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1
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김은설·최정원·장혜원·조혜주·김희수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김은설·최정원·장혜원·조혜주·김희수

Page 2: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Page 3: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연구책임자 김 은 설 (육아정책연구소 연구위원)

공동연구자 최 정 원 (육아정책연구소 부연구위원)

장 혜 원 (육아정책연구소 부연구위원)

조 혜 주 (육아정책연구소 전문연구원)

김 희 수 (육아정책연구소 연구원)

Page 4: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발 행 일 2019년 12월

발 행 인 백선희

발 행 처 육아정책연구소

주 소 서울특별시 중구 소공로 70 서울중앙우체국 9층

전 화 02) 398-7700

팩 스 02) 398-7798

홈 페 이 지 http://www.kicce.re.kr

인 쇄 처 리드릭 02) 2269-1919

보고서 내용의 무단 복제를 금함.ISBN 979-11-90485-27-2 93330

Page 5: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머리말

우리나라에서 대규모 단일 코호트를 대상으로 한 아동의 성장과 발달 관련 장기

추적 연구는 국책기관인 육아정책연구소가 12년간 지속 수행해 온 「한국아동 성장

발달 종단연구: 한국아동패널」이 거의 유일하다. 착수 당시인 2008년 신생아였던

2,000여 명의 패널 아동은 2019년 현재 만 11세인 초등학교 5학년, 청소년 초기

에 이르렀고, 평균 연령이 30세에 못 미치던 패널 가정의 어머니들은 이제 40대가

되었다. 물론 10년이 넘는 시기를 지나면서 일부 패널이 유실되기도 하였으나 향

후 9년을 지속해 갈 종단 연구 과제로서 한국아동패널은 그 데이터의 국가적 가치

를 따졌을 때 비견될 만한 대상을 찾기 힘들 것이다.

2019년 한국아동패널 12차년도 조사의 특징은 아동이 응답해야 하는 질문의 비

중을 늘리고 교사나 부모가 아동에 대해 응답하는 질문을 점차 줄이는 방향으로

변화를 주었다는 것이다. 패널 아동이 10대에 들어선 만큼 스스로가 자신에 대해

생각하고 현상에 대해 응답할 수 있는 측면이 많아졌음을 인지하여 이를 조사에

반영하였고, 이에 따라 성격검사와 학습동기검사의 두 가지 수행검사를 모두 실시

하여 심리 측정이 폭넓게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2018년도 패널 데이터를 분

석하여 우리나라 만 10세 아동의 전반적 특징을 신체, 사회정서, 언어, 학교적응

등 다양한 측면에서 확인하고 그 결과를 가독성 있게 보고서에 제시함으로써 아동

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뿐만 아니라 부모의 개인적, 가정적, 사회

적 변화와 아동과의 관계, 정책에 대한 인식 등을 예년과 동일하게 분석하였다.

국가공공데이터로 지정되어 전면 공개된 이후 학계 및 관련 분야에서 한국아동

패널 데이터에 대해 갖는 관심과 활용도가 점점 더 커지고 있음을 체감하면서, 앞

으로 국가 정책 수립에 기본 근거를 제시하는 막중한 책무를 지닌 아동패널연구가

지속적으로 충실히 수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자 한다.

끝으로 본 보고서는 연구진의 의견이며, 육아정책연구소의 공식 입장이 아님을

밝힌다.

2019년 12월

육아정책연구소

소장 백 선 희

Page 6: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Page 7: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목차

요약 1

Ⅰ. 서론 13

1. 아동패널 연구개요 ···················································································15

2. 연구내용 ··································································································17

3. 연구방법 ··································································································20

4. 선행연구 검토: 국내외 종단 연구 개관 ··················································22

5. 아동패널 자료의 활용 및 성과 확산 ·······················································32

6. 보고서 구성 ·····························································································38

Ⅱ. 2019년(12차년도) 사업 보고 41

1. 12차년도 조사 절차 ················································································43

2. 12차년도 조사 내용 ················································································52

3. 패널 관리 ································································································64

4. 제10회 한국아동패널 국제학술대회 개최 ················································69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75

1. 11차년도 조사 대상자 특성 ····································································77

2. 아동 특성 ································································································78

3. 부모 및 가구 특성 ················································································157

4. 학교, 지역사회 및 정책 특성 ································································193

5. 요약 ······································································································227

Ⅳ. 주요 변인 종단 분석 237

1. 아동 특성 ······························································································239

2. 부모 및 가구 특성 ················································································244

Page 8: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Ⅴ.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251

1. 초등 4학년 아동의 주요 발달 특징 ······················································253

2. 분석 결과에서 나타난 문제점 ·······························································259

3. 정책적 시사점 ·······················································································264

참고문헌 267

Abstract 271

부록 273

부록 1. 차수별 조사 내용 상세표 ·····························································273

부록 2. 제10회 한국아동패널 국제학술대회 연구논문 공모 안내 ·············293

부록 3. 제10회 한국아동패널 국제학술대회 리플렛 ··································294

부록 4. 12차년도(2019) 조사 안내문 ·······················································295

부록 5. 한국아동패널조사 주요 결과 리플렛 ·············································297

부록 6. 12차년도(2019) IRB 승인통지서 ················································298

부록 7. 11차년도(2018) 가중치 작성 및 추정 ·········································299

부록 8. 11차년도(2018) 질문지 ·······························································304

Page 9: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표 목차

<표 Ⅰ-2-1> 한국아동패널 연도별 실시 계획 ···················································17

<표 Ⅰ-2-2> 2019년 한국아동 종단연구 조사 대상별 주요 내용 ····················18

<표 Ⅰ-4-1> 한국청소년패널 조사항목(초4패널) ···············································23

<표 Ⅰ-4-2> 한국아동・청소년패널 조사항목 ·····················································24

<표 Ⅰ-4-3> 한국교육종단연구 조사항목 ··························································25

<표 Ⅰ-4-4> 국내의 아동관련 패널 조사 ·························································26

<표 Ⅰ-4-5> 국외 종단연구 ··············································································28

<표 Ⅰ-4-6> 국외 종단연구 변인 ·····································································30

<표 Ⅰ-5-1> 한국아동패널 데이터 활용 ···························································33

<표 Ⅰ-5-2> 연도별 분석방식에 따른 연구 수: 2011~2018년 ·······················34

<표 Ⅰ-5-3> 한국아동패널 데이터 활용 논문 변수 범주화

: 2018년 발간 논문 기준 ···························································34

<표 Ⅰ-5-4> 한국아동패널 언론보도(2017~2019년) ········································37

<표 Ⅱ-1-1> 12차년도 조사원 집체교육 일정 ··················································47

<표 Ⅱ-1-2> 12차년도 조사원 집체교육 일정표 ··············································48

<표 Ⅱ-1-3> 12차년도 질문지 별 조사 일정 ···················································49

<표 Ⅱ-1-4> 12차년도 현장 모니터링 실시 현황 ············································51

<표 Ⅱ-1-5> 조사원 간담회 실시 일정 ·····························································52

<표 Ⅱ-2-1> 12차년도 질문지별 응답자 및 주요 조사 내용 ···························53

<표 Ⅱ-2-2> 11~12차년도 아동 특성 조사 변인 ·············································58

<표 Ⅱ-2-3> 11~12차년도 부모 특성 조사 변인 ·············································61

<표 Ⅱ-2-4> 11~12차년도 가구 특성 조사 변인 ·············································62

<표 Ⅱ-2-5> 11~12차년도 학교・사교육 특성 조사 변인 ·································63

<표 Ⅱ-2-6> 11~12차년도 지역 및 정책 특성 조사 변인 ·······························64

<표 Ⅱ-3-1> 한국아동패널 2008~2019년 조사 참여율 ···································68

<표 Ⅱ-4-1> 제10회 한국아동패널 국제학술대회 추진 주요 일정 ···················69

<표 Ⅱ-4-2> 제10회 한국아동패널 국제학술대회 일정 ····································70

<표 Ⅱ-4-3> 제10회 한국아동패널 국제학술대회 논문발표 세션 ·····················72

<표 Ⅲ-1-1> 11차년도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78

Page 10: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표 Ⅲ-2-1> 11차년도 아동 특성 변인 ····························································79

<표 Ⅲ-2-2> 아동의 인구학적 특성 ··································································80

<표 Ⅲ-2-3> 아동의 식생활 진단: 섭취 권장 항목 ··········································81

<표 Ⅲ-2-4> 아동의 식생활 진단: 과잉섭취 자제 권장 항목 ···························82

<표 Ⅲ-2-5> 아동의 식생활 진단: 균형 잡힌 식생활 ·······································83

<표 Ⅲ-2-6> 최근 7일간 아동의 카페인음료(탄산음료) 섭취 빈도 ···················84

<표 Ⅲ-2-7> 최근 7일간 아동의 인스턴트식(라면, 피자, 치킨, 편의점 음식 등)

섭취 빈도 ·····················································································85

<표 Ⅲ-2-8> 아동의 기상 및 취침 시각 ···························································86

<표 Ⅲ-2-9> 수면 시간 ·····················································································87

<표 Ⅲ-2-10> 아동의 일과활동 시간: 공・사교육 기관 이용 ····························88

<표 Ⅲ-2-11> 아동의 책 읽기 시간 및 독서량 ················································89

<표 Ⅲ-2-12> 아동의 숙제 및 학습, 인터넷 수업 등 통신교육 시간 ··············90

<표 Ⅲ-2-13> 아동의 TV, 컴퓨터, 휴대전화 등을 통한 영상 시청, 게임 시간 ··92

<표 Ⅲ-2-14> 아동의 스마트폰, PC(인터넷) 이용 여부 및 이용 시간 ············93

<표 Ⅲ-2-15> 미디어기기 중독 ········································································94

<표 Ⅲ-2-16> 아동의 스마트폰, PC(인터넷) 이용 정도 ···································95

<표 Ⅲ-2-17> 스포츠, 집 밖 레저 활동 및 취미 생활 ····································96

<표 Ⅲ-2-18> 친인척, 친구 등과의 놀이 등 사교 활동, 종교 활동 ·················97

<표 Ⅲ-2-19> 한번에 30분 이상 실내에서 신체활동 한 일수(7일간) ··············98

<표 Ⅲ-2-20> 한번에 30분 이상 실외에서 신체활동 한 일수(7일간) ··············99

<표 Ⅲ-2-21> 취미(악기, 운동) ······································································100

<표 Ⅲ-2-22> 취미(악기 종류)(다중응답) ·······················································101

<표 Ⅲ-2-23> 취미(운동 종류)(다중응답) ·······················································101

<표 Ⅲ-2-24> 기본생활 시간, 가정관리 시간 ·················································102

<표 Ⅲ-2-25> 아동의 활동별 참여 빈도: 장보기 및 쇼핑, 친인척 방문 ········103

<표 Ⅲ-2-26> 아동의 활동별 참여 빈도: 당일여행 및 나들이, 국내여행,

해외연수 ··················································································104

<표 Ⅲ-2-27> 아동의 활동별 참여 빈도: 문화체험 및 예술감상, 견학,

종교활동 ··················································································105

<표 Ⅲ-2-28> 아동의 활동별 참여 빈도: 봉사활동, 동아리활동 ····················106

<표 Ⅲ-2-29> 컴퓨터 사용능력 1 ··································································107

<표 Ⅲ-2-30> 컴퓨터 사용능력 2 ··································································108

Page 11: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표 Ⅲ-2-31> 사이버 비행에 대한 인식 1 ····················································109

<표 Ⅲ-2-32> 사이버 비행에 대한 인식 2 ····················································110

<표 Ⅲ-2-33> 아동의 신체 치수(신장, 허리둘레, 체중, BMI) ·······················111

<표 Ⅲ-2-34> 아동의 특성 별 신체 치수 ······················································112

<표 Ⅲ-2-35> 아동의 시력 보정 도구 착용 시기 ··········································113

<표 Ⅲ-2-36> 남아의 2차 성징(몽정) 발현 여부 및 처음 나타난 시기 ·········113

<표 Ⅲ-2-37> 여아의 2차 성징(초경) 발현 여부 및 처음 나타난 시기 ·········114

<표 Ⅲ-2-38> 어머니가 인식한 아동의 주관적 건강상태 ·······························115

<표 Ⅲ-2-39> 아동의 치료 및 입원 여부 ······················································116

<표 Ⅲ-2-40> 아동의 만성 질환별 진단 및 치료 여부 ··································117

<표 Ⅲ-2-41> 아동의 알레르기 질환별 의사 진단 여부 ································117

<표 Ⅲ-2-42> 아동의 심리사회적 질환별 의사 진단 여부 ·····························118

<표 Ⅲ-2-43> 어머니가 인식한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 ··································119

<표 Ⅲ-2-44> 비속어 사용 ·············································································120

<표 Ⅲ-2-45>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화용언어 능력, CPLC) ·························121

<표 Ⅲ-2-46> 아동의 학업수행 능력 ······························································122

<표 Ⅲ-2-47> 아동의 학업수행 능력(평균) ·····················································123

<표 Ⅲ-2-48> 학업스트레스 ···········································································124

<표 Ⅲ-2-49>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전반적 행복감 ······································125

<표 Ⅲ-2-50> 아동의 미래기대 ······································································126

<표 Ⅲ-2-51> GRIT(끈기) ··············································································127

<표 Ⅲ-2-52> 아동의 학교생활 선호도 ··························································128

<표 Ⅲ-2-53> 아동의 학교생활 성실성 ··························································129

<표 Ⅲ-2-54> 아동의 학교에서 기분 ······························································130

<표 Ⅲ-2-55> 아동의 교사와의 마찰 ······························································131

<표 Ⅲ-2-56> 아동의 학교생활 피로도 ··························································132

<표 Ⅲ-2-57> 아동의 시간사용 만족도: 가족과의 시간 ·································133

<표 Ⅲ-2-58> 아동의 시간사용 만족도: 친구, 휴식, 여가활동 시간 ··············134

<표 Ⅲ-2-59> 아동의 시간사용 만족도: 숙제, 가족을 도와주는 시간 ···········134

<표 Ⅲ-2-60> 가족과의 식사 횟수(일주일 평균) ············································135

<표 Ⅲ-2-61> 아동의 강점/난점 ·····································································137

<표 Ⅲ-2-62> 아동의 강점/난점(내재화난점, 외현화난점) ······························138

<표 Ⅲ-2-63> 집단 괴롭힘 피해 경험(뺨, 얼굴, 머리 등을 맞은 경험) ·········139

Page 12: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표 Ⅲ-2-64> 집단 괴롭힘 피해 경험(따돌림 경험) ·······································140

<표 Ⅲ-2-65> 집단 괴롭힘 피해 경험(험담, 심한 욕설 등 폭언을 들은 경험) · 141

<표 Ⅲ-2-66> 집단 괴롭힘 피해 경험(고의적으로 툭툭침, 심부름, 숙제를

해오라는 등의 괴롭힘) ····························································141

<표 Ⅲ-2-67> 집단 괴롭힘 피해 경험(돈이나 물건을 빼앗긴 경험) ···············142

<표 Ⅲ-2-68> 집단 괴롭힘 피해 경험(협박이나 위협을 당한 경험) ···············143

<표 Ⅲ-2-69> 집단 괴롭힘 피해 경험(성적 수치심을 느끼는 말이나 행동을

당한 경험) ···············································································144

<표 Ⅲ-2-70> 삶의 만족도 ·············································································145

<표 Ⅲ-2-71> 상대적 박탈지수(가정형편) ······················································146

<표 Ⅲ-2-72> 아동의 친구 수 ········································································147

<표 Ⅲ-2-73> 아동의 친구와의 싸움 빈도 ·····················································148

<표 Ⅲ-2-74> 아동의 친구와의 주말 놀이 빈도 ············································149

<표 Ⅲ-2-75> 아동의 친구와의 방과 후 놀이 빈도 ·······································150

<표 Ⅲ-2-76> 이성친구 ··················································································150

<표 Ⅲ-2-77> 아동의 학교적응 ······································································152

<표 Ⅲ-2-78> 아동의 또래애착 ······································································153

<표 Ⅲ-2-79> 결혼 의사/자녀양육 의사 ·························································154

<표 Ⅲ-2-80> 저축 실태 ················································································155

<표 Ⅲ-2-81> 저축의 방식 ·············································································156

<표 Ⅲ-2-82> 아동의 공동체 의식 ·································································157

<표 Ⅲ-3-1> 11차년도 부모 특성 변인 ··························································158

<표 Ⅲ-3-2> 부모의 인구학적 특성 ································································159

<표 Ⅲ-3-3> 아동과의 동거 여부 및 비동거 이유 ·········································159

<표 Ⅲ-3-4> 부모의 주관적 행복감 ································································160

<표 Ⅲ-3-5> 모의 일상적 스트레스 ································································161

<표 Ⅲ-3-6> 부의 일상적 스트레스 ································································162

<표 Ⅲ-3-7> 모의 삶의 만족도 ······································································163

<표 Ⅲ-3-8> 부의 삶의 만족도 ······································································164

<표 Ⅲ-3-9> 모 일-가정 양립 시 일-가정 이점과 갈등 ································165

<표 Ⅲ-3-10> 모 일-가정 양립 시 일-양육 이점과 갈등 ·····························165

<표 Ⅲ-3-11> 부 일-가정 양립 시 일-가정 이점과 갈등 ·····························166

<표 Ⅲ-3-12> 부 일-가정 양립 시 일-양육 이점과 갈등 ·····························167

Page 13: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표 Ⅲ-3-13> 부모의 자아존중감 ···································································168

<표 Ⅲ-3-14> 부모의 결혼 상태 및 기간 ······················································169

<표 Ⅲ-3-15> 부모의 부부갈등 ······································································169

<표 Ⅲ-3-16> 모의 주관적 건강상태 ······························································170

<표 Ⅲ-3-17> 부의 주관적 건강상태 ······························································171

<표 Ⅲ-3-18> 부모의 1・2급 장애 유무 ·························································172

<표 Ⅲ-3-19> 부모의 알레르기 질환 유무 ·····················································172

<표 Ⅲ-3-20> 부모의 알레르기 질환 병력(중복응답) ·····································172

<표 Ⅲ-3-21> 부모의 음주 실태 ····································································173

<표 Ⅲ-3-22> 부모의 흡연 실태 ····································································173

<표 Ⅲ-3-23> 부모 취/학업 상태 ···································································174

<표 Ⅲ-3-24> 부모의 재직 상태 및 직장 변동 여부 ·····································175

<표 Ⅲ-3-25> 부모의 종사자 지위 ·································································176

<표 Ⅲ-3-26> 어머니 근무일 및 시간 ····························································176

<표 Ⅲ-3-27> 어머니의 일자리 만족도 ··························································177

<표 Ⅲ-3-28> 부모의 양육행동(권위적) ··························································178

<표 Ⅲ-3-29> 부모의 양육행동(권위주의적) ···················································179

<표 Ⅲ-3-30> 부모의 양육행동(허용적) ··························································180

<표 Ⅲ-3-31> 부모의 성취압력 ······································································181

<표 Ⅲ-3-32> 보호자가 알고 있는 아동의 친구 수 ·······································182

<표 Ⅲ-3-33> 하루 중 성인 없이 있는 시간 ·················································183

<표 Ⅲ-3-34> 부모의 자녀 감독 수준 ····························································184

<표 Ⅲ-3-35> 부모의 학업관심도 ···································································185

<표 Ⅲ-3-36> 사회적 지원 인원 ····································································186

<표 Ⅲ-3-37> 사회적 지원 정도 ····································································187

<표 Ⅲ-3-38> 가구 구성 및 가구원 수 ··························································188

<표 Ⅲ-3-39> 월평균 가구 소득 및 어머니 근로소득 ····································188

<표 Ⅲ-3-40>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 ··························································189

<표 Ⅲ-3-41> 경제적 상황에 대한 가족의 걱정 빈도 ····································190

<표 Ⅲ-3-42> 월평균 지출 ·············································································191

<표 Ⅲ-3-43> 패널 아동에 대한 용돈 지급 여부 및 지급 시 액수 ···············191

<표 Ⅲ-3-44> 패널 아동의 용돈 사용처 ························································192

<표 Ⅲ-3-45> 가구 자산 ················································································193

Page 14: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표 Ⅲ-4-1> 11차년도 학교・사교육 특성 조사 변인 ·····································194

<표 Ⅲ-4-2> 11차년도 지역 및 정책 특성 조사 변인 ···································194

<표 Ⅲ-4-3> 돌봄 서비스 이용 여부 및 유형 ················································195

<표 Ⅲ-4-4> 돌봄 서비스 하루 평균 이용 시간 ·············································195

<표 Ⅲ-4-5> 돌봄 서비스 주당 이용 일 ·························································196

<표 Ⅲ-4-6> 돌봄 서비스 월 평균 이용 비용 ················································196

<표 Ⅲ-4-7> 돌봄 서비스 이용 만족도 ···························································197

<표 Ⅲ-4-8> 전학 여부 ··················································································197

<표 Ⅲ-4-9> 결석/결석이유 ············································································198

<표 Ⅲ-4-10> 설립유형 ··················································································199

<표 Ⅲ-4-11> 시범 학교 유형 ········································································200

<표 Ⅲ-4-12> 학교 폭력 발생 정도(1순위) ····················································200

<표 Ⅲ-4-13> 전체 학급 수 및 해당학급 학생 수 ·········································201

<표 Ⅲ-4-14> 학교 환경에 대한 인식 ····························································202

<표 Ⅲ-4-15> 교육시설 만족도(물리적 환경) ·················································202

<표 Ⅲ-4-16> 교사 성별 ················································································203

<표 Ⅲ-4-17> 교사 연령 및 경력 ··································································204

<표 Ⅲ-4-18> 교사 최종학력 ··········································································204

<표 Ⅲ-4-19> 교사 업무 스트레스 ·································································205

<표 Ⅲ-4-20> 아동과 교사 관계 ····································································205

<표 Ⅲ-4-21> 창의적 학교 환경 ····································································206

<표 Ⅲ-4-22> 부모의 학교생활 참여도 ··························································207

<표 Ⅲ-4-23> 부모의 학교행사 참여 여부(중복응답) ·····································208

<표 Ⅲ-4-24> 부모의 학교생활 관심정도 ·······················································208

<표 Ⅲ-4-25> 학교 수업 이외 교육 여부 및 과목 수 ···································210

<표 Ⅲ-4-26> 학교 수업 이외 교육 서비스 이용 유형(중복응답) ··················211

<표 Ⅲ-4-27> 학교 외 교육 서비스 주당 이용 시간 ·····································211

<표 Ⅲ-4-28> 학교 외 교육 서비스 만족도 ···················································212

<표 Ⅲ-4-29> 학교 외 교육 서비스 월 평균 이용비용 ··································213

<표 Ⅲ-4-30> 학교 외 교육 서비스 비용 부담도 ··········································213

<표 Ⅲ-4-31> 출생 후 총 이사 횟수 ·····························································214

<표 Ⅲ-4-32> 지역규모 ··················································································214

<표 Ⅲ-4-33> 6개 권역 구분 ·········································································215

Page 15: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표 Ⅲ-4-34> 교육・의료・복지 시설 편리성 ···················································216

<표 Ⅲ-4-35> 여가 공간・시설 편리성 ····························································217

<표 Ⅲ-4-36> 문화시설 편리성 ······································································218

<표 Ⅲ-4-37> 교육・의료・복지 시설 이용 만족도 ···········································219

<표 Ⅲ-4-38> 여가 공간・시설 이용 만족도 ···················································220

<표 Ⅲ-4-39> 문화시설 이용 만족도 ······························································221

<표 Ⅲ-4-40> 양육환경 안전성 ······································································222

<표 Ⅲ-4-41>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상 구분 ··················································223

<표 Ⅱ-4-42> 생활비 지원 여부 및 지원처 ···················································224

<표 Ⅲ-4-43> 지난 1년간 직장 내 육아지원제도 이용비율 ···························225

<표 Ⅲ-4-44> 정책 수혜여부 ··········································································226

<표 Ⅲ-4-45> 정책 만족도 ·············································································227

<표 Ⅳ-1-1> 조사 차수별 아동의 체중 ···························································239

<표 Ⅳ-1-2> 조사 차수별 아동의 신장 ···························································240

<표 Ⅳ-1-3> 조차 차수별 아동의 BMI ··························································241

<표 Ⅳ-1-4> 차수별 아동의 수면, 미디어이용, 독서시간 ·······························243

<표 Ⅳ-2-1> 차수별 부모의 취업률 ································································244

<표 Ⅳ-2-2> 어머니의 종사상 지위 ································································245

<표 Ⅳ-2-3> 차수별 월 평균 가구소득 및 총 지출 ·······································247

<표 Ⅳ-2-4> 차수별 부모의 부부갈등 ····························································248

Page 16: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그림 목차

<그림 Ⅰ-5-1> 각 데이터 차수별 종단 및 횡단 연구에 활용된 사례 수 ·········34

<그림 Ⅱ-1-1> 한국아동패널 12차년도 조사 절차 ···········································43

<그림 Ⅱ-1-2> 12차년도 조사원 교육 ······························································46

<그림 Ⅱ-1-3> 12차년도 조사 진행도 ······························································50

<그림 Ⅱ-3-1> 12차년도 패널 유지・관리 체계 ················································65

<그림 Ⅱ-3-2> 2019년 한국아동패널 경품 당첨 내역 ·····································66

<그림 Ⅱ-3-3> 2019년 가정의 달/이사/연말 선물 ··········································67

<그림 Ⅱ-3-4> 한국아동패널 2008~2019년 조사 참여율 ·······························68

<그림 Ⅱ-3-5> 제10회 한국아동패널 국제학술대회 기조강연 ··························71

<그림 Ⅳ-1-1> 조사 차수별 아동의 체중 변화 ···············································240

<그림 Ⅳ-1-2> 조사 차수별 아동의 신장 변화 ···············································241

<그림 Ⅳ-1-3> 조사 차수별 아동의 BMI ·······················································242

<그림 Ⅳ-1-4> 차수별 아동의 수면, 미디어이용, 독서시간 ····························243

<그림 Ⅳ-2-1> 부모의 취업률 변화 ································································245

<그림 Ⅳ-2-2> 어머니의 종사상 지위 ····························································246

<그림 Ⅳ-2-3> 부모의 부부갈등 ·····································································248

<그림 Ⅴ-1-1> 아동 성별 신체 치수 ······························································254

<그림 Ⅴ-1-2> 아동의 스마트폰, PC(인터넷) 이용 시간(1일, 시간) ··············254

<그림 Ⅴ-1-3> 미디어 기기 중독 위험군 비율 ···············································255

<그림 Ⅴ-1-4> 아동의 수면 시간 ···································································255

<그림 Ⅴ-1-5> 취미(악기, 운동) ·····································································256

<그림 Ⅴ-1-6>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5점 척도) ············································256

<그림 Ⅴ-1-7> 아동의 사회・정서 발달(4점 척도) ··········································257

<그림 Ⅴ-1-8> 아동의 학교적응(5점 척도) ·····················································257

<그림 Ⅴ-1-9> 집단 괴롭힘 피해 경험 ···························································258

<그림 Ⅴ-1-10> 결혼 의사/자녀양육 의사 ·····················································259

Page 17: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부록 표 목차

<부록 표 1-1> 차수별 아동 특성 변인 ···························································273

<부록 표 1-2> 차수별 부모 특성 변인 ···························································280

<부록 표 1-3> 차수별 가구 특성 변인 ···························································284

<부록 표 1-4> 차수별 교육 및 돌봄 특성 변인: 영유아기 ····························286

<부록 표 1-5> 차수별 학교・사교육 특성 변인: 아동기 ··································289

<부록 표 1-6> 차수별 지역사회 변인: 일반적 특성 ·······································291

<부록 표 1-7> 차수별 정책 변인 ···································································292

<부록 표 7-1> 연도별 한국아동패널조사 참여 분포 ·······································301

<부록 표 7-2> 11차년도 횡・종단면 자료 무응답 로지스틱 모형 분석결과 ···302

<부록 표 7-3> 11차년도 최종 횡・종단면 가중치 부여 결과 ·························303

Page 18: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Page 19: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1

요약

1. 서론

가. 연구의 목적

□ 2019년도 한국아동패널에서는 초등학교 5학년으로 진학한 1,600여명의 아동

과 그 가족, 학교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신체적, 인지적, 정신적 발달과 변화를

조사하고 그들을 둘러싼 환경의 역할과 영향을 확인하고자 함.

나. 연구 사업의 내용

□ 2019년 실시를 위한 12차년도 조사 문항 개발

□ 11차년도 조사 자료 분석 및 결과 보고

□ 제10차 한국아동패널 국제학술대회 개최

□ 패널 유지 업무

□ 패널자료 활용성 제고를 위한 웹페이지 관리

다. 연구 방법

□ 12차년도 일반조사 방법

- 문헌고찰, 전문가 자문회의, 설문조사(패널 일반조사/부모조사/교사조사), 아

동 수행검사 실시

□ 계량적 분석

- 11차년도 자료의 횡단 분석

- 1~11차년도 자료 종단 분석

- 가중치의 추정 및 적용

Page 20: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2

2. 2019년(12차년도) 사업 보고

가. 12차년도 조사 절차

□ 2019년 12차년도 조사의 절차는 크게 세 단계이며, 다음의 그림과 같음.

나. 12차년도 조사 내용

□ 12차년도 조사는 패널 아동, 어머니, 아버지, 보호자, 담임교사의 5종 질문지

를 통해 다면적으로 실시됨.

- 부모 대상 질문지는 부부 간 상호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동일

한 내용으로 구성되며, 우편으로 전달하여 지필식 기입을 통해 방문 수거하

는 방식으로 진행됨. 어머니 대상 질문지는 식생활 진단, 미디어 기기 중독

등과 같은 아동 특성과, 부부 특성, 신체, 건강 특성 등 부모 특성을 포함함.

아버지 대상 질문지는 아동 특성을 제외하고 부모 특성만 포함됨.

- TAPI(보호자용) 조사는 방문 면접 조사로 이루어지며, 아동, 부모, 가구, 학

교・사교육, 지역, 정책 특성 등 다분야에 대해 조사함. 또한 보호자를 대상으

로 아동행동평가척도(CBCL 6-18)를 지필식 기입 방식으로 진행함.

- TAPI(아동용) 조사는 신체계측, 대면 면접(인지발달, 학습스트레스, 자아발달

등), 수행검사(성격검사, 학업동기검사)로 이루어짐.

Page 21: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요약

3

- 담임교사 조사는 학교 및 담임교사 특성, 수업 운영과 학교에서 관찰할 수 있

는 아동의 특성에 대해 조사하며 Web조사 방식으로 진행됨.

다. 패널 관리

□ 패널 대상자 유지・관리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으며, 12차년도

패널 관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됨.

라. 제10회 한국아동패널 국제학술대회 개최

□ 제10회 한국아동패널 국제학술대회는 2019년 11월 1일(금)에 서울대학교 호

암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됨.

- 1부에서는 한국아동패널에 대한 소개와 대학원생 논문 공모전 수상 논문 시

상, 아동패널 주제와 관련된 해외강사의 기조강연으로 진행됨.

- 2부에서는 한국 아동패널 1~10차년도 자료를 활용한 학술논문 공모전 당선

작에 대한 발표와 토론의 장이 마련됨.

Page 22: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4

3. 2018년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가. 11차년도 조사 대상자 특성

□ 11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패널 아동의 성별은 남아 50.9%, 여아 49.1%이고 출

생순위는 외동아 10.5%, 첫째아 36.1%, 둘째아 이상이 53.4%임. 월령은 평

균 123.99개월(만 10.33세)임.

나. 아동 특성

□ 일상생활 특성

- 아동의 식생활 진단의 경우, 우유/유제품 섭취는 낮은 편이지만, 단백질류,

채소, 과일의 섭취 정도는 높아 대체로 권장 섭취 항목을 잘 충족하고 있고,

매일 세끼 규칙적인 식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남.

- 아동은 주중 평균 오전 7시 35분에 기상하여 오후 10시 20분에 취침하며,

주말 평균 오전 8시 32분에 기상하여 오후 11시 9분에 취침함.

- 아동의 평일 하루 활동 시간은, 학교에서 보내는 시간 5.82시간, 학교 이외

기관에서의 교육 돌봄 시간 2.18시간, 독서 0.76시간, 숙제 및 학습 0.95시

간, 통신교육 0.70시간, 영상시청 1.16시간, 게임 0.92시간으로 나타남.

- 약 80%의 아동은 스마트폰을 소지하고 있으며, 스마트폰과 PC를 이용하는

아동은 94.7%임.

- 아동의 미디어 기기 중독수준을 측정한 결과, 아동의 31.7%는 잠재적/고위

험 사용자군에 해당하는 것으로 분석됨.

□ 신체 및 건강 특성

- 아동의 평균 신체 치수는 신장 141.16cm, 체중 37.63kg, 허리둘레 68.35cm,

BMI 18.77kg/m2로 대체로 양호하게 성장하고 있음.

- 안경을 착용하는 아동은 29.7%, 시력 교정 도구를 사용하는 아동은 3.4%로,

전체 아동의 약 1/3정도는 시력보정도구를 착용함.

- 남아의 1.8%는 몽정을 경험하였으며, 여아의 13.2%는 초경을 시작함.

□ 인지 및 언어 발달 특성

- 어머니가 인식한 아동의 집행 기능은 평균 1.5점 이내로 중간수준으로 인식

Page 23: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요약

5

하고 있어, 집행 기능에 큰 어려움이 없는 것으로 보고됨.

- 아동의 의사소통능력은 총점 4.10점이고, 담화관리, 상황에 따른 조절, 의사

소통 의도, 비언어적 의사소통 모두 4점대인 것으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의

사소통능력은 높은 것으로 나타남.

- 담임교사는 패널 아동이 학업수행능력 전반에서 상위권에 속한다는 응답이

80% 이상으로 높은 수준의 학업수행능력이 나타남.

- 아동이 느끼고 있는 학업스트레스는, 숙제/시험에 대한 스트레스가 상대적으

로 높았으며, 학교성적에 대한 스트레스는 낮은 편임.

□ 자아 및 정서발달 특성

-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평균 3.48점, 전반적 행복감은 평균 3.30점으로 비교적

높은 편임.

- 아동은 미래에 행복한 가정을 이룬 사람, 다른 사람을 돕는 사람, 유명한 사

람이 되고 싶은 기대를 갖고 있음.

- GRIT의 평균 점수는 3.41점으로 보통 이상으로 나타나, 아동의 끈기는 대체

로 높은 수준의 것으로 파악됨.

□ 사회성 발달 특성

- 아동의 담임교사는 아동이 학교에서 보이는 강점(친사회적행동)은 높고, 난점

(총체적어려움)은 비교적 낮은 것으로 평가함.

- 아동은 평균 17.92명의 친구가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약 50%의 아동은 몇

개월에 한번 친구와 다투며, 약 40%는 거의 매주 주말 친구와 놀이하는 것

으로 나타남.

- 아동의 12.2%는 사귀는 이성친구가 있다고 응답함.

- 아동의 또래애착 중 의사소통과 신뢰는 3점대 이상으로 긍정적인 또래애착

수준을 보였으며, 소외는 1점대로 낮은 편임.

다. 부모 및 가구 특성

□ 부모 특성

- 어머니의 평균 연령은 41.08세, 아버지는 43.53세이며, 대졸자가 각각 38.0%,

Page 24: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6

40.8%로 가장 많았음. 부모의 평균 결혼 기간은 약 13년 8개월이었음.

- 부모의 행복감은 7점 기준, 어머니는 5.16점, 아버지는 5.27점이었음. 일상

적 스트레스는 4점 기준, 어머니는 2,94점, 아버지 2,97점이었음. 삶의 만족

도는 역시 5점 만점 기준, 어머니 3.45점, 아버지 3.47점, 부모의 자아존중

감은 어머니는 3.76점, 아버지는 3.84점으로 아버지의 자아존중감이 어머니

보다 높았음.

- 일과 가정 양립 시 겪게 되는 일-가정, 일-양육 병행의 이점을 갈등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음.

- 스스로의 건강 상태를 양호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아버지가 어머니보다 더

많은 양의 술을, 더 자주 마시며, 흡연자 비율도 44.3%로 높았음.

- 어머니의 44.3%는 미취업/미학업 상태였으며, 취업 중인 경우 어머니 65.4%,

아버지 66.7%가 상용직이었음. 어머니는 1주 평균 5.12일, 평균 39.43시간

정도 근무하며, 일자리 만족도는 5점 만점 기준, 3.87점으로 응답됨.

- 부모들의 양육행동은 어머니는 권위적, 권위주의적 양육행동에서 높은 평가,

아버지는 허용적 양육행동에서 높은 평가를 함.

- 아동의 성인없이 보내는 시간, 부모 감독 정도, 학업 관심도는 모의 취업여부

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임.

- 부모의 사회적 지원은 외가, 친구 및 동료 지원이 많았으며, 지원 정도는 네

가지 차원(정서적, 정보적, 사교적, 도구적)에서 비슷한 수준을 보임.

□ 가구 특성

- 패널 가구는 핵가족이 87.9%로 절반 이상이며, 평균 가구원수는 4.64명임.

- 가구 소득은 평균 556만원, 어머니의 근로소득은 약 231만원임. 패널 가구

의 월 평균 지출액인 소비성 지출은 약 264만원, 비소비성 지출은 약 185만

원임.

-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는 우리나라 비교와 지역 사회 내 비교에서 총 10단

계중 약 5단계 정도로 중간 수준으로 평가함.

- 패널 아동은 경제적 상황에 대한 가족의 걱정 빈도에 대해 전혀 하지 않는다

는 응답과 가끔 걱정한다는 응답이 비슷하였음.

- 패널 아동은 용돈을 필요시 지급받으며, 일주일 용돈액은 평균 4천원대임.

Page 25: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요약

7

간식 및 군것질하는 용도가 70% 이상으로 주 사용처로 나타남.

- 돌봄서비스 만족도는 5점 만점에 평균 4점대로 높은 편임.

라. 학교 특성

□ 돌봄 서비스를 이용은 학기 중과 방학 중 모두 20% 이내이며, 주로 이용하는

유형은 조부모/친인척이 70% 이상으로 평균 5시간 내외 서비스를 이용함.

□ 전년도 조사에 비해 초등돌봄교실 이용비율은 줄고, 지역아동센터 이용 비율이

늘어남.

□ 돌봄 서비스 주당 이용일은 학기 중과 방학 중 모두 평균 4-5일이며, 이용비

용은 비혈연 대리양육자에게 가장 많은 비용을 지불하고 있었음.

□ 학교 환경

- 전체 아동 1,431명의 92.9%가 전학한 적이 없으며, 78.3%가 결석하지 않음.

- 학교 환경에 대한 아동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5점 척도에서 3.9점, 교사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5점 척도에서 3.72로 긍정적임.

- 주변 환경 및 통학 조건 역시 교사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5점 척도에서 3.84

로 양호함.

- 응답에 참여한 교사의 평균 연령은 37.84세, 평균 경력은 8.61년이며 64.9%

가 대졸, 23%가 석사학위를 가짐.

- 응답에 참여한 교사의 88.1%가 공립학교, 10%가 국립학교, 0.9%가 사립학

교에 근무함.

- 학교의 평균 학급 수는 5.24학급, 학급당 평균 학생 수는 24.86명임.

- 교사의 업무 스트레스를 조사한 결과 생활지도와 행정업무에 대한 업무 스트

레스가 학부모와 관계, 수업지도에서 받은 스트레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음.

- 교내 학교 폭력 중 가장 심각한 것은 언어폭력이며, 집단 따돌림, 성추행, 신

체 폭행 순임.

□ 학급 운영 및 가정 협력

- 교사와 패널 아동과의 관계는 친밀감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부모의

학교생활에 대한 관심도가 높음.

Page 26: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8

- 학교생활에 관심도를 보이는 부모는 83.2%이며, 학교생활에 참여하는 부모

는 65% 이상임. 부모가 참여하는 학교생활은 담임 상담, 학부모 공개수업,

자원 봉사 순이었음.

- 학교 행사에 어머니만 참여하는 경우가 아버지 혹은 부모 모두에 비해 6배가

량 높음.

□ 사교육

- 학교 수업 이외의 교육 서비스를 이용한다는 응답은 97%로 높게 나타났으

며, 사교육을 이용한다는 응답도 92.4%임.

- 한 주간 이용하는 학교 외 교육서비스는 학원이 평균 8.28시간으로 가장 많

았으며, 이용비용은 월 평균 33.68만원으로 가장 높음.

- 만족도가 가장 높은 학교 외 교육 서비스는 학원이며, 가장 낮은 서비스는 인

터넷 화상강의와 학습지(방문교사)로 나타남.

마. 지역사회 특성

□ 주거 환경

- 패널 가구의 40.3%가 대도시, 53.6%가 중소도시에 거주하고 있음.

- 접근 편리성을 조사한 결과 아동 양육자의 60% 이상이 의료 기관 접근성이

편리하다고 평가하였으며, 49%와 28%가 각각 교육기관과 공공 복지시설의

접근성이 편리하다고 응답함.

- 여가 공간의 시설 편리성 및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놀이터와 산책로가 가장

편리하였으며 만족도는 산책로, 공원, 놀이터가 가장 높음.

- 패널 가구의 55.4%가 범죄로부터 안전하다고 평가하였으며, 38.7%가 이웃

간에 서로 협조하는 분위기라고 평가함.

바. 정책 특성

□ 정책 수혜

- 패널 가구 중 국민기초생활수급자는 0.3%, 차상위계층은 1.7%이었으며, 지

난 1년간 정부 보조금을 포함한 생활비 지원을 받는 비율은 8.6%임.

- 어머니와 아버지가 지난 1년 동안 직장 내 육아지원제도를 이용한 비율은 아

Page 27: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요약

9

버지는 7%, 어머니는 7.6%임.

- 지난 1년간 수혜 비율이 높은 아동 정책은 학교 폭력 예방 67.3%, 학교 급식

안전 관리 65.5%로 가장 높음.

4. 1~11차년도 주요 결과 추이

가. 아동 특성

□ 체중의 변화를 보면, 만 10세가 넘은 2018년에는 출생시기 체중의 약 12배

가까이 증가했음을 알 수 있음. 직전 연도(10차 조사) 대비로 남아는 평균 4.6

㎏ 증가하였고, 여아는 평균 4.3㎏ 성장하여 성장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남.

□ 아동의 신장 변화를 보면, 11차년도에는 남녀 간 신장의 차이가 거의 없어졌

다는 변화를 찾을 수 있음.

□ 아동의 수면시간을 보면 연령이 높아갈수록 꾸준히 줄어들고 있는 경향을 확

인할 수 있고 평균 매년 10분 정도씩 수면시간이 감소됨.

- 수면시간을 처음 측정하였던 5차년도에 비해 11차년도에는 1시간 3분이 감

소되어 9시간 8분임.

나. 부모 및 가구 특성

□ 어머니의 취업률은 해마다 조금씩 상향되는 경향을 보임. 자녀가 10세가 된

11차년도 조사에서는 어머니의 55%이상이 취업을 한 것으로 나타나 패널 조

사 시작 이래 가장 높은 취업률을 보임.

□ 취업모인 경우 어머니의 종사상 지위를 연도별로 비교해보면, 1차년도에는

85.7%가 정규직/상용직이었으나 점차 줄어 10차년도에 61.7%임.

□ 월평균 가구소득을 보면 꾸준히 증가한 경향을 알 수 있는데, 11차년도에는

565만원이 평균으로 조사되어 전년도에 비해 23만원이 증가함.

Page 28: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10

5. 정책적 시사점

□ 스마트폰 등 미디어기기 중독 위험 방지

- 전체 아동의 31.7%가 잠재적/고위험 사용자 군에 해당하는 것으로 조사되었

고 최고 38%가까이의 4학년 아동들이 스마트폰 중독에 가까운 기기 사용 행

태를 보이고 있음.

- 잠재적/고위험 사용자 군 비율은 작년 23.7% 대비 8%p 증가하여, 초등학교

고학년이 되면서 급상승한 모습을 볼 수 있음.

-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미디어기기 중독의 위험성에 대해 면밀히 연구, 조사하

고 이에 대한 대안과 예방책을 마련하여 아동들이 중독 수준에 이르지 않도

록 예방하고 지원하는 방안이 필요함.

□ 사이버 비행 인지에 대한 성차

- 아동 성차에 따라 유의미한 점수 차가 있으며, 남아가 여아보다 예외 없이 모

든 항목에서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보여 여아보다 남아가 이 사항들을 ‘덜 문

제시’ 하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남.

- 이러한 사이버 비행에 대해 민감성을 키우고 올바른 사이버 공간 사용법을

알게 할 교육, 홍보 전략이 필요함.

□ 저소득 가구 아동에 대한 지원

- 조사결과는 저소득 가구 아동에 있어 식생활 개선, 언어발달 지원, 리더십 함

양, 학업 지원 등이 필요함을 보여주며,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높이고 안정적

인 담화 기술을 키울 수 있도록 기회를 주는 지원을 할 수 있음.

Page 29: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Page 30: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Page 31: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I서론

01 아동패널 연구개요

02 연구내용

03 연구방법

04 선행연구 검토: 국내외 종단 연구 개관

05 아동패널 자료의 활용 및 성과 확산

06 보고서 구성

Page 32: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Page 33: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15

Ⅰ. 서론

1. 아동패널 연구개요

「한국아동패널 연구」는 2008년 출생 신생아 2,150명을 대상으로 처음 시작되

어 2016년부터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라는 새로운 제목으로 이어졌으

며, 2019년 현재 12년차를 맞이하였다. 결과적으로 지금까지 참여해온 패널 아동

들은 만11세가 되어 대부분 초등학교 5학년에 진학하였고 12년간의 종단 자료 또

한 누적되어 있다. 연속적인 맥락에서 2019년도 한국아동패널 연구는 초등학교 고

학년으로서의 패널 아동들이 인지적・신체적・심리적 측면에서 어떠한 생활을 하고

있는지, 그들의 가정, 학교, 지역사회는 패널 아동들과 어떠한 역동성을 갖고 관계

를 유지하고 있는지, 부모와 교사, 또래와는 어떠한 관계성으로 연결되어 있는지

등의 문제에 답을 찾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종단연구는, 특히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종단연구는 한 사람의 인간으로서의 성

장, 발달의 궤적을 시간의 흐름과 함께 볼 수 있음과 더불어 교육을 비롯한 환경이

그에게 미친 영향을 양적으로, 질적으로 분석하여 심리학, 교육학, 사회학, 행정학

등 수많은 학문 분야에 심층적인 시사점을 주는 연구 결과를 낳을 수 있는, 학술적

으로 소중한 자료를 생산한다. 패널 종단연구는 이렇게 다학문 분야에 근본적・중

추적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큰 장점을 지녔지만 패널을 실제로 20년이라는

장시간 동안 유지하며 해마다 조사를 진행하고 매해 보고서를 발간해야 한다는 점

에서, 지속적인 끈기와 과업에 대한 깊은 책임감, 그리고 안정적인 재정 기반이 갖

추어지지 않고서는 성공하기 힘든 일이기도 하다. 육아정책연구소는 우리나라 아

동의 성장과 발달을 지속적으로 추적 조사하는 「한국아동패널 연구」를 2008년 이

래 중단 없이 진행해오고 있으며 앞으로도 2027년까지 총 20년 동안 동일한 패널

의 발달적 변화를 지켜봐갈 것이다. 이는 연구의 중요성과 의의에 대해 육아정책연

구소뿐 아니라 경제인문사회연구회, 국무조정실, 기획재정부 등 정부부처가 동의

하고 인정한 결과이며, 먼 국가 장래의 시각에서도 패널 유지와 산출 데이터를 소

Page 34: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16

중히 여기고 잘 활용하는 것이 필요함을 인식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해마다 한국아동패널은 직전 연도에 수합된 원천데이터를 공개하여 학자들로 하

여금 이를 이용한 연구논문을 작성하고 발표하도록 장려하고 있으며 학술대회를

개최하여 보다 많은 관련자가 공유할 수 있는 기회 또한 마련하고 있다. 뿐만 아니

라 2018년에는 국가가 승인하고 관리하는 공공데이터포털(https://www.data.go.kr)

에 등록되어 학자든 언론인이든 사업기술인이든 누구나 쉽게 접근하여 활용할 수

있는 개방 데이터로서, 다방면에서 자료를 활용하여 유용한 결과가 나올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가 더 커졌다. 즉, 지금까지는 아동학, 교육학 등 일부 영유아발달이나

교육, 보육, 복지 분야 학술 연구에 치우쳤던 연구논문들이 보다 융합적이고 간학

문적인, 또는 실용적인 연구에서 논의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으로는 정부부처가 종단연구의 결과에 더 큰 관심을 두고 정책 수립을 위한

자료로서의 활용성에 대한 인식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그간 일부 사립 연구소

등에서 아동을 대상으로 장기 종단연구를 진행하거나 공공 연구기관이 아동기 일

부 또는 학교생활 중심으로 종단 조사한 사례가 있기는 하였으나 신생아기부터 성

인기까지 20년간을 국가가 지원하고 국책기관이 주관한 패널 종단연구는 육아정

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 연구가 유일하다. 그러므로 그 시기 동안의 사회적・정책

적 변화가 다른 시기와 비교했을 때 2008년생의 성장, 발달에 어떠한 차이를 가져

올 수 있는지를 도출해낼 수 있다면 정책입안자로서 정부부처에 패널 연구결과가

줄 수 있는 시사점 또한 큰 의미를 가질 것이다. 그런 점에서 패널 데이터를 활용

한 정책 연구 또한 장기적으로 더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국제적으로도 한국아동패널을 활용한 연구결과물들이 많이 발표되어 비단 우리

나라 현실뿐 아니라 아동발달과 환경 관련 보편적 이론의 구축에 이바지할 수 있는

역량있는 학자가 많이 배출되어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2019년도에는 육아정책

연구소 주최 한국아동패널 제10차 학술대회를 기념하여 국제학술대회로 개최하였

다. 국제학술대회를 통해 해외의 아동중심 종단연구 사례와 경향을 함께 공유함과

더불어 우리나라 아동패널 연구의 결과와 성과를 국제적으로 알리고 한층 더 진보

된 연구결과를 제시함으로써 국제적 학술 논의의 장에서 아동패널 연구의 의의와

중요성이 주목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였다.

2019년도 한국아동패널에서는 초등학교 5학년으로 진학한, 현재 유지되고 있는

Page 35: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Ⅰ. 서론

17

구분 0세 1세 2세 3세 4세 5세 6세

초등학령기 중등 고등 대1

심층조사1) 학술대회7세 8세 9세 10세11세12세

13~ 15세

16~ 18세

19세

2008 1차

2009 2차 1차

2010 3차 부가조사2) 1회

2011 4차 2회

2012 5차 3회

2013 6차 2차 4회

2014 7차 5회

2015 8차 6회

1,700여명의 아동과 그 가족, 학교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신체적, 인지적, 정신적

발달과 변화를 조사하고 그들을 둘러싼 환경의 역할과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며, 공

공화한 패널 데이터를 보다 널리 홍보하고 가용성을 높여 국내외 학자와 정부 관계

자, 관련 전문가들로 하여금 패널 연구결과의 활용성과 중요성을 더 확고히 인지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2. 연구내용

한국아동패널의 12차년도 조사인 2019년도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조사 문항의 개발

2019년도에 실시한 12차년도 조사의 문항을 개발하였다. 한국아동패널이 지속

적으로 조사해 온 주요 변인들을 검토하여 현 시점에서 적절한 문항이 될 수 있도

록 유지, 추가, 삭제 여부를 결정하였다. 또한 아동패널조사 모형개발 연구(장명

림・신나리・박수연, 2006)에서 제시한 조사 영역 및 변인을 토대로 하되, 만11세

아동의 발달 특성에 대한 이론적 탐구를 통해 아동의 연령과 발달에 적합한 발달검

사 및 조사 문항들을 선정하였다. 특히 아동의 학교생활과 인지, 정서, 사회성 등

발달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변인을 보강하였다.

<표 Ⅰ-2-1> 한국아동패널 연도별 실시 계획

Page 36: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18

구분 0세 1세 2세 3세 4세 5세 6세

초등학령기 중등 고등 대1

심층조사1) 학술대회7세 8세 9세 10세11세12세

13~ 15세

16~ 18세

19세

3차3)

2016 9차 7회

2017 10차 8회

2018 11차 9회

2019 12차 10회

2020 13차

2021 14차 4차 예정

2022 15차

2023 16차

2024 17차 5차 예정

2025 18차

2026 19차

2027 20차 6차 예정

주: 1) 한국아동패널 조사는 크게 ‘일반조사’와 ‘심층조사’로 구분됨. ‘일반조사’는 한국아동패널의 기본조사로써 매년 실시함. ‘심층조사’는 2~3년에 한 번씩 시행되며, 문항 내용 및 검사 방법이 일반조사에서 수행하기 어려운 내용을 실행함.

2) 한국아동패널 3차 일반조사 외에 2010년에 출생한 신생아가구 1,000사례를 대상으로 부가조사를 실시하여 횡단자료를 구축함.

3) 8차 조사 참여자를 대상으로, 2015년~2016년까지 질병관리본부 R&D 과제로 서울 아산병원과 각 지역별 거점 병원에서 혈액, 소변, 폐기능 검사 등의 심층조사가 실시됨.

<표 Ⅰ-2-2> 2019년 한국아동 종단연구 조사 대상별 주요 내용

대상 구분 주요 조사 내용

패널 아동의 어머니, 아버지

TAPI1)

조사

- 가구 및 지역사회 특성(가구원 구성, 가구 경제, 물리적 환경, 지역사회 인프라 및 안전성 등)

- 주 양육자 특성(직업 특성, 학습에 대한 부모 참여 등)- 아동 특성(공・사교육 이용, 건강 특성, 미디어 이용 등)

PAPI2) 조사 - 아동 특성(문제행동 등의 심리・사회적 특성)

우편 PAPI 조사

- 부모의 심리・사회적 특성(우울, 결혼만족도, 행복감 등)- 부모의 건강 특성(흡연, 음주, 주관적 건강상태 등)- 아버지의 직업 특성(직업 상태, 직업군 등)

패널 아동

TAPI 조사

- 신체 특성(신장, 체중, 허리둘레 등)- 심리적 특성(행복감, 자아개념, 자율성 등)- 일과 및 사회적 특성(시간사용 만족도, 집단괴롭힘 등)- 양육특성(양육방식, 부모애착 등)

수행 검사- 성격검사- 학업동기검사

아동의 학교 담임교사

CAWI3) 조사- 학교 및 학급 특성(설립유형, 시범학교유형, 물리적 환경 등)- 교사 특성(인구학적 특성, 근무시간, 업무스트레스 등)- 아동 특성(문제행동, 학업수행 정도 등)

Page 37: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Ⅰ. 서론

19

주: 1) TAPI: Tablet Assisted Personal Interviewing2) PAPI: Paper Assisted Personal Interviewing3) CAWI: Computer Aided Web Interviewing

나. 조사 자료 분석 및 결과 보고

2018년에 실시된 11차년도 조사의 데이터를 클리닝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자

료의 횡단 분석을 통해 주요 변인을 중심으로 아동의 성장・발달과 초등학교 4학년

시점의 생애주기 특성을 파악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와 더불어 1~11차년도 자료에 포함된 연도별 연속적 변인들을 중심으로 종단

분석을 실시하여 2008년부터 2018년까지 11년간 축적된 자료의 시간에 따른 변

화를 살펴보았다.

다. 국제학술대회 개최

제10회 국제학술대회 통해 국내외 종・횡단연구 활성화를 도모하고, 우리나라

아동패널과 주요 해외패널 연구의 결과를 비교, 대조해 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

고자 하였다. 특히 노르웨이와 독일을 비롯한 유럽의 종단연구 담당 전문가의 학술

대회 참여를 통해, 상호교류의 기회를 마련하고 연구 협력에 대해 논의하는 장을

기획하였다.

한편, 학술대회 홍보의 과정에서 2019년은 아동패널 10년간의 자료가 축적된

시기이므로 종단연구를 더욱 활성화할 수 있는 주제를 제시하여 아동의 제 발달

영역의 종단적 변화를 발견하는 방향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도록 주도하고자

하였다.

라. 패널 유지 업무 수행

패널 유지율 및 데이터 질 관리를 위해 패널 가구가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다양

한 업무를 수행하고자 하며, 여기에는 패널 조사 참여 및 중요성을 강조하는 안내

문 발송, 브로슈어 제작, 연하장 및 선물 제공 등이 포함된다.

Page 38: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20

마. 패널자료 활용성 제고를 위한 웹페이지 관리

공공데이터 포털과 연계된 아동패널 홈페이지를 개정하여 데이터 활용성을 높이

기 위해 패널이 보여주는 의미 있는 통계자료를 게시하고, 아동패널자료를 활용한

논문, 학술대회 발표 자료 등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였다.

3. 연구방법

가. 12차년도 일반조사

1) 문헌고찰

○ 기존 조사지 문항 검토 및 수정

○ 관련 심리・발달검사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 해외 종단연구 사례에 대한 조사 및 검토

2) 전문가 자문회의

○ 초등학교 5학년 조사 변인 검토

○ 추가 변인 선정과 문항검토를 위한 전문가 자문회의 실시

3) 설문조사

가) 패널 일반조사

○ 조사 대상: 패널 약 1,672가구의 아동 및 양육자(어머니)

○ 조사 내용

- 패널 특성조사: 아동 특성, 부모 특성, 가구 특성, 학교 및 육아지원서비스

특성, 지역사회, 육아정책

○ 조사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화 된 태블릿 PC용 설문(TAPI) 대인면접

Page 39: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Ⅰ. 서론

21

나) 부모조사

○ 조사 대상: 약 1,672명 패널 아동의 어머니와 아버지

○ 조사 내용: 양육태도, 심리적 특성, 직업 특성, 자녀 가치관 등

○ 조사 방법: 우편용 질문지 또는 web 조사

다) 교사조사

○ 조사 대상: 패널 아동이 재학 중인 학교의 담임교사

○ 조사 내용: 인구학적 특성 및 경력, 전공, 학교 특성, 아동발달 특성

○ 조사 방법: web 조사

4) 아동 수행검사

○ 조사 대상: 패널 아동

○ 조사 내용: 성격검사, 학업동기검사

○ 조사 방법: 태블릿 PC용 설문지(TAPI) 이용 수행 검사

나. 계량분석

아동패널 11차년도 일반조사 자료를 분석하고, 1~11차년도 종단자료에 대한

주제별 분석을 실시하였다.

1) 11차년도 자료의 횡단 분석

만10세 한국아동의 발달, 육아지원서비스 이용현황, 지역사회 및 정책 관련 특

성 등을 분석하였다.

2) 1~11차년도 자료 종단 분석

지난 11년간 축적된 일반 조사에 대해 종단 추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1차년도

부터 11차년도 까지 전반적인 변화의 추이를 볼 수 있는 몇가지 변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Page 40: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22

3) 가중치의 추정 및 적용

11차년도 데이터에 대한 가중치 작업을 진행하여 적용하였다.

다. 패널관리, 홍보 및 데이터 관리

초기부터 지속적으로 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패널 가정에 대한 이사 등 가정의

변동 사항을 추적하고, 가정의 달 선물과 조사 참여 경품을 패널 가구에 보내며,

연하장 및 연말 선물 등을 발송하여 패널로서의 계속적 활동을 유지하도록 관리,

지원하였다. 또한 지금까지 조사된 패널 아동의 발달 추이 관련 브로슈어를 제작・배포하여, 패널가구에게 조사의 중요성을 알리고 참여의지를 고취시킬 뿐만 아니

라, 한국아동패널의 조사 성과를 홍보하였다.

아동패널 데이터 사용자 측면에서는, 공공데이터 홍보를 위하여 아동패널 홈페

이지(국문 및 영문)를 전면 개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패널 자료 활용에 대해 알리는

작업을 지속하였고, 사용자 친화적인 환경을 만들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또한 한국

아동패널 학술대회를 개최하여 패널 자료의 활용성을 높이고 홍보하였다.

4. 선행연구 검토: 국내외 종단 연구 개관

가. 국내의 아동 관련 패널조사

1) 한국청소년패널

한국청소년패널은 국내 최초의 종단 조사로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

관리하는 패널 조사이다. 전국의 중학교 2학년 청소년(2003~2008년)과 전국의

초등학교 4학년 청소년(2004~2008년) 중 연구대상으로 선정된 동일한 청소년들

을 대상으로 그들의 잠재적 직업선택・향후 진로설정 및 준비・일탈행위・여가참여

등의 생활실태에 대해 전망적 패널조사의 방법으로 추적 조사하였다.

Page 41: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Ⅰ. 서론

23

<표 Ⅰ-4-1> 한국청소년패널 조사항목(초4패널)

구분 조사항목

청소년 인적사항 사는 곳, 학교명 및 반, 성별, 출생년월

직업선택 직업성숙도, 장래 희망직업 선정여부, 장래 희망직업, 부모님께서 바라시는 직업

향후 진로설정학생이 원하는 교육수준, 부모님이 원하는 교육수준, 향후 진로 설정 관련 부모님과의 대화 여부, 진로준비 활동, 학업중단의 원인, 전학, 휴학 및 중퇴 의사 등

진로준비 성적, 사교육 참여, 학교 수업참여, 개인 공부, 수상 및 자격증 취득 경력 등

여가 여가종목, 여가를 함께 보내는 사람, 여가를 보내는 장소, 여가만족도, 여가제약 등

일탈 및 기타

부모 애착, 부모 감독, 부모통제, 공부압력, 교사 애착, 학교 친구 애착, 지역사회 애착, 지역사회 감독, 친한 친구와의 접촉빈도, 친한 친구 애착, 친한 친구들의 일탈 경험, 본인의 일탈 경험, 본인의 인터넷 일탈 경험, 일주일 평균 용돈, 용돈의 출처, 컴퓨터의 주된 이용 장소, 하루 평균 컴퓨터 이용 시간, 컴퓨터 이용의 목적, 휴대전화 보유 여부, 하루 평균 휴대전화 사용시간, 휴대전화 요금, 휴대전화 이용 목적 등

생활영역별 시간배분 및 중요도

친한 사람의 유형

자아관 및 기타

자아존중감, 스스로의 일탈적 자아 낙인, 주위 사람들의 일탈적 자아 낙인, 주위 사람들에 대한 애착, 성역할정체감, 자기신뢰감, 공격성, 신체적 공격성, 분노, 정서적 조절감, 불안・우울・자살충동, 스트레스(긴장), 삶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 지난 1년간 전학경험, 유치원 다닌 경험, 보육기관 및 사교육 이용 경험, 운동시간, 수면시간 등

부모대상 조사내용부모와의 가족구성 형태, 부모와의 동거 여부, 부모의 학력, 부모의 직업, 부모의 근로형태, 부모이외 다른 가족구성원과의 가족구성 형태, 월평균 가구 소득,월평균 사교육비, 주거 형태 등

자료: 한국청소년패널조사 초4패널 1-5차년도 User’s Guide. 한국아동・청소년데이터 아카이브 홈페이지http://www.nypi.re.kr/archive/brdartcl/boardarticleView.do?menu_nix=V4Aer10k&brd_id=BDIDX_j1peYiuN6Lf430Q9fG7W2v&srch_ctgry_idx=CTIDX00143&seltab_idx=0(인출일: 2019. 3. 6)

2) 한국아동・청소년패널

한국아동・청소년패널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2003~2008년에 수행하였

던 한국청소년패널조사의 후속연구이다. 한국의 아동・청소년이 시간의 연속선상에

서 어떤 성장과 발달의 과정을 거치는지를 2010년에 선정된 3개 연령집단(초1/초

4/중1 패널) 총 7,071명을 대상으로 7개년(2010~2016년)에 걸친 종단조사를 통

해 종합적으로 파악하였다.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는 종단연구들에서

상대적으로 배제된 저연령층인 ‘초1패널’을 조사 대상에 포함함으로써 아동과 청

소년의 시간흐름에 따른 동태적 관찰이 가능한 종단자료를 구축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와 기존 연구들과의 차별성을 가진다(최용환・박상현・한지형, 2017: 12).

Page 42: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24

<표 Ⅰ-4-2> 한국아동・청소년패널 조사항목

조사영역조사항목

대영역 중영역 소영역

개인발달

신체발달

체격 키, 몸무게

신체변화 [남자] 몽정시작시기, [여자] 초경시작시기

건강 건강상태평가, 체육시간 중 운동시간

건강문제 건강문제 유무, 지장받는 정도

지적발달성적 과목별 성적평가 여부, 과목별 점수, 과목별 주관적 평가 등

학습습관 성취가치, 숙달목적 지향성, 행동통제, 학업시간 관리

사회정서발달

정서문제 주의집중, 공격성, 신체증상, 사회적 위축, 우울

자아인식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자아정체감, 진로정체감

삶의목표・만족도 삶의 목표, 삶의 만족도

진로계획진로계획 장래희망, 교육수준, 장래직업 결정여부, 고교졸업후 진로계획

진로관 진로관련 대화상대/빈도, 직업선택요인, 대학진학/취업이유

비행

비행 연간 경험 유무, 연간 경험 횟수

비행 피해 연간 경험 유무, 연간 경험 횟수

비행 친구 연간 비행경험 친구수

생활시간

수면시간 취침시간, 기상시간

학업관련시간 학원/과외 시간, 학교・학원/과외숙제 시간, 기타공부시간

여가시간 독서시간, 컴퓨터/게임기 오락시간, TV/비디오 시청시간 등

발달환경

가정환경

가족구성 가족구성, 부모구성, 다문화가정여부, 형제자매유무/수

양육방식 방임・학대, 감독, 애정, 비일관성, 과잉기대, 과잉간섭 등

보호자 부재 방과후보호자부재일수/ 부재시간

용돈 월평균용돈, 용돈주는 사람

친구관계

또래애착 의사소통, 신뢰, 소외

부모-친구관계 부모님의 친구 인지도/친구를 만난 경험/친구 선호도

이성친구 이성친구 유무

교육환경

전학・결석경험 연간전학경험 유무, 연간결석경험 유무, 연간결석일수

학교생활적응 학습활동, 학교규칙, 교우관계, 교사관계

방과후교육 경험유무, 월평균교육비, 방과후교육비 가계 부담정도 등

지역사회환경지역사회 지역사회

다문화 다문화 수용도

매체환경

컴퓨터 컴퓨터사용여부, 사용시간, 사용장소, 이용빈도

휴대전화 휴대전화보유여부/종류, 이용빈도, 의존도

사이버비행 연간경험여부, 연간경험횟수

성인용매체 이용빈도, 몰입도

활동・문화 환경

체험활동 연간 참여경험 유무, 연간 참여시간, 만족도, 희망체험 활동 등

동아리활동 연간 참여경험 유무, 연간 참여 시간, 만족도

여행・문화활동 가족/단체여행 연간 경험횟수, 문화활동 연간 경험횟수

해외방문경험 해외방문경험유무, 해외교육・연수연간경험유무/기간/시기

종교활동 종교유무/종류, 종교시설방문빈도

팬덤활동 선호 연예인/운동선수 유무, 팬덤활동 빈도

배경변인 성별, 지역, 교급, 학년, 보호자 학력/직업, 가정경제수준 등

Page 43: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Ⅰ. 서론

25

자료: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조사개요. 한국아동・청소년데이터 아카이브 홈페이지.http://www.nypi.re.kr/archive/brdartcl/boardarticleView.do?menu_nix=qZc474Ak&brd_id=BDIDX_k9Fd9oFi29nooCcJ7kX1I4&srch_ctgry_idx=CTIDX00043(인출일: 2019. 3. 6)

3) 한국교육종단연구

한국교육종단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수행 관리하는 패널 조사이며, 여러 수

준의 교육단계를 거쳐 학생 개개인이 직업세계로 이행해가는 과정을 추적 조사하

여 여러 교육문제와 진로문제에 대한 자료를 수집・분석하기 위한 국가차원의 종단

적 조사이다.

최초 단계인 ‘한국교육종단연구2005(2005~2020년까지)’의 조사 대상은 중학

교 1학년 학생 6,908명이며, ‘한국교육종단연구2005’가 2단계에 이르러 2년 주기

로 조사하게 됨에 따라, 초・중등교육에 대한 정부 유용성의 제한점을 보완하고 ‘한

국교육종단연구2005’와 비교 가능한 새로운 초등학교 종단연구를 구축하기 위한

목적으로 2013년부터 ‘한국교육종단연구2013(2013~2030년까지)’을 추진하였

다. ‘한국교육종단연구2013’은 2013년 초등학교 5학년 학생 7,3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표 Ⅰ-4-3> 한국교육종단연구 조사항목

조사 대상 내용

학생

- 학업성취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검사 학생질문지 - 인구학적 배경 변인, 가치관, 자아개념과 같은 학생 자신에 대한 인식, 교사의 수업활동

에 대한 학생의 인식, 학급풍토, 심리사회적 환경, 교사에 대한 학생의 인식, 활동경험, 시간활용, 장래포부 및 계획, 가정생활, 시험스트레스 등

학부모 거주지역과 가정배경, 자녀의 학교교육(장애유무 및 유형, 중학교 이전 교육경험, 학부모와 학교의 상호작용, 학부모참여, 학교교육만족도), 가정생활(가정 규율, 부모자녀관계, 학생의 교우관계), 부모의 교육지원 영역(자녀에 대한 기대, 교육비, 사교육) 등

담임교사

학생평가내용 (학습능력, 학습태도, 학생에 대한 기대, 생활태도, 학업성취정도)교사조사내용 (인구학적배경, 교직배경, 담당업무, 교수활동, 교사의 학교에 대한 인식, 학생의 비행 및 일탈 수준에 대한 인식, 학교의 교사지원 및 리더십에 대한 인식, 학교교육 목표에 대한 인식, 교사의 자아개념) 등

학교장학교장 배경, 학교운영(중점 교육목표, 학교관리, 운영 주안점, 교사 및 업무평가), 학교장의 인식 등

학교학교의 배경(사회 경제적 배경, 교원현황), 교육예산, 교육과정 운영(수업 및 재량활동, 자율학습 및 보충수업, 교육과정 편성을 위한 노력 등) 등

학교 DB 활용

학교의 지역적 특성, 설립특성, 인구통계학적특성, 시설자원, 교육과정 현황 등

Page 44: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26

자료: 1) 이정림・김지현・이규림・조혜주・임종환・Gustavo Carlo(2017). 한국 어린이 성장 발달 코호트 모형 구축 및 타당화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p42 재인용.

2) 김양분・김성식・박성호・민병철・강상진・김현철・신종호(2006). 한국교육종단연구 2005(Ⅱ). 한국교육개발원. pp. 95-130.

3) 한국교육종단연구 조사내용 주요조사내용, 조사항목, 설문지

<표 Ⅰ-4-4> 국내의 아동관련 패널 조사

구 분 연구기간 목적 방법 및 도구연구대상 및표본 크기

한국아동패널

(PSKC)2008~2027

한국최초의 전국단위 신생아 패널로 아동, 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종단적으로 조사하여 아동의 성장 발달 및 양육실태를 지속적으로 파악이 가능

- 전화조사- 지필식 조사- 가구방문조사- 온라인조사- 병원방문조사

2008년 신생아 2,078가구

한국청소년패널

(KYPS)

-2003~2008-2004~2008

국내최초의 청소년대상 패널조사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잠재적 직업선택・향후 진로설정 및 준비・일탈행위・여가참여 등의 생활실태에 대해 추적 조사 함

- 청소년: 집단면접조사, 개별면접조사,

- 부모: 전화면접조사

- 2003년: 중학교 2학년 3,449 가구

- 2004년: 초등 4학년 2,844 가구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KCYPS)

2010~2016

아동・청소년의 성장과 발달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특성들을 종단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청소년: 개별면접 방식

- 보호자: 컴퓨터를 활용한 전화조사 방식(CAPI)

7,071가구(초1 2,342명, 초4 2,378명, 중1 2,351명)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2005~2023-2013~2020

교육현장의 실태 파악과 학교교육과 연관된 변인 파악을 통해 효과적 교육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마련

- 집단면접- 자기기입식- 한국교육개발원의

교육통계 DB 자료 활용

- 2005년: 중학교1학년 6,908 가구

- 2013년: 초등학교 5학년 7,234 가구

이상, 개괄적으로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국내 패널 조사를 살펴보았으며, 이를

다음과 같이 간단히 정리할 수 있다. 한국청소년패널, 한국아동・청소년패널, 한국

교육종단연구는 초등학생 이상의 아동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다. 한국청소년

패널은 초등학교 4학년, 한국아동・청소년패널은 초등학교 1학년 및 4학년, 한국교

육종단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이상의 아동의 성장과 발달에 대해 자료를 수집한

다. 아동의 성장을 신생아 때부터 장기간 추적연구 하는 국내 패널 자료는 한국아

동패널 뿐이다. 한국청소년패널, 한국아동・청소년패널, 한국교육종단연구은 추적

기간이 5~9년인 반면, 한국아동패널은 20년을 목표로 신생아부터 청년기까지 아

동 발달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

Page 45: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Ⅰ. 서론

27

나. 국외 종단연구

아동이 포함된 국외 종단연구를 살펴보면 아래 표와 같다. 미국에는 두 가지 대

표적인 조사가 있다.

미국 SECCYD는 신생아 및 부모, 교사,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아동의 돌봄 경험,

돌봄 특성과 아동발달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조사방법은 관찰, 면

담, 설문지, 발달검사가 있으며, 2007년에 종료되었다.

다른 조사로는 미국 PSID-CDS조사가 있다. 아동의 초기 인적 및 사회 자본 형

성을 파악하기 위해 진행되었으며, PSID 참여 대상 가구 중 0-12세 아동, 부모,

교사, 보육기관 기관장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아동이나 부모는 방문조사

로 자료를 수집했으며, 교사와 기관장은 우편이나 전화면접을 진행하였다.

영국의 EPPSE는 취학 전 아동의 학업과 사회행동 발달의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진행되었으며, 아동 3,00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관찰평가, 면담조사, 학업/

사회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호주의 LSAC는 아동의 발달과 관련하여 개인, 가족, 사회/환경적 요인을 파악

하기 위해 진행되었으며, 영아, 유아, 부모, 교사가 대상이었다. 영유아나 부모는

방문조사, 대면조사, 관찰, 평가 등의 방법으로 진행하였으며, 교사는 주로 전화면

접, 설문지를 통해 진행되었다.

독일 NEPS는 개인의 삶에 미치는 교육의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전 생애발달

과정을 추적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2009년에 시작하여 2025년까지

진행 예정이다. 아동, 부모, 교사, 교장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설문지와 아동 대상

역량측정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프랑스 ELFE는 아동의 사회적 적응에 필요한 사회과학, 건강, 환경건강요인에

으로 나누어 조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두 가지 형태의 조사로 나누어진다. 임산부

344명을 대상으로 생체시료, 전화인터뷰, 설문조사, 방문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임산부 조사에 참여한 가구의 아동을 포함하여 전체 18,000명의 아동 가구에는

전화인터뷰, 설문조사, 방문 검사 등을 실시하고 있다.

노르웨이 MoBa는 아동의 발달에 영향을 주는 건강과 질병의 잠재적 요인을 파

악하기 위해 추진되었으며, 산모와 아동이 주 대상이다. 산모에게는 생체시료를 수

Page 46: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28

집하였으며, 식이조사, 설문지 조사도 병행되었다. 아동에게는 설문지, 식이조사가

진행되었다.

<표 Ⅰ-4-5> 국외 종단연구

구분미국

SECCYD미국

PSID-CDS영국

EPPSE호주

LSAC독일

NEPS프랑스 ELFE

노르웨이MoBa

조사명

Study of Early Child Care and

Youth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Supplement to the Panel

Study of Income

Dynamics

Effective Pre-school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The Longitudinal

Study of Australian Children

National Educational Panel Study

Etude Longitudinale Francaise

denuis l’Enfance

Norwegian mother and child cohort

study

조사목적

아동의 돌봄경험,

돌봄의 특성과 아동의

발달간의 관계 파악

아동의 초기 인적 및

사회적 자본 형성과정 파악

취학전 아동의 학업과

사회행동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파악

아동의 발달과 관련된 개인, 가족, 사회와 환경적 요인

파악

교육의 습득과 교육이 개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 파악하여

전 생애발달과정 및 삶의 궤적

파악

아동이 사회에 잘 적응하는 것을 돕기

위해 필요한 사회과학,

건강, 환경건강

요인의 영향 파악

건강/질병과 자녀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잠재적 원인요인의 역할 파악

조사대상

1.신생아2.부모

3.보육교사4.교사

1.PSID 참여 0-12세 아동2.부모3. 교사4.기관장

아동

1.0-1세 2.4-5세 3.부모4.교사

1.아동2.부모3.교사4.교장

1.임산부2.아동

1.산모2.아동

표본크기 1,364명 3,563명 3,000명 10,000명 60,000명임산부

- 344명 아동- 18,000명

10만명

조사기간 1991-2007 1997-2014 1997-2014 2003-2016 2009-2025 2011-2031 1999-2008

조사방법

- 관찰- 면담- 설문지- 발달검사

- 방문조사- 전화면접- 우편

- 질문지- 관찰평가- 면담조사- 사례연구- 학업/사회

적 평가

- 방문조사-대면 혹은 전

화면접- 관찰- 평가- 설문지

- 설문지- 역량측정

- 생체시료 - 전화인터뷰- 설문조사- 방문 검사

- 설문지- 식이조사- 생체시료

주관기관

National Institute of Child Health & Human

Development: (NICHD)

University of Michigan 부설 Survey Research Center

Department of

Educatiom

Australian government

German Federal

Ministry of Education

and Research

The centre for

Longitudinal Studies

Norwegian Ministry of Health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Research

출처: 이정림 외(2017). 한국 어린이 성장발달 코호트 모형 구축 및 타당화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p. 73-75, <표 Ⅱ-2-25> 내용 부분 발췌.

Page 47: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Ⅰ. 서론

29

국외 종단연구 변인들은 조사목적에 따라 주요 변인의 항목이 조금씩 차이를 보

이고 있다. 공통적으로 아동 관련 변인, 부모변인, 돌봄 관련 변인들은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다.

미국 SECCYD는 돌봄, 부모, 아동 항목으로 조사 변인이 나누어질 수 있다. 미

국 PSID-CDS는 좀 더 세분화되어 있는데, 건강, 가족환경, 부모, 돌봄, 경제적 배

경, 직업, 시간 사용 등의 항목이 포함되어 있다. 이는 조사 방법이 주로 설문지

위주의 조사로 이루어지고 수행검사 등이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에 좀 더 세분화된

설문 항목이 구성된 것으로 보인다.

영국 EPPSE는 아동 요인에 가족 변인도 포함되었으며, 아동의 발달의 결과 측

정이 중요한 항목으로 구분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호주의 LSAC는 인구사회학적 변인, 주거특성, 지역사회, 사회적지지, 건강 등

가족과 사회/환경적 요인에 대한 변인이 구체적으로 포함되어 있다는 특징을 보인

다. 독일의 NEPS는 설문지는 인구학적 변인, 아동의 발달, 가족 분위기, 부모와

자녀의 상호작용 등에 대해 질문하고 있으며, 아동에게는 직접적인 역량평가를 실

시하여 인지, 문해, 직업적 역량까지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있다.

프랑스 ELFE는 아동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사회과학, 건강, 환경건강

으로 구분하고 있다. 사회과학에서는 인구학적 변인, 가족, 교육 등을 포함하고 있

으며, 건강은 아동의 신체발달, 식단, 언어, 사회 정서 발달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

하고 있다. 환경건강은 환경오염원 노출, 물리적 위험 노출 등이 조사 항목에 포함

되어 있다.

노르웨이 MoBa는 아동이나 산모의 건강과 질병의 잠재요인 파악이 주 목적으

로 식이조사, 생체시료 수집 등이 포함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Page 48: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30

조사명 주요변인

미국 SECCYD1)

1. 돌봄관련: 돌봄기관에 처음 왔을 때의 연령, 돌봄 유형(예: 기관중심), 보육 시간, 돌봄유형의 수, 돌봄의 질 등

2. 부모관련: 교육수준, 성격, 심리적 적응, 경제적 자원, 민족성, 가족구조, 모의 민감성, 모의 인지적 자극(책읽기, 이야기하기 등), 양육 신념, 양육태도

3. 아동변인: 인지언어발달(주의력, 기억, 언어사용, 어휘, 언어이해, 문제해결, 추론, 전략 등), 사회적 행동(부모, 또래와의 관계, 순응적 행동, 공격성, 사회적 위축 등, 사회적 유능성), 정서발달(애착, 모-자녀간 상호작용), 건강 및 신체발달(질병, 키, 몸무게 등)

미국PSID-CDS

2)

구분 변인

건강 및 행동 만성적 건강상태, 비만, 의료관련 지출, 영양, 활동, 수면 등

심리사회적 웰빙 긍정적 심리발달, 사회적 통합 및 정체성, 불안, 문제행동, 우울, 자아존중감, 걱정, 사회적 웰빙, 위험행동 등

가족환경인지, 정서적 자극(HOME 척도), 부모의 온정성, 부부갈등, 친 감, 부모와의 갈등 또는 함께 보내는 시간 등

형제관계 협력유형 및 빈도, 도움 행동 등

또래영향 또래와의 친 감, 또래의 활동

부모 감독 자녀의 활동, 관계에 대한 양육자의 지식, 자녀의 활동에 대한 노출 등

비거주 부모 비거주하는 부모와의 활동 빈도 및 유형, 거주 또는 비거주 부모와의 갈등

보육 보육의 유형, 비용 등

양육자의 심리사회적 자원

자아존중감, 우울, 사회적지지, 양육태도, 성역할 신념, 가족갈등, 경제적 어려움 등

지출 및 저축 자녀를 위한 지출, 저축 메커니즘

직업 및 소득현재, 이전의 직업 경험(직종, 산업, 시기, 시간 등), 직업 탐색 경험, 군복무 경험 등

교육 부모의 기대감, 학교 유형, 수업료, 출석, 특별 수업 참여 등

직업 및 교육 관련 기대

경제적 기대, 직업 정체성, 직업 가치 등

컴퓨터/미디어 사용

텔레비전, 컴퓨터, 스마트폰, 그 외 다른 기기 사용, 빈도

지적 성취 및 기술, 능력

Woodcock-Johnson 성취도검사, 성적 등

시간사용 부모와의 활동, 특별활동, 아르바이트 등

영국EPPSE3)

1. 아동/가족 요인: 출생, 출생시 몸무게, 출생순위, 성별, 언어, 건강, 발달적 문제 부모의 교육수준, 직업, 취업여부, 가족구조, 양육태도, 가정내 교육활동에 참여, 부모-자녀 상호작용, 아동의 보육관련 경험 등

2. 교육기관 요인: 아동과 교사의 비율, 직원 교육, 목적, 정책, 교육과정, 부모참여, 상호작용, 구조화된 아동 활동, 교사-아동과의 상호작용 등

3. 아동의 발달결과: 학업(영어, 수학), 사회행동(친사회적 행동, 자기조절, 과잉행동, 반사회적 행동), 성향(학교에 대한 즐거움, 인기도, 불안, 시민적 가치, 학업적 자아개념 등)

<표 Ⅰ-4-6> 국외 종단연구 변인

Page 49: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Ⅰ. 서론

31

조사명 주요변인

호주LSAC4)

구분 변인

사회인구학적 변인가족(가족구조, 부모와 자녀의 성별 및 연령 등), 부모의 직업, 소득, 교육수준, 종교, 민족, 언어 등

주거 특성 주거 위치(지역, 물리적 환경), 거주형태 등

아동 발달 기능행동(외현화, 과잉행동 등). 정서(내재화, 불안 등), 기질, 자기조절, 공감능력, 신체 운동발달, 사회적 능력 등

지역사회 편의시설, 공원등의 이용, 집단 참여, 안전, 이웃 등

양육신념, 훈육, 감독, 양육참여, 양육관련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기대감, 일과 가정 균형 등

관계 부부관계, 가족응집성, 형제관계, 부모자녀 관계, 또래관계

사회적 지지 가족 또는 다른 사회적 지지

교육언어 및 인지발달, 문해이전 활동, 교육에 대한 부모의 태도와 기대감, 언어적 자극, 교사-자녀 관계, 교사 특성, 교육기관 특성 등

건강질병, 면역체계, 식습관, (출생시 또는 현재)키, 몸무게, 신체운동발달, 협응력, 부모의 건강(질병, 약물사용, 삶의 만족도)등

교육기관(보육기관, 취학전

기관, 유치원)

출석시작 연령, 센터 및 프로그램 특성, 이동시 변화 및 적응, 비용, 이용성, 부모의 만족도, 교사-자녀관계, 가족-센터관계, 참여 등

독일NEPS5)

1. 설문지: 인구학적 변인(소득, 교육, 종교, 직업, 주거, 가족관계 등), 자신 또는 자녀의 문제행동, 성격, 여가시간, 문화생활, 스트레스, 태도, 신체-운동발달, 정서-사회발달, 감각(시각, 청각 등). 언어, 학습, 가족의 분위기, 대중매체, 부모-자녀 상호작용, 학업성취, 흥미, 공동체 활동 등

2. 역량 평가(competence test): 일반적, 특징적 인지능력, 읽기능력, 문해능력, 모국어 능력, 메타인지 및 사회적 능력, 직업적 역량 등

프랑스ELFE6)

1. 사회과학 변인(Social science): 인구학적 데이터(거주방법, 부모직업 등), 가족구성, 사회화과정(학교 시작 시기, 또래관계), 교육, 경제조건, 안전요인, TV 시청 습관

2. 건강(Health):키, 몸무게, 개인병력, 식단, 식습관, 발달(운동, 언어, 사회, 정서) 등3. 환경건강(Environmental health): 환경오염원 노출정도, 물리적 위험 노출 등(납, 살

충제, 프탈레이트 등과 같은 신경독소물질, 내분비교란물질)

노르웨이MoBa7)

1. 노출요인: 약물, 유전, 감염, 식이, 환경적 독소, 신체활동, 직업성 노출, 대인관계, 인구학적 변인, 개인습관, 삶의 양식, 정신건강 등

2. 질병: 조산, 사산, 불임,골반통,선천성 기형,암,당뇨,천식, 알러지,류마티스 질환,우울증 등3. 발달: 동의 건강, 삶의 양식, 신경발달장애, 심리, 행동, 언어적 능력 등

자료: 1) https://www.nichd.nih.gov/research/supported/seccyd/Pages/overview.aspx#goal(조사단계별 설문지 참고)

2) http://psidonline.isr.umich.edu/Guide/documents.aspx (조사대상자 시기별 설문지 참고)(2019.3.7. 인출)

3) Taggart, B., Sylva, K, Melhuish, E, Sammons, P, Siraj, I. (2015). Effective pre-school,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project(EPPSE 3-16+). Department for Education. p. 25.

4) Sanson et al.(2002). Introducing the Longitudinal Study of Austrian Children. LSAC Discussion Paper No.1. Australian Institute of Family Studies. p. 39 <Table 1>

5) https://www.neps-data.de/tabid/294/language/en-US 각 코호트별 설문지 참고(2019.3.7. 인출)6) http://www.elfe-france.fr/index.php/en/research/three-main-research-themes(2019.3.7. 인출)7) https://www.fhi.no/en/studies/moba/for-forskere-artikler/questionnaires-from-moba/(조사대상자

Page 50: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32

시기별 설문지 참고)(2019.3.7. 인출)출처: 이정림 외(2017). 한국 어린이 성장발달 코호트 모형 구축 및 타당화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p. 52-72, 내용 참

조하여 보완.

국외 종단 연구와 한국아동패널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한국아동패널과 미국

SECCYD, 호주 LSAC는 아동, 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지만, 미국

PSID-CDS와 독일 NEPS는 학교장 및 교육기관장을 포함하고, 영국의 EPPSE는

아동만을, 프랑스의 ELFE, 노르웨이의 MoBa는 아동과 부모만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다. 표본 크기를 살펴보면 한국아동패널은 현재 천사백여명으로 미국

SECCYD와 비슷한 수준이며, 노르웨이의 MoBa, 독일 NEPS, 프랑스의 ELFE의

표본 크기가 만 명 이상이었다. 조사 방법을 비교하면 한국아동패널연구는 관찰,

면담, 설문지를 활용하였지만, 노르웨이의 MoBa와 독일 NEPS는 방문조사를 수

행하지 않고 설문지 및 검사지를 활용하였다. 프랑스 ELFE와 노르웨이의 MoBa는

식이자료 및 생체 시료를 추가로 수집하였다.

5. 아동패널 자료의 활용 및 성과 확산

가. 제10회 국제학술대회 개최

제10회 한국아동패널 국제학술대회는 2019년 11월 1일(금) 서울대학교 호암컨

벤션센터에서 개최되었다. 제10회 학술대회는 국제학술대회로서, 국내・외 학계 전

문가들을 초빙하여 한국아동패널 1~10차년도 자료로 산출한 연구 내용을 공유하

고, 패널 연구와 관련된 학문 교류의 장이 되었다.

나. 한국아동패널 데이터 활용 논문

한국아동패널은 2018년에 공공데이터로 선정이 되어 2017년도 데이터까지 완

전 개방이 된 상태이므로 누구나 쉽게 접근하여 내려 받을 수 있고 별도 승인 절차

없이 활용이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있다. 그러므로 향후 패널 데이터를 활용한 연구

가 보다 활발해지고 양적, 질적으로 다양하고 우수한 연구논문이 산출될 수 있을

Page 51: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Ⅰ. 서론

33

것으로 내다본다.

패널 아동이 초등학교 1학년에 입학한 이후의 자료인 2015년 데이터를 쓸 수

있게 된 2016년을 기점으로 연구 결과물의 수가 확연히 늘어난 것이 보이고 2016

년을 제외하면 2018년도에 가장 많은 연구 결과물이 발표되었음을 알 수 있다. 1

차년도 데이터가 공개되어 학술대회가 최초 개최된 2010년 이래 지금까지 총 655

편의 연구물이 발표되었고 그 중 14%인 93편이 2018년에 학술대회와 연구논문

등에서 데이터가 활용되었다.

<표 Ⅰ-5-1> 한국아동패널 데이터 활용

단위: 편

구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계

공개자료 1차 1~2차 1~3차 1~4차 1~5차 1~6차 1~7차 1~8차 1~9차

전체 39 53 40 52 77 87 131 83 93 655

연구보고서 3 3 2 1 2 2 2 1 - 16

세미나 등 - 2 2 1 1 1 - 1 - 8

학위논문 - 2 2 5 8 9 12 4 1 43

학술대회 36 29 9 18 22 3 12 18 16 163

학술논문 - 17 25 27 44 72 105 59 76 425

주: 1) 데이터 활용 사실을 보고하거나 검색된 경우를 기준으로 하였으므로 일부 누락된 경우가 있을 수 있음.2) 기준일: 2018. 12. 30.

데이터가 어느 정도 누적되고 패널 아동이 유아기를 벗어나기 시작한 2015년

이후 종단연구의 수가 괄목할만한 수준으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2018년에는 전

연도보다 12편이 많은 45편의 종단연구가 발표되었고 횡단연구 또한 5편이 늘어

난 결과를 보였다(표 Ⅰ-5-2 참조). 뿐만 아니라 분석에 활용된 종단변수 또한 다

양해져서 그간 집중되었던 아동 특성이나 부모 특성 변인뿐만 아니라 학교특성, 가

구특성, 지역사회특성까지 종속변수로 활용된 경우들이 나타났다. 영유아기를 벗

어난 패널 아동에 대해 보다 넓은 시각에서 분석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표 Ⅰ-5-3 참조).

Page 52: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34

<표 Ⅰ-5-2> 연도별 분석방식에 따른 연구 수: 2011~2018년

단위: 편

구분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계

전체 17 25 27 44 72 105 59 76 425

횡단연구 17 24 23 36 48 61 40 45 294

종단연구 0 1 4 8 24 44 19 31 131

주: 1) 원문 공개된 논문을 기준으로 하여 발간 논문수와는 상이할 수 있음.2) 각 년도에 국내외 학술지에 발간된 논문만을 대상으로 분석함.

<그림 Ⅰ-5-1> 각 데이터 차수별 종단 및 횡단 연구에 활용된 사례 수

단위: 편

<표 Ⅰ-5-3> 한국아동패널 데이터 활용 논문 변수 범주화: 2018년 발간 논문 기준

단위: 회

구분

아동 특성 부모 특성

일상생활1)

신체 건강2)

인지언어3)

자아정서4)

사회성발달5) 기타6)

인구학적특성7)

심리적특성8)

부부특성9)

신체건강

특성10)

직업특성11)

양육특성12)

전체 20 3 10 11 20 6 6 23 9 2 4 39

종속변수

8 1 6 3 10 - - 3 1 1 - 5

기타변수

12 2 4 8 10 6 6 20 8 1 4 34

구분

돌봄 학교/사교육 가구 특성 지역사회 특성

기관13) 교사 특성14)

학교특성15)

사교육특성16)

물리적특성17)

경제적특성18)

가정환경특성19)

일반적특성20)

양육환경21)

위탁가구22)

직장지원23)

전체 5 7 2 4 - 6 19 3 8 - 1

종속변수

1 5 - 1 - - 1 - - - -

기타변수

4 2 2 3 - 6 18 3 8 - 1

Page 53: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Ⅰ. 서론

35

주 1: 기타변수는 한 논문당 1회 이상 중복되어 나타남주 2: 각 영역별 포함 변수는 다음과 같음 1) 일상생활: 식습관 특성, 미디어 이용 시간, 모유수유 여부,배변/씻기 습관특성, 수면시간, 미디어 이용 시간,

실내 놀이 일, 바깥놀이 및 외출일, 미디어 이용정도 2) 신체 건강: 체중, 신장, 알레르기 질환별 의사 진단 여부, 대근육운동, 소근육 운동, 운동발달, 미세운동 및

적응발달 3) 인지언어: 인지발달, 수용어휘력, 표현어휘력, 문제해결, 언어발달, 의사소통, 학습준비도, 창의성, 발화능력,

학업능력, 학교준비도 4) 자아정서: 기질, 자아개념, 자아존중감, 주관적 행복감, 육아지원기관, 교사선호도 5) 사회성 발달: 또래와의 상호작용, 문제행동, 발달, 사회적 유능감, 개인-사회성 6) 기타: 성별, 출생순위, 출생순위, 종교참여 횟수 7) 인구학적 특성: 연령, 직업, 학력 8) 심리적 특성: 우울,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주관적행복감, 자기효능감, 일가정 양립/갈등 9) 부부 특성: 부부갈등, 결혼만족도 10) 신체건강 특성: 음주, 흡연 11) 직업특성: 취업여부, 취업/학업상태, 근무시간 12) 양육특성: 양육행동(16,3), 부모-자녀상호작용(6,2), 아버지의 양육참여(6,1), 양육분담(1,2), 양육 스트레

스, 후속출산 계획, 양육시간, 앙육관, 자녀가치, 자녀의 미래기대, 사회적 지원정도 13) 기관: 이용여부 및 유형, 이용시간, 설립유형, 재원 아동 수, 학급 수, 학급 내 교사 및 아동수, 교실 규모

적절성, 실내 대근육 활동 공간 유무, 기관 규모 14) 교사특성: 아동과의 상호작용, 교수효능감, 교실환경, 주관적행복감, 기관선호도, 교사선호도, 특별활동 이용

횟수, 부모참여 행사(교육) 참여여부 15) 학교특성: 가정기관 소통, 부모 학교생활 관심정도, 방과 후 교육시간 16) 사교육 특성: 사교육 참여 횟수 17) 물리적 특성: 개인 방 여부 18) 경제적 특성: 가계 소득, 소비성 지출 비용 19) 가정환경 특성: 가족상호작용, 가족기능. 가족응집성, 가족유연성 20) 일반적 특성: 지역 규모, 6개 권역 구분, 시/군/구, 17개 시/도 구분 21) 양육환경 특성: 교육・의료・복지 시설, 공공 여가 공간・시설, 문화시설 접근 편리성 및 이용 만족도 22) 위탁가구 특성 23) 직장지원 특성: 근로 직장의 육아지원제도, 일・가정 양립 지원 제도

다. 한국아동패널 언론보도 현황1)

지난 3년간 한국아동패널과 관련하여 언론에서 보도된 기사를 수집・정리하였

다. 2017년 8건, 2018년 4건, 2019년 6건으로, 3년간 총 18건이 언론보도 되었

다. 주로 한국아동패널 데이터를 분석한 논문이나 연구보고서를 인용하여 육아, 아

동발달 등의 내용을 보도한 기사들로써, 3년간의 언론보도 경향은 다음과 같다.

2017년에는 사교육과 아버지 양육 참여와 관련된 이슈로 언론에서 보도되었다.

조기 사교육이 과열되고 있는 시점에서, 영유아기 부터 위험한 학습 환경에 노출시

키는 것 보다는 적기교육이 더욱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는 내용으로, 육아정책연

구소에서 수행한 「영・유아기 사교육 경험이 만 5세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최

1) 다항은 ‘<표 Ⅰ-5-4> 한국아동패널 언론보도 (2017~2019년)’에 나타난 언론보도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됨.

Page 54: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36

지은・이민경, 2015)」 연구 내용이 2건의 기사에 인용되었다. 유아기 모두 사교육

을 이용한 적 있는 아동의 문제행동(정서적 반응성, 불안・우울, 신체증상, 위축, 주

의집중문제, 공격 행동 등)점수가 영유아기 모두 사교육을 이용한 적 없는 아동보

다 1.5배가량 높게 나타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영유아기의 과도한 사교육이 아

동의 사회정서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또한, 아버지 양육참여와 관련된 언론보도가 4건, 부부관계와 관련된 언론보도

가 2건 있었다. 모두 아동패널데이터로 분석한 한국개발연구원의 「유아 발달을 위

한 부모 역할과 부모 교육 개선방안(최인경, 2017)」연구에서 입증된 내용을 바탕

으로 한 기사들이다. 아동의 발달에 있어서 아버지 양육참여와 부부관계의 중요성

을 강조하였다.

2018년에는 초등 돌봄과 아동 생활시간과 관련된 이슈로 언론보도 되었다. 초

등학생의 방과후 돌봄 공백과 관련된 기사는 모두 2건이었다. 초등 저학년의 돌봄

사각지대를 아동패널 7차, 8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파악하였다. 초등 1학년이 학

교에서 머무르는 시간은 약 5시간 30분, 만5세가 유아교육보육기관에 머무르는 시

간은 약 7시간으로 1시간 30분의 차이가 나타나, 초등학생의 이른 하교로 인한 돌

봄 공백 시간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돌봄 공백을 해소하기 위하여 취업모가 일이나

사회적 활동을 줄이고 있는 현실을 아동패널자료를 통해 입증하였다. 7차, 8차년

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초등학교 입학 전(만5세반)보다 초등학교 입학 후 취업모의

월임금은 60만원, 주당 노동시간은 4시간, 상용직 취업률은 20%p 정도 감소한 것

을 파악하였다.

또한 육아정책연구소에서 발간한 이슈페이퍼(아동의 하루 생활시간 분석을 통한

아동의 시간 활용 제안, 도남희, 2018)를 인용한 언론보도가 2건 있었다. 9차년도

아동패널 자료를 분석한 것으로, 초등 2학년 아동의 수면시간 및 학교, 돌봄, 학습,

놀이, 여가 시간 등을 근거로 하여 한국 아동의 학습시간과 여가시간의 균형이 필

요함을 강조하였다.

2019년에는 한국아동패널의 공공데이터 개방을 홍보하는 기사가 다수 있었으

며, 이외에 후속출산, 초등학교 적응, 기관보육의 효과와 관련된 언론보도가 각 1

건씩 있었다. 저출산 문제를 다룬 기사는 1차~8차년도의 아동패널조사 결과를 인

용되었다. 결혼만족도가 높고 양육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후속출산 할 확률은 높아

Page 55: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Ⅰ. 서론

37

보도일자 출처 제목 데이터 주요 변인

2017-01-05 쿠키뉴스영재테스트에 중국어 전문 과정까지… 영어유치원 무리수 ‘우려’

1~6차사교육경험, 문제행동

2017-01-31 베이비뉴스[0세부터 사교육行] 중국어부터 코딩까지 영유아 사교육 신풍속도

1~6차사교육경험, 문제행동

2017-02-02 경향신문 아이에겐 ‘엄한 엄마, 부드러운 아빠’가 좋다 1~6차또래상호작용,

문제행동,양육행동

2017-02-02 연합뉴스 “아빠 양육은 ‘양보다 질’…언어・정서 발달에 중요” 1~6차부 양육행동,

언어발달

2017-02-02 국민일보 “자녀 언어능력, 아버지 역할 연관성 크다” 1~6차부 양육행동,

언어발달

2017-02-02 이데일리 “유아 능력, 소득 아닌 부모관계 영향 받는다” 1~6차부모 양육행동,

언어, 사회정서발달

2017-05-18 헤럴드경제 부드러운 아빠가 언어・정서 발달에 도움 1~6차 부 양육행동

2017-11-20 비즈한국 한부모 가정 아이들은 문제가 많다? 1~6차어휘력,

상호작용, 문제행동

지며, 이에 반해 가구 소득이나 어머니의 취업상태 등 요인은 결혼만족도, 양육스

트레스에 비해 후속출산 의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자녀가 초등학교에 적응하지 못 할까봐 걱정하는 워킹맘에 대한 기사로서, 8차

년도 아동패널데이터를 분석한 이예진・전은옥(2019)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

등학교에 진학했을 때 정서적 안정과 소통 등 부모와 자녀 관계가 학교적응도에

직접 영향을 미치고, 어머니의 취업 여부는 관계가 없다고 설명하였다.

그리고 기관보육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하여, 5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한 윤민종

(2019)의 연구를 인용한 기사가 있었다. 만3세에 어린이집에 다닌 유아는 그렇지

않은 유아에 비해 기초 표현 어휘력을 갖췄을 확률이 1.86배 높고, 수용 어휘력을

갖출 확률은 1.87배로 더 높았음을 입증하여, 어린이집에 다니는 것이 유아의 기

초 언어 능력을 발달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는 언론보도이다.

이상, 한국아동패널 자료를 활용한 언론보도 성과를 살펴보았다. 3년간의 언론

보도는 총 18건으로 적은 수치이지만, 2019년 초부터 공공데이터로 개방되어 언

론인의 접근이 가능하므로 앞으로 언론분야에서의 활용가치가 높아지기를 기대해

본다.

<표 Ⅰ-5-4> 한국아동패널 언론보도(2017~2019년)

Page 56: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38

보도일자 출처 제목 데이터 주요 변인

2018-03-22 내일신문 초등 입학생 ‘방과후 돌봄’지원 시급7차, 8차

모 취업

2018-04-05 동아일보 초등 돌봄교실 확대, 엄마 마음 담아야 공백 메운다7차, 8차

학교생활시간

2018-11-13 쿠키뉴스한국 초등학생 수면시간 미국과 비슷…운동・학습량은 격차 심해

9차 하루생활시간

2018-11-16 키즈맘육아정책연구소 “초등2학년 10%는 권장 수면 시간 미달”

9차 하루생활시간

2019-01-06 연합뉴스 “어린이집 다닌 유아, 기초 어휘력 갖출 확률 높다” 5차표현어휘력, 기초어휘력

2019-01-15 키즈맘육아정책연구소, 공공데이터 포털에 한국아동패널 정보 공개

- -

2019-01-16 베이비뉴스육아정책연구소, 한국아동패널 정보 2400만 건 공개

- -

2019-01-16 쿠키뉴스출생부터 청년기까지…한국아동패널 정보 개방 -조사데이터를 공공데이터로 개방

- -

2019-06-25 문화일보“한 아이도 이리 힘든데...” 양육스트레스가 후속 출산을 막는다

1~8차후속출산,

양육스트레스

2019-07-07 뉴시스“워킹맘이라도 괜찮아”…아이 초등학교 적응에 영향 없다

8차 학교생활적응도

주: 1) 검색포털사이트에서 “한국아동패널”, “아동패널”로 검색된 뉴스를 바탕으로 정리함.2) 기준일: 2019. 11. 7.

6. 보고서 구성

본 보고서는 다섯 개의 장으로 구성된다.

먼저 제1장은 서론으로서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의 목적과 필요성

및 연구내용을 소개하고 제2장은 12차년도(2019년) 전반적인 올해 연구의 개요와

구체적인 조사 내용을 소개하였다. 제3장은 11차년도(2018년) 사업과 조사 결과

에 대한 기초 분석을 제시하며, 제4장은 그동안 조사해 왔던 주요변인에 대한 종단

분석을 제시하였다. 마지막 장인 제5장에서는 올해 진행된 사업과 작년 조사 결과

를 바탕으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Page 57: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Page 58: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Page 59: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II2019년(12차년도) 사업 보고

01 12차년도 조사 절차

02 12차년도 조사 내용

03 패널 관리

04 제10회 한국아동패널 국제학술대회 개최

Page 60: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Page 61: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43

Ⅱ. 2019년(12차년도) 사업 보고

1. 12차년도 조사 절차

2019년 한국아동패널 12차년도 조사 절차는 크게 세 단계인 조사 준비-조사 진

행-조사종료로 진행되며, <그림 Ⅱ-1-1>에 정리한 바와 같다.

<그림 Ⅱ-1-1> 한국아동패널 12차년도 조사 절차

가. 조사 준비

1) 질문지 작성 및 조사 프로그램 구축

조사 대상자인 패널 아동의 연령 증가와 발달 특성을 반영하여 기존 질문지를

검토하는 작업이 가장 먼저 진행되었다. 2019년 조사 대상인 초등학교 5학년 아동

의 발달 수준에 맞도록 질문지의 수준을 조정하고, 가구 조사와 주양육자, 담임교

Page 62: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44

사의 조사 내용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 전년도 조사 내용 및 조사 자료를 검토하였다. 2017년에 수

립한 한국아동패널 중장기 계획(도남희 외, 2017)에 따라 조사 시점과 조사 내용,

조사 응답자 등을 조정하고 연령 증가와 발달 과업 등을 반영하여 진행하였다.

둘째, 유사 연령 국내외 패널 및 코호트 조사를 검토하여, 연구 추이를 파악함으

로써, 국・내외의 연구경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선정된 변인 및 세부 문항은

변인별 조사 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등을 고려하여 2019년 질문지에 반영하였다.

셋째, 아동학/교육학 교수 등 전문가 자문을 통하여 변인 및 세부 문항을 선정하

였다. 선정된 변인 및 세부 문항은 변인별 조사 대상 및 자료 수집 방법 등을 고려

하여 올해 질문지에 반영하였다. 예를 들어, 작년(11차) 조사에 포함되지 못한 변

인(예: 성격, 신체적 자아상, 자율성 등)은 올해(12차) 조사 변인으로 포함하였다.

또한 아동의 학교생활 및 학업의 비중이 커지고, 아동의 학교생활에 대한 본인의

생각과 선호도가 뚜렷해진다는 점을 고려하여 과목선호도, 학업동기 등을 조사항

목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서 초등 고학년 아동기에 조사 될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 변인인, 자아개념(자아탄력성, 자아정체감), 사교육에

대한 아동의 인식을 추가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변인 중 실제 올해(12차) 조사에

포함되지 못한 일부 변인(예: 흡연/음주 경험, 성역할고정관념, 메타인지 등)은 조

사의 분량, 아동 연령의 적합성 등을 면밀히 고려하여 차후 년도에 조사하는 것으

로 결정하였다.

넷째, 2019년 신규 조사 항목 중 ‘부모애착’과 ‘신체적 자아상’, ‘미래에 대한

인식’, ‘자율성’, ‘학업에 대한 부모참여’의 경우, 외국 도구를 번안한 도구로서, 원

도구 확인 및 검토를 통해 문항 내용을 확정하였다. 영문에서 국문으로 번역된 문

항의 적절성과 타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육아정책연구소 동료멘토링과 전문가

자문회의를 실시하였다.

다섯째, 최종 확정을 위해 예비조사를 진행하였다. 예비 조사는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5학년 아동 2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예비조사 실시기간:

2019. 6. 17~ 6. 20). 신규 추가된 문항 뿐 만 아니라, 전체 설문지에 관한 예비조

사를 실시하여 실제 조사 수행에서 고려해야할 점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이를 반

영하여 문항 표현 및 순서 조정, 연구 도구의 진행방법의 조율을 거쳐 조사원 지침

Page 63: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Ⅱ. 2019년(12차년도) 사업 보고

45

서를 작성하고 실사 문항 구성을 완료하였다.

여섯째, 아동이 재학 중인 초등학교의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한 질문지 역시 전문

가 자문회의를 통해 문항을 확정하였다. 아동의 학년이 높아지고, 앞으로 중고등학

교에 진학하게 되면, 담임교사가 아동을 면밀히 관찰할 수 있는 기회가 적어지는

것을 고려하여, 아동 특성에 대한 담임교사 평정 문항은 점차 줄이고, 학교와 교사

특성을 살펴볼 수 있는 변인을 늘리고자 한다.

일곱째, ‘보호자용’, ‘아동용’, ‘담임교사용’ 조사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조사

프로그램의 디버깅 작업을 진행하였다. ‘보호자용’과 ‘아동용’은 10차, 11차 조사

와 마찬가지로 조사기기의 휴대성 및 접근 편이성이 우수한 TAPI (Tablet-PC

Aided Personal Interviewing, 이하 TAPI)로 진행하였다.

2) IRB 심의

한국아동패널연구 전반과 12차년도 질문지에 관하여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의 심의를 거쳐 승인 받았다(부록6: IRB 승인 통지서 참조).

IRB 심의는 인간 대상 연구를 수행할 때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침해하거나 인체

에 위해를 끼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연구대상자의 생명윤리 및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 실시된다(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지침, 육아정책연구소,

2018). 특히나 한국아동패널은 ‘취약한 연구대상자’인 미성년자를 대상으로 함으

로, 연구대상자의 자율성을 보호하고 자발적인 동의를 위해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

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연구계획서의 윤리적・과학적 타당성, 연구대상자로부터 적법한 절

차에 따라 동의를 받았는지 여부, 연구대상자의 안전에 관한 사항, 개인정보 보호

대책 등에 대하여 IRB 심의 절차에 따라 심의를 받았으며, 2019년 5월 14일에

최종 승인을 받았다.

3) 조사원 선발 및 교육

가) 조사원 선발

패널조사에서는 조사원의 패널 경험, 패널과의 유대관계 형성이 매우 중요한 요

Page 64: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46

인이 된다. 한국아동패널 12차 조사에서는 장기화된 조사에 따른 패널 탈락을 방

지하기 위하여, 기존 조사원 90% 이상을 확보하였다. 이 외에 신규 선발된 조사원

은 타 리스트조사 및 패널 조사의 우수조사원으로 추천된 조사원, 아동 및 부모

대상 패널 조사 경험이 있는 조사원으로 우선 선발하였다.

조사원이 교체된 경우, 패널가구에 사전 공지하여 조사원 교체 사유 및 추후 절

차를 안내해, 조사원 교체에 대한 거부감을 최소화 하였다.

나) 조사원 교육

한국아동패널은 조사 특성상, 다양한 대상에게 다면적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한

다. 따라서 각 조사의 내용, 절차 및 실행 방법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자료의 신뢰

도와 직결되는 중요성을 지니므로 한국아동패널은 조사원 교육을 단계별로 엄격히

실시하였다.

조사원 집체교육에 앞서, 조사수행기관 연구진과 조사 관리자가 동일한 기준으

로 조사원을 교육․관리 할 수 있도록, 수퍼바이저에 대한 사전교육을 진행하였다.

수퍼바이저를 대상으로 조사 개요 및 특이점, 패널관리 방안 등을 교육하고, 동일

한 기준으로 조사원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후, 조사 진행 전 지역별 조사원 집체교육을 진행하고, 조사 진행 중 추가교육

을 통해 조사 전체 과정에 동일한 방식으로 실사를 진행하였다.

더불어 개별 조사원 경험에 따른 맞춤식 소그룹 교육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장기간 아동패널 조사를 수행한 조사원의 매너리즘을 방지하고, 신규 조사원의 조

사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도록 중점을 두었다.

<그림 Ⅱ-1-2> 12차년도 조사원 교육

Page 65: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Ⅱ. 2019년(12차년도) 사업 보고

47

12차년도 조사원 집체교육은 지역별(서울, 광주, 부산, 대전, 대구, 제주)로 6일

간 실시되었으며, 교육 진행 일정 및 내용은 <표 Ⅱ-1-1>, <표 Ⅱ-1-2>에 제시된

바와 같다.

<표 Ⅱ-1-1> 12차년도 조사원 집체교육 일정

일시 장소대상자

지역 조사원 예비조사원

2019. 7. 10 서울 서울, 인천, 경기, 강원 26명 3명

2019. 7. 11 부산 부산, 울산, 경남 12명 2명

2019. 7. 12 대구 대구, 경북 9명 1명

2019. 7. 15 대전 대전, 충남, 충북 9명 2명

2019. 7. 16 광주 광주, 전남, 전북 7명 1명

2019. 7. 22 제주 제주 1명 -

조사원 집체교육은 강의식 설명, 실습, 질의응답, 이해도 테스트 등의 다양한 방

식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아동패널 조사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도 향상을 위해 패널 조사의 취지 및

조사목적, 기대효과, 조사연혁, 주요 이슈 등 전반적인 내용을 공유하였다. 기본적

인 이해를 토대로 패널 접촉 시의 주의사항 및 요령, 조사 대상자별 특성에 따른

라포 형성 방법, 동의서 취득 절차, 접촉 및 조사 진행시의 주의점 등을 교육하여,

조사 대상자의 참여 독려, 유지 및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둘째, 조사 진행 순서, 각 질문지 별 문항 구성과 주의사항, 아동 신체측정 도구,

TAPI, 수행검사 등의 조사 도구 활용 방법을 교육하였다. 특히 아동 신체측정은

아동에게 거부감을 줄 수 있는 예민한 조사로서, 이와 같이 주의 깊은 접근이 필요

한 항목에 대해서는 충분히 숙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측정도구가 다르면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아동패널조사에서 사용하는 전용 신체계측도구로 측

정할 수 있도록 당부하였다. 또한 12차년도에는 수행검사를 2종 진행함으로, 각

수행검사의 절차와 방법, 내용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였다.

셋째, 조사원의 기본자세 및 윤리교육, 조사 진행시에 발생할 수 있는 돌발 상황

에 대한 대처방안 및 보고 등의 내용을 공유하였다. 지역별 집체교육 중 발생한

질의응답은 교육 종료 후 수합하여, 수시 교육을 통해 전 조사원이 공유할 수 있도

Page 66: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48

록 하였다.

<표 Ⅱ-1-2> 12차년도 조사원 집체교육 일정표

교육 시간 일정 세부 내용

09:55~10:05 10 자리 정돈 및 교육 준비

10:05~10:30 25 연구진 소개 및 조사개요 안내- 육아정책연구소 연구진 소개- 12차년도 조사 개요

10:30~10:50 20 조사 준비 단계 설명- 조사 준비물 설명- IRB 관련 동의서 설명- 설문지 종류별 설명

10:50~11:00 10 *휴식

11:00~11:30 30 조사원 현장조사 교육- 조사원 기본소양 교육- 조사 시 유의 사항- 18년 사례 공유

11:30~12:00 30에디팅 교육(지필질문지 등)

- 지필 질문지 에디팅- 교사 대상 조사 설명

12:00~13:20 80 *점심 식사 및 휴식

13:20~14:20 60 TAPI(보호자) 서면 교육- 문항별 주의사항- 현장 에디팅

14:20~15:00 40 TAPI(아동용) 서면 교육

- 문항별 주의사항- 현장 에디팅 - 신체 계측 요령 등- 수행 검사

15:00~15:50 50 TAPI 교육 및 실습- TAPI 진행 절차 및 활용법- 아동수행검사 진행 절차 및 진행방법- 조사 실습

15:50~16:20 30 질의응답 및 이해도 테스트- 질의응답- 이해도 파악 테스트

나. 실사 진행

1) 12차년도 조사 구성 및 진행

2019년 실사 진행 일정은 <표 Ⅱ-1-3>과 같다. 가구 방문 조사 일정은 이전 조

사 참여 시기, 가구별 일정 등을 고려하여 진행하였다. 부모용 우편 설문지의 경우,

가구 방문 조사가 진행되기 약 2~3주 전에 발송하여, 응답을 위한 충분한 숙고가

이루어지고, 조사 분량에 대한 조정, 시간 활용의 효율성을 높이도록 하였다.

가구 방문 조사 이후 진행되는 아동의 담임교사 조사의 경우, 학과 운영 일정과

특성을 고려하여 2학기 중에 조사를 진행하였다. 교사 조사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

Page 67: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Ⅱ. 2019년(12차년도) 사업 보고

49

해, 조사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담긴 육아정책연구소장 발행 편지 글과 아동패널 홍

보 리플렛, 조사 참여 공문을 교사에게 전달하여, 조사의 필요성을 피력하고자 하

였다.

또한 작년과 마찬가지로, 담임교사의 조사 참여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아동패널

홈페이지에 「담임교사 온라인 조사 참여 하기」 배너를 설치하여, 조사를 원하는 담

임교사가 자유롭게 인터넷으로 접속하여 조사 할 수 있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자발

적으로 조사 참여를 하지 않는 담임교사에게는 2학기가 시작되면, 순차적으로 접

촉하여 가구 조사와의 기간 편차가 최소화 될 수 있도록 참여를 독려 하였다.

그리고 일부 해외연수 및 여행 등의 사유로 기간 내 조사가 어려운 패널 가구의

경우, 예외적인 기간 운영을 허용하여, 패널 이탈을 최소화 하고자 하였다. 또한

유학, 이민 등으로 이탈하는 가구의 경우, 귀국 예정 시기를 파악하여 추적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에는 당분간 참여가 어려울지라도, 관리는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

<표 Ⅱ-1-3> 12차년도 질문지 별 조사 일정

질문지 조사방법 조사 시작일 조사 완료일

어머니 대상아버지 대상

지필식 기입(우편 전달, 방문 수거)

7/17(제주 7/23)

12/30

TAPI(보호자용)TAPI(아동용)

면접 및 관찰

7/17(제주 7/23)

12/30아동수행검사

(성격검사, 학업동기검사)Web 기반 개인 수행 검사

아동행동(보호자용)

지필식 기입아동행동평가(CBCL 6-18)

담임교사 대상Web 기반 설문

아동행동평가(TRF)8/26 12/30

한국아동패널 12차년도 조사 진행도는 <그림 Ⅱ-1-3>과 같다. 우선 본격적 조

사 진행에 앞서 각 패널가구 별 방문 주소, 연락처 등의 기본 정보를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전체 가구에 조사 시작을 알리는 문자를 전송하며, 가구 방문 2-3주 전

에 각 가구별로 ‘조사 안내문’과 ‘부모용 지필 설문지’를 발송하였다. 어머니와 아

버지가 각각의 질문지를 작성하도록 안내하며, 두 응답자 간 답안의 공유를 금지하

도록 하는 안내 문구를 올해부터 추가하여 응답의 오염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가구 방문 조사는 보호자 조사와 아동 조사를 차례로 진행하며, 아동의 컨디션,

Page 68: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50

조사 환경 등에 따라 보호자와 아동의 조사 순서는 변동 가능하다. 단, ‘TAPI(아동

용)’와 아동 수행검사는 반드시 보호자와 분리하여 진행하도록 하였다.

아동의 담임교사 조사의 경우, 공문, 조사안내문, 한국아동패널 홍보 리플렛, 조

사의 중요성이 담긴 육아정책소장 발행 편지글이 동봉된 봉투를 패널 아동이 담임

교사에게 직접 전달하도록 하여, 담임교사의 조사 참여를 고취시키고자 하였다. 담

임교사 조사는 가구 방문 조사 시에 보호자의 동의가 이루어진 경우에만 접촉을

시도하며, 담임교사의 조사 동의가 이루어지면, Web 접속을 통해 조사를 실시하

였다.

<그림 Ⅱ-1-3> 12차년도 조사 진행도

2) 실사 관리

조사원 선발 및 교육과 별도로 12차년도 실사가 진행되는 동안 자료 수집과정의

질 관리를 위한 점검・보완을 수시로 실시하였다.

첫째, 실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 하고자 육아정책연구소 연구

진과 조사수행기관 연구진을 동반한 현장모니터링을 3회 실시하였다. 현장 모니터

Page 69: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Ⅱ. 2019년(12차년도) 사업 보고

51

링은 조사원의 현장조사 수행능력을 점검하고, 문제발생 시 조사원을 재교육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모니터링을 통해 조사원 마다 조사절차, 조사방법, IRB 서

류 및 수행검사 결과 안내 등에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으며, 모든 조사원이 동일

한 방법과 절차에 의하여 조사를 진행할 수 있도록 지침을 내려 숙지하도록 하였다.

이뿐만 아니라 실제 조사에 참여하는 패널 아동과 보호자와의 간담회를 통해,

조사 시 겪은 불편사항과 요구사항 등을 살펴보았다. 전년도에 비하여 아동의 응답

문항 비중이 커져 조사 시간이 늘어나, 아동의 응답 피로도가 있음을 파악하였다.

또한 심층조사에 대한 보호자의 관심과 요구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조사 참여 혜

택으로 물질적인 보상보다는 아동의 심리발달검사 등 관련 정보를 제공 받기를 요

청하였다.

<표 Ⅱ-1-4> 12차년도 현장 모니터링 실시 현황

일시 지역 참석자

2019. 9. 03 부산 육아정책연구소 연구진 2인, 조사수행기관 연구진 1인

2019. 9. 10 경기 육아정책연구소 연구진 2인, 조사수행기관 연구진 1인

2019. 9. 25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연구진 1인, 조사수행기관 연구진 1인

둘째, 조사 10~20% 경과 시점에 조사수행기관의 연구진의 주관으로 조사원 간

담회를 실시하여, 실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을 공유하고 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셋째, 실사 진행 상황을 조사수행기관 인트라넷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확인・점

검하였으며, 대상자 관리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고, 문항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관리하였다.

다. 조사 종료

한국아동패널의 조사 자료는 학술적・정책적 용도로 널리 활용될 수 있는 공공

자료이므로 데이터 품질 유지는 중요한 과제이다. 일반적으로 패널 조사에서는 자

료의 비표본오차(nonsampling error)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데이

터 클리닝을 진행한다. 12차년도 패널조사에서는 응답 자료의 질 확보를 위해 조

사 진행 중 각 패널별 데이터를 스크리닝하여 오류가 추정되는 내용에 대해 조사원

Page 70: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52

및 패널에게 재확인함으로써 오류를 최소화 하고자 하였다. 1차적으로 클리닝이

종료된 자료는 모집단 추정을 위한 가중치 개발에 활용되었다2).

마지막으로 지역별 조사원 간담회를 개최하여 12차 조사 진행 중 발생한 특이사

항 및 13차년도 조사 진행, 패널 유지・관리를 위한 의견을 수합하였으며, 조사원

질 관리의 일환으로 우수 조사원을 포상함으로써 조사원의 참여 의지를 고취시키

고자 하였다.

<표 Ⅱ-1-5> 조사원 간담회 실시 일정

일시 장소대상자

지역 조사원 SV

2019. 11. 14 서울 서울, 인천, 경기, 강원, 제주 26명 2명

2019. 11. 15 부산 부산, 울산, 경남 12명 2명

2019. 11. 18 대구 대구, 경북 9명 2명

2019. 11. 19 대전 대전, 충남, 충북 9명 2명

2019. 11. 20 광주 광주, 전남, 전북 7명 2명

2. 12차년도 조사 내용

한국아동패널 12차년도 조사는 패널 아동, 어머니, 아버지, 보호자, 담임교사 총

5종의 질문지를 통해 다면적으로 실시된다. 질문지 별 조사 내용은 응답자, 조사

내용, 소요 시간, 조사 도구 및 변인 특성 등을 고려하여 조정하였으며, 12차년도

질문지별 응답자 및 주요 조사 내용은 <표 Ⅱ-2-1>과 같다.

부모 대상(어머니 대상 및 아버지 대상) 질문지는 부부 간 상호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동일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가구 방문으로 조사하는 TAPI(보

호자용) 질문지에는 조사 내용의 전반적인 사항이 포함되었다. 올해도 작년의

TAPI 조사 내용을 준수하여 적용하며 조건에 따라 응답 대상자가 달라지거나, 개

인 정보 등 민감한 사항, 종단 확인 및 문항 간 로직 구현이 필요한 부분, 오류가

잦거나 까다로운 확인이 필요한 문항 등을 주요 조사항목으로 포함하였다.

2) 한국아동패널의 가중치 계산 과정은 부록 7에 제시되어 있으며, 12차년도 가중치는 2020년 공개 보고서에 수록할 예정임.

Page 71: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Ⅱ. 2019년(12차년도) 사업 보고

53

TAPI(아동용) 조사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분된다. 먼저 보호자의 도움을 받아

조사원이 직접 신장, 몸무게, 허리둘레 등 신체 성장 정도를 측정하였다. 둘째, 아

동의 자아, 사회성 발달 등에 대한 자기보고식 조사는 대인 면접 방식으로 진행하

며, 마지막으로 수행검사는 NEO 성격검사와 AMT 학업동기검사 2종이 포함되어

각각 온라인 버전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아동이 재학 중인 초등학교의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아동이 생활하는 학교

및 담임교사 특성, 수업 운영과 학교에서 관찰할 수 있는 아동의 특성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표 Ⅱ-2-1> 12차년도 질문지별 응답자 및 주요 조사 내용

구분 주요 조사 내용 조사방법 응답자

어머니 대상

- 아동 특성: 식생활 진단, 미디어기기 중독 등- 부모 특성: 개인 및 부부 특성, 신체 및 건강 특성, 양

육 특성 등지필식 기입(우편 전달, 방문 수거)

어머니

아버지 대상

- 부모 특성: 개인 및 부부 특성, 신체 및 건강 특성, 양육 특성, 직업 특성

아버지

TAPI(보호자용)

- 아동 특성: 인구학적 특성, 일상생활, 신체 및 건강 특성, 사회성 발달 등

- 부모 특성: 부부 특성, 직업 특성, 질환 및 장애, 양육 특성 등

- 가구 특성: 인구학적 특성, 물리적 특성, 경제적 특성, 가정환경 특성 등

- 학교・사교육 특성: 돌봄 서비스 이용, 학교 이용, 사교육 특성, 부모의 학교생활 참여 등

- 지역 특성: 일반적 특성, 양육환경 등- 정책 특성: 국가 및 직장 지원, 기타 지원 등

대면 면접주 양육자

(주로 어머니)

TAPI(아동용)

- 신체 측정: 신장, 체중, 허리둘레 측정아동

(주양육자 지원)

- 인지 발달, 학습스트레스, 자아 발달, 사회성 발달, 사회 관련의식, 미래/진로 등

대면 면접 아동

수행검사(아동용)

- 성격검사(NEO), 학업동기검사(AMT) 수행 검사 아동

아동 행동-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CBCL 6-18) 지필식 기입 주 양육자

-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TRF) Web 기반 설문 담임 교사

담임교사 대상

- 아동 특성: 학업수행능력 - 학교 특성: 물리적 특성, 교사 특성, 학급 운영, 가정

협력 등

Web 기반 설문

담임 교사

Page 72: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54

가. 아동 특성 조사 변인

2008년 출생아인 패널 아동의 초등학교 고학년(5학년 진학)에 해당되는 2019

년도(12차)에는 아동 특성 관련 변인으로 <표 Ⅱ-2-2>의 항목이 조사되었다. 패널

아동이 초등학교 고학년이 됨에 따라, 아동의 특성 전 범위에 걸쳐 새로운 조사

항목이 대거 추가되거나 변경되었다. 각 주요 조사 변인과 신규 추가 및 삭제 등

변경 항목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일상생활 영역: 독서량 자기보고

일상생활 영역으로 아동의 식생활, 미디어, 생활시간, 실내외 활동 등에 대해 조

사 하였다. 일상생활 영역에서는 신규 추가된 항목은 없으나, 9차년도 조사부터 보

호자가 응답하던 독서량의 경우, 응답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아동 스스로 응답하

도록 전환되었다. 한편, 컴퓨터사용능력은 문항 수 조절의 측면에서 격년으로 조사

할 예정으로 당해 년에는 포함하지 않았으며, 사이버 비행은 올해 사이버폭력 변인

이 신규 추가됨에 따라 중복 염려가 있어 제외하였다. 또한 아동이 지필식 기입

방식으로 조사되었던 일과 활동 시간표는 아동 조사 분량이 늘어남에 따라, 이번

년도에는 조사하지 않았다.

2) 신체 및 건강 특성 영역: 신체적 자아상 추가

신체 및 건강 특성 영역으로 신체 치수에 대한 측정, 주관적 건강 상태, 시력

보정기구 착용, 2차 성징이 나타난 시작시기 등 신체 특성과, 질환 및 치료에 대한

항목을 조사하였다. 신체적 자아상은 중장기 계획(도남희 외, 2017)에 의거하여 신

규 추가된 변인으로, Mendelson과 White(1982)의 Body-Esteem Scale을 활용

하였다. 한국 아동의 정서와 발달 연령을 고려해 총 24개의 외모 만족도 및 신체

존중감 문항 중 5문항을 연구진이 번역하여 사용하였고, 전문가 검토를 통해 신장

(키)과 관련된 문항을 1문항 추가하였다. 원척도의 그렇다/아니다 평정에서 전혀

그렇지 않다(1점)~매우 그렇다(4점)의 4점 척도로 변경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건강 특성 중 장애와 관련된 조사 문항의 경우, 2019년 7월 1일부터 장애

등급이 폐지되고 장애정도에 따라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과 ‘심하지 않는 장

Page 73: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Ⅱ. 2019년(12차년도) 사업 보고

55

애인’으로 구분됨에 따라, 11차년도까지 조사하였던 장애등급을 장애정도로 변경

하여 조사하였다.

3) 인지 및 언어 발달 영역: 학습동기 추가

아동의 인지 및 언어 발달 영역으로 학업 수행 능력, 학습스트레스, 비속어 사용

에 대한 항목을 조사하였다. 학습동기는 학습과 관련된 내적 과정을 살펴볼 수 있

는 변인으로, 중장기 계획(도남희 외, 2017)에 의거하여 신규 추가된 변인이다. 학

습 동기는 수행검사로 진행되며, 학습동기를 측정하기 위하여 인싸이트 심리검사

연구소의 AMT 학업동기검사(Acadamic Motivation Test)(김아영, 2003)를 사

용하였다. AMT 학업동기검사는 교육장면에서 학생의 학업관련 동기를 서로 다른

측면에서 알아볼 수 있도록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적 실패내성의 두 가지 동기

검사로 구성된 검사도구이다. 학업적 자기효능감 검사는 ‘자신감척도’, ‘자기조절

효능감척도’, ‘과제수준선호척도’의 세 가지 하위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하위

척도의 문항 수는 8문항, 10문항, 8문항으로 총 2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업

적 실패내성 검사는 ‘감정척도’, ‘행동척도’, ‘과제난이도선호척도’의 세 가지 하위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하위척도는 6문항으로 총 18문항이다. 검사대상은 비

교적 안정적인 성격이나 태도가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는 초등학교 고학년부터 대

학생까지를 대상으로 표준화하여, 초/중/고/대학생을 위한 각각의 규준이 제공된

다. 6점 척도로 평정하며(1점: 전혀아니다~6점: 매우그렇다), 검사 소요시간은

10~20분이다.

한편, 인지발달 중 집행기능은 기존 어머니가 평정하는 질문지에서 아동이 스스

로 평정하는 도구로 전환될 예정이었으나, 아동용 TAPI의 양이 방대해 짐에 따라

격년 조사문항으로 정하고 차년도에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하였다. 의사소통의 경

우, 10차와 11차년도에 사용하였던 화용능력체크리스트(오소정・이은주・김영태,

2012)의 대상 연령이 초등학교 저학년임을 감안하여 당해 년에는 포함치 않았으나

변인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차후 연령에 맞는 새로운 도구를 탐색하여 검토하고자

한다.

Page 74: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56

4) 사회 및 정서 발달 영역: 자아개념, 성격검사, 사이버폭력 추가

아동의 사회 및 정서 발달 영역으로 자아개념, 교사・학교・과목 선호도, 전반적

행복감, 성격, 자율성 등의 자아 발달 변인과 친구 수, 문제행동, 집단괴롭힘, 삶의

만족도, 상대적 박탈지수, 이성관계 등의 사회성 발달 항목, 진로관, 미래직업에 대

한 인식, 장래희망의 미래/진로 항목, 결혼관/자녀관, 저축관, 공동체의식 등의 사

회관련 의식을 조사하였다.

자아개념은 전문가 자문을 통해서 선정된 변인으로, 초등 후반기부터 청소년기

까지 조사할 필요가 있는 학술적 수요도가 높은 변인이므로 신규 추가하기로 판단

되었다. 자아개념은 자아탄력성과 자아정체감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자아탄력

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초1패널, 초4

패널, 중1패널)에서 사용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는 Block과 Kremen(1996)이

개발한 자아탄력성 척도를 유성경, 심혜원(2002)이 번역한 것을 한국아동청소년패

널 연구진이 수정・보완한 문항이다. 14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전혀 그렇지 않다

(1점)~매우 그렇다(4점)의 4점 Likert척도이다. 자아정체감 역시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초1패널, 초4패널, 중1패널)에서 사용된 도구를 활용하였다. 이 도구는 송연

옥(2008)의 척도를 8개 문항으로, 한국아동청소년패널 연구진이 수정・보완하여

사용한 도구로, 전혀 그렇지 않다(1점)~매우 그렇다(4점)의 4점 Likert척도로 이루

어져있다.

과목선호도는 아동의 학교생활과 학업에 대한 선호도가 뚜렷해진다는 점을 고려

하여 연구진이 신규 추가한 문항이다. 현재 5학년 교과목인 국어, 과학, 수학, 사

회, 도덕, 음악, 미술, 실과, 체육, 영어 10과목 중에서 아동이 가장 좋아하는 교과

목을 1순위, 2순위로 선택하도록 하였다.

성격은 중장기계획(도남희 외, 2017)에 의거하여 신규 추가된 변인으로, 비교적

가변성이 낮고 안정적이라 볼 수 있으므로 각 급 학교(중/고/대)에 진학할 때마다

첫 번째 학년에 수행검사로 진행할 예정이다. 성격을 측정하기 위하여, NEO 성격

검사 도구(안현의, 안창규, 2017)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외향성(사회성, 지배성,

자극추구), 개방성(창의성, 정서성, 사고 유연성), 친화성(온정성, 신뢰성, 관용성),

성실성(유능감, 조직성, 책임감), 신경성(불안, 적대감, 우울, 충동성, 사회적 위축,

정서충격)의 5요인과 18개의 하위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뢰도 측정 문항 두

Page 75: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Ⅱ. 2019년(12차년도) 사업 보고

57

개를 포함하여 모두 147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질적 5요인과 하위척도에 해당

하는 양극단 형용사들을 제시함으로써 해당 성격특성이 무엇인지 보여준다. 각 요

인과 하위척도에 대하여 피검자의 점수위치를 표기하고 T점수로 제시하며, 주요

요인과 척도들을 조합한 성격 프로파일은 패널 가구에 제공하였다.

또한 아동의 전반적인 웰빙 뿐만 아니라 성인기에까지 장기적인 영향을 미치는

자율성 (The Children’s Society, 2012; Fattore, Mason, & Watson, 2007)

변인이 격년 조사로 추가되었다. The good childhood report 2012(The

Children’s Society, 2012)의 문항을 연구진이 번역하였으며. 한국 초등학생 상

황에 맞게 내용을 수정하였다. 전반적인 삶의 대한 압박감, 의사결정 등의 5가지

항목을 그렇지 않다(1점)에서 그렇다(3점)의 3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한편, 학교적응은 12차년도 조사 이전까지 담임교사가 아동의 학교적응에 관하

여 격년으로 측정되는 것으로 예정되었으나, 해당 도구를 재검토한 결과 초등학교

1학년에 대해서만 타당성과 신뢰성이 확보된 1학년용 도구여서 지속적 사용이 불

가하게 되었다. 또한 전문가 자문에 의거하여,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교사 평정보

다는 아동이 직접 답하는 자기보고식 척도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고, 학교적응 변

인이 발달에 대한 중요한 지표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도구를 변경하여 매년 학교적

응을 조사하는 것으로 주기를 변경하였다. 즉,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의 초1, 초

4, 중1 패널에서 사용한 학교적응 도구를 사용하기로 하였다. 본 도구는 민병수

(1991)가 제작한 초등학생용 학교생활적응 척도의 문항 중 학교행사 관련문항(5문

항)을 제외하고 수정・보완된 도구(정화실, 2009)로서, 학습활동, 학교규칙, 교우관

계, 교사관계의 4개 하위척도로 구분되며, 총21문항이다. 4점 Likert 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4점)까지로 구성되었다.

사이버폭력은 중장기계획(도남희 외, 2017)에 의거하여 신규 추가된 변인으로,

한국방송통신위원회・한국정보화진흥원(2017)의 2017년 사이버폭력 실태조사의

피해경험 문항 중 2문항을 사용하였다. 사이버폭력과 사이버 따돌림의 최근 1년간

의 피해를 묻는 문항으로, 전혀 없음(1점), 지난 6개월간 한두 번(2점), 한 달에 한

두 번(3점), 일주일에 한두 번(4점), 거의 매일(5점)로 선택하여 대략적인 빈도를

알아보았다.

사회 및 정서 발달 영역의 미래/진로에 대한 조사 변인으로 미래에 대한 인식이

Page 76: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58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11차 12차

인구학적 특성 성별, 출생월, 월령, 출생순위 ○ ○

일상생활

식생활식생활 진단 ● ●

카페인음료(에너지음료) 섭취 및 인스턴트식 섭취 ◉ ◉

미디어

휴대폰(스마트폰) 소유, 미디어 이용 시간, 정도 ○ ○

미디어기기 중독 ● ●

컴퓨터 사용 능력(격년) ◉ -

사이버 비행 ◉ -

생활시간

(주중, 주말) 기상 및 취침 시각, 수면 시간 ○◉ ○

(주중, 주말) 일과 활동 시간, 활동별 참여 빈도 ○◉ ○

시간사용만족도(대화시간, 식사시간, 여가활동시간, 숙제시간 등)

◉ ◉가족과의 식사 횟수 ○ ○

실내/외 활동

독서량 ○ ◉실내외 운동 정도 ○ ○

취미(악기연주, 스포츠 경험 등) ○ ○

신체 및 건강 특성

신체특성

체중, 신장, 허리둘레, 주관적 건강 상태 ○ ○

시력 보정도구 착용 여부, 시기 ○ ○

신체활동 및 운동능력 ■ ■

2차 성징이 나타난 시작 시기 ○ ○

신체적 자아상 - ◉

질환 및 치료

장애 판정 여부, 유형 및 정도 ○ ○

만성 질환, 심리사회적 질환별 의사 진단 여부, 시기, 상담 또는 병원 치료 여부

○ ○

응급실, 입원 치료 여부 및 이유 ○ ○

인지 및 언어 발달

인지발달 집행기능(격년) ● -

학습관련

학업 수행 능력 ■ ■

학습스트레스 ◉ ◉학습동기(수행검사) - ◉

언어발달의사소통 ● -

비속어 사용 ◉ ◉사회 및

정서 자아 발달 자아존중감(격년) ◉ -

추가되었다. 아동이 본인의 미래에 대해 생각했을 때 가지는 느낌을 어두운편(1점)

에서 밝은 편(5점)까지의 척도로 측정하는 것으로, The good childhood report

2012(The Children’s Society, 2012)의 문항을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중장기계획(도남희 외, 2017)에 의거하여 초등 고학년기 부터는 친구와의 싸움

빈도, 놀이빈도, 강점/난점은 더 이상 조사하지 않고자 한다.

<표 Ⅱ-2-2> 11~12차년도 아동 특성 조사 변인

Page 77: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Ⅱ. 2019년(12차년도) 사업 보고

59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11차 12차

발달

자아개념(자아탄력성, 자아정체감) (격년) - ◉교사 선호도, 학교 선호도 ◉ ◉과목 선호도 - ◉전반적 행복감, 학교생활 느낌 ◉ ◉GRIT(끈기)(격년) ◉ -

성격(수행검사)(학교별 첫학년) - ◉자율성(격년) - ◉

사회성 발달

친구 수 ◉ ◉친구와의 싸움 빈도, 놀이 빈도 ◉ -

또래 애착(의사소통, 신뢰, 소외)(격년) ◉ -

학교 적응 ■ ◉강점/난점 ■ -

문제행동(격년) - ○■

집단괴롭힘(피해) ◉ ◉사이버폭력 - ◉삶의 만족도 ◉ ◉상대적 박탈지수(가정형편) ◉ ◉이성관계 ◉ ◉

미래/진로

진로관, 미래직업에 대한 인식 ◉ ◉장래희망 ◉ ◉미래에 대한 인식 - ◉

사회관련 의식

결혼관/자녀관 ◉ ◉저축관 ◉ ◉공동체의식(격년) ◉ -

주: 1) 음영으로 표시한 변인은 12차년도 신규 추가 항목임.2) 약호설명(○:보호자응답, ●:어머니응답, ◑어머니/아버지응답,◉:아동응답, ■:교사응답)

나. 부모 특성 조사 변인

12차년도 조사 항목으로 포함된 부모 특성은 다음 <표 Ⅱ-2-3>과 같다. 각 주요

조사 변인과 신규 추가 변인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 및 부부 특성으로 인구학적 특성 및 우울, 주관적 행복감, 일상적 스

트레스, 삶의 만족도, 일-가정 양립시 이점과 갈등 등의 심리적 특성, 결혼 상태

및 기간, 결혼만족도와 같은 부부 특성을 조사하였다. 자아존중감과 부부갈등은 격

년 문항으로 2018년 11차년도 조사항목에 포함되었으므로, 2019년 12차년도 조

사 항목에서는 삭제되었으며, 다른 격년 문항으로 우울과 결혼만족도가 추가되었다.

둘째, 부모의 신체 및 건강 특성으로 주관적 건강상태, 장애 유무, 음주 및 흡연

Page 78: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60

관련 항목을 조사하였다. 부모의 알레르기질환 병력은 중장기계획(도남희 외,

2017)에 의거하여 삭제하였다. 아동 조사와 마찬가지로 장애와 관련된 조사 문항

의 경우, 11차년도까지 조사하였던 장애등급을 장애정도로 변경하여 조사하였다.

셋째, 부모의 직업 특성으로 취・학업 상태, 직업분류, 근무 시간, 출퇴근 시간

및 전반적 일자리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넷째, 부모의 양육 특성으로 아동의 친구 수 인식, 부모 감독, 학업 관심도와 부

모의 양육행동 등의 양육 실제, 부모감독, 하루 중 성인 없이 지내는 시간 등을 조

사하였다. 12차년도에는 아동이 인식하는 아동학대에 대한 변인이 신규 추가되었

다. 아동학대는 전문가 자문에 의해서 추가된 변인으로, 한국아동청소년패널 2

차~7차에서 사용한 양육방식Ⅱ: 학대의 4문항 중 2문항만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허묘연(2000), 김세원(2003)의 아동학대 문항 중 일부를 참고로 하여

한국아동청소년패널 연구진 작성한 도구이다.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

렇다(4점)의 Likert 4점 척도로 구성되었다.

또한 12차년도 조사에서는 부모에 대한 애착척도(IPPA)가 추가되었다. 부모애

착척도는 1987년 Armsden와 Greenberg가 개발한 척도로서 청소년의 부모 혹

은 또래(peer)와의 애착에 대해 내적 작업 모델(internal working model)을 기반

으로 정서/인지적 차원에서 평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총 12개 문항으로 5점 척

도(1. Never, 2. Seldom, 3. Sometimes, 4. Often, 5. Always)로 평가하도록

구성되었다. 이정림 외(2017)의 연구에서 한국어로 번안하여 초등학교 6학년, 중

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타당화를 실시하였다. 초등학교 6학년 대상 타당화 결과

1차, 2차 각각 Cronbach’s α= .88, .86였다. 한국어 번안 척도는 연구진이 다시

문항을 검토하여 초등학교 5학년에 적합하도록 문항을 일부 매끄럽게 수정하였다.

12차년도부터 양육 실제 조사 변인으로 학습에 대한 부모 참여도가 추가되었다.

Manz, Fantuzzo와 Power(2004)가 사용한 도구를 연구진이 번역한 후, 한국 초

등학생 상황에 맞추어 문항 수와 내용을 조정하였다. 전문가 자문을 얻어 3개의

하위요인 중 하나인 집-학교 참여도 (Home–School Communication)의 문항은

전체적으로 삭제하였고, 가정 기반 참여도 (Home-Based Learning)는 17문항에

서 10문항으로, 학교 기반 참여도 (School-Based Involvement) 문항 또한 15개

에서 7문항으로 조정되었다. 따라서 문항은 총 17개로, 드물다(1점)에서 항상 그렇

Page 79: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Ⅱ. 2019년(12차년도) 사업 보고

61

다(4점)의 4점 척도로 구성되었다.

<표 Ⅱ-2-3> 11~12차년도 부모 특성 조사 변인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11차 12차

개인 및 부부 특성

인구학적 특성연령, 최종학력 ○ ○

○○(이)와 동거 여부, 비동거 이유 ○ ○

심리적 특성

우울(격년) - ◑

주관적 행복감, 일상적 스트레스, 삶의 만족도 ◑ ◑

일-가정 양립시 이점과 갈등 ◑ ◑

자아존중감(격년) ◑ -

부부 특성

결혼 상태, 결혼 상태 유지 기간 ○ ○

결혼만족도(격년) - ◑

부부갈등(격년) ◑ -

부모 신체 및 건강

특성

신체 특성 주관적 건강상태 ◑ ◑

질환/장애1・2급 장애 유무 ○ ○

알레르기질환 병력 ○ -

음주 및 흡연음주 여부, 횟수, 양, 과음 횟수 ◑ ◑

흡연 여부, 하루 흡연량 ◑ ◑

직업 특성

일반적특성 취/학업 상태 ◑ ◑

취업 특성

재직 상태, 직장 변동 여부, 지위, 직업분류 ◑ ◑

(주중, 주말) 근무 일, 시간, 출퇴근 시간 ○ ○

전반적 일자리 만족도 ○ ○

양육 특성양육 실제

부모 양육행동(학교급별로) ◑ -

양육방식(성취압력) ◉ ◉아동학대 - ◉부모애착척도(IPPA)(학교급별로) - ◉보호자가 인식한 친구 수, 부모의 학업 관심도 ○ ○

학습에 대한 부모 참여 - ○

부모 감독, 하루 중 성인 없이 있는 시간 ○ ○

지원 특성 사회적 지원 정도, 지원 인원(격년) ○ -

주: 1) 음영으로 표시한 변인은 12차년도 신규 추가 항목임.2) 약호설명(○:보호자응답, ●:어머니응답, ◑어머니/아버지응답,◉:아동응답, ■:교사응답)

다. 가구 특성 조사 변인

가구 특성 변인은 아동패널조사 시작부터 이어져 오는 변인으로(도남희 외,

2017: 160) 인구학적 특성, 주거・생활환경과 관련된 물리적 특성, 소득・지출 등

경제적 특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12차년도 조사 항목으로 포함된 가구 특성은 <표

Ⅱ-2-4>와 같다.

Page 80: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62

첫째, 인구학적 특성으로 가구 구성 형태 및 가구원 수, 성별 및 생년월일, 결혼

여부 등의 구성원 특성에 대해 조사하며 가구 구성에서 부모와의 동거 여부는 삭제

되었다.

둘째, 가구의 물리적 특성으로 아동의 개별 방 여부와 애완동물 수 등 생활환경

을 조사하였다. 작년도 11차 조사에서는 아동이 개별 방을 쓰는지 여부는 삭제되

었으나, 전문가 의견에 따라 올해부터 격년으로 조사하기로 하였다.

셋째, 가구의 경제적 특성으로 가구 소득 및 취업 모 근로 소득 등의 소득에 관

한 변인과 가구 전체 및 자녀에 대한 지출, 비소비성 지출, 용돈 지급 등의 지출과

부동산, 금융자산, 부채액, 월 상환액 등 자산 및 부채에 대한 내용을 조사하였다.

<표 Ⅱ-2-4> 11~12차년도 가구 특성 조사 변인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11차 12차

인구학적가구 구성 가구 구성 형태, 가구원 수 ○ ○

구성원 특성 성별, 생년월일, 결혼 여부, 합가 사유 ○ ○

물리적 특성

주거환경 ○○(이) 개별 방 여부 (격년) - ○

생활환경 애완동물 수 ○ ○

경제적 특성

소득

가구 소득, 취업 모 근로 소득 ○ ○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 ○ ○

경제적 상황에 대한 가족의 걱정빈도 ◉ ◉

지출

가구 및 자녀에 대한 소비성, 비소비성 지출 ○ ○

○○(이) 용돈 지급 여부, 지급액 ○ ○

용돈사용처 ○ ○

자산 및 부채부동산, 금융자산 ○ ○

부채 여부, 부채액, 월 상환액 ○ ○

주: 약호설명(○:보호자응답, ●:어머니응답, ◑어머니/아버지응답,◉:아동응답, ■:교사응답)

라. 학교・사교육 특성 조사 변인

학교・사교육 특성은 학교와 사교육 및 기타 돌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며 각 주

요 변인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학기・방학 중에 이용하는 돌봄 서비스의 유형, 시간, 빈도, 비용,

만족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둘째, 학교관련 변인으로 이용특성, 학교 특성, 물리적 환경, 담임 교사 및 학급

운영 특성, 그리고 가정과의 협력에 대한 항목을 포함하였다. 물리적 특성은 학급

Page 81: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Ⅱ. 2019년(12차년도) 사업 보고

63

수, 학급학생 수, 학교환경에 대한 내용이다. 교사특성으로는 성별, 연령, 최종학

력, 교사 경력, 근무시간 등 일반적 특성과 업무스트레스에 관해 조사하였다. 학급

운영은 교사와 아동의 관계, 창의적 학교 운영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또한 부모의

행사 참여 여부, 정도, 학교생활 관심정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사교육 이용 종류, 시간, 기관, 만족도, 비용, 비용 부담 정도 등의

사교육 이용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12차부터 조사하는 아동이 인식한 사교육은

전문가 자문에 의하여 신규 추가된 변인으로, 연구진이 제작한 문항이다. 총 4문항

으로, 학원/과외 여부와 개수, 현재 받고 있는 사교육의개수에 대한 인식 및 부담

감을 조사하였다.

<표 Ⅱ-2-5> 11~12차년도 학교・사교육 특성 조사 변인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11차 12차

돌봄 이용특성 (학기/방학 중) 이용 유형, 시간, 빈도, 비용, 만족도 ○ ○

학교

이용특성학교 진학 여부, 미진학 사유, 대체 이용 기관 ○ ○

전학 여부, 결석 여부, 이유 ○ ○

학교특성

소속 지역, 소속 교육청 ○ ○

설립 유형 ■ ■

시범학교 유형 ■ ■

학교폭력 발생정도 ■ -

물리적 특성학급 수, 학급 학생 수, 학교 환경 ■ ■

교육시설 만족도 ■ -

교사특성성별, 연령, 최종학력, 교사 경력, 근무 시간 ■ ■

업무 스트레스 ■ ■

학급운영교사-아동 관계(친 , 갈등) ■ ■

창의적 학교 환경 ◉ ◉가정협력 부모의 행사 참여 여부, 정도, 학교생활 관심 정도 ○ ○

사교육이용특성 이용 종류, 시간, 기관, 만족도, 비용, 비용 부담 정도 ○ ○

사교육 인식 아동이 인식하는 사교육 - ◉주: 1) 음영으로 표시한 변인은 12차년도 신규 추가 항목임.

2) 약호설명(○:보호자응답, ●:어머니응답,◉:아동응답, ■:교사응답)

마. 지역・정책 특성 조사 변인

지역, 정책 특성은 지역 특성과 정책 특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역 특성은 일반

적 특성과 양육환경, 정책 특성은 국가 지원, 직장 지원과 기타 지원 등이다. 지난

조사 이후 이사 횟수, 지역규모 및 권역, 시도 구분 등의 가구의 일반적 특성, 교

Page 82: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64

육・의료・복지 시설, 공공 여가 공간・시설, 문화시설 등의 접근 및 이용, 양육환경

안전성 등의 양육환경 전반에 대한 지역사회 특성을 수집하였다.

정책 특성으로는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 구분 및 국가지원 수혜여부와 만족도,

직장 및 기타에서 시행하는 지원에 대한 항목을 조사할 예정이다. 지역 및 정책

특성은 다음 표와 같다.

<표 Ⅱ-2-6> 11~12차년도 지역 및 정책 특성 조사 변인

구분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11차 12차

지역 특성

일반적 특성 가구 특성

지난 조사 후 이사 횟수 ○ ○

지역 규모, 6개 권역 구분, 시/군/구,17개 시/도 구분

○ ○

양육환경

교육・복지・의료문화・여가

교육・의료・복지 시설, 공공 여가 공간・시설, 문화시설 접근 편리성 및 이용 만족도

○ ○

사회 안전 양육환경 안전성 ○ ○

정책 특성

국가지원 수혜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상 구분 ○ ○

정책 수혜 여부 및 만족도 ○ ○

직장지원 시행 및 이용육아지원제도 ◑ ◑

일・가정 양립 지원 제도 ◑ ◑

기타지원 시행 및 이용 생활비 지원 여부 및 지원처 ○ ○

주: 약호설명(○:보호자응답, ◑어머니/아버지응답)

3. 패널 관리

가. 패널 유지

패널 대상자의 유지는 패널 연구를 지속하는 데 있어서 핵심적인 요소이다. 한국

아동패널에서는 다소 긴 조사 시간으로 인한 응답자의 응답 피로도를 낮추기 위하

여, 실사 과정에서 응답 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패널

대상자를 유지・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으며, 이는 <그림 Ⅱ

-3-1>과 같이 4개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Page 83: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Ⅱ. 2019년(12차년도) 사업 보고

65

<그림 Ⅱ-3-1> 12차년도 패널 유지・관리 체계

첫째, 상시적 관리 체계로써 조사 내용, 문의 등을 토대로 패널 성향 분석을 정

기적으로 실시하여 일반・이탈・위험 패널 별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대응

매뉴얼을 마련하고, 조사 시간 및 기간 등을 조율하였다. 또한 패널 관련 정보 및

주요 연구 성과물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패널의 참여 의지를 독려하고자 하였으며,

연말에는 연하장을 발송하여 지속적으로 관리체계에 속한다는 연대 의식을 촉구하

고자 하였다. 또한 패널 전용 핫라인 번호를 개통하여, 연중 24시간 패널 가구와

접촉・소통할 수 있도록 운영하고 있다.

둘째, 패널 가구와의 라포 형성을 위하여 담당 조사원이 상시 연락 체계를 유지

하고자 하였다. 패널 가구별 관리 노트를 작성하여 가구의 특성을 파악・관리하여

보고하고 있으며, 이는 조사원이 변동되더라도 꾸준한 관리 체계가 유지될 수 있도

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거절 패널 가구 유형에 따른 대응책을 마련함으로써 각

가구의 특성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지속적 패널 참여를 위한 유인책을 지속・확대하고자 하였다. 패널 아동의

발달 정보 뿐만 아니라, 지난 11년간 조사의 주요 내용을 간략히 정리한 브로슈어

를 각 패널 가구에 제공하였다. 특히 올해 12차년도 조사에서는 아동수행검사 2종

(성격검사, 학업동기검사)을 실시하고, 조사 결과지를 보호자에게 개별 발송함으로

Page 84: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66

써 패널 가구의 지속적 참여를 유도하고자 하였다. 수행검사 결과 제공 시기를 개

별 가구 참여 1개월 이내로 신속히 제공하여 패널 가구의 참여 만족도를 높이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한국아동패널에서는 응답자별 참여 답례품을 제공함하여 개개인의 참여 의

사를 독려하였다. 아동의 직접적 참여 의사가 보다 뚜렷해지는 점을 고려해 아동

답례품은 작년(2018년)에 조사한 의견을 바탕으로 품목(문화상품권)을 선정하였으

며, 예외가 없는 한 아동이 직접 수령하도록 하였다.

조사 종료 후에는 패널의 지속적 참여 유인을 위한 경품 추첨 행사를 진행하였

다. 경품 행사는 12차년도 조사 참여 패널가구를 대상으로 하며, 패널가구의 자발

적 참여 의지를 유도하기 위하여 되도록이면 많은 패널 가구들이 혜택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상품을 준비하였다.

<그림 Ⅱ-3-2> 2019년 한국아동패널 경품 당첨 내역

Page 85: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Ⅱ. 2019년(12차년도) 사업 보고

67

2019년 조사에서는 패널 가구의 지속적 참여 유도를 위하여, 모든 패널가구에

게 가정의 달 편지 및 선물을 발송하였다. 12차년도 조사 일정에 대한 간략한 안내

와 함께 무드등(조명)을 선물함으로써 패널의 참여를 유도하고, 기본정보를 확인하

였다. 또한 연말에는 조사에 참여하지 않은 패널을 포함하여 모든 패널가구에게 새

해선물과 연하장을 발송하여, 조사 참여에 대한 고마운 마음을 전달하고 내년 조사

에 대한 참여를 요청하였다.

넷째, 패널의 추적관리를 위하여 가구에서 이사 및 변경 연락처/주소를 자발적

으로 알리는 경우, 선물(아동 도서)을 제공하였다. 이탈 위험 패널의 경우 조사원과

연구원이 직접 접촉하고, 가능할 시 가구 방문을 통해 참여를 독려하여 가구별 특

성에 맞는 지지체계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그림 Ⅱ-3-3> 2019년 가정의 달/이사/연말 선물

나. 조사 성공률 및 표본 유지율

지난 1차부터 12차년도까지의 연도별 패널 유지율은 <표 Ⅱ-3-1> 및 <그림 Ⅱ

-3-4>와 같다. 2019년에 실시한 12차년도 조사 참여 가구는 1,412 가구로, 전체

2,150가구 대비 65.7%의 유지율을 나타내었다. 이는 2018년 조사 대상의 98.5%

이며, 2019년에 정리한 유효패널3) 기준 84.4% 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3) 2019년에는 조사대상자의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하여 총 2,150 패널 가구 중 사망, 유학, 강력참여 거절 등의 사유가 있는 478가구를 제외하고 1,672가구를 유효패널로 정리하였음.

Page 86: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68

<표 Ⅱ-3-1> 한국아동패널 2008~2019년 조사 참여율

단위: 가구

패널 현황 서울 경인대전・충청・강원

대구・경북부산・울산・경남

광주・전라・제주계

전체 패널 335 683 281 248 371 232 2,150

1차(2008년) 328 662 272 242 348 226 2,078

2차(2009년) 280 604 275 221 315 209 1,904

3차(2010년) 260 580 251 209 308 194 1,802

4차(2011년) 246 562 243 211 299 193 1,754

5차(2012년) 231 553 234 199 291 195 1,703

6차(2013년) 226 532 223 196 287 198 1,662

7차(2014년) 223 508 227 188 281 193 1,620

8차(2015년) 209 512 226 179 283 189 1,598

9차(2016년) 182 481 222 178 277 185 1,525

10차(2017년) 175 480 212 170 261 186 1,484

11차(2018년) 165 454 213 163 252 187 1,434

12차(2019년) 167 438 208 160 252 187 1,412

<그림 Ⅱ-3-4> 한국아동패널 2008~2019년 조사 참여율

Page 87: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Ⅱ. 2019년(12차년도) 사업 보고

69

4. 제10회 한국아동패널 국제학술대회 개최

가. 학술대회 추진 개요

한국아동패널은 매년 학술대회를 개최하여 국내・외 연구자들의 학술교류의 장

을 마련하고, 아동패널 데이터를 활용한 논문 공모전을 통해 패널 자료의 학술적

활용도를 제고하고 있다. 한국아동패널 데이터는 2017년에 공공데이터로 개방되

었다. 이로써 한국아동패널 자료를 활용하고 싶은 경우에는 한국아동패널 홈페이

지를 통해 제한 없이 패널 자료를 무료로 다운받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제10회 한국아동패널 국제학술대회는 2019년 11월 1일(금)에 서울대학교 호암

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되었다. 아동패널 국제학술대회 개최를 위한 주요 일정은 <표

Ⅱ-4-1>에 제시된 계획에 따라 추진되었다.

<표 Ⅱ-4-1> 제10회 한국아동패널 국제학술대회 추진 주요 일정

내용 일정(2019)

연구신청서 공모 6월 30일(일)

최종 원고 마감 8월 31일(토)

최종 원고 심사 결과 발표 (수정의견 송부) 9월 30일(월)

학술대회 개최 11월 1일(금) 서울대 호암컨벤션

6월에는 학술대회 발표 연구신청서를 공모하였으며, 32편의 신청서가 공모되었

다. 연구신청서를 제출한 논문 중 최종원고는 15편이 접수되었으며, 학생 부문 9

편, 일반부분 6편이었다. 접수된 논문 중 학생 부분은 평가자 4인으로 구성된 평가

단의 심사를 거쳐 학술대회 발표 논문 6편을 선정 후, 이 중 수상작 3편을 결정하

였다. 일반부문 6편 논문은 연구소 원내 박사급 연구진의 검토를 통해 학술대회

발표 여부를 결정하였다.

제10회 한국아동패널 국제학술대회는 2부로 진행되었다. 1부에서는 한국아동패

널에 대한 소개와 대학원생 논문 공모전 수상 논문 시상, 아동패널 주제와 관련된

해외강사의 기조강연으로 구성되었다. 2부에서는 한국 아동패널 1~10차년도 자료

를 활용한 학술논문 공모전 당선작에 대한 발표와 토론의 장이 마련되었다.

Page 88: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70

<표 Ⅱ-4-2> 제10회 한국아동패널 국제학술대회 일정

1부. 한국아동패널 국제학술대회

10:30 – 10:40 한국아동패널소개

10:40 – 10:50 대학원생 논문 시상

기조강연

10:50 – 11:30Dr. Thomas Moser(Professor, University of South-Eastern Norway)

What can we learn from Norwegian studies on long-term effects of ECEC?

11:30 – 11:40 휴식(10분)

11:40 – 12:20Dr. Corinna Kleinert(Professor, Leibniz Institute for Educational Trajectories (LIfBi) in Germany)

The German National educational Panel study (NEPS)

12:20 – 12:30 질의응답(10분)

12:30 - 14:00 오찬

13:30 – 14:30 기조강연자와 대학원생 간담회

2부. 한국아동패널 학술대회 논문발표

14:30 – 16:40 [주제발표]1주제: 부-모양육 2주제: 학교적응 3주제: 아동의 well-being

16:40-17:00 폐회

나. 학술대회 기조강연 및 논문발표 개요

1부에서는 해외강사 2명을 초빙하여 기조강연과 질의응답을 통한 학문교류의

장을 마련하였다. 강연은 종단연구의 동향과 효과성을 주요 주제로 이루어졌다.

첫 번째 강연자는 Thomas Moser 교수로 현재 South-Eastern Norway 대학

교 인문・스포츠・교육(Humanities, Sports and Education)학과에 재직 중으로,

유아교육 및 보육(ECEC)의 종단효과에 관한 노르웨이 연구들에 대해 강연을 하였

다. Thomas Moser 교수는 노르웨이의 유아교육 및 보육 시스템에 대해 짧게 소

개를 하였다. 이어서 유아교육 및 보육으로 인한 종단적 효과성에 대한 노르웨이

연구의 주요 결과를 공유하였으며, 이를 통한 영유아기 교육・보육의 중요성에 대

해 공감대를 나눌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두 번째 강연자는 Corinna Kleinert 박사로, 독일의 국가 프로젝트로서 진행되

고 있는 아동・청소년 교육 패널 연구 (National Education Panel Study: NEPS)

를 수행하고 있어 연구의 주요 결과와 한국아동패널과의 연구적 접점과 협업 가능

성에 대해 발표하였다. Corinna Kleinert 박사는 현재 독일에서 진행되고 있는

NEPS 패널의 목적과 이론적 틀, 조사 설계를 소개하였다. NEPS는 학습환경, 교육

Page 89: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Ⅱ. 2019년(12차년도) 사업 보고

71

적 결정, 역량 개발 등을 포함한 7가지 기준으로 시작되었으며, 독일 내 12개 학교

및 연구 기관과 네트워크를 맺고 있었다. 이외에 조사의 주요 설계와 아동패널과의

연결점에 대해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2부에서는 일반부문과 학생부분 연구자들의 한국아동패널 데이터를 활용한 연

구논문 발표세션이 진행되었다.

논문발표는 부-모의 양육, 학교적응, 아동의 well-being 세 가지 주제로 구성되

었다. 부-모의 양육에서는 4개의 논문이 발표되었으며, 부모의 양육과 관련된 다

양한 주제의 논문의 발표가 이루어졌다. 두 번째 학교적응 세션에서는 학교 적응과

미디어 사용, 또래 상호작용 등 다양한 변인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연구들이 소개되

었다. 세 번째 아동의 well-being 주제로는 영유아의 간접흡력, 미디어 중독, 안녕

감, 외현화 문제행동 등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된 논문의 발표가 진행되었다.

<그림 Ⅱ-3-5> 제10회 한국아동패널 국제학술대회 기조강연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10차년도 조사(2017년) 데이터까지 공개되었으며, 패널

아동은 초등학교 3학년이 되었다. 특히, 올해는 한국아동패널이 공공데이터로 공

개된 이후 처음 추진되는 학술대회로 10년간 축적된 패널데이터의 종단적 접근과

영유아기부터 학동기까지 발달특성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발표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다.

Page 90: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72

<표 Ⅱ-4-3> 제10회 한국아동패널 국제학술대회 논문발표 세션

주제 논문주제

부-모 양육

1. 학령초기 자녀 둔 취업모의 일-가정 갈등 변화의 영향요인2. 부모 양육부담이 부모-자녀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3. 아버지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4. 미세먼지 노출이 어머니의 양육행동과의 관련성

학교적응1. 초등학생 저학년 미디어 사용 시간과 학교적응2.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학교적응도 변화 및 영향요인3. 유아기 또래상호작용과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적응 관련성

아동의 well-being

1. 태아기 및 영아기 간접흡연의 인지 및 비인지 능력의 영향력2. 유아기 어머니의 가족 트라우마와 아동기 미디어기기 중독과의 관련성3. 아동의 시간사용 만족도와 안녕감4. 부모의 부부갈등 및 공동양육과 아동의 외현화 문제행동 관련성

Page 91: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Page 92: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Page 93: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01 11차년도 조사 대상자 특성

02 아동 특성

03 부모 및 가구 특성

04 학교, 지역사회 및 정책 특성

05 요약

Page 94: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Page 95: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77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4)

본 장에서는 한국아동패널의 11차년도 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아동 특성, 부

모 특성, 가구 특성, 학교 특성 등으로 구분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1. 11차년도 조사 대상자 특성

2018년 11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패널 아동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

음과 같다. 먼저, 성별은 남아가 50.9%, 여아가 49.1%이고 아동의 출생순위는 외

동아 10.5%, 첫째아 36.1%, 둘째아 이상이 53.4%로 나타났다. 대다수 아동이 초

등 4학년에 재학 중이던 2018년 조사 시점의 월령은 평균 123.99개월(만 10.33

세)이었다.

패널 부모의 평균 연령은 어머니 41.08세, 아버지 43.53세로 전반적으로 아버

지의 연령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학력으로는, 4년제 대학 이상 졸업

자가 어머니 44.4%, 아버지 52.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나타냈으며, 아버지의

95.0%가 취업 또는 학업 중인 반면, 어머니의 55.7%가 취・학업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조사 대상 가구의 87.9%가 부모와 자녀로 구성되었으며, 조부모, 부모,

자녀로 구성된 비율은 7.7%이었다. 또한 평균 4.64명이 가구를 이룬 것으로 조사

되었고, 가구원수 중 자녀수는 2.21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의 월 평균 소득은 564.95만원이었으며, 평균 448.61만원을 지출하였고,

이 중 평균 151.27만원을 패널 아동을 포함한 자녀를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2018년 11차 조사에 참여한 패널 조사대상자의 특성은 다음 <표 Ⅲ-1-1>에

제시된 바와 같다.

4) (1)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가중치 미보정 원자료 분석 값임.(2) 변인 별 기초분석 결과의 비율과 평균값은 횡단면 가중치 보정 값이며, 사례수와 통계치는 가독성과

이해도를 고려하여 가중치 보정하지 않은 원자료 수치로 제시함.(3) F검증을 한 경우, 사후검증을 위해 Scheffe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의 차이는 a<b<c<d로 표기함.

Page 96: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78

<표 Ⅲ-1-1> 11차년도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단위: %(명)

구분 아동 구분 어머니 아버지

성별 취・학업 상태

남아 50.9( 730) 취・학업 중 55.7 ( 807) 95.0(1,262)

여아 49.1( 704) 미취・학업 중 44.3 ( 584) 5.0( 71)

출생순위 최종학력

외동아 10.5( 150) 고졸 이하 26.6 ( 377) 27.1( 386)

첫째 36.1( 518) 전문대 졸 29.0 ( 410) 20.6( 293)

둘째 이상 53.4( 766) 대졸 이상 44.4 ( 628) 52.3( 745)

계(수) 100.0(1,434) 계(수) 100.0 (1,391) 100.0(1,333)

월령 연령

평균(표준편차) 123.99(1.36) 평균(표준편차) 41.08 (3.06) 43.53(3.92)

구분 가구 구분 평균 표준편차

가구 구성 형태

부모+자녀 87.9(1,261) 자녀수(명) 2.21 0.69

조부모+부모+자녀 7.7( 111) 가구원 수(명) 4.64 1.91

조부모+부모+자녀+친척 3.7( 53) 가구 소득(만원) 564.95 524.24

부모+자녀+친척 0.5( 7) 가구 지출(만원) 448.61 220.53

기타 0.1( 2) 자녀 지출(만원) 151.27 95.53

계(수) 100.0 (1,434)

2. 아동 특성

가. 아동 특성 관련 변인 구성

11차년도 조사의 아동 발달 특성은 아동의 보호자(주로 어머니), 아동, 아동의

학교 담임교사 응답을 토대로 수집되었으며 해당 변인은 <표 Ⅲ-2-1>과 같다.

아동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정보인 성별, 출생 월, 월령, 출생순위에 대한 확인과,

식생활, 미디어, 생활시간, 실내/외 활동 등의 일상생활 특성에 관한 자료를 수집

하였다. 또한 신체 및 건강 특성, 인지 및 언어발달 중 집행기능과 의사소통에 대해

서는 주로 어머니 응답을 통해 자료를 구축하였다.

가구방문을 통해 아동 신체 치수 측정은 조사원이 직접 계측하였으며, 자아/정

서발달, 사회성발달, 사회관련 의식의 대부분은 면접을 통한 아동의 응답으로 자료

를 수집하였다. 그중 강점/난점, 학교적응, 학업수행능력은 담임교사 조사를 통해

Page 97: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79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인구학적 특성 인구학적 특성∙ 성별, 출생월, 월령∙ 출생순위

일상생활 특성

식생활∙ 식생활 진단∙ 카페인 음료(에너지음료) 및 인스턴트식 섭취

미디어

∙ 휴대폰(스마트폰) 소유, 미디어 이용시간, 시간 ∙ 미디어 중독 ∙ 컴퓨터 사용능력∙ 사이버 비행

생활시간

∙ (주중, 주말) 기상 및 취침 시각, 수면 시간∙ (주중, 주말) 일과 활동 시간∙ 시간사용만족도(대화시간, 식사시간, 여가활동시간, 숙제시간 등)∙ 가족과의 식사 횟수

실내/외 활동∙ 독서량 ∙ 실내외 운동 정도 ∙ 취미(악기연주, 스포츠경험 등)

신체 및 건강 특성

신체 특성∙ 체중, 신장, 허리둘레∙ 시력 보정도구 착용 여부, 시기∙ 주관적 건강 상태

질환 및 치료

∙ 장애 판정 여부, 유형 및 급수∙ 응급실 치료 여부, 이유, 입원 치료 여부, 이유∙ 만성 질환별 의사 진단 여부, 시기, 상담/병원 치료 여부∙ 심리사회적 질환별 의사 진단, 시기, 상담/병원 치료 여부

인지 및 언어 발달

인지발달 ∙ 집행기능

학습관련∙ 학업 수행 능력∙ 학업 스트레스

언어발달∙ 의사소통∙ 비속어사용

사회 및 정서 발달

자아/ 정서발달

∙ 자아존중감∙ 전반적 행복감∙ 진로관, 미래에 대한 인식 ∙ 장래희망∙ 과목 선호도, 교사 선호도, 학교 선호도∙ 학교생활 느낌∙ GRIT(끈기)

사회성 발달

∙ 친구 수, 친구와의 싸움 빈도, 놀이 빈도∙ 또래애착(의사소통, 신뢰, 소외)∙ 학교 적응∙ 강점/난점∙ 집단괴롭힘∙ 삶의 만족도

이루어졌다.

<표 Ⅲ-2-1> 11차년도 아동 특성 변인

Page 98: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80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 상대적 발달지수(가정형편)∙ 이성관계

사회관련 의식

∙ 결혼관/자녀관∙ 저축관∙ 공동체의식

나. 인구학적 특성

조사 참여 아동은 남아 730명(50.9%), 여아 704명(49.1%)으로 총 1,434명이었

다. 외동아가 150명(10.5%)이며 형제자매가 있을 경우, 첫째아가 518명(36.1%),

둘째아 이상이 766명(53.4%)이다. 조사 시 아동은 평균 123.99개월(SD=1.36)로

만 10.33세였다.

<표 Ⅲ-2-2> 아동의 인구학적 특성

단위: %(명), 개월

성별 출생순위계(수)

월령

남아 여아 외동아 첫째아 둘째아 이상 평균 표준편차

50.9(730)

49.1(704)

10.5(150)

36.1(518)

53.4(766)

100.0(1,434)

123.99 1.36

다. 일상생활 특성

1) 식생활

가) 식생활 진단

아동의 영양소 섭취 상태 등 식생활 진단을 위하여 어머니를 대상으로 간이 식

생활 진단 척도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식생활 진단은 섭취 권장, 과잉섭취 자제 권장 항목에 대한 각각의 섭취 빈도와

식생활 균형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그런 편이다(1점)’에서 ‘아닌 편이다(3

점)’의 3점 척도로 응답되었지만, 해석의 편의를 위해 모두 역코딩을 실시하였고,

점수가 높을수록 해당 항목을 많이 섭취함을 의미한다.

식생활 진단 결과, 섭취 권장항목의 경우, 남아는 여아보다 우유나 유제품을 2병

이상 마시는 경향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여아는 남아보다 채소와 과일을 더 많이

Page 99: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81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구 소득이 높을수록 과일을 1개 또는 과일 주스

를 매일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인 점수로는 우유/유제품 섭취는 1점대로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지만, 단

백질 류, 채소, 과일의 섭취 정도는 높아 대체로 권장 섭취 항목을 잘 충족하고 있

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Ⅲ-2-3> 아동의 식생활 진단: 섭취 권장 항목

단위: (명), 점

구분 수우유/유제품 단백질 류 채소 과일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전체 (1,399) 1.92 0.76 2.40 0.63 2.12 0.72 2.35 0.72

아동 성별

남 ( 712) 2.04 0.77 2.41 0.64 2.08 0.74 2.30 0.75

여 ( 687) 1.80 0.73 2.39 0.62 2.16 0.70 2.39 0.69

t 5.93*** 0.82 -2.33* -2.94**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 149) 1.94a 0.74 2.33 0.68 2.05 0.71 2.46 0.66

첫째 ( 506) 1.87a 0.78 2.43 0.64 2.12 0.75 2.32 0.73

둘째 이상 ( 744) 1.95a 0.75 2.39 0.60 2.13 0.70 2.34 0.73

F 4.08* 1.21 0.78 1.08

모 취업 여부

취업 ( 787) 1.94 0.75 2.39 0.62 2.14 0.71 2.33 0.73

미취업 ( 573) 1.89 0.77 2.42 0.64 2.09 0.74 2.38 0.72

t 0.99 -0.75 0.98 -0.81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 285) 1.85 0.77 2.35 0.68 2.08 0.73 2.20a 0.74

400~499만원 ( 243) 1.87 0.77 2.36 0.62 2.06 0.72 2.36ab 0.69

500~599만원 ( 296) 1.97 0.76 2.46 0.58 2.17 0.71 2.39b 0.70

600만원 이상 ( 435) 1.97 0.75 2.39 0.63 2.18 0.71 2.46b 0.69

F 1.06 2.25 2.28 7.29***

주: 1) 어머니의 응답임.2) 3점 척도임(‘1.그런편이다~3.아닌편이다’로 응답되었지만, 해석의 편의를 위해 모두 역코딩을 실시함).

* p < .05, ** p < .01, *** p < .001.

과잉 섭취 시 건강을 해칠 수 있는 음식에 관한 식습관을 조사한 결과, 여아보다

남아가 튀김/볶음요리, 지방류, 짠 음식, 단순 당류에 해당하는 모든 과잉 섭취 자

제 권장 항목을 자주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이 식사 시 음식에 소금이나

간장을 더 넣는 등 짠 음식 섭취는 1.45점으로 비교적 낮은 편이나, 주 2회 이상

Page 100: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82

튀김이나 기름에 볶는 요리는 먹는 경우(2.45점)와, 아이스크림, 케이크, 과자류,

탄산음료(콜라, 사이다 등)와 같은 단순 당 섭취(2.48점)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표 Ⅲ-2-4> 아동의 식생활 진단: 과잉섭취 자제 권장 항목

단위: (명), 점

구분 수튀김/볶음요리 지방류 짠 음식 단순당류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전체 (1,399) 2.45 0.65 2.28 0.73 1.45 0.66 2.48 0.70

아동 성별

남 ( 712) 2.50 0.64 2.36 0.72 1.49 0.68 2.52 0.69

여 ( 687) 2.40 0.65 2.19 0.72 1.41 0.63 2.43 0.70

t 3.30*** 3.76*** 2.09* 2.34*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 149) 2.36a 0.71 2.22 0.75 1.51 0.69 2.40 0.80

첫째 ( 506) 2.50b 0.63 2.26 0.73 1.42 0.64 2.50 0.67

둘째 이상 ( 744) 2.43ab 0.65 2.30 0.72 1.45 0.66 2.48 0.69

F 4.01* 1.31 0.65 0.94

모 취업 여부

취업 ( 787) 2.48 0.64 2.32 0.71 1.47 0.67 2.50 0.69

미취업 ( 573) 2.43 0.66 2.22 0.74 1.42 0.64 2.46 0.70

t 0.87 2.79* 1.45 0.38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 285) 2.35a 0.72 2.11a 0.72 1.47 0.67 2.39a 0.72

400~499만원 ( 243) 2.45ab 0.67 2.29b 0.72 1.45 0.68 2.46ab 0.69

500~599만원 ( 296) 2.53b 0.61 2.28b 0.75 1.44 0.63 2.50b 0.71

600만원 이상 ( 435) 2.46ab 0.62 2.38b 0.69 1.43 0.64 2.53b 0.65

F 4.42** 8.87*** 1.23 3.35*

주: 1) 어머니의 응답임.2) 3점 척도임(‘1.그런편이다~3.아닌편이다’로 응답되었지만, 해석의 편의를 위해 모두 역코딩을 실시함).

* p < .05, ** p < .01, *** p < .001.

아동의 균형 잡힌 식생활을 알아보기 위해 매일 세끼의 규칙적인 식사 정도와

편식 정도를 조사하였다. 규칙적인 식사의 경우, 전체 2.63점으로 대체로 높은 편

이므로, 대다수의 아동이 매일 세끼 규칙적인 식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

한 식품 섭취의 경우 남아보다 여아가 편식 없이 다양한 음식을 골고루 섭취하는

경향이 있었다.

Page 101: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83

<표 Ⅲ-2-5> 아동의 식생활 진단: 균형 잡힌 식생활

단위: (명), 점

구분 수규칙적인 식사 다양한 식품의 섭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전체 (1,399) 2.63 0.58 2.25 0.76

아동 성별

남 ( 712) 2.63 0.57 2.20 0.78

여 ( 687) 2.63 0.58 2.30 0.73

t -0.68 -2.14*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 149) 2.66 0.55 2.20 0.79

첫째 ( 506) 2.63 0.58 2.26 0.76

둘째 이상 ( 744) 2.63 0.58 2.24 0.76

F 1.65 7.24***

모 취업 여부

취업 ( 787) 2.61 0.60 2.26 0.76

미취업 ( 573) 2.65 0.55 2.23 0.77

t -2.19* 0.66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 285) 2.57a 0.61 2.14 0.77

400~499만원 ( 243) 2.64a 0.56 2.15 0.76

500~599만원 ( 296) 2.66a 0.57 2.32 0.77

600만원 이상 ( 435) 2.67a 0.58 2.31 0.73

F 3.45* 1.14

주: 1) 어머니의 응답임.2) 3점 척도임(‘1.그런편이다~3.아닌편이다’로 응답되었지만, 해석의 편의를 위해 모두 역코딩을 실시함).

* p < .05, *** p < .001.

나) 카페인음료 및 인스턴트식 섭취

아동에게 최근 일주일 동안 탄산음료(예, 콜라, 사이다 등)를 얼마나 자주 섭취하

였는지 질문한 결과, 주 1-2회 섭취한 아동이 48.3%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났으

며, 최근 일주일 동안 마시지 않은 아동은 29.5%로 그 다음으로 높았다. 한편, 주

2-3회 섭취한 아동은 18.9%이고, 주5회 이상 섭취하는 아동도 3.2%인 것으로 나

타나, 약 20%의 패널 아동은 주2회 이상 탄산음료를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102: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84

<표 Ⅲ-2-6> 최근 7일간 아동의 카페인음료(탄산음료) 섭취 빈도

단위: %(명)

구분최근 7일 동안마시지 않음

주 1~2회 주 2~3회 주5회 이상 계(수)

전체 29.5 48.3 18.9 3.2 100.0(1,427)

아동 성별

남 27.0 48.3 20.8 3.9 100.0( 727)

여 32.2 48.4 16.9 2.6 100.0( 700)

χ2(df) 6.56(3)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34.3 44.6 17.3 3.8 100.0( 150)

첫째 34.5 45.7 17.8 2.1 100.0( 514)

둘째 이상 24.6 51.2 20.2 4.0 100.0( 763)

χ2(df) 17.0(6)**

모 취업 여부

취업 29.4 45.0 21.2 4.4 100.0( 804)

미취업 30.2 52.3 16.1 1.4 100.0( 581)

χ2(df) 13.56(3)**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26.9 49.6 20.8 2.7 100.0( 290)

400~499만원 27.8 48.0 22.1 2.1 100.0( 253)

500~599만원 29.8 47.3 17.8 5.1 100.0( 297)

600만원 이상 33.6 47.3 15.7 3.4 100.0( 447)

χ2(df) 6.44(9)

주: 아동의 응답임.** p < .01.

또한, 탄산음료와 더불어 최근 일주일 동안 인스턴트식(예, 라면, 피자, 치킨, 편

의점 음식 등)을 얼마나 자주 섭취하였는지 질문하였다. 주 1-2회 섭취한 아동이

61.2%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났으며, 주 2-3회는 23.9%, 주 5회 이상은 4.0%

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7일 동안 인스턴트식을 먹지 않은 아동은 10.9%인 것으

로 조사되었다.

Page 103: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85

<표 Ⅲ-2-7> 최근 7일간 아동의 인스턴트식(라면, 피자, 치킨, 편의점 음식 등) 섭취 빈도

단위: %(명)

구분최근 7일 동안

먹지 않음주 1~2회 주 2~3회 주5회 이상 계(수)

전체 10.9 61.2 23.9 4.0 100.0(1,427)

아동 성별

남 11.0 59.7 24.6 4.7 100.0( 447)

여 10.8 62.9 23.2 3.2 100.0( 700)

χ2(df) 2.53(3)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11.2 65.1 20.0 3.7 100.0( 150)

첫째 13.3 61.9 20.6 4.1 100.0( 514)

둘째 이상 9.0 59.8 27.3 3.9 100.0( 763)

χ2(df) 12.71(6)**

모 취업 여부

취업 9.9 58.9 26.5 4.8 100.0( 804)

미취업 12.2 64.1 20.7 3.0 100.0( 581)

χ2(df) 7.13(3)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9.3 63.3 22.3 5.1 100.0( 290)

400~499만원 10.4 58.0 28.2 3.3 100.0( 253)

500~599만원 12.1 61.4 22.1 4.4 100.0( 297)

600만원 이상 11.9 61.0 23.2 3.9 100.0( 447)

χ2(df) 6.88(6)

주: 아동의 응답임.** p < .01.

2) 일과활동

가) 수면

패널 아동은 주중에 평균 아침 7시 35분에 일어나고 밤 10시 20분에 잠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말에는 평균 아침 8시 32분에 일어나고 밤 11시 9분에 취침하

는 것으로 나타나, 주말 기상 시간과 취침 시간이 주중에 비해 대략 1시간 정도

늦은 경향이 있었다.

Page 104: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86

<표 Ⅲ-2-8> 아동의 기상 및 취침 시각

단위: (명), 시:분

구분 (수)

주중 주말

취침시간 기상시간 취침시간 기상시간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전체 (1,434) 22:20 2:13 7:35 0:44 23:09 3:39 8:32 2:00

아동 성별

남 ( 730) 22:22 2:28 7:38 0:46 23:13 3:16 8:22 2:02

여 ( 704) 22:17 1:06 7:31 0:42 23:06 3:19 8:42 1:56

t 0.05 2.28* 0.63 -4.42***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 150) 22:18a 2:28 7:41a 0:45 23:22 3:39 8:52b 1:51

첫째 ( 518) 22:08a 1:07 7:30a 0:42 22:53 3:06 8:18a 1:55

둘째 이상 ( 766) 22:30a 1:28 7:37a 0:45 23:20 3:31 8:38b 2:03

F 5.63** 4.21* 2.93 12.24***

모 취업 여부

취업 ( 807) 22:22 1:25 7:32 0:44 23:11 3:14 8:35 2:02

미취업 ( 584) 22:19 1:09 7:38 0:44 23:06 3:25 8:27 1:57

t 0.09 -2.23* -0.1 1.59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 290) 22:03a 2:29 7:32 0:42 22:51 4:38 8:23 1:59

400~499만원 ( 254) 22:19ab 1:08 7:40 0:44 23:24 1:29 8:39 2:05

500~599만원 ( 301) 22:18ab 3:14 7:34 0;44 23:06 3:16 8:29 1:58

600만원 이상 ( 448) 22:32b 1:07 7:32 0:46 23:18 3:17 8:31 1:59

F 3.91** 0.98 1.05 0.7

주: 보호자의 응답임.* p < .05, ** p < .01, *** p < .001.

아동의 평균 수면 시간은 주중 9.14시간(SD=0.64), 주말 9.49시간(SD=0.89)으

로 나타났다. 주중 수면 시간은 아동의 출생순위, 어머니의 취업 여부, 가구소득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첫째아인 경우 외동아이거나 둘째이상인 경우보다

수면 시간이 긴 경향을 보였다. 미취업모의 자녀가 취업모의 자녀보다 수면 시간이

길고, 가구 소득이 400만원 이하 보다 400만원 이상인 가구의 자녀일수록 수면

시간이 짧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말 평균 수면시간의 경우, 여아가 남아보다 수

면시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주중-주말 수면시간의 편차를 살펴본 결과

대체로 주말에 0.35시간 (약 21분)(SD=0.91)가량 더 자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수면재단(National Sleep Foundation, NSF)에서 권고하고 있는 학령기

아동의 수면시간이 9~11시간(Hirshkowitz, Whiton, Albert et al., 2015)임을

Page 105: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87

고려할 때, 패널 아동은 대체로 적정 시간 수면을 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

나 패널 아동의 25% 가량은 주중에 9시간 미만 수면하는 것으로 나타나, 권장 수

면 시간에 못 미치게 잠을 자는 것으로 응답되었다.

<표 Ⅲ-2-9> 수면 시간

단위: 시간(명)

구분 (수)주중 주말 주중-주말 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전체 (1,434) 9.14 0.64 9.49 0.89 0.35 0.91

아동 성별

남 ( 730) 9.14 0.64 9.34 0.94 0.21 0.92

여 ( 704) 9.14 0.65 9.65 0.81 0.51 0.88

t 0.79 -6.04*** -6.08***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 150) 9.12a 0.63 9.57 0.95 0.45a 0.91

첫째 ( 518) 9.24b 0.62 9.52 0.91 0.27a 0.93

둘째 이상 ( 766) 9.06a 0.65 9.45 0.88 0.39a 0.90

F 15.51*** 0.91 4.90**

모 취업 여부

취업 ( 807) 9.08 0.62 9.48 0.87 0.40 0.91

미취업 ( 584) 9.21 0.64 9.50 0.90 0.29 0.90

t -3.13** -0.24 2.03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 290) 9.29b 0.68 9.46 0.94 0.17 0.92

400~499만원 ( 254) 9.21b 0.62 9.56 0.91 0.34 0.96

500~599만원 ( 301) 9.06a 0.64 9.48 0.87 0.42 0.89

600만원 이상 ( 448) 9.03a 0.59 9.42 0.86 0.39 0.87

F 7.65*** 0.24 2.42

주: 1) 9시간 미만 수면을 취하는 경우는 주중 24.6%, 주말 14.5%임.2) 보호자의 응답임.

** p < .01, *** p < .001.

나) 공・사교육 기관 이용 시간

패널 아동은 학교에서 정규 수업시간과 교내 방과후 교실 이용 시간을 모두 포

함하여 주중 평균 5.82시간(SD=0.98), 주말 0.19시간(SD=0.83)을 보내는 것으로

응답되었다. 대다수 아동이 주중에만 학교를 이용하였으며, 주말보다 약 5시간 정

도 학교에서 시간을 더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106: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88

아동의 90.3%는 주중에 학원, 개인/그룹 지도 및 과외, 학습지 지도, 문화센터,

공공기관, 지역아동센터 등 학교 이외의 기관에서 교육 및 돌봄을 받는 것으로 나

타났다. 주말의 경우 약 16.9%가 학교 이외의 기관에서 시간을 보내는 것으로 응

답하였다. 아동이 학교 이외의 기관에서 교육/돌봄을 받을 경우, 아동이 학교 이외

의 기관에서 보내는 시간은 주중 2.18시간(SD=0.98), 주말 1.79시간(SD=1.00)으

로 조사되었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주중의 경우, 소득이 높을수록 학교

이외의 기관에서 교육/돌봄 시간을 많이 보내는 경향을 나타냈다.

<표 Ⅲ-2-10> 아동의 일과활동 시간: 공・사교육 기관 이용

단위: 시간(명)

구분 (수)

학교에서 보내는 시간 학교 이외의 기관에서 교육/돌봄 시간

주중 주말 주중 주말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전체 (1,434) 5.82 0.98 0.19 0.83 2.18 0.98 1.79 1.00

아동 성별

남 ( 730) 5.77 0.99 0.15 0.67 2.18 1.00 1.91 1.07

여 ( 704) 5.86 0.97 0.23 0.98 2.19 0.97 1.65 0.88

t -1.03 -1.70 -0.25 1.53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 150) 5.73 0.84 0.15 0.76 2.21 0.96 2.00 1.30

첫째 ( 518) 5.86 0.82 0.15 0.67 2.24 1.02 1.79 0.90

둘째 이상 ( 766) 5.80 1.12 0.23 0.95 2.14 0.95 1.73 1.00

F 2.01 1.01 1.24 0.13

모 취업 여부

취업 ( 807) 5.87 0.94 0.16 0.71 2.22 0.98 1.95 1.10

미취업 ( 584) 5.75 1.03 0.24 0.99 2.13 0.98 1.62 0.86

t 1.01 -1.91 1.18 2.51*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 290) 5.91 1.24 0.24 0.93 2.02a 1.07 1.66 0.95

400~499만원 ( 254) 5.86 0.85 0.21 0.94 2.03ab 1.00 1.60 0.85

500~599만원 ( 301) 5.82 0.87 0.12 0.64 2.28ab 0.95 2.09 1.10

600만원 이상 ( 448) 5.78 0.81 0.13 0.54 2.30b 0.93 1.85 1.05

F 2.27 1.83 5.93*** 0.95

주: 1) 아동의 하루일과 시간에 학교 이외의 기관에서 교육/돌봄 시간이 포함된 경우는 주중 90.3 %, 주말 16.9%이며, 시간 산출은 해당 사례만을 분석함.

2) 보호자의 응답임.*** p < .001.

Page 107: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89

다) 독서, 숙제 및 학습 관련

아동의 하루 일과에 책읽기 시간이 포함된 경우는 주중 81.0%이고, 주말 79.1%

인 것으로 산출되었다. 책을 읽는 패널 아동의 1일 평균 독서 시간은 주중 0.76시

간(SD=0.38), 주말 1.15시간(SD=0.68)으로, 주중보다 주말에 독서하는 시간을 더

많이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중, 주말 독서시간은 공통적으로 어머니의 취업여부

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여아와 외동아인 경우, 주말의 독서시간이 상

대적으로 길었다.

주당 아동의 독서량(e-book, 학습 만화 등을 포함)은 평균 5.81권(SD=7.81)으

로, 2주에 1권미만으로 책을 읽는 경우부터 주당 100권을 읽는 경우까지 편차가

크게 벌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책을 한 권도 읽지 않는 아동은 7.0%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표 Ⅲ-2-11> 아동의 책 읽기 시간 및 독서량

단위: 시간, 권(명)

구분 (수)

책읽기 시간독서량(주당)

주중 주말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전체 (1,434) 0.76 0.38 1.15 0.68 5.81 7.81

아동 성별

남 ( 730) 0.75 0.41 1.12 0.66 5.83 8.76

여 ( 704) 0.76 0.35 1.18 0.71 5.76 6.66

t -0.64 -1.96* 0.19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 150) 0.70 0.29 1.06a 0.49 4.65 5.12

첫째 ( 518) 0.78 0.38 1.21b 0.70 6.80 7.37

둘째 이상 ( 766) 0.75 0.40 1.11ab 0.70 5.27 8.55

F 1.68 4.95** 7.68***

모 취업 여부

취업 ( 807) 0.72 0.33 1.07 0.60 5.10 5.92

미취업 ( 584) 0.80 0.43 1.24 0.77 6.81 9.65

t -2.60** -3.75*** -3.62***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 290) 0.72 0.31 1.08 0.67 4.80 6.13

400~499만원 ( 254) 0.75 0.45 1.11 0.66 6.61 12.39

500~599만원 ( 301) 0.78 0.38 1.22 0.73 6.17 6.08

600만원 이상 ( 448) 0.73 0.34 1.14 0.63 5.68 6.39

F 0.79 0.50 1.64

Page 108: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90

구분 (수)

아동의 숙제 및 학습 시간 인터넷 수업 등 통신교육

주중 주말 주중 주말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전체 (1,434) 0.95 0.45 1.26 0.64 0.70 0.29 0.97 0.60

아동 성별

남 (730) 0.91 0.42 1.24 0.63 0.73 0.32 1.00 0.64

여 (704) 0.98 0.47 1.28 0.65 0.68 0.26 0.95 0.57

t -2.58** -1.42 1.76 0.27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150) 1.01b 0.44 1.31 0.68 0.69 0.27 0.98 0.37

첫째 (518) 0.98ab 0.50 1.29 0.63 0.68 0.27 0.88 0.35

둘째 이상 (766) 0.91a 0.40 1.23 0.64 0.73 0.32 1.06 0.81

F 5.38** 0.60 0.47 2.03

모 취업 여부

취업 (807) 0.93 0.41 1.24 0.60 0.72 0.32 1.09 0.77

미취업 (584) 0.96 0.48 1.29 0.70 0.69 0.26 0.86 0.33

t -1.61 -1.09 0.67 3.39***

가구 소득

주: 1) 아동의 하루일과 시간에 책 읽기 시간이 포함된 경우는 주중 81.0%, 주말 79.1%이며, 시간 산출은 해당 사례만을 분석함.

2) 책을 한권도 읽지 않는 아동은 7.0%로 나타남. 3) 보호자의 응답임.* p < .05, ** p < .01, *** p < .001.

아동의 하루일과 시간에 숙제 및 학습 시간이 포함된 경우는 주중 92.5%, 주말

81.3%인 것으로 나타났다. 패널 아동이 숙제 및 학습 평균 시간을 조사한 결과,

주중 0.95시간(SD=0.45), 주말 1.26시간(SD=0.64)으로 보통 1시간 내외인 것으

로 분석되어, 주중 보다 주말에 긴 시간을 사용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숙제 및 학

습 시간은 아동의 성별, 출생순위, 가구 소득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났는데,

여아와 외동아의 주중 숙제 및 학습시간이 긴 것으로 분석되었고, 소득이 높을수록

주말 숙제 및 학습시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하루일과 시간에 인터넷 수업 등 통신교육 시간이 포함된 경우는 주중

27.5%, 주말 22.9%이며, 통신교육을 받는 경우, 평균 시간은 주중 0.70시간

(SD=0.29), 주말 0.97시간(SD=0.60)인 것으로 조사 되었다.

<표 Ⅲ-2-12> 아동의 숙제 및 학습, 인터넷 수업 등 통신교육 시간

단위: 시간(명)

Page 109: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91

구분 (수)

아동의 숙제 및 학습 시간 인터넷 수업 등 통신교육

주중 주말 주중 주말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399만원 이하 (290) 0.89 0.40 1.13a 0.57 0.73a 0.28 0.89 0.39

400~499만원 (254) 0.92 0.45 1.23ab 0.70 0.74a 0.29 0.99 0.82

500~599만원 (301) 0.97 0.47 1.35b 0.66 0.70a 0.27 1.01 0.53

600만원 이상 (448) 0.97 0.41 1.34b 0.64 0.66a 0.30 1.02 0.70

F 2.02 5.25** 2.73* 0.61

주: 1) 아동의 하루일과 시간에 숙제 및 학습 시간이 포함된 경우는 주중 92.5%, 주말 81.3%이며, 시간 산출에는 해당 사례만을 분석함.

2) 아동의 하루일과 시간에 인터넷 수업 등 통신교육 시간이 포함된 경우는 주중 27.5%, 주말 22.9%이며, 시간 산출에는 해당 사례만을 분석함.

3) 보호자의 응답임.* p < .05, ** p < .01, *** p < .001.

라) 미디어 이용

미디어 이용에 관하여 미디어 이용시간, 스마트폰 소유, 미디어 기기 중독 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아동의 하루일과 시간에 영상 시청 시간이 포함된 경우는 주중 87.8%, 주말

96.7%이며, 조사대상 아동이 영상 시청에 사용하는 평균 시간은 주중 1.16시간

(SD=0.66), 주말 2.42시간(SD=1.22)으로, 주중에 비해 주말에 약 1.26시간 더 보

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아 이상인 아동의 경우와 소득이 낮을수록 주중 영상 시

청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었으며, 취업모의 자녀인 경우는 주말 영상 시청 시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하루일과에 게임시간이 포함된 경우는 주중 63.6%, 주말 76.8%이며, 평

균 시간은 주중 0.92시간(SD=0.49), 주말 1.53시간(SD=0.94)인 것으로 나타나,

주중 게임에 사용하는 시간은 주중보다 주말에 약 0.6시간 더 길게 나타났다. 취업

모, 둘째아 이상인 아동인 경우 게임 시간이 상대적 긴 편으로 분석되었다. 또 조사

대상 아동 중 남아가 여아보다 게임에 사용하는 시간이 긴 편으로 조사되었다.

Page 110: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92

<표 Ⅲ-2-13> 아동의 TV, 컴퓨터, 휴대전화 등을 통한 영상 시청, 게임 시간

단위: 시간(명)

구분 (수)

영상 시청 시간 게임시간

주중 주말 주중 주말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전체 (1,434) 1.16 0.66 2.42 1.22 0.92 0.49 1.53 0.94

아동 성별

남 (730) 1.15 0.60 2.40 1.17 1.00 0.54 1.68 1.01

여 (704) 1.18 0.72 2.43 1.27 0.83 0.40 1.33 0.78

t -1.33 -0.25 4.74*** 5.79***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150) 1.09ab 0.59 2.34 1.23 0.85a 0.45 1.40a 0.85

첫째 (518) 1.10a 0.61 2.36 1.23 0.89ab 0.45 1.47a 0.92

둘째 이상 (766) 1.23b 0.70 2.48 1.21 0.96b 0.53 1.61b 0.96

F 8.00*** 2.71 5.03** 7.21***

모 취업 여부

취업 (807) 1.17 0.64 2.49 1.20 0.95 0.52 1.58 0.93

미취업 (584) 1.14 0.68 2.32 1.23 0.87 0.44 1.43 0.91

t 1.25 2.71** 3.17** 3.47***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290) 1.30b 0.80 2.61 1.35 0.98 0.55 1.62 0.97

400~499만원 (254) 1.18ab 0.68 2.41 1.40 0.92 0.44 1.55 1.00

500~599만원 (301) 1.07a 0.53 2.36 1.05 0.90 0.38 1.54 0.88

600만원 이상 (448) 1.12a 0.59 2.38 1.18 0.90 0.50 1.46 0.91

F 5.05** 2.33 1.65 1.22

주: 1) 아동의 하루일과 시간에 영상 시청 시간이 포함된 경우는 주중 87.8%, 주말 96.7%이며, 시간 산출에는 해당 사례만을 분석함.

2) 아동의 하루일과 시간에 게임시간이 포함된 경우는 주중 63.6%, 주말 76.8%이며, 시간 산출에는 해당 사례만을 분석함.

3) 보호자의 응답임.** p < .01, *** p < .001.

아동의 80.5%는 개통 여부에 상관없이 휴대폰이나 스마트폰을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유와 별도로 아동이 휴대폰(스마트폰)을 이용하는지 질문한 결과, 94% 이상이

이용하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아동의 휴대폰 이용 여부에 대한 응답은 보호자와 아

동이 유사한 비율로 나타났다. 휴대폰을 이용하는 경우에 한정하여, 1일 이용시간

을 산출한 결과, 1일 1.50시간(SD=0.96)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휴대폰 이

용시간은 아동 출생순위, 취업모, 가구 소득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Page 111: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93

둘째아 이상, 취업모, 가구 소득이 낮은 가구의 아동이 상대적으로 스마트폰, 인터

넷을 오랜 시간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표 Ⅲ-2-14> 아동의 스마트폰, PC(인터넷) 이용 여부 및 이용 시간

단위: %(명), 시간

구분 계(수)

스마트폰 소지 스마트폰, PC 이용여부 및 시간

소지 여부 이용여부 이용시간(1일)

있음 없음 미이용 이용 평균 표준편차

전체 100.0(1,434) 80.5 19.5 5.3 94.7 1.50 0.96

아동 성별

남 100.0( 730) 75.5 24.5 5.7 94.3 1.55 1.01

여 100.0( 704) 85.8 14.2 4.8 95.2 1.45 0.91

χ2(df)/t 26.52(1) 0.11(1) 13.66(11)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100.0( 150) 84.5 15.5 5.6 94.4 1.42a 0.90

첫째 100.0( 518) 81.6 18.4 6.4 93.6 1.38a 0.90

둘째 이상 100.0( 766) 78.8 21.2 4.3 95.7 1.61a 1.01

χ2(df)/F 4.12(2) 1.61(2) 38.37(22)*

모 취업 여부

취업 100.0( 807) 84.1 15.9 4.5 95.5 1.61 1.00

미취업 100.0( 584) 75.0 25.0 6.6 93.4 1.35 0.87

χ2(df)/t 19.37(1)*** 8.00(1)* 27.86(11)**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100.0( 290) 76.9 23.1 2.5 97.5 1.72a 1.05

400~499만원 100.0( 254) 78.1 21.9 7.1 92.9 1.54a 0.91

500~599만원 100.0( 301) 82.2 17.8 4.6 95.4 1.41a 0.89

600만원 이상 100.0( 448) 82.7 17.3 4.8 95.2 1.39a 0.93

χ2(df)/F 5.94(3) 1.10(3) 49.56(33)*

주: 스마트폰, PC 이용시간(1일 평균)은, 스마트폰, PC를 이용하는 아동 94.7%에 해당하는 수치임.* p < .05, ** p < .01, *** p < .001.

초등 중기에 들어서면서 아동의 미디어 기기 활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아동의 미디어 중독을 측정하기 위하여, 어머니를 대상으로 평소 관찰된 아동의 미

디어 기기 사용 모습과 행동에 관하여 객관적으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전혀 그렇

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4점)’의 4점 척도로 응답되었으며, 점수 합산을 위

해, 일부 문항은 역코딩 하였다.

합산 점수에 따라 미디어 기기 중독은 일반 사용자군,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 고

위험 사용자군으로 구분된다. 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미디어 기기 중독에 대

Page 112: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94

한 조사 결과, 패널 아동 중 0점에서 27점까지인 일반사용자군은 68.3%, 28점 이

상~29점 이하의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은 5.9%, 총점 30점 이상인 고위험 사용자

군인 아동은 25.8%로 조사되었다.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여아에 비해 남

아가 고위험, 잠재적 위험 사용군에 해당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여

아의 경우 일반 사용자 군에 해당하는 경향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전체 조사대상

아동의 31.7%가 잠재적/고위험 사용자군에 해당하고, 이는 작년 조사의 23.7%보

다 8%p 상승한 것으로, 미디어 기기의 건전한 사용을 위해 지속적인 검토가 필요

한 것으로 보인다.

<표 Ⅲ-2-15> 미디어기기 중독

단위: 점, %(명)

구분 수

미디어기기 중독 집단 구분 총점(60점 만점)

일반사용자군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

고위험사용자군

평균 표준편차

전체 100.0(1,399) 68.3 5.9 25.8 24.73 6.25

아동 성별

남 100.0( 712) 62.7 6.8 30.5 25.69 6.38

여 100.0( 687) 74.1 5.0 20.9 23.71 5.95

χ2(df)/t 23.85(2)*** 57.02(32)*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100.0( 149) 68.7 4.9 26.4 25.22 6.32

첫째 100.0( 506) 73.6 5.5 20.9 23.92 6.04

둘째 이상 100.0( 744) 63.9 6.5 29.6 25.25 6.34

χ2(df)/F 14.27(4)** 75.52(64)

모 취업 여부

취업 100.0( 787) 65.5 6.0 28.5 25.10 6.23

미취업 100.0( 573) 72.4 5.8 21.8 24.18 6.25

χ2(df)/t 7.35(2)* 35.00(32)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100.0( 285) 62.6 7.8 29.6 25.67 6.80

400~499만원 100.0( 243) 60.9 6.9 32.2 25.53 6.22

500~599만원 100.0( 296) 74.1 6.2 19.7 23.84 5.70

600만원 이상 100.0( 435) 72.2 3.4 24.4 24.28 6.16

χ2(df)/F 13.18(6)* 97.89(96)

주: 1) 10번, 11번 문항 역코딩함.2) 일반사용자군(27점 이하),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28점이상~29점이하), 고위험 사용자군(30점이상)3) 총점이 높을수록 스마트폰 및 인터넷 중독이 심각함을 의미함4) 어머니의 응답임.5) 4점 척도임(1.전혀 그렇지 않다~4.매우 그렇다).

* p < .05, ** p < .01, *** p < .001.

Page 113: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95

보호자를 대상으로 스마트폰, PC(인터넷) 이용에 대해 학습, 정보검색, 게임,

엔터테인먼트, SNS의 이용순위를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4점 만점 기준 엔터테인

먼트 2.76점(SD=1.02), 게임 2.66점(SD=1.02), 정보검색 2.31점(SD=0.79), 학

습 2.14점(SD=1.03), SNS 2.12점(SD=1.07), 순으로 엔터테인먼트와 게임을 상

대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 특성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남아에 비해 여아가 엔터테인먼트와 SNS를

더 자주 이용하고, 남아는 상대적으로 게임을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취업모 아동의 스마트폰, PC(인터넷) 이용 비중이 학습 목적 이용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조사되었다.

<표 Ⅲ-2-16> 아동의 스마트폰, PC(인터넷) 이용 정도

단위: 점(명)

구분 (수)

학습 정보 검색 게임 엔터테인먼트 SNS

평균표준편차

평균표준편차

평균표준편차

평균표준편차

평균표준편차

전체 (1,376) 2.14 1.03 2.31 0.79 2.66 1.02 2.76 1.02 2.12 1.07

아동 성별

남 (698) 2.08 1.03 2.29 0.79 2.94 0.97 2.61 1.05 1.88 0.99

여 (678) 2.19 1.03 2.33 0.79 2.36 0.98 2.91 0.96 2.38 1.10

t -1.58 -1.40 11.04*** -5.16*** -9.03***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144) 2.31 1.04 2.36 0.78 2.69ab 0.98 2.87b 0.86 1.95a 1.06

첫째 (493) 2.15 1.04 2.28 0.77 2.51a 1.01 2.55a 1.04 1.99a 1.02

둘째 이상 (739) 2.08 1.01 2.32 0.80 2.76b 1.01 2.89b 1.01 2.27b 1.10

F 1.99 0.49 9.57***  13.34***  11.08***

모 취업 여부

취업 (784) 2.05 1.00 2.34 0.80 2.72 1.02 2.84 1.02 2.22 1.10

미취업 (549) 2.25 1.05 2.28 0.78 2.56 1.00 2.62 1.00 2.01 1.04

t -2.86** 0.97 2.78 3.36*** 4.58**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277) 2.22 1.04 2.42 0.82 2.84b 0.95 2.73 0.98 2.15 1.09

400~499만원 (243) 1.99 1.02 2.29 0.82 2.77b 1.04 2.86 1.02 2.05 1.05

500~599만원 (289) 2.10 0.95 2.27 0.73 2.62ab 1.03 2.80 1.00 2.19 1.04

600만원 이상 (432) 2.18 1.07 2.33 0.78 2.51a 0.99 2.72 1.03 2.12 1.11

F 1.39 0.69 6.77*** 0.60 0.09

주: 1) 보호자의 응답임.2) 4점 척도임(1.전혀 사용 안함~4.매일 사용함).

** p < .01, *** p < .001.

Page 114: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96

마) 여가 및 교제

아동의 하루일과 시간에 스포츠 및 집 밖 레저 활동 시간이 포함된 경우는 주중

47.6%, 주말 76.4%이며, 집 밖 레저 활동시간을 보내는 아동의 해당 활동의 평균

시간은 주중 0.90시간(SD=0.40), 주말 평균 2.01시간(SD=1.24)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아동의 하루일과에 취미 활동이 포함된 경우는 주중 27.7%, 주말 41.9%이

며, 평균 시간은 주중 0.85시간 (SD=0.40), 주말 1.55시간(SD=0.89)으로 나타났

다. 분석 결과 주중보다는 주말에 여가시간을 많이 보내고 있으며, 스포츠 및 집밖

레저 활동과 취미활동 모두 남아가 여아에 비해 주중에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Ⅲ-2-17> 스포츠, 집 밖 레저 활동 및 취미 생활

단위: 시간(명)

구분 수

스포츠 및 집 밖 레저 활동즐거움을 목적으로 하는 동호회 등

취미 생활

주중 주말 주중 주말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전체 (1,434) 0.90 0.40 2.01 1.24 0.85 0.40 1.55 0.89

아동 성별

남 (730) 0.95 0.41 2.01 1.16 0.89 0.44 1.61 0.92

여 (704) 0.84 0.37 2.01 1.33 0.80 0.35 1.48 0.85

t 4.44*** 0.52 2.29* 1.93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150) 0.89 0.35 1.94 1.20 0.94 0.36 1.58 0.89

첫째 (518) 0.89 0.40 2.03 1.24 0.79 0.34 1.60 0.89

둘째 이상 (766) 0.92 0.41 2.01 1.25 0.86 0.44 1.50 0.89

F 0.41 0.52 1.90 0.36

모 취업 여부

취업 (807) 0.90 0.39 2.04 1.26 0.85 0.42 1.54 0.84

미취업 (584) 0.91 0.41 2.00 1.24 0.83 0.38 1.57 0.96

t -0.39 0.55 0.15 -0.66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290) 0.87 0.44 2.00 1.31 0.89 0.41 1.52 0.98

400~499만원 (254) 0.93 0.43 1.95 1.22 0.86 0.33 1.42 0.76

500~599만원 (301) 0.94 0.42 2.04 1.21 0.83 0.36 1.58 0.81

600만원 이상 (448) 0.88 0.36 2.05 1.21 0.82 0.45 1.58 0.94

F 0.13 0.20 0.92 0.54

주: 1) 아동의 하루일과 시간에 스포츠 및 집 밖 레저 활동 시간이 포함된 경우는 주중 47.6%, 주말 76.4%이며 시간 산출에는 해당 사례만을 분석함.

Page 115: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97

2) 아동의 하루일과 시간에 취미 활동 시간이 포함된 경우는 주중 27.7%, 주말 41.9%이며, 시간 산출에는 해당 사례만을 분석함.

3) 보호자의 응답임.* p < .05, *** p < .001.

패널 아동의 하루일과에 사교활동 시간이 포함된 경우는 주중 54.9%, 주말

74.2%로 분석 되었으며, 해당 활동을 보내는 시간은 주중 0.86시간(SD=0.48), 주

말 1.88시간(SD=1.32)으로 주중과 주말의 차이가 약 1시간 정도 인 것으로 나타

났다.

한편 종교 시간이 포함된 경우는 주중 6.1%, 주말 32.0%이며, 종교 활동 평균

시간은 주중 0.88시간(SD=0.40), 주말 2.29시간(SD=1.32)으로 나타나, 주중에

비해 주말에 사교 및 종교 활동을 위해 많은 시간을 사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표 Ⅲ-2-18> 친인척, 친구 등과의 놀이 등 사교 활동, 종교 활동

단위: 시간(명)

구분 수

친인척, 친구 등과의 놀이 사교 활동 종교 활동

주중 주말 주중 주말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전체 (1,434) 0.86 0.48 1.88 1.32 0.88 0.40 2.29 1.32

아동 성별

남 (730) 0.90 0.46 1.98 1.39 0.80 0.33 2.26 1.33

여 (704) 0.83 0.49 1.77 1.23 0.96 0.44 2.33 1.30

t 1.36 2.40* -1.06 -0.95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150) 0.86 0.38 1.85 1.17 1.07 0.58 2.29 1.52

첫째 (518) 0.82 0.43 1.84 1.18 0.79 0.30 2.14 1.17

둘째 이상 (766) 0.89 0.53 1.91 1.43 0.91 0.40 2.42 1.37

F 2.96 0.42 0.40 1.02

모 취업 여부

취업 (807) 0.84 0.42 1.88 1.32 0.88 0.37 2.20 1.29

미취업 (584) 0.89 0.55 1.89 1.32 0.87 0.41 2.40 1.35

t -1.12 -1.21 -0.11 -2.78**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290) 0.94 0.48 1.65 1.12 0.87 0.30 2.59b 1.51

400~499만원 (254) 0.87 0.44 2.10 1.58 1.08 0.57 2.48ab 1.34

500~599만원 (301) 0.79 0.36 1.94 1.36 0.75 0.25 2.33ab 1.04

600만원 이상 (448) 0.82 0.43 1.88 1.24 0.77 0.36 2.01a 1.31

F 2.14 2.04 0.43 3.67*

Page 116: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98

주: 1) 아동의 하루일과 시간에 사교활동 시간이 포함된 경우는 주중 54.9%, 주말 74.2%이며, 시간 산출에는 해당 사례만을 분석함.

2) 아동의 하루일과 시간에 종교 시간이 포함된 경우는 주중 6.1%, 주말 32.0%이며, 시간 산출에는 해당 사례만을 분석함.

3) 보호자의 응답임.* p < .05, ** p < .01.

지난 일 주간 아동이 실내에서 신체 활동을 30분 이상 한 날을 조사한 결과, 5일

이상이 29.5%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없음’이 24.7%로 높았다. 아동 특성별 차

이를 살펴보면, 5일 이상이라고 답한 아동의 비율은 남아가 높았고, 여아는 ‘없음’

이 가장 높았다.

<표 Ⅲ-2-19> 한번에 30분 이상 실내에서 신체활동 한 일수(7일간)

단위: %(명)

구분 없음 1일 2일 3일 4일 5일 이상 계(수)

전체 24.7 13.5 13.9 13.4 4.8 29.5 100.0(1,434)

아동 성별

남 18.4 11.9 10.9 14.2 5.5 39.1 100.0(730)

여 31.4 15.2 17.2 12.6 4.1 19.5 100.0(704)

χ2(df) 86.06(5)***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26.2 18.3 7.7 12.9 6.6 28.4 100.0(150)

첫째 20.5 13.6 15.6 15.5 3.3 31.5 100.0(518)

둘째 이상 27.7 12.4 14.0 12.0 5.6 28.3 100.0(766)

χ2(df) 15.98(10)

모 취업 여부

취업 23.3 13.0 14.1 13.0 4.6 32.0 100.0(807)

미취업 26.2 14.1 14.1 13.7 5.4 26.5 100.0(584)

χ2(df) 5.65(5)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30.8 13.4 14.7 12.1 3.7 25.2 100.0(290)

400~499만원 28.7 11.5 11.2 12.4 2.0 34.2 100.0(254)

500~599만원 23.1 9.5 15.6 10.5 7.2 34.1 100.0(301)

600만원 이상 20.8 17.0 13.0 15.1 5.9 28.2 100.0(448)

χ2(df) 23.87(15)

주: 1) 신체 활동: 탁구, 수영, 배구, 배드민턴, 빠르게 걷기, 야구, 축구, 농구, 테니스, 골프, 체육시간에 실제 운동한 시간, 운동장・놀이터에서 놀기 등 격렬하거나 중증도의 신체 활동(등하교시 걷는 것은 제외)

2) 보호자의 응답임.*** p < .001.

Page 117: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99

실외에서의 활동의 경우 ‘없음’이 26.8%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2일 (18.9%),

3일 (17.8%), 1일 (16.3%), 5일 이상 (13.9%), 4일 (6.2%) 순으로 나타났다. 남아

와 여아 모두 ‘없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출생 순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

면 외동아가 ‘없음’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표 Ⅲ-2-20> 한번에 30분 이상 실외에서 신체활동 한 일수(7일간)

단위: %(명)

구분 없음 1일 2일 3일 4일 5일 이상 계(수)

전체 26.8 16.3 18.9 17.8 6.2 13.9 100.0(1,434)

아동 성별

남 20.3 15.3 18.1 20.0 8.1 18.3 100.0(730)

여 33.7 17.4 19.8 15.3 4.3 9.4 100.0(704)

χ2(df) 65.92(5)***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31.1 16.4 13.5 20.8 6.6 11.6 100.0(150)

첫째 26.2 16.4 20.5 18.1 4.6 14.1 100.0(518)

둘째 이상 26.4 16.2 18.8 16.8 7.4 14.3 100.0(766)

χ2(df) 6.65(10)

모 취업 여부

취업 27.8 16.6 19.3 14.3 7.1 14.9 100.0(807)

미취업 25.6 15.7 19.0 21.6 5.3 12.8 100.0(584)

χ2(df) 8.09(5)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29.2 17.2 18.2 18.0 4.6 12.7 100.0(290)

400~499만원 30.3 12.8 17.0 22.1 5.2 12.6 100.0(254)

500~599만원 26.8 20.9 17.4 14.3 6.3 14.2 100.0(301)

600만원 이상 26.9 15.5 20.6 15.3 7.8 14.1 100.0(448)

χ2(df) 17.87(15)

주: 1) 신체 활동: 탁구, 수영, 배구, 배드민턴, 빠르게 걷기, 야구, 축구, 농구, 테니스, 골프, 체육시간에 실제 운동한 시간, 운동장・놀이터에서 놀기 등 격렬하거나 중증도의 신체 활동(등하교시 걷는 것은 제외)

2) 보호자의 응답임.*** p < .001.

취미로 즐겨하는 악기가 있는 아동은 전체 조사대상 중 64.5%이며, 운동은

75.3%로 조사되었다. 여아는 취미로 다루는 악기가 있는 비율이 남아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아의 경우 취미로 다루는 악기는 없다고 응답한 비율이 여아보

다 높았지만, 취미로 즐겨하는 운동이 있다는 응답률이 여아에 비해 높게 나타났

다. 악기 및 운동에 취미를 가지고 있는 아동의 경우 첫째아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Page 118: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100

둘째아 이상은 상대적으로 그 비율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소득 수준이 높은

가정의 아동이 악기나 운동을 취미로 즐기는 경우가 많았고, 소득이 낮은 가정에

경우 악기나 운동에 취미가 없다는 응답률이 보다 높게 조사되었다.

<표 Ⅲ-2-21> 취미(악기, 운동)

단위: %(명)

구분악기 운동

계(수) 있음 없음 계(수) 있음 없음

전체 100.0(1,434) 64.5 35.5 100.0(1,434) 75.3 24.7

아동 성별

남 100.0(730) 52.9 47.1 100.0(730) 84.9 15.1

여 100.0(704) 76.8 23.2 100.0(704) 65.1 34.9

χ2(df) 89.88(1)*** 71.89(1)***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100.0(150) 66.0 34.0 100.0(150) 78.4 21.6

첫째 100.0(518) 70.8 29.2 100.0(518) 79.3 20.7

둘째 이상 100.0(766) 59.3 40.7 100.0(766) 71.4 28.6

χ2(df) 13.27(2)** 4.71(2)**

모 취업 여부

취업 100.0(807) 63.8 36.2 100.0(807) 75.2 24.8

미취업 100.0(584) 66.0 34.0 100.0(584) 75.1 24.9

χ2(df) 0.20(1) 0.05(1)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100.0(290) 57.5 42.5 100.0(290) 68.1 31.9

400~499만원 100.0(254) 56.0 44.0 100.0(254) 74.6 25.4

500~599만원 100.0(301) 67.2 32.8 100.0(301) 76.4 23.6

600만원 이상 100.0(448) 70.7 29.3 100.0(448) 80.2 19.8

χ2(df) 14.56(3)** 7.42(3)

주: 보호자의 응답임** p < .01, *** p < .001.

연주하는 악기의 비율은 피아노가 83.3%로 월등히 높았고, 다음으로 오카리나

가 25.2%로 높았다. 가야금, 첼로, 클라리넷을 연주하는 아동의 비율은 다른 악기

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여아가 피아노를 다루는 경우가 88.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Page 119: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101

구분 계(수) 축구 농구 야구 탁구 배구 테니스배드민턴

골프 수영 스케이트

스키 체조 무용 태권도

전체 100.0(900) 35.0 15.3 18.2 6.3 1.2 1.1 22.1 1.1 38.1 7.2 3.6 2.0 8.0 36.2

아동 성별

남 100.0(557) 50.8 19.7 28.4 8.1 1.5 1.4 22.6 1.0 32.1 5.2 3.1 0.7 0.3 41.4

여 100.0(343) 9.0 8.1 1.4 3.3 0.6 0.8 21.4 1.1 48.1 10.6 4.5 4.1 20.6 27.7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100.0(99) 37.8 17.9 19.5 5.4 0.4 1.4 24.3 1.4 50.1 8.4 5.6 2.7 3.5 41.6

첫째 100.0(337) 31.5 15.9 19.1 4.9 1.3 0.9 23.8 1.2 40.9 6.9 3.6 2.3 6.6 33.7

둘째 이상 100.0(464) 37.3 14.1 17.2 7.6 1.3 1.3 20.1 0.8 32.6 7.2 3.1 1.5 10.4 37.0

모 취업 여부

<표 Ⅲ-2-22> 취미(악기 종류)(다중응답)

단위: %(명)

구분 계(수) 피아노바이올린

첼로우쿨렐레

클라리넷

플롯오카리나

드럼 가야금

전체 100.0(826) 83.3 17.5 1.4 13.9 1.8 7.0 25.2 5.4 0.9

아동 성별

남 100.0(324) 75.6 12.3 2.3 9.1 2.2 4.1 22.3 9.6 0.3

여 100.0(502) 88.5 21.0 0.8 14.5 1.5 9.0 27.1 2.5 1.3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100.0(86) 84.0 17.5 4.4 9.2 2.3 4.7 28.5 2.8 0.0

첫째 100.0(332) 83.7 18.7 1.2 13.6 0.9 8.7 26.9 6.2 0.6

둘째 이상 100.0(408) 82.7 16.3 0.8 11.9 1.7 7.4 22.6 5.2 1.5

모 취업 여부

취업 100.0(470) 84.0 17.6 0.8 11.1 1.9 7.9 23.8 4.1 0.8

미취업 100.0(336) 81.6 17.4 2.2 14.1 0.9 7.7 27.1 7.1 1.1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100.0(102) 76.1 21.5 0.0 16.0 1.0 5.9 29.6 12.7 0.0

400~499만원 100.0(125) 82.4 16.6 2.5 10.7 0.0 8.0 26.2 5.2 0.9

500~599만원 100.0(188) 87.8 16.0 1.0 16.3 0.0 6.9 22.6 4.6 1.1

600만원 이상 100.0(325) 84.2 16.8 2.4 10.5 2.8 8.6 21.9 3.9 1.2

주: 보호자의 응답임.

취미로 즐기는 운동은 수영(38.1%), 태권도(36.2%), 축구(35.0%)가 높게 나타

났고, 배구(1.2%), 테니스(1.1%), 골프(1.1%) 등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남

아의 경우 축구(50.8%), 태권도(41.4%)를 즐겨한다는 응답의 비율이 월등히 높았

으며, 여아의 경우 수영(48.1%), 태권도(27.7%)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표 Ⅲ-2-23> 취미(운동 종류)(다중응답)

단위: %(명)

Page 120: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102

구분 계(수) 축구 농구 야구 탁구 배구 테니스배드민턴

골프 수영 스케이트

스키 체조 무용 태권도

취업 100.0(503) 35.6 13.3 15.6 5.5 0.7 1.0 21.7 0.7 35.0 8.1 2.8 1.5 8.7 38.1

미취업 100.0(370) 34.4 17.9 20.7 7.2 1.9 1.2 22.3 1.4 41.9 6.7 4.7 2.6 7.1 33.9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100.0(124) 35.3 9.4 19.8 6.0 2.1 0.4 27.4 1.4 29.9 3.7 0.7 0.2 7.8 36.7

400~499만원 100.0(142) 38.9 11.9 20.0 2.3 0.5 2.7 23.0 0.4 36.9 8.8 7.2 2.8 5.8 45.2

500~599만원 100.0(215) 32.8 18.4 13.5 3.0 2.4 0.3 16.7 1.3 40.5 8.8 3.0 2.1 5.9 40.8

600만원 이상 100.0(330) 33.6 20.0 18.5 10.6 0.2 1.3 23.7 1.2 40.6 8.0 4.1 2.5 10.6 29.5

구분 수

식사, 씻기, 옷 입기 등의 기본생활 음식준비, 청소, 정리 등 가사일 돕기

주중 주말 주중 주말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전체 (1,434) 1.46 0.65 1.80 0.77 0.57 0.18 0.80 0.39

아동 성별

남 (730) 1.44 0.63 1.78 0.72 0.56 0.17 0.80 0.40

여 (704) 1.48 0.67 1.81 0.82 0.58 0.18 0.81 0.38

t -0.42 0.20 -1.08 -0.37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150) 1.39 0.63 1.72a 0.77 0.60 0.20 0.78 0.40

첫째 (518) 1.51 0.64 1.89a 0.81 0.57 0.18 0.80 0.40

둘째 이상 (766) 1.43 0.66 1.75a 0.73 0.57 0.17 0.81 0.38

F 2.23 4.99** 1.04 0.10

모 취업 여부

취업 (807) 1.45 0.67 1.75 0.78 0.56 0.17 0.81 0.42

미취업 (584) 1.47 0.62 1.86 0.76 0.57 0.19 0.79 0.34

t -0.42 -1.61 -0.43 0.81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290) 1.40 0.66 1.83 0.78 0.59 0.21 0.83 0.39

주: 보호자의 응답임.

바) 기본생활 및 가정 관리

패널 아동이 하루 일과 중 식사, 씻기, 옷 입기 등의 기본생활을 위해 소요하는

시간은 주중 1.46시간(SD=0.65), 주말 1.80시간(SD=0.77)으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주중 43.4%, 주말 61.8%의 아동은 하루일과 시간에 음식 준비, 청소, 정리 등

가사일 돕기 시간을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시간은 주중 0.57시간

(SD=0.81), 주말 0.80시간(SD=0.39)인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Ⅲ-2-24> 기본생활 시간, 가정관리 시간

단위: 시간(명)

Page 121: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103

구분 수

식사, 씻기, 옷 입기 등의 기본생활 음식준비, 청소, 정리 등 가사일 돕기

주중 주말 주중 주말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400~499만원 (254) 1.49 0.66 1.83 0.73 0.57 0.17 0.82 0.36

500~599만원 (301) 1.50 0.63 1.74 0.71 0.56 0.16 0.82 0.41

600만원 이상 (448) 1.49 0.67 1.84 0.80 0.58 0.19 0.78 0.40

F 2.43 0.62 0.67 1.37

구분 계(수)

장보기 및 쇼핑 친인척 방문

참여여부 연간 참여 횟수 참여여부 연간 참여 횟수

참여안함

참여함 평균표준 편차

참여안함

참여함 평균표준 편차

전체 100.0(1,434) 5.8 94.2 45.34 34.07 2.0 98.0 26.19 39.76

아동 성별

남 100.0(730) 8.1 91.9 41.52 32.32 2.7 97.3 26.54 38.93

여 100.0(704) 3.4 96.6 49.19 35.34 1.4 98.6 25.81 40.61

χ2(df)/t 12.69(1)*** -4.08*** 1.60(1) -0.15

주: 1) 아동의 하루일과 시간에 음식 준비, 청소, 정리 등 가사일 돕기가 포함된 경우는 주중 43.4%, 주말 61.8%이며 시간 산출은 해당 사례만을 분석함.

2) 보호자의 응답임. ** p < .01.

3) 활동별 참여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패널 아동의 지난 1년간 활동별 참여 경험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아동이 장보기 및 쇼핑(94.2%), 친인척 방문(98.0%), 당일 여행 및 나들

이(98.0%), 1박 이상의 국내 여행(92.2%), 문화체험 및 예술감상 활동/견학

(87.6%)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해외여행 및 연수(32.8%), 종교 활동

(36.8%), 봉사 활동(14.1%), 동아리 활동(22.3%)은 활동에 대한 참여 비율은 상대

적으로 낮은 편으로 분석되었다.

지난 1년간 활동별 참여 횟수를 살펴보면, 장보기 및 쇼핑은 연 45.34회

(SD=34.07), 친인척 방문의 경우 연 26.19회(SD=39.76)로 조사되었다. 아동 특

성별 차이는 여아, 외동, 가구 소득이 낮은 가정의 자녀의 장보기 및 쇼핑 참여 빈

도가 다른 아동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친인척 방문의 경우, 둘째 이상, 취업모의

자녀가 친인척을 방문하는 횟수가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Ⅲ-2-25> 아동의 활동별 참여 빈도: 장보기 및 쇼핑, 친인척 방문

단위: %, 회(명)

Page 122: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104

구분 계(수)

장보기 및 쇼핑 친인척 방문

참여여부 연간 참여 횟수 참여여부 연간 참여 횟수

참여안함

참여함 평균표준 편차

참여안함

참여함 평균표준 편차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100.0(150) 6.7 93.3 50.62 37.10 0.6 99.4 30.69 54.15

첫째 100.0(518) 6.3 93.7 44.39 31.10 2.3 97.7 29.31 41.54

둘째 이상 100.0(766) 5.3 94.7 44.93 35.47 2.1 97.9 22.72 33.76

χ2(df)/F 1.24(2) 1.13 1.38(2) 2.46

모 취업 여부

취업 100.0(807) 6.2 94.7 45.66 32.49 2.1 97.9 29.23 47.70

미취업 100.0(584) 5.3 95.9 45.11 36.00 2.0 98.0 22.32 25.00

χ2(df)/t 3.11(1) 0.92 0.56(1) 1.71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100.0(290) 4.4 95.7 44.62 32.19 3.6 96.4 22.01 31.25

400~499만원 100.0(254) 7.0 94.6 47.43 37.45 2.5 97.5 29.18 46.89

500~599만원 100.0(301) 7.5 93.0 44.92 33.03 0.5 99.5 26.59 42.79

600만원 이상 100.0(448) 5.0 94.4 43.77 31.52 1.4 98.6 27.84 38.55

χ2(df)/F 7.69(3) 0.30 6.04(3) 1.15

구분 계(수)

당일여행 및 나들이 1박이상의 국내여행 해외여행 및 연수

참여여부연간 참여

횟수참여여부

연간 참여 횟수

참여여부연간 참여

횟수

참여안함

참여함

평균표준편차

참여안함

참여함

평균표준편차

참여안함

참여함

평균표준편차

전체 100.0(1,434) 2.0 98.0 24.17 23.15 7.8 92.2 5.21 8.79 67.2 32.8 1.16 0.44

아동 성별

남 100.0(730) 2.4 97.6 23.12 21.52 8.2 91.8 5.07 7.89 67.1 32.9 1.14 0.39

여 100.0(704) 1.5 98.5 25.27 24.69 7.4 92.6 5.35 9.65 67.4 32.6 1.18 0.49

χ2(df)/t 2.08(1) 1.64 3.21(1) .03 3.21(1) .39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100.0(150) 0.3 99.7 23.80ab 27.06 6.4 93.6 4.84 7.86 54.4 45.6 1.19 0.41

첫째 100.0(518) 2.1 97.9 27.49b 22.87 8.0 92.0 5.40 6.89 66.2 33.8 1.16 0.50

둘째 이상 100.0(766) 2.2 97.8 21.63a 22.06 8.0 92.0 5.14 10.20 70.9 29.1 1.15 0.40

주: 1) 한 달은 12개월, 일주일은 48주를 기준으로 연간 참여 횟수를 환산함.2) 보호자의 응답임.

*** p < .001.

당일 여행 및 나들이의 경우 연 평균 24.17회(SD=23.15), 1박 이상의 국내 여

행은 평균 5.21회(SD=8.79)로 조사되었다.

<표 Ⅲ-2-26> 아동의 활동별 참여 빈도: 당일여행 및 나들이, 국내여행, 해외연수

단위: %, 회(명)

Page 123: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105

구분 계(수)

당일여행 및 나들이 1박이상의 국내여행 해외여행 및 연수

참여여부연간 참여

횟수참여여부

연간 참여 횟수

참여여부연간 참여

횟수

참여안함

참여함

평균표준편차

참여안함

참여함

평균표준편차

참여안함

참여함

평균표준편차

χ2(df)/F 2.12(2) 10.68*** 0.87(2) 0.02 14.05(2)*** .59

모 취업 여부

취업 100.0(807) 2.6 97.4 23.45 22.97 8.6 91.4 5.50 10.88 8.6 91.4 1.22 10.88

미취업 100.0(584) 1.5 98.5 23.57 21.46 8.4 91.6 4.97 6.56 8.4 91.6 1.23 6.56

χ2(df)/t 3.69(1) 0.09 3.65(1) .99 3.65(1) .05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100.0(290) 2.6 97.4 20.12a 19.70 15.1 84.9 4.53 6.68 84.6 15.4 1.17 0.44

400~499만원 100.0(254) 1.7 98.3 24.76a 26.70 9.7 90.3 5.60 6.88 9.3 25.1 1.05 0.22

500~599만원 100.0(301) 2.8 97.2 25.04a 18.84 6.9 93.1 5.06 7.79 9.1 31.9 1.13 0.38

600만원 이상 100.0(448) 1.7 98.3 23.62a 19.91 3.4 96.6 5.71 11.38 4.6 49.5 1.23 0.53

χ2(df)/F 3.62(3) 3.48* 24.95(3)*** .63 115.19(3)*** .57

구분 계(수)

문화체험, 예술감상, 견학 종교활동

참여여부 연간 참여 횟수 참여여부 연간 참여 횟수

참여안함

참여함 평균표준편차

참여안함

참여함 평균표준편차

전체 100.0(1,434) 12.4 87.6 9.71 12.06 63.8 36.2 49.65 32.88

아동 성별

남 100.0(730) 13.4 86.6 8.96 10.71 63.7 36.3 48.84 33.57

여 100.0(704) 11.3 88.7 10.48 13.27 63.9 36.1 50.51 32.10

χ2(df)/t 0.94(1) -1.50 0.16(1) -0.27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100.0(150) 13.6 86.4 12.24 15.91 70.0 30.0 47.06 20.17

첫째 100.0(518) 10.5 89.5 9.83 10.90 63.7 36.3 50.19 32.69

둘째 이상 100.0(766) 13.6 86.4 9.05 11.90 62.5 37.5 49.70 34.75

주: 1) 한 달은 12개월, 일주일은 48주를 기준으로 연간 참여 횟수를 환산함.2) 보호자의 응답임.

* p < .05, *** p < .001.

문화체험 및 예술 감상, 견학의 참여 횟수는 9.71회(SD=12.06)이고, 종교 활동

은 49.65회(SD=32.88) 참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문화체험 및 예술 감상, 견

학의 참여 횟수는 여아, 외동아, 미취업 모, 가구 소득 수준이 높은 가정의 자녀들

이 참여 횟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종교 활동의 경우, 미취업 모,

가구 소득이 낮은 가정의 자녀일수록 참여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Ⅲ-2-27> 아동의 활동별 참여 빈도: 문화체험 및 예술감상, 견학, 종교활동

단위: %, 회(명)

Page 124: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106

구분 계(수)

문화체험, 예술감상, 견학 종교활동

참여여부 연간 참여 횟수 참여여부 연간 참여 횟수

참여안함

참여함 평균표준편차

참여안함

참여함 평균표준편차

χ2(df)/F 2.84(2) 2.38 0.93(2) 0.44

모 취업 여부

취업 100.0(807) 11.7 88.3 9.41 10.39 63.8 36.2 47.80 29.94

미취업 100.0(584) 12.8 87.2 10.02 13.04 62.9 37.1 52.08 36.34

χ2(df)/t 0.17(1) -1.17 0.3(1) -1.76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100.0(290) 16.8 83.2 8.45 9.88 61.7 38.3 59.07b 48.26

400~499만원 100.0(254) 13.3 86.7 9.44 10.79 63.9 36.1 46.80ab 25.05

500~599만원 100.0(301) 10.5 89.5 10.67 14.06 67.3 32.7 51.57ab 33.76

600만원 이상 100.0(448) 10.9 89.1 9.86 10.03 63.6 36.4 43.90a 21.54

χ2(df)/F 6.19(3) 1.67 4.49(3) 3.93**

구분 계(수)

봉사 활동 동아리 활동

참여여부 연간 참여 횟수 참여여부 연간 참여 횟수

참여안함

참여함 평균표준편차

참여안함

참여함 평균표준편차

전체 (1,434) 85.9 14.1 10.75 18.45 77.7 22.3 32.21 37.33

아동 성별

남 (730) 87.1 12.9 12.50 20.26 79.6 20.4 34.91 41.47

여 (704) 84.7 15.3 9.17 16.50 75.8 24.2 29.76 32.94

χ2(df)/t 4.67(1)* 0.60 7.42(1)** 1.16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150) 83.9 16.1 7.67 10.53 76.7 23.3 25.40 36.16

첫째 (518) 86.7 13.3 12.02 20.31 78.7 21.3 35.16 42.97

둘째 이상 (766) 85.7 14.3 10.57 18.46 77.2 22.8 31.54 32.56

χ2(df)/F 0.42(2) 0.41 0.05(2) 2.43

모 취업 여부

주: 1) 한 달은 12개월, 일주일은 48주를 기준으로 연간 참여 횟수를 환산함.2) 보호자의 응답임.

** p < .01.

조사대상 아동의 봉사활동 참여 횟수는 연평균 10.75회(SD=18.45), 동아리 활

동은 32.21회(SD=37.33)로 조사되었다. 아동 특성별 차이를 살펴보면, 남아의 봉

사활동 및 동아리활동 참여가 여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Ⅲ-2-28> 아동의 활동별 참여 빈도: 봉사활동, 동아리활동

단위: %, 회(명)

Page 125: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107

구분 계(수)

봉사 활동 동아리 활동

참여여부 연간 참여 횟수 참여여부 연간 참여 횟수

참여안함

참여함 평균표준편차

참여안함

참여함 평균표준편차

취업 (807) 87.8 12.2 13.40 20.81 77.6 22.4 35.03 42.12

미취업 (584) 83.2 16.8 8.17 15.46 77.2 22.8 28.87 30.27

χ2(df)/t 2.47(1) 1.76 0.49(1) 0.68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290) 84.4 15.6 9.18 14.51 78.5 21.5 34.12 38.57

400~499만원 (254) 84.4 15.6 9.24 8.75 81.0 19.0 27.83 33.92

500~599만원 (301) 87.7 12.3 18.18 32.70 75.9 24.1 29.89 34.23

600만원 이상 (448) 87.3 12.7 8.60 13.32 76.4 23.6 34.66 40.81

χ2(df)/F 0.84(3) 1.7 3.8(3) 0.36

구분 (수)

프로그램 설치/삭제/

업데이트 능력

유선/무선인터넷 연결 능력

웹브라우저 환경 설정 능력

외장기기연결 능력

평균표준편차

평균표준편차

평균표준편차

평균표준편차

전체 (1,427) 2.52 1.44 2.42 1.44 2.07 1.27 2.06 1.28

아동 성별

남 (727) 2.71 1.49 2.58 1.49 2.14 1.31 2.17 1.35

여 (700) 2.31 1.36 2.25 1.37 2.01 1.22 1.94 1.18

t 5.31*** 4.25*** 2.88** 3.71***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150) 2.66b 1.50 2.52 1.53 2.10 1.35 2.11 1.24

첫째 (514) 2.60ab 1.43 2.41 1.45 2.10 1.28 2.09 1.31

주: 1)한 달은 12개월, 일주일은 48주를 기준으로 연간 참여 횟수를 환산함.2) 보호자의 응답임.

* p < .05, ** p < .01.

4) 미디어 관련

아동의 컴퓨터 사용능력에 관한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5점 만점 기준 프로그램

활용능력 2.52점(SD=1.44), 인터넷 연결 능력 2.42점(SD=1.44), 웹브라우저 설

정 능력 2.07점(SD=1.27), 외장 기기 연결 능력 2.06점(SD=1.28)으로, 프로그램

활용능력과 인터넷 연결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모든 면에서 남아

가 여아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표 Ⅲ-2-29> 컴퓨터 사용능력 1

단위: 점, (명)

Page 126: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108

구분 (수)

프로그램 설치/삭제/

업데이트 능력

유선/무선인터넷 연결 능력

웹브라우저 환경 설정 능력

외장기기연결 능력

평균표준편차

평균표준편차

평균표준편차

평균표준편차

둘째 이상 (763) 2.42a 1.44 2.40 1.42 2.05 1.24 2.01 1.26

F 4.03* 0.71 0.47 0.71

모 취업 여부

취업 (804) 2.50 1.47 2.46 1.46 2.07 1.27 2.05 1.31

미취업 (581) 2.54 1.42 2.37 1.43 2.09 1.27 2.07 1.25

t -0.51 0.12 -0.67 -1.25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290) 2.52 1.37 2.36 1.35 2.09 1.23 1.99 1.17

400~499만원 (253) 2.37 1.43 2.37 1.46 1.98 1.20 1.96 1.19

500~599만원 (297) 2.65 1.45 2.44 1.47 2.14 1.34 2.08 1.36

600만원 이상 (447) 2.57 1.52 2.47 1.50 2.13 1.33 2.16 1.35

F 1.63 0.65 1.13 0.87

구분 (수)파일 전송 능력

악성코드검사/치료 능력

문서/자료 작성 능력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전체 (1,427) 1.84 1.22 1.56 1.01 2.84 1.54

아동 성별

남 (727) 1.94 1.31 1.69 1.14 2.77 1.55

여 (700) 1.75 1.10 1.43 0.82 2.91 1.52

t 3.43*** 5.13*** -1.43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150) 1.85 1.24 1.71 1.15 2.94 1.60

첫째 (514) 1.89 1.25 1.56 1.01 2.92 1.57

주: 1) 아동의 응답임.2) 5점 척도임(1.전혀 그렇지 않다~5.매우 그렇다).

* p < .05, ** p < .01, *** p < .001.

파일 전송 능력, 악성코드 검사 치료 능력, 문서/자료 작성 능력에 관한 결과를

살펴보면, 5점 만점 기준 파일 전송 능력 1.84점(SD=1.22), 악성코드 검사 치료

능력 1.56점(SD=1.01), 문서/자료 작성 능력 2.84점(SD=1.54)으로, 문서/자료

작성 능력에 대한 점수가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아동 특성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

면, 파일 전송 능력과 악성코드 검사 치료 능력은 남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표 Ⅲ-2-30> 컴퓨터 사용능력 2

단위: 점, (명)

Page 127: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109

구분 (수)파일 전송 능력

악성코드검사/치료 능력

문서/자료 작성 능력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둘째 이상 (763) 1.80 1.19 1.54 0.97 2.75 1.49

F 1.02 1.15 2.64

모 취업 여부

취업 (804) 1.84 1.23 1.56 1.00 2.76 1.55

미취업 (581) 1.85 1.22 1.56 1.02 2.94 1.53

t -0.31 -0.21 -2.17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290) 1.80 1.14 1.58 0.99 2.94 1.54

400~499만원 (253) 1.66 1.03 1.55 0.98 2.59 1.49

500~599만원 (297) 1.88 1.23 1.54 1.02 2.86 1.53

600만원 이상 (447) 1.87 1.28 1.58 1.06 2.87 1.56

F 1.18 0.98 0.82

구분 (수)

다른 사람의 개인정보를허락받지 않고 이용하기

다른 사람을 욕하거나 비방하기

동영상이나 사진 등을허락 받지 않고 다운로드

받거나 이용하기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전체 (1,427) 4.06 1.50 4.13 1.48 3.96 1.47

아동 성별

남 (727) 3.92 1.59 4.02 1.54 3.84 1.56

주: 1) 아동의 응답임.2) 5점 척도임(1.전혀 그렇지 않다~5.매우 그렇다).

*** p < .001.

사이버 비행에 대한 인식은 아동의 미디어 활동이 더욱 활발해 지는 시기임을

고려해 추가되었다. 주어진 문항에 대해 아동이 인식하는 문제성을 ‘전혀 문제되지

않는다(1점)’에서 ‘매우 문제 된다(5점)’의 5점 척도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살펴보면, 다른 사람의 개인정보를 허락받지 않고 이용하기가 4.06점

(SD=1.50), 다른 사람을 욕하거나 비방하기가 4.13점(SD=1.48), 동영상이나 사진

등을 허락 받지 않고 다운로드 받거나 이용하기가 3.96점(SD=1.47)으로 주어진

항목에 대해 모두 문제가 되는 편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성별에 따라 응답에 차이를 보였으며, 여아가 문제성을 상대적으로 크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Ⅲ-2-31> 사이버 비행에 대한 인식 1

단위: 점, (명)

Page 128: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110

구분 (수)

다른 사람의 개인정보를허락받지 않고 이용하기

다른 사람을 욕하거나 비방하기

동영상이나 사진 등을허락 받지 않고 다운로드

받거나 이용하기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여 (700) 4.21 1.39 4.25 1.39 4.07 1.36

t -3.14** -3.72*** -2.98**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150) 4.10 1.49 4.12 1.51 3.97 1.45

첫째 (514) 3.99 1.55 4.07 1.53 3.88 1.53

둘째 이상 (763) 4.11 1.47 4.18 1.42 4.01 1.42

F 0.43 0.19 0.21

모 취업 여부

취업 (804) 4.10 1.46 4.18 1.42 3.99 1.44

미취업 (581) 3.99 1.57 4.05 1.55 3.89 1.52

t 0.85 1.11 1.02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290) 4.02 1.53 4.05 1.49 3.91 1.46

400~499만원 (253) 4.16 1.44 4.23 1.40 4.10 1.39

500~599만원 (297) 3.98 1.52 4.05 1.52 3.89 1.50

600만원 이상 (447) 4.09 1.50 4.20 1.45 4.00 1.47

F 1.65 1.64 2.17

구분 (수)

정확하지 않은 정보를 전달하거나 퍼뜨리기

불건전한 정보를전달하거나 퍼뜨리기

집단 따돌림에가담하기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전체 (1,427) 4.03 1.48 4.11 1.54 4.11 1.54

아동 성별

주: 1) 아동의 응답임.2) 5점 척도임(1.전혀 문제 되지 않는다~5.매우 문제 된다).

** p < .01, *** p < .001.

이어서, 정확하지 않은 정보를 전달하거나 퍼뜨리기가 4.03점(SD=1.48), 불건

전한 정보(폭력적, 성적인 내용, 자살 등)를 전달하거나 퍼뜨리기가 4.11점(SD=1.54),

집단 따돌림에 가담하기가 4.11점(SD=1.54)으로 다양한 인터넷 역기능 현상들에

대한 문제성에 대해 문제가 되는 편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것이 다시 한 번 드러났

다. 아동 특성별 차이를 살펴보면, 여아가 문제에 대한 정도를 상대적으로 더 크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Ⅲ-2-32> 사이버 비행에 대한 인식 2

단위: 점, (명)

Page 129: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111

구분 (수)

정확하지 않은 정보를 전달하거나 퍼뜨리기

불건전한 정보를전달하거나 퍼뜨리기

집단 따돌림에가담하기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남 (727) 3.91 1.56 3.96 1.63 3.98 1.62

여 (700) 4.16 1.38 4.26 1.43 4.25 1.44

t -3.56*** -3.59*** -3.37***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150) 4.05 1.46 4.08 1.55 4.12 1.55

첫째 (514) 3.94 1.52 4.05 1.59 4.04 1.58

둘째 이상 (763) 4.10 1.44 4.16 1.51 4.17 1.51

F   0.57 0.19 0.39

모 취업 여부

취업 (804) 4.08 1.45 4.14 1.53 4.13 1.52

미취업 (581) 3.94 1.52 4.05 1.58 4.06 1.59

t 1.41 0.73 0.55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290) 4.02 1.45 4.09 1.51 4.07 1.54

400~499만원 (253) 4.14 1.44 4.18 1.49 4.19 1.50

500~599만원 (297) 3.90 1.53 4.01 1.60 4.00 1.60

600만원 이상 (447) 4.08 1.45 4.17 1.54 4.18 1.51

F 2.29 1.42 1.78

주: 1) 아동의 응답임.2) 5점 척도임(1.전혀 문제 되지 않는다~5.매우 문제 된다).

*** p < .001.

라. 신체 및 건강 특성

1) 신체 특성 및 주관적 건강 상태

조사원이 가구 방문 조사 시 측정한 아동의 신체 치수는 신장 141.16cm(SD=6.49),

체중 37.63kg(SD=8.42), 허리둘레 68.35cm(SD=8.86), BMI 18.77kg/m2(SD=3.35)

로 나타났다.

<표 Ⅲ-2-33> 아동의 신체 치수(신장, 허리둘레, 체중, BMI)

단위: cm, kg, cm, kg/m2, (명)

구분 최소 최대 중위수 평균 표준편차 (수)

신장 120.30 172.20 141.00 141.16 6.49 (1,405)

허리둘레 55.90 94.50 67.00 68.35 8.86 (1,411)

체중 20.00 75.60 36.20 37.63 8.42 (1,421)

BMI 12.71 40.89 18.16 18.77 3.35 (1,399)

Page 130: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112

패널 아동의 신체 치수를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살펴보면, 남아와 여아 신장의

경우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허리둘레는 남아가 여아보다 약 3cm

가량 길고, 체중 역시 남아가 상대적으로 2kg정도 더 나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BMI는 여아보다 남아가, 미취업모보다 취업모의 자녀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Ⅲ-2-34> 아동의 특성 별 신체 치수

단위: cm, kg, kg/m2, (명)

구분 수신장 허리둘레 체중 BMI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전체 (1,405) 141.16 6.49 68.35 8.86 37.63 8.42 18.77 3.35

아동 성별

남 (718) 141.20 6.55 70.12 9.53 38.83 8.80 19.34 3.45

여 (687) 141.11 6.43 66.49 7.66 36.36 7.80 18.16 3.12

t 0.16 7.39*** 5.22*** 6.54***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147) 140.94 6.28 68.37 8.54 37.62 8.13 18.83 3.30

첫째 (506) 141.57 6.68 68.36 8.98 37.77 8.32 18.74 3.29

둘째 이상 (752) 140.88 6.37 68.35 8.83 37.53 8.56 18.78 3.41

F 2.3 0.37 0.34 0.79

모 취업 여부

취업 (795) 141.25 6.28 68.91 8.90 38.16 8.40 19.00 3.40

미취업 (568) 141.05 6.73 67.65 8.62 36.96 8.35 36.97 3.21

t 0.82 2.44 2.54 2.81**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282) 141.10 7.25 67.95 8.76 37.44 8.94 18.62 3.34

400~499만원 (249) 140.82 6.14 68.94 9.39 37.77 8.43 18.95 3.41

500~599만원 (291) 141.56 6.17 68.99 9.12 38.06 8.85 18.90 3.49

600만원 이상 (443) 141.40 6.33 67.80 8.51 37.40 7.79 18.58 3.07

F 2.18 2.05 1.78 0.83

** p < .01, *** p < .001.

패널 참여 아동의 67%는 시력 보정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29.7%는 안

경을, 3.4%는 시력 교정 도구를 착용하는 것으로 응답되었다. 안경 착용 시기는

평균 8.19세(SD=1.63)부터였으며, 시력 보정 도구는 8.84세(SD=1.08)부터 사용

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Page 131: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113

구분

몽정 발현 여부 처음 나타난 시기

계(수) 나타남나타나지

않음계(수)

올해(초등4학년)

초등1~3학년

전체 100.0(730) 1.8 98.2 100.0(9) 100.0 0.0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100.0(79) 3.3 96.7 100.0(1) 100.0 0.0

첫째 100.0(267) 1.8 98.2 100.0(4) 100.0 0.0

<표 Ⅲ-2-35> 아동의 시력 보정 도구 착용 시기

단위: 세, (명)

구분안경

수시력 교정 도구

수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전체 8.19 1.63 (427) 8.84 1.08 (42)아동 성별 남 8.15 1.55 (213) 8.75 1.00 (19) 여 8.23 1.70 (214) 8.91 1.16 (23)

t -0.44 -0.54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8.22 1.42 (49) 8.24 1.00 (7) 첫째 8.34 1.58 (146) 8.88 0.97 (18) 둘째 이상 8.08 1.71 (232) 8.95 1.26 (17)

F 0.87 0.99모 취업 여부 취업 8.07 1.74 (239) 8.79 1.16 (19) 미취업 8.36 1.45 (174) 8.95 0.93 (19)

t -1.80 -0.56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8.34 1.50 (80) 8.61 1.11 (4) 400~499만원 8.17 1.60 (73) 8.00 0.00 (4) 500~599만원 8.11 1.77 (90) 9.06 1.06 (12) 600만원 이상 8.16 1.62 (147) 8.91 1.12 (19)

F 0.22 0.39

주: 1) 전체 참여 아동의 29.7%는 안경, 3.4%는 시력 교정 도구를 사용하는 것으로 응답함.2) 보호자의 응답임.

사춘기 진입이라는 특성을 반영하여 새롭게 추가된 2차 성징의 발현 여부 및 발

현 시기 조사 결과, 조사대상 남아의 대부분인 98.2%가 아직까지 2차 성징(몽정)

이 발현하지 않았다고 응답하였다. 발현했다고 응답한 소수의 아동의 경우, 아동

모두 11차 조사가 진행된 해에 처음으로 2차 성징이 발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Ⅲ-2-36> 남아의 2차 성징(몽정) 발현 여부 및 처음 나타난 시기

단위: %(명)

Page 132: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114

구분

몽정 발현 여부 처음 나타난 시기

계(수) 나타남나타나지

않음계(수)

올해(초등4학년)

초등1~3학년

둘째 이상 100.0(384) 1.4 98.6 100.0(4) 100.0 0.0

χ2(df) 0.27(2) -

모 취업 여부

취업 100.0(411) 1.4 98.8 100.0(5) 100.0 0.0

미취업 100.0(297) 1.6 98.4 100.0(3) 100.0 0.0

χ2(df) 0.07(1) -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100.0(147) 0.0 100.0 100.0(0)  0.0 0.0

400~499만원 100.0(135) 4.0 96.0 100.0(4) 100.0 0.0

500~599만원 100.0(157) 0.8 99.2 100.0(1) 100.0 0.0

600만원 이상 100.0(222) 0.6 99.4 100.0(2) 100.0 0.0

χ2(df) 6.56(3) -

구분

초경 발현 여부 처음 나타난 시기

수 나타남나타나지

않음수

올해(초등4학년)

초등1~3학년

전체 100.0(704) 13.2 86.8 100.0(88) 73.7 26.3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100.0(71) 12.2 87.8 100.0(9) 100.0 0.0

첫째 100.0(251) 13.4 86.6 100.0(29) 62.8 37.2

둘째 이상 100.0(382) 13.2 86.7 100.0(50) 76.9 23.1

χ2(df) 0.33(2) 3.23(2)

모 취업 여부

취업 100.0(396) 10.3 89.7 100.0(42) 78.5 21.5

미취업 100.0(287) 16.8 83.2 100.0(43) 68.5 31.5

χ2(df) 0.07(1) 1.01(1)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100.0(143) 15.6 84.4 100.0(21) 76.3 23.7

400~499만원 100.0(119) 14.5 85.5 100.0(15) 72.7 22.6

주: 1) 데모별 비율이 모두 100.0%인 경우 χ2(df) 값을 산출할 수 없어 ‘-’로 표기함.2) 보호자의 응답임.

여아의 경우 또한 2차 성징(초경)이 대다수 아동에게서 아직까지 발현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발현했다고 응답한 13.2%의 여아 중, 대다수가 11차 조사가

진행된 시점인 초등학교 4학년에 처음으로 2차 성징이 나타났다고 응답하였다.

<표 Ⅲ-2-37> 여아의 2차 성징(초경) 발현 여부 및 처음 나타난 시기

단위: %(명)

Page 133: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115

구분

초경 발현 여부 처음 나타난 시기

수 나타남나타나지

않음수

올해(초등4학년)

초등1~3학년

500~599만원 100.0(144) 11.7 88.3 100.0(14) 66.7 52.7

600만원 이상 100.0(226) 10.4 89.6 100.0(24) 85.2 18.5

χ2(df) 2.13(3) 5.01(3)

주: 보호자의 응답임.

조사대상 아동의 어머니가 인식한 자녀의 주관적 건강 상태는 매우 건강하다는

응답이 35%, 건강한 편이라는 응답이 51.8%로 대체적으로 아동의 건강상태가 양

호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Ⅲ-2-38> 어머니가 인식한 아동의 주관적 건강상태

단위: %(명), 점

구분전혀건강하지않음

건강하지않은편임

보통임건강한편임

매우건강함

계(수) 평균표준편차

전체 0.8 1.6 10.8 51.8 35.0 100.0(1,434) 4.18 0.75

아동 성별

남 0.9 2.2 11.6 50.4 34.9 100.0(730) 4.16 0.78

여 0.8 0.9 9.9 53.3 35.0 100.0(704) 4.21 0.71

χ2(df)/t 2.37(4)  -1.28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0.0 0.7 8.6 54.8 35.9 100.0(150) 4.26 0.64

첫째 0.9 2.3 11.3 53.4 32.0 100.0(518) 4.13 0.77

둘째 이상 0.9 1.2 10.9 49.9 37.1 100.0(766) 4.21 0.75

χ2(df)/F 7.17(8) 0.34

모 취업 여부

취업 1.0 1.9 10.4 49.0 37.6 100.0(807) 4.20 0.78

미취업 0.6 1.2 11.2 55.7 31.1 100.0(584) 4.16 0.71

χ2(df)/t 5.80(4) 0.53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0.1 1.0 15.2 50.9 32.7 100.0(290) 4.18 0.71

400~499만원 0.3 2.1 8.0 54.2 35.5 100.0(254) 4.23 0.70

500~599만원 1.7 1.2 9.0 54.0 34.1 100.0(301) 4.20 0.72

600만원 이상 0.8 2.2 10.7 47.4 39.0 100.0(448) 4.23 0.78

χ2(df)/F 15.68(12) 0.56

주: 1) 보호자의 응답임.2) 5점 척도임(1.매우 건강하지 않음~5.매우 건강함).

Page 134: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116

2) 질환 및 치료

조사 대상 아동의 95% 이상은 지난 1년간 응급실에서 치료 받거나 입원한 경험

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사고 등으로 응급실 치료를 한 경우는 4.8%였으며,

남아가 여아보다 응급실 치료 경험이 약간 더 높았다. 패널 아동의 3.1%는 입원

치료를 받은 적이 있는 것으로 응답되었으며, 성별이나 가구소득 등 세부항목별 차

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표 Ⅲ-2-39> 아동의 치료 및 입원 여부

단위: %(명)

구분응급실 치료 경험 입원 경험

(수)있음 없음 있음 없음

전체 4.8 95.2 3.1 96.9 100.0(1,434)

아동 성별

남 6.2 93.8 3.2 96.8 100.0(730)

여 3.4 96.6 3.1 96.9 100.0(704)

χ2(df) 6.27(1)* 0.30(1)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5.9 94.1 4.5 95.5 100.0(150)

첫째 3.8 96.2 3.3 96.7 100.0(518)

둘째 이상 5.3 94.7 2.7 97.3 100.0(766)

χ2(df) 2.76(2) 4.94(2)

모 취업 여부

취업 4.7 95.3 3.5 96.5 100.0(807)

미취업 4.9 95.1 2.6 97.4 100.0(584)

χ2(df) 0.06(1) 0.85(1)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3.4 96.6 4.0 96.0 100.0(290)

400~499만원 6.8 93.2 3.2 96.8 100.0(254)

500~599만원 3.4 96.6 2.6 97.4 100.0(301)

600만원 이상 5.8 94.2 2.8 97.2 100.0(448)

χ2(df) 1.40(3) 1.91(3)

주: 보호자의 응답임.* p < .05

전체 아동의 2.4%가 만성 부비동염(축농증)을 진단받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

체적으로 진단받은 질환의 비율은 1% 미만으로 낮은 편이었다. 만성 중이염이

0.8%, 선천성 심장질환 0.5%인 것으로 나타났다. 선천성 심장질환이나 뇌전증(간

Page 135: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117

질), 당뇨의 경우에는 정기적으로 치료를 받는 경우가 90% 이상으로 높았으며, 만

성 부비동염(축농증)은 간헐적으로 치료를 받는 경우가 절반 이상 되었다. 질환을

진단받은 경우 질환의 경중과 종류에 따라 상담 및 치료의 지속 여부는 차이를 보

였다.

<표 Ⅲ-2-40> 아동의 만성 질환별 진단 및 치료 여부

단위: %(명)

구분 (수)진단받은 질환

(중복응답)

치료 여부

정기적으로 받음

간헐적으로 받음

받지 않음

선천성 심장질환 100.0(7) 0.5 91.7 0.0 8.3

뇌전증(간질) 100.0(2) 0.3 100.0 0.0 0.0

당뇨 100.0(2) 0.1 100.0 0.0 0.0

만성 부비동염(축농증) 100.0(27) 2.4 3.1 54.2 42.8

만성 중이염 100.0(12) 0.8 40.7 14.0 45.3

만성 요로감염 100.0(1) 0.0 0.0 0.0 100.0

주: 1) 치료여부는 해당 질환을 진단받은 아동에 한정하여 분석됨.2) 보호자의 응답임.

패널 아동의 알레르기 질환을 살펴보면, 알레르기 비염이 19.3%로 가장 많았으

며, 그 다음은 아토피 피부염 8.2%, 알레르기 결막염 4.3% 순이었다. 식품알레르

기의 경우에는 60% 이상이 치료를 받지 않는다고 응답하였으며, 천식의 경우에도

40% 이상이 치료를 받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표 Ⅲ-2-41> 아동의 알레르기 질환별 의사 진단 여부

단위: %(명)

구분 (수)진단받은 질환

(중복응답)

치료 여부

정기적으로 받음

간헐적으로 받음

받지 않음

천식 100.0( 34) 2.5 8.5 47.7 43.7

알레르기비염 100.0(273) 19.3 9.7 74.4 15.9

아토피피부염 100.0(108) 8.2 5.2 63.8 31.0

식품알레르기 100.0(31) 2.4 1.1 35.7 63.2

알레르기결막염 100.0(64) 4.3 10.5 73.9 15.5

주: 1) 치료여부는 해당 질환을 진단받은 아동에 한정하여 분석됨.2) 보호자의 응답임.

Page 136: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118

패널 아동 대부분은 심리사회적 질환을 진단받는 경우는 적었다. 아동의 0.4%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0.3%는 의사소통 장애 진단을 받았으며,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진단받은 경우는 0.2%이었다. 심리사회적 질환에 따라 상담 및 치료 여부

는 상이하였지만, 질환을 진단받은 경우에는 치료를 지속적으로 받고 있다는 응답

이 많았다.

<표 Ⅲ-2-42> 아동의 심리사회적 질환별 의사 진단 여부

단위: %(명)

구분 (수)진단받은

질환(중복응답)

상담 및 치료 여부

지속적으로 받음

간헐적으로 받음

받지 않음

의사소통 장애 100.0(5) 0.3 78.1 0.0 21.9

자폐 스펙트럼장애 100.0(2) 0.2 75.7 0.0 24.3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100.0(5) 0.4 64.9 17.0 18.1

특정 학습장애 -(0) 0.0 - - -

운동장애 100.0(3) 0.1 64.1 0.0 35.9

파괴적, 충동통제 및 품행장애 -(0) 0.0 - - -

배설장애 100.0(1) 0.1 0.0 0.0 100.0

급식 및 섭식장애 -(0) 0.0 - - -

불안 장애 100.0(1) 0.1 0.0 0.0 100.0

기타 장애 100.0(5) 0.2 53.9 27.1 19.0

주: 1) 치료여부는 해당 질환을 진단받은 아동에 한정하여 분석됨.2) 보호자의 응답임.

마. 인지 및 언어 발달 특성

1) 인지발달

지난 6개월 동안 아동 행동을 바탕으로 어머니가 인식한 아동의 집행기능(계획

및 조직화, 행동 통제, 정서 통제, 부주의 정도)을 측정 하였으며, ‘전혀 아니다(1)’

에서 ‘자주 그렇다(3)점’의 3점 리커트 척도로 응답되고, 점수가 높을수록 집행 기

능 수행에 어려움이 있음을 의미한다.

집행기능 중 계획 및 조직화에 대한 평가는 평균 1.59점(SD=0.43)의 다른 하위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간 높게 평가되었으나 큰 어려움을 보이는 경우는 아닌

것으로 볼 수 있다. 계획 및 조직화는 성별, 출생순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남아와 외동아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계획 및 조직화 평균이 약간

Page 137: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119

높았지만 문제로 판단될 수준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아동의 행동통제(M=1.24, SD=0.30), 정서통제(M=1.42, SD=0.43)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은 비교적 큰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아동이 지속적으로 집중하는 능력과 관련된 부주의 영역에서도 큰 불편이 없는

것으로 응답되었다(M=1.52, SD=0.45). 행동통제와 정서통제, 부주의 역시 남아와

외동아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문제행동으로 인식될 정도는 아

니었다.

<표 Ⅲ-2-43> 어머니가 인식한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

단위: 점(명)

구분 수

계획 및 조직화 행동 통제 정서 통제 부주의

평균표준편차

평균표준편차

평균표준편차

평균표준편차

전체 (1,399) 1.59 0.43 1.24 0.30 1.42 0.43 1.52 0.45

아동 성별

남 (712) 1.67 0.46 1.31 0.34 1.46 0.45 1.58 0.46

여 (687) 1.50 0.38 1.16 0.24 1.38 0.41 1.45 0.44

t 6.81*** 9.05*** 2.66** 5.81***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149) 1.71b 0.47 1.29b 0.33 1.41ab 0.42 1.64 0.46

첫째 (506) 1.60a 0.44 1.24a 0.31 1.47b 0.44 1.53 0.46

둘째 이상 (744) 1.55a 0.42 1.22a 0.29 1.39a 0.42 1.47 0.44

F 7.50*** 4.06* 8.00*** 12.02***

모 취업 여부

취업 (787) 1.58 0.43 1.23 0.30 1.41 0.43 1.53 0.46

미취업 (573) 1.60 0.44 1.24 0.31 1.44 0.42 1.49 0.45

t -0.57 0.07 -1.16 2.13*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285) 1.63 0.43 1.26 0.29 1.47 0.41 1.52 0.44

400~499만원 (243) 1.64 0.48 1.27 0.36 1.46 0.46 1.54 0.46

500~599만원 (296) 1.60 0.44 1.22 0.30 1.38 0.42 1.48 0.44

600만원 이상 (435) 1.56 0.41 1.21 0.30 1.40 0.45 1.51 0.46

F 2.50 1.67 1.38 0.39

주: 1) 어머니의 응답임.2) 3점 척도임(1. 전혀아니다∼3. 자주그렇다).

* p < .05, ** p < .01. *** p < .001.

Page 138: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120

2) 언어 관련

패널 아동에게 비속어 사용에 대해 질문한 결과, 전혀 사용하지 않음이 63.8%로

절반 이상이었으며, 가끔 사용함이 33.9%, 자주 사용함이 1.9%, 매일 사용이

0.4%이었다. 4점 점수로 환산하면 평균 1.39점(SD=0.55)으로 비속어 사용은 거

의 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비속어 사용은 성별, 출생순위, 모 취업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남아가 여아보다, 첫째 아동이 외동아와 둘째이상 보

다, 미취업모의 자녀가 취업모의 자녀보다 비속어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다

소 높았다.

<표 Ⅲ-2-44> 비속어 사용

단위: %, 점(명)

구분전혀 사용하지 않음

가끔 사용함

자주 사용함

매일 사용

계(수) 평균 표준편차

전체 63.8 33.9 1.9 0.4 100.0(1,427) 1.39 0.55아동 성별 남 57.4 39.6 2.5 0.5 100.0(727) 1.46 0.57 여 70.7 27.8 1.2 0.3 100.0(700) 1.31 0.51

χ2(df)/t 18.60(3)*** 4.17***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59.8 38.5 1.7 0.0 100.0(150) 1.42a 0.53 첫째 69.5 28.5 1.4 0.7 100.0(514) 1.33a 0.54 둘째 이상 60.4 37.0 2.3 0.3 100.0(763) 1.43a 0.56

χ2(df)/F 15.06(6)* 4.29*

모 취업 여부 취업 62.2 35.7 1.99 0.12 (804) 1.40 0.54 미취업 67.3 29.6 2.07 1.03 (581) 1.37 0.58

χ2(df)/t 10.66(3)** 1.05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58.4 38.3 2.5 0.8 100.0(290) 1.46b 0.59 400~499만원 63.2 34.8 2.0 0.0 100.0(253) 1.39a 0.53 500~599만원 66.7 31.3 1.0 1.1 100.0(297) 1.36ab 0.56 600만원 이상 66.2 32.1 1.7 0.0 100.0(447) 1.35ab 0.51

χ2(df)/F 20.45(15) 3.15*

주: 1) 아동의 응답임.2) 4점 척도임(1. 전혀 사용하지 않음∼4. 매일 사용함).

* p < .05, ** p < .01. *** p < .001.

아동이 다른 사람과 언어를 통해 상호작용하는데 있어서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

하기 위하여, 일상생활에서 아동이 어떻게 의사소통하는지 어머니를 통해서 측정

Page 139: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121

구분 수

총점 담화관리상황에 따른

조절의사소통 의도

비언어적의사소통

평균표준편차

평균표준편차

평균표준편차

평균표준편차

평균표준편차

전체 (1,399) 4.09 0.50 3.99 0.53 4.13 0.53 4.10 0.52 4.17 0.52

아동 성별

남 (712) 4.04 0.49 3.92 0.51 4.07 0.52 4.05 0.52 4.12 0.51

여 (687) 4.16 0.51 4.06 0.53 4.20 0.53 4.15 0.53 4.21 0.53

t -4.63*** -5.06*** -3.71*** -4.82*** -4.09***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149) 4.03a 0.61 3.90a 0.65 4.06 0.64 4.01a 0.64 4.15a 0.61

첫째 (506) 4.12b 0.50 4.00b 0.53 4.18 0.52 4.14b 0.52 4.17b 0.54

둘째 이상 (744) 4.09ab 0.47 3.99b 0.48 4.11 0.51 4.08ab 0.50 4.16ab 0.50

F 3.46* 3.77*** 0.89 5.80** 4.45*

모 취업 여부

취업 (787) 4.11 0.50 4.01 0.52 4.15 0.52 4.12 0.51 4.18 0.52

미취업 (573) 4.09 0.51 3.98 0.53 4.12 0.54 4.09 0.54 4.16 0.52

t   1.56 1.62 1.32 1.64 1.40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285) 3.99a 0.48 3.87a 0.48 4.01a 0.51 3.99a 0.52 4.07a 0.49

400~499만원 (243) 4.05ab 0.49 3.95ab 0.54 4.08a 0.52 4.04ab 0.51 4.13ab 0.48

하였다.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은 담화관리(대화의 주제를 개시, 유지, 전환, 종결하

는 기술과 상대방과의 대화 주고받기, 의사소통 단절시 복구하는 능력과 관련된 기

술), 상황에 따른 조절(의사소통 상황 맥락에서 언어 사용능력 및 상황에 따라 내용

을 조절하는 능력, 추론 능력과 관련된 기술), 의사소통 의도(의사소통 기능의 다양

성 및 상급 인지능력이 요구되는 기능), 비언어적 의사소통(구어 이외의 의사소통

형태(예: 제스처, 발성, 얼굴표정 등)로 의사소통하는 것과 의사소통 시 적절한 시

공간적 조절능력(예: 신체적 접촉, 거리, 기술) 4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된다.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을 분석한 결과, 총점은 4.09점(SD=0.50)으로 높게 나타

났다. 하위요인 별로는 담화관리 3.99점(SD=0.53), 상황에 따른 조절 4.13점

(SD=0.53), 의사소통 의도 4.10점(SD=0.52), 비언어적 의사소통 4.17점(SD=0.52)

이었다. 모든 하위영역에서 성별과 가구소득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모든 영역에서 남아보다 여아, 소득수준이 높아질수록 의사소통 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표 Ⅲ-2-45>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화용언어 능력, CPLC)

단위: 점(명)

Page 140: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122

구분 수

총점 담화관리상황에 따른

조절의사소통 의도

비언어적의사소통

평균표준편차

평균표준편차

평균표준편차

평균표준편차

평균표준편차

500~599만원 (296) 4.12bc 0.51 4.01bc 0.52 4.16ab 0.56 4.12bc 0.53 4.17bc 0.53

600만원 이상 (435) 4.19c 0.49 4.08c 0.51 4.23b 0.50 4.19c 0.51 4.25c 0.54

F 12.65*** 12.54*** 10.18*** 11.89*** 11.70***

주: 1) 어머니의 응답임.2) 5점 척도임(1. 전혀 그렇지 않다∼5. 항상 그렇다).

* p < .05, ** p < .01. *** p < .001.

3) 학습관련

아동이 재학 중인 초등학교 담임교사가 아동의 평상시 모습을 기준으로 평가한

학업 수행 능력은 상위권에 속한다는 응답이 80% 이상으로 높았다. 상위 20% 이

내에 속하는 아동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국어 관련 능력 중 읽기 53.6%, 말하기

52.0%, 쓰기 49.6%로 평가되었다. 수학 관련 능력 중 수 읽고 쓰기 67.5%, 덧셈

뺄셈 65.2%로 높았으며, 과학과 사회 모두 40% 이상으로 평가되었다. 중간 50%

내외에서는 영어 관련 능력 평가가 19.8%로 다른 과목에 비해 다소 높았다.

<표 Ⅲ-2-46> 아동의 학업수행 능력

단위: %(명)

구분하위 20%

이내하위

21~40%중간

50%내외상위

21~40%상위

20%이내계(수)

전반 1.6 5.7 11.6 30.4 50.7 100.0(709)

읽기 1.8 3.8 14.2 26.6 53.6 100.0(709)

말하기 0.7 4.0 16.1 27.2 52.0 100.0(709)

쓰기 1.8 6.4 15.2 27.1 49.6 100.0(709)

영어 1.8 5.4 19.8 28.2 44.8 100.0(709)

수읽고쓰기 0.4 1.7 9.9 20.4 67.5 100.0(709)

덧셈뺄셈 0.6 1.7 9.8 22.7 65.2 100.0(709)

나눗셈 1.2 4.7 11.3 25.3 57.5 100.0(709)

분수소수 2.0 5.2 11.3 26.1 55.4 100.0(709)

측정 1.3 3.6 12.6 26.6 55.9 100.0(709)

과학 0.8 5.3 12.4 30.4 51.0 100.0(709)

사회 0.7 5.9 12.5 32.0 48.8 100.0(709)

운동 0.7 5.3 17.7 30.8 45.5 100.0(709)

미술 0.7 7.6 20.5 30.1 41.1 100.0(709)

음악 0.4 6.2 22.6 31.6 39.2 100.0(709)

주: 담임교사의 응답임.

Page 141: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123

아동의 학업 수행 능력을 살펴보면, 국어 4.23점(SD=0.92), 영어 4.09점

(SD=1.01), 수학 4.39점(SD=0.83), 과학 4.25점(SD=0.93)로 나타났다. 수학 능

력이 상대적으로 평균이 약간 높았으며, 영어와 예체능 능력은 평균이 낮았으나 과

목별로 큰 차이는 없었다. 아동의 성별, 출생순위, 가구 소득에 따른 과목별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남아보다 여아가, 외동아나 둘째 이상보다 첫째아가,

소득이 높은 경우 아동의 학업 수행능력 평균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었다.

<표 Ⅲ-2-47> 아동의 학업수행 능력(평균)

단위: 점(명)

구분 수

국어 영어 수학 과학 사회 예체능

평균표준편차

평균표준편차

평균표준편차

평균표준편차

평균표준편차

평균표준편차

전체 (709) 4.23 0.92 4.09 1.01 4.39 0.83 4.25 0.93 4.22 0.93 4.07 0.77

아동 성별

남 (365) 4.01 1.01 3.89 1.07 4.30 0.90 4.15 0.99 4.06 1.01 3.82 0.78

여 (344) 4.47 0.73 4.30 0.88 4.49 0.74 4.37 0.84 4.40 0.80 4.35 0.66

t -6.54*** -5.32*** -2.51* -2.39* -4.35*** -10.12***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62) 4.13a 1.01 4.07a 0.99 4.30a 0.92 4.19ab 1.01 4.21a 1.03 4.08 0.86

첫째 (268) 4.38a 0.86 4.22a 0.97 4.52a 0.81 4.43b 0.85 4.35a 0.86 4.16 0.77

둘째 이상 (379) 4.12a 0.93 3.98a 1.03 4.31a 0.82 4.12a 0.94 4.13a 0.96 4.00 0.76

F 4.89** 3.03* 4.79** 7.32*** 3.28* 2.45

모 취업 여부

취업 (410) 4.14 0.93 3.99 1.03 4.33 0.87 4.16 0.96 4.13 0.98 4.02 0.80

미취업 (275) 4.37 0.84 4.25 0.92 4.51 0.75 4.41 0.82 4.37 0.84 4.15 0.73

t -1.73 -1.59 -1.24 -1.68 -1.69 -0.79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153) 4.23 0.97 4.01a 1.03 4.33a 0.88 4.22 0.99 4.21 0.99 4.08 0.85

400~499만원 (132) 4.10 0.92 3.99a 0.98 4.34a 0.79 4.16 0.95 4.18 0.93 4.03 0.74

500~599만원 (158) 4.34 0.84 4.23a 0.95 4.51a 0.77 4.31 0.87 4.26 0.88 4.06 0.78

600만원 이상 (207) 4.27 0.90 4.17a 1.02 4.42a 0.83 4.33 0.89 4.29 0.89 4.13 0.71

F 1.83 3.63* 2.63* 2.04 1.96 1.37

주: 1) 담임교사의 응답임.2) 5점 척도임(1. 하위 20% 이내∼5. 상위 20% 이내).

* p < .05, ** p < .01. *** p < .001.

아동의 학업 스트레스에 대해 질문한 결과, 전체 평균 2.04점(SD=0.86)으로 조

금 높게 나타났다(5점 만점). 하위영역별로는 숙제/시험에 대한 스트레스가 평균

Page 142: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124

2.19점(SD=1.06)으로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공부에 대한 스트레스는 평균 2.14점

(SD=1.06)이고, 학교성적 스트레스는 1.79점(SD=0.95)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공부 스트레스는 아동 성별, 가구소득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

데, 남아가 여아보다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공부 스트레스를 조금 더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Ⅲ-2-48> 학업스트레스

단위: 점(명)

구분 수

전체학교성적 스트레스

숙제/시험스트레스

공부스트레스

평균표준편차

평균표준편차

평균표준편차

평균표준편차

전체 (1,427) 2.04 0.86 1.79 0.95 2.19 1.06 2.14 1.06

아동 성별

남 (727) 2.07 0.89 1.82 1.03 2.21 1.08 2.18 1.10

여 (700) 2.01 0.83 1.77 0.85 2.16 1.03 2.10 1.03

t 0.10 1.18 0.98 2.01*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150) 2.07 0.89 1.78 0.86 2.18 1.15 2.06 1.10

첫째 (514) 2.02 0.86 1.75 0.96 2.17 1.04 2.13 1.05

둘째 이상 (763) 2.07 0.86 1.83 0.96 2.20 1.05 2.17 1.07

F 1.10 0.43 0.46 1.68

모 취업 여부

취업 (804) 2.03 0.88 1.79 0.96 2.15 1.05 2.14 1.08

미취업 (581) 2.05 0.84 1.79 0.94 2.21 1.06 2.15 1.05

t -0.17 -0.03 -0.32 -0.06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290) 2.12a 0.87 1.89a 0.98 2.22 1.03 2.24a 1.07

400~499만원 (253) 2.11a 0.87 1.88a 0.99 2.23 1.05 2.23a 1.11

500~599만원 (297) 1.99a 0.87 1.72a 0.93 2.16 1.07 2.10a 1.11

600만원 이상 (447) 1.98a 0.85 1.74a 0.93 2.13 1.03 2.07a 1.03

F 3.53* 3.94** 1.24 3.21*

주: 1) 아동의 응답임.2) 5점 척도임(1. 전혀 그렇지 않다∼5. 매우 그렇다).

* p < .05, ** p < .01.

Page 143: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125

바. 사회 및 정서 발달 특성

1) 자아 및 정서 발달

패널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알아보기 위해 아동에게 직접 그림카드를 보여주며,

그림 속의 아동과 패널 아동 사이에 인지적, 신체적 능력, 또래 수용, 어머니의 수

용에서 비슷한 정도를 질문하였다. 전체 패널 아동은 평균 3.48점(SD=0.46)의 비

교적 높은 수준의 자아존중감을 나타냈다. 자아존중감은 아동성별, 출생순위 등 세

부항목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또한 하루에 대해 생각할 때 전반적으로 행복한지에 대하여 질문한 결과 평균

3.30점(SD=0.47)으로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전반적 행복감의 경우에도 세부항목

별로 통계적 유의미성은 없었다.

<표 Ⅲ-2-49>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전반적 행복감

단위: 점(명)

구분 수자아존중감 전반적 행복감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전체 (1,427) 3.48 0.46 3.30 0.47

아동 성별

남 (727) 3.49 0.47 3.28 0.48

여 (700) 3.48 0.46 3.32 0.45

t 1.04 -0.91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150) 3.51 0.44 3.32 0.49

첫째 (514) 3.50 0.47 3.31 0.48

둘째 이상 (763) 3.46 0.46 3.29 0.45

F 1.65 1.64

모 취업 여부

취업 (804) 3.47 0.47 3.29 0.46

미취업 (581) 3.51 0.44 3.32 0.47

t -1.47 -1.37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290) 3.46 0.44 3.29 0.44

400~499만원 (253) 3.50 0.46 3.30 0.48

500~599만원 (297) 3.50 0.47 3.32 0.46

600만원 이상 (447) 3.50 0.47 3.30 0.48

F 1.35 0.76

주: 1) 아동의 응답임.2) 4점 척도임(1. 전혀 그렇지 않다∼4. 매우 그렇다).

Page 144: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126

아동이 어른이 되면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 미래 기대에 대해 질문한 결과,

행복한 가정을 이룬 사람이 되고 싶다는 바람이 31.0%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

은 다른 사람을 돕는 사람이 19.7%, 유명한 사람(17.3%)과 돈을 잘 버는 사람이

(15.7%) 비슷한 수준이었다. 모 취업여부에 따른 통계적 차이는 유의미하였는데,

미취업 가정 아동은 행복한 가정을 이룬 사람이 되고 싶다는 응답이 취업모 가정

아동보다 다소 높았으며, 돈을 잘 버는 사람이 되고 싶다는 응답은 취업모 아동이

미취업모 아동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표 Ⅲ-2-50> 아동의 미래기대

단위: %(명)

구분돈을 잘

버는 사람유명한사람

사회에서높은

지위를 갖는 사람

다른 사람을

돕는 사람

행복한 가정을

이룬 사람

일보다취미/여가를

즐기는 사람

계(수)

전체 15.7 17.3 3.1 19.7 31.0 13.2 100.0(1,427)

아동 성별

남 20.2 20.1 3.3 19.3 24.7 12.3 100.0(727)

여 10.9 14.2 2.8 20.2 37.7 14.2 100.0(700)

χ2(df)/t 45.02(5)***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13.3 22.1 3.2 21.0 30.8 9.6 100.0(150)

첫째 13.2 16.5 3.3 19.8 32.9 14.2 100.0(514)

둘째 이상 18.2 16.0 2.2 20.3 30.4 12.8 100.0(763)

χ2(df)/F 10.86(10)

모 취업 여부

취업 17.9 18.3 3.3 17.3 28.9 14.3 100.0(804)

미취업 12.9 15.6 2.9 23.0 33.7 12.0 100.0(581)

χ2(df)/t 12.71(5)*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11.3 16.0 2.3 25.7 34.4 10.3 100.0(290)

400~499만원 18.9 15.5 2.5 17.3 30.9 14.9 100.0(253)

500~599만원 16.0 16.1 2.8 18.4 32.6 14.1 100.0(297)

600만원 이상 15.4 19.5 3.9 16.1 30.7 14.5 100.0(447)

χ2(df)/F 20.45(15)

주: 아동의 응답임.* p < .05, *** p < .001.

Page 145: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127

아동의 끈기를 측정하기 위하여 GRIT 척도를 이용하였으며, GRIT은 총 8개 문

항의 1~5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점수가 높을수록 아동이 지닌 끈기가 높다고

볼 수 있다. 패널 아동의 GRIT 점수 평균은 3.41점(SD=0.54)으로 보통 이상이었

다. 모 취업여부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는데, 미취업 모 아동의

GRIT 점수가 취업모 아동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표 Ⅲ-2-51> GRIT(끈기)

단위: 점(명)

구분 수 평균 표준편차

전체 (1,427) 3.41 0.54

아동 성별

남 (727) 3.40 0.55

여 (700) 3.41 0.53

t -0.88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150) 3.43 0.53

첫째 (514) 3.42 0.54

둘째 이상 (763) 3.39 0.54

F 1.85

모 취업 여부

취업 (804) 3.38 0.55

미취업 (581) 3.45 0.52

t -2.77*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290) 3.36 0.49

400~499만원 (253) 3.37 0.51

500~599만원 (297) 3.42 0.58

600만원 이상 (447) 3.46 0.56

F 2.60

주: 1) 아동의 응답임.2) 5점 척도임(1. 전혀 그렇지 않다∼5. 매우 그렇다).

* p < .05.

아동의 학교생활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주요 과목(국어, 수학), 교사,

학교에 대한 느낌을 평가하게 했다. 국어와 수학에 대해 선호도를 물어본 결과 국

어 2.69점(SD=0.93), 수학 2.74점(SD=1.06)으로 수학에 대한 선호도가 약간 더

높게 나타났다. 주요 과목에 대한 선호도는 아동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Page 146: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128

차이를 보였는데, 국어는 여아가 남아보다, 수학은 남아가 여아보다 선호도가 다소

높게 나타났다.

아동의 교사에 대한 선호도는 평균 3.23점(SD=0.84)의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아동의 성별에 따라 교사의 선호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여아

가 남아보다 교사에 대한 호감도가 약간 높게 나타났다. 학교에 대한 선호도는 평

균 2.94점(SD=0.86)의 선호도를 나타냈다.

<표 Ⅲ-2-52> 아동의 학교생활 선호도

단위: 점(명)

구분 수

국어 수학 교사 학교

평균표준편차

평균표준편차

평균표준편차

평균표준편차

전체 (1,426) 2.69 0.93 2.74 1.06 3.23 0.84 2.94 0.86

아동 성별

남 (726) 2.52 0.92 2.91 1.06 3.09 0.86 2.92 0.88

여 (700) 2.87 0.91 2.56 1.03 3.38 0.79 2.98 0.83

t -6.91*** 5.93*** -6.84*** -1.39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150) 2.83 0.95 2.76 1.04 3.19 0.77 3.06 0.87

첫째 (514) 2.64 0.95 2.72 1.07 3.22 0.87 2.94 0.88

둘째 이상 (762) 2.70 0.90 2.74 1.05 3.25 0.83 2.92 0.84

F 1.01 0.23 1.09 1.17

모 취업 여부

취업 (804) 2.67 0.94 2.74 1.07 3.20 0.83 2.90 0.84

미취업 (580) 2.73 0.91 2.74 1.04 3.27 0.86 3.01 0.89

t -0.40 0.08 -0.06 -1.73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289) 2.67 0.92 2.70 1.04 3.26 0.86 2.96 0.86

400~499만원 (253) 2.63 0.93 2.57 1.08 3.20 0.86 2.93 0.88

500~599만원 (297) 2.69 0.96 2.75 1.06 3.25 0.82 2.93 0.81

600만원 이상 (447) 2.74 0.92 2.76 1.05 3.24 0.83 2.98 0.86

F 1.88 2.51 0.14 0.84

주: 1) 아동의 응답임.2) 4점 척도임(1. 좋아하지 않는다∼4. 매우 좋아한다).

*** p < .001.

아동에게 학교생활을 얼마나 성실하게 하는지 질문한 결과 대부분 열심히 한다

고 응답한 경우가 59.2%로 절반 이상이었다. 그 다음은 항상 열심히 한다고 응답

Page 147: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129

한 아동이 28.6%로 나타났다. 학교생활 성실도는 평균 3.15점(SD=0.64)으로 아

동 스스로 학교생활을 성실히 수행하고 있다고 평가하였다.

아동의 학교생활 성실성은 아동의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여아가

남아보다 학교생활을 성실하게 한다는 응답이 약간 높게 나타났다.

<표 Ⅲ-2-53> 아동의 학교생활 성실성

단위: %(명), 점

구분열심히

한 적 없음가끔

열심히 함대부분

열심히 함항상

열심히 함계(수) 평균 표준편차

전체 0.9 11.3 59.2 28.6 100.0(1,426) 3.15 0.64

아동 성별

남 1.4 12.7 60.1 25.8 100.0(726) 3.10 0.66

여 0.4 9.7 58.3 31.6 100.0(700) 3.21 0.62

χ2(df)/t 10.95(3)* -3.28***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0.5 11.2 63.7 24.6 100.0(150) 3.12 0.60

첫째 1.3 11.2 58.2 29.3 100.0(514) 3.15 0.66

둘째 이상 0.8 11.3 59.0 28.9 100.0(762) 3.16 0.64

χ2(df)/F 2.71(6) 0.55

모 취업 여부

취업 0.7 11.4 61.1 26.8 100.0(804) 3.14 0.62

미취업 1.2 10.5 56.9 31.4 100.0(580) 3.18 0.66

χ2(df)/t 3.82(3) -1.09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0.6 14.4 59.2 25.8 100.0(289) 3.10a 0.64

400~499만원 1.9 12.6 63.8 21.8 100.0(253) 3.05a 0.64

500~599만원 1.0 11.6 53.4 34.0 100.0(297) 3.20ab 0.67

600만원 이상 0.7 9.8 57.6 31.9 100.0(447) 3.21b 0.63

χ2(df)/F 15.25(9) 5.40***

주: 1) 아동의 응답임.2) 4점 척도임(1. 열심히 한적 없음∼4. 항상 열심히 함).

* p < .05, *** p < .001.

학교에서 아동이 기분이 안 좋을 때가 있는지 질문한 결과, 가끔 기분이 좋지

않다는 응답이 78.0%로 상당히 높은 편이었다. 기분이 안 좋은 적이 없는 경우는

12.2%, 대부분 기분이 안 좋은 경우는 8.2% 로 나타났다. 가구소득별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하였으나, 가구소득이 400만원 이상 499만원 이하인 가정에서 평균

이 1.94점(SD=0.47)으로 다른 가구소득에 비해 다소 낮게 나타났다.

Page 148: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130

<표 Ⅲ-2-54> 아동의 학교에서 기분

단위: %(명), 점

구분기분 안좋은 적

없음

가끔 기분이안 좋음

대부분 기분이안 좋음

항상 기분이안 좋음

계(수) 평균 표준편차

전체 12.2 78.0 8.2 1.5 100.0(1,426) 1.99 0.52

아동 성별

남 12.7 77.0 8.7 1.4 100.0(726) 1.99 0.52

여 11.7 78.9 7.7 1.7 100.0(700) 1.99 0.51

χ2(df)/t 1.04(3) -1.34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12.3 79.0 8.7 0.0 100.0(150) 1.96 0.46

첫째 11.0 80.0 7.8 1.3 100.0(514) 1.99 0.49

둘째 이상 13.1 76.3 8.5 2.1 100.0(762) 1.99 0.55

χ2(df)/F 4.80(6) 0.54

모 취업 여부

취업 12.9 75.8 9.8 1.5 100.0(804) 2.00 0.54

미취업 11.4 80.8 6.3 1.5 100.0(580) 1.98 0.49

χ2(df)/t 4.26(3) 0.59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9.8 81.9 5.8 2.5 100.0(289) 2.01 0.50

400~499만원 12.8 81.4 4.6 1.2 100.0(253) 1.94 0.47

500~599만원 12.5 76.7 8.3 2.5 100.0(297) 2.01 0.56

600만원 이상 13.2 74.4 11.4 1.0 100.0(447) 2.00 0.53

χ2(df)/F 20.77(9)* 0.82

주: 1) 아동의 응답임.2) 4점 척도임(1. 가끔 안좋은 적 없음∼4. 항상 기분이 안좋음).

* p < .05.

학교생활 중 선생님과의 마찰 경험에 대해 질문한 결과 가끔 혼난다는 응답이

62.8%로 절반 이상이었다. 혼난 적이 없다는 응답도 34.1% 이었으며, 자주

(2.9%), 항상(0.2%) 혼나는 경우는 낮은 응답 비율을 보였다. 아동 성별에 따라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혼난 적이 없는 경우는 여아가 남아보다 높았

으며, 가끔 혼나거나 자주 혼나는 경우는 남아가 여아보다 높게 나타나 차이가 있

었다.

Page 149: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131

<표 Ⅲ-2-55> 아동의 교사와의 마찰

단위: %(명), 점

구분 혼난적없음 가끔 혼남 자주혼남 항상혼남 계(수) 평균 표준편차

전체 34.1 62.8 2.9 0.2 100.0(1,426) 1.69 0.53

아동 성별

남 21.1 73.7 4.9 0.4 100.0(726) 1.85 0.50

여 48.0 51.3 0.7 0.0 100.0(700) 1.53 0.51

χ2(df)/t 132.89(3)*** 12.07***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31.3 67.7 0.9 0.0 100.0(150) 1.70 0.48

첫째 36.3 60.9 2.6 0.1 100.0(514) 1.67 0.53

둘째 이상 33.1 63.2 3.5 0.3 100.0(762) 1.71 0.54

χ2(df)/F 8.30(6) 2.08

모 취업 여부

취업 33.1 63.4 3.3 0.3 100.0(804) 1.71 0.54

미취업 35.6 61.9 2.4 0.1 100.0(580) 1.67 0.52

χ2(df)/t 2.58(3) 1.56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34.0 62.0 3.8 0.2 100.0(289) 1.70 0.55

400~499만원 29.2 69.1 1.6 0.0 100.0(253) 1.72 0.48

500~599만원 34.6 61.7 3.2 0.5 100.0(297) 1.69 0.55

600만원 이상 37.0 60.4 2.5 0.2 100.0(447) 1.66 0.53

χ2(df)/F 5.93(9) 0.39

주: 1) 아동의 응답임.2) 4점 척도임(1. 혼난적없음∼4. 항상 혼남).

*** p < .001.

아동의 학교생활 중 피곤함에 대한 경험을 조사한 결과, 가끔 피로하다는 응답이

65.5%로 절반 이상이었다. 피곤한 적이 없다는 응답도 20.1% 이었으며, 자주 피

곤한 경우도 11.8%였다. 아동의 학교생활 피로도는 아동 성별, 아동 출생순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남아보다는 여아가 피로도를 경험한 비

율이 다소 높았으며, 둘째이상인 경우에 자주 피곤하거나 항상 피곤하다는 응답이

약간 높게 나타났다.

Page 150: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132

<표 Ⅲ-2-56> 아동의 학교생활 피로도

단위: %(명), 점

구분피곤한 적

없음가끔

피곤함자주

피곤함항상

피곤함계(수) 평균 표준편차

전체 20.1 65.5 11.8 2.6 100.0(1,426) 1.97 0.65

아동 성별

남 23.6 61.9 11.7 2.8 100.0(726) 1.94 0.68

여 16.4 69.5 11.8 2.3 100.0(700) 2.00 0.61

χ2(df)/t 13.40(3)** -1.39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14.9 77.2 6.6 1.3 100.0(150) 1.94 0.51

첫째 20.1 65.6 12.4 1.8 100.0(514) 1.96 0.63

둘째 이상 21.3 62.9 12.4 3.4 100.0(762) 1.98 0.69

χ2(df)/F 13.23(6)* 2.38

모 취업 여부

취업 19.6 64.4 13.3 2.7 100.0(804) 1.99 0.66

미취업 21.6 66.7 9.2 2.5 100.0(580) 1.93 0.64

χ2(df)/t 5.20(3) 1.27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18.0 66.8 12.0 3.2 100.0(289) 2.00 0.65

400~499만원 18.0 72.6 7.3 2.1 100.0(253) 1.93 0.58

500~599만원 24.2 59.2 14.4 2.1 100.0(297) 1.94 0.69

600만원 이상 21.2 61.5 13.9 3.3 100.0(447) 1.99 0.70

χ2(df)/F 6.51(9) 0.97

주: 1) 아동의 응답임.2) 4점 척도임(1. 피곤한 적 없음∼4. 항상 피곤함).

* p < .05, ** p < .01.

아동의 시간 사용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아동에게 일상생활에서 가족과의

시간이 충분한지에 대해 질문하였다. ‘부족함(1점)’, ‘적절함(2점)’, ‘많음(3점)’의 3

점 척도로 응답하도록 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해당 시간이 충분하고 만족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먼저, 가족과의 시간을 살펴보면, 가족과 대화시간은 평균 2.30점(SD=0.60), 식

사시간 2.42점(SD=0.59), 여가활동 시간 2.09점(SD=0.69)으로 비교적 충분한 것

으로 응답되었다. 가족과의 대화 시간은 어머니의 취업 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

가 나타났으며, 취업모 보다 미취업모의 자녀의 만족도가 약간 높게 나타났다.

Page 151: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133

<표 Ⅲ-2-57> 아동의 시간사용 만족도: 가족과의 시간

단위: 점(명)

구분 수가족과 대화시간 가족과의 식사 시간 가족과의 여가 활동 시간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전체 (1,427) 2.30 0.60 2.42 0.59 2.09 0.69

아동 성별

남 (727) 2.27 0.61 2.43 0.58 2.05 0.72

여 (700) 2.33 0.59 2.40 0.61 2.13 0.67

t -1.59 0.03 -2.08*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150) 2.28 0.64 2.38 0.60 2.13 0.67

첫째 (514) 2.32 0.62 2.44 0.61 2.13 0.70

둘째 이상 (763) 2.29 0.57 2.40 0.58 2.05 0.69

F 0.41 1.63 2.78

모 취업 여부

취업 (804) 2.27 0.60 2.39 0.60 2.06 0.70

미취업 (581) 2.35 0.59 2.46 0.58 2.12 0.69

t -3.08** -2.16 -1.67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290) 2.26 0.61 2.40 0.60 1.97 0.68

400~499만원 (253) 2.31 0.60 2.45 0.59 2.10 0.72

500~599만원 (297) 2.36 0.59 2.44 0.60 2.16 0.70

600만원 이상 (447) 2.30 0.60 2.38 0.58 2.12 0.68

F 0.90 0.58 2.02

주: 1) 아동의 응답임.2) 3점 척도임(1. 부족함∼3. 많음).

* p < .05, ** p < .01.

아동이 친구, 휴식, 여가활동 시간이 충분한지에 대해 질문한 결과, 친구들과 보

내는 시간은 2.42점(SD=0.67), 휴식 시간 2.48점(SD=0.58), 여가활동(취미, 운

동 등) 시간 2.40점(SD=0.62)으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시간사용에 대해서는 충분

하다고 응답하였다. 친구들과 보내는 시간이 충분한지에 대해서는 아동의 출생순

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는데, 둘째 이상 아동이 외동아, 첫째아보다 충분

하다는 응답이 약간 높게 나타났다.

Page 152: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134

구분 수숙제하는 시간 집에서 가족을 도와주는 시간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전체 (1,427) 2.36 0.58 2.18 0.63

아동 성별

남 (727) 2.36 0.58 2.16 0.64

여 (700) 2.37 0.57 2.21 0.61

<표 Ⅲ-2-58> 아동의 시간사용 만족도: 친구, 휴식, 여가활동 시간

단위: 점(명)

구분 수친구들과 보내는 시간 휴식 시간 여가 활동(취미, 운동 등) 시간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전체 (1,427) 2.42 0.67 2.48 0.58 2.40 0.62

아동 성별

남 (727) 2.41 0.68 2.49 0.60 2.41 0.64

여 (700) 2.44 0.65 2.47 0.56 2.39 0.60

t 0.64 0.83 0.54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150) 2.46 0.66 2.51 0.58 2.44 0.61

첫째 (514) 2.34 0.69 2.46 0.58 2.38 0.63

둘째 이상 (763) 2.48 0.64 2.49 0.57 2.41 0.62

F 3.82* 0.85 0.35

모 취업 여부

취업 (804) 2.44 0.66 2.47 0.57 2.38 0.57

미취업 (581) 2.42 0.68 2.49 0.59 2.50 0.58

t 1.57 -0.29 -1.07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290) 2.39 0.65 2.48 0.59 2.38 0.64

400~499만원 (253) 2.45 0.69 2.52 0.58 2.39 0.62

500~599만원 (297) 2.44 0.67 2.51 0.57 2.42 0.61

600만원 이상 (447) 2.43 0.66 2.45 0.55 2.43 0.60

F 0.73 0.71 0.83

주: 1) 아동의 응답임.2) 3점 척도임(1. 부족함∼3. 많음).

* p < .05.

다음으로, 아동에게 숙제와 가족을 돕는 시간에 대하여 충분한지 질문한 결과,

숙제하는 시간은 2.36점(SD=0.58), 집에서 가족을 돕는 시간 2.18점(SD=0.63)으

로 대체적으로 만족도는 높은 편이었다.

<표 Ⅲ-2-59> 아동의 시간사용 만족도: 숙제, 가족을 도와주는 시간

단위: 점(명)

Page 153: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135

구분 수숙제하는 시간 집에서 가족을 도와주는 시간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t -0.55 -2.51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150) 2.43 0.60 2.28 0.69

첫째 (514) 2.34 0.57 2.18 0.62

둘째 이상 (763) 2.36 0.57 2.16 0.61

F 0.30 0.52

모 취업 여부

취업 (804) 2.36 0.59 2.17 0.63

미취업 (581) 2.38 0.56 2.20 0.62

t -0.90 -0.85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290) 2.37 0.58 2.21 0.62

400~499만원 (253) 2.35 0.56 2.17 0.62

500~599만원 (297) 2.37 0.58 2.18 0.69

600만원 이상 (447) 2.37 0.58 2.17 0.59

F 0.76 0.66

구분 거의 안함 주1~2회 주3~5회 주6~7회 주8회 이상 계(수)

전체 0.4 6.5 15.6 18.9 58.7 100.0(1,434)

아동 성별

남 0.3 6.3 15.0 17.9 60.5 100.0(730)

여 0.5 6.6 16.1 19.9 56.9 100.0(704)

χ2(df) 2.25(4)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1.2 12.1 21.2 19.5 46.1 100.0(150)

첫째 0.4 5.2 13.1 18.7 62.6 100.0(518)

둘째 이상 0.2 6.2 16.2 18.9 58.5 100.0(766)

χ2(df) 18.33(8)**

주: 1) 아동의 응답임.2) 3점 척도임(1. 부족함∼3. 많음).

보호자에게 일주일 평균 가족과 몇 번 식사를 하는지 질문한 결과, 주 8회 이상

이 58.7%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은 주 6~7회가 18.9%, 주 3~5회는 15.6%, 주

1~2회는 6.5%이었다. 아동 출생순위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는데, 외동

아가 첫째, 둘째 이상 아동보다 가족과의 식사 횟수가 대체적으로 적은 편이었다.

<표 Ⅲ-2-60> 가족과의 식사 횟수(일주일 평균)

단위: %(명)

Page 154: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136

구분 거의 안함 주1~2회 주3~5회 주6~7회 주8회 이상 계(수)

모 취업 여부

취업 0.2 6.1 17.9 19.2 56.6 100.0(807)

미취업 0.5 7.0 12.7 18.8 61.0 100.0(584)

χ2(df) 5.60(4)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0.6 8.8 13.5 18.4 58.7 100.0(290)

400~499만원 0.8 3.3 16.5 21.0 58.3 100.0(254)

500~599만원 0.0 6.7 16.0 20.9 56.5 100.0(301)

600만원 이상 0.3 5.1 16.9 15.2 62.5 100.0(448)

χ2(df) 10.84(12)

주: 보호자의 응답임.** p < .01.

2) 사회성 발달

아동의 사회성 발달을 측정하기 위하여, 담임교사에게 3점 척도로 구성된 강점/

난점 척도를 평정하도록 하였다. 강점/난점의 하위 항목별로 살펴보면, 먼저 타인

의 감정을 배려하고 돕는 것을 의미하는 친사회적 행동은 전체 평균 2.50점

(SD=0.46)으로 나타났다. 여아의 경우 평균 2.63점(SD=0.40)으로 2.38점(SD=0.48)

인 남아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총체적 어려움에서도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여 여아(평균 1.73점)

보다는 남아(평균 1.83점)가 총체적 어려움의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총체

적 어려움의 하위요인인 외현화 난점에서도 동일하게 남아(평균 2.00점)가 여아(평

균 1.81점)보다 유의하게 점수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므로 강점/난점 검

사에서는 내재화 난점을 제외하고는 모두 남녀 간 성차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아동출생순위나 모취업 여부, 가구소득 등의 변인에서는 차이를 보이고 있

지 않았다.

Page 155: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137

<표 Ⅲ-2-61> 아동의 강점/난점

단위: 점(명)

구분 (수)

친사회적행동 총체적 어려움총체적 어려움

내재화 난점 외현화 난점

평균표준편차

평균표준편

차평균

표준편차

평균표준편차

전체 (709) 2.50 0.46 1.78 0.24 1.65 0.24 1.91 0.32

아동 성별

남 (365) 2.38 0.48 1.83 0.27 1.66 0.25 2.00 0.37

여 (344) 2.63 0.40 1.73 0.19 1.64 0.23 1.81 0.23

t -7.86*** 5.67*** 0.62 8.17***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62) 2.43 0.50 1.82 0.24 1.68 0.23 1.95 0.31

첫째 (268) 2.52 0.47 1.77 0.25 1.65 0.25 1.90 0.33

둘째 이상 (379) 2.49 0.45 1.78 0.23 1.64 0.24 1.91 0.32

F 0.47 0.63 0.79 0.71

모 취업 여부

취업 (410) 2.46 0.48 1.80 0.26 1.67 0.25 1.94 0.35

미취업 (275) 2.56 0.44 1.74 0.21 1.62 0.23 1.86 0.27

t -2.35 2.48 1.66 2.46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153) 2.52 0.46 1.79 0.24 1.65 0.24 1.93 0.32

400~499만원 (126) 2.45 0.51 1.80 0.26 1.65 0.23 1.94 0.36

500~599만원 (177) 2.54 0.47 1.75 0.24 1.64 0.24 1.86 0.31

600만원 이상 (238) 2.50 0.41 1.77 0.22 1.65 0.23 1.90 0.31

F 0.47 0.71 0.73 1.06

주: 1) 담임교사의 응답임.2) 3점 척도임(1.전혀 그렇지 않다~3.매우 그렇다).

*** p < .001.

아동의 내재화 난점과 외현화 난점을 다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내재화 난점은

정서증상과 또래문제, 외현화 난점은 행동문제, 과잉행동/부주의 하위 요소로 측정

되고 있다. 내재화 난점에서는 전체 평균이 정서증상 1.22점(SD=0.29), 또래문제

2.09점(SD=0.29)으로 나타났고 아동의 성별이나 출생순위, 가구소득 등 비교 변

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외현화 난점에서는 행동문제와 과잉

행동/부주의 항목에서 남아가 여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내

어 이 요소들에 대해서는 성별에 따른 차이를 주의 깊게 보아야 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그 외 비교 변인에 대해서는 집단별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Page 156: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138

<표 Ⅲ-2-62> 아동의 강점/난점(내재화난점, 외현화난점)

단위: 점(명)

구분 (수)

내재화 난점 외현화 난점

정서증상 또래문제 행동문제 과잉행동/부주의

평균표준편차

평균표준편차

평균표준편

차평균

표준편차

전체 (709) 1.22 0.29 2.09 0.29 1.65 0.26 2.17 0.46

아동 성별

남 (365) 1.23 0.31 2.09 0.29 1.70 0.30 2.29 0.51

여 (344) 1.21 0.27 2.08 0.28 1.59 0.20 2.03 0.34

t 0.46 0.60 5.61*** 8.22***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62) 1.21 0.28 2.14 0.30 1.67 0.28 2.23 0.44

첫째 (268) 1.22 0.30 2.09 0.29 1.65 0.28 2.14 0.46

둘째 이상 (379) 1.21 0.28 2.08 0.28 1.64 0.25 2.18 0.46

F 0.79 1.61 0.91 0.93

모 취업 여부

취업 (410) 1.24 0.30 2.10 0.29 1.66 0.28 2.21 0.48

미취업 (275) 1.19 0.27 2.06 0.28 1.62 0.23 2.10 0.41

t 1.40 1.42 2.37 2.07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153) 1.22 0.30 2.08 0.29 1.67 0.26 2.18 0.47

400~499만원 (132) 1.19 0.26 2.10 0.28 1.67 0.30 2.22 0.47

500~599만원 (158) 1.21 0.30 2.06 0.29 1.62 0.26 2.10 0.45

600만원 이상 (207) 1.22 0.28 2.07 0.28 1.63 0.24 2.17 0.45

F 0.29 0.80 1.06 1.06

주: 1) 담임교사의 응답임.2) 3점 척도임(1.전혀 그렇지 않다~3.매우 그렇다).

*** p < .001.

다른 학생(친구)에게 뺨, 얼굴, 머리 등을 주먹이나 발로 맞은 적이 있는지 묻는

질문에 대해 전체 응답 아동의 84.8%가 ‘없다’라는 응답한 반면, 15.2%의 아동는

이러한 학교 폭력의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 중 월 1회 이상 폭력 피해

빈도에 해당하는 비율이 2.7%였고 나머지 9.1%는 연간 1, 2회 이하로 나타났으나

1주일에 1회 이상 상당히 잦은 폭력 피해 비율이 2.5%인 것으로 응답되어 초등학

교 4학년 아동들이 접하는 학교폭력 발생 비율을 짐작케 한다. 특히 성별에 따라서

보면, 여아는 전체의 8.8%가 폭력 피해의 경험이 있고 2.3%가 월 1회 이상 주기적

인 폭력에 노출되고 있었으나 남아의 경우는 21.2%가 폭력 피해 경험이 있다고

Page 157: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139

응답하였고 9.6%는 월 1회 이상 피해를 입었다고 보고하여 이 또한 성차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남아의 경우는 학교 폭력 피해 경험이 상당히 높은 것을 짐작할 수

있다.

<표 Ⅲ-2-63> 집단 괴롭힘 피해 경험(뺨, 얼굴, 머리 등을 맞은 경험)

단위: %(명)

구분일주일에 여러번

주1~2회 월 2~3회 월 1회연

1~2회없다 계(수)

전체 1.0 1.5 0.9 2.7 9.1 84.8 100.0(1,427)

아동 성별

남 1.2 2.7 1.6 4.1 11.5 78.8 100.0(727)

여 0.7 0.2 0.3 1.1 6.6 91.2 100.0(700)

χ2(df) 59.23(5)***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0.5 0.4 1.2 3.4 16.3 78.2 100.0(150)

첫째 1.5 1.3 0.8 2.3 9.1 85.0 100.0(514)

둘째 이상 0.7 1.8 1.0 2.8 7.6 86.1 100.0(763)

χ2(df) 17.38(0)

모 취업 여부

취업 1.0 1.8 1.1 2.7 7.8 85.6 100.0(804)

미취업 1.1 1.1 0.8 2.4 10.4 84.3 100.0(581)

χ2(df) 5.33(5)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0.9 1.3 0.9 2.5 11.7 82.7 100.0(290)

400~499만원 0.9 2.7 0.5 2.4 7.4 86.2 100.0(253)

500~599만원 1.3 0.6 1.8 2.2 9.9 84.2 100.0(297)

600만원 이상 0.8 1.7 0.8 3.2 7.0 86.5 100.0(447)

χ2(df) 9.29(15)

주: 아동의 응답임.*** p < .001.

집단 따돌림이나 왕따를 당한 경험이 있는지를 확인한 결과, 있다고 응답하는

비율은 전체 8.3%였고 월 1회 이상 빈도가 높은 비율은 3.1%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돌림 피해 경험은 남아 9.6%, 여아는 6.9%로 조사되어 남아의 따돌림 피해 경험

이 조금 높은 것으로 보이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으며, 어머니의 취업

여부, 가구소득 정도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Page 158: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140

<표 Ⅲ-2-64> 집단 괴롭힘 피해 경험(따돌림 경험)

단위: %(명)

구분일주일에 여러번

주1~2회 월 2~3회 월 1회연

1~2회없다 계(수)

전체 0.9 0.8 0.5 0.9 5.2 91.7 100.0(1,427)

아동 성별

남 0.9 1.2 0.7 1.0 5.7 90.4 100.0(727)

여 0.8 0.4 0.2 0.8 4.6 93.1 100.0(700)

χ2(df) 6.07(5)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0.0 0.0 0.0 1.5 8.5 90.1 100.0(150)

첫째 1.0 1.7 1.1 0.5 4.4 91.2 100.0(514)

둘째 이상 1.0 0.3 0.1 1.1 5.0 92.4 100.0(763)

χ2(df) 20.48(10)

모 취업 여부

취업 0.7 1.1 0.7 1.0 4.0 92.4 100.0(804)

미취업 0.9 0.6 0.3 0.8 5.8 91.7 100.0(581)

χ2(df) 2.56(5)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1.1 0.9 0.4 1.7 6.2 89.7 100.0(290)

400~499만원 0.9 1.3 0.0 1.7 5.9 90.2 100.0(253)

500~599만원 1.6 0.4 0.7 0.4 3.7 93.2 100.0(297)

600만원 이상 0.6 0.5 0.7 0.5 5.0 92.8 100.0(447)

χ2(df) 19.86(15)

주: 아동의 응답임.

다른 학생으로부터 험담이나 심한 욕설 등 폭언을 듣는 피해를 당한 경우는 전

체의 19.7%가 그런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여 상당히 높은 비율을 보였고 남아가

여아보다 7.2%p 더 많이 폭언 피해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아의 경우

23.2%가 폭언 피해 경험을 보고한 가운데 그 중 10.0%는 연 1~2회로 낮은 빈도

였으나 나머지 13.2%는 월 1회 이상의 잦은 빈도로 언어 폭력 환경에 처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성별 외에 출생순위나 어머니의 취업 여부, 가구소득 등은 차이를

폭력 피해 경험에서 차이를 보이는 변수로 작용하지 않았다.

Page 159: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141

구분일주일에 여러번

주1~2회 월 2~3회 월 1회 연 1~2회 없다 계(수)

전체 0.8 0.2 0.1 0.6 1.4 96.9 100.0(1,427)

아동 성별

남 0.9 0.2 0.1 1.1 2.4 95.2 100.0(727)

여 0.6 0.2 0.1 0.2 0.3 98.7 100.0(700)

<표 Ⅲ-2-65> 집단 괴롭힘 피해 경험(험담, 심한 욕설 등 폭언을 들은 경험)

단위: %(명)

구분일주일에 여러번

주1~2회 월 2~3회 월 1회 연 1~2회 없다 계(수)

전체 1.7 1.7 2.6 3.4 10.2 80.3 100.0(1,427)

아동 성별

남 2.7 2.5 3.6 4.4 10.0 76.8 100.0(727)

여 0.7 0.8 1.7 2.4 10.4 84.0 100.0(700)

χ2(df) 30.37(5)***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1.0 0.5 1.0 2.9 13.8 80.7 100.0(150)

첫째 2.1 2.2 2.2 3.7 8.7 81.1 100.0(514)

둘째 이상 1.6 1.5 3.3 3.3 10.6 79.6 100.0(763)

χ2(df) 5.11(1)

모 취업 여부

취업 1.7 1.8 2.6 4.1 9.3 80.6 100.0(804)

미취업 1.8 1.5 2.6 2.7 11.1 80.3 100.0(581)

χ2(df) 7.17(5)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0.9 1.0 3.5 5.7 11.8 77.1 100.0(290)

400~499만원 2.3 1.9 2.6 2.2 12.5 78.5 100.0(253)

500~599만원 2.7 1.0 2.7 3.7 9.2 80.5 100.0(297)

600만원 이상 1.3 1.8 2.1 2.2 7.6 84.9 100.0(447)

χ2(df) 19.01(15)

주: 아동의 응답임.*** p < .001.

고의적으로 툭툭 치거나 심부름, 숙제 등을 해오라는 등의 집단 괴롭힘을 당한

경험을 조사한 결과, 패널 아동의 3.1%가 그런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여 다른 종류

의 폭력보다는 노출 비율이 낮았다. 그럼에도 남녀 간 성별에서는 차이를 보여 남

아가 여아보다 이러한 괴롭힘을 당한 피해 경험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Ⅲ-2-66> 집단 괴롭힘 피해 경험(고의적으로 툭툭침, 심부름, 숙제를 해오라는 등의 괴롭힘)

단위: %(명)

Page 160: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142

구분일주일에 여러번

주1~2회 월 2~3회 월 1회 연 1~2회 없다 계(수)

χ2(df) 16.63(5)**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0.0 0.0 0.0 0.0 1.1 98.9 100.0(150)

첫째 0.9 0.3 0.3 0.3 2.0 96.2 100.0(514)

둘째 이상 0.8 0.2 0.0 1.0 0.9 97.1 100.0(763)

χ2(df) 9.04(10)

모 취업 여부

취업 0.5 0.3 0.2 0.3 1.0 97.8 100.0(804)

미취업 1.2 0.1 0.0 0.9 1.9 95.8 100.0(581)

χ2(df) 9.42(5)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1.0 0.0 0.0 1.6 1.9 95.6 100.0(290)

400~499만원 0.9 0.8 0.0 0.0 0.8 97.5 100.0(253)

500~599만원 1.6 0.0 0.2 0.0 1.8 96.5 100.0(297)

600만원 이상 0.0 0.2 0.2 0.5 1.2 97.9 100.0(447)

χ2(df) 35.69(15)

구분일주일에 여러번

주1~2회 월 1회 연 1~2회 없다 계(수)

전체 0.5 0.1 0.4 1.7 97.3 100.0(1,427)

아동 성별

남 0.4 0.2 0.6 2.1 96.7 100.0(727)

여 0.6 0.0 0.1 1.3 97.9 100.0(700)

χ2(df) 5.91(4)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0.0 0.0 0.0 3.2 96.8 100.0(150)

첫째 0.6 0.2 0.6 2.0 96.6 100.0(514)

주: 아동의 응답임.** p < .01.

다른 학생에게 돈이나 물건을 빼앗긴, 학교 폭력(집단 괴롭힘) 피해의 경험을 보

면, 없다는 응답이 97.3%로 나타나 2.7%만이 이러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성별이나 출생순위 등 변인에 따라서 차이나는 결과를 보이지는 않았고

가구 소득별로는 소득이 높을수록 피해 경험이 없다는 응답이 많았으나 통계적 유

의치를 산출할 수 있는 정도는 아니었다.

<표 Ⅲ-2-67> 집단 괴롭힘 피해 경험(돈이나 물건을 빼앗긴 경험)

단위: %(명)

Page 161: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143

구분일주일에 여러번

주1~2회 월 1회 연 1~2회 없다 계(수)

둘째 이상 0.5 0.1 0.3 1.2 98.0 100.0(763)

χ2(df) 8.24(8)

모 취업 여부

취업 0.0 0.1 0.4 2.1 97.4 100.0(804)

미취업 1.1 0.0 0.4 1.4 97.1 100.0(581)

χ2(df) 9.11(4)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0.0 0.1 1.6 0.9 96.7 100.0(290)

400~499만원 0.9 0.0 0.0 1.2 98.0 100.0(253)

500~599만원 0.9 0.0 0.2 2.2 96.6 100.0(297)

600만원 이상 0.0 0.2 0.0 1.6 98.2 100.0(447)

χ2(df) 37.61(12)***

구분일주일에 여러번

주1~2회 월 2~3회 월 1회 연 1~2회 없다 계(수)

전체 0.4 0.1 0.2 0.6 1.1 97.5 100.0(1,427)

아동 성별

남 0.3 0.2 0.5 1.0 1.8 96.2 100.0(727)

여 0.6 0.0 0.0 0.1 0.3 98.9 100.0(700)

χ2(df) 15.94(5)**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0.0 0.0 0.0 0.0 2.1 97.9 100.0(150)

첫째 0.5 0.3 0.4 0.5 1.1 97.2 100.0(514)

둘째 이상 0.5 0.0 0.2 0.8 0.9 97.7 100.0(763)

χ2(df) 9.57(10)

모 취업 여부

취업 0.0 0.2 0.4 0.5 0.8 98.0 100.0(804)

미취업 1.0 0.0 0.0 0.7 1.1 97.2 100.0(581)

χ2(df) 8.49(5)

주: 아동의 응답임.*** p < .001.

친구에게 ‘시키는 대로 하지 않으면 피해를 주겠다’는 협박이나 위협을 당한 경

험이 패널 아동 전체에서 2.5%가 있다는 응답을 하였고, 여아의 경우는 1.1%, 남

아는 3.8%가 피해 경험을 보고하였다. 초등학생이니만큼 협박이나 위협 피해 경험

은 높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표 Ⅲ-2-68> 집단 괴롭힘 피해 경험(협박이나 위협을 당한 경험)

단위: %(명)

Page 162: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144

구분일주일에 여러번

주1~2회 월 2~3회 월 1회 연 1~2회 없다 계(수)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0.7 0.3 0.1 0.6 1.0 97.3 100.0(290)

400~499만원 0.6 0.0 0.0 0.4 1.4 97.6 100.0(253)

500~599만원 0.9 0.0 0.0 0.8 0.3 97.9 100.0(297)

600만원 이상 0.0 0.2 0.7 0.7 1.2 97.2 100.0(447)

χ2(df) 9.95(15)

구분일주일에 여러번

주1~2회 월 2~3회 월 1회 연 1~2회 없다 계(수)

전체 0.5 0.2 0.3 0.4 2.8 95.8 100.0(1,427)

아동 성별

남 0.5 0.2 0.3 0.4 2.5 96.0 100.0(727)

여 0.6 0.2 0.3 0.4 3.0 95.5 100.0(700)

χ2(df) 1.18(5)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0.0 0.5 0.0 1.0 4.6 94.0 100.0(150)

첫째 0.6 0.1 0.3 0.4 1.6 96.9 100.0(514)

둘째 이상 0.6 0.2 0.3 0.3 3.2 95.3 100.0(763)

χ2(df) 9.26(10)

모 취업 여부

취업 0.0 0.3 0.3 0.1 3.1 96.2 100.0(804)

미취업 1.1 0.1 0.3 0.7 2.3 95.4 100.0(581)

χ2(df) 10.27(5)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1.0 0.2 0.4 1.8 2.0 94.6 100.0(290)

400~499만원 0.9 0.3 0.2 0.0 4.5 94.2 100.0(253)

주: 아동의 응답임.** p < .01.

성적으로 수치심을 느끼는 말이나 행동을 당한 경험, 즉 성추행의 괴롭힘을 당한

경험은 전체의 4.2%가 그러하다고 응답하였다. 이 중 2.8%가 연 1~2회로 빈도를

보고하였고 나머지 0.4%는 월 1회 이상으로 응답하고 있으며 전체 1,427명 중 23

명 정도가 매우 잦은 빈도로 성적 수치심을 느끼는 피해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그러나 성별, 출생순위, 어머니의 취업여부, 가구 소득에 따른 유의한 차이

는 나타나지 않았다.

<표 Ⅲ-2-69> 집단 괴롭힘 피해 경험(성적 수치심을 느끼는 말이나 행동을 당한 경험)

단위: %(명)

Page 163: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145

구분일주일에 여러번

주1~2회 월 2~3회 월 1회 연 1~2회 없다 계(수)

500~599만원 0.9 0.0 0.0 0.0 2.9 96.1 100.0(297)

600만원 이상 0.0 0.2 0.3 0.1 1.7 97.7 100.0(447)

χ2(df) 20.09(15)

주: 아동의 응답임.

패널 아동들의 삶의 만족도는 3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4점 리커트 척도로 응답

되었다. 전체 패널 아동의 삶의 만족도는 평균 3.51점(SD=0.50)인 것으로 나타났

으며, 삶의 만족도 점수는 아동의 성별, 출생순위, 모 취업여부, 가구 소득 등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표 Ⅲ-2-70> 삶의 만족도

단위: 점(명)

구분 (수) 평균 표준편차

전체 (1,427) 3.51 0.50

아동 성별

남 (727) 3.52 0.50

여 (700) 3.49 0.51

t 0.99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150) 3.60 0.44

첫째 (514) 3.52 0.51

둘째 이상 (763) 3.48 0.51

F 1.64

모 취업 여부

취업 (804) 3.49 0.49

미취업 (581) 3.54 0.51

t -1.7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290) 3.48 0.52

400~499만원 (253) 3.50 0.51

500~599만원 (297) 3.52 0.50

600만원 이상 (447) 3.53 0.48

F 0.8

주: 1) 아동의 응답임.2) 4점 척도임(1.전혀 그렇지 않다~4.매우 그렇다).

Page 164: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146

아동이 인지하는 본인의 가정형편 수준은 전체 10단계 중 7번째 정도가 20.1%

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중간인 5단계 18.6%, 8단계 16.6%, 6단계 16.4% 순이었

으면 최고 단계인 마지막 10단계도 14.5%로 5번째로 높은 응답 비율을 보였다.

전체 평균은 7.11단계로 응답되어 비교적 본인의 가정 형편에 대해 긍정적으로 보

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러한 응답은 아동의 성별이나 출생순위, 모 취업여부라는

변인들에 따라서는 비율차이를 유의하게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가구소득에 따라

분류한 집단에 따라서는 통계적 유의성을 가진 응답 비율 차이를 보여, 소득이 월

600만원 이상인 고소득 집단에서 비교적 8, 9, 10단계 인지 비율이 높았고 399만

원 이하 낮은 집단에서 5단계로 인지한 비율이 비교적 높았다. 단계에 대한 인지

평균 위치도 최고소득 집단이 7.42단계인데 반해 최저소득 집단은 6.93단계로 차

이를 보여 4학년 패널 아동들이 자신 가정의 경제적 수준에 대해 비교적 객관적으

로 평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표 Ⅲ-2-71> 상대적 박탈지수(가정형편)

단위: %(명), 점

구분 ① ② ③ ④ ⑤ ⑥ ⑦ ⑧ ⑨ ⑩ 계(수) 평균표준편차

전체 0.4 0.2 0.8 2.6 18.6 16.4 20.1 16.6 9.7 14.5 100.0(1,427) 7.11 1.82

아동 성별

남 0.5 0.1 1.3 2.0 18.7 16.4 20.9 16.3 9.3 14.6 100.0(727) 7.10 1.83

여 0.2 0.3 0.3 3.3 18.5 16.5 19.3 17.0 10.1 14.4 100.0(700) 7.12 1.81

χ2(df)/t 11.36(9) 0.65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0.0 0.0 0.0 1.3 17.9 17.0 21.9 14.9 9.0 18.2 100.0(150) 7.31ab 1.75

첫째 0.3 0.1 0.4 3.4 17.2 14.8 21.9 15.2 9.9 16.9 100.0(514) 7.23b 1.83

둘째 이상 0.5 0.3 1.4 2.4 19.9 17.6 18.4 18.1 9.6 11.8 100.0(763) 6.98a 1.82

χ2(df)/F 23.91(18) 7.16***

모 취업 여부

취업 0.6 0.2 0.8 2.9 18.0 17.1 20.9 15.9 10.2 13.5 100.0(804) 7.08 1.82

미취업 0.1 0.3 0.8 2.2 18.9 15.8 19.3 17.8 9.6 15.3 100.0(581) 7.17 1.81

χ2(df)/t 6.09(9) -1.08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0.1 0.3 1.7 2.3 24.0 16.0 19.7 14.0 6.1 15.6 100.0(290) 6.93a 1.87

400~499만원 1.2 0.5 0.0 4.1 19.6 17.8 18.1 19.9 7.1 11.7 100.0(253) 6.90a 1.85

500~599만원 0.0 0.0 0.9 2.1 18.6 16.8 21.4 14.0 12.3 13.8 100.0(297) 7.16a 1.76

600만원 이상 0.0 0.0 0.3 2.9 13.4 16.1 18.4 20.1 12.6 16.3 100.0(447) 7.42a 1.73

χ2(df)/F 41.53(27)* 3.25*

Page 165: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147

주: 1) 아동의 응답임.2) 10점 척도임(1. 매우 못 산다~10.매우 잘 산다).

* p < .05, *** p < .001.

아동의 사회성 측정의 중요 잣대 중 하나인 친구 수를 보면, 전체적으로 평균

17.92명의 친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응답되고 있으나 표준편차가 상당히 높다

(SD=17.38). 총 친구 수에 있어 남녀 아동 성별이나 출생순위, 모 취업여부 등은

집단 간 차이를 만들지 않고 있으나, 가구 소득에 따라서는 현저하게 소득이 높을

수록 많은 친구 수를 보고하고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특

히 소득별 집단에 따라 여자친구 수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으나 남자친

구의 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고 있어 남자아이들의 경우 가구의 소득 수준이

친구 수와 관련이 있어 보인다. 이는 남자친구 수는 남아집단에서 많은 것으로 보

고되고 있는 점과 함께 해석해볼 때 그러한 결과가 유추된다. 그러나 성별과 소득

을 함께 고려한 더 면밀한 분석이 요구된다.

<표 Ⅲ-2-72> 아동의 친구 수

단위: 명

구분 (수)남자친구 여자친구 총 친구 수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전체 (1,427) 9.83 11.66 8.09 9.40 17.92 17.38

아동 성별

남 (727) 13.40 13.68 4.31 6.91 17.71 18.49

여 (700) 6.03 7.53 12.11 10.01 18.14 16.10

t 12.28*** -17.30*** -1.20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150) 11.08 14.98 8.02 8.93 19.09 21.69

첫째 (514) 9.10 10.78 7.70 9.20 16.80 15.81

둘째 이상 (763) 10.12 11.45 8.41 9.65 18.52 17.42

F 0.19 0.73 0.52

모 취업 여부

취업 (804) 10.02 12.18 8.02 9.59 18.04 18.28

미취업 (581) 9.71 11.19 8.29 9.19 18.01 16.37

t 0.24 -0.76 -0.27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290) 7.56a 7.82 6.69 7.53 14.25a 11.82

400~499만원 (253) 10.21ab 10.62 8.50 9.29 18.71ab 16.49

500~599만원 (297) 10.77b 12.85 8.81 9.01 19.58b 18.50

600만원 이상 (447) 9.56ab 10.91 8.17 10.41 17.73ab 17.18

F 3.83** 2.24 4.32**

Page 166: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148

주: 1) 친구 수 중 0명으로 응답한 경우는, 남자 1.31%, 여자 0.09%, 총 0.72%임.2) 아동의 응답임.

** p < .01, *** p < .001.

친구와 얼마나 자주 싸우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싸우지 않는다는 응답은 22.4%

였고 몇 개월에 한 번 정도라는 응답은 50.2%로 가장 높았다. 거의 매일 싸운다는

응답은 1.7%였다. 이러한 응답 경향은 성별이나 가구소득 등 비교변인에 따라서

거의 차이가 없었다.

<표 Ⅲ-2-73> 아동의 친구와의 싸움 빈도

단위: %(명)

구분절대 싸우지

않음몇 개월에

한번한 달에

한번일주일에

한번거의 매일

친구가 없음

계(수)

전체 22.4 50.2 15.8 9.6 1.7 0.3 100.0(1427)

아동 성별

남 22.7 48.2 15.6 10.9 2.0 0.5 100.0(727)

여 22.2 52.3 16.1 8.2 1.3 0.0 100.0(700)

χ2(df) 8.19(5)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22.2 53.8 15.0 5.9 1.7 1.3 100.0(150)

첫째 23.2 51.7 14.7 9.3 1.2 0.0 100.0(514)

둘째 이상 21.9 48.2 17.0 10.6 2.1 0.3 100.0(763)

χ2(df) 12.80(10)

모 취업 여부

취업 21.8 50.0 15.6 10.7 1.8 0.1 100.0(804)

미취업 23.1 51.0 15.9 8.3 1.3 0.3 100.0(581)

χ2(df) 2.66(5)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22.2 47.5 16.4 11.3 2.1 0.6 100.0(290)

400~499만원 19.1 47.5 20.4 12.3 0.8 0.0 100.0(253)

500~599만원 21.8 53.9 16.1 6.9 1.3 0.0 100.0(297)

600만원 이상 26.1 50.0 13.6 8.2 1.7 0.5 100.0(447)

χ2(df) 13.43(15)

주: 아동의 응답임.

친구와 주말에 얼마나 자주 노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거의 매주 친구와 논다는

응답이 43.7%로 가장 많았고 한 달에 한 번이 21.3%, 몇 개월에 한 번은 15.5%였

다. 전혀 놀지 않는다는 응답은 18.9%였다. 이러한 경향은 아동성별을 비롯한 여

러 비교 변수에 대해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고 비슷한 결과로 나타났다.

Page 167: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149

<표 Ⅲ-2-74> 아동의 친구와의 주말 놀이 빈도

단위: %(명)

구분 놀지 않음몇 개월에

한번한 달에

한번거의 매주 친구가 없음 계(수)

전체 18.9 15.5 21.3 43.7 0.6 100.0(1,427)

아동 성별

남 19.1 12.5 20.5 46.9 1.1 100.0(727)

여 18.7 18.7 22.3 40.3 0.0 100.0(700)

χ2(df) 12.91(4)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16.6 13.5 23.4 45.3 1.3 100.0(150)

첫째 18.8 17.6 21.1 41.8 0.7 100.0(514)

둘째 이상 19.5 14.3 21.1 44.9 0.3 100.0(763)

χ2(df) 5.58(8)

모 취업 여부

취업 18.5 15.1 23.1 43.0 0.4 100.0(804)

미취업 19.3 15.3 20.2 44.5 0.7 100.0(581)

χ2(df) 1.66(4)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16.8 18.2 19.8 44.0 1.3 100.0(290)

400~499만원 20.4 13.2 22.7 42.8 0.8 100.0(253)

500~599만원 19.6 12.6 20.2 47.5 0.0 100.0(297)

600만원 이상 18.9 15.3 24.4 40.9 0.5 100.0(447)

χ2(df) 9.65(12)

주: 아동의 응답임.

방과 후에 친구와 놀이하는 빈도를 보면 거의 매일이 37%로 가장 높고 일주일

에 한 번 30.6%, 몇 개월에 한 번 9.7%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혀 놀지 않는다는

응답은 14.5%였다. 아동 성별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는데 여자

아동에 비해 남자 패널 아동이 방과 후 전혀 놀지 않는 비율이 3%p 이상 더 높고

반면 거의 매일 놀거나 일주일에 한 번 등 노는 빈도가 높은 경우 또한 남자 아동

의 비율이 높았다. 유의미한 차이로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출생순위에 따라서는 둘

째이상 아동이 외동아나 첫째아보다 매일 친구와 논다는 응답의 비율이 10%p 정

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소득이 월 399만원 이하의 낮은 집단이 그보다 높은 집

단에 비해 매일 논다는 비율이 높았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는 오차 범위 내에 있었다.

Page 168: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150

구분 있음 없음 계(수)

전체 12.2 87.8 100.0 (1,427)

아동 성별

남 14.8 85.2 100.0 (727)

여 9.4 90.6 100.0 (700)

<표 Ⅲ-2-75> 아동의 친구와의 방과 후 놀이 빈도

단위: %(명)

구분 놀지 않음몇 개월에

한번한 달에

한번일주일에

한번거의 매일

친구가 없음

계(수)

전체 14.5 9.7 7.8 30.6 37.0 0.5 100.0(1,427)

아동 성별

남 15.6 10.5 5.2 30.6 37.4 0.6 100.0(727)

여 13.3 8.8 10.6 30.6 36.6 0.1 100.0(700)

χ2(df) 17.22(5)**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16.0 11.3 8.5 29.3 33.6 1.3 100.0(150)

첫째 15.8 11.2 8.2 32.5 31.8 0.5 100.0(514)

둘째 이상 13.1 8.1 7.4 29.3 41.9 0.3 100.0(763)

χ2(df) 16.29(1)

모 취업 여부

취업 13.3 9.2 7.6 30.1 39.6 0.2 100.0(804)

미취업 15.6 10.3 8.0 31.1 34.3 0.7 100.0(581)

χ2(df) 3.47(5)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9.9 11.1 7.2 31.1 39.9 0.9 100.0(290)

400~499만원 14.7 9.4 6.3 33.7 35.0 0.8 100.0(253)

500~599만원 14.2 8.8 10.6 31.9 34.4 0.0 100.0(297)

600만원 이상 17.3 9.1 7.0 28.8 37.3 0.5 100.0(447)

χ2(df) 20.95(15)

주: 아동의 응답임.** p < .01.

이성친구가 있는지를 살펴보면, 12.2%가 사귀는 이성이 있다고 응답하였고 이

는 남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패널 아동 중 남아는 14.8%가,

여아는 9.4%가 이성친구가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그 외 다른 비교 변인들은 유

의미한 집단 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표 Ⅲ-2-76> 이성친구

단위: %(명)

Page 169: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151

구분 있음 없음 계(수)

χ2(df) 5.60(1)*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12.7 87.3 100.0 (150)

첫째 12.0 88.0 100.0 (514)

둘째 이상 12.3 87.7 100.0 (763)

χ2(df) 0.12(2)

모 취업 여부

취업 11.9 88.1 100.0 (804)

미취업 12.7 87.3 100.0 (581)

χ2(df) 1.17(1)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13.7 86.3 100.0 (290)

400~499만원 15.4 84.6 100.0 (253)

500~599만원 11.4 88.6 100.0 (297)

600만원 이상 9.6 90.4 100.0 (447)

χ2(df) 4.38(3)

주: 아동의 응답임.* p < .05.

아동의 학교적응 수준을 측정하였으며, 담임교사가 패널 아동의 평소 모습에 기

초하여 5점 척도로 평정하였다. 학교생활적응은 학교생활적응, 학업수행적응, 또

래적응, 교사적응 등 4개의 하위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학교생활적응 점수를 보면, 5점 만점에서 평균 4.29점(SD=0.82)로 여러

하위 척도 중 가장 높은 점수를 보인다. 그러나 이는 성별로 차이가 있어 여아는

4.54점으로 평균보다 훨씬 높으나 남아는 4.06점으로 평균을 한참 밑돌고 있다.

학교생활 적응에서 학업수행 적응은 4.01점(SD=0.85)이고 또래 적응은 4.08점

(SD=0.80), 교사 적응은 4.07점(SD=0.71)로 학교생활 적응 점수보다는 모두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학교생활적응뿐 아니라 학업수행, 또래, 교사 적응 등 모

든 하위 항목에서 여아들의 점수가 남아의 점수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왔다. 특히 또래적응에서 여아들의 점수 차가 가장 컸다.

Page 170: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152

<표 Ⅲ-2-77> 아동의 학교적응

단위: 점(명)

구분 (수)학교생활 적응 학업수행 적응 또래 적응 교사 적응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전체 (709) 4.29 0.82 4.01 0.85 4.08 0.80 4.07 0.71

아동 성별

남 (365) 4.06 0.84 3.88 0.85 3.95 0.81 3.96 0.70

여 (344) 4.54 0.71 4.14 0.83 4.23 0.77 4.18 0.70

t -8.16*** -3.59*** -4.87*** -3.61***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62) 4.18 0.89 3.96 1.00 3.89 1.03 4.03 0.87

첫째 (268) 4.31 0.84 4.05 0.86 4.09 0.86 4.06 0.70

둘째 이상 (379) 4.29 0.78 3.98 0.81 4.11 0.70 4.08 0.68

F 0.79 1.04 2.30 0.51

모 취업 여부

취업 (410) 4.22 0.86 3.92 0.87 4.01 0.83 4.02 0.71

미취업 (275) 4.41 0.73 4.15 0.79 4.19 0.77 4.13 0.70

t -2.10 -1.75 -1.75 -0.80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153) 4.23 0.90 4.01 0.90 4.08 0.81 4.16 0.64

400~499만원 (132) 4.22 0.82 3.94 0.84 3.98 0.84 3.99 0.71

500~599만원 (158) 4.41 0.71 4.11 0.78 4.19 0.78 4.09 0.73

600만원 이상 (207) 4.29 0.81 3.97 0.87 4.08 0.80 4.03 0.75

F 2.02 0.38 0.69 0.81

주: 1) 담임교사의 응답임.2) 5점 척도임(1.전혀 그렇지 않다~5.매우 그렇다).

*** p < .001.

패널 아동들의 또래애착을 살펴보면, 의사소통은 평균 3.09점(SD=0.57), 신뢰

는 평균 3.20점(SD=0.62), 소외는 평균 1.92점(SD=0.60)으로 나타나, 4점 만점

을 기준으로 하여, 의사소통과 신뢰는 높은 수준이며, 소외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

다. 여아들이 의사소통과 신뢰, 두 가지 하위척도에서 남아들의 점수보다 유의미하

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의사소통의 경우는 점수 차가 0.21점으로 상당히

컸다. 소외 하위척도에서는 성별 간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아동출생순위에 따른 의사소통 점수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첫째로

출생한 아동이 외동아나 둘째 이상보다 의사소통점수가 높고 외동아의 의사소통

점수가 가장 낮았다. 모 취업 여부나 가구 소득은 또래애착 점수에 차이를 가져오

지는 않았다.

Page 171: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153

<표 Ⅲ-2-78> 아동의 또래애착

단위: 점(명)

구분 (수)의사소통 신뢰 소외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전체 (1,427) 3.09 0.57 3.20 0.62 1.92 0.60

아동 성별

남 (727) 2.99 0.60 3.14 0.66 1.91 0.63

여 (700) 3.20 0.51 3.26 0.56 1.93 0.57

t -6.40*** -3.65*** -0.59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150) 2.94a 0.61 3.16 0.62 1.91 0.56

첫째 (514) 3.11b 0.56 3.19 0.63 1.95 0.63

둘째 이상 (763) 3.11b 0.56 3.21 0.61 1.90 0.58

F 4.07* 0.96 1.14

모 취업 여부

취업 (804) 3.09 0.56 3.21 0.61 1.91 0.60

미취업 (581) 3.12 0.57 3.19 0.62 1.93 0.59

t -0.42 0.69 -0.45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290) 3.06 0.60 3.14 0.64 1.97 0.60

400~499만원 (253) 3.11 0.54 3.14 0.63 1.97 0.59

500~599만원 (297) 3.11 0.54 3.23 0.60 1.88 0.59

600만원 이상 (447) 3.11 0.58 3.25 0.60 1.88 0.60

F 0.56 2.46 1.66

주: 1) 아동의 응답임.2) 4점 척도임(1.전혀 그렇지 않다~4.매우 그렇다).

* p < .05, *** p < .001.

3) 사회관련 의식

패널 아동에게 미래에 결혼을 할 것인지, 결혼을 한다면 자녀를 가질 것인지 여

부를 질문했다. 전체 중 38.4%의 아동이 결혼할 것이라고 응답하였고 12.7%는 결

혼할 생각이 없다고 하였다. 하지만 아직 알지 못한다고 응답한 경우가 거의 절반

에 이르는 48.9%였으므로 아직 10세라는 연령에서 결혼에 대한 선호를 결정하는

것은 이르다는 느낌을 갖게 한다. 그럼에도 결혼 생각이 없다는 비율이 12.7%라는

것은 주의를 두고 관심을 기울여야 할 집단이며 특히 여아가 15.2%로 남아

(10.3%)보다는 높은 비율로 결혼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는 점 또한 시

사하는 바가 있다.

Page 172: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154

미래에 자녀를 가질 것인지 묻는 자녀관의 질문에 대해서도 가지지 않겠다는 응

답이 12.5%로 나왔는데, 특히 여아가 15.4%의 비율로 자녀를 갖지 않겠다고 응답

하여 유의미한 성별 차이를 보였다. 또한 출생순위에서는 외동아의 경우 결혼과 자

녀에 대해 긍정적인 응답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이 나타났으나 통계적 유의미성

은 없었다.

<표 Ⅲ-2-79> 결혼 의사/자녀양육 의사

단위: %(명)

구분결혼 의사 자녀양육 의사

있음 없음 모름 계(수) 있음 없음 모름 계(수)

전체 38.4 12.7 48.9 100.0(1,427) 40.3 12.5 47.2 100.0(1,427)

아동 성별

남 43.2 10.3 46.5 100.0(727) 44.8 9.8 45.4 100.0(727)

여 33.2 15.2 51.6 100.0(700) 35.4 15.4 49.2 100.0(700)

χ2(df) 19.65(2)*** 18.75(2)***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41.1 10.9 47.9 100.0(150) 42.7 10.5 46.8 100.0(150)

첫째 36.0 12.4 51.6 100.0(514) 36.3 12.1 51.6 100.0(514)

둘째 이상 39.6 13.3 47.1 100.0(763) 42.8 13.3 43.9 100.0(763)

χ2(df) 3.58(4) 6.74(4)

모 취업 여부

취업 38.2 12.4 49.4 100.0(804) 38.8 12.0 49.1 100.0(804)

미취업 38.6 12.7 48.7 100.0(581) 41.8 12.7 45.5 100.0(581)

χ2(df) 0.21(2) 0.70(2)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38.1 11.8 50.1 100.0(290) 41.7 11.6 46.7 100.0(290)

400~499만원 38.2 11.9 49.9 100.0(253) 41.1 10.0 48.9 100.0(253)

500~599만원 36.5 14.5 49.0 100.0(297) 38.1 13.4 48.5 100.0(297)

600만원 이상 39.3 13.3 47.4 100.0(447) 40.9 13.6 45.5 100.0(447)

χ2(df) 3.20(6) 8.54(6)

주: 아동의 응답임.*** p < .001.

아동의 경제 습관을 알아보기 위해 평소 저축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전체 아동

중 74.3%가 저축을 하고 있다고 응답하였고 과반수 56.4%가 명절 등 비정기적으

로 받게 되는 용돈을 주로 저축한다고 하였다. 정기적으로 받는 용돈을 저축한다는

비율도 35.4%로 상당히 높은 비율을 보였다.

Page 173: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155

저축은 남아보다는 여아가 더 많은 비율로 저축을 하고 있다고 응답하였고 용돈

을 저축한다는 응답은 남아가 더 많았다.

<표 Ⅲ-2-80> 저축 실태

단위: %(명)

구분

평소 저축 실태 주로 어떤 돈으로 저축하는지

저축함 (수)부모님께

정기적으로 받는 용돈

명절 등에친척, 손님이 비정기적으로

주는 용돈

집안 일을 돕거나 부모님 심부름, 아르바이트 등을 해서 번 돈으로

기타 계(수)

전체 74.3 (1,427) 35.4 56.4 4.5 3.7 100.0(1,056)

아동 성별

남 70.4 (727) 35.8 57.8 4.0 2.5 100.0(516)

여 78.4 (700) 35.1 55.1 4.9 4.9 100.0(540)

χ2(df) 7.04(1)* 7.05(1)***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75.3 (150) 30.5 65.4 1.7 2.5 100.0(115)

첫째 78.2 (514) 38.0 52.9 5.4 3.7 100.0(399)

둘째 이상 70.9 (763) 34.4 57.3 4.3 4.0 100.0(542)

χ2(df) 7.55(2)* 8.41(6)*

모 취업 여부

취업 71.4 (804) 38.6 52.9 4.3 4.2 100.0(584)

미취업 79.6 (581) 31.4 61.0 4.5 3.1 100.0(452)

χ2(df) 4.76(1)* 4.76(1)*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73.6 (290) 33.0 60.2 5.4 1.5 100.0(206)

400~499만원 76.9 (253) 42.3 50.6 2.7 4.4 100.0(195)

500~599만원 72.1 (297) 34.0 59.2 4.8 2.0 100.0(217)

600만원 이상 75.0 (447) 38.2 53.7 3.9 4.3 100.0(336)

χ2(df) 2.82(3) 8.40(9)

주: 아동의 응답임.* p < .05, *** p < .001.

저축을 한다고 응답한 아동의 경우 저축을 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가장 많은 수

이 31.2%가 ‘저금통에 모은다’라고 응답하였고 다음이 ‘지갑에 모아둔다’가

26.8%였다. 그리고 ‘직접 은행에 저금한다’가 20.0%, ‘부모님께 맡겨 모은다’가

19.2%로 비슷하게 조사되었다. 응답에 있어 성별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출생순

위에 있어 첫째아가 ‘저금통에 모은다’는 응답을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비율로 지

Page 174: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156

적한 데 비해 외동아의 경우 직접 은행에 저금한다거나 부모님께 맡긴다가 높은

편이었고 둘째 이상은 지갑에 모아두거나 혹은 저금통에 모은다는 응답비율이 비

교적 높았다. 또 미취업모 자녀에 비해 취업모 자녀가 은행에 직접 저금한다고 답

한 비율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표 Ⅲ-2-81> 저축의 방식

단위: %(명)

구분

저축의 방식

저금통에 모은다

내가 직접 은행에 저금한다

지갑에 모아둔다

부모님께 맡겨 모은다

기타 계(수)

전체 31.2 20.0 26.8 19.2 2.8 100.0(1,056)

아동 성별

남 31.6 21.1 21.7 22.4 3.1 100.0(516)

여 30.8 18.9 31.6 16.1 2.6 100.0(540)

χ2(df) 3.39(3)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27.6 20.5 21.4 25.5 5.1 100.0(115)

첫째 34.7 16.1 29.2 17.3 2.7 100.0(399)

둘째 이상 29.0 23.3 26.0 19.4 2.4 100.0(542)

χ2(df) 18.32(8)*

모 취업 여부

취업 31.1 22.3 25.2 19.7 1.7 100.0(584)

미취업 31.4 17.5 28.1 19.0 4.1 100.0(452)

χ2(df) 4.97(4)*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32.2 15.2 28.3 21.5 2.8 100.0(206)

400~499만원 33.7 19.4 24.7 18.9 3.4 100.0(195)

500~599만원 32.9 24.2 23.1 15.9 3.9 100.0(217)

600만원 이상 27.4 19.4 30.5 20.7 2.1 100.0(336)

χ2(df) 6.80(12)

주: 아동의 응답임.* p < .05.

아동의 공동체 의식을 알아보기 위해 학급의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지, 버스나 지하철에서 자리를 양보하는지, 어려움에 처한 사람을 잘 도와주는지

등 7개의 항목으로 된 질문에 응답하도록 하고 전체 평균을 살펴보았다. 전체 5점

척도에서 평균 3.85점으로 측정되었다(SD=0.64). 남녀 아동 간 성차를 보이고 있

는데 여아가 3.89로, 3.80인 남아보다 0.09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유의한 격차

Page 175: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157

를 보였다. 즉, 공동체의식에서 여아가 남아보다 높은 수준을 가진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그 외 출생순위나 모 취업여부, 가구 소득에 따른 유의한 집단 차는 나타나

지 않았다.

<표 Ⅲ-2-82> 아동의 공동체 의식

단위: 점(명)

구분 (수)공동체 의식

평균 표준편차

전체 (1,426) 3.85 0.64

아동 성별

남 (726) 3.80 0.67

여 (700) 3.89 0.60

t -3.29**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150) 3.76 0.71

첫째 (513) 3.83 0.64

둘째 이상 (763) 3.88 0.61

F 1.86

모 취업 여부

취업 (803) 3.85 0.63

미취업 (581) 3.86 0.64

t -1.02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290) 3.79 0.65

400~499만원 (253) 3.87 0.66

500~599만원 (296) 3.86 0.64

600만원 이상 (447) 3.89 0.62

F 0.99

주: 1) 아동의 응답임.2) 5점 척도임(1.전혀 그렇지 않다~5.매우 그렇다).

** p < .01

3. 부모 및 가구 특성

가. 부모 및 가구 특성 관련 변인 구성

11차년도 조사의 부모 및 가구 특성 변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 표와 같다.

Page 176: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158

먼저 부모 특성을 살펴보면 개인 및 부부특성, 신체 및 건강 특성, 직업특성, 양

육 특성으로 구분된다. 부모 특성 중 심리적 특성과 부부특성, 양육 특성 중 일부는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가 응답하였다.

가구 특성은 인구학적 특성, 주거환경과 생활환경을 포함한 물리적 특성, 소득,

지출, 자산 및 부채를 포함한 경제적 특성, 가정환경 특성으로 구분된다.

<표 Ⅲ-3-1> 11차년도 부모 특성 변인

구분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부모특성

개인 및 부부 특성

인구학적 특성∙ 연령, 최종학력

∙ ○○(이)와 동거 여부, 비동거 이유

심리적 특성

∙ 주관적 행복감, 일상적 스트레스, 삶의 만족도

∙ 일-가정 양립시 이점과 갈등

∙ 자아존중감

부부 특성∙ 결혼 상태, 결혼 상태 유지 기간

∙ 부부갈등

신체 및 건강 특성

신체 특성 ∙ 주관적 건강상태

질환/장애 ∙ 1・2급 장애 유무, 알레르기질환 병력

음주 및 흡연∙ 음주 여부, 횟수, 양, 과음 횟수

∙ 흡연 여부, 하루 흡연량

직업 특성

일반적특성 ∙ 취/학업 상태

취업 특성

∙ 재직 상태, 직장 변동 여부, 지위, 직업분류

∙ (주중, 주말) 근무 일, 시간, 출퇴근 시간

∙ 전반적 일자리 만족도

양육 특성양육 실제

∙ 부모 양육행동

∙ 양육방식(성취압력)

∙ 보호자가 인식한 친구 수, 부모의 학업 관심도

∙ 부모 감독, 하루 중 성인 없이 있는 시간

지원 특성 ∙ 사회적 지원 정도, 지원 인원

가구특성

인구학적 특성가구 구성 ∙ 가구 구성 형태, 가구원 수

구성원 특성 ∙ 성별, 생년월일, 결혼 여부, 합가 사유

물리적 특성 생활환경 ∙ 애완동물 수

경제적 특성

소득

∙ 가구 소득, 취업 모 근로 소득

∙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

∙ 경제적 상황에 대한 가족의 걱정 빈도

지출

∙ 가구 및 자녀에 대한 소비성, 비소비성 지출

∙ ○○(이) 용돈 지급 여부, 지급액

∙ 용돈 사용처

자산 및 부채∙ 부동산, 금융자산

∙ 부채 여부, 부채액, 월 상환액

Page 177: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159

나. 부모특성

1) 개인 및 부부특성

가) 인구학적 특성

2008년 태어난 패널 아동이 만10세가 되는 2018년 기준 어머니의 평균 연령은

41.08세, 아버지는 43.53세로,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40대가 63.8%, 78.9%로 가

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또한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대졸자가 각각 38.0%,

40.8%로 가장 많았다.

<표 Ⅲ-3-2> 부모의 인구학적 특성

단위: %(명), 세

연령 어머니 아버지 학력 어머니 아버지

20대 0.0 0.1 중졸이하 0.4 0.6

30대 34.5 14.5 고졸 26.3 26.5

40대 63.8 78.9 전문대졸 29.0 20.6

50대 이상 1.7 6.53 대졸 38.0 40.8

평균 41.08 43.53 대학원졸 6.4 11.5

표준편차 3.60 3.92 - - -

계(수) 100.0(1,427) 100.0(1,424) 계(수) 100.0(1,415) 100.0(1,424)

패널 아동과의 동거 여부를 살펴보면, 어머니의 경우가 99.5%, 아버지 92.5%로

대다수가 아동과 함께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과 함께 살고 있지 않은 부모들

의 비동거 이유를 살펴보면, 어머니의 경우 68.1%가 타지역 근무(학업), 31.9%가

기타 사유, 아버지의 경우 76.6%가 타지역 근무(학업), 19.9%가 기타, 2.8%가 국

내외 유학 중, 0.7%가 장기입원, 요양 중의 이유로 따로 살고 있다고 응답했다.

<표 Ⅲ-3-3> 아동과의 동거 여부 및 비동거 이유

단위: %(명)

구분

동거 여부 비동거 이유

동거 비동거 계(수)타 지역

근무(학업)

국내외 유학중

장기입원,요양중

기타 계(수)

어머니 99.5 0.5 100.0(1,415) 68.1 0.0 0.0 31.9 100.0(6)

아버지 92.5 7.5 100.0(1,424) 76.6 2.8 0.7 19.9 100.0(105)

주: 보호자의 응답임.

Page 178: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160

나) 심리학적 특성

부모의 행복감은 7점 만점을 기준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행복도가 높은 것을 의

미한다. 조사 결과, 패널 아동의 어머니는 5.16점, 아버지는 5.27점으로 나타났다.

부모 모두 소득과 학력에 따른 차이를 보였으며, 학력과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높

은 수준의 행복감을 보고하였다

<표 Ⅲ-3-4> 부모의 주관적 행복감

단위: 점(명)

구분어머니 아버지

평균 표준편차 (수) 평균 표준편차 (수)

전체 5.16 1.01 (1,402) 5.27 0.97 (1,181)

모 취업 여부

취업 5.17 1.05 (788) 5.24 1.01 (655)

미취업 5.17 0.96 (575) 5.30 0.94 (504)

t 0.23 -0.79

부모 학력

고졸이하 4.90a 1.14 (367) 5.05a 0.97 (304)

전문대졸 5.20b 1.00 (403) 5.17a 1.01 (245)

대졸이상 5.29b 0.91 (616) 5.40b 0.94 (629)

F 18.89*** 16.13***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4.89a 1.14 (285) 5.10a 0.99 (225)

400~499 만원 5.05ab 0.97 (244) 5.15a 0.99 (212)

500~599 만원 5.14b 0.99 (297) 5.30ab 0.95 (260)

600만원 이상 5.43c 0.90 (436) 5.40b 0.94 (367)

F 19.54*** 8.96***

지역

대도시 5.20 0.99 (562) 5.21 0.98 (488)

중소도시 5.16 1.03 (757) 5.33 0.96 (627)

읍/면 4.97 1.02 (83) 5.11 1.00 (66)

F 0.08 2.62

주: 1) 어머니/아버지의 응답임.2) 7점 척도임(1.아주 불행한 사람이다~7.아주 행복한 사람이다)/(1.매우 행복하지 않다~7.매우 행복하다)/(1.전혀

그렇지 않다~7.매우 그렇다)/(1.매우 그렇다~7.전혀 그렇지 않다)3) 4번 문항 역코딩

*** p < .001.

부모의 일상적 스트레스는 4점 척도로 측정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것을 의미하는데, 어머니는 평균 2.94(SD=0.65)점으로 나타났다. 어

Page 179: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161

머니의 학력, 가구 소득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는 고졸

이하의 집단이 전문대졸 이상 집단에 비해, 가구소득이 399만원 이하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일상적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Ⅲ-3-5> 모의 일상적 스트레스

단위: %(명), 점

구분전혀받지

않음별로 받지

않음약간 받음 많이 받음 계(수) 평균

표준편차

전체 0.6 22.4 59.4 17.5 100.0(1,399) 2.94 0.65

모 취업 여부

취업 0.6 20.8 60.3 18.2 100.0(787) 2.96 0.64

미취업 0.5 25.0 57.9 16.6 100.0(573) 2.91 0.65

χ2(df)/t 3.83(3) 1.24

모 학력

고졸이하 1.6 15.1 57.8 25.6 100.0(367) 3.07a 0.68

전문대졸 0.3 27.4 57.7 14.5 100.0(403) 2.86b 0.64

대졸이상 0.2 23.6 61.0 15.1 100.0(613) 2.91b 0.62

χ2(df)/F 30.74(6)*** 11.27***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0.5 16.5 63.0 20.0 100.0(285) 3.02a 0.62

400~499 만원 0.0 21.6 58.0 20.4 100.0(243) 2.99a 0.65

500~599 만원 0.9 25.5 61.9 11.7 100.0(296) 2.84a 0.62

600만원 이상 0.5 26.4 54.8 18.3 100.0(435) 2.91a 0.68

χ2(df)/F 16.65(9) 3.32*

지역

대도시 0.5 21.9 62.0 15.7 100.0(562) 2.93a 0.62

중소도시 0.7 24.1 56.6 18.5 100.0(754) 2.93a 0.67

읍/면 0.0 11.7 66.8 21.5 100.0(83) 3.10b 0.57

χ2(df)/F 8.53(6) 3.08*

주: 1) 어머니의 응답임.2) 4점 척도임.(1.전혀 스트레스 받지 않음~4.많이 받음).

* p < .05, *** p < .001.

아버지의 일상적 스트레스 결과를 살펴보면, 전혀받지 않음 0.9%, 별로 받지 않

음 20.3%, 약간 받음 59.6%, 많이 받음 19.1%의 빈도를 나타냈으며, 4점 만점의

평균 2.97점(SD=0.66)으로 어머니와 비슷한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Page 180: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162

<표 Ⅲ-3-6> 부의 일상적 스트레스

단위: %(명), 점

구분전혀받지

않음별로 받지

않음약간 받음 많이 받음 계(수) 평균

표준편차

전체 0.9 20.3 59.6 19.1 100.0(1,181) 2.97 0.66

모 취업 여부

취업 1.4 19.5 58.5 20.6 100.0(655) 2.98 0.68

미취업 0.4 21.4 60.3 17.9 100.0(504) 2.96 0.64

χ2(df)/t 5.97(3) 1.59

부 학력

고졸이하 1.3 14.0 64.0 20.7 100.0(304) 3.04 0.63

전문대졸 0.7 20.6 59.6 19.1 100.0(245) 2.97 0.65

대졸이상 0.8 23.1 57.6 18.4 100.0(629) 2.94 0.67

χ2(df)/F 9.43(6) 2.62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1.6 19.6 64.4 14.4 100.0(225) 2.92 0.63

400 ~ 499 만원 0.3 16.9 62.5 20.2 100.0(212) 3.03 0.62

500 ~ 599 만원 0.4 23.0 54.4 22.2 100.0(260) 2.98 0.68

600만원 이상 1.5 19.8 60.4 18.3 100.0(367) 2.96 0.66

χ2(df)/F 10.78(9) 2.01

지역

대도시 1.0 18.0 61.1 19.9 100.0(488) 3.00 0.65

중소도시 0.8 22.1 58.9 18.2 100.0(627) 2.94 0.66

읍/면 1.2 20.7 56.4 21.8 100.0(66) 2.99 0.69

χ2(df)/F 2.46(6) 0.83

주: 1) 아버지의 응답임.2) 4점 척도임.(1.전혀 스트레스 받지 않음~4.많이 받음).

삶의 만족도는 5점 만점 기준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을

의미하는데, 패널 아동 어머니들은 평균 3.45점(SD=0.77)의 삶의 만족도를 나타

냈다. 만족도는 49.4%가 만족하는 편이라고 응답했으며, 보통 36.1%, 만족하지

못하는 편이 9.5%, 매우 만족 3.9%, 전혀 만족하지 못함 1.2% 순이었다. 이러한

만족도는 어머니의 학력과 가구 소득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으며, 학력과 가구소득

이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age 181: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163

<표 Ⅲ-3-7> 모의 삶의 만족도

단위: %(명), 점

구분전혀

만족 하지 못함

만족하지못하는 편임

보통만족하는 편임

매우 만족

계(수) 평균표준편차

전체 1.2 9.5 36.1 49.4 3.9 100.0(1,399) 3.45 0.77

모 취업 여부

취업 1.6 10.0 34.3 50.8 3.3 100.0(787) 3.44 0.78

미취업 0.6 8.4 37.9 48.3 4.7 100.0(573) 3.48 0.74

χ2(df)/t 5.72(4) -0.97

모 학력

고졸이하 2.7 13.3 43.8 36.5 3.7 100.0(367) 3.25a 0.83

전문대졸 1.0 7.9 34.1 54.2 2.8 100.0(403) 3.50b 0.72

대졸이상 0.4 7.8 33.0 54.2 4.6 100.0(613) 3.55b 0.72

χ2(df)/F 40.88(8)*** 19.83***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2.4 12.3 45.9 34.9 4.5 100.0(285) 3.27a 0.82

400~499 만원 1.2 10.6 43.0 42.7 2.5 100.0(243) 3.35ab 0.75

500~599 만원 0.8 8.6 36.5 51.3 2.8 100.0(296) 3.47b 0.72

600만원 이상 0.5 6.3 25.4 63.3 4.5 100.0(435) 3.65c 0.69

χ2(df)/F 71.68(12)*** 19.14***

지역

대도시 1.2 10.1 31.5 53.6 3.6 100.0(562) 3.48 0.77

중소도시 1.3 8.7 38.6 47.3 4.1 100.0(754) 3.44 0.76

읍/면 0.0 12.1 44.7 39.6 3.6 100.0(83) 3.35 0.74

χ2(df)/F 4.26(8) 0.39

주: 1) 어머니의 응답임.2) 5점 척도임(1.전혀 만족하지 못함~5.매우 만족).

*** p < .001.

아버지가 느끼는 만족도는 평균 3.47점(SD=0.81)으로 나타났으며, 47.5%가 만

족하는 편이라고 응답하였다. 보통이 34.4%, 만족하지 못하는 편이 10.8%, 매우

만족 6.2%, 전혀 만족하지 못함 1.1% 순으로 나타났으며, 아버지 또한 어머니와

마찬가지로 본인의 학력과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Page 182: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164

<표 Ⅲ-3-8> 부의 삶의 만족도

단위: %(명), 점

구분

전혀 만족 하지 못함

만족하지

못하는 편임

보통만족하는 편임

매우 만족

계(수) 평균표준편차

전체 1.1 10.8 34.4 47.5 6.2 100.0(1,181) 3.47 0.81

모 취업 여부

취업 1.4 12.4 33.9 45.5 6.8 100.0(655) 3.44 0.85

미취업 0.8 9.1 35.0 49.6 5.4 100.0(504) 3.50 0.77

χ2(df)/t 3.66(4) -1.11

부 학력

고졸이하 1.9 10.9 44.7 38.0 4.6 100.0(304) 3.33a 0.80

전문대졸 0.3 12.0 32.4 51.9 3.3 100.0(245) 3.46ab 0.76

대졸이상 1.0 10.4 30.3 50.4 7.9 100.0(629) 3.54b 0.82

χ2(df)/F 28.23(8)*** 7.42***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1.7 11.0 42.6 40.6 4.1 100.0(225) 3.34a 0.79

400~499 만원 1.4 16.3 35.6 41.8 4.9 100.0(212) 3.33a 0.85

500~599 만원 1.2 7.2 35.2 50.1 6.3 100.0(260) 3.53b 0.77

600만원 이상 0.5 8.9 29.3 53.6 7.6 100.0(367) 3.59b 0.78

χ2(df)/F 42.28(12)*** 12.17***

지역

대도시 1.9 10.7 32.1 48.7 6.6 100.0(488) 3.47 0.84

중소도시 0.4 10.8 35.9 47.0 5.9 100.0(627) 3.47 0.78

읍/면 1.7 11.7 38.3 42.9 5.5 100.0(66) 3.39 0.83

χ2(df)/F 7.80(8) 0.62

주: 1) 아버지의 응답임.2) 5점 척도임(1.전혀 만족하지 못함~5.매우 만족).

*** p < .001.

취업 중인 어머니를 대상으로 일과 가정생활을 병행하는 것에 있어 느끼는 이점

과 갈등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살펴보면, 5점 만점을 기준으로 이점이 3.79점

(SD=0.61), 갈등이 2.37점(SD=0.73)으로 이점이 갈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모의 학력 과 가구소득에 따른 차이를 보였으며, 대졸 이상 집단에서 전문대졸 이

하의 집단에 비해 일-가정 양립을 더 좋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 소득에

따라서는 전반적으로 소득이 높을수록 이점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183: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165

구분일-가정 양립: 일-양육 이점 일-가정 양립: 일-양육 갈등

평균 표준편차 (수) 평균 표준편차 (수)

전체 3.65 0.62 (807) 2.52 0.77 (807)

모 학력

고졸이하 3.57 0.59 (187) 2.66b 0.81 (187)

전문대졸 3.65 0.63 (234) 2.48a 0.80 (234)

<표 Ⅲ-3-9> 모 일-가정 양립 시 일-가정 이점과 갈등

단위: 점(명)

구분일-가정 양립: 일-가정 이점 일-가정 양립: 일-가정 갈등

평균 표준편차 (수) 평균 표준편차 (수)

전체 3.79 0.61 (807) 2.37 0.73 (807)

모 학력

고졸이하 3.64a 0.62 (187) 2.39 0.75 (187)

전문대졸 3.77ab 0.62 (234) 2.38 0.78 (234)

대졸이상 3.86b 0.60 (386) 2.36 0.70 (386)

F 6.71** 0.17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3.61a 0.77 (93) 2.53 0.89 (93)

400~499 만원 3.79ab 0.51 (133) 2.35 0.75 (133)

500~599 만원 3.85ab 0.59 (189) 2.24 0.67 (189)

600만원 이상 3.85b 0.59 (329) 2.40 0.71 (329)

F 3.50* 1.63

지역

대도시 3.81 0.57 (321) 2.36 0.75 (321)

중소도시 3.77 0.66 (439) 2.38 0.73 (439)

읍/면 3.78 0.47 (47) 2.38 0.72 (47)

F 0.33 0.31

주: 1) 어머니의 응답임.2) 5점 척도임(1.전혀 그렇지 않다~5.매우 그렇다).

* p < .05, ** p < .01.

어머니가 느끼는 일과 양육간의 이점과 갈등에 대한 조사 결과, 이점이 3.65점

(SD=0.62), 갈등이 2.52점(SD=0.77)으로 이 역시 이점이 갈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점에 대해 대체로 가구 소득과 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더 높게 인식하

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갈등에 대해서는 고졸이하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Ⅲ-3-10> 모 일-가정 양립 시 일-양육 이점과 갈등

단위: 점(명)

Page 184: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166

구분일-가정 양립: 일-양육 이점 일-가정 양립: 일-양육 갈등

평균 표준편차 (수) 평균 표준편차 (수)

대졸이상 3.68 0.63 (386) 2.49ab 0.73 (386)

F 2.03 3.50*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3.53 0.72 (93) 2.71 0.89 (93)

400~499 만원 3.63 0.61 (133) 2.54 0.80 (133)

500~599 만원 3.69 0.63 (189) 2.40 0.74 (189)

600만원 이상 3.69 0.59 (329) 2.52 0.75 (329)

F 2.36 1.34

지역

대도시 3.67 0.58 (321) 2.50 0.78 (321)

중소도시 3.63 0.64 (439) 2.53 0.76 (439)

읍/면 3.58 0.67 (47) 2.61 0.80 (47)

F 0.45 0.08

구분일-가정 양립: 일-가정 이점 일-가정 양립: 일-가정 갈등

평균 표준편차 (수) 평균 표준편차 (수)

전체 3.80 0.63 (1,331) 2.35 0.67 (1,331)

부 학력

고졸이하 3.66a 0.67 (358) 2.44a 0.70 (358)

전문대졸 3.69a 0.65 (277) 2.33ab 0.68 (277)

대졸이상 3.91b 0.57 (692) 2.31b 0.64 (692)

F 26.05*** 6.28**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3.65a 0.67 (261) 2.36 0.67 (261)

400~499 만원 3.74a 0.64 (239) 2.40 0.68 (239)

500~599 만원 3.85b 0.55 (289) 2.35 0.63 (289)

주: 1) 어머니의 응답임.2) 5점 척도임(1.전혀 그렇지 않다~5.매우 그렇다).

* p < .05.

또한 취업중인 아버지를 대상으로 일-가정 양립의 이점과 갈등 조사한 결과, 5

점 만점 기준, 이점이 3.80점(SD=0.63), 갈등이 2.35점(SD=0.67)으로 아버지 역

시 이점이 갈등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버지 역시 본인의 학력과 가구 소

득에 따라 이점에 차이를 보였으며, 갈등에 대해서는 본인의 학력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표 Ⅲ-3-11> 부 일-가정 양립 시 일-가정 이점과 갈등

단위: 점(명)

Page 185: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167

구분일-가정 양립: 일-가정 이점 일-가정 양립: 일-가정 갈등

평균 표준편차 (수) 평균 표준편차 (수)

600만원 이상 3.88b 0.60 (413) 2.30 0.66 (413)

F 9.22*** 1.22

지역

대도시 3.79 0.62 (529) 2.30 0.63 (529)

중소도시 3.82 0.63 (722) 2.38 0.70 (722)

읍/면 3.69 0.56 (80) 2.37 0.58 (80)

F 0.98 1.04

주: 1) 아버지의 응답임.2) 5점 척도임(1.전혀 그렇지 않다~5.매우 그렇다).

** p < .01, *** p < .001.

아버지가 느끼는 일-가정 양립에 따른 양육에 대한 이점 및 갈등에 대한 조사를

살펴보면, 이점이 3.90점, 갈등이 2.16점으로 앞서 어머니의 조사 결과와 동일하

게 양육에 대한 이점이 갈등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버지는 본인의 학력,

가구 소득, 지역에 따라 이점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갈등의 경우 아버지의

학력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Ⅲ-3-12> 부 일-가정 양립 시 일-양육 이점과 갈등

단위: 점(명)

구분일-가정 양립: 일-양육 이점 일-가정 양립: 일-양육 갈등

평균 표준편차 (수) 평균 표준편차 (수)

전체 3.90 0.66 (1,331) 2.16 0.68 (1,331)

부 학력

고졸이하 3.77a 0.65 (358) 2.23a 0.67 (358)

전문대졸 3.83a 0.68 (277) 2.23b 0.70 (277)

대졸이상 3.98b 0.64 (692) 2.10b 0.68 (692)

F 17.22*** 8.50***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3.74a 0.63 (261) 2.18 0.66 (261)

400~499 만원 3.85ab 0.64 (239) 2.27 0.65 (239)

500~599 만원 3.92bc 0.62 (289) 2.10 0.71 (289)

600만원 이상 3.97c 0.65 (413) 2.11 0.66 (413)

F 8.10*** 2.31

지역

대도시 3.92b 0.66 (529) 2.13 0.68 (529)

중소도시 3.91b 0.65 (722) 2.17 0.69 (722)

읍/면 3.68a 0.64 (80) 2.24 0.59 (80)

F 3.33* 0.32

Page 186: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168

주: 1) 아버지의 응답임.2) 5점 척도임(1.전혀 그렇지 않다~5.매우 그렇다).

* p < .05, *** p < .001.

부모의 자아존중감은 5점 만점으로 부모의 행복감과 마찬가지로 점수가 높을수

록 높은 자아존중감을 의미하는데, 어머니는 3.76점(SD=0.59), 아버지는 3.84점

(SD=0.56)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경우 본인의 취업여부에 따른 차이를 보였으

며, 부모 모두 학력과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높은 수준의 자아존중감을 나타냈다.

<표 Ⅲ-3-13> 부모의 자아존중감

단위: 점(명)

구분어머니 아버지

평균 표준편차 (수) 평균 표준편차 (수)

전체 3.76 0.59 (1,399) 3.84 0.56 (1,181)

모 취업 여부

취업 3.81 0.59 (787) 3.82 0.58 (655)

미취업 3.71 0.58 (573) 3.86 0.55 (504)

t 3.54*** -0.98

모/부 학력

고졸이하 3.57a 0.65 (367) 3.70a 0.57 (304)

전문대졸 3.75b 0.55 (403) 3.77a 0.54 (245)

대졸이상 3.88c 0.54 (613) 3.92b 0.55 (629)

F 30.81*** 20.37***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3.60a 0.69 (285) 3.72a 0.56 (225)

400~499 만원 3.71b 0.55 (243) 3.75a 0.56 (212)

500~599 만원 3.77b 0.54 (296) 3.84ab 0.54 (260)

600만원 이상 3.94c 0.51 (435) 3.95b 0.55 (367)

F 20.75*** 10.72***

지역

대도시 3.79 0.58 (562) 3.82 0.56 0.56

중소도시 3.76 0.59 (754) 3.85 0.57 0.56

읍/면 3.65 0.56 (83) 3.81 0.51 0.51

F 0.46 0.70

주: 1) 어머니/아버지의 응답임.2) 5점 척도임(1.전혀 그렇지 않다~5.매우 그렇다).3) 3번, 5번, 8번, 9번, 10번 문항은 역코딩함.

*** p < .001.

Page 187: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169

구분어머니 아버지

평균 표준편차 (수) 평균 표준편차 (수)

전체 2.05 0.81 (1,399) 2.03 0.80 (1,181)

모 취업 여부

취업 2.10 0.86 (787) 2.09 0.83 (655)

미취업 1.98 0.74 (573) 1.97 0.76 (504)

t 2.66** 2.16*

모/부 학력

고졸이하 2.17b 0.85 (367) 2.12a 0.84 (304)

전문대졸 2.00a 0.78 (403) 2.10ab 0.80 (245)

대졸이상 2.00a 0.80 (613) 1.97b 0.77 (629)

F 9.10*** 6.51**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2.12b 0.87 (285) 2.04 0.83 (225)

400~499 만원 2.14ab 0.79 (243) 2.08 0.75 (212)

500~599 만원 2.01ab 0.79 (296) 2.05 0.75 (260)

600만원 이상 1.96a 0.82 (435) 2.02 0.85 (367)

F 3.71* 1.43

다) 부부 특성

부모의 결혼 상태의 경우, 유배우 초혼이 어머니, 아버지 각각 96.0%, 96.1%로

응답되었으며, 평균 결혼 기간은 165.49개월로 약 13.8년으로 나타났다.

<표 Ⅲ-3-14> 부모의 결혼 상태 및 기간

단위: %(명), 개월

구분

결혼 상태 결혼 기간

미혼유배우-초혼

유배우-재혼

동거(사실혼)

사별 이혼 별거 계(수) 평균표준편차

어머니 0.1 96.0 1.1 - 0.5 2.2 0.1 100.0(1,429)165.49 36.96

아버지 0.1 96.1 1.0 - 0.5 2.2 0.1 100.0(1,429)

주: 보호자의 응답임.

부부갈등은 어머니 2.05점(SD=0.81), 아버지 2.03점(SD=0.80)으로 비슷한 수

준으로 조사되었으며,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고졸이하가 다른 집단에 비해 갈등 수

준이 높게 조사되었다.

<표 Ⅲ-3-15> 부모의 부부갈등

단위: 점(명)

Page 188: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170

구분어머니 아버지

평균 표준편차 (수) 평균 표준편차 (수)

지역

대도시 2.05 0.84 (562) 2.03 0.79 (488)

중소도시 2.02 0.79 (754) 2.01 0.79 (627)

읍/면 2.24 0.85 (83) 2.23 0.89 (66)

F 2.21 1.42

구분전혀 건강 하지 않음

건강하지 않은 편임

보통임건강한 편임

매우 건강함

계(수) 평균표준편차

전체 1.3 9.5 45.7 40.7 2.9 100.0(1,399) 3.35 0.74

모 취업 여부

취업 1.8 8.8 43.6 42.6 3.2 100.0(787) 3.37 0.76

미취업 0.5 10.1 47.5 39.5 2.5 100.0(573) 3.33 0.71

χ2(df)/t 2.36(4) 0.78

모 학력

고졸이하 2.2 11.0 49.8 34.3 2.7 100.0(367) 3.24a 0.77

전문대졸 1.2 8.7 46.1 41.7 2.3 100.0(403) 3.35ab 0.72

대졸이상 0.6 9.0 42.7 44.3 3.5 100.0(613) 3.41b 0.73

χ2(df)/F 12.88(8) 3.61*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2.8 12.1 48.2 34.2 2.7 100.0(285) 3.22a 0.80

400~499 만원 0.3 13.5 46.2 37.1 2.9 100.0(243) 3.29a 0.74

500~599 만원 1.7 5.1 47.0 43.9 2.3 100.0(296) 3.40ab 0.70

600만원 이상 0.2 7.6 40.3 47.5 4.4 100.0(435) 3.48b 0.71

χ2(df)/F 25.50(12)* 7.01***

지역

주: 1) 어머니/아버지의 응답임.2) 5점 척도임(1.전혀 그렇지 않다~5.매우 그렇다).

* p < .05, ** p < .01, *** p < .001.

2) 신체 및 건강 특성

가) 신체 특성

어머니 스스로 인지하는 건강상태에 대한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보통 45.7%, 건

강한편임 40.7%, 건강하지 않은 편임 9.5%, 매우 건강함 2.9%, 전혀 건강하지 않

음 1.3% 순으로 나타났다.

<표 Ⅲ-3-16> 모의 주관적 건강상태

단위: %(명), 점

Page 189: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171

구분전혀 건강 하지 않음

건강하지 않은 편임

보통임건강한 편임

매우 건강함

계(수) 평균표준편차

대도시 1.4 9.2 46.2 41.3 2.0 100.0(562) 3.33 0.73

중소도시 1.2 9.3 44.6 41.3 3.6 100.0(754) 3.37 0.75

읍/면 0.8 12.7 51.6 32.4 2.5 100.0(83) 3.23 0.73

χ2(df)/F 1.87(8) 0.42

주: 1) 어머니의 응답임.2) 5점 척도임(1.전혀 건강하지 않음~5.매우 건강함).

* p < .05, *** p < .001.

아버지 또한, 보통이 49.7%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건강한편임 38.0%, 건강하

지 않은 편임 6.9%, 매우 건강함 4.5%, 전혀 건강하지 않음 1.0% 순으로 나타났다.

<표 Ⅲ-3-17> 부의 주관적 건강상태

단위: %(명), 점

구분전혀 건강 하지 않음

건강하지 않은 편임

보통임건강한 편임

매우 건강함

계(수) 평균표준편차

전체 1.0 6.9 49.7 38.0 4.5 100.0(1,399) 3.38 0.72

모 취업 여부

취업 0.8 7.5 49.7 37.5 4.6 100.0(787) 3.38 0.72

미취업 1.2 6.2 50.0 38.3 4.4 100.0(573) 3.38 0.72

χ2(df)/t 0.60(4) -0.67

부 학력

고졸이하 1.1 10.4 54.6 28.1 5.8 100.0(367) 3.27a 0.77

전문대졸 1.6 7.3 51.8 36.6 2.7 100.0(403) 3.32ab 0.71

대졸이상 0.7 5.2 46.5 43.2 4.5 100.0(613) 3.46b 0.69

χ2(df)/F 20.67(8)** 6.83**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1.5 6.8 48.6 37.6 5.6 100.0(225) 3.39ab 0.76

400 ~ 499 만원 2.4 10.4 49.3 34.2 3.7 100.0(212) 3.26a 0.79

500 ~ 599 만원 0.7 5.8 52.4 37.0 4.0 100.0(260) 3.38ab 0.69

600만원 이상 0.0 4.0 49.4 41.9 4.8 100.0(367) 3.48b 0.65

χ2(df)/F 13.67(12) 3.53*

지역

대도시 1.3 6.2 50.8 36.7 5.0 100.0(562) 3.38 0.73

중소도시 0.3 7.3 49.3 39.3 3.7 100.0(754) 3.39 0.69

읍/면 4.1 8.2 45.2 35.0 7.5 100.0(83) 3.34 0.88

χ2(df)/F 10.77(8) 0.07

주: 아버지의 응답임.* p < .05, ** p < .01.

Page 190: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172

나) 질환 및 장애

부모의 중증도 장애 여부를 묻는 질문에 어머니의 0.4%, 아버지의 0.6%가 2급

이상의 장애를 갖고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표 Ⅲ-3-18> 부모의 1・2급 장애 유무

단위: %(명)

구분 있음 없음 계(수)

어머니 0.4 99.6 100.0(1,434)

아버지 0.6 99.4 100.0(1,434)

주: 보호자의 응답임.

부모의 알레르기 질환 병력에 대한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알레르기 질환 병력이

있는 어머니는 32.6%, 아버지는 32.2%로 조사되었다.

<표 Ⅲ-3-19> 부모의 알레르기 질환 유무

단위: %(명)

구분 있음 없음 계(수)

어머니 32.6 67.4 100.0(1,434)

아버지 32.2 67.8 100.0(1,434)

알레르기 질환 병력이 있는 부모 중 알레르기 비염을 앓고 있는 경우가 어머니

88.4%, 아버지 86.0%로 가장 많았으며, 어머니의 경우 결막염이, 아버지의 경우

아토피 피부염이 다음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Ⅲ-3-20> 부모의 알레르기 질환 병력(중복응답)

단위: %(명)

구분 천식 알레르기 비염 아토피 피부염 알레르기 결막염 식품 알레르기

어머니 7.0 (32) 88.4 (340) 10.9 (56) 33.2 (144) 7.2 (35)

아버지 4.6 (23) 86.0 (374) 14.9 (60) 13.9 (56) 10.9 (39)

주: 보호자의 응답임.

다) 음주 및 흡연

2018년을 기준으로 패널 아동 어머니와 아버지의 음주 실태에 대한 조사 결과

Page 191: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173

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음주 횟수의 경우, 어머니는 월 2~4회가 34.9%,

월 1회 이하가 31.9%, 최근 1년간 마시지 않았다는 비율이 20.2% 이었으며, 주

2~3회가 10.8%, 주 4회 이상은 2.2%에 불과했다. 반면, 아버지는 월 2~4회가

33.2%로 가장 많고, 주 2~3회가 31.4%, 월 1회 이하가 15.2%가 해당되며, 최근

일년 간 마시지 않았다는 비율은 8.4%에 불과하다.

음주량 또한 어머니는 1~2잔이 55.6%, 3~4잔이 25.3%, 5~6잔이 11.2%, 7~9

잔이 4.5%, 10잔 이상이 3.4%로 양이 많아질수록 점점 비율이 줄어드는 반면, 아

버지는 5~6잔이 23.5%로 가장 많았으며, 7~9잔이 20.4%, 3~4잔이 20.1%, 10

잔 이상도 18.2%로 아버지가 어머니 보다 더 많은 양을 마시는 경향을 보인다.

과음빈도 역시 어머니의 경우 거의 없다는 비율이 39.3%이며, 빈도가 늘수록

응답 비율이 줄어드는 반면, 아버지는 주2~3회 정도 과음이 31.6%로 가장 많았으

며, 월 1회 정도가 25.6%, 월 1회 미만이 22.3% 순으로 조사되었다.

<표 Ⅲ-3-21> 부모의 음주 실태

단위: %(명)

음주 횟수 음주량 과음 횟수

구분 어머니 아버지 구분 어머니 아버지 구분 어머니 아버지

최근 1년간 안 마심

20.2 8.4 1~2잔 55.6 17.8 전혀 없음 39.3 14.2

월 1회 이하 31.9 15.2 3~4잔 25.3 20.1 월1회 미만 31.9 22.3

월2~4회 34.9 33.2 5~6잔 11.2 23.5 월1회 정도 17.1 25.6

주2~3회 10.8 31.4 7~9잔 4.5 20.4 주1회 정도 10.6 31.6

주4회 이상 2.2 11.8 10잔 이상 3.4 18.2 거의 매일 1.2 6.3

계(수)

100.0 100.0 계(수)

100.0 100.0 계(수)

100.0 100.0

(1,402) (1,181) (1,105) (1,072) (1,105) (1,072)

주: 어머니/아버지의 응답임.

어머니의 경우 1.1%, 아버지의 경우 44.3%가 흡연자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Ⅲ-3-22> 부모의 흡연 실태

단위: %(명)

구분 피움 피우지 않음 계(수)

어머니 1.1 98.9 100.0 (1,402)

아버지 44.3 55.7 100.0 (1,181)

주: 어머니/아버지의 응답임.

Page 192: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174

구분취업

(휴직 포함)학업

(휴학 포함)취업/

학업 병행미취/미학업

계(수)

아버지 93.1 0.3 1.6 5.0 100.0 (1,331)

어머니 52.8 0.2 2.7 44.3 100.0 (1,391)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48.6 0.0 3.3 48.1 100.0 (143)

첫째 46.7 0.2 3.4 49.8 100.0 (504)

둘째 이상 58.6 0.3 2.0 39.2 100.0 (744)

χ2(df) 18.14(6)**

모 학력

고졸이하 47.7 0.0 1.2 51.1 100.0 (371)

전문대졸 53.2 0.2 3.5 43.2 100.0 (404)

대졸이상 55.5 0.3 3.0 41.2 100.0 (616)

χ2(df) 18.42(6)**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28.4 0.0 1.3 70.3 100.0 (280)

400 ~ 499 만원 48.1 0.0 2.5 49.5 100.0 (247)

500 ~ 599 만원 57.8 0.0 2.8 39.4 100.0 (297)

600만원 이상 71.4 0.5 3.1 25.0 100.0 (433)

χ2(df) 112.90(9)***

지역

대도시 51.6 0.2 3.5 44.8 100.0 (558)

3) 직업 특성

가) 일반적 특성

패널 아동 부모의 직업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부모의 취업 및 학업 상태를 조사

해본 결과, 어머니 전체의 52.8%가 취업(휴직포함) 중이었으며, 44.3%가 미취업/

미학업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경우 93.1%가 취업(휴직포함)중이며, 미

취업/미학업은 5.0%에 불과한 것으로 응답되었다. 어머니의 취업 및 학업 상태는

패널 아동의 출생 순위, 어머니의 학력, 가구 소득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둘째 이

상인 경우가 58.6%로 가장 많았고, 외동아인 경우가 48.6%, 첫째인 경우가

46.7%로 가장 적었다. 학력과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어머니가 취업 및 학업 중인

경우가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가구 소득에 따른 차이는 맞벌이 가구의 소득이

높은 것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겠다.

<표 Ⅲ-3-23> 부모 취/학업 상태

단위: %(명)

Page 193: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175

구분취업

(휴직 포함)학업

(휴학 포함)취업/

학업 병행미취/미학업

계(수)

중소도시 53.6 0.1 2.3 44.0 100.0 (751)

읍/면 54.4 1.2 0.8 43.6 100.0 (82)

χ2(df) 6.15(6)

주: 어머니/아버지의 응답임.** p < .01, *** p < .001.

나) 취업 특성

취업 중인 어머니의 3.4%는 휴직 중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작년 대비 직장/직위

변동이 없는 경우가 86.2%로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11.1%가 직장이 바뀌었고,

2.7%는 직위가 변경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버지는 79.7%가 직위나 직장에 변동

이 없었으며, 변동이 있었던 경우는 7.0%에 불과했다.

<표 Ⅲ-3-24> 부모의 재직 상태 및 직장 변동 여부

단위: %(명)

구분

재직상태 직장/직위 변동 여부

재직 휴직변동없음

직장이 바뀜

직위가 바뀜

지난조사시

미취/미학

2018조사불참

계(수)

어머니 96.6 3.4 86.2 11.1 2.7 - - 100.0 (807)

아버지 - - 79.7 7.0 - 1.7 100.0(1,270)

주: 어머니/아버지의 응답임.

부모의 종사자 지위를 살펴보면, 어머니의 경우 상용직이 65.4%로 가장 많았으

며, 사업자가 19.9%(자영업자 14.3%, 고용주 5.6%), 임시직 9.7%, 무급가족 종사

자 3.3%, 일용직 1.8% 순으로 응답되었다. 아버지의 경우 또한 상용직이 66.7%로

가장 많았으며, 사업자가 22.6%(자영업자 12.7%, 고용주 9.9%), 일용직 8.2%, 임

시직 2.5%,순으로 나타났다.

Page 194: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176

구분근무일 근로시간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주중 평균 4.84 0.58 7.66 2.28

주말 평균 0.28 0.53 6.91 2.72

1주일 전체 5.12 0.77 39.43 13.56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5.12 0.67 40.22 13.01

첫째 5.07 0.74 38.04 13.76

둘째 이상 5.14 0.80 40.15 13.47

F 0.14 1.51

모 학력

고졸이하 5.29b 0.76 42.51b 13.57

전문대졸 5.16ab 0.61 40.15a 13.52

대졸이상 5.01a 0.83 37.54a 13.28

F 10.31*** 9.00***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5.26 0.70 39.74 11.46

400 ~ 499 만원 5.01 0.84 37.59 15.36

<표 Ⅲ-3-25> 부모의 종사자 지위

단위: %(명)

구분 상용직 임시직 일용직종업원을둔 고용주

종업원이 없는

자영업자

무급가족종사자

계(수)

어머니 65.4 9.7 1.8 5.6 14.3 3.3 100.0 (807)

아버지 66.7 2.5 8.2 9.9 12.7 - 100.0 (126)

주: 어머니/아버지의 응답임.

어머니는 주중에 7.66시간(SD=2.28), 주말에는 6.91시간(SD=2.72) 근무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한 주를 기준으로 5.12일(SD=0.77), 평균 39.43시간

(SD=13.56) 정도 근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 특성에 따라 살펴보면, 어머

니의 학력과 지역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고졸이하, 전문대졸, 대졸이상 순으로 평

균 근무일이 많았으며, 지역규모별로는 읍면지역, 중소도시, 대도시 순으로 평균

근무일수가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근로 시간의 경우, 또한 학력이 낮을수록 근

로 시간이 길었으며, 지역규모별로는 읍면지역, 대도시, 중소도시 순으로 평균 근

로 시간이 긴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Ⅲ-3-26> 어머니 근무일 및 시간

단위: 일, 시간

Page 195: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177

구분근무일 근로시간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500 ~ 599 만원 5.14 0.77 38.91 13.32

600만원 이상 5.11 0.73 40.17 12.21

F 0.49 1.65

지역

대도시 5.09a 0.79 39.44 13.24

중소도시 5.10a 0.75 38.99 13.56

읍/면 5.43b 0.73 43.61 15.08

F 3.49* 2.05

구분전혀

만족하지 않음

대체로 만족하지

않음보통

대체로 만족

매우만족

계(수) 평균표준편차

전체 0.0 1.8 21.9 64.2 12.1 100.0(807) 3.87 0.63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0.0 0.0 21.4 64.6 14.0 100.0(79) 3.93 0.59

첫째 0.0 1.5 21.3 64.4 12.8 100.0(269) 3.88 0.62

둘째 이상 0.0 2.4 22.3 64.0 11.3 100.0(459) 3.84 0.64

χ2(df)/F 3.09(6) 0.39

모 학력

고졸이하 0.0 2.8 30.4 57.6 9.2 100.0(187) 3.73a 0.66

전문대졸 0.0 2.7 24.4 63.8 9.1 100.0(234) 3.79a 0.63

대졸이상 0.0 0.9 16.4 67.4 15.2 100.0(386) 3.97b 0.59

χ2(df)/F 22.11(6)** 8.98***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0.0 5.1 33.8 56.1 5.1 100.0(93) 3.61a 0.66

400 ~ 499 만원 0.0 1.8 19.2 65.5 13.5 100.0(133) 3.91b 0.62

500 ~ 599 만원 0.0 1.7 21.2 67.9 9.1 100.0(189) 3.84ab 0.59

주: 어머니의 응답임.* p < .05, *** p < .001.

어머니의 일자리 만족도는 5점 만점 기준, 3.87점(SD=0.63)이었으며, 대체로

만족이 64.2%, 보통 21.9%, 매우 만족 12.1%로 대체적으로 보통 이상의 만족도

를 나타냈다. 어머니 특성별 차이를 살펴보면, 어머니의 학력이 높을수록 높은 만

족도를 보였으며, 가구소득의 경우 600만원 이상, 400~499만원, 500~599만원,

399만원 이하 순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표 Ⅲ-3-27> 어머니의 일자리 만족도

단위: %(명), 점

Page 196: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178

구분전혀

만족하지 않음

대체로 만족하지

않음보통

대체로 만족

매우만족

계(수) 평균표준편차

600만원 이상 0.0 1.2 17.2 64.7 16.9 100.0(329) 3.97b 0.62

χ2(df)/F 20.95(9)* 7.85***

구분어머니 아버지

평균 표준편차 (수) 평균 표준편차 (수)

전체 3.85 0.39 (1,399) 3.68 0.44 (1,181)

아동 출생순위

외동 3.89 0.35 (149) 3.70 0.43 (125)

첫째 3.83 0.40 (506) 3.66 0.43 (450)

둘째 이상 3.86 0.39 (744) 3.70 0.45 (606)

F 1.05 0.13

모 취업 여부

취업 3.85 0.38 (790) 3.69 0.45 (658)

미취업 3.85 0.40 (570) 3.67 0.43 (501)

t 0.63 -0.17

부모 학력

고졸이하 3.77a 0.40 (367) 3.58a 0.46 (304)

주: 1) 어머니의 응답임.2) 5점 척도임(1.전혀 만족하지 않음~5.매우 만족).

* p < .05, ** p < .01, *** p < .001.

4) 양육 특성

가) 양육실제

부모의 양육행동은 총 세 차원(권위적, 권위주의적, 허용적)으로 구분되며 총 11

개의 하위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부모 양육행동에 대해 총점을 5점척도

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부모의 권위적 양육행동을 살펴보면, 애정・관

여 11문항, 이성・유도 7문항, 민주적 관계 5문항, 친절・편안함 4문항으로 이루어

져 있다. 권위적 양육행동에 대해 어머니는 평균 3.85점(SD=0.39)으로 나타났으

며, 모의 학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아버지의 경우에도 어머니보다 약간 낮은 3.68점(SD=0.44)이었으며, 부의 학력

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표 Ⅲ-3-28> 부모의 양육행동(권위적)

단위: 점(명)

Page 197: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179

구분어머니 아버지

평균 표준편차 (수) 평균 표준편차 (수)

전문대졸 3.87b 0.38 (403) 3.64a 0.46 (245)

대졸이상 3.89b 0.37 (613) 3.74b 0.41 (629)

F 13.8*** 17.26***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3.78 0.43 (285) 3.60 0.43 (225)

400 ~ 499 만원 3.80 0.32 (243) 3.67 0.44 (212)

500 ~ 599 만원 3.89 0.37 (296) 3.70 0.41 (260)

600만원 이상 3.88 0.39 (435) 3.75 0.44 (367)

F 6.81 7.7

구분어머니 아버지

평균 표준편차 (수) 평균 표준편차 (수)

전체 2.35 0.48 (1,399) 2.27 0.50 (1,181)

아동 출생순위

외동 2.34ab 0.48 (149) 2.14a 0.45 (125)

첫째 2.42b 0.48 (506) 2.32b 0.50 (450)

둘째 이상 2.30a 0.48 (744) 2.26ab 0.52 (606)

F 9.94*** 11.78***

모 취업 여부

취업 2.33 0.48 (790) 2.27 0.51 (658)

미취업 2.38 0.48 (570) 2.27 0.50 (501)

t -1.17 0.77

부모 학력

고졸이하 2.39 0.48 (367) 2.27 0.53 (304)

전문대졸 2.34 0.49 (403) 2.29 0.46 (245)

주: 1) 어머니/아버지의 응답임.2) 5점 척도임(1. 전혀 그렇지 않다∼5. 매우 그렇다). 일부 문항 역코딩.

*** p < .001.

다음으로 부모의 양육행동의 권위주의적 측면은 화내기 4문항, 처벌 6문항, 비

이성적 벌주기 전략 6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어머니는 평균 2.35점(SD=0.48), 아버지는 2.27점(SD=0.50)으로 나타나 어머

니가 아버지에 비해 권위주의적 양육행동 평균이 약간 높았다. 아버지의 경우에는

아동의 출생순위에 따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부모의 학력, 가구소득 특성에 따른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표 Ⅲ-3-29> 부모의 양육행동(권위주의적)

단위: 점(명)

Page 198: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180

구분어머니 아버지

평균 표준편차 (수) 평균 표준편차 (수)

전체 2.40 0.37 (1,399) 3.68 0.44 (1,181)

아동 출생순위

외동 2.41 0.36 (149) 3.70 0.43 (125)

첫째 2.41 0.37 (506) 3.66 0.43 (450)

둘째 이상 2.40 0.36 (744) 3.70 0.45 (606)

F 0.4 0.93

모 취업 여부

취업 2.40 0.37 (790) 3.69 0.45 (658)

미취업 2.39 0.36 (570) 3.67 0.43 (501)

t 0.47 0.89

부모 학력

고졸이하 2.41 0.37 (367) 3.58 0.46 (304)

전문대졸 2.39 0.37 (403) 3.64 0.46 (245)

구분어머니 아버지

평균 표준편차 (수) 평균 표준편차 (수)

대졸이상 2.35 0.48 (613) 2.27 0.51 (629)

F 1.02 0.73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2.39 0.49 (285) 2.36 0.56 (225)

400 ~ 499 만원 2.40 0.46 (243) 2.29 0.47 (212)

500 ~ 599 만원 2.32 0.48 (296) 2.25 0.49 (260)

600만원 이상 2.31 0.48 (435) 2.22 0.51 (367)

F 1.53 2.13

주: 1) 어머니/아버지의 응답임.2) 5점 척도임(1. 전혀 그렇지 않다∼5. 매우 그렇다). 일부 문항 역코딩.

*** p < .001.

부모의 허용적 양육행동은 어머니는 평균 2.40점(SD=0.37), 아버지는 평균

3.68점(SD=0.44)으로 나타났다. 허용적 양육행동의 하위 영역은 일관성의 부족 6

문항, 방관 4문항, 확신(아이를 어떻게 기를지에 대한 확신의 부족) 5문항으로 이

루어져 있다. 부모들은 권위적 양육행동에 비해 다소 부정적인 문항내용의 양육행

동인 권위주의적 양육행동과 허용적 양육행동에 좀 더 낮은 점수를 주고 있다. 반

면, 아버지의 허용적 양육행동에 있어서는 어머니보다 높은 평균점수를 보이고 있

어 아버지가 더 허용적 양육행동을 하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표 Ⅲ-3-30> 부모의 양육행동(허용적)

단위: 점(명)

Page 199: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181

구분어머니 아버지

평균 표준편차 (수) 평균 표준편차 (수)

대졸이상 2.41 0.36 (613) 3.74 0.41 (629)

F 1.78 0.01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2.43 0.39 (285) 3.60 0.43 (225)

400 ~ 499 만원 2.41 0.34 (243) 3.67 0.44 (212)

500 ~ 599 만원 2.38 0.36 (296) 3.70 0.41 (260)

600만원 이상 2.39 0.38 (435) 3.75 0.44 (367)

F 0.75 0.47

주: 1) 어머니/아버지의 응답임.2) 5점 척도임(1. 전혀 그렇지 않다∼5. 매우 그렇다). 일부 문항 역코딩.

부모의 성취압력은 평균 2.43점(SD=0.69)으로 나타났다. 아동성별에 따른 차이

는 유의미하였는데, 남아에게 주어지는 성취압력이 여아보다 다소 높았다. 아동 출

생순위, 모의 취업여무, 가구소득별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표 Ⅲ-3-31> 부모의 성취압력

단위: 점(명)

구분 평균 표준편차 (수)

전체 2.43 0.69 (1,427)

아동 성별

남 2.53 0.71 (727)

여 2.31 0.65 (700)

t 0.69*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2.46 0.73 (150)

첫째 2.41 0.70 (514)

둘째 이상 2.43 0.67 (763)

F 0.06

모 취업 여부

취업 2.44 0.69 (804)

미취업 2.41 0.68 (581)

t 1.30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2.32 0.66 (290)

400 ~ 499 만원 2.44 0.65 (253)

500 ~ 599 만원 2.46 0.69 (297)

600만원 이상 2.46 0.72 (447)

F 1.32

Page 200: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182

구분 평균 표준편차 (수)

전체 9.15 8.83 (1,434)

아동 성별

남 8.96 9.08 (730)

여 9.35 8.55 (704)

t 8.26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11.20b 10.11 (150)

첫째 9.87b 8.21 (518)

둘째 이상 8.14a 8.85 (766)

F 13.12***

모 취업 여부

취업 8.40 7.74 (807)

미취업 10.38 10.05 (584)

t -3.22**

모 학력

고졸이하 8.29a 7.23 (377)

전문대졸 8.97ab 9.86 (410)

대졸이상 9.86b 8.97 (628)

F 4.93**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8.03 6.97 (290)

400 ~ 499 만원 9.53 10.62 (254)

500 ~ 599 만원 9.05 7.77 (301)

600만원 이상 9.99 9.81 (448)

F 1.11

주: 1) 어머니/아버지의 응답임.2) 5점 척도임(1. 전혀 그렇지 않다∼5. 매우 그렇다).

* p < .05

보호자가 알고 있는 아동의 친구 수를 조사한 결과, 평균 9.15명의 친구를 알고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이는 아동의 출생순위, 어머니의 취업여부, 모의 학력, 모

의 학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아동의 출생순위별로는 외동

아의 경우에 첫째(9.87명), 둘째 이상(8.14명)에 비해 11.20명으로 상대적으로 친

구를 많이 알고 있었다. 미취업인 모의 경우가 취업 모에 비해 알고 있는 친구 수

가 상대적으로 조금 많았다.

<표 Ⅲ-3-32> 보호자가 알고 있는 아동의 친구 수

단위: 명

Page 201: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183

주: 보호자의 응답임.** p < .01, *** p < .001.

패널 아동이 하루 중 성인 없이 있는 시간은 평균 2.45시간(SD=1.29)으로 전년

도 2.16시간에 비해 다소 증가하였다. 이는 아동의 출생순위, 모의 취업여무, 모의

학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아 이상인 경우가 외동아와 첫째아동에

비해 홀로 있는 시간이 다소 길었지만, 이는 형제와 같이 있을수도 있다는 점에서

해석의 주의가 필요하다. 모의 취업여무에 따라서도 취업모가 2.77시간으로 미취

업 모의 2.02시간에 비해 약간 길었지만 패널 아동이 초등학교 4학년임을 감안할

때 결과의 해석에 의미를 부여하기에는 큰 차이를 보인다고 할 수 없을 것이다.

<표 Ⅲ-3-33> 하루 중 성인 없이 있는 시간

단위: 시간(명)

구분 평균 표준편차 (수)

전체 2.45 1.29 (1,434)

아동 성별

남 2.47 1.29 (730)

여 2.43 1.28 (704)

t 1.29*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2.37a 1.26 (150)

첫째 2.12a 1.09 (518)

둘째 이상 2.73b 1.37 (766)

F 25.98***

모 취업 여부

취업 2.77 1.36 (807)

미취업 2.02 1.02 (584)

t 12.31***

모 학력

고졸이하 2.67b 1.49 (377)

전문대졸 2.46a 1.25 (410)

대졸이상 2.32a 1.16 (628)

F 9.30***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2.41 1.32 (290)

400 ~ 499 만원 2.35 1.20 (254)

500 ~ 599 만원 2.48 1.23 (301)

600만원 이상 2.51 1.33 (448)

F 1.82

Page 202: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184

주: 보호자의 응답임.* p < .05, *** p < .001.

부모 감독에 관한 질문은 어디서 누구와 함께 있는지, 몇 시에 들어오는지, 어른

없이 있을 때 무엇을 하는지, 어른 없이 있을 때 연락을 주고 받는지에 대한 내용

이다. 전체 5점 만점에 평균 4.68점(SD=0.44)으로 부모는 감독이 잘 이루어지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이는 아동 성별과 모의 취업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

는데, 남아보다 여아의 감독에 대한 평균이 약간 높았으며, 미취업모가 취업모에

비해 부모 감독에 대한 평균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표 Ⅲ-3-34> 부모의 자녀 감독 수준

단위: 점(명)

구분 평균 표준편차 (수)

전체 4.68 0.44 (1,434)

아동 성별

남 4.66 0.45 (730)

여 4.70 0.42 (704)

t 0.43*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4.75 0.39 (150)

첫째 4.70 0.43 (518)

둘째 이상 4.65 0.45 (766)

F 2.40

모 취업 여부

취업 4.62 0.46 (807)

미취업 4.76 0.39 (584)

t -6.08***

모 학력

고졸이하 4.67 0.50 (377)

전문대졸 4.69 0.41 (410)

대졸이상 4.68 0.42 (628)

F 0.60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4.69 0.47 (290)

400 ~ 499 만원 4.67 0.41 (254)

500 ~ 599 만원 4.68 0.42 (301)

600만원 이상 4.70 0.43 (448)

F 0.85

주: 1) 보호자의 응답임.

Page 203: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185

구분전혀 관심

보이지 않음가끔

관심 보임자주

관심 보임항상관심

계(수)

전체 2.5 33.5 44.2 19.8 100.0(1,426)

아동 성별

남 3.2 33.2 44.2 19.4 100.0(726)

여 1.7 33.9 44.1 20.2 100.0(700)

χ2(df) 1.97(3)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2.3 35.1 42.3 20.3 100.0(150)

첫째 2.4 30.8 45.4 21.4 100.0(514)

둘째 이상 2.6 35.4 43.7 18.4 100.0(762)

χ2(df) 4.27(6)

모 취업

취업 2.4 34.2 46.7 16.7 100.0(804)

미취업 2.4 32.0 41.4 24.1 100.0(580)

χ2(df) 8.57(3)*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3.7 39.6 40.9 15.8 100.0(289)

400 ~ 499 만원 1.9 34.9 41.3 22.0 100.0(253)

500 ~ 599 만원 1.8 32.6 42.9 22.7 100.0(297)

600만원 이상 2.1 30.1 49.9 17.9 100.0(447)

χ2(df) 19.41(9)*

지역

대도시 2.2 30.7 44.6 22.5 100.0(567)

중소도시 2.5 35.1 44.9 17.5 100.0(774)

읍/면 4.2 38.5 35.4 21.9 100.0(85)

χ2(df) 6.22(6)

2) 5점 척도임(1. 전혀 그렇지 않다∼5. 매우 그렇다). 일부 문항 역코딩.* p < .05, *** p < .001.

아동이 응답한 부모의 학교 공부 관심도에 대해서는 자주 관심 보임이 44.2%로

가장 높았으며 가끔 관심을 보인다는 응답이 33.5%이었다. 모의 취업여부와 가구

소득별 차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모두 자주 관심을 보인다

는 응답이 40%이상이고 가끔 관심을 보인다는 응답이 30% 이상으로 하위 항목별

구분에서도 부모의 학업관심도는 높은 편으로 볼 수 있다.

<표 Ⅲ-3-35> 부모의 학업관심도

단위: %(명)

주: 아동의 응답임.* p < .05.

Page 204: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186

나) 지원 특성

사회적 지원과 관련하여 친가, 외가, 친구 및 동료, 이웃에게 각각 도움을 받는

인원과 지원 정도에 대해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친구 및 동료의 도움을 받는

인원(2.93명)과 외가 쪽 도움을 받는 인원(2.92점)으로 비슷하였다. 친가의 도움이

2.02점으로 사회적 지원 인원이 다소 지원처에 비해 다소 적은 편이었다.

모의 취업여부에 따라서는 이웃에 지원을 받는 인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는

데, 미취업모의 경우 2.73명으로 취업모의 1.91명에 비해 지원 인원이 약간 많은

편이었다. 다른 하위항목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표 Ⅲ-3-36> 사회적 지원 인원

단위: 명

구분친가 외가 친구 및 동료 이웃

(수)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전체 2.02 1.99 2.92 2.15 2.93 2.48 2.25 2.11 (1,429)

모 취업 여부

취업 2.00 2.14 2.90 2.24 2.97 2.70 1.91 1.93 (807)

미취업 2.00 1.71 2.98 1.99 2.84 2.12 2.73 2.25 (584)

t -0.75 -0.66 0.83 -6.93***

모 학력

고졸이하 1.97 2.23 2.79 2.55 2.95 2.67 2.29 2.08 (377)

전문대졸 2.16 2.06 3.25 2.13 3.00 2.54 2.35 2.22 (410)

대졸이상 1.93 1.75 2.83 1.86 2.83 2.30 2.18 2.07 (628)

F 1.90 6.42 0.98 8.00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1.78 1.55 2.98 2.36 2.67 2.12 2.27 2.20 (289)

400 ~ 499 만원 2.14 1.98 2.97 2.29 2.98 2.53 2.30 1.92 (254)

500 ~ 599 만원 2.07 1.88 2.73 1.79 3.02 2.51 2.34 2.03 (300)

600만원 이상 2.05 2.13 3.01 2.21 2.96 2.47 2.11 2.05 (446)

F 2.02 1.05 1.15 2.17

주: 1) 보호자의 응답임.2) 5점 척도임(1. 전혀 그렇지 않다∼5. 매우 그렇다).

*** p < .001.

어머니가 이용 가능한 사회적 지원을 정서적, 정보적, 사교적, 도구적 지원의 네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5점 만점을 기준으로 도구적 지원이 평균 3.97

점(SD=0.74)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은 정서적 지원이 평균 3.96점(SD=0.77)

Page 205: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187

이었다.

정서적 지원에 있어서는 어머니의 취업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

는데, 미취업모의 정서적 지원 정도가 취업모보다 다소 높게 평가되었다. 전년도

조사에도 정서적 지원에 있어 어머니의 취업여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모의 학력에 따라서는 사회적 지원정도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미한 차

이가 있었다.

<표 Ⅲ-3-37> 사회적 지원 정도

단위: 점(명)

구분정서적 정보적 사교적 도구적

(수)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전체 3.96 0.77 3.92 0.76 3.92 0.73 3.97 0.74 (1,429)

모 취업 여부

취업 3.92 0.74 3.90 0.72 3.91 0.70 3.94 0.71 (807)

미취업 4.03 0.78 3.97 0.79 3.95 0.76 4.03 0.76 (584)

t -2.50* -1.41 -0.73 -1.73

모 학력

고졸이하 3.87a 0.85 3.83a 0.82 3.83a 0.78 3.86a 0.81 (377)

전문대졸 3.99b 0.74 3.95b 0.72 3.95b 0.71 4.04b 0.71 (410)

대졸이상 3.99b 0.73 3.96b 0.75 3.95b 0.71 3.99b 0.71 (628)

F 5.02** 5.08** 5.84** 8.00***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3.88a 0.85 3.87 0.78 3.88 0.75 3.94 0.77 (289)

400 ~ 499 만원 3.95a 0.76 3.88 0.82 3.89 0.79 3.94 0.79 (254)

500 ~ 599 만원 4.03a 0.63 4.01 0.65 3.98 0.62 4.02 0.62 (300)

600만원 이상 4.01a 0.76 3.96 0.74 3.99 0.71 4.01 0.72 (446)

F 2.70* 1.01 2.32 1.39

지역

대도시 4.05 0.75 3.99 0.75 3.96 0.72 4.05 0.71 (568)

중소도시 3.90 0.79 3.88 0.78 3.89 0.75 3.92 0.77 (776)

읍/면 3.86 0.59 3.84 0.66 3.80 0.63 3.86 0.62 (85)

F 1.41 0.64 0.19 2.41

주: 1) 보호자의 응답임.2) 5점 척도임(1. 전혀 그렇지 않다∼5. 매우 그렇다).

* p < .05, ** p < .01, *** p < .001.

Page 206: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188

다. 가구 특성

1) 인구학적 특성

가구 구성 형태는 부모와 자녀로 구성된 핵가족이 87.9%로 대부분의 패널 가구

가 이 유형에 해당되었다. 조부모와 부모, 자녀로 구성된 확대가족 형태는 7.7%,

친척까지 함께 하는 경우가 3.7% 순이었다. 가구원 수는 패널 아동을 포함하여 평

균 4.64명으로 나타났다.

<표 Ⅲ-3-38> 가구 구성 및 가구원 수

단위: %(가구), 명

가구 구성 가구원 수

부모+자녀조부모+부모

+자녀부모+자녀

+친척조부모+부모+자녀+친척

기타 계(수) 평균 표준편차

87.9 7.7 0.5 3.7 0.1 100.0(1,434) 4.64 1.91

주: 보호자의 응답임.

2) 경제적 특성

가) 소득

세금과 국민연금, 의료보험료 등을 제외하고 근로소득, 금융소득, 사업소득, 임

대소득, 기타소득 등을 모두 포함한 월평균 가구 소득 평균은 약 556만원으로(전

년도는 약551만원)으로 전년도에 비해 약간 높아졌다. 반면 어머니의 근로소득은

약 231.84만원으로 전년도 239만원보다 다소 낮아졌다.

<표 Ⅲ-3-39> 월평균 가구 소득 및 어머니 근로소득

단위: 만원(가구)

구분 평균 표준편차 중위값 최솟값 최대값 (수)

월평균 가구 소득 556.87 463.32 500.00 0.00 8000.00 (1,293)

월평균 어머니 소득 231.84 225.11 200.00 0.00 4000.00 (726)

주: 보호자의 응답임.

보호자가 인지하는 자신의 대한민국 내, 직장이나 교회, 친인척, 친구, 동호회

등 자신이 속한 지역사회 및 공동체 내에서의 주관적인 사회경제적 지위를 1(최하)

Page 207: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189

에서 9(최상)로 구분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 내에서의 위치는 5.23단계(SD=1.37)로 전년도 5.13단계와 비슷하게

인식되고 있었다. 이는 어머니의 학력과 가수 소득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

다. 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대한민국 내, 지역 사회 및 공동체 내에서 주관적 지위를

다소 높게 평가하였으며,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 인식은 높

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표 Ⅲ-3-40>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

단위: 점(명)

구분지위: 대한민국 지위: 지역 사회 및 공동체

평균 표준편차 (수) 평균 표준편차 (수)

전체 5.23 1.37 (1408) 5.56 1.43 (1,394)

모 취업 여부

취업 5.23 1.39 (794) 5.56 1.41 (782)

미취업 5.23 1.34 (572) 5.55 1.43 (570)

t 0.37 0.87

모 학력

고졸이하 4.66a 1.35 (370) 5.05a 1.46 (366)

전문대졸 5.17b 1.24 (401) 5.41b 1.35 (393)

대졸이상 5.61c 1.34 (618) 5.94c 1.34 (616)

F 64.45*** 59.77***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4.65a 1.46 (284) 5.05a 1.62 (281)

400 ~ 499 만원 4.81a 1.28 (253) 5.12a 1.33 (252)

500 ~ 599 만원 5.34b 1.20 (298) 5.55b 1.20 (297)

600만원 이상 5.83c 1.27 (440) 6.19c 1.27 (435)

F 62.36*** 51.03***

주: 1) 보호자의 응답임.2) 10점 척도임(1. 가장 낮은 수준∼10. 매우 높은 수준).

*** p < .001.

아동에게 가족들이 경제적 상황에 대해 얼마나 자주 걱정을 하는지에 대해 질문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끔 걱정한다는 응답이 49.9%로 절반 가까이 되었으며,

그에 반면 전혀 걱정하지 않는다는 응답도 40.8%로 아동이 인식하는 가족의 경제

적 상황에 대한 걱정 정도 인식은 반응에서 차이가 양분되었다. 이는 아동성별, 출

생순위, 모의 취업여부, 가구소득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Page 208: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190

구분전혀

걱정하지 않음가끔

걱정함자주

걱정함항상

걱정함계(수) 평균 표준편차

전체 40.8 49.9 7.5 1.7 100.0(1,427) 1.70 0.68

아동 성별

남 42.9 47.9 6.6 2.6 100.0( 727) 1.69 0.71

여 38.6 52.1 8.4 0.9 100.0( 700) 1.72 0.65

χ2(df)/t 14.87(3)** -1.29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43.1 51.6 5.1 0.3 100.0( 150) 1.62 0.59

첫째 41.1 49.9 7.1 1.9 100.0( 514) 1.70 0.68

둘째 이상 40.1 49.5 8.4 2.0 100.0( 763) 1.72 0.70

χ2(df)/F 3.71(6) 0.35

모 취업 여부

취업 40.1 50.0 8.1 1.8 100.0( 804) 1.72 0.69

미취업 41.9 49.9 6.4 1.8 100.0( 581) 1.68 0.67

χ2(df)/t 1.85(3) 0.71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33.4 56.5 8.3 1.7 100.0( 290) 1.78 0.66

400 ~ 499 만원 40.2 48.6 8.3 2.9 100.0( 253) 1.74 0.73

500 ~ 599 만원 45.2 48.2 5.3 1.2 100.0( 297) 1.63 0.64

600만원 이상 44.5 46.6 7.1 1.7 100.0( 447) 1.66 0.69

χ2(df)/F 10.24(9) 2.02

<표 Ⅲ-3-41> 경제적 상황에 대한 가족의 걱정 빈도

단위: 점, %(명)

주: 아동의 응답임.** p < .01.

나) 지출

식비, 주거비, 교육비, 양육비, 의료비 등 소비성 지출과 세금이나 적금, 보험,

용돈, 월 상환금 등의 비소비성 지출에 대해 가구 전체와 자녀 전체로 나누어 살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구 전체에 대한 소비성 지출은 월평균 약 264만원으로

(전년도 약249만원), 비소비성지출은 약 185만원으로(전년도 약 191만원) 정도였

다. 자녀에 대한 지출은 소비성 지출은 약 106.35만원(전년도 약 95만원) 비소비

성지출은 약 44.58만원(전년도 약 45만원) 수준이었다.

Page 209: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191

구분

용돈 지급 여부 일주일 용돈 지급액

주지않음

필요시지급

정기지급

계(수) 평균 표준편차 (수)

전체 13.3 50.5 36.2 100.0 (1,434) 4.39 4.27 (1,218)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15.0 48.6 36.3 100.0 ( 150) 6.04 5.86 ( 127)

첫째 14.6 47.5 37.9 100.0 ( 518) 4.00 4.48 ( 438)

둘째 이상 12.0 53.2 34.8 100.0 ( 766) 4.34 3.57 ( 653)

χ2(df)/F 1.12(4) 67.58(32)***

모취업

취업 10.9 49.9 39.2 100.0 ( 807) 4.65 4.66 ( 703)

미취업 16.7 51.1 32.2 100.0 ( 584) 3.85 3.23 ( 476)

χ2(df)/t 13.77(2)*** 26.57*

모 학력

고졸이하 11.4 57.2 31.5 100.0 ( 377) 4.33 3.18 ( 329)

전문대졸 10.3 50.1 39.5 100.0 ( 410) 4.35 3.97 ( 353)

대졸이상 16.2 47.6 36.2 100.0 ( 628) 4.41 4.95 ( 521)

χ2(df)/F 13.89(4) 28.53(32)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12.1 57.1 30.8 100.0 ( 290) 3.87 2.95 ( 244)

<표 Ⅲ-3-42> 월평균 지출

단위: 만원

구분가구 전체 전체 자녀

평균 표준편차 중위값 최솟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 중위값 최솟값 최대값

소비성 지출 264.37 134.76 250.00 10.00 2150.00 106.35 74.60 100.00 0.00 1150.00

비소비성 지출 185.10 134.63 150.00 0.00 1500.00 44.58 44.81 30.00 0.00 500.00

주: 보호자의 응답임.

패널 아동에게 용돈을 주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필요시 준다는 응답이 50.5%로

절반이 약간 넘었다. 정기적으로 지급하는 경우는 36.2%, 주지 않는다는 응답은

13.3% 순이었다.

용돈 지급 시 평균 금액은 1주일 기준 4,390원 수준이었으며, 취업모가 미취업

모에 비해 용돈 지급 금액이 다소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지역별로

는 대도시나 중소도시에 비해 읍/면지역에서 용돈 지급액이 다소 높았고 통계적으

로 유의미하였다.

<표 Ⅲ-3-43> 패널 아동에 대한 용돈 지급 여부 및 지급 시 액수

단위: %(가구), 천원(명)

Page 210: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192

구분

용돈 지급 여부 일주일 용돈 지급액

주지않음

필요시지급

정기지급

계(수) 평균 표준편차 (수)

400 ~ 499 만원 13.0 50.8 36.1 100.0 ( 254) 3.94 3.50 ( 220)

500 ~ 599 만원 15.8 47.3 37.0 100.0 ( 301) 4.64 5.54 ( 250)

600만원 이상 14.9 45.9 39.2 100.0 ( 448) 4.89 4.55 ( 379)

χ2(df)/F 5.06(6) 47.07(45)

지역

대도시 15.4 51.7 32.9 100.0 ( 570) 4.25a 3.23 ( 474)

중소도시 12.8 49.1 38.2 100.0 ( 779) 4.47a 4.94 ( 664)

읍/면 5.0 54.7 40.3 100.0 ( 85) 4.60a 3.75 ( 80)

χ2(df)/F 7.27(4) 48.20(32)*

구분학습 자료

(학용품, 준비물 등) 저축

간식 및 군것질 하기

장난감이나 취미, 오락 활동

기타 계(수)

전체 2.8 10.2 76.4 10.1 0.6 100.0(1,224)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3.0 11.2 73.8 12.0 0.0 100.0( 128)

첫째 3.1 14.4 74.2 8.2 0.2 100.0( 439)

둘째 이상 2.5 6.7 78.7 11.1 1.0 100.0( 657)

χ2(df) 11.99(8)

모취업

취업 1.2 9.3 78.6 10.4 0.6 100.0( 710)

미취업 5.1 11.4 73.2 9.8 0.6 100.0( 475)

χ2(df) 18.29(4)**

모 학력

고졸이하 2.6 7.7 80.0 8.5 1.2 100.0( 331)

전문대졸 3.2 10.0 75.8 11.0 0.0 100.0( 357)

대졸이상 2.7 11.8 74.4 10.6 0.6 100.0( 521)

χ2(df) 10.45(8)

가구 소득

주: 보호자의 응답임.* p < .05, *** p < .001.

패널 아동의 용돈 사용처는 간식 및 군것질하기에 사용하는 경우가 76.4% 이었

으며, 그 다음은 저축이 10.2%, 장난감이나 취미, 오락 활동이 10.1% 순이었다.

이는 모의 취업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미취업 모의 아동이 저축이나 학습

자료 구입에 사용하는 비율이 취업모 아동에 비해 다소 높았다.

<표 Ⅲ-3-44> 패널 아동의 용돈 사용처

단위: %(명)

Page 211: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193

구분학습 자료

(학용품, 준비물 등) 저축

간식 및 군것질 하기

장난감이나 취미, 오락 활동

기타 계(수)

399만원 이하 4.5 10.9 75.6 9.1 0.0 100.0( 247)

400 ~ 499 만원 1.2 8.3 80.5 9.3 0.7 100.0( 221)

500 ~ 599 만원 3.0 9.5 79.6 7.7 0.3 100.0( 251)

600만원 이상 2.8 11.2 75.9 9.4 0.6 100.0( 380)

χ2(df) 6.33(12)

지역

대도시 3.3 11.0 75.5 9.5 0.6 100.0( 477)

중소도시 2.5 9.1 76.5 11.3 0.6 100.0( 667)

읍/면 2.2 13.5 81.2 3.1 0.0 100.0( 80)

χ2(df) 11.5(8)

주: 보호자의 응답임.** p < .01

가구 자산에 대해 살펴보면, 부동산 자산은 평균 3억 3천 8백만원 정도, 금융

자산은 7천 9백만원 정도로 나타났다. 부채가 있는 경유 평균 액수는 약 1억 1백

만원 정도로(전년도 약 9천 4백 25만원), 월상환금 평균은 평균 58.23만원(전년도

34만원 수준)이다.

<표 Ⅲ-3-45> 가구 자산

단위: 만원(명)

구분 평균 표준편차 중위값 최솟값 최대값 사례수

부동산 33,847.66 96,075.72 25,000.00 0.00 3,300,000.00 (1,290)

금융 자산 7,919.81 11,284.69 4,000.00 0.00 100,000.00 (1,211)

부채 10,180.42 9,657.59 8,000.00 30.00 90,000.00 ( 991)

월 상환금 58.23 54.30 50.00 0.00 500.00 ( 989)

주: 보호자의 응답임.

4. 학교, 지역사회 및 정책 특성

11차년도 학교 특성, 지역사회 및 정책 특성 관련 조사 내용은 아래 표와 같다.

먼저, 학교 특성은 돌봄 서비스와 학교, 사교육 변인으로 나뉘며, 학교 특성 중 대

분류 ‘학교’에 해당하는 내용은 아동의 담임교사의 응답을 중심으로 수집되었다.

또한 지역사회 특성은 지역 규모 등의 일반적인 가구 특성과 함께 교육과 복지,

Page 212: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194

의료 시설을 포함하는 양육환경에 대해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정책 특성은 국가

지원과 정부 지원을 포함한 생활비 지원 여부 등의 기타지원으로 알아보았다.

<표 Ⅲ-4-1> 11차년도 학교・사교육 특성 조사 변인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돌봄 이용특성 ∙ (학기/방학 중) 이용 유형, 시간, 빈도, 비용, 만족도

학교

이용특성∙ 학교 진학 여부, 미진학 사유, 대체 이용 기관

∙ 전학 여부, 결석 여부, 이유

학교특성

∙ 소속 지역, 소속 교육청

∙ 설립 유형

∙ 시험학교 유형

∙ 학교폭력 발생정도

물리적 특성∙ 학급 수, 학급 학생 수, 학교 환경

∙ 교육시설 만족도

교사특성∙ 성별, 연령, 최종학력, 교사 경력, 근무 시간

∙ 업무 스트레스

학급운영∙ 교사-아동 관계(친 , 갈등)

∙ 창의적 학교 환경

가정협력 ∙ 부모의 행사 참여 정도, 학교생활 관심 정도

사교육 이용특성 ∙ 이용 종류, 시간, 기관, 만족도, 비용, 비용 부담 정도

<표 Ⅲ-4-2> 11차년도 지역 및 정책 특성 조사 변인

구분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지역특성

일반적 특성 가구 특성

∙ 지난 조사 후 이사 횟수

∙ 지역 규모, 6개 권역 구분, 시/군/구∙ 17개 시/도 구분

양육환경

교육・복지・의료문화・여가

∙ 교육・의료・복지 시설, 공공 여가 공간・시설, 문화시설 접근 편리성 및 이용 만족도

사회 안전 ∙ 양육환경 안전성

정책특성

국가지원 수혜∙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상 구분

∙ 정책 수혜 여부 및 만족도

직장지원 시행 및 이용∙ 육아지원제도

∙ 일・가정 양립 지원 제도

기타지원 시행 및 이용 ∙ 생활비 지원 여부 및 지원처

가. 돌봄서비스

학기중과 방학 기간 중 돌봄 서비스를 이용하는지와 그 유형을 살펴보았다.

돌봄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는 학기중이나 방학중 모두 20% 미만으로 높지 않

Page 213: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195

았다. 두 기간 중 가장 많이 이용하는 유형은 조부모/친인척에게 맡기는 경우가

70% 이상으로 높았으며, 학기 중에는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경우가 13.3%로

높은 편이었다.

<표 Ⅲ-4-3> 돌봄 서비스 이용 여부 및 유형

단위: %(명)

구분

이용 여부 이용 유형(중복응답)

이용 미이용 계(수)조부모/친인척

비혈연대리양육자

아이돌보미

초등돌봄교실

지역아동센터

기타

학기 중 17.6 82.4 100.0(1,434) 76.7 4.0 2.3 4.6 13.3 1.7

방학 중 18.5 82.5 100.0(1,434) 78.3 2.4 0.6 7.0 7.8 3.9

주: 보호자의 응답임.

학기와 방학 기간 중 돌봄 서비스를 하루 평균 이용하는 시간은 조부모/친인척

의 경우 학기 중은 평균 4.46시간(SD=4.81), 방학 중에는 5.90시간(SD=5.18)이

었다. 그 다음은 학기 중에는 아이 돌보미를 이용하는 시간이 3.22시간(SD=1.82),

방학 중에는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시간이 4.82시간(SD=2.04) 순으로 가장 많

았다.

<표 Ⅲ-4-4> 돌봄 서비스 하루 평균 이용 시간

단위: 시간

구분학기 중 방학 중

최소 최대 평균 표준편차 최소 최대 평균 표준편차

조부모/친인척 1.00 24.00 4.46 4.81 1.00 24.00 5.90 5.18

비혈연 대리양육자 1.00 5.00 2.69 1.47 1.00 24.00 3.81 4.96

아이 돌보미 1.00 7.00 3.22 1.82 1.00 10.00 3.60 2.69

초등 돌봄교실 1.00 4.00 2.23 1.05 1.00 7.00 3.59 1.95

지역아동 센터 1.00 5.00 3.00 1.03 1.00 9.00 4.82 2.04

기타 1.00 2.00 1.21 0.41 - - - -

주: 보호자의 응답임.

돌봄 서비스 주당 이용 일수를 질문한 결과, 학기 중에는 지역아동센터가 4.92

일(SD=0.60)로 거의 5일을 다 이용하고 있었으며, 그 다음은 조부모/친인척이

4.59일(SD=1.99), 아이 돌보미가 4.40일(SD=1.43) 순이었다. 방학 중에도 지역

아동센터에서 일수가 4.50일(SD=1.31)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은 아이 돌보미

Page 214: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196

가 4.40일(SD=1.43), 조부모/친인척이 4.14일(SD=2.28) 순이었다. 지역아동센터

나 아이돌보미, 조부모/친인척 돌봄은 대부분 학기 중이나 방학 중과 관계없이 평

균 4-5일정도 이용하고 있었다.

<표 Ⅲ-4-5> 돌봄 서비스 주당 이용 일

단위: 일

구분학기 중 방학 중

최소 최대 평균 표준편차 최소 최대 평균 표준편차

조부모/친인척 0.00 7.00 4.59 1.99 0.00 7.00 4.14 2.28

비혈연 대리양육자 1.00 5.00 3.00 1.95 1.00 6.00 3.14 1.83

아이 돌보미 1.00 5.00 4.40 1.43 1.00 5.00 4.40 1.43

초등 돌봄교실 2.00 5.00 4.29 1.11 0.00 5.00 3.29 2.30

지역아동 센터 3.00 6.00 4.92 0.60 1.00 6.00 4.50 1.31

기타 0.00 5.00 1.56 2.10 - - - -

주: 보호자의 응답임.

돌봄 서비스를 이용하는 월 평균 이용 비용은 학기 중일 때는 비혈연 대리양육

자가 평균 월 42만원 선으로 가장 비용이 높았다. 그 다음은 조부모/친인척인 경우

28만원 선이었다. 방학 중일 때도 비혈연 대리양육자 비용이 평균 월 35만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은 아이 돌보미 이용 비용이 월 26만원 선이었다.

<표 Ⅲ-4-6> 돌봄 서비스 월 평균 이용 비용

단위: 만원

구분학기 중 방학 중

최소 최대 평균 표준편차 최소 최대 평균 표준편차

조부모/친인척 0.00 180.00 28.16 37.97 0.00 180.00 22.89 34.25

비혈연 대리양육자 0.00 120.00 42.28 43.15 0.00 120.00 35.50 40.01

아이 돌보미 0.00 160.00 26.94 51.07 0.00 160.00 26.94 51.07

초등 돌봄교실 0.00 10.00 3.50 4.26 0.00 10.00 1.58 3.34

지역아동 센터 0.00 8.00 0.49 1.51 0.00 5.00 0.58 1.55

기타 0.00 90.00 19.27 36.93 - - - -

총 비용 0.00 180.00 24.48 37.03 0.00 180.00 21.40 34.22

주: 보호자의 응답임.

학기 중 이용한 돌봄 서비스에 대한 이용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이 5점

만점에 평균 4점 이상으로 높은 편이었는데, 지역아동센터 만족도가 4.42점

Page 215: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197

구분 전학한적 없음 전학한적 있음 계(수)

전체 92.9 7.1 100.0(1,431)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90.5 9.5 100.0( 150)

첫째 93.2 6.8 100.0( 518)

(SD=0.58)으로 상대적으로 약간 만족도가 높았다. 방학 중에 이용한 돌봄 서비스

에 대한 만족도도 지역아동 센터의 만족도가 4.43점(SD=0.64)으로 다른 유형에

비해 높은 편이었다.

전년도 조사에서는 조부모/친인척과 아이 돌보미의 만족도 순으로 높은 반면,

올해는 지역아동 센터 만족도가 다소 높게 나타나 차이가 있었다.

<표 Ⅲ-4-7> 돌봄 서비스 이용 만족도

단위: 점

구분학기 중 방학 중

최소 최대 평균 표준편차 최소 최대 평균 표준편차

조부모/친인척 1.00 5.00 4.32 0.75 1.00 5.00 4.31 0.79

비혈연 대리양육자 4.00 5.00 4.32 0.47 3.00 5.00 4.19 0.50

아이 돌보미 3.00 5.00 4.27 0.96 3.00 5.00 3.91 0.80

초등 돌봄교실 3.00 5.00 4.32 0.59 2.00 5.00 4.17 0.87

지역아동 센터 3.00 5.00 4.42 0.58 3.00 5.00 4.43 0.64

기타 3.00 4.00 3.16 0.37 - - - -

주: 1) 보호자의 응답임.2) 5점 척도임(1. 전혀 만족하지 않음∼5. 매우 만족함).

나. 학교 특성

가) 이용 특성

2018년(11차)에 전체 아동 1,431명중에 전학한 적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이

92.9%로 2017년(10차)의 95.6%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아동출생순위, 모 취업,

모 학력, 가구 소득, 지역에 따라 전학여부를 비교한 결과,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타

난 항목은 모취업이다. 어머니가 취업한 경우 전학한 적 없음이 94.2%인 반면, 어

머니가 취업하지 않은 경우 91.3%이었다.

<표 Ⅲ-4-8> 전학 여부

단위: %(명)

Page 216: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198

구분 전학한적 없음 전학한적 있음 계(수)

둘째 이상 93.3 6.7 100.0( 763)

χ2(df) 2.78(2)

모취업

취업 94.2 5.8 100.0( 807)

미취업 91.3 8.7 100.0( 581)

χ2(df) 5.05(1)*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92.2 7.8 100.0( 289)

400 ~ 499 만원 94.1 5.9 100.0( 254)

500 ~ 599 만원 91.3 8.7 100.0( 301)

600만원 이상 93.3 6.7 100.0( 448)

χ2(df) 2.33(3)

지역

대도시 93.6 6.4 100.0( 569)

중소도시 91.9 8.1 100.0( 777)

읍/면 97.6 2.4 100.0( 85)

χ2(df) 3.86(2)

구분 결석한적 없음 사고와 질병 사고와 질병 외 이유 계(수)

전체 78.3 13.1 8.6 (1,431)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79.3 15.4 5.3 ( 150)

첫째 74.2 14.2 11.5 ( 518)

둘째 이상 81.2 11.7 7.0 ( 763)

χ2(df) 15.83(4)**

모취업

주: 보호자의 응답임.* p < .05.

지난 학기 결석여부를 질문한 결과, 결석한 적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이 전체

78.3%로 전년도 78.6%와 비슷하였다. 결석여부를 아동 출생순위, 모 취업, 모 학

력, 가구 소득, 지역에 따라 비교해보았다. 첫째, 아동이 첫째인 경우 결석 비율이

25.8%로 외동아 20.7% 및 둘째 이상 18.8%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모

취업 경우 아동의 결석 비율이 19.7%인 반면, 어머니가 취업하지 않은 경우

24.9%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표 Ⅲ-4-9> 결석/결석이유

단위: %(명)

Page 217: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199

구분 결석한적 없음 사고와 질병 사고와 질병 외 이유 계(수)

취업 80.3 13.0 6.8 ( 807)

미취업 75.1 13.9 11.0 ( 581)

χ2(df) 8.22(2)*

모 학력

고졸이하 80.4 12.8 6.8 ( 377)

전문대졸 79.2 13.7 7.0 ( 410)

대졸이상 76.2 13.2 10.6 ( 625)

χ2(df) 3.89(4)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79.5 12.4 8.1 ( 289)

400 ~ 499 만원 81.6 10.5 7.9 ( 254)

500 ~ 599 만원 77.0 14.1 8.9 ( 301)

600만원 이상 79.6 12.4 8.0 ( 448)

χ2(df) 2.20(6)

지역

대도시 76.3 14.8 8.9 ( 569)

중소도시 78.7 12.6 8.7 ( 777)

읍/면 87.7 6.4 5.9 ( 85)

χ2(df) 7.28(4)

주: 보호자의 응답임.* p < .05, ** p < .01.

나) 학교 특성

교사를 대상으로 근무하는 학교의 설립유형을 질문하였다. 대부분의 교사들은

국공립학교(98.9%)에 근무하고 있으며, 일부 교사는 사립학교(0.9%)와 대안학교

(0.1%)에 근무하고 있었다.

<표 Ⅲ-4-10> 설립유형

단위: %(명)

구분국공립학교

사립학교

국제(외국인)

학교

대안학교

기타 계

전체 98.9 0.9 0.0 0.1 0.0 100.0(709)

지역규모

대도시 98.4 1.6 0.0 0.0 0.0 100.0(290)

중소도시 99.3 0.5 0.0 0.2 0.0 100.0(367)

읍면지역 100.0 0.0 0.0 0.0 0.0 100.0( 52)

주: 보호자의 응답임.

Page 218: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200

교사를 대상으로 근무하는 학교의 시범학교 유형을 질문하였다. 시범학교 유형

중 해당없음이 63.9%로 가장 높았으며, 기타 13%, 혁신학교가 12.4%, 연구학교

8.9%, 시범학교 1.7% 순이었다.

<표 Ⅲ-4-11> 시범 학교 유형

단위: %(명)

구분 연구학교 시범학교 혁신학교 기타 해당없음 계

전체 8.9 1.7 12.4 13.0 63.9 100.0(709)

지역규모

대도시 8.9 2.8 9.7 6.9 71.6 100.0(290)

중소도시 8.2 0.6 14.0 19.0 58.2 100.0(367)

읍면지역 13.1 3.1 16.1 5.2 62.4 100.0( 52)

주: 담임교사의 응답임.

교사를 대상으로 근무하는 학교의 학교 폭력 발생 정도에 대해 응답하도록 하였

다. 전체 교사 709명중 ‘모두 심각하지 않다’고 응답한 교사는 36.2%이었으며, 언

어폭력 36.8%, 집단 따돌림 9.7%, 신체 폭행 6%, 괴롭힘 5.9%, 인터넷이나 휴대

폰 욕설 및 동영상 촬영 피해 3.4% 순이었다.

<표 Ⅲ-4-12> 학교 폭력 발생 정도(1순위)

단위: %, 명

구분 사례수 신체폭행 금품갈취 괴롭힘 집단 따돌림

전체 709 6.0 0.2 5.9 9.7

지역규모

대도시 290 6.4 0.3 5.7 7.5

중소도시 367 5.9 0.2 5.9 10.6

읍면지역 52 4.5 0.0 6.6 14.6

구분 언어폭력 위협이나 협박

인터넷이나 휴대폰 욕설, 협박, 동영상 촬영 피해

같은 성별 또는 같은 성별 간성적인 추행

모두 심각하지 않다

전체 36.8 0.5 3.4 1.4 36.2

지역규모

대도시 37.7 0.9 2.7 1.5 37.2

중소도시 39.0 0.2 4.2 0.6 33.4

읍면지역 17.0 0.0 1.7 6.3 49.3

주: 1) 담임교사의 응답임.2) 교내에서 일어난 학교 폭력 중 가장 심각한 것 1순위를 분석한 것임.

Page 219: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201

학교의 전체 학급 수는 평균 5.24학급이었다. 대도시와 읍면 지역의 차이는 유

의미하지 않았으나 대도시의 학급수가 큰 편이었다. 대도시의 학급 당 학생수는

24.69명(SD=5.99), 중소도시는 25.63명(SD=4.75), 읍면지역은 20.52명(SD=6.11)

으로 읍면지역의 학생 수가 중소도시에 비해 유의미하게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학급 내 아동성별 비율을 남아 1명당 여아 수로 알아본 결과, 평균 0.98명으로 전

년도에 비해 여아수가 조금 증가하였다. 도시 규모별 아동성별비율은 읍면 지역이

평균 0.92명으로 여아 수가 조금 낮았으나 유의미하지 않았다.

<표 Ⅲ-4-13> 전체 학급 수 및 해당학급 학생 수

단위: 학급(명)

구분학급 수 학생 수 학급 내 아동성별 비율

(수)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전체 5.24 2.53 24.86 5.55 0.98 0.29 (707)

지역규모

대도시 5.49 2.46 24.69b 5.99 0.99 0.24 (290)

중소도시 5.13 2.50 25.63b 4.75 0.98 0.31 (366)

읍면지역 4.66 2.93 20.52a 6.11 0.92 0.32 ( 51)

F 2.42 22.2*** 1.32

주: 1) 학급 내 아동성별 비율=남아 1명당 여아 수2) 담임교사의 응답임.

*** p < .001.

교사를 대상으로 근무하는 학교의 환경에 대해 질문하였다. 학교의 전반적인 건

물 상태에 대해서는 5점 만점에 평균 3.74점(SD=0.95)으로 전년도 3.85점에 비해

다소 낮았다. 그 외 학교 시설에 대한 평가도 긍정적이었는데, 기자재 및 시설

3.76점(SD=0.89), 학교 주변 환경 3.84점(SD=0.95), 통학 조건 3.87점(SD=1.06)

이었다. 지역별로는 통학 조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중소도시의 교통 편

의성에 대한 만족도가 3.92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서 대도시 3.89점, 읍면지

역 3.52점으로 나타났다.

Page 220: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202

구분

유동적 공간

실외 공용 놀이터

예술 친화적 공간

별도의 공간

개방적 공간

교사 별도의 공간 수

있음 없음 있음 없음 있음 없음 있음 없음 있음 없음 있음 없음

전체 68.4 31.6 60.3 39.7 66.6 33.4 56.4 43.6 66.8 33.2 82.4 17.6 100.0(709)

지역규모

대도시 69.2 30.8 62.3 37.7 71.6 28.4 52.9 47.1 63.3 36.7 75.8 24.2 100.0(290)

중소도시 67.6 32.4 57.6 42.4 62.4 37.6 57.3 42.7 68.7 31.3 87.6 12.4 100.0(367)

<표 Ⅲ-4-14> 학교 환경에 대한 인식

단위: 점(명)

구분건물상태 기자재 및 시설 주변환경

통학조건(교통 편의성) (수)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전체 3.74 0.95 3.76 0.89 3.84 0.95 3.87 1.06 (709)

지역규모

대도시 3.76 0.94 3.80 0.86 3.82 0.99 3.89b 1.04 (290)

중소도시 3.71 0.97 3.70 0.91 3.86 0.92 3.92b 1.06 (367)

읍면지역 3.86 0.91 3.92 0.76 3.78 0.92 3.52a 1.10 ( 52)

F 0.85 2.46 0.08 4.79**

주: 1) 담임교사의 응답임.2) 5점 척도임(1.매우 나쁘다~5.매우 좋다).

** p < .01.

교사를 대상으로 근무하는 학교에 특별 공간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활동의 확장

혹은 전환이 가능한 유동적 공간이 있는지 묻는 문항에 68.4%가 있다고 응답하였

으며, 60.3%가 아동들의 실외 공용 놀이터가 충분히 확보되어 있다고 응답하였다.

자연과 예술친화적인 공간의 유무에 대해선 66.6%가 있으며, 교실 외에 아동의 활

동을 위해 복도나 코너 등에 별도의 공간 유무에 대해 56.4%가 있다고 응답하였

다. 또한 전체 교사의 56.4%가 교사와 아동이 소통하는 개방적인 공간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82.4%가 교사들끼리 소통할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이 있다고 응답하

였다. 지역규모별로 비교해보면 유동적 공간, 실외 공용놀이터, 예술 친화적 공간,

별도의 공간, 개방적 공간비율에서 유의미한 편차는 보이지 않았으나 전반적으로

중소도시가 대도시 및 읍면지역에 비해 높은 편이었다. 한편, 개방적 공간과 교사

별도의 공간은 대도시가 중소도시 및 읍면지역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표 Ⅲ-4-15> 교육시설 만족도(물리적 환경)

단위: %(명)

Page 221: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203

구분

유동적 공간

실외 공용 놀이터

예술 친화적 공간

별도의 공간

개방적 공간

교사 별도의 공간 수

있음 없음 있음 없음 있음 없음 있음 없음 있음 없음 있음 없음

읍면지역 70.0 30.0 67.5 32.5 68.7 31.3 69.0 31.0 72.1 27.9 81.9 18.1 100.0( 52)

χ2(df) 0.10(2) 2.39(2) 1.74(2) 3.66(2) 1.47(2) 15.05(2)***

주: 담임교사의 응답임.*** p < .001.

다) 교사 특성

교사들의 성별은 여자 교사가 74.8%, 남자 교사가 25.2%이었다. 전체 남자 응

답자 중 읍면지역에 근무하는 비율이 40.8%로 대도시 및 중소도시에 비해 다소

높았다.

<표 Ⅲ-4-16> 교사 성별

단위: %(명)

구분 여 남 계(수) χ2(df)

전체 74.8 25.2 100.0(709)

지역규모

대도시 79.5 20.5 100.0(290)

14.09(2)*** 중소도시 73.4 26.6 100.0(367)

읍면지역 59.2 40.8 100.0(52)

주: 담임교사의 응답임.*** p < .001.

교사 연령은 평균 37.84세(SD=8.99)이고 평균 경력은 약 8.61년(SD=12.00)으

로 전년도의 평균 연령 40세, 평균 경력 15.61년에 비해 낮았다. 지역 규모별로

비교해보면 읍면 지역의 교사 연령 및 경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

다. 교사 월평균 주중 근무시간은 평균 169.63시간(SD=14.50)으로 읍면지역의 교

사가 대도시 및 중소도시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적게 근무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Page 222: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204

<표 Ⅲ-4-17> 교사 연령 및 경력

단위: 세, 년, 시간(명)

구분교사 연령 교사 경력

교사 월평균 주중 근무시간 (수)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전체 37.84 8.99 8.61 12.00 169.63 14.50 (709)

지역규모

대도시 38.59a 8.61 8.14a 14.00 171.40b 14.36 (290)

중소도시 37.26a 9.07 8.56a 11.00 168.90ab 14.79 (367)

읍면지역 37.82a 10.13 10.61a 10.00 165.32a 11.73 ( 52)

F 3.47* 5.06** 5.16**

주: 담임교사의 응답임.* p < .05, ** p < .01.

교사 최종 학력은 대졸이 64.9%로 가장 많았으며, 석사가 23%, 석사과정이

9.3%순이었다. 지역별로는 중소도시에서 대졸 출신 비율이 높았으며, 석사학위 비

율은 대도시가 32.2%, 읍면 지역이 20.6%로 중소도시에 비해 다소 높았다.

<표 Ⅲ-4-18> 교사 최종학력

단위: %(명)

초대졸 대졸 석사과정 석사 박사과정 박사 계(수)

전체 1.3 64.9 9.3 23.0 0.6 1.0 100.0(709)

지역규모

대도시 0.0 57.6 9.2 32.2 0.9 0.3 100.0(290)

중소도시 1.6 70.3 9.9 16.2 0.5 1.5 100.0(367)

읍면지역 6.5 66.6 5.3 20.6 0.0 1.0 100.0( 52)

χ2(df) 34.06(10)***

주: 담임교사의 응답임.*** p < .001.

교사들이 업무에서 받는 스트레스에 대해 5점 척도로 질문한 결과, 생활지도에

서 평균 3.27점(SD=1.17)으로 높았으며, 그 다음은 행정업무가 3.20점(SD=1.20)

이었다.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받는 스트레스는 2.85점(SD=1.16), 수업지도에서

받는 스트레스는 2.45점(SD=1.03), 순이었다. 교사 연령별로 살펴보면, 20대와

40대가 상대적으로 스트레스를 높게 응답하였다. 교사 경력별로 살펴보면 경력이

10년차 이하인 경우 고경력에 비해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다고 응답하였다.

Page 223: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205

구분친밀 갈등

(수)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전체 4.10 0.61 1.33 0.48 (709)

교사 연령

20대 3.99 0.66 1.34 0.48 (151)

30대 4.13 0.58 1.26 0.41 (242)

40대 4.12 0.59 1.36 0.53 (222)

50대 이상 4.13 0.62 1.41 0.54 ( 94)

F 0.99 0.49

교사 경력

<표 Ⅲ-4-19> 교사 업무 스트레스

단위: 점, (명)

구분학부모와 관계 생활지도 수업지도 행정업무

수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전체 2.85 1.16 3.27 1.17 2.45 1.03 3.20 1.20 (709)

교사 연령

20대 3.00b 1.14 3.52b 1.14 2.74b 1.04 3.40b 1.21 (151)

30대 2.82b 1.12 3.20b 1.14 2.35ab 1.02 3.24b 1.16 (242)

40대 2.95b 1.20 3.35b 1.18 2.39ab 0.99 3.25b 1.21 (222)

50대 이상 2.38a 1.11 2.80a 1.16 2.34a 1.05 2.61a 1.08 (94)

F 9.73*** 7.11*** 3.17* 7.76***

교사 경력

10년차 이하 2.93a 1.13 3.40b 1.15 2.57a 1.03 3.33b 1.17 (310)

11~20년 2.82a 1.21 3.19ab 1.19 2.35a 1.01 3.24b 1.21 (275)

21~30년 2.72a 1.11 3.18ab 1.11 2.33a 1.00 2.86ab 1.16 (92)

31년차 이상 2.55a 1.13 2.83a 1.24 2.38a 1.10 2.53a 1.11 (32)

F 3.06* 3.36* 2.42 6.79***

주: 1) 담임교사의 응답임.2) 5점 척도임(1.전혀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다. ~ 5.스트레스를 많이 받는다.).

* p < .05, *** p < .001.

라) 학급운영

교사들이 패널 대상 아동과의 관계에 대해 15개의 문항으로 친밀도와 갈등을 평

가하였다. 5점 척도로 응답한 결과를 살펴보면, 친밀하다고 응답한 결과는 평균

4.10점(SD=0.61)인 반면, 갈등 관계라는 응답은 평균 1.33점(SD=0.48)으로 낮았

다. 이러한 경향은 교사 연령에서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표 Ⅲ-4-20> 아동과 교사 관계

단위: 점, (명)

Page 224: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206

구분친밀 갈등

(수)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10년차 이하 4.05 0.64 1.31 0.46 (310)

11~20년 4.12 0.59 1.31 0.51 (275)

21~30년 4.19 0.60 1.40 0.50 ( 92)

31년차 이상 4.11 0.53 1.33 0.48 ( 32)

F 1.63 0.05

주: 1) 담임교사의 응답임.2) 5점 척도임(전혀 그렇지 않다~5.매우 그렇다).

아동에게 재학 중인 학교의 창의적 환경에 대해 질문한 결과, 친구들의 지지 및

즐거운 반 분위기는 평균 3.89점(SD=0.88), 교사지지 및 즐거운 반 분위기는 평균

3.90점(SD=0.78)인 반면, 엄격한 규칙 및 지시적 분위기는 평균 3.68점(SD=0.69)

이었다. 모든 항목에서 교사 연령 및 경력에 따른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전년

도와 비교할 때 친구와 교사의 지지 및 즐거운 반분위기는 각각 0.01점, 0.06점

만큼 감소한 반면, 엄격한 규칙 및 지식적 분위기는 0.13점 만큼 증가하였다.

<표 Ⅲ-4-21> 창의적 학교 환경

단위: 점

구분

친구들의 지지/즐거운 반 분위기

교사 지지/즐거운 반분위기엄격한 규칙과지시적

분위기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전체 3.89 0.88 3.90 0.78 3.68 0.69

교사 연령

20대 3.86 0.83 3.93 0.73 3.69 0.67

30대 3.99 0.90 3.98 0.78 3.82 0.62

40대 3.85 0.91 3.92 0.78 3.65 0.67

50대 이상 3.82 0.81 3.79 0.74 3.73 0.73

F 0.75 0.65 1.41

교사 경력

10년차 이하 3.88 0.87 3.98 0.74 3.77 0.63

11~20년 3.92 0.93 3.92 0.81 3.70 0.67

21~30년 3.88 0.84 3.79 0.72 3.69 0.66

31년차 이상 3.92 0.71 3.89 0.74 3.64 0.88

F 0.11 0.76 0.73

주: 1) 아동의 응답임.2) 4점 척도임(1.전혀 그렇지 않다.~4.매우 그렇다.).

Page 225: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207

마) 가정협력

교사들에게 부모의 학교 참여에 대해 설문한 결과, 대체로 참여하는 경우가

36.9%, 항상 참여하는 경우는 25.7%로 전반적으로 참여비율이 61.6% 이었다. 아

동성별, 아동출생순위, 가구소득, 지역규모에 따른 부모의 학교 생활 참여도를 비

교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표 Ⅲ-4-22> 부모의 학교생활 참여도

단위: %(명), 점

구분전혀

참여하지 않음

참여하지않는 편임

보통대체로 참여함

항상 참여

계(수) 평균표준편차

전체 3.4 12.0 22.1 36.9 25.7 100.0(709) 3.69 1.08

아동성별

남아 3.7 12.8 18.4 38.8 26.3 100.0(365) 3.71 1.10

여아 3.0 11.2 26.1 34.7 25.0 100.0(344) 3.67 1.06

χ2(df) 1.39(4)

아동출생순위

외동아 3.0 9.8 32.5 26.3 28.4 100.0( 62) 3.67 1.08

첫째 3.1 8.6 18.6 41.8 27.9 100.0(268) 3.83 1.03

둘째 이상 3.7 15.2 23.0 34.8 23.4 100.0(379) 3.59 1.11

χ2(df) 12.06(8)

가구소득

399만원 이하 2.2 11.0 22.0 37.5 27.2 100.0(153) 3.77 1.04

400~499만원 2.0 11.6 23.9 32.7 29.8 100.0(132) 3.77 1.06

500~599만원 2.8 11.3 25.2 32.6 28.1 100.0(158) 3.72 1.08

600만원 이상 4.8 13.7 16.0 42.9 22.5 100.0(207) 3.65 1.12

χ2(df) 13.81(12)

지역규모

대도시 3.2 12.7 21.8 38.5 23.8 100.0(290) 3.67 1.07

중소도시 3.8 12.5 19.8 36.0 27.9 100.0(367) 3.72 1.11

읍면지역 1.7 4.8 38.7 34.0 20.8 100.0( 52) 3.67 0.91

χ2(df) 12.09(8)

주: 담임교사의 응답임.

보호자에게 학교 행사 참여에 대해 질문한 결과, 어머니만 참여한 경우가 담임

상담 82,3%, 학부모 공개수업 70.2%, 자원봉사 57.7%, 운동회 55%, 학부모총회

44.7%순이었다. 아버지만 참여한 경우는 학부모 공개수업 3.1%, 자원봉사와 담임

상담 2.1%, 운동회 1.9% 순이었다. 부모 모두 참여한 경우 운동회 14.9%, 학부모

Page 226: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208

구분전혀 관심없음

가끔관심을 보임

보통대체로 관심을 보임

매우 관심이 많음

계(수) 평균표준편차

전체 0.7 4.4 11.6 44.3 38.9 100.0 (709) 4.16 0.85

성별

남아 1.2 4.4 12.0 43.3 39.2 100.0 (365) 4.15 0.88

여아 0.2 4.4 11.2 45.4 38.7 100.0 (344) 4.18 0.81

χ2(df)/t 2.00(3) -0.11

공개 수업 7.3%, 담임 상담 3%, 자원봉사 2.5% 순이었으며, 참여한 적 없는 행사

로 학교 운영 위원회 80.7%, 부모교육 프로그램 59.6%, 학부모총회 51.5%, 자원

봉사 35.4%, 운동회 18% 순이었다.

<표 Ⅲ-4-23> 부모의 학교행사 참여 여부(중복응답)

단위: %(명)

구분참여한 적

없음어머니만

참여아버지만

참여부모 모두

참여행사

미개최

운동회 18.1 55.0 1.9 14.9 10.2

자원봉사 35.4 57.7 2.1 2.5 2.3

학부모 공개 수업 16.0 70.2 3.1 7.3 3.4

부모교육 프로그램 59.6 35.3 0.4 1.3 3.4

담임 상담 12.1 82.3 2.1 3.0 0.5

학교 운영 위원회 80.7 14.1 0.9 0.9 3.4

학부모총회 51.5 44.7 0.8 1.3 1.8

사례수 (4,090) (5,033) (173) (425) (317)

주: 보호자의 응답임.

교사에게 부모의 학교 생활에 대한 관심도에 대해 질문한 결과, 대체로 관심을

보이는 비율이 44.3%, 매우 관심이 많음이 38.9%로 부모의 학교 생활에 관심을

보이는 비율이 83.2%에 달하며, 관심이 없거나 가끔 관심을 보이는 비율이 5.1%

로 나타났다. 아동성별, 가구소득, 지역규모에 따라 부모의 학교 생활 관심정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아동 출생 순위에 따라 부모의 학교 생활 관심

정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매우 관심이 많은 비율이 외동아인 경우

53.9%, 첫째 자녀인 경우 43.6%로 둘째 자녀에 비해 높았다.

<표 Ⅲ-4-24> 부모의 학교생활 관심정도

단위: %(명), 점

Page 227: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209

구분전혀 관심없음

가끔관심을 보임

보통대체로 관심을 보임

매우 관심이 많음

계(수) 평균표준편차

아동출생순위

외동아 1.0 3.9 14.7 26.5 53.9 100.0 ( 62) 4.28a 0.92

첫째 1.0 2.8 6.0 46.6 43.6 100.0 (268) 4.29a 0.78

둘째 이상 0.4 5.8 15.7 45.7 32.4 100.0 (379) 4.04a 0.87

χ2(df)/F 21.17(8)** 6.32**

가구소득

399만원 이하 0.4 5.8 9.0 48.4 36.4 100.0 (153) 4.15 0.84

400~499만원 0.6 4.0 10.7 47.4 37.3 100.0 (132) 4.17 0.82

500~599만원 0.7 3.4 14.3 43.2 38.4 100.0 (158) 4.15 0.84

600만원 이상 0.9 3.4 11.3 40.1 44.3 100.0 (207) 4.24 0.85

χ2(df)/F 6.92(12) 1.25

지역규모

대도시 0.4 3.9 11.3 44.9 39.6 100.0 (290) 4.19 0.81

중소도시 1.1 5.4 11.3 43.4 38.7 100.0 (367) 4.13 0.89

읍면지역 0.0 0.0 15.8 47.0 37.2 100.0 ( 52) 4.21 0.70

χ2(df)/F 6.58(8) 0.34

주: 담임교사의 응답임.** p < .01.

바) 사교육

학부모를 대상으로 패널 아동의 학교 수업 이외 교육여부 및 과목 수에 대해 조

사하였다. 전체 1,434명중에 학교 수업 이외 교육을 받는 비율이 97%이며, 사교

육을 받는 비율은 94.2%이다. 아동성별, 출생순위, 지역규모에 따라 교육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모 취업여부, 가구소득에 따라 유의미하였다. 어

머니가 취업을 한 경우 학교수업 이외 교육 참여비율이 유의미하게 높으며, 가구소

득이 높을수록 학교 수업 이외 교육 및 사교육 참여비율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특

히 가구소득에 따라 사교육 이용비율의 차이가 큰데, 가구 소득이 399만원 이하인

경우 사교육 이용비율은 86.1%이고, 가구소득이 600만원 이상인 경우 98.6%이었다.

Page 228: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210

<표 Ⅲ-4-25> 학교 수업 이외 교육 여부 및 과목 수

단위: %(명)

학교 수업 이외 교육 여부 사교육 여부

이용함 이용하지 않음 계(수) 이용함 이용하지 않음 계(수)

전체 97.0 3.0 100.0(1,434) 94.2 5.8 100.0(1,434)

아동 성별

남 96.8 3.2 100.0( 730) 94.2 5.8 100.0( 730)

여 97.2 2.8 100.0( 704) 94.3 5.7 100.0( 704)

χ2(df) 0.28(1) 0.00(1)

아동 출생순위

외동아 96.7 3.3 100.0( 150) 92.8 7.2 100.0( 150)

첫째 97.5 2.5 100.0( 518) 95.8 4.2 100.0( 518)

둘째 이상 96.6 3.4 100.0( 766) 93.3 6.7 100.0( 766)

χ2(df) 0.77(2) 4.25(2)

모 취업 여부

취업 98.2 1.8 100.0( 807) 95.5 4.5 100.0( 807)

미취업 95.6 4.4 100.0( 584) 92.7 7.3 100.0( 584)

χ2(df) 4.06(1)* 3.44(1)

가구 소득

399만원 이하 93.1 6.9 100.0( 290) 86.1 13.9 100.0( 290)

400~499 만원 97.4 2.6 100.0( 254) 94.4 5.6 100.0( 254)

500~599 만원 99.1 0.9 100.0( 301) 98.1 1.9 100.0( 301)

600만원 이상 99.5 0.5 100.0( 448) 98.6 1.4 100.0( 448)

χ2(df) 47.10(3)*** 83.74(3)***

지역규모

대도시 97.2 2.8 100.0( 570) 94.3 5.7 100.0( 570)

중소도시 97.0 3.0 100.0( 779) 94.9 5.1 100.0( 779)

읍면지역 95.1 4.9 100.0( 85) 88.5 11.5 100.0( 85)

χ2(df) 3.35(2) 3.96(2)

주: 보호자의 응답임.* p < .05, *** p < .001.

학교 수업 이외 교육 서비스 이용 유형을 살펴보면, 영어 교육을 받는 경우가

79.4%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은 수학 68.7%, 체육 61.8%, 국어 47.9%, 음악

44.4%, 과학 30.2%, 한자 20.7%, 컴퓨터 20.6%, 미술 20.3% 순이었다. 과목 내

에서 이용하는 교육 서비스 유형을 살펴보면, 국어, 영어, 수학, 예체능은 학원과

학습지를 이용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컴퓨터는 교내 방과 후 교실을 이용하는 비율

이 높았다.

Page 229: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211

구분 최소 최대 평균 표준편차 사례수

학원 1.00 20.00 8.28 4.72 (1,159)

가정 내 개인/그룹지도(과외) 0.50 20.00 3.34 2.89 ( 325)

학습지(방문교사) 0.50 12.50 1.37 1.50 ( 463)

인터넷 화상 강의 0.50 14.00 2.99 2.11 ( 140)

<표 Ⅲ-4-26> 학교 수업 이외 교육 서비스 이용 유형(중복응답)

단위: %(명)

구분 학원

가정 내 개인/그룹

지도(과외)

학습지(방문교사)

인터넷 화상 강의

교내 방과 후 교실

문화센터, 종교기관

및 사설기관

주민 센터,

복지관 등 공공기관

사례수

영어 79.460.6(690)

9.0(102)

12.0(137)

7.6(86)

8.9(101)

0.9(10)

1.113

(1,139)

국어 47.926.9(185)

16.9(116)

41.2(283)

9.8(67)

1.6(11)

1.0(7)

2.6(18)

( 687)

수학 68.739.0(384)

14.4(142)

31.1(306)

7.0(69)

5.8(57)

0.7(7)

2.0(20)

( 985)

과학 30.223.6(102)

13.4(58)

23.1(100)

13.4(58)

21.5(93)

1.2(5)

3.9(17)

( 433)

컴퓨터 20.64.4(13)

1.7(5)

2.0(6)

2.4(7)

87.5(258)

0.0(0)

2.0(6)

( 295)

한자 20.79.8(29)

9.1(27)

59.6(177)

4.7(14)

14.8(44)

0.3(1)

1.7(5)

( 297)

음악 44.463.5(404)

9.1(58)

0.2(1)

0.5(3)

20.4(130)

3.3(21)

3.0(19)

( 636)

미술 20.354.3(158)

12.4(36)

1.4(4)

0.7(2)

22.7(66)

4.1(12)

4.5(13)

( 291)

체육 61.865.7(582)

3.2(28)

0.1(1)

0.0(0)

16.6(147)

8.2(73)

6.2(55)

( 886)

주: 보호자의 응답임.

주당 학교 외 교육 서비스 이용 시간을 분석한 결과, 학원에서 주당 평균 8.28시

간(SD=4.72) 이용하며, 주민센터, 복지관 등 공공기관 3.73시간(SD=4.35), 교내

방과 후 교실 3.51시간(SD=2.65), 가정 내 개인・그룹지도(과외) 3.34시간(SD=2.89),

문화센터, 종교기관 및 사설 기관 3.12 시간(SD=2.31) 순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

로 이용시간이 적은 교육 서비스는 학습지(방문교사)로 약 1.37시간(SD=1.50)을

이용하였다.

<표 Ⅲ-4-27> 학교 외 교육 서비스 주당 이용 시간

단위: 시간(명)

Page 230: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212

구분 최소 최대 평균 표준편차 사례수

교내 방과 후 교실 0.50 20.00 3.51 2.65 ( 632)

문화센터, 종교기관 및 사설기관 0.50 15.00 3.12 2.31 ( 116)

주민 센터, 복지관 등 공공기관 0.50 20.00 3.73 4.35 ( 102)

주: 보호자의 응답임.

학교 외 교육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주당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

는 학원의 경우 대체로 만족하는 비율이 76.1%, 매우 만족하는 비율이 13.1%이었

다. 만족도(대체로 만족과 매우 만족함을 포함)가 가장 높은 교육 서비스는 문화센

터, 종교기관 및 사설 기관 90.5%, 학원 89.2%, 교내 방과 후 교실 87.7%, 주민

센터, 복지관 등 공공기관 87.1%순이었다. 한편, 인터넷 화상강의와 학습지(방문

교사)에 만족하는 비율이 77.9%, 77.4%로 가장 낮았다.

<표 Ⅲ-4-28> 학교 외 교육 서비스 만족도

단위: %(명), 점

구분

매우 만족하지 않음

대체로 만족하지 않음

보통임대체로만족

매우만족

계(수) 평균표준편차

학원 0.1 0.3 10.4 76.1 13.1 100.0(1,159) 4.02 0.51

가정 내 개인/그룹지도(과외) 0.5 0.9 12.2 68.7 17.8 100.0( 325) 4.02 0.61

학습지(방문교사) - 0.9 21.8 65.2 12.2 100.0( 463) 3.89 0.60

인터넷 화상 강의 - - 22.1 65.6 12.3 100.0( 140) 3.90 0.58

교내 방과 후 교실 0.4 1.2 10.7 69.0 18.7 100.0( 632) 4.04 0.61

문화센터, 종교기관 및 사설기관 - 1.8 7.7 77.1 13.4 100.0( 116) 4.02 0.53

주민 센터, 복지관 등 공공기관 0.6 1.0 11.2 68.7 18.4 100.0( 102) 4.03 0.63

주: 보호자의 응답임.

학교 외 교육 서비스 이용에 매월 지출하는 비용을 조사하였다. 일주일에 가장

많은 시간을 이용하는 학원은 월 평균 33.68만원(SD=23.10)으로 전년도인 2017

년(10차 년도)의 17.90만원과 비교해볼 때, 학원에 지출하는 비용이 급격하게 증

가하였다. 다음으로 가정 내 개인/그룹지도(과외) 18.69만원, 문화센터, 종교기관

및 사설 기관 12.98만원, 학습지(방문교사) 11.06만원, 인터넷 화상 강의 9.53만

원, 교내 방과 후 교실 6.70만원, 주민 센터, 복지관 등 공공기관 5.77만원 순이었다.

Page 231: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213

<표 Ⅲ-4-29> 학교 외 교육 서비스 월 평균 이용비용

단위: 만원, (명)

구분 최소 최대 평균 표준편차 사례수

학원 3.00 200.00 33.68 23.10 (1,157)

가정 내 개인/그룹지도(과외) 0.50 200.00 18.69 16.30 ( 300)

학습지(방문교사) 0.60 45.00 11.06 7.24 ( 461)

인터넷 화상 강의 0.50 30.00 9.53 5.54 ( 129)

교내 방과 후 교실 0.50 73.00 6.70 4.97 ( 565)

문화센터, 종교기관 및 사설기관 1.00 200.00 12.98 27.55 ( 103)

주민 센터, 복지관 등 공공기관 0.50 75.00 5.77 8.00 ( 70)

주: 보호자의 응답임.

학교 이외의 교육 서비스 비용에 대한 부담 정도를 분석하였다. 부담이 된다고

응답한 비율(부담되는 편과 매우 부담됨을 포함)을 살펴보면 학원이 49.3%, 가정

내 개인/그룹지도(과외) 36.7%, 학습지(방문교사) 30%, 인터넷 화상강의 26.5%

순이었다.

<표 Ⅲ-4-30> 학교 외 교육 서비스 비용 부담도

단위: %(명), 점

구분

전혀 부담되지 않음

부담되지

않는 편적당함

부담되는 편

매우부담됨

계(수) 평균표준편차

학원 2.4 8.3 40.0 43.3 6.0 100.0(1,159) 3.42 0.82

가정 내 개인/그룹지도(과외) 4.0 6.6 52.7 33.2 3.5 100.0(325) 3.25 0.80

학습지(방문교사) 2.4 10.4 57.2 26.8 3.2 100.0(463) 3.18 0.75

인터넷 화상 강의 6.9 14.5 52.0 26.5 - 100.0(140) 2.98 0.83

교내 방과 후 교실 6.9 22.3 61.5 8.7 0.5 100.0(632) 2.74 0.73

문화센터, 종교기관 및 사설기관 10.8 19.5 57.9 9.0 2.8 100.0(103) 2.74 0.87

주민 센터, 복지관 등 공공기관 13.6 20.0 54.4 11.1 0.9 100.0(70) 2.66 0.88

주: 보호자의 응답임.

다. 지역사회 특성

가) 일반적 특성

패널 가구의 아동 출생 후 총 이사 횟수는 1회가 32.6%, 2회가 11.2%, 3회가

3.3%였으며 이사한 적이 없는 경우가 51.6%를 차지하였다.

Page 232: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214

<표 Ⅲ-4-31> 출생 후 총 이사 횟수

단위: %(명), 회

0회 1회 2회 3회 4회 5회 계(수) 평균 표준편차

51.6 32.6 11.2 3.3 1.0 0.3100.0(1,434)

0.70 0.90

주: 보호자의 응답임.

아동패널 가구가 거주하는 지역 규모는 중소도시가 53.6%로 가장 많았으며, 대

도시가 40.3%, 읍면지역이 6.1%순이었다.

<표 Ⅲ-4-32> 지역규모

단위: %(명)

구분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계(수)

전체 40.3 53.6 6.1 100.0(1,434)

성별

남아 40.4 54.7 4.9 100.0(730)

여아 40.1 52.4 7.4 100.0(704)

아동출생순위

외동아 38.8 54.7 6.6 100.0(150)

첫째 42.7 51.8 5.5 100.0(518)

둘째 이상 38.7 54.8 6.5 100.0(766)

모 취업 여부

취업 40.4 53.6 6.1 100.0(807)

미취업 41.1 52.7 6.1 100.0(584)

모 학력

고졸이하 40.7 49.7 9.6 100.0(377)

전문대졸 37.5 54.3 8.2 100.0(410)

대졸이상 41.8 55.3 2.8 100.0(628)

가구소득

399만원 이하 43.8 44.7 11.5 100.0(290)

400~499만원 34.5 57.8 7.7 100.0(254)

500~599만원 41.6 54.1 4.3 100.0(301)

600만원 이상 38.9 57.9 3.2 100.0(448)

주: 보호자의 응답임.

패널 거주 지역을 6개 권역으로 구분하였을 때, 경인권에 거주하는 가구가 전체

33.9%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서 서울권 16.%, 부산/울산/경남권 15%, 대전/충청

/강원권 14.2%, 광주/전라권 11.6%, 대구/경북권 9.3%순이었다.

Page 233: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215

<표 Ⅲ-4-33> 6개 권역 구분

단위: %(명)

구분 서울권 경인권대전/충청/강원권

대구/경북권

부산/울산/경남권

광주/전라권

전체 16.0 33.9 14.2 9.3 15.0 11.6 100.0(1,434)

성별

남아 16.0 33.8 14.2 9.4 15.0 11.7 100.0( 730)

여아 16.0 34.1 14.2 9.2 14.9 11.6 100.0( 704)

아동출생순위

외동아 17.1 33.6 7.2 8.6 22.6 11.0 100.0( 150)

첫째 16.8 32.1 13.3 9.1 16.2 12.5 100.0( 518)

둘째 이상 15.2 35.4 16.5 9.5 12.3 11.1 100.0( 766)

모 취업 여부

취업 15.6 33.5 15.3 8.0 14.5 13.0 100.0( 807)

미취업 16.9 33.6 13.0 10.9 15.6 9.9 100.0( 584)

모 학력

고졸이하 12.1 34.8 15.7 11.6 16.9 8.9 100.0( 377)

전문대졸 13.4 31.0 14.2 11.9 14.8 14.7 100.0( 410)

대졸이상 19.7 35.3 13.3 6.4 14.0 11.3 100.0( 628)

가구소득

399만원 이하 11.0 22.3 15.8 15.8 20.5 14.5 100.0( 290)

400~499만원 11.1 40.3 16.0 7.3 15.9 9.3 100.0( 254)

500~599만원 17.6 30.4 15.3 12.2 13.2 11.4 100.0( 301)

600만원 이상 17.6 37.5 11.7 5.4 14.7 12.9 100.0( 448)

나) 양육환경

교육, 의료, 복지 시설의 접근 편리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의료기관 접근이 편리

하다는 응답이 49.5%, 매우 편리하다는 응답이 11.8%이었으며, 교육기관 접근이

편리하다는 응답이 40.3%, 매우 편리하다는 응답이 8.7%이었다. 공공복지시설 접

근이 편리하다는 응답은 32.4%, 매우 편리하다는 응답은 6.1%로 가장 낮은 편이

었다. 지역 규모별로 각 기관의 접근 편리성을 분석한 결과, 대도시에서 중소도시,

읍면지역으로 갈수록 편리성은 감소하였다. 의료기관의 경우 읍면지역이 편리하다

고 응답한 비율은 19.1%, 매우 편리하다는 응답이 3.8%이었으며, 교육기관의 경

우 접근이 편리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16.3%, 매우 편리하다는 응답이 2.9%, 공공

복지시설의 접근이 편리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17.8%, 매우 편리하다는 응답이

4.9%이었다.

Page 234: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216

<표 Ⅲ-4-34> 교육・의료・복지 시설 편리성

단위: %(명), 점

구분매우

불편함불편한편임

보통임편리한편임

매우편리함

계(수) 평균표준편차

의료기관

전체 3.5 8.8 26.5 49.5 11.8 100.0(1,434) 3.57 0.93

대도시 1.5 4.7 23.4 55.9 14.6 100.0(570) 3.77c 0.81

중소도시 3.0 10.3 27.9 48.2 10.6 100.0(779) 3.53b 0.92

읍면지역 20.9 22.0 34.2 19.1 3.8 100.0(85) 2.63a 1.12

χ2(df)/F 140.95(8)*** 60.14***

교육기관

전체 5.6 14.1 31.3 40.3 8.7 100.0(1,434) 3.32 1.01

대도시 3.9 10.0 31.3 44.3 10.4 100.0(570) 3.47b 0.95

중소도시 4.7 15.4 31.8 39.9 8.1 100.0(779) 3.31b 0.98

읍면지역 24.6 28.9 27.3 16.3 2.9 100.0(85) 2.44a 1.11

χ2(df)/F 98.65(8)*** 41.17***

공공복지시설

전체 6.3 16.0 39.2 32.4 6.1 100.0(1,434) 3.16 0.98

대도시 4.2 14.3 41.4 33.2 6.9 100.0(570) 3.24b 0.93

중소도시 5.7 16.9 38.2 33.5 5.7 100.0(779) 3.17b 0.97

읍면지역 25.1 18.9 33.4 17.8 4.9 100.0(85) 2.58a 1.18

χ2(df)/F 67.00(8)*** 16.71***

주: 보호자의 응답임.*** p < .001.

패널 부모에게 여가공간과 시설 접근 편리성에 대해 질문하였다. 그 결과, 놀이

터, 산책로, 공원 접근이 편리한 편이라는 응답이 각각 49.3%, 49%, 46.5%, 매우

편리하다는 응답이 각각 21.9%, 18.3%, 18.2%이었다. 반면, 놀이공원, 실내체육

시설, 실외 체육시설 접근이 편리한 편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18.1%, 11.1%, 8.2%

로 낮게 나타났다. 여가공간 및 시설 접근 편리성도 지역 규모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놀이터, 공원의 경우 대도시에 거주하는 아동패널은 편리

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48%, 45.1%이었지만 읍면 지역에 거주하는 아동패널은

28.4%, 28.7%이 편리하다고 응답하였다. 지역규모별로 산책로, 놀이공원, 실내

체육시설, 실외체육시설의 접근 편리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Page 235: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217

<표 Ⅲ-4-35> 여가 공간・시설 편리성

단위: %(명), 점

구분매우

불편함불편한편임

보통임편리한편임

매우편리함

계(수) 평균표준 편차

놀이터

전체 4.2 8.8 15.9 49.3 21.9 100.0(1,434) 3.76 1.02

대도시 1.5 9.4 16.5 48.0 24.6 100.0( 570) 3.85b 0.95

중소도시 4.6 6.8 14.5 52.7 21.4 100.0( 779) 3.80b 1.00

읍면지역 18.6 21.9 23.4 28.4 7.7 100.0( 85) 2.85a 1.24

χ2(df)/F 93.41(8)*** 36.14***

공원

전체 4.8 11.2 19.4 46.5 18.2 100.0(1,434) 3.62 1.05

대도시 3.3 12.5 19.8 45.1 19.2 100.0( 570) 3.64b 1.03

중소도시 4.2 9.8 18.2 49.5 18.3 100.0( 779) 3.68b 1.02

읍면지역 20.1 14.3 26.8 28.7 10.2 100.0( 85) 2.95a 1.28

χ2(df)/F 50.59(8)*** 15.27***

산책로

전체 3.2 9.5 20.0 49.0 18.3 100.0(1,434) 3.70 0.98

대도시 1.7 10.0 20.8 48.9 18.6 100.0( 570) 3.73b 0.93

중소도시 3.3 8.6 18.6 50.4 19.0 100.0( 779) 3.73b 0.97

읍면지역 11.5 14.5 26.5 37.0 10.5 100.0( 85) 3.20a 1.16

χ2(df)/F 26.74(8)** 8.60***

놀이공원

전체 20.7 31.0 26.6 18.1 3.6 100.0(1,434) 1.11 2.00

대도시 15.2 29.9 29.2 21.2 4.6 100.0( 570) 1.10c 3.00

중소도시 21.3 31.6 26.7 17.6 3.0 100.0( 779) 1.10b 2.00

읍면지역 52.6 32.6 9.6 2.9 2.3 100.0( 85) 0.93a 1.00

χ2(df)/F 84.01(8)*** 36.40***

실내체육시설

/놀이시설

전체 13.8 29.1 39.0 11.1 - 100.0(1,434) 3.34 1.07

대도시 11.4 28.0 43.6 12.8 - 100.0( 570) 3.49 0.99

중소도시 14.2 30.4 37.9 10.2 - 100.0( 779) 3.30 1.06

읍면지역 26.0 25.1 18.0 8.2 - 100.0( 85) 2.63 1.24

χ2(df)/F 53.52(8)*** 7.92***

실외체육시설

전체 17.8 32.5 34.1 8.2 - 100.0(1,434) 3.18 1.06

대도시 18.4 32.2 35.1 8.5 - 100.0( 570) 3.22 1.03

중소도시 16.4 33.8 35.4 7.9 - 100.0( 779) 3.22 1.02

읍면지역 25.3 23.0 15.8 8.7 - 100.0( 85) 2.53 1.28

χ2(df)/F 58.55(8)*** 1.41

주: 보호자의 응답임.** p < .01, *** p < .001.

아동패널 거주지의 문화시설 편리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문화시설로 영화관, 관

람 및 체험시설, 공연시설, 도서관의 접근 편리성에 대해 조사하였는데, 도서관과

영화관 접근이 편리하다고 응답한 비율(편리한 편임과 매우 편리함을 포함)이 각각

66.3%, 56.4%인 반면, 관람 및 체험시설과 공연시설은 각각 32.3%, 29.5%로 낮

Page 236: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218

았다. 지역별 접근 편리성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대도시일수록 문화시설에

접근이 편리하였다.

<표 Ⅲ-4-36> 문화시설 편리성

단위: %(명), 점

구분매우

불편함불편한편임

보통임편리한편임

매우편리함

계(수) 평균표준 편차

영화관

전체 7.2 11.5 24.9 44.3 12.1 100.0(1,434) 3.43 1.07

대도시 3.0 11.1 27.8 43.0 15.0 100.0( 570) 3.56b 0.98

중소도시 6.6 11.7 22.9 47.9 10.8 100.0( 779) 3.45b 1.05

읍면지역 39.3 11.7 23.6 21.0 4.3 100.0( 85) 2.39a 1.31

χ2(df)/F 133.92(8)*** 39.91***

관람 및 체험시설

전체 13.5 22.2 32.1 28.1 4.2 100.0(1,434) 2.87 1.09

대도시 9.1 19.5 35.3 30.1 6.1 100.0( 570) 3.05b 1.05

중소도시 13.7 23.2 31.7 28.3 3.0 100.0( 779) 2.84b 1.08

읍면지역 39.9 30.5 14.1 13.4 2.1 100.0( 85) 2.07a 1.12

χ2(df)/F 77.95(8)*** 29.22***

공연시설

전체 12.5 23.9 34.0 25.4 4.1 100.0(1,434) 2.85 1.07

대도시 8.7 21.8 34.6 28.9 6.1 100.0( 570) 3.02b 1.05

중소도시 12.6 24.9 35.3 24.5 2.7 100.0( 779) 2.80b 1.03

읍면지역 37.9 29.3 18.7 11.0 3.2 100.0( 85) 2.12a 1.13

χ2(df)/F 61.63(8)*** 22.23***

도서관

전체 3.1 8.1 22.4 48.4 17.9 100.0(1,434) 3.70 0.96

대도시 1.7 8.2 23.2 47.0 19.9 100.0( 570) 3.75b 0.92

중소도시 3.5 7.3 19.7 51.9 17.7 100.0( 779) 3.73b 0.95

읍면지역 9.8 15.0 41.4 26.9 6.9 100.0( 85) 3.06a 1.04

χ2(df)/F 43.63(8)*** 17.01***

주: 보호자의 응답임.*** p < .01.

부모의 교육, 의료, 복지 시설 이용 만족도는 의료기관, 교육기관, 공공복지시설

순으로 나타났다. 대체로 만족하는 비율과 매우 만족하는 비율이 의료기관의 경우

44.5%, 7.1%이며, 교육기관은 34.9%, 6.1%, 공공 복지시설은 27.6%, 3.8%이었

다. 지역별로 이용 만족도에 편차가 있었는데 의료기관, 교육기관, 공공복지시설

모두 대도시일수록 이용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대도시의 경

우 읍면지역에 비해 만족도가 약 3배에 달하였다.

Page 237: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219

<표 Ⅲ-4-37> 교육・의료・복지 시설 이용 만족도

단위: %(명), 점

구분매우

만족하지않음

약간만족하지

않음보통임

대체로만족함

매우만족함

계(수) 평균표준 편차

의료기관

전체 4.3 9.5 32.8 44.5 7.1 100.0(1,434) 4.35 1.02

대도시 2.0 5.6 32.2 50.9 8.0 100.0( 570) 4.54b 0.88

중소도시 4.8 10.6 33.0 42.8 7.0 100.0( 779) 4.31b 1.03

읍면지역 15.3 24.7 33.9 17.3 1.2 100.0( 85) 3.41a 1.19

χ2(df)/F 109.02(10)*** 60.14***

교육기관

전체 5.7 10.5 37.4 34.9 6.1 100.0(1,434) 4.09 1.19

대도시 2.6 7.7 40.1 37.6 7.3 100.0( 570) 4.25b 1.10

중소도시 6.7 11.2 36.0 35.4 5.5 100.0( 779) 4.06b 1.19

읍면지역 16.6 22.3 32.3 11.7 2.5 100.0( 85) 3.17a 1.32

χ2(df)/F 85.91(10)*** 41.17***

공공복지시설

전체 5.9 11.8 37.9 27.6 3.8 100.0(1,434) 3.72 1.37

대도시 4.4 10.0 37.0 29.7 4.1 100.0( 570) 3.75b 1.41

중소도시 6.0 12.3 39.0 28.0 3.6 100.0( 779) 3.77b 1.32

읍면지역 14.0 19.4 34.9 9.6 2.8 100.0( 85) 3.10a 1.37

χ2(df)/F 32.89(10)*** 16.71***

주: 보호자의 응답임.*** p < .001.

여가공간 및 시설 이용 만족도는 공원, 산책로, 놀이터, 실내 체육시설, 실외 체

육시설, 놀이공원 순으로 나타났다. 공원, 놀이터, 산책로의 경우 만족하는 비율(대

체로 만족과 매우 만족을 모두 포함)이 63.3%, 60.9%, 64.8%인 반면 실내 체육시

설, 실외 체육시설, 놀이공원의 경우 대체로 만족하는 비율이 46.7%, 40.2%,

31.9%로 나타났다. 지역 규모별로 여가 공간 및 시설 이용 만족도에 유의미한 차

이를 보였는데 놀이터, 산책로, 실외체육시설의 경우 중소도시의 만족도가 높은 반

면, 공원, 놀이공원, 실내 체육시설의 경우 대도시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Page 238: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220

<표 Ⅲ-4-38> 여가 공간・시설 이용 만족도

단위: %(명), 점

구분매우

만족하지않음

약간만족하지

않음보통임

대체로만족함

매우만족함

계(수) 평균표준 편차

놀이터

전체 3.7 7.3 28.0 50.9 10.0 100.0(1,365) 3.56 0.90

대도시 2.7 7.2 28.7 49.3 12.2 100.0( 553) 3.61b 0.89

중소도시 3.2 7.0 25.8 54.9 9.2 100.0( 742) 3.60b 0.87

읍면지역 17.1 12.4 44.1 24.0 2.4 100.0( 70) 2.82a 1.06

χ2(df)/F 77.44(10)*** 19.22***

공원

전체 4.5 6.6 25.6 51.0 12.3 100.0(1,365) 3.60 0.94

대도시 4.1 6.3 24.2 53.0 12.4 100.0( 543) 3.63b 0.92

중소도시 4.2 6.5 24.7 52.0 12.6 100.0( 749) 3.62b 0.93

읍면지역 10.1 9.3 43.2 28.3 9.0 100.0( 73) 3.17a 1.06

χ2(df)/F 35.53(10)*** 6.17**

산책로

전체 3.9 6.5 24.8 50.5 14.3 100.0(1,364) 3.65 0.94

대도시 4.5 6.2 23.5 52.6 13.2 100.0( 546) 3.64b 0.94

중소도시 2.9 6.6 24.5 50.3 15.6 100.0( 745) 3.69b 0.91

읍면지역 9.9 7.0 36.3 36.9 10.0 100.0( 73) 3.30a 1.07

χ2(df)/F 29.47(10)** 3.52*

놀이공원

전체 12.4 16.6 39.1 26.1 5.8 100.0(1,246) 2.96 1.08

대도시 8.4 16.0 37.9 29.3 8.5 100.0( 516) 3.14b 1.05

중소도시 14.3 16.3 39.7 25.3 4.3 100.0( 671) 2.89b 1.07

읍면지역 26.3 24.5 41.6 7.6 0.0 100.0( 59) 2.30a 0.94

χ2(df)/F 68.93(8)*** 21.24***

실내 체육시설/놀이시설

전체 5.9 10.3 37.2 39.5 7.2 100.0(1,312) 3.32 0.96

대도시 3.2 8.2 36.5 43.3 8.7 100.0( 526) 3.46b 0.88

중소도시 7.5 11.5 36.3 38.7 5.9 100.0( 720) 3.24ab 0.99

읍면지역 8.5 13.4 51.4 18.4 8.4 100.0( 66) 3.05a 0.99

χ2(df)/F 94.06(8)*** 9.65***

실외체육시설

전체 7.3 15.3 37.3 34.4 5.8 100.0(1,268) 3.16 1.00

대도시 6.0 16.2 37.6 33.1 7.1 100.0( 511) 3.19b 0.99

중소도시 7.9 13.6 36.2 37.1 5.2 100.0( 693) 3.18b 1.00

읍면지역 11.4 25.4 45.5 16.6 1.1 100.0( 64) 2.71a 0.91

χ2(df)/F 83.07(8)*** 7.23***

주: 보호자의 응답임.* p < .05, ** p < .01, *** p < .001.

문화시설 만족도는 도서관, 영화관, 관람 및 체험시설, 공연 시설 순이었다. 전체

중 만족하는 비율이 (대체로 만족함과 매우 만족함을 포함) 도서관 61.2%, 영화관

59%, 관람 및 체험시설 35.8%, 공연시설 30.5%이었다. 지역규모별 만족도를 살

Page 239: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221

펴보면 도서관을 제외하고 대도시에서 가장 높았다. 도서관의 경우 중소도시에서

가장 만족도가 높았으며, 대도시, 읍면지역 순이었다.

<표 Ⅲ-4-39> 문화시설 이용 만족도

단위: %(명), 점

구분매우

만족하지않음

약간만족하지

않음보통임

대체로만족함

매우만족함

계(수) 평균표준 편차

영화관

전체 4.6 6.9 26.0 48.5 10.5 100.0(1,434) 4.43 1.14

대도시 3.3 6.4 24.7 49.2 13.4 100.0( 570) 4.54b 1.09

중소도시 4.3 6.7 26.6 50.7 9.1 100.0( 779) 4.46b 1.06

읍면지역 15.7 11.5 29.0 24.0 4.1 100.0( 85) 3.42a 1.49

χ2(df)/F 98.86(10)*** 12.83***

관람 및 체험시설

전체 8.4 12.2 34.8 31.3 4.5 100.0(14,34) 3.84 1.31

대도시 6.7 11.3 33.8 34.6 5.6 100.0( 570) 3.97b 1.29

중소도시 8.3 13.0 35.0 31.2 3.9 100.0( 779) 3.83b 1.30

읍면지역 20.2 10.7 40.0 9.8 2.0 100.0( 85) 3.11a 1.36

χ2(df)/F 46.50(10)*** 11.18***

공연시설

전체 7.8 13.9 36.4 26.3 4.2 100.0(1,434) 3.71 1.35

대도시 6.1 12.5 34.4 28.2 5.7 100.0( 570) 3.76b 1.41

중소도시 8.2 14.6 37.7 26.7 3.4 100.0( 779) 3.74b 1.29

읍면지역 15.8 16.6 37.5 9.0 2.5 100.0( 85) 3.10a 1.36

χ2(df)/F 32.76(10)*** 7.51***

도서관

전체 3.3 5.8 24.7 48.5 12.7 100.0(1,434) 4.47 1.19

대도시 2.7 5.6 24.5 48.2 13.3 100.0( 570) 4.46b 1.21

중소도시 3.4 5.6 23.9 51.0 12.5 100.0( 779) 4.53b 1.12

읍면지역 6.2 9.8 32.8 27.7 11.7 100.0( 85) 3.93a 1.47

χ2(df)/F 15.97(8)* 4.31*

주: 보호자의 응답임.* p < .05, *** p < .001.

양육 환경의 안전성을 살펴보면 ‘범죄로부터 안전하다’고 답한 비율이 55.4%(대

체로 그러함과 매우 그러함을 포함), ‘유해시설로부터 안전하다’고 답한 비율이

69%, ‘경찰이나 방범대원들이 정기 순찰한다’고 답한 비율이 57.6% 이었다. 전반

적으로 안전한 환경에서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웃 간에 서로

도와주고 협조하는 분위기’라고 응답한 비율이 48.7%, ‘아이들이 잘못된 행동을

하면 바로 잡아준다’는 비율이 32.8%이었다. 양육환경의 안정성은 지역 규모에 따

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정기순찰 및 이웃 간의 협조 분위기의 경

Page 240: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222

구분전혀

그렇지 않음

그렇지않음

보통임대체로그러함

매우그러함

잘모름 계(수) 평균표준 편차

취객, 싸움이흔함

전체 30.2 49.4 12.3 4.4 2.7 1.0 100.0(1,434) 1.99 0.92

대도시 28.3 48.9 13.0 4.9 3.3 1.6 100.0( 570) 2.05 0.96

중소도시 31.5 51.1 10.7 3.7 2.3 0.6 100.0( 779) 1.94 0.88

읍면지역 31.7 38.0 22.1 7.4 0.8 0.0 100.0( 85) 2.08 0.95

χ2(df)/F 12.26(10) 0.45

범죄로부터안전

전체 4.2 14.2 25.7 37.3 18.1 0.5 100.0(1,434) 3.51 1.07

대도시 3.4 17.7 24.1 36.5 17.3 1.1 100.0( 570) 3.47 1.08

중소도시 4.6 11.3 26.4 39.3 18.4 0.2 100.0( 779) 3.56 1.06

읍면지역 6.3 16.6 30.2 25.2 21.6 0.0 100.0( 85) 3.39 1.18

χ2(df)/F 17.49(10) 0.08

유해시설로부터의 안전

전체 5.4 10.1 15.2 37.0 32.0 0.3 100.0(1,434) 3.80 1.15

대도시 5.6 11.7 15.9 36.7 29.5 0.6 100.0( 570) 3.73 1.17

중소도시 5.2 8.8 13.9 38.8 33.2 0.2 100.0( 779) 3.86 1.13

읍면지역 6.3 10.9 22.2 23.1 37.5 0.0 100.0( 85) 3.75 1.24

χ2(df)/F 19.33(10)* 1.93

정기순찰

전체 1.5 6.4 30.0 40.6 17.6 3.9 100.0(1,434) 3.69 0.90

대도시 0.9 4.8 24.3 43.4 22.1 4.5 100.0( 570) 3.85b 0.86

중소도시 1.7 7.3 33.2 39.4 14.7 3.8 100.0( 779) 3.61a 0.89

읍면지역 4.1 10.2 39.0 33.2 13.4 0.0 100.0( 85) 3.42a 0.98

χ2(df)/F 32.35(10)*** 11.23***

협조분위기

전체 1.2 8.7 38.1 38.7 10.6 2.6 100.0(1,434) 3.50 0.85

대도시 1.0 7.9 36.8 38.8 12.3 3.3 100.0( 570) 3.55a 0.85

중소도시 1.6 9.2 38.6 39.1 9.0 2.5 100.0( 779) 3.46a 0.85

읍면지역 0.0 9.9 42.5 33.8 13.7 0.0 100.0( 85) 3.51a 0.85

χ2(df)/F 13.84(10) 4.03*

행동바로

잡아주기

전체 2.3 17.3 41.7 27.5 7.3 3.8 100.0(1,434) 3.21 0.91

대도시 2.2 17.3 40.3 27.8 7.8 4.6 100.0( 570) 3.23a 0.92

중소도시 2.8 17.2 43.6 26.9 6.2 3.4 100.0( 779) 3.17a 0.89

읍면지역 0.0 18.3 33.4 31.4 13.6 3.2 100.0( 85) 3.42b 0.95

χ2(df)/F 17.23(10) 6.06**

시설물설치

전체 1.4 8.2 34.1 41.2 13.4 1.8 100.0(1,434) 3.58 0.88

대도시 1.7 7.2 31.2 43.2 13.7 2.9 100.0( 570) 3.62 0.88

우 대도시가 중소도시 및 읍면지역에 비해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나, 아이들의 행

동을 바로잡아 주기의 경우 읍면지역이 대도시 및 중소도시에 비해 높은 평가를

받았다.

<표 Ⅲ-4-40> 양육환경 안전성

단위: %(명), 점

Page 241: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223

구분전혀

그렇지 않음

그렇지않음

보통임대체로그러함

매우그러함

잘모름 계(수) 평균표준 편차

중소도시 1.2 8.2 34.8 41.4 13.3 1.1 100.0( 779) 3.58 0.87

읍면지역 0.0 15.1 46.5 26.2 12.2 0.0 100.0( 85) 3.36 0.88

χ2(df)/F 16.15(10) 2.68

안전설비구비

전체 2.4 8.6 34.8 37.9 13.7 2.6 100.0(1,434) 3.53 0.92

대도시 3.2 6.9 32.5 40.5 13.8 3.1 100.0( 570) 3.57 0.93

중소도시 2.1 8.8 36.1 37.0 13.6 2.4 100.0( 779) 3.52 0.91

읍면지역 0.0 18.6 38.1 29.6 13.7 0.0 100.0( 85) 3.38 0.94

χ2(df)/F 14.84(10) 1.19

구분 국민기초생활 수급자 차상위계층 해당없음 계(수)

전체 0.3 1.7 98.0 100.0(1,395)

모 취업 여부

취업 0.2 1.8 97.9 100.0(787)

미취업 0.4 1.6 98.0 100.0(566)

χ2(df) 1.54(2)

모 학력

고졸이하 1.2 3.8 95.0 100.0(366)

전문대졸 0.0 2.0 98.0 100.0(404)

대졸이상 0.0 0.3 99.7 100.0(607)

χ2(df) 28.66(4)***

가구소득

주: 1) 보호자의 응답임.2) 평균값은 잘모름을 제외하고 분석함.

* p < .05, ** p < .01, *** p < .001.

라. 정책 특성

가) 국가지원

패널 가구의 경제적 특성을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전체

국민 중 기초생활수급자나 차상위 계층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가 98%로 차상위 계

층은 1.7%, 국민기초생활 수급자는 0.3%로 조사되었다. 모 학력, 가구소득에 따라

패널 가구의 경제적 특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차상위 계층 및

국민기초생활 수급자에 속한 대상자가 소수이기 때문에 논의하지 않는다.

<표 Ⅲ-4-41>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상 구분

단위: %(명)

Page 242: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224

구분 국민기초생활 수급자 차상위계층 해당없음 계(수)

399만원 이하 1.5 6.4 92.1 100.0(285)

400~499만원 0.0 1.2 98.8 100.0(248)

500~599만원 0.0 0.4 99.6 100.0(295)

600만원 이상 0.0 0.2 99.8 100.0(433)

χ2(df) 76.37(6)***

지역규모

대도시 0.4 2.0 97.6 100.0(554)

중소도시 0.1 1.7 98.2 100.0(758)

읍면지역 1.5 0.7 97.8 100.0(83)

χ2(df) 4.53(4)

구분지원받음

지원받지 않음

계(수)정부보조

금친척, 친지 등

이웃복지관/종교단체

회사 (수)

전체 8.6 91.4 100.0(1423) 50.4 35.3 14.1 22.6 (135)

모 취업 여부

취업 8.0 92.0 100.0(802) 50.0 33.8 15.6 28.2 (69)

미취업 8.9 91.1 100.0(578) 52.4 38.3 8.0 18.3 (59)

χ2(df) 4.55(1)* 2.44(3)

모 학력

고졸이하 10.3 89.7 100.0(374) 75.5 19.1 8.5 13.3 (44)

전문대졸 10.3 89.7 100.0(407) 40.4 35.8 12.3 18.9 (40)

대졸이상 6.2 93.8 100.0(623) 39.6 51.8 15.0 37.4 (46)

χ2(df) 22.24(2)*** 15.16(6)*

가구소득

399만원 이하 15.7 84.3 100.0(289) 68.2 19.7 15.8 2.1 (46)

주: 보호자의 응답임.*** p < .001.

지난 1년간 정부 보조금을 포함한 생활비 지원에 대해 분석한 결과, 생활비 지원

을 받지 않는다고 응답한 경우가 91.4%로 전년도 94.5%에 비해 다소 감소하였다.

생활비 지원처는 정부 보조금이 50.4%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이 친척 및 친지

등 이웃 35.3%, 회사 22.6%, 복지관/종교단체 14.1%순이었다. 생활비 지원 여부

를 모 취업, 모 학력, 가구소득, 지역규모로 나누어 분석하였는데 모 학력이 낮을수

록,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지역규모가 중소도시일수록 정부보조금을 받는 비율이

늘어났다.

<표 Ⅱ-4-42> 생활비 지원 여부 및 지원처

단위: %(명)

Page 243: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225

구분지원받음

지원받지 않음

계(수)정부보조

금친척, 친지 등

이웃복지관/종교단체

회사 (수)

400~499만원 10.2 89.8 100.0(252) 49.0 34.2 26.9 31.4 (26)

500~599만원 6.6 93.4 100.0(300) 43.5 58.0 8.0 24.5 (24)

600만원 이상 3.5 96.5 100.0(443) 33.3 44.0 6.8 45.4 (20)

χ2(df) 144.26(3)*** 26.21(9)**

지역규모

대도시 9.8 90.2 100.0(567) 44.9 37.5 5.9 23.8 (62)

중소도시 7.7 92.3 100.0(773) 57.3 31.0 22.4 21.7 (65)

읍면지역 8.6 91.4 100.0(83) 36.7 51.7 9.1 20.7 (8)

χ2(df) 9.73(2)** 4.43(6)

주: 보호자의 응답임.* p < .05, ** p < .01, *** p < .001.

지난 1년간 직장 내 육아지원제도를 활용한 경우를 아버지와 어머니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용하지 않은 경우가 아버지는 93%, 어머니는 92.4%이었다. 이용률

이 높은 제도는 아버지의 경우 유연근무제 5.2%, 가족돌봄휴직 1.3%이었고, 어머

니의 경우 육아휴직 4.2%, 유연근무제 2.4%,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1.6%이었다.

<표 Ⅲ-4-43> 지난 1년간 직장 내 육아지원제도 이용비율

단위: %(명)

구분 출산휴가 육아휴직유연

근무제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가족돌봄 휴직

모두 이용안함

사례수

아버지 0.2 0.6 5.2 0.2 1.3 93.0 100.0(1,331)

어머니 1.7 4.2 2.4 1.6 0.4 92.4 100.0(807)

주: 어머니/아버지의 응답임.

패널 부모에게 체험학습 출석 인정 지원, 진로탐색교육, 학교폭력예방정책 등 학

교정책의 수혜 여부에 대해 조사하였다. 수혜 비율이 가장 높은 정책은 학교 폭력

예방정책 67.3%, 학교 급식 안전 관리 65.5%, 진로탐색 교육 48.3%, 체험학습

출석인정 45.5%, 인성체육예술교육 43.3%순이었으며, 장애학생 지원제도와 교육

비지원제도는 각각 11.5%, 11.2%로 낮게 나타났다.

Page 244: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226

<표 Ⅲ-4-44> 정책 수혜여부

단위: %(명)

구분

체험학습출석 인정

진로탐색교육

학교폭력예방정책

학교급식안전관리

장애학생지원제도

교육비지원제도

인성체육 예술교육

사례수

전체 45.5 48.3 67.3 65.5 11.5 11.2 43.3 100.0(1,434)

성별

남아 41.5 47.6 67.5 65.8 11.1 10.7 44.5 100.0(730)

여아 49.7 49.1 67.1 65.2 11.9 11.8 42.0 100.0(704)

아동출생순위

외동아 49.0 50.0 71.9 67.3 11.5 10.1 50.9 100.0(150)

첫째 48.2 48.0 67.4 65.6 11.7 11.0 41.0 100.0(518)

둘째 이상 42.6 48.2 66.2 65.0 11.2 11.6 43.4 100.0(766)

모 취업 여부

취업 43.4 47.2 65.3 64.9 12.0 10.0 41.5 100.0(807)

미취업 48.1 50.9 69.6 66.1 10.8 12.7 45.2 100.0(584)

모 학력

고졸이하 40.5 43.8 65.0 65.9 11.7 17.2 40.0 100.0(377)

전문대졸 46.9 50.6 68.4 66.3 12.2 9.3 43.8 100.0(410)

대졸이상 47.8 49.9 67.7 64.6 10.9 9.2 44.5 100.0(628)

가구소득

399만원 이하 37.2 48.6 67.2 67.8 10.8 17.7 40.4 100.0(290)

400~499만원 45.3 47.7 69.0 62.9 12.9 10.0 41.6 100.0(254)

500~599만원 44.8 46.6 63.3 64.0 9.5 9.3 43.8 100.0(301)

600만원 이상 47.0 49.7 70.0 67.0 10.9 8.2 44.2 100.0(448)

지역규모

대도시 44.3 50.9 67.7 64.4 11.9 10.7 39.1 100.0(570)

중소도시 47.6 46.4 66.7 65.9 11.7 12.2 47.6 100.0(779)

읍면지역 34.7 47.7 69.7 69.6 6.9 6.4 32.6 100.0(85)

주: 보호자의 응답임.

패널의 부모에게 가장 만족도가 높은 정책을 조사하였다. 모든 정책에 대한 만족

비율이 66%를 상회하였으며, 가장 만족도(대체로 만족함과 매우 만족함을 모두 포

함)가 높은 정책은 체험학습 출석인정 지원 84.9%, 진로탐색교육 70.5%, 학교급

식안전관리 69%, 학교폭력예방정책 66.5% 순이었다.

Page 245: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227

<표 Ⅲ-4-45> 정책 만족도

단위: %(명), 점

구분매우

만족하지 않음

대체로 만족하지 않음

보통대체로 만족함

매우만족함

계(수) 평균표준편차

체험 학습 출석 인정 0.2 0.4 14.5 69.3 15.6 100.0(626) 4.00 0.58

진로탐색교육 0.7 1.3 27.4 62.9 7.6 100.0(665) 3.75 0.64

학교폭력예방정책 0.4 1.6 31.6 60.8 5.7 100.0(940) 3.70 0.62

학교급식안전관리 0.4 1.3 29.3 61.8 7.2 100.0(922) 3.74 0.62

주: 1) 장애학생지원제도, 교육비지원제도, 인성체육예술교육의 만족도 결과는 없음.2) 보호자의 응답임.

5. 요약

한국아동패널 11차년도 조사(2018년)에 참여한 패널 아동, 부모와 가구, 학교와

지역사회 및 정책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기초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특성 별

로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가. 아동 특성

11차 조사에 참여한 1,434명 아동의 인구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남아 50.9%,

여아 49.1%로 구성되었으며, 조사 시점의 평균 연령은 만 10.33세로서 대부분의

아동은 초등학교 4학년에 재학 중이었다.

아동의 일상생활 특성 중 식생활을 살펴보면, 우유/유제품 섭취는 낮은 편이었

지만, 단백질 류, 채소, 과일의 섭취 정도는 높은 편으로, 대체로 권장 섭취 항목을

알맞게 충족하고 있었다. 과잉섭취 자제 권장 항목 중 단순당류와 튀김/볶음요리

는 다소 많이 섭취하는 반면, 짠 음식은 덜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동의

절반정도는 탄산음료를 주 1~2회 섭취하고, 약 20%의 아동은 주 2회 이상 섭취하

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61.2%의 아동은 인스턴트식을 주 1~2회 먹으며, 최근 7일

동안 인스턴트식을 먹지 않은 아동은 10.9%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일과활동을 살펴보면, 패널 아동은 주중 평균 오전 7시35분에 기상하고,

오후 10시20분에 잠들어 1일 평균 9.14시간 수면을 취하고, 주말 평균 오전 8시

Page 246: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228

32분에 기상하고 오후 11시9분에 잠들어 1일 평균 9.49시간 수면을 취해, 주말에

약 21분가량 더 자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동의 평일 하루일과 중 학교에서 보내는 시간은 5.82시간, 학교 이외 기관에

서의 교육 돌봄 시간은 2.18시간이고, 독서 0.76시간, 숙제 및 학습 0.95시간, 통

신교육 0.70시간, 영상시청 1.16시간, 게임 0.92시간으로 나타나, 영상시청에 상

대적으로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

약 80%의 아동은 스마트폰을 소지하고 있으며, 스마트폰과 PC를 이용하는 아

동은 94.7%로 나타났다. 스마트폰과 PC를 이용할 경우, 하루 평균 1.50시간을 이

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취업모, 가구 소득이 낮은 가구의 아동이 오랜 시간 스

마트폰과 인터넷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아동이 매일 이용하는 미

디어 기기의 중독수준을 측정한 결과, 전체 아동의 31.7%는 잠재적/고위험 사용자

군에 해당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작년 조사의 23.7%보다 8%p 상승한 것으

로서, 연령이 높아질수록 아동의 미디어사용이 점점 늘어날 것으로 예측되므로 건

전한 미디어 기기 사용에 대한 지속적인 점검이 요구된다.

컴퓨터 등 미디어 사용 시간이 늘어나고, 아동의 미디어 활동이 더욱 활발해 짐

에 따라, 이와 관련하여 아동의 컴퓨터 사용능력과 사이버비행에 관하여 측정하였

다. 그 결과 아동은 문서/자료 작성 능력이 가장 높았으며, 악성코드 검사/치료 능

력 점수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대체로 남아가 여아보다 점수가 높아 컴퓨터 사

용능력에의 성차를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사이버비행과 관련하여, 아동이 얼마만

큼 문제성을 지니고 있는지 파악해 보았다. 다른 사람을 욕하거나 비방하는 행위를

가장 문제 있다고 여기고 있었으며, 동영상이나 사진 등을 허락받지 않고 다운로드

받거나 이용하기는 것은 비교적 덜 문제가 있다고 여기고 있었다.

다음으로, 아동의 신체 특성을 살펴보면, 조사 시점의 아동의 평균 신체 치수는

신장 141.16cm, 체중 37.63kg, 허리둘레 68.35cm, BMI 18.77kg/m2로 대체로

양호하게 성장하고 있었다. 안경을 착용하는 아동은 29.7%, 시력 교정 도구를 사

용하는 아동은 3.4%로, 전체 아동의 약 1/3정도는 시력보정도구를 착용하고 있었

다. 사춘기 진입 시기임을 반영하여, 2차 성징의 발현 여부와 발현시기를 조사하였

다. 남아의 1.8%는 몽정을 경험하였으며, 여아의 13.2%는 초경을 시작하였으며,

대다수 초등학교 4학년에 처음으로 2차 성징이 나타났다고 응답하였다.

Page 247: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229

아동의 인지/언어 발달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어머니가 인식한 아동의 집행 기

능은 평균 1.5점 이내로 중간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어, 집행 기능에 큰 어려움이

없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아동의 의사소통능력은 총점 4.10점이고, 담화관리, 상황

에 따른 조절, 의사소통 의도, 비언어적 의사소통 모두 4점대인 것으로 나타나, 전

반적으로 의사소통능력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과 관련하여, 아동이 재학 중인 초등학교 담임교사가 학업수행능력을 측정

하였으며, 패널 아동이 학업수행능력 전반에서 상위권에 속한다는 응답이 80% 이

상으로 높은 편이었다. 과목별로 살펴보면, 수학 과목의 학업수행능력이 가장 높았

으며, 영어와 예체능 과목의 학업수행능력은 비교적 낮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아동

이 느끼고 있는 학업스트레스의 경우, 숙제/시험에 대한 스트레스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학교성적에 대한 스트레스는 낮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아동의 자아 및 정서 발달 특성을 살펴보면,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평

균 3.48점, 전반적 행복감은 평균 3.30점으로 비교적 높은 편이며, 아동은 미래에

행복한 가정을 이룬 사람, 다른 사람을 돕는 사람, 유명한 사람이 되고 싶은 기대를

갖고 있었다. 아동의 끈기를 의미하는 GRIT의 경우, 평균 3.41점으로 보통 이상으

로 나타나, 아동의 끈기는 대체로 높은 수준의 것으로 파악되었다.

아동의 사회성 발달을 살펴보면, 패널 아동의 담임교사는 아동이 학교에서 보이

는 강점(친사회적행동)은 높고, 난점(총체적어려움)은 비교적 낮은 것으로 평가하

였다. 아동은 평균 17.92명의 친구가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약 50%의 아동은 몇

개월에 한번 친구와 다투며, 약 40%는 거의 매주 주말 친구와 놀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의 12.2%는 사귀는 이성친구가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아동의

또래애착의 경우, 의사소통과 신뢰는 3점대 이상으로 긍정적인 또래애착 수준을

보였으며, 소외는 1점대로 낮은 수준이었다.

학교 생활과 관련하여, 아동에게 집단괴롭힘 피해경험을 응답하도록 한 결과, 전

체 아동의 29%는 험담, 심한 욕설 등 폭언을 들은 경험이 있으며, 25%는 빰, 얼

굴, 머리 등을 맞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반적으로 여아보다 남아가 경

험한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집단 괴롭힘 피해에 있어서 남녀 성차가 있었다.

Page 248: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230

나. 부모 특성

11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패널 아동의 부모 특성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먼

저, 어머니의 평균 연령은 41.08세, 아버지는 43.53세이며, 대졸자가 각각 38.0%,

40.8%로 가장 많다. 대다수가 아동과 함께 살고 있으며, 직장이나 학업 등의 이유

로 아동과 떨어져 살고 있는 경우는 어머니 05%, 아버지 7.5%에 불과했다.

부모의 심리적 특성은 주관적 행복감, 일상적 스트레스, 삶의 만족도, 일과 가정

양립 시 겪게 되는 이점 및 갈등, 자아존중감에 대한 조사로 살펴보았다. 먼저, 부

모의 행복감은 7점 만점 기준, 어머니는 5.16점, 아버지는 5.27점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일상적 스트레스는 4점 기준, 어머니는 2,94점, 아버지 2,97점으로 비슷한

수준으로 조사되었으며, 삶의 만족도는 역시 5점 만점 기준, 어머니 3.45점, 아버

지 3.47점으로 비슷하게 보고되었다. 일과 가정 양립 시 겪게 되는 일-가정, 일-양

육 병행의 이점과 갈등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갈등보다 이점을 높게 인식하는 경

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자아존중감은 5점 만점 기준, 어머니는 3.76

점, 아버지는 3.84점으로 아버지의 자아존중감이 어머니보다 높게 나타났다. 패널

부모의 평균 결혼 기간은 약 13.8년으로 나타났으며, 부부갈등은 어머니 2.05점,

아버지 2.03점으로 비슷하게 응답되었다.

패널 아동의 부모는 스스로의 건강 상태를 양호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

사되었다. 음주실태의 경우, 아버지가 어머니보다 더 많은 양의 술을, 더 자주 마시

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음 횟수도 보다 잦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버지의 경우

44.3%가 흡연자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는 작년도 비율과 큰 차이가 없는 수치

이다.

어머니의 미취업/미학업 비율은 작년도 49.0%에 비해 감소한 44.3%로 나타났

다. 부모의 종사자 지위의 경우, 어머니 65.4%, 아버지 66.7%로 상용직이 가장

많았으며, 재직 중인 어머니는 1주 평균 5.12일, 평균 39.43시간 정도 근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일자리 만족도는 5점 만점 기준, 3.87점으로 보통 이

상의 만족도를 나타냈다.

부모들이 스스로 평가한 양육행동은 부와 모의 차이가 있었다. 어머니는 대체적

으로 권위적, 권위주의적 양육행동에서는 아버지보다 높은 평가를 한 반면, 아버지

Page 249: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231

는 허용적 양육행동에서 어머니보다 평균 점수가 높았다. 아동이 하루 중 성인 없

이 지내는 시간, 부모 감독 정도, 학업 관심도 정도는 모의 취업여부에 따라 유의미

한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이는 통계적인 분석에서 차이일 뿐 실제 데이터에서 보

이는 평균값의 차이는 큰 편차를 보이지는 않아 해석 시 주의가 필요하다.

부모의 사회적 지원에 대해서는 외가와 친구 및 동료의 지원 인원이 상대적으

로 많았으며, 지원 정도는 네가지 차원(정서적, 정보적, 사교적, 도구적 지원)의 지

원 모두 비슷한 수준이었다. 사회적 지원 정도는 모의 학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

가 있었는데, 대체적으로 학력이 높아질수록 정서적 지원을 높게 평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다음으로 가구 특성을 살펴보면, 부모와 자녀로 구성된 핵가족이 87.9%로 대다

수였으며, 평균 가구원 수는 4.64명으로 집계되어 전년도와 큰 차이는 없었다.

가구 소득은 평균 556만원 수준으로 2017년 551만원보다 약 4만원 증가했으

며. 어머니의 근로소득은 약 231만원으로 전년도 약 239만원보다 다소 줄어들었

다. 스스로가 인지한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는 우리나라와의 비교에서는 약 5.23

단계이며, 자신이 속한 지역사회 및 공동체에 비교할 때도 약 5.56단계로 전년도

와 비슷하게 중간 단계로 평가하고 있었다. 패널 아동에게 경제적 상황에 대한 가

족의 걱정 빈도에 대해 질문한 결과, 전혀 하지 않는다는 응답과 가끔 걱정한다는

응답이 비슷하게 조사되었다. 패널 가구의 월 평균 지출액인 소비성 지출은 약

264만원, 비소비성 지출은 약 185만원으로 2017년(소비성 지출: 약 249만원, 비

소비성 지출; 약 191만원)에 비해 다소 줄어든 반면, 자녀에게 지출하는 소비성

지출은 약 106만원으로 전년도 약 95만원에 비해 증가하였다. 패널 아동에 대한

용돈은 필요시 지급하는 경우가 절반 이상이었으며, 일주일 용돈은 평균 4천원대

였다. 패널 아동은 용돈을 주로 간식 및 군것질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가 70%

이상이었다.

패널가구의 돌봄 서비스를 이용하는 비율은 학기 중과 방학 중 모두 20% 이내

로 나타났으며, 주로 이용하는 유형은 조부모/친인척이 70% 이상으로 전년도와

비슷하였다. 다만, 2017년 조사에서는 학기 중 초등돌봄교실을 이용하는 경우가

10% 이상인 반면, 2018년 조사에서는 4.6%로 현저히 이용빈도가 줄어들었다. 대

신 지역아동센터 이용 비율이 13.3%로 증가하였다. 이는 패널 아동이 초등학교 4

Page 250: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232

학년이 되면서 저학년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초등 돌봄교실보다 지역아동센터로

이동하고 있는 흐름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돌봄서비스의 하루 평균 이용시간은

학기중과 방학 중 모두 조부모/친인척에게서 평균 5시간 내외의 서비스를 지원받

고 있었다. 돌봄 서비스 주당 이용일은 학기중과 방학 중 모두 평균 4-5일로 주중

에는 대부분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돌봄서비스 이용비용은 비혈연

대리양육자에게 가장 많은 비용을 지불하고 있었으며, 그 다음은 조부모/친인척

순이었다. 초등돌봄교실이나 지역아동센터의 이용 비용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었

다. 돌봄 서비스 만족도는 5점 만점에 평균 4점대로 대체적으로 만족도는 높은 편이

었다.

다. 학교 특성

2018년(11차) 전체 아동 1,431명의 전학 여부와 지난 학기 결석 여부를 조사하

였다. 분석 결과, 92.9%가 전학한 적이 없으며, 78.3%가 결석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모 취업 여부에 따라 전학 여부와 결석 비율 차이가 유의미하였다. 아동

이 첫째인 경우 결석 비율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아동에게 학교의 환경에 대해 조

사한 결과, 5점 척도에서 평균 3.9점 이상으로 긍정적이었다.

교사를 대상으로 학교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응답에 참여한 교사의 74.8%가

여자, 25.2%가 남자였으며, 평균 연령은 37.84세, 평균 경력은 8.61년, 64.9%가

대졸, 23%가 석사학위를 갖고 이었다. 응답에 참여한 교사의 근무학교를 살펴보면

88.1%가 공립학교, 10%가 국립학교, 0.9%가 사립학교에 근무하였으며, 전체 학

급 수는 평균 5.24학급, 학급당 평균 학생 수는 24.86명이었다. 근무하는 학교의

환경에 대해 5점 척도로 조사한 결과, 건물상태 및 기자재와 시설에 대해 평균

3.72점으로 평가하였고, 주변 환경과 통학 조건 역시 평균 3.84점 이상으로 양호

하였다.

교사에게 업무 스트레스와 지난 1년간 학교에서 일어난 폭력에 대해 조사하였

다. 5점 척도로 평가하였을 때, 생활지도와 행정업무에 대한 업무 스트레스가 학부

모와 관계, 수업지도에서 받은 스트레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교내에서 일어

난 학교 폭력 중 가장 심각한 것은 언어폭력이었으며, 집단 따돌림, 성추행, 신체폭

행, 괴롭힘, 금품갈취, 동영상 촬영 피해 순이었다. 교사는 아동과의 관계에 대해

Page 251: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Ⅲ. 2018년(11차년도) 조사 결과 분석

233

친밀감을 느끼고 있었으며, 부모의 학교 생활에 대한 관심도가 높다고 평가하였다.

학교생활에 관심을 보이는 부모는 83.2%이었으며, 학교생활에 참여하는 부모는

65% 이상이었다. 부모 중 어머니만 참여하는 경우가 부모 모두 참여하는 비율에

비해 6배 이상 높았는데, 어머니만 참여하는 행사는 담임상담, 학부모 공개수업,

자원봉사, 운동회 순이었고, 부모가 모두 참여하는 행사는 운동회, 학부모 공개수

업, 담임상담 순이었으며, 아버지만 참여하는 행사는 공개수업, 담임상담, 운동회

순이었다.

학부모를 대상으로 초등학교 정규 수업 이외에 교육 여부에 대해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아동의 97%가 학교 수업 이외의 교육 서비스를 이용하며, 사교육

을 이용하는 비율이 92.4%였다. 학교 수업 이외 교육 서비스 이용 유형을 살펴보

면, 영어 교육을 받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수학, 체육, 국어 순이었다. 학교 외

교육 서비스 주당 이용 시간을 분석한 결과, 학원에서 주당 평균 이용 시간이 8.28

시간으로 가장 높으며 그 다음으로 주민 센터, 복지관 등 공공기관, 교내 방과 후

교실 순이었다. 학교 외 교육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만족도가 가장

높은 서비스는 문화센터, 종교기관 및 사설 기관이며, 다음으로 학원, 교내 방과

후 교실, 주민 센터, 복지관 순이었다. 학교 외 교육 서비스 비용을 분석한 결과,

일주일에 가장 많은 시간을 이용하는 학원은 월 평균 33.64만원으로 가장 높았으

며, 다음으로 개인/그룹지도(과외), 문화센터, 종교기관 및 사설 기관 순이었다. 교

육 서비스 비용에 대한 부담 정도를 분석한 결과, 학부모의 49.3%가 학원비가 부

담이 된다고 응답하였고, 다음으로 개인/그룹지도(과외), 학습지(방문교사), 인터넷

화상강의 순이었다.

라. 지역사회 특성

패널의 거주지 및 양육환경에 대해 조사하였다. 출생 후 이사 횟수는 평균 0.7회

였으며, 전체 패널의 51.6%가 이사한 적이 없었다. 지역 규모별로 패널 가구의 거

주지를 살펴보면, 40.3%가 대도시, 53.6%가 중소도시, 6.1%가 읍면지역에 거주

하고 있었다. 패널 거주 지역을 6개 권역으로 구분하면, 33.9%가 경인권에 거주하

며, 서울권 16%, 부산・울산・경남권 15% 순이었다.

패널의 양육 환경에서 교육, 의료, 복지 시설의 접근 편리성과 이용 만족도, 안

Page 252: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234

전성을 살펴보았다. 패널 가주 중 60% 이상이 의료 기관 접근성이 편리하다고 평

가하였으며, 49%와 28%가 각각 교육기관과 공공 복지시설의 접근성이 편리하다

고 응답하였다. 만족도 역시 의료기관이 가장 높았으며, 교육기관, 공공복지시설

순이었다.

여가공간의 시설 편리성 및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놀이터와 산책로가 접근 가능

성이 편리하였으며, 만족도는 산책로, 공원, 놀이터가 높았다. 또한 문화 공간의 편

리성 및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도서관, 영화관이 가장 접근성이 좋았으며, 관람

및 체험시설, 공연 시설 순이었다. 문화 공간의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도서관과

영화관이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관람 및 체험시설, 공연 시설 순이었다.

패널의 거주 안전성에 대해 조사한 결과, 55.4%가 범죄로부터 안전하다고 평가

하였다. 반면, 이웃간에 서로 협조하는 분위기라고 응답한 비율이 38.7%로 양육환

경의 안전에 대한 평가는 긍정적이었으나 신뢰자본 수치는 낮은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마. 정책 특성

패널 가구의 국가지원여부, 제도 활용, 정책 수혜 여부, 정책 만족도에 대해 조

사하였다. 전체 패널 가구 중 국민기초생활수급자는 0.3%, 차상위 계층은 1.7%이

었으며, 지난 1년간 정부 보조금을 포함한 생활비 지원을 받는 비율은 8.6%이었

다. 지난 1년간 직장 내 육아지원제도를 활용한 비율은 어머니 7.6%, 아버지 7%이

었으며, 어머니는 육아휴직 4.2%, 아버지는 유연근무제 5.2%를 가장 많이 활용하

였다. 지난 1년간 수혜 비율이 가장 높은 아동 정책은 학교 폭력 예방 67.3%, 학교

급식 안전 관리 65.5%로 가장 높았으며, 교육비 지원제도는 11.2%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패널의 부모의 정책 만족도를 살펴보면, 85%가 가족체험학습에 대해 만족

하였으며, 진로탐색 교육 70.5%, 학교급식 안전관리 69%, 학교폭력예방정책

66.5% 순이었다.

Page 253: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Page 254: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Page 255: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Ⅳ주요 변인 종단 분석

01 아동 특성

02 부모 및 가구 특성

Page 256: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Page 257: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239

구분체중(남) 체중(여)

평균 표준편차 최솟값 최댓값 (수) 평균 표준편차 최솟값 최댓값 (수)

0세(1차) 3.31 0.41 1.4 4.7 (1,055) 3.20 0.40 1.2 4.9 (1,018)

1세(2차) 10.45 1.09 5.7 15.0 (858) 9.80 1.03 7.0 13.0 (851)

2세(3차) 12.86 1.44 7.0 21.0 (883) 12.25 1.37 8.6 20.0 (854)

3세(4차) 15.02 1.67 11.0 21.0 (902) 14.52 1.66 10.0 21.0 (852)

4세(5차) 17.16 2.09 11.0 25.0 (870) 16.77 2.14 11.6 29.6 (833)

5세(6차) 19.56 2.67 13.0 33.0 (853) 18.95 2.63 11.0 34.5 (802)

6세(7차) 22.52 3.65 15.4 38.8 (794) 21.78 3.49 14.0 38.6 (756)

7세(8차) 25.80 4.64 16.8 48.2 (797) 24.72 4.34 17.0 48.7 (759)

Ⅳ. 주요 변인 종단 분석

2008년 0세부터 시작하여 2018년 10세가 될 때까지 전반적인 변화의 추이를

볼 수 있는 몇 가지 지표를 선정하여 해마다의 측정결과를 연속적으로 표시해보았

다. 가능한 한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빠짐없이 값을 가져올 수 있었던 변인만을 선

택하였다.

1. 아동 특성

체중의 변화를 보면, 만 10세가 넘은 2018년에는 출생시기 체중의 약 12배 가

까이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직전 연도(10차 조사) 대비로 보면 남아는 평균 4.6

㎏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이전 9차와 10차년도 사이 4.55㎏ 성장한 경우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8차 이전의 경우 2~3㎏씩 체중이 증가하던 것에 비하면

만 8세 이후 증가 폭이 커진 것을 알 수 있다. 여아의 경우도 마찬가지인데, 10차

와 11차 사이에 평균 4.3㎏ 성장하여 이전 차수 간 4㎏, 3.3㎏ 등의 증가를 보였던

것에 비해 성장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Ⅳ-1-1> 조사 차수별 아동의 체중

단위: kg(명)

Page 258: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240

구분체중(남) 체중(여)

평균 표준편차 최솟값 최댓값 (수) 평균 표준편차 최솟값 최댓값 (수)

8세(9차) 29.64 5.88 19.4 54.30 (769) 28.02 5.36 18.00 55.00 (726)

9세(10차) 34.19 7.38 20.6 69.30 (751) 32.08 6.64 18.80 60.00 (724)

10세(11차) 38.83 8.42 20.0 75.5 (725) 36.36 7.80 21.3 75.6 (696)

구분신장(남) 신장(여)

평균 표준편차 최솟값 최댓값 (수) 평균 표준편차 최솟값 최댓값 (수)

0세(1차) 50.59 2.35 36.5 60.0 (908) 49.79 2.74 29.4 58.0 (907)

1세(2차) 77.91 4.09 60.0 96.0 (558) 76.71 3.98 60.0 100.0 (561)

2세(3차) 89.31 4.11 65.0 110.0 (716) 88.06 3.89 69.0 100.0 (699)

3세(4차) 97.43 3.82 85.0 111.0 (902) 96.27 3.56 85.0 110.0 (851)

<그림 Ⅳ-1-1> 조사 차수별 아동의 체중 변화

단위: kg

아동의 신장이 자란 정도를 보면, 우선 11차년도에는 남녀 간 신장의 차이가 거

의 없어졌다는 변화를 찾을 수 있다. 이전 연도까지 남아가 평균 1~1.5㎝정도씩

더 큰 경향을 보였는데, 만10세가 되면서 평균 신장차이가 0.1㎝에 지나지 않게

되었다. 표준편차 또한 6.43㎝로 동일하여 지난 1년간 여아의 신장 성장이 두드러

졌음을 추측할 수 있다.

<표 Ⅳ-1-2> 조사 차수별 아동의 신장

단위: cm(명)

Page 259: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Ⅳ. 주요 변인 종단 분석

241

구분신장(남) 신장(여)

평균 표준편차 최솟값 최댓값 (수) 평균 표준편차 최솟값 최댓값 (수)

4세(5차) 104.20 4.19 85.0 125.0 (870) 103.37 3.93 91.2 120.0 (833)

5세(6차) 110.68 4.55 97.0 130.0 (851) 109.66 4.31 98.0 125.0 (801)

6세(7차) 117.53 4.70 103.0 132.0 (791) 116.70 4.62 104.0 130.5 (757)

7세(8차) 124.08 5.02 109.0 144.0 (798) 122.81 4.98 107.2 140.5 (761)

8세(9차) 129.93 5.27 114.0 148.8 (769) 128.62 5.19 113.0 147.0 (727)

9세(10차) 135.87 5.58 119.0 155.0 (750) 134.75 5.68 116.0 154.0 (724)

10세(11차) 141.20 6.43 123.1 172.2 (718) 141.11 6.43 120.3 164.7 (687)

구분BMI(남) BMI(여)

평균 표준편차 최솟값 최댓값 (수) 평균 표준편차 최솟값 최댓값 (수)

0세(1차) 12.97 1.45 5.40 28.37 (908) 12.94 1.73 7.89 34.01 (907)

1세(2차) 17.23 1.90 10.85 33.33 (557) 16.67 2.02 9.50 30.56 (559)

2세(3차) 16.22 1.78 8.33 30.28 (714) 15.83 1.72 10.63 24.69 (698)

<그림 Ⅳ-1-2> 조사 차수별 아동의 신장 변화

단위: cm

아동의 체중과 신장을 이용하여 체질량 지수를 산출하였고, 남녀 평균 각각

19.34, 18.16으로 나와서, 이전 연도들에 비해 꾸준히 늘어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여아의 경우보다 남아의 경우 BMI 증가 폭은 전반적으로 큰 것으로 보인다.

<표 Ⅳ-1-3> 조차 차수별 아동의 BMI

단위: kg/m2(명)

Page 260: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242

구분BMI(남) BMI(여)

평균 표준편차 최솟값 최댓값 (수) 평균 표준편차 최솟값 최댓값 (수)

3세(4차) 15.82 1.42 10.68 22.71 (902) 15.65 1.43 10.37 22.45 (851)

4세(5차) 15.78 1.39 11.70 22.07 (870) 15.67 1.48 12.08 23.97 (833)

5세(6차) 15.94 1.64 11.34 24.35 (851) 15.73 1.69 9.26 24.65 (800)

6세(7차) 16.27 2.05 12.42 30.85 (790) 15.95 1.97 11.57 24.86 (753)

7세(8차) 16.68 2.33 12.49 28.80 (797) 16.33 2.24 11.21 27.49 (759)

8세(9차) 17.46 2.72 12.76 26.80 (769) 16.86 2.46 12.68 28.06 (726)

9세(10차) 18.42 3.19 11.81 32.07 (749) 17.56 2.80 12.25 28.70 (724)

10세(11차) 19.34 3.45 12.71 30.30 (716) 18.16 3.12 12.74 40.89 (683)

<그림 Ⅳ-1-3> 조사 차수별 아동의 BMI

단위: kg/m2

아동의 생활시간 중 수면과 미디어 이용시간을 자료가 구축되어 있는 5차 조사

결과부터 살펴보았다. 수면시간을 보면 연령이 높아갈수록 꾸준히 줄어들고 있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는데, 평균 매년 10분 정도씩 수면시간이 감소되고 있는 것으

로 나타난다. 결과적으로 수면시간을 처음 측정하였던 5차년도에 비해 11차년도

는 1시간 3분이 감소되어 9시간 8분으로 나왔다.

Page 261: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Ⅳ. 주요 변인 종단 분석

243

<표 Ⅳ-1-4> 차수별 아동의 수면, 미디어이용, 독서시간

구분수면 미디어이용시간 독서시간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4세(5차) 10시간5분 48분 1시간35분 57분

5세(6차) 9시간55분 46분 1시간32분 55분

6세(7차) 9시간49분 42분 1시간25분 47분

7세(8차) 9시간38분 37분 1시간24분 29분 41분 28분

8세(9차) 9시간28분 38분 1시간59분 41분 41분 26분

9세(10차) 9시간17분 37분 1시간16분 45분 38분 26분

10세(11차) 9시간 8분 40분 1시간30분 58분 37분 27분

주: 1) 해당 자료에서 사용된 시간들은 모두 주중 기준임.2) 독서시간의 경우 전체사례를 포괄하여 평균시간을 산출함.

<그림 Ⅳ-1-4> 차수별 아동의 수면, 미디어이용, 독서시간

PC나 스마트폰 등 미디어를 이용하는 시간은 11차년도에 1시간 30분으로 조사

되었는데, 이전에 비해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는 수치이다. 8차부터 조사가 시작되

었던 독서시간은 연령증가와 더불어 오히려 줄어드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10세에

는 기존 연령 대비 가장 적은 일일 37분으로 조사되었다(표 Ⅳ-1-4).

Page 262: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244

2. 부모 및 가구 특성

가. 부모의 취업

어머니의 취업률은 해마다 조금씩 상향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자녀가 10세가

된 11차년도 조사에서는 어머니의 55% 이상이 취업을 한 것으로 나타나 패널 조

사 시작 이래 가장 높은 취업률을 보였는데, 0세였던 1차 조사에 비해서는 25%p

이상이 증가된 결과이다. 전체 패널 가구 중 절반 이상에서 어머니가 직장에 나가

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자녀가 초등학교 1학년이 되었던 8차년도에 이전연도

에 비해 2%p 떨어지는 결과를 보이다가 8세가 되는 9차년도부터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10차년도에 과반을 넘어섰다. 자녀가 연령이 높아지고 초등학교 적

응이 이루어지고 난 이후에 어머니 취업률이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아버지의 경우는 95%가 취업중인 것으로 나타나 연도 간 1~3%p씩 차이를 보

이고는 있으나 지난 10년 간 꾸준한 수준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표 Ⅳ-2-1> 차수별 부모의 취업률

단위: %(명)

구분어머니 아버지

취업 미취업 계(수) 취업 미취업 계(수)

0세(1차) 30.1 69.9 100.0(2,078) 98.8 1.2 100.0(2,010)

1세(2차) 31.8 68.2 100.0(1,887) 98.0 1.7 100.0(1,892)

2세(3차) 33.6 66.4 100.0(1,801) 97.8 2.2 100.0(1,788)

3세(4차) 40.4 59.6 100.0(1,741) 98.5 1.5 100.0(1,740)

4세(5차) 43.0 57.0 100.0(1,683) 94.7 5.3 100.0(1,616)

5세(6차) 44.0 56.0 100.0(1,638) 95.3 4.7 100.0(1,540)

6세(7차) 46.4 53.6 100.0(1,587) 95.5 4.5 100.0(1,483)

7세(8차) 44.6 55.4 100.0(1,568) 94.6 5.4 100.0(1,469)

8세(9차) 47.1 52.9 100.0(1,492) 93.1 6.9 100.0(1,371)

9세(10차) 52.5 47.5 100.0(1,442) 92.3 7.7 100.0(1,304)

10세(11차) 55.3 44.3 100.0(1,391) 95.0 5.0 100.0(1,331)

주: 취업에는 학업중인 경우도 포함됨.

Page 263: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Ⅳ. 주요 변인 종단 분석

245

<그림 Ⅳ-2-1> 부모의 취업률 변화

취업모인 경우 어머니의 종사상 지위를 연도별로 비교해보면, 자녀가 태어날 무

렵에는 85.7%가 정규직/상용직이었으나 자녀 1세일 때 80% 이하로 비율이 떨어

졌고 점차 줄어들어 10차년도에 61.7% 수준에 머물렀다. 그러다 11차년도에는 정

규직 비율이 조금 높아지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0~1세 시기의 수준까지는

회복이 어려워 보인다.

<표 Ⅳ-2-2> 어머니의 종사상 지위

단위: %(명)

구분

어머니

정규직/상용직비정규직

기타 계(수)임시직 일용직

0세(1차) 85.7 4.8 1.8 7.7 100.0(622)

1세(2차) 79.7 8.3 2.4 9.6 100.0(591)

2세(3차) 68.7 11.6 1.7 18.1 100.0(588)

3세(4차) 67.1 12.4 1.2 19.2 100.0(691)

4세(5차) 61.0 12.9 2.9 23.2 100.0(715)

5세(6차) 65.7 11.7 1.5 21.1 100.0(711)

6세(7차) 66.5 12.1 0.8 20.5 100.0(725)

7세(8차) 64.3 11.1 1.6 23.1 100.0(694)

8세(9차) 62.8 10.9 1.3 25.1 100.0(698)

9세(10차) 62.7 10.3 1.5 25.6 100.0(751)

10세(11차) 65.4 9.7 1.8 23.1 100.0(807)

Page 264: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246

<그림 Ⅳ-2-2> 어머니의 종사상 지위

나. 가구 특성

월평균 가구소득을 보면 꾸준히 증가되고 있는 경향을 알 수 있는데, 11차년도

에는 565만원이 평균으로 조사되어 전년도에 비해 23만원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

났다. 그러나 표준편차가 상당히 커서 가구 간 차이가 크게 있음을 알 수 있다.

가구 총지출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소득이 증가한 금액에 비해 지출

의 증가액은 적은 편으로 보여 수입이 늘어나는 가정경제의 형태를 짐작케 한다.

그러나 11차년도에는 지금까지 중 최고액인 151만원이 월 자녀에 대한 지출액으

로 보고되고 있어, 자녀 양육에 소비되는 비용이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평균 2명의 자녀가 있다고 볼 때 자녀 1인당의 지출 비용이 75만원을 초과하고

있다. 그러나 여기에는 전체 자녀들의 연령 변인이 고려되지 않고 있으므로 패널

아동에 대한 정확한 소비액은 더 세분화된 분석이 필요하다.

Page 265: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Ⅳ. 주요 변인 종단 분석

247

<표 Ⅳ-2-3> 차수별 월 평균 가구소득 및 총 지출

단위: 만원(명)

구분 0세(1차) 1세(2차) 2세(3차) 3세(4차) 4세(5차)

월 평균 가구 소득

평균 310.4 331.4 352.39 526.8 474.47

표준편차 138.33 222.54 257.81 857.67 470.66

중위값 300 300 300 380 400

(수) (1,363) (1,359) (1,367) (1,367) (1,367)

가구 총 지출

평균 229.4 261.7 279.69 301.64 339.13

표준편차 108.69 213.2 217.06 128.78 149.8

중위값 210 230 250 280 300

(수) (1,293) (1,366) (1,365) (1,366) (1,366)

자녀에 대한 총 지출

평균 56.16 45.8 48.7 104.72 118.46

표준편차 65.1 55.41 61.36 60.29 62.56

중위값 35 34 35 90 110

(수) (1,284) (1,337) (1,365) (1,355) (1,362)

구분 5세(6차) 6세(7차) 7세(8차) 8세(9차) 9세(10차) 10세(11차)

월 평균 가구 소득

평균 422.13 441.98 460.44 492.66 541.81 564.95

표준편차 187.42 184.94 191.44 231 483.15 524.24

중위값 400 400 400 450 500 500

(수) (1,361) (1,365) (1,354) (1,519) (1,335) (1,293)

가구 총 지출

평균 376.56 400.02 424.63 431.71 435.88 448.61

표준편차 163.68 197.79 226.34 189.84 251.01 220.53

중위값 350 370 400 400 400 400

(수) (1,367) (1,367) (1,366) (1,514) (1,484) (1,434)

자녀에 대한 총 지출

평균 122.96 131.08 138.97 144.22 137.9 151.27

표준편차 68.4 79.02 77.09 76.55 83.93 95.53

중위값 110 115 120 130 120 130

(수) (1,284) (1,337) (1,365) (1,355) (1,362) (1,434)

1차년도부터 측정해온 부모 갈등 점수를 보면 어머니의 경우 7차년도 6세를 기

점으로 갈등점수를 줄어들면서 안정화된 모습을 보이고 아버지의 경우는 연도마다

오르락내리락하는 점수 변화를 보인다. 아버지와 어머니 간 부부갈등점수를 비교

해보면 꾸준히 어머니의 점수가 높은 경향을 보이나 ’18년도 11차 조사에서는 그

차이가 0.1로 폭이 줄어들어 부부간 갈등에 대해 인지하는 정도 차가 거의 없음을

Page 266: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248

알 수 있다.

<표 Ⅳ-2-4> 차수별 부모의 부부갈등

단위: 점(명)

구분어머니 아버지

평균 표준편차 (수) 평균 표준편차 (수)

0세(1차) 1.99 0.77 (18,58) 1.89 0.70 (1,649)

1세(2차) 2.02 0.76 (1,815) 1.99 0.70 (1,727)

2세(3차) 2.08 0.77 (1,710) 2.07 0.74 (1,620)

3세(4차) 2.10 0.76 (1,696) 2.12 0.73 (1,621)

4세(5차) 2.12 0.78 (1,664) 2.09 0.72 (1,607)

6세(7차) 2.13 0.84 (1,563) 2.11 0.77 (1,479)

7세(8차) 2.07 0.82 (1,545) 2.05 0.73 (1,467)

8세(9차) 2.05 0.82 (1,435) 2.07 0.77 (1,359)

10세(11차) 2.05 0.81 (1,401) 2.04 0.79 (1,182)

<그림 Ⅳ-2-3> 부모의 부부갈등

단위: 점

Page 267: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Page 268: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Page 269: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Ⅴ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01 초등 4학년 아동의 주요 발달 특징

02 분석 결과에서 나타난 문제점

03 정책적 시사점

Page 270: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Page 271: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253

Ⅴ.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2018년도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국아동패널 연구에 참여하는 아동은 대부분

정상 발달을 보이고 우리나라 전체 통계 대비 적절한 수준의 가정환경과 학교 상황

에서 생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1차년도 결과에 대한 기초적 기술통계 분석을

끝낸 시점에서, 패널 자료를 근거로 했을 때 우리나라 초등 4학년 아동의 보편적

발달 지표는 어떻게 나타낼 수 있는가라는 문제에 보다 명확하게 답하기 위해 주요

변인을 중심으로 11차년도의 대표적 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본 장에서는 2018년 11차년도 조사에서 나타난 특징적 현상들에 초점을

맞추면서 사회적 측면에서 특히 관심을 두고 보아야할 아동의 발달과 관련한 문제

점 및 개선 필요 사항들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사안들에 대해

정책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는 부분은 없는지 검토해보고자 한다.

1. 초등 4학년 아동의 주요 발달 특징

가. 신체 특성

패널 아동의 평균 신장은 141.16cm(SD=6.49), 체중 37.63kg(SD=8.42), 허리

둘레 68.35cm(SD=8.86)이며, 남아와 여아 신장의 경우 큰 차이가 없다. 반면, 허

리둘레는 남아가 여아보다 약 3cm가량 길고, 체중 역시 남아가 상대적으로 2kg정

도 더 나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Page 272: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254

<그림 Ⅴ-1-1> 아동 성별 신체 치수

나. 미디어 이용

패널 아동의 80.5%는 휴대폰이나 스마트폰을 소유하고 있으며 이용시간은 남아

는 1.55시간(SD=1.01), 여아는 1.45시간(SD=0.91)이었다.

패널 아동의 하루 일과에 영상시청과 게임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영상 시청에

사용하는 시간은 주중 1.16시간(SD=0.66), 주말 2.42시간(SD=1.22)이었다.

<그림 Ⅴ-1-2> 아동의 스마트폰, PC(인터넷) 이용 시간(1일, 시간)

단위: 시간

주: 영상시청과 게임시간은 아동의 하루일과 중 해당 활동을 포함하는 경우에만 평균 시간을 산출함.

패널 아동의 미디어 기기 중독 정도에 관하여 살펴보니, 전체 조사대상 아동의

31.7%가 잠재적/고위험 사용자군에 해당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Page 273: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Ⅴ.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255

<그림 Ⅴ-1-3> 미디어 기기 중독 위험군 비율

단위: %

다. 수면 시간

아동의 평균 수면 시간은 주중 9.14시간(SD=0.64), 주말 9.49시간(SD=0.89)이

고 결과적으로 주말에 약 21분가량 더 자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Ⅴ-1-4> 아동의 수면 시간

단위: 시간

라. 취미(악기 및 운동)

취미로 즐겨하는 악기가 있는 아동은 전체 조사대상 중 64.5%이며, 운동은

75.3%로 조사되었다. 여아는 취미로 다루는 악기가 있는 비율이 남아에 비해 상대

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취미로 즐겨하는 운동이 있다는 응답은 남아가 높

았고 남자 아동은 축구(50.8%), 태권도(41.4%) 비율이 높은데 비해 여자 아동은

수영(48.1%)을 가장 많이 하고 있었다.

Page 274: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256

<그림 Ⅴ-1-5> 취미(악기, 운동)

단위: %

마. 언어발달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은 5점 척도에서 4.10점(SD=0.50)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모든 하위영역에서 남아보다 여아의 의사소통 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그림 Ⅴ-1-6>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5점 척도)

단위: 점

주: 5점 척도임.

바. 사회・정서 발달

패널 아동은 4점 척도에서 평균 3.48점(SD=0.46)의 비교적 높은 수준의 자아존

중감을 나타냈고 전반적 행복도에 대해서도 평균 3.30점(SD=0.47)으로 비교적 높

은 편이었다.

Page 275: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Ⅴ.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257

<그림 Ⅴ-1-7> 아동의 사회・정서 발달(4점 척도)

단위: 점

주: 4점 척도임.

사. 학교생활

패널 아동의 주요 과목 선호도는 국어 대비 수학에 대한 선호도가 약간 더 높게

나타났으나, 국어는 여아가 남아보다, 수학은 남아가 여아보다 선호도가 다소 높게

나타났다. 학교생활적응에서는 여아의 점수가 남아보다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그림 Ⅴ-1-8> 아동의 학교적응(5점 척도)

단위: 점

주: 5점 척도임.

아동의 집단 괴롭힘 피해 정도를 살펴본 결과, 험담과 심한 욕설 등 폭언을 들은

경험은 19.7%로 가장 많았고, 뺨, 얼굴, 머리 등을 맞은 경험은 15.2%의 아동이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돌림을 당한 경험은 8.3%로 조사되었다. 고의적

Page 276: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258

으로 툭툭 침, 심부름, 숙제를 해오라는 등의 괴롭힘 3.1%, 돈이나 물건을 빼앗긴

경험 2.7%, 협박/위협을 당한 경험 2.5%로 나타났다. 전체 집단 괴롭힘에서 여아

보다 남아의 피해 경험 비율이 전반적으로 높았다.

<그림 Ⅴ-1-9> 집단 괴롭힘 피해 경험

단위: %

아. 결혼에 대한 인식

미래에 38.4%의 아동이 결혼할 것이라고 응답하였고 12.7%는 결혼할 생각이

없다고 하였다. 여아가 15.2%로 남아(10.3%)보다는 높은 비율로 결혼에 대해 부

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자녀를 가질 것인지 묻는 자녀관의 질문에 대해서는

가지지 않겠다는 응답이 12.5%였다.

Page 277: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Ⅴ.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259

<그림 Ⅴ-1-10> 결혼 의사/자녀양육 의사

단위: %

2. 분석 결과에서 나타난 문제점

가. 스마트폰 등 미디어기기 중독

아동이 만 10세, 초등학교 4학년에 재학 중인 한국아동패널 11차년도 조사 결

과를 보면, 80%의 아동이 스마트폰을 소지하고 있으며 스마트폰과 PC를 하루 평

균 1시간 30분가량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이것은 스마트폰을 사용하

는 아동 자신의 응답이 아니라 부모가 응답한 내용이므로 정확성에서 한계가 있을

수 있으나 아직은 부모의 영향권 아래에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을 것임

을 감안하여 현상으로 수용할 수 있다. 본 보고서 <표 Ⅲ-2-14>에서 보듯이 소득

계층이나 어머니의 취업 여부에 따라 사용 시간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나고 있으므

로 데이터가 주는 의미는 충분히 가치가 있어 보인다.

그런 의미에서 비록 부모의 보고에 의거한 분석이기는 하지만, 미디어 사용과

관련하여 더욱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결과는 ‘미디어 기기 중독’에 대한 분석 내용이

다. 전체 아동의 31.7%가 잠재적/고위험 사용자 군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와 충격

적이며, 잠재적 위험 사용자 군에 속하는 5.9% 비율까지 합치면 37.5%, 즉 38%가

까이의 4학년 아동들이 스마트폰 중독에 가까운 기기 사용 행태를 보이고 있는 것

이다. 잠재적/고위험 사용자 군 비율은 작년 23.7% 대비 8%p 증가한 것으로 초등

Page 278: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260

학교 고학년이 되면서 급상승한 모습을 볼 수 있다. 전체 2~3명 중 1명이 스마트

폰 중독 위험군에 속한다는 결과는 이 문제에 대해 예방을 넘어 치료에 관련한 접

근이 필요함을 알리고 있다.

현 사회에서 스마트폰의 소유와 사용은 성인뿐 아니라 어린이에게도 피할 수 없

는 필수적 생활 요건이 되고 있기는 하지만,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급상승하고 있

는 중독 위험군은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스마트폰 중독은 갈망이나 금단, 내성,

일상생활 장애, 사이버 중심의 관계 지향 등의 문제를 일으키고 개인의 스트레스,

불안 및 우울에 대한 대처 성향이나 충동조절장애,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ADHD) 등의 공존질환과의 연관성이 있음이 알려져 있다(https://terms.naver.

com/entry.nhn?docId=2109946&cid=51011&categoryId=51011, 2019. 11.

3. 인출). 따라서 초등학생들이 보이는 미디어 중독 고위험 사용자군 양상은 더 심

화되기 전에 개입이 필요해 보인다.

나. 사이버 폭력 인지에 대한 성차

스마트폰 기기 사용 중독과 더불어, SNS 등 사이버 공간 상의 인적 교류가 활발

해지면서 문명의 이기로서의 역할이 분명히 있음에도 사이버 상의 익명성을 이용

한 악성 댓글 등 사이버 폭력 또한 큰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 현

상은 사이버 공간 이용에 예외가 아닌 초등학생들에게도 영향을 미쳐 아직은 성숙

한 판단을 하지 못하는 아동들을 비정상적 사이버 폭력에 무방비 노출되게 하여

이를 둔감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상황을 만들 수 있다. 한국아동패널에서는 아동들

이 사이버 폭력에 대해 갖고 있는 인식을 알아볼 수 있는 질문을 ’18년도부터 포함

하였다.

본 보고서 <표 Ⅲ-2-31>과 <표 Ⅲ-2-32>에서는, 총 여섯 가지 사례를 보여주고

각각의 경우가 얼마만큼 문제가 되는지 인식의 정도를 아동들에게 직접 질문하고

있다. (a)‘다른 사람의 개인정보를 허락받지 않고 이용하기’, (b)‘다른 사람을 욕하

거나 비방하기’, (c)‘동영상이나 사진 등을 허락 받지 않고 다운로드 받거나 이용하

기’, (d)‘정확하지 않은 정보를 전달하거나 퍼뜨리기’, (e)‘불건전한 정보를 전달하

거나 퍼뜨리기’, (f)‘집단 따돌림에 가담하기’ 등 여섯 가지 사항에 대해 응답한 결

과를 보면, 다른 무엇보다 여성이나 남성이냐의 아동 성차에 따라 유의미한 점수

Page 279: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Ⅴ.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261

차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남아가 여아보다 예외 없이 모든 항목에서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보여 여아보다 남아가 이들 사항들을 ‘덜 문제시’ 하게 인지하는 것으

로 나타난 것이다. 여자 아이들은 이 항목들에 대해 모두 4점 이상의 점수로 ‘매우

문제가 됨’이라 응답했는데 비해 남자 아이들은 거의 대부분 3점대의 ‘문제가 됨’

정도에 응답했고 유일하게 ‘다른 사람을 욕하거나 비방하기’에만 4.02점 점수를

줘 6개 항목 중 가장 높은 문제의식을 보였다. 이 항목에서 여자아이들이 준 점수

는 4.25점이었다.

본 보고서의 다른 문항들을 보면, 스마트폰이나 PC를 게임을 위해 사용하는 비

율에서 남아가 여아보다 훨씬 높고 미디어 중독 위험군 진단 비율에서도 남아는

여아보다 30% 이상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사이버 공간을 더 많이, 더

자주 사용하면서 타인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폭력성 행동들에 대해서는 덜 문제시

하고 폭력으로서 인지하는 정도가 떨어지는 것이다. 이들이 잠재적 중독자이고 중

독자가 될 확률이 큰 것을 고려하면, 또한 시간이 지나 이들이 사이버 공간을 장악

하는 주사용자가 될 것을 예측하면 이러한 폭력적 사항에 대한 민감성을 가지도록

강조될 필요가 있다.

한편, 프로그램 설치/삭제/업데이트 등 작동 능력, 파일전송이나 악성코드검사/

치료 등 컴퓨터 사용 능력의 측면에서도 남녀 간 인지하는 수준에서 차이가 있는데

남자 아동이 여자 아동보다 이러한 컴퓨터 사용 능력에서 앞서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이는 더 많이 이용하고 상대적으로 더 많은 프로그램을 활용하고 있는 남아

들이 컴퓨터 활용 기술에 숙련된 것으로 보이므로 결과적으로 긍정적 결과라고 할

수 있겠으나 부정적 측면에 대한 자각과 인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지원 또한

필요함을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이다.

추가적 논의로, 사이버폭력뿐 아니라 일상적 집단 괴롭힘의 피해 비율에서도 남

아가 여아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고, 행동문제나 과잉/부주

의 행동으로 대표되는 ‘외현화 난점’ 및 총체적 어려움 검사에서도 남자 아이들의

부정적인 점수가 높으며, 학교적응의 일부를 보여주는 교사에 대한 선호 정도에서

도 여자아이보다 남자아이가 유의미하게 낮다는 결과까지 있어 이 모든 측면이 남

자 아동의 사회-인지 및 도덕 발달에 총체적 개입이 어느 정도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Page 280: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262

다. 취업모 자녀의 불리한 특성

결과 분석표에서 유난히 많은 ‘유의미한 차이’ 표식이 첨부된 경우가 어머니 취

업 여부라는 변인이었다. 앞서 논의한 영상보기 등 미디어 사용 시간이나 게임 시

간, 스마트폰 등 미디어기기 사용의 고위험군 비율에서 취업모의 자녀가 미취업모

자녀보다 더 많은 시간 이용, 더 높은 비율을 보여 부정적 상황에 처한 경우가 많

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끈기, 지속적 열정을 보여주는 지표인 GRIT 검사에서도 어머니가 취업하

지 않는 아동이 취업한 경우의 아동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받는 것으로 결과가

산출되었다. 이 끈기 검사는 성별이나 출생순위, 가구소득 등 다른 변인에 대해서

는 전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유일하게 모 취업여부에 따라서만 점수

차이를 보이고 있어, 이에 대한 주의 깊은 검토가 필요하며 매개요인이라든지 개인

환경의 영향변인에 대한 보다 심층적 분석이 요구된다.

특이한 점으로 아동이 갖고 있는 미래에 대한 자신의 상 또는 미래에 대한 기대

를 질문한 문항에서 취업모 자녀는 미취업모 자녀와 응답 경향에 차이를 보이는

것을 들 수 있다. 취업모 자녀는 미취업모 자녀에 비해 ‘돈을 잘 버는 사람’, ‘유명

한 사람’, ‘사회에서 높은 지위를 가진 사람’ 등 돈과 명예 등 성취지향적 성격을

지닌 미래상에 더 많은 기대 점수를 둔 데 비해, 미취업모 자녀는 ‘다른 사람을 돕

는 사람’을 미래기대로 꼽은 점수에서 취업모 자녀보다 큰 비중을 두었다. 이 결과

또한 면밀한 추가 분석이 필요하겠지만, 취업모라는 변인의 교차분석에서 통계적

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것은 유념해둘 필요가 있다.

라. 저소득 가구 자녀의 소외

2018년도 조사 결과의 여러 항목에서 저소득 가정 자녀의 불리한 환경과 조건

에 대한 결과들을 볼 수 있었다. 첫째는 일상생활 특성 중 식생활 진단 결과의 측

면이다. 가구소득이 높은 가구일수록 매일 과일 1개 또는 과일 주스를 매일 먹는

것으로 나타나 낮은 가구와 차이가 있었다. 주식이 아니므로 후식이나 간식에 해당

하는 과일에 대한 소비가 섭취 빈도에 있어 가구 소득에 따라 차이가 있음이 드러

났고 이는 비타민 등 필수 영양소의 섭취에는 차이가 없는지 보다 구체적으로 조사

Page 281: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Ⅴ.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263

해볼 필요성을 느끼게 한다.

두 번째는 수면시간의 차이이다. 소득이 높은 가구일수록 아동의 주중 수면 시간

이 짧았으며 주말의 수면시간은 큰 차이가 없었다. 이 항목 자체로서는 소득집단

간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 원인에 대한 정보가 없으나, 짐작컨대 소득이 높은 가구

에서는 아동의 예체능지도, 사교육 등 아동에게 요구하는 교육적 활동이 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해 이로 인한 수면시간 차이가 있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 항목

에서는 소득 층 간 뚜렷한 시간 차이를 보여, 399만원 이하 집단과 600만원 이상

집단 간은 15.6분의 유의미한 평균 수면 시간 차이가 있었다.

셋째, 저소득 가구일수록 스마트폰, PC 등 기기의 이용 시간이 길고, 고위험 사

용자 군에 속하는 비율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기의 보급이 보편화된 상황에서

저소득층 자녀 또한 스마트폰을 대부분 가지고 있고(주. 스마트폰 소유 여부에서는

소득집단 간 차이가 없음) 이들의 사용 시간에 대한 감독 등이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어 저소득층 아동의 스마트 기기 사용 시간이 더 길 수 있다. 한편으로는 앞

서 논의한 사교육 등 고소득층의 자녀가 자유시간이 부족하여 이의 사용을 더 적게

할 가능성도 있다.

미디어기기 중독 고위험 사용자군 비율에서는 500~599만원 소득 집단 자녀의

비율이 가장 낮고 400~499만원 집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399만원 이하

집단 또한 매우 높은 편이었다. 이러한 경향은 스마트기기 사용 시간과도 관련이

있어 보이나, 저소득층 자녀의 미디어 중독 방지에 대한 관심이 더 크게 인지될

필요가 있음은 분명해 보인다.

넷째, 저소득 가구 아동이 상대적으로 학업 스트레스가 많고 영어와 수학 수행

능력에서 낮은 성취 성향을 보이며, 의사소통 능력 검사의 점수가 낮다.

담화관리, 상황에 따른 조절, 의사소통의도, 비언어적 의사소통 등 네 가지 하위

요소를 가진 화용언어능력 검사(CPLC)에서 소득수준이 높아질수록 총점을 포함한

하위 영역 모두의 점수에서 유의미한 정도로 차이를 보였다. 그 중에서 특히 대화

의 주제를 개시하거나 유지, 전환, 종결하는 기술 등 담화관리 영역에서 가장 점수

가 낮았다. 이는 언어발달의 측면에서 의사소통 방식이나 능력에 가구소득이 연관

성이 있음을 유추하게 한다.

교사의 평가에 근거한 학업 능력 면에서는 국어나 사회, 과학 등 여러 영역에서

Page 282: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264

는 소득층간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으나 영어 및 수학 영역에서 저소득 가구에비해

고소득 가구 아동의 능력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어 있어 차이를 보였다. 소위 주요

과목으로 언급되고 사교육이나 선행학습이 가장 빈번히 일어나는 과목인 영어와

수학에서 능력 차이가 평가되는 점은 저소득층으로 하여금 소외를 느끼게 하는 원

인 중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저소득 가구 아동들이 학업 스트레스가 유의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는

것은 위와 같은 학업능력에 대한 평가나 언어능력 등이 배경이 될 수 있을 가능성

을 짐작케 한다.

다섯째, 조사 항목 중 아동의 취미생활 중 악기나 운동 측면을 묻는 질문에서

저소득 가구 아동은 운동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악기를 배움에

있어서는 낮은 비율을 보였다. 즉, 소득이 높은 가구에서는 아동이 다룰 수 있는

악기가 있다는 비율이 71%에 이르렀으나 낮은 소득 가구에서는 56~58%로 나타

나 큰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통해 패널로 참여하는 가구 내에서도 소득에 따른 문화

실조가 분명이 있음을 알 수 있다.

3. 정책적 시사점

가. 스마트폰 등 미디어기기 중독 방지 교육 강화

미디어기기 중독 정도를 살펴본 조사결과를 보면, 스마트폰 등 미디어기기 이용

에 잠재적 고위험군이 30%를 넘어가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우리 사회에서 상당

히 유의해서 주의 깊게 다루어져야 할 문제로 여겨진다.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미디어기기 중독의 위험성에 대해 면밀히 연구, 조사하고

이에 대한 대안과 예방책을 마련하여 아동들이 이해하고 자발적으로 동참할 수 있

도록 유도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 홍보와 교육은 학교와 가정, 방과후 교

육 기관 등 생활 체계뿐 아니라 미디어 자체를 통한 전달 또한 효과적일 것으로

본다.

Page 283: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Ⅴ.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265

나. 사이버 비행에 대한 민감성 교육 기회 확대

앞서 논의한 문제점에서 보듯이, 사이버 공간에서의 상대에 대한 침해를 타인에

대해 손해를 끼치고 타인을 괴롭힐 수 있는 문제로 아동들이 인식할 수 있도록 하

는 민감성 교육이 필요해 보인다. 초등학생이라는 비교적 어린 시기에 사이버 비행

의 결과, 피해 현황 등에 대한 객관적 이해와 인지의 기회를 갖도록 하여 장기적인

사회 효과를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사이버 비행을 비롯한 폭력적 비행의 문제를 인지하고 대처할 수 있는 교육프로

그램을 개발하고 아동의 연령에 맞는 방식으로 교육, 지원될 필요가 있다. 특히 남

자 아동에 대한 세심하고 효과적인 민감성 교육이 더욱 요구된다.

다. 저소득 가구 자녀 지원

저소득 가구 아동이 고소득 가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과일, 채소를 섭취하는 빈도

가 적다는 결과는 이를 보편적 차원에서 해결하기 위해 학교 급식을 통해 부족한

영양소를 취할 수 있도록 교육청과 지자체가 특히 지원할 필요가 있다.

자신감 있는 언어적 소통 능력을 키워주기 위해서는 모든 아동들이 리더십을 키

울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학교가 적극 지원해야 하며, 또한 방과후 수업에서 악기

연주 강좌를 다양하게 추가하여 악기연주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주는 것도 요구된

다. 저소득 가구 자녀에게 보편적 방식으로 지원 수혜가 가능하도록 기회를 갖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Page 284: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Page 285: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267

참고문헌

김세원(2003). 사회적 지지가 학대경험 아동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아영(2003). 학업동기 검사 전문가 지침서. 인싸이트 심리검사연구소.

김양분・김성식・박성호・민병철・강상진・김현철・신종호(2006). 한국교육종단연구

2005(Ⅱ). 한국교육개발원.

도남희・배윤진・이예진・이윤진・김문정・임준범・김희수(201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7(한국아동패널Ⅱ). 육아정책연구소.

민병수(1991). 학교생활적응과 자아개념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송연옥(2008). 청소년기의 자아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간의 구조분

석.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안현의・안창규(2017). NEO 성격검사 전문가 지침서. 인싸이트 심리검사연구소.

오소정・이은주・김영태(2012). 화용능력 체크리스트 문항 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

언어치료연구, 21(2), 111-135.

유성경・심혜원 (2002). 적응유연한 청소년들의 심리적 보호 요소 탐색. 교육심리

학연구 16(4), 189-206.

이정림・김지현・이규림・임종환(2017). 한국 어린이 성장발달 코호트 모형 구축 및

타당화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장명림・신나리・박수연(2006). 아동패널조사 모형개발 연구. 육아정책개발센터.

정화실(2009). 초등학생의 모애착과 학교생활적응이 낙관성에 미치는 영향. 단국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최용환・박상현・한지형(2017).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Ⅷ.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방송통신위원회・한국정보화진흥원(2017). 2017 사이버폭력 실태조사.

허묘연(2000).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척도개발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Page 286: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268

Block, J., & Kremen, A. M. (1996).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 349–361.

Fattore, T,, Mason, J., & Watson, E. (2007). ‘Children’s conceptualisation(s)

of their well-being’. Social Indicators Research, 80, 5-29.

Hirshkowitz, M., Whiton, K., Albert, S. M., Alessi, C., Bruni, O.,

DonCarlos, L., ... & Neubauer, D. N. (2015). National Sleep

Foundation’s sleep time duration recommendations: methodology

and results summary. Sleep Health: Journal of the National

Sleep Foundation, 1(1), 40-43.

Manz, P. H., Fantuzzo, J. W., & Power, T. J. (2004).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family involvement among urban elementary

students.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42, 461 – 475.

Mendelson, B. K., & White, D. R. (1982). Relation between

body-esteem and self-esteem of obese and normal children.

Perceptual and Motor Skills, 54(3), 899–905.

Sanson, A., Nicholson, J., Ungerer, J., Zubrick, S., Wilson, K., Ainley,

J., ... & Rodgers, B. (2002). Introducing the Longitudinal Study

of Australian Children (LSAC Discussion Paper No. 1).

Melbourne, Australia: Australian Institute of Family Studies.

Taggart, B., Sylva, K, Melhuish, E, Sammons, P, & Siraj, I. (2015).

Effective pre-school,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project

(EPPSE 3-16+). Department for Education.

The Children’s Society. (2012). The good childhood report 2012: A

review of our children's well-being.

[웹사이트]

한국청소년패널조사 초4패널 1-5차년도 User’s Guide. 한국아동・청소년데이터

아카이브 홈페이지 http://www.nypi.re.kr/archive/brdartcl/boardarticle

View.do?menu_nix=V4Aer10k&brd_id=BDIDX_j1peYiuN6Lf430Q9

fG7W2v&srch_ctgry_idx=CTIDX00143&seltab_idx=0

Page 287: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참고문헌

269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조사개요. 한국아동・청소년데이터 아카이브 홈페이지.

http://www.nypi.re.kr/archive/brdartcl/boardarticleView.do?men

u_nix=qZc474Ak&brd_id=BDIDX_k9Fd9oFi29nooCcJ7kX1I4&srch

_ctgry_idx=CTIDX00043

http://www.nichd.nih.gov/research/supported/seccyd/Pages/overview.a

spx#goal

http://psidonline.isr.umich.edu/Guide/documents.aspx

https://www.neps-data.de/tabid/294/language/en-US

http://www.elfe-france.fr/index.php/en/research/three-main-research-

themes

http://www.fhi.no/en/studies/moba/for-forskere-artikler/questionnaires

-from-moba

[신문기사]

경향신문(2017. 02. 02). 아이에겐 ‘엄한 엄마, 부드러운 아빠’가 좋다.

국민일보(2017. 02. 02). “자녀 언어능력, 아버지 역할 연관성 크다”.

내일신문(2018. 03. 22). 초등 입학생 ‘방과후 돌봄’지원 시급.

뉴시스(2019. 07. 07). “워킹맘이라도 괜찮아”…아이 초등학교 적응에 영향 없다.

동아일보(2018. 04. 05). 초등 돌봄교실 확대, 엄마 마음 담아야 공백 메운다.

문화일보(2019. 06. 25). “한 아이도 이리 힘든데...” 양육스트레스가 후속 출산

을 막는다.

베이비뉴스(2017. 01. 31). [0세부터 사교육行] 중국어부터 코딩까지 영유아 사

교육 신풍속도.

베이비뉴스(2019. 01. 16). 육아정책연구소, 한국아동패널 정보 2400만 건 공개.

비즈한국(2017. 11. 20). 한부모 가정 아이들은 문제가 많다?.

연합뉴스(2017. 02. 02). “아빠 양육은 ‘양보다 질’…언어・정서 발달에 중요”.

연합뉴스(2019. 01. 06). “어린이집 다닌 유아, 기초 어휘력 갖출 확률 높다”.

이데일리(2017. 02. 02). “유아 능력, 소득 아닌 부모관계 영향 받는다”.

Page 288: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270

쿠키뉴스(2017. 01. 05). 영재테스트에 중국어 전문 과정까지… 영어유치원 무

리수 ‘우려’.

쿠키뉴스(2018. 11. 13). 한국 초등학생 수면시간 미국과 비슷…운동・학습량은

격차 심해.

쿠키뉴스(2019. 01. 16). 출생부터 청년기까지…한국아동패널 정보 개방 -조사데

이터를 공공데이터로 개방.

키즈맘(2018. 11. 16). 육아정책연구소 “초등2학년 10%는 권장 수면 시간 미달”.

키즈맘(2019. 01. 15). 육아정책연구소, 공공데이터 포털에 한국아동패널 정보

공개.

헤럴드경제(2017. 05. 18). “부드러운 아빠가 언어・정서 발달에 도움”.

Page 289: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271

Abstract

2019 Longitudinal Study of Growth and

Development of Korean Children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Ⅱ)

Eunseol Kim, Jungwon Choi, Hyewon Jang, Hyejoo Cho, Heesue Ki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provides longitudinal and

cross-sectional data to scholars in the related fields in order to enrich

their academical research and develop national policies for children

through the studies. We have also supplied the annual research reports

with PSKC data since 2008 by analyzing the major variables on children’s

cognitive, linguistic, physical,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and

effects of the various environment surrounding them.

The 12th year wave of PSKC in 2019 consisted of producing the annual

research report, providing the whole PSKC data on the “Public Open

Data” web-site, and holding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anel

studies with PSKC. The annual repeated survey and developmental

measures for children, parent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and a

web-based questionnaire for the home-room teacher of each child are

conducted. There were 1,412 panel families participating in the 12th

year survey with retention rate of 65.7%. A few representative points

fro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11 year old panel children’s mean height is 141.15㎝(SD=6.45)

and weight 37.63㎏(SD=8.42). The percentage of possessing a cell-phone

is 80.5% and using hours are 1.55h per day(SD=1.01) for a boy and 1.45h

per day(SD=0.91) for a girl. The average hour of watching TV or other

Page 290: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272

video clips are 1.16 hour on weekdays and 2.42 hours on weekends.

Second, the average sleeping hours are 9.14 hours on weekdays and

9.49 hours on weekends. The 64.5% of the panel children play musical

instruments and enjoy sports 75.3%: boys prefer soccer and Taegwondo

while girls enjoy swimming more.

Third, the mean score of communication skills is 4.10(SD=0.50) on

the 5 point scale: girls’ average score is higher than boys. The children’s

average self-esteem score is 3.48(SD=0.46) on the 5 point scale, which

means relatively high level in the measurement. In the perception of

overall happiness, the mean score is 3.30(SD=0.47), which shows also

pretty high level.

Fourth, the proportion of getting bullying in school was 8.3~15.2%

according to the kinds of the bulling.

Fifth, 38.4% of the children responded positively to the question of

their intention on marriage in the future. The proportion for girls is

lower than that for boys. 12.5% of the children said yes on the question

if they would have a child in their futur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we suggested some implication

including special care for children from low income family and the

importance of providing well-designed education programs for

anti-cyber bullying and addiction of using internet.

Keyword: panel, longitudinal data, Korean children, age 11

Page 291: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부록

대분

류중

분류

소분

류영

아기

유아

기아

동기

1차2차

3차4차

5차6차

7차8차

9차10

차11

차12

인구

학적

인구

학적

아동

이름

☆☆

☆☆

☆☆

☆☆

☆☆

☆☆

아동

이름

변동

사유

--

-○

○○

○○

○○

○○

성별

○○

○○

○○

○○

○○

○○

출산

예정

일,

재태

기간

○-

--

--

--

--

--

출생

월,

월령

○○

○○

○○

○○

○○

○○

출생

순위

출생

순위

○○

○○

○○

○○

○○

○○

출생

순위

변동

사유

-○

○○

○○

○○

○○

○○

일상

생활

성수

수면

습관

성○

○○

○-

--

--

--

-

혼자

자기

시작

한 시

기,

주로

재워

주는

사람

, 함

께 자

는 사

람,

아침

에 스

스로

기상

여부

/횟수

--

--

--

-○

--

--

낮잠

여부

/시간

--

○○

○○

○-

--

--

낮잠

횟수

--

○○

--

--

--

--

부록

1.

차수

별 조

사 내

용 상

세표

5)

<부록

표 1

-1>

차수

별 아

동 특

성 변

5) ☆

은 내

부 검

토를

통해

비공

개로

결정

된 자

료임

.

273

Page 292: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274

대분

류중

분류

소분

류영

아기

유아

기아

동기

1차2차

3차4차

5차6차

7차8차

9차10

차11

차12

기상

/취침

시각

, 수

면 시

간-

-○

○○

○○

○○

○○

숙면

여부

--

○○

○○

○○

--

--

밤잠

중 깨

는 횟

수-

-○

○-

--

○-

--

-

식생

모유

수유

여부

○○

○○

--

--

--

--

수유

방법

, 혼

합수

유 시

작 시

기,

이유

식 시

작 시

기-

--

--

-○

--

--

-

모유

수유

중단

시기

, 이

유,

수유

및 식

습관

특성

○○

○○

--

--

--

--

식습

관 자

립도

, 식

사 양

, 속

도,

편식

, 규

칙적

식사

--

--

○○

○-

--

--

간식

횟수

--

-○

○○

○-

--

--

아침

식사

횟수

, 외

식 횟

수-

--

-○

○○

--

--

-

가족

과의

식사

--

--

-○

○-

--

○○

식생

활 진

단-

--

--

--

○○

○○

주로

마시

는 물

의 종

류,

음료

수 섭

취 빈

도-

--

--

--

○-

--

-

유산

균 복

용 여

부,

기간

, 마

지막

복용

시기

--

--

--

-○

--

--

탄산

음료

섭취

--

--

--

--

--

○○

인스

턴트

식 섭

취-

--

--

--

--

-○

실내

/외

활동

배변

/씻기

습관

특성

○○

○○

--

--

--

--

일과

활동

시간

--

○○

○○

○○

○○

○○

실내

놀이

일,

바깥

놀이

및 외

출일

--

--

-○

○-

--

--

실내

, 실

외 신

체활

동-

--

--

--

○○

-○

독서

량-

--

--

--

-○

○○

활동

별 참

여 빈

도-

--

--

--

○○

○○

미디

미디

어 이

용 시

간-

--

-○

○○

○○

○○

미디

어 이

용일

--

--

-○

○-

--

--

미디

어 이

용 정

도-

--

-○

○○

-○

○○

미디

어 이

용 시

작 시

기-

--

-○

--

--

--

-

Page 293: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275

대분

류중

분류

소분

류영

아기

유아

기아

동기

1차2차

3차4차

5차6차

7차8차

9차10

차11

차12

미디

어 이

용 이

유-

--

--

--

○-

--

-

미디

어 이

용 순

위-

--

--

--

-○

--

-

미디

어 기

기 중

독-

--

--

--

--

○○

휴대

폰(스

마트

폰)

소유

여부

--

--

--

-○

○○

○○

사이

버 비

행-

--

--

--

--

-○

-

컴퓨

터 사

용능

력-

--

--

--

--

-○

-

저축

저축

관-

--

--

--

--

-○

취미

악기

연주

, 스

포츠

경험

--

--

--

--

--

○○

신체

건강

특성

신체

특성

두위

○○

--

--

--

--

--

시력

보정

도구

착용

시기

--

--

-○

○○

○○

○○

체중

, 신

장○

○○

○○

○○

○○

○○

허리

둘레

--

--

--

○○

○○

○○

주관

적 건

강상

태-

--

--

--

○○

○○

처음

유치

가 빠

진 시

기,

빠진

유치

개수

, 충

치 개

수-

--

--

--

○○

○-

-

시력

보정

도구

착용

여부

--

--

-○

○○

○○

○○

2차 성

장이

나타

난 시

--

--

--

--

--

○○

신체

적 자

아상

--

--

--

--

--

-○

운동

능력

운동

발달

, 미

세운

동 및

적응

발달

[K-D

enve

r Ⅱ

]○

○○

--

--

--

--

-

대/소

근육

운동

○○

--

○○

--

--

-

우세

손-

--

--

○○

○-

--

-

질환

장애

판정

여부

, 유

형,

급수

-○

○○

○○

○○

○○

○○

예방

접종

여부

및 횟

수○

○○

○-

--

--

--

-

(사고

및 중

독으

로 인

한)

응급

실 치

료 여

부-

○○

○○

○○

○○

○○

(사고

및 중

독으

로 인

한)

응급

실 치

료 횟

수-

○○

○○

○○

○-

--

-

(사고

및 중

독으

로 인

한)

응급

실 치

료 이

유-

--

--

--

-○

○○

Page 294: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276

대분

류중

분류

소분

류영

아기

유아

기아

동기

1차2차

3차4차

5차6차

7차8차

9차10

차11

차12

통원

치료

횟수

-○

○○

○○

○○

--

--

입원

치료

여부

○○

○○

○○

○○

○○

○○

입원

치료

기간

○○

○○

○○

○○

--

--

입원

치료

횟수

-○

○○

○○

○○

--

--

입원

치료

이유

--

-○

○○

○○

○○

○○

항생

제,

진통

제/해

열제

복용

여부

및 횟

수-

--

--

○○

○-

--

-

만성

질환

별 의

사 진

단 여

부,

시기

-○

○○

○○

○○

○○

○○

만성

질환

별 상

담 또

는 병

원 치

료 여

부-

--

--

--

-○

○○

심리

사회

적 질

환별

의사

진단

여부

, 시

기-

--

--

--

○○

○○

심리

사회

적 질

환별

의사

상담

또는

병원

치료

여부

--

--

--

--

○○

○○

알레

르기

질환

별 징

후,

응급

실 방

문 및

입원

횟수

, 의

사 진

단 여

부-

--

--

○○

○-

--

-

알레

르기

질환

별 의

사 진

단 여

부,

시기

--

--

-○

-○

-○

○○

알레

르기

질환

별 치

료 여

부,

치료

기간

및 약

물-

--

--

○○

○-

--

-

알레

르기

질환

유발

의심

식품

--

--

-○

-○

--

--

알레

르기

유발

의심

식품

제한

--

--

--

-○

--

--

인지

언어

발달

인지

발달

문제

해결

[K-A

SQ

]○

○○

--

--

--

--

-

창의

성(유

창성

, 독

창성

, 민

감성

, 개

방성

)-

--

-○

--

--

○-

-

지능

(인지

, 동

작)

-○

--

-○

--

--

--

인지

발달

(교실

상황

관찰

형)

--

--

○○

--

--

--

집행

기능

(계획

및 조

직화

곤란

, 행

동 통

제 곤

란,

정서

제 곤

란,

부주

의)

--

--

--

-○

○○

○-

다요

인 지

능(어

휘적

용력

, 언

어유

추력

, 도

식화

능력

, 수

리력

, 공

간지

각력

, 추

리력

)-

--

--

--

-○

--

-

언어

발달

언어

발달

[K-D

enve

r Ⅱ

], 의

사소

통[K

-ASQ

]○

○○

--

--

--

--

-

Page 295: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277

대분

류중

분류

소분

류영

아기

유아

기아

동기

1차2차

3차4차

5차6차

7차8차

9차10

차11

차12

수용

어휘

력-

--

○-

○-

○-

--

-

표현

어휘

력-

--

○-

○○

○-

--

-

언어

발달

(교실

상황

관찰

형)

--

--

○○

--

--

--

발화

능력

(조음

평정

치,읽

기유

창성

,모방

오류

어절

,발음

오류

어절

,오류

자음

,읽기

지수

)-

--

--

-○

--

--

-

의사

소통

(화용

언어

)-

--

--

--

--

○○

-

비속

어 사

용-

--

--

--

--

○○

학습

관련

학습

준비

도(사

회정

서발

달,학

습에

대한

태도

,의사

소통

,인지

발달

및일

반적

지식

), 학

업능

력(언

어 및

해능

력,

수리

적 사

고)

--

--

--

○-

--

--

학업

수행

능력

--

--

--

-○

○○

○○

학업

스트

레스

--

--

--

--

--

○○

학업

동기

--

--

--

--

--

-○

전반

발달

신체

발달

및 성

장,

언어

발달

, 인

지발

달,

사회

정서

발달

, 기

관에

서의

적응

--

--

--

○-

--

--

사회

정서

발달

자아

발달

기질

(활동

성,

부정

적 정

서성

)○

○○

○○

--

--

--

-

기질

(수줍

음,

사회

성)

--

○○

○-

--

--

--

기질

[EC

BQ

]-

○-

--

--

--

--

-

자아

개념

(중요

성,

유능

성,

영향

력,

일반

적 평

가,

덕목

)-

--

--

○-

--

--

-

자아

개념

(자아

탄력

성,

자아

정체

감)

--

--

--

--

--

-○

자아

존중

감-

--

--

-○

○○

○○

-

미래

기대

--

--

--

-○

○○

○○

장래

희망

--

--

--

--

-○

○○

미래

에 대

한 인

식-

--

--

--

--

--

GR

IT-

--

--

--

--

-○

-

Page 296: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278

대분

류중

분류

소분

류영

아기

유아

기아

동기

1차2차

3차4차

5차6차

7차8차

9차10

차11

차12

자율

성-

--

--

--

--

--

성격

--

--

--

--

--

-○

정서

발달

선호

놀이

영역

순위

, 육

아지

원기

관 선

호도

--

-○

○○

○-

--

--

교사

선호

도-

--

○○

○○

○○

○○

과목

선호

도-

--

--

--

--

--

주관

적 행

복감

--

--

--

○○

--

--

행복

감-

--

--

-○

--

--

-

전반

적 행

복감

--

--

--

-○

○○

○○

일상

적 스

트레

스-

--

--

-○

--

--

-

3학교

/과목

선호

도,

학교

생활

느낌

--

--

--

-○

○○

○○

시간

사용

만족

도-

--

--

--

--

○○

사회

발달

개인

-사회

성[K

-ASQ

, K-D

enve

r Ⅱ

]○

○○

--

--

--

--

-

어머

니와

의 애

착-

○-

--

--

--

--

-

놀이

및 사

회적

활동

특성

--

○-

--

--

--

--

또래

상호

작용

(상호

작용

, 방

해,

단절

)-

--

○○

○○

--

--

-

문제

행동

[K-C

BC

L]-

--

-○

○○

○-

○-

사회

적유

능감

(교사

용-주

장성

, 협

력성

, 자

기통

제)

(부모

용-주

장성

, 협

력성

, 자

기통

제,

책임

성)

--

--

--

○-

--

--

친구

수-

--

--

--

○○

○○

친구

와의

놀이

, 싸

움 빈

도-

--

--

--

○○

○○

-

학교

적응

, 학

교생

활 적

응,

학업

수행

적응

, 또

래 적

응,

교사

적응

--

--

--

-○

○○

○○

강점

/난점

(정서

증상

, 행

동문

제,

과잉

행동

/부주

의,

또래

문제

, 사

회지

향)

--

--

--

--

○○

○-

또래

애착

--

--

--

--

-○

○-

Page 297: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279

대분

류중

분류

소분

류영

아기

유아

기아

동기

1차2차

3차4차

5차6차

7차8차

9차10

차11

차12

삶의

만족

도-

--

--

--

--

-○

상대

적 박

탈지

수(가

정형

편)

--

--

--

--

--

○○

이성

관계

--

--

--

--

--

○○

집단

괴롭

힘-

--

--

--

--

-○

사이

버폭

력-

--

--

--

--

--

사회

관련

결혼

관,

자녀

관-

--

--

--

--

-○

공동

체 의

식-

--

--

--

--

-○

-

Page 298: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280

구분

중분

류소

분류

영아

기유

아기

아동

1차2차

3차4차

5차6차

7차8차

9차10

차11

차12

개인

부부

특성

인구

학적

생년

월일

(주민

등록

기준

)☆

☆☆

☆☆

☆☆

☆☆

☆☆

연령

○○

○○

○○

○○

○○

○○

대한

민국

국민

여부

, 귀

화 여

부,

국적

, 귀

화 전

국적

○○

○○

--

--

--

--

종교

유무

및 유

형○

○○

○-

--

--

--

-

최종

학력

, 동

거 여

부,

비동

거 이

유○

○○

○○

○○

○○

○○

비동

거 시

아동

과 만

나는

일수

--

--

○-

--

--

--

심리

특성

우울

○○

○○

○○

○○

-○

-○

자아

존중

감○

○○

○○

○○

○○

-○

-

부정

적 자

기효

능감

○○

○○

○-

--

--

--

성격

-○

--

--

--

--

--

주관

적 행

복감

, 일

상적

스트

레스

--

--

--

○○

○○

○○

삶의

만족

도,

일-가

정 양

립시

이점

과 갈

등-

--

--

--

○○

○○

성역

할 가

치-

--

--

-○

--

--

-

일상

생활

특성

하루

일과

활동

시간

--

--

○-

--

--

--

부부

특성

결혼

상태

, 결

혼 기

간○

○○

○○

○○

○○

○○

배우

자 동

일 여

부-

○○

○-

--

--

--

-

결혼

일☆

☆☆

☆☆

☆☆

☆☆

☆☆

결혼

만족

도○

○○

○○

-○

○-

○-

부부

갈등

○○

○○

○-

○○

○-

○-

배우

자의

일상

적 스

트레

스-

--

--

-○

--

--

-

신체

건강

특성

신체

특성

신장

, 임

신/출

산 전

체중

○-

--

--

--

--

--

주관

적 건

강상

태-

--

--

--

○○

○○

질환

장애

1 ・2급

장애

유무

○○

○○

○○

○○

○○

○○

희귀

난치

성 질

환 유

무○

○○

○○

--

--

--

-

<부록

표 1

-2>

차수

별 부

모 특

성 변

Page 299: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281

구분

중분

류소

분류

영아

기유

아기

아동

1차2차

3차4차

5차6차

7차8차

9차10

차11

차12

알레

르기

질환

병력

--

--

-○

-○

○○

○-

음주

흡연

음주

여부

, 횟

수,

양○

○○

○○

○○

○○

 ○

 ○

 ○

 

과음

횟수

--

○○

○○

○○

○○

 ○

 ○

 

음주

시 홍

조 여

부-

--

--

-○

--

--

-

흡연

여부

, 하

루 흡

연량

○○

○○

○○

○○

○○

 ○

 ○

 

아침

흡연

선호

여부

, 시

간,

집중

여부

, 흡

연 욕

구 자

제의

려움

, 아

플 때

의 흡

연 여

부○

○○

--

--

--

--

-

직업

특성

일반

특성

취업

/학업

상태

○○

○○

○○

○○

○○

희망

근로

형태

○-

-○

○-

-○

--

--

시간

제 희

망 이

유-

--

○○

--

○-

--

-

희망

하는

일자

리 수

입-

--

○-

--

--

--

-

미취

/학업

취/학

업 중

단 시

기,

향후

취/학

업 계

획○

○○

○○

--

--

--

-

경력

단절

시 취

/학업

상태

-○

○○

--

--

--

--

취/학

업 중

단 이

유○

○○

○○

--

○-

--

-

구직

활동

여부

--

-○

○-

--

--

--

구직

활동

이유

--

-○

--

--

--

--

학업

특성

재학

상태

, 학

업 과

정,

학업

시간

, 휴

학시

기,

복학

계획

여부

, 복

학 예

정 시

기,

복학

/입학

시기

, 미

복학

사유

○○

○○

--

--

--

--

통학

소요

시간

-○

○○

--

--

--

--

휴학

여부

--

○○

--

--

--

--

휴학

사유

○-

○○

--

--

--

--

취업

특성

재직

상태

○○

○○

○○

○○

○○

○○

직장

변동

여부

-○

○○

○○

○○

○○

○○

직장

/직위

변동

이유

--

○○

○-

--

--

--

일을

하는

이유

--

-○

○-

- 

○-

--

-

Page 300: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282

구분

중분

류소

분류

영아

기유

아기

아동

1차2차

3차4차

5차6차

7차8차

9차10

차11

차12

근로

유형

○○

○○

--

--

--

--

직장

(사업

체)

명,

직장

의 사

업 내

용(업

종), 직

장에

서 주

하는

일,

직장

(사업

체)

내 직

위☆

☆☆

☆☆

☆☆

☆☆

☆☆

직업

군(대

・중・소

분류

), 종

사상

지위

○○

○○

○○

○○

○○

○○

근무

일 수

--

--

○○

○○

○○

○○

근무

시간

○○

○○

○○

○○

○○

○○

왕복

출퇴

근 시

-○

○○

○○

○○

○○

○○

주 4

0시간

미만

근로

이유

--

--

○-

--

--

--

직무

만족

도○

○○

○-

--

--

--

-

전반

적 일

자리

만족

도○

○○

○-

 ○

○○

○○

직장

종사

자 수

--

-○

○-

--

--

--

임신

중 취

업/학

업 여

부,

출퇴

근/등

하교

시간

--

--

--

○-

--

--

복직

계획

여부

/시기

, 향

후 이

직・퇴

직 계

획/사

유○

○○

○-

--

--

--

-

복직

/취업

시기

○○

-○

--

--

--

--

지난

1년

간 휴

직 여

부,

사유

--

○○

--

--

--

--

휴직

시기

--

○○

○-

--

--

--

양육

특성

부모

후속

출산

계획

여부

, 계

획 자

녀 수

, 미

계획

사유

○○

○○

○○

○○

--

--

후속

출산

계획

시기

-○

○○

○○

○-

--

--

이상

자녀

수,

기대

자녀

수,

성별

구성

○○

○○

○○

○○

--

--

후속

출산

결정

의 주

영향

자-

○○

○-

--

--

--

-

임신

출산

○○

(이)의

임신

계획

여부

, 기

대 성

별,

임신

확인

시,

출산

시 기

분,

임신

시 보

조생

식술

도움

, 분

만형

태,

분만

직후

아기

접촉

여부

○-

--

--

--

--

--

임신

중 항

생제

복용

여부

및 횟

수-

--

--

-○

--

--

-

임신

중 흡

연 여

부,

담배

연기

노출

여부

--

--

-○

--

--

--

Page 301: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283

구분

중분

류소

분류

영아

기유

아기

아동

1차2차

3차4차

5차6차

7차8차

9차10

차11

차12

양육

자녀

에 대

한 부

모의

책임

○○

○○

○-

--

--

--

양육

신념

○○

○-

○-

--

--

--

자녀

가치

, 자

녀의

미래

기대

○○

○○

-○

--

--

--

교육

열-

--

--

--

-○

--

-

양육

실제

양육

지식

○○

○-

--

--

--

--

양육

행동

(사회

적)

○○

○○

--

--

--

--

양육

행동

(온정

적,

통제

적)

--

-○

○○

○○

--

--

양육

행동

(권위

적,

권위

주의

적,

허용

적)

--

--

--

--

-○

○-

양육

시간

--

○○

○-

--

--

--

양육

스트

레스

○○

○○

○○

○○

--

--

양육

효능

감-

--

--

-○

-○

--

-

성취

압력

--

--

--

--

--

○○

부모

애착

--

--

--

--

--

-○

아동

학대

--

--

--

--

--

-○

아버

지의

양육

참여

○○

○○

○-

--

--

-

양육

분담

--

--

-○

○-

--

--

부모

공동

양육

(가족

통합

, 훈

육,

비난

, 갈

등)

--

--

--

○○

○-

--

부모

-자녀

상호

작용

--

--

-○

○○

○-

--

보호

자가

인식

한 ○

○의

친구

수-

--

--

--

○○

○○

하루

중 성

인 없

이 있

는 시

간,

부모

감독

--

--

--

-○

○○

○○

부모

의 학

업 관

심도

--

--

--

-○

○○

○○

학습

에 대

한 부

모 참

여-

--

--

--

--

--

○○

의 숙

제 시

도움

제공

자,

도움

정도

--

--

--

-○

○-

--

지원

특성

사회

적 지

원 정

도(도

구적

, 사

교적

, 정

보적

, 정

서적

)○

○○

○-

○○

○○

○○

-

사회

적 지

원 인

원-

--

--

○○

○○

○○

-

Page 302: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284

구분

중분

류소

분류

영아

기유

아기

아동

1차2차

3차4차

5차6차

7차8차

9차10

차11

차12

인구

학적

가구

구성

가구

구성

형태

, 가

구원

수○

○○

○○

○○

○○

○○

○○

(이)와

부모

의 동

거 여

부-

--

--

○○

○○

○○

가구

원 수

: ○

○(이

)의 조

부모

, 친

인척

, 기

타 가

구원

--

--

-○

○○

○○

○○

가구

원 수

: 자

녀-

--

○○

○○

○○

○○

구성

특성

성별

☆☆

☆☆

☆-

-○

○○

○○

연령

☆☆

☆☆

☆-

--

○○

○○

결혼

상태

☆-

--

--

-○

○○

○○

입양

여부

-☆

☆☆

☆-

-○

○○

○○

○○

(이)

형제

자매

의 알

레르

기 질

환력

--

--

-○

--

--

--

물리

특성

주거

환경

거주

주택

유형

○○

○○

--

-○

--

--

패널

아동

의 개

별 방

여부

--

--

--

-○

○○

-○

습기

여부

, 장

소별

습기

정도

--

--

-○

-○

○-

--

곰팡

이 여

부-

--

--

○○

○○

--

-

곰팡

이 냄

새 정

도-

--

--

○○

--

--

-

집의

연식

, 바

닥재

, 난

방 형

태,

주방

유형

--

--

--

-○

--

--

리모

델링

여부

, 종

류-

--

--

-○

○○

--

-

리모

델링

시기

--

--

--

○-

--

--

생활

환경

플라

스틱

용기

사용

여부

, 사

용 형

태.

따뜻

한 음

식 보

관 여

부-

--

--

--

○-

--

-

음료

수 용

기,

음료

의 플

라스

틱 용

기 보

관 여

부-

--

--

--

○-

--

-

환기

시간

, 횟

수,

공기

청정

기 설

치 여

부 및

장소

, 조

리시

열 공

급원

, 환

풍기

사용

--

--

--

○-

--

--

방향

제 또

는 디

퓨져

사용

여부

, 횟

수,

--

--

--

-○

○-

--

가습

기 사

용 여

부,

가습

기 살

균제

사용

여부

, 기

간,

종류

--

--

--

-○

○-

--

가습

기 살

균제

사용

빈도

, 시

간,

투입

횟수

--

--

--

--

○-

--

<부록

표 1

-3>

차수

별 가

구 특

성 변

Page 303: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285

구분

중분

류소

분류

영아

기유

아기

아동

1차2차

3차4차

5차6차

7차8차

9차10

차11

차12

애완

동물

수-

--

--

○-

○○

○○

경제

특성

소득

가구

소득

○○

○-

-○

○○

○○

○○

취업

모 근

로 소

득-

--

○○

○○

○○

○○

희망

근로

소득

, 출

산 전

후 소

득 변

화 및

이유

--

-○

--

--

--

--

근로

(사업

), 이

전,

자산

, 기

타,

공적

소득

--

-○

○-

--

--

--

주관

적 사

회경

제적

지위

--

-○

--

-○

○○

○○

지출

가구

의 소

비성

, 비

소비

성 지

출○

○○

○○

○○

○○

○○

자녀

에 대

한 소

비성

, 비

소비

성 지

출-

--

○○

○○

○○

○○

○○

(이)에

대한

소비

성,

비소

비성

지출

○○

○○

○-

--

--

--

○○

(이)에

대한

교육

/보육

비용

, 비

용 부

담-

--

--

-○

--

--

-

○○

(이)에

대한

용돈

지급

여부

, 지

급액

--

--

--

-○

○○

○○

○○

(이)의

용돈

사용

처-

--

--

--

--

-○

자산

부채

부동

산,

금융

자산

○○

○○

○○

○○

○○

○○

주택

소유

형태

, 추

가 주

택 소

유 여

부○

○○

○-

--

--

--

-

부채

여부

, 부

채액

, 월

상환

액○

○○

○○

○○

○○

○○

가정

환경

가정

환경

질가

정환

경의

질[H

OM

E]

--

-○

○○

○○

○○

--

가족

생활

가족

생활

사건

(비규

범적

, 규

범적

)○

○○

○○

--

--

--

-

가족

상호

작용

(균형

있는

응집

성,

유연

성)

--

--

-○

○-

○-

--

유해

환경

노출

간접

흡연

--

--

-○

○○

○-

--

위탁

가구

위탁

여부

, 위

탁 가

구 동

일 여

부,

위탁

사유

-○

○○

--

--

--

--

위탁

시기

--

○○

--

--

--

--

Page 304: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286

구분

중분

류소

분류

영아

기유

아기

1차2차

3차4차

5차6차

7차

육아

지원

비스

이용

특성

낮시

간 주

양육

자○

○○

○○

--

최초

이용

한 육

아지

원 서

비스

유형

, 시

작 시

기○

--

--

--

지난

1년

간 육

아지

원 서

비스

이용

유형

-○

○○

○-

-

지난

1년

간 육

아지

원 서

비스

이용

수-

○○

○○

○○

향후

기관

/시설

이용

계획

-○

○○

--

-

육아

지원

서비

스 이

용 유

형○

○○

○○

○○

서비

스 이

용 이

유,

중복

이용

이유

○○

○○

○○

○이

용/미

이용

유서

비스

미이

용 이

유-

○○

○○

-○

대인

서비

이용

관련

대리

양육

선택

시 최

우선

고려

사항

, 이

용 경

로○

○○

○-

--

이용

이유

, 비

용,

시작

시기

○○

○○

○-

-

추가

지원

자 이

용 비

용-

○○

○-

--

이용

비용

부담

도-

○○

○○

-○

이용

빈도

, 시

간,

전반

적 이

용 만

족도

, 비

용 지

불 여

부 및

방식

○○

○○

○○

-

대리

양육

자 동

일 여

부,

변경

이유

--

-○

○-

-

대리

양육

특성

아동

과의

관계

, 대

리양

육자

성별

, 최

종학

력,

자녀

양육

경험

, 국

적,

거주

지○

○○

○○

--

대리

양육

자의

연령

--

--

○-

-

대리

양육

자의

결혼

상태

○○

○○

--

-

비급

양육

도우

지원

인력

여부

및 수

, 지

원자

의 아

동과

의 관

계-

○○

○○

--

동거

여부

, 거

주 거

리,

시간

-○

○○

--

-

보육

/교육

관이

용 특

이용

여부

및 유

형-

--

-○

-○

등/하

원 시

간,

이용

일,

기관

이용

비용

○○

○○

○○

등/하

원 동

반자

, 등

/하원

방법

--

-○

○○

일시

보육

이용

여부

, 이

용 시

간,

이용

일-

--

--

○-

기관

이용

시작

시기

○○

○○

○-

-

<부록

표 1

-4>

차수

별 교

육 및

돌봄

특성

변인

: 영

유아

Page 305: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287

구분

중분

류소

분류

영아

기유

아기

1차2차

3차4차

5차6차

7차

기관

변경

여부

, 변

경 이

유-

--

-○

--

기관

선택

시 고

려사

항-

--

--

○○

이용

시간

○○

○○

-○

기관

이용

비용

부담

도-

○○

○○

○○

전반

적 이

용 만

족도

○○

○○

○-

기관

특성

설립

유형

, 시

설 유

형○

○○

○○

○○

기관

평가

여부

-○

○○

○○

기관

평가

시기

--

-○

○○

간식

제공

횟수

--

-○

--

-

서울

형 어

린이

집 여

부-

-○

--

--

학급

수,

재원

아동

수,

학급

연령

구성

, 학

급 내

교사

및 아

동 수

--

-○

○○

학급

아동

수 적

절성

--

--

-○

물리

적 특

기관

입지

지역

유형

○○

○○

--

-

적정

교사

대 아

동 비

율 인

식,

교실

규모

적절

성,

일상

생활

공간

규모

적절

성-

--

--

○○

실내

대근

육 활

동 공

간 유

무-

--

-○

○○

실외

놀이

공간

, 아

동의

휴식

공간

유무

--

-○

○○

교사

특성

성별

, 연

령,

학력

, 전

공,

자격

, 경

력,

근무

일(주

말), 근

무 시

간(주

중,

주말

)-

--

○○

○○

경력

안정

성-

--

○-

--

교수

효능

감-

--

○○

○○

업무

스트

레스

, 주

관적

행복

감-

--

--

-○

○○

(이)의

담임

이 된

시기

--

--

○○

학급

운영

교실

환경

--

-○

○○

교실

영역

구성

, 프

로그

램 운

영 시

간,

실내

/외 자

유선

택활

동 시

간・횟

수,

표준

보육

과정

/유치

원교

육과

정 인

지 정

도,

실시

여부

--

-○

--

-

아동

과의

상호

작용

--

-○

○○

Page 306: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288

구분

중분

류소

분류

영아

기유

아기

1차2차

3차4차

5차6차

7차

특별

활동

특별

활동

이용

여부

, 종

류,

수-

-○

○○

○○

특별

활동

이용

횟수

, 시

간-

--

○○

○○

부모

의 선

택 가

능 여

부,

특별

활동

만족

도,

특별

활동

강사

, 별

도 비

용 지

불 여

부-

-○

--

--

특별

활동

비용

--

○○

○-

-

가정

협력

부모

참여

행사

(교육

) 참

여 여

부○

--

○○

○○

부모

참여

행사

(교육

)의 주

요 내

용(순

위)

--

-○

--

-

부모

의 방

문 빈

도-

--

○○

○○

부모

의 기

관 생

활 관

심 정

도-

--

-○

○○

육아

지원

기관

의 지

원 만

족도

, 기

관 선

호도

, 교

사 선

호도

--

--

--

부모

참여

행사

(교육

) 장

소○

--

--

--

부모

참여

행사

(교육

)의 안

내 여

부,

만족

도-

--

○-

--

부모

참여

행사

(교육

) 실

시 횟

수,

참석

횟수

--

-○

--

참여

가 많

은 부

모참

여 행

사(교

육), 가

장 중

요한

유형

, 부

모교

육 프

로그

램에

대한

인식

, 부

모와

의 의

사소

통-

--

○-

--

보육

/교육

관 외

특별

활동

특별

활동

이용

여부

, 종

류,

시간

, 횟

수,

비용

○○

○○

○○

특별

활동

수-

○○

○-

○○

특별

활동

이용

기간

, 진

행 방

식,

장소

, 학

습지

이용

여부

-○

○○

--

-

특별

활동

이용

시작

시기

--

○○

○-

-

학습

지 교

사 유

무,

특별

활동

이용

연속

성-

-○

○-

--

특별

활동

만족

도-

--

--

-○

특별

활동

이용

이유

--

--

-○

-

가정

학습

가정

내 영

어학

습 자

료 보

유 여

부 및

유형

, 시

작 시

기,

진행

동반

자,

시간

, 비

용-

-○

--

--

Page 307: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289

대분

류중

분류

소분

류아

동기

8차9차

10차

11차

12차

돌봄

서비

스이

용 특

성(학

기 중

, 방

학 중

) 이

용 유

형,

시간

, 빈

도,

비용

, 만

족도

○○

○○

학교

이용

특성

학교

진학

여부

, 초

등학

교 대

체 이

용 기

관○

○○

○○

결석

여부

, 결

석 이

유○

○○

○○

결석

일○

--

--

학교

특성

소속

지역

, 소

속 교

육청

, 설

립 유

형○

○○

○○

시범

학교

유형

--

-○

등교

시간

○-

--

-

무상

급식

여부

및 장

소,

특색

사업

해당

여부

, 아

동 발

달에

도움

정도

○-

--

-

학교

장의

지도

성,

동료

교사

태도

인식

○-

--

-

학교

폭력

발생

정도

--

-○

-

물리

적 특

학급

수,

학급

학생

수,

학교

환경

○○

○○

교사

대 아

동 비

율 인

식,

교실

크기

적절

성○

--

--

특별

실 및

기타

시설

구비

여부

, 구

비 환

경 인

식○

--

--

리모

델링

여부

, 리

모델

링 종

류(학

교 및

학원

)○

○-

--

교육

시설

만족

도-

--

○-

교사

특성

성별

, 연

령,

최종

학력

, 교

사 경

력,

근무

시간

, 업

무 스

트레

스○

○○

○○

직위

, 근

무 일

(주말

)○

--

--

교수

효능

감,

교직

동기

, 교

직 만

족도

, 해

당 학

년 담

임 경

력○

--

--

학급

운영

초등

돌봄

교실

참여

정도

, 통

합학

급 학

생 여

부○

--

--

과제

부과

정도

, 과

제 소

요 예

상 시

간,

과제

량 적

절성

, 수

업 활

동○

--

--

교사

-아동

관계

-○

○○

창의

적 학

교 환

경-

-○

○○

유아

-초등

연계

유아

기 발

달 특

성에

대한

인지

정도

, 유

아-초

등교

육과

정 간

의 연

계 필

요성

, 연

계 관

연수

여부

, 학

기 초

적응

활동

도움

정도

, 생

활기

록부

연계

의 도

움 정

도○

--

--

<부록

표 1

-5>

차수

별 학

교・사

교육

특성

변인

: 아

동기

Page 308: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290

대분

류중

분류

소분

류아

동기

8차9차

10차

11차

12차

가정

협력

등・하

교길

동반

빈도

○-

--

-

행사

참여

여부

, 정

도,

부모

의 학

교생

활 관

심 정

도○

○○

○○

행사

참여

빈도

, 부

모의

행사

참여

필요

성○

--

--

사교

육특

이용

특성

이용

기관

, 종

류,

시간

, 비

용,

만족

도,

비용

부담

정도

○○

○○

이용

/미이

용 이

유미

이용

이유

, 이

용 이

유,

영어

사교

육 이

유○

--

--

사교

육인

식아

동이

인식

하는

사교

육-

--

-○

Page 309: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291

대분

류중

분류

소분

류영

아기

유아

기아

동기

1차2차

3차4차

5차6차

7차8차

9차10

차11

차12

일반

특성

가구

특성

이사

시기

○-

○○

○○

--

--

--

이사

여부

--

--

-○

--

--

--

○○

(이)

출산

후 이

사 횟

수-

--

--

○○

○○

○○

지난

조사

후 이

사 횟

수-

--

--

--

○○

○○

거주

지역

유형

○○

○○

○○

○○

--

--

거주

지역

규모

, 6개

권역

구분

, 17

개 시

/도 구

분,

시/군

/구○

○○

○○

○○

○○

○○

교통

과 산

업집

에서

가장

가까

운 도

로의

차선

, 거

리-

--

--

--

○○

--

-

도로

의 통

행량

--

--

--

-○

--

--

양육

환경

교육

・복지

・의

육아

지원

기관

충분

성(어

린이

집,

유치

원,

학원

)○

○○

○○

○○

--

--

-

교육

・의료

・복지

시설

접근

편리

성,

이용

만족

도-

--

--

--

○○

○○

공공

복지

시설

접근

편리

성-

--

--

--

○○

○○

문화

・여가

문화

시설

, 공

공 여

가 공

간・시

설 접

근 편

리성

○○

○○

○○

○○

○○

○○

문화

시설

, 공

공 여

가공

간・시

설 월

별 이

용 일

--

--

-○

○-

--

--

문화

시설

, 공

공 여

가 공

간・시

설 접

근 이

용 만

족도

--

--

--

-○

○○

○○

사회

안전

전반

적 양

육 적

절성

○○

○○

○-

--

--

-

안전

사고

측면

, 치

안 측

면 안

전성

○○

○○

-○

○-

--

--

양육

환경

안전

성-

--

--

-○

○○

○○

위탁

가구

일반

적 특

성이

사 시

기,

거주

지역

유형

○○

○○

--

--

--

--

양육

환경

육아

지원

기관

충분

성,

공공

여가

공간

・시설

, 문

화시

설 편

리성

, 치

안,

안전

사고

안전

성,

전반

적 양

육 적

절성

○○

○○

--

--

--

--

<부록

표 1

-6>

차수

별 지

역사

회 변

인:

일반

적 특

Page 310: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292

<부록

표 1

-7>

차수

별 정

책 변

대분

류중

분류

소분

류영

아기

유아

기아

동기

1차2차

3차4차

5차6차

7차8차

9차10

차11

차12

국가

지원

수혜

국민

기초

생활

보장

법 상

구분

○○

○○

○○

○○

○○

○○

양육

지원

정책

도움

정도

--

--

-○

○○

--

--

보육

비 면

제(감

면)

여부

○○

○○

○○

○-

--

--

보육

비 면

제(감

면)

사유

, 농

어민

가정

육아

비 지

원 여

부○

○○

○-

--

--

--

-

양육

지원

정책

수혜

여부

--

○○

○○

○○

--

--

도우

미 지

원 서

비스

이용

여부

및 유

형○

○○

○-

○-

--

--

-

양육

지원

정책

지원

유형

--

○○

○○

○-

--

--

양육

지원

정책

수혜

비용

--

○○

--

--

--

--

양육

지원

정책

추가

지불

비용

여부

--

○○

○○

--

--

--

양육

지원

정책

수혜

만족

도-

-○

○○

--

○-

--

-

정책

대한

의견

육아

지원

정책

개선

방안

○○

○○

-○

--

--

--

교육

/보육

기관

지원

의 후

속출

산 의

사 영

향 여

부-

○○

○○

○-

--

--

-

금액

지원

시 후

속출

산 의

사,

지원

적정

금액

-○

○○

○-

--

--

--

교육

/보육

지원

인식

여부

--

-○

○○

○-

--

--

교육

/보육

지원

필요

성-

--

-○

○○

--

--

-

양육

지원

정책

의 출

산 및

양육

환경

향상

에 대

한 영

향력

--

-○

○-

○-

--

--

직장

지원

시행

이용

출산

및 육

아지

원 제

도/방

식 시

행 여

부○

○○

○○

-○

○-

--

-

출산

및 육

아지

원 제

도/방

식 이

용 여

부○

○○

○-

-○

○-

○○

출산

및 육

아지

원 제

도/방

식 이

용/미

이용

이유

, 양

육 도

움도

--

-○

--

--

--

--

출산

및 육

아지

원 제

도/방

식 이

용 만

족도

○○

○○

--

--

-○

○○

지원

대한

의견

출산

및 육

아지

원 제

도/방

식 필

요성

○○

○○

○○

○-

--

--

출산

및 육

아지

원 제

도/방

식 필

요 우

선순

위○

○○

○○

○○

○-

--

-

기타

지원

생활

비 지

원 여

부 및

지원

처-

--

--

--

○○

○○

국가

및 직

장 지

원이

출산

및 양

육환

경 향

상에

미치

는 영

향-

--

--

-○

○-

--

-

Page 311: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부록

293

부록 2. 제10회 한국아동패널 국제학술대회 연구논문 공모 안내

Page 312: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294

부록 3. 제10회 한국아동패널 국제학술대회 리플렛

Page 313: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부록

295

부록 4. 12차년도(2019) 조사 안내문

Page 314: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296

Page 315: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부록

297

부록 5. 한국아동패널조사 주요 결과 리플렛

Page 316: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298

부록 6. 12차년도(2019) IRB 승인통지서

Page 317: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부록

299

부록 7. 11차년도(2018) 가중치 작성6) 및 추정

가. 가중치 부여방법

패널 조사의 주요 목적은 시점별 모집단 현황 파악과 종단적 변화를 파악하기

위함이므로, 한국아동패널에서는 이를 위한 횡・종단면 가중치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한국아동패널과 같이 층화다단계 표본추출에 의해 구축된 복합표본설계

(Complex sample design)의 경우, 표본설계와 조사 차수별 응답실태를 반영하

여 산출한 가중치를 적용한 추정과정을 통해 적절한 통계분석이 가능하다.

패널 조사에서는 매년 동일한 표본을 대상으로 조사가 이루어지므로, 일시적으

로 특정 조사 차수에 참여하지 않거나, 사망, 이민, 강력거절 등의 사유로 패널에서

완전히 이탈하는 표본 마모(Sample attrition)가 발생하여 표본 구성에서 조사 차

수별 변동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연구 대상의 모집단인 2008년 전국 출생아의

수에도 매년 변동이 생길 수 있으므로 자료의 대표성 확보를 위해 가중치 보정이

매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한국아동패널에서는 표본설계 시 의료기관과

신생아 가구 추출에 따른 추출확률을 결합하여 계산한 설계가중치를 기초로, 표본

마모 등의 무응답 발생에 따른 모수 추정의 편향을 보정하기 위한 무응답 보정계수

와 사후층화변수에 대한 보정승수를 종합한 횡단면가중치와 종단면 가중치를 개발

하여 모두를 제공하고 있다7).

한국아동패널 산출된 가중치는 우리나라 2008년 신생아 전체의 분포적 특성을

나타내므로 모집단의 특성치인 모평균(또는 모비율)을 추정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

은 표본가중평균(標本加重平均)8)을 사용한다.

6) 한국아동패널의 가중치 부여 방법은 매해 동일한 방식이 적용되므로 설계 가중치가 지속적으로 이용되며, 설계 가중치에 대한 내용은 1차년도 보고서(조복희 외, 2009)를 참고함.

7) 11차년도 횡・종단면 가중치는 한국갤럽 상근 자문위원인 이계오 박사에 의해 산출됨.8) 는 지역층, 는 층내 의료기관, 는 표본가구를 나타내는 첨자임.

Page 318: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300

: 각 표본 신생아 가구에 부여된 가중치

: 각 조사대상 가구에서 얻은 각종 조사 변수에 대한 관측치들

: 모든 표본 가구에 대한 가중치의 합

한국아동패널에서는 공개 자료를 활용하여 통계적으로 타당한 분석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관련 가중치를 사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11차년도 조사가 완료된

1,434가구 자료에 대한 분석을 위해서는 11차년도 횡단면 가중치를 사용해야 하

고, 1~11차년도 조사에 지속적으로 참여한 1,184가구를 활용한 분석에서는 반드

시 함께 제공된 1~11차년도 종단면 가중치를 적용하여 분석해야 한다.

나. 11차년도 가중치 보정

가중치 보정을 위해 패널 가구의 응답 패턴을 분석하고, 응답 가구와 무응답 가

구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패널 조사의 가중치 보정을 위해서는 우선 패널 가구의

응답패턴을 분석하는 동시에 조사누락으로 인한 편향(Bias)을 줄이기 위하여 응답

가구와 무응답 가구의 특성상 차이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1~11차년도 패널 가구의 응답 여부에 따른 가구 특성 분석을 통해 구체적인 횡・종단면 가중치를 작성하였다.

한국아동패널 조사의 1~11차년도 조사 참여 분포는 <부록 표 7-1>과 같다. 우

선 원패널9) 가구 중에서 11차년도 조사까지 모두 참여한 가구는 1,184가구로 원

패널 기준 표본 유지율은 55.1%로 전년대비 2.6%p 하락하였다. 2~3차 조사에 신

규 추가된 가구를 포함한 전체패널10) 기준 대비 표본 유지율은 64.7%였다. 11차

9) 원패널: 한국아동패널 1차 조사에 참여한 2,078가구를 의미함.10) 전체패널: 한국아동패널은 예비 표본의 합류를 3차년도까지 허용하여, 1차년도(2008년) 조사에 참여하지

않고 2차년도(52가구), 3차년도(20가구)에 신규로 참여한 경우를 모두 포괄하여 총 2,150가구를 전체패널로 정의함.

Page 319: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부록

301

년도 조사에서 단조 결측 패턴11)에 해당하지 않는 무응답 가구를 포함한 전체 패

널 대비 응답률은 66.7%로, 10차년도 응답률인 69.0%에 비해 2.3%p 낮아졌다.

한국아동패널의 무응답의 일부는 단조 결측 패턴을 보이지 않았기에 횡・종단면

가중치를 각각 별도로 작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따라서 한국아동패널의 11

차년도 횡단면 가중치는 2018년 조사에 참여한 1,434가구, 종단면 가중치는

2008년부터 2018년 조사에 모두 참여한 1,184가구를 중심으로 산출하였다.

<부록 표 7-1> 연도별 한국아동패널조사 참여 분포

구분참여 여부

가구 수 %1차 2차 3차 4차 5차 6차 7차 8차 9차 10차 11차

원패널

전체 조사 성공 O O O O O O O O O O O 1,184 55.1

11차년도 탈락 O O O O O O O O O O X 56 2.6

10차년도 탈락 O O O O O O O O O X X 64 3.0

9차년도 탈락 O O O O O O O O X X X 63 2.9

8차년도 탈락 O O O O O O O X X X X 35 1.6

7차년도 탈락 O O O O O O X X X X X 31 1.4

6차년도 탈락 O O O O O X X X X X X 53 2.5

5차년도 탈락 O O O O X X X X X X X 42 2.0

4차년도 탈락 O O O X X X X X X X X 49 2.3

3차년도 탈락 O O X X X X X X X X X 92 4.3

2차년도 탈락 O X X X X X X X X X X 132 6.1

2차년도 신규; 조사 성공 - O O O O O O O O O O 19 0.9

3차년도 신규; 조사 성공 - - O O O O O O O O O 9 0.4

기타; 11차년도 성공 ※ ※ ※ ※ ※ ※ ※ ※ ※ ※ O 222 10.3

기타; 11차년도 탈락 ※ ※ ※ ※ ※ ※ ※ ※ ※ ※ X 99 4.6

전체 2,150 100.0

주: 1) 11차년도 조사 성공 사례수는 1,434가구임.2) ‘○’는 해당 차수에 참여, ‘X’는 해당 차수에 비참여, ‘-’는 해당 차수에는 표본에 속하지 않았음을, ‘※’는 단조

결측 패턴이 아닌 경우를 의미함.

가중치 산출은 무응답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편향을 보정하는 승수와 사후층화

(Post-stratification)변수에 대한 보완 가중치를 계산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첫

째, 가중치 산출을 위하여 우선, 무응답에 따른 편향 감소 및 가중치 산출 방안 일

관성 유지를 위하여 불참 패널에 대한 무응답 보정을 실시하였다. 무응답 보정은

11) 단조 결측 패턴(Monotone missing pattern)이란 패널참여 시점부터 꾸준히 조사에 참여하다가 특정 년도부터 지속적으로 조사에 불참하는 것을 의미함.

Page 320: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302

기존 가중치 산출에 적용했던 무응답 조정 계급(Non-response adjustment

class)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따라서 기존과 동일하게 조사 참

여 여부를 종속변수, 가구별로 가장 최근에 조사된 거주지(권역), 어머니 취・학업

여부, 아동의 출생 순위를 설명 변수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응답확률을

계산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는 <부록 표 7-2>와 같다.

설명변수로 사용한 3개 변인중에서 어머니 취・학업 여부만 무응답 패턴에 통계

적으로 매우 유의한 영향을 주고 다른 두 개 변인들은 무응답 패턴에 유의한 영향

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연도별로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가

중치 보정 과정에는 패널 가구의 거주지, 어머니의 취・학업 여부, 아동의 출생 순

위 변수를 사용하여 무응답 조정 계급을 구성하였다. 거주지 6개 범주(서울, 경인,

대전・충청・강원, 대구・경북, 부산・울산・경남, 광주・전라), 출생 순위 2개 범주(첫

째, 둘째 이상), 어머니의 취・학업 2개 범주(취・학업, 미취・학업)를 기준으로 총 24

개 무응답 조정 계급을 구성하고, 각 계급 내 가중 응답률(Weighted response

rate)을 산출하였다. 산출된 값의 역수를 무응답 조정 승수로 사용하여, 해당 계급

내의 응답 가구 가중치를 조정하는 방식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부록 표 7-2> 11차년도 횡・종단면 자료 무응답 로지스틱 모형 분석결과

구분11차년도 횡단면 자료 1~11차년도 종단면 자료

df Wald-χ2 p-value df Wald-χ2 p-value

출생순서 1 0.0255 0.8731 1 0.0025 0.9605

모 취업여부 1 12.1610 0.0005 1 9.6296 0.0019

지역(권역) 5 7.5846 0.1807 5 4.1874 0.5228

둘째, 모집단 변동을 반영하고, 패널 마모에 따른 편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2018

년 17개 시・도별12) 만 10세 남・여 아동(주민등록인구 기준)수와 한국아동패널의

해당 범주별 표본 가중치의 합이 일치하도록 벤치마킹하는 사후 층화 보정13)을 통

해 가중치를 계산하였다. 계산된 가중치중에서 이상치(Outlier)는 절사 조정하여

12) 세종시는 충청남도, 제주도는 전라남도로 병합하여 계산함.13) 사후층화 과정에서 가중치의 사분위수와 사분위수 범위(Inter-Quartile Range; IQR)를 기준으로

을 넘는 수치를 극단(Outlier)로 간주하고 절사하였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해당 값이 포함된

계급 내의 다른 가중치들을 절사된 만큼 부풀리는 방식을 적용해 극단적으로 크게 산출된 가중치를 조정함.

Page 321: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부록

303

최종적으로 가중치를 산출하였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산출된 가중치의 기술통계

량은 <부록 표 7-3>과 같다.

<부록 표 7-3> 11차년도 최종 횡・종단면 가중치 부여 결과

구분 평균 중위수 표준편차 사례수 최솟값 최댓값

11차 횡단면 가중치 326.99 264.73 183.50 1,434 32.36 895.05

1~11차 종단면 가중치 396.03 318.43 244.39 1,184 41.62 1,166.21

Page 322: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304

번호

문항

내용

D01

-1.

조사

날짜

는?

( D

18in

t03b

)월

( D

18in

t03c

)일

D18

int0

3

D01

-2.

아동

이름

은?

( D

18in

t00

)D

18in

t00

D01

-3.

아동

이름

이 바

뀐 이

유는

?①

개명

② 지

난조

사에

서의

입력

오류

③ 부

모의

결혼

상태

변동

④ 기

타(

D18

int0

8 )

D18

int0

7

삽입

“아동

” 성

별①

남아

여아

Ch1

8dm

g01

삽입

“아동

” 출

생월

Ch1

8dm

g06a

생성

“아동

” 월

령[만

(

)개월

]C

h18d

mg0

6

D01

-4.

귀하

와 아

동의

관계

는?

① 어

머니

② 아

버지

○○

(이)의

조부

기타

친인

척D

18in

t05

D01

-5.

귀하

의 성

명과

연락

처를

입력

해 주

세요

. 1)

응답

자 성

명:

( D

18in

t13a

or

D18

int1

3b )

2) 집

전화

: ①

집 전

화 없

② 집

전화

있음

(전화

번호

: D

18in

t14)

3) 어

머니

휴대

폰:

( D

18in

t15

) 4)

아버

지 휴

대폰

: (

D18

int1

6 )

D18

int1

3~16

부록

8.

11차

년도

(2018)

질문

PS

KC

2018 면

접조

사(보

호자

용)(

11차

) 질

문지

※ 본

조사

의 모

든 내

용은

통계

목적

이외

에는

절대

로 사

용할

수 없

으며

, 그

비이

보호

되도

록 통

계법

(제33

조 및

제34

조)에

규정

되어

있습

니다

.

Page 323: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305

번호

문항

내용

D01

-6.

귀하

의 성

명이

바뀐

이유

는?

① 개

② 지

난조

사에

서의

입력

오류

결혼

상태

변동

기타

( D

18in

t18

) D

18in

t17~

18

D01

-7.

귀댁

의 주

소지

를 입

력해

주세

요.

▶ 2

018년

현 거

주지

: (

Hu1

8cm

m15

c )

시・도

( H

u18c

mm

15d

) 군

・구 (

Hu1

8cm

m15

a )

도로

명 주

소:

( H

u18c

mm

15b

) 군

・구 (

Hu1

8cm

m15

e )

Hu1

8cm

m15

a~e

D01

-8.

귀댁

은 아

래 주

소지

거주

이후

몇 번

이나

이사

를 하

셨습

니까

?

2017

년 거

주지

: (

Hu1

7cm

m15

c )

시・도

( H

u17c

mm

15d

) 군

・구 (

Hu1

7cm

m15

a )

도로

명 주

소:

( H

u17c

mm

15b

) (

Hu1

7cm

m15

e )

▶ 총

이사

횟수

( H

u18c

mm

20a

) 회

Hu1

8cm

m20

a

생성

○○

(이)

출생

후 총

이사

횟수

[(

)번

]H

u18c

mm

20

생성

패널

거주

지역

규모

① 대

도시

읍/면

중소

도시

Hu1

8cm

m02

생성

패널

거주

지역

6개

권역

구분

① 서

울권

경인

③ 대

전/충

청/강

원권

④ 대

구/경

북권

부산

/울산

/경남

⑥ 광

주/전

라권

Hu1

8cm

m01

생성

패널

거주

지역

5개

특성

구분

① 서

② 광

역시

도농

복합

④ 시

군H

u18c

mm

19

생성

패널

거주

지역

17개

시/도

구분

① 서

울특

별시

② 부

산광

역시

③ 대

구광

역시

④ 인

천광

역시

⑤ 광

주광

역시

⑥ 대

전광

역시

⑦ 울

산광

역시

⑧ 경

기도

⑨ 강

원도

⑩ 충

청북

도⑪

충청

남도

⑫ 경

상북

도⑬

경상

남도

⑭ 전

라북

도⑮

전라

남도

⑯ 제

주도

⑰ 세

종시

Hu1

8cm

m14

생성

패널

거주

지역

[시/군

/구]

Hu1

8cm

m15

전환

다음

은 귀

하와

귀하

의 배

우자

에 관

한 질

문입

니다

.

D02

-1.

○○

(이)

부모

님의

현재

결혼

상태

는?

Page 324: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306

번호

문항

내용

Mt1

8dm

g03

Ft18

dmg0

3

조사

의 어

머니

, 아

버지

는 ○

○(이

)의 호

적상

부모

임.

1)

어머

① 미

혼 ②

유배

우-초

혼 ③

유배

우-재

혼 ④

동거

(사실

혼 포

함)

⑤ 사

별 ⑥

이혼

⑦ 별

2)

아버

① 미

혼 ②

유배

우-초

혼 ③

유배

우-재

혼 ④

동거

(사실

혼 포

함)

⑤ 사

별 ⑥

이혼

⑦ 별

D02

-2.

○○

(이)

어머

니,

아버

지의

현재

결혼

일은

? (

Hu1

8dm

g04a

) 년

( H

u18d

mg0

4b )

Hu1

8dm

g04a

,b

생성

“부모

” 현

결혼

상태

유지

기간

[(

)개

월]

Hu1

8dm

g04

D02

-3.

○○

부모

님의

주민

등록

상 생

년월

일은

?

1) 어

머니

( M

t18d

mg0

6a )

년 (

Mt1

8dm

g06b

) 월

( M

t18d

mg0

6c )

2) 아

버지

( Ft

18dm

g06a

)

년 (

Ft1

8dm

g06b

)

월 (

Ft1

8dm

g06c

)

M/F

t18d

mg0

6

a~c

D02

-3-1

결혼

상태

가 동

일한

데 귀

하 또

는 배

우자

의 생

년월

일이

바뀐

이유

는 무

엇입

니까

?①

기존

에 응

답한

내용

이 틀

② 결

혼상

태 잘

못 응

답 →

D02

-1번

문항

으로

③ 기

타(

)M

/Ft1

8dm

g06_

r1

생성

“모”

연령

[만 (

)

세]

Mt1

8dm

g06

생성

“부”

연령

[만 (

)

세]

Ft18

dmg0

6

D02

-4.

○○

(이)

부모

님의

최종

학력

은?

1) 어

머니

① 무

② 초

등학

교 졸

③ 중

학교

졸업

고등

학교

졸업

⑤ 2

~3년

제 대

학 졸

⑥ 4

년제

대학

교 졸

업(5

년제

포함

)

⑦ 대

학원

졸업

2) 아

버지

上同

Mt1

8dm

g14

Ft18

dmg1

4

D02

-4-1

.지

난 조

사보

다 어

머니

의 학

력이

낮아

졌습

니다

. 응

답내

용이

맞습

니까

? ①

맞음

⇨ Go

D02

-5

잘못

입력

함 ⇨

Go D

02-4

Mt1

8dm

g14_

r1

D02

-4-2

.지

난 조

사보

다 아

버지

의 학

력이

낮아

졌습

니다

. 응

답내

용이

맞습

니까

?

Page 325: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307

번호

문항

내용

Ft18

dmg1

4_r1

① 맞

음 ⇨

Go D

02-5

② 잘

못 입

력함

⇨ Go

D02

-4

D02

-5.

○○

(이)

부모

님의

1・2급

장애

유무

는?

1) 어

머니

① 예

(장애

있음

)

② 아

니오

(장애

없음

)

2) 아

버지

① 예

(장애

있음

)

② 아

니오

(장애

없음

)

Mt1

8hlt1

9Ft

18hl

t19

D02

-6

다음

의 알

레르

기 질

환 중

진단

받은

질환

을 모

두 표

시해

주세

요.

1) 어

머니

① 없

음 ②

천식

③ 알

레르

기비

염 ④

아토

피피

부염

⑤ 알

레르

기결

막염

⑥ 식

품알

레르

2) 아

버지

① 없

음 ②

천식

③ 알

레르

기비

염 ④

아토

피피

부염

⑤ 알

레르

기결

막염

⑥ 식

품알

레르

Mt1

5 /

Ft15

~as

x11(

천식

)ar

x09(

비염

)ad

x04(

피부

염)

arx0

6(결

막염

)fa

x04(

식품

)

D02

-7.

부모

님과

○○

(이)는

주 4

일 이

상 함

께 살

고 있

습니

까?

1) 어

머니

① ○

○(이

)와 함

께 살

고 있

② ○

○(이

)와 떨

어져

살고

있음

2) 아

버지

① ○

○(이

)와 함

께 살

고 있

② ○

○(이

)와 떨

어져

살고

있음

Mt1

8dm

g29

Ft18

dmg2

9

D02

-8.

어머

니 또

는 아

버지

와 ○

○(이

)가 떨

어져

살고

있는

이유

는 무

엇입

니까

?

1) 어

머니

① 어

머니

가 타

지역

(또는

해외

)에 근

무 중

(학업

포함

)③

어머

니가

장기

입원

, 요

양 중

④ ○

○(이

)가 국

내・외

유학

중⑤

기타

( M

t18d

mg1

8 )

2) 아

버지

① 아

버지

가 타

지역

(또는

해외

)에 근

무 중

(학업

포함

)②

군 복

무 중

③ 아

버지

가 장

기 입

원,

요양

중④

○○

(이)가

국내

・외 유

학중

⑤ 기

타(

Ft18

dmg1

8 )

Mt1

8dm

g12

Mt1

8dm

g18

Ft18

dmg1

2Ft

18dm

g18

전환

다음

은 귀

하의

취업

/학업

에 관

한 질

문입

니다

.

D03

-1.

현재

귀하

의 취

업/학

업 상

태는

다음

중 어

디에

해당

합니

까?

아휴

직,

출산

휴가

, 기

타 질

병/사

고 등

특별

한 사

유로

잠시

휴직

중인

경우

도 취

업 중

에 해

당함

.

간제

로 일

하는

경우

또는

가족

/친지

가 경

영하

는 사

업체

에서

일정

한 보

수 없

이 일

하는

경우

에도

일주

일에

18시

간 이

상 일

하면

취업

중에

해당

함.

리랜

서 및

자영

업자

의 경

우 시

간제

약은

없으

나 취

업 중

에 해

당함

.

Mt1

8jcg

03

Page 326: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308

번호

문항

내용

① 취

업 중

(휴직

중 포

함)

⇨ G

o D

03-2

② 학

업 중

(휴학

중 포

함)

⇨ G

o D

05-1

③ 취

업/학

업 병

행 중

⇨ Go

D03

-2④

미취

업/미

학업

⇨ Go

D05

-1

D03

-2.

현재

귀하

의 취

업 상

태는

다음

중 어

디에

해당

합니

까?

① 재

직 중

휴직

중M

t18j

ce12

D03

-3.

지난

조사

이후

귀하

의 직

장 또

는 주

업무

의 변

동이

있습

니까

?

장이

2군

데 이

상일

경우

, 주

직장

을 중

심으

로 응

답해

주세

요.

난 조

사 시

응답

: 직

장명

( M

t17j

ce_s

1 ), 주

업무

( M

t17j

ce_s

3)

① 아

니오

(변동

없음

) ⇨

Go

D03

-8②

직장

이 바

뀜 ⇨

Go D

03-4

③ 직

장은

그대

로이

나,

주 업

무가

바뀜

(전근

, 부

서,

직위

변경

포함

) ⇨

Go

D03

-6④

지난

조사

시,

미취

업/미

학업

이었

음 ⇨

Go D

03-4

Mt1

8jce

24

D03

-4.

귀하

가 현

재 일

하는

직장

(사업

체)의

이름

은 무

엇입

니까

? 소

속되

어 있

는 지

점이

나 공

장의

이름

까지

구체

적으

로 응

답해

주세

요.

반 회

사인

경우

회사

명과

지점

명까

지 /

교사

인 경

우 초

등・중

등・고

등학

교까

지 /

공무

원인

경우

중앙

부처

・시군

구명

・읍면

동사

무소

까지

: ◎

◎전

자 ◎

◎공

장 /

◎◎

초등

학교

/ 서

울시

청 /

프리

랜서

직장

(사업

체)명

: (

)

Mt1

8jce

_s1

D03

-5.

귀하

의 직

장(사

업체

)은 구

체적

으로

무엇

을 하

는 곳

입니

까?

장명

으로

구체

적인

사업

내용

을 알

수 없

는 중

소기

업체

인 경

우 제

조업

, 유

통업

, 서

비스

업 등

업종

을 표

기해

주세

요.

리랜

서의

경우

업무

장소

를 기

입해

주세

요.

직장

의 사

업 내

용(업

종):

(

)

Mt1

8jce

_s2

D03

-6.

귀하

의 직

장(사

업체

)에서

귀하

가 주

로 하

는 일

은 무

엇입

니까

?

무직

인 경

우 행

정직

, 전

산직

, 기

술직

/ 음

식점

인 경

우 한

식조

리,

양식

조리

, 서

빙 등

/ 교

사인

경우

영어

, 수

학 등

과목

명 기

주로

하는

일:

(

)

Mt1

8jce

_s3

Page 327: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309

번호

문항

내용

D03

-7.

귀하

의 직

장(사

업체

)에서

귀하

의 직

위는

무엇

입니

까?

리랜

서 /

공무

원의

경우

급수

/ 회

사원

의 경

우 평

사원

, 대

리,

과장

, 부

장 등

의 직

위 /

음식

점의

경우

사장

, 매

니저

, 일

반 직

원 등

직장

(사업

체)

내 직

위:

(

)

Mt1

8jce

_s4

생성

“모”

직업

군:

대분

류M

t18j

ce18

생성

“모”

직업

군:

중분

류M

t18j

ce19

생성

“모”

직업

군:

소분

류M

t18j

ce20

생성

“모”

직업

군:

총분

류M

t18j

ce_s

5

D03

-8.

귀하

의 현

재 종

사상

지위

는 무

엇입

니까

?

급 가

족 종

사자

: 혈

연관

계인

가족

이 운

영하

는 개

인 사

업체

에 정

규적

인 보

수 없

이 적

어도

주당

18시

간 이

상 일

하는

경우

① 상

용직

(1년

이상

의 근

로계

약기

간이

나 원

하면

계속

일할

수 있

는 경

우)

② 임

시직

(1개

월 이

상 1

년 미

만의

근로

계약

기간

을 체

결한

경우

)③

일용

직(1

개월

미만

의 근

로계

약기

간 또

는 일

당제

급여

인 경

우)

④ 종

업원

을 둔

고용

주⑤

종업

원이

없는

자영

업자

⑥ 무

급 가

족 종

사자

Mt1

8jce

21

D03

-9.

귀하

의 근

무 일

수,

근무

시간

, 왕

복 출

퇴근

시간

을 응

답해

주십

시오

.

무성

회식

및 점

심시

간을

포함

하여

응답

해 주

십시

오.

장이

2군

데 이

상일

경우

, 총

합산

시간

으로

응답

해 주

십시

오.

전 9

시부

터 오

후 6

시까

지 근

무하

는 경

우 1

일 평

균 ‘

9’시

간 근

무입

니다

.

Mt1

8jce

36a,

bM

t18j

ce25

a,b

Mt1

8jce

26a,

b

Page 328: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310

번호

문항

내용

구분

주중

(월~금

)주

말(토

, 일

)

1) 근

무 일

수(

Mt1

8jce

36a

)일 근

( M

t18j

ce36

b )일

근무

2) 근

무 시

간1일

평균

( M

t18j

ce25

a )시

간 근

1일 평

균 (

Mt1

8jce

25b

)시간

근무

3) 왕

복 출

퇴근

시간

1일 평

균 왕

복 (

Mt1

8jce

26a

) 소

요1일

평균

왕복

( M

t18j

ce26

b )

소요

생성

총 근

무시

간[주

당 (

)

시간

]M

t18j

ce25

D03

-10.

귀하

가 지

난 1

년간

다음

의 항

목 중

이용

한 지

원 제

도/방

식을

모두

골라

주세

요.

① 출

산휴

육아

휴직

③ 유

연근

무제

(시차

출퇴

근,

재택

근무

, 스

마트

워크

등)

④ 육

아기

근로

시간

단축

가족

돌봄

휴직

⑥ 모

두 이

용 안

D03

-11.

귀하

는 자

신의

(주

된)

일자

리에

대해

전반

적으

로 얼

마나

만족

하고

계십

니까

?①

전혀

만족

하지

않음

대체

로 만

족하

지 않

③ 보

통임

대체

로 만

족함

매우

만족

함M

t18j

ce11

전환

다음

은 귀

하의

일과

가정

에 대

한 질

문입

니다

.

D04

-1.

용전

그렇

않다

대체

로그

렇지

않다

보통

이다

대체

로그

렇다

매우

그렇

일과

가정

에 모

두 책

임감

을 갖

는다

는 것

은...

1) 나

를 더

균형

잡힌

사람

으로

만든

다.

①②

③④

2) 내

삶을

더 다

양하

게 해

준다

.①

②③

④⑤

3) 나

의 모

든 재

능을

발휘

하도

록 한

다.

①②

③④

4) 나

를 최

상의

수준

으로

북돋

아준

다.

①②

③④

5) 나

의 시

간을

더 잘

관리

하는

것을

의미

한다

.①

②③

④⑤

6) 우

선순

위를

명확

하게

한다

.①

②③

④⑤

7) 나

를 더

유능

한 사

람으

로 느

끼게

해 준

다.

①②

③④

귀하

가 하

고 있

는 일

과 가

정생

활에

관하

여 다

음 각

문장

에서

본인

과 가

깝다

고 느

끼는

쪽에

응답

해 주

세요

.

Mt1

8wfb

01~2

6

Page 329: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311

번호

문항

내용

용전

그렇

않다

대체

로그

렇지

않다

보통

이다

대체

로그

렇다

매우

그렇

8) 직

장에

서 해

야 할

일들

이 가

족과

함께

보내

는 시

간을

방해

한다

.①

②③

④⑤

9) 가

족에

대한

책임

감 때

문에

내가

맡고

싶었

던 업

무상

제안

이나

활동

을 거

절한

다.

①②

③④

10)

가족

에 대

한 책

임감

때문

에 일

하는

시간

이 덜

즐겁

고,

부담

스럽

다.

①②

③④

11)

일을

할 때

, 가

족에

관한

일이

나 집

에서

해야

할 일

로 인

해 방

해 받

는다

.①

②③

④⑤

12)

일 때

문에

나는

참여

하고

싶었

던 가

족 행

사나

활동

에 빠

진다

.①

②③

④⑤

13)

일 때

문에

가족

과 함

께 하

는 시

간이

덜 즐

겁고

, 부

담스

럽다

.①

②③

④⑤

14)

일하

던 중

차라

리 가

족과

함께

하는

게 낫

겠다

는 생

각이

들어

화가

난다

.①

②③

④⑤

15)

일과

가정

에서

의 의

무로

인한

갈등

에서

벗어

나고

싶다

. ①

②③

④⑤

16)

내가

할 일

이 과

도하

게 많

아진

다.

①②

③④

17)

내가

일을

하는

것은

내 아

이에

게 긍

정적

인 영

향을

준다

.①

②③

④⑤

18)

내가

일을

함으

로 인

해 아

이와

함께

하는

시간

을 더

감사

히 여

기게

된다

.①

②③

④⑤

19)

일을

함으

로써

내 자

신도

좋아

지고

, 내

아이

에게

도 좋

은 것

같다

.①

②③

④⑤

20)

일을

하는

것은

내가

더 좋

은 부

모라

고 느

끼게

한다

.①

②③

④⑤

21)

일을

하는

것이

자녀

에게

부담

을 주

는 것

같다

.①

②③

④⑤

22)

일을

하는

동안

내 아

이에

게 무

슨 일

이 있

는지

걱정

된다

.①

②③

④⑤

23)

일을

하느

라 시

간이

없어

서 내

가 되

고자

했던

부모

가 되

기 어

렵다

. ①

②③

④⑤

24)

내 아

이에

대해

신경

쓰느

라 직

장에

서 업

무가

방해

된다

.①

②③

④⑤

25)

일을

하면

서 부

모로

서 받

는 보

상을

일부

놓치

게 된

다.

①②

③④

26)

일하

느라

힘들

어서

내가

되고

자 하

는 부

모가

되기

어렵

다.

①②

③④

전환

다음

은 귀

댁에

함께

살지

않는

친,

외가

식구

, 친

구,

지인

들로

부터

받는

도움

에 관

한 질

문입

니다

.

D05

-1.

다음

문항

을 읽

고 귀

하의

생각

과 가

장 가

까운

것에

체크

해 주

십시

오.

Mt1

8scs

01~1

2M

t18s

cs14

Page 330: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312

번호

문항

내용

용전

혀그

렇지

않다

대체

로그

렇지

않다

보통

이다

대체

로그

렇다

매우

그렇

1) 외

로울

때 솔

직히

털어

놓고

의지

할 수

있다

.①

②③

④⑤

2) 급

하게

돈을

써야

할 때

빌려

준다

.①

②③

④⑤

3) 특

별한

일이

없어

도 서

로 자

주 방

문하

거나

전화

한다

.①

②③

④⑤

4) 항

상 나

의 일

에 관

심을

갖고

함께

걱정

해준

다.

①②

③④

5) 갑

자기

물품

이 필

요할

때 빌

려준

다.

①②

③④

6) 큰

일(잔

치,

김장

등)이

있어

서 일

손이

필요

할 때

도와

준다

.①

②③

④⑤

7) 중

요한

일(주

택구

입 등

)을 결

정할

때 정

보를

준다

.①

②③

④⑤

8) 자

녀양

육과

교육

에 필

요한

정보

를 제

공해

준다

.①

②③

④⑤

9) 살

림살

이나

취미

생활

에 필

요한

정보

를 준

다.

①②

③④

10)

같이

물건

을 사

거나

외식

을 한

다.

①②

③④

11)

서로

집안

길흉

사에

방문

한다

.①

②③

④⑤

12)

여가

나 휴

가 때

같이

놀러

간다

.①

②③

④⑤

13)

자녀

양육

또는

돌봄

등과

같이

도움

이 필

요할

때 도

와준

다.

①②

③④

D05

-2.

귀하

에게

앞 문

항에

서와

같은

도움

을 주

는 사

람은

몇 명

입니

까?

1) ○

○(이

)의친

가 식

구2)

○○

(이)의

외가

식구

3) 응

답자

의친

구 및

동료

4) 응

답자

의이

도움

을 주

는 사

람 수

( M

t18s

cs13

a )명

( M

t18s

cs13

b )명

( M

t18s

cs13

c )명

( M

t18s

cs13

d )명

Mt1

8scs

13 a

~d

전환

다음

은 ○

○(이

)에 대

한 질

문입

니다

.

D06

-1.

○○

(이)는

초등

학교

(대안

학교

포함

)에 다

니고

있습

니까

?①

예,

초등

학교

(대안

학교

포함

)에 다

니고

있음

⇨ Go

D06

-4②

아니

오,

다니

고 있

지 않

음C

h18s

cl01

D06

-2.

○○

(이)가

학교

에 다

니지

않는

이유

는 무

엇입

니까

? (

)

Page 331: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313

번호

문항

내용

Ch1

8chg

31

D06

-3.

○○

(이)가

초등

학교

대신

에 현

재 이

용하

는 기

관은

어느

곳입

니까

?①

이용

하는

기관

없음

③ 학

홈스

쿨링

⑤ 기

타(

Ch1

8chg

15 )

⇨ Go

D06

-11

Ch1

8chg

08,

15

D06

-4.

○○

(이)의

학교

생활

을 알

기 위

해 담

임 선

생님

께 조

사를

부탁

드리

고자

합니

다.

아이

들의

건강

한 발

달과

합리

적 정

책 수

립의

기초

자료

를 위

하여

, ○

○(이

)의 담

임 선

생님

께 조

사를

부탁

드리

도록

동의

해 주

시겠

습니

까?

담임

선생

님께

서 동

의하

실 경

우에

만 조

사가

진행

되며

, 인

터넷

을 통

해 선

생님

께서

편안

한 시

간에

약 1

0분 정

도의

조사

가 진

행됩

니다

. ①

네,

동의

② 아

니오

, 동

의하

지 않

음 ⇨

Go D

06-7

D18

int2

0

D06

-5.

○○

(이)가

다니

고 있

는 초

등학

교 이

름과

학급

을 응

답해

주세

요.

( D

18in

t19a

) 초

등학

교 (

D18

int1

9b )

학년

( D

18in

t19c

)반

D18

int1

9

D06

-6.

○○

(이)

담임

선생

님 성

함과

연락

처는

무엇

입니

까?

1) 담

임 선

생님

성함

: (

D18

int2

1 )

/ 2)

담임

선생

님 연

락처

: (

D18

int2

2 )

3) 담

임 선

생님

이메

일:

( D

18in

t23

)D

18in

t21~

23

D06

-7.

○○

(이)는

지난

조사

이후

전학

을 한

적이

있습

니까

?①

전학

한 적

없음

전학

한 적

있음

Ch1

8chg

32

D06

-7-1

.앞

문항

에서

○○

(이)의

학교

명칭

이 바

뀌었

다고

응답

하였

습니

다.

맞습

니까

?①

전학

여부

를 잘

못 응

답함

⇨ Go

D06

-7

아니

오,

학교

이름

을 잘

못 응

답함

(학교

명:

)

네,

전학

하지

는 않

았지

만 학

교 자

체의

이름

이 바

뀜C

h18c

hg32

_r1

D06

-8.

○○

(이)가

다니

는 학

교의

종류

는 무

엇입

니까

?①

국립

학교

공립

학교

사립

학교

국제

(외국

인)학

⑤ 대

안학

⑥ 기

타(

D18

scm

02 )

D18

scm

01~0

2

D06

-9.

○○

(이)는

지난

학기

동안

학교

를 결

석한

적이

있습

니까

?①

결석

한 적

없음

② 사

고 및

질병

으로

결석

한 적

있음

③ 사

고 및

질병

외 다

른 이

유로

결석

한 적

있음

Ch1

8scl

12

D06

-11.

귀하

가 이

름을

알고

있는

○○

(이)의

친구

는 몇

명입

니까

? (

)명C

h18p

sa42

D06

-11-

1.귀

하는

○○

(이)

친구

이름

을 한

명도

모른

다고

응답

하셨

습니

다.

맞습

니까

?

Page 332: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314

번호

문항

내용

Ch1

8psa

42_r

1①

아니

오,

잘못

응답

함 ⇨

Go D

06-1

1

네,

○○

(이)

친구

이름

을 한

명도

모름

⇨ Go

D06

-13

D06

-13.

○○

(이)는

평소

학기

중 밤

에 몇

시에

잠들

어 아

침 몇

시에

일어

납니

까?

▣ 3

0분 단

위로

입력

해 주

세요

.

1) 주

중(

Ch1

8slp

22aa

)시

( C

h18s

lp22

ab )

분에

잠들

~ (

Ch1

8slp

23aa

)시

( C

h18s

lp23

ab )

분에

일어

남▶

주중

총 (

Ch1

8slp

24a)

시간

2) 주

말(

Ch1

8slp

22ba

)시

( C

h18s

lp22

bb )

분에

잠들

~ (

Ch1

8slp

23ba

)시

( C

h18s

lp23

bb )

분에

일어

남▶

주말

총 (

Ch1

8slp

24b)

시간

Ch1

8slp

22C

h18s

lp23

D06

-14.

구분

활동

내용

주말

하루

생활

필수

행동

1) 수

면시

간(밤

)(

Ch1

8slp

24a

)시간

2) 식

사,

간식

먹기

, 씻

기,

옷 입

기 등

의 기

본생

활 시

간(

Ch1

8dsc

10a

)시간

학습

3) 학

교에

서 보

내는

시간

(교내

방과

후 교

실 포

함)

( C

h18d

sc01

a )시

4) 학

교 이

외의

기관

에서

교육

및 돌

봄을

받는

시간

(

학원

, 개

인/그

룹 지

도 및

과외

, 학

습지

지도

, 문

화센

터,

공공

기관

, 지

역아

동센

터 등

)(

Ch1

8dsc

02a

)시간

5) 숙

제,

학습

지 등

혼자

공부

를 하

는 시

간(

Ch1

8dsc

03a

)시간

6) 인

터넷

수업

등 통

신 교

육(

Ch1

8dsc

21a

)시간

여가

및 교

제7)

책 읽

는 시

간(

Ch1

8dsc

04a

)시간

8) T

V,

컴퓨

터,

휴대

전화

등을

통한

영상

시청

( C

h18d

sc05

a )시

○○

(이)의

학기

중 가

장 일

상적

인 주

중 하

루를

회상

하고

응답

해 주

십시

오.

다음

의 활

동을

보통

얼마

동안

합니

까?

학 중

에 하

는 조

사일

경우

, 학

기 중

일상

적 하

루를

회상

하여

응답

하도

록 함

간 환

산 예

: 30

분(0

.5시

간)

단위

로 응

답 가

시간

활동

안함

30분

1시간

1시간

30분

2시간

2시간

30분

3시간

3시간

30분

4시간

4시간

30분

5시간

5시간

30분

응답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시간

6시간

6시간

30분

7시간

7시간

30분

8시간

8시간

30분

9시간

9시간

30분

10시

간10

시간

30분

11시

간11

시간

30분

응답

6.0

6.5

7.0

7.5

8.0

8.5

9.0

9.5

10.0

10.5

11.0

11.5

Ch1

8slp

24a

Ch1

8dsc

10a

Ch1

8dsc

01a

Ch1

8dsc

02a

Ch1

8dsc

03a

Ch1

8dsc

21a

Ch1

8dsc

04a

Ch1

8dsc

05a

Ch1

8dsc

22a

Ch1

8dsc

23a

Ch1

8dsc

24a

Ch1

8dsc

25a

Ch1

8dsc

26a

Ch1

8dsc

27a

Ch1

8dsc

28a

Ch1

8dsc

29a

Ch1

8dsc

11a

Page 333: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315

번호

문항

내용

구분

활동

내용

주말

하루

9) 컴

퓨터

, 휴

대전

화,

가정

용콘

솔 등

을 통

한 게

임(

Ch1

8dsc

22a

)시간

10)

즐거

움을

목적

으로

하는

동호

회 등

취미

생활

( C

h18d

sc23

a )시

11)

스포

츠 및

집 밖

레저

활동

( C

h18d

sc24

a )시

12)

친인

척,

친구

등과

의 놀

이 등

사교

활동

(대면

교제

, SN

S 카

카오

톡 등

통신

기기

이용

교제

등)

( C

h18d

sc25

a )시

13)

애완

동물

돌보

기(

Ch1

8dsc

26a

)시간

14)

종교

활동

( C

h18d

sc27

a )시

가정

관리

15)

음식

준비

, 의

류관

리,

청소

및 정

리 등

가사

일 돕

기(

Ch1

8dsc

28a

)시간

기타

16)

이동

시간

( C

h18d

sc29

a )시

17)

기타

시간

( C

h18d

sc11

a )시

▶ 현

재까

지 시

간의

합(

) /

24시

D06

-15.

구분

활동

내용

주말

하루

생활

필수

행동

1) 수

면시

간(밤

)(

Ch1

8slp

24b

)시간

2) 식

사,

간식

먹기

, 씻

기,

옷 입

기 등

의 기

본생

활 시

간(

Ch1

8dsc

10b

)시간

학습

3) 학

교에

서 보

내는

시간

(교내

방과

후 교

실 포

함)

( C

h18d

sc01

b )시

4) 학

교 이

외의

기관

에서

교육

및 돌

봄을

받는

시간

( C

h18d

sc02

b )시

○○

(이)의

학기

중 가

장 일

상적

인 주

말 하

루를

회상

하고

응답

해 주

십시

오.

다음

의 활

동을

보통

얼마

동안

합니

까?

학 중

에 하

는 조

사일

경우

, 학

기 중

일상

적 하

루를

회상

하여

응답

하도

록 함

간 환

산 예

: 30

분(0

.5시

간)

단위

로 응

답 가

시간

활동

안함

30분

1시간

1시간

30분

2시간

2시간

30분

3시간

3시간

30분

4시간

4시간

30분

5시간

5시간

30분

응답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시간

6시간

6시간

30분

7시간

7시간

30분

8시간

8시간

30분

9시간

9시간

30분

10시

간10

시간

30분

11시

간11

시간

30분

응답

6.0

6.5

7.0

7.5

8.0

8.5

9.0

9.5

10.0

10.5

11.0

11.5

Ch1

8slp

24b

Ch1

8dsc

10b

Ch1

8dsc

01b

Ch1

8dsc

02b

Ch1

8dsc

03b

Ch1

8dsc

21b

Ch1

8dsc

04b

Ch1

8dsc

05b

Ch1

8dsc

22b

Ch1

8dsc

23b

Ch1

8dsc

24b

Ch1

8dsc

25b

Ch1

8dsc

26b

Ch1

8dsc

27b

Page 334: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316

번호

문항

내용

Ch1

8dsc

28b

Ch1

8dsc

29b

Ch1

8dsc

11b

구분

활동

내용

주말

하루

(

학원

, 개

인/그

룹 지

도 및

과외

, 학

습지

지도

, 문

화센

터,

공공

기관

, 지

역아

동센

터 등

)

5) 숙

제,

학습

지 등

혼자

공부

를 하

는 시

간(

Ch1

8dsc

03b

)시간

6) 인

터넷

수업

등 통

신 교

육(

Ch1

8dsc

21b

)시간

여가

및 교

7) 책

읽는

시간

( C

h18d

sc04

b )시

8) T

V,

컴퓨

터,

휴대

전화

등을

통한

영상

시청

( C

h18d

sc05

b )시

9) 컴

퓨터

, 휴

대전

화,

가정

용콘

솔 등

을 통

한 게

임(

Ch1

8dsc

22b

)시간

10)

즐거

움을

목적

으로

하는

동호

회 등

취미

생활

( C

h18d

sc23

b )시

11)

스포

츠 및

집 밖

레저

활동

( C

h18d

sc24

b )시

12)

친인

척,

친구

등과

의 놀

이 등

사교

활동

(대면

교제

, SN

S 카

카오

톡 등

통신

기기

이용

교제

등)

( C

h18d

sc25

b )시

13)

애완

동물

돌보

기(

Ch1

8dsc

26b

)시간

14)

종교

활동

( C

h18d

sc27

b )시

가정

관리

15)

음식

준비

, 의

류관

리,

청소

및 정

리 등

가사

일 돕

기(

Ch1

8dsc

28b

)시간

기타

16)

이동

시간

( C

h18d

sc29

b )시

17)

기타

시간

( C

h18d

sc11

b )시

▶ 현

재까

지 시

간의

합(

) /

24시

D06

-16.

○○

(이)는

일주

일에

평균

몇 번

가족

과 함

께 식

사합

니까

?(외

식 포

함)

① 거

의 안

함 ②

주 1

~2회

③ 주

3~5

회 ④

주 6

-7회

⑤ 주

8회

이상

Ch1

8enn

01

D06

-18.

○○

(이)는

휴대

폰이

나 스

마트

폰 등

이 있

습니

까?

① 있

② 없

음C

h18m

id12

D06

-19.

구분

① 이

용 시

1) 학

습1일

평균

( C

h18m

id17

)시

간2)

정보

검색

○○

(이)는

스마

트폰

, PC

(인터

넷)

등을

다음

의 항

목에

1일

평균

몇 시

간 사

용합

니까

?

Ch1

8mid

15a~

eC

h18m

id17

Page 335: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317

번호

문항

내용

구분

① 이

용 시

3) 게

4) 엔

터테

인먼

트(음

악 감

상,

동영

상 감

상 등

)

5) S

NS(카

카오

톡,

페이

스북

, 인

스타

그램

, 트

위터

등)

D06

-20.

○○

(이)가

하루

평균

( C

h18m

id17

) 시

간 이

용하

는 스

마트

폰,

PC

(인터

넷)

등을

다음

의 항

목에

각각

어느

정도

사용

합니

까?

구분

① 전

혀 사

용 안

/ ②

가끔

사용

함③

자주

사용

/

④ 매

일 사

용함

1) 학

습上

2) 정

보 검

색上

3) 게

임上

4) 엔

터테

인먼

트(음

악 감

상,

동영

상 감

상 등

)上

5) S

NS(카

카오

톡,

페이

스북

, 인

스타

그램

, 트

위터

등)

上同

D06

-21.

○○

(이)는

주당

몇 권

의 책

을 읽

습니

까?

e-

book

, 학

습 만

화 포

‘2

주에

1권

을 읽

는 경

우 ‘

0.5’

로 입

력해

주세

요’

① 안

읽음

1주

일에

평균

( C

h18d

sc17

)권

을 읽

Ch1

8dsc

16~1

7

D06

-22.

구분

① 참

여안

함②

1년

에(

)회③

한 달

에(

)회④

일주

일에

(

)회

1) 장

보기

및 쇼

핑C

h18d

sc12

aC

h18d

sc13

a

2) 친

인척

방문

Ch1

8dsc

12b

Ch1

8dsc

13b

○○

(이)가

지난

1년

간 다

음 활

동에

얼마

나 참

여했

는지

에 대

해 응

답해

주십

시오

.

달은

4주

기준

화체

험활

동:

과학

관,

천체

관,

역사

관,

체험

관 등

술감

상활

동:

미술

관,

음악

회,

전시

회,

영화

, 연

극,

뮤지

컬 관

람 등

Ch1

8dsc

12a~

hC

h18d

sc13

a~h

Page 336: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318

번호

문항

내용

구분

① 참

여안

함②

1년

에(

)회③

한 달

에(

)회④

일주

일에

(

)회

3) 당

일 여

행 및

나들

이C

h18d

sc12

cC

h18d

sc13

c

4) 1

박이

상의

국내

여행

(가족

또는

단체

)C

h18d

sc12

dC

h18d

sc13

d

5) 해

외 여

행 및

연수

Ch1

8dsc

30d

Ch1

8dsc

31d

6) 문

화체

험 및

예술

감상

활동

, 견

학C

h18d

sc12

eC

h18d

sc13

e

7) 종

교활

동(예

배・예

불/미

사 참

석,

캠프

등)

Ch1

8dsc

12f

Ch1

8dsc

13f

8) 봉

사활

동C

h18d

sc12

gC

h18d

sc13

g

9) 동

아리

활동

(합창

단,

스카

우트

등)

C

h18d

sc12

hC

h18d

sc13

h

생성

“아동

” (항

목 명

) 참

여 횟

수[1

년간

대략

(

)

회]

Ch1

8dsc

14a~

h

D06

-23.

○○

이는

취미

로 연

주하

는 악

기가

있습

니까

?①

있다

⇨ GO

D06

-24

② 없

다 ⇨

GO D

06-2

5C

h18h

ob01

D06

-24.

○○

이가

연주

하는

악기

의 종

류는

무엇

인가

요?

(모두

선택

)①

피아

노 ②

바이

올린

③ 첼

로 ④

우쿨

렐레

⑤ 클

라리

넷 ⑥

플룻

⑦ 오

카리

나 ⑧

드럼

⑨가

야금

⑩ 기

타 (

기입

: C

h18h

ob03

)C

h18h

ob02

~03

D06

-25.

○○

이는

현재

즐겨

하는

운동

이 있

나요

?①

있다

⇨ GO

D06

-26

없다

⇨ G

O D

06-2

7C

h18h

ob04

D06

-26.

○○

이는

어떤

운동

을 즐

겨 하

나요

? (모

두 선

택)

① 축

구 ②

농구

③야

구 ④

탁구

⑤ 배

구 ⑥

테니

스 ⑦

배드

민턴

⑧ 골

프 ⑨

수영

⑩ 스

케이

⑪ 스

키 ⑫

체조

(기계

체조

, 리

듬체

조 등

)⑬

무용

(발레

, 고

전무

용,

방송

댄스

등)

⑭ 태

권도

⑮ 기

타(기

입:

Ch1

8hob

06)

Ch1

8hob

05~0

6

D06

-27.

[보기

]신

체활

동탁

구,

수영

, 배

구 배

드민

턴,

빠르

게 걷

기,

야구

, 축

구,

농구

, 테

니스

, 골

프,

체육

시간

에 실

제 운

동한

시간

, 운

동장

・놀이

터에

서 놀

기 등

격렬

하거

나 중

등도

의 신

체활

동 (

등하

교시

걷는

것은

제외

)

○○

이가

지난

7일

동안

실내

에서

한번

에 [

보기

]와 같

은 신

체활

동(운

동)을

30분

이상

한 날

은 며

칠 입

니까

?①

없음

② 1

일 ③

2일 ④

3일 ⑤

4일 ⑥

5일 이

Ch1

8hob

07

Page 337: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319

번호

문항

내용

D06

-28.

[보기

]신

체활

동탁

구,

수영

, 배

구 배

드민

턴,

빠르

게 걷

기,

야구

, 축

구,

농구

, 테

니스

, 골

프,

체육

시간

에 실

제 운

동한

시간

, 운

동장

・놀이

터에

서 놀

기 등

격렬

하거

나 중

등도

의 신

체활

동;

등하

교시

걷는

것은

제외

○○

이가

지난

7일

동안

실외

에서

한번

에 [

보기

]와 같

은 신

체활

동(운

동)을

30분

이상

한 날

은 며

칠 입

니까

?①

없음

② 1

일 ③

2일 ④

3일 ⑤

4일 ⑥

5일 이

Ch1

8hob

08

전환

다음

은 ○

○(이

)의 돌

봄 및

양육

에 대

한 질

문입

니다

.

D07

-1.

○○

(이)의

돌봄

및 양

육을

도와

주는

사람

이나

장소

를 모

두 선

택해

주십

시오

.

봄이

아닌

교육

이 이

용목

적인

사람

이나

장소

는 해

당되

지 않

음.

구분

1) 학

기 중

2) 방

학 중

(1)

조부

모 및

친인

하루

평균

(

)시간

이용

하루

평균

(

)시간

이용

(2)

비혈

연 대

리양

육자

(양육

도우

미 등

) 하

루 평

균 (

)시

간 이

용하

루 평

균 (

)시

간 이

(3)

아이

돌보

미(건

강가

정지

원센

터)

하루

평균

(

)시간

이용

하루

평균

(

)시간

이용

(4)

초등

돌봄

교실

루 평

균 (

)시

간 이

용하

루 평

균 (

)시

간 이

(5)

지역

아동

센터

루 평

균 (

)시

간 이

용하

루 평

균 (

)시

간 이

(6)

기타

하루

평균

(

)시간

이용

하루

평균

(

)시간

이용

Ch1

8chg

37a~

fC

h18c

hg38

a~f

D07

-2.

○○

(이)는

다음

의 돌

봄 및

양육

을 일

주일

에 며

칠 이

용합

니까

?

구분

1) 학

기 중

2) 방

학 중

(1)

조부

모 및

친인

1주일

에 (

)일

1주일

에 (

)일

(2)

비혈

연 대

리양

육자

(양육

도우

미 등

) 1주

일에

(

)일1주

일에

(

)일

(3)

아이

돌보

미(건

강가

정지

원센

터)

1주일

에 (

)일

1주일

에 (

)일

(4)

초등

돌봄

교실

1주

일에

(

)일1주

일에

(

)일

(5)

지역

아동

센터

1주

일에

(

)일1주

일에

(

)일

(6)

기타

1주일

에 (

)일

1주일

에 (

)일

Ch1

8chg

35a~

fC

h18c

hg36

a~f

Page 338: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320

번호

문항

내용

D07

-3.

○○

(이)가

이용

하는

다음

의 돌

봄 및

양육

의 월

평균

이용

비용

은 얼

마 입

니까

?

구분

1) 학

기 중

2) 방

학 중

▶ 총

( C

h18c

hg39

)만

원 지

출▶

총 (

Ch1

8chg

40 )

만원

지출

(1)

조부

모 및

친인

월 평

균 (

)만

원월

평균

(

)만원

(2)

비혈

연 대

리양

육자

(양육

도우

미 등

) 월

평균

(

)만원

월 평

균 (

)만

(3)

아이

돌보

미(건

강가

정지

원센

터)

월 평

균 (

)만

원월

평균

(

)만원

(4)

초등

돌봄

교실

평균

(

)만원

월 평

균 (

)만

(5)

지역

아동

센터

평균

(

)만원

월 평

균 (

)만

(6)

기타

월 평

균 (

)만

원월

평균

(

)만원

Ch1

8chg

39a~

fC

h18c

hg40

a~f

D07

-4.

○○

(이)가

이용

하는

다음

의 돌

봄 및

양육

의 이

용 만

족도

는 어

떠합

니까

?

구분

1) 학

기 중

2) 방

학 중

(1)

조부

모 및

친인

① 매

우 불

만족

대체

로 불

만족

③ 보

통임

④ 대

체로

만족

⑤ 매

우 만

① 매

우 불

만족

② 대

체로

불만

족③

보통

임④

대체

로 만

족⑤

매우

만족

(2)

비혈

연 대

리양

육자

(양육

도우

미 등

) 上

同上

(3)

아이

돌보

미(건

강가

정지

원센

터)

上同

上同

(4)

초등

돌봄

교실

同上

(5)

지역

아동

센터

同上

(6)

기타

上同

上同

Ch1

8chg

41a~

fC

h18c

hg42

a~f

D07

-5.

○○

(이)가

하루

중 어

른 없

이 집

에 혼

자 있

거나

형제

자매

끼리

만 있

는 경

우는

몇 시

간입

니까

? ①

없음

1시

간 미

③ 1

시간

이상

2시

간 미

④ 2

시간

이상

3시

간 미

⑤ 3

시간

이상

4시

간 미

⑥ 4

시간

이상

Ch1

8dsc

15

D07

-6.

다음

의 항

목에

대해

귀하

는 어

떠하

신지

응답

해 주

십시

오.

Page 339: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321

번호

문항

내용

Mt1

8crs

52~5

5

구분

전혀

렇지

대체

그렇

않다

보통

이다

대체

그렇

다매

우그

렇다

해당

없음

1) ◯

◯(이

)가 어

디에

서 누

구와

함께

있는

지 알

고 있

다.

①②

③④

⑤⑨

2) ◯

◯(이

)가 몇

시에

들어

오는

지 알

고 있

다.

①②

③④

⑤⑨

3) ◯

◯(이

)가 어

른 없

이 있

을 때

무엇

을 하

는지

알고

있다

.①

②③

④⑤

4) ◯

◯(이

)가 어

른 없

이 있

을 때

연락

을 주

고받

는다

.①

②③

④⑤

D07

-7.

다음

의 ○

○(이

)의 학

교 행

사에

부모

님은

올해

참여

하셨

습니

까?

구분

참여

여부

1) 행

사(운

동회

, 발

표회

등)

① 참

여한

적 없

음②

○○

(이)의

어머

니만

참여

③ ○

○(이

)의 아

버지

만 참

여④

○○

(이)의

어머

니,

아버

지 모

두 참

여⑤

해당

없음

(행사

미개

최)

2) 자

원봉

사(녹

색어

머니

, 급

식 검

수,

어머

니폴

리스

회/안

전둥

지회

, 야

외활

동,

수업

보조

, 학

부모

재능

기부

, 청

소 등

)

3) 학

부모

공개

수업

4) 부

모교

육프

로그

램(강

연회

, 워

크숍

등)

5) 담

임상

6) 학

교운

영위

원회

7) 학

부모

(총)회

Mt1

8ppe

30a~

f

전환

다음

은 ○

○(이

)가 이

용하

는 교

육 서

비스

에 대

한 질

문입

니다

.

D08

-1 구

현 전

구분

종류

1) 미

술그

림,

공작

, 공

예,

도예

, 서

예,

요미

요미

, 종

이접

기,

클레

이,

PO

P 등

2) 음

악가

야금

, 국

악,

노래

교실

, 바

이올

린,

오르

프,

우쿨

렐레

, 사

물놀

이,

시조

창,

성악

, 중

창 등

초등

학교

정규

수업

이외

에 추

가로

이용

하는

모든

서비

스에

대한

질문

입니

다.

다음

의 예

시를

잘 살

펴봐

주세

요.

-

Page 340: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322

번호

문항

내용

구분

종류

3) 체

육골

프,

농구

, 댄

스,

발레

, 배

드민

턴,

수영

, 스

케이

트,

승마

, 야

구,

줄넘

기,

축구

, 태

권도

, 풋

살,

인라

인 등

4) 과

학건

축,

과학

, 과

학실

험,

로봇

, 항

공 등

5) 수

학도

형,

숫자

, 산

수,

주산

6) 국

어논

술,

동화

구연

, 웅

변,

스피

치,

한글

7) 컴

퓨터

8) 한

9) 영

10)

기타

외국

어중

국어

, 일

본어

11)

기타

여러

과목

, 통

합 교

과,

전과

목(재

능피

자,

다높

이,

멀티

존 등

), 뇌

교육

, 바

둑,

루크

, 레

고,

보드

게임

, 체

스,

전통

놀이

, 컵

쌓기

, 마

술,

요리

, 세

계문

화,

연극

, 아

나운

서 등

D08

-1.

구분

이용

안함

학원

가정

내개

인/그

룹지

도(과

외)

학습

지(방

문교

사)

인터

넷화

상강

의교

내방

과 후

교실

문화

센터

, 종

교기

관 등

설기

주민

센터

, 복

지관

공공

기관

1) 미

술①

②③

④⑤

⑥⑦

2) 음

악①

②③

④⑤

⑥⑦

3) 체

육①

②③

④⑤

⑥⑦

4) 과

학①

②③

④⑤

⑥⑦

5) 수

학①

②③

④⑤

⑥⑦

6) 국

어①

②③

④⑤

⑥⑦

7) 컴

퓨터

①②

③④

⑤⑥

⑦⑧

8) 한

자①

②③

④⑤

⑥⑦

9) 영

어①

②③

④⑤

⑥⑦

○○

(이)가

현재

학교

수업

이외

의 교

육을

받는

기관

및 매

체를

모두

체크

해 주

십시

오.

학 중

에 조

사하

는 경

우,

학기

중 한

달간

을 기

준으

로 함

.

Ch1

8cht

23,2

4C

h18c

ht23

a~n

Ch1

8cht

26a~

nC

h18c

ht27

a~n

Ch1

8cht

28a~

nC

h18c

ht29

a~n

Ch1

8cht

30a~

nC

h18c

ht31

a~n

Page 341: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323

번호

문항

내용

구분

이용

안함

학원

가정

내개

인/그

룹지

도(과

외)

학습

지(방

문교

사)

인터

넷화

상강

의교

내방

과 후

교실

문화

센터

, 종

교기

관 등

설기

주민

센터

, 복

지관

공공

기관

10)

기타

외국

어①

②③

④⑤

⑥⑦

11)

기타

1(C

h18c

ht24

a)①

②③

④⑤

⑥⑦

12)

기타

2(C

h18c

ht24

b)①

②③

④⑤

⑥⑦

13)

기타

3(C

h18c

ht24

c)①

②③

④⑤

⑥⑦

D08

-2.

○○

(이)는

현재

아래

의 교

육 기

관 및

서비

스를

일주

일에

총 몇

시간

이용

합니

까?

시간

활동

안함

30분

1시간

1시간

30분

2시간

2시간

30분

3시간

3시간

30분

4시간

4시간

30분

5시간

5시간

30분

응답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시간

6시간

6시간

30분

7시간

7시간

30분

8시간

8시간

30분

9시간

9시간

30분

10시

간10

시간

30분

11시

간11

시간

30분

응답

6.0

6.5

7.0

7.5

8.0

8.5

9.0

9.5

10.0

10.5

11.0

11.5

구분

일주

일 총

이용

시간

2) 학

원일

주일

총 (

Ch1

8cht

33b

)시간

3) 가

정 내

개인

/그룹

지도

(과외

)일

주일

총 (

Ch1

8cht

33c

)시간

4) 학

습지

(방문

교사

)일

주일

총 (

Ch1

8cht

33d

)시간

5) 인

터넷

/화상

강의

일주

일 총

( C

h18c

ht33

e )시

6) 교

내 방

과 후

교실

일주

일 총

( C

h18c

ht33

f )시

7) 문

화센

터,

종교

기관

등 사

설기

관일

주일

총 (

Ch1

8cht

33g

)시간

8) 주

민센

터,

복지

관 등

공공

기관

일주

일 총

( C

h18c

ht33

h )시

Ch1

8cht

33b~

h

D08

-3.

○○

(이)가

현재

이용

하는

아래

의 교

육 기

관 및

서비

스의

이용

만족

도는

어떠

합니

까?

Ch1

8cht

34a~

h

Page 342: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324

번호

문항

내용

구분

이용

만족

1) ○

○(이

)의 초

등학

교①

매우

만족

하지

않음

대체

로 만

족하

지 않

음③

보통

④ 대

체로

만족

⑤ 매

우 만

족함

2) 학

원上

3) 가

정 내

개인

/그룹

지도

(과외

)上

4) 학

습지

(방문

교사

)上

5) 인

터넷

/화상

강의

上同

6) 교

내 방

과 후

교실

上同

7) 문

화센

터,

종교

기관

등 사

설기

관上

8) 주

민센

터,

복지

관 등

공공

기관

上同

D08

-4.

○○

(이)가

현재

이용

하는

아래

의 교

육 기

관 및

서비

스의

월평

균 교

육비

용은

얼마

입니

까?

육비

용:

교재

비 등

을 제

외하

고 교

육비

목적

으로

만 지

출하

는 비

용을

의미

함.

금액

1천원

2천원

3천원

4천원

5천원

6천원

7천원

8천원

9천원

1만원

…1만

5천

원…

응답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

5…

구분

▶ 총

월평

균 교

육 비

용(

Ch1

8cht

35 )

월 평

균 교

육 비

1) ○

○(이

)의 초

등학

교월

평균

총 (

Ch1

8cht

35a

)만원

2) 학

원월

평균

총 (

Ch1

8cht

35b

)만원

3) 가

정 내

개인

/그룹

지도

(과외

)월

평균

총 (

Ch1

8cht

35c

)만원

4) 학

습지

(방문

교사

)월

평균

총 (

Ch1

8cht

35d

)만원

5) 인

터넷

/화상

강의

월 평

균 총

( C

h18c

ht35

e )만

6) 교

내 방

과 후

교실

월 평

균 총

( C

h18c

ht35

f )만

7) 문

화센

터,

종교

기관

등 사

설기

관월

평균

총 (

Ch1

8cht

35g

)만원

8) 주

민센

터,

복지

관 등

공공

기관

월 평

균 총

( C

h18c

ht35

h )만

Ch1

8cht

35a~

h

Page 343: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325

번호

문항

내용

D08

-5.

○○

(이)가

현재

이용

하는

아래

의 교

육 기

관 및

서비

스의

이용

비용

부담

정도

는 어

떠합

니까

?

구분

비용

부담

정도

1) ○

○(이

)의 초

등학

교①

전혀

부담

되지

않음

부담

되지

않는

편임

③ 적

당함

부담

되는

편임

매우

부담

2) 학

원上

3) 가

정 내

개인

/그룹

지도

(과외

)上

4) 학

습지

(방문

교사

)上

5) 인

터넷

/화상

강의

上同

6) 교

내 방

과 후

교실

上同

7) 문

화센

터,

종교

기관

등 사

설기

관上

8) 주

민센

터,

복지

관 등

공공

기관

上同

Ch1

8cht

36a~

h

전환

다음

은 ○

○(이

)의 신

체 발

달 및

건강

에 대

한 질

문입

니다

.

D09

-1.

○○

(이)의

건강

상태

가 어

떻다

고 생

각하

십니

까?

① 매

우 건

강하

지 않

건강

하지

않은

편임

③ 보

통임

④ 건

강한

편임

⑤ 매

우 건

강함

Ch1

8hlt4

9

D09

-2.

○○

(이)는

지난

1년

간 응

급실

에서

치료

를 받

은 적

이 있

습니

까?

① 치

료 경

험 있

음(이

유:

Ch1

8hlt5

0 )

② 치

료 경

험 없

음C

h18h

lt21

D09

-3.

○○

(이)는

지난

1년

간 입

원한

적이

있습

니까

? ①

입원

한 적

있음

(이유

: C

h18h

lt23

)

입원

한 적

없음

Ch1

8hlt0

8

D09

-4.

장애

유형

판정

급수

장애

유형

판정

급수

□ 1

) 지

체장

(

)급

□ 9

) 간

장애

(

)급

□ 2

) 뇌

병변

장애

(

)

급□

10)

호흡

기장

애(

)

□ 3

) 시

각장

애(

)

급□

11)

장루

, 요

루장

애(

)

□ 4

) 청

각장

애(

)

급□

12)

간질

장애

(

)급

□ 5

) 언

어장

애(

)

급□

13)

지적

장애

(

)급

지난

조사

이후

○○

(이)는

아래

의 장

애를

판정

받았

습니

까?

장애

급수

를 판

정 받

은 모

든 장

애에

대해

응답

해 주

십시

오.

Ch1

8hlt2

8(판

정 여

부)

Ch1

8hlt2

9(장

애 유

형 및

정급

수)

Page 344: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326

번호

문항

내용

장애

유형

판정

급수

장애

유형

판정

급수

□ 6

) 안

면장

애(

)

급□

14)

정신

장애

(

)급

□ 7

) 신

장장

애(

)

급□

15)

자폐

성장

애(

)

□ 8

) 심

장장

애(

)

급□

16)

없음

⇨ Go

D09

-5

D09

-5.

○○

(이)가

진단

받은

다음

의 질

환의

병원

치료

여부

에 대

해 응

답해

주세

요.

질환

유형

1) 최

초 진

단일

2) 병

원 치

료 여

□ 1

) 선

천성

심장

질환

② 진

단 받

음:

(

)년

(

)

월①

정기

적으

로 받

음②

간헐

적으

로 받

음③

받지

않음

□ 2

) 간

질上

同上

□ 3

) 당

뇨上

同上

□ 4

) 만

성 부

비동

염(축

농증

)上

同上

□ 5

) 만

성 중

이염

上同

上同

□ 6

) 만

성 요

로감

염上

同上

□ 7

) 천

식上

同上

□ 8

) 만

성 비

염(알

레르

기성

포함

)上

同上

□ 9

) 아

토피

피부

염上

同上

□ 1

0) 식

품알

레르

기上

同上

□ 1

1) 알

레르

기 결

막염

上同

上同

□ 1

2) 없

음 ⇨

Go D

09-6

Ch1

8hlt3

1C

h18h

lt33

Ch1

8hlt3

4a,

c,d,

f~h

D09

-6.

질환

유형

1) 최

초 진

단일

2) 상

담 및

병원

치료

여부

□ 1

) 의

사소

통 장

애 (

언어

장애

, 발

화음

장애

, 말

더듬

기,

사회

적 의

사소

통 장

애)

② 진

단 받

음:

(

)년 (

)

월①

정기

적으

로 받

음②

간헐

적으

로 받

음③

받지

않음

○○

(이)가

진단

받은

다음

의 질

환의

상담

및 병

원 치

료 여

부에

대해

응답

해 주

세요

Ch1

8hlt3

2C

h18h

lt35

Ch1

8hlt3

6a~

j

Page 345: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327

번호

문항

내용

질환

유형

1) 최

초 진

단일

2) 상

담 및

병원

치료

여부

□ 2

) 자

폐 스

펙트

럼 장

애上

同上

□ 3

) 주

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

上同

上同

□ 4

) 특

정 학

습장

애上

同上

□ 5

) 운

동장

애(틱

장애

, 정

형적

동작

장애

, 발

달성

운동

조정

장애

)上

同上

□ 6

) 파

괴적

, 충

동통

제 및

품행

장애

(적대

적 반

항장

애,

간헐

적 폭

발성

장애

, 품

행장

애,

방화

증,

도벽

증)

上同

上同

□ 7

) 배

설장

애上

同上

□ 8

) 급

식 및

섭식

장애

上同

上同

□ 9

) 불

안 장

애(분

리불

안장

애,

선택

적 함

구증

)上

同上

□ 1

0) 기

타 장

애(

Ch1

8hlt3

7 )

上同

上同

□ 1

1) 없

음 ⇨

Go D

09-7

D09

-7.

○○

(이)는

안경

또는

시력

교정

도구

를 사

용합

니까

? 모

두 응

답해

주세

요.

① 예

, 안

경 사

용함

(사용

시작

시기

: 만

Ch1

8hlt4

6 세

)②

예,

시력

교정

도구

사용

함(사

용 시

작 시

기:

만 C

h18h

lt47세

)③

아무

것도

사용

하지

않음

Ch1

8hlt4

5~47

D-0

9-10

.○

○(이

)는 몽

정(남

아)

또는

초경

(여아

) 등

2차

성징

이 나

타났

습니

까?

① 예

⇨ GO

D-0

9-11

② 아

니오

⇨ GO

D10

-1.

Ch1

8hlt3

9

D-0

9-11

○○

(이)가

처음

으로

2차

성징

이 나

타난

시기

는 언

제입

니까

?①

올해

(초등

4학

년)

② 초

등 1

~3학

년C

h18h

lt40

전환

다음

은 귀

댁의

경제

적 특

성 및

정책

에 대

한 질

문입

니다

.

D10

-1.

귀 댁

의 지

난 1

년 동

안의

월 평

균 가

구소

득은

얼마

입니

까?

실 수

령액

으로

응답

해주

십시

오.

구소

득:

근로

, 금

융,

사업

, 임

대,

이전

, 기

타 소

득 등

을 모

두 포

함하

여 모

든 가

구원

의 소

득을

합산

한 것

을 지

칭함

.

득세

, 주

민세

, 재

산세

, 이

자소

득세

등을

비롯

하여

국민

연금

, 의

료 보

험료

등을

제외

한 실

수령

액.

월 평

균 실

수령

가구

소득

( H

u18s

es06

) 만

Hu1

8ses

06

Page 346: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328

번호

문항

내용

생성

예년

대비

소득

증가

율[(

)%

]H

u18s

es06

p

D10

-2.

귀하

의 근

로소

득은

얼마

입니

까?

실 수

령액

으로

응답

해주

십시

오.

월 평

균 어

머니

의 실

수령

근로

소득

(

)

만원

Mt1

8ses

08

생성

예년

대비

어머

니 근

로소

득 증

가율

[(

)%]

Mt1

8ses

08p

D10

-3.

귀 댁

의 지

난 1

년 동

안의

월 평

균 가

구지

출은

얼마

입니

까?

아래

의 항

목에

따라

응답

해 주

십시

오.

구분

▶ 가

구 총

지출

비용

(

Hu1

8ses

1917

) 만

▶ 자

녀에

대한

총 지

출 비

( H

u18s

es18

20)

만원

비소

비성

지출

: 각

종 세

금,

적금

, 보

험,

타 가

구원

을 위

한 용

돈,

월 상

환금

1) 가

구 전

체의

비소

비성

지출

월 평

균 가

구 총

비소

비성

지출

( H

u18s

es19

) 만

2) 이

중 자

녀(들

)에 대

한 비

소비

성 지

출월

평균

자녀

(들)을

위한

총 비

소비

성 지

출 (

Hu1

8ses

20)만

소비

성 지

출:

식비

, 주

거비

, 교

육비

, 양

육비

, 의

료비

, 현

물 구

입비

, 용

돈,

기타

잡비

3) 가

구 전

체의

소비

성 지

출월

평균

가구

총 소

비성

지출

( H

u18s

es17

) 만

4) 이

중 자

녀(들

)에 대

한 소

비성

지출

월 평

균 자

녀(들

)을 위

한 총

소비

성 지

출 (

Hu1

8ses

18)

만원

▶ ○

○(이

)의 월

평균

교육

비용

: (

Ch1

8cht

35 )

만원

▶ ○

○(이

)의 월

평균

돌봄

/양육

비용

: (

Ch1

8chg

39 o

r 40

)만

Hu1

8ses

1917

Hu1

8ses

1820

Hu1

8ses

19H

u18s

es20

Hu1

8ses

17H

u18s

es18

생성

예년

대비

가구

지출

증가

율[(

)%

]H

u18s

es19

17p

생성

예년

대비

자녀

를 위

한 가

구 지

출 증

가율

[(

)%]

Hu1

8ses

1820

p

생성

가구

소득

대비

가구

총 지

출H

u18s

es06

v1

생성

가구

총 지

출 대

비 자

녀에

대한

지출

Hu1

8ses

1917

v1

Page 347: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329

번호

문항

내용

생성

가구

총 지

출 대

비 ○

○(이

)의 교

육비

용H

u18s

es19

17v2

생성

가구

총 지

출 대

비 ○

○(이

)의 학

기 중

돌봄

비용

Hu1

8ses

1917

v3

생성

가구

총 지

출 대

비 ○

○(이

)의 방

학 중

돌봄

비용

Hu1

8ses

1917

v4

생성

가구

총 자

녀를

위한

지출

대비

○○

(이)의

교육

비용

Hu1

8ses

1820

v1

생성

가구

총 자

녀를

위한

지출

대비

○○

(이)의

학기

중 돌

봄 비

용H

u18s

es18

20v2

생성

가구

총 자

녀를

위한

지출

대비

○○

(이)의

방학

중 돌

봄 비

용H

u18s

es18

20v3

D10

-4.

귀하

는 ○

○(이

)에게

용돈

을 줍

니까

? ①

주지

않음

⇨ Go

D10

-6

② 필

요할

때마

다 줌

③ 정

기적

으로

줌H

u18s

es33

D10

-5.

○○

(이)가

일주

일간

받는

용돈

은 평

균적

으로

얼마

입니

까?

올림

금액

으로

입력

해 주

세요

. 40

0원은

0원

, 50

0원은

1,0

00원

입니

다.

일주

일에

(

)

천원

Hu1

8ses

34

D10

-5-1

○○

(이)는

용돈

을 주

로 어

디에

가장

많이

사용

합니

까?

① 학

습 자

료(학

용품

, 준

비물

등)

② 저

축 ③

간식

및 군

것질

하기

④ 장

난감

이나

취미

, 오

락 활

동 ⑤

기타

Hu1

8ses

35

D10

-6.

귀 댁

의 소

유 부

동산

(주택

, 건

물,

임야

, 토

지 등

)은 얼

마입

니까

? 현

시가

로 응

답해

주십

시오

. 시

가 (

Hu1

8ses

09 )

만원

Hu1

8ses

09

D10

-7.

귀 댁

의 금

융자

산(예

금,

보험

, 주

식,

채권

, 타

지 않

은 계

, 빌

려준

돈,

전월

세 임

대료

등)은

얼마

입니

까?

총 (

Hu1

8ses

12 )

만원

Hu1

8ses

12

D10

-8.

귀 댁

은 은

행대

출,

개인

적으

로 빌

린 돈

, 임

대보

증금

등의

부채

가 있

습니

까?

① 부

채 있

부채

없음

⇨ Go

D10

-10

Hu1

8ses

31

Page 348: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330

번호

문항

내용

D10

-9.

구분

금액

1) 부

채총

( H

u18s

es15

) 만

2) 월

상환

금총

( H

u18s

es16

) 만

귀 댁

의 갚

아야

할 부

채(은

행대

출,

개인

적으

로 빌

린 돈

, 임

대보

증금

등)와

월 상

환금

(원금

또는

이자

)은 얼

마입

니까

?

Hu1

8ses

15~1

6

D10

-10.

현재

귀 댁

은 국

민기

초생

활보

장법

에 근

거하

여 다

음 중

어디

에 해

당합

니까

? ①

국민

기초

생활

수급

차상

위계

해당

없음

Hu1

8sss

01

D10

-11.

지난

1년

간 귀

댁에

서는

다음

과 같

은 생

활비

지원

을 받

은 적

이 있

습니

까?

모두

선택

해 주

십시

오.

정부

보조

금:

근로

장려

금,

자녀

장려

금,

의료

급여

, 한

부모

가족

지원

, 소

년소

녀가

장보

호비

,

기타

보조

금(기

초노

령연

금,

통신

비 감

면,

바우

처,

희망

키움

통장

등)

① 정

부(주

민센

터)로

부터

받은

보조

금(국

민기

초생

활보

장 급

여 제

외)

② 친

척・친

지,

친구

나 이

웃에

게서

받은

현금

과 물

품③

복지

관,

종교

・사회

단체

로부

터 받

은 현

금과

물품

(학교

장학

금 포

함)

④ 회

사로

부터

받은

현금

과 물

품(자

녀학

자금

보조

포함

)⑤

없음

Hu1

8sss

30H

u18s

ss30

a~d

D10

-12

구현

전화

다음

은 주

관적

사회

경제

적 지

위에

관한

문항

입니

다.

다음

의 사

다리

가 우

리사

회의

구조

를 나

타낸

다고

상상

해 보

십시

오.

이 사

다리

의 꼭

대기

에는

최상

의 삶

을 사

는 사

람들

이 있

습니

다.

그들

은 가

장 재

산이

많고

, 교

육을

많이

받았

으며

, 사

회에

서 존

경받

는 직

업을

고 있

습니

다.

사다

리의

맨 밑

에는

최하

의 삶

을 사

는 사

람들

이 있

습니

다.

그들

은 재

산이

거의

없고

, 교

육도

적게

받거

나 전

혀 받

지 못

했으

며,

누구

도 원

않거

나,

존경

하지

않는

직업

을 갖

고 있

습니

다.

Page 349: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331

번호

문항

내용

D10

-12.

이 사

다리

가 대

한민

국의

구조

를 나

타내

고 있

다면

, 귀

하는

이 사

다리

의 어

디쯤

에 있

다고

생각

하십

니까

?사

다리

중 나

의 위

치 (

)

Hu1

8ses

35

D10

-13.

이 사

다리

가 귀

하가

속해

있는

의미

있는

지역

사회

나 공

동체

(직장

, 교

회,

친인

척 일

가,

친구

, 동

호회

등)를

나타

내고

있다

면,

귀하

는 이

사다

리의

어디

쯤에

있다

고 생

각하

십니

까?

사다

리 중

나의

위치

(

)

Hu1

8ses

36

D10

-14

다음

의 정

책 중

○○

(이)가

올해

이용

한 내

용이

있다

면 모

두 선

택해

주십

시오

.

족체

험학

학부

모가

명예

교사

가 되

어 가

족동

반으

로 학

교외

의 장

소에

서 체

험학

습을

진행

하는

것을

말하

며,

체험

학습

기간

중에

는 학

부모

책임

에 모

든 활

동이

이루

어지

도록

로탐

색교

육/진

로체

험프

로그

진로

체험

은 “

학생

이 직

업 현

장을

방문

하여

견학

및 체

험을

하거

나,

직업

인과

대화

를 나

누는

‘직

업체

험’과

진로

캠프

, 진

로특

강과

같이

학교

내외

의 진

로교

육 프

로그

램에

참여

하는

활동

”을 의

미함

예)

현장

직업

체험

, 직

업실

무체

험,

현장

견학

, 강

연 및

대화

, 학

과체

험,

진로

캠프

교폭

력예

방정

책 교

학교

폭력

근절

을 위

한 교

육 및

피해

학생

치료

, 전

문상

담교

사 배

치,

유관

기관

협력

등의

학교

폭력

에 관

한 지

원사

항 및

예방

교육

을 말

예)

Wee

프로

젝트

(Wee

클래

스,

Wee

센터

, W

ee 스

쿨)

교급

식 및

안전

관리

교육

학교

단위

에서

영양

(교)사

가 체

계적

인 교

육프

로그

램을

마련

하여

조리

종사

자,

학생

, 교

직원

, 학

부모

등을

대상

으로

실시

하는

교육

예)

올바

른 손

씻기

교육

등 개

인위

생관

리 교

육,

배식

방법

교육

, 위

생수

칙 교

육 등

애학

생 지

원제

특수

학교

(급)

신설

및 증

설 확

대 제

도 및

병원

학교

설치

및 원

격 수

업 지

원 등

장애

학생

을 위

한 지

원을

말함

육비

지원

제도

보장

가구

의 소

득인

정액

이 기

준 중

위소

득 5

0% 이

하인

경우

선정

하여

교육

비를

지원

하는

제도

성,

체육

, 예

술 교

인성

교육

우수

학교

및 시

범학

교,

일부

일반

학교

에서

이뤄

지는

인성

교육

프로

그램

을 의

미함

Page 350: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332

번호

문항

내용

종류

이용

여부

1) 가

족 체

험학

습①

이용

② 이

용 안

③ 모

2) 진

로탐

색교

육/진

로체

험프

로그

램上

3) 학

교폭

력예

방정

책 교

육上

4) 학

교급

식 및

안전

관리

교육

上同

5) 장

애학

생 지

원제

도上

6) 교

육비

지원

제도

上同

7) 인

성・체

육・예

술 교

육上

D10

-15

○○

(이)가

지원

받은

내용

에 대

한 이

용 만

족도

에 대

하여

해당

하는

보기

를 선

택해

주십

시오

.

정책

항목

별 상

세 설

명은

조사

원 자

료를

참고

해 주

세요

.

종류

이용

만족

1) 가

족 체

험학

습①

매우

만족

하지

않음

② 대

체로

만족

하지

않음

③ 보

통임

④ 대

체로

만족

함 ⑤

매우

만족

2) 진

로탐

색교

육/진

로체

험프

로그

램上

2) 학

교폭

력예

방정

책 교

육上

3) 학

교급

식 및

안전

관리

교육

上同

4) 장

애학

생 지

원제

도上

5) 교

육비

지원

제도

上同

6) 인

성・체

육・예

술 교

육上

전환

다음

은 귀

가구

의 가

구원

에 대

한 질

문입

니다

.

D11

-1.

○○

(이)는

부모

님과

함께

살고

있습

니까

? ①

엄마

, 아

빠와

함께

살고

있음

엄마

와 함

께 살

고 있

③ 아

빠와

함께

살고

있음

④ 엄

마,

아빠

와 함

께 살

고 있

지 않

음H

u18d

mg1

1

D11

-2.

귀 댁

의 가

구 구

성원

수 및

○○

(이)의

출생

순위

를 응

답해

주세

요.

Hu1

8dm

g19

Page 351: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333

번호

문항

내용

Hu1

8dm

g02

Hu1

8dm

g02a

~bH

u18d

mg1

9a~f

구분

▶ 총

가구

원 수

( H

u18d

mg1

9 )명

1) 자

녀 수

( C

h18d

mg0

2a )

남 (

Ch1

8dm

g02b

) 녀

⇒ 총

( H

u18d

mg1

9_k

) 명

2) ○

○(이

)의 출

생순

위(

Ch1

8dm

g02

)

3) ○

○(이

)의 부

모(

Hu1

8dm

g19g

) 명

4) ○

○(이

)의 할

아버

지,

할머

니(

Hu1

8dm

g19c

) 명

5) ○

○(이

)의 친

인척

○○

(이)

형제

자매

의 배

우자

및 조

카,

증조

부모

포함

( H

u18d

mg1

9d )

6) 기

타(

Hu1

8dm

g19f

)(

Hu1

8dm

g19e

) 명

생성

가구

구성

형태

Hu1

8dm

g20

D11

-3.

○○

(이)의

형/오

빠,

누나

/언니

에 대

해 응

답해

주세

요.

구분

1) 출

생년

도2)

성별

3) 결

혼 여

첫째

( H

u18d

mg3

1a )

년도

① 남

② 여

아①

미혼

기혼

둘째

( H

u18d

mg3

1b )

년도

① 남

② 여

아①

미혼

기혼

셋째

( H

u18d

mg3

1c )

년도

① 남

② 여

아①

미혼

기혼

넷째

( H

u18d

mg3

1d )

년도

① 남

② 여

아①

미혼

기혼

Hu1

8dm

g31a

~dH

u18d

mg3

3a~d

Hu1

8dm

g35a

~d

D11

-4.

○○

(이)의

동생

에 대

해 응

답해

주세

요.

구분

1) 출

생년

도2)

성별

3) 입

적 사

동생

1(

Hu1

8dm

g32a

)년

도①

남아

여아

① 출

② 입

③ 재

동생

2(

Hu1

8dm

g32b

)년

도①

남아

여아

① 출

② 입

③ 재

동생

3(

Hu1

8dm

g32c

)년

도①

남아

여아

① 출

② 입

③ 재

동생

4(

Hu1

8dm

g32d

)년

도①

남아

여아

① 출

② 입

③ 재

Hu1

8dm

g32a

~dH

u18d

mg3

4a~d

Hu1

8dm

g36a

~d

D11

-5귀

댁에

서는

애완

동물

을 키

웁니

까?

해당

되는

보기

에 모

두 응

답해

주세

요.

① 키

우지

않음

③ 고

양이

기타

(

)

Page 352: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334

번호

문항

내용

전환

다음

은 귀

하께

서 살

고계

신 동

네에

대한

질문

입니

다.

D12

-1.

귀하

가 살

고 계

시는

동네

에 관

한 내

용입

니다

. 아

동을

양육

하는

데 있

어 다

음의

각 문

항에

얼마

나 동

의하

시는

지 해

당하

는 곳

에 응

답해

주십

시오

.

용전

그렇

않음

대체

로그

렇지

음보

통임

대체

그러

함매

우그

러함

모름

1) 술

취한

사람

이나

싸우

는 사

람을

쉽게

볼 수

있다

.①

②③

④⑤

2) 아

동성

폭행

, 강

도,

절도

등의

범죄

로부

터 안

전하

다고

생각

한다

.①

②③

④⑤

3) 유

해시

설(유

흥가

, 윤

락가

등)로

부터

떨어

져있

다.

①②

③④

⑤⑥

4) 경

찰이

나 방

범대

원들

이 정

기적

으로

순찰

을 한

다.

①②

③④

⑤⑥

5) 이

웃 간

에 서

로 도

와주

고 협

조하

는 분

위기

다.

①②

③④

⑤⑥

6) 아

이들

이 잘

못된

행동

을 하

면 동

네 사

람들

은 바

로 잡

아준

다.

①②

③④

⑤⑥

7) 각

종 시

설물

설치

나 재

해 방

지 시

설이

잘 되

어 있

다.

①②

③④

⑤⑥

8) 각

종 사

고(교

통사

고,

화재

, 추

락 등

)에 대

비한

안전

설비

가 잘

구비

되어

있다

.①

②③

④⑤

Hu1

8cm

m25

~32

생성

양육

환경

적절

성H

u18c

mm

_s

D12

-2.

종류

거리

상 접

근 편

리성

이용

만족

매우

편함

불편

편임

보통

임편

리한

임매

편리

함이

안함

매우

족하

지 않

대체

만족

하지

않음

보통

임대

체로

족함

매우

족함

1) 놀

이터

①②

③④

⑤ⓞ

①②

③④

2) 공

원①

②③

④⑤

ⓞ①

②③

④⑤

3) 산

책로

①②

③④

⑤ⓞ

①②

③④

4) 영

화관

①②

③④

⑤ⓞ

①②

③④

다음

은 귀

하가

현재

살고

계시

는 곳

에 관

한 내

용입

니다

. 다

음의

각 시

설에

관해

응답

해 주

십시

오.

13)

공공

복지

시설

: 국

가,

지자

체에

서 운

영하

는 곳

을 의

미함

. 청

소년

문화

의집

과 같

은 수

련시

설도

포함

됨.

Hu1

8cm

m09

aH

u18c

mm

09b

Hu1

8cm

m09

cH

u18c

mm

10d

Hu1

8cm

m10

gH

u18c

mm

10c

Hu1

8cm

m09

dH

u18c

mm

10f

Hu1

8cm

m09

eH

u18c

mm

09f

Page 353: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335

번호

문항

내용

Hu1

8cm

m21

aH

u18c

mm

21b

Hu1

8cm

m21

c

Hu1

8cm

m22

a~c

Hu1

8cm

m23

d,g,

cH

u18c

mm

22d

Hu1

8cm

m23

fH

u18c

mm

09e,

fH

u18c

mm

24a~

c

종류

거리

상 접

근 편

리성

이용

만족

매우

편함

불편

편임

보통

임편

리한

임매

편리

함이

안함

매우

족하

지 않

대체

만족

하지

않음

보통

임대

체로

족함

매우

족함

5) 관

람 및

체험

시설

(박물

관,

미술

관,

과학

관,

천체

관,

수족

관,

동식

물원

등)

①②

③④

⑤ⓞ

①②

③④

6) 공

연시

설(문

예회

관,

음악

회,

연극

등)

①②

③④

⑤ⓞ

①②

③④

7) 놀

이공

원(어

린이

대공

원 등

)①

②③

④⑤

ⓞ①

②③

④⑤

8) 도

서관

(어린

이도

서관

포함

)①

②③

④⑤

ⓞ①

②③

④⑤

9) 실

내 체

육시

설 및

놀이

시설

(체육

관,

수영

장 등

)①

②③

④⑤

ⓞ①

②③

④⑤

10)

실외

체육

시설

(농구

장,

축구

장 등

)①

②③

④⑤

ⓞ①

②③

④⑤

11)

의료

기관

(보건

소,

병원

등)

①②

③④

⑤ⓞ

①②

③④

12)

교육

기관

(학원

, 대

학교

등)

①②

③④

⑤ⓞ

①②

③④

13)

공공

복지

시설

(건강

가정

지원

센터

, 복

지관

등)

①②

③④

⑤ⓞ

①②

③④

Page 354: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336

번호

문항

내용

전환

다음

은 ○

○(이

)의 신

체발

달에

대한

질문

입니

다.

※ 아

동의

신체

측정

시 보

호자

의 도

움을

받을

수 있

습니

다.

J01-

1○

○(이

)의 현

재 몸

무게

는 몇

kg

입니

까?

20

17년

측정

몸무

게:

( C

h17h

lt12

kg)

① 몸

무게

미계

계측

몸무

게(

kg)

Ch1

8hlt1

2

J01-

2○

○(이

)의 현

재 키

는 몇

cm

입니

까?

면에

아동

의 발

, 엉

덩이

, 머

리를

시키

고,

허리

를 편

상태

에서

측정

해 주

세요

.

머니

의 도

움을

받을

수 있

습니

다.

20

17년

측정

키:

( C

h17h

lt13

cm)

① 키

미계

계측

키(

cm)

Ch1

8hlt1

3

J01-

3○

○(이

)의 현

재 허

리둘

레는

몇 c

m 입

니까

?

자가

배꼽

을 지

나 수

평으

로 재

주세

요.

머니

의 도

움을

받을

수 있

습니

다.

20

17년

측정

허리

둘레

: (

Ch1

7hlt2

5 cm

)

① 허

리둘

레 미

계측

② 계

측 허

리둘

레(

cm)

Ch1

8hlt2

5

전환

지금

부터

선생

님이

○○

(이)의

하루

에 대

해 물

어볼

거야

.

PS

KC

2018 면

접조

사(아

동용

)(11차

) 질

문지

※ 본

조사

의 모

든 내

용은

통계

목적

이외

에는

절대

로 사

용할

수 없

으며

, 그

비이

보호

되도

록 통

계법

(제33

조 및

제34

조)에

규정

되어

있습

니다

.

Page 355: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337

번호

문항

내용

J02-

1<아

동 생

활시

간 조

사>

∙ 별도

의 용

지에

아동

의 학

교 가

는 날

의 하

루 일

과 그

리기

-

데이

터 화

이전

에 스

캔본

으로

저장

-

조사

시점

에서

가장

가까

운 학

교 가

는 날

의 일

과(방

학식

, 운

동회

등 특

이한

경우

제외

)∙ 조

사원

주의

사항

-

아동

이 자

유롭

게 하

루 일

과를

회상

하며

생활

시간

을 그

리도

록 안

-하

루 2

4시간

중 비

는 시

간이

없도

록 안

-이

동시

간이

별도

표시

가 어

려운

경우

뒤에

넣도

록 안

-부

모,

형제

의 도

움 가

Ch1

8dsc

##

추후

재코

딩 후

전환

지금

부터

는 ○

○(이

)와 어

머니

가 분

리된

장소

에서

각각

조사

에 참

여해

주세

요.

J02-

2가

족과

함께

대화

하는

시간

은 충

분하

니?

① 부

족함

적절

③ 많

음C

h18d

sc31

J02-

3가

족과

함께

식사

하는

시간

은 충

분하

니?

① 부

족함

적절

③ 많

음C

h18d

sc32

Page 356: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338

번호

문항

내용

J02-

4가

족과

함께

여가

활동

(취미

, 운

동 등

)하는

시간

은 충

분하

니?

① 부

족함

적절

③ 많

음C

h18d

sc33

J02-

5친

구들

과 함

께 보

내는

시간

은 충

분하

니?

① 부

족함

적절

③ 많

음C

h18d

sc34

J02-

6휴

식을

취하

는 시

간은

충분

하니

?①

부족

② 적

절함

많음

Ch1

8dsc

35

J02-

7여

가활

동 시

간(취

미,

운동

등)은

충분

하니

?①

부족

② 적

절함

많음

Ch1

8dsc

36

J02-

8숙

제하

는 시

간은

충분

하니

?①

부족

② 적

절함

많음

Ch1

8dsc

37

J02-

9집

에서

가족

을 도

와주

는 시

간은

충분

하니

? □?

가족

을 도

와주

는 시

간은

음식

준비

, 의

류 관

리,

청소

및 정

리 등

의 가

사일

돕기

를 의

미함

① 부

족함

적절

③ 많

음C

h18d

sc38

J02-

10○

○(이

)의 가

족들

은 돈

문제

로 얼

마나

자주

걱정

을 하

니?

① 전

혀 걱

정하

지 않

② 가

끔 걱

정함

자주

걱정

④ 항

상 걱

정함

Ch1

8ses

37

J02-

11○

○(이

)의 가

정형

편(경

제수

준)은

다음

사다

리 중

에서

어디

쯤이

라고

생각

하니

?(1

: 매

우 못

산다

, 10

: 매

우 잘

산다

)

Ch1

8ses

38

Page 357: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339

번호

문항

내용

J02-

12○

○(이

)는 평

소에

저축

을 하

니?

예 ⇨

J02-

13 ②

아니

오 ⇨

J02-

15C

h18s

av01

J02-

13 ○

○(이

)는 저

축을

주로

어떤

돈으

로 하

니?

① 부

모님

께 정

기적

으로

받는

용돈

으로

명절

등에

친척

, 손

님이

비정

기적

으로

주신

돈으

로 ③

집안

일을

돕거

나 부

모님

심부

름・아

르바

이트

등을

해서

번 돈

으로

기타

(

C

h18s

av03

)

Ch1

8sav

02~0

3

J02-

14○

○(이

)는 저

축을

주로

어떤

방법

으로

하니

?①

저금

통에

모은

② 내

가 직

접 은

행에

저금

한다

(은행

의 예

금,

적금

상품

가입

)③

지갑

에 모

아둔

④ 부

모님

께 맡

겨 모

은다

. ⑤

기타

(

C

h18s

av05

)

Ch1

8sav

04~0

5

J02-

15○

○(이

)는 최

근 1

주일

동안

탄산

음료

(예시

: 콜

라,

사이

다 등

탄산

음료

)를 얼

마나

자주

먹었

니?

① 최

근 7

일 동

안 마

시지

않음

② 주

1-2

번 ③

주 2

-3번

④ 주

5회

이상

Ch1

8eat

01

J02-

16○

○(이

)는 최

근 1

주일

동안

인스

턴트

(라면

, 피

자,

치킨

, 편

의점

음식

등)를

얼마

나 자

주 먹

었니

?①

최근

7일

동안

마시

지 않

음 ②

주 1

-2번

③ 주

2-3

번 ④

주 5

회 이

상C

h18e

at02

전환

지금

부터

○○

(이)가

부모

님에

대해

서 어

떻게

생각

하는

지 물

어 볼

거야

.

J02-

19○

○(이

)의 부

모님

은 ○

○(이

)가 훌

륭한

사람

이 되

기 위

해서

공부

를 열

심히

해야

한다

고 말

씀하

시니

?①

전혀

그렇

지 않

② 그

렇지

않다

보통

이다

그렇

⑤ 항

상 그

렇다

Ch1

8pss

01

J02-

20○

○(이

)의 부

모님

은 ○

○(이

)가 친

구들

때문

에 공

부하

는 시

간이

적어

질까

봐 걱

정하

시니

?①

전혀

그렇

지 않

② 그

렇지

않다

보통

이다

그렇

⑤ 항

상 그

렇다

Ch1

8pss

02

J02-

21○

○(이

)의 부

모님

은 ○

○(이

)가 학

교 성

적이

조금

떨어

져도

꾸중

을 하

시니

?①

전혀

그렇

지 않

② 그

렇지

않다

보통

이다

그렇

⑤ 항

상 그

렇다

Ch1

8pss

03

J02-

22○

○(이

)의 부

모님

은 ○

○(이

)에게

남보

다 더

좋은

성적

을 얻

어야

한다

고 말

씀하

시니

?①

전혀

그렇

지 않

② 그

렇지

않다

보통

이다

그렇

⑤ 항

상 그

렇다

Ch1

8pss

04

J02-

23○

○(이

)의 부

모님

은 ○

○(이

)에게

공부

가 제

일 중

요하

다 하

시니

?①

전혀

그렇

지 않

② 그

렇지

않다

보통

이다

그렇

⑤ 항

상 그

렇다

Ch1

8pss

05

J02-

24○

○(이

)의 부

모님

은 ○

○(이

)의 공

부에

대하

여 잔

소리

가 많

은 편

이시

니?

① 전

혀 그

렇지

않다

그렇

지 않

③ 보

통이

④ 그

렇다

항상

그렇

다C

h18p

ss06

Page 358: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340

번호

문항

내용

J02-

25○

○(이

)의 부

모님

은 ○

○(이

)가 공

부 말

고 다

른 것

을 하

는 것

은 아

닌지

신경

을 쓰

시니

?①

전혀

그렇

지 않

② 그

렇지

않다

보통

이다

그렇

⑤ 항

상 그

렇다

Ch1

8pss

07

J02-

26○

○(이

)의 부

모님

은 ○

○(이

)의 공

부에

대하

여 걱

정을

많이

하시

니?

① 전

혀 그

렇지

않다

그렇

지 않

③ 보

통이

④ 그

렇다

항상

그렇

다C

h18p

ss08

J02-

27○

○(이

)의 부

모님

은 “

○○

(이)는

꼭 성

공해

야 한

다”는

말씀

을 종

종 하

시니

?①

전혀

그렇

지 않

② 그

렇지

않다

보통

이다

그렇

⑤ 항

상 그

렇다

Ch1

8pss

09

J02-

28○

○(이

)의 부

모님

은 ○

○(이

)가 공

부해

야 할

시간

에 잠

을 자

면 깨

우시

니?

① 전

혀 그

렇지

않다

그렇

지 않

③ 보

통이

④ 그

렇다

항상

그렇

다C

h18p

ss10

J02-

29○

○(이

)의 부

모님

은 ○

○(이

)가 컴

퓨터

(또는

핸드

폰)에

빠져

공부

를 열

심히

하지

않는

것을

싫어

하시

니?

① 전

혀 그

렇지

않다

그렇

지 않

③ 보

통이

④ 그

렇다

항상

그렇

다C

h18p

ss11

J02-

30○

○(이

)의 부

모님

은 ○

○(이

)가 친

구들

과 노

는 시

간을

정해

두고

더 이

상 놀

지 못

하도

록 하

시는

편이

니?

① 전

혀 그

렇지

않다

그렇

지 않

③ 보

통이

④ 그

렇다

항상

그렇

다C

h18p

ss12

J02-

31○

○(이

)의 부

모님

은 ○

○(이

)가 공

부하

지 않

고 친

구들

과 외

출하

는 것

을 싫

어하

시니

?①

전혀

그렇

지 않

② 그

렇지

않다

보통

이다

그렇

⑤ 항

상 그

렇다

Ch1

8pss

13

J02-

32○

○(이

)의 부

모님

은 시

험 때

가 되

면 평

소보

다 공

부를

더 많

이 하

라고

하시

니?

① 전

혀 그

렇지

않다

그렇

지 않

③ 보

통이

④ 그

렇다

항상

그렇

다C

h18p

ss14

J02-

33○

○(이

)의 부

모님

이 ○

○(이

)에 대

해 가

장 큰

관심

을 갖

는 부

분은

학교

성적

이니

?①

전혀

그렇

지 않

② 그

렇지

않다

보통

이다

그렇

⑤ 항

상 그

렇다

Ch1

8pss

15

전환

○○

(이)가

컴퓨

터(데

스크

탑/노

트북

)를 이

용해

서 아

래와

같은

활동

을 스

스로

할 수

있는

지 물

어볼

거야

J02-

34○

○(이

)는 필

요한

프로

그램

(소프

트웨

어)를

컴퓨

터에

설치

/삭제

/업데

이트

할 수

있니

?①

전혀

그렇

지 않

다 ②

그렇

지 않

은 편

이다

③ 보

통 ④

그런

편이

다 ⑤

매우

그렇

다C

h18c

om01

J02-

35○

○(이

)는 컴

퓨터

에 유

선 또

는 무

선 인

터넷

을 스

스로

연결

해서

사용

할 수

있니

? (단

, IP

설정

은 제

외)

① 전

혀 그

렇지

않다

② 그

렇지

않은

편이

다 ③

보통

④ 그

런 편

이다

⑤ 매

우 그

렇다

Ch1

8com

02

J02-

36○

○(이

)는 웹

브라

우저

(익스

플로

러,

크롬

, 사

파리

등)에

서 내

가 원

하는

환경

을 설

정할

수 있

니?

(팝업

창 차

단,

텍스

트 크

기 설

정,

보안

및 시

홈페

이지

설정

등)

① 전

혀 그

렇지

않다

② 그

렇지

않은

편이

다 ③

보통

④ 그

런 편

이다

⑤ 매

우 그

렇다

Ch1

8com

03

Page 359: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341

번호

문항

내용

J02-

37○

○(이

)는 컴

퓨터

에 다

양한

외장

기기

(디지

털 카

메라

, 프

린터

, 스

캐너

, U

SB

외장

하드

등)을

연결

하여

이용

할 수

있니

?①

전혀

그렇

지 않

다 ②

그렇

지 않

은 편

이다

③ 보

통 ④

그런

편이

다 ⑤

매우

그렇

다C

h18c

om04

J02-

38○

○(이

)는 컴

퓨터

에 있

는 파

일을

인터

넷을

통해

다른

사람

에게

전송

할 수

있니

?①

전혀

그렇

지 않

다 ②

그렇

지 않

은 편

이다

③ 보

통 ④

그런

편이

다 ⑤

매우

그렇

다C

h18c

om05

J02-

39○

○(이

)는 컴

퓨터

의 악

성코

드(바

이러

스,

스파

이웨

어 등

)를 검

사/치

료할

수 있

니?

① 전

혀 그

렇지

않다

② 그

렇지

않은

편이

다 ③

보통

④ 그

런 편

이다

⑤ 매

우 그

렇다

Ch1

8com

06

J02-

40○

○(이

)는 컴

퓨터

(한글

, 엑

셀,

파워

포인

트)

등을

이용

하여

문서

나 자

료를

작성

할 수

있니

? ①

전혀

그렇

지 않

다 ②

그렇

지 않

은 편

이다

③ 보

통 ④

그런

편이

다 ⑤

매우

그렇

다C

h18c

om07

전환

○○

(이)가

인터

넷(모

바일

포함

)을 이

용할

때,

다음

항목

들이

얼마

나 문

제가

있다

고 생

각하

니?

J02-

41다

른 사

람의

개인

정보

를 허

락받

지 않

고 이

용하

기①

전혀

문제

되지

않는

다 ②

문제

되지

않는

편이

다 ③

보통

이다

④ 문

제되

는 편

이다

⑤ 매

우 문

제 된

다C

h18n

et01

J02-

42다

른 사

람을

욕하

거나

비방

하기

전혀

문제

되지

않는

다 ②

문제

되지

않는

편이

다 ③

보통

이다

④ 문

제되

는 편

이다

⑤ 매

우 문

제 된

다C

h18n

et02

J02-

43동

영상

이나

사진

등을

허락

받지

않고

다운

로드

받거

나 이

용하

① 전

혀 문

제 되

지 않

는다

② 문

제되

지 않

는 편

이다

③ 보

통이

다 ④

문제

되는

편이

다 ⑤

매우

문제

된다

Ch1

8net

03

J02-

44정

확하

지 않

은 정

보를

전달

하거

나 퍼

뜨리

기①

전혀

문제

되지

않는

다 ②

문제

되지

않는

편이

다 ③

보통

이다

④ 문

제되

는 편

이다

⑤ 매

우 문

제 된

다C

h18n

et04

J02-

45불

건전

한 정

보(폭

력적

, 성

적인

내용

, 자

살 등

)를 전

달하

거나

퍼뜨

리기

① 전

혀 문

제 되

지 않

는다

② 문

제되

지 않

는 편

이다

③ 보

통이

다 ④

문제

되는

편이

다 ⑤

매우

문제

된다

Ch1

8net

05

J02-

46집

단 따

돌림

에 가

담하

기①

전혀

문제

되지

않는

다 ②

문제

되지

않는

편이

다 ③

보통

이다

④ 문

제되

는 편

이다

⑤ 매

우 문

제 된

다C

h18n

et06

전환

지금

부터

선생

님이

몇 개

의 그

림을

보여

주면

서 물

어볼

거야

. 가

장 ○

○(이

)와 비

슷하

다고

생각

하는

걸 말

해주

면 돼

.

J03-

1○

○(이

)는 학

교 공

부를

생각

하면

어떠

니?

① 전

혀 행

복하

지 않

아요

② 별

로 행

복하

지 않

아요

③ 행

복한

편이

예요

④ 매

우 행

복해

요C

h18s

hs06

Page 360: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342

번호

문항

내용

J03-

2○

○(이

)의 외

모에

대해

생각

하면

어떠

니?

① 전

혀 행

복하

지 않

아요

② 별

로 행

복하

지 않

아요

③ 행

복한

편이

예요

④ 매

우 행

복해

요C

h18s

hs07

J03-

3○

○(이

)는 가

족에

대해

생각

하면

어떠

니?

① 전

혀 행

복하

지 않

아요

② 별

로 행

복하

지 않

아요

③ 행

복한

편이

예요

④ 매

우 행

복해

요C

h18s

hs08

J03-

4○

○(이

)는 친

구에

대해

생각

하면

어떠

니?

① 전

혀 행

복하

지 않

아요

② 별

로 행

복하

지 않

아요

③ 행

복한

편이

예요

④ 매

우 행

복해

요C

h18s

hs09

J03-

5○

○(이

)가 다

니고

있는

학교

에 대

해 생

각하

면 어

떠니

?①

전혀

행복

하지

않아

별로

행복

하지

않아

행복

한 편

이예

매우

행복

해요

Ch1

8shs

10

J03-

6○

○(이

)는 하

루하

루를

생각

하면

어떠

니?

① 전

혀 행

복하

지 않

아요

② 별

로 행

복하

지 않

아요

③ 행

복한

편이

예요

④ 매

우 행

복해

요C

h18s

hs11

생성

“아동

” 전

반적

행복

감C

h18s

hs_o

J03-

7○

○(이

)는 자

신에

대해

만족

하니

?①

전혀

그렇

지 않

별로

그렇

지 않

대체

로 그

렇다

④ 매

우 그

렇다

Ch1

8sfs

37

J03-

8○

○(이

)는 좋

은 면

이 많

니?

① 전

혀 그

렇지

않다

② 별

로 그

렇지

않다

③ 대

체로

그렇

매우

그렇

다C

h18s

fs38

J03-

9○

○(이

)는 무

슨 일

이든

다른

사람

만큼

할 수

있니

?①

전혀

그렇

지 않

별로

그렇

지 않

대체

로 그

렇다

④ 매

우 그

렇다

Ch1

8sfs

39

J03-

10○

○(이

)는 소

중한

사람

이라

고 생

각하

니?

① 전

혀 그

렇지

않다

② 별

로 그

렇지

않다

③ 대

체로

그렇

매우

그렇

다C

h18s

fs40

J03-

11○

○(이

)는 스

스로

를 좋

아하

니?

① 전

혀 그

렇지

않다

② 별

로 그

렇지

않다

③ 대

체로

그렇

매우

그렇

다C

h18s

fs41

생성

“아동

” 자

아존

중감

Ch1

8sfs

Page 361: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343

번호

문항

내용

J03-

12○

○(이

)는 사

는 게

즐겁

니?

전혀

그렇

지 않

다 ②

그렇

지 않

은 편

이다

③ 그

런 편

이다

매우

그렇

다C

h18s

fs42

J03-

13○

○(이

)는 걱

정거

리가

별로

없니

?

① 전

혀 그

렇지

않다

② 그

렇지

않은

편이

다 ③

그런

편이

④ 매

우 그

렇다

Ch1

8sfs

43

J03-

14○

○(이

)는 ○

○(이

)의 삶

이 행

복하

다고

생각

하니

?

① 전

혀 그

렇지

않다

② 그

렇지

않은

편이

다 ③

그런

편이

④ 매

우 그

렇다

Ch1

8sfs

44

전환

지금

부터

는 공

부에

대해

서 물

어볼

거야

.

J03-

15○

○(이

)는 학

교성

적이

좋지

않아

서 스

트레

스를

받니

?①

그런

적 없

다 ②

거의

그렇

지 않

다 ③

보통

이다

④ 자

주 그

렇다

⑤ 항

상 그

렇다

Ch1

8str

01

J03-

16○

○(이

)는 숙

제나

시험

때문

에 스

트레

스를

받니

?①

그런

적 없

다 ②

거의

그렇

지 않

다 ③

보통

이다

④ 자

주 그

렇다

⑤ 항

상 그

렇다

Ch1

8str

02

J03-

17○

○(이

)는 공

부가

지겨

워서

스트

레스

를 받

니?

① 그

런 적

없다

② 거

의 그

렇지

않다

③ 보

통이

다 ④

자주

그렇

다 ⑤

항상

그렇

다C

h18s

tr03

J03-

18○

○(이

)는 무

엇을

하다

가 다

른 생

각이

나면

집중

하기

가 어

렵니

?①

전혀

그렇

지 않

다 ②

그렇

지 않

은 편

이다

③보

통이

다 ④

그런

편이

다 ⑤

매우

그렇

다C

h18g

ri01

J03-

19○

○(이

)는 문

제를

해결

하다

가 어

려움

이 생

겼을

때 크

게 좌

절하

지 않

으며

, 다

른 사

람들

보다

빨리

좌절

에서

벗어

나니

?①

전혀

그렇

지 않

다 ②

그렇

지 않

은 편

이다

③보

통이

다 ④

그런

편이

다 ⑤

매우

그렇

다C

h18g

ri02

J03-

20○

○(이

)는 어

떤 문

제에

잠깐

집중

하다

가 곧

흥미

를 잃

은 적

이 있

니?

①전

혀 그

렇지

않다

②그

렇지

않은

편이

다 ③

보통

이다

④ 그

런 편

이다

⑤매

우 그

렇다

Ch1

8gri0

3

J03-

21○

○(이

)는 노

력가

라고

생각

하니

?①

전혀

그렇

지 않

다 ②

그렇

지 않

은 편

이다

③보

통이

다 ④

그런

편이

다 ⑤

매우

그렇

다C

h18g

ri04

J03-

22○

○(이

)는 자

주 목

표를

세우

지만

그것

을 이

루기

전에

다른

목표

를 세

우기

도 하

니?

①전

혀 그

렇지

않다

②그

렇지

않은

편이

다 ③

보통

이다

④ 그

런 편

이다

⑤매

우 그

렇다

Ch1

8gri0

5

J03-

23○

○(이

)는 무

엇을

완성

하는

데 시

간이

오래

걸리

면 계

속 열

심히

하는

것이

어렵

니?

①전

혀 그

렇지

않다

②그

렇지

않은

편이

다 ③

보통

이다

④ 그

런 편

이다

⑤매

우 그

렇다

Ch1

8gri0

6

Page 362: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344

번호

문항

내용

J03-

24○

○(이

)는 시

작하

면 무

조건

끝내

니?

①전

혀 그

렇지

않다

②그

렇지

않은

편이

다 ③

보통

이다

④ 그

런 편

이다

⑤매

우 그

렇다

Ch1

8gri0

7

J03-

25○

○(이

)는 부

지런

하다

고 생

각하

니?

①전

혀 그

렇지

않다

②그

렇지

않은

편이

다 ③

보통

이다

④ 그

런 편

이다

⑤매

우 그

렇다

Ch1

8gri0

8

전환

지금

부터

는 선

생님

이 ○

○(이

)의 친

구들

에 대

해 물

어볼

거야

.

J04-

1○

○(이

)가 친

하게

지내

는 친

구는

몇 명

이니

?남

자친

구 (

Ch1

8psa

40 )

명,

여자

친구

( C

h18p

sa41

)명

,C

h18p

sa40

~41

J04-

2○

○(이

)는 친

구와

싸우

거나

사이

가 좋

지 않

은 경

우가

얼마

나 자

주 있

니?

① 절

대 싸

우지

않는

몇 개

월에

한 번

싸운

한 달

에 한

번은

싸운

다④

일주

일에

한 번

은 싸

운다

거의

매일

싸운

⓪ 친

구가

없다

Ch1

8psa

43

J04-

3○

○(이

)는 학

교 마

치고

얼마

나 자

주 친

구들

이랑

노니

?①

놀지

않는

② 몇

개월

에 한

번 논

③ 한

달에

한 번

논다

일주

일에

한 번

논다

⑤ 거

의 매

일 논

⓪ 친

구가

없다

Ch1

8psa

45

J04-

4○

○(이

)는 주

말에

얼마

나 자

주 친

구들

이랑

노니

?①

놀지

않는

② 몇

개월

에 한

번 논

③ 한

달에

한 번

논다

거의

매주

논다

친구

가 없

다C

h18p

sa44

J04-

5친

구들

은 ○

○(이

)와 이

야기

를 나

눌 때

○○

(이)

생각

을 존

중해

주니

? ①

전혀

그렇

지 않

② 그

렇지

않은

편이

③ 그

런 편

이다

매우

그렇

다C

h18p

sa46

J04-

6친

구들

은 ○

○(이

)가 말

하는

것에

귀를

기울

이니

?①

전혀

그렇

지 않

② 그

렇지

않은

편이

③ 그

런 편

이다

매우

그렇

다C

h18p

sa47

J04-

7친

구들

에게

○○

(이)의

고민

과 문

제에

대해

이야

기하

니?

① 전

혀 그

렇지

않다

그렇

지 않

은 편

이다

그런

편이

④ 매

우 그

렇다

Ch1

8psa

48

J04-

8친

구들

은 ○

○(이

)를 잘

이해

해주

니?

① 전

혀 그

렇지

않다

그렇

지 않

은 편

이다

그런

편이

④ 매

우 그

렇다

Ch1

8psa

49

J04-

9○

○(이

)는 속

마음

을 털

어놓

고 싶

을 때

친구

들에

게 말

할 수

있니

?①

전혀

그렇

지 않

② 그

렇지

않은

편이

③ 그

런 편

이다

매우

그렇

다C

h18p

sa50

Page 363: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345

번호

문항

내용

J04-

10○

○(이

)는 친

구들

을 믿

니?

① 전

혀 그

렇지

않다

그렇

지 않

은 편

이다

그런

편이

④ 매

우 그

렇다

Ch1

8psa

51

J04-

11지

금의

친구

들 대

신 다

른 친

구들

을 사

귀고

싶니

?①

전혀

그렇

지 않

② 그

렇지

않은

편이

③ 그

런 편

이다

매우

그렇

다C

h18p

sa52

J04-

12친

구들

과 함

께 있

어도

외롭

고 혼

자라

는 느

낌이

드니

?①

전혀

그렇

지 않

② 그

렇지

않은

편이

③ 그

런 편

이다

매우

그렇

다C

h18p

sa53

J04-

13친

구들

은 ○

○(이

)가 요

즘 어

떻게

지내

는지

잘 모

르니

?①

전혀

그렇

지 않

② 그

렇지

않은

편이

③ 그

런 편

이다

매우

그렇

다C

h18p

sa54

J04-

14○

○(이

)는 서

로 좋

아하

며 사

귀는

이성

친구

(나와

성별

이 다

른 친

구)가

있니

?①

있다

없다

Ch1

8psa

55

전환

지금

부터

는 선

생님

이 ○

○(이

)의 올

해 학

교생

활에

대해

물어

볼 거

야.

J05-

1○

○(이

)는 학

교를

얼마

나 좋

아하

니?

① 좋

아하

지 않

는다

약간

좋아

한다

대체

로 좋

아한

④ 매

우 좋

아한

다C

h18s

cl02

J05-

2○

○(이

)는 국

어 수

업을

얼마

나 좋

아하

니?

① 좋

아하

지 않

는다

약간

좋아

한다

대체

로 좋

아한

④ 매

우 좋

아한

다C

h18s

cl03

J05-

3○

○(이

)는 수

학 수

업을

얼마

나 좋

아하

니?

① 좋

아하

지 않

는다

약간

좋아

한다

대체

로 좋

아한

④ 매

우 좋

아한

다C

h18s

cl04

J05-

4○

○(이

)는 학

교생

활을

얼마

나 열

심히

하니

?①

열심

히 한

적 없

② 가

끔 열

심히

한다

대부

분 열

심히

한다

항상

열심

히 한

다C

h18s

cl13

J05-

5○

○(이

)는 학

교에

서 기

분이

안 좋

을 때

가 있

니?

① 기

분 안

좋은

적이

없다

가끔

기분

이 안

좋다

대부

분 기

분이

안 좋

④ 항

상 기

분이

안 좋

다C

h18s

cl07

J05-

6○

○(이

)는 학

교에

서 피

곤할

때가

있니

?①

피곤

한 적

없다

가끔

피곤

하다

자주

피곤

하다

항상

피곤

하다

Ch1

8scl

14

J05-

7○

○(이

)는 학

교에

서 선

생님

께 혼

난 적

이 있

니?

① 혼

난 적

없다

가끔

혼난

③ 자

주 혼

난다

항상

혼난

다C

h18s

cl15

Page 364: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346

번호

문항

내용

J05-

8부

모님

께서

는 ○

○(이

)의 학

교 공

부에

얼마

나 관

심을

보이

시니

?①

전혀

관심

을 보

이지

않는

② 가

끔 관

심을

보인

③ 자

주 관

심을

보인

④ 항

상 관

심을

보인

다C

h18s

cl10

J05-

9○

○(이

)는 학

교 담

임선

생님

을 얼

마나

좋아

하니

?①

좋아

하지

않는

② 조

금 좋

아한

③ 대

체로

좋아

한다

매우

좋아

한다

Ch1

8scl

11

J05-

10선

생님

은 ○

○(이

)가 무

엇을

만들

면 관

심을

가지

시니

? ①

전혀

그렇

지 않

② 그

렇지

않다

보통

이다

그렇

⑤ 매

우 그

렇다

Ch1

8scl

16

J05-

11선

생님

은 ○

○(이

)가 어

떤 결

정을

내릴

때 여

러 방

향에

서 생

각해

볼 수

있도

록 도

와주

시니

?①

전혀

그렇

지 않

② 그

렇지

않다

보통

이다

그렇

⑤ 매

우 그

렇다

Ch1

8scl

17

J05-

12선

생님

은 ○

○(이

) 말

을 들

어주

기 보

다는

지시

하는

경우

가 많

으시

니?

① 전

혀 그

렇지

않다

그렇

지 않

③ 보

통이

④ 그

렇다

매우

그렇

다C

h18s

cl18

J05-

13○

○(이

) 친

구(들

)는 ○

○(이

)가 힘

들 때

따뜻

하게

위로

해 주

니?

① 전

혀 그

렇지

않다

그렇

지 않

③ 보

통이

④ 그

렇다

매우

그렇

다C

h18s

cl19

J05-

14선

생님

은 ○

○(이

)가 새

로운

것에

도전

하려

고 하

면 말

리시

니?

① 전

혀 그

렇지

않다

그렇

지 않

③ 보

통이

④ 그

렇다

매우

그렇

다C

h18s

cl20

J05-

15○

○(이

) 친

구들

은 ○

○(이

)가 자

신감

을 갖

도록

도와

주니

? ①

전혀

그렇

지 않

② 그

렇지

않다

보통

이다

그렇

⑤ 매

우 그

렇다

Ch1

8scl

21

J05-

16○

○(이

) 반

에는

지켜

야할

규칙

이 많

이 있

니?

① 전

혀 그

렇지

않다

그렇

지 않

③ 보

통이

④ 그

렇다

매우

그렇

다C

h18s

cl22

J05-

17선

생님

은 야

단을

많이

치시

니?

① 전

혀 그

렇지

않다

그렇

지 않

③ 보

통이

④ 그

렇다

매우

그렇

다C

h18s

cl23

J05-

18선

생님

은 ○

○(이

)를 믿

어주

시니

? ①

전혀

그렇

지 않

② 그

렇지

않다

보통

이다

그렇

⑤ 매

우 그

렇다

Ch1

8scl

24

J05-

19○

○(이

) 친

구들

은 ○

○(이

)의 의

견을

존중

해 주

니?

① 전

혀 그

렇지

않다

그렇

지 않

③ 보

통이

④ 그

렇다

매우

그렇

다C

h18s

cl25

Page 365: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347

번호

문항

내용

전환

지금

부터

는 선

생님

이 ○

○(이

)의 학

교에

서 경

험에

대해

물어

볼거

J05-

20다

른 학

생(친

구)에

게 뺨

, 얼

굴,

머리

등을

주먹

이나

발로

맞은

적이

있니

?①

일주

일에

여러

② 1

주에

1-2

③ 한

달에

2-3

④ 한

달에

1번

1년

에 1

-2번

⑥없

다C

h18v

io01

J05-

21다

른 학

생(친

구)에

게 왕

따나

따돌

림을

당한

적이

있니

?①

일주

일에

여러

② 1

주에

1-2

③ 한

달에

2-3

④ 한

달에

1번

1년

에 1

-2번

⑥없

다C

h18v

io02

J05-

22다

른 학

생(친

구)에

게 험

담,

심한

(상스

러운

) 욕

설 등

폭언

을 들

은 적

이 있

니?

① 일

주일

에 여

러번

1주

에 1

-2번

한달

에 2

-3번

1달

에 1

⑤ 1

년에

1-2

번 ⑥

없다

Ch1

8vio

03

J05-

23다

른 학

생(친

구)이

OO

(이)를

고의

적으

로 툭

툭 치

고,

심부

름을

시키

고,

숙제

를 해

오라

는 등

괴롭

힘을

당한

적이

있니

?①

일주

일에

여러

② 1

주에

1-2

③ 한

달에

2-3

④ 1

달에

1번

1년

에 1

-2번

⑥없

다C

h18v

io04

J05-

24다

른 학

생(친

구)에

게 돈

이나

물건

(학용

품,

가방

, 시

계 등

)을 빼

앗긴

적이

있니

?①

일주

일에

여러

② 1

주에

1-2

③ 한

달에

2-3

④ 1

달에

1번

1년

에 1

-2번

⑥없

다C

h18v

io05

J05-

25다

른 학

생(친

구)에

게 “

시키

는대

로 하

지 않

으면

가만

두지

않겠

다.

죽이

겠다

.” 등

의 협

박이

나 위

협을

당한

적이

있니

?①

일주

일에

여러

② 1

주에

1-2

③ 한

달에

2-3

④ 1

달에

1번

1년

에 1

-2번

⑥없

다C

h18v

io06

J05-

26다

른 학

생(친

구)에

게 성

적으

로 수

치심

을 느

끼는

말이

나 행

동을

당한

적이

있니

?①

일주

일에

여러

② 1

주에

1-2

③ 한

달에

2-3

④ 1

달에

1번

1년

에 1

-2번

⑥없

다C

h18v

io07

전환

지금

부터

는 선

생님

이 ○

○(이

)에 대

해 물

어볼

거야

.

J06-

1○

○(이

)는 다

음과

같은

언어

를 얼

마나

자주

사용

하니

? 존

나,

새끼

, 개

XX 등

의 비

속어

① 전

혀 사

용하

지 않

는다

가끔

사용

한다

자주

사용

한다

매일

사용

한다

Ch1

8dsc

39

J06-

2○

○(이

)는 어

떤 직

업을

가장

원하

니?

가장

원하

는 직

업과

그 다

음으

로 원

하는

직업

을 이

야기

해 줄

래?

원하

는 직

업 1

순위

(

)

, 원

하는

직업

2순

위 (

)C

h18c

re09

Ch1

8cre

10

J06-

3○

○(이

)는 어

른이

되면

어떤

사람

이 되

고 싶

니?

① 돈

을 잘

버는

사람

② 유

명한

사람

③ 우

리사

회에

서 높

은 지

위를

갖는

사람

④ 다

른 사

람을

돕는

사람

⑤ 행

복한

가정

을 이

루는

사람

⑥ 일

보다

취미

/여가

를 즐

기는

사람

Ch1

8cre

07

Page 366: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348

번호

문항

내용

J06-

4○

○(이

)는 미

래에

결혼

할 생

각이

니?

① 예

아니

오 ③

잘 모

르겠

음C

h18c

re11

J06-

5○

○(이

)는 자

녀(아

이)를

가질

생각

이니

?①

② 아

니오

③ 잘

모르

겠음

Ch1

8cre

12

J06-

6○

○(이

)는 학

급에

서 어

떤 문

제가

발생

하면

적극

적으

로 해

결하

고자

하니

?①

전혀

그렇

지 않

② 그

렇지

않다

보통

이다

그렇

⑤ 매

우 그

렇다

Ch1

8cm

t01

J06-

7○

○(이

)는 좋

은 사

회는

시민

들의

노력

으로

만들

수 있

다고

생각

하니

?①

전혀

그렇

지 않

② 그

렇지

않다

보통

이다

그렇

⑤ 매

우 그

렇다

Ch1

8cm

t02

J06-

8○

○(이

)는 나

보다

타인

을 먼

저 배

려하

니?

① 전

혀 그

렇지

않다

그렇

지 않

③ 보

통이

④ 그

렇다

매우

그렇

다C

h18c

mt0

3

J06-

9○

○(이

)는 버

스나

지하

철에

서 노

약자

나 장

애인

이 타

면 자

리를

양보

하니

?①

전혀

그렇

지 않

② 그

렇지

않다

보통

이다

그렇

⑤ 매

우 그

렇다

Ch1

8cm

t04

J06-

10○

○(이

)는 어

려움

에 처

한 사

람이

있으

면 도

와주

니?

① 전

혀 그

렇지

않다

그렇

지 않

③ 보

통이

④ 그

렇다

매우

그렇

다C

h18c

mt0

5

J06-

11○

○(이

)는 소

외된

친구

가 있

으면

, ○

○(이

)가 먼

저 따

듯하

게 대

해주

니?

① 전

혀 그

렇지

않다

그렇

지 않

③ 보

통이

④ 그

렇다

매우

그렇

다C

h18c

mt0

6

Page 367: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349

번호

문항

내용

전환

다음

은 학

교에

관한

질문

입니

다.

L01-

1.현

재 근

무하

고 계

신 학

교의

규모

는 어

떠합

니까

? 1)

학급

수:

담당

학년

총 (

In1

8iev

01 )

학급

2) 담

당 학

급 학

생 수

: 남

아 (

In1

8iev

07 )

명,

여아

( I

n18i

ev08

)명

총 (

In1

8iev

_c )

In18

iev0

1In

18ie

v07~

08In

18ie

v_c

L01-

2.현

재 근

무하

고 계

신 학

교의

설립

유형

은 어

디에

해당

합니

까?

① 국

립학

② 공

립학

③ 사

립학

④ 국

제(외

국인

)학교

대안

학교

기타

( L1

8scm

02 )

L18s

cm01

~02

L01-

2-1.

현재

근무

하고

계신

학교

는 다

음 중

어디

에 해

당합

니까

?①

연구

학교

⇨ GO

L01

-2-2

. ②

시범

학교

⇨ GO

L01

-2-2

.

③ 혁

신학

교 ⇨

GOL

01-2

-2.

④ 기

타(

L1

8scm

04 )

⇨ GO

L01

-3.

해당

없음

⇨ GO

L01

-3.

L1

8scm

03~0

4

L01-

2-2.

( L0

1-2-

1의 ①

,②,③

해당

되는

경우

)현

재 근

무하

고 계

신 연

구학

교의

추진

(연구

)과제

명은

무엇

입니

까?

예)

서울

형 작

은학

교 모

델학

교L1

8scm

05

L01-

3.선

생님

께서

근무

하시

는 학

교의

환경

에 대

해 가

장 가

깝다

고 생

각되

는 곳

에 체

크해

주십

시오

.

용매

우 나

쁘다

나쁜

편이

다보

통이

다좋

은 편

이다

매우

좋다

1) (

학교

) 전

반적

인 건

물상

태①

②③

④⑤

2) 기

자재

및 시

설①

②③

④⑤

3) 학

교 주

변환

경①

②③

④⑤

4) 학

생들

의 통

학 조

건(교

통 편

의성

)①

②③

④⑤

In18

iev4

9~52

L01-

4.다

음은

선생

님이

근무

하시

는 학

교의

교육

시설

만족

도에

대하

여 묻

는 문

항입

니다

.

PS

KC

2018(1

1차

) 학

교용

질문

지[W

eb]

※ 본

조사

의 모

든 내

용은

통계

목적

이외

에는

절대

로 사

용할

수 없

으며

, 그

비이

보호

되도

록 통

계법

(제33

조 및

제34

조)에

규정

되어

있습

니다

.

Page 368: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350

번호

문항

내용

In18

iev5

3~58

용예

아니

1) 활

동의

확장

혹은

전환

이 가

능한

유동

적인

공간

이 있

다.

①②

2) 아

동들

의 실

외 공

용 놀

이터

가 충

분히

확보

되어

있다

.①

3) 자

연과

예술

친화

적인

공간

이 있

다.

①②

4) 교

실 외

에 아

동의

활동

을 위

해 복

도나

코너

등에

별도

의 공

간이

있다

.①

5) 구

성원

들끼

리(아

동-교

사)

소통

할 수

있는

개방

적 공

간이

있다

.①

6) 교

사들

끼리

소통

할 수

있는

별도

의 공

간이

있다

.①

L01-

5.지

난 1

년간

, 교

내에

서 일

어난

학교

폭력

중 어

떤것

이 가

장 심

각하

다고

생각

하십

니까

? (

1,2,

3순위

를 선

택해

주세

요)

①신

체폭

행②

금품

갈취

(돈이

나 물

건 뺏

음)

③괴

롭힘

(심부

름,

건드

리기

)④

집단

따돌

림⑤

언어

폭력

⑥위

협이

나 협

박⑦

인터

넷이

나 휴

대폰

욕설

, 협

박,

동영

상 촬

영 피

해⑧

같은

성별

또는

다른

성별

간 성

적인

추행

⑨모

두 심

각하

지 않

In18

iev5

9

전환

다음

은 선

생님

께서

담당

하고

계신

○○

(이)에

대한

질문

입니

다.

L02-

1.

용전

그렇

않다

그렇

않다

보통

이다

그렇

다매

그렇

1) 수

업 중

안절

부절

못하

고 계

속 앉

아 있

기 힘

들어

한다

.①

②③

④⑤

2) 학

교에

서 질

서를

잘 지

킨다

.①

②③

④⑤

3) 정

해진

규칙

을 잘

지킨

다.

①②

③④

4) 실

외활

동시

간에

질서

를 잘

지킨

다.

①②

③④

5) 주

어진

상황

에 참

을성

을 가

지고

일을

잘 처

리한

다.

①②

③④

6) 공

부시

간에

딴 짓

을 하

거나

장난

치지

않는

다.

①②

③④

7) 자

기 물

건 정

리를

잘하

고 교

실의

물건

을 잘

정리

한다

.①

②③

④⑤

8) 선

생님

의 안

내(지

시)와

요구

에 잘

따른

다.

①②

③④

다음

문항

은 ◯

◯(이

)의 학

교 적

응 정

도를

묻는

문항

입니

다.

다음

문항

을 읽

고 ◯

◯(이

)의 평

소 모

습에

기초

하여

해당

되는

보기

를 선

택해

주십

시오

.

Ch1

8sca

01~1

9

Page 369: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351

번호

문항

내용

용전

그렇

않다

그렇

않다

보통

이다

그렇

다매

그렇

9) 등

교시

간,

수업

시간

, 쉬

는 시

간 등

을 지

켜서

행동

한다

.①

②③

④⑤

10)

수업

시간

에 주

의를

기울

이며

잘 듣

는다

.①

②③

④⑤

11)

나이

에 비

해 어

리게

행동

한다

.①

②③

④⑤

12)

매사

에 의

욕적

이다

.①

②③

④⑤

13)

의사

표현

이 확

실하

다.

①②

③④

14)

자진

해서

자신

의 생

각이

나 의

견을

잘 발

표한

다.

①②

③④

15)

과제

를 잘

해오

며 준

비물

을 잘

챙겨

온다

.①

②③

④⑤

16)

학교

에서

놀이

를 할

때 놀

이(분

위기

)를 주

도한

다.

①②

③④

17)

사고

하고

탐구

하려

는 의

욕이

많다

.①

②③

④⑤

18)

수업

시간

에 하

는 활

동에

적극

참여

한다

.①

②③

④⑤

19)

표정

이 밝

으며

쾌활

명랑

하다

.①

②③

④⑤

L02-

1.

용전

그렇

않다

그렇

않다

보통

이다

그렇

다매

그렇

20)

모둠

별 활

동이

나 전

체 활

동에

적극

적으

로 참

여한

다.

①②

③④

21)

주어

진 일

에 대

해 책

임감

이 강

하다

.①

②③

④⑤

22)

어려

운 문

제에

부딪

히면

쉽게

좌절

하지

않고

도중

에 포

기하

지 않

는다

.①

②③

④⑤

23)

장난

감을

친구

들과

나누

어 가

지고

논다

.①

②③

④⑤

24)

친구

를 잘

도와

준다

.①

②③

④⑤

25)

친구

들이

교과

서나

준비

물을

안 가

져오

면 함

께 보

거나

빌려

준다

.①

②③

④⑤

26)

친구

가 슬

퍼할

때 위

로해

준다

.①

②③

④⑤

27)

친구

들과

의 갈

등을

긍정

적인

방법

으로

해결

한다

.①

②③

④⑤

28)

다른

친구

들이

사귀

고 싶

어하

는 인

기 있

는 아

이이

다.

①②

③④

Ch1

8sca

20~3

5

Page 370: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352

번호

문항

내용

용전

그렇

않다

그렇

않다

보통

이다

그렇

다매

그렇

29)

친구

들과

친하

게 지

낸다

.①

②③

④⑤

30)

친구

들과

의 생

활에

서 통

솔력

이 있

다.

①②

③④

31)

선생

님을

지나

치게

어려

워하

고 두

려워

한다

.①

②③

④⑤

32)

선생

님과

언제

든지

자유

롭게

이야

기 한

다.

①②

③④

33)

가정

이나

자신

에게

일어

나는

일을

선생

님께

이야

기하

고 싶

어한

다.

①②

③④

34)

선생

님께

인사

를 잘

한다

.①

②③

④⑤

35)

필요

로 할

때 선

생님

께 도

움을

청한

다.

①②

③④

L02-

2.

급우

들에

비해

...

하위

20

%

이내

하위

21

%~4

0%

중간

50

%

내외

상위

21

%~4

0%

상위

20

%

이내

1) ◯

◯(이

)의 글

을 읽

고 중

심 내

용을

파악

하는

능력

은 어

느 정

도입

니까

?

2) ◯

◯(이

)의 말

하기

능력

은 어

느 정

도입

니까

?

3) ◯

◯(이

)의 문

단을

이해

하고

글 쓰

는 능

력은

어느

정도

입니

까?

4) ◯

◯(이

)의 일

상생

활의

간단

한 대

화를

영어

로 듣

고 말

하며

, 알

파벳

을 인

식하

능력

은 어

느 정

도입

니까

?

5) ◯

◯(이

)의 네

자리

이하

수를

이해

하고

읽고

쓰는

능력

은 어

느 정

도입

니까

?

6) ◯

◯(이

)의 세

자리

수의

범위

에서

덧셈

과 뺄

셈 능

력은

어느

정도

입니

까?

7) ◯

◯(이

)의 곱

셈과

나눗

셈 능

력은

어느

정도

입니

까?

8) ◯

◯(이

)의 분

수와

소수

를 이

해하

는 능

력은

어느

정도

입니

까?

9) ◯

◯(이

)의 시

간과

길이

, 들

이와

무게

의 단

위를

이해

하고

측정

하는

능력

은 어

느 정

도입

니까

?

다음

문항

을 읽

고 ○

○(이

)의 평

소 모

습에

기초

하여

해당

되는

보기

를 선

택해

주십

시오

.C

h18a

cs30

Ch1

8acs

31C

h18a

cs32

Ch1

8acs

44

Ch1

8acs

34C

h18a

cs35

Ch1

8acs

45C

h18a

cs46

Ch1

8acs

37

Ch1

8acs

49

Ch1

8acs

50

Page 371: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353

번호

문항

내용

Ch1

8acs

41C

h18a

cs42

Ch1

8acs

43

Ch1

8acs

39

급우

들에

비해

...

하위

20

%

이내

하위

21

%~4

0%

중간

50

%

내외

상위

21

%~4

0%

상위

20

%

이내

10)

◯◯(이

)의 과

학 현

상을

이해

하고

탐구

하는

능력

은 어

느 정

도입

니까

?

11)

◯◯(이

)의 사

회 현

상을

이해

하고

탐구

하는

능력

은 어

느 정

도입

니까

?

12)

◯◯(이

)의 신

체활

동 및

운동

능력

은 어

느 정

도입

니까

?

13)

◯◯(이

)의 미

술적

표현

능력

은 어

느 정

도입

니까

?

14)

◯◯(이

)의 음

악적

표현

능력

은 어

느 정

도입

니까

?

15)

◯◯(이

)의 학

업 수

행을

전반

적으

로 평

가한

다면

어느

정도

입니

까?

L02-

3.

용전

혀 아

니다

다소

그렇

다매

우 그

렇다

1) 다

른 사

람의

감정

을 배

려한

다.

①②

2) 차

분하

지 않

고 부

산하

며 오

랫동

안 가

만히

있지

못한

다.

①②

3) 자

주 두

통이

나 복

통을

호소

하거

나 몸

이 아

프다

고 한

다.

①②

4) 간

식,

장난

감,

또는

연필

등을

기꺼

이 다

른 아

이들

과 함

께 나

눈다

. ①

②③

5) 자

주 분

노발

작을

보이

거나

, 불

같이

성질

을 부

린다

. ①

②③

6) 주

로 홀

로 있

고,

혼자

서 노

는 편

이다

. ①

②③

7) 일

반적

으로

순종

적이

고,

평소

에 어

른이

시키

는 대

로 한

다.

①②

8) 걱

정이

많고

, 종

종 근

심스

러워

보인

다.

①②

9) 누

군가

가 다

치거

나 몸

상태

가 나

쁘거

나 아

파 보

이면

도움

을 준

다.

①②

10)

언제

나 안

절부

절 못

하고

꼼지

락거

린다

.①

②③

11)

적어

도 한

명 이

상의

절친

한 친

구가

있다

.①

②③

12)

다른

아이

들에

게 종

종 싸

움을

걸거

나,

괴롭

힌다

.①

②③

13)

자주

불행

해 보

이고

낙담

하며

눈물

이 고

인다

. ①

②③

14)

대체

로 다

른 아

이들

이 좋

아한

다.

①②

15)

쉽게

주의

가 분

산되

고 집

중력

이 산

만하

다.

①②

다음

의 문

장을

읽고

지난

6개

월 동

안 ◯

◯(이

)의 모

습과

비교

해서

생각

해 보

고 응

답해

주세

요.

Ch1

8sdq

01~2

5

Page 372: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354

번호

문항

내용

용전

혀 아

니다

다소

그렇

다매

우 그

렇다

16)

낯선

상황

에서

는 불

안해

하거

나 안

떨어

지려

고 하

고,

쉽사

리 자

신감

을 잃

는다

.①

②③

17)

자신

보다

어린

아동

들에

게 친

절하

다.

①②

18)

종종

거짓

말을

하거

나 속

인다

.①

②③

19)

다른

아이

들에

게 놀

림을

받거

나 괴

롭힘

을 당

한다

.①

②③

20)

자주

부모

나 선

생님

, 또

는 다

른 아

이들

을 자

진해

서 돕

는다

. ①

②③

21)

곰곰

이 생

각한

다음

에 행

동한

다.

①②

22)

가정

이나

학교

또는

어떤

곳에

서 물

건을

훔친

다.

①②

23)

또래

아이

들보

다 어

른들

과 더

잘 지

낸다

.①

②③

24)

두려

움이

많고

무서

움을

잘 탄

다.

①②

25)

주어

진 일

을 끝

까지

마치

고,

주의

력을

잘 유

지한

다.

①②

L02-

4.전

반적

으로

, ○

○(이

)는 정

서,

집중

력,

행동

, 또

는 남

들과

어울

리기

중 하

나 이

상에

서 어

려움

을 겪

고 있

습니

까?

① 아

니오

⇨ Go

L03

-1

예,

조금

③ 예

, 상

당히

④ 예

, 심

하게

Ch1

8sdq

26

L02-

5.○

○(이

)의 이

러한

어려

움(정

서,

집중

력,

행동

, 또

는 남

들과

어울

리기

)은 얼

마나

오래

되었

습니

까?

① 1

개월

이내

② 1

~5개

6~1

2개월

④ 1

년 이

상C

h18s

dq27

L02-

6.이

러한

어려

움(정

서,

집중

력,

행동

, 또

는 남

들과

어울

리기

)은 ○

○(이

)에게

얼마

나 고

통을

줍니

까?

① 전

약간

③ 상

당히

④ 심

하게

Ch1

8sdq

28

L02-

7.이

러한

어려

움(정

서,

집중

력,

행동

, 또

는 남

들과

어울

리기

)이 다

음과

같은

분야

에서

○○

(이)의

생활

을 얼

마나

방해

합니

까?

1) 교

우 관

계①

전혀

② 약

상당

심하

2) 교

실 학

습①

전혀

② 약

상당

심하

게C

h18s

dq29

~30

L02-

8.○

○(이

)의 이

러한

어려

움(정

서,

집중

력,

행동

, 또

는 남

들과

어울

리기

)이 선

생님

이나

교실

전체

에게

얼마

나 부

담을

줍니

까?

① 전

약간

③ 상

당히

④ 심

하게

Ch1

8sdq

31

전환

다음

은 선

생님

과 ○

○(이

)에 대

한 질

문입

니다

.

L03-

1.선

생님

과 ○

○(이

)의 관

계에

대한

질문

입니

다.

○○

(이)와

의 관

계를

가장

잘 기

술하

는 번

호에

체크

해 주

세요

.C

h18t

cn11

~25

Page 373: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355

번호

문항

내용

용전

혀그

렇지

그렇

지않

다보

통이

다그

렇다

매우

그렇

1) 나

는 ○

○(이

)와 다

정하

고 따

뜻한

관계

를 맺

고 있

다.

①②

③④

2) ○

○(이

)와 나

는 항

상 의

견이

부딪

히는

것 같

다.

①②

③④

3) ○

○(이

)는 속

상한

일이

있으

면 나

에게

위안

을 받

으려

할 것

이다

.①

②③

④⑤

4) ○

○(이

)는 내

가 하

는 가

벼운

스킨

십(머

리 쓰

다듬

기 등

)에 대

해 불

편해

한다

.①

②③

④⑤

5) ○

○(이

)는 나

와의

관계

를 소

중하

게 생

각한

다.

①②

③④

6) 내

가 칭

찬을

하면

, ○

○(이

)는 뿌

듯해

한다

.①

②③

④⑤

7) ○

○(이

)는 자

발적

으로

나에

게 자

신에

대해

이야

기한

다.

①②

③④

8) ○

○(이

)는 나

에게

쉽게

화를

낸다

.①

②③

④⑤

9) 나

는 ○

○(이

)가 느

끼는

감정

에 쉽

게 공

감한

다.

①②

③④

10)

○○

(이)는

훈육

을 받

으면

계속

화를

내거

나 반

항한

다.

①②

③④

11)

○○

(이)를

상대

하면

나는

진이

빠진

다.

①②

③④

12)

○○

(이)의

기분

이 좋

지 않

을 때

, 나

는 고

단한

하루

를 보

낸다

.①

②③

④⑤

13)

나에

대한

○○

(이)의

감정

은 예

측할

수 없

거나

한순

간에

변할

수도

있다

.①

②③

④⑤

14)

○○

(이)는

나를

영악

하게

조종

하려

고 한

다.

①②

③④

15)

○○

(이)는

자신

의 감

정과

경험

을 나

와 솔

직하

게 나

눈다

.①

②③

④⑤

전환

다음

은 ○

○(이

) 부

모님

의 학

교 참

여에

대한

질문

입니

다.

L04-

1.○

○(이

)의 어

머니

또는

아버

지(또

는 주

양육

자)는

학교

일에

적극

적으

로 참

여하

는 편

입니

까?

① 전

혀 참

여하

지 않

는다

참여

하지

않는

편이

③ 보

통이

④ 대

체로

참여

한다

항상

참여

한다

In18

ppe3

4

L04-

2.○

○(이

)의 어

머니

또는

아버

지(또

는 주

양육

자)는

자녀

의 학

교생

활과

교육

에 관

심을

보입

니까

?①

전혀

관심

을 보

이지

않는

② 관

심을

보이

지 않

는 편

이다

보통

이다

대체

로 관

심을

보인

⑤ 매

우 관

심이

많다

In18

ppe3

2

전환

다음

은 선

생님

에 대

한 질

문입

니다

.

L06-

1.선

생님

의 성

별은

무엇

입니

까?

Page 374: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356

번호

문항

내용

In18

dmg0

1①

L06-

2선

생님

의 연

령은

몇 세

인가

요?

만 나

이로

응답

해 주

세요

. 만

(

)

세In

18dm

g06

L06-

3.선

생님

은 올

해 육

아휴

직,

군경

력을

제외

한 교

사경

력 몇

년 차

이십

니까

?총

(

)

년차

/ 육

아휴

직,

군경

력 제

외,

교육

경력

만In

18dm

g04

L06-

4.선

생님

께서

학교

에서

실제

근무

하는

시간

을 응

답해

주세

요.

주중

1일

평균

( I

n18j

ce25

aa )

시간

( I

n18j

ce25

ab )

분 근

무In

18jc

e25a

aIn

18jc

e25a

b

L06-

5.선

생님

의 최

종 학

력은

어떻

게 되

십니

까?

① 초

대졸

(2,

3년제

졸)

대졸

(4년

제 이

상)

③ 석

사과

④ 석

⑤ 박

사과

⑥ 박

사In

18dm

mg1

4

L05-

1.선

생님

께서

는 아

래의

각 영

역(업

무)에

대하

여 스

트레

스를

얼마

나 받

으십

니까

?

용전

혀 스

트레

스를

받지

는다

로 스

트레

스를

받지

는다

보통

이다

약간

스트

레스

받는

다스

트레

스를

많이

는다

1) 학

부모

와의

관계

①②

③④

2) 생

활지

도①

②③

④⑤

3) 수

업지

도①

②③

④⑤

4) 행

정업

무①

②③

④⑤

In18

prs1

6~19

Page 375: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부록

357

한국아동패널 2018(11차) 어머니대상 질문지※ 본 조사의 모든 내용은 통계목적 이외에는 절대로 사용할 수 없으며, 그 비 이 보호되도록 통계법(제33조 및 제34조)에 규정되어 있습니다.

본 질문지는 2008년 4~7월 사이에 출생하여 한국아동패널 조사에 참여한 아

이와 가족에 관한 것으로, 아이의 어머니께서 응답하시는 질문지입니다.

사별, 이혼 등의 이유로 식구 중 어머니가 계시지 않는 경우, 아버지 또는 그

외 패널 아동을 주로 돌보시는 주 양육자께서 응답하셔도 무방합니다.

단, 주 양육자는 아이와 친인척관계인 분만 포함됩니다.

본 질문지에 응답하는 데에는 약 20분가량 소요됩니다.

아동 이름

질문지 작성일 월 일

질문지 작성자① 어머니 ② 아버지 ③ 할머니 ④ 할아버지⑤ 기타 친인척 ⑥ 형제자매 및 형제자매의 배우자⑦ 기타( )

조사 방법(조사원 기입 사항)

미참여① 유치조사(조사원 수거) ② 우편 조사

Page 376: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358

다음은 귀하의 자녀(패널 아동 - 이하 ◯◯)를 양육하는 일에 관한 질문입니다.

1) 아이가 자신의 고민을 이야기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2) 아이에게 설명하기 보다는 벌을 준다.

3) 아이의 친구들 이름을 잘 알고 있다.

4) 아이를 훈육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느낀다.

5) 아이가 잘할 때, 칭찬해 준다.

6) 아이가 말을 듣지 않을 때, 아이를 때리기도 한다.

7) 아이와 농담을 하고, 놀아주기도 한다.

8) 아이가 나의 기대와 상반되게 행동하였을 때에도 꾸짖거나 비판하는 것을 일단 보류한다.

9) 아이가 상처받거나 좌절했을 때 아이의 마음을 어루만져 준다.

10) 설명없이 아이의 권리를 뺏는 벌을 주기도 한다.

11) 아이의 응석을 잘 받아준다.

12) 아이가 실망할 때, 이해하고 위로해 준다.

13) 아이가 잘못했을 때 소리를 지르곤 한다.

14) 아이를 편안하게 대해 준다.

15) 아이가 다른 사람을 귀찮게 해도 그냥 내버려 둔다.

16) 아이가 어떤 행동을 하기 전에 그 행동에 대한 나의 기대를 아이에게 이야기 한다.

17) 아이가 더 나아지도록 하기 위해 꾸짖고 비판한다.

18) 인내심을 갖고 아이를 대한다.

19) 아이가 말을 듣지 않을 때, 아이를 꽉 잡기도 한다.

20) 아이에게 벌을 주겠다고 해놓고, 실제로 벌을 주지는 않는다.

21) 아이의 감정이나 욕구에 반응해 준다.

22) 가족규칙을 정할 때 아이가 의견을 낼 수 있도록 한다.

23) 아이와 다투기도 한다.

24) 아이를 잘 기를 자신이 있다.

25) 아이에게 왜 규칙을 따라야 하는지 이유를 설명해 준다.

26) 아이의 감정보다는 나의 감정을 더 많이 생각하는 것 같다.

27) 아이가 노력한 것이나 성취한 것에 대해 인정해 준다.

28) 어떤 설명도 하지 않고, 아이를 홀로 남겨 두는 벌을 주기도 한다.

29) 아이 스스로 자신이 행한 행동의 결과를 이야기할 수 있도록 북돋아줌으로써 그 행동의 영향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30) 아이의 잘못을 지적하고 가르침으로써 아이가 나를 싫어하게 되지는 않을까 염려 된다.

31) 아이에게 어떤 것을 하라고 요구하기 전에, 아이가 원하는 것을 먼저 고려한다.

32) 아이에게 버럭 화를 내기도 한다.

33) 아이가 학교생활에서 겪는 문제나 걱정거리를 알고 있다.

34) 아이에게 실제로 벌을 주는 것보다 더 자주 벌을 주겠다고 위협을 한다.

35) 아이를 껴안아 주거나, 뽀뽀해 주거나, 손잡아 주는 것으로 애정을 표현한다.

36) 아이의 잘못된 행동을 못 본 척한다.

1. 다음은 ◯◯(이)에 대한 귀하의 양육 행동에 관한 질문입니다. 문항별로 귀하의 평소 행동과 일치한다고 생각하시는 보기를 선택해주십시오.

① 전혀 그렇지 않다 ② 대체로 그렇지 않다 ③ 보통이다 ④ 대체로 그렇다 ⑤ 매우 그렇다

Page 377: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부록

359

다음은 귀하의 자녀(패널 아동 - 이하 ◯◯)를 양육하는 일에 관한 질문입니다.

37) 아이를 훈육하는 한 방법으로 체벌을 사용한다.

38) 아이가 잘못을 하면, 아이를 지적하고 가르친다.

39) 내가 아이에게 실수할 경우, 나는 아이에게 사과한다.

40) 아이에게 해야 할 일을 말한다.

41) 아이가 소란을 일으키면 아이의 뜻을 따라준다.

42) 아이가 잘못된 행동을 했을 때 그 이유를 아이에게 설명한다.

43) 아이가 잘못 행동했을 때 아이를 때리기도 한다.

44) 아이의 의견에 동의하지 않는다.

45) 아이가 다른 사람을 방해해도 그냥 내버려 둔다.

46) 아이와 함께 따듯하고 친 한 시간을 보낸다.

47) 아이가 싸울 때, 먼저 야단을 치고 나중에 싸운 이유를 물어본다.

48) 아이와 내 의견이 맞지 않을 때에도, 아이가 자신의 의사를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49) 아이가 말을 잘 듣도록 하기 위해서, 아이에게 어떤 보상을 주겠다고 한다.

50) 아이의 행동이 나의 기대에 미치지 못할 때. 아이를 꾸짖거나 비난한다.

51) 아이가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도록 격려함으로써 아이의 의견을 존중한다.

52) 아이를 위해 잘 짜여진 엄격한 규칙을 가지고 있다.

53) 아이에게 아이의 좋고 나쁜 행동에 대해 내가 어떻게 느끼고 있는지 이야기한다.

54) 타당한 이유 없이, 아이에게 벌을 주겠다고 위협하기도 한다.

55) 여행이나 주말 일정과 같은 가족계획을 세울 때 아이의 의견을 고려한다.

56) 아이가 왜 그런 행동을 해야 하는지 물었을 때, “내가 엄마니까” 혹은 “내가 그렇게 하라고 했으니까” 라고 말한다.

57) 아이가 잘못했을 때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자신이 없다.

58) 아이의 행동이 가져온 결과에 대해 아이에게 설명해 준다.

59) 아이에게 무언가를 하라고 시킨다.

60) 아이의 잘못된 행동을 더 나은 행동으로 이끌어 준다.

61) 아이가 말을 듣지 않을 때, 아이를 치기도 한다.

62) 아이에게 규칙을 지켜야 하는 이유를 강조한다.

다음은 귀하의 자녀(패널 아동 - 이하 ◯◯)에 관한 질문입니다.

1) 무슨 일이든 시작하기를 힘들어 한다.

2) 해야 할 일(숙제, 공부 혹은 심부름 등)이 많으면 어떻게 해야 할지 혼란스러워 한다.

3) 해야 할 일(숙제, 공부, 혹은 심부름 등)이 있을 때 거의 마지막까지 미루다가 하는 편이다.

4) 차근차근 순서대로 해야 되는 일을 하는 것을 어려워한다.

5) 어떤 일을 해야 될 때 그 일을 끝까지 하려면 얼마만큼의 시간이 걸릴지 미리 예측하지 못한다.

6) 머릿속으로 생각은 잘 하는데(나름대로 계획은 하는데) 실천은 하지 못한다.

2. 다음의 문장을 읽고 지난 6개월 동안 자녀의 모습과 비교해서 생각해 보세요. 어머니께서 각 문항에 해당하는 ◯◯(이)의 모습과 행동을 객관적이고 구체적으로 생각해 보시고 해당되는 보기를 선택해 주십시오.

① 전혀 아니다 ② 가끔 그렇다 ③ 자주 그렇다

Page 378: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360

다음은 귀하의 자녀(패널 아동 - 이하 ◯◯)에 관한 질문입니다.

7) 목표를 세우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실제 행동을 하는 것을 어려워한다.

8) 어떤 내용을 이해할 때 부분적으로는 이해하는 것 같은데 정말 중요한 핵심이 무엇인지는 잘 모르는 것 같다.

9) 스스로 알아서 앞장서서 하지 못한다.

10) 어떤 활동이든 순서대로 차근차근 계획해서 행동하는 것을 어려워한다.

11) 숙제나 공부 혹은 심부름 등 일을 할 때 집중해서 하지 못한다.

12) 또래 다른 친구들과 비교해 볼 때 행동을 스스로 조절하는데 더 어려움이 있는 것 같다.

13) 스스로 행동을 조절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14) 너무 거칠게 행동한다.

15) 어른이 곁에서 지켜보면서 도와주지 않으면 혼자서 숙제, 공부 혹은 심부름 등을 하기가 어렵다.

16) 글쓰기를 어려워한다.

17) 다른 사람을 방해한다.

18) 앉아서 집중해야 할 때 자리에 잘 앉아 있지 못한다.

19) 줄서서 있어야 할 때 서 있지 않고 잘 벗어난다.

20) 자신의 행동이 남을 귀찮게 하는 것인지 아닌지 잘 알아채지 못한다.

21) 누가 옆에서 지키지 않으면 숙제나 공부를 꾸준히 앉아서 하지 못한다.

22) 자신의 행동에 대해 주변 사람이 야단을 치거나 핀잔을 주어도 별 상관하지 않는다.

23) 사소한 일에도 화를 쉽게 폭발한다.

24) 상황에 따라 기분 변화가 심하다.

25) 잘 참지 못하고 성질을 낸다.

26) 자주 울컥한다.

27) 그럴 일이 아닌데도 잘 투덜거린다.

28) 사소한 일에도 과도하게 반응한다.

29) 원래 계획한 일에 변화가 생기면(원래 생각했던 것과 달라지면) 순간 화를 벌컥 낸다.

30) 기분 변화가 심하다.

31) 자신의 물건을 챙기지 못해 여기저기 흘리고 다닌다.

32) 옷, 안경, 양말, 장난감, 책, 연필 등 물건을 잘 찾지 못한다.

33) 방의 정리정돈을 못한다.

34) 숙제를 다 해가도 선생님께 제출하는 것을 잊고 온다.

35) 소지품이나 숙제 등을 잘 잃어버린다.

36) 잘 잊어버린다.

37) 해야 할 일을 잘 잊는다.

38) 방이 늘 어질러져 있다.

39) 방안이나 책상 위에 있는 물건을 잘 찾지 못한다.

40) 물건이나 방을 잘 어질러서 다른 사람이 치워야 한다.

3. 다음의 문장을 읽고 자녀의 모습과 비교해서 생각해 보세요. 어머니께서 각 문항에 해당하는 ◯◯(이)의 모습과 행동을 객관적이고 구체적으로 생각해 보시고 해당되는 보기를 선택해 주십시오.

☞ PC・스마트폰은 게임하기, SNS 보내기, 동영상 보기, 인터넷 하기 등 미디어 기기를 이용한 모든 행위를 의미합니다.

Page 379: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부록

361

다음은 귀하의 자녀(패널 아동 - 이하 ◯◯)에 관한 질문입니다.

1) PC・스마트폰 사용 문제로 가족들과 자주 싸운다.

2) 평소와는 달리, PC・스마트폰을 할 때만 자신감이 있어 보인다.

3) PC・스마트폰에 빠진 이후로, 폭력(언어적, 신체적)적으로 변했다.

4) 하루에 4시간 이상 움직이지 않고 한 곳에서 PC・스마트폰을 한다.

5) 식사나 휴식 없이 화장실도 가지 않고 PC・스마트폰을 한다.

6) PC・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해 주변 사람들의 시선이나 반응에 무관심하다.

7) PC・스마트폰을 사용하는데 건드리면 화내거나 짜증을 낸다.

8) 하루 이상을 밤을 새우면서 PC・스마트폰을 사용한다.

9) PC・스마트폰 사용으로 학교 성적이 떨어졌다.

10) PC・스마트폰을 할 때 건드려도 화내거나 짜증내지 않는다.

11) 밤새워서 PC・스마트폰을 하지는 않는다.

12) PC・스마트폰 사용 때문에 피곤해서 수업시간에 잔다고 한다.

13) PC・스마트폰을 안 할 때, 다른 것에 집중하지 못하고, 불안해 보인다.

14) 점점 더 많은 시간동안 PC・스마트폰을 사용한다.

15) PC・스마트폰 사용하느라 약속을 지키지 않고 거짓말을 자주 한다.

① 전혀 그렇지 않다 ② 그렇지 않다 ③ 그렇다 ④ 매우 그렇다

1) 우유나 유제품 (요거트, 요플레 등)을 매일 2병 이상 마신다.

2) 육류, 생선, 달걀, 콩, 두부 등으로 된 음식을 끼니마다 먹는다.

3) 김치 이외의 채소를 끼니마다 먹는다.

4) 과일 (1개)이나 과일주스 (1잔)를 매일 먹는다.

5) 튀김이나 기름에 볶는 요리를 주 2회 이상 먹는다.

6) 지방이 많은 육류 및 생선류 (삼겹살, 갈비, 장어 등)를 주 2회 이상 먹는다.

7) 식사할 때 음식에 소금이나 간장을 더 넣는다.

8) 식사는 매일 세끼를 규칙적으로 한다.

9) 아이스크림, 케이크, 과자류, 탄산음료 (콜라, 사이다 등)를 간식으로 주 2회 이상 먹는다.

10) 모든 식품을 골고루 섭취한다 (편식을 하지 않는다).

4. ◯◯(이)의 식생활을 간단히 평가해 볼 수 있는 식생활진단표입니다. 해당란에 표시해 주십시오.

① 그런편이다 ② 보통이다 ③ 아닌편이다

1) 먼저 대화를 시작하는 횟수가 다른 아이들과 비슷하다.

2) 주제를 바꿀 때 주제가 바뀐다는 것을 적절히 표시할 수 있다.그런데 오늘 축구할 때,~ / 엄마, 선생님이 그러는데요...

3) 듣는 사람에 따라 존댓말, 반말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4) 궁금한 것이 있을 때 적절하게 질문한다.

5. 다음은 ◯◯(이)가 다른 사람과 의사소통 하는데 있어서의 강점과 약점을 살펴볼 수 있는 문항입니다. ◯◯(이)의 모습과 행동을 객관적이고 구체적으로 생각해 보시고 해당되는 보기를 선택해 주십시오.

① 전혀그렇지 않다 ② 그렇지 않다 ③ 보통이다 ④그렇다 ⑤항상그렇다

Page 380: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362

다음은 귀하의 자녀(패널 아동 - 이하 ◯◯)에 관한 질문입니다.

5) 상호관계가 있는 말들(가져오다/가져가다, 빌리다/빌려주다, 안녕히 계세요/안녕히 가세요) 등을 적절하게 사용한다.

6) 대화하다가 잘 알아듣지 못했을 때 다시 말해달라거나 더 설명해 줄 것을 요구한다.

7) 다른 사람 표정을 보고 화남, 언짢음 등의 기분을 잘 파악한다.

8) 필요할 때 적절한 제스처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대화시 고개를 끄덕이거나 칭찬할 때 ‘최고’라는 의미로 엄지손가락을 올리기 등

9) 놀이를 할 때 상상한 것을 표현하여 상황이나 장면을 설정할 수 있다.(네모 블록을 가지고) 이게 빌딩인데 여기 불이 났다고 하자.

10) 대화시 적절히 상대방을 쳐다본다.

11) 주제를 유지하면서 5회 이상 말을 주고 받을 수 있다.

12) 다양한 접속사를 사용하여 앞의 말을 주고 받을 수 있다.

13) 앞뒤 상황이나 맥락에서 농담이나 말장난의 포인트를 파악하여 적절한 반응을 보인다.농담을 재미있어 한다.

14) 다른 사람에게 자기가 잘하는 일에 대해 시범을 보이거나 가르칠 수 있다.

15) 간접적인 사물・행동 요구를 이해하여 반응할 수 있다.

16) 다양한 의문사가 포함된 질문(정보요구)에 적절히 대답할 수 있다.

17) 대부분의 아동들이 분명한 얼굴표정을 짓는 상황에서 다른 아이들과 같은 표정을 짓는다.

무섭거나 놀라거나 슬플 때 적절한 표정

18) 역할놀이를 할 때 맡은 역할에 따라 말투나 목소리를 바꿀 수 있다.

19) 대화 상대방의 지식이나 경험에 따라 말하는 내용을 조절할 수 있다. 주말 경험을 이야기할 때 상대방이 모르는 이야기이면 자세히, 아는 일이면 적

절히 생략, 대용 표현을 사용하며 이야기할 수 있다.

20) 주의를 끌기 위해 다른 사람의 어깨나 신체부위를 두드리거나 하는 행동을 할 수 있다.

21) 듣는 사람이 자기 말을 잘 못 알아들었을 때 낱말의 뜻이나 설명, 상황 등을 적절히 보충해서 설명할 수 있다.

22) 대화시 다른 사람이 원하지 않는데 과도하게 신체 접촉을 하지 않는다.

23) 지시어를(이/그/저, 이거/그거/저거, 여기/저기/거기)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다(한가지 지시어의 너무 빈번한 사용 없이).

24) 낱말이 평상시와 다른 의미로 사용될 때 이해할 수 있다(비유나 동음이의어 등).나무에서 떨어지다, 소파가 (낡아서) 떨어지다.

25) 적절한 때에 말로 고마움이나 미안함을 표현할 수 있다.

26) 말하려는 사물을 적절한 꾸미는 말을 사용해 다른 비슷한 사물들 중에서 특정 지을 수 있다.

(여러 블록 중에서) 파랗고 동그랗고 기다란 블록 줘. 이건 동물인데 검정색 줄무늬가 있고 싸움 잘하는거야.

27) 미래에 무엇을 할 것인지 계획을 이야기할 수 있다.방학 계획, 친구집에 가서 어떻게 놀지 등

28) 상투적이지 않은 말로 어떤 사물이나 사람, 사건에 대해 언급할 수 있다. (좋아/나빠 등의 이분적 평가가 아니라) 걔는 장난이 심하긴 하지만 괜찮아, 조

금 춥긴 했지만 재미있었어.

Page 381: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부록

363

다음은 귀하의 자녀(패널 아동 - 이하 ◯◯)에 관한 질문입니다.

29) 듣는 사람에 따라 말소리(크기나 높낮이)나 내용을 달리한다.어린 아이에게 이야기할 때는 좀더 천천히, 쉽게 이야기함

30) 다른 사람의 필요나 생각이나 감정을 알고 있다는 것을 표현한다.

31) 자신이 관심있어 하는 것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의 관심사에 대해서도 이야기한다.

32) 회의나 발표시에는 예의를 갖춘 말투나 어휘를 사용한다.

33) 말할 때 상대방과 너무 가깝거나 멀어지지 않게 적절한 거리를 유지한다.

34) 떼쓰거나 조르지 않고 이유를 대며 다른 사람을 설득할 수 있다.

35) 친구에게 농담을 하거나 유머를 구사할 수 있다.별명 부르기, 놀리기 등

36) 화해하거나 조정해야 할 일이 있을 때 말로 협상할 수 있다.

37) 다른 사람이 이야기하려고 하거나 집중해야하는 상황에서 조용히 한다.

38) 이전 발화와 부분적으로 관련된 내용을 언급함으로써 대화의 주제를 자연스럽게 바꾼다.

39) 상황에 적절하지 않게 특정 낱말을 반복 사용하지 않는다.

40) 대화 중에 과도하게 세세한 정보를 언급하지 않는다. 설악산 언제 갔었어? 하면 2007년 8월 11일 아침 10시에 갔다가 8월 15일

저녁 7시에 왔어요.

41) 의견이 다를 때나 다툼이 있을 때 타협하려는 의도를 나타낸다.

42) 주제가 바뀐다는 것을 표시하지 않고 대화 주제를 급작스럽게 바꾸지 않는다.

43) 다른 사람이 관심 없어 하는 주제에 대해서는 반복적으로 이야기하지 않는다.

44) 상대방의 기분이 상하지 않도록 적절하게 거부하는 표현을 할 수 있다.

다음은 귀 부부에 대한 평소 느낌이나 생각에 관한 질문입니다.

1) 사소한 말다툼이 큰 싸움으로 변해 서로 욕설하고 비난하며, 과거의 잘못을 다시 들추면서 싸운다.

2) 남편(배우자)은 내 생각이나 기분, 혹은 내가 원하는 것을 비난하고 별로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3) 남편(배우자)은 내 생각과 말을 내가 의도한 것보다도 더 부정적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4) 남편(배우자)은 나를 존중하지 않는 것 같다.

5) 내 진짜 생각과 느낌 혹은 우리 관계에 대한 요구를 남편(배우자)에게 말해봤자 아무 의미가 없다.

6) 다른 사람과 사귀거나 결혼하면 어떨까 하고 심각하게 생각한다.

7) 나는 지금 결혼생활에서 외로움을 느낀다.

8) 우리는 다투면 더 이상 이야기하고 싶지 않아 그 자리를 피해버린다.

6. 다음은 부부간에 일어나는 일들입니다. 각 문항별로 귀 부부가 해당하는 보기를 선택해주십시오.

① 전혀 그렇지 않다 ② 별로 그렇지 않다 ③ 보통이다 ④ 대체로 그렇다 ⑤ 매우 그렇다

다음은 귀하 자신에 대한 평소 느낌이나 생각에 관한 질문입니다.

7. 귀하는 평소 스트레스를 얼마나 받습니까? ① 전혀 스트레스 받지 않음 ② 별로 스트레스 받지 않음 ③ 약간 스트레스 받음 ④ 스트레스를 많이 받음

8. 귀하는 삶에 어느 정도 만족하십니까?

Page 382: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364

다음은 귀하 자신에 대한 평소 느낌이나 생각에 관한 질문입니다.

① 전혀 만족하지 못함 ② 만족하지 못하는 편임 ③ 보통임④ 만족하는 편임 ⑤ 매우 만족함

9. 귀하의 건강상태는 어떻다고 생각하십니까?① 전혀 건강하지 않음 ② 건강하지 않은 편임 ③ 보통임④ 건강한 편임 ⑤ 매우 건강함

10. 다음의 각 문항에 대하여 얼마나 동의하시는지 해당하는 보기를 선택해주십시오.

① 전혀 그렇지 않다 ② 별로 그렇지 않다 ③ 보통이다 ④ 대체로 그렇다 ⑤ 매우 그렇다

1) 내가 적어도 다른 사람만큼은 가치 있는 사람이라고 느낀다.

2) 내가 좋은 자질(장점)을 많이 가지고 있다고 느낀다.

3) 대체로 내가 실패자라고 느끼는 경향이 있다.

4) 나는 남들이 하는 만큼은 할 수 있다.

5) 나는 자랑스러워할 만한 것이 별로 없다고 느낀다.

6) 나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다.

7) 대체로 나 자신에게 만족한다.

8) 나 자신을 좀 더 존중할 수 있으면 하고 바란다.

9) 가끔씩 내가 쓸모없다고 느낀다.

10) 때때로 내가 무익한 존재라고 생각한다.

11. 아래 문항을 읽고 자신을 가장 잘 설명한다고 생각하는 보기를 선택해주십시오.1) 전반적으로 나는 …

① 아주 불행한 사람이다 ②→

③→ ④ 보통이다 ⑤

→⑥→ ⑦ 아주 행복한 사람이다

2) 다른 사람과 비교했을 때 나는 …

① 매우 행복하지 않다 ②→

③→ ④ 보통이다 ⑤

→⑥→ ⑦ 매우 행복하다

3) 어떤 사람들은 전반적으로 아주 행복하다. 무슨 일이 있어도 개의치 않고 즐겁게 지내는 편이다. 나는 …

① 전혀 그렇지 않다 ②→

③→ ④ 보통이다 ⑤

→⑥→ ⑦ 매우 그렇다

4) 어떤 사람들은 전반적으로 아주 불행하다. 특별히 우울한 일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행복하지 않게 보인다. 나는 …

① 매우 그렇다 ②→

③→ ④ 보통이다 ⑤

→⑥→ ⑦ 전혀 그렇지 않다

다음은 귀하의 음주와 흡연 습관에 대한 질문입니다.

12. 귀하는 평소에 술을 얼마나 자주 마십니까? 최근 1년을 기준으로 말씀하여 주십시오.① 월 1회 이하 ② 월 2회~4회 ③ 주 2회~3회 ④ 주 4회 이상⑤ 최근 1년간 전혀 마시지 않음 ⇨ 15번 문항으로

13. 술을 마시면 보통 몇 잔정도 마시는 편입니까? 소주, 양주 구분 없이 각각의 술잔으로계산합니다.

단, 캔맥주 1개(355㏄)는 맥주 1.6잔과 같습니다.① 1잔 또는 2잔 ② 3잔 또는 4잔 ③ 5잔 또는 6잔④ 7잔에서 9잔 ⑤ 10잔 또는 그 이상

Page 383: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부록

365

다음은 귀하의 음주와 흡연 습관에 대한 질문입니다.

14. 한 번의 술좌석에서 5잔 이상(또는 맥주 3캔 정도)을 마시는 횟수는 어느 정도입니까? 아버지께서 응답하시는 경우, 7잔 이상(또는 맥주 5캔 정도)을 기준으로 응답하여

주십시오.① 전혀 없음 ② 한 달에 1번 미만 ③ 한 달에 1번 정도④ 일주일에 1번 정도 ⑤ 거의 매일

15. 귀하는 평소에 담배를 피우십니까? 피운다면 하루에 담배를 몇 개비 정도 피우십니까? Ⓞ 피우지 않음 ① 10개비 이하 ② 11~20개비③ 21~30개비 ④ 31개비 이상

Page 384: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366

한국아동패널 2018(11차) 아버지대상 질문지※ 본 조사의 모든 내용은 통계목적 이외에는 절대로 사용할 수 없으며, 그 비 이 보호되도록 통계법(제

33조 및 제34조)에 규정되어 있습니다.

본 질문지는 2008년 4~7월 사이에 출생하여 한국아동패널 조사에 참여한 아

이와 가족에 관한 것으로, 아이의 아버지께서 응답하시는 질문지입니다.

본 질문지의 응답은 다른 가족의 도움 없이 아버지께서만 해주시기 바랍니다.

아버지께서 어머니 대상 질문지를 응답하셨을 경우, 본 질문지는 응답하지 않

으셔도 됩니다.

본 질문지에 응답하는 데에는 약 20분가량 소요됩니다.

질문지에 관련하여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아래로 연락해주시기 바랍니다.

아동 이름

질문지 작성일 월 일

질문지 작성자 ① 아버지 ② 기타

조사 방법(조사원 기입 사항)

① 유치조사(조사원 수거) ② 우편 조사

Page 385: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부록

367

다음은 귀하의 자녀(패널 아동 - 이하 ◯◯)를 양육하는 일에 관한 질문입니다.

1) 아이가 자신의 고민을 이야기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2) 아이에게 설명하기 보다는 벌을 준다.

3) 아이의 친구들 이름을 잘 알고 있다.

4) 아이를 훈육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느낀다.

5) 아이가 잘할 때, 칭찬해 준다.

6) 아이가 말을 듣지 않을 때, 아이를 때리기도 한다.

7) 아이와 농담을 하고, 놀아주기도 한다.

8) 아이가 나의 기대와 상반되게 행동하였을 때에도 꾸짖거나 비판하는 것을 일단 보류한다.

9) 아이가 상처받거나 좌절했을 때 아이의 마음을 어루만져 준다.

10) 설명없이 아이의 권리를 뺏는 벌을 주기도 한다.

11) 아이의 응석을 잘 받아준다.

12) 아이가 실망할 때, 이해하고 위로해 준다.

13) 아이가 잘못했을 때 소리를 지르곤 한다.

14) 아이를 편안하게 대해 준다.

15) 아이가 다른 사람을 귀찮게 해도 그냥 내버려 둔다.

16) 아이가 어떤 행동을 하기 전에 그 행동에 대한 나의 기대를 아이에게 이야기 한다.

17) 아이가 더 나아지도록 하기 위해 꾸짖고 비판한다.

18) 인내심을 갖고 아이를 대한다.

19) 아이가 말을 듣지 않을 때, 아이를 꽉 잡기도 한다.

20) 아이에게 벌을 주겠다고 해놓고, 실제로 벌을 주지는 않는다.

21) 아이의 감정이나 욕구에 반응해 준다.

22) 가족규칙을 정할 때 아이가 의견을 낼 수 있도록 한다.

23) 아이와 다투기도 한다.

24) 아이를 잘 기를 자신이 있다.

25) 아이에게 왜 규칙을 따라야 하는지 이유를 설명해 준다.

26) 아이의 감정보다는 나의 감정을 더 많이 생각하는 것 같다.

27) 아이가 노력한 것이나 성취한 것에 대해 인정해 준다.

28) 어떤 설명도 하지 않고, 아이를 홀로 남겨 두는 벌을 주기도 한다.

29) 아이 스스로 자신이 행한 행동의 결과를 이야기할 수 있도록 북돋아줌으로써 그 행동의 영향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30) 아이의 잘못을 지적하고 가르침으로써 아이가 나를 싫어하게 되지는 않을까 염려 된다.

31) 아이에게 어떤 것을 하라고 요구하기 전에, 아이가 원하는 것을 먼저 고려한다.

32) 아이에게 버럭 화를 내기도 한다.

33) 아이가 학교생활에서 겪는 문제나 걱정거리를 알고 있다.

34) 아이에게 실제로 벌을 주는 것보다 더 자주 벌을 주겠다고 위협을 한다.

35) 아이를 껴안아 주거나, 뽀뽀해 주거나, 손잡아 주는 것으로 애정을 표현한다.

36) 아이의 잘못된 행동을 못 본 척한다.

1. 다음은 ◯◯(이)에 대한 귀하의 양육 행동에 관한 질문입니다. 문항별로 귀하의 평소 행동과 일치한다고 생각하시는 보기를 선택해주십시오.

① 전혀 그렇지 않다 ② 대체로 그렇지 않다 ③ 보통이다 ④ 대체로 그렇다 ⑤ 매우 그렇다

Page 386: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368

다음은 귀하의 자녀(패널 아동 - 이하 ◯◯)를 양육하는 일에 관한 질문입니다.

37) 아이를 훈육하는 한 방법으로 체벌을 사용한다.

38) 아이가 잘못을 하면, 아이를 지적하고 가르친다.

39) 내가 아이에게 실수할 경우, 나는 아이에게 사과한다.

40) 아이에게 해야 할 일을 말한다.

41) 아이가 소란을 일으키면 아이의 뜻을 따라준다.

42) 아이가 잘못된 행동을 했을 때 그 이유를 아이에게 설명한다.

43) 아이가 잘못 행동했을 때 아이를 때리기도 한다.

44) 아이의 의견에 동의하지 않는다.

45) 아이가 다른 사람을 방해해도 그냥 내버려 둔다.

46) 아이와 함께 따듯하고 친 한 시간을 보낸다.

47) 아이가 싸울 때, 먼저 야단을 치고 나중에 싸운 이유를 물어본다.

48) 아이와 내 의견이 맞지 않을 때에도, 아이가 자신의 의사를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49) 아이가 말을 잘 듣도록 하기 위해서, 아이에게 어떤 보상을 주겠다고 한다.

50) 아이의 행동이 나의 기대에 미치지 못할 때. 아이를 꾸짖거나 비난한다.

51) 아이가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도록 격려함으로써 아이의 의견을 존중한다.

52) 아이를 위해 잘 짜여진 엄격한 규칙을 가지고 있다.

53) 아이에게 아이의 좋고 나쁜 행동에 대해 내가 어떻게 느끼고 있는지 이야기한다.

54) 타당한 이유 없이, 아이에게 벌을 주겠다고 위협하기도 한다.

55) 여행이나 주말 일정과 같은 가족계획을 세울 때 아이의 의견을 고려한다.

56) 아이가 왜 그런 행동을 해야 하는지 물었을 때, “내가 엄마니까” 혹은 “내가 그렇게 하라고 했으니까” 라고 말한다.

57) 아이가 잘못했을 때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자신이 없다.

58) 아이의 행동이 가져온 결과에 대해 아이에게 설명해 준다.

59) 아이에게 무언가를 하라고 시킨다.

60) 아이의 잘못된 행동을 더 나은 행동으로 이끌어 준다.

61) 아이가 말을 듣지 않을 때, 아이를 치기도 한다.

62) 아이에게 규칙을 지켜야 하는 이유를 강조한다.

다음은 귀 부부에 대한 평소 느낌이나 생각에 관한 질문입니다.

1) 사소한 말다툼이 큰 싸움으로 변해 서로 욕설하고 비난하며, 과거의 잘못을 다시 들추면서 싸운다.

2) 아내는 내 생각이나 기분, 혹은 내가 원하는 것을 비난하고 별로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3) 아내는 내 생각과 말을 내가 의도한 것보다도 더 부정적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4) 아내는 나를 존중하지 않는 것 같다.

5) 내 진짜 생각과 느낌 혹은 우리 관계에 대한 요구를 아내에게 말해봤자 아무 의미가 없다.

6) 다른 사람과 사귀거나 결혼하면 어떨까 하고 심각하게 생각한다.

2. 다음은 부부간에 일어나는 일들입니다. 각 문항별로 귀 부부가 해당하는 보기를 선택해주십시오.

① 전혀 그렇지 않다 ② 별로 그렇지 않다 ③ 보통이다 ④ 대체로 그렇다 ⑤ 매우 그렇다

Page 387: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부록

369

다음은 귀 부부에 대한 평소 느낌이나 생각에 관한 질문입니다.

7) 나는 지금 결혼생활에서 외로움을 느낀다.

8) 우리는 다투면 더 이상 이야기하고 싶지 않아 그 자리를 피해버린다.

다음은 귀하 자신에 대한 평소 느낌이나 생각에 관한 질문입니다.

3. 귀하는 평소 스트레스를 얼마나 받습니까?① 전혀 스트레스 받지 않음 ② 별로 스트레스 받지 않음③ 약간 스트레스 받음 ④ 스트레스를 많이 받음

4. 귀하는 삶에 어느 정도 만족하십니까?① 전혀 만족하지 못함 ② 만족하지 못하는 편임 ③ 보통임④ 만족하는 편임 ⑤ 매우 만족함

5. 귀하의 건강상태는 어떻다고 생각하십니까?① 전혀 건강하지 않음 ② 건강하지 않은 편임 ③ 보통임④ 건강한 편임 ⑤ 매우 건강함

6. 다음의 각 문항에 대하여 얼마나 동의하시는지 해당하는 보기를 선택해주십시오.

① 전혀 그렇지 않다 ② 별로 그렇지 않다 ③ 보통이다 ④ 대체로 그렇다 ⑤ 매우 그렇다

1) 내가 적어도 다른 사람만큼은 가치 있는 사람이라고 느낀다.

2) 내가 좋은 자질(장점)을 많이 가지고 있다고 느낀다.

3) 대체로 내가 실패자라고 느끼는 경향이 있다.

4) 나는 남들이 하는 만큼은 할 수 있다.

5) 나는 자랑스러워할 만한 것이 별로 없다고 느낀다.

6) 나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다.

7) 대체로 나 자신에게 만족한다.

8) 나 자신을 좀 더 존중할 수 있으면 하고 바란다.

9) 가끔씩 내가 쓸모없다고 느낀다.

10) 때때로 내가 무익한 존재라고 생각한다.

7. 아래 문항을 읽고 자신을 가장 잘 설명한다고 생각하는 보기를 선택해주십시오. 1) 전반적으로 나는 …

① 아주 불행한 사람이다 ②→

③→ ④ 보통이다 ⑤

→⑥→ ⑦ 아주 행복한 사람이다

2) 다른 사람과 비교했을 때 나는 …

① 매우 행복하지 않다 ②→

③→ ④ 보통이다 ⑤

→⑥→ ⑦ 매우 행복하다

3) 어떤 사람들은 전반적으로 아주 행복하다. 무슨 일이 있어도 개의치 않고 즐겁게 지내는 편이다. 나는 …

① 전혀 그렇지 않다 ②→

③→ ④ 보통이다 ⑤

→⑥→ ⑦ 매우 그렇다

4) 어떤 사람들은 전반적으로 아주 불행하다. 특별히 우울한 일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행복하지 않게 보인다. 나는 …

① 매우 그렇다 ②→

③→ ④ 보통이다 ⑤

→⑥→ ⑦ 전혀 그렇지 않다

Page 388: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370

다음은 귀하의 취업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12. 귀하는 현재 취업 중 이십니까? ① 취업 중(휴직 중 포함) ⇨ 13번 문항으로② 학업 중(휴학 중 포함) ⇨ 15번 문항으로③ 취업/학업 병행 중 ⇨ 13번 문항으로④ 아니요 ⇨ 15번 문항으로

13. 귀하의 현재 직장, 주 업무는 2017년 조사 때와 동일합니까? ① 2017년 조사에 참여하지 않았음 ⇨ 14-1번 문항으로② 아니요, 직장 또는 업무내용이 바뀜 ⇨ 14-1번 문항으로③ 예, 2017년과 동일함 ⇨ 15번 문항으로

14-1. 귀하가 현재 일하시는 직장(사업체)의 이름은 무엇입니까? 소속되어 있는 지점이나 공장의 이름까지 구체적으로 응답해 주세요.

일반 회사인 경우 회사명과 지점명까지 / 교사인 경우 초등중등고등학교까지 / 공무원인 경우 중앙부처시군구명읍면 동사무소까지 예: ◎◎전자 ◎◎공장 / ◎◎초등학교 혹은 서울시청 / 프리랜서직장(사업체) 명: ( )

14-2. 귀하의 직장(사업체)은 구체적으로 무엇을 하는 곳입니까? 직장명으로 구체적인 사업 내용을 알 수 없는 중소기업체인 경우 제조업, 유통업, 서

비스업 등의 업종 표기 요망 프리랜서의 경우 업무 장소를 기입

직장의 사업 내용(업종): ( )

14-3. 귀하의 직장(사업체)에서 귀하가 주로 하시는 일은 무엇입니까? 사무직인 경우 행정직전산직기술직/ 음식점인 경우 한식양식조리서빙 등/ 교사인

경우 영어수학 등 과목명주로 하는 일: ( )

14-4. 귀하의 직장(사업체)에서 귀하의 직위는 무엇입니까? 프리랜서 / 공무원의 경우 급수 / 회사원의 경우 평사원대리과장부장 등의 직위 /

음식점의 경우 사장매니저일반직원 등

다음은 귀하의 음주와 흡연 습관에 대한 질문입니다.

8. 귀하는 평소에 술을 얼마나 자주 마십니까? 최근 1년을 기준으로 말씀하여 주십시오.① 월 1회 이하 ② 월 2회~4회 ③ 주 2회~3회 ④ 주 4회 이상⑤ 최근 1년간 전혀 마시지 않음 ⇨ 11번 문항으로

9. 술을 마시면 보통 몇 잔정도 마시는 편입니까? 소주, 양주 구분 없이 각각의 술잔으로계산합니다.

단, 캔맥주 1개(355㏄)는 맥주 1.6잔과 같습니다.① 1잔 또는 2잔 ② 3잔 또는 4잔 ③ 5잔 또는 6잔④ 7잔에서 9잔 ⑤ 10잔 또는 그 이상

10. 한 번의 술좌석에서 5잔 이상(또는 맥주 3캔 정도)을 마시는 횟수는 어느 정도입니까? 아버지께서 응답하시는 경우, 7잔 이상(또는 맥주 5캔 정도)을 기준으로 응답하여

주십시오.① 전혀 없음 ② 한 달에 1번 미만 ③ 한 달에 1번 정도④ 일주일에 1번 정도 ⑤ 거의 매일

11. 귀하는 평소에 담배를 피우십니까? 피운다면 하루에 담배를 몇 개비 정도 피우십니까? Ⓞ 피우지 않음 ① 10개비 이하 ② 11~20개비③ 21~30개비 ④ 31개비 이상

Page 389: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부록

371

다음은 귀하의 취업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직장(사업체) 내 직위: ( )

“부” 직업종류: 대분류“부” 직업종류: 중분류“부” 직업종류: 소분류

14-5. 귀하의 현재 종사상 지위는 어떻습니까? ① 상용직(1년 이상의 근로계약기간이나 원하면 계속 일할 수 있는 경우)② 임시직(1개월 이상 1년 미만의 근로계약기간)③ 일용직(1개월 미만의 근로계약기간 또는 일당제 급여)④ 종업원을 둔 고용주⑤ 종업원이 없는 자영업자⑥ 무급 가족 종사자

(혈연관계인 가족이 운영하는 사업체에 보수 없이 주당 18시간 이상 근무자)

15. 귀하가 지난 1년간 다음의 항목 중 이용한 지원 제도/방식을 모두 골라주세요.① 출산휴가② 육아휴직③ 유연근무제(시차출퇴근, 재택근무, 스마트워크 등)④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⑤ 가족돌봄휴직⑥ 모두 이용 안함

16. 귀하가 하고 있는 일과 가정생활에 관하여 다음 문장과 가깝다고 느끼는 쪽에 응답해 주세요.

① 전혀 그렇지 않다 ② 별로 그렇지 않다 ③ 보통이다 ④ 대체로 그렇다 ⑤ 매우 그렇다

일과 가정에 모두 책임감을 갖는다는 것은...

1) 나를 더 균형 잡힌 사람으로 만든다.

2) 내 삶을 더 다양하게 해 준다.

3) 나의 모든 재능을 발휘하도록 한다.

4) 나를 최상의 수준으로 북돋아준다.

5) 나의 시간을 더 잘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6) 우선순위를 명확하게 한다.

7) 나를 더 유능한 사람으로 느끼게 해 준다.

8) 직장에서 해야 할 일들이 가족과 함께 보내는 시간을 방해한다.

9) 가족에 대한 책임감 때문에 내가 맡고 싶었던 업무상 제안이나 활동을 거절한 적이 있다.

10) 가족에 대한 책임감 때문에 일하는 시간이 덜 즐겁고, 부담스럽다.

11) 일을 할 때, 가족에 관한 일이나 집에서 해야 할 일로 인해 방해 받는다.

12) 일 때문에 나는 참여하고 싶었던 가족 행사나 활동에 빠진 적이 있다.

13) 일 때문에 가족과 함께 하는 시간이 덜 즐겁고, 부담스럽다.

14) 일하던 중 차라리 가족과 함께 하는 게 낫겠다는 생각이 들어 화난 적이 있다.

15) 일과 가정에서 요구되는 상충하는 역할을 양립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것으로부터 벗어나고 싶다는 생각을 한다.

16) 내가 할 일이 과도하게 많아진다.

17) 내가 일을 하는 것은 내 아이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18) 내가 일을 함으로 인해 아이와 함께 하는 시간을 더 감사히 여기게 된다.

Page 390: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

372

다음은 귀하의 취업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19) 일을 함으로써 내 자신도 좋아지고, 내 아이에게도 좋은 것 같다.

20) 일을 하는 것은 내가 더 좋은 부모라고 느끼게 한다.

21) 일을 하는 것이 자녀에게 부담을 주는 것 같다.

22) 일을 하는 동안 내 아이에게 무슨 일이 있는지 걱정된다.

23) 일을 하느라 시간이 없어서 내가 되고자 했던 부모가 되기 어렵다.

24) 내 아이에 대해 신경 쓰느라 직장에서 업무가 방해된다.

25) 일을 하면서 부모로서 받는 보상을 일부 놓치게 된다.

26) 일하느라 힘들어서 내가 되고자 하는 부모가 되기 어렵다.

빠진 문항이 없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끝까지 응답해주셔서 감사드리며, 소중한 자료로 사용하겠습니다.

Page 391: repo.kicce.re.krrepo.kicce.re.kr/bitstream/2019.oak/1767/2/GR1914.pdf연구보고 2019-2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 (한국아동패널 Ⅱ) 발행일2019년 12월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9(한국아동패널 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