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본 논문은 국제민간항공기구 및 정부에서 정하고 있는 조류 위험성 평가를 국 내 공항 실정에 맞게 모델을 정립하여 실제 적용한 사례이다. 기존 국내공항의 조류 등 야생동물위험관리계획에 따르면 통상적으로 계절별, 시간대별 조류의 출현빈도, 이동경로, 서식지 등을 분석하 여 조류퇴치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과거 조류충돌 건수를 바탕으로 하여 조류충돌 위험관리를 하는 사후적 안전관리방식에 그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를 보완하고 조류퇴치 인력과 장비를 보다 효율적으로 집중 활용하기 위해서 는 각 공항에서 출현하고 있는 조류 종의 위험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 한 분석도구로 영국, 호주, 중국의 공항에서 사용하고 있는 매트릭스 기법의 위 험관리방식을 적용하여 정량적인 기준의 위험성 평가방식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적용사례를 ICAO와 정부에서 요구하고 있는 위험성평가를 수행하는데 좋은 참 고 모델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위험성평가는 조류충돌 심각도와 가능성을 활 용하였고, 제주공항의 경우 비둘기과, 오리과, 백로과, 꿩과 등의 조류가 위험성 이 높은 것으로 판별되었다. 주제어 : 조류충돌, 위험성 평가, 위험관리 제주국제공항의 조류 위험성평가 모델 및 활용사례 121 제주국제공항의 조류 위험성평가 모델 및 활용사례 박 상 훈 한국공항공사 제주지역본부 국문요약

제주국제공항의 조류 위험성평가 모델 및 활용사례 공항서비스매뉴얼(Doc 9137 part3, Bird Control and Reduction) 뿐만 아니라 국 내 기준에서도 위험평가기법을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제주국제공항의 조류 위험성평가 모델 및 활용사례 공항서비스매뉴얼(Doc 9137 part3, Bird Control and Reduction) 뿐만 아니라 국 내 기준에서도 위험평가기법을

본 논문은 국제민간항공기구 및 정부에서 정하고 있는 조류 위험성 평가를 국

내 공항 실정에 맞게 모델을 정립하여 실제 적용한 사례이다. 기존 국내공항의

조류 등 야생동물위험관리계획에 따르면

통상적으로 계절별, 시간 별 조류의 출현빈도, 이동경로, 서식지 등을 분석하

여 조류퇴치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과거 조류충돌 건수를 바탕으로 하여

조류충돌 위험관리를 하는 사후적 안전관리방식에 그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를 보완하고 조류퇴치 인력과 장비를 보다 효율적으로 집중 활용하기 위해서

는 각 공항에서 출현하고 있는 조류 종의 위험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

한 분석도구로 영국, 호주, 중국의 공항에서 사용하고 있는 매트릭스 기법의 위

험관리방식을 적용하여 정량적인 기준의 위험성 평가방식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적용사례를 ICAO와 정부에서 요구하고 있는 위험성평가를 수행하는데 좋은 참

고 모델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위험성평가는 조류충돌 심각도와 가능성을 활

용하였고, 제주공항의 경우 비둘기과, 오리과, 백로과, 꿩과 등의 조류가 위험성

이 높은 것으로 판별되었다.

주제어 : 조류충돌, 위험성 평가, 위험관리

제주국제공항의 조류 위험성평가 모델 및 활용사례

121

제주국제공항의 조류 위험성평가 모델

및 활용사례

박 상 훈

한국공항공사 제주지역본부

【국문요약】

Page 2: 제주국제공항의 조류 위험성평가 모델 및 활용사례 공항서비스매뉴얼(Doc 9137 part3, Bird Control and Reduction) 뿐만 아니라 국 내 기준에서도 위험평가기법을

항공진흥 제59호

122

구 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총계 55 71 132 119 92

공항구역 55 69 77 62 40

항행중 - - 34 41 36

장소불명 - 2 21 16 16

(출처 : 국토해양부 2012. 2. 7일자 보도자료)

<표1>최근 5년간 항공기 조류충돌현황

Ⅰ. 서 론

1.1 항공기 조류충돌 현황

조류충돌(bird strike)이란 운항중인

항공기가 조류와 충돌하는 것을 말한

다. 국내에서는 2007년부터 2011년까지

최근 5년간 총 469건의 조류충돌 사례

가 보고되었으며, 2010년까지는 매년

증가하다가 2011년에 전년 비 약 23%

가 감소한 92건이 발생하였다.

조류충돌로 인한 손실은 항공기 동체

에 피해를 주는 직접적 손해와 기체 정

비 또는 피해상황 파악에 소요되는 시

간으로 인한 항공기 지연발생 등 간접

적 손해로 요약할 수 있을 것이다

(Paton, 2010). 전 세계적으로 조류충돌

이 상업용 항공기에 주는 피해액은 연

간규모로 약 12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

로 추산되고 있어 공항당국 등 관계 당

사자의 조류 및 야생동물 충돌위험 감

소를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요구된다

고 하겠다. 정부에서는 “항공법과 국제

민간항공기구(ICAO) 협약 부속서에 따

라 비행장과 비행장 주변 등에서의 항

공기와 조류 또는 야생동물의 충돌사고

를 예방하기 위해 조류와 야생동물의

서식지 관리 등 충돌예방 활동에 한

세부사항”을 ‘조류 및 야생동물 충돌위

험 감소에 관한 기준’으로 정하여 감독

기관, 공항당국, 항공사 등에 적용하고

있다(국토해양부 고시 제2012-733호).

특히, 최근 동 기준의 개정을 통

하여 공항운영자 소속 업무 담당자에게

조류나 야생동물에 한 전문지식을 갖

추도록 자격요건을 강화하고, 전문성을

활용한 조류충돌 위험평가를 매년 1회

이상 정기적으로 실시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ICAO에서 발행한 최신의

공항서비스매뉴얼(Doc 9137 part3, Bird

Control and Reduction) 뿐만 아니라 국

내 기준에서도 위험평가기법을 구체적

으로 제시하지 않고 있어, 세부적인 조

류충돌 위험평가는 공항운영자의 자체

보고서나 학계의 연구성과를 참조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조류충돌 위험성

Page 3: 제주국제공항의 조류 위험성평가 모델 및 활용사례 공항서비스매뉴얼(Doc 9137 part3, Bird Control and Reduction) 뿐만 아니라 국 내 기준에서도 위험평가기법을

제주국제공항의 조류 위험성평가 모델 및 활용사례

123

평가의 주요한 목적은 항공기에 피해를

줄 것으로 예상되는 조류 종(種)을 파악

함으로써 보다 체계적인 방식으로 조류

및 야생동물 위험관리를 수행하는데 있

으며, 이러한 분석에 기반하여 조류퇴

치 전담인력을 투입하거나 경보기, 폭

음기 등의 퇴치장비를 운영하는 등 자

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배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2 선행연구 검토 (literature

review)

공항에서의 조류충돌 위험관리에 관

련한 ‘위험성 평가’ 기법을 가이드라인

으로 제공하고 있는 문헌으로는 영국

민항청(Civial Aviation Authrority)에서

발행한 ‘비행장을 위한 조류충돌 위험

관리(CAP 772)’ 매뉴얼이다. 본 매뉴얼

제3장에서는 조류충돌 ‘가능성’과 충돌

로 인한 ‘심각도’ 간 일반적인 매트릭스

기법을 사용한 평가방식을 제시하고 있

다. 각각의 요소에 미치는 요인을 교차

적용하여 보통수준 이상의 위험성이 도

출 될 경우 이를 제거하거나 저감할 수

있는 추가적인 위험관리 방안을 시행하

도록 제시하고 있다.

양따오떠(Yang Dao-De)는 중국 황화

국제공항(Changsha Huanghua Inter-

national Airport)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조류종간 위험도에 순위를 매겨 위험관

리를 하는 ‘Birkstrike Ranking Assessment

System’을 개발하여, 60여개 종에 한

조류의 위험도를 크게 4개로 분류하여

조류충돌 예방활동을 전개하는 방안을

제공하고 있다. 이는 각각 다른 유형의

조류가 다른 위험도를 가지고 있다는

인식에 전제하고 있으며, 기존의 위험

도 측정방식이 실제 충돌한 조류의 빈

도에 관행적으로 의존하는 한계를 극복

하는데 기여한 측면이 있다고 하겠다.

동 연구결과에서 제시하는 평가방법은

11가지 위험요소(risk factor)에 하여

각각 10포인트, 5포인트, 1포인트를 매

기는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위험도를 정

량적으로 산정하고 있다. 구체적인 내

용은 아래 <표 2>와 같다. 이와 같은

기법을 활용하여 총 60여개 조류 종(種)

에 한 위험도를 100%로 환산한 값

을 산정하여 각각의 상 적 위험도를

도출한다. 이중 위험도가 매우 높다

(extremely high-risk group) 판단되는

수준인 84% 이상 16개 종에 하여 중

점 퇴치활동을 전개하게 되는 것이다

(Yang et el, 2010).

Page 4: 제주국제공항의 조류 위험성평가 모델 및 활용사례 공항서비스매뉴얼(Doc 9137 part3, Bird Control and Reduction) 뿐만 아니라 국 내 기준에서도 위험평가기법을

항공진흥 제59호

124

심각도발생 가능성

매우 높음 높음 보통 낮음

매우 심각 매우 심각 매우 심각 매우 높음 높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높음 높음 보통

높음 높음 높음 보통 보통

보통 보통 보통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무시 무시

매우 낮음 무시 무시 무시 무시

<표 3> 조류 위험성 평가 매트릭스

위험요인 (Risk factor)산정기준 (Marking Standard)

10점(포인트) 5점(포인트) 1점(포인트)

조류출현빈도 >10 1-10 ≤1

무리의 크기 (Populaton

Size)>20 10-20 ≤10

포획수량 (연간) >10 5-10 <5

조류의 중량 >250 100-250 <100

활공높이 (Fight Height, m) <40 40-100 >100

거주기간 (Residence) 12개월 ≥6월 <5월

활동시간 주간 일몰/일출 야간

조류의 비행행태 연속된 장시간 활공 짧은 비행 매우 짧은 단기 비행

충돌회피성(Avoidability) 미숙한 회피비행 직선 궤적비행 빠른 방향전환

통제의 곤란도 퇴치가 어려움 퇴치후 익일 재출현 재발견되지 않음

주요활동구역 활주로/유도로/계류장 활주로/유도로 주변녹지 공항경계지역

(출처 : D. Yang et al./Acta Ecologica Sinica 30, p87)

<표 2> 황화국제공항의 조류충돌 위험요인에 대한 평가기준

호주 아델레이드 학 데이비드 패턴

(David C. Paton)이 아델레이드 공항당

국과 공동으로 연구한 ‘공항과 비행장

을 위한 조류위험평가 모델(Bird Risk

Assessment Model for Airports and

Aerodromes)’은 영국 민항청과 유사하

게 매트릭스기법에 의한 매우 간단한

평가기법을 활용하고 있다. 그의 연구

에 따르면 심각도(Severity)의 요인을

조류 종의 무게(body mass), 무리형성

의 행태(flock size), 비행습성(flight

behavior)을 각각 곱하여 개량적으로 점

수를 산출한다. 조류충돌 가능성

(Probability)은 서식개체수(abundance)

Page 5: 제주국제공항의 조류 위험성평가 모델 및 활용사례 공항서비스매뉴얼(Doc 9137 part3, Bird Control and Reduction) 뿐만 아니라 국 내 기준에서도 위험평가기법을

제주국제공항의 조류 위험성평가 모델 및 활용사례

125

와 조류충돌 건수 등이 주요한 요인으

로 고려된다. 충돌 가능성은 비행의 습

성, 출현빈도, 조류충돌건수 증감 추세

등이 추가적으로 보정할 요소로써 활용

된다. <표 3>의 위험성 평가 매트릭스

에 의하여 공항의 주요한 위험 조류가

분석되고, 해당 종에 하여 조류충돌

위험관리를 집중한다는 주장은 앞서의

다른 연구결과와 동일한 개념이다

(Paton, 2010).

Ⅱ. 국내공항 야생동물 위험관리

2.1 공항별 야생동물

위험관리계획

국내공항의 경우 공항과 그 인접지역

에서 조류 등 야생동물로 인한 항공기

와 충돌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국

토해양부 고시인 '조류 및 야생동물 충

돌위험 감소에 관한 기준’과 ‘공항안전

운영기준’에 따라 야생동물 서식지의

위치, 개체종류, 이동상태, 수, 일일/계

절별 추이, 항공기 운항사항, 야생동물

유인요소, 기타 공항이용자의 의견사항

을 반영하여 매년 야생동물위험관리계

획을 수립 시행하고 있다. 외국의 사례

와 다르게 조류충돌 건수 저감에 관리

의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에 위험 경

감조치 및 조류충돌 발생 이후 응방

안 등이 주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A공항의 2012년 야생동물위험관리계

획에 따르면 계절별 조류 서식현황과

시간 별 출현빈도를 토 로 공항내 각

지역에서의 조류종의 수량과 개체수를

분석한다. 이를 계절, 시간 항공기 운

항과 비시켜 충돌위험 가능성이 높은

취약시간 를 각 계절별로 도출하게 된

다. 주목할 점은 계절별로 ‘각 월중 종

별 최 개체수의 합계에서 해당종이 차

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우점도에 따

라 위험등급 상위조류를 제시하고 있다

는 점이다. 각 계절별 우점도가 높은 조

류를 위험등급 우선 순위로 분류하고,

과거의 조류충돌 데이터와 철새 도래종

에 한 개체수 변동 추이 등을 추가적

으로 고려하여 봄에는 오전 8~9, 가을

20~21, 겨울은 17~18 시간 를 취약

시기로 선정하는 등의 방식으로 조류통

제를 강화하고 있다.

B공항은 전년도 각 조류 유형별 포획

및 퇴치실적을 매월 분석하고, 공항 내・

외곽 서식지에서의 조류 이동경로를 파

악하는 등 현황 데이터를 활용하고 있

다. 또한 최근 4년간 조류충돌 발생현

황을 계절별, 시간 별, 이착륙방향별,

비행단계별로 분류하고, 조류 종별로

Page 6: 제주국제공항의 조류 위험성평가 모델 및 활용사례 공항서비스매뉴얼(Doc 9137 part3, Bird Control and Reduction) 뿐만 아니라 국 내 기준에서도 위험평가기법을

항공진흥 제59호

126

구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10월

운항횟수 95,671 99,323 103,426 112,696 100,902

충돌건수 12 18 18 8 7

발생율(%) 0.013 0.018 0.017 0.006 0.007

<표 4>제주공항 조류충돌 발생현황

충돌 빈도수에 따라 위험성을 추정하는

사후적 응방식을 활용하고 있어 참

새, 제비 등이 관리 상으로 선정되었

다. 그러나 참새와 제비는 앞서 외국공

항의 선행연구 위험성평가기법에 적용

할 경우 보통수준 이하의 위험도를 나

타내거나 무시할 수준으로 나타내고 있

어 공항의 조류 위험성 평가 방식의 정

교화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2.2 제주공항 조류 위험성

평가모델 정립

제주공항은 매년 항공기 운항이 증가

하는 추세로써 2011년에는 이착륙을 포

함하여 총 112,696회의 운항실적을 기

록하였다. 이에 따라 조류충돌 가능성

도 높아진다고 예측할 수 있는데 연도

별 운항횟수와 조류충돌건수는 <표 4>

와 같다. 충돌건수는 2010년 18건을 정

점으로 하여 2011년도부터 감소하는 추

세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앞서 국내공항 야생동물위험

관리계획에서 살펴보았듯이 일부 공항

의 경우 위험성 평가가 충돌건수와 조

류출현 빈도 등 기초적 데이터에 의존

하여 조류퇴치활동을 전개하는 사후적

안전관리방식을 탈피하고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는 해당공항에서 가장

위험도가 높은 조류 유형이 무엇인지

밝혀 인적, 물적 자원을 투입하는 합리

적 관리방식과는 거리가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위험성을 평가하는

각 요소에 한 구체적인 내용이 미흡

한 현실에서 공항별 위험성 평가를 업

무 담당자의 역량에 크게 의존할 수 밖

에 없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조

류 등 야생동물 위험관리를 보다 체계

화하고 퇴치업무의 효율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보다 객관적이고 조류 특성을

고려하는 접근방식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제주공항은 외국의 주요공항의 위험

평가 자료를 수집하고 국내에서 개최되

었던 조류 및 야생동물위험관리 교육과

정 이수를 통하여 보다 검증된 위험평

가 모델을 정립하고자 하였으며, 2012

년부터 동 모델을 활용한 조류퇴치 활

동을 전개하고 있다.

Page 7: 제주국제공항의 조류 위험성평가 모델 및 활용사례 공항서비스매뉴얼(Doc 9137 part3, Bird Control and Reduction) 뿐만 아니라 국 내 기준에서도 위험평가기법을

제주국제공항의 조류 위험성평가 모델 및 활용사례

127

목 과 조류명 서식형태 무게 (kg)

사다새목 가마우지과가마우지

겨울철새2.5

쇠가마우지 2.3

황새목 백로과

왜가리여름철새

2

쇠백로 0.6

흑로 텃새 0.8

기러기목 오리과

큰기러기

겨울철새

3.4

흑부리오리 1.5

홍머리, 청머리, 알락오리 0.8

쇠오리 0.4

청둥오리 1.4

흰뺭검둥오리 텃새 1.2

고방오리

겨울철새

1

넓적오리 0.7

흰죽지 1.1

댕기흰죽지 0.9

검은머리흰죽지 1.1

흰줄박이오리 0.7

흰뺨오리 0.9

매목

수리과물수리 겨울철새 2.05

새매

텃새

0.35

매과황조롱이 0.2

매 0.8

두리목 뜸부기과 물닭 텃새 0.96

도요목도요과

깝작도요

나그네새

0.06

꺅도요 0.1

흰꼬리좀도요 0.03

갈매기과 괭이갈매기 텃새 0.6

앞서 선행연구 사례를 참조하여 호주

아델레이드 공항의 위험성 평가 모델을

접목시킨 평가 매트릭스를 사용하여 관

측된 조류종별 위험도를 계량적으로 제

시하였으며, 국립생물자원관의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 김영사 발간 ‘한반

도 조류도감’ 등을 참조하여 조류의 크

기, 무리형성의 습성, 비행행태 등에 정

확도를 기할 수 있었다. 아울러 현재 활

동중인 12명의 조류퇴치요원에 한 설

문조사를 실시하여 비행행태, 활주로

등 항공기 동선상 주요 출현 조류 등을

파악하여 위험평가 결과를 도출하였다.

2.3 제주공항 인근 관측조류

2011년도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

스’ 및 한국공항공사 조류 개체수 통계

에 따르면 제주공항 주변의 관측조류는

총 12목 24과 63종이며 서식형태 및 크

기 등 세부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Page 8: 제주국제공항의 조류 위험성평가 모델 및 활용사례 공항서비스매뉴얼(Doc 9137 part3, Bird Control and Reduction) 뿐만 아니라 국 내 기준에서도 위험평가기법을

항공진흥 제59호

128

목 과 조류명 서식형태 무게 (kg)

갈매기

겨울철새

0.5

재, 큰재갈매기 1.3

흰갈매기 2.2

붉은부리갈매기 0.4

비둘기목 비둘기과 멧비둘기 텃새 0.2

참새목

종다리과 종다리 겨울철새 0.05

직박구리과 직박구리 텃새 0.07

때까치과 때까치 텃새 0.04

지빠귀과

딱새 텃새 0.02

바다직박구리 텃새 0.06

개똥지빠귀 겨울철새 0.09

개개비사촌 여름철새 0.01

멧새과 멧새 텃새 0.03

되새과

방울새 텃새 0.02

검은머리방울새겨울철새

0.01

콩새 0.06

참새과 참새 텃새 0.03

까마귀과까치

텃새0.3

까마귀 0.6

제비과 제비 여름철새 0.03

닭목 꿩과 꿩 텃새 1.1

Ⅲ. 제주공항 위험성 평가

모델 활용 사례

3.1 위험성 평가의 취지

제주공항 위험성 평가의 목표는 조류

종간 위험성의 상 성을 추정함에 있

고, 조류유형별 정확한 수치의 충돌 확

률, 피해 가능성 등을 제시하지는 않는

다. 이는 위험성 평가가 조류 충돌 저감

이라는 단편적인 목적이 아닌 조류 충

돌 가능성과 이에 따른 항공기에 한

피해 심각도를 종합적으로 고려, 평가

를 함으로써 제주공항에서의 위험한 종

을 우선적으로 확인한 후 퇴치활동의

선택과 집중을 함으로써 피해발생을 최

소화하는데 있기 때문이다. 평가모델의

기본산식은 앞서 밝힌 바와 같이 해외

공항과 학계에서 연구, 검증된 모델 중

제주공항에 도입, 적용이 가장 현실적

이고 적합한 모델을 사용하였다. 평가

매트릭스는 영국 CAA와 호주 아델레

이드 모델 중 보다 단순한 호주 아델레

이드 공항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구체적

인 내용은 앞서 <표 3>과 같다.《조류 위험성 평가 모델 》

[ 조류충돌 심각도 × 조류충돌 가능성 ]

조합 매트릭스

Page 9: 제주국제공항의 조류 위험성평가 모델 및 활용사례 공항서비스매뉴얼(Doc 9137 part3, Bird Control and Reduction) 뿐만 아니라 국 내 기준에서도 위험평가기법을

제주국제공항의 조류 위험성평가 모델 및 활용사례

129

구 분 종 류 점 수

< 20g 일부 종 1

21-50g 제비과(30), 참새과(30), 종다리과(50) 2

51-200g 비둘기과(200) 4

201-1000g 까치(250), 까마귀(500) 매과(500), 오리과(1000) 8

1-5kg 꿩과(1100), 백로과(1,130), 수리과(1200), 갈매기과(1050) 16

>5kg 없음 32

※ 주 : 조류종 -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2011) 참조

몸무게 기준 - 한반도 조류도감(김영사) 참조

* 매과(매, 황조롱이) * 수리과(물수리, 새매, 참매, 말똥가리)

* 오리과(각 종 기러기, 오리 등) * 백로과(왜가리, 쇠백로, 흑로)

* 까마귀과는 제주공항 주된 우점종으로써 까치, 까마귀로 분리

<표 5> 조류 크기에 의한 심각도 기준

3.2 조류 충돌의 심각도

(Consequence of a Bird

Strike)

3.2.1 측정방법

조류 충돌의 심각도에 한 측정방법

은 세가지 요소를 고려하였다. 항공기

에 피해를 주는 조류 습성(크기 및 행

동정보)을 아래 각각의 카테고리로 구

분하여 평가하였다.

A. 조류 크기 (6개 카테고리)

B. 무리 형성 습성 (3개 카테고리)

C. 비행 행태 (3개 카테고리)

제주공항 주변 서식 조류의 우점종

확인을 위하여 매년 조류 전문가가 실시

하는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2011)’

를 기준을 활용하였다. 동 자료는 환경

부 국립생물자원관에서 우리나라 겨울

철새에 한 모니터링과 생태적인 자료

확보를 목적으로 매년 실시하는 것으로

써 공항에서 관찰이 어렵거나 조류종의

파악이 어려운 점을 보완하기 위한 조

치로 검토되었다. 제주지역은 총 6개

지역을 조사하고 있으며 그중 제공공항

은 용담- 정 해안지역에 속한다.

우리나라 조류의 습성(크기, 무리 형성,

비행행태) 파악 및 구분은 국내 전문도

서를 활용하고 현장 조류 퇴치원의 의

견을 반영하여 종별 생태 및 행동방식

이 유사한 ‘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3.2.2 측정모델

조류크기(A), 무리 형성 습성(B), 비

행행태(C) 등 세가지 요소를 곱하여 조

류충돌 심각도를 산출하였다. 각 요소

별 구체적 계량기준은 <표 5>에서 <표

8>과 같다.

Page 10: 제주국제공항의 조류 위험성평가 모델 및 활용사례 공항서비스매뉴얼(Doc 9137 part3, Bird Control and Reduction) 뿐만 아니라 국 내 기준에서도 위험평가기법을

항공진흥 제59호

130

구 분 종 류 점 수

(대개) 단독 또는 원거리 유지 제비과, 까치, 매과, 수리과, 꿩, 갈매기과, 종다리과 1

(자주) 약간 느슨한 상태 비둘기과, 백로과, 참새과, 까마귀, 오리과 2

(자주) 밀집 상태 4

※ 주 : 한반도 조류도감(김영사) 및 조류퇴치 근무자 설문조사 참조

* 일부 종은 번식기 등 시기별로 무리 형성의 행태가 변함 (위 표는 하절기 기준)

<표 6> 비행시 무리 형성

구 분 종 류 점 수

빠른 방향전환 제비과, 갈매기과 1

- 느림, 일정치 않는 비행

- 곡절비행(구불구불)

- 정지, 활공 비행

까치과, 종다리과, 참새과, 비둘기과

오리과, 백로과, 매과, 수리과,2

주 : 한반도 조류도감(김영사), 조류퇴치 근무자 설문조사 참조

<표 7> 비행 행태

<표 8> 심각도 (A × B × C) 판정 결과

심각도 종 류 판정기준

매우 심각 - 오리과, 백로과 64 - 128

매우 높음 - 까마귀, 수리과, 꿩과 32

높음 - 비둘기과, 매과, 갈매기과, 까치 16

보통 - 참새과, 8

낮음 - 종다리과 4

매우 낮음 - 제비과 1 - 2

3.3 조류충돌 가능성(Probability

of a Bird Strike)

3.3.1 측정방법

조류충돌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직

접적 요인은 ‘서식 개체 수’와 활주로

등 항공기 주요 동선 주변에서의 횡단

습성에 비례한다고 판단하였다. 관측된

조류의 개체수는 많으나 활주로 등지에

접근하지 않는 종에는 가능성을 상 적

으로 낮게 적용함으로써 구분을 할 필

요가 있기 때문이다. 조류충돌 가능성

은 위 두 가지 요인 간 상관관계 매트

릭스를 통해 조류 종간의 상 적 충돌

가능성 순위를 부여할 수 있었다. 하절

기 기준으로 제주공항의 조류서식 개체

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a. 많음(매일 관측 또는 10%이상) : 제

비과, 참새, 비둘기과

Page 11: 제주국제공항의 조류 위험성평가 모델 및 활용사례 공항서비스매뉴얼(Doc 9137 part3, Bird Control and Reduction) 뿐만 아니라 국 내 기준에서도 위험평가기법을

제주국제공항의 조류 위험성평가 모델 및 활용사례

131

설문내용 응답건수 (중복포함)

공항에서 가장 위험하다고 판단되는 조류종은? 매(8),오리(8),까치(6),비둘기(5),제비(5),종다리(5)

활주로 횡단을 가장 많이 하는 조류종은? 종다리(12),까치(7),비둘기(5),오리(5),까마귀(4)

<표 9> 조류퇴치 근무자 설문조사 결과

b. 보통( 부분 관측 또는 1~10%) : 까치

c. 작음(때때로 관측 또는 1% 이하) :

꿩, 종다리

d. 시기적으로 가끔 : 매과, 수리과, 오

리과, 까마귀과, 백로과, 갈매기과

* 백분율(%)은 일정기간 중 전체 관측

개체수 비 특정 개체수로 함.

활주로 등 항공기 이동경로 동선 주

변의 횡단 여부는 조류퇴치 전담요원을

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반영

하였는데 ‘제비과’, ‘비둘기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a. 매우 높음 : 제비과, 비둘기과

b. 때때로 : 꿩, 종다리, 매과, 수리과,

오리과

c. 거의 드물게 : 참새과, 까치, 까마귀,

백로과, 갈매기과

앞서 아델레이드 공항 사례에서 소개

한 바와 같이 조류 종류가 특정시기에

갑작스러운 증가 추세를 보이거나 충돌

건수가 증가, 감소하는 경우 충돌 가능

성의 카테고리를 한단계씩 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평가 시점에서의

경향성을 반영하고 평가결과의 적실성

을 일부 보완함으로써 잠재적 위험성

오류 가능성을 개선하고자 하는 데 따

른 것이다.

a. 조류의 갑작스런 증가 또는 감소의

경향

b. 조류충돌의 증가 또는 감소 경향

c. 갑작스런 활주로 횡단 습성의 증가

또는 감소 경향

조류퇴치 전담요원에 한 설문조사

는 2012년 6월 25일에서 6. 29일까지 5

일간 실시하였으며 근무자 12명이 설문

에 참여하였다. 주요 설문내용과 그 결

과는 다음과 같다.

3.3.2 측정결과

조류충돌 가능성에 한 판정결과 제

비, 비둘기, 참새 등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2008년부터 제주공항

충돌조류 종별 빈도수에서 참새, 제비

가 각각 8건, 6건, 종다리, 꿩 등이 2~3

건으로 보고된 바 있어 동 측정방법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Page 12: 제주국제공항의 조류 위험성평가 모델 및 활용사례 공항서비스매뉴얼(Doc 9137 part3, Bird Control and Reduction) 뿐만 아니라 국 내 기준에서도 위험평가기법을

항공진흥 제59호

132

항공기 동선

횡단

조류 서식 분포도

많음 보통 작음 시기적으로 가끔

자주매우 높음

(제비과)매우 높음 높음 보통

때때로매우 높음

(비둘기과)높음

보통

(꿩과, 종다리)

낮음

(매과, 수리과, 오리과)

거의 드물게높음

(참새과)

보통

(까치)

낮음 낮음

(까마귀, 백로과, 갈매기과)

* 제주공항 조류충돌 현황 (2008-2011년)

<표 10> 충돌가능성 판정기준 및 결과

구분 참새 제비 종다리 꿩 까치 황조롱이 쇠오리 기러기 물수리 불명 계

충돌건수 8 6 3 2 1 1 1 1 1 31 55

Ⅳ. 위험성 평가 결과

4.1 제주공항 조류 위험성 판정

및 분석

조류충돌 심각성과 충돌가능성을 매

트릭스로 활용한 위험성 판정결과는

<표 11>과 같이 도출되었다.

비둘기과는 하절기 번식기 이후 개체

수 증가와 활주로 횡단, 무리 생활을 하

는 행동 습성 등으로 위험성이 높게 나

왔으며, 제주공항의 주된 우점종인 까

치는 개체수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공항

울타리 주변에서 제한적으로 활동하고

있어 위험성은 상 적으로 낮게 평가되

었다.

또한 부분의 종(種)이 겨울철새인

‘오리과’는 본격적인 동절기 이동시기

에 개체 수의 뚜렷한 증가와 함께 위험

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며, 여름철

에 가장 왕성하게 활동하는 제비는 조

류충돌 위험성이 가장 높지만 위험성은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조류종별 위험성 평가결과를 토 로

제주공항은 위험성이 높은 종에 한

퇴치를 우선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기

존의 평가방식이 조류 충돌건수에 근거

한 사후적 위험관리이나, 정부, 공항당

국, 항공사 등 이해관계자 등이 위험도

와는 별개로 발생건수에 한 저감노력

을 여전히 중시하는 상황에서 이에

한 지속적인 관리 책도 간과할 수 없

었다. 예를 들어 하절기에는 위험성 평

가결과에 따라 텃새인 비둘기과를 적극

적으로 포획 또는 퇴치할 동을 전개하

Page 13: 제주국제공항의 조류 위험성평가 모델 및 활용사례 공항서비스매뉴얼(Doc 9137 part3, Bird Control and Reduction) 뿐만 아니라 국 내 기준에서도 위험평가기법을

제주국제공항의 조류 위험성평가 모델 및 활용사례

133

종 별충돌 심각성

(Consequence)

충돌 가능성

(Probability)판정결과

비둘기과 높음 매우높음 높음

오 리 과 매우심각 낮음 높음

백 로 과 매우심각 낮음 높음

꿩 과 매우높음 보통 높음

참 새 과 보통 높음 보통

까 마 귀 매우높음 낮음 보통

매 과 높음 낮음 보통

수 리 과 매우높음 낮음 보통

갈매기과 높음 낮음 보통

까 치 높음 보통 보통

제 비 과 매우낮음 매우높음 무시

종다리과 낮음 보통 무시

<표 11> 조류종별 위험성 평가결과

되, 충돌건수 관리를 위하여 제비에

한 퇴치활동도 병행하여 전개하는 방안

이 그것이다.

Ⅴ. 결론 및 모델의 한계

제주공항에서 활용되고 있는 조류 위

험성 평가 모델은 국제민간항공기구

(ICAO) Doc 9137 Part3 인 'Bird

Control and Reduction' 매뉴얼과 '조류

및 야생동물 충돌위험감소에 관한 기준'

에서 새롭게 요구하고 있는 위험관리기

법의 활용사례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안전관리시스템(Safety Management

System)의 위험관리(Risk Managment)

매트릭스 기법을 원용하여 조류충돌에

의한 피해의 심각도 수준과 발생가능성

을 교차하여 위험성을 평가할 수 있는

단순한 방식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심각도(Consequence)에 미치는 요소로

써 이미 외국 공항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준인 조류 크기(중량), 무리형성 습성,

비행 형태 등을 통하여 각각에 응하

는 계량적 결과로 그 정도를 판별할 수

있었다. 발생가능성은 서식 개체수와

항공기 이동경로 주변 횡단 습성을 가

장 큰 두가지 요소로 보았다. 이 모델은

철새의 도래 등 계절별로 변하는 개체

수의 변동 등을 충분히 반영하여 분석

할 수 있는 각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다만, 앞서 황화국제공항의 11개 요소

와 같이 세부적인 요소를 더 포함하고

현장에서 관찰될 수 있는 조류특성을

Page 14: 제주국제공항의 조류 위험성평가 모델 및 활용사례 공항서비스매뉴얼(Doc 9137 part3, Bird Control and Reduction) 뿐만 아니라 국 내 기준에서도 위험평가기법을

항공진흥 제59호

134

가미한다면 더욱 정교한 모델로 발전시

킬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맹금류와

일반 조류가 활주로 인근 공중에서 조

우하였을 때 미칠 수 있는 조류특성의

변화까지도 변수로 개발할 수 있다면

바람직 할 것이다.

현재의 위험평가 모델은 특정 공항에

서의 조류 종별 위험성 정도를 파악하

여 중점적 관리 상을 파악하여 조류퇴

치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데 있

다. 앞서 제주공항 위험성 평가결과 분

석내용에 언급하였듯이 공항별 조류 위

험성과 퇴치활동 중점 관리 상은 다를

수 있다는 점이 현장에서는 발생한다.

아직까지 조류퇴치 근무자와 공항당국

에서는 조류충돌건수 저감을 최우선적

위험관리 목표로 설정하고 업무를 수행

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위험성 평

가를 통하여 조류종간 위험성을 파악,

안전관리를 하면서 동시에 조류충돌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조류 종에 해

서도 퇴치업무를 강화하여야 할 것

이다.

<참고문헌>

[1] 국립생물자원관 (2011), 2011년도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2]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2-733호, 조류 및 야생동물 충돌위험감소에 관한 기준.[3] 송순찬 (2005), 한반도 조류도감, 서울, 김영사.[4] CAA Safety Regulation Group (2008), CAP 772 Birdstrike Risk Management for

Aerodromes.[5] ICAO Doc 9137 Part 3 (2012), Bird Control and Reduction.[6] Paton, D. C. (2010), Bird Risk Assessment Model for Airports and Aerodromes.[7] Yang, D. D, Zhang Z. Q and Hu M. W. (2010), "Ranking birdstrike risk : A case

study at Huanghua International Airport, Changsha, China", Acta Cologica Sinica, 30, 85-92.

Page 15: 제주국제공항의 조류 위험성평가 모델 및 활용사례 공항서비스매뉴얼(Doc 9137 part3, Bird Control and Reduction) 뿐만 아니라 국 내 기준에서도 위험평가기법을

제주국제공항의 조류 위험성평가 모델 및 활용사례

135

Birdstrike Risk Assessment Model for Jeju Airport

Park Sang HoonKorea Airports Corporation Jeju International Airport

【Abstract】

In this paper, a birdstrike risk assessment practice, regulated by the korean government and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sation (ICAO), was applied by establishing a model to fit the actual situation of the domestic airport. According to the annual risk management plan of the korean airports, bird control has been typically conducted by the analysis of seasonal, hourly occurrences of birds, habitats, and migration pathways, etc. In addition, the reality is that birdstrike risk management is being made reactively by dealing with the reduction of the birdstrike frequencies.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bird control personnel and equipment more efficiently, there seems to be a need to identify the risk of bird species from the airport. A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approach is presented as an analytical tool for airports, of which matrix method used in the United Kingdom, Australia, and China. This technique will be able to provide a good reference model to perform a risk assessment required by ICAO and the korean government. Birdstrike risk assessment was done by considering the probability of a strike and the likely consequence of a bird strike. As a result of using the tool, species of pigeon, duck, egret and pheasant were given high or very high risks for birdstike at Jeju International Airport.

Key words : Birdstrike, Risk Assessment, Risk Management