈 (중어중문학과 13입 권기범의 부)

김경준 (농경제학과 82입)

김용팔 (수의과대학 75입)

김재홍 (수의학과 교수)

김진태 (법학과 71입)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이재술 대표이사)

문대원 (경영학과 71입)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오근택 대표이사)

박세창 (수의학과 교수)

산학협동재단 (한덕수 이사장)

선암장학재단 (윤호철 이사장)

성제경 (수의학과 교수)

송재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우광덕 (치과대학 64입)

유기윤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유한상 (수의학과 교수)

윤여성 (수의학과 교수)

윤정희 (수의학과 교수)

이건목원리한방병원 (이건목 원장)

이동진 (교무처 학사과)

이소영 (수의학과 교수)

이인숙 (간호대학 교수)

이항 (수의학과 교수)

이희근 (공과대학 명예교수)

조무제 (법학과 65입)

조성범 (수의학과 교수)

조제열 (수의학과 교수)

주식회사 오공 (김윤정 대표이사)

중앙백신연구소 (윤인중 대표이사)

지티앤티 (이세한 대표이사)

채찬희 (수의학과 교수)

태평소금 (손일선 회장)

한호재 (수의학과 교수)

해마루 (김현욱 원장)

황인구 (수의학과 교수)

조선에듀케이션 (방정오 대표이사)

사회복지법인 건아재단 (심철환 이사장)

KT (황창규 대표이사 회장)

광림교회 (김정석 담임목사)

광주시민장학회 (박기준 이사장)

김기원 (AIP최고산업전략과정 38기)

김상은 (융합과학부 교수)

김혜원 (간호학과 교수)

박종근 (전기공학과 교수)

서병태 (의학과 54입)

송경희 (국악과 59입)

연당장학회 (남욱 회장)

오유경 (약학대학 부학장)

우정장학문화재단 (강백영 이사장)

임현주 (약학과 82입)

전상직 (작곡과 교수)

주리아 (치과대학 04입)

한국마쯔다니 (유태균 대표이사)

홍영표 (GLP글로벌리더십과정 21기)

신우호 (화학교육과 87입)

류판동 (수의과대학장)

이병욱 (조경학과 81입)

김용백 (수의학과 교수)

김종암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정혜선 (간호학과 82입)

강부현 (수의학과 72입)

권길주 (조선해양공학과 11입 정지원의 모)

권혜숙 (약학과 82입)

김경대 (치의학과 82입)

김미영 (간호학과 98입)

김범진 (턱교정학고급연수과정 6기)

김성열 (교육학과 75입)

김종흔 (경영대학 92입)

김현산 (법과대학 54입)

녹십자수의약품 (김승목 대표이사)

덕영재단 (전헬리시아 이사장)

문수자동판매기 (김영식 대표)

민기복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민동홍 (독어독문학과 77입)

박병익 (지리교육과 교수)

박종철 (물리학과 61입)

설재연 (심리학과 82입)

송은도 (국악과 01입)

유차영 (ASP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 12기)

신우개발 서울지점 (김익환 사장)

신하순 (동양화과 교수)

안석준 (치의과대학원 부원장

안휘준 (인문대학 명예교수)

양민영 (협동과정 미술교육전공 94입)

양형식 (자원공학과 75입)

옥복연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07입)

우경미 (치의학대학원 교수)

우성공원묘원 (허정산 대표)

우성원 (미학과 95입)

월악장학문화재단 (남기영 이사장)

유건선 (토목공학과 73입)

유흥수 (법학과 58입)

윤희정 (수의학과 교수)

이기윤 (정치학과 88입)

이대혁 (자원공학과 87입)

이병천 (수의학과 교수)

이상돈 (에너지자원공학과 84입)

이승주 (치의학과 92입)

이시우 (의예과 95입)

이은수 (서울대운동용품 대표)

이정인 (공과대학 명예교수)

임종후 (서양화과 12입 임지윤의 부)

정소걸 (자원공학과 71입)

정지훈 (치의학과 교수)

조경란 (법학과 79입)

조기웅 (화학과 66입)

조현욱 (사법학과 83입)

최명애 (회화과 70입)

최정욱 (경영학과 84입)

최종길 (법과대학 83입)

최해영 (경영대학 행정실)

하종철 (동양화과 13입 하문원의 부)

한공창 (자원공학과 72입)

한국지하수지열협회 (안근묵 회장)

허형무 (경영대학 68입)

미주재단

Steve Ro (토목공학과 61입)

Soung Kim (임학과 56입)

Joong M Soh (공과대학 64입)

John Baek (금속공학 49입)

Hyunchan Lee (치과대학 70입)

Steve amp Cheryl Shapiro

Kwang S Hong (공과대학 60입)

Moon H Kim (공과대학 68입)

David Cho (공과대학 60입)

Dong Ku Chung (기계공학과 57입)

Sang Dae Lee (농업생명과학대학 80입)

Young D Kim (공과대학 67입)

서울대학교병원 (오병희 병원장)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이철희 병원장)

SK가스 (최창원 부회장)

AMP 78기 일동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윤강섭 병원장)

삼성전자 (권오현 대표이사 부회장)

SK하이닉스 (박성욱 대표이사 사장)

삼성복지재단 (이수빈 이사장)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한국세포주연구재단

하나제약 (조경일 회장)

코스맥스 (이경수 대표이사 회장)

패션그룹형지 (최병오 회장)

서울대학교총동창회 (서정화 회장)

한국수력원자력 (조석 사장)

형애장학회 (최효종 이사장)

송원김영환장학재단 (김해련 이사장)

사회복지법인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이기수 이사장)

TOYOTA MOTOR CORP

(요시다 아키히사 대표이사 사장)

권욱현 (공과대학 명예교수)

네이버 (김상헌 대표이사)

현송교육문화재단 (김정일 이사장)

롯데장학재단 (신영자 이사장)

일주학술문화재단 (이선애 이사장)

현대차 정몽구 재단 (유영학 이사장)

LG연암문화재단 (구자경 이사장)

SECMCA

아산사회복지재단 (정몽준 이사장)

천만장학회 (이광현 이사장)

방일영문화재단 (조연흥 이사장)

AMP 77기 일동

신라문화장학재단 (박준형 이사장)

KRX국민행복재단 (최경수 이사장)

SBS문화재단 (윤세영 이사장)

김만극 (약학과 47입)

농우바이오 (정용동 유연희 대표이사)

안인희

전국경제인연합회 (허창수 회장)

정윤환 (임학과 56입)

현대엔지니어링 (김위철 대표이사)

세진에프알에스 라쿠치나 서울대점 (장재훈 대표이사)

재단법인 웅진 (신현웅 이사장)

종근당고촌재단 (김두현 이사장)

정수장학회 (김삼천 이사장)

Kensary LLP

앨트웰민초장학재단 (김박 이사장)

주중광 허지영 (약학대학 60입 화학과 66입)

한국동서발전 (장주옥 사장)

한화갤러리아 (박세훈 대표이사)

한화생명보험 (차남규 대표이사 사장)

한화손해보험 (박윤식 대표이사)

한화첨단소재 (김창범 대표이사)

한화투자증권 (주진형 대표이사 사장)

KEILCO(KEPCO ILJAN CORPORATION)

연강재단 (박용현 이사장)

창강재단 (안병표 이사장)

경기도 인재개발원 (박익수 원장)

대림수암장학문화재단 (변형윤 이사장)

이상억 (인문대학 명예교수)

1432968520

1147748270

1000000000

716900000

615220390

600000000

560000000

364863690

317560000

250000000

220000000

210000000

200000000

200000000

166000000

150000000

142103500

140000000

139583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98538000

89942000

82426000

67509000

66598412

62989000

59929000

59208000

53720000

51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49800000

46522180

44302000

42076000

40918000

40273000

40204972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39677688

39035000

37244000

37068000

34780000

31800000

청합장학회 (여상길 회장)

한빛종합동물병원 (임정식 원장)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두산 (박용만 대표이사 회장)

송미순 (간호학과 교수)

이상복 (ABKI문헌지식정보최고위과정 5기)

한화 (심경섭 대표이사)

한화건설 (김현중 부회장)

한화자산운용 (강신우 대표이사)

한화케미칼 (방한홍 대표이사)

한화호텔앤드리조트 (홍원기 대표이사)

오뚜기재단 (함태호 이사장)

재단법인 최혁영 장학회 (최혁영 회장)

유한재단 (이필상 이사장)

영원무역 (성기학 대표이사 회장)

부경양돈협동조합 (박재민 조합장)

져스텍 (김용일 대표이사)

서울대합창단동문회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전병원 이사장)

국가정책과정(ACAD) 77기 일동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최윤 회장)

몬산토코리아유한회사

(벤자민 마크 후드리스 대표이사)

성련장학재단 (허연금 이사장)

고광우 (행정학과 53입)

대한적십자사 (유중근 총재)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성기학 이사장)

임현진 (사회학과 교수)

재단법인 양영재단 (김상하 이사장)

조유근 (컴퓨터공학부 교수)

두을장학재단 (이인희 이사장)

과천시애향장학회 (신학수 이사장)

서울장학재단 (이경희 이사장)

왕한석 (인류학과 교수)

포니정장학재단 (정몽규 이사장)

조용준 (법학과 79입)

농어촌희망재단 (김달웅 이사장)

경동송천재단 (류덕희 이사장)

김신원 (응용화학과 64입)

농생대 환경재료과학 교수일동

주식회사 천랩 (천종식 대표이사)

돈암장학회 (이용배 이사장)

인선문화재단 (박선영 이사장)

단암장학재단 (이봉서 이사장)

치과대학 치의학대학원 동창회

흥한재단 (박병석 이사장)

선화예술문화재단 (심재혁 대표)

한국미즈노 주식회사 (김창범 대표이사)

곽노섭 (수학과 49입)

19대 인문대 학장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김은선 (디자인학부 13입 조은지의 모)

바텍 (노창준 대표이사)

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ASP) 27기 동문

수도씨에이씨 (송명호 대표이사)

신한화구 (한봉근 대표)

이앤티 (고영호 대표이사)

장문영 (화학과 59입)

제11기 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조경일 (약학대학 64입)

주식회사 명진팜 (권기진 대표이사)

31047000

31000000

303006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28436000

28081000

27942000

26000000

25000366

25000000

24210000

24041200

23994234

20724000

20500000

20274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18779000

17973600

17934000

17600000

17050000

17000000

165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4000000

14000000

13500000

12000000

12000000

11602000

11102610

10281624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천병년 (약학과 77입)

최민철 (농공학과 75입)

현대하이스코 (신성재 대표이사)

황효진 (동양사학과 78입)

대한사료주식회사 (이상민 대표이사)

해성문화재단 (단재완 이사장)

한국가스공사 (장석효 사장)

김춘길 (화학생물공학부 58입)

애드미션 (김유탁 대표이사)

종로구장학회 (최현종 이사장)

동부문화재단 (강경식 이사장)

인촌기념회 (이용훈 이사장)

용옥장학문화재단 (양철우 이사장)

미래의동반자재단 (Jeffrey D Jones 이사장)

김영윤 (토목공학과 62입)

성옥문화재단 (이화일 이사장)

다래파크텍 (김호정 대표이사)

미래인재육성재단 (최양식 이사장)

고화장학회 (배명인 이사장)

이재원 (중앙도서관 정보관리과)

리브로 (김경수 대표이사)

오운문화재단 (이동찬 이사장)

조비경농장학재단 (이병만 이사장)

박지향 (중앙도서관장)

오스템임플란트 (최규옥 대표이사)

한국섬유산업연합회장학재단 (노희찬 이사장)

한옥희 (화학과 79입)

아카넷 (김정호 사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정기택 원장)

삼송장학회 (김영기 이사장)

서지희 (IFP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11기)

김지호

서울상공회의소 관악구상공회 (김진철 회장)

박찬국 (철학과 교수)

송파재단 (윤원영 이사장)

김재길 (법학과 56입)

로보로보 (장창남 대표이사)

모르페우스 (김진수 대표이사)

박성경 정성창 (치의학과 96입)

박윤서 (고고인류학과 69입)

서용석 (상학과 46입) 정재원

송인석 (치의학과 01입)

송재용 (경영학과 교수)

시그나사회공헌재단 (홍봉성 이사장)

약학대학 40회 동기회

와이비엠 (민선식 대표이사)

이필상 (경제학부 교수)

한국경제연구원 (권태신 원장)

황만순 (제약학과 90입)

운경재단 (배성동 이사장)

제봉민병욱장학재단

심명문화재단 (이경재 이사장)

홍산장학재단 (천영주 이사장)

홍수현

박미혜 (성악과 교수)

박영아 (물리학과 79입)

최동하 (농경제학과 71입)

춘강문화장학재단 (박성형 이사장)

허성도 (인문대학 명예교수)

형남진장학재단 (이정희 이사장)

강남구청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9730000

9528000

9140000

9000000

9000000

8690000

8525000

8525000

8178000

8112000

8000000

7963000

7928068

7713000

7500000

6950000

6919590

6058000

6010000

6000000

6000000

6000000

6000000

5700000

5556000

5400000

5357143

5100000

5100000

5090000

5089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4934000

4734000

4527000

4500000

446228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3956000

3862000

3750000

3500000

3120000

3029000

3029000

3005000

3005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2706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467000

2467000

2467000

2400000

2230000

215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1865000

1800000

15145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431445

1300000

1275251

1260000

1200000

106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단위 $

100000

10000

5000

3000

500

500

200

200

100

100

100

100

단위 원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20140601 ~ 20140831 출연

출연DONATION

40

서울대학교는 기부금을 출연한 후원인에게 더욱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국내 최고 수준의 의

료서비스를 자랑하는 서울대학교병원 이용 예우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으며 서울대학교병원 후원인

라운지에 상주하는 전담 직원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후원자 중 추가 진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본원 또는 분당 서울대학교병원과의 즉각

적인 연계가 가능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 본원 조윤지 | Tel 02-2272-2750 E-mail sosunolovesnuackr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강수정 | Tel 031-787-1915 E-mail c8541snubhorg

(재)서울대학교발전기금 김종희 | Tel 02-871-1633 E-mail p2727snuackr

bull병원 예우 담당자

bull서울대학교병원 예우 서비스 이용 안내

예약대행 서비스 | 진료 및 입원 예약 대행 병원 측과 협의 후 예약일자 결정

의전 서비스 | 진료middot입원middot응급실 이용 편의를 위해 예우 담당자가 직접 안내

종합건강검진 주선 서비스(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bull서울대학교병원 예우 서비스 내용

지원 자격 활동 기간

bull경제적 지원이 필요한 학생

(건강보험료 기준) 우선 선발

bull성적 45만점 환산 30 이상

lsquo 새싹 멘토링rsquo은 빈곤의 대물림을 막기 위한 자선 봉사활동으로

전국 국공립대학의 우수한 학생이 저소득층 중middot고등학생의

학습을 도우며 장학금을 받는 프로그램입니다

bull최소 6개월~12개월

bull활동 실적에 따라 졸업 시까지

연차적으로 기회 부여

새싹멘토링의

멘토가

되어주세요

bull전화 02-880-1593(새싹 멘토링 서울대학교 본부) bull팩스 02-780-2647(미래국제재단 여의도 본사)

bull이메일 mifsnuhanmailnet 새싹 멘토링 지원 방법 문의 시 상세히 안내해드립니다

서울대학교와 미래국제재단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봉사활동에 학생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다립니다

기부인의 따뜻한 마음에

다양한 혜택의 예우 서비스로

보답합니다

출연 기금 진료예약 의전 서비스 종합건강검진 주선

50억 이상 평생 평생 연 1회(평생 프리미엄 검진)

10억 이상 평생 10년 연 1회(평생)

5억 이상

1억 원당 1년(기한)

5년

1억 원당 연 1회(기한)3억 이상 3년

1억 이상 1년

서울대학교병원 본원 후원인 전담 직원이 진료 예약 및 의전 서비스까지 친절하게 안내해 드립니다

문의처 병원 후원인 라운지(본관 3층) 또는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후원인 전담 직원이 진료 예약 및 의전 서비스까지 친절하게 안내해 드립니다

문의처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또는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강남센터와의 즉각적인 연계를 통해 강남센터 상담 직원이 후원자 여러분께 상담 전화를 드립니다

문의처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기부인 예우 프로그램DONATION

SeoulNational University

151-742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1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

T 02-880-5114 F 02-885-5272wwwsnuackr

C o v e r S t o r y

과학자의 공식

좋은 연구를 하겠다는 신념으로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걸어온 사람

miRNA 분야의 세계적인 개척자 김빛내리 교수다

그녀는 노벨상 수상에 가장 근접한 국내 과학자로 꼽힌다

도전과 실패 인내를 거듭하며 세계적인 과학자 반열에 오르기까지

그녀의 행보를 통해 성공과 신뢰 만족을 얻는 인생 공식을 알아본다

Page 18: SNU Magazine Vol. 38 › new › wp-content › uploads › 2015 › 12 › snu_people... · 2016-01-30 · 우수 연구자 시리즈 10 유상렬 농생명공학부 교수 06 선배와의

33 32

기부의 향연이 펼쳐지다

바바패션

인문대학 발전기금 1억 원 기부

바바패션(대표이사 회장 문인식)이 인문대학에 발전기금 1억 원을 기부했

다 10월 13일 총장실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성낙인 총장과 문인식 바바

패션 대표이사 회장 유근배 기획부총장 장재성 인문대학장을 비롯해 관

계자 10여 명이 참석했다 성낙인 총장은 ldquo문인식 회장님의 인문학에 대

한 관심과 성원에 감사드린다rdquo며 ldquo이번 기금으로 인문대학의 발전과 인재

양성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rdquo이라고 말했다 이에 문인식 회장은 ldquo바바패

션은 계속해서 나눔 경영을 통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rdquo고 전했

다 문인식 회장은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최고지도자과정(AMP) 72기를

수료하고 현재 인문대학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12기 회장 AMP

총동창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한편 바바패션은 국내 여성 패션 브랜드인

아이잗바바(IZZAT BABA) 지고트(JIGOTT) 등을 비롯한 총 9개의 브

랜드를 보유하고 있으며 심장병 어린이 수술 지원 및 장학 사업도 꾸준히

펼치고 있다

전기컴퓨터공학부 권욱현 명예교수

lsquo권욱현 희망장학기금rsquo 1억 원 기부

지난 6월 17일 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부 권욱현(전기공학 62학번)

명예교수가 lsquo권욱현 희망장학기금rsquo을 조성하고 1억 원을 기부했다 이번

에 마련된 기금은 공과대학과 전기공학부 학생들 가운데 경제적으로 어

려운 학생들에게 지급될 예정이다 변대규 휴맥스 대표를 비롯해 이재원

슈프리마 대표 등 국내 유명 벤처기업 CEO들의 스승으로 유명한 권욱현

명예교수는 2005년 서울대학교 평의원회 의장으로 활동했으며 대한전

기학회장 세계자동제어연맹 부회장 국제자동제어연맹 회장 등을 역임

했다 국제자동제어연맹(IFAC) 회장으로 재임 시 사재 50만 달러를 출연

해 개발도상국 젊은 공학자의 학술 활동을 지원하는 등 후학 양성을 위한

꾸준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김정식 해동과학문화재단 이사장

해동학술정보실 건립기금 30억 원 기부

지난 6월 27일 해동과학문화재단 김정식 이사장(전자공학 48학번)이

lsquo해동학술정보실 건립기금rsquo으로 30억 원을 쾌척했다 이번에 조성된 기금

은 공과대학과 자연과학대학 등 주요 단과대학의 해동학술정보실을 건

설하는데 사용될 예정이다 이번 기금 이외에도 김정식 이사장은 서울대

학교 공과대학 인근 해동학술관과 해동학술정보실 12호관 건립 기금으

로 100억 원이 넘는 금액을 출연하며 꾸준히 모교를 후원하고 있으며 인

재 양성을 위해 한양대 고려대 등 국내 주요 대학에 해동학술정보실 건립

을 지원하고 있다 1972년 대덕전자를 설립해 한국 전자 산업의 기술 개

발을 이끈 선구자로 유명한 김정식 이사장은 1990년 해동과학문화재단

을 만들어 해동상을 재정하는 등 지속적인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

패션그룹형지

생활과학대학 발전기금 3억 원 기부

패션그룹형지(대표이사 회장 최병오)가 생활과학대학에 발전기금 3억 원

을 기부했다 이 기금은 생활과학대학의 교육middot연구활동 및 시설개선 등을

위한 제반 활동에 사용된다 지난 8월 26일 진행된 협약식에서 성낙인 총

장은 ldquo생활과학대학은 패션그룹형지 기금으로 수준 높은 연구 성과와 인

재 배출을 통해 대한민국 대표 인재 양성소로 거듭 날 것rdquo이라고 밝혔으

며 최병오 회장은 ldquo국가 경쟁력을 이끌어가는 리더와 패션 산업 인재를

양성하는 데 패션그룹형지 발전기금이 쓰이길 바란다rdquo고 당부했다 최 회

장은 지난 2003년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패션산업 최고경영자과정

(AFB) 3기를 수료하고 2007년부터 2013년까지 AFB 총교우회 회장을

역임했다 또한 이번 기금 이외에도 꾸준히 후원한 다양한 기금으로 건립

된 lsquo최병오 홀rsquo을 통해 사회 각계각층의 주요 리더들이 교류하는 교육장을

마련했다 1월에는 경영대학 최고경영자과정(AMP) 총동창회가 주최하

는 lsquo제13회 서울대 AMP 대상rsquo을 수상했다

NewsDONATION

유회진 학술정보관 건립 보고 및 감사 행사

ldquo기부금은 이공계 학생들을 위해 써주세요rdquo 故 유회진 박사가 구강암으로 투병

하는 동안 병문안을 갔던 이장무 전임 총장에게 남긴 말이다 서울대학교 기계

설계학과에서 학부와 대학원 생활을 보내고 동아대학교 교수를 역임한 유 박

사는 2009년 구강암 판정을 받았다 그는 암 투병 치료비부터 부모님으로부터

물려받은 유산까지 허투루 쓰지 않고 모은 100억 원이 넘는 전 재산을 서울대

학교에 남기고 2011년 별세했다 유가족이 없는 고인을 위해 서울대학교 발전기

금은 장례를 진행했으며 매년 제사를 지내 뜻을 기린다

지난 7월 2일 관악캠퍼스 공과대학 엔지니어하우스대강당에서 lsquo유회진학술정보

관rsquo 건립 보고 및 감사 행사가 개최됐다 유회진학술정보관은 유회진 기금으로

건립되어 공과대학과 자연대학이 공동 교육 및 연구 시설로 사용할 예정이다 이

날 행사는 오연천 전임 총장의 환영사에 이어 유회진 박사 소개 및 기부 경과보

고 유회진학술정보관 건립 경과보고 순으로 진행됐으며 특별히 故 유회진 박사

의 지인인 서울시립대 권원태(기계설계학과 78학번)교수가 참석했다 그의 숭고

한 마음은 우리 사회의 빛나는 과학자들을 위한 초석이 될 것이다

11월 9일 故 유회진

박사의 3주기가 돌아온다

서울대학교발전기금은

제주(祭主)로서 그를 잊지 않고

사회와 학교를 향한 기부자의

아름다운 정신을 남길 것이다

당신의 아름다운 마무리

35 34

SNU Presidents Honors Club

SNU Honor Club

故 곽명덕 변호사 유가족 (한자영 곽성현 곽성희)

故 구영록 교수 유가족

故 김인제 故 최성순 가족

(故 김동호 故 김동훈 김동준 김진숙 김진옥)

故 이한빈 부총리 가족 (유정혜 이원식 이선이)

고윤석 (물리학과 47입)

고정택 (외교학과 62입)

구영배 (자원공학과 85입)

구재서

권영대 (약학과 55입)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권욱현 (전기공학과 62입)

금장태 (종교학과 62입)

김건식 (법학과 73입)

김경한 (법학과 62입)

김경한 (외교학과 62입)

김광일 (경영학과 84입)

김기봉 middot신경은 (기계공학과 63입 middot화학과 65입)

김기태 (의학과 58졸)

김난도 (소비자아동학부 교수)

김대욱 (조선공학과 76입)

김동길 (화학교육과 57입)

김동훈 (화학과 48입)

김두철 (전자공학과 66입)

김만극 (약학과 47입)

김상헌 (사법학과 82입)

김선동 (화학공학과 59입)

김선화(정자) (국악과 60입)

김성배 (영어영문학과 63입)

김양곤 (IFP 2기)

김연탁 (경제학과 故 김태성 교수의 부)

김연호 (화학공학과 71입)

김영경 (기계공학과 52입) middot김천순

김영석 (3 Plus Logistics 회장)

김영수 (법학과 67입)

김영심 (불어불문학과 故 오현우 교수의 부인)

김영업

김용재 (의과대학 60입)

김용철 (치의학과 55입)

김의신 (의학과 60입)

김의영 (경제학과 54입)

김정희 (간호학과 52입)

김종일 (제어계측공학과 79입)

김진향

김천흥

김철호 (외교학과 70입)

김춘길 (화학생물공학부 58입)

김택수 (법학과 48입)

김하석 middot김영중 (화학과 63입 middot약학과 64입)

김하자 (서양화과 故 하동철 교수의 부인)

김학봉 (한영요업 회장)

김형주 (전자계산기공학과 78입)

나정환 (화학교육과 54입)

남정현 (건축학과 57입)

류무종 (중어중문학과 53입)

류진 (영어영문학과 78입)

마인경 (지리학과 56입)

민계식 (조선항공학과 61입)

민호기 교수 유가족

박대근 (보건대학원 63입)

박맹호 (불어불문학과 52입)

박민식 middot 박금옥 (수의과대학 65입 middot체육교육과 63입)

박봉균 (수의학과 76입)

박숙희 (지리학과 60입)

박용헌 (교육행정학과 53입)

박용호 (수의학과 74입)

朴麟子(가정관리과 82입) 하상예 박임숙 박순영 박노용

박종근 (전기공학과 69입)

박종수 (수의학과 58입)

박종오 (영어영문학과 55입)

박준 (법학과 73입)

박태진 (독어독문학과 80입)

박한제 (동양사학과 69입)

배옥자 (성심가정의학과의원 원장)

백종철 (농공학과 54입)

백형익

법대 48회 졸업생

변대규 (제어계측공학과 79입)

서문자 (간호학과 63입)

손경식 (법학과 57입)

송상용 (화학과 55입)

송상현 (법학과 59입)

송인철 (SPARC 14기)

송학린 (법학과 59입)

신수정 (기악과 59입)

신영길 (계산통계학과 78입)

신영주 (이남장 대표)

신익현 (임학과 79입)

신효영 middot신승연 (故 신광현 교수의 가족)

신희명 (물리교육과 49입)

신희택 (법학과 71입)

심소일 (상학과 49입)

심재성 (前 성보산업 자문위원)

안영경 (前 핸디소프트 고문)

안창엽 (AMP 68기)

양천식

오세경 (약학과 61입)

오승환 (의학과 56입)

오용호 middot오양호 (행정학과 69입 middot법과대학 80입)

오윤덕 (행정학과 61입)

원재연 (경영학과 82입)

유근순

유성숙 (고고미술사학과 故 김원용 교수의 부인)

윤계섭 (상학과 64입)

윤덕우 (경제학과 58입) middot최덕자

윤석금 (웅진그룹 회장)

윤석순 (수의학과 59입)

윤우석 (에너지자원공학과 63입)

이건우 (기계공학과 74입)

이경식 (불어불문학과 55입)

이광희 (지리학과 59입)

이교일 middot박명진

(기계공학과 60입 middot불어불문학과 65입)

이기춘 (가정교육과 61입)

이명현 middot김귀현 (철학과 60입 middot기악과 69입)

이문한 (수의학과 66입)

이병준 (경제학과 55입)

이성규 (사학과 65입)

이성형 (정치학과 82입)

이순원 (가정교육과 54입)

이순형 (가정관리학과 70입)

이신두 (물리학과 76입)

이예식 (약학과 46입)

이용환 (농업교육과 63입)

이용환 (전기공학과 73입)

이원영 (AMP 6기)

이은방 (약학과 55입)

이장무 (제24대 총장)

이재승 (원자핵공학과 59입)

이정섭

이정섭 (종교학과 04입)

이종덕 (물리학과 62입)

이준용 (경제학과 56입)

이지형 (법과대학 85입)

이찬승 (수학교육과 69입)

이창득 (국어교육과 71입)

이창화 (국어국문학과 64입)

이천만 (영어영문학과 故 이상태의 부)

이철승 (법학과 78입)

이철영 (SPARC 17기)

이현수 (농화학과 60입)

이현재 (경제학과 48입)

이형도 (화학공학과 61입)

이홍표 (의과대학 58입)

임길진 교수 유가족

임동진 (법학과 62입)

임현진 (사회학과 67입)

장세권 (농공학과 70입)

장순영

장용국 (법학과 71입)

장재혁 (역사교육과 80입)

장정훈 (약학대학 65입)

전익찬 (지구환경과학부 94입 故 전재규의 부)

전해종 (동양사학과 47졸)

정달훤 (고고미술사학과 87입 故 정은임의 부)

정영현 (공업화학과 85입 정순욱의 부)

정영호 (생물학과 50입) middot 박양숙

정윤환 (임학과 56입)

정재선 (소비자아동학과 93입)

정재준 (前 경보전기 부회장)

정종곤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조동성 (경영학과 67입)

조병직 (법학과 46입)

조석준 (행정학 57졸)

조영식 (수의학과 80입)

조옥환 (부산교통 대표)

조종수 (건국대학교 교수)

조한영 (상학과 43입)

조형준 (미학과 65입)

주중광 middot 허지영 (약학대학 60입 middot 화학과 66입)

차상균 (전기공학과 76입)

차상균 교수 외 제자 12명

채성기 (원자핵공학과 59입)

채제한 (전기공학부 48입 故 채호석의 자)

천문우 (약학과 61입)

최병오 (AFB 3기)

최재열 (조소과 08입 최민주의 부)

최정욱 (화학공학과 49입)

최창원 (심리학과 83입)

최화형 외 3명

풍원자 (임학과 57입 故 용환운의 부인)

하영구 (무역학과 72입)

한규범 (AMP 42기)

한규환 (기계공학과 68입)

한기준 (의학과 52입)

한상복 (사회학과 56입)

한옥희 (화학과 79입)

한장희 middot김재혜 (행정학과 61입 middot 법학과 61입)

허성도 (중어중문학과 68입)

허영인 (SPC그룹 회장)

현기순 (가정교육과 46입)

현정오 (농생물학과 66입)

현택환 (화학과 83입)

홍경자 (간호학과 62입)

홍계수 (법학과 72입 주경숙의 모)

홍길표 (컴퓨터공학부 홍지명의 부)

홍예표 (치의학과 65입)

홍지준 (화학교육과 74입)

황귀례 (제약학과 故 국채호 교수의 부인)

황재홍 (치의학과 90입)

히로나카 헤이스케 (하버드대 명예교수)

Eduard J Stadelmann (前 미네소타대학 교수)

Ken-ichi Arai (동경대 교수)

Peter S Kim (MIT 교수)

Stanley Choy

거평그룹

건일제약

건화엔지니어링

경남기업

경동송천재단

경암교육문화재단

고려아연

공영토건

과학기술혁신 최고전략과정 23기 일동

과학기술혁신 최고전략과정 24기 일동

관악회

광동제약

교보문고

구원장학재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국방과학연구소

국제종합물류

금호아시아나문화재단

김 middot장 법률사무소

김영사

김정문알로에

까사미아

나산실업

남광토건

남영비비안

넥슨코리아

노키아티엠씨

농어촌희망재단

농우바이오

다이소아성산업

다함넷

단암장학재단

대교

대림대학

대양 EampC

대우기전공업

대우엔지니어링

대우테크

대한수의사회

대한통운

돈암장학회

동방

동방상호신용금고

동부대우전자

동부문화재단

동서식품

동아건설산업

동아제약

동양강철

동철문화재단

동화산업장학재단

두을장학재단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롯데관광

롯데쇼핑

매트바이오테크

메디슨

몬산토코리아

미래에셋

미래와도전

미래의동반자재단

민음사

바이로메드

방송문화진흥회

방일영문화재단

법대 39회 동문 일동

법대 84학번 동기회

법대 85학번 동기회

법대최고지도자과정 8기 일동

법대최고지도자과정 10기 일동

법무법인 광장

법무법인 바른

법무법인 세종

법무법인 율촌

법무법인 케이씨엘

법무법인 태평양

법무법인 화우

부경양돈협동조합

비씨카드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동문회

삼양

삼우종합건축사무소

삼일회계법인

삼전순약공업

삼호개발

삼화모터스

상암에너지

상지상사

상진개발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글로벌리더쉽과정

서울대합창단 동문회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석원산업

성남시장학회

성련장학재단

세무법인 조이

세진에프알에스

송우재단

수경출판사

수암장학문화재단

수의과대학 교수 일동

스키부 동문회 일동

시뮬레이션테크

신라교역

신라문화장학재단

신양머그

신한장학재단

썬텍

아모레퍼시픽

아산사회복지재단

안성농장

알앤엘바이오

애드미션

앨트웰민초장학재단

약학교육연수원 이수자 일동

양지농장

영림임업

오뗄

오뚜기재단

오리엔트이엔지

오리온전기

오성엘에스티

와이비엠시사

용운장학회

우덕재단

유기천교수기념사업출판재단

유신

유티씨인베스트먼트

유한재단

유한킴벌리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음악대학 피아노발전기금후원회

이지바이오

인선문화재단

인촌기념회

인탑스

일동제약

일동후디스

일주학술문화재단

재단법인 대우재단

재단법인 정민

재미서울대총동창회

전국은행연합회

정공산업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정수장학회

정헌재단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져스텍

종근당

종로구장학회

좋은책신사고

진생사이언스

진양제약

참존

창강재단

창진영농조합법인

천만장학회

천수기업

천연물과학연구소 교수 일동

천재교육

청합장학회

최고경영자과정 총동창회

최고산업전략과정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middot

미래지도자인문학과정(IFP)

케이씨텍

코스맥스

코오롱

트러스톤자산운용

특수건설

패션그룹형지

포니정장학재단

포휴먼

풀무원

풍산

플라톤아카데미

피에스케이

하나제약

한국간연구재단

한국거래소

한국금융투자협회

한국무역협회

한국문화진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산업은행

한국세포주연구재단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알콜산업

한국외국인학교

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전파기지국

한국증권금융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한국타이어

한국투자신탁운용

한국투자증권

한산이씨양도공파설서공종중

한샘출판

한수통상

해나천연물신약

해성장학회

해태

행정대학원 정보통신과정

현대차 정몽구 재단

현대카드

현대캐피탈

현동장학회

현송교육문화재단

홈플러스e파란재단

효성그룹

휴맥스

AMP 63기 일동

AMP 64기 일동

AMP 65기 일동

AMP 66기 일동

AMP 67기 일동

AMP 68기 일동

AMP 69기 일동

AMP 70기 일동

AMP 71기 일동

AMP 72기 일동

AMP 73기 일동

AMP 74기 일동

AMP 75기 일동

AMP 76기 일동

AMP 77기 일동

AMP 78기 일동

ASSET PLUS투자자문

E1

Eyagi(이야기) CAFE

Goldman Sachs

KDB대우증권

KRX국민행복재단

KTB투자증권

LG연암문화재단

NCSOFT

NHN

NXC

OB맥주

Qualcomm

SECMCA

SIMPAC ANC

SK CampC

SNU 프리시젼

S-Oil

SPARC 15 middot16 middot17 middot18기 일동

1억 원 이상 출연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LG삼성 한국전력공사SK

포스코 웅진한화농업협동조합중앙회

KT 부영신한금융 현대자동차

SPC IBK기업은행

태영현대 금호아시아나롯데장학재단

CJ 대림두산 한진

우리금융 미래국제재단

50억 원 이상 출연

조천식정치학과 45입

윤대섭농공학과 49입

100억 원 이상 출연

정석규화학공학과 48입

이용희태광사 회장

김정식 전자공학과 48입

유회진기계설계학과 78입

SNU Hono r C l ubDONATION

SNU Gold Honors Club

홍성대수학과 57입

이기영前 의대 교수

최창영금속공학과 64입

박영희수학교육과 54입

손장순불어불문학과 54입

유태용토목공학과 50입

김명희middot신정희기악과 91입 김형찬의 모

이필남 박상윤 윤전수middot이삼락

김연혁히로세코리아 감사

서정선의학과 70입

전은기middot김은희 백추현 곽영필토목공학과 56입

박완서의 상속인호원숙 호원순 호원경 호원균

이순자불어불문학과 57입

손동준전자공학과 59입

윤종용전자공학과 62입

정덕균전자공학과 77입

강옥채middot노병수공법학과 83입

민선식경제학과 78입

박병준섬유공학과 52입

서울대학교총동창회

양두석독어독문학과 69입

양윤홍전자공학과 63입

대우 카길애그리퓨리나 동진쎄미켐 하나금융지주

동원 동양 KB금융지주 대우조선해양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대성 로이드선급협회 아시아일진

한국가스공사 녹십자 생명보험협회 현대중공업

메가스터디 TOYOTA MOTOR CORP SK하이닉스 서울장학재단

STX 농심 무한투자 이연제약

대우인터내셔널 송원김영환장학재단 형애장학회 신풍제약

10억 원 이상 출연

현대산업개발

스페코middot삼익악기

영원무역

쌍용양회공업

영원아웃도어

환인제약 주식회사

한국프뢰벨

37 36

춘강문화장학재단 (박성형 이사장)

허성도 (인문대학 명예교수)

형남진장학재단 (이정희 이사장)

강남구청

김형렬 (윤리교육과 교수)

공병영 (사무국장middot시설관리국장)

신흥 (이용익 대표이사)

서영길 (광산학과 53입)

일중장학재단 (송윤영 이사장)

금곡장학회 (이수상 이사장)

덕원장학회 (이헌경 이사장)

강현구 (건축학과 교수)

김명환 (조선해양공학과 75입)

김영수 (법과대학 60입)

김영운 (재료공학부 교수)

서강문 (동물병원 원장)

서동규 (경영학과 84입)

송희영 (영어영문학과 74입)

이근무 (사회학과 56입)

이재호 (경영학과 84입)

주식회사 KTampG 남서울본부 (박정욱 본부장)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박기용 이사장)

가송재단 (윤도준 이사장)

강스템바이오텍 (강경선 대표이사)

유한회사 본음인베스트먼트

이진경 (전국낙지자랑 대표)

주리아 (치과대학 04입)

한승장학회 (이재영 이사장)

키움증권 (권용원 대표이사)

협성문화재단 (박석귀 이사장)

윤상혁 (디자인학부 03입)

GS칼텍스 (허동수 대표이사 회장)

권규돈 (중어중문학과 13입 권기범의 부)

김경준 (농경제학과 82입)

김용팔 (수의과대학 75입)

김재홍 (수의학과 교수)

김진태 (법학과 71입)

문대원 (경영학과 71입)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오근택 대표이사)

박세창 (수의학과 교수)

산학협동재단 (한덕수 이사장)

선암장학재단 (윤호철 이사장)

성제경 (수의학과 교수)

송재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우광덕 (치과대학 64입)

유기윤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유한상 (수의학과 교수)

윤여성 (수의학과 교수)

윤정희 (수의학과대학 부학장)

윤화영 (수의학과 교수)

이건목원리한방병원 (이건목 원장)

이소영 (수의학과 교수)

이항 (수의학과 교수)

이희근 (공과대학 명예교수)

조무제 (법학과 65입)

조성범 (수의학과 교수)

조제열 (수의학과 교수)

중앙백신연구소 (윤인중 대표이사)

지티앤티 (이세한 대표이사)

채찬희 (수의학과 교수)

태평소금 (손일선 회장)

한호재 (수의학과 교수)

해마루 (김현욱 원장)

황인구 (수의학과 교수)

조선에듀케이션 (방정오 대표이사)

강진영 (의학과 69입)

김정기 (법학과 75입)

박달이 (간호대학 74입)

박재완

사회복지법인 건아재단 (심철환 이사장)

손정식 (제약학과 73입)

윤재석 (화학교육과 71입)

이도환 (치의학과 86입)

이동식 (영어교육과 72입)

홍기택 (경영학과 74입)

KT (황창규 대표이사 회장)

LG PC 유지보수센터 (박무광 대표이사)

광주시민장학회 (박기준 이사장)

박영임 (간호학과 73입)

사명희치과 (사명희 원장)

연당장학회 (남욱 회장)

우정장학문화재단 (강백영 이사장)

제노에너지 (김성철 대표이사)

신우호 (화학교육과 87입)

이병욱 (조경학과 81입)

정혜선 (간호학과 82입)

허종필 (공업화학과 73입)

권길주 (조선해양공학과 11입 정지원의 모)

권혜숙 (약학과 82입)

김미영 (간호학과 98입)

김범진 (턱교정학고급연수과정 6기)

김성열 (교육학과 75입)

김우진 (국악과 73입)

녹십자수의약품 (김승목 대표이사)

덕영재단 (전헬리시아 이사장)

류제하 (기계공학과 78입)

문수자동판매기 (김영식 대표)

민기복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민동홍 (독어독문학과 77입)

박종철 (물리학과 61입)

설재연 (심리학과 82입)

송은도 (국악과 01입)

유차영 (ASP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 12기)

신우개발 서울지점 (김익환 사장)

신하순 (동양화과 교수)

안석준 (치의과대학원 부원장

안휘준 (인문대학 명예교수)

양민영 (협동과정 미술교육전공 94입)

양형식 (자원공학과 75입)

옥복연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07입)

우경미 (치의학대학원 교수)

우성공원묘원 (허정산 대표)

우성원 (미학과 95입)

월악장학문화재단 (남기영 이사장)

유건선 (토목공학과 73입)

유흥수 (법학과 58입)

윤희정 (수의학과 교수)

이대혁 (자원공학과 87입)

이병천 (수의학과 교수)

이상돈 (에너지자원공학과 84입)

이승주 (치의학과 92입)

이시우 (의예과 95입)

이용규 (경영학과 84입)

이정인 (공과대학 명예교수)

이희석 (농생물과 57입)

임종후 (서양화과 12입 임지윤의 부)

임한조 (물리학과 67입)

전석원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정소걸 (자원공학과 71입)

정지훈 (치의학과 교수)

조경란 (법학과 79입)

조기웅 (화학과 66입)

조현욱 (사법학과 83입)

최명애 (회화과 70입)

최정욱 (경영학과 84입)

최종길 (법과대학 83입)

하종철 (동양화과 13입 하문원의 부)

한공창 (자원공학과 72입)

한국지하수지열협회 (안근묵 회장)

허형무 (경영대학 68입)

미주재단

Steve Ro (토목공학과 61입)

Soung Kim (임학과 56입)

Joong M Soh (공과대학 64입)

John Baek (금속공학 49입)

Hyunchan Lee (치과대학 70입)

Steve amp Cheryl Shapiro

Kwang S Hong (공과대학 60입)

Moon H Kim (공과대학 68입)

David Cho (공과대학 60입)

Dong Ku Chung (기계공학과 57입)

Sang Dae Lee (농업생명과학대학 80입)

Young D Kim (공과대학 67입)

AMP 78기 일동

삼성복지재단 (이수빈 이사장)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한국세포주연구재단

SK하이닉스 (박성욱 대표이사 사장)

패션그룹형지 (최병오 회장)

한국수력원자력 (조석 사장)

형애장학회 (최효종 이사장)

송원김영환장학재단 (김해련 이사장)

사회복지법인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이기수 이사장)

SECMCA

TOYOTA MOTOR CORP

(요시다 아키히사 대표이사 사장)

권욱현 (공과대학 명예교수)

네이버 (김상헌 대표이사)

부경양돈협동조합 (박재민 조합장)

안인희

전국경제인연합회 (허창수 회장)

현송교육문화재단 (김정일 이사장)

롯데장학재단 (신영자 이사장)

일주학술문화재단 (이선애 이사장)

현대차 정몽구 재단 (유영학 이사장)

박미혜 (성악과 교수)

LG연암문화재단 (구자경 이사장)

KeyGene (Arjen van Tunnen CEO)

아산사회복지재단 (정몽준 이사장)

천만장학회 (이광현 이사장)

방일영문화재단 (조연흥 이사장)

AMP 77기 일동

신라문화장학재단 (박준형 이사장)

SBS문화재단 (윤세영 이사장)

김만극 (약학과 47입)

아이바이오 (김기일 대표이사)

현대엔지니어링 (김위철 대표이사)

종근당고촌재단 (김두현 이사장)

정수장학회 (김삼천 이사장)

Kensary LLP

앨트웰민초장학재단 (김박 이사장)

한국동서발전 (장주옥 사장)

한화갤러리아 (박세훈 대표이사)

한화생명보험 (차남규 대표이사 사장)

한화손해보험 (박윤식 대표이사)

한화첨단소재 (김창범 대표이사)

한화투자증권 (주진형 대표이사 사장)

KEILCO(KEPCO ILJAN CORPORATION)

연강재단 (박용현 이사장)

창강재단 (안병표 이사장)

경기도 인재개발원 (박익수 원장)

대림수암장학문화재단 (변형윤 이사장)

청합장학회 (여상길 회장)

한빛종합동물병원 (임정식 원장)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716900000

364863690

317560000

250000000

220000000

200000000

200000000

150000000

142103500

140000000

139583000

13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98538000

89942000

82426000

70000000

67509000

67500000

62989000

59929000

59208000

53720000

51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44302000

42076000

40918000

40273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39677688

39035000

37244000

37068000

34780000

31047000

31000000

30300600

박종오 (영어영문학과 55입)

이상복 (ABKI문헌지식정보최고위과정 5기)

이상억 (인문대학 명예교수)

한화 (심경섭 대표이사)

한화건설 (김현중 부회장)

한화자산운용 (강신우 대표이사)

한화케미칼 (방한홍 대표이사)

한화호텔앤드리조트 (홍원기 대표이사)

오뚜기재단 (함태호 이사장)

유한재단 (이필상 이사장)

영원무역 (성기학 대표이사 회장)

서울대합창단동문회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전병원 이사장)

국가정책과정(ACAD) 77기 일동

배영수 (서양사학과 교수)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최윤 회장)

몬산토코리아유한회사

(벤자민 마크 후드리스 대표이사)

성련장학재단 (허연금 이사장)

고광우 (행정학과 53입)

김철수 (법과대학 명예교수)

대한적십자사 (유중근 총재)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성기학 이사장)

임현진 (사회과학대학 명예교수)

장문영 (화학과 59입)

재단법인 양영재단 (김상하 이사장)

조유근 (컴퓨터공학부 교수)

두을장학재단 (이인희 이사장)

과천시애향장학회 (신학수 이사장)

서울장학재단 (이경희 이사장)

왕한석 (인류학과 교수)

포니정장학재단 (정몽규 이사장)

조용준 (법학과 79입)

농어촌희망재단 (김달웅 이사장)

경동송천재단 (류덕희 이사장)

농생대 환경재료과학 교수일동

주식회사 천랩 (천종식 대표이사)

돈암장학회 (이용배 이사장)

인선문화재단 (박선영 이사장)

단암장학재단 (이봉서 이사장)

치과대학 치의학대학원 동창회

흥한재단 (박병석 이사장)

선화예술문화재단 (심재혁 대표)

한국미즈노 주식회사 (김창범 대표이사)

곽노섭 (수학과 49입)

19대 인문대 학장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김은선 (디자인학부 13입 조은지의 모)

서광훈 (약학대학 67입)

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ASP) 27기 동문

송재용 (경영학과 교수)

수도씨에이씨 (송명호 대표이사)

신한화구 (한봉근 대표)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28436000

27942000

26000000

24210000

24041200

23994234

22500000

20724000

20500000

20274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18779000

17973600

17934000

17600000

17050000

17000000

165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4000000

14000000

13500000

12000000

12000000

11602000

11102610

10281624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이앤티 (고영호 대표이사)

재단법인 정민 (윤석헌 이사장)

제11기 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천병년 (약학과 77입)

최민철 (농공학과 75입)

현대하이스코 (신성재 대표이사)

황효진 (동양사학과 78입)

대한사료주식회사 (이상민 대표이사)

해성문화재단 (단재완 이사장)

한국가스공사 (장석효 사장)

장석윤 (약학과 79입)

한국석유공사 (서문규 사장)

종로구장학회 (최현종 이사장)

동부문화재단 (강경식 이사장)

인촌기념회 (이용훈 이사장)

용옥장학문화재단 (양철우 이사장)

미래의동반자재단 (Jeffrey D Jones 이사장)

성옥문화재단 (이화일 이사장)

다래파크텍 (김호정 대표이사)

미래인재육성재단 (최양식 이사장)

고화장학회 (배명인 이사장)

한국애질런트테크놀로지스 (박시영 대표)

이재원 (중앙도서관 정보관리과)

리브로 (김경수 대표이사)

오운문화재단 (이동찬 이사장)

조비경농장학재단 (이병만 이사장)

오스템임플란트 (최규옥 대표이사)

한국섬유산업연합회장학재단 (노희찬 이사장)

아카넷 (김정호 사장)

삼송장학회 (김영기 이사장)

서지희 (IFP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11기)

김지호

서울상공회의소 관악구상공회 (김진철 회장)

송파재단 (윤원영 이사장)

김영윤 (토목공학과 62입)

로보로보 (장창남 대표이사)

류판동 (수의과대학장)

모르페우스 (김진수 대표이사)

박윤서 (고고인류학과 69입)

박찬국 (철학과 교수)

송인석 (치의학과 01입)

시그나사회공헌재단 (홍봉성 이사장)

신남식 (수의학과 교수)

약학대학 40회 동기회

와이비엠 (민선식 대표이사)

이필상 (경제학부 교수)

한국경제연구원 (권태신 원장)

황만순 (제약학과 90입)

운경재단 (배성동 이사장)

제봉민병욱장학재단

심명문화재단 (이경재 이사장)

홍산장학재단 (천영주 이사장)

홍수현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9730000

9528000

9140000

9000000

9000000

8690000

8525000

8525000

8178000

8112000

7963000

7928068

7713000

7500000

7000000

6950000

6919590

6058000

6010000

6000000

6000000

5700000

5400000

5357143

5100000

5100000

5089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4934000

4734000

4527000

4500000

4462280

4000000

4000000

4000000

3956000

3862000

3600000

3500000

3029000

3029000

3005000

3005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2706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467000

2467000

22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1865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5145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431445

1221251

1210000

108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단위 $

100000

10000

5000

3000

500

500

200

200

100

100

100

100

20140601 ~ 20140831 약정 단위 원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약정DONATION

39 38

김형렬 (윤리교육과 교수)

이정진 (기계항공공학부 95입)

신흥 (이용익 대표이사)

이창우 (경영학과 교수)

서영길 (광산학과 53입)

일중장학재단 (송윤영 이사장)

금곡장학회 (이수상 이사장)

덕원장학회 (이헌경 이사장)

강현구 (건축학과 교수)

김명환 (조선해양공학과 75입)

김영수 (법과대학 60입)

김영운 (재료공학부 교수)

김종원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김진학 (도시환경최고전문가과정 29기)

박훈 (기계공학과 63입)

서강문 (동물병원 원장)

서동규 (경영학과 84입)

송재홍 (농화학과 83입)

송희영 (영어영문학과 74입)

신남식 (수의학과 교수)

이규선 (조경middot지역시스템공학부 13입 이성용의 부)

이봉호 (치의예과 84입)

이재호 (경영학과 84입)

전병롱 (정책학과 10입 전상우의 부)

전호석 (기계설계학과 71입)

주식회사 KTampG 남서울본부 (박정욱 본부장)

최황 (의과대학 명예교수)

황철성 (재료공학부 교수)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박기용 이사장)

가송재단 (윤도준 이사장)

강스템바이오텍 (강경선 대표이사)

오이코스 (배장영 대표이사)

유한회사 본음인베스트먼트

이진경 (전국낙지자랑 대표)

한승장학회 (이재영 이사장)

윤용혁 (독어교육과 60입)

키움증권 (권용원 대표이사)

협성문화재단 (박석귀 이사장)

이강이 (아동가족학과 교수)

윤상혁 (디자인학부 03입)

윤화영 (수의학과 교수)

GS칼텍스 (허동수 대표이사 회장)

권규돈 (중어중문학과 13입 권기범의 부)

김경준 (농경제학과 82입)

김용팔 (수의과대학 75입)

김재홍 (수의학과 교수)

김진태 (법학과 71입)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이재술 대표이사)

문대원 (경영학과 71입)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오근택 대표이사)

박세창 (수의학과 교수)

산학협동재단 (한덕수 이사장)

선암장학재단 (윤호철 이사장)

성제경 (수의학과 교수)

송재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우광덕 (치과대학 64입)

유기윤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유한상 (수의학과 교수)

윤여성 (수의학과 교수)

윤정희 (수의학과 교수)

이건목원리한방병원 (이건목 원장)

이동진 (교무처 학사과)

이소영 (수의학과 교수)

이인숙 (간호대학 교수)

이항 (수의학과 교수)

이희근 (공과대학 명예교수)

조무제 (법학과 65입)

조성범 (수의학과 교수)

조제열 (수의학과 교수)

주식회사 오공 (김윤정 대표이사)

중앙백신연구소 (윤인중 대표이사)

지티앤티 (이세한 대표이사)

채찬희 (수의학과 교수)

태평소금 (손일선 회장)

한호재 (수의학과 교수)

해마루 (김현욱 원장)

황인구 (수의학과 교수)

조선에듀케이션 (방정오 대표이사)

사회복지법인 건아재단 (심철환 이사장)

KT (황창규 대표이사 회장)

광림교회 (김정석 담임목사)

광주시민장학회 (박기준 이사장)

김기원 (AIP최고산업전략과정 38기)

김상은 (융합과학부 교수)

김혜원 (간호학과 교수)

박종근 (전기공학과 교수)

서병태 (의학과 54입)

송경희 (국악과 59입)

연당장학회 (남욱 회장)

오유경 (약학대학 부학장)

우정장학문화재단 (강백영 이사장)

임현주 (약학과 82입)

전상직 (작곡과 교수)

주리아 (치과대학 04입)

한국마쯔다니 (유태균 대표이사)

홍영표 (GLP글로벌리더십과정 21기)

신우호 (화학교육과 87입)

류판동 (수의과대학장)

이병욱 (조경학과 81입)

김용백 (수의학과 교수)

김종암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정혜선 (간호학과 82입)

강부현 (수의학과 72입)

권길주 (조선해양공학과 11입 정지원의 모)

권혜숙 (약학과 82입)

김경대 (치의학과 82입)

김미영 (간호학과 98입)

김범진 (턱교정학고급연수과정 6기)

김성열 (교육학과 75입)

김종흔 (경영대학 92입)

김현산 (법과대학 54입)

녹십자수의약품 (김승목 대표이사)

덕영재단 (전헬리시아 이사장)

문수자동판매기 (김영식 대표)

민기복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민동홍 (독어독문학과 77입)

박병익 (지리교육과 교수)

박종철 (물리학과 61입)

설재연 (심리학과 82입)

송은도 (국악과 01입)

유차영 (ASP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 12기)

신우개발 서울지점 (김익환 사장)

신하순 (동양화과 교수)

안석준 (치의과대학원 부원장

안휘준 (인문대학 명예교수)

양민영 (협동과정 미술교육전공 94입)

양형식 (자원공학과 75입)

옥복연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07입)

우경미 (치의학대학원 교수)

우성공원묘원 (허정산 대표)

우성원 (미학과 95입)

월악장학문화재단 (남기영 이사장)

유건선 (토목공학과 73입)

유흥수 (법학과 58입)

윤희정 (수의학과 교수)

이기윤 (정치학과 88입)

이대혁 (자원공학과 87입)

이병천 (수의학과 교수)

이상돈 (에너지자원공학과 84입)

이승주 (치의학과 92입)

이시우 (의예과 95입)

이은수 (서울대운동용품 대표)

이정인 (공과대학 명예교수)

임종후 (서양화과 12입 임지윤의 부)

정소걸 (자원공학과 71입)

정지훈 (치의학과 교수)

조경란 (법학과 79입)

조기웅 (화학과 66입)

조현욱 (사법학과 83입)

최명애 (회화과 70입)

최정욱 (경영학과 84입)

최종길 (법과대학 83입)

최해영 (경영대학 행정실)

하종철 (동양화과 13입 하문원의 부)

한공창 (자원공학과 72입)

한국지하수지열협회 (안근묵 회장)

허형무 (경영대학 68입)

미주재단

Steve Ro (토목공학과 61입)

Soung Kim (임학과 56입)

Joong M Soh (공과대학 64입)

John Baek (금속공학 49입)

Hyunchan Lee (치과대학 70입)

Steve amp Cheryl Shapiro

Kwang S Hong (공과대학 60입)

Moon H Kim (공과대학 68입)

David Cho (공과대학 60입)

Dong Ku Chung (기계공학과 57입)

Sang Dae Lee (농업생명과학대학 80입)

Young D Kim (공과대학 67입)

서울대학교병원 (오병희 병원장)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이철희 병원장)

SK가스 (최창원 부회장)

AMP 78기 일동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윤강섭 병원장)

삼성전자 (권오현 대표이사 부회장)

SK하이닉스 (박성욱 대표이사 사장)

삼성복지재단 (이수빈 이사장)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한국세포주연구재단

하나제약 (조경일 회장)

코스맥스 (이경수 대표이사 회장)

패션그룹형지 (최병오 회장)

서울대학교총동창회 (서정화 회장)

한국수력원자력 (조석 사장)

형애장학회 (최효종 이사장)

송원김영환장학재단 (김해련 이사장)

사회복지법인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이기수 이사장)

TOYOTA MOTOR CORP

(요시다 아키히사 대표이사 사장)

권욱현 (공과대학 명예교수)

네이버 (김상헌 대표이사)

현송교육문화재단 (김정일 이사장)

롯데장학재단 (신영자 이사장)

일주학술문화재단 (이선애 이사장)

현대차 정몽구 재단 (유영학 이사장)

LG연암문화재단 (구자경 이사장)

SECMCA

아산사회복지재단 (정몽준 이사장)

천만장학회 (이광현 이사장)

방일영문화재단 (조연흥 이사장)

AMP 77기 일동

신라문화장학재단 (박준형 이사장)

KRX국민행복재단 (최경수 이사장)

SBS문화재단 (윤세영 이사장)

김만극 (약학과 47입)

농우바이오 (정용동 유연희 대표이사)

안인희

전국경제인연합회 (허창수 회장)

정윤환 (임학과 56입)

현대엔지니어링 (김위철 대표이사)

세진에프알에스 라쿠치나 서울대점 (장재훈 대표이사)

재단법인 웅진 (신현웅 이사장)

종근당고촌재단 (김두현 이사장)

정수장학회 (김삼천 이사장)

Kensary LLP

앨트웰민초장학재단 (김박 이사장)

주중광 허지영 (약학대학 60입 화학과 66입)

한국동서발전 (장주옥 사장)

한화갤러리아 (박세훈 대표이사)

한화생명보험 (차남규 대표이사 사장)

한화손해보험 (박윤식 대표이사)

한화첨단소재 (김창범 대표이사)

한화투자증권 (주진형 대표이사 사장)

KEILCO(KEPCO ILJAN CORPORATION)

연강재단 (박용현 이사장)

창강재단 (안병표 이사장)

경기도 인재개발원 (박익수 원장)

대림수암장학문화재단 (변형윤 이사장)

이상억 (인문대학 명예교수)

1432968520

1147748270

1000000000

716900000

615220390

600000000

560000000

364863690

317560000

250000000

220000000

210000000

200000000

200000000

166000000

150000000

142103500

140000000

139583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98538000

89942000

82426000

67509000

66598412

62989000

59929000

59208000

53720000

51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49800000

46522180

44302000

42076000

40918000

40273000

40204972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39677688

39035000

37244000

37068000

34780000

31800000

청합장학회 (여상길 회장)

한빛종합동물병원 (임정식 원장)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두산 (박용만 대표이사 회장)

송미순 (간호학과 교수)

이상복 (ABKI문헌지식정보최고위과정 5기)

한화 (심경섭 대표이사)

한화건설 (김현중 부회장)

한화자산운용 (강신우 대표이사)

한화케미칼 (방한홍 대표이사)

한화호텔앤드리조트 (홍원기 대표이사)

오뚜기재단 (함태호 이사장)

재단법인 최혁영 장학회 (최혁영 회장)

유한재단 (이필상 이사장)

영원무역 (성기학 대표이사 회장)

부경양돈협동조합 (박재민 조합장)

져스텍 (김용일 대표이사)

서울대합창단동문회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전병원 이사장)

국가정책과정(ACAD) 77기 일동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최윤 회장)

몬산토코리아유한회사

(벤자민 마크 후드리스 대표이사)

성련장학재단 (허연금 이사장)

고광우 (행정학과 53입)

대한적십자사 (유중근 총재)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성기학 이사장)

임현진 (사회학과 교수)

재단법인 양영재단 (김상하 이사장)

조유근 (컴퓨터공학부 교수)

두을장학재단 (이인희 이사장)

과천시애향장학회 (신학수 이사장)

서울장학재단 (이경희 이사장)

왕한석 (인류학과 교수)

포니정장학재단 (정몽규 이사장)

조용준 (법학과 79입)

농어촌희망재단 (김달웅 이사장)

경동송천재단 (류덕희 이사장)

김신원 (응용화학과 64입)

농생대 환경재료과학 교수일동

주식회사 천랩 (천종식 대표이사)

돈암장학회 (이용배 이사장)

인선문화재단 (박선영 이사장)

단암장학재단 (이봉서 이사장)

치과대학 치의학대학원 동창회

흥한재단 (박병석 이사장)

선화예술문화재단 (심재혁 대표)

한국미즈노 주식회사 (김창범 대표이사)

곽노섭 (수학과 49입)

19대 인문대 학장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김은선 (디자인학부 13입 조은지의 모)

바텍 (노창준 대표이사)

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ASP) 27기 동문

수도씨에이씨 (송명호 대표이사)

신한화구 (한봉근 대표)

이앤티 (고영호 대표이사)

장문영 (화학과 59입)

제11기 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조경일 (약학대학 64입)

주식회사 명진팜 (권기진 대표이사)

31047000

31000000

303006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28436000

28081000

27942000

26000000

25000366

25000000

24210000

24041200

23994234

20724000

20500000

20274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18779000

17973600

17934000

17600000

17050000

17000000

165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4000000

14000000

13500000

12000000

12000000

11602000

11102610

10281624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천병년 (약학과 77입)

최민철 (농공학과 75입)

현대하이스코 (신성재 대표이사)

황효진 (동양사학과 78입)

대한사료주식회사 (이상민 대표이사)

해성문화재단 (단재완 이사장)

한국가스공사 (장석효 사장)

김춘길 (화학생물공학부 58입)

애드미션 (김유탁 대표이사)

종로구장학회 (최현종 이사장)

동부문화재단 (강경식 이사장)

인촌기념회 (이용훈 이사장)

용옥장학문화재단 (양철우 이사장)

미래의동반자재단 (Jeffrey D Jones 이사장)

김영윤 (토목공학과 62입)

성옥문화재단 (이화일 이사장)

다래파크텍 (김호정 대표이사)

미래인재육성재단 (최양식 이사장)

고화장학회 (배명인 이사장)

이재원 (중앙도서관 정보관리과)

리브로 (김경수 대표이사)

오운문화재단 (이동찬 이사장)

조비경농장학재단 (이병만 이사장)

박지향 (중앙도서관장)

오스템임플란트 (최규옥 대표이사)

한국섬유산업연합회장학재단 (노희찬 이사장)

한옥희 (화학과 79입)

아카넷 (김정호 사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정기택 원장)

삼송장학회 (김영기 이사장)

서지희 (IFP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11기)

김지호

서울상공회의소 관악구상공회 (김진철 회장)

박찬국 (철학과 교수)

송파재단 (윤원영 이사장)

김재길 (법학과 56입)

로보로보 (장창남 대표이사)

모르페우스 (김진수 대표이사)

박성경 정성창 (치의학과 96입)

박윤서 (고고인류학과 69입)

서용석 (상학과 46입) 정재원

송인석 (치의학과 01입)

송재용 (경영학과 교수)

시그나사회공헌재단 (홍봉성 이사장)

약학대학 40회 동기회

와이비엠 (민선식 대표이사)

이필상 (경제학부 교수)

한국경제연구원 (권태신 원장)

황만순 (제약학과 90입)

운경재단 (배성동 이사장)

제봉민병욱장학재단

심명문화재단 (이경재 이사장)

홍산장학재단 (천영주 이사장)

홍수현

박미혜 (성악과 교수)

박영아 (물리학과 79입)

최동하 (농경제학과 71입)

춘강문화장학재단 (박성형 이사장)

허성도 (인문대학 명예교수)

형남진장학재단 (이정희 이사장)

강남구청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9730000

9528000

9140000

9000000

9000000

8690000

8525000

8525000

8178000

8112000

8000000

7963000

7928068

7713000

7500000

6950000

6919590

6058000

6010000

6000000

6000000

6000000

6000000

5700000

5556000

5400000

5357143

5100000

5100000

5090000

5089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4934000

4734000

4527000

4500000

446228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3956000

3862000

3750000

3500000

3120000

3029000

3029000

3005000

3005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2706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467000

2467000

2467000

2400000

2230000

215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1865000

1800000

15145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431445

1300000

1275251

1260000

1200000

106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단위 $

100000

10000

5000

3000

500

500

200

200

100

100

100

100

단위 원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20140601 ~ 20140831 출연

출연DONATION

40

서울대학교는 기부금을 출연한 후원인에게 더욱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국내 최고 수준의 의

료서비스를 자랑하는 서울대학교병원 이용 예우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으며 서울대학교병원 후원인

라운지에 상주하는 전담 직원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후원자 중 추가 진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본원 또는 분당 서울대학교병원과의 즉각

적인 연계가 가능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 본원 조윤지 | Tel 02-2272-2750 E-mail sosunolovesnuackr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강수정 | Tel 031-787-1915 E-mail c8541snubhorg

(재)서울대학교발전기금 김종희 | Tel 02-871-1633 E-mail p2727snuackr

bull병원 예우 담당자

bull서울대학교병원 예우 서비스 이용 안내

예약대행 서비스 | 진료 및 입원 예약 대행 병원 측과 협의 후 예약일자 결정

의전 서비스 | 진료middot입원middot응급실 이용 편의를 위해 예우 담당자가 직접 안내

종합건강검진 주선 서비스(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bull서울대학교병원 예우 서비스 내용

지원 자격 활동 기간

bull경제적 지원이 필요한 학생

(건강보험료 기준) 우선 선발

bull성적 45만점 환산 30 이상

lsquo 새싹 멘토링rsquo은 빈곤의 대물림을 막기 위한 자선 봉사활동으로

전국 국공립대학의 우수한 학생이 저소득층 중middot고등학생의

학습을 도우며 장학금을 받는 프로그램입니다

bull최소 6개월~12개월

bull활동 실적에 따라 졸업 시까지

연차적으로 기회 부여

새싹멘토링의

멘토가

되어주세요

bull전화 02-880-1593(새싹 멘토링 서울대학교 본부) bull팩스 02-780-2647(미래국제재단 여의도 본사)

bull이메일 mifsnuhanmailnet 새싹 멘토링 지원 방법 문의 시 상세히 안내해드립니다

서울대학교와 미래국제재단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봉사활동에 학생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다립니다

기부인의 따뜻한 마음에

다양한 혜택의 예우 서비스로

보답합니다

출연 기금 진료예약 의전 서비스 종합건강검진 주선

50억 이상 평생 평생 연 1회(평생 프리미엄 검진)

10억 이상 평생 10년 연 1회(평생)

5억 이상

1억 원당 1년(기한)

5년

1억 원당 연 1회(기한)3억 이상 3년

1억 이상 1년

서울대학교병원 본원 후원인 전담 직원이 진료 예약 및 의전 서비스까지 친절하게 안내해 드립니다

문의처 병원 후원인 라운지(본관 3층) 또는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후원인 전담 직원이 진료 예약 및 의전 서비스까지 친절하게 안내해 드립니다

문의처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또는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강남센터와의 즉각적인 연계를 통해 강남센터 상담 직원이 후원자 여러분께 상담 전화를 드립니다

문의처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기부인 예우 프로그램DONATION

SeoulNational University

151-742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1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

T 02-880-5114 F 02-885-5272wwwsnuackr

C o v e r S t o r y

과학자의 공식

좋은 연구를 하겠다는 신념으로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걸어온 사람

miRNA 분야의 세계적인 개척자 김빛내리 교수다

그녀는 노벨상 수상에 가장 근접한 국내 과학자로 꼽힌다

도전과 실패 인내를 거듭하며 세계적인 과학자 반열에 오르기까지

그녀의 행보를 통해 성공과 신뢰 만족을 얻는 인생 공식을 알아본다

Page 19: SNU Magazine Vol. 38 › new › wp-content › uploads › 2015 › 12 › snu_people... · 2016-01-30 · 우수 연구자 시리즈 10 유상렬 농생명공학부 교수 06 선배와의

35 34

SNU Presidents Honors Club

SNU Honor Club

故 곽명덕 변호사 유가족 (한자영 곽성현 곽성희)

故 구영록 교수 유가족

故 김인제 故 최성순 가족

(故 김동호 故 김동훈 김동준 김진숙 김진옥)

故 이한빈 부총리 가족 (유정혜 이원식 이선이)

고윤석 (물리학과 47입)

고정택 (외교학과 62입)

구영배 (자원공학과 85입)

구재서

권영대 (약학과 55입)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권욱현 (전기공학과 62입)

금장태 (종교학과 62입)

김건식 (법학과 73입)

김경한 (법학과 62입)

김경한 (외교학과 62입)

김광일 (경영학과 84입)

김기봉 middot신경은 (기계공학과 63입 middot화학과 65입)

김기태 (의학과 58졸)

김난도 (소비자아동학부 교수)

김대욱 (조선공학과 76입)

김동길 (화학교육과 57입)

김동훈 (화학과 48입)

김두철 (전자공학과 66입)

김만극 (약학과 47입)

김상헌 (사법학과 82입)

김선동 (화학공학과 59입)

김선화(정자) (국악과 60입)

김성배 (영어영문학과 63입)

김양곤 (IFP 2기)

김연탁 (경제학과 故 김태성 교수의 부)

김연호 (화학공학과 71입)

김영경 (기계공학과 52입) middot김천순

김영석 (3 Plus Logistics 회장)

김영수 (법학과 67입)

김영심 (불어불문학과 故 오현우 교수의 부인)

김영업

김용재 (의과대학 60입)

김용철 (치의학과 55입)

김의신 (의학과 60입)

김의영 (경제학과 54입)

김정희 (간호학과 52입)

김종일 (제어계측공학과 79입)

김진향

김천흥

김철호 (외교학과 70입)

김춘길 (화학생물공학부 58입)

김택수 (법학과 48입)

김하석 middot김영중 (화학과 63입 middot약학과 64입)

김하자 (서양화과 故 하동철 교수의 부인)

김학봉 (한영요업 회장)

김형주 (전자계산기공학과 78입)

나정환 (화학교육과 54입)

남정현 (건축학과 57입)

류무종 (중어중문학과 53입)

류진 (영어영문학과 78입)

마인경 (지리학과 56입)

민계식 (조선항공학과 61입)

민호기 교수 유가족

박대근 (보건대학원 63입)

박맹호 (불어불문학과 52입)

박민식 middot 박금옥 (수의과대학 65입 middot체육교육과 63입)

박봉균 (수의학과 76입)

박숙희 (지리학과 60입)

박용헌 (교육행정학과 53입)

박용호 (수의학과 74입)

朴麟子(가정관리과 82입) 하상예 박임숙 박순영 박노용

박종근 (전기공학과 69입)

박종수 (수의학과 58입)

박종오 (영어영문학과 55입)

박준 (법학과 73입)

박태진 (독어독문학과 80입)

박한제 (동양사학과 69입)

배옥자 (성심가정의학과의원 원장)

백종철 (농공학과 54입)

백형익

법대 48회 졸업생

변대규 (제어계측공학과 79입)

서문자 (간호학과 63입)

손경식 (법학과 57입)

송상용 (화학과 55입)

송상현 (법학과 59입)

송인철 (SPARC 14기)

송학린 (법학과 59입)

신수정 (기악과 59입)

신영길 (계산통계학과 78입)

신영주 (이남장 대표)

신익현 (임학과 79입)

신효영 middot신승연 (故 신광현 교수의 가족)

신희명 (물리교육과 49입)

신희택 (법학과 71입)

심소일 (상학과 49입)

심재성 (前 성보산업 자문위원)

안영경 (前 핸디소프트 고문)

안창엽 (AMP 68기)

양천식

오세경 (약학과 61입)

오승환 (의학과 56입)

오용호 middot오양호 (행정학과 69입 middot법과대학 80입)

오윤덕 (행정학과 61입)

원재연 (경영학과 82입)

유근순

유성숙 (고고미술사학과 故 김원용 교수의 부인)

윤계섭 (상학과 64입)

윤덕우 (경제학과 58입) middot최덕자

윤석금 (웅진그룹 회장)

윤석순 (수의학과 59입)

윤우석 (에너지자원공학과 63입)

이건우 (기계공학과 74입)

이경식 (불어불문학과 55입)

이광희 (지리학과 59입)

이교일 middot박명진

(기계공학과 60입 middot불어불문학과 65입)

이기춘 (가정교육과 61입)

이명현 middot김귀현 (철학과 60입 middot기악과 69입)

이문한 (수의학과 66입)

이병준 (경제학과 55입)

이성규 (사학과 65입)

이성형 (정치학과 82입)

이순원 (가정교육과 54입)

이순형 (가정관리학과 70입)

이신두 (물리학과 76입)

이예식 (약학과 46입)

이용환 (농업교육과 63입)

이용환 (전기공학과 73입)

이원영 (AMP 6기)

이은방 (약학과 55입)

이장무 (제24대 총장)

이재승 (원자핵공학과 59입)

이정섭

이정섭 (종교학과 04입)

이종덕 (물리학과 62입)

이준용 (경제학과 56입)

이지형 (법과대학 85입)

이찬승 (수학교육과 69입)

이창득 (국어교육과 71입)

이창화 (국어국문학과 64입)

이천만 (영어영문학과 故 이상태의 부)

이철승 (법학과 78입)

이철영 (SPARC 17기)

이현수 (농화학과 60입)

이현재 (경제학과 48입)

이형도 (화학공학과 61입)

이홍표 (의과대학 58입)

임길진 교수 유가족

임동진 (법학과 62입)

임현진 (사회학과 67입)

장세권 (농공학과 70입)

장순영

장용국 (법학과 71입)

장재혁 (역사교육과 80입)

장정훈 (약학대학 65입)

전익찬 (지구환경과학부 94입 故 전재규의 부)

전해종 (동양사학과 47졸)

정달훤 (고고미술사학과 87입 故 정은임의 부)

정영현 (공업화학과 85입 정순욱의 부)

정영호 (생물학과 50입) middot 박양숙

정윤환 (임학과 56입)

정재선 (소비자아동학과 93입)

정재준 (前 경보전기 부회장)

정종곤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조동성 (경영학과 67입)

조병직 (법학과 46입)

조석준 (행정학 57졸)

조영식 (수의학과 80입)

조옥환 (부산교통 대표)

조종수 (건국대학교 교수)

조한영 (상학과 43입)

조형준 (미학과 65입)

주중광 middot 허지영 (약학대학 60입 middot 화학과 66입)

차상균 (전기공학과 76입)

차상균 교수 외 제자 12명

채성기 (원자핵공학과 59입)

채제한 (전기공학부 48입 故 채호석의 자)

천문우 (약학과 61입)

최병오 (AFB 3기)

최재열 (조소과 08입 최민주의 부)

최정욱 (화학공학과 49입)

최창원 (심리학과 83입)

최화형 외 3명

풍원자 (임학과 57입 故 용환운의 부인)

하영구 (무역학과 72입)

한규범 (AMP 42기)

한규환 (기계공학과 68입)

한기준 (의학과 52입)

한상복 (사회학과 56입)

한옥희 (화학과 79입)

한장희 middot김재혜 (행정학과 61입 middot 법학과 61입)

허성도 (중어중문학과 68입)

허영인 (SPC그룹 회장)

현기순 (가정교육과 46입)

현정오 (농생물학과 66입)

현택환 (화학과 83입)

홍경자 (간호학과 62입)

홍계수 (법학과 72입 주경숙의 모)

홍길표 (컴퓨터공학부 홍지명의 부)

홍예표 (치의학과 65입)

홍지준 (화학교육과 74입)

황귀례 (제약학과 故 국채호 교수의 부인)

황재홍 (치의학과 90입)

히로나카 헤이스케 (하버드대 명예교수)

Eduard J Stadelmann (前 미네소타대학 교수)

Ken-ichi Arai (동경대 교수)

Peter S Kim (MIT 교수)

Stanley Choy

거평그룹

건일제약

건화엔지니어링

경남기업

경동송천재단

경암교육문화재단

고려아연

공영토건

과학기술혁신 최고전략과정 23기 일동

과학기술혁신 최고전략과정 24기 일동

관악회

광동제약

교보문고

구원장학재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국방과학연구소

국제종합물류

금호아시아나문화재단

김 middot장 법률사무소

김영사

김정문알로에

까사미아

나산실업

남광토건

남영비비안

넥슨코리아

노키아티엠씨

농어촌희망재단

농우바이오

다이소아성산업

다함넷

단암장학재단

대교

대림대학

대양 EampC

대우기전공업

대우엔지니어링

대우테크

대한수의사회

대한통운

돈암장학회

동방

동방상호신용금고

동부대우전자

동부문화재단

동서식품

동아건설산업

동아제약

동양강철

동철문화재단

동화산업장학재단

두을장학재단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롯데관광

롯데쇼핑

매트바이오테크

메디슨

몬산토코리아

미래에셋

미래와도전

미래의동반자재단

민음사

바이로메드

방송문화진흥회

방일영문화재단

법대 39회 동문 일동

법대 84학번 동기회

법대 85학번 동기회

법대최고지도자과정 8기 일동

법대최고지도자과정 10기 일동

법무법인 광장

법무법인 바른

법무법인 세종

법무법인 율촌

법무법인 케이씨엘

법무법인 태평양

법무법인 화우

부경양돈협동조합

비씨카드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동문회

삼양

삼우종합건축사무소

삼일회계법인

삼전순약공업

삼호개발

삼화모터스

상암에너지

상지상사

상진개발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글로벌리더쉽과정

서울대합창단 동문회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석원산업

성남시장학회

성련장학재단

세무법인 조이

세진에프알에스

송우재단

수경출판사

수암장학문화재단

수의과대학 교수 일동

스키부 동문회 일동

시뮬레이션테크

신라교역

신라문화장학재단

신양머그

신한장학재단

썬텍

아모레퍼시픽

아산사회복지재단

안성농장

알앤엘바이오

애드미션

앨트웰민초장학재단

약학교육연수원 이수자 일동

양지농장

영림임업

오뗄

오뚜기재단

오리엔트이엔지

오리온전기

오성엘에스티

와이비엠시사

용운장학회

우덕재단

유기천교수기념사업출판재단

유신

유티씨인베스트먼트

유한재단

유한킴벌리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음악대학 피아노발전기금후원회

이지바이오

인선문화재단

인촌기념회

인탑스

일동제약

일동후디스

일주학술문화재단

재단법인 대우재단

재단법인 정민

재미서울대총동창회

전국은행연합회

정공산업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정수장학회

정헌재단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져스텍

종근당

종로구장학회

좋은책신사고

진생사이언스

진양제약

참존

창강재단

창진영농조합법인

천만장학회

천수기업

천연물과학연구소 교수 일동

천재교육

청합장학회

최고경영자과정 총동창회

최고산업전략과정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AFP) middot

미래지도자인문학과정(IFP)

케이씨텍

코스맥스

코오롱

트러스톤자산운용

특수건설

패션그룹형지

포니정장학재단

포휴먼

풀무원

풍산

플라톤아카데미

피에스케이

하나제약

한국간연구재단

한국거래소

한국금융투자협회

한국무역협회

한국문화진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산업은행

한국세포주연구재단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알콜산업

한국외국인학교

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전파기지국

한국증권금융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한국타이어

한국투자신탁운용

한국투자증권

한산이씨양도공파설서공종중

한샘출판

한수통상

해나천연물신약

해성장학회

해태

행정대학원 정보통신과정

현대차 정몽구 재단

현대카드

현대캐피탈

현동장학회

현송교육문화재단

홈플러스e파란재단

효성그룹

휴맥스

AMP 63기 일동

AMP 64기 일동

AMP 65기 일동

AMP 66기 일동

AMP 67기 일동

AMP 68기 일동

AMP 69기 일동

AMP 70기 일동

AMP 71기 일동

AMP 72기 일동

AMP 73기 일동

AMP 74기 일동

AMP 75기 일동

AMP 76기 일동

AMP 77기 일동

AMP 78기 일동

ASSET PLUS투자자문

E1

Eyagi(이야기) CAFE

Goldman Sachs

KDB대우증권

KRX국민행복재단

KTB투자증권

LG연암문화재단

NCSOFT

NHN

NXC

OB맥주

Qualcomm

SECMCA

SIMPAC ANC

SK CampC

SNU 프리시젼

S-Oil

SPARC 15 middot16 middot17 middot18기 일동

1억 원 이상 출연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LG삼성 한국전력공사SK

포스코 웅진한화농업협동조합중앙회

KT 부영신한금융 현대자동차

SPC IBK기업은행

태영현대 금호아시아나롯데장학재단

CJ 대림두산 한진

우리금융 미래국제재단

50억 원 이상 출연

조천식정치학과 45입

윤대섭농공학과 49입

100억 원 이상 출연

정석규화학공학과 48입

이용희태광사 회장

김정식 전자공학과 48입

유회진기계설계학과 78입

SNU Hono r C l ubDONATION

SNU Gold Honors Club

홍성대수학과 57입

이기영前 의대 교수

최창영금속공학과 64입

박영희수학교육과 54입

손장순불어불문학과 54입

유태용토목공학과 50입

김명희middot신정희기악과 91입 김형찬의 모

이필남 박상윤 윤전수middot이삼락

김연혁히로세코리아 감사

서정선의학과 70입

전은기middot김은희 백추현 곽영필토목공학과 56입

박완서의 상속인호원숙 호원순 호원경 호원균

이순자불어불문학과 57입

손동준전자공학과 59입

윤종용전자공학과 62입

정덕균전자공학과 77입

강옥채middot노병수공법학과 83입

민선식경제학과 78입

박병준섬유공학과 52입

서울대학교총동창회

양두석독어독문학과 69입

양윤홍전자공학과 63입

대우 카길애그리퓨리나 동진쎄미켐 하나금융지주

동원 동양 KB금융지주 대우조선해양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대성 로이드선급협회 아시아일진

한국가스공사 녹십자 생명보험협회 현대중공업

메가스터디 TOYOTA MOTOR CORP SK하이닉스 서울장학재단

STX 농심 무한투자 이연제약

대우인터내셔널 송원김영환장학재단 형애장학회 신풍제약

10억 원 이상 출연

현대산업개발

스페코middot삼익악기

영원무역

쌍용양회공업

영원아웃도어

환인제약 주식회사

한국프뢰벨

37 36

춘강문화장학재단 (박성형 이사장)

허성도 (인문대학 명예교수)

형남진장학재단 (이정희 이사장)

강남구청

김형렬 (윤리교육과 교수)

공병영 (사무국장middot시설관리국장)

신흥 (이용익 대표이사)

서영길 (광산학과 53입)

일중장학재단 (송윤영 이사장)

금곡장학회 (이수상 이사장)

덕원장학회 (이헌경 이사장)

강현구 (건축학과 교수)

김명환 (조선해양공학과 75입)

김영수 (법과대학 60입)

김영운 (재료공학부 교수)

서강문 (동물병원 원장)

서동규 (경영학과 84입)

송희영 (영어영문학과 74입)

이근무 (사회학과 56입)

이재호 (경영학과 84입)

주식회사 KTampG 남서울본부 (박정욱 본부장)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박기용 이사장)

가송재단 (윤도준 이사장)

강스템바이오텍 (강경선 대표이사)

유한회사 본음인베스트먼트

이진경 (전국낙지자랑 대표)

주리아 (치과대학 04입)

한승장학회 (이재영 이사장)

키움증권 (권용원 대표이사)

협성문화재단 (박석귀 이사장)

윤상혁 (디자인학부 03입)

GS칼텍스 (허동수 대표이사 회장)

권규돈 (중어중문학과 13입 권기범의 부)

김경준 (농경제학과 82입)

김용팔 (수의과대학 75입)

김재홍 (수의학과 교수)

김진태 (법학과 71입)

문대원 (경영학과 71입)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오근택 대표이사)

박세창 (수의학과 교수)

산학협동재단 (한덕수 이사장)

선암장학재단 (윤호철 이사장)

성제경 (수의학과 교수)

송재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우광덕 (치과대학 64입)

유기윤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유한상 (수의학과 교수)

윤여성 (수의학과 교수)

윤정희 (수의학과대학 부학장)

윤화영 (수의학과 교수)

이건목원리한방병원 (이건목 원장)

이소영 (수의학과 교수)

이항 (수의학과 교수)

이희근 (공과대학 명예교수)

조무제 (법학과 65입)

조성범 (수의학과 교수)

조제열 (수의학과 교수)

중앙백신연구소 (윤인중 대표이사)

지티앤티 (이세한 대표이사)

채찬희 (수의학과 교수)

태평소금 (손일선 회장)

한호재 (수의학과 교수)

해마루 (김현욱 원장)

황인구 (수의학과 교수)

조선에듀케이션 (방정오 대표이사)

강진영 (의학과 69입)

김정기 (법학과 75입)

박달이 (간호대학 74입)

박재완

사회복지법인 건아재단 (심철환 이사장)

손정식 (제약학과 73입)

윤재석 (화학교육과 71입)

이도환 (치의학과 86입)

이동식 (영어교육과 72입)

홍기택 (경영학과 74입)

KT (황창규 대표이사 회장)

LG PC 유지보수센터 (박무광 대표이사)

광주시민장학회 (박기준 이사장)

박영임 (간호학과 73입)

사명희치과 (사명희 원장)

연당장학회 (남욱 회장)

우정장학문화재단 (강백영 이사장)

제노에너지 (김성철 대표이사)

신우호 (화학교육과 87입)

이병욱 (조경학과 81입)

정혜선 (간호학과 82입)

허종필 (공업화학과 73입)

권길주 (조선해양공학과 11입 정지원의 모)

권혜숙 (약학과 82입)

김미영 (간호학과 98입)

김범진 (턱교정학고급연수과정 6기)

김성열 (교육학과 75입)

김우진 (국악과 73입)

녹십자수의약품 (김승목 대표이사)

덕영재단 (전헬리시아 이사장)

류제하 (기계공학과 78입)

문수자동판매기 (김영식 대표)

민기복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민동홍 (독어독문학과 77입)

박종철 (물리학과 61입)

설재연 (심리학과 82입)

송은도 (국악과 01입)

유차영 (ASP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 12기)

신우개발 서울지점 (김익환 사장)

신하순 (동양화과 교수)

안석준 (치의과대학원 부원장

안휘준 (인문대학 명예교수)

양민영 (협동과정 미술교육전공 94입)

양형식 (자원공학과 75입)

옥복연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07입)

우경미 (치의학대학원 교수)

우성공원묘원 (허정산 대표)

우성원 (미학과 95입)

월악장학문화재단 (남기영 이사장)

유건선 (토목공학과 73입)

유흥수 (법학과 58입)

윤희정 (수의학과 교수)

이대혁 (자원공학과 87입)

이병천 (수의학과 교수)

이상돈 (에너지자원공학과 84입)

이승주 (치의학과 92입)

이시우 (의예과 95입)

이용규 (경영학과 84입)

이정인 (공과대학 명예교수)

이희석 (농생물과 57입)

임종후 (서양화과 12입 임지윤의 부)

임한조 (물리학과 67입)

전석원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정소걸 (자원공학과 71입)

정지훈 (치의학과 교수)

조경란 (법학과 79입)

조기웅 (화학과 66입)

조현욱 (사법학과 83입)

최명애 (회화과 70입)

최정욱 (경영학과 84입)

최종길 (법과대학 83입)

하종철 (동양화과 13입 하문원의 부)

한공창 (자원공학과 72입)

한국지하수지열협회 (안근묵 회장)

허형무 (경영대학 68입)

미주재단

Steve Ro (토목공학과 61입)

Soung Kim (임학과 56입)

Joong M Soh (공과대학 64입)

John Baek (금속공학 49입)

Hyunchan Lee (치과대학 70입)

Steve amp Cheryl Shapiro

Kwang S Hong (공과대학 60입)

Moon H Kim (공과대학 68입)

David Cho (공과대학 60입)

Dong Ku Chung (기계공학과 57입)

Sang Dae Lee (농업생명과학대학 80입)

Young D Kim (공과대학 67입)

AMP 78기 일동

삼성복지재단 (이수빈 이사장)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한국세포주연구재단

SK하이닉스 (박성욱 대표이사 사장)

패션그룹형지 (최병오 회장)

한국수력원자력 (조석 사장)

형애장학회 (최효종 이사장)

송원김영환장학재단 (김해련 이사장)

사회복지법인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이기수 이사장)

SECMCA

TOYOTA MOTOR CORP

(요시다 아키히사 대표이사 사장)

권욱현 (공과대학 명예교수)

네이버 (김상헌 대표이사)

부경양돈협동조합 (박재민 조합장)

안인희

전국경제인연합회 (허창수 회장)

현송교육문화재단 (김정일 이사장)

롯데장학재단 (신영자 이사장)

일주학술문화재단 (이선애 이사장)

현대차 정몽구 재단 (유영학 이사장)

박미혜 (성악과 교수)

LG연암문화재단 (구자경 이사장)

KeyGene (Arjen van Tunnen CEO)

아산사회복지재단 (정몽준 이사장)

천만장학회 (이광현 이사장)

방일영문화재단 (조연흥 이사장)

AMP 77기 일동

신라문화장학재단 (박준형 이사장)

SBS문화재단 (윤세영 이사장)

김만극 (약학과 47입)

아이바이오 (김기일 대표이사)

현대엔지니어링 (김위철 대표이사)

종근당고촌재단 (김두현 이사장)

정수장학회 (김삼천 이사장)

Kensary LLP

앨트웰민초장학재단 (김박 이사장)

한국동서발전 (장주옥 사장)

한화갤러리아 (박세훈 대표이사)

한화생명보험 (차남규 대표이사 사장)

한화손해보험 (박윤식 대표이사)

한화첨단소재 (김창범 대표이사)

한화투자증권 (주진형 대표이사 사장)

KEILCO(KEPCO ILJAN CORPORATION)

연강재단 (박용현 이사장)

창강재단 (안병표 이사장)

경기도 인재개발원 (박익수 원장)

대림수암장학문화재단 (변형윤 이사장)

청합장학회 (여상길 회장)

한빛종합동물병원 (임정식 원장)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716900000

364863690

317560000

250000000

220000000

200000000

200000000

150000000

142103500

140000000

139583000

13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98538000

89942000

82426000

70000000

67509000

67500000

62989000

59929000

59208000

53720000

51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44302000

42076000

40918000

40273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39677688

39035000

37244000

37068000

34780000

31047000

31000000

30300600

박종오 (영어영문학과 55입)

이상복 (ABKI문헌지식정보최고위과정 5기)

이상억 (인문대학 명예교수)

한화 (심경섭 대표이사)

한화건설 (김현중 부회장)

한화자산운용 (강신우 대표이사)

한화케미칼 (방한홍 대표이사)

한화호텔앤드리조트 (홍원기 대표이사)

오뚜기재단 (함태호 이사장)

유한재단 (이필상 이사장)

영원무역 (성기학 대표이사 회장)

서울대합창단동문회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전병원 이사장)

국가정책과정(ACAD) 77기 일동

배영수 (서양사학과 교수)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최윤 회장)

몬산토코리아유한회사

(벤자민 마크 후드리스 대표이사)

성련장학재단 (허연금 이사장)

고광우 (행정학과 53입)

김철수 (법과대학 명예교수)

대한적십자사 (유중근 총재)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성기학 이사장)

임현진 (사회과학대학 명예교수)

장문영 (화학과 59입)

재단법인 양영재단 (김상하 이사장)

조유근 (컴퓨터공학부 교수)

두을장학재단 (이인희 이사장)

과천시애향장학회 (신학수 이사장)

서울장학재단 (이경희 이사장)

왕한석 (인류학과 교수)

포니정장학재단 (정몽규 이사장)

조용준 (법학과 79입)

농어촌희망재단 (김달웅 이사장)

경동송천재단 (류덕희 이사장)

농생대 환경재료과학 교수일동

주식회사 천랩 (천종식 대표이사)

돈암장학회 (이용배 이사장)

인선문화재단 (박선영 이사장)

단암장학재단 (이봉서 이사장)

치과대학 치의학대학원 동창회

흥한재단 (박병석 이사장)

선화예술문화재단 (심재혁 대표)

한국미즈노 주식회사 (김창범 대표이사)

곽노섭 (수학과 49입)

19대 인문대 학장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김은선 (디자인학부 13입 조은지의 모)

서광훈 (약학대학 67입)

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ASP) 27기 동문

송재용 (경영학과 교수)

수도씨에이씨 (송명호 대표이사)

신한화구 (한봉근 대표)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28436000

27942000

26000000

24210000

24041200

23994234

22500000

20724000

20500000

20274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18779000

17973600

17934000

17600000

17050000

17000000

165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4000000

14000000

13500000

12000000

12000000

11602000

11102610

10281624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이앤티 (고영호 대표이사)

재단법인 정민 (윤석헌 이사장)

제11기 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천병년 (약학과 77입)

최민철 (농공학과 75입)

현대하이스코 (신성재 대표이사)

황효진 (동양사학과 78입)

대한사료주식회사 (이상민 대표이사)

해성문화재단 (단재완 이사장)

한국가스공사 (장석효 사장)

장석윤 (약학과 79입)

한국석유공사 (서문규 사장)

종로구장학회 (최현종 이사장)

동부문화재단 (강경식 이사장)

인촌기념회 (이용훈 이사장)

용옥장학문화재단 (양철우 이사장)

미래의동반자재단 (Jeffrey D Jones 이사장)

성옥문화재단 (이화일 이사장)

다래파크텍 (김호정 대표이사)

미래인재육성재단 (최양식 이사장)

고화장학회 (배명인 이사장)

한국애질런트테크놀로지스 (박시영 대표)

이재원 (중앙도서관 정보관리과)

리브로 (김경수 대표이사)

오운문화재단 (이동찬 이사장)

조비경농장학재단 (이병만 이사장)

오스템임플란트 (최규옥 대표이사)

한국섬유산업연합회장학재단 (노희찬 이사장)

아카넷 (김정호 사장)

삼송장학회 (김영기 이사장)

서지희 (IFP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11기)

김지호

서울상공회의소 관악구상공회 (김진철 회장)

송파재단 (윤원영 이사장)

김영윤 (토목공학과 62입)

로보로보 (장창남 대표이사)

류판동 (수의과대학장)

모르페우스 (김진수 대표이사)

박윤서 (고고인류학과 69입)

박찬국 (철학과 교수)

송인석 (치의학과 01입)

시그나사회공헌재단 (홍봉성 이사장)

신남식 (수의학과 교수)

약학대학 40회 동기회

와이비엠 (민선식 대표이사)

이필상 (경제학부 교수)

한국경제연구원 (권태신 원장)

황만순 (제약학과 90입)

운경재단 (배성동 이사장)

제봉민병욱장학재단

심명문화재단 (이경재 이사장)

홍산장학재단 (천영주 이사장)

홍수현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9730000

9528000

9140000

9000000

9000000

8690000

8525000

8525000

8178000

8112000

7963000

7928068

7713000

7500000

7000000

6950000

6919590

6058000

6010000

6000000

6000000

5700000

5400000

5357143

5100000

5100000

5089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4934000

4734000

4527000

4500000

4462280

4000000

4000000

4000000

3956000

3862000

3600000

3500000

3029000

3029000

3005000

3005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2706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467000

2467000

22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1865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5145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431445

1221251

1210000

108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단위 $

100000

10000

5000

3000

500

500

200

200

100

100

100

100

20140601 ~ 20140831 약정 단위 원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약정DONATION

39 38

김형렬 (윤리교육과 교수)

이정진 (기계항공공학부 95입)

신흥 (이용익 대표이사)

이창우 (경영학과 교수)

서영길 (광산학과 53입)

일중장학재단 (송윤영 이사장)

금곡장학회 (이수상 이사장)

덕원장학회 (이헌경 이사장)

강현구 (건축학과 교수)

김명환 (조선해양공학과 75입)

김영수 (법과대학 60입)

김영운 (재료공학부 교수)

김종원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김진학 (도시환경최고전문가과정 29기)

박훈 (기계공학과 63입)

서강문 (동물병원 원장)

서동규 (경영학과 84입)

송재홍 (농화학과 83입)

송희영 (영어영문학과 74입)

신남식 (수의학과 교수)

이규선 (조경middot지역시스템공학부 13입 이성용의 부)

이봉호 (치의예과 84입)

이재호 (경영학과 84입)

전병롱 (정책학과 10입 전상우의 부)

전호석 (기계설계학과 71입)

주식회사 KTampG 남서울본부 (박정욱 본부장)

최황 (의과대학 명예교수)

황철성 (재료공학부 교수)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박기용 이사장)

가송재단 (윤도준 이사장)

강스템바이오텍 (강경선 대표이사)

오이코스 (배장영 대표이사)

유한회사 본음인베스트먼트

이진경 (전국낙지자랑 대표)

한승장학회 (이재영 이사장)

윤용혁 (독어교육과 60입)

키움증권 (권용원 대표이사)

협성문화재단 (박석귀 이사장)

이강이 (아동가족학과 교수)

윤상혁 (디자인학부 03입)

윤화영 (수의학과 교수)

GS칼텍스 (허동수 대표이사 회장)

권규돈 (중어중문학과 13입 권기범의 부)

김경준 (농경제학과 82입)

김용팔 (수의과대학 75입)

김재홍 (수의학과 교수)

김진태 (법학과 71입)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이재술 대표이사)

문대원 (경영학과 71입)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오근택 대표이사)

박세창 (수의학과 교수)

산학협동재단 (한덕수 이사장)

선암장학재단 (윤호철 이사장)

성제경 (수의학과 교수)

송재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우광덕 (치과대학 64입)

유기윤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유한상 (수의학과 교수)

윤여성 (수의학과 교수)

윤정희 (수의학과 교수)

이건목원리한방병원 (이건목 원장)

이동진 (교무처 학사과)

이소영 (수의학과 교수)

이인숙 (간호대학 교수)

이항 (수의학과 교수)

이희근 (공과대학 명예교수)

조무제 (법학과 65입)

조성범 (수의학과 교수)

조제열 (수의학과 교수)

주식회사 오공 (김윤정 대표이사)

중앙백신연구소 (윤인중 대표이사)

지티앤티 (이세한 대표이사)

채찬희 (수의학과 교수)

태평소금 (손일선 회장)

한호재 (수의학과 교수)

해마루 (김현욱 원장)

황인구 (수의학과 교수)

조선에듀케이션 (방정오 대표이사)

사회복지법인 건아재단 (심철환 이사장)

KT (황창규 대표이사 회장)

광림교회 (김정석 담임목사)

광주시민장학회 (박기준 이사장)

김기원 (AIP최고산업전략과정 38기)

김상은 (융합과학부 교수)

김혜원 (간호학과 교수)

박종근 (전기공학과 교수)

서병태 (의학과 54입)

송경희 (국악과 59입)

연당장학회 (남욱 회장)

오유경 (약학대학 부학장)

우정장학문화재단 (강백영 이사장)

임현주 (약학과 82입)

전상직 (작곡과 교수)

주리아 (치과대학 04입)

한국마쯔다니 (유태균 대표이사)

홍영표 (GLP글로벌리더십과정 21기)

신우호 (화학교육과 87입)

류판동 (수의과대학장)

이병욱 (조경학과 81입)

김용백 (수의학과 교수)

김종암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정혜선 (간호학과 82입)

강부현 (수의학과 72입)

권길주 (조선해양공학과 11입 정지원의 모)

권혜숙 (약학과 82입)

김경대 (치의학과 82입)

김미영 (간호학과 98입)

김범진 (턱교정학고급연수과정 6기)

김성열 (교육학과 75입)

김종흔 (경영대학 92입)

김현산 (법과대학 54입)

녹십자수의약품 (김승목 대표이사)

덕영재단 (전헬리시아 이사장)

문수자동판매기 (김영식 대표)

민기복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민동홍 (독어독문학과 77입)

박병익 (지리교육과 교수)

박종철 (물리학과 61입)

설재연 (심리학과 82입)

송은도 (국악과 01입)

유차영 (ASP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 12기)

신우개발 서울지점 (김익환 사장)

신하순 (동양화과 교수)

안석준 (치의과대학원 부원장

안휘준 (인문대학 명예교수)

양민영 (협동과정 미술교육전공 94입)

양형식 (자원공학과 75입)

옥복연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07입)

우경미 (치의학대학원 교수)

우성공원묘원 (허정산 대표)

우성원 (미학과 95입)

월악장학문화재단 (남기영 이사장)

유건선 (토목공학과 73입)

유흥수 (법학과 58입)

윤희정 (수의학과 교수)

이기윤 (정치학과 88입)

이대혁 (자원공학과 87입)

이병천 (수의학과 교수)

이상돈 (에너지자원공학과 84입)

이승주 (치의학과 92입)

이시우 (의예과 95입)

이은수 (서울대운동용품 대표)

이정인 (공과대학 명예교수)

임종후 (서양화과 12입 임지윤의 부)

정소걸 (자원공학과 71입)

정지훈 (치의학과 교수)

조경란 (법학과 79입)

조기웅 (화학과 66입)

조현욱 (사법학과 83입)

최명애 (회화과 70입)

최정욱 (경영학과 84입)

최종길 (법과대학 83입)

최해영 (경영대학 행정실)

하종철 (동양화과 13입 하문원의 부)

한공창 (자원공학과 72입)

한국지하수지열협회 (안근묵 회장)

허형무 (경영대학 68입)

미주재단

Steve Ro (토목공학과 61입)

Soung Kim (임학과 56입)

Joong M Soh (공과대학 64입)

John Baek (금속공학 49입)

Hyunchan Lee (치과대학 70입)

Steve amp Cheryl Shapiro

Kwang S Hong (공과대학 60입)

Moon H Kim (공과대학 68입)

David Cho (공과대학 60입)

Dong Ku Chung (기계공학과 57입)

Sang Dae Lee (농업생명과학대학 80입)

Young D Kim (공과대학 67입)

서울대학교병원 (오병희 병원장)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이철희 병원장)

SK가스 (최창원 부회장)

AMP 78기 일동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윤강섭 병원장)

삼성전자 (권오현 대표이사 부회장)

SK하이닉스 (박성욱 대표이사 사장)

삼성복지재단 (이수빈 이사장)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한국세포주연구재단

하나제약 (조경일 회장)

코스맥스 (이경수 대표이사 회장)

패션그룹형지 (최병오 회장)

서울대학교총동창회 (서정화 회장)

한국수력원자력 (조석 사장)

형애장학회 (최효종 이사장)

송원김영환장학재단 (김해련 이사장)

사회복지법인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이기수 이사장)

TOYOTA MOTOR CORP

(요시다 아키히사 대표이사 사장)

권욱현 (공과대학 명예교수)

네이버 (김상헌 대표이사)

현송교육문화재단 (김정일 이사장)

롯데장학재단 (신영자 이사장)

일주학술문화재단 (이선애 이사장)

현대차 정몽구 재단 (유영학 이사장)

LG연암문화재단 (구자경 이사장)

SECMCA

아산사회복지재단 (정몽준 이사장)

천만장학회 (이광현 이사장)

방일영문화재단 (조연흥 이사장)

AMP 77기 일동

신라문화장학재단 (박준형 이사장)

KRX국민행복재단 (최경수 이사장)

SBS문화재단 (윤세영 이사장)

김만극 (약학과 47입)

농우바이오 (정용동 유연희 대표이사)

안인희

전국경제인연합회 (허창수 회장)

정윤환 (임학과 56입)

현대엔지니어링 (김위철 대표이사)

세진에프알에스 라쿠치나 서울대점 (장재훈 대표이사)

재단법인 웅진 (신현웅 이사장)

종근당고촌재단 (김두현 이사장)

정수장학회 (김삼천 이사장)

Kensary LLP

앨트웰민초장학재단 (김박 이사장)

주중광 허지영 (약학대학 60입 화학과 66입)

한국동서발전 (장주옥 사장)

한화갤러리아 (박세훈 대표이사)

한화생명보험 (차남규 대표이사 사장)

한화손해보험 (박윤식 대표이사)

한화첨단소재 (김창범 대표이사)

한화투자증권 (주진형 대표이사 사장)

KEILCO(KEPCO ILJAN CORPORATION)

연강재단 (박용현 이사장)

창강재단 (안병표 이사장)

경기도 인재개발원 (박익수 원장)

대림수암장학문화재단 (변형윤 이사장)

이상억 (인문대학 명예교수)

1432968520

1147748270

1000000000

716900000

615220390

600000000

560000000

364863690

317560000

250000000

220000000

210000000

200000000

200000000

166000000

150000000

142103500

140000000

139583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98538000

89942000

82426000

67509000

66598412

62989000

59929000

59208000

53720000

51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49800000

46522180

44302000

42076000

40918000

40273000

40204972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39677688

39035000

37244000

37068000

34780000

31800000

청합장학회 (여상길 회장)

한빛종합동물병원 (임정식 원장)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두산 (박용만 대표이사 회장)

송미순 (간호학과 교수)

이상복 (ABKI문헌지식정보최고위과정 5기)

한화 (심경섭 대표이사)

한화건설 (김현중 부회장)

한화자산운용 (강신우 대표이사)

한화케미칼 (방한홍 대표이사)

한화호텔앤드리조트 (홍원기 대표이사)

오뚜기재단 (함태호 이사장)

재단법인 최혁영 장학회 (최혁영 회장)

유한재단 (이필상 이사장)

영원무역 (성기학 대표이사 회장)

부경양돈협동조합 (박재민 조합장)

져스텍 (김용일 대표이사)

서울대합창단동문회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전병원 이사장)

국가정책과정(ACAD) 77기 일동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최윤 회장)

몬산토코리아유한회사

(벤자민 마크 후드리스 대표이사)

성련장학재단 (허연금 이사장)

고광우 (행정학과 53입)

대한적십자사 (유중근 총재)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성기학 이사장)

임현진 (사회학과 교수)

재단법인 양영재단 (김상하 이사장)

조유근 (컴퓨터공학부 교수)

두을장학재단 (이인희 이사장)

과천시애향장학회 (신학수 이사장)

서울장학재단 (이경희 이사장)

왕한석 (인류학과 교수)

포니정장학재단 (정몽규 이사장)

조용준 (법학과 79입)

농어촌희망재단 (김달웅 이사장)

경동송천재단 (류덕희 이사장)

김신원 (응용화학과 64입)

농생대 환경재료과학 교수일동

주식회사 천랩 (천종식 대표이사)

돈암장학회 (이용배 이사장)

인선문화재단 (박선영 이사장)

단암장학재단 (이봉서 이사장)

치과대학 치의학대학원 동창회

흥한재단 (박병석 이사장)

선화예술문화재단 (심재혁 대표)

한국미즈노 주식회사 (김창범 대표이사)

곽노섭 (수학과 49입)

19대 인문대 학장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김은선 (디자인학부 13입 조은지의 모)

바텍 (노창준 대표이사)

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ASP) 27기 동문

수도씨에이씨 (송명호 대표이사)

신한화구 (한봉근 대표)

이앤티 (고영호 대표이사)

장문영 (화학과 59입)

제11기 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조경일 (약학대학 64입)

주식회사 명진팜 (권기진 대표이사)

31047000

31000000

303006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28436000

28081000

27942000

26000000

25000366

25000000

24210000

24041200

23994234

20724000

20500000

20274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18779000

17973600

17934000

17600000

17050000

17000000

165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4000000

14000000

13500000

12000000

12000000

11602000

11102610

10281624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천병년 (약학과 77입)

최민철 (농공학과 75입)

현대하이스코 (신성재 대표이사)

황효진 (동양사학과 78입)

대한사료주식회사 (이상민 대표이사)

해성문화재단 (단재완 이사장)

한국가스공사 (장석효 사장)

김춘길 (화학생물공학부 58입)

애드미션 (김유탁 대표이사)

종로구장학회 (최현종 이사장)

동부문화재단 (강경식 이사장)

인촌기념회 (이용훈 이사장)

용옥장학문화재단 (양철우 이사장)

미래의동반자재단 (Jeffrey D Jones 이사장)

김영윤 (토목공학과 62입)

성옥문화재단 (이화일 이사장)

다래파크텍 (김호정 대표이사)

미래인재육성재단 (최양식 이사장)

고화장학회 (배명인 이사장)

이재원 (중앙도서관 정보관리과)

리브로 (김경수 대표이사)

오운문화재단 (이동찬 이사장)

조비경농장학재단 (이병만 이사장)

박지향 (중앙도서관장)

오스템임플란트 (최규옥 대표이사)

한국섬유산업연합회장학재단 (노희찬 이사장)

한옥희 (화학과 79입)

아카넷 (김정호 사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정기택 원장)

삼송장학회 (김영기 이사장)

서지희 (IFP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11기)

김지호

서울상공회의소 관악구상공회 (김진철 회장)

박찬국 (철학과 교수)

송파재단 (윤원영 이사장)

김재길 (법학과 56입)

로보로보 (장창남 대표이사)

모르페우스 (김진수 대표이사)

박성경 정성창 (치의학과 96입)

박윤서 (고고인류학과 69입)

서용석 (상학과 46입) 정재원

송인석 (치의학과 01입)

송재용 (경영학과 교수)

시그나사회공헌재단 (홍봉성 이사장)

약학대학 40회 동기회

와이비엠 (민선식 대표이사)

이필상 (경제학부 교수)

한국경제연구원 (권태신 원장)

황만순 (제약학과 90입)

운경재단 (배성동 이사장)

제봉민병욱장학재단

심명문화재단 (이경재 이사장)

홍산장학재단 (천영주 이사장)

홍수현

박미혜 (성악과 교수)

박영아 (물리학과 79입)

최동하 (농경제학과 71입)

춘강문화장학재단 (박성형 이사장)

허성도 (인문대학 명예교수)

형남진장학재단 (이정희 이사장)

강남구청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9730000

9528000

9140000

9000000

9000000

8690000

8525000

8525000

8178000

8112000

8000000

7963000

7928068

7713000

7500000

6950000

6919590

6058000

6010000

6000000

6000000

6000000

6000000

5700000

5556000

5400000

5357143

5100000

5100000

5090000

5089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4934000

4734000

4527000

4500000

446228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3956000

3862000

3750000

3500000

3120000

3029000

3029000

3005000

3005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2706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467000

2467000

2467000

2400000

2230000

215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1865000

1800000

15145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431445

1300000

1275251

1260000

1200000

106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단위 $

100000

10000

5000

3000

500

500

200

200

100

100

100

100

단위 원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20140601 ~ 20140831 출연

출연DONATION

40

서울대학교는 기부금을 출연한 후원인에게 더욱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국내 최고 수준의 의

료서비스를 자랑하는 서울대학교병원 이용 예우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으며 서울대학교병원 후원인

라운지에 상주하는 전담 직원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후원자 중 추가 진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본원 또는 분당 서울대학교병원과의 즉각

적인 연계가 가능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 본원 조윤지 | Tel 02-2272-2750 E-mail sosunolovesnuackr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강수정 | Tel 031-787-1915 E-mail c8541snubhorg

(재)서울대학교발전기금 김종희 | Tel 02-871-1633 E-mail p2727snuackr

bull병원 예우 담당자

bull서울대학교병원 예우 서비스 이용 안내

예약대행 서비스 | 진료 및 입원 예약 대행 병원 측과 협의 후 예약일자 결정

의전 서비스 | 진료middot입원middot응급실 이용 편의를 위해 예우 담당자가 직접 안내

종합건강검진 주선 서비스(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bull서울대학교병원 예우 서비스 내용

지원 자격 활동 기간

bull경제적 지원이 필요한 학생

(건강보험료 기준) 우선 선발

bull성적 45만점 환산 30 이상

lsquo 새싹 멘토링rsquo은 빈곤의 대물림을 막기 위한 자선 봉사활동으로

전국 국공립대학의 우수한 학생이 저소득층 중middot고등학생의

학습을 도우며 장학금을 받는 프로그램입니다

bull최소 6개월~12개월

bull활동 실적에 따라 졸업 시까지

연차적으로 기회 부여

새싹멘토링의

멘토가

되어주세요

bull전화 02-880-1593(새싹 멘토링 서울대학교 본부) bull팩스 02-780-2647(미래국제재단 여의도 본사)

bull이메일 mifsnuhanmailnet 새싹 멘토링 지원 방법 문의 시 상세히 안내해드립니다

서울대학교와 미래국제재단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봉사활동에 학생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다립니다

기부인의 따뜻한 마음에

다양한 혜택의 예우 서비스로

보답합니다

출연 기금 진료예약 의전 서비스 종합건강검진 주선

50억 이상 평생 평생 연 1회(평생 프리미엄 검진)

10억 이상 평생 10년 연 1회(평생)

5억 이상

1억 원당 1년(기한)

5년

1억 원당 연 1회(기한)3억 이상 3년

1억 이상 1년

서울대학교병원 본원 후원인 전담 직원이 진료 예약 및 의전 서비스까지 친절하게 안내해 드립니다

문의처 병원 후원인 라운지(본관 3층) 또는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후원인 전담 직원이 진료 예약 및 의전 서비스까지 친절하게 안내해 드립니다

문의처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또는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강남센터와의 즉각적인 연계를 통해 강남센터 상담 직원이 후원자 여러분께 상담 전화를 드립니다

문의처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기부인 예우 프로그램DONATION

SeoulNational University

151-742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1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

T 02-880-5114 F 02-885-5272wwwsnuackr

C o v e r S t o r y

과학자의 공식

좋은 연구를 하겠다는 신념으로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걸어온 사람

miRNA 분야의 세계적인 개척자 김빛내리 교수다

그녀는 노벨상 수상에 가장 근접한 국내 과학자로 꼽힌다

도전과 실패 인내를 거듭하며 세계적인 과학자 반열에 오르기까지

그녀의 행보를 통해 성공과 신뢰 만족을 얻는 인생 공식을 알아본다

Page 20: SNU Magazine Vol. 38 › new › wp-content › uploads › 2015 › 12 › snu_people... · 2016-01-30 · 우수 연구자 시리즈 10 유상렬 농생명공학부 교수 06 선배와의

37 36

춘강문화장학재단 (박성형 이사장)

허성도 (인문대학 명예교수)

형남진장학재단 (이정희 이사장)

강남구청

김형렬 (윤리교육과 교수)

공병영 (사무국장middot시설관리국장)

신흥 (이용익 대표이사)

서영길 (광산학과 53입)

일중장학재단 (송윤영 이사장)

금곡장학회 (이수상 이사장)

덕원장학회 (이헌경 이사장)

강현구 (건축학과 교수)

김명환 (조선해양공학과 75입)

김영수 (법과대학 60입)

김영운 (재료공학부 교수)

서강문 (동물병원 원장)

서동규 (경영학과 84입)

송희영 (영어영문학과 74입)

이근무 (사회학과 56입)

이재호 (경영학과 84입)

주식회사 KTampG 남서울본부 (박정욱 본부장)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박기용 이사장)

가송재단 (윤도준 이사장)

강스템바이오텍 (강경선 대표이사)

유한회사 본음인베스트먼트

이진경 (전국낙지자랑 대표)

주리아 (치과대학 04입)

한승장학회 (이재영 이사장)

키움증권 (권용원 대표이사)

협성문화재단 (박석귀 이사장)

윤상혁 (디자인학부 03입)

GS칼텍스 (허동수 대표이사 회장)

권규돈 (중어중문학과 13입 권기범의 부)

김경준 (농경제학과 82입)

김용팔 (수의과대학 75입)

김재홍 (수의학과 교수)

김진태 (법학과 71입)

문대원 (경영학과 71입)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오근택 대표이사)

박세창 (수의학과 교수)

산학협동재단 (한덕수 이사장)

선암장학재단 (윤호철 이사장)

성제경 (수의학과 교수)

송재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우광덕 (치과대학 64입)

유기윤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유한상 (수의학과 교수)

윤여성 (수의학과 교수)

윤정희 (수의학과대학 부학장)

윤화영 (수의학과 교수)

이건목원리한방병원 (이건목 원장)

이소영 (수의학과 교수)

이항 (수의학과 교수)

이희근 (공과대학 명예교수)

조무제 (법학과 65입)

조성범 (수의학과 교수)

조제열 (수의학과 교수)

중앙백신연구소 (윤인중 대표이사)

지티앤티 (이세한 대표이사)

채찬희 (수의학과 교수)

태평소금 (손일선 회장)

한호재 (수의학과 교수)

해마루 (김현욱 원장)

황인구 (수의학과 교수)

조선에듀케이션 (방정오 대표이사)

강진영 (의학과 69입)

김정기 (법학과 75입)

박달이 (간호대학 74입)

박재완

사회복지법인 건아재단 (심철환 이사장)

손정식 (제약학과 73입)

윤재석 (화학교육과 71입)

이도환 (치의학과 86입)

이동식 (영어교육과 72입)

홍기택 (경영학과 74입)

KT (황창규 대표이사 회장)

LG PC 유지보수센터 (박무광 대표이사)

광주시민장학회 (박기준 이사장)

박영임 (간호학과 73입)

사명희치과 (사명희 원장)

연당장학회 (남욱 회장)

우정장학문화재단 (강백영 이사장)

제노에너지 (김성철 대표이사)

신우호 (화학교육과 87입)

이병욱 (조경학과 81입)

정혜선 (간호학과 82입)

허종필 (공업화학과 73입)

권길주 (조선해양공학과 11입 정지원의 모)

권혜숙 (약학과 82입)

김미영 (간호학과 98입)

김범진 (턱교정학고급연수과정 6기)

김성열 (교육학과 75입)

김우진 (국악과 73입)

녹십자수의약품 (김승목 대표이사)

덕영재단 (전헬리시아 이사장)

류제하 (기계공학과 78입)

문수자동판매기 (김영식 대표)

민기복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민동홍 (독어독문학과 77입)

박종철 (물리학과 61입)

설재연 (심리학과 82입)

송은도 (국악과 01입)

유차영 (ASP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 12기)

신우개발 서울지점 (김익환 사장)

신하순 (동양화과 교수)

안석준 (치의과대학원 부원장

안휘준 (인문대학 명예교수)

양민영 (협동과정 미술교육전공 94입)

양형식 (자원공학과 75입)

옥복연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07입)

우경미 (치의학대학원 교수)

우성공원묘원 (허정산 대표)

우성원 (미학과 95입)

월악장학문화재단 (남기영 이사장)

유건선 (토목공학과 73입)

유흥수 (법학과 58입)

윤희정 (수의학과 교수)

이대혁 (자원공학과 87입)

이병천 (수의학과 교수)

이상돈 (에너지자원공학과 84입)

이승주 (치의학과 92입)

이시우 (의예과 95입)

이용규 (경영학과 84입)

이정인 (공과대학 명예교수)

이희석 (농생물과 57입)

임종후 (서양화과 12입 임지윤의 부)

임한조 (물리학과 67입)

전석원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정소걸 (자원공학과 71입)

정지훈 (치의학과 교수)

조경란 (법학과 79입)

조기웅 (화학과 66입)

조현욱 (사법학과 83입)

최명애 (회화과 70입)

최정욱 (경영학과 84입)

최종길 (법과대학 83입)

하종철 (동양화과 13입 하문원의 부)

한공창 (자원공학과 72입)

한국지하수지열협회 (안근묵 회장)

허형무 (경영대학 68입)

미주재단

Steve Ro (토목공학과 61입)

Soung Kim (임학과 56입)

Joong M Soh (공과대학 64입)

John Baek (금속공학 49입)

Hyunchan Lee (치과대학 70입)

Steve amp Cheryl Shapiro

Kwang S Hong (공과대학 60입)

Moon H Kim (공과대학 68입)

David Cho (공과대학 60입)

Dong Ku Chung (기계공학과 57입)

Sang Dae Lee (농업생명과학대학 80입)

Young D Kim (공과대학 67입)

AMP 78기 일동

삼성복지재단 (이수빈 이사장)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한국세포주연구재단

SK하이닉스 (박성욱 대표이사 사장)

패션그룹형지 (최병오 회장)

한국수력원자력 (조석 사장)

형애장학회 (최효종 이사장)

송원김영환장학재단 (김해련 이사장)

사회복지법인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이기수 이사장)

SECMCA

TOYOTA MOTOR CORP

(요시다 아키히사 대표이사 사장)

권욱현 (공과대학 명예교수)

네이버 (김상헌 대표이사)

부경양돈협동조합 (박재민 조합장)

안인희

전국경제인연합회 (허창수 회장)

현송교육문화재단 (김정일 이사장)

롯데장학재단 (신영자 이사장)

일주학술문화재단 (이선애 이사장)

현대차 정몽구 재단 (유영학 이사장)

박미혜 (성악과 교수)

LG연암문화재단 (구자경 이사장)

KeyGene (Arjen van Tunnen CEO)

아산사회복지재단 (정몽준 이사장)

천만장학회 (이광현 이사장)

방일영문화재단 (조연흥 이사장)

AMP 77기 일동

신라문화장학재단 (박준형 이사장)

SBS문화재단 (윤세영 이사장)

김만극 (약학과 47입)

아이바이오 (김기일 대표이사)

현대엔지니어링 (김위철 대표이사)

종근당고촌재단 (김두현 이사장)

정수장학회 (김삼천 이사장)

Kensary LLP

앨트웰민초장학재단 (김박 이사장)

한국동서발전 (장주옥 사장)

한화갤러리아 (박세훈 대표이사)

한화생명보험 (차남규 대표이사 사장)

한화손해보험 (박윤식 대표이사)

한화첨단소재 (김창범 대표이사)

한화투자증권 (주진형 대표이사 사장)

KEILCO(KEPCO ILJAN CORPORATION)

연강재단 (박용현 이사장)

창강재단 (안병표 이사장)

경기도 인재개발원 (박익수 원장)

대림수암장학문화재단 (변형윤 이사장)

청합장학회 (여상길 회장)

한빛종합동물병원 (임정식 원장)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716900000

364863690

317560000

250000000

220000000

200000000

200000000

150000000

142103500

140000000

139583000

13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98538000

89942000

82426000

70000000

67509000

67500000

62989000

59929000

59208000

53720000

51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44302000

42076000

40918000

40273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39677688

39035000

37244000

37068000

34780000

31047000

31000000

30300600

박종오 (영어영문학과 55입)

이상복 (ABKI문헌지식정보최고위과정 5기)

이상억 (인문대학 명예교수)

한화 (심경섭 대표이사)

한화건설 (김현중 부회장)

한화자산운용 (강신우 대표이사)

한화케미칼 (방한홍 대표이사)

한화호텔앤드리조트 (홍원기 대표이사)

오뚜기재단 (함태호 이사장)

유한재단 (이필상 이사장)

영원무역 (성기학 대표이사 회장)

서울대합창단동문회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전병원 이사장)

국가정책과정(ACAD) 77기 일동

배영수 (서양사학과 교수)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최윤 회장)

몬산토코리아유한회사

(벤자민 마크 후드리스 대표이사)

성련장학재단 (허연금 이사장)

고광우 (행정학과 53입)

김철수 (법과대학 명예교수)

대한적십자사 (유중근 총재)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성기학 이사장)

임현진 (사회과학대학 명예교수)

장문영 (화학과 59입)

재단법인 양영재단 (김상하 이사장)

조유근 (컴퓨터공학부 교수)

두을장학재단 (이인희 이사장)

과천시애향장학회 (신학수 이사장)

서울장학재단 (이경희 이사장)

왕한석 (인류학과 교수)

포니정장학재단 (정몽규 이사장)

조용준 (법학과 79입)

농어촌희망재단 (김달웅 이사장)

경동송천재단 (류덕희 이사장)

농생대 환경재료과학 교수일동

주식회사 천랩 (천종식 대표이사)

돈암장학회 (이용배 이사장)

인선문화재단 (박선영 이사장)

단암장학재단 (이봉서 이사장)

치과대학 치의학대학원 동창회

흥한재단 (박병석 이사장)

선화예술문화재단 (심재혁 대표)

한국미즈노 주식회사 (김창범 대표이사)

곽노섭 (수학과 49입)

19대 인문대 학장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김은선 (디자인학부 13입 조은지의 모)

서광훈 (약학대학 67입)

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ASP) 27기 동문

송재용 (경영학과 교수)

수도씨에이씨 (송명호 대표이사)

신한화구 (한봉근 대표)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28436000

27942000

26000000

24210000

24041200

23994234

22500000

20724000

20500000

20274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18779000

17973600

17934000

17600000

17050000

17000000

165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4000000

14000000

13500000

12000000

12000000

11602000

11102610

10281624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이앤티 (고영호 대표이사)

재단법인 정민 (윤석헌 이사장)

제11기 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천병년 (약학과 77입)

최민철 (농공학과 75입)

현대하이스코 (신성재 대표이사)

황효진 (동양사학과 78입)

대한사료주식회사 (이상민 대표이사)

해성문화재단 (단재완 이사장)

한국가스공사 (장석효 사장)

장석윤 (약학과 79입)

한국석유공사 (서문규 사장)

종로구장학회 (최현종 이사장)

동부문화재단 (강경식 이사장)

인촌기념회 (이용훈 이사장)

용옥장학문화재단 (양철우 이사장)

미래의동반자재단 (Jeffrey D Jones 이사장)

성옥문화재단 (이화일 이사장)

다래파크텍 (김호정 대표이사)

미래인재육성재단 (최양식 이사장)

고화장학회 (배명인 이사장)

한국애질런트테크놀로지스 (박시영 대표)

이재원 (중앙도서관 정보관리과)

리브로 (김경수 대표이사)

오운문화재단 (이동찬 이사장)

조비경농장학재단 (이병만 이사장)

오스템임플란트 (최규옥 대표이사)

한국섬유산업연합회장학재단 (노희찬 이사장)

아카넷 (김정호 사장)

삼송장학회 (김영기 이사장)

서지희 (IFP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11기)

김지호

서울상공회의소 관악구상공회 (김진철 회장)

송파재단 (윤원영 이사장)

김영윤 (토목공학과 62입)

로보로보 (장창남 대표이사)

류판동 (수의과대학장)

모르페우스 (김진수 대표이사)

박윤서 (고고인류학과 69입)

박찬국 (철학과 교수)

송인석 (치의학과 01입)

시그나사회공헌재단 (홍봉성 이사장)

신남식 (수의학과 교수)

약학대학 40회 동기회

와이비엠 (민선식 대표이사)

이필상 (경제학부 교수)

한국경제연구원 (권태신 원장)

황만순 (제약학과 90입)

운경재단 (배성동 이사장)

제봉민병욱장학재단

심명문화재단 (이경재 이사장)

홍산장학재단 (천영주 이사장)

홍수현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9730000

9528000

9140000

9000000

9000000

8690000

8525000

8525000

8178000

8112000

7963000

7928068

7713000

7500000

7000000

6950000

6919590

6058000

6010000

6000000

6000000

5700000

5400000

5357143

5100000

5100000

5089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4934000

4734000

4527000

4500000

4462280

4000000

4000000

4000000

3956000

3862000

3600000

3500000

3029000

3029000

3005000

3005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2706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467000

2467000

22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1865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800000

15145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431445

1221251

1210000

108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단위 $

100000

10000

5000

3000

500

500

200

200

100

100

100

100

20140601 ~ 20140831 약정 단위 원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약정DONATION

39 38

김형렬 (윤리교육과 교수)

이정진 (기계항공공학부 95입)

신흥 (이용익 대표이사)

이창우 (경영학과 교수)

서영길 (광산학과 53입)

일중장학재단 (송윤영 이사장)

금곡장학회 (이수상 이사장)

덕원장학회 (이헌경 이사장)

강현구 (건축학과 교수)

김명환 (조선해양공학과 75입)

김영수 (법과대학 60입)

김영운 (재료공학부 교수)

김종원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김진학 (도시환경최고전문가과정 29기)

박훈 (기계공학과 63입)

서강문 (동물병원 원장)

서동규 (경영학과 84입)

송재홍 (농화학과 83입)

송희영 (영어영문학과 74입)

신남식 (수의학과 교수)

이규선 (조경middot지역시스템공학부 13입 이성용의 부)

이봉호 (치의예과 84입)

이재호 (경영학과 84입)

전병롱 (정책학과 10입 전상우의 부)

전호석 (기계설계학과 71입)

주식회사 KTampG 남서울본부 (박정욱 본부장)

최황 (의과대학 명예교수)

황철성 (재료공학부 교수)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박기용 이사장)

가송재단 (윤도준 이사장)

강스템바이오텍 (강경선 대표이사)

오이코스 (배장영 대표이사)

유한회사 본음인베스트먼트

이진경 (전국낙지자랑 대표)

한승장학회 (이재영 이사장)

윤용혁 (독어교육과 60입)

키움증권 (권용원 대표이사)

협성문화재단 (박석귀 이사장)

이강이 (아동가족학과 교수)

윤상혁 (디자인학부 03입)

윤화영 (수의학과 교수)

GS칼텍스 (허동수 대표이사 회장)

권규돈 (중어중문학과 13입 권기범의 부)

김경준 (농경제학과 82입)

김용팔 (수의과대학 75입)

김재홍 (수의학과 교수)

김진태 (법학과 71입)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이재술 대표이사)

문대원 (경영학과 71입)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오근택 대표이사)

박세창 (수의학과 교수)

산학협동재단 (한덕수 이사장)

선암장학재단 (윤호철 이사장)

성제경 (수의학과 교수)

송재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우광덕 (치과대학 64입)

유기윤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유한상 (수의학과 교수)

윤여성 (수의학과 교수)

윤정희 (수의학과 교수)

이건목원리한방병원 (이건목 원장)

이동진 (교무처 학사과)

이소영 (수의학과 교수)

이인숙 (간호대학 교수)

이항 (수의학과 교수)

이희근 (공과대학 명예교수)

조무제 (법학과 65입)

조성범 (수의학과 교수)

조제열 (수의학과 교수)

주식회사 오공 (김윤정 대표이사)

중앙백신연구소 (윤인중 대표이사)

지티앤티 (이세한 대표이사)

채찬희 (수의학과 교수)

태평소금 (손일선 회장)

한호재 (수의학과 교수)

해마루 (김현욱 원장)

황인구 (수의학과 교수)

조선에듀케이션 (방정오 대표이사)

사회복지법인 건아재단 (심철환 이사장)

KT (황창규 대표이사 회장)

광림교회 (김정석 담임목사)

광주시민장학회 (박기준 이사장)

김기원 (AIP최고산업전략과정 38기)

김상은 (융합과학부 교수)

김혜원 (간호학과 교수)

박종근 (전기공학과 교수)

서병태 (의학과 54입)

송경희 (국악과 59입)

연당장학회 (남욱 회장)

오유경 (약학대학 부학장)

우정장학문화재단 (강백영 이사장)

임현주 (약학과 82입)

전상직 (작곡과 교수)

주리아 (치과대학 04입)

한국마쯔다니 (유태균 대표이사)

홍영표 (GLP글로벌리더십과정 21기)

신우호 (화학교육과 87입)

류판동 (수의과대학장)

이병욱 (조경학과 81입)

김용백 (수의학과 교수)

김종암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정혜선 (간호학과 82입)

강부현 (수의학과 72입)

권길주 (조선해양공학과 11입 정지원의 모)

권혜숙 (약학과 82입)

김경대 (치의학과 82입)

김미영 (간호학과 98입)

김범진 (턱교정학고급연수과정 6기)

김성열 (교육학과 75입)

김종흔 (경영대학 92입)

김현산 (법과대학 54입)

녹십자수의약품 (김승목 대표이사)

덕영재단 (전헬리시아 이사장)

문수자동판매기 (김영식 대표)

민기복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민동홍 (독어독문학과 77입)

박병익 (지리교육과 교수)

박종철 (물리학과 61입)

설재연 (심리학과 82입)

송은도 (국악과 01입)

유차영 (ASP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 12기)

신우개발 서울지점 (김익환 사장)

신하순 (동양화과 교수)

안석준 (치의과대학원 부원장

안휘준 (인문대학 명예교수)

양민영 (협동과정 미술교육전공 94입)

양형식 (자원공학과 75입)

옥복연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07입)

우경미 (치의학대학원 교수)

우성공원묘원 (허정산 대표)

우성원 (미학과 95입)

월악장학문화재단 (남기영 이사장)

유건선 (토목공학과 73입)

유흥수 (법학과 58입)

윤희정 (수의학과 교수)

이기윤 (정치학과 88입)

이대혁 (자원공학과 87입)

이병천 (수의학과 교수)

이상돈 (에너지자원공학과 84입)

이승주 (치의학과 92입)

이시우 (의예과 95입)

이은수 (서울대운동용품 대표)

이정인 (공과대학 명예교수)

임종후 (서양화과 12입 임지윤의 부)

정소걸 (자원공학과 71입)

정지훈 (치의학과 교수)

조경란 (법학과 79입)

조기웅 (화학과 66입)

조현욱 (사법학과 83입)

최명애 (회화과 70입)

최정욱 (경영학과 84입)

최종길 (법과대학 83입)

최해영 (경영대학 행정실)

하종철 (동양화과 13입 하문원의 부)

한공창 (자원공학과 72입)

한국지하수지열협회 (안근묵 회장)

허형무 (경영대학 68입)

미주재단

Steve Ro (토목공학과 61입)

Soung Kim (임학과 56입)

Joong M Soh (공과대학 64입)

John Baek (금속공학 49입)

Hyunchan Lee (치과대학 70입)

Steve amp Cheryl Shapiro

Kwang S Hong (공과대학 60입)

Moon H Kim (공과대학 68입)

David Cho (공과대학 60입)

Dong Ku Chung (기계공학과 57입)

Sang Dae Lee (농업생명과학대학 80입)

Young D Kim (공과대학 67입)

서울대학교병원 (오병희 병원장)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이철희 병원장)

SK가스 (최창원 부회장)

AMP 78기 일동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윤강섭 병원장)

삼성전자 (권오현 대표이사 부회장)

SK하이닉스 (박성욱 대표이사 사장)

삼성복지재단 (이수빈 이사장)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한국세포주연구재단

하나제약 (조경일 회장)

코스맥스 (이경수 대표이사 회장)

패션그룹형지 (최병오 회장)

서울대학교총동창회 (서정화 회장)

한국수력원자력 (조석 사장)

형애장학회 (최효종 이사장)

송원김영환장학재단 (김해련 이사장)

사회복지법인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이기수 이사장)

TOYOTA MOTOR CORP

(요시다 아키히사 대표이사 사장)

권욱현 (공과대학 명예교수)

네이버 (김상헌 대표이사)

현송교육문화재단 (김정일 이사장)

롯데장학재단 (신영자 이사장)

일주학술문화재단 (이선애 이사장)

현대차 정몽구 재단 (유영학 이사장)

LG연암문화재단 (구자경 이사장)

SECMCA

아산사회복지재단 (정몽준 이사장)

천만장학회 (이광현 이사장)

방일영문화재단 (조연흥 이사장)

AMP 77기 일동

신라문화장학재단 (박준형 이사장)

KRX국민행복재단 (최경수 이사장)

SBS문화재단 (윤세영 이사장)

김만극 (약학과 47입)

농우바이오 (정용동 유연희 대표이사)

안인희

전국경제인연합회 (허창수 회장)

정윤환 (임학과 56입)

현대엔지니어링 (김위철 대표이사)

세진에프알에스 라쿠치나 서울대점 (장재훈 대표이사)

재단법인 웅진 (신현웅 이사장)

종근당고촌재단 (김두현 이사장)

정수장학회 (김삼천 이사장)

Kensary LLP

앨트웰민초장학재단 (김박 이사장)

주중광 허지영 (약학대학 60입 화학과 66입)

한국동서발전 (장주옥 사장)

한화갤러리아 (박세훈 대표이사)

한화생명보험 (차남규 대표이사 사장)

한화손해보험 (박윤식 대표이사)

한화첨단소재 (김창범 대표이사)

한화투자증권 (주진형 대표이사 사장)

KEILCO(KEPCO ILJAN CORPORATION)

연강재단 (박용현 이사장)

창강재단 (안병표 이사장)

경기도 인재개발원 (박익수 원장)

대림수암장학문화재단 (변형윤 이사장)

이상억 (인문대학 명예교수)

1432968520

1147748270

1000000000

716900000

615220390

600000000

560000000

364863690

317560000

250000000

220000000

210000000

200000000

200000000

166000000

150000000

142103500

140000000

139583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98538000

89942000

82426000

67509000

66598412

62989000

59929000

59208000

53720000

51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49800000

46522180

44302000

42076000

40918000

40273000

40204972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39677688

39035000

37244000

37068000

34780000

31800000

청합장학회 (여상길 회장)

한빛종합동물병원 (임정식 원장)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두산 (박용만 대표이사 회장)

송미순 (간호학과 교수)

이상복 (ABKI문헌지식정보최고위과정 5기)

한화 (심경섭 대표이사)

한화건설 (김현중 부회장)

한화자산운용 (강신우 대표이사)

한화케미칼 (방한홍 대표이사)

한화호텔앤드리조트 (홍원기 대표이사)

오뚜기재단 (함태호 이사장)

재단법인 최혁영 장학회 (최혁영 회장)

유한재단 (이필상 이사장)

영원무역 (성기학 대표이사 회장)

부경양돈협동조합 (박재민 조합장)

져스텍 (김용일 대표이사)

서울대합창단동문회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전병원 이사장)

국가정책과정(ACAD) 77기 일동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최윤 회장)

몬산토코리아유한회사

(벤자민 마크 후드리스 대표이사)

성련장학재단 (허연금 이사장)

고광우 (행정학과 53입)

대한적십자사 (유중근 총재)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성기학 이사장)

임현진 (사회학과 교수)

재단법인 양영재단 (김상하 이사장)

조유근 (컴퓨터공학부 교수)

두을장학재단 (이인희 이사장)

과천시애향장학회 (신학수 이사장)

서울장학재단 (이경희 이사장)

왕한석 (인류학과 교수)

포니정장학재단 (정몽규 이사장)

조용준 (법학과 79입)

농어촌희망재단 (김달웅 이사장)

경동송천재단 (류덕희 이사장)

김신원 (응용화학과 64입)

농생대 환경재료과학 교수일동

주식회사 천랩 (천종식 대표이사)

돈암장학회 (이용배 이사장)

인선문화재단 (박선영 이사장)

단암장학재단 (이봉서 이사장)

치과대학 치의학대학원 동창회

흥한재단 (박병석 이사장)

선화예술문화재단 (심재혁 대표)

한국미즈노 주식회사 (김창범 대표이사)

곽노섭 (수학과 49입)

19대 인문대 학장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김은선 (디자인학부 13입 조은지의 모)

바텍 (노창준 대표이사)

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ASP) 27기 동문

수도씨에이씨 (송명호 대표이사)

신한화구 (한봉근 대표)

이앤티 (고영호 대표이사)

장문영 (화학과 59입)

제11기 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조경일 (약학대학 64입)

주식회사 명진팜 (권기진 대표이사)

31047000

31000000

303006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28436000

28081000

27942000

26000000

25000366

25000000

24210000

24041200

23994234

20724000

20500000

20274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18779000

17973600

17934000

17600000

17050000

17000000

165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4000000

14000000

13500000

12000000

12000000

11602000

11102610

10281624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천병년 (약학과 77입)

최민철 (농공학과 75입)

현대하이스코 (신성재 대표이사)

황효진 (동양사학과 78입)

대한사료주식회사 (이상민 대표이사)

해성문화재단 (단재완 이사장)

한국가스공사 (장석효 사장)

김춘길 (화학생물공학부 58입)

애드미션 (김유탁 대표이사)

종로구장학회 (최현종 이사장)

동부문화재단 (강경식 이사장)

인촌기념회 (이용훈 이사장)

용옥장학문화재단 (양철우 이사장)

미래의동반자재단 (Jeffrey D Jones 이사장)

김영윤 (토목공학과 62입)

성옥문화재단 (이화일 이사장)

다래파크텍 (김호정 대표이사)

미래인재육성재단 (최양식 이사장)

고화장학회 (배명인 이사장)

이재원 (중앙도서관 정보관리과)

리브로 (김경수 대표이사)

오운문화재단 (이동찬 이사장)

조비경농장학재단 (이병만 이사장)

박지향 (중앙도서관장)

오스템임플란트 (최규옥 대표이사)

한국섬유산업연합회장학재단 (노희찬 이사장)

한옥희 (화학과 79입)

아카넷 (김정호 사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정기택 원장)

삼송장학회 (김영기 이사장)

서지희 (IFP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11기)

김지호

서울상공회의소 관악구상공회 (김진철 회장)

박찬국 (철학과 교수)

송파재단 (윤원영 이사장)

김재길 (법학과 56입)

로보로보 (장창남 대표이사)

모르페우스 (김진수 대표이사)

박성경 정성창 (치의학과 96입)

박윤서 (고고인류학과 69입)

서용석 (상학과 46입) 정재원

송인석 (치의학과 01입)

송재용 (경영학과 교수)

시그나사회공헌재단 (홍봉성 이사장)

약학대학 40회 동기회

와이비엠 (민선식 대표이사)

이필상 (경제학부 교수)

한국경제연구원 (권태신 원장)

황만순 (제약학과 90입)

운경재단 (배성동 이사장)

제봉민병욱장학재단

심명문화재단 (이경재 이사장)

홍산장학재단 (천영주 이사장)

홍수현

박미혜 (성악과 교수)

박영아 (물리학과 79입)

최동하 (농경제학과 71입)

춘강문화장학재단 (박성형 이사장)

허성도 (인문대학 명예교수)

형남진장학재단 (이정희 이사장)

강남구청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9730000

9528000

9140000

9000000

9000000

8690000

8525000

8525000

8178000

8112000

8000000

7963000

7928068

7713000

7500000

6950000

6919590

6058000

6010000

6000000

6000000

6000000

6000000

5700000

5556000

5400000

5357143

5100000

5100000

5090000

5089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4934000

4734000

4527000

4500000

446228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3956000

3862000

3750000

3500000

3120000

3029000

3029000

3005000

3005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2706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467000

2467000

2467000

2400000

2230000

215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1865000

1800000

15145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431445

1300000

1275251

1260000

1200000

106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단위 $

100000

10000

5000

3000

500

500

200

200

100

100

100

100

단위 원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20140601 ~ 20140831 출연

출연DONATION

40

서울대학교는 기부금을 출연한 후원인에게 더욱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국내 최고 수준의 의

료서비스를 자랑하는 서울대학교병원 이용 예우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으며 서울대학교병원 후원인

라운지에 상주하는 전담 직원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후원자 중 추가 진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본원 또는 분당 서울대학교병원과의 즉각

적인 연계가 가능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 본원 조윤지 | Tel 02-2272-2750 E-mail sosunolovesnuackr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강수정 | Tel 031-787-1915 E-mail c8541snubhorg

(재)서울대학교발전기금 김종희 | Tel 02-871-1633 E-mail p2727snuackr

bull병원 예우 담당자

bull서울대학교병원 예우 서비스 이용 안내

예약대행 서비스 | 진료 및 입원 예약 대행 병원 측과 협의 후 예약일자 결정

의전 서비스 | 진료middot입원middot응급실 이용 편의를 위해 예우 담당자가 직접 안내

종합건강검진 주선 서비스(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bull서울대학교병원 예우 서비스 내용

지원 자격 활동 기간

bull경제적 지원이 필요한 학생

(건강보험료 기준) 우선 선발

bull성적 45만점 환산 30 이상

lsquo 새싹 멘토링rsquo은 빈곤의 대물림을 막기 위한 자선 봉사활동으로

전국 국공립대학의 우수한 학생이 저소득층 중middot고등학생의

학습을 도우며 장학금을 받는 프로그램입니다

bull최소 6개월~12개월

bull활동 실적에 따라 졸업 시까지

연차적으로 기회 부여

새싹멘토링의

멘토가

되어주세요

bull전화 02-880-1593(새싹 멘토링 서울대학교 본부) bull팩스 02-780-2647(미래국제재단 여의도 본사)

bull이메일 mifsnuhanmailnet 새싹 멘토링 지원 방법 문의 시 상세히 안내해드립니다

서울대학교와 미래국제재단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봉사활동에 학생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다립니다

기부인의 따뜻한 마음에

다양한 혜택의 예우 서비스로

보답합니다

출연 기금 진료예약 의전 서비스 종합건강검진 주선

50억 이상 평생 평생 연 1회(평생 프리미엄 검진)

10억 이상 평생 10년 연 1회(평생)

5억 이상

1억 원당 1년(기한)

5년

1억 원당 연 1회(기한)3억 이상 3년

1억 이상 1년

서울대학교병원 본원 후원인 전담 직원이 진료 예약 및 의전 서비스까지 친절하게 안내해 드립니다

문의처 병원 후원인 라운지(본관 3층) 또는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후원인 전담 직원이 진료 예약 및 의전 서비스까지 친절하게 안내해 드립니다

문의처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또는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강남센터와의 즉각적인 연계를 통해 강남센터 상담 직원이 후원자 여러분께 상담 전화를 드립니다

문의처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기부인 예우 프로그램DONATION

SeoulNational University

151-742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1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

T 02-880-5114 F 02-885-5272wwwsnuackr

C o v e r S t o r y

과학자의 공식

좋은 연구를 하겠다는 신념으로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걸어온 사람

miRNA 분야의 세계적인 개척자 김빛내리 교수다

그녀는 노벨상 수상에 가장 근접한 국내 과학자로 꼽힌다

도전과 실패 인내를 거듭하며 세계적인 과학자 반열에 오르기까지

그녀의 행보를 통해 성공과 신뢰 만족을 얻는 인생 공식을 알아본다

Page 21: SNU Magazine Vol. 38 › new › wp-content › uploads › 2015 › 12 › snu_people... · 2016-01-30 · 우수 연구자 시리즈 10 유상렬 농생명공학부 교수 06 선배와의

39 38

김형렬 (윤리교육과 교수)

이정진 (기계항공공학부 95입)

신흥 (이용익 대표이사)

이창우 (경영학과 교수)

서영길 (광산학과 53입)

일중장학재단 (송윤영 이사장)

금곡장학회 (이수상 이사장)

덕원장학회 (이헌경 이사장)

강현구 (건축학과 교수)

김명환 (조선해양공학과 75입)

김영수 (법과대학 60입)

김영운 (재료공학부 교수)

김종원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김진학 (도시환경최고전문가과정 29기)

박훈 (기계공학과 63입)

서강문 (동물병원 원장)

서동규 (경영학과 84입)

송재홍 (농화학과 83입)

송희영 (영어영문학과 74입)

신남식 (수의학과 교수)

이규선 (조경middot지역시스템공학부 13입 이성용의 부)

이봉호 (치의예과 84입)

이재호 (경영학과 84입)

전병롱 (정책학과 10입 전상우의 부)

전호석 (기계설계학과 71입)

주식회사 KTampG 남서울본부 (박정욱 본부장)

최황 (의과대학 명예교수)

황철성 (재료공학부 교수)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박기용 이사장)

가송재단 (윤도준 이사장)

강스템바이오텍 (강경선 대표이사)

오이코스 (배장영 대표이사)

유한회사 본음인베스트먼트

이진경 (전국낙지자랑 대표)

한승장학회 (이재영 이사장)

윤용혁 (독어교육과 60입)

키움증권 (권용원 대표이사)

협성문화재단 (박석귀 이사장)

이강이 (아동가족학과 교수)

윤상혁 (디자인학부 03입)

윤화영 (수의학과 교수)

GS칼텍스 (허동수 대표이사 회장)

권규돈 (중어중문학과 13입 권기범의 부)

김경준 (농경제학과 82입)

김용팔 (수의과대학 75입)

김재홍 (수의학과 교수)

김진태 (법학과 71입)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이재술 대표이사)

문대원 (경영학과 71입)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오근택 대표이사)

박세창 (수의학과 교수)

산학협동재단 (한덕수 이사장)

선암장학재단 (윤호철 이사장)

성제경 (수의학과 교수)

송재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우광덕 (치과대학 64입)

유기윤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유한상 (수의학과 교수)

윤여성 (수의학과 교수)

윤정희 (수의학과 교수)

이건목원리한방병원 (이건목 원장)

이동진 (교무처 학사과)

이소영 (수의학과 교수)

이인숙 (간호대학 교수)

이항 (수의학과 교수)

이희근 (공과대학 명예교수)

조무제 (법학과 65입)

조성범 (수의학과 교수)

조제열 (수의학과 교수)

주식회사 오공 (김윤정 대표이사)

중앙백신연구소 (윤인중 대표이사)

지티앤티 (이세한 대표이사)

채찬희 (수의학과 교수)

태평소금 (손일선 회장)

한호재 (수의학과 교수)

해마루 (김현욱 원장)

황인구 (수의학과 교수)

조선에듀케이션 (방정오 대표이사)

사회복지법인 건아재단 (심철환 이사장)

KT (황창규 대표이사 회장)

광림교회 (김정석 담임목사)

광주시민장학회 (박기준 이사장)

김기원 (AIP최고산업전략과정 38기)

김상은 (융합과학부 교수)

김혜원 (간호학과 교수)

박종근 (전기공학과 교수)

서병태 (의학과 54입)

송경희 (국악과 59입)

연당장학회 (남욱 회장)

오유경 (약학대학 부학장)

우정장학문화재단 (강백영 이사장)

임현주 (약학과 82입)

전상직 (작곡과 교수)

주리아 (치과대학 04입)

한국마쯔다니 (유태균 대표이사)

홍영표 (GLP글로벌리더십과정 21기)

신우호 (화학교육과 87입)

류판동 (수의과대학장)

이병욱 (조경학과 81입)

김용백 (수의학과 교수)

김종암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정혜선 (간호학과 82입)

강부현 (수의학과 72입)

권길주 (조선해양공학과 11입 정지원의 모)

권혜숙 (약학과 82입)

김경대 (치의학과 82입)

김미영 (간호학과 98입)

김범진 (턱교정학고급연수과정 6기)

김성열 (교육학과 75입)

김종흔 (경영대학 92입)

김현산 (법과대학 54입)

녹십자수의약품 (김승목 대표이사)

덕영재단 (전헬리시아 이사장)

문수자동판매기 (김영식 대표)

민기복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민동홍 (독어독문학과 77입)

박병익 (지리교육과 교수)

박종철 (물리학과 61입)

설재연 (심리학과 82입)

송은도 (국악과 01입)

유차영 (ASP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 12기)

신우개발 서울지점 (김익환 사장)

신하순 (동양화과 교수)

안석준 (치의과대학원 부원장

안휘준 (인문대학 명예교수)

양민영 (협동과정 미술교육전공 94입)

양형식 (자원공학과 75입)

옥복연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07입)

우경미 (치의학대학원 교수)

우성공원묘원 (허정산 대표)

우성원 (미학과 95입)

월악장학문화재단 (남기영 이사장)

유건선 (토목공학과 73입)

유흥수 (법학과 58입)

윤희정 (수의학과 교수)

이기윤 (정치학과 88입)

이대혁 (자원공학과 87입)

이병천 (수의학과 교수)

이상돈 (에너지자원공학과 84입)

이승주 (치의학과 92입)

이시우 (의예과 95입)

이은수 (서울대운동용품 대표)

이정인 (공과대학 명예교수)

임종후 (서양화과 12입 임지윤의 부)

정소걸 (자원공학과 71입)

정지훈 (치의학과 교수)

조경란 (법학과 79입)

조기웅 (화학과 66입)

조현욱 (사법학과 83입)

최명애 (회화과 70입)

최정욱 (경영학과 84입)

최종길 (법과대학 83입)

최해영 (경영대학 행정실)

하종철 (동양화과 13입 하문원의 부)

한공창 (자원공학과 72입)

한국지하수지열협회 (안근묵 회장)

허형무 (경영대학 68입)

미주재단

Steve Ro (토목공학과 61입)

Soung Kim (임학과 56입)

Joong M Soh (공과대학 64입)

John Baek (금속공학 49입)

Hyunchan Lee (치과대학 70입)

Steve amp Cheryl Shapiro

Kwang S Hong (공과대학 60입)

Moon H Kim (공과대학 68입)

David Cho (공과대학 60입)

Dong Ku Chung (기계공학과 57입)

Sang Dae Lee (농업생명과학대학 80입)

Young D Kim (공과대학 67입)

서울대학교병원 (오병희 병원장)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이철희 병원장)

SK가스 (최창원 부회장)

AMP 78기 일동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윤강섭 병원장)

삼성전자 (권오현 대표이사 부회장)

SK하이닉스 (박성욱 대표이사 사장)

삼성복지재단 (이수빈 이사장)

권영덕 (전기공학과 54입)

제14기 최고지도자인문학과정

한국세포주연구재단

하나제약 (조경일 회장)

코스맥스 (이경수 대표이사 회장)

패션그룹형지 (최병오 회장)

서울대학교총동창회 (서정화 회장)

한국수력원자력 (조석 사장)

형애장학회 (최효종 이사장)

송원김영환장학재단 (김해련 이사장)

사회복지법인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이기수 이사장)

TOYOTA MOTOR CORP

(요시다 아키히사 대표이사 사장)

권욱현 (공과대학 명예교수)

네이버 (김상헌 대표이사)

현송교육문화재단 (김정일 이사장)

롯데장학재단 (신영자 이사장)

일주학술문화재단 (이선애 이사장)

현대차 정몽구 재단 (유영학 이사장)

LG연암문화재단 (구자경 이사장)

SECMCA

아산사회복지재단 (정몽준 이사장)

천만장학회 (이광현 이사장)

방일영문화재단 (조연흥 이사장)

AMP 77기 일동

신라문화장학재단 (박준형 이사장)

KRX국민행복재단 (최경수 이사장)

SBS문화재단 (윤세영 이사장)

김만극 (약학과 47입)

농우바이오 (정용동 유연희 대표이사)

안인희

전국경제인연합회 (허창수 회장)

정윤환 (임학과 56입)

현대엔지니어링 (김위철 대표이사)

세진에프알에스 라쿠치나 서울대점 (장재훈 대표이사)

재단법인 웅진 (신현웅 이사장)

종근당고촌재단 (김두현 이사장)

정수장학회 (김삼천 이사장)

Kensary LLP

앨트웰민초장학재단 (김박 이사장)

주중광 허지영 (약학대학 60입 화학과 66입)

한국동서발전 (장주옥 사장)

한화갤러리아 (박세훈 대표이사)

한화생명보험 (차남규 대표이사 사장)

한화손해보험 (박윤식 대표이사)

한화첨단소재 (김창범 대표이사)

한화투자증권 (주진형 대표이사 사장)

KEILCO(KEPCO ILJAN CORPORATION)

연강재단 (박용현 이사장)

창강재단 (안병표 이사장)

경기도 인재개발원 (박익수 원장)

대림수암장학문화재단 (변형윤 이사장)

이상억 (인문대학 명예교수)

1432968520

1147748270

1000000000

716900000

615220390

600000000

560000000

364863690

317560000

250000000

220000000

210000000

200000000

200000000

166000000

150000000

142103500

140000000

139583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100000000

98538000

89942000

82426000

67509000

66598412

62989000

59929000

59208000

53720000

51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50000000

49800000

46522180

44302000

42076000

40918000

40273000

40204972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40000000

39677688

39035000

37244000

37068000

34780000

31800000

청합장학회 (여상길 회장)

한빛종합동물병원 (임정식 원장)

정혁진 (기계설계학과 73입)

두산 (박용만 대표이사 회장)

송미순 (간호학과 교수)

이상복 (ABKI문헌지식정보최고위과정 5기)

한화 (심경섭 대표이사)

한화건설 (김현중 부회장)

한화자산운용 (강신우 대표이사)

한화케미칼 (방한홍 대표이사)

한화호텔앤드리조트 (홍원기 대표이사)

오뚜기재단 (함태호 이사장)

재단법인 최혁영 장학회 (최혁영 회장)

유한재단 (이필상 이사장)

영원무역 (성기학 대표이사 회장)

부경양돈협동조합 (박재민 조합장)

져스텍 (김용일 대표이사)

서울대합창단동문회

윤송조창석문화재단 (전병원 이사장)

국가정책과정(ACAD) 77기 일동

러시앤캐시배정장학회 (최윤 회장)

몬산토코리아유한회사

(벤자민 마크 후드리스 대표이사)

성련장학재단 (허연금 이사장)

고광우 (행정학과 53입)

대한적십자사 (유중근 총재)

서울상대향상장학회 (성기학 이사장)

임현진 (사회학과 교수)

재단법인 양영재단 (김상하 이사장)

조유근 (컴퓨터공학부 교수)

두을장학재단 (이인희 이사장)

과천시애향장학회 (신학수 이사장)

서울장학재단 (이경희 이사장)

왕한석 (인류학과 교수)

포니정장학재단 (정몽규 이사장)

조용준 (법학과 79입)

농어촌희망재단 (김달웅 이사장)

경동송천재단 (류덕희 이사장)

김신원 (응용화학과 64입)

농생대 환경재료과학 교수일동

주식회사 천랩 (천종식 대표이사)

돈암장학회 (이용배 이사장)

인선문화재단 (박선영 이사장)

단암장학재단 (이봉서 이사장)

치과대학 치의학대학원 동창회

흥한재단 (박병석 이사장)

선화예술문화재단 (심재혁 대표)

한국미즈노 주식회사 (김창범 대표이사)

곽노섭 (수학과 49입)

19대 인문대 학장단

국가정책과정(ACAD) 총동창회 일동

김은선 (디자인학부 13입 조은지의 모)

바텍 (노창준 대표이사)

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ASP) 27기 동문

수도씨에이씨 (송명호 대표이사)

신한화구 (한봉근 대표)

이앤티 (고영호 대표이사)

장문영 (화학과 59입)

제11기 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조경일 (약학대학 64입)

주식회사 명진팜 (권기진 대표이사)

31047000

31000000

303006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30000000

28436000

28081000

27942000

26000000

25000366

25000000

24210000

24041200

23994234

20724000

20500000

20274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20000000

18779000

17973600

17934000

17600000

17050000

17000000

165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5000000

14000000

14000000

13500000

12000000

12000000

11602000

11102610

10281624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천병년 (약학과 77입)

최민철 (농공학과 75입)

현대하이스코 (신성재 대표이사)

황효진 (동양사학과 78입)

대한사료주식회사 (이상민 대표이사)

해성문화재단 (단재완 이사장)

한국가스공사 (장석효 사장)

김춘길 (화학생물공학부 58입)

애드미션 (김유탁 대표이사)

종로구장학회 (최현종 이사장)

동부문화재단 (강경식 이사장)

인촌기념회 (이용훈 이사장)

용옥장학문화재단 (양철우 이사장)

미래의동반자재단 (Jeffrey D Jones 이사장)

김영윤 (토목공학과 62입)

성옥문화재단 (이화일 이사장)

다래파크텍 (김호정 대표이사)

미래인재육성재단 (최양식 이사장)

고화장학회 (배명인 이사장)

이재원 (중앙도서관 정보관리과)

리브로 (김경수 대표이사)

오운문화재단 (이동찬 이사장)

조비경농장학재단 (이병만 이사장)

박지향 (중앙도서관장)

오스템임플란트 (최규옥 대표이사)

한국섬유산업연합회장학재단 (노희찬 이사장)

한옥희 (화학과 79입)

아카넷 (김정호 사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정기택 원장)

삼송장학회 (김영기 이사장)

서지희 (IFP미래지도자 인문학과정 11기)

김지호

서울상공회의소 관악구상공회 (김진철 회장)

박찬국 (철학과 교수)

송파재단 (윤원영 이사장)

김재길 (법학과 56입)

로보로보 (장창남 대표이사)

모르페우스 (김진수 대표이사)

박성경 정성창 (치의학과 96입)

박윤서 (고고인류학과 69입)

서용석 (상학과 46입) 정재원

송인석 (치의학과 01입)

송재용 (경영학과 교수)

시그나사회공헌재단 (홍봉성 이사장)

약학대학 40회 동기회

와이비엠 (민선식 대표이사)

이필상 (경제학부 교수)

한국경제연구원 (권태신 원장)

황만순 (제약학과 90입)

운경재단 (배성동 이사장)

제봉민병욱장학재단

심명문화재단 (이경재 이사장)

홍산장학재단 (천영주 이사장)

홍수현

박미혜 (성악과 교수)

박영아 (물리학과 79입)

최동하 (농경제학과 71입)

춘강문화장학재단 (박성형 이사장)

허성도 (인문대학 명예교수)

형남진장학재단 (이정희 이사장)

강남구청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9730000

9528000

9140000

9000000

9000000

8690000

8525000

8525000

8178000

8112000

8000000

7963000

7928068

7713000

7500000

6950000

6919590

6058000

6010000

6000000

6000000

6000000

6000000

5700000

5556000

5400000

5357143

5100000

5100000

5090000

5089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5000000

4934000

4734000

4527000

4500000

446228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4000000

3956000

3862000

3750000

3500000

3120000

3029000

3029000

3005000

3005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3000000

2706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500000

2467000

2467000

2467000

2400000

2230000

215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1865000

1800000

15145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500000

1431445

1300000

1275251

1260000

1200000

106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1000000

단위 $

100000

10000

5000

3000

500

500

200

200

100

100

100

100

단위 원

기금 출연자 여러분의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20140601 ~ 20140831 출연

출연DONATION

40

서울대학교는 기부금을 출연한 후원인에게 더욱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국내 최고 수준의 의

료서비스를 자랑하는 서울대학교병원 이용 예우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으며 서울대학교병원 후원인

라운지에 상주하는 전담 직원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후원자 중 추가 진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본원 또는 분당 서울대학교병원과의 즉각

적인 연계가 가능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 본원 조윤지 | Tel 02-2272-2750 E-mail sosunolovesnuackr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강수정 | Tel 031-787-1915 E-mail c8541snubhorg

(재)서울대학교발전기금 김종희 | Tel 02-871-1633 E-mail p2727snuackr

bull병원 예우 담당자

bull서울대학교병원 예우 서비스 이용 안내

예약대행 서비스 | 진료 및 입원 예약 대행 병원 측과 협의 후 예약일자 결정

의전 서비스 | 진료middot입원middot응급실 이용 편의를 위해 예우 담당자가 직접 안내

종합건강검진 주선 서비스(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bull서울대학교병원 예우 서비스 내용

지원 자격 활동 기간

bull경제적 지원이 필요한 학생

(건강보험료 기준) 우선 선발

bull성적 45만점 환산 30 이상

lsquo 새싹 멘토링rsquo은 빈곤의 대물림을 막기 위한 자선 봉사활동으로

전국 국공립대학의 우수한 학생이 저소득층 중middot고등학생의

학습을 도우며 장학금을 받는 프로그램입니다

bull최소 6개월~12개월

bull활동 실적에 따라 졸업 시까지

연차적으로 기회 부여

새싹멘토링의

멘토가

되어주세요

bull전화 02-880-1593(새싹 멘토링 서울대학교 본부) bull팩스 02-780-2647(미래국제재단 여의도 본사)

bull이메일 mifsnuhanmailnet 새싹 멘토링 지원 방법 문의 시 상세히 안내해드립니다

서울대학교와 미래국제재단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봉사활동에 학생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다립니다

기부인의 따뜻한 마음에

다양한 혜택의 예우 서비스로

보답합니다

출연 기금 진료예약 의전 서비스 종합건강검진 주선

50억 이상 평생 평생 연 1회(평생 프리미엄 검진)

10억 이상 평생 10년 연 1회(평생)

5억 이상

1억 원당 1년(기한)

5년

1억 원당 연 1회(기한)3억 이상 3년

1억 이상 1년

서울대학교병원 본원 후원인 전담 직원이 진료 예약 및 의전 서비스까지 친절하게 안내해 드립니다

문의처 병원 후원인 라운지(본관 3층) 또는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후원인 전담 직원이 진료 예약 및 의전 서비스까지 친절하게 안내해 드립니다

문의처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또는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강남센터와의 즉각적인 연계를 통해 강남센터 상담 직원이 후원자 여러분께 상담 전화를 드립니다

문의처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기부인 예우 프로그램DONATION

SeoulNational University

151-742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1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

T 02-880-5114 F 02-885-5272wwwsnuackr

C o v e r S t o r y

과학자의 공식

좋은 연구를 하겠다는 신념으로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걸어온 사람

miRNA 분야의 세계적인 개척자 김빛내리 교수다

그녀는 노벨상 수상에 가장 근접한 국내 과학자로 꼽힌다

도전과 실패 인내를 거듭하며 세계적인 과학자 반열에 오르기까지

그녀의 행보를 통해 성공과 신뢰 만족을 얻는 인생 공식을 알아본다

Page 22: SNU Magazine Vol. 38 › new › wp-content › uploads › 2015 › 12 › snu_people... · 2016-01-30 · 우수 연구자 시리즈 10 유상렬 농생명공학부 교수 06 선배와의

40

서울대학교는 기부금을 출연한 후원인에게 더욱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국내 최고 수준의 의

료서비스를 자랑하는 서울대학교병원 이용 예우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으며 서울대학교병원 후원인

라운지에 상주하는 전담 직원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후원자 중 추가 진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본원 또는 분당 서울대학교병원과의 즉각

적인 연계가 가능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 본원 조윤지 | Tel 02-2272-2750 E-mail sosunolovesnuackr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강수정 | Tel 031-787-1915 E-mail c8541snubhorg

(재)서울대학교발전기금 김종희 | Tel 02-871-1633 E-mail p2727snuackr

bull병원 예우 담당자

bull서울대학교병원 예우 서비스 이용 안내

예약대행 서비스 | 진료 및 입원 예약 대행 병원 측과 협의 후 예약일자 결정

의전 서비스 | 진료middot입원middot응급실 이용 편의를 위해 예우 담당자가 직접 안내

종합건강검진 주선 서비스(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bull서울대학교병원 예우 서비스 내용

지원 자격 활동 기간

bull경제적 지원이 필요한 학생

(건강보험료 기준) 우선 선발

bull성적 45만점 환산 30 이상

lsquo 새싹 멘토링rsquo은 빈곤의 대물림을 막기 위한 자선 봉사활동으로

전국 국공립대학의 우수한 학생이 저소득층 중middot고등학생의

학습을 도우며 장학금을 받는 프로그램입니다

bull최소 6개월~12개월

bull활동 실적에 따라 졸업 시까지

연차적으로 기회 부여

새싹멘토링의

멘토가

되어주세요

bull전화 02-880-1593(새싹 멘토링 서울대학교 본부) bull팩스 02-780-2647(미래국제재단 여의도 본사)

bull이메일 mifsnuhanmailnet 새싹 멘토링 지원 방법 문의 시 상세히 안내해드립니다

서울대학교와 미래국제재단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봉사활동에 학생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다립니다

기부인의 따뜻한 마음에

다양한 혜택의 예우 서비스로

보답합니다

출연 기금 진료예약 의전 서비스 종합건강검진 주선

50억 이상 평생 평생 연 1회(평생 프리미엄 검진)

10억 이상 평생 10년 연 1회(평생)

5억 이상

1억 원당 1년(기한)

5년

1억 원당 연 1회(기한)3억 이상 3년

1억 이상 1년

서울대학교병원 본원 후원인 전담 직원이 진료 예약 및 의전 서비스까지 친절하게 안내해 드립니다

문의처 병원 후원인 라운지(본관 3층) 또는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후원인 전담 직원이 진료 예약 및 의전 서비스까지 친절하게 안내해 드립니다

문의처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또는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강남센터와의 즉각적인 연계를 통해 강남센터 상담 직원이 후원자 여러분께 상담 전화를 드립니다

문의처 서울대학교발전기금 사무실

기부인 예우 프로그램DONATION

SeoulNational University

151-742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1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

T 02-880-5114 F 02-885-5272wwwsnuackr

C o v e r S t o r y

과학자의 공식

좋은 연구를 하겠다는 신념으로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걸어온 사람

miRNA 분야의 세계적인 개척자 김빛내리 교수다

그녀는 노벨상 수상에 가장 근접한 국내 과학자로 꼽힌다

도전과 실패 인내를 거듭하며 세계적인 과학자 반열에 오르기까지

그녀의 행보를 통해 성공과 신뢰 만족을 얻는 인생 공식을 알아본다

Page 23: SNU Magazine Vol. 38 › new › wp-content › uploads › 2015 › 12 › snu_people... · 2016-01-30 · 우수 연구자 시리즈 10 유상렬 농생명공학부 교수 06 선배와의

SeoulNational University

151-742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1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

T 02-880-5114 F 02-885-5272wwwsnuackr

C o v e r S t o r y

과학자의 공식

좋은 연구를 하겠다는 신념으로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걸어온 사람

miRNA 분야의 세계적인 개척자 김빛내리 교수다

그녀는 노벨상 수상에 가장 근접한 국내 과학자로 꼽힌다

도전과 실패 인내를 거듭하며 세계적인 과학자 반열에 오르기까지

그녀의 행보를 통해 성공과 신뢰 만족을 얻는 인생 공식을 알아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