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1 2015.09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incross.com media trend story/201509/files... · • 애드투페이퍼_파일프로모션상품소개 . 3 Theme 온라인뉴스콘텐츠비의 변화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1

2015.09

2

Theme

•온라인 뉴스콘텐츠 소비의 변화

Market Issue

•스마트워치 시장 현황과 전망

•휴대폰 평균사용기간 분석

Global Market Issue

•美 온라인 뉴스 사이트에서 뉴스를 소비

•젊은 여성들은 모바일 뉴스를 선호

Creative Campaign

•그린토스터 프로젝트 –G마켓

•Sound Bite -KFC

•Unskippable -Geico

•The Social Catalog -BILLA

Media News

• 온라인포털 주요뉴스

Contents

Contents

Media New Ad

• 캐시슬라이드_가을 특별 프로모션

• 아프리카TV_LOL 멸망전 2015

• 네이버_모바일 메인 띠배너 사이즈 변경 안내

• ZAPP_케이블 방송 채널 전환 신규 매체

• 애드투페이퍼_파일 프로모션 상품 소개

3

Theme 온라인뉴스콘텐츠소비의변화

4

1. 뉴스 유통 플랫폼의 변화

PC와 온라인이 보편화됨에 따라 언론사들도 온라인 웹페이지를 통해 뉴스를 유통시키게 되었으며, 디지털 시대에 맞춰 콘텐츠를 제작하여 배포하고 있음

국내 포털사이트는 각 매체의 뉴스들을 모아서 기사를 제공하게 되면서 언론사들은 각 매체의 웹 사이트 간 경쟁에서 포털 이라는 플랫폼까지 경쟁하는

체제로 바뀜

2013년 7월 한국 갤럽의 조사에 따르면, 국내 인터넷 이용자들의 85% 이상이 포털사이트를 통해 온라인 뉴스 콘텐츠를 본다고 응답할 만큼 국내는

포털사이트를 통한 온라인 뉴스 콘텐츠 소비 규모가 상당한 것을 알 수 있음

최근 스마트폰 시대를 맞으면서 자사의 웹사이트 뉴스들을 퍼블리싱 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출시하여 온라인과 모바일에 동시에 배포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음. 이는 뉴스 콘텐츠의 소비·시청방법이 변화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음

5

2. 온라인 뉴스 콘텐츠 소비 패턴

출처: 한국언론진흥재단, 2014 언론수용자 의식조사(2014.12)

1. 온라인 뉴스 이용률

한국언론진흥재단은 매년 언론수용자의 미디어 이용 행태와 언론에 대한 인식, 미디어의 보도에 대한 평가등을 파악하고 추이를 알아보기 위해 조사를

실시하고 있음

최근 ‘2014 언론수용자 의식조사’에 따르면, 일주일간 온라인 뉴스 이용률을 살펴보면, 이동형 인터넷은 59.6%로 2013년 대비 4.3% 증가하였으며,

고정형 인터넷은 47.7%로 2013년 대비 3.0% 감소하였음. 2012년 이후 이동형 인터넷을 통한 뉴스 이용률은 증가해 온 반면, 고정형 인터넷을 통한

뉴스 이용률은 감소함

52.8

62.765.4 67.1

19.5

47.4

56.359.6

51.5

57.4

50.747.7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인터넷(A+B)

이동형 인터넷(A)

고정형 인터넷(B)

단위: %

※ 주석: 2011~2012년 n=5,000, 2013년 n=5,082, 2014년 n=5,061

[인터넷 뉴스 이용률 추이]

6

17.9

36.6

11.2

9.8

11.4

8.3

7.3

4.9

52.3

40.4

고정형 단말기

이동형 단말기

매일 5~6일 3~4일 1~2일 0일

2. 온라인 뉴스 콘텐츠 소비 패턴

2. 온라인 뉴스 이용 빈도 및 시간

최근 1주일간 고정형 인터넷을 통해 뉴스를 ‘매일 이용했다’는 응답은 17.9%, 이동형 인터넷을 통해 뉴스를 ‘매일 이용했다’는 응답은 36.6%로 이동형

단말기를 통한 온라인 뉴스 소비가 월등히 앞서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음

또한 고정형 인터넷을 통한 뉴스 이용시간은 하루 평균 13.5분으로 2011년 이후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한편, 이동형 인터넷을 통한 뉴스

이용시간은 하루 평균 16.7분으로 2011년 이후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음

이는 이동성 단말기의 가장 큰 장점인 이동성과 편의성 등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이며, 향후 이동성 단말기를 통한 뉴스 소비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생각됨

[인터넷 뉴스 이용 빈도]

단위: %, n=5,061 23.119.1

16.013.5

35.7

29.324.9 23.4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전체 응답자

고정형 단말기 이용자

6.8

13.6 14.316.718.6

25.221.1

24.0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전체 응답자

이동형 단말기 이용자

[고정형/이동형 단말기를 통한 인터넷 뉴스 이용시간 추이]

단위: 분

단위: 분

출처: 한국언론진흥재단, 2014 언론수용자 의식조사(2014.12)

7

2. 온라인 뉴스 콘텐츠 소비 패턴

3. 온라인 뉴스 이용 방법

최근 1주일 동안 온라인 뉴스 이용 방법으로 포털 사이트 메인 페이지의 뉴스 제목을 보고 뉴스를 클릭한다라는 응답이 88.5%로 가장 높았으며, 실시간

검색 순위에 오른 인물이나 사건을 찾아서(75.3%),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다가(62.1%)가 그 뒤를 이음

주목 해야 할 것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뉴스를 본다는 응답률이 30.8%로 나타났으며, 실제로 2011년 이후 소셜미디어를 통한 뉴스 이용률은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음

이용 방법 응답률

포털사이트 메인페이지의 뉴스 제목이나 사진을 보고 뉴스를 클릭해서 88.5

실시간 검색 순위에 오른 인물이나 사건을 찾아서 75.3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다가 관련 뉴스를 이용하게 되어서 62.1

포털사이트 뉴스란(홈)에서 관심 있는 분야 ∙ 주제의 뉴스를 찾아서 57.6

보고 싶은 기사를 검색 창에 입력해 찾아 이용 49.7

소셜미디어를 통해 뉴스를 이용 30.8

포털사이트 뉴스란(홈)에서 특정 언론사의 뉴스를 찾아서 이용 21.2

뉴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이용 18.7

처음부터 기존 언론사의 인터넷 사이트를 찾아가서 이용 13.0

처음부터 인터넷 신문사의 사이트를 찾아가서 이용 11.0

내가 미리 설정한 뉴스(MY 뉴스, 구독 뉴스 등)를 통해 이용 6.5

이메일 뉴스레터를 통해 이용 5.9

[지난 1주일간 인터넷 뉴스 이용 방법 (복수응답)]

단위: 그렇다 %, n=3,394

[소셜미디어를 통한 뉴스 이용률 추이]

11.4

12.7

19.920.7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NEWS

단위: %

※ 주석: 2011~2012년 n=5,000, 2013년 n=5,082, 2014년 n=5,061

출처: 한국언론진흥재단, 2014 언론수용자 의식조사(2014.12)

8

1. SNS 기반의 뉴스 제공업체 등장

코리안클릭에 따르면, 소셜미디어 뉴스를 제공하고 있는 주요 3사(허핑턴포스트, 위키트리, 인사이트)의 모바일 트래픽을 살펴보면, 지난해 점증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종합일간지뉴스 주요3사(조선일보, 중앙일보,동아일보)와의 방문자 규모 격차를 좁히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특히 페이스북 app을 통한 방문자 추정분을 합산시 소셜미디어 뉴스 3사에서 약 30%, 종합일간지 3사에서 약 10% 정도의 추가적인 방문자가 발생 된

것으로 추정됨

소셜미디어 뉴스 이용이 증가한 이유로는 모바일 사용자의 콘텐츠 소비 행태를 반영한 구성으로 편집되어 기존 언론사가 충족하지 못한 즐거움에 대해

뉴스 콘텐츠의 추가 수요를 확보할 수 있었으며, SNS 채널을 통해 기사가 유통되어 콘텐츠가 단시간에 빠른속도로 확산될 수 있는 구조로 상대적으로

높은 유입 성과 효율을 달성할 수 있었다고 판단됨

출처: 코리안클릭, 소셜미디어뉴스의 모바일 성과 요인 분석(2015.04)

3. 온라인 뉴스 소비 변화에 따른 이슈

※ 주석: 페이스북이 지난 9월 App내 뉴스기나 노출방식을 Outlink에서 In-app browsing으로 전환함에 따른 Mobile web 트래픽 손실분을 추정하여 합산함

[언론사 형태별 모바일 뉴스 사이트 방문자 추이]

9

카드뉴스란 주요 이슈들을 이미지와 간단한 텍스트로 재구성해 보여주는 카드형식의 뉴스로 스크롤을 내리며 읽어야 하는 장문의 기사 대신 12장 내외의

짧은 글을 사진 여러 장에 얹어 사진을 한 장씩 넘겨가며 보는 형식임

지난해 미국의 온라인 언론사인 복스(Vox)가 ‘카드 스택’을 처음으로 선 보인 이후 선풍적인 인기를 끌면서 국내에서도 작년 하반기부터 한겨례뉴스,

경향신문, 한국일보, 조선일보 등 카드뉴스를 제공하였으며, 올해부터 언론사들이 따로 부서를 꾸릴 정도로 경쟁적으로 제공하고 있음

카드뉴스는 이미지 혹은 사진을 옆으로 밀어보는 방식이 특징이며, 모바일에 최적화된 뉴스 콘텐츠로 스마트폰을 주로 이용하는 현대인들에게 매우

적합한 뉴스 형태임

출처: SBS스브스뉴스(2015.08)

3. 온라인 뉴스 소비 변화에 따른 이슈

2. 새로운 형태의 기사 등장 : 카드뉴스

10

3. IT업체들의 뉴스 서비스 및 유통 플랫폼 출시

올해 5월 페이스북은 새로운 뉴스 서비스인 ‘인스턴트 아티클스(Instant Articles)를 출시하여 언론사가 제공하는 뉴스를 페이스북 페이지 안에서 볼 수

있도록 함. 이번 서비스를 통해 평균 로딩시간이 8초에서 0.8초로 줄였으며, 페이스북은 뉴스를 중개하는 2차 뉴스 플랫폼 역할을 하게 됨

최근 애플 사도 뉴스 큐레이션 앱 ‘플립보드’와 유사한 맞춤형 뉴스 서비스를 내놓았으며, 유튜브 역시 동영상 뉴스 서비스인 ‘유튜브 뉴스와이어’를 제공함

국내에서도 다음카카오가 최근 카카오톡 메신저 내에서 뉴스∙관심 정보를 볼 수 있는 ‘카카오톡 채널’을 출시하여 연예, 스포츠, 패션∙뷰티, 동영상,

웹툰 등 관심사 기반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콘텐츠 허브로 가장 상단에는 언론사 뉴스를 제공하고 있음

출처: 테크홀릭(2015.06), 한국기자협회(2015.07)

3. 온라인 뉴스 소비 변화에 따른 이슈

유튜브 뉴스와이어는 소셜 뉴스통신사인 스토리풀(Storyful)과 함께 선보인것으로 당일 목격 동영상 같은 콘텐츠를 큐레이션해 제공한다. 스토리풀은 영상 큐레이션을 맡아 영상이 진짜인지여부를 확인해 뉴스로서의 질적 가치를높이게 된다.

카카오톡이 채널을 통해 뉴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채널을 동영상,웹툰 등 관심사 기반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콘텐츠허브로 가장 상단에는언론사 뉴스를 노출하고 있다.

11

Market Issue 스마트워치시장현황과전망

휴대폰평균사용기간분석

12

Market Issue 스마트워치시장현황과전망

휴대폰평균사용기간분석

13

1. 스마트워치 시장 현황

1. 스마트워치 시장 현황

SA(Stategy Analytics)는 전세계 스마트워치 시장의 판매량이 2014년 460만대에서 2015년에는 2,810만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함

2014년까지만 해도 국내 삼성전자가 기어 라인을 통해 선두를 유지했으나, 2015년 4월 애플워치(Apple Watch)가 출시된 이후 2015년 2분기 시장

점유율의 75%가 애플워치가 차지하면서 시장의 판도가 크게 변화하고 있음

애플은 판매량에 정확한 수치는 밝히지 않았으나 애플워치가 출시되면서 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업계는 예상하고 있음

출처:각종 기사, 애플

14

1. 스마트워치 시장 현황

2. 애플워치 등장 이전의 시장 현황

Statista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4년 스마트워치와 스마트 밴드 상위 10개사의 총 판매량은 481만대이며, 삼성전자의 기어(gear)가 120만대로

가장 많이 판매되었음

2014년에는 휴대폰 제조사들의 스마트워치 시장 진출이 활발하여으며, 비휴대폰 제조사들 중에서는 Pebble, Garmin, Fitbit 사가 높은 점유율을 차지함

출처: Statista

국적 주요제품2014년 출하량

(천대)시장규모

(백만달러)시장 점유율

(%)

전체 89개 업체 - 6,822 1,291 100

삼성전자 한국 기어 라인 1,200 300 23

Lenovo / Motorola 중국 Moto 360 500 125 10

LG 한국 Lifeband Touch, LG G Watch(R) 420 97 7

Pebble 미국 Pebble Watch, Pebble Steel 700 91 7

Garmin 스웨덴 Vivofit, Vivosmart, Vivoactive and others 400 88 7

Sony 일본 Smartwatch 2/3, Core, SmartBand Talk 550 83 6

Fitbit 미국 Force, Charge 600 72 6

Withings 프랑스 Pulse Ox, Activite 170 51 4

Polar 핀란드 Loop, RC3, V800, M400 150 30 2

Asus 대만 ZenWatch 120 24 2

Other 그 외 79개 업체 1,185 178 26

[2014년 스마트워치 시장 점유율 및 매출액]

15

1. 스마트워치 시장 현황

2. 애플워치 등장 이후의 시장 현황

애플워치는 올해 4월 출시 이후 충성도 높은 애플 고객들을 중심으로 높은 판매량을 보이며, 스마트워치 시장에서 2/3의 점유율 가질 것으로 예상

애플워치는 출시 이후 3개월 동안 약 410만 대가 판매되었으며, 미국 이외 출시되는 국가가 확대되면서 글로벌 판매량은 지속될 것으로 보임

애플워치는 다양한 색상과 재질, 가벼운 무게, 다양한 기능 뿐만 아니라 애플워치용의 애플리케이션이 8,500여개가 이미 등록되어 있어 경쟁사보다 많은

앱을 통해 선호하는 것으로 생각됨

출처: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스마트워치 시장 현황과 전망(2015.08)

14년 2Q출하량 (백만대)

15년 2Q출하량 (백만대)

14년 2Q시장 점유율

15년 2Q시장점유율

Apple Watch _ 4.0 _ 75.0%

삼성전자 0.7 0.4 73.6% 7.5%

Other 0.3 0.9 26.4% 17.0%

Total 1 5.3 100% 100%

[2015년 2 Q 스마트워치 출하량 및 시장 점유율 현황]

16

2. 스마트워치 시장 전망

IDC의 조사에 따르면, 스마트워치를 포함한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전년대비 683% 증가한 3,310만대가 올해 판매될 것으로 전망하였으며, 그 중

애플워치가 2,100만 대 판매되어 전체 시장의 약 60%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함

2017년에는 웨어러블 단말기 출하량이 1억대를 넘어설 것으로 보이며, 2018년에는 1억 1,530만대, 2019년에는 1억 2,350만대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측함

특히 올해 상반기에 출시된 애플워치를 필두로 다양한 스마트워치가 선보여지면서 스마트워치 시장 경쟁은 가속화될 것으로 보임

2014년 출하량(백만대)

2015년 출하량(백만대)

2019년 출하량(백만대)

2015년 성장률2014~2019

CAGR

SmartWearables

4.2 33.1 89.4 683.0% 84.1%

출처: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스마트워치 시장 현황과 전망(2015.08)

[2015년 2 Q 스마트워치 출하량 및 시장 점유율 현황]

2015년 하반기 주요 업체의 스마트워치 라인을 살펴보면, 삼성전자는 저장 공간과 디스플레이 해상도를 크게 강화한 ‘기어A’를 출시할 예정이며,

LG전자는 전세계 최초로 LTE 통신이 가능하여 배터리용량을 강화한 ‘어베인 LTE’를 출시할 예정임

또한 다수의 중국업체들도 스마트워치 시장에 진출할 것으로 TCL은 안도르이드 OS와 애플 iOS를 모두 지원하는 ‘TCL워치’, 화웨이는 실제 클래식한

비슷하게 디자인한 ‘화웨이워치‘, ZTE는 ‘ZTE블루워치‘의 후속모델을 연내에 출시할 예정

1. 스마트워치 시장 전망

17

2. 스마트워치 시장 전망

스마트워치 시장은 휴대폰 제조업체 측면에서는 최근 둔화되고 있는 휴대폰 수요를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수익원이 될 수 있는 기회요소이며, 非휴대폰

제조업체 측면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업 진출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제공하고 있음

현재 스마트워치는 스마트폰의 보조적인 역할 및 헬스케어 밴드의 업그레이드 형태였으나 점차 스마트폰 기능을 다수 수행 가능하여 스마트폰의 대체제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음

이에 따라 스마트워치가 독립적인 휴대폰으로 성장하기 위해선 화면 크기의 한계, 활용할 수 있는 앱 증대, 배터리 용량 등을 보안한다면 향후 스마트워치

시장은 스마트폰 시장만큼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출처: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스마트워치 시장 현황과 전망(2015.08), 세티즌(삼성 기어 LiveSamsung gear Live)

2. 시사점

18

#. Appendix - 스마트워치 사양 비교

출처: 각사, 연합뉴스(2015.03)

삼성 기어 S 애플 워치 LG 어베인

출시일 2014년 11월 2015년 4월 2015년 4월

운영체제 타이젠 iOS8 LG 웨어러블 플랫폼

연동 스마트폰 갤럭시 스마트폰 iOS 8.2 설치 아이폰 안드로이드 4.3 이상

프로세서 듀얼코어 1.0GHz Apple S1 쿼드코어 1.2GHz

네트워크 3G , WiFi 블루투스 LTE

자체 통화 기능 3G 방식 없음(아이폰 연동으로 가능) LTE방식

센서9축(자이로/가속도/나침반)심박센서/기압센서/자외선센서/

주변광센서

9축(자이로/가속도/나침반)심박센서/주변광센서

9축(자이로/가속도/나침반)심박센서/기압센서/자외선센서/

주변광센서

19

Market Issue 스마트워치시장현황과전망

휴대폰평균사용기간분석

20

휴대폰 평균사용기간 분석

1. 국내 휴대폰 이용자의 평균 사용기간

KISDI 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 10.172명 중에서 9,413명이 휴대폰을 보유하고 있다고 응답하여 92.4%가 보유하고 있으며, 3명 중 1명은 1년째

휴대폰을 교체하지 않고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남

전체 응답자 90% 이상이 휴대폰 평균 사용기간이 3년 이내로 나타났으며, 이는 국내 이동통신사에서 제공하는 휴대폰 약정계약 기간(24개월, 36개월)이

사용자들의 평균 휴대폰 사용기간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임

출처: 정보통신정책연구원, 휴대폰 평균사용기간 및 교체시기 분석 (2015.07)

[휴대폰 사용기간 분포]

21.9%

33.9%

25.0%

10.5%

5.4%3.3%

1년 미만 1년 2년 3년 4년 5년 이상

21

2. 스마트폰/일반 휴대폰에 따른 평균 사용기간

휴대폰 사용기간을 연령별로 살펴보면, 10대에서 40대까지는 1년 2개월에서 1년 5개월로 평균 사용기간 보다 다소 짧은 사용기간을 보인 반면, 50대는

1년 9개월, 60대는 2년 5개월 등으로 나타나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휴대폰 사용기간이 길어지는 경향을 알 수 있음

연령대가 낮을수록 스마트폰 보유율은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대가 높을수록 스마트폰 보유율은 낮게 나타남. 여기서 특이점은 60대가 50대보다 스마트폰

보유율이 더 높게 나타남

연령대 스마트폰 보유비율 일반 휴대폰 보유비율 평균 사용기간

10대 미만 66.0% 34.0% 10개월

10대 91.6% 8.4% 1년 3개월

20대 99.3% 0.7% 1년 2개월

30대 97.2% 2.8% 1년 3개월

40대 72.1% 7.1% 1년 5개월

50대 27.9% 27.9% 1년 9개월

60대 36.5% 63.5% 1년 5개월

70대 이상 13.8% 86.2% 2년 10개월

[스마트폰/일반 휴대폰 보유에 따른 휴대폰 평균 사용기간]

출처: 정보통신정책연구원, 휴대폰 평균사용기간 및 교체시기 분석 (2015.07)

휴대폰 평균사용기간 분석

22

3. 휴대폰 유형별 평균 사용기간

휴대폰 유형별 평균 사용기간을 비교해 본 결과, 스마트폰은 평균 1년 2개월, 일반 휴대폰은 평균 3년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스마트폰에 비해 일반

휴대폰이 평균 사용기간이 2배 이상 긴 것으로 조사됨

휴대폰 유형별로는 2G 일반 휴대폰 이용자들이 3년 8개월을 평균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다른 휴대폰 유형들 보다 가장 길게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음.

이번 조사를 통해서 휴대폰 유형별에 따라 휴대폰 평균 사용기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일 할 수 있었음

3년 8개월

2년 9개월 3년

1년 11개월 1년 1개월

3개월

2G 일반휴대폰 3G 일반휴대폰 PDA폰 3G 스마트폰 LTE 스마트폰 LTE-A 스마트폰

2G 일반휴대폰 3G 일반휴대폰 PDA폰 3G 스마트폰 LTE 스마트폰 LTE-A 스마트폰

일반 휴대폰

스마트폰

1년 2개월

3년

[휴대폰 유형별 평균 사용기간]

출처: 정보통신정책연구원, 휴대폰 평균사용기간 및 교체시기 분석 (2015.07)

휴대폰 평균사용기간 분석

23

스마트워치 보유자의 휴대폰 평균 사용기간은 7개월로 조사된 반면, 스마트와치 미보유자의 경우 평균 1년 7개월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스마트워치

보유자가 미보유자 보다 평균 사용기간이 짧은 것으로 나타남

이는 스마트워치가 아직 보편화 되지 않은 점, 스마트워치 보유자의 경우 얼리어답터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 상대적으로 짧은 핸드폰 교체주기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됨

7개월 1년 7개월

스마트워치 보유자 스마트워치 미보유자

[스마트워치 보유 여부에 따른 휴대폰 평균 사용기간]

출처: 정보통신정책연구원, 휴대폰 평균사용기간 및 교체시기 분석 (2015.07)

휴대폰 평균사용기간 분석

4. 스마트워치 보유에 따른 휴대폰 사용기간

24

Global Market Issue 美온라인뉴스사이트에서뉴스를소비

젊은여성들은모바일뉴스를선호

25

美 온라인 뉴스 사이트에서 뉴스를 소비

뉴스 구독자들은 최근 온라인을 통해서 빈번하게 기사를 확인

미국 신문협회(NAA)의 자료에 따르면, 2015년 3월 미국 디지털 뉴스 구독자들을 모든 시간대에 높은 이용률을 보였으며, UV는 1억 7,600명, 인터넷

이용자의 80% 이상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전년 대비 1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최근 연구를 기반으로, 웹 이용자들은 뉴스 소식을 정리하기 위해 다른 어떤 채널보다 디지털 사이트를 더욱 빈번하게 의지하는 것으로 나타남

AYTM Market 리서치에 따르면, 미국 인터넷 이용자의 거의 40%가 온라인 뉴스 사이트를 통해 뉴스를 종종 읽는다고 응답하였으며, 종이신문을

이용한다는 응답이 16.2%로 2번째로 높게 나타남

이번 연구로 AYTM은 미국 인터넷 이용자들은 뉴스 플랫폼을 선택할 때 편리성이 가장 크게 영향을 준다는 것을 발견했음

출처: AYTM Market Reserch (2015.03)

[미국 인터넷 이용자들이 빈번하게 이용하는 뉴스 구독 채널]

※ 주석: 18세 이상 400명 기준

39.5%

16.2%

11.5%

10.7%

9.7%

41.7%

29.0%

35.5%

30.0%

24.5%

13.5%

33.7%

31.7%

27.0%

23.2%

5.2%

21.0%

21.2%

32.2%

42.5%

온라인 뉴스 사이트

종이 뉴스

잡지

블로그

모바일 앱

종종 때때로 드물게 거의

26

젊은 여성들은 모바일 뉴스를 선호

미국 디지털 뉴스 구독자들은 꾸준히 증가 추세

ComScore가 미국 신문협회(NAA)를 위해 실시한 리서치에 따르면, 미국 디지털 뉴스 구독자들은 2014년 10월 또 다른 기록을 세운 것으로 나타남

전체 UV는 전년 대비 17% 상승하여 1억 6,600만명으로 나타났으며, 미국의 성인 인터넷 이용자의 10명 중 8명이 디지털 뉴스 콘텐츠를 살펴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성별, 연령별로 살펴보면, 젊은 여성들 높은 상승률을 보임. 18~24세 여성들 중 오직 모바일을 통해서 뉴스 콘텐츠 이용 성장률은 2013년 10월에서

2014년 10월 사이에 173% 급증함. 같은 연령층의 남성(67%)들과 비교해보면 월등히 높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음

그러나, 25~34세 남성의 경우 112%로 모든 범주에서 2번째로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35~44세의 경우는 성별에 따른 별 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음.

출처: ComScore (2014.12)

[미국 모바일 뉴스 구독자*성장률]

142

148

147

146

145

161

155

153

155

157

164

164

166

2013년 10월

11월

12월

2014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67%

112%

89%

63%

13%

70%

173%

82%88% 83% 86%

98%

18~24 25~34 35~44 45~54 55+ 전체

남 여

[미국 디지털 뉴스 구독자 수]

단위: 백만, UV

※ 주석: 18세 이상 오직 모바일로 뉴스 콘텐츠를 이용하는 인터넷 이용자

27

Creative Campaign 그린토스터프로젝트–G마켓

Sound Bite -KFC

Unskippable -Geico

The Social Catalog -BILLA

28

< Campaign Overview >

• Period : 2015년 8월

• Nation : 한국

• Rundown : 현대인들의 필수품인 스마트폰의 세균이 프로젝트의

대상이 되면서 이 세균을 없애기 위해 개발된 ‘그린토스터’

• 커피를 주문하고 기다리는 동안 그린토스터 안에 모바일을 넣고 G마켓

앱을 작동 시키면 자동으로 uv살균됨으로써, 카페라는 공간적 특징과

즐거운 경험이라는 메타포가 만나 즐거운 체험을 제공한 캠페인

그린토스터 프로젝트 – G마켓

관련 링크: https://youtu.be/4Ful8wSIhZc

29

< Campaign Overview >

• Period : 2015년 7월

• Nation : 남아프리카 공화국

• Rundown : 메인 타켓을 대상으로 KFC 매장 내 테이블에 음악이

흐르는 장치를 활용한 디지털 마케팅 캠페인을 진행

• 음악을 들은 손님은 자신의 스마트폰에 음악을 등록할 수 있으며,

소셜미디어를 통해 친구들과 공유할 수 있게 함

Sound Bite - KFC

관련 링크: https://youtu.be/wM_Df7YmaJY

30

< Campaign Overview >

• Period : 2015년 2월

• Nation : 미국

• Rundown : 광고 영상을 스킵할 수 있는 5초 이전에 하고 싶은

이야기를 다 전한 ‘Unskippable Ad’ 시리즈 영상 제공

• 광고를 스킵하지 않고 광고 영상을 감상하도록 새로운 아이디어가

접목된 프리롤 광고 사례로써 유튜브 광고 특징을 잘 활용함

• 광고 영상 속 모델들의 동작이 정지되어 있는데 이는 실제로 정지된

것이 아니라 정지된 것처럼 연기하여 시청자의 시선을 사로잡아 영상을

끝까지 보도록 유도함

Unskippable - Geico

관련 링크: https://youtu.be/pvcj9xptNOQ

31

< Campaign Overview >

• Period : 2014년 12월

• Nation : 루마니아

• Rundown : 페이스북 페이지에서 좋아요를 많이 받은 상품을 BILLA

매장에서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브랜드와 인터렉션하는

방법으로 캠페인 진행

• 캠페인을 통해 페이스북 페이지 팬 수는 22배 증가하였고 경쟁사 대비

월등히 높은 페이스북 인터렉션을 기록함. 또한 실제 매출로 이루어져

캠페인 당시 2.5배의 매출이 증가함

The Social Catalog - BILLA

관련 링크: https://youtu.be/O-M7FGt_QgI

32

Media News 네이버

다음카카오

구글

33

- 네이버 쇼핑 모바일 ‘쇼핑핫딜’ 서비스에쿠팡이 함께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함

- 이번 쿠팡의 입점으로 소셜커머스 3사 및오픈마켓, 대형마트, 종합몰 다양한 쇼핑몰에흩어져 있던 핫딜 정보를 모두 모아서 제공받을 수 있게 됨

- 핫딜 서비스 강화는 같은 상품을 더 저렴한가격에 구매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기본적인니즈를 반영한 것이라고 밝힘

네이버, 쿠팡과 핫딜 정보 제공 서비스 시작

- 네이버가 주요 택배사들의 배송 정보 조회서비스까지 제공하면서 쇼핑 검색 서비스를강화하고 있음

- 네이버 택배 배송조회는 주요 30여개택배사들의 배송현황을 제공하는 서비스로국내뿐 아니라 해외 쇼핑몰에서 구매한 상품배송조회도 가능함

- 개인 송장 번호만 있으면 택배 회사의홈페이지를 검색할 필요 없이 현재 자신이주문한 상품의 위치를 확인 할 수 있음

- 이에 기본적인 제품 정보부터 결제와 택배조회 등 사용자들이 쇼핑에 필요한 모든정보와 서비슬 제공하면서 온라인 쇼핑시장을 장학하기 위한 행보를 강화하고 있음

네이버,택배 배송 조회까지 쇼핑 검색 서비스 강화

출처: 매체공지, 기사자료

- 네이버가 내비게이션, 블랙박스,위치기반서비스(LBS) 등 차량용 서비스를제공하는 현대자동차그룹 현대엠엔소프트와자동차 관련 IT 서비스 강화를 위한 전략적제휴를 체결

- 양사는 커넥티비티(Connectivity) 솔루션 및지도/내비게이션 분야에 대한 공동협력하기로 하여 협력을 통해 상호 서비스가치 창출과 경쟁력 제고에 나설 계획임

- 네이버는 거리뷰, 지역검색 등의 풍부한컨텐츠 역량을 현대엠엔소프트는 차량용인포테인먼트 노하우를 공유하며, 보다경쟁력 높은 신규 서비스를 선보일 수 있을것으로 기대됨

네이버, 자동차 IT 서비스 진출

34

- SNS을 분석해 최근 화제인 여행지를순위별로 소개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인‘트래블라인’을 선보임

- 카카오스토리, 인스타그램 등 SNS에서이용자들이 남기는 여행 기록을 분석해 현재여행객들이 가장 많이 방문하고 이야기하는장소를 인기 순위별로 소개해주는 서비스임

- 실시간에 가까운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순위 정보를 업데이트 함

인기 여행지 소개 앱 '트래블라인' 출시

- 다음카카오가 이모티콘 스토어에추천서비스를 도입하였으며, 이모티콘을주제별로 찾을 수 있게 저인터페이스(UI)를개편

- 이번 개편은 2년만에 진행된 대규모 개편으로이용자는 원하는 이모티콘을 쉽고 빠르게찾고 창작자도 자신 작품을 더 많은이용자에게 알릴 수 있게 노출을 높였음

- 2000여종에 달하는 이모티콘을카테고리별로 분류하였으며, ‘실시간 급상승’ 영역을 추가하여 가장 뜨겁게 주목받고 있는이모티콘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음

다음카카오, 이모티콘 추천서비스 도입 구글앱스 지메일-캘린더 연동 강화

출처: 매체공지, 기사자료

- 구글은은 구글앱스사용자들이 지메일과캘린더를 보다 긴밀하게 연동해 사용할 수있도록 업그레이드를 준비 중

- 구글 지메일로 비행기 티켓, 레스토랑 예약,호텔 예약 정보 등을 받을 경우 자동으로 구글캘린더 일정에 추가 될 예정임

- 업데이트될 새 기능은 지메일 계정으로 받은메일 정보를 읽어 구글 캘린더에 자동으로이벤트를 추가해 주는 것임

35

Media New Ad 캐시슬라이드_가을특별프로모션

아프리카TV_LOL 멸망전2015

네이버_모바일메인띠배너사이즈변경안내

ZAPP_케이블방송채널전환신규매체

애드투페이퍼_파일프로모션상품소개

36

9-10월 가을 기간 다양한 파격 혜택 제공

적용 기간: 2015년 가을 (9~10월), 집행 기준

상품안내

캐시슬라이드_가을 특별 프로모션

>> 1. 특별 단가 할인 프로모션

>> 2. 신규 타겟팅 상품 안내

30초 이하 동영상에 대해

시청당 50원 균일가 제공

① 동영상 상품

전략 업종 광고주 대상

추가 서비스 10% 제공

② 전략 업종

00시 ~ 07시 노출형 광고

CPC 30원 균일가 제공

③ 새벽 구간

주요 정밀 타겟팅 할증율

20~70% 수준으로 인하

④ 정밀 타켓팅

※ CPC 노출형 상품만 가능※ 노출형(CPM/CPC) 상품에만 해당 ※ 노출형(CPM/CPC) 상품에만 해당

① 광고 리타겟팅

- 단가: 정상 단가 대비 100% 할증

CPM 16,000원 (예산 구간별 서비스율 적용 가능)

- 집행조건: 모수 확보 집행 필수 (직전 1개월 5천만원 이상)

리타겟팅 집행 예산은 최소 집행 금액 월 500만원 (기존 정책과 동일)

다른 타겟팅 동시 적용 불가 (모수 확보시에는 적용 가능)

: 자사 광고에 반응을 보인 유저들에게

재노출을 통해 전환율을 향상

※ 노출형(CPM/CPC) 상품에만 해당

② Hybrid 리타겟팅

- 단가: 정상 단가 대비 50% 할증

CPM 12,000원 (예산 구간별 서비스율 적용 가능)

- 집행조건: 최소 집행 금액 월 2천만원

다른 타겟팅 동시 적용 불가 (모수 확보시에는 적용 가능)

: 캐시슬라이드 내 컨텐츠/광고 반응 성향을 반영하여

관심사가 유사한 유저들에게 우선 노출하는 상품

※ 노출형(CPM/CPC) 상품에만 해당

37

BJ LOL 멸망전 2015 스폰서 패키지 상품 소개

상품 판매 시기: 2015년 8월

영역: PC&모바일, 모바일(아프리카TV 모바일 앱), PC

단가: 메인 스폰서십 5억원, 동아시안컵 생중계 중간광고 1구좌 당 5,000만원(2구좌 운영)

상품안내

아프리카TV_LOL 멸망전 2015

상품 구분 영역 광고크기 노출 비고

PC & 모바일

공식 방송 내 로고 송출(멸망전 공식 방송)

별도 협의 메인 광고주 독점 상시 노출/ 클릭불가

본선 생중계 중간 광고(멸망전 공식 방송)

별도 협의 _

오프라인 홍보(멸망전 공식방송)

_ _

LOL BEST BJ_AD타임(LOL 카테고리 타겟팅)

640*360SKIP 불가, 강제 노출

15초 or 30초

모바일(아프리카TV App.)

상단 띠배너 좌측 로고(2015 멸망전 특집페이지)

별도 협의 메인 광고주 독점 _

가로형 띠배너(2015 멸망전 특집페이지)

608*100 메인 광고주 독점 페이지에 따라 위치 다름

라이브 프리롤(멸망전 / LOL 카테고리 타겟팅)

640*360 초수 제한 없음

PC

상단 브랜딩 TI(에정)960*53

(예정)960*403메인 광고주 독점 _

스폰서 배너(멸망전 / LOL 카테고리 타겟팅)

440*38 _

라이브 프리롤(멸망전 / LOL 카테고리 타겟팅)

640*360 15초 or 30초

라이브 포스트롤(멸망전/ LOL 카테고리 타겟팅)

640*36015초 or 30초

>> BJ LOL 멸망전 2015 스폰서 패키지 광고 상품

※ AOS장르 게임 집행 불가

※ 아프리카TV 사정에 의하여 지면이

변경 될 수 있음

38

모바일 띠배너 사이즈 변경 및 브랜딩 배너로 이름 상품명 변경

변경 시기: 2015년 8월

영역: 모바일 메인 띠배너

변경 내역: 모바일 메인 띠배너 -> 모바일 메인 브랜딩 배너로 명칭 변경

640*100 -> 640*170으로 사이즈 확대

상품안내

네이버_모바일 메인 띠배너 사이즈 변경 안내

▶ 기존: 640*100

이미지형

배너크기 640*170

파일용량 100kb

파일포맷 기본 배너 이미지: PNG-24,JPG / 확장영역 이미지: PNG-24

소재전달1. 기본 배너 이미지 1개 (640*170)2. 확장영역 이미지 1개(1*170)

▶ 변경: 640*170

39

채널 변경 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전송 지연 시간을 활용하여 광고 이미지를 표시하는 광고 시스템

노출 대상: C&M케이블, 티브로드 케이블 총 240만 가구(2015년 8월기준)

Reach & Frequency: 평균 60%의 도달율, 평균 16~21회 빈도로 노출됨

노출 효과: 시청자가 채널을 변경하는 동안 시선이 TV화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 때 광고 이미지를 노출시킴으로써 기존 광고 컨텐츠의

낮은 집행 비용으로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음

매체안내

ZAPP_케이블 방송 채널 전환 신규 매체

TV CM의 장점을 그대로 이어 받음 TV CM 및 인터넷 광고의 단점을 모두 보완

- 광고 도달률에 대한 구체적 자료 제공 가능

- 광고 주목도가 프로그램 앞/뒤 및 PPL보다 우수함

- 광고 컨텐츠의 빈번한 Update 가능

- 가입자/지역/시간대에 따른 광고 차별화 가능

- 수동적인 시청자까지 커버리지 확대

TV시청이 가능한 모두에게 광고 도달 가능

- 가장 많은 사용자

- 가장 긴 사용 시간

- 가장 큰 광고 시장

40

모바일과 오프라인을 동시에 노출 가능한 파일 프로모션

상품 판매 시기: 2015년 8월

상품 특징: 대학생들에게 필요한 파일을 배포함으로써 꾸준한 브랜딩 효과 기대, 디자인은 광고주가 원하는 형태로 진행 가능

단가: 15,000,000원, 22,500,000원

상품안내

애드투페이퍼_파일 프로모션 상품 소개

상품 노출규모 집행규모/방안 기간 예산(VAT별도)

앱 내 지면 노출 12.5만 PV 인증 이벤트 캠페인 또는 관련 페이지 내용 앱 내 게시 1주

500원 / 개

포함 내용 집행규모/방안 기간

파일 제작 디자인 및 문구 등 기본적인 내용 전달 시 제작 가능

최대 4주파일 배송 학교별로 배송 및 관리자 교육

파일 배포 관리자들이 직접 학생들에게 파일 배포

>> 상품 1안 : 3만장 배포(수도권) – 15,000,000원(VAT별도)

상품 노출규모 집행규모/방안 기간 예산(VAT별도)

앱 내 지면 노출 약 50만 PV 인증 이벤트 캠페인 또는 관련 페이지 내용 앱 내 게시 1주

450원 / 개

푸쉬 약 24만 전체 회원 대상 PUSH 1회 서비스 1회

현장 디스플레이 1구좌 애드투페이퍼 전용 PC 디스플레이 지원 2주

포함 내용 집행규모/방안 기간

파일 제작 디자인 및 문구 등 기본적인 내용 전달 시 제작 가능

최대 4주파일 배송 학교별로 배송 및 관리자 교육

파일 배포 관리자들이 직접 학생들에게 파일 배포

>> 상품 2안 : 5만장 배포(전체) – 22,500,000원(VAT별도)

※ 상품 진행기간: 최대 2주일

※ 타겟팅 유무에 따라 노출규모는 달라질 수 있음

※ 파일 제작비, 배송비 포함 가격

41

운영플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