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
사회제도신뢰의 인과구조에 대한 미 비교연구 : 단체참여와 사회적지원의 매개효과분석 김 상 돈|성균관대학교 학부대학강사 이 연구는 사회경제적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 지원 사회제도신뢰 사이의 복합적 관계를 규 , , , 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사회적 자본의 개념에 대한 이론적경험적 맥락에서 논의한 후 . , 각기 다른 맥락적 특성을 지닌 한국과 미국 양 국가를 선정하여 국제 사회종합조사 자료모듈 (ISSP) 자료를 대상으로 검증하였다 KGSS 2004 GSS 2001 . 모형검증의 분석결과 첫째 사회단체참여는 한국에서 사회제도신뢰에 대한 유의미하지 않은 상관 , , 관계와 유의미한 정 의 인과관계로 작동하는데 비해 미국에서는 상관 및 인과관계 모두 유의미하 (+) 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단체참여가 한국에서 사회적 지원의 연결망활용에 강한 정 의 인과적 영 . , (+)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미국은 약한 정 의 인과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 , (+) 났다 셋째 사회단체참여의 중요한 인과변인인 사회경제적 지위는 양 국가 모두 강한 정 의 인 . , (+) 과적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넷째 사회경제적 지위는 사회적 자본의 두 가지 구성개념 사회제도신 . , ( 뢰 및 사회적 지원 에 대한 인과적 영향은 사회단체참여에 의해 매개되었다는 사실 또한 이 연구에 ) 서 밝혀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는 각기 다른 구조적 특성을 지닌 한국과 미국 양 국가를 대상 으로 사회적 자본의 불평등 개인적 차원에서의 사회적 자본 사회연결망 등을 다차원적으로 비교분 , , 석하여 제시되었으며 또한 이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발전적 제언도 설명되었다 , . 주제어 사회경제적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 지원 사회제도신뢰 한국종합사회조사 : , , , , , 미국종합사회조사 국제종합사회조사 , 국제 지역연구 가을 15 3 2006 pp. 125-159

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 미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64/1/5.%e1%84%80%e1...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미비교연구:

  • Upload
    others

  • View
    3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 미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64/1/5.%e1%84%80%e1...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미비교연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단체참여와13 사회적지원의13 매개효과분석

김상돈|성균관대학교13 학부대학강사

이 연구는 사회경제적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 지원 사회제도신뢰 사이의 복합적 관계를 규 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사회적 자본의 개념에 대한 이론적경험적 맥락에서 논의한 후 각기 다른 맥락적 특성을 지닌 한국과 미국 양 국가를 선정하여 국제 사회종합조사 자료모듈(ISSP) 인 와 자료를 대상으로 검증하였다KGSS 2004 GSS 2001

모형검증의 분석결과 첫째 사회단체참여는 한국에서 사회제도신뢰에 대한 유의미하지 않은 상관 관계와 유의미한 정 의 인과관계로 작동하는데 비해 미국에서는 상관 및 인과관계 모두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단체참여가 한국에서 사회적 지원의 연결망활용에 강한 정 의 인과적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미국은 약한 정 의 인과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셋째 사회단체참여의 중요한 인과변인인 사회경제적 지위는 양 국가 모두 강한 정 의 인 (+)과적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넷째 사회경제적 지위는 사회적 자본의 두 가지 구성개념사회제도신 (뢰 및 사회적 지원에 대한 인과적 영향은 사회단체참여에 의해 매개되었다는 사실 또한 이 연구에)서 밝혀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는 각기 다른 구조적 특성을 지닌 한국과 미국 양 국가를 대상으로 사회적 자본의 불평등 개인적 차원에서의 사회적 자본 사회연결망 등을 다차원적으로 비교분 석하여 제시되었으며 또한 이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발전적 제언도 설명되었다

주제어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한국종합사회조사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미국종합사회조사 국제종합사회조사13

국제지역연구13 권13 호13 가을13 15 3 200613 pp 125-159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26 김상돈

서13 론I

사회적13 신뢰는13 사회세계영역에서13 상호수용과13 사회적13 지원을13 촉진시킴으로

써13 안정적이고13 지속적인13 사회적13 관계의13 양과13 질을13 이끌어가는13 과정으로13 설명

되고13 있다 개인들13 사이의13 관계는13 신뢰에13 기반을13 둘13 때13 정확한13 정보와13 시의13

적절한13 사회적13 지원을13 제공함으로써13 보다13 원만한13 사회적13 관계를13 가능케13 한다

조직수준에서의13 신뢰는13 다른13 (Coleman 1988 DiMaggio amp Louch 1998)

조직과의13 협력관계를13 통하여13 거래비용13 감소13 및13 기회주의13 기능을13 억제함으로

써13 효과성13 및13 적응성을13 향상시킨다 이와13 같은13 사회적13 신(Williamson 1993)

뢰의13 중요성은13 사회제도와13 국민과의13 관계에서도13 동일한13 맥락을13 가지게13 된다

사회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는13 국민과의13 합리적인13 의사소통행위와13 각종13 사

회적13 지원13 및13 사회적13 안정13 등을13 촉진시키고13 불확실성에13 대한13 문제해결능력을13

강화시킴으로써13 사회목표를13 효과적으로13 달성될13 수13 있게13 한다

사회적13 신뢰는13 개인적13 차원에서의13 사회적13 자본으로13 분석될13 수13 있다 개인

적13 차원에서의13 사회적13 자본을13 분석하기13 위한13 노력은13 와13 Bourdieu(1984)

의13 연구13 이후13 다양하게13 전개되어13 왔다 특히13 와13 Coleman(1988) Billet Cambre

는13 벨기에13 플렌디히 지역주민을13 대상으로13 한13 연구에서13 결사(1999) (Flendish)

체참여와13 사회인구학적13 변인 교육 직업위세 성별 연령 등을13 외생변인으로13 ( )

설정하고 이데올로기 정책에13 대한13 관심 정치인신뢰 정치지식13 등을13 내생변

인으로13 하여13 개인적13 차원에서13 사회적자본의13 구성개념들13 사이의13 인과관계를13

구조방정식모형분석으로13 추정한13 대표적인13 연구자이다 또한13 를13 위 Burt(1992)

시한13 등의13 연구자들은13 조사대상자에13 대Portes(1993 1998) Newton(1999)

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사회적13 신뢰 호혜성규범 네트워크 사이의13 인( )

과관계를13 설정하고13 분석했으며 개인적13 차원에서의13 사회적13 자본에13 대한13 분석

을13 강조하고13 있다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13 사이의13 인과관

계를13 비교분석함에13 있어서13 한국과13 미국사회를13 선정한13 이유는13 유교공동체주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27

의와13 합리적13 개인주의13 모델을13 상호13 대비시키면서13 비교사회학적으로13 분석할13

수13 있기13 때문이다 한국사회는13 산업화과정에서13 유교적13 사회질서와13 개인주의13

가치지향이13 매우13 복합적이고13 양면적인13 성격을13 띠고13 있다면 미국사회는13 공동

체적13 지향보다는13 개인주의적13 가치관이13 더욱13 지배적이다 그러나13 양13 국가13 모

두13 개인의13 합리성13 및13 자율성에13 대한13 인식이13 강조되지만13 사람13 및13 제도에13 대한13

부정적13 이미지를13 가지게13 한13 여러13 가지13 요소들 개인들의13 이기주의13 및13 물질만(

능주의 사회제도의13 지대추구행위13 및13 자의적13 권한13 행사이13 존재한다는13 점13 역 )

시13 부인하기13 어렵다 따라서13 각기13 다른13 유교공동체주의와13 합리적13 개인주의모

델에13 기초하여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제도에13 (

대한13 사회적13 신뢰 사이의13 비교를13 시도함에13 있어13 사회구조나13 맥락13 및13 관계적13 )

특성이13 공통적으로13 고려되는13 개인적13 차원에서의13 사회적13 자본이13 요구되며 이

에는13 명확한13 방법론적13 전제가13 선행될13 필요가13 있다 이러한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이13 연구는13 다음과13 같은13 특성을13 지닌다

이13 연구의13 첫13 번째13 특징은13 한국과13 미국에13 거주하는13 사람들의13 사회경제적13

지위교육 직업위세 소득를13 외생변인으로13 하고 사회적자본의13 구성개념인13 ( )

사회단체참여13 및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그리고13 사회제도신뢰를13 내생변

인으로13 설정하여13 사회적13 자본의13 불평등을13 규명한다는13 점에서13 차별화된다 두13

번째13 특징은13 이13 연구의13 매개외생변인인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

망활용13 및13 사회제도신뢰에13 미치는13 단위영향13 및13 매개효과를13 분석하고 매개내

생변인인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이13 사회제도신뢰에13 미치는13 단위영향13 및13

매개효과를13 분석한다는13 점에서13 그13 특성이13 있다 세13 번째13 특징은13 국제사회조

사연합 에서13 시행된13 년13 한(ISSP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rogram) 2004

국종합사회조사 자료와13 년13 미국(KGSS Korea General Social Survey) 2001

종합사회조사 자료모듈을13 활용한다(GSS General Social Survey) KGSS

와13 자료는13 시간과13 공간의13 제약으로부터13 상대적으로13 자유롭2004 GSS 2001

고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과13 인과변인이13 풍부하며 연구결과의13 일반화가능

성을13 증진시키는13 장점을13 지닌다 이러한13 점에서13 볼13 때 이13 연구는13 자료 ISSP

모듈을13 활용한다는13 점에서13 국제비교연구를13 증진시키는13 의의를13 지닌다

따라서13 이13 연구는13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13 활용하여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

128 김상돈

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13 사이의13 복합적13 인과관계를13 규명하는데13

목적이13 있다 이들13 변인사이의13 복합적13 인과관계에13 대한13 분석은13 사회적13 자본

의13 구성개념을13 이론적 경험적13 차원에서13 우선논의한13 후 사회제도신뢰를13 최

종내생변인으로13 설정하고 사회제도신뢰에13 영향을13 미치는13 외생변인을13 사회경

제적13 지위로 사회단체참여13 및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을13 각각13 매개13 외 내생변인으로13 설정하여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의13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의13 양

상과13 수준을13 비교13 검증할13 것이다

이론적13 논의II

사회제도신뢰의13 분석시각1

사회적13 신뢰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핵심적13 구성개념이다 사회적13 자본에13 대한13

연구는13 년대13 후반에13 경제학자13 로우리 에13 의해13 제기된13 이후1970 (Loury 1977)

년대에13 는13 사회적13 자본을13 1980 Bourdieu(1984) ldquo제도화된13 연계와13 관계없이13 상호면식이13 있어13 알고13 지내는13 사이에13 지속적으로13 존재하는13 관계의13 연결망을13 통

해13 얻을13 수13 있는13 실제적이고13 잠재적인13 자원의13 총합rdquo이라고13 정의하였다 콜만

은13 사회적13 자본을13 물적13 자본과13 인적13 자본과의13 구별을13 통해13 개념화하(1988)

였다 부르디외와13 콜만의13 논의13 이후에13 사회적13 자본에13 대한13 연구는13 거시적13 차

원과13 미시적13 차원으로13 양분되어13 본격적으로13 진행되어13 왔다

거시적13 차원에서의13 접근방법은13 사회적13 자본을13 주어진13 사회의13 문화적 조직적13 특성으로13 파악하며13 사회통합과13 신뢰에13 초점을13 맞춘다(Putnam 1993

사회적13 자본의13 분석단위는13 사회13 또는13 집단내부에서13 파악Fukuyama 1995)

한다 반면 개인이나13 집단에서13 형성되는13 관계의13 패턴을13 개인적13 차원에서13 접

근하는13 것이13 미시적13 차원에서의13 사회적13 자본연구이다 는13 사회 Portes(1998)

적13 자본을13 한13 개인에게13 고유하게13 존재하는13 것이13 아니라 그13 개인이13 타인들과13

가지는13 관계들의13 집합에13 내재된13 하나의13 특성으로서13 배태성 의13 (embededness)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29

산물이라13 개념화하였다 린 은13 사회적13 자본을13 행위자가13 자신이13 속 (Lin 2001)

한13 집단13 즉13 연결망13 속에13 있는13 자원에13 접근함으로써13 얻을13 수13 있는13 자산으로13

정의하였다 이들의13 주된13 주장은13 대면적13 상호작용 구조적13 공백 배태성13 등과13

같은13 사회13 연결망의13 구조적13 특징으로13 정의된다 결국13 사회적13 자본에서13 제시

한13 핵심적13 구성개념은13 사회13 연결망과13 사회적13 신뢰이다

사회13 연결망과13 사회적13 신뢰사이의13 인과관계는13 대체로13 사회적13 신뢰를13 결과

변인으로13 간주하는13 것이13 일반적13 견해이다 사회적13 신뢰는13 사회적13 관계를13 전

제로13 그13 관계13 속에서13 존재하며 신뢰가13 있음으로13 해서13 관련행위자들은13 협동

을13 할13 수13 있고13 감시와13 통제비용을13 줄일13 수13 있다는13 점에서13 신뢰는13 가장13 중요

한13 사회적자본의13 결과로13 설명된다(Zucker 1986 Gambetta 1988 Coleman

사회적13 신뢰의13 개념은13 대상에13 따라13 사람에13 대한13 신뢰1988 Paxton 1999)

와13 제도에13 대한13 신뢰로13 구분된다 사람에13 대한13 신뢰는13 특정(Giddens 1990)

한13 사람과13 불특정한13 타인에13 대한13 신뢰의13 개념으로서13 과거의13 신뢰경험으로부

터13 영향을13 받는다 한편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는13 어떤13 공동체내에서13 그13

공동체의13 다른13 구성원들이13 보편적인13 규범에13 기초하여13 규칙적이고13 정직하며13

협동적인13 행동을13 할13 것이라는13 기대로13 정의된다 이를13 구체적으로13 살펴보면

은13 제도신뢰를13 사랑 권력 돈과13 같은13 상호소통13 매개체를13 통해13 Luhman(1988)

정치 경제의13 사회기능체계가13 적절하게13 작동할13 때13 생기는13 믿음이라고13 주장하

였다 이들이13 제시한13 제도신뢰13 개념은13 제도학파의13 제도화13 과정으로13 해석하면13

다소13 모호한13 것은13 사실이나 현실적으로13 구체화된13 제도로서13 국가기구나13 기업

과13 언론13 등13 사회기관으로13 정의하면13 개념적13 한계를13 벗어나13 경험적13 분석이13 가

능하다 따라서13 제도신뢰는13 공적신뢰로13 개념화할13 수13 있으며 공적13 신뢰란13 사

회제도의13 주요영역으로서13 국가 시장 시민사회13 등13 주요13 조직이나13 규범에13 대

한13 신뢰를13 의미한다 이상의13 제도신뢰에13 대한13 개념적13 설명(Sztompka 1999)

과13 이13 연구의13 분석대상인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의13 사회적13 신뢰에13 대한13 구조적13

특성은13 각기13 다른13 유교공동체주의와13 합리적13 개인주의13 모델을13 통해서13 맥락적

으로13 설명할13 수13 있다1

1 유교공동체주의와13 합리적13 개인주의13 모델로13 선정한13 이유는13 국가에13 고유한13 어떤13 개념

을13 만들어13 매우13 복잡한13 사회현실로부터13 추상화하여13 그13 국가의13 맥락적13 설명을13 강조하

130 김상돈

유교공동체주의13 모델에서는13 인간관계와13 사회를13 매개하는13 것이13 권리가13 아

닌13 도덕이라고13 보며 유교적13 이상은13 인간의13 이성을13 통하여13 공공선을13 실천할13

수13 있다고13 본다 이러한13 점에서13 도덕적인13 지식을13 터득하고13 이를13 실현시키는13

기제는13 바로13 국가로13 해석된다 다시13 말해 국가는13 바로13 사회지도층이13 운영하

는13 것으로13 사회기강을13 세우고13 도덕적으로13 계도하는13 주체로13 간주되어왔다국(

민호 유교국가론을13 지향해온13 한국사회는13 세기에13 일제강점기 미군 1997) 20

정 한국전쟁 압축적13 근대화13 등의13 과정을13 겪어오면서13 한국적13 질서13 및13 예의를13

유지해주던13 유교13 문화적13 전통과13 사회지도층의13 신뢰가13 희박해져가는13 반면에

서구의13 근대13 및13 탈근대이념은13 왜곡된13 형태로13 수입되어13 전통과13 근대13 그리고13

탈근대13 등이13 혼재되어13 공존하고13 있을13 뿐만13 아니라 시장제도13 구축의13 미비13 때

문에13 행위와13 제도간의13 심각한13 괴리를13 경험하고13 있다 한편 합리적13 개인주의

모델의13 핵심은13 개인의13 합리성과13 자율성에13 기초한다 개인의13 자율성을13 유지해

주는13 기제가13 바로13 시장이다 미국인에게13 있어13 시장이란13 개인의13 자율성과13 자

유를13 지켜주는13 영역으로13 국가와13 정부보다13 우월한13 기제이다 예컨대 초기13 산

업사회시기부터13 년대까지13 미국은13 고신뢰사회로서13 전혀13 면식이13 없는13 지1980

역의13 거래당사자들과13 거래도13 가능할13 정도로13 사회적13 신뢰가13 확고하였다 그러

나13 미국사회는13 노동시장의13 유연화 우익진영의13 극단론걸프전쟁 이라크전 (

쟁 지방정부의13 재정위기마이애미 워싱턴 뉴욕13 등 및13 정책실패13 등으로13 ) ( )

인해13 사회제도신뢰가13 점차적으로13 약화되고13 있다(Putnam 1993 Fukuyama

사회제도에13 대한13 신뢰가13 약화되고13 있다는13 점은13 1996 Billet et al 1999)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의13 공통된13 추세임에도13 불구하고13 도덕과13 합리성 국가와13

시장 공동체주의와13 개인주의13 등의13 상호배타적13 특성이13 현저하게13 대립된다

이처럼13 대조적인13 한국과13 미국13 양국의13 특성차이가13 이13 연구의13 최종내생변인인13

사회제도신뢰와13 관련하여13 일정한13 변이를13 유발할13 것임을13 예상할13 수13 있다2

기13 위함이다

2 이러한13 주장의13 경험적13 근거로13 후쿠야마 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유무13 및13 (Fukuyama 1995)

높고13 낮음을13 국가13 및13 사회발전의13 관건이라13 하며 동아시아의13 유교권13 국가는13 차13 집단13 1

및13 연고13 집단13 위주의13 결속력이13 강하여13 제도보다는13 사람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게13

나타난13 반면에 서구선진국들은13 가족13 및13 친척범위를13 초월한13 사회단체와의13 연대적13 능

력이13 상대적으로13 강하여13 사회제도신뢰가13 높다고13 제시하였다 또한13 세계가치조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1

이상의13 논의에서13 사회제도신뢰는13 사회적13 관계에서13 형성되기13 때문에13 대칭

적13 이라기보다는13 비대칭적이다 왜냐하면 사회제도신뢰는13 대면적13 상호작용

과13 성찰적13 인지과정을13 통해13 형성되는13 메커니즘이기13 때문이다 Newton(1997)

과13 는13 사회적13 신뢰의13 인과기제를13 사회적으로13 이질적이고13 포괄적Portes(2000)

인13 집단과의13 대면적13 상호작용을13 통해13 형성되며 이13 제시 Putnam(1993 1995)

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인13 네트워크와13 규범13 및13 결과는13 상이하게13 구성되어13

있음을13 그들은13 주장하였다 따라서13 이13 연구에서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을13 각각13 원인과13 결과로부터13 구분하여13 개인의13 심리적13 태도변수인13 사회제도신

뢰를13 결과변인으로13 설정하며 사회제도신뢰는13 개인의13 사회경제적13 지위에13 기

초하고13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을13 인과구조로13 구체화시

킨다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2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교육 직업 소득13 등13 위계적으로13 구조화된13 체계로서13 각

기13 다른13 삶의13 기회와13 생활양식을13 가지게13 되며 이렇게13 각기13 다른13 조건들은13

개인의13 가치관13 및13 사회적13 태도 그리고13 사회적13 행위에13 영향을13 미친다 사회경

제적13 지위에13 따른13 사회단체참여13 및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그리고13 사회

제도신뢰사이의13 인과관계를13 분석한13 기존연구결과는13 다음과13 같다

첫째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인과적13 영향을13 분석한13 기

존연구결과를13 살펴보면 미국사람들의13 사회참여를13 조사한13 연구결과 (Brehm

에서13 단체참여에13 결정적으로13 중요한13 인과적13 요인은13 높은13 and Rahn 1997)

교육 높은13 가계수입 좋은13 직장13 등13 사회경제적13 지위이다 교육과13 소득수준은13

결사체참여에13 가장13 영향력13 있는13 인과변인으로서 교육수준이13 높은13 사람이13 낮

를13 활용한13 장수찬 의13 연구에서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World Value Survey) (2002)

두13 군대 경찰 행정부 사법부 입법부13 순으로13 정치제도가13 높은13 신뢰를13 받는13 것으로13

분석되었으나 사회기관에13 대한13 신뢰의13 경우13 한국은13 환경운동기구 여성운동기구 언

론 기업13 순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은13 기업 환경운동 여성운동기구 언론13 순으로13

나타났다 장수찬( 2002)

132 김상돈

은13 사람에13 비해13 결사체참여가13 높게13 나타났다(Verva Schlozman Brady

직업지위와13 관련해서도13 전문직 사무직13 종사자13 혹은13 자영업자들이13 생1995)

산 기능 노무직에13 종사하는13 사람들보다13 상대적으로13 단체참여에13 보다13 적극적인13 것으로13 나타났다 따라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Inglehart 1999)

람들은13 사회단체참여가13 높으리라고13 판단된다

둘째 사회경제적13 지위와13 사회적13 지원사이의13 인과관계13 틀은13 주로13 사회연결

망의13 연구자들에13 의해서13 규명된다 는13 교육 직업지위 수 Granovetter(1982)

입13 등의13 계층적13 위치가13 높을수록13 직장동료 이웃 아는13 사람13 등의13 약한13 연계

에13 의존하는13 반면에 사회계층이13 낮을수록13 가족 친척13 등의13 강한13 (weak tie)

연계 에13 의존한다고13 주장한다 이러한13 주장은13 린 의13 위(strong tie) (Lin 1982)

세가설에서13 사람들이13 보유하고13 있는13 부와13 권력 사회적13 위세가13 높을수록13 사

회적13 자본의13 창출이13 높다고13 제시하였다 이들의13 연구결과에13 비추어13 볼13 때 사

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13 약한13 연계부터13 사회적13 지원을13 활용할13 가능성이13 높

게13 나타날13 것이라고13 판단된다

셋째 사회제도신뢰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와13 접한13 관련성을13 갖는다 일반적

으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들은13 그들이13 어떤13 사회적13 보상과13 명예를13

이끌어낼13 능력이13 있으므로13 사회제도에13 대한13 긍정적인13 평가를13 할13 가능성이13 높

다 이러한13 주장의13 주된13 근거는13 부자들의13 경우13 타인을13 신뢰하(Olson 1965)

여13 생기는13 위험부담으로13 인해13 자신들이13 가지고13 있는13 일부를13 잃지만13 가난한13

사람들의13 경우13 유일한13 생존수단을13 잃게13 되는13 결과를13 가져올13 수13 있기13 때문이

다 이들의13 연구결과를13 비추어볼13 때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Banfield 1967)

사람이13 낮은13 사람에13 비해13 공공13 및13 민간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상대적으

로13 높게13 나타날13 것으로13 예측된다

전술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

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에13 미치는13 영향이13 일차적이고13 본질적인13 인과변인이라 )

면 사회단체참여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와13 사회연결망의13 기능적13 효과사회적13 지 (

원 사회적13 신뢰 사이의13 매개변인으로13 선정할13 수13 있다 사회단체참여를13 매개 )

변인으로13 선정한13 이유는13 구성원과의13 대면적13 상호작용과13 의사소통행위를13 통

해13 개인의13 사회적13 정체성이13 성립되고 이해관계가13 형성되며 사회적13 행위가1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3

형성 발전되고 사회적13 관계13 속에서13 유통되고13 있는13 경제적 정치적13 도움과13 호혜성규범13 및13 사회적13 신뢰13 등13 기능적13 효과로13 연결되기13 때문이다

첫째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13 지원사이의13 인과관계에13 대한13 기존연구는13

의13 구조적13 공백 의13 생태지위13 등의13 접근방법을13 사용한다Burt McPherson

가13 제시한13 구조적13 공백 개념은13 한13 사람이13 가지고13 Burt(1992) (structural hole)

있는13 연결망들13 사이에서13 그13 중심에13 있는13 사람과는13 어떤13 형태로든13 연결이13 되

지만13 다른13 사람들13 사이에서는13 관계가13 없는13 상태를13 지칭한다 McPherson

이13 제시한13 생태지위 란13 개체의13 환경13 속에서13 자원을13 매개로13 맺는13 (1983) (niche)

관계의13 구체적13 양상을13 의미하는13 것으로서 개체가13 의존하는13 자원들의13 종류가13

다양하고13 광범위하면13 그13 개체가13 보유한13 생태지위의13 범위는13 넓을13 것이고 반

대로13 특정한13 종류의13 자원에만13 의존한다면13 생태지위의13 범위는13 좁을13 것이다

이러한13 점에서13 사회단체에는13 구조적13 공백과13 생태지위 가13 등장하는13 맥(niche)

락을13 설명할13 수13 있는13 이점이13 있다

둘째 사회단체13 참여는13 다양한13 관심사를13 가진13 사람들과의13 만남을13 통해13 참

여자의13 관심영역을13 확장시키고13 다양한13 정치 사회적13 문제에13 대한13 이해를13 높여주며 사회단체에13 의해13 주관되는13 다양한13 행사를13 조직화하고13 집행하는13 과정

에서13 정치와13 관련된13 의사소통과13 의사결정기술을13 연마하게13 되어13 정치참여를13

촉진시킬13 뿐만13 아니라 공공의13 이익을13 위해서13 개인의13 이익을13 양보하는13 공적13

시민정신을13 고취시키며13 무임승차를13 배격하는13 윤리를13 배양한다고13 하였다

은13 사회단체에13 가입13 및13 소속됨으로써13 좋(Tocqueville 1835) Putnam(1995)

은13 이웃과13 동료들을13 만나13 대화를13 나누고13 사회적13 관계를13 쌓을13 수13 있는13 기회13

등을13 얻게13 되며 사람들13 사이에13 축적된13 연결망과13 연결망13 안에서의13 지속적인13

상호작용은13 시민의식이나13 규범13 및13 사회적13 신뢰13 등이13 형성된다고13 제시한다

이상의13 사회단체참여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한13 범주로서13 사회적13 지원과13 제도에13 대

한13 사회적13 신뢰형성에13 영향을13 주는13 중요한13 인과변인이다

한편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연결망유형의13 한13 범주에13 포함된다면 사회적지

원은13 사회연결망의13 기능으로13 표현되어진다 사회적13 지원이란13 사람들이13 맺고13

있는13 사회적13 관계를13 통해13 얻게13 되는13 정서적13 지원 서비스13 지원 경제적13 지원13

등을13 의미한다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사회제도신뢰간의13 인과관계에13

134 김상돈

대한13 연구는13 거시적13 차원의13 사회적13 자본론자들(Pagden 1988 Fukuyama

에13 의해서13 비롯된다 은13 내집단족쇄1995) Pagden(1988) (fetters of in-group)

용어를13 사용하면서13 혈연 지연13 등13 자연적13 관계를13 통한13 공동체적13 유대감과13 학연 직장동료관계와13 같은13 이익집단생활을13 통한13 유대감이13 집단13 내13 소속감으로13 되어13 사람에13 대한13 신뢰는13 높지만 사람에13 대한13 신뢰가13 제도에13 대한13 신뢰의13

희생을13 기반으로13 확대된다고13 하였다 는13 반경범위개념을13 사 Fukuyama(1995)

용하면서13 저신뢰13 사회의13 공통점을13 강력한13 가족주의13 문화와13 중앙집권13 등13 구조

적13 특성에서13 기인된다고13 지적하면서 강력한13 중앙집권국가에13 있어서13 가족과13

국가사이의13 중간지대 즉13 양자사이의13 중개집단들의13 자율과13 자치를13 억압하게13

되어13 사람13 및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상대적으로13 취약하다고13 주장하였

다 국내연구결과김용학 ( 손재석 이재열 에서도13 법적인13 계약서 1998 1998)

나13 재정적인13 보증13 없이13 돈을13 빌려주는13 일 일자리를13 제공하는13 일 계를13 통해13

금리보다13 높은13 이자수익을13 얻는13 등13 사회적13 지원이13 가족13 및13 개인연결망으로13

활용되고13 있으며 이러한13 사적13 영역의13 연결망활용은13 공적영역의13 신뢰를13 식민

화하여13 사회13 전체적으로13 저신뢰사회가13 되었다고13 지적한다 사회적13 지원의13 논

의를13 통해13 일상생활에서13 사람들이13 강한13 연계를13 활용할수록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

적13 신뢰가13 희생된다고13 본13 제한적13 연대의13 개념들예 내집단족쇄 반경범위13 (

등에13 대한13 인과관계의13 연장선상에서13 이13 연구는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13 활용과13 )

사회제도신뢰13 사이의13 인과구조를13 분석한다

연구가설13 및13 연구모형3

이상의13 이론적13 논의를13 토대로13 구성한13 분석모형은13 그림13 과13 같다 이13 연구1

의13 최종13 내생변인은13 사회제도신뢰이다 사회제도신뢰는13 대기업 언론계 교육

계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13 등을13 포함한13 개의13 하위영역으로13 설정하여13 한국 11

과13 미국13 양13 국가의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를13 다차원적 통합적으로13 비교분석한다

사회제도신뢰의13 영향요인은13 사회13 경제적13 지위와13 사회단체참여 그리고13 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5

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으로13 설정하고 통제변인으로13 인구학적13 요인을13 설정

한다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교육년수 직업위세 소득13 등13 세13 가지13 하위범주로13

설정하여13 측정한다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은13 각각13 매개13

외 내생변인으로13 한다 사회단체13 참여는13 정당단체 노동조합 시민단체 취미

단체 이웃단체 기타단체로13 하고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은13 정서적13 지원

경제적13 지원 서비스지원13 등13 세13 가지13 하위범주로13 설정하여13 측정한다

그림13 분석13 모형1

ξ 1 사회경제적13 지위 X 5 기혼더미 Y 10 기업계13 신뢰

ξ 2 남성더미 X 6 광역시더미 Y 11 교육계13 신뢰

ξ 3 기혼더미 Y 1 정당단체참여 Y 12 언론계13 신뢰

ξ 4 광역시13 더미 Y 2 시민단체참여 Y 13 방송계13 신뢰

η 1 사회단체참여 Y 3 노동조합참여 Y 14 의료계13 신뢰

η 2 사회적13 지원 Y 4 취미단체참여 Y 15 행정부13 신뢰

η 3 사회적13 신뢰 Y 5 이웃단체참여 Y 16 입법부13 신뢰

X 1 교육년수 Y 6 기타단체참여 Y 17 사법부13 신뢰

X 2 직업위세 Y 7 정서적13 지원 Y 18 학계13 신뢰

X 3 소득 Y 8 경제적13 지원 Y 19 군대13 신뢰

X 4 남성더미 Y 9 서비스13 지원 Y 20 금융계13 신뢰

기본13 모형에13 대한13 인과13 경로임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과13 수정지수 에13 따라13 추정될13 인과13 경로임(MI)

136 김상돈

이상의13 분석모형을13 토대로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13 사이의13 연구13 가설들은13 다음과13 같다

lt연구가설13 1gt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13 사람보다13 미국사람이13 상대적으로13 더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2gt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이13 낮은13 사람에13 비해13 사회단체

참여에13 적극적일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3gt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이13 사회적13 지원을13 강한13 연계13

보다는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할13 가능성이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4gt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은13 낮은13 사람에13 비해13 상대적으

로13 사회제도13 신뢰가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5gt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일수록13 사회제도신뢰가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6gt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일수록13 사회적13 지원을13 강한13 연계보다

는13 약한13 연계에13 더13 많이13 요청할13 가능성이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7gt 사회적13 지원을13 약한13 연계에13 더13 많이13 요청할수록13 사회제도신

뢰가13 높을13 것이다

연구13 방법III

자료수집방법1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13 사이에13 미치는13

영향을13 분석하기13 위해13 사용할13 자료는13 와13 이다KGSS 2004 GSS 2001

자료는13 성균관대학교13 서베이리서치센터에서13 년13 월13 KGSS 2004 2004 7~8

동안13 실시하였으며 표집절차는13 전국13 주민등록13 전산자료로부터13 다단계지역층

화표본추출법에13 의해13 추출되는데 그13 구체적인13 절차는13 다음과13 같다 첫째 최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7

종표집지역수를13 개로13 선정하고13 이를13 차표집단위인13 전국13 광역시200 1 도의13 가구수13 분포에13 비례하여13 배분한다 둘째 각13 광역시 도로부터13 배분된13 수만큼의13 차표집단위인13 읍2 면 동을13 인구비례확률표집13 원칙을13 적용하여13 무작위로13 추출한다 셋째 이렇게13 추출된13 각13 읍 면 동으로부터13 한13 개의13 최종표집지역면( 의13 경우에는13 리 동의13 경우엔13 통 반을13 무작위로13 선정한다 넷째 선정된13 )

통 반13 또는13 리에서13 개의13 가구를13 계통표집한다 계통표집된13 가구13 내에서13 10

만13 세13 이상13 성인13 가구원들의13 리스트를13 작성한13 후13 이들13 가운데13 태어난13 월18

일이13 가장13 빠른13 사람을13 조사대상자로13 삼는다 조사된13 설문지의13 유효사례수는13

명이다 이13 연구에13 사용할13 변인들에13 대한13 응답13 가운데13 무응답1312 (lsquo모르겠다rsquo 포함 문항에13 개별평균값으로13 대체한13 후13 결측치 ) (missing values)(n=

를13 일률적 으로13 제거하여13 추출된13 총13 명이13 최종13 분석사례수343) (listwise) 979

를13 형성하였다 평균13 대체방법을13 사용한13 이유는13 변인들의13 분포추정치13 왜(N)

곡13 가능성의13 성격을13 지니지만 결측치를13 가능한13 정확한13 값으로13 대체함으로써13

무응답의13 편차감소와13 연구결과의13 일반화13 및13 신뢰성이13 향상될13 수13 있기13 때문이

한편 자료는13 시카고대학의13 GSS 2001 NORC(National Opinion Research

C 에13 의해13 수집된13 자료로서13 년13 월에서13 월에13 걸쳐13 면접자13 조사방enter) 2001 2 5

식에13 의해13 수집되었다 표집방법의13 구체적인13 절차는13 다단계지역13 확률표집방

법으로서13 차13 표집단위는13 표준대도시지역1 (SMSA Standard Metropolitan

또는13 비도시지역의13 카운티들을13 지역 연령13 그리고13 인종에13 Statistical Area)

따라13 층화한13 후13 그13 단위를13 블록그룹이나13 열람구역별로13 인종과13 소득에13 따라13

층화한다 최종표집단위는13 블록이며 블록들을13 크기에13 준해13 확률을13 조정한13

뒤 특정블록을13 추출한다 이렇게13 추출한13 조사대상자를13 대상으로13 부실한13 응

답사례를13 제외한13 유효사례수는13 명이다 한국과13 동일한13 방식으로13 무응답2765

(lsquo모르겠다rsquo 포함의13 문항에13 개별평균값으로13 대체한13 후13 결측치 ) (missing

를13 일률적 으로13 제거하여13 추출된13 총13 명이13 이13 연values)(n=2230) (listwise) 535

구의13 최종13 분석사례13 수 를13 형성하였다(N)

138 김상돈

변수정의13 및13 측정2

이13 연구의13 최종내생변인은13 사회제도신뢰로13 대기업 교육계 언론계 금융

계 학계 의료계 방송계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 군대13 등13 가지13 영역을13 포 11

함한다 이렇게13 구성된13 사회제도신뢰는13 ldquo신뢰하지13 않음rdquo ldquo다소신뢰rdquo ldquo매우13 신뢰rdquo 순으로13 점에서13 점을13 부여하여13 연속변수로13 분석에13 사용한다 1 3

이13 연구의13 매개13 내생변인인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유형은13 사회연결망13 연구

자들의13 연계유형에서13 제시한13 가족 친척 이웃 친구 직장동료 성직자 사회

사업가 의사13 등을13 가족 친척 비13 친척으로13 분류한13 후13 이들13 유형을13 각각13 교

차 시켜13 아홉13 가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13 활용유형을13 만들13 수13 있다 이(3times3)

렇게13 구성된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유형은13 강한13 연계에13 답한13 순으로13 정리한13

후 동일한13 응답범주는13 첫13 번째13 응답에13 강한13 연계로13 답한13 경우를13 우선13 기준

으로13 점에서부터13 점까지의13 점수를13 부여하여13 측정한다1 9

이13 연구의13 매개외생변인은13 사회단체참여로13 정치단체 노조단체 시민단체

취미단체 이웃단체 기타단체13 등13 여섯13 가지13 영역의13 사회단체13 참여수준을13 측

정한다 사회단체참여에13 대한13 영역은13 ldquo소속된13 경험이13 없음rdquo ldquo과거에13 소속된13 경험13 있음rdquo ldquo소속되어13 소극적13 활동rdquo ldquo소속되어13 적극적13 활동rdquo 순으로13 조사

되었으며13 이들13 각각에13 점부터13 점까지의13 점수를13 부여하였다1 4

변13 인정의( )

설13 문13 문13 항측정척도범위[ ]

사회제도신뢰(institution)

개13 주요13 사회기관에13 대한13 신뢰의13 정도11매우13 신뢰13 다소13 신뢰13 매우13 불신 ① ② ③

연속변수[1-3]

사회적13 지원(SUPPORT)

정서적13 지원13 ① ② 연속변수[1-9]

경제적13 지원13 ① ② 연속변수[1-9]

서비스13 지원13 ① ② 연속변수[1-9]

사회단체참여(ASSOCIATION)

개13 사회단체참여에13 대한13 참여13 여부6소속된13 경험13 무13 소속된13 경험① ② 소극적13 활동13 적극적13 활동③ ④

연속변수[1-4]

표13 lt 1gt 내생변인들의13 설문문항13 및13 변수정의1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9

이13 연구의13 외생변인은13 사회경제적13 지위이다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교육년수

소득 직업위세로13 설정한다 교육년수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중요한13 인과변인으로

서13 정규교육을13 받은13 수학년수에13 근거하여13 점에서부터13 점으로13 측정한다0 23

응답자의13 월평균소득은13 와13 자료모듈에13 있는13 원13 자료KGSS 2004 GSS 2001

를13 근거로13 각13 범주에13 중간값을13 부여하여13 자연대수로13 변환하여13 측정한다 응

답자의13 직업은13 간즈붐과13 트라이먼 에13 의하여13 (Ganzeboom amp Trieman 1996)

구성된13 표준국제직업위세척도(SIOPS Standard International Occupation

에서13 제시한13 점부터13 점으로13 점수를13 부여하여13 분석에13 사Prestige Scale) 16 88

용한다

한편 인구학적13 특성인13 성 연령 결혼상태 지역13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은13 통제

변인으로13 설정한다 성은13 더미변수로서13 여성일13 경우는13 남성일13 경우는13 로13 0 1

부여13 한다 연령은13 자연연령으로13 분석에13 사용한다 결혼13 상태는13 더미변수로

서13 미혼13 및13 이혼 사별 별거일13 경우는13 기혼일13 경우는13 로13 부여하여13 더미0 1 변수로13 사용한다 지역은13 한국사회의13 경우13 특별시13 및13 광역시일13 경우에는13 1

기타도시일13 경우는13 으로 미국사회의13 경우13 메트로폴리스는13 기타도시는13 0 1 0

으로13 부여하여13 더미변수로13 만들어13 사용한다

변13 인 설13 문13 문13 항 측정척도

사회경제적13 지위(SES)

교육13 년수연속변수

직업13 위세SIOPS

[16-87]

소득13 수준 ln(income)

통제변인

연령 연속변수

성별남성=1 여성=0

결혼여부기혼=1미혼=0

이혼 사별 별거=0

주거지역광역도시=1기타도시=0

표13 lt 2gt 사회인구학적특성에13 사용된13 설문문항13 및13 변수정의13

140 김상돈

자료분석방법3

이13 연구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

제도신뢰13 사이의13 영향을13 분석하기13 위해13 탐색적13 요인분석 확인적13 요인(EFA)

분석 그리고13 공변량13 구조분석 등을13 시도한다 확인적13 요인(CFA) (LISREL)

분석은13 일련의13 경쟁적인13 요인모형들을13 각기13 추정하여13 모형부합지수를13 각13 모

형별로13 산출하여13 최적의13 모형을13 추정한다 구조방정식모형은13 측정모형과13 구

조모형의13 개13 하위모형으로13 구성되어13 있다 측정모형분석의13 전략은13 제도에13 2

대한13 사회적13 신뢰 사회적13 지원 사회단체참여13 등13 내생잠재변수와13 외생잠재

변수인13 사회경제적13 지위 그리고13 통제변수를13 이론변수로13 설정하여13 제반13 이론

변수간의13 상관관계를13 분석한다 한편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를13 각13 별도의13

결과변인13 혹은13 최종적13 내생변인으로13 설정하고13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을13 매개변인으로13 설정한13 상태에서13 제반13 예측변인들의13 인과적13 단

위영향을13 분석하기13 위한13 구조모형을13 추정한다 이어서13 각13 결과변인을13 설명하

는13 인과요인들의13 직접 간접 전체13 영향을13 분리시키는13 경로분석을13 실시함으로써 각13 인과변인들의13 상대적13 중요성에13 대한13 평가를13 시도한다 각13 차원들을13

결과변인으로13 간주한13 공변량13 구조분석을13 시도함으로써13 이론13 변인들간의13 구

조적13 인과관계를13 추정한다 실증분석을13 위하여13 사용된13 통계프로그램은13 SPSS

및13 를13 사용하였다110 LISREL 852

분석결과IV

기술통계1

분석에13 포함된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의13 조사대상자에13 대한13 사회경제적13 지

위13 특성을13 살펴보면 교육년수는13 한국평균 년보다13 미국평균 ( =12422 ) (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1

년 에서13 약간13 높으며 직업위세점수는13 한국평균 점보다13 미국13629 ) ( =40315 )

점 에서13 정도13 높게13 나타났다 소득수준은13 한국평균 보(47512 ) 7197 ( =5394)

다13 미국평균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 =10464) 3 따라서13 조사대상자의13 사회경제

적13 지위는13 한국보다13 미국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

한편 조사대상자의13 인구학적13 특성을13 살펴보면 연령은13 한국평균 ( =41503

세보다13 미국평균 세에서13 약간13 높으며 남성비율은13 미국 보) ( =42966 ) (450)

다13 한국 에서13 약간13 높은13 분포를13 나타냈다 기혼비율은13 미국 보(460) (450)

다13 한국 에서13 높으며 광역시 특별시13 광역시 에13 거주하는13 한국의13 비(686) (1 6 )

율은13 인13 반면에13 메트로폴리스에13 거주하는13 미국의13 비율은13 로13 나479 292

타났다

다른13 한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 (

망활용 사회제도신뢰을13 살펴보면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평균 보다13 ) ( =1479)

미국평균 에서13 더13 적극적인13 것으로13 나타났으며( =1732) (t=-8045 p 001) <

변인

평균 범위[ ] SD

한국(N 979)=

미국(N 535)=

한국 미국

사회경제적지위

교육년수 12422 [0-23] 13629 [1-20] 4032 2910

SIOPS 40315 [16-87] 47512 [16-88] 13376 16147

소득 5394 [3219-6957] 10464 [6215-11653] 746 950

인구학적특성

연령 41503 [18-84] 42966 [20-86] 14433 16029

남성 460 [0-1] 450 [0-1] 499 498

기혼 686 [0-1] 450 [0-1] 467 498

광역도시 479 [0-1] 292 [0-1] 500 455

주 한국 교육년수 로그소득 미국 교육년수 SES( =855 +725 SIOPS+805 =811 +791 로그소득 SIOPS+ 673 )

표13 lt 3gt 조사대상자의13 사회인구학적13 특성13

3 사회경제적13 지위변수인13 교육 직업위세 로그소득을13 탐색적13 요인분석결과 한국의13

와13 미국의13 자료13 모두13 하나의13 주요인으로13 추출되었으며13 총13 변량KGSS 2004 GSS2001

에13 대한13 설명력은13 각각13 로13 나타났다 이렇게13 구성된13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652 570

교육 직업 소득변수에13 가중치가13 부여된13 조합변수로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 KGSS 2004[

교육교육년수 직업 소득 로그소득 사회경제=855 ( )+725 (SIOPS)+805 ( )] GSS 2001[

적지위 교육 교육년수 직업위세 소득 로그소득 으로13 구성=811 ( )+791 (SIOPS)+673 ( )]

할13 수13 있고13 선형조합인13 요인점수 를13 그13 값으로13 가지게13 된다(factor score)

142 김상돈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은13 미국평균 보다13 한국평균 에서13 ( =3187) ( =4541)

약한13 연계를13 더13 활용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사회제도신뢰(t=9337 p 001) <

는13 한국 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 =1733) ( =2075) (t=-14463

이로써13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13 사람보다13 미국사람이13 더13 높을13 것이라p 001) <

고13 제시한13 lt연구가설13 1gt을13 수용하게13 되었다

변인 평균 SD 차이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평균차이 절대량차이 값t

사회제도신뢰

대기업13 신뢰 1671 2019 548 584 -348 -312 -8123

교육계13 신뢰 1784 2100 575 624 -316 -267 -7273

언론계13 신뢰 1639 1680 588 659 -041 030 -3145

방송계13 신뢰 1779 1665 600 651 114 165 1506

의료계13 신뢰 1873 2274 574 639 -401 -336 -8585

행정부13 신뢰 1461 2046 531 683 -585 -433 -13578

입법부13 신뢰 1180 1905 403 586 -725 -542 -19212

사법부13 신뢰 1944 2275 591 639 -331 -283 -7671

학계13 신뢰 1957 2329 539 613 -372 -298 -8496

군대13 신뢰 1915 2468 649 614 -553 -588 -12062

금융계13 신뢰 1865 2068 593 629 -203 -167 -4463

전13 체 1733 2075 318 343 -342 -317 -14463

사회적13 지원

정서적13 지원 5813 3802 2672 2792 2011 2131 10916

경제적13 지원 4843 3202 2853 2788 1641 1576 7167

서비스13 지원 2967 2557 2352 2457 410 515 4336

전13 체 4541 3187 1880 1950 1354 1424 9337

단체참여

정당단체13 참여 1163 1593 518 1032 -430 084 -8129

시민단체13 참여 1098 1874 421 1229 -776 032 -12751

노동조합13 참여 1275 1512 674 956 -237 045 -7695

취미단체13 참여 1819 2166 1071 1366 -347 -052 -4389

이웃단체13 참여 1614 1493 1041 977 121 057 567

기타단체13 참여 1905 1753 1208 1151 152 095 1199

전13 체 1479 1732 469 702 -253 -020 -8045

주 평균13 및13 절대량13 차이는13 기술통계의13 차이 한국 ( -미국이며13 통계적13 유의도는13 ) t- 에13 대한13 검증test임

p 05 p 01 p 001 < < <

표13 lt 4gt 사회적자본의13 기술통계한국 미국13 ( 13 N 97913 13 N=53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3

모형검증의13 타당도평가2

이13 절에서는13 내생변인들에13 대한13 모형검증의13 타당도를13 분석한다 모형검증

의13 타당도를13 분석하기13 위해서는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13 변인13 등은13 탐색적13 요인분석과13 확인적13 요인분석이13 사용된다

탐색적13 요인분석결과 표본적절성13 측정치인13 값한국 미국 KMO ( =773

은13 적절한13 수준이었으며13 의13 구형성13 검증13 통계치의13 유의수준은13 =752) Bartlett

양13 국가13 모두13 으로13 보다13 작아13 자료의13 상관이13 요인에13 적합한13 것으로13 000 05 3

나타났다 제 요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13 개13 문항13 가운데13 개의13 측정변인 1 20 11

들이13 묶이는13 것으로서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에13 해당한다 제 요인은13 양13 2

국가13 모두13 전체문항13 가운데13 개13 문항의13 측정변인을13 요인13 구성하였으며13 사회6

단체참여에13 해당한다 마지막으로13 제 요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문항13 가운데13 3

개문항의13 측정변인을13 요인13 구성하였으며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해당3

한다 또한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의13 내적일

치성을13 알아보기13 위해13 의13 계수로13 평가한13 결과 한국Cronbach ( =8029 α

미국 로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신뢰도를13 보5192 5051 = 7658 5746 6933)

이고13 있었다 이상의13 결과를13 보면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변인이13 각기13 별개구성체로13 구성되고13

있음을13 보여준다

확인적13 요인분석결과는13 lt표13 5gt에13 제시하였다 분석에13 포함된13 문항들이13 어

떠한13 공통요인도13 형성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귀무모형이나13 모든13 문항들이13

사회적13 자본이라는13 단일차원의13 개념을13 측정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1-요인모형

두13 가지13 별개차원의13 개념들을13 측정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요인모형 세13 가지13 2

차원의13 개념들을13 각기13 별도로13 측정하도록13 제약을13 가해진13 요인모형으로13 구3

성되었다

144 김상돈

표13 lt 5gt 사회적13 자본13 하위차원에13 대한13 확인적13 요인분석 결과 한국 미국13 (CFA)13 -( N 97913 N=535)=

귀무모형(M0) (M1)

요인모형1

요인모형2요인모형3- 9)

(M2_1) (M2_2) (M2_3)8)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χ2 4465901

(p 001)<

2671725

(p 001)<

1235222

(p 001)<

1097272

(p 001)<

887151

(p 001)<

533939

(p 001)<

1030632

(p 001)<

942579

(p 001)<

899901

(p 001)<

540723

(p 001)<

692709

(p 001)<

383604

(p 001)<

DF 190 190 170 170 169 169 169 169 169 169 167 167

GFI1) - - 888 830 917 909 905 850 916 908 934 933

AGFI2) - - 861 789 897 887 882 814 895 886 917 916

NFI3) - - 745 651 809 814 788 713 806 791 850 855

CFI4) - - 773 693 840 886 818 759 837 844 882 911

IFI5) - - 774 695 841 916 819 761 837 845 883 912

1) Goodness of Fit Index2) Adjusted Goodness of Fit Index3) Normed Fit Index4) Comparative Fit Index5) Incremental Fit Index6) 두13 요인들13 간 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13 사회제도신뢰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68(pgt05) =156(pgt05)]對 7) 두13 요인들13 간 단체참여 사회제도신뢰13 사회적13 지원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52(pgt05) =對 -002(pgt05)]8) 두13 요인들13 간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13 단체참여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65(pgt05) =157(plt01)]對 =9) 세13 요인들13 간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051(pgt05) 061(pgt05) 123(plt05) -013(pgt05)157(plt01)

092(pgt05)]

lt표13 5gt를13 살펴보면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13 귀무모형이나13 1-요인모형

에13 비해13 요인모형들 의13 경우가13 수치2 (M2_1 M2_2 M2_3) 2 (p( 2) χ χ

가13 적을13 뿐만13 아니라13 여러13 가지13 모형부합지수도13 큼을13 알13 수13 있다lt001) 2-

요인모형13 가운데13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이13 하나의13 요인

을13 형성하고13 사회제도신뢰가13 또13 하나의13 요인을13 형성하도록13 제약을13 가한13

모형이13 모형13 및13 모형에13 비해13 수치 가13 M2_1 M2_2 M2_3 2 (p( 2)lt001)χ χ

적을13 뿐만13 아니라13 여러13 가지13 모형부합지수 한국( GFI=917 AGFI=897

미국NFI=809 CFI=840 IFI=841 RMSEA=0569 GFI=909 AGFI=

도13 큼을13 알13 수13 있어13 887 NFI=793 CFI=846 IFI=847 RMSEA=0636)

더13 적절한13 모형이었다 그러나13 세13 가지13 차원의13 개념들을13 각기13 별도로13 측정하

도록13 제약이13 가해진13 3-요인모형은13 어떠한13 요인모형들에13 비해서13 보다도13 모형2

부합지수한국( GFI=934 AGFI=917 NFI=850 CFI=882 IFI=88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5

미국RMSEA=0567 GFI=933 AGFI=916 NFI=855 CFI=911

가13 현격히13 향상되었다 이는13 양13 국가13 모두13 여러13 IFI=912 RMSEA=0493)

가지13 경쟁적인13 내재모형13 가운데13 요인모형이13 최적모형으로써13 분석에13 포함된13 3

문항들이13 세13 가지13 별개의13 구성체들을13 측정하고13 있으며 이13 구성체들13 간에는13

판별집합타당도가13 유지됨을13 확인시켜주는13 결과이다 이로써13 요인모형에13 잠 3

재된13 변인들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이13 각기13 ( )

별개의13 구성체들임을13 보여준다 뿐만13 아니라13 이13 내생변인들13 상호간에는13 연관

관계도13 그다지13 강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모형검증의13 추정결과3

이13 절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13

사이가13 이론적 경험적13 사실과13 어느13 정도13 부합되는지를13 검증한다 이를13 위해13

이들13 변인들13 사이의13 상관13 및13 인과관계 그리고13 경로분석이13 어떻게13 나타나는

지를13 로13 추정한다LISREL 4

측정모형분석에13 근거하여13 여타변인들의13 영향이13 통제되지13 않는13 영차상관관

계(zero- 를13 산출한13 결과는13 order correlation) lt표13 6gt에13 제시하였다 우선 사

회제도신뢰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

회경제적13 지위(r=- 변인만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관계로13 나타난13 192)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 (r=158)

다 이는13 한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불신이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에13 적극적으로13 참여할수록13 제

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났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

활용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남성더미

(r=- 기혼더미094) (r=- 등13 두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451)

4 측정모형분석에13 앞서13 개13 측정변인에13 대한13 다중13 공선성13 여부를13 검증하였다 검증결27

과 연령변인이13 한국이13 으로13 다중공선성이13 의심되는13 바13 연령변인을13 제외하고13 재 646

추정하여13 분석하였다

146 김상돈

관계로13 나타났다 이에13 비해13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남성더미 (r=197)

(r=- 기혼더미152) (r=- 광역시13 더미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이13 통352) (r=147)

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국에서는13 여성일수록 미혼일수록13

사회적13 지원을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되어진다면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여성일수록 미혼일수록 메트로폴리스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적13 지원

을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다른13 한편 사회단체참여에13 유의

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남성더 (r=387)

미 기혼더미 광역시더미(r=273) (r=104) (r=- 변인13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이13 136)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관계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

위 기혼더미 광역시더미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r=409) (r=109) (r=146)

적으로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다시13 말해13 한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남성일수록 기혼일수록 기타도시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반면에 미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기혼일수록 메트로

폴리스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단체에13 적극적으로13 참여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이어서13 사회제도신뢰와13 인과변인사이의13 인과관계는13 구조모형에13 대한13 추정

을13 통해13 규명한다 한국의13 기본모형과13 최종모형의13 추정13 결과 기본모형의13 모

형부합지수는13 정확합치인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미할13 뿐만13 아니라13 001

근사합치인13 GFI=911 AGFI=890 NFI=790 CFI=837 IFI=838

로13 보다13 작아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모형부합지수를13 나타내RMSEA=0588 08

고13 있지만13 전반적으로13 그리13 높지13 않은13 것으로13 나타내고13 있다 반면에13 최종모

형의13 모형부합지수는13 기본모형과13 마찬가지로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 001

미하며13 GFI=901 AGFI=878 NFI=783 CFI=837 IFI=839 RMSEA=

로13 기본모형보다13 다소13 향상되었다 결정계수에13 있어서도 최종모형은13 0594

기본모형에13 비해13 설명력이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 기본모형의13 ( R2=117 222

최종모형의13 044 R2=188 104 056)

동일한13 방식으로13 미국의13 기본모형과13 최종모형의13 추정13 결과 기본모형의13 모

형부합지수는13 정확합치인13 x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미할13 뿐만13 아니라13 001

근사합치인13 GFI=904 AGFI=882 NFI=801 CFI=867 IFI=869

로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모형부합지수를13 나타내고13 있지만13 전반RMSEA=054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7

그림13 2 사회제도신뢰를13 검증하기13 위한13 최종모형 한국13 -

그림13 3 사회제도신뢰를13 검증하기위한13 최종모형 미국13 -

적으로13 그리13 높지13 않는13 부합지수를13 나타내고13 있다 반면에13 최종모형의13 모형

부합지수는13 기본모형과13 마찬가지로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하며13 001

로13 GFI=896 AGFI=871 NFI=782 CFI=867 IFI=889 RMSEA=0539

148 김상돈

기본모형보다13 다소13 향상되었다 또한13 결정계수에13 있어서도 최종모형은13 기본

모형에13 비해13 설명력이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기본모형의13 ( R2=034 174 028

최종모형의13 R2=099 245 039)

모형13 찾기에서13 선정된13 최종모형에13 기초하여13 제반13 외생변인들의13 인과적13 단

위영향을13 보여주는13 구조모형을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추정한13 결과는13 lt표13

6gt에13 제시하였다 구조모형의13 추정결과를13 우선13 살펴보면 기본모형에서13 배제

되었던13 경로들13 가운데13 사회단체참여rarr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경제

적13 지위rarr사회단체참여로13 향하는13 경로만이13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이13 높고13 수정지표도13 현저한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사회경제적13 지위 rarr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rarr사회제도신뢰로13 향하는13 경로들은13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이13 낮고13 수정지표13 또한13 현저하지13 못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각13 내생변인과13 관련한13 결과를13 순서대로13 살펴보면13 다음과13 같다

첫째 사회단체참여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

위 남성 광역시(B=378) (B=220) (B=-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유의미한13 170)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B=416)

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과13 남성 그리고13 기타도시에13 거주하는13

사람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반면에13 미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만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이다

둘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남성(B=189) (B=- 기혼144) (-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유의470)

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남성더미(B=152) (B=- 기혼더미137) (B=- 광역시 등13 네13 372) (B=130)

가지13 변인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과13 여성 미혼은13 사회적13 지원을13 강한13 연

계보다는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광역시에13 거주하는13 사

람들은13 한국사회13 보다13 미국에서13 강한13 연계보다13 약한13 연계에13 사회적13 지원을13

요청한다

셋째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단체참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9

사회경제적13 지위(B=151) (B=- 등13 두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246)

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B=144)

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은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

데13 비해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들은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불신이13 높게13

나타났다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이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났다

변인

한국(N=979) 미국(N=535)

단체참여 사회적지원 사회제도신뢰 단체참여 사회적지원 사회제도신뢰

r B r B r B r B r B r B

매개내생변인

사회적13 지원 048 - -017 -

매개외생변인

단체참여 - 090 189 043 151 104 152 158 144

외생변인

SES 387 378 070 - -192 -246 409 416 197 - 093 031

통제변인

남성13 더미 273 220 -094 -144 -024 -033 006 026 -152 -137 040 039

기혼13 더미 104 068 -451 -470 006 005 109 018 -352 -372 064 037

광역시13 더미 -136 -170 047 053 -005 -007 146 066 147 130 -004 -023

R2 237 220 056 183 195 030

χ2 1187022(df=283) (plt001) 687058(df=283) (plt001)

모형부합치 GFI=915 AGFI=894 NFI=808

CFI=846 IFI=847 RMSEA=0572

GFI=910 AGFI=888 NFI=812

CFI=880 IFI=881 RMSEA=0517

주 제시된13 계수는13 표준화계수이며 통계적13 유의도는13 비표준화계수에13 대한13 검증임 1)

계수를13 연차적으로13 자유모수로13 개방하여13 추정한13 최종모형임2) B21 11 Γ

단측검증 단측검증 단측검증3) p 05 p 01 p 001 < < <

표13 6<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요인들에13 대한13 추정13 결과13 LISREL13

다음은13 사회제도신뢰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대한13 직접 간접 전체영향을13 분리시킨13 경로분석을13 시도한다 그13 결과는13 lt표13 7gt과13 같다

우선 사회제도신뢰의13 경로분석결과를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유의미한13

요인들과13 그13 영향에13 대한13 절대적13 크기순서대로13 나열하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

제적13 지위(B=- 사회단체참여 로13 구성되며 미국에서는13 단체참여189) (151)

변인만으로13 구성되었다 이13 같은13 결과를13 각13 변인별로13 보다13 상세히13 (B=144)

150 김상돈

살펴보면13 먼저 양13 국가13 모두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와13 사회단체참여변인

을13 연결하는13 제 의13 변인은13 존재하지13 않기13 때문에13 사회단체참여의13 전체영향3

은13 직접영향 한국 미국 만으로13 구성되며13 그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 =151 =144)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다 다음으로 사회경제적13 지위13 변인은13 한국

에서13 강한13 부의13 인과적13 영향(B=- 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며13 직접영189)

향(B=- 및13 간접영향 모두13 유의미하였고13 전체의13 가13 직접246) (B=057) 130

영향으로13 구성된다 반면에13 미국에서13 직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으나13 간접영

향 은13 유의미하다 이상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사회단체참여의13 (B=060)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그13 영향의13 구체적13 방향이13 이론적13 예측과13 예외13 없이13 일

치한13 반면에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사회경제적13 지위의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이론적13 예측과13 일치하지13 않았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대한13 경로분석결과를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들과13 그13 영향에13 대한13 절대적13 크기순서대로13 나

열하면 한국에서는13 기혼 (B=- 단체참여 남성457) (B=189) (B=- 사회102)

경제적13 지위 순으로13 구성되며 미국에서는13 기혼(B=071) (B=- 단체참374)

여 광역시 남성(B=152) (B=140) (B=- 사회경제적13 지위 순133) (B=063)

으로13 구성된다 이13 같은13 결과를13 각13 변인별로13 보다13 상세히13 살펴보면 첫째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사회단체참여변인을13 연결하는13 제 의13 3

변인은13 존재하지13 않기13 때문에13 사회단체참여의13 전체영향은13 직접영향한국(

미국 만으로13 구성되며13 그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189 =152)

의미하다 둘째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영향이13 사회단체

참여에13 의해13 전적으로13 매개된13 간접영향한국 미국 으로만13 구성( =069 =063)

되었다 셋째 기혼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직접영향한국 ( =- 미국470 =-371)

만이13 유의미한13 반면에13 간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았다 넷째 남성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직접영향 한국( =- 미국144 =- 이13 유의미하고13 간접영향은13 한137)

국 만이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고13 미국에서는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것(B=042)

으로13 나타났다 다섯째 광역시13 변인은13 한국에선13 직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

은13 대신에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된13 간접영향(B=- 은13 유의미한13 반면032)

에13 미국에선13 사회단체참여에13 매개된13 간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대신에13 직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1

접영향 은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B=130)

한국(N=979) 미국(N=535)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변인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매개변인

사회적지원

단체참여 189 189 151 151 152 152 144 144

외생변인

SES 071 071 -246 057 -189 063 063 030 060 090

통제변인

남성더미 -144 042 -102 -033 033 000 -137 004 -133 039 004 043

기혼더미 -470 013 -457 -026 010 016 -371 -003 -374 038 -003 035

광역시더미 033 -032 001 -006 -026 -032 130 010 140 -023 -009 -014

제시된13 계수는13 표준화계수이며 통계적13 유의도는13 비표준화계수에13 대한13 검증임1)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지원에13 미치는13 영향2) ( ) times ( )=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미치는13 영향3) ( ) times ( )=

전체영향13 직접영향13 간접영향4) = +

단측검증 단측검증 단측검증 p 05 p 01 p 001 < < <

표13 lt 7gt 사회적13 지원과13 사회제도신뢰를13 설명하는13 요인들의13 직접13 간접 전체영향을13 분리한13 경로분석결과LISREL13 1)

논의13 및13 결론V

이13 연구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

회제도신뢰13 등에13 대한13 기술통계13 및13 판별집합타당성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차

이 매개효과13 등을13 실증적으로13 규명할13 목적으로13 수행되었다 이를13 위하여13 유

교공동체주의와13 합리적13 개인주의모델의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특성을13 지니고13 있

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를13 선정하여13 국제사회종합조사 자료모듈인13 (ISSP)

와13 자료를13 대상으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과13 관련KGSS 2004 GSS 2001

된13 일련의13 연구13 가설을13 제시하여13 검증하였다

첫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적13 신뢰 ( )

152 김상돈

은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확연히13 다른13 평균차이를13 보여주고13 있다 사회단

체참여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상대적으로13 더13 적극( =1479) ( =1732)

적이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국에서13 저조

한13 이유는13 년13 이후13 신사회운동을13 포함한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추세에1987

도13 불구하고13 시민사회의13 공론장이13 모순적으로13 제도화되었기13 때문이다 이는13

사회공간이13 존재하는13 것과13 그13 공간에13 참여하는13 것과는13 별개의13 개념임을13 의미

한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은13 미국평균 보다13 한국평균 에서13 약 ( =3187) ( =4541)

한13 연계에13 더13 활용되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

용이13 한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분석결과는13 학연 지연 혈연13 등13 연고13 집단으로13 인해13 사회적13 자본이13 풍부하다고13 주장한13 연구유석춘13 외 와13 일치된다( 2002)

다른13 한편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더13 ( =1733) ( =2075)

높으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제도신뢰가13 한국보다13 미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사실은13 정치 경제적으로13 성공한13 국가가13 그렇지13 못한13 국가보다13 상대적으로13 제도신뢰가13 더13 높을13 것이라고13 제시한13 거시적13 차원에서의13 연구결과

와13 부합된다(Putnam 1993 1995 Fukuyama 1995)

둘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

사회제도신뢰사이에는13 판별) 집합타당도가13 유지된다는13 사실을13 강조할13 필요가13 있다 탐색적13 요인분석과13 더불어13 확인적13 요인분석을13 실시한13 결과에서13 나

타난바와13 같이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을13 측정하기13 위한13 문항들은13 제각기13

해당차원의13 개념들만을13 측정할13 뿐만13 아니라13 이들13 차원들이13 각기13 별도의13 개념

을13 형성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3-요인모형이13 최적모형으로13 판명됨으로써13 3-요인

모형에13 잠재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의13 판별 수렴타당도가13 존재함을13 보여준다 아울러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들13 사이의13 상관관계조차도13 상당히13 미

약한13 것으로13 드러남으로써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13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13 등은13 각기13 별개의13 구성체들로13 이루어져있음이13 나타났다

셋째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 (

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 의13 불평등을13 밝히는데13 사용되었다 사회단체 )

참여와1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변인으로13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와13 접한13

관련성을13 맺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나13 사회제도신뢰에13 있어서13 강한13 부(- 의13 상관13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3

및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와13 사회적13 지원13 연결망활용의13 인과변인으로서13 중요하게13 나타났다 그러나13 한

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

타났으며13 미국에서는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타나13 이들13 연구가설13

모두13 기각된13 결과로13 나타났다 기각된13 이유는13 통계적13 해석과13 담론적13 해석13 두13

가지로13 논의할13 수13 있는데 첫13 번째13 이유는13 사례수와13 변량13 등13 통계적13 근거에

서13 설명할13 수13 있다 예컨대13 구조모형의13 추정에13 동원된13 측정변인13 및13 이론변인

의13 수를13 감안할13 때13 제한된13 사례13 수한국 미국 는13 여러13 변인들의13 ( =979 =535)

변량을13 제한하고13 표준오차를13 증가시킴으로써13 각각13 사회적13 지원13 및13 사회적13 신

뢰의13 통계적13 유의도를13 상실하게13 하는13 원인으로13 작용될13 가능성이13 있다 통계

적13 해석보다13 중요한13 담론적13 해석은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설명유교공동체주의(

자유민주주의에서13 그13 이유를13 예측할13 수13 있다 한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하다는13 사실은13 서구사회의13 인간관계와13 유

사할13 정도로13 진행되고13 있음에도13 불구하고13 여전히13 유교공동체주의모델이13 존

재함을13 보여준13 결과이다 미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

하다는13 사실은13 한국과13 달리13 부의13 불평등에13 대해13 당연시하는13 미국인의13 태도

개인주의 시장의13 제도화13 등13 맥락변인에서13 설명될13 가능성이13 높음을13 예측하게13

한다

넷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강력한13 단위영향과13 관련하여13 한

국 은13 미국 보다13 상대적으로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B=189) (B=152)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한국 은13 미국 보다13 (B=071) (B=06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서도13 사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

우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222 R2 에13 비하여13 포함된13 경우한국=173) (

사회의13 R2 미국사회의13 =243 R2 에13 대한13 설명력이13 각각13 =188) 21 15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이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에13 있어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

거를13 시사하는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사회단체참여의13 경제행위를13 이

해하는데13 있어서13 영리적13 차원의13 자기이해와13 합리적13 선택론에13 근거한13 신제도

주의이론으로만13 온전히13 설명할13 수13 없다는13 점을13 밝히면서13 한편으로는13 개별행

154 김상돈

위자들이13 현재13 맺고13 있는13 사회연결망에13 의해서13 형성된다고13 본13 신경제사회학

의13 이론적13 논의를13 부각시켰다는13 점에서13 시사하는13 바가13 크다 이로써13 사회단

체참여는13 다양한13 사람들과의13 사회적13 관계에서13 유통되는13 사회적13 지원을13 제공

해주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척도로서13 의미13 있는13 구성지표이다

다섯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B=144

보다13 한국 에서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지만 사회경제적13 plt05) (B=151 plt05)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는13 한국 보다13 미국(B=057 plt05)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B=060 plt05) 5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13 있어서도13 사

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미국사회의13 ( R2=037 R2 에13 비=028)

하여13 포함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056 R2 의13 설명력은13 =030)

한국과13 미국13 각각13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은13 작19 02

은13 증가를13 나타냈으나13 단위13 영향13 및13 간접영향13 모두13 높게13 형성되어13 사회단체

참여가13 제도신뢰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거를13 시사

한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공적13 시민정신의13 연구결과들 (Tocqueville

과13 일치됨으로써13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과13 미국13 1845 Putnam 1993 1995)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신뢰의13 중요한13 관건임을13 밝혀냈다 그러나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약한13 정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

데 이러한13 결과가13 나타난13 사실은13 년13 이후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로13 인 1987

해13 시민의13 정치참여를13 높이는데13 일정정도13 기여했으나13 민주적13 시민덕목을13 배

양하는데13 있어서는13 그리13 성공하지13 못한13 데에서13 추측할13 수13 있다 이를13 위해서

는13 중복적13 참여13 및13 자기이해(self- 에13 기초한13 소극적13 참여에서13 호혜성interest)

규범과13 사회적13 신뢰형성을13 위한13 제도적13 메커니즘으로의13 사회단체참여13 구축

이13 무엇보다13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이13 사회제도신뢰에13 미치는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이러한13

사실은13 사회적13 자본의13 연구결과 김용학(Pagden 1988 Fukuyama 1995 손

5 이와13 반대로 결측치에13 개별평균값을13 대체하기전의13 추정결과에서 사회단체참 LISREL

여의13 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B=169 plt05) (B=133 plt05)

더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높게13 나타났다(B=049 plt05) (B=043 plt0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5

재석 이재열 에서13 제시된13 반경범위 내집단13 족쇄 연고13 집단13 등 1998 1998)

의13 용어를13 사용하면서 가족13 및13 개인연결망13 활용이13 공적영역의13 신뢰를13 식민

화하여13 사회13 전체적으로13 저신뢰사회가13 된다고13 주장한13 논의와13 일치하지13 않는13

결과이다 즉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사이의13

관계가13 서로13 양립13 가능한13 현상을13 보여주어13 매개역할13 또한13 기각되었다

종합컨대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상관관계와13 유의미한13 정 의13 인과관계로13 작동하는데13 비해13 미국에서는13 상관13 (+)

및13 인과관계13 모두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 한편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

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은13 약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13 것으 (+)

로13 나타났다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의13 중요한13 인과변인인13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양13 국가13 모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력을13 미치고13 있으며 사회경제적13 지(+)

위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두13 가지13 구성개념사회제도신뢰13 및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 )

인과적13 영향은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되었다는13 사실13 또한13 이13 연구에서13 밝

혀냈다

이상의13 연구에도13 불구하고13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한국의13 ( R2 237 220

미국의13 056 R2 이13 낮게13 형성되었다는13 점과13 와13 183 195 030) KGSS 2004

자료에13 한정하여13 분석하였기13 때문에13 분석결과의13 해석과13 일반화에13 GSS 2001

한계가13 있을13 수13 있다 예를13 들면13 년과13 년이라는13 특정한13 시기에13 조 2004 2001

사가13 이루어졌다는13 점에서13 이론적 경험적으로13 함축하는13 바가13 있다고13 하더라도13 외적13 타당성의13 문제점을13 지닌다 그리고13 이13 연구는13 전국규모를13 대상으로13

조사되었다는13 점에서13 의미하는13 바가13 있지만13 시계열적13 자료를13 통한13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정 한13 검증을13 하지13 못하였다는13 점에서도13 그13 한계가13 있음을13 밝혀

둔다 따라서 향후13 후속연구에서13 제시된13 모델들을13 보다13 정교화하는13 이론적13

작업과13 더불어13 다양한13 변인들을13 충분히13 활용하며13 통시적13 연구13 및13 국가간의13

비교연구13 등을13 통해13 경험적13 연구들이13 진행되어야13 할13 것이며 연구자의13 관심

과13 노력으로13 연구의13 질적13 향상을13 기대해본다

156 김상돈

참고문헌

국민호 동아시아경제발전과13 유교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1997 31 1 pp 29-59「 」 985172 985173김상욱 조직몰입의13 하위차원들의13 타당도평가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2001 35 3 pp 「 」 985172 985173

109-138

김용학 손재석 미시적13 신뢰와13 거시적13 위험 계간사상 1998 38 pp 115-132 「 」 985172 985173이재열 민주주의 사회적13 신뢰 사회적13 자본 계간사상 1998 38 pp 65-93「 」 985172 985173유석춘 외 사회자본과13 신뢰 한국 일본 덴마크 스웨덴13 비교13 연구 동서연구 2002 「 」 985172 985173

권13 호14 1 pp 101-135

장수찬 한국사회에13 나타난13 악순화의13 사이클 한국정치학회보 권13 호 2002 36 1 pp 「 」 985172 98517387-112

한국13 사회과학도서관13 홈페이지 2005 httpwwwksslorkr

Banfield E 1967 The Moral Basis of a Backward Society New York Free Press

Billiet JB and Bart Cambre 1999 ldquoSocial capital active membership in voluntary

associations and some aspects of political participatio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Bourdieu Piere 1984 The Distiction A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Brehm John amp Wendy Rahn 1997 ldquoIndividual-level evidence for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social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41(3)

pp 999-1023

Burt R 1992 Structure Holes The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Coleman James 1988 ldquo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pp 94-121

DiMaggio Paul and Hugh Louch 1998 ldquoSocially Embedded Consumer Transaction

For What Kinds of Purchases Do People Most Often Use Networks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3 pp 619-637

Fukuyama Francis 1995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perty

NewYork Free Press Paper Backs Book

Gambetta Diego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Financial Capital The

Case of Network Marketing Champaign Stipes

Ganzeboom H B G and DJ Treiman 1996 ldquoInternationally Comparable Measures

of Occupational Status for the 1988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rdquo Social Science Research 25 pp 201-239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7

Giddens Anthony 1990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Stanford Stanford UP

Granovetter Mark 1985 ldquoEconomic Action and Social Structure The Problem of

Embeddedness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1 pp 481-510

Inglehart R 1999 Culture Shift in Advanced Industrial Societ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Joumlreskg Karl G and Soumlrbom Dag 1989 LISREL 7 A Guide to the Program and

Applications Chicago SPSS Inc

Lin Nam 1982 ldquoSocial Resource and Instrumental Actionrdquo In Social Structure and

Network Analysis edited by Peter Marsden and Nan Lin Beverly Hill CA

Sage Publication

Loury Glen 1977 ldquoA Dynamic Theory of Racial Income Differencerdquo In PA

Wallace amp A LeMund (eds) Woman Minorities and Employment Discrimi-

nation Lexington Lexington Books

Luhmann Niklas 1988 ldquoFamiliarity Confidence Trust Problems and Alternativesrdquo In D Gambetta (ed)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New York Basil Blackwell

McPherson J Miller 1983 ldquoAn Ecology of Affiliation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8 pp 519-532

Newton Kenneth 1997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rdquo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0(5) pp 575-586

Newton Kenneth 1999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 in Modern Euroupea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s)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Olson ME 1965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Pagden Anthony 1988 ldquoThe Destruction of Trust and its Economic Consequence in

the Case of Eighteenth-century Naplesrdquo In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edited by D Gambetta Oxford Blackwell

Paxton Pamela 1999 ldquoIs Social Capital Declining in the US A Multiple Indicator

Assessment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5(1) pp 88-126

Portes A 1998 ldquoSocial Capital Its Origin and Application in Modern Sociologyrdquo Annual Review of Sociology 24 pp 1-24

Portes A 2000 ldquoThe Two Meaning of Social Capitalrdquo Sociological Forum 15(1)

pp 1-12

Putnam Robert 1993 Making Democracy Work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utnam Robert 1995 ldquoBowling Alone Americans Declining Social Capitalrdquo Journal of Democracy 6(1) pp 65-78

Sztompka P 1999 Trust A Sociological Theor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8 김상돈

Toqueville Alexis de [1835 1840] 1990 Democracy in America(Reprint) New

York Vintage

Verba Sidney Kay Lehman Schlozman and Henry E 1995 Voice and Equality

Civic Voluntarism in American Politics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son Oliver E 1993 ldquoCaculativeness Trust and Economic Organizationrdquo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36(3) pp 453-486

Zucker Lynn G 1986 ldquoProduction of Trust Institutional Sources of Economic

Structurerdquo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8 pp 53-111

Comparison Analysi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n the Causal Structure of Trust in Social InstitutionsWith a focus on Mediation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and

Social Support

Sang-don KimLecturer in The University College at Sungkyunkwan University

This Study explores the multiplicativ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social institutions trus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do this a set of hypotheses concerning th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are set forth and subjected to an empirical assessment by using data set

collected from KGSS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2004 and GSS (General

Social Survey) 2001 out of the ISSP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lanning)

Modules

Analysis of data in terms of ML (Maximum Likelihood) procedure in

LISREL852 was used and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s (1) The unit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on association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2)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status on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but They were appear to be an important predictor to

Korea (3)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on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4) Association participation was especially in

shaping social support and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to the two nations

This study is interpreted that further research on the topic of social capital are

raised with elaborating the measure on the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political efficacy consciousness of social class and so forth coupled with

advertising a few limitation of this study

Keyword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KGSS GSS ISSP

김상돈 성균관대학교13 학부대학강사13

경기도13 수원시13 장안구13 조원동13 한일타운13 동13 호13 119 703 440-709

Tel_01113 912013 132313 13 E-mail_education17hanmailnet

Page 2: 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 미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64/1/5.%e1%84%80%e1...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미비교연구:

126 김상돈

서13 론I

사회적13 신뢰는13 사회세계영역에서13 상호수용과13 사회적13 지원을13 촉진시킴으로

써13 안정적이고13 지속적인13 사회적13 관계의13 양과13 질을13 이끌어가는13 과정으로13 설명

되고13 있다 개인들13 사이의13 관계는13 신뢰에13 기반을13 둘13 때13 정확한13 정보와13 시의13

적절한13 사회적13 지원을13 제공함으로써13 보다13 원만한13 사회적13 관계를13 가능케13 한다

조직수준에서의13 신뢰는13 다른13 (Coleman 1988 DiMaggio amp Louch 1998)

조직과의13 협력관계를13 통하여13 거래비용13 감소13 및13 기회주의13 기능을13 억제함으로

써13 효과성13 및13 적응성을13 향상시킨다 이와13 같은13 사회적13 신(Williamson 1993)

뢰의13 중요성은13 사회제도와13 국민과의13 관계에서도13 동일한13 맥락을13 가지게13 된다

사회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는13 국민과의13 합리적인13 의사소통행위와13 각종13 사

회적13 지원13 및13 사회적13 안정13 등을13 촉진시키고13 불확실성에13 대한13 문제해결능력을13

강화시킴으로써13 사회목표를13 효과적으로13 달성될13 수13 있게13 한다

사회적13 신뢰는13 개인적13 차원에서의13 사회적13 자본으로13 분석될13 수13 있다 개인

적13 차원에서의13 사회적13 자본을13 분석하기13 위한13 노력은13 와13 Bourdieu(1984)

의13 연구13 이후13 다양하게13 전개되어13 왔다 특히13 와13 Coleman(1988) Billet Cambre

는13 벨기에13 플렌디히 지역주민을13 대상으로13 한13 연구에서13 결사(1999) (Flendish)

체참여와13 사회인구학적13 변인 교육 직업위세 성별 연령 등을13 외생변인으로13 ( )

설정하고 이데올로기 정책에13 대한13 관심 정치인신뢰 정치지식13 등을13 내생변

인으로13 하여13 개인적13 차원에서13 사회적자본의13 구성개념들13 사이의13 인과관계를13

구조방정식모형분석으로13 추정한13 대표적인13 연구자이다 또한13 를13 위 Burt(1992)

시한13 등의13 연구자들은13 조사대상자에13 대Portes(1993 1998) Newton(1999)

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사회적13 신뢰 호혜성규범 네트워크 사이의13 인( )

과관계를13 설정하고13 분석했으며 개인적13 차원에서의13 사회적13 자본에13 대한13 분석

을13 강조하고13 있다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13 사이의13 인과관

계를13 비교분석함에13 있어서13 한국과13 미국사회를13 선정한13 이유는13 유교공동체주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27

의와13 합리적13 개인주의13 모델을13 상호13 대비시키면서13 비교사회학적으로13 분석할13

수13 있기13 때문이다 한국사회는13 산업화과정에서13 유교적13 사회질서와13 개인주의13

가치지향이13 매우13 복합적이고13 양면적인13 성격을13 띠고13 있다면 미국사회는13 공동

체적13 지향보다는13 개인주의적13 가치관이13 더욱13 지배적이다 그러나13 양13 국가13 모

두13 개인의13 합리성13 및13 자율성에13 대한13 인식이13 강조되지만13 사람13 및13 제도에13 대한13

부정적13 이미지를13 가지게13 한13 여러13 가지13 요소들 개인들의13 이기주의13 및13 물질만(

능주의 사회제도의13 지대추구행위13 및13 자의적13 권한13 행사이13 존재한다는13 점13 역 )

시13 부인하기13 어렵다 따라서13 각기13 다른13 유교공동체주의와13 합리적13 개인주의모

델에13 기초하여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제도에13 (

대한13 사회적13 신뢰 사이의13 비교를13 시도함에13 있어13 사회구조나13 맥락13 및13 관계적13 )

특성이13 공통적으로13 고려되는13 개인적13 차원에서의13 사회적13 자본이13 요구되며 이

에는13 명확한13 방법론적13 전제가13 선행될13 필요가13 있다 이러한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이13 연구는13 다음과13 같은13 특성을13 지닌다

이13 연구의13 첫13 번째13 특징은13 한국과13 미국에13 거주하는13 사람들의13 사회경제적13

지위교육 직업위세 소득를13 외생변인으로13 하고 사회적자본의13 구성개념인13 ( )

사회단체참여13 및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그리고13 사회제도신뢰를13 내생변

인으로13 설정하여13 사회적13 자본의13 불평등을13 규명한다는13 점에서13 차별화된다 두13

번째13 특징은13 이13 연구의13 매개외생변인인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

망활용13 및13 사회제도신뢰에13 미치는13 단위영향13 및13 매개효과를13 분석하고 매개내

생변인인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이13 사회제도신뢰에13 미치는13 단위영향13 및13

매개효과를13 분석한다는13 점에서13 그13 특성이13 있다 세13 번째13 특징은13 국제사회조

사연합 에서13 시행된13 년13 한(ISSP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rogram) 2004

국종합사회조사 자료와13 년13 미국(KGSS Korea General Social Survey) 2001

종합사회조사 자료모듈을13 활용한다(GSS General Social Survey) KGSS

와13 자료는13 시간과13 공간의13 제약으로부터13 상대적으로13 자유롭2004 GSS 2001

고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과13 인과변인이13 풍부하며 연구결과의13 일반화가능

성을13 증진시키는13 장점을13 지닌다 이러한13 점에서13 볼13 때 이13 연구는13 자료 ISSP

모듈을13 활용한다는13 점에서13 국제비교연구를13 증진시키는13 의의를13 지닌다

따라서13 이13 연구는13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13 활용하여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

128 김상돈

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13 사이의13 복합적13 인과관계를13 규명하는데13

목적이13 있다 이들13 변인사이의13 복합적13 인과관계에13 대한13 분석은13 사회적13 자본

의13 구성개념을13 이론적 경험적13 차원에서13 우선논의한13 후 사회제도신뢰를13 최

종내생변인으로13 설정하고 사회제도신뢰에13 영향을13 미치는13 외생변인을13 사회경

제적13 지위로 사회단체참여13 및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을13 각각13 매개13 외 내생변인으로13 설정하여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의13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의13 양

상과13 수준을13 비교13 검증할13 것이다

이론적13 논의II

사회제도신뢰의13 분석시각1

사회적13 신뢰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핵심적13 구성개념이다 사회적13 자본에13 대한13

연구는13 년대13 후반에13 경제학자13 로우리 에13 의해13 제기된13 이후1970 (Loury 1977)

년대에13 는13 사회적13 자본을13 1980 Bourdieu(1984) ldquo제도화된13 연계와13 관계없이13 상호면식이13 있어13 알고13 지내는13 사이에13 지속적으로13 존재하는13 관계의13 연결망을13 통

해13 얻을13 수13 있는13 실제적이고13 잠재적인13 자원의13 총합rdquo이라고13 정의하였다 콜만

은13 사회적13 자본을13 물적13 자본과13 인적13 자본과의13 구별을13 통해13 개념화하(1988)

였다 부르디외와13 콜만의13 논의13 이후에13 사회적13 자본에13 대한13 연구는13 거시적13 차

원과13 미시적13 차원으로13 양분되어13 본격적으로13 진행되어13 왔다

거시적13 차원에서의13 접근방법은13 사회적13 자본을13 주어진13 사회의13 문화적 조직적13 특성으로13 파악하며13 사회통합과13 신뢰에13 초점을13 맞춘다(Putnam 1993

사회적13 자본의13 분석단위는13 사회13 또는13 집단내부에서13 파악Fukuyama 1995)

한다 반면 개인이나13 집단에서13 형성되는13 관계의13 패턴을13 개인적13 차원에서13 접

근하는13 것이13 미시적13 차원에서의13 사회적13 자본연구이다 는13 사회 Portes(1998)

적13 자본을13 한13 개인에게13 고유하게13 존재하는13 것이13 아니라 그13 개인이13 타인들과13

가지는13 관계들의13 집합에13 내재된13 하나의13 특성으로서13 배태성 의13 (embededness)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29

산물이라13 개념화하였다 린 은13 사회적13 자본을13 행위자가13 자신이13 속 (Lin 2001)

한13 집단13 즉13 연결망13 속에13 있는13 자원에13 접근함으로써13 얻을13 수13 있는13 자산으로13

정의하였다 이들의13 주된13 주장은13 대면적13 상호작용 구조적13 공백 배태성13 등과13

같은13 사회13 연결망의13 구조적13 특징으로13 정의된다 결국13 사회적13 자본에서13 제시

한13 핵심적13 구성개념은13 사회13 연결망과13 사회적13 신뢰이다

사회13 연결망과13 사회적13 신뢰사이의13 인과관계는13 대체로13 사회적13 신뢰를13 결과

변인으로13 간주하는13 것이13 일반적13 견해이다 사회적13 신뢰는13 사회적13 관계를13 전

제로13 그13 관계13 속에서13 존재하며 신뢰가13 있음으로13 해서13 관련행위자들은13 협동

을13 할13 수13 있고13 감시와13 통제비용을13 줄일13 수13 있다는13 점에서13 신뢰는13 가장13 중요

한13 사회적자본의13 결과로13 설명된다(Zucker 1986 Gambetta 1988 Coleman

사회적13 신뢰의13 개념은13 대상에13 따라13 사람에13 대한13 신뢰1988 Paxton 1999)

와13 제도에13 대한13 신뢰로13 구분된다 사람에13 대한13 신뢰는13 특정(Giddens 1990)

한13 사람과13 불특정한13 타인에13 대한13 신뢰의13 개념으로서13 과거의13 신뢰경험으로부

터13 영향을13 받는다 한편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는13 어떤13 공동체내에서13 그13

공동체의13 다른13 구성원들이13 보편적인13 규범에13 기초하여13 규칙적이고13 정직하며13

협동적인13 행동을13 할13 것이라는13 기대로13 정의된다 이를13 구체적으로13 살펴보면

은13 제도신뢰를13 사랑 권력 돈과13 같은13 상호소통13 매개체를13 통해13 Luhman(1988)

정치 경제의13 사회기능체계가13 적절하게13 작동할13 때13 생기는13 믿음이라고13 주장하

였다 이들이13 제시한13 제도신뢰13 개념은13 제도학파의13 제도화13 과정으로13 해석하면13

다소13 모호한13 것은13 사실이나 현실적으로13 구체화된13 제도로서13 국가기구나13 기업

과13 언론13 등13 사회기관으로13 정의하면13 개념적13 한계를13 벗어나13 경험적13 분석이13 가

능하다 따라서13 제도신뢰는13 공적신뢰로13 개념화할13 수13 있으며 공적13 신뢰란13 사

회제도의13 주요영역으로서13 국가 시장 시민사회13 등13 주요13 조직이나13 규범에13 대

한13 신뢰를13 의미한다 이상의13 제도신뢰에13 대한13 개념적13 설명(Sztompka 1999)

과13 이13 연구의13 분석대상인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의13 사회적13 신뢰에13 대한13 구조적13

특성은13 각기13 다른13 유교공동체주의와13 합리적13 개인주의13 모델을13 통해서13 맥락적

으로13 설명할13 수13 있다1

1 유교공동체주의와13 합리적13 개인주의13 모델로13 선정한13 이유는13 국가에13 고유한13 어떤13 개념

을13 만들어13 매우13 복잡한13 사회현실로부터13 추상화하여13 그13 국가의13 맥락적13 설명을13 강조하

130 김상돈

유교공동체주의13 모델에서는13 인간관계와13 사회를13 매개하는13 것이13 권리가13 아

닌13 도덕이라고13 보며 유교적13 이상은13 인간의13 이성을13 통하여13 공공선을13 실천할13

수13 있다고13 본다 이러한13 점에서13 도덕적인13 지식을13 터득하고13 이를13 실현시키는13

기제는13 바로13 국가로13 해석된다 다시13 말해 국가는13 바로13 사회지도층이13 운영하

는13 것으로13 사회기강을13 세우고13 도덕적으로13 계도하는13 주체로13 간주되어왔다국(

민호 유교국가론을13 지향해온13 한국사회는13 세기에13 일제강점기 미군 1997) 20

정 한국전쟁 압축적13 근대화13 등의13 과정을13 겪어오면서13 한국적13 질서13 및13 예의를13

유지해주던13 유교13 문화적13 전통과13 사회지도층의13 신뢰가13 희박해져가는13 반면에

서구의13 근대13 및13 탈근대이념은13 왜곡된13 형태로13 수입되어13 전통과13 근대13 그리고13

탈근대13 등이13 혼재되어13 공존하고13 있을13 뿐만13 아니라 시장제도13 구축의13 미비13 때

문에13 행위와13 제도간의13 심각한13 괴리를13 경험하고13 있다 한편 합리적13 개인주의

모델의13 핵심은13 개인의13 합리성과13 자율성에13 기초한다 개인의13 자율성을13 유지해

주는13 기제가13 바로13 시장이다 미국인에게13 있어13 시장이란13 개인의13 자율성과13 자

유를13 지켜주는13 영역으로13 국가와13 정부보다13 우월한13 기제이다 예컨대 초기13 산

업사회시기부터13 년대까지13 미국은13 고신뢰사회로서13 전혀13 면식이13 없는13 지1980

역의13 거래당사자들과13 거래도13 가능할13 정도로13 사회적13 신뢰가13 확고하였다 그러

나13 미국사회는13 노동시장의13 유연화 우익진영의13 극단론걸프전쟁 이라크전 (

쟁 지방정부의13 재정위기마이애미 워싱턴 뉴욕13 등 및13 정책실패13 등으로13 ) ( )

인해13 사회제도신뢰가13 점차적으로13 약화되고13 있다(Putnam 1993 Fukuyama

사회제도에13 대한13 신뢰가13 약화되고13 있다는13 점은13 1996 Billet et al 1999)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의13 공통된13 추세임에도13 불구하고13 도덕과13 합리성 국가와13

시장 공동체주의와13 개인주의13 등의13 상호배타적13 특성이13 현저하게13 대립된다

이처럼13 대조적인13 한국과13 미국13 양국의13 특성차이가13 이13 연구의13 최종내생변인인13

사회제도신뢰와13 관련하여13 일정한13 변이를13 유발할13 것임을13 예상할13 수13 있다2

기13 위함이다

2 이러한13 주장의13 경험적13 근거로13 후쿠야마 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유무13 및13 (Fukuyama 1995)

높고13 낮음을13 국가13 및13 사회발전의13 관건이라13 하며 동아시아의13 유교권13 국가는13 차13 집단13 1

및13 연고13 집단13 위주의13 결속력이13 강하여13 제도보다는13 사람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게13

나타난13 반면에 서구선진국들은13 가족13 및13 친척범위를13 초월한13 사회단체와의13 연대적13 능

력이13 상대적으로13 강하여13 사회제도신뢰가13 높다고13 제시하였다 또한13 세계가치조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1

이상의13 논의에서13 사회제도신뢰는13 사회적13 관계에서13 형성되기13 때문에13 대칭

적13 이라기보다는13 비대칭적이다 왜냐하면 사회제도신뢰는13 대면적13 상호작용

과13 성찰적13 인지과정을13 통해13 형성되는13 메커니즘이기13 때문이다 Newton(1997)

과13 는13 사회적13 신뢰의13 인과기제를13 사회적으로13 이질적이고13 포괄적Portes(2000)

인13 집단과의13 대면적13 상호작용을13 통해13 형성되며 이13 제시 Putnam(1993 1995)

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인13 네트워크와13 규범13 및13 결과는13 상이하게13 구성되어13

있음을13 그들은13 주장하였다 따라서13 이13 연구에서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을13 각각13 원인과13 결과로부터13 구분하여13 개인의13 심리적13 태도변수인13 사회제도신

뢰를13 결과변인으로13 설정하며 사회제도신뢰는13 개인의13 사회경제적13 지위에13 기

초하고13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을13 인과구조로13 구체화시

킨다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2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교육 직업 소득13 등13 위계적으로13 구조화된13 체계로서13 각

기13 다른13 삶의13 기회와13 생활양식을13 가지게13 되며 이렇게13 각기13 다른13 조건들은13

개인의13 가치관13 및13 사회적13 태도 그리고13 사회적13 행위에13 영향을13 미친다 사회경

제적13 지위에13 따른13 사회단체참여13 및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그리고13 사회

제도신뢰사이의13 인과관계를13 분석한13 기존연구결과는13 다음과13 같다

첫째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인과적13 영향을13 분석한13 기

존연구결과를13 살펴보면 미국사람들의13 사회참여를13 조사한13 연구결과 (Brehm

에서13 단체참여에13 결정적으로13 중요한13 인과적13 요인은13 높은13 and Rahn 1997)

교육 높은13 가계수입 좋은13 직장13 등13 사회경제적13 지위이다 교육과13 소득수준은13

결사체참여에13 가장13 영향력13 있는13 인과변인으로서 교육수준이13 높은13 사람이13 낮

를13 활용한13 장수찬 의13 연구에서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World Value Survey) (2002)

두13 군대 경찰 행정부 사법부 입법부13 순으로13 정치제도가13 높은13 신뢰를13 받는13 것으로13

분석되었으나 사회기관에13 대한13 신뢰의13 경우13 한국은13 환경운동기구 여성운동기구 언

론 기업13 순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은13 기업 환경운동 여성운동기구 언론13 순으로13

나타났다 장수찬( 2002)

132 김상돈

은13 사람에13 비해13 결사체참여가13 높게13 나타났다(Verva Schlozman Brady

직업지위와13 관련해서도13 전문직 사무직13 종사자13 혹은13 자영업자들이13 생1995)

산 기능 노무직에13 종사하는13 사람들보다13 상대적으로13 단체참여에13 보다13 적극적인13 것으로13 나타났다 따라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Inglehart 1999)

람들은13 사회단체참여가13 높으리라고13 판단된다

둘째 사회경제적13 지위와13 사회적13 지원사이의13 인과관계13 틀은13 주로13 사회연결

망의13 연구자들에13 의해서13 규명된다 는13 교육 직업지위 수 Granovetter(1982)

입13 등의13 계층적13 위치가13 높을수록13 직장동료 이웃 아는13 사람13 등의13 약한13 연계

에13 의존하는13 반면에 사회계층이13 낮을수록13 가족 친척13 등의13 강한13 (weak tie)

연계 에13 의존한다고13 주장한다 이러한13 주장은13 린 의13 위(strong tie) (Lin 1982)

세가설에서13 사람들이13 보유하고13 있는13 부와13 권력 사회적13 위세가13 높을수록13 사

회적13 자본의13 창출이13 높다고13 제시하였다 이들의13 연구결과에13 비추어13 볼13 때 사

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13 약한13 연계부터13 사회적13 지원을13 활용할13 가능성이13 높

게13 나타날13 것이라고13 판단된다

셋째 사회제도신뢰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와13 접한13 관련성을13 갖는다 일반적

으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들은13 그들이13 어떤13 사회적13 보상과13 명예를13

이끌어낼13 능력이13 있으므로13 사회제도에13 대한13 긍정적인13 평가를13 할13 가능성이13 높

다 이러한13 주장의13 주된13 근거는13 부자들의13 경우13 타인을13 신뢰하(Olson 1965)

여13 생기는13 위험부담으로13 인해13 자신들이13 가지고13 있는13 일부를13 잃지만13 가난한13

사람들의13 경우13 유일한13 생존수단을13 잃게13 되는13 결과를13 가져올13 수13 있기13 때문이

다 이들의13 연구결과를13 비추어볼13 때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Banfield 1967)

사람이13 낮은13 사람에13 비해13 공공13 및13 민간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상대적으

로13 높게13 나타날13 것으로13 예측된다

전술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

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에13 미치는13 영향이13 일차적이고13 본질적인13 인과변인이라 )

면 사회단체참여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와13 사회연결망의13 기능적13 효과사회적13 지 (

원 사회적13 신뢰 사이의13 매개변인으로13 선정할13 수13 있다 사회단체참여를13 매개 )

변인으로13 선정한13 이유는13 구성원과의13 대면적13 상호작용과13 의사소통행위를13 통

해13 개인의13 사회적13 정체성이13 성립되고 이해관계가13 형성되며 사회적13 행위가1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3

형성 발전되고 사회적13 관계13 속에서13 유통되고13 있는13 경제적 정치적13 도움과13 호혜성규범13 및13 사회적13 신뢰13 등13 기능적13 효과로13 연결되기13 때문이다

첫째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13 지원사이의13 인과관계에13 대한13 기존연구는13

의13 구조적13 공백 의13 생태지위13 등의13 접근방법을13 사용한다Burt McPherson

가13 제시한13 구조적13 공백 개념은13 한13 사람이13 가지고13 Burt(1992) (structural hole)

있는13 연결망들13 사이에서13 그13 중심에13 있는13 사람과는13 어떤13 형태로든13 연결이13 되

지만13 다른13 사람들13 사이에서는13 관계가13 없는13 상태를13 지칭한다 McPherson

이13 제시한13 생태지위 란13 개체의13 환경13 속에서13 자원을13 매개로13 맺는13 (1983) (niche)

관계의13 구체적13 양상을13 의미하는13 것으로서 개체가13 의존하는13 자원들의13 종류가13

다양하고13 광범위하면13 그13 개체가13 보유한13 생태지위의13 범위는13 넓을13 것이고 반

대로13 특정한13 종류의13 자원에만13 의존한다면13 생태지위의13 범위는13 좁을13 것이다

이러한13 점에서13 사회단체에는13 구조적13 공백과13 생태지위 가13 등장하는13 맥(niche)

락을13 설명할13 수13 있는13 이점이13 있다

둘째 사회단체13 참여는13 다양한13 관심사를13 가진13 사람들과의13 만남을13 통해13 참

여자의13 관심영역을13 확장시키고13 다양한13 정치 사회적13 문제에13 대한13 이해를13 높여주며 사회단체에13 의해13 주관되는13 다양한13 행사를13 조직화하고13 집행하는13 과정

에서13 정치와13 관련된13 의사소통과13 의사결정기술을13 연마하게13 되어13 정치참여를13

촉진시킬13 뿐만13 아니라 공공의13 이익을13 위해서13 개인의13 이익을13 양보하는13 공적13

시민정신을13 고취시키며13 무임승차를13 배격하는13 윤리를13 배양한다고13 하였다

은13 사회단체에13 가입13 및13 소속됨으로써13 좋(Tocqueville 1835) Putnam(1995)

은13 이웃과13 동료들을13 만나13 대화를13 나누고13 사회적13 관계를13 쌓을13 수13 있는13 기회13

등을13 얻게13 되며 사람들13 사이에13 축적된13 연결망과13 연결망13 안에서의13 지속적인13

상호작용은13 시민의식이나13 규범13 및13 사회적13 신뢰13 등이13 형성된다고13 제시한다

이상의13 사회단체참여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한13 범주로서13 사회적13 지원과13 제도에13 대

한13 사회적13 신뢰형성에13 영향을13 주는13 중요한13 인과변인이다

한편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연결망유형의13 한13 범주에13 포함된다면 사회적지

원은13 사회연결망의13 기능으로13 표현되어진다 사회적13 지원이란13 사람들이13 맺고13

있는13 사회적13 관계를13 통해13 얻게13 되는13 정서적13 지원 서비스13 지원 경제적13 지원13

등을13 의미한다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사회제도신뢰간의13 인과관계에13

134 김상돈

대한13 연구는13 거시적13 차원의13 사회적13 자본론자들(Pagden 1988 Fukuyama

에13 의해서13 비롯된다 은13 내집단족쇄1995) Pagden(1988) (fetters of in-group)

용어를13 사용하면서13 혈연 지연13 등13 자연적13 관계를13 통한13 공동체적13 유대감과13 학연 직장동료관계와13 같은13 이익집단생활을13 통한13 유대감이13 집단13 내13 소속감으로13 되어13 사람에13 대한13 신뢰는13 높지만 사람에13 대한13 신뢰가13 제도에13 대한13 신뢰의13

희생을13 기반으로13 확대된다고13 하였다 는13 반경범위개념을13 사 Fukuyama(1995)

용하면서13 저신뢰13 사회의13 공통점을13 강력한13 가족주의13 문화와13 중앙집권13 등13 구조

적13 특성에서13 기인된다고13 지적하면서 강력한13 중앙집권국가에13 있어서13 가족과13

국가사이의13 중간지대 즉13 양자사이의13 중개집단들의13 자율과13 자치를13 억압하게13

되어13 사람13 및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상대적으로13 취약하다고13 주장하였

다 국내연구결과김용학 ( 손재석 이재열 에서도13 법적인13 계약서 1998 1998)

나13 재정적인13 보증13 없이13 돈을13 빌려주는13 일 일자리를13 제공하는13 일 계를13 통해13

금리보다13 높은13 이자수익을13 얻는13 등13 사회적13 지원이13 가족13 및13 개인연결망으로13

활용되고13 있으며 이러한13 사적13 영역의13 연결망활용은13 공적영역의13 신뢰를13 식민

화하여13 사회13 전체적으로13 저신뢰사회가13 되었다고13 지적한다 사회적13 지원의13 논

의를13 통해13 일상생활에서13 사람들이13 강한13 연계를13 활용할수록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

적13 신뢰가13 희생된다고13 본13 제한적13 연대의13 개념들예 내집단족쇄 반경범위13 (

등에13 대한13 인과관계의13 연장선상에서13 이13 연구는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13 활용과13 )

사회제도신뢰13 사이의13 인과구조를13 분석한다

연구가설13 및13 연구모형3

이상의13 이론적13 논의를13 토대로13 구성한13 분석모형은13 그림13 과13 같다 이13 연구1

의13 최종13 내생변인은13 사회제도신뢰이다 사회제도신뢰는13 대기업 언론계 교육

계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13 등을13 포함한13 개의13 하위영역으로13 설정하여13 한국 11

과13 미국13 양13 국가의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를13 다차원적 통합적으로13 비교분석한다

사회제도신뢰의13 영향요인은13 사회13 경제적13 지위와13 사회단체참여 그리고13 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5

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으로13 설정하고 통제변인으로13 인구학적13 요인을13 설정

한다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교육년수 직업위세 소득13 등13 세13 가지13 하위범주로13

설정하여13 측정한다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은13 각각13 매개13

외 내생변인으로13 한다 사회단체13 참여는13 정당단체 노동조합 시민단체 취미

단체 이웃단체 기타단체로13 하고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은13 정서적13 지원

경제적13 지원 서비스지원13 등13 세13 가지13 하위범주로13 설정하여13 측정한다

그림13 분석13 모형1

ξ 1 사회경제적13 지위 X 5 기혼더미 Y 10 기업계13 신뢰

ξ 2 남성더미 X 6 광역시더미 Y 11 교육계13 신뢰

ξ 3 기혼더미 Y 1 정당단체참여 Y 12 언론계13 신뢰

ξ 4 광역시13 더미 Y 2 시민단체참여 Y 13 방송계13 신뢰

η 1 사회단체참여 Y 3 노동조합참여 Y 14 의료계13 신뢰

η 2 사회적13 지원 Y 4 취미단체참여 Y 15 행정부13 신뢰

η 3 사회적13 신뢰 Y 5 이웃단체참여 Y 16 입법부13 신뢰

X 1 교육년수 Y 6 기타단체참여 Y 17 사법부13 신뢰

X 2 직업위세 Y 7 정서적13 지원 Y 18 학계13 신뢰

X 3 소득 Y 8 경제적13 지원 Y 19 군대13 신뢰

X 4 남성더미 Y 9 서비스13 지원 Y 20 금융계13 신뢰

기본13 모형에13 대한13 인과13 경로임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과13 수정지수 에13 따라13 추정될13 인과13 경로임(MI)

136 김상돈

이상의13 분석모형을13 토대로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13 사이의13 연구13 가설들은13 다음과13 같다

lt연구가설13 1gt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13 사람보다13 미국사람이13 상대적으로13 더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2gt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이13 낮은13 사람에13 비해13 사회단체

참여에13 적극적일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3gt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이13 사회적13 지원을13 강한13 연계13

보다는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할13 가능성이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4gt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은13 낮은13 사람에13 비해13 상대적으

로13 사회제도13 신뢰가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5gt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일수록13 사회제도신뢰가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6gt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일수록13 사회적13 지원을13 강한13 연계보다

는13 약한13 연계에13 더13 많이13 요청할13 가능성이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7gt 사회적13 지원을13 약한13 연계에13 더13 많이13 요청할수록13 사회제도신

뢰가13 높을13 것이다

연구13 방법III

자료수집방법1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13 사이에13 미치는13

영향을13 분석하기13 위해13 사용할13 자료는13 와13 이다KGSS 2004 GSS 2001

자료는13 성균관대학교13 서베이리서치센터에서13 년13 월13 KGSS 2004 2004 7~8

동안13 실시하였으며 표집절차는13 전국13 주민등록13 전산자료로부터13 다단계지역층

화표본추출법에13 의해13 추출되는데 그13 구체적인13 절차는13 다음과13 같다 첫째 최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7

종표집지역수를13 개로13 선정하고13 이를13 차표집단위인13 전국13 광역시200 1 도의13 가구수13 분포에13 비례하여13 배분한다 둘째 각13 광역시 도로부터13 배분된13 수만큼의13 차표집단위인13 읍2 면 동을13 인구비례확률표집13 원칙을13 적용하여13 무작위로13 추출한다 셋째 이렇게13 추출된13 각13 읍 면 동으로부터13 한13 개의13 최종표집지역면( 의13 경우에는13 리 동의13 경우엔13 통 반을13 무작위로13 선정한다 넷째 선정된13 )

통 반13 또는13 리에서13 개의13 가구를13 계통표집한다 계통표집된13 가구13 내에서13 10

만13 세13 이상13 성인13 가구원들의13 리스트를13 작성한13 후13 이들13 가운데13 태어난13 월18

일이13 가장13 빠른13 사람을13 조사대상자로13 삼는다 조사된13 설문지의13 유효사례수는13

명이다 이13 연구에13 사용할13 변인들에13 대한13 응답13 가운데13 무응답1312 (lsquo모르겠다rsquo 포함 문항에13 개별평균값으로13 대체한13 후13 결측치 ) (missing values)(n=

를13 일률적 으로13 제거하여13 추출된13 총13 명이13 최종13 분석사례수343) (listwise) 979

를13 형성하였다 평균13 대체방법을13 사용한13 이유는13 변인들의13 분포추정치13 왜(N)

곡13 가능성의13 성격을13 지니지만 결측치를13 가능한13 정확한13 값으로13 대체함으로써13

무응답의13 편차감소와13 연구결과의13 일반화13 및13 신뢰성이13 향상될13 수13 있기13 때문이

한편 자료는13 시카고대학의13 GSS 2001 NORC(National Opinion Research

C 에13 의해13 수집된13 자료로서13 년13 월에서13 월에13 걸쳐13 면접자13 조사방enter) 2001 2 5

식에13 의해13 수집되었다 표집방법의13 구체적인13 절차는13 다단계지역13 확률표집방

법으로서13 차13 표집단위는13 표준대도시지역1 (SMSA Standard Metropolitan

또는13 비도시지역의13 카운티들을13 지역 연령13 그리고13 인종에13 Statistical Area)

따라13 층화한13 후13 그13 단위를13 블록그룹이나13 열람구역별로13 인종과13 소득에13 따라13

층화한다 최종표집단위는13 블록이며 블록들을13 크기에13 준해13 확률을13 조정한13

뒤 특정블록을13 추출한다 이렇게13 추출한13 조사대상자를13 대상으로13 부실한13 응

답사례를13 제외한13 유효사례수는13 명이다 한국과13 동일한13 방식으로13 무응답2765

(lsquo모르겠다rsquo 포함의13 문항에13 개별평균값으로13 대체한13 후13 결측치 ) (missing

를13 일률적 으로13 제거하여13 추출된13 총13 명이13 이13 연values)(n=2230) (listwise) 535

구의13 최종13 분석사례13 수 를13 형성하였다(N)

138 김상돈

변수정의13 및13 측정2

이13 연구의13 최종내생변인은13 사회제도신뢰로13 대기업 교육계 언론계 금융

계 학계 의료계 방송계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 군대13 등13 가지13 영역을13 포 11

함한다 이렇게13 구성된13 사회제도신뢰는13 ldquo신뢰하지13 않음rdquo ldquo다소신뢰rdquo ldquo매우13 신뢰rdquo 순으로13 점에서13 점을13 부여하여13 연속변수로13 분석에13 사용한다 1 3

이13 연구의13 매개13 내생변인인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유형은13 사회연결망13 연구

자들의13 연계유형에서13 제시한13 가족 친척 이웃 친구 직장동료 성직자 사회

사업가 의사13 등을13 가족 친척 비13 친척으로13 분류한13 후13 이들13 유형을13 각각13 교

차 시켜13 아홉13 가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13 활용유형을13 만들13 수13 있다 이(3times3)

렇게13 구성된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유형은13 강한13 연계에13 답한13 순으로13 정리한13

후 동일한13 응답범주는13 첫13 번째13 응답에13 강한13 연계로13 답한13 경우를13 우선13 기준

으로13 점에서부터13 점까지의13 점수를13 부여하여13 측정한다1 9

이13 연구의13 매개외생변인은13 사회단체참여로13 정치단체 노조단체 시민단체

취미단체 이웃단체 기타단체13 등13 여섯13 가지13 영역의13 사회단체13 참여수준을13 측

정한다 사회단체참여에13 대한13 영역은13 ldquo소속된13 경험이13 없음rdquo ldquo과거에13 소속된13 경험13 있음rdquo ldquo소속되어13 소극적13 활동rdquo ldquo소속되어13 적극적13 활동rdquo 순으로13 조사

되었으며13 이들13 각각에13 점부터13 점까지의13 점수를13 부여하였다1 4

변13 인정의( )

설13 문13 문13 항측정척도범위[ ]

사회제도신뢰(institution)

개13 주요13 사회기관에13 대한13 신뢰의13 정도11매우13 신뢰13 다소13 신뢰13 매우13 불신 ① ② ③

연속변수[1-3]

사회적13 지원(SUPPORT)

정서적13 지원13 ① ② 연속변수[1-9]

경제적13 지원13 ① ② 연속변수[1-9]

서비스13 지원13 ① ② 연속변수[1-9]

사회단체참여(ASSOCIATION)

개13 사회단체참여에13 대한13 참여13 여부6소속된13 경험13 무13 소속된13 경험① ② 소극적13 활동13 적극적13 활동③ ④

연속변수[1-4]

표13 lt 1gt 내생변인들의13 설문문항13 및13 변수정의1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9

이13 연구의13 외생변인은13 사회경제적13 지위이다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교육년수

소득 직업위세로13 설정한다 교육년수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중요한13 인과변인으로

서13 정규교육을13 받은13 수학년수에13 근거하여13 점에서부터13 점으로13 측정한다0 23

응답자의13 월평균소득은13 와13 자료모듈에13 있는13 원13 자료KGSS 2004 GSS 2001

를13 근거로13 각13 범주에13 중간값을13 부여하여13 자연대수로13 변환하여13 측정한다 응

답자의13 직업은13 간즈붐과13 트라이먼 에13 의하여13 (Ganzeboom amp Trieman 1996)

구성된13 표준국제직업위세척도(SIOPS Standard International Occupation

에서13 제시한13 점부터13 점으로13 점수를13 부여하여13 분석에13 사Prestige Scale) 16 88

용한다

한편 인구학적13 특성인13 성 연령 결혼상태 지역13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은13 통제

변인으로13 설정한다 성은13 더미변수로서13 여성일13 경우는13 남성일13 경우는13 로13 0 1

부여13 한다 연령은13 자연연령으로13 분석에13 사용한다 결혼13 상태는13 더미변수로

서13 미혼13 및13 이혼 사별 별거일13 경우는13 기혼일13 경우는13 로13 부여하여13 더미0 1 변수로13 사용한다 지역은13 한국사회의13 경우13 특별시13 및13 광역시일13 경우에는13 1

기타도시일13 경우는13 으로 미국사회의13 경우13 메트로폴리스는13 기타도시는13 0 1 0

으로13 부여하여13 더미변수로13 만들어13 사용한다

변13 인 설13 문13 문13 항 측정척도

사회경제적13 지위(SES)

교육13 년수연속변수

직업13 위세SIOPS

[16-87]

소득13 수준 ln(income)

통제변인

연령 연속변수

성별남성=1 여성=0

결혼여부기혼=1미혼=0

이혼 사별 별거=0

주거지역광역도시=1기타도시=0

표13 lt 2gt 사회인구학적특성에13 사용된13 설문문항13 및13 변수정의13

140 김상돈

자료분석방법3

이13 연구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

제도신뢰13 사이의13 영향을13 분석하기13 위해13 탐색적13 요인분석 확인적13 요인(EFA)

분석 그리고13 공변량13 구조분석 등을13 시도한다 확인적13 요인(CFA) (LISREL)

분석은13 일련의13 경쟁적인13 요인모형들을13 각기13 추정하여13 모형부합지수를13 각13 모

형별로13 산출하여13 최적의13 모형을13 추정한다 구조방정식모형은13 측정모형과13 구

조모형의13 개13 하위모형으로13 구성되어13 있다 측정모형분석의13 전략은13 제도에13 2

대한13 사회적13 신뢰 사회적13 지원 사회단체참여13 등13 내생잠재변수와13 외생잠재

변수인13 사회경제적13 지위 그리고13 통제변수를13 이론변수로13 설정하여13 제반13 이론

변수간의13 상관관계를13 분석한다 한편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를13 각13 별도의13

결과변인13 혹은13 최종적13 내생변인으로13 설정하고13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을13 매개변인으로13 설정한13 상태에서13 제반13 예측변인들의13 인과적13 단

위영향을13 분석하기13 위한13 구조모형을13 추정한다 이어서13 각13 결과변인을13 설명하

는13 인과요인들의13 직접 간접 전체13 영향을13 분리시키는13 경로분석을13 실시함으로써 각13 인과변인들의13 상대적13 중요성에13 대한13 평가를13 시도한다 각13 차원들을13

결과변인으로13 간주한13 공변량13 구조분석을13 시도함으로써13 이론13 변인들간의13 구

조적13 인과관계를13 추정한다 실증분석을13 위하여13 사용된13 통계프로그램은13 SPSS

및13 를13 사용하였다110 LISREL 852

분석결과IV

기술통계1

분석에13 포함된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의13 조사대상자에13 대한13 사회경제적13 지

위13 특성을13 살펴보면 교육년수는13 한국평균 년보다13 미국평균 ( =12422 ) (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1

년 에서13 약간13 높으며 직업위세점수는13 한국평균 점보다13 미국13629 ) ( =40315 )

점 에서13 정도13 높게13 나타났다 소득수준은13 한국평균 보(47512 ) 7197 ( =5394)

다13 미국평균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 =10464) 3 따라서13 조사대상자의13 사회경제

적13 지위는13 한국보다13 미국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

한편 조사대상자의13 인구학적13 특성을13 살펴보면 연령은13 한국평균 ( =41503

세보다13 미국평균 세에서13 약간13 높으며 남성비율은13 미국 보) ( =42966 ) (450)

다13 한국 에서13 약간13 높은13 분포를13 나타냈다 기혼비율은13 미국 보(460) (450)

다13 한국 에서13 높으며 광역시 특별시13 광역시 에13 거주하는13 한국의13 비(686) (1 6 )

율은13 인13 반면에13 메트로폴리스에13 거주하는13 미국의13 비율은13 로13 나479 292

타났다

다른13 한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 (

망활용 사회제도신뢰을13 살펴보면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평균 보다13 ) ( =1479)

미국평균 에서13 더13 적극적인13 것으로13 나타났으며( =1732) (t=-8045 p 001) <

변인

평균 범위[ ] SD

한국(N 979)=

미국(N 535)=

한국 미국

사회경제적지위

교육년수 12422 [0-23] 13629 [1-20] 4032 2910

SIOPS 40315 [16-87] 47512 [16-88] 13376 16147

소득 5394 [3219-6957] 10464 [6215-11653] 746 950

인구학적특성

연령 41503 [18-84] 42966 [20-86] 14433 16029

남성 460 [0-1] 450 [0-1] 499 498

기혼 686 [0-1] 450 [0-1] 467 498

광역도시 479 [0-1] 292 [0-1] 500 455

주 한국 교육년수 로그소득 미국 교육년수 SES( =855 +725 SIOPS+805 =811 +791 로그소득 SIOPS+ 673 )

표13 lt 3gt 조사대상자의13 사회인구학적13 특성13

3 사회경제적13 지위변수인13 교육 직업위세 로그소득을13 탐색적13 요인분석결과 한국의13

와13 미국의13 자료13 모두13 하나의13 주요인으로13 추출되었으며13 총13 변량KGSS 2004 GSS2001

에13 대한13 설명력은13 각각13 로13 나타났다 이렇게13 구성된13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652 570

교육 직업 소득변수에13 가중치가13 부여된13 조합변수로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 KGSS 2004[

교육교육년수 직업 소득 로그소득 사회경제=855 ( )+725 (SIOPS)+805 ( )] GSS 2001[

적지위 교육 교육년수 직업위세 소득 로그소득 으로13 구성=811 ( )+791 (SIOPS)+673 ( )]

할13 수13 있고13 선형조합인13 요인점수 를13 그13 값으로13 가지게13 된다(factor score)

142 김상돈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은13 미국평균 보다13 한국평균 에서13 ( =3187) ( =4541)

약한13 연계를13 더13 활용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사회제도신뢰(t=9337 p 001) <

는13 한국 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 =1733) ( =2075) (t=-14463

이로써13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13 사람보다13 미국사람이13 더13 높을13 것이라p 001) <

고13 제시한13 lt연구가설13 1gt을13 수용하게13 되었다

변인 평균 SD 차이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평균차이 절대량차이 값t

사회제도신뢰

대기업13 신뢰 1671 2019 548 584 -348 -312 -8123

교육계13 신뢰 1784 2100 575 624 -316 -267 -7273

언론계13 신뢰 1639 1680 588 659 -041 030 -3145

방송계13 신뢰 1779 1665 600 651 114 165 1506

의료계13 신뢰 1873 2274 574 639 -401 -336 -8585

행정부13 신뢰 1461 2046 531 683 -585 -433 -13578

입법부13 신뢰 1180 1905 403 586 -725 -542 -19212

사법부13 신뢰 1944 2275 591 639 -331 -283 -7671

학계13 신뢰 1957 2329 539 613 -372 -298 -8496

군대13 신뢰 1915 2468 649 614 -553 -588 -12062

금융계13 신뢰 1865 2068 593 629 -203 -167 -4463

전13 체 1733 2075 318 343 -342 -317 -14463

사회적13 지원

정서적13 지원 5813 3802 2672 2792 2011 2131 10916

경제적13 지원 4843 3202 2853 2788 1641 1576 7167

서비스13 지원 2967 2557 2352 2457 410 515 4336

전13 체 4541 3187 1880 1950 1354 1424 9337

단체참여

정당단체13 참여 1163 1593 518 1032 -430 084 -8129

시민단체13 참여 1098 1874 421 1229 -776 032 -12751

노동조합13 참여 1275 1512 674 956 -237 045 -7695

취미단체13 참여 1819 2166 1071 1366 -347 -052 -4389

이웃단체13 참여 1614 1493 1041 977 121 057 567

기타단체13 참여 1905 1753 1208 1151 152 095 1199

전13 체 1479 1732 469 702 -253 -020 -8045

주 평균13 및13 절대량13 차이는13 기술통계의13 차이 한국 ( -미국이며13 통계적13 유의도는13 ) t- 에13 대한13 검증test임

p 05 p 01 p 001 < < <

표13 lt 4gt 사회적자본의13 기술통계한국 미국13 ( 13 N 97913 13 N=53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3

모형검증의13 타당도평가2

이13 절에서는13 내생변인들에13 대한13 모형검증의13 타당도를13 분석한다 모형검증

의13 타당도를13 분석하기13 위해서는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13 변인13 등은13 탐색적13 요인분석과13 확인적13 요인분석이13 사용된다

탐색적13 요인분석결과 표본적절성13 측정치인13 값한국 미국 KMO ( =773

은13 적절한13 수준이었으며13 의13 구형성13 검증13 통계치의13 유의수준은13 =752) Bartlett

양13 국가13 모두13 으로13 보다13 작아13 자료의13 상관이13 요인에13 적합한13 것으로13 000 05 3

나타났다 제 요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13 개13 문항13 가운데13 개의13 측정변인 1 20 11

들이13 묶이는13 것으로서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에13 해당한다 제 요인은13 양13 2

국가13 모두13 전체문항13 가운데13 개13 문항의13 측정변인을13 요인13 구성하였으며13 사회6

단체참여에13 해당한다 마지막으로13 제 요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문항13 가운데13 3

개문항의13 측정변인을13 요인13 구성하였으며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해당3

한다 또한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의13 내적일

치성을13 알아보기13 위해13 의13 계수로13 평가한13 결과 한국Cronbach ( =8029 α

미국 로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신뢰도를13 보5192 5051 = 7658 5746 6933)

이고13 있었다 이상의13 결과를13 보면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변인이13 각기13 별개구성체로13 구성되고13

있음을13 보여준다

확인적13 요인분석결과는13 lt표13 5gt에13 제시하였다 분석에13 포함된13 문항들이13 어

떠한13 공통요인도13 형성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귀무모형이나13 모든13 문항들이13

사회적13 자본이라는13 단일차원의13 개념을13 측정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1-요인모형

두13 가지13 별개차원의13 개념들을13 측정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요인모형 세13 가지13 2

차원의13 개념들을13 각기13 별도로13 측정하도록13 제약을13 가해진13 요인모형으로13 구3

성되었다

144 김상돈

표13 lt 5gt 사회적13 자본13 하위차원에13 대한13 확인적13 요인분석 결과 한국 미국13 (CFA)13 -( N 97913 N=535)=

귀무모형(M0) (M1)

요인모형1

요인모형2요인모형3- 9)

(M2_1) (M2_2) (M2_3)8)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χ2 4465901

(p 001)<

2671725

(p 001)<

1235222

(p 001)<

1097272

(p 001)<

887151

(p 001)<

533939

(p 001)<

1030632

(p 001)<

942579

(p 001)<

899901

(p 001)<

540723

(p 001)<

692709

(p 001)<

383604

(p 001)<

DF 190 190 170 170 169 169 169 169 169 169 167 167

GFI1) - - 888 830 917 909 905 850 916 908 934 933

AGFI2) - - 861 789 897 887 882 814 895 886 917 916

NFI3) - - 745 651 809 814 788 713 806 791 850 855

CFI4) - - 773 693 840 886 818 759 837 844 882 911

IFI5) - - 774 695 841 916 819 761 837 845 883 912

1) Goodness of Fit Index2) Adjusted Goodness of Fit Index3) Normed Fit Index4) Comparative Fit Index5) Incremental Fit Index6) 두13 요인들13 간 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13 사회제도신뢰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68(pgt05) =156(pgt05)]對 7) 두13 요인들13 간 단체참여 사회제도신뢰13 사회적13 지원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52(pgt05) =對 -002(pgt05)]8) 두13 요인들13 간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13 단체참여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65(pgt05) =157(plt01)]對 =9) 세13 요인들13 간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051(pgt05) 061(pgt05) 123(plt05) -013(pgt05)157(plt01)

092(pgt05)]

lt표13 5gt를13 살펴보면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13 귀무모형이나13 1-요인모형

에13 비해13 요인모형들 의13 경우가13 수치2 (M2_1 M2_2 M2_3) 2 (p( 2) χ χ

가13 적을13 뿐만13 아니라13 여러13 가지13 모형부합지수도13 큼을13 알13 수13 있다lt001) 2-

요인모형13 가운데13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이13 하나의13 요인

을13 형성하고13 사회제도신뢰가13 또13 하나의13 요인을13 형성하도록13 제약을13 가한13

모형이13 모형13 및13 모형에13 비해13 수치 가13 M2_1 M2_2 M2_3 2 (p( 2)lt001)χ χ

적을13 뿐만13 아니라13 여러13 가지13 모형부합지수 한국( GFI=917 AGFI=897

미국NFI=809 CFI=840 IFI=841 RMSEA=0569 GFI=909 AGFI=

도13 큼을13 알13 수13 있어13 887 NFI=793 CFI=846 IFI=847 RMSEA=0636)

더13 적절한13 모형이었다 그러나13 세13 가지13 차원의13 개념들을13 각기13 별도로13 측정하

도록13 제약이13 가해진13 3-요인모형은13 어떠한13 요인모형들에13 비해서13 보다도13 모형2

부합지수한국( GFI=934 AGFI=917 NFI=850 CFI=882 IFI=88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5

미국RMSEA=0567 GFI=933 AGFI=916 NFI=855 CFI=911

가13 현격히13 향상되었다 이는13 양13 국가13 모두13 여러13 IFI=912 RMSEA=0493)

가지13 경쟁적인13 내재모형13 가운데13 요인모형이13 최적모형으로써13 분석에13 포함된13 3

문항들이13 세13 가지13 별개의13 구성체들을13 측정하고13 있으며 이13 구성체들13 간에는13

판별집합타당도가13 유지됨을13 확인시켜주는13 결과이다 이로써13 요인모형에13 잠 3

재된13 변인들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이13 각기13 ( )

별개의13 구성체들임을13 보여준다 뿐만13 아니라13 이13 내생변인들13 상호간에는13 연관

관계도13 그다지13 강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모형검증의13 추정결과3

이13 절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13

사이가13 이론적 경험적13 사실과13 어느13 정도13 부합되는지를13 검증한다 이를13 위해13

이들13 변인들13 사이의13 상관13 및13 인과관계 그리고13 경로분석이13 어떻게13 나타나는

지를13 로13 추정한다LISREL 4

측정모형분석에13 근거하여13 여타변인들의13 영향이13 통제되지13 않는13 영차상관관

계(zero- 를13 산출한13 결과는13 order correlation) lt표13 6gt에13 제시하였다 우선 사

회제도신뢰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

회경제적13 지위(r=- 변인만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관계로13 나타난13 192)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 (r=158)

다 이는13 한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불신이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에13 적극적으로13 참여할수록13 제

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났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

활용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남성더미

(r=- 기혼더미094) (r=- 등13 두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451)

4 측정모형분석에13 앞서13 개13 측정변인에13 대한13 다중13 공선성13 여부를13 검증하였다 검증결27

과 연령변인이13 한국이13 으로13 다중공선성이13 의심되는13 바13 연령변인을13 제외하고13 재 646

추정하여13 분석하였다

146 김상돈

관계로13 나타났다 이에13 비해13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남성더미 (r=197)

(r=- 기혼더미152) (r=- 광역시13 더미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이13 통352) (r=147)

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국에서는13 여성일수록 미혼일수록13

사회적13 지원을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되어진다면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여성일수록 미혼일수록 메트로폴리스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적13 지원

을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다른13 한편 사회단체참여에13 유의

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남성더 (r=387)

미 기혼더미 광역시더미(r=273) (r=104) (r=- 변인13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이13 136)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관계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

위 기혼더미 광역시더미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r=409) (r=109) (r=146)

적으로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다시13 말해13 한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남성일수록 기혼일수록 기타도시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반면에 미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기혼일수록 메트로

폴리스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단체에13 적극적으로13 참여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이어서13 사회제도신뢰와13 인과변인사이의13 인과관계는13 구조모형에13 대한13 추정

을13 통해13 규명한다 한국의13 기본모형과13 최종모형의13 추정13 결과 기본모형의13 모

형부합지수는13 정확합치인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미할13 뿐만13 아니라13 001

근사합치인13 GFI=911 AGFI=890 NFI=790 CFI=837 IFI=838

로13 보다13 작아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모형부합지수를13 나타내RMSEA=0588 08

고13 있지만13 전반적으로13 그리13 높지13 않은13 것으로13 나타내고13 있다 반면에13 최종모

형의13 모형부합지수는13 기본모형과13 마찬가지로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 001

미하며13 GFI=901 AGFI=878 NFI=783 CFI=837 IFI=839 RMSEA=

로13 기본모형보다13 다소13 향상되었다 결정계수에13 있어서도 최종모형은13 0594

기본모형에13 비해13 설명력이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 기본모형의13 ( R2=117 222

최종모형의13 044 R2=188 104 056)

동일한13 방식으로13 미국의13 기본모형과13 최종모형의13 추정13 결과 기본모형의13 모

형부합지수는13 정확합치인13 x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미할13 뿐만13 아니라13 001

근사합치인13 GFI=904 AGFI=882 NFI=801 CFI=867 IFI=869

로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모형부합지수를13 나타내고13 있지만13 전반RMSEA=054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7

그림13 2 사회제도신뢰를13 검증하기13 위한13 최종모형 한국13 -

그림13 3 사회제도신뢰를13 검증하기위한13 최종모형 미국13 -

적으로13 그리13 높지13 않는13 부합지수를13 나타내고13 있다 반면에13 최종모형의13 모형

부합지수는13 기본모형과13 마찬가지로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하며13 001

로13 GFI=896 AGFI=871 NFI=782 CFI=867 IFI=889 RMSEA=0539

148 김상돈

기본모형보다13 다소13 향상되었다 또한13 결정계수에13 있어서도 최종모형은13 기본

모형에13 비해13 설명력이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기본모형의13 ( R2=034 174 028

최종모형의13 R2=099 245 039)

모형13 찾기에서13 선정된13 최종모형에13 기초하여13 제반13 외생변인들의13 인과적13 단

위영향을13 보여주는13 구조모형을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추정한13 결과는13 lt표13

6gt에13 제시하였다 구조모형의13 추정결과를13 우선13 살펴보면 기본모형에서13 배제

되었던13 경로들13 가운데13 사회단체참여rarr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경제

적13 지위rarr사회단체참여로13 향하는13 경로만이13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이13 높고13 수정지표도13 현저한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사회경제적13 지위 rarr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rarr사회제도신뢰로13 향하는13 경로들은13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이13 낮고13 수정지표13 또한13 현저하지13 못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각13 내생변인과13 관련한13 결과를13 순서대로13 살펴보면13 다음과13 같다

첫째 사회단체참여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

위 남성 광역시(B=378) (B=220) (B=-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유의미한13 170)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B=416)

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과13 남성 그리고13 기타도시에13 거주하는13

사람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반면에13 미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만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이다

둘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남성(B=189) (B=- 기혼144) (-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유의470)

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남성더미(B=152) (B=- 기혼더미137) (B=- 광역시 등13 네13 372) (B=130)

가지13 변인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과13 여성 미혼은13 사회적13 지원을13 강한13 연

계보다는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광역시에13 거주하는13 사

람들은13 한국사회13 보다13 미국에서13 강한13 연계보다13 약한13 연계에13 사회적13 지원을13

요청한다

셋째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단체참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9

사회경제적13 지위(B=151) (B=- 등13 두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246)

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B=144)

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은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

데13 비해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들은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불신이13 높게13

나타났다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이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났다

변인

한국(N=979) 미국(N=535)

단체참여 사회적지원 사회제도신뢰 단체참여 사회적지원 사회제도신뢰

r B r B r B r B r B r B

매개내생변인

사회적13 지원 048 - -017 -

매개외생변인

단체참여 - 090 189 043 151 104 152 158 144

외생변인

SES 387 378 070 - -192 -246 409 416 197 - 093 031

통제변인

남성13 더미 273 220 -094 -144 -024 -033 006 026 -152 -137 040 039

기혼13 더미 104 068 -451 -470 006 005 109 018 -352 -372 064 037

광역시13 더미 -136 -170 047 053 -005 -007 146 066 147 130 -004 -023

R2 237 220 056 183 195 030

χ2 1187022(df=283) (plt001) 687058(df=283) (plt001)

모형부합치 GFI=915 AGFI=894 NFI=808

CFI=846 IFI=847 RMSEA=0572

GFI=910 AGFI=888 NFI=812

CFI=880 IFI=881 RMSEA=0517

주 제시된13 계수는13 표준화계수이며 통계적13 유의도는13 비표준화계수에13 대한13 검증임 1)

계수를13 연차적으로13 자유모수로13 개방하여13 추정한13 최종모형임2) B21 11 Γ

단측검증 단측검증 단측검증3) p 05 p 01 p 001 < < <

표13 6<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요인들에13 대한13 추정13 결과13 LISREL13

다음은13 사회제도신뢰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대한13 직접 간접 전체영향을13 분리시킨13 경로분석을13 시도한다 그13 결과는13 lt표13 7gt과13 같다

우선 사회제도신뢰의13 경로분석결과를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유의미한13

요인들과13 그13 영향에13 대한13 절대적13 크기순서대로13 나열하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

제적13 지위(B=- 사회단체참여 로13 구성되며 미국에서는13 단체참여189) (151)

변인만으로13 구성되었다 이13 같은13 결과를13 각13 변인별로13 보다13 상세히13 (B=144)

150 김상돈

살펴보면13 먼저 양13 국가13 모두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와13 사회단체참여변인

을13 연결하는13 제 의13 변인은13 존재하지13 않기13 때문에13 사회단체참여의13 전체영향3

은13 직접영향 한국 미국 만으로13 구성되며13 그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 =151 =144)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다 다음으로 사회경제적13 지위13 변인은13 한국

에서13 강한13 부의13 인과적13 영향(B=- 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며13 직접영189)

향(B=- 및13 간접영향 모두13 유의미하였고13 전체의13 가13 직접246) (B=057) 130

영향으로13 구성된다 반면에13 미국에서13 직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으나13 간접영

향 은13 유의미하다 이상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사회단체참여의13 (B=060)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그13 영향의13 구체적13 방향이13 이론적13 예측과13 예외13 없이13 일

치한13 반면에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사회경제적13 지위의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이론적13 예측과13 일치하지13 않았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대한13 경로분석결과를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들과13 그13 영향에13 대한13 절대적13 크기순서대로13 나

열하면 한국에서는13 기혼 (B=- 단체참여 남성457) (B=189) (B=- 사회102)

경제적13 지위 순으로13 구성되며 미국에서는13 기혼(B=071) (B=- 단체참374)

여 광역시 남성(B=152) (B=140) (B=- 사회경제적13 지위 순133) (B=063)

으로13 구성된다 이13 같은13 결과를13 각13 변인별로13 보다13 상세히13 살펴보면 첫째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사회단체참여변인을13 연결하는13 제 의13 3

변인은13 존재하지13 않기13 때문에13 사회단체참여의13 전체영향은13 직접영향한국(

미국 만으로13 구성되며13 그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189 =152)

의미하다 둘째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영향이13 사회단체

참여에13 의해13 전적으로13 매개된13 간접영향한국 미국 으로만13 구성( =069 =063)

되었다 셋째 기혼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직접영향한국 ( =- 미국470 =-371)

만이13 유의미한13 반면에13 간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았다 넷째 남성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직접영향 한국( =- 미국144 =- 이13 유의미하고13 간접영향은13 한137)

국 만이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고13 미국에서는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것(B=042)

으로13 나타났다 다섯째 광역시13 변인은13 한국에선13 직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

은13 대신에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된13 간접영향(B=- 은13 유의미한13 반면032)

에13 미국에선13 사회단체참여에13 매개된13 간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대신에13 직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1

접영향 은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B=130)

한국(N=979) 미국(N=535)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변인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매개변인

사회적지원

단체참여 189 189 151 151 152 152 144 144

외생변인

SES 071 071 -246 057 -189 063 063 030 060 090

통제변인

남성더미 -144 042 -102 -033 033 000 -137 004 -133 039 004 043

기혼더미 -470 013 -457 -026 010 016 -371 -003 -374 038 -003 035

광역시더미 033 -032 001 -006 -026 -032 130 010 140 -023 -009 -014

제시된13 계수는13 표준화계수이며 통계적13 유의도는13 비표준화계수에13 대한13 검증임1)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지원에13 미치는13 영향2) ( ) times ( )=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미치는13 영향3) ( ) times ( )=

전체영향13 직접영향13 간접영향4) = +

단측검증 단측검증 단측검증 p 05 p 01 p 001 < < <

표13 lt 7gt 사회적13 지원과13 사회제도신뢰를13 설명하는13 요인들의13 직접13 간접 전체영향을13 분리한13 경로분석결과LISREL13 1)

논의13 및13 결론V

이13 연구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

회제도신뢰13 등에13 대한13 기술통계13 및13 판별집합타당성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차

이 매개효과13 등을13 실증적으로13 규명할13 목적으로13 수행되었다 이를13 위하여13 유

교공동체주의와13 합리적13 개인주의모델의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특성을13 지니고13 있

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를13 선정하여13 국제사회종합조사 자료모듈인13 (ISSP)

와13 자료를13 대상으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과13 관련KGSS 2004 GSS 2001

된13 일련의13 연구13 가설을13 제시하여13 검증하였다

첫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적13 신뢰 ( )

152 김상돈

은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확연히13 다른13 평균차이를13 보여주고13 있다 사회단

체참여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상대적으로13 더13 적극( =1479) ( =1732)

적이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국에서13 저조

한13 이유는13 년13 이후13 신사회운동을13 포함한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추세에1987

도13 불구하고13 시민사회의13 공론장이13 모순적으로13 제도화되었기13 때문이다 이는13

사회공간이13 존재하는13 것과13 그13 공간에13 참여하는13 것과는13 별개의13 개념임을13 의미

한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은13 미국평균 보다13 한국평균 에서13 약 ( =3187) ( =4541)

한13 연계에13 더13 활용되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

용이13 한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분석결과는13 학연 지연 혈연13 등13 연고13 집단으로13 인해13 사회적13 자본이13 풍부하다고13 주장한13 연구유석춘13 외 와13 일치된다( 2002)

다른13 한편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더13 ( =1733) ( =2075)

높으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제도신뢰가13 한국보다13 미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사실은13 정치 경제적으로13 성공한13 국가가13 그렇지13 못한13 국가보다13 상대적으로13 제도신뢰가13 더13 높을13 것이라고13 제시한13 거시적13 차원에서의13 연구결과

와13 부합된다(Putnam 1993 1995 Fukuyama 1995)

둘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

사회제도신뢰사이에는13 판별) 집합타당도가13 유지된다는13 사실을13 강조할13 필요가13 있다 탐색적13 요인분석과13 더불어13 확인적13 요인분석을13 실시한13 결과에서13 나

타난바와13 같이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을13 측정하기13 위한13 문항들은13 제각기13

해당차원의13 개념들만을13 측정할13 뿐만13 아니라13 이들13 차원들이13 각기13 별도의13 개념

을13 형성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3-요인모형이13 최적모형으로13 판명됨으로써13 3-요인

모형에13 잠재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의13 판별 수렴타당도가13 존재함을13 보여준다 아울러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들13 사이의13 상관관계조차도13 상당히13 미

약한13 것으로13 드러남으로써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13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13 등은13 각기13 별개의13 구성체들로13 이루어져있음이13 나타났다

셋째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 (

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 의13 불평등을13 밝히는데13 사용되었다 사회단체 )

참여와1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변인으로13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와13 접한13

관련성을13 맺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나13 사회제도신뢰에13 있어서13 강한13 부(- 의13 상관13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3

및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와13 사회적13 지원13 연결망활용의13 인과변인으로서13 중요하게13 나타났다 그러나13 한

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

타났으며13 미국에서는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타나13 이들13 연구가설13

모두13 기각된13 결과로13 나타났다 기각된13 이유는13 통계적13 해석과13 담론적13 해석13 두13

가지로13 논의할13 수13 있는데 첫13 번째13 이유는13 사례수와13 변량13 등13 통계적13 근거에

서13 설명할13 수13 있다 예컨대13 구조모형의13 추정에13 동원된13 측정변인13 및13 이론변인

의13 수를13 감안할13 때13 제한된13 사례13 수한국 미국 는13 여러13 변인들의13 ( =979 =535)

변량을13 제한하고13 표준오차를13 증가시킴으로써13 각각13 사회적13 지원13 및13 사회적13 신

뢰의13 통계적13 유의도를13 상실하게13 하는13 원인으로13 작용될13 가능성이13 있다 통계

적13 해석보다13 중요한13 담론적13 해석은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설명유교공동체주의(

자유민주주의에서13 그13 이유를13 예측할13 수13 있다 한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하다는13 사실은13 서구사회의13 인간관계와13 유

사할13 정도로13 진행되고13 있음에도13 불구하고13 여전히13 유교공동체주의모델이13 존

재함을13 보여준13 결과이다 미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

하다는13 사실은13 한국과13 달리13 부의13 불평등에13 대해13 당연시하는13 미국인의13 태도

개인주의 시장의13 제도화13 등13 맥락변인에서13 설명될13 가능성이13 높음을13 예측하게13

한다

넷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강력한13 단위영향과13 관련하여13 한

국 은13 미국 보다13 상대적으로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B=189) (B=152)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한국 은13 미국 보다13 (B=071) (B=06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서도13 사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

우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222 R2 에13 비하여13 포함된13 경우한국=173) (

사회의13 R2 미국사회의13 =243 R2 에13 대한13 설명력이13 각각13 =188) 21 15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이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에13 있어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

거를13 시사하는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사회단체참여의13 경제행위를13 이

해하는데13 있어서13 영리적13 차원의13 자기이해와13 합리적13 선택론에13 근거한13 신제도

주의이론으로만13 온전히13 설명할13 수13 없다는13 점을13 밝히면서13 한편으로는13 개별행

154 김상돈

위자들이13 현재13 맺고13 있는13 사회연결망에13 의해서13 형성된다고13 본13 신경제사회학

의13 이론적13 논의를13 부각시켰다는13 점에서13 시사하는13 바가13 크다 이로써13 사회단

체참여는13 다양한13 사람들과의13 사회적13 관계에서13 유통되는13 사회적13 지원을13 제공

해주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척도로서13 의미13 있는13 구성지표이다

다섯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B=144

보다13 한국 에서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지만 사회경제적13 plt05) (B=151 plt05)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는13 한국 보다13 미국(B=057 plt05)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B=060 plt05) 5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13 있어서도13 사

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미국사회의13 ( R2=037 R2 에13 비=028)

하여13 포함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056 R2 의13 설명력은13 =030)

한국과13 미국13 각각13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은13 작19 02

은13 증가를13 나타냈으나13 단위13 영향13 및13 간접영향13 모두13 높게13 형성되어13 사회단체

참여가13 제도신뢰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거를13 시사

한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공적13 시민정신의13 연구결과들 (Tocqueville

과13 일치됨으로써13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과13 미국13 1845 Putnam 1993 1995)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신뢰의13 중요한13 관건임을13 밝혀냈다 그러나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약한13 정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

데 이러한13 결과가13 나타난13 사실은13 년13 이후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로13 인 1987

해13 시민의13 정치참여를13 높이는데13 일정정도13 기여했으나13 민주적13 시민덕목을13 배

양하는데13 있어서는13 그리13 성공하지13 못한13 데에서13 추측할13 수13 있다 이를13 위해서

는13 중복적13 참여13 및13 자기이해(self- 에13 기초한13 소극적13 참여에서13 호혜성interest)

규범과13 사회적13 신뢰형성을13 위한13 제도적13 메커니즘으로의13 사회단체참여13 구축

이13 무엇보다13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이13 사회제도신뢰에13 미치는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이러한13

사실은13 사회적13 자본의13 연구결과 김용학(Pagden 1988 Fukuyama 1995 손

5 이와13 반대로 결측치에13 개별평균값을13 대체하기전의13 추정결과에서 사회단체참 LISREL

여의13 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B=169 plt05) (B=133 plt05)

더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높게13 나타났다(B=049 plt05) (B=043 plt0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5

재석 이재열 에서13 제시된13 반경범위 내집단13 족쇄 연고13 집단13 등 1998 1998)

의13 용어를13 사용하면서 가족13 및13 개인연결망13 활용이13 공적영역의13 신뢰를13 식민

화하여13 사회13 전체적으로13 저신뢰사회가13 된다고13 주장한13 논의와13 일치하지13 않는13

결과이다 즉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사이의13

관계가13 서로13 양립13 가능한13 현상을13 보여주어13 매개역할13 또한13 기각되었다

종합컨대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상관관계와13 유의미한13 정 의13 인과관계로13 작동하는데13 비해13 미국에서는13 상관13 (+)

및13 인과관계13 모두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 한편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

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은13 약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13 것으 (+)

로13 나타났다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의13 중요한13 인과변인인13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양13 국가13 모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력을13 미치고13 있으며 사회경제적13 지(+)

위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두13 가지13 구성개념사회제도신뢰13 및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 )

인과적13 영향은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되었다는13 사실13 또한13 이13 연구에서13 밝

혀냈다

이상의13 연구에도13 불구하고13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한국의13 ( R2 237 220

미국의13 056 R2 이13 낮게13 형성되었다는13 점과13 와13 183 195 030) KGSS 2004

자료에13 한정하여13 분석하였기13 때문에13 분석결과의13 해석과13 일반화에13 GSS 2001

한계가13 있을13 수13 있다 예를13 들면13 년과13 년이라는13 특정한13 시기에13 조 2004 2001

사가13 이루어졌다는13 점에서13 이론적 경험적으로13 함축하는13 바가13 있다고13 하더라도13 외적13 타당성의13 문제점을13 지닌다 그리고13 이13 연구는13 전국규모를13 대상으로13

조사되었다는13 점에서13 의미하는13 바가13 있지만13 시계열적13 자료를13 통한13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정 한13 검증을13 하지13 못하였다는13 점에서도13 그13 한계가13 있음을13 밝혀

둔다 따라서 향후13 후속연구에서13 제시된13 모델들을13 보다13 정교화하는13 이론적13

작업과13 더불어13 다양한13 변인들을13 충분히13 활용하며13 통시적13 연구13 및13 국가간의13

비교연구13 등을13 통해13 경험적13 연구들이13 진행되어야13 할13 것이며 연구자의13 관심

과13 노력으로13 연구의13 질적13 향상을13 기대해본다

156 김상돈

참고문헌

국민호 동아시아경제발전과13 유교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1997 31 1 pp 29-59「 」 985172 985173김상욱 조직몰입의13 하위차원들의13 타당도평가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2001 35 3 pp 「 」 985172 985173

109-138

김용학 손재석 미시적13 신뢰와13 거시적13 위험 계간사상 1998 38 pp 115-132 「 」 985172 985173이재열 민주주의 사회적13 신뢰 사회적13 자본 계간사상 1998 38 pp 65-93「 」 985172 985173유석춘 외 사회자본과13 신뢰 한국 일본 덴마크 스웨덴13 비교13 연구 동서연구 2002 「 」 985172 985173

권13 호14 1 pp 101-135

장수찬 한국사회에13 나타난13 악순화의13 사이클 한국정치학회보 권13 호 2002 36 1 pp 「 」 985172 98517387-112

한국13 사회과학도서관13 홈페이지 2005 httpwwwksslorkr

Banfield E 1967 The Moral Basis of a Backward Society New York Free Press

Billiet JB and Bart Cambre 1999 ldquoSocial capital active membership in voluntary

associations and some aspects of political participatio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Bourdieu Piere 1984 The Distiction A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Brehm John amp Wendy Rahn 1997 ldquoIndividual-level evidence for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social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41(3)

pp 999-1023

Burt R 1992 Structure Holes The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Coleman James 1988 ldquo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pp 94-121

DiMaggio Paul and Hugh Louch 1998 ldquoSocially Embedded Consumer Transaction

For What Kinds of Purchases Do People Most Often Use Networks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3 pp 619-637

Fukuyama Francis 1995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perty

NewYork Free Press Paper Backs Book

Gambetta Diego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Financial Capital The

Case of Network Marketing Champaign Stipes

Ganzeboom H B G and DJ Treiman 1996 ldquoInternationally Comparable Measures

of Occupational Status for the 1988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rdquo Social Science Research 25 pp 201-239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7

Giddens Anthony 1990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Stanford Stanford UP

Granovetter Mark 1985 ldquoEconomic Action and Social Structure The Problem of

Embeddedness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1 pp 481-510

Inglehart R 1999 Culture Shift in Advanced Industrial Societ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Joumlreskg Karl G and Soumlrbom Dag 1989 LISREL 7 A Guide to the Program and

Applications Chicago SPSS Inc

Lin Nam 1982 ldquoSocial Resource and Instrumental Actionrdquo In Social Structure and

Network Analysis edited by Peter Marsden and Nan Lin Beverly Hill CA

Sage Publication

Loury Glen 1977 ldquoA Dynamic Theory of Racial Income Differencerdquo In PA

Wallace amp A LeMund (eds) Woman Minorities and Employment Discrimi-

nation Lexington Lexington Books

Luhmann Niklas 1988 ldquoFamiliarity Confidence Trust Problems and Alternativesrdquo In D Gambetta (ed)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New York Basil Blackwell

McPherson J Miller 1983 ldquoAn Ecology of Affiliation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8 pp 519-532

Newton Kenneth 1997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rdquo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0(5) pp 575-586

Newton Kenneth 1999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 in Modern Euroupea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s)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Olson ME 1965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Pagden Anthony 1988 ldquoThe Destruction of Trust and its Economic Consequence in

the Case of Eighteenth-century Naplesrdquo In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edited by D Gambetta Oxford Blackwell

Paxton Pamela 1999 ldquoIs Social Capital Declining in the US A Multiple Indicator

Assessment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5(1) pp 88-126

Portes A 1998 ldquoSocial Capital Its Origin and Application in Modern Sociologyrdquo Annual Review of Sociology 24 pp 1-24

Portes A 2000 ldquoThe Two Meaning of Social Capitalrdquo Sociological Forum 15(1)

pp 1-12

Putnam Robert 1993 Making Democracy Work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utnam Robert 1995 ldquoBowling Alone Americans Declining Social Capitalrdquo Journal of Democracy 6(1) pp 65-78

Sztompka P 1999 Trust A Sociological Theor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8 김상돈

Toqueville Alexis de [1835 1840] 1990 Democracy in America(Reprint) New

York Vintage

Verba Sidney Kay Lehman Schlozman and Henry E 1995 Voice and Equality

Civic Voluntarism in American Politics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son Oliver E 1993 ldquoCaculativeness Trust and Economic Organizationrdquo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36(3) pp 453-486

Zucker Lynn G 1986 ldquoProduction of Trust Institutional Sources of Economic

Structurerdquo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8 pp 53-111

Comparison Analysi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n the Causal Structure of Trust in Social InstitutionsWith a focus on Mediation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and

Social Support

Sang-don KimLecturer in The University College at Sungkyunkwan University

This Study explores the multiplicativ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social institutions trus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do this a set of hypotheses concerning th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are set forth and subjected to an empirical assessment by using data set

collected from KGSS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2004 and GSS (General

Social Survey) 2001 out of the ISSP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lanning)

Modules

Analysis of data in terms of ML (Maximum Likelihood) procedure in

LISREL852 was used and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s (1) The unit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on association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2)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status on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but They were appear to be an important predictor to

Korea (3)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on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4) Association participation was especially in

shaping social support and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to the two nations

This study is interpreted that further research on the topic of social capital are

raised with elaborating the measure on the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political efficacy consciousness of social class and so forth coupled with

advertising a few limitation of this study

Keyword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KGSS GSS ISSP

김상돈 성균관대학교13 학부대학강사13

경기도13 수원시13 장안구13 조원동13 한일타운13 동13 호13 119 703 440-709

Tel_01113 912013 132313 13 E-mail_education17hanmailnet

Page 3: 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 미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64/1/5.%e1%84%80%e1...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미비교연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27

의와13 합리적13 개인주의13 모델을13 상호13 대비시키면서13 비교사회학적으로13 분석할13

수13 있기13 때문이다 한국사회는13 산업화과정에서13 유교적13 사회질서와13 개인주의13

가치지향이13 매우13 복합적이고13 양면적인13 성격을13 띠고13 있다면 미국사회는13 공동

체적13 지향보다는13 개인주의적13 가치관이13 더욱13 지배적이다 그러나13 양13 국가13 모

두13 개인의13 합리성13 및13 자율성에13 대한13 인식이13 강조되지만13 사람13 및13 제도에13 대한13

부정적13 이미지를13 가지게13 한13 여러13 가지13 요소들 개인들의13 이기주의13 및13 물질만(

능주의 사회제도의13 지대추구행위13 및13 자의적13 권한13 행사이13 존재한다는13 점13 역 )

시13 부인하기13 어렵다 따라서13 각기13 다른13 유교공동체주의와13 합리적13 개인주의모

델에13 기초하여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제도에13 (

대한13 사회적13 신뢰 사이의13 비교를13 시도함에13 있어13 사회구조나13 맥락13 및13 관계적13 )

특성이13 공통적으로13 고려되는13 개인적13 차원에서의13 사회적13 자본이13 요구되며 이

에는13 명확한13 방법론적13 전제가13 선행될13 필요가13 있다 이러한13 관점에서13 볼13 때13

이13 연구는13 다음과13 같은13 특성을13 지닌다

이13 연구의13 첫13 번째13 특징은13 한국과13 미국에13 거주하는13 사람들의13 사회경제적13

지위교육 직업위세 소득를13 외생변인으로13 하고 사회적자본의13 구성개념인13 ( )

사회단체참여13 및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그리고13 사회제도신뢰를13 내생변

인으로13 설정하여13 사회적13 자본의13 불평등을13 규명한다는13 점에서13 차별화된다 두13

번째13 특징은13 이13 연구의13 매개외생변인인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

망활용13 및13 사회제도신뢰에13 미치는13 단위영향13 및13 매개효과를13 분석하고 매개내

생변인인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이13 사회제도신뢰에13 미치는13 단위영향13 및13

매개효과를13 분석한다는13 점에서13 그13 특성이13 있다 세13 번째13 특징은13 국제사회조

사연합 에서13 시행된13 년13 한(ISSP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rogram) 2004

국종합사회조사 자료와13 년13 미국(KGSS Korea General Social Survey) 2001

종합사회조사 자료모듈을13 활용한다(GSS General Social Survey) KGSS

와13 자료는13 시간과13 공간의13 제약으로부터13 상대적으로13 자유롭2004 GSS 2001

고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과13 인과변인이13 풍부하며 연구결과의13 일반화가능

성을13 증진시키는13 장점을13 지닌다 이러한13 점에서13 볼13 때 이13 연구는13 자료 ISSP

모듈을13 활용한다는13 점에서13 국제비교연구를13 증진시키는13 의의를13 지닌다

따라서13 이13 연구는13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13 활용하여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

128 김상돈

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13 사이의13 복합적13 인과관계를13 규명하는데13

목적이13 있다 이들13 변인사이의13 복합적13 인과관계에13 대한13 분석은13 사회적13 자본

의13 구성개념을13 이론적 경험적13 차원에서13 우선논의한13 후 사회제도신뢰를13 최

종내생변인으로13 설정하고 사회제도신뢰에13 영향을13 미치는13 외생변인을13 사회경

제적13 지위로 사회단체참여13 및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을13 각각13 매개13 외 내생변인으로13 설정하여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의13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의13 양

상과13 수준을13 비교13 검증할13 것이다

이론적13 논의II

사회제도신뢰의13 분석시각1

사회적13 신뢰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핵심적13 구성개념이다 사회적13 자본에13 대한13

연구는13 년대13 후반에13 경제학자13 로우리 에13 의해13 제기된13 이후1970 (Loury 1977)

년대에13 는13 사회적13 자본을13 1980 Bourdieu(1984) ldquo제도화된13 연계와13 관계없이13 상호면식이13 있어13 알고13 지내는13 사이에13 지속적으로13 존재하는13 관계의13 연결망을13 통

해13 얻을13 수13 있는13 실제적이고13 잠재적인13 자원의13 총합rdquo이라고13 정의하였다 콜만

은13 사회적13 자본을13 물적13 자본과13 인적13 자본과의13 구별을13 통해13 개념화하(1988)

였다 부르디외와13 콜만의13 논의13 이후에13 사회적13 자본에13 대한13 연구는13 거시적13 차

원과13 미시적13 차원으로13 양분되어13 본격적으로13 진행되어13 왔다

거시적13 차원에서의13 접근방법은13 사회적13 자본을13 주어진13 사회의13 문화적 조직적13 특성으로13 파악하며13 사회통합과13 신뢰에13 초점을13 맞춘다(Putnam 1993

사회적13 자본의13 분석단위는13 사회13 또는13 집단내부에서13 파악Fukuyama 1995)

한다 반면 개인이나13 집단에서13 형성되는13 관계의13 패턴을13 개인적13 차원에서13 접

근하는13 것이13 미시적13 차원에서의13 사회적13 자본연구이다 는13 사회 Portes(1998)

적13 자본을13 한13 개인에게13 고유하게13 존재하는13 것이13 아니라 그13 개인이13 타인들과13

가지는13 관계들의13 집합에13 내재된13 하나의13 특성으로서13 배태성 의13 (embededness)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29

산물이라13 개념화하였다 린 은13 사회적13 자본을13 행위자가13 자신이13 속 (Lin 2001)

한13 집단13 즉13 연결망13 속에13 있는13 자원에13 접근함으로써13 얻을13 수13 있는13 자산으로13

정의하였다 이들의13 주된13 주장은13 대면적13 상호작용 구조적13 공백 배태성13 등과13

같은13 사회13 연결망의13 구조적13 특징으로13 정의된다 결국13 사회적13 자본에서13 제시

한13 핵심적13 구성개념은13 사회13 연결망과13 사회적13 신뢰이다

사회13 연결망과13 사회적13 신뢰사이의13 인과관계는13 대체로13 사회적13 신뢰를13 결과

변인으로13 간주하는13 것이13 일반적13 견해이다 사회적13 신뢰는13 사회적13 관계를13 전

제로13 그13 관계13 속에서13 존재하며 신뢰가13 있음으로13 해서13 관련행위자들은13 협동

을13 할13 수13 있고13 감시와13 통제비용을13 줄일13 수13 있다는13 점에서13 신뢰는13 가장13 중요

한13 사회적자본의13 결과로13 설명된다(Zucker 1986 Gambetta 1988 Coleman

사회적13 신뢰의13 개념은13 대상에13 따라13 사람에13 대한13 신뢰1988 Paxton 1999)

와13 제도에13 대한13 신뢰로13 구분된다 사람에13 대한13 신뢰는13 특정(Giddens 1990)

한13 사람과13 불특정한13 타인에13 대한13 신뢰의13 개념으로서13 과거의13 신뢰경험으로부

터13 영향을13 받는다 한편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는13 어떤13 공동체내에서13 그13

공동체의13 다른13 구성원들이13 보편적인13 규범에13 기초하여13 규칙적이고13 정직하며13

협동적인13 행동을13 할13 것이라는13 기대로13 정의된다 이를13 구체적으로13 살펴보면

은13 제도신뢰를13 사랑 권력 돈과13 같은13 상호소통13 매개체를13 통해13 Luhman(1988)

정치 경제의13 사회기능체계가13 적절하게13 작동할13 때13 생기는13 믿음이라고13 주장하

였다 이들이13 제시한13 제도신뢰13 개념은13 제도학파의13 제도화13 과정으로13 해석하면13

다소13 모호한13 것은13 사실이나 현실적으로13 구체화된13 제도로서13 국가기구나13 기업

과13 언론13 등13 사회기관으로13 정의하면13 개념적13 한계를13 벗어나13 경험적13 분석이13 가

능하다 따라서13 제도신뢰는13 공적신뢰로13 개념화할13 수13 있으며 공적13 신뢰란13 사

회제도의13 주요영역으로서13 국가 시장 시민사회13 등13 주요13 조직이나13 규범에13 대

한13 신뢰를13 의미한다 이상의13 제도신뢰에13 대한13 개념적13 설명(Sztompka 1999)

과13 이13 연구의13 분석대상인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의13 사회적13 신뢰에13 대한13 구조적13

특성은13 각기13 다른13 유교공동체주의와13 합리적13 개인주의13 모델을13 통해서13 맥락적

으로13 설명할13 수13 있다1

1 유교공동체주의와13 합리적13 개인주의13 모델로13 선정한13 이유는13 국가에13 고유한13 어떤13 개념

을13 만들어13 매우13 복잡한13 사회현실로부터13 추상화하여13 그13 국가의13 맥락적13 설명을13 강조하

130 김상돈

유교공동체주의13 모델에서는13 인간관계와13 사회를13 매개하는13 것이13 권리가13 아

닌13 도덕이라고13 보며 유교적13 이상은13 인간의13 이성을13 통하여13 공공선을13 실천할13

수13 있다고13 본다 이러한13 점에서13 도덕적인13 지식을13 터득하고13 이를13 실현시키는13

기제는13 바로13 국가로13 해석된다 다시13 말해 국가는13 바로13 사회지도층이13 운영하

는13 것으로13 사회기강을13 세우고13 도덕적으로13 계도하는13 주체로13 간주되어왔다국(

민호 유교국가론을13 지향해온13 한국사회는13 세기에13 일제강점기 미군 1997) 20

정 한국전쟁 압축적13 근대화13 등의13 과정을13 겪어오면서13 한국적13 질서13 및13 예의를13

유지해주던13 유교13 문화적13 전통과13 사회지도층의13 신뢰가13 희박해져가는13 반면에

서구의13 근대13 및13 탈근대이념은13 왜곡된13 형태로13 수입되어13 전통과13 근대13 그리고13

탈근대13 등이13 혼재되어13 공존하고13 있을13 뿐만13 아니라 시장제도13 구축의13 미비13 때

문에13 행위와13 제도간의13 심각한13 괴리를13 경험하고13 있다 한편 합리적13 개인주의

모델의13 핵심은13 개인의13 합리성과13 자율성에13 기초한다 개인의13 자율성을13 유지해

주는13 기제가13 바로13 시장이다 미국인에게13 있어13 시장이란13 개인의13 자율성과13 자

유를13 지켜주는13 영역으로13 국가와13 정부보다13 우월한13 기제이다 예컨대 초기13 산

업사회시기부터13 년대까지13 미국은13 고신뢰사회로서13 전혀13 면식이13 없는13 지1980

역의13 거래당사자들과13 거래도13 가능할13 정도로13 사회적13 신뢰가13 확고하였다 그러

나13 미국사회는13 노동시장의13 유연화 우익진영의13 극단론걸프전쟁 이라크전 (

쟁 지방정부의13 재정위기마이애미 워싱턴 뉴욕13 등 및13 정책실패13 등으로13 ) ( )

인해13 사회제도신뢰가13 점차적으로13 약화되고13 있다(Putnam 1993 Fukuyama

사회제도에13 대한13 신뢰가13 약화되고13 있다는13 점은13 1996 Billet et al 1999)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의13 공통된13 추세임에도13 불구하고13 도덕과13 합리성 국가와13

시장 공동체주의와13 개인주의13 등의13 상호배타적13 특성이13 현저하게13 대립된다

이처럼13 대조적인13 한국과13 미국13 양국의13 특성차이가13 이13 연구의13 최종내생변인인13

사회제도신뢰와13 관련하여13 일정한13 변이를13 유발할13 것임을13 예상할13 수13 있다2

기13 위함이다

2 이러한13 주장의13 경험적13 근거로13 후쿠야마 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유무13 및13 (Fukuyama 1995)

높고13 낮음을13 국가13 및13 사회발전의13 관건이라13 하며 동아시아의13 유교권13 국가는13 차13 집단13 1

및13 연고13 집단13 위주의13 결속력이13 강하여13 제도보다는13 사람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게13

나타난13 반면에 서구선진국들은13 가족13 및13 친척범위를13 초월한13 사회단체와의13 연대적13 능

력이13 상대적으로13 강하여13 사회제도신뢰가13 높다고13 제시하였다 또한13 세계가치조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1

이상의13 논의에서13 사회제도신뢰는13 사회적13 관계에서13 형성되기13 때문에13 대칭

적13 이라기보다는13 비대칭적이다 왜냐하면 사회제도신뢰는13 대면적13 상호작용

과13 성찰적13 인지과정을13 통해13 형성되는13 메커니즘이기13 때문이다 Newton(1997)

과13 는13 사회적13 신뢰의13 인과기제를13 사회적으로13 이질적이고13 포괄적Portes(2000)

인13 집단과의13 대면적13 상호작용을13 통해13 형성되며 이13 제시 Putnam(1993 1995)

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인13 네트워크와13 규범13 및13 결과는13 상이하게13 구성되어13

있음을13 그들은13 주장하였다 따라서13 이13 연구에서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을13 각각13 원인과13 결과로부터13 구분하여13 개인의13 심리적13 태도변수인13 사회제도신

뢰를13 결과변인으로13 설정하며 사회제도신뢰는13 개인의13 사회경제적13 지위에13 기

초하고13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을13 인과구조로13 구체화시

킨다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2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교육 직업 소득13 등13 위계적으로13 구조화된13 체계로서13 각

기13 다른13 삶의13 기회와13 생활양식을13 가지게13 되며 이렇게13 각기13 다른13 조건들은13

개인의13 가치관13 및13 사회적13 태도 그리고13 사회적13 행위에13 영향을13 미친다 사회경

제적13 지위에13 따른13 사회단체참여13 및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그리고13 사회

제도신뢰사이의13 인과관계를13 분석한13 기존연구결과는13 다음과13 같다

첫째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인과적13 영향을13 분석한13 기

존연구결과를13 살펴보면 미국사람들의13 사회참여를13 조사한13 연구결과 (Brehm

에서13 단체참여에13 결정적으로13 중요한13 인과적13 요인은13 높은13 and Rahn 1997)

교육 높은13 가계수입 좋은13 직장13 등13 사회경제적13 지위이다 교육과13 소득수준은13

결사체참여에13 가장13 영향력13 있는13 인과변인으로서 교육수준이13 높은13 사람이13 낮

를13 활용한13 장수찬 의13 연구에서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World Value Survey) (2002)

두13 군대 경찰 행정부 사법부 입법부13 순으로13 정치제도가13 높은13 신뢰를13 받는13 것으로13

분석되었으나 사회기관에13 대한13 신뢰의13 경우13 한국은13 환경운동기구 여성운동기구 언

론 기업13 순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은13 기업 환경운동 여성운동기구 언론13 순으로13

나타났다 장수찬( 2002)

132 김상돈

은13 사람에13 비해13 결사체참여가13 높게13 나타났다(Verva Schlozman Brady

직업지위와13 관련해서도13 전문직 사무직13 종사자13 혹은13 자영업자들이13 생1995)

산 기능 노무직에13 종사하는13 사람들보다13 상대적으로13 단체참여에13 보다13 적극적인13 것으로13 나타났다 따라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Inglehart 1999)

람들은13 사회단체참여가13 높으리라고13 판단된다

둘째 사회경제적13 지위와13 사회적13 지원사이의13 인과관계13 틀은13 주로13 사회연결

망의13 연구자들에13 의해서13 규명된다 는13 교육 직업지위 수 Granovetter(1982)

입13 등의13 계층적13 위치가13 높을수록13 직장동료 이웃 아는13 사람13 등의13 약한13 연계

에13 의존하는13 반면에 사회계층이13 낮을수록13 가족 친척13 등의13 강한13 (weak tie)

연계 에13 의존한다고13 주장한다 이러한13 주장은13 린 의13 위(strong tie) (Lin 1982)

세가설에서13 사람들이13 보유하고13 있는13 부와13 권력 사회적13 위세가13 높을수록13 사

회적13 자본의13 창출이13 높다고13 제시하였다 이들의13 연구결과에13 비추어13 볼13 때 사

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13 약한13 연계부터13 사회적13 지원을13 활용할13 가능성이13 높

게13 나타날13 것이라고13 판단된다

셋째 사회제도신뢰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와13 접한13 관련성을13 갖는다 일반적

으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들은13 그들이13 어떤13 사회적13 보상과13 명예를13

이끌어낼13 능력이13 있으므로13 사회제도에13 대한13 긍정적인13 평가를13 할13 가능성이13 높

다 이러한13 주장의13 주된13 근거는13 부자들의13 경우13 타인을13 신뢰하(Olson 1965)

여13 생기는13 위험부담으로13 인해13 자신들이13 가지고13 있는13 일부를13 잃지만13 가난한13

사람들의13 경우13 유일한13 생존수단을13 잃게13 되는13 결과를13 가져올13 수13 있기13 때문이

다 이들의13 연구결과를13 비추어볼13 때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Banfield 1967)

사람이13 낮은13 사람에13 비해13 공공13 및13 민간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상대적으

로13 높게13 나타날13 것으로13 예측된다

전술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

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에13 미치는13 영향이13 일차적이고13 본질적인13 인과변인이라 )

면 사회단체참여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와13 사회연결망의13 기능적13 효과사회적13 지 (

원 사회적13 신뢰 사이의13 매개변인으로13 선정할13 수13 있다 사회단체참여를13 매개 )

변인으로13 선정한13 이유는13 구성원과의13 대면적13 상호작용과13 의사소통행위를13 통

해13 개인의13 사회적13 정체성이13 성립되고 이해관계가13 형성되며 사회적13 행위가1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3

형성 발전되고 사회적13 관계13 속에서13 유통되고13 있는13 경제적 정치적13 도움과13 호혜성규범13 및13 사회적13 신뢰13 등13 기능적13 효과로13 연결되기13 때문이다

첫째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13 지원사이의13 인과관계에13 대한13 기존연구는13

의13 구조적13 공백 의13 생태지위13 등의13 접근방법을13 사용한다Burt McPherson

가13 제시한13 구조적13 공백 개념은13 한13 사람이13 가지고13 Burt(1992) (structural hole)

있는13 연결망들13 사이에서13 그13 중심에13 있는13 사람과는13 어떤13 형태로든13 연결이13 되

지만13 다른13 사람들13 사이에서는13 관계가13 없는13 상태를13 지칭한다 McPherson

이13 제시한13 생태지위 란13 개체의13 환경13 속에서13 자원을13 매개로13 맺는13 (1983) (niche)

관계의13 구체적13 양상을13 의미하는13 것으로서 개체가13 의존하는13 자원들의13 종류가13

다양하고13 광범위하면13 그13 개체가13 보유한13 생태지위의13 범위는13 넓을13 것이고 반

대로13 특정한13 종류의13 자원에만13 의존한다면13 생태지위의13 범위는13 좁을13 것이다

이러한13 점에서13 사회단체에는13 구조적13 공백과13 생태지위 가13 등장하는13 맥(niche)

락을13 설명할13 수13 있는13 이점이13 있다

둘째 사회단체13 참여는13 다양한13 관심사를13 가진13 사람들과의13 만남을13 통해13 참

여자의13 관심영역을13 확장시키고13 다양한13 정치 사회적13 문제에13 대한13 이해를13 높여주며 사회단체에13 의해13 주관되는13 다양한13 행사를13 조직화하고13 집행하는13 과정

에서13 정치와13 관련된13 의사소통과13 의사결정기술을13 연마하게13 되어13 정치참여를13

촉진시킬13 뿐만13 아니라 공공의13 이익을13 위해서13 개인의13 이익을13 양보하는13 공적13

시민정신을13 고취시키며13 무임승차를13 배격하는13 윤리를13 배양한다고13 하였다

은13 사회단체에13 가입13 및13 소속됨으로써13 좋(Tocqueville 1835) Putnam(1995)

은13 이웃과13 동료들을13 만나13 대화를13 나누고13 사회적13 관계를13 쌓을13 수13 있는13 기회13

등을13 얻게13 되며 사람들13 사이에13 축적된13 연결망과13 연결망13 안에서의13 지속적인13

상호작용은13 시민의식이나13 규범13 및13 사회적13 신뢰13 등이13 형성된다고13 제시한다

이상의13 사회단체참여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한13 범주로서13 사회적13 지원과13 제도에13 대

한13 사회적13 신뢰형성에13 영향을13 주는13 중요한13 인과변인이다

한편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연결망유형의13 한13 범주에13 포함된다면 사회적지

원은13 사회연결망의13 기능으로13 표현되어진다 사회적13 지원이란13 사람들이13 맺고13

있는13 사회적13 관계를13 통해13 얻게13 되는13 정서적13 지원 서비스13 지원 경제적13 지원13

등을13 의미한다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사회제도신뢰간의13 인과관계에13

134 김상돈

대한13 연구는13 거시적13 차원의13 사회적13 자본론자들(Pagden 1988 Fukuyama

에13 의해서13 비롯된다 은13 내집단족쇄1995) Pagden(1988) (fetters of in-group)

용어를13 사용하면서13 혈연 지연13 등13 자연적13 관계를13 통한13 공동체적13 유대감과13 학연 직장동료관계와13 같은13 이익집단생활을13 통한13 유대감이13 집단13 내13 소속감으로13 되어13 사람에13 대한13 신뢰는13 높지만 사람에13 대한13 신뢰가13 제도에13 대한13 신뢰의13

희생을13 기반으로13 확대된다고13 하였다 는13 반경범위개념을13 사 Fukuyama(1995)

용하면서13 저신뢰13 사회의13 공통점을13 강력한13 가족주의13 문화와13 중앙집권13 등13 구조

적13 특성에서13 기인된다고13 지적하면서 강력한13 중앙집권국가에13 있어서13 가족과13

국가사이의13 중간지대 즉13 양자사이의13 중개집단들의13 자율과13 자치를13 억압하게13

되어13 사람13 및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상대적으로13 취약하다고13 주장하였

다 국내연구결과김용학 ( 손재석 이재열 에서도13 법적인13 계약서 1998 1998)

나13 재정적인13 보증13 없이13 돈을13 빌려주는13 일 일자리를13 제공하는13 일 계를13 통해13

금리보다13 높은13 이자수익을13 얻는13 등13 사회적13 지원이13 가족13 및13 개인연결망으로13

활용되고13 있으며 이러한13 사적13 영역의13 연결망활용은13 공적영역의13 신뢰를13 식민

화하여13 사회13 전체적으로13 저신뢰사회가13 되었다고13 지적한다 사회적13 지원의13 논

의를13 통해13 일상생활에서13 사람들이13 강한13 연계를13 활용할수록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

적13 신뢰가13 희생된다고13 본13 제한적13 연대의13 개념들예 내집단족쇄 반경범위13 (

등에13 대한13 인과관계의13 연장선상에서13 이13 연구는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13 활용과13 )

사회제도신뢰13 사이의13 인과구조를13 분석한다

연구가설13 및13 연구모형3

이상의13 이론적13 논의를13 토대로13 구성한13 분석모형은13 그림13 과13 같다 이13 연구1

의13 최종13 내생변인은13 사회제도신뢰이다 사회제도신뢰는13 대기업 언론계 교육

계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13 등을13 포함한13 개의13 하위영역으로13 설정하여13 한국 11

과13 미국13 양13 국가의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를13 다차원적 통합적으로13 비교분석한다

사회제도신뢰의13 영향요인은13 사회13 경제적13 지위와13 사회단체참여 그리고13 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5

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으로13 설정하고 통제변인으로13 인구학적13 요인을13 설정

한다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교육년수 직업위세 소득13 등13 세13 가지13 하위범주로13

설정하여13 측정한다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은13 각각13 매개13

외 내생변인으로13 한다 사회단체13 참여는13 정당단체 노동조합 시민단체 취미

단체 이웃단체 기타단체로13 하고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은13 정서적13 지원

경제적13 지원 서비스지원13 등13 세13 가지13 하위범주로13 설정하여13 측정한다

그림13 분석13 모형1

ξ 1 사회경제적13 지위 X 5 기혼더미 Y 10 기업계13 신뢰

ξ 2 남성더미 X 6 광역시더미 Y 11 교육계13 신뢰

ξ 3 기혼더미 Y 1 정당단체참여 Y 12 언론계13 신뢰

ξ 4 광역시13 더미 Y 2 시민단체참여 Y 13 방송계13 신뢰

η 1 사회단체참여 Y 3 노동조합참여 Y 14 의료계13 신뢰

η 2 사회적13 지원 Y 4 취미단체참여 Y 15 행정부13 신뢰

η 3 사회적13 신뢰 Y 5 이웃단체참여 Y 16 입법부13 신뢰

X 1 교육년수 Y 6 기타단체참여 Y 17 사법부13 신뢰

X 2 직업위세 Y 7 정서적13 지원 Y 18 학계13 신뢰

X 3 소득 Y 8 경제적13 지원 Y 19 군대13 신뢰

X 4 남성더미 Y 9 서비스13 지원 Y 20 금융계13 신뢰

기본13 모형에13 대한13 인과13 경로임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과13 수정지수 에13 따라13 추정될13 인과13 경로임(MI)

136 김상돈

이상의13 분석모형을13 토대로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13 사이의13 연구13 가설들은13 다음과13 같다

lt연구가설13 1gt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13 사람보다13 미국사람이13 상대적으로13 더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2gt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이13 낮은13 사람에13 비해13 사회단체

참여에13 적극적일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3gt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이13 사회적13 지원을13 강한13 연계13

보다는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할13 가능성이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4gt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은13 낮은13 사람에13 비해13 상대적으

로13 사회제도13 신뢰가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5gt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일수록13 사회제도신뢰가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6gt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일수록13 사회적13 지원을13 강한13 연계보다

는13 약한13 연계에13 더13 많이13 요청할13 가능성이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7gt 사회적13 지원을13 약한13 연계에13 더13 많이13 요청할수록13 사회제도신

뢰가13 높을13 것이다

연구13 방법III

자료수집방법1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13 사이에13 미치는13

영향을13 분석하기13 위해13 사용할13 자료는13 와13 이다KGSS 2004 GSS 2001

자료는13 성균관대학교13 서베이리서치센터에서13 년13 월13 KGSS 2004 2004 7~8

동안13 실시하였으며 표집절차는13 전국13 주민등록13 전산자료로부터13 다단계지역층

화표본추출법에13 의해13 추출되는데 그13 구체적인13 절차는13 다음과13 같다 첫째 최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7

종표집지역수를13 개로13 선정하고13 이를13 차표집단위인13 전국13 광역시200 1 도의13 가구수13 분포에13 비례하여13 배분한다 둘째 각13 광역시 도로부터13 배분된13 수만큼의13 차표집단위인13 읍2 면 동을13 인구비례확률표집13 원칙을13 적용하여13 무작위로13 추출한다 셋째 이렇게13 추출된13 각13 읍 면 동으로부터13 한13 개의13 최종표집지역면( 의13 경우에는13 리 동의13 경우엔13 통 반을13 무작위로13 선정한다 넷째 선정된13 )

통 반13 또는13 리에서13 개의13 가구를13 계통표집한다 계통표집된13 가구13 내에서13 10

만13 세13 이상13 성인13 가구원들의13 리스트를13 작성한13 후13 이들13 가운데13 태어난13 월18

일이13 가장13 빠른13 사람을13 조사대상자로13 삼는다 조사된13 설문지의13 유효사례수는13

명이다 이13 연구에13 사용할13 변인들에13 대한13 응답13 가운데13 무응답1312 (lsquo모르겠다rsquo 포함 문항에13 개별평균값으로13 대체한13 후13 결측치 ) (missing values)(n=

를13 일률적 으로13 제거하여13 추출된13 총13 명이13 최종13 분석사례수343) (listwise) 979

를13 형성하였다 평균13 대체방법을13 사용한13 이유는13 변인들의13 분포추정치13 왜(N)

곡13 가능성의13 성격을13 지니지만 결측치를13 가능한13 정확한13 값으로13 대체함으로써13

무응답의13 편차감소와13 연구결과의13 일반화13 및13 신뢰성이13 향상될13 수13 있기13 때문이

한편 자료는13 시카고대학의13 GSS 2001 NORC(National Opinion Research

C 에13 의해13 수집된13 자료로서13 년13 월에서13 월에13 걸쳐13 면접자13 조사방enter) 2001 2 5

식에13 의해13 수집되었다 표집방법의13 구체적인13 절차는13 다단계지역13 확률표집방

법으로서13 차13 표집단위는13 표준대도시지역1 (SMSA Standard Metropolitan

또는13 비도시지역의13 카운티들을13 지역 연령13 그리고13 인종에13 Statistical Area)

따라13 층화한13 후13 그13 단위를13 블록그룹이나13 열람구역별로13 인종과13 소득에13 따라13

층화한다 최종표집단위는13 블록이며 블록들을13 크기에13 준해13 확률을13 조정한13

뒤 특정블록을13 추출한다 이렇게13 추출한13 조사대상자를13 대상으로13 부실한13 응

답사례를13 제외한13 유효사례수는13 명이다 한국과13 동일한13 방식으로13 무응답2765

(lsquo모르겠다rsquo 포함의13 문항에13 개별평균값으로13 대체한13 후13 결측치 ) (missing

를13 일률적 으로13 제거하여13 추출된13 총13 명이13 이13 연values)(n=2230) (listwise) 535

구의13 최종13 분석사례13 수 를13 형성하였다(N)

138 김상돈

변수정의13 및13 측정2

이13 연구의13 최종내생변인은13 사회제도신뢰로13 대기업 교육계 언론계 금융

계 학계 의료계 방송계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 군대13 등13 가지13 영역을13 포 11

함한다 이렇게13 구성된13 사회제도신뢰는13 ldquo신뢰하지13 않음rdquo ldquo다소신뢰rdquo ldquo매우13 신뢰rdquo 순으로13 점에서13 점을13 부여하여13 연속변수로13 분석에13 사용한다 1 3

이13 연구의13 매개13 내생변인인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유형은13 사회연결망13 연구

자들의13 연계유형에서13 제시한13 가족 친척 이웃 친구 직장동료 성직자 사회

사업가 의사13 등을13 가족 친척 비13 친척으로13 분류한13 후13 이들13 유형을13 각각13 교

차 시켜13 아홉13 가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13 활용유형을13 만들13 수13 있다 이(3times3)

렇게13 구성된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유형은13 강한13 연계에13 답한13 순으로13 정리한13

후 동일한13 응답범주는13 첫13 번째13 응답에13 강한13 연계로13 답한13 경우를13 우선13 기준

으로13 점에서부터13 점까지의13 점수를13 부여하여13 측정한다1 9

이13 연구의13 매개외생변인은13 사회단체참여로13 정치단체 노조단체 시민단체

취미단체 이웃단체 기타단체13 등13 여섯13 가지13 영역의13 사회단체13 참여수준을13 측

정한다 사회단체참여에13 대한13 영역은13 ldquo소속된13 경험이13 없음rdquo ldquo과거에13 소속된13 경험13 있음rdquo ldquo소속되어13 소극적13 활동rdquo ldquo소속되어13 적극적13 활동rdquo 순으로13 조사

되었으며13 이들13 각각에13 점부터13 점까지의13 점수를13 부여하였다1 4

변13 인정의( )

설13 문13 문13 항측정척도범위[ ]

사회제도신뢰(institution)

개13 주요13 사회기관에13 대한13 신뢰의13 정도11매우13 신뢰13 다소13 신뢰13 매우13 불신 ① ② ③

연속변수[1-3]

사회적13 지원(SUPPORT)

정서적13 지원13 ① ② 연속변수[1-9]

경제적13 지원13 ① ② 연속변수[1-9]

서비스13 지원13 ① ② 연속변수[1-9]

사회단체참여(ASSOCIATION)

개13 사회단체참여에13 대한13 참여13 여부6소속된13 경험13 무13 소속된13 경험① ② 소극적13 활동13 적극적13 활동③ ④

연속변수[1-4]

표13 lt 1gt 내생변인들의13 설문문항13 및13 변수정의1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9

이13 연구의13 외생변인은13 사회경제적13 지위이다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교육년수

소득 직업위세로13 설정한다 교육년수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중요한13 인과변인으로

서13 정규교육을13 받은13 수학년수에13 근거하여13 점에서부터13 점으로13 측정한다0 23

응답자의13 월평균소득은13 와13 자료모듈에13 있는13 원13 자료KGSS 2004 GSS 2001

를13 근거로13 각13 범주에13 중간값을13 부여하여13 자연대수로13 변환하여13 측정한다 응

답자의13 직업은13 간즈붐과13 트라이먼 에13 의하여13 (Ganzeboom amp Trieman 1996)

구성된13 표준국제직업위세척도(SIOPS Standard International Occupation

에서13 제시한13 점부터13 점으로13 점수를13 부여하여13 분석에13 사Prestige Scale) 16 88

용한다

한편 인구학적13 특성인13 성 연령 결혼상태 지역13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은13 통제

변인으로13 설정한다 성은13 더미변수로서13 여성일13 경우는13 남성일13 경우는13 로13 0 1

부여13 한다 연령은13 자연연령으로13 분석에13 사용한다 결혼13 상태는13 더미변수로

서13 미혼13 및13 이혼 사별 별거일13 경우는13 기혼일13 경우는13 로13 부여하여13 더미0 1 변수로13 사용한다 지역은13 한국사회의13 경우13 특별시13 및13 광역시일13 경우에는13 1

기타도시일13 경우는13 으로 미국사회의13 경우13 메트로폴리스는13 기타도시는13 0 1 0

으로13 부여하여13 더미변수로13 만들어13 사용한다

변13 인 설13 문13 문13 항 측정척도

사회경제적13 지위(SES)

교육13 년수연속변수

직업13 위세SIOPS

[16-87]

소득13 수준 ln(income)

통제변인

연령 연속변수

성별남성=1 여성=0

결혼여부기혼=1미혼=0

이혼 사별 별거=0

주거지역광역도시=1기타도시=0

표13 lt 2gt 사회인구학적특성에13 사용된13 설문문항13 및13 변수정의13

140 김상돈

자료분석방법3

이13 연구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

제도신뢰13 사이의13 영향을13 분석하기13 위해13 탐색적13 요인분석 확인적13 요인(EFA)

분석 그리고13 공변량13 구조분석 등을13 시도한다 확인적13 요인(CFA) (LISREL)

분석은13 일련의13 경쟁적인13 요인모형들을13 각기13 추정하여13 모형부합지수를13 각13 모

형별로13 산출하여13 최적의13 모형을13 추정한다 구조방정식모형은13 측정모형과13 구

조모형의13 개13 하위모형으로13 구성되어13 있다 측정모형분석의13 전략은13 제도에13 2

대한13 사회적13 신뢰 사회적13 지원 사회단체참여13 등13 내생잠재변수와13 외생잠재

변수인13 사회경제적13 지위 그리고13 통제변수를13 이론변수로13 설정하여13 제반13 이론

변수간의13 상관관계를13 분석한다 한편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를13 각13 별도의13

결과변인13 혹은13 최종적13 내생변인으로13 설정하고13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을13 매개변인으로13 설정한13 상태에서13 제반13 예측변인들의13 인과적13 단

위영향을13 분석하기13 위한13 구조모형을13 추정한다 이어서13 각13 결과변인을13 설명하

는13 인과요인들의13 직접 간접 전체13 영향을13 분리시키는13 경로분석을13 실시함으로써 각13 인과변인들의13 상대적13 중요성에13 대한13 평가를13 시도한다 각13 차원들을13

결과변인으로13 간주한13 공변량13 구조분석을13 시도함으로써13 이론13 변인들간의13 구

조적13 인과관계를13 추정한다 실증분석을13 위하여13 사용된13 통계프로그램은13 SPSS

및13 를13 사용하였다110 LISREL 852

분석결과IV

기술통계1

분석에13 포함된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의13 조사대상자에13 대한13 사회경제적13 지

위13 특성을13 살펴보면 교육년수는13 한국평균 년보다13 미국평균 ( =12422 ) (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1

년 에서13 약간13 높으며 직업위세점수는13 한국평균 점보다13 미국13629 ) ( =40315 )

점 에서13 정도13 높게13 나타났다 소득수준은13 한국평균 보(47512 ) 7197 ( =5394)

다13 미국평균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 =10464) 3 따라서13 조사대상자의13 사회경제

적13 지위는13 한국보다13 미국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

한편 조사대상자의13 인구학적13 특성을13 살펴보면 연령은13 한국평균 ( =41503

세보다13 미국평균 세에서13 약간13 높으며 남성비율은13 미국 보) ( =42966 ) (450)

다13 한국 에서13 약간13 높은13 분포를13 나타냈다 기혼비율은13 미국 보(460) (450)

다13 한국 에서13 높으며 광역시 특별시13 광역시 에13 거주하는13 한국의13 비(686) (1 6 )

율은13 인13 반면에13 메트로폴리스에13 거주하는13 미국의13 비율은13 로13 나479 292

타났다

다른13 한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 (

망활용 사회제도신뢰을13 살펴보면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평균 보다13 ) ( =1479)

미국평균 에서13 더13 적극적인13 것으로13 나타났으며( =1732) (t=-8045 p 001) <

변인

평균 범위[ ] SD

한국(N 979)=

미국(N 535)=

한국 미국

사회경제적지위

교육년수 12422 [0-23] 13629 [1-20] 4032 2910

SIOPS 40315 [16-87] 47512 [16-88] 13376 16147

소득 5394 [3219-6957] 10464 [6215-11653] 746 950

인구학적특성

연령 41503 [18-84] 42966 [20-86] 14433 16029

남성 460 [0-1] 450 [0-1] 499 498

기혼 686 [0-1] 450 [0-1] 467 498

광역도시 479 [0-1] 292 [0-1] 500 455

주 한국 교육년수 로그소득 미국 교육년수 SES( =855 +725 SIOPS+805 =811 +791 로그소득 SIOPS+ 673 )

표13 lt 3gt 조사대상자의13 사회인구학적13 특성13

3 사회경제적13 지위변수인13 교육 직업위세 로그소득을13 탐색적13 요인분석결과 한국의13

와13 미국의13 자료13 모두13 하나의13 주요인으로13 추출되었으며13 총13 변량KGSS 2004 GSS2001

에13 대한13 설명력은13 각각13 로13 나타났다 이렇게13 구성된13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652 570

교육 직업 소득변수에13 가중치가13 부여된13 조합변수로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 KGSS 2004[

교육교육년수 직업 소득 로그소득 사회경제=855 ( )+725 (SIOPS)+805 ( )] GSS 2001[

적지위 교육 교육년수 직업위세 소득 로그소득 으로13 구성=811 ( )+791 (SIOPS)+673 ( )]

할13 수13 있고13 선형조합인13 요인점수 를13 그13 값으로13 가지게13 된다(factor score)

142 김상돈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은13 미국평균 보다13 한국평균 에서13 ( =3187) ( =4541)

약한13 연계를13 더13 활용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사회제도신뢰(t=9337 p 001) <

는13 한국 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 =1733) ( =2075) (t=-14463

이로써13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13 사람보다13 미국사람이13 더13 높을13 것이라p 001) <

고13 제시한13 lt연구가설13 1gt을13 수용하게13 되었다

변인 평균 SD 차이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평균차이 절대량차이 값t

사회제도신뢰

대기업13 신뢰 1671 2019 548 584 -348 -312 -8123

교육계13 신뢰 1784 2100 575 624 -316 -267 -7273

언론계13 신뢰 1639 1680 588 659 -041 030 -3145

방송계13 신뢰 1779 1665 600 651 114 165 1506

의료계13 신뢰 1873 2274 574 639 -401 -336 -8585

행정부13 신뢰 1461 2046 531 683 -585 -433 -13578

입법부13 신뢰 1180 1905 403 586 -725 -542 -19212

사법부13 신뢰 1944 2275 591 639 -331 -283 -7671

학계13 신뢰 1957 2329 539 613 -372 -298 -8496

군대13 신뢰 1915 2468 649 614 -553 -588 -12062

금융계13 신뢰 1865 2068 593 629 -203 -167 -4463

전13 체 1733 2075 318 343 -342 -317 -14463

사회적13 지원

정서적13 지원 5813 3802 2672 2792 2011 2131 10916

경제적13 지원 4843 3202 2853 2788 1641 1576 7167

서비스13 지원 2967 2557 2352 2457 410 515 4336

전13 체 4541 3187 1880 1950 1354 1424 9337

단체참여

정당단체13 참여 1163 1593 518 1032 -430 084 -8129

시민단체13 참여 1098 1874 421 1229 -776 032 -12751

노동조합13 참여 1275 1512 674 956 -237 045 -7695

취미단체13 참여 1819 2166 1071 1366 -347 -052 -4389

이웃단체13 참여 1614 1493 1041 977 121 057 567

기타단체13 참여 1905 1753 1208 1151 152 095 1199

전13 체 1479 1732 469 702 -253 -020 -8045

주 평균13 및13 절대량13 차이는13 기술통계의13 차이 한국 ( -미국이며13 통계적13 유의도는13 ) t- 에13 대한13 검증test임

p 05 p 01 p 001 < < <

표13 lt 4gt 사회적자본의13 기술통계한국 미국13 ( 13 N 97913 13 N=53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3

모형검증의13 타당도평가2

이13 절에서는13 내생변인들에13 대한13 모형검증의13 타당도를13 분석한다 모형검증

의13 타당도를13 분석하기13 위해서는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13 변인13 등은13 탐색적13 요인분석과13 확인적13 요인분석이13 사용된다

탐색적13 요인분석결과 표본적절성13 측정치인13 값한국 미국 KMO ( =773

은13 적절한13 수준이었으며13 의13 구형성13 검증13 통계치의13 유의수준은13 =752) Bartlett

양13 국가13 모두13 으로13 보다13 작아13 자료의13 상관이13 요인에13 적합한13 것으로13 000 05 3

나타났다 제 요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13 개13 문항13 가운데13 개의13 측정변인 1 20 11

들이13 묶이는13 것으로서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에13 해당한다 제 요인은13 양13 2

국가13 모두13 전체문항13 가운데13 개13 문항의13 측정변인을13 요인13 구성하였으며13 사회6

단체참여에13 해당한다 마지막으로13 제 요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문항13 가운데13 3

개문항의13 측정변인을13 요인13 구성하였으며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해당3

한다 또한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의13 내적일

치성을13 알아보기13 위해13 의13 계수로13 평가한13 결과 한국Cronbach ( =8029 α

미국 로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신뢰도를13 보5192 5051 = 7658 5746 6933)

이고13 있었다 이상의13 결과를13 보면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변인이13 각기13 별개구성체로13 구성되고13

있음을13 보여준다

확인적13 요인분석결과는13 lt표13 5gt에13 제시하였다 분석에13 포함된13 문항들이13 어

떠한13 공통요인도13 형성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귀무모형이나13 모든13 문항들이13

사회적13 자본이라는13 단일차원의13 개념을13 측정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1-요인모형

두13 가지13 별개차원의13 개념들을13 측정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요인모형 세13 가지13 2

차원의13 개념들을13 각기13 별도로13 측정하도록13 제약을13 가해진13 요인모형으로13 구3

성되었다

144 김상돈

표13 lt 5gt 사회적13 자본13 하위차원에13 대한13 확인적13 요인분석 결과 한국 미국13 (CFA)13 -( N 97913 N=535)=

귀무모형(M0) (M1)

요인모형1

요인모형2요인모형3- 9)

(M2_1) (M2_2) (M2_3)8)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χ2 4465901

(p 001)<

2671725

(p 001)<

1235222

(p 001)<

1097272

(p 001)<

887151

(p 001)<

533939

(p 001)<

1030632

(p 001)<

942579

(p 001)<

899901

(p 001)<

540723

(p 001)<

692709

(p 001)<

383604

(p 001)<

DF 190 190 170 170 169 169 169 169 169 169 167 167

GFI1) - - 888 830 917 909 905 850 916 908 934 933

AGFI2) - - 861 789 897 887 882 814 895 886 917 916

NFI3) - - 745 651 809 814 788 713 806 791 850 855

CFI4) - - 773 693 840 886 818 759 837 844 882 911

IFI5) - - 774 695 841 916 819 761 837 845 883 912

1) Goodness of Fit Index2) Adjusted Goodness of Fit Index3) Normed Fit Index4) Comparative Fit Index5) Incremental Fit Index6) 두13 요인들13 간 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13 사회제도신뢰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68(pgt05) =156(pgt05)]對 7) 두13 요인들13 간 단체참여 사회제도신뢰13 사회적13 지원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52(pgt05) =對 -002(pgt05)]8) 두13 요인들13 간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13 단체참여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65(pgt05) =157(plt01)]對 =9) 세13 요인들13 간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051(pgt05) 061(pgt05) 123(plt05) -013(pgt05)157(plt01)

092(pgt05)]

lt표13 5gt를13 살펴보면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13 귀무모형이나13 1-요인모형

에13 비해13 요인모형들 의13 경우가13 수치2 (M2_1 M2_2 M2_3) 2 (p( 2) χ χ

가13 적을13 뿐만13 아니라13 여러13 가지13 모형부합지수도13 큼을13 알13 수13 있다lt001) 2-

요인모형13 가운데13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이13 하나의13 요인

을13 형성하고13 사회제도신뢰가13 또13 하나의13 요인을13 형성하도록13 제약을13 가한13

모형이13 모형13 및13 모형에13 비해13 수치 가13 M2_1 M2_2 M2_3 2 (p( 2)lt001)χ χ

적을13 뿐만13 아니라13 여러13 가지13 모형부합지수 한국( GFI=917 AGFI=897

미국NFI=809 CFI=840 IFI=841 RMSEA=0569 GFI=909 AGFI=

도13 큼을13 알13 수13 있어13 887 NFI=793 CFI=846 IFI=847 RMSEA=0636)

더13 적절한13 모형이었다 그러나13 세13 가지13 차원의13 개념들을13 각기13 별도로13 측정하

도록13 제약이13 가해진13 3-요인모형은13 어떠한13 요인모형들에13 비해서13 보다도13 모형2

부합지수한국( GFI=934 AGFI=917 NFI=850 CFI=882 IFI=88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5

미국RMSEA=0567 GFI=933 AGFI=916 NFI=855 CFI=911

가13 현격히13 향상되었다 이는13 양13 국가13 모두13 여러13 IFI=912 RMSEA=0493)

가지13 경쟁적인13 내재모형13 가운데13 요인모형이13 최적모형으로써13 분석에13 포함된13 3

문항들이13 세13 가지13 별개의13 구성체들을13 측정하고13 있으며 이13 구성체들13 간에는13

판별집합타당도가13 유지됨을13 확인시켜주는13 결과이다 이로써13 요인모형에13 잠 3

재된13 변인들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이13 각기13 ( )

별개의13 구성체들임을13 보여준다 뿐만13 아니라13 이13 내생변인들13 상호간에는13 연관

관계도13 그다지13 강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모형검증의13 추정결과3

이13 절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13

사이가13 이론적 경험적13 사실과13 어느13 정도13 부합되는지를13 검증한다 이를13 위해13

이들13 변인들13 사이의13 상관13 및13 인과관계 그리고13 경로분석이13 어떻게13 나타나는

지를13 로13 추정한다LISREL 4

측정모형분석에13 근거하여13 여타변인들의13 영향이13 통제되지13 않는13 영차상관관

계(zero- 를13 산출한13 결과는13 order correlation) lt표13 6gt에13 제시하였다 우선 사

회제도신뢰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

회경제적13 지위(r=- 변인만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관계로13 나타난13 192)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 (r=158)

다 이는13 한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불신이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에13 적극적으로13 참여할수록13 제

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났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

활용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남성더미

(r=- 기혼더미094) (r=- 등13 두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451)

4 측정모형분석에13 앞서13 개13 측정변인에13 대한13 다중13 공선성13 여부를13 검증하였다 검증결27

과 연령변인이13 한국이13 으로13 다중공선성이13 의심되는13 바13 연령변인을13 제외하고13 재 646

추정하여13 분석하였다

146 김상돈

관계로13 나타났다 이에13 비해13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남성더미 (r=197)

(r=- 기혼더미152) (r=- 광역시13 더미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이13 통352) (r=147)

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국에서는13 여성일수록 미혼일수록13

사회적13 지원을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되어진다면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여성일수록 미혼일수록 메트로폴리스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적13 지원

을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다른13 한편 사회단체참여에13 유의

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남성더 (r=387)

미 기혼더미 광역시더미(r=273) (r=104) (r=- 변인13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이13 136)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관계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

위 기혼더미 광역시더미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r=409) (r=109) (r=146)

적으로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다시13 말해13 한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남성일수록 기혼일수록 기타도시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반면에 미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기혼일수록 메트로

폴리스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단체에13 적극적으로13 참여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이어서13 사회제도신뢰와13 인과변인사이의13 인과관계는13 구조모형에13 대한13 추정

을13 통해13 규명한다 한국의13 기본모형과13 최종모형의13 추정13 결과 기본모형의13 모

형부합지수는13 정확합치인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미할13 뿐만13 아니라13 001

근사합치인13 GFI=911 AGFI=890 NFI=790 CFI=837 IFI=838

로13 보다13 작아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모형부합지수를13 나타내RMSEA=0588 08

고13 있지만13 전반적으로13 그리13 높지13 않은13 것으로13 나타내고13 있다 반면에13 최종모

형의13 모형부합지수는13 기본모형과13 마찬가지로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 001

미하며13 GFI=901 AGFI=878 NFI=783 CFI=837 IFI=839 RMSEA=

로13 기본모형보다13 다소13 향상되었다 결정계수에13 있어서도 최종모형은13 0594

기본모형에13 비해13 설명력이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 기본모형의13 ( R2=117 222

최종모형의13 044 R2=188 104 056)

동일한13 방식으로13 미국의13 기본모형과13 최종모형의13 추정13 결과 기본모형의13 모

형부합지수는13 정확합치인13 x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미할13 뿐만13 아니라13 001

근사합치인13 GFI=904 AGFI=882 NFI=801 CFI=867 IFI=869

로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모형부합지수를13 나타내고13 있지만13 전반RMSEA=054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7

그림13 2 사회제도신뢰를13 검증하기13 위한13 최종모형 한국13 -

그림13 3 사회제도신뢰를13 검증하기위한13 최종모형 미국13 -

적으로13 그리13 높지13 않는13 부합지수를13 나타내고13 있다 반면에13 최종모형의13 모형

부합지수는13 기본모형과13 마찬가지로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하며13 001

로13 GFI=896 AGFI=871 NFI=782 CFI=867 IFI=889 RMSEA=0539

148 김상돈

기본모형보다13 다소13 향상되었다 또한13 결정계수에13 있어서도 최종모형은13 기본

모형에13 비해13 설명력이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기본모형의13 ( R2=034 174 028

최종모형의13 R2=099 245 039)

모형13 찾기에서13 선정된13 최종모형에13 기초하여13 제반13 외생변인들의13 인과적13 단

위영향을13 보여주는13 구조모형을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추정한13 결과는13 lt표13

6gt에13 제시하였다 구조모형의13 추정결과를13 우선13 살펴보면 기본모형에서13 배제

되었던13 경로들13 가운데13 사회단체참여rarr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경제

적13 지위rarr사회단체참여로13 향하는13 경로만이13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이13 높고13 수정지표도13 현저한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사회경제적13 지위 rarr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rarr사회제도신뢰로13 향하는13 경로들은13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이13 낮고13 수정지표13 또한13 현저하지13 못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각13 내생변인과13 관련한13 결과를13 순서대로13 살펴보면13 다음과13 같다

첫째 사회단체참여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

위 남성 광역시(B=378) (B=220) (B=-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유의미한13 170)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B=416)

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과13 남성 그리고13 기타도시에13 거주하는13

사람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반면에13 미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만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이다

둘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남성(B=189) (B=- 기혼144) (-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유의470)

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남성더미(B=152) (B=- 기혼더미137) (B=- 광역시 등13 네13 372) (B=130)

가지13 변인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과13 여성 미혼은13 사회적13 지원을13 강한13 연

계보다는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광역시에13 거주하는13 사

람들은13 한국사회13 보다13 미국에서13 강한13 연계보다13 약한13 연계에13 사회적13 지원을13

요청한다

셋째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단체참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9

사회경제적13 지위(B=151) (B=- 등13 두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246)

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B=144)

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은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

데13 비해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들은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불신이13 높게13

나타났다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이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났다

변인

한국(N=979) 미국(N=535)

단체참여 사회적지원 사회제도신뢰 단체참여 사회적지원 사회제도신뢰

r B r B r B r B r B r B

매개내생변인

사회적13 지원 048 - -017 -

매개외생변인

단체참여 - 090 189 043 151 104 152 158 144

외생변인

SES 387 378 070 - -192 -246 409 416 197 - 093 031

통제변인

남성13 더미 273 220 -094 -144 -024 -033 006 026 -152 -137 040 039

기혼13 더미 104 068 -451 -470 006 005 109 018 -352 -372 064 037

광역시13 더미 -136 -170 047 053 -005 -007 146 066 147 130 -004 -023

R2 237 220 056 183 195 030

χ2 1187022(df=283) (plt001) 687058(df=283) (plt001)

모형부합치 GFI=915 AGFI=894 NFI=808

CFI=846 IFI=847 RMSEA=0572

GFI=910 AGFI=888 NFI=812

CFI=880 IFI=881 RMSEA=0517

주 제시된13 계수는13 표준화계수이며 통계적13 유의도는13 비표준화계수에13 대한13 검증임 1)

계수를13 연차적으로13 자유모수로13 개방하여13 추정한13 최종모형임2) B21 11 Γ

단측검증 단측검증 단측검증3) p 05 p 01 p 001 < < <

표13 6<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요인들에13 대한13 추정13 결과13 LISREL13

다음은13 사회제도신뢰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대한13 직접 간접 전체영향을13 분리시킨13 경로분석을13 시도한다 그13 결과는13 lt표13 7gt과13 같다

우선 사회제도신뢰의13 경로분석결과를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유의미한13

요인들과13 그13 영향에13 대한13 절대적13 크기순서대로13 나열하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

제적13 지위(B=- 사회단체참여 로13 구성되며 미국에서는13 단체참여189) (151)

변인만으로13 구성되었다 이13 같은13 결과를13 각13 변인별로13 보다13 상세히13 (B=144)

150 김상돈

살펴보면13 먼저 양13 국가13 모두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와13 사회단체참여변인

을13 연결하는13 제 의13 변인은13 존재하지13 않기13 때문에13 사회단체참여의13 전체영향3

은13 직접영향 한국 미국 만으로13 구성되며13 그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 =151 =144)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다 다음으로 사회경제적13 지위13 변인은13 한국

에서13 강한13 부의13 인과적13 영향(B=- 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며13 직접영189)

향(B=- 및13 간접영향 모두13 유의미하였고13 전체의13 가13 직접246) (B=057) 130

영향으로13 구성된다 반면에13 미국에서13 직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으나13 간접영

향 은13 유의미하다 이상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사회단체참여의13 (B=060)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그13 영향의13 구체적13 방향이13 이론적13 예측과13 예외13 없이13 일

치한13 반면에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사회경제적13 지위의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이론적13 예측과13 일치하지13 않았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대한13 경로분석결과를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들과13 그13 영향에13 대한13 절대적13 크기순서대로13 나

열하면 한국에서는13 기혼 (B=- 단체참여 남성457) (B=189) (B=- 사회102)

경제적13 지위 순으로13 구성되며 미국에서는13 기혼(B=071) (B=- 단체참374)

여 광역시 남성(B=152) (B=140) (B=- 사회경제적13 지위 순133) (B=063)

으로13 구성된다 이13 같은13 결과를13 각13 변인별로13 보다13 상세히13 살펴보면 첫째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사회단체참여변인을13 연결하는13 제 의13 3

변인은13 존재하지13 않기13 때문에13 사회단체참여의13 전체영향은13 직접영향한국(

미국 만으로13 구성되며13 그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189 =152)

의미하다 둘째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영향이13 사회단체

참여에13 의해13 전적으로13 매개된13 간접영향한국 미국 으로만13 구성( =069 =063)

되었다 셋째 기혼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직접영향한국 ( =- 미국470 =-371)

만이13 유의미한13 반면에13 간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았다 넷째 남성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직접영향 한국( =- 미국144 =- 이13 유의미하고13 간접영향은13 한137)

국 만이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고13 미국에서는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것(B=042)

으로13 나타났다 다섯째 광역시13 변인은13 한국에선13 직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

은13 대신에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된13 간접영향(B=- 은13 유의미한13 반면032)

에13 미국에선13 사회단체참여에13 매개된13 간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대신에13 직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1

접영향 은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B=130)

한국(N=979) 미국(N=535)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변인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매개변인

사회적지원

단체참여 189 189 151 151 152 152 144 144

외생변인

SES 071 071 -246 057 -189 063 063 030 060 090

통제변인

남성더미 -144 042 -102 -033 033 000 -137 004 -133 039 004 043

기혼더미 -470 013 -457 -026 010 016 -371 -003 -374 038 -003 035

광역시더미 033 -032 001 -006 -026 -032 130 010 140 -023 -009 -014

제시된13 계수는13 표준화계수이며 통계적13 유의도는13 비표준화계수에13 대한13 검증임1)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지원에13 미치는13 영향2) ( ) times ( )=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미치는13 영향3) ( ) times ( )=

전체영향13 직접영향13 간접영향4) = +

단측검증 단측검증 단측검증 p 05 p 01 p 001 < < <

표13 lt 7gt 사회적13 지원과13 사회제도신뢰를13 설명하는13 요인들의13 직접13 간접 전체영향을13 분리한13 경로분석결과LISREL13 1)

논의13 및13 결론V

이13 연구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

회제도신뢰13 등에13 대한13 기술통계13 및13 판별집합타당성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차

이 매개효과13 등을13 실증적으로13 규명할13 목적으로13 수행되었다 이를13 위하여13 유

교공동체주의와13 합리적13 개인주의모델의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특성을13 지니고13 있

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를13 선정하여13 국제사회종합조사 자료모듈인13 (ISSP)

와13 자료를13 대상으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과13 관련KGSS 2004 GSS 2001

된13 일련의13 연구13 가설을13 제시하여13 검증하였다

첫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적13 신뢰 ( )

152 김상돈

은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확연히13 다른13 평균차이를13 보여주고13 있다 사회단

체참여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상대적으로13 더13 적극( =1479) ( =1732)

적이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국에서13 저조

한13 이유는13 년13 이후13 신사회운동을13 포함한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추세에1987

도13 불구하고13 시민사회의13 공론장이13 모순적으로13 제도화되었기13 때문이다 이는13

사회공간이13 존재하는13 것과13 그13 공간에13 참여하는13 것과는13 별개의13 개념임을13 의미

한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은13 미국평균 보다13 한국평균 에서13 약 ( =3187) ( =4541)

한13 연계에13 더13 활용되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

용이13 한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분석결과는13 학연 지연 혈연13 등13 연고13 집단으로13 인해13 사회적13 자본이13 풍부하다고13 주장한13 연구유석춘13 외 와13 일치된다( 2002)

다른13 한편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더13 ( =1733) ( =2075)

높으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제도신뢰가13 한국보다13 미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사실은13 정치 경제적으로13 성공한13 국가가13 그렇지13 못한13 국가보다13 상대적으로13 제도신뢰가13 더13 높을13 것이라고13 제시한13 거시적13 차원에서의13 연구결과

와13 부합된다(Putnam 1993 1995 Fukuyama 1995)

둘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

사회제도신뢰사이에는13 판별) 집합타당도가13 유지된다는13 사실을13 강조할13 필요가13 있다 탐색적13 요인분석과13 더불어13 확인적13 요인분석을13 실시한13 결과에서13 나

타난바와13 같이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을13 측정하기13 위한13 문항들은13 제각기13

해당차원의13 개념들만을13 측정할13 뿐만13 아니라13 이들13 차원들이13 각기13 별도의13 개념

을13 형성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3-요인모형이13 최적모형으로13 판명됨으로써13 3-요인

모형에13 잠재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의13 판별 수렴타당도가13 존재함을13 보여준다 아울러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들13 사이의13 상관관계조차도13 상당히13 미

약한13 것으로13 드러남으로써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13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13 등은13 각기13 별개의13 구성체들로13 이루어져있음이13 나타났다

셋째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 (

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 의13 불평등을13 밝히는데13 사용되었다 사회단체 )

참여와1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변인으로13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와13 접한13

관련성을13 맺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나13 사회제도신뢰에13 있어서13 강한13 부(- 의13 상관13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3

및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와13 사회적13 지원13 연결망활용의13 인과변인으로서13 중요하게13 나타났다 그러나13 한

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

타났으며13 미국에서는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타나13 이들13 연구가설13

모두13 기각된13 결과로13 나타났다 기각된13 이유는13 통계적13 해석과13 담론적13 해석13 두13

가지로13 논의할13 수13 있는데 첫13 번째13 이유는13 사례수와13 변량13 등13 통계적13 근거에

서13 설명할13 수13 있다 예컨대13 구조모형의13 추정에13 동원된13 측정변인13 및13 이론변인

의13 수를13 감안할13 때13 제한된13 사례13 수한국 미국 는13 여러13 변인들의13 ( =979 =535)

변량을13 제한하고13 표준오차를13 증가시킴으로써13 각각13 사회적13 지원13 및13 사회적13 신

뢰의13 통계적13 유의도를13 상실하게13 하는13 원인으로13 작용될13 가능성이13 있다 통계

적13 해석보다13 중요한13 담론적13 해석은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설명유교공동체주의(

자유민주주의에서13 그13 이유를13 예측할13 수13 있다 한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하다는13 사실은13 서구사회의13 인간관계와13 유

사할13 정도로13 진행되고13 있음에도13 불구하고13 여전히13 유교공동체주의모델이13 존

재함을13 보여준13 결과이다 미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

하다는13 사실은13 한국과13 달리13 부의13 불평등에13 대해13 당연시하는13 미국인의13 태도

개인주의 시장의13 제도화13 등13 맥락변인에서13 설명될13 가능성이13 높음을13 예측하게13

한다

넷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강력한13 단위영향과13 관련하여13 한

국 은13 미국 보다13 상대적으로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B=189) (B=152)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한국 은13 미국 보다13 (B=071) (B=06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서도13 사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

우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222 R2 에13 비하여13 포함된13 경우한국=173) (

사회의13 R2 미국사회의13 =243 R2 에13 대한13 설명력이13 각각13 =188) 21 15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이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에13 있어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

거를13 시사하는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사회단체참여의13 경제행위를13 이

해하는데13 있어서13 영리적13 차원의13 자기이해와13 합리적13 선택론에13 근거한13 신제도

주의이론으로만13 온전히13 설명할13 수13 없다는13 점을13 밝히면서13 한편으로는13 개별행

154 김상돈

위자들이13 현재13 맺고13 있는13 사회연결망에13 의해서13 형성된다고13 본13 신경제사회학

의13 이론적13 논의를13 부각시켰다는13 점에서13 시사하는13 바가13 크다 이로써13 사회단

체참여는13 다양한13 사람들과의13 사회적13 관계에서13 유통되는13 사회적13 지원을13 제공

해주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척도로서13 의미13 있는13 구성지표이다

다섯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B=144

보다13 한국 에서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지만 사회경제적13 plt05) (B=151 plt05)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는13 한국 보다13 미국(B=057 plt05)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B=060 plt05) 5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13 있어서도13 사

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미국사회의13 ( R2=037 R2 에13 비=028)

하여13 포함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056 R2 의13 설명력은13 =030)

한국과13 미국13 각각13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은13 작19 02

은13 증가를13 나타냈으나13 단위13 영향13 및13 간접영향13 모두13 높게13 형성되어13 사회단체

참여가13 제도신뢰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거를13 시사

한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공적13 시민정신의13 연구결과들 (Tocqueville

과13 일치됨으로써13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과13 미국13 1845 Putnam 1993 1995)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신뢰의13 중요한13 관건임을13 밝혀냈다 그러나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약한13 정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

데 이러한13 결과가13 나타난13 사실은13 년13 이후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로13 인 1987

해13 시민의13 정치참여를13 높이는데13 일정정도13 기여했으나13 민주적13 시민덕목을13 배

양하는데13 있어서는13 그리13 성공하지13 못한13 데에서13 추측할13 수13 있다 이를13 위해서

는13 중복적13 참여13 및13 자기이해(self- 에13 기초한13 소극적13 참여에서13 호혜성interest)

규범과13 사회적13 신뢰형성을13 위한13 제도적13 메커니즘으로의13 사회단체참여13 구축

이13 무엇보다13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이13 사회제도신뢰에13 미치는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이러한13

사실은13 사회적13 자본의13 연구결과 김용학(Pagden 1988 Fukuyama 1995 손

5 이와13 반대로 결측치에13 개별평균값을13 대체하기전의13 추정결과에서 사회단체참 LISREL

여의13 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B=169 plt05) (B=133 plt05)

더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높게13 나타났다(B=049 plt05) (B=043 plt0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5

재석 이재열 에서13 제시된13 반경범위 내집단13 족쇄 연고13 집단13 등 1998 1998)

의13 용어를13 사용하면서 가족13 및13 개인연결망13 활용이13 공적영역의13 신뢰를13 식민

화하여13 사회13 전체적으로13 저신뢰사회가13 된다고13 주장한13 논의와13 일치하지13 않는13

결과이다 즉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사이의13

관계가13 서로13 양립13 가능한13 현상을13 보여주어13 매개역할13 또한13 기각되었다

종합컨대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상관관계와13 유의미한13 정 의13 인과관계로13 작동하는데13 비해13 미국에서는13 상관13 (+)

및13 인과관계13 모두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 한편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

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은13 약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13 것으 (+)

로13 나타났다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의13 중요한13 인과변인인13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양13 국가13 모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력을13 미치고13 있으며 사회경제적13 지(+)

위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두13 가지13 구성개념사회제도신뢰13 및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 )

인과적13 영향은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되었다는13 사실13 또한13 이13 연구에서13 밝

혀냈다

이상의13 연구에도13 불구하고13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한국의13 ( R2 237 220

미국의13 056 R2 이13 낮게13 형성되었다는13 점과13 와13 183 195 030) KGSS 2004

자료에13 한정하여13 분석하였기13 때문에13 분석결과의13 해석과13 일반화에13 GSS 2001

한계가13 있을13 수13 있다 예를13 들면13 년과13 년이라는13 특정한13 시기에13 조 2004 2001

사가13 이루어졌다는13 점에서13 이론적 경험적으로13 함축하는13 바가13 있다고13 하더라도13 외적13 타당성의13 문제점을13 지닌다 그리고13 이13 연구는13 전국규모를13 대상으로13

조사되었다는13 점에서13 의미하는13 바가13 있지만13 시계열적13 자료를13 통한13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정 한13 검증을13 하지13 못하였다는13 점에서도13 그13 한계가13 있음을13 밝혀

둔다 따라서 향후13 후속연구에서13 제시된13 모델들을13 보다13 정교화하는13 이론적13

작업과13 더불어13 다양한13 변인들을13 충분히13 활용하며13 통시적13 연구13 및13 국가간의13

비교연구13 등을13 통해13 경험적13 연구들이13 진행되어야13 할13 것이며 연구자의13 관심

과13 노력으로13 연구의13 질적13 향상을13 기대해본다

156 김상돈

참고문헌

국민호 동아시아경제발전과13 유교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1997 31 1 pp 29-59「 」 985172 985173김상욱 조직몰입의13 하위차원들의13 타당도평가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2001 35 3 pp 「 」 985172 985173

109-138

김용학 손재석 미시적13 신뢰와13 거시적13 위험 계간사상 1998 38 pp 115-132 「 」 985172 985173이재열 민주주의 사회적13 신뢰 사회적13 자본 계간사상 1998 38 pp 65-93「 」 985172 985173유석춘 외 사회자본과13 신뢰 한국 일본 덴마크 스웨덴13 비교13 연구 동서연구 2002 「 」 985172 985173

권13 호14 1 pp 101-135

장수찬 한국사회에13 나타난13 악순화의13 사이클 한국정치학회보 권13 호 2002 36 1 pp 「 」 985172 98517387-112

한국13 사회과학도서관13 홈페이지 2005 httpwwwksslorkr

Banfield E 1967 The Moral Basis of a Backward Society New York Free Press

Billiet JB and Bart Cambre 1999 ldquoSocial capital active membership in voluntary

associations and some aspects of political participatio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Bourdieu Piere 1984 The Distiction A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Brehm John amp Wendy Rahn 1997 ldquoIndividual-level evidence for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social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41(3)

pp 999-1023

Burt R 1992 Structure Holes The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Coleman James 1988 ldquo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pp 94-121

DiMaggio Paul and Hugh Louch 1998 ldquoSocially Embedded Consumer Transaction

For What Kinds of Purchases Do People Most Often Use Networks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3 pp 619-637

Fukuyama Francis 1995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perty

NewYork Free Press Paper Backs Book

Gambetta Diego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Financial Capital The

Case of Network Marketing Champaign Stipes

Ganzeboom H B G and DJ Treiman 1996 ldquoInternationally Comparable Measures

of Occupational Status for the 1988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rdquo Social Science Research 25 pp 201-239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7

Giddens Anthony 1990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Stanford Stanford UP

Granovetter Mark 1985 ldquoEconomic Action and Social Structure The Problem of

Embeddedness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1 pp 481-510

Inglehart R 1999 Culture Shift in Advanced Industrial Societ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Joumlreskg Karl G and Soumlrbom Dag 1989 LISREL 7 A Guide to the Program and

Applications Chicago SPSS Inc

Lin Nam 1982 ldquoSocial Resource and Instrumental Actionrdquo In Social Structure and

Network Analysis edited by Peter Marsden and Nan Lin Beverly Hill CA

Sage Publication

Loury Glen 1977 ldquoA Dynamic Theory of Racial Income Differencerdquo In PA

Wallace amp A LeMund (eds) Woman Minorities and Employment Discrimi-

nation Lexington Lexington Books

Luhmann Niklas 1988 ldquoFamiliarity Confidence Trust Problems and Alternativesrdquo In D Gambetta (ed)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New York Basil Blackwell

McPherson J Miller 1983 ldquoAn Ecology of Affiliation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8 pp 519-532

Newton Kenneth 1997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rdquo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0(5) pp 575-586

Newton Kenneth 1999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 in Modern Euroupea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s)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Olson ME 1965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Pagden Anthony 1988 ldquoThe Destruction of Trust and its Economic Consequence in

the Case of Eighteenth-century Naplesrdquo In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edited by D Gambetta Oxford Blackwell

Paxton Pamela 1999 ldquoIs Social Capital Declining in the US A Multiple Indicator

Assessment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5(1) pp 88-126

Portes A 1998 ldquoSocial Capital Its Origin and Application in Modern Sociologyrdquo Annual Review of Sociology 24 pp 1-24

Portes A 2000 ldquoThe Two Meaning of Social Capitalrdquo Sociological Forum 15(1)

pp 1-12

Putnam Robert 1993 Making Democracy Work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utnam Robert 1995 ldquoBowling Alone Americans Declining Social Capitalrdquo Journal of Democracy 6(1) pp 65-78

Sztompka P 1999 Trust A Sociological Theor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8 김상돈

Toqueville Alexis de [1835 1840] 1990 Democracy in America(Reprint) New

York Vintage

Verba Sidney Kay Lehman Schlozman and Henry E 1995 Voice and Equality

Civic Voluntarism in American Politics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son Oliver E 1993 ldquoCaculativeness Trust and Economic Organizationrdquo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36(3) pp 453-486

Zucker Lynn G 1986 ldquoProduction of Trust Institutional Sources of Economic

Structurerdquo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8 pp 53-111

Comparison Analysi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n the Causal Structure of Trust in Social InstitutionsWith a focus on Mediation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and

Social Support

Sang-don KimLecturer in The University College at Sungkyunkwan University

This Study explores the multiplicativ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social institutions trus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do this a set of hypotheses concerning th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are set forth and subjected to an empirical assessment by using data set

collected from KGSS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2004 and GSS (General

Social Survey) 2001 out of the ISSP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lanning)

Modules

Analysis of data in terms of ML (Maximum Likelihood) procedure in

LISREL852 was used and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s (1) The unit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on association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2)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status on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but They were appear to be an important predictor to

Korea (3)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on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4) Association participation was especially in

shaping social support and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to the two nations

This study is interpreted that further research on the topic of social capital are

raised with elaborating the measure on the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political efficacy consciousness of social class and so forth coupled with

advertising a few limitation of this study

Keyword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KGSS GSS ISSP

김상돈 성균관대학교13 학부대학강사13

경기도13 수원시13 장안구13 조원동13 한일타운13 동13 호13 119 703 440-709

Tel_01113 912013 132313 13 E-mail_education17hanmailnet

Page 4: 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 미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64/1/5.%e1%84%80%e1...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미비교연구:

128 김상돈

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13 사이의13 복합적13 인과관계를13 규명하는데13

목적이13 있다 이들13 변인사이의13 복합적13 인과관계에13 대한13 분석은13 사회적13 자본

의13 구성개념을13 이론적 경험적13 차원에서13 우선논의한13 후 사회제도신뢰를13 최

종내생변인으로13 설정하고 사회제도신뢰에13 영향을13 미치는13 외생변인을13 사회경

제적13 지위로 사회단체참여13 및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을13 각각13 매개13 외 내생변인으로13 설정하여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의13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의13 양

상과13 수준을13 비교13 검증할13 것이다

이론적13 논의II

사회제도신뢰의13 분석시각1

사회적13 신뢰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핵심적13 구성개념이다 사회적13 자본에13 대한13

연구는13 년대13 후반에13 경제학자13 로우리 에13 의해13 제기된13 이후1970 (Loury 1977)

년대에13 는13 사회적13 자본을13 1980 Bourdieu(1984) ldquo제도화된13 연계와13 관계없이13 상호면식이13 있어13 알고13 지내는13 사이에13 지속적으로13 존재하는13 관계의13 연결망을13 통

해13 얻을13 수13 있는13 실제적이고13 잠재적인13 자원의13 총합rdquo이라고13 정의하였다 콜만

은13 사회적13 자본을13 물적13 자본과13 인적13 자본과의13 구별을13 통해13 개념화하(1988)

였다 부르디외와13 콜만의13 논의13 이후에13 사회적13 자본에13 대한13 연구는13 거시적13 차

원과13 미시적13 차원으로13 양분되어13 본격적으로13 진행되어13 왔다

거시적13 차원에서의13 접근방법은13 사회적13 자본을13 주어진13 사회의13 문화적 조직적13 특성으로13 파악하며13 사회통합과13 신뢰에13 초점을13 맞춘다(Putnam 1993

사회적13 자본의13 분석단위는13 사회13 또는13 집단내부에서13 파악Fukuyama 1995)

한다 반면 개인이나13 집단에서13 형성되는13 관계의13 패턴을13 개인적13 차원에서13 접

근하는13 것이13 미시적13 차원에서의13 사회적13 자본연구이다 는13 사회 Portes(1998)

적13 자본을13 한13 개인에게13 고유하게13 존재하는13 것이13 아니라 그13 개인이13 타인들과13

가지는13 관계들의13 집합에13 내재된13 하나의13 특성으로서13 배태성 의13 (embededness)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29

산물이라13 개념화하였다 린 은13 사회적13 자본을13 행위자가13 자신이13 속 (Lin 2001)

한13 집단13 즉13 연결망13 속에13 있는13 자원에13 접근함으로써13 얻을13 수13 있는13 자산으로13

정의하였다 이들의13 주된13 주장은13 대면적13 상호작용 구조적13 공백 배태성13 등과13

같은13 사회13 연결망의13 구조적13 특징으로13 정의된다 결국13 사회적13 자본에서13 제시

한13 핵심적13 구성개념은13 사회13 연결망과13 사회적13 신뢰이다

사회13 연결망과13 사회적13 신뢰사이의13 인과관계는13 대체로13 사회적13 신뢰를13 결과

변인으로13 간주하는13 것이13 일반적13 견해이다 사회적13 신뢰는13 사회적13 관계를13 전

제로13 그13 관계13 속에서13 존재하며 신뢰가13 있음으로13 해서13 관련행위자들은13 협동

을13 할13 수13 있고13 감시와13 통제비용을13 줄일13 수13 있다는13 점에서13 신뢰는13 가장13 중요

한13 사회적자본의13 결과로13 설명된다(Zucker 1986 Gambetta 1988 Coleman

사회적13 신뢰의13 개념은13 대상에13 따라13 사람에13 대한13 신뢰1988 Paxton 1999)

와13 제도에13 대한13 신뢰로13 구분된다 사람에13 대한13 신뢰는13 특정(Giddens 1990)

한13 사람과13 불특정한13 타인에13 대한13 신뢰의13 개념으로서13 과거의13 신뢰경험으로부

터13 영향을13 받는다 한편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는13 어떤13 공동체내에서13 그13

공동체의13 다른13 구성원들이13 보편적인13 규범에13 기초하여13 규칙적이고13 정직하며13

협동적인13 행동을13 할13 것이라는13 기대로13 정의된다 이를13 구체적으로13 살펴보면

은13 제도신뢰를13 사랑 권력 돈과13 같은13 상호소통13 매개체를13 통해13 Luhman(1988)

정치 경제의13 사회기능체계가13 적절하게13 작동할13 때13 생기는13 믿음이라고13 주장하

였다 이들이13 제시한13 제도신뢰13 개념은13 제도학파의13 제도화13 과정으로13 해석하면13

다소13 모호한13 것은13 사실이나 현실적으로13 구체화된13 제도로서13 국가기구나13 기업

과13 언론13 등13 사회기관으로13 정의하면13 개념적13 한계를13 벗어나13 경험적13 분석이13 가

능하다 따라서13 제도신뢰는13 공적신뢰로13 개념화할13 수13 있으며 공적13 신뢰란13 사

회제도의13 주요영역으로서13 국가 시장 시민사회13 등13 주요13 조직이나13 규범에13 대

한13 신뢰를13 의미한다 이상의13 제도신뢰에13 대한13 개념적13 설명(Sztompka 1999)

과13 이13 연구의13 분석대상인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의13 사회적13 신뢰에13 대한13 구조적13

특성은13 각기13 다른13 유교공동체주의와13 합리적13 개인주의13 모델을13 통해서13 맥락적

으로13 설명할13 수13 있다1

1 유교공동체주의와13 합리적13 개인주의13 모델로13 선정한13 이유는13 국가에13 고유한13 어떤13 개념

을13 만들어13 매우13 복잡한13 사회현실로부터13 추상화하여13 그13 국가의13 맥락적13 설명을13 강조하

130 김상돈

유교공동체주의13 모델에서는13 인간관계와13 사회를13 매개하는13 것이13 권리가13 아

닌13 도덕이라고13 보며 유교적13 이상은13 인간의13 이성을13 통하여13 공공선을13 실천할13

수13 있다고13 본다 이러한13 점에서13 도덕적인13 지식을13 터득하고13 이를13 실현시키는13

기제는13 바로13 국가로13 해석된다 다시13 말해 국가는13 바로13 사회지도층이13 운영하

는13 것으로13 사회기강을13 세우고13 도덕적으로13 계도하는13 주체로13 간주되어왔다국(

민호 유교국가론을13 지향해온13 한국사회는13 세기에13 일제강점기 미군 1997) 20

정 한국전쟁 압축적13 근대화13 등의13 과정을13 겪어오면서13 한국적13 질서13 및13 예의를13

유지해주던13 유교13 문화적13 전통과13 사회지도층의13 신뢰가13 희박해져가는13 반면에

서구의13 근대13 및13 탈근대이념은13 왜곡된13 형태로13 수입되어13 전통과13 근대13 그리고13

탈근대13 등이13 혼재되어13 공존하고13 있을13 뿐만13 아니라 시장제도13 구축의13 미비13 때

문에13 행위와13 제도간의13 심각한13 괴리를13 경험하고13 있다 한편 합리적13 개인주의

모델의13 핵심은13 개인의13 합리성과13 자율성에13 기초한다 개인의13 자율성을13 유지해

주는13 기제가13 바로13 시장이다 미국인에게13 있어13 시장이란13 개인의13 자율성과13 자

유를13 지켜주는13 영역으로13 국가와13 정부보다13 우월한13 기제이다 예컨대 초기13 산

업사회시기부터13 년대까지13 미국은13 고신뢰사회로서13 전혀13 면식이13 없는13 지1980

역의13 거래당사자들과13 거래도13 가능할13 정도로13 사회적13 신뢰가13 확고하였다 그러

나13 미국사회는13 노동시장의13 유연화 우익진영의13 극단론걸프전쟁 이라크전 (

쟁 지방정부의13 재정위기마이애미 워싱턴 뉴욕13 등 및13 정책실패13 등으로13 ) ( )

인해13 사회제도신뢰가13 점차적으로13 약화되고13 있다(Putnam 1993 Fukuyama

사회제도에13 대한13 신뢰가13 약화되고13 있다는13 점은13 1996 Billet et al 1999)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의13 공통된13 추세임에도13 불구하고13 도덕과13 합리성 국가와13

시장 공동체주의와13 개인주의13 등의13 상호배타적13 특성이13 현저하게13 대립된다

이처럼13 대조적인13 한국과13 미국13 양국의13 특성차이가13 이13 연구의13 최종내생변인인13

사회제도신뢰와13 관련하여13 일정한13 변이를13 유발할13 것임을13 예상할13 수13 있다2

기13 위함이다

2 이러한13 주장의13 경험적13 근거로13 후쿠야마 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유무13 및13 (Fukuyama 1995)

높고13 낮음을13 국가13 및13 사회발전의13 관건이라13 하며 동아시아의13 유교권13 국가는13 차13 집단13 1

및13 연고13 집단13 위주의13 결속력이13 강하여13 제도보다는13 사람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게13

나타난13 반면에 서구선진국들은13 가족13 및13 친척범위를13 초월한13 사회단체와의13 연대적13 능

력이13 상대적으로13 강하여13 사회제도신뢰가13 높다고13 제시하였다 또한13 세계가치조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1

이상의13 논의에서13 사회제도신뢰는13 사회적13 관계에서13 형성되기13 때문에13 대칭

적13 이라기보다는13 비대칭적이다 왜냐하면 사회제도신뢰는13 대면적13 상호작용

과13 성찰적13 인지과정을13 통해13 형성되는13 메커니즘이기13 때문이다 Newton(1997)

과13 는13 사회적13 신뢰의13 인과기제를13 사회적으로13 이질적이고13 포괄적Portes(2000)

인13 집단과의13 대면적13 상호작용을13 통해13 형성되며 이13 제시 Putnam(1993 1995)

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인13 네트워크와13 규범13 및13 결과는13 상이하게13 구성되어13

있음을13 그들은13 주장하였다 따라서13 이13 연구에서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을13 각각13 원인과13 결과로부터13 구분하여13 개인의13 심리적13 태도변수인13 사회제도신

뢰를13 결과변인으로13 설정하며 사회제도신뢰는13 개인의13 사회경제적13 지위에13 기

초하고13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을13 인과구조로13 구체화시

킨다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2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교육 직업 소득13 등13 위계적으로13 구조화된13 체계로서13 각

기13 다른13 삶의13 기회와13 생활양식을13 가지게13 되며 이렇게13 각기13 다른13 조건들은13

개인의13 가치관13 및13 사회적13 태도 그리고13 사회적13 행위에13 영향을13 미친다 사회경

제적13 지위에13 따른13 사회단체참여13 및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그리고13 사회

제도신뢰사이의13 인과관계를13 분석한13 기존연구결과는13 다음과13 같다

첫째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인과적13 영향을13 분석한13 기

존연구결과를13 살펴보면 미국사람들의13 사회참여를13 조사한13 연구결과 (Brehm

에서13 단체참여에13 결정적으로13 중요한13 인과적13 요인은13 높은13 and Rahn 1997)

교육 높은13 가계수입 좋은13 직장13 등13 사회경제적13 지위이다 교육과13 소득수준은13

결사체참여에13 가장13 영향력13 있는13 인과변인으로서 교육수준이13 높은13 사람이13 낮

를13 활용한13 장수찬 의13 연구에서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World Value Survey) (2002)

두13 군대 경찰 행정부 사법부 입법부13 순으로13 정치제도가13 높은13 신뢰를13 받는13 것으로13

분석되었으나 사회기관에13 대한13 신뢰의13 경우13 한국은13 환경운동기구 여성운동기구 언

론 기업13 순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은13 기업 환경운동 여성운동기구 언론13 순으로13

나타났다 장수찬( 2002)

132 김상돈

은13 사람에13 비해13 결사체참여가13 높게13 나타났다(Verva Schlozman Brady

직업지위와13 관련해서도13 전문직 사무직13 종사자13 혹은13 자영업자들이13 생1995)

산 기능 노무직에13 종사하는13 사람들보다13 상대적으로13 단체참여에13 보다13 적극적인13 것으로13 나타났다 따라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Inglehart 1999)

람들은13 사회단체참여가13 높으리라고13 판단된다

둘째 사회경제적13 지위와13 사회적13 지원사이의13 인과관계13 틀은13 주로13 사회연결

망의13 연구자들에13 의해서13 규명된다 는13 교육 직업지위 수 Granovetter(1982)

입13 등의13 계층적13 위치가13 높을수록13 직장동료 이웃 아는13 사람13 등의13 약한13 연계

에13 의존하는13 반면에 사회계층이13 낮을수록13 가족 친척13 등의13 강한13 (weak tie)

연계 에13 의존한다고13 주장한다 이러한13 주장은13 린 의13 위(strong tie) (Lin 1982)

세가설에서13 사람들이13 보유하고13 있는13 부와13 권력 사회적13 위세가13 높을수록13 사

회적13 자본의13 창출이13 높다고13 제시하였다 이들의13 연구결과에13 비추어13 볼13 때 사

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13 약한13 연계부터13 사회적13 지원을13 활용할13 가능성이13 높

게13 나타날13 것이라고13 판단된다

셋째 사회제도신뢰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와13 접한13 관련성을13 갖는다 일반적

으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들은13 그들이13 어떤13 사회적13 보상과13 명예를13

이끌어낼13 능력이13 있으므로13 사회제도에13 대한13 긍정적인13 평가를13 할13 가능성이13 높

다 이러한13 주장의13 주된13 근거는13 부자들의13 경우13 타인을13 신뢰하(Olson 1965)

여13 생기는13 위험부담으로13 인해13 자신들이13 가지고13 있는13 일부를13 잃지만13 가난한13

사람들의13 경우13 유일한13 생존수단을13 잃게13 되는13 결과를13 가져올13 수13 있기13 때문이

다 이들의13 연구결과를13 비추어볼13 때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Banfield 1967)

사람이13 낮은13 사람에13 비해13 공공13 및13 민간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상대적으

로13 높게13 나타날13 것으로13 예측된다

전술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

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에13 미치는13 영향이13 일차적이고13 본질적인13 인과변인이라 )

면 사회단체참여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와13 사회연결망의13 기능적13 효과사회적13 지 (

원 사회적13 신뢰 사이의13 매개변인으로13 선정할13 수13 있다 사회단체참여를13 매개 )

변인으로13 선정한13 이유는13 구성원과의13 대면적13 상호작용과13 의사소통행위를13 통

해13 개인의13 사회적13 정체성이13 성립되고 이해관계가13 형성되며 사회적13 행위가1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3

형성 발전되고 사회적13 관계13 속에서13 유통되고13 있는13 경제적 정치적13 도움과13 호혜성규범13 및13 사회적13 신뢰13 등13 기능적13 효과로13 연결되기13 때문이다

첫째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13 지원사이의13 인과관계에13 대한13 기존연구는13

의13 구조적13 공백 의13 생태지위13 등의13 접근방법을13 사용한다Burt McPherson

가13 제시한13 구조적13 공백 개념은13 한13 사람이13 가지고13 Burt(1992) (structural hole)

있는13 연결망들13 사이에서13 그13 중심에13 있는13 사람과는13 어떤13 형태로든13 연결이13 되

지만13 다른13 사람들13 사이에서는13 관계가13 없는13 상태를13 지칭한다 McPherson

이13 제시한13 생태지위 란13 개체의13 환경13 속에서13 자원을13 매개로13 맺는13 (1983) (niche)

관계의13 구체적13 양상을13 의미하는13 것으로서 개체가13 의존하는13 자원들의13 종류가13

다양하고13 광범위하면13 그13 개체가13 보유한13 생태지위의13 범위는13 넓을13 것이고 반

대로13 특정한13 종류의13 자원에만13 의존한다면13 생태지위의13 범위는13 좁을13 것이다

이러한13 점에서13 사회단체에는13 구조적13 공백과13 생태지위 가13 등장하는13 맥(niche)

락을13 설명할13 수13 있는13 이점이13 있다

둘째 사회단체13 참여는13 다양한13 관심사를13 가진13 사람들과의13 만남을13 통해13 참

여자의13 관심영역을13 확장시키고13 다양한13 정치 사회적13 문제에13 대한13 이해를13 높여주며 사회단체에13 의해13 주관되는13 다양한13 행사를13 조직화하고13 집행하는13 과정

에서13 정치와13 관련된13 의사소통과13 의사결정기술을13 연마하게13 되어13 정치참여를13

촉진시킬13 뿐만13 아니라 공공의13 이익을13 위해서13 개인의13 이익을13 양보하는13 공적13

시민정신을13 고취시키며13 무임승차를13 배격하는13 윤리를13 배양한다고13 하였다

은13 사회단체에13 가입13 및13 소속됨으로써13 좋(Tocqueville 1835) Putnam(1995)

은13 이웃과13 동료들을13 만나13 대화를13 나누고13 사회적13 관계를13 쌓을13 수13 있는13 기회13

등을13 얻게13 되며 사람들13 사이에13 축적된13 연결망과13 연결망13 안에서의13 지속적인13

상호작용은13 시민의식이나13 규범13 및13 사회적13 신뢰13 등이13 형성된다고13 제시한다

이상의13 사회단체참여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한13 범주로서13 사회적13 지원과13 제도에13 대

한13 사회적13 신뢰형성에13 영향을13 주는13 중요한13 인과변인이다

한편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연결망유형의13 한13 범주에13 포함된다면 사회적지

원은13 사회연결망의13 기능으로13 표현되어진다 사회적13 지원이란13 사람들이13 맺고13

있는13 사회적13 관계를13 통해13 얻게13 되는13 정서적13 지원 서비스13 지원 경제적13 지원13

등을13 의미한다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사회제도신뢰간의13 인과관계에13

134 김상돈

대한13 연구는13 거시적13 차원의13 사회적13 자본론자들(Pagden 1988 Fukuyama

에13 의해서13 비롯된다 은13 내집단족쇄1995) Pagden(1988) (fetters of in-group)

용어를13 사용하면서13 혈연 지연13 등13 자연적13 관계를13 통한13 공동체적13 유대감과13 학연 직장동료관계와13 같은13 이익집단생활을13 통한13 유대감이13 집단13 내13 소속감으로13 되어13 사람에13 대한13 신뢰는13 높지만 사람에13 대한13 신뢰가13 제도에13 대한13 신뢰의13

희생을13 기반으로13 확대된다고13 하였다 는13 반경범위개념을13 사 Fukuyama(1995)

용하면서13 저신뢰13 사회의13 공통점을13 강력한13 가족주의13 문화와13 중앙집권13 등13 구조

적13 특성에서13 기인된다고13 지적하면서 강력한13 중앙집권국가에13 있어서13 가족과13

국가사이의13 중간지대 즉13 양자사이의13 중개집단들의13 자율과13 자치를13 억압하게13

되어13 사람13 및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상대적으로13 취약하다고13 주장하였

다 국내연구결과김용학 ( 손재석 이재열 에서도13 법적인13 계약서 1998 1998)

나13 재정적인13 보증13 없이13 돈을13 빌려주는13 일 일자리를13 제공하는13 일 계를13 통해13

금리보다13 높은13 이자수익을13 얻는13 등13 사회적13 지원이13 가족13 및13 개인연결망으로13

활용되고13 있으며 이러한13 사적13 영역의13 연결망활용은13 공적영역의13 신뢰를13 식민

화하여13 사회13 전체적으로13 저신뢰사회가13 되었다고13 지적한다 사회적13 지원의13 논

의를13 통해13 일상생활에서13 사람들이13 강한13 연계를13 활용할수록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

적13 신뢰가13 희생된다고13 본13 제한적13 연대의13 개념들예 내집단족쇄 반경범위13 (

등에13 대한13 인과관계의13 연장선상에서13 이13 연구는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13 활용과13 )

사회제도신뢰13 사이의13 인과구조를13 분석한다

연구가설13 및13 연구모형3

이상의13 이론적13 논의를13 토대로13 구성한13 분석모형은13 그림13 과13 같다 이13 연구1

의13 최종13 내생변인은13 사회제도신뢰이다 사회제도신뢰는13 대기업 언론계 교육

계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13 등을13 포함한13 개의13 하위영역으로13 설정하여13 한국 11

과13 미국13 양13 국가의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를13 다차원적 통합적으로13 비교분석한다

사회제도신뢰의13 영향요인은13 사회13 경제적13 지위와13 사회단체참여 그리고13 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5

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으로13 설정하고 통제변인으로13 인구학적13 요인을13 설정

한다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교육년수 직업위세 소득13 등13 세13 가지13 하위범주로13

설정하여13 측정한다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은13 각각13 매개13

외 내생변인으로13 한다 사회단체13 참여는13 정당단체 노동조합 시민단체 취미

단체 이웃단체 기타단체로13 하고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은13 정서적13 지원

경제적13 지원 서비스지원13 등13 세13 가지13 하위범주로13 설정하여13 측정한다

그림13 분석13 모형1

ξ 1 사회경제적13 지위 X 5 기혼더미 Y 10 기업계13 신뢰

ξ 2 남성더미 X 6 광역시더미 Y 11 교육계13 신뢰

ξ 3 기혼더미 Y 1 정당단체참여 Y 12 언론계13 신뢰

ξ 4 광역시13 더미 Y 2 시민단체참여 Y 13 방송계13 신뢰

η 1 사회단체참여 Y 3 노동조합참여 Y 14 의료계13 신뢰

η 2 사회적13 지원 Y 4 취미단체참여 Y 15 행정부13 신뢰

η 3 사회적13 신뢰 Y 5 이웃단체참여 Y 16 입법부13 신뢰

X 1 교육년수 Y 6 기타단체참여 Y 17 사법부13 신뢰

X 2 직업위세 Y 7 정서적13 지원 Y 18 학계13 신뢰

X 3 소득 Y 8 경제적13 지원 Y 19 군대13 신뢰

X 4 남성더미 Y 9 서비스13 지원 Y 20 금융계13 신뢰

기본13 모형에13 대한13 인과13 경로임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과13 수정지수 에13 따라13 추정될13 인과13 경로임(MI)

136 김상돈

이상의13 분석모형을13 토대로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13 사이의13 연구13 가설들은13 다음과13 같다

lt연구가설13 1gt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13 사람보다13 미국사람이13 상대적으로13 더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2gt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이13 낮은13 사람에13 비해13 사회단체

참여에13 적극적일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3gt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이13 사회적13 지원을13 강한13 연계13

보다는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할13 가능성이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4gt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은13 낮은13 사람에13 비해13 상대적으

로13 사회제도13 신뢰가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5gt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일수록13 사회제도신뢰가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6gt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일수록13 사회적13 지원을13 강한13 연계보다

는13 약한13 연계에13 더13 많이13 요청할13 가능성이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7gt 사회적13 지원을13 약한13 연계에13 더13 많이13 요청할수록13 사회제도신

뢰가13 높을13 것이다

연구13 방법III

자료수집방법1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13 사이에13 미치는13

영향을13 분석하기13 위해13 사용할13 자료는13 와13 이다KGSS 2004 GSS 2001

자료는13 성균관대학교13 서베이리서치센터에서13 년13 월13 KGSS 2004 2004 7~8

동안13 실시하였으며 표집절차는13 전국13 주민등록13 전산자료로부터13 다단계지역층

화표본추출법에13 의해13 추출되는데 그13 구체적인13 절차는13 다음과13 같다 첫째 최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7

종표집지역수를13 개로13 선정하고13 이를13 차표집단위인13 전국13 광역시200 1 도의13 가구수13 분포에13 비례하여13 배분한다 둘째 각13 광역시 도로부터13 배분된13 수만큼의13 차표집단위인13 읍2 면 동을13 인구비례확률표집13 원칙을13 적용하여13 무작위로13 추출한다 셋째 이렇게13 추출된13 각13 읍 면 동으로부터13 한13 개의13 최종표집지역면( 의13 경우에는13 리 동의13 경우엔13 통 반을13 무작위로13 선정한다 넷째 선정된13 )

통 반13 또는13 리에서13 개의13 가구를13 계통표집한다 계통표집된13 가구13 내에서13 10

만13 세13 이상13 성인13 가구원들의13 리스트를13 작성한13 후13 이들13 가운데13 태어난13 월18

일이13 가장13 빠른13 사람을13 조사대상자로13 삼는다 조사된13 설문지의13 유효사례수는13

명이다 이13 연구에13 사용할13 변인들에13 대한13 응답13 가운데13 무응답1312 (lsquo모르겠다rsquo 포함 문항에13 개별평균값으로13 대체한13 후13 결측치 ) (missing values)(n=

를13 일률적 으로13 제거하여13 추출된13 총13 명이13 최종13 분석사례수343) (listwise) 979

를13 형성하였다 평균13 대체방법을13 사용한13 이유는13 변인들의13 분포추정치13 왜(N)

곡13 가능성의13 성격을13 지니지만 결측치를13 가능한13 정확한13 값으로13 대체함으로써13

무응답의13 편차감소와13 연구결과의13 일반화13 및13 신뢰성이13 향상될13 수13 있기13 때문이

한편 자료는13 시카고대학의13 GSS 2001 NORC(National Opinion Research

C 에13 의해13 수집된13 자료로서13 년13 월에서13 월에13 걸쳐13 면접자13 조사방enter) 2001 2 5

식에13 의해13 수집되었다 표집방법의13 구체적인13 절차는13 다단계지역13 확률표집방

법으로서13 차13 표집단위는13 표준대도시지역1 (SMSA Standard Metropolitan

또는13 비도시지역의13 카운티들을13 지역 연령13 그리고13 인종에13 Statistical Area)

따라13 층화한13 후13 그13 단위를13 블록그룹이나13 열람구역별로13 인종과13 소득에13 따라13

층화한다 최종표집단위는13 블록이며 블록들을13 크기에13 준해13 확률을13 조정한13

뒤 특정블록을13 추출한다 이렇게13 추출한13 조사대상자를13 대상으로13 부실한13 응

답사례를13 제외한13 유효사례수는13 명이다 한국과13 동일한13 방식으로13 무응답2765

(lsquo모르겠다rsquo 포함의13 문항에13 개별평균값으로13 대체한13 후13 결측치 ) (missing

를13 일률적 으로13 제거하여13 추출된13 총13 명이13 이13 연values)(n=2230) (listwise) 535

구의13 최종13 분석사례13 수 를13 형성하였다(N)

138 김상돈

변수정의13 및13 측정2

이13 연구의13 최종내생변인은13 사회제도신뢰로13 대기업 교육계 언론계 금융

계 학계 의료계 방송계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 군대13 등13 가지13 영역을13 포 11

함한다 이렇게13 구성된13 사회제도신뢰는13 ldquo신뢰하지13 않음rdquo ldquo다소신뢰rdquo ldquo매우13 신뢰rdquo 순으로13 점에서13 점을13 부여하여13 연속변수로13 분석에13 사용한다 1 3

이13 연구의13 매개13 내생변인인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유형은13 사회연결망13 연구

자들의13 연계유형에서13 제시한13 가족 친척 이웃 친구 직장동료 성직자 사회

사업가 의사13 등을13 가족 친척 비13 친척으로13 분류한13 후13 이들13 유형을13 각각13 교

차 시켜13 아홉13 가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13 활용유형을13 만들13 수13 있다 이(3times3)

렇게13 구성된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유형은13 강한13 연계에13 답한13 순으로13 정리한13

후 동일한13 응답범주는13 첫13 번째13 응답에13 강한13 연계로13 답한13 경우를13 우선13 기준

으로13 점에서부터13 점까지의13 점수를13 부여하여13 측정한다1 9

이13 연구의13 매개외생변인은13 사회단체참여로13 정치단체 노조단체 시민단체

취미단체 이웃단체 기타단체13 등13 여섯13 가지13 영역의13 사회단체13 참여수준을13 측

정한다 사회단체참여에13 대한13 영역은13 ldquo소속된13 경험이13 없음rdquo ldquo과거에13 소속된13 경험13 있음rdquo ldquo소속되어13 소극적13 활동rdquo ldquo소속되어13 적극적13 활동rdquo 순으로13 조사

되었으며13 이들13 각각에13 점부터13 점까지의13 점수를13 부여하였다1 4

변13 인정의( )

설13 문13 문13 항측정척도범위[ ]

사회제도신뢰(institution)

개13 주요13 사회기관에13 대한13 신뢰의13 정도11매우13 신뢰13 다소13 신뢰13 매우13 불신 ① ② ③

연속변수[1-3]

사회적13 지원(SUPPORT)

정서적13 지원13 ① ② 연속변수[1-9]

경제적13 지원13 ① ② 연속변수[1-9]

서비스13 지원13 ① ② 연속변수[1-9]

사회단체참여(ASSOCIATION)

개13 사회단체참여에13 대한13 참여13 여부6소속된13 경험13 무13 소속된13 경험① ② 소극적13 활동13 적극적13 활동③ ④

연속변수[1-4]

표13 lt 1gt 내생변인들의13 설문문항13 및13 변수정의1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9

이13 연구의13 외생변인은13 사회경제적13 지위이다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교육년수

소득 직업위세로13 설정한다 교육년수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중요한13 인과변인으로

서13 정규교육을13 받은13 수학년수에13 근거하여13 점에서부터13 점으로13 측정한다0 23

응답자의13 월평균소득은13 와13 자료모듈에13 있는13 원13 자료KGSS 2004 GSS 2001

를13 근거로13 각13 범주에13 중간값을13 부여하여13 자연대수로13 변환하여13 측정한다 응

답자의13 직업은13 간즈붐과13 트라이먼 에13 의하여13 (Ganzeboom amp Trieman 1996)

구성된13 표준국제직업위세척도(SIOPS Standard International Occupation

에서13 제시한13 점부터13 점으로13 점수를13 부여하여13 분석에13 사Prestige Scale) 16 88

용한다

한편 인구학적13 특성인13 성 연령 결혼상태 지역13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은13 통제

변인으로13 설정한다 성은13 더미변수로서13 여성일13 경우는13 남성일13 경우는13 로13 0 1

부여13 한다 연령은13 자연연령으로13 분석에13 사용한다 결혼13 상태는13 더미변수로

서13 미혼13 및13 이혼 사별 별거일13 경우는13 기혼일13 경우는13 로13 부여하여13 더미0 1 변수로13 사용한다 지역은13 한국사회의13 경우13 특별시13 및13 광역시일13 경우에는13 1

기타도시일13 경우는13 으로 미국사회의13 경우13 메트로폴리스는13 기타도시는13 0 1 0

으로13 부여하여13 더미변수로13 만들어13 사용한다

변13 인 설13 문13 문13 항 측정척도

사회경제적13 지위(SES)

교육13 년수연속변수

직업13 위세SIOPS

[16-87]

소득13 수준 ln(income)

통제변인

연령 연속변수

성별남성=1 여성=0

결혼여부기혼=1미혼=0

이혼 사별 별거=0

주거지역광역도시=1기타도시=0

표13 lt 2gt 사회인구학적특성에13 사용된13 설문문항13 및13 변수정의13

140 김상돈

자료분석방법3

이13 연구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

제도신뢰13 사이의13 영향을13 분석하기13 위해13 탐색적13 요인분석 확인적13 요인(EFA)

분석 그리고13 공변량13 구조분석 등을13 시도한다 확인적13 요인(CFA) (LISREL)

분석은13 일련의13 경쟁적인13 요인모형들을13 각기13 추정하여13 모형부합지수를13 각13 모

형별로13 산출하여13 최적의13 모형을13 추정한다 구조방정식모형은13 측정모형과13 구

조모형의13 개13 하위모형으로13 구성되어13 있다 측정모형분석의13 전략은13 제도에13 2

대한13 사회적13 신뢰 사회적13 지원 사회단체참여13 등13 내생잠재변수와13 외생잠재

변수인13 사회경제적13 지위 그리고13 통제변수를13 이론변수로13 설정하여13 제반13 이론

변수간의13 상관관계를13 분석한다 한편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를13 각13 별도의13

결과변인13 혹은13 최종적13 내생변인으로13 설정하고13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을13 매개변인으로13 설정한13 상태에서13 제반13 예측변인들의13 인과적13 단

위영향을13 분석하기13 위한13 구조모형을13 추정한다 이어서13 각13 결과변인을13 설명하

는13 인과요인들의13 직접 간접 전체13 영향을13 분리시키는13 경로분석을13 실시함으로써 각13 인과변인들의13 상대적13 중요성에13 대한13 평가를13 시도한다 각13 차원들을13

결과변인으로13 간주한13 공변량13 구조분석을13 시도함으로써13 이론13 변인들간의13 구

조적13 인과관계를13 추정한다 실증분석을13 위하여13 사용된13 통계프로그램은13 SPSS

및13 를13 사용하였다110 LISREL 852

분석결과IV

기술통계1

분석에13 포함된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의13 조사대상자에13 대한13 사회경제적13 지

위13 특성을13 살펴보면 교육년수는13 한국평균 년보다13 미국평균 ( =12422 ) (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1

년 에서13 약간13 높으며 직업위세점수는13 한국평균 점보다13 미국13629 ) ( =40315 )

점 에서13 정도13 높게13 나타났다 소득수준은13 한국평균 보(47512 ) 7197 ( =5394)

다13 미국평균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 =10464) 3 따라서13 조사대상자의13 사회경제

적13 지위는13 한국보다13 미국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

한편 조사대상자의13 인구학적13 특성을13 살펴보면 연령은13 한국평균 ( =41503

세보다13 미국평균 세에서13 약간13 높으며 남성비율은13 미국 보) ( =42966 ) (450)

다13 한국 에서13 약간13 높은13 분포를13 나타냈다 기혼비율은13 미국 보(460) (450)

다13 한국 에서13 높으며 광역시 특별시13 광역시 에13 거주하는13 한국의13 비(686) (1 6 )

율은13 인13 반면에13 메트로폴리스에13 거주하는13 미국의13 비율은13 로13 나479 292

타났다

다른13 한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 (

망활용 사회제도신뢰을13 살펴보면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평균 보다13 ) ( =1479)

미국평균 에서13 더13 적극적인13 것으로13 나타났으며( =1732) (t=-8045 p 001) <

변인

평균 범위[ ] SD

한국(N 979)=

미국(N 535)=

한국 미국

사회경제적지위

교육년수 12422 [0-23] 13629 [1-20] 4032 2910

SIOPS 40315 [16-87] 47512 [16-88] 13376 16147

소득 5394 [3219-6957] 10464 [6215-11653] 746 950

인구학적특성

연령 41503 [18-84] 42966 [20-86] 14433 16029

남성 460 [0-1] 450 [0-1] 499 498

기혼 686 [0-1] 450 [0-1] 467 498

광역도시 479 [0-1] 292 [0-1] 500 455

주 한국 교육년수 로그소득 미국 교육년수 SES( =855 +725 SIOPS+805 =811 +791 로그소득 SIOPS+ 673 )

표13 lt 3gt 조사대상자의13 사회인구학적13 특성13

3 사회경제적13 지위변수인13 교육 직업위세 로그소득을13 탐색적13 요인분석결과 한국의13

와13 미국의13 자료13 모두13 하나의13 주요인으로13 추출되었으며13 총13 변량KGSS 2004 GSS2001

에13 대한13 설명력은13 각각13 로13 나타났다 이렇게13 구성된13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652 570

교육 직업 소득변수에13 가중치가13 부여된13 조합변수로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 KGSS 2004[

교육교육년수 직업 소득 로그소득 사회경제=855 ( )+725 (SIOPS)+805 ( )] GSS 2001[

적지위 교육 교육년수 직업위세 소득 로그소득 으로13 구성=811 ( )+791 (SIOPS)+673 ( )]

할13 수13 있고13 선형조합인13 요인점수 를13 그13 값으로13 가지게13 된다(factor score)

142 김상돈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은13 미국평균 보다13 한국평균 에서13 ( =3187) ( =4541)

약한13 연계를13 더13 활용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사회제도신뢰(t=9337 p 001) <

는13 한국 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 =1733) ( =2075) (t=-14463

이로써13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13 사람보다13 미국사람이13 더13 높을13 것이라p 001) <

고13 제시한13 lt연구가설13 1gt을13 수용하게13 되었다

변인 평균 SD 차이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평균차이 절대량차이 값t

사회제도신뢰

대기업13 신뢰 1671 2019 548 584 -348 -312 -8123

교육계13 신뢰 1784 2100 575 624 -316 -267 -7273

언론계13 신뢰 1639 1680 588 659 -041 030 -3145

방송계13 신뢰 1779 1665 600 651 114 165 1506

의료계13 신뢰 1873 2274 574 639 -401 -336 -8585

행정부13 신뢰 1461 2046 531 683 -585 -433 -13578

입법부13 신뢰 1180 1905 403 586 -725 -542 -19212

사법부13 신뢰 1944 2275 591 639 -331 -283 -7671

학계13 신뢰 1957 2329 539 613 -372 -298 -8496

군대13 신뢰 1915 2468 649 614 -553 -588 -12062

금융계13 신뢰 1865 2068 593 629 -203 -167 -4463

전13 체 1733 2075 318 343 -342 -317 -14463

사회적13 지원

정서적13 지원 5813 3802 2672 2792 2011 2131 10916

경제적13 지원 4843 3202 2853 2788 1641 1576 7167

서비스13 지원 2967 2557 2352 2457 410 515 4336

전13 체 4541 3187 1880 1950 1354 1424 9337

단체참여

정당단체13 참여 1163 1593 518 1032 -430 084 -8129

시민단체13 참여 1098 1874 421 1229 -776 032 -12751

노동조합13 참여 1275 1512 674 956 -237 045 -7695

취미단체13 참여 1819 2166 1071 1366 -347 -052 -4389

이웃단체13 참여 1614 1493 1041 977 121 057 567

기타단체13 참여 1905 1753 1208 1151 152 095 1199

전13 체 1479 1732 469 702 -253 -020 -8045

주 평균13 및13 절대량13 차이는13 기술통계의13 차이 한국 ( -미국이며13 통계적13 유의도는13 ) t- 에13 대한13 검증test임

p 05 p 01 p 001 < < <

표13 lt 4gt 사회적자본의13 기술통계한국 미국13 ( 13 N 97913 13 N=53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3

모형검증의13 타당도평가2

이13 절에서는13 내생변인들에13 대한13 모형검증의13 타당도를13 분석한다 모형검증

의13 타당도를13 분석하기13 위해서는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13 변인13 등은13 탐색적13 요인분석과13 확인적13 요인분석이13 사용된다

탐색적13 요인분석결과 표본적절성13 측정치인13 값한국 미국 KMO ( =773

은13 적절한13 수준이었으며13 의13 구형성13 검증13 통계치의13 유의수준은13 =752) Bartlett

양13 국가13 모두13 으로13 보다13 작아13 자료의13 상관이13 요인에13 적합한13 것으로13 000 05 3

나타났다 제 요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13 개13 문항13 가운데13 개의13 측정변인 1 20 11

들이13 묶이는13 것으로서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에13 해당한다 제 요인은13 양13 2

국가13 모두13 전체문항13 가운데13 개13 문항의13 측정변인을13 요인13 구성하였으며13 사회6

단체참여에13 해당한다 마지막으로13 제 요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문항13 가운데13 3

개문항의13 측정변인을13 요인13 구성하였으며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해당3

한다 또한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의13 내적일

치성을13 알아보기13 위해13 의13 계수로13 평가한13 결과 한국Cronbach ( =8029 α

미국 로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신뢰도를13 보5192 5051 = 7658 5746 6933)

이고13 있었다 이상의13 결과를13 보면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변인이13 각기13 별개구성체로13 구성되고13

있음을13 보여준다

확인적13 요인분석결과는13 lt표13 5gt에13 제시하였다 분석에13 포함된13 문항들이13 어

떠한13 공통요인도13 형성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귀무모형이나13 모든13 문항들이13

사회적13 자본이라는13 단일차원의13 개념을13 측정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1-요인모형

두13 가지13 별개차원의13 개념들을13 측정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요인모형 세13 가지13 2

차원의13 개념들을13 각기13 별도로13 측정하도록13 제약을13 가해진13 요인모형으로13 구3

성되었다

144 김상돈

표13 lt 5gt 사회적13 자본13 하위차원에13 대한13 확인적13 요인분석 결과 한국 미국13 (CFA)13 -( N 97913 N=535)=

귀무모형(M0) (M1)

요인모형1

요인모형2요인모형3- 9)

(M2_1) (M2_2) (M2_3)8)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χ2 4465901

(p 001)<

2671725

(p 001)<

1235222

(p 001)<

1097272

(p 001)<

887151

(p 001)<

533939

(p 001)<

1030632

(p 001)<

942579

(p 001)<

899901

(p 001)<

540723

(p 001)<

692709

(p 001)<

383604

(p 001)<

DF 190 190 170 170 169 169 169 169 169 169 167 167

GFI1) - - 888 830 917 909 905 850 916 908 934 933

AGFI2) - - 861 789 897 887 882 814 895 886 917 916

NFI3) - - 745 651 809 814 788 713 806 791 850 855

CFI4) - - 773 693 840 886 818 759 837 844 882 911

IFI5) - - 774 695 841 916 819 761 837 845 883 912

1) Goodness of Fit Index2) Adjusted Goodness of Fit Index3) Normed Fit Index4) Comparative Fit Index5) Incremental Fit Index6) 두13 요인들13 간 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13 사회제도신뢰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68(pgt05) =156(pgt05)]對 7) 두13 요인들13 간 단체참여 사회제도신뢰13 사회적13 지원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52(pgt05) =對 -002(pgt05)]8) 두13 요인들13 간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13 단체참여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65(pgt05) =157(plt01)]對 =9) 세13 요인들13 간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051(pgt05) 061(pgt05) 123(plt05) -013(pgt05)157(plt01)

092(pgt05)]

lt표13 5gt를13 살펴보면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13 귀무모형이나13 1-요인모형

에13 비해13 요인모형들 의13 경우가13 수치2 (M2_1 M2_2 M2_3) 2 (p( 2) χ χ

가13 적을13 뿐만13 아니라13 여러13 가지13 모형부합지수도13 큼을13 알13 수13 있다lt001) 2-

요인모형13 가운데13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이13 하나의13 요인

을13 형성하고13 사회제도신뢰가13 또13 하나의13 요인을13 형성하도록13 제약을13 가한13

모형이13 모형13 및13 모형에13 비해13 수치 가13 M2_1 M2_2 M2_3 2 (p( 2)lt001)χ χ

적을13 뿐만13 아니라13 여러13 가지13 모형부합지수 한국( GFI=917 AGFI=897

미국NFI=809 CFI=840 IFI=841 RMSEA=0569 GFI=909 AGFI=

도13 큼을13 알13 수13 있어13 887 NFI=793 CFI=846 IFI=847 RMSEA=0636)

더13 적절한13 모형이었다 그러나13 세13 가지13 차원의13 개념들을13 각기13 별도로13 측정하

도록13 제약이13 가해진13 3-요인모형은13 어떠한13 요인모형들에13 비해서13 보다도13 모형2

부합지수한국( GFI=934 AGFI=917 NFI=850 CFI=882 IFI=88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5

미국RMSEA=0567 GFI=933 AGFI=916 NFI=855 CFI=911

가13 현격히13 향상되었다 이는13 양13 국가13 모두13 여러13 IFI=912 RMSEA=0493)

가지13 경쟁적인13 내재모형13 가운데13 요인모형이13 최적모형으로써13 분석에13 포함된13 3

문항들이13 세13 가지13 별개의13 구성체들을13 측정하고13 있으며 이13 구성체들13 간에는13

판별집합타당도가13 유지됨을13 확인시켜주는13 결과이다 이로써13 요인모형에13 잠 3

재된13 변인들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이13 각기13 ( )

별개의13 구성체들임을13 보여준다 뿐만13 아니라13 이13 내생변인들13 상호간에는13 연관

관계도13 그다지13 강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모형검증의13 추정결과3

이13 절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13

사이가13 이론적 경험적13 사실과13 어느13 정도13 부합되는지를13 검증한다 이를13 위해13

이들13 변인들13 사이의13 상관13 및13 인과관계 그리고13 경로분석이13 어떻게13 나타나는

지를13 로13 추정한다LISREL 4

측정모형분석에13 근거하여13 여타변인들의13 영향이13 통제되지13 않는13 영차상관관

계(zero- 를13 산출한13 결과는13 order correlation) lt표13 6gt에13 제시하였다 우선 사

회제도신뢰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

회경제적13 지위(r=- 변인만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관계로13 나타난13 192)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 (r=158)

다 이는13 한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불신이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에13 적극적으로13 참여할수록13 제

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났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

활용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남성더미

(r=- 기혼더미094) (r=- 등13 두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451)

4 측정모형분석에13 앞서13 개13 측정변인에13 대한13 다중13 공선성13 여부를13 검증하였다 검증결27

과 연령변인이13 한국이13 으로13 다중공선성이13 의심되는13 바13 연령변인을13 제외하고13 재 646

추정하여13 분석하였다

146 김상돈

관계로13 나타났다 이에13 비해13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남성더미 (r=197)

(r=- 기혼더미152) (r=- 광역시13 더미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이13 통352) (r=147)

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국에서는13 여성일수록 미혼일수록13

사회적13 지원을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되어진다면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여성일수록 미혼일수록 메트로폴리스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적13 지원

을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다른13 한편 사회단체참여에13 유의

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남성더 (r=387)

미 기혼더미 광역시더미(r=273) (r=104) (r=- 변인13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이13 136)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관계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

위 기혼더미 광역시더미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r=409) (r=109) (r=146)

적으로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다시13 말해13 한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남성일수록 기혼일수록 기타도시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반면에 미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기혼일수록 메트로

폴리스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단체에13 적극적으로13 참여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이어서13 사회제도신뢰와13 인과변인사이의13 인과관계는13 구조모형에13 대한13 추정

을13 통해13 규명한다 한국의13 기본모형과13 최종모형의13 추정13 결과 기본모형의13 모

형부합지수는13 정확합치인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미할13 뿐만13 아니라13 001

근사합치인13 GFI=911 AGFI=890 NFI=790 CFI=837 IFI=838

로13 보다13 작아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모형부합지수를13 나타내RMSEA=0588 08

고13 있지만13 전반적으로13 그리13 높지13 않은13 것으로13 나타내고13 있다 반면에13 최종모

형의13 모형부합지수는13 기본모형과13 마찬가지로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 001

미하며13 GFI=901 AGFI=878 NFI=783 CFI=837 IFI=839 RMSEA=

로13 기본모형보다13 다소13 향상되었다 결정계수에13 있어서도 최종모형은13 0594

기본모형에13 비해13 설명력이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 기본모형의13 ( R2=117 222

최종모형의13 044 R2=188 104 056)

동일한13 방식으로13 미국의13 기본모형과13 최종모형의13 추정13 결과 기본모형의13 모

형부합지수는13 정확합치인13 x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미할13 뿐만13 아니라13 001

근사합치인13 GFI=904 AGFI=882 NFI=801 CFI=867 IFI=869

로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모형부합지수를13 나타내고13 있지만13 전반RMSEA=054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7

그림13 2 사회제도신뢰를13 검증하기13 위한13 최종모형 한국13 -

그림13 3 사회제도신뢰를13 검증하기위한13 최종모형 미국13 -

적으로13 그리13 높지13 않는13 부합지수를13 나타내고13 있다 반면에13 최종모형의13 모형

부합지수는13 기본모형과13 마찬가지로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하며13 001

로13 GFI=896 AGFI=871 NFI=782 CFI=867 IFI=889 RMSEA=0539

148 김상돈

기본모형보다13 다소13 향상되었다 또한13 결정계수에13 있어서도 최종모형은13 기본

모형에13 비해13 설명력이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기본모형의13 ( R2=034 174 028

최종모형의13 R2=099 245 039)

모형13 찾기에서13 선정된13 최종모형에13 기초하여13 제반13 외생변인들의13 인과적13 단

위영향을13 보여주는13 구조모형을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추정한13 결과는13 lt표13

6gt에13 제시하였다 구조모형의13 추정결과를13 우선13 살펴보면 기본모형에서13 배제

되었던13 경로들13 가운데13 사회단체참여rarr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경제

적13 지위rarr사회단체참여로13 향하는13 경로만이13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이13 높고13 수정지표도13 현저한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사회경제적13 지위 rarr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rarr사회제도신뢰로13 향하는13 경로들은13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이13 낮고13 수정지표13 또한13 현저하지13 못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각13 내생변인과13 관련한13 결과를13 순서대로13 살펴보면13 다음과13 같다

첫째 사회단체참여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

위 남성 광역시(B=378) (B=220) (B=-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유의미한13 170)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B=416)

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과13 남성 그리고13 기타도시에13 거주하는13

사람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반면에13 미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만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이다

둘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남성(B=189) (B=- 기혼144) (-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유의470)

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남성더미(B=152) (B=- 기혼더미137) (B=- 광역시 등13 네13 372) (B=130)

가지13 변인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과13 여성 미혼은13 사회적13 지원을13 강한13 연

계보다는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광역시에13 거주하는13 사

람들은13 한국사회13 보다13 미국에서13 강한13 연계보다13 약한13 연계에13 사회적13 지원을13

요청한다

셋째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단체참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9

사회경제적13 지위(B=151) (B=- 등13 두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246)

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B=144)

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은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

데13 비해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들은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불신이13 높게13

나타났다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이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났다

변인

한국(N=979) 미국(N=535)

단체참여 사회적지원 사회제도신뢰 단체참여 사회적지원 사회제도신뢰

r B r B r B r B r B r B

매개내생변인

사회적13 지원 048 - -017 -

매개외생변인

단체참여 - 090 189 043 151 104 152 158 144

외생변인

SES 387 378 070 - -192 -246 409 416 197 - 093 031

통제변인

남성13 더미 273 220 -094 -144 -024 -033 006 026 -152 -137 040 039

기혼13 더미 104 068 -451 -470 006 005 109 018 -352 -372 064 037

광역시13 더미 -136 -170 047 053 -005 -007 146 066 147 130 -004 -023

R2 237 220 056 183 195 030

χ2 1187022(df=283) (plt001) 687058(df=283) (plt001)

모형부합치 GFI=915 AGFI=894 NFI=808

CFI=846 IFI=847 RMSEA=0572

GFI=910 AGFI=888 NFI=812

CFI=880 IFI=881 RMSEA=0517

주 제시된13 계수는13 표준화계수이며 통계적13 유의도는13 비표준화계수에13 대한13 검증임 1)

계수를13 연차적으로13 자유모수로13 개방하여13 추정한13 최종모형임2) B21 11 Γ

단측검증 단측검증 단측검증3) p 05 p 01 p 001 < < <

표13 6<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요인들에13 대한13 추정13 결과13 LISREL13

다음은13 사회제도신뢰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대한13 직접 간접 전체영향을13 분리시킨13 경로분석을13 시도한다 그13 결과는13 lt표13 7gt과13 같다

우선 사회제도신뢰의13 경로분석결과를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유의미한13

요인들과13 그13 영향에13 대한13 절대적13 크기순서대로13 나열하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

제적13 지위(B=- 사회단체참여 로13 구성되며 미국에서는13 단체참여189) (151)

변인만으로13 구성되었다 이13 같은13 결과를13 각13 변인별로13 보다13 상세히13 (B=144)

150 김상돈

살펴보면13 먼저 양13 국가13 모두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와13 사회단체참여변인

을13 연결하는13 제 의13 변인은13 존재하지13 않기13 때문에13 사회단체참여의13 전체영향3

은13 직접영향 한국 미국 만으로13 구성되며13 그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 =151 =144)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다 다음으로 사회경제적13 지위13 변인은13 한국

에서13 강한13 부의13 인과적13 영향(B=- 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며13 직접영189)

향(B=- 및13 간접영향 모두13 유의미하였고13 전체의13 가13 직접246) (B=057) 130

영향으로13 구성된다 반면에13 미국에서13 직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으나13 간접영

향 은13 유의미하다 이상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사회단체참여의13 (B=060)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그13 영향의13 구체적13 방향이13 이론적13 예측과13 예외13 없이13 일

치한13 반면에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사회경제적13 지위의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이론적13 예측과13 일치하지13 않았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대한13 경로분석결과를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들과13 그13 영향에13 대한13 절대적13 크기순서대로13 나

열하면 한국에서는13 기혼 (B=- 단체참여 남성457) (B=189) (B=- 사회102)

경제적13 지위 순으로13 구성되며 미국에서는13 기혼(B=071) (B=- 단체참374)

여 광역시 남성(B=152) (B=140) (B=- 사회경제적13 지위 순133) (B=063)

으로13 구성된다 이13 같은13 결과를13 각13 변인별로13 보다13 상세히13 살펴보면 첫째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사회단체참여변인을13 연결하는13 제 의13 3

변인은13 존재하지13 않기13 때문에13 사회단체참여의13 전체영향은13 직접영향한국(

미국 만으로13 구성되며13 그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189 =152)

의미하다 둘째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영향이13 사회단체

참여에13 의해13 전적으로13 매개된13 간접영향한국 미국 으로만13 구성( =069 =063)

되었다 셋째 기혼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직접영향한국 ( =- 미국470 =-371)

만이13 유의미한13 반면에13 간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았다 넷째 남성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직접영향 한국( =- 미국144 =- 이13 유의미하고13 간접영향은13 한137)

국 만이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고13 미국에서는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것(B=042)

으로13 나타났다 다섯째 광역시13 변인은13 한국에선13 직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

은13 대신에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된13 간접영향(B=- 은13 유의미한13 반면032)

에13 미국에선13 사회단체참여에13 매개된13 간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대신에13 직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1

접영향 은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B=130)

한국(N=979) 미국(N=535)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변인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매개변인

사회적지원

단체참여 189 189 151 151 152 152 144 144

외생변인

SES 071 071 -246 057 -189 063 063 030 060 090

통제변인

남성더미 -144 042 -102 -033 033 000 -137 004 -133 039 004 043

기혼더미 -470 013 -457 -026 010 016 -371 -003 -374 038 -003 035

광역시더미 033 -032 001 -006 -026 -032 130 010 140 -023 -009 -014

제시된13 계수는13 표준화계수이며 통계적13 유의도는13 비표준화계수에13 대한13 검증임1)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지원에13 미치는13 영향2) ( ) times ( )=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미치는13 영향3) ( ) times ( )=

전체영향13 직접영향13 간접영향4) = +

단측검증 단측검증 단측검증 p 05 p 01 p 001 < < <

표13 lt 7gt 사회적13 지원과13 사회제도신뢰를13 설명하는13 요인들의13 직접13 간접 전체영향을13 분리한13 경로분석결과LISREL13 1)

논의13 및13 결론V

이13 연구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

회제도신뢰13 등에13 대한13 기술통계13 및13 판별집합타당성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차

이 매개효과13 등을13 실증적으로13 규명할13 목적으로13 수행되었다 이를13 위하여13 유

교공동체주의와13 합리적13 개인주의모델의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특성을13 지니고13 있

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를13 선정하여13 국제사회종합조사 자료모듈인13 (ISSP)

와13 자료를13 대상으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과13 관련KGSS 2004 GSS 2001

된13 일련의13 연구13 가설을13 제시하여13 검증하였다

첫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적13 신뢰 ( )

152 김상돈

은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확연히13 다른13 평균차이를13 보여주고13 있다 사회단

체참여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상대적으로13 더13 적극( =1479) ( =1732)

적이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국에서13 저조

한13 이유는13 년13 이후13 신사회운동을13 포함한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추세에1987

도13 불구하고13 시민사회의13 공론장이13 모순적으로13 제도화되었기13 때문이다 이는13

사회공간이13 존재하는13 것과13 그13 공간에13 참여하는13 것과는13 별개의13 개념임을13 의미

한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은13 미국평균 보다13 한국평균 에서13 약 ( =3187) ( =4541)

한13 연계에13 더13 활용되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

용이13 한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분석결과는13 학연 지연 혈연13 등13 연고13 집단으로13 인해13 사회적13 자본이13 풍부하다고13 주장한13 연구유석춘13 외 와13 일치된다( 2002)

다른13 한편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더13 ( =1733) ( =2075)

높으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제도신뢰가13 한국보다13 미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사실은13 정치 경제적으로13 성공한13 국가가13 그렇지13 못한13 국가보다13 상대적으로13 제도신뢰가13 더13 높을13 것이라고13 제시한13 거시적13 차원에서의13 연구결과

와13 부합된다(Putnam 1993 1995 Fukuyama 1995)

둘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

사회제도신뢰사이에는13 판별) 집합타당도가13 유지된다는13 사실을13 강조할13 필요가13 있다 탐색적13 요인분석과13 더불어13 확인적13 요인분석을13 실시한13 결과에서13 나

타난바와13 같이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을13 측정하기13 위한13 문항들은13 제각기13

해당차원의13 개념들만을13 측정할13 뿐만13 아니라13 이들13 차원들이13 각기13 별도의13 개념

을13 형성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3-요인모형이13 최적모형으로13 판명됨으로써13 3-요인

모형에13 잠재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의13 판별 수렴타당도가13 존재함을13 보여준다 아울러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들13 사이의13 상관관계조차도13 상당히13 미

약한13 것으로13 드러남으로써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13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13 등은13 각기13 별개의13 구성체들로13 이루어져있음이13 나타났다

셋째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 (

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 의13 불평등을13 밝히는데13 사용되었다 사회단체 )

참여와1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변인으로13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와13 접한13

관련성을13 맺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나13 사회제도신뢰에13 있어서13 강한13 부(- 의13 상관13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3

및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와13 사회적13 지원13 연결망활용의13 인과변인으로서13 중요하게13 나타났다 그러나13 한

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

타났으며13 미국에서는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타나13 이들13 연구가설13

모두13 기각된13 결과로13 나타났다 기각된13 이유는13 통계적13 해석과13 담론적13 해석13 두13

가지로13 논의할13 수13 있는데 첫13 번째13 이유는13 사례수와13 변량13 등13 통계적13 근거에

서13 설명할13 수13 있다 예컨대13 구조모형의13 추정에13 동원된13 측정변인13 및13 이론변인

의13 수를13 감안할13 때13 제한된13 사례13 수한국 미국 는13 여러13 변인들의13 ( =979 =535)

변량을13 제한하고13 표준오차를13 증가시킴으로써13 각각13 사회적13 지원13 및13 사회적13 신

뢰의13 통계적13 유의도를13 상실하게13 하는13 원인으로13 작용될13 가능성이13 있다 통계

적13 해석보다13 중요한13 담론적13 해석은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설명유교공동체주의(

자유민주주의에서13 그13 이유를13 예측할13 수13 있다 한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하다는13 사실은13 서구사회의13 인간관계와13 유

사할13 정도로13 진행되고13 있음에도13 불구하고13 여전히13 유교공동체주의모델이13 존

재함을13 보여준13 결과이다 미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

하다는13 사실은13 한국과13 달리13 부의13 불평등에13 대해13 당연시하는13 미국인의13 태도

개인주의 시장의13 제도화13 등13 맥락변인에서13 설명될13 가능성이13 높음을13 예측하게13

한다

넷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강력한13 단위영향과13 관련하여13 한

국 은13 미국 보다13 상대적으로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B=189) (B=152)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한국 은13 미국 보다13 (B=071) (B=06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서도13 사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

우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222 R2 에13 비하여13 포함된13 경우한국=173) (

사회의13 R2 미국사회의13 =243 R2 에13 대한13 설명력이13 각각13 =188) 21 15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이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에13 있어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

거를13 시사하는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사회단체참여의13 경제행위를13 이

해하는데13 있어서13 영리적13 차원의13 자기이해와13 합리적13 선택론에13 근거한13 신제도

주의이론으로만13 온전히13 설명할13 수13 없다는13 점을13 밝히면서13 한편으로는13 개별행

154 김상돈

위자들이13 현재13 맺고13 있는13 사회연결망에13 의해서13 형성된다고13 본13 신경제사회학

의13 이론적13 논의를13 부각시켰다는13 점에서13 시사하는13 바가13 크다 이로써13 사회단

체참여는13 다양한13 사람들과의13 사회적13 관계에서13 유통되는13 사회적13 지원을13 제공

해주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척도로서13 의미13 있는13 구성지표이다

다섯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B=144

보다13 한국 에서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지만 사회경제적13 plt05) (B=151 plt05)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는13 한국 보다13 미국(B=057 plt05)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B=060 plt05) 5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13 있어서도13 사

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미국사회의13 ( R2=037 R2 에13 비=028)

하여13 포함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056 R2 의13 설명력은13 =030)

한국과13 미국13 각각13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은13 작19 02

은13 증가를13 나타냈으나13 단위13 영향13 및13 간접영향13 모두13 높게13 형성되어13 사회단체

참여가13 제도신뢰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거를13 시사

한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공적13 시민정신의13 연구결과들 (Tocqueville

과13 일치됨으로써13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과13 미국13 1845 Putnam 1993 1995)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신뢰의13 중요한13 관건임을13 밝혀냈다 그러나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약한13 정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

데 이러한13 결과가13 나타난13 사실은13 년13 이후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로13 인 1987

해13 시민의13 정치참여를13 높이는데13 일정정도13 기여했으나13 민주적13 시민덕목을13 배

양하는데13 있어서는13 그리13 성공하지13 못한13 데에서13 추측할13 수13 있다 이를13 위해서

는13 중복적13 참여13 및13 자기이해(self- 에13 기초한13 소극적13 참여에서13 호혜성interest)

규범과13 사회적13 신뢰형성을13 위한13 제도적13 메커니즘으로의13 사회단체참여13 구축

이13 무엇보다13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이13 사회제도신뢰에13 미치는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이러한13

사실은13 사회적13 자본의13 연구결과 김용학(Pagden 1988 Fukuyama 1995 손

5 이와13 반대로 결측치에13 개별평균값을13 대체하기전의13 추정결과에서 사회단체참 LISREL

여의13 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B=169 plt05) (B=133 plt05)

더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높게13 나타났다(B=049 plt05) (B=043 plt0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5

재석 이재열 에서13 제시된13 반경범위 내집단13 족쇄 연고13 집단13 등 1998 1998)

의13 용어를13 사용하면서 가족13 및13 개인연결망13 활용이13 공적영역의13 신뢰를13 식민

화하여13 사회13 전체적으로13 저신뢰사회가13 된다고13 주장한13 논의와13 일치하지13 않는13

결과이다 즉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사이의13

관계가13 서로13 양립13 가능한13 현상을13 보여주어13 매개역할13 또한13 기각되었다

종합컨대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상관관계와13 유의미한13 정 의13 인과관계로13 작동하는데13 비해13 미국에서는13 상관13 (+)

및13 인과관계13 모두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 한편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

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은13 약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13 것으 (+)

로13 나타났다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의13 중요한13 인과변인인13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양13 국가13 모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력을13 미치고13 있으며 사회경제적13 지(+)

위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두13 가지13 구성개념사회제도신뢰13 및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 )

인과적13 영향은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되었다는13 사실13 또한13 이13 연구에서13 밝

혀냈다

이상의13 연구에도13 불구하고13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한국의13 ( R2 237 220

미국의13 056 R2 이13 낮게13 형성되었다는13 점과13 와13 183 195 030) KGSS 2004

자료에13 한정하여13 분석하였기13 때문에13 분석결과의13 해석과13 일반화에13 GSS 2001

한계가13 있을13 수13 있다 예를13 들면13 년과13 년이라는13 특정한13 시기에13 조 2004 2001

사가13 이루어졌다는13 점에서13 이론적 경험적으로13 함축하는13 바가13 있다고13 하더라도13 외적13 타당성의13 문제점을13 지닌다 그리고13 이13 연구는13 전국규모를13 대상으로13

조사되었다는13 점에서13 의미하는13 바가13 있지만13 시계열적13 자료를13 통한13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정 한13 검증을13 하지13 못하였다는13 점에서도13 그13 한계가13 있음을13 밝혀

둔다 따라서 향후13 후속연구에서13 제시된13 모델들을13 보다13 정교화하는13 이론적13

작업과13 더불어13 다양한13 변인들을13 충분히13 활용하며13 통시적13 연구13 및13 국가간의13

비교연구13 등을13 통해13 경험적13 연구들이13 진행되어야13 할13 것이며 연구자의13 관심

과13 노력으로13 연구의13 질적13 향상을13 기대해본다

156 김상돈

참고문헌

국민호 동아시아경제발전과13 유교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1997 31 1 pp 29-59「 」 985172 985173김상욱 조직몰입의13 하위차원들의13 타당도평가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2001 35 3 pp 「 」 985172 985173

109-138

김용학 손재석 미시적13 신뢰와13 거시적13 위험 계간사상 1998 38 pp 115-132 「 」 985172 985173이재열 민주주의 사회적13 신뢰 사회적13 자본 계간사상 1998 38 pp 65-93「 」 985172 985173유석춘 외 사회자본과13 신뢰 한국 일본 덴마크 스웨덴13 비교13 연구 동서연구 2002 「 」 985172 985173

권13 호14 1 pp 101-135

장수찬 한국사회에13 나타난13 악순화의13 사이클 한국정치학회보 권13 호 2002 36 1 pp 「 」 985172 98517387-112

한국13 사회과학도서관13 홈페이지 2005 httpwwwksslorkr

Banfield E 1967 The Moral Basis of a Backward Society New York Free Press

Billiet JB and Bart Cambre 1999 ldquoSocial capital active membership in voluntary

associations and some aspects of political participatio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Bourdieu Piere 1984 The Distiction A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Brehm John amp Wendy Rahn 1997 ldquoIndividual-level evidence for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social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41(3)

pp 999-1023

Burt R 1992 Structure Holes The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Coleman James 1988 ldquo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pp 94-121

DiMaggio Paul and Hugh Louch 1998 ldquoSocially Embedded Consumer Transaction

For What Kinds of Purchases Do People Most Often Use Networks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3 pp 619-637

Fukuyama Francis 1995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perty

NewYork Free Press Paper Backs Book

Gambetta Diego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Financial Capital The

Case of Network Marketing Champaign Stipes

Ganzeboom H B G and DJ Treiman 1996 ldquoInternationally Comparable Measures

of Occupational Status for the 1988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rdquo Social Science Research 25 pp 201-239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7

Giddens Anthony 1990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Stanford Stanford UP

Granovetter Mark 1985 ldquoEconomic Action and Social Structure The Problem of

Embeddedness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1 pp 481-510

Inglehart R 1999 Culture Shift in Advanced Industrial Societ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Joumlreskg Karl G and Soumlrbom Dag 1989 LISREL 7 A Guide to the Program and

Applications Chicago SPSS Inc

Lin Nam 1982 ldquoSocial Resource and Instrumental Actionrdquo In Social Structure and

Network Analysis edited by Peter Marsden and Nan Lin Beverly Hill CA

Sage Publication

Loury Glen 1977 ldquoA Dynamic Theory of Racial Income Differencerdquo In PA

Wallace amp A LeMund (eds) Woman Minorities and Employment Discrimi-

nation Lexington Lexington Books

Luhmann Niklas 1988 ldquoFamiliarity Confidence Trust Problems and Alternativesrdquo In D Gambetta (ed)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New York Basil Blackwell

McPherson J Miller 1983 ldquoAn Ecology of Affiliation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8 pp 519-532

Newton Kenneth 1997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rdquo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0(5) pp 575-586

Newton Kenneth 1999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 in Modern Euroupea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s)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Olson ME 1965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Pagden Anthony 1988 ldquoThe Destruction of Trust and its Economic Consequence in

the Case of Eighteenth-century Naplesrdquo In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edited by D Gambetta Oxford Blackwell

Paxton Pamela 1999 ldquoIs Social Capital Declining in the US A Multiple Indicator

Assessment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5(1) pp 88-126

Portes A 1998 ldquoSocial Capital Its Origin and Application in Modern Sociologyrdquo Annual Review of Sociology 24 pp 1-24

Portes A 2000 ldquoThe Two Meaning of Social Capitalrdquo Sociological Forum 15(1)

pp 1-12

Putnam Robert 1993 Making Democracy Work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utnam Robert 1995 ldquoBowling Alone Americans Declining Social Capitalrdquo Journal of Democracy 6(1) pp 65-78

Sztompka P 1999 Trust A Sociological Theor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8 김상돈

Toqueville Alexis de [1835 1840] 1990 Democracy in America(Reprint) New

York Vintage

Verba Sidney Kay Lehman Schlozman and Henry E 1995 Voice and Equality

Civic Voluntarism in American Politics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son Oliver E 1993 ldquoCaculativeness Trust and Economic Organizationrdquo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36(3) pp 453-486

Zucker Lynn G 1986 ldquoProduction of Trust Institutional Sources of Economic

Structurerdquo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8 pp 53-111

Comparison Analysi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n the Causal Structure of Trust in Social InstitutionsWith a focus on Mediation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and

Social Support

Sang-don KimLecturer in The University College at Sungkyunkwan University

This Study explores the multiplicativ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social institutions trus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do this a set of hypotheses concerning th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are set forth and subjected to an empirical assessment by using data set

collected from KGSS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2004 and GSS (General

Social Survey) 2001 out of the ISSP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lanning)

Modules

Analysis of data in terms of ML (Maximum Likelihood) procedure in

LISREL852 was used and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s (1) The unit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on association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2)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status on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but They were appear to be an important predictor to

Korea (3)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on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4) Association participation was especially in

shaping social support and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to the two nations

This study is interpreted that further research on the topic of social capital are

raised with elaborating the measure on the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political efficacy consciousness of social class and so forth coupled with

advertising a few limitation of this study

Keyword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KGSS GSS ISSP

김상돈 성균관대학교13 학부대학강사13

경기도13 수원시13 장안구13 조원동13 한일타운13 동13 호13 119 703 440-709

Tel_01113 912013 132313 13 E-mail_education17hanmailnet

Page 5: 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 미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64/1/5.%e1%84%80%e1...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미비교연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29

산물이라13 개념화하였다 린 은13 사회적13 자본을13 행위자가13 자신이13 속 (Lin 2001)

한13 집단13 즉13 연결망13 속에13 있는13 자원에13 접근함으로써13 얻을13 수13 있는13 자산으로13

정의하였다 이들의13 주된13 주장은13 대면적13 상호작용 구조적13 공백 배태성13 등과13

같은13 사회13 연결망의13 구조적13 특징으로13 정의된다 결국13 사회적13 자본에서13 제시

한13 핵심적13 구성개념은13 사회13 연결망과13 사회적13 신뢰이다

사회13 연결망과13 사회적13 신뢰사이의13 인과관계는13 대체로13 사회적13 신뢰를13 결과

변인으로13 간주하는13 것이13 일반적13 견해이다 사회적13 신뢰는13 사회적13 관계를13 전

제로13 그13 관계13 속에서13 존재하며 신뢰가13 있음으로13 해서13 관련행위자들은13 협동

을13 할13 수13 있고13 감시와13 통제비용을13 줄일13 수13 있다는13 점에서13 신뢰는13 가장13 중요

한13 사회적자본의13 결과로13 설명된다(Zucker 1986 Gambetta 1988 Coleman

사회적13 신뢰의13 개념은13 대상에13 따라13 사람에13 대한13 신뢰1988 Paxton 1999)

와13 제도에13 대한13 신뢰로13 구분된다 사람에13 대한13 신뢰는13 특정(Giddens 1990)

한13 사람과13 불특정한13 타인에13 대한13 신뢰의13 개념으로서13 과거의13 신뢰경험으로부

터13 영향을13 받는다 한편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는13 어떤13 공동체내에서13 그13

공동체의13 다른13 구성원들이13 보편적인13 규범에13 기초하여13 규칙적이고13 정직하며13

협동적인13 행동을13 할13 것이라는13 기대로13 정의된다 이를13 구체적으로13 살펴보면

은13 제도신뢰를13 사랑 권력 돈과13 같은13 상호소통13 매개체를13 통해13 Luhman(1988)

정치 경제의13 사회기능체계가13 적절하게13 작동할13 때13 생기는13 믿음이라고13 주장하

였다 이들이13 제시한13 제도신뢰13 개념은13 제도학파의13 제도화13 과정으로13 해석하면13

다소13 모호한13 것은13 사실이나 현실적으로13 구체화된13 제도로서13 국가기구나13 기업

과13 언론13 등13 사회기관으로13 정의하면13 개념적13 한계를13 벗어나13 경험적13 분석이13 가

능하다 따라서13 제도신뢰는13 공적신뢰로13 개념화할13 수13 있으며 공적13 신뢰란13 사

회제도의13 주요영역으로서13 국가 시장 시민사회13 등13 주요13 조직이나13 규범에13 대

한13 신뢰를13 의미한다 이상의13 제도신뢰에13 대한13 개념적13 설명(Sztompka 1999)

과13 이13 연구의13 분석대상인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의13 사회적13 신뢰에13 대한13 구조적13

특성은13 각기13 다른13 유교공동체주의와13 합리적13 개인주의13 모델을13 통해서13 맥락적

으로13 설명할13 수13 있다1

1 유교공동체주의와13 합리적13 개인주의13 모델로13 선정한13 이유는13 국가에13 고유한13 어떤13 개념

을13 만들어13 매우13 복잡한13 사회현실로부터13 추상화하여13 그13 국가의13 맥락적13 설명을13 강조하

130 김상돈

유교공동체주의13 모델에서는13 인간관계와13 사회를13 매개하는13 것이13 권리가13 아

닌13 도덕이라고13 보며 유교적13 이상은13 인간의13 이성을13 통하여13 공공선을13 실천할13

수13 있다고13 본다 이러한13 점에서13 도덕적인13 지식을13 터득하고13 이를13 실현시키는13

기제는13 바로13 국가로13 해석된다 다시13 말해 국가는13 바로13 사회지도층이13 운영하

는13 것으로13 사회기강을13 세우고13 도덕적으로13 계도하는13 주체로13 간주되어왔다국(

민호 유교국가론을13 지향해온13 한국사회는13 세기에13 일제강점기 미군 1997) 20

정 한국전쟁 압축적13 근대화13 등의13 과정을13 겪어오면서13 한국적13 질서13 및13 예의를13

유지해주던13 유교13 문화적13 전통과13 사회지도층의13 신뢰가13 희박해져가는13 반면에

서구의13 근대13 및13 탈근대이념은13 왜곡된13 형태로13 수입되어13 전통과13 근대13 그리고13

탈근대13 등이13 혼재되어13 공존하고13 있을13 뿐만13 아니라 시장제도13 구축의13 미비13 때

문에13 행위와13 제도간의13 심각한13 괴리를13 경험하고13 있다 한편 합리적13 개인주의

모델의13 핵심은13 개인의13 합리성과13 자율성에13 기초한다 개인의13 자율성을13 유지해

주는13 기제가13 바로13 시장이다 미국인에게13 있어13 시장이란13 개인의13 자율성과13 자

유를13 지켜주는13 영역으로13 국가와13 정부보다13 우월한13 기제이다 예컨대 초기13 산

업사회시기부터13 년대까지13 미국은13 고신뢰사회로서13 전혀13 면식이13 없는13 지1980

역의13 거래당사자들과13 거래도13 가능할13 정도로13 사회적13 신뢰가13 확고하였다 그러

나13 미국사회는13 노동시장의13 유연화 우익진영의13 극단론걸프전쟁 이라크전 (

쟁 지방정부의13 재정위기마이애미 워싱턴 뉴욕13 등 및13 정책실패13 등으로13 ) ( )

인해13 사회제도신뢰가13 점차적으로13 약화되고13 있다(Putnam 1993 Fukuyama

사회제도에13 대한13 신뢰가13 약화되고13 있다는13 점은13 1996 Billet et al 1999)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의13 공통된13 추세임에도13 불구하고13 도덕과13 합리성 국가와13

시장 공동체주의와13 개인주의13 등의13 상호배타적13 특성이13 현저하게13 대립된다

이처럼13 대조적인13 한국과13 미국13 양국의13 특성차이가13 이13 연구의13 최종내생변인인13

사회제도신뢰와13 관련하여13 일정한13 변이를13 유발할13 것임을13 예상할13 수13 있다2

기13 위함이다

2 이러한13 주장의13 경험적13 근거로13 후쿠야마 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유무13 및13 (Fukuyama 1995)

높고13 낮음을13 국가13 및13 사회발전의13 관건이라13 하며 동아시아의13 유교권13 국가는13 차13 집단13 1

및13 연고13 집단13 위주의13 결속력이13 강하여13 제도보다는13 사람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게13

나타난13 반면에 서구선진국들은13 가족13 및13 친척범위를13 초월한13 사회단체와의13 연대적13 능

력이13 상대적으로13 강하여13 사회제도신뢰가13 높다고13 제시하였다 또한13 세계가치조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1

이상의13 논의에서13 사회제도신뢰는13 사회적13 관계에서13 형성되기13 때문에13 대칭

적13 이라기보다는13 비대칭적이다 왜냐하면 사회제도신뢰는13 대면적13 상호작용

과13 성찰적13 인지과정을13 통해13 형성되는13 메커니즘이기13 때문이다 Newton(1997)

과13 는13 사회적13 신뢰의13 인과기제를13 사회적으로13 이질적이고13 포괄적Portes(2000)

인13 집단과의13 대면적13 상호작용을13 통해13 형성되며 이13 제시 Putnam(1993 1995)

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인13 네트워크와13 규범13 및13 결과는13 상이하게13 구성되어13

있음을13 그들은13 주장하였다 따라서13 이13 연구에서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을13 각각13 원인과13 결과로부터13 구분하여13 개인의13 심리적13 태도변수인13 사회제도신

뢰를13 결과변인으로13 설정하며 사회제도신뢰는13 개인의13 사회경제적13 지위에13 기

초하고13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을13 인과구조로13 구체화시

킨다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2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교육 직업 소득13 등13 위계적으로13 구조화된13 체계로서13 각

기13 다른13 삶의13 기회와13 생활양식을13 가지게13 되며 이렇게13 각기13 다른13 조건들은13

개인의13 가치관13 및13 사회적13 태도 그리고13 사회적13 행위에13 영향을13 미친다 사회경

제적13 지위에13 따른13 사회단체참여13 및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그리고13 사회

제도신뢰사이의13 인과관계를13 분석한13 기존연구결과는13 다음과13 같다

첫째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인과적13 영향을13 분석한13 기

존연구결과를13 살펴보면 미국사람들의13 사회참여를13 조사한13 연구결과 (Brehm

에서13 단체참여에13 결정적으로13 중요한13 인과적13 요인은13 높은13 and Rahn 1997)

교육 높은13 가계수입 좋은13 직장13 등13 사회경제적13 지위이다 교육과13 소득수준은13

결사체참여에13 가장13 영향력13 있는13 인과변인으로서 교육수준이13 높은13 사람이13 낮

를13 활용한13 장수찬 의13 연구에서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World Value Survey) (2002)

두13 군대 경찰 행정부 사법부 입법부13 순으로13 정치제도가13 높은13 신뢰를13 받는13 것으로13

분석되었으나 사회기관에13 대한13 신뢰의13 경우13 한국은13 환경운동기구 여성운동기구 언

론 기업13 순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은13 기업 환경운동 여성운동기구 언론13 순으로13

나타났다 장수찬( 2002)

132 김상돈

은13 사람에13 비해13 결사체참여가13 높게13 나타났다(Verva Schlozman Brady

직업지위와13 관련해서도13 전문직 사무직13 종사자13 혹은13 자영업자들이13 생1995)

산 기능 노무직에13 종사하는13 사람들보다13 상대적으로13 단체참여에13 보다13 적극적인13 것으로13 나타났다 따라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Inglehart 1999)

람들은13 사회단체참여가13 높으리라고13 판단된다

둘째 사회경제적13 지위와13 사회적13 지원사이의13 인과관계13 틀은13 주로13 사회연결

망의13 연구자들에13 의해서13 규명된다 는13 교육 직업지위 수 Granovetter(1982)

입13 등의13 계층적13 위치가13 높을수록13 직장동료 이웃 아는13 사람13 등의13 약한13 연계

에13 의존하는13 반면에 사회계층이13 낮을수록13 가족 친척13 등의13 강한13 (weak tie)

연계 에13 의존한다고13 주장한다 이러한13 주장은13 린 의13 위(strong tie) (Lin 1982)

세가설에서13 사람들이13 보유하고13 있는13 부와13 권력 사회적13 위세가13 높을수록13 사

회적13 자본의13 창출이13 높다고13 제시하였다 이들의13 연구결과에13 비추어13 볼13 때 사

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13 약한13 연계부터13 사회적13 지원을13 활용할13 가능성이13 높

게13 나타날13 것이라고13 판단된다

셋째 사회제도신뢰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와13 접한13 관련성을13 갖는다 일반적

으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들은13 그들이13 어떤13 사회적13 보상과13 명예를13

이끌어낼13 능력이13 있으므로13 사회제도에13 대한13 긍정적인13 평가를13 할13 가능성이13 높

다 이러한13 주장의13 주된13 근거는13 부자들의13 경우13 타인을13 신뢰하(Olson 1965)

여13 생기는13 위험부담으로13 인해13 자신들이13 가지고13 있는13 일부를13 잃지만13 가난한13

사람들의13 경우13 유일한13 생존수단을13 잃게13 되는13 결과를13 가져올13 수13 있기13 때문이

다 이들의13 연구결과를13 비추어볼13 때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Banfield 1967)

사람이13 낮은13 사람에13 비해13 공공13 및13 민간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상대적으

로13 높게13 나타날13 것으로13 예측된다

전술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

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에13 미치는13 영향이13 일차적이고13 본질적인13 인과변인이라 )

면 사회단체참여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와13 사회연결망의13 기능적13 효과사회적13 지 (

원 사회적13 신뢰 사이의13 매개변인으로13 선정할13 수13 있다 사회단체참여를13 매개 )

변인으로13 선정한13 이유는13 구성원과의13 대면적13 상호작용과13 의사소통행위를13 통

해13 개인의13 사회적13 정체성이13 성립되고 이해관계가13 형성되며 사회적13 행위가1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3

형성 발전되고 사회적13 관계13 속에서13 유통되고13 있는13 경제적 정치적13 도움과13 호혜성규범13 및13 사회적13 신뢰13 등13 기능적13 효과로13 연결되기13 때문이다

첫째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13 지원사이의13 인과관계에13 대한13 기존연구는13

의13 구조적13 공백 의13 생태지위13 등의13 접근방법을13 사용한다Burt McPherson

가13 제시한13 구조적13 공백 개념은13 한13 사람이13 가지고13 Burt(1992) (structural hole)

있는13 연결망들13 사이에서13 그13 중심에13 있는13 사람과는13 어떤13 형태로든13 연결이13 되

지만13 다른13 사람들13 사이에서는13 관계가13 없는13 상태를13 지칭한다 McPherson

이13 제시한13 생태지위 란13 개체의13 환경13 속에서13 자원을13 매개로13 맺는13 (1983) (niche)

관계의13 구체적13 양상을13 의미하는13 것으로서 개체가13 의존하는13 자원들의13 종류가13

다양하고13 광범위하면13 그13 개체가13 보유한13 생태지위의13 범위는13 넓을13 것이고 반

대로13 특정한13 종류의13 자원에만13 의존한다면13 생태지위의13 범위는13 좁을13 것이다

이러한13 점에서13 사회단체에는13 구조적13 공백과13 생태지위 가13 등장하는13 맥(niche)

락을13 설명할13 수13 있는13 이점이13 있다

둘째 사회단체13 참여는13 다양한13 관심사를13 가진13 사람들과의13 만남을13 통해13 참

여자의13 관심영역을13 확장시키고13 다양한13 정치 사회적13 문제에13 대한13 이해를13 높여주며 사회단체에13 의해13 주관되는13 다양한13 행사를13 조직화하고13 집행하는13 과정

에서13 정치와13 관련된13 의사소통과13 의사결정기술을13 연마하게13 되어13 정치참여를13

촉진시킬13 뿐만13 아니라 공공의13 이익을13 위해서13 개인의13 이익을13 양보하는13 공적13

시민정신을13 고취시키며13 무임승차를13 배격하는13 윤리를13 배양한다고13 하였다

은13 사회단체에13 가입13 및13 소속됨으로써13 좋(Tocqueville 1835) Putnam(1995)

은13 이웃과13 동료들을13 만나13 대화를13 나누고13 사회적13 관계를13 쌓을13 수13 있는13 기회13

등을13 얻게13 되며 사람들13 사이에13 축적된13 연결망과13 연결망13 안에서의13 지속적인13

상호작용은13 시민의식이나13 규범13 및13 사회적13 신뢰13 등이13 형성된다고13 제시한다

이상의13 사회단체참여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한13 범주로서13 사회적13 지원과13 제도에13 대

한13 사회적13 신뢰형성에13 영향을13 주는13 중요한13 인과변인이다

한편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연결망유형의13 한13 범주에13 포함된다면 사회적지

원은13 사회연결망의13 기능으로13 표현되어진다 사회적13 지원이란13 사람들이13 맺고13

있는13 사회적13 관계를13 통해13 얻게13 되는13 정서적13 지원 서비스13 지원 경제적13 지원13

등을13 의미한다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사회제도신뢰간의13 인과관계에13

134 김상돈

대한13 연구는13 거시적13 차원의13 사회적13 자본론자들(Pagden 1988 Fukuyama

에13 의해서13 비롯된다 은13 내집단족쇄1995) Pagden(1988) (fetters of in-group)

용어를13 사용하면서13 혈연 지연13 등13 자연적13 관계를13 통한13 공동체적13 유대감과13 학연 직장동료관계와13 같은13 이익집단생활을13 통한13 유대감이13 집단13 내13 소속감으로13 되어13 사람에13 대한13 신뢰는13 높지만 사람에13 대한13 신뢰가13 제도에13 대한13 신뢰의13

희생을13 기반으로13 확대된다고13 하였다 는13 반경범위개념을13 사 Fukuyama(1995)

용하면서13 저신뢰13 사회의13 공통점을13 강력한13 가족주의13 문화와13 중앙집권13 등13 구조

적13 특성에서13 기인된다고13 지적하면서 강력한13 중앙집권국가에13 있어서13 가족과13

국가사이의13 중간지대 즉13 양자사이의13 중개집단들의13 자율과13 자치를13 억압하게13

되어13 사람13 및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상대적으로13 취약하다고13 주장하였

다 국내연구결과김용학 ( 손재석 이재열 에서도13 법적인13 계약서 1998 1998)

나13 재정적인13 보증13 없이13 돈을13 빌려주는13 일 일자리를13 제공하는13 일 계를13 통해13

금리보다13 높은13 이자수익을13 얻는13 등13 사회적13 지원이13 가족13 및13 개인연결망으로13

활용되고13 있으며 이러한13 사적13 영역의13 연결망활용은13 공적영역의13 신뢰를13 식민

화하여13 사회13 전체적으로13 저신뢰사회가13 되었다고13 지적한다 사회적13 지원의13 논

의를13 통해13 일상생활에서13 사람들이13 강한13 연계를13 활용할수록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

적13 신뢰가13 희생된다고13 본13 제한적13 연대의13 개념들예 내집단족쇄 반경범위13 (

등에13 대한13 인과관계의13 연장선상에서13 이13 연구는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13 활용과13 )

사회제도신뢰13 사이의13 인과구조를13 분석한다

연구가설13 및13 연구모형3

이상의13 이론적13 논의를13 토대로13 구성한13 분석모형은13 그림13 과13 같다 이13 연구1

의13 최종13 내생변인은13 사회제도신뢰이다 사회제도신뢰는13 대기업 언론계 교육

계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13 등을13 포함한13 개의13 하위영역으로13 설정하여13 한국 11

과13 미국13 양13 국가의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를13 다차원적 통합적으로13 비교분석한다

사회제도신뢰의13 영향요인은13 사회13 경제적13 지위와13 사회단체참여 그리고13 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5

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으로13 설정하고 통제변인으로13 인구학적13 요인을13 설정

한다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교육년수 직업위세 소득13 등13 세13 가지13 하위범주로13

설정하여13 측정한다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은13 각각13 매개13

외 내생변인으로13 한다 사회단체13 참여는13 정당단체 노동조합 시민단체 취미

단체 이웃단체 기타단체로13 하고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은13 정서적13 지원

경제적13 지원 서비스지원13 등13 세13 가지13 하위범주로13 설정하여13 측정한다

그림13 분석13 모형1

ξ 1 사회경제적13 지위 X 5 기혼더미 Y 10 기업계13 신뢰

ξ 2 남성더미 X 6 광역시더미 Y 11 교육계13 신뢰

ξ 3 기혼더미 Y 1 정당단체참여 Y 12 언론계13 신뢰

ξ 4 광역시13 더미 Y 2 시민단체참여 Y 13 방송계13 신뢰

η 1 사회단체참여 Y 3 노동조합참여 Y 14 의료계13 신뢰

η 2 사회적13 지원 Y 4 취미단체참여 Y 15 행정부13 신뢰

η 3 사회적13 신뢰 Y 5 이웃단체참여 Y 16 입법부13 신뢰

X 1 교육년수 Y 6 기타단체참여 Y 17 사법부13 신뢰

X 2 직업위세 Y 7 정서적13 지원 Y 18 학계13 신뢰

X 3 소득 Y 8 경제적13 지원 Y 19 군대13 신뢰

X 4 남성더미 Y 9 서비스13 지원 Y 20 금융계13 신뢰

기본13 모형에13 대한13 인과13 경로임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과13 수정지수 에13 따라13 추정될13 인과13 경로임(MI)

136 김상돈

이상의13 분석모형을13 토대로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13 사이의13 연구13 가설들은13 다음과13 같다

lt연구가설13 1gt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13 사람보다13 미국사람이13 상대적으로13 더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2gt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이13 낮은13 사람에13 비해13 사회단체

참여에13 적극적일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3gt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이13 사회적13 지원을13 강한13 연계13

보다는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할13 가능성이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4gt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은13 낮은13 사람에13 비해13 상대적으

로13 사회제도13 신뢰가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5gt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일수록13 사회제도신뢰가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6gt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일수록13 사회적13 지원을13 강한13 연계보다

는13 약한13 연계에13 더13 많이13 요청할13 가능성이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7gt 사회적13 지원을13 약한13 연계에13 더13 많이13 요청할수록13 사회제도신

뢰가13 높을13 것이다

연구13 방법III

자료수집방법1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13 사이에13 미치는13

영향을13 분석하기13 위해13 사용할13 자료는13 와13 이다KGSS 2004 GSS 2001

자료는13 성균관대학교13 서베이리서치센터에서13 년13 월13 KGSS 2004 2004 7~8

동안13 실시하였으며 표집절차는13 전국13 주민등록13 전산자료로부터13 다단계지역층

화표본추출법에13 의해13 추출되는데 그13 구체적인13 절차는13 다음과13 같다 첫째 최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7

종표집지역수를13 개로13 선정하고13 이를13 차표집단위인13 전국13 광역시200 1 도의13 가구수13 분포에13 비례하여13 배분한다 둘째 각13 광역시 도로부터13 배분된13 수만큼의13 차표집단위인13 읍2 면 동을13 인구비례확률표집13 원칙을13 적용하여13 무작위로13 추출한다 셋째 이렇게13 추출된13 각13 읍 면 동으로부터13 한13 개의13 최종표집지역면( 의13 경우에는13 리 동의13 경우엔13 통 반을13 무작위로13 선정한다 넷째 선정된13 )

통 반13 또는13 리에서13 개의13 가구를13 계통표집한다 계통표집된13 가구13 내에서13 10

만13 세13 이상13 성인13 가구원들의13 리스트를13 작성한13 후13 이들13 가운데13 태어난13 월18

일이13 가장13 빠른13 사람을13 조사대상자로13 삼는다 조사된13 설문지의13 유효사례수는13

명이다 이13 연구에13 사용할13 변인들에13 대한13 응답13 가운데13 무응답1312 (lsquo모르겠다rsquo 포함 문항에13 개별평균값으로13 대체한13 후13 결측치 ) (missing values)(n=

를13 일률적 으로13 제거하여13 추출된13 총13 명이13 최종13 분석사례수343) (listwise) 979

를13 형성하였다 평균13 대체방법을13 사용한13 이유는13 변인들의13 분포추정치13 왜(N)

곡13 가능성의13 성격을13 지니지만 결측치를13 가능한13 정확한13 값으로13 대체함으로써13

무응답의13 편차감소와13 연구결과의13 일반화13 및13 신뢰성이13 향상될13 수13 있기13 때문이

한편 자료는13 시카고대학의13 GSS 2001 NORC(National Opinion Research

C 에13 의해13 수집된13 자료로서13 년13 월에서13 월에13 걸쳐13 면접자13 조사방enter) 2001 2 5

식에13 의해13 수집되었다 표집방법의13 구체적인13 절차는13 다단계지역13 확률표집방

법으로서13 차13 표집단위는13 표준대도시지역1 (SMSA Standard Metropolitan

또는13 비도시지역의13 카운티들을13 지역 연령13 그리고13 인종에13 Statistical Area)

따라13 층화한13 후13 그13 단위를13 블록그룹이나13 열람구역별로13 인종과13 소득에13 따라13

층화한다 최종표집단위는13 블록이며 블록들을13 크기에13 준해13 확률을13 조정한13

뒤 특정블록을13 추출한다 이렇게13 추출한13 조사대상자를13 대상으로13 부실한13 응

답사례를13 제외한13 유효사례수는13 명이다 한국과13 동일한13 방식으로13 무응답2765

(lsquo모르겠다rsquo 포함의13 문항에13 개별평균값으로13 대체한13 후13 결측치 ) (missing

를13 일률적 으로13 제거하여13 추출된13 총13 명이13 이13 연values)(n=2230) (listwise) 535

구의13 최종13 분석사례13 수 를13 형성하였다(N)

138 김상돈

변수정의13 및13 측정2

이13 연구의13 최종내생변인은13 사회제도신뢰로13 대기업 교육계 언론계 금융

계 학계 의료계 방송계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 군대13 등13 가지13 영역을13 포 11

함한다 이렇게13 구성된13 사회제도신뢰는13 ldquo신뢰하지13 않음rdquo ldquo다소신뢰rdquo ldquo매우13 신뢰rdquo 순으로13 점에서13 점을13 부여하여13 연속변수로13 분석에13 사용한다 1 3

이13 연구의13 매개13 내생변인인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유형은13 사회연결망13 연구

자들의13 연계유형에서13 제시한13 가족 친척 이웃 친구 직장동료 성직자 사회

사업가 의사13 등을13 가족 친척 비13 친척으로13 분류한13 후13 이들13 유형을13 각각13 교

차 시켜13 아홉13 가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13 활용유형을13 만들13 수13 있다 이(3times3)

렇게13 구성된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유형은13 강한13 연계에13 답한13 순으로13 정리한13

후 동일한13 응답범주는13 첫13 번째13 응답에13 강한13 연계로13 답한13 경우를13 우선13 기준

으로13 점에서부터13 점까지의13 점수를13 부여하여13 측정한다1 9

이13 연구의13 매개외생변인은13 사회단체참여로13 정치단체 노조단체 시민단체

취미단체 이웃단체 기타단체13 등13 여섯13 가지13 영역의13 사회단체13 참여수준을13 측

정한다 사회단체참여에13 대한13 영역은13 ldquo소속된13 경험이13 없음rdquo ldquo과거에13 소속된13 경험13 있음rdquo ldquo소속되어13 소극적13 활동rdquo ldquo소속되어13 적극적13 활동rdquo 순으로13 조사

되었으며13 이들13 각각에13 점부터13 점까지의13 점수를13 부여하였다1 4

변13 인정의( )

설13 문13 문13 항측정척도범위[ ]

사회제도신뢰(institution)

개13 주요13 사회기관에13 대한13 신뢰의13 정도11매우13 신뢰13 다소13 신뢰13 매우13 불신 ① ② ③

연속변수[1-3]

사회적13 지원(SUPPORT)

정서적13 지원13 ① ② 연속변수[1-9]

경제적13 지원13 ① ② 연속변수[1-9]

서비스13 지원13 ① ② 연속변수[1-9]

사회단체참여(ASSOCIATION)

개13 사회단체참여에13 대한13 참여13 여부6소속된13 경험13 무13 소속된13 경험① ② 소극적13 활동13 적극적13 활동③ ④

연속변수[1-4]

표13 lt 1gt 내생변인들의13 설문문항13 및13 변수정의1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9

이13 연구의13 외생변인은13 사회경제적13 지위이다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교육년수

소득 직업위세로13 설정한다 교육년수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중요한13 인과변인으로

서13 정규교육을13 받은13 수학년수에13 근거하여13 점에서부터13 점으로13 측정한다0 23

응답자의13 월평균소득은13 와13 자료모듈에13 있는13 원13 자료KGSS 2004 GSS 2001

를13 근거로13 각13 범주에13 중간값을13 부여하여13 자연대수로13 변환하여13 측정한다 응

답자의13 직업은13 간즈붐과13 트라이먼 에13 의하여13 (Ganzeboom amp Trieman 1996)

구성된13 표준국제직업위세척도(SIOPS Standard International Occupation

에서13 제시한13 점부터13 점으로13 점수를13 부여하여13 분석에13 사Prestige Scale) 16 88

용한다

한편 인구학적13 특성인13 성 연령 결혼상태 지역13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은13 통제

변인으로13 설정한다 성은13 더미변수로서13 여성일13 경우는13 남성일13 경우는13 로13 0 1

부여13 한다 연령은13 자연연령으로13 분석에13 사용한다 결혼13 상태는13 더미변수로

서13 미혼13 및13 이혼 사별 별거일13 경우는13 기혼일13 경우는13 로13 부여하여13 더미0 1 변수로13 사용한다 지역은13 한국사회의13 경우13 특별시13 및13 광역시일13 경우에는13 1

기타도시일13 경우는13 으로 미국사회의13 경우13 메트로폴리스는13 기타도시는13 0 1 0

으로13 부여하여13 더미변수로13 만들어13 사용한다

변13 인 설13 문13 문13 항 측정척도

사회경제적13 지위(SES)

교육13 년수연속변수

직업13 위세SIOPS

[16-87]

소득13 수준 ln(income)

통제변인

연령 연속변수

성별남성=1 여성=0

결혼여부기혼=1미혼=0

이혼 사별 별거=0

주거지역광역도시=1기타도시=0

표13 lt 2gt 사회인구학적특성에13 사용된13 설문문항13 및13 변수정의13

140 김상돈

자료분석방법3

이13 연구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

제도신뢰13 사이의13 영향을13 분석하기13 위해13 탐색적13 요인분석 확인적13 요인(EFA)

분석 그리고13 공변량13 구조분석 등을13 시도한다 확인적13 요인(CFA) (LISREL)

분석은13 일련의13 경쟁적인13 요인모형들을13 각기13 추정하여13 모형부합지수를13 각13 모

형별로13 산출하여13 최적의13 모형을13 추정한다 구조방정식모형은13 측정모형과13 구

조모형의13 개13 하위모형으로13 구성되어13 있다 측정모형분석의13 전략은13 제도에13 2

대한13 사회적13 신뢰 사회적13 지원 사회단체참여13 등13 내생잠재변수와13 외생잠재

변수인13 사회경제적13 지위 그리고13 통제변수를13 이론변수로13 설정하여13 제반13 이론

변수간의13 상관관계를13 분석한다 한편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를13 각13 별도의13

결과변인13 혹은13 최종적13 내생변인으로13 설정하고13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을13 매개변인으로13 설정한13 상태에서13 제반13 예측변인들의13 인과적13 단

위영향을13 분석하기13 위한13 구조모형을13 추정한다 이어서13 각13 결과변인을13 설명하

는13 인과요인들의13 직접 간접 전체13 영향을13 분리시키는13 경로분석을13 실시함으로써 각13 인과변인들의13 상대적13 중요성에13 대한13 평가를13 시도한다 각13 차원들을13

결과변인으로13 간주한13 공변량13 구조분석을13 시도함으로써13 이론13 변인들간의13 구

조적13 인과관계를13 추정한다 실증분석을13 위하여13 사용된13 통계프로그램은13 SPSS

및13 를13 사용하였다110 LISREL 852

분석결과IV

기술통계1

분석에13 포함된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의13 조사대상자에13 대한13 사회경제적13 지

위13 특성을13 살펴보면 교육년수는13 한국평균 년보다13 미국평균 ( =12422 ) (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1

년 에서13 약간13 높으며 직업위세점수는13 한국평균 점보다13 미국13629 ) ( =40315 )

점 에서13 정도13 높게13 나타났다 소득수준은13 한국평균 보(47512 ) 7197 ( =5394)

다13 미국평균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 =10464) 3 따라서13 조사대상자의13 사회경제

적13 지위는13 한국보다13 미국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

한편 조사대상자의13 인구학적13 특성을13 살펴보면 연령은13 한국평균 ( =41503

세보다13 미국평균 세에서13 약간13 높으며 남성비율은13 미국 보) ( =42966 ) (450)

다13 한국 에서13 약간13 높은13 분포를13 나타냈다 기혼비율은13 미국 보(460) (450)

다13 한국 에서13 높으며 광역시 특별시13 광역시 에13 거주하는13 한국의13 비(686) (1 6 )

율은13 인13 반면에13 메트로폴리스에13 거주하는13 미국의13 비율은13 로13 나479 292

타났다

다른13 한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 (

망활용 사회제도신뢰을13 살펴보면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평균 보다13 ) ( =1479)

미국평균 에서13 더13 적극적인13 것으로13 나타났으며( =1732) (t=-8045 p 001) <

변인

평균 범위[ ] SD

한국(N 979)=

미국(N 535)=

한국 미국

사회경제적지위

교육년수 12422 [0-23] 13629 [1-20] 4032 2910

SIOPS 40315 [16-87] 47512 [16-88] 13376 16147

소득 5394 [3219-6957] 10464 [6215-11653] 746 950

인구학적특성

연령 41503 [18-84] 42966 [20-86] 14433 16029

남성 460 [0-1] 450 [0-1] 499 498

기혼 686 [0-1] 450 [0-1] 467 498

광역도시 479 [0-1] 292 [0-1] 500 455

주 한국 교육년수 로그소득 미국 교육년수 SES( =855 +725 SIOPS+805 =811 +791 로그소득 SIOPS+ 673 )

표13 lt 3gt 조사대상자의13 사회인구학적13 특성13

3 사회경제적13 지위변수인13 교육 직업위세 로그소득을13 탐색적13 요인분석결과 한국의13

와13 미국의13 자료13 모두13 하나의13 주요인으로13 추출되었으며13 총13 변량KGSS 2004 GSS2001

에13 대한13 설명력은13 각각13 로13 나타났다 이렇게13 구성된13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652 570

교육 직업 소득변수에13 가중치가13 부여된13 조합변수로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 KGSS 2004[

교육교육년수 직업 소득 로그소득 사회경제=855 ( )+725 (SIOPS)+805 ( )] GSS 2001[

적지위 교육 교육년수 직업위세 소득 로그소득 으로13 구성=811 ( )+791 (SIOPS)+673 ( )]

할13 수13 있고13 선형조합인13 요인점수 를13 그13 값으로13 가지게13 된다(factor score)

142 김상돈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은13 미국평균 보다13 한국평균 에서13 ( =3187) ( =4541)

약한13 연계를13 더13 활용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사회제도신뢰(t=9337 p 001) <

는13 한국 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 =1733) ( =2075) (t=-14463

이로써13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13 사람보다13 미국사람이13 더13 높을13 것이라p 001) <

고13 제시한13 lt연구가설13 1gt을13 수용하게13 되었다

변인 평균 SD 차이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평균차이 절대량차이 값t

사회제도신뢰

대기업13 신뢰 1671 2019 548 584 -348 -312 -8123

교육계13 신뢰 1784 2100 575 624 -316 -267 -7273

언론계13 신뢰 1639 1680 588 659 -041 030 -3145

방송계13 신뢰 1779 1665 600 651 114 165 1506

의료계13 신뢰 1873 2274 574 639 -401 -336 -8585

행정부13 신뢰 1461 2046 531 683 -585 -433 -13578

입법부13 신뢰 1180 1905 403 586 -725 -542 -19212

사법부13 신뢰 1944 2275 591 639 -331 -283 -7671

학계13 신뢰 1957 2329 539 613 -372 -298 -8496

군대13 신뢰 1915 2468 649 614 -553 -588 -12062

금융계13 신뢰 1865 2068 593 629 -203 -167 -4463

전13 체 1733 2075 318 343 -342 -317 -14463

사회적13 지원

정서적13 지원 5813 3802 2672 2792 2011 2131 10916

경제적13 지원 4843 3202 2853 2788 1641 1576 7167

서비스13 지원 2967 2557 2352 2457 410 515 4336

전13 체 4541 3187 1880 1950 1354 1424 9337

단체참여

정당단체13 참여 1163 1593 518 1032 -430 084 -8129

시민단체13 참여 1098 1874 421 1229 -776 032 -12751

노동조합13 참여 1275 1512 674 956 -237 045 -7695

취미단체13 참여 1819 2166 1071 1366 -347 -052 -4389

이웃단체13 참여 1614 1493 1041 977 121 057 567

기타단체13 참여 1905 1753 1208 1151 152 095 1199

전13 체 1479 1732 469 702 -253 -020 -8045

주 평균13 및13 절대량13 차이는13 기술통계의13 차이 한국 ( -미국이며13 통계적13 유의도는13 ) t- 에13 대한13 검증test임

p 05 p 01 p 001 < < <

표13 lt 4gt 사회적자본의13 기술통계한국 미국13 ( 13 N 97913 13 N=53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3

모형검증의13 타당도평가2

이13 절에서는13 내생변인들에13 대한13 모형검증의13 타당도를13 분석한다 모형검증

의13 타당도를13 분석하기13 위해서는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13 변인13 등은13 탐색적13 요인분석과13 확인적13 요인분석이13 사용된다

탐색적13 요인분석결과 표본적절성13 측정치인13 값한국 미국 KMO ( =773

은13 적절한13 수준이었으며13 의13 구형성13 검증13 통계치의13 유의수준은13 =752) Bartlett

양13 국가13 모두13 으로13 보다13 작아13 자료의13 상관이13 요인에13 적합한13 것으로13 000 05 3

나타났다 제 요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13 개13 문항13 가운데13 개의13 측정변인 1 20 11

들이13 묶이는13 것으로서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에13 해당한다 제 요인은13 양13 2

국가13 모두13 전체문항13 가운데13 개13 문항의13 측정변인을13 요인13 구성하였으며13 사회6

단체참여에13 해당한다 마지막으로13 제 요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문항13 가운데13 3

개문항의13 측정변인을13 요인13 구성하였으며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해당3

한다 또한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의13 내적일

치성을13 알아보기13 위해13 의13 계수로13 평가한13 결과 한국Cronbach ( =8029 α

미국 로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신뢰도를13 보5192 5051 = 7658 5746 6933)

이고13 있었다 이상의13 결과를13 보면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변인이13 각기13 별개구성체로13 구성되고13

있음을13 보여준다

확인적13 요인분석결과는13 lt표13 5gt에13 제시하였다 분석에13 포함된13 문항들이13 어

떠한13 공통요인도13 형성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귀무모형이나13 모든13 문항들이13

사회적13 자본이라는13 단일차원의13 개념을13 측정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1-요인모형

두13 가지13 별개차원의13 개념들을13 측정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요인모형 세13 가지13 2

차원의13 개념들을13 각기13 별도로13 측정하도록13 제약을13 가해진13 요인모형으로13 구3

성되었다

144 김상돈

표13 lt 5gt 사회적13 자본13 하위차원에13 대한13 확인적13 요인분석 결과 한국 미국13 (CFA)13 -( N 97913 N=535)=

귀무모형(M0) (M1)

요인모형1

요인모형2요인모형3- 9)

(M2_1) (M2_2) (M2_3)8)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χ2 4465901

(p 001)<

2671725

(p 001)<

1235222

(p 001)<

1097272

(p 001)<

887151

(p 001)<

533939

(p 001)<

1030632

(p 001)<

942579

(p 001)<

899901

(p 001)<

540723

(p 001)<

692709

(p 001)<

383604

(p 001)<

DF 190 190 170 170 169 169 169 169 169 169 167 167

GFI1) - - 888 830 917 909 905 850 916 908 934 933

AGFI2) - - 861 789 897 887 882 814 895 886 917 916

NFI3) - - 745 651 809 814 788 713 806 791 850 855

CFI4) - - 773 693 840 886 818 759 837 844 882 911

IFI5) - - 774 695 841 916 819 761 837 845 883 912

1) Goodness of Fit Index2) Adjusted Goodness of Fit Index3) Normed Fit Index4) Comparative Fit Index5) Incremental Fit Index6) 두13 요인들13 간 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13 사회제도신뢰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68(pgt05) =156(pgt05)]對 7) 두13 요인들13 간 단체참여 사회제도신뢰13 사회적13 지원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52(pgt05) =對 -002(pgt05)]8) 두13 요인들13 간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13 단체참여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65(pgt05) =157(plt01)]對 =9) 세13 요인들13 간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051(pgt05) 061(pgt05) 123(plt05) -013(pgt05)157(plt01)

092(pgt05)]

lt표13 5gt를13 살펴보면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13 귀무모형이나13 1-요인모형

에13 비해13 요인모형들 의13 경우가13 수치2 (M2_1 M2_2 M2_3) 2 (p( 2) χ χ

가13 적을13 뿐만13 아니라13 여러13 가지13 모형부합지수도13 큼을13 알13 수13 있다lt001) 2-

요인모형13 가운데13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이13 하나의13 요인

을13 형성하고13 사회제도신뢰가13 또13 하나의13 요인을13 형성하도록13 제약을13 가한13

모형이13 모형13 및13 모형에13 비해13 수치 가13 M2_1 M2_2 M2_3 2 (p( 2)lt001)χ χ

적을13 뿐만13 아니라13 여러13 가지13 모형부합지수 한국( GFI=917 AGFI=897

미국NFI=809 CFI=840 IFI=841 RMSEA=0569 GFI=909 AGFI=

도13 큼을13 알13 수13 있어13 887 NFI=793 CFI=846 IFI=847 RMSEA=0636)

더13 적절한13 모형이었다 그러나13 세13 가지13 차원의13 개념들을13 각기13 별도로13 측정하

도록13 제약이13 가해진13 3-요인모형은13 어떠한13 요인모형들에13 비해서13 보다도13 모형2

부합지수한국( GFI=934 AGFI=917 NFI=850 CFI=882 IFI=88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5

미국RMSEA=0567 GFI=933 AGFI=916 NFI=855 CFI=911

가13 현격히13 향상되었다 이는13 양13 국가13 모두13 여러13 IFI=912 RMSEA=0493)

가지13 경쟁적인13 내재모형13 가운데13 요인모형이13 최적모형으로써13 분석에13 포함된13 3

문항들이13 세13 가지13 별개의13 구성체들을13 측정하고13 있으며 이13 구성체들13 간에는13

판별집합타당도가13 유지됨을13 확인시켜주는13 결과이다 이로써13 요인모형에13 잠 3

재된13 변인들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이13 각기13 ( )

별개의13 구성체들임을13 보여준다 뿐만13 아니라13 이13 내생변인들13 상호간에는13 연관

관계도13 그다지13 강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모형검증의13 추정결과3

이13 절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13

사이가13 이론적 경험적13 사실과13 어느13 정도13 부합되는지를13 검증한다 이를13 위해13

이들13 변인들13 사이의13 상관13 및13 인과관계 그리고13 경로분석이13 어떻게13 나타나는

지를13 로13 추정한다LISREL 4

측정모형분석에13 근거하여13 여타변인들의13 영향이13 통제되지13 않는13 영차상관관

계(zero- 를13 산출한13 결과는13 order correlation) lt표13 6gt에13 제시하였다 우선 사

회제도신뢰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

회경제적13 지위(r=- 변인만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관계로13 나타난13 192)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 (r=158)

다 이는13 한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불신이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에13 적극적으로13 참여할수록13 제

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났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

활용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남성더미

(r=- 기혼더미094) (r=- 등13 두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451)

4 측정모형분석에13 앞서13 개13 측정변인에13 대한13 다중13 공선성13 여부를13 검증하였다 검증결27

과 연령변인이13 한국이13 으로13 다중공선성이13 의심되는13 바13 연령변인을13 제외하고13 재 646

추정하여13 분석하였다

146 김상돈

관계로13 나타났다 이에13 비해13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남성더미 (r=197)

(r=- 기혼더미152) (r=- 광역시13 더미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이13 통352) (r=147)

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국에서는13 여성일수록 미혼일수록13

사회적13 지원을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되어진다면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여성일수록 미혼일수록 메트로폴리스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적13 지원

을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다른13 한편 사회단체참여에13 유의

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남성더 (r=387)

미 기혼더미 광역시더미(r=273) (r=104) (r=- 변인13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이13 136)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관계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

위 기혼더미 광역시더미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r=409) (r=109) (r=146)

적으로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다시13 말해13 한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남성일수록 기혼일수록 기타도시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반면에 미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기혼일수록 메트로

폴리스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단체에13 적극적으로13 참여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이어서13 사회제도신뢰와13 인과변인사이의13 인과관계는13 구조모형에13 대한13 추정

을13 통해13 규명한다 한국의13 기본모형과13 최종모형의13 추정13 결과 기본모형의13 모

형부합지수는13 정확합치인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미할13 뿐만13 아니라13 001

근사합치인13 GFI=911 AGFI=890 NFI=790 CFI=837 IFI=838

로13 보다13 작아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모형부합지수를13 나타내RMSEA=0588 08

고13 있지만13 전반적으로13 그리13 높지13 않은13 것으로13 나타내고13 있다 반면에13 최종모

형의13 모형부합지수는13 기본모형과13 마찬가지로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 001

미하며13 GFI=901 AGFI=878 NFI=783 CFI=837 IFI=839 RMSEA=

로13 기본모형보다13 다소13 향상되었다 결정계수에13 있어서도 최종모형은13 0594

기본모형에13 비해13 설명력이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 기본모형의13 ( R2=117 222

최종모형의13 044 R2=188 104 056)

동일한13 방식으로13 미국의13 기본모형과13 최종모형의13 추정13 결과 기본모형의13 모

형부합지수는13 정확합치인13 x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미할13 뿐만13 아니라13 001

근사합치인13 GFI=904 AGFI=882 NFI=801 CFI=867 IFI=869

로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모형부합지수를13 나타내고13 있지만13 전반RMSEA=054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7

그림13 2 사회제도신뢰를13 검증하기13 위한13 최종모형 한국13 -

그림13 3 사회제도신뢰를13 검증하기위한13 최종모형 미국13 -

적으로13 그리13 높지13 않는13 부합지수를13 나타내고13 있다 반면에13 최종모형의13 모형

부합지수는13 기본모형과13 마찬가지로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하며13 001

로13 GFI=896 AGFI=871 NFI=782 CFI=867 IFI=889 RMSEA=0539

148 김상돈

기본모형보다13 다소13 향상되었다 또한13 결정계수에13 있어서도 최종모형은13 기본

모형에13 비해13 설명력이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기본모형의13 ( R2=034 174 028

최종모형의13 R2=099 245 039)

모형13 찾기에서13 선정된13 최종모형에13 기초하여13 제반13 외생변인들의13 인과적13 단

위영향을13 보여주는13 구조모형을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추정한13 결과는13 lt표13

6gt에13 제시하였다 구조모형의13 추정결과를13 우선13 살펴보면 기본모형에서13 배제

되었던13 경로들13 가운데13 사회단체참여rarr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경제

적13 지위rarr사회단체참여로13 향하는13 경로만이13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이13 높고13 수정지표도13 현저한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사회경제적13 지위 rarr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rarr사회제도신뢰로13 향하는13 경로들은13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이13 낮고13 수정지표13 또한13 현저하지13 못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각13 내생변인과13 관련한13 결과를13 순서대로13 살펴보면13 다음과13 같다

첫째 사회단체참여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

위 남성 광역시(B=378) (B=220) (B=-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유의미한13 170)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B=416)

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과13 남성 그리고13 기타도시에13 거주하는13

사람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반면에13 미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만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이다

둘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남성(B=189) (B=- 기혼144) (-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유의470)

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남성더미(B=152) (B=- 기혼더미137) (B=- 광역시 등13 네13 372) (B=130)

가지13 변인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과13 여성 미혼은13 사회적13 지원을13 강한13 연

계보다는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광역시에13 거주하는13 사

람들은13 한국사회13 보다13 미국에서13 강한13 연계보다13 약한13 연계에13 사회적13 지원을13

요청한다

셋째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단체참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9

사회경제적13 지위(B=151) (B=- 등13 두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246)

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B=144)

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은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

데13 비해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들은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불신이13 높게13

나타났다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이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났다

변인

한국(N=979) 미국(N=535)

단체참여 사회적지원 사회제도신뢰 단체참여 사회적지원 사회제도신뢰

r B r B r B r B r B r B

매개내생변인

사회적13 지원 048 - -017 -

매개외생변인

단체참여 - 090 189 043 151 104 152 158 144

외생변인

SES 387 378 070 - -192 -246 409 416 197 - 093 031

통제변인

남성13 더미 273 220 -094 -144 -024 -033 006 026 -152 -137 040 039

기혼13 더미 104 068 -451 -470 006 005 109 018 -352 -372 064 037

광역시13 더미 -136 -170 047 053 -005 -007 146 066 147 130 -004 -023

R2 237 220 056 183 195 030

χ2 1187022(df=283) (plt001) 687058(df=283) (plt001)

모형부합치 GFI=915 AGFI=894 NFI=808

CFI=846 IFI=847 RMSEA=0572

GFI=910 AGFI=888 NFI=812

CFI=880 IFI=881 RMSEA=0517

주 제시된13 계수는13 표준화계수이며 통계적13 유의도는13 비표준화계수에13 대한13 검증임 1)

계수를13 연차적으로13 자유모수로13 개방하여13 추정한13 최종모형임2) B21 11 Γ

단측검증 단측검증 단측검증3) p 05 p 01 p 001 < < <

표13 6<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요인들에13 대한13 추정13 결과13 LISREL13

다음은13 사회제도신뢰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대한13 직접 간접 전체영향을13 분리시킨13 경로분석을13 시도한다 그13 결과는13 lt표13 7gt과13 같다

우선 사회제도신뢰의13 경로분석결과를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유의미한13

요인들과13 그13 영향에13 대한13 절대적13 크기순서대로13 나열하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

제적13 지위(B=- 사회단체참여 로13 구성되며 미국에서는13 단체참여189) (151)

변인만으로13 구성되었다 이13 같은13 결과를13 각13 변인별로13 보다13 상세히13 (B=144)

150 김상돈

살펴보면13 먼저 양13 국가13 모두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와13 사회단체참여변인

을13 연결하는13 제 의13 변인은13 존재하지13 않기13 때문에13 사회단체참여의13 전체영향3

은13 직접영향 한국 미국 만으로13 구성되며13 그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 =151 =144)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다 다음으로 사회경제적13 지위13 변인은13 한국

에서13 강한13 부의13 인과적13 영향(B=- 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며13 직접영189)

향(B=- 및13 간접영향 모두13 유의미하였고13 전체의13 가13 직접246) (B=057) 130

영향으로13 구성된다 반면에13 미국에서13 직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으나13 간접영

향 은13 유의미하다 이상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사회단체참여의13 (B=060)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그13 영향의13 구체적13 방향이13 이론적13 예측과13 예외13 없이13 일

치한13 반면에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사회경제적13 지위의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이론적13 예측과13 일치하지13 않았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대한13 경로분석결과를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들과13 그13 영향에13 대한13 절대적13 크기순서대로13 나

열하면 한국에서는13 기혼 (B=- 단체참여 남성457) (B=189) (B=- 사회102)

경제적13 지위 순으로13 구성되며 미국에서는13 기혼(B=071) (B=- 단체참374)

여 광역시 남성(B=152) (B=140) (B=- 사회경제적13 지위 순133) (B=063)

으로13 구성된다 이13 같은13 결과를13 각13 변인별로13 보다13 상세히13 살펴보면 첫째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사회단체참여변인을13 연결하는13 제 의13 3

변인은13 존재하지13 않기13 때문에13 사회단체참여의13 전체영향은13 직접영향한국(

미국 만으로13 구성되며13 그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189 =152)

의미하다 둘째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영향이13 사회단체

참여에13 의해13 전적으로13 매개된13 간접영향한국 미국 으로만13 구성( =069 =063)

되었다 셋째 기혼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직접영향한국 ( =- 미국470 =-371)

만이13 유의미한13 반면에13 간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았다 넷째 남성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직접영향 한국( =- 미국144 =- 이13 유의미하고13 간접영향은13 한137)

국 만이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고13 미국에서는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것(B=042)

으로13 나타났다 다섯째 광역시13 변인은13 한국에선13 직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

은13 대신에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된13 간접영향(B=- 은13 유의미한13 반면032)

에13 미국에선13 사회단체참여에13 매개된13 간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대신에13 직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1

접영향 은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B=130)

한국(N=979) 미국(N=535)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변인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매개변인

사회적지원

단체참여 189 189 151 151 152 152 144 144

외생변인

SES 071 071 -246 057 -189 063 063 030 060 090

통제변인

남성더미 -144 042 -102 -033 033 000 -137 004 -133 039 004 043

기혼더미 -470 013 -457 -026 010 016 -371 -003 -374 038 -003 035

광역시더미 033 -032 001 -006 -026 -032 130 010 140 -023 -009 -014

제시된13 계수는13 표준화계수이며 통계적13 유의도는13 비표준화계수에13 대한13 검증임1)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지원에13 미치는13 영향2) ( ) times ( )=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미치는13 영향3) ( ) times ( )=

전체영향13 직접영향13 간접영향4) = +

단측검증 단측검증 단측검증 p 05 p 01 p 001 < < <

표13 lt 7gt 사회적13 지원과13 사회제도신뢰를13 설명하는13 요인들의13 직접13 간접 전체영향을13 분리한13 경로분석결과LISREL13 1)

논의13 및13 결론V

이13 연구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

회제도신뢰13 등에13 대한13 기술통계13 및13 판별집합타당성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차

이 매개효과13 등을13 실증적으로13 규명할13 목적으로13 수행되었다 이를13 위하여13 유

교공동체주의와13 합리적13 개인주의모델의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특성을13 지니고13 있

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를13 선정하여13 국제사회종합조사 자료모듈인13 (ISSP)

와13 자료를13 대상으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과13 관련KGSS 2004 GSS 2001

된13 일련의13 연구13 가설을13 제시하여13 검증하였다

첫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적13 신뢰 ( )

152 김상돈

은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확연히13 다른13 평균차이를13 보여주고13 있다 사회단

체참여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상대적으로13 더13 적극( =1479) ( =1732)

적이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국에서13 저조

한13 이유는13 년13 이후13 신사회운동을13 포함한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추세에1987

도13 불구하고13 시민사회의13 공론장이13 모순적으로13 제도화되었기13 때문이다 이는13

사회공간이13 존재하는13 것과13 그13 공간에13 참여하는13 것과는13 별개의13 개념임을13 의미

한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은13 미국평균 보다13 한국평균 에서13 약 ( =3187) ( =4541)

한13 연계에13 더13 활용되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

용이13 한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분석결과는13 학연 지연 혈연13 등13 연고13 집단으로13 인해13 사회적13 자본이13 풍부하다고13 주장한13 연구유석춘13 외 와13 일치된다( 2002)

다른13 한편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더13 ( =1733) ( =2075)

높으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제도신뢰가13 한국보다13 미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사실은13 정치 경제적으로13 성공한13 국가가13 그렇지13 못한13 국가보다13 상대적으로13 제도신뢰가13 더13 높을13 것이라고13 제시한13 거시적13 차원에서의13 연구결과

와13 부합된다(Putnam 1993 1995 Fukuyama 1995)

둘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

사회제도신뢰사이에는13 판별) 집합타당도가13 유지된다는13 사실을13 강조할13 필요가13 있다 탐색적13 요인분석과13 더불어13 확인적13 요인분석을13 실시한13 결과에서13 나

타난바와13 같이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을13 측정하기13 위한13 문항들은13 제각기13

해당차원의13 개념들만을13 측정할13 뿐만13 아니라13 이들13 차원들이13 각기13 별도의13 개념

을13 형성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3-요인모형이13 최적모형으로13 판명됨으로써13 3-요인

모형에13 잠재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의13 판별 수렴타당도가13 존재함을13 보여준다 아울러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들13 사이의13 상관관계조차도13 상당히13 미

약한13 것으로13 드러남으로써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13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13 등은13 각기13 별개의13 구성체들로13 이루어져있음이13 나타났다

셋째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 (

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 의13 불평등을13 밝히는데13 사용되었다 사회단체 )

참여와1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변인으로13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와13 접한13

관련성을13 맺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나13 사회제도신뢰에13 있어서13 강한13 부(- 의13 상관13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3

및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와13 사회적13 지원13 연결망활용의13 인과변인으로서13 중요하게13 나타났다 그러나13 한

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

타났으며13 미국에서는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타나13 이들13 연구가설13

모두13 기각된13 결과로13 나타났다 기각된13 이유는13 통계적13 해석과13 담론적13 해석13 두13

가지로13 논의할13 수13 있는데 첫13 번째13 이유는13 사례수와13 변량13 등13 통계적13 근거에

서13 설명할13 수13 있다 예컨대13 구조모형의13 추정에13 동원된13 측정변인13 및13 이론변인

의13 수를13 감안할13 때13 제한된13 사례13 수한국 미국 는13 여러13 변인들의13 ( =979 =535)

변량을13 제한하고13 표준오차를13 증가시킴으로써13 각각13 사회적13 지원13 및13 사회적13 신

뢰의13 통계적13 유의도를13 상실하게13 하는13 원인으로13 작용될13 가능성이13 있다 통계

적13 해석보다13 중요한13 담론적13 해석은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설명유교공동체주의(

자유민주주의에서13 그13 이유를13 예측할13 수13 있다 한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하다는13 사실은13 서구사회의13 인간관계와13 유

사할13 정도로13 진행되고13 있음에도13 불구하고13 여전히13 유교공동체주의모델이13 존

재함을13 보여준13 결과이다 미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

하다는13 사실은13 한국과13 달리13 부의13 불평등에13 대해13 당연시하는13 미국인의13 태도

개인주의 시장의13 제도화13 등13 맥락변인에서13 설명될13 가능성이13 높음을13 예측하게13

한다

넷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강력한13 단위영향과13 관련하여13 한

국 은13 미국 보다13 상대적으로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B=189) (B=152)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한국 은13 미국 보다13 (B=071) (B=06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서도13 사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

우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222 R2 에13 비하여13 포함된13 경우한국=173) (

사회의13 R2 미국사회의13 =243 R2 에13 대한13 설명력이13 각각13 =188) 21 15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이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에13 있어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

거를13 시사하는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사회단체참여의13 경제행위를13 이

해하는데13 있어서13 영리적13 차원의13 자기이해와13 합리적13 선택론에13 근거한13 신제도

주의이론으로만13 온전히13 설명할13 수13 없다는13 점을13 밝히면서13 한편으로는13 개별행

154 김상돈

위자들이13 현재13 맺고13 있는13 사회연결망에13 의해서13 형성된다고13 본13 신경제사회학

의13 이론적13 논의를13 부각시켰다는13 점에서13 시사하는13 바가13 크다 이로써13 사회단

체참여는13 다양한13 사람들과의13 사회적13 관계에서13 유통되는13 사회적13 지원을13 제공

해주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척도로서13 의미13 있는13 구성지표이다

다섯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B=144

보다13 한국 에서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지만 사회경제적13 plt05) (B=151 plt05)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는13 한국 보다13 미국(B=057 plt05)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B=060 plt05) 5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13 있어서도13 사

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미국사회의13 ( R2=037 R2 에13 비=028)

하여13 포함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056 R2 의13 설명력은13 =030)

한국과13 미국13 각각13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은13 작19 02

은13 증가를13 나타냈으나13 단위13 영향13 및13 간접영향13 모두13 높게13 형성되어13 사회단체

참여가13 제도신뢰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거를13 시사

한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공적13 시민정신의13 연구결과들 (Tocqueville

과13 일치됨으로써13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과13 미국13 1845 Putnam 1993 1995)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신뢰의13 중요한13 관건임을13 밝혀냈다 그러나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약한13 정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

데 이러한13 결과가13 나타난13 사실은13 년13 이후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로13 인 1987

해13 시민의13 정치참여를13 높이는데13 일정정도13 기여했으나13 민주적13 시민덕목을13 배

양하는데13 있어서는13 그리13 성공하지13 못한13 데에서13 추측할13 수13 있다 이를13 위해서

는13 중복적13 참여13 및13 자기이해(self- 에13 기초한13 소극적13 참여에서13 호혜성interest)

규범과13 사회적13 신뢰형성을13 위한13 제도적13 메커니즘으로의13 사회단체참여13 구축

이13 무엇보다13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이13 사회제도신뢰에13 미치는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이러한13

사실은13 사회적13 자본의13 연구결과 김용학(Pagden 1988 Fukuyama 1995 손

5 이와13 반대로 결측치에13 개별평균값을13 대체하기전의13 추정결과에서 사회단체참 LISREL

여의13 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B=169 plt05) (B=133 plt05)

더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높게13 나타났다(B=049 plt05) (B=043 plt0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5

재석 이재열 에서13 제시된13 반경범위 내집단13 족쇄 연고13 집단13 등 1998 1998)

의13 용어를13 사용하면서 가족13 및13 개인연결망13 활용이13 공적영역의13 신뢰를13 식민

화하여13 사회13 전체적으로13 저신뢰사회가13 된다고13 주장한13 논의와13 일치하지13 않는13

결과이다 즉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사이의13

관계가13 서로13 양립13 가능한13 현상을13 보여주어13 매개역할13 또한13 기각되었다

종합컨대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상관관계와13 유의미한13 정 의13 인과관계로13 작동하는데13 비해13 미국에서는13 상관13 (+)

및13 인과관계13 모두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 한편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

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은13 약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13 것으 (+)

로13 나타났다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의13 중요한13 인과변인인13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양13 국가13 모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력을13 미치고13 있으며 사회경제적13 지(+)

위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두13 가지13 구성개념사회제도신뢰13 및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 )

인과적13 영향은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되었다는13 사실13 또한13 이13 연구에서13 밝

혀냈다

이상의13 연구에도13 불구하고13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한국의13 ( R2 237 220

미국의13 056 R2 이13 낮게13 형성되었다는13 점과13 와13 183 195 030) KGSS 2004

자료에13 한정하여13 분석하였기13 때문에13 분석결과의13 해석과13 일반화에13 GSS 2001

한계가13 있을13 수13 있다 예를13 들면13 년과13 년이라는13 특정한13 시기에13 조 2004 2001

사가13 이루어졌다는13 점에서13 이론적 경험적으로13 함축하는13 바가13 있다고13 하더라도13 외적13 타당성의13 문제점을13 지닌다 그리고13 이13 연구는13 전국규모를13 대상으로13

조사되었다는13 점에서13 의미하는13 바가13 있지만13 시계열적13 자료를13 통한13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정 한13 검증을13 하지13 못하였다는13 점에서도13 그13 한계가13 있음을13 밝혀

둔다 따라서 향후13 후속연구에서13 제시된13 모델들을13 보다13 정교화하는13 이론적13

작업과13 더불어13 다양한13 변인들을13 충분히13 활용하며13 통시적13 연구13 및13 국가간의13

비교연구13 등을13 통해13 경험적13 연구들이13 진행되어야13 할13 것이며 연구자의13 관심

과13 노력으로13 연구의13 질적13 향상을13 기대해본다

156 김상돈

참고문헌

국민호 동아시아경제발전과13 유교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1997 31 1 pp 29-59「 」 985172 985173김상욱 조직몰입의13 하위차원들의13 타당도평가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2001 35 3 pp 「 」 985172 985173

109-138

김용학 손재석 미시적13 신뢰와13 거시적13 위험 계간사상 1998 38 pp 115-132 「 」 985172 985173이재열 민주주의 사회적13 신뢰 사회적13 자본 계간사상 1998 38 pp 65-93「 」 985172 985173유석춘 외 사회자본과13 신뢰 한국 일본 덴마크 스웨덴13 비교13 연구 동서연구 2002 「 」 985172 985173

권13 호14 1 pp 101-135

장수찬 한국사회에13 나타난13 악순화의13 사이클 한국정치학회보 권13 호 2002 36 1 pp 「 」 985172 98517387-112

한국13 사회과학도서관13 홈페이지 2005 httpwwwksslorkr

Banfield E 1967 The Moral Basis of a Backward Society New York Free Press

Billiet JB and Bart Cambre 1999 ldquoSocial capital active membership in voluntary

associations and some aspects of political participatio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Bourdieu Piere 1984 The Distiction A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Brehm John amp Wendy Rahn 1997 ldquoIndividual-level evidence for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social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41(3)

pp 999-1023

Burt R 1992 Structure Holes The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Coleman James 1988 ldquo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pp 94-121

DiMaggio Paul and Hugh Louch 1998 ldquoSocially Embedded Consumer Transaction

For What Kinds of Purchases Do People Most Often Use Networks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3 pp 619-637

Fukuyama Francis 1995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perty

NewYork Free Press Paper Backs Book

Gambetta Diego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Financial Capital The

Case of Network Marketing Champaign Stipes

Ganzeboom H B G and DJ Treiman 1996 ldquoInternationally Comparable Measures

of Occupational Status for the 1988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rdquo Social Science Research 25 pp 201-239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7

Giddens Anthony 1990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Stanford Stanford UP

Granovetter Mark 1985 ldquoEconomic Action and Social Structure The Problem of

Embeddedness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1 pp 481-510

Inglehart R 1999 Culture Shift in Advanced Industrial Societ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Joumlreskg Karl G and Soumlrbom Dag 1989 LISREL 7 A Guide to the Program and

Applications Chicago SPSS Inc

Lin Nam 1982 ldquoSocial Resource and Instrumental Actionrdquo In Social Structure and

Network Analysis edited by Peter Marsden and Nan Lin Beverly Hill CA

Sage Publication

Loury Glen 1977 ldquoA Dynamic Theory of Racial Income Differencerdquo In PA

Wallace amp A LeMund (eds) Woman Minorities and Employment Discrimi-

nation Lexington Lexington Books

Luhmann Niklas 1988 ldquoFamiliarity Confidence Trust Problems and Alternativesrdquo In D Gambetta (ed)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New York Basil Blackwell

McPherson J Miller 1983 ldquoAn Ecology of Affiliation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8 pp 519-532

Newton Kenneth 1997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rdquo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0(5) pp 575-586

Newton Kenneth 1999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 in Modern Euroupea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s)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Olson ME 1965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Pagden Anthony 1988 ldquoThe Destruction of Trust and its Economic Consequence in

the Case of Eighteenth-century Naplesrdquo In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edited by D Gambetta Oxford Blackwell

Paxton Pamela 1999 ldquoIs Social Capital Declining in the US A Multiple Indicator

Assessment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5(1) pp 88-126

Portes A 1998 ldquoSocial Capital Its Origin and Application in Modern Sociologyrdquo Annual Review of Sociology 24 pp 1-24

Portes A 2000 ldquoThe Two Meaning of Social Capitalrdquo Sociological Forum 15(1)

pp 1-12

Putnam Robert 1993 Making Democracy Work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utnam Robert 1995 ldquoBowling Alone Americans Declining Social Capitalrdquo Journal of Democracy 6(1) pp 65-78

Sztompka P 1999 Trust A Sociological Theor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8 김상돈

Toqueville Alexis de [1835 1840] 1990 Democracy in America(Reprint) New

York Vintage

Verba Sidney Kay Lehman Schlozman and Henry E 1995 Voice and Equality

Civic Voluntarism in American Politics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son Oliver E 1993 ldquoCaculativeness Trust and Economic Organizationrdquo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36(3) pp 453-486

Zucker Lynn G 1986 ldquoProduction of Trust Institutional Sources of Economic

Structurerdquo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8 pp 53-111

Comparison Analysi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n the Causal Structure of Trust in Social InstitutionsWith a focus on Mediation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and

Social Support

Sang-don KimLecturer in The University College at Sungkyunkwan University

This Study explores the multiplicativ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social institutions trus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do this a set of hypotheses concerning th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are set forth and subjected to an empirical assessment by using data set

collected from KGSS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2004 and GSS (General

Social Survey) 2001 out of the ISSP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lanning)

Modules

Analysis of data in terms of ML (Maximum Likelihood) procedure in

LISREL852 was used and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s (1) The unit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on association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2)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status on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but They were appear to be an important predictor to

Korea (3)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on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4) Association participation was especially in

shaping social support and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to the two nations

This study is interpreted that further research on the topic of social capital are

raised with elaborating the measure on the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political efficacy consciousness of social class and so forth coupled with

advertising a few limitation of this study

Keyword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KGSS GSS ISSP

김상돈 성균관대학교13 학부대학강사13

경기도13 수원시13 장안구13 조원동13 한일타운13 동13 호13 119 703 440-709

Tel_01113 912013 132313 13 E-mail_education17hanmailnet

Page 6: 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 미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64/1/5.%e1%84%80%e1...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미비교연구:

130 김상돈

유교공동체주의13 모델에서는13 인간관계와13 사회를13 매개하는13 것이13 권리가13 아

닌13 도덕이라고13 보며 유교적13 이상은13 인간의13 이성을13 통하여13 공공선을13 실천할13

수13 있다고13 본다 이러한13 점에서13 도덕적인13 지식을13 터득하고13 이를13 실현시키는13

기제는13 바로13 국가로13 해석된다 다시13 말해 국가는13 바로13 사회지도층이13 운영하

는13 것으로13 사회기강을13 세우고13 도덕적으로13 계도하는13 주체로13 간주되어왔다국(

민호 유교국가론을13 지향해온13 한국사회는13 세기에13 일제강점기 미군 1997) 20

정 한국전쟁 압축적13 근대화13 등의13 과정을13 겪어오면서13 한국적13 질서13 및13 예의를13

유지해주던13 유교13 문화적13 전통과13 사회지도층의13 신뢰가13 희박해져가는13 반면에

서구의13 근대13 및13 탈근대이념은13 왜곡된13 형태로13 수입되어13 전통과13 근대13 그리고13

탈근대13 등이13 혼재되어13 공존하고13 있을13 뿐만13 아니라 시장제도13 구축의13 미비13 때

문에13 행위와13 제도간의13 심각한13 괴리를13 경험하고13 있다 한편 합리적13 개인주의

모델의13 핵심은13 개인의13 합리성과13 자율성에13 기초한다 개인의13 자율성을13 유지해

주는13 기제가13 바로13 시장이다 미국인에게13 있어13 시장이란13 개인의13 자율성과13 자

유를13 지켜주는13 영역으로13 국가와13 정부보다13 우월한13 기제이다 예컨대 초기13 산

업사회시기부터13 년대까지13 미국은13 고신뢰사회로서13 전혀13 면식이13 없는13 지1980

역의13 거래당사자들과13 거래도13 가능할13 정도로13 사회적13 신뢰가13 확고하였다 그러

나13 미국사회는13 노동시장의13 유연화 우익진영의13 극단론걸프전쟁 이라크전 (

쟁 지방정부의13 재정위기마이애미 워싱턴 뉴욕13 등 및13 정책실패13 등으로13 ) ( )

인해13 사회제도신뢰가13 점차적으로13 약화되고13 있다(Putnam 1993 Fukuyama

사회제도에13 대한13 신뢰가13 약화되고13 있다는13 점은13 1996 Billet et al 1999)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의13 공통된13 추세임에도13 불구하고13 도덕과13 합리성 국가와13

시장 공동체주의와13 개인주의13 등의13 상호배타적13 특성이13 현저하게13 대립된다

이처럼13 대조적인13 한국과13 미국13 양국의13 특성차이가13 이13 연구의13 최종내생변인인13

사회제도신뢰와13 관련하여13 일정한13 변이를13 유발할13 것임을13 예상할13 수13 있다2

기13 위함이다

2 이러한13 주장의13 경험적13 근거로13 후쿠야마 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유무13 및13 (Fukuyama 1995)

높고13 낮음을13 국가13 및13 사회발전의13 관건이라13 하며 동아시아의13 유교권13 국가는13 차13 집단13 1

및13 연고13 집단13 위주의13 결속력이13 강하여13 제도보다는13 사람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게13

나타난13 반면에 서구선진국들은13 가족13 및13 친척범위를13 초월한13 사회단체와의13 연대적13 능

력이13 상대적으로13 강하여13 사회제도신뢰가13 높다고13 제시하였다 또한13 세계가치조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1

이상의13 논의에서13 사회제도신뢰는13 사회적13 관계에서13 형성되기13 때문에13 대칭

적13 이라기보다는13 비대칭적이다 왜냐하면 사회제도신뢰는13 대면적13 상호작용

과13 성찰적13 인지과정을13 통해13 형성되는13 메커니즘이기13 때문이다 Newton(1997)

과13 는13 사회적13 신뢰의13 인과기제를13 사회적으로13 이질적이고13 포괄적Portes(2000)

인13 집단과의13 대면적13 상호작용을13 통해13 형성되며 이13 제시 Putnam(1993 1995)

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인13 네트워크와13 규범13 및13 결과는13 상이하게13 구성되어13

있음을13 그들은13 주장하였다 따라서13 이13 연구에서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을13 각각13 원인과13 결과로부터13 구분하여13 개인의13 심리적13 태도변수인13 사회제도신

뢰를13 결과변인으로13 설정하며 사회제도신뢰는13 개인의13 사회경제적13 지위에13 기

초하고13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을13 인과구조로13 구체화시

킨다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2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교육 직업 소득13 등13 위계적으로13 구조화된13 체계로서13 각

기13 다른13 삶의13 기회와13 생활양식을13 가지게13 되며 이렇게13 각기13 다른13 조건들은13

개인의13 가치관13 및13 사회적13 태도 그리고13 사회적13 행위에13 영향을13 미친다 사회경

제적13 지위에13 따른13 사회단체참여13 및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그리고13 사회

제도신뢰사이의13 인과관계를13 분석한13 기존연구결과는13 다음과13 같다

첫째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인과적13 영향을13 분석한13 기

존연구결과를13 살펴보면 미국사람들의13 사회참여를13 조사한13 연구결과 (Brehm

에서13 단체참여에13 결정적으로13 중요한13 인과적13 요인은13 높은13 and Rahn 1997)

교육 높은13 가계수입 좋은13 직장13 등13 사회경제적13 지위이다 교육과13 소득수준은13

결사체참여에13 가장13 영향력13 있는13 인과변인으로서 교육수준이13 높은13 사람이13 낮

를13 활용한13 장수찬 의13 연구에서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World Value Survey) (2002)

두13 군대 경찰 행정부 사법부 입법부13 순으로13 정치제도가13 높은13 신뢰를13 받는13 것으로13

분석되었으나 사회기관에13 대한13 신뢰의13 경우13 한국은13 환경운동기구 여성운동기구 언

론 기업13 순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은13 기업 환경운동 여성운동기구 언론13 순으로13

나타났다 장수찬( 2002)

132 김상돈

은13 사람에13 비해13 결사체참여가13 높게13 나타났다(Verva Schlozman Brady

직업지위와13 관련해서도13 전문직 사무직13 종사자13 혹은13 자영업자들이13 생1995)

산 기능 노무직에13 종사하는13 사람들보다13 상대적으로13 단체참여에13 보다13 적극적인13 것으로13 나타났다 따라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Inglehart 1999)

람들은13 사회단체참여가13 높으리라고13 판단된다

둘째 사회경제적13 지위와13 사회적13 지원사이의13 인과관계13 틀은13 주로13 사회연결

망의13 연구자들에13 의해서13 규명된다 는13 교육 직업지위 수 Granovetter(1982)

입13 등의13 계층적13 위치가13 높을수록13 직장동료 이웃 아는13 사람13 등의13 약한13 연계

에13 의존하는13 반면에 사회계층이13 낮을수록13 가족 친척13 등의13 강한13 (weak tie)

연계 에13 의존한다고13 주장한다 이러한13 주장은13 린 의13 위(strong tie) (Lin 1982)

세가설에서13 사람들이13 보유하고13 있는13 부와13 권력 사회적13 위세가13 높을수록13 사

회적13 자본의13 창출이13 높다고13 제시하였다 이들의13 연구결과에13 비추어13 볼13 때 사

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13 약한13 연계부터13 사회적13 지원을13 활용할13 가능성이13 높

게13 나타날13 것이라고13 판단된다

셋째 사회제도신뢰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와13 접한13 관련성을13 갖는다 일반적

으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들은13 그들이13 어떤13 사회적13 보상과13 명예를13

이끌어낼13 능력이13 있으므로13 사회제도에13 대한13 긍정적인13 평가를13 할13 가능성이13 높

다 이러한13 주장의13 주된13 근거는13 부자들의13 경우13 타인을13 신뢰하(Olson 1965)

여13 생기는13 위험부담으로13 인해13 자신들이13 가지고13 있는13 일부를13 잃지만13 가난한13

사람들의13 경우13 유일한13 생존수단을13 잃게13 되는13 결과를13 가져올13 수13 있기13 때문이

다 이들의13 연구결과를13 비추어볼13 때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Banfield 1967)

사람이13 낮은13 사람에13 비해13 공공13 및13 민간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상대적으

로13 높게13 나타날13 것으로13 예측된다

전술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

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에13 미치는13 영향이13 일차적이고13 본질적인13 인과변인이라 )

면 사회단체참여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와13 사회연결망의13 기능적13 효과사회적13 지 (

원 사회적13 신뢰 사이의13 매개변인으로13 선정할13 수13 있다 사회단체참여를13 매개 )

변인으로13 선정한13 이유는13 구성원과의13 대면적13 상호작용과13 의사소통행위를13 통

해13 개인의13 사회적13 정체성이13 성립되고 이해관계가13 형성되며 사회적13 행위가1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3

형성 발전되고 사회적13 관계13 속에서13 유통되고13 있는13 경제적 정치적13 도움과13 호혜성규범13 및13 사회적13 신뢰13 등13 기능적13 효과로13 연결되기13 때문이다

첫째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13 지원사이의13 인과관계에13 대한13 기존연구는13

의13 구조적13 공백 의13 생태지위13 등의13 접근방법을13 사용한다Burt McPherson

가13 제시한13 구조적13 공백 개념은13 한13 사람이13 가지고13 Burt(1992) (structural hole)

있는13 연결망들13 사이에서13 그13 중심에13 있는13 사람과는13 어떤13 형태로든13 연결이13 되

지만13 다른13 사람들13 사이에서는13 관계가13 없는13 상태를13 지칭한다 McPherson

이13 제시한13 생태지위 란13 개체의13 환경13 속에서13 자원을13 매개로13 맺는13 (1983) (niche)

관계의13 구체적13 양상을13 의미하는13 것으로서 개체가13 의존하는13 자원들의13 종류가13

다양하고13 광범위하면13 그13 개체가13 보유한13 생태지위의13 범위는13 넓을13 것이고 반

대로13 특정한13 종류의13 자원에만13 의존한다면13 생태지위의13 범위는13 좁을13 것이다

이러한13 점에서13 사회단체에는13 구조적13 공백과13 생태지위 가13 등장하는13 맥(niche)

락을13 설명할13 수13 있는13 이점이13 있다

둘째 사회단체13 참여는13 다양한13 관심사를13 가진13 사람들과의13 만남을13 통해13 참

여자의13 관심영역을13 확장시키고13 다양한13 정치 사회적13 문제에13 대한13 이해를13 높여주며 사회단체에13 의해13 주관되는13 다양한13 행사를13 조직화하고13 집행하는13 과정

에서13 정치와13 관련된13 의사소통과13 의사결정기술을13 연마하게13 되어13 정치참여를13

촉진시킬13 뿐만13 아니라 공공의13 이익을13 위해서13 개인의13 이익을13 양보하는13 공적13

시민정신을13 고취시키며13 무임승차를13 배격하는13 윤리를13 배양한다고13 하였다

은13 사회단체에13 가입13 및13 소속됨으로써13 좋(Tocqueville 1835) Putnam(1995)

은13 이웃과13 동료들을13 만나13 대화를13 나누고13 사회적13 관계를13 쌓을13 수13 있는13 기회13

등을13 얻게13 되며 사람들13 사이에13 축적된13 연결망과13 연결망13 안에서의13 지속적인13

상호작용은13 시민의식이나13 규범13 및13 사회적13 신뢰13 등이13 형성된다고13 제시한다

이상의13 사회단체참여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한13 범주로서13 사회적13 지원과13 제도에13 대

한13 사회적13 신뢰형성에13 영향을13 주는13 중요한13 인과변인이다

한편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연결망유형의13 한13 범주에13 포함된다면 사회적지

원은13 사회연결망의13 기능으로13 표현되어진다 사회적13 지원이란13 사람들이13 맺고13

있는13 사회적13 관계를13 통해13 얻게13 되는13 정서적13 지원 서비스13 지원 경제적13 지원13

등을13 의미한다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사회제도신뢰간의13 인과관계에13

134 김상돈

대한13 연구는13 거시적13 차원의13 사회적13 자본론자들(Pagden 1988 Fukuyama

에13 의해서13 비롯된다 은13 내집단족쇄1995) Pagden(1988) (fetters of in-group)

용어를13 사용하면서13 혈연 지연13 등13 자연적13 관계를13 통한13 공동체적13 유대감과13 학연 직장동료관계와13 같은13 이익집단생활을13 통한13 유대감이13 집단13 내13 소속감으로13 되어13 사람에13 대한13 신뢰는13 높지만 사람에13 대한13 신뢰가13 제도에13 대한13 신뢰의13

희생을13 기반으로13 확대된다고13 하였다 는13 반경범위개념을13 사 Fukuyama(1995)

용하면서13 저신뢰13 사회의13 공통점을13 강력한13 가족주의13 문화와13 중앙집권13 등13 구조

적13 특성에서13 기인된다고13 지적하면서 강력한13 중앙집권국가에13 있어서13 가족과13

국가사이의13 중간지대 즉13 양자사이의13 중개집단들의13 자율과13 자치를13 억압하게13

되어13 사람13 및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상대적으로13 취약하다고13 주장하였

다 국내연구결과김용학 ( 손재석 이재열 에서도13 법적인13 계약서 1998 1998)

나13 재정적인13 보증13 없이13 돈을13 빌려주는13 일 일자리를13 제공하는13 일 계를13 통해13

금리보다13 높은13 이자수익을13 얻는13 등13 사회적13 지원이13 가족13 및13 개인연결망으로13

활용되고13 있으며 이러한13 사적13 영역의13 연결망활용은13 공적영역의13 신뢰를13 식민

화하여13 사회13 전체적으로13 저신뢰사회가13 되었다고13 지적한다 사회적13 지원의13 논

의를13 통해13 일상생활에서13 사람들이13 강한13 연계를13 활용할수록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

적13 신뢰가13 희생된다고13 본13 제한적13 연대의13 개념들예 내집단족쇄 반경범위13 (

등에13 대한13 인과관계의13 연장선상에서13 이13 연구는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13 활용과13 )

사회제도신뢰13 사이의13 인과구조를13 분석한다

연구가설13 및13 연구모형3

이상의13 이론적13 논의를13 토대로13 구성한13 분석모형은13 그림13 과13 같다 이13 연구1

의13 최종13 내생변인은13 사회제도신뢰이다 사회제도신뢰는13 대기업 언론계 교육

계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13 등을13 포함한13 개의13 하위영역으로13 설정하여13 한국 11

과13 미국13 양13 국가의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를13 다차원적 통합적으로13 비교분석한다

사회제도신뢰의13 영향요인은13 사회13 경제적13 지위와13 사회단체참여 그리고13 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5

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으로13 설정하고 통제변인으로13 인구학적13 요인을13 설정

한다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교육년수 직업위세 소득13 등13 세13 가지13 하위범주로13

설정하여13 측정한다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은13 각각13 매개13

외 내생변인으로13 한다 사회단체13 참여는13 정당단체 노동조합 시민단체 취미

단체 이웃단체 기타단체로13 하고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은13 정서적13 지원

경제적13 지원 서비스지원13 등13 세13 가지13 하위범주로13 설정하여13 측정한다

그림13 분석13 모형1

ξ 1 사회경제적13 지위 X 5 기혼더미 Y 10 기업계13 신뢰

ξ 2 남성더미 X 6 광역시더미 Y 11 교육계13 신뢰

ξ 3 기혼더미 Y 1 정당단체참여 Y 12 언론계13 신뢰

ξ 4 광역시13 더미 Y 2 시민단체참여 Y 13 방송계13 신뢰

η 1 사회단체참여 Y 3 노동조합참여 Y 14 의료계13 신뢰

η 2 사회적13 지원 Y 4 취미단체참여 Y 15 행정부13 신뢰

η 3 사회적13 신뢰 Y 5 이웃단체참여 Y 16 입법부13 신뢰

X 1 교육년수 Y 6 기타단체참여 Y 17 사법부13 신뢰

X 2 직업위세 Y 7 정서적13 지원 Y 18 학계13 신뢰

X 3 소득 Y 8 경제적13 지원 Y 19 군대13 신뢰

X 4 남성더미 Y 9 서비스13 지원 Y 20 금융계13 신뢰

기본13 모형에13 대한13 인과13 경로임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과13 수정지수 에13 따라13 추정될13 인과13 경로임(MI)

136 김상돈

이상의13 분석모형을13 토대로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13 사이의13 연구13 가설들은13 다음과13 같다

lt연구가설13 1gt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13 사람보다13 미국사람이13 상대적으로13 더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2gt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이13 낮은13 사람에13 비해13 사회단체

참여에13 적극적일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3gt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이13 사회적13 지원을13 강한13 연계13

보다는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할13 가능성이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4gt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은13 낮은13 사람에13 비해13 상대적으

로13 사회제도13 신뢰가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5gt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일수록13 사회제도신뢰가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6gt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일수록13 사회적13 지원을13 강한13 연계보다

는13 약한13 연계에13 더13 많이13 요청할13 가능성이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7gt 사회적13 지원을13 약한13 연계에13 더13 많이13 요청할수록13 사회제도신

뢰가13 높을13 것이다

연구13 방법III

자료수집방법1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13 사이에13 미치는13

영향을13 분석하기13 위해13 사용할13 자료는13 와13 이다KGSS 2004 GSS 2001

자료는13 성균관대학교13 서베이리서치센터에서13 년13 월13 KGSS 2004 2004 7~8

동안13 실시하였으며 표집절차는13 전국13 주민등록13 전산자료로부터13 다단계지역층

화표본추출법에13 의해13 추출되는데 그13 구체적인13 절차는13 다음과13 같다 첫째 최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7

종표집지역수를13 개로13 선정하고13 이를13 차표집단위인13 전국13 광역시200 1 도의13 가구수13 분포에13 비례하여13 배분한다 둘째 각13 광역시 도로부터13 배분된13 수만큼의13 차표집단위인13 읍2 면 동을13 인구비례확률표집13 원칙을13 적용하여13 무작위로13 추출한다 셋째 이렇게13 추출된13 각13 읍 면 동으로부터13 한13 개의13 최종표집지역면( 의13 경우에는13 리 동의13 경우엔13 통 반을13 무작위로13 선정한다 넷째 선정된13 )

통 반13 또는13 리에서13 개의13 가구를13 계통표집한다 계통표집된13 가구13 내에서13 10

만13 세13 이상13 성인13 가구원들의13 리스트를13 작성한13 후13 이들13 가운데13 태어난13 월18

일이13 가장13 빠른13 사람을13 조사대상자로13 삼는다 조사된13 설문지의13 유효사례수는13

명이다 이13 연구에13 사용할13 변인들에13 대한13 응답13 가운데13 무응답1312 (lsquo모르겠다rsquo 포함 문항에13 개별평균값으로13 대체한13 후13 결측치 ) (missing values)(n=

를13 일률적 으로13 제거하여13 추출된13 총13 명이13 최종13 분석사례수343) (listwise) 979

를13 형성하였다 평균13 대체방법을13 사용한13 이유는13 변인들의13 분포추정치13 왜(N)

곡13 가능성의13 성격을13 지니지만 결측치를13 가능한13 정확한13 값으로13 대체함으로써13

무응답의13 편차감소와13 연구결과의13 일반화13 및13 신뢰성이13 향상될13 수13 있기13 때문이

한편 자료는13 시카고대학의13 GSS 2001 NORC(National Opinion Research

C 에13 의해13 수집된13 자료로서13 년13 월에서13 월에13 걸쳐13 면접자13 조사방enter) 2001 2 5

식에13 의해13 수집되었다 표집방법의13 구체적인13 절차는13 다단계지역13 확률표집방

법으로서13 차13 표집단위는13 표준대도시지역1 (SMSA Standard Metropolitan

또는13 비도시지역의13 카운티들을13 지역 연령13 그리고13 인종에13 Statistical Area)

따라13 층화한13 후13 그13 단위를13 블록그룹이나13 열람구역별로13 인종과13 소득에13 따라13

층화한다 최종표집단위는13 블록이며 블록들을13 크기에13 준해13 확률을13 조정한13

뒤 특정블록을13 추출한다 이렇게13 추출한13 조사대상자를13 대상으로13 부실한13 응

답사례를13 제외한13 유효사례수는13 명이다 한국과13 동일한13 방식으로13 무응답2765

(lsquo모르겠다rsquo 포함의13 문항에13 개별평균값으로13 대체한13 후13 결측치 ) (missing

를13 일률적 으로13 제거하여13 추출된13 총13 명이13 이13 연values)(n=2230) (listwise) 535

구의13 최종13 분석사례13 수 를13 형성하였다(N)

138 김상돈

변수정의13 및13 측정2

이13 연구의13 최종내생변인은13 사회제도신뢰로13 대기업 교육계 언론계 금융

계 학계 의료계 방송계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 군대13 등13 가지13 영역을13 포 11

함한다 이렇게13 구성된13 사회제도신뢰는13 ldquo신뢰하지13 않음rdquo ldquo다소신뢰rdquo ldquo매우13 신뢰rdquo 순으로13 점에서13 점을13 부여하여13 연속변수로13 분석에13 사용한다 1 3

이13 연구의13 매개13 내생변인인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유형은13 사회연결망13 연구

자들의13 연계유형에서13 제시한13 가족 친척 이웃 친구 직장동료 성직자 사회

사업가 의사13 등을13 가족 친척 비13 친척으로13 분류한13 후13 이들13 유형을13 각각13 교

차 시켜13 아홉13 가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13 활용유형을13 만들13 수13 있다 이(3times3)

렇게13 구성된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유형은13 강한13 연계에13 답한13 순으로13 정리한13

후 동일한13 응답범주는13 첫13 번째13 응답에13 강한13 연계로13 답한13 경우를13 우선13 기준

으로13 점에서부터13 점까지의13 점수를13 부여하여13 측정한다1 9

이13 연구의13 매개외생변인은13 사회단체참여로13 정치단체 노조단체 시민단체

취미단체 이웃단체 기타단체13 등13 여섯13 가지13 영역의13 사회단체13 참여수준을13 측

정한다 사회단체참여에13 대한13 영역은13 ldquo소속된13 경험이13 없음rdquo ldquo과거에13 소속된13 경험13 있음rdquo ldquo소속되어13 소극적13 활동rdquo ldquo소속되어13 적극적13 활동rdquo 순으로13 조사

되었으며13 이들13 각각에13 점부터13 점까지의13 점수를13 부여하였다1 4

변13 인정의( )

설13 문13 문13 항측정척도범위[ ]

사회제도신뢰(institution)

개13 주요13 사회기관에13 대한13 신뢰의13 정도11매우13 신뢰13 다소13 신뢰13 매우13 불신 ① ② ③

연속변수[1-3]

사회적13 지원(SUPPORT)

정서적13 지원13 ① ② 연속변수[1-9]

경제적13 지원13 ① ② 연속변수[1-9]

서비스13 지원13 ① ② 연속변수[1-9]

사회단체참여(ASSOCIATION)

개13 사회단체참여에13 대한13 참여13 여부6소속된13 경험13 무13 소속된13 경험① ② 소극적13 활동13 적극적13 활동③ ④

연속변수[1-4]

표13 lt 1gt 내생변인들의13 설문문항13 및13 변수정의1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9

이13 연구의13 외생변인은13 사회경제적13 지위이다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교육년수

소득 직업위세로13 설정한다 교육년수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중요한13 인과변인으로

서13 정규교육을13 받은13 수학년수에13 근거하여13 점에서부터13 점으로13 측정한다0 23

응답자의13 월평균소득은13 와13 자료모듈에13 있는13 원13 자료KGSS 2004 GSS 2001

를13 근거로13 각13 범주에13 중간값을13 부여하여13 자연대수로13 변환하여13 측정한다 응

답자의13 직업은13 간즈붐과13 트라이먼 에13 의하여13 (Ganzeboom amp Trieman 1996)

구성된13 표준국제직업위세척도(SIOPS Standard International Occupation

에서13 제시한13 점부터13 점으로13 점수를13 부여하여13 분석에13 사Prestige Scale) 16 88

용한다

한편 인구학적13 특성인13 성 연령 결혼상태 지역13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은13 통제

변인으로13 설정한다 성은13 더미변수로서13 여성일13 경우는13 남성일13 경우는13 로13 0 1

부여13 한다 연령은13 자연연령으로13 분석에13 사용한다 결혼13 상태는13 더미변수로

서13 미혼13 및13 이혼 사별 별거일13 경우는13 기혼일13 경우는13 로13 부여하여13 더미0 1 변수로13 사용한다 지역은13 한국사회의13 경우13 특별시13 및13 광역시일13 경우에는13 1

기타도시일13 경우는13 으로 미국사회의13 경우13 메트로폴리스는13 기타도시는13 0 1 0

으로13 부여하여13 더미변수로13 만들어13 사용한다

변13 인 설13 문13 문13 항 측정척도

사회경제적13 지위(SES)

교육13 년수연속변수

직업13 위세SIOPS

[16-87]

소득13 수준 ln(income)

통제변인

연령 연속변수

성별남성=1 여성=0

결혼여부기혼=1미혼=0

이혼 사별 별거=0

주거지역광역도시=1기타도시=0

표13 lt 2gt 사회인구학적특성에13 사용된13 설문문항13 및13 변수정의13

140 김상돈

자료분석방법3

이13 연구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

제도신뢰13 사이의13 영향을13 분석하기13 위해13 탐색적13 요인분석 확인적13 요인(EFA)

분석 그리고13 공변량13 구조분석 등을13 시도한다 확인적13 요인(CFA) (LISREL)

분석은13 일련의13 경쟁적인13 요인모형들을13 각기13 추정하여13 모형부합지수를13 각13 모

형별로13 산출하여13 최적의13 모형을13 추정한다 구조방정식모형은13 측정모형과13 구

조모형의13 개13 하위모형으로13 구성되어13 있다 측정모형분석의13 전략은13 제도에13 2

대한13 사회적13 신뢰 사회적13 지원 사회단체참여13 등13 내생잠재변수와13 외생잠재

변수인13 사회경제적13 지위 그리고13 통제변수를13 이론변수로13 설정하여13 제반13 이론

변수간의13 상관관계를13 분석한다 한편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를13 각13 별도의13

결과변인13 혹은13 최종적13 내생변인으로13 설정하고13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을13 매개변인으로13 설정한13 상태에서13 제반13 예측변인들의13 인과적13 단

위영향을13 분석하기13 위한13 구조모형을13 추정한다 이어서13 각13 결과변인을13 설명하

는13 인과요인들의13 직접 간접 전체13 영향을13 분리시키는13 경로분석을13 실시함으로써 각13 인과변인들의13 상대적13 중요성에13 대한13 평가를13 시도한다 각13 차원들을13

결과변인으로13 간주한13 공변량13 구조분석을13 시도함으로써13 이론13 변인들간의13 구

조적13 인과관계를13 추정한다 실증분석을13 위하여13 사용된13 통계프로그램은13 SPSS

및13 를13 사용하였다110 LISREL 852

분석결과IV

기술통계1

분석에13 포함된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의13 조사대상자에13 대한13 사회경제적13 지

위13 특성을13 살펴보면 교육년수는13 한국평균 년보다13 미국평균 ( =12422 ) (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1

년 에서13 약간13 높으며 직업위세점수는13 한국평균 점보다13 미국13629 ) ( =40315 )

점 에서13 정도13 높게13 나타났다 소득수준은13 한국평균 보(47512 ) 7197 ( =5394)

다13 미국평균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 =10464) 3 따라서13 조사대상자의13 사회경제

적13 지위는13 한국보다13 미국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

한편 조사대상자의13 인구학적13 특성을13 살펴보면 연령은13 한국평균 ( =41503

세보다13 미국평균 세에서13 약간13 높으며 남성비율은13 미국 보) ( =42966 ) (450)

다13 한국 에서13 약간13 높은13 분포를13 나타냈다 기혼비율은13 미국 보(460) (450)

다13 한국 에서13 높으며 광역시 특별시13 광역시 에13 거주하는13 한국의13 비(686) (1 6 )

율은13 인13 반면에13 메트로폴리스에13 거주하는13 미국의13 비율은13 로13 나479 292

타났다

다른13 한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 (

망활용 사회제도신뢰을13 살펴보면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평균 보다13 ) ( =1479)

미국평균 에서13 더13 적극적인13 것으로13 나타났으며( =1732) (t=-8045 p 001) <

변인

평균 범위[ ] SD

한국(N 979)=

미국(N 535)=

한국 미국

사회경제적지위

교육년수 12422 [0-23] 13629 [1-20] 4032 2910

SIOPS 40315 [16-87] 47512 [16-88] 13376 16147

소득 5394 [3219-6957] 10464 [6215-11653] 746 950

인구학적특성

연령 41503 [18-84] 42966 [20-86] 14433 16029

남성 460 [0-1] 450 [0-1] 499 498

기혼 686 [0-1] 450 [0-1] 467 498

광역도시 479 [0-1] 292 [0-1] 500 455

주 한국 교육년수 로그소득 미국 교육년수 SES( =855 +725 SIOPS+805 =811 +791 로그소득 SIOPS+ 673 )

표13 lt 3gt 조사대상자의13 사회인구학적13 특성13

3 사회경제적13 지위변수인13 교육 직업위세 로그소득을13 탐색적13 요인분석결과 한국의13

와13 미국의13 자료13 모두13 하나의13 주요인으로13 추출되었으며13 총13 변량KGSS 2004 GSS2001

에13 대한13 설명력은13 각각13 로13 나타났다 이렇게13 구성된13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652 570

교육 직업 소득변수에13 가중치가13 부여된13 조합변수로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 KGSS 2004[

교육교육년수 직업 소득 로그소득 사회경제=855 ( )+725 (SIOPS)+805 ( )] GSS 2001[

적지위 교육 교육년수 직업위세 소득 로그소득 으로13 구성=811 ( )+791 (SIOPS)+673 ( )]

할13 수13 있고13 선형조합인13 요인점수 를13 그13 값으로13 가지게13 된다(factor score)

142 김상돈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은13 미국평균 보다13 한국평균 에서13 ( =3187) ( =4541)

약한13 연계를13 더13 활용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사회제도신뢰(t=9337 p 001) <

는13 한국 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 =1733) ( =2075) (t=-14463

이로써13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13 사람보다13 미국사람이13 더13 높을13 것이라p 001) <

고13 제시한13 lt연구가설13 1gt을13 수용하게13 되었다

변인 평균 SD 차이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평균차이 절대량차이 값t

사회제도신뢰

대기업13 신뢰 1671 2019 548 584 -348 -312 -8123

교육계13 신뢰 1784 2100 575 624 -316 -267 -7273

언론계13 신뢰 1639 1680 588 659 -041 030 -3145

방송계13 신뢰 1779 1665 600 651 114 165 1506

의료계13 신뢰 1873 2274 574 639 -401 -336 -8585

행정부13 신뢰 1461 2046 531 683 -585 -433 -13578

입법부13 신뢰 1180 1905 403 586 -725 -542 -19212

사법부13 신뢰 1944 2275 591 639 -331 -283 -7671

학계13 신뢰 1957 2329 539 613 -372 -298 -8496

군대13 신뢰 1915 2468 649 614 -553 -588 -12062

금융계13 신뢰 1865 2068 593 629 -203 -167 -4463

전13 체 1733 2075 318 343 -342 -317 -14463

사회적13 지원

정서적13 지원 5813 3802 2672 2792 2011 2131 10916

경제적13 지원 4843 3202 2853 2788 1641 1576 7167

서비스13 지원 2967 2557 2352 2457 410 515 4336

전13 체 4541 3187 1880 1950 1354 1424 9337

단체참여

정당단체13 참여 1163 1593 518 1032 -430 084 -8129

시민단체13 참여 1098 1874 421 1229 -776 032 -12751

노동조합13 참여 1275 1512 674 956 -237 045 -7695

취미단체13 참여 1819 2166 1071 1366 -347 -052 -4389

이웃단체13 참여 1614 1493 1041 977 121 057 567

기타단체13 참여 1905 1753 1208 1151 152 095 1199

전13 체 1479 1732 469 702 -253 -020 -8045

주 평균13 및13 절대량13 차이는13 기술통계의13 차이 한국 ( -미국이며13 통계적13 유의도는13 ) t- 에13 대한13 검증test임

p 05 p 01 p 001 < < <

표13 lt 4gt 사회적자본의13 기술통계한국 미국13 ( 13 N 97913 13 N=53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3

모형검증의13 타당도평가2

이13 절에서는13 내생변인들에13 대한13 모형검증의13 타당도를13 분석한다 모형검증

의13 타당도를13 분석하기13 위해서는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13 변인13 등은13 탐색적13 요인분석과13 확인적13 요인분석이13 사용된다

탐색적13 요인분석결과 표본적절성13 측정치인13 값한국 미국 KMO ( =773

은13 적절한13 수준이었으며13 의13 구형성13 검증13 통계치의13 유의수준은13 =752) Bartlett

양13 국가13 모두13 으로13 보다13 작아13 자료의13 상관이13 요인에13 적합한13 것으로13 000 05 3

나타났다 제 요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13 개13 문항13 가운데13 개의13 측정변인 1 20 11

들이13 묶이는13 것으로서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에13 해당한다 제 요인은13 양13 2

국가13 모두13 전체문항13 가운데13 개13 문항의13 측정변인을13 요인13 구성하였으며13 사회6

단체참여에13 해당한다 마지막으로13 제 요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문항13 가운데13 3

개문항의13 측정변인을13 요인13 구성하였으며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해당3

한다 또한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의13 내적일

치성을13 알아보기13 위해13 의13 계수로13 평가한13 결과 한국Cronbach ( =8029 α

미국 로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신뢰도를13 보5192 5051 = 7658 5746 6933)

이고13 있었다 이상의13 결과를13 보면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변인이13 각기13 별개구성체로13 구성되고13

있음을13 보여준다

확인적13 요인분석결과는13 lt표13 5gt에13 제시하였다 분석에13 포함된13 문항들이13 어

떠한13 공통요인도13 형성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귀무모형이나13 모든13 문항들이13

사회적13 자본이라는13 단일차원의13 개념을13 측정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1-요인모형

두13 가지13 별개차원의13 개념들을13 측정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요인모형 세13 가지13 2

차원의13 개념들을13 각기13 별도로13 측정하도록13 제약을13 가해진13 요인모형으로13 구3

성되었다

144 김상돈

표13 lt 5gt 사회적13 자본13 하위차원에13 대한13 확인적13 요인분석 결과 한국 미국13 (CFA)13 -( N 97913 N=535)=

귀무모형(M0) (M1)

요인모형1

요인모형2요인모형3- 9)

(M2_1) (M2_2) (M2_3)8)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χ2 4465901

(p 001)<

2671725

(p 001)<

1235222

(p 001)<

1097272

(p 001)<

887151

(p 001)<

533939

(p 001)<

1030632

(p 001)<

942579

(p 001)<

899901

(p 001)<

540723

(p 001)<

692709

(p 001)<

383604

(p 001)<

DF 190 190 170 170 169 169 169 169 169 169 167 167

GFI1) - - 888 830 917 909 905 850 916 908 934 933

AGFI2) - - 861 789 897 887 882 814 895 886 917 916

NFI3) - - 745 651 809 814 788 713 806 791 850 855

CFI4) - - 773 693 840 886 818 759 837 844 882 911

IFI5) - - 774 695 841 916 819 761 837 845 883 912

1) Goodness of Fit Index2) Adjusted Goodness of Fit Index3) Normed Fit Index4) Comparative Fit Index5) Incremental Fit Index6) 두13 요인들13 간 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13 사회제도신뢰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68(pgt05) =156(pgt05)]對 7) 두13 요인들13 간 단체참여 사회제도신뢰13 사회적13 지원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52(pgt05) =對 -002(pgt05)]8) 두13 요인들13 간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13 단체참여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65(pgt05) =157(plt01)]對 =9) 세13 요인들13 간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051(pgt05) 061(pgt05) 123(plt05) -013(pgt05)157(plt01)

092(pgt05)]

lt표13 5gt를13 살펴보면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13 귀무모형이나13 1-요인모형

에13 비해13 요인모형들 의13 경우가13 수치2 (M2_1 M2_2 M2_3) 2 (p( 2) χ χ

가13 적을13 뿐만13 아니라13 여러13 가지13 모형부합지수도13 큼을13 알13 수13 있다lt001) 2-

요인모형13 가운데13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이13 하나의13 요인

을13 형성하고13 사회제도신뢰가13 또13 하나의13 요인을13 형성하도록13 제약을13 가한13

모형이13 모형13 및13 모형에13 비해13 수치 가13 M2_1 M2_2 M2_3 2 (p( 2)lt001)χ χ

적을13 뿐만13 아니라13 여러13 가지13 모형부합지수 한국( GFI=917 AGFI=897

미국NFI=809 CFI=840 IFI=841 RMSEA=0569 GFI=909 AGFI=

도13 큼을13 알13 수13 있어13 887 NFI=793 CFI=846 IFI=847 RMSEA=0636)

더13 적절한13 모형이었다 그러나13 세13 가지13 차원의13 개념들을13 각기13 별도로13 측정하

도록13 제약이13 가해진13 3-요인모형은13 어떠한13 요인모형들에13 비해서13 보다도13 모형2

부합지수한국( GFI=934 AGFI=917 NFI=850 CFI=882 IFI=88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5

미국RMSEA=0567 GFI=933 AGFI=916 NFI=855 CFI=911

가13 현격히13 향상되었다 이는13 양13 국가13 모두13 여러13 IFI=912 RMSEA=0493)

가지13 경쟁적인13 내재모형13 가운데13 요인모형이13 최적모형으로써13 분석에13 포함된13 3

문항들이13 세13 가지13 별개의13 구성체들을13 측정하고13 있으며 이13 구성체들13 간에는13

판별집합타당도가13 유지됨을13 확인시켜주는13 결과이다 이로써13 요인모형에13 잠 3

재된13 변인들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이13 각기13 ( )

별개의13 구성체들임을13 보여준다 뿐만13 아니라13 이13 내생변인들13 상호간에는13 연관

관계도13 그다지13 강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모형검증의13 추정결과3

이13 절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13

사이가13 이론적 경험적13 사실과13 어느13 정도13 부합되는지를13 검증한다 이를13 위해13

이들13 변인들13 사이의13 상관13 및13 인과관계 그리고13 경로분석이13 어떻게13 나타나는

지를13 로13 추정한다LISREL 4

측정모형분석에13 근거하여13 여타변인들의13 영향이13 통제되지13 않는13 영차상관관

계(zero- 를13 산출한13 결과는13 order correlation) lt표13 6gt에13 제시하였다 우선 사

회제도신뢰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

회경제적13 지위(r=- 변인만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관계로13 나타난13 192)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 (r=158)

다 이는13 한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불신이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에13 적극적으로13 참여할수록13 제

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났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

활용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남성더미

(r=- 기혼더미094) (r=- 등13 두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451)

4 측정모형분석에13 앞서13 개13 측정변인에13 대한13 다중13 공선성13 여부를13 검증하였다 검증결27

과 연령변인이13 한국이13 으로13 다중공선성이13 의심되는13 바13 연령변인을13 제외하고13 재 646

추정하여13 분석하였다

146 김상돈

관계로13 나타났다 이에13 비해13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남성더미 (r=197)

(r=- 기혼더미152) (r=- 광역시13 더미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이13 통352) (r=147)

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국에서는13 여성일수록 미혼일수록13

사회적13 지원을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되어진다면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여성일수록 미혼일수록 메트로폴리스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적13 지원

을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다른13 한편 사회단체참여에13 유의

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남성더 (r=387)

미 기혼더미 광역시더미(r=273) (r=104) (r=- 변인13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이13 136)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관계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

위 기혼더미 광역시더미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r=409) (r=109) (r=146)

적으로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다시13 말해13 한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남성일수록 기혼일수록 기타도시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반면에 미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기혼일수록 메트로

폴리스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단체에13 적극적으로13 참여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이어서13 사회제도신뢰와13 인과변인사이의13 인과관계는13 구조모형에13 대한13 추정

을13 통해13 규명한다 한국의13 기본모형과13 최종모형의13 추정13 결과 기본모형의13 모

형부합지수는13 정확합치인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미할13 뿐만13 아니라13 001

근사합치인13 GFI=911 AGFI=890 NFI=790 CFI=837 IFI=838

로13 보다13 작아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모형부합지수를13 나타내RMSEA=0588 08

고13 있지만13 전반적으로13 그리13 높지13 않은13 것으로13 나타내고13 있다 반면에13 최종모

형의13 모형부합지수는13 기본모형과13 마찬가지로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 001

미하며13 GFI=901 AGFI=878 NFI=783 CFI=837 IFI=839 RMSEA=

로13 기본모형보다13 다소13 향상되었다 결정계수에13 있어서도 최종모형은13 0594

기본모형에13 비해13 설명력이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 기본모형의13 ( R2=117 222

최종모형의13 044 R2=188 104 056)

동일한13 방식으로13 미국의13 기본모형과13 최종모형의13 추정13 결과 기본모형의13 모

형부합지수는13 정확합치인13 x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미할13 뿐만13 아니라13 001

근사합치인13 GFI=904 AGFI=882 NFI=801 CFI=867 IFI=869

로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모형부합지수를13 나타내고13 있지만13 전반RMSEA=054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7

그림13 2 사회제도신뢰를13 검증하기13 위한13 최종모형 한국13 -

그림13 3 사회제도신뢰를13 검증하기위한13 최종모형 미국13 -

적으로13 그리13 높지13 않는13 부합지수를13 나타내고13 있다 반면에13 최종모형의13 모형

부합지수는13 기본모형과13 마찬가지로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하며13 001

로13 GFI=896 AGFI=871 NFI=782 CFI=867 IFI=889 RMSEA=0539

148 김상돈

기본모형보다13 다소13 향상되었다 또한13 결정계수에13 있어서도 최종모형은13 기본

모형에13 비해13 설명력이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기본모형의13 ( R2=034 174 028

최종모형의13 R2=099 245 039)

모형13 찾기에서13 선정된13 최종모형에13 기초하여13 제반13 외생변인들의13 인과적13 단

위영향을13 보여주는13 구조모형을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추정한13 결과는13 lt표13

6gt에13 제시하였다 구조모형의13 추정결과를13 우선13 살펴보면 기본모형에서13 배제

되었던13 경로들13 가운데13 사회단체참여rarr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경제

적13 지위rarr사회단체참여로13 향하는13 경로만이13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이13 높고13 수정지표도13 현저한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사회경제적13 지위 rarr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rarr사회제도신뢰로13 향하는13 경로들은13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이13 낮고13 수정지표13 또한13 현저하지13 못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각13 내생변인과13 관련한13 결과를13 순서대로13 살펴보면13 다음과13 같다

첫째 사회단체참여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

위 남성 광역시(B=378) (B=220) (B=-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유의미한13 170)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B=416)

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과13 남성 그리고13 기타도시에13 거주하는13

사람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반면에13 미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만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이다

둘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남성(B=189) (B=- 기혼144) (-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유의470)

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남성더미(B=152) (B=- 기혼더미137) (B=- 광역시 등13 네13 372) (B=130)

가지13 변인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과13 여성 미혼은13 사회적13 지원을13 강한13 연

계보다는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광역시에13 거주하는13 사

람들은13 한국사회13 보다13 미국에서13 강한13 연계보다13 약한13 연계에13 사회적13 지원을13

요청한다

셋째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단체참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9

사회경제적13 지위(B=151) (B=- 등13 두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246)

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B=144)

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은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

데13 비해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들은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불신이13 높게13

나타났다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이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났다

변인

한국(N=979) 미국(N=535)

단체참여 사회적지원 사회제도신뢰 단체참여 사회적지원 사회제도신뢰

r B r B r B r B r B r B

매개내생변인

사회적13 지원 048 - -017 -

매개외생변인

단체참여 - 090 189 043 151 104 152 158 144

외생변인

SES 387 378 070 - -192 -246 409 416 197 - 093 031

통제변인

남성13 더미 273 220 -094 -144 -024 -033 006 026 -152 -137 040 039

기혼13 더미 104 068 -451 -470 006 005 109 018 -352 -372 064 037

광역시13 더미 -136 -170 047 053 -005 -007 146 066 147 130 -004 -023

R2 237 220 056 183 195 030

χ2 1187022(df=283) (plt001) 687058(df=283) (plt001)

모형부합치 GFI=915 AGFI=894 NFI=808

CFI=846 IFI=847 RMSEA=0572

GFI=910 AGFI=888 NFI=812

CFI=880 IFI=881 RMSEA=0517

주 제시된13 계수는13 표준화계수이며 통계적13 유의도는13 비표준화계수에13 대한13 검증임 1)

계수를13 연차적으로13 자유모수로13 개방하여13 추정한13 최종모형임2) B21 11 Γ

단측검증 단측검증 단측검증3) p 05 p 01 p 001 < < <

표13 6<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요인들에13 대한13 추정13 결과13 LISREL13

다음은13 사회제도신뢰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대한13 직접 간접 전체영향을13 분리시킨13 경로분석을13 시도한다 그13 결과는13 lt표13 7gt과13 같다

우선 사회제도신뢰의13 경로분석결과를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유의미한13

요인들과13 그13 영향에13 대한13 절대적13 크기순서대로13 나열하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

제적13 지위(B=- 사회단체참여 로13 구성되며 미국에서는13 단체참여189) (151)

변인만으로13 구성되었다 이13 같은13 결과를13 각13 변인별로13 보다13 상세히13 (B=144)

150 김상돈

살펴보면13 먼저 양13 국가13 모두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와13 사회단체참여변인

을13 연결하는13 제 의13 변인은13 존재하지13 않기13 때문에13 사회단체참여의13 전체영향3

은13 직접영향 한국 미국 만으로13 구성되며13 그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 =151 =144)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다 다음으로 사회경제적13 지위13 변인은13 한국

에서13 강한13 부의13 인과적13 영향(B=- 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며13 직접영189)

향(B=- 및13 간접영향 모두13 유의미하였고13 전체의13 가13 직접246) (B=057) 130

영향으로13 구성된다 반면에13 미국에서13 직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으나13 간접영

향 은13 유의미하다 이상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사회단체참여의13 (B=060)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그13 영향의13 구체적13 방향이13 이론적13 예측과13 예외13 없이13 일

치한13 반면에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사회경제적13 지위의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이론적13 예측과13 일치하지13 않았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대한13 경로분석결과를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들과13 그13 영향에13 대한13 절대적13 크기순서대로13 나

열하면 한국에서는13 기혼 (B=- 단체참여 남성457) (B=189) (B=- 사회102)

경제적13 지위 순으로13 구성되며 미국에서는13 기혼(B=071) (B=- 단체참374)

여 광역시 남성(B=152) (B=140) (B=- 사회경제적13 지위 순133) (B=063)

으로13 구성된다 이13 같은13 결과를13 각13 변인별로13 보다13 상세히13 살펴보면 첫째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사회단체참여변인을13 연결하는13 제 의13 3

변인은13 존재하지13 않기13 때문에13 사회단체참여의13 전체영향은13 직접영향한국(

미국 만으로13 구성되며13 그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189 =152)

의미하다 둘째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영향이13 사회단체

참여에13 의해13 전적으로13 매개된13 간접영향한국 미국 으로만13 구성( =069 =063)

되었다 셋째 기혼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직접영향한국 ( =- 미국470 =-371)

만이13 유의미한13 반면에13 간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았다 넷째 남성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직접영향 한국( =- 미국144 =- 이13 유의미하고13 간접영향은13 한137)

국 만이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고13 미국에서는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것(B=042)

으로13 나타났다 다섯째 광역시13 변인은13 한국에선13 직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

은13 대신에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된13 간접영향(B=- 은13 유의미한13 반면032)

에13 미국에선13 사회단체참여에13 매개된13 간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대신에13 직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1

접영향 은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B=130)

한국(N=979) 미국(N=535)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변인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매개변인

사회적지원

단체참여 189 189 151 151 152 152 144 144

외생변인

SES 071 071 -246 057 -189 063 063 030 060 090

통제변인

남성더미 -144 042 -102 -033 033 000 -137 004 -133 039 004 043

기혼더미 -470 013 -457 -026 010 016 -371 -003 -374 038 -003 035

광역시더미 033 -032 001 -006 -026 -032 130 010 140 -023 -009 -014

제시된13 계수는13 표준화계수이며 통계적13 유의도는13 비표준화계수에13 대한13 검증임1)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지원에13 미치는13 영향2) ( ) times ( )=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미치는13 영향3) ( ) times ( )=

전체영향13 직접영향13 간접영향4) = +

단측검증 단측검증 단측검증 p 05 p 01 p 001 < < <

표13 lt 7gt 사회적13 지원과13 사회제도신뢰를13 설명하는13 요인들의13 직접13 간접 전체영향을13 분리한13 경로분석결과LISREL13 1)

논의13 및13 결론V

이13 연구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

회제도신뢰13 등에13 대한13 기술통계13 및13 판별집합타당성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차

이 매개효과13 등을13 실증적으로13 규명할13 목적으로13 수행되었다 이를13 위하여13 유

교공동체주의와13 합리적13 개인주의모델의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특성을13 지니고13 있

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를13 선정하여13 국제사회종합조사 자료모듈인13 (ISSP)

와13 자료를13 대상으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과13 관련KGSS 2004 GSS 2001

된13 일련의13 연구13 가설을13 제시하여13 검증하였다

첫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적13 신뢰 ( )

152 김상돈

은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확연히13 다른13 평균차이를13 보여주고13 있다 사회단

체참여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상대적으로13 더13 적극( =1479) ( =1732)

적이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국에서13 저조

한13 이유는13 년13 이후13 신사회운동을13 포함한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추세에1987

도13 불구하고13 시민사회의13 공론장이13 모순적으로13 제도화되었기13 때문이다 이는13

사회공간이13 존재하는13 것과13 그13 공간에13 참여하는13 것과는13 별개의13 개념임을13 의미

한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은13 미국평균 보다13 한국평균 에서13 약 ( =3187) ( =4541)

한13 연계에13 더13 활용되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

용이13 한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분석결과는13 학연 지연 혈연13 등13 연고13 집단으로13 인해13 사회적13 자본이13 풍부하다고13 주장한13 연구유석춘13 외 와13 일치된다( 2002)

다른13 한편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더13 ( =1733) ( =2075)

높으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제도신뢰가13 한국보다13 미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사실은13 정치 경제적으로13 성공한13 국가가13 그렇지13 못한13 국가보다13 상대적으로13 제도신뢰가13 더13 높을13 것이라고13 제시한13 거시적13 차원에서의13 연구결과

와13 부합된다(Putnam 1993 1995 Fukuyama 1995)

둘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

사회제도신뢰사이에는13 판별) 집합타당도가13 유지된다는13 사실을13 강조할13 필요가13 있다 탐색적13 요인분석과13 더불어13 확인적13 요인분석을13 실시한13 결과에서13 나

타난바와13 같이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을13 측정하기13 위한13 문항들은13 제각기13

해당차원의13 개념들만을13 측정할13 뿐만13 아니라13 이들13 차원들이13 각기13 별도의13 개념

을13 형성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3-요인모형이13 최적모형으로13 판명됨으로써13 3-요인

모형에13 잠재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의13 판별 수렴타당도가13 존재함을13 보여준다 아울러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들13 사이의13 상관관계조차도13 상당히13 미

약한13 것으로13 드러남으로써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13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13 등은13 각기13 별개의13 구성체들로13 이루어져있음이13 나타났다

셋째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 (

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 의13 불평등을13 밝히는데13 사용되었다 사회단체 )

참여와1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변인으로13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와13 접한13

관련성을13 맺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나13 사회제도신뢰에13 있어서13 강한13 부(- 의13 상관13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3

및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와13 사회적13 지원13 연결망활용의13 인과변인으로서13 중요하게13 나타났다 그러나13 한

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

타났으며13 미국에서는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타나13 이들13 연구가설13

모두13 기각된13 결과로13 나타났다 기각된13 이유는13 통계적13 해석과13 담론적13 해석13 두13

가지로13 논의할13 수13 있는데 첫13 번째13 이유는13 사례수와13 변량13 등13 통계적13 근거에

서13 설명할13 수13 있다 예컨대13 구조모형의13 추정에13 동원된13 측정변인13 및13 이론변인

의13 수를13 감안할13 때13 제한된13 사례13 수한국 미국 는13 여러13 변인들의13 ( =979 =535)

변량을13 제한하고13 표준오차를13 증가시킴으로써13 각각13 사회적13 지원13 및13 사회적13 신

뢰의13 통계적13 유의도를13 상실하게13 하는13 원인으로13 작용될13 가능성이13 있다 통계

적13 해석보다13 중요한13 담론적13 해석은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설명유교공동체주의(

자유민주주의에서13 그13 이유를13 예측할13 수13 있다 한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하다는13 사실은13 서구사회의13 인간관계와13 유

사할13 정도로13 진행되고13 있음에도13 불구하고13 여전히13 유교공동체주의모델이13 존

재함을13 보여준13 결과이다 미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

하다는13 사실은13 한국과13 달리13 부의13 불평등에13 대해13 당연시하는13 미국인의13 태도

개인주의 시장의13 제도화13 등13 맥락변인에서13 설명될13 가능성이13 높음을13 예측하게13

한다

넷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강력한13 단위영향과13 관련하여13 한

국 은13 미국 보다13 상대적으로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B=189) (B=152)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한국 은13 미국 보다13 (B=071) (B=06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서도13 사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

우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222 R2 에13 비하여13 포함된13 경우한국=173) (

사회의13 R2 미국사회의13 =243 R2 에13 대한13 설명력이13 각각13 =188) 21 15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이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에13 있어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

거를13 시사하는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사회단체참여의13 경제행위를13 이

해하는데13 있어서13 영리적13 차원의13 자기이해와13 합리적13 선택론에13 근거한13 신제도

주의이론으로만13 온전히13 설명할13 수13 없다는13 점을13 밝히면서13 한편으로는13 개별행

154 김상돈

위자들이13 현재13 맺고13 있는13 사회연결망에13 의해서13 형성된다고13 본13 신경제사회학

의13 이론적13 논의를13 부각시켰다는13 점에서13 시사하는13 바가13 크다 이로써13 사회단

체참여는13 다양한13 사람들과의13 사회적13 관계에서13 유통되는13 사회적13 지원을13 제공

해주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척도로서13 의미13 있는13 구성지표이다

다섯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B=144

보다13 한국 에서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지만 사회경제적13 plt05) (B=151 plt05)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는13 한국 보다13 미국(B=057 plt05)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B=060 plt05) 5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13 있어서도13 사

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미국사회의13 ( R2=037 R2 에13 비=028)

하여13 포함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056 R2 의13 설명력은13 =030)

한국과13 미국13 각각13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은13 작19 02

은13 증가를13 나타냈으나13 단위13 영향13 및13 간접영향13 모두13 높게13 형성되어13 사회단체

참여가13 제도신뢰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거를13 시사

한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공적13 시민정신의13 연구결과들 (Tocqueville

과13 일치됨으로써13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과13 미국13 1845 Putnam 1993 1995)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신뢰의13 중요한13 관건임을13 밝혀냈다 그러나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약한13 정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

데 이러한13 결과가13 나타난13 사실은13 년13 이후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로13 인 1987

해13 시민의13 정치참여를13 높이는데13 일정정도13 기여했으나13 민주적13 시민덕목을13 배

양하는데13 있어서는13 그리13 성공하지13 못한13 데에서13 추측할13 수13 있다 이를13 위해서

는13 중복적13 참여13 및13 자기이해(self- 에13 기초한13 소극적13 참여에서13 호혜성interest)

규범과13 사회적13 신뢰형성을13 위한13 제도적13 메커니즘으로의13 사회단체참여13 구축

이13 무엇보다13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이13 사회제도신뢰에13 미치는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이러한13

사실은13 사회적13 자본의13 연구결과 김용학(Pagden 1988 Fukuyama 1995 손

5 이와13 반대로 결측치에13 개별평균값을13 대체하기전의13 추정결과에서 사회단체참 LISREL

여의13 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B=169 plt05) (B=133 plt05)

더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높게13 나타났다(B=049 plt05) (B=043 plt0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5

재석 이재열 에서13 제시된13 반경범위 내집단13 족쇄 연고13 집단13 등 1998 1998)

의13 용어를13 사용하면서 가족13 및13 개인연결망13 활용이13 공적영역의13 신뢰를13 식민

화하여13 사회13 전체적으로13 저신뢰사회가13 된다고13 주장한13 논의와13 일치하지13 않는13

결과이다 즉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사이의13

관계가13 서로13 양립13 가능한13 현상을13 보여주어13 매개역할13 또한13 기각되었다

종합컨대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상관관계와13 유의미한13 정 의13 인과관계로13 작동하는데13 비해13 미국에서는13 상관13 (+)

및13 인과관계13 모두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 한편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

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은13 약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13 것으 (+)

로13 나타났다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의13 중요한13 인과변인인13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양13 국가13 모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력을13 미치고13 있으며 사회경제적13 지(+)

위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두13 가지13 구성개념사회제도신뢰13 및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 )

인과적13 영향은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되었다는13 사실13 또한13 이13 연구에서13 밝

혀냈다

이상의13 연구에도13 불구하고13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한국의13 ( R2 237 220

미국의13 056 R2 이13 낮게13 형성되었다는13 점과13 와13 183 195 030) KGSS 2004

자료에13 한정하여13 분석하였기13 때문에13 분석결과의13 해석과13 일반화에13 GSS 2001

한계가13 있을13 수13 있다 예를13 들면13 년과13 년이라는13 특정한13 시기에13 조 2004 2001

사가13 이루어졌다는13 점에서13 이론적 경험적으로13 함축하는13 바가13 있다고13 하더라도13 외적13 타당성의13 문제점을13 지닌다 그리고13 이13 연구는13 전국규모를13 대상으로13

조사되었다는13 점에서13 의미하는13 바가13 있지만13 시계열적13 자료를13 통한13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정 한13 검증을13 하지13 못하였다는13 점에서도13 그13 한계가13 있음을13 밝혀

둔다 따라서 향후13 후속연구에서13 제시된13 모델들을13 보다13 정교화하는13 이론적13

작업과13 더불어13 다양한13 변인들을13 충분히13 활용하며13 통시적13 연구13 및13 국가간의13

비교연구13 등을13 통해13 경험적13 연구들이13 진행되어야13 할13 것이며 연구자의13 관심

과13 노력으로13 연구의13 질적13 향상을13 기대해본다

156 김상돈

참고문헌

국민호 동아시아경제발전과13 유교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1997 31 1 pp 29-59「 」 985172 985173김상욱 조직몰입의13 하위차원들의13 타당도평가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2001 35 3 pp 「 」 985172 985173

109-138

김용학 손재석 미시적13 신뢰와13 거시적13 위험 계간사상 1998 38 pp 115-132 「 」 985172 985173이재열 민주주의 사회적13 신뢰 사회적13 자본 계간사상 1998 38 pp 65-93「 」 985172 985173유석춘 외 사회자본과13 신뢰 한국 일본 덴마크 스웨덴13 비교13 연구 동서연구 2002 「 」 985172 985173

권13 호14 1 pp 101-135

장수찬 한국사회에13 나타난13 악순화의13 사이클 한국정치학회보 권13 호 2002 36 1 pp 「 」 985172 98517387-112

한국13 사회과학도서관13 홈페이지 2005 httpwwwksslorkr

Banfield E 1967 The Moral Basis of a Backward Society New York Free Press

Billiet JB and Bart Cambre 1999 ldquoSocial capital active membership in voluntary

associations and some aspects of political participatio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Bourdieu Piere 1984 The Distiction A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Brehm John amp Wendy Rahn 1997 ldquoIndividual-level evidence for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social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41(3)

pp 999-1023

Burt R 1992 Structure Holes The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Coleman James 1988 ldquo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pp 94-121

DiMaggio Paul and Hugh Louch 1998 ldquoSocially Embedded Consumer Transaction

For What Kinds of Purchases Do People Most Often Use Networks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3 pp 619-637

Fukuyama Francis 1995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perty

NewYork Free Press Paper Backs Book

Gambetta Diego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Financial Capital The

Case of Network Marketing Champaign Stipes

Ganzeboom H B G and DJ Treiman 1996 ldquoInternationally Comparable Measures

of Occupational Status for the 1988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rdquo Social Science Research 25 pp 201-239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7

Giddens Anthony 1990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Stanford Stanford UP

Granovetter Mark 1985 ldquoEconomic Action and Social Structure The Problem of

Embeddedness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1 pp 481-510

Inglehart R 1999 Culture Shift in Advanced Industrial Societ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Joumlreskg Karl G and Soumlrbom Dag 1989 LISREL 7 A Guide to the Program and

Applications Chicago SPSS Inc

Lin Nam 1982 ldquoSocial Resource and Instrumental Actionrdquo In Social Structure and

Network Analysis edited by Peter Marsden and Nan Lin Beverly Hill CA

Sage Publication

Loury Glen 1977 ldquoA Dynamic Theory of Racial Income Differencerdquo In PA

Wallace amp A LeMund (eds) Woman Minorities and Employment Discrimi-

nation Lexington Lexington Books

Luhmann Niklas 1988 ldquoFamiliarity Confidence Trust Problems and Alternativesrdquo In D Gambetta (ed)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New York Basil Blackwell

McPherson J Miller 1983 ldquoAn Ecology of Affiliation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8 pp 519-532

Newton Kenneth 1997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rdquo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0(5) pp 575-586

Newton Kenneth 1999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 in Modern Euroupea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s)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Olson ME 1965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Pagden Anthony 1988 ldquoThe Destruction of Trust and its Economic Consequence in

the Case of Eighteenth-century Naplesrdquo In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edited by D Gambetta Oxford Blackwell

Paxton Pamela 1999 ldquoIs Social Capital Declining in the US A Multiple Indicator

Assessment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5(1) pp 88-126

Portes A 1998 ldquoSocial Capital Its Origin and Application in Modern Sociologyrdquo Annual Review of Sociology 24 pp 1-24

Portes A 2000 ldquoThe Two Meaning of Social Capitalrdquo Sociological Forum 15(1)

pp 1-12

Putnam Robert 1993 Making Democracy Work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utnam Robert 1995 ldquoBowling Alone Americans Declining Social Capitalrdquo Journal of Democracy 6(1) pp 65-78

Sztompka P 1999 Trust A Sociological Theor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8 김상돈

Toqueville Alexis de [1835 1840] 1990 Democracy in America(Reprint) New

York Vintage

Verba Sidney Kay Lehman Schlozman and Henry E 1995 Voice and Equality

Civic Voluntarism in American Politics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son Oliver E 1993 ldquoCaculativeness Trust and Economic Organizationrdquo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36(3) pp 453-486

Zucker Lynn G 1986 ldquoProduction of Trust Institutional Sources of Economic

Structurerdquo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8 pp 53-111

Comparison Analysi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n the Causal Structure of Trust in Social InstitutionsWith a focus on Mediation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and

Social Support

Sang-don KimLecturer in The University College at Sungkyunkwan University

This Study explores the multiplicativ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social institutions trus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do this a set of hypotheses concerning th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are set forth and subjected to an empirical assessment by using data set

collected from KGSS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2004 and GSS (General

Social Survey) 2001 out of the ISSP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lanning)

Modules

Analysis of data in terms of ML (Maximum Likelihood) procedure in

LISREL852 was used and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s (1) The unit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on association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2)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status on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but They were appear to be an important predictor to

Korea (3)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on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4) Association participation was especially in

shaping social support and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to the two nations

This study is interpreted that further research on the topic of social capital are

raised with elaborating the measure on the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political efficacy consciousness of social class and so forth coupled with

advertising a few limitation of this study

Keyword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KGSS GSS ISSP

김상돈 성균관대학교13 학부대학강사13

경기도13 수원시13 장안구13 조원동13 한일타운13 동13 호13 119 703 440-709

Tel_01113 912013 132313 13 E-mail_education17hanmailnet

Page 7: 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 미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64/1/5.%e1%84%80%e1...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미비교연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1

이상의13 논의에서13 사회제도신뢰는13 사회적13 관계에서13 형성되기13 때문에13 대칭

적13 이라기보다는13 비대칭적이다 왜냐하면 사회제도신뢰는13 대면적13 상호작용

과13 성찰적13 인지과정을13 통해13 형성되는13 메커니즘이기13 때문이다 Newton(1997)

과13 는13 사회적13 신뢰의13 인과기제를13 사회적으로13 이질적이고13 포괄적Portes(2000)

인13 집단과의13 대면적13 상호작용을13 통해13 형성되며 이13 제시 Putnam(1993 1995)

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인13 네트워크와13 규범13 및13 결과는13 상이하게13 구성되어13

있음을13 그들은13 주장하였다 따라서13 이13 연구에서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을13 각각13 원인과13 결과로부터13 구분하여13 개인의13 심리적13 태도변수인13 사회제도신

뢰를13 결과변인으로13 설정하며 사회제도신뢰는13 개인의13 사회경제적13 지위에13 기

초하고13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을13 인과구조로13 구체화시

킨다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2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교육 직업 소득13 등13 위계적으로13 구조화된13 체계로서13 각

기13 다른13 삶의13 기회와13 생활양식을13 가지게13 되며 이렇게13 각기13 다른13 조건들은13

개인의13 가치관13 및13 사회적13 태도 그리고13 사회적13 행위에13 영향을13 미친다 사회경

제적13 지위에13 따른13 사회단체참여13 및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그리고13 사회

제도신뢰사이의13 인과관계를13 분석한13 기존연구결과는13 다음과13 같다

첫째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인과적13 영향을13 분석한13 기

존연구결과를13 살펴보면 미국사람들의13 사회참여를13 조사한13 연구결과 (Brehm

에서13 단체참여에13 결정적으로13 중요한13 인과적13 요인은13 높은13 and Rahn 1997)

교육 높은13 가계수입 좋은13 직장13 등13 사회경제적13 지위이다 교육과13 소득수준은13

결사체참여에13 가장13 영향력13 있는13 인과변인으로서 교육수준이13 높은13 사람이13 낮

를13 활용한13 장수찬 의13 연구에서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World Value Survey) (2002)

두13 군대 경찰 행정부 사법부 입법부13 순으로13 정치제도가13 높은13 신뢰를13 받는13 것으로13

분석되었으나 사회기관에13 대한13 신뢰의13 경우13 한국은13 환경운동기구 여성운동기구 언

론 기업13 순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은13 기업 환경운동 여성운동기구 언론13 순으로13

나타났다 장수찬( 2002)

132 김상돈

은13 사람에13 비해13 결사체참여가13 높게13 나타났다(Verva Schlozman Brady

직업지위와13 관련해서도13 전문직 사무직13 종사자13 혹은13 자영업자들이13 생1995)

산 기능 노무직에13 종사하는13 사람들보다13 상대적으로13 단체참여에13 보다13 적극적인13 것으로13 나타났다 따라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Inglehart 1999)

람들은13 사회단체참여가13 높으리라고13 판단된다

둘째 사회경제적13 지위와13 사회적13 지원사이의13 인과관계13 틀은13 주로13 사회연결

망의13 연구자들에13 의해서13 규명된다 는13 교육 직업지위 수 Granovetter(1982)

입13 등의13 계층적13 위치가13 높을수록13 직장동료 이웃 아는13 사람13 등의13 약한13 연계

에13 의존하는13 반면에 사회계층이13 낮을수록13 가족 친척13 등의13 강한13 (weak tie)

연계 에13 의존한다고13 주장한다 이러한13 주장은13 린 의13 위(strong tie) (Lin 1982)

세가설에서13 사람들이13 보유하고13 있는13 부와13 권력 사회적13 위세가13 높을수록13 사

회적13 자본의13 창출이13 높다고13 제시하였다 이들의13 연구결과에13 비추어13 볼13 때 사

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13 약한13 연계부터13 사회적13 지원을13 활용할13 가능성이13 높

게13 나타날13 것이라고13 판단된다

셋째 사회제도신뢰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와13 접한13 관련성을13 갖는다 일반적

으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들은13 그들이13 어떤13 사회적13 보상과13 명예를13

이끌어낼13 능력이13 있으므로13 사회제도에13 대한13 긍정적인13 평가를13 할13 가능성이13 높

다 이러한13 주장의13 주된13 근거는13 부자들의13 경우13 타인을13 신뢰하(Olson 1965)

여13 생기는13 위험부담으로13 인해13 자신들이13 가지고13 있는13 일부를13 잃지만13 가난한13

사람들의13 경우13 유일한13 생존수단을13 잃게13 되는13 결과를13 가져올13 수13 있기13 때문이

다 이들의13 연구결과를13 비추어볼13 때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Banfield 1967)

사람이13 낮은13 사람에13 비해13 공공13 및13 민간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상대적으

로13 높게13 나타날13 것으로13 예측된다

전술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

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에13 미치는13 영향이13 일차적이고13 본질적인13 인과변인이라 )

면 사회단체참여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와13 사회연결망의13 기능적13 효과사회적13 지 (

원 사회적13 신뢰 사이의13 매개변인으로13 선정할13 수13 있다 사회단체참여를13 매개 )

변인으로13 선정한13 이유는13 구성원과의13 대면적13 상호작용과13 의사소통행위를13 통

해13 개인의13 사회적13 정체성이13 성립되고 이해관계가13 형성되며 사회적13 행위가1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3

형성 발전되고 사회적13 관계13 속에서13 유통되고13 있는13 경제적 정치적13 도움과13 호혜성규범13 및13 사회적13 신뢰13 등13 기능적13 효과로13 연결되기13 때문이다

첫째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13 지원사이의13 인과관계에13 대한13 기존연구는13

의13 구조적13 공백 의13 생태지위13 등의13 접근방법을13 사용한다Burt McPherson

가13 제시한13 구조적13 공백 개념은13 한13 사람이13 가지고13 Burt(1992) (structural hole)

있는13 연결망들13 사이에서13 그13 중심에13 있는13 사람과는13 어떤13 형태로든13 연결이13 되

지만13 다른13 사람들13 사이에서는13 관계가13 없는13 상태를13 지칭한다 McPherson

이13 제시한13 생태지위 란13 개체의13 환경13 속에서13 자원을13 매개로13 맺는13 (1983) (niche)

관계의13 구체적13 양상을13 의미하는13 것으로서 개체가13 의존하는13 자원들의13 종류가13

다양하고13 광범위하면13 그13 개체가13 보유한13 생태지위의13 범위는13 넓을13 것이고 반

대로13 특정한13 종류의13 자원에만13 의존한다면13 생태지위의13 범위는13 좁을13 것이다

이러한13 점에서13 사회단체에는13 구조적13 공백과13 생태지위 가13 등장하는13 맥(niche)

락을13 설명할13 수13 있는13 이점이13 있다

둘째 사회단체13 참여는13 다양한13 관심사를13 가진13 사람들과의13 만남을13 통해13 참

여자의13 관심영역을13 확장시키고13 다양한13 정치 사회적13 문제에13 대한13 이해를13 높여주며 사회단체에13 의해13 주관되는13 다양한13 행사를13 조직화하고13 집행하는13 과정

에서13 정치와13 관련된13 의사소통과13 의사결정기술을13 연마하게13 되어13 정치참여를13

촉진시킬13 뿐만13 아니라 공공의13 이익을13 위해서13 개인의13 이익을13 양보하는13 공적13

시민정신을13 고취시키며13 무임승차를13 배격하는13 윤리를13 배양한다고13 하였다

은13 사회단체에13 가입13 및13 소속됨으로써13 좋(Tocqueville 1835) Putnam(1995)

은13 이웃과13 동료들을13 만나13 대화를13 나누고13 사회적13 관계를13 쌓을13 수13 있는13 기회13

등을13 얻게13 되며 사람들13 사이에13 축적된13 연결망과13 연결망13 안에서의13 지속적인13

상호작용은13 시민의식이나13 규범13 및13 사회적13 신뢰13 등이13 형성된다고13 제시한다

이상의13 사회단체참여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한13 범주로서13 사회적13 지원과13 제도에13 대

한13 사회적13 신뢰형성에13 영향을13 주는13 중요한13 인과변인이다

한편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연결망유형의13 한13 범주에13 포함된다면 사회적지

원은13 사회연결망의13 기능으로13 표현되어진다 사회적13 지원이란13 사람들이13 맺고13

있는13 사회적13 관계를13 통해13 얻게13 되는13 정서적13 지원 서비스13 지원 경제적13 지원13

등을13 의미한다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사회제도신뢰간의13 인과관계에13

134 김상돈

대한13 연구는13 거시적13 차원의13 사회적13 자본론자들(Pagden 1988 Fukuyama

에13 의해서13 비롯된다 은13 내집단족쇄1995) Pagden(1988) (fetters of in-group)

용어를13 사용하면서13 혈연 지연13 등13 자연적13 관계를13 통한13 공동체적13 유대감과13 학연 직장동료관계와13 같은13 이익집단생활을13 통한13 유대감이13 집단13 내13 소속감으로13 되어13 사람에13 대한13 신뢰는13 높지만 사람에13 대한13 신뢰가13 제도에13 대한13 신뢰의13

희생을13 기반으로13 확대된다고13 하였다 는13 반경범위개념을13 사 Fukuyama(1995)

용하면서13 저신뢰13 사회의13 공통점을13 강력한13 가족주의13 문화와13 중앙집권13 등13 구조

적13 특성에서13 기인된다고13 지적하면서 강력한13 중앙집권국가에13 있어서13 가족과13

국가사이의13 중간지대 즉13 양자사이의13 중개집단들의13 자율과13 자치를13 억압하게13

되어13 사람13 및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상대적으로13 취약하다고13 주장하였

다 국내연구결과김용학 ( 손재석 이재열 에서도13 법적인13 계약서 1998 1998)

나13 재정적인13 보증13 없이13 돈을13 빌려주는13 일 일자리를13 제공하는13 일 계를13 통해13

금리보다13 높은13 이자수익을13 얻는13 등13 사회적13 지원이13 가족13 및13 개인연결망으로13

활용되고13 있으며 이러한13 사적13 영역의13 연결망활용은13 공적영역의13 신뢰를13 식민

화하여13 사회13 전체적으로13 저신뢰사회가13 되었다고13 지적한다 사회적13 지원의13 논

의를13 통해13 일상생활에서13 사람들이13 강한13 연계를13 활용할수록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

적13 신뢰가13 희생된다고13 본13 제한적13 연대의13 개념들예 내집단족쇄 반경범위13 (

등에13 대한13 인과관계의13 연장선상에서13 이13 연구는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13 활용과13 )

사회제도신뢰13 사이의13 인과구조를13 분석한다

연구가설13 및13 연구모형3

이상의13 이론적13 논의를13 토대로13 구성한13 분석모형은13 그림13 과13 같다 이13 연구1

의13 최종13 내생변인은13 사회제도신뢰이다 사회제도신뢰는13 대기업 언론계 교육

계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13 등을13 포함한13 개의13 하위영역으로13 설정하여13 한국 11

과13 미국13 양13 국가의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를13 다차원적 통합적으로13 비교분석한다

사회제도신뢰의13 영향요인은13 사회13 경제적13 지위와13 사회단체참여 그리고13 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5

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으로13 설정하고 통제변인으로13 인구학적13 요인을13 설정

한다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교육년수 직업위세 소득13 등13 세13 가지13 하위범주로13

설정하여13 측정한다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은13 각각13 매개13

외 내생변인으로13 한다 사회단체13 참여는13 정당단체 노동조합 시민단체 취미

단체 이웃단체 기타단체로13 하고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은13 정서적13 지원

경제적13 지원 서비스지원13 등13 세13 가지13 하위범주로13 설정하여13 측정한다

그림13 분석13 모형1

ξ 1 사회경제적13 지위 X 5 기혼더미 Y 10 기업계13 신뢰

ξ 2 남성더미 X 6 광역시더미 Y 11 교육계13 신뢰

ξ 3 기혼더미 Y 1 정당단체참여 Y 12 언론계13 신뢰

ξ 4 광역시13 더미 Y 2 시민단체참여 Y 13 방송계13 신뢰

η 1 사회단체참여 Y 3 노동조합참여 Y 14 의료계13 신뢰

η 2 사회적13 지원 Y 4 취미단체참여 Y 15 행정부13 신뢰

η 3 사회적13 신뢰 Y 5 이웃단체참여 Y 16 입법부13 신뢰

X 1 교육년수 Y 6 기타단체참여 Y 17 사법부13 신뢰

X 2 직업위세 Y 7 정서적13 지원 Y 18 학계13 신뢰

X 3 소득 Y 8 경제적13 지원 Y 19 군대13 신뢰

X 4 남성더미 Y 9 서비스13 지원 Y 20 금융계13 신뢰

기본13 모형에13 대한13 인과13 경로임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과13 수정지수 에13 따라13 추정될13 인과13 경로임(MI)

136 김상돈

이상의13 분석모형을13 토대로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13 사이의13 연구13 가설들은13 다음과13 같다

lt연구가설13 1gt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13 사람보다13 미국사람이13 상대적으로13 더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2gt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이13 낮은13 사람에13 비해13 사회단체

참여에13 적극적일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3gt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이13 사회적13 지원을13 강한13 연계13

보다는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할13 가능성이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4gt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은13 낮은13 사람에13 비해13 상대적으

로13 사회제도13 신뢰가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5gt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일수록13 사회제도신뢰가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6gt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일수록13 사회적13 지원을13 강한13 연계보다

는13 약한13 연계에13 더13 많이13 요청할13 가능성이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7gt 사회적13 지원을13 약한13 연계에13 더13 많이13 요청할수록13 사회제도신

뢰가13 높을13 것이다

연구13 방법III

자료수집방법1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13 사이에13 미치는13

영향을13 분석하기13 위해13 사용할13 자료는13 와13 이다KGSS 2004 GSS 2001

자료는13 성균관대학교13 서베이리서치센터에서13 년13 월13 KGSS 2004 2004 7~8

동안13 실시하였으며 표집절차는13 전국13 주민등록13 전산자료로부터13 다단계지역층

화표본추출법에13 의해13 추출되는데 그13 구체적인13 절차는13 다음과13 같다 첫째 최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7

종표집지역수를13 개로13 선정하고13 이를13 차표집단위인13 전국13 광역시200 1 도의13 가구수13 분포에13 비례하여13 배분한다 둘째 각13 광역시 도로부터13 배분된13 수만큼의13 차표집단위인13 읍2 면 동을13 인구비례확률표집13 원칙을13 적용하여13 무작위로13 추출한다 셋째 이렇게13 추출된13 각13 읍 면 동으로부터13 한13 개의13 최종표집지역면( 의13 경우에는13 리 동의13 경우엔13 통 반을13 무작위로13 선정한다 넷째 선정된13 )

통 반13 또는13 리에서13 개의13 가구를13 계통표집한다 계통표집된13 가구13 내에서13 10

만13 세13 이상13 성인13 가구원들의13 리스트를13 작성한13 후13 이들13 가운데13 태어난13 월18

일이13 가장13 빠른13 사람을13 조사대상자로13 삼는다 조사된13 설문지의13 유효사례수는13

명이다 이13 연구에13 사용할13 변인들에13 대한13 응답13 가운데13 무응답1312 (lsquo모르겠다rsquo 포함 문항에13 개별평균값으로13 대체한13 후13 결측치 ) (missing values)(n=

를13 일률적 으로13 제거하여13 추출된13 총13 명이13 최종13 분석사례수343) (listwise) 979

를13 형성하였다 평균13 대체방법을13 사용한13 이유는13 변인들의13 분포추정치13 왜(N)

곡13 가능성의13 성격을13 지니지만 결측치를13 가능한13 정확한13 값으로13 대체함으로써13

무응답의13 편차감소와13 연구결과의13 일반화13 및13 신뢰성이13 향상될13 수13 있기13 때문이

한편 자료는13 시카고대학의13 GSS 2001 NORC(National Opinion Research

C 에13 의해13 수집된13 자료로서13 년13 월에서13 월에13 걸쳐13 면접자13 조사방enter) 2001 2 5

식에13 의해13 수집되었다 표집방법의13 구체적인13 절차는13 다단계지역13 확률표집방

법으로서13 차13 표집단위는13 표준대도시지역1 (SMSA Standard Metropolitan

또는13 비도시지역의13 카운티들을13 지역 연령13 그리고13 인종에13 Statistical Area)

따라13 층화한13 후13 그13 단위를13 블록그룹이나13 열람구역별로13 인종과13 소득에13 따라13

층화한다 최종표집단위는13 블록이며 블록들을13 크기에13 준해13 확률을13 조정한13

뒤 특정블록을13 추출한다 이렇게13 추출한13 조사대상자를13 대상으로13 부실한13 응

답사례를13 제외한13 유효사례수는13 명이다 한국과13 동일한13 방식으로13 무응답2765

(lsquo모르겠다rsquo 포함의13 문항에13 개별평균값으로13 대체한13 후13 결측치 ) (missing

를13 일률적 으로13 제거하여13 추출된13 총13 명이13 이13 연values)(n=2230) (listwise) 535

구의13 최종13 분석사례13 수 를13 형성하였다(N)

138 김상돈

변수정의13 및13 측정2

이13 연구의13 최종내생변인은13 사회제도신뢰로13 대기업 교육계 언론계 금융

계 학계 의료계 방송계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 군대13 등13 가지13 영역을13 포 11

함한다 이렇게13 구성된13 사회제도신뢰는13 ldquo신뢰하지13 않음rdquo ldquo다소신뢰rdquo ldquo매우13 신뢰rdquo 순으로13 점에서13 점을13 부여하여13 연속변수로13 분석에13 사용한다 1 3

이13 연구의13 매개13 내생변인인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유형은13 사회연결망13 연구

자들의13 연계유형에서13 제시한13 가족 친척 이웃 친구 직장동료 성직자 사회

사업가 의사13 등을13 가족 친척 비13 친척으로13 분류한13 후13 이들13 유형을13 각각13 교

차 시켜13 아홉13 가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13 활용유형을13 만들13 수13 있다 이(3times3)

렇게13 구성된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유형은13 강한13 연계에13 답한13 순으로13 정리한13

후 동일한13 응답범주는13 첫13 번째13 응답에13 강한13 연계로13 답한13 경우를13 우선13 기준

으로13 점에서부터13 점까지의13 점수를13 부여하여13 측정한다1 9

이13 연구의13 매개외생변인은13 사회단체참여로13 정치단체 노조단체 시민단체

취미단체 이웃단체 기타단체13 등13 여섯13 가지13 영역의13 사회단체13 참여수준을13 측

정한다 사회단체참여에13 대한13 영역은13 ldquo소속된13 경험이13 없음rdquo ldquo과거에13 소속된13 경험13 있음rdquo ldquo소속되어13 소극적13 활동rdquo ldquo소속되어13 적극적13 활동rdquo 순으로13 조사

되었으며13 이들13 각각에13 점부터13 점까지의13 점수를13 부여하였다1 4

변13 인정의( )

설13 문13 문13 항측정척도범위[ ]

사회제도신뢰(institution)

개13 주요13 사회기관에13 대한13 신뢰의13 정도11매우13 신뢰13 다소13 신뢰13 매우13 불신 ① ② ③

연속변수[1-3]

사회적13 지원(SUPPORT)

정서적13 지원13 ① ② 연속변수[1-9]

경제적13 지원13 ① ② 연속변수[1-9]

서비스13 지원13 ① ② 연속변수[1-9]

사회단체참여(ASSOCIATION)

개13 사회단체참여에13 대한13 참여13 여부6소속된13 경험13 무13 소속된13 경험① ② 소극적13 활동13 적극적13 활동③ ④

연속변수[1-4]

표13 lt 1gt 내생변인들의13 설문문항13 및13 변수정의1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9

이13 연구의13 외생변인은13 사회경제적13 지위이다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교육년수

소득 직업위세로13 설정한다 교육년수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중요한13 인과변인으로

서13 정규교육을13 받은13 수학년수에13 근거하여13 점에서부터13 점으로13 측정한다0 23

응답자의13 월평균소득은13 와13 자료모듈에13 있는13 원13 자료KGSS 2004 GSS 2001

를13 근거로13 각13 범주에13 중간값을13 부여하여13 자연대수로13 변환하여13 측정한다 응

답자의13 직업은13 간즈붐과13 트라이먼 에13 의하여13 (Ganzeboom amp Trieman 1996)

구성된13 표준국제직업위세척도(SIOPS Standard International Occupation

에서13 제시한13 점부터13 점으로13 점수를13 부여하여13 분석에13 사Prestige Scale) 16 88

용한다

한편 인구학적13 특성인13 성 연령 결혼상태 지역13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은13 통제

변인으로13 설정한다 성은13 더미변수로서13 여성일13 경우는13 남성일13 경우는13 로13 0 1

부여13 한다 연령은13 자연연령으로13 분석에13 사용한다 결혼13 상태는13 더미변수로

서13 미혼13 및13 이혼 사별 별거일13 경우는13 기혼일13 경우는13 로13 부여하여13 더미0 1 변수로13 사용한다 지역은13 한국사회의13 경우13 특별시13 및13 광역시일13 경우에는13 1

기타도시일13 경우는13 으로 미국사회의13 경우13 메트로폴리스는13 기타도시는13 0 1 0

으로13 부여하여13 더미변수로13 만들어13 사용한다

변13 인 설13 문13 문13 항 측정척도

사회경제적13 지위(SES)

교육13 년수연속변수

직업13 위세SIOPS

[16-87]

소득13 수준 ln(income)

통제변인

연령 연속변수

성별남성=1 여성=0

결혼여부기혼=1미혼=0

이혼 사별 별거=0

주거지역광역도시=1기타도시=0

표13 lt 2gt 사회인구학적특성에13 사용된13 설문문항13 및13 변수정의13

140 김상돈

자료분석방법3

이13 연구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

제도신뢰13 사이의13 영향을13 분석하기13 위해13 탐색적13 요인분석 확인적13 요인(EFA)

분석 그리고13 공변량13 구조분석 등을13 시도한다 확인적13 요인(CFA) (LISREL)

분석은13 일련의13 경쟁적인13 요인모형들을13 각기13 추정하여13 모형부합지수를13 각13 모

형별로13 산출하여13 최적의13 모형을13 추정한다 구조방정식모형은13 측정모형과13 구

조모형의13 개13 하위모형으로13 구성되어13 있다 측정모형분석의13 전략은13 제도에13 2

대한13 사회적13 신뢰 사회적13 지원 사회단체참여13 등13 내생잠재변수와13 외생잠재

변수인13 사회경제적13 지위 그리고13 통제변수를13 이론변수로13 설정하여13 제반13 이론

변수간의13 상관관계를13 분석한다 한편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를13 각13 별도의13

결과변인13 혹은13 최종적13 내생변인으로13 설정하고13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을13 매개변인으로13 설정한13 상태에서13 제반13 예측변인들의13 인과적13 단

위영향을13 분석하기13 위한13 구조모형을13 추정한다 이어서13 각13 결과변인을13 설명하

는13 인과요인들의13 직접 간접 전체13 영향을13 분리시키는13 경로분석을13 실시함으로써 각13 인과변인들의13 상대적13 중요성에13 대한13 평가를13 시도한다 각13 차원들을13

결과변인으로13 간주한13 공변량13 구조분석을13 시도함으로써13 이론13 변인들간의13 구

조적13 인과관계를13 추정한다 실증분석을13 위하여13 사용된13 통계프로그램은13 SPSS

및13 를13 사용하였다110 LISREL 852

분석결과IV

기술통계1

분석에13 포함된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의13 조사대상자에13 대한13 사회경제적13 지

위13 특성을13 살펴보면 교육년수는13 한국평균 년보다13 미국평균 ( =12422 ) (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1

년 에서13 약간13 높으며 직업위세점수는13 한국평균 점보다13 미국13629 ) ( =40315 )

점 에서13 정도13 높게13 나타났다 소득수준은13 한국평균 보(47512 ) 7197 ( =5394)

다13 미국평균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 =10464) 3 따라서13 조사대상자의13 사회경제

적13 지위는13 한국보다13 미국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

한편 조사대상자의13 인구학적13 특성을13 살펴보면 연령은13 한국평균 ( =41503

세보다13 미국평균 세에서13 약간13 높으며 남성비율은13 미국 보) ( =42966 ) (450)

다13 한국 에서13 약간13 높은13 분포를13 나타냈다 기혼비율은13 미국 보(460) (450)

다13 한국 에서13 높으며 광역시 특별시13 광역시 에13 거주하는13 한국의13 비(686) (1 6 )

율은13 인13 반면에13 메트로폴리스에13 거주하는13 미국의13 비율은13 로13 나479 292

타났다

다른13 한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 (

망활용 사회제도신뢰을13 살펴보면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평균 보다13 ) ( =1479)

미국평균 에서13 더13 적극적인13 것으로13 나타났으며( =1732) (t=-8045 p 001) <

변인

평균 범위[ ] SD

한국(N 979)=

미국(N 535)=

한국 미국

사회경제적지위

교육년수 12422 [0-23] 13629 [1-20] 4032 2910

SIOPS 40315 [16-87] 47512 [16-88] 13376 16147

소득 5394 [3219-6957] 10464 [6215-11653] 746 950

인구학적특성

연령 41503 [18-84] 42966 [20-86] 14433 16029

남성 460 [0-1] 450 [0-1] 499 498

기혼 686 [0-1] 450 [0-1] 467 498

광역도시 479 [0-1] 292 [0-1] 500 455

주 한국 교육년수 로그소득 미국 교육년수 SES( =855 +725 SIOPS+805 =811 +791 로그소득 SIOPS+ 673 )

표13 lt 3gt 조사대상자의13 사회인구학적13 특성13

3 사회경제적13 지위변수인13 교육 직업위세 로그소득을13 탐색적13 요인분석결과 한국의13

와13 미국의13 자료13 모두13 하나의13 주요인으로13 추출되었으며13 총13 변량KGSS 2004 GSS2001

에13 대한13 설명력은13 각각13 로13 나타났다 이렇게13 구성된13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652 570

교육 직업 소득변수에13 가중치가13 부여된13 조합변수로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 KGSS 2004[

교육교육년수 직업 소득 로그소득 사회경제=855 ( )+725 (SIOPS)+805 ( )] GSS 2001[

적지위 교육 교육년수 직업위세 소득 로그소득 으로13 구성=811 ( )+791 (SIOPS)+673 ( )]

할13 수13 있고13 선형조합인13 요인점수 를13 그13 값으로13 가지게13 된다(factor score)

142 김상돈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은13 미국평균 보다13 한국평균 에서13 ( =3187) ( =4541)

약한13 연계를13 더13 활용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사회제도신뢰(t=9337 p 001) <

는13 한국 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 =1733) ( =2075) (t=-14463

이로써13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13 사람보다13 미국사람이13 더13 높을13 것이라p 001) <

고13 제시한13 lt연구가설13 1gt을13 수용하게13 되었다

변인 평균 SD 차이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평균차이 절대량차이 값t

사회제도신뢰

대기업13 신뢰 1671 2019 548 584 -348 -312 -8123

교육계13 신뢰 1784 2100 575 624 -316 -267 -7273

언론계13 신뢰 1639 1680 588 659 -041 030 -3145

방송계13 신뢰 1779 1665 600 651 114 165 1506

의료계13 신뢰 1873 2274 574 639 -401 -336 -8585

행정부13 신뢰 1461 2046 531 683 -585 -433 -13578

입법부13 신뢰 1180 1905 403 586 -725 -542 -19212

사법부13 신뢰 1944 2275 591 639 -331 -283 -7671

학계13 신뢰 1957 2329 539 613 -372 -298 -8496

군대13 신뢰 1915 2468 649 614 -553 -588 -12062

금융계13 신뢰 1865 2068 593 629 -203 -167 -4463

전13 체 1733 2075 318 343 -342 -317 -14463

사회적13 지원

정서적13 지원 5813 3802 2672 2792 2011 2131 10916

경제적13 지원 4843 3202 2853 2788 1641 1576 7167

서비스13 지원 2967 2557 2352 2457 410 515 4336

전13 체 4541 3187 1880 1950 1354 1424 9337

단체참여

정당단체13 참여 1163 1593 518 1032 -430 084 -8129

시민단체13 참여 1098 1874 421 1229 -776 032 -12751

노동조합13 참여 1275 1512 674 956 -237 045 -7695

취미단체13 참여 1819 2166 1071 1366 -347 -052 -4389

이웃단체13 참여 1614 1493 1041 977 121 057 567

기타단체13 참여 1905 1753 1208 1151 152 095 1199

전13 체 1479 1732 469 702 -253 -020 -8045

주 평균13 및13 절대량13 차이는13 기술통계의13 차이 한국 ( -미국이며13 통계적13 유의도는13 ) t- 에13 대한13 검증test임

p 05 p 01 p 001 < < <

표13 lt 4gt 사회적자본의13 기술통계한국 미국13 ( 13 N 97913 13 N=53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3

모형검증의13 타당도평가2

이13 절에서는13 내생변인들에13 대한13 모형검증의13 타당도를13 분석한다 모형검증

의13 타당도를13 분석하기13 위해서는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13 변인13 등은13 탐색적13 요인분석과13 확인적13 요인분석이13 사용된다

탐색적13 요인분석결과 표본적절성13 측정치인13 값한국 미국 KMO ( =773

은13 적절한13 수준이었으며13 의13 구형성13 검증13 통계치의13 유의수준은13 =752) Bartlett

양13 국가13 모두13 으로13 보다13 작아13 자료의13 상관이13 요인에13 적합한13 것으로13 000 05 3

나타났다 제 요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13 개13 문항13 가운데13 개의13 측정변인 1 20 11

들이13 묶이는13 것으로서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에13 해당한다 제 요인은13 양13 2

국가13 모두13 전체문항13 가운데13 개13 문항의13 측정변인을13 요인13 구성하였으며13 사회6

단체참여에13 해당한다 마지막으로13 제 요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문항13 가운데13 3

개문항의13 측정변인을13 요인13 구성하였으며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해당3

한다 또한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의13 내적일

치성을13 알아보기13 위해13 의13 계수로13 평가한13 결과 한국Cronbach ( =8029 α

미국 로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신뢰도를13 보5192 5051 = 7658 5746 6933)

이고13 있었다 이상의13 결과를13 보면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변인이13 각기13 별개구성체로13 구성되고13

있음을13 보여준다

확인적13 요인분석결과는13 lt표13 5gt에13 제시하였다 분석에13 포함된13 문항들이13 어

떠한13 공통요인도13 형성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귀무모형이나13 모든13 문항들이13

사회적13 자본이라는13 단일차원의13 개념을13 측정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1-요인모형

두13 가지13 별개차원의13 개념들을13 측정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요인모형 세13 가지13 2

차원의13 개념들을13 각기13 별도로13 측정하도록13 제약을13 가해진13 요인모형으로13 구3

성되었다

144 김상돈

표13 lt 5gt 사회적13 자본13 하위차원에13 대한13 확인적13 요인분석 결과 한국 미국13 (CFA)13 -( N 97913 N=535)=

귀무모형(M0) (M1)

요인모형1

요인모형2요인모형3- 9)

(M2_1) (M2_2) (M2_3)8)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χ2 4465901

(p 001)<

2671725

(p 001)<

1235222

(p 001)<

1097272

(p 001)<

887151

(p 001)<

533939

(p 001)<

1030632

(p 001)<

942579

(p 001)<

899901

(p 001)<

540723

(p 001)<

692709

(p 001)<

383604

(p 001)<

DF 190 190 170 170 169 169 169 169 169 169 167 167

GFI1) - - 888 830 917 909 905 850 916 908 934 933

AGFI2) - - 861 789 897 887 882 814 895 886 917 916

NFI3) - - 745 651 809 814 788 713 806 791 850 855

CFI4) - - 773 693 840 886 818 759 837 844 882 911

IFI5) - - 774 695 841 916 819 761 837 845 883 912

1) Goodness of Fit Index2) Adjusted Goodness of Fit Index3) Normed Fit Index4) Comparative Fit Index5) Incremental Fit Index6) 두13 요인들13 간 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13 사회제도신뢰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68(pgt05) =156(pgt05)]對 7) 두13 요인들13 간 단체참여 사회제도신뢰13 사회적13 지원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52(pgt05) =對 -002(pgt05)]8) 두13 요인들13 간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13 단체참여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65(pgt05) =157(plt01)]對 =9) 세13 요인들13 간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051(pgt05) 061(pgt05) 123(plt05) -013(pgt05)157(plt01)

092(pgt05)]

lt표13 5gt를13 살펴보면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13 귀무모형이나13 1-요인모형

에13 비해13 요인모형들 의13 경우가13 수치2 (M2_1 M2_2 M2_3) 2 (p( 2) χ χ

가13 적을13 뿐만13 아니라13 여러13 가지13 모형부합지수도13 큼을13 알13 수13 있다lt001) 2-

요인모형13 가운데13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이13 하나의13 요인

을13 형성하고13 사회제도신뢰가13 또13 하나의13 요인을13 형성하도록13 제약을13 가한13

모형이13 모형13 및13 모형에13 비해13 수치 가13 M2_1 M2_2 M2_3 2 (p( 2)lt001)χ χ

적을13 뿐만13 아니라13 여러13 가지13 모형부합지수 한국( GFI=917 AGFI=897

미국NFI=809 CFI=840 IFI=841 RMSEA=0569 GFI=909 AGFI=

도13 큼을13 알13 수13 있어13 887 NFI=793 CFI=846 IFI=847 RMSEA=0636)

더13 적절한13 모형이었다 그러나13 세13 가지13 차원의13 개념들을13 각기13 별도로13 측정하

도록13 제약이13 가해진13 3-요인모형은13 어떠한13 요인모형들에13 비해서13 보다도13 모형2

부합지수한국( GFI=934 AGFI=917 NFI=850 CFI=882 IFI=88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5

미국RMSEA=0567 GFI=933 AGFI=916 NFI=855 CFI=911

가13 현격히13 향상되었다 이는13 양13 국가13 모두13 여러13 IFI=912 RMSEA=0493)

가지13 경쟁적인13 내재모형13 가운데13 요인모형이13 최적모형으로써13 분석에13 포함된13 3

문항들이13 세13 가지13 별개의13 구성체들을13 측정하고13 있으며 이13 구성체들13 간에는13

판별집합타당도가13 유지됨을13 확인시켜주는13 결과이다 이로써13 요인모형에13 잠 3

재된13 변인들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이13 각기13 ( )

별개의13 구성체들임을13 보여준다 뿐만13 아니라13 이13 내생변인들13 상호간에는13 연관

관계도13 그다지13 강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모형검증의13 추정결과3

이13 절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13

사이가13 이론적 경험적13 사실과13 어느13 정도13 부합되는지를13 검증한다 이를13 위해13

이들13 변인들13 사이의13 상관13 및13 인과관계 그리고13 경로분석이13 어떻게13 나타나는

지를13 로13 추정한다LISREL 4

측정모형분석에13 근거하여13 여타변인들의13 영향이13 통제되지13 않는13 영차상관관

계(zero- 를13 산출한13 결과는13 order correlation) lt표13 6gt에13 제시하였다 우선 사

회제도신뢰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

회경제적13 지위(r=- 변인만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관계로13 나타난13 192)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 (r=158)

다 이는13 한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불신이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에13 적극적으로13 참여할수록13 제

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났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

활용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남성더미

(r=- 기혼더미094) (r=- 등13 두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451)

4 측정모형분석에13 앞서13 개13 측정변인에13 대한13 다중13 공선성13 여부를13 검증하였다 검증결27

과 연령변인이13 한국이13 으로13 다중공선성이13 의심되는13 바13 연령변인을13 제외하고13 재 646

추정하여13 분석하였다

146 김상돈

관계로13 나타났다 이에13 비해13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남성더미 (r=197)

(r=- 기혼더미152) (r=- 광역시13 더미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이13 통352) (r=147)

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국에서는13 여성일수록 미혼일수록13

사회적13 지원을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되어진다면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여성일수록 미혼일수록 메트로폴리스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적13 지원

을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다른13 한편 사회단체참여에13 유의

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남성더 (r=387)

미 기혼더미 광역시더미(r=273) (r=104) (r=- 변인13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이13 136)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관계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

위 기혼더미 광역시더미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r=409) (r=109) (r=146)

적으로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다시13 말해13 한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남성일수록 기혼일수록 기타도시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반면에 미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기혼일수록 메트로

폴리스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단체에13 적극적으로13 참여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이어서13 사회제도신뢰와13 인과변인사이의13 인과관계는13 구조모형에13 대한13 추정

을13 통해13 규명한다 한국의13 기본모형과13 최종모형의13 추정13 결과 기본모형의13 모

형부합지수는13 정확합치인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미할13 뿐만13 아니라13 001

근사합치인13 GFI=911 AGFI=890 NFI=790 CFI=837 IFI=838

로13 보다13 작아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모형부합지수를13 나타내RMSEA=0588 08

고13 있지만13 전반적으로13 그리13 높지13 않은13 것으로13 나타내고13 있다 반면에13 최종모

형의13 모형부합지수는13 기본모형과13 마찬가지로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 001

미하며13 GFI=901 AGFI=878 NFI=783 CFI=837 IFI=839 RMSEA=

로13 기본모형보다13 다소13 향상되었다 결정계수에13 있어서도 최종모형은13 0594

기본모형에13 비해13 설명력이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 기본모형의13 ( R2=117 222

최종모형의13 044 R2=188 104 056)

동일한13 방식으로13 미국의13 기본모형과13 최종모형의13 추정13 결과 기본모형의13 모

형부합지수는13 정확합치인13 x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미할13 뿐만13 아니라13 001

근사합치인13 GFI=904 AGFI=882 NFI=801 CFI=867 IFI=869

로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모형부합지수를13 나타내고13 있지만13 전반RMSEA=054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7

그림13 2 사회제도신뢰를13 검증하기13 위한13 최종모형 한국13 -

그림13 3 사회제도신뢰를13 검증하기위한13 최종모형 미국13 -

적으로13 그리13 높지13 않는13 부합지수를13 나타내고13 있다 반면에13 최종모형의13 모형

부합지수는13 기본모형과13 마찬가지로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하며13 001

로13 GFI=896 AGFI=871 NFI=782 CFI=867 IFI=889 RMSEA=0539

148 김상돈

기본모형보다13 다소13 향상되었다 또한13 결정계수에13 있어서도 최종모형은13 기본

모형에13 비해13 설명력이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기본모형의13 ( R2=034 174 028

최종모형의13 R2=099 245 039)

모형13 찾기에서13 선정된13 최종모형에13 기초하여13 제반13 외생변인들의13 인과적13 단

위영향을13 보여주는13 구조모형을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추정한13 결과는13 lt표13

6gt에13 제시하였다 구조모형의13 추정결과를13 우선13 살펴보면 기본모형에서13 배제

되었던13 경로들13 가운데13 사회단체참여rarr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경제

적13 지위rarr사회단체참여로13 향하는13 경로만이13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이13 높고13 수정지표도13 현저한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사회경제적13 지위 rarr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rarr사회제도신뢰로13 향하는13 경로들은13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이13 낮고13 수정지표13 또한13 현저하지13 못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각13 내생변인과13 관련한13 결과를13 순서대로13 살펴보면13 다음과13 같다

첫째 사회단체참여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

위 남성 광역시(B=378) (B=220) (B=-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유의미한13 170)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B=416)

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과13 남성 그리고13 기타도시에13 거주하는13

사람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반면에13 미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만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이다

둘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남성(B=189) (B=- 기혼144) (-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유의470)

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남성더미(B=152) (B=- 기혼더미137) (B=- 광역시 등13 네13 372) (B=130)

가지13 변인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과13 여성 미혼은13 사회적13 지원을13 강한13 연

계보다는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광역시에13 거주하는13 사

람들은13 한국사회13 보다13 미국에서13 강한13 연계보다13 약한13 연계에13 사회적13 지원을13

요청한다

셋째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단체참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9

사회경제적13 지위(B=151) (B=- 등13 두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246)

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B=144)

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은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

데13 비해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들은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불신이13 높게13

나타났다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이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났다

변인

한국(N=979) 미국(N=535)

단체참여 사회적지원 사회제도신뢰 단체참여 사회적지원 사회제도신뢰

r B r B r B r B r B r B

매개내생변인

사회적13 지원 048 - -017 -

매개외생변인

단체참여 - 090 189 043 151 104 152 158 144

외생변인

SES 387 378 070 - -192 -246 409 416 197 - 093 031

통제변인

남성13 더미 273 220 -094 -144 -024 -033 006 026 -152 -137 040 039

기혼13 더미 104 068 -451 -470 006 005 109 018 -352 -372 064 037

광역시13 더미 -136 -170 047 053 -005 -007 146 066 147 130 -004 -023

R2 237 220 056 183 195 030

χ2 1187022(df=283) (plt001) 687058(df=283) (plt001)

모형부합치 GFI=915 AGFI=894 NFI=808

CFI=846 IFI=847 RMSEA=0572

GFI=910 AGFI=888 NFI=812

CFI=880 IFI=881 RMSEA=0517

주 제시된13 계수는13 표준화계수이며 통계적13 유의도는13 비표준화계수에13 대한13 검증임 1)

계수를13 연차적으로13 자유모수로13 개방하여13 추정한13 최종모형임2) B21 11 Γ

단측검증 단측검증 단측검증3) p 05 p 01 p 001 < < <

표13 6<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요인들에13 대한13 추정13 결과13 LISREL13

다음은13 사회제도신뢰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대한13 직접 간접 전체영향을13 분리시킨13 경로분석을13 시도한다 그13 결과는13 lt표13 7gt과13 같다

우선 사회제도신뢰의13 경로분석결과를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유의미한13

요인들과13 그13 영향에13 대한13 절대적13 크기순서대로13 나열하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

제적13 지위(B=- 사회단체참여 로13 구성되며 미국에서는13 단체참여189) (151)

변인만으로13 구성되었다 이13 같은13 결과를13 각13 변인별로13 보다13 상세히13 (B=144)

150 김상돈

살펴보면13 먼저 양13 국가13 모두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와13 사회단체참여변인

을13 연결하는13 제 의13 변인은13 존재하지13 않기13 때문에13 사회단체참여의13 전체영향3

은13 직접영향 한국 미국 만으로13 구성되며13 그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 =151 =144)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다 다음으로 사회경제적13 지위13 변인은13 한국

에서13 강한13 부의13 인과적13 영향(B=- 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며13 직접영189)

향(B=- 및13 간접영향 모두13 유의미하였고13 전체의13 가13 직접246) (B=057) 130

영향으로13 구성된다 반면에13 미국에서13 직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으나13 간접영

향 은13 유의미하다 이상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사회단체참여의13 (B=060)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그13 영향의13 구체적13 방향이13 이론적13 예측과13 예외13 없이13 일

치한13 반면에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사회경제적13 지위의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이론적13 예측과13 일치하지13 않았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대한13 경로분석결과를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들과13 그13 영향에13 대한13 절대적13 크기순서대로13 나

열하면 한국에서는13 기혼 (B=- 단체참여 남성457) (B=189) (B=- 사회102)

경제적13 지위 순으로13 구성되며 미국에서는13 기혼(B=071) (B=- 단체참374)

여 광역시 남성(B=152) (B=140) (B=- 사회경제적13 지위 순133) (B=063)

으로13 구성된다 이13 같은13 결과를13 각13 변인별로13 보다13 상세히13 살펴보면 첫째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사회단체참여변인을13 연결하는13 제 의13 3

변인은13 존재하지13 않기13 때문에13 사회단체참여의13 전체영향은13 직접영향한국(

미국 만으로13 구성되며13 그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189 =152)

의미하다 둘째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영향이13 사회단체

참여에13 의해13 전적으로13 매개된13 간접영향한국 미국 으로만13 구성( =069 =063)

되었다 셋째 기혼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직접영향한국 ( =- 미국470 =-371)

만이13 유의미한13 반면에13 간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았다 넷째 남성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직접영향 한국( =- 미국144 =- 이13 유의미하고13 간접영향은13 한137)

국 만이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고13 미국에서는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것(B=042)

으로13 나타났다 다섯째 광역시13 변인은13 한국에선13 직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

은13 대신에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된13 간접영향(B=- 은13 유의미한13 반면032)

에13 미국에선13 사회단체참여에13 매개된13 간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대신에13 직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1

접영향 은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B=130)

한국(N=979) 미국(N=535)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변인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매개변인

사회적지원

단체참여 189 189 151 151 152 152 144 144

외생변인

SES 071 071 -246 057 -189 063 063 030 060 090

통제변인

남성더미 -144 042 -102 -033 033 000 -137 004 -133 039 004 043

기혼더미 -470 013 -457 -026 010 016 -371 -003 -374 038 -003 035

광역시더미 033 -032 001 -006 -026 -032 130 010 140 -023 -009 -014

제시된13 계수는13 표준화계수이며 통계적13 유의도는13 비표준화계수에13 대한13 검증임1)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지원에13 미치는13 영향2) ( ) times ( )=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미치는13 영향3) ( ) times ( )=

전체영향13 직접영향13 간접영향4) = +

단측검증 단측검증 단측검증 p 05 p 01 p 001 < < <

표13 lt 7gt 사회적13 지원과13 사회제도신뢰를13 설명하는13 요인들의13 직접13 간접 전체영향을13 분리한13 경로분석결과LISREL13 1)

논의13 및13 결론V

이13 연구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

회제도신뢰13 등에13 대한13 기술통계13 및13 판별집합타당성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차

이 매개효과13 등을13 실증적으로13 규명할13 목적으로13 수행되었다 이를13 위하여13 유

교공동체주의와13 합리적13 개인주의모델의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특성을13 지니고13 있

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를13 선정하여13 국제사회종합조사 자료모듈인13 (ISSP)

와13 자료를13 대상으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과13 관련KGSS 2004 GSS 2001

된13 일련의13 연구13 가설을13 제시하여13 검증하였다

첫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적13 신뢰 ( )

152 김상돈

은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확연히13 다른13 평균차이를13 보여주고13 있다 사회단

체참여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상대적으로13 더13 적극( =1479) ( =1732)

적이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국에서13 저조

한13 이유는13 년13 이후13 신사회운동을13 포함한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추세에1987

도13 불구하고13 시민사회의13 공론장이13 모순적으로13 제도화되었기13 때문이다 이는13

사회공간이13 존재하는13 것과13 그13 공간에13 참여하는13 것과는13 별개의13 개념임을13 의미

한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은13 미국평균 보다13 한국평균 에서13 약 ( =3187) ( =4541)

한13 연계에13 더13 활용되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

용이13 한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분석결과는13 학연 지연 혈연13 등13 연고13 집단으로13 인해13 사회적13 자본이13 풍부하다고13 주장한13 연구유석춘13 외 와13 일치된다( 2002)

다른13 한편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더13 ( =1733) ( =2075)

높으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제도신뢰가13 한국보다13 미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사실은13 정치 경제적으로13 성공한13 국가가13 그렇지13 못한13 국가보다13 상대적으로13 제도신뢰가13 더13 높을13 것이라고13 제시한13 거시적13 차원에서의13 연구결과

와13 부합된다(Putnam 1993 1995 Fukuyama 1995)

둘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

사회제도신뢰사이에는13 판별) 집합타당도가13 유지된다는13 사실을13 강조할13 필요가13 있다 탐색적13 요인분석과13 더불어13 확인적13 요인분석을13 실시한13 결과에서13 나

타난바와13 같이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을13 측정하기13 위한13 문항들은13 제각기13

해당차원의13 개념들만을13 측정할13 뿐만13 아니라13 이들13 차원들이13 각기13 별도의13 개념

을13 형성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3-요인모형이13 최적모형으로13 판명됨으로써13 3-요인

모형에13 잠재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의13 판별 수렴타당도가13 존재함을13 보여준다 아울러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들13 사이의13 상관관계조차도13 상당히13 미

약한13 것으로13 드러남으로써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13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13 등은13 각기13 별개의13 구성체들로13 이루어져있음이13 나타났다

셋째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 (

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 의13 불평등을13 밝히는데13 사용되었다 사회단체 )

참여와1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변인으로13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와13 접한13

관련성을13 맺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나13 사회제도신뢰에13 있어서13 강한13 부(- 의13 상관13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3

및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와13 사회적13 지원13 연결망활용의13 인과변인으로서13 중요하게13 나타났다 그러나13 한

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

타났으며13 미국에서는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타나13 이들13 연구가설13

모두13 기각된13 결과로13 나타났다 기각된13 이유는13 통계적13 해석과13 담론적13 해석13 두13

가지로13 논의할13 수13 있는데 첫13 번째13 이유는13 사례수와13 변량13 등13 통계적13 근거에

서13 설명할13 수13 있다 예컨대13 구조모형의13 추정에13 동원된13 측정변인13 및13 이론변인

의13 수를13 감안할13 때13 제한된13 사례13 수한국 미국 는13 여러13 변인들의13 ( =979 =535)

변량을13 제한하고13 표준오차를13 증가시킴으로써13 각각13 사회적13 지원13 및13 사회적13 신

뢰의13 통계적13 유의도를13 상실하게13 하는13 원인으로13 작용될13 가능성이13 있다 통계

적13 해석보다13 중요한13 담론적13 해석은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설명유교공동체주의(

자유민주주의에서13 그13 이유를13 예측할13 수13 있다 한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하다는13 사실은13 서구사회의13 인간관계와13 유

사할13 정도로13 진행되고13 있음에도13 불구하고13 여전히13 유교공동체주의모델이13 존

재함을13 보여준13 결과이다 미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

하다는13 사실은13 한국과13 달리13 부의13 불평등에13 대해13 당연시하는13 미국인의13 태도

개인주의 시장의13 제도화13 등13 맥락변인에서13 설명될13 가능성이13 높음을13 예측하게13

한다

넷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강력한13 단위영향과13 관련하여13 한

국 은13 미국 보다13 상대적으로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B=189) (B=152)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한국 은13 미국 보다13 (B=071) (B=06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서도13 사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

우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222 R2 에13 비하여13 포함된13 경우한국=173) (

사회의13 R2 미국사회의13 =243 R2 에13 대한13 설명력이13 각각13 =188) 21 15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이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에13 있어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

거를13 시사하는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사회단체참여의13 경제행위를13 이

해하는데13 있어서13 영리적13 차원의13 자기이해와13 합리적13 선택론에13 근거한13 신제도

주의이론으로만13 온전히13 설명할13 수13 없다는13 점을13 밝히면서13 한편으로는13 개별행

154 김상돈

위자들이13 현재13 맺고13 있는13 사회연결망에13 의해서13 형성된다고13 본13 신경제사회학

의13 이론적13 논의를13 부각시켰다는13 점에서13 시사하는13 바가13 크다 이로써13 사회단

체참여는13 다양한13 사람들과의13 사회적13 관계에서13 유통되는13 사회적13 지원을13 제공

해주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척도로서13 의미13 있는13 구성지표이다

다섯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B=144

보다13 한국 에서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지만 사회경제적13 plt05) (B=151 plt05)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는13 한국 보다13 미국(B=057 plt05)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B=060 plt05) 5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13 있어서도13 사

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미국사회의13 ( R2=037 R2 에13 비=028)

하여13 포함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056 R2 의13 설명력은13 =030)

한국과13 미국13 각각13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은13 작19 02

은13 증가를13 나타냈으나13 단위13 영향13 및13 간접영향13 모두13 높게13 형성되어13 사회단체

참여가13 제도신뢰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거를13 시사

한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공적13 시민정신의13 연구결과들 (Tocqueville

과13 일치됨으로써13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과13 미국13 1845 Putnam 1993 1995)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신뢰의13 중요한13 관건임을13 밝혀냈다 그러나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약한13 정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

데 이러한13 결과가13 나타난13 사실은13 년13 이후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로13 인 1987

해13 시민의13 정치참여를13 높이는데13 일정정도13 기여했으나13 민주적13 시민덕목을13 배

양하는데13 있어서는13 그리13 성공하지13 못한13 데에서13 추측할13 수13 있다 이를13 위해서

는13 중복적13 참여13 및13 자기이해(self- 에13 기초한13 소극적13 참여에서13 호혜성interest)

규범과13 사회적13 신뢰형성을13 위한13 제도적13 메커니즘으로의13 사회단체참여13 구축

이13 무엇보다13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이13 사회제도신뢰에13 미치는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이러한13

사실은13 사회적13 자본의13 연구결과 김용학(Pagden 1988 Fukuyama 1995 손

5 이와13 반대로 결측치에13 개별평균값을13 대체하기전의13 추정결과에서 사회단체참 LISREL

여의13 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B=169 plt05) (B=133 plt05)

더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높게13 나타났다(B=049 plt05) (B=043 plt0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5

재석 이재열 에서13 제시된13 반경범위 내집단13 족쇄 연고13 집단13 등 1998 1998)

의13 용어를13 사용하면서 가족13 및13 개인연결망13 활용이13 공적영역의13 신뢰를13 식민

화하여13 사회13 전체적으로13 저신뢰사회가13 된다고13 주장한13 논의와13 일치하지13 않는13

결과이다 즉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사이의13

관계가13 서로13 양립13 가능한13 현상을13 보여주어13 매개역할13 또한13 기각되었다

종합컨대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상관관계와13 유의미한13 정 의13 인과관계로13 작동하는데13 비해13 미국에서는13 상관13 (+)

및13 인과관계13 모두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 한편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

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은13 약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13 것으 (+)

로13 나타났다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의13 중요한13 인과변인인13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양13 국가13 모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력을13 미치고13 있으며 사회경제적13 지(+)

위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두13 가지13 구성개념사회제도신뢰13 및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 )

인과적13 영향은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되었다는13 사실13 또한13 이13 연구에서13 밝

혀냈다

이상의13 연구에도13 불구하고13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한국의13 ( R2 237 220

미국의13 056 R2 이13 낮게13 형성되었다는13 점과13 와13 183 195 030) KGSS 2004

자료에13 한정하여13 분석하였기13 때문에13 분석결과의13 해석과13 일반화에13 GSS 2001

한계가13 있을13 수13 있다 예를13 들면13 년과13 년이라는13 특정한13 시기에13 조 2004 2001

사가13 이루어졌다는13 점에서13 이론적 경험적으로13 함축하는13 바가13 있다고13 하더라도13 외적13 타당성의13 문제점을13 지닌다 그리고13 이13 연구는13 전국규모를13 대상으로13

조사되었다는13 점에서13 의미하는13 바가13 있지만13 시계열적13 자료를13 통한13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정 한13 검증을13 하지13 못하였다는13 점에서도13 그13 한계가13 있음을13 밝혀

둔다 따라서 향후13 후속연구에서13 제시된13 모델들을13 보다13 정교화하는13 이론적13

작업과13 더불어13 다양한13 변인들을13 충분히13 활용하며13 통시적13 연구13 및13 국가간의13

비교연구13 등을13 통해13 경험적13 연구들이13 진행되어야13 할13 것이며 연구자의13 관심

과13 노력으로13 연구의13 질적13 향상을13 기대해본다

156 김상돈

참고문헌

국민호 동아시아경제발전과13 유교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1997 31 1 pp 29-59「 」 985172 985173김상욱 조직몰입의13 하위차원들의13 타당도평가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2001 35 3 pp 「 」 985172 985173

109-138

김용학 손재석 미시적13 신뢰와13 거시적13 위험 계간사상 1998 38 pp 115-132 「 」 985172 985173이재열 민주주의 사회적13 신뢰 사회적13 자본 계간사상 1998 38 pp 65-93「 」 985172 985173유석춘 외 사회자본과13 신뢰 한국 일본 덴마크 스웨덴13 비교13 연구 동서연구 2002 「 」 985172 985173

권13 호14 1 pp 101-135

장수찬 한국사회에13 나타난13 악순화의13 사이클 한국정치학회보 권13 호 2002 36 1 pp 「 」 985172 98517387-112

한국13 사회과학도서관13 홈페이지 2005 httpwwwksslorkr

Banfield E 1967 The Moral Basis of a Backward Society New York Free Press

Billiet JB and Bart Cambre 1999 ldquoSocial capital active membership in voluntary

associations and some aspects of political participatio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Bourdieu Piere 1984 The Distiction A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Brehm John amp Wendy Rahn 1997 ldquoIndividual-level evidence for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social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41(3)

pp 999-1023

Burt R 1992 Structure Holes The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Coleman James 1988 ldquo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pp 94-121

DiMaggio Paul and Hugh Louch 1998 ldquoSocially Embedded Consumer Transaction

For What Kinds of Purchases Do People Most Often Use Networks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3 pp 619-637

Fukuyama Francis 1995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perty

NewYork Free Press Paper Backs Book

Gambetta Diego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Financial Capital The

Case of Network Marketing Champaign Stipes

Ganzeboom H B G and DJ Treiman 1996 ldquoInternationally Comparable Measures

of Occupational Status for the 1988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rdquo Social Science Research 25 pp 201-239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7

Giddens Anthony 1990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Stanford Stanford UP

Granovetter Mark 1985 ldquoEconomic Action and Social Structure The Problem of

Embeddedness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1 pp 481-510

Inglehart R 1999 Culture Shift in Advanced Industrial Societ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Joumlreskg Karl G and Soumlrbom Dag 1989 LISREL 7 A Guide to the Program and

Applications Chicago SPSS Inc

Lin Nam 1982 ldquoSocial Resource and Instrumental Actionrdquo In Social Structure and

Network Analysis edited by Peter Marsden and Nan Lin Beverly Hill CA

Sage Publication

Loury Glen 1977 ldquoA Dynamic Theory of Racial Income Differencerdquo In PA

Wallace amp A LeMund (eds) Woman Minorities and Employment Discrimi-

nation Lexington Lexington Books

Luhmann Niklas 1988 ldquoFamiliarity Confidence Trust Problems and Alternativesrdquo In D Gambetta (ed)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New York Basil Blackwell

McPherson J Miller 1983 ldquoAn Ecology of Affiliation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8 pp 519-532

Newton Kenneth 1997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rdquo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0(5) pp 575-586

Newton Kenneth 1999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 in Modern Euroupea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s)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Olson ME 1965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Pagden Anthony 1988 ldquoThe Destruction of Trust and its Economic Consequence in

the Case of Eighteenth-century Naplesrdquo In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edited by D Gambetta Oxford Blackwell

Paxton Pamela 1999 ldquoIs Social Capital Declining in the US A Multiple Indicator

Assessment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5(1) pp 88-126

Portes A 1998 ldquoSocial Capital Its Origin and Application in Modern Sociologyrdquo Annual Review of Sociology 24 pp 1-24

Portes A 2000 ldquoThe Two Meaning of Social Capitalrdquo Sociological Forum 15(1)

pp 1-12

Putnam Robert 1993 Making Democracy Work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utnam Robert 1995 ldquoBowling Alone Americans Declining Social Capitalrdquo Journal of Democracy 6(1) pp 65-78

Sztompka P 1999 Trust A Sociological Theor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8 김상돈

Toqueville Alexis de [1835 1840] 1990 Democracy in America(Reprint) New

York Vintage

Verba Sidney Kay Lehman Schlozman and Henry E 1995 Voice and Equality

Civic Voluntarism in American Politics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son Oliver E 1993 ldquoCaculativeness Trust and Economic Organizationrdquo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36(3) pp 453-486

Zucker Lynn G 1986 ldquoProduction of Trust Institutional Sources of Economic

Structurerdquo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8 pp 53-111

Comparison Analysi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n the Causal Structure of Trust in Social InstitutionsWith a focus on Mediation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and

Social Support

Sang-don KimLecturer in The University College at Sungkyunkwan University

This Study explores the multiplicativ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social institutions trus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do this a set of hypotheses concerning th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are set forth and subjected to an empirical assessment by using data set

collected from KGSS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2004 and GSS (General

Social Survey) 2001 out of the ISSP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lanning)

Modules

Analysis of data in terms of ML (Maximum Likelihood) procedure in

LISREL852 was used and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s (1) The unit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on association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2)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status on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but They were appear to be an important predictor to

Korea (3)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on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4) Association participation was especially in

shaping social support and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to the two nations

This study is interpreted that further research on the topic of social capital are

raised with elaborating the measure on the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political efficacy consciousness of social class and so forth coupled with

advertising a few limitation of this study

Keyword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KGSS GSS ISSP

김상돈 성균관대학교13 학부대학강사13

경기도13 수원시13 장안구13 조원동13 한일타운13 동13 호13 119 703 440-709

Tel_01113 912013 132313 13 E-mail_education17hanmailnet

Page 8: 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 미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64/1/5.%e1%84%80%e1...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미비교연구:

132 김상돈

은13 사람에13 비해13 결사체참여가13 높게13 나타났다(Verva Schlozman Brady

직업지위와13 관련해서도13 전문직 사무직13 종사자13 혹은13 자영업자들이13 생1995)

산 기능 노무직에13 종사하는13 사람들보다13 상대적으로13 단체참여에13 보다13 적극적인13 것으로13 나타났다 따라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Inglehart 1999)

람들은13 사회단체참여가13 높으리라고13 판단된다

둘째 사회경제적13 지위와13 사회적13 지원사이의13 인과관계13 틀은13 주로13 사회연결

망의13 연구자들에13 의해서13 규명된다 는13 교육 직업지위 수 Granovetter(1982)

입13 등의13 계층적13 위치가13 높을수록13 직장동료 이웃 아는13 사람13 등의13 약한13 연계

에13 의존하는13 반면에 사회계층이13 낮을수록13 가족 친척13 등의13 강한13 (weak tie)

연계 에13 의존한다고13 주장한다 이러한13 주장은13 린 의13 위(strong tie) (Lin 1982)

세가설에서13 사람들이13 보유하고13 있는13 부와13 권력 사회적13 위세가13 높을수록13 사

회적13 자본의13 창출이13 높다고13 제시하였다 이들의13 연구결과에13 비추어13 볼13 때 사

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13 약한13 연계부터13 사회적13 지원을13 활용할13 가능성이13 높

게13 나타날13 것이라고13 판단된다

셋째 사회제도신뢰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와13 접한13 관련성을13 갖는다 일반적

으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들은13 그들이13 어떤13 사회적13 보상과13 명예를13

이끌어낼13 능력이13 있으므로13 사회제도에13 대한13 긍정적인13 평가를13 할13 가능성이13 높

다 이러한13 주장의13 주된13 근거는13 부자들의13 경우13 타인을13 신뢰하(Olson 1965)

여13 생기는13 위험부담으로13 인해13 자신들이13 가지고13 있는13 일부를13 잃지만13 가난한13

사람들의13 경우13 유일한13 생존수단을13 잃게13 되는13 결과를13 가져올13 수13 있기13 때문이

다 이들의13 연구결과를13 비추어볼13 때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Banfield 1967)

사람이13 낮은13 사람에13 비해13 공공13 및13 민간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상대적으

로13 높게13 나타날13 것으로13 예측된다

전술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

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에13 미치는13 영향이13 일차적이고13 본질적인13 인과변인이라 )

면 사회단체참여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와13 사회연결망의13 기능적13 효과사회적13 지 (

원 사회적13 신뢰 사이의13 매개변인으로13 선정할13 수13 있다 사회단체참여를13 매개 )

변인으로13 선정한13 이유는13 구성원과의13 대면적13 상호작용과13 의사소통행위를13 통

해13 개인의13 사회적13 정체성이13 성립되고 이해관계가13 형성되며 사회적13 행위가1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3

형성 발전되고 사회적13 관계13 속에서13 유통되고13 있는13 경제적 정치적13 도움과13 호혜성규범13 및13 사회적13 신뢰13 등13 기능적13 효과로13 연결되기13 때문이다

첫째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13 지원사이의13 인과관계에13 대한13 기존연구는13

의13 구조적13 공백 의13 생태지위13 등의13 접근방법을13 사용한다Burt McPherson

가13 제시한13 구조적13 공백 개념은13 한13 사람이13 가지고13 Burt(1992) (structural hole)

있는13 연결망들13 사이에서13 그13 중심에13 있는13 사람과는13 어떤13 형태로든13 연결이13 되

지만13 다른13 사람들13 사이에서는13 관계가13 없는13 상태를13 지칭한다 McPherson

이13 제시한13 생태지위 란13 개체의13 환경13 속에서13 자원을13 매개로13 맺는13 (1983) (niche)

관계의13 구체적13 양상을13 의미하는13 것으로서 개체가13 의존하는13 자원들의13 종류가13

다양하고13 광범위하면13 그13 개체가13 보유한13 생태지위의13 범위는13 넓을13 것이고 반

대로13 특정한13 종류의13 자원에만13 의존한다면13 생태지위의13 범위는13 좁을13 것이다

이러한13 점에서13 사회단체에는13 구조적13 공백과13 생태지위 가13 등장하는13 맥(niche)

락을13 설명할13 수13 있는13 이점이13 있다

둘째 사회단체13 참여는13 다양한13 관심사를13 가진13 사람들과의13 만남을13 통해13 참

여자의13 관심영역을13 확장시키고13 다양한13 정치 사회적13 문제에13 대한13 이해를13 높여주며 사회단체에13 의해13 주관되는13 다양한13 행사를13 조직화하고13 집행하는13 과정

에서13 정치와13 관련된13 의사소통과13 의사결정기술을13 연마하게13 되어13 정치참여를13

촉진시킬13 뿐만13 아니라 공공의13 이익을13 위해서13 개인의13 이익을13 양보하는13 공적13

시민정신을13 고취시키며13 무임승차를13 배격하는13 윤리를13 배양한다고13 하였다

은13 사회단체에13 가입13 및13 소속됨으로써13 좋(Tocqueville 1835) Putnam(1995)

은13 이웃과13 동료들을13 만나13 대화를13 나누고13 사회적13 관계를13 쌓을13 수13 있는13 기회13

등을13 얻게13 되며 사람들13 사이에13 축적된13 연결망과13 연결망13 안에서의13 지속적인13

상호작용은13 시민의식이나13 규범13 및13 사회적13 신뢰13 등이13 형성된다고13 제시한다

이상의13 사회단체참여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한13 범주로서13 사회적13 지원과13 제도에13 대

한13 사회적13 신뢰형성에13 영향을13 주는13 중요한13 인과변인이다

한편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연결망유형의13 한13 범주에13 포함된다면 사회적지

원은13 사회연결망의13 기능으로13 표현되어진다 사회적13 지원이란13 사람들이13 맺고13

있는13 사회적13 관계를13 통해13 얻게13 되는13 정서적13 지원 서비스13 지원 경제적13 지원13

등을13 의미한다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사회제도신뢰간의13 인과관계에13

134 김상돈

대한13 연구는13 거시적13 차원의13 사회적13 자본론자들(Pagden 1988 Fukuyama

에13 의해서13 비롯된다 은13 내집단족쇄1995) Pagden(1988) (fetters of in-group)

용어를13 사용하면서13 혈연 지연13 등13 자연적13 관계를13 통한13 공동체적13 유대감과13 학연 직장동료관계와13 같은13 이익집단생활을13 통한13 유대감이13 집단13 내13 소속감으로13 되어13 사람에13 대한13 신뢰는13 높지만 사람에13 대한13 신뢰가13 제도에13 대한13 신뢰의13

희생을13 기반으로13 확대된다고13 하였다 는13 반경범위개념을13 사 Fukuyama(1995)

용하면서13 저신뢰13 사회의13 공통점을13 강력한13 가족주의13 문화와13 중앙집권13 등13 구조

적13 특성에서13 기인된다고13 지적하면서 강력한13 중앙집권국가에13 있어서13 가족과13

국가사이의13 중간지대 즉13 양자사이의13 중개집단들의13 자율과13 자치를13 억압하게13

되어13 사람13 및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상대적으로13 취약하다고13 주장하였

다 국내연구결과김용학 ( 손재석 이재열 에서도13 법적인13 계약서 1998 1998)

나13 재정적인13 보증13 없이13 돈을13 빌려주는13 일 일자리를13 제공하는13 일 계를13 통해13

금리보다13 높은13 이자수익을13 얻는13 등13 사회적13 지원이13 가족13 및13 개인연결망으로13

활용되고13 있으며 이러한13 사적13 영역의13 연결망활용은13 공적영역의13 신뢰를13 식민

화하여13 사회13 전체적으로13 저신뢰사회가13 되었다고13 지적한다 사회적13 지원의13 논

의를13 통해13 일상생활에서13 사람들이13 강한13 연계를13 활용할수록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

적13 신뢰가13 희생된다고13 본13 제한적13 연대의13 개념들예 내집단족쇄 반경범위13 (

등에13 대한13 인과관계의13 연장선상에서13 이13 연구는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13 활용과13 )

사회제도신뢰13 사이의13 인과구조를13 분석한다

연구가설13 및13 연구모형3

이상의13 이론적13 논의를13 토대로13 구성한13 분석모형은13 그림13 과13 같다 이13 연구1

의13 최종13 내생변인은13 사회제도신뢰이다 사회제도신뢰는13 대기업 언론계 교육

계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13 등을13 포함한13 개의13 하위영역으로13 설정하여13 한국 11

과13 미국13 양13 국가의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를13 다차원적 통합적으로13 비교분석한다

사회제도신뢰의13 영향요인은13 사회13 경제적13 지위와13 사회단체참여 그리고13 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5

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으로13 설정하고 통제변인으로13 인구학적13 요인을13 설정

한다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교육년수 직업위세 소득13 등13 세13 가지13 하위범주로13

설정하여13 측정한다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은13 각각13 매개13

외 내생변인으로13 한다 사회단체13 참여는13 정당단체 노동조합 시민단체 취미

단체 이웃단체 기타단체로13 하고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은13 정서적13 지원

경제적13 지원 서비스지원13 등13 세13 가지13 하위범주로13 설정하여13 측정한다

그림13 분석13 모형1

ξ 1 사회경제적13 지위 X 5 기혼더미 Y 10 기업계13 신뢰

ξ 2 남성더미 X 6 광역시더미 Y 11 교육계13 신뢰

ξ 3 기혼더미 Y 1 정당단체참여 Y 12 언론계13 신뢰

ξ 4 광역시13 더미 Y 2 시민단체참여 Y 13 방송계13 신뢰

η 1 사회단체참여 Y 3 노동조합참여 Y 14 의료계13 신뢰

η 2 사회적13 지원 Y 4 취미단체참여 Y 15 행정부13 신뢰

η 3 사회적13 신뢰 Y 5 이웃단체참여 Y 16 입법부13 신뢰

X 1 교육년수 Y 6 기타단체참여 Y 17 사법부13 신뢰

X 2 직업위세 Y 7 정서적13 지원 Y 18 학계13 신뢰

X 3 소득 Y 8 경제적13 지원 Y 19 군대13 신뢰

X 4 남성더미 Y 9 서비스13 지원 Y 20 금융계13 신뢰

기본13 모형에13 대한13 인과13 경로임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과13 수정지수 에13 따라13 추정될13 인과13 경로임(MI)

136 김상돈

이상의13 분석모형을13 토대로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13 사이의13 연구13 가설들은13 다음과13 같다

lt연구가설13 1gt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13 사람보다13 미국사람이13 상대적으로13 더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2gt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이13 낮은13 사람에13 비해13 사회단체

참여에13 적극적일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3gt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이13 사회적13 지원을13 강한13 연계13

보다는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할13 가능성이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4gt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은13 낮은13 사람에13 비해13 상대적으

로13 사회제도13 신뢰가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5gt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일수록13 사회제도신뢰가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6gt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일수록13 사회적13 지원을13 강한13 연계보다

는13 약한13 연계에13 더13 많이13 요청할13 가능성이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7gt 사회적13 지원을13 약한13 연계에13 더13 많이13 요청할수록13 사회제도신

뢰가13 높을13 것이다

연구13 방법III

자료수집방법1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13 사이에13 미치는13

영향을13 분석하기13 위해13 사용할13 자료는13 와13 이다KGSS 2004 GSS 2001

자료는13 성균관대학교13 서베이리서치센터에서13 년13 월13 KGSS 2004 2004 7~8

동안13 실시하였으며 표집절차는13 전국13 주민등록13 전산자료로부터13 다단계지역층

화표본추출법에13 의해13 추출되는데 그13 구체적인13 절차는13 다음과13 같다 첫째 최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7

종표집지역수를13 개로13 선정하고13 이를13 차표집단위인13 전국13 광역시200 1 도의13 가구수13 분포에13 비례하여13 배분한다 둘째 각13 광역시 도로부터13 배분된13 수만큼의13 차표집단위인13 읍2 면 동을13 인구비례확률표집13 원칙을13 적용하여13 무작위로13 추출한다 셋째 이렇게13 추출된13 각13 읍 면 동으로부터13 한13 개의13 최종표집지역면( 의13 경우에는13 리 동의13 경우엔13 통 반을13 무작위로13 선정한다 넷째 선정된13 )

통 반13 또는13 리에서13 개의13 가구를13 계통표집한다 계통표집된13 가구13 내에서13 10

만13 세13 이상13 성인13 가구원들의13 리스트를13 작성한13 후13 이들13 가운데13 태어난13 월18

일이13 가장13 빠른13 사람을13 조사대상자로13 삼는다 조사된13 설문지의13 유효사례수는13

명이다 이13 연구에13 사용할13 변인들에13 대한13 응답13 가운데13 무응답1312 (lsquo모르겠다rsquo 포함 문항에13 개별평균값으로13 대체한13 후13 결측치 ) (missing values)(n=

를13 일률적 으로13 제거하여13 추출된13 총13 명이13 최종13 분석사례수343) (listwise) 979

를13 형성하였다 평균13 대체방법을13 사용한13 이유는13 변인들의13 분포추정치13 왜(N)

곡13 가능성의13 성격을13 지니지만 결측치를13 가능한13 정확한13 값으로13 대체함으로써13

무응답의13 편차감소와13 연구결과의13 일반화13 및13 신뢰성이13 향상될13 수13 있기13 때문이

한편 자료는13 시카고대학의13 GSS 2001 NORC(National Opinion Research

C 에13 의해13 수집된13 자료로서13 년13 월에서13 월에13 걸쳐13 면접자13 조사방enter) 2001 2 5

식에13 의해13 수집되었다 표집방법의13 구체적인13 절차는13 다단계지역13 확률표집방

법으로서13 차13 표집단위는13 표준대도시지역1 (SMSA Standard Metropolitan

또는13 비도시지역의13 카운티들을13 지역 연령13 그리고13 인종에13 Statistical Area)

따라13 층화한13 후13 그13 단위를13 블록그룹이나13 열람구역별로13 인종과13 소득에13 따라13

층화한다 최종표집단위는13 블록이며 블록들을13 크기에13 준해13 확률을13 조정한13

뒤 특정블록을13 추출한다 이렇게13 추출한13 조사대상자를13 대상으로13 부실한13 응

답사례를13 제외한13 유효사례수는13 명이다 한국과13 동일한13 방식으로13 무응답2765

(lsquo모르겠다rsquo 포함의13 문항에13 개별평균값으로13 대체한13 후13 결측치 ) (missing

를13 일률적 으로13 제거하여13 추출된13 총13 명이13 이13 연values)(n=2230) (listwise) 535

구의13 최종13 분석사례13 수 를13 형성하였다(N)

138 김상돈

변수정의13 및13 측정2

이13 연구의13 최종내생변인은13 사회제도신뢰로13 대기업 교육계 언론계 금융

계 학계 의료계 방송계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 군대13 등13 가지13 영역을13 포 11

함한다 이렇게13 구성된13 사회제도신뢰는13 ldquo신뢰하지13 않음rdquo ldquo다소신뢰rdquo ldquo매우13 신뢰rdquo 순으로13 점에서13 점을13 부여하여13 연속변수로13 분석에13 사용한다 1 3

이13 연구의13 매개13 내생변인인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유형은13 사회연결망13 연구

자들의13 연계유형에서13 제시한13 가족 친척 이웃 친구 직장동료 성직자 사회

사업가 의사13 등을13 가족 친척 비13 친척으로13 분류한13 후13 이들13 유형을13 각각13 교

차 시켜13 아홉13 가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13 활용유형을13 만들13 수13 있다 이(3times3)

렇게13 구성된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유형은13 강한13 연계에13 답한13 순으로13 정리한13

후 동일한13 응답범주는13 첫13 번째13 응답에13 강한13 연계로13 답한13 경우를13 우선13 기준

으로13 점에서부터13 점까지의13 점수를13 부여하여13 측정한다1 9

이13 연구의13 매개외생변인은13 사회단체참여로13 정치단체 노조단체 시민단체

취미단체 이웃단체 기타단체13 등13 여섯13 가지13 영역의13 사회단체13 참여수준을13 측

정한다 사회단체참여에13 대한13 영역은13 ldquo소속된13 경험이13 없음rdquo ldquo과거에13 소속된13 경험13 있음rdquo ldquo소속되어13 소극적13 활동rdquo ldquo소속되어13 적극적13 활동rdquo 순으로13 조사

되었으며13 이들13 각각에13 점부터13 점까지의13 점수를13 부여하였다1 4

변13 인정의( )

설13 문13 문13 항측정척도범위[ ]

사회제도신뢰(institution)

개13 주요13 사회기관에13 대한13 신뢰의13 정도11매우13 신뢰13 다소13 신뢰13 매우13 불신 ① ② ③

연속변수[1-3]

사회적13 지원(SUPPORT)

정서적13 지원13 ① ② 연속변수[1-9]

경제적13 지원13 ① ② 연속변수[1-9]

서비스13 지원13 ① ② 연속변수[1-9]

사회단체참여(ASSOCIATION)

개13 사회단체참여에13 대한13 참여13 여부6소속된13 경험13 무13 소속된13 경험① ② 소극적13 활동13 적극적13 활동③ ④

연속변수[1-4]

표13 lt 1gt 내생변인들의13 설문문항13 및13 변수정의1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9

이13 연구의13 외생변인은13 사회경제적13 지위이다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교육년수

소득 직업위세로13 설정한다 교육년수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중요한13 인과변인으로

서13 정규교육을13 받은13 수학년수에13 근거하여13 점에서부터13 점으로13 측정한다0 23

응답자의13 월평균소득은13 와13 자료모듈에13 있는13 원13 자료KGSS 2004 GSS 2001

를13 근거로13 각13 범주에13 중간값을13 부여하여13 자연대수로13 변환하여13 측정한다 응

답자의13 직업은13 간즈붐과13 트라이먼 에13 의하여13 (Ganzeboom amp Trieman 1996)

구성된13 표준국제직업위세척도(SIOPS Standard International Occupation

에서13 제시한13 점부터13 점으로13 점수를13 부여하여13 분석에13 사Prestige Scale) 16 88

용한다

한편 인구학적13 특성인13 성 연령 결혼상태 지역13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은13 통제

변인으로13 설정한다 성은13 더미변수로서13 여성일13 경우는13 남성일13 경우는13 로13 0 1

부여13 한다 연령은13 자연연령으로13 분석에13 사용한다 결혼13 상태는13 더미변수로

서13 미혼13 및13 이혼 사별 별거일13 경우는13 기혼일13 경우는13 로13 부여하여13 더미0 1 변수로13 사용한다 지역은13 한국사회의13 경우13 특별시13 및13 광역시일13 경우에는13 1

기타도시일13 경우는13 으로 미국사회의13 경우13 메트로폴리스는13 기타도시는13 0 1 0

으로13 부여하여13 더미변수로13 만들어13 사용한다

변13 인 설13 문13 문13 항 측정척도

사회경제적13 지위(SES)

교육13 년수연속변수

직업13 위세SIOPS

[16-87]

소득13 수준 ln(income)

통제변인

연령 연속변수

성별남성=1 여성=0

결혼여부기혼=1미혼=0

이혼 사별 별거=0

주거지역광역도시=1기타도시=0

표13 lt 2gt 사회인구학적특성에13 사용된13 설문문항13 및13 변수정의13

140 김상돈

자료분석방법3

이13 연구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

제도신뢰13 사이의13 영향을13 분석하기13 위해13 탐색적13 요인분석 확인적13 요인(EFA)

분석 그리고13 공변량13 구조분석 등을13 시도한다 확인적13 요인(CFA) (LISREL)

분석은13 일련의13 경쟁적인13 요인모형들을13 각기13 추정하여13 모형부합지수를13 각13 모

형별로13 산출하여13 최적의13 모형을13 추정한다 구조방정식모형은13 측정모형과13 구

조모형의13 개13 하위모형으로13 구성되어13 있다 측정모형분석의13 전략은13 제도에13 2

대한13 사회적13 신뢰 사회적13 지원 사회단체참여13 등13 내생잠재변수와13 외생잠재

변수인13 사회경제적13 지위 그리고13 통제변수를13 이론변수로13 설정하여13 제반13 이론

변수간의13 상관관계를13 분석한다 한편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를13 각13 별도의13

결과변인13 혹은13 최종적13 내생변인으로13 설정하고13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을13 매개변인으로13 설정한13 상태에서13 제반13 예측변인들의13 인과적13 단

위영향을13 분석하기13 위한13 구조모형을13 추정한다 이어서13 각13 결과변인을13 설명하

는13 인과요인들의13 직접 간접 전체13 영향을13 분리시키는13 경로분석을13 실시함으로써 각13 인과변인들의13 상대적13 중요성에13 대한13 평가를13 시도한다 각13 차원들을13

결과변인으로13 간주한13 공변량13 구조분석을13 시도함으로써13 이론13 변인들간의13 구

조적13 인과관계를13 추정한다 실증분석을13 위하여13 사용된13 통계프로그램은13 SPSS

및13 를13 사용하였다110 LISREL 852

분석결과IV

기술통계1

분석에13 포함된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의13 조사대상자에13 대한13 사회경제적13 지

위13 특성을13 살펴보면 교육년수는13 한국평균 년보다13 미국평균 ( =12422 ) (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1

년 에서13 약간13 높으며 직업위세점수는13 한국평균 점보다13 미국13629 ) ( =40315 )

점 에서13 정도13 높게13 나타났다 소득수준은13 한국평균 보(47512 ) 7197 ( =5394)

다13 미국평균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 =10464) 3 따라서13 조사대상자의13 사회경제

적13 지위는13 한국보다13 미국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

한편 조사대상자의13 인구학적13 특성을13 살펴보면 연령은13 한국평균 ( =41503

세보다13 미국평균 세에서13 약간13 높으며 남성비율은13 미국 보) ( =42966 ) (450)

다13 한국 에서13 약간13 높은13 분포를13 나타냈다 기혼비율은13 미국 보(460) (450)

다13 한국 에서13 높으며 광역시 특별시13 광역시 에13 거주하는13 한국의13 비(686) (1 6 )

율은13 인13 반면에13 메트로폴리스에13 거주하는13 미국의13 비율은13 로13 나479 292

타났다

다른13 한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 (

망활용 사회제도신뢰을13 살펴보면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평균 보다13 ) ( =1479)

미국평균 에서13 더13 적극적인13 것으로13 나타났으며( =1732) (t=-8045 p 001) <

변인

평균 범위[ ] SD

한국(N 979)=

미국(N 535)=

한국 미국

사회경제적지위

교육년수 12422 [0-23] 13629 [1-20] 4032 2910

SIOPS 40315 [16-87] 47512 [16-88] 13376 16147

소득 5394 [3219-6957] 10464 [6215-11653] 746 950

인구학적특성

연령 41503 [18-84] 42966 [20-86] 14433 16029

남성 460 [0-1] 450 [0-1] 499 498

기혼 686 [0-1] 450 [0-1] 467 498

광역도시 479 [0-1] 292 [0-1] 500 455

주 한국 교육년수 로그소득 미국 교육년수 SES( =855 +725 SIOPS+805 =811 +791 로그소득 SIOPS+ 673 )

표13 lt 3gt 조사대상자의13 사회인구학적13 특성13

3 사회경제적13 지위변수인13 교육 직업위세 로그소득을13 탐색적13 요인분석결과 한국의13

와13 미국의13 자료13 모두13 하나의13 주요인으로13 추출되었으며13 총13 변량KGSS 2004 GSS2001

에13 대한13 설명력은13 각각13 로13 나타났다 이렇게13 구성된13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652 570

교육 직업 소득변수에13 가중치가13 부여된13 조합변수로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 KGSS 2004[

교육교육년수 직업 소득 로그소득 사회경제=855 ( )+725 (SIOPS)+805 ( )] GSS 2001[

적지위 교육 교육년수 직업위세 소득 로그소득 으로13 구성=811 ( )+791 (SIOPS)+673 ( )]

할13 수13 있고13 선형조합인13 요인점수 를13 그13 값으로13 가지게13 된다(factor score)

142 김상돈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은13 미국평균 보다13 한국평균 에서13 ( =3187) ( =4541)

약한13 연계를13 더13 활용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사회제도신뢰(t=9337 p 001) <

는13 한국 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 =1733) ( =2075) (t=-14463

이로써13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13 사람보다13 미국사람이13 더13 높을13 것이라p 001) <

고13 제시한13 lt연구가설13 1gt을13 수용하게13 되었다

변인 평균 SD 차이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평균차이 절대량차이 값t

사회제도신뢰

대기업13 신뢰 1671 2019 548 584 -348 -312 -8123

교육계13 신뢰 1784 2100 575 624 -316 -267 -7273

언론계13 신뢰 1639 1680 588 659 -041 030 -3145

방송계13 신뢰 1779 1665 600 651 114 165 1506

의료계13 신뢰 1873 2274 574 639 -401 -336 -8585

행정부13 신뢰 1461 2046 531 683 -585 -433 -13578

입법부13 신뢰 1180 1905 403 586 -725 -542 -19212

사법부13 신뢰 1944 2275 591 639 -331 -283 -7671

학계13 신뢰 1957 2329 539 613 -372 -298 -8496

군대13 신뢰 1915 2468 649 614 -553 -588 -12062

금융계13 신뢰 1865 2068 593 629 -203 -167 -4463

전13 체 1733 2075 318 343 -342 -317 -14463

사회적13 지원

정서적13 지원 5813 3802 2672 2792 2011 2131 10916

경제적13 지원 4843 3202 2853 2788 1641 1576 7167

서비스13 지원 2967 2557 2352 2457 410 515 4336

전13 체 4541 3187 1880 1950 1354 1424 9337

단체참여

정당단체13 참여 1163 1593 518 1032 -430 084 -8129

시민단체13 참여 1098 1874 421 1229 -776 032 -12751

노동조합13 참여 1275 1512 674 956 -237 045 -7695

취미단체13 참여 1819 2166 1071 1366 -347 -052 -4389

이웃단체13 참여 1614 1493 1041 977 121 057 567

기타단체13 참여 1905 1753 1208 1151 152 095 1199

전13 체 1479 1732 469 702 -253 -020 -8045

주 평균13 및13 절대량13 차이는13 기술통계의13 차이 한국 ( -미국이며13 통계적13 유의도는13 ) t- 에13 대한13 검증test임

p 05 p 01 p 001 < < <

표13 lt 4gt 사회적자본의13 기술통계한국 미국13 ( 13 N 97913 13 N=53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3

모형검증의13 타당도평가2

이13 절에서는13 내생변인들에13 대한13 모형검증의13 타당도를13 분석한다 모형검증

의13 타당도를13 분석하기13 위해서는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13 변인13 등은13 탐색적13 요인분석과13 확인적13 요인분석이13 사용된다

탐색적13 요인분석결과 표본적절성13 측정치인13 값한국 미국 KMO ( =773

은13 적절한13 수준이었으며13 의13 구형성13 검증13 통계치의13 유의수준은13 =752) Bartlett

양13 국가13 모두13 으로13 보다13 작아13 자료의13 상관이13 요인에13 적합한13 것으로13 000 05 3

나타났다 제 요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13 개13 문항13 가운데13 개의13 측정변인 1 20 11

들이13 묶이는13 것으로서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에13 해당한다 제 요인은13 양13 2

국가13 모두13 전체문항13 가운데13 개13 문항의13 측정변인을13 요인13 구성하였으며13 사회6

단체참여에13 해당한다 마지막으로13 제 요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문항13 가운데13 3

개문항의13 측정변인을13 요인13 구성하였으며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해당3

한다 또한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의13 내적일

치성을13 알아보기13 위해13 의13 계수로13 평가한13 결과 한국Cronbach ( =8029 α

미국 로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신뢰도를13 보5192 5051 = 7658 5746 6933)

이고13 있었다 이상의13 결과를13 보면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변인이13 각기13 별개구성체로13 구성되고13

있음을13 보여준다

확인적13 요인분석결과는13 lt표13 5gt에13 제시하였다 분석에13 포함된13 문항들이13 어

떠한13 공통요인도13 형성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귀무모형이나13 모든13 문항들이13

사회적13 자본이라는13 단일차원의13 개념을13 측정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1-요인모형

두13 가지13 별개차원의13 개념들을13 측정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요인모형 세13 가지13 2

차원의13 개념들을13 각기13 별도로13 측정하도록13 제약을13 가해진13 요인모형으로13 구3

성되었다

144 김상돈

표13 lt 5gt 사회적13 자본13 하위차원에13 대한13 확인적13 요인분석 결과 한국 미국13 (CFA)13 -( N 97913 N=535)=

귀무모형(M0) (M1)

요인모형1

요인모형2요인모형3- 9)

(M2_1) (M2_2) (M2_3)8)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χ2 4465901

(p 001)<

2671725

(p 001)<

1235222

(p 001)<

1097272

(p 001)<

887151

(p 001)<

533939

(p 001)<

1030632

(p 001)<

942579

(p 001)<

899901

(p 001)<

540723

(p 001)<

692709

(p 001)<

383604

(p 001)<

DF 190 190 170 170 169 169 169 169 169 169 167 167

GFI1) - - 888 830 917 909 905 850 916 908 934 933

AGFI2) - - 861 789 897 887 882 814 895 886 917 916

NFI3) - - 745 651 809 814 788 713 806 791 850 855

CFI4) - - 773 693 840 886 818 759 837 844 882 911

IFI5) - - 774 695 841 916 819 761 837 845 883 912

1) Goodness of Fit Index2) Adjusted Goodness of Fit Index3) Normed Fit Index4) Comparative Fit Index5) Incremental Fit Index6) 두13 요인들13 간 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13 사회제도신뢰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68(pgt05) =156(pgt05)]對 7) 두13 요인들13 간 단체참여 사회제도신뢰13 사회적13 지원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52(pgt05) =對 -002(pgt05)]8) 두13 요인들13 간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13 단체참여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65(pgt05) =157(plt01)]對 =9) 세13 요인들13 간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051(pgt05) 061(pgt05) 123(plt05) -013(pgt05)157(plt01)

092(pgt05)]

lt표13 5gt를13 살펴보면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13 귀무모형이나13 1-요인모형

에13 비해13 요인모형들 의13 경우가13 수치2 (M2_1 M2_2 M2_3) 2 (p( 2) χ χ

가13 적을13 뿐만13 아니라13 여러13 가지13 모형부합지수도13 큼을13 알13 수13 있다lt001) 2-

요인모형13 가운데13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이13 하나의13 요인

을13 형성하고13 사회제도신뢰가13 또13 하나의13 요인을13 형성하도록13 제약을13 가한13

모형이13 모형13 및13 모형에13 비해13 수치 가13 M2_1 M2_2 M2_3 2 (p( 2)lt001)χ χ

적을13 뿐만13 아니라13 여러13 가지13 모형부합지수 한국( GFI=917 AGFI=897

미국NFI=809 CFI=840 IFI=841 RMSEA=0569 GFI=909 AGFI=

도13 큼을13 알13 수13 있어13 887 NFI=793 CFI=846 IFI=847 RMSEA=0636)

더13 적절한13 모형이었다 그러나13 세13 가지13 차원의13 개념들을13 각기13 별도로13 측정하

도록13 제약이13 가해진13 3-요인모형은13 어떠한13 요인모형들에13 비해서13 보다도13 모형2

부합지수한국( GFI=934 AGFI=917 NFI=850 CFI=882 IFI=88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5

미국RMSEA=0567 GFI=933 AGFI=916 NFI=855 CFI=911

가13 현격히13 향상되었다 이는13 양13 국가13 모두13 여러13 IFI=912 RMSEA=0493)

가지13 경쟁적인13 내재모형13 가운데13 요인모형이13 최적모형으로써13 분석에13 포함된13 3

문항들이13 세13 가지13 별개의13 구성체들을13 측정하고13 있으며 이13 구성체들13 간에는13

판별집합타당도가13 유지됨을13 확인시켜주는13 결과이다 이로써13 요인모형에13 잠 3

재된13 변인들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이13 각기13 ( )

별개의13 구성체들임을13 보여준다 뿐만13 아니라13 이13 내생변인들13 상호간에는13 연관

관계도13 그다지13 강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모형검증의13 추정결과3

이13 절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13

사이가13 이론적 경험적13 사실과13 어느13 정도13 부합되는지를13 검증한다 이를13 위해13

이들13 변인들13 사이의13 상관13 및13 인과관계 그리고13 경로분석이13 어떻게13 나타나는

지를13 로13 추정한다LISREL 4

측정모형분석에13 근거하여13 여타변인들의13 영향이13 통제되지13 않는13 영차상관관

계(zero- 를13 산출한13 결과는13 order correlation) lt표13 6gt에13 제시하였다 우선 사

회제도신뢰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

회경제적13 지위(r=- 변인만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관계로13 나타난13 192)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 (r=158)

다 이는13 한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불신이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에13 적극적으로13 참여할수록13 제

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났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

활용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남성더미

(r=- 기혼더미094) (r=- 등13 두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451)

4 측정모형분석에13 앞서13 개13 측정변인에13 대한13 다중13 공선성13 여부를13 검증하였다 검증결27

과 연령변인이13 한국이13 으로13 다중공선성이13 의심되는13 바13 연령변인을13 제외하고13 재 646

추정하여13 분석하였다

146 김상돈

관계로13 나타났다 이에13 비해13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남성더미 (r=197)

(r=- 기혼더미152) (r=- 광역시13 더미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이13 통352) (r=147)

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국에서는13 여성일수록 미혼일수록13

사회적13 지원을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되어진다면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여성일수록 미혼일수록 메트로폴리스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적13 지원

을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다른13 한편 사회단체참여에13 유의

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남성더 (r=387)

미 기혼더미 광역시더미(r=273) (r=104) (r=- 변인13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이13 136)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관계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

위 기혼더미 광역시더미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r=409) (r=109) (r=146)

적으로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다시13 말해13 한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남성일수록 기혼일수록 기타도시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반면에 미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기혼일수록 메트로

폴리스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단체에13 적극적으로13 참여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이어서13 사회제도신뢰와13 인과변인사이의13 인과관계는13 구조모형에13 대한13 추정

을13 통해13 규명한다 한국의13 기본모형과13 최종모형의13 추정13 결과 기본모형의13 모

형부합지수는13 정확합치인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미할13 뿐만13 아니라13 001

근사합치인13 GFI=911 AGFI=890 NFI=790 CFI=837 IFI=838

로13 보다13 작아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모형부합지수를13 나타내RMSEA=0588 08

고13 있지만13 전반적으로13 그리13 높지13 않은13 것으로13 나타내고13 있다 반면에13 최종모

형의13 모형부합지수는13 기본모형과13 마찬가지로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 001

미하며13 GFI=901 AGFI=878 NFI=783 CFI=837 IFI=839 RMSEA=

로13 기본모형보다13 다소13 향상되었다 결정계수에13 있어서도 최종모형은13 0594

기본모형에13 비해13 설명력이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 기본모형의13 ( R2=117 222

최종모형의13 044 R2=188 104 056)

동일한13 방식으로13 미국의13 기본모형과13 최종모형의13 추정13 결과 기본모형의13 모

형부합지수는13 정확합치인13 x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미할13 뿐만13 아니라13 001

근사합치인13 GFI=904 AGFI=882 NFI=801 CFI=867 IFI=869

로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모형부합지수를13 나타내고13 있지만13 전반RMSEA=054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7

그림13 2 사회제도신뢰를13 검증하기13 위한13 최종모형 한국13 -

그림13 3 사회제도신뢰를13 검증하기위한13 최종모형 미국13 -

적으로13 그리13 높지13 않는13 부합지수를13 나타내고13 있다 반면에13 최종모형의13 모형

부합지수는13 기본모형과13 마찬가지로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하며13 001

로13 GFI=896 AGFI=871 NFI=782 CFI=867 IFI=889 RMSEA=0539

148 김상돈

기본모형보다13 다소13 향상되었다 또한13 결정계수에13 있어서도 최종모형은13 기본

모형에13 비해13 설명력이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기본모형의13 ( R2=034 174 028

최종모형의13 R2=099 245 039)

모형13 찾기에서13 선정된13 최종모형에13 기초하여13 제반13 외생변인들의13 인과적13 단

위영향을13 보여주는13 구조모형을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추정한13 결과는13 lt표13

6gt에13 제시하였다 구조모형의13 추정결과를13 우선13 살펴보면 기본모형에서13 배제

되었던13 경로들13 가운데13 사회단체참여rarr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경제

적13 지위rarr사회단체참여로13 향하는13 경로만이13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이13 높고13 수정지표도13 현저한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사회경제적13 지위 rarr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rarr사회제도신뢰로13 향하는13 경로들은13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이13 낮고13 수정지표13 또한13 현저하지13 못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각13 내생변인과13 관련한13 결과를13 순서대로13 살펴보면13 다음과13 같다

첫째 사회단체참여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

위 남성 광역시(B=378) (B=220) (B=-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유의미한13 170)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B=416)

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과13 남성 그리고13 기타도시에13 거주하는13

사람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반면에13 미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만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이다

둘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남성(B=189) (B=- 기혼144) (-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유의470)

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남성더미(B=152) (B=- 기혼더미137) (B=- 광역시 등13 네13 372) (B=130)

가지13 변인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과13 여성 미혼은13 사회적13 지원을13 강한13 연

계보다는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광역시에13 거주하는13 사

람들은13 한국사회13 보다13 미국에서13 강한13 연계보다13 약한13 연계에13 사회적13 지원을13

요청한다

셋째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단체참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9

사회경제적13 지위(B=151) (B=- 등13 두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246)

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B=144)

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은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

데13 비해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들은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불신이13 높게13

나타났다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이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났다

변인

한국(N=979) 미국(N=535)

단체참여 사회적지원 사회제도신뢰 단체참여 사회적지원 사회제도신뢰

r B r B r B r B r B r B

매개내생변인

사회적13 지원 048 - -017 -

매개외생변인

단체참여 - 090 189 043 151 104 152 158 144

외생변인

SES 387 378 070 - -192 -246 409 416 197 - 093 031

통제변인

남성13 더미 273 220 -094 -144 -024 -033 006 026 -152 -137 040 039

기혼13 더미 104 068 -451 -470 006 005 109 018 -352 -372 064 037

광역시13 더미 -136 -170 047 053 -005 -007 146 066 147 130 -004 -023

R2 237 220 056 183 195 030

χ2 1187022(df=283) (plt001) 687058(df=283) (plt001)

모형부합치 GFI=915 AGFI=894 NFI=808

CFI=846 IFI=847 RMSEA=0572

GFI=910 AGFI=888 NFI=812

CFI=880 IFI=881 RMSEA=0517

주 제시된13 계수는13 표준화계수이며 통계적13 유의도는13 비표준화계수에13 대한13 검증임 1)

계수를13 연차적으로13 자유모수로13 개방하여13 추정한13 최종모형임2) B21 11 Γ

단측검증 단측검증 단측검증3) p 05 p 01 p 001 < < <

표13 6<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요인들에13 대한13 추정13 결과13 LISREL13

다음은13 사회제도신뢰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대한13 직접 간접 전체영향을13 분리시킨13 경로분석을13 시도한다 그13 결과는13 lt표13 7gt과13 같다

우선 사회제도신뢰의13 경로분석결과를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유의미한13

요인들과13 그13 영향에13 대한13 절대적13 크기순서대로13 나열하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

제적13 지위(B=- 사회단체참여 로13 구성되며 미국에서는13 단체참여189) (151)

변인만으로13 구성되었다 이13 같은13 결과를13 각13 변인별로13 보다13 상세히13 (B=144)

150 김상돈

살펴보면13 먼저 양13 국가13 모두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와13 사회단체참여변인

을13 연결하는13 제 의13 변인은13 존재하지13 않기13 때문에13 사회단체참여의13 전체영향3

은13 직접영향 한국 미국 만으로13 구성되며13 그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 =151 =144)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다 다음으로 사회경제적13 지위13 변인은13 한국

에서13 강한13 부의13 인과적13 영향(B=- 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며13 직접영189)

향(B=- 및13 간접영향 모두13 유의미하였고13 전체의13 가13 직접246) (B=057) 130

영향으로13 구성된다 반면에13 미국에서13 직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으나13 간접영

향 은13 유의미하다 이상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사회단체참여의13 (B=060)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그13 영향의13 구체적13 방향이13 이론적13 예측과13 예외13 없이13 일

치한13 반면에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사회경제적13 지위의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이론적13 예측과13 일치하지13 않았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대한13 경로분석결과를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들과13 그13 영향에13 대한13 절대적13 크기순서대로13 나

열하면 한국에서는13 기혼 (B=- 단체참여 남성457) (B=189) (B=- 사회102)

경제적13 지위 순으로13 구성되며 미국에서는13 기혼(B=071) (B=- 단체참374)

여 광역시 남성(B=152) (B=140) (B=- 사회경제적13 지위 순133) (B=063)

으로13 구성된다 이13 같은13 결과를13 각13 변인별로13 보다13 상세히13 살펴보면 첫째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사회단체참여변인을13 연결하는13 제 의13 3

변인은13 존재하지13 않기13 때문에13 사회단체참여의13 전체영향은13 직접영향한국(

미국 만으로13 구성되며13 그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189 =152)

의미하다 둘째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영향이13 사회단체

참여에13 의해13 전적으로13 매개된13 간접영향한국 미국 으로만13 구성( =069 =063)

되었다 셋째 기혼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직접영향한국 ( =- 미국470 =-371)

만이13 유의미한13 반면에13 간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았다 넷째 남성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직접영향 한국( =- 미국144 =- 이13 유의미하고13 간접영향은13 한137)

국 만이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고13 미국에서는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것(B=042)

으로13 나타났다 다섯째 광역시13 변인은13 한국에선13 직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

은13 대신에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된13 간접영향(B=- 은13 유의미한13 반면032)

에13 미국에선13 사회단체참여에13 매개된13 간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대신에13 직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1

접영향 은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B=130)

한국(N=979) 미국(N=535)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변인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매개변인

사회적지원

단체참여 189 189 151 151 152 152 144 144

외생변인

SES 071 071 -246 057 -189 063 063 030 060 090

통제변인

남성더미 -144 042 -102 -033 033 000 -137 004 -133 039 004 043

기혼더미 -470 013 -457 -026 010 016 -371 -003 -374 038 -003 035

광역시더미 033 -032 001 -006 -026 -032 130 010 140 -023 -009 -014

제시된13 계수는13 표준화계수이며 통계적13 유의도는13 비표준화계수에13 대한13 검증임1)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지원에13 미치는13 영향2) ( ) times ( )=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미치는13 영향3) ( ) times ( )=

전체영향13 직접영향13 간접영향4) = +

단측검증 단측검증 단측검증 p 05 p 01 p 001 < < <

표13 lt 7gt 사회적13 지원과13 사회제도신뢰를13 설명하는13 요인들의13 직접13 간접 전체영향을13 분리한13 경로분석결과LISREL13 1)

논의13 및13 결론V

이13 연구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

회제도신뢰13 등에13 대한13 기술통계13 및13 판별집합타당성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차

이 매개효과13 등을13 실증적으로13 규명할13 목적으로13 수행되었다 이를13 위하여13 유

교공동체주의와13 합리적13 개인주의모델의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특성을13 지니고13 있

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를13 선정하여13 국제사회종합조사 자료모듈인13 (ISSP)

와13 자료를13 대상으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과13 관련KGSS 2004 GSS 2001

된13 일련의13 연구13 가설을13 제시하여13 검증하였다

첫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적13 신뢰 ( )

152 김상돈

은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확연히13 다른13 평균차이를13 보여주고13 있다 사회단

체참여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상대적으로13 더13 적극( =1479) ( =1732)

적이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국에서13 저조

한13 이유는13 년13 이후13 신사회운동을13 포함한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추세에1987

도13 불구하고13 시민사회의13 공론장이13 모순적으로13 제도화되었기13 때문이다 이는13

사회공간이13 존재하는13 것과13 그13 공간에13 참여하는13 것과는13 별개의13 개념임을13 의미

한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은13 미국평균 보다13 한국평균 에서13 약 ( =3187) ( =4541)

한13 연계에13 더13 활용되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

용이13 한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분석결과는13 학연 지연 혈연13 등13 연고13 집단으로13 인해13 사회적13 자본이13 풍부하다고13 주장한13 연구유석춘13 외 와13 일치된다( 2002)

다른13 한편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더13 ( =1733) ( =2075)

높으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제도신뢰가13 한국보다13 미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사실은13 정치 경제적으로13 성공한13 국가가13 그렇지13 못한13 국가보다13 상대적으로13 제도신뢰가13 더13 높을13 것이라고13 제시한13 거시적13 차원에서의13 연구결과

와13 부합된다(Putnam 1993 1995 Fukuyama 1995)

둘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

사회제도신뢰사이에는13 판별) 집합타당도가13 유지된다는13 사실을13 강조할13 필요가13 있다 탐색적13 요인분석과13 더불어13 확인적13 요인분석을13 실시한13 결과에서13 나

타난바와13 같이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을13 측정하기13 위한13 문항들은13 제각기13

해당차원의13 개념들만을13 측정할13 뿐만13 아니라13 이들13 차원들이13 각기13 별도의13 개념

을13 형성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3-요인모형이13 최적모형으로13 판명됨으로써13 3-요인

모형에13 잠재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의13 판별 수렴타당도가13 존재함을13 보여준다 아울러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들13 사이의13 상관관계조차도13 상당히13 미

약한13 것으로13 드러남으로써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13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13 등은13 각기13 별개의13 구성체들로13 이루어져있음이13 나타났다

셋째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 (

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 의13 불평등을13 밝히는데13 사용되었다 사회단체 )

참여와1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변인으로13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와13 접한13

관련성을13 맺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나13 사회제도신뢰에13 있어서13 강한13 부(- 의13 상관13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3

및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와13 사회적13 지원13 연결망활용의13 인과변인으로서13 중요하게13 나타났다 그러나13 한

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

타났으며13 미국에서는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타나13 이들13 연구가설13

모두13 기각된13 결과로13 나타났다 기각된13 이유는13 통계적13 해석과13 담론적13 해석13 두13

가지로13 논의할13 수13 있는데 첫13 번째13 이유는13 사례수와13 변량13 등13 통계적13 근거에

서13 설명할13 수13 있다 예컨대13 구조모형의13 추정에13 동원된13 측정변인13 및13 이론변인

의13 수를13 감안할13 때13 제한된13 사례13 수한국 미국 는13 여러13 변인들의13 ( =979 =535)

변량을13 제한하고13 표준오차를13 증가시킴으로써13 각각13 사회적13 지원13 및13 사회적13 신

뢰의13 통계적13 유의도를13 상실하게13 하는13 원인으로13 작용될13 가능성이13 있다 통계

적13 해석보다13 중요한13 담론적13 해석은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설명유교공동체주의(

자유민주주의에서13 그13 이유를13 예측할13 수13 있다 한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하다는13 사실은13 서구사회의13 인간관계와13 유

사할13 정도로13 진행되고13 있음에도13 불구하고13 여전히13 유교공동체주의모델이13 존

재함을13 보여준13 결과이다 미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

하다는13 사실은13 한국과13 달리13 부의13 불평등에13 대해13 당연시하는13 미국인의13 태도

개인주의 시장의13 제도화13 등13 맥락변인에서13 설명될13 가능성이13 높음을13 예측하게13

한다

넷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강력한13 단위영향과13 관련하여13 한

국 은13 미국 보다13 상대적으로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B=189) (B=152)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한국 은13 미국 보다13 (B=071) (B=06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서도13 사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

우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222 R2 에13 비하여13 포함된13 경우한국=173) (

사회의13 R2 미국사회의13 =243 R2 에13 대한13 설명력이13 각각13 =188) 21 15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이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에13 있어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

거를13 시사하는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사회단체참여의13 경제행위를13 이

해하는데13 있어서13 영리적13 차원의13 자기이해와13 합리적13 선택론에13 근거한13 신제도

주의이론으로만13 온전히13 설명할13 수13 없다는13 점을13 밝히면서13 한편으로는13 개별행

154 김상돈

위자들이13 현재13 맺고13 있는13 사회연결망에13 의해서13 형성된다고13 본13 신경제사회학

의13 이론적13 논의를13 부각시켰다는13 점에서13 시사하는13 바가13 크다 이로써13 사회단

체참여는13 다양한13 사람들과의13 사회적13 관계에서13 유통되는13 사회적13 지원을13 제공

해주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척도로서13 의미13 있는13 구성지표이다

다섯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B=144

보다13 한국 에서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지만 사회경제적13 plt05) (B=151 plt05)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는13 한국 보다13 미국(B=057 plt05)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B=060 plt05) 5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13 있어서도13 사

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미국사회의13 ( R2=037 R2 에13 비=028)

하여13 포함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056 R2 의13 설명력은13 =030)

한국과13 미국13 각각13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은13 작19 02

은13 증가를13 나타냈으나13 단위13 영향13 및13 간접영향13 모두13 높게13 형성되어13 사회단체

참여가13 제도신뢰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거를13 시사

한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공적13 시민정신의13 연구결과들 (Tocqueville

과13 일치됨으로써13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과13 미국13 1845 Putnam 1993 1995)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신뢰의13 중요한13 관건임을13 밝혀냈다 그러나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약한13 정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

데 이러한13 결과가13 나타난13 사실은13 년13 이후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로13 인 1987

해13 시민의13 정치참여를13 높이는데13 일정정도13 기여했으나13 민주적13 시민덕목을13 배

양하는데13 있어서는13 그리13 성공하지13 못한13 데에서13 추측할13 수13 있다 이를13 위해서

는13 중복적13 참여13 및13 자기이해(self- 에13 기초한13 소극적13 참여에서13 호혜성interest)

규범과13 사회적13 신뢰형성을13 위한13 제도적13 메커니즘으로의13 사회단체참여13 구축

이13 무엇보다13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이13 사회제도신뢰에13 미치는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이러한13

사실은13 사회적13 자본의13 연구결과 김용학(Pagden 1988 Fukuyama 1995 손

5 이와13 반대로 결측치에13 개별평균값을13 대체하기전의13 추정결과에서 사회단체참 LISREL

여의13 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B=169 plt05) (B=133 plt05)

더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높게13 나타났다(B=049 plt05) (B=043 plt0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5

재석 이재열 에서13 제시된13 반경범위 내집단13 족쇄 연고13 집단13 등 1998 1998)

의13 용어를13 사용하면서 가족13 및13 개인연결망13 활용이13 공적영역의13 신뢰를13 식민

화하여13 사회13 전체적으로13 저신뢰사회가13 된다고13 주장한13 논의와13 일치하지13 않는13

결과이다 즉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사이의13

관계가13 서로13 양립13 가능한13 현상을13 보여주어13 매개역할13 또한13 기각되었다

종합컨대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상관관계와13 유의미한13 정 의13 인과관계로13 작동하는데13 비해13 미국에서는13 상관13 (+)

및13 인과관계13 모두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 한편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

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은13 약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13 것으 (+)

로13 나타났다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의13 중요한13 인과변인인13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양13 국가13 모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력을13 미치고13 있으며 사회경제적13 지(+)

위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두13 가지13 구성개념사회제도신뢰13 및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 )

인과적13 영향은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되었다는13 사실13 또한13 이13 연구에서13 밝

혀냈다

이상의13 연구에도13 불구하고13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한국의13 ( R2 237 220

미국의13 056 R2 이13 낮게13 형성되었다는13 점과13 와13 183 195 030) KGSS 2004

자료에13 한정하여13 분석하였기13 때문에13 분석결과의13 해석과13 일반화에13 GSS 2001

한계가13 있을13 수13 있다 예를13 들면13 년과13 년이라는13 특정한13 시기에13 조 2004 2001

사가13 이루어졌다는13 점에서13 이론적 경험적으로13 함축하는13 바가13 있다고13 하더라도13 외적13 타당성의13 문제점을13 지닌다 그리고13 이13 연구는13 전국규모를13 대상으로13

조사되었다는13 점에서13 의미하는13 바가13 있지만13 시계열적13 자료를13 통한13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정 한13 검증을13 하지13 못하였다는13 점에서도13 그13 한계가13 있음을13 밝혀

둔다 따라서 향후13 후속연구에서13 제시된13 모델들을13 보다13 정교화하는13 이론적13

작업과13 더불어13 다양한13 변인들을13 충분히13 활용하며13 통시적13 연구13 및13 국가간의13

비교연구13 등을13 통해13 경험적13 연구들이13 진행되어야13 할13 것이며 연구자의13 관심

과13 노력으로13 연구의13 질적13 향상을13 기대해본다

156 김상돈

참고문헌

국민호 동아시아경제발전과13 유교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1997 31 1 pp 29-59「 」 985172 985173김상욱 조직몰입의13 하위차원들의13 타당도평가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2001 35 3 pp 「 」 985172 985173

109-138

김용학 손재석 미시적13 신뢰와13 거시적13 위험 계간사상 1998 38 pp 115-132 「 」 985172 985173이재열 민주주의 사회적13 신뢰 사회적13 자본 계간사상 1998 38 pp 65-93「 」 985172 985173유석춘 외 사회자본과13 신뢰 한국 일본 덴마크 스웨덴13 비교13 연구 동서연구 2002 「 」 985172 985173

권13 호14 1 pp 101-135

장수찬 한국사회에13 나타난13 악순화의13 사이클 한국정치학회보 권13 호 2002 36 1 pp 「 」 985172 98517387-112

한국13 사회과학도서관13 홈페이지 2005 httpwwwksslorkr

Banfield E 1967 The Moral Basis of a Backward Society New York Free Press

Billiet JB and Bart Cambre 1999 ldquoSocial capital active membership in voluntary

associations and some aspects of political participatio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Bourdieu Piere 1984 The Distiction A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Brehm John amp Wendy Rahn 1997 ldquoIndividual-level evidence for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social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41(3)

pp 999-1023

Burt R 1992 Structure Holes The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Coleman James 1988 ldquo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pp 94-121

DiMaggio Paul and Hugh Louch 1998 ldquoSocially Embedded Consumer Transaction

For What Kinds of Purchases Do People Most Often Use Networks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3 pp 619-637

Fukuyama Francis 1995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perty

NewYork Free Press Paper Backs Book

Gambetta Diego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Financial Capital The

Case of Network Marketing Champaign Stipes

Ganzeboom H B G and DJ Treiman 1996 ldquoInternationally Comparable Measures

of Occupational Status for the 1988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rdquo Social Science Research 25 pp 201-239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7

Giddens Anthony 1990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Stanford Stanford UP

Granovetter Mark 1985 ldquoEconomic Action and Social Structure The Problem of

Embeddedness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1 pp 481-510

Inglehart R 1999 Culture Shift in Advanced Industrial Societ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Joumlreskg Karl G and Soumlrbom Dag 1989 LISREL 7 A Guide to the Program and

Applications Chicago SPSS Inc

Lin Nam 1982 ldquoSocial Resource and Instrumental Actionrdquo In Social Structure and

Network Analysis edited by Peter Marsden and Nan Lin Beverly Hill CA

Sage Publication

Loury Glen 1977 ldquoA Dynamic Theory of Racial Income Differencerdquo In PA

Wallace amp A LeMund (eds) Woman Minorities and Employment Discrimi-

nation Lexington Lexington Books

Luhmann Niklas 1988 ldquoFamiliarity Confidence Trust Problems and Alternativesrdquo In D Gambetta (ed)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New York Basil Blackwell

McPherson J Miller 1983 ldquoAn Ecology of Affiliation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8 pp 519-532

Newton Kenneth 1997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rdquo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0(5) pp 575-586

Newton Kenneth 1999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 in Modern Euroupea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s)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Olson ME 1965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Pagden Anthony 1988 ldquoThe Destruction of Trust and its Economic Consequence in

the Case of Eighteenth-century Naplesrdquo In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edited by D Gambetta Oxford Blackwell

Paxton Pamela 1999 ldquoIs Social Capital Declining in the US A Multiple Indicator

Assessment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5(1) pp 88-126

Portes A 1998 ldquoSocial Capital Its Origin and Application in Modern Sociologyrdquo Annual Review of Sociology 24 pp 1-24

Portes A 2000 ldquoThe Two Meaning of Social Capitalrdquo Sociological Forum 15(1)

pp 1-12

Putnam Robert 1993 Making Democracy Work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utnam Robert 1995 ldquoBowling Alone Americans Declining Social Capitalrdquo Journal of Democracy 6(1) pp 65-78

Sztompka P 1999 Trust A Sociological Theor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8 김상돈

Toqueville Alexis de [1835 1840] 1990 Democracy in America(Reprint) New

York Vintage

Verba Sidney Kay Lehman Schlozman and Henry E 1995 Voice and Equality

Civic Voluntarism in American Politics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son Oliver E 1993 ldquoCaculativeness Trust and Economic Organizationrdquo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36(3) pp 453-486

Zucker Lynn G 1986 ldquoProduction of Trust Institutional Sources of Economic

Structurerdquo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8 pp 53-111

Comparison Analysi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n the Causal Structure of Trust in Social InstitutionsWith a focus on Mediation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and

Social Support

Sang-don KimLecturer in The University College at Sungkyunkwan University

This Study explores the multiplicativ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social institutions trus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do this a set of hypotheses concerning th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are set forth and subjected to an empirical assessment by using data set

collected from KGSS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2004 and GSS (General

Social Survey) 2001 out of the ISSP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lanning)

Modules

Analysis of data in terms of ML (Maximum Likelihood) procedure in

LISREL852 was used and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s (1) The unit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on association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2)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status on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but They were appear to be an important predictor to

Korea (3)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on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4) Association participation was especially in

shaping social support and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to the two nations

This study is interpreted that further research on the topic of social capital are

raised with elaborating the measure on the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political efficacy consciousness of social class and so forth coupled with

advertising a few limitation of this study

Keyword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KGSS GSS ISSP

김상돈 성균관대학교13 학부대학강사13

경기도13 수원시13 장안구13 조원동13 한일타운13 동13 호13 119 703 440-709

Tel_01113 912013 132313 13 E-mail_education17hanmailnet

Page 9: 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 미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64/1/5.%e1%84%80%e1...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미비교연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3

형성 발전되고 사회적13 관계13 속에서13 유통되고13 있는13 경제적 정치적13 도움과13 호혜성규범13 및13 사회적13 신뢰13 등13 기능적13 효과로13 연결되기13 때문이다

첫째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13 지원사이의13 인과관계에13 대한13 기존연구는13

의13 구조적13 공백 의13 생태지위13 등의13 접근방법을13 사용한다Burt McPherson

가13 제시한13 구조적13 공백 개념은13 한13 사람이13 가지고13 Burt(1992) (structural hole)

있는13 연결망들13 사이에서13 그13 중심에13 있는13 사람과는13 어떤13 형태로든13 연결이13 되

지만13 다른13 사람들13 사이에서는13 관계가13 없는13 상태를13 지칭한다 McPherson

이13 제시한13 생태지위 란13 개체의13 환경13 속에서13 자원을13 매개로13 맺는13 (1983) (niche)

관계의13 구체적13 양상을13 의미하는13 것으로서 개체가13 의존하는13 자원들의13 종류가13

다양하고13 광범위하면13 그13 개체가13 보유한13 생태지위의13 범위는13 넓을13 것이고 반

대로13 특정한13 종류의13 자원에만13 의존한다면13 생태지위의13 범위는13 좁을13 것이다

이러한13 점에서13 사회단체에는13 구조적13 공백과13 생태지위 가13 등장하는13 맥(niche)

락을13 설명할13 수13 있는13 이점이13 있다

둘째 사회단체13 참여는13 다양한13 관심사를13 가진13 사람들과의13 만남을13 통해13 참

여자의13 관심영역을13 확장시키고13 다양한13 정치 사회적13 문제에13 대한13 이해를13 높여주며 사회단체에13 의해13 주관되는13 다양한13 행사를13 조직화하고13 집행하는13 과정

에서13 정치와13 관련된13 의사소통과13 의사결정기술을13 연마하게13 되어13 정치참여를13

촉진시킬13 뿐만13 아니라 공공의13 이익을13 위해서13 개인의13 이익을13 양보하는13 공적13

시민정신을13 고취시키며13 무임승차를13 배격하는13 윤리를13 배양한다고13 하였다

은13 사회단체에13 가입13 및13 소속됨으로써13 좋(Tocqueville 1835) Putnam(1995)

은13 이웃과13 동료들을13 만나13 대화를13 나누고13 사회적13 관계를13 쌓을13 수13 있는13 기회13

등을13 얻게13 되며 사람들13 사이에13 축적된13 연결망과13 연결망13 안에서의13 지속적인13

상호작용은13 시민의식이나13 규범13 및13 사회적13 신뢰13 등이13 형성된다고13 제시한다

이상의13 사회단체참여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한13 범주로서13 사회적13 지원과13 제도에13 대

한13 사회적13 신뢰형성에13 영향을13 주는13 중요한13 인과변인이다

한편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연결망유형의13 한13 범주에13 포함된다면 사회적지

원은13 사회연결망의13 기능으로13 표현되어진다 사회적13 지원이란13 사람들이13 맺고13

있는13 사회적13 관계를13 통해13 얻게13 되는13 정서적13 지원 서비스13 지원 경제적13 지원13

등을13 의미한다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사회제도신뢰간의13 인과관계에13

134 김상돈

대한13 연구는13 거시적13 차원의13 사회적13 자본론자들(Pagden 1988 Fukuyama

에13 의해서13 비롯된다 은13 내집단족쇄1995) Pagden(1988) (fetters of in-group)

용어를13 사용하면서13 혈연 지연13 등13 자연적13 관계를13 통한13 공동체적13 유대감과13 학연 직장동료관계와13 같은13 이익집단생활을13 통한13 유대감이13 집단13 내13 소속감으로13 되어13 사람에13 대한13 신뢰는13 높지만 사람에13 대한13 신뢰가13 제도에13 대한13 신뢰의13

희생을13 기반으로13 확대된다고13 하였다 는13 반경범위개념을13 사 Fukuyama(1995)

용하면서13 저신뢰13 사회의13 공통점을13 강력한13 가족주의13 문화와13 중앙집권13 등13 구조

적13 특성에서13 기인된다고13 지적하면서 강력한13 중앙집권국가에13 있어서13 가족과13

국가사이의13 중간지대 즉13 양자사이의13 중개집단들의13 자율과13 자치를13 억압하게13

되어13 사람13 및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상대적으로13 취약하다고13 주장하였

다 국내연구결과김용학 ( 손재석 이재열 에서도13 법적인13 계약서 1998 1998)

나13 재정적인13 보증13 없이13 돈을13 빌려주는13 일 일자리를13 제공하는13 일 계를13 통해13

금리보다13 높은13 이자수익을13 얻는13 등13 사회적13 지원이13 가족13 및13 개인연결망으로13

활용되고13 있으며 이러한13 사적13 영역의13 연결망활용은13 공적영역의13 신뢰를13 식민

화하여13 사회13 전체적으로13 저신뢰사회가13 되었다고13 지적한다 사회적13 지원의13 논

의를13 통해13 일상생활에서13 사람들이13 강한13 연계를13 활용할수록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

적13 신뢰가13 희생된다고13 본13 제한적13 연대의13 개념들예 내집단족쇄 반경범위13 (

등에13 대한13 인과관계의13 연장선상에서13 이13 연구는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13 활용과13 )

사회제도신뢰13 사이의13 인과구조를13 분석한다

연구가설13 및13 연구모형3

이상의13 이론적13 논의를13 토대로13 구성한13 분석모형은13 그림13 과13 같다 이13 연구1

의13 최종13 내생변인은13 사회제도신뢰이다 사회제도신뢰는13 대기업 언론계 교육

계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13 등을13 포함한13 개의13 하위영역으로13 설정하여13 한국 11

과13 미국13 양13 국가의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를13 다차원적 통합적으로13 비교분석한다

사회제도신뢰의13 영향요인은13 사회13 경제적13 지위와13 사회단체참여 그리고13 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5

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으로13 설정하고 통제변인으로13 인구학적13 요인을13 설정

한다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교육년수 직업위세 소득13 등13 세13 가지13 하위범주로13

설정하여13 측정한다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은13 각각13 매개13

외 내생변인으로13 한다 사회단체13 참여는13 정당단체 노동조합 시민단체 취미

단체 이웃단체 기타단체로13 하고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은13 정서적13 지원

경제적13 지원 서비스지원13 등13 세13 가지13 하위범주로13 설정하여13 측정한다

그림13 분석13 모형1

ξ 1 사회경제적13 지위 X 5 기혼더미 Y 10 기업계13 신뢰

ξ 2 남성더미 X 6 광역시더미 Y 11 교육계13 신뢰

ξ 3 기혼더미 Y 1 정당단체참여 Y 12 언론계13 신뢰

ξ 4 광역시13 더미 Y 2 시민단체참여 Y 13 방송계13 신뢰

η 1 사회단체참여 Y 3 노동조합참여 Y 14 의료계13 신뢰

η 2 사회적13 지원 Y 4 취미단체참여 Y 15 행정부13 신뢰

η 3 사회적13 신뢰 Y 5 이웃단체참여 Y 16 입법부13 신뢰

X 1 교육년수 Y 6 기타단체참여 Y 17 사법부13 신뢰

X 2 직업위세 Y 7 정서적13 지원 Y 18 학계13 신뢰

X 3 소득 Y 8 경제적13 지원 Y 19 군대13 신뢰

X 4 남성더미 Y 9 서비스13 지원 Y 20 금융계13 신뢰

기본13 모형에13 대한13 인과13 경로임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과13 수정지수 에13 따라13 추정될13 인과13 경로임(MI)

136 김상돈

이상의13 분석모형을13 토대로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13 사이의13 연구13 가설들은13 다음과13 같다

lt연구가설13 1gt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13 사람보다13 미국사람이13 상대적으로13 더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2gt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이13 낮은13 사람에13 비해13 사회단체

참여에13 적극적일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3gt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이13 사회적13 지원을13 강한13 연계13

보다는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할13 가능성이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4gt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은13 낮은13 사람에13 비해13 상대적으

로13 사회제도13 신뢰가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5gt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일수록13 사회제도신뢰가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6gt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일수록13 사회적13 지원을13 강한13 연계보다

는13 약한13 연계에13 더13 많이13 요청할13 가능성이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7gt 사회적13 지원을13 약한13 연계에13 더13 많이13 요청할수록13 사회제도신

뢰가13 높을13 것이다

연구13 방법III

자료수집방법1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13 사이에13 미치는13

영향을13 분석하기13 위해13 사용할13 자료는13 와13 이다KGSS 2004 GSS 2001

자료는13 성균관대학교13 서베이리서치센터에서13 년13 월13 KGSS 2004 2004 7~8

동안13 실시하였으며 표집절차는13 전국13 주민등록13 전산자료로부터13 다단계지역층

화표본추출법에13 의해13 추출되는데 그13 구체적인13 절차는13 다음과13 같다 첫째 최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7

종표집지역수를13 개로13 선정하고13 이를13 차표집단위인13 전국13 광역시200 1 도의13 가구수13 분포에13 비례하여13 배분한다 둘째 각13 광역시 도로부터13 배분된13 수만큼의13 차표집단위인13 읍2 면 동을13 인구비례확률표집13 원칙을13 적용하여13 무작위로13 추출한다 셋째 이렇게13 추출된13 각13 읍 면 동으로부터13 한13 개의13 최종표집지역면( 의13 경우에는13 리 동의13 경우엔13 통 반을13 무작위로13 선정한다 넷째 선정된13 )

통 반13 또는13 리에서13 개의13 가구를13 계통표집한다 계통표집된13 가구13 내에서13 10

만13 세13 이상13 성인13 가구원들의13 리스트를13 작성한13 후13 이들13 가운데13 태어난13 월18

일이13 가장13 빠른13 사람을13 조사대상자로13 삼는다 조사된13 설문지의13 유효사례수는13

명이다 이13 연구에13 사용할13 변인들에13 대한13 응답13 가운데13 무응답1312 (lsquo모르겠다rsquo 포함 문항에13 개별평균값으로13 대체한13 후13 결측치 ) (missing values)(n=

를13 일률적 으로13 제거하여13 추출된13 총13 명이13 최종13 분석사례수343) (listwise) 979

를13 형성하였다 평균13 대체방법을13 사용한13 이유는13 변인들의13 분포추정치13 왜(N)

곡13 가능성의13 성격을13 지니지만 결측치를13 가능한13 정확한13 값으로13 대체함으로써13

무응답의13 편차감소와13 연구결과의13 일반화13 및13 신뢰성이13 향상될13 수13 있기13 때문이

한편 자료는13 시카고대학의13 GSS 2001 NORC(National Opinion Research

C 에13 의해13 수집된13 자료로서13 년13 월에서13 월에13 걸쳐13 면접자13 조사방enter) 2001 2 5

식에13 의해13 수집되었다 표집방법의13 구체적인13 절차는13 다단계지역13 확률표집방

법으로서13 차13 표집단위는13 표준대도시지역1 (SMSA Standard Metropolitan

또는13 비도시지역의13 카운티들을13 지역 연령13 그리고13 인종에13 Statistical Area)

따라13 층화한13 후13 그13 단위를13 블록그룹이나13 열람구역별로13 인종과13 소득에13 따라13

층화한다 최종표집단위는13 블록이며 블록들을13 크기에13 준해13 확률을13 조정한13

뒤 특정블록을13 추출한다 이렇게13 추출한13 조사대상자를13 대상으로13 부실한13 응

답사례를13 제외한13 유효사례수는13 명이다 한국과13 동일한13 방식으로13 무응답2765

(lsquo모르겠다rsquo 포함의13 문항에13 개별평균값으로13 대체한13 후13 결측치 ) (missing

를13 일률적 으로13 제거하여13 추출된13 총13 명이13 이13 연values)(n=2230) (listwise) 535

구의13 최종13 분석사례13 수 를13 형성하였다(N)

138 김상돈

변수정의13 및13 측정2

이13 연구의13 최종내생변인은13 사회제도신뢰로13 대기업 교육계 언론계 금융

계 학계 의료계 방송계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 군대13 등13 가지13 영역을13 포 11

함한다 이렇게13 구성된13 사회제도신뢰는13 ldquo신뢰하지13 않음rdquo ldquo다소신뢰rdquo ldquo매우13 신뢰rdquo 순으로13 점에서13 점을13 부여하여13 연속변수로13 분석에13 사용한다 1 3

이13 연구의13 매개13 내생변인인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유형은13 사회연결망13 연구

자들의13 연계유형에서13 제시한13 가족 친척 이웃 친구 직장동료 성직자 사회

사업가 의사13 등을13 가족 친척 비13 친척으로13 분류한13 후13 이들13 유형을13 각각13 교

차 시켜13 아홉13 가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13 활용유형을13 만들13 수13 있다 이(3times3)

렇게13 구성된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유형은13 강한13 연계에13 답한13 순으로13 정리한13

후 동일한13 응답범주는13 첫13 번째13 응답에13 강한13 연계로13 답한13 경우를13 우선13 기준

으로13 점에서부터13 점까지의13 점수를13 부여하여13 측정한다1 9

이13 연구의13 매개외생변인은13 사회단체참여로13 정치단체 노조단체 시민단체

취미단체 이웃단체 기타단체13 등13 여섯13 가지13 영역의13 사회단체13 참여수준을13 측

정한다 사회단체참여에13 대한13 영역은13 ldquo소속된13 경험이13 없음rdquo ldquo과거에13 소속된13 경험13 있음rdquo ldquo소속되어13 소극적13 활동rdquo ldquo소속되어13 적극적13 활동rdquo 순으로13 조사

되었으며13 이들13 각각에13 점부터13 점까지의13 점수를13 부여하였다1 4

변13 인정의( )

설13 문13 문13 항측정척도범위[ ]

사회제도신뢰(institution)

개13 주요13 사회기관에13 대한13 신뢰의13 정도11매우13 신뢰13 다소13 신뢰13 매우13 불신 ① ② ③

연속변수[1-3]

사회적13 지원(SUPPORT)

정서적13 지원13 ① ② 연속변수[1-9]

경제적13 지원13 ① ② 연속변수[1-9]

서비스13 지원13 ① ② 연속변수[1-9]

사회단체참여(ASSOCIATION)

개13 사회단체참여에13 대한13 참여13 여부6소속된13 경험13 무13 소속된13 경험① ② 소극적13 활동13 적극적13 활동③ ④

연속변수[1-4]

표13 lt 1gt 내생변인들의13 설문문항13 및13 변수정의1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9

이13 연구의13 외생변인은13 사회경제적13 지위이다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교육년수

소득 직업위세로13 설정한다 교육년수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중요한13 인과변인으로

서13 정규교육을13 받은13 수학년수에13 근거하여13 점에서부터13 점으로13 측정한다0 23

응답자의13 월평균소득은13 와13 자료모듈에13 있는13 원13 자료KGSS 2004 GSS 2001

를13 근거로13 각13 범주에13 중간값을13 부여하여13 자연대수로13 변환하여13 측정한다 응

답자의13 직업은13 간즈붐과13 트라이먼 에13 의하여13 (Ganzeboom amp Trieman 1996)

구성된13 표준국제직업위세척도(SIOPS Standard International Occupation

에서13 제시한13 점부터13 점으로13 점수를13 부여하여13 분석에13 사Prestige Scale) 16 88

용한다

한편 인구학적13 특성인13 성 연령 결혼상태 지역13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은13 통제

변인으로13 설정한다 성은13 더미변수로서13 여성일13 경우는13 남성일13 경우는13 로13 0 1

부여13 한다 연령은13 자연연령으로13 분석에13 사용한다 결혼13 상태는13 더미변수로

서13 미혼13 및13 이혼 사별 별거일13 경우는13 기혼일13 경우는13 로13 부여하여13 더미0 1 변수로13 사용한다 지역은13 한국사회의13 경우13 특별시13 및13 광역시일13 경우에는13 1

기타도시일13 경우는13 으로 미국사회의13 경우13 메트로폴리스는13 기타도시는13 0 1 0

으로13 부여하여13 더미변수로13 만들어13 사용한다

변13 인 설13 문13 문13 항 측정척도

사회경제적13 지위(SES)

교육13 년수연속변수

직업13 위세SIOPS

[16-87]

소득13 수준 ln(income)

통제변인

연령 연속변수

성별남성=1 여성=0

결혼여부기혼=1미혼=0

이혼 사별 별거=0

주거지역광역도시=1기타도시=0

표13 lt 2gt 사회인구학적특성에13 사용된13 설문문항13 및13 변수정의13

140 김상돈

자료분석방법3

이13 연구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

제도신뢰13 사이의13 영향을13 분석하기13 위해13 탐색적13 요인분석 확인적13 요인(EFA)

분석 그리고13 공변량13 구조분석 등을13 시도한다 확인적13 요인(CFA) (LISREL)

분석은13 일련의13 경쟁적인13 요인모형들을13 각기13 추정하여13 모형부합지수를13 각13 모

형별로13 산출하여13 최적의13 모형을13 추정한다 구조방정식모형은13 측정모형과13 구

조모형의13 개13 하위모형으로13 구성되어13 있다 측정모형분석의13 전략은13 제도에13 2

대한13 사회적13 신뢰 사회적13 지원 사회단체참여13 등13 내생잠재변수와13 외생잠재

변수인13 사회경제적13 지위 그리고13 통제변수를13 이론변수로13 설정하여13 제반13 이론

변수간의13 상관관계를13 분석한다 한편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를13 각13 별도의13

결과변인13 혹은13 최종적13 내생변인으로13 설정하고13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을13 매개변인으로13 설정한13 상태에서13 제반13 예측변인들의13 인과적13 단

위영향을13 분석하기13 위한13 구조모형을13 추정한다 이어서13 각13 결과변인을13 설명하

는13 인과요인들의13 직접 간접 전체13 영향을13 분리시키는13 경로분석을13 실시함으로써 각13 인과변인들의13 상대적13 중요성에13 대한13 평가를13 시도한다 각13 차원들을13

결과변인으로13 간주한13 공변량13 구조분석을13 시도함으로써13 이론13 변인들간의13 구

조적13 인과관계를13 추정한다 실증분석을13 위하여13 사용된13 통계프로그램은13 SPSS

및13 를13 사용하였다110 LISREL 852

분석결과IV

기술통계1

분석에13 포함된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의13 조사대상자에13 대한13 사회경제적13 지

위13 특성을13 살펴보면 교육년수는13 한국평균 년보다13 미국평균 ( =12422 ) (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1

년 에서13 약간13 높으며 직업위세점수는13 한국평균 점보다13 미국13629 ) ( =40315 )

점 에서13 정도13 높게13 나타났다 소득수준은13 한국평균 보(47512 ) 7197 ( =5394)

다13 미국평균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 =10464) 3 따라서13 조사대상자의13 사회경제

적13 지위는13 한국보다13 미국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

한편 조사대상자의13 인구학적13 특성을13 살펴보면 연령은13 한국평균 ( =41503

세보다13 미국평균 세에서13 약간13 높으며 남성비율은13 미국 보) ( =42966 ) (450)

다13 한국 에서13 약간13 높은13 분포를13 나타냈다 기혼비율은13 미국 보(460) (450)

다13 한국 에서13 높으며 광역시 특별시13 광역시 에13 거주하는13 한국의13 비(686) (1 6 )

율은13 인13 반면에13 메트로폴리스에13 거주하는13 미국의13 비율은13 로13 나479 292

타났다

다른13 한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 (

망활용 사회제도신뢰을13 살펴보면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평균 보다13 ) ( =1479)

미국평균 에서13 더13 적극적인13 것으로13 나타났으며( =1732) (t=-8045 p 001) <

변인

평균 범위[ ] SD

한국(N 979)=

미국(N 535)=

한국 미국

사회경제적지위

교육년수 12422 [0-23] 13629 [1-20] 4032 2910

SIOPS 40315 [16-87] 47512 [16-88] 13376 16147

소득 5394 [3219-6957] 10464 [6215-11653] 746 950

인구학적특성

연령 41503 [18-84] 42966 [20-86] 14433 16029

남성 460 [0-1] 450 [0-1] 499 498

기혼 686 [0-1] 450 [0-1] 467 498

광역도시 479 [0-1] 292 [0-1] 500 455

주 한국 교육년수 로그소득 미국 교육년수 SES( =855 +725 SIOPS+805 =811 +791 로그소득 SIOPS+ 673 )

표13 lt 3gt 조사대상자의13 사회인구학적13 특성13

3 사회경제적13 지위변수인13 교육 직업위세 로그소득을13 탐색적13 요인분석결과 한국의13

와13 미국의13 자료13 모두13 하나의13 주요인으로13 추출되었으며13 총13 변량KGSS 2004 GSS2001

에13 대한13 설명력은13 각각13 로13 나타났다 이렇게13 구성된13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652 570

교육 직업 소득변수에13 가중치가13 부여된13 조합변수로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 KGSS 2004[

교육교육년수 직업 소득 로그소득 사회경제=855 ( )+725 (SIOPS)+805 ( )] GSS 2001[

적지위 교육 교육년수 직업위세 소득 로그소득 으로13 구성=811 ( )+791 (SIOPS)+673 ( )]

할13 수13 있고13 선형조합인13 요인점수 를13 그13 값으로13 가지게13 된다(factor score)

142 김상돈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은13 미국평균 보다13 한국평균 에서13 ( =3187) ( =4541)

약한13 연계를13 더13 활용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사회제도신뢰(t=9337 p 001) <

는13 한국 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 =1733) ( =2075) (t=-14463

이로써13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13 사람보다13 미국사람이13 더13 높을13 것이라p 001) <

고13 제시한13 lt연구가설13 1gt을13 수용하게13 되었다

변인 평균 SD 차이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평균차이 절대량차이 값t

사회제도신뢰

대기업13 신뢰 1671 2019 548 584 -348 -312 -8123

교육계13 신뢰 1784 2100 575 624 -316 -267 -7273

언론계13 신뢰 1639 1680 588 659 -041 030 -3145

방송계13 신뢰 1779 1665 600 651 114 165 1506

의료계13 신뢰 1873 2274 574 639 -401 -336 -8585

행정부13 신뢰 1461 2046 531 683 -585 -433 -13578

입법부13 신뢰 1180 1905 403 586 -725 -542 -19212

사법부13 신뢰 1944 2275 591 639 -331 -283 -7671

학계13 신뢰 1957 2329 539 613 -372 -298 -8496

군대13 신뢰 1915 2468 649 614 -553 -588 -12062

금융계13 신뢰 1865 2068 593 629 -203 -167 -4463

전13 체 1733 2075 318 343 -342 -317 -14463

사회적13 지원

정서적13 지원 5813 3802 2672 2792 2011 2131 10916

경제적13 지원 4843 3202 2853 2788 1641 1576 7167

서비스13 지원 2967 2557 2352 2457 410 515 4336

전13 체 4541 3187 1880 1950 1354 1424 9337

단체참여

정당단체13 참여 1163 1593 518 1032 -430 084 -8129

시민단체13 참여 1098 1874 421 1229 -776 032 -12751

노동조합13 참여 1275 1512 674 956 -237 045 -7695

취미단체13 참여 1819 2166 1071 1366 -347 -052 -4389

이웃단체13 참여 1614 1493 1041 977 121 057 567

기타단체13 참여 1905 1753 1208 1151 152 095 1199

전13 체 1479 1732 469 702 -253 -020 -8045

주 평균13 및13 절대량13 차이는13 기술통계의13 차이 한국 ( -미국이며13 통계적13 유의도는13 ) t- 에13 대한13 검증test임

p 05 p 01 p 001 < < <

표13 lt 4gt 사회적자본의13 기술통계한국 미국13 ( 13 N 97913 13 N=53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3

모형검증의13 타당도평가2

이13 절에서는13 내생변인들에13 대한13 모형검증의13 타당도를13 분석한다 모형검증

의13 타당도를13 분석하기13 위해서는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13 변인13 등은13 탐색적13 요인분석과13 확인적13 요인분석이13 사용된다

탐색적13 요인분석결과 표본적절성13 측정치인13 값한국 미국 KMO ( =773

은13 적절한13 수준이었으며13 의13 구형성13 검증13 통계치의13 유의수준은13 =752) Bartlett

양13 국가13 모두13 으로13 보다13 작아13 자료의13 상관이13 요인에13 적합한13 것으로13 000 05 3

나타났다 제 요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13 개13 문항13 가운데13 개의13 측정변인 1 20 11

들이13 묶이는13 것으로서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에13 해당한다 제 요인은13 양13 2

국가13 모두13 전체문항13 가운데13 개13 문항의13 측정변인을13 요인13 구성하였으며13 사회6

단체참여에13 해당한다 마지막으로13 제 요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문항13 가운데13 3

개문항의13 측정변인을13 요인13 구성하였으며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해당3

한다 또한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의13 내적일

치성을13 알아보기13 위해13 의13 계수로13 평가한13 결과 한국Cronbach ( =8029 α

미국 로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신뢰도를13 보5192 5051 = 7658 5746 6933)

이고13 있었다 이상의13 결과를13 보면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변인이13 각기13 별개구성체로13 구성되고13

있음을13 보여준다

확인적13 요인분석결과는13 lt표13 5gt에13 제시하였다 분석에13 포함된13 문항들이13 어

떠한13 공통요인도13 형성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귀무모형이나13 모든13 문항들이13

사회적13 자본이라는13 단일차원의13 개념을13 측정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1-요인모형

두13 가지13 별개차원의13 개념들을13 측정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요인모형 세13 가지13 2

차원의13 개념들을13 각기13 별도로13 측정하도록13 제약을13 가해진13 요인모형으로13 구3

성되었다

144 김상돈

표13 lt 5gt 사회적13 자본13 하위차원에13 대한13 확인적13 요인분석 결과 한국 미국13 (CFA)13 -( N 97913 N=535)=

귀무모형(M0) (M1)

요인모형1

요인모형2요인모형3- 9)

(M2_1) (M2_2) (M2_3)8)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χ2 4465901

(p 001)<

2671725

(p 001)<

1235222

(p 001)<

1097272

(p 001)<

887151

(p 001)<

533939

(p 001)<

1030632

(p 001)<

942579

(p 001)<

899901

(p 001)<

540723

(p 001)<

692709

(p 001)<

383604

(p 001)<

DF 190 190 170 170 169 169 169 169 169 169 167 167

GFI1) - - 888 830 917 909 905 850 916 908 934 933

AGFI2) - - 861 789 897 887 882 814 895 886 917 916

NFI3) - - 745 651 809 814 788 713 806 791 850 855

CFI4) - - 773 693 840 886 818 759 837 844 882 911

IFI5) - - 774 695 841 916 819 761 837 845 883 912

1) Goodness of Fit Index2) Adjusted Goodness of Fit Index3) Normed Fit Index4) Comparative Fit Index5) Incremental Fit Index6) 두13 요인들13 간 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13 사회제도신뢰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68(pgt05) =156(pgt05)]對 7) 두13 요인들13 간 단체참여 사회제도신뢰13 사회적13 지원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52(pgt05) =對 -002(pgt05)]8) 두13 요인들13 간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13 단체참여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65(pgt05) =157(plt01)]對 =9) 세13 요인들13 간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051(pgt05) 061(pgt05) 123(plt05) -013(pgt05)157(plt01)

092(pgt05)]

lt표13 5gt를13 살펴보면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13 귀무모형이나13 1-요인모형

에13 비해13 요인모형들 의13 경우가13 수치2 (M2_1 M2_2 M2_3) 2 (p( 2) χ χ

가13 적을13 뿐만13 아니라13 여러13 가지13 모형부합지수도13 큼을13 알13 수13 있다lt001) 2-

요인모형13 가운데13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이13 하나의13 요인

을13 형성하고13 사회제도신뢰가13 또13 하나의13 요인을13 형성하도록13 제약을13 가한13

모형이13 모형13 및13 모형에13 비해13 수치 가13 M2_1 M2_2 M2_3 2 (p( 2)lt001)χ χ

적을13 뿐만13 아니라13 여러13 가지13 모형부합지수 한국( GFI=917 AGFI=897

미국NFI=809 CFI=840 IFI=841 RMSEA=0569 GFI=909 AGFI=

도13 큼을13 알13 수13 있어13 887 NFI=793 CFI=846 IFI=847 RMSEA=0636)

더13 적절한13 모형이었다 그러나13 세13 가지13 차원의13 개념들을13 각기13 별도로13 측정하

도록13 제약이13 가해진13 3-요인모형은13 어떠한13 요인모형들에13 비해서13 보다도13 모형2

부합지수한국( GFI=934 AGFI=917 NFI=850 CFI=882 IFI=88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5

미국RMSEA=0567 GFI=933 AGFI=916 NFI=855 CFI=911

가13 현격히13 향상되었다 이는13 양13 국가13 모두13 여러13 IFI=912 RMSEA=0493)

가지13 경쟁적인13 내재모형13 가운데13 요인모형이13 최적모형으로써13 분석에13 포함된13 3

문항들이13 세13 가지13 별개의13 구성체들을13 측정하고13 있으며 이13 구성체들13 간에는13

판별집합타당도가13 유지됨을13 확인시켜주는13 결과이다 이로써13 요인모형에13 잠 3

재된13 변인들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이13 각기13 ( )

별개의13 구성체들임을13 보여준다 뿐만13 아니라13 이13 내생변인들13 상호간에는13 연관

관계도13 그다지13 강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모형검증의13 추정결과3

이13 절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13

사이가13 이론적 경험적13 사실과13 어느13 정도13 부합되는지를13 검증한다 이를13 위해13

이들13 변인들13 사이의13 상관13 및13 인과관계 그리고13 경로분석이13 어떻게13 나타나는

지를13 로13 추정한다LISREL 4

측정모형분석에13 근거하여13 여타변인들의13 영향이13 통제되지13 않는13 영차상관관

계(zero- 를13 산출한13 결과는13 order correlation) lt표13 6gt에13 제시하였다 우선 사

회제도신뢰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

회경제적13 지위(r=- 변인만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관계로13 나타난13 192)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 (r=158)

다 이는13 한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불신이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에13 적극적으로13 참여할수록13 제

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났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

활용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남성더미

(r=- 기혼더미094) (r=- 등13 두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451)

4 측정모형분석에13 앞서13 개13 측정변인에13 대한13 다중13 공선성13 여부를13 검증하였다 검증결27

과 연령변인이13 한국이13 으로13 다중공선성이13 의심되는13 바13 연령변인을13 제외하고13 재 646

추정하여13 분석하였다

146 김상돈

관계로13 나타났다 이에13 비해13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남성더미 (r=197)

(r=- 기혼더미152) (r=- 광역시13 더미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이13 통352) (r=147)

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국에서는13 여성일수록 미혼일수록13

사회적13 지원을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되어진다면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여성일수록 미혼일수록 메트로폴리스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적13 지원

을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다른13 한편 사회단체참여에13 유의

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남성더 (r=387)

미 기혼더미 광역시더미(r=273) (r=104) (r=- 변인13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이13 136)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관계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

위 기혼더미 광역시더미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r=409) (r=109) (r=146)

적으로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다시13 말해13 한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남성일수록 기혼일수록 기타도시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반면에 미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기혼일수록 메트로

폴리스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단체에13 적극적으로13 참여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이어서13 사회제도신뢰와13 인과변인사이의13 인과관계는13 구조모형에13 대한13 추정

을13 통해13 규명한다 한국의13 기본모형과13 최종모형의13 추정13 결과 기본모형의13 모

형부합지수는13 정확합치인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미할13 뿐만13 아니라13 001

근사합치인13 GFI=911 AGFI=890 NFI=790 CFI=837 IFI=838

로13 보다13 작아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모형부합지수를13 나타내RMSEA=0588 08

고13 있지만13 전반적으로13 그리13 높지13 않은13 것으로13 나타내고13 있다 반면에13 최종모

형의13 모형부합지수는13 기본모형과13 마찬가지로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 001

미하며13 GFI=901 AGFI=878 NFI=783 CFI=837 IFI=839 RMSEA=

로13 기본모형보다13 다소13 향상되었다 결정계수에13 있어서도 최종모형은13 0594

기본모형에13 비해13 설명력이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 기본모형의13 ( R2=117 222

최종모형의13 044 R2=188 104 056)

동일한13 방식으로13 미국의13 기본모형과13 최종모형의13 추정13 결과 기본모형의13 모

형부합지수는13 정확합치인13 x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미할13 뿐만13 아니라13 001

근사합치인13 GFI=904 AGFI=882 NFI=801 CFI=867 IFI=869

로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모형부합지수를13 나타내고13 있지만13 전반RMSEA=054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7

그림13 2 사회제도신뢰를13 검증하기13 위한13 최종모형 한국13 -

그림13 3 사회제도신뢰를13 검증하기위한13 최종모형 미국13 -

적으로13 그리13 높지13 않는13 부합지수를13 나타내고13 있다 반면에13 최종모형의13 모형

부합지수는13 기본모형과13 마찬가지로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하며13 001

로13 GFI=896 AGFI=871 NFI=782 CFI=867 IFI=889 RMSEA=0539

148 김상돈

기본모형보다13 다소13 향상되었다 또한13 결정계수에13 있어서도 최종모형은13 기본

모형에13 비해13 설명력이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기본모형의13 ( R2=034 174 028

최종모형의13 R2=099 245 039)

모형13 찾기에서13 선정된13 최종모형에13 기초하여13 제반13 외생변인들의13 인과적13 단

위영향을13 보여주는13 구조모형을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추정한13 결과는13 lt표13

6gt에13 제시하였다 구조모형의13 추정결과를13 우선13 살펴보면 기본모형에서13 배제

되었던13 경로들13 가운데13 사회단체참여rarr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경제

적13 지위rarr사회단체참여로13 향하는13 경로만이13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이13 높고13 수정지표도13 현저한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사회경제적13 지위 rarr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rarr사회제도신뢰로13 향하는13 경로들은13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이13 낮고13 수정지표13 또한13 현저하지13 못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각13 내생변인과13 관련한13 결과를13 순서대로13 살펴보면13 다음과13 같다

첫째 사회단체참여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

위 남성 광역시(B=378) (B=220) (B=-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유의미한13 170)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B=416)

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과13 남성 그리고13 기타도시에13 거주하는13

사람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반면에13 미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만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이다

둘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남성(B=189) (B=- 기혼144) (-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유의470)

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남성더미(B=152) (B=- 기혼더미137) (B=- 광역시 등13 네13 372) (B=130)

가지13 변인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과13 여성 미혼은13 사회적13 지원을13 강한13 연

계보다는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광역시에13 거주하는13 사

람들은13 한국사회13 보다13 미국에서13 강한13 연계보다13 약한13 연계에13 사회적13 지원을13

요청한다

셋째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단체참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9

사회경제적13 지위(B=151) (B=- 등13 두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246)

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B=144)

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은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

데13 비해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들은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불신이13 높게13

나타났다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이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났다

변인

한국(N=979) 미국(N=535)

단체참여 사회적지원 사회제도신뢰 단체참여 사회적지원 사회제도신뢰

r B r B r B r B r B r B

매개내생변인

사회적13 지원 048 - -017 -

매개외생변인

단체참여 - 090 189 043 151 104 152 158 144

외생변인

SES 387 378 070 - -192 -246 409 416 197 - 093 031

통제변인

남성13 더미 273 220 -094 -144 -024 -033 006 026 -152 -137 040 039

기혼13 더미 104 068 -451 -470 006 005 109 018 -352 -372 064 037

광역시13 더미 -136 -170 047 053 -005 -007 146 066 147 130 -004 -023

R2 237 220 056 183 195 030

χ2 1187022(df=283) (plt001) 687058(df=283) (plt001)

모형부합치 GFI=915 AGFI=894 NFI=808

CFI=846 IFI=847 RMSEA=0572

GFI=910 AGFI=888 NFI=812

CFI=880 IFI=881 RMSEA=0517

주 제시된13 계수는13 표준화계수이며 통계적13 유의도는13 비표준화계수에13 대한13 검증임 1)

계수를13 연차적으로13 자유모수로13 개방하여13 추정한13 최종모형임2) B21 11 Γ

단측검증 단측검증 단측검증3) p 05 p 01 p 001 < < <

표13 6<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요인들에13 대한13 추정13 결과13 LISREL13

다음은13 사회제도신뢰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대한13 직접 간접 전체영향을13 분리시킨13 경로분석을13 시도한다 그13 결과는13 lt표13 7gt과13 같다

우선 사회제도신뢰의13 경로분석결과를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유의미한13

요인들과13 그13 영향에13 대한13 절대적13 크기순서대로13 나열하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

제적13 지위(B=- 사회단체참여 로13 구성되며 미국에서는13 단체참여189) (151)

변인만으로13 구성되었다 이13 같은13 결과를13 각13 변인별로13 보다13 상세히13 (B=144)

150 김상돈

살펴보면13 먼저 양13 국가13 모두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와13 사회단체참여변인

을13 연결하는13 제 의13 변인은13 존재하지13 않기13 때문에13 사회단체참여의13 전체영향3

은13 직접영향 한국 미국 만으로13 구성되며13 그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 =151 =144)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다 다음으로 사회경제적13 지위13 변인은13 한국

에서13 강한13 부의13 인과적13 영향(B=- 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며13 직접영189)

향(B=- 및13 간접영향 모두13 유의미하였고13 전체의13 가13 직접246) (B=057) 130

영향으로13 구성된다 반면에13 미국에서13 직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으나13 간접영

향 은13 유의미하다 이상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사회단체참여의13 (B=060)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그13 영향의13 구체적13 방향이13 이론적13 예측과13 예외13 없이13 일

치한13 반면에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사회경제적13 지위의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이론적13 예측과13 일치하지13 않았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대한13 경로분석결과를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들과13 그13 영향에13 대한13 절대적13 크기순서대로13 나

열하면 한국에서는13 기혼 (B=- 단체참여 남성457) (B=189) (B=- 사회102)

경제적13 지위 순으로13 구성되며 미국에서는13 기혼(B=071) (B=- 단체참374)

여 광역시 남성(B=152) (B=140) (B=- 사회경제적13 지위 순133) (B=063)

으로13 구성된다 이13 같은13 결과를13 각13 변인별로13 보다13 상세히13 살펴보면 첫째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사회단체참여변인을13 연결하는13 제 의13 3

변인은13 존재하지13 않기13 때문에13 사회단체참여의13 전체영향은13 직접영향한국(

미국 만으로13 구성되며13 그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189 =152)

의미하다 둘째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영향이13 사회단체

참여에13 의해13 전적으로13 매개된13 간접영향한국 미국 으로만13 구성( =069 =063)

되었다 셋째 기혼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직접영향한국 ( =- 미국470 =-371)

만이13 유의미한13 반면에13 간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았다 넷째 남성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직접영향 한국( =- 미국144 =- 이13 유의미하고13 간접영향은13 한137)

국 만이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고13 미국에서는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것(B=042)

으로13 나타났다 다섯째 광역시13 변인은13 한국에선13 직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

은13 대신에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된13 간접영향(B=- 은13 유의미한13 반면032)

에13 미국에선13 사회단체참여에13 매개된13 간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대신에13 직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1

접영향 은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B=130)

한국(N=979) 미국(N=535)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변인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매개변인

사회적지원

단체참여 189 189 151 151 152 152 144 144

외생변인

SES 071 071 -246 057 -189 063 063 030 060 090

통제변인

남성더미 -144 042 -102 -033 033 000 -137 004 -133 039 004 043

기혼더미 -470 013 -457 -026 010 016 -371 -003 -374 038 -003 035

광역시더미 033 -032 001 -006 -026 -032 130 010 140 -023 -009 -014

제시된13 계수는13 표준화계수이며 통계적13 유의도는13 비표준화계수에13 대한13 검증임1)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지원에13 미치는13 영향2) ( ) times ( )=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미치는13 영향3) ( ) times ( )=

전체영향13 직접영향13 간접영향4) = +

단측검증 단측검증 단측검증 p 05 p 01 p 001 < < <

표13 lt 7gt 사회적13 지원과13 사회제도신뢰를13 설명하는13 요인들의13 직접13 간접 전체영향을13 분리한13 경로분석결과LISREL13 1)

논의13 및13 결론V

이13 연구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

회제도신뢰13 등에13 대한13 기술통계13 및13 판별집합타당성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차

이 매개효과13 등을13 실증적으로13 규명할13 목적으로13 수행되었다 이를13 위하여13 유

교공동체주의와13 합리적13 개인주의모델의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특성을13 지니고13 있

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를13 선정하여13 국제사회종합조사 자료모듈인13 (ISSP)

와13 자료를13 대상으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과13 관련KGSS 2004 GSS 2001

된13 일련의13 연구13 가설을13 제시하여13 검증하였다

첫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적13 신뢰 ( )

152 김상돈

은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확연히13 다른13 평균차이를13 보여주고13 있다 사회단

체참여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상대적으로13 더13 적극( =1479) ( =1732)

적이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국에서13 저조

한13 이유는13 년13 이후13 신사회운동을13 포함한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추세에1987

도13 불구하고13 시민사회의13 공론장이13 모순적으로13 제도화되었기13 때문이다 이는13

사회공간이13 존재하는13 것과13 그13 공간에13 참여하는13 것과는13 별개의13 개념임을13 의미

한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은13 미국평균 보다13 한국평균 에서13 약 ( =3187) ( =4541)

한13 연계에13 더13 활용되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

용이13 한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분석결과는13 학연 지연 혈연13 등13 연고13 집단으로13 인해13 사회적13 자본이13 풍부하다고13 주장한13 연구유석춘13 외 와13 일치된다( 2002)

다른13 한편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더13 ( =1733) ( =2075)

높으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제도신뢰가13 한국보다13 미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사실은13 정치 경제적으로13 성공한13 국가가13 그렇지13 못한13 국가보다13 상대적으로13 제도신뢰가13 더13 높을13 것이라고13 제시한13 거시적13 차원에서의13 연구결과

와13 부합된다(Putnam 1993 1995 Fukuyama 1995)

둘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

사회제도신뢰사이에는13 판별) 집합타당도가13 유지된다는13 사실을13 강조할13 필요가13 있다 탐색적13 요인분석과13 더불어13 확인적13 요인분석을13 실시한13 결과에서13 나

타난바와13 같이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을13 측정하기13 위한13 문항들은13 제각기13

해당차원의13 개념들만을13 측정할13 뿐만13 아니라13 이들13 차원들이13 각기13 별도의13 개념

을13 형성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3-요인모형이13 최적모형으로13 판명됨으로써13 3-요인

모형에13 잠재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의13 판별 수렴타당도가13 존재함을13 보여준다 아울러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들13 사이의13 상관관계조차도13 상당히13 미

약한13 것으로13 드러남으로써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13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13 등은13 각기13 별개의13 구성체들로13 이루어져있음이13 나타났다

셋째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 (

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 의13 불평등을13 밝히는데13 사용되었다 사회단체 )

참여와1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변인으로13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와13 접한13

관련성을13 맺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나13 사회제도신뢰에13 있어서13 강한13 부(- 의13 상관13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3

및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와13 사회적13 지원13 연결망활용의13 인과변인으로서13 중요하게13 나타났다 그러나13 한

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

타났으며13 미국에서는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타나13 이들13 연구가설13

모두13 기각된13 결과로13 나타났다 기각된13 이유는13 통계적13 해석과13 담론적13 해석13 두13

가지로13 논의할13 수13 있는데 첫13 번째13 이유는13 사례수와13 변량13 등13 통계적13 근거에

서13 설명할13 수13 있다 예컨대13 구조모형의13 추정에13 동원된13 측정변인13 및13 이론변인

의13 수를13 감안할13 때13 제한된13 사례13 수한국 미국 는13 여러13 변인들의13 ( =979 =535)

변량을13 제한하고13 표준오차를13 증가시킴으로써13 각각13 사회적13 지원13 및13 사회적13 신

뢰의13 통계적13 유의도를13 상실하게13 하는13 원인으로13 작용될13 가능성이13 있다 통계

적13 해석보다13 중요한13 담론적13 해석은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설명유교공동체주의(

자유민주주의에서13 그13 이유를13 예측할13 수13 있다 한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하다는13 사실은13 서구사회의13 인간관계와13 유

사할13 정도로13 진행되고13 있음에도13 불구하고13 여전히13 유교공동체주의모델이13 존

재함을13 보여준13 결과이다 미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

하다는13 사실은13 한국과13 달리13 부의13 불평등에13 대해13 당연시하는13 미국인의13 태도

개인주의 시장의13 제도화13 등13 맥락변인에서13 설명될13 가능성이13 높음을13 예측하게13

한다

넷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강력한13 단위영향과13 관련하여13 한

국 은13 미국 보다13 상대적으로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B=189) (B=152)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한국 은13 미국 보다13 (B=071) (B=06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서도13 사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

우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222 R2 에13 비하여13 포함된13 경우한국=173) (

사회의13 R2 미국사회의13 =243 R2 에13 대한13 설명력이13 각각13 =188) 21 15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이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에13 있어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

거를13 시사하는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사회단체참여의13 경제행위를13 이

해하는데13 있어서13 영리적13 차원의13 자기이해와13 합리적13 선택론에13 근거한13 신제도

주의이론으로만13 온전히13 설명할13 수13 없다는13 점을13 밝히면서13 한편으로는13 개별행

154 김상돈

위자들이13 현재13 맺고13 있는13 사회연결망에13 의해서13 형성된다고13 본13 신경제사회학

의13 이론적13 논의를13 부각시켰다는13 점에서13 시사하는13 바가13 크다 이로써13 사회단

체참여는13 다양한13 사람들과의13 사회적13 관계에서13 유통되는13 사회적13 지원을13 제공

해주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척도로서13 의미13 있는13 구성지표이다

다섯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B=144

보다13 한국 에서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지만 사회경제적13 plt05) (B=151 plt05)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는13 한국 보다13 미국(B=057 plt05)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B=060 plt05) 5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13 있어서도13 사

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미국사회의13 ( R2=037 R2 에13 비=028)

하여13 포함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056 R2 의13 설명력은13 =030)

한국과13 미국13 각각13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은13 작19 02

은13 증가를13 나타냈으나13 단위13 영향13 및13 간접영향13 모두13 높게13 형성되어13 사회단체

참여가13 제도신뢰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거를13 시사

한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공적13 시민정신의13 연구결과들 (Tocqueville

과13 일치됨으로써13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과13 미국13 1845 Putnam 1993 1995)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신뢰의13 중요한13 관건임을13 밝혀냈다 그러나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약한13 정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

데 이러한13 결과가13 나타난13 사실은13 년13 이후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로13 인 1987

해13 시민의13 정치참여를13 높이는데13 일정정도13 기여했으나13 민주적13 시민덕목을13 배

양하는데13 있어서는13 그리13 성공하지13 못한13 데에서13 추측할13 수13 있다 이를13 위해서

는13 중복적13 참여13 및13 자기이해(self- 에13 기초한13 소극적13 참여에서13 호혜성interest)

규범과13 사회적13 신뢰형성을13 위한13 제도적13 메커니즘으로의13 사회단체참여13 구축

이13 무엇보다13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이13 사회제도신뢰에13 미치는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이러한13

사실은13 사회적13 자본의13 연구결과 김용학(Pagden 1988 Fukuyama 1995 손

5 이와13 반대로 결측치에13 개별평균값을13 대체하기전의13 추정결과에서 사회단체참 LISREL

여의13 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B=169 plt05) (B=133 plt05)

더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높게13 나타났다(B=049 plt05) (B=043 plt0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5

재석 이재열 에서13 제시된13 반경범위 내집단13 족쇄 연고13 집단13 등 1998 1998)

의13 용어를13 사용하면서 가족13 및13 개인연결망13 활용이13 공적영역의13 신뢰를13 식민

화하여13 사회13 전체적으로13 저신뢰사회가13 된다고13 주장한13 논의와13 일치하지13 않는13

결과이다 즉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사이의13

관계가13 서로13 양립13 가능한13 현상을13 보여주어13 매개역할13 또한13 기각되었다

종합컨대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상관관계와13 유의미한13 정 의13 인과관계로13 작동하는데13 비해13 미국에서는13 상관13 (+)

및13 인과관계13 모두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 한편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

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은13 약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13 것으 (+)

로13 나타났다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의13 중요한13 인과변인인13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양13 국가13 모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력을13 미치고13 있으며 사회경제적13 지(+)

위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두13 가지13 구성개념사회제도신뢰13 및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 )

인과적13 영향은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되었다는13 사실13 또한13 이13 연구에서13 밝

혀냈다

이상의13 연구에도13 불구하고13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한국의13 ( R2 237 220

미국의13 056 R2 이13 낮게13 형성되었다는13 점과13 와13 183 195 030) KGSS 2004

자료에13 한정하여13 분석하였기13 때문에13 분석결과의13 해석과13 일반화에13 GSS 2001

한계가13 있을13 수13 있다 예를13 들면13 년과13 년이라는13 특정한13 시기에13 조 2004 2001

사가13 이루어졌다는13 점에서13 이론적 경험적으로13 함축하는13 바가13 있다고13 하더라도13 외적13 타당성의13 문제점을13 지닌다 그리고13 이13 연구는13 전국규모를13 대상으로13

조사되었다는13 점에서13 의미하는13 바가13 있지만13 시계열적13 자료를13 통한13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정 한13 검증을13 하지13 못하였다는13 점에서도13 그13 한계가13 있음을13 밝혀

둔다 따라서 향후13 후속연구에서13 제시된13 모델들을13 보다13 정교화하는13 이론적13

작업과13 더불어13 다양한13 변인들을13 충분히13 활용하며13 통시적13 연구13 및13 국가간의13

비교연구13 등을13 통해13 경험적13 연구들이13 진행되어야13 할13 것이며 연구자의13 관심

과13 노력으로13 연구의13 질적13 향상을13 기대해본다

156 김상돈

참고문헌

국민호 동아시아경제발전과13 유교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1997 31 1 pp 29-59「 」 985172 985173김상욱 조직몰입의13 하위차원들의13 타당도평가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2001 35 3 pp 「 」 985172 985173

109-138

김용학 손재석 미시적13 신뢰와13 거시적13 위험 계간사상 1998 38 pp 115-132 「 」 985172 985173이재열 민주주의 사회적13 신뢰 사회적13 자본 계간사상 1998 38 pp 65-93「 」 985172 985173유석춘 외 사회자본과13 신뢰 한국 일본 덴마크 스웨덴13 비교13 연구 동서연구 2002 「 」 985172 985173

권13 호14 1 pp 101-135

장수찬 한국사회에13 나타난13 악순화의13 사이클 한국정치학회보 권13 호 2002 36 1 pp 「 」 985172 98517387-112

한국13 사회과학도서관13 홈페이지 2005 httpwwwksslorkr

Banfield E 1967 The Moral Basis of a Backward Society New York Free Press

Billiet JB and Bart Cambre 1999 ldquoSocial capital active membership in voluntary

associations and some aspects of political participatio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Bourdieu Piere 1984 The Distiction A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Brehm John amp Wendy Rahn 1997 ldquoIndividual-level evidence for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social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41(3)

pp 999-1023

Burt R 1992 Structure Holes The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Coleman James 1988 ldquo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pp 94-121

DiMaggio Paul and Hugh Louch 1998 ldquoSocially Embedded Consumer Transaction

For What Kinds of Purchases Do People Most Often Use Networks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3 pp 619-637

Fukuyama Francis 1995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perty

NewYork Free Press Paper Backs Book

Gambetta Diego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Financial Capital The

Case of Network Marketing Champaign Stipes

Ganzeboom H B G and DJ Treiman 1996 ldquoInternationally Comparable Measures

of Occupational Status for the 1988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rdquo Social Science Research 25 pp 201-239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7

Giddens Anthony 1990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Stanford Stanford UP

Granovetter Mark 1985 ldquoEconomic Action and Social Structure The Problem of

Embeddedness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1 pp 481-510

Inglehart R 1999 Culture Shift in Advanced Industrial Societ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Joumlreskg Karl G and Soumlrbom Dag 1989 LISREL 7 A Guide to the Program and

Applications Chicago SPSS Inc

Lin Nam 1982 ldquoSocial Resource and Instrumental Actionrdquo In Social Structure and

Network Analysis edited by Peter Marsden and Nan Lin Beverly Hill CA

Sage Publication

Loury Glen 1977 ldquoA Dynamic Theory of Racial Income Differencerdquo In PA

Wallace amp A LeMund (eds) Woman Minorities and Employment Discrimi-

nation Lexington Lexington Books

Luhmann Niklas 1988 ldquoFamiliarity Confidence Trust Problems and Alternativesrdquo In D Gambetta (ed)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New York Basil Blackwell

McPherson J Miller 1983 ldquoAn Ecology of Affiliation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8 pp 519-532

Newton Kenneth 1997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rdquo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0(5) pp 575-586

Newton Kenneth 1999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 in Modern Euroupea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s)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Olson ME 1965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Pagden Anthony 1988 ldquoThe Destruction of Trust and its Economic Consequence in

the Case of Eighteenth-century Naplesrdquo In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edited by D Gambetta Oxford Blackwell

Paxton Pamela 1999 ldquoIs Social Capital Declining in the US A Multiple Indicator

Assessment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5(1) pp 88-126

Portes A 1998 ldquoSocial Capital Its Origin and Application in Modern Sociologyrdquo Annual Review of Sociology 24 pp 1-24

Portes A 2000 ldquoThe Two Meaning of Social Capitalrdquo Sociological Forum 15(1)

pp 1-12

Putnam Robert 1993 Making Democracy Work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utnam Robert 1995 ldquoBowling Alone Americans Declining Social Capitalrdquo Journal of Democracy 6(1) pp 65-78

Sztompka P 1999 Trust A Sociological Theor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8 김상돈

Toqueville Alexis de [1835 1840] 1990 Democracy in America(Reprint) New

York Vintage

Verba Sidney Kay Lehman Schlozman and Henry E 1995 Voice and Equality

Civic Voluntarism in American Politics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son Oliver E 1993 ldquoCaculativeness Trust and Economic Organizationrdquo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36(3) pp 453-486

Zucker Lynn G 1986 ldquoProduction of Trust Institutional Sources of Economic

Structurerdquo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8 pp 53-111

Comparison Analysi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n the Causal Structure of Trust in Social InstitutionsWith a focus on Mediation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and

Social Support

Sang-don KimLecturer in The University College at Sungkyunkwan University

This Study explores the multiplicativ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social institutions trus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do this a set of hypotheses concerning th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are set forth and subjected to an empirical assessment by using data set

collected from KGSS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2004 and GSS (General

Social Survey) 2001 out of the ISSP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lanning)

Modules

Analysis of data in terms of ML (Maximum Likelihood) procedure in

LISREL852 was used and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s (1) The unit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on association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2)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status on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but They were appear to be an important predictor to

Korea (3)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on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4) Association participation was especially in

shaping social support and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to the two nations

This study is interpreted that further research on the topic of social capital are

raised with elaborating the measure on the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political efficacy consciousness of social class and so forth coupled with

advertising a few limitation of this study

Keyword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KGSS GSS ISSP

김상돈 성균관대학교13 학부대학강사13

경기도13 수원시13 장안구13 조원동13 한일타운13 동13 호13 119 703 440-709

Tel_01113 912013 132313 13 E-mail_education17hanmailnet

Page 10: 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 미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64/1/5.%e1%84%80%e1...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미비교연구:

134 김상돈

대한13 연구는13 거시적13 차원의13 사회적13 자본론자들(Pagden 1988 Fukuyama

에13 의해서13 비롯된다 은13 내집단족쇄1995) Pagden(1988) (fetters of in-group)

용어를13 사용하면서13 혈연 지연13 등13 자연적13 관계를13 통한13 공동체적13 유대감과13 학연 직장동료관계와13 같은13 이익집단생활을13 통한13 유대감이13 집단13 내13 소속감으로13 되어13 사람에13 대한13 신뢰는13 높지만 사람에13 대한13 신뢰가13 제도에13 대한13 신뢰의13

희생을13 기반으로13 확대된다고13 하였다 는13 반경범위개념을13 사 Fukuyama(1995)

용하면서13 저신뢰13 사회의13 공통점을13 강력한13 가족주의13 문화와13 중앙집권13 등13 구조

적13 특성에서13 기인된다고13 지적하면서 강력한13 중앙집권국가에13 있어서13 가족과13

국가사이의13 중간지대 즉13 양자사이의13 중개집단들의13 자율과13 자치를13 억압하게13

되어13 사람13 및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상대적으로13 취약하다고13 주장하였

다 국내연구결과김용학 ( 손재석 이재열 에서도13 법적인13 계약서 1998 1998)

나13 재정적인13 보증13 없이13 돈을13 빌려주는13 일 일자리를13 제공하는13 일 계를13 통해13

금리보다13 높은13 이자수익을13 얻는13 등13 사회적13 지원이13 가족13 및13 개인연결망으로13

활용되고13 있으며 이러한13 사적13 영역의13 연결망활용은13 공적영역의13 신뢰를13 식민

화하여13 사회13 전체적으로13 저신뢰사회가13 되었다고13 지적한다 사회적13 지원의13 논

의를13 통해13 일상생활에서13 사람들이13 강한13 연계를13 활용할수록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

적13 신뢰가13 희생된다고13 본13 제한적13 연대의13 개념들예 내집단족쇄 반경범위13 (

등에13 대한13 인과관계의13 연장선상에서13 이13 연구는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13 활용과13 )

사회제도신뢰13 사이의13 인과구조를13 분석한다

연구가설13 및13 연구모형3

이상의13 이론적13 논의를13 토대로13 구성한13 분석모형은13 그림13 과13 같다 이13 연구1

의13 최종13 내생변인은13 사회제도신뢰이다 사회제도신뢰는13 대기업 언론계 교육

계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13 등을13 포함한13 개의13 하위영역으로13 설정하여13 한국 11

과13 미국13 양13 국가의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를13 다차원적 통합적으로13 비교분석한다

사회제도신뢰의13 영향요인은13 사회13 경제적13 지위와13 사회단체참여 그리고13 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5

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으로13 설정하고 통제변인으로13 인구학적13 요인을13 설정

한다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교육년수 직업위세 소득13 등13 세13 가지13 하위범주로13

설정하여13 측정한다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은13 각각13 매개13

외 내생변인으로13 한다 사회단체13 참여는13 정당단체 노동조합 시민단체 취미

단체 이웃단체 기타단체로13 하고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은13 정서적13 지원

경제적13 지원 서비스지원13 등13 세13 가지13 하위범주로13 설정하여13 측정한다

그림13 분석13 모형1

ξ 1 사회경제적13 지위 X 5 기혼더미 Y 10 기업계13 신뢰

ξ 2 남성더미 X 6 광역시더미 Y 11 교육계13 신뢰

ξ 3 기혼더미 Y 1 정당단체참여 Y 12 언론계13 신뢰

ξ 4 광역시13 더미 Y 2 시민단체참여 Y 13 방송계13 신뢰

η 1 사회단체참여 Y 3 노동조합참여 Y 14 의료계13 신뢰

η 2 사회적13 지원 Y 4 취미단체참여 Y 15 행정부13 신뢰

η 3 사회적13 신뢰 Y 5 이웃단체참여 Y 16 입법부13 신뢰

X 1 교육년수 Y 6 기타단체참여 Y 17 사법부13 신뢰

X 2 직업위세 Y 7 정서적13 지원 Y 18 학계13 신뢰

X 3 소득 Y 8 경제적13 지원 Y 19 군대13 신뢰

X 4 남성더미 Y 9 서비스13 지원 Y 20 금융계13 신뢰

기본13 모형에13 대한13 인과13 경로임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과13 수정지수 에13 따라13 추정될13 인과13 경로임(MI)

136 김상돈

이상의13 분석모형을13 토대로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13 사이의13 연구13 가설들은13 다음과13 같다

lt연구가설13 1gt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13 사람보다13 미국사람이13 상대적으로13 더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2gt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이13 낮은13 사람에13 비해13 사회단체

참여에13 적극적일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3gt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이13 사회적13 지원을13 강한13 연계13

보다는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할13 가능성이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4gt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은13 낮은13 사람에13 비해13 상대적으

로13 사회제도13 신뢰가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5gt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일수록13 사회제도신뢰가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6gt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일수록13 사회적13 지원을13 강한13 연계보다

는13 약한13 연계에13 더13 많이13 요청할13 가능성이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7gt 사회적13 지원을13 약한13 연계에13 더13 많이13 요청할수록13 사회제도신

뢰가13 높을13 것이다

연구13 방법III

자료수집방법1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13 사이에13 미치는13

영향을13 분석하기13 위해13 사용할13 자료는13 와13 이다KGSS 2004 GSS 2001

자료는13 성균관대학교13 서베이리서치센터에서13 년13 월13 KGSS 2004 2004 7~8

동안13 실시하였으며 표집절차는13 전국13 주민등록13 전산자료로부터13 다단계지역층

화표본추출법에13 의해13 추출되는데 그13 구체적인13 절차는13 다음과13 같다 첫째 최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7

종표집지역수를13 개로13 선정하고13 이를13 차표집단위인13 전국13 광역시200 1 도의13 가구수13 분포에13 비례하여13 배분한다 둘째 각13 광역시 도로부터13 배분된13 수만큼의13 차표집단위인13 읍2 면 동을13 인구비례확률표집13 원칙을13 적용하여13 무작위로13 추출한다 셋째 이렇게13 추출된13 각13 읍 면 동으로부터13 한13 개의13 최종표집지역면( 의13 경우에는13 리 동의13 경우엔13 통 반을13 무작위로13 선정한다 넷째 선정된13 )

통 반13 또는13 리에서13 개의13 가구를13 계통표집한다 계통표집된13 가구13 내에서13 10

만13 세13 이상13 성인13 가구원들의13 리스트를13 작성한13 후13 이들13 가운데13 태어난13 월18

일이13 가장13 빠른13 사람을13 조사대상자로13 삼는다 조사된13 설문지의13 유효사례수는13

명이다 이13 연구에13 사용할13 변인들에13 대한13 응답13 가운데13 무응답1312 (lsquo모르겠다rsquo 포함 문항에13 개별평균값으로13 대체한13 후13 결측치 ) (missing values)(n=

를13 일률적 으로13 제거하여13 추출된13 총13 명이13 최종13 분석사례수343) (listwise) 979

를13 형성하였다 평균13 대체방법을13 사용한13 이유는13 변인들의13 분포추정치13 왜(N)

곡13 가능성의13 성격을13 지니지만 결측치를13 가능한13 정확한13 값으로13 대체함으로써13

무응답의13 편차감소와13 연구결과의13 일반화13 및13 신뢰성이13 향상될13 수13 있기13 때문이

한편 자료는13 시카고대학의13 GSS 2001 NORC(National Opinion Research

C 에13 의해13 수집된13 자료로서13 년13 월에서13 월에13 걸쳐13 면접자13 조사방enter) 2001 2 5

식에13 의해13 수집되었다 표집방법의13 구체적인13 절차는13 다단계지역13 확률표집방

법으로서13 차13 표집단위는13 표준대도시지역1 (SMSA Standard Metropolitan

또는13 비도시지역의13 카운티들을13 지역 연령13 그리고13 인종에13 Statistical Area)

따라13 층화한13 후13 그13 단위를13 블록그룹이나13 열람구역별로13 인종과13 소득에13 따라13

층화한다 최종표집단위는13 블록이며 블록들을13 크기에13 준해13 확률을13 조정한13

뒤 특정블록을13 추출한다 이렇게13 추출한13 조사대상자를13 대상으로13 부실한13 응

답사례를13 제외한13 유효사례수는13 명이다 한국과13 동일한13 방식으로13 무응답2765

(lsquo모르겠다rsquo 포함의13 문항에13 개별평균값으로13 대체한13 후13 결측치 ) (missing

를13 일률적 으로13 제거하여13 추출된13 총13 명이13 이13 연values)(n=2230) (listwise) 535

구의13 최종13 분석사례13 수 를13 형성하였다(N)

138 김상돈

변수정의13 및13 측정2

이13 연구의13 최종내생변인은13 사회제도신뢰로13 대기업 교육계 언론계 금융

계 학계 의료계 방송계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 군대13 등13 가지13 영역을13 포 11

함한다 이렇게13 구성된13 사회제도신뢰는13 ldquo신뢰하지13 않음rdquo ldquo다소신뢰rdquo ldquo매우13 신뢰rdquo 순으로13 점에서13 점을13 부여하여13 연속변수로13 분석에13 사용한다 1 3

이13 연구의13 매개13 내생변인인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유형은13 사회연결망13 연구

자들의13 연계유형에서13 제시한13 가족 친척 이웃 친구 직장동료 성직자 사회

사업가 의사13 등을13 가족 친척 비13 친척으로13 분류한13 후13 이들13 유형을13 각각13 교

차 시켜13 아홉13 가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13 활용유형을13 만들13 수13 있다 이(3times3)

렇게13 구성된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유형은13 강한13 연계에13 답한13 순으로13 정리한13

후 동일한13 응답범주는13 첫13 번째13 응답에13 강한13 연계로13 답한13 경우를13 우선13 기준

으로13 점에서부터13 점까지의13 점수를13 부여하여13 측정한다1 9

이13 연구의13 매개외생변인은13 사회단체참여로13 정치단체 노조단체 시민단체

취미단체 이웃단체 기타단체13 등13 여섯13 가지13 영역의13 사회단체13 참여수준을13 측

정한다 사회단체참여에13 대한13 영역은13 ldquo소속된13 경험이13 없음rdquo ldquo과거에13 소속된13 경험13 있음rdquo ldquo소속되어13 소극적13 활동rdquo ldquo소속되어13 적극적13 활동rdquo 순으로13 조사

되었으며13 이들13 각각에13 점부터13 점까지의13 점수를13 부여하였다1 4

변13 인정의( )

설13 문13 문13 항측정척도범위[ ]

사회제도신뢰(institution)

개13 주요13 사회기관에13 대한13 신뢰의13 정도11매우13 신뢰13 다소13 신뢰13 매우13 불신 ① ② ③

연속변수[1-3]

사회적13 지원(SUPPORT)

정서적13 지원13 ① ② 연속변수[1-9]

경제적13 지원13 ① ② 연속변수[1-9]

서비스13 지원13 ① ② 연속변수[1-9]

사회단체참여(ASSOCIATION)

개13 사회단체참여에13 대한13 참여13 여부6소속된13 경험13 무13 소속된13 경험① ② 소극적13 활동13 적극적13 활동③ ④

연속변수[1-4]

표13 lt 1gt 내생변인들의13 설문문항13 및13 변수정의1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9

이13 연구의13 외생변인은13 사회경제적13 지위이다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교육년수

소득 직업위세로13 설정한다 교육년수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중요한13 인과변인으로

서13 정규교육을13 받은13 수학년수에13 근거하여13 점에서부터13 점으로13 측정한다0 23

응답자의13 월평균소득은13 와13 자료모듈에13 있는13 원13 자료KGSS 2004 GSS 2001

를13 근거로13 각13 범주에13 중간값을13 부여하여13 자연대수로13 변환하여13 측정한다 응

답자의13 직업은13 간즈붐과13 트라이먼 에13 의하여13 (Ganzeboom amp Trieman 1996)

구성된13 표준국제직업위세척도(SIOPS Standard International Occupation

에서13 제시한13 점부터13 점으로13 점수를13 부여하여13 분석에13 사Prestige Scale) 16 88

용한다

한편 인구학적13 특성인13 성 연령 결혼상태 지역13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은13 통제

변인으로13 설정한다 성은13 더미변수로서13 여성일13 경우는13 남성일13 경우는13 로13 0 1

부여13 한다 연령은13 자연연령으로13 분석에13 사용한다 결혼13 상태는13 더미변수로

서13 미혼13 및13 이혼 사별 별거일13 경우는13 기혼일13 경우는13 로13 부여하여13 더미0 1 변수로13 사용한다 지역은13 한국사회의13 경우13 특별시13 및13 광역시일13 경우에는13 1

기타도시일13 경우는13 으로 미국사회의13 경우13 메트로폴리스는13 기타도시는13 0 1 0

으로13 부여하여13 더미변수로13 만들어13 사용한다

변13 인 설13 문13 문13 항 측정척도

사회경제적13 지위(SES)

교육13 년수연속변수

직업13 위세SIOPS

[16-87]

소득13 수준 ln(income)

통제변인

연령 연속변수

성별남성=1 여성=0

결혼여부기혼=1미혼=0

이혼 사별 별거=0

주거지역광역도시=1기타도시=0

표13 lt 2gt 사회인구학적특성에13 사용된13 설문문항13 및13 변수정의13

140 김상돈

자료분석방법3

이13 연구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

제도신뢰13 사이의13 영향을13 분석하기13 위해13 탐색적13 요인분석 확인적13 요인(EFA)

분석 그리고13 공변량13 구조분석 등을13 시도한다 확인적13 요인(CFA) (LISREL)

분석은13 일련의13 경쟁적인13 요인모형들을13 각기13 추정하여13 모형부합지수를13 각13 모

형별로13 산출하여13 최적의13 모형을13 추정한다 구조방정식모형은13 측정모형과13 구

조모형의13 개13 하위모형으로13 구성되어13 있다 측정모형분석의13 전략은13 제도에13 2

대한13 사회적13 신뢰 사회적13 지원 사회단체참여13 등13 내생잠재변수와13 외생잠재

변수인13 사회경제적13 지위 그리고13 통제변수를13 이론변수로13 설정하여13 제반13 이론

변수간의13 상관관계를13 분석한다 한편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를13 각13 별도의13

결과변인13 혹은13 최종적13 내생변인으로13 설정하고13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을13 매개변인으로13 설정한13 상태에서13 제반13 예측변인들의13 인과적13 단

위영향을13 분석하기13 위한13 구조모형을13 추정한다 이어서13 각13 결과변인을13 설명하

는13 인과요인들의13 직접 간접 전체13 영향을13 분리시키는13 경로분석을13 실시함으로써 각13 인과변인들의13 상대적13 중요성에13 대한13 평가를13 시도한다 각13 차원들을13

결과변인으로13 간주한13 공변량13 구조분석을13 시도함으로써13 이론13 변인들간의13 구

조적13 인과관계를13 추정한다 실증분석을13 위하여13 사용된13 통계프로그램은13 SPSS

및13 를13 사용하였다110 LISREL 852

분석결과IV

기술통계1

분석에13 포함된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의13 조사대상자에13 대한13 사회경제적13 지

위13 특성을13 살펴보면 교육년수는13 한국평균 년보다13 미국평균 ( =12422 ) (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1

년 에서13 약간13 높으며 직업위세점수는13 한국평균 점보다13 미국13629 ) ( =40315 )

점 에서13 정도13 높게13 나타났다 소득수준은13 한국평균 보(47512 ) 7197 ( =5394)

다13 미국평균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 =10464) 3 따라서13 조사대상자의13 사회경제

적13 지위는13 한국보다13 미국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

한편 조사대상자의13 인구학적13 특성을13 살펴보면 연령은13 한국평균 ( =41503

세보다13 미국평균 세에서13 약간13 높으며 남성비율은13 미국 보) ( =42966 ) (450)

다13 한국 에서13 약간13 높은13 분포를13 나타냈다 기혼비율은13 미국 보(460) (450)

다13 한국 에서13 높으며 광역시 특별시13 광역시 에13 거주하는13 한국의13 비(686) (1 6 )

율은13 인13 반면에13 메트로폴리스에13 거주하는13 미국의13 비율은13 로13 나479 292

타났다

다른13 한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 (

망활용 사회제도신뢰을13 살펴보면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평균 보다13 ) ( =1479)

미국평균 에서13 더13 적극적인13 것으로13 나타났으며( =1732) (t=-8045 p 001) <

변인

평균 범위[ ] SD

한국(N 979)=

미국(N 535)=

한국 미국

사회경제적지위

교육년수 12422 [0-23] 13629 [1-20] 4032 2910

SIOPS 40315 [16-87] 47512 [16-88] 13376 16147

소득 5394 [3219-6957] 10464 [6215-11653] 746 950

인구학적특성

연령 41503 [18-84] 42966 [20-86] 14433 16029

남성 460 [0-1] 450 [0-1] 499 498

기혼 686 [0-1] 450 [0-1] 467 498

광역도시 479 [0-1] 292 [0-1] 500 455

주 한국 교육년수 로그소득 미국 교육년수 SES( =855 +725 SIOPS+805 =811 +791 로그소득 SIOPS+ 673 )

표13 lt 3gt 조사대상자의13 사회인구학적13 특성13

3 사회경제적13 지위변수인13 교육 직업위세 로그소득을13 탐색적13 요인분석결과 한국의13

와13 미국의13 자료13 모두13 하나의13 주요인으로13 추출되었으며13 총13 변량KGSS 2004 GSS2001

에13 대한13 설명력은13 각각13 로13 나타났다 이렇게13 구성된13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652 570

교육 직업 소득변수에13 가중치가13 부여된13 조합변수로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 KGSS 2004[

교육교육년수 직업 소득 로그소득 사회경제=855 ( )+725 (SIOPS)+805 ( )] GSS 2001[

적지위 교육 교육년수 직업위세 소득 로그소득 으로13 구성=811 ( )+791 (SIOPS)+673 ( )]

할13 수13 있고13 선형조합인13 요인점수 를13 그13 값으로13 가지게13 된다(factor score)

142 김상돈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은13 미국평균 보다13 한국평균 에서13 ( =3187) ( =4541)

약한13 연계를13 더13 활용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사회제도신뢰(t=9337 p 001) <

는13 한국 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 =1733) ( =2075) (t=-14463

이로써13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13 사람보다13 미국사람이13 더13 높을13 것이라p 001) <

고13 제시한13 lt연구가설13 1gt을13 수용하게13 되었다

변인 평균 SD 차이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평균차이 절대량차이 값t

사회제도신뢰

대기업13 신뢰 1671 2019 548 584 -348 -312 -8123

교육계13 신뢰 1784 2100 575 624 -316 -267 -7273

언론계13 신뢰 1639 1680 588 659 -041 030 -3145

방송계13 신뢰 1779 1665 600 651 114 165 1506

의료계13 신뢰 1873 2274 574 639 -401 -336 -8585

행정부13 신뢰 1461 2046 531 683 -585 -433 -13578

입법부13 신뢰 1180 1905 403 586 -725 -542 -19212

사법부13 신뢰 1944 2275 591 639 -331 -283 -7671

학계13 신뢰 1957 2329 539 613 -372 -298 -8496

군대13 신뢰 1915 2468 649 614 -553 -588 -12062

금융계13 신뢰 1865 2068 593 629 -203 -167 -4463

전13 체 1733 2075 318 343 -342 -317 -14463

사회적13 지원

정서적13 지원 5813 3802 2672 2792 2011 2131 10916

경제적13 지원 4843 3202 2853 2788 1641 1576 7167

서비스13 지원 2967 2557 2352 2457 410 515 4336

전13 체 4541 3187 1880 1950 1354 1424 9337

단체참여

정당단체13 참여 1163 1593 518 1032 -430 084 -8129

시민단체13 참여 1098 1874 421 1229 -776 032 -12751

노동조합13 참여 1275 1512 674 956 -237 045 -7695

취미단체13 참여 1819 2166 1071 1366 -347 -052 -4389

이웃단체13 참여 1614 1493 1041 977 121 057 567

기타단체13 참여 1905 1753 1208 1151 152 095 1199

전13 체 1479 1732 469 702 -253 -020 -8045

주 평균13 및13 절대량13 차이는13 기술통계의13 차이 한국 ( -미국이며13 통계적13 유의도는13 ) t- 에13 대한13 검증test임

p 05 p 01 p 001 < < <

표13 lt 4gt 사회적자본의13 기술통계한국 미국13 ( 13 N 97913 13 N=53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3

모형검증의13 타당도평가2

이13 절에서는13 내생변인들에13 대한13 모형검증의13 타당도를13 분석한다 모형검증

의13 타당도를13 분석하기13 위해서는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13 변인13 등은13 탐색적13 요인분석과13 확인적13 요인분석이13 사용된다

탐색적13 요인분석결과 표본적절성13 측정치인13 값한국 미국 KMO ( =773

은13 적절한13 수준이었으며13 의13 구형성13 검증13 통계치의13 유의수준은13 =752) Bartlett

양13 국가13 모두13 으로13 보다13 작아13 자료의13 상관이13 요인에13 적합한13 것으로13 000 05 3

나타났다 제 요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13 개13 문항13 가운데13 개의13 측정변인 1 20 11

들이13 묶이는13 것으로서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에13 해당한다 제 요인은13 양13 2

국가13 모두13 전체문항13 가운데13 개13 문항의13 측정변인을13 요인13 구성하였으며13 사회6

단체참여에13 해당한다 마지막으로13 제 요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문항13 가운데13 3

개문항의13 측정변인을13 요인13 구성하였으며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해당3

한다 또한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의13 내적일

치성을13 알아보기13 위해13 의13 계수로13 평가한13 결과 한국Cronbach ( =8029 α

미국 로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신뢰도를13 보5192 5051 = 7658 5746 6933)

이고13 있었다 이상의13 결과를13 보면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변인이13 각기13 별개구성체로13 구성되고13

있음을13 보여준다

확인적13 요인분석결과는13 lt표13 5gt에13 제시하였다 분석에13 포함된13 문항들이13 어

떠한13 공통요인도13 형성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귀무모형이나13 모든13 문항들이13

사회적13 자본이라는13 단일차원의13 개념을13 측정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1-요인모형

두13 가지13 별개차원의13 개념들을13 측정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요인모형 세13 가지13 2

차원의13 개념들을13 각기13 별도로13 측정하도록13 제약을13 가해진13 요인모형으로13 구3

성되었다

144 김상돈

표13 lt 5gt 사회적13 자본13 하위차원에13 대한13 확인적13 요인분석 결과 한국 미국13 (CFA)13 -( N 97913 N=535)=

귀무모형(M0) (M1)

요인모형1

요인모형2요인모형3- 9)

(M2_1) (M2_2) (M2_3)8)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χ2 4465901

(p 001)<

2671725

(p 001)<

1235222

(p 001)<

1097272

(p 001)<

887151

(p 001)<

533939

(p 001)<

1030632

(p 001)<

942579

(p 001)<

899901

(p 001)<

540723

(p 001)<

692709

(p 001)<

383604

(p 001)<

DF 190 190 170 170 169 169 169 169 169 169 167 167

GFI1) - - 888 830 917 909 905 850 916 908 934 933

AGFI2) - - 861 789 897 887 882 814 895 886 917 916

NFI3) - - 745 651 809 814 788 713 806 791 850 855

CFI4) - - 773 693 840 886 818 759 837 844 882 911

IFI5) - - 774 695 841 916 819 761 837 845 883 912

1) Goodness of Fit Index2) Adjusted Goodness of Fit Index3) Normed Fit Index4) Comparative Fit Index5) Incremental Fit Index6) 두13 요인들13 간 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13 사회제도신뢰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68(pgt05) =156(pgt05)]對 7) 두13 요인들13 간 단체참여 사회제도신뢰13 사회적13 지원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52(pgt05) =對 -002(pgt05)]8) 두13 요인들13 간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13 단체참여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65(pgt05) =157(plt01)]對 =9) 세13 요인들13 간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051(pgt05) 061(pgt05) 123(plt05) -013(pgt05)157(plt01)

092(pgt05)]

lt표13 5gt를13 살펴보면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13 귀무모형이나13 1-요인모형

에13 비해13 요인모형들 의13 경우가13 수치2 (M2_1 M2_2 M2_3) 2 (p( 2) χ χ

가13 적을13 뿐만13 아니라13 여러13 가지13 모형부합지수도13 큼을13 알13 수13 있다lt001) 2-

요인모형13 가운데13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이13 하나의13 요인

을13 형성하고13 사회제도신뢰가13 또13 하나의13 요인을13 형성하도록13 제약을13 가한13

모형이13 모형13 및13 모형에13 비해13 수치 가13 M2_1 M2_2 M2_3 2 (p( 2)lt001)χ χ

적을13 뿐만13 아니라13 여러13 가지13 모형부합지수 한국( GFI=917 AGFI=897

미국NFI=809 CFI=840 IFI=841 RMSEA=0569 GFI=909 AGFI=

도13 큼을13 알13 수13 있어13 887 NFI=793 CFI=846 IFI=847 RMSEA=0636)

더13 적절한13 모형이었다 그러나13 세13 가지13 차원의13 개념들을13 각기13 별도로13 측정하

도록13 제약이13 가해진13 3-요인모형은13 어떠한13 요인모형들에13 비해서13 보다도13 모형2

부합지수한국( GFI=934 AGFI=917 NFI=850 CFI=882 IFI=88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5

미국RMSEA=0567 GFI=933 AGFI=916 NFI=855 CFI=911

가13 현격히13 향상되었다 이는13 양13 국가13 모두13 여러13 IFI=912 RMSEA=0493)

가지13 경쟁적인13 내재모형13 가운데13 요인모형이13 최적모형으로써13 분석에13 포함된13 3

문항들이13 세13 가지13 별개의13 구성체들을13 측정하고13 있으며 이13 구성체들13 간에는13

판별집합타당도가13 유지됨을13 확인시켜주는13 결과이다 이로써13 요인모형에13 잠 3

재된13 변인들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이13 각기13 ( )

별개의13 구성체들임을13 보여준다 뿐만13 아니라13 이13 내생변인들13 상호간에는13 연관

관계도13 그다지13 강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모형검증의13 추정결과3

이13 절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13

사이가13 이론적 경험적13 사실과13 어느13 정도13 부합되는지를13 검증한다 이를13 위해13

이들13 변인들13 사이의13 상관13 및13 인과관계 그리고13 경로분석이13 어떻게13 나타나는

지를13 로13 추정한다LISREL 4

측정모형분석에13 근거하여13 여타변인들의13 영향이13 통제되지13 않는13 영차상관관

계(zero- 를13 산출한13 결과는13 order correlation) lt표13 6gt에13 제시하였다 우선 사

회제도신뢰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

회경제적13 지위(r=- 변인만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관계로13 나타난13 192)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 (r=158)

다 이는13 한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불신이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에13 적극적으로13 참여할수록13 제

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났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

활용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남성더미

(r=- 기혼더미094) (r=- 등13 두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451)

4 측정모형분석에13 앞서13 개13 측정변인에13 대한13 다중13 공선성13 여부를13 검증하였다 검증결27

과 연령변인이13 한국이13 으로13 다중공선성이13 의심되는13 바13 연령변인을13 제외하고13 재 646

추정하여13 분석하였다

146 김상돈

관계로13 나타났다 이에13 비해13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남성더미 (r=197)

(r=- 기혼더미152) (r=- 광역시13 더미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이13 통352) (r=147)

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국에서는13 여성일수록 미혼일수록13

사회적13 지원을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되어진다면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여성일수록 미혼일수록 메트로폴리스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적13 지원

을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다른13 한편 사회단체참여에13 유의

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남성더 (r=387)

미 기혼더미 광역시더미(r=273) (r=104) (r=- 변인13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이13 136)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관계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

위 기혼더미 광역시더미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r=409) (r=109) (r=146)

적으로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다시13 말해13 한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남성일수록 기혼일수록 기타도시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반면에 미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기혼일수록 메트로

폴리스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단체에13 적극적으로13 참여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이어서13 사회제도신뢰와13 인과변인사이의13 인과관계는13 구조모형에13 대한13 추정

을13 통해13 규명한다 한국의13 기본모형과13 최종모형의13 추정13 결과 기본모형의13 모

형부합지수는13 정확합치인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미할13 뿐만13 아니라13 001

근사합치인13 GFI=911 AGFI=890 NFI=790 CFI=837 IFI=838

로13 보다13 작아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모형부합지수를13 나타내RMSEA=0588 08

고13 있지만13 전반적으로13 그리13 높지13 않은13 것으로13 나타내고13 있다 반면에13 최종모

형의13 모형부합지수는13 기본모형과13 마찬가지로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 001

미하며13 GFI=901 AGFI=878 NFI=783 CFI=837 IFI=839 RMSEA=

로13 기본모형보다13 다소13 향상되었다 결정계수에13 있어서도 최종모형은13 0594

기본모형에13 비해13 설명력이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 기본모형의13 ( R2=117 222

최종모형의13 044 R2=188 104 056)

동일한13 방식으로13 미국의13 기본모형과13 최종모형의13 추정13 결과 기본모형의13 모

형부합지수는13 정확합치인13 x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미할13 뿐만13 아니라13 001

근사합치인13 GFI=904 AGFI=882 NFI=801 CFI=867 IFI=869

로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모형부합지수를13 나타내고13 있지만13 전반RMSEA=054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7

그림13 2 사회제도신뢰를13 검증하기13 위한13 최종모형 한국13 -

그림13 3 사회제도신뢰를13 검증하기위한13 최종모형 미국13 -

적으로13 그리13 높지13 않는13 부합지수를13 나타내고13 있다 반면에13 최종모형의13 모형

부합지수는13 기본모형과13 마찬가지로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하며13 001

로13 GFI=896 AGFI=871 NFI=782 CFI=867 IFI=889 RMSEA=0539

148 김상돈

기본모형보다13 다소13 향상되었다 또한13 결정계수에13 있어서도 최종모형은13 기본

모형에13 비해13 설명력이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기본모형의13 ( R2=034 174 028

최종모형의13 R2=099 245 039)

모형13 찾기에서13 선정된13 최종모형에13 기초하여13 제반13 외생변인들의13 인과적13 단

위영향을13 보여주는13 구조모형을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추정한13 결과는13 lt표13

6gt에13 제시하였다 구조모형의13 추정결과를13 우선13 살펴보면 기본모형에서13 배제

되었던13 경로들13 가운데13 사회단체참여rarr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경제

적13 지위rarr사회단체참여로13 향하는13 경로만이13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이13 높고13 수정지표도13 현저한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사회경제적13 지위 rarr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rarr사회제도신뢰로13 향하는13 경로들은13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이13 낮고13 수정지표13 또한13 현저하지13 못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각13 내생변인과13 관련한13 결과를13 순서대로13 살펴보면13 다음과13 같다

첫째 사회단체참여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

위 남성 광역시(B=378) (B=220) (B=-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유의미한13 170)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B=416)

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과13 남성 그리고13 기타도시에13 거주하는13

사람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반면에13 미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만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이다

둘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남성(B=189) (B=- 기혼144) (-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유의470)

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남성더미(B=152) (B=- 기혼더미137) (B=- 광역시 등13 네13 372) (B=130)

가지13 변인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과13 여성 미혼은13 사회적13 지원을13 강한13 연

계보다는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광역시에13 거주하는13 사

람들은13 한국사회13 보다13 미국에서13 강한13 연계보다13 약한13 연계에13 사회적13 지원을13

요청한다

셋째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단체참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9

사회경제적13 지위(B=151) (B=- 등13 두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246)

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B=144)

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은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

데13 비해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들은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불신이13 높게13

나타났다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이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났다

변인

한국(N=979) 미국(N=535)

단체참여 사회적지원 사회제도신뢰 단체참여 사회적지원 사회제도신뢰

r B r B r B r B r B r B

매개내생변인

사회적13 지원 048 - -017 -

매개외생변인

단체참여 - 090 189 043 151 104 152 158 144

외생변인

SES 387 378 070 - -192 -246 409 416 197 - 093 031

통제변인

남성13 더미 273 220 -094 -144 -024 -033 006 026 -152 -137 040 039

기혼13 더미 104 068 -451 -470 006 005 109 018 -352 -372 064 037

광역시13 더미 -136 -170 047 053 -005 -007 146 066 147 130 -004 -023

R2 237 220 056 183 195 030

χ2 1187022(df=283) (plt001) 687058(df=283) (plt001)

모형부합치 GFI=915 AGFI=894 NFI=808

CFI=846 IFI=847 RMSEA=0572

GFI=910 AGFI=888 NFI=812

CFI=880 IFI=881 RMSEA=0517

주 제시된13 계수는13 표준화계수이며 통계적13 유의도는13 비표준화계수에13 대한13 검증임 1)

계수를13 연차적으로13 자유모수로13 개방하여13 추정한13 최종모형임2) B21 11 Γ

단측검증 단측검증 단측검증3) p 05 p 01 p 001 < < <

표13 6<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요인들에13 대한13 추정13 결과13 LISREL13

다음은13 사회제도신뢰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대한13 직접 간접 전체영향을13 분리시킨13 경로분석을13 시도한다 그13 결과는13 lt표13 7gt과13 같다

우선 사회제도신뢰의13 경로분석결과를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유의미한13

요인들과13 그13 영향에13 대한13 절대적13 크기순서대로13 나열하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

제적13 지위(B=- 사회단체참여 로13 구성되며 미국에서는13 단체참여189) (151)

변인만으로13 구성되었다 이13 같은13 결과를13 각13 변인별로13 보다13 상세히13 (B=144)

150 김상돈

살펴보면13 먼저 양13 국가13 모두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와13 사회단체참여변인

을13 연결하는13 제 의13 변인은13 존재하지13 않기13 때문에13 사회단체참여의13 전체영향3

은13 직접영향 한국 미국 만으로13 구성되며13 그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 =151 =144)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다 다음으로 사회경제적13 지위13 변인은13 한국

에서13 강한13 부의13 인과적13 영향(B=- 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며13 직접영189)

향(B=- 및13 간접영향 모두13 유의미하였고13 전체의13 가13 직접246) (B=057) 130

영향으로13 구성된다 반면에13 미국에서13 직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으나13 간접영

향 은13 유의미하다 이상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사회단체참여의13 (B=060)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그13 영향의13 구체적13 방향이13 이론적13 예측과13 예외13 없이13 일

치한13 반면에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사회경제적13 지위의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이론적13 예측과13 일치하지13 않았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대한13 경로분석결과를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들과13 그13 영향에13 대한13 절대적13 크기순서대로13 나

열하면 한국에서는13 기혼 (B=- 단체참여 남성457) (B=189) (B=- 사회102)

경제적13 지위 순으로13 구성되며 미국에서는13 기혼(B=071) (B=- 단체참374)

여 광역시 남성(B=152) (B=140) (B=- 사회경제적13 지위 순133) (B=063)

으로13 구성된다 이13 같은13 결과를13 각13 변인별로13 보다13 상세히13 살펴보면 첫째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사회단체참여변인을13 연결하는13 제 의13 3

변인은13 존재하지13 않기13 때문에13 사회단체참여의13 전체영향은13 직접영향한국(

미국 만으로13 구성되며13 그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189 =152)

의미하다 둘째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영향이13 사회단체

참여에13 의해13 전적으로13 매개된13 간접영향한국 미국 으로만13 구성( =069 =063)

되었다 셋째 기혼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직접영향한국 ( =- 미국470 =-371)

만이13 유의미한13 반면에13 간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았다 넷째 남성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직접영향 한국( =- 미국144 =- 이13 유의미하고13 간접영향은13 한137)

국 만이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고13 미국에서는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것(B=042)

으로13 나타났다 다섯째 광역시13 변인은13 한국에선13 직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

은13 대신에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된13 간접영향(B=- 은13 유의미한13 반면032)

에13 미국에선13 사회단체참여에13 매개된13 간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대신에13 직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1

접영향 은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B=130)

한국(N=979) 미국(N=535)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변인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매개변인

사회적지원

단체참여 189 189 151 151 152 152 144 144

외생변인

SES 071 071 -246 057 -189 063 063 030 060 090

통제변인

남성더미 -144 042 -102 -033 033 000 -137 004 -133 039 004 043

기혼더미 -470 013 -457 -026 010 016 -371 -003 -374 038 -003 035

광역시더미 033 -032 001 -006 -026 -032 130 010 140 -023 -009 -014

제시된13 계수는13 표준화계수이며 통계적13 유의도는13 비표준화계수에13 대한13 검증임1)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지원에13 미치는13 영향2) ( ) times ( )=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미치는13 영향3) ( ) times ( )=

전체영향13 직접영향13 간접영향4) = +

단측검증 단측검증 단측검증 p 05 p 01 p 001 < < <

표13 lt 7gt 사회적13 지원과13 사회제도신뢰를13 설명하는13 요인들의13 직접13 간접 전체영향을13 분리한13 경로분석결과LISREL13 1)

논의13 및13 결론V

이13 연구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

회제도신뢰13 등에13 대한13 기술통계13 및13 판별집합타당성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차

이 매개효과13 등을13 실증적으로13 규명할13 목적으로13 수행되었다 이를13 위하여13 유

교공동체주의와13 합리적13 개인주의모델의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특성을13 지니고13 있

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를13 선정하여13 국제사회종합조사 자료모듈인13 (ISSP)

와13 자료를13 대상으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과13 관련KGSS 2004 GSS 2001

된13 일련의13 연구13 가설을13 제시하여13 검증하였다

첫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적13 신뢰 ( )

152 김상돈

은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확연히13 다른13 평균차이를13 보여주고13 있다 사회단

체참여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상대적으로13 더13 적극( =1479) ( =1732)

적이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국에서13 저조

한13 이유는13 년13 이후13 신사회운동을13 포함한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추세에1987

도13 불구하고13 시민사회의13 공론장이13 모순적으로13 제도화되었기13 때문이다 이는13

사회공간이13 존재하는13 것과13 그13 공간에13 참여하는13 것과는13 별개의13 개념임을13 의미

한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은13 미국평균 보다13 한국평균 에서13 약 ( =3187) ( =4541)

한13 연계에13 더13 활용되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

용이13 한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분석결과는13 학연 지연 혈연13 등13 연고13 집단으로13 인해13 사회적13 자본이13 풍부하다고13 주장한13 연구유석춘13 외 와13 일치된다( 2002)

다른13 한편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더13 ( =1733) ( =2075)

높으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제도신뢰가13 한국보다13 미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사실은13 정치 경제적으로13 성공한13 국가가13 그렇지13 못한13 국가보다13 상대적으로13 제도신뢰가13 더13 높을13 것이라고13 제시한13 거시적13 차원에서의13 연구결과

와13 부합된다(Putnam 1993 1995 Fukuyama 1995)

둘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

사회제도신뢰사이에는13 판별) 집합타당도가13 유지된다는13 사실을13 강조할13 필요가13 있다 탐색적13 요인분석과13 더불어13 확인적13 요인분석을13 실시한13 결과에서13 나

타난바와13 같이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을13 측정하기13 위한13 문항들은13 제각기13

해당차원의13 개념들만을13 측정할13 뿐만13 아니라13 이들13 차원들이13 각기13 별도의13 개념

을13 형성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3-요인모형이13 최적모형으로13 판명됨으로써13 3-요인

모형에13 잠재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의13 판별 수렴타당도가13 존재함을13 보여준다 아울러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들13 사이의13 상관관계조차도13 상당히13 미

약한13 것으로13 드러남으로써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13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13 등은13 각기13 별개의13 구성체들로13 이루어져있음이13 나타났다

셋째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 (

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 의13 불평등을13 밝히는데13 사용되었다 사회단체 )

참여와1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변인으로13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와13 접한13

관련성을13 맺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나13 사회제도신뢰에13 있어서13 강한13 부(- 의13 상관13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3

및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와13 사회적13 지원13 연결망활용의13 인과변인으로서13 중요하게13 나타났다 그러나13 한

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

타났으며13 미국에서는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타나13 이들13 연구가설13

모두13 기각된13 결과로13 나타났다 기각된13 이유는13 통계적13 해석과13 담론적13 해석13 두13

가지로13 논의할13 수13 있는데 첫13 번째13 이유는13 사례수와13 변량13 등13 통계적13 근거에

서13 설명할13 수13 있다 예컨대13 구조모형의13 추정에13 동원된13 측정변인13 및13 이론변인

의13 수를13 감안할13 때13 제한된13 사례13 수한국 미국 는13 여러13 변인들의13 ( =979 =535)

변량을13 제한하고13 표준오차를13 증가시킴으로써13 각각13 사회적13 지원13 및13 사회적13 신

뢰의13 통계적13 유의도를13 상실하게13 하는13 원인으로13 작용될13 가능성이13 있다 통계

적13 해석보다13 중요한13 담론적13 해석은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설명유교공동체주의(

자유민주주의에서13 그13 이유를13 예측할13 수13 있다 한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하다는13 사실은13 서구사회의13 인간관계와13 유

사할13 정도로13 진행되고13 있음에도13 불구하고13 여전히13 유교공동체주의모델이13 존

재함을13 보여준13 결과이다 미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

하다는13 사실은13 한국과13 달리13 부의13 불평등에13 대해13 당연시하는13 미국인의13 태도

개인주의 시장의13 제도화13 등13 맥락변인에서13 설명될13 가능성이13 높음을13 예측하게13

한다

넷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강력한13 단위영향과13 관련하여13 한

국 은13 미국 보다13 상대적으로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B=189) (B=152)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한국 은13 미국 보다13 (B=071) (B=06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서도13 사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

우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222 R2 에13 비하여13 포함된13 경우한국=173) (

사회의13 R2 미국사회의13 =243 R2 에13 대한13 설명력이13 각각13 =188) 21 15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이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에13 있어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

거를13 시사하는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사회단체참여의13 경제행위를13 이

해하는데13 있어서13 영리적13 차원의13 자기이해와13 합리적13 선택론에13 근거한13 신제도

주의이론으로만13 온전히13 설명할13 수13 없다는13 점을13 밝히면서13 한편으로는13 개별행

154 김상돈

위자들이13 현재13 맺고13 있는13 사회연결망에13 의해서13 형성된다고13 본13 신경제사회학

의13 이론적13 논의를13 부각시켰다는13 점에서13 시사하는13 바가13 크다 이로써13 사회단

체참여는13 다양한13 사람들과의13 사회적13 관계에서13 유통되는13 사회적13 지원을13 제공

해주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척도로서13 의미13 있는13 구성지표이다

다섯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B=144

보다13 한국 에서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지만 사회경제적13 plt05) (B=151 plt05)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는13 한국 보다13 미국(B=057 plt05)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B=060 plt05) 5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13 있어서도13 사

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미국사회의13 ( R2=037 R2 에13 비=028)

하여13 포함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056 R2 의13 설명력은13 =030)

한국과13 미국13 각각13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은13 작19 02

은13 증가를13 나타냈으나13 단위13 영향13 및13 간접영향13 모두13 높게13 형성되어13 사회단체

참여가13 제도신뢰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거를13 시사

한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공적13 시민정신의13 연구결과들 (Tocqueville

과13 일치됨으로써13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과13 미국13 1845 Putnam 1993 1995)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신뢰의13 중요한13 관건임을13 밝혀냈다 그러나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약한13 정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

데 이러한13 결과가13 나타난13 사실은13 년13 이후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로13 인 1987

해13 시민의13 정치참여를13 높이는데13 일정정도13 기여했으나13 민주적13 시민덕목을13 배

양하는데13 있어서는13 그리13 성공하지13 못한13 데에서13 추측할13 수13 있다 이를13 위해서

는13 중복적13 참여13 및13 자기이해(self- 에13 기초한13 소극적13 참여에서13 호혜성interest)

규범과13 사회적13 신뢰형성을13 위한13 제도적13 메커니즘으로의13 사회단체참여13 구축

이13 무엇보다13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이13 사회제도신뢰에13 미치는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이러한13

사실은13 사회적13 자본의13 연구결과 김용학(Pagden 1988 Fukuyama 1995 손

5 이와13 반대로 결측치에13 개별평균값을13 대체하기전의13 추정결과에서 사회단체참 LISREL

여의13 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B=169 plt05) (B=133 plt05)

더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높게13 나타났다(B=049 plt05) (B=043 plt0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5

재석 이재열 에서13 제시된13 반경범위 내집단13 족쇄 연고13 집단13 등 1998 1998)

의13 용어를13 사용하면서 가족13 및13 개인연결망13 활용이13 공적영역의13 신뢰를13 식민

화하여13 사회13 전체적으로13 저신뢰사회가13 된다고13 주장한13 논의와13 일치하지13 않는13

결과이다 즉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사이의13

관계가13 서로13 양립13 가능한13 현상을13 보여주어13 매개역할13 또한13 기각되었다

종합컨대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상관관계와13 유의미한13 정 의13 인과관계로13 작동하는데13 비해13 미국에서는13 상관13 (+)

및13 인과관계13 모두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 한편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

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은13 약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13 것으 (+)

로13 나타났다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의13 중요한13 인과변인인13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양13 국가13 모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력을13 미치고13 있으며 사회경제적13 지(+)

위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두13 가지13 구성개념사회제도신뢰13 및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 )

인과적13 영향은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되었다는13 사실13 또한13 이13 연구에서13 밝

혀냈다

이상의13 연구에도13 불구하고13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한국의13 ( R2 237 220

미국의13 056 R2 이13 낮게13 형성되었다는13 점과13 와13 183 195 030) KGSS 2004

자료에13 한정하여13 분석하였기13 때문에13 분석결과의13 해석과13 일반화에13 GSS 2001

한계가13 있을13 수13 있다 예를13 들면13 년과13 년이라는13 특정한13 시기에13 조 2004 2001

사가13 이루어졌다는13 점에서13 이론적 경험적으로13 함축하는13 바가13 있다고13 하더라도13 외적13 타당성의13 문제점을13 지닌다 그리고13 이13 연구는13 전국규모를13 대상으로13

조사되었다는13 점에서13 의미하는13 바가13 있지만13 시계열적13 자료를13 통한13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정 한13 검증을13 하지13 못하였다는13 점에서도13 그13 한계가13 있음을13 밝혀

둔다 따라서 향후13 후속연구에서13 제시된13 모델들을13 보다13 정교화하는13 이론적13

작업과13 더불어13 다양한13 변인들을13 충분히13 활용하며13 통시적13 연구13 및13 국가간의13

비교연구13 등을13 통해13 경험적13 연구들이13 진행되어야13 할13 것이며 연구자의13 관심

과13 노력으로13 연구의13 질적13 향상을13 기대해본다

156 김상돈

참고문헌

국민호 동아시아경제발전과13 유교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1997 31 1 pp 29-59「 」 985172 985173김상욱 조직몰입의13 하위차원들의13 타당도평가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2001 35 3 pp 「 」 985172 985173

109-138

김용학 손재석 미시적13 신뢰와13 거시적13 위험 계간사상 1998 38 pp 115-132 「 」 985172 985173이재열 민주주의 사회적13 신뢰 사회적13 자본 계간사상 1998 38 pp 65-93「 」 985172 985173유석춘 외 사회자본과13 신뢰 한국 일본 덴마크 스웨덴13 비교13 연구 동서연구 2002 「 」 985172 985173

권13 호14 1 pp 101-135

장수찬 한국사회에13 나타난13 악순화의13 사이클 한국정치학회보 권13 호 2002 36 1 pp 「 」 985172 98517387-112

한국13 사회과학도서관13 홈페이지 2005 httpwwwksslorkr

Banfield E 1967 The Moral Basis of a Backward Society New York Free Press

Billiet JB and Bart Cambre 1999 ldquoSocial capital active membership in voluntary

associations and some aspects of political participatio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Bourdieu Piere 1984 The Distiction A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Brehm John amp Wendy Rahn 1997 ldquoIndividual-level evidence for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social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41(3)

pp 999-1023

Burt R 1992 Structure Holes The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Coleman James 1988 ldquo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pp 94-121

DiMaggio Paul and Hugh Louch 1998 ldquoSocially Embedded Consumer Transaction

For What Kinds of Purchases Do People Most Often Use Networks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3 pp 619-637

Fukuyama Francis 1995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perty

NewYork Free Press Paper Backs Book

Gambetta Diego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Financial Capital The

Case of Network Marketing Champaign Stipes

Ganzeboom H B G and DJ Treiman 1996 ldquoInternationally Comparable Measures

of Occupational Status for the 1988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rdquo Social Science Research 25 pp 201-239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7

Giddens Anthony 1990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Stanford Stanford UP

Granovetter Mark 1985 ldquoEconomic Action and Social Structure The Problem of

Embeddedness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1 pp 481-510

Inglehart R 1999 Culture Shift in Advanced Industrial Societ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Joumlreskg Karl G and Soumlrbom Dag 1989 LISREL 7 A Guide to the Program and

Applications Chicago SPSS Inc

Lin Nam 1982 ldquoSocial Resource and Instrumental Actionrdquo In Social Structure and

Network Analysis edited by Peter Marsden and Nan Lin Beverly Hill CA

Sage Publication

Loury Glen 1977 ldquoA Dynamic Theory of Racial Income Differencerdquo In PA

Wallace amp A LeMund (eds) Woman Minorities and Employment Discrimi-

nation Lexington Lexington Books

Luhmann Niklas 1988 ldquoFamiliarity Confidence Trust Problems and Alternativesrdquo In D Gambetta (ed)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New York Basil Blackwell

McPherson J Miller 1983 ldquoAn Ecology of Affiliation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8 pp 519-532

Newton Kenneth 1997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rdquo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0(5) pp 575-586

Newton Kenneth 1999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 in Modern Euroupea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s)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Olson ME 1965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Pagden Anthony 1988 ldquoThe Destruction of Trust and its Economic Consequence in

the Case of Eighteenth-century Naplesrdquo In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edited by D Gambetta Oxford Blackwell

Paxton Pamela 1999 ldquoIs Social Capital Declining in the US A Multiple Indicator

Assessment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5(1) pp 88-126

Portes A 1998 ldquoSocial Capital Its Origin and Application in Modern Sociologyrdquo Annual Review of Sociology 24 pp 1-24

Portes A 2000 ldquoThe Two Meaning of Social Capitalrdquo Sociological Forum 15(1)

pp 1-12

Putnam Robert 1993 Making Democracy Work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utnam Robert 1995 ldquoBowling Alone Americans Declining Social Capitalrdquo Journal of Democracy 6(1) pp 65-78

Sztompka P 1999 Trust A Sociological Theor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8 김상돈

Toqueville Alexis de [1835 1840] 1990 Democracy in America(Reprint) New

York Vintage

Verba Sidney Kay Lehman Schlozman and Henry E 1995 Voice and Equality

Civic Voluntarism in American Politics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son Oliver E 1993 ldquoCaculativeness Trust and Economic Organizationrdquo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36(3) pp 453-486

Zucker Lynn G 1986 ldquoProduction of Trust Institutional Sources of Economic

Structurerdquo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8 pp 53-111

Comparison Analysi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n the Causal Structure of Trust in Social InstitutionsWith a focus on Mediation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and

Social Support

Sang-don KimLecturer in The University College at Sungkyunkwan University

This Study explores the multiplicativ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social institutions trus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do this a set of hypotheses concerning th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are set forth and subjected to an empirical assessment by using data set

collected from KGSS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2004 and GSS (General

Social Survey) 2001 out of the ISSP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lanning)

Modules

Analysis of data in terms of ML (Maximum Likelihood) procedure in

LISREL852 was used and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s (1) The unit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on association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2)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status on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but They were appear to be an important predictor to

Korea (3)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on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4) Association participation was especially in

shaping social support and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to the two nations

This study is interpreted that further research on the topic of social capital are

raised with elaborating the measure on the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political efficacy consciousness of social class and so forth coupled with

advertising a few limitation of this study

Keyword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KGSS GSS ISSP

김상돈 성균관대학교13 학부대학강사13

경기도13 수원시13 장안구13 조원동13 한일타운13 동13 호13 119 703 440-709

Tel_01113 912013 132313 13 E-mail_education17hanmailnet

Page 11: 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 미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64/1/5.%e1%84%80%e1...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미비교연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5

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으로13 설정하고 통제변인으로13 인구학적13 요인을13 설정

한다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교육년수 직업위세 소득13 등13 세13 가지13 하위범주로13

설정하여13 측정한다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은13 각각13 매개13

외 내생변인으로13 한다 사회단체13 참여는13 정당단체 노동조합 시민단체 취미

단체 이웃단체 기타단체로13 하고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은13 정서적13 지원

경제적13 지원 서비스지원13 등13 세13 가지13 하위범주로13 설정하여13 측정한다

그림13 분석13 모형1

ξ 1 사회경제적13 지위 X 5 기혼더미 Y 10 기업계13 신뢰

ξ 2 남성더미 X 6 광역시더미 Y 11 교육계13 신뢰

ξ 3 기혼더미 Y 1 정당단체참여 Y 12 언론계13 신뢰

ξ 4 광역시13 더미 Y 2 시민단체참여 Y 13 방송계13 신뢰

η 1 사회단체참여 Y 3 노동조합참여 Y 14 의료계13 신뢰

η 2 사회적13 지원 Y 4 취미단체참여 Y 15 행정부13 신뢰

η 3 사회적13 신뢰 Y 5 이웃단체참여 Y 16 입법부13 신뢰

X 1 교육년수 Y 6 기타단체참여 Y 17 사법부13 신뢰

X 2 직업위세 Y 7 정서적13 지원 Y 18 학계13 신뢰

X 3 소득 Y 8 경제적13 지원 Y 19 군대13 신뢰

X 4 남성더미 Y 9 서비스13 지원 Y 20 금융계13 신뢰

기본13 모형에13 대한13 인과13 경로임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과13 수정지수 에13 따라13 추정될13 인과13 경로임(MI)

136 김상돈

이상의13 분석모형을13 토대로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13 사이의13 연구13 가설들은13 다음과13 같다

lt연구가설13 1gt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13 사람보다13 미국사람이13 상대적으로13 더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2gt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이13 낮은13 사람에13 비해13 사회단체

참여에13 적극적일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3gt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이13 사회적13 지원을13 강한13 연계13

보다는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할13 가능성이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4gt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은13 낮은13 사람에13 비해13 상대적으

로13 사회제도13 신뢰가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5gt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일수록13 사회제도신뢰가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6gt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일수록13 사회적13 지원을13 강한13 연계보다

는13 약한13 연계에13 더13 많이13 요청할13 가능성이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7gt 사회적13 지원을13 약한13 연계에13 더13 많이13 요청할수록13 사회제도신

뢰가13 높을13 것이다

연구13 방법III

자료수집방법1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13 사이에13 미치는13

영향을13 분석하기13 위해13 사용할13 자료는13 와13 이다KGSS 2004 GSS 2001

자료는13 성균관대학교13 서베이리서치센터에서13 년13 월13 KGSS 2004 2004 7~8

동안13 실시하였으며 표집절차는13 전국13 주민등록13 전산자료로부터13 다단계지역층

화표본추출법에13 의해13 추출되는데 그13 구체적인13 절차는13 다음과13 같다 첫째 최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7

종표집지역수를13 개로13 선정하고13 이를13 차표집단위인13 전국13 광역시200 1 도의13 가구수13 분포에13 비례하여13 배분한다 둘째 각13 광역시 도로부터13 배분된13 수만큼의13 차표집단위인13 읍2 면 동을13 인구비례확률표집13 원칙을13 적용하여13 무작위로13 추출한다 셋째 이렇게13 추출된13 각13 읍 면 동으로부터13 한13 개의13 최종표집지역면( 의13 경우에는13 리 동의13 경우엔13 통 반을13 무작위로13 선정한다 넷째 선정된13 )

통 반13 또는13 리에서13 개의13 가구를13 계통표집한다 계통표집된13 가구13 내에서13 10

만13 세13 이상13 성인13 가구원들의13 리스트를13 작성한13 후13 이들13 가운데13 태어난13 월18

일이13 가장13 빠른13 사람을13 조사대상자로13 삼는다 조사된13 설문지의13 유효사례수는13

명이다 이13 연구에13 사용할13 변인들에13 대한13 응답13 가운데13 무응답1312 (lsquo모르겠다rsquo 포함 문항에13 개별평균값으로13 대체한13 후13 결측치 ) (missing values)(n=

를13 일률적 으로13 제거하여13 추출된13 총13 명이13 최종13 분석사례수343) (listwise) 979

를13 형성하였다 평균13 대체방법을13 사용한13 이유는13 변인들의13 분포추정치13 왜(N)

곡13 가능성의13 성격을13 지니지만 결측치를13 가능한13 정확한13 값으로13 대체함으로써13

무응답의13 편차감소와13 연구결과의13 일반화13 및13 신뢰성이13 향상될13 수13 있기13 때문이

한편 자료는13 시카고대학의13 GSS 2001 NORC(National Opinion Research

C 에13 의해13 수집된13 자료로서13 년13 월에서13 월에13 걸쳐13 면접자13 조사방enter) 2001 2 5

식에13 의해13 수집되었다 표집방법의13 구체적인13 절차는13 다단계지역13 확률표집방

법으로서13 차13 표집단위는13 표준대도시지역1 (SMSA Standard Metropolitan

또는13 비도시지역의13 카운티들을13 지역 연령13 그리고13 인종에13 Statistical Area)

따라13 층화한13 후13 그13 단위를13 블록그룹이나13 열람구역별로13 인종과13 소득에13 따라13

층화한다 최종표집단위는13 블록이며 블록들을13 크기에13 준해13 확률을13 조정한13

뒤 특정블록을13 추출한다 이렇게13 추출한13 조사대상자를13 대상으로13 부실한13 응

답사례를13 제외한13 유효사례수는13 명이다 한국과13 동일한13 방식으로13 무응답2765

(lsquo모르겠다rsquo 포함의13 문항에13 개별평균값으로13 대체한13 후13 결측치 ) (missing

를13 일률적 으로13 제거하여13 추출된13 총13 명이13 이13 연values)(n=2230) (listwise) 535

구의13 최종13 분석사례13 수 를13 형성하였다(N)

138 김상돈

변수정의13 및13 측정2

이13 연구의13 최종내생변인은13 사회제도신뢰로13 대기업 교육계 언론계 금융

계 학계 의료계 방송계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 군대13 등13 가지13 영역을13 포 11

함한다 이렇게13 구성된13 사회제도신뢰는13 ldquo신뢰하지13 않음rdquo ldquo다소신뢰rdquo ldquo매우13 신뢰rdquo 순으로13 점에서13 점을13 부여하여13 연속변수로13 분석에13 사용한다 1 3

이13 연구의13 매개13 내생변인인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유형은13 사회연결망13 연구

자들의13 연계유형에서13 제시한13 가족 친척 이웃 친구 직장동료 성직자 사회

사업가 의사13 등을13 가족 친척 비13 친척으로13 분류한13 후13 이들13 유형을13 각각13 교

차 시켜13 아홉13 가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13 활용유형을13 만들13 수13 있다 이(3times3)

렇게13 구성된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유형은13 강한13 연계에13 답한13 순으로13 정리한13

후 동일한13 응답범주는13 첫13 번째13 응답에13 강한13 연계로13 답한13 경우를13 우선13 기준

으로13 점에서부터13 점까지의13 점수를13 부여하여13 측정한다1 9

이13 연구의13 매개외생변인은13 사회단체참여로13 정치단체 노조단체 시민단체

취미단체 이웃단체 기타단체13 등13 여섯13 가지13 영역의13 사회단체13 참여수준을13 측

정한다 사회단체참여에13 대한13 영역은13 ldquo소속된13 경험이13 없음rdquo ldquo과거에13 소속된13 경험13 있음rdquo ldquo소속되어13 소극적13 활동rdquo ldquo소속되어13 적극적13 활동rdquo 순으로13 조사

되었으며13 이들13 각각에13 점부터13 점까지의13 점수를13 부여하였다1 4

변13 인정의( )

설13 문13 문13 항측정척도범위[ ]

사회제도신뢰(institution)

개13 주요13 사회기관에13 대한13 신뢰의13 정도11매우13 신뢰13 다소13 신뢰13 매우13 불신 ① ② ③

연속변수[1-3]

사회적13 지원(SUPPORT)

정서적13 지원13 ① ② 연속변수[1-9]

경제적13 지원13 ① ② 연속변수[1-9]

서비스13 지원13 ① ② 연속변수[1-9]

사회단체참여(ASSOCIATION)

개13 사회단체참여에13 대한13 참여13 여부6소속된13 경험13 무13 소속된13 경험① ② 소극적13 활동13 적극적13 활동③ ④

연속변수[1-4]

표13 lt 1gt 내생변인들의13 설문문항13 및13 변수정의1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9

이13 연구의13 외생변인은13 사회경제적13 지위이다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교육년수

소득 직업위세로13 설정한다 교육년수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중요한13 인과변인으로

서13 정규교육을13 받은13 수학년수에13 근거하여13 점에서부터13 점으로13 측정한다0 23

응답자의13 월평균소득은13 와13 자료모듈에13 있는13 원13 자료KGSS 2004 GSS 2001

를13 근거로13 각13 범주에13 중간값을13 부여하여13 자연대수로13 변환하여13 측정한다 응

답자의13 직업은13 간즈붐과13 트라이먼 에13 의하여13 (Ganzeboom amp Trieman 1996)

구성된13 표준국제직업위세척도(SIOPS Standard International Occupation

에서13 제시한13 점부터13 점으로13 점수를13 부여하여13 분석에13 사Prestige Scale) 16 88

용한다

한편 인구학적13 특성인13 성 연령 결혼상태 지역13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은13 통제

변인으로13 설정한다 성은13 더미변수로서13 여성일13 경우는13 남성일13 경우는13 로13 0 1

부여13 한다 연령은13 자연연령으로13 분석에13 사용한다 결혼13 상태는13 더미변수로

서13 미혼13 및13 이혼 사별 별거일13 경우는13 기혼일13 경우는13 로13 부여하여13 더미0 1 변수로13 사용한다 지역은13 한국사회의13 경우13 특별시13 및13 광역시일13 경우에는13 1

기타도시일13 경우는13 으로 미국사회의13 경우13 메트로폴리스는13 기타도시는13 0 1 0

으로13 부여하여13 더미변수로13 만들어13 사용한다

변13 인 설13 문13 문13 항 측정척도

사회경제적13 지위(SES)

교육13 년수연속변수

직업13 위세SIOPS

[16-87]

소득13 수준 ln(income)

통제변인

연령 연속변수

성별남성=1 여성=0

결혼여부기혼=1미혼=0

이혼 사별 별거=0

주거지역광역도시=1기타도시=0

표13 lt 2gt 사회인구학적특성에13 사용된13 설문문항13 및13 변수정의13

140 김상돈

자료분석방법3

이13 연구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

제도신뢰13 사이의13 영향을13 분석하기13 위해13 탐색적13 요인분석 확인적13 요인(EFA)

분석 그리고13 공변량13 구조분석 등을13 시도한다 확인적13 요인(CFA) (LISREL)

분석은13 일련의13 경쟁적인13 요인모형들을13 각기13 추정하여13 모형부합지수를13 각13 모

형별로13 산출하여13 최적의13 모형을13 추정한다 구조방정식모형은13 측정모형과13 구

조모형의13 개13 하위모형으로13 구성되어13 있다 측정모형분석의13 전략은13 제도에13 2

대한13 사회적13 신뢰 사회적13 지원 사회단체참여13 등13 내생잠재변수와13 외생잠재

변수인13 사회경제적13 지위 그리고13 통제변수를13 이론변수로13 설정하여13 제반13 이론

변수간의13 상관관계를13 분석한다 한편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를13 각13 별도의13

결과변인13 혹은13 최종적13 내생변인으로13 설정하고13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을13 매개변인으로13 설정한13 상태에서13 제반13 예측변인들의13 인과적13 단

위영향을13 분석하기13 위한13 구조모형을13 추정한다 이어서13 각13 결과변인을13 설명하

는13 인과요인들의13 직접 간접 전체13 영향을13 분리시키는13 경로분석을13 실시함으로써 각13 인과변인들의13 상대적13 중요성에13 대한13 평가를13 시도한다 각13 차원들을13

결과변인으로13 간주한13 공변량13 구조분석을13 시도함으로써13 이론13 변인들간의13 구

조적13 인과관계를13 추정한다 실증분석을13 위하여13 사용된13 통계프로그램은13 SPSS

및13 를13 사용하였다110 LISREL 852

분석결과IV

기술통계1

분석에13 포함된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의13 조사대상자에13 대한13 사회경제적13 지

위13 특성을13 살펴보면 교육년수는13 한국평균 년보다13 미국평균 ( =12422 ) (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1

년 에서13 약간13 높으며 직업위세점수는13 한국평균 점보다13 미국13629 ) ( =40315 )

점 에서13 정도13 높게13 나타났다 소득수준은13 한국평균 보(47512 ) 7197 ( =5394)

다13 미국평균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 =10464) 3 따라서13 조사대상자의13 사회경제

적13 지위는13 한국보다13 미국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

한편 조사대상자의13 인구학적13 특성을13 살펴보면 연령은13 한국평균 ( =41503

세보다13 미국평균 세에서13 약간13 높으며 남성비율은13 미국 보) ( =42966 ) (450)

다13 한국 에서13 약간13 높은13 분포를13 나타냈다 기혼비율은13 미국 보(460) (450)

다13 한국 에서13 높으며 광역시 특별시13 광역시 에13 거주하는13 한국의13 비(686) (1 6 )

율은13 인13 반면에13 메트로폴리스에13 거주하는13 미국의13 비율은13 로13 나479 292

타났다

다른13 한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 (

망활용 사회제도신뢰을13 살펴보면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평균 보다13 ) ( =1479)

미국평균 에서13 더13 적극적인13 것으로13 나타났으며( =1732) (t=-8045 p 001) <

변인

평균 범위[ ] SD

한국(N 979)=

미국(N 535)=

한국 미국

사회경제적지위

교육년수 12422 [0-23] 13629 [1-20] 4032 2910

SIOPS 40315 [16-87] 47512 [16-88] 13376 16147

소득 5394 [3219-6957] 10464 [6215-11653] 746 950

인구학적특성

연령 41503 [18-84] 42966 [20-86] 14433 16029

남성 460 [0-1] 450 [0-1] 499 498

기혼 686 [0-1] 450 [0-1] 467 498

광역도시 479 [0-1] 292 [0-1] 500 455

주 한국 교육년수 로그소득 미국 교육년수 SES( =855 +725 SIOPS+805 =811 +791 로그소득 SIOPS+ 673 )

표13 lt 3gt 조사대상자의13 사회인구학적13 특성13

3 사회경제적13 지위변수인13 교육 직업위세 로그소득을13 탐색적13 요인분석결과 한국의13

와13 미국의13 자료13 모두13 하나의13 주요인으로13 추출되었으며13 총13 변량KGSS 2004 GSS2001

에13 대한13 설명력은13 각각13 로13 나타났다 이렇게13 구성된13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652 570

교육 직업 소득변수에13 가중치가13 부여된13 조합변수로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 KGSS 2004[

교육교육년수 직업 소득 로그소득 사회경제=855 ( )+725 (SIOPS)+805 ( )] GSS 2001[

적지위 교육 교육년수 직업위세 소득 로그소득 으로13 구성=811 ( )+791 (SIOPS)+673 ( )]

할13 수13 있고13 선형조합인13 요인점수 를13 그13 값으로13 가지게13 된다(factor score)

142 김상돈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은13 미국평균 보다13 한국평균 에서13 ( =3187) ( =4541)

약한13 연계를13 더13 활용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사회제도신뢰(t=9337 p 001) <

는13 한국 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 =1733) ( =2075) (t=-14463

이로써13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13 사람보다13 미국사람이13 더13 높을13 것이라p 001) <

고13 제시한13 lt연구가설13 1gt을13 수용하게13 되었다

변인 평균 SD 차이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평균차이 절대량차이 값t

사회제도신뢰

대기업13 신뢰 1671 2019 548 584 -348 -312 -8123

교육계13 신뢰 1784 2100 575 624 -316 -267 -7273

언론계13 신뢰 1639 1680 588 659 -041 030 -3145

방송계13 신뢰 1779 1665 600 651 114 165 1506

의료계13 신뢰 1873 2274 574 639 -401 -336 -8585

행정부13 신뢰 1461 2046 531 683 -585 -433 -13578

입법부13 신뢰 1180 1905 403 586 -725 -542 -19212

사법부13 신뢰 1944 2275 591 639 -331 -283 -7671

학계13 신뢰 1957 2329 539 613 -372 -298 -8496

군대13 신뢰 1915 2468 649 614 -553 -588 -12062

금융계13 신뢰 1865 2068 593 629 -203 -167 -4463

전13 체 1733 2075 318 343 -342 -317 -14463

사회적13 지원

정서적13 지원 5813 3802 2672 2792 2011 2131 10916

경제적13 지원 4843 3202 2853 2788 1641 1576 7167

서비스13 지원 2967 2557 2352 2457 410 515 4336

전13 체 4541 3187 1880 1950 1354 1424 9337

단체참여

정당단체13 참여 1163 1593 518 1032 -430 084 -8129

시민단체13 참여 1098 1874 421 1229 -776 032 -12751

노동조합13 참여 1275 1512 674 956 -237 045 -7695

취미단체13 참여 1819 2166 1071 1366 -347 -052 -4389

이웃단체13 참여 1614 1493 1041 977 121 057 567

기타단체13 참여 1905 1753 1208 1151 152 095 1199

전13 체 1479 1732 469 702 -253 -020 -8045

주 평균13 및13 절대량13 차이는13 기술통계의13 차이 한국 ( -미국이며13 통계적13 유의도는13 ) t- 에13 대한13 검증test임

p 05 p 01 p 001 < < <

표13 lt 4gt 사회적자본의13 기술통계한국 미국13 ( 13 N 97913 13 N=53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3

모형검증의13 타당도평가2

이13 절에서는13 내생변인들에13 대한13 모형검증의13 타당도를13 분석한다 모형검증

의13 타당도를13 분석하기13 위해서는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13 변인13 등은13 탐색적13 요인분석과13 확인적13 요인분석이13 사용된다

탐색적13 요인분석결과 표본적절성13 측정치인13 값한국 미국 KMO ( =773

은13 적절한13 수준이었으며13 의13 구형성13 검증13 통계치의13 유의수준은13 =752) Bartlett

양13 국가13 모두13 으로13 보다13 작아13 자료의13 상관이13 요인에13 적합한13 것으로13 000 05 3

나타났다 제 요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13 개13 문항13 가운데13 개의13 측정변인 1 20 11

들이13 묶이는13 것으로서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에13 해당한다 제 요인은13 양13 2

국가13 모두13 전체문항13 가운데13 개13 문항의13 측정변인을13 요인13 구성하였으며13 사회6

단체참여에13 해당한다 마지막으로13 제 요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문항13 가운데13 3

개문항의13 측정변인을13 요인13 구성하였으며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해당3

한다 또한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의13 내적일

치성을13 알아보기13 위해13 의13 계수로13 평가한13 결과 한국Cronbach ( =8029 α

미국 로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신뢰도를13 보5192 5051 = 7658 5746 6933)

이고13 있었다 이상의13 결과를13 보면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변인이13 각기13 별개구성체로13 구성되고13

있음을13 보여준다

확인적13 요인분석결과는13 lt표13 5gt에13 제시하였다 분석에13 포함된13 문항들이13 어

떠한13 공통요인도13 형성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귀무모형이나13 모든13 문항들이13

사회적13 자본이라는13 단일차원의13 개념을13 측정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1-요인모형

두13 가지13 별개차원의13 개념들을13 측정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요인모형 세13 가지13 2

차원의13 개념들을13 각기13 별도로13 측정하도록13 제약을13 가해진13 요인모형으로13 구3

성되었다

144 김상돈

표13 lt 5gt 사회적13 자본13 하위차원에13 대한13 확인적13 요인분석 결과 한국 미국13 (CFA)13 -( N 97913 N=535)=

귀무모형(M0) (M1)

요인모형1

요인모형2요인모형3- 9)

(M2_1) (M2_2) (M2_3)8)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χ2 4465901

(p 001)<

2671725

(p 001)<

1235222

(p 001)<

1097272

(p 001)<

887151

(p 001)<

533939

(p 001)<

1030632

(p 001)<

942579

(p 001)<

899901

(p 001)<

540723

(p 001)<

692709

(p 001)<

383604

(p 001)<

DF 190 190 170 170 169 169 169 169 169 169 167 167

GFI1) - - 888 830 917 909 905 850 916 908 934 933

AGFI2) - - 861 789 897 887 882 814 895 886 917 916

NFI3) - - 745 651 809 814 788 713 806 791 850 855

CFI4) - - 773 693 840 886 818 759 837 844 882 911

IFI5) - - 774 695 841 916 819 761 837 845 883 912

1) Goodness of Fit Index2) Adjusted Goodness of Fit Index3) Normed Fit Index4) Comparative Fit Index5) Incremental Fit Index6) 두13 요인들13 간 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13 사회제도신뢰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68(pgt05) =156(pgt05)]對 7) 두13 요인들13 간 단체참여 사회제도신뢰13 사회적13 지원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52(pgt05) =對 -002(pgt05)]8) 두13 요인들13 간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13 단체참여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65(pgt05) =157(plt01)]對 =9) 세13 요인들13 간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051(pgt05) 061(pgt05) 123(plt05) -013(pgt05)157(plt01)

092(pgt05)]

lt표13 5gt를13 살펴보면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13 귀무모형이나13 1-요인모형

에13 비해13 요인모형들 의13 경우가13 수치2 (M2_1 M2_2 M2_3) 2 (p( 2) χ χ

가13 적을13 뿐만13 아니라13 여러13 가지13 모형부합지수도13 큼을13 알13 수13 있다lt001) 2-

요인모형13 가운데13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이13 하나의13 요인

을13 형성하고13 사회제도신뢰가13 또13 하나의13 요인을13 형성하도록13 제약을13 가한13

모형이13 모형13 및13 모형에13 비해13 수치 가13 M2_1 M2_2 M2_3 2 (p( 2)lt001)χ χ

적을13 뿐만13 아니라13 여러13 가지13 모형부합지수 한국( GFI=917 AGFI=897

미국NFI=809 CFI=840 IFI=841 RMSEA=0569 GFI=909 AGFI=

도13 큼을13 알13 수13 있어13 887 NFI=793 CFI=846 IFI=847 RMSEA=0636)

더13 적절한13 모형이었다 그러나13 세13 가지13 차원의13 개념들을13 각기13 별도로13 측정하

도록13 제약이13 가해진13 3-요인모형은13 어떠한13 요인모형들에13 비해서13 보다도13 모형2

부합지수한국( GFI=934 AGFI=917 NFI=850 CFI=882 IFI=88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5

미국RMSEA=0567 GFI=933 AGFI=916 NFI=855 CFI=911

가13 현격히13 향상되었다 이는13 양13 국가13 모두13 여러13 IFI=912 RMSEA=0493)

가지13 경쟁적인13 내재모형13 가운데13 요인모형이13 최적모형으로써13 분석에13 포함된13 3

문항들이13 세13 가지13 별개의13 구성체들을13 측정하고13 있으며 이13 구성체들13 간에는13

판별집합타당도가13 유지됨을13 확인시켜주는13 결과이다 이로써13 요인모형에13 잠 3

재된13 변인들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이13 각기13 ( )

별개의13 구성체들임을13 보여준다 뿐만13 아니라13 이13 내생변인들13 상호간에는13 연관

관계도13 그다지13 강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모형검증의13 추정결과3

이13 절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13

사이가13 이론적 경험적13 사실과13 어느13 정도13 부합되는지를13 검증한다 이를13 위해13

이들13 변인들13 사이의13 상관13 및13 인과관계 그리고13 경로분석이13 어떻게13 나타나는

지를13 로13 추정한다LISREL 4

측정모형분석에13 근거하여13 여타변인들의13 영향이13 통제되지13 않는13 영차상관관

계(zero- 를13 산출한13 결과는13 order correlation) lt표13 6gt에13 제시하였다 우선 사

회제도신뢰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

회경제적13 지위(r=- 변인만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관계로13 나타난13 192)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 (r=158)

다 이는13 한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불신이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에13 적극적으로13 참여할수록13 제

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났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

활용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남성더미

(r=- 기혼더미094) (r=- 등13 두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451)

4 측정모형분석에13 앞서13 개13 측정변인에13 대한13 다중13 공선성13 여부를13 검증하였다 검증결27

과 연령변인이13 한국이13 으로13 다중공선성이13 의심되는13 바13 연령변인을13 제외하고13 재 646

추정하여13 분석하였다

146 김상돈

관계로13 나타났다 이에13 비해13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남성더미 (r=197)

(r=- 기혼더미152) (r=- 광역시13 더미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이13 통352) (r=147)

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국에서는13 여성일수록 미혼일수록13

사회적13 지원을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되어진다면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여성일수록 미혼일수록 메트로폴리스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적13 지원

을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다른13 한편 사회단체참여에13 유의

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남성더 (r=387)

미 기혼더미 광역시더미(r=273) (r=104) (r=- 변인13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이13 136)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관계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

위 기혼더미 광역시더미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r=409) (r=109) (r=146)

적으로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다시13 말해13 한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남성일수록 기혼일수록 기타도시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반면에 미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기혼일수록 메트로

폴리스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단체에13 적극적으로13 참여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이어서13 사회제도신뢰와13 인과변인사이의13 인과관계는13 구조모형에13 대한13 추정

을13 통해13 규명한다 한국의13 기본모형과13 최종모형의13 추정13 결과 기본모형의13 모

형부합지수는13 정확합치인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미할13 뿐만13 아니라13 001

근사합치인13 GFI=911 AGFI=890 NFI=790 CFI=837 IFI=838

로13 보다13 작아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모형부합지수를13 나타내RMSEA=0588 08

고13 있지만13 전반적으로13 그리13 높지13 않은13 것으로13 나타내고13 있다 반면에13 최종모

형의13 모형부합지수는13 기본모형과13 마찬가지로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 001

미하며13 GFI=901 AGFI=878 NFI=783 CFI=837 IFI=839 RMSEA=

로13 기본모형보다13 다소13 향상되었다 결정계수에13 있어서도 최종모형은13 0594

기본모형에13 비해13 설명력이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 기본모형의13 ( R2=117 222

최종모형의13 044 R2=188 104 056)

동일한13 방식으로13 미국의13 기본모형과13 최종모형의13 추정13 결과 기본모형의13 모

형부합지수는13 정확합치인13 x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미할13 뿐만13 아니라13 001

근사합치인13 GFI=904 AGFI=882 NFI=801 CFI=867 IFI=869

로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모형부합지수를13 나타내고13 있지만13 전반RMSEA=054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7

그림13 2 사회제도신뢰를13 검증하기13 위한13 최종모형 한국13 -

그림13 3 사회제도신뢰를13 검증하기위한13 최종모형 미국13 -

적으로13 그리13 높지13 않는13 부합지수를13 나타내고13 있다 반면에13 최종모형의13 모형

부합지수는13 기본모형과13 마찬가지로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하며13 001

로13 GFI=896 AGFI=871 NFI=782 CFI=867 IFI=889 RMSEA=0539

148 김상돈

기본모형보다13 다소13 향상되었다 또한13 결정계수에13 있어서도 최종모형은13 기본

모형에13 비해13 설명력이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기본모형의13 ( R2=034 174 028

최종모형의13 R2=099 245 039)

모형13 찾기에서13 선정된13 최종모형에13 기초하여13 제반13 외생변인들의13 인과적13 단

위영향을13 보여주는13 구조모형을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추정한13 결과는13 lt표13

6gt에13 제시하였다 구조모형의13 추정결과를13 우선13 살펴보면 기본모형에서13 배제

되었던13 경로들13 가운데13 사회단체참여rarr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경제

적13 지위rarr사회단체참여로13 향하는13 경로만이13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이13 높고13 수정지표도13 현저한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사회경제적13 지위 rarr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rarr사회제도신뢰로13 향하는13 경로들은13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이13 낮고13 수정지표13 또한13 현저하지13 못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각13 내생변인과13 관련한13 결과를13 순서대로13 살펴보면13 다음과13 같다

첫째 사회단체참여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

위 남성 광역시(B=378) (B=220) (B=-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유의미한13 170)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B=416)

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과13 남성 그리고13 기타도시에13 거주하는13

사람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반면에13 미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만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이다

둘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남성(B=189) (B=- 기혼144) (-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유의470)

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남성더미(B=152) (B=- 기혼더미137) (B=- 광역시 등13 네13 372) (B=130)

가지13 변인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과13 여성 미혼은13 사회적13 지원을13 강한13 연

계보다는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광역시에13 거주하는13 사

람들은13 한국사회13 보다13 미국에서13 강한13 연계보다13 약한13 연계에13 사회적13 지원을13

요청한다

셋째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단체참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9

사회경제적13 지위(B=151) (B=- 등13 두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246)

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B=144)

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은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

데13 비해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들은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불신이13 높게13

나타났다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이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났다

변인

한국(N=979) 미국(N=535)

단체참여 사회적지원 사회제도신뢰 단체참여 사회적지원 사회제도신뢰

r B r B r B r B r B r B

매개내생변인

사회적13 지원 048 - -017 -

매개외생변인

단체참여 - 090 189 043 151 104 152 158 144

외생변인

SES 387 378 070 - -192 -246 409 416 197 - 093 031

통제변인

남성13 더미 273 220 -094 -144 -024 -033 006 026 -152 -137 040 039

기혼13 더미 104 068 -451 -470 006 005 109 018 -352 -372 064 037

광역시13 더미 -136 -170 047 053 -005 -007 146 066 147 130 -004 -023

R2 237 220 056 183 195 030

χ2 1187022(df=283) (plt001) 687058(df=283) (plt001)

모형부합치 GFI=915 AGFI=894 NFI=808

CFI=846 IFI=847 RMSEA=0572

GFI=910 AGFI=888 NFI=812

CFI=880 IFI=881 RMSEA=0517

주 제시된13 계수는13 표준화계수이며 통계적13 유의도는13 비표준화계수에13 대한13 검증임 1)

계수를13 연차적으로13 자유모수로13 개방하여13 추정한13 최종모형임2) B21 11 Γ

단측검증 단측검증 단측검증3) p 05 p 01 p 001 < < <

표13 6<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요인들에13 대한13 추정13 결과13 LISREL13

다음은13 사회제도신뢰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대한13 직접 간접 전체영향을13 분리시킨13 경로분석을13 시도한다 그13 결과는13 lt표13 7gt과13 같다

우선 사회제도신뢰의13 경로분석결과를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유의미한13

요인들과13 그13 영향에13 대한13 절대적13 크기순서대로13 나열하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

제적13 지위(B=- 사회단체참여 로13 구성되며 미국에서는13 단체참여189) (151)

변인만으로13 구성되었다 이13 같은13 결과를13 각13 변인별로13 보다13 상세히13 (B=144)

150 김상돈

살펴보면13 먼저 양13 국가13 모두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와13 사회단체참여변인

을13 연결하는13 제 의13 변인은13 존재하지13 않기13 때문에13 사회단체참여의13 전체영향3

은13 직접영향 한국 미국 만으로13 구성되며13 그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 =151 =144)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다 다음으로 사회경제적13 지위13 변인은13 한국

에서13 강한13 부의13 인과적13 영향(B=- 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며13 직접영189)

향(B=- 및13 간접영향 모두13 유의미하였고13 전체의13 가13 직접246) (B=057) 130

영향으로13 구성된다 반면에13 미국에서13 직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으나13 간접영

향 은13 유의미하다 이상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사회단체참여의13 (B=060)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그13 영향의13 구체적13 방향이13 이론적13 예측과13 예외13 없이13 일

치한13 반면에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사회경제적13 지위의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이론적13 예측과13 일치하지13 않았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대한13 경로분석결과를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들과13 그13 영향에13 대한13 절대적13 크기순서대로13 나

열하면 한국에서는13 기혼 (B=- 단체참여 남성457) (B=189) (B=- 사회102)

경제적13 지위 순으로13 구성되며 미국에서는13 기혼(B=071) (B=- 단체참374)

여 광역시 남성(B=152) (B=140) (B=- 사회경제적13 지위 순133) (B=063)

으로13 구성된다 이13 같은13 결과를13 각13 변인별로13 보다13 상세히13 살펴보면 첫째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사회단체참여변인을13 연결하는13 제 의13 3

변인은13 존재하지13 않기13 때문에13 사회단체참여의13 전체영향은13 직접영향한국(

미국 만으로13 구성되며13 그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189 =152)

의미하다 둘째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영향이13 사회단체

참여에13 의해13 전적으로13 매개된13 간접영향한국 미국 으로만13 구성( =069 =063)

되었다 셋째 기혼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직접영향한국 ( =- 미국470 =-371)

만이13 유의미한13 반면에13 간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았다 넷째 남성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직접영향 한국( =- 미국144 =- 이13 유의미하고13 간접영향은13 한137)

국 만이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고13 미국에서는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것(B=042)

으로13 나타났다 다섯째 광역시13 변인은13 한국에선13 직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

은13 대신에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된13 간접영향(B=- 은13 유의미한13 반면032)

에13 미국에선13 사회단체참여에13 매개된13 간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대신에13 직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1

접영향 은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B=130)

한국(N=979) 미국(N=535)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변인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매개변인

사회적지원

단체참여 189 189 151 151 152 152 144 144

외생변인

SES 071 071 -246 057 -189 063 063 030 060 090

통제변인

남성더미 -144 042 -102 -033 033 000 -137 004 -133 039 004 043

기혼더미 -470 013 -457 -026 010 016 -371 -003 -374 038 -003 035

광역시더미 033 -032 001 -006 -026 -032 130 010 140 -023 -009 -014

제시된13 계수는13 표준화계수이며 통계적13 유의도는13 비표준화계수에13 대한13 검증임1)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지원에13 미치는13 영향2) ( ) times ( )=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미치는13 영향3) ( ) times ( )=

전체영향13 직접영향13 간접영향4) = +

단측검증 단측검증 단측검증 p 05 p 01 p 001 < < <

표13 lt 7gt 사회적13 지원과13 사회제도신뢰를13 설명하는13 요인들의13 직접13 간접 전체영향을13 분리한13 경로분석결과LISREL13 1)

논의13 및13 결론V

이13 연구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

회제도신뢰13 등에13 대한13 기술통계13 및13 판별집합타당성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차

이 매개효과13 등을13 실증적으로13 규명할13 목적으로13 수행되었다 이를13 위하여13 유

교공동체주의와13 합리적13 개인주의모델의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특성을13 지니고13 있

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를13 선정하여13 국제사회종합조사 자료모듈인13 (ISSP)

와13 자료를13 대상으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과13 관련KGSS 2004 GSS 2001

된13 일련의13 연구13 가설을13 제시하여13 검증하였다

첫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적13 신뢰 ( )

152 김상돈

은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확연히13 다른13 평균차이를13 보여주고13 있다 사회단

체참여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상대적으로13 더13 적극( =1479) ( =1732)

적이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국에서13 저조

한13 이유는13 년13 이후13 신사회운동을13 포함한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추세에1987

도13 불구하고13 시민사회의13 공론장이13 모순적으로13 제도화되었기13 때문이다 이는13

사회공간이13 존재하는13 것과13 그13 공간에13 참여하는13 것과는13 별개의13 개념임을13 의미

한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은13 미국평균 보다13 한국평균 에서13 약 ( =3187) ( =4541)

한13 연계에13 더13 활용되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

용이13 한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분석결과는13 학연 지연 혈연13 등13 연고13 집단으로13 인해13 사회적13 자본이13 풍부하다고13 주장한13 연구유석춘13 외 와13 일치된다( 2002)

다른13 한편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더13 ( =1733) ( =2075)

높으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제도신뢰가13 한국보다13 미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사실은13 정치 경제적으로13 성공한13 국가가13 그렇지13 못한13 국가보다13 상대적으로13 제도신뢰가13 더13 높을13 것이라고13 제시한13 거시적13 차원에서의13 연구결과

와13 부합된다(Putnam 1993 1995 Fukuyama 1995)

둘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

사회제도신뢰사이에는13 판별) 집합타당도가13 유지된다는13 사실을13 강조할13 필요가13 있다 탐색적13 요인분석과13 더불어13 확인적13 요인분석을13 실시한13 결과에서13 나

타난바와13 같이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을13 측정하기13 위한13 문항들은13 제각기13

해당차원의13 개념들만을13 측정할13 뿐만13 아니라13 이들13 차원들이13 각기13 별도의13 개념

을13 형성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3-요인모형이13 최적모형으로13 판명됨으로써13 3-요인

모형에13 잠재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의13 판별 수렴타당도가13 존재함을13 보여준다 아울러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들13 사이의13 상관관계조차도13 상당히13 미

약한13 것으로13 드러남으로써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13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13 등은13 각기13 별개의13 구성체들로13 이루어져있음이13 나타났다

셋째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 (

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 의13 불평등을13 밝히는데13 사용되었다 사회단체 )

참여와1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변인으로13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와13 접한13

관련성을13 맺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나13 사회제도신뢰에13 있어서13 강한13 부(- 의13 상관13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3

및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와13 사회적13 지원13 연결망활용의13 인과변인으로서13 중요하게13 나타났다 그러나13 한

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

타났으며13 미국에서는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타나13 이들13 연구가설13

모두13 기각된13 결과로13 나타났다 기각된13 이유는13 통계적13 해석과13 담론적13 해석13 두13

가지로13 논의할13 수13 있는데 첫13 번째13 이유는13 사례수와13 변량13 등13 통계적13 근거에

서13 설명할13 수13 있다 예컨대13 구조모형의13 추정에13 동원된13 측정변인13 및13 이론변인

의13 수를13 감안할13 때13 제한된13 사례13 수한국 미국 는13 여러13 변인들의13 ( =979 =535)

변량을13 제한하고13 표준오차를13 증가시킴으로써13 각각13 사회적13 지원13 및13 사회적13 신

뢰의13 통계적13 유의도를13 상실하게13 하는13 원인으로13 작용될13 가능성이13 있다 통계

적13 해석보다13 중요한13 담론적13 해석은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설명유교공동체주의(

자유민주주의에서13 그13 이유를13 예측할13 수13 있다 한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하다는13 사실은13 서구사회의13 인간관계와13 유

사할13 정도로13 진행되고13 있음에도13 불구하고13 여전히13 유교공동체주의모델이13 존

재함을13 보여준13 결과이다 미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

하다는13 사실은13 한국과13 달리13 부의13 불평등에13 대해13 당연시하는13 미국인의13 태도

개인주의 시장의13 제도화13 등13 맥락변인에서13 설명될13 가능성이13 높음을13 예측하게13

한다

넷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강력한13 단위영향과13 관련하여13 한

국 은13 미국 보다13 상대적으로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B=189) (B=152)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한국 은13 미국 보다13 (B=071) (B=06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서도13 사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

우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222 R2 에13 비하여13 포함된13 경우한국=173) (

사회의13 R2 미국사회의13 =243 R2 에13 대한13 설명력이13 각각13 =188) 21 15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이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에13 있어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

거를13 시사하는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사회단체참여의13 경제행위를13 이

해하는데13 있어서13 영리적13 차원의13 자기이해와13 합리적13 선택론에13 근거한13 신제도

주의이론으로만13 온전히13 설명할13 수13 없다는13 점을13 밝히면서13 한편으로는13 개별행

154 김상돈

위자들이13 현재13 맺고13 있는13 사회연결망에13 의해서13 형성된다고13 본13 신경제사회학

의13 이론적13 논의를13 부각시켰다는13 점에서13 시사하는13 바가13 크다 이로써13 사회단

체참여는13 다양한13 사람들과의13 사회적13 관계에서13 유통되는13 사회적13 지원을13 제공

해주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척도로서13 의미13 있는13 구성지표이다

다섯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B=144

보다13 한국 에서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지만 사회경제적13 plt05) (B=151 plt05)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는13 한국 보다13 미국(B=057 plt05)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B=060 plt05) 5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13 있어서도13 사

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미국사회의13 ( R2=037 R2 에13 비=028)

하여13 포함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056 R2 의13 설명력은13 =030)

한국과13 미국13 각각13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은13 작19 02

은13 증가를13 나타냈으나13 단위13 영향13 및13 간접영향13 모두13 높게13 형성되어13 사회단체

참여가13 제도신뢰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거를13 시사

한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공적13 시민정신의13 연구결과들 (Tocqueville

과13 일치됨으로써13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과13 미국13 1845 Putnam 1993 1995)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신뢰의13 중요한13 관건임을13 밝혀냈다 그러나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약한13 정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

데 이러한13 결과가13 나타난13 사실은13 년13 이후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로13 인 1987

해13 시민의13 정치참여를13 높이는데13 일정정도13 기여했으나13 민주적13 시민덕목을13 배

양하는데13 있어서는13 그리13 성공하지13 못한13 데에서13 추측할13 수13 있다 이를13 위해서

는13 중복적13 참여13 및13 자기이해(self- 에13 기초한13 소극적13 참여에서13 호혜성interest)

규범과13 사회적13 신뢰형성을13 위한13 제도적13 메커니즘으로의13 사회단체참여13 구축

이13 무엇보다13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이13 사회제도신뢰에13 미치는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이러한13

사실은13 사회적13 자본의13 연구결과 김용학(Pagden 1988 Fukuyama 1995 손

5 이와13 반대로 결측치에13 개별평균값을13 대체하기전의13 추정결과에서 사회단체참 LISREL

여의13 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B=169 plt05) (B=133 plt05)

더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높게13 나타났다(B=049 plt05) (B=043 plt0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5

재석 이재열 에서13 제시된13 반경범위 내집단13 족쇄 연고13 집단13 등 1998 1998)

의13 용어를13 사용하면서 가족13 및13 개인연결망13 활용이13 공적영역의13 신뢰를13 식민

화하여13 사회13 전체적으로13 저신뢰사회가13 된다고13 주장한13 논의와13 일치하지13 않는13

결과이다 즉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사이의13

관계가13 서로13 양립13 가능한13 현상을13 보여주어13 매개역할13 또한13 기각되었다

종합컨대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상관관계와13 유의미한13 정 의13 인과관계로13 작동하는데13 비해13 미국에서는13 상관13 (+)

및13 인과관계13 모두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 한편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

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은13 약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13 것으 (+)

로13 나타났다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의13 중요한13 인과변인인13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양13 국가13 모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력을13 미치고13 있으며 사회경제적13 지(+)

위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두13 가지13 구성개념사회제도신뢰13 및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 )

인과적13 영향은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되었다는13 사실13 또한13 이13 연구에서13 밝

혀냈다

이상의13 연구에도13 불구하고13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한국의13 ( R2 237 220

미국의13 056 R2 이13 낮게13 형성되었다는13 점과13 와13 183 195 030) KGSS 2004

자료에13 한정하여13 분석하였기13 때문에13 분석결과의13 해석과13 일반화에13 GSS 2001

한계가13 있을13 수13 있다 예를13 들면13 년과13 년이라는13 특정한13 시기에13 조 2004 2001

사가13 이루어졌다는13 점에서13 이론적 경험적으로13 함축하는13 바가13 있다고13 하더라도13 외적13 타당성의13 문제점을13 지닌다 그리고13 이13 연구는13 전국규모를13 대상으로13

조사되었다는13 점에서13 의미하는13 바가13 있지만13 시계열적13 자료를13 통한13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정 한13 검증을13 하지13 못하였다는13 점에서도13 그13 한계가13 있음을13 밝혀

둔다 따라서 향후13 후속연구에서13 제시된13 모델들을13 보다13 정교화하는13 이론적13

작업과13 더불어13 다양한13 변인들을13 충분히13 활용하며13 통시적13 연구13 및13 국가간의13

비교연구13 등을13 통해13 경험적13 연구들이13 진행되어야13 할13 것이며 연구자의13 관심

과13 노력으로13 연구의13 질적13 향상을13 기대해본다

156 김상돈

참고문헌

국민호 동아시아경제발전과13 유교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1997 31 1 pp 29-59「 」 985172 985173김상욱 조직몰입의13 하위차원들의13 타당도평가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2001 35 3 pp 「 」 985172 985173

109-138

김용학 손재석 미시적13 신뢰와13 거시적13 위험 계간사상 1998 38 pp 115-132 「 」 985172 985173이재열 민주주의 사회적13 신뢰 사회적13 자본 계간사상 1998 38 pp 65-93「 」 985172 985173유석춘 외 사회자본과13 신뢰 한국 일본 덴마크 스웨덴13 비교13 연구 동서연구 2002 「 」 985172 985173

권13 호14 1 pp 101-135

장수찬 한국사회에13 나타난13 악순화의13 사이클 한국정치학회보 권13 호 2002 36 1 pp 「 」 985172 98517387-112

한국13 사회과학도서관13 홈페이지 2005 httpwwwksslorkr

Banfield E 1967 The Moral Basis of a Backward Society New York Free Press

Billiet JB and Bart Cambre 1999 ldquoSocial capital active membership in voluntary

associations and some aspects of political participatio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Bourdieu Piere 1984 The Distiction A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Brehm John amp Wendy Rahn 1997 ldquoIndividual-level evidence for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social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41(3)

pp 999-1023

Burt R 1992 Structure Holes The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Coleman James 1988 ldquo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pp 94-121

DiMaggio Paul and Hugh Louch 1998 ldquoSocially Embedded Consumer Transaction

For What Kinds of Purchases Do People Most Often Use Networks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3 pp 619-637

Fukuyama Francis 1995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perty

NewYork Free Press Paper Backs Book

Gambetta Diego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Financial Capital The

Case of Network Marketing Champaign Stipes

Ganzeboom H B G and DJ Treiman 1996 ldquoInternationally Comparable Measures

of Occupational Status for the 1988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rdquo Social Science Research 25 pp 201-239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7

Giddens Anthony 1990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Stanford Stanford UP

Granovetter Mark 1985 ldquoEconomic Action and Social Structure The Problem of

Embeddedness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1 pp 481-510

Inglehart R 1999 Culture Shift in Advanced Industrial Societ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Joumlreskg Karl G and Soumlrbom Dag 1989 LISREL 7 A Guide to the Program and

Applications Chicago SPSS Inc

Lin Nam 1982 ldquoSocial Resource and Instrumental Actionrdquo In Social Structure and

Network Analysis edited by Peter Marsden and Nan Lin Beverly Hill CA

Sage Publication

Loury Glen 1977 ldquoA Dynamic Theory of Racial Income Differencerdquo In PA

Wallace amp A LeMund (eds) Woman Minorities and Employment Discrimi-

nation Lexington Lexington Books

Luhmann Niklas 1988 ldquoFamiliarity Confidence Trust Problems and Alternativesrdquo In D Gambetta (ed)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New York Basil Blackwell

McPherson J Miller 1983 ldquoAn Ecology of Affiliation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8 pp 519-532

Newton Kenneth 1997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rdquo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0(5) pp 575-586

Newton Kenneth 1999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 in Modern Euroupea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s)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Olson ME 1965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Pagden Anthony 1988 ldquoThe Destruction of Trust and its Economic Consequence in

the Case of Eighteenth-century Naplesrdquo In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edited by D Gambetta Oxford Blackwell

Paxton Pamela 1999 ldquoIs Social Capital Declining in the US A Multiple Indicator

Assessment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5(1) pp 88-126

Portes A 1998 ldquoSocial Capital Its Origin and Application in Modern Sociologyrdquo Annual Review of Sociology 24 pp 1-24

Portes A 2000 ldquoThe Two Meaning of Social Capitalrdquo Sociological Forum 15(1)

pp 1-12

Putnam Robert 1993 Making Democracy Work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utnam Robert 1995 ldquoBowling Alone Americans Declining Social Capitalrdquo Journal of Democracy 6(1) pp 65-78

Sztompka P 1999 Trust A Sociological Theor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8 김상돈

Toqueville Alexis de [1835 1840] 1990 Democracy in America(Reprint) New

York Vintage

Verba Sidney Kay Lehman Schlozman and Henry E 1995 Voice and Equality

Civic Voluntarism in American Politics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son Oliver E 1993 ldquoCaculativeness Trust and Economic Organizationrdquo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36(3) pp 453-486

Zucker Lynn G 1986 ldquoProduction of Trust Institutional Sources of Economic

Structurerdquo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8 pp 53-111

Comparison Analysi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n the Causal Structure of Trust in Social InstitutionsWith a focus on Mediation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and

Social Support

Sang-don KimLecturer in The University College at Sungkyunkwan University

This Study explores the multiplicativ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social institutions trus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do this a set of hypotheses concerning th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are set forth and subjected to an empirical assessment by using data set

collected from KGSS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2004 and GSS (General

Social Survey) 2001 out of the ISSP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lanning)

Modules

Analysis of data in terms of ML (Maximum Likelihood) procedure in

LISREL852 was used and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s (1) The unit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on association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2)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status on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but They were appear to be an important predictor to

Korea (3)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on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4) Association participation was especially in

shaping social support and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to the two nations

This study is interpreted that further research on the topic of social capital are

raised with elaborating the measure on the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political efficacy consciousness of social class and so forth coupled with

advertising a few limitation of this study

Keyword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KGSS GSS ISSP

김상돈 성균관대학교13 학부대학강사13

경기도13 수원시13 장안구13 조원동13 한일타운13 동13 호13 119 703 440-709

Tel_01113 912013 132313 13 E-mail_education17hanmailnet

Page 12: 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 미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64/1/5.%e1%84%80%e1...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미비교연구:

136 김상돈

이상의13 분석모형을13 토대로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13 사이의13 연구13 가설들은13 다음과13 같다

lt연구가설13 1gt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13 사람보다13 미국사람이13 상대적으로13 더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2gt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이13 낮은13 사람에13 비해13 사회단체

참여에13 적극적일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3gt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이13 사회적13 지원을13 강한13 연계13

보다는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할13 가능성이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4gt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은13 낮은13 사람에13 비해13 상대적으

로13 사회제도13 신뢰가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5gt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일수록13 사회제도신뢰가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6gt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일수록13 사회적13 지원을13 강한13 연계보다

는13 약한13 연계에13 더13 많이13 요청할13 가능성이13 높을13 것이다

lt연구가설13 7gt 사회적13 지원을13 약한13 연계에13 더13 많이13 요청할수록13 사회제도신

뢰가13 높을13 것이다

연구13 방법III

자료수집방법1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13 사이에13 미치는13

영향을13 분석하기13 위해13 사용할13 자료는13 와13 이다KGSS 2004 GSS 2001

자료는13 성균관대학교13 서베이리서치센터에서13 년13 월13 KGSS 2004 2004 7~8

동안13 실시하였으며 표집절차는13 전국13 주민등록13 전산자료로부터13 다단계지역층

화표본추출법에13 의해13 추출되는데 그13 구체적인13 절차는13 다음과13 같다 첫째 최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7

종표집지역수를13 개로13 선정하고13 이를13 차표집단위인13 전국13 광역시200 1 도의13 가구수13 분포에13 비례하여13 배분한다 둘째 각13 광역시 도로부터13 배분된13 수만큼의13 차표집단위인13 읍2 면 동을13 인구비례확률표집13 원칙을13 적용하여13 무작위로13 추출한다 셋째 이렇게13 추출된13 각13 읍 면 동으로부터13 한13 개의13 최종표집지역면( 의13 경우에는13 리 동의13 경우엔13 통 반을13 무작위로13 선정한다 넷째 선정된13 )

통 반13 또는13 리에서13 개의13 가구를13 계통표집한다 계통표집된13 가구13 내에서13 10

만13 세13 이상13 성인13 가구원들의13 리스트를13 작성한13 후13 이들13 가운데13 태어난13 월18

일이13 가장13 빠른13 사람을13 조사대상자로13 삼는다 조사된13 설문지의13 유효사례수는13

명이다 이13 연구에13 사용할13 변인들에13 대한13 응답13 가운데13 무응답1312 (lsquo모르겠다rsquo 포함 문항에13 개별평균값으로13 대체한13 후13 결측치 ) (missing values)(n=

를13 일률적 으로13 제거하여13 추출된13 총13 명이13 최종13 분석사례수343) (listwise) 979

를13 형성하였다 평균13 대체방법을13 사용한13 이유는13 변인들의13 분포추정치13 왜(N)

곡13 가능성의13 성격을13 지니지만 결측치를13 가능한13 정확한13 값으로13 대체함으로써13

무응답의13 편차감소와13 연구결과의13 일반화13 및13 신뢰성이13 향상될13 수13 있기13 때문이

한편 자료는13 시카고대학의13 GSS 2001 NORC(National Opinion Research

C 에13 의해13 수집된13 자료로서13 년13 월에서13 월에13 걸쳐13 면접자13 조사방enter) 2001 2 5

식에13 의해13 수집되었다 표집방법의13 구체적인13 절차는13 다단계지역13 확률표집방

법으로서13 차13 표집단위는13 표준대도시지역1 (SMSA Standard Metropolitan

또는13 비도시지역의13 카운티들을13 지역 연령13 그리고13 인종에13 Statistical Area)

따라13 층화한13 후13 그13 단위를13 블록그룹이나13 열람구역별로13 인종과13 소득에13 따라13

층화한다 최종표집단위는13 블록이며 블록들을13 크기에13 준해13 확률을13 조정한13

뒤 특정블록을13 추출한다 이렇게13 추출한13 조사대상자를13 대상으로13 부실한13 응

답사례를13 제외한13 유효사례수는13 명이다 한국과13 동일한13 방식으로13 무응답2765

(lsquo모르겠다rsquo 포함의13 문항에13 개별평균값으로13 대체한13 후13 결측치 ) (missing

를13 일률적 으로13 제거하여13 추출된13 총13 명이13 이13 연values)(n=2230) (listwise) 535

구의13 최종13 분석사례13 수 를13 형성하였다(N)

138 김상돈

변수정의13 및13 측정2

이13 연구의13 최종내생변인은13 사회제도신뢰로13 대기업 교육계 언론계 금융

계 학계 의료계 방송계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 군대13 등13 가지13 영역을13 포 11

함한다 이렇게13 구성된13 사회제도신뢰는13 ldquo신뢰하지13 않음rdquo ldquo다소신뢰rdquo ldquo매우13 신뢰rdquo 순으로13 점에서13 점을13 부여하여13 연속변수로13 분석에13 사용한다 1 3

이13 연구의13 매개13 내생변인인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유형은13 사회연결망13 연구

자들의13 연계유형에서13 제시한13 가족 친척 이웃 친구 직장동료 성직자 사회

사업가 의사13 등을13 가족 친척 비13 친척으로13 분류한13 후13 이들13 유형을13 각각13 교

차 시켜13 아홉13 가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13 활용유형을13 만들13 수13 있다 이(3times3)

렇게13 구성된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유형은13 강한13 연계에13 답한13 순으로13 정리한13

후 동일한13 응답범주는13 첫13 번째13 응답에13 강한13 연계로13 답한13 경우를13 우선13 기준

으로13 점에서부터13 점까지의13 점수를13 부여하여13 측정한다1 9

이13 연구의13 매개외생변인은13 사회단체참여로13 정치단체 노조단체 시민단체

취미단체 이웃단체 기타단체13 등13 여섯13 가지13 영역의13 사회단체13 참여수준을13 측

정한다 사회단체참여에13 대한13 영역은13 ldquo소속된13 경험이13 없음rdquo ldquo과거에13 소속된13 경험13 있음rdquo ldquo소속되어13 소극적13 활동rdquo ldquo소속되어13 적극적13 활동rdquo 순으로13 조사

되었으며13 이들13 각각에13 점부터13 점까지의13 점수를13 부여하였다1 4

변13 인정의( )

설13 문13 문13 항측정척도범위[ ]

사회제도신뢰(institution)

개13 주요13 사회기관에13 대한13 신뢰의13 정도11매우13 신뢰13 다소13 신뢰13 매우13 불신 ① ② ③

연속변수[1-3]

사회적13 지원(SUPPORT)

정서적13 지원13 ① ② 연속변수[1-9]

경제적13 지원13 ① ② 연속변수[1-9]

서비스13 지원13 ① ② 연속변수[1-9]

사회단체참여(ASSOCIATION)

개13 사회단체참여에13 대한13 참여13 여부6소속된13 경험13 무13 소속된13 경험① ② 소극적13 활동13 적극적13 활동③ ④

연속변수[1-4]

표13 lt 1gt 내생변인들의13 설문문항13 및13 변수정의1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9

이13 연구의13 외생변인은13 사회경제적13 지위이다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교육년수

소득 직업위세로13 설정한다 교육년수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중요한13 인과변인으로

서13 정규교육을13 받은13 수학년수에13 근거하여13 점에서부터13 점으로13 측정한다0 23

응답자의13 월평균소득은13 와13 자료모듈에13 있는13 원13 자료KGSS 2004 GSS 2001

를13 근거로13 각13 범주에13 중간값을13 부여하여13 자연대수로13 변환하여13 측정한다 응

답자의13 직업은13 간즈붐과13 트라이먼 에13 의하여13 (Ganzeboom amp Trieman 1996)

구성된13 표준국제직업위세척도(SIOPS Standard International Occupation

에서13 제시한13 점부터13 점으로13 점수를13 부여하여13 분석에13 사Prestige Scale) 16 88

용한다

한편 인구학적13 특성인13 성 연령 결혼상태 지역13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은13 통제

변인으로13 설정한다 성은13 더미변수로서13 여성일13 경우는13 남성일13 경우는13 로13 0 1

부여13 한다 연령은13 자연연령으로13 분석에13 사용한다 결혼13 상태는13 더미변수로

서13 미혼13 및13 이혼 사별 별거일13 경우는13 기혼일13 경우는13 로13 부여하여13 더미0 1 변수로13 사용한다 지역은13 한국사회의13 경우13 특별시13 및13 광역시일13 경우에는13 1

기타도시일13 경우는13 으로 미국사회의13 경우13 메트로폴리스는13 기타도시는13 0 1 0

으로13 부여하여13 더미변수로13 만들어13 사용한다

변13 인 설13 문13 문13 항 측정척도

사회경제적13 지위(SES)

교육13 년수연속변수

직업13 위세SIOPS

[16-87]

소득13 수준 ln(income)

통제변인

연령 연속변수

성별남성=1 여성=0

결혼여부기혼=1미혼=0

이혼 사별 별거=0

주거지역광역도시=1기타도시=0

표13 lt 2gt 사회인구학적특성에13 사용된13 설문문항13 및13 변수정의13

140 김상돈

자료분석방법3

이13 연구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

제도신뢰13 사이의13 영향을13 분석하기13 위해13 탐색적13 요인분석 확인적13 요인(EFA)

분석 그리고13 공변량13 구조분석 등을13 시도한다 확인적13 요인(CFA) (LISREL)

분석은13 일련의13 경쟁적인13 요인모형들을13 각기13 추정하여13 모형부합지수를13 각13 모

형별로13 산출하여13 최적의13 모형을13 추정한다 구조방정식모형은13 측정모형과13 구

조모형의13 개13 하위모형으로13 구성되어13 있다 측정모형분석의13 전략은13 제도에13 2

대한13 사회적13 신뢰 사회적13 지원 사회단체참여13 등13 내생잠재변수와13 외생잠재

변수인13 사회경제적13 지위 그리고13 통제변수를13 이론변수로13 설정하여13 제반13 이론

변수간의13 상관관계를13 분석한다 한편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를13 각13 별도의13

결과변인13 혹은13 최종적13 내생변인으로13 설정하고13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을13 매개변인으로13 설정한13 상태에서13 제반13 예측변인들의13 인과적13 단

위영향을13 분석하기13 위한13 구조모형을13 추정한다 이어서13 각13 결과변인을13 설명하

는13 인과요인들의13 직접 간접 전체13 영향을13 분리시키는13 경로분석을13 실시함으로써 각13 인과변인들의13 상대적13 중요성에13 대한13 평가를13 시도한다 각13 차원들을13

결과변인으로13 간주한13 공변량13 구조분석을13 시도함으로써13 이론13 변인들간의13 구

조적13 인과관계를13 추정한다 실증분석을13 위하여13 사용된13 통계프로그램은13 SPSS

및13 를13 사용하였다110 LISREL 852

분석결과IV

기술통계1

분석에13 포함된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의13 조사대상자에13 대한13 사회경제적13 지

위13 특성을13 살펴보면 교육년수는13 한국평균 년보다13 미국평균 ( =12422 ) (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1

년 에서13 약간13 높으며 직업위세점수는13 한국평균 점보다13 미국13629 ) ( =40315 )

점 에서13 정도13 높게13 나타났다 소득수준은13 한국평균 보(47512 ) 7197 ( =5394)

다13 미국평균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 =10464) 3 따라서13 조사대상자의13 사회경제

적13 지위는13 한국보다13 미국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

한편 조사대상자의13 인구학적13 특성을13 살펴보면 연령은13 한국평균 ( =41503

세보다13 미국평균 세에서13 약간13 높으며 남성비율은13 미국 보) ( =42966 ) (450)

다13 한국 에서13 약간13 높은13 분포를13 나타냈다 기혼비율은13 미국 보(460) (450)

다13 한국 에서13 높으며 광역시 특별시13 광역시 에13 거주하는13 한국의13 비(686) (1 6 )

율은13 인13 반면에13 메트로폴리스에13 거주하는13 미국의13 비율은13 로13 나479 292

타났다

다른13 한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 (

망활용 사회제도신뢰을13 살펴보면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평균 보다13 ) ( =1479)

미국평균 에서13 더13 적극적인13 것으로13 나타났으며( =1732) (t=-8045 p 001) <

변인

평균 범위[ ] SD

한국(N 979)=

미국(N 535)=

한국 미국

사회경제적지위

교육년수 12422 [0-23] 13629 [1-20] 4032 2910

SIOPS 40315 [16-87] 47512 [16-88] 13376 16147

소득 5394 [3219-6957] 10464 [6215-11653] 746 950

인구학적특성

연령 41503 [18-84] 42966 [20-86] 14433 16029

남성 460 [0-1] 450 [0-1] 499 498

기혼 686 [0-1] 450 [0-1] 467 498

광역도시 479 [0-1] 292 [0-1] 500 455

주 한국 교육년수 로그소득 미국 교육년수 SES( =855 +725 SIOPS+805 =811 +791 로그소득 SIOPS+ 673 )

표13 lt 3gt 조사대상자의13 사회인구학적13 특성13

3 사회경제적13 지위변수인13 교육 직업위세 로그소득을13 탐색적13 요인분석결과 한국의13

와13 미국의13 자료13 모두13 하나의13 주요인으로13 추출되었으며13 총13 변량KGSS 2004 GSS2001

에13 대한13 설명력은13 각각13 로13 나타났다 이렇게13 구성된13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652 570

교육 직업 소득변수에13 가중치가13 부여된13 조합변수로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 KGSS 2004[

교육교육년수 직업 소득 로그소득 사회경제=855 ( )+725 (SIOPS)+805 ( )] GSS 2001[

적지위 교육 교육년수 직업위세 소득 로그소득 으로13 구성=811 ( )+791 (SIOPS)+673 ( )]

할13 수13 있고13 선형조합인13 요인점수 를13 그13 값으로13 가지게13 된다(factor score)

142 김상돈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은13 미국평균 보다13 한국평균 에서13 ( =3187) ( =4541)

약한13 연계를13 더13 활용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사회제도신뢰(t=9337 p 001) <

는13 한국 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 =1733) ( =2075) (t=-14463

이로써13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13 사람보다13 미국사람이13 더13 높을13 것이라p 001) <

고13 제시한13 lt연구가설13 1gt을13 수용하게13 되었다

변인 평균 SD 차이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평균차이 절대량차이 값t

사회제도신뢰

대기업13 신뢰 1671 2019 548 584 -348 -312 -8123

교육계13 신뢰 1784 2100 575 624 -316 -267 -7273

언론계13 신뢰 1639 1680 588 659 -041 030 -3145

방송계13 신뢰 1779 1665 600 651 114 165 1506

의료계13 신뢰 1873 2274 574 639 -401 -336 -8585

행정부13 신뢰 1461 2046 531 683 -585 -433 -13578

입법부13 신뢰 1180 1905 403 586 -725 -542 -19212

사법부13 신뢰 1944 2275 591 639 -331 -283 -7671

학계13 신뢰 1957 2329 539 613 -372 -298 -8496

군대13 신뢰 1915 2468 649 614 -553 -588 -12062

금융계13 신뢰 1865 2068 593 629 -203 -167 -4463

전13 체 1733 2075 318 343 -342 -317 -14463

사회적13 지원

정서적13 지원 5813 3802 2672 2792 2011 2131 10916

경제적13 지원 4843 3202 2853 2788 1641 1576 7167

서비스13 지원 2967 2557 2352 2457 410 515 4336

전13 체 4541 3187 1880 1950 1354 1424 9337

단체참여

정당단체13 참여 1163 1593 518 1032 -430 084 -8129

시민단체13 참여 1098 1874 421 1229 -776 032 -12751

노동조합13 참여 1275 1512 674 956 -237 045 -7695

취미단체13 참여 1819 2166 1071 1366 -347 -052 -4389

이웃단체13 참여 1614 1493 1041 977 121 057 567

기타단체13 참여 1905 1753 1208 1151 152 095 1199

전13 체 1479 1732 469 702 -253 -020 -8045

주 평균13 및13 절대량13 차이는13 기술통계의13 차이 한국 ( -미국이며13 통계적13 유의도는13 ) t- 에13 대한13 검증test임

p 05 p 01 p 001 < < <

표13 lt 4gt 사회적자본의13 기술통계한국 미국13 ( 13 N 97913 13 N=53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3

모형검증의13 타당도평가2

이13 절에서는13 내생변인들에13 대한13 모형검증의13 타당도를13 분석한다 모형검증

의13 타당도를13 분석하기13 위해서는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13 변인13 등은13 탐색적13 요인분석과13 확인적13 요인분석이13 사용된다

탐색적13 요인분석결과 표본적절성13 측정치인13 값한국 미국 KMO ( =773

은13 적절한13 수준이었으며13 의13 구형성13 검증13 통계치의13 유의수준은13 =752) Bartlett

양13 국가13 모두13 으로13 보다13 작아13 자료의13 상관이13 요인에13 적합한13 것으로13 000 05 3

나타났다 제 요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13 개13 문항13 가운데13 개의13 측정변인 1 20 11

들이13 묶이는13 것으로서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에13 해당한다 제 요인은13 양13 2

국가13 모두13 전체문항13 가운데13 개13 문항의13 측정변인을13 요인13 구성하였으며13 사회6

단체참여에13 해당한다 마지막으로13 제 요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문항13 가운데13 3

개문항의13 측정변인을13 요인13 구성하였으며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해당3

한다 또한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의13 내적일

치성을13 알아보기13 위해13 의13 계수로13 평가한13 결과 한국Cronbach ( =8029 α

미국 로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신뢰도를13 보5192 5051 = 7658 5746 6933)

이고13 있었다 이상의13 결과를13 보면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변인이13 각기13 별개구성체로13 구성되고13

있음을13 보여준다

확인적13 요인분석결과는13 lt표13 5gt에13 제시하였다 분석에13 포함된13 문항들이13 어

떠한13 공통요인도13 형성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귀무모형이나13 모든13 문항들이13

사회적13 자본이라는13 단일차원의13 개념을13 측정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1-요인모형

두13 가지13 별개차원의13 개념들을13 측정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요인모형 세13 가지13 2

차원의13 개념들을13 각기13 별도로13 측정하도록13 제약을13 가해진13 요인모형으로13 구3

성되었다

144 김상돈

표13 lt 5gt 사회적13 자본13 하위차원에13 대한13 확인적13 요인분석 결과 한국 미국13 (CFA)13 -( N 97913 N=535)=

귀무모형(M0) (M1)

요인모형1

요인모형2요인모형3- 9)

(M2_1) (M2_2) (M2_3)8)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χ2 4465901

(p 001)<

2671725

(p 001)<

1235222

(p 001)<

1097272

(p 001)<

887151

(p 001)<

533939

(p 001)<

1030632

(p 001)<

942579

(p 001)<

899901

(p 001)<

540723

(p 001)<

692709

(p 001)<

383604

(p 001)<

DF 190 190 170 170 169 169 169 169 169 169 167 167

GFI1) - - 888 830 917 909 905 850 916 908 934 933

AGFI2) - - 861 789 897 887 882 814 895 886 917 916

NFI3) - - 745 651 809 814 788 713 806 791 850 855

CFI4) - - 773 693 840 886 818 759 837 844 882 911

IFI5) - - 774 695 841 916 819 761 837 845 883 912

1) Goodness of Fit Index2) Adjusted Goodness of Fit Index3) Normed Fit Index4) Comparative Fit Index5) Incremental Fit Index6) 두13 요인들13 간 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13 사회제도신뢰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68(pgt05) =156(pgt05)]對 7) 두13 요인들13 간 단체참여 사회제도신뢰13 사회적13 지원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52(pgt05) =對 -002(pgt05)]8) 두13 요인들13 간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13 단체참여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65(pgt05) =157(plt01)]對 =9) 세13 요인들13 간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051(pgt05) 061(pgt05) 123(plt05) -013(pgt05)157(plt01)

092(pgt05)]

lt표13 5gt를13 살펴보면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13 귀무모형이나13 1-요인모형

에13 비해13 요인모형들 의13 경우가13 수치2 (M2_1 M2_2 M2_3) 2 (p( 2) χ χ

가13 적을13 뿐만13 아니라13 여러13 가지13 모형부합지수도13 큼을13 알13 수13 있다lt001) 2-

요인모형13 가운데13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이13 하나의13 요인

을13 형성하고13 사회제도신뢰가13 또13 하나의13 요인을13 형성하도록13 제약을13 가한13

모형이13 모형13 및13 모형에13 비해13 수치 가13 M2_1 M2_2 M2_3 2 (p( 2)lt001)χ χ

적을13 뿐만13 아니라13 여러13 가지13 모형부합지수 한국( GFI=917 AGFI=897

미국NFI=809 CFI=840 IFI=841 RMSEA=0569 GFI=909 AGFI=

도13 큼을13 알13 수13 있어13 887 NFI=793 CFI=846 IFI=847 RMSEA=0636)

더13 적절한13 모형이었다 그러나13 세13 가지13 차원의13 개념들을13 각기13 별도로13 측정하

도록13 제약이13 가해진13 3-요인모형은13 어떠한13 요인모형들에13 비해서13 보다도13 모형2

부합지수한국( GFI=934 AGFI=917 NFI=850 CFI=882 IFI=88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5

미국RMSEA=0567 GFI=933 AGFI=916 NFI=855 CFI=911

가13 현격히13 향상되었다 이는13 양13 국가13 모두13 여러13 IFI=912 RMSEA=0493)

가지13 경쟁적인13 내재모형13 가운데13 요인모형이13 최적모형으로써13 분석에13 포함된13 3

문항들이13 세13 가지13 별개의13 구성체들을13 측정하고13 있으며 이13 구성체들13 간에는13

판별집합타당도가13 유지됨을13 확인시켜주는13 결과이다 이로써13 요인모형에13 잠 3

재된13 변인들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이13 각기13 ( )

별개의13 구성체들임을13 보여준다 뿐만13 아니라13 이13 내생변인들13 상호간에는13 연관

관계도13 그다지13 강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모형검증의13 추정결과3

이13 절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13

사이가13 이론적 경험적13 사실과13 어느13 정도13 부합되는지를13 검증한다 이를13 위해13

이들13 변인들13 사이의13 상관13 및13 인과관계 그리고13 경로분석이13 어떻게13 나타나는

지를13 로13 추정한다LISREL 4

측정모형분석에13 근거하여13 여타변인들의13 영향이13 통제되지13 않는13 영차상관관

계(zero- 를13 산출한13 결과는13 order correlation) lt표13 6gt에13 제시하였다 우선 사

회제도신뢰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

회경제적13 지위(r=- 변인만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관계로13 나타난13 192)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 (r=158)

다 이는13 한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불신이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에13 적극적으로13 참여할수록13 제

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났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

활용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남성더미

(r=- 기혼더미094) (r=- 등13 두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451)

4 측정모형분석에13 앞서13 개13 측정변인에13 대한13 다중13 공선성13 여부를13 검증하였다 검증결27

과 연령변인이13 한국이13 으로13 다중공선성이13 의심되는13 바13 연령변인을13 제외하고13 재 646

추정하여13 분석하였다

146 김상돈

관계로13 나타났다 이에13 비해13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남성더미 (r=197)

(r=- 기혼더미152) (r=- 광역시13 더미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이13 통352) (r=147)

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국에서는13 여성일수록 미혼일수록13

사회적13 지원을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되어진다면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여성일수록 미혼일수록 메트로폴리스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적13 지원

을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다른13 한편 사회단체참여에13 유의

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남성더 (r=387)

미 기혼더미 광역시더미(r=273) (r=104) (r=- 변인13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이13 136)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관계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

위 기혼더미 광역시더미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r=409) (r=109) (r=146)

적으로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다시13 말해13 한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남성일수록 기혼일수록 기타도시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반면에 미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기혼일수록 메트로

폴리스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단체에13 적극적으로13 참여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이어서13 사회제도신뢰와13 인과변인사이의13 인과관계는13 구조모형에13 대한13 추정

을13 통해13 규명한다 한국의13 기본모형과13 최종모형의13 추정13 결과 기본모형의13 모

형부합지수는13 정확합치인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미할13 뿐만13 아니라13 001

근사합치인13 GFI=911 AGFI=890 NFI=790 CFI=837 IFI=838

로13 보다13 작아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모형부합지수를13 나타내RMSEA=0588 08

고13 있지만13 전반적으로13 그리13 높지13 않은13 것으로13 나타내고13 있다 반면에13 최종모

형의13 모형부합지수는13 기본모형과13 마찬가지로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 001

미하며13 GFI=901 AGFI=878 NFI=783 CFI=837 IFI=839 RMSEA=

로13 기본모형보다13 다소13 향상되었다 결정계수에13 있어서도 최종모형은13 0594

기본모형에13 비해13 설명력이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 기본모형의13 ( R2=117 222

최종모형의13 044 R2=188 104 056)

동일한13 방식으로13 미국의13 기본모형과13 최종모형의13 추정13 결과 기본모형의13 모

형부합지수는13 정확합치인13 x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미할13 뿐만13 아니라13 001

근사합치인13 GFI=904 AGFI=882 NFI=801 CFI=867 IFI=869

로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모형부합지수를13 나타내고13 있지만13 전반RMSEA=054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7

그림13 2 사회제도신뢰를13 검증하기13 위한13 최종모형 한국13 -

그림13 3 사회제도신뢰를13 검증하기위한13 최종모형 미국13 -

적으로13 그리13 높지13 않는13 부합지수를13 나타내고13 있다 반면에13 최종모형의13 모형

부합지수는13 기본모형과13 마찬가지로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하며13 001

로13 GFI=896 AGFI=871 NFI=782 CFI=867 IFI=889 RMSEA=0539

148 김상돈

기본모형보다13 다소13 향상되었다 또한13 결정계수에13 있어서도 최종모형은13 기본

모형에13 비해13 설명력이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기본모형의13 ( R2=034 174 028

최종모형의13 R2=099 245 039)

모형13 찾기에서13 선정된13 최종모형에13 기초하여13 제반13 외생변인들의13 인과적13 단

위영향을13 보여주는13 구조모형을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추정한13 결과는13 lt표13

6gt에13 제시하였다 구조모형의13 추정결과를13 우선13 살펴보면 기본모형에서13 배제

되었던13 경로들13 가운데13 사회단체참여rarr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경제

적13 지위rarr사회단체참여로13 향하는13 경로만이13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이13 높고13 수정지표도13 현저한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사회경제적13 지위 rarr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rarr사회제도신뢰로13 향하는13 경로들은13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이13 낮고13 수정지표13 또한13 현저하지13 못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각13 내생변인과13 관련한13 결과를13 순서대로13 살펴보면13 다음과13 같다

첫째 사회단체참여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

위 남성 광역시(B=378) (B=220) (B=-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유의미한13 170)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B=416)

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과13 남성 그리고13 기타도시에13 거주하는13

사람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반면에13 미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만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이다

둘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남성(B=189) (B=- 기혼144) (-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유의470)

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남성더미(B=152) (B=- 기혼더미137) (B=- 광역시 등13 네13 372) (B=130)

가지13 변인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과13 여성 미혼은13 사회적13 지원을13 강한13 연

계보다는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광역시에13 거주하는13 사

람들은13 한국사회13 보다13 미국에서13 강한13 연계보다13 약한13 연계에13 사회적13 지원을13

요청한다

셋째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단체참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9

사회경제적13 지위(B=151) (B=- 등13 두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246)

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B=144)

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은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

데13 비해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들은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불신이13 높게13

나타났다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이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났다

변인

한국(N=979) 미국(N=535)

단체참여 사회적지원 사회제도신뢰 단체참여 사회적지원 사회제도신뢰

r B r B r B r B r B r B

매개내생변인

사회적13 지원 048 - -017 -

매개외생변인

단체참여 - 090 189 043 151 104 152 158 144

외생변인

SES 387 378 070 - -192 -246 409 416 197 - 093 031

통제변인

남성13 더미 273 220 -094 -144 -024 -033 006 026 -152 -137 040 039

기혼13 더미 104 068 -451 -470 006 005 109 018 -352 -372 064 037

광역시13 더미 -136 -170 047 053 -005 -007 146 066 147 130 -004 -023

R2 237 220 056 183 195 030

χ2 1187022(df=283) (plt001) 687058(df=283) (plt001)

모형부합치 GFI=915 AGFI=894 NFI=808

CFI=846 IFI=847 RMSEA=0572

GFI=910 AGFI=888 NFI=812

CFI=880 IFI=881 RMSEA=0517

주 제시된13 계수는13 표준화계수이며 통계적13 유의도는13 비표준화계수에13 대한13 검증임 1)

계수를13 연차적으로13 자유모수로13 개방하여13 추정한13 최종모형임2) B21 11 Γ

단측검증 단측검증 단측검증3) p 05 p 01 p 001 < < <

표13 6<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요인들에13 대한13 추정13 결과13 LISREL13

다음은13 사회제도신뢰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대한13 직접 간접 전체영향을13 분리시킨13 경로분석을13 시도한다 그13 결과는13 lt표13 7gt과13 같다

우선 사회제도신뢰의13 경로분석결과를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유의미한13

요인들과13 그13 영향에13 대한13 절대적13 크기순서대로13 나열하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

제적13 지위(B=- 사회단체참여 로13 구성되며 미국에서는13 단체참여189) (151)

변인만으로13 구성되었다 이13 같은13 결과를13 각13 변인별로13 보다13 상세히13 (B=144)

150 김상돈

살펴보면13 먼저 양13 국가13 모두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와13 사회단체참여변인

을13 연결하는13 제 의13 변인은13 존재하지13 않기13 때문에13 사회단체참여의13 전체영향3

은13 직접영향 한국 미국 만으로13 구성되며13 그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 =151 =144)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다 다음으로 사회경제적13 지위13 변인은13 한국

에서13 강한13 부의13 인과적13 영향(B=- 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며13 직접영189)

향(B=- 및13 간접영향 모두13 유의미하였고13 전체의13 가13 직접246) (B=057) 130

영향으로13 구성된다 반면에13 미국에서13 직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으나13 간접영

향 은13 유의미하다 이상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사회단체참여의13 (B=060)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그13 영향의13 구체적13 방향이13 이론적13 예측과13 예외13 없이13 일

치한13 반면에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사회경제적13 지위의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이론적13 예측과13 일치하지13 않았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대한13 경로분석결과를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들과13 그13 영향에13 대한13 절대적13 크기순서대로13 나

열하면 한국에서는13 기혼 (B=- 단체참여 남성457) (B=189) (B=- 사회102)

경제적13 지위 순으로13 구성되며 미국에서는13 기혼(B=071) (B=- 단체참374)

여 광역시 남성(B=152) (B=140) (B=- 사회경제적13 지위 순133) (B=063)

으로13 구성된다 이13 같은13 결과를13 각13 변인별로13 보다13 상세히13 살펴보면 첫째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사회단체참여변인을13 연결하는13 제 의13 3

변인은13 존재하지13 않기13 때문에13 사회단체참여의13 전체영향은13 직접영향한국(

미국 만으로13 구성되며13 그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189 =152)

의미하다 둘째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영향이13 사회단체

참여에13 의해13 전적으로13 매개된13 간접영향한국 미국 으로만13 구성( =069 =063)

되었다 셋째 기혼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직접영향한국 ( =- 미국470 =-371)

만이13 유의미한13 반면에13 간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았다 넷째 남성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직접영향 한국( =- 미국144 =- 이13 유의미하고13 간접영향은13 한137)

국 만이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고13 미국에서는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것(B=042)

으로13 나타났다 다섯째 광역시13 변인은13 한국에선13 직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

은13 대신에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된13 간접영향(B=- 은13 유의미한13 반면032)

에13 미국에선13 사회단체참여에13 매개된13 간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대신에13 직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1

접영향 은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B=130)

한국(N=979) 미국(N=535)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변인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매개변인

사회적지원

단체참여 189 189 151 151 152 152 144 144

외생변인

SES 071 071 -246 057 -189 063 063 030 060 090

통제변인

남성더미 -144 042 -102 -033 033 000 -137 004 -133 039 004 043

기혼더미 -470 013 -457 -026 010 016 -371 -003 -374 038 -003 035

광역시더미 033 -032 001 -006 -026 -032 130 010 140 -023 -009 -014

제시된13 계수는13 표준화계수이며 통계적13 유의도는13 비표준화계수에13 대한13 검증임1)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지원에13 미치는13 영향2) ( ) times ( )=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미치는13 영향3) ( ) times ( )=

전체영향13 직접영향13 간접영향4) = +

단측검증 단측검증 단측검증 p 05 p 01 p 001 < < <

표13 lt 7gt 사회적13 지원과13 사회제도신뢰를13 설명하는13 요인들의13 직접13 간접 전체영향을13 분리한13 경로분석결과LISREL13 1)

논의13 및13 결론V

이13 연구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

회제도신뢰13 등에13 대한13 기술통계13 및13 판별집합타당성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차

이 매개효과13 등을13 실증적으로13 규명할13 목적으로13 수행되었다 이를13 위하여13 유

교공동체주의와13 합리적13 개인주의모델의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특성을13 지니고13 있

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를13 선정하여13 국제사회종합조사 자료모듈인13 (ISSP)

와13 자료를13 대상으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과13 관련KGSS 2004 GSS 2001

된13 일련의13 연구13 가설을13 제시하여13 검증하였다

첫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적13 신뢰 ( )

152 김상돈

은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확연히13 다른13 평균차이를13 보여주고13 있다 사회단

체참여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상대적으로13 더13 적극( =1479) ( =1732)

적이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국에서13 저조

한13 이유는13 년13 이후13 신사회운동을13 포함한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추세에1987

도13 불구하고13 시민사회의13 공론장이13 모순적으로13 제도화되었기13 때문이다 이는13

사회공간이13 존재하는13 것과13 그13 공간에13 참여하는13 것과는13 별개의13 개념임을13 의미

한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은13 미국평균 보다13 한국평균 에서13 약 ( =3187) ( =4541)

한13 연계에13 더13 활용되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

용이13 한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분석결과는13 학연 지연 혈연13 등13 연고13 집단으로13 인해13 사회적13 자본이13 풍부하다고13 주장한13 연구유석춘13 외 와13 일치된다( 2002)

다른13 한편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더13 ( =1733) ( =2075)

높으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제도신뢰가13 한국보다13 미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사실은13 정치 경제적으로13 성공한13 국가가13 그렇지13 못한13 국가보다13 상대적으로13 제도신뢰가13 더13 높을13 것이라고13 제시한13 거시적13 차원에서의13 연구결과

와13 부합된다(Putnam 1993 1995 Fukuyama 1995)

둘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

사회제도신뢰사이에는13 판별) 집합타당도가13 유지된다는13 사실을13 강조할13 필요가13 있다 탐색적13 요인분석과13 더불어13 확인적13 요인분석을13 실시한13 결과에서13 나

타난바와13 같이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을13 측정하기13 위한13 문항들은13 제각기13

해당차원의13 개념들만을13 측정할13 뿐만13 아니라13 이들13 차원들이13 각기13 별도의13 개념

을13 형성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3-요인모형이13 최적모형으로13 판명됨으로써13 3-요인

모형에13 잠재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의13 판별 수렴타당도가13 존재함을13 보여준다 아울러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들13 사이의13 상관관계조차도13 상당히13 미

약한13 것으로13 드러남으로써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13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13 등은13 각기13 별개의13 구성체들로13 이루어져있음이13 나타났다

셋째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 (

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 의13 불평등을13 밝히는데13 사용되었다 사회단체 )

참여와1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변인으로13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와13 접한13

관련성을13 맺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나13 사회제도신뢰에13 있어서13 강한13 부(- 의13 상관13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3

및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와13 사회적13 지원13 연결망활용의13 인과변인으로서13 중요하게13 나타났다 그러나13 한

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

타났으며13 미국에서는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타나13 이들13 연구가설13

모두13 기각된13 결과로13 나타났다 기각된13 이유는13 통계적13 해석과13 담론적13 해석13 두13

가지로13 논의할13 수13 있는데 첫13 번째13 이유는13 사례수와13 변량13 등13 통계적13 근거에

서13 설명할13 수13 있다 예컨대13 구조모형의13 추정에13 동원된13 측정변인13 및13 이론변인

의13 수를13 감안할13 때13 제한된13 사례13 수한국 미국 는13 여러13 변인들의13 ( =979 =535)

변량을13 제한하고13 표준오차를13 증가시킴으로써13 각각13 사회적13 지원13 및13 사회적13 신

뢰의13 통계적13 유의도를13 상실하게13 하는13 원인으로13 작용될13 가능성이13 있다 통계

적13 해석보다13 중요한13 담론적13 해석은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설명유교공동체주의(

자유민주주의에서13 그13 이유를13 예측할13 수13 있다 한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하다는13 사실은13 서구사회의13 인간관계와13 유

사할13 정도로13 진행되고13 있음에도13 불구하고13 여전히13 유교공동체주의모델이13 존

재함을13 보여준13 결과이다 미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

하다는13 사실은13 한국과13 달리13 부의13 불평등에13 대해13 당연시하는13 미국인의13 태도

개인주의 시장의13 제도화13 등13 맥락변인에서13 설명될13 가능성이13 높음을13 예측하게13

한다

넷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강력한13 단위영향과13 관련하여13 한

국 은13 미국 보다13 상대적으로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B=189) (B=152)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한국 은13 미국 보다13 (B=071) (B=06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서도13 사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

우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222 R2 에13 비하여13 포함된13 경우한국=173) (

사회의13 R2 미국사회의13 =243 R2 에13 대한13 설명력이13 각각13 =188) 21 15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이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에13 있어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

거를13 시사하는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사회단체참여의13 경제행위를13 이

해하는데13 있어서13 영리적13 차원의13 자기이해와13 합리적13 선택론에13 근거한13 신제도

주의이론으로만13 온전히13 설명할13 수13 없다는13 점을13 밝히면서13 한편으로는13 개별행

154 김상돈

위자들이13 현재13 맺고13 있는13 사회연결망에13 의해서13 형성된다고13 본13 신경제사회학

의13 이론적13 논의를13 부각시켰다는13 점에서13 시사하는13 바가13 크다 이로써13 사회단

체참여는13 다양한13 사람들과의13 사회적13 관계에서13 유통되는13 사회적13 지원을13 제공

해주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척도로서13 의미13 있는13 구성지표이다

다섯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B=144

보다13 한국 에서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지만 사회경제적13 plt05) (B=151 plt05)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는13 한국 보다13 미국(B=057 plt05)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B=060 plt05) 5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13 있어서도13 사

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미국사회의13 ( R2=037 R2 에13 비=028)

하여13 포함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056 R2 의13 설명력은13 =030)

한국과13 미국13 각각13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은13 작19 02

은13 증가를13 나타냈으나13 단위13 영향13 및13 간접영향13 모두13 높게13 형성되어13 사회단체

참여가13 제도신뢰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거를13 시사

한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공적13 시민정신의13 연구결과들 (Tocqueville

과13 일치됨으로써13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과13 미국13 1845 Putnam 1993 1995)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신뢰의13 중요한13 관건임을13 밝혀냈다 그러나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약한13 정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

데 이러한13 결과가13 나타난13 사실은13 년13 이후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로13 인 1987

해13 시민의13 정치참여를13 높이는데13 일정정도13 기여했으나13 민주적13 시민덕목을13 배

양하는데13 있어서는13 그리13 성공하지13 못한13 데에서13 추측할13 수13 있다 이를13 위해서

는13 중복적13 참여13 및13 자기이해(self- 에13 기초한13 소극적13 참여에서13 호혜성interest)

규범과13 사회적13 신뢰형성을13 위한13 제도적13 메커니즘으로의13 사회단체참여13 구축

이13 무엇보다13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이13 사회제도신뢰에13 미치는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이러한13

사실은13 사회적13 자본의13 연구결과 김용학(Pagden 1988 Fukuyama 1995 손

5 이와13 반대로 결측치에13 개별평균값을13 대체하기전의13 추정결과에서 사회단체참 LISREL

여의13 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B=169 plt05) (B=133 plt05)

더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높게13 나타났다(B=049 plt05) (B=043 plt0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5

재석 이재열 에서13 제시된13 반경범위 내집단13 족쇄 연고13 집단13 등 1998 1998)

의13 용어를13 사용하면서 가족13 및13 개인연결망13 활용이13 공적영역의13 신뢰를13 식민

화하여13 사회13 전체적으로13 저신뢰사회가13 된다고13 주장한13 논의와13 일치하지13 않는13

결과이다 즉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사이의13

관계가13 서로13 양립13 가능한13 현상을13 보여주어13 매개역할13 또한13 기각되었다

종합컨대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상관관계와13 유의미한13 정 의13 인과관계로13 작동하는데13 비해13 미국에서는13 상관13 (+)

및13 인과관계13 모두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 한편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

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은13 약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13 것으 (+)

로13 나타났다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의13 중요한13 인과변인인13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양13 국가13 모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력을13 미치고13 있으며 사회경제적13 지(+)

위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두13 가지13 구성개념사회제도신뢰13 및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 )

인과적13 영향은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되었다는13 사실13 또한13 이13 연구에서13 밝

혀냈다

이상의13 연구에도13 불구하고13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한국의13 ( R2 237 220

미국의13 056 R2 이13 낮게13 형성되었다는13 점과13 와13 183 195 030) KGSS 2004

자료에13 한정하여13 분석하였기13 때문에13 분석결과의13 해석과13 일반화에13 GSS 2001

한계가13 있을13 수13 있다 예를13 들면13 년과13 년이라는13 특정한13 시기에13 조 2004 2001

사가13 이루어졌다는13 점에서13 이론적 경험적으로13 함축하는13 바가13 있다고13 하더라도13 외적13 타당성의13 문제점을13 지닌다 그리고13 이13 연구는13 전국규모를13 대상으로13

조사되었다는13 점에서13 의미하는13 바가13 있지만13 시계열적13 자료를13 통한13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정 한13 검증을13 하지13 못하였다는13 점에서도13 그13 한계가13 있음을13 밝혀

둔다 따라서 향후13 후속연구에서13 제시된13 모델들을13 보다13 정교화하는13 이론적13

작업과13 더불어13 다양한13 변인들을13 충분히13 활용하며13 통시적13 연구13 및13 국가간의13

비교연구13 등을13 통해13 경험적13 연구들이13 진행되어야13 할13 것이며 연구자의13 관심

과13 노력으로13 연구의13 질적13 향상을13 기대해본다

156 김상돈

참고문헌

국민호 동아시아경제발전과13 유교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1997 31 1 pp 29-59「 」 985172 985173김상욱 조직몰입의13 하위차원들의13 타당도평가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2001 35 3 pp 「 」 985172 985173

109-138

김용학 손재석 미시적13 신뢰와13 거시적13 위험 계간사상 1998 38 pp 115-132 「 」 985172 985173이재열 민주주의 사회적13 신뢰 사회적13 자본 계간사상 1998 38 pp 65-93「 」 985172 985173유석춘 외 사회자본과13 신뢰 한국 일본 덴마크 스웨덴13 비교13 연구 동서연구 2002 「 」 985172 985173

권13 호14 1 pp 101-135

장수찬 한국사회에13 나타난13 악순화의13 사이클 한국정치학회보 권13 호 2002 36 1 pp 「 」 985172 98517387-112

한국13 사회과학도서관13 홈페이지 2005 httpwwwksslorkr

Banfield E 1967 The Moral Basis of a Backward Society New York Free Press

Billiet JB and Bart Cambre 1999 ldquoSocial capital active membership in voluntary

associations and some aspects of political participatio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Bourdieu Piere 1984 The Distiction A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Brehm John amp Wendy Rahn 1997 ldquoIndividual-level evidence for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social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41(3)

pp 999-1023

Burt R 1992 Structure Holes The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Coleman James 1988 ldquo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pp 94-121

DiMaggio Paul and Hugh Louch 1998 ldquoSocially Embedded Consumer Transaction

For What Kinds of Purchases Do People Most Often Use Networks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3 pp 619-637

Fukuyama Francis 1995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perty

NewYork Free Press Paper Backs Book

Gambetta Diego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Financial Capital The

Case of Network Marketing Champaign Stipes

Ganzeboom H B G and DJ Treiman 1996 ldquoInternationally Comparable Measures

of Occupational Status for the 1988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rdquo Social Science Research 25 pp 201-239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7

Giddens Anthony 1990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Stanford Stanford UP

Granovetter Mark 1985 ldquoEconomic Action and Social Structure The Problem of

Embeddedness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1 pp 481-510

Inglehart R 1999 Culture Shift in Advanced Industrial Societ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Joumlreskg Karl G and Soumlrbom Dag 1989 LISREL 7 A Guide to the Program and

Applications Chicago SPSS Inc

Lin Nam 1982 ldquoSocial Resource and Instrumental Actionrdquo In Social Structure and

Network Analysis edited by Peter Marsden and Nan Lin Beverly Hill CA

Sage Publication

Loury Glen 1977 ldquoA Dynamic Theory of Racial Income Differencerdquo In PA

Wallace amp A LeMund (eds) Woman Minorities and Employment Discrimi-

nation Lexington Lexington Books

Luhmann Niklas 1988 ldquoFamiliarity Confidence Trust Problems and Alternativesrdquo In D Gambetta (ed)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New York Basil Blackwell

McPherson J Miller 1983 ldquoAn Ecology of Affiliation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8 pp 519-532

Newton Kenneth 1997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rdquo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0(5) pp 575-586

Newton Kenneth 1999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 in Modern Euroupea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s)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Olson ME 1965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Pagden Anthony 1988 ldquoThe Destruction of Trust and its Economic Consequence in

the Case of Eighteenth-century Naplesrdquo In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edited by D Gambetta Oxford Blackwell

Paxton Pamela 1999 ldquoIs Social Capital Declining in the US A Multiple Indicator

Assessment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5(1) pp 88-126

Portes A 1998 ldquoSocial Capital Its Origin and Application in Modern Sociologyrdquo Annual Review of Sociology 24 pp 1-24

Portes A 2000 ldquoThe Two Meaning of Social Capitalrdquo Sociological Forum 15(1)

pp 1-12

Putnam Robert 1993 Making Democracy Work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utnam Robert 1995 ldquoBowling Alone Americans Declining Social Capitalrdquo Journal of Democracy 6(1) pp 65-78

Sztompka P 1999 Trust A Sociological Theor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8 김상돈

Toqueville Alexis de [1835 1840] 1990 Democracy in America(Reprint) New

York Vintage

Verba Sidney Kay Lehman Schlozman and Henry E 1995 Voice and Equality

Civic Voluntarism in American Politics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son Oliver E 1993 ldquoCaculativeness Trust and Economic Organizationrdquo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36(3) pp 453-486

Zucker Lynn G 1986 ldquoProduction of Trust Institutional Sources of Economic

Structurerdquo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8 pp 53-111

Comparison Analysi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n the Causal Structure of Trust in Social InstitutionsWith a focus on Mediation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and

Social Support

Sang-don KimLecturer in The University College at Sungkyunkwan University

This Study explores the multiplicativ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social institutions trus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do this a set of hypotheses concerning th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are set forth and subjected to an empirical assessment by using data set

collected from KGSS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2004 and GSS (General

Social Survey) 2001 out of the ISSP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lanning)

Modules

Analysis of data in terms of ML (Maximum Likelihood) procedure in

LISREL852 was used and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s (1) The unit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on association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2)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status on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but They were appear to be an important predictor to

Korea (3)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on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4) Association participation was especially in

shaping social support and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to the two nations

This study is interpreted that further research on the topic of social capital are

raised with elaborating the measure on the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political efficacy consciousness of social class and so forth coupled with

advertising a few limitation of this study

Keyword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KGSS GSS ISSP

김상돈 성균관대학교13 학부대학강사13

경기도13 수원시13 장안구13 조원동13 한일타운13 동13 호13 119 703 440-709

Tel_01113 912013 132313 13 E-mail_education17hanmailnet

Page 13: 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 미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64/1/5.%e1%84%80%e1...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미비교연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7

종표집지역수를13 개로13 선정하고13 이를13 차표집단위인13 전국13 광역시200 1 도의13 가구수13 분포에13 비례하여13 배분한다 둘째 각13 광역시 도로부터13 배분된13 수만큼의13 차표집단위인13 읍2 면 동을13 인구비례확률표집13 원칙을13 적용하여13 무작위로13 추출한다 셋째 이렇게13 추출된13 각13 읍 면 동으로부터13 한13 개의13 최종표집지역면( 의13 경우에는13 리 동의13 경우엔13 통 반을13 무작위로13 선정한다 넷째 선정된13 )

통 반13 또는13 리에서13 개의13 가구를13 계통표집한다 계통표집된13 가구13 내에서13 10

만13 세13 이상13 성인13 가구원들의13 리스트를13 작성한13 후13 이들13 가운데13 태어난13 월18

일이13 가장13 빠른13 사람을13 조사대상자로13 삼는다 조사된13 설문지의13 유효사례수는13

명이다 이13 연구에13 사용할13 변인들에13 대한13 응답13 가운데13 무응답1312 (lsquo모르겠다rsquo 포함 문항에13 개별평균값으로13 대체한13 후13 결측치 ) (missing values)(n=

를13 일률적 으로13 제거하여13 추출된13 총13 명이13 최종13 분석사례수343) (listwise) 979

를13 형성하였다 평균13 대체방법을13 사용한13 이유는13 변인들의13 분포추정치13 왜(N)

곡13 가능성의13 성격을13 지니지만 결측치를13 가능한13 정확한13 값으로13 대체함으로써13

무응답의13 편차감소와13 연구결과의13 일반화13 및13 신뢰성이13 향상될13 수13 있기13 때문이

한편 자료는13 시카고대학의13 GSS 2001 NORC(National Opinion Research

C 에13 의해13 수집된13 자료로서13 년13 월에서13 월에13 걸쳐13 면접자13 조사방enter) 2001 2 5

식에13 의해13 수집되었다 표집방법의13 구체적인13 절차는13 다단계지역13 확률표집방

법으로서13 차13 표집단위는13 표준대도시지역1 (SMSA Standard Metropolitan

또는13 비도시지역의13 카운티들을13 지역 연령13 그리고13 인종에13 Statistical Area)

따라13 층화한13 후13 그13 단위를13 블록그룹이나13 열람구역별로13 인종과13 소득에13 따라13

층화한다 최종표집단위는13 블록이며 블록들을13 크기에13 준해13 확률을13 조정한13

뒤 특정블록을13 추출한다 이렇게13 추출한13 조사대상자를13 대상으로13 부실한13 응

답사례를13 제외한13 유효사례수는13 명이다 한국과13 동일한13 방식으로13 무응답2765

(lsquo모르겠다rsquo 포함의13 문항에13 개별평균값으로13 대체한13 후13 결측치 ) (missing

를13 일률적 으로13 제거하여13 추출된13 총13 명이13 이13 연values)(n=2230) (listwise) 535

구의13 최종13 분석사례13 수 를13 형성하였다(N)

138 김상돈

변수정의13 및13 측정2

이13 연구의13 최종내생변인은13 사회제도신뢰로13 대기업 교육계 언론계 금융

계 학계 의료계 방송계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 군대13 등13 가지13 영역을13 포 11

함한다 이렇게13 구성된13 사회제도신뢰는13 ldquo신뢰하지13 않음rdquo ldquo다소신뢰rdquo ldquo매우13 신뢰rdquo 순으로13 점에서13 점을13 부여하여13 연속변수로13 분석에13 사용한다 1 3

이13 연구의13 매개13 내생변인인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유형은13 사회연결망13 연구

자들의13 연계유형에서13 제시한13 가족 친척 이웃 친구 직장동료 성직자 사회

사업가 의사13 등을13 가족 친척 비13 친척으로13 분류한13 후13 이들13 유형을13 각각13 교

차 시켜13 아홉13 가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13 활용유형을13 만들13 수13 있다 이(3times3)

렇게13 구성된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유형은13 강한13 연계에13 답한13 순으로13 정리한13

후 동일한13 응답범주는13 첫13 번째13 응답에13 강한13 연계로13 답한13 경우를13 우선13 기준

으로13 점에서부터13 점까지의13 점수를13 부여하여13 측정한다1 9

이13 연구의13 매개외생변인은13 사회단체참여로13 정치단체 노조단체 시민단체

취미단체 이웃단체 기타단체13 등13 여섯13 가지13 영역의13 사회단체13 참여수준을13 측

정한다 사회단체참여에13 대한13 영역은13 ldquo소속된13 경험이13 없음rdquo ldquo과거에13 소속된13 경험13 있음rdquo ldquo소속되어13 소극적13 활동rdquo ldquo소속되어13 적극적13 활동rdquo 순으로13 조사

되었으며13 이들13 각각에13 점부터13 점까지의13 점수를13 부여하였다1 4

변13 인정의( )

설13 문13 문13 항측정척도범위[ ]

사회제도신뢰(institution)

개13 주요13 사회기관에13 대한13 신뢰의13 정도11매우13 신뢰13 다소13 신뢰13 매우13 불신 ① ② ③

연속변수[1-3]

사회적13 지원(SUPPORT)

정서적13 지원13 ① ② 연속변수[1-9]

경제적13 지원13 ① ② 연속변수[1-9]

서비스13 지원13 ① ② 연속변수[1-9]

사회단체참여(ASSOCIATION)

개13 사회단체참여에13 대한13 참여13 여부6소속된13 경험13 무13 소속된13 경험① ② 소극적13 활동13 적극적13 활동③ ④

연속변수[1-4]

표13 lt 1gt 내생변인들의13 설문문항13 및13 변수정의1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9

이13 연구의13 외생변인은13 사회경제적13 지위이다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교육년수

소득 직업위세로13 설정한다 교육년수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중요한13 인과변인으로

서13 정규교육을13 받은13 수학년수에13 근거하여13 점에서부터13 점으로13 측정한다0 23

응답자의13 월평균소득은13 와13 자료모듈에13 있는13 원13 자료KGSS 2004 GSS 2001

를13 근거로13 각13 범주에13 중간값을13 부여하여13 자연대수로13 변환하여13 측정한다 응

답자의13 직업은13 간즈붐과13 트라이먼 에13 의하여13 (Ganzeboom amp Trieman 1996)

구성된13 표준국제직업위세척도(SIOPS Standard International Occupation

에서13 제시한13 점부터13 점으로13 점수를13 부여하여13 분석에13 사Prestige Scale) 16 88

용한다

한편 인구학적13 특성인13 성 연령 결혼상태 지역13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은13 통제

변인으로13 설정한다 성은13 더미변수로서13 여성일13 경우는13 남성일13 경우는13 로13 0 1

부여13 한다 연령은13 자연연령으로13 분석에13 사용한다 결혼13 상태는13 더미변수로

서13 미혼13 및13 이혼 사별 별거일13 경우는13 기혼일13 경우는13 로13 부여하여13 더미0 1 변수로13 사용한다 지역은13 한국사회의13 경우13 특별시13 및13 광역시일13 경우에는13 1

기타도시일13 경우는13 으로 미국사회의13 경우13 메트로폴리스는13 기타도시는13 0 1 0

으로13 부여하여13 더미변수로13 만들어13 사용한다

변13 인 설13 문13 문13 항 측정척도

사회경제적13 지위(SES)

교육13 년수연속변수

직업13 위세SIOPS

[16-87]

소득13 수준 ln(income)

통제변인

연령 연속변수

성별남성=1 여성=0

결혼여부기혼=1미혼=0

이혼 사별 별거=0

주거지역광역도시=1기타도시=0

표13 lt 2gt 사회인구학적특성에13 사용된13 설문문항13 및13 변수정의13

140 김상돈

자료분석방법3

이13 연구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

제도신뢰13 사이의13 영향을13 분석하기13 위해13 탐색적13 요인분석 확인적13 요인(EFA)

분석 그리고13 공변량13 구조분석 등을13 시도한다 확인적13 요인(CFA) (LISREL)

분석은13 일련의13 경쟁적인13 요인모형들을13 각기13 추정하여13 모형부합지수를13 각13 모

형별로13 산출하여13 최적의13 모형을13 추정한다 구조방정식모형은13 측정모형과13 구

조모형의13 개13 하위모형으로13 구성되어13 있다 측정모형분석의13 전략은13 제도에13 2

대한13 사회적13 신뢰 사회적13 지원 사회단체참여13 등13 내생잠재변수와13 외생잠재

변수인13 사회경제적13 지위 그리고13 통제변수를13 이론변수로13 설정하여13 제반13 이론

변수간의13 상관관계를13 분석한다 한편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를13 각13 별도의13

결과변인13 혹은13 최종적13 내생변인으로13 설정하고13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을13 매개변인으로13 설정한13 상태에서13 제반13 예측변인들의13 인과적13 단

위영향을13 분석하기13 위한13 구조모형을13 추정한다 이어서13 각13 결과변인을13 설명하

는13 인과요인들의13 직접 간접 전체13 영향을13 분리시키는13 경로분석을13 실시함으로써 각13 인과변인들의13 상대적13 중요성에13 대한13 평가를13 시도한다 각13 차원들을13

결과변인으로13 간주한13 공변량13 구조분석을13 시도함으로써13 이론13 변인들간의13 구

조적13 인과관계를13 추정한다 실증분석을13 위하여13 사용된13 통계프로그램은13 SPSS

및13 를13 사용하였다110 LISREL 852

분석결과IV

기술통계1

분석에13 포함된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의13 조사대상자에13 대한13 사회경제적13 지

위13 특성을13 살펴보면 교육년수는13 한국평균 년보다13 미국평균 ( =12422 ) (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1

년 에서13 약간13 높으며 직업위세점수는13 한국평균 점보다13 미국13629 ) ( =40315 )

점 에서13 정도13 높게13 나타났다 소득수준은13 한국평균 보(47512 ) 7197 ( =5394)

다13 미국평균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 =10464) 3 따라서13 조사대상자의13 사회경제

적13 지위는13 한국보다13 미국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

한편 조사대상자의13 인구학적13 특성을13 살펴보면 연령은13 한국평균 ( =41503

세보다13 미국평균 세에서13 약간13 높으며 남성비율은13 미국 보) ( =42966 ) (450)

다13 한국 에서13 약간13 높은13 분포를13 나타냈다 기혼비율은13 미국 보(460) (450)

다13 한국 에서13 높으며 광역시 특별시13 광역시 에13 거주하는13 한국의13 비(686) (1 6 )

율은13 인13 반면에13 메트로폴리스에13 거주하는13 미국의13 비율은13 로13 나479 292

타났다

다른13 한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 (

망활용 사회제도신뢰을13 살펴보면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평균 보다13 ) ( =1479)

미국평균 에서13 더13 적극적인13 것으로13 나타났으며( =1732) (t=-8045 p 001) <

변인

평균 범위[ ] SD

한국(N 979)=

미국(N 535)=

한국 미국

사회경제적지위

교육년수 12422 [0-23] 13629 [1-20] 4032 2910

SIOPS 40315 [16-87] 47512 [16-88] 13376 16147

소득 5394 [3219-6957] 10464 [6215-11653] 746 950

인구학적특성

연령 41503 [18-84] 42966 [20-86] 14433 16029

남성 460 [0-1] 450 [0-1] 499 498

기혼 686 [0-1] 450 [0-1] 467 498

광역도시 479 [0-1] 292 [0-1] 500 455

주 한국 교육년수 로그소득 미국 교육년수 SES( =855 +725 SIOPS+805 =811 +791 로그소득 SIOPS+ 673 )

표13 lt 3gt 조사대상자의13 사회인구학적13 특성13

3 사회경제적13 지위변수인13 교육 직업위세 로그소득을13 탐색적13 요인분석결과 한국의13

와13 미국의13 자료13 모두13 하나의13 주요인으로13 추출되었으며13 총13 변량KGSS 2004 GSS2001

에13 대한13 설명력은13 각각13 로13 나타났다 이렇게13 구성된13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652 570

교육 직업 소득변수에13 가중치가13 부여된13 조합변수로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 KGSS 2004[

교육교육년수 직업 소득 로그소득 사회경제=855 ( )+725 (SIOPS)+805 ( )] GSS 2001[

적지위 교육 교육년수 직업위세 소득 로그소득 으로13 구성=811 ( )+791 (SIOPS)+673 ( )]

할13 수13 있고13 선형조합인13 요인점수 를13 그13 값으로13 가지게13 된다(factor score)

142 김상돈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은13 미국평균 보다13 한국평균 에서13 ( =3187) ( =4541)

약한13 연계를13 더13 활용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사회제도신뢰(t=9337 p 001) <

는13 한국 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 =1733) ( =2075) (t=-14463

이로써13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13 사람보다13 미국사람이13 더13 높을13 것이라p 001) <

고13 제시한13 lt연구가설13 1gt을13 수용하게13 되었다

변인 평균 SD 차이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평균차이 절대량차이 값t

사회제도신뢰

대기업13 신뢰 1671 2019 548 584 -348 -312 -8123

교육계13 신뢰 1784 2100 575 624 -316 -267 -7273

언론계13 신뢰 1639 1680 588 659 -041 030 -3145

방송계13 신뢰 1779 1665 600 651 114 165 1506

의료계13 신뢰 1873 2274 574 639 -401 -336 -8585

행정부13 신뢰 1461 2046 531 683 -585 -433 -13578

입법부13 신뢰 1180 1905 403 586 -725 -542 -19212

사법부13 신뢰 1944 2275 591 639 -331 -283 -7671

학계13 신뢰 1957 2329 539 613 -372 -298 -8496

군대13 신뢰 1915 2468 649 614 -553 -588 -12062

금융계13 신뢰 1865 2068 593 629 -203 -167 -4463

전13 체 1733 2075 318 343 -342 -317 -14463

사회적13 지원

정서적13 지원 5813 3802 2672 2792 2011 2131 10916

경제적13 지원 4843 3202 2853 2788 1641 1576 7167

서비스13 지원 2967 2557 2352 2457 410 515 4336

전13 체 4541 3187 1880 1950 1354 1424 9337

단체참여

정당단체13 참여 1163 1593 518 1032 -430 084 -8129

시민단체13 참여 1098 1874 421 1229 -776 032 -12751

노동조합13 참여 1275 1512 674 956 -237 045 -7695

취미단체13 참여 1819 2166 1071 1366 -347 -052 -4389

이웃단체13 참여 1614 1493 1041 977 121 057 567

기타단체13 참여 1905 1753 1208 1151 152 095 1199

전13 체 1479 1732 469 702 -253 -020 -8045

주 평균13 및13 절대량13 차이는13 기술통계의13 차이 한국 ( -미국이며13 통계적13 유의도는13 ) t- 에13 대한13 검증test임

p 05 p 01 p 001 < < <

표13 lt 4gt 사회적자본의13 기술통계한국 미국13 ( 13 N 97913 13 N=53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3

모형검증의13 타당도평가2

이13 절에서는13 내생변인들에13 대한13 모형검증의13 타당도를13 분석한다 모형검증

의13 타당도를13 분석하기13 위해서는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13 변인13 등은13 탐색적13 요인분석과13 확인적13 요인분석이13 사용된다

탐색적13 요인분석결과 표본적절성13 측정치인13 값한국 미국 KMO ( =773

은13 적절한13 수준이었으며13 의13 구형성13 검증13 통계치의13 유의수준은13 =752) Bartlett

양13 국가13 모두13 으로13 보다13 작아13 자료의13 상관이13 요인에13 적합한13 것으로13 000 05 3

나타났다 제 요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13 개13 문항13 가운데13 개의13 측정변인 1 20 11

들이13 묶이는13 것으로서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에13 해당한다 제 요인은13 양13 2

국가13 모두13 전체문항13 가운데13 개13 문항의13 측정변인을13 요인13 구성하였으며13 사회6

단체참여에13 해당한다 마지막으로13 제 요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문항13 가운데13 3

개문항의13 측정변인을13 요인13 구성하였으며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해당3

한다 또한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의13 내적일

치성을13 알아보기13 위해13 의13 계수로13 평가한13 결과 한국Cronbach ( =8029 α

미국 로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신뢰도를13 보5192 5051 = 7658 5746 6933)

이고13 있었다 이상의13 결과를13 보면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변인이13 각기13 별개구성체로13 구성되고13

있음을13 보여준다

확인적13 요인분석결과는13 lt표13 5gt에13 제시하였다 분석에13 포함된13 문항들이13 어

떠한13 공통요인도13 형성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귀무모형이나13 모든13 문항들이13

사회적13 자본이라는13 단일차원의13 개념을13 측정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1-요인모형

두13 가지13 별개차원의13 개념들을13 측정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요인모형 세13 가지13 2

차원의13 개념들을13 각기13 별도로13 측정하도록13 제약을13 가해진13 요인모형으로13 구3

성되었다

144 김상돈

표13 lt 5gt 사회적13 자본13 하위차원에13 대한13 확인적13 요인분석 결과 한국 미국13 (CFA)13 -( N 97913 N=535)=

귀무모형(M0) (M1)

요인모형1

요인모형2요인모형3- 9)

(M2_1) (M2_2) (M2_3)8)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χ2 4465901

(p 001)<

2671725

(p 001)<

1235222

(p 001)<

1097272

(p 001)<

887151

(p 001)<

533939

(p 001)<

1030632

(p 001)<

942579

(p 001)<

899901

(p 001)<

540723

(p 001)<

692709

(p 001)<

383604

(p 001)<

DF 190 190 170 170 169 169 169 169 169 169 167 167

GFI1) - - 888 830 917 909 905 850 916 908 934 933

AGFI2) - - 861 789 897 887 882 814 895 886 917 916

NFI3) - - 745 651 809 814 788 713 806 791 850 855

CFI4) - - 773 693 840 886 818 759 837 844 882 911

IFI5) - - 774 695 841 916 819 761 837 845 883 912

1) Goodness of Fit Index2) Adjusted Goodness of Fit Index3) Normed Fit Index4) Comparative Fit Index5) Incremental Fit Index6) 두13 요인들13 간 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13 사회제도신뢰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68(pgt05) =156(pgt05)]對 7) 두13 요인들13 간 단체참여 사회제도신뢰13 사회적13 지원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52(pgt05) =對 -002(pgt05)]8) 두13 요인들13 간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13 단체참여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65(pgt05) =157(plt01)]對 =9) 세13 요인들13 간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051(pgt05) 061(pgt05) 123(plt05) -013(pgt05)157(plt01)

092(pgt05)]

lt표13 5gt를13 살펴보면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13 귀무모형이나13 1-요인모형

에13 비해13 요인모형들 의13 경우가13 수치2 (M2_1 M2_2 M2_3) 2 (p( 2) χ χ

가13 적을13 뿐만13 아니라13 여러13 가지13 모형부합지수도13 큼을13 알13 수13 있다lt001) 2-

요인모형13 가운데13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이13 하나의13 요인

을13 형성하고13 사회제도신뢰가13 또13 하나의13 요인을13 형성하도록13 제약을13 가한13

모형이13 모형13 및13 모형에13 비해13 수치 가13 M2_1 M2_2 M2_3 2 (p( 2)lt001)χ χ

적을13 뿐만13 아니라13 여러13 가지13 모형부합지수 한국( GFI=917 AGFI=897

미국NFI=809 CFI=840 IFI=841 RMSEA=0569 GFI=909 AGFI=

도13 큼을13 알13 수13 있어13 887 NFI=793 CFI=846 IFI=847 RMSEA=0636)

더13 적절한13 모형이었다 그러나13 세13 가지13 차원의13 개념들을13 각기13 별도로13 측정하

도록13 제약이13 가해진13 3-요인모형은13 어떠한13 요인모형들에13 비해서13 보다도13 모형2

부합지수한국( GFI=934 AGFI=917 NFI=850 CFI=882 IFI=88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5

미국RMSEA=0567 GFI=933 AGFI=916 NFI=855 CFI=911

가13 현격히13 향상되었다 이는13 양13 국가13 모두13 여러13 IFI=912 RMSEA=0493)

가지13 경쟁적인13 내재모형13 가운데13 요인모형이13 최적모형으로써13 분석에13 포함된13 3

문항들이13 세13 가지13 별개의13 구성체들을13 측정하고13 있으며 이13 구성체들13 간에는13

판별집합타당도가13 유지됨을13 확인시켜주는13 결과이다 이로써13 요인모형에13 잠 3

재된13 변인들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이13 각기13 ( )

별개의13 구성체들임을13 보여준다 뿐만13 아니라13 이13 내생변인들13 상호간에는13 연관

관계도13 그다지13 강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모형검증의13 추정결과3

이13 절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13

사이가13 이론적 경험적13 사실과13 어느13 정도13 부합되는지를13 검증한다 이를13 위해13

이들13 변인들13 사이의13 상관13 및13 인과관계 그리고13 경로분석이13 어떻게13 나타나는

지를13 로13 추정한다LISREL 4

측정모형분석에13 근거하여13 여타변인들의13 영향이13 통제되지13 않는13 영차상관관

계(zero- 를13 산출한13 결과는13 order correlation) lt표13 6gt에13 제시하였다 우선 사

회제도신뢰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

회경제적13 지위(r=- 변인만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관계로13 나타난13 192)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 (r=158)

다 이는13 한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불신이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에13 적극적으로13 참여할수록13 제

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났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

활용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남성더미

(r=- 기혼더미094) (r=- 등13 두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451)

4 측정모형분석에13 앞서13 개13 측정변인에13 대한13 다중13 공선성13 여부를13 검증하였다 검증결27

과 연령변인이13 한국이13 으로13 다중공선성이13 의심되는13 바13 연령변인을13 제외하고13 재 646

추정하여13 분석하였다

146 김상돈

관계로13 나타났다 이에13 비해13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남성더미 (r=197)

(r=- 기혼더미152) (r=- 광역시13 더미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이13 통352) (r=147)

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국에서는13 여성일수록 미혼일수록13

사회적13 지원을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되어진다면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여성일수록 미혼일수록 메트로폴리스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적13 지원

을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다른13 한편 사회단체참여에13 유의

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남성더 (r=387)

미 기혼더미 광역시더미(r=273) (r=104) (r=- 변인13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이13 136)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관계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

위 기혼더미 광역시더미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r=409) (r=109) (r=146)

적으로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다시13 말해13 한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남성일수록 기혼일수록 기타도시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반면에 미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기혼일수록 메트로

폴리스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단체에13 적극적으로13 참여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이어서13 사회제도신뢰와13 인과변인사이의13 인과관계는13 구조모형에13 대한13 추정

을13 통해13 규명한다 한국의13 기본모형과13 최종모형의13 추정13 결과 기본모형의13 모

형부합지수는13 정확합치인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미할13 뿐만13 아니라13 001

근사합치인13 GFI=911 AGFI=890 NFI=790 CFI=837 IFI=838

로13 보다13 작아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모형부합지수를13 나타내RMSEA=0588 08

고13 있지만13 전반적으로13 그리13 높지13 않은13 것으로13 나타내고13 있다 반면에13 최종모

형의13 모형부합지수는13 기본모형과13 마찬가지로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 001

미하며13 GFI=901 AGFI=878 NFI=783 CFI=837 IFI=839 RMSEA=

로13 기본모형보다13 다소13 향상되었다 결정계수에13 있어서도 최종모형은13 0594

기본모형에13 비해13 설명력이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 기본모형의13 ( R2=117 222

최종모형의13 044 R2=188 104 056)

동일한13 방식으로13 미국의13 기본모형과13 최종모형의13 추정13 결과 기본모형의13 모

형부합지수는13 정확합치인13 x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미할13 뿐만13 아니라13 001

근사합치인13 GFI=904 AGFI=882 NFI=801 CFI=867 IFI=869

로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모형부합지수를13 나타내고13 있지만13 전반RMSEA=054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7

그림13 2 사회제도신뢰를13 검증하기13 위한13 최종모형 한국13 -

그림13 3 사회제도신뢰를13 검증하기위한13 최종모형 미국13 -

적으로13 그리13 높지13 않는13 부합지수를13 나타내고13 있다 반면에13 최종모형의13 모형

부합지수는13 기본모형과13 마찬가지로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하며13 001

로13 GFI=896 AGFI=871 NFI=782 CFI=867 IFI=889 RMSEA=0539

148 김상돈

기본모형보다13 다소13 향상되었다 또한13 결정계수에13 있어서도 최종모형은13 기본

모형에13 비해13 설명력이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기본모형의13 ( R2=034 174 028

최종모형의13 R2=099 245 039)

모형13 찾기에서13 선정된13 최종모형에13 기초하여13 제반13 외생변인들의13 인과적13 단

위영향을13 보여주는13 구조모형을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추정한13 결과는13 lt표13

6gt에13 제시하였다 구조모형의13 추정결과를13 우선13 살펴보면 기본모형에서13 배제

되었던13 경로들13 가운데13 사회단체참여rarr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경제

적13 지위rarr사회단체참여로13 향하는13 경로만이13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이13 높고13 수정지표도13 현저한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사회경제적13 지위 rarr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rarr사회제도신뢰로13 향하는13 경로들은13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이13 낮고13 수정지표13 또한13 현저하지13 못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각13 내생변인과13 관련한13 결과를13 순서대로13 살펴보면13 다음과13 같다

첫째 사회단체참여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

위 남성 광역시(B=378) (B=220) (B=-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유의미한13 170)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B=416)

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과13 남성 그리고13 기타도시에13 거주하는13

사람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반면에13 미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만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이다

둘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남성(B=189) (B=- 기혼144) (-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유의470)

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남성더미(B=152) (B=- 기혼더미137) (B=- 광역시 등13 네13 372) (B=130)

가지13 변인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과13 여성 미혼은13 사회적13 지원을13 강한13 연

계보다는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광역시에13 거주하는13 사

람들은13 한국사회13 보다13 미국에서13 강한13 연계보다13 약한13 연계에13 사회적13 지원을13

요청한다

셋째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단체참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9

사회경제적13 지위(B=151) (B=- 등13 두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246)

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B=144)

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은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

데13 비해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들은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불신이13 높게13

나타났다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이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났다

변인

한국(N=979) 미국(N=535)

단체참여 사회적지원 사회제도신뢰 단체참여 사회적지원 사회제도신뢰

r B r B r B r B r B r B

매개내생변인

사회적13 지원 048 - -017 -

매개외생변인

단체참여 - 090 189 043 151 104 152 158 144

외생변인

SES 387 378 070 - -192 -246 409 416 197 - 093 031

통제변인

남성13 더미 273 220 -094 -144 -024 -033 006 026 -152 -137 040 039

기혼13 더미 104 068 -451 -470 006 005 109 018 -352 -372 064 037

광역시13 더미 -136 -170 047 053 -005 -007 146 066 147 130 -004 -023

R2 237 220 056 183 195 030

χ2 1187022(df=283) (plt001) 687058(df=283) (plt001)

모형부합치 GFI=915 AGFI=894 NFI=808

CFI=846 IFI=847 RMSEA=0572

GFI=910 AGFI=888 NFI=812

CFI=880 IFI=881 RMSEA=0517

주 제시된13 계수는13 표준화계수이며 통계적13 유의도는13 비표준화계수에13 대한13 검증임 1)

계수를13 연차적으로13 자유모수로13 개방하여13 추정한13 최종모형임2) B21 11 Γ

단측검증 단측검증 단측검증3) p 05 p 01 p 001 < < <

표13 6<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요인들에13 대한13 추정13 결과13 LISREL13

다음은13 사회제도신뢰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대한13 직접 간접 전체영향을13 분리시킨13 경로분석을13 시도한다 그13 결과는13 lt표13 7gt과13 같다

우선 사회제도신뢰의13 경로분석결과를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유의미한13

요인들과13 그13 영향에13 대한13 절대적13 크기순서대로13 나열하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

제적13 지위(B=- 사회단체참여 로13 구성되며 미국에서는13 단체참여189) (151)

변인만으로13 구성되었다 이13 같은13 결과를13 각13 변인별로13 보다13 상세히13 (B=144)

150 김상돈

살펴보면13 먼저 양13 국가13 모두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와13 사회단체참여변인

을13 연결하는13 제 의13 변인은13 존재하지13 않기13 때문에13 사회단체참여의13 전체영향3

은13 직접영향 한국 미국 만으로13 구성되며13 그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 =151 =144)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다 다음으로 사회경제적13 지위13 변인은13 한국

에서13 강한13 부의13 인과적13 영향(B=- 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며13 직접영189)

향(B=- 및13 간접영향 모두13 유의미하였고13 전체의13 가13 직접246) (B=057) 130

영향으로13 구성된다 반면에13 미국에서13 직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으나13 간접영

향 은13 유의미하다 이상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사회단체참여의13 (B=060)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그13 영향의13 구체적13 방향이13 이론적13 예측과13 예외13 없이13 일

치한13 반면에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사회경제적13 지위의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이론적13 예측과13 일치하지13 않았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대한13 경로분석결과를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들과13 그13 영향에13 대한13 절대적13 크기순서대로13 나

열하면 한국에서는13 기혼 (B=- 단체참여 남성457) (B=189) (B=- 사회102)

경제적13 지위 순으로13 구성되며 미국에서는13 기혼(B=071) (B=- 단체참374)

여 광역시 남성(B=152) (B=140) (B=- 사회경제적13 지위 순133) (B=063)

으로13 구성된다 이13 같은13 결과를13 각13 변인별로13 보다13 상세히13 살펴보면 첫째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사회단체참여변인을13 연결하는13 제 의13 3

변인은13 존재하지13 않기13 때문에13 사회단체참여의13 전체영향은13 직접영향한국(

미국 만으로13 구성되며13 그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189 =152)

의미하다 둘째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영향이13 사회단체

참여에13 의해13 전적으로13 매개된13 간접영향한국 미국 으로만13 구성( =069 =063)

되었다 셋째 기혼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직접영향한국 ( =- 미국470 =-371)

만이13 유의미한13 반면에13 간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았다 넷째 남성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직접영향 한국( =- 미국144 =- 이13 유의미하고13 간접영향은13 한137)

국 만이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고13 미국에서는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것(B=042)

으로13 나타났다 다섯째 광역시13 변인은13 한국에선13 직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

은13 대신에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된13 간접영향(B=- 은13 유의미한13 반면032)

에13 미국에선13 사회단체참여에13 매개된13 간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대신에13 직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1

접영향 은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B=130)

한국(N=979) 미국(N=535)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변인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매개변인

사회적지원

단체참여 189 189 151 151 152 152 144 144

외생변인

SES 071 071 -246 057 -189 063 063 030 060 090

통제변인

남성더미 -144 042 -102 -033 033 000 -137 004 -133 039 004 043

기혼더미 -470 013 -457 -026 010 016 -371 -003 -374 038 -003 035

광역시더미 033 -032 001 -006 -026 -032 130 010 140 -023 -009 -014

제시된13 계수는13 표준화계수이며 통계적13 유의도는13 비표준화계수에13 대한13 검증임1)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지원에13 미치는13 영향2) ( ) times ( )=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미치는13 영향3) ( ) times ( )=

전체영향13 직접영향13 간접영향4) = +

단측검증 단측검증 단측검증 p 05 p 01 p 001 < < <

표13 lt 7gt 사회적13 지원과13 사회제도신뢰를13 설명하는13 요인들의13 직접13 간접 전체영향을13 분리한13 경로분석결과LISREL13 1)

논의13 및13 결론V

이13 연구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

회제도신뢰13 등에13 대한13 기술통계13 및13 판별집합타당성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차

이 매개효과13 등을13 실증적으로13 규명할13 목적으로13 수행되었다 이를13 위하여13 유

교공동체주의와13 합리적13 개인주의모델의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특성을13 지니고13 있

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를13 선정하여13 국제사회종합조사 자료모듈인13 (ISSP)

와13 자료를13 대상으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과13 관련KGSS 2004 GSS 2001

된13 일련의13 연구13 가설을13 제시하여13 검증하였다

첫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적13 신뢰 ( )

152 김상돈

은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확연히13 다른13 평균차이를13 보여주고13 있다 사회단

체참여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상대적으로13 더13 적극( =1479) ( =1732)

적이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국에서13 저조

한13 이유는13 년13 이후13 신사회운동을13 포함한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추세에1987

도13 불구하고13 시민사회의13 공론장이13 모순적으로13 제도화되었기13 때문이다 이는13

사회공간이13 존재하는13 것과13 그13 공간에13 참여하는13 것과는13 별개의13 개념임을13 의미

한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은13 미국평균 보다13 한국평균 에서13 약 ( =3187) ( =4541)

한13 연계에13 더13 활용되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

용이13 한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분석결과는13 학연 지연 혈연13 등13 연고13 집단으로13 인해13 사회적13 자본이13 풍부하다고13 주장한13 연구유석춘13 외 와13 일치된다( 2002)

다른13 한편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더13 ( =1733) ( =2075)

높으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제도신뢰가13 한국보다13 미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사실은13 정치 경제적으로13 성공한13 국가가13 그렇지13 못한13 국가보다13 상대적으로13 제도신뢰가13 더13 높을13 것이라고13 제시한13 거시적13 차원에서의13 연구결과

와13 부합된다(Putnam 1993 1995 Fukuyama 1995)

둘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

사회제도신뢰사이에는13 판별) 집합타당도가13 유지된다는13 사실을13 강조할13 필요가13 있다 탐색적13 요인분석과13 더불어13 확인적13 요인분석을13 실시한13 결과에서13 나

타난바와13 같이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을13 측정하기13 위한13 문항들은13 제각기13

해당차원의13 개념들만을13 측정할13 뿐만13 아니라13 이들13 차원들이13 각기13 별도의13 개념

을13 형성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3-요인모형이13 최적모형으로13 판명됨으로써13 3-요인

모형에13 잠재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의13 판별 수렴타당도가13 존재함을13 보여준다 아울러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들13 사이의13 상관관계조차도13 상당히13 미

약한13 것으로13 드러남으로써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13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13 등은13 각기13 별개의13 구성체들로13 이루어져있음이13 나타났다

셋째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 (

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 의13 불평등을13 밝히는데13 사용되었다 사회단체 )

참여와1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변인으로13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와13 접한13

관련성을13 맺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나13 사회제도신뢰에13 있어서13 강한13 부(- 의13 상관13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3

및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와13 사회적13 지원13 연결망활용의13 인과변인으로서13 중요하게13 나타났다 그러나13 한

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

타났으며13 미국에서는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타나13 이들13 연구가설13

모두13 기각된13 결과로13 나타났다 기각된13 이유는13 통계적13 해석과13 담론적13 해석13 두13

가지로13 논의할13 수13 있는데 첫13 번째13 이유는13 사례수와13 변량13 등13 통계적13 근거에

서13 설명할13 수13 있다 예컨대13 구조모형의13 추정에13 동원된13 측정변인13 및13 이론변인

의13 수를13 감안할13 때13 제한된13 사례13 수한국 미국 는13 여러13 변인들의13 ( =979 =535)

변량을13 제한하고13 표준오차를13 증가시킴으로써13 각각13 사회적13 지원13 및13 사회적13 신

뢰의13 통계적13 유의도를13 상실하게13 하는13 원인으로13 작용될13 가능성이13 있다 통계

적13 해석보다13 중요한13 담론적13 해석은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설명유교공동체주의(

자유민주주의에서13 그13 이유를13 예측할13 수13 있다 한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하다는13 사실은13 서구사회의13 인간관계와13 유

사할13 정도로13 진행되고13 있음에도13 불구하고13 여전히13 유교공동체주의모델이13 존

재함을13 보여준13 결과이다 미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

하다는13 사실은13 한국과13 달리13 부의13 불평등에13 대해13 당연시하는13 미국인의13 태도

개인주의 시장의13 제도화13 등13 맥락변인에서13 설명될13 가능성이13 높음을13 예측하게13

한다

넷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강력한13 단위영향과13 관련하여13 한

국 은13 미국 보다13 상대적으로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B=189) (B=152)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한국 은13 미국 보다13 (B=071) (B=06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서도13 사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

우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222 R2 에13 비하여13 포함된13 경우한국=173) (

사회의13 R2 미국사회의13 =243 R2 에13 대한13 설명력이13 각각13 =188) 21 15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이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에13 있어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

거를13 시사하는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사회단체참여의13 경제행위를13 이

해하는데13 있어서13 영리적13 차원의13 자기이해와13 합리적13 선택론에13 근거한13 신제도

주의이론으로만13 온전히13 설명할13 수13 없다는13 점을13 밝히면서13 한편으로는13 개별행

154 김상돈

위자들이13 현재13 맺고13 있는13 사회연결망에13 의해서13 형성된다고13 본13 신경제사회학

의13 이론적13 논의를13 부각시켰다는13 점에서13 시사하는13 바가13 크다 이로써13 사회단

체참여는13 다양한13 사람들과의13 사회적13 관계에서13 유통되는13 사회적13 지원을13 제공

해주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척도로서13 의미13 있는13 구성지표이다

다섯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B=144

보다13 한국 에서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지만 사회경제적13 plt05) (B=151 plt05)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는13 한국 보다13 미국(B=057 plt05)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B=060 plt05) 5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13 있어서도13 사

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미국사회의13 ( R2=037 R2 에13 비=028)

하여13 포함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056 R2 의13 설명력은13 =030)

한국과13 미국13 각각13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은13 작19 02

은13 증가를13 나타냈으나13 단위13 영향13 및13 간접영향13 모두13 높게13 형성되어13 사회단체

참여가13 제도신뢰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거를13 시사

한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공적13 시민정신의13 연구결과들 (Tocqueville

과13 일치됨으로써13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과13 미국13 1845 Putnam 1993 1995)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신뢰의13 중요한13 관건임을13 밝혀냈다 그러나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약한13 정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

데 이러한13 결과가13 나타난13 사실은13 년13 이후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로13 인 1987

해13 시민의13 정치참여를13 높이는데13 일정정도13 기여했으나13 민주적13 시민덕목을13 배

양하는데13 있어서는13 그리13 성공하지13 못한13 데에서13 추측할13 수13 있다 이를13 위해서

는13 중복적13 참여13 및13 자기이해(self- 에13 기초한13 소극적13 참여에서13 호혜성interest)

규범과13 사회적13 신뢰형성을13 위한13 제도적13 메커니즘으로의13 사회단체참여13 구축

이13 무엇보다13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이13 사회제도신뢰에13 미치는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이러한13

사실은13 사회적13 자본의13 연구결과 김용학(Pagden 1988 Fukuyama 1995 손

5 이와13 반대로 결측치에13 개별평균값을13 대체하기전의13 추정결과에서 사회단체참 LISREL

여의13 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B=169 plt05) (B=133 plt05)

더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높게13 나타났다(B=049 plt05) (B=043 plt0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5

재석 이재열 에서13 제시된13 반경범위 내집단13 족쇄 연고13 집단13 등 1998 1998)

의13 용어를13 사용하면서 가족13 및13 개인연결망13 활용이13 공적영역의13 신뢰를13 식민

화하여13 사회13 전체적으로13 저신뢰사회가13 된다고13 주장한13 논의와13 일치하지13 않는13

결과이다 즉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사이의13

관계가13 서로13 양립13 가능한13 현상을13 보여주어13 매개역할13 또한13 기각되었다

종합컨대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상관관계와13 유의미한13 정 의13 인과관계로13 작동하는데13 비해13 미국에서는13 상관13 (+)

및13 인과관계13 모두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 한편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

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은13 약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13 것으 (+)

로13 나타났다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의13 중요한13 인과변인인13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양13 국가13 모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력을13 미치고13 있으며 사회경제적13 지(+)

위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두13 가지13 구성개념사회제도신뢰13 및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 )

인과적13 영향은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되었다는13 사실13 또한13 이13 연구에서13 밝

혀냈다

이상의13 연구에도13 불구하고13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한국의13 ( R2 237 220

미국의13 056 R2 이13 낮게13 형성되었다는13 점과13 와13 183 195 030) KGSS 2004

자료에13 한정하여13 분석하였기13 때문에13 분석결과의13 해석과13 일반화에13 GSS 2001

한계가13 있을13 수13 있다 예를13 들면13 년과13 년이라는13 특정한13 시기에13 조 2004 2001

사가13 이루어졌다는13 점에서13 이론적 경험적으로13 함축하는13 바가13 있다고13 하더라도13 외적13 타당성의13 문제점을13 지닌다 그리고13 이13 연구는13 전국규모를13 대상으로13

조사되었다는13 점에서13 의미하는13 바가13 있지만13 시계열적13 자료를13 통한13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정 한13 검증을13 하지13 못하였다는13 점에서도13 그13 한계가13 있음을13 밝혀

둔다 따라서 향후13 후속연구에서13 제시된13 모델들을13 보다13 정교화하는13 이론적13

작업과13 더불어13 다양한13 변인들을13 충분히13 활용하며13 통시적13 연구13 및13 국가간의13

비교연구13 등을13 통해13 경험적13 연구들이13 진행되어야13 할13 것이며 연구자의13 관심

과13 노력으로13 연구의13 질적13 향상을13 기대해본다

156 김상돈

참고문헌

국민호 동아시아경제발전과13 유교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1997 31 1 pp 29-59「 」 985172 985173김상욱 조직몰입의13 하위차원들의13 타당도평가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2001 35 3 pp 「 」 985172 985173

109-138

김용학 손재석 미시적13 신뢰와13 거시적13 위험 계간사상 1998 38 pp 115-132 「 」 985172 985173이재열 민주주의 사회적13 신뢰 사회적13 자본 계간사상 1998 38 pp 65-93「 」 985172 985173유석춘 외 사회자본과13 신뢰 한국 일본 덴마크 스웨덴13 비교13 연구 동서연구 2002 「 」 985172 985173

권13 호14 1 pp 101-135

장수찬 한국사회에13 나타난13 악순화의13 사이클 한국정치학회보 권13 호 2002 36 1 pp 「 」 985172 98517387-112

한국13 사회과학도서관13 홈페이지 2005 httpwwwksslorkr

Banfield E 1967 The Moral Basis of a Backward Society New York Free Press

Billiet JB and Bart Cambre 1999 ldquoSocial capital active membership in voluntary

associations and some aspects of political participatio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Bourdieu Piere 1984 The Distiction A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Brehm John amp Wendy Rahn 1997 ldquoIndividual-level evidence for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social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41(3)

pp 999-1023

Burt R 1992 Structure Holes The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Coleman James 1988 ldquo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pp 94-121

DiMaggio Paul and Hugh Louch 1998 ldquoSocially Embedded Consumer Transaction

For What Kinds of Purchases Do People Most Often Use Networks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3 pp 619-637

Fukuyama Francis 1995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perty

NewYork Free Press Paper Backs Book

Gambetta Diego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Financial Capital The

Case of Network Marketing Champaign Stipes

Ganzeboom H B G and DJ Treiman 1996 ldquoInternationally Comparable Measures

of Occupational Status for the 1988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rdquo Social Science Research 25 pp 201-239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7

Giddens Anthony 1990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Stanford Stanford UP

Granovetter Mark 1985 ldquoEconomic Action and Social Structure The Problem of

Embeddedness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1 pp 481-510

Inglehart R 1999 Culture Shift in Advanced Industrial Societ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Joumlreskg Karl G and Soumlrbom Dag 1989 LISREL 7 A Guide to the Program and

Applications Chicago SPSS Inc

Lin Nam 1982 ldquoSocial Resource and Instrumental Actionrdquo In Social Structure and

Network Analysis edited by Peter Marsden and Nan Lin Beverly Hill CA

Sage Publication

Loury Glen 1977 ldquoA Dynamic Theory of Racial Income Differencerdquo In PA

Wallace amp A LeMund (eds) Woman Minorities and Employment Discrimi-

nation Lexington Lexington Books

Luhmann Niklas 1988 ldquoFamiliarity Confidence Trust Problems and Alternativesrdquo In D Gambetta (ed)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New York Basil Blackwell

McPherson J Miller 1983 ldquoAn Ecology of Affiliation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8 pp 519-532

Newton Kenneth 1997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rdquo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0(5) pp 575-586

Newton Kenneth 1999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 in Modern Euroupea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s)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Olson ME 1965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Pagden Anthony 1988 ldquoThe Destruction of Trust and its Economic Consequence in

the Case of Eighteenth-century Naplesrdquo In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edited by D Gambetta Oxford Blackwell

Paxton Pamela 1999 ldquoIs Social Capital Declining in the US A Multiple Indicator

Assessment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5(1) pp 88-126

Portes A 1998 ldquoSocial Capital Its Origin and Application in Modern Sociologyrdquo Annual Review of Sociology 24 pp 1-24

Portes A 2000 ldquoThe Two Meaning of Social Capitalrdquo Sociological Forum 15(1)

pp 1-12

Putnam Robert 1993 Making Democracy Work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utnam Robert 1995 ldquoBowling Alone Americans Declining Social Capitalrdquo Journal of Democracy 6(1) pp 65-78

Sztompka P 1999 Trust A Sociological Theor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8 김상돈

Toqueville Alexis de [1835 1840] 1990 Democracy in America(Reprint) New

York Vintage

Verba Sidney Kay Lehman Schlozman and Henry E 1995 Voice and Equality

Civic Voluntarism in American Politics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son Oliver E 1993 ldquoCaculativeness Trust and Economic Organizationrdquo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36(3) pp 453-486

Zucker Lynn G 1986 ldquoProduction of Trust Institutional Sources of Economic

Structurerdquo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8 pp 53-111

Comparison Analysi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n the Causal Structure of Trust in Social InstitutionsWith a focus on Mediation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and

Social Support

Sang-don KimLecturer in The University College at Sungkyunkwan University

This Study explores the multiplicativ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social institutions trus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do this a set of hypotheses concerning th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are set forth and subjected to an empirical assessment by using data set

collected from KGSS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2004 and GSS (General

Social Survey) 2001 out of the ISSP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lanning)

Modules

Analysis of data in terms of ML (Maximum Likelihood) procedure in

LISREL852 was used and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s (1) The unit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on association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2)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status on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but They were appear to be an important predictor to

Korea (3)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on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4) Association participation was especially in

shaping social support and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to the two nations

This study is interpreted that further research on the topic of social capital are

raised with elaborating the measure on the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political efficacy consciousness of social class and so forth coupled with

advertising a few limitation of this study

Keyword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KGSS GSS ISSP

김상돈 성균관대학교13 학부대학강사13

경기도13 수원시13 장안구13 조원동13 한일타운13 동13 호13 119 703 440-709

Tel_01113 912013 132313 13 E-mail_education17hanmailnet

Page 14: 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 미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64/1/5.%e1%84%80%e1...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미비교연구:

138 김상돈

변수정의13 및13 측정2

이13 연구의13 최종내생변인은13 사회제도신뢰로13 대기업 교육계 언론계 금융

계 학계 의료계 방송계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 군대13 등13 가지13 영역을13 포 11

함한다 이렇게13 구성된13 사회제도신뢰는13 ldquo신뢰하지13 않음rdquo ldquo다소신뢰rdquo ldquo매우13 신뢰rdquo 순으로13 점에서13 점을13 부여하여13 연속변수로13 분석에13 사용한다 1 3

이13 연구의13 매개13 내생변인인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유형은13 사회연결망13 연구

자들의13 연계유형에서13 제시한13 가족 친척 이웃 친구 직장동료 성직자 사회

사업가 의사13 등을13 가족 친척 비13 친척으로13 분류한13 후13 이들13 유형을13 각각13 교

차 시켜13 아홉13 가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13 활용유형을13 만들13 수13 있다 이(3times3)

렇게13 구성된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유형은13 강한13 연계에13 답한13 순으로13 정리한13

후 동일한13 응답범주는13 첫13 번째13 응답에13 강한13 연계로13 답한13 경우를13 우선13 기준

으로13 점에서부터13 점까지의13 점수를13 부여하여13 측정한다1 9

이13 연구의13 매개외생변인은13 사회단체참여로13 정치단체 노조단체 시민단체

취미단체 이웃단체 기타단체13 등13 여섯13 가지13 영역의13 사회단체13 참여수준을13 측

정한다 사회단체참여에13 대한13 영역은13 ldquo소속된13 경험이13 없음rdquo ldquo과거에13 소속된13 경험13 있음rdquo ldquo소속되어13 소극적13 활동rdquo ldquo소속되어13 적극적13 활동rdquo 순으로13 조사

되었으며13 이들13 각각에13 점부터13 점까지의13 점수를13 부여하였다1 4

변13 인정의( )

설13 문13 문13 항측정척도범위[ ]

사회제도신뢰(institution)

개13 주요13 사회기관에13 대한13 신뢰의13 정도11매우13 신뢰13 다소13 신뢰13 매우13 불신 ① ② ③

연속변수[1-3]

사회적13 지원(SUPPORT)

정서적13 지원13 ① ② 연속변수[1-9]

경제적13 지원13 ① ② 연속변수[1-9]

서비스13 지원13 ① ② 연속변수[1-9]

사회단체참여(ASSOCIATION)

개13 사회단체참여에13 대한13 참여13 여부6소속된13 경험13 무13 소속된13 경험① ② 소극적13 활동13 적극적13 활동③ ④

연속변수[1-4]

표13 lt 1gt 내생변인들의13 설문문항13 및13 변수정의1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9

이13 연구의13 외생변인은13 사회경제적13 지위이다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교육년수

소득 직업위세로13 설정한다 교육년수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중요한13 인과변인으로

서13 정규교육을13 받은13 수학년수에13 근거하여13 점에서부터13 점으로13 측정한다0 23

응답자의13 월평균소득은13 와13 자료모듈에13 있는13 원13 자료KGSS 2004 GSS 2001

를13 근거로13 각13 범주에13 중간값을13 부여하여13 자연대수로13 변환하여13 측정한다 응

답자의13 직업은13 간즈붐과13 트라이먼 에13 의하여13 (Ganzeboom amp Trieman 1996)

구성된13 표준국제직업위세척도(SIOPS Standard International Occupation

에서13 제시한13 점부터13 점으로13 점수를13 부여하여13 분석에13 사Prestige Scale) 16 88

용한다

한편 인구학적13 특성인13 성 연령 결혼상태 지역13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은13 통제

변인으로13 설정한다 성은13 더미변수로서13 여성일13 경우는13 남성일13 경우는13 로13 0 1

부여13 한다 연령은13 자연연령으로13 분석에13 사용한다 결혼13 상태는13 더미변수로

서13 미혼13 및13 이혼 사별 별거일13 경우는13 기혼일13 경우는13 로13 부여하여13 더미0 1 변수로13 사용한다 지역은13 한국사회의13 경우13 특별시13 및13 광역시일13 경우에는13 1

기타도시일13 경우는13 으로 미국사회의13 경우13 메트로폴리스는13 기타도시는13 0 1 0

으로13 부여하여13 더미변수로13 만들어13 사용한다

변13 인 설13 문13 문13 항 측정척도

사회경제적13 지위(SES)

교육13 년수연속변수

직업13 위세SIOPS

[16-87]

소득13 수준 ln(income)

통제변인

연령 연속변수

성별남성=1 여성=0

결혼여부기혼=1미혼=0

이혼 사별 별거=0

주거지역광역도시=1기타도시=0

표13 lt 2gt 사회인구학적특성에13 사용된13 설문문항13 및13 변수정의13

140 김상돈

자료분석방법3

이13 연구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

제도신뢰13 사이의13 영향을13 분석하기13 위해13 탐색적13 요인분석 확인적13 요인(EFA)

분석 그리고13 공변량13 구조분석 등을13 시도한다 확인적13 요인(CFA) (LISREL)

분석은13 일련의13 경쟁적인13 요인모형들을13 각기13 추정하여13 모형부합지수를13 각13 모

형별로13 산출하여13 최적의13 모형을13 추정한다 구조방정식모형은13 측정모형과13 구

조모형의13 개13 하위모형으로13 구성되어13 있다 측정모형분석의13 전략은13 제도에13 2

대한13 사회적13 신뢰 사회적13 지원 사회단체참여13 등13 내생잠재변수와13 외생잠재

변수인13 사회경제적13 지위 그리고13 통제변수를13 이론변수로13 설정하여13 제반13 이론

변수간의13 상관관계를13 분석한다 한편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를13 각13 별도의13

결과변인13 혹은13 최종적13 내생변인으로13 설정하고13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을13 매개변인으로13 설정한13 상태에서13 제반13 예측변인들의13 인과적13 단

위영향을13 분석하기13 위한13 구조모형을13 추정한다 이어서13 각13 결과변인을13 설명하

는13 인과요인들의13 직접 간접 전체13 영향을13 분리시키는13 경로분석을13 실시함으로써 각13 인과변인들의13 상대적13 중요성에13 대한13 평가를13 시도한다 각13 차원들을13

결과변인으로13 간주한13 공변량13 구조분석을13 시도함으로써13 이론13 변인들간의13 구

조적13 인과관계를13 추정한다 실증분석을13 위하여13 사용된13 통계프로그램은13 SPSS

및13 를13 사용하였다110 LISREL 852

분석결과IV

기술통계1

분석에13 포함된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의13 조사대상자에13 대한13 사회경제적13 지

위13 특성을13 살펴보면 교육년수는13 한국평균 년보다13 미국평균 ( =12422 ) (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1

년 에서13 약간13 높으며 직업위세점수는13 한국평균 점보다13 미국13629 ) ( =40315 )

점 에서13 정도13 높게13 나타났다 소득수준은13 한국평균 보(47512 ) 7197 ( =5394)

다13 미국평균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 =10464) 3 따라서13 조사대상자의13 사회경제

적13 지위는13 한국보다13 미국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

한편 조사대상자의13 인구학적13 특성을13 살펴보면 연령은13 한국평균 ( =41503

세보다13 미국평균 세에서13 약간13 높으며 남성비율은13 미국 보) ( =42966 ) (450)

다13 한국 에서13 약간13 높은13 분포를13 나타냈다 기혼비율은13 미국 보(460) (450)

다13 한국 에서13 높으며 광역시 특별시13 광역시 에13 거주하는13 한국의13 비(686) (1 6 )

율은13 인13 반면에13 메트로폴리스에13 거주하는13 미국의13 비율은13 로13 나479 292

타났다

다른13 한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 (

망활용 사회제도신뢰을13 살펴보면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평균 보다13 ) ( =1479)

미국평균 에서13 더13 적극적인13 것으로13 나타났으며( =1732) (t=-8045 p 001) <

변인

평균 범위[ ] SD

한국(N 979)=

미국(N 535)=

한국 미국

사회경제적지위

교육년수 12422 [0-23] 13629 [1-20] 4032 2910

SIOPS 40315 [16-87] 47512 [16-88] 13376 16147

소득 5394 [3219-6957] 10464 [6215-11653] 746 950

인구학적특성

연령 41503 [18-84] 42966 [20-86] 14433 16029

남성 460 [0-1] 450 [0-1] 499 498

기혼 686 [0-1] 450 [0-1] 467 498

광역도시 479 [0-1] 292 [0-1] 500 455

주 한국 교육년수 로그소득 미국 교육년수 SES( =855 +725 SIOPS+805 =811 +791 로그소득 SIOPS+ 673 )

표13 lt 3gt 조사대상자의13 사회인구학적13 특성13

3 사회경제적13 지위변수인13 교육 직업위세 로그소득을13 탐색적13 요인분석결과 한국의13

와13 미국의13 자료13 모두13 하나의13 주요인으로13 추출되었으며13 총13 변량KGSS 2004 GSS2001

에13 대한13 설명력은13 각각13 로13 나타났다 이렇게13 구성된13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652 570

교육 직업 소득변수에13 가중치가13 부여된13 조합변수로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 KGSS 2004[

교육교육년수 직업 소득 로그소득 사회경제=855 ( )+725 (SIOPS)+805 ( )] GSS 2001[

적지위 교육 교육년수 직업위세 소득 로그소득 으로13 구성=811 ( )+791 (SIOPS)+673 ( )]

할13 수13 있고13 선형조합인13 요인점수 를13 그13 값으로13 가지게13 된다(factor score)

142 김상돈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은13 미국평균 보다13 한국평균 에서13 ( =3187) ( =4541)

약한13 연계를13 더13 활용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사회제도신뢰(t=9337 p 001) <

는13 한국 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 =1733) ( =2075) (t=-14463

이로써13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13 사람보다13 미국사람이13 더13 높을13 것이라p 001) <

고13 제시한13 lt연구가설13 1gt을13 수용하게13 되었다

변인 평균 SD 차이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평균차이 절대량차이 값t

사회제도신뢰

대기업13 신뢰 1671 2019 548 584 -348 -312 -8123

교육계13 신뢰 1784 2100 575 624 -316 -267 -7273

언론계13 신뢰 1639 1680 588 659 -041 030 -3145

방송계13 신뢰 1779 1665 600 651 114 165 1506

의료계13 신뢰 1873 2274 574 639 -401 -336 -8585

행정부13 신뢰 1461 2046 531 683 -585 -433 -13578

입법부13 신뢰 1180 1905 403 586 -725 -542 -19212

사법부13 신뢰 1944 2275 591 639 -331 -283 -7671

학계13 신뢰 1957 2329 539 613 -372 -298 -8496

군대13 신뢰 1915 2468 649 614 -553 -588 -12062

금융계13 신뢰 1865 2068 593 629 -203 -167 -4463

전13 체 1733 2075 318 343 -342 -317 -14463

사회적13 지원

정서적13 지원 5813 3802 2672 2792 2011 2131 10916

경제적13 지원 4843 3202 2853 2788 1641 1576 7167

서비스13 지원 2967 2557 2352 2457 410 515 4336

전13 체 4541 3187 1880 1950 1354 1424 9337

단체참여

정당단체13 참여 1163 1593 518 1032 -430 084 -8129

시민단체13 참여 1098 1874 421 1229 -776 032 -12751

노동조합13 참여 1275 1512 674 956 -237 045 -7695

취미단체13 참여 1819 2166 1071 1366 -347 -052 -4389

이웃단체13 참여 1614 1493 1041 977 121 057 567

기타단체13 참여 1905 1753 1208 1151 152 095 1199

전13 체 1479 1732 469 702 -253 -020 -8045

주 평균13 및13 절대량13 차이는13 기술통계의13 차이 한국 ( -미국이며13 통계적13 유의도는13 ) t- 에13 대한13 검증test임

p 05 p 01 p 001 < < <

표13 lt 4gt 사회적자본의13 기술통계한국 미국13 ( 13 N 97913 13 N=53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3

모형검증의13 타당도평가2

이13 절에서는13 내생변인들에13 대한13 모형검증의13 타당도를13 분석한다 모형검증

의13 타당도를13 분석하기13 위해서는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13 변인13 등은13 탐색적13 요인분석과13 확인적13 요인분석이13 사용된다

탐색적13 요인분석결과 표본적절성13 측정치인13 값한국 미국 KMO ( =773

은13 적절한13 수준이었으며13 의13 구형성13 검증13 통계치의13 유의수준은13 =752) Bartlett

양13 국가13 모두13 으로13 보다13 작아13 자료의13 상관이13 요인에13 적합한13 것으로13 000 05 3

나타났다 제 요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13 개13 문항13 가운데13 개의13 측정변인 1 20 11

들이13 묶이는13 것으로서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에13 해당한다 제 요인은13 양13 2

국가13 모두13 전체문항13 가운데13 개13 문항의13 측정변인을13 요인13 구성하였으며13 사회6

단체참여에13 해당한다 마지막으로13 제 요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문항13 가운데13 3

개문항의13 측정변인을13 요인13 구성하였으며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해당3

한다 또한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의13 내적일

치성을13 알아보기13 위해13 의13 계수로13 평가한13 결과 한국Cronbach ( =8029 α

미국 로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신뢰도를13 보5192 5051 = 7658 5746 6933)

이고13 있었다 이상의13 결과를13 보면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변인이13 각기13 별개구성체로13 구성되고13

있음을13 보여준다

확인적13 요인분석결과는13 lt표13 5gt에13 제시하였다 분석에13 포함된13 문항들이13 어

떠한13 공통요인도13 형성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귀무모형이나13 모든13 문항들이13

사회적13 자본이라는13 단일차원의13 개념을13 측정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1-요인모형

두13 가지13 별개차원의13 개념들을13 측정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요인모형 세13 가지13 2

차원의13 개념들을13 각기13 별도로13 측정하도록13 제약을13 가해진13 요인모형으로13 구3

성되었다

144 김상돈

표13 lt 5gt 사회적13 자본13 하위차원에13 대한13 확인적13 요인분석 결과 한국 미국13 (CFA)13 -( N 97913 N=535)=

귀무모형(M0) (M1)

요인모형1

요인모형2요인모형3- 9)

(M2_1) (M2_2) (M2_3)8)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χ2 4465901

(p 001)<

2671725

(p 001)<

1235222

(p 001)<

1097272

(p 001)<

887151

(p 001)<

533939

(p 001)<

1030632

(p 001)<

942579

(p 001)<

899901

(p 001)<

540723

(p 001)<

692709

(p 001)<

383604

(p 001)<

DF 190 190 170 170 169 169 169 169 169 169 167 167

GFI1) - - 888 830 917 909 905 850 916 908 934 933

AGFI2) - - 861 789 897 887 882 814 895 886 917 916

NFI3) - - 745 651 809 814 788 713 806 791 850 855

CFI4) - - 773 693 840 886 818 759 837 844 882 911

IFI5) - - 774 695 841 916 819 761 837 845 883 912

1) Goodness of Fit Index2) Adjusted Goodness of Fit Index3) Normed Fit Index4) Comparative Fit Index5) Incremental Fit Index6) 두13 요인들13 간 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13 사회제도신뢰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68(pgt05) =156(pgt05)]對 7) 두13 요인들13 간 단체참여 사회제도신뢰13 사회적13 지원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52(pgt05) =對 -002(pgt05)]8) 두13 요인들13 간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13 단체참여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65(pgt05) =157(plt01)]對 =9) 세13 요인들13 간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051(pgt05) 061(pgt05) 123(plt05) -013(pgt05)157(plt01)

092(pgt05)]

lt표13 5gt를13 살펴보면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13 귀무모형이나13 1-요인모형

에13 비해13 요인모형들 의13 경우가13 수치2 (M2_1 M2_2 M2_3) 2 (p( 2) χ χ

가13 적을13 뿐만13 아니라13 여러13 가지13 모형부합지수도13 큼을13 알13 수13 있다lt001) 2-

요인모형13 가운데13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이13 하나의13 요인

을13 형성하고13 사회제도신뢰가13 또13 하나의13 요인을13 형성하도록13 제약을13 가한13

모형이13 모형13 및13 모형에13 비해13 수치 가13 M2_1 M2_2 M2_3 2 (p( 2)lt001)χ χ

적을13 뿐만13 아니라13 여러13 가지13 모형부합지수 한국( GFI=917 AGFI=897

미국NFI=809 CFI=840 IFI=841 RMSEA=0569 GFI=909 AGFI=

도13 큼을13 알13 수13 있어13 887 NFI=793 CFI=846 IFI=847 RMSEA=0636)

더13 적절한13 모형이었다 그러나13 세13 가지13 차원의13 개념들을13 각기13 별도로13 측정하

도록13 제약이13 가해진13 3-요인모형은13 어떠한13 요인모형들에13 비해서13 보다도13 모형2

부합지수한국( GFI=934 AGFI=917 NFI=850 CFI=882 IFI=88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5

미국RMSEA=0567 GFI=933 AGFI=916 NFI=855 CFI=911

가13 현격히13 향상되었다 이는13 양13 국가13 모두13 여러13 IFI=912 RMSEA=0493)

가지13 경쟁적인13 내재모형13 가운데13 요인모형이13 최적모형으로써13 분석에13 포함된13 3

문항들이13 세13 가지13 별개의13 구성체들을13 측정하고13 있으며 이13 구성체들13 간에는13

판별집합타당도가13 유지됨을13 확인시켜주는13 결과이다 이로써13 요인모형에13 잠 3

재된13 변인들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이13 각기13 ( )

별개의13 구성체들임을13 보여준다 뿐만13 아니라13 이13 내생변인들13 상호간에는13 연관

관계도13 그다지13 강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모형검증의13 추정결과3

이13 절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13

사이가13 이론적 경험적13 사실과13 어느13 정도13 부합되는지를13 검증한다 이를13 위해13

이들13 변인들13 사이의13 상관13 및13 인과관계 그리고13 경로분석이13 어떻게13 나타나는

지를13 로13 추정한다LISREL 4

측정모형분석에13 근거하여13 여타변인들의13 영향이13 통제되지13 않는13 영차상관관

계(zero- 를13 산출한13 결과는13 order correlation) lt표13 6gt에13 제시하였다 우선 사

회제도신뢰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

회경제적13 지위(r=- 변인만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관계로13 나타난13 192)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 (r=158)

다 이는13 한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불신이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에13 적극적으로13 참여할수록13 제

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났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

활용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남성더미

(r=- 기혼더미094) (r=- 등13 두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451)

4 측정모형분석에13 앞서13 개13 측정변인에13 대한13 다중13 공선성13 여부를13 검증하였다 검증결27

과 연령변인이13 한국이13 으로13 다중공선성이13 의심되는13 바13 연령변인을13 제외하고13 재 646

추정하여13 분석하였다

146 김상돈

관계로13 나타났다 이에13 비해13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남성더미 (r=197)

(r=- 기혼더미152) (r=- 광역시13 더미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이13 통352) (r=147)

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국에서는13 여성일수록 미혼일수록13

사회적13 지원을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되어진다면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여성일수록 미혼일수록 메트로폴리스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적13 지원

을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다른13 한편 사회단체참여에13 유의

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남성더 (r=387)

미 기혼더미 광역시더미(r=273) (r=104) (r=- 변인13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이13 136)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관계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

위 기혼더미 광역시더미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r=409) (r=109) (r=146)

적으로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다시13 말해13 한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남성일수록 기혼일수록 기타도시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반면에 미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기혼일수록 메트로

폴리스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단체에13 적극적으로13 참여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이어서13 사회제도신뢰와13 인과변인사이의13 인과관계는13 구조모형에13 대한13 추정

을13 통해13 규명한다 한국의13 기본모형과13 최종모형의13 추정13 결과 기본모형의13 모

형부합지수는13 정확합치인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미할13 뿐만13 아니라13 001

근사합치인13 GFI=911 AGFI=890 NFI=790 CFI=837 IFI=838

로13 보다13 작아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모형부합지수를13 나타내RMSEA=0588 08

고13 있지만13 전반적으로13 그리13 높지13 않은13 것으로13 나타내고13 있다 반면에13 최종모

형의13 모형부합지수는13 기본모형과13 마찬가지로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 001

미하며13 GFI=901 AGFI=878 NFI=783 CFI=837 IFI=839 RMSEA=

로13 기본모형보다13 다소13 향상되었다 결정계수에13 있어서도 최종모형은13 0594

기본모형에13 비해13 설명력이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 기본모형의13 ( R2=117 222

최종모형의13 044 R2=188 104 056)

동일한13 방식으로13 미국의13 기본모형과13 최종모형의13 추정13 결과 기본모형의13 모

형부합지수는13 정확합치인13 x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미할13 뿐만13 아니라13 001

근사합치인13 GFI=904 AGFI=882 NFI=801 CFI=867 IFI=869

로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모형부합지수를13 나타내고13 있지만13 전반RMSEA=054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7

그림13 2 사회제도신뢰를13 검증하기13 위한13 최종모형 한국13 -

그림13 3 사회제도신뢰를13 검증하기위한13 최종모형 미국13 -

적으로13 그리13 높지13 않는13 부합지수를13 나타내고13 있다 반면에13 최종모형의13 모형

부합지수는13 기본모형과13 마찬가지로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하며13 001

로13 GFI=896 AGFI=871 NFI=782 CFI=867 IFI=889 RMSEA=0539

148 김상돈

기본모형보다13 다소13 향상되었다 또한13 결정계수에13 있어서도 최종모형은13 기본

모형에13 비해13 설명력이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기본모형의13 ( R2=034 174 028

최종모형의13 R2=099 245 039)

모형13 찾기에서13 선정된13 최종모형에13 기초하여13 제반13 외생변인들의13 인과적13 단

위영향을13 보여주는13 구조모형을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추정한13 결과는13 lt표13

6gt에13 제시하였다 구조모형의13 추정결과를13 우선13 살펴보면 기본모형에서13 배제

되었던13 경로들13 가운데13 사회단체참여rarr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경제

적13 지위rarr사회단체참여로13 향하는13 경로만이13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이13 높고13 수정지표도13 현저한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사회경제적13 지위 rarr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rarr사회제도신뢰로13 향하는13 경로들은13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이13 낮고13 수정지표13 또한13 현저하지13 못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각13 내생변인과13 관련한13 결과를13 순서대로13 살펴보면13 다음과13 같다

첫째 사회단체참여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

위 남성 광역시(B=378) (B=220) (B=-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유의미한13 170)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B=416)

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과13 남성 그리고13 기타도시에13 거주하는13

사람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반면에13 미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만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이다

둘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남성(B=189) (B=- 기혼144) (-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유의470)

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남성더미(B=152) (B=- 기혼더미137) (B=- 광역시 등13 네13 372) (B=130)

가지13 변인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과13 여성 미혼은13 사회적13 지원을13 강한13 연

계보다는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광역시에13 거주하는13 사

람들은13 한국사회13 보다13 미국에서13 강한13 연계보다13 약한13 연계에13 사회적13 지원을13

요청한다

셋째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단체참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9

사회경제적13 지위(B=151) (B=- 등13 두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246)

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B=144)

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은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

데13 비해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들은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불신이13 높게13

나타났다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이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났다

변인

한국(N=979) 미국(N=535)

단체참여 사회적지원 사회제도신뢰 단체참여 사회적지원 사회제도신뢰

r B r B r B r B r B r B

매개내생변인

사회적13 지원 048 - -017 -

매개외생변인

단체참여 - 090 189 043 151 104 152 158 144

외생변인

SES 387 378 070 - -192 -246 409 416 197 - 093 031

통제변인

남성13 더미 273 220 -094 -144 -024 -033 006 026 -152 -137 040 039

기혼13 더미 104 068 -451 -470 006 005 109 018 -352 -372 064 037

광역시13 더미 -136 -170 047 053 -005 -007 146 066 147 130 -004 -023

R2 237 220 056 183 195 030

χ2 1187022(df=283) (plt001) 687058(df=283) (plt001)

모형부합치 GFI=915 AGFI=894 NFI=808

CFI=846 IFI=847 RMSEA=0572

GFI=910 AGFI=888 NFI=812

CFI=880 IFI=881 RMSEA=0517

주 제시된13 계수는13 표준화계수이며 통계적13 유의도는13 비표준화계수에13 대한13 검증임 1)

계수를13 연차적으로13 자유모수로13 개방하여13 추정한13 최종모형임2) B21 11 Γ

단측검증 단측검증 단측검증3) p 05 p 01 p 001 < < <

표13 6<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요인들에13 대한13 추정13 결과13 LISREL13

다음은13 사회제도신뢰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대한13 직접 간접 전체영향을13 분리시킨13 경로분석을13 시도한다 그13 결과는13 lt표13 7gt과13 같다

우선 사회제도신뢰의13 경로분석결과를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유의미한13

요인들과13 그13 영향에13 대한13 절대적13 크기순서대로13 나열하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

제적13 지위(B=- 사회단체참여 로13 구성되며 미국에서는13 단체참여189) (151)

변인만으로13 구성되었다 이13 같은13 결과를13 각13 변인별로13 보다13 상세히13 (B=144)

150 김상돈

살펴보면13 먼저 양13 국가13 모두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와13 사회단체참여변인

을13 연결하는13 제 의13 변인은13 존재하지13 않기13 때문에13 사회단체참여의13 전체영향3

은13 직접영향 한국 미국 만으로13 구성되며13 그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 =151 =144)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다 다음으로 사회경제적13 지위13 변인은13 한국

에서13 강한13 부의13 인과적13 영향(B=- 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며13 직접영189)

향(B=- 및13 간접영향 모두13 유의미하였고13 전체의13 가13 직접246) (B=057) 130

영향으로13 구성된다 반면에13 미국에서13 직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으나13 간접영

향 은13 유의미하다 이상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사회단체참여의13 (B=060)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그13 영향의13 구체적13 방향이13 이론적13 예측과13 예외13 없이13 일

치한13 반면에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사회경제적13 지위의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이론적13 예측과13 일치하지13 않았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대한13 경로분석결과를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들과13 그13 영향에13 대한13 절대적13 크기순서대로13 나

열하면 한국에서는13 기혼 (B=- 단체참여 남성457) (B=189) (B=- 사회102)

경제적13 지위 순으로13 구성되며 미국에서는13 기혼(B=071) (B=- 단체참374)

여 광역시 남성(B=152) (B=140) (B=- 사회경제적13 지위 순133) (B=063)

으로13 구성된다 이13 같은13 결과를13 각13 변인별로13 보다13 상세히13 살펴보면 첫째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사회단체참여변인을13 연결하는13 제 의13 3

변인은13 존재하지13 않기13 때문에13 사회단체참여의13 전체영향은13 직접영향한국(

미국 만으로13 구성되며13 그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189 =152)

의미하다 둘째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영향이13 사회단체

참여에13 의해13 전적으로13 매개된13 간접영향한국 미국 으로만13 구성( =069 =063)

되었다 셋째 기혼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직접영향한국 ( =- 미국470 =-371)

만이13 유의미한13 반면에13 간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았다 넷째 남성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직접영향 한국( =- 미국144 =- 이13 유의미하고13 간접영향은13 한137)

국 만이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고13 미국에서는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것(B=042)

으로13 나타났다 다섯째 광역시13 변인은13 한국에선13 직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

은13 대신에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된13 간접영향(B=- 은13 유의미한13 반면032)

에13 미국에선13 사회단체참여에13 매개된13 간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대신에13 직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1

접영향 은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B=130)

한국(N=979) 미국(N=535)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변인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매개변인

사회적지원

단체참여 189 189 151 151 152 152 144 144

외생변인

SES 071 071 -246 057 -189 063 063 030 060 090

통제변인

남성더미 -144 042 -102 -033 033 000 -137 004 -133 039 004 043

기혼더미 -470 013 -457 -026 010 016 -371 -003 -374 038 -003 035

광역시더미 033 -032 001 -006 -026 -032 130 010 140 -023 -009 -014

제시된13 계수는13 표준화계수이며 통계적13 유의도는13 비표준화계수에13 대한13 검증임1)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지원에13 미치는13 영향2) ( ) times ( )=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미치는13 영향3) ( ) times ( )=

전체영향13 직접영향13 간접영향4) = +

단측검증 단측검증 단측검증 p 05 p 01 p 001 < < <

표13 lt 7gt 사회적13 지원과13 사회제도신뢰를13 설명하는13 요인들의13 직접13 간접 전체영향을13 분리한13 경로분석결과LISREL13 1)

논의13 및13 결론V

이13 연구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

회제도신뢰13 등에13 대한13 기술통계13 및13 판별집합타당성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차

이 매개효과13 등을13 실증적으로13 규명할13 목적으로13 수행되었다 이를13 위하여13 유

교공동체주의와13 합리적13 개인주의모델의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특성을13 지니고13 있

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를13 선정하여13 국제사회종합조사 자료모듈인13 (ISSP)

와13 자료를13 대상으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과13 관련KGSS 2004 GSS 2001

된13 일련의13 연구13 가설을13 제시하여13 검증하였다

첫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적13 신뢰 ( )

152 김상돈

은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확연히13 다른13 평균차이를13 보여주고13 있다 사회단

체참여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상대적으로13 더13 적극( =1479) ( =1732)

적이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국에서13 저조

한13 이유는13 년13 이후13 신사회운동을13 포함한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추세에1987

도13 불구하고13 시민사회의13 공론장이13 모순적으로13 제도화되었기13 때문이다 이는13

사회공간이13 존재하는13 것과13 그13 공간에13 참여하는13 것과는13 별개의13 개념임을13 의미

한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은13 미국평균 보다13 한국평균 에서13 약 ( =3187) ( =4541)

한13 연계에13 더13 활용되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

용이13 한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분석결과는13 학연 지연 혈연13 등13 연고13 집단으로13 인해13 사회적13 자본이13 풍부하다고13 주장한13 연구유석춘13 외 와13 일치된다( 2002)

다른13 한편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더13 ( =1733) ( =2075)

높으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제도신뢰가13 한국보다13 미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사실은13 정치 경제적으로13 성공한13 국가가13 그렇지13 못한13 국가보다13 상대적으로13 제도신뢰가13 더13 높을13 것이라고13 제시한13 거시적13 차원에서의13 연구결과

와13 부합된다(Putnam 1993 1995 Fukuyama 1995)

둘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

사회제도신뢰사이에는13 판별) 집합타당도가13 유지된다는13 사실을13 강조할13 필요가13 있다 탐색적13 요인분석과13 더불어13 확인적13 요인분석을13 실시한13 결과에서13 나

타난바와13 같이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을13 측정하기13 위한13 문항들은13 제각기13

해당차원의13 개념들만을13 측정할13 뿐만13 아니라13 이들13 차원들이13 각기13 별도의13 개념

을13 형성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3-요인모형이13 최적모형으로13 판명됨으로써13 3-요인

모형에13 잠재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의13 판별 수렴타당도가13 존재함을13 보여준다 아울러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들13 사이의13 상관관계조차도13 상당히13 미

약한13 것으로13 드러남으로써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13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13 등은13 각기13 별개의13 구성체들로13 이루어져있음이13 나타났다

셋째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 (

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 의13 불평등을13 밝히는데13 사용되었다 사회단체 )

참여와1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변인으로13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와13 접한13

관련성을13 맺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나13 사회제도신뢰에13 있어서13 강한13 부(- 의13 상관13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3

및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와13 사회적13 지원13 연결망활용의13 인과변인으로서13 중요하게13 나타났다 그러나13 한

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

타났으며13 미국에서는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타나13 이들13 연구가설13

모두13 기각된13 결과로13 나타났다 기각된13 이유는13 통계적13 해석과13 담론적13 해석13 두13

가지로13 논의할13 수13 있는데 첫13 번째13 이유는13 사례수와13 변량13 등13 통계적13 근거에

서13 설명할13 수13 있다 예컨대13 구조모형의13 추정에13 동원된13 측정변인13 및13 이론변인

의13 수를13 감안할13 때13 제한된13 사례13 수한국 미국 는13 여러13 변인들의13 ( =979 =535)

변량을13 제한하고13 표준오차를13 증가시킴으로써13 각각13 사회적13 지원13 및13 사회적13 신

뢰의13 통계적13 유의도를13 상실하게13 하는13 원인으로13 작용될13 가능성이13 있다 통계

적13 해석보다13 중요한13 담론적13 해석은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설명유교공동체주의(

자유민주주의에서13 그13 이유를13 예측할13 수13 있다 한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하다는13 사실은13 서구사회의13 인간관계와13 유

사할13 정도로13 진행되고13 있음에도13 불구하고13 여전히13 유교공동체주의모델이13 존

재함을13 보여준13 결과이다 미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

하다는13 사실은13 한국과13 달리13 부의13 불평등에13 대해13 당연시하는13 미국인의13 태도

개인주의 시장의13 제도화13 등13 맥락변인에서13 설명될13 가능성이13 높음을13 예측하게13

한다

넷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강력한13 단위영향과13 관련하여13 한

국 은13 미국 보다13 상대적으로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B=189) (B=152)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한국 은13 미국 보다13 (B=071) (B=06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서도13 사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

우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222 R2 에13 비하여13 포함된13 경우한국=173) (

사회의13 R2 미국사회의13 =243 R2 에13 대한13 설명력이13 각각13 =188) 21 15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이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에13 있어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

거를13 시사하는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사회단체참여의13 경제행위를13 이

해하는데13 있어서13 영리적13 차원의13 자기이해와13 합리적13 선택론에13 근거한13 신제도

주의이론으로만13 온전히13 설명할13 수13 없다는13 점을13 밝히면서13 한편으로는13 개별행

154 김상돈

위자들이13 현재13 맺고13 있는13 사회연결망에13 의해서13 형성된다고13 본13 신경제사회학

의13 이론적13 논의를13 부각시켰다는13 점에서13 시사하는13 바가13 크다 이로써13 사회단

체참여는13 다양한13 사람들과의13 사회적13 관계에서13 유통되는13 사회적13 지원을13 제공

해주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척도로서13 의미13 있는13 구성지표이다

다섯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B=144

보다13 한국 에서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지만 사회경제적13 plt05) (B=151 plt05)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는13 한국 보다13 미국(B=057 plt05)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B=060 plt05) 5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13 있어서도13 사

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미국사회의13 ( R2=037 R2 에13 비=028)

하여13 포함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056 R2 의13 설명력은13 =030)

한국과13 미국13 각각13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은13 작19 02

은13 증가를13 나타냈으나13 단위13 영향13 및13 간접영향13 모두13 높게13 형성되어13 사회단체

참여가13 제도신뢰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거를13 시사

한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공적13 시민정신의13 연구결과들 (Tocqueville

과13 일치됨으로써13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과13 미국13 1845 Putnam 1993 1995)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신뢰의13 중요한13 관건임을13 밝혀냈다 그러나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약한13 정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

데 이러한13 결과가13 나타난13 사실은13 년13 이후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로13 인 1987

해13 시민의13 정치참여를13 높이는데13 일정정도13 기여했으나13 민주적13 시민덕목을13 배

양하는데13 있어서는13 그리13 성공하지13 못한13 데에서13 추측할13 수13 있다 이를13 위해서

는13 중복적13 참여13 및13 자기이해(self- 에13 기초한13 소극적13 참여에서13 호혜성interest)

규범과13 사회적13 신뢰형성을13 위한13 제도적13 메커니즘으로의13 사회단체참여13 구축

이13 무엇보다13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이13 사회제도신뢰에13 미치는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이러한13

사실은13 사회적13 자본의13 연구결과 김용학(Pagden 1988 Fukuyama 1995 손

5 이와13 반대로 결측치에13 개별평균값을13 대체하기전의13 추정결과에서 사회단체참 LISREL

여의13 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B=169 plt05) (B=133 plt05)

더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높게13 나타났다(B=049 plt05) (B=043 plt0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5

재석 이재열 에서13 제시된13 반경범위 내집단13 족쇄 연고13 집단13 등 1998 1998)

의13 용어를13 사용하면서 가족13 및13 개인연결망13 활용이13 공적영역의13 신뢰를13 식민

화하여13 사회13 전체적으로13 저신뢰사회가13 된다고13 주장한13 논의와13 일치하지13 않는13

결과이다 즉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사이의13

관계가13 서로13 양립13 가능한13 현상을13 보여주어13 매개역할13 또한13 기각되었다

종합컨대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상관관계와13 유의미한13 정 의13 인과관계로13 작동하는데13 비해13 미국에서는13 상관13 (+)

및13 인과관계13 모두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 한편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

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은13 약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13 것으 (+)

로13 나타났다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의13 중요한13 인과변인인13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양13 국가13 모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력을13 미치고13 있으며 사회경제적13 지(+)

위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두13 가지13 구성개념사회제도신뢰13 및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 )

인과적13 영향은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되었다는13 사실13 또한13 이13 연구에서13 밝

혀냈다

이상의13 연구에도13 불구하고13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한국의13 ( R2 237 220

미국의13 056 R2 이13 낮게13 형성되었다는13 점과13 와13 183 195 030) KGSS 2004

자료에13 한정하여13 분석하였기13 때문에13 분석결과의13 해석과13 일반화에13 GSS 2001

한계가13 있을13 수13 있다 예를13 들면13 년과13 년이라는13 특정한13 시기에13 조 2004 2001

사가13 이루어졌다는13 점에서13 이론적 경험적으로13 함축하는13 바가13 있다고13 하더라도13 외적13 타당성의13 문제점을13 지닌다 그리고13 이13 연구는13 전국규모를13 대상으로13

조사되었다는13 점에서13 의미하는13 바가13 있지만13 시계열적13 자료를13 통한13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정 한13 검증을13 하지13 못하였다는13 점에서도13 그13 한계가13 있음을13 밝혀

둔다 따라서 향후13 후속연구에서13 제시된13 모델들을13 보다13 정교화하는13 이론적13

작업과13 더불어13 다양한13 변인들을13 충분히13 활용하며13 통시적13 연구13 및13 국가간의13

비교연구13 등을13 통해13 경험적13 연구들이13 진행되어야13 할13 것이며 연구자의13 관심

과13 노력으로13 연구의13 질적13 향상을13 기대해본다

156 김상돈

참고문헌

국민호 동아시아경제발전과13 유교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1997 31 1 pp 29-59「 」 985172 985173김상욱 조직몰입의13 하위차원들의13 타당도평가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2001 35 3 pp 「 」 985172 985173

109-138

김용학 손재석 미시적13 신뢰와13 거시적13 위험 계간사상 1998 38 pp 115-132 「 」 985172 985173이재열 민주주의 사회적13 신뢰 사회적13 자본 계간사상 1998 38 pp 65-93「 」 985172 985173유석춘 외 사회자본과13 신뢰 한국 일본 덴마크 스웨덴13 비교13 연구 동서연구 2002 「 」 985172 985173

권13 호14 1 pp 101-135

장수찬 한국사회에13 나타난13 악순화의13 사이클 한국정치학회보 권13 호 2002 36 1 pp 「 」 985172 98517387-112

한국13 사회과학도서관13 홈페이지 2005 httpwwwksslorkr

Banfield E 1967 The Moral Basis of a Backward Society New York Free Press

Billiet JB and Bart Cambre 1999 ldquoSocial capital active membership in voluntary

associations and some aspects of political participatio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Bourdieu Piere 1984 The Distiction A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Brehm John amp Wendy Rahn 1997 ldquoIndividual-level evidence for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social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41(3)

pp 999-1023

Burt R 1992 Structure Holes The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Coleman James 1988 ldquo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pp 94-121

DiMaggio Paul and Hugh Louch 1998 ldquoSocially Embedded Consumer Transaction

For What Kinds of Purchases Do People Most Often Use Networks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3 pp 619-637

Fukuyama Francis 1995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perty

NewYork Free Press Paper Backs Book

Gambetta Diego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Financial Capital The

Case of Network Marketing Champaign Stipes

Ganzeboom H B G and DJ Treiman 1996 ldquoInternationally Comparable Measures

of Occupational Status for the 1988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rdquo Social Science Research 25 pp 201-239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7

Giddens Anthony 1990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Stanford Stanford UP

Granovetter Mark 1985 ldquoEconomic Action and Social Structure The Problem of

Embeddedness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1 pp 481-510

Inglehart R 1999 Culture Shift in Advanced Industrial Societ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Joumlreskg Karl G and Soumlrbom Dag 1989 LISREL 7 A Guide to the Program and

Applications Chicago SPSS Inc

Lin Nam 1982 ldquoSocial Resource and Instrumental Actionrdquo In Social Structure and

Network Analysis edited by Peter Marsden and Nan Lin Beverly Hill CA

Sage Publication

Loury Glen 1977 ldquoA Dynamic Theory of Racial Income Differencerdquo In PA

Wallace amp A LeMund (eds) Woman Minorities and Employment Discrimi-

nation Lexington Lexington Books

Luhmann Niklas 1988 ldquoFamiliarity Confidence Trust Problems and Alternativesrdquo In D Gambetta (ed)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New York Basil Blackwell

McPherson J Miller 1983 ldquoAn Ecology of Affiliation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8 pp 519-532

Newton Kenneth 1997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rdquo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0(5) pp 575-586

Newton Kenneth 1999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 in Modern Euroupea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s)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Olson ME 1965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Pagden Anthony 1988 ldquoThe Destruction of Trust and its Economic Consequence in

the Case of Eighteenth-century Naplesrdquo In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edited by D Gambetta Oxford Blackwell

Paxton Pamela 1999 ldquoIs Social Capital Declining in the US A Multiple Indicator

Assessment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5(1) pp 88-126

Portes A 1998 ldquoSocial Capital Its Origin and Application in Modern Sociologyrdquo Annual Review of Sociology 24 pp 1-24

Portes A 2000 ldquoThe Two Meaning of Social Capitalrdquo Sociological Forum 15(1)

pp 1-12

Putnam Robert 1993 Making Democracy Work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utnam Robert 1995 ldquoBowling Alone Americans Declining Social Capitalrdquo Journal of Democracy 6(1) pp 65-78

Sztompka P 1999 Trust A Sociological Theor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8 김상돈

Toqueville Alexis de [1835 1840] 1990 Democracy in America(Reprint) New

York Vintage

Verba Sidney Kay Lehman Schlozman and Henry E 1995 Voice and Equality

Civic Voluntarism in American Politics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son Oliver E 1993 ldquoCaculativeness Trust and Economic Organizationrdquo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36(3) pp 453-486

Zucker Lynn G 1986 ldquoProduction of Trust Institutional Sources of Economic

Structurerdquo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8 pp 53-111

Comparison Analysi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n the Causal Structure of Trust in Social InstitutionsWith a focus on Mediation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and

Social Support

Sang-don KimLecturer in The University College at Sungkyunkwan University

This Study explores the multiplicativ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social institutions trus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do this a set of hypotheses concerning th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are set forth and subjected to an empirical assessment by using data set

collected from KGSS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2004 and GSS (General

Social Survey) 2001 out of the ISSP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lanning)

Modules

Analysis of data in terms of ML (Maximum Likelihood) procedure in

LISREL852 was used and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s (1) The unit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on association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2)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status on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but They were appear to be an important predictor to

Korea (3)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on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4) Association participation was especially in

shaping social support and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to the two nations

This study is interpreted that further research on the topic of social capital are

raised with elaborating the measure on the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political efficacy consciousness of social class and so forth coupled with

advertising a few limitation of this study

Keyword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KGSS GSS ISSP

김상돈 성균관대학교13 학부대학강사13

경기도13 수원시13 장안구13 조원동13 한일타운13 동13 호13 119 703 440-709

Tel_01113 912013 132313 13 E-mail_education17hanmailnet

Page 15: 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 미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64/1/5.%e1%84%80%e1...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미비교연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39

이13 연구의13 외생변인은13 사회경제적13 지위이다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교육년수

소득 직업위세로13 설정한다 교육년수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중요한13 인과변인으로

서13 정규교육을13 받은13 수학년수에13 근거하여13 점에서부터13 점으로13 측정한다0 23

응답자의13 월평균소득은13 와13 자료모듈에13 있는13 원13 자료KGSS 2004 GSS 2001

를13 근거로13 각13 범주에13 중간값을13 부여하여13 자연대수로13 변환하여13 측정한다 응

답자의13 직업은13 간즈붐과13 트라이먼 에13 의하여13 (Ganzeboom amp Trieman 1996)

구성된13 표준국제직업위세척도(SIOPS Standard International Occupation

에서13 제시한13 점부터13 점으로13 점수를13 부여하여13 분석에13 사Prestige Scale) 16 88

용한다

한편 인구학적13 특성인13 성 연령 결혼상태 지역13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은13 통제

변인으로13 설정한다 성은13 더미변수로서13 여성일13 경우는13 남성일13 경우는13 로13 0 1

부여13 한다 연령은13 자연연령으로13 분석에13 사용한다 결혼13 상태는13 더미변수로

서13 미혼13 및13 이혼 사별 별거일13 경우는13 기혼일13 경우는13 로13 부여하여13 더미0 1 변수로13 사용한다 지역은13 한국사회의13 경우13 특별시13 및13 광역시일13 경우에는13 1

기타도시일13 경우는13 으로 미국사회의13 경우13 메트로폴리스는13 기타도시는13 0 1 0

으로13 부여하여13 더미변수로13 만들어13 사용한다

변13 인 설13 문13 문13 항 측정척도

사회경제적13 지위(SES)

교육13 년수연속변수

직업13 위세SIOPS

[16-87]

소득13 수준 ln(income)

통제변인

연령 연속변수

성별남성=1 여성=0

결혼여부기혼=1미혼=0

이혼 사별 별거=0

주거지역광역도시=1기타도시=0

표13 lt 2gt 사회인구학적특성에13 사용된13 설문문항13 및13 변수정의13

140 김상돈

자료분석방법3

이13 연구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

제도신뢰13 사이의13 영향을13 분석하기13 위해13 탐색적13 요인분석 확인적13 요인(EFA)

분석 그리고13 공변량13 구조분석 등을13 시도한다 확인적13 요인(CFA) (LISREL)

분석은13 일련의13 경쟁적인13 요인모형들을13 각기13 추정하여13 모형부합지수를13 각13 모

형별로13 산출하여13 최적의13 모형을13 추정한다 구조방정식모형은13 측정모형과13 구

조모형의13 개13 하위모형으로13 구성되어13 있다 측정모형분석의13 전략은13 제도에13 2

대한13 사회적13 신뢰 사회적13 지원 사회단체참여13 등13 내생잠재변수와13 외생잠재

변수인13 사회경제적13 지위 그리고13 통제변수를13 이론변수로13 설정하여13 제반13 이론

변수간의13 상관관계를13 분석한다 한편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를13 각13 별도의13

결과변인13 혹은13 최종적13 내생변인으로13 설정하고13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을13 매개변인으로13 설정한13 상태에서13 제반13 예측변인들의13 인과적13 단

위영향을13 분석하기13 위한13 구조모형을13 추정한다 이어서13 각13 결과변인을13 설명하

는13 인과요인들의13 직접 간접 전체13 영향을13 분리시키는13 경로분석을13 실시함으로써 각13 인과변인들의13 상대적13 중요성에13 대한13 평가를13 시도한다 각13 차원들을13

결과변인으로13 간주한13 공변량13 구조분석을13 시도함으로써13 이론13 변인들간의13 구

조적13 인과관계를13 추정한다 실증분석을13 위하여13 사용된13 통계프로그램은13 SPSS

및13 를13 사용하였다110 LISREL 852

분석결과IV

기술통계1

분석에13 포함된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의13 조사대상자에13 대한13 사회경제적13 지

위13 특성을13 살펴보면 교육년수는13 한국평균 년보다13 미국평균 ( =12422 ) (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1

년 에서13 약간13 높으며 직업위세점수는13 한국평균 점보다13 미국13629 ) ( =40315 )

점 에서13 정도13 높게13 나타났다 소득수준은13 한국평균 보(47512 ) 7197 ( =5394)

다13 미국평균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 =10464) 3 따라서13 조사대상자의13 사회경제

적13 지위는13 한국보다13 미국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

한편 조사대상자의13 인구학적13 특성을13 살펴보면 연령은13 한국평균 ( =41503

세보다13 미국평균 세에서13 약간13 높으며 남성비율은13 미국 보) ( =42966 ) (450)

다13 한국 에서13 약간13 높은13 분포를13 나타냈다 기혼비율은13 미국 보(460) (450)

다13 한국 에서13 높으며 광역시 특별시13 광역시 에13 거주하는13 한국의13 비(686) (1 6 )

율은13 인13 반면에13 메트로폴리스에13 거주하는13 미국의13 비율은13 로13 나479 292

타났다

다른13 한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 (

망활용 사회제도신뢰을13 살펴보면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평균 보다13 ) ( =1479)

미국평균 에서13 더13 적극적인13 것으로13 나타났으며( =1732) (t=-8045 p 001) <

변인

평균 범위[ ] SD

한국(N 979)=

미국(N 535)=

한국 미국

사회경제적지위

교육년수 12422 [0-23] 13629 [1-20] 4032 2910

SIOPS 40315 [16-87] 47512 [16-88] 13376 16147

소득 5394 [3219-6957] 10464 [6215-11653] 746 950

인구학적특성

연령 41503 [18-84] 42966 [20-86] 14433 16029

남성 460 [0-1] 450 [0-1] 499 498

기혼 686 [0-1] 450 [0-1] 467 498

광역도시 479 [0-1] 292 [0-1] 500 455

주 한국 교육년수 로그소득 미국 교육년수 SES( =855 +725 SIOPS+805 =811 +791 로그소득 SIOPS+ 673 )

표13 lt 3gt 조사대상자의13 사회인구학적13 특성13

3 사회경제적13 지위변수인13 교육 직업위세 로그소득을13 탐색적13 요인분석결과 한국의13

와13 미국의13 자료13 모두13 하나의13 주요인으로13 추출되었으며13 총13 변량KGSS 2004 GSS2001

에13 대한13 설명력은13 각각13 로13 나타났다 이렇게13 구성된13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652 570

교육 직업 소득변수에13 가중치가13 부여된13 조합변수로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 KGSS 2004[

교육교육년수 직업 소득 로그소득 사회경제=855 ( )+725 (SIOPS)+805 ( )] GSS 2001[

적지위 교육 교육년수 직업위세 소득 로그소득 으로13 구성=811 ( )+791 (SIOPS)+673 ( )]

할13 수13 있고13 선형조합인13 요인점수 를13 그13 값으로13 가지게13 된다(factor score)

142 김상돈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은13 미국평균 보다13 한국평균 에서13 ( =3187) ( =4541)

약한13 연계를13 더13 활용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사회제도신뢰(t=9337 p 001) <

는13 한국 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 =1733) ( =2075) (t=-14463

이로써13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13 사람보다13 미국사람이13 더13 높을13 것이라p 001) <

고13 제시한13 lt연구가설13 1gt을13 수용하게13 되었다

변인 평균 SD 차이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평균차이 절대량차이 값t

사회제도신뢰

대기업13 신뢰 1671 2019 548 584 -348 -312 -8123

교육계13 신뢰 1784 2100 575 624 -316 -267 -7273

언론계13 신뢰 1639 1680 588 659 -041 030 -3145

방송계13 신뢰 1779 1665 600 651 114 165 1506

의료계13 신뢰 1873 2274 574 639 -401 -336 -8585

행정부13 신뢰 1461 2046 531 683 -585 -433 -13578

입법부13 신뢰 1180 1905 403 586 -725 -542 -19212

사법부13 신뢰 1944 2275 591 639 -331 -283 -7671

학계13 신뢰 1957 2329 539 613 -372 -298 -8496

군대13 신뢰 1915 2468 649 614 -553 -588 -12062

금융계13 신뢰 1865 2068 593 629 -203 -167 -4463

전13 체 1733 2075 318 343 -342 -317 -14463

사회적13 지원

정서적13 지원 5813 3802 2672 2792 2011 2131 10916

경제적13 지원 4843 3202 2853 2788 1641 1576 7167

서비스13 지원 2967 2557 2352 2457 410 515 4336

전13 체 4541 3187 1880 1950 1354 1424 9337

단체참여

정당단체13 참여 1163 1593 518 1032 -430 084 -8129

시민단체13 참여 1098 1874 421 1229 -776 032 -12751

노동조합13 참여 1275 1512 674 956 -237 045 -7695

취미단체13 참여 1819 2166 1071 1366 -347 -052 -4389

이웃단체13 참여 1614 1493 1041 977 121 057 567

기타단체13 참여 1905 1753 1208 1151 152 095 1199

전13 체 1479 1732 469 702 -253 -020 -8045

주 평균13 및13 절대량13 차이는13 기술통계의13 차이 한국 ( -미국이며13 통계적13 유의도는13 ) t- 에13 대한13 검증test임

p 05 p 01 p 001 < < <

표13 lt 4gt 사회적자본의13 기술통계한국 미국13 ( 13 N 97913 13 N=53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3

모형검증의13 타당도평가2

이13 절에서는13 내생변인들에13 대한13 모형검증의13 타당도를13 분석한다 모형검증

의13 타당도를13 분석하기13 위해서는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13 변인13 등은13 탐색적13 요인분석과13 확인적13 요인분석이13 사용된다

탐색적13 요인분석결과 표본적절성13 측정치인13 값한국 미국 KMO ( =773

은13 적절한13 수준이었으며13 의13 구형성13 검증13 통계치의13 유의수준은13 =752) Bartlett

양13 국가13 모두13 으로13 보다13 작아13 자료의13 상관이13 요인에13 적합한13 것으로13 000 05 3

나타났다 제 요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13 개13 문항13 가운데13 개의13 측정변인 1 20 11

들이13 묶이는13 것으로서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에13 해당한다 제 요인은13 양13 2

국가13 모두13 전체문항13 가운데13 개13 문항의13 측정변인을13 요인13 구성하였으며13 사회6

단체참여에13 해당한다 마지막으로13 제 요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문항13 가운데13 3

개문항의13 측정변인을13 요인13 구성하였으며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해당3

한다 또한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의13 내적일

치성을13 알아보기13 위해13 의13 계수로13 평가한13 결과 한국Cronbach ( =8029 α

미국 로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신뢰도를13 보5192 5051 = 7658 5746 6933)

이고13 있었다 이상의13 결과를13 보면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변인이13 각기13 별개구성체로13 구성되고13

있음을13 보여준다

확인적13 요인분석결과는13 lt표13 5gt에13 제시하였다 분석에13 포함된13 문항들이13 어

떠한13 공통요인도13 형성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귀무모형이나13 모든13 문항들이13

사회적13 자본이라는13 단일차원의13 개념을13 측정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1-요인모형

두13 가지13 별개차원의13 개념들을13 측정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요인모형 세13 가지13 2

차원의13 개념들을13 각기13 별도로13 측정하도록13 제약을13 가해진13 요인모형으로13 구3

성되었다

144 김상돈

표13 lt 5gt 사회적13 자본13 하위차원에13 대한13 확인적13 요인분석 결과 한국 미국13 (CFA)13 -( N 97913 N=535)=

귀무모형(M0) (M1)

요인모형1

요인모형2요인모형3- 9)

(M2_1) (M2_2) (M2_3)8)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χ2 4465901

(p 001)<

2671725

(p 001)<

1235222

(p 001)<

1097272

(p 001)<

887151

(p 001)<

533939

(p 001)<

1030632

(p 001)<

942579

(p 001)<

899901

(p 001)<

540723

(p 001)<

692709

(p 001)<

383604

(p 001)<

DF 190 190 170 170 169 169 169 169 169 169 167 167

GFI1) - - 888 830 917 909 905 850 916 908 934 933

AGFI2) - - 861 789 897 887 882 814 895 886 917 916

NFI3) - - 745 651 809 814 788 713 806 791 850 855

CFI4) - - 773 693 840 886 818 759 837 844 882 911

IFI5) - - 774 695 841 916 819 761 837 845 883 912

1) Goodness of Fit Index2) Adjusted Goodness of Fit Index3) Normed Fit Index4) Comparative Fit Index5) Incremental Fit Index6) 두13 요인들13 간 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13 사회제도신뢰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68(pgt05) =156(pgt05)]對 7) 두13 요인들13 간 단체참여 사회제도신뢰13 사회적13 지원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52(pgt05) =對 -002(pgt05)]8) 두13 요인들13 간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13 단체참여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65(pgt05) =157(plt01)]對 =9) 세13 요인들13 간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051(pgt05) 061(pgt05) 123(plt05) -013(pgt05)157(plt01)

092(pgt05)]

lt표13 5gt를13 살펴보면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13 귀무모형이나13 1-요인모형

에13 비해13 요인모형들 의13 경우가13 수치2 (M2_1 M2_2 M2_3) 2 (p( 2) χ χ

가13 적을13 뿐만13 아니라13 여러13 가지13 모형부합지수도13 큼을13 알13 수13 있다lt001) 2-

요인모형13 가운데13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이13 하나의13 요인

을13 형성하고13 사회제도신뢰가13 또13 하나의13 요인을13 형성하도록13 제약을13 가한13

모형이13 모형13 및13 모형에13 비해13 수치 가13 M2_1 M2_2 M2_3 2 (p( 2)lt001)χ χ

적을13 뿐만13 아니라13 여러13 가지13 모형부합지수 한국( GFI=917 AGFI=897

미국NFI=809 CFI=840 IFI=841 RMSEA=0569 GFI=909 AGFI=

도13 큼을13 알13 수13 있어13 887 NFI=793 CFI=846 IFI=847 RMSEA=0636)

더13 적절한13 모형이었다 그러나13 세13 가지13 차원의13 개념들을13 각기13 별도로13 측정하

도록13 제약이13 가해진13 3-요인모형은13 어떠한13 요인모형들에13 비해서13 보다도13 모형2

부합지수한국( GFI=934 AGFI=917 NFI=850 CFI=882 IFI=88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5

미국RMSEA=0567 GFI=933 AGFI=916 NFI=855 CFI=911

가13 현격히13 향상되었다 이는13 양13 국가13 모두13 여러13 IFI=912 RMSEA=0493)

가지13 경쟁적인13 내재모형13 가운데13 요인모형이13 최적모형으로써13 분석에13 포함된13 3

문항들이13 세13 가지13 별개의13 구성체들을13 측정하고13 있으며 이13 구성체들13 간에는13

판별집합타당도가13 유지됨을13 확인시켜주는13 결과이다 이로써13 요인모형에13 잠 3

재된13 변인들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이13 각기13 ( )

별개의13 구성체들임을13 보여준다 뿐만13 아니라13 이13 내생변인들13 상호간에는13 연관

관계도13 그다지13 강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모형검증의13 추정결과3

이13 절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13

사이가13 이론적 경험적13 사실과13 어느13 정도13 부합되는지를13 검증한다 이를13 위해13

이들13 변인들13 사이의13 상관13 및13 인과관계 그리고13 경로분석이13 어떻게13 나타나는

지를13 로13 추정한다LISREL 4

측정모형분석에13 근거하여13 여타변인들의13 영향이13 통제되지13 않는13 영차상관관

계(zero- 를13 산출한13 결과는13 order correlation) lt표13 6gt에13 제시하였다 우선 사

회제도신뢰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

회경제적13 지위(r=- 변인만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관계로13 나타난13 192)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 (r=158)

다 이는13 한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불신이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에13 적극적으로13 참여할수록13 제

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났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

활용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남성더미

(r=- 기혼더미094) (r=- 등13 두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451)

4 측정모형분석에13 앞서13 개13 측정변인에13 대한13 다중13 공선성13 여부를13 검증하였다 검증결27

과 연령변인이13 한국이13 으로13 다중공선성이13 의심되는13 바13 연령변인을13 제외하고13 재 646

추정하여13 분석하였다

146 김상돈

관계로13 나타났다 이에13 비해13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남성더미 (r=197)

(r=- 기혼더미152) (r=- 광역시13 더미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이13 통352) (r=147)

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국에서는13 여성일수록 미혼일수록13

사회적13 지원을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되어진다면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여성일수록 미혼일수록 메트로폴리스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적13 지원

을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다른13 한편 사회단체참여에13 유의

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남성더 (r=387)

미 기혼더미 광역시더미(r=273) (r=104) (r=- 변인13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이13 136)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관계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

위 기혼더미 광역시더미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r=409) (r=109) (r=146)

적으로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다시13 말해13 한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남성일수록 기혼일수록 기타도시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반면에 미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기혼일수록 메트로

폴리스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단체에13 적극적으로13 참여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이어서13 사회제도신뢰와13 인과변인사이의13 인과관계는13 구조모형에13 대한13 추정

을13 통해13 규명한다 한국의13 기본모형과13 최종모형의13 추정13 결과 기본모형의13 모

형부합지수는13 정확합치인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미할13 뿐만13 아니라13 001

근사합치인13 GFI=911 AGFI=890 NFI=790 CFI=837 IFI=838

로13 보다13 작아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모형부합지수를13 나타내RMSEA=0588 08

고13 있지만13 전반적으로13 그리13 높지13 않은13 것으로13 나타내고13 있다 반면에13 최종모

형의13 모형부합지수는13 기본모형과13 마찬가지로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 001

미하며13 GFI=901 AGFI=878 NFI=783 CFI=837 IFI=839 RMSEA=

로13 기본모형보다13 다소13 향상되었다 결정계수에13 있어서도 최종모형은13 0594

기본모형에13 비해13 설명력이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 기본모형의13 ( R2=117 222

최종모형의13 044 R2=188 104 056)

동일한13 방식으로13 미국의13 기본모형과13 최종모형의13 추정13 결과 기본모형의13 모

형부합지수는13 정확합치인13 x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미할13 뿐만13 아니라13 001

근사합치인13 GFI=904 AGFI=882 NFI=801 CFI=867 IFI=869

로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모형부합지수를13 나타내고13 있지만13 전반RMSEA=054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7

그림13 2 사회제도신뢰를13 검증하기13 위한13 최종모형 한국13 -

그림13 3 사회제도신뢰를13 검증하기위한13 최종모형 미국13 -

적으로13 그리13 높지13 않는13 부합지수를13 나타내고13 있다 반면에13 최종모형의13 모형

부합지수는13 기본모형과13 마찬가지로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하며13 001

로13 GFI=896 AGFI=871 NFI=782 CFI=867 IFI=889 RMSEA=0539

148 김상돈

기본모형보다13 다소13 향상되었다 또한13 결정계수에13 있어서도 최종모형은13 기본

모형에13 비해13 설명력이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기본모형의13 ( R2=034 174 028

최종모형의13 R2=099 245 039)

모형13 찾기에서13 선정된13 최종모형에13 기초하여13 제반13 외생변인들의13 인과적13 단

위영향을13 보여주는13 구조모형을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추정한13 결과는13 lt표13

6gt에13 제시하였다 구조모형의13 추정결과를13 우선13 살펴보면 기본모형에서13 배제

되었던13 경로들13 가운데13 사회단체참여rarr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경제

적13 지위rarr사회단체참여로13 향하는13 경로만이13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이13 높고13 수정지표도13 현저한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사회경제적13 지위 rarr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rarr사회제도신뢰로13 향하는13 경로들은13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이13 낮고13 수정지표13 또한13 현저하지13 못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각13 내생변인과13 관련한13 결과를13 순서대로13 살펴보면13 다음과13 같다

첫째 사회단체참여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

위 남성 광역시(B=378) (B=220) (B=-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유의미한13 170)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B=416)

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과13 남성 그리고13 기타도시에13 거주하는13

사람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반면에13 미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만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이다

둘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남성(B=189) (B=- 기혼144) (-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유의470)

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남성더미(B=152) (B=- 기혼더미137) (B=- 광역시 등13 네13 372) (B=130)

가지13 변인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과13 여성 미혼은13 사회적13 지원을13 강한13 연

계보다는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광역시에13 거주하는13 사

람들은13 한국사회13 보다13 미국에서13 강한13 연계보다13 약한13 연계에13 사회적13 지원을13

요청한다

셋째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단체참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9

사회경제적13 지위(B=151) (B=- 등13 두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246)

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B=144)

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은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

데13 비해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들은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불신이13 높게13

나타났다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이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났다

변인

한국(N=979) 미국(N=535)

단체참여 사회적지원 사회제도신뢰 단체참여 사회적지원 사회제도신뢰

r B r B r B r B r B r B

매개내생변인

사회적13 지원 048 - -017 -

매개외생변인

단체참여 - 090 189 043 151 104 152 158 144

외생변인

SES 387 378 070 - -192 -246 409 416 197 - 093 031

통제변인

남성13 더미 273 220 -094 -144 -024 -033 006 026 -152 -137 040 039

기혼13 더미 104 068 -451 -470 006 005 109 018 -352 -372 064 037

광역시13 더미 -136 -170 047 053 -005 -007 146 066 147 130 -004 -023

R2 237 220 056 183 195 030

χ2 1187022(df=283) (plt001) 687058(df=283) (plt001)

모형부합치 GFI=915 AGFI=894 NFI=808

CFI=846 IFI=847 RMSEA=0572

GFI=910 AGFI=888 NFI=812

CFI=880 IFI=881 RMSEA=0517

주 제시된13 계수는13 표준화계수이며 통계적13 유의도는13 비표준화계수에13 대한13 검증임 1)

계수를13 연차적으로13 자유모수로13 개방하여13 추정한13 최종모형임2) B21 11 Γ

단측검증 단측검증 단측검증3) p 05 p 01 p 001 < < <

표13 6<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요인들에13 대한13 추정13 결과13 LISREL13

다음은13 사회제도신뢰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대한13 직접 간접 전체영향을13 분리시킨13 경로분석을13 시도한다 그13 결과는13 lt표13 7gt과13 같다

우선 사회제도신뢰의13 경로분석결과를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유의미한13

요인들과13 그13 영향에13 대한13 절대적13 크기순서대로13 나열하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

제적13 지위(B=- 사회단체참여 로13 구성되며 미국에서는13 단체참여189) (151)

변인만으로13 구성되었다 이13 같은13 결과를13 각13 변인별로13 보다13 상세히13 (B=144)

150 김상돈

살펴보면13 먼저 양13 국가13 모두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와13 사회단체참여변인

을13 연결하는13 제 의13 변인은13 존재하지13 않기13 때문에13 사회단체참여의13 전체영향3

은13 직접영향 한국 미국 만으로13 구성되며13 그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 =151 =144)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다 다음으로 사회경제적13 지위13 변인은13 한국

에서13 강한13 부의13 인과적13 영향(B=- 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며13 직접영189)

향(B=- 및13 간접영향 모두13 유의미하였고13 전체의13 가13 직접246) (B=057) 130

영향으로13 구성된다 반면에13 미국에서13 직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으나13 간접영

향 은13 유의미하다 이상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사회단체참여의13 (B=060)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그13 영향의13 구체적13 방향이13 이론적13 예측과13 예외13 없이13 일

치한13 반면에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사회경제적13 지위의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이론적13 예측과13 일치하지13 않았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대한13 경로분석결과를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들과13 그13 영향에13 대한13 절대적13 크기순서대로13 나

열하면 한국에서는13 기혼 (B=- 단체참여 남성457) (B=189) (B=- 사회102)

경제적13 지위 순으로13 구성되며 미국에서는13 기혼(B=071) (B=- 단체참374)

여 광역시 남성(B=152) (B=140) (B=- 사회경제적13 지위 순133) (B=063)

으로13 구성된다 이13 같은13 결과를13 각13 변인별로13 보다13 상세히13 살펴보면 첫째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사회단체참여변인을13 연결하는13 제 의13 3

변인은13 존재하지13 않기13 때문에13 사회단체참여의13 전체영향은13 직접영향한국(

미국 만으로13 구성되며13 그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189 =152)

의미하다 둘째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영향이13 사회단체

참여에13 의해13 전적으로13 매개된13 간접영향한국 미국 으로만13 구성( =069 =063)

되었다 셋째 기혼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직접영향한국 ( =- 미국470 =-371)

만이13 유의미한13 반면에13 간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았다 넷째 남성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직접영향 한국( =- 미국144 =- 이13 유의미하고13 간접영향은13 한137)

국 만이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고13 미국에서는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것(B=042)

으로13 나타났다 다섯째 광역시13 변인은13 한국에선13 직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

은13 대신에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된13 간접영향(B=- 은13 유의미한13 반면032)

에13 미국에선13 사회단체참여에13 매개된13 간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대신에13 직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1

접영향 은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B=130)

한국(N=979) 미국(N=535)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변인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매개변인

사회적지원

단체참여 189 189 151 151 152 152 144 144

외생변인

SES 071 071 -246 057 -189 063 063 030 060 090

통제변인

남성더미 -144 042 -102 -033 033 000 -137 004 -133 039 004 043

기혼더미 -470 013 -457 -026 010 016 -371 -003 -374 038 -003 035

광역시더미 033 -032 001 -006 -026 -032 130 010 140 -023 -009 -014

제시된13 계수는13 표준화계수이며 통계적13 유의도는13 비표준화계수에13 대한13 검증임1)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지원에13 미치는13 영향2) ( ) times ( )=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미치는13 영향3) ( ) times ( )=

전체영향13 직접영향13 간접영향4) = +

단측검증 단측검증 단측검증 p 05 p 01 p 001 < < <

표13 lt 7gt 사회적13 지원과13 사회제도신뢰를13 설명하는13 요인들의13 직접13 간접 전체영향을13 분리한13 경로분석결과LISREL13 1)

논의13 및13 결론V

이13 연구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

회제도신뢰13 등에13 대한13 기술통계13 및13 판별집합타당성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차

이 매개효과13 등을13 실증적으로13 규명할13 목적으로13 수행되었다 이를13 위하여13 유

교공동체주의와13 합리적13 개인주의모델의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특성을13 지니고13 있

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를13 선정하여13 국제사회종합조사 자료모듈인13 (ISSP)

와13 자료를13 대상으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과13 관련KGSS 2004 GSS 2001

된13 일련의13 연구13 가설을13 제시하여13 검증하였다

첫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적13 신뢰 ( )

152 김상돈

은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확연히13 다른13 평균차이를13 보여주고13 있다 사회단

체참여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상대적으로13 더13 적극( =1479) ( =1732)

적이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국에서13 저조

한13 이유는13 년13 이후13 신사회운동을13 포함한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추세에1987

도13 불구하고13 시민사회의13 공론장이13 모순적으로13 제도화되었기13 때문이다 이는13

사회공간이13 존재하는13 것과13 그13 공간에13 참여하는13 것과는13 별개의13 개념임을13 의미

한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은13 미국평균 보다13 한국평균 에서13 약 ( =3187) ( =4541)

한13 연계에13 더13 활용되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

용이13 한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분석결과는13 학연 지연 혈연13 등13 연고13 집단으로13 인해13 사회적13 자본이13 풍부하다고13 주장한13 연구유석춘13 외 와13 일치된다( 2002)

다른13 한편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더13 ( =1733) ( =2075)

높으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제도신뢰가13 한국보다13 미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사실은13 정치 경제적으로13 성공한13 국가가13 그렇지13 못한13 국가보다13 상대적으로13 제도신뢰가13 더13 높을13 것이라고13 제시한13 거시적13 차원에서의13 연구결과

와13 부합된다(Putnam 1993 1995 Fukuyama 1995)

둘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

사회제도신뢰사이에는13 판별) 집합타당도가13 유지된다는13 사실을13 강조할13 필요가13 있다 탐색적13 요인분석과13 더불어13 확인적13 요인분석을13 실시한13 결과에서13 나

타난바와13 같이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을13 측정하기13 위한13 문항들은13 제각기13

해당차원의13 개념들만을13 측정할13 뿐만13 아니라13 이들13 차원들이13 각기13 별도의13 개념

을13 형성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3-요인모형이13 최적모형으로13 판명됨으로써13 3-요인

모형에13 잠재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의13 판별 수렴타당도가13 존재함을13 보여준다 아울러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들13 사이의13 상관관계조차도13 상당히13 미

약한13 것으로13 드러남으로써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13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13 등은13 각기13 별개의13 구성체들로13 이루어져있음이13 나타났다

셋째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 (

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 의13 불평등을13 밝히는데13 사용되었다 사회단체 )

참여와1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변인으로13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와13 접한13

관련성을13 맺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나13 사회제도신뢰에13 있어서13 강한13 부(- 의13 상관13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3

및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와13 사회적13 지원13 연결망활용의13 인과변인으로서13 중요하게13 나타났다 그러나13 한

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

타났으며13 미국에서는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타나13 이들13 연구가설13

모두13 기각된13 결과로13 나타났다 기각된13 이유는13 통계적13 해석과13 담론적13 해석13 두13

가지로13 논의할13 수13 있는데 첫13 번째13 이유는13 사례수와13 변량13 등13 통계적13 근거에

서13 설명할13 수13 있다 예컨대13 구조모형의13 추정에13 동원된13 측정변인13 및13 이론변인

의13 수를13 감안할13 때13 제한된13 사례13 수한국 미국 는13 여러13 변인들의13 ( =979 =535)

변량을13 제한하고13 표준오차를13 증가시킴으로써13 각각13 사회적13 지원13 및13 사회적13 신

뢰의13 통계적13 유의도를13 상실하게13 하는13 원인으로13 작용될13 가능성이13 있다 통계

적13 해석보다13 중요한13 담론적13 해석은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설명유교공동체주의(

자유민주주의에서13 그13 이유를13 예측할13 수13 있다 한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하다는13 사실은13 서구사회의13 인간관계와13 유

사할13 정도로13 진행되고13 있음에도13 불구하고13 여전히13 유교공동체주의모델이13 존

재함을13 보여준13 결과이다 미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

하다는13 사실은13 한국과13 달리13 부의13 불평등에13 대해13 당연시하는13 미국인의13 태도

개인주의 시장의13 제도화13 등13 맥락변인에서13 설명될13 가능성이13 높음을13 예측하게13

한다

넷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강력한13 단위영향과13 관련하여13 한

국 은13 미국 보다13 상대적으로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B=189) (B=152)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한국 은13 미국 보다13 (B=071) (B=06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서도13 사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

우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222 R2 에13 비하여13 포함된13 경우한국=173) (

사회의13 R2 미국사회의13 =243 R2 에13 대한13 설명력이13 각각13 =188) 21 15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이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에13 있어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

거를13 시사하는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사회단체참여의13 경제행위를13 이

해하는데13 있어서13 영리적13 차원의13 자기이해와13 합리적13 선택론에13 근거한13 신제도

주의이론으로만13 온전히13 설명할13 수13 없다는13 점을13 밝히면서13 한편으로는13 개별행

154 김상돈

위자들이13 현재13 맺고13 있는13 사회연결망에13 의해서13 형성된다고13 본13 신경제사회학

의13 이론적13 논의를13 부각시켰다는13 점에서13 시사하는13 바가13 크다 이로써13 사회단

체참여는13 다양한13 사람들과의13 사회적13 관계에서13 유통되는13 사회적13 지원을13 제공

해주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척도로서13 의미13 있는13 구성지표이다

다섯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B=144

보다13 한국 에서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지만 사회경제적13 plt05) (B=151 plt05)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는13 한국 보다13 미국(B=057 plt05)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B=060 plt05) 5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13 있어서도13 사

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미국사회의13 ( R2=037 R2 에13 비=028)

하여13 포함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056 R2 의13 설명력은13 =030)

한국과13 미국13 각각13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은13 작19 02

은13 증가를13 나타냈으나13 단위13 영향13 및13 간접영향13 모두13 높게13 형성되어13 사회단체

참여가13 제도신뢰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거를13 시사

한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공적13 시민정신의13 연구결과들 (Tocqueville

과13 일치됨으로써13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과13 미국13 1845 Putnam 1993 1995)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신뢰의13 중요한13 관건임을13 밝혀냈다 그러나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약한13 정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

데 이러한13 결과가13 나타난13 사실은13 년13 이후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로13 인 1987

해13 시민의13 정치참여를13 높이는데13 일정정도13 기여했으나13 민주적13 시민덕목을13 배

양하는데13 있어서는13 그리13 성공하지13 못한13 데에서13 추측할13 수13 있다 이를13 위해서

는13 중복적13 참여13 및13 자기이해(self- 에13 기초한13 소극적13 참여에서13 호혜성interest)

규범과13 사회적13 신뢰형성을13 위한13 제도적13 메커니즘으로의13 사회단체참여13 구축

이13 무엇보다13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이13 사회제도신뢰에13 미치는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이러한13

사실은13 사회적13 자본의13 연구결과 김용학(Pagden 1988 Fukuyama 1995 손

5 이와13 반대로 결측치에13 개별평균값을13 대체하기전의13 추정결과에서 사회단체참 LISREL

여의13 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B=169 plt05) (B=133 plt05)

더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높게13 나타났다(B=049 plt05) (B=043 plt0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5

재석 이재열 에서13 제시된13 반경범위 내집단13 족쇄 연고13 집단13 등 1998 1998)

의13 용어를13 사용하면서 가족13 및13 개인연결망13 활용이13 공적영역의13 신뢰를13 식민

화하여13 사회13 전체적으로13 저신뢰사회가13 된다고13 주장한13 논의와13 일치하지13 않는13

결과이다 즉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사이의13

관계가13 서로13 양립13 가능한13 현상을13 보여주어13 매개역할13 또한13 기각되었다

종합컨대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상관관계와13 유의미한13 정 의13 인과관계로13 작동하는데13 비해13 미국에서는13 상관13 (+)

및13 인과관계13 모두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 한편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

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은13 약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13 것으 (+)

로13 나타났다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의13 중요한13 인과변인인13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양13 국가13 모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력을13 미치고13 있으며 사회경제적13 지(+)

위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두13 가지13 구성개념사회제도신뢰13 및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 )

인과적13 영향은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되었다는13 사실13 또한13 이13 연구에서13 밝

혀냈다

이상의13 연구에도13 불구하고13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한국의13 ( R2 237 220

미국의13 056 R2 이13 낮게13 형성되었다는13 점과13 와13 183 195 030) KGSS 2004

자료에13 한정하여13 분석하였기13 때문에13 분석결과의13 해석과13 일반화에13 GSS 2001

한계가13 있을13 수13 있다 예를13 들면13 년과13 년이라는13 특정한13 시기에13 조 2004 2001

사가13 이루어졌다는13 점에서13 이론적 경험적으로13 함축하는13 바가13 있다고13 하더라도13 외적13 타당성의13 문제점을13 지닌다 그리고13 이13 연구는13 전국규모를13 대상으로13

조사되었다는13 점에서13 의미하는13 바가13 있지만13 시계열적13 자료를13 통한13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정 한13 검증을13 하지13 못하였다는13 점에서도13 그13 한계가13 있음을13 밝혀

둔다 따라서 향후13 후속연구에서13 제시된13 모델들을13 보다13 정교화하는13 이론적13

작업과13 더불어13 다양한13 변인들을13 충분히13 활용하며13 통시적13 연구13 및13 국가간의13

비교연구13 등을13 통해13 경험적13 연구들이13 진행되어야13 할13 것이며 연구자의13 관심

과13 노력으로13 연구의13 질적13 향상을13 기대해본다

156 김상돈

참고문헌

국민호 동아시아경제발전과13 유교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1997 31 1 pp 29-59「 」 985172 985173김상욱 조직몰입의13 하위차원들의13 타당도평가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2001 35 3 pp 「 」 985172 985173

109-138

김용학 손재석 미시적13 신뢰와13 거시적13 위험 계간사상 1998 38 pp 115-132 「 」 985172 985173이재열 민주주의 사회적13 신뢰 사회적13 자본 계간사상 1998 38 pp 65-93「 」 985172 985173유석춘 외 사회자본과13 신뢰 한국 일본 덴마크 스웨덴13 비교13 연구 동서연구 2002 「 」 985172 985173

권13 호14 1 pp 101-135

장수찬 한국사회에13 나타난13 악순화의13 사이클 한국정치학회보 권13 호 2002 36 1 pp 「 」 985172 98517387-112

한국13 사회과학도서관13 홈페이지 2005 httpwwwksslorkr

Banfield E 1967 The Moral Basis of a Backward Society New York Free Press

Billiet JB and Bart Cambre 1999 ldquoSocial capital active membership in voluntary

associations and some aspects of political participatio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Bourdieu Piere 1984 The Distiction A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Brehm John amp Wendy Rahn 1997 ldquoIndividual-level evidence for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social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41(3)

pp 999-1023

Burt R 1992 Structure Holes The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Coleman James 1988 ldquo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pp 94-121

DiMaggio Paul and Hugh Louch 1998 ldquoSocially Embedded Consumer Transaction

For What Kinds of Purchases Do People Most Often Use Networks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3 pp 619-637

Fukuyama Francis 1995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perty

NewYork Free Press Paper Backs Book

Gambetta Diego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Financial Capital The

Case of Network Marketing Champaign Stipes

Ganzeboom H B G and DJ Treiman 1996 ldquoInternationally Comparable Measures

of Occupational Status for the 1988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rdquo Social Science Research 25 pp 201-239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7

Giddens Anthony 1990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Stanford Stanford UP

Granovetter Mark 1985 ldquoEconomic Action and Social Structure The Problem of

Embeddedness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1 pp 481-510

Inglehart R 1999 Culture Shift in Advanced Industrial Societ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Joumlreskg Karl G and Soumlrbom Dag 1989 LISREL 7 A Guide to the Program and

Applications Chicago SPSS Inc

Lin Nam 1982 ldquoSocial Resource and Instrumental Actionrdquo In Social Structure and

Network Analysis edited by Peter Marsden and Nan Lin Beverly Hill CA

Sage Publication

Loury Glen 1977 ldquoA Dynamic Theory of Racial Income Differencerdquo In PA

Wallace amp A LeMund (eds) Woman Minorities and Employment Discrimi-

nation Lexington Lexington Books

Luhmann Niklas 1988 ldquoFamiliarity Confidence Trust Problems and Alternativesrdquo In D Gambetta (ed)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New York Basil Blackwell

McPherson J Miller 1983 ldquoAn Ecology of Affiliation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8 pp 519-532

Newton Kenneth 1997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rdquo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0(5) pp 575-586

Newton Kenneth 1999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 in Modern Euroupea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s)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Olson ME 1965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Pagden Anthony 1988 ldquoThe Destruction of Trust and its Economic Consequence in

the Case of Eighteenth-century Naplesrdquo In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edited by D Gambetta Oxford Blackwell

Paxton Pamela 1999 ldquoIs Social Capital Declining in the US A Multiple Indicator

Assessment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5(1) pp 88-126

Portes A 1998 ldquoSocial Capital Its Origin and Application in Modern Sociologyrdquo Annual Review of Sociology 24 pp 1-24

Portes A 2000 ldquoThe Two Meaning of Social Capitalrdquo Sociological Forum 15(1)

pp 1-12

Putnam Robert 1993 Making Democracy Work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utnam Robert 1995 ldquoBowling Alone Americans Declining Social Capitalrdquo Journal of Democracy 6(1) pp 65-78

Sztompka P 1999 Trust A Sociological Theor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8 김상돈

Toqueville Alexis de [1835 1840] 1990 Democracy in America(Reprint) New

York Vintage

Verba Sidney Kay Lehman Schlozman and Henry E 1995 Voice and Equality

Civic Voluntarism in American Politics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son Oliver E 1993 ldquoCaculativeness Trust and Economic Organizationrdquo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36(3) pp 453-486

Zucker Lynn G 1986 ldquoProduction of Trust Institutional Sources of Economic

Structurerdquo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8 pp 53-111

Comparison Analysi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n the Causal Structure of Trust in Social InstitutionsWith a focus on Mediation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and

Social Support

Sang-don KimLecturer in The University College at Sungkyunkwan University

This Study explores the multiplicativ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social institutions trus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do this a set of hypotheses concerning th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are set forth and subjected to an empirical assessment by using data set

collected from KGSS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2004 and GSS (General

Social Survey) 2001 out of the ISSP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lanning)

Modules

Analysis of data in terms of ML (Maximum Likelihood) procedure in

LISREL852 was used and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s (1) The unit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on association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2)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status on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but They were appear to be an important predictor to

Korea (3)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on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4) Association participation was especially in

shaping social support and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to the two nations

This study is interpreted that further research on the topic of social capital are

raised with elaborating the measure on the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political efficacy consciousness of social class and so forth coupled with

advertising a few limitation of this study

Keyword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KGSS GSS ISSP

김상돈 성균관대학교13 학부대학강사13

경기도13 수원시13 장안구13 조원동13 한일타운13 동13 호13 119 703 440-709

Tel_01113 912013 132313 13 E-mail_education17hanmailnet

Page 16: 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 미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64/1/5.%e1%84%80%e1...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미비교연구:

140 김상돈

자료분석방법3

이13 연구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

제도신뢰13 사이의13 영향을13 분석하기13 위해13 탐색적13 요인분석 확인적13 요인(EFA)

분석 그리고13 공변량13 구조분석 등을13 시도한다 확인적13 요인(CFA) (LISREL)

분석은13 일련의13 경쟁적인13 요인모형들을13 각기13 추정하여13 모형부합지수를13 각13 모

형별로13 산출하여13 최적의13 모형을13 추정한다 구조방정식모형은13 측정모형과13 구

조모형의13 개13 하위모형으로13 구성되어13 있다 측정모형분석의13 전략은13 제도에13 2

대한13 사회적13 신뢰 사회적13 지원 사회단체참여13 등13 내생잠재변수와13 외생잠재

변수인13 사회경제적13 지위 그리고13 통제변수를13 이론변수로13 설정하여13 제반13 이론

변수간의13 상관관계를13 분석한다 한편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를13 각13 별도의13

결과변인13 혹은13 최종적13 내생변인으로13 설정하고13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을13 매개변인으로13 설정한13 상태에서13 제반13 예측변인들의13 인과적13 단

위영향을13 분석하기13 위한13 구조모형을13 추정한다 이어서13 각13 결과변인을13 설명하

는13 인과요인들의13 직접 간접 전체13 영향을13 분리시키는13 경로분석을13 실시함으로써 각13 인과변인들의13 상대적13 중요성에13 대한13 평가를13 시도한다 각13 차원들을13

결과변인으로13 간주한13 공변량13 구조분석을13 시도함으로써13 이론13 변인들간의13 구

조적13 인과관계를13 추정한다 실증분석을13 위하여13 사용된13 통계프로그램은13 SPSS

및13 를13 사용하였다110 LISREL 852

분석결과IV

기술통계1

분석에13 포함된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의13 조사대상자에13 대한13 사회경제적13 지

위13 특성을13 살펴보면 교육년수는13 한국평균 년보다13 미국평균 ( =12422 ) (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1

년 에서13 약간13 높으며 직업위세점수는13 한국평균 점보다13 미국13629 ) ( =40315 )

점 에서13 정도13 높게13 나타났다 소득수준은13 한국평균 보(47512 ) 7197 ( =5394)

다13 미국평균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 =10464) 3 따라서13 조사대상자의13 사회경제

적13 지위는13 한국보다13 미국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

한편 조사대상자의13 인구학적13 특성을13 살펴보면 연령은13 한국평균 ( =41503

세보다13 미국평균 세에서13 약간13 높으며 남성비율은13 미국 보) ( =42966 ) (450)

다13 한국 에서13 약간13 높은13 분포를13 나타냈다 기혼비율은13 미국 보(460) (450)

다13 한국 에서13 높으며 광역시 특별시13 광역시 에13 거주하는13 한국의13 비(686) (1 6 )

율은13 인13 반면에13 메트로폴리스에13 거주하는13 미국의13 비율은13 로13 나479 292

타났다

다른13 한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 (

망활용 사회제도신뢰을13 살펴보면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평균 보다13 ) ( =1479)

미국평균 에서13 더13 적극적인13 것으로13 나타났으며( =1732) (t=-8045 p 001) <

변인

평균 범위[ ] SD

한국(N 979)=

미국(N 535)=

한국 미국

사회경제적지위

교육년수 12422 [0-23] 13629 [1-20] 4032 2910

SIOPS 40315 [16-87] 47512 [16-88] 13376 16147

소득 5394 [3219-6957] 10464 [6215-11653] 746 950

인구학적특성

연령 41503 [18-84] 42966 [20-86] 14433 16029

남성 460 [0-1] 450 [0-1] 499 498

기혼 686 [0-1] 450 [0-1] 467 498

광역도시 479 [0-1] 292 [0-1] 500 455

주 한국 교육년수 로그소득 미국 교육년수 SES( =855 +725 SIOPS+805 =811 +791 로그소득 SIOPS+ 673 )

표13 lt 3gt 조사대상자의13 사회인구학적13 특성13

3 사회경제적13 지위변수인13 교육 직업위세 로그소득을13 탐색적13 요인분석결과 한국의13

와13 미국의13 자료13 모두13 하나의13 주요인으로13 추출되었으며13 총13 변량KGSS 2004 GSS2001

에13 대한13 설명력은13 각각13 로13 나타났다 이렇게13 구성된13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652 570

교육 직업 소득변수에13 가중치가13 부여된13 조합변수로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 KGSS 2004[

교육교육년수 직업 소득 로그소득 사회경제=855 ( )+725 (SIOPS)+805 ( )] GSS 2001[

적지위 교육 교육년수 직업위세 소득 로그소득 으로13 구성=811 ( )+791 (SIOPS)+673 ( )]

할13 수13 있고13 선형조합인13 요인점수 를13 그13 값으로13 가지게13 된다(factor score)

142 김상돈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은13 미국평균 보다13 한국평균 에서13 ( =3187) ( =4541)

약한13 연계를13 더13 활용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사회제도신뢰(t=9337 p 001) <

는13 한국 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 =1733) ( =2075) (t=-14463

이로써13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13 사람보다13 미국사람이13 더13 높을13 것이라p 001) <

고13 제시한13 lt연구가설13 1gt을13 수용하게13 되었다

변인 평균 SD 차이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평균차이 절대량차이 값t

사회제도신뢰

대기업13 신뢰 1671 2019 548 584 -348 -312 -8123

교육계13 신뢰 1784 2100 575 624 -316 -267 -7273

언론계13 신뢰 1639 1680 588 659 -041 030 -3145

방송계13 신뢰 1779 1665 600 651 114 165 1506

의료계13 신뢰 1873 2274 574 639 -401 -336 -8585

행정부13 신뢰 1461 2046 531 683 -585 -433 -13578

입법부13 신뢰 1180 1905 403 586 -725 -542 -19212

사법부13 신뢰 1944 2275 591 639 -331 -283 -7671

학계13 신뢰 1957 2329 539 613 -372 -298 -8496

군대13 신뢰 1915 2468 649 614 -553 -588 -12062

금융계13 신뢰 1865 2068 593 629 -203 -167 -4463

전13 체 1733 2075 318 343 -342 -317 -14463

사회적13 지원

정서적13 지원 5813 3802 2672 2792 2011 2131 10916

경제적13 지원 4843 3202 2853 2788 1641 1576 7167

서비스13 지원 2967 2557 2352 2457 410 515 4336

전13 체 4541 3187 1880 1950 1354 1424 9337

단체참여

정당단체13 참여 1163 1593 518 1032 -430 084 -8129

시민단체13 참여 1098 1874 421 1229 -776 032 -12751

노동조합13 참여 1275 1512 674 956 -237 045 -7695

취미단체13 참여 1819 2166 1071 1366 -347 -052 -4389

이웃단체13 참여 1614 1493 1041 977 121 057 567

기타단체13 참여 1905 1753 1208 1151 152 095 1199

전13 체 1479 1732 469 702 -253 -020 -8045

주 평균13 및13 절대량13 차이는13 기술통계의13 차이 한국 ( -미국이며13 통계적13 유의도는13 ) t- 에13 대한13 검증test임

p 05 p 01 p 001 < < <

표13 lt 4gt 사회적자본의13 기술통계한국 미국13 ( 13 N 97913 13 N=53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3

모형검증의13 타당도평가2

이13 절에서는13 내생변인들에13 대한13 모형검증의13 타당도를13 분석한다 모형검증

의13 타당도를13 분석하기13 위해서는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13 변인13 등은13 탐색적13 요인분석과13 확인적13 요인분석이13 사용된다

탐색적13 요인분석결과 표본적절성13 측정치인13 값한국 미국 KMO ( =773

은13 적절한13 수준이었으며13 의13 구형성13 검증13 통계치의13 유의수준은13 =752) Bartlett

양13 국가13 모두13 으로13 보다13 작아13 자료의13 상관이13 요인에13 적합한13 것으로13 000 05 3

나타났다 제 요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13 개13 문항13 가운데13 개의13 측정변인 1 20 11

들이13 묶이는13 것으로서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에13 해당한다 제 요인은13 양13 2

국가13 모두13 전체문항13 가운데13 개13 문항의13 측정변인을13 요인13 구성하였으며13 사회6

단체참여에13 해당한다 마지막으로13 제 요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문항13 가운데13 3

개문항의13 측정변인을13 요인13 구성하였으며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해당3

한다 또한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의13 내적일

치성을13 알아보기13 위해13 의13 계수로13 평가한13 결과 한국Cronbach ( =8029 α

미국 로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신뢰도를13 보5192 5051 = 7658 5746 6933)

이고13 있었다 이상의13 결과를13 보면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변인이13 각기13 별개구성체로13 구성되고13

있음을13 보여준다

확인적13 요인분석결과는13 lt표13 5gt에13 제시하였다 분석에13 포함된13 문항들이13 어

떠한13 공통요인도13 형성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귀무모형이나13 모든13 문항들이13

사회적13 자본이라는13 단일차원의13 개념을13 측정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1-요인모형

두13 가지13 별개차원의13 개념들을13 측정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요인모형 세13 가지13 2

차원의13 개념들을13 각기13 별도로13 측정하도록13 제약을13 가해진13 요인모형으로13 구3

성되었다

144 김상돈

표13 lt 5gt 사회적13 자본13 하위차원에13 대한13 확인적13 요인분석 결과 한국 미국13 (CFA)13 -( N 97913 N=535)=

귀무모형(M0) (M1)

요인모형1

요인모형2요인모형3- 9)

(M2_1) (M2_2) (M2_3)8)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χ2 4465901

(p 001)<

2671725

(p 001)<

1235222

(p 001)<

1097272

(p 001)<

887151

(p 001)<

533939

(p 001)<

1030632

(p 001)<

942579

(p 001)<

899901

(p 001)<

540723

(p 001)<

692709

(p 001)<

383604

(p 001)<

DF 190 190 170 170 169 169 169 169 169 169 167 167

GFI1) - - 888 830 917 909 905 850 916 908 934 933

AGFI2) - - 861 789 897 887 882 814 895 886 917 916

NFI3) - - 745 651 809 814 788 713 806 791 850 855

CFI4) - - 773 693 840 886 818 759 837 844 882 911

IFI5) - - 774 695 841 916 819 761 837 845 883 912

1) Goodness of Fit Index2) Adjusted Goodness of Fit Index3) Normed Fit Index4) Comparative Fit Index5) Incremental Fit Index6) 두13 요인들13 간 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13 사회제도신뢰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68(pgt05) =156(pgt05)]對 7) 두13 요인들13 간 단체참여 사회제도신뢰13 사회적13 지원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52(pgt05) =對 -002(pgt05)]8) 두13 요인들13 간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13 단체참여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65(pgt05) =157(plt01)]對 =9) 세13 요인들13 간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051(pgt05) 061(pgt05) 123(plt05) -013(pgt05)157(plt01)

092(pgt05)]

lt표13 5gt를13 살펴보면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13 귀무모형이나13 1-요인모형

에13 비해13 요인모형들 의13 경우가13 수치2 (M2_1 M2_2 M2_3) 2 (p( 2) χ χ

가13 적을13 뿐만13 아니라13 여러13 가지13 모형부합지수도13 큼을13 알13 수13 있다lt001) 2-

요인모형13 가운데13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이13 하나의13 요인

을13 형성하고13 사회제도신뢰가13 또13 하나의13 요인을13 형성하도록13 제약을13 가한13

모형이13 모형13 및13 모형에13 비해13 수치 가13 M2_1 M2_2 M2_3 2 (p( 2)lt001)χ χ

적을13 뿐만13 아니라13 여러13 가지13 모형부합지수 한국( GFI=917 AGFI=897

미국NFI=809 CFI=840 IFI=841 RMSEA=0569 GFI=909 AGFI=

도13 큼을13 알13 수13 있어13 887 NFI=793 CFI=846 IFI=847 RMSEA=0636)

더13 적절한13 모형이었다 그러나13 세13 가지13 차원의13 개념들을13 각기13 별도로13 측정하

도록13 제약이13 가해진13 3-요인모형은13 어떠한13 요인모형들에13 비해서13 보다도13 모형2

부합지수한국( GFI=934 AGFI=917 NFI=850 CFI=882 IFI=88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5

미국RMSEA=0567 GFI=933 AGFI=916 NFI=855 CFI=911

가13 현격히13 향상되었다 이는13 양13 국가13 모두13 여러13 IFI=912 RMSEA=0493)

가지13 경쟁적인13 내재모형13 가운데13 요인모형이13 최적모형으로써13 분석에13 포함된13 3

문항들이13 세13 가지13 별개의13 구성체들을13 측정하고13 있으며 이13 구성체들13 간에는13

판별집합타당도가13 유지됨을13 확인시켜주는13 결과이다 이로써13 요인모형에13 잠 3

재된13 변인들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이13 각기13 ( )

별개의13 구성체들임을13 보여준다 뿐만13 아니라13 이13 내생변인들13 상호간에는13 연관

관계도13 그다지13 강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모형검증의13 추정결과3

이13 절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13

사이가13 이론적 경험적13 사실과13 어느13 정도13 부합되는지를13 검증한다 이를13 위해13

이들13 변인들13 사이의13 상관13 및13 인과관계 그리고13 경로분석이13 어떻게13 나타나는

지를13 로13 추정한다LISREL 4

측정모형분석에13 근거하여13 여타변인들의13 영향이13 통제되지13 않는13 영차상관관

계(zero- 를13 산출한13 결과는13 order correlation) lt표13 6gt에13 제시하였다 우선 사

회제도신뢰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

회경제적13 지위(r=- 변인만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관계로13 나타난13 192)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 (r=158)

다 이는13 한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불신이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에13 적극적으로13 참여할수록13 제

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났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

활용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남성더미

(r=- 기혼더미094) (r=- 등13 두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451)

4 측정모형분석에13 앞서13 개13 측정변인에13 대한13 다중13 공선성13 여부를13 검증하였다 검증결27

과 연령변인이13 한국이13 으로13 다중공선성이13 의심되는13 바13 연령변인을13 제외하고13 재 646

추정하여13 분석하였다

146 김상돈

관계로13 나타났다 이에13 비해13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남성더미 (r=197)

(r=- 기혼더미152) (r=- 광역시13 더미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이13 통352) (r=147)

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국에서는13 여성일수록 미혼일수록13

사회적13 지원을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되어진다면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여성일수록 미혼일수록 메트로폴리스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적13 지원

을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다른13 한편 사회단체참여에13 유의

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남성더 (r=387)

미 기혼더미 광역시더미(r=273) (r=104) (r=- 변인13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이13 136)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관계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

위 기혼더미 광역시더미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r=409) (r=109) (r=146)

적으로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다시13 말해13 한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남성일수록 기혼일수록 기타도시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반면에 미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기혼일수록 메트로

폴리스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단체에13 적극적으로13 참여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이어서13 사회제도신뢰와13 인과변인사이의13 인과관계는13 구조모형에13 대한13 추정

을13 통해13 규명한다 한국의13 기본모형과13 최종모형의13 추정13 결과 기본모형의13 모

형부합지수는13 정확합치인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미할13 뿐만13 아니라13 001

근사합치인13 GFI=911 AGFI=890 NFI=790 CFI=837 IFI=838

로13 보다13 작아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모형부합지수를13 나타내RMSEA=0588 08

고13 있지만13 전반적으로13 그리13 높지13 않은13 것으로13 나타내고13 있다 반면에13 최종모

형의13 모형부합지수는13 기본모형과13 마찬가지로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 001

미하며13 GFI=901 AGFI=878 NFI=783 CFI=837 IFI=839 RMSEA=

로13 기본모형보다13 다소13 향상되었다 결정계수에13 있어서도 최종모형은13 0594

기본모형에13 비해13 설명력이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 기본모형의13 ( R2=117 222

최종모형의13 044 R2=188 104 056)

동일한13 방식으로13 미국의13 기본모형과13 최종모형의13 추정13 결과 기본모형의13 모

형부합지수는13 정확합치인13 x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미할13 뿐만13 아니라13 001

근사합치인13 GFI=904 AGFI=882 NFI=801 CFI=867 IFI=869

로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모형부합지수를13 나타내고13 있지만13 전반RMSEA=054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7

그림13 2 사회제도신뢰를13 검증하기13 위한13 최종모형 한국13 -

그림13 3 사회제도신뢰를13 검증하기위한13 최종모형 미국13 -

적으로13 그리13 높지13 않는13 부합지수를13 나타내고13 있다 반면에13 최종모형의13 모형

부합지수는13 기본모형과13 마찬가지로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하며13 001

로13 GFI=896 AGFI=871 NFI=782 CFI=867 IFI=889 RMSEA=0539

148 김상돈

기본모형보다13 다소13 향상되었다 또한13 결정계수에13 있어서도 최종모형은13 기본

모형에13 비해13 설명력이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기본모형의13 ( R2=034 174 028

최종모형의13 R2=099 245 039)

모형13 찾기에서13 선정된13 최종모형에13 기초하여13 제반13 외생변인들의13 인과적13 단

위영향을13 보여주는13 구조모형을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추정한13 결과는13 lt표13

6gt에13 제시하였다 구조모형의13 추정결과를13 우선13 살펴보면 기본모형에서13 배제

되었던13 경로들13 가운데13 사회단체참여rarr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경제

적13 지위rarr사회단체참여로13 향하는13 경로만이13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이13 높고13 수정지표도13 현저한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사회경제적13 지위 rarr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rarr사회제도신뢰로13 향하는13 경로들은13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이13 낮고13 수정지표13 또한13 현저하지13 못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각13 내생변인과13 관련한13 결과를13 순서대로13 살펴보면13 다음과13 같다

첫째 사회단체참여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

위 남성 광역시(B=378) (B=220) (B=-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유의미한13 170)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B=416)

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과13 남성 그리고13 기타도시에13 거주하는13

사람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반면에13 미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만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이다

둘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남성(B=189) (B=- 기혼144) (-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유의470)

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남성더미(B=152) (B=- 기혼더미137) (B=- 광역시 등13 네13 372) (B=130)

가지13 변인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과13 여성 미혼은13 사회적13 지원을13 강한13 연

계보다는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광역시에13 거주하는13 사

람들은13 한국사회13 보다13 미국에서13 강한13 연계보다13 약한13 연계에13 사회적13 지원을13

요청한다

셋째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단체참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9

사회경제적13 지위(B=151) (B=- 등13 두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246)

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B=144)

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은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

데13 비해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들은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불신이13 높게13

나타났다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이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났다

변인

한국(N=979) 미국(N=535)

단체참여 사회적지원 사회제도신뢰 단체참여 사회적지원 사회제도신뢰

r B r B r B r B r B r B

매개내생변인

사회적13 지원 048 - -017 -

매개외생변인

단체참여 - 090 189 043 151 104 152 158 144

외생변인

SES 387 378 070 - -192 -246 409 416 197 - 093 031

통제변인

남성13 더미 273 220 -094 -144 -024 -033 006 026 -152 -137 040 039

기혼13 더미 104 068 -451 -470 006 005 109 018 -352 -372 064 037

광역시13 더미 -136 -170 047 053 -005 -007 146 066 147 130 -004 -023

R2 237 220 056 183 195 030

χ2 1187022(df=283) (plt001) 687058(df=283) (plt001)

모형부합치 GFI=915 AGFI=894 NFI=808

CFI=846 IFI=847 RMSEA=0572

GFI=910 AGFI=888 NFI=812

CFI=880 IFI=881 RMSEA=0517

주 제시된13 계수는13 표준화계수이며 통계적13 유의도는13 비표준화계수에13 대한13 검증임 1)

계수를13 연차적으로13 자유모수로13 개방하여13 추정한13 최종모형임2) B21 11 Γ

단측검증 단측검증 단측검증3) p 05 p 01 p 001 < < <

표13 6<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요인들에13 대한13 추정13 결과13 LISREL13

다음은13 사회제도신뢰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대한13 직접 간접 전체영향을13 분리시킨13 경로분석을13 시도한다 그13 결과는13 lt표13 7gt과13 같다

우선 사회제도신뢰의13 경로분석결과를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유의미한13

요인들과13 그13 영향에13 대한13 절대적13 크기순서대로13 나열하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

제적13 지위(B=- 사회단체참여 로13 구성되며 미국에서는13 단체참여189) (151)

변인만으로13 구성되었다 이13 같은13 결과를13 각13 변인별로13 보다13 상세히13 (B=144)

150 김상돈

살펴보면13 먼저 양13 국가13 모두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와13 사회단체참여변인

을13 연결하는13 제 의13 변인은13 존재하지13 않기13 때문에13 사회단체참여의13 전체영향3

은13 직접영향 한국 미국 만으로13 구성되며13 그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 =151 =144)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다 다음으로 사회경제적13 지위13 변인은13 한국

에서13 강한13 부의13 인과적13 영향(B=- 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며13 직접영189)

향(B=- 및13 간접영향 모두13 유의미하였고13 전체의13 가13 직접246) (B=057) 130

영향으로13 구성된다 반면에13 미국에서13 직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으나13 간접영

향 은13 유의미하다 이상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사회단체참여의13 (B=060)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그13 영향의13 구체적13 방향이13 이론적13 예측과13 예외13 없이13 일

치한13 반면에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사회경제적13 지위의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이론적13 예측과13 일치하지13 않았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대한13 경로분석결과를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들과13 그13 영향에13 대한13 절대적13 크기순서대로13 나

열하면 한국에서는13 기혼 (B=- 단체참여 남성457) (B=189) (B=- 사회102)

경제적13 지위 순으로13 구성되며 미국에서는13 기혼(B=071) (B=- 단체참374)

여 광역시 남성(B=152) (B=140) (B=- 사회경제적13 지위 순133) (B=063)

으로13 구성된다 이13 같은13 결과를13 각13 변인별로13 보다13 상세히13 살펴보면 첫째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사회단체참여변인을13 연결하는13 제 의13 3

변인은13 존재하지13 않기13 때문에13 사회단체참여의13 전체영향은13 직접영향한국(

미국 만으로13 구성되며13 그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189 =152)

의미하다 둘째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영향이13 사회단체

참여에13 의해13 전적으로13 매개된13 간접영향한국 미국 으로만13 구성( =069 =063)

되었다 셋째 기혼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직접영향한국 ( =- 미국470 =-371)

만이13 유의미한13 반면에13 간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았다 넷째 남성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직접영향 한국( =- 미국144 =- 이13 유의미하고13 간접영향은13 한137)

국 만이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고13 미국에서는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것(B=042)

으로13 나타났다 다섯째 광역시13 변인은13 한국에선13 직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

은13 대신에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된13 간접영향(B=- 은13 유의미한13 반면032)

에13 미국에선13 사회단체참여에13 매개된13 간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대신에13 직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1

접영향 은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B=130)

한국(N=979) 미국(N=535)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변인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매개변인

사회적지원

단체참여 189 189 151 151 152 152 144 144

외생변인

SES 071 071 -246 057 -189 063 063 030 060 090

통제변인

남성더미 -144 042 -102 -033 033 000 -137 004 -133 039 004 043

기혼더미 -470 013 -457 -026 010 016 -371 -003 -374 038 -003 035

광역시더미 033 -032 001 -006 -026 -032 130 010 140 -023 -009 -014

제시된13 계수는13 표준화계수이며 통계적13 유의도는13 비표준화계수에13 대한13 검증임1)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지원에13 미치는13 영향2) ( ) times ( )=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미치는13 영향3) ( ) times ( )=

전체영향13 직접영향13 간접영향4) = +

단측검증 단측검증 단측검증 p 05 p 01 p 001 < < <

표13 lt 7gt 사회적13 지원과13 사회제도신뢰를13 설명하는13 요인들의13 직접13 간접 전체영향을13 분리한13 경로분석결과LISREL13 1)

논의13 및13 결론V

이13 연구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

회제도신뢰13 등에13 대한13 기술통계13 및13 판별집합타당성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차

이 매개효과13 등을13 실증적으로13 규명할13 목적으로13 수행되었다 이를13 위하여13 유

교공동체주의와13 합리적13 개인주의모델의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특성을13 지니고13 있

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를13 선정하여13 국제사회종합조사 자료모듈인13 (ISSP)

와13 자료를13 대상으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과13 관련KGSS 2004 GSS 2001

된13 일련의13 연구13 가설을13 제시하여13 검증하였다

첫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적13 신뢰 ( )

152 김상돈

은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확연히13 다른13 평균차이를13 보여주고13 있다 사회단

체참여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상대적으로13 더13 적극( =1479) ( =1732)

적이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국에서13 저조

한13 이유는13 년13 이후13 신사회운동을13 포함한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추세에1987

도13 불구하고13 시민사회의13 공론장이13 모순적으로13 제도화되었기13 때문이다 이는13

사회공간이13 존재하는13 것과13 그13 공간에13 참여하는13 것과는13 별개의13 개념임을13 의미

한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은13 미국평균 보다13 한국평균 에서13 약 ( =3187) ( =4541)

한13 연계에13 더13 활용되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

용이13 한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분석결과는13 학연 지연 혈연13 등13 연고13 집단으로13 인해13 사회적13 자본이13 풍부하다고13 주장한13 연구유석춘13 외 와13 일치된다( 2002)

다른13 한편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더13 ( =1733) ( =2075)

높으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제도신뢰가13 한국보다13 미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사실은13 정치 경제적으로13 성공한13 국가가13 그렇지13 못한13 국가보다13 상대적으로13 제도신뢰가13 더13 높을13 것이라고13 제시한13 거시적13 차원에서의13 연구결과

와13 부합된다(Putnam 1993 1995 Fukuyama 1995)

둘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

사회제도신뢰사이에는13 판별) 집합타당도가13 유지된다는13 사실을13 강조할13 필요가13 있다 탐색적13 요인분석과13 더불어13 확인적13 요인분석을13 실시한13 결과에서13 나

타난바와13 같이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을13 측정하기13 위한13 문항들은13 제각기13

해당차원의13 개념들만을13 측정할13 뿐만13 아니라13 이들13 차원들이13 각기13 별도의13 개념

을13 형성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3-요인모형이13 최적모형으로13 판명됨으로써13 3-요인

모형에13 잠재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의13 판별 수렴타당도가13 존재함을13 보여준다 아울러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들13 사이의13 상관관계조차도13 상당히13 미

약한13 것으로13 드러남으로써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13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13 등은13 각기13 별개의13 구성체들로13 이루어져있음이13 나타났다

셋째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 (

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 의13 불평등을13 밝히는데13 사용되었다 사회단체 )

참여와1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변인으로13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와13 접한13

관련성을13 맺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나13 사회제도신뢰에13 있어서13 강한13 부(- 의13 상관13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3

및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와13 사회적13 지원13 연결망활용의13 인과변인으로서13 중요하게13 나타났다 그러나13 한

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

타났으며13 미국에서는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타나13 이들13 연구가설13

모두13 기각된13 결과로13 나타났다 기각된13 이유는13 통계적13 해석과13 담론적13 해석13 두13

가지로13 논의할13 수13 있는데 첫13 번째13 이유는13 사례수와13 변량13 등13 통계적13 근거에

서13 설명할13 수13 있다 예컨대13 구조모형의13 추정에13 동원된13 측정변인13 및13 이론변인

의13 수를13 감안할13 때13 제한된13 사례13 수한국 미국 는13 여러13 변인들의13 ( =979 =535)

변량을13 제한하고13 표준오차를13 증가시킴으로써13 각각13 사회적13 지원13 및13 사회적13 신

뢰의13 통계적13 유의도를13 상실하게13 하는13 원인으로13 작용될13 가능성이13 있다 통계

적13 해석보다13 중요한13 담론적13 해석은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설명유교공동체주의(

자유민주주의에서13 그13 이유를13 예측할13 수13 있다 한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하다는13 사실은13 서구사회의13 인간관계와13 유

사할13 정도로13 진행되고13 있음에도13 불구하고13 여전히13 유교공동체주의모델이13 존

재함을13 보여준13 결과이다 미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

하다는13 사실은13 한국과13 달리13 부의13 불평등에13 대해13 당연시하는13 미국인의13 태도

개인주의 시장의13 제도화13 등13 맥락변인에서13 설명될13 가능성이13 높음을13 예측하게13

한다

넷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강력한13 단위영향과13 관련하여13 한

국 은13 미국 보다13 상대적으로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B=189) (B=152)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한국 은13 미국 보다13 (B=071) (B=06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서도13 사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

우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222 R2 에13 비하여13 포함된13 경우한국=173) (

사회의13 R2 미국사회의13 =243 R2 에13 대한13 설명력이13 각각13 =188) 21 15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이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에13 있어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

거를13 시사하는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사회단체참여의13 경제행위를13 이

해하는데13 있어서13 영리적13 차원의13 자기이해와13 합리적13 선택론에13 근거한13 신제도

주의이론으로만13 온전히13 설명할13 수13 없다는13 점을13 밝히면서13 한편으로는13 개별행

154 김상돈

위자들이13 현재13 맺고13 있는13 사회연결망에13 의해서13 형성된다고13 본13 신경제사회학

의13 이론적13 논의를13 부각시켰다는13 점에서13 시사하는13 바가13 크다 이로써13 사회단

체참여는13 다양한13 사람들과의13 사회적13 관계에서13 유통되는13 사회적13 지원을13 제공

해주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척도로서13 의미13 있는13 구성지표이다

다섯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B=144

보다13 한국 에서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지만 사회경제적13 plt05) (B=151 plt05)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는13 한국 보다13 미국(B=057 plt05)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B=060 plt05) 5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13 있어서도13 사

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미국사회의13 ( R2=037 R2 에13 비=028)

하여13 포함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056 R2 의13 설명력은13 =030)

한국과13 미국13 각각13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은13 작19 02

은13 증가를13 나타냈으나13 단위13 영향13 및13 간접영향13 모두13 높게13 형성되어13 사회단체

참여가13 제도신뢰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거를13 시사

한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공적13 시민정신의13 연구결과들 (Tocqueville

과13 일치됨으로써13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과13 미국13 1845 Putnam 1993 1995)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신뢰의13 중요한13 관건임을13 밝혀냈다 그러나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약한13 정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

데 이러한13 결과가13 나타난13 사실은13 년13 이후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로13 인 1987

해13 시민의13 정치참여를13 높이는데13 일정정도13 기여했으나13 민주적13 시민덕목을13 배

양하는데13 있어서는13 그리13 성공하지13 못한13 데에서13 추측할13 수13 있다 이를13 위해서

는13 중복적13 참여13 및13 자기이해(self- 에13 기초한13 소극적13 참여에서13 호혜성interest)

규범과13 사회적13 신뢰형성을13 위한13 제도적13 메커니즘으로의13 사회단체참여13 구축

이13 무엇보다13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이13 사회제도신뢰에13 미치는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이러한13

사실은13 사회적13 자본의13 연구결과 김용학(Pagden 1988 Fukuyama 1995 손

5 이와13 반대로 결측치에13 개별평균값을13 대체하기전의13 추정결과에서 사회단체참 LISREL

여의13 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B=169 plt05) (B=133 plt05)

더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높게13 나타났다(B=049 plt05) (B=043 plt0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5

재석 이재열 에서13 제시된13 반경범위 내집단13 족쇄 연고13 집단13 등 1998 1998)

의13 용어를13 사용하면서 가족13 및13 개인연결망13 활용이13 공적영역의13 신뢰를13 식민

화하여13 사회13 전체적으로13 저신뢰사회가13 된다고13 주장한13 논의와13 일치하지13 않는13

결과이다 즉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사이의13

관계가13 서로13 양립13 가능한13 현상을13 보여주어13 매개역할13 또한13 기각되었다

종합컨대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상관관계와13 유의미한13 정 의13 인과관계로13 작동하는데13 비해13 미국에서는13 상관13 (+)

및13 인과관계13 모두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 한편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

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은13 약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13 것으 (+)

로13 나타났다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의13 중요한13 인과변인인13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양13 국가13 모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력을13 미치고13 있으며 사회경제적13 지(+)

위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두13 가지13 구성개념사회제도신뢰13 및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 )

인과적13 영향은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되었다는13 사실13 또한13 이13 연구에서13 밝

혀냈다

이상의13 연구에도13 불구하고13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한국의13 ( R2 237 220

미국의13 056 R2 이13 낮게13 형성되었다는13 점과13 와13 183 195 030) KGSS 2004

자료에13 한정하여13 분석하였기13 때문에13 분석결과의13 해석과13 일반화에13 GSS 2001

한계가13 있을13 수13 있다 예를13 들면13 년과13 년이라는13 특정한13 시기에13 조 2004 2001

사가13 이루어졌다는13 점에서13 이론적 경험적으로13 함축하는13 바가13 있다고13 하더라도13 외적13 타당성의13 문제점을13 지닌다 그리고13 이13 연구는13 전국규모를13 대상으로13

조사되었다는13 점에서13 의미하는13 바가13 있지만13 시계열적13 자료를13 통한13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정 한13 검증을13 하지13 못하였다는13 점에서도13 그13 한계가13 있음을13 밝혀

둔다 따라서 향후13 후속연구에서13 제시된13 모델들을13 보다13 정교화하는13 이론적13

작업과13 더불어13 다양한13 변인들을13 충분히13 활용하며13 통시적13 연구13 및13 국가간의13

비교연구13 등을13 통해13 경험적13 연구들이13 진행되어야13 할13 것이며 연구자의13 관심

과13 노력으로13 연구의13 질적13 향상을13 기대해본다

156 김상돈

참고문헌

국민호 동아시아경제발전과13 유교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1997 31 1 pp 29-59「 」 985172 985173김상욱 조직몰입의13 하위차원들의13 타당도평가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2001 35 3 pp 「 」 985172 985173

109-138

김용학 손재석 미시적13 신뢰와13 거시적13 위험 계간사상 1998 38 pp 115-132 「 」 985172 985173이재열 민주주의 사회적13 신뢰 사회적13 자본 계간사상 1998 38 pp 65-93「 」 985172 985173유석춘 외 사회자본과13 신뢰 한국 일본 덴마크 스웨덴13 비교13 연구 동서연구 2002 「 」 985172 985173

권13 호14 1 pp 101-135

장수찬 한국사회에13 나타난13 악순화의13 사이클 한국정치학회보 권13 호 2002 36 1 pp 「 」 985172 98517387-112

한국13 사회과학도서관13 홈페이지 2005 httpwwwksslorkr

Banfield E 1967 The Moral Basis of a Backward Society New York Free Press

Billiet JB and Bart Cambre 1999 ldquoSocial capital active membership in voluntary

associations and some aspects of political participatio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Bourdieu Piere 1984 The Distiction A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Brehm John amp Wendy Rahn 1997 ldquoIndividual-level evidence for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social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41(3)

pp 999-1023

Burt R 1992 Structure Holes The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Coleman James 1988 ldquo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pp 94-121

DiMaggio Paul and Hugh Louch 1998 ldquoSocially Embedded Consumer Transaction

For What Kinds of Purchases Do People Most Often Use Networks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3 pp 619-637

Fukuyama Francis 1995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perty

NewYork Free Press Paper Backs Book

Gambetta Diego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Financial Capital The

Case of Network Marketing Champaign Stipes

Ganzeboom H B G and DJ Treiman 1996 ldquoInternationally Comparable Measures

of Occupational Status for the 1988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rdquo Social Science Research 25 pp 201-239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7

Giddens Anthony 1990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Stanford Stanford UP

Granovetter Mark 1985 ldquoEconomic Action and Social Structure The Problem of

Embeddedness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1 pp 481-510

Inglehart R 1999 Culture Shift in Advanced Industrial Societ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Joumlreskg Karl G and Soumlrbom Dag 1989 LISREL 7 A Guide to the Program and

Applications Chicago SPSS Inc

Lin Nam 1982 ldquoSocial Resource and Instrumental Actionrdquo In Social Structure and

Network Analysis edited by Peter Marsden and Nan Lin Beverly Hill CA

Sage Publication

Loury Glen 1977 ldquoA Dynamic Theory of Racial Income Differencerdquo In PA

Wallace amp A LeMund (eds) Woman Minorities and Employment Discrimi-

nation Lexington Lexington Books

Luhmann Niklas 1988 ldquoFamiliarity Confidence Trust Problems and Alternativesrdquo In D Gambetta (ed)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New York Basil Blackwell

McPherson J Miller 1983 ldquoAn Ecology of Affiliation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8 pp 519-532

Newton Kenneth 1997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rdquo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0(5) pp 575-586

Newton Kenneth 1999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 in Modern Euroupea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s)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Olson ME 1965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Pagden Anthony 1988 ldquoThe Destruction of Trust and its Economic Consequence in

the Case of Eighteenth-century Naplesrdquo In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edited by D Gambetta Oxford Blackwell

Paxton Pamela 1999 ldquoIs Social Capital Declining in the US A Multiple Indicator

Assessment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5(1) pp 88-126

Portes A 1998 ldquoSocial Capital Its Origin and Application in Modern Sociologyrdquo Annual Review of Sociology 24 pp 1-24

Portes A 2000 ldquoThe Two Meaning of Social Capitalrdquo Sociological Forum 15(1)

pp 1-12

Putnam Robert 1993 Making Democracy Work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utnam Robert 1995 ldquoBowling Alone Americans Declining Social Capitalrdquo Journal of Democracy 6(1) pp 65-78

Sztompka P 1999 Trust A Sociological Theor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8 김상돈

Toqueville Alexis de [1835 1840] 1990 Democracy in America(Reprint) New

York Vintage

Verba Sidney Kay Lehman Schlozman and Henry E 1995 Voice and Equality

Civic Voluntarism in American Politics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son Oliver E 1993 ldquoCaculativeness Trust and Economic Organizationrdquo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36(3) pp 453-486

Zucker Lynn G 1986 ldquoProduction of Trust Institutional Sources of Economic

Structurerdquo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8 pp 53-111

Comparison Analysi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n the Causal Structure of Trust in Social InstitutionsWith a focus on Mediation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and

Social Support

Sang-don KimLecturer in The University College at Sungkyunkwan University

This Study explores the multiplicativ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social institutions trus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do this a set of hypotheses concerning th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are set forth and subjected to an empirical assessment by using data set

collected from KGSS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2004 and GSS (General

Social Survey) 2001 out of the ISSP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lanning)

Modules

Analysis of data in terms of ML (Maximum Likelihood) procedure in

LISREL852 was used and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s (1) The unit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on association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2)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status on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but They were appear to be an important predictor to

Korea (3)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on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4) Association participation was especially in

shaping social support and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to the two nations

This study is interpreted that further research on the topic of social capital are

raised with elaborating the measure on the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political efficacy consciousness of social class and so forth coupled with

advertising a few limitation of this study

Keyword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KGSS GSS ISSP

김상돈 성균관대학교13 학부대학강사13

경기도13 수원시13 장안구13 조원동13 한일타운13 동13 호13 119 703 440-709

Tel_01113 912013 132313 13 E-mail_education17hanmailnet

Page 17: 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 미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64/1/5.%e1%84%80%e1...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미비교연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1

년 에서13 약간13 높으며 직업위세점수는13 한국평균 점보다13 미국13629 ) ( =40315 )

점 에서13 정도13 높게13 나타났다 소득수준은13 한국평균 보(47512 ) 7197 ( =5394)

다13 미국평균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 =10464) 3 따라서13 조사대상자의13 사회경제

적13 지위는13 한국보다13 미국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

한편 조사대상자의13 인구학적13 특성을13 살펴보면 연령은13 한국평균 ( =41503

세보다13 미국평균 세에서13 약간13 높으며 남성비율은13 미국 보) ( =42966 ) (450)

다13 한국 에서13 약간13 높은13 분포를13 나타냈다 기혼비율은13 미국 보(460) (450)

다13 한국 에서13 높으며 광역시 특별시13 광역시 에13 거주하는13 한국의13 비(686) (1 6 )

율은13 인13 반면에13 메트로폴리스에13 거주하는13 미국의13 비율은13 로13 나479 292

타났다

다른13 한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 (

망활용 사회제도신뢰을13 살펴보면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평균 보다13 ) ( =1479)

미국평균 에서13 더13 적극적인13 것으로13 나타났으며( =1732) (t=-8045 p 001) <

변인

평균 범위[ ] SD

한국(N 979)=

미국(N 535)=

한국 미국

사회경제적지위

교육년수 12422 [0-23] 13629 [1-20] 4032 2910

SIOPS 40315 [16-87] 47512 [16-88] 13376 16147

소득 5394 [3219-6957] 10464 [6215-11653] 746 950

인구학적특성

연령 41503 [18-84] 42966 [20-86] 14433 16029

남성 460 [0-1] 450 [0-1] 499 498

기혼 686 [0-1] 450 [0-1] 467 498

광역도시 479 [0-1] 292 [0-1] 500 455

주 한국 교육년수 로그소득 미국 교육년수 SES( =855 +725 SIOPS+805 =811 +791 로그소득 SIOPS+ 673 )

표13 lt 3gt 조사대상자의13 사회인구학적13 특성13

3 사회경제적13 지위변수인13 교육 직업위세 로그소득을13 탐색적13 요인분석결과 한국의13

와13 미국의13 자료13 모두13 하나의13 주요인으로13 추출되었으며13 총13 변량KGSS 2004 GSS2001

에13 대한13 설명력은13 각각13 로13 나타났다 이렇게13 구성된13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652 570

교육 직업 소득변수에13 가중치가13 부여된13 조합변수로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 KGSS 2004[

교육교육년수 직업 소득 로그소득 사회경제=855 ( )+725 (SIOPS)+805 ( )] GSS 2001[

적지위 교육 교육년수 직업위세 소득 로그소득 으로13 구성=811 ( )+791 (SIOPS)+673 ( )]

할13 수13 있고13 선형조합인13 요인점수 를13 그13 값으로13 가지게13 된다(factor score)

142 김상돈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은13 미국평균 보다13 한국평균 에서13 ( =3187) ( =4541)

약한13 연계를13 더13 활용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사회제도신뢰(t=9337 p 001) <

는13 한국 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 =1733) ( =2075) (t=-14463

이로써13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13 사람보다13 미국사람이13 더13 높을13 것이라p 001) <

고13 제시한13 lt연구가설13 1gt을13 수용하게13 되었다

변인 평균 SD 차이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평균차이 절대량차이 값t

사회제도신뢰

대기업13 신뢰 1671 2019 548 584 -348 -312 -8123

교육계13 신뢰 1784 2100 575 624 -316 -267 -7273

언론계13 신뢰 1639 1680 588 659 -041 030 -3145

방송계13 신뢰 1779 1665 600 651 114 165 1506

의료계13 신뢰 1873 2274 574 639 -401 -336 -8585

행정부13 신뢰 1461 2046 531 683 -585 -433 -13578

입법부13 신뢰 1180 1905 403 586 -725 -542 -19212

사법부13 신뢰 1944 2275 591 639 -331 -283 -7671

학계13 신뢰 1957 2329 539 613 -372 -298 -8496

군대13 신뢰 1915 2468 649 614 -553 -588 -12062

금융계13 신뢰 1865 2068 593 629 -203 -167 -4463

전13 체 1733 2075 318 343 -342 -317 -14463

사회적13 지원

정서적13 지원 5813 3802 2672 2792 2011 2131 10916

경제적13 지원 4843 3202 2853 2788 1641 1576 7167

서비스13 지원 2967 2557 2352 2457 410 515 4336

전13 체 4541 3187 1880 1950 1354 1424 9337

단체참여

정당단체13 참여 1163 1593 518 1032 -430 084 -8129

시민단체13 참여 1098 1874 421 1229 -776 032 -12751

노동조합13 참여 1275 1512 674 956 -237 045 -7695

취미단체13 참여 1819 2166 1071 1366 -347 -052 -4389

이웃단체13 참여 1614 1493 1041 977 121 057 567

기타단체13 참여 1905 1753 1208 1151 152 095 1199

전13 체 1479 1732 469 702 -253 -020 -8045

주 평균13 및13 절대량13 차이는13 기술통계의13 차이 한국 ( -미국이며13 통계적13 유의도는13 ) t- 에13 대한13 검증test임

p 05 p 01 p 001 < < <

표13 lt 4gt 사회적자본의13 기술통계한국 미국13 ( 13 N 97913 13 N=53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3

모형검증의13 타당도평가2

이13 절에서는13 내생변인들에13 대한13 모형검증의13 타당도를13 분석한다 모형검증

의13 타당도를13 분석하기13 위해서는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13 변인13 등은13 탐색적13 요인분석과13 확인적13 요인분석이13 사용된다

탐색적13 요인분석결과 표본적절성13 측정치인13 값한국 미국 KMO ( =773

은13 적절한13 수준이었으며13 의13 구형성13 검증13 통계치의13 유의수준은13 =752) Bartlett

양13 국가13 모두13 으로13 보다13 작아13 자료의13 상관이13 요인에13 적합한13 것으로13 000 05 3

나타났다 제 요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13 개13 문항13 가운데13 개의13 측정변인 1 20 11

들이13 묶이는13 것으로서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에13 해당한다 제 요인은13 양13 2

국가13 모두13 전체문항13 가운데13 개13 문항의13 측정변인을13 요인13 구성하였으며13 사회6

단체참여에13 해당한다 마지막으로13 제 요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문항13 가운데13 3

개문항의13 측정변인을13 요인13 구성하였으며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해당3

한다 또한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의13 내적일

치성을13 알아보기13 위해13 의13 계수로13 평가한13 결과 한국Cronbach ( =8029 α

미국 로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신뢰도를13 보5192 5051 = 7658 5746 6933)

이고13 있었다 이상의13 결과를13 보면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변인이13 각기13 별개구성체로13 구성되고13

있음을13 보여준다

확인적13 요인분석결과는13 lt표13 5gt에13 제시하였다 분석에13 포함된13 문항들이13 어

떠한13 공통요인도13 형성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귀무모형이나13 모든13 문항들이13

사회적13 자본이라는13 단일차원의13 개념을13 측정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1-요인모형

두13 가지13 별개차원의13 개념들을13 측정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요인모형 세13 가지13 2

차원의13 개념들을13 각기13 별도로13 측정하도록13 제약을13 가해진13 요인모형으로13 구3

성되었다

144 김상돈

표13 lt 5gt 사회적13 자본13 하위차원에13 대한13 확인적13 요인분석 결과 한국 미국13 (CFA)13 -( N 97913 N=535)=

귀무모형(M0) (M1)

요인모형1

요인모형2요인모형3- 9)

(M2_1) (M2_2) (M2_3)8)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χ2 4465901

(p 001)<

2671725

(p 001)<

1235222

(p 001)<

1097272

(p 001)<

887151

(p 001)<

533939

(p 001)<

1030632

(p 001)<

942579

(p 001)<

899901

(p 001)<

540723

(p 001)<

692709

(p 001)<

383604

(p 001)<

DF 190 190 170 170 169 169 169 169 169 169 167 167

GFI1) - - 888 830 917 909 905 850 916 908 934 933

AGFI2) - - 861 789 897 887 882 814 895 886 917 916

NFI3) - - 745 651 809 814 788 713 806 791 850 855

CFI4) - - 773 693 840 886 818 759 837 844 882 911

IFI5) - - 774 695 841 916 819 761 837 845 883 912

1) Goodness of Fit Index2) Adjusted Goodness of Fit Index3) Normed Fit Index4) Comparative Fit Index5) Incremental Fit Index6) 두13 요인들13 간 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13 사회제도신뢰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68(pgt05) =156(pgt05)]對 7) 두13 요인들13 간 단체참여 사회제도신뢰13 사회적13 지원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52(pgt05) =對 -002(pgt05)]8) 두13 요인들13 간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13 단체참여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65(pgt05) =157(plt01)]對 =9) 세13 요인들13 간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051(pgt05) 061(pgt05) 123(plt05) -013(pgt05)157(plt01)

092(pgt05)]

lt표13 5gt를13 살펴보면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13 귀무모형이나13 1-요인모형

에13 비해13 요인모형들 의13 경우가13 수치2 (M2_1 M2_2 M2_3) 2 (p( 2) χ χ

가13 적을13 뿐만13 아니라13 여러13 가지13 모형부합지수도13 큼을13 알13 수13 있다lt001) 2-

요인모형13 가운데13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이13 하나의13 요인

을13 형성하고13 사회제도신뢰가13 또13 하나의13 요인을13 형성하도록13 제약을13 가한13

모형이13 모형13 및13 모형에13 비해13 수치 가13 M2_1 M2_2 M2_3 2 (p( 2)lt001)χ χ

적을13 뿐만13 아니라13 여러13 가지13 모형부합지수 한국( GFI=917 AGFI=897

미국NFI=809 CFI=840 IFI=841 RMSEA=0569 GFI=909 AGFI=

도13 큼을13 알13 수13 있어13 887 NFI=793 CFI=846 IFI=847 RMSEA=0636)

더13 적절한13 모형이었다 그러나13 세13 가지13 차원의13 개념들을13 각기13 별도로13 측정하

도록13 제약이13 가해진13 3-요인모형은13 어떠한13 요인모형들에13 비해서13 보다도13 모형2

부합지수한국( GFI=934 AGFI=917 NFI=850 CFI=882 IFI=88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5

미국RMSEA=0567 GFI=933 AGFI=916 NFI=855 CFI=911

가13 현격히13 향상되었다 이는13 양13 국가13 모두13 여러13 IFI=912 RMSEA=0493)

가지13 경쟁적인13 내재모형13 가운데13 요인모형이13 최적모형으로써13 분석에13 포함된13 3

문항들이13 세13 가지13 별개의13 구성체들을13 측정하고13 있으며 이13 구성체들13 간에는13

판별집합타당도가13 유지됨을13 확인시켜주는13 결과이다 이로써13 요인모형에13 잠 3

재된13 변인들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이13 각기13 ( )

별개의13 구성체들임을13 보여준다 뿐만13 아니라13 이13 내생변인들13 상호간에는13 연관

관계도13 그다지13 강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모형검증의13 추정결과3

이13 절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13

사이가13 이론적 경험적13 사실과13 어느13 정도13 부합되는지를13 검증한다 이를13 위해13

이들13 변인들13 사이의13 상관13 및13 인과관계 그리고13 경로분석이13 어떻게13 나타나는

지를13 로13 추정한다LISREL 4

측정모형분석에13 근거하여13 여타변인들의13 영향이13 통제되지13 않는13 영차상관관

계(zero- 를13 산출한13 결과는13 order correlation) lt표13 6gt에13 제시하였다 우선 사

회제도신뢰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

회경제적13 지위(r=- 변인만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관계로13 나타난13 192)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 (r=158)

다 이는13 한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불신이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에13 적극적으로13 참여할수록13 제

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났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

활용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남성더미

(r=- 기혼더미094) (r=- 등13 두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451)

4 측정모형분석에13 앞서13 개13 측정변인에13 대한13 다중13 공선성13 여부를13 검증하였다 검증결27

과 연령변인이13 한국이13 으로13 다중공선성이13 의심되는13 바13 연령변인을13 제외하고13 재 646

추정하여13 분석하였다

146 김상돈

관계로13 나타났다 이에13 비해13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남성더미 (r=197)

(r=- 기혼더미152) (r=- 광역시13 더미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이13 통352) (r=147)

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국에서는13 여성일수록 미혼일수록13

사회적13 지원을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되어진다면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여성일수록 미혼일수록 메트로폴리스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적13 지원

을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다른13 한편 사회단체참여에13 유의

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남성더 (r=387)

미 기혼더미 광역시더미(r=273) (r=104) (r=- 변인13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이13 136)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관계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

위 기혼더미 광역시더미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r=409) (r=109) (r=146)

적으로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다시13 말해13 한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남성일수록 기혼일수록 기타도시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반면에 미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기혼일수록 메트로

폴리스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단체에13 적극적으로13 참여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이어서13 사회제도신뢰와13 인과변인사이의13 인과관계는13 구조모형에13 대한13 추정

을13 통해13 규명한다 한국의13 기본모형과13 최종모형의13 추정13 결과 기본모형의13 모

형부합지수는13 정확합치인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미할13 뿐만13 아니라13 001

근사합치인13 GFI=911 AGFI=890 NFI=790 CFI=837 IFI=838

로13 보다13 작아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모형부합지수를13 나타내RMSEA=0588 08

고13 있지만13 전반적으로13 그리13 높지13 않은13 것으로13 나타내고13 있다 반면에13 최종모

형의13 모형부합지수는13 기본모형과13 마찬가지로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 001

미하며13 GFI=901 AGFI=878 NFI=783 CFI=837 IFI=839 RMSEA=

로13 기본모형보다13 다소13 향상되었다 결정계수에13 있어서도 최종모형은13 0594

기본모형에13 비해13 설명력이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 기본모형의13 ( R2=117 222

최종모형의13 044 R2=188 104 056)

동일한13 방식으로13 미국의13 기본모형과13 최종모형의13 추정13 결과 기본모형의13 모

형부합지수는13 정확합치인13 x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미할13 뿐만13 아니라13 001

근사합치인13 GFI=904 AGFI=882 NFI=801 CFI=867 IFI=869

로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모형부합지수를13 나타내고13 있지만13 전반RMSEA=054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7

그림13 2 사회제도신뢰를13 검증하기13 위한13 최종모형 한국13 -

그림13 3 사회제도신뢰를13 검증하기위한13 최종모형 미국13 -

적으로13 그리13 높지13 않는13 부합지수를13 나타내고13 있다 반면에13 최종모형의13 모형

부합지수는13 기본모형과13 마찬가지로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하며13 001

로13 GFI=896 AGFI=871 NFI=782 CFI=867 IFI=889 RMSEA=0539

148 김상돈

기본모형보다13 다소13 향상되었다 또한13 결정계수에13 있어서도 최종모형은13 기본

모형에13 비해13 설명력이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기본모형의13 ( R2=034 174 028

최종모형의13 R2=099 245 039)

모형13 찾기에서13 선정된13 최종모형에13 기초하여13 제반13 외생변인들의13 인과적13 단

위영향을13 보여주는13 구조모형을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추정한13 결과는13 lt표13

6gt에13 제시하였다 구조모형의13 추정결과를13 우선13 살펴보면 기본모형에서13 배제

되었던13 경로들13 가운데13 사회단체참여rarr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경제

적13 지위rarr사회단체참여로13 향하는13 경로만이13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이13 높고13 수정지표도13 현저한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사회경제적13 지위 rarr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rarr사회제도신뢰로13 향하는13 경로들은13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이13 낮고13 수정지표13 또한13 현저하지13 못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각13 내생변인과13 관련한13 결과를13 순서대로13 살펴보면13 다음과13 같다

첫째 사회단체참여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

위 남성 광역시(B=378) (B=220) (B=-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유의미한13 170)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B=416)

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과13 남성 그리고13 기타도시에13 거주하는13

사람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반면에13 미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만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이다

둘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남성(B=189) (B=- 기혼144) (-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유의470)

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남성더미(B=152) (B=- 기혼더미137) (B=- 광역시 등13 네13 372) (B=130)

가지13 변인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과13 여성 미혼은13 사회적13 지원을13 강한13 연

계보다는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광역시에13 거주하는13 사

람들은13 한국사회13 보다13 미국에서13 강한13 연계보다13 약한13 연계에13 사회적13 지원을13

요청한다

셋째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단체참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9

사회경제적13 지위(B=151) (B=- 등13 두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246)

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B=144)

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은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

데13 비해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들은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불신이13 높게13

나타났다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이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났다

변인

한국(N=979) 미국(N=535)

단체참여 사회적지원 사회제도신뢰 단체참여 사회적지원 사회제도신뢰

r B r B r B r B r B r B

매개내생변인

사회적13 지원 048 - -017 -

매개외생변인

단체참여 - 090 189 043 151 104 152 158 144

외생변인

SES 387 378 070 - -192 -246 409 416 197 - 093 031

통제변인

남성13 더미 273 220 -094 -144 -024 -033 006 026 -152 -137 040 039

기혼13 더미 104 068 -451 -470 006 005 109 018 -352 -372 064 037

광역시13 더미 -136 -170 047 053 -005 -007 146 066 147 130 -004 -023

R2 237 220 056 183 195 030

χ2 1187022(df=283) (plt001) 687058(df=283) (plt001)

모형부합치 GFI=915 AGFI=894 NFI=808

CFI=846 IFI=847 RMSEA=0572

GFI=910 AGFI=888 NFI=812

CFI=880 IFI=881 RMSEA=0517

주 제시된13 계수는13 표준화계수이며 통계적13 유의도는13 비표준화계수에13 대한13 검증임 1)

계수를13 연차적으로13 자유모수로13 개방하여13 추정한13 최종모형임2) B21 11 Γ

단측검증 단측검증 단측검증3) p 05 p 01 p 001 < < <

표13 6<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요인들에13 대한13 추정13 결과13 LISREL13

다음은13 사회제도신뢰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대한13 직접 간접 전체영향을13 분리시킨13 경로분석을13 시도한다 그13 결과는13 lt표13 7gt과13 같다

우선 사회제도신뢰의13 경로분석결과를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유의미한13

요인들과13 그13 영향에13 대한13 절대적13 크기순서대로13 나열하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

제적13 지위(B=- 사회단체참여 로13 구성되며 미국에서는13 단체참여189) (151)

변인만으로13 구성되었다 이13 같은13 결과를13 각13 변인별로13 보다13 상세히13 (B=144)

150 김상돈

살펴보면13 먼저 양13 국가13 모두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와13 사회단체참여변인

을13 연결하는13 제 의13 변인은13 존재하지13 않기13 때문에13 사회단체참여의13 전체영향3

은13 직접영향 한국 미국 만으로13 구성되며13 그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 =151 =144)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다 다음으로 사회경제적13 지위13 변인은13 한국

에서13 강한13 부의13 인과적13 영향(B=- 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며13 직접영189)

향(B=- 및13 간접영향 모두13 유의미하였고13 전체의13 가13 직접246) (B=057) 130

영향으로13 구성된다 반면에13 미국에서13 직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으나13 간접영

향 은13 유의미하다 이상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사회단체참여의13 (B=060)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그13 영향의13 구체적13 방향이13 이론적13 예측과13 예외13 없이13 일

치한13 반면에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사회경제적13 지위의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이론적13 예측과13 일치하지13 않았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대한13 경로분석결과를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들과13 그13 영향에13 대한13 절대적13 크기순서대로13 나

열하면 한국에서는13 기혼 (B=- 단체참여 남성457) (B=189) (B=- 사회102)

경제적13 지위 순으로13 구성되며 미국에서는13 기혼(B=071) (B=- 단체참374)

여 광역시 남성(B=152) (B=140) (B=- 사회경제적13 지위 순133) (B=063)

으로13 구성된다 이13 같은13 결과를13 각13 변인별로13 보다13 상세히13 살펴보면 첫째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사회단체참여변인을13 연결하는13 제 의13 3

변인은13 존재하지13 않기13 때문에13 사회단체참여의13 전체영향은13 직접영향한국(

미국 만으로13 구성되며13 그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189 =152)

의미하다 둘째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영향이13 사회단체

참여에13 의해13 전적으로13 매개된13 간접영향한국 미국 으로만13 구성( =069 =063)

되었다 셋째 기혼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직접영향한국 ( =- 미국470 =-371)

만이13 유의미한13 반면에13 간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았다 넷째 남성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직접영향 한국( =- 미국144 =- 이13 유의미하고13 간접영향은13 한137)

국 만이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고13 미국에서는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것(B=042)

으로13 나타났다 다섯째 광역시13 변인은13 한국에선13 직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

은13 대신에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된13 간접영향(B=- 은13 유의미한13 반면032)

에13 미국에선13 사회단체참여에13 매개된13 간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대신에13 직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1

접영향 은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B=130)

한국(N=979) 미국(N=535)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변인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매개변인

사회적지원

단체참여 189 189 151 151 152 152 144 144

외생변인

SES 071 071 -246 057 -189 063 063 030 060 090

통제변인

남성더미 -144 042 -102 -033 033 000 -137 004 -133 039 004 043

기혼더미 -470 013 -457 -026 010 016 -371 -003 -374 038 -003 035

광역시더미 033 -032 001 -006 -026 -032 130 010 140 -023 -009 -014

제시된13 계수는13 표준화계수이며 통계적13 유의도는13 비표준화계수에13 대한13 검증임1)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지원에13 미치는13 영향2) ( ) times ( )=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미치는13 영향3) ( ) times ( )=

전체영향13 직접영향13 간접영향4) = +

단측검증 단측검증 단측검증 p 05 p 01 p 001 < < <

표13 lt 7gt 사회적13 지원과13 사회제도신뢰를13 설명하는13 요인들의13 직접13 간접 전체영향을13 분리한13 경로분석결과LISREL13 1)

논의13 및13 결론V

이13 연구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

회제도신뢰13 등에13 대한13 기술통계13 및13 판별집합타당성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차

이 매개효과13 등을13 실증적으로13 규명할13 목적으로13 수행되었다 이를13 위하여13 유

교공동체주의와13 합리적13 개인주의모델의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특성을13 지니고13 있

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를13 선정하여13 국제사회종합조사 자료모듈인13 (ISSP)

와13 자료를13 대상으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과13 관련KGSS 2004 GSS 2001

된13 일련의13 연구13 가설을13 제시하여13 검증하였다

첫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적13 신뢰 ( )

152 김상돈

은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확연히13 다른13 평균차이를13 보여주고13 있다 사회단

체참여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상대적으로13 더13 적극( =1479) ( =1732)

적이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국에서13 저조

한13 이유는13 년13 이후13 신사회운동을13 포함한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추세에1987

도13 불구하고13 시민사회의13 공론장이13 모순적으로13 제도화되었기13 때문이다 이는13

사회공간이13 존재하는13 것과13 그13 공간에13 참여하는13 것과는13 별개의13 개념임을13 의미

한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은13 미국평균 보다13 한국평균 에서13 약 ( =3187) ( =4541)

한13 연계에13 더13 활용되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

용이13 한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분석결과는13 학연 지연 혈연13 등13 연고13 집단으로13 인해13 사회적13 자본이13 풍부하다고13 주장한13 연구유석춘13 외 와13 일치된다( 2002)

다른13 한편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더13 ( =1733) ( =2075)

높으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제도신뢰가13 한국보다13 미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사실은13 정치 경제적으로13 성공한13 국가가13 그렇지13 못한13 국가보다13 상대적으로13 제도신뢰가13 더13 높을13 것이라고13 제시한13 거시적13 차원에서의13 연구결과

와13 부합된다(Putnam 1993 1995 Fukuyama 1995)

둘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

사회제도신뢰사이에는13 판별) 집합타당도가13 유지된다는13 사실을13 강조할13 필요가13 있다 탐색적13 요인분석과13 더불어13 확인적13 요인분석을13 실시한13 결과에서13 나

타난바와13 같이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을13 측정하기13 위한13 문항들은13 제각기13

해당차원의13 개념들만을13 측정할13 뿐만13 아니라13 이들13 차원들이13 각기13 별도의13 개념

을13 형성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3-요인모형이13 최적모형으로13 판명됨으로써13 3-요인

모형에13 잠재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의13 판별 수렴타당도가13 존재함을13 보여준다 아울러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들13 사이의13 상관관계조차도13 상당히13 미

약한13 것으로13 드러남으로써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13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13 등은13 각기13 별개의13 구성체들로13 이루어져있음이13 나타났다

셋째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 (

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 의13 불평등을13 밝히는데13 사용되었다 사회단체 )

참여와1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변인으로13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와13 접한13

관련성을13 맺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나13 사회제도신뢰에13 있어서13 강한13 부(- 의13 상관13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3

및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와13 사회적13 지원13 연결망활용의13 인과변인으로서13 중요하게13 나타났다 그러나13 한

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

타났으며13 미국에서는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타나13 이들13 연구가설13

모두13 기각된13 결과로13 나타났다 기각된13 이유는13 통계적13 해석과13 담론적13 해석13 두13

가지로13 논의할13 수13 있는데 첫13 번째13 이유는13 사례수와13 변량13 등13 통계적13 근거에

서13 설명할13 수13 있다 예컨대13 구조모형의13 추정에13 동원된13 측정변인13 및13 이론변인

의13 수를13 감안할13 때13 제한된13 사례13 수한국 미국 는13 여러13 변인들의13 ( =979 =535)

변량을13 제한하고13 표준오차를13 증가시킴으로써13 각각13 사회적13 지원13 및13 사회적13 신

뢰의13 통계적13 유의도를13 상실하게13 하는13 원인으로13 작용될13 가능성이13 있다 통계

적13 해석보다13 중요한13 담론적13 해석은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설명유교공동체주의(

자유민주주의에서13 그13 이유를13 예측할13 수13 있다 한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하다는13 사실은13 서구사회의13 인간관계와13 유

사할13 정도로13 진행되고13 있음에도13 불구하고13 여전히13 유교공동체주의모델이13 존

재함을13 보여준13 결과이다 미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

하다는13 사실은13 한국과13 달리13 부의13 불평등에13 대해13 당연시하는13 미국인의13 태도

개인주의 시장의13 제도화13 등13 맥락변인에서13 설명될13 가능성이13 높음을13 예측하게13

한다

넷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강력한13 단위영향과13 관련하여13 한

국 은13 미국 보다13 상대적으로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B=189) (B=152)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한국 은13 미국 보다13 (B=071) (B=06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서도13 사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

우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222 R2 에13 비하여13 포함된13 경우한국=173) (

사회의13 R2 미국사회의13 =243 R2 에13 대한13 설명력이13 각각13 =188) 21 15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이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에13 있어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

거를13 시사하는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사회단체참여의13 경제행위를13 이

해하는데13 있어서13 영리적13 차원의13 자기이해와13 합리적13 선택론에13 근거한13 신제도

주의이론으로만13 온전히13 설명할13 수13 없다는13 점을13 밝히면서13 한편으로는13 개별행

154 김상돈

위자들이13 현재13 맺고13 있는13 사회연결망에13 의해서13 형성된다고13 본13 신경제사회학

의13 이론적13 논의를13 부각시켰다는13 점에서13 시사하는13 바가13 크다 이로써13 사회단

체참여는13 다양한13 사람들과의13 사회적13 관계에서13 유통되는13 사회적13 지원을13 제공

해주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척도로서13 의미13 있는13 구성지표이다

다섯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B=144

보다13 한국 에서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지만 사회경제적13 plt05) (B=151 plt05)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는13 한국 보다13 미국(B=057 plt05)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B=060 plt05) 5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13 있어서도13 사

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미국사회의13 ( R2=037 R2 에13 비=028)

하여13 포함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056 R2 의13 설명력은13 =030)

한국과13 미국13 각각13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은13 작19 02

은13 증가를13 나타냈으나13 단위13 영향13 및13 간접영향13 모두13 높게13 형성되어13 사회단체

참여가13 제도신뢰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거를13 시사

한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공적13 시민정신의13 연구결과들 (Tocqueville

과13 일치됨으로써13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과13 미국13 1845 Putnam 1993 1995)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신뢰의13 중요한13 관건임을13 밝혀냈다 그러나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약한13 정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

데 이러한13 결과가13 나타난13 사실은13 년13 이후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로13 인 1987

해13 시민의13 정치참여를13 높이는데13 일정정도13 기여했으나13 민주적13 시민덕목을13 배

양하는데13 있어서는13 그리13 성공하지13 못한13 데에서13 추측할13 수13 있다 이를13 위해서

는13 중복적13 참여13 및13 자기이해(self- 에13 기초한13 소극적13 참여에서13 호혜성interest)

규범과13 사회적13 신뢰형성을13 위한13 제도적13 메커니즘으로의13 사회단체참여13 구축

이13 무엇보다13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이13 사회제도신뢰에13 미치는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이러한13

사실은13 사회적13 자본의13 연구결과 김용학(Pagden 1988 Fukuyama 1995 손

5 이와13 반대로 결측치에13 개별평균값을13 대체하기전의13 추정결과에서 사회단체참 LISREL

여의13 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B=169 plt05) (B=133 plt05)

더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높게13 나타났다(B=049 plt05) (B=043 plt0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5

재석 이재열 에서13 제시된13 반경범위 내집단13 족쇄 연고13 집단13 등 1998 1998)

의13 용어를13 사용하면서 가족13 및13 개인연결망13 활용이13 공적영역의13 신뢰를13 식민

화하여13 사회13 전체적으로13 저신뢰사회가13 된다고13 주장한13 논의와13 일치하지13 않는13

결과이다 즉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사이의13

관계가13 서로13 양립13 가능한13 현상을13 보여주어13 매개역할13 또한13 기각되었다

종합컨대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상관관계와13 유의미한13 정 의13 인과관계로13 작동하는데13 비해13 미국에서는13 상관13 (+)

및13 인과관계13 모두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 한편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

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은13 약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13 것으 (+)

로13 나타났다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의13 중요한13 인과변인인13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양13 국가13 모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력을13 미치고13 있으며 사회경제적13 지(+)

위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두13 가지13 구성개념사회제도신뢰13 및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 )

인과적13 영향은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되었다는13 사실13 또한13 이13 연구에서13 밝

혀냈다

이상의13 연구에도13 불구하고13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한국의13 ( R2 237 220

미국의13 056 R2 이13 낮게13 형성되었다는13 점과13 와13 183 195 030) KGSS 2004

자료에13 한정하여13 분석하였기13 때문에13 분석결과의13 해석과13 일반화에13 GSS 2001

한계가13 있을13 수13 있다 예를13 들면13 년과13 년이라는13 특정한13 시기에13 조 2004 2001

사가13 이루어졌다는13 점에서13 이론적 경험적으로13 함축하는13 바가13 있다고13 하더라도13 외적13 타당성의13 문제점을13 지닌다 그리고13 이13 연구는13 전국규모를13 대상으로13

조사되었다는13 점에서13 의미하는13 바가13 있지만13 시계열적13 자료를13 통한13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정 한13 검증을13 하지13 못하였다는13 점에서도13 그13 한계가13 있음을13 밝혀

둔다 따라서 향후13 후속연구에서13 제시된13 모델들을13 보다13 정교화하는13 이론적13

작업과13 더불어13 다양한13 변인들을13 충분히13 활용하며13 통시적13 연구13 및13 국가간의13

비교연구13 등을13 통해13 경험적13 연구들이13 진행되어야13 할13 것이며 연구자의13 관심

과13 노력으로13 연구의13 질적13 향상을13 기대해본다

156 김상돈

참고문헌

국민호 동아시아경제발전과13 유교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1997 31 1 pp 29-59「 」 985172 985173김상욱 조직몰입의13 하위차원들의13 타당도평가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2001 35 3 pp 「 」 985172 985173

109-138

김용학 손재석 미시적13 신뢰와13 거시적13 위험 계간사상 1998 38 pp 115-132 「 」 985172 985173이재열 민주주의 사회적13 신뢰 사회적13 자본 계간사상 1998 38 pp 65-93「 」 985172 985173유석춘 외 사회자본과13 신뢰 한국 일본 덴마크 스웨덴13 비교13 연구 동서연구 2002 「 」 985172 985173

권13 호14 1 pp 101-135

장수찬 한국사회에13 나타난13 악순화의13 사이클 한국정치학회보 권13 호 2002 36 1 pp 「 」 985172 98517387-112

한국13 사회과학도서관13 홈페이지 2005 httpwwwksslorkr

Banfield E 1967 The Moral Basis of a Backward Society New York Free Press

Billiet JB and Bart Cambre 1999 ldquoSocial capital active membership in voluntary

associations and some aspects of political participatio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Bourdieu Piere 1984 The Distiction A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Brehm John amp Wendy Rahn 1997 ldquoIndividual-level evidence for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social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41(3)

pp 999-1023

Burt R 1992 Structure Holes The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Coleman James 1988 ldquo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pp 94-121

DiMaggio Paul and Hugh Louch 1998 ldquoSocially Embedded Consumer Transaction

For What Kinds of Purchases Do People Most Often Use Networks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3 pp 619-637

Fukuyama Francis 1995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perty

NewYork Free Press Paper Backs Book

Gambetta Diego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Financial Capital The

Case of Network Marketing Champaign Stipes

Ganzeboom H B G and DJ Treiman 1996 ldquoInternationally Comparable Measures

of Occupational Status for the 1988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rdquo Social Science Research 25 pp 201-239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7

Giddens Anthony 1990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Stanford Stanford UP

Granovetter Mark 1985 ldquoEconomic Action and Social Structure The Problem of

Embeddedness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1 pp 481-510

Inglehart R 1999 Culture Shift in Advanced Industrial Societ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Joumlreskg Karl G and Soumlrbom Dag 1989 LISREL 7 A Guide to the Program and

Applications Chicago SPSS Inc

Lin Nam 1982 ldquoSocial Resource and Instrumental Actionrdquo In Social Structure and

Network Analysis edited by Peter Marsden and Nan Lin Beverly Hill CA

Sage Publication

Loury Glen 1977 ldquoA Dynamic Theory of Racial Income Differencerdquo In PA

Wallace amp A LeMund (eds) Woman Minorities and Employment Discrimi-

nation Lexington Lexington Books

Luhmann Niklas 1988 ldquoFamiliarity Confidence Trust Problems and Alternativesrdquo In D Gambetta (ed)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New York Basil Blackwell

McPherson J Miller 1983 ldquoAn Ecology of Affiliation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8 pp 519-532

Newton Kenneth 1997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rdquo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0(5) pp 575-586

Newton Kenneth 1999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 in Modern Euroupea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s)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Olson ME 1965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Pagden Anthony 1988 ldquoThe Destruction of Trust and its Economic Consequence in

the Case of Eighteenth-century Naplesrdquo In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edited by D Gambetta Oxford Blackwell

Paxton Pamela 1999 ldquoIs Social Capital Declining in the US A Multiple Indicator

Assessment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5(1) pp 88-126

Portes A 1998 ldquoSocial Capital Its Origin and Application in Modern Sociologyrdquo Annual Review of Sociology 24 pp 1-24

Portes A 2000 ldquoThe Two Meaning of Social Capitalrdquo Sociological Forum 15(1)

pp 1-12

Putnam Robert 1993 Making Democracy Work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utnam Robert 1995 ldquoBowling Alone Americans Declining Social Capitalrdquo Journal of Democracy 6(1) pp 65-78

Sztompka P 1999 Trust A Sociological Theor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8 김상돈

Toqueville Alexis de [1835 1840] 1990 Democracy in America(Reprint) New

York Vintage

Verba Sidney Kay Lehman Schlozman and Henry E 1995 Voice and Equality

Civic Voluntarism in American Politics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son Oliver E 1993 ldquoCaculativeness Trust and Economic Organizationrdquo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36(3) pp 453-486

Zucker Lynn G 1986 ldquoProduction of Trust Institutional Sources of Economic

Structurerdquo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8 pp 53-111

Comparison Analysi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n the Causal Structure of Trust in Social InstitutionsWith a focus on Mediation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and

Social Support

Sang-don KimLecturer in The University College at Sungkyunkwan University

This Study explores the multiplicativ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social institutions trus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do this a set of hypotheses concerning th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are set forth and subjected to an empirical assessment by using data set

collected from KGSS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2004 and GSS (General

Social Survey) 2001 out of the ISSP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lanning)

Modules

Analysis of data in terms of ML (Maximum Likelihood) procedure in

LISREL852 was used and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s (1) The unit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on association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2)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status on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but They were appear to be an important predictor to

Korea (3)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on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4) Association participation was especially in

shaping social support and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to the two nations

This study is interpreted that further research on the topic of social capital are

raised with elaborating the measure on the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political efficacy consciousness of social class and so forth coupled with

advertising a few limitation of this study

Keyword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KGSS GSS ISSP

김상돈 성균관대학교13 학부대학강사13

경기도13 수원시13 장안구13 조원동13 한일타운13 동13 호13 119 703 440-709

Tel_01113 912013 132313 13 E-mail_education17hanmailnet

Page 18: 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 미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64/1/5.%e1%84%80%e1...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미비교연구:

142 김상돈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은13 미국평균 보다13 한국평균 에서13 ( =3187) ( =4541)

약한13 연계를13 더13 활용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사회제도신뢰(t=9337 p 001) <

는13 한국 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 =1733) ( =2075) (t=-14463

이로써13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13 사람보다13 미국사람이13 더13 높을13 것이라p 001) <

고13 제시한13 lt연구가설13 1gt을13 수용하게13 되었다

변인 평균 SD 차이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평균차이 절대량차이 값t

사회제도신뢰

대기업13 신뢰 1671 2019 548 584 -348 -312 -8123

교육계13 신뢰 1784 2100 575 624 -316 -267 -7273

언론계13 신뢰 1639 1680 588 659 -041 030 -3145

방송계13 신뢰 1779 1665 600 651 114 165 1506

의료계13 신뢰 1873 2274 574 639 -401 -336 -8585

행정부13 신뢰 1461 2046 531 683 -585 -433 -13578

입법부13 신뢰 1180 1905 403 586 -725 -542 -19212

사법부13 신뢰 1944 2275 591 639 -331 -283 -7671

학계13 신뢰 1957 2329 539 613 -372 -298 -8496

군대13 신뢰 1915 2468 649 614 -553 -588 -12062

금융계13 신뢰 1865 2068 593 629 -203 -167 -4463

전13 체 1733 2075 318 343 -342 -317 -14463

사회적13 지원

정서적13 지원 5813 3802 2672 2792 2011 2131 10916

경제적13 지원 4843 3202 2853 2788 1641 1576 7167

서비스13 지원 2967 2557 2352 2457 410 515 4336

전13 체 4541 3187 1880 1950 1354 1424 9337

단체참여

정당단체13 참여 1163 1593 518 1032 -430 084 -8129

시민단체13 참여 1098 1874 421 1229 -776 032 -12751

노동조합13 참여 1275 1512 674 956 -237 045 -7695

취미단체13 참여 1819 2166 1071 1366 -347 -052 -4389

이웃단체13 참여 1614 1493 1041 977 121 057 567

기타단체13 참여 1905 1753 1208 1151 152 095 1199

전13 체 1479 1732 469 702 -253 -020 -8045

주 평균13 및13 절대량13 차이는13 기술통계의13 차이 한국 ( -미국이며13 통계적13 유의도는13 ) t- 에13 대한13 검증test임

p 05 p 01 p 001 < < <

표13 lt 4gt 사회적자본의13 기술통계한국 미국13 ( 13 N 97913 13 N=53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3

모형검증의13 타당도평가2

이13 절에서는13 내생변인들에13 대한13 모형검증의13 타당도를13 분석한다 모형검증

의13 타당도를13 분석하기13 위해서는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13 변인13 등은13 탐색적13 요인분석과13 확인적13 요인분석이13 사용된다

탐색적13 요인분석결과 표본적절성13 측정치인13 값한국 미국 KMO ( =773

은13 적절한13 수준이었으며13 의13 구형성13 검증13 통계치의13 유의수준은13 =752) Bartlett

양13 국가13 모두13 으로13 보다13 작아13 자료의13 상관이13 요인에13 적합한13 것으로13 000 05 3

나타났다 제 요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13 개13 문항13 가운데13 개의13 측정변인 1 20 11

들이13 묶이는13 것으로서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에13 해당한다 제 요인은13 양13 2

국가13 모두13 전체문항13 가운데13 개13 문항의13 측정변인을13 요인13 구성하였으며13 사회6

단체참여에13 해당한다 마지막으로13 제 요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문항13 가운데13 3

개문항의13 측정변인을13 요인13 구성하였으며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해당3

한다 또한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의13 내적일

치성을13 알아보기13 위해13 의13 계수로13 평가한13 결과 한국Cronbach ( =8029 α

미국 로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신뢰도를13 보5192 5051 = 7658 5746 6933)

이고13 있었다 이상의13 결과를13 보면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변인이13 각기13 별개구성체로13 구성되고13

있음을13 보여준다

확인적13 요인분석결과는13 lt표13 5gt에13 제시하였다 분석에13 포함된13 문항들이13 어

떠한13 공통요인도13 형성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귀무모형이나13 모든13 문항들이13

사회적13 자본이라는13 단일차원의13 개념을13 측정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1-요인모형

두13 가지13 별개차원의13 개념들을13 측정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요인모형 세13 가지13 2

차원의13 개념들을13 각기13 별도로13 측정하도록13 제약을13 가해진13 요인모형으로13 구3

성되었다

144 김상돈

표13 lt 5gt 사회적13 자본13 하위차원에13 대한13 확인적13 요인분석 결과 한국 미국13 (CFA)13 -( N 97913 N=535)=

귀무모형(M0) (M1)

요인모형1

요인모형2요인모형3- 9)

(M2_1) (M2_2) (M2_3)8)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χ2 4465901

(p 001)<

2671725

(p 001)<

1235222

(p 001)<

1097272

(p 001)<

887151

(p 001)<

533939

(p 001)<

1030632

(p 001)<

942579

(p 001)<

899901

(p 001)<

540723

(p 001)<

692709

(p 001)<

383604

(p 001)<

DF 190 190 170 170 169 169 169 169 169 169 167 167

GFI1) - - 888 830 917 909 905 850 916 908 934 933

AGFI2) - - 861 789 897 887 882 814 895 886 917 916

NFI3) - - 745 651 809 814 788 713 806 791 850 855

CFI4) - - 773 693 840 886 818 759 837 844 882 911

IFI5) - - 774 695 841 916 819 761 837 845 883 912

1) Goodness of Fit Index2) Adjusted Goodness of Fit Index3) Normed Fit Index4) Comparative Fit Index5) Incremental Fit Index6) 두13 요인들13 간 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13 사회제도신뢰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68(pgt05) =156(pgt05)]對 7) 두13 요인들13 간 단체참여 사회제도신뢰13 사회적13 지원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52(pgt05) =對 -002(pgt05)]8) 두13 요인들13 간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13 단체참여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65(pgt05) =157(plt01)]對 =9) 세13 요인들13 간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051(pgt05) 061(pgt05) 123(plt05) -013(pgt05)157(plt01)

092(pgt05)]

lt표13 5gt를13 살펴보면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13 귀무모형이나13 1-요인모형

에13 비해13 요인모형들 의13 경우가13 수치2 (M2_1 M2_2 M2_3) 2 (p( 2) χ χ

가13 적을13 뿐만13 아니라13 여러13 가지13 모형부합지수도13 큼을13 알13 수13 있다lt001) 2-

요인모형13 가운데13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이13 하나의13 요인

을13 형성하고13 사회제도신뢰가13 또13 하나의13 요인을13 형성하도록13 제약을13 가한13

모형이13 모형13 및13 모형에13 비해13 수치 가13 M2_1 M2_2 M2_3 2 (p( 2)lt001)χ χ

적을13 뿐만13 아니라13 여러13 가지13 모형부합지수 한국( GFI=917 AGFI=897

미국NFI=809 CFI=840 IFI=841 RMSEA=0569 GFI=909 AGFI=

도13 큼을13 알13 수13 있어13 887 NFI=793 CFI=846 IFI=847 RMSEA=0636)

더13 적절한13 모형이었다 그러나13 세13 가지13 차원의13 개념들을13 각기13 별도로13 측정하

도록13 제약이13 가해진13 3-요인모형은13 어떠한13 요인모형들에13 비해서13 보다도13 모형2

부합지수한국( GFI=934 AGFI=917 NFI=850 CFI=882 IFI=88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5

미국RMSEA=0567 GFI=933 AGFI=916 NFI=855 CFI=911

가13 현격히13 향상되었다 이는13 양13 국가13 모두13 여러13 IFI=912 RMSEA=0493)

가지13 경쟁적인13 내재모형13 가운데13 요인모형이13 최적모형으로써13 분석에13 포함된13 3

문항들이13 세13 가지13 별개의13 구성체들을13 측정하고13 있으며 이13 구성체들13 간에는13

판별집합타당도가13 유지됨을13 확인시켜주는13 결과이다 이로써13 요인모형에13 잠 3

재된13 변인들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이13 각기13 ( )

별개의13 구성체들임을13 보여준다 뿐만13 아니라13 이13 내생변인들13 상호간에는13 연관

관계도13 그다지13 강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모형검증의13 추정결과3

이13 절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13

사이가13 이론적 경험적13 사실과13 어느13 정도13 부합되는지를13 검증한다 이를13 위해13

이들13 변인들13 사이의13 상관13 및13 인과관계 그리고13 경로분석이13 어떻게13 나타나는

지를13 로13 추정한다LISREL 4

측정모형분석에13 근거하여13 여타변인들의13 영향이13 통제되지13 않는13 영차상관관

계(zero- 를13 산출한13 결과는13 order correlation) lt표13 6gt에13 제시하였다 우선 사

회제도신뢰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

회경제적13 지위(r=- 변인만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관계로13 나타난13 192)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 (r=158)

다 이는13 한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불신이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에13 적극적으로13 참여할수록13 제

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났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

활용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남성더미

(r=- 기혼더미094) (r=- 등13 두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451)

4 측정모형분석에13 앞서13 개13 측정변인에13 대한13 다중13 공선성13 여부를13 검증하였다 검증결27

과 연령변인이13 한국이13 으로13 다중공선성이13 의심되는13 바13 연령변인을13 제외하고13 재 646

추정하여13 분석하였다

146 김상돈

관계로13 나타났다 이에13 비해13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남성더미 (r=197)

(r=- 기혼더미152) (r=- 광역시13 더미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이13 통352) (r=147)

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국에서는13 여성일수록 미혼일수록13

사회적13 지원을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되어진다면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여성일수록 미혼일수록 메트로폴리스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적13 지원

을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다른13 한편 사회단체참여에13 유의

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남성더 (r=387)

미 기혼더미 광역시더미(r=273) (r=104) (r=- 변인13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이13 136)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관계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

위 기혼더미 광역시더미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r=409) (r=109) (r=146)

적으로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다시13 말해13 한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남성일수록 기혼일수록 기타도시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반면에 미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기혼일수록 메트로

폴리스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단체에13 적극적으로13 참여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이어서13 사회제도신뢰와13 인과변인사이의13 인과관계는13 구조모형에13 대한13 추정

을13 통해13 규명한다 한국의13 기본모형과13 최종모형의13 추정13 결과 기본모형의13 모

형부합지수는13 정확합치인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미할13 뿐만13 아니라13 001

근사합치인13 GFI=911 AGFI=890 NFI=790 CFI=837 IFI=838

로13 보다13 작아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모형부합지수를13 나타내RMSEA=0588 08

고13 있지만13 전반적으로13 그리13 높지13 않은13 것으로13 나타내고13 있다 반면에13 최종모

형의13 모형부합지수는13 기본모형과13 마찬가지로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 001

미하며13 GFI=901 AGFI=878 NFI=783 CFI=837 IFI=839 RMSEA=

로13 기본모형보다13 다소13 향상되었다 결정계수에13 있어서도 최종모형은13 0594

기본모형에13 비해13 설명력이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 기본모형의13 ( R2=117 222

최종모형의13 044 R2=188 104 056)

동일한13 방식으로13 미국의13 기본모형과13 최종모형의13 추정13 결과 기본모형의13 모

형부합지수는13 정확합치인13 x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미할13 뿐만13 아니라13 001

근사합치인13 GFI=904 AGFI=882 NFI=801 CFI=867 IFI=869

로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모형부합지수를13 나타내고13 있지만13 전반RMSEA=054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7

그림13 2 사회제도신뢰를13 검증하기13 위한13 최종모형 한국13 -

그림13 3 사회제도신뢰를13 검증하기위한13 최종모형 미국13 -

적으로13 그리13 높지13 않는13 부합지수를13 나타내고13 있다 반면에13 최종모형의13 모형

부합지수는13 기본모형과13 마찬가지로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하며13 001

로13 GFI=896 AGFI=871 NFI=782 CFI=867 IFI=889 RMSEA=0539

148 김상돈

기본모형보다13 다소13 향상되었다 또한13 결정계수에13 있어서도 최종모형은13 기본

모형에13 비해13 설명력이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기본모형의13 ( R2=034 174 028

최종모형의13 R2=099 245 039)

모형13 찾기에서13 선정된13 최종모형에13 기초하여13 제반13 외생변인들의13 인과적13 단

위영향을13 보여주는13 구조모형을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추정한13 결과는13 lt표13

6gt에13 제시하였다 구조모형의13 추정결과를13 우선13 살펴보면 기본모형에서13 배제

되었던13 경로들13 가운데13 사회단체참여rarr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경제

적13 지위rarr사회단체참여로13 향하는13 경로만이13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이13 높고13 수정지표도13 현저한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사회경제적13 지위 rarr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rarr사회제도신뢰로13 향하는13 경로들은13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이13 낮고13 수정지표13 또한13 현저하지13 못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각13 내생변인과13 관련한13 결과를13 순서대로13 살펴보면13 다음과13 같다

첫째 사회단체참여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

위 남성 광역시(B=378) (B=220) (B=-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유의미한13 170)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B=416)

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과13 남성 그리고13 기타도시에13 거주하는13

사람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반면에13 미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만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이다

둘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남성(B=189) (B=- 기혼144) (-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유의470)

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남성더미(B=152) (B=- 기혼더미137) (B=- 광역시 등13 네13 372) (B=130)

가지13 변인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과13 여성 미혼은13 사회적13 지원을13 강한13 연

계보다는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광역시에13 거주하는13 사

람들은13 한국사회13 보다13 미국에서13 강한13 연계보다13 약한13 연계에13 사회적13 지원을13

요청한다

셋째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단체참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9

사회경제적13 지위(B=151) (B=- 등13 두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246)

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B=144)

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은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

데13 비해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들은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불신이13 높게13

나타났다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이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났다

변인

한국(N=979) 미국(N=535)

단체참여 사회적지원 사회제도신뢰 단체참여 사회적지원 사회제도신뢰

r B r B r B r B r B r B

매개내생변인

사회적13 지원 048 - -017 -

매개외생변인

단체참여 - 090 189 043 151 104 152 158 144

외생변인

SES 387 378 070 - -192 -246 409 416 197 - 093 031

통제변인

남성13 더미 273 220 -094 -144 -024 -033 006 026 -152 -137 040 039

기혼13 더미 104 068 -451 -470 006 005 109 018 -352 -372 064 037

광역시13 더미 -136 -170 047 053 -005 -007 146 066 147 130 -004 -023

R2 237 220 056 183 195 030

χ2 1187022(df=283) (plt001) 687058(df=283) (plt001)

모형부합치 GFI=915 AGFI=894 NFI=808

CFI=846 IFI=847 RMSEA=0572

GFI=910 AGFI=888 NFI=812

CFI=880 IFI=881 RMSEA=0517

주 제시된13 계수는13 표준화계수이며 통계적13 유의도는13 비표준화계수에13 대한13 검증임 1)

계수를13 연차적으로13 자유모수로13 개방하여13 추정한13 최종모형임2) B21 11 Γ

단측검증 단측검증 단측검증3) p 05 p 01 p 001 < < <

표13 6<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요인들에13 대한13 추정13 결과13 LISREL13

다음은13 사회제도신뢰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대한13 직접 간접 전체영향을13 분리시킨13 경로분석을13 시도한다 그13 결과는13 lt표13 7gt과13 같다

우선 사회제도신뢰의13 경로분석결과를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유의미한13

요인들과13 그13 영향에13 대한13 절대적13 크기순서대로13 나열하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

제적13 지위(B=- 사회단체참여 로13 구성되며 미국에서는13 단체참여189) (151)

변인만으로13 구성되었다 이13 같은13 결과를13 각13 변인별로13 보다13 상세히13 (B=144)

150 김상돈

살펴보면13 먼저 양13 국가13 모두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와13 사회단체참여변인

을13 연결하는13 제 의13 변인은13 존재하지13 않기13 때문에13 사회단체참여의13 전체영향3

은13 직접영향 한국 미국 만으로13 구성되며13 그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 =151 =144)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다 다음으로 사회경제적13 지위13 변인은13 한국

에서13 강한13 부의13 인과적13 영향(B=- 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며13 직접영189)

향(B=- 및13 간접영향 모두13 유의미하였고13 전체의13 가13 직접246) (B=057) 130

영향으로13 구성된다 반면에13 미국에서13 직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으나13 간접영

향 은13 유의미하다 이상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사회단체참여의13 (B=060)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그13 영향의13 구체적13 방향이13 이론적13 예측과13 예외13 없이13 일

치한13 반면에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사회경제적13 지위의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이론적13 예측과13 일치하지13 않았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대한13 경로분석결과를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들과13 그13 영향에13 대한13 절대적13 크기순서대로13 나

열하면 한국에서는13 기혼 (B=- 단체참여 남성457) (B=189) (B=- 사회102)

경제적13 지위 순으로13 구성되며 미국에서는13 기혼(B=071) (B=- 단체참374)

여 광역시 남성(B=152) (B=140) (B=- 사회경제적13 지위 순133) (B=063)

으로13 구성된다 이13 같은13 결과를13 각13 변인별로13 보다13 상세히13 살펴보면 첫째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사회단체참여변인을13 연결하는13 제 의13 3

변인은13 존재하지13 않기13 때문에13 사회단체참여의13 전체영향은13 직접영향한국(

미국 만으로13 구성되며13 그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189 =152)

의미하다 둘째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영향이13 사회단체

참여에13 의해13 전적으로13 매개된13 간접영향한국 미국 으로만13 구성( =069 =063)

되었다 셋째 기혼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직접영향한국 ( =- 미국470 =-371)

만이13 유의미한13 반면에13 간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았다 넷째 남성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직접영향 한국( =- 미국144 =- 이13 유의미하고13 간접영향은13 한137)

국 만이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고13 미국에서는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것(B=042)

으로13 나타났다 다섯째 광역시13 변인은13 한국에선13 직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

은13 대신에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된13 간접영향(B=- 은13 유의미한13 반면032)

에13 미국에선13 사회단체참여에13 매개된13 간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대신에13 직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1

접영향 은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B=130)

한국(N=979) 미국(N=535)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변인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매개변인

사회적지원

단체참여 189 189 151 151 152 152 144 144

외생변인

SES 071 071 -246 057 -189 063 063 030 060 090

통제변인

남성더미 -144 042 -102 -033 033 000 -137 004 -133 039 004 043

기혼더미 -470 013 -457 -026 010 016 -371 -003 -374 038 -003 035

광역시더미 033 -032 001 -006 -026 -032 130 010 140 -023 -009 -014

제시된13 계수는13 표준화계수이며 통계적13 유의도는13 비표준화계수에13 대한13 검증임1)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지원에13 미치는13 영향2) ( ) times ( )=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미치는13 영향3) ( ) times ( )=

전체영향13 직접영향13 간접영향4) = +

단측검증 단측검증 단측검증 p 05 p 01 p 001 < < <

표13 lt 7gt 사회적13 지원과13 사회제도신뢰를13 설명하는13 요인들의13 직접13 간접 전체영향을13 분리한13 경로분석결과LISREL13 1)

논의13 및13 결론V

이13 연구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

회제도신뢰13 등에13 대한13 기술통계13 및13 판별집합타당성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차

이 매개효과13 등을13 실증적으로13 규명할13 목적으로13 수행되었다 이를13 위하여13 유

교공동체주의와13 합리적13 개인주의모델의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특성을13 지니고13 있

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를13 선정하여13 국제사회종합조사 자료모듈인13 (ISSP)

와13 자료를13 대상으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과13 관련KGSS 2004 GSS 2001

된13 일련의13 연구13 가설을13 제시하여13 검증하였다

첫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적13 신뢰 ( )

152 김상돈

은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확연히13 다른13 평균차이를13 보여주고13 있다 사회단

체참여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상대적으로13 더13 적극( =1479) ( =1732)

적이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국에서13 저조

한13 이유는13 년13 이후13 신사회운동을13 포함한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추세에1987

도13 불구하고13 시민사회의13 공론장이13 모순적으로13 제도화되었기13 때문이다 이는13

사회공간이13 존재하는13 것과13 그13 공간에13 참여하는13 것과는13 별개의13 개념임을13 의미

한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은13 미국평균 보다13 한국평균 에서13 약 ( =3187) ( =4541)

한13 연계에13 더13 활용되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

용이13 한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분석결과는13 학연 지연 혈연13 등13 연고13 집단으로13 인해13 사회적13 자본이13 풍부하다고13 주장한13 연구유석춘13 외 와13 일치된다( 2002)

다른13 한편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더13 ( =1733) ( =2075)

높으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제도신뢰가13 한국보다13 미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사실은13 정치 경제적으로13 성공한13 국가가13 그렇지13 못한13 국가보다13 상대적으로13 제도신뢰가13 더13 높을13 것이라고13 제시한13 거시적13 차원에서의13 연구결과

와13 부합된다(Putnam 1993 1995 Fukuyama 1995)

둘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

사회제도신뢰사이에는13 판별) 집합타당도가13 유지된다는13 사실을13 강조할13 필요가13 있다 탐색적13 요인분석과13 더불어13 확인적13 요인분석을13 실시한13 결과에서13 나

타난바와13 같이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을13 측정하기13 위한13 문항들은13 제각기13

해당차원의13 개념들만을13 측정할13 뿐만13 아니라13 이들13 차원들이13 각기13 별도의13 개념

을13 형성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3-요인모형이13 최적모형으로13 판명됨으로써13 3-요인

모형에13 잠재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의13 판별 수렴타당도가13 존재함을13 보여준다 아울러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들13 사이의13 상관관계조차도13 상당히13 미

약한13 것으로13 드러남으로써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13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13 등은13 각기13 별개의13 구성체들로13 이루어져있음이13 나타났다

셋째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 (

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 의13 불평등을13 밝히는데13 사용되었다 사회단체 )

참여와1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변인으로13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와13 접한13

관련성을13 맺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나13 사회제도신뢰에13 있어서13 강한13 부(- 의13 상관13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3

및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와13 사회적13 지원13 연결망활용의13 인과변인으로서13 중요하게13 나타났다 그러나13 한

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

타났으며13 미국에서는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타나13 이들13 연구가설13

모두13 기각된13 결과로13 나타났다 기각된13 이유는13 통계적13 해석과13 담론적13 해석13 두13

가지로13 논의할13 수13 있는데 첫13 번째13 이유는13 사례수와13 변량13 등13 통계적13 근거에

서13 설명할13 수13 있다 예컨대13 구조모형의13 추정에13 동원된13 측정변인13 및13 이론변인

의13 수를13 감안할13 때13 제한된13 사례13 수한국 미국 는13 여러13 변인들의13 ( =979 =535)

변량을13 제한하고13 표준오차를13 증가시킴으로써13 각각13 사회적13 지원13 및13 사회적13 신

뢰의13 통계적13 유의도를13 상실하게13 하는13 원인으로13 작용될13 가능성이13 있다 통계

적13 해석보다13 중요한13 담론적13 해석은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설명유교공동체주의(

자유민주주의에서13 그13 이유를13 예측할13 수13 있다 한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하다는13 사실은13 서구사회의13 인간관계와13 유

사할13 정도로13 진행되고13 있음에도13 불구하고13 여전히13 유교공동체주의모델이13 존

재함을13 보여준13 결과이다 미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

하다는13 사실은13 한국과13 달리13 부의13 불평등에13 대해13 당연시하는13 미국인의13 태도

개인주의 시장의13 제도화13 등13 맥락변인에서13 설명될13 가능성이13 높음을13 예측하게13

한다

넷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강력한13 단위영향과13 관련하여13 한

국 은13 미국 보다13 상대적으로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B=189) (B=152)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한국 은13 미국 보다13 (B=071) (B=06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서도13 사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

우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222 R2 에13 비하여13 포함된13 경우한국=173) (

사회의13 R2 미국사회의13 =243 R2 에13 대한13 설명력이13 각각13 =188) 21 15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이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에13 있어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

거를13 시사하는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사회단체참여의13 경제행위를13 이

해하는데13 있어서13 영리적13 차원의13 자기이해와13 합리적13 선택론에13 근거한13 신제도

주의이론으로만13 온전히13 설명할13 수13 없다는13 점을13 밝히면서13 한편으로는13 개별행

154 김상돈

위자들이13 현재13 맺고13 있는13 사회연결망에13 의해서13 형성된다고13 본13 신경제사회학

의13 이론적13 논의를13 부각시켰다는13 점에서13 시사하는13 바가13 크다 이로써13 사회단

체참여는13 다양한13 사람들과의13 사회적13 관계에서13 유통되는13 사회적13 지원을13 제공

해주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척도로서13 의미13 있는13 구성지표이다

다섯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B=144

보다13 한국 에서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지만 사회경제적13 plt05) (B=151 plt05)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는13 한국 보다13 미국(B=057 plt05)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B=060 plt05) 5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13 있어서도13 사

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미국사회의13 ( R2=037 R2 에13 비=028)

하여13 포함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056 R2 의13 설명력은13 =030)

한국과13 미국13 각각13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은13 작19 02

은13 증가를13 나타냈으나13 단위13 영향13 및13 간접영향13 모두13 높게13 형성되어13 사회단체

참여가13 제도신뢰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거를13 시사

한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공적13 시민정신의13 연구결과들 (Tocqueville

과13 일치됨으로써13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과13 미국13 1845 Putnam 1993 1995)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신뢰의13 중요한13 관건임을13 밝혀냈다 그러나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약한13 정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

데 이러한13 결과가13 나타난13 사실은13 년13 이후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로13 인 1987

해13 시민의13 정치참여를13 높이는데13 일정정도13 기여했으나13 민주적13 시민덕목을13 배

양하는데13 있어서는13 그리13 성공하지13 못한13 데에서13 추측할13 수13 있다 이를13 위해서

는13 중복적13 참여13 및13 자기이해(self- 에13 기초한13 소극적13 참여에서13 호혜성interest)

규범과13 사회적13 신뢰형성을13 위한13 제도적13 메커니즘으로의13 사회단체참여13 구축

이13 무엇보다13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이13 사회제도신뢰에13 미치는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이러한13

사실은13 사회적13 자본의13 연구결과 김용학(Pagden 1988 Fukuyama 1995 손

5 이와13 반대로 결측치에13 개별평균값을13 대체하기전의13 추정결과에서 사회단체참 LISREL

여의13 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B=169 plt05) (B=133 plt05)

더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높게13 나타났다(B=049 plt05) (B=043 plt0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5

재석 이재열 에서13 제시된13 반경범위 내집단13 족쇄 연고13 집단13 등 1998 1998)

의13 용어를13 사용하면서 가족13 및13 개인연결망13 활용이13 공적영역의13 신뢰를13 식민

화하여13 사회13 전체적으로13 저신뢰사회가13 된다고13 주장한13 논의와13 일치하지13 않는13

결과이다 즉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사이의13

관계가13 서로13 양립13 가능한13 현상을13 보여주어13 매개역할13 또한13 기각되었다

종합컨대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상관관계와13 유의미한13 정 의13 인과관계로13 작동하는데13 비해13 미국에서는13 상관13 (+)

및13 인과관계13 모두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 한편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

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은13 약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13 것으 (+)

로13 나타났다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의13 중요한13 인과변인인13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양13 국가13 모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력을13 미치고13 있으며 사회경제적13 지(+)

위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두13 가지13 구성개념사회제도신뢰13 및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 )

인과적13 영향은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되었다는13 사실13 또한13 이13 연구에서13 밝

혀냈다

이상의13 연구에도13 불구하고13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한국의13 ( R2 237 220

미국의13 056 R2 이13 낮게13 형성되었다는13 점과13 와13 183 195 030) KGSS 2004

자료에13 한정하여13 분석하였기13 때문에13 분석결과의13 해석과13 일반화에13 GSS 2001

한계가13 있을13 수13 있다 예를13 들면13 년과13 년이라는13 특정한13 시기에13 조 2004 2001

사가13 이루어졌다는13 점에서13 이론적 경험적으로13 함축하는13 바가13 있다고13 하더라도13 외적13 타당성의13 문제점을13 지닌다 그리고13 이13 연구는13 전국규모를13 대상으로13

조사되었다는13 점에서13 의미하는13 바가13 있지만13 시계열적13 자료를13 통한13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정 한13 검증을13 하지13 못하였다는13 점에서도13 그13 한계가13 있음을13 밝혀

둔다 따라서 향후13 후속연구에서13 제시된13 모델들을13 보다13 정교화하는13 이론적13

작업과13 더불어13 다양한13 변인들을13 충분히13 활용하며13 통시적13 연구13 및13 국가간의13

비교연구13 등을13 통해13 경험적13 연구들이13 진행되어야13 할13 것이며 연구자의13 관심

과13 노력으로13 연구의13 질적13 향상을13 기대해본다

156 김상돈

참고문헌

국민호 동아시아경제발전과13 유교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1997 31 1 pp 29-59「 」 985172 985173김상욱 조직몰입의13 하위차원들의13 타당도평가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2001 35 3 pp 「 」 985172 985173

109-138

김용학 손재석 미시적13 신뢰와13 거시적13 위험 계간사상 1998 38 pp 115-132 「 」 985172 985173이재열 민주주의 사회적13 신뢰 사회적13 자본 계간사상 1998 38 pp 65-93「 」 985172 985173유석춘 외 사회자본과13 신뢰 한국 일본 덴마크 스웨덴13 비교13 연구 동서연구 2002 「 」 985172 985173

권13 호14 1 pp 101-135

장수찬 한국사회에13 나타난13 악순화의13 사이클 한국정치학회보 권13 호 2002 36 1 pp 「 」 985172 98517387-112

한국13 사회과학도서관13 홈페이지 2005 httpwwwksslorkr

Banfield E 1967 The Moral Basis of a Backward Society New York Free Press

Billiet JB and Bart Cambre 1999 ldquoSocial capital active membership in voluntary

associations and some aspects of political participatio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Bourdieu Piere 1984 The Distiction A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Brehm John amp Wendy Rahn 1997 ldquoIndividual-level evidence for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social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41(3)

pp 999-1023

Burt R 1992 Structure Holes The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Coleman James 1988 ldquo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pp 94-121

DiMaggio Paul and Hugh Louch 1998 ldquoSocially Embedded Consumer Transaction

For What Kinds of Purchases Do People Most Often Use Networks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3 pp 619-637

Fukuyama Francis 1995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perty

NewYork Free Press Paper Backs Book

Gambetta Diego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Financial Capital The

Case of Network Marketing Champaign Stipes

Ganzeboom H B G and DJ Treiman 1996 ldquoInternationally Comparable Measures

of Occupational Status for the 1988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rdquo Social Science Research 25 pp 201-239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7

Giddens Anthony 1990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Stanford Stanford UP

Granovetter Mark 1985 ldquoEconomic Action and Social Structure The Problem of

Embeddedness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1 pp 481-510

Inglehart R 1999 Culture Shift in Advanced Industrial Societ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Joumlreskg Karl G and Soumlrbom Dag 1989 LISREL 7 A Guide to the Program and

Applications Chicago SPSS Inc

Lin Nam 1982 ldquoSocial Resource and Instrumental Actionrdquo In Social Structure and

Network Analysis edited by Peter Marsden and Nan Lin Beverly Hill CA

Sage Publication

Loury Glen 1977 ldquoA Dynamic Theory of Racial Income Differencerdquo In PA

Wallace amp A LeMund (eds) Woman Minorities and Employment Discrimi-

nation Lexington Lexington Books

Luhmann Niklas 1988 ldquoFamiliarity Confidence Trust Problems and Alternativesrdquo In D Gambetta (ed)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New York Basil Blackwell

McPherson J Miller 1983 ldquoAn Ecology of Affiliation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8 pp 519-532

Newton Kenneth 1997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rdquo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0(5) pp 575-586

Newton Kenneth 1999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 in Modern Euroupea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s)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Olson ME 1965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Pagden Anthony 1988 ldquoThe Destruction of Trust and its Economic Consequence in

the Case of Eighteenth-century Naplesrdquo In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edited by D Gambetta Oxford Blackwell

Paxton Pamela 1999 ldquoIs Social Capital Declining in the US A Multiple Indicator

Assessment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5(1) pp 88-126

Portes A 1998 ldquoSocial Capital Its Origin and Application in Modern Sociologyrdquo Annual Review of Sociology 24 pp 1-24

Portes A 2000 ldquoThe Two Meaning of Social Capitalrdquo Sociological Forum 15(1)

pp 1-12

Putnam Robert 1993 Making Democracy Work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utnam Robert 1995 ldquoBowling Alone Americans Declining Social Capitalrdquo Journal of Democracy 6(1) pp 65-78

Sztompka P 1999 Trust A Sociological Theor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8 김상돈

Toqueville Alexis de [1835 1840] 1990 Democracy in America(Reprint) New

York Vintage

Verba Sidney Kay Lehman Schlozman and Henry E 1995 Voice and Equality

Civic Voluntarism in American Politics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son Oliver E 1993 ldquoCaculativeness Trust and Economic Organizationrdquo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36(3) pp 453-486

Zucker Lynn G 1986 ldquoProduction of Trust Institutional Sources of Economic

Structurerdquo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8 pp 53-111

Comparison Analysi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n the Causal Structure of Trust in Social InstitutionsWith a focus on Mediation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and

Social Support

Sang-don KimLecturer in The University College at Sungkyunkwan University

This Study explores the multiplicativ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social institutions trus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do this a set of hypotheses concerning th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are set forth and subjected to an empirical assessment by using data set

collected from KGSS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2004 and GSS (General

Social Survey) 2001 out of the ISSP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lanning)

Modules

Analysis of data in terms of ML (Maximum Likelihood) procedure in

LISREL852 was used and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s (1) The unit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on association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2)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status on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but They were appear to be an important predictor to

Korea (3)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on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4) Association participation was especially in

shaping social support and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to the two nations

This study is interpreted that further research on the topic of social capital are

raised with elaborating the measure on the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political efficacy consciousness of social class and so forth coupled with

advertising a few limitation of this study

Keyword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KGSS GSS ISSP

김상돈 성균관대학교13 학부대학강사13

경기도13 수원시13 장안구13 조원동13 한일타운13 동13 호13 119 703 440-709

Tel_01113 912013 132313 13 E-mail_education17hanmailnet

Page 19: 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 미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64/1/5.%e1%84%80%e1...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미비교연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3

모형검증의13 타당도평가2

이13 절에서는13 내생변인들에13 대한13 모형검증의13 타당도를13 분석한다 모형검증

의13 타당도를13 분석하기13 위해서는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13 변인13 등은13 탐색적13 요인분석과13 확인적13 요인분석이13 사용된다

탐색적13 요인분석결과 표본적절성13 측정치인13 값한국 미국 KMO ( =773

은13 적절한13 수준이었으며13 의13 구형성13 검증13 통계치의13 유의수준은13 =752) Bartlett

양13 국가13 모두13 으로13 보다13 작아13 자료의13 상관이13 요인에13 적합한13 것으로13 000 05 3

나타났다 제 요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13 개13 문항13 가운데13 개의13 측정변인 1 20 11

들이13 묶이는13 것으로서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에13 해당한다 제 요인은13 양13 2

국가13 모두13 전체문항13 가운데13 개13 문항의13 측정변인을13 요인13 구성하였으며13 사회6

단체참여에13 해당한다 마지막으로13 제 요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문항13 가운데13 3

개문항의13 측정변인을13 요인13 구성하였으며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해당3

한다 또한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의13 내적일

치성을13 알아보기13 위해13 의13 계수로13 평가한13 결과 한국Cronbach ( =8029 α

미국 로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신뢰도를13 보5192 5051 = 7658 5746 6933)

이고13 있었다 이상의13 결과를13 보면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단체참여변인이13 각기13 별개구성체로13 구성되고13

있음을13 보여준다

확인적13 요인분석결과는13 lt표13 5gt에13 제시하였다 분석에13 포함된13 문항들이13 어

떠한13 공통요인도13 형성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귀무모형이나13 모든13 문항들이13

사회적13 자본이라는13 단일차원의13 개념을13 측정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1-요인모형

두13 가지13 별개차원의13 개념들을13 측정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요인모형 세13 가지13 2

차원의13 개념들을13 각기13 별도로13 측정하도록13 제약을13 가해진13 요인모형으로13 구3

성되었다

144 김상돈

표13 lt 5gt 사회적13 자본13 하위차원에13 대한13 확인적13 요인분석 결과 한국 미국13 (CFA)13 -( N 97913 N=535)=

귀무모형(M0) (M1)

요인모형1

요인모형2요인모형3- 9)

(M2_1) (M2_2) (M2_3)8)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χ2 4465901

(p 001)<

2671725

(p 001)<

1235222

(p 001)<

1097272

(p 001)<

887151

(p 001)<

533939

(p 001)<

1030632

(p 001)<

942579

(p 001)<

899901

(p 001)<

540723

(p 001)<

692709

(p 001)<

383604

(p 001)<

DF 190 190 170 170 169 169 169 169 169 169 167 167

GFI1) - - 888 830 917 909 905 850 916 908 934 933

AGFI2) - - 861 789 897 887 882 814 895 886 917 916

NFI3) - - 745 651 809 814 788 713 806 791 850 855

CFI4) - - 773 693 840 886 818 759 837 844 882 911

IFI5) - - 774 695 841 916 819 761 837 845 883 912

1) Goodness of Fit Index2) Adjusted Goodness of Fit Index3) Normed Fit Index4) Comparative Fit Index5) Incremental Fit Index6) 두13 요인들13 간 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13 사회제도신뢰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68(pgt05) =156(pgt05)]對 7) 두13 요인들13 간 단체참여 사회제도신뢰13 사회적13 지원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52(pgt05) =對 -002(pgt05)]8) 두13 요인들13 간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13 단체참여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65(pgt05) =157(plt01)]對 =9) 세13 요인들13 간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051(pgt05) 061(pgt05) 123(plt05) -013(pgt05)157(plt01)

092(pgt05)]

lt표13 5gt를13 살펴보면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13 귀무모형이나13 1-요인모형

에13 비해13 요인모형들 의13 경우가13 수치2 (M2_1 M2_2 M2_3) 2 (p( 2) χ χ

가13 적을13 뿐만13 아니라13 여러13 가지13 모형부합지수도13 큼을13 알13 수13 있다lt001) 2-

요인모형13 가운데13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이13 하나의13 요인

을13 형성하고13 사회제도신뢰가13 또13 하나의13 요인을13 형성하도록13 제약을13 가한13

모형이13 모형13 및13 모형에13 비해13 수치 가13 M2_1 M2_2 M2_3 2 (p( 2)lt001)χ χ

적을13 뿐만13 아니라13 여러13 가지13 모형부합지수 한국( GFI=917 AGFI=897

미국NFI=809 CFI=840 IFI=841 RMSEA=0569 GFI=909 AGFI=

도13 큼을13 알13 수13 있어13 887 NFI=793 CFI=846 IFI=847 RMSEA=0636)

더13 적절한13 모형이었다 그러나13 세13 가지13 차원의13 개념들을13 각기13 별도로13 측정하

도록13 제약이13 가해진13 3-요인모형은13 어떠한13 요인모형들에13 비해서13 보다도13 모형2

부합지수한국( GFI=934 AGFI=917 NFI=850 CFI=882 IFI=88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5

미국RMSEA=0567 GFI=933 AGFI=916 NFI=855 CFI=911

가13 현격히13 향상되었다 이는13 양13 국가13 모두13 여러13 IFI=912 RMSEA=0493)

가지13 경쟁적인13 내재모형13 가운데13 요인모형이13 최적모형으로써13 분석에13 포함된13 3

문항들이13 세13 가지13 별개의13 구성체들을13 측정하고13 있으며 이13 구성체들13 간에는13

판별집합타당도가13 유지됨을13 확인시켜주는13 결과이다 이로써13 요인모형에13 잠 3

재된13 변인들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이13 각기13 ( )

별개의13 구성체들임을13 보여준다 뿐만13 아니라13 이13 내생변인들13 상호간에는13 연관

관계도13 그다지13 강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모형검증의13 추정결과3

이13 절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13

사이가13 이론적 경험적13 사실과13 어느13 정도13 부합되는지를13 검증한다 이를13 위해13

이들13 변인들13 사이의13 상관13 및13 인과관계 그리고13 경로분석이13 어떻게13 나타나는

지를13 로13 추정한다LISREL 4

측정모형분석에13 근거하여13 여타변인들의13 영향이13 통제되지13 않는13 영차상관관

계(zero- 를13 산출한13 결과는13 order correlation) lt표13 6gt에13 제시하였다 우선 사

회제도신뢰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

회경제적13 지위(r=- 변인만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관계로13 나타난13 192)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 (r=158)

다 이는13 한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불신이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에13 적극적으로13 참여할수록13 제

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났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

활용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남성더미

(r=- 기혼더미094) (r=- 등13 두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451)

4 측정모형분석에13 앞서13 개13 측정변인에13 대한13 다중13 공선성13 여부를13 검증하였다 검증결27

과 연령변인이13 한국이13 으로13 다중공선성이13 의심되는13 바13 연령변인을13 제외하고13 재 646

추정하여13 분석하였다

146 김상돈

관계로13 나타났다 이에13 비해13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남성더미 (r=197)

(r=- 기혼더미152) (r=- 광역시13 더미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이13 통352) (r=147)

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국에서는13 여성일수록 미혼일수록13

사회적13 지원을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되어진다면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여성일수록 미혼일수록 메트로폴리스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적13 지원

을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다른13 한편 사회단체참여에13 유의

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남성더 (r=387)

미 기혼더미 광역시더미(r=273) (r=104) (r=- 변인13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이13 136)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관계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

위 기혼더미 광역시더미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r=409) (r=109) (r=146)

적으로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다시13 말해13 한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남성일수록 기혼일수록 기타도시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반면에 미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기혼일수록 메트로

폴리스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단체에13 적극적으로13 참여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이어서13 사회제도신뢰와13 인과변인사이의13 인과관계는13 구조모형에13 대한13 추정

을13 통해13 규명한다 한국의13 기본모형과13 최종모형의13 추정13 결과 기본모형의13 모

형부합지수는13 정확합치인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미할13 뿐만13 아니라13 001

근사합치인13 GFI=911 AGFI=890 NFI=790 CFI=837 IFI=838

로13 보다13 작아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모형부합지수를13 나타내RMSEA=0588 08

고13 있지만13 전반적으로13 그리13 높지13 않은13 것으로13 나타내고13 있다 반면에13 최종모

형의13 모형부합지수는13 기본모형과13 마찬가지로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 001

미하며13 GFI=901 AGFI=878 NFI=783 CFI=837 IFI=839 RMSEA=

로13 기본모형보다13 다소13 향상되었다 결정계수에13 있어서도 최종모형은13 0594

기본모형에13 비해13 설명력이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 기본모형의13 ( R2=117 222

최종모형의13 044 R2=188 104 056)

동일한13 방식으로13 미국의13 기본모형과13 최종모형의13 추정13 결과 기본모형의13 모

형부합지수는13 정확합치인13 x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미할13 뿐만13 아니라13 001

근사합치인13 GFI=904 AGFI=882 NFI=801 CFI=867 IFI=869

로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모형부합지수를13 나타내고13 있지만13 전반RMSEA=054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7

그림13 2 사회제도신뢰를13 검증하기13 위한13 최종모형 한국13 -

그림13 3 사회제도신뢰를13 검증하기위한13 최종모형 미국13 -

적으로13 그리13 높지13 않는13 부합지수를13 나타내고13 있다 반면에13 최종모형의13 모형

부합지수는13 기본모형과13 마찬가지로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하며13 001

로13 GFI=896 AGFI=871 NFI=782 CFI=867 IFI=889 RMSEA=0539

148 김상돈

기본모형보다13 다소13 향상되었다 또한13 결정계수에13 있어서도 최종모형은13 기본

모형에13 비해13 설명력이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기본모형의13 ( R2=034 174 028

최종모형의13 R2=099 245 039)

모형13 찾기에서13 선정된13 최종모형에13 기초하여13 제반13 외생변인들의13 인과적13 단

위영향을13 보여주는13 구조모형을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추정한13 결과는13 lt표13

6gt에13 제시하였다 구조모형의13 추정결과를13 우선13 살펴보면 기본모형에서13 배제

되었던13 경로들13 가운데13 사회단체참여rarr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경제

적13 지위rarr사회단체참여로13 향하는13 경로만이13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이13 높고13 수정지표도13 현저한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사회경제적13 지위 rarr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rarr사회제도신뢰로13 향하는13 경로들은13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이13 낮고13 수정지표13 또한13 현저하지13 못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각13 내생변인과13 관련한13 결과를13 순서대로13 살펴보면13 다음과13 같다

첫째 사회단체참여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

위 남성 광역시(B=378) (B=220) (B=-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유의미한13 170)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B=416)

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과13 남성 그리고13 기타도시에13 거주하는13

사람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반면에13 미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만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이다

둘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남성(B=189) (B=- 기혼144) (-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유의470)

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남성더미(B=152) (B=- 기혼더미137) (B=- 광역시 등13 네13 372) (B=130)

가지13 변인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과13 여성 미혼은13 사회적13 지원을13 강한13 연

계보다는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광역시에13 거주하는13 사

람들은13 한국사회13 보다13 미국에서13 강한13 연계보다13 약한13 연계에13 사회적13 지원을13

요청한다

셋째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단체참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9

사회경제적13 지위(B=151) (B=- 등13 두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246)

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B=144)

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은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

데13 비해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들은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불신이13 높게13

나타났다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이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났다

변인

한국(N=979) 미국(N=535)

단체참여 사회적지원 사회제도신뢰 단체참여 사회적지원 사회제도신뢰

r B r B r B r B r B r B

매개내생변인

사회적13 지원 048 - -017 -

매개외생변인

단체참여 - 090 189 043 151 104 152 158 144

외생변인

SES 387 378 070 - -192 -246 409 416 197 - 093 031

통제변인

남성13 더미 273 220 -094 -144 -024 -033 006 026 -152 -137 040 039

기혼13 더미 104 068 -451 -470 006 005 109 018 -352 -372 064 037

광역시13 더미 -136 -170 047 053 -005 -007 146 066 147 130 -004 -023

R2 237 220 056 183 195 030

χ2 1187022(df=283) (plt001) 687058(df=283) (plt001)

모형부합치 GFI=915 AGFI=894 NFI=808

CFI=846 IFI=847 RMSEA=0572

GFI=910 AGFI=888 NFI=812

CFI=880 IFI=881 RMSEA=0517

주 제시된13 계수는13 표준화계수이며 통계적13 유의도는13 비표준화계수에13 대한13 검증임 1)

계수를13 연차적으로13 자유모수로13 개방하여13 추정한13 최종모형임2) B21 11 Γ

단측검증 단측검증 단측검증3) p 05 p 01 p 001 < < <

표13 6<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요인들에13 대한13 추정13 결과13 LISREL13

다음은13 사회제도신뢰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대한13 직접 간접 전체영향을13 분리시킨13 경로분석을13 시도한다 그13 결과는13 lt표13 7gt과13 같다

우선 사회제도신뢰의13 경로분석결과를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유의미한13

요인들과13 그13 영향에13 대한13 절대적13 크기순서대로13 나열하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

제적13 지위(B=- 사회단체참여 로13 구성되며 미국에서는13 단체참여189) (151)

변인만으로13 구성되었다 이13 같은13 결과를13 각13 변인별로13 보다13 상세히13 (B=144)

150 김상돈

살펴보면13 먼저 양13 국가13 모두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와13 사회단체참여변인

을13 연결하는13 제 의13 변인은13 존재하지13 않기13 때문에13 사회단체참여의13 전체영향3

은13 직접영향 한국 미국 만으로13 구성되며13 그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 =151 =144)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다 다음으로 사회경제적13 지위13 변인은13 한국

에서13 강한13 부의13 인과적13 영향(B=- 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며13 직접영189)

향(B=- 및13 간접영향 모두13 유의미하였고13 전체의13 가13 직접246) (B=057) 130

영향으로13 구성된다 반면에13 미국에서13 직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으나13 간접영

향 은13 유의미하다 이상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사회단체참여의13 (B=060)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그13 영향의13 구체적13 방향이13 이론적13 예측과13 예외13 없이13 일

치한13 반면에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사회경제적13 지위의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이론적13 예측과13 일치하지13 않았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대한13 경로분석결과를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들과13 그13 영향에13 대한13 절대적13 크기순서대로13 나

열하면 한국에서는13 기혼 (B=- 단체참여 남성457) (B=189) (B=- 사회102)

경제적13 지위 순으로13 구성되며 미국에서는13 기혼(B=071) (B=- 단체참374)

여 광역시 남성(B=152) (B=140) (B=- 사회경제적13 지위 순133) (B=063)

으로13 구성된다 이13 같은13 결과를13 각13 변인별로13 보다13 상세히13 살펴보면 첫째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사회단체참여변인을13 연결하는13 제 의13 3

변인은13 존재하지13 않기13 때문에13 사회단체참여의13 전체영향은13 직접영향한국(

미국 만으로13 구성되며13 그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189 =152)

의미하다 둘째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영향이13 사회단체

참여에13 의해13 전적으로13 매개된13 간접영향한국 미국 으로만13 구성( =069 =063)

되었다 셋째 기혼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직접영향한국 ( =- 미국470 =-371)

만이13 유의미한13 반면에13 간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았다 넷째 남성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직접영향 한국( =- 미국144 =- 이13 유의미하고13 간접영향은13 한137)

국 만이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고13 미국에서는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것(B=042)

으로13 나타났다 다섯째 광역시13 변인은13 한국에선13 직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

은13 대신에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된13 간접영향(B=- 은13 유의미한13 반면032)

에13 미국에선13 사회단체참여에13 매개된13 간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대신에13 직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1

접영향 은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B=130)

한국(N=979) 미국(N=535)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변인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매개변인

사회적지원

단체참여 189 189 151 151 152 152 144 144

외생변인

SES 071 071 -246 057 -189 063 063 030 060 090

통제변인

남성더미 -144 042 -102 -033 033 000 -137 004 -133 039 004 043

기혼더미 -470 013 -457 -026 010 016 -371 -003 -374 038 -003 035

광역시더미 033 -032 001 -006 -026 -032 130 010 140 -023 -009 -014

제시된13 계수는13 표준화계수이며 통계적13 유의도는13 비표준화계수에13 대한13 검증임1)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지원에13 미치는13 영향2) ( ) times ( )=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미치는13 영향3) ( ) times ( )=

전체영향13 직접영향13 간접영향4) = +

단측검증 단측검증 단측검증 p 05 p 01 p 001 < < <

표13 lt 7gt 사회적13 지원과13 사회제도신뢰를13 설명하는13 요인들의13 직접13 간접 전체영향을13 분리한13 경로분석결과LISREL13 1)

논의13 및13 결론V

이13 연구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

회제도신뢰13 등에13 대한13 기술통계13 및13 판별집합타당성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차

이 매개효과13 등을13 실증적으로13 규명할13 목적으로13 수행되었다 이를13 위하여13 유

교공동체주의와13 합리적13 개인주의모델의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특성을13 지니고13 있

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를13 선정하여13 국제사회종합조사 자료모듈인13 (ISSP)

와13 자료를13 대상으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과13 관련KGSS 2004 GSS 2001

된13 일련의13 연구13 가설을13 제시하여13 검증하였다

첫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적13 신뢰 ( )

152 김상돈

은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확연히13 다른13 평균차이를13 보여주고13 있다 사회단

체참여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상대적으로13 더13 적극( =1479) ( =1732)

적이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국에서13 저조

한13 이유는13 년13 이후13 신사회운동을13 포함한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추세에1987

도13 불구하고13 시민사회의13 공론장이13 모순적으로13 제도화되었기13 때문이다 이는13

사회공간이13 존재하는13 것과13 그13 공간에13 참여하는13 것과는13 별개의13 개념임을13 의미

한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은13 미국평균 보다13 한국평균 에서13 약 ( =3187) ( =4541)

한13 연계에13 더13 활용되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

용이13 한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분석결과는13 학연 지연 혈연13 등13 연고13 집단으로13 인해13 사회적13 자본이13 풍부하다고13 주장한13 연구유석춘13 외 와13 일치된다( 2002)

다른13 한편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더13 ( =1733) ( =2075)

높으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제도신뢰가13 한국보다13 미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사실은13 정치 경제적으로13 성공한13 국가가13 그렇지13 못한13 국가보다13 상대적으로13 제도신뢰가13 더13 높을13 것이라고13 제시한13 거시적13 차원에서의13 연구결과

와13 부합된다(Putnam 1993 1995 Fukuyama 1995)

둘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

사회제도신뢰사이에는13 판별) 집합타당도가13 유지된다는13 사실을13 강조할13 필요가13 있다 탐색적13 요인분석과13 더불어13 확인적13 요인분석을13 실시한13 결과에서13 나

타난바와13 같이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을13 측정하기13 위한13 문항들은13 제각기13

해당차원의13 개념들만을13 측정할13 뿐만13 아니라13 이들13 차원들이13 각기13 별도의13 개념

을13 형성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3-요인모형이13 최적모형으로13 판명됨으로써13 3-요인

모형에13 잠재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의13 판별 수렴타당도가13 존재함을13 보여준다 아울러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들13 사이의13 상관관계조차도13 상당히13 미

약한13 것으로13 드러남으로써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13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13 등은13 각기13 별개의13 구성체들로13 이루어져있음이13 나타났다

셋째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 (

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 의13 불평등을13 밝히는데13 사용되었다 사회단체 )

참여와1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변인으로13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와13 접한13

관련성을13 맺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나13 사회제도신뢰에13 있어서13 강한13 부(- 의13 상관13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3

및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와13 사회적13 지원13 연결망활용의13 인과변인으로서13 중요하게13 나타났다 그러나13 한

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

타났으며13 미국에서는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타나13 이들13 연구가설13

모두13 기각된13 결과로13 나타났다 기각된13 이유는13 통계적13 해석과13 담론적13 해석13 두13

가지로13 논의할13 수13 있는데 첫13 번째13 이유는13 사례수와13 변량13 등13 통계적13 근거에

서13 설명할13 수13 있다 예컨대13 구조모형의13 추정에13 동원된13 측정변인13 및13 이론변인

의13 수를13 감안할13 때13 제한된13 사례13 수한국 미국 는13 여러13 변인들의13 ( =979 =535)

변량을13 제한하고13 표준오차를13 증가시킴으로써13 각각13 사회적13 지원13 및13 사회적13 신

뢰의13 통계적13 유의도를13 상실하게13 하는13 원인으로13 작용될13 가능성이13 있다 통계

적13 해석보다13 중요한13 담론적13 해석은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설명유교공동체주의(

자유민주주의에서13 그13 이유를13 예측할13 수13 있다 한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하다는13 사실은13 서구사회의13 인간관계와13 유

사할13 정도로13 진행되고13 있음에도13 불구하고13 여전히13 유교공동체주의모델이13 존

재함을13 보여준13 결과이다 미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

하다는13 사실은13 한국과13 달리13 부의13 불평등에13 대해13 당연시하는13 미국인의13 태도

개인주의 시장의13 제도화13 등13 맥락변인에서13 설명될13 가능성이13 높음을13 예측하게13

한다

넷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강력한13 단위영향과13 관련하여13 한

국 은13 미국 보다13 상대적으로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B=189) (B=152)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한국 은13 미국 보다13 (B=071) (B=06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서도13 사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

우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222 R2 에13 비하여13 포함된13 경우한국=173) (

사회의13 R2 미국사회의13 =243 R2 에13 대한13 설명력이13 각각13 =188) 21 15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이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에13 있어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

거를13 시사하는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사회단체참여의13 경제행위를13 이

해하는데13 있어서13 영리적13 차원의13 자기이해와13 합리적13 선택론에13 근거한13 신제도

주의이론으로만13 온전히13 설명할13 수13 없다는13 점을13 밝히면서13 한편으로는13 개별행

154 김상돈

위자들이13 현재13 맺고13 있는13 사회연결망에13 의해서13 형성된다고13 본13 신경제사회학

의13 이론적13 논의를13 부각시켰다는13 점에서13 시사하는13 바가13 크다 이로써13 사회단

체참여는13 다양한13 사람들과의13 사회적13 관계에서13 유통되는13 사회적13 지원을13 제공

해주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척도로서13 의미13 있는13 구성지표이다

다섯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B=144

보다13 한국 에서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지만 사회경제적13 plt05) (B=151 plt05)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는13 한국 보다13 미국(B=057 plt05)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B=060 plt05) 5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13 있어서도13 사

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미국사회의13 ( R2=037 R2 에13 비=028)

하여13 포함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056 R2 의13 설명력은13 =030)

한국과13 미국13 각각13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은13 작19 02

은13 증가를13 나타냈으나13 단위13 영향13 및13 간접영향13 모두13 높게13 형성되어13 사회단체

참여가13 제도신뢰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거를13 시사

한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공적13 시민정신의13 연구결과들 (Tocqueville

과13 일치됨으로써13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과13 미국13 1845 Putnam 1993 1995)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신뢰의13 중요한13 관건임을13 밝혀냈다 그러나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약한13 정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

데 이러한13 결과가13 나타난13 사실은13 년13 이후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로13 인 1987

해13 시민의13 정치참여를13 높이는데13 일정정도13 기여했으나13 민주적13 시민덕목을13 배

양하는데13 있어서는13 그리13 성공하지13 못한13 데에서13 추측할13 수13 있다 이를13 위해서

는13 중복적13 참여13 및13 자기이해(self- 에13 기초한13 소극적13 참여에서13 호혜성interest)

규범과13 사회적13 신뢰형성을13 위한13 제도적13 메커니즘으로의13 사회단체참여13 구축

이13 무엇보다13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이13 사회제도신뢰에13 미치는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이러한13

사실은13 사회적13 자본의13 연구결과 김용학(Pagden 1988 Fukuyama 1995 손

5 이와13 반대로 결측치에13 개별평균값을13 대체하기전의13 추정결과에서 사회단체참 LISREL

여의13 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B=169 plt05) (B=133 plt05)

더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높게13 나타났다(B=049 plt05) (B=043 plt0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5

재석 이재열 에서13 제시된13 반경범위 내집단13 족쇄 연고13 집단13 등 1998 1998)

의13 용어를13 사용하면서 가족13 및13 개인연결망13 활용이13 공적영역의13 신뢰를13 식민

화하여13 사회13 전체적으로13 저신뢰사회가13 된다고13 주장한13 논의와13 일치하지13 않는13

결과이다 즉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사이의13

관계가13 서로13 양립13 가능한13 현상을13 보여주어13 매개역할13 또한13 기각되었다

종합컨대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상관관계와13 유의미한13 정 의13 인과관계로13 작동하는데13 비해13 미국에서는13 상관13 (+)

및13 인과관계13 모두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 한편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

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은13 약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13 것으 (+)

로13 나타났다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의13 중요한13 인과변인인13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양13 국가13 모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력을13 미치고13 있으며 사회경제적13 지(+)

위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두13 가지13 구성개념사회제도신뢰13 및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 )

인과적13 영향은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되었다는13 사실13 또한13 이13 연구에서13 밝

혀냈다

이상의13 연구에도13 불구하고13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한국의13 ( R2 237 220

미국의13 056 R2 이13 낮게13 형성되었다는13 점과13 와13 183 195 030) KGSS 2004

자료에13 한정하여13 분석하였기13 때문에13 분석결과의13 해석과13 일반화에13 GSS 2001

한계가13 있을13 수13 있다 예를13 들면13 년과13 년이라는13 특정한13 시기에13 조 2004 2001

사가13 이루어졌다는13 점에서13 이론적 경험적으로13 함축하는13 바가13 있다고13 하더라도13 외적13 타당성의13 문제점을13 지닌다 그리고13 이13 연구는13 전국규모를13 대상으로13

조사되었다는13 점에서13 의미하는13 바가13 있지만13 시계열적13 자료를13 통한13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정 한13 검증을13 하지13 못하였다는13 점에서도13 그13 한계가13 있음을13 밝혀

둔다 따라서 향후13 후속연구에서13 제시된13 모델들을13 보다13 정교화하는13 이론적13

작업과13 더불어13 다양한13 변인들을13 충분히13 활용하며13 통시적13 연구13 및13 국가간의13

비교연구13 등을13 통해13 경험적13 연구들이13 진행되어야13 할13 것이며 연구자의13 관심

과13 노력으로13 연구의13 질적13 향상을13 기대해본다

156 김상돈

참고문헌

국민호 동아시아경제발전과13 유교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1997 31 1 pp 29-59「 」 985172 985173김상욱 조직몰입의13 하위차원들의13 타당도평가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2001 35 3 pp 「 」 985172 985173

109-138

김용학 손재석 미시적13 신뢰와13 거시적13 위험 계간사상 1998 38 pp 115-132 「 」 985172 985173이재열 민주주의 사회적13 신뢰 사회적13 자본 계간사상 1998 38 pp 65-93「 」 985172 985173유석춘 외 사회자본과13 신뢰 한국 일본 덴마크 스웨덴13 비교13 연구 동서연구 2002 「 」 985172 985173

권13 호14 1 pp 101-135

장수찬 한국사회에13 나타난13 악순화의13 사이클 한국정치학회보 권13 호 2002 36 1 pp 「 」 985172 98517387-112

한국13 사회과학도서관13 홈페이지 2005 httpwwwksslorkr

Banfield E 1967 The Moral Basis of a Backward Society New York Free Press

Billiet JB and Bart Cambre 1999 ldquoSocial capital active membership in voluntary

associations and some aspects of political participatio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Bourdieu Piere 1984 The Distiction A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Brehm John amp Wendy Rahn 1997 ldquoIndividual-level evidence for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social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41(3)

pp 999-1023

Burt R 1992 Structure Holes The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Coleman James 1988 ldquo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pp 94-121

DiMaggio Paul and Hugh Louch 1998 ldquoSocially Embedded Consumer Transaction

For What Kinds of Purchases Do People Most Often Use Networks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3 pp 619-637

Fukuyama Francis 1995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perty

NewYork Free Press Paper Backs Book

Gambetta Diego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Financial Capital The

Case of Network Marketing Champaign Stipes

Ganzeboom H B G and DJ Treiman 1996 ldquoInternationally Comparable Measures

of Occupational Status for the 1988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rdquo Social Science Research 25 pp 201-239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7

Giddens Anthony 1990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Stanford Stanford UP

Granovetter Mark 1985 ldquoEconomic Action and Social Structure The Problem of

Embeddedness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1 pp 481-510

Inglehart R 1999 Culture Shift in Advanced Industrial Societ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Joumlreskg Karl G and Soumlrbom Dag 1989 LISREL 7 A Guide to the Program and

Applications Chicago SPSS Inc

Lin Nam 1982 ldquoSocial Resource and Instrumental Actionrdquo In Social Structure and

Network Analysis edited by Peter Marsden and Nan Lin Beverly Hill CA

Sage Publication

Loury Glen 1977 ldquoA Dynamic Theory of Racial Income Differencerdquo In PA

Wallace amp A LeMund (eds) Woman Minorities and Employment Discrimi-

nation Lexington Lexington Books

Luhmann Niklas 1988 ldquoFamiliarity Confidence Trust Problems and Alternativesrdquo In D Gambetta (ed)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New York Basil Blackwell

McPherson J Miller 1983 ldquoAn Ecology of Affiliation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8 pp 519-532

Newton Kenneth 1997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rdquo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0(5) pp 575-586

Newton Kenneth 1999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 in Modern Euroupea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s)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Olson ME 1965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Pagden Anthony 1988 ldquoThe Destruction of Trust and its Economic Consequence in

the Case of Eighteenth-century Naplesrdquo In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edited by D Gambetta Oxford Blackwell

Paxton Pamela 1999 ldquoIs Social Capital Declining in the US A Multiple Indicator

Assessment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5(1) pp 88-126

Portes A 1998 ldquoSocial Capital Its Origin and Application in Modern Sociologyrdquo Annual Review of Sociology 24 pp 1-24

Portes A 2000 ldquoThe Two Meaning of Social Capitalrdquo Sociological Forum 15(1)

pp 1-12

Putnam Robert 1993 Making Democracy Work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utnam Robert 1995 ldquoBowling Alone Americans Declining Social Capitalrdquo Journal of Democracy 6(1) pp 65-78

Sztompka P 1999 Trust A Sociological Theor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8 김상돈

Toqueville Alexis de [1835 1840] 1990 Democracy in America(Reprint) New

York Vintage

Verba Sidney Kay Lehman Schlozman and Henry E 1995 Voice and Equality

Civic Voluntarism in American Politics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son Oliver E 1993 ldquoCaculativeness Trust and Economic Organizationrdquo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36(3) pp 453-486

Zucker Lynn G 1986 ldquoProduction of Trust Institutional Sources of Economic

Structurerdquo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8 pp 53-111

Comparison Analysi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n the Causal Structure of Trust in Social InstitutionsWith a focus on Mediation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and

Social Support

Sang-don KimLecturer in The University College at Sungkyunkwan University

This Study explores the multiplicativ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social institutions trus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do this a set of hypotheses concerning th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are set forth and subjected to an empirical assessment by using data set

collected from KGSS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2004 and GSS (General

Social Survey) 2001 out of the ISSP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lanning)

Modules

Analysis of data in terms of ML (Maximum Likelihood) procedure in

LISREL852 was used and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s (1) The unit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on association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2)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status on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but They were appear to be an important predictor to

Korea (3)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on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4) Association participation was especially in

shaping social support and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to the two nations

This study is interpreted that further research on the topic of social capital are

raised with elaborating the measure on the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political efficacy consciousness of social class and so forth coupled with

advertising a few limitation of this study

Keyword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KGSS GSS ISSP

김상돈 성균관대학교13 학부대학강사13

경기도13 수원시13 장안구13 조원동13 한일타운13 동13 호13 119 703 440-709

Tel_01113 912013 132313 13 E-mail_education17hanmailnet

Page 20: 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 미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64/1/5.%e1%84%80%e1...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미비교연구:

144 김상돈

표13 lt 5gt 사회적13 자본13 하위차원에13 대한13 확인적13 요인분석 결과 한국 미국13 (CFA)13 -( N 97913 N=535)=

귀무모형(M0) (M1)

요인모형1

요인모형2요인모형3- 9)

(M2_1) (M2_2) (M2_3)8)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한국 미국

χ2 4465901

(p 001)<

2671725

(p 001)<

1235222

(p 001)<

1097272

(p 001)<

887151

(p 001)<

533939

(p 001)<

1030632

(p 001)<

942579

(p 001)<

899901

(p 001)<

540723

(p 001)<

692709

(p 001)<

383604

(p 001)<

DF 190 190 170 170 169 169 169 169 169 169 167 167

GFI1) - - 888 830 917 909 905 850 916 908 934 933

AGFI2) - - 861 789 897 887 882 814 895 886 917 916

NFI3) - - 745 651 809 814 788 713 806 791 850 855

CFI4) - - 773 693 840 886 818 759 837 844 882 911

IFI5) - - 774 695 841 916 819 761 837 845 883 912

1) Goodness of Fit Index2) Adjusted Goodness of Fit Index3) Normed Fit Index4) Comparative Fit Index5) Incremental Fit Index6) 두13 요인들13 간 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13 사회제도신뢰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68(pgt05) =156(pgt05)]對 7) 두13 요인들13 간 단체참여 사회제도신뢰13 사회적13 지원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52(pgt05) =對 -002(pgt05)]8) 두13 요인들13 간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13 단체참여 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 ) [ 065(pgt05) =157(plt01)]對 =9) 세13 요인들13 간의13 상관관계 한국 미국 [ 051(pgt05) 061(pgt05) 123(plt05) -013(pgt05)157(plt01)

092(pgt05)]

lt표13 5gt를13 살펴보면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13 귀무모형이나13 1-요인모형

에13 비해13 요인모형들 의13 경우가13 수치2 (M2_1 M2_2 M2_3) 2 (p( 2) χ χ

가13 적을13 뿐만13 아니라13 여러13 가지13 모형부합지수도13 큼을13 알13 수13 있다lt001) 2-

요인모형13 가운데13 사회단체참여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이13 하나의13 요인

을13 형성하고13 사회제도신뢰가13 또13 하나의13 요인을13 형성하도록13 제약을13 가한13

모형이13 모형13 및13 모형에13 비해13 수치 가13 M2_1 M2_2 M2_3 2 (p( 2)lt001)χ χ

적을13 뿐만13 아니라13 여러13 가지13 모형부합지수 한국( GFI=917 AGFI=897

미국NFI=809 CFI=840 IFI=841 RMSEA=0569 GFI=909 AGFI=

도13 큼을13 알13 수13 있어13 887 NFI=793 CFI=846 IFI=847 RMSEA=0636)

더13 적절한13 모형이었다 그러나13 세13 가지13 차원의13 개념들을13 각기13 별도로13 측정하

도록13 제약이13 가해진13 3-요인모형은13 어떠한13 요인모형들에13 비해서13 보다도13 모형2

부합지수한국( GFI=934 AGFI=917 NFI=850 CFI=882 IFI=88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5

미국RMSEA=0567 GFI=933 AGFI=916 NFI=855 CFI=911

가13 현격히13 향상되었다 이는13 양13 국가13 모두13 여러13 IFI=912 RMSEA=0493)

가지13 경쟁적인13 내재모형13 가운데13 요인모형이13 최적모형으로써13 분석에13 포함된13 3

문항들이13 세13 가지13 별개의13 구성체들을13 측정하고13 있으며 이13 구성체들13 간에는13

판별집합타당도가13 유지됨을13 확인시켜주는13 결과이다 이로써13 요인모형에13 잠 3

재된13 변인들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이13 각기13 ( )

별개의13 구성체들임을13 보여준다 뿐만13 아니라13 이13 내생변인들13 상호간에는13 연관

관계도13 그다지13 강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모형검증의13 추정결과3

이13 절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13

사이가13 이론적 경험적13 사실과13 어느13 정도13 부합되는지를13 검증한다 이를13 위해13

이들13 변인들13 사이의13 상관13 및13 인과관계 그리고13 경로분석이13 어떻게13 나타나는

지를13 로13 추정한다LISREL 4

측정모형분석에13 근거하여13 여타변인들의13 영향이13 통제되지13 않는13 영차상관관

계(zero- 를13 산출한13 결과는13 order correlation) lt표13 6gt에13 제시하였다 우선 사

회제도신뢰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

회경제적13 지위(r=- 변인만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관계로13 나타난13 192)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 (r=158)

다 이는13 한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불신이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에13 적극적으로13 참여할수록13 제

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났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

활용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남성더미

(r=- 기혼더미094) (r=- 등13 두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451)

4 측정모형분석에13 앞서13 개13 측정변인에13 대한13 다중13 공선성13 여부를13 검증하였다 검증결27

과 연령변인이13 한국이13 으로13 다중공선성이13 의심되는13 바13 연령변인을13 제외하고13 재 646

추정하여13 분석하였다

146 김상돈

관계로13 나타났다 이에13 비해13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남성더미 (r=197)

(r=- 기혼더미152) (r=- 광역시13 더미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이13 통352) (r=147)

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국에서는13 여성일수록 미혼일수록13

사회적13 지원을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되어진다면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여성일수록 미혼일수록 메트로폴리스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적13 지원

을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다른13 한편 사회단체참여에13 유의

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남성더 (r=387)

미 기혼더미 광역시더미(r=273) (r=104) (r=- 변인13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이13 136)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관계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

위 기혼더미 광역시더미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r=409) (r=109) (r=146)

적으로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다시13 말해13 한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남성일수록 기혼일수록 기타도시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반면에 미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기혼일수록 메트로

폴리스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단체에13 적극적으로13 참여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이어서13 사회제도신뢰와13 인과변인사이의13 인과관계는13 구조모형에13 대한13 추정

을13 통해13 규명한다 한국의13 기본모형과13 최종모형의13 추정13 결과 기본모형의13 모

형부합지수는13 정확합치인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미할13 뿐만13 아니라13 001

근사합치인13 GFI=911 AGFI=890 NFI=790 CFI=837 IFI=838

로13 보다13 작아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모형부합지수를13 나타내RMSEA=0588 08

고13 있지만13 전반적으로13 그리13 높지13 않은13 것으로13 나타내고13 있다 반면에13 최종모

형의13 모형부합지수는13 기본모형과13 마찬가지로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 001

미하며13 GFI=901 AGFI=878 NFI=783 CFI=837 IFI=839 RMSEA=

로13 기본모형보다13 다소13 향상되었다 결정계수에13 있어서도 최종모형은13 0594

기본모형에13 비해13 설명력이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 기본모형의13 ( R2=117 222

최종모형의13 044 R2=188 104 056)

동일한13 방식으로13 미국의13 기본모형과13 최종모형의13 추정13 결과 기본모형의13 모

형부합지수는13 정확합치인13 x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미할13 뿐만13 아니라13 001

근사합치인13 GFI=904 AGFI=882 NFI=801 CFI=867 IFI=869

로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모형부합지수를13 나타내고13 있지만13 전반RMSEA=054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7

그림13 2 사회제도신뢰를13 검증하기13 위한13 최종모형 한국13 -

그림13 3 사회제도신뢰를13 검증하기위한13 최종모형 미국13 -

적으로13 그리13 높지13 않는13 부합지수를13 나타내고13 있다 반면에13 최종모형의13 모형

부합지수는13 기본모형과13 마찬가지로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하며13 001

로13 GFI=896 AGFI=871 NFI=782 CFI=867 IFI=889 RMSEA=0539

148 김상돈

기본모형보다13 다소13 향상되었다 또한13 결정계수에13 있어서도 최종모형은13 기본

모형에13 비해13 설명력이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기본모형의13 ( R2=034 174 028

최종모형의13 R2=099 245 039)

모형13 찾기에서13 선정된13 최종모형에13 기초하여13 제반13 외생변인들의13 인과적13 단

위영향을13 보여주는13 구조모형을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추정한13 결과는13 lt표13

6gt에13 제시하였다 구조모형의13 추정결과를13 우선13 살펴보면 기본모형에서13 배제

되었던13 경로들13 가운데13 사회단체참여rarr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경제

적13 지위rarr사회단체참여로13 향하는13 경로만이13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이13 높고13 수정지표도13 현저한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사회경제적13 지위 rarr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rarr사회제도신뢰로13 향하는13 경로들은13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이13 낮고13 수정지표13 또한13 현저하지13 못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각13 내생변인과13 관련한13 결과를13 순서대로13 살펴보면13 다음과13 같다

첫째 사회단체참여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

위 남성 광역시(B=378) (B=220) (B=-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유의미한13 170)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B=416)

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과13 남성 그리고13 기타도시에13 거주하는13

사람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반면에13 미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만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이다

둘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남성(B=189) (B=- 기혼144) (-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유의470)

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남성더미(B=152) (B=- 기혼더미137) (B=- 광역시 등13 네13 372) (B=130)

가지13 변인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과13 여성 미혼은13 사회적13 지원을13 강한13 연

계보다는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광역시에13 거주하는13 사

람들은13 한국사회13 보다13 미국에서13 강한13 연계보다13 약한13 연계에13 사회적13 지원을13

요청한다

셋째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단체참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9

사회경제적13 지위(B=151) (B=- 등13 두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246)

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B=144)

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은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

데13 비해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들은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불신이13 높게13

나타났다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이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났다

변인

한국(N=979) 미국(N=535)

단체참여 사회적지원 사회제도신뢰 단체참여 사회적지원 사회제도신뢰

r B r B r B r B r B r B

매개내생변인

사회적13 지원 048 - -017 -

매개외생변인

단체참여 - 090 189 043 151 104 152 158 144

외생변인

SES 387 378 070 - -192 -246 409 416 197 - 093 031

통제변인

남성13 더미 273 220 -094 -144 -024 -033 006 026 -152 -137 040 039

기혼13 더미 104 068 -451 -470 006 005 109 018 -352 -372 064 037

광역시13 더미 -136 -170 047 053 -005 -007 146 066 147 130 -004 -023

R2 237 220 056 183 195 030

χ2 1187022(df=283) (plt001) 687058(df=283) (plt001)

모형부합치 GFI=915 AGFI=894 NFI=808

CFI=846 IFI=847 RMSEA=0572

GFI=910 AGFI=888 NFI=812

CFI=880 IFI=881 RMSEA=0517

주 제시된13 계수는13 표준화계수이며 통계적13 유의도는13 비표준화계수에13 대한13 검증임 1)

계수를13 연차적으로13 자유모수로13 개방하여13 추정한13 최종모형임2) B21 11 Γ

단측검증 단측검증 단측검증3) p 05 p 01 p 001 < < <

표13 6<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요인들에13 대한13 추정13 결과13 LISREL13

다음은13 사회제도신뢰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대한13 직접 간접 전체영향을13 분리시킨13 경로분석을13 시도한다 그13 결과는13 lt표13 7gt과13 같다

우선 사회제도신뢰의13 경로분석결과를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유의미한13

요인들과13 그13 영향에13 대한13 절대적13 크기순서대로13 나열하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

제적13 지위(B=- 사회단체참여 로13 구성되며 미국에서는13 단체참여189) (151)

변인만으로13 구성되었다 이13 같은13 결과를13 각13 변인별로13 보다13 상세히13 (B=144)

150 김상돈

살펴보면13 먼저 양13 국가13 모두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와13 사회단체참여변인

을13 연결하는13 제 의13 변인은13 존재하지13 않기13 때문에13 사회단체참여의13 전체영향3

은13 직접영향 한국 미국 만으로13 구성되며13 그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 =151 =144)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다 다음으로 사회경제적13 지위13 변인은13 한국

에서13 강한13 부의13 인과적13 영향(B=- 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며13 직접영189)

향(B=- 및13 간접영향 모두13 유의미하였고13 전체의13 가13 직접246) (B=057) 130

영향으로13 구성된다 반면에13 미국에서13 직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으나13 간접영

향 은13 유의미하다 이상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사회단체참여의13 (B=060)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그13 영향의13 구체적13 방향이13 이론적13 예측과13 예외13 없이13 일

치한13 반면에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사회경제적13 지위의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이론적13 예측과13 일치하지13 않았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대한13 경로분석결과를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들과13 그13 영향에13 대한13 절대적13 크기순서대로13 나

열하면 한국에서는13 기혼 (B=- 단체참여 남성457) (B=189) (B=- 사회102)

경제적13 지위 순으로13 구성되며 미국에서는13 기혼(B=071) (B=- 단체참374)

여 광역시 남성(B=152) (B=140) (B=- 사회경제적13 지위 순133) (B=063)

으로13 구성된다 이13 같은13 결과를13 각13 변인별로13 보다13 상세히13 살펴보면 첫째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사회단체참여변인을13 연결하는13 제 의13 3

변인은13 존재하지13 않기13 때문에13 사회단체참여의13 전체영향은13 직접영향한국(

미국 만으로13 구성되며13 그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189 =152)

의미하다 둘째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영향이13 사회단체

참여에13 의해13 전적으로13 매개된13 간접영향한국 미국 으로만13 구성( =069 =063)

되었다 셋째 기혼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직접영향한국 ( =- 미국470 =-371)

만이13 유의미한13 반면에13 간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았다 넷째 남성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직접영향 한국( =- 미국144 =- 이13 유의미하고13 간접영향은13 한137)

국 만이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고13 미국에서는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것(B=042)

으로13 나타났다 다섯째 광역시13 변인은13 한국에선13 직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

은13 대신에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된13 간접영향(B=- 은13 유의미한13 반면032)

에13 미국에선13 사회단체참여에13 매개된13 간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대신에13 직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1

접영향 은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B=130)

한국(N=979) 미국(N=535)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변인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매개변인

사회적지원

단체참여 189 189 151 151 152 152 144 144

외생변인

SES 071 071 -246 057 -189 063 063 030 060 090

통제변인

남성더미 -144 042 -102 -033 033 000 -137 004 -133 039 004 043

기혼더미 -470 013 -457 -026 010 016 -371 -003 -374 038 -003 035

광역시더미 033 -032 001 -006 -026 -032 130 010 140 -023 -009 -014

제시된13 계수는13 표준화계수이며 통계적13 유의도는13 비표준화계수에13 대한13 검증임1)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지원에13 미치는13 영향2) ( ) times ( )=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미치는13 영향3) ( ) times ( )=

전체영향13 직접영향13 간접영향4) = +

단측검증 단측검증 단측검증 p 05 p 01 p 001 < < <

표13 lt 7gt 사회적13 지원과13 사회제도신뢰를13 설명하는13 요인들의13 직접13 간접 전체영향을13 분리한13 경로분석결과LISREL13 1)

논의13 및13 결론V

이13 연구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

회제도신뢰13 등에13 대한13 기술통계13 및13 판별집합타당성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차

이 매개효과13 등을13 실증적으로13 규명할13 목적으로13 수행되었다 이를13 위하여13 유

교공동체주의와13 합리적13 개인주의모델의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특성을13 지니고13 있

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를13 선정하여13 국제사회종합조사 자료모듈인13 (ISSP)

와13 자료를13 대상으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과13 관련KGSS 2004 GSS 2001

된13 일련의13 연구13 가설을13 제시하여13 검증하였다

첫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적13 신뢰 ( )

152 김상돈

은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확연히13 다른13 평균차이를13 보여주고13 있다 사회단

체참여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상대적으로13 더13 적극( =1479) ( =1732)

적이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국에서13 저조

한13 이유는13 년13 이후13 신사회운동을13 포함한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추세에1987

도13 불구하고13 시민사회의13 공론장이13 모순적으로13 제도화되었기13 때문이다 이는13

사회공간이13 존재하는13 것과13 그13 공간에13 참여하는13 것과는13 별개의13 개념임을13 의미

한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은13 미국평균 보다13 한국평균 에서13 약 ( =3187) ( =4541)

한13 연계에13 더13 활용되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

용이13 한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분석결과는13 학연 지연 혈연13 등13 연고13 집단으로13 인해13 사회적13 자본이13 풍부하다고13 주장한13 연구유석춘13 외 와13 일치된다( 2002)

다른13 한편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더13 ( =1733) ( =2075)

높으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제도신뢰가13 한국보다13 미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사실은13 정치 경제적으로13 성공한13 국가가13 그렇지13 못한13 국가보다13 상대적으로13 제도신뢰가13 더13 높을13 것이라고13 제시한13 거시적13 차원에서의13 연구결과

와13 부합된다(Putnam 1993 1995 Fukuyama 1995)

둘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

사회제도신뢰사이에는13 판별) 집합타당도가13 유지된다는13 사실을13 강조할13 필요가13 있다 탐색적13 요인분석과13 더불어13 확인적13 요인분석을13 실시한13 결과에서13 나

타난바와13 같이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을13 측정하기13 위한13 문항들은13 제각기13

해당차원의13 개념들만을13 측정할13 뿐만13 아니라13 이들13 차원들이13 각기13 별도의13 개념

을13 형성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3-요인모형이13 최적모형으로13 판명됨으로써13 3-요인

모형에13 잠재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의13 판별 수렴타당도가13 존재함을13 보여준다 아울러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들13 사이의13 상관관계조차도13 상당히13 미

약한13 것으로13 드러남으로써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13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13 등은13 각기13 별개의13 구성체들로13 이루어져있음이13 나타났다

셋째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 (

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 의13 불평등을13 밝히는데13 사용되었다 사회단체 )

참여와1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변인으로13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와13 접한13

관련성을13 맺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나13 사회제도신뢰에13 있어서13 강한13 부(- 의13 상관13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3

및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와13 사회적13 지원13 연결망활용의13 인과변인으로서13 중요하게13 나타났다 그러나13 한

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

타났으며13 미국에서는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타나13 이들13 연구가설13

모두13 기각된13 결과로13 나타났다 기각된13 이유는13 통계적13 해석과13 담론적13 해석13 두13

가지로13 논의할13 수13 있는데 첫13 번째13 이유는13 사례수와13 변량13 등13 통계적13 근거에

서13 설명할13 수13 있다 예컨대13 구조모형의13 추정에13 동원된13 측정변인13 및13 이론변인

의13 수를13 감안할13 때13 제한된13 사례13 수한국 미국 는13 여러13 변인들의13 ( =979 =535)

변량을13 제한하고13 표준오차를13 증가시킴으로써13 각각13 사회적13 지원13 및13 사회적13 신

뢰의13 통계적13 유의도를13 상실하게13 하는13 원인으로13 작용될13 가능성이13 있다 통계

적13 해석보다13 중요한13 담론적13 해석은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설명유교공동체주의(

자유민주주의에서13 그13 이유를13 예측할13 수13 있다 한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하다는13 사실은13 서구사회의13 인간관계와13 유

사할13 정도로13 진행되고13 있음에도13 불구하고13 여전히13 유교공동체주의모델이13 존

재함을13 보여준13 결과이다 미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

하다는13 사실은13 한국과13 달리13 부의13 불평등에13 대해13 당연시하는13 미국인의13 태도

개인주의 시장의13 제도화13 등13 맥락변인에서13 설명될13 가능성이13 높음을13 예측하게13

한다

넷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강력한13 단위영향과13 관련하여13 한

국 은13 미국 보다13 상대적으로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B=189) (B=152)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한국 은13 미국 보다13 (B=071) (B=06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서도13 사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

우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222 R2 에13 비하여13 포함된13 경우한국=173) (

사회의13 R2 미국사회의13 =243 R2 에13 대한13 설명력이13 각각13 =188) 21 15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이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에13 있어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

거를13 시사하는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사회단체참여의13 경제행위를13 이

해하는데13 있어서13 영리적13 차원의13 자기이해와13 합리적13 선택론에13 근거한13 신제도

주의이론으로만13 온전히13 설명할13 수13 없다는13 점을13 밝히면서13 한편으로는13 개별행

154 김상돈

위자들이13 현재13 맺고13 있는13 사회연결망에13 의해서13 형성된다고13 본13 신경제사회학

의13 이론적13 논의를13 부각시켰다는13 점에서13 시사하는13 바가13 크다 이로써13 사회단

체참여는13 다양한13 사람들과의13 사회적13 관계에서13 유통되는13 사회적13 지원을13 제공

해주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척도로서13 의미13 있는13 구성지표이다

다섯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B=144

보다13 한국 에서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지만 사회경제적13 plt05) (B=151 plt05)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는13 한국 보다13 미국(B=057 plt05)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B=060 plt05) 5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13 있어서도13 사

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미국사회의13 ( R2=037 R2 에13 비=028)

하여13 포함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056 R2 의13 설명력은13 =030)

한국과13 미국13 각각13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은13 작19 02

은13 증가를13 나타냈으나13 단위13 영향13 및13 간접영향13 모두13 높게13 형성되어13 사회단체

참여가13 제도신뢰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거를13 시사

한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공적13 시민정신의13 연구결과들 (Tocqueville

과13 일치됨으로써13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과13 미국13 1845 Putnam 1993 1995)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신뢰의13 중요한13 관건임을13 밝혀냈다 그러나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약한13 정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

데 이러한13 결과가13 나타난13 사실은13 년13 이후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로13 인 1987

해13 시민의13 정치참여를13 높이는데13 일정정도13 기여했으나13 민주적13 시민덕목을13 배

양하는데13 있어서는13 그리13 성공하지13 못한13 데에서13 추측할13 수13 있다 이를13 위해서

는13 중복적13 참여13 및13 자기이해(self- 에13 기초한13 소극적13 참여에서13 호혜성interest)

규범과13 사회적13 신뢰형성을13 위한13 제도적13 메커니즘으로의13 사회단체참여13 구축

이13 무엇보다13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이13 사회제도신뢰에13 미치는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이러한13

사실은13 사회적13 자본의13 연구결과 김용학(Pagden 1988 Fukuyama 1995 손

5 이와13 반대로 결측치에13 개별평균값을13 대체하기전의13 추정결과에서 사회단체참 LISREL

여의13 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B=169 plt05) (B=133 plt05)

더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높게13 나타났다(B=049 plt05) (B=043 plt0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5

재석 이재열 에서13 제시된13 반경범위 내집단13 족쇄 연고13 집단13 등 1998 1998)

의13 용어를13 사용하면서 가족13 및13 개인연결망13 활용이13 공적영역의13 신뢰를13 식민

화하여13 사회13 전체적으로13 저신뢰사회가13 된다고13 주장한13 논의와13 일치하지13 않는13

결과이다 즉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사이의13

관계가13 서로13 양립13 가능한13 현상을13 보여주어13 매개역할13 또한13 기각되었다

종합컨대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상관관계와13 유의미한13 정 의13 인과관계로13 작동하는데13 비해13 미국에서는13 상관13 (+)

및13 인과관계13 모두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 한편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

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은13 약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13 것으 (+)

로13 나타났다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의13 중요한13 인과변인인13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양13 국가13 모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력을13 미치고13 있으며 사회경제적13 지(+)

위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두13 가지13 구성개념사회제도신뢰13 및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 )

인과적13 영향은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되었다는13 사실13 또한13 이13 연구에서13 밝

혀냈다

이상의13 연구에도13 불구하고13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한국의13 ( R2 237 220

미국의13 056 R2 이13 낮게13 형성되었다는13 점과13 와13 183 195 030) KGSS 2004

자료에13 한정하여13 분석하였기13 때문에13 분석결과의13 해석과13 일반화에13 GSS 2001

한계가13 있을13 수13 있다 예를13 들면13 년과13 년이라는13 특정한13 시기에13 조 2004 2001

사가13 이루어졌다는13 점에서13 이론적 경험적으로13 함축하는13 바가13 있다고13 하더라도13 외적13 타당성의13 문제점을13 지닌다 그리고13 이13 연구는13 전국규모를13 대상으로13

조사되었다는13 점에서13 의미하는13 바가13 있지만13 시계열적13 자료를13 통한13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정 한13 검증을13 하지13 못하였다는13 점에서도13 그13 한계가13 있음을13 밝혀

둔다 따라서 향후13 후속연구에서13 제시된13 모델들을13 보다13 정교화하는13 이론적13

작업과13 더불어13 다양한13 변인들을13 충분히13 활용하며13 통시적13 연구13 및13 국가간의13

비교연구13 등을13 통해13 경험적13 연구들이13 진행되어야13 할13 것이며 연구자의13 관심

과13 노력으로13 연구의13 질적13 향상을13 기대해본다

156 김상돈

참고문헌

국민호 동아시아경제발전과13 유교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1997 31 1 pp 29-59「 」 985172 985173김상욱 조직몰입의13 하위차원들의13 타당도평가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2001 35 3 pp 「 」 985172 985173

109-138

김용학 손재석 미시적13 신뢰와13 거시적13 위험 계간사상 1998 38 pp 115-132 「 」 985172 985173이재열 민주주의 사회적13 신뢰 사회적13 자본 계간사상 1998 38 pp 65-93「 」 985172 985173유석춘 외 사회자본과13 신뢰 한국 일본 덴마크 스웨덴13 비교13 연구 동서연구 2002 「 」 985172 985173

권13 호14 1 pp 101-135

장수찬 한국사회에13 나타난13 악순화의13 사이클 한국정치학회보 권13 호 2002 36 1 pp 「 」 985172 98517387-112

한국13 사회과학도서관13 홈페이지 2005 httpwwwksslorkr

Banfield E 1967 The Moral Basis of a Backward Society New York Free Press

Billiet JB and Bart Cambre 1999 ldquoSocial capital active membership in voluntary

associations and some aspects of political participatio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Bourdieu Piere 1984 The Distiction A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Brehm John amp Wendy Rahn 1997 ldquoIndividual-level evidence for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social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41(3)

pp 999-1023

Burt R 1992 Structure Holes The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Coleman James 1988 ldquo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pp 94-121

DiMaggio Paul and Hugh Louch 1998 ldquoSocially Embedded Consumer Transaction

For What Kinds of Purchases Do People Most Often Use Networks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3 pp 619-637

Fukuyama Francis 1995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perty

NewYork Free Press Paper Backs Book

Gambetta Diego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Financial Capital The

Case of Network Marketing Champaign Stipes

Ganzeboom H B G and DJ Treiman 1996 ldquoInternationally Comparable Measures

of Occupational Status for the 1988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rdquo Social Science Research 25 pp 201-239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7

Giddens Anthony 1990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Stanford Stanford UP

Granovetter Mark 1985 ldquoEconomic Action and Social Structure The Problem of

Embeddedness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1 pp 481-510

Inglehart R 1999 Culture Shift in Advanced Industrial Societ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Joumlreskg Karl G and Soumlrbom Dag 1989 LISREL 7 A Guide to the Program and

Applications Chicago SPSS Inc

Lin Nam 1982 ldquoSocial Resource and Instrumental Actionrdquo In Social Structure and

Network Analysis edited by Peter Marsden and Nan Lin Beverly Hill CA

Sage Publication

Loury Glen 1977 ldquoA Dynamic Theory of Racial Income Differencerdquo In PA

Wallace amp A LeMund (eds) Woman Minorities and Employment Discrimi-

nation Lexington Lexington Books

Luhmann Niklas 1988 ldquoFamiliarity Confidence Trust Problems and Alternativesrdquo In D Gambetta (ed)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New York Basil Blackwell

McPherson J Miller 1983 ldquoAn Ecology of Affiliation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8 pp 519-532

Newton Kenneth 1997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rdquo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0(5) pp 575-586

Newton Kenneth 1999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 in Modern Euroupea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s)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Olson ME 1965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Pagden Anthony 1988 ldquoThe Destruction of Trust and its Economic Consequence in

the Case of Eighteenth-century Naplesrdquo In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edited by D Gambetta Oxford Blackwell

Paxton Pamela 1999 ldquoIs Social Capital Declining in the US A Multiple Indicator

Assessment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5(1) pp 88-126

Portes A 1998 ldquoSocial Capital Its Origin and Application in Modern Sociologyrdquo Annual Review of Sociology 24 pp 1-24

Portes A 2000 ldquoThe Two Meaning of Social Capitalrdquo Sociological Forum 15(1)

pp 1-12

Putnam Robert 1993 Making Democracy Work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utnam Robert 1995 ldquoBowling Alone Americans Declining Social Capitalrdquo Journal of Democracy 6(1) pp 65-78

Sztompka P 1999 Trust A Sociological Theor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8 김상돈

Toqueville Alexis de [1835 1840] 1990 Democracy in America(Reprint) New

York Vintage

Verba Sidney Kay Lehman Schlozman and Henry E 1995 Voice and Equality

Civic Voluntarism in American Politics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son Oliver E 1993 ldquoCaculativeness Trust and Economic Organizationrdquo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36(3) pp 453-486

Zucker Lynn G 1986 ldquoProduction of Trust Institutional Sources of Economic

Structurerdquo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8 pp 53-111

Comparison Analysi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n the Causal Structure of Trust in Social InstitutionsWith a focus on Mediation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and

Social Support

Sang-don KimLecturer in The University College at Sungkyunkwan University

This Study explores the multiplicativ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social institutions trus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do this a set of hypotheses concerning th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are set forth and subjected to an empirical assessment by using data set

collected from KGSS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2004 and GSS (General

Social Survey) 2001 out of the ISSP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lanning)

Modules

Analysis of data in terms of ML (Maximum Likelihood) procedure in

LISREL852 was used and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s (1) The unit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on association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2)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status on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but They were appear to be an important predictor to

Korea (3)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on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4) Association participation was especially in

shaping social support and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to the two nations

This study is interpreted that further research on the topic of social capital are

raised with elaborating the measure on the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political efficacy consciousness of social class and so forth coupled with

advertising a few limitation of this study

Keyword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KGSS GSS ISSP

김상돈 성균관대학교13 학부대학강사13

경기도13 수원시13 장안구13 조원동13 한일타운13 동13 호13 119 703 440-709

Tel_01113 912013 132313 13 E-mail_education17hanmailnet

Page 21: 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 미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64/1/5.%e1%84%80%e1...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미비교연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5

미국RMSEA=0567 GFI=933 AGFI=916 NFI=855 CFI=911

가13 현격히13 향상되었다 이는13 양13 국가13 모두13 여러13 IFI=912 RMSEA=0493)

가지13 경쟁적인13 내재모형13 가운데13 요인모형이13 최적모형으로써13 분석에13 포함된13 3

문항들이13 세13 가지13 별개의13 구성체들을13 측정하고13 있으며 이13 구성체들13 간에는13

판별집합타당도가13 유지됨을13 확인시켜주는13 결과이다 이로써13 요인모형에13 잠 3

재된13 변인들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이13 각기13 ( )

별개의13 구성체들임을13 보여준다 뿐만13 아니라13 이13 내생변인들13 상호간에는13 연관

관계도13 그다지13 강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모형검증의13 추정결과3

이13 절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13

사이가13 이론적 경험적13 사실과13 어느13 정도13 부합되는지를13 검증한다 이를13 위해13

이들13 변인들13 사이의13 상관13 및13 인과관계 그리고13 경로분석이13 어떻게13 나타나는

지를13 로13 추정한다LISREL 4

측정모형분석에13 근거하여13 여타변인들의13 영향이13 통제되지13 않는13 영차상관관

계(zero- 를13 산출한13 결과는13 order correlation) lt표13 6gt에13 제시하였다 우선 사

회제도신뢰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

회경제적13 지위(r=- 변인만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관계로13 나타난13 192)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 (r=158)

다 이는13 한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불신이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에13 적극적으로13 참여할수록13 제

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났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

활용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남성더미

(r=- 기혼더미094) (r=- 등13 두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451)

4 측정모형분석에13 앞서13 개13 측정변인에13 대한13 다중13 공선성13 여부를13 검증하였다 검증결27

과 연령변인이13 한국이13 으로13 다중공선성이13 의심되는13 바13 연령변인을13 제외하고13 재 646

추정하여13 분석하였다

146 김상돈

관계로13 나타났다 이에13 비해13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남성더미 (r=197)

(r=- 기혼더미152) (r=- 광역시13 더미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이13 통352) (r=147)

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국에서는13 여성일수록 미혼일수록13

사회적13 지원을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되어진다면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여성일수록 미혼일수록 메트로폴리스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적13 지원

을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다른13 한편 사회단체참여에13 유의

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남성더 (r=387)

미 기혼더미 광역시더미(r=273) (r=104) (r=- 변인13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이13 136)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관계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

위 기혼더미 광역시더미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r=409) (r=109) (r=146)

적으로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다시13 말해13 한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남성일수록 기혼일수록 기타도시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반면에 미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기혼일수록 메트로

폴리스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단체에13 적극적으로13 참여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이어서13 사회제도신뢰와13 인과변인사이의13 인과관계는13 구조모형에13 대한13 추정

을13 통해13 규명한다 한국의13 기본모형과13 최종모형의13 추정13 결과 기본모형의13 모

형부합지수는13 정확합치인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미할13 뿐만13 아니라13 001

근사합치인13 GFI=911 AGFI=890 NFI=790 CFI=837 IFI=838

로13 보다13 작아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모형부합지수를13 나타내RMSEA=0588 08

고13 있지만13 전반적으로13 그리13 높지13 않은13 것으로13 나타내고13 있다 반면에13 최종모

형의13 모형부합지수는13 기본모형과13 마찬가지로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 001

미하며13 GFI=901 AGFI=878 NFI=783 CFI=837 IFI=839 RMSEA=

로13 기본모형보다13 다소13 향상되었다 결정계수에13 있어서도 최종모형은13 0594

기본모형에13 비해13 설명력이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 기본모형의13 ( R2=117 222

최종모형의13 044 R2=188 104 056)

동일한13 방식으로13 미국의13 기본모형과13 최종모형의13 추정13 결과 기본모형의13 모

형부합지수는13 정확합치인13 x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미할13 뿐만13 아니라13 001

근사합치인13 GFI=904 AGFI=882 NFI=801 CFI=867 IFI=869

로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모형부합지수를13 나타내고13 있지만13 전반RMSEA=054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7

그림13 2 사회제도신뢰를13 검증하기13 위한13 최종모형 한국13 -

그림13 3 사회제도신뢰를13 검증하기위한13 최종모형 미국13 -

적으로13 그리13 높지13 않는13 부합지수를13 나타내고13 있다 반면에13 최종모형의13 모형

부합지수는13 기본모형과13 마찬가지로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하며13 001

로13 GFI=896 AGFI=871 NFI=782 CFI=867 IFI=889 RMSEA=0539

148 김상돈

기본모형보다13 다소13 향상되었다 또한13 결정계수에13 있어서도 최종모형은13 기본

모형에13 비해13 설명력이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기본모형의13 ( R2=034 174 028

최종모형의13 R2=099 245 039)

모형13 찾기에서13 선정된13 최종모형에13 기초하여13 제반13 외생변인들의13 인과적13 단

위영향을13 보여주는13 구조모형을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추정한13 결과는13 lt표13

6gt에13 제시하였다 구조모형의13 추정결과를13 우선13 살펴보면 기본모형에서13 배제

되었던13 경로들13 가운데13 사회단체참여rarr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경제

적13 지위rarr사회단체참여로13 향하는13 경로만이13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이13 높고13 수정지표도13 현저한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사회경제적13 지위 rarr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rarr사회제도신뢰로13 향하는13 경로들은13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이13 낮고13 수정지표13 또한13 현저하지13 못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각13 내생변인과13 관련한13 결과를13 순서대로13 살펴보면13 다음과13 같다

첫째 사회단체참여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

위 남성 광역시(B=378) (B=220) (B=-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유의미한13 170)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B=416)

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과13 남성 그리고13 기타도시에13 거주하는13

사람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반면에13 미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만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이다

둘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남성(B=189) (B=- 기혼144) (-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유의470)

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남성더미(B=152) (B=- 기혼더미137) (B=- 광역시 등13 네13 372) (B=130)

가지13 변인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과13 여성 미혼은13 사회적13 지원을13 강한13 연

계보다는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광역시에13 거주하는13 사

람들은13 한국사회13 보다13 미국에서13 강한13 연계보다13 약한13 연계에13 사회적13 지원을13

요청한다

셋째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단체참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9

사회경제적13 지위(B=151) (B=- 등13 두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246)

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B=144)

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은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

데13 비해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들은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불신이13 높게13

나타났다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이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났다

변인

한국(N=979) 미국(N=535)

단체참여 사회적지원 사회제도신뢰 단체참여 사회적지원 사회제도신뢰

r B r B r B r B r B r B

매개내생변인

사회적13 지원 048 - -017 -

매개외생변인

단체참여 - 090 189 043 151 104 152 158 144

외생변인

SES 387 378 070 - -192 -246 409 416 197 - 093 031

통제변인

남성13 더미 273 220 -094 -144 -024 -033 006 026 -152 -137 040 039

기혼13 더미 104 068 -451 -470 006 005 109 018 -352 -372 064 037

광역시13 더미 -136 -170 047 053 -005 -007 146 066 147 130 -004 -023

R2 237 220 056 183 195 030

χ2 1187022(df=283) (plt001) 687058(df=283) (plt001)

모형부합치 GFI=915 AGFI=894 NFI=808

CFI=846 IFI=847 RMSEA=0572

GFI=910 AGFI=888 NFI=812

CFI=880 IFI=881 RMSEA=0517

주 제시된13 계수는13 표준화계수이며 통계적13 유의도는13 비표준화계수에13 대한13 검증임 1)

계수를13 연차적으로13 자유모수로13 개방하여13 추정한13 최종모형임2) B21 11 Γ

단측검증 단측검증 단측검증3) p 05 p 01 p 001 < < <

표13 6<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요인들에13 대한13 추정13 결과13 LISREL13

다음은13 사회제도신뢰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대한13 직접 간접 전체영향을13 분리시킨13 경로분석을13 시도한다 그13 결과는13 lt표13 7gt과13 같다

우선 사회제도신뢰의13 경로분석결과를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유의미한13

요인들과13 그13 영향에13 대한13 절대적13 크기순서대로13 나열하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

제적13 지위(B=- 사회단체참여 로13 구성되며 미국에서는13 단체참여189) (151)

변인만으로13 구성되었다 이13 같은13 결과를13 각13 변인별로13 보다13 상세히13 (B=144)

150 김상돈

살펴보면13 먼저 양13 국가13 모두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와13 사회단체참여변인

을13 연결하는13 제 의13 변인은13 존재하지13 않기13 때문에13 사회단체참여의13 전체영향3

은13 직접영향 한국 미국 만으로13 구성되며13 그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 =151 =144)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다 다음으로 사회경제적13 지위13 변인은13 한국

에서13 강한13 부의13 인과적13 영향(B=- 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며13 직접영189)

향(B=- 및13 간접영향 모두13 유의미하였고13 전체의13 가13 직접246) (B=057) 130

영향으로13 구성된다 반면에13 미국에서13 직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으나13 간접영

향 은13 유의미하다 이상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사회단체참여의13 (B=060)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그13 영향의13 구체적13 방향이13 이론적13 예측과13 예외13 없이13 일

치한13 반면에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사회경제적13 지위의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이론적13 예측과13 일치하지13 않았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대한13 경로분석결과를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들과13 그13 영향에13 대한13 절대적13 크기순서대로13 나

열하면 한국에서는13 기혼 (B=- 단체참여 남성457) (B=189) (B=- 사회102)

경제적13 지위 순으로13 구성되며 미국에서는13 기혼(B=071) (B=- 단체참374)

여 광역시 남성(B=152) (B=140) (B=- 사회경제적13 지위 순133) (B=063)

으로13 구성된다 이13 같은13 결과를13 각13 변인별로13 보다13 상세히13 살펴보면 첫째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사회단체참여변인을13 연결하는13 제 의13 3

변인은13 존재하지13 않기13 때문에13 사회단체참여의13 전체영향은13 직접영향한국(

미국 만으로13 구성되며13 그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189 =152)

의미하다 둘째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영향이13 사회단체

참여에13 의해13 전적으로13 매개된13 간접영향한국 미국 으로만13 구성( =069 =063)

되었다 셋째 기혼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직접영향한국 ( =- 미국470 =-371)

만이13 유의미한13 반면에13 간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았다 넷째 남성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직접영향 한국( =- 미국144 =- 이13 유의미하고13 간접영향은13 한137)

국 만이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고13 미국에서는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것(B=042)

으로13 나타났다 다섯째 광역시13 변인은13 한국에선13 직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

은13 대신에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된13 간접영향(B=- 은13 유의미한13 반면032)

에13 미국에선13 사회단체참여에13 매개된13 간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대신에13 직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1

접영향 은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B=130)

한국(N=979) 미국(N=535)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변인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매개변인

사회적지원

단체참여 189 189 151 151 152 152 144 144

외생변인

SES 071 071 -246 057 -189 063 063 030 060 090

통제변인

남성더미 -144 042 -102 -033 033 000 -137 004 -133 039 004 043

기혼더미 -470 013 -457 -026 010 016 -371 -003 -374 038 -003 035

광역시더미 033 -032 001 -006 -026 -032 130 010 140 -023 -009 -014

제시된13 계수는13 표준화계수이며 통계적13 유의도는13 비표준화계수에13 대한13 검증임1)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지원에13 미치는13 영향2) ( ) times ( )=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미치는13 영향3) ( ) times ( )=

전체영향13 직접영향13 간접영향4) = +

단측검증 단측검증 단측검증 p 05 p 01 p 001 < < <

표13 lt 7gt 사회적13 지원과13 사회제도신뢰를13 설명하는13 요인들의13 직접13 간접 전체영향을13 분리한13 경로분석결과LISREL13 1)

논의13 및13 결론V

이13 연구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

회제도신뢰13 등에13 대한13 기술통계13 및13 판별집합타당성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차

이 매개효과13 등을13 실증적으로13 규명할13 목적으로13 수행되었다 이를13 위하여13 유

교공동체주의와13 합리적13 개인주의모델의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특성을13 지니고13 있

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를13 선정하여13 국제사회종합조사 자료모듈인13 (ISSP)

와13 자료를13 대상으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과13 관련KGSS 2004 GSS 2001

된13 일련의13 연구13 가설을13 제시하여13 검증하였다

첫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적13 신뢰 ( )

152 김상돈

은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확연히13 다른13 평균차이를13 보여주고13 있다 사회단

체참여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상대적으로13 더13 적극( =1479) ( =1732)

적이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국에서13 저조

한13 이유는13 년13 이후13 신사회운동을13 포함한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추세에1987

도13 불구하고13 시민사회의13 공론장이13 모순적으로13 제도화되었기13 때문이다 이는13

사회공간이13 존재하는13 것과13 그13 공간에13 참여하는13 것과는13 별개의13 개념임을13 의미

한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은13 미국평균 보다13 한국평균 에서13 약 ( =3187) ( =4541)

한13 연계에13 더13 활용되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

용이13 한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분석결과는13 학연 지연 혈연13 등13 연고13 집단으로13 인해13 사회적13 자본이13 풍부하다고13 주장한13 연구유석춘13 외 와13 일치된다( 2002)

다른13 한편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더13 ( =1733) ( =2075)

높으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제도신뢰가13 한국보다13 미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사실은13 정치 경제적으로13 성공한13 국가가13 그렇지13 못한13 국가보다13 상대적으로13 제도신뢰가13 더13 높을13 것이라고13 제시한13 거시적13 차원에서의13 연구결과

와13 부합된다(Putnam 1993 1995 Fukuyama 1995)

둘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

사회제도신뢰사이에는13 판별) 집합타당도가13 유지된다는13 사실을13 강조할13 필요가13 있다 탐색적13 요인분석과13 더불어13 확인적13 요인분석을13 실시한13 결과에서13 나

타난바와13 같이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을13 측정하기13 위한13 문항들은13 제각기13

해당차원의13 개념들만을13 측정할13 뿐만13 아니라13 이들13 차원들이13 각기13 별도의13 개념

을13 형성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3-요인모형이13 최적모형으로13 판명됨으로써13 3-요인

모형에13 잠재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의13 판별 수렴타당도가13 존재함을13 보여준다 아울러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들13 사이의13 상관관계조차도13 상당히13 미

약한13 것으로13 드러남으로써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13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13 등은13 각기13 별개의13 구성체들로13 이루어져있음이13 나타났다

셋째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 (

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 의13 불평등을13 밝히는데13 사용되었다 사회단체 )

참여와1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변인으로13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와13 접한13

관련성을13 맺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나13 사회제도신뢰에13 있어서13 강한13 부(- 의13 상관13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3

및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와13 사회적13 지원13 연결망활용의13 인과변인으로서13 중요하게13 나타났다 그러나13 한

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

타났으며13 미국에서는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타나13 이들13 연구가설13

모두13 기각된13 결과로13 나타났다 기각된13 이유는13 통계적13 해석과13 담론적13 해석13 두13

가지로13 논의할13 수13 있는데 첫13 번째13 이유는13 사례수와13 변량13 등13 통계적13 근거에

서13 설명할13 수13 있다 예컨대13 구조모형의13 추정에13 동원된13 측정변인13 및13 이론변인

의13 수를13 감안할13 때13 제한된13 사례13 수한국 미국 는13 여러13 변인들의13 ( =979 =535)

변량을13 제한하고13 표준오차를13 증가시킴으로써13 각각13 사회적13 지원13 및13 사회적13 신

뢰의13 통계적13 유의도를13 상실하게13 하는13 원인으로13 작용될13 가능성이13 있다 통계

적13 해석보다13 중요한13 담론적13 해석은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설명유교공동체주의(

자유민주주의에서13 그13 이유를13 예측할13 수13 있다 한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하다는13 사실은13 서구사회의13 인간관계와13 유

사할13 정도로13 진행되고13 있음에도13 불구하고13 여전히13 유교공동체주의모델이13 존

재함을13 보여준13 결과이다 미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

하다는13 사실은13 한국과13 달리13 부의13 불평등에13 대해13 당연시하는13 미국인의13 태도

개인주의 시장의13 제도화13 등13 맥락변인에서13 설명될13 가능성이13 높음을13 예측하게13

한다

넷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강력한13 단위영향과13 관련하여13 한

국 은13 미국 보다13 상대적으로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B=189) (B=152)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한국 은13 미국 보다13 (B=071) (B=06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서도13 사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

우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222 R2 에13 비하여13 포함된13 경우한국=173) (

사회의13 R2 미국사회의13 =243 R2 에13 대한13 설명력이13 각각13 =188) 21 15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이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에13 있어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

거를13 시사하는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사회단체참여의13 경제행위를13 이

해하는데13 있어서13 영리적13 차원의13 자기이해와13 합리적13 선택론에13 근거한13 신제도

주의이론으로만13 온전히13 설명할13 수13 없다는13 점을13 밝히면서13 한편으로는13 개별행

154 김상돈

위자들이13 현재13 맺고13 있는13 사회연결망에13 의해서13 형성된다고13 본13 신경제사회학

의13 이론적13 논의를13 부각시켰다는13 점에서13 시사하는13 바가13 크다 이로써13 사회단

체참여는13 다양한13 사람들과의13 사회적13 관계에서13 유통되는13 사회적13 지원을13 제공

해주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척도로서13 의미13 있는13 구성지표이다

다섯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B=144

보다13 한국 에서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지만 사회경제적13 plt05) (B=151 plt05)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는13 한국 보다13 미국(B=057 plt05)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B=060 plt05) 5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13 있어서도13 사

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미국사회의13 ( R2=037 R2 에13 비=028)

하여13 포함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056 R2 의13 설명력은13 =030)

한국과13 미국13 각각13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은13 작19 02

은13 증가를13 나타냈으나13 단위13 영향13 및13 간접영향13 모두13 높게13 형성되어13 사회단체

참여가13 제도신뢰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거를13 시사

한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공적13 시민정신의13 연구결과들 (Tocqueville

과13 일치됨으로써13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과13 미국13 1845 Putnam 1993 1995)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신뢰의13 중요한13 관건임을13 밝혀냈다 그러나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약한13 정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

데 이러한13 결과가13 나타난13 사실은13 년13 이후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로13 인 1987

해13 시민의13 정치참여를13 높이는데13 일정정도13 기여했으나13 민주적13 시민덕목을13 배

양하는데13 있어서는13 그리13 성공하지13 못한13 데에서13 추측할13 수13 있다 이를13 위해서

는13 중복적13 참여13 및13 자기이해(self- 에13 기초한13 소극적13 참여에서13 호혜성interest)

규범과13 사회적13 신뢰형성을13 위한13 제도적13 메커니즘으로의13 사회단체참여13 구축

이13 무엇보다13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이13 사회제도신뢰에13 미치는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이러한13

사실은13 사회적13 자본의13 연구결과 김용학(Pagden 1988 Fukuyama 1995 손

5 이와13 반대로 결측치에13 개별평균값을13 대체하기전의13 추정결과에서 사회단체참 LISREL

여의13 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B=169 plt05) (B=133 plt05)

더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높게13 나타났다(B=049 plt05) (B=043 plt0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5

재석 이재열 에서13 제시된13 반경범위 내집단13 족쇄 연고13 집단13 등 1998 1998)

의13 용어를13 사용하면서 가족13 및13 개인연결망13 활용이13 공적영역의13 신뢰를13 식민

화하여13 사회13 전체적으로13 저신뢰사회가13 된다고13 주장한13 논의와13 일치하지13 않는13

결과이다 즉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사이의13

관계가13 서로13 양립13 가능한13 현상을13 보여주어13 매개역할13 또한13 기각되었다

종합컨대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상관관계와13 유의미한13 정 의13 인과관계로13 작동하는데13 비해13 미국에서는13 상관13 (+)

및13 인과관계13 모두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 한편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

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은13 약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13 것으 (+)

로13 나타났다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의13 중요한13 인과변인인13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양13 국가13 모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력을13 미치고13 있으며 사회경제적13 지(+)

위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두13 가지13 구성개념사회제도신뢰13 및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 )

인과적13 영향은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되었다는13 사실13 또한13 이13 연구에서13 밝

혀냈다

이상의13 연구에도13 불구하고13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한국의13 ( R2 237 220

미국의13 056 R2 이13 낮게13 형성되었다는13 점과13 와13 183 195 030) KGSS 2004

자료에13 한정하여13 분석하였기13 때문에13 분석결과의13 해석과13 일반화에13 GSS 2001

한계가13 있을13 수13 있다 예를13 들면13 년과13 년이라는13 특정한13 시기에13 조 2004 2001

사가13 이루어졌다는13 점에서13 이론적 경험적으로13 함축하는13 바가13 있다고13 하더라도13 외적13 타당성의13 문제점을13 지닌다 그리고13 이13 연구는13 전국규모를13 대상으로13

조사되었다는13 점에서13 의미하는13 바가13 있지만13 시계열적13 자료를13 통한13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정 한13 검증을13 하지13 못하였다는13 점에서도13 그13 한계가13 있음을13 밝혀

둔다 따라서 향후13 후속연구에서13 제시된13 모델들을13 보다13 정교화하는13 이론적13

작업과13 더불어13 다양한13 변인들을13 충분히13 활용하며13 통시적13 연구13 및13 국가간의13

비교연구13 등을13 통해13 경험적13 연구들이13 진행되어야13 할13 것이며 연구자의13 관심

과13 노력으로13 연구의13 질적13 향상을13 기대해본다

156 김상돈

참고문헌

국민호 동아시아경제발전과13 유교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1997 31 1 pp 29-59「 」 985172 985173김상욱 조직몰입의13 하위차원들의13 타당도평가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2001 35 3 pp 「 」 985172 985173

109-138

김용학 손재석 미시적13 신뢰와13 거시적13 위험 계간사상 1998 38 pp 115-132 「 」 985172 985173이재열 민주주의 사회적13 신뢰 사회적13 자본 계간사상 1998 38 pp 65-93「 」 985172 985173유석춘 외 사회자본과13 신뢰 한국 일본 덴마크 스웨덴13 비교13 연구 동서연구 2002 「 」 985172 985173

권13 호14 1 pp 101-135

장수찬 한국사회에13 나타난13 악순화의13 사이클 한국정치학회보 권13 호 2002 36 1 pp 「 」 985172 98517387-112

한국13 사회과학도서관13 홈페이지 2005 httpwwwksslorkr

Banfield E 1967 The Moral Basis of a Backward Society New York Free Press

Billiet JB and Bart Cambre 1999 ldquoSocial capital active membership in voluntary

associations and some aspects of political participatio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Bourdieu Piere 1984 The Distiction A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Brehm John amp Wendy Rahn 1997 ldquoIndividual-level evidence for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social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41(3)

pp 999-1023

Burt R 1992 Structure Holes The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Coleman James 1988 ldquo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pp 94-121

DiMaggio Paul and Hugh Louch 1998 ldquoSocially Embedded Consumer Transaction

For What Kinds of Purchases Do People Most Often Use Networks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3 pp 619-637

Fukuyama Francis 1995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perty

NewYork Free Press Paper Backs Book

Gambetta Diego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Financial Capital The

Case of Network Marketing Champaign Stipes

Ganzeboom H B G and DJ Treiman 1996 ldquoInternationally Comparable Measures

of Occupational Status for the 1988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rdquo Social Science Research 25 pp 201-239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7

Giddens Anthony 1990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Stanford Stanford UP

Granovetter Mark 1985 ldquoEconomic Action and Social Structure The Problem of

Embeddedness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1 pp 481-510

Inglehart R 1999 Culture Shift in Advanced Industrial Societ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Joumlreskg Karl G and Soumlrbom Dag 1989 LISREL 7 A Guide to the Program and

Applications Chicago SPSS Inc

Lin Nam 1982 ldquoSocial Resource and Instrumental Actionrdquo In Social Structure and

Network Analysis edited by Peter Marsden and Nan Lin Beverly Hill CA

Sage Publication

Loury Glen 1977 ldquoA Dynamic Theory of Racial Income Differencerdquo In PA

Wallace amp A LeMund (eds) Woman Minorities and Employment Discrimi-

nation Lexington Lexington Books

Luhmann Niklas 1988 ldquoFamiliarity Confidence Trust Problems and Alternativesrdquo In D Gambetta (ed)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New York Basil Blackwell

McPherson J Miller 1983 ldquoAn Ecology of Affiliation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8 pp 519-532

Newton Kenneth 1997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rdquo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0(5) pp 575-586

Newton Kenneth 1999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 in Modern Euroupea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s)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Olson ME 1965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Pagden Anthony 1988 ldquoThe Destruction of Trust and its Economic Consequence in

the Case of Eighteenth-century Naplesrdquo In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edited by D Gambetta Oxford Blackwell

Paxton Pamela 1999 ldquoIs Social Capital Declining in the US A Multiple Indicator

Assessment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5(1) pp 88-126

Portes A 1998 ldquoSocial Capital Its Origin and Application in Modern Sociologyrdquo Annual Review of Sociology 24 pp 1-24

Portes A 2000 ldquoThe Two Meaning of Social Capitalrdquo Sociological Forum 15(1)

pp 1-12

Putnam Robert 1993 Making Democracy Work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utnam Robert 1995 ldquoBowling Alone Americans Declining Social Capitalrdquo Journal of Democracy 6(1) pp 65-78

Sztompka P 1999 Trust A Sociological Theor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8 김상돈

Toqueville Alexis de [1835 1840] 1990 Democracy in America(Reprint) New

York Vintage

Verba Sidney Kay Lehman Schlozman and Henry E 1995 Voice and Equality

Civic Voluntarism in American Politics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son Oliver E 1993 ldquoCaculativeness Trust and Economic Organizationrdquo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36(3) pp 453-486

Zucker Lynn G 1986 ldquoProduction of Trust Institutional Sources of Economic

Structurerdquo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8 pp 53-111

Comparison Analysi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n the Causal Structure of Trust in Social InstitutionsWith a focus on Mediation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and

Social Support

Sang-don KimLecturer in The University College at Sungkyunkwan University

This Study explores the multiplicativ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social institutions trus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do this a set of hypotheses concerning th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are set forth and subjected to an empirical assessment by using data set

collected from KGSS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2004 and GSS (General

Social Survey) 2001 out of the ISSP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lanning)

Modules

Analysis of data in terms of ML (Maximum Likelihood) procedure in

LISREL852 was used and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s (1) The unit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on association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2)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status on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but They were appear to be an important predictor to

Korea (3)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on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4) Association participation was especially in

shaping social support and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to the two nations

This study is interpreted that further research on the topic of social capital are

raised with elaborating the measure on the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political efficacy consciousness of social class and so forth coupled with

advertising a few limitation of this study

Keyword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KGSS GSS ISSP

김상돈 성균관대학교13 학부대학강사13

경기도13 수원시13 장안구13 조원동13 한일타운13 동13 호13 119 703 440-709

Tel_01113 912013 132313 13 E-mail_education17hanmailnet

Page 22: 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 미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64/1/5.%e1%84%80%e1...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미비교연구:

146 김상돈

관계로13 나타났다 이에13 비해13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남성더미 (r=197)

(r=- 기혼더미152) (r=- 광역시13 더미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이13 통352) (r=147)

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국에서는13 여성일수록 미혼일수록13

사회적13 지원을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되어진다면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여성일수록 미혼일수록 메트로폴리스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적13 지원

을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다른13 한편 사회단체참여에13 유의

미한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남성더 (r=387)

미 기혼더미 광역시더미(r=273) (r=104) (r=- 변인13 등13 네13 가지13 변인이13 136)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한13 연관관계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

위 기혼더미 광역시더미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r=409) (r=109) (r=146)

적으로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다시13 말해13 한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남성일수록 기혼일수록 기타도시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반면에 미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을수록 기혼일수록 메트로

폴리스에13 거주할수록13 사회단체에13 적극적으로13 참여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이어서13 사회제도신뢰와13 인과변인사이의13 인과관계는13 구조모형에13 대한13 추정

을13 통해13 규명한다 한국의13 기본모형과13 최종모형의13 추정13 결과 기본모형의13 모

형부합지수는13 정확합치인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미할13 뿐만13 아니라13 001

근사합치인13 GFI=911 AGFI=890 NFI=790 CFI=837 IFI=838

로13 보다13 작아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모형부합지수를13 나타내RMSEA=0588 08

고13 있지만13 전반적으로13 그리13 높지13 않은13 것으로13 나타내고13 있다 반면에13 최종모

형의13 모형부합지수는13 기본모형과13 마찬가지로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 001

미하며13 GFI=901 AGFI=878 NFI=783 CFI=837 IFI=839 RMSEA=

로13 기본모형보다13 다소13 향상되었다 결정계수에13 있어서도 최종모형은13 0594

기본모형에13 비해13 설명력이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 기본모형의13 ( R2=117 222

최종모형의13 044 R2=188 104 056)

동일한13 방식으로13 미국의13 기본모형과13 최종모형의13 추정13 결과 기본모형의13 모

형부합지수는13 정확합치인13 x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미할13 뿐만13 아니라13 001

근사합치인13 GFI=904 AGFI=882 NFI=801 CFI=867 IFI=869

로13 수용할만한13 수준의13 모형부합지수를13 나타내고13 있지만13 전반RMSEA=054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7

그림13 2 사회제도신뢰를13 검증하기13 위한13 최종모형 한국13 -

그림13 3 사회제도신뢰를13 검증하기위한13 최종모형 미국13 -

적으로13 그리13 높지13 않는13 부합지수를13 나타내고13 있다 반면에13 최종모형의13 모형

부합지수는13 기본모형과13 마찬가지로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하며13 001

로13 GFI=896 AGFI=871 NFI=782 CFI=867 IFI=889 RMSEA=0539

148 김상돈

기본모형보다13 다소13 향상되었다 또한13 결정계수에13 있어서도 최종모형은13 기본

모형에13 비해13 설명력이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기본모형의13 ( R2=034 174 028

최종모형의13 R2=099 245 039)

모형13 찾기에서13 선정된13 최종모형에13 기초하여13 제반13 외생변인들의13 인과적13 단

위영향을13 보여주는13 구조모형을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추정한13 결과는13 lt표13

6gt에13 제시하였다 구조모형의13 추정결과를13 우선13 살펴보면 기본모형에서13 배제

되었던13 경로들13 가운데13 사회단체참여rarr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경제

적13 지위rarr사회단체참여로13 향하는13 경로만이13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이13 높고13 수정지표도13 현저한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사회경제적13 지위 rarr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rarr사회제도신뢰로13 향하는13 경로들은13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이13 낮고13 수정지표13 또한13 현저하지13 못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각13 내생변인과13 관련한13 결과를13 순서대로13 살펴보면13 다음과13 같다

첫째 사회단체참여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

위 남성 광역시(B=378) (B=220) (B=-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유의미한13 170)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B=416)

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과13 남성 그리고13 기타도시에13 거주하는13

사람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반면에13 미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만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이다

둘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남성(B=189) (B=- 기혼144) (-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유의470)

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남성더미(B=152) (B=- 기혼더미137) (B=- 광역시 등13 네13 372) (B=130)

가지13 변인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과13 여성 미혼은13 사회적13 지원을13 강한13 연

계보다는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광역시에13 거주하는13 사

람들은13 한국사회13 보다13 미국에서13 강한13 연계보다13 약한13 연계에13 사회적13 지원을13

요청한다

셋째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단체참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9

사회경제적13 지위(B=151) (B=- 등13 두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246)

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B=144)

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은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

데13 비해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들은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불신이13 높게13

나타났다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이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났다

변인

한국(N=979) 미국(N=535)

단체참여 사회적지원 사회제도신뢰 단체참여 사회적지원 사회제도신뢰

r B r B r B r B r B r B

매개내생변인

사회적13 지원 048 - -017 -

매개외생변인

단체참여 - 090 189 043 151 104 152 158 144

외생변인

SES 387 378 070 - -192 -246 409 416 197 - 093 031

통제변인

남성13 더미 273 220 -094 -144 -024 -033 006 026 -152 -137 040 039

기혼13 더미 104 068 -451 -470 006 005 109 018 -352 -372 064 037

광역시13 더미 -136 -170 047 053 -005 -007 146 066 147 130 -004 -023

R2 237 220 056 183 195 030

χ2 1187022(df=283) (plt001) 687058(df=283) (plt001)

모형부합치 GFI=915 AGFI=894 NFI=808

CFI=846 IFI=847 RMSEA=0572

GFI=910 AGFI=888 NFI=812

CFI=880 IFI=881 RMSEA=0517

주 제시된13 계수는13 표준화계수이며 통계적13 유의도는13 비표준화계수에13 대한13 검증임 1)

계수를13 연차적으로13 자유모수로13 개방하여13 추정한13 최종모형임2) B21 11 Γ

단측검증 단측검증 단측검증3) p 05 p 01 p 001 < < <

표13 6<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요인들에13 대한13 추정13 결과13 LISREL13

다음은13 사회제도신뢰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대한13 직접 간접 전체영향을13 분리시킨13 경로분석을13 시도한다 그13 결과는13 lt표13 7gt과13 같다

우선 사회제도신뢰의13 경로분석결과를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유의미한13

요인들과13 그13 영향에13 대한13 절대적13 크기순서대로13 나열하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

제적13 지위(B=- 사회단체참여 로13 구성되며 미국에서는13 단체참여189) (151)

변인만으로13 구성되었다 이13 같은13 결과를13 각13 변인별로13 보다13 상세히13 (B=144)

150 김상돈

살펴보면13 먼저 양13 국가13 모두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와13 사회단체참여변인

을13 연결하는13 제 의13 변인은13 존재하지13 않기13 때문에13 사회단체참여의13 전체영향3

은13 직접영향 한국 미국 만으로13 구성되며13 그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 =151 =144)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다 다음으로 사회경제적13 지위13 변인은13 한국

에서13 강한13 부의13 인과적13 영향(B=- 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며13 직접영189)

향(B=- 및13 간접영향 모두13 유의미하였고13 전체의13 가13 직접246) (B=057) 130

영향으로13 구성된다 반면에13 미국에서13 직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으나13 간접영

향 은13 유의미하다 이상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사회단체참여의13 (B=060)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그13 영향의13 구체적13 방향이13 이론적13 예측과13 예외13 없이13 일

치한13 반면에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사회경제적13 지위의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이론적13 예측과13 일치하지13 않았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대한13 경로분석결과를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들과13 그13 영향에13 대한13 절대적13 크기순서대로13 나

열하면 한국에서는13 기혼 (B=- 단체참여 남성457) (B=189) (B=- 사회102)

경제적13 지위 순으로13 구성되며 미국에서는13 기혼(B=071) (B=- 단체참374)

여 광역시 남성(B=152) (B=140) (B=- 사회경제적13 지위 순133) (B=063)

으로13 구성된다 이13 같은13 결과를13 각13 변인별로13 보다13 상세히13 살펴보면 첫째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사회단체참여변인을13 연결하는13 제 의13 3

변인은13 존재하지13 않기13 때문에13 사회단체참여의13 전체영향은13 직접영향한국(

미국 만으로13 구성되며13 그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189 =152)

의미하다 둘째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영향이13 사회단체

참여에13 의해13 전적으로13 매개된13 간접영향한국 미국 으로만13 구성( =069 =063)

되었다 셋째 기혼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직접영향한국 ( =- 미국470 =-371)

만이13 유의미한13 반면에13 간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았다 넷째 남성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직접영향 한국( =- 미국144 =- 이13 유의미하고13 간접영향은13 한137)

국 만이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고13 미국에서는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것(B=042)

으로13 나타났다 다섯째 광역시13 변인은13 한국에선13 직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

은13 대신에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된13 간접영향(B=- 은13 유의미한13 반면032)

에13 미국에선13 사회단체참여에13 매개된13 간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대신에13 직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1

접영향 은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B=130)

한국(N=979) 미국(N=535)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변인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매개변인

사회적지원

단체참여 189 189 151 151 152 152 144 144

외생변인

SES 071 071 -246 057 -189 063 063 030 060 090

통제변인

남성더미 -144 042 -102 -033 033 000 -137 004 -133 039 004 043

기혼더미 -470 013 -457 -026 010 016 -371 -003 -374 038 -003 035

광역시더미 033 -032 001 -006 -026 -032 130 010 140 -023 -009 -014

제시된13 계수는13 표준화계수이며 통계적13 유의도는13 비표준화계수에13 대한13 검증임1)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지원에13 미치는13 영향2) ( ) times ( )=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미치는13 영향3) ( ) times ( )=

전체영향13 직접영향13 간접영향4) = +

단측검증 단측검증 단측검증 p 05 p 01 p 001 < < <

표13 lt 7gt 사회적13 지원과13 사회제도신뢰를13 설명하는13 요인들의13 직접13 간접 전체영향을13 분리한13 경로분석결과LISREL13 1)

논의13 및13 결론V

이13 연구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

회제도신뢰13 등에13 대한13 기술통계13 및13 판별집합타당성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차

이 매개효과13 등을13 실증적으로13 규명할13 목적으로13 수행되었다 이를13 위하여13 유

교공동체주의와13 합리적13 개인주의모델의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특성을13 지니고13 있

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를13 선정하여13 국제사회종합조사 자료모듈인13 (ISSP)

와13 자료를13 대상으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과13 관련KGSS 2004 GSS 2001

된13 일련의13 연구13 가설을13 제시하여13 검증하였다

첫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적13 신뢰 ( )

152 김상돈

은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확연히13 다른13 평균차이를13 보여주고13 있다 사회단

체참여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상대적으로13 더13 적극( =1479) ( =1732)

적이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국에서13 저조

한13 이유는13 년13 이후13 신사회운동을13 포함한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추세에1987

도13 불구하고13 시민사회의13 공론장이13 모순적으로13 제도화되었기13 때문이다 이는13

사회공간이13 존재하는13 것과13 그13 공간에13 참여하는13 것과는13 별개의13 개념임을13 의미

한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은13 미국평균 보다13 한국평균 에서13 약 ( =3187) ( =4541)

한13 연계에13 더13 활용되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

용이13 한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분석결과는13 학연 지연 혈연13 등13 연고13 집단으로13 인해13 사회적13 자본이13 풍부하다고13 주장한13 연구유석춘13 외 와13 일치된다( 2002)

다른13 한편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더13 ( =1733) ( =2075)

높으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제도신뢰가13 한국보다13 미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사실은13 정치 경제적으로13 성공한13 국가가13 그렇지13 못한13 국가보다13 상대적으로13 제도신뢰가13 더13 높을13 것이라고13 제시한13 거시적13 차원에서의13 연구결과

와13 부합된다(Putnam 1993 1995 Fukuyama 1995)

둘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

사회제도신뢰사이에는13 판별) 집합타당도가13 유지된다는13 사실을13 강조할13 필요가13 있다 탐색적13 요인분석과13 더불어13 확인적13 요인분석을13 실시한13 결과에서13 나

타난바와13 같이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을13 측정하기13 위한13 문항들은13 제각기13

해당차원의13 개념들만을13 측정할13 뿐만13 아니라13 이들13 차원들이13 각기13 별도의13 개념

을13 형성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3-요인모형이13 최적모형으로13 판명됨으로써13 3-요인

모형에13 잠재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의13 판별 수렴타당도가13 존재함을13 보여준다 아울러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들13 사이의13 상관관계조차도13 상당히13 미

약한13 것으로13 드러남으로써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13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13 등은13 각기13 별개의13 구성체들로13 이루어져있음이13 나타났다

셋째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 (

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 의13 불평등을13 밝히는데13 사용되었다 사회단체 )

참여와1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변인으로13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와13 접한13

관련성을13 맺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나13 사회제도신뢰에13 있어서13 강한13 부(- 의13 상관13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3

및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와13 사회적13 지원13 연결망활용의13 인과변인으로서13 중요하게13 나타났다 그러나13 한

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

타났으며13 미국에서는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타나13 이들13 연구가설13

모두13 기각된13 결과로13 나타났다 기각된13 이유는13 통계적13 해석과13 담론적13 해석13 두13

가지로13 논의할13 수13 있는데 첫13 번째13 이유는13 사례수와13 변량13 등13 통계적13 근거에

서13 설명할13 수13 있다 예컨대13 구조모형의13 추정에13 동원된13 측정변인13 및13 이론변인

의13 수를13 감안할13 때13 제한된13 사례13 수한국 미국 는13 여러13 변인들의13 ( =979 =535)

변량을13 제한하고13 표준오차를13 증가시킴으로써13 각각13 사회적13 지원13 및13 사회적13 신

뢰의13 통계적13 유의도를13 상실하게13 하는13 원인으로13 작용될13 가능성이13 있다 통계

적13 해석보다13 중요한13 담론적13 해석은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설명유교공동체주의(

자유민주주의에서13 그13 이유를13 예측할13 수13 있다 한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하다는13 사실은13 서구사회의13 인간관계와13 유

사할13 정도로13 진행되고13 있음에도13 불구하고13 여전히13 유교공동체주의모델이13 존

재함을13 보여준13 결과이다 미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

하다는13 사실은13 한국과13 달리13 부의13 불평등에13 대해13 당연시하는13 미국인의13 태도

개인주의 시장의13 제도화13 등13 맥락변인에서13 설명될13 가능성이13 높음을13 예측하게13

한다

넷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강력한13 단위영향과13 관련하여13 한

국 은13 미국 보다13 상대적으로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B=189) (B=152)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한국 은13 미국 보다13 (B=071) (B=06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서도13 사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

우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222 R2 에13 비하여13 포함된13 경우한국=173) (

사회의13 R2 미국사회의13 =243 R2 에13 대한13 설명력이13 각각13 =188) 21 15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이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에13 있어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

거를13 시사하는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사회단체참여의13 경제행위를13 이

해하는데13 있어서13 영리적13 차원의13 자기이해와13 합리적13 선택론에13 근거한13 신제도

주의이론으로만13 온전히13 설명할13 수13 없다는13 점을13 밝히면서13 한편으로는13 개별행

154 김상돈

위자들이13 현재13 맺고13 있는13 사회연결망에13 의해서13 형성된다고13 본13 신경제사회학

의13 이론적13 논의를13 부각시켰다는13 점에서13 시사하는13 바가13 크다 이로써13 사회단

체참여는13 다양한13 사람들과의13 사회적13 관계에서13 유통되는13 사회적13 지원을13 제공

해주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척도로서13 의미13 있는13 구성지표이다

다섯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B=144

보다13 한국 에서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지만 사회경제적13 plt05) (B=151 plt05)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는13 한국 보다13 미국(B=057 plt05)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B=060 plt05) 5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13 있어서도13 사

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미국사회의13 ( R2=037 R2 에13 비=028)

하여13 포함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056 R2 의13 설명력은13 =030)

한국과13 미국13 각각13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은13 작19 02

은13 증가를13 나타냈으나13 단위13 영향13 및13 간접영향13 모두13 높게13 형성되어13 사회단체

참여가13 제도신뢰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거를13 시사

한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공적13 시민정신의13 연구결과들 (Tocqueville

과13 일치됨으로써13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과13 미국13 1845 Putnam 1993 1995)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신뢰의13 중요한13 관건임을13 밝혀냈다 그러나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약한13 정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

데 이러한13 결과가13 나타난13 사실은13 년13 이후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로13 인 1987

해13 시민의13 정치참여를13 높이는데13 일정정도13 기여했으나13 민주적13 시민덕목을13 배

양하는데13 있어서는13 그리13 성공하지13 못한13 데에서13 추측할13 수13 있다 이를13 위해서

는13 중복적13 참여13 및13 자기이해(self- 에13 기초한13 소극적13 참여에서13 호혜성interest)

규범과13 사회적13 신뢰형성을13 위한13 제도적13 메커니즘으로의13 사회단체참여13 구축

이13 무엇보다13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이13 사회제도신뢰에13 미치는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이러한13

사실은13 사회적13 자본의13 연구결과 김용학(Pagden 1988 Fukuyama 1995 손

5 이와13 반대로 결측치에13 개별평균값을13 대체하기전의13 추정결과에서 사회단체참 LISREL

여의13 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B=169 plt05) (B=133 plt05)

더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높게13 나타났다(B=049 plt05) (B=043 plt0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5

재석 이재열 에서13 제시된13 반경범위 내집단13 족쇄 연고13 집단13 등 1998 1998)

의13 용어를13 사용하면서 가족13 및13 개인연결망13 활용이13 공적영역의13 신뢰를13 식민

화하여13 사회13 전체적으로13 저신뢰사회가13 된다고13 주장한13 논의와13 일치하지13 않는13

결과이다 즉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사이의13

관계가13 서로13 양립13 가능한13 현상을13 보여주어13 매개역할13 또한13 기각되었다

종합컨대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상관관계와13 유의미한13 정 의13 인과관계로13 작동하는데13 비해13 미국에서는13 상관13 (+)

및13 인과관계13 모두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 한편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

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은13 약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13 것으 (+)

로13 나타났다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의13 중요한13 인과변인인13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양13 국가13 모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력을13 미치고13 있으며 사회경제적13 지(+)

위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두13 가지13 구성개념사회제도신뢰13 및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 )

인과적13 영향은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되었다는13 사실13 또한13 이13 연구에서13 밝

혀냈다

이상의13 연구에도13 불구하고13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한국의13 ( R2 237 220

미국의13 056 R2 이13 낮게13 형성되었다는13 점과13 와13 183 195 030) KGSS 2004

자료에13 한정하여13 분석하였기13 때문에13 분석결과의13 해석과13 일반화에13 GSS 2001

한계가13 있을13 수13 있다 예를13 들면13 년과13 년이라는13 특정한13 시기에13 조 2004 2001

사가13 이루어졌다는13 점에서13 이론적 경험적으로13 함축하는13 바가13 있다고13 하더라도13 외적13 타당성의13 문제점을13 지닌다 그리고13 이13 연구는13 전국규모를13 대상으로13

조사되었다는13 점에서13 의미하는13 바가13 있지만13 시계열적13 자료를13 통한13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정 한13 검증을13 하지13 못하였다는13 점에서도13 그13 한계가13 있음을13 밝혀

둔다 따라서 향후13 후속연구에서13 제시된13 모델들을13 보다13 정교화하는13 이론적13

작업과13 더불어13 다양한13 변인들을13 충분히13 활용하며13 통시적13 연구13 및13 국가간의13

비교연구13 등을13 통해13 경험적13 연구들이13 진행되어야13 할13 것이며 연구자의13 관심

과13 노력으로13 연구의13 질적13 향상을13 기대해본다

156 김상돈

참고문헌

국민호 동아시아경제발전과13 유교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1997 31 1 pp 29-59「 」 985172 985173김상욱 조직몰입의13 하위차원들의13 타당도평가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2001 35 3 pp 「 」 985172 985173

109-138

김용학 손재석 미시적13 신뢰와13 거시적13 위험 계간사상 1998 38 pp 115-132 「 」 985172 985173이재열 민주주의 사회적13 신뢰 사회적13 자본 계간사상 1998 38 pp 65-93「 」 985172 985173유석춘 외 사회자본과13 신뢰 한국 일본 덴마크 스웨덴13 비교13 연구 동서연구 2002 「 」 985172 985173

권13 호14 1 pp 101-135

장수찬 한국사회에13 나타난13 악순화의13 사이클 한국정치학회보 권13 호 2002 36 1 pp 「 」 985172 98517387-112

한국13 사회과학도서관13 홈페이지 2005 httpwwwksslorkr

Banfield E 1967 The Moral Basis of a Backward Society New York Free Press

Billiet JB and Bart Cambre 1999 ldquoSocial capital active membership in voluntary

associations and some aspects of political participatio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Bourdieu Piere 1984 The Distiction A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Brehm John amp Wendy Rahn 1997 ldquoIndividual-level evidence for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social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41(3)

pp 999-1023

Burt R 1992 Structure Holes The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Coleman James 1988 ldquo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pp 94-121

DiMaggio Paul and Hugh Louch 1998 ldquoSocially Embedded Consumer Transaction

For What Kinds of Purchases Do People Most Often Use Networks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3 pp 619-637

Fukuyama Francis 1995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perty

NewYork Free Press Paper Backs Book

Gambetta Diego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Financial Capital The

Case of Network Marketing Champaign Stipes

Ganzeboom H B G and DJ Treiman 1996 ldquoInternationally Comparable Measures

of Occupational Status for the 1988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rdquo Social Science Research 25 pp 201-239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7

Giddens Anthony 1990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Stanford Stanford UP

Granovetter Mark 1985 ldquoEconomic Action and Social Structure The Problem of

Embeddedness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1 pp 481-510

Inglehart R 1999 Culture Shift in Advanced Industrial Societ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Joumlreskg Karl G and Soumlrbom Dag 1989 LISREL 7 A Guide to the Program and

Applications Chicago SPSS Inc

Lin Nam 1982 ldquoSocial Resource and Instrumental Actionrdquo In Social Structure and

Network Analysis edited by Peter Marsden and Nan Lin Beverly Hill CA

Sage Publication

Loury Glen 1977 ldquoA Dynamic Theory of Racial Income Differencerdquo In PA

Wallace amp A LeMund (eds) Woman Minorities and Employment Discrimi-

nation Lexington Lexington Books

Luhmann Niklas 1988 ldquoFamiliarity Confidence Trust Problems and Alternativesrdquo In D Gambetta (ed)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New York Basil Blackwell

McPherson J Miller 1983 ldquoAn Ecology of Affiliation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8 pp 519-532

Newton Kenneth 1997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rdquo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0(5) pp 575-586

Newton Kenneth 1999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 in Modern Euroupea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s)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Olson ME 1965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Pagden Anthony 1988 ldquoThe Destruction of Trust and its Economic Consequence in

the Case of Eighteenth-century Naplesrdquo In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edited by D Gambetta Oxford Blackwell

Paxton Pamela 1999 ldquoIs Social Capital Declining in the US A Multiple Indicator

Assessment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5(1) pp 88-126

Portes A 1998 ldquoSocial Capital Its Origin and Application in Modern Sociologyrdquo Annual Review of Sociology 24 pp 1-24

Portes A 2000 ldquoThe Two Meaning of Social Capitalrdquo Sociological Forum 15(1)

pp 1-12

Putnam Robert 1993 Making Democracy Work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utnam Robert 1995 ldquoBowling Alone Americans Declining Social Capitalrdquo Journal of Democracy 6(1) pp 65-78

Sztompka P 1999 Trust A Sociological Theor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8 김상돈

Toqueville Alexis de [1835 1840] 1990 Democracy in America(Reprint) New

York Vintage

Verba Sidney Kay Lehman Schlozman and Henry E 1995 Voice and Equality

Civic Voluntarism in American Politics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son Oliver E 1993 ldquoCaculativeness Trust and Economic Organizationrdquo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36(3) pp 453-486

Zucker Lynn G 1986 ldquoProduction of Trust Institutional Sources of Economic

Structurerdquo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8 pp 53-111

Comparison Analysi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n the Causal Structure of Trust in Social InstitutionsWith a focus on Mediation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and

Social Support

Sang-don KimLecturer in The University College at Sungkyunkwan University

This Study explores the multiplicativ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social institutions trus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do this a set of hypotheses concerning th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are set forth and subjected to an empirical assessment by using data set

collected from KGSS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2004 and GSS (General

Social Survey) 2001 out of the ISSP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lanning)

Modules

Analysis of data in terms of ML (Maximum Likelihood) procedure in

LISREL852 was used and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s (1) The unit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on association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2)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status on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but They were appear to be an important predictor to

Korea (3)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on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4) Association participation was especially in

shaping social support and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to the two nations

This study is interpreted that further research on the topic of social capital are

raised with elaborating the measure on the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political efficacy consciousness of social class and so forth coupled with

advertising a few limitation of this study

Keyword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KGSS GSS ISSP

김상돈 성균관대학교13 학부대학강사13

경기도13 수원시13 장안구13 조원동13 한일타운13 동13 호13 119 703 440-709

Tel_01113 912013 132313 13 E-mail_education17hanmailnet

Page 23: 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 미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64/1/5.%e1%84%80%e1...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미비교연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7

그림13 2 사회제도신뢰를13 검증하기13 위한13 최종모형 한국13 -

그림13 3 사회제도신뢰를13 검증하기위한13 최종모형 미국13 -

적으로13 그리13 높지13 않는13 부합지수를13 나타내고13 있다 반면에13 최종모형의13 모형

부합지수는13 기본모형과13 마찬가지로13 χ2 수치가13 수준에서13 유의하며13 001

로13 GFI=896 AGFI=871 NFI=782 CFI=867 IFI=889 RMSEA=0539

148 김상돈

기본모형보다13 다소13 향상되었다 또한13 결정계수에13 있어서도 최종모형은13 기본

모형에13 비해13 설명력이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기본모형의13 ( R2=034 174 028

최종모형의13 R2=099 245 039)

모형13 찾기에서13 선정된13 최종모형에13 기초하여13 제반13 외생변인들의13 인과적13 단

위영향을13 보여주는13 구조모형을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추정한13 결과는13 lt표13

6gt에13 제시하였다 구조모형의13 추정결과를13 우선13 살펴보면 기본모형에서13 배제

되었던13 경로들13 가운데13 사회단체참여rarr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경제

적13 지위rarr사회단체참여로13 향하는13 경로만이13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이13 높고13 수정지표도13 현저한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사회경제적13 지위 rarr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rarr사회제도신뢰로13 향하는13 경로들은13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이13 낮고13 수정지표13 또한13 현저하지13 못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각13 내생변인과13 관련한13 결과를13 순서대로13 살펴보면13 다음과13 같다

첫째 사회단체참여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

위 남성 광역시(B=378) (B=220) (B=-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유의미한13 170)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B=416)

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과13 남성 그리고13 기타도시에13 거주하는13

사람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반면에13 미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만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이다

둘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남성(B=189) (B=- 기혼144) (-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유의470)

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남성더미(B=152) (B=- 기혼더미137) (B=- 광역시 등13 네13 372) (B=130)

가지13 변인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과13 여성 미혼은13 사회적13 지원을13 강한13 연

계보다는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광역시에13 거주하는13 사

람들은13 한국사회13 보다13 미국에서13 강한13 연계보다13 약한13 연계에13 사회적13 지원을13

요청한다

셋째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단체참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9

사회경제적13 지위(B=151) (B=- 등13 두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246)

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B=144)

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은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

데13 비해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들은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불신이13 높게13

나타났다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이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났다

변인

한국(N=979) 미국(N=535)

단체참여 사회적지원 사회제도신뢰 단체참여 사회적지원 사회제도신뢰

r B r B r B r B r B r B

매개내생변인

사회적13 지원 048 - -017 -

매개외생변인

단체참여 - 090 189 043 151 104 152 158 144

외생변인

SES 387 378 070 - -192 -246 409 416 197 - 093 031

통제변인

남성13 더미 273 220 -094 -144 -024 -033 006 026 -152 -137 040 039

기혼13 더미 104 068 -451 -470 006 005 109 018 -352 -372 064 037

광역시13 더미 -136 -170 047 053 -005 -007 146 066 147 130 -004 -023

R2 237 220 056 183 195 030

χ2 1187022(df=283) (plt001) 687058(df=283) (plt001)

모형부합치 GFI=915 AGFI=894 NFI=808

CFI=846 IFI=847 RMSEA=0572

GFI=910 AGFI=888 NFI=812

CFI=880 IFI=881 RMSEA=0517

주 제시된13 계수는13 표준화계수이며 통계적13 유의도는13 비표준화계수에13 대한13 검증임 1)

계수를13 연차적으로13 자유모수로13 개방하여13 추정한13 최종모형임2) B21 11 Γ

단측검증 단측검증 단측검증3) p 05 p 01 p 001 < < <

표13 6<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요인들에13 대한13 추정13 결과13 LISREL13

다음은13 사회제도신뢰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대한13 직접 간접 전체영향을13 분리시킨13 경로분석을13 시도한다 그13 결과는13 lt표13 7gt과13 같다

우선 사회제도신뢰의13 경로분석결과를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유의미한13

요인들과13 그13 영향에13 대한13 절대적13 크기순서대로13 나열하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

제적13 지위(B=- 사회단체참여 로13 구성되며 미국에서는13 단체참여189) (151)

변인만으로13 구성되었다 이13 같은13 결과를13 각13 변인별로13 보다13 상세히13 (B=144)

150 김상돈

살펴보면13 먼저 양13 국가13 모두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와13 사회단체참여변인

을13 연결하는13 제 의13 변인은13 존재하지13 않기13 때문에13 사회단체참여의13 전체영향3

은13 직접영향 한국 미국 만으로13 구성되며13 그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 =151 =144)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다 다음으로 사회경제적13 지위13 변인은13 한국

에서13 강한13 부의13 인과적13 영향(B=- 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며13 직접영189)

향(B=- 및13 간접영향 모두13 유의미하였고13 전체의13 가13 직접246) (B=057) 130

영향으로13 구성된다 반면에13 미국에서13 직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으나13 간접영

향 은13 유의미하다 이상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사회단체참여의13 (B=060)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그13 영향의13 구체적13 방향이13 이론적13 예측과13 예외13 없이13 일

치한13 반면에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사회경제적13 지위의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이론적13 예측과13 일치하지13 않았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대한13 경로분석결과를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들과13 그13 영향에13 대한13 절대적13 크기순서대로13 나

열하면 한국에서는13 기혼 (B=- 단체참여 남성457) (B=189) (B=- 사회102)

경제적13 지위 순으로13 구성되며 미국에서는13 기혼(B=071) (B=- 단체참374)

여 광역시 남성(B=152) (B=140) (B=- 사회경제적13 지위 순133) (B=063)

으로13 구성된다 이13 같은13 결과를13 각13 변인별로13 보다13 상세히13 살펴보면 첫째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사회단체참여변인을13 연결하는13 제 의13 3

변인은13 존재하지13 않기13 때문에13 사회단체참여의13 전체영향은13 직접영향한국(

미국 만으로13 구성되며13 그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189 =152)

의미하다 둘째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영향이13 사회단체

참여에13 의해13 전적으로13 매개된13 간접영향한국 미국 으로만13 구성( =069 =063)

되었다 셋째 기혼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직접영향한국 ( =- 미국470 =-371)

만이13 유의미한13 반면에13 간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았다 넷째 남성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직접영향 한국( =- 미국144 =- 이13 유의미하고13 간접영향은13 한137)

국 만이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고13 미국에서는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것(B=042)

으로13 나타났다 다섯째 광역시13 변인은13 한국에선13 직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

은13 대신에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된13 간접영향(B=- 은13 유의미한13 반면032)

에13 미국에선13 사회단체참여에13 매개된13 간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대신에13 직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1

접영향 은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B=130)

한국(N=979) 미국(N=535)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변인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매개변인

사회적지원

단체참여 189 189 151 151 152 152 144 144

외생변인

SES 071 071 -246 057 -189 063 063 030 060 090

통제변인

남성더미 -144 042 -102 -033 033 000 -137 004 -133 039 004 043

기혼더미 -470 013 -457 -026 010 016 -371 -003 -374 038 -003 035

광역시더미 033 -032 001 -006 -026 -032 130 010 140 -023 -009 -014

제시된13 계수는13 표준화계수이며 통계적13 유의도는13 비표준화계수에13 대한13 검증임1)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지원에13 미치는13 영향2) ( ) times ( )=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미치는13 영향3) ( ) times ( )=

전체영향13 직접영향13 간접영향4) = +

단측검증 단측검증 단측검증 p 05 p 01 p 001 < < <

표13 lt 7gt 사회적13 지원과13 사회제도신뢰를13 설명하는13 요인들의13 직접13 간접 전체영향을13 분리한13 경로분석결과LISREL13 1)

논의13 및13 결론V

이13 연구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

회제도신뢰13 등에13 대한13 기술통계13 및13 판별집합타당성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차

이 매개효과13 등을13 실증적으로13 규명할13 목적으로13 수행되었다 이를13 위하여13 유

교공동체주의와13 합리적13 개인주의모델의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특성을13 지니고13 있

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를13 선정하여13 국제사회종합조사 자료모듈인13 (ISSP)

와13 자료를13 대상으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과13 관련KGSS 2004 GSS 2001

된13 일련의13 연구13 가설을13 제시하여13 검증하였다

첫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적13 신뢰 ( )

152 김상돈

은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확연히13 다른13 평균차이를13 보여주고13 있다 사회단

체참여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상대적으로13 더13 적극( =1479) ( =1732)

적이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국에서13 저조

한13 이유는13 년13 이후13 신사회운동을13 포함한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추세에1987

도13 불구하고13 시민사회의13 공론장이13 모순적으로13 제도화되었기13 때문이다 이는13

사회공간이13 존재하는13 것과13 그13 공간에13 참여하는13 것과는13 별개의13 개념임을13 의미

한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은13 미국평균 보다13 한국평균 에서13 약 ( =3187) ( =4541)

한13 연계에13 더13 활용되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

용이13 한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분석결과는13 학연 지연 혈연13 등13 연고13 집단으로13 인해13 사회적13 자본이13 풍부하다고13 주장한13 연구유석춘13 외 와13 일치된다( 2002)

다른13 한편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더13 ( =1733) ( =2075)

높으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제도신뢰가13 한국보다13 미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사실은13 정치 경제적으로13 성공한13 국가가13 그렇지13 못한13 국가보다13 상대적으로13 제도신뢰가13 더13 높을13 것이라고13 제시한13 거시적13 차원에서의13 연구결과

와13 부합된다(Putnam 1993 1995 Fukuyama 1995)

둘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

사회제도신뢰사이에는13 판별) 집합타당도가13 유지된다는13 사실을13 강조할13 필요가13 있다 탐색적13 요인분석과13 더불어13 확인적13 요인분석을13 실시한13 결과에서13 나

타난바와13 같이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을13 측정하기13 위한13 문항들은13 제각기13

해당차원의13 개념들만을13 측정할13 뿐만13 아니라13 이들13 차원들이13 각기13 별도의13 개념

을13 형성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3-요인모형이13 최적모형으로13 판명됨으로써13 3-요인

모형에13 잠재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의13 판별 수렴타당도가13 존재함을13 보여준다 아울러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들13 사이의13 상관관계조차도13 상당히13 미

약한13 것으로13 드러남으로써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13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13 등은13 각기13 별개의13 구성체들로13 이루어져있음이13 나타났다

셋째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 (

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 의13 불평등을13 밝히는데13 사용되었다 사회단체 )

참여와1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변인으로13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와13 접한13

관련성을13 맺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나13 사회제도신뢰에13 있어서13 강한13 부(- 의13 상관13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3

및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와13 사회적13 지원13 연결망활용의13 인과변인으로서13 중요하게13 나타났다 그러나13 한

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

타났으며13 미국에서는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타나13 이들13 연구가설13

모두13 기각된13 결과로13 나타났다 기각된13 이유는13 통계적13 해석과13 담론적13 해석13 두13

가지로13 논의할13 수13 있는데 첫13 번째13 이유는13 사례수와13 변량13 등13 통계적13 근거에

서13 설명할13 수13 있다 예컨대13 구조모형의13 추정에13 동원된13 측정변인13 및13 이론변인

의13 수를13 감안할13 때13 제한된13 사례13 수한국 미국 는13 여러13 변인들의13 ( =979 =535)

변량을13 제한하고13 표준오차를13 증가시킴으로써13 각각13 사회적13 지원13 및13 사회적13 신

뢰의13 통계적13 유의도를13 상실하게13 하는13 원인으로13 작용될13 가능성이13 있다 통계

적13 해석보다13 중요한13 담론적13 해석은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설명유교공동체주의(

자유민주주의에서13 그13 이유를13 예측할13 수13 있다 한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하다는13 사실은13 서구사회의13 인간관계와13 유

사할13 정도로13 진행되고13 있음에도13 불구하고13 여전히13 유교공동체주의모델이13 존

재함을13 보여준13 결과이다 미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

하다는13 사실은13 한국과13 달리13 부의13 불평등에13 대해13 당연시하는13 미국인의13 태도

개인주의 시장의13 제도화13 등13 맥락변인에서13 설명될13 가능성이13 높음을13 예측하게13

한다

넷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강력한13 단위영향과13 관련하여13 한

국 은13 미국 보다13 상대적으로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B=189) (B=152)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한국 은13 미국 보다13 (B=071) (B=06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서도13 사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

우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222 R2 에13 비하여13 포함된13 경우한국=173) (

사회의13 R2 미국사회의13 =243 R2 에13 대한13 설명력이13 각각13 =188) 21 15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이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에13 있어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

거를13 시사하는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사회단체참여의13 경제행위를13 이

해하는데13 있어서13 영리적13 차원의13 자기이해와13 합리적13 선택론에13 근거한13 신제도

주의이론으로만13 온전히13 설명할13 수13 없다는13 점을13 밝히면서13 한편으로는13 개별행

154 김상돈

위자들이13 현재13 맺고13 있는13 사회연결망에13 의해서13 형성된다고13 본13 신경제사회학

의13 이론적13 논의를13 부각시켰다는13 점에서13 시사하는13 바가13 크다 이로써13 사회단

체참여는13 다양한13 사람들과의13 사회적13 관계에서13 유통되는13 사회적13 지원을13 제공

해주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척도로서13 의미13 있는13 구성지표이다

다섯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B=144

보다13 한국 에서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지만 사회경제적13 plt05) (B=151 plt05)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는13 한국 보다13 미국(B=057 plt05)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B=060 plt05) 5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13 있어서도13 사

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미국사회의13 ( R2=037 R2 에13 비=028)

하여13 포함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056 R2 의13 설명력은13 =030)

한국과13 미국13 각각13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은13 작19 02

은13 증가를13 나타냈으나13 단위13 영향13 및13 간접영향13 모두13 높게13 형성되어13 사회단체

참여가13 제도신뢰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거를13 시사

한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공적13 시민정신의13 연구결과들 (Tocqueville

과13 일치됨으로써13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과13 미국13 1845 Putnam 1993 1995)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신뢰의13 중요한13 관건임을13 밝혀냈다 그러나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약한13 정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

데 이러한13 결과가13 나타난13 사실은13 년13 이후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로13 인 1987

해13 시민의13 정치참여를13 높이는데13 일정정도13 기여했으나13 민주적13 시민덕목을13 배

양하는데13 있어서는13 그리13 성공하지13 못한13 데에서13 추측할13 수13 있다 이를13 위해서

는13 중복적13 참여13 및13 자기이해(self- 에13 기초한13 소극적13 참여에서13 호혜성interest)

규범과13 사회적13 신뢰형성을13 위한13 제도적13 메커니즘으로의13 사회단체참여13 구축

이13 무엇보다13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이13 사회제도신뢰에13 미치는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이러한13

사실은13 사회적13 자본의13 연구결과 김용학(Pagden 1988 Fukuyama 1995 손

5 이와13 반대로 결측치에13 개별평균값을13 대체하기전의13 추정결과에서 사회단체참 LISREL

여의13 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B=169 plt05) (B=133 plt05)

더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높게13 나타났다(B=049 plt05) (B=043 plt0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5

재석 이재열 에서13 제시된13 반경범위 내집단13 족쇄 연고13 집단13 등 1998 1998)

의13 용어를13 사용하면서 가족13 및13 개인연결망13 활용이13 공적영역의13 신뢰를13 식민

화하여13 사회13 전체적으로13 저신뢰사회가13 된다고13 주장한13 논의와13 일치하지13 않는13

결과이다 즉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사이의13

관계가13 서로13 양립13 가능한13 현상을13 보여주어13 매개역할13 또한13 기각되었다

종합컨대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상관관계와13 유의미한13 정 의13 인과관계로13 작동하는데13 비해13 미국에서는13 상관13 (+)

및13 인과관계13 모두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 한편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

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은13 약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13 것으 (+)

로13 나타났다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의13 중요한13 인과변인인13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양13 국가13 모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력을13 미치고13 있으며 사회경제적13 지(+)

위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두13 가지13 구성개념사회제도신뢰13 및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 )

인과적13 영향은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되었다는13 사실13 또한13 이13 연구에서13 밝

혀냈다

이상의13 연구에도13 불구하고13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한국의13 ( R2 237 220

미국의13 056 R2 이13 낮게13 형성되었다는13 점과13 와13 183 195 030) KGSS 2004

자료에13 한정하여13 분석하였기13 때문에13 분석결과의13 해석과13 일반화에13 GSS 2001

한계가13 있을13 수13 있다 예를13 들면13 년과13 년이라는13 특정한13 시기에13 조 2004 2001

사가13 이루어졌다는13 점에서13 이론적 경험적으로13 함축하는13 바가13 있다고13 하더라도13 외적13 타당성의13 문제점을13 지닌다 그리고13 이13 연구는13 전국규모를13 대상으로13

조사되었다는13 점에서13 의미하는13 바가13 있지만13 시계열적13 자료를13 통한13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정 한13 검증을13 하지13 못하였다는13 점에서도13 그13 한계가13 있음을13 밝혀

둔다 따라서 향후13 후속연구에서13 제시된13 모델들을13 보다13 정교화하는13 이론적13

작업과13 더불어13 다양한13 변인들을13 충분히13 활용하며13 통시적13 연구13 및13 국가간의13

비교연구13 등을13 통해13 경험적13 연구들이13 진행되어야13 할13 것이며 연구자의13 관심

과13 노력으로13 연구의13 질적13 향상을13 기대해본다

156 김상돈

참고문헌

국민호 동아시아경제발전과13 유교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1997 31 1 pp 29-59「 」 985172 985173김상욱 조직몰입의13 하위차원들의13 타당도평가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2001 35 3 pp 「 」 985172 985173

109-138

김용학 손재석 미시적13 신뢰와13 거시적13 위험 계간사상 1998 38 pp 115-132 「 」 985172 985173이재열 민주주의 사회적13 신뢰 사회적13 자본 계간사상 1998 38 pp 65-93「 」 985172 985173유석춘 외 사회자본과13 신뢰 한국 일본 덴마크 스웨덴13 비교13 연구 동서연구 2002 「 」 985172 985173

권13 호14 1 pp 101-135

장수찬 한국사회에13 나타난13 악순화의13 사이클 한국정치학회보 권13 호 2002 36 1 pp 「 」 985172 98517387-112

한국13 사회과학도서관13 홈페이지 2005 httpwwwksslorkr

Banfield E 1967 The Moral Basis of a Backward Society New York Free Press

Billiet JB and Bart Cambre 1999 ldquoSocial capital active membership in voluntary

associations and some aspects of political participatio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Bourdieu Piere 1984 The Distiction A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Brehm John amp Wendy Rahn 1997 ldquoIndividual-level evidence for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social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41(3)

pp 999-1023

Burt R 1992 Structure Holes The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Coleman James 1988 ldquo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pp 94-121

DiMaggio Paul and Hugh Louch 1998 ldquoSocially Embedded Consumer Transaction

For What Kinds of Purchases Do People Most Often Use Networks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3 pp 619-637

Fukuyama Francis 1995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perty

NewYork Free Press Paper Backs Book

Gambetta Diego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Financial Capital The

Case of Network Marketing Champaign Stipes

Ganzeboom H B G and DJ Treiman 1996 ldquoInternationally Comparable Measures

of Occupational Status for the 1988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rdquo Social Science Research 25 pp 201-239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7

Giddens Anthony 1990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Stanford Stanford UP

Granovetter Mark 1985 ldquoEconomic Action and Social Structure The Problem of

Embeddedness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1 pp 481-510

Inglehart R 1999 Culture Shift in Advanced Industrial Societ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Joumlreskg Karl G and Soumlrbom Dag 1989 LISREL 7 A Guide to the Program and

Applications Chicago SPSS Inc

Lin Nam 1982 ldquoSocial Resource and Instrumental Actionrdquo In Social Structure and

Network Analysis edited by Peter Marsden and Nan Lin Beverly Hill CA

Sage Publication

Loury Glen 1977 ldquoA Dynamic Theory of Racial Income Differencerdquo In PA

Wallace amp A LeMund (eds) Woman Minorities and Employment Discrimi-

nation Lexington Lexington Books

Luhmann Niklas 1988 ldquoFamiliarity Confidence Trust Problems and Alternativesrdquo In D Gambetta (ed)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New York Basil Blackwell

McPherson J Miller 1983 ldquoAn Ecology of Affiliation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8 pp 519-532

Newton Kenneth 1997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rdquo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0(5) pp 575-586

Newton Kenneth 1999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 in Modern Euroupea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s)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Olson ME 1965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Pagden Anthony 1988 ldquoThe Destruction of Trust and its Economic Consequence in

the Case of Eighteenth-century Naplesrdquo In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edited by D Gambetta Oxford Blackwell

Paxton Pamela 1999 ldquoIs Social Capital Declining in the US A Multiple Indicator

Assessment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5(1) pp 88-126

Portes A 1998 ldquoSocial Capital Its Origin and Application in Modern Sociologyrdquo Annual Review of Sociology 24 pp 1-24

Portes A 2000 ldquoThe Two Meaning of Social Capitalrdquo Sociological Forum 15(1)

pp 1-12

Putnam Robert 1993 Making Democracy Work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utnam Robert 1995 ldquoBowling Alone Americans Declining Social Capitalrdquo Journal of Democracy 6(1) pp 65-78

Sztompka P 1999 Trust A Sociological Theor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8 김상돈

Toqueville Alexis de [1835 1840] 1990 Democracy in America(Reprint) New

York Vintage

Verba Sidney Kay Lehman Schlozman and Henry E 1995 Voice and Equality

Civic Voluntarism in American Politics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son Oliver E 1993 ldquoCaculativeness Trust and Economic Organizationrdquo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36(3) pp 453-486

Zucker Lynn G 1986 ldquoProduction of Trust Institutional Sources of Economic

Structurerdquo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8 pp 53-111

Comparison Analysi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n the Causal Structure of Trust in Social InstitutionsWith a focus on Mediation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and

Social Support

Sang-don KimLecturer in The University College at Sungkyunkwan University

This Study explores the multiplicativ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social institutions trus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do this a set of hypotheses concerning th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are set forth and subjected to an empirical assessment by using data set

collected from KGSS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2004 and GSS (General

Social Survey) 2001 out of the ISSP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lanning)

Modules

Analysis of data in terms of ML (Maximum Likelihood) procedure in

LISREL852 was used and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s (1) The unit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on association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2)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status on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but They were appear to be an important predictor to

Korea (3)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on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4) Association participation was especially in

shaping social support and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to the two nations

This study is interpreted that further research on the topic of social capital are

raised with elaborating the measure on the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political efficacy consciousness of social class and so forth coupled with

advertising a few limitation of this study

Keyword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KGSS GSS ISSP

김상돈 성균관대학교13 학부대학강사13

경기도13 수원시13 장안구13 조원동13 한일타운13 동13 호13 119 703 440-709

Tel_01113 912013 132313 13 E-mail_education17hanmailnet

Page 24: 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 미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64/1/5.%e1%84%80%e1...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미비교연구:

148 김상돈

기본모형보다13 다소13 향상되었다 또한13 결정계수에13 있어서도 최종모형은13 기본

모형에13 비해13 설명력이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기본모형의13 ( R2=034 174 028

최종모형의13 R2=099 245 039)

모형13 찾기에서13 선정된13 최종모형에13 기초하여13 제반13 외생변인들의13 인과적13 단

위영향을13 보여주는13 구조모형을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추정한13 결과는13 lt표13

6gt에13 제시하였다 구조모형의13 추정결과를13 우선13 살펴보면 기본모형에서13 배제

되었던13 경로들13 가운데13 사회단체참여rarr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경제

적13 지위rarr사회단체참여로13 향하는13 경로만이13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이13 높고13 수정지표도13 현저한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사회경제적13 지위 rarr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 rarr사회제도신뢰로13 향하는13 경로들은13

이론적 경험적13 개연성이13 낮고13 수정지표13 또한13 현저하지13 못한13 것으로13 나타났다 각13 내생변인과13 관련한13 결과를13 순서대로13 살펴보면13 다음과13 같다

첫째 사회단체참여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

위 남성 광역시(B=378) (B=220) (B=-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유의미한13 170)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B=416)

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과13 남성 그리고13 기타도시에13 거주하는13

사람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반면에13 미국에선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만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이다

둘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남성(B=189) (B=- 기혼144) (- 등13 세13 가지13 변인이13 유의470)

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남성더미(B=152) (B=- 기혼더미137) (B=- 광역시 등13 네13 372) (B=130)

가지13 변인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과13 여성 미혼은13 사회적13 지원을13 강한13 연

계보다는13 약한13 연계에13 요청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광역시에13 거주하는13 사

람들은13 한국사회13 보다13 미국에서13 강한13 연계보다13 약한13 연계에13 사회적13 지원을13

요청한다

셋째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적13 요인을13 살펴보면 한국에서는13 단체참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9

사회경제적13 지위(B=151) (B=- 등13 두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246)

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B=144)

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은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

데13 비해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들은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불신이13 높게13

나타났다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이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났다

변인

한국(N=979) 미국(N=535)

단체참여 사회적지원 사회제도신뢰 단체참여 사회적지원 사회제도신뢰

r B r B r B r B r B r B

매개내생변인

사회적13 지원 048 - -017 -

매개외생변인

단체참여 - 090 189 043 151 104 152 158 144

외생변인

SES 387 378 070 - -192 -246 409 416 197 - 093 031

통제변인

남성13 더미 273 220 -094 -144 -024 -033 006 026 -152 -137 040 039

기혼13 더미 104 068 -451 -470 006 005 109 018 -352 -372 064 037

광역시13 더미 -136 -170 047 053 -005 -007 146 066 147 130 -004 -023

R2 237 220 056 183 195 030

χ2 1187022(df=283) (plt001) 687058(df=283) (plt001)

모형부합치 GFI=915 AGFI=894 NFI=808

CFI=846 IFI=847 RMSEA=0572

GFI=910 AGFI=888 NFI=812

CFI=880 IFI=881 RMSEA=0517

주 제시된13 계수는13 표준화계수이며 통계적13 유의도는13 비표준화계수에13 대한13 검증임 1)

계수를13 연차적으로13 자유모수로13 개방하여13 추정한13 최종모형임2) B21 11 Γ

단측검증 단측검증 단측검증3) p 05 p 01 p 001 < < <

표13 6<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요인들에13 대한13 추정13 결과13 LISREL13

다음은13 사회제도신뢰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대한13 직접 간접 전체영향을13 분리시킨13 경로분석을13 시도한다 그13 결과는13 lt표13 7gt과13 같다

우선 사회제도신뢰의13 경로분석결과를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유의미한13

요인들과13 그13 영향에13 대한13 절대적13 크기순서대로13 나열하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

제적13 지위(B=- 사회단체참여 로13 구성되며 미국에서는13 단체참여189) (151)

변인만으로13 구성되었다 이13 같은13 결과를13 각13 변인별로13 보다13 상세히13 (B=144)

150 김상돈

살펴보면13 먼저 양13 국가13 모두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와13 사회단체참여변인

을13 연결하는13 제 의13 변인은13 존재하지13 않기13 때문에13 사회단체참여의13 전체영향3

은13 직접영향 한국 미국 만으로13 구성되며13 그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 =151 =144)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다 다음으로 사회경제적13 지위13 변인은13 한국

에서13 강한13 부의13 인과적13 영향(B=- 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며13 직접영189)

향(B=- 및13 간접영향 모두13 유의미하였고13 전체의13 가13 직접246) (B=057) 130

영향으로13 구성된다 반면에13 미국에서13 직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으나13 간접영

향 은13 유의미하다 이상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사회단체참여의13 (B=060)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그13 영향의13 구체적13 방향이13 이론적13 예측과13 예외13 없이13 일

치한13 반면에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사회경제적13 지위의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이론적13 예측과13 일치하지13 않았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대한13 경로분석결과를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들과13 그13 영향에13 대한13 절대적13 크기순서대로13 나

열하면 한국에서는13 기혼 (B=- 단체참여 남성457) (B=189) (B=- 사회102)

경제적13 지위 순으로13 구성되며 미국에서는13 기혼(B=071) (B=- 단체참374)

여 광역시 남성(B=152) (B=140) (B=- 사회경제적13 지위 순133) (B=063)

으로13 구성된다 이13 같은13 결과를13 각13 변인별로13 보다13 상세히13 살펴보면 첫째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사회단체참여변인을13 연결하는13 제 의13 3

변인은13 존재하지13 않기13 때문에13 사회단체참여의13 전체영향은13 직접영향한국(

미국 만으로13 구성되며13 그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189 =152)

의미하다 둘째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영향이13 사회단체

참여에13 의해13 전적으로13 매개된13 간접영향한국 미국 으로만13 구성( =069 =063)

되었다 셋째 기혼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직접영향한국 ( =- 미국470 =-371)

만이13 유의미한13 반면에13 간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았다 넷째 남성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직접영향 한국( =- 미국144 =- 이13 유의미하고13 간접영향은13 한137)

국 만이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고13 미국에서는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것(B=042)

으로13 나타났다 다섯째 광역시13 변인은13 한국에선13 직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

은13 대신에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된13 간접영향(B=- 은13 유의미한13 반면032)

에13 미국에선13 사회단체참여에13 매개된13 간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대신에13 직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1

접영향 은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B=130)

한국(N=979) 미국(N=535)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변인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매개변인

사회적지원

단체참여 189 189 151 151 152 152 144 144

외생변인

SES 071 071 -246 057 -189 063 063 030 060 090

통제변인

남성더미 -144 042 -102 -033 033 000 -137 004 -133 039 004 043

기혼더미 -470 013 -457 -026 010 016 -371 -003 -374 038 -003 035

광역시더미 033 -032 001 -006 -026 -032 130 010 140 -023 -009 -014

제시된13 계수는13 표준화계수이며 통계적13 유의도는13 비표준화계수에13 대한13 검증임1)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지원에13 미치는13 영향2) ( ) times ( )=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미치는13 영향3) ( ) times ( )=

전체영향13 직접영향13 간접영향4) = +

단측검증 단측검증 단측검증 p 05 p 01 p 001 < < <

표13 lt 7gt 사회적13 지원과13 사회제도신뢰를13 설명하는13 요인들의13 직접13 간접 전체영향을13 분리한13 경로분석결과LISREL13 1)

논의13 및13 결론V

이13 연구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

회제도신뢰13 등에13 대한13 기술통계13 및13 판별집합타당성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차

이 매개효과13 등을13 실증적으로13 규명할13 목적으로13 수행되었다 이를13 위하여13 유

교공동체주의와13 합리적13 개인주의모델의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특성을13 지니고13 있

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를13 선정하여13 국제사회종합조사 자료모듈인13 (ISSP)

와13 자료를13 대상으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과13 관련KGSS 2004 GSS 2001

된13 일련의13 연구13 가설을13 제시하여13 검증하였다

첫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적13 신뢰 ( )

152 김상돈

은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확연히13 다른13 평균차이를13 보여주고13 있다 사회단

체참여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상대적으로13 더13 적극( =1479) ( =1732)

적이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국에서13 저조

한13 이유는13 년13 이후13 신사회운동을13 포함한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추세에1987

도13 불구하고13 시민사회의13 공론장이13 모순적으로13 제도화되었기13 때문이다 이는13

사회공간이13 존재하는13 것과13 그13 공간에13 참여하는13 것과는13 별개의13 개념임을13 의미

한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은13 미국평균 보다13 한국평균 에서13 약 ( =3187) ( =4541)

한13 연계에13 더13 활용되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

용이13 한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분석결과는13 학연 지연 혈연13 등13 연고13 집단으로13 인해13 사회적13 자본이13 풍부하다고13 주장한13 연구유석춘13 외 와13 일치된다( 2002)

다른13 한편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더13 ( =1733) ( =2075)

높으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제도신뢰가13 한국보다13 미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사실은13 정치 경제적으로13 성공한13 국가가13 그렇지13 못한13 국가보다13 상대적으로13 제도신뢰가13 더13 높을13 것이라고13 제시한13 거시적13 차원에서의13 연구결과

와13 부합된다(Putnam 1993 1995 Fukuyama 1995)

둘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

사회제도신뢰사이에는13 판별) 집합타당도가13 유지된다는13 사실을13 강조할13 필요가13 있다 탐색적13 요인분석과13 더불어13 확인적13 요인분석을13 실시한13 결과에서13 나

타난바와13 같이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을13 측정하기13 위한13 문항들은13 제각기13

해당차원의13 개념들만을13 측정할13 뿐만13 아니라13 이들13 차원들이13 각기13 별도의13 개념

을13 형성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3-요인모형이13 최적모형으로13 판명됨으로써13 3-요인

모형에13 잠재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의13 판별 수렴타당도가13 존재함을13 보여준다 아울러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들13 사이의13 상관관계조차도13 상당히13 미

약한13 것으로13 드러남으로써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13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13 등은13 각기13 별개의13 구성체들로13 이루어져있음이13 나타났다

셋째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 (

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 의13 불평등을13 밝히는데13 사용되었다 사회단체 )

참여와1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변인으로13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와13 접한13

관련성을13 맺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나13 사회제도신뢰에13 있어서13 강한13 부(- 의13 상관13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3

및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와13 사회적13 지원13 연결망활용의13 인과변인으로서13 중요하게13 나타났다 그러나13 한

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

타났으며13 미국에서는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타나13 이들13 연구가설13

모두13 기각된13 결과로13 나타났다 기각된13 이유는13 통계적13 해석과13 담론적13 해석13 두13

가지로13 논의할13 수13 있는데 첫13 번째13 이유는13 사례수와13 변량13 등13 통계적13 근거에

서13 설명할13 수13 있다 예컨대13 구조모형의13 추정에13 동원된13 측정변인13 및13 이론변인

의13 수를13 감안할13 때13 제한된13 사례13 수한국 미국 는13 여러13 변인들의13 ( =979 =535)

변량을13 제한하고13 표준오차를13 증가시킴으로써13 각각13 사회적13 지원13 및13 사회적13 신

뢰의13 통계적13 유의도를13 상실하게13 하는13 원인으로13 작용될13 가능성이13 있다 통계

적13 해석보다13 중요한13 담론적13 해석은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설명유교공동체주의(

자유민주주의에서13 그13 이유를13 예측할13 수13 있다 한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하다는13 사실은13 서구사회의13 인간관계와13 유

사할13 정도로13 진행되고13 있음에도13 불구하고13 여전히13 유교공동체주의모델이13 존

재함을13 보여준13 결과이다 미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

하다는13 사실은13 한국과13 달리13 부의13 불평등에13 대해13 당연시하는13 미국인의13 태도

개인주의 시장의13 제도화13 등13 맥락변인에서13 설명될13 가능성이13 높음을13 예측하게13

한다

넷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강력한13 단위영향과13 관련하여13 한

국 은13 미국 보다13 상대적으로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B=189) (B=152)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한국 은13 미국 보다13 (B=071) (B=06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서도13 사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

우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222 R2 에13 비하여13 포함된13 경우한국=173) (

사회의13 R2 미국사회의13 =243 R2 에13 대한13 설명력이13 각각13 =188) 21 15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이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에13 있어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

거를13 시사하는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사회단체참여의13 경제행위를13 이

해하는데13 있어서13 영리적13 차원의13 자기이해와13 합리적13 선택론에13 근거한13 신제도

주의이론으로만13 온전히13 설명할13 수13 없다는13 점을13 밝히면서13 한편으로는13 개별행

154 김상돈

위자들이13 현재13 맺고13 있는13 사회연결망에13 의해서13 형성된다고13 본13 신경제사회학

의13 이론적13 논의를13 부각시켰다는13 점에서13 시사하는13 바가13 크다 이로써13 사회단

체참여는13 다양한13 사람들과의13 사회적13 관계에서13 유통되는13 사회적13 지원을13 제공

해주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척도로서13 의미13 있는13 구성지표이다

다섯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B=144

보다13 한국 에서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지만 사회경제적13 plt05) (B=151 plt05)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는13 한국 보다13 미국(B=057 plt05)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B=060 plt05) 5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13 있어서도13 사

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미국사회의13 ( R2=037 R2 에13 비=028)

하여13 포함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056 R2 의13 설명력은13 =030)

한국과13 미국13 각각13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은13 작19 02

은13 증가를13 나타냈으나13 단위13 영향13 및13 간접영향13 모두13 높게13 형성되어13 사회단체

참여가13 제도신뢰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거를13 시사

한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공적13 시민정신의13 연구결과들 (Tocqueville

과13 일치됨으로써13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과13 미국13 1845 Putnam 1993 1995)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신뢰의13 중요한13 관건임을13 밝혀냈다 그러나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약한13 정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

데 이러한13 결과가13 나타난13 사실은13 년13 이후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로13 인 1987

해13 시민의13 정치참여를13 높이는데13 일정정도13 기여했으나13 민주적13 시민덕목을13 배

양하는데13 있어서는13 그리13 성공하지13 못한13 데에서13 추측할13 수13 있다 이를13 위해서

는13 중복적13 참여13 및13 자기이해(self- 에13 기초한13 소극적13 참여에서13 호혜성interest)

규범과13 사회적13 신뢰형성을13 위한13 제도적13 메커니즘으로의13 사회단체참여13 구축

이13 무엇보다13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이13 사회제도신뢰에13 미치는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이러한13

사실은13 사회적13 자본의13 연구결과 김용학(Pagden 1988 Fukuyama 1995 손

5 이와13 반대로 결측치에13 개별평균값을13 대체하기전의13 추정결과에서 사회단체참 LISREL

여의13 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B=169 plt05) (B=133 plt05)

더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높게13 나타났다(B=049 plt05) (B=043 plt0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5

재석 이재열 에서13 제시된13 반경범위 내집단13 족쇄 연고13 집단13 등 1998 1998)

의13 용어를13 사용하면서 가족13 및13 개인연결망13 활용이13 공적영역의13 신뢰를13 식민

화하여13 사회13 전체적으로13 저신뢰사회가13 된다고13 주장한13 논의와13 일치하지13 않는13

결과이다 즉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사이의13

관계가13 서로13 양립13 가능한13 현상을13 보여주어13 매개역할13 또한13 기각되었다

종합컨대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상관관계와13 유의미한13 정 의13 인과관계로13 작동하는데13 비해13 미국에서는13 상관13 (+)

및13 인과관계13 모두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 한편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

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은13 약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13 것으 (+)

로13 나타났다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의13 중요한13 인과변인인13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양13 국가13 모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력을13 미치고13 있으며 사회경제적13 지(+)

위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두13 가지13 구성개념사회제도신뢰13 및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 )

인과적13 영향은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되었다는13 사실13 또한13 이13 연구에서13 밝

혀냈다

이상의13 연구에도13 불구하고13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한국의13 ( R2 237 220

미국의13 056 R2 이13 낮게13 형성되었다는13 점과13 와13 183 195 030) KGSS 2004

자료에13 한정하여13 분석하였기13 때문에13 분석결과의13 해석과13 일반화에13 GSS 2001

한계가13 있을13 수13 있다 예를13 들면13 년과13 년이라는13 특정한13 시기에13 조 2004 2001

사가13 이루어졌다는13 점에서13 이론적 경험적으로13 함축하는13 바가13 있다고13 하더라도13 외적13 타당성의13 문제점을13 지닌다 그리고13 이13 연구는13 전국규모를13 대상으로13

조사되었다는13 점에서13 의미하는13 바가13 있지만13 시계열적13 자료를13 통한13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정 한13 검증을13 하지13 못하였다는13 점에서도13 그13 한계가13 있음을13 밝혀

둔다 따라서 향후13 후속연구에서13 제시된13 모델들을13 보다13 정교화하는13 이론적13

작업과13 더불어13 다양한13 변인들을13 충분히13 활용하며13 통시적13 연구13 및13 국가간의13

비교연구13 등을13 통해13 경험적13 연구들이13 진행되어야13 할13 것이며 연구자의13 관심

과13 노력으로13 연구의13 질적13 향상을13 기대해본다

156 김상돈

참고문헌

국민호 동아시아경제발전과13 유교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1997 31 1 pp 29-59「 」 985172 985173김상욱 조직몰입의13 하위차원들의13 타당도평가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2001 35 3 pp 「 」 985172 985173

109-138

김용학 손재석 미시적13 신뢰와13 거시적13 위험 계간사상 1998 38 pp 115-132 「 」 985172 985173이재열 민주주의 사회적13 신뢰 사회적13 자본 계간사상 1998 38 pp 65-93「 」 985172 985173유석춘 외 사회자본과13 신뢰 한국 일본 덴마크 스웨덴13 비교13 연구 동서연구 2002 「 」 985172 985173

권13 호14 1 pp 101-135

장수찬 한국사회에13 나타난13 악순화의13 사이클 한국정치학회보 권13 호 2002 36 1 pp 「 」 985172 98517387-112

한국13 사회과학도서관13 홈페이지 2005 httpwwwksslorkr

Banfield E 1967 The Moral Basis of a Backward Society New York Free Press

Billiet JB and Bart Cambre 1999 ldquoSocial capital active membership in voluntary

associations and some aspects of political participatio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Bourdieu Piere 1984 The Distiction A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Brehm John amp Wendy Rahn 1997 ldquoIndividual-level evidence for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social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41(3)

pp 999-1023

Burt R 1992 Structure Holes The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Coleman James 1988 ldquo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pp 94-121

DiMaggio Paul and Hugh Louch 1998 ldquoSocially Embedded Consumer Transaction

For What Kinds of Purchases Do People Most Often Use Networks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3 pp 619-637

Fukuyama Francis 1995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perty

NewYork Free Press Paper Backs Book

Gambetta Diego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Financial Capital The

Case of Network Marketing Champaign Stipes

Ganzeboom H B G and DJ Treiman 1996 ldquoInternationally Comparable Measures

of Occupational Status for the 1988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rdquo Social Science Research 25 pp 201-239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7

Giddens Anthony 1990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Stanford Stanford UP

Granovetter Mark 1985 ldquoEconomic Action and Social Structure The Problem of

Embeddedness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1 pp 481-510

Inglehart R 1999 Culture Shift in Advanced Industrial Societ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Joumlreskg Karl G and Soumlrbom Dag 1989 LISREL 7 A Guide to the Program and

Applications Chicago SPSS Inc

Lin Nam 1982 ldquoSocial Resource and Instrumental Actionrdquo In Social Structure and

Network Analysis edited by Peter Marsden and Nan Lin Beverly Hill CA

Sage Publication

Loury Glen 1977 ldquoA Dynamic Theory of Racial Income Differencerdquo In PA

Wallace amp A LeMund (eds) Woman Minorities and Employment Discrimi-

nation Lexington Lexington Books

Luhmann Niklas 1988 ldquoFamiliarity Confidence Trust Problems and Alternativesrdquo In D Gambetta (ed)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New York Basil Blackwell

McPherson J Miller 1983 ldquoAn Ecology of Affiliation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8 pp 519-532

Newton Kenneth 1997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rdquo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0(5) pp 575-586

Newton Kenneth 1999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 in Modern Euroupea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s)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Olson ME 1965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Pagden Anthony 1988 ldquoThe Destruction of Trust and its Economic Consequence in

the Case of Eighteenth-century Naplesrdquo In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edited by D Gambetta Oxford Blackwell

Paxton Pamela 1999 ldquoIs Social Capital Declining in the US A Multiple Indicator

Assessment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5(1) pp 88-126

Portes A 1998 ldquoSocial Capital Its Origin and Application in Modern Sociologyrdquo Annual Review of Sociology 24 pp 1-24

Portes A 2000 ldquoThe Two Meaning of Social Capitalrdquo Sociological Forum 15(1)

pp 1-12

Putnam Robert 1993 Making Democracy Work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utnam Robert 1995 ldquoBowling Alone Americans Declining Social Capitalrdquo Journal of Democracy 6(1) pp 65-78

Sztompka P 1999 Trust A Sociological Theor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8 김상돈

Toqueville Alexis de [1835 1840] 1990 Democracy in America(Reprint) New

York Vintage

Verba Sidney Kay Lehman Schlozman and Henry E 1995 Voice and Equality

Civic Voluntarism in American Politics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son Oliver E 1993 ldquoCaculativeness Trust and Economic Organizationrdquo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36(3) pp 453-486

Zucker Lynn G 1986 ldquoProduction of Trust Institutional Sources of Economic

Structurerdquo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8 pp 53-111

Comparison Analysi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n the Causal Structure of Trust in Social InstitutionsWith a focus on Mediation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and

Social Support

Sang-don KimLecturer in The University College at Sungkyunkwan University

This Study explores the multiplicativ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social institutions trus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do this a set of hypotheses concerning th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are set forth and subjected to an empirical assessment by using data set

collected from KGSS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2004 and GSS (General

Social Survey) 2001 out of the ISSP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lanning)

Modules

Analysis of data in terms of ML (Maximum Likelihood) procedure in

LISREL852 was used and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s (1) The unit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on association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2)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status on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but They were appear to be an important predictor to

Korea (3)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on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4) Association participation was especially in

shaping social support and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to the two nations

This study is interpreted that further research on the topic of social capital are

raised with elaborating the measure on the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political efficacy consciousness of social class and so forth coupled with

advertising a few limitation of this study

Keyword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KGSS GSS ISSP

김상돈 성균관대학교13 학부대학강사13

경기도13 수원시13 장안구13 조원동13 한일타운13 동13 호13 119 703 440-709

Tel_01113 912013 132313 13 E-mail_education17hanmailnet

Page 25: 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 미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64/1/5.%e1%84%80%e1...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미비교연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49

사회경제적13 지위(B=151) (B=- 등13 두13 가지13 변인이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246)

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변인만이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즉13 한(B=144)

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은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

데13 비해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높은13 사람들은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불신이13 높게13

나타났다 반면에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에13 적극적인13 사람이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가13 높은13 것으로13 나타났다

변인

한국(N=979) 미국(N=535)

단체참여 사회적지원 사회제도신뢰 단체참여 사회적지원 사회제도신뢰

r B r B r B r B r B r B

매개내생변인

사회적13 지원 048 - -017 -

매개외생변인

단체참여 - 090 189 043 151 104 152 158 144

외생변인

SES 387 378 070 - -192 -246 409 416 197 - 093 031

통제변인

남성13 더미 273 220 -094 -144 -024 -033 006 026 -152 -137 040 039

기혼13 더미 104 068 -451 -470 006 005 109 018 -352 -372 064 037

광역시13 더미 -136 -170 047 053 -005 -007 146 066 147 130 -004 -023

R2 237 220 056 183 195 030

χ2 1187022(df=283) (plt001) 687058(df=283) (plt001)

모형부합치 GFI=915 AGFI=894 NFI=808

CFI=846 IFI=847 RMSEA=0572

GFI=910 AGFI=888 NFI=812

CFI=880 IFI=881 RMSEA=0517

주 제시된13 계수는13 표준화계수이며 통계적13 유의도는13 비표준화계수에13 대한13 검증임 1)

계수를13 연차적으로13 자유모수로13 개방하여13 추정한13 최종모형임2) B21 11 Γ

단측검증 단측검증 단측검증3) p 05 p 01 p 001 < < <

표13 6<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요인들에13 대한13 추정13 결과13 LISREL13

다음은13 사회제도신뢰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대한13 직접 간접 전체영향을13 분리시킨13 경로분석을13 시도한다 그13 결과는13 lt표13 7gt과13 같다

우선 사회제도신뢰의13 경로분석결과를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유의미한13

요인들과13 그13 영향에13 대한13 절대적13 크기순서대로13 나열하면 한국에서는13 사회경

제적13 지위(B=- 사회단체참여 로13 구성되며 미국에서는13 단체참여189) (151)

변인만으로13 구성되었다 이13 같은13 결과를13 각13 변인별로13 보다13 상세히13 (B=144)

150 김상돈

살펴보면13 먼저 양13 국가13 모두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와13 사회단체참여변인

을13 연결하는13 제 의13 변인은13 존재하지13 않기13 때문에13 사회단체참여의13 전체영향3

은13 직접영향 한국 미국 만으로13 구성되며13 그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 =151 =144)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다 다음으로 사회경제적13 지위13 변인은13 한국

에서13 강한13 부의13 인과적13 영향(B=- 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며13 직접영189)

향(B=- 및13 간접영향 모두13 유의미하였고13 전체의13 가13 직접246) (B=057) 130

영향으로13 구성된다 반면에13 미국에서13 직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으나13 간접영

향 은13 유의미하다 이상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사회단체참여의13 (B=060)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그13 영향의13 구체적13 방향이13 이론적13 예측과13 예외13 없이13 일

치한13 반면에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사회경제적13 지위의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이론적13 예측과13 일치하지13 않았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대한13 경로분석결과를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들과13 그13 영향에13 대한13 절대적13 크기순서대로13 나

열하면 한국에서는13 기혼 (B=- 단체참여 남성457) (B=189) (B=- 사회102)

경제적13 지위 순으로13 구성되며 미국에서는13 기혼(B=071) (B=- 단체참374)

여 광역시 남성(B=152) (B=140) (B=- 사회경제적13 지위 순133) (B=063)

으로13 구성된다 이13 같은13 결과를13 각13 변인별로13 보다13 상세히13 살펴보면 첫째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사회단체참여변인을13 연결하는13 제 의13 3

변인은13 존재하지13 않기13 때문에13 사회단체참여의13 전체영향은13 직접영향한국(

미국 만으로13 구성되며13 그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189 =152)

의미하다 둘째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영향이13 사회단체

참여에13 의해13 전적으로13 매개된13 간접영향한국 미국 으로만13 구성( =069 =063)

되었다 셋째 기혼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직접영향한국 ( =- 미국470 =-371)

만이13 유의미한13 반면에13 간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았다 넷째 남성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직접영향 한국( =- 미국144 =- 이13 유의미하고13 간접영향은13 한137)

국 만이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고13 미국에서는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것(B=042)

으로13 나타났다 다섯째 광역시13 변인은13 한국에선13 직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

은13 대신에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된13 간접영향(B=- 은13 유의미한13 반면032)

에13 미국에선13 사회단체참여에13 매개된13 간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대신에13 직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1

접영향 은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B=130)

한국(N=979) 미국(N=535)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변인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매개변인

사회적지원

단체참여 189 189 151 151 152 152 144 144

외생변인

SES 071 071 -246 057 -189 063 063 030 060 090

통제변인

남성더미 -144 042 -102 -033 033 000 -137 004 -133 039 004 043

기혼더미 -470 013 -457 -026 010 016 -371 -003 -374 038 -003 035

광역시더미 033 -032 001 -006 -026 -032 130 010 140 -023 -009 -014

제시된13 계수는13 표준화계수이며 통계적13 유의도는13 비표준화계수에13 대한13 검증임1)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지원에13 미치는13 영향2) ( ) times ( )=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미치는13 영향3) ( ) times ( )=

전체영향13 직접영향13 간접영향4) = +

단측검증 단측검증 단측검증 p 05 p 01 p 001 < < <

표13 lt 7gt 사회적13 지원과13 사회제도신뢰를13 설명하는13 요인들의13 직접13 간접 전체영향을13 분리한13 경로분석결과LISREL13 1)

논의13 및13 결론V

이13 연구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

회제도신뢰13 등에13 대한13 기술통계13 및13 판별집합타당성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차

이 매개효과13 등을13 실증적으로13 규명할13 목적으로13 수행되었다 이를13 위하여13 유

교공동체주의와13 합리적13 개인주의모델의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특성을13 지니고13 있

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를13 선정하여13 국제사회종합조사 자료모듈인13 (ISSP)

와13 자료를13 대상으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과13 관련KGSS 2004 GSS 2001

된13 일련의13 연구13 가설을13 제시하여13 검증하였다

첫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적13 신뢰 ( )

152 김상돈

은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확연히13 다른13 평균차이를13 보여주고13 있다 사회단

체참여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상대적으로13 더13 적극( =1479) ( =1732)

적이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국에서13 저조

한13 이유는13 년13 이후13 신사회운동을13 포함한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추세에1987

도13 불구하고13 시민사회의13 공론장이13 모순적으로13 제도화되었기13 때문이다 이는13

사회공간이13 존재하는13 것과13 그13 공간에13 참여하는13 것과는13 별개의13 개념임을13 의미

한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은13 미국평균 보다13 한국평균 에서13 약 ( =3187) ( =4541)

한13 연계에13 더13 활용되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

용이13 한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분석결과는13 학연 지연 혈연13 등13 연고13 집단으로13 인해13 사회적13 자본이13 풍부하다고13 주장한13 연구유석춘13 외 와13 일치된다( 2002)

다른13 한편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더13 ( =1733) ( =2075)

높으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제도신뢰가13 한국보다13 미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사실은13 정치 경제적으로13 성공한13 국가가13 그렇지13 못한13 국가보다13 상대적으로13 제도신뢰가13 더13 높을13 것이라고13 제시한13 거시적13 차원에서의13 연구결과

와13 부합된다(Putnam 1993 1995 Fukuyama 1995)

둘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

사회제도신뢰사이에는13 판별) 집합타당도가13 유지된다는13 사실을13 강조할13 필요가13 있다 탐색적13 요인분석과13 더불어13 확인적13 요인분석을13 실시한13 결과에서13 나

타난바와13 같이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을13 측정하기13 위한13 문항들은13 제각기13

해당차원의13 개념들만을13 측정할13 뿐만13 아니라13 이들13 차원들이13 각기13 별도의13 개념

을13 형성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3-요인모형이13 최적모형으로13 판명됨으로써13 3-요인

모형에13 잠재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의13 판별 수렴타당도가13 존재함을13 보여준다 아울러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들13 사이의13 상관관계조차도13 상당히13 미

약한13 것으로13 드러남으로써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13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13 등은13 각기13 별개의13 구성체들로13 이루어져있음이13 나타났다

셋째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 (

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 의13 불평등을13 밝히는데13 사용되었다 사회단체 )

참여와1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변인으로13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와13 접한13

관련성을13 맺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나13 사회제도신뢰에13 있어서13 강한13 부(- 의13 상관13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3

및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와13 사회적13 지원13 연결망활용의13 인과변인으로서13 중요하게13 나타났다 그러나13 한

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

타났으며13 미국에서는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타나13 이들13 연구가설13

모두13 기각된13 결과로13 나타났다 기각된13 이유는13 통계적13 해석과13 담론적13 해석13 두13

가지로13 논의할13 수13 있는데 첫13 번째13 이유는13 사례수와13 변량13 등13 통계적13 근거에

서13 설명할13 수13 있다 예컨대13 구조모형의13 추정에13 동원된13 측정변인13 및13 이론변인

의13 수를13 감안할13 때13 제한된13 사례13 수한국 미국 는13 여러13 변인들의13 ( =979 =535)

변량을13 제한하고13 표준오차를13 증가시킴으로써13 각각13 사회적13 지원13 및13 사회적13 신

뢰의13 통계적13 유의도를13 상실하게13 하는13 원인으로13 작용될13 가능성이13 있다 통계

적13 해석보다13 중요한13 담론적13 해석은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설명유교공동체주의(

자유민주주의에서13 그13 이유를13 예측할13 수13 있다 한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하다는13 사실은13 서구사회의13 인간관계와13 유

사할13 정도로13 진행되고13 있음에도13 불구하고13 여전히13 유교공동체주의모델이13 존

재함을13 보여준13 결과이다 미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

하다는13 사실은13 한국과13 달리13 부의13 불평등에13 대해13 당연시하는13 미국인의13 태도

개인주의 시장의13 제도화13 등13 맥락변인에서13 설명될13 가능성이13 높음을13 예측하게13

한다

넷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강력한13 단위영향과13 관련하여13 한

국 은13 미국 보다13 상대적으로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B=189) (B=152)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한국 은13 미국 보다13 (B=071) (B=06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서도13 사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

우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222 R2 에13 비하여13 포함된13 경우한국=173) (

사회의13 R2 미국사회의13 =243 R2 에13 대한13 설명력이13 각각13 =188) 21 15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이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에13 있어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

거를13 시사하는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사회단체참여의13 경제행위를13 이

해하는데13 있어서13 영리적13 차원의13 자기이해와13 합리적13 선택론에13 근거한13 신제도

주의이론으로만13 온전히13 설명할13 수13 없다는13 점을13 밝히면서13 한편으로는13 개별행

154 김상돈

위자들이13 현재13 맺고13 있는13 사회연결망에13 의해서13 형성된다고13 본13 신경제사회학

의13 이론적13 논의를13 부각시켰다는13 점에서13 시사하는13 바가13 크다 이로써13 사회단

체참여는13 다양한13 사람들과의13 사회적13 관계에서13 유통되는13 사회적13 지원을13 제공

해주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척도로서13 의미13 있는13 구성지표이다

다섯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B=144

보다13 한국 에서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지만 사회경제적13 plt05) (B=151 plt05)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는13 한국 보다13 미국(B=057 plt05)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B=060 plt05) 5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13 있어서도13 사

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미국사회의13 ( R2=037 R2 에13 비=028)

하여13 포함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056 R2 의13 설명력은13 =030)

한국과13 미국13 각각13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은13 작19 02

은13 증가를13 나타냈으나13 단위13 영향13 및13 간접영향13 모두13 높게13 형성되어13 사회단체

참여가13 제도신뢰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거를13 시사

한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공적13 시민정신의13 연구결과들 (Tocqueville

과13 일치됨으로써13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과13 미국13 1845 Putnam 1993 1995)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신뢰의13 중요한13 관건임을13 밝혀냈다 그러나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약한13 정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

데 이러한13 결과가13 나타난13 사실은13 년13 이후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로13 인 1987

해13 시민의13 정치참여를13 높이는데13 일정정도13 기여했으나13 민주적13 시민덕목을13 배

양하는데13 있어서는13 그리13 성공하지13 못한13 데에서13 추측할13 수13 있다 이를13 위해서

는13 중복적13 참여13 및13 자기이해(self- 에13 기초한13 소극적13 참여에서13 호혜성interest)

규범과13 사회적13 신뢰형성을13 위한13 제도적13 메커니즘으로의13 사회단체참여13 구축

이13 무엇보다13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이13 사회제도신뢰에13 미치는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이러한13

사실은13 사회적13 자본의13 연구결과 김용학(Pagden 1988 Fukuyama 1995 손

5 이와13 반대로 결측치에13 개별평균값을13 대체하기전의13 추정결과에서 사회단체참 LISREL

여의13 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B=169 plt05) (B=133 plt05)

더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높게13 나타났다(B=049 plt05) (B=043 plt0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5

재석 이재열 에서13 제시된13 반경범위 내집단13 족쇄 연고13 집단13 등 1998 1998)

의13 용어를13 사용하면서 가족13 및13 개인연결망13 활용이13 공적영역의13 신뢰를13 식민

화하여13 사회13 전체적으로13 저신뢰사회가13 된다고13 주장한13 논의와13 일치하지13 않는13

결과이다 즉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사이의13

관계가13 서로13 양립13 가능한13 현상을13 보여주어13 매개역할13 또한13 기각되었다

종합컨대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상관관계와13 유의미한13 정 의13 인과관계로13 작동하는데13 비해13 미국에서는13 상관13 (+)

및13 인과관계13 모두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 한편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

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은13 약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13 것으 (+)

로13 나타났다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의13 중요한13 인과변인인13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양13 국가13 모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력을13 미치고13 있으며 사회경제적13 지(+)

위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두13 가지13 구성개념사회제도신뢰13 및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 )

인과적13 영향은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되었다는13 사실13 또한13 이13 연구에서13 밝

혀냈다

이상의13 연구에도13 불구하고13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한국의13 ( R2 237 220

미국의13 056 R2 이13 낮게13 형성되었다는13 점과13 와13 183 195 030) KGSS 2004

자료에13 한정하여13 분석하였기13 때문에13 분석결과의13 해석과13 일반화에13 GSS 2001

한계가13 있을13 수13 있다 예를13 들면13 년과13 년이라는13 특정한13 시기에13 조 2004 2001

사가13 이루어졌다는13 점에서13 이론적 경험적으로13 함축하는13 바가13 있다고13 하더라도13 외적13 타당성의13 문제점을13 지닌다 그리고13 이13 연구는13 전국규모를13 대상으로13

조사되었다는13 점에서13 의미하는13 바가13 있지만13 시계열적13 자료를13 통한13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정 한13 검증을13 하지13 못하였다는13 점에서도13 그13 한계가13 있음을13 밝혀

둔다 따라서 향후13 후속연구에서13 제시된13 모델들을13 보다13 정교화하는13 이론적13

작업과13 더불어13 다양한13 변인들을13 충분히13 활용하며13 통시적13 연구13 및13 국가간의13

비교연구13 등을13 통해13 경험적13 연구들이13 진행되어야13 할13 것이며 연구자의13 관심

과13 노력으로13 연구의13 질적13 향상을13 기대해본다

156 김상돈

참고문헌

국민호 동아시아경제발전과13 유교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1997 31 1 pp 29-59「 」 985172 985173김상욱 조직몰입의13 하위차원들의13 타당도평가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2001 35 3 pp 「 」 985172 985173

109-138

김용학 손재석 미시적13 신뢰와13 거시적13 위험 계간사상 1998 38 pp 115-132 「 」 985172 985173이재열 민주주의 사회적13 신뢰 사회적13 자본 계간사상 1998 38 pp 65-93「 」 985172 985173유석춘 외 사회자본과13 신뢰 한국 일본 덴마크 스웨덴13 비교13 연구 동서연구 2002 「 」 985172 985173

권13 호14 1 pp 101-135

장수찬 한국사회에13 나타난13 악순화의13 사이클 한국정치학회보 권13 호 2002 36 1 pp 「 」 985172 98517387-112

한국13 사회과학도서관13 홈페이지 2005 httpwwwksslorkr

Banfield E 1967 The Moral Basis of a Backward Society New York Free Press

Billiet JB and Bart Cambre 1999 ldquoSocial capital active membership in voluntary

associations and some aspects of political participatio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Bourdieu Piere 1984 The Distiction A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Brehm John amp Wendy Rahn 1997 ldquoIndividual-level evidence for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social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41(3)

pp 999-1023

Burt R 1992 Structure Holes The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Coleman James 1988 ldquo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pp 94-121

DiMaggio Paul and Hugh Louch 1998 ldquoSocially Embedded Consumer Transaction

For What Kinds of Purchases Do People Most Often Use Networks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3 pp 619-637

Fukuyama Francis 1995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perty

NewYork Free Press Paper Backs Book

Gambetta Diego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Financial Capital The

Case of Network Marketing Champaign Stipes

Ganzeboom H B G and DJ Treiman 1996 ldquoInternationally Comparable Measures

of Occupational Status for the 1988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rdquo Social Science Research 25 pp 201-239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7

Giddens Anthony 1990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Stanford Stanford UP

Granovetter Mark 1985 ldquoEconomic Action and Social Structure The Problem of

Embeddedness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1 pp 481-510

Inglehart R 1999 Culture Shift in Advanced Industrial Societ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Joumlreskg Karl G and Soumlrbom Dag 1989 LISREL 7 A Guide to the Program and

Applications Chicago SPSS Inc

Lin Nam 1982 ldquoSocial Resource and Instrumental Actionrdquo In Social Structure and

Network Analysis edited by Peter Marsden and Nan Lin Beverly Hill CA

Sage Publication

Loury Glen 1977 ldquoA Dynamic Theory of Racial Income Differencerdquo In PA

Wallace amp A LeMund (eds) Woman Minorities and Employment Discrimi-

nation Lexington Lexington Books

Luhmann Niklas 1988 ldquoFamiliarity Confidence Trust Problems and Alternativesrdquo In D Gambetta (ed)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New York Basil Blackwell

McPherson J Miller 1983 ldquoAn Ecology of Affiliation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8 pp 519-532

Newton Kenneth 1997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rdquo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0(5) pp 575-586

Newton Kenneth 1999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 in Modern Euroupea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s)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Olson ME 1965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Pagden Anthony 1988 ldquoThe Destruction of Trust and its Economic Consequence in

the Case of Eighteenth-century Naplesrdquo In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edited by D Gambetta Oxford Blackwell

Paxton Pamela 1999 ldquoIs Social Capital Declining in the US A Multiple Indicator

Assessment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5(1) pp 88-126

Portes A 1998 ldquoSocial Capital Its Origin and Application in Modern Sociologyrdquo Annual Review of Sociology 24 pp 1-24

Portes A 2000 ldquoThe Two Meaning of Social Capitalrdquo Sociological Forum 15(1)

pp 1-12

Putnam Robert 1993 Making Democracy Work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utnam Robert 1995 ldquoBowling Alone Americans Declining Social Capitalrdquo Journal of Democracy 6(1) pp 65-78

Sztompka P 1999 Trust A Sociological Theor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8 김상돈

Toqueville Alexis de [1835 1840] 1990 Democracy in America(Reprint) New

York Vintage

Verba Sidney Kay Lehman Schlozman and Henry E 1995 Voice and Equality

Civic Voluntarism in American Politics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son Oliver E 1993 ldquoCaculativeness Trust and Economic Organizationrdquo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36(3) pp 453-486

Zucker Lynn G 1986 ldquoProduction of Trust Institutional Sources of Economic

Structurerdquo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8 pp 53-111

Comparison Analysi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n the Causal Structure of Trust in Social InstitutionsWith a focus on Mediation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and

Social Support

Sang-don KimLecturer in The University College at Sungkyunkwan University

This Study explores the multiplicativ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social institutions trus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do this a set of hypotheses concerning th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are set forth and subjected to an empirical assessment by using data set

collected from KGSS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2004 and GSS (General

Social Survey) 2001 out of the ISSP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lanning)

Modules

Analysis of data in terms of ML (Maximum Likelihood) procedure in

LISREL852 was used and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s (1) The unit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on association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2)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status on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but They were appear to be an important predictor to

Korea (3)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on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4) Association participation was especially in

shaping social support and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to the two nations

This study is interpreted that further research on the topic of social capital are

raised with elaborating the measure on the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political efficacy consciousness of social class and so forth coupled with

advertising a few limitation of this study

Keyword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KGSS GSS ISSP

김상돈 성균관대학교13 학부대학강사13

경기도13 수원시13 장안구13 조원동13 한일타운13 동13 호13 119 703 440-709

Tel_01113 912013 132313 13 E-mail_education17hanmailnet

Page 26: 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 미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64/1/5.%e1%84%80%e1...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미비교연구:

150 김상돈

살펴보면13 먼저 양13 국가13 모두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와13 사회단체참여변인

을13 연결하는13 제 의13 변인은13 존재하지13 않기13 때문에13 사회단체참여의13 전체영향3

은13 직접영향 한국 미국 만으로13 구성되며13 그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 =151 =144)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다 다음으로 사회경제적13 지위13 변인은13 한국

에서13 강한13 부의13 인과적13 영향(B=- 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며13 직접영189)

향(B=- 및13 간접영향 모두13 유의미하였고13 전체의13 가13 직접246) (B=057) 130

영향으로13 구성된다 반면에13 미국에서13 직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으나13 간접영

향 은13 유의미하다 이상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사회단체참여의13 (B=060)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그13 영향의13 구체적13 방향이13 이론적13 예측과13 예외13 없이13 일

치한13 반면에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사회경제적13 지위의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이론적13 예측과13 일치하지13 않았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대한13 경로분석결과를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유의미한13 인과적13 요인들과13 그13 영향에13 대한13 절대적13 크기순서대로13 나

열하면 한국에서는13 기혼 (B=- 단체참여 남성457) (B=189) (B=- 사회102)

경제적13 지위 순으로13 구성되며 미국에서는13 기혼(B=071) (B=- 단체참374)

여 광역시 남성(B=152) (B=140) (B=- 사회경제적13 지위 순133) (B=063)

으로13 구성된다 이13 같은13 결과를13 각13 변인별로13 보다13 상세히13 살펴보면 첫째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사회단체참여변인을13 연결하는13 제 의13 3

변인은13 존재하지13 않기13 때문에13 사회단체참여의13 전체영향은13 직접영향한국(

미국 만으로13 구성되며13 그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189 =152)

의미하다 둘째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전체영향이13 사회단체

참여에13 의해13 전적으로13 매개된13 간접영향한국 미국 으로만13 구성( =069 =063)

되었다 셋째 기혼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직접영향한국 ( =- 미국470 =-371)

만이13 유의미한13 반면에13 간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았다 넷째 남성변인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직접영향 한국( =- 미국144 =- 이13 유의미하고13 간접영향은13 한137)

국 만이13 유의미한13 것으로13 나타났고13 미국에서는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것(B=042)

으로13 나타났다 다섯째 광역시13 변인은13 한국에선13 직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

은13 대신에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된13 간접영향(B=- 은13 유의미한13 반면032)

에13 미국에선13 사회단체참여에13 매개된13 간접영향은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대신에13 직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1

접영향 은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B=130)

한국(N=979) 미국(N=535)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변인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매개변인

사회적지원

단체참여 189 189 151 151 152 152 144 144

외생변인

SES 071 071 -246 057 -189 063 063 030 060 090

통제변인

남성더미 -144 042 -102 -033 033 000 -137 004 -133 039 004 043

기혼더미 -470 013 -457 -026 010 016 -371 -003 -374 038 -003 035

광역시더미 033 -032 001 -006 -026 -032 130 010 140 -023 -009 -014

제시된13 계수는13 표준화계수이며 통계적13 유의도는13 비표준화계수에13 대한13 검증임1)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지원에13 미치는13 영향2) ( ) times ( )=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미치는13 영향3) ( ) times ( )=

전체영향13 직접영향13 간접영향4) = +

단측검증 단측검증 단측검증 p 05 p 01 p 001 < < <

표13 lt 7gt 사회적13 지원과13 사회제도신뢰를13 설명하는13 요인들의13 직접13 간접 전체영향을13 분리한13 경로분석결과LISREL13 1)

논의13 및13 결론V

이13 연구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

회제도신뢰13 등에13 대한13 기술통계13 및13 판별집합타당성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차

이 매개효과13 등을13 실증적으로13 규명할13 목적으로13 수행되었다 이를13 위하여13 유

교공동체주의와13 합리적13 개인주의모델의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특성을13 지니고13 있

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를13 선정하여13 국제사회종합조사 자료모듈인13 (ISSP)

와13 자료를13 대상으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과13 관련KGSS 2004 GSS 2001

된13 일련의13 연구13 가설을13 제시하여13 검증하였다

첫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적13 신뢰 ( )

152 김상돈

은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확연히13 다른13 평균차이를13 보여주고13 있다 사회단

체참여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상대적으로13 더13 적극( =1479) ( =1732)

적이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국에서13 저조

한13 이유는13 년13 이후13 신사회운동을13 포함한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추세에1987

도13 불구하고13 시민사회의13 공론장이13 모순적으로13 제도화되었기13 때문이다 이는13

사회공간이13 존재하는13 것과13 그13 공간에13 참여하는13 것과는13 별개의13 개념임을13 의미

한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은13 미국평균 보다13 한국평균 에서13 약 ( =3187) ( =4541)

한13 연계에13 더13 활용되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

용이13 한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분석결과는13 학연 지연 혈연13 등13 연고13 집단으로13 인해13 사회적13 자본이13 풍부하다고13 주장한13 연구유석춘13 외 와13 일치된다( 2002)

다른13 한편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더13 ( =1733) ( =2075)

높으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제도신뢰가13 한국보다13 미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사실은13 정치 경제적으로13 성공한13 국가가13 그렇지13 못한13 국가보다13 상대적으로13 제도신뢰가13 더13 높을13 것이라고13 제시한13 거시적13 차원에서의13 연구결과

와13 부합된다(Putnam 1993 1995 Fukuyama 1995)

둘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

사회제도신뢰사이에는13 판별) 집합타당도가13 유지된다는13 사실을13 강조할13 필요가13 있다 탐색적13 요인분석과13 더불어13 확인적13 요인분석을13 실시한13 결과에서13 나

타난바와13 같이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을13 측정하기13 위한13 문항들은13 제각기13

해당차원의13 개념들만을13 측정할13 뿐만13 아니라13 이들13 차원들이13 각기13 별도의13 개념

을13 형성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3-요인모형이13 최적모형으로13 판명됨으로써13 3-요인

모형에13 잠재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의13 판별 수렴타당도가13 존재함을13 보여준다 아울러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들13 사이의13 상관관계조차도13 상당히13 미

약한13 것으로13 드러남으로써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13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13 등은13 각기13 별개의13 구성체들로13 이루어져있음이13 나타났다

셋째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 (

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 의13 불평등을13 밝히는데13 사용되었다 사회단체 )

참여와1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변인으로13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와13 접한13

관련성을13 맺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나13 사회제도신뢰에13 있어서13 강한13 부(- 의13 상관13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3

및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와13 사회적13 지원13 연결망활용의13 인과변인으로서13 중요하게13 나타났다 그러나13 한

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

타났으며13 미국에서는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타나13 이들13 연구가설13

모두13 기각된13 결과로13 나타났다 기각된13 이유는13 통계적13 해석과13 담론적13 해석13 두13

가지로13 논의할13 수13 있는데 첫13 번째13 이유는13 사례수와13 변량13 등13 통계적13 근거에

서13 설명할13 수13 있다 예컨대13 구조모형의13 추정에13 동원된13 측정변인13 및13 이론변인

의13 수를13 감안할13 때13 제한된13 사례13 수한국 미국 는13 여러13 변인들의13 ( =979 =535)

변량을13 제한하고13 표준오차를13 증가시킴으로써13 각각13 사회적13 지원13 및13 사회적13 신

뢰의13 통계적13 유의도를13 상실하게13 하는13 원인으로13 작용될13 가능성이13 있다 통계

적13 해석보다13 중요한13 담론적13 해석은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설명유교공동체주의(

자유민주주의에서13 그13 이유를13 예측할13 수13 있다 한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하다는13 사실은13 서구사회의13 인간관계와13 유

사할13 정도로13 진행되고13 있음에도13 불구하고13 여전히13 유교공동체주의모델이13 존

재함을13 보여준13 결과이다 미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

하다는13 사실은13 한국과13 달리13 부의13 불평등에13 대해13 당연시하는13 미국인의13 태도

개인주의 시장의13 제도화13 등13 맥락변인에서13 설명될13 가능성이13 높음을13 예측하게13

한다

넷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강력한13 단위영향과13 관련하여13 한

국 은13 미국 보다13 상대적으로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B=189) (B=152)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한국 은13 미국 보다13 (B=071) (B=06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서도13 사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

우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222 R2 에13 비하여13 포함된13 경우한국=173) (

사회의13 R2 미국사회의13 =243 R2 에13 대한13 설명력이13 각각13 =188) 21 15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이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에13 있어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

거를13 시사하는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사회단체참여의13 경제행위를13 이

해하는데13 있어서13 영리적13 차원의13 자기이해와13 합리적13 선택론에13 근거한13 신제도

주의이론으로만13 온전히13 설명할13 수13 없다는13 점을13 밝히면서13 한편으로는13 개별행

154 김상돈

위자들이13 현재13 맺고13 있는13 사회연결망에13 의해서13 형성된다고13 본13 신경제사회학

의13 이론적13 논의를13 부각시켰다는13 점에서13 시사하는13 바가13 크다 이로써13 사회단

체참여는13 다양한13 사람들과의13 사회적13 관계에서13 유통되는13 사회적13 지원을13 제공

해주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척도로서13 의미13 있는13 구성지표이다

다섯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B=144

보다13 한국 에서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지만 사회경제적13 plt05) (B=151 plt05)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는13 한국 보다13 미국(B=057 plt05)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B=060 plt05) 5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13 있어서도13 사

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미국사회의13 ( R2=037 R2 에13 비=028)

하여13 포함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056 R2 의13 설명력은13 =030)

한국과13 미국13 각각13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은13 작19 02

은13 증가를13 나타냈으나13 단위13 영향13 및13 간접영향13 모두13 높게13 형성되어13 사회단체

참여가13 제도신뢰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거를13 시사

한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공적13 시민정신의13 연구결과들 (Tocqueville

과13 일치됨으로써13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과13 미국13 1845 Putnam 1993 1995)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신뢰의13 중요한13 관건임을13 밝혀냈다 그러나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약한13 정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

데 이러한13 결과가13 나타난13 사실은13 년13 이후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로13 인 1987

해13 시민의13 정치참여를13 높이는데13 일정정도13 기여했으나13 민주적13 시민덕목을13 배

양하는데13 있어서는13 그리13 성공하지13 못한13 데에서13 추측할13 수13 있다 이를13 위해서

는13 중복적13 참여13 및13 자기이해(self- 에13 기초한13 소극적13 참여에서13 호혜성interest)

규범과13 사회적13 신뢰형성을13 위한13 제도적13 메커니즘으로의13 사회단체참여13 구축

이13 무엇보다13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이13 사회제도신뢰에13 미치는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이러한13

사실은13 사회적13 자본의13 연구결과 김용학(Pagden 1988 Fukuyama 1995 손

5 이와13 반대로 결측치에13 개별평균값을13 대체하기전의13 추정결과에서 사회단체참 LISREL

여의13 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B=169 plt05) (B=133 plt05)

더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높게13 나타났다(B=049 plt05) (B=043 plt0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5

재석 이재열 에서13 제시된13 반경범위 내집단13 족쇄 연고13 집단13 등 1998 1998)

의13 용어를13 사용하면서 가족13 및13 개인연결망13 활용이13 공적영역의13 신뢰를13 식민

화하여13 사회13 전체적으로13 저신뢰사회가13 된다고13 주장한13 논의와13 일치하지13 않는13

결과이다 즉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사이의13

관계가13 서로13 양립13 가능한13 현상을13 보여주어13 매개역할13 또한13 기각되었다

종합컨대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상관관계와13 유의미한13 정 의13 인과관계로13 작동하는데13 비해13 미국에서는13 상관13 (+)

및13 인과관계13 모두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 한편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

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은13 약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13 것으 (+)

로13 나타났다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의13 중요한13 인과변인인13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양13 국가13 모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력을13 미치고13 있으며 사회경제적13 지(+)

위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두13 가지13 구성개념사회제도신뢰13 및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 )

인과적13 영향은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되었다는13 사실13 또한13 이13 연구에서13 밝

혀냈다

이상의13 연구에도13 불구하고13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한국의13 ( R2 237 220

미국의13 056 R2 이13 낮게13 형성되었다는13 점과13 와13 183 195 030) KGSS 2004

자료에13 한정하여13 분석하였기13 때문에13 분석결과의13 해석과13 일반화에13 GSS 2001

한계가13 있을13 수13 있다 예를13 들면13 년과13 년이라는13 특정한13 시기에13 조 2004 2001

사가13 이루어졌다는13 점에서13 이론적 경험적으로13 함축하는13 바가13 있다고13 하더라도13 외적13 타당성의13 문제점을13 지닌다 그리고13 이13 연구는13 전국규모를13 대상으로13

조사되었다는13 점에서13 의미하는13 바가13 있지만13 시계열적13 자료를13 통한13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정 한13 검증을13 하지13 못하였다는13 점에서도13 그13 한계가13 있음을13 밝혀

둔다 따라서 향후13 후속연구에서13 제시된13 모델들을13 보다13 정교화하는13 이론적13

작업과13 더불어13 다양한13 변인들을13 충분히13 활용하며13 통시적13 연구13 및13 국가간의13

비교연구13 등을13 통해13 경험적13 연구들이13 진행되어야13 할13 것이며 연구자의13 관심

과13 노력으로13 연구의13 질적13 향상을13 기대해본다

156 김상돈

참고문헌

국민호 동아시아경제발전과13 유교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1997 31 1 pp 29-59「 」 985172 985173김상욱 조직몰입의13 하위차원들의13 타당도평가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2001 35 3 pp 「 」 985172 985173

109-138

김용학 손재석 미시적13 신뢰와13 거시적13 위험 계간사상 1998 38 pp 115-132 「 」 985172 985173이재열 민주주의 사회적13 신뢰 사회적13 자본 계간사상 1998 38 pp 65-93「 」 985172 985173유석춘 외 사회자본과13 신뢰 한국 일본 덴마크 스웨덴13 비교13 연구 동서연구 2002 「 」 985172 985173

권13 호14 1 pp 101-135

장수찬 한국사회에13 나타난13 악순화의13 사이클 한국정치학회보 권13 호 2002 36 1 pp 「 」 985172 98517387-112

한국13 사회과학도서관13 홈페이지 2005 httpwwwksslorkr

Banfield E 1967 The Moral Basis of a Backward Society New York Free Press

Billiet JB and Bart Cambre 1999 ldquoSocial capital active membership in voluntary

associations and some aspects of political participatio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Bourdieu Piere 1984 The Distiction A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Brehm John amp Wendy Rahn 1997 ldquoIndividual-level evidence for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social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41(3)

pp 999-1023

Burt R 1992 Structure Holes The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Coleman James 1988 ldquo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pp 94-121

DiMaggio Paul and Hugh Louch 1998 ldquoSocially Embedded Consumer Transaction

For What Kinds of Purchases Do People Most Often Use Networks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3 pp 619-637

Fukuyama Francis 1995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perty

NewYork Free Press Paper Backs Book

Gambetta Diego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Financial Capital The

Case of Network Marketing Champaign Stipes

Ganzeboom H B G and DJ Treiman 1996 ldquoInternationally Comparable Measures

of Occupational Status for the 1988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rdquo Social Science Research 25 pp 201-239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7

Giddens Anthony 1990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Stanford Stanford UP

Granovetter Mark 1985 ldquoEconomic Action and Social Structure The Problem of

Embeddedness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1 pp 481-510

Inglehart R 1999 Culture Shift in Advanced Industrial Societ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Joumlreskg Karl G and Soumlrbom Dag 1989 LISREL 7 A Guide to the Program and

Applications Chicago SPSS Inc

Lin Nam 1982 ldquoSocial Resource and Instrumental Actionrdquo In Social Structure and

Network Analysis edited by Peter Marsden and Nan Lin Beverly Hill CA

Sage Publication

Loury Glen 1977 ldquoA Dynamic Theory of Racial Income Differencerdquo In PA

Wallace amp A LeMund (eds) Woman Minorities and Employment Discrimi-

nation Lexington Lexington Books

Luhmann Niklas 1988 ldquoFamiliarity Confidence Trust Problems and Alternativesrdquo In D Gambetta (ed)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New York Basil Blackwell

McPherson J Miller 1983 ldquoAn Ecology of Affiliation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8 pp 519-532

Newton Kenneth 1997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rdquo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0(5) pp 575-586

Newton Kenneth 1999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 in Modern Euroupea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s)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Olson ME 1965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Pagden Anthony 1988 ldquoThe Destruction of Trust and its Economic Consequence in

the Case of Eighteenth-century Naplesrdquo In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edited by D Gambetta Oxford Blackwell

Paxton Pamela 1999 ldquoIs Social Capital Declining in the US A Multiple Indicator

Assessment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5(1) pp 88-126

Portes A 1998 ldquoSocial Capital Its Origin and Application in Modern Sociologyrdquo Annual Review of Sociology 24 pp 1-24

Portes A 2000 ldquoThe Two Meaning of Social Capitalrdquo Sociological Forum 15(1)

pp 1-12

Putnam Robert 1993 Making Democracy Work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utnam Robert 1995 ldquoBowling Alone Americans Declining Social Capitalrdquo Journal of Democracy 6(1) pp 65-78

Sztompka P 1999 Trust A Sociological Theor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8 김상돈

Toqueville Alexis de [1835 1840] 1990 Democracy in America(Reprint) New

York Vintage

Verba Sidney Kay Lehman Schlozman and Henry E 1995 Voice and Equality

Civic Voluntarism in American Politics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son Oliver E 1993 ldquoCaculativeness Trust and Economic Organizationrdquo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36(3) pp 453-486

Zucker Lynn G 1986 ldquoProduction of Trust Institutional Sources of Economic

Structurerdquo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8 pp 53-111

Comparison Analysi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n the Causal Structure of Trust in Social InstitutionsWith a focus on Mediation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and

Social Support

Sang-don KimLecturer in The University College at Sungkyunkwan University

This Study explores the multiplicativ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social institutions trus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do this a set of hypotheses concerning th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are set forth and subjected to an empirical assessment by using data set

collected from KGSS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2004 and GSS (General

Social Survey) 2001 out of the ISSP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lanning)

Modules

Analysis of data in terms of ML (Maximum Likelihood) procedure in

LISREL852 was used and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s (1) The unit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on association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2)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status on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but They were appear to be an important predictor to

Korea (3)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on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4) Association participation was especially in

shaping social support and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to the two nations

This study is interpreted that further research on the topic of social capital are

raised with elaborating the measure on the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political efficacy consciousness of social class and so forth coupled with

advertising a few limitation of this study

Keyword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KGSS GSS ISSP

김상돈 성균관대학교13 학부대학강사13

경기도13 수원시13 장안구13 조원동13 한일타운13 동13 호13 119 703 440-709

Tel_01113 912013 132313 13 E-mail_education17hanmailnet

Page 27: 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 미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64/1/5.%e1%84%80%e1...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미비교연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1

접영향 은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B=130)

한국(N=979) 미국(N=535)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 사회제도신뢰

변인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2)

전체

영향4)

직접

영향

간접

영향3)

전체

영향4)

매개변인

사회적지원

단체참여 189 189 151 151 152 152 144 144

외생변인

SES 071 071 -246 057 -189 063 063 030 060 090

통제변인

남성더미 -144 042 -102 -033 033 000 -137 004 -133 039 004 043

기혼더미 -470 013 -457 -026 010 016 -371 -003 -374 038 -003 035

광역시더미 033 -032 001 -006 -026 -032 130 010 140 -023 -009 -014

제시된13 계수는13 표준화계수이며 통계적13 유의도는13 비표준화계수에13 대한13 검증임1)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지원에13 미치는13 영향2) ( ) times ( )=

간접영향13 외생변인이13 사회단체참여에13 미치는13 영향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미치는13 영향3) ( ) times ( )=

전체영향13 직접영향13 간접영향4) = +

단측검증 단측검증 단측검증 p 05 p 01 p 001 < < <

표13 lt 7gt 사회적13 지원과13 사회제도신뢰를13 설명하는13 요인들의13 직접13 간접 전체영향을13 분리한13 경로분석결과LISREL13 1)

논의13 및13 결론V

이13 연구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사

회제도신뢰13 등에13 대한13 기술통계13 및13 판별집합타당성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차

이 매개효과13 등을13 실증적으로13 규명할13 목적으로13 수행되었다 이를13 위하여13 유

교공동체주의와13 합리적13 개인주의모델의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특성을13 지니고13 있

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를13 선정하여13 국제사회종합조사 자료모듈인13 (ISSP)

와13 자료를13 대상으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과13 관련KGSS 2004 GSS 2001

된13 일련의13 연구13 가설을13 제시하여13 검증하였다

첫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 사회적13 신뢰 ( )

152 김상돈

은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확연히13 다른13 평균차이를13 보여주고13 있다 사회단

체참여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상대적으로13 더13 적극( =1479) ( =1732)

적이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국에서13 저조

한13 이유는13 년13 이후13 신사회운동을13 포함한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추세에1987

도13 불구하고13 시민사회의13 공론장이13 모순적으로13 제도화되었기13 때문이다 이는13

사회공간이13 존재하는13 것과13 그13 공간에13 참여하는13 것과는13 별개의13 개념임을13 의미

한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은13 미국평균 보다13 한국평균 에서13 약 ( =3187) ( =4541)

한13 연계에13 더13 활용되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

용이13 한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분석결과는13 학연 지연 혈연13 등13 연고13 집단으로13 인해13 사회적13 자본이13 풍부하다고13 주장한13 연구유석춘13 외 와13 일치된다( 2002)

다른13 한편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더13 ( =1733) ( =2075)

높으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제도신뢰가13 한국보다13 미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사실은13 정치 경제적으로13 성공한13 국가가13 그렇지13 못한13 국가보다13 상대적으로13 제도신뢰가13 더13 높을13 것이라고13 제시한13 거시적13 차원에서의13 연구결과

와13 부합된다(Putnam 1993 1995 Fukuyama 1995)

둘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

사회제도신뢰사이에는13 판별) 집합타당도가13 유지된다는13 사실을13 강조할13 필요가13 있다 탐색적13 요인분석과13 더불어13 확인적13 요인분석을13 실시한13 결과에서13 나

타난바와13 같이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을13 측정하기13 위한13 문항들은13 제각기13

해당차원의13 개념들만을13 측정할13 뿐만13 아니라13 이들13 차원들이13 각기13 별도의13 개념

을13 형성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3-요인모형이13 최적모형으로13 판명됨으로써13 3-요인

모형에13 잠재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의13 판별 수렴타당도가13 존재함을13 보여준다 아울러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들13 사이의13 상관관계조차도13 상당히13 미

약한13 것으로13 드러남으로써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13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13 등은13 각기13 별개의13 구성체들로13 이루어져있음이13 나타났다

셋째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 (

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 의13 불평등을13 밝히는데13 사용되었다 사회단체 )

참여와1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변인으로13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와13 접한13

관련성을13 맺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나13 사회제도신뢰에13 있어서13 강한13 부(- 의13 상관13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3

및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와13 사회적13 지원13 연결망활용의13 인과변인으로서13 중요하게13 나타났다 그러나13 한

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

타났으며13 미국에서는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타나13 이들13 연구가설13

모두13 기각된13 결과로13 나타났다 기각된13 이유는13 통계적13 해석과13 담론적13 해석13 두13

가지로13 논의할13 수13 있는데 첫13 번째13 이유는13 사례수와13 변량13 등13 통계적13 근거에

서13 설명할13 수13 있다 예컨대13 구조모형의13 추정에13 동원된13 측정변인13 및13 이론변인

의13 수를13 감안할13 때13 제한된13 사례13 수한국 미국 는13 여러13 변인들의13 ( =979 =535)

변량을13 제한하고13 표준오차를13 증가시킴으로써13 각각13 사회적13 지원13 및13 사회적13 신

뢰의13 통계적13 유의도를13 상실하게13 하는13 원인으로13 작용될13 가능성이13 있다 통계

적13 해석보다13 중요한13 담론적13 해석은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설명유교공동체주의(

자유민주주의에서13 그13 이유를13 예측할13 수13 있다 한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하다는13 사실은13 서구사회의13 인간관계와13 유

사할13 정도로13 진행되고13 있음에도13 불구하고13 여전히13 유교공동체주의모델이13 존

재함을13 보여준13 결과이다 미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

하다는13 사실은13 한국과13 달리13 부의13 불평등에13 대해13 당연시하는13 미국인의13 태도

개인주의 시장의13 제도화13 등13 맥락변인에서13 설명될13 가능성이13 높음을13 예측하게13

한다

넷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강력한13 단위영향과13 관련하여13 한

국 은13 미국 보다13 상대적으로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B=189) (B=152)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한국 은13 미국 보다13 (B=071) (B=06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서도13 사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

우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222 R2 에13 비하여13 포함된13 경우한국=173) (

사회의13 R2 미국사회의13 =243 R2 에13 대한13 설명력이13 각각13 =188) 21 15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이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에13 있어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

거를13 시사하는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사회단체참여의13 경제행위를13 이

해하는데13 있어서13 영리적13 차원의13 자기이해와13 합리적13 선택론에13 근거한13 신제도

주의이론으로만13 온전히13 설명할13 수13 없다는13 점을13 밝히면서13 한편으로는13 개별행

154 김상돈

위자들이13 현재13 맺고13 있는13 사회연결망에13 의해서13 형성된다고13 본13 신경제사회학

의13 이론적13 논의를13 부각시켰다는13 점에서13 시사하는13 바가13 크다 이로써13 사회단

체참여는13 다양한13 사람들과의13 사회적13 관계에서13 유통되는13 사회적13 지원을13 제공

해주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척도로서13 의미13 있는13 구성지표이다

다섯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B=144

보다13 한국 에서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지만 사회경제적13 plt05) (B=151 plt05)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는13 한국 보다13 미국(B=057 plt05)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B=060 plt05) 5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13 있어서도13 사

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미국사회의13 ( R2=037 R2 에13 비=028)

하여13 포함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056 R2 의13 설명력은13 =030)

한국과13 미국13 각각13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은13 작19 02

은13 증가를13 나타냈으나13 단위13 영향13 및13 간접영향13 모두13 높게13 형성되어13 사회단체

참여가13 제도신뢰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거를13 시사

한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공적13 시민정신의13 연구결과들 (Tocqueville

과13 일치됨으로써13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과13 미국13 1845 Putnam 1993 1995)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신뢰의13 중요한13 관건임을13 밝혀냈다 그러나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약한13 정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

데 이러한13 결과가13 나타난13 사실은13 년13 이후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로13 인 1987

해13 시민의13 정치참여를13 높이는데13 일정정도13 기여했으나13 민주적13 시민덕목을13 배

양하는데13 있어서는13 그리13 성공하지13 못한13 데에서13 추측할13 수13 있다 이를13 위해서

는13 중복적13 참여13 및13 자기이해(self- 에13 기초한13 소극적13 참여에서13 호혜성interest)

규범과13 사회적13 신뢰형성을13 위한13 제도적13 메커니즘으로의13 사회단체참여13 구축

이13 무엇보다13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이13 사회제도신뢰에13 미치는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이러한13

사실은13 사회적13 자본의13 연구결과 김용학(Pagden 1988 Fukuyama 1995 손

5 이와13 반대로 결측치에13 개별평균값을13 대체하기전의13 추정결과에서 사회단체참 LISREL

여의13 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B=169 plt05) (B=133 plt05)

더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높게13 나타났다(B=049 plt05) (B=043 plt0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5

재석 이재열 에서13 제시된13 반경범위 내집단13 족쇄 연고13 집단13 등 1998 1998)

의13 용어를13 사용하면서 가족13 및13 개인연결망13 활용이13 공적영역의13 신뢰를13 식민

화하여13 사회13 전체적으로13 저신뢰사회가13 된다고13 주장한13 논의와13 일치하지13 않는13

결과이다 즉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사이의13

관계가13 서로13 양립13 가능한13 현상을13 보여주어13 매개역할13 또한13 기각되었다

종합컨대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상관관계와13 유의미한13 정 의13 인과관계로13 작동하는데13 비해13 미국에서는13 상관13 (+)

및13 인과관계13 모두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 한편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

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은13 약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13 것으 (+)

로13 나타났다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의13 중요한13 인과변인인13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양13 국가13 모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력을13 미치고13 있으며 사회경제적13 지(+)

위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두13 가지13 구성개념사회제도신뢰13 및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 )

인과적13 영향은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되었다는13 사실13 또한13 이13 연구에서13 밝

혀냈다

이상의13 연구에도13 불구하고13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한국의13 ( R2 237 220

미국의13 056 R2 이13 낮게13 형성되었다는13 점과13 와13 183 195 030) KGSS 2004

자료에13 한정하여13 분석하였기13 때문에13 분석결과의13 해석과13 일반화에13 GSS 2001

한계가13 있을13 수13 있다 예를13 들면13 년과13 년이라는13 특정한13 시기에13 조 2004 2001

사가13 이루어졌다는13 점에서13 이론적 경험적으로13 함축하는13 바가13 있다고13 하더라도13 외적13 타당성의13 문제점을13 지닌다 그리고13 이13 연구는13 전국규모를13 대상으로13

조사되었다는13 점에서13 의미하는13 바가13 있지만13 시계열적13 자료를13 통한13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정 한13 검증을13 하지13 못하였다는13 점에서도13 그13 한계가13 있음을13 밝혀

둔다 따라서 향후13 후속연구에서13 제시된13 모델들을13 보다13 정교화하는13 이론적13

작업과13 더불어13 다양한13 변인들을13 충분히13 활용하며13 통시적13 연구13 및13 국가간의13

비교연구13 등을13 통해13 경험적13 연구들이13 진행되어야13 할13 것이며 연구자의13 관심

과13 노력으로13 연구의13 질적13 향상을13 기대해본다

156 김상돈

참고문헌

국민호 동아시아경제발전과13 유교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1997 31 1 pp 29-59「 」 985172 985173김상욱 조직몰입의13 하위차원들의13 타당도평가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2001 35 3 pp 「 」 985172 985173

109-138

김용학 손재석 미시적13 신뢰와13 거시적13 위험 계간사상 1998 38 pp 115-132 「 」 985172 985173이재열 민주주의 사회적13 신뢰 사회적13 자본 계간사상 1998 38 pp 65-93「 」 985172 985173유석춘 외 사회자본과13 신뢰 한국 일본 덴마크 스웨덴13 비교13 연구 동서연구 2002 「 」 985172 985173

권13 호14 1 pp 101-135

장수찬 한국사회에13 나타난13 악순화의13 사이클 한국정치학회보 권13 호 2002 36 1 pp 「 」 985172 98517387-112

한국13 사회과학도서관13 홈페이지 2005 httpwwwksslorkr

Banfield E 1967 The Moral Basis of a Backward Society New York Free Press

Billiet JB and Bart Cambre 1999 ldquoSocial capital active membership in voluntary

associations and some aspects of political participatio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Bourdieu Piere 1984 The Distiction A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Brehm John amp Wendy Rahn 1997 ldquoIndividual-level evidence for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social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41(3)

pp 999-1023

Burt R 1992 Structure Holes The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Coleman James 1988 ldquo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pp 94-121

DiMaggio Paul and Hugh Louch 1998 ldquoSocially Embedded Consumer Transaction

For What Kinds of Purchases Do People Most Often Use Networks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3 pp 619-637

Fukuyama Francis 1995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perty

NewYork Free Press Paper Backs Book

Gambetta Diego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Financial Capital The

Case of Network Marketing Champaign Stipes

Ganzeboom H B G and DJ Treiman 1996 ldquoInternationally Comparable Measures

of Occupational Status for the 1988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rdquo Social Science Research 25 pp 201-239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7

Giddens Anthony 1990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Stanford Stanford UP

Granovetter Mark 1985 ldquoEconomic Action and Social Structure The Problem of

Embeddedness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1 pp 481-510

Inglehart R 1999 Culture Shift in Advanced Industrial Societ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Joumlreskg Karl G and Soumlrbom Dag 1989 LISREL 7 A Guide to the Program and

Applications Chicago SPSS Inc

Lin Nam 1982 ldquoSocial Resource and Instrumental Actionrdquo In Social Structure and

Network Analysis edited by Peter Marsden and Nan Lin Beverly Hill CA

Sage Publication

Loury Glen 1977 ldquoA Dynamic Theory of Racial Income Differencerdquo In PA

Wallace amp A LeMund (eds) Woman Minorities and Employment Discrimi-

nation Lexington Lexington Books

Luhmann Niklas 1988 ldquoFamiliarity Confidence Trust Problems and Alternativesrdquo In D Gambetta (ed)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New York Basil Blackwell

McPherson J Miller 1983 ldquoAn Ecology of Affiliation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8 pp 519-532

Newton Kenneth 1997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rdquo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0(5) pp 575-586

Newton Kenneth 1999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 in Modern Euroupea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s)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Olson ME 1965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Pagden Anthony 1988 ldquoThe Destruction of Trust and its Economic Consequence in

the Case of Eighteenth-century Naplesrdquo In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edited by D Gambetta Oxford Blackwell

Paxton Pamela 1999 ldquoIs Social Capital Declining in the US A Multiple Indicator

Assessment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5(1) pp 88-126

Portes A 1998 ldquoSocial Capital Its Origin and Application in Modern Sociologyrdquo Annual Review of Sociology 24 pp 1-24

Portes A 2000 ldquoThe Two Meaning of Social Capitalrdquo Sociological Forum 15(1)

pp 1-12

Putnam Robert 1993 Making Democracy Work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utnam Robert 1995 ldquoBowling Alone Americans Declining Social Capitalrdquo Journal of Democracy 6(1) pp 65-78

Sztompka P 1999 Trust A Sociological Theor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8 김상돈

Toqueville Alexis de [1835 1840] 1990 Democracy in America(Reprint) New

York Vintage

Verba Sidney Kay Lehman Schlozman and Henry E 1995 Voice and Equality

Civic Voluntarism in American Politics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son Oliver E 1993 ldquoCaculativeness Trust and Economic Organizationrdquo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36(3) pp 453-486

Zucker Lynn G 1986 ldquoProduction of Trust Institutional Sources of Economic

Structurerdquo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8 pp 53-111

Comparison Analysi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n the Causal Structure of Trust in Social InstitutionsWith a focus on Mediation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and

Social Support

Sang-don KimLecturer in The University College at Sungkyunkwan University

This Study explores the multiplicativ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social institutions trus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do this a set of hypotheses concerning th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are set forth and subjected to an empirical assessment by using data set

collected from KGSS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2004 and GSS (General

Social Survey) 2001 out of the ISSP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lanning)

Modules

Analysis of data in terms of ML (Maximum Likelihood) procedure in

LISREL852 was used and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s (1) The unit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on association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2)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status on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but They were appear to be an important predictor to

Korea (3)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on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4) Association participation was especially in

shaping social support and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to the two nations

This study is interpreted that further research on the topic of social capital are

raised with elaborating the measure on the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political efficacy consciousness of social class and so forth coupled with

advertising a few limitation of this study

Keyword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KGSS GSS ISSP

김상돈 성균관대학교13 학부대학강사13

경기도13 수원시13 장안구13 조원동13 한일타운13 동13 호13 119 703 440-709

Tel_01113 912013 132313 13 E-mail_education17hanmailnet

Page 28: 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 미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64/1/5.%e1%84%80%e1...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미비교연구:

152 김상돈

은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별로13 확연히13 다른13 평균차이를13 보여주고13 있다 사회단

체참여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상대적으로13 더13 적극( =1479) ( =1732)

적이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국에서13 저조

한13 이유는13 년13 이후13 신사회운동을13 포함한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추세에1987

도13 불구하고13 시민사회의13 공론장이13 모순적으로13 제도화되었기13 때문이다 이는13

사회공간이13 존재하는13 것과13 그13 공간에13 참여하는13 것과는13 별개의13 개념임을13 의미

한다 한편 사회적13 지원은13 미국평균 보다13 한국평균 에서13 약 ( =3187) ( =4541)

한13 연계에13 더13 활용되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

용이13 한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분석결과는13 학연 지연 혈연13 등13 연고13 집단으로13 인해13 사회적13 자본이13 풍부하다고13 주장한13 연구유석춘13 외 와13 일치된다( 2002)

다른13 한편 사회제도신뢰는13 한국평균 보다13 미국평균 에서13 더13 ( =1733) ( =2075)

높으며13 유의미한13 차이를13 나타냈다 사회제도신뢰가13 한국보다13 미국에서13 높게13

나타난13 사실은13 정치 경제적으로13 성공한13 국가가13 그렇지13 못한13 국가보다13 상대적으로13 제도신뢰가13 더13 높을13 것이라고13 제시한13 거시적13 차원에서의13 연구결과

와13 부합된다(Putnam 1993 1995 Fukuyama 1995)

둘째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 (

사회제도신뢰사이에는13 판별) 집합타당도가13 유지된다는13 사실을13 강조할13 필요가13 있다 탐색적13 요인분석과13 더불어13 확인적13 요인분석을13 실시한13 결과에서13 나

타난바와13 같이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을13 측정하기13 위한13 문항들은13 제각기13

해당차원의13 개념들만을13 측정할13 뿐만13 아니라13 이들13 차원들이13 각기13 별도의13 개념

을13 형성하는13 것으로13 가정된13 3-요인모형이13 최적모형으로13 판명됨으로써13 3-요인

모형에13 잠재된13 사회적13 자본의13 구성개념들의13 판별 수렴타당도가13 존재함을13 보여준다 아울러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들13 사이의13 상관관계조차도13 상당히13 미

약한13 것으로13 드러남으로써13 사회제도신뢰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13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13 등은13 각기13 별개의13 구성체들로13 이루어져있음이13 나타났다

셋째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자본13 구성개념 사회단체참여 사회적13 지 (

원의13 연결망활용 사회제도신뢰 의13 불평등을13 밝히는데13 사용되었다 사회단체 )

참여와13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변인으로13 한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와13 접한13

관련성을13 맺는13 것으로13 나타났으나13 사회제도신뢰에13 있어서13 강한13 부(- 의13 상관13 )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3

및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와13 사회적13 지원13 연결망활용의13 인과변인으로서13 중요하게13 나타났다 그러나13 한

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

타났으며13 미국에서는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타나13 이들13 연구가설13

모두13 기각된13 결과로13 나타났다 기각된13 이유는13 통계적13 해석과13 담론적13 해석13 두13

가지로13 논의할13 수13 있는데 첫13 번째13 이유는13 사례수와13 변량13 등13 통계적13 근거에

서13 설명할13 수13 있다 예컨대13 구조모형의13 추정에13 동원된13 측정변인13 및13 이론변인

의13 수를13 감안할13 때13 제한된13 사례13 수한국 미국 는13 여러13 변인들의13 ( =979 =535)

변량을13 제한하고13 표준오차를13 증가시킴으로써13 각각13 사회적13 지원13 및13 사회적13 신

뢰의13 통계적13 유의도를13 상실하게13 하는13 원인으로13 작용될13 가능성이13 있다 통계

적13 해석보다13 중요한13 담론적13 해석은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설명유교공동체주의(

자유민주주의에서13 그13 이유를13 예측할13 수13 있다 한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하다는13 사실은13 서구사회의13 인간관계와13 유

사할13 정도로13 진행되고13 있음에도13 불구하고13 여전히13 유교공동체주의모델이13 존

재함을13 보여준13 결과이다 미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

하다는13 사실은13 한국과13 달리13 부의13 불평등에13 대해13 당연시하는13 미국인의13 태도

개인주의 시장의13 제도화13 등13 맥락변인에서13 설명될13 가능성이13 높음을13 예측하게13

한다

넷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강력한13 단위영향과13 관련하여13 한

국 은13 미국 보다13 상대적으로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B=189) (B=152)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한국 은13 미국 보다13 (B=071) (B=06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서도13 사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

우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222 R2 에13 비하여13 포함된13 경우한국=173) (

사회의13 R2 미국사회의13 =243 R2 에13 대한13 설명력이13 각각13 =188) 21 15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이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에13 있어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

거를13 시사하는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사회단체참여의13 경제행위를13 이

해하는데13 있어서13 영리적13 차원의13 자기이해와13 합리적13 선택론에13 근거한13 신제도

주의이론으로만13 온전히13 설명할13 수13 없다는13 점을13 밝히면서13 한편으로는13 개별행

154 김상돈

위자들이13 현재13 맺고13 있는13 사회연결망에13 의해서13 형성된다고13 본13 신경제사회학

의13 이론적13 논의를13 부각시켰다는13 점에서13 시사하는13 바가13 크다 이로써13 사회단

체참여는13 다양한13 사람들과의13 사회적13 관계에서13 유통되는13 사회적13 지원을13 제공

해주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척도로서13 의미13 있는13 구성지표이다

다섯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B=144

보다13 한국 에서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지만 사회경제적13 plt05) (B=151 plt05)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는13 한국 보다13 미국(B=057 plt05)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B=060 plt05) 5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13 있어서도13 사

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미국사회의13 ( R2=037 R2 에13 비=028)

하여13 포함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056 R2 의13 설명력은13 =030)

한국과13 미국13 각각13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은13 작19 02

은13 증가를13 나타냈으나13 단위13 영향13 및13 간접영향13 모두13 높게13 형성되어13 사회단체

참여가13 제도신뢰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거를13 시사

한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공적13 시민정신의13 연구결과들 (Tocqueville

과13 일치됨으로써13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과13 미국13 1845 Putnam 1993 1995)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신뢰의13 중요한13 관건임을13 밝혀냈다 그러나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약한13 정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

데 이러한13 결과가13 나타난13 사실은13 년13 이후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로13 인 1987

해13 시민의13 정치참여를13 높이는데13 일정정도13 기여했으나13 민주적13 시민덕목을13 배

양하는데13 있어서는13 그리13 성공하지13 못한13 데에서13 추측할13 수13 있다 이를13 위해서

는13 중복적13 참여13 및13 자기이해(self- 에13 기초한13 소극적13 참여에서13 호혜성interest)

규범과13 사회적13 신뢰형성을13 위한13 제도적13 메커니즘으로의13 사회단체참여13 구축

이13 무엇보다13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이13 사회제도신뢰에13 미치는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이러한13

사실은13 사회적13 자본의13 연구결과 김용학(Pagden 1988 Fukuyama 1995 손

5 이와13 반대로 결측치에13 개별평균값을13 대체하기전의13 추정결과에서 사회단체참 LISREL

여의13 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B=169 plt05) (B=133 plt05)

더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높게13 나타났다(B=049 plt05) (B=043 plt0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5

재석 이재열 에서13 제시된13 반경범위 내집단13 족쇄 연고13 집단13 등 1998 1998)

의13 용어를13 사용하면서 가족13 및13 개인연결망13 활용이13 공적영역의13 신뢰를13 식민

화하여13 사회13 전체적으로13 저신뢰사회가13 된다고13 주장한13 논의와13 일치하지13 않는13

결과이다 즉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사이의13

관계가13 서로13 양립13 가능한13 현상을13 보여주어13 매개역할13 또한13 기각되었다

종합컨대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상관관계와13 유의미한13 정 의13 인과관계로13 작동하는데13 비해13 미국에서는13 상관13 (+)

및13 인과관계13 모두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 한편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

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은13 약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13 것으 (+)

로13 나타났다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의13 중요한13 인과변인인13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양13 국가13 모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력을13 미치고13 있으며 사회경제적13 지(+)

위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두13 가지13 구성개념사회제도신뢰13 및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 )

인과적13 영향은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되었다는13 사실13 또한13 이13 연구에서13 밝

혀냈다

이상의13 연구에도13 불구하고13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한국의13 ( R2 237 220

미국의13 056 R2 이13 낮게13 형성되었다는13 점과13 와13 183 195 030) KGSS 2004

자료에13 한정하여13 분석하였기13 때문에13 분석결과의13 해석과13 일반화에13 GSS 2001

한계가13 있을13 수13 있다 예를13 들면13 년과13 년이라는13 특정한13 시기에13 조 2004 2001

사가13 이루어졌다는13 점에서13 이론적 경험적으로13 함축하는13 바가13 있다고13 하더라도13 외적13 타당성의13 문제점을13 지닌다 그리고13 이13 연구는13 전국규모를13 대상으로13

조사되었다는13 점에서13 의미하는13 바가13 있지만13 시계열적13 자료를13 통한13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정 한13 검증을13 하지13 못하였다는13 점에서도13 그13 한계가13 있음을13 밝혀

둔다 따라서 향후13 후속연구에서13 제시된13 모델들을13 보다13 정교화하는13 이론적13

작업과13 더불어13 다양한13 변인들을13 충분히13 활용하며13 통시적13 연구13 및13 국가간의13

비교연구13 등을13 통해13 경험적13 연구들이13 진행되어야13 할13 것이며 연구자의13 관심

과13 노력으로13 연구의13 질적13 향상을13 기대해본다

156 김상돈

참고문헌

국민호 동아시아경제발전과13 유교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1997 31 1 pp 29-59「 」 985172 985173김상욱 조직몰입의13 하위차원들의13 타당도평가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2001 35 3 pp 「 」 985172 985173

109-138

김용학 손재석 미시적13 신뢰와13 거시적13 위험 계간사상 1998 38 pp 115-132 「 」 985172 985173이재열 민주주의 사회적13 신뢰 사회적13 자본 계간사상 1998 38 pp 65-93「 」 985172 985173유석춘 외 사회자본과13 신뢰 한국 일본 덴마크 스웨덴13 비교13 연구 동서연구 2002 「 」 985172 985173

권13 호14 1 pp 101-135

장수찬 한국사회에13 나타난13 악순화의13 사이클 한국정치학회보 권13 호 2002 36 1 pp 「 」 985172 98517387-112

한국13 사회과학도서관13 홈페이지 2005 httpwwwksslorkr

Banfield E 1967 The Moral Basis of a Backward Society New York Free Press

Billiet JB and Bart Cambre 1999 ldquoSocial capital active membership in voluntary

associations and some aspects of political participatio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Bourdieu Piere 1984 The Distiction A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Brehm John amp Wendy Rahn 1997 ldquoIndividual-level evidence for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social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41(3)

pp 999-1023

Burt R 1992 Structure Holes The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Coleman James 1988 ldquo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pp 94-121

DiMaggio Paul and Hugh Louch 1998 ldquoSocially Embedded Consumer Transaction

For What Kinds of Purchases Do People Most Often Use Networks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3 pp 619-637

Fukuyama Francis 1995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perty

NewYork Free Press Paper Backs Book

Gambetta Diego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Financial Capital The

Case of Network Marketing Champaign Stipes

Ganzeboom H B G and DJ Treiman 1996 ldquoInternationally Comparable Measures

of Occupational Status for the 1988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rdquo Social Science Research 25 pp 201-239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7

Giddens Anthony 1990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Stanford Stanford UP

Granovetter Mark 1985 ldquoEconomic Action and Social Structure The Problem of

Embeddedness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1 pp 481-510

Inglehart R 1999 Culture Shift in Advanced Industrial Societ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Joumlreskg Karl G and Soumlrbom Dag 1989 LISREL 7 A Guide to the Program and

Applications Chicago SPSS Inc

Lin Nam 1982 ldquoSocial Resource and Instrumental Actionrdquo In Social Structure and

Network Analysis edited by Peter Marsden and Nan Lin Beverly Hill CA

Sage Publication

Loury Glen 1977 ldquoA Dynamic Theory of Racial Income Differencerdquo In PA

Wallace amp A LeMund (eds) Woman Minorities and Employment Discrimi-

nation Lexington Lexington Books

Luhmann Niklas 1988 ldquoFamiliarity Confidence Trust Problems and Alternativesrdquo In D Gambetta (ed)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New York Basil Blackwell

McPherson J Miller 1983 ldquoAn Ecology of Affiliation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8 pp 519-532

Newton Kenneth 1997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rdquo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0(5) pp 575-586

Newton Kenneth 1999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 in Modern Euroupea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s)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Olson ME 1965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Pagden Anthony 1988 ldquoThe Destruction of Trust and its Economic Consequence in

the Case of Eighteenth-century Naplesrdquo In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edited by D Gambetta Oxford Blackwell

Paxton Pamela 1999 ldquoIs Social Capital Declining in the US A Multiple Indicator

Assessment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5(1) pp 88-126

Portes A 1998 ldquoSocial Capital Its Origin and Application in Modern Sociologyrdquo Annual Review of Sociology 24 pp 1-24

Portes A 2000 ldquoThe Two Meaning of Social Capitalrdquo Sociological Forum 15(1)

pp 1-12

Putnam Robert 1993 Making Democracy Work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utnam Robert 1995 ldquoBowling Alone Americans Declining Social Capitalrdquo Journal of Democracy 6(1) pp 65-78

Sztompka P 1999 Trust A Sociological Theor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8 김상돈

Toqueville Alexis de [1835 1840] 1990 Democracy in America(Reprint) New

York Vintage

Verba Sidney Kay Lehman Schlozman and Henry E 1995 Voice and Equality

Civic Voluntarism in American Politics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son Oliver E 1993 ldquoCaculativeness Trust and Economic Organizationrdquo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36(3) pp 453-486

Zucker Lynn G 1986 ldquoProduction of Trust Institutional Sources of Economic

Structurerdquo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8 pp 53-111

Comparison Analysi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n the Causal Structure of Trust in Social InstitutionsWith a focus on Mediation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and

Social Support

Sang-don KimLecturer in The University College at Sungkyunkwan University

This Study explores the multiplicativ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social institutions trus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do this a set of hypotheses concerning th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are set forth and subjected to an empirical assessment by using data set

collected from KGSS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2004 and GSS (General

Social Survey) 2001 out of the ISSP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lanning)

Modules

Analysis of data in terms of ML (Maximum Likelihood) procedure in

LISREL852 was used and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s (1) The unit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on association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2)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status on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but They were appear to be an important predictor to

Korea (3)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on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4) Association participation was especially in

shaping social support and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to the two nations

This study is interpreted that further research on the topic of social capital are

raised with elaborating the measure on the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political efficacy consciousness of social class and so forth coupled with

advertising a few limitation of this study

Keyword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KGSS GSS ISSP

김상돈 성균관대학교13 학부대학강사13

경기도13 수원시13 장안구13 조원동13 한일타운13 동13 호13 119 703 440-709

Tel_01113 912013 132313 13 E-mail_education17hanmailnet

Page 29: 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 미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64/1/5.%e1%84%80%e1...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미비교연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3

및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반면에13 미국에서는13 사회단체참여

와13 사회적13 지원13 연결망활용의13 인과변인으로서13 중요하게13 나타났다 그러나13 한

국에서는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

타났으며13 미국에서는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한13 것으로13 나타나13 이들13 연구가설13

모두13 기각된13 결과로13 나타났다 기각된13 이유는13 통계적13 해석과13 담론적13 해석13 두13

가지로13 논의할13 수13 있는데 첫13 번째13 이유는13 사례수와13 변량13 등13 통계적13 근거에

서13 설명할13 수13 있다 예컨대13 구조모형의13 추정에13 동원된13 측정변인13 및13 이론변인

의13 수를13 감안할13 때13 제한된13 사례13 수한국 미국 는13 여러13 변인들의13 ( =979 =535)

변량을13 제한하고13 표준오차를13 증가시킴으로써13 각각13 사회적13 지원13 및13 사회적13 신

뢰의13 통계적13 유의도를13 상실하게13 하는13 원인으로13 작용될13 가능성이13 있다 통계

적13 해석보다13 중요한13 담론적13 해석은13 각기13 다른13 맥락적13 설명유교공동체주의(

자유민주주의에서13 그13 이유를13 예측할13 수13 있다 한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무관하다는13 사실은13 서구사회의13 인간관계와13 유

사할13 정도로13 진행되고13 있음에도13 불구하고13 여전히13 유교공동체주의모델이13 존

재함을13 보여준13 결과이다 미국에서13 사회경제적13 지위가13 사회제도신뢰와13 무관

하다는13 사실은13 한국과13 달리13 부의13 불평등에13 대해13 당연시하는13 미국인의13 태도

개인주의 시장의13 제도화13 등13 맥락변인에서13 설명될13 가능성이13 높음을13 예측하게13

한다

넷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강력한13 단위영향과13 관련하여13 한

국 은13 미국 보다13 상대적으로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B=189) (B=152)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한국 은13 미국 보다13 (B=071) (B=063)

다소13 높게13 나타났다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서도13 사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

우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222 R2 에13 비하여13 포함된13 경우한국=173) (

사회의13 R2 미국사회의13 =243 R2 에13 대한13 설명력이13 각각13 =188) 21 15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이는13 한국과13 미국13 양13 국가13 모두에13 있어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지원의13 연결망활용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

거를13 시사하는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사회단체참여의13 경제행위를13 이

해하는데13 있어서13 영리적13 차원의13 자기이해와13 합리적13 선택론에13 근거한13 신제도

주의이론으로만13 온전히13 설명할13 수13 없다는13 점을13 밝히면서13 한편으로는13 개별행

154 김상돈

위자들이13 현재13 맺고13 있는13 사회연결망에13 의해서13 형성된다고13 본13 신경제사회학

의13 이론적13 논의를13 부각시켰다는13 점에서13 시사하는13 바가13 크다 이로써13 사회단

체참여는13 다양한13 사람들과의13 사회적13 관계에서13 유통되는13 사회적13 지원을13 제공

해주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척도로서13 의미13 있는13 구성지표이다

다섯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B=144

보다13 한국 에서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지만 사회경제적13 plt05) (B=151 plt05)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는13 한국 보다13 미국(B=057 plt05)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B=060 plt05) 5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13 있어서도13 사

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미국사회의13 ( R2=037 R2 에13 비=028)

하여13 포함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056 R2 의13 설명력은13 =030)

한국과13 미국13 각각13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은13 작19 02

은13 증가를13 나타냈으나13 단위13 영향13 및13 간접영향13 모두13 높게13 형성되어13 사회단체

참여가13 제도신뢰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거를13 시사

한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공적13 시민정신의13 연구결과들 (Tocqueville

과13 일치됨으로써13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과13 미국13 1845 Putnam 1993 1995)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신뢰의13 중요한13 관건임을13 밝혀냈다 그러나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약한13 정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

데 이러한13 결과가13 나타난13 사실은13 년13 이후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로13 인 1987

해13 시민의13 정치참여를13 높이는데13 일정정도13 기여했으나13 민주적13 시민덕목을13 배

양하는데13 있어서는13 그리13 성공하지13 못한13 데에서13 추측할13 수13 있다 이를13 위해서

는13 중복적13 참여13 및13 자기이해(self- 에13 기초한13 소극적13 참여에서13 호혜성interest)

규범과13 사회적13 신뢰형성을13 위한13 제도적13 메커니즘으로의13 사회단체참여13 구축

이13 무엇보다13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이13 사회제도신뢰에13 미치는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이러한13

사실은13 사회적13 자본의13 연구결과 김용학(Pagden 1988 Fukuyama 1995 손

5 이와13 반대로 결측치에13 개별평균값을13 대체하기전의13 추정결과에서 사회단체참 LISREL

여의13 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B=169 plt05) (B=133 plt05)

더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높게13 나타났다(B=049 plt05) (B=043 plt0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5

재석 이재열 에서13 제시된13 반경범위 내집단13 족쇄 연고13 집단13 등 1998 1998)

의13 용어를13 사용하면서 가족13 및13 개인연결망13 활용이13 공적영역의13 신뢰를13 식민

화하여13 사회13 전체적으로13 저신뢰사회가13 된다고13 주장한13 논의와13 일치하지13 않는13

결과이다 즉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사이의13

관계가13 서로13 양립13 가능한13 현상을13 보여주어13 매개역할13 또한13 기각되었다

종합컨대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상관관계와13 유의미한13 정 의13 인과관계로13 작동하는데13 비해13 미국에서는13 상관13 (+)

및13 인과관계13 모두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 한편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

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은13 약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13 것으 (+)

로13 나타났다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의13 중요한13 인과변인인13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양13 국가13 모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력을13 미치고13 있으며 사회경제적13 지(+)

위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두13 가지13 구성개념사회제도신뢰13 및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 )

인과적13 영향은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되었다는13 사실13 또한13 이13 연구에서13 밝

혀냈다

이상의13 연구에도13 불구하고13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한국의13 ( R2 237 220

미국의13 056 R2 이13 낮게13 형성되었다는13 점과13 와13 183 195 030) KGSS 2004

자료에13 한정하여13 분석하였기13 때문에13 분석결과의13 해석과13 일반화에13 GSS 2001

한계가13 있을13 수13 있다 예를13 들면13 년과13 년이라는13 특정한13 시기에13 조 2004 2001

사가13 이루어졌다는13 점에서13 이론적 경험적으로13 함축하는13 바가13 있다고13 하더라도13 외적13 타당성의13 문제점을13 지닌다 그리고13 이13 연구는13 전국규모를13 대상으로13

조사되었다는13 점에서13 의미하는13 바가13 있지만13 시계열적13 자료를13 통한13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정 한13 검증을13 하지13 못하였다는13 점에서도13 그13 한계가13 있음을13 밝혀

둔다 따라서 향후13 후속연구에서13 제시된13 모델들을13 보다13 정교화하는13 이론적13

작업과13 더불어13 다양한13 변인들을13 충분히13 활용하며13 통시적13 연구13 및13 국가간의13

비교연구13 등을13 통해13 경험적13 연구들이13 진행되어야13 할13 것이며 연구자의13 관심

과13 노력으로13 연구의13 질적13 향상을13 기대해본다

156 김상돈

참고문헌

국민호 동아시아경제발전과13 유교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1997 31 1 pp 29-59「 」 985172 985173김상욱 조직몰입의13 하위차원들의13 타당도평가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2001 35 3 pp 「 」 985172 985173

109-138

김용학 손재석 미시적13 신뢰와13 거시적13 위험 계간사상 1998 38 pp 115-132 「 」 985172 985173이재열 민주주의 사회적13 신뢰 사회적13 자본 계간사상 1998 38 pp 65-93「 」 985172 985173유석춘 외 사회자본과13 신뢰 한국 일본 덴마크 스웨덴13 비교13 연구 동서연구 2002 「 」 985172 985173

권13 호14 1 pp 101-135

장수찬 한국사회에13 나타난13 악순화의13 사이클 한국정치학회보 권13 호 2002 36 1 pp 「 」 985172 98517387-112

한국13 사회과학도서관13 홈페이지 2005 httpwwwksslorkr

Banfield E 1967 The Moral Basis of a Backward Society New York Free Press

Billiet JB and Bart Cambre 1999 ldquoSocial capital active membership in voluntary

associations and some aspects of political participatio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Bourdieu Piere 1984 The Distiction A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Brehm John amp Wendy Rahn 1997 ldquoIndividual-level evidence for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social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41(3)

pp 999-1023

Burt R 1992 Structure Holes The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Coleman James 1988 ldquo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pp 94-121

DiMaggio Paul and Hugh Louch 1998 ldquoSocially Embedded Consumer Transaction

For What Kinds of Purchases Do People Most Often Use Networks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3 pp 619-637

Fukuyama Francis 1995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perty

NewYork Free Press Paper Backs Book

Gambetta Diego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Financial Capital The

Case of Network Marketing Champaign Stipes

Ganzeboom H B G and DJ Treiman 1996 ldquoInternationally Comparable Measures

of Occupational Status for the 1988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rdquo Social Science Research 25 pp 201-239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7

Giddens Anthony 1990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Stanford Stanford UP

Granovetter Mark 1985 ldquoEconomic Action and Social Structure The Problem of

Embeddedness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1 pp 481-510

Inglehart R 1999 Culture Shift in Advanced Industrial Societ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Joumlreskg Karl G and Soumlrbom Dag 1989 LISREL 7 A Guide to the Program and

Applications Chicago SPSS Inc

Lin Nam 1982 ldquoSocial Resource and Instrumental Actionrdquo In Social Structure and

Network Analysis edited by Peter Marsden and Nan Lin Beverly Hill CA

Sage Publication

Loury Glen 1977 ldquoA Dynamic Theory of Racial Income Differencerdquo In PA

Wallace amp A LeMund (eds) Woman Minorities and Employment Discrimi-

nation Lexington Lexington Books

Luhmann Niklas 1988 ldquoFamiliarity Confidence Trust Problems and Alternativesrdquo In D Gambetta (ed)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New York Basil Blackwell

McPherson J Miller 1983 ldquoAn Ecology of Affiliation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8 pp 519-532

Newton Kenneth 1997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rdquo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0(5) pp 575-586

Newton Kenneth 1999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 in Modern Euroupea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s)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Olson ME 1965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Pagden Anthony 1988 ldquoThe Destruction of Trust and its Economic Consequence in

the Case of Eighteenth-century Naplesrdquo In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edited by D Gambetta Oxford Blackwell

Paxton Pamela 1999 ldquoIs Social Capital Declining in the US A Multiple Indicator

Assessment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5(1) pp 88-126

Portes A 1998 ldquoSocial Capital Its Origin and Application in Modern Sociologyrdquo Annual Review of Sociology 24 pp 1-24

Portes A 2000 ldquoThe Two Meaning of Social Capitalrdquo Sociological Forum 15(1)

pp 1-12

Putnam Robert 1993 Making Democracy Work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utnam Robert 1995 ldquoBowling Alone Americans Declining Social Capitalrdquo Journal of Democracy 6(1) pp 65-78

Sztompka P 1999 Trust A Sociological Theor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8 김상돈

Toqueville Alexis de [1835 1840] 1990 Democracy in America(Reprint) New

York Vintage

Verba Sidney Kay Lehman Schlozman and Henry E 1995 Voice and Equality

Civic Voluntarism in American Politics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son Oliver E 1993 ldquoCaculativeness Trust and Economic Organizationrdquo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36(3) pp 453-486

Zucker Lynn G 1986 ldquoProduction of Trust Institutional Sources of Economic

Structurerdquo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8 pp 53-111

Comparison Analysi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n the Causal Structure of Trust in Social InstitutionsWith a focus on Mediation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and

Social Support

Sang-don KimLecturer in The University College at Sungkyunkwan University

This Study explores the multiplicativ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social institutions trus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do this a set of hypotheses concerning th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are set forth and subjected to an empirical assessment by using data set

collected from KGSS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2004 and GSS (General

Social Survey) 2001 out of the ISSP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lanning)

Modules

Analysis of data in terms of ML (Maximum Likelihood) procedure in

LISREL852 was used and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s (1) The unit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on association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2)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status on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but They were appear to be an important predictor to

Korea (3)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on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4) Association participation was especially in

shaping social support and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to the two nations

This study is interpreted that further research on the topic of social capital are

raised with elaborating the measure on the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political efficacy consciousness of social class and so forth coupled with

advertising a few limitation of this study

Keyword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KGSS GSS ISSP

김상돈 성균관대학교13 학부대학강사13

경기도13 수원시13 장안구13 조원동13 한일타운13 동13 호13 119 703 440-709

Tel_01113 912013 132313 13 E-mail_education17hanmailnet

Page 30: 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 미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64/1/5.%e1%84%80%e1...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미비교연구:

154 김상돈

위자들이13 현재13 맺고13 있는13 사회연결망에13 의해서13 형성된다고13 본13 신경제사회학

의13 이론적13 논의를13 부각시켰다는13 점에서13 시사하는13 바가13 크다 이로써13 사회단

체참여는13 다양한13 사람들과의13 사회적13 관계에서13 유통되는13 사회적13 지원을13 제공

해주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척도로서13 의미13 있는13 구성지표이다

다섯째 사회단체참여의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B=144

보다13 한국 에서13 다소13 높게13 나타났지만 사회경제적13 plt05) (B=151 plt05)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는13 한국 보다13 미국(B=057 plt05)

에서13 높게13 나타났다(B=060 plt05) 5 또한13 결정계수의13 변화에13 있어서도13 사

회단체참여가13 제외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미국사회의13 ( R2=037 R2 에13 비=028)

하여13 포함된13 경우 한국사회의13 ( R2 미국사회의13 =056 R2 의13 설명력은13 =030)

한국과13 미국13 각각13 의13 증가를13 보였다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은13 작19 02

은13 증가를13 나타냈으나13 단위13 영향13 및13 간접영향13 모두13 높게13 형성되어13 사회단체

참여가13 제도신뢰의13 중요한13 선행변인으로13 설정되어야13 할13 계량적13 근거를13 시사

한13 결과이다 이러한13 분석결과는13 공적13 시민정신의13 연구결과들 (Tocqueville

과13 일치됨으로써13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과13 미국13 1845 Putnam 1993 1995)

양13 국가13 모두13 사회적13 신뢰의13 중요한13 관건임을13 밝혀냈다 그러나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단체참여가13 사회적13 신뢰에13 약한13 정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

데 이러한13 결과가13 나타난13 사실은13 년13 이후13 사회단체의13 급속한13 증가로13 인 1987

해13 시민의13 정치참여를13 높이는데13 일정정도13 기여했으나13 민주적13 시민덕목을13 배

양하는데13 있어서는13 그리13 성공하지13 못한13 데에서13 추측할13 수13 있다 이를13 위해서

는13 중복적13 참여13 및13 자기이해(self- 에13 기초한13 소극적13 참여에서13 호혜성interest)

규범과13 사회적13 신뢰형성을13 위한13 제도적13 메커니즘으로의13 사회단체참여13 구축

이13 무엇보다13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이13 사회제도신뢰에13 미치는13 인과적13

영향은13 양13 국가13 모두13 통계적으로13 유의미하지13 않는13 것으로13 나타났다 이러한13

사실은13 사회적13 자본의13 연구결과 김용학(Pagden 1988 Fukuyama 1995 손

5 이와13 반대로 결측치에13 개별평균값을13 대체하기전의13 추정결과에서 사회단체참 LISREL

여의13 제도신뢰에13 대한13 단위영향은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B=169 plt05) (B=133 plt05)

더13 높게13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13 지위변인에13 매개되어진13 간접영향에서도13 미국

이13 한국 보다13 높게13 나타났다(B=049 plt05) (B=043 plt05)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5

재석 이재열 에서13 제시된13 반경범위 내집단13 족쇄 연고13 집단13 등 1998 1998)

의13 용어를13 사용하면서 가족13 및13 개인연결망13 활용이13 공적영역의13 신뢰를13 식민

화하여13 사회13 전체적으로13 저신뢰사회가13 된다고13 주장한13 논의와13 일치하지13 않는13

결과이다 즉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사이의13

관계가13 서로13 양립13 가능한13 현상을13 보여주어13 매개역할13 또한13 기각되었다

종합컨대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상관관계와13 유의미한13 정 의13 인과관계로13 작동하는데13 비해13 미국에서는13 상관13 (+)

및13 인과관계13 모두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 한편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

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은13 약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13 것으 (+)

로13 나타났다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의13 중요한13 인과변인인13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양13 국가13 모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력을13 미치고13 있으며 사회경제적13 지(+)

위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두13 가지13 구성개념사회제도신뢰13 및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 )

인과적13 영향은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되었다는13 사실13 또한13 이13 연구에서13 밝

혀냈다

이상의13 연구에도13 불구하고13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한국의13 ( R2 237 220

미국의13 056 R2 이13 낮게13 형성되었다는13 점과13 와13 183 195 030) KGSS 2004

자료에13 한정하여13 분석하였기13 때문에13 분석결과의13 해석과13 일반화에13 GSS 2001

한계가13 있을13 수13 있다 예를13 들면13 년과13 년이라는13 특정한13 시기에13 조 2004 2001

사가13 이루어졌다는13 점에서13 이론적 경험적으로13 함축하는13 바가13 있다고13 하더라도13 외적13 타당성의13 문제점을13 지닌다 그리고13 이13 연구는13 전국규모를13 대상으로13

조사되었다는13 점에서13 의미하는13 바가13 있지만13 시계열적13 자료를13 통한13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정 한13 검증을13 하지13 못하였다는13 점에서도13 그13 한계가13 있음을13 밝혀

둔다 따라서 향후13 후속연구에서13 제시된13 모델들을13 보다13 정교화하는13 이론적13

작업과13 더불어13 다양한13 변인들을13 충분히13 활용하며13 통시적13 연구13 및13 국가간의13

비교연구13 등을13 통해13 경험적13 연구들이13 진행되어야13 할13 것이며 연구자의13 관심

과13 노력으로13 연구의13 질적13 향상을13 기대해본다

156 김상돈

참고문헌

국민호 동아시아경제발전과13 유교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1997 31 1 pp 29-59「 」 985172 985173김상욱 조직몰입의13 하위차원들의13 타당도평가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2001 35 3 pp 「 」 985172 985173

109-138

김용학 손재석 미시적13 신뢰와13 거시적13 위험 계간사상 1998 38 pp 115-132 「 」 985172 985173이재열 민주주의 사회적13 신뢰 사회적13 자본 계간사상 1998 38 pp 65-93「 」 985172 985173유석춘 외 사회자본과13 신뢰 한국 일본 덴마크 스웨덴13 비교13 연구 동서연구 2002 「 」 985172 985173

권13 호14 1 pp 101-135

장수찬 한국사회에13 나타난13 악순화의13 사이클 한국정치학회보 권13 호 2002 36 1 pp 「 」 985172 98517387-112

한국13 사회과학도서관13 홈페이지 2005 httpwwwksslorkr

Banfield E 1967 The Moral Basis of a Backward Society New York Free Press

Billiet JB and Bart Cambre 1999 ldquoSocial capital active membership in voluntary

associations and some aspects of political participatio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Bourdieu Piere 1984 The Distiction A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Brehm John amp Wendy Rahn 1997 ldquoIndividual-level evidence for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social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41(3)

pp 999-1023

Burt R 1992 Structure Holes The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Coleman James 1988 ldquo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pp 94-121

DiMaggio Paul and Hugh Louch 1998 ldquoSocially Embedded Consumer Transaction

For What Kinds of Purchases Do People Most Often Use Networks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3 pp 619-637

Fukuyama Francis 1995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perty

NewYork Free Press Paper Backs Book

Gambetta Diego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Financial Capital The

Case of Network Marketing Champaign Stipes

Ganzeboom H B G and DJ Treiman 1996 ldquoInternationally Comparable Measures

of Occupational Status for the 1988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rdquo Social Science Research 25 pp 201-239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7

Giddens Anthony 1990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Stanford Stanford UP

Granovetter Mark 1985 ldquoEconomic Action and Social Structure The Problem of

Embeddedness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1 pp 481-510

Inglehart R 1999 Culture Shift in Advanced Industrial Societ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Joumlreskg Karl G and Soumlrbom Dag 1989 LISREL 7 A Guide to the Program and

Applications Chicago SPSS Inc

Lin Nam 1982 ldquoSocial Resource and Instrumental Actionrdquo In Social Structure and

Network Analysis edited by Peter Marsden and Nan Lin Beverly Hill CA

Sage Publication

Loury Glen 1977 ldquoA Dynamic Theory of Racial Income Differencerdquo In PA

Wallace amp A LeMund (eds) Woman Minorities and Employment Discrimi-

nation Lexington Lexington Books

Luhmann Niklas 1988 ldquoFamiliarity Confidence Trust Problems and Alternativesrdquo In D Gambetta (ed)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New York Basil Blackwell

McPherson J Miller 1983 ldquoAn Ecology of Affiliation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8 pp 519-532

Newton Kenneth 1997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rdquo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0(5) pp 575-586

Newton Kenneth 1999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 in Modern Euroupea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s)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Olson ME 1965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Pagden Anthony 1988 ldquoThe Destruction of Trust and its Economic Consequence in

the Case of Eighteenth-century Naplesrdquo In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edited by D Gambetta Oxford Blackwell

Paxton Pamela 1999 ldquoIs Social Capital Declining in the US A Multiple Indicator

Assessment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5(1) pp 88-126

Portes A 1998 ldquoSocial Capital Its Origin and Application in Modern Sociologyrdquo Annual Review of Sociology 24 pp 1-24

Portes A 2000 ldquoThe Two Meaning of Social Capitalrdquo Sociological Forum 15(1)

pp 1-12

Putnam Robert 1993 Making Democracy Work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utnam Robert 1995 ldquoBowling Alone Americans Declining Social Capitalrdquo Journal of Democracy 6(1) pp 65-78

Sztompka P 1999 Trust A Sociological Theor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8 김상돈

Toqueville Alexis de [1835 1840] 1990 Democracy in America(Reprint) New

York Vintage

Verba Sidney Kay Lehman Schlozman and Henry E 1995 Voice and Equality

Civic Voluntarism in American Politics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son Oliver E 1993 ldquoCaculativeness Trust and Economic Organizationrdquo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36(3) pp 453-486

Zucker Lynn G 1986 ldquoProduction of Trust Institutional Sources of Economic

Structurerdquo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8 pp 53-111

Comparison Analysi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n the Causal Structure of Trust in Social InstitutionsWith a focus on Mediation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and

Social Support

Sang-don KimLecturer in The University College at Sungkyunkwan University

This Study explores the multiplicativ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social institutions trus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do this a set of hypotheses concerning th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are set forth and subjected to an empirical assessment by using data set

collected from KGSS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2004 and GSS (General

Social Survey) 2001 out of the ISSP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lanning)

Modules

Analysis of data in terms of ML (Maximum Likelihood) procedure in

LISREL852 was used and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s (1) The unit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on association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2)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status on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but They were appear to be an important predictor to

Korea (3)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on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4) Association participation was especially in

shaping social support and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to the two nations

This study is interpreted that further research on the topic of social capital are

raised with elaborating the measure on the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political efficacy consciousness of social class and so forth coupled with

advertising a few limitation of this study

Keyword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KGSS GSS ISSP

김상돈 성균관대학교13 학부대학강사13

경기도13 수원시13 장안구13 조원동13 한일타운13 동13 호13 119 703 440-709

Tel_01113 912013 132313 13 E-mail_education17hanmailnet

Page 31: 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 미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64/1/5.%e1%84%80%e1...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미비교연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5

재석 이재열 에서13 제시된13 반경범위 내집단13 족쇄 연고13 집단13 등 1998 1998)

의13 용어를13 사용하면서 가족13 및13 개인연결망13 활용이13 공적영역의13 신뢰를13 식민

화하여13 사회13 전체적으로13 저신뢰사회가13 된다고13 주장한13 논의와13 일치하지13 않는13

결과이다 즉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과13 제도에13 대한13 사회적13 신뢰사이의13

관계가13 서로13 양립13 가능한13 현상을13 보여주어13 매개역할13 또한13 기각되었다

종합컨대 사회단체참여는13 한국에서13 사회제도신뢰에13 대한13 유의미하지13 않은13

상관관계와13 유의미한13 정 의13 인과관계로13 작동하는데13 비해13 미국에서는13 상관13 (+)

및13 인과관계13 모두13 유의미하게13 나타났다 한편 사회단체참여가13 미국보다13 한

국에서13 사회적13 지원의13 연결망활용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는13 것(+)

으로13 나타난13 반면에 미국은13 약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을13 미치고13 있는13 것으 (+)

로13 나타났다 그리고13 사회단체참여의13 중요한13 인과변인인13 사회경제적13 지위는13

양13 국가13 모두13 강한13 정 의13 인과적13 영향력을13 미치고13 있으며 사회경제적13 지(+)

위는13 사회적13 자본의13 두13 가지13 구성개념사회제도신뢰13 및13 사회적13 지원에13 대한13 ( )

인과적13 영향은13 사회단체참여에13 의해13 매개되었다는13 사실13 또한13 이13 연구에서13 밝

혀냈다

이상의13 연구에도13 불구하고13 양13 국가13 모두13 설명력한국의13 ( R2 237 220

미국의13 056 R2 이13 낮게13 형성되었다는13 점과13 와13 183 195 030) KGSS 2004

자료에13 한정하여13 분석하였기13 때문에13 분석결과의13 해석과13 일반화에13 GSS 2001

한계가13 있을13 수13 있다 예를13 들면13 년과13 년이라는13 특정한13 시기에13 조 2004 2001

사가13 이루어졌다는13 점에서13 이론적 경험적으로13 함축하는13 바가13 있다고13 하더라도13 외적13 타당성의13 문제점을13 지닌다 그리고13 이13 연구는13 전국규모를13 대상으로13

조사되었다는13 점에서13 의미하는13 바가13 있지만13 시계열적13 자료를13 통한13 상관13 및13

인과관계의13 정 한13 검증을13 하지13 못하였다는13 점에서도13 그13 한계가13 있음을13 밝혀

둔다 따라서 향후13 후속연구에서13 제시된13 모델들을13 보다13 정교화하는13 이론적13

작업과13 더불어13 다양한13 변인들을13 충분히13 활용하며13 통시적13 연구13 및13 국가간의13

비교연구13 등을13 통해13 경험적13 연구들이13 진행되어야13 할13 것이며 연구자의13 관심

과13 노력으로13 연구의13 질적13 향상을13 기대해본다

156 김상돈

참고문헌

국민호 동아시아경제발전과13 유교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1997 31 1 pp 29-59「 」 985172 985173김상욱 조직몰입의13 하위차원들의13 타당도평가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2001 35 3 pp 「 」 985172 985173

109-138

김용학 손재석 미시적13 신뢰와13 거시적13 위험 계간사상 1998 38 pp 115-132 「 」 985172 985173이재열 민주주의 사회적13 신뢰 사회적13 자본 계간사상 1998 38 pp 65-93「 」 985172 985173유석춘 외 사회자본과13 신뢰 한국 일본 덴마크 스웨덴13 비교13 연구 동서연구 2002 「 」 985172 985173

권13 호14 1 pp 101-135

장수찬 한국사회에13 나타난13 악순화의13 사이클 한국정치학회보 권13 호 2002 36 1 pp 「 」 985172 98517387-112

한국13 사회과학도서관13 홈페이지 2005 httpwwwksslorkr

Banfield E 1967 The Moral Basis of a Backward Society New York Free Press

Billiet JB and Bart Cambre 1999 ldquoSocial capital active membership in voluntary

associations and some aspects of political participatio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Bourdieu Piere 1984 The Distiction A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Brehm John amp Wendy Rahn 1997 ldquoIndividual-level evidence for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social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41(3)

pp 999-1023

Burt R 1992 Structure Holes The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Coleman James 1988 ldquo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pp 94-121

DiMaggio Paul and Hugh Louch 1998 ldquoSocially Embedded Consumer Transaction

For What Kinds of Purchases Do People Most Often Use Networks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3 pp 619-637

Fukuyama Francis 1995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perty

NewYork Free Press Paper Backs Book

Gambetta Diego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Financial Capital The

Case of Network Marketing Champaign Stipes

Ganzeboom H B G and DJ Treiman 1996 ldquoInternationally Comparable Measures

of Occupational Status for the 1988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rdquo Social Science Research 25 pp 201-239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7

Giddens Anthony 1990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Stanford Stanford UP

Granovetter Mark 1985 ldquoEconomic Action and Social Structure The Problem of

Embeddedness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1 pp 481-510

Inglehart R 1999 Culture Shift in Advanced Industrial Societ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Joumlreskg Karl G and Soumlrbom Dag 1989 LISREL 7 A Guide to the Program and

Applications Chicago SPSS Inc

Lin Nam 1982 ldquoSocial Resource and Instrumental Actionrdquo In Social Structure and

Network Analysis edited by Peter Marsden and Nan Lin Beverly Hill CA

Sage Publication

Loury Glen 1977 ldquoA Dynamic Theory of Racial Income Differencerdquo In PA

Wallace amp A LeMund (eds) Woman Minorities and Employment Discrimi-

nation Lexington Lexington Books

Luhmann Niklas 1988 ldquoFamiliarity Confidence Trust Problems and Alternativesrdquo In D Gambetta (ed)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New York Basil Blackwell

McPherson J Miller 1983 ldquoAn Ecology of Affiliation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8 pp 519-532

Newton Kenneth 1997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rdquo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0(5) pp 575-586

Newton Kenneth 1999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 in Modern Euroupea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s)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Olson ME 1965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Pagden Anthony 1988 ldquoThe Destruction of Trust and its Economic Consequence in

the Case of Eighteenth-century Naplesrdquo In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edited by D Gambetta Oxford Blackwell

Paxton Pamela 1999 ldquoIs Social Capital Declining in the US A Multiple Indicator

Assessment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5(1) pp 88-126

Portes A 1998 ldquoSocial Capital Its Origin and Application in Modern Sociologyrdquo Annual Review of Sociology 24 pp 1-24

Portes A 2000 ldquoThe Two Meaning of Social Capitalrdquo Sociological Forum 15(1)

pp 1-12

Putnam Robert 1993 Making Democracy Work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utnam Robert 1995 ldquoBowling Alone Americans Declining Social Capitalrdquo Journal of Democracy 6(1) pp 65-78

Sztompka P 1999 Trust A Sociological Theor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8 김상돈

Toqueville Alexis de [1835 1840] 1990 Democracy in America(Reprint) New

York Vintage

Verba Sidney Kay Lehman Schlozman and Henry E 1995 Voice and Equality

Civic Voluntarism in American Politics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son Oliver E 1993 ldquoCaculativeness Trust and Economic Organizationrdquo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36(3) pp 453-486

Zucker Lynn G 1986 ldquoProduction of Trust Institutional Sources of Economic

Structurerdquo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8 pp 53-111

Comparison Analysi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n the Causal Structure of Trust in Social InstitutionsWith a focus on Mediation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and

Social Support

Sang-don KimLecturer in The University College at Sungkyunkwan University

This Study explores the multiplicativ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social institutions trus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do this a set of hypotheses concerning th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are set forth and subjected to an empirical assessment by using data set

collected from KGSS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2004 and GSS (General

Social Survey) 2001 out of the ISSP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lanning)

Modules

Analysis of data in terms of ML (Maximum Likelihood) procedure in

LISREL852 was used and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s (1) The unit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on association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2)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status on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but They were appear to be an important predictor to

Korea (3)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on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4) Association participation was especially in

shaping social support and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to the two nations

This study is interpreted that further research on the topic of social capital are

raised with elaborating the measure on the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political efficacy consciousness of social class and so forth coupled with

advertising a few limitation of this study

Keyword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KGSS GSS ISSP

김상돈 성균관대학교13 학부대학강사13

경기도13 수원시13 장안구13 조원동13 한일타운13 동13 호13 119 703 440-709

Tel_01113 912013 132313 13 E-mail_education17hanmailnet

Page 32: 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 미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64/1/5.%e1%84%80%e1...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미비교연구:

156 김상돈

참고문헌

국민호 동아시아경제발전과13 유교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1997 31 1 pp 29-59「 」 985172 985173김상욱 조직몰입의13 하위차원들의13 타당도평가 한국13 사회학 권13 호 2001 35 3 pp 「 」 985172 985173

109-138

김용학 손재석 미시적13 신뢰와13 거시적13 위험 계간사상 1998 38 pp 115-132 「 」 985172 985173이재열 민주주의 사회적13 신뢰 사회적13 자본 계간사상 1998 38 pp 65-93「 」 985172 985173유석춘 외 사회자본과13 신뢰 한국 일본 덴마크 스웨덴13 비교13 연구 동서연구 2002 「 」 985172 985173

권13 호14 1 pp 101-135

장수찬 한국사회에13 나타난13 악순화의13 사이클 한국정치학회보 권13 호 2002 36 1 pp 「 」 985172 98517387-112

한국13 사회과학도서관13 홈페이지 2005 httpwwwksslorkr

Banfield E 1967 The Moral Basis of a Backward Society New York Free Press

Billiet JB and Bart Cambre 1999 ldquoSocial capital active membership in voluntary

associations and some aspects of political participatio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Bourdieu Piere 1984 The Distiction A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Brehm John amp Wendy Rahn 1997 ldquoIndividual-level evidence for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social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41(3)

pp 999-1023

Burt R 1992 Structure Holes The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Coleman James 1988 ldquo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pp 94-121

DiMaggio Paul and Hugh Louch 1998 ldquoSocially Embedded Consumer Transaction

For What Kinds of Purchases Do People Most Often Use Networks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3 pp 619-637

Fukuyama Francis 1995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perty

NewYork Free Press Paper Backs Book

Gambetta Diego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Financial Capital The

Case of Network Marketing Champaign Stipes

Ganzeboom H B G and DJ Treiman 1996 ldquoInternationally Comparable Measures

of Occupational Status for the 1988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rdquo Social Science Research 25 pp 201-239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7

Giddens Anthony 1990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Stanford Stanford UP

Granovetter Mark 1985 ldquoEconomic Action and Social Structure The Problem of

Embeddedness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1 pp 481-510

Inglehart R 1999 Culture Shift in Advanced Industrial Societ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Joumlreskg Karl G and Soumlrbom Dag 1989 LISREL 7 A Guide to the Program and

Applications Chicago SPSS Inc

Lin Nam 1982 ldquoSocial Resource and Instrumental Actionrdquo In Social Structure and

Network Analysis edited by Peter Marsden and Nan Lin Beverly Hill CA

Sage Publication

Loury Glen 1977 ldquoA Dynamic Theory of Racial Income Differencerdquo In PA

Wallace amp A LeMund (eds) Woman Minorities and Employment Discrimi-

nation Lexington Lexington Books

Luhmann Niklas 1988 ldquoFamiliarity Confidence Trust Problems and Alternativesrdquo In D Gambetta (ed)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New York Basil Blackwell

McPherson J Miller 1983 ldquoAn Ecology of Affiliation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8 pp 519-532

Newton Kenneth 1997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rdquo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0(5) pp 575-586

Newton Kenneth 1999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 in Modern Euroupea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s)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Olson ME 1965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Pagden Anthony 1988 ldquoThe Destruction of Trust and its Economic Consequence in

the Case of Eighteenth-century Naplesrdquo In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edited by D Gambetta Oxford Blackwell

Paxton Pamela 1999 ldquoIs Social Capital Declining in the US A Multiple Indicator

Assessment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5(1) pp 88-126

Portes A 1998 ldquoSocial Capital Its Origin and Application in Modern Sociologyrdquo Annual Review of Sociology 24 pp 1-24

Portes A 2000 ldquoThe Two Meaning of Social Capitalrdquo Sociological Forum 15(1)

pp 1-12

Putnam Robert 1993 Making Democracy Work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utnam Robert 1995 ldquoBowling Alone Americans Declining Social Capitalrdquo Journal of Democracy 6(1) pp 65-78

Sztompka P 1999 Trust A Sociological Theor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8 김상돈

Toqueville Alexis de [1835 1840] 1990 Democracy in America(Reprint) New

York Vintage

Verba Sidney Kay Lehman Schlozman and Henry E 1995 Voice and Equality

Civic Voluntarism in American Politics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son Oliver E 1993 ldquoCaculativeness Trust and Economic Organizationrdquo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36(3) pp 453-486

Zucker Lynn G 1986 ldquoProduction of Trust Institutional Sources of Economic

Structurerdquo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8 pp 53-111

Comparison Analysi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n the Causal Structure of Trust in Social InstitutionsWith a focus on Mediation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and

Social Support

Sang-don KimLecturer in The University College at Sungkyunkwan University

This Study explores the multiplicativ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social institutions trus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do this a set of hypotheses concerning th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are set forth and subjected to an empirical assessment by using data set

collected from KGSS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2004 and GSS (General

Social Survey) 2001 out of the ISSP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lanning)

Modules

Analysis of data in terms of ML (Maximum Likelihood) procedure in

LISREL852 was used and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s (1) The unit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on association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2)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status on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but They were appear to be an important predictor to

Korea (3)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on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4) Association participation was especially in

shaping social support and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to the two nations

This study is interpreted that further research on the topic of social capital are

raised with elaborating the measure on the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political efficacy consciousness of social class and so forth coupled with

advertising a few limitation of this study

Keyword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KGSS GSS ISSP

김상돈 성균관대학교13 학부대학강사13

경기도13 수원시13 장안구13 조원동13 한일타운13 동13 호13 119 703 440-709

Tel_01113 912013 132313 13 E-mail_education17hanmailnet

Page 33: 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 미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64/1/5.%e1%84%80%e1...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미비교연구:

사회제도신뢰의13 인과구조에13 대한13 한 미13 비교연구 157

Giddens Anthony 1990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Stanford Stanford UP

Granovetter Mark 1985 ldquoEconomic Action and Social Structure The Problem of

Embeddedness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1 pp 481-510

Inglehart R 1999 Culture Shift in Advanced Industrial Societ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Joumlreskg Karl G and Soumlrbom Dag 1989 LISREL 7 A Guide to the Program and

Applications Chicago SPSS Inc

Lin Nam 1982 ldquoSocial Resource and Instrumental Actionrdquo In Social Structure and

Network Analysis edited by Peter Marsden and Nan Lin Beverly Hill CA

Sage Publication

Loury Glen 1977 ldquoA Dynamic Theory of Racial Income Differencerdquo In PA

Wallace amp A LeMund (eds) Woman Minorities and Employment Discrimi-

nation Lexington Lexington Books

Luhmann Niklas 1988 ldquoFamiliarity Confidence Trust Problems and Alternativesrdquo In D Gambetta (ed)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New York Basil Blackwell

McPherson J Miller 1983 ldquoAn Ecology of Affiliationrdquo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8 pp 519-532

Newton Kenneth 1997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rdquo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0(5) pp 575-586

Newton Kenneth 1999 ldquoSocial Capital and Democracy in Modern Euroupeanrdquo In

Jan W van Deth Marco Maraffi Ken Newton amp Paul F Whiteley (eds)

Social Capital and European Democracy London Rouledge

Olson ME 1965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Pagden Anthony 1988 ldquoThe Destruction of Trust and its Economic Consequence in

the Case of Eighteenth-century Naplesrdquo In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edited by D Gambetta Oxford Blackwell

Paxton Pamela 1999 ldquoIs Social Capital Declining in the US A Multiple Indicator

Assessmentrdquo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5(1) pp 88-126

Portes A 1998 ldquoSocial Capital Its Origin and Application in Modern Sociologyrdquo Annual Review of Sociology 24 pp 1-24

Portes A 2000 ldquoThe Two Meaning of Social Capitalrdquo Sociological Forum 15(1)

pp 1-12

Putnam Robert 1993 Making Democracy Work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utnam Robert 1995 ldquoBowling Alone Americans Declining Social Capitalrdquo Journal of Democracy 6(1) pp 65-78

Sztompka P 1999 Trust A Sociological Theor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8 김상돈

Toqueville Alexis de [1835 1840] 1990 Democracy in America(Reprint) New

York Vintage

Verba Sidney Kay Lehman Schlozman and Henry E 1995 Voice and Equality

Civic Voluntarism in American Politics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son Oliver E 1993 ldquoCaculativeness Trust and Economic Organizationrdquo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36(3) pp 453-486

Zucker Lynn G 1986 ldquoProduction of Trust Institutional Sources of Economic

Structurerdquo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8 pp 53-111

Comparison Analysi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n the Causal Structure of Trust in Social InstitutionsWith a focus on Mediation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and

Social Support

Sang-don KimLecturer in The University College at Sungkyunkwan University

This Study explores the multiplicativ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social institutions trus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do this a set of hypotheses concerning th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are set forth and subjected to an empirical assessment by using data set

collected from KGSS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2004 and GSS (General

Social Survey) 2001 out of the ISSP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lanning)

Modules

Analysis of data in terms of ML (Maximum Likelihood) procedure in

LISREL852 was used and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s (1) The unit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on association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2)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status on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but They were appear to be an important predictor to

Korea (3)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on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4) Association participation was especially in

shaping social support and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to the two nations

This study is interpreted that further research on the topic of social capital are

raised with elaborating the measure on the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political efficacy consciousness of social class and so forth coupled with

advertising a few limitation of this study

Keyword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KGSS GSS ISSP

김상돈 성균관대학교13 학부대학강사13

경기도13 수원시13 장안구13 조원동13 한일타운13 동13 호13 119 703 440-709

Tel_01113 912013 132313 13 E-mail_education17hanmailnet

Page 34: 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 미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64/1/5.%e1%84%80%e1...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미비교연구:

158 김상돈

Toqueville Alexis de [1835 1840] 1990 Democracy in America(Reprint) New

York Vintage

Verba Sidney Kay Lehman Schlozman and Henry E 1995 Voice and Equality

Civic Voluntarism in American Politics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Williamson Oliver E 1993 ldquoCaculativeness Trust and Economic Organizationrdquo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36(3) pp 453-486

Zucker Lynn G 1986 ldquoProduction of Trust Institutional Sources of Economic

Structurerdquo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8 pp 53-111

Comparison Analysi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n the Causal Structure of Trust in Social InstitutionsWith a focus on Mediation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and

Social Support

Sang-don KimLecturer in The University College at Sungkyunkwan University

This Study explores the multiplicativ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social institutions trus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do this a set of hypotheses concerning th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are set forth and subjected to an empirical assessment by using data set

collected from KGSS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2004 and GSS (General

Social Survey) 2001 out of the ISSP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lanning)

Modules

Analysis of data in terms of ML (Maximum Likelihood) procedure in

LISREL852 was used and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s (1) The unit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on association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2)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status on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but They were appear to be an important predictor to

Korea (3)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on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4) Association participation was especially in

shaping social support and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to the two nations

This study is interpreted that further research on the topic of social capital are

raised with elaborating the measure on the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political efficacy consciousness of social class and so forth coupled with

advertising a few limitation of this study

Keyword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KGSS GSS ISSP

김상돈 성균관대학교13 학부대학강사13

경기도13 수원시13 장안구13 조원동13 한일타운13 동13 호13 119 703 440-709

Tel_01113 912013 132313 13 E-mail_education17hanmailnet

Page 35: 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 미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64/1/5.%e1%84%80%e1...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미비교연구:

shaping social support and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to the two nations

This study is interpreted that further research on the topic of social capital are

raised with elaborating the measure on the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political efficacy consciousness of social class and so forth coupled with

advertising a few limitation of this study

Keyword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KGSS GSS ISSP

김상돈 성균관대학교13 학부대학강사13

경기도13 수원시13 장안구13 조원동13 한일타운13 동13 호13 119 703 440-709

Tel_01113 912013 132313 13 E-mail_education17hanmailnet

Page 36: 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 미비교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96164/1/5.%e1%84%80%e1...사회제도신뢰의인과구조에대한 한․미비교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